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143)170Ⅱ-2(3)ok 2011.11.25 4:23 am 페이지116 mac01...

4
116 2.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 ‘어이 못 오던다’는 임을 기다리는 답답하고 안타까운 마음을 재치 있는 표현과 형식으로 표현한 사설시 조이다. 시조의 변모에 대해 생각하면서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선정 취지 ‘어이 못 오던다’는 아무리 기다려도 오지 않는 임에 대한 그리움이 해학과 과장을 통해 드러나 있는 작품이다. 중장의 길이가 길다는 형식적 특징과 더불어 안빈낙도나 충의, 훈민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는 조선 전기의 평시조 달리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루고 있다는 점, 구어체와 일상어의 사용 등으 로 사설시조의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서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 기 시가 문학을 학습하기 적절한 작품이기에 이 단원의 제재로 선정하였다. 학생들은 이 작품을 통해 시조의 변화 양상과 그러한 변화를 가져오게 된 이 유를 알게 되고 이를 이행기 문학의 흐름 속에서 이해하게 될 것이다. 작품 연구 •갈래: 사설시조 •성격: 과장적, 원망적, 해학적 •구성: 임에게 오지 않는 까닭을 물음. - 오지 않는 임에 대한 책망 •표현: 열거, 연쇄, 과장법 •제재: 오지 않는 임 •주제: 임에 대한 그리움과 야속한 마음, 임을 기다리는 안타까운 마음 •특징 - 연쇄법을 통하여 임이 오지 못하는 까닭을 묻고 있음. - 임을 그리는 화자의 간절한 마음이 해학과 과장을 통해 나타남. •구성 - 초장: 오지 않는 임을 기다림. - 중장: 임이 오지 않는 까닭을 물음. - 종장: 오지 않는 임에 대한 원망 핵심 정리 1. 이 작품에 쓰인 표현 기교 작품에서 가장 두드러진 표현 기교는 연쇄법과 과장법이다. 중장에서 연쇄법과 과장법을 통해서 임이 오지 못하는 까닭을 열거하며 묻고 있는데, 열거된 것들인 무쇠 성, 담, 집 등은 모두 그리운 임이 오는 것을 막는 여러 가지 제약을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표현이 해학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2. 대상에 대한 화자의 태도 3. 중세의 시조와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시조의 비교 작가 중세 이행기 중세 중세 이행기 이행기 주된 창작층은 사대부와 일부 기생들 창작층이 평민 계층까지 확대됨. 사대부 시조는 자연 예찬과 유교 덕목 강조 등 관념적인 내용을 담고 있고, 기녀들의 시조는 남녀 간의 애정과 기 다림을 내용으로 함. 평민 계층을 중심으로 현실에 대한 풍자와 해학을 드러 냄. 주로 평시조의 형식으로 3장 6구 45자 내외가 지켜짐. 사설시조를 중심으로 형식의 파격이 나타남. 특히 중장의 파격이 심해서 자유로운 율격이 형성됨. 내용 형식 ‘나’ 원망 ^jjjjjjjjjjjjjjj& 오지 못함.

Upload: others

Post on 29-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112~143)170Ⅱ-2(3)OK 2011.11.25 4:23 AM 페이지116 mac01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05-30 · 용(龍)거북 &물쇠 용과거북의

1 1 6 2.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

‘어이 못 오던다’는 임을 기다리는 답답하고 안타까운 마음을 재치 있는 표현과 형식으로 표현한 사설시

조이다. 시조의 변모에 대해 생각하면서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선정취지

‘어이못오던다’는아무리기다려도오지않는임에대한그리움이해학과

과장을 통해 잘 드러나 있는 작품이다. 중장의 길이가 길다는 형식적 특징과

더불어 안빈낙도나 충의, 훈민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는 조선 전기의 평시조

와 달리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루고 있다는 점, 구어체와 일상어의 사용 등으

로 사설시조의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서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

기 시가 문학을 학습하기 적절한 작품이기에 이 단원의 제재로 선정하였다.

학생들은 이 작품을 통해 시조의 변화 양상과 그러한 변화를 가져오게 된 이

유를알게되고이를이행기문학의흐름속에서이해하게될것이다.

작품연구

•갈래: 사설시조

•성격: 과장적, 원망적, 해학적

•구성: 임에게오지않는까닭을물음. - 오지 않는임에대한책망

•표현: 열거, 연쇄, 과장법

•제재: 오지 않는임

•주제: 임에 대한그리움과야속한마음, 임을 기다리는안타까운마음

•특징

- 연쇄법을통하여임이오지못하는까닭을묻고있음.

- 임을 그리는화자의간절한마음이해학과과장을통해나타남.

•구성

- 초장: 오지 않는임을기다림.

- 중장: 임이 오지않는까닭을물음.

