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128 kolon ls initiation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511834202893.pdf그리고...

9
2017년 11월 28일 I Equity Research 코오롱생명과학 (102940) 인보사의 가치가 시작되었다 Initiation BUY(신규) I TP(12M): 180,000원(신규) I CP(11월 27일): 140,000원 Key Data Consensus Data KOSDAQ 지수 (pt) 792.80 2017 2017 2017 2017 2018 2018 2018 2018 52주 최고/최저(원) 190,700/104,300 매출액(십억원) 116.5 144.4 시가총액(십억원) 1,065.5 영업이익(십억원) (1.0) 2.9 시가총액비중(%) 0.38 순이익(십억원) 0.5 2.5 발행주식수(천주) 7,610.9 EPS(원) 66 328 60일 평균 거래량(천주) 125.8 BPS(원) 34,039 34,158 60일 평균 거래대금(십억원) 17.9 17년 배당금(예상,원) 200 Stock Price 17년 배당수익률(예상,%) 0.14 외국인지분율(%) 4.28 주요주주 지분율(%) 이웅열 외 4 인 35.46 주가상승률 1M 6M 12M 절대 (9.1) (14.0) 7.7 상대 (20.9) (29.9) (18.8) Financial Data 투자지표 투자지표 투자지표 투자지표 단위 단위 단위 단위 2012 2012 2012 2012 2013 2013 2013 2013 2014 2014 2014 2014 2015 2015 2015 2015 2016 2016 2016 2016 매출액 십억원 141.3 139.6 130.6 121.2 158.3 영업이익 십억원 22.3 18.3 9.4 2.2 18.5 세전이익 십억원 21.4 19.8 7.3 1.1 14.9 순이익 십억원 18.9 17.2 5.9 0.8 12.7 EPS 3,208 2,668 871 116 1,740 증감률 % 57.6 (16.8) (67.4) (86.7) 1,400.0 PER 20.88 23.32 55.10 1,667.61 67.48 PBR 4.00 3.29 2.43 9.83 3.43 EV/EBITDA 17.65 14.82 20.32 120.55 29.28 ROE % 21.00 14.96 4.51 0.59 6.41 BPS 16,753 18,924 19,742 19,637 34,180 DPS 750 20 200 100 200 Analyst 선민정 02-3771-7785 [email protected] RA 이동건 02-3771-8197 [email protected]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94 114 134 154 174 194 214 16.11 17.2 17.5 17.8 17.11 (천원) 코오롱생명과학(좌) 상대지수(우) 7월 국내 최초 세포유전자치료제 인보사 승인 올해 7월 국내에서는 최초로 세포 유전자치료제인 코오롱생명과학 의 인보사가 승인을 받았다. 인보사는 연골세포에 재생 유전자를 삽입 골관절염을 치료하는 동종세포 치료제로 국내에서 임상 3상 을 통해 통증 및 관절기능 개선효과를 입증한 물질이다. 기존 치료 제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은 환자를 대상으로 84%에 이르는 높은 반응률이 나타났으며 단회투여로 이러한 효과가 1년 이상 지속되 고, 미국 임상 2상을 통해 이러한 효과가 2년간 지속됨을 증명하였 다. 그러나 기대했었던 연골재생 효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승인 이후 오히려 코오롱생명과학의 주가는 급락하기도 했었다. 티슈진 상장으로 다시 부각된 인보사의 가치 11월 인보사의 원 개발사인 티슈진이 상장하면서 인보사의 가치가 재조명받고 있다. 티슈진은 인보사의 북미와 유럽지역의 판권을 보유한 회사로 골관절염을 대상으로 미국에서 임상 2상을 완료, 단 회투여로 통증과 관절기능 개선효과를 입증하였으며, 2년 간 이러 한 효과가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골관절염의 근본적 치료 제인 DMOAD(Disease Modifying Osteoarthritis Drug)으로 허가받 기 위해 연골재생 효과를 입증받을 예정이다. 연골재생효과는 이 미 코오롱생명과학이 논문에서도 발표했듯이 POC는 입증받았으 나, 국내에서는 156명의 환자(시험군 78명, 대조군 78명)를 대상으 로 임상 3상을 수행함으로써 통계학적 유의성을 획득하지 못했을 뿐 연골재생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다. 티슈진은 연골재생과 관련 통계학적 유의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체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소 800명의 환자가 필요함을 인식 미국에서 약 1,000명의 환자를 대 상으로 임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인보사 실제 얼마나 팔리느냐가 관건 인보사가 승인 전부터 시장의 관심을 끌었던 이유는 바로 높은치 료율과 함께 주사로 투여할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고된 제품이기 때 문이다. 현재 골관절염 치료제는 통증 완화효과만 있는 진통제와 운동기능 개선효과만 있는 히알루론산 외에는 마땅한 치료제가 없 으며, 타사의 줄기세포 치료제나 인공관절 치환술은 모두 수술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투약의 편의성 개선은 수술이 부담스러운 K&L 2,3 단계 환자들에게 있어서는 매우 매력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11월부터 시판된 인보사가 내년에 얼마나 팔리는지 기대해 본다. 국내 인보사 가치와 일본 인보사 가치, 그리고 티슈진의 지분가치 및 향후 발생 가능한 중국으로의 기술이전 가치를 고려 목표주가 180,000원, 투자의견 BUY로 커버리지 개시한다.

