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160

Upload: others

Post on 19-May-2022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RD-15-R6-024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구축을 위한 통합 추진 전략

2015. 12

Page 2: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통합

추진

전략

2015.

12

한국시설안전공단

Page 3: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참 여 연 구 진

참 여 구 분 소 속 직 위 성 명

연 구 관 리 한국시설안전공단기술본부 본부장 김 성 영

연구책임자 한국시설안전공단기술본부 시설안전연구소 소장 신 철 식

연 구 원 한국시설안전공단기술본부 시설안전연구소 차장 권 지 혜

〃한국시설안전공단

기술본부 시설안전연구소 과장 이 정 석

〃한국시설안전공단

기술본부 시설안전연구소 연구원 김 미 나

〃한국시설안전공단

기술본부 시설안전연구소 연구원 이 은 실

Page 4: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Page 5: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i -

목 차

제 1 장 서 론 ···························································································································3

1.1 연구 배경 및 목적 ····························································································································3

1.2 연구 범위 및 방법 ····························································································································5

1.3 연구 목표 및 추진전략 ····················································································································7

제 2 장 이론적 고찰 및 남북 주요 통계지표 비교 ····················································11

2.1 기존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 고찰 ································································································11

2.2 남북 주요 경제지표 비교 및 분석 ······························································································17

2.3 남북 산업구조 분야별 통계지표 비교 및 분석 ········································································19

2.4 소결 ····················································································································································20

제 3 장 북한 주요 인프라 시설 분야별 현황조사, 특성 및 시사점 ······················23

3.1 북한 인프라 스톡 변천사 ··············································································································23

3.2 대상 시설물의 분류기준 및 범위 선정 ······················································································27

3.3 북한 인프라 시설 분야별 현황조사 및 특성분석 ····································································28

3.3.1 북한 주요 인프라 시설 현황 ······························································································28

3.3.2 북한 주요 인프라시설의 실태 및 운영특성 ····································································34

3.3.3 북한이탈주민대상 인프라 시설의 실태조사 및 시사점 ················································39

3.4 남한대비 북한 인프라 시설의 종합적 분석 및 평가 ····························································44

제 4 장 북한 인프라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비교검토 ············································49

4.1 대인면접표본조사 및 설문개요 ····································································································49

4.2 북한 인프라 상대적 취약성 분석 및 평가 ················································································51

4.3 북한 인프라 상대적 우선순위 개발중요도 분석 및 평가 ······················································53

4.4 북한 인프라 개별 위험수준 분석 및 평가 ················································································55

4.5 북한 인프라 개별 기술수준 분석 및 평가 ················································································57

4.6 북한 인프라 위험수준 종합 비교 및 시사점 ············································································59

4.7 남북 및 주요 선진국 기술수준 종합 비교 및 시사점 ····························································60

4.8 소결 ····················································································································································62

Page 6: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ii -

제 5 장 남북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한 방안 도출 ···························65

5.1 국가/산업/시장/기술적 측면의 방안 제시 ·················································································65

5.1.1 국가 측면의 전략적 방안 ····································································································66

5.1.2 산업 측면의 전략적 방안 ····································································································66

5.1.3 시장 측면의 전략적 방안 ····································································································67

5.1.4 기술 측면의 전략적 방안 ····································································································67

5.2 남북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한 공단의 역할과 기능 ······································68

5.3 소결 ····················································································································································71

제 6 장 통일대비 북한 인프라의 안전 및 유지관리 방향 제시 ·····························75

6.1 정책, 제도, 기술, 인력지원, 사업방식, 재원조달에 대한 전략적 방향 수립 ·····················75

6.2 통일대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공단의 추진 전략 ··························································78

6.3 소결 ····················································································································································80

제 7 장 결론 ···························································································································83

7.1 결론 ····················································································································································83

7.2 연구의 성과 ······································································································································85

7.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86

7.3.1 본 연구의 한계점 ··················································································································86

7.3.2 향후 연구 방향 ······················································································································87

부 록 1 설문지 양식 ·············································································································91

부 록 2 초청세미나 개최 ····································································································99

부 록 3 외부 세미나 참석 내용 ······················································································105

부 록 4 북한 통계 자료 ····································································································126

Page 7: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iii -

Page 8: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iv -

<표 차례>

<표 1> 북한 인프라·경제 관련 선행 연구 및 내용 ···································································11

<표 2> 북한 인프라·경제 관련 논문 및 주요내용 ·····································································14

<표 3> 북한 관련 국내 전문기관 전체 목록 ·················································································15

<표 4> 남북 주요 경제지표 현황 및 비율 비교 ···········································································17

<표 5> 남북 산업구조 분야별 통계지표 비교 ···············································································19

<표 6> 남북 도로 총연장 및 고속도로 통계지표 ·········································································28

<표 7> 남북 철도 총연장 통계지표 ·································································································32

<표 8> 남북 전철 총연장 및 전철화율 통계지표 ·········································································32

<표 9> 남북 지하철 총연장 통계지표 ·····························································································33

<표 10> 남북 철도차량 보유대수 통계지표 ···················································································33

<표 11> 북한의 주요 철도망 현황 ···································································································35

<표 12> 북한의 주요 항만 현황 ·······································································································36

<표 13> 북한주민의 에너지 소비구조와 실태 ···············································································38

<표 14> 북한 인프라 시설의 실태수준 측정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49

<표 15> 북한이탈주민 대상 설문조사 응답자 개요 ·····································································50

<표 16> 북한 시설분야별 취약성 우선순위 평가 결과 ·······························································51

<표 17> 북한 시설분야별 개발중요도 우선순위 평가 결과 ·······················································53

<표 18> 북한 주요 인프라 분야별 위험수준 평가 결과 ·····························································55

<표 19> 북한 주요 인프라 분야별 기술수준 평가 결과 ·····························································57

<표 20> 당해연도 연구과제 수행으로 인한 연구성과 실적물 ···················································85

Page 9: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v -

Page 10: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vi -

<그림 차례>

<그림 1 > 연구 흐름도 ·························································································································5

<그림 2>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단계별 추진전략 ···································7

<그림 3> 연구 주요내용에 의한 추진전략도 ···················································································8

<그림 4> 남북 주요 경제지표 현황 비율 도식화 ·········································································18

<그림 5> 북한 인프라 스톡의 변천사 ·····························································································24

<그림 6> 북한 인프라 대상 시설물의 기준 및 범위 ···································································27

<그림 7> 북한의 고속도로 전경 ·······································································································28

<그림 8> 북한의 일반도로 전경 ·······································································································28

<그림 9> 북한의 교량시설 전경 ·······································································································29

<그림 10> 북한터널시설 내․외부 전경 ·························································································29

<그림 11> 북한 도로포장 및 보수 전경 ·························································································29

<그림 12> 북한의 사면 전경 ·············································································································29

<그림 13> 북한 배수시설 전경 ·········································································································30

<그림 14> 북한 부대 및 휴게시설 전경 ·························································································30

<그림 15> 북한의 송전선 사례 ·········································································································30

<그림 16> 북한 유선통신 전화선 전경 ···························································································30

<그림 17> 북한의 노후 철도 침목 사례1 ·······················································································31

<그림 18> 북한의 노후 철도 침목 사례2 ·······················································································31

<그림 19> 북한 탄광석 객차 수송 전경 ·························································································31

<그림 20> 북한 화물 수송 객차 전경 ·····························································································31

<그림 21> 북한 철도 인프라 관련 현황 사진 자료 ·····································································39

<그림 22> 북한 도로 인프라 관련 현황 사진 자료 ·····································································40

<그림 23> 북한 주택 인프라 관련 현황 사진 자료 ···································································41

<그림 24> 북한 에너지 인프라 관련 현황 사진 자료 ·································································42

<그림 25> 북한 공공 인프라 관련 현황 사진 자료 ···································································43

<그림 26> 남북 SOC 관련 주요 인프라 현황 비교 및 비율 ····················································44

<그림 27> 북한 시설분야별 취약성 우선순위 평가 도식화 ·······················································52

Page 11: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vii -

<그림 28> 북한 시설분야별 개발중요도 우선순위 평가 도식화 ···············································54

<그림 29> 북한 주요 인프라 분야별 위험수준 평가 도식화 ·····················································56

<그림 30> 북한 주요 인프라 분야별 기술수준 평가 도식화 ·····················································58

<그림 31> 북한 인프라 위험수준 및 기술수준 비교 ···································································59

<그림 32> 남북 및 주요 선진국 위험수준 및 기술수준 비교 ···················································61

<그림 33> 한반도 인프라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 ···················65

<그림 34> 통일대비 한반도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공단의 역할과 지원방안 ···························68

<그림 35> 공단의 내·외부 조직 및 기능의 특성에 따른 지원전략 시나리오 ·······················70

<그림 36> 본 연구와 연계한 향후 연구추진 전략 ·······································································87

Page 12: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Page 13: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i -

요 약 문

1. 서 론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정부는 독일 드레스덴 선언을 통해 남북공동 번영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제안하였고, 사회 각계각층에서 통일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음. 그리고 최근

북한 인프라의 노후 및 고령화에 기인한 인프라의 실태현황 및 수준 파악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또한 정부와 학계 등 범국민적 차원의 지속적인 관심에도 불구하고, 통일을

대비한 남북 건설 인프라 구축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는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음.

ㆁ 북한 인프라 시설물의 종합적인 전체 현황 파악과 그에 따른 시설물의 수준을 측정 및

분석하였음.

ㆁ 북한 인프라 구축을 위한 안전 및 유지관리 측면의 수준을 비교 및 검토 후 남북 인프라

수준 균등화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음.

ㆁ 국가기반시설물의 주요 점검 및 진단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공단의 인력, 조직 및

기술력을 극대화하여,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통합 추진전략 및 방안을

제시하였음.

□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프로세스는 첫째, 이론적 고찰 및 남북 주요 통계지표

비교, 둘째, 북한 주요 인프라 시설 분야별 현황조사, 특성 및 시사점 도출, 셋째, 북한

인프라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비교검토, 넷째, 북한 인프라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한 방안 도출, 마지막으로, 통일대비 북한 인프라의 안전 및 유지관리 방향

제시로 제안하였음.

ㆁ 연구의 범위는 북한 주요 SOC 인프라시설 및 생활지원시설(도로, 철도, 항만, 공항, 댐,

수자원, 전력 및 통신, 주택 등)을 중심으로 시설물 분야별 수량, 규모, 특징에 대한

전체적인 현황조사를 실시하였고, 그에 따른 종합적인 분석을 실시하였음.