- 종장: 오지 않는임에대한원망

핵심정리

1. 이 작품에쓰인표현기교

이 작품에서 가장 두드러진 표현 기교는 연쇄법과 과장법이다. 중장에서

연쇄법과 과장법을 통해서 임이 오지 못하는 까닭을 열거하며 묻고 있는데,

열거된 것들인 무쇠 성, 담, 집 등은 모두 그리운 임이 오는 것을 막는 여러

가지제약을표현한것이다. 이러한표현이해학적으로드러나고있다.

2. 대상에대한화자의태도

3. 중세의시조와중세에서근대로의이행기시조의비교

작가중세

이행기

중세

중세

이행기

이행기

주된창작층은사대부와일부기생들

창작층이평민계층까지확대됨.

사대부 시조는 자연 예찬과 유교 덕목 강조 등 관념적인

내용을 담고 있고, 기녀들의 시조는 남녀 간의 애정과 기

다림을내용으로함.

평민 계층을 중심으로 현실에 대한 풍자와 해학을 드러

냄.

주로평시조의형식으로 3장 6구 45자 내외가지켜짐.

사설시조를 중심으로 형식의 파격이 나타남. 특히 중장의

파격이심해서자유로운율격이형성됨.

내용

형식

‘나’ 임원망^jjjjjjjjjjjjjjj&

오지못함.

(112~143)170Ⅱ-2(3)OK 2011.11.25 4:23 AM 페이지116 mac01 T

Page 2: (112~143)170Ⅱ-2(3)OK 2011.11.25 4:23 AM 페이지116 mac01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05-30 · 용(龍)거북 &물쇠 용과거북의

1 1 7[3]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어이 못 오던다■

무 일로 못 오던다.

너 오 길 우희 무쇠로 성(城)을 고 성(城) 안헤 담 고 담 안헤란 집을

짓고 집 안헤란 두지■

노코 두지 안헤 궤(櫃)를 노코 궤(櫃) 안헤 너를 결박(結

縛) 여 노코 쌍(雙) 목■

외걸새■

에 용(龍)거북 물쇠■

로 수기수기■

갓더냐 네

어이 그리 아니 오던다.

이 셜흔 이여니 날 보라 올 리■

업스랴.

“진본 청구영언(靑丘永言)”

01 어이못오던다 작가미상

■ 오던다 오던가. ‘다’는 의문형

임.

■ 두지 뒤주. 쌀 같은 곡식을 담

아 두는 세간.

■ 쌍(雙) 목 걸쇠를 거는 구멍난

못.

■ 외걸새 문을 걸어 잠그고 빗장

으로 쓰는‘ㄱ’자 모양의 쇠.

■ 용(龍)거북 물쇠 용과 거북의

무늬를 새긴 자물쇠.

■수기수기 깊이깊이.

■ 리 하루가.

이 작품은 오랫동안 자신을 찾아오지 않는 임에 대한 원망의 심정을 재치 있게 표현한 사설시조이다. 중세에서 근대로

의 이행기에 나타난 사설시조의 특징적인 면모가 이 작품에는 잘 드러나는데, 작가층의 확대, 형식적 정형성의 변화, 미

의식의 변모 등과 같은 점을 그 사례로 들 수 있다.

시조는 3장 4음보의 형식을 갖고 있는 정형시이다. 이러한 정형성은 시조가 발생할 때의 작가층이 갖는 세계관이나

문학적 지향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에 이르면서 이러한 형식에 일부 변화가 나타

나는데, 그 결과로 중장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장형화된 사설시조가 발생하였다. 사설시조는 시조사에서 형식의 변화와

함께 미학적 성격의 변모 또한 가져왔다. 아정(雅正)한 격조를 지향하던 평시조에서 벗어나는‘일탈성’을 추구하게 되면서

시조가 가벼움이나 유희, 희화화와 같은 골계적인 요소 또한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

참고| 사설시조에 대하여

오지않는임을기다림.

임이오지않는까닭을물음.

오지않는임에대한원망

갈래정리_̀̀사설시조(ppt), 노래의시학: 사설시조‘어이못오던다’의경우(김대행)(hwp) 활용

여러가지소재를나열하여화자의답답한심정을해학적으로그림.

무슨

기나긴날에대한강조 임에대한원망

연쇄법. 무쇠 성>담>집>뒤주>궤

맥락읽기 Q&A

① 시적 화자는? ⇡‘나’(오랫동안

자신을 찾아오지 않는 임을 기다

리는사람)

② 시적대상은? ⇡‘너’

③ 화자가 임을 오지 못하게 한다

고 상상한 장애물들은? ⇡ 무쇠

성, 담, 집, 두지, 궤, 자물쇠

④ 종장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정

서와 태도는? ⇡ 오지 않은 임에

대한원망

⑤ 이 작품의 주제는? ⇡ 임에 대

한그리움과야속한마음, 임을 기

다리는안타까운마음

초장

중장

종장

참고|사설시조의작가층

평시조의 주된 작가층이 양반 사대부였던 데 비해, 사설시조는 가객들을 비롯한 중인 계층의 작가들이 지은 작품이

많으며, 그 내용이나 어법상 서민층에 속하는 사람들에 의해 지어지고 향유된 것으로 보이는 작품도 여러 편 전해지

고있다. 사대부들이주로즐긴평시조에비하여주로시정(市井)의 현실적삶을소재로하였다.

