1....

15
- 1 - 1. 과학기술정책의 패러다임 변화와 거버넌스 I. 서론 기술 변화와 확산이 빨라지고 사회 전 분야로 기술혁신이 확산되면서 그 영향도 매우 다 양화되고 심화되고 있다. 기술혁신은 새로운 산업을 출현시키고 산업구조를 바꿀 뿐 아니라 보건·의료, 교육, 국방, 환경 등 사회 전반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과거 과학기술을 경 , 산업 발전으로 연계하는 것을 핵심으로 했던 기술혁신정책이 이제는 사회 복지, 지역개 , 교육 문화 등에서도 주요 정책 의제로 부상되고 있다. 다시 말해 과거 부문 정책으로 자 리 잡았던 혁신정책이 이제는 부문 정책을 넘어 모든 정책의 기반을 구성하는 하부구조형 정책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핀란드 등 EU 국가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새로운 시각에서 혁신을 수립하고, 의제로 혁신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EC, 2002; OECD, 2005; Boekholt, 2004; Boekholt & Arnold et al, 2002; Arnold & Boekholt, 2003; Edler & Kulmann, 2003). 그동안 경제정책, 산업정책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았던 기술혁신정책을 국정운영의 핵심으로 추진하면서 거버넌스의 중요성이 제고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기술혁신의 특성상 관할권과 경계가 불분명하고 중첩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타 부처와의 협조 및 정책호환성 문 제가 매우 중요해지고 있으며, 시스템 전체에 걸친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거버넌스의 개선 이 요구된다. 이에 각 국가들은 구체적으로 원활한 정책 통합 및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시 스템 개편과 함께 대응성과 민주성을 강조하는 참여적 거버넌스를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과학기술중심사회 구축을 주요 국정과제의 하나로 제시하고, 2의 과학기 술입국 실현을 정책목표로 하고 있다. 과학기술부장관을 부총리로 격상하고, 과학기술혁신 본부(차관급)를 설치했으며, 과학기술부와 과학기술혁신본부에서 범부처적인 과학기술혁신정 책의 기획조정평가기능을 담당하도록 설계하였다. 과학기술혁신 현안과제를 신속하게 협의, 조정하기 위해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신설운영해 왔으며, 국가연구개발예산 편성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전략적 투자집행을 위해 국가과학기술위원회(국과위)에 국가연구개발사 업에 대한 예산조정배분권을 부여하였다. 특히 관료, 기업, 대학의 전문가 혹은 시민사회의 참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참여형 거버넌스의 제도화가 부분적으로 도입되는 등 거버넌 스의 중요성이 기술혁신정책에서도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과학기술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과정을 기술혁신정책의 진화 과정으로 보고, 최근 제3세대 기술혁신정책에서 제시하는 주요 정책 의제와 쟁점을 논의하 고자 한다. 이와 함께 제3세대 기술혁신정책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의 변화 내 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가 앞으로 지향하여야 할 과학기술 거버넌스에 대해 서 논의하고자 한다.

Upload: others

Post on 07-Mar-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1. 과학기술정책의패러다임변화와거버넌스kstam.kofst.or.kr/file/2007/session1/1.pdf · 보건·의료, 교육, 국방, 환경등사회전반에큰변화를일으키고있다

- 1 -

1. 과학기술정책의 패러다임 변화와 거버 스

I. 서론

기술 변화와 확산이 빨라지고 사회 분야로 기술 신이 확산되면서 그 향도 매우 다

양화되고 심화되고 있다. 기술 신은 새로운 산업을 출 시키고 산업구조를 바꿀 뿐 아니라

보건·의료, 교육, 국방, 환경 등 사회 반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과거 과학기술을 경

제, 산업 발 으로 연계하는 것을 핵심으로 했던 기술 신정책이 이제는 사회 복지, 지역개

발, 교육 문화 등에서도 주요 정책 의제로 부상되고 있다. 다시 말해 과거 부문 정책으로 자

리 잡았던 신정책이 이제는 부문 정책을 넘어 모든 정책의 기반을 구성하는 하부구조형

정책으로 환되고 있는 것이다.

핀란드 등 EU 국가들은 이러한 변화에 응하여 새로운 시각에서 신을 수립하고, 핵

심 의제로 신 거버 스의 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EC, 2002; OECD, 2005; Boekholt,

2004; Boekholt & Arnold et al, 2002; Arnold & Boekholt, 2003; Edler & Kulmann, 2003).

그동안 경제정책, 산업정책에 비해 상 으로 요도가 낮았던 기술 신정책을 국정운 의

핵심으로 추진하면서 거버 스의 요성이 제고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기술 신의 특성상

할권과 경계가 불분명하고 첩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타 부처와의 조 정책호환성 문

제가 매우 요해지고 있으며, 시스템 체에 걸친 학습을 진하기 한 거버 스의 개선

이 요구된다. 이에 각 국가들은 구체 으로 원활한 정책 통합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시

스템 개편과 함께 응성과 민주성을 강조하는 참여 거버 스를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심사회 구축」을 주요 국정과제의 하나로 제시하고, 「제2의 과학기

술입국 실 」을 정책목표로 하고 있다. 과학기술부장 을 부총리로 격상하고, 과학기술 신

본부(차 )를 설치했으며, 과학기술부와 과학기술 신본부에서 범부처 인 과학기술 신정

책의 기획․조정․평가기능을 담당하도록 설계하 다. 과학기술 신 안과제를 신속하게

의, 조정하기 해 과학기술 계장 회의 신설・운 해 왔으며, 국가연구개발 산 편성의

문성을 제고하고 략 투자・집행을 해 국가과학기술 원회(국과 )에 국가연구개발사

업에 한 산조정・배분권을 부여하 다. 특히 료, 기업, 학의 문가 혹은 시민사회의

참여가 효과 으로 이루어지는 참여형 거버 스의 제도화가 부분 으로 도입되는 등 거버

스의 요성이 기술 신정책에서도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에서 이 에서는 과학기술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과정을 기술 신정책의 진화

과정으로 보고, 최근 제3세 기술 신정책에서 제시하는 주요 정책 의제와 쟁 을 논의하

고자 한다. 이와 함께 제3세 기술 신정책의 에서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의 변화 내

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가 앞으로 지향하여야 할 과학기술 거버 스에 해

서 논의하고자 한다.