Upload: others

Post on 08-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171128 Kolon LS Initiation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511834202893.pdf그리고 골관절염의 근본적 치료 ... 현재 골관절염 치료제는 통증 완화효과만

2017년 11월 28일 I Equity Research

코오롱생명과학 (102940)

인보사의 가치가 시작되었다

Initiation

BUY(신규)

I TP(12M): 180,000원(신규) I CP(11월 27일): 140,000원

Key Data Consensus Data KOSDAQ 지수 (pt) 792.80 2017201720172017 2018201820182018

52주 최고/최저(원) 190,700/104,300 매출액(십억원) 116.5 144.4

시가총액(십억원) 1,065.5 영업이익(십억원) (1.0) 2.9

시가총액비중(%) 0.38 순이익(십억원) 0.5 2.5

발행주식수(천주) 7,610.9 EPS(원) 66 328

60일 평균 거래량(천주) 125.8 BPS(원) 34,039 34,158

60일 평균 거래대금(십억원) 17.9

17년 배당금(예상,원) 200 Stock Price 17년 배당수익률(예상,%) 0.14

외국인지분율(%) 4.28 주요주주 지분율(%)

이웅열 외 4 인 35.46

주가상승률 1M 6M 12M

절대 (9.1) (14.0) 7.7

상대 (20.9) (29.9) (18.8)

Financial Data 투자지표투자지표투자지표투자지표 단위단위단위단위 2012201220122012 2013201320132013 2014201420142014 2015201520152015 2016201620162016

매출액 십억원 141.3 139.6 130.6 121.2 158.3

영업이익 십억원 22.3 18.3 9.4 2.2 18.5

세전이익 십억원 21.4 19.8 7.3 1.1 14.9 순이익 십억원 18.9 17.2 5.9 0.8 12.7

EPS 원 3,208 2,668 871 116 1,740 증감률 % 57.6 (16.8) (67.4) (86.7) 1,400.0

PER 배 20.88 23.32 55.10 1,667.61 67.48 PBR 배 4.00 3.29 2.43 9.83 3.43

EV/EBITDA 배 17.65 14.82 20.32 120.55 29.28

ROE % 21.00 14.96 4.51 0.59 6.41 BPS 원 16,753 18,924 19,742 19,637 34,180

DPS 원 750 20 200 100 200

Analyst 선민정 02-3771-7785 [email protected]

RA 이동건 02-3771-8197 [email protected]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94

114

134

154

174

194

214

16.11 17.2 17.5 17.8 17.11

(천원) 코오롱생명과학(좌)

상대지수(우)

7월 국내 최초 세포유전자치료제 인보사 승인

올해 7월 국내에서는 최초로 세포 유전자치료제인 코오롱생명과학

의 인보사가 승인을 받았다. 인보사는 연골세포에 재생 유전자를

삽입 골관절염을 치료하는 동종세포 치료제로 국내에서 임상 3상

을 통해 통증 및 관절기능 개선효과를 입증한 물질이다. 기존 치료

제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은 환자를 대상으로 84%에 이르는 높은

반응률이 나타났으며 단회투여로 이러한 효과가 1년 이상 지속되

고, 미국 임상 2상을 통해 이러한 효과가 2년간 지속됨을 증명하였

다. 그러나 기대했었던 연골재생 효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승인 이후 오히려 코오롱생명과학의 주가는

급락하기도 했었다.

티슈진 상장으로 다시 부각된 인보사의 가치

11월 인보사의 원 개발사인 티슈진이 상장하면서 인보사의 가치가

재조명받고 있다. 티슈진은 인보사의 북미와 유럽지역의 판권을

보유한 회사로 골관절염을 대상으로 미국에서 임상 2상을 완료, 단

회투여로 통증과 관절기능 개선효과를 입증하였으며, 2년 간 이러

한 효과가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골관절염의 근본적 치료

제인 DMOAD(Disease Modifying Osteoarthritis Drug)으로 허가받

기 위해 연골재생 효과를 입증받을 예정이다. 연골재생효과는 이

미 코오롱생명과학이 논문에서도 발표했듯이 POC는 입증받았으

나, 국내에서는 156명의 환자(시험군 78명, 대조군 78명)를 대상으

로 임상 3상을 수행함으로써 통계학적 유의성을 획득하지 못했을

뿐 연골재생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다. 티슈진은 연골재생과 관련

통계학적 유의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체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소

800명의 환자가 필요함을 인식 미국에서 약 1,000명의 환자를 대

상으로 임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인보사 실제 얼마나 팔리느냐가 관건

인보사가 승인 전부터 시장의 관심을 끌었던 이유는 바로 높은치

료율과 함께 주사로 투여할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고된 제품이기 때

문이다. 현재 골관절염 치료제는 통증 완화효과만 있는 진통제와

운동기능 개선효과만 있는 히알루론산 외에는 마땅한 치료제가 없

으며, 타사의 줄기세포 치료제나 인공관절 치환술은 모두 수술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투약의 편의성 개선은 수술이 부담스러운 K&L

2,3 단계 환자들에게 있어서는 매우 매력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11월부터 시판된 인보사가 내년에 얼마나 팔리는지 기대해 본다.