ㆁ 연구의 방법으로는 통계청 자료, 북한정보포털 및 한국은행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남북

주요 시설물에 대한 현황조사를 실시하였고, 북한 관련 외부 전문가 및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수행하였음.

□ (연구의 목표 및 추진전략)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남북의 건설 인프라를 일원화하여 안전 및 유지관리측면의 효율적 인프라

Page 14: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ii -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며, 당해연도 목표는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하여

북한 인프라의 안전 및 유지관리 방향을 제시하였음.

ㆁ 주요 추진전략으로 남북 인프라 통계자료에 의한 정량적 평가와 북한이탈주민의 설문

조사에 의한 정성적 평가를 통해 남북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을 비교 검토하였음.

ㆁ 또한 남북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의 균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가, 산업, 시장,

기술적 측면의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였고, 정책 및 제도, 기술 및 인력지원, 사업방식 및

재원조달에 대한 방향을 수립하였음.

ㆁ 최종 연구성과는 북한 인프라 상대적 취약성 수준, 개발중요도 수준, 북한 주요 인프라의

위험수준 및 기술수준, 남북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 방안, 통일대비 공단의 기능

및 역할에 의한 시나리오 도출임.

2. 이론적 고찰 및 남북 주요 통계지표 비교

□ (기존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 고찰) 북한 관련 선행연구 고찰 결과, 전문분야별 단편적인

연구수행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향후 건설 인프라뿐만 아니라 산업,

경제, 시장, 금융 등과의 융합 연구를 통해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ㆁ 기존 북한 인프라 관련 연구보고서를 조사 및 분석한 결과, 국토, 항공, 교통, 철도,

상하수도 등에 대한 개별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그 외에 건설기술, 산업 및 사업 기술,

물류, 시장 등에 관한 연구가 추진되어 왔음.

ㆁ 국내 북한관련 대북지원, 사업 및 연구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기관은 총 114개로

조사되었고, 민간 건설업체 및 기관을 포함하면 최소 150개 이상으로 추정됨.

□ (남북 주요 경제지표 비교 및 분석) 남북 주요 경제지표의 비교 및 분석 결과, 통일준비

과정에서 남북 상호간 급격한 산업 및 경제적 격차를 줄이는 것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고, 통일을 추진함에 있어 천문학적으로 추정되는 통일비용 절감으로 연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ㆁ 북한 국토면적은 123,138㎢으로 남한에 비해 23% 더 넓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반면 인구

규모는 24,545,000명으로 남한대비 약 50% 정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음.

ㆁ 남북 주요 경제지표 비교에서 남한대비 북한의 비율을 검토한 결과, 석탄(14.656),

철광석(8.275) 및 국토면적(1.229)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향후 통일 추진 시

북한의 자원과 국토 면적을 활용할 수 있는 우선지표로 예측이 가능함.

Page 15: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iii -

□ (남북 산업구조 분야별 통계지표 비교 및 분석) 남북 산업구조 분야별 통계자료 비교 및

분석에서는 농림어업, 광공업, 서비스업, 전기/가스/수도업, 건설업 등을 중심으로 산업별

평균 점유율을 조사하였음.

ㆁ 남한은 주로 서비스업의 산업비중(59.9%)이 높은 반면, 북한은 농림어업 및 광공업의

산업비중(56.9%)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산업구조 격차를 줄이기 위한 대안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3. 북한 주요 인프라 시설 분야별 현황조사, 특성 및 시사점

□ (북한 인프라 스톡 변천사) 북한 건설 인프라의 시대적인 흐름을 이해하기 위하여 인프라

스톡에 대한 변천사를 정리하였고, 그에 따른 북한 인프라의 시기별 건설유형, 제반사항,

관리 및 운영 등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였음.

ㆁ 북한 인프라 스톡의 변천사를 조사하기 위한 방법으로 국내외 전문가 및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음.

ㆁ 북한 인프라 스톡의 시기별 주요 흐름은 첫째, 북한 인프라 복구 및 구축 완료

(1945~1970), 둘째, 북한 인프라 파괴 및 붕괴 시작(1970~2000), 셋째, 북한 인프라 노후

및 쇠퇴 가속화(2000~2015) 단계로 정리 가능함.

□ (대상 시설물의 분류기준 및 범위 선정) 대상 시설물의 분류기준 및 대상범위는 통일

대비 위험도 및 중요도가 크고, 향후 통일 추진 시 반드시 경제성 및 개발 우선순위가

높다고 판단되는 시설물로 총 8개 주요 인프라를 선정하였음.

ㆁ 북한의 주요 인프라 시설물을 대상으로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댐 등의 국가기반 주요

인프라 시설물을 선정하였음.

ㆁ 주요 전문가 및 최근 탈북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견 수렴에서 시설(물)이

취약하다고 판단되는 전력 및 통신, 수자원 분야를 추가하였음.

□ (북한 인프라 시설 종합적 분석) 남한대비 북한의 주요 인프라시설을 대상으로 시설물

분야별 수량, 규모, 특징에 대한 전체적인 검토를 실시하였고, 그에 따른 종합적인 분석을

제시하였음.

Page 16: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iv -

ㆁ 북한의 도로는 향후 도로 개선, 포장 재정비 및 안전시설 확충에 대한 시설 검토와 보완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됨.

ㆁ 북한의 철도와 전철은 향후 정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남북 궤도 재료의 규격을 통일하고,

속도상승 및 선로용량 확보 측면에서 단계별 개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ㆁ 북한의 항만개발은 권역별 거점항만의 확대와 현대화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ㆁ 북한의 공항은 항공 물동량과 여객수요를 감안하여 단계적 공항 정비 및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ㆁ 북한의 수자원에서는 향후 북한의 원활한 식량공급과 농업기반시설 지원을 위하여

수리시설의 신설 및 개보수, 갑문설치 및 다목적댐 건설 등의 투자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4. 북한 인프라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비교검토

□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검토) 북한 인프라를 대상으로 안전 및 유지관리의 수준을 비교

및 검토하기 위하여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대인면접표본조사를 실시하였고, 북한의 8개

시설 분야에 해당하는 주요 인프라를 대상으로 상대적 취약성, 상대적 우선순위

개발중요도, 위험수준 및 기술수준을 분석 및 평가하였음.

ㆁ 북한 인프라시설의 상대적 취약성 분석 및 평가에서는 전력 및 통신(25.4%),

철도(22.2%), 상하수도(15.5%) 등의 시설물 취약정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음.

ㆁ 북한 인프라시설의 우선순위 개발중요도 분석 및 평가에서는 철도(22.2%), 전력 및

통신(21.0%), 도로(15.9%) 등의 시설물 개발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음.

ㆁ 북한 인프라시설의 위험수준 분석 및 평가에서는 도로(위험수준, 78%), 철도(매우 위험

수준 90%), 항만(위험수준, 68%), 공항(위험수준, 69%), 댐(위험수준, 74%),

상하수도(위험수준, 71%), 전력 및 통신(매우 위험수준, 86%), 건축물(매우 위험수준,

84%)로 나타났음.

ㆁ 북한 인프라시설의 기술수준 분석 및 평가에서는 도로(낮은 수준, 36%), 철도(낮은 수준,

29%), 항만(보통 수준, 44%), 공항(보통 수준, 45%), 댐(보통 수준, 42%), 상하수도(낮은

수준, 37%), 전력 및 통신(낮은 수준, 31%), 건축물(보통 수준, 42%)로 나타났음.

ㆁ 남북 및 주요 선진국 대상 인프라시설의 위험 및 기술수준 종합검토에서 남북 인프라

전체에 대한 평균 위험수준은 북한이 77.6%(위험수준의 정도가 높음)로 나타났고, 남한이

41.8%(위험수준의 정도가 보통에 근접하여 낮음)로 조사되었음. 또한 북한의 인프라 스톡

Page 17: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v -

기술수준을 토대로 남북 및 주요 선진국과의 기술수준을 비교 및 검토한 결과,

미국(100%), 일본(97.7%), EU(97.5%), 대한민국(79%), 중국(66.5%), 북한(38.3%)로

조사되었음.

5. 남북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한 방안 도출

□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 방안 도출) 남북 통합 인프라 구축의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하여 국가․산업․시장․기술적 측면의 4대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였고,

그에 따른 공단의 역할과 지원방안 및 전략적 시나리오를 구상하였음.

ㆁ 국가 측면의 전략적 방안으로는 통합 인프라 구축을 위한 로드맵 및 마스터플랜 수립,

통합 인프라 개선․개발을 위한 정책 및 제도 수립, 한반도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 기준

및 체계 수립을 제시하였음.

ㆁ 산업 측면의 전략적 방안으로는 남북 산업구조 개편에 따른 인프라 특화전략 수립(자원,

인력, 장비, 예산), 산업별 특성에 의한 주요 전략 및 프로그램 개발, 민간투자를 지원할

수 있는 전문기구 및 기관 설치를 제안하였음.

ㆁ 시장 측면의 전략적 방안으로는 지역별․권역별 거점을 통한 안전 및 유지관리 서비스

수준 수립, 남북 건설 인프라 경제협력사업 및 시장 활성화 방안 구상, 남북 건설시장의

효율적 진출을 위한 건설기능인력 훈련 및 활용 방안 등을 제안하였음.

ㆁ 기술 측면의 전략적 방안으로는 통일 추진시나리오에 의한 기술수요조사 실시, 시설

분야별 기술 지원 및 협력 방안, 기술 분야별 중장기 개발 계획 및 실용화 방안 등을

제안하였음.

ㆁ 공단의 역할과 지원방안 및 전략적 시나리오에서는 북한 인프라의 시설물에 대한 현황 및

특성을 토대로 공단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장기간 보유하고 축척해온

인적자원, 기술력 및 첨단장비, 지원 체계 및 시스템을 활용하여 통일을 대비한 다양한

지원방안과 협력 시나리오를 구상하였음.

6. 통일대비 북한 인프라의 안전 및 유지관리 방향 제시

□ (안전 및 유지관리 방향 제시) 통일대비 북한 인프라의 안전 및 유지관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먼저, 정책, 제도, 기술, 인력지원, 사업방식, 재원조달 등에 대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였고, 그에 따른 공단의 추진 전략을 구상하였음.

Page 18: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vi -

ㆁ 정책 및 제도 관련 방향으로는 북한 인프라 개선․개발 로드맵 및 국제컨소시엄 계획(안)

구성, 정부 부처별 협력 및 조직 구성(안) 마련, 안전 및 유지관리 관련 인허가, 사업 절차,

기준 및 체계 수립, 북한 인프라 법령 및 체계 마련, 시설 분야별 제도 종합 검토, 남북

인프라 관련 법률 비교 등을 제시하였음.