Page 2: 1. 과학기술정책의패러다임변화와거버넌스kstam.kofst.or.kr/file/2007/session1/1.pdf · 보건·의료, 교육, 국방, 환경등사회전반에큰변화를일으키고있다

- 2 -

II. 기술 신정책의 진화

과학기술정책 패러다임의 환은 기술 신정책의 진화과정으로 볼 수 있다. 개 기술

신정책은 3단계를 거쳐 진화해 왔다고 보고 있다(OECD, 2005). 각 세 별 기술 신정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제1세 기술 신정책

제1세 기술 신정책은 연구실에서의 과학 활동을 통해 새로운 지식이 창출되면 그 지식

이 응용되어 상업 성과가 나타나 기술 신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즉 신과정을 기 연구

➝ 응용 개발연구 ➝ 신 확산을 통해 상업화에 이르는 선형 과정(linear)으로

악하기 때문에 기술 신의 주요 원천은 연구 는 과학 활동이 된다. 기 연구, 응용 개

발연구, 신 확산 사이에 계를 설정하고 있고, 신을 진하는 데에는 기 연구가

요하다는 을 강조한다. 기 연구와 응용 개발연구, 상업화 활동 사이의 상호작용과 피

드백은 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세 신정책은 과학기술의 발 과정에서 요한 분야를 선정해서 자원을 투

입하여 지식의 흐름을 만들어내는 승자 뽑기(picking winners) 정책이었다. 이를 통해 자연

스럽게 지식이 생산부문으로 흘러들어가 기술 신이 진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선진국들은

기술 신과정의 가장 앞부분인 기 연구에 자원을 투입하는 정책이 요하 고, 망 있는

과학 분야를 선정하여 인 ·물 자원을 공 하는 정책에 을 두었다. 반면 후발국의 경

우 기 연구 능력이 취약하기 때문에 특정 기술을 표 (targeting)으로 삼고 이에 집 투자

하는 형태로 정책이 추진되었다. 유망한 기술 분야를 선택하여 집 지원함으로써 산업발

을 진하고자 했다는 것이다(Gibbons, 2001; OECD, 2005; EC, 2002).

따라서 제1세 기술 신정책은 신원천의 다양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기 연구만을 강조

했다는 비 을 받았다. 기술 신을 이끌어내는 원천으로서 개발과정, 생산과정, 마 과정

에서 축 된 지식도 매우 요하다는 을 간과한 것이다. 즉, 기 연구, 응용 개발, 생

산, 매 과정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지식이 창출되

고 달되는 메커니즘, 지식을 상업화하는 데 필요한 능력의 요성 등이 정책의 핵심요소

로서 제 로 고려되지 못하 다. 다시 말해 과학기술지식의 공 에만 이 맞추어져 있

어 지식이 창출·확산·활용되는 제도 틀과 과정에 해 블랙박스 인 근을 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이다(성지은․송 진, 2007).

2. 제2세 기술 신정책

제2세 기술 신정책은 기술 신의 시스템 특성을 인식하여 ‘ 신체제(innovation

system)론’ 근을 취한다. 즉, 학, 연구소, 기업, 수요자, 공 자 등 다양한 신 주체들

Page 3: 1. 과학기술정책의패러다임변화와거버넌스kstam.kofst.or.kr/file/2007/session1/1.pdf · 보건·의료, 교육, 국방, 환경등사회전반에큰변화를일으키고있다

- 3 -

이 지식과 정보를 교환하고 력하는 활동, 즉 신주체들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신이 이

루어진다고 보는 것이다. 제1세 기술 신정책과는 달리 기 연구와 응용연구 등 기술

신활동의 계는 요하지 않으며 각 활동을 수행하는 주체들 사이에는 네트워크 계가 형

성되어 일정한 패턴을 따라 기술 신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이에 따라 신주체들이 효과

인 지식의 창출과 확산 시스템을 구축하면 그 신체제는 좋은 성과를 나타내게 되는 것

으로 본다. 같은 자 과 인력이 투입되어도, 기술 신 활동이 조직되는 방식을 규정하는 기

술 신체제의 특성에 따라 신의 방향과 속도, 성과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술

신정책의 상이 과학기술활동을 직 으로 수행하는 연구소, 학, 기업을 넘어 기술 신

활동에 자원을 공 하는 융기 , 교육훈련기 은 물론 기술 신의 환경을 결정하는 사회

제도, 문화 등으로 확장되고 있다(Marceau, 2001).

제2세 기술 신정책은 기술 신이 효과 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체제 구축에 정책의

이 맞추어져 있다. 이에 따라 지식의 창출과 확산에 합한 기업 간 상호작용 방식, 산

학연 력시스템, 신활동을 효과 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 인력의 육성, 융시스템의

설계 등이 주요 정책 과제이다. 한, 유망한 기술 개발 그 자체 보다 그 기술이 지속 으로

개발·활용될 수 있는 ‘ 신생태계’ 조성이 정책의 핵심 과제가 되었다. 따라서 정부의 역할

은 특정 분야를 표 화(targeting)하여 유망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넘어 그 기술을 효과 으

로 개발·활용할 수 있도록 신주체들을 조직화하는 것까지를 포 하고 있다. 즉, 특정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는 연구개발사업의 경우에도, 해당 기술의 개발뿐만이 아니라 그 기술을

효과 으로 개발·확산, 활용할 수 있는 신주체들의 조직화가 수반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

라서 이 경우 기술과 제도의 공진화(co-evolution)라는 으로 정책이 수립, 추진된다

(Gibbons, 2001; Marceau, 2001: EC, 2002).

그러나, 제2세 기술 신정책도 그 목 을 산업경쟁력 확보, 경제발 등에 국한하고 있

다는 비 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신을 진하기 한 정책(policy for innovation)에

이 맞추어지고 산업과 과학기술 역을 넘어 다른 분야에서 정책문제를 해결하기 한

신활동(innovation for policy)은 충분히 고려되지 않고 있다. 를 들어, 기술 신을 통한 고

령화 련 문제의 해소, 기술 신과 양극화의 문제에 한 응 등이 미흡하다는 것이다(성

지은․송 진, 2007).