국내 인보사 가치와 일본 인보사 가치, 그리고 티슈진의 지분가치

및 향후 발생 가능한 중국으로의 기술이전 가치를 고려 목표주가

180,000원, 투자의견 BUY로 커버리지 개시한다.

Page 2: 171128 Kolon LS Initiation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511834202893.pdf그리고 골관절염의 근본적 치료 ... 현재 골관절염 치료제는 통증 완화효과만

코오롱생명과학 (102940)

인보사란

1. 인보사는

인보사: 세계 최초 세포 유전자 치료제 인보사는

포를 이용한

때문에

가능한

입하였다

로 섞어서

고된 제품이다

차단함으로써

그림 1. 인보사 개요도

자료: 코오롱생명과학, 하나금융투자

인보사란?

인보사는 세포 유전자치료제

인보사는 세계 최초의 동종세포 유전자치료제로 대부분의 세포치료제가

이용한 자가세포 치료제인 반면 인보사는 환자의 세포를

대량생산이 가능한 제품이다. 다지증 환자의 연골세포

연골세포를 확립하였고 여기에 염증을 억제하는 성장인자

입하였다. 인보사는 정상 연골세포와 TGF-β1 유전자가 삽입된

섞어서 환자의 무릎연골에 수술없이 주사제로 투여됨으로써

제품이다. 여기에 TGF-β1가 삽입된 연골세포는 방사선으로

차단함으로써 유전자 치료제가 갖고 있는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하였다

Analyst 선민정02-3771-7785

2

세포치료제가 환자 자신의 세

세포를 매번 채취할 필요가 없기

연골세포 배양을 통해 대량증식이

성장인자 유전자 TGF-β1을 삽

삽입된 연골세포를 1:3의 비율

투여됨으로써 투약의 편의성이 크게 제

방사선으로 처리, 증식을 사전에

방지하였다.

Page 3: 171128 Kolon LS Initiation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511834202893.pdf그리고 골관절염의 근본적 치료 ... 현재 골관절염 치료제는 통증 완화효과만

코오롱생명과학 (102940)

2. 인보사

국내 임상 3상을 통해 단회투여로

1년간 통증감소와 운동기능 개선

효과 확인

인보사의

2~3 단계

찰하였다

스코어가

스코어

에 참여한

의성(p-

호전되지

서도 비슷한

그림 2. IKDC 스코어 운동기능 개선효과

주: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Symptom, sports ac자료: 코오롱생명과학, 하나금융투자

그림 4. 한국 임상 3상 Response rate

자료: 코오롱생명과학, 하나금융투자

2.5

8.6

12.9

4.9

5.4

6.9

0

2

4

6

8

10

12

14

16

Baseline 1M 3M 6M

INVOSSA Placebo

7077

52 52

0

20

40

60

80

100

6M 9M

INVOSSA-K (N=78) Placebo (N=81)(%)

인보사 임상결과

인보사의 국내 임상 3상은 골관절염 환자 중 K&L grade(Kellgren Lawrence Grade)

단계 환자 158명(시험군 78명, 대조군 78명)을 대상으로

찰하였다. 운동기능 개선 지수인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스코어가 플라시보 대비 크게 증가하였으며, 통증지표인 VAS(Visual Analogue Scale)

역시 플라시보 대비 크게 감소한 결과가 1년 간 지속됨을

참여한 환자수가 158명이라는 적은 수임에도 불구하고

-value<0.05)을 확보함으로써 우수한 효능을 입증하였다

호전되지 않은 환자를 대상으로 84%의 높은 반응률을 보였으며

비슷한 수치로 확인되었다.

그림 3. VAS 스코어 통증감소 효과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Symptom, sports activity and function 주: VAS(Visual Analogue Scale): 0 being no pain and 100 being intolerable pain자료: 코오롱생명과학, 하나금융투자

그림 5. 미국 임상 2상 Response rate

자료: 코오롱생명과학, 하나금융투자

13.3

15.1

7.5

5

9M 12M

Placebo

(12.7)

(17.2)

(14.1)

(12.8)

(30)

(25)

(20)

(15)

(10)

(5)

0

Baseline 1M 3M

INVOSSA

84

45

12M

Placebo (N=81)

86 86

5247

0

20

40

60

80

100

6M 12M

INVOSSA-K (N=78)(%)

Analyst 선민정02-3771-7785

3

K&L grade(Kellgren Lawrence Grade)

대상으로 단회투여로 1년간 추적 관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VAS(Visual Analogue Scale)

지속됨을 입증하였다. 전체 임상

6개월 이후부터 통계학적 유

입증하였다. 기존 치료제로 증상이

보였으며, 이는 미국 임상 2상에

: VAS(Visual Analogue Scale): 0 being no pain and 100 being intolerable pain

Response rate

(17.2)

(22.3)(23.4)

(24.5)

(12.8)(14.6)

(13.3)

(10.3)

6M 9M 12M

INVOSSA Placebo

8881

56 56

18M 24M

K (N=78) Placebo (N=81)

Page 4: 171128 Kolon LS Initiation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511834202893.pdf그리고 골관절염의 근본적 치료 ... 현재 골관절염 치료제는 통증 완화효과만

코오롱생명과학 (102940)

