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원리_10팀_s-oil

25

Upload: sangeun-lee

Post on 28-Nov-2014

56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

TRANSCRIPT

Ⅱ. Industry & Forecast

Ⅰ. Introduction

Ⅲ.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Ⅳ. Valuation

Ⅰ. Introduction

GS 자회사별 지분법 이익 기여도 (2011F)GS 부문별 매출 구성 (2011 년 F)

Ⅰ. Introduction

GS 칼텍스 부문별 매출 구성 (2010 년 상반기 )

GS 칼텍스 부문별 영업이익 구성 (2010 년 상반기 )

S-Oil 부문별 매출 구성 (2010 년 상반기 )

S-Oil 부문별 영업이익 구성 (2010 년 상반기 )

Ⅱ. Industry & Forecast

Ⅰ. Introduction

Ⅲ. Financial Statement

AnalysisⅣ. Valuation

Ⅱ. Industry & Forecast_ 정유

Upstream DownstreamMidstream

석유 매장장소의 탐사

Exploration

원유 채굴 , 생산 및 판매

Production

원유의 수송

Transportation

정유를 통해 각종 석유제품

생산

Refining

석유제품의 수송 및 판매

Marketing

Ⅱ. Industry & Forecast_ 정유

중질유를 다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만드는 과정

정유사의 고도화비율이

수익성에 직접적으로

연결됨

정유 설비

Ⅱ. Industry & Forecast_ 정유

전세계 석유 수요 추이 전세계 석유제품 초과공급 현황

OECD 발 수요가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 신흥국 수요 역시 유지될 것으로 예상

선진국은 석유제품 수요 정체와 신흥국의 대형화된 신설비 가동에 따른 경제성 하락으로 소규모 매각 또는 shutdown 추세 2011 년 ~12 년 설비증설 둔화로 잉여정유설비 축소에 따라 업황 개선

Ⅱ. Industry & Forecast_ 정유

유가와 정제마진 추이

복합정제마진 = 최종제품가격 - 원유가격 정제마진 $1.00 개선시 정유 3 사의 영업이익 증가치는 대략 4,000 억원 (SK 에너지 ), 2,300 억원 (S-Oil), 2,900 억원 (GS 칼텍스 ) 나타남 그만큼 정제마진 개선은 정유업황에 매우 큰 긍정적 신호

2 차 고도화 설비 Crack Spread

Crack Spread = 경유 – B-C 유 경질석유제품 ( 등유 , 가솔린 ): 자동차 및 항공운항에 사용 . 수요의 꾸준한 증가로 가격 강세 중질석유세품 (B-C 유 ): 난방용 및 발전용에 많이 사용 . 수요 지속적으로 감소

Ⅱ. Industry & Forecast_ 정유

정유 3 사 고도화설비 현황 ( 단위 : 천톤 /년 )

S-Oil 은 일찌감치 고도화설비에 투자하여 높은 고도화 비율에 따른 높은 영업이익률을 유지해왔음 그러나 GS 칼텍스가 올해 총 2.6 조 원 규모의 고도화 설 비를 증설하면서 국내 최대의 설비를 갖춤 정유 수급상황과 정제마진이 개선되면서 앞으로 GS 칼 텍스는 물론 S-Oil 또한 수익개선이 기대됨

Ⅱ. Industry & Forecast_ 석유화학

PX 스프레드 추이

PX 스프레드 = 원료인 나프타와의 가격차 PX: 파라자일렌 . 폴리에스터의 기초 원료수급개선에 따른 PX 스프레드 개선 : 폴리에스터 수요 상승 + 공급과잉 해소 ( 이란 및 중동 산 제품 감소 및 S-Oil 이외의 추가 증설 없음 ) 로 스프 레드 유지될 전망

S-Oil 제품별 매출 구성 (2010 년 상반기 )

GS 칼텍스 제품별 매출 구성 (2010 년 상반기 )

Ⅱ. Industry & Forecast_ 석유화학

정유 3 사 석유화학설비 현황 ( 단위 : 천톤 /년 )

PX 의 수요산업인 TPA 는 증설이 이루어진 반면 , 내년 PX 설비 증설은 S-Oil 이 유일하여 , 업황 호조기에 적절한 증설로 이익 기여도 클 것으로 기대됨

Ⅱ. Industry & Forecast_ 윤활기유

윤활기유 마진 추이

수급이 타이트하여 윤활기유 마진 개선 중 글로벌 경기회복과 이머징 국가 중심으로 한 자동차 수요 확대 때문으로 생각됨 윤활기유가 영업이익에 대한 기여도가 높기 때문에 윤활 기유 업황개선이 S-Oil 의 수익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 으로 기대됨