3. 제3세 신정책

제3세 기술 신정책은 제2세 처럼 기술 신을 시스템 에서 근한다. 그러나 기

술 신정책의 목표가 경제·사회 수요를 반 으로 응하는 것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시민사회, 공공서비스 역 등이 기술 신체제의 주요 구성요소로 등장하며, 기술 신과

향을 주고받는 모든 경제·사회 부문으로 정책 상이 확 된다. 즉 경제 측면만이 아니라

환경, 에 지, 자원, 보건·의료, 복지 공공서비스, 교통, 안 , 국방 등 사회·안보 측면까지

도 신활동과 연계시켜 악하는 것이다.

Page 4: 1. 과학기술정책의패러다임변화와거버넌스kstam.kofst.or.kr/file/2007/session1/1.pdf · 보건·의료, 교육, 국방, 환경등사회전반에큰변화를일으키고있다

- 4 -

이에 따라 기술 신에 한 이해 계자(stake-holders)가 다양화되고, 거버 스가 요한

주제로 등장한다. 신활동에 여하는 주요 주체들이 확장되면서 기술 신 련 의사결정

구조의 변화가 주요 의제로 등장하는 것이다. 과학기술 련 신주체들이 의사결정을 주도

하던 구조에서 비 과학기술 분야 주체들도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정책 으로는 제3세 에 진입하면서 기술 신정책의 역과 목표가 주로 경제 역에서 경

제·사회 역으로 확장된다. 과거 신정책이 경제성장을 주요 목표로 설정했다면 제3세

신정책에서는 경제성장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 지속가능성 등을 포함한 경제·사회발

을 주요 목표로 설정하는 것이다. 한 기술 신정책 역도 과거 과학기술과 산업에 련

된 분야에 한정되었으나 경제사회 정책의 분야와 계하게 된다(성지은․송 진, 2007).

<표 1> 각 세 별 신정책의 주요 역

제1세 신정책 제2세 신정책제3세 신정책:

총체 신정책

신을 바라보는선형 시스템 시스템

정책목표 경제성장/군사력 경제성장경제성장, 삶의 질,

지속가능한 발

신정책의 역부문정책

(sectoral policy)

여러 역과 련된 정책

(multi-sectoral policy)

여러 역과 련된 정책

(multi-sectoral policy)

정책의 주요

심 역과학을 한 정책

신을 한 정책

( 신을 진하기 한

제도설계, 신친화

고용 융정책)

신을 한 정책뿐만 아니

라 이를 구 할 정책 신

에도 심(경제사회 발 비

을 설정하고 그에 입각해

서 각 분야의 신정책들을

통합)

(eg)국방정책과 신정책의

통합, 환경정책과 신

정책의 통합

신정책

주요 주체과학기술계 과학기술계와 경제계

과학기술계, 경제계,

사용자 시민사회

자료: 성지은․송 진(2007)

III. 기술 신정책의 진화에 따른 주요 쟁

1. 기술 신 거버 스의 요성 증

거버 스(governance)는 개인과 집단의 행동 결과에 향을 미치는 제도 장치로, 구성

원, 구성원간의 계, 자원의 배분․조직 등의 구조 측면과 규칙, 규범, 인식 등의 문화

측면을 포함하는 개념이다(이명석, 2002: 329). 일반 으로 거버 스는 조직이나 사회 체제를

다스리는 행 방식으로 정책 자체의 내용보다는 정책형성과 집행의 과정에 을 맞추고

Page 5: 1. 과학기술정책의패러다임변화와거버넌스kstam.kofst.or.kr/file/2007/session1/1.pdf · 보건·의료, 교육, 국방, 환경등사회전반에큰변화를일으키고있다

- 5 -

있다. 거버 스의 개념이 내용보다는 과정을 강조하고 구조 ․문화 측면을 모두 포 한

다는 에서 거버 스 설계는, 정책 형성과 집행을 한 정책 추진 체계와 련 규칙 설계

를 의미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Arnold et al, 2003).

거버 스는 통치 양식에 련된 것으로 가장 일반 인 통치 양식으로 활용되어 온 것으로

는 정부의 주도 개입을 강조하는 계층제 방식과 시장의 자율 조 기능과 선택을 강조

하는 시장 방식을 들 수 있다1). 그러나 최근에는 기존의 정부 역할에 한 회의가 제기되

고 새로운 통치방식의 필요성에 한 논의가 이루어지면서 거버 스라는 용어가 더욱 주목

받고 있다. 거버 스라는 용어는 기존의 통 인 계층제 혹은 시장 방식의 통치 양식

에 한 심보다는 새로운 통치양식을 의미하는 뉴거버 스(New Governance)라는 개념의

출 과 함께 심의 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최근 기술의 비약 인 발 과 함께 사회가 민주화‧ 문화‧다원화됨에 따라 정책 내용도

복잡화‧다양화‧ 문화되어가는 등 사회․행정환경 반의 격한 변화가 이루어져 왔다. 이

로 인해 정부라는 단일행 자가 모든 문제해결을 한 지식과 자원을 가질 수 없으므로,

부분의 정부 정책은 다양한 이해 계자들과의 한 계와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국가주도의 개발과 성장을 요한 가치로 여겼던 산업사회와는 달리 지식정보화

사회에서는 새로운 국정운 체계인 거버 스로의 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정부주도식의 독 , 폐쇄 , 일방 국정운 방식에서 정부 신의 가

치 선택에서부터 집행단계, 평가에 이르기까지 정부뿐 아니라 시민사회가 극 으로 참여

하는 력 , 분권 거버 스로의 환이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만이 아니라

주요 선진국에서도 공통 으로 발견되는 상들이며, OECD에서도 투명한 정부의 구축을

가장 요한 국정운 의 방향으로 제시하고 있다(유재원․소순창, 2005).