티슈진의 미국 임상 3상을 통해

연골재생 효과 입증 기대 다만 시장에서

코오롱생명과학의

ray 사진으로

은 숫자라고

된 POC(Proof of Concept)

진이 미국

과 관련한

효과를

티슈진의

증가에

그림 6. 인보사의 연골재생 효과(투약 전(A), 12개월

자료: 코오롱생명과학, 하나금융투자

3. 인보사의

인보사는 단회투여로 2년간

운동기능 개선과 통증완화 효과 입증 골관절염은

라도 근본적

받아야

영구적이

해 수술을

해 주고

개선 효과만

에서 2년

히 시장에

인보사는 주사제로 편의성 제고 더불어

계 환자들에게

시장에서 기대했던 연골재생 효과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코오롱생명과학의 주가는 급락하였다. 그러나 158명이라는

사진으로 판독해야 하는 연골재생 효과에 대해 통계학적

숫자라고 판단된다. 코오롱생명과학이 논문에서 밝혔듯이

POC(Proof of Concept)은 확보하였으며, 인보사의 북미

미국 임상 3상에서 1,020명 대규모 임상을 진행하는 이유

관련한 통계학적 유의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티슈진이

입증받았다 하더라도 사실 국내에서 연골재생 효능을

티슈진의 임상 결과는 국내에서 인보사를 시판하는데 있어서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개월 경과 후(B))

인보사의 가치

골관절염은 전형적인 퇴행성질환으로 사실 인보사가 연골재생

근본적 치료제가 될 수는 없다. 환자의 증상이 심해지면

한다. 다만 골관절염 환자가 과거보다 연령대가 낮아졌으며

영구적이 아니라 15년 정도 뒤에는 재수술이 필요하다는 점을

수술을 받아야만 하는 시기를 최대한 늦출 수 있다는 점이

주고 있다. 또한 기존 골관절염 치료제가 통증 완화 효과만

효과만 있는 히아루론산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단회투여로

년 지속효과 확인) 운동기능 개선과 통증 감소효과가

시장에 어필할 수 있는 치료제라 할 수 있다.

수술이 필요하지 않아 투약의 편의성이 제고된 주사제라는

환자들에게 있어서는 매우 매력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Analyst 선민정02-3771-7785

4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해 승인받은 날

명이라는 임상 환자수는 MRI나 X-

통계학적 유의성을 확보하기에는 적

밝혔듯이 인보사의 연골재생과 관련

및 유럽 판권을 보유한 티슈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연골재생

미국 임상 3상에서 연골재생

효능을 인정받지는 못한다. 그러나

있어서 훌륭한 홍보수단으로 매출

연골재생 효과를 갖고 있다 하더

심해지면 결국 인공관절 치환술을

낮아졌으며, 인공관절 치환술이

점을 고려할 때, 인보사를 통

점이 바로 인보사의 가치를 말

효과만 있는 진통제와 운동기능

단회투여로 2년간(미국 임상 2상

입증된 인보사의 경우 충분

주사제라는 점은 K&L 2~3 단

Page 5: 171128 Kolon LS Initiation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511834202893.pdf그리고 골관절염의 근본적 치료 ... 현재 골관절염 치료제는 통증 완화효과만

코오롱생명과학 (102940)

인보사의 국내 NPV 인보사의

- 국내

씩 증가한다고

- 이

로 총

- 투여

- 신문기사에

해당

- 기존

보사가

유율은

- 바이

로 20%

- Terminal Value

표 1. 국내 인보사의 NPV

18181818

환자 수 4% 증가율 2,430,000 2,527,200

2, 3기 환자비율 65% 1,579,500 1,642,680

점유율 0.1%

투여 환자수 1,580

투여 도즈 1.5 2,369

매출액(단위 백만원) 5,923

영업이익률 20%

영업이익 1,185

법인세 22% 924

할인율 10% 0.91

현재 가치 환산 840

NPV 426,706

Terminal Value -5% 271,396

발행주식(1000주) 7,611

주당 적정가치 56,064 자료: 하나금융투자

인보사의 국내 NPV는 아래와 같은 가정하에 산정되었다.

국내 골관절염 환자수는 약 2,400,000명 수준(건강보험관리공단

증가한다고 가정하였다.

환자들 중 인보사의 대상인 K&L 2~3 단계 환자비율은

총 65%의 환자가 해당된다고 가정하였다.

투여 도즈는 무릎 1곳만 손상된 환자도 있기 때문에 1.5

신문기사에 따르면 인보사의 판매가는 500만원 선으로

해당 실제 매출 가격은 250만원 선으로 가정하였다.

기존 치료제인 경구용 진통제에 치료효과가 없는 환자비율이

보사가 의사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세포 유전자치료제라는

유율은 2030년경 5%로 가정하였다.

바이오의약품의 경우 영업이익률은 최대 50% 가능하지만

20%로 추정하였다.