참고|사설시조의미의식

사설시조를 지배하는 원리는 웃음의 미학이라 할 수 있다. 현실의 모순에 대한 날카로운 관찰, 중세적 고정 관념을

거리낌 없이 추락시키는 풍자, 고달픈 생활에 대한 해학 등이 그 주요 내용을 이룬다. 아울러, 남녀 간의 애정과 기다

림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대개는 직선적인 언어를 통해 강렬하게 표현된다는 점도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종래의

관습화된 미의식을 넘어서서 인간의 세속적 모습과 갈등을 시의 세계 안에 끌어들임으로써 사설시조는 문학의 관심

영역을 넓히는 데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런 미의식은 조선 후기의 변모된 세계관과 현실 인식을 바탕

으로이뤄진것으로, 이후 우리근대문학의바탕을이루기도한다.

- 신승행, ‘한국시가문학의정체성’(학문사, 2001)

(112~143)170Ⅱ-2(3)OK 2011.11.25 4:23 AM 페이지117 mac01 T

Page 3: (112~143)170Ⅱ-2(3)OK 2011.11.25 4:23 AM 페이지116 mac01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05-30 · 용(龍)거북 &물쇠 용과거북의

2 다음은 조선 전기의 시조 작품이다. ‘어이 못 오던다’와 비교하면서 작품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두 작품의화자가공통적으로노래한주제는무엇인가?

(2) 두 작품의화자의태도에는어떤차이가있는지살펴보자.

(3) 두 작품의작가가속한계층에는어떤차이가있을지, 그렇게생각한근거는무엇

인지설명해보자.

깊게이해하기

음이 어린 후(後)ㅣ니 일이 다 어리다.■

만중운산(萬重雲山)■에 어늬 님 오리마

지 닙 부 람에 행(幸)혀 © 가■

노라.

- 서경덕, “해동가요(海東歌謠)”

■어리다 어리석다. ■만중운산(萬重雲山) 겹겹이 싸인 깊은 산.

■ 가 그인가, 그 사람인가.

1 1 8 2.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

1 ‘어이 못 오던다’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이 시의내용을장별로정리해보자.

(2) 이 시의화자가자신의상상을길게제시한이유는무엇일지말해보자.

다가서기

초장

중장

종장

예시답|•솔직한자신의심정(의심)을 그대로전달하기위해서이다.

•율격의제약을벗어나서자신의마음을있는그대로전달하기위해서이다.

•유사한내용(또는율격)을 반복적으로제시하는 (사설시조의) 표현 전통을계승한것이다.

오지않는임을기다림.

임이오지않는까닭을물음.

오지않는임에대한원망

예시답|

이끌기|1-(2) 사설시조

의 특성과 관련지어 답을

하도록한다.

‘ 음이어린후(後)ㅣ니’

•갈래: 평시조

•성격: 감상적, 낭만적

•표현: 도치법, 과장법

•주제: 임을 기다리는

마음

•특징: 인간 본연의 순

수한감정을노래함.

예시답|임을그리워하는마음

예시 답|‘ 음이어린후(後)ㅣ니’의 화자는 주변을 둘러보면서 일어난자신의마음속 생각을표현한 것으로스스로

에게 발화하고 있지만, ‘어이 못 오던다’의 화자는 오랫동안 자신을 찾아오지 않는 임에 대한 원망의 심정을 상대방

에게직접적으로드러내고있다.

예시 답|‘ 음이 어린 후(後)ㅣ니’는 시조의 정형적인 틀을 지키면서 전통적인 그리움의 정서를 표현한 것으로, 조

선 전기 시조의 특징이 드러나므로 이 시조의 작가는 양반 계층일 것이다. ‘어이 못 오던다’는 평시조보다 산문적인

경향이강하며, 사랑하는임에대한진솔한생활감정이드러나있고, 중장이길어진형식상의특성으로보아사설시

조임을 알 수 있다. 사설시조는 평민들이 향유한 문학 양식으로 추정되고 있으므로‘어이 못 오던다’의 작가

는평민계층일것이다.

이끌기|2-(3)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차이를 비교

해보도록지도한다.

지은이가거처하는공간. 임과의만남을가로막는장애물

고독과비애의정서를환기함.