<표 2> Government에서 Governance로의 환 내용

From Government to Governance

○ 작고 경쟁력 있는 정부로의 환

○ 권한이양 기능배분의 극 추진

○ 규제완화와 기업마인드를 가진 정부역할로의 변환

○ 행정효율화와 고객 심주의 확립을 한 리‧경 체계의 도입

○ 정책결정자간의 네트워크 연 , 수평 업과 동을 진

특히 산업사회에서 지식정보화사회로 옮겨 가면서 새로운 과학기술정책 역이 계속 으로

창출‧확 되고 정책성격도 차 미래지향 이고 장기 이며, 불확실하고 비가시 인 양상을

1) 를 들어 Rhodes의 경우에는 거버 스를 최소 여섯 가지의 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주장할 만큼 개념 으

로 다양하게 정의되고 사용되고 있다. 최소국가로서의 거버 스, 기업식 거버 스, 신공공 리로서의 거버

스, 좋은 거버 스(good governance), 사회 사이버네틱 체계로서의 거버 스, 자기조직화 네트워크로서의 거

버 스 등이 그것이다.

Page 6: 1. 과학기술정책의패러다임변화와거버넌스kstam.kofst.or.kr/file/2007/session1/1.pdf · 보건·의료, 교육, 국방, 환경등사회전반에큰변화를일으키고있다

- 6 -

띠기도 한다(박정택, 2004). 이와 동시에 과학기술의 국가경쟁력 제고는 물론 국민생활의

질 향상과 그 련성이 증 되면서 과학기술정책 분야의 거버 스가 더욱 요해지고 있다.

연구개발과 기술 신에서 거버 스의 요성이 높아진 배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째, 과학기술이 사회의 수요(needs)에 부합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면서 과학기술계 이 외

다른 요소들의 개입 증가이다. 둘째, 신공공 리(New Public Management)의 확산으로 연구

개발에 있어서도 자원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필요가 높아졌다. 셋째, 지식 생산과 활

용 방식이 변화하면서 분야간, 기 응용 연구 등 연구개발 성격 간 구분을 넘어 서로

다른 지식과 지식생산자 간의 교류와 통합을 요구하고 있다. 넷째, 기술 신에 한 정책 ,

정치 심 증 로 경제사회 발 을 한 연구개발 성과의 체계 리가 강조되고 있다.

다섯째, 연구개발과 기술 신에 있어서 개별 신 주체의 역할이 더욱 요해지면서(국가의

역할에 비하여) 게임의 규칙(rule of game)에 한 변화 요구이다. 여섯째, 과학기술 환경의

격한 변화로 변화에 한 학습과 응력을 높이고 효과 인 행동 방향 설정을 모색할 필

요성이 제고되었기 때문이다(Arnold et al, 2003).

2. 총체 기술 신정책과 정책 통합

제3세 기술 신정책은 기술 신을 심으로 경제사회 체의 발 략을 구상하고 그것

을 구 하는 시스템 형성을 지향한다. 기술 신의 수평 이고 시스템 (horizontal and

systemic) 특성은 기술 신정책의 범 를 확장시켜 왔으며, 다른 정책 분야와의 상호 계뿐

만 아니라 구체 인 정책 수단의 상호 의존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체 인 에서 기술

신정책을 보게 했다. 기술 신정책은 그 특성상 여러 부처의 정책 역에 걸쳐있게 된다.

따라서 기술 신정책이 효과 으로 형성, 집행될 수 있도록 하는 부처 간의 정책통합 조

정이 요한 의제가 된다. ‘지속가능한 성장’과 같은 경제사회 체의 발 목표를 달성하

기 한 종합 정책으로 기술 신정책은 이제 국가 경제·사회 발 을 총 하는 정책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제3세 신정책은 ‘총체 신정책(Holistic Innovation

Policy)'이라는 특성을 갖게 된 것이다.

총체 신정책에서는 기술 신정책과 련 분야 정책의 정합성과 조정이 요하다. 기

술 신정책과 향을 주고받는 타 부문 정책과 신정책의 “정합성(coherence)”을 확보하는

정책조정이 매우 요하다는 것이다. 즉 신정책과 환경정책, 신정책과 보건의료정책,

신정책과 노동정책, 신정책과 인 자원정책 등의 정합성 확보가 정책의 효과성을 확보하

는데 핵심 인 요성을 갖게 되었다. 이로 인해 통합형 신정책(Integrated Innovation

Policy), 수평 신정책(Horizontal Innovation Policy)의 구 이 주요 과제로 등장해 왔다.

Page 7: 1. 과학기술정책의패러다임변화와거버넌스kstam.kofst.or.kr/file/2007/session1/1.pdf · 보건·의료, 교육, 국방, 환경등사회전반에큰변화를일으키고있다

- 7 -

환경정책

산업정책

과학

술정책

보건의료정책

노동정책

융정책

혁신정책

환경정책

산업정책

과학

술정책

노동정책

융정책

보건의료정책

혁신정책

<그 -1> 총체적 혁신정책과 혁신정책의 위상변화

과학 술정책과 산업정책과 연계 문정책(sectoral policy)

경제성장이 주 정책목표(one goal)

경제사회정책 전반과 연계 하 조적 정책(multi-sectoral policy)

경제성장, 삶의 , 속가능한 발전 등이 주정책목표(multi-goal)

일반 으로 통합이란 ‘하나의 목 이나 단일화된 체로 형성, 조정, 융합’하는 것을 말한

다. 정책 통합은 ‘부문별 정책이나 행동 방침을 체 수 의 목 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움

직여 나가는 일련의 노력’을 말한다. 구체 으로는 삶의 질 향상, 환경보호와 같은 특정 정

책목표와 다른 정책 분야를 통합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정책목표들 간의 갈등과 정책집행과

정에서의 비효율성을 제거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진다.