Terminal Value는 지속성장률 -5%로 가정하여 산정되었다

19191919 20202020 21212121 22222222 23232323 24242424

2,527,200 2,628,288 2,733,420 2,842,756 2,956,467 3,074,725

1,642,680 1,708,387 1,776,723 1,847,792 1,921,703 1,998,571

0.2% 0.3% 0.5% 0.6% 0.8% 1.0%

3,285 5,125 8,884 11,087 15,374 19,986

4,928 7,688 13,325 16,630 23,060 29,979

12,320 19,219 33,314 41,575 57,651 74,946

20% 20% 25% 25% 25% 30%

2,464 3,844 8,328 10,394 14,413 22,484

1,922 2,998 6,496 8,107 11,242 17,537

0.83 0.75 0.68 0.62 0.56 0.51

1,588 2,253 4,437 5,034 6,346 8,999

Analyst 선민정02-3771-7785

5

건강보험관리공단 기준)으로 매년 4%

환자비율은 2기가 35%, 3기가 30%

1.5도즈로 산정하였다.

통상적으로 공급가는 50%에

환자비율이 약 45% 수준이고, 인

유전자치료제라는 단점을 고려하여 피크 점

가능하지만, 출시 초기에는 비용과다

산정되었다.

24242424 ………… 29292929 30303030

3,074,725 3,740,873 3,890,508

1,998,571 2,431,568 2,528,830

1.0% 3.0% 5.0%

19,986 72,947 126,442

29,979 109,421 189,662

74,946 273,551 474,156

30% 40% 40%

22,484 109,421 189,662

17,537 85,348 147,937

0.51 0.32 0.29

8,999 27,195 42,852

Page 6: 171128 Kolon LS Initiation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511834202893.pdf그리고 골관절염의 근본적 치료 ... 현재 골관절염 치료제는 통증 완화효과만

코오롱생명과학 (102940)

인보사의 일본 NPV 인보사의

- 일본의

였다

- 이

로 총

- 투여

- 일본에서의

- 임상

- 점유율

- 일본

금으로

- 로열티는

- Terminal Value

- 해외

50%

표 2. 일본 인보사의 NPV

18181818 19191919

환자 수 3% 5,000,000 5,150,000

2, 3기 환자비율(65%) 3,250,000 3,347,500

점유율

투여 환자수 0

투여 도즈 1.5 0

파트너사 매출액 0

마일스톤 71,600

로열티 10% 0

동사의 수익 71,600

법인세 22% 0 55,848

할인율 10% 0.91 0.83

현재 가치 환산 0 46,155

NPV 333,953

Terminal Value -5% 59,675

티슈진과의 수익배분 50% 166,977

발행주식(1000주) 7,611

주당 적정가치 21,939 자료: 하나금융투자

중국으로의 기술이전 체결은

동사의 업사이드 요소 코오롱생명과학은

에서 큰

할 수 있다

환자만을

기술이전은

가치는

인보사의 일본 NPV는 아래와 같은 가정하에 산정되었다.

일본의 인구수를 고려했을 때 일본 골관절염 환자수는

였다. 다만 일본의 인구증가율을 고려했을 때 매년 3%씩

환자들 중 인보사의 대상인 K&L 2~3 단계 환자비율은

총 65%의 환자가 해당된다고 가정하였다.

투여 도즈는 무릎 1곳만 손상된 환자도 있기 때문에 1.5

일본에서의 판매가는 국내보다 2배 정도 비싸다고 추정하였다

임상 단계를 고려했을 때 2022년부터 시판 가능할 것으로

점유율 증가는 국내와 동일하게 추정하였다.

일본 미츠비시 타나베와의 계약규모는 한화로 4,989억원으로

금으로 수령, 개발 및 판매 마일스톤 4,716억원은 임의로

로열티는 10%로 가정하였다.

Terminal Value는 지속성장률 -5%로 가정하여 산정되었다

해외 기술이전과 관련된 모든 금액은 티슈진과 50:50

50%로 할인하였다.

19191919 20202020 21212121 22222222 23232323 24242424

5,150,000 5,304,500 5,463,635 5,627,544 5,796,370 5,970,261

3,347,500 3,447,925 3,551,363 3,657,904 3,767,641 3,880,670

0.1% 0.2% 0.3%

0 0 0 3,658 7,535 11,642

0 0 0 5,487 11,303 17,463

0 0 0 27,434 56,515 87,315

71,600 100,000 100,000 100,000

0 0 0 2,743 5,651 8,732

71,600 0 100,000 102,743 5,651 108,732

55,848 0 78,000 80,140 4,408 84,811

0.83 0.75 0.68 0.62 0.56 0.51

46,155 0 53,275 49,761 2,488 43,521

코오롱생명과학은 한국, 일본, 중국을 비롯 아시아 22개국의

큰 시장인 한국과 일본의 시장만을 고려하였으나, 사실

있다. 해당 환자 수는 적어도 국내보다 20배 정도는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다 해도 국내 시장규모보다 클 것으로

기술이전은 체결되지 않아서 가치를 산정할 수 없으나, 향후

일본 인보사 가치보다 2배 이상 클 것으로 추정된다.

Analyst 선민정02-3771-7785

6

국내보다 2배 많다고 가정하

씩 증가한다고 가정하였다.

환자비율은 2기가 35%, 3기가 30%

1.5도즈로 산정하였다.

추정하였다.

것으로 추정하였다.

억원으로 이중 273억원을 계약

임의로 배분하였다.

산정되었다.