ㆁ 기술 및 인력지원 관련 방향으로는 북한 인프라 시설물 점검․진단 기준 및 지침 마련,

북한 인프라 시설물 평가 시나리오 및 추진 프로세스 마련, 북한 인프라의 안전 및

유지관리 기술수요조사, 기술적인 지원 및 협력방안 도출, 남북 건설 인프라 관련 기술적

용어 표준화, 북한 건설기능인력의 교육 참여방안 및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도입 등을

제시하였음.

ㆁ 사업방식 및 재원조달과 관련된 전략적 방향으로는 정부 주도, 국내․외 민간자본 및

다국적 국가들의 국제협력기구에 의한 사업방식 제시, 북한 인프라 재원조달의 종류, 규모,

방법 등에 대한 체계 마련 등을 제시하였음.

ㆁ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공단의 단계별 추진전략과 방안으로는 첫째,

북한 인프라 시설의 전수조사 및 표본조사 수립계획 마련, 남북 시설물 안전관리 및

유지관리에 대한 통합 분류기준 및 지표 선정, 셋째, 남북 안전 및 유지관리 통합

관리체계 구축, 통일 추진시기별 안전 및 유지관리 마스터플랜 및 로드맵 수립을

제시하였음.

Page 19: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Page 20: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제 1 장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1.3 연구 목표 및 추진전략

Page 21: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Page 22: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3 -

제 1 장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다시 부각된 통일의 키워드에 대하여 남북을 포함한 동북아는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

양자간 혹은 다자간 협력의 시도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에게 북한은 경계의 대상이자 협력의 대상이라는 이중적 존재다. 북한은 대한민국과

정치․군사적으로 대결 상태에 있는 경계의 대상이며, 동시에 민족공동체를 위한 상호 협력의

상대이기도 하다. 실제로 2010년 천안함 침몰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북한은

군사도발로 우리의 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지만, 아이러니 하게도 앞으로 함께 미래

민족공동체를 건설해 나가야 하는 상호협력의 존재이기도 하다.

올해는 특히 광복 70년이자 분단 70년이 되는 기점에 있다. 이러한 한반도의 운명과도 같이

장기간의 분단이 지속되는 시대적인 상황에서 박근혜대통령은 2014년 1월 6일 신년인사에서

통일대박론을 제시하였고, 대한민국 정부, 산하기관, 연구기관, 언론, 정치권, 시민단체 및 학계

등에서 통일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또한 2014년 3월 28일「독일 드레스덴

선언의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구상」에서 “남북 공동번영을 위한 인프라(기반시설) 구축”에

대한 제안을 하였으며,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국토교통연구기획사업」중 “통일대비

효율적 북한 인프라 구축 및 관리를 위한 기술 개발 전략 구축”에 대한 기획과제가 추진 중에

있다.

2015년 8월 현대경제연구원 주관으로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북한 안보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한반도 통일시기 설문조사 결과, 현시점을 기준으로 10년~20년 사이에 통일이

가능하다는 다수의 의견들이 조사되었고, 통일방식에 대한 전문가들의 주요 답변으로는

남북합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 방식보다는 북한붕괴에 따른 통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대내외적 경제적 효과와 통일비용 저감을 위해서는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남북합의에 의한 통일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이에 따라 단기간 북한 자체

붕괴에 의한 통일 추진 방식보다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남한의 기술적․경제적 대내외지원에

의한 통일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같은 배경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먼저 현재 북한 인프라 시설물의 종합적인 전체 현황

파악과 그에 따른 시설물의 수준을 측정 및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북한 인프라 구축을 위한

안전 및 유지관리 측면의 수준을 비교 및 검토 후 남북 인프라 수준 균등화를 위한 방안을

Page 23: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4 -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국가시설 안전 및 유지관리 분야에서 공공 정책지원기관으로 특화되어

국내․외 국가기반시설물의 주요 점검 및 진단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공단의 인력, 조직 및

기술력을 극대화하여, 향후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통합 추진전략 및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Page 24: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5 -

1.2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 자료 “2014 북한의 주요통계지표”와 한국은행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남북 주요 시설물에 대한 현황조사를 실시하였고, 북한 관련 외부 전문가 및

북한이탈주민(새터민)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자료조사 및 수집을 위한

연구의 범위에 있어서 북한의 주요 SOC 인프라시설(도로, 철도, 항만, 공항, 댐, 수자원, 전력

및 통신, 주택 등)을 중심으로 시설물 분야별 수량, 규모, 특징에 대한 전체적인 현황조사를

실시하였고, 그에 따른 종합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프로세스는 5단계로 제시하였고, 1단계 이론적 고찰 및 남북 주요 통계지표

비교, 2단계 북한 주요 인프라 시설 분야별 현황조사, 특성 및 시사점 도출, 3단계 북한 인프라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비교검토, 4단계 북한 인프라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한

방안 도출, 5단계 통일대비 북한 인프라의 안전 및 유지관리 방향 제시로 제안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방법 및 절차에서는 아래 그림 1과 같이 제시하였으며,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림 1> 연구 흐름도

첫째, 1단계 이론적 고찰 및 남북 주요 통계지표 비교에서는 통계청 및 통일부 자료를

활용하여 남북 주요 경제지표 및 산업구조를 고찰하였고, 남북 시설물 분야별 통계지표를 분석

및 비교하였다.

Page 25: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6 -

둘째, 2단계 북한 주요 인프라 시설 분야별 현황조사, 특성 및 시사점 도출에서는 통계청,

한국은행 통계자료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북한 건설 관련 국내․외 외부 전문가를 통해

전문가 인터뷰 및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셋째, 3단계 북한 인프라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비교검토에서는 북한 인프라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을 비교검토하기 위하여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대인면접표본조사를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북한 인프라의 취약성․우선순위 개발중요도․위험수준․기술수준을

분석 및 평가하였다. 또한 이에 따라 최종 남북 및 주요선진국의 위험수준과 기술수준에 대한

비교 및 검토를 실시하였다.

넷째, 4단계 북한 인프라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한 방안 도출에서는 3단계에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국가․산업․시장․기술적 측면의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남북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한 공단의 역할과 기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5단계 통일대비 북한 인프라의 안전 및 유지관리 방향 제시에서는 향후 통일

시나리오에 따른 정책․제도․기술․인적자원․사업방식․재원조달에 전략적 방향을

수립하였고, 최종 공단의 추진 전략방안을 강구하였다.

Page 26: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7 -

1.3 연구 목표 및 추진전략

본 연구를 시작으로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최종목표는 남북의 건설

인프라를 일원화하여 남북공동번영을 위한 효율적 안전 인프라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향후 3단계 추진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1단계 추진전략으로 인프라에 대한 전수 및 표본조사 수립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이는

비공개 특수지역으로 분류되는 북한지역의 전체 인프라 현황, 상태 및 성능을 객관적으로

점검․진단하기 위하여 방법론 측면에서 조사 수립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세부내용으로는

인프라 시설(물)의 수량, 규모, 범위 및 상태 등에 대한 객관적인 파악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고, 이를 위해 다각적인 조사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2단계 추진전략으로 인프라 통합 분류기준 및 시설분야별 지표를 선정해야 한다. 이는

남북 상호간 비 표준화된 기준 및 지표를 일원화하기 위함이며, 세부내용으로는 남북 시설물의

품질, 성능, 구조,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의 통합분류기준을 세우고, 해당 시설 분야별 지표를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3단계 추진전략으로 국토시설 통합관리체계 구축 및 통일시나리오에 의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해야 한다. 이는 한반도 안전 및 유지관리 측면의 인프라 체계를 구축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통합정보시스템 개발, 추진시기별 인프라 마스터플랜 수립, 남북협력지원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그림 2>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단계별 추진전략

Page 27: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8 -

<그림 3> 연구 주요내용에 의한 추진전략도

본 연구의 당해연도 목표는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하여 북한 인프라의

안전 및 유지관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연구 주요내용에 의한 추진전략도는 아래 그림 3과 같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최종 연구성과로는 북한 인프라 상대적 취약성 수준, 개발중요도 수준, 북한 주요

인프라의 위험수준 및 기술수준, 남북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 방안 및 통일대비 공단의

기능 및 역할에 의한 시나리오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한반도 통일을 대비하여 남북의 주요 SOC를 포함한 국가기반 시설에 대해 현황

조사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실태와 수준을 파악하여 국가 차원의 통합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공단의 효율적․전략적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다. 또한 통일 시나리오에 따른 시설분야의

단계별 전략으로 남북 인프라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등에 대한 공단의 역할과 정책적

대안 제시를 최종 목표로 세우고자 한다.

Page 28: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제 2 장

이론적 고찰 및 남북 주요

통계지표 비교

2.1 기존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 고찰

2.2 남북 주요 경제지표 비교 및 분석

2.3 남북 산업구조 분야별 통계지표

비교 및 분석

2.4 소결

Page 29: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Page 30: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1 -

번보고서명 기관 목적 및 주요내용

발간

년도

1

통일을 대비한

북한 상하수도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연구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허지후)

목적 : 북한의 지역별 인구 및 상하수도 시설현

황 자료조사 및 해외 연구사례 통한 한반도 상

하수도 인프라 구축의 방향 제시2013

주요내용 : 북한 일반현황, 수자원 관련 기초정

보, 국내외 상하수도 사례연구, 북한 상하수도

인프라 현황 및 수요추정

2북한경제

쟁점분석

산업연구원

(이석기)

목적 : 2000년대 중후반 이후 북한의 경제실적

평가 후 문제점 논의

2013주요내용 : 경제실적 평가방법과 실적 근거 파악

(경제실적, 대외경제, 시장화, 북한의 인플레이

션 관점 분석 진행)

3

남북한

건설기술(항만

분야) 표준화

방안 연구

한국해양

수산개발원

(황진회)

목적 : 남북한 설계기준 및 공사시방서 등 이질

화 문제 해소를 위한 표준시방서(안) 마련

2010

주요내용 : 북한의 항만현황 파악, 항만기술용어 사

전 제작 및 법제도 비교분석(건설기술, 설계기준)

<표 1> 북한 인프라·경제 관련 선행 연구 및 내용

제 2 장 이론적 고찰 및 남북 주요 통계지표 비교

2.1 기존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 고찰

1) 북한 인프라관련 선행연구 요약 및 조사 결과

기존 북한 인프라관련 연구보고서를 조사 및 분석한 결과, 인프라와 관련한 국토, 항공,

교통, 철도, 상하수도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그 외에 건설기술, 산업 및 사업

기술, 물류, 시장 등에 관한 연구가 추진되어 왔다. 이를 통해 기존에는 전문분야별 단편적인

연구수행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건설 인프라뿐만 아니라 산업, 경제,

시장, 금융 등과의 융합 연구를 통해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age 31: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2 -

4

북한의

사업기술

발전경로와

수준 및 남북

사업연계

강화방안

과학기술

정책연구원

(김종선)

목적 : 북한산업의 특성 및 수준분석

2010주요내용 : 역사적 발전경로를 통한 북한의 산업

특성 파악 및 지속가능성 관점에서 수준별 남북

산업협력 방안 도출

5

북한경제의

시장화 실태에

관한 연구

통일연구원

(임강택)

목적 : 북한경제의 시장화 현상에 대한 예측 및

전망

2009주요내용 : 사회주의 국가의 시장화 특성 분석.