한편, 정책통합은 개발 도상국가에서 나타나는 일원화된 하향식 정책 조정과는 거리가

멀다. 유연하고 분권화된 리 행, 한 학습을 강조하며, 포 인 략 목 하에서

높은 정도의 자기조직과 자율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부문을 월한(cross-sectoral) 포

인 공통의 략비 을 만들어 나가고 공동의 정책 수단과 지식기반을 구축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책통합은 복잡하고 불확실한 정책 상황을 상정하고 정책조정(policy

coordination), 정책 력(policy cooperation) 보다 높은 수 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

(Meijers and Stead, 2004). 지속가능한 발 (sustainable development)이라는 공유된 정책목

표와 이를 달성하기 한 환경정책과 신정책의 통합이나 정보사회(information society) 구

축정책과 신정책 통합의 시도들은 그 구체 인 라고 할 수 있다.

Page 8: 1. 과학기술정책의패러다임변화와거버넌스kstam.kofst.or.kr/file/2007/session1/1.pdf · 보건·의료, 교육, 국방, 환경등사회전반에큰변화를일으키고있다

- 8 -

<표 3> 정책의 상호작용 정도에 따른 정책 력, 조정, 통합 개념의 차이

정책의 상호작용 정도

정책 력 부문간 정보교환과 의사소통

정책조정- 부문간 정책 력과 함께 정책갈등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수반

- 그러나 각 부문정책이 공통의 목표를 가질 필요는 없음

정책통합

- 정책 력, 정책갈등을 회피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짐

- 다른 정책분야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승효과를 가져오기 한 노력

- 정책형성을 해 공통의 정책목표를 사용

자료: Meijers and Stead(2004)

한편, 정책통합은 공통의 정책목표를 설정하는 데에 최고 수 의 정치 결정을 필요로

하며, 이 때 고 정책 원회의 역할이 필수 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정책 력과 조

정은 정책통합을 이끌어내기 한 주요 수단이 되지만, 공통 목표에 한 공유 없이 부문별

정책의 효율성에 기반하여 정책과정이 진행된다는 에서 정책통합과는 차이가 있다.

최근 EU를 심으로 한 많은 국가들이 총체 에서 련 정책을 통합하기 해 다양

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여러 정책 역이나 부문들의 신정책 요소들의 조정과 통합을

해 과학․기술․ 신 련 조직(제도)을 재정비하거나 공동의 비 과 의제를 창출할 수

있는 략 인 장기 정책과 비 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다. 여기에는 정책통합을 담당하는

집행기구의 설치 기능 강화와 공동의 지식 기반을 구축할 수 있는 활발한 커뮤니 이션

계획, 학습과 실험을 한 포럼의 형성 등이 포함된다(OECD, 2005).

<표 4> 정책 통합 차원과 수단

정책통합 차원 구체 인 기제

공동의 장기 략과

비 창출

- 포 인 정책 의제 발굴과 장기 략 기능 강화

- 부문별 정책을 조정할 상 수 의 원회(과학기술정책

원회 같은) 설치 기능 강화

신 거버 스 강화

- 이해 당사자의 참여 확 원회의 랫폼(platforms)

기능 확

- 지식포럼 등 보다 학습 집약 인 거버 스 제도화

부처 간 조정

통합 강화

- 부처 간 연계 력 강화

- 련 부처의 합병과 공동의 정책 로그램 수단 개발

공동의 지식 기반 개발

- 시스템 행 자 간의 네트워킹과 력 강조

- 략 지능(strategic intelligence) 기능 강화

- 비공식 인 커뮤니 이션과 네트워크 강화

Page 9: 1. 과학기술정책의패러다임변화와거버넌스kstam.kofst.or.kr/file/2007/session1/1.pdf · 보건·의료, 교육, 국방, 환경등사회전반에큰변화를일으키고있다

- 9 -

IV.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의 변화 내용

1. 과학기술정책의 역 확 와 상 변화

그동안 부문별 정책(sectoral policy)에 머물 던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정책도 기술 신정

책으로 확장되었으며, 다양한 부처가 기술 개발이나 련 정책을 수립, 집행하는 분산형

체제로 발 하 다. 기술 신 역도 산업기술에서 사회복지기술까지로 확 되었으며, 정책

주체는 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 정책기조도 불균형에서 균형 발 으로, 양 성장에서 질

성장으로 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그 동안 그 역할이 제한 이었던 지방정부의 역할이

강화되었으며,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정책목표와 연구성과의 실용화라는 목표를 연계시키고

자 했다. 이와 함께 일자리 창출, 양극화, 동반 성장, 삶의 질 제고, 균형 발 등 다양한 사

회 안 문제들을 과학기술 신정책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지원할 수 있

는 정부 투자가 증 되었다.

특히 참여정부는 「과학기술 심사회 구축」을 주요 국정과제의 하나로 제시하고, 이를 통

해 국민소득 2만 달러 시 를 여는 「제2의 과학기술입국 실 」을 정책목표로 제시하 다.

국정과제로서 「과학기술 심사회」는 과학기술이 기술 측면만이 아니라 사회 문화 ․경

제 측면과 연계되고 기술 발 이 경제 사회 발 으로 직결되는 시스템 구축을 의미한다.

2. 시스템 인식의 도입

그동안 기술은 경제발 을 한 도구로 인식되어 왔다. 지 까지 과학기술정책에서

요한 목표 하나가 GDP 비 연구개발투자 비율을 얼마나 확 할 것인가 다. 특히 정부

공공 부문의 연구개발비를 얼마나, 어떻게 확 할 것인가가 요한 심사 다. 인력이

나 R&D 투자 확 등 연구개발 자원 요소의 양 확 에 을 두는 것은 과학기술에

한 투자 확 가 생산성의 향상으로 이어지고, 이것이 경제의 지속 인 성장으로 연결된다는

단선 시각의 결과로 볼 수 있다. 그 결과 략 이고 장기 인 기 원천기술보다 단기

성과 주의 개발연구가 우선시되었다.

이러한 기반 하에서 우리나라는 산‧학‧연 간 력보다는 개별기업의 단독 개발형으로 발

해 왔다. 이에 따라 연구개발 주체인 산‧학‧연이 양 으로는 증가하 으나, 신주체 간

공동학습, 지 자산의 공동 활용, 기술 신성과의 확산‧활용 메커니즘이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산·학·연 력과 이들 간 시 지 효과 창출이 요한 정책과제로 인식되면서 정부는

이를 한 투자 확 와 제도 기반 구축에 노력해 왔다.