윤활기유 영업이익 및 영업이익률

Ⅱ. Industry & Forecast

Ⅰ. Introduction

Ⅲ.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Ⅳ. Valuation

Ⅲ. Financial Statement Analysis_ 수익성

S-Oil - GS 칼텍스 매출액 ( 단위 : 백만 원 )

2009 년 S-Oil 의 영업이익 악화 : 정제마진의 하락과 크랙 마진 악화 , 상대적으로 큰 고도화설비 보유 , 그리고 대 규모 투자 ( 석유화학에 1.4 조원 ) 에 따른 현금흐름 악화로 인해 영업이익 급감 2008 년 GS 칼텍스의 영업이익 악화 : 세계경기침체 ,원유 가격급락 , 정제마진위축으로 영업이익이 급감

S-Oil - GS 칼텍스 영업이익 ( 단위 : 백만 원 )

Ⅲ. Financial Statement Analysis_ 수익성

S-Oil - GS 칼텍스 영업이익률

영업이익과 마찬가지로 2008 년에 GS 칼텍스의 영업이 익률이 급감하고 2009 년에는 S-Oil 의 영업이익률 급감 GS 칼텍스 고도화설비 완공으로 향우 영업이익률의 상 승이 예상됨

ROA : 일반적으로 ROA 는 10% 가 넘으면 수익성이 크지 만 산업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야 함 2009 년을 기점으로 GS 칼텍스가 S-Oil 에 비해 앞서가고 있음

S-Oil - GS 칼텍스 ROA

Ⅲ. Financial Statement Analysis_ 수익성

S-Oil - GS 칼텍스 ROE

ROE : S-Oil 은 지난 5 년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임ROIC :2008 년 글로벌 경기 악화 이후 ROIC 가 매우 하락 하였으나 두 업체 모두 개선되고 있는 상황임

S-Oil - GS 칼텍스 ROIC

Ⅲ. Financial Statement Analysis_ 안정성

S-Oil - GS 칼텍스 유동비율

S-Oil - GS 칼텍스 자기자본비율

S-Oil - GS 칼텍스 부채비율

Ⅲ. Financial Statement Analysis_ 활동성

S-Oil - GS 칼텍스 매출채권 회전율

S-Oil - GS 칼텍스 재고자산회전율

S-Oil - GS 칼텍스 총자산회전율

지분율

2009 년 주당배당금은 5.000 원에 달했으나 2010년 1,000 원으로 줄어들 전망 : 실적 부진과 대규모 설비 증 설에 따라 배당여력 감소 2011 년부터는 현금흐름이 대폭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 : 실적이 개선되고 2011 년 4 월을 기점으로 석유화 학 부문 증설이 완료 예정

S-OIL 은 최대주주인 아람코의 배당수익을 극대화 중으로 아람코가 최대주주로 있는 한 고배당은 계속될 전망 한진의 주주 참여로 앞으로도 높은 수준의 배당성향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음 2011 년에도 배당을 축소할 정도의 대규모 투자가 계획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므로 배당성향은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주식배당금 ( 단위 : 원 ) 과 배당성향 (%)

Ⅲ. Financial Statement Analysis_ 배당 관련

Ⅱ. Industry & Forecast

Ⅰ. Introduction

Ⅲ.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Ⅳ. Valuation

2010 년 분기별 PER 및 당기순이익

역사적인 PER 보다 높은 PER 을 받고 있는 것은 배당금 에 따른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됨 . 주가는 배당 이후 다시 떨어질 것이고 그 때 현실적인 PER 를 다시 받 게 될 것으로 생각됨 . 업황 호전과 S-Oil 의 수익성을 보았을 때 , 배당 이후 주 가가 떨어져도 충분히 다시 오를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됨 .

연도별 PER 및 당기순이익

Ⅳ. Valuation

Ⅳ. Valuation

연도별 PBR 배수 2010 년 분기별 PBR 배수

현금흐름의 변화

2010 년 3 분기까지 현금의 흐름이 증대되는 추세를 보 이고 있으며 , 앞으로 수익성 개선을 통해서 현금흐름이 더욱 활성활 될 것으로 예상됨 현금흐름에 따라 향후 연간 EBITDA 가 1.8~2.0 조원 내외 로 증대될 것이라는 점이 EV/EBITDA 배수의 지속적 인 감폭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EV/EBITDA

Ⅳ. Valuation

BUY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