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의류산업왹편왕및전망 -...

7
2. 의류산업왹 편왕 전망 . 13 .

Upload: vunhu

Post on 06-Feb-2018

237 views

Category:

Documents


2 download

TRANSCRIPT

Page 1: 2. 의류산업왹편왕및전망 - fashionnetkorea.comfashionnetkorea.com/fashiondb/OFFLINE/4차/9월17일_책갈피_PDF... · 오피 가공및모피 ... -의류산업은소비자욕구등이반영되어정보

2. 의류산업왹 편왕 및 전망

. 13 .

Page 2: 2. 의류산업왹편왕및전망 - fashionnetkorea.comfashionnetkorea.com/fashiondb/OFFLINE/4차/9월17일_책갈피_PDF... · 오피 가공및모피 ... -의류산업은소비자욕구등이반영되어정보
Page 3: 2. 의류산업왹편왕및전망 - fashionnetkorea.comfashionnetkorea.com/fashiondb/OFFLINE/4차/9월17일_책갈피_PDF... · 오피 가공및모피 ... -의류산업은소비자욕구등이반영되어정보

2. 의류산업의 현황 및 전망

2.1. 의류산업의 특성 및 중요성

2. L I . 의류산업의 개념 및 분류

(1) 의류산업의 개념

○ 기존의 섬유산업이 직물, 부자재, 봉제 등 의류의 UP & Doㄳ/n str ea m

올 포괄하는 의미였다면, 의류산업이란 의류제품의 생산에서부터 유통

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상품 혹은 관련된 모든 산업을 지칭함. 또한 제

조개념에 국한되지 않고 보다 고부가가치 선진형 산업의 개념을 포함

하여 ‘의류패션산업‘이라고도 함

- 즉 섬유산업은 제조중심의 개념이며 저인건비, 대량생산, OEM 중심의

수출중점 산업의 개념으로 사용되었으나, 의류산업은 제조 개념에서

벗어나 보다 고부가가치 개념의 지식 및 정보산업까지를 포괄하는 개

념임

(2) 의류산업의 분류

O 의류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 체계에서 제조업(o)에 포함됨. 제조업이

란 원재료(물질 또는 구성요소)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투입

된 원재료를 성질이 다른 새로운 제품으로 전환시키는 산업활동을 말

함. 즉 의류산업을 제조업에 국한시켜 볼 때, 이는 원단 및 부자재라는

원재료를 이용하여 의류상품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옴

, ! 5 -

Page 4: 2. 의류산업왹편왕및전망 - fashionnetkorea.comfashionnetkorea.com/fashiondb/OFFLINE/4차/9월17일_책갈피_PDF... · 오피 가공및모피 ... -의류산업은소비자욕구등이반영되어정보

o 제조업 범주 중 의류산업에 포항되는 산업군온 크게 섬유산업과 봉제

산업으로 구분될 수 있음. 섬유산업은 의류제품의 원재료가 되는 섬유

빛 직물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이며, 봉제산업온 이러한 원재료를 이용하

여 하나의 완성품홀 만들어내는 산업활동임

○ 섬유제품 제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 코드 17 에 해당되며, 섬유물질을

가공하여 생사 및 각종 섬유사, 연사, 끈, 로프, 망 및 기타 끈체품 제조,

각종 섬유사로 광폭직물, 세폭직물, 편조원단 및 편조체풍, 카펫 등의

직물 및 편조물 제조, 각종 섬유사, 직물, 편조물 및 직물체품의 영색,

표백 및 가공 정리활동, 의복과 신발을 체외한 직물제풍 제조, 직물에

다른 물질을 도포, 삼투, 방수 및 기타 처리한 가공직물 제조, 부직포,

펠트, 충전용 솜 및 기타 섬유제풍 제조하는 산업활동으로 정의됨

이러한 제조활동은 자기소유의 섬유재료로 특정제품을 직접 제조하거

나 수수료 또는 계약에 의하여 주문제품을 제조하는 경우도 포항됨

○ 봉제의복 및 모피제풍 제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 코드 18 에 해당하

며, 봉체의복 제조업과 모피가공 및 오피제풍 제조업이 여기에 포함됨

- 봉제의복 제조업(181 )온 구입한 각종 직물, 가죽 및 기타재료(모피 체

외)를 재단 및 재봉을 통해 의복류, 모자 및 의복액세서리를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함

- 모피가공 및 모피체품 체조업(18 2)온 원모피 및 머리부분이 달린 기타

원피를 가공처리하는 활동과 그 제품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함

. 1’ -

Page 5: 2. 의류산업왹편왕및전망 - fashionnetkorea.comfashionnetkorea.com/fashiondb/OFFLINE/4차/9월17일_책갈피_PDF... · 오피 가공및모피 ... -의류산업은소비자욕구등이반영되어정보