작품정리(ppt), 학습 활동예시답안(ppt) 활용

자신의어리석은마음을고백함.

깊은산중으로임이찾아올수없음.

나뭇잎떨어지는소리를임으로착각함.

(112~143)170Ⅱ-2(3)OK 2011.11.25 4:23 AM 페이지118 mac01 T

Page 4: (112~143)170Ⅱ-2(3)OK 2011.11.25 4:23 AM 페이지116 mac01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05-30 · 용(龍)거북 &물쇠 용과거북의

1 1 9[3]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3 다음은 조선 후기의 시조 작품이다. ‘어이 못 오던다’와 비교하면서 작품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두 작품의형식상의공통점은무엇인가?

(2) 두 작품의 발상과 표현 방법에서 유사한 점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이끌어낼수있는한국문학의특질은무엇인지말해보자.

4 ‘어이 못 오던다’를 감상하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활동을 해 보자.

(1) 이 시의시적화자의태도에대해자신의생각을정리해보자.

(2) 자신이이시의청자라고가정하고, 조건에맞추어이에대한답가를지어보자.

넓게생각하기

창(窓) 내고쟈 창(窓)을 내고쟈 이 내 가슴에

창(窓) 내고쟈.

고모장지■셰살장지

■들장지

■열장지

■암돌져

귀 수돌져귀 목걸새■크나큰 쟝도리로

바가 이내 가슴에 창(窓) 내고쟈.

잇다감 하 답답 제면 여다져 볼가 노라.

- 작가 미상

■고모장지 문의 일종. 장지는 방에 칸을 막아 끼운 미닫이. ■셰살장지 문살이 가는 장지문.

■들장지 들창문. 벽의 위쪽에 자그맣게 낸 창. ■열장지 열창문. 여닫을 수 있는 창의 총칭.

■ 목걸새 문을 걸어 잠그고 빗장으로 쓰는‘ㄱ’자 모양의 쇠.

조건| •중장에서 소재를 나열하는 표현은 그대로 사용할 것.

•중장의 길이는 현재의 길이를 참고할 것.

못 갔노라 못 갔노라 어찌하다 못 갔노라.

한 달이 서른 날이지만 하루가 없어 못 갔노라.

‘창(窓) 내고쟈 창(窓)을

내고쟈’

•갈래: 사설시조

•성격: 해학적

•표현: 열거법, 반복법

•주제: 마음속에 쌓인

비애와 고통을 해소하고

자하는마음

•특징

- 열거법, 반복법을 통

해주제를부각시킴.

- 평민 문학의 해학성이

잘드러남.

예시답|평시조보다중장의길이가늘어났다는공통점이있다.

예시 답|3-(2) 생활 주변의 사물을 시적발상의 소재로 활용하되 유사한 내용과 음률을반복하는 점이공통적이다. 이러한 발상법과 직설적

이면서도반복의효과를살린표현상의특징또한한국문학의특징적인면모라고할수있다. 특히 판소리나탈춤, 서사 무가등에서이러한

점을쉽게찾아볼수있으며, 이는 민요및민요시뿐아니라채만식의소설과같은현대서사문학에도계승된다.

또한 구체적인 생활 언어와 친근한 일상적 사물을 다소 수다스럽게 열거함으로써 괴로움을 강조하는 수법은 다분히 해학적(諧謔的)이기도 한

데, 이는 비애와고통을어둡게만그리지않고이처럼웃음을통해극복하려는한국문학의한특질이라하겠다.

예시 답|기다리던 임이 오지 않는 답답한 상황에서 한탄하지 않고 이를 웃음으로 치환시키는 모습에서 민중의 지

혜로운삶의태도를느낄수있었다.

예시답|새벽같이학교가고학교가서는아침자습하고아침자습후엔정규수업하고, 정규 수업후엔방

과 후 수업 하고, 방과 후 수업 후엔 야간 자율 학습 하고, 야간 자율 학습 후엔 집에 와서 숙제 하고, 토요일

일요일휴일날도어김없이공부해야하니어찌시간이날수있겠는가.

이끌기|3-(1) 사설시조

의 특징을 떠올려 보도록

지도한다.

이끌기|3-(2) 두 작품에

나타나는 해학적 표현과

관련하여 한국 문학의 특

질을 살펴보도록 지도한

다.

이끌기|4-(1) ‘어이 못

오던다’의 사설시조로서

의 특징에 주목하여 시적

화자의 태도를 파악하도

록지도한다.

문제은행(쪽지시험, 형성평가) 활용

반복과확장을통한의미강조

창을 내고 싶어 한 화자의

의도가구체적으로드러남.

가슴에창을내고픈마음

가슴에창을내고싶은까닭

(112~143)170Ⅱ-2(3)OK 2011.11.25 4:23 AM 페이지119 mac01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