참여 정부 출범 이후 새로운 신 략의 틀로써 국가 신체제(NIS)와 신클러스터 개념

이 채택되었다. NIS 개념 도입은 연구개발, 세제, 융, 노동, 교육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

들이 연계되어 신을 지향함을 의미한다. 구체 으로는 「과학기술 심사회구축」방안을

수립하 으며, 여기에서 기술 신 주체, 요소, 성과・확산, 시스템, 기반의 총 5개 분야에 30

Page 10: 1. 과학기술정책의패러다임변화와거버넌스kstam.kofst.or.kr/file/2007/session1/1.pdf · 보건·의료, 교육, 국방, 환경등사회전반에큰변화를일으키고있다

- 10 -

개 과제를 선정,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참여정부는 신주도형 경제체제를 구축하기 해 2-3개의 세계 인 신클러

스터를 육성하겠다는 목표로 덕연구개발특구 등 신클러스터 육성 정책을 추진해 왔다.

즉, 연구개발과 생산의 유기 연계를 통해 신주도형 경제성장을 진한다는 것이다(정책

기획 , 2005: 74).

3. 기술 신을 심으로 한 과학기술행정체제 개편

참여정부는 과학기술정책이 국정 안 과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

신을 심으로 산업, 인력, 지역, 노동 련 정책들을 총 토록 하는 행정체제를 도입하 다.

과학기술 련 산업·인력·지역 신정책의 종합조정을 수행하기 해 과학기술부를 부총

리 부처로 격상하고 과학기술부에 과학기술 련 정책 산을 기획․조정․평가하는 ‘과

학기술 신본부’를 설치․운 해 왔다. 이와 함께 국가 략목표와 수요에 따라 과학기술정

책과 련한 인력·산업·지역 신정책 등을 유기 으로 조정하기 해 과학기술 계 장 회

의를 활성화하 다. 이를 부처 간의 토의 조정 채 을 활용하여 과학기술 신 련 정책

을 신속하게 의·조정하고 안에 한 문제해결능력을 제고하고자 했다.

한 참여정부는 국가연구개발 산 편성의 문성을 제고하고 략 투자·집행을 해

국과 에 국가연구개발사업에 한 산조정·배분권을 부여하고(과학기술기본법 제9조), 기

획 산처는 국과 의 심의결과를 반 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 산을 편성토록 하 다(과학

기술기본법 제21조). 이에 따라 기획 산처는 세입 망 등 재정 여건을 고려하여 과학기술

분야 총 재정투자 규모를 설정하고, 국과 는 기획 산처가 제시하는 투자규모 범 내에서

투자 방향, 각 부처의 투자계획, 성과평가결과 등을 종합하여 조정·배분하게 되었다.

이는 과학기술기본법에 근거하는 것으로 기획 산처 산편성권의 외를 인정하는 것이

다. 이러한 변화는 지난 40년간 유지되어 온 과학기술행정체제를 명 으로 바꾸었다는 평

가를 받고 있으며, 우리나라 경제발 략의 근본 변화를 나타내기도 한다(과학기술 신

본부, 2005).

4. 정책과정에 민간 참여 확

그동안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은 행정 료와 일부 소수 문가를 심으로 폐쇄 , 하향

(top-down)으로 추진·집행되어 왔다. 특히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의 핵심은 하드웨어 인

과학기술 심이면서 연구개발 주체의 육성과 자원 확 에 주안 을 두었던 극 인 육성

정책(positive promotion policy)이어서 통치자로서 정부의 역할이 강하게 작용하 다. 이로

인해 신 주체인 기업 부문과의 연계가 제 로 이루어지지 못했고, 과학자들의 상향 이며

권한 임 인(bottom-up and empowering) 역할분담 체제가 형성되지 못했다. 민간 문가

는 일반국민 한 다양한 의견을 모을 수 있는 자리가 부족하 으며, 시민 참여는 활성화

Page 11: 1. 과학기술정책의패러다임변화와거버넌스kstam.kofst.or.kr/file/2007/session1/1.pdf · 보건·의료, 교육, 국방, 환경등사회전반에큰변화를일으키고있다

- 11 -

되지 못했다.

참여정부 출범 이후 정책을 형성하고 집행하는 과정에 민간 문가 는 련단체 등을

폭넓게 참여시킴으로써 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모을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해 왔다. 국가과학

기술 원회 원으로 시민단체 표인사( : 참여연 운 원장을 국과 원으로 선정

(‘05.8))을 참여시켰으며, 과학기술 신본부 인원의 20%를 민간 문가로 충원하여 정책의

입안에서부터 시행·평가에 이르기까지 민간의 의견이 충분히 반 될 수 있는 체제를 도입하

다. 한 과학기술 산의 조정·배분과 사업평가 과정에 각각 130명의 민간 문 원을

참여시켜 산·사업에 해 기술 분야별로 심층 검토하도록 했다. 특히 2003년 정부차원에

서는 처음으로 과학기술기본법에 의거하여 NBIT(Nano-Bio-Info Technology)를 상으로 기

술 향평가사업이 실시되었으며, 이후 2005년에도 RFID기술과 나노기술을 상으로 기술

향평가사업이 실시되었다. 2006년에는 기세포치료기술, 나노소재기술, 그리고 유비쿼터스

컴퓨 기술(UCT)을 상으로 일반 시민들도 향평가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시민공개포럼

‘이라는 참여 기술 향평가도 새롭게 포함하기로 결정하 다(이 희․김명진, 2006).

그러나 참여정부에서 진행된 상당수의 과학기술정책과정은 오랫동안 형성되어 온 제도

특성과 정부주도식 경제발 체제로 인해 으로부터의 변화가 아닌 로부터의 개 이라는

특징을 여 히 보여 주고 있다. 『차세 성장동력 확보 방안』, 『창조 인재강국 실 을

한 과학기술인 육성 략』, 『과학기술행정체제 개편』 등 참여정부 출범 이후 발표된

거의 부분의 과학기술정책은 정부부처와 씽크 탱크, 그리고 자문기구를 심으로 한 정책

이 형성되었으며, 과학기술인 정책네트워크가 제한 범 에서 작동하는 과거 정책 결정과

정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 다(박상욱 외, 2005: 146).