북한경제의 공식경제와 비공식경제 부문 간의

연관관계 파악을 통한 북한 시장화 현상 전망

6

남북

도로교통건설기

술 공통시방서

작성

한국교통

연구원

(권영민)

목적 : 교통 분야의 설계기준, 기술용어와 도로

교통 건설기술 이질성 극복

2008주요내용 : 도로법(2001)과 운수건설총서(1999)

기준으로 북한의 도로교통 현황 파악, 남한의 도

로건설기준과 북한의 도로건설편 설계기준 및

기술용어 비교 분석

7

남북한

물류체계 통합

활용방안(2차)

한국교통

연구원

(임재경)

목적 : 남북한 종합교통망 구축에 따른 주요 연

계지역 선정, 개보수 대상노선 선정 및 건설비

추정

2008주요내용 : 남북한 교통·물류 수요예측을 위해

육로이용 및 동해선 이용한다는 가정하에, 남북

한 간 도로·철도 수송용량과 시설소요 비용을

기준으로 건설비 산정함

8

대륙철도

연계를 위한

북한철도

현대화

기본계획 구상

연구

한국교통

연구원

(안병민)

목적 : 경제성, 사업의 실행가능성 등을 토대로

북한철도의 현대화 기준 정립 및 현대화 방안

마련

2008주요내용 : 철도 시설, 운영 현황 조사 분석을

통한 문제점 분석/현대화 방향 수립/현대화 사

업비 추정/단계별 건설방안 및 재원조달 방안/

철도 현황 프로그램 개발

Page 32: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3 -

9

북한지역

국토이용실태

조사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사공호상)

목적 : 북한 국토이용관련 자료의 필요성과 잠재

수요의 구체적 제시 및 국토이용실태 조사자료

를 통한 정책계획 수립

2006주요내용 : 다중공간데이터를 활용한 공간정보

생산방법 정립 및 위성원격탐사 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제시(한계극복 방안 : 새터

민 설문조사)

10

남북한 간 정기

항공운송

개시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통

연구원

(김제철)

목적 : 서울-베이징 노선의 평양 경유시 항공수

요 및 요금수준 추정

2006주요내용 : 서울-평양간 항공수요 처리가 가능

한 것으로 설정하여, 공유지 운송을 통해 발생되

는 항공수요 규모 및 가능성 예측 및 노선개설

에 따른 경제적 부담 규모 추정 및 남북한 간 정

기 운송을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조건 검토

Page 33: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4 -

순번 논문명 저자 주요내용발간

년도

1

극한지 외기온도 변화에

따른 철도터널 동결깊이

특성에 관한 연구(북한)

백승주

외 3명

북한 건설수준을 감안한 다각적 기후

영향 분석(동결깊이 시뮬레이션 및

특성 분석 등) 수행 결과 제시

2014

2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북한의 평성시와

함흥시의 도시공간구조

안재섭지리정보시스템 활용을 통한 도시공

간구조 파악2013

3

남북한 건설분야

협력사례 분석과 북한 내

산업단지 개발 방안

박용석

북한 건설 산업단지의 건설 수요를

추정함으로써, 향후 건설시장의 잠재

성장 가능성 확인 및 효과적 접근 방

안 마련

2010

4북한의 경제 구조 변화

요인 분석과 전망

홍순직

외 1명

인과관계 분석 및 VAR 모형을 통한

북한경제 전망 및 경제성장을 위한

개선 방안 제시

2010

5북한철도 건설인력

수준과 활용 방안 연구

홍천희

외 1명

북한철도 건설인력의 수준평가를 통

한 북한 건설시장의 건설인력 활용방

안 제시

2010

6

북한투자요인을 고려한

남북물류의 효과적인

추진 방안에 관한 연구

권원일

북한 투자를 위한 기업의 선호순위 및

우선순위 실증 분석을 통한 향후 남북

물류의 효과적인 추진 방향 제시

2008

7

개성공단 전력수요

전망과 효율적

공급방안에 관한 연구

이홍기

외 2명

개성공단의 확장개발에 따른 예상전

력 수요 산정 및 안정도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전력 공급방안 제시

2008

8

북한 경제특구 발전을

위한 북한 교통인프라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공중현북한의 교통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민자 사업방식 및 필요 전제조건 제시2007

9남북한 도로관리체계

상호연계방안 연구엄창용

남·북 도로연계 시 예상되는 문제점

도출 및 이를 통한 남·북 상호 연계

방안 제시

2005

10남·북한 전력사업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김순재

전력경제 차원에서 남·북 공동 전력

사업 방안 검토 및 통일 후 전력산업

정상화에 소요되는 추정 예산 제시

2001

<표 2> 북한 인프라·경제 관련 논문 및 주요내용

Page 34: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5 -

구분 기관명 비고

정부 및

공공기관

강원도 DMZ 정책담당관실, 국가정보원, 국방부, 남북회담, 농촌진흥

청,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안전행정부 이북5도위원회, 외교부, 외교통

일위원회,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 자유수호평화박물관, 정보화 마을,

청와대, 통일교육 평화로 미래로, 통일부,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통일

부 북한정보포털,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부 남북교류협력시스템, 통

일전망대, 한국관광공사,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은행, 한국은행 경제통

계시스템, DMZ박물관, DMZ 비무장지대, KORES-KOMIS 한국자원

정보서비스, KOTRA 글로벌 윈도우

28개

연구기관

국립외교원, 남북사회통합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동북아·북한

연구센터, 동아시아연구원, 미래전략연구원, 미래정책연구소, 북한연구

소, 북한자원연구소, 북한지역정보넷, 산업연구원, 삼성경제연구소, 세

종연구소, 에너지경제연구원, 코리아 연구원, 통일연구원, 평화문제연

구소,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국방연구원, 한국농촌경제

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전략문제연구소, 북한과학기술네트

워크

24개

<표 3> 북한 관련 국내 전문기관 전체 목록

2) 국내 북한 관련 전문기관 조사 결과

국내 북한관련 대북지원, 사업 및 연구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기관은 총 114개로 조사되었고,

본 보고서에 수록되지 못한 민간 건설업체 및 기관을 포함하면 최소 150개 이상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114개 전문기관 중에서 정부 및 공공기관으로는 청와대, 통일부 및 외교부를 포함한

28개 관계기관이 있고, 사회․문화․경제․정책․국방 등에 대한 주요 연구기관으로는

통일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등 24개 연구기관이 있으며, 대학 및 대학원은 경남대학교,

서울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등 21개 관련 연구소가 조사되었다. 또한 언론기관으로는 KBS,

MBC, YTN 등 12개 기관이 있고, 민간단체로는 남북하나재단, 경실련, 평화통일시민연대 등

29개 민간지원단체가 있으며, 기업체는 현대아산을 포함한 4개소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35: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6 -

대학·대학원

(연구소)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고려대학교 북한학과, 고려대학교 아세아

문제 연구소, 고려대학교 평화․민주주의 연구소, 동국대학교 북한학

과, 명지대학교 북한학과,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문화재자료관, 건국

대학교 북한축산연구소,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북한·통일정책학

과,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선문대학교 동북아학과, 연세대학교

북한연구원·대학원, 영남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이화여대대학원 북한

학과,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북한개발협력

학과, 중앙대학교 민족통일연구소, 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한양

대학교 국가전략연구소,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1개

언론기관

KBS 남북의 창, Daily NK, 미주통일신문, 북한 연합뉴스, 자유북한방

송, 중앙일보 북한네트, 통일뉴스, 통일신문, 한겨레통일문화재단,

KBS 통일방송연구, MBC 통일전망대, NK조선

12개

민간단체

겨레하나, 경실련통일협회,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 한국협회, 국제옥수

수재단, 김대중평화센터, 남북나눔운동, 남북하나재단, 남북함께살기운

동, 남북문화통합교육원, 민족통일중앙협의회, 민족화해, 민족화해협력

범국민협의회, 북한인권 시민연합, 북한인권정보센터, 북한지하자원넷,

사람을 보내는 기아대책, 어린이어깨동무,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월

드비전, 인구보건복지협회, 좋은 벗들, 통일맞이, 평화를 만드는 여성

회,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평화의 숲, 평화재단, 평화통일 시민연

대,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한민족복지재단

29개

기업체 남북교역주식회사, 민족21, 아시아저널, 현대아산 4개

Page 36: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7 -

2.2 남북 주요 경제지표 비교 및 분석

통계청 “2014 북한의 주요통계지표1)”에 의하면 북한 국토면적은 123,138㎢으로 남한에 비해

23% 더 넓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반면 인구 규모는 24,545,000명으로 남한대비 약 50% 정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북한 투자개발 계획 시 경제적 낙후와 인구대비 국토의

밀도를 고려함에 있어서 대규모 건설 투자개발이 가능하고, 남북 상호의 지역적인 교류

활성화를 위해 사회기반 인프라 시설의 확장에 대한 궁극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리고 북한 국민의 실질적인 소득을 가늠할 수 있는 전체 GNI2)는 남한에 비해 33조

8,440억원으로 약 2% 정도 수준이고, 1인당 GNI는 138만원으로 남한에 비해 5% 수준으로

나타나 현저한 경제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무역지표에서도 북한은

73억불로 남한에 비해 극히 저조한 1% 정도의 교역량을 보이고 있다. 아래 표4 에서는 주요

경제지표에 따른 남북의 현황과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경제지표 단위 남한 북한남한대비

북한비율3)

국토면적 ㎢ 100,188 123,138 1.229

인구 천명 50,220 24,545 0.489

경제성장률 % 3.0 1.1 0.367

GNI 십억원 1,441,064 33,844 0.023

1인당 GNI 만원 2,870 138 0.048

무역 억불 10,752 73 0.007

자동차 천대 4,521 4 0.001

석탄 천M/T 1,815 26,600 14.656

철광석 천M/T 663 5,486 8.275

시멘트 천M/T 47,291 6,600 0.140

발전설비용량 천kw 86,969 7,243 0.083

발전전력량 억kwh 5,171 221 0.043

<표 4> 남북 주요 경제지표 현황 및 비율 비교

1) 본 자료는 통계청(2015)의 “2014 북한의 주요통계지표” 참조로 작성하였음

2) GNI: Gross National Income로써 한 나라의 국민이 일정기간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벌어들인 소득의 합계이며, 실질적

인 국민소득을 측정하기 위하여 교역조건의 변화를 반영한 소득지표임

3) 남한대비 북한비율=북한/남한으로 표기할 수 있으며, 남한 기준에 대한 북한의 비율을 수치화 한 것임. 데이터 값은 1을 기

준으로 하여 >1 경우에는 비율이 높음을 나타내고, <1 경우에는 비율이 낮음을 나타냄

Page 37: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8 -

남북 주요 경제지표의 비교를 통해 남한 대비 북한의 비율을 검토한 결과, 석탄(14.656),

철광석(8.275) 및 국토면적(1.229)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향후 통일 추진 시 북한의

자원과 국토 면적을 활용할 수 있는 우선지표로 예측이 가능하다.