〈표 2-1> 의류 체조업 분류 체계

산업분류코드 -ㅣ 산업분류명1 8 봉제의복 및 모피제품 제조업

18 1 봉제의복 제조업1 8 1 1 정 장제조업

1 8 1 1 1 남자용 정장 제조업18 1 12 」 여자용 정장 제조업

1 8 1 2 내의 제조업

1 8 120 내의 제조업

1 8 1 3 한복 제조업

1 8 1 50 한복 제조업

1 8 1 4 기타 봉제의복 제조업1 8 1 4 1 셔츠 및 체육복 제조업1 8 1 4 2 근무복, 작업복 및 유사 의복 제조업18143 - 가죽의복 제조업18 1 44 유아용 의복 제조업18149 - 그외 기타 봉제의복 제조업

1 8 15 의복 액세서리 제조업

1FV

1

81

모자 제조업

18152 ! 장갑 제조 업

18159 - 기타 의복액세서리 제조업1 8 2 모피가공 및 모피제품 제조업

02

8

1

오피가공 및 모피제품 제조업1 8 2 0 1 원모피 가공처리업1 8 2 0 2 천연모피제품 제조업

1 8 2 0 3 인조모피 및 인조모피 제품 제조업

O 본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을 섬유산업이 아닌 의류봉제산업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연구대상이 되는 핵심품목으로 크게 우븐, 니트, 가죽의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였음. 또한 여러 의류 복종 중 향후 가장 발전 가능

성과 고부가가치 실현성이 높은 여성복을 중심으로 한 · 중 경챙력을

평가하였음

- 17 -

Page 6: 2. 의류산업왹편왕및전망 - fashionnetkorea.comfashionnetkorea.com/fashiondb/OFFLINE/4차/9월17일_책갈피_PDF... · 오피 가공및모피 ... -의류산업은소비자욕구등이반영되어정보

2. L 2. 의류산업의 특성 및 중요성

(1) 의류산업의 특성

○ 생활문화산업

- 인간의 기본 생활욕구를 충족시키는 필수산업으로, 소득이 높아지면

괘션은 의복의 개념에서 자기표현, 생활문화의 개념으로 변화하므로

의류패션산업은 삶의 내용을 풍요롭고 윤택하게 하는 생활문화산업임

○ 기술/지식집약형 산업

- 소자본으로도 기업화가 가능하며, 상품의 기획, 디자인의 질에 따라 상

珊 가차름 창출하는 지식 집약헝 산업유]

제품수명(Li fe Cycl e)이 짧은 산업

- 소비자 구매성향, 계절, 사회환경 등의 변화나 세계적 트렌드의 흐름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를 거듐하는 산업

i L부가가치산업

- :유행이나 디자인, 소재, 미적 감각 표현법에 따라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브랜드 이미지나 스타일 등에 의한 고부가가치화가 가능한 산

입임

. 물리적 가치뿐만 아니라 실용성이나 디자인 등 소비자 반족도에 따라

가격차이가 크며 동일한 형태와 원가의 제품이라도 브랜드에 따라서

고부가가치의 실현이 손쉬훈 샨엮

관련 산업과 일접하고 파급효과가 근 산업

의류산업은 섬유산업의 최종단계에 위치하므로 상위단계 산업발전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님

의류산업의 발전은 실, 직물, 엮색, 소재, 부자재 산업발전의 원천이 됨

Page 7: 2. 의류산업왹편왕및전망 - fashionnetkorea.comfashionnetkorea.com/fashiondb/OFFLINE/4차/9월17일_책갈피_PDF... · 오피 가공및모피 ... -의류산업은소비자욕구등이반영되어정보

○ 감성, 기술, 정보, 마케팅, 문화에 의한 산업

- 의류산업은 소비자 욕구 등이 반영되어 정보에 의해

산, 판매되어야 하며, 해외 거점을 이용하여 다국적

져야 하는 일종의 첨단산업

기획에 연결, 생

산업의 성격을 가

《2) 의류산업의 중요성

o 수출주도형 개발 전략의 견인차 역할

- 섬유산업은 60년대 우리나라 총 수출의 38%를 차지하는 둥 그 동안

한국 경제의 수출주도형 개발 전략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해 왔음

- 19 60 년대 4백만달러 수출을 시작으로 1999년 수출액은 171 억달러, 수

입은 46 억달러로 무려 125 억달러의 무역혹자를 달성하여 국내 총 무역

혹자 23 억달러의 52.3%를 차지한 바 있음

O 하지만 최근 섬유 및 의류제품의 수출 및 내수시장이 약화되면서, 국내

제조산업에서 의류산업이 차지하는 입지는 점차 감소하고 있는 실정임

○ 이에 의류산업의 특성상 단순한 제조산업으로의 위치를 유지하기 보다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영역 확대에 대한 인식이 대두하기 시작함

- 80년대 중화학공업 우선 육성 지원에 따른 정책적 영향에 따라, 섬유

산업은 내부적으로 사양 산업이라는 인식이 전반적으로 확산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높은 고용 창출 효과, 높은 외화 가득률(년/100

억달러 이상)등 국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결코 작지 않음

- 의류산업에 대한 내부적인 사양론과 더불어 개도국의 가격 경챙력을

통한 시장 확대 등이 위협요인으로 대두되고 있으나, 제품의 차별화

및 고부가가치화, 수출시장의 다변화, 업종간 협력 체제 구축을 통해

산업구조 변화가 이루어진다면, 제조업 수준을 넘어서 향후 한국 주요

산업군으로 개도약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

-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