한 2001년 과학기술기본법은 시민 참여 활성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폐쇄 료 심의

정책에서 개방 시민참여 정책으로 이행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 히 소수 분야에 국한되

어 있다. 참여정부 출범 이후 그동안 문가 그룹에 의해 독 되어 왔던 기술 향평가사업

을 일반 시민에게도 개방하는 등 의미있는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 히 실질 인 변

화에는 미흡하다고 지 되고 있다(이 희․김명진, 2006).

5. 성과와 한계

재 우리나라 기술 신정책은 외형상으로 많은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기술 신을 국정

운 의 심에 두고, 인력, 교육, 지역 등 련 정책을 새롭게 재배열한 것이다. 련 정책의

총 기획․조정․평가기능 강화를 해 과학기술부를 부총리부처로 격상하 고 조정 수단

으로서 과학기술 산 조정․배분권을 부여했다. 기술 신정책의 역 한 경제발 이라는

단선 인 목표에서 벗어나 균형발 , 양극화, 삶의 질 제고 등 사회 반의 변화와 련된

것으로 그 외연이 확장되었다.

그러나 개발형 내지 추격형 신체제의 유산(legacy)으로 인해 여 히 많은 정책들이 1세

의 선형 인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정책이 설계되고, 이것이 실제 집행되어 제도화되

Page 12: 1. 과학기술정책의패러다임변화와거버넌스kstam.kofst.or.kr/file/2007/session1/1.pdf · 보건·의료, 교육, 국방, 환경등사회전반에큰변화를일으키고있다

- 12 -

기 까지 상당한 괴리가 생기는 제도화의 지체(lag) 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 특징으로는

물리 투입요소에 의존하는 경제성장 모델, 공 자 주의 정책 기획 연구개발, 부처별

독립 인 기획․ 리․평가 시스템, 가시 인 기구개편2)이나 단기 처방 주의 정책 등을

들 수 있다.

정부조직 특성상 개별 부처는 자기의 사업과 역, 그리고 자원을 확 하려는 경향으

로 개념의 선 경쟁이 이루어지면서 ‘획기 인’ 단기 의제에 집착하거나 구색 맞추기(add

and stir)식의 정책이 나타나고 있다. 기술 신정책 한 유행처럼 패션화되어 개념은 앞서

있으나, 실제 정책을 추진하거나 일하는 방식은 아직도 개발시 의 틀을 유지하고 있는 것

이다. 여 히 많은 정책이 장기 비 이나 종합 시야에서 이루어지기보다 단기 차원이

나 부처 할권 확보 차원에서 형성되는 경향을 보여 으로써 총체 시각에서의 정책 통합

조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한 민간부문과 시민사회의 능동 인 참여가 부족했다.

이로 인해 환을 시도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아직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다.

V. 결론: 정책 시사

이상 각 세 별 기술 신정책의 진화과정을 살펴보고, 제3세 신정책에서 강조하는 핵

심 의제로 신 거버 스와 총체 신정책을 한 정책통합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

께 제3세 신정책의 에서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의 변화 내용을 살펴보았다.

재 우리나라는 과학기술정책의 역이 확장되고 상이 높아지는 등 새로운 모습들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참여정부 출범 이후 과학기술 심사회 구축이 국정 과제로 등장하면서

제3세 신정책으로의 환이 시도되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2) 과학 술 제가 다른 사회 제에 비해 가시적이지 못하고 과학 술정책의 효과가 그렇게 뚜렷하게 잡히지

않음에 라 과학 술정책의 변화 및 효과가 가시적인 과학 술 처의 능이나 조직의 통폐합 등 개편

에 초점을 맞춰 다.

Page 13: 1. 과학기술정책의패러다임변화와거버넌스kstam.kofst.or.kr/file/2007/session1/1.pdf · 보건·의료, 교육, 국방, 환경등사회전반에큰변화를일으키고있다

- 13 -

<표 5>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의 주요 변화 내용

주요 변화 내용

신을 바라보는 시스템 의 도입, 선형 과 병존

정책목표 경제성장, 삶의 질, 양극화, 동반성장, 지역균형발 으로 확장

신정책의 역 다부처 역으로 확

정책의 주요 심 역 기술 신을 심으로 한 정책 설계

신정책

주요 주체

행정 료, 소수의 문가에서 기업계, 시민단체, 민간 문가를

포함하는 다양한 이해집단으로 확 되는 모습이 나타남

정책 추진 방향 하향식(top-down)←정부주도의 문제해결방식에 기인

정부의 역할강력한 정치 리더십을 발휘하지만 통령 단임제 등 제도

특성으로 인해 정책의 지속성에 실패

성과

- ‘과학기술 심사회구축’을 국정 과제로 제시하고 신주도형

국가 표방

- 기술 신을 심으로 련 정책을 종합화․체계화하려는 노력이

시도가 이루어짐

- 삶의 질, 양극화 등 신정책의 범 확

한계- 발 국가의 유산으로 제도화 지체

- 환에 한 합의와 공감 부족

그러나 앞서 성과와 한계에서 살펴보았듯이 정책 의제 형성과 운용, 총체 인 정책 설계,

유기 인 행정체제 구축 등에서 개선의 여지가 많다. 개발연 를 거치면서 형성되어 온 행

정 료 문가 심의 하향 정책네트워크가 여 히 강하게 자리잡고 있으며, 시민 참

여 방식이나 참여 거버 스와는 차이가 있다. 환에 한 사회 합의가 미흡한 가운데, 다

양한 정책 실험이나 체제 개편 노력은 환의 지연이나 실패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새롭게 시작한 기술 신정책이 실효성을 가지기 해서는 련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뿐

만 아니라 련 업무를 뒷받침하도록 끊임없는 보완 조치가 필요하다. 새로운 신정책 설

계는 쉽게 변화하지 않는 문화 형성까지 포함하고 있으며, 하드웨어 개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하는 방식과 조직문화 등 소 트웨어 면이 뒷받침되어야 제 로 성공할 수 있

다. 앞선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정책 과제를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체 인 시스템을 고려한 정책 설계이다. 참여정부 들어 정책 기획을 강화하면서

많은 로드맵과 장기 계획이 각 부처별, 각 사안별로 양산되고 있다. 이들을 효과 으로 연

계·종합하고 련 정보들을 정책기획 사업기획 과정에 반 할 수 있게 하는 ‘ 략 지

식 리(strategic intelligence)’의 강화가 요구된다.