그리고 표 4의 남북 주요 경제지표를 아래 그림 4와 같이 도식화 하였으며, 이를 통해

통일준비과정에서 남북 상호간 급격한 산업 및 경제적 격차를 줄이는 것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고, 이는 곧 통일을 추진함에 있어 천문학적으로 추정되는 통일비용 절감으로 연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4> 남북 주요 경제지표 현황 비율 도식화

Page 38: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9 -

2.3 남북 산업구조 분야별 통계지표 비교 및 분석

통계청 자료 “2014 북한의 주요통계지표4)”에 따라 남한 및 북한의 산업구조 분야별

통계지표 항목에 대해서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산업구조의 비중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최근 7년 동안 산업별 평균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남한은 서비스업(59.9%), 광공업(28.4%),

건설업(5.3%), 농림어업(2.5%), 전기/가스/수도업(2.1%)의 순위로 나타났으며, 북한은

광공업(35.0%), 서비스업(31.2%) 농림어업(21.9%), 건설업(8.1%), 전기/가스/수도업(3.8%)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남한은 주로 서비스업의 산업비중이 높은 반면에 북한은 농림어업 및

광공업의 산업비중이 높은 것으로 알 수 있다. 그리고 북한의 건설산업 비중이 남한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이는 남북 건설규모와 시설 수준에서 상대적으로

비교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최근 남북 모두 건설업이 차지하는

산업비중은 점점 감소추세에 있으나 통일추진 시 건설업의 비중은 다시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남북

항목

남한5) 북한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국내총생산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 2.7 2.5 2.6 2.5 2.5 2.5 2.3 21.2 21.6 20.9 20.8 23.1 23.4 22.4

광공업 28.4 28.8 28.9 30.9 31.6 31.2 31.3 31.3 34.6 34.8 36.3 36.5 35.9 35.7

(광업) 0.1 0.1 0.1 0.1 0.1 0.2 0.2 11.4 12.1 12.7 14.4 14.6 14.0 13.6

(제조업) 28.2 28.6 28.7 30.7 31.4 31.0 31.1 20.0 22.5 22.1 21.9 21.9 21.9 22.1

(경공업) 0.1 0.1 0.1 0.1 0.1 5.3 5.3 6.5 6.7 7.0 6.6 6.5 6.7 6.8

(중화학공업) 0.1 0.1 0.1 0.1 0.1 25.7 25.8 13.5 15.8 15.2 15.3 15.4 15.2 15.4

전기/가스/수도업

2.4 1.7 2.0 2.2 2.0 2.1 2.3 4.6 3.4 4.1 3.9 3.1 3.5 4.1

건설업 6.2 5.8 5.7 5.1 4.8 4.8 5.0 8.8 8.3 8.0 8.0 7.9 7.8 7.8

서비스업 60.3 61.2 60.7 59.3 59.1 59.5 59.1 34.1 32.2 32.1 31.0 29.4 29.4 30.0

(정부) 10.3 10.2 10.2 10.0 10.1 10.5 10.6 24.0 22.8 22.8 22.4 21.2 21.3 21.7

(기타)7) 50.0 51.0 50.5 49.3 49.0 49.0 48.5 10.1 9.4 9.3 8.6 8.1 8.2 8.4

<표 5> 남북 산업구조 분야별 통계지표 비교

4) 산업구조의 기본단위는 %이며, 출처는 2014년 한국은행「http://ecos.bok.or.kr>국민계정」과 통계청 2014년 북한의 주요통

계지표를 참조하였음

5) 남한의 산업 분야별 명목들은 총 기초가격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하였음

6) 북한의 산업 분야별 명목들은 명목GDP에서 차지하는 각 산업별 생산액의 비중을 나타낸 것임. 또한 남한의 가격, 부가가치

율, 환율 등에 의한 추정됨에 따라 여타 나라들과 직접 비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7) 도소매 및 음식숙박, 운수 및 통신, 금융보험, 부동산 등을 포함하고 있음

Page 39: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20 -

2.4 소결

본 장에서는 북한 관련 국내․외 문헌조사, 선행연구 고찰 및 전문기관 현황 등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목적 및 주요내용을 요약하였고, 현재 정부기관을 포함한 국내

관계기관의 전체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그에 대한 한계점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남북

인프라 수준을 간접적으로 이해하고, 환경 및 여건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남북 경제지표와

산업구조별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 고찰에서는 기존 북한 관련 연구보고서, 학술지 및 논문 등을

참고하여 연구의 흐름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전문분야별 단편적인 연구가 수행되고 있고,

안전 및 유지관리 측면의 통합 인프라 구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에는 개별로 연구가 추진되고 있는 인프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국내 북한 관련 전체 전문기관을 조사한 결과, 약 150여개의 기관을 중심으로

대북지원, 사업 및 연구가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고, 정부 및 공공기관, 연구기관, 학계, 언론

및 민간단체 등 다양한 주체들이 통일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북 주요 경제지표 비교 및 분석에서는 국토면적, 인구, 경제성장률, 철광석 및 석탄

등 주요 12개 지표를 참고로 하여 각각의 현황을 비교 및 검토하였고, 이를 통해 통일을

대비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남북 산업구조 분야별 통계자료 비교 및 분석에서는 농림어업, 광공업, 서비스업,

전기/가스/수도업, 건설업 등을 중심으로 산업별 평균 점유율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남한은

주로 서비스업의 산업비중이 높은 반면, 북한은 농림어업 및 광공업의 산업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산업구조 격차를 줄이기 위한 대안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age 40: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제 3 장

북한 주요 인프라 시설 분야별

현황조사, 특성 및 시사점

3.1 북한 인프라 스톡 변천사

3.2 대상 시설물의 분류기준 및 범위 선정

3.3 북한 인프라 시설 분야별 현황조사 및 특성분석

Page 41: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Page 42: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23 -

제 3 장 북한 주요 인프라 시설 분야별 현황조사, 특성 및 시사점

본 장에서는 북한의 주요 인프라 현황을 파악하고, 시설분야별 특성 및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통계청, 한국은행 통계자료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북한 건설 관련 국내․외

외부 전문가를 통해 전문가 인터뷰 및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최근 탈북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내용으로는 북한 인프라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스톡의 변천사를 정리하였고,

대상 시설물의 분류기준 및 범위를 선정하였으며, 8개 주요 인프라 시설물(도로, 철도, 항만,

공항, 전력 및 통신, 수자원, 공공시설, 주택 등)에 대하여 현황조사 및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북한 인프라의 종합적인 분석 및 평가결과를 제시하였다.

3.1 북한 인프라 스톡 변천사8)

본 연구에서는 북한 인프라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사전단계로서 건설 인프라의 시대적인

흐름을 이해하기 위하여 인프라 스톡에 대한 변천사를 정리하였고, 그에 따른 북한 인프라의

시기별 건설유형, 제반사항, 관리 및 운영 등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였다.

북한 인프라 스톡의 변천사를 조사하기 위한 방법으로 국내․외 전문가 및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인터뷰 내용을 정리 및 분석한 결과, 북한 인프라

스톡은 1945년을 기준으로 현재 2015년에 이르기까지 크게 3가지 흐름으로 유추가 가능하다.

먼저 1945년부터 1970년까지는 “북한 인프라 복구 및 구축 완료”된 단계로 정의내릴 수 있고,

1970년부터 2000년까지는 “북한 인프라 파괴 및 붕괴 시작” 단계로 요약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2000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는 “북한 인프라 노후 및 쇠퇴 가속화” 단계로

정리할 수 있다.

8) (사)북한발전연구원 및 북한개혁방송을 운영하고 있는 김승철대표의 “북한의 건설 인프라 개요 및 현황 소개” 자료에서 부분

인용하여 내용을 재구성하였음

Page 43: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24 -

다음의 그림 5에서는 북한 인프라 스톡의 시기별 변천사에 대한 흐름을 나타내었고, 북한

인프라 스톡의 특성에 관한 세부 관련 내용은 아래와 같다.