50:50으로 수익을 나누는 구조라

………… 29292929 30303030

6,921,169 7,128,804

4,498,760 4,633,723

1.0% 1.2%

44,988 55,605

67,481 83,407

337,407 417,035

33,741 41,704

33,741 41,704

26,318 32,529

0.32 0.29

8,386 9,422

개국의 판권을 보유하고 있다. 위

사실 가장 큰 시장은 중국이라

많을 것으로 보이며, 부유층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 중국으로의

향후 기술이전이 체결된다면 그

.

Page 7: 171128 Kolon LS Initiation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511834202893.pdf그리고 골관절염의 근본적 치료 ... 현재 골관절염 치료제는 통증 완화효과만

코오롱생명과학 (102940)

티슈진

티슈진 시총 3.6조원 11월 6일

으로 상장

회사들의

오롱생명과학의

고 할 수

그림 7. 코오롱생명과학 지분 구조

자료: 코오롱생명과학, 하나금융투자

코오롱20.3%

기타64.2%

티슈진 상장

일 인보사의 원개발사인 티슈진이 상장하였다. 상장

상장 당시의 시총 규모는 국내 바이오회사 중 가장 컸다

회사들의 주가 상승으로 현재 티슈진은 3.6조원의 시총을 형성하고

오롱생명과학의 티슈진 지분율이 12.7%임을 감안하면 약 4,630

수 있다.

그림 8. 티슈진 지분 구조

자료: 코오롱생명과학, 하나금융투자

코오롱20.3%

이웅열 회장14.4%

관계인1.1% 코오롱

생명과학13%

코오롱글로텍3%

공모주주12%

기타27%

Analyst 선민정02-3771-7785

7

주가 상단의 시총은 1.7조원

컸다. 현재 제약바이오 코스닥

형성하고 있다. 상장 이후 코

4,630억원 정도의 가치가 있다

코오롱27%

이웅열 회장18%코오롱

생명과학13%

Page 8: 171128 Kolon LS Initiation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511834202893.pdf그리고 골관절염의 근본적 치료 ... 현재 골관절염 치료제는 통증 완화효과만

코오롱생명과학 (102940)

추정 재무제표

손익계산서

2012201220122012 2013201320132013 2014201420142014매출액매출액매출액매출액 141.3141.3141.3141.3 139.6139.6139.6139.6 130.6130.6130.6130.6 매출원가 95.4 96.2 97.5매출총이익 45.9 43.4 33.1 판관비 23.6 25.0 23.7영업이익영업이익영업이익영업이익 22.322.322.322.3 18.318.318.318.3 9.49.49.49.4 금융손익 (0.8) (1.3) (1.9) 종속/관계기업손익 0.0 0.0 0.0 기타영업외손익 (0.1) 2.8 (0.2)세전이익세전이익세전이익세전이익 21.421.421.421.4 19.819.819.819.8 7.37.37.37.3 법인세 2.5 2.6 1.4계속사업이익 18.9 17.2 5.9중단사업이익 0.0 0.0 0.0당기순이익당기순이익당기순이익당기순이익 18.918.918.918.9 17.217.217.217.2 5.95.95.95.9 비지배주주지분 순이익 0.0 0.0 0.0지배주주순이익지배주주순이익지배주주순이익지배주주순이익 18.918.918.918.9 17.217.217.217.2 5.95.95.95.9지배주주지분포괄이익 18.4 17.1 5.1NOPAT 19.7 15.9 7.5EBITDA 26.2 25.5 18.8성장성성장성성장성성장성(%)(%)(%)(%) 매출액증가율 20.6 (1.2) (6.4)NOPAT증가율 79.1 (19.3) (52.8)EBITDA증가율 64.8 (2.7) (26.3)영업이익증가율 77.0 (17.9) (48.6)(지배주주)순익증가율 68.8 (9.0) (65.7)EPS증가율 57.6 (16.8) (67.4)수익성수익성수익성수익성(%)(%)(%)(%) 매출총이익률 32.5 31.1 25.3EBITDA이익률 18.5 18.3 14.4영업이익률 15.8 13.1 7.2계속사업이익률 13.4 12.3 4.5

투자지표

2012012012012222 2013201320132013 2014201420142014주당지표주당지표주당지표주당지표((((원원원원)))) EPS 3,208 2,668 871BPS 16,753 18,924 19,742CFPS 4,700 5,109 3,061EBITDAPS 4,447 3,941 2,789SPS 23,972 21,620 19,425DPS 750 20 200주가지표주가지표주가지표주가지표((((배배배배)))) PER 20.9 23.3 55.1PBR 4.0 3.3 2.4PCFR 14.2 12.2 15.7EV/EBITDA 17.7 14.8 20.3PSR 2.8 2.9 2.5재무비율재무비율재무비율재무비율(%)(%)(%)(%) ROE 21.0 15.0 4.5ROA 11.1 8.6 2.8ROIC 16.2 10.1 4.4부채비율 80.2 67.4 53.4순부채비율 41.1 33.4 37.4이자보상배율(배) 13.4 10.5 4.5

자료: 하나금융투자

(단위: 십억원) 대차대조표

2014201420142014 2015201520152015 2016201620162016 2012201220122012 130.6130.6130.6130.6 121.2121.2121.2121.2 158.3158.3158.3158.3 유동자산유동자산유동자산유동자산 77.477.477.477.4 97.5 95.3 109.7 금융자산 16.1 33.1 25.9 48.6 현금성자산 16.1 23.7 23.7 30.1 매출채권 등 24.7 9.49.49.49.4 2.22.22.22.2 18.518.518.518.5 재고자산 35.8