둘째, 국가차원의 핵심 아젠다 발굴과 이를 실천할 련 부처 간, 신주체 간 력 략

이 필요하다. 각 부처는 제각기 수행업무의 성격과 상고객이 다른 만큼 서로 상이한 정책

지향성을 가지고 있다. 련부처 간의 긴 한 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의회나 심의기

Page 14: 1. 과학기술정책의패러다임변화와거버넌스kstam.kofst.or.kr/file/2007/session1/1.pdf · 보건·의료, 교육, 국방, 환경등사회전반에큰변화를일으키고있다

- 14 -

구 등의 제도 장치의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정책 학습(policy learning)의 요성이다. 사 으로 최 의 정책을 기획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정책실험을 통해 련 지식을 축 하고 정책을 개선해나가는 활동이

요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부처간의 학습, 간조직을 통한 정부와 시민사회의

공동학습 등이 요해지며, 동시에 정책실험과정에서 창출된 정보와 신 련 정보 지식

을 효과 으로 조사·분석·종합해서 정책개발에 제공해주는 기능이 요해지고 있다. 즉 정책

(사업)평가, 기술 향평가, 기술기획, 로드맵 등 다양한 형태의 지식·정보창출 활동을 종합해

서 정책결정에 한 략 지식 리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정책의 일 성 확보 문제이다. 우리나라는 통령 단임제 등 제도 특성으로 인해

지속 인 정책 추진이 어렵다. 특히 우리나라가 채택하고 있는 5년 단임 통령제는 임기

말에 국정장악능력이 떨어지면서 정책의 지속성 확보가 어렵다. 특히 과학기술, 교육 등

장기 인 비 정책의 일 성 확보가 요한데, 이를 해서는 정책의 필요성과 효

과에 한 사회 반의 공감 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의 문제들을 기본 으로 해결하는 데는 기술 신 거버 스가 무엇보다

요하다. 과거와 같이 신 주무부처가 하향식으로 정책을 결정하는 것이 어려워지면서 련

부처, 련 사회집단들과 의견을 조율하고 합의를 형성해나가는 거버 스가 요해진 것이

다. 특히 정부부처간의 효과 인 조정기제, 다양해진 시민사회와의 이해조정 조율기제의

설계가 요해지고 있다. 즉, 과학기술 신이라는 미래지향 정책과제에 한 범국민 ,

정권 인 합의를 도출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서 새로운 거버 스가 구축되어야 한다는 것

이다.

<참고 문헌>

과학기술 신본부. (2005. 2). 「신 과학기술행정체제의 운 방향」.

박정택. (2004). 「부처간 정책갈등과 조정에 한 연구 : 과학기술기본법 제정과정을 심으

로』. 고려 박사학 논문.

박상욱 외. (2005), 신주체의 참여를 통한 과학기술 거버 스 구축 방안 , 과학기술정책연

구원.

정책기획 원회. (2005), 참여정부 국가 략연구: 네트워크형발 모형을 심으로 .

성지은․송 진. (2007). 총체 신정책의 이론과 용: 핀란드와 한국의 사례. 한국기술

신학회 춘계학술 회 발표논문.

송 진 외. (2007). 탈추격형 기술 신체제의 모색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이 희․김명진. (2006). “<시민공개포럼> 평가보고서”

유재원․소순창. (2005). 정부인가 거버 스인가. 계층제인가 네트워크인가. 『 한국행정학

보』. 제39권 1호.

이명석. (2002). 거버 스의 개념화: ‘사회 조정’으로서의 거버 스. 「한국행정학보」, 36(4).

Page 15: 1. 과학기술정책의패러다임변화와거버넌스kstam.kofst.or.kr/file/2007/session1/1.pdf · 보건·의료, 교육, 국방, 환경등사회전반에큰변화를일으키고있다

- 15 -

Arnold, Erik & Patries Boekholt. (2003). Research and Innovation Governance in Eight

Contries: A Meta-Analysis of Work Funded by EZ(Netherland) and RCN(Norway).

Technopolis.

Boekholt, Patries. (2004). Ensuring Policy Coherence by Improving the Governance of

Innovation Policy. Background Paper for European Trend Chart Policy Workshop.

Brussels, 27-28 April.

Boekholt, P., E. Arnold, E. Deiaco et al. (2002). The Governance of Research and Innovation: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Country Reports. Technopolis.

EC. (2002). “Introduction", in EC (ed.), Innovation Tomorrow.

Edler, J., S. Kuhlmann and R. Smits. (2003). New Governance for Innovation: The Need

for Horizontal and Systematic Policy Coordination. Fraunhofer ISI Discussion

Paper. No. 2/2003, Karlsruhe, Germany, 31 pp.

Georghiou, L. (eds). (2003). Evaluation of the Finnish Innovation Support System. Ministry of

Trade and Industry.

Gibbons, M. (2001). Governance and the New Production of Knowledge, in de la

Mothe(ed.) Science, Technology and Governance. London: Continuum.

Hämäläinen, Timo. (2004). Towards a theory of social innovation and structural change.

Embracing the Knowledge Economy. Edward Elgar.

Lemola, Tarmo. (2002). Convergence of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politics: the case

of Finland. Research Policy. 31.

Marceau, J. (2001). Science, Technology and the Tools of the Politico-Administrative

Trade, in de la Mothe(ed.) Science, Technology and Governance. London: Continuum.

Meijers, Evert and Stead, Dominic(2004), "Policy Integration: What Does It Mean and

How Can It Be Achieved? : A Multi-disciplinary Review

OECD. (2005). Governance of Innovation Systems. Vol.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