<그림 5> 북한 인프라 스톡의 변천사

(1) 해방 후 인프라 복구, 국유화 및 정상화(1945년~1950년)

○ 북한 임시정부 수립, 토지개혁, 산업국유화 및 산업시설 복구로 국가체제 수립

○ 1948년~1949년 국가 기본 인프라 복구 및 정상화 가동

(2) 한국전쟁 및 사회주의국가 인프라 지원(1950년~1953년)

○ 3년간 한국전쟁으로 인해 북한 지역 전체 산업시설 및 기반시설 초토화

○ 북한 인프라 재건을 위한 동유럽국가․동북아 지역의 기술 및 자재 원조 추진

(3) 전후 복구 건설 및 인프라 기반 도입기(1954년~1960년)

○ 사회주의국가들로부터 약 14억 3천만달러 무상원조 지원

○ 북한 대도시 중심으로 공장, 병원, 연구소, 살림집 및 SOC 등 건설지원

○ 전후 복구 건설 완료 및 북한 SOC의 기본적 토대 마련

Page 44: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25 -

(4) 사회주의기반 인프라 건설 부흥기(1960년~1970년)

○ 북한 계획경제의 고속성장 시기, 경제적 부흥기 및 사회주의 공업화 완성

○ 도로, 철도, 통신, 상하수도, 항만 등 국가 인프라 현대화

○ 과학, 산업기술 및 제도 정비 및 발전(유럽 사회주의 국가 수준 근접)

(5) 계획경제 왜곡 및 인프라 건설 쇠퇴기(1970년~1980년)

○ 1950년대 건설된 SOC 노후 시작 및 국가적 투자 미흡

○ 사회주의국가와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프라에 대한 기술 및 설비도입 감소

○ 도로, 철도, 전력, 통신 등에서는 신규건설, 현대화, 보수 등 지속

(6) 경제 침체 본격화 및 인프라 건설 침체기(1980년~1990년)

○ 전력, 연료, 교통의 수급부족, 주택 노후화 등 본격적인 SOC 문제점 발생

○ 전국 대도시에서 온수난방, 상하수도, 전기 공급의 수급불능으로 국가적 위기

○ SOC 부실시공 및 도로, 철도, 탄광, 산업시설, 아파트 등 대형사고 빈발

(7) 인프라 노후화 가속 및 기능 상실기(1990년~1995년)

○ 철도, 도로 등 대형사고 증가 및 전력계통의 송전선 절단사고 빈발

○ 평양을 제외한 대도시(함흥, 청진, 남포 등) 3층 이상 상수도 공급 불능

○ 북한의 행정, 경제 및 국가 인프라 관리 올스톱

(8) 인프라 파괴 및 붕괴, 고난의 행군 시기(1995년~2000년)

○ 전국적 식량난으로 대규모 아사자 발생 및 선군정치 시작

○ 북한주민들의 식량마련을 위한 인프라 설비 및 자재 등 대규모 절도/파손 발생

○ 북한 철도, 전력 및 통신, 상하수도 등 대부분의 SOC 기능 마비 및 붕괴

(9) 부분적 인프라 재건 및 후유증 발생(2000년~2005년)

○ 남북관계개선, 국제사회 및 중국의 지원 등을 통해 경제 환경 부분적 개선

○ 부분적으로 SOC 시설보수, 현대화 착수 대비 경제적 기술적 능력 미흡

○ 주택, 운수, 교통 등 형식적인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의 변화 움직임 시작

Page 45: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26 -

(10) 인프라 복구 지속적 악화 및 파괴(2005년~2010년)

○ 2005년 사적 경제활동 활성화로 김정일 정권의 경제관리개선조치 중단

○ 국가적 투자대상에서 경제문제 제외로 인해 인프라 지속적 악화 및 파괴

○ 중국산 기술, 설비 및 자금 유입으로 부분적 인프라 효과 발생

(11) 특정 인프라 건설 추진 및 사고발생 증가(2010년~현재)

○ 2012년 4월 김정은정권의 사회주의 문명국 건설 주장

○ 놀이공원, 스키장, 승마장 등 위락시설과 치적건설에 집중에 비해 성과 미비

○ 속도전 방식의 날림식건설 지속, 기술과 설비의 노후화로 인한 붕괴사고 급증

○ 김정은 정권의 이념과 정치, 행정과 경제방식으로 북한 인프라 재건 불가능

Page 46: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27 -

3.2 대상 시설물의 분류기준 및 범위 선정

본 연구에서는 북한 인프라의 실태와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우선 대상 시설물의 분류기준

및 범위를 선정하였다.

분류기준 및 대상범위에 있어서는 통일을 대비하여 현재까지 위험도 및 중요도가 크고, 향후

통일 추진 시 반드시 경제성 및 개발 우선순위가 높다고 판단되는 시설물로 한정하여 대상

시설 범위를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대상시설물의 검토기준에 있어 먼저, 북한 정보포털, 통계청 북한 자료 및

통일부(2015년)에서 제시하고 있는 북한의 주요 인프라 시설물을 대상으로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댐 등의 국가기반 주요 인프라 시설물을 선정하였고, 그 외 북한 관련 전문기관, 연구원,

학교, 민간단체 등의 주요 전문가 및 최근 탈북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견

수렴에서 시설이 취약하다고 판단되는 전력 및 통신, 수자원 분야를 추가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 북한 인프라 대상 시설물에는 국가기반 주요 SOC 및 생활기반 지원시설을

추가하여 총 8개 시설군으로 압축하였고, 아래 그림 6과 같이 도로, 철도, 항만, 댐, 공항, 전력

및 통신, 수자원, 건축물로 제시하였다.

<그림 6> 북한 인프라 대상 시설물의 기준 및 범위

Page 47: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28 -

3.3 북한 인프라 시설 분야별 현황조사 및 특성분석

3.3.1 북한 주요 인프라 시설 현황

1) 북한의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 특징

남한의 도로가 고속도로, 국도, 특별광역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 등으로 세분화되어

구분되어 있는 반면에 북한의 도로등급체계는 크게 고속도로와 일반도로 1급~5급 도로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도로의 성능과 안전도 측정 시 기준이 되는 포장율에 있어서 남한의

포장율이 80%에 육박하는 반면 북한은 26%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7> 북한의 고속도로 전경 <그림 8> 북한의 일반도로 전경

남한 북한도로 총연장 고속도로 길이 도로 총연장 고속도로 길이

1995 74,237 1,825 23,339 6441996 82,342 1,886 23,369 6821997 84,968 1,889 23,377 6821998 86,990 1,996 23,407 6821999 87,534 2,040 23,479 7242000 88,775 2,131 23,633 7242001 91,396 2,637 23,963 7242002 96,037 2,778 24,449 7242003 97,253 2,778 24,879 7242004 100,278 2,923 25,185 7242005 102,293 2,968 25,495 7242006 102,061 3,103 25,544 7242007 103,019 3,368 25,600 7242008 104,236 3,447 25,800 7522009 104,983 3,776 25,854 7272010 105,565 3,859 25,950 7272011 105,931 3,913 26,110 7272012 105,703 4,044 26,114 7272013 106,414 4,111 26,114 727

<표 6> 남북 도로 총연장 및 고속도로 통계지표

Page 48: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29 -

2) 북한의 교량 및 터널 특징9)

북한 교량은 남한 교량 설계하중의 43.2톤에 비해 절반이상이 줄어든 30톤으로 설계하중

기준이 제시되어 있으나 현지 실태조사 점검결과, 1989년에 준공하여 주부재 손상, 포장불량

등 내구성 저하가 심각한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터널시설의 실태조사 결과에서도

이중구조로 누수가 심하고, 방수 및 배수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명시설 낙후 및

환기시설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9> 북한의 교량시설 전경 <그림 10> 북한터널시설 내․외부 전경

3) 북한의 도로 포장 및 사면 특징

북한 도로포장은 대부분 5㎝로 나타났으며, 일부구간에서는 10㎝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노반지지력이 부족하여 포장의 파손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표층과 노상사이에 존재하여

하중분산과 동상방지(凍上防止)를 하기 위한 노반(roadbed)의 1m 구간에 대하여 반드시

개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면에서는 절토부 일부 사면에 전단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고, 낙석의 위험도가 높은 구간이 다수 발견되었다.

<그림 11> 북한 도로포장 및 보수 전경 <그림 12> 북한의 사면 전경

9) 2007년 10월 4일 남북정상간 상호합의를 통하여 그해 12월 11일부터 27일까지 통일부, 국토부, 한국도로공사는 합동 TFT

를 구성하였고, 남북공동으로 개성에서 평양까지 168㎞의 고속도로를 1차 및 2차에 걸쳐 현지실태조사를 실시하였음. 주요

거점 지역으로는 개성, 박연, 평산, 사리원, 송림, 평양을 대상으로 하였고, 주요 시설물은 고속도로 1개소, 교량 77개소, 터

널 18개소, 진출입 16개소, 휴게소 1개소에 대한 합동조사를 수행하였음.

Page 49: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30 -

4) 북한의 배수 및 부대시설 특징

북한 배수시설의 현지 실태조사 점검결과, 암거는 바닥세굴 및 파손으로 현저한 기능 저하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배수시설은 설치개소가 부족하고 노후화로 인하여

기능이 상실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도로 인근의 부대시설 및 휴게시설

실태조사에서도 표지판 등 부대시설 규격 및 설치개소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휴게소는 이용률 및 사용률의 감소로 인하여 소규모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13> 북한 배수시설 전경 <그림 14> 북한 부대 및 휴게시설 전경

5) 북한의 전력 및 통신시설 전경

2013년 기준 북한의 발전설비 용량은 724만 3천kW로 남한 발전설비 용량 8,696만 9천kW의

약 8% 수준으로 나타났고, 북한의 발전 전력량은 221억kWh로 남한 5,171억kWh의 약 4%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10) 이에 따라 북한의 경제 재건을 위해서는 에너지 및 전력 기반의

개선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고, 송배전 설비의 현대화 및 장거리 초고압 송전선로 등의

건설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15> 북한의 송전선 사례 <그림 16> 북한 유선통신 전화선 전경

10) 본 자료는 통계청(2014)의 “2014 북한의 주요통계지표” 참조로 작성하였음

Page 50: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31 -

6) 북한의 철도 및 관련시설 특징

북한 철도의 현황조사 결과, 여객수송은 약 60%를 차지하고 화물수송은 약 90%를 철도가

분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철도망은 산악지형이 많아 산맥을 경계로 하여 동서로

양분되어 개발되었으며, 철도노선은 10여개의 기간노선과 90여개의 지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압록강과 두만강을 기점으로 신의주, 남양, 만포, 두만강 등 4개

국경철도 노선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북한에서의 철도가 차지하는

중요도를 분석해보면 산지가 많은 지형적 특성과 남한으로 봉쇄된 연안해운의 한계로 인하여

대량수송이 가능한 철도건설에 집중되고 있는 특징을 파악할 수 있으며, 여객수송보다는

공업용 원자재, 농수산물 운송을 전담하는 산업철도의 기능이 더 확장된 것으로 알 수 있다.