(1.9) (1.4) (0.4) 기타유동자산 0.8 0.0 0.0 0.0 비유동자산비유동자산비유동자산비유동자산 114.9114.9114.9114.9

(0.2) 0.3 (3.2) 투자자산 4.4 7.37.37.37.3 1.11.11.11.1 14.914.914.914.9 금융자산 4.4 1.4 0.3 2.2 유형자산 104.0 5.9 0.8 12.7 무형자산 5.15.15.15.1 0.0 0.0 0.0 기타비유동자산 1.41.41.41.4 5.95.95.95.9 0.80.80.80.8 12.712.712.712.7 자산총계자산총계자산총계자산총계 192.3192.3192.3192.3 0.0 0.0 0.0 유동부채유동부채유동부채유동부채 40.040.040.040.0 5.95.95.95.9 0.80.80.80.8 12.712.712.712.7 금융부채 16.8 5.1 0.6 11.0 매입채무 등 20.8 7.5 1.6 15.7 기타유동부채 2.4

18.8 11.4 27.9 비유동부채비유동부채비유동부채비유동부채 45.545.545.545.5 금융부채 43.243.243.243.2

(6.4) (7.2) 30.6 기타비유동부채 2.3 (52.8) (78.7) 881.3 부채총계부채총계부채총계부채총계 85.685.685.685.6 (26.3) (39.4) 144.7 지배주주지분지배주주지분지배주주지분지배주주지분 106.7106.7106.7106.7 (48.6) (76.6) 740.9 자본금 2.62.62.62.6 (65.7) (86.4) 1,487.5 자본잉여금 45.3 (67.4) (86.7) 1,400.0 자본조정 (0.2)

기타포괄이익누계액 0.0 25.3 21.4 30.7 이익잉여금 59.0 14.4 9.4 17.6 비지배주주지분비지배주주지분비지배주주지분비지배주주지분 0.00.00.00.0 7.2 1.8 11.7 자본총계자본총계자본총계자본총계 106.7106.7106.7106.7 4.5 0.7 8.0 순금융부채 43.9

현금흐름표

2014201420142014 2015201520152015 2016201620162016 2012201220122012 영업활동영업활동영업활동영업활동 현금흐름현금흐름현금흐름현금흐름 23.423.423.423.4

871 116 1,740 당기순이익 18.9 19,742 19,637 34,180 조정 6.9 3,061 2,118 4,055 감가상각비 3.9 2,789 1,651 3,838 외환거래손익 1.1

19,425 17,523 21,744 지분법손익 0.0 200 100 200 기타 1.9

영업활동 자산부채 변동 (2.4) 55.1 1,667.6 67.5 투자활동투자활동투자활동투자활동 현금흐름현금흐름현금흐름현금흐름 (65.3)(65.3)(65.3)(65.3) 2.4 9.8 3.4 투자자산감소(증가) (3.9)

15.7 91.1 29.0 유형자산감소(증가) (61.0) 20.3 120.5 29.3 기타 (0.4) 2.5 11.0 5.4 재무활동재무활동재무활동재무활동 현금흐름현금흐름현금흐름현금흐름 19.119.119.119.1

금융부채증가(감소) 4.8 4.5 0.6 6.4 자본증가(감소) 15.2 2.8 0.4 4.3 기타재무활동 (0.9) 4.4 0.9 9.0 배당지급 (0.0)

53.4 68.8 36.5 현금의현금의현금의현금의 증감증감증감증감 (22.9)(22.9)(22.9)(22.9) 37.4 35.6 (29.0) Unlevered CFO 27.7 4.5 1.5 13.1 Free Cash Flow (37.6)

Analyst 선민정02-3771-7785

8

(단위: 십억원)

2013201320132013 2014201420142014 2015201520152015 2016201620162016 86.886.886.886.8 68.968.968.968.9 82.482.482.482.4 196.8196.8196.8196.8 20.4 5.1 27.0 137.9 19.9 5.1 27.0 137.7 22.2 18.1 17.3 21.5 43.3 42.6 36.3 34.7 0.9 3.1 1.8 2.7

120.0120.0120.0120.0 140.0140.0140.0140.0 146.2146.2146.2146.2 157.8157.8157.8157.8 4.0 14.7 14.7 14.5 4.0 14.7 14.7 14.5

108.3 113.1 116.7 125.6 6.36.36.36.3 10.810.810.810.8 13.413.413.413.4 14.814.814.814.8 1.41.41.41.4 1.41.41.41.4 1.41.41.41.4 2.92.92.92.9

206.9206.9206.9206.9 208.9208.9208.9208.9 228.6228.6228.6228.6 354.6354.6354.6354.6 46.346.346.346.3 37.537.537.537.5 38.438.438.438.4 70.270.270.270.2 28.2 25.6 26.1 42.4 16.2 11.8 11.7 26.8 1.9 0.1 0.6 1.0

37.037.037.037.0 35.235.235.235.2 54.754.754.754.7 24.624.624.624.6 33.533.533.533.5 30.530.530.530.5 49.149.149.149.1 20.120.120.120.1 3.5 4.7 5.6 4.5