그리고 북한의 철도망 연장은 5,299㎞로 추정되고, 전철 총연장은 4,229㎞로 약 80%를

차지하며, 지하철의 연장은 34% 수준이다. 그러나 다양한 교통수단 중에서 철도 분야의

의존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철도망 연장의 97%가 단선구간으로 이루어져 있고, 전철의

경우에는 평균속도가 30~50㎞/h(산악지대는 15㎞/h)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의선을 중심으로 철도의 실사현황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구간에서 유지보수 미흡으로

인한 레일, 침목, 도상상태 불량으로 궤도(선로) 전체의 갱환이 필요하며, 현재 북한

열차운행이 저속이므로(평균 44㎞/h, 최고 57㎞/h) 최소한의 안전조치를 할 경우 단기적인

열차운행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7> 북한의 노후 철도 침목 사례1 <그림 18> 북한의 노후 철도 침목 사례2

<그림 19> 북한 탄광석 객차 수송 전경 <그림 20> 북한 화물 수송 객차 전경

Page 51: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32 -

남한북한

철도키로 궤도연장1995 3,101 6,554 5,1121996 3,120 6,559 5,1121997 3,118 6,580 5,2141998 3,125 6,683 5,2141999 3,119 6,667 5,2142000 3,123 6,706 5,2142001 3,125 6,820 5,2242002 3,129 6,845 5,2352003 3,140 7,530 5,2352004 3,374 7,746 5,2352005 3,392 7,872 5,2352006 3,392 7,890 5,2352007 3,399 7,950 5,2422008 3,391 7,981 5,2422009 3,378 7,991 5,2422010 3,557 8,426 5,2652011 3,559 8,428 5,2982012 3,572 8,419 5,2992013 3,590 8,456 5,299

<표 7> 남북 철도 총연장 통계지표

※ 단위 : km※ 출처 : 2014년 (남)한국철도공사 「철도통계연보」, (북)통계청

남한 북한

전철총연장 전철화율 전철총연장 전철화율2000 668.7 21.4 4,189.0 80.32001 668.7 21.4 4,211.0 80.62002 668.7 21.4 4,211.0 80.42003 682.5 21.7 4,211.0 80.42004 1,588.4 47.1 4,211.0 80.42005 1,699.9 49.2 4,211.0 80.42006 1,818.4 53.6 4,211.0 80.42007 1,817.8 53.5 4,211.0 80.42008 1,843.4 54.4 4,211.0 80.42009 1,889.0 55.9 4,211.0 80.42010 2,417.0 60.4 4,229.0 80.32011 2,357.7 66.2 4,229.0 79.82012 2,445.3 68.5 4,229.0 79.82013 2,453.8 68.3 4,229.0 79.8

<표 8> 남북 전철 총연장 및 전철화율 통계지표

※ 단위 : km, %※ 출처 : 2014년 (남)한국철도공사 「철도통계연보」, (북)통계청

Page 52: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33 -

남한 북한1998 323.4 34.01999 398.0 34.02000 433.1 34.02001 433.1 34.02002 433.1 34.02003 433.1 34.02004 453.6 34.02005 503.1 34.02006 523.6 34.02007 523.6 34.02008 523.6 34.02009 550.6 34.02010 550.6 34.02011 585.8 34.02012 596.9 34.02013 615.0 34.0

<표 9> 남북 지하철 총연장 통계지표

※ 단위 : km※ 출처 : 2014년 (남)국토교통부「http://stat.molit.go.kr>도시철도 운영현황」, (북)통계청

남한 북한기관차11) 객차 화차 기관차 객차 화차

1995 2,195 1,714 14,330 1,162 1,048 21,1301996 2,362 1,726 14,048 1,153 1,045 21,2711997 2,589 1,718 13,952 1,140 1,010 20,2241998 2,896 1,644 13,395 1,130 967 19,1231999 2,915 1,476 13,122 1,119 1,132 18,1192000 2,862 1,455 13,224 1,119 1,041 17,9322001 2,850 1,421 13,413 1,168 1,066 18,0672002 2,851 1,454 14,113 1,161 1,154 18,0912003 3,039 1,495 14,450 1,180 1,599 18,1862004 3,013 1,294 14,286 1,192 1,601 18,2262005 3,029 1,272 13,817 1,217 1,799 18,8652006 3,252 1,251 13,178 1,227 2,043 19,1772007 3,226 1,226 13,183 1,224 2,228 19,5102008 3,179 1,207 13,105 1,223 2,227 21,3342009 3,198 1,167 12,843 1,202 2,272 22,2112010 3,267 1,127 12,755 1,180 2,180 22,9522011 3,286 1,080 12,705 1,166 2,129 23,6362012 3,308 1,020 12,570 1,177 2,056 24,7782013 3,443 1,023 12,192 1,168 2,102 24,896

<표 10> 남북 철도차량 보유대수 통계지표

※ 단위 : 대, 출처 : 2014년 (남)한국철도공사 「철도통계연보」, (북)통계청

11) 동차 및 전동차 포함

Page 53: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34 -

3.3.2 북한 주요 인프라시설의 실태 및 운영특성

1) 북한 교통의 개념 및 특성12)

북한 “조선말대사전”13)에서 교통은 길이나 철도, 항로 등으로 사람이 래왕하거나 각종 운수

수단으로 사람과 짐이 오고 가는 것으로 정의 내리고 있다. 그리고 교통과 함께 운수라는

용어도 함께 사용되고 있는데, 운수는 사람이나 짐을 일정한 수송수단을 리용하여 나르는 일,

또는 그런 것을 분업으로 하는 인민경제의 한 부문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조선지리전서”에서는 교통을 일정한 수송수단을 리용하여 화물과 여객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옮기는 것을 전문으로 하는 인민경제의 한 부문으로 정의하고 있다.14)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북한에서의 교통 분류와 특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교통을 분류하면 철도교통,

자동차교통, 수상교통, 항공교통으로 구분되며, 북한 교통의 주요 특성으로는 첫째, 수상교통의

운송속도가 철도교통보다 높고, 둘째, 운송형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가 노동생산성이라는

시각, 그리고 자동차교통의 노동생산성이 가장 낮다는 평가는 우리와는 매우 다른 시각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북한 도로의 실태 및 운영특성

북한의 도로는 철도역과 주변지역간의 연결기능을 담당하며 주로 단거리 운송 위주로

건설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3년 기준 북한의 도로 총연장은 26,144km이며

고속도로는 727km로 나타났고, 남한의 도로 총연장 106,414km 및 고속도로 4,111km에 비해

각각 24.6%, 17.7%에 불과하다. 그리고 품질측면에서도 고속도로를 제외한 북한의 도로

포장률은 26%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간선도로 대부분이 왕복 2차선 이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한의 고속도로는 8개 노선, 총연장 727km로 평양~개성,

평양~향산(묘향산),평양~남포 등 주요 구간만이 아스팔트 포장으로 조사되었다.15)

통계지표에 의해 남북 전체 도로 총연장 및 고속도로 연장을 조사한 결과, 1995년에는 도로

총연장이 97,576km(고속도로 2,469km)로 나타났고, 최근 2013년에는 132,528km(고속도로

4,838km)로 파악되었다. 이는 한반도 도로 및 고속도로연장이 과거에 비해 각각 35.8%,

95.9%로 증가한 것으로 알 수 있다.

12) 안병민, “교과서에 안 나오는 북한의 교통 이야기”, 2015, p.6~7.

1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언어학을 연구하는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에서 1992년에 사회과학출판사 명의로 발간된 문화

어 국어사전

14) 차석칠 외, “조선지리전서(경제지리)”, 교육도서출판사, 1990, p.321.

15) 통계청, “2014 북한의 주요통계지표”, 2014.

Page 54: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35 -

북한의 도로망은 크게 5개 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서해축 노선, 동해축 노선, 동서연결축

노선, 북부내륙측 노선, 동서국경축 노선이 있다. 그리고 북한의 도로를 등급으로 구분하면,

1급도로는 중앙의 수도와 도 사이를 연결하고, 2급도로는 도와 도 사이를 연결하며, 3급도로는

도와 군, 군과 군 사이를 연결한다. 또한 4급도로는 군과 리 사이를 연결하고, 5급도로는 리와

리 사이를 연결하며 마지막으로 6급도로는 리 안의 마을과 마을을 연결하는 도로로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3) 북한 철도의 실태 및 운영 특성16)

북한 육상수송의 대표적인 특징은 ‘주철종도(主鐵從道)’로 요약할 수 있다. 이는 철도가

육상수송의 중심이고 도로수송이 이를 보조하는 수단으로 해석할 수 있다. 2013년 말 현재

북한의 철도 총연장은 5,299Km이며 이중에서 약 79.8%가 전철화 되어 한국의 68.3%에 비해

전철화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북한의 교통수단이 철도를 중심으로 형성된 가장 큰

이유는 험준한 산악지형이 많은 지리적 여건으로 장거리 수송에서 타 수송수단에 비해

효율적이고, 대량수송 및 규칙적인 수송이 가능하며, 수송시간과 수송원가에서 적합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교통축 노선 구간 연장(km)

서해안축

경의선 개성~신의주 411.3황해청년선 사리원~해주 100.3

평남선 평양~평남온천 89.6평덕선 평양~덕천~구장청년 192.3평북선 정주~청수 120.7만포선 순천~만포국경 303.4

동서횡단축

평원선 평양~고원 212.7청년이천선 평산~세포청년 140.9

혜산만포청년선 혜산~만포국경 250.2금강산청년선 안변~금강산 102.5

동해안축

평라선 평양~나진 781.1강원선 고원~평강 14.1신흥선 함흥~부전 91.5허천선 단천~홍군 80.3금골선 여해진~금골 63.4

백두산청년선 길주~혜산 141.6함북선 반죽~회령~나진 326.9무산선 고무산~무산 57.9

<표 11> 북한의 주요 철도망 현황

※ 출처: 한국교통연구원 자료 및 통일부 북한정보 포털에서 자료 인용

16) 안병민, “교과서에 안 나오는 북한의 교통 이야기”, 2015, p.14~32.

Page 55: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36 -

그리고 북한은 화물수송의 90%, 여객수송의 62%를 철도가 분담하는 철도 중심의

운송시스템 체계를 갖추고 있으나, 98%가 단선이며 70% 이상이 일제시대에 건설되어 개보수

부진에 따른 시설 노후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북한 열차(화물열차)의 평균

속력에서도 30Km 이하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4) 북한 항만의 실태 및 운영 특성17)

북한의 항만은 광복 이전 일제의 전쟁수행을 위해 일본과 한반도를 연결하는 거점으로

개발되었다. 한국전쟁 중 대부분 파괴되었으나 이후 구 소련과 중국의 원조로 복구되었다.

북한은 무역항으로 남포항, 흥남항, 청진항, 원산항, 해주항, 송림항, 나진항, 선봉항 등 8개를

지정하고 있으며 무역화물 수송의 절반 이상을 담당하고 있다.18) 북한에서는 내륙수운 즉

강하천 운송을 자연물길(강하천, 호수)과 인공물길(운하, 갑문있는 강하천, 저수지 등)을

이용하여 여객과 짐을 실어 나르는 수상운수로 정의하고 있다.