83.383.383.383.3 72.772.772.772.7 93.293.293.293.2 94.894.894.894.8 123.6123.6123.6123.6 136.2136.2136.2136.2 135.4135.4135.4135.4 259.8259.8259.8259.8

2.62.62.62.6 3.33.33.33.3 3.33.33.33.3 3.83.83.83.8 48.9 56.4 56.4 169.9 (0.2) (0.4) (0.4) (0.4) 0.0 0.0 0.0 0.0

72.3 76.8 76.0 86.4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123.6123.6123.6123.6 136.2136.2136.2136.2 135.4135.4135.4135.4 259.8259.8259.8259.8 41.3 51.0 48.2 (75.4)

(단위: 십억원)

2013201320132013 2014201420142014 2015201520152015 2016201620162016 16.216.216.216.2 12.112.112.112.1 20.820.820.820.8 28.128.128.128.1 17.2 5.9 0.8 12.7 11.0 9.9 12.6 12.7 7.1 9.4 9.2 9.5 0.6 0.3 0.9 1.9 0.0 0.0 0.0 0.0 3.3 0.2 2.5 1.3

(12.0) (3.7) 7.4 2.7 (12.9)(12.9)(12.9)(12.9) (28.7)(28.7)(28.7)(28.7) (15.6)(15.6)(15.6)(15.6) (17.2)(17.2)(17.2)(17.2)

0.5 (10.7) (0.0) 0.1 (11.8) (14.9) (12.4) (16.1) (1.6) (3.1) (3.2) (1.2) 0.60.60.60.6 1.71.71.71.7 16.816.816.816.8 99.699.699.699.6 1.7 (5.6) 19.2 (12.8) 3.1 8.2 0.0 114.0

(0.3) (0.8) (1.1) (0.9) (3.9) (0.1) (1.3) (0.7) 3.83.83.83.8 (14.9)(14.9)(14.9)(14.9) 21.921.921.921.9 110.7110.7110.7110.7

33.0 20.6 14.6 29.5 4.4 (2.9) 8.4 12.0

Page 9: 171128 Kolon LS Initiation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511834202893.pdf그리고 골관절염의 근본적 치료 ... 현재 골관절염 치료제는 통증 완화효과만

코오롱생명과학 (102940)

투자의견 변동 내역 및 목표주가 괴리율

코오롱생명과학

투자등급 관련사항 및 투자의견 비율공시

� 투자의견의투자의견의투자의견의투자의견의 유효기간은유효기간은유효기간은유효기간은 추천일추천일추천일추천일 이후이후이후이후 12121212개월을개월을개월을개월을 기준으로기준으로기준으로기준으로 적용적용적용적용

� 기업의기업의기업의기업의 분류분류분류분류

BUY(매수)_목표주가가 현주가 대비 15% 이상 상승 여력 Neutral(중립)_목표주가가 현주가 대비 -15%~15% 등락 Reduce(매도)_목표주가가 현주가 대비 -15% 이상 하락 가능

투자등급 BUY(BUY(BUY(BUY(매수매수매수매수))))

금융투자상품의 비율 91.0%

* 기준일: 2017년 11월 26일

Compliance Notice

� 본 자료를 작성한 애널리스트(선민정)는 자료의 작성과 관련하여� 본 자료는 기관투자가 등 제 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당사는 2017년 11월 28일 현재 해당회사의 지분을 1%이상 보유� 본 자료를 작성한 애널리스트(선민정)는 2017년 11월 28일 현재

본 조사자료는 고객의 투자에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자신의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15.1116.1 16.3 16.5 16.7 16.9 16.1117.1 17.3

코오롱생명과학(원)

날짜날짜날짜날짜 투자의견투자의견투자의견투자의견 목표주가목표주가목표주가목표주가

17.11.27 BUY 180,00017.4.24 1 년 경과 16.4.24 1 년 경과 15.4.23 BUY 67,071

� 산업의산업의산업의산업의 분류분류분류분류

Overweight(비중확대)_업종지수가 현재지수 대비Neutral(중립)_업종지수가 현재지수 대비 -15%~15% Underweight(비중축소)_업종지수가 현재지수 대비

Neutral(Neutral(Neutral(Neutral(중립중립중립중립)))) Reduce(Reduce(Reduce(Reduce(매도매도매도매도))))

8.3% 0.7%

관련하여 외부의 압력이나 부당한 간섭을 받지 않았으며,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여 신의성실

없습니다. 보유 하고 있지 않습니다 현재 해당 회사의 유가증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작성되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무단 복제 및 배포 될 수 없습니다. 또한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최종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고객의

17.3 17.5 17.7 17.9 17.11

수정TP

Analyst 선민정02-3771-7785

9

목표주가목표주가목표주가목표주가 괴리율괴리율괴리율괴리율

평균평균평균평균 최고최고최고최고////최저최저최저최저

180,000 114.93% 184.33% 107.67% 170.61%

67,071 163.54% 305.36%

대비 15% 이상 상승 여력 15%~15% 등락

대비 -15% 이상 하락 가능

합계합계합계합계

100.0%

신의성실 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내용은 당사가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로 얻어진 고객의 주식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