항명하역능력

(만톤)

접안능력

(만톤)

수심(M)

부두연장(M)

주요 취급화물 대외항로무역비중(%)

남포 1,351 2 9~11 4,000 석탄, 시멘트, 일반잡화상해, 대련, 동남아,

중동, 아프리카, 유럽28.9

청진 800 2 7 2,138동항: 일반화물, 곡물

서항: 석탄, 철강블라디보스토크 24.2

흥남 400 1 11 1,634비료,

마그네시아크링커- 11.5

나진 300 1.5 11 2,515 석탄, 비료, 원목, 잡화 속초, 부산 9.3

선봉 200 0.5 12 1,253 원유, 석유화학제품 - 10.6

원산 170 1 7 3,166 시멘트, 수산물블라디보스토크

시모노세키2.8

해주 240 1 10 1,348 시멘트, 기타광석 - 9.8송림 100 1 11 900 철광석, 석탄 - 2.9합계 3,561 - - 16,954 - - 100

<표 12> 북한의 주요 항만 현황

17) 안병민, 김선철(2012), “북한 항만 현황 분석”, 한국교통연구원 동북아 북한 연구센터의 자료 인용

18) 북한의 주요 무역항으로서 나진항은 일제가 대륙 침략의 거점 항만, 일본 본토와의 최단 보급선으로 중점 개발하여 1921년

에 개항했고, 청진항은 나진항 남쪽 80㎞에 위치하고 있으며 무역화물 전용의 동항, 김책제철소 전용의 서항 및 어항인 중앙

항으로 구분됨. 그리고 남포항은 평양의 관문항으로 평양과 주변 지역에서 필요한 석탄, 곡물, 시멘트를 주로 취급하고 있고,

해주항은 1973년에 시멘트 전용항으로 개항하였으며, 흥남항은 북한 최대 화학공업지구인 흥남공업지구의 관문항으로 배후

에 흥남비료공장, 2.8시멘트공장 등 산업거점이 밀집해 있음

Page 56: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37 -

5) 북한 공항의 실태 및 운영 특성19)

북한의 항공교통은 1946년 북조선 항공건설중앙위원회가 발족되면서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선민용항공총국(약칭 민항총국, 대외 명칭 고려항공)에서 여객운송, 화물운송 및

항공기 수리 등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북한의 공항은 약 40여 개로 대부분 군용공항을 겸하는 간이공항들로 파악되고 있다.

활주로와 공항시설은 노후화 되었고 시설도 부족하여 대형기의 이착륙이 어려운 실정이다.

대부분의 북한 공항에는 활주로 정비, 항공기 이동을 위한 평행유도로나 항공기의 활주로

이탈방지를 위한 직각유도로가 갖추어지지 않았다. 수하물 처리시설(수하물 자동분류장치,

컨베이어 벨트 등)이 미미하고, 현대적인 급유 시설 및 비상발전 설비, 소방시설도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등화시설, 계기착륙시설, 관제통신시설, 동계 적설지역 공항에 대한

제설장비 현대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북한 공항 가운데 민간의 활용이 가능한 곳은 10여

개소로서 대표적인 공항으로는 순안, 어랑, 혜산, 황주, 갈마, 개천, 신의주, 과일, 선덕, 삼지연

공항 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 북한 전력의 실태 및 운영 특성20)

북한의 1차 에너지 공급은 자력갱생의 정책에 따라 석탄과 수력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2013년 에너지공급규모는 10.6백만TOE21)로 1990년 24.0백만TOE의 42% 수준에 불과한데

이는 많은 에너지 생산설비가 제한적으로 가동되거나 가동이 중단된 상태에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북한은 주탄종유(主炭從油)의 에너지 수급정책으로 석유의 소비 비중이 낮고

석탄과 수력발전의 소비비중이 높다.

2013년 기준 북한의 1차 에너지 공급기준에서 에너지 공급원의 공급량을 조사한 결과,

석탄은 5.2백만TOE(48.8%), 수력발전은 3.5백만TOE(32.6%), 석유는 0.7백만TOE(6.7%)로

나타났다.22) 이를 통해 북한의 주요 에너지 공급원은 석탄과 수력발전이 전체 80%의 비중을

차지하여 저효율의 전력생산구조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석유가 1차 에너지

공급구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6.7%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19) 안병민, “교과서에 안 나오는 북한의 교통 이야기”, 2015, p.57~63.

20) 통일부 북한정보포털 및 통계청 “2014 북한의 주요통계지표” 자료를 인용 및 수정하여 내용작성

21) TOE(Ton of Oil Equivalent)는 석유환산톤으로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에너지원의 발열량에 기초해서 이를 석유의 발열

량으로 환산한 것을 나타냄. 각종 에너지의 단위를 비교하기 위한 가상단위이며, 1TOE는 1,000만kcal에 해당하는데, 석유의

단위는 배럴, 무연탄의 단위는 t(톤), 가스의 단위는 갤런 등으로 각 에너지원의 단위가 다르므로 이를 합계할 때는 통일된

단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TOE의 개념이 사용 (NEW 경제용어사전, 2006. 4. 7., 미래와경영)

22) 북한이 석탄과 수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에 비해 남한은 1차 에너지 공급기준에서 에너지 공급원의 공급량을 조사한

결과, 석탄은 82백만TOE(29.2%), 석유는 105.8백만TOE(37.7%), 원자력발전은 29.2백만TOE(10.4%), 수력발전은 1.7백만

TOE(0.6%)로 석유, 석탄 및 원자력의 비중이 78%를 차지하여 이들의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음

Page 57: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38 -

구분 소비자국가

공급여부공급실태 부족분 대체

조명 전기 전체주민 ○ 일부공급양초, 석유등잔, 산업용

기름등잔

취사

가스 평양주민 ○ 일부공급 석유 시장구입

석탄 지방도시주민 ○ 거의 미공급 나무, 대패밥, 톱밥

나무 농촌주민 ○ 거의 미공급 볏짚, 옥수수짚 등

석유평양주민 ○ 일부공급 시장에서 자체구입

일부지방주민 X 자체 -

전기히터 일부주민 X 자체 -

난방

온수 평양주민 ○ 거의 미공급 석유히터, 솔방울 등 자체

석탄 지방도시주민 ○ 거의 미공급석탄, 나무, 대패밥, 톱밥

나무 농촌주민 ○ 거의 미공급일부 메탄가스에 의한난방볏짚, 옥수수짚, 풀대

석유난로 일부주민 X 자체 -

가전제품 전기 전체주민 ○ 일부공급 자동차 배터리 충전 이용

배터리충전 전기 일부주민 X 자체 -

전기재봉 전기 가내수공업자 X 자체 -

<표 13> 북한주민의 에너지 소비구조와 실태

Page 58: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39 -

3.3.3 북한이탈주민대상 인프라 시설의 실태조사 및 시사점

1) 철도분야 인프라 스톡의 실태조사 및 시사점

2000년 이후 최근 탈북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철도분야에 대한 실태현황 및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북한 철도는 19세기 초반의 사회주의 국가들로부터 원조를 받은 기술, 장비,

설비, 시설물의 근간이 아직도 유지되고 있고, 1970년대 후반 이후로 부분적인 특정 보강과

신설만 추진되었으며, 전체적인 철도 인프라의 현대화와 선진화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로 인해 북한철도의 노반, 레일, 차량, 기관차 및 각종 운영설비 등은 대부분

1960년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1> 북한 철도 인프라 관련 현황 사진 자료

□ 철도 본선의 침목은 콘크리트와 목재 침목 병행(콘크리트 30%, 목재 70%)

□ 철도 본선의 레일은 자체 생산 거의 없고, 주로 러시아산 자재 사용

□ 철도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객차의 노후화에 따른 제동 불능 및 레일 밀림현상,

부식된 침목의 기능저하, 정전․고장에 따른 열차의 비정상적인 운행

□ 탈선사고 주당 10회 이상, 열차 추돌사고 주당 10회 이상 지속적으로 발생

□ 화물열차의 바퀴 축에 고정 베어링 부재와 윤활유 공급 부족으로 탈선사고 및 화재

2~3일 한번 정도 발생

Page 59: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40 -

2) 도로분야 인프라 스톡의 실태조사 및 시사점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도로분야에 대한 실태현황 및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북한 도로는

지속적으로 신설, 확장 및 보수․보강에 따른 현대화사업을 추진하여 왔으나,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상당히 열악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남한의 전문적인 인력,

고도의 장비 및 기술력에 비해 북한은 비전문적인 인력수급과 고전적인 건설장비 및

기술수준으로 인하여 시설물의 사용성과 내구성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북한도로의 건설 특성상 정치적․군사적 목적으로 계획 및 시공되고, 특정지역에 한해서만

인프라를 관리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그림 22> 북한 도로 인프라 관련 현황 사진 자료

□ 북한 도로의 상태는 매우 열악하여 노면 균열, 포장 탈락, 노면 평탄성 및 배수 불량

등으로 매년 군인 및 민간인을 동원하여 보수․보강 시행

□ 북한 대부분의 도로는 특정 구간 고속도로를 제외하면 고속 주행 불가능

□ 북한 고속도로는 평양, 신의주, 남포, 개성 등에만 건설되어 있음

□ 북한 도로는 1급~5급까지 있으며, 1급도로 중에 편도 1차선이 존재함

□ 대부분의 1급~3급도로는 콘크리트 포장이며, 이하 도로는 자연상태 포장도로

□ 평양과 평안도 및 황해도 등 특정지역에 한하여 도로 포장 우수함

□ 군사적․대외 선전용으로 건설된 도로가 많으며, 도로 유지관리는 거의 없음

Page 60: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41 -

3) 주택(살림집)분야 인프라 스톡의 실태조사 및 시사점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주택분야에 대한 실태현황 및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북한내의

살림집은 1953년 이후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전후 복구 건설 지원을 계기로 건설되어왔고,

살림집의 구조, 기술, 기준, 주거유형 등은 대부분 독일(구 동독) 및 러시아(구 소련)로부터

전수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북한 도시 살림집들은 1960년대와 70년대 건설붐을 기반으로

활성화되었고, 80년대에는 증축이 보편화되었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국영․민간 통합방식의

건설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980년 이후로 대부분의 도시 살림집들은

상수도, 전기, 구조물 등의 기본적인 보수 및 유지관리가 진행되지 않고 있으며,

중소도시․군소재지․노동지구 내에 건설된 살림집들은 부적합한 재료와 시공불량 등의

원인으로 안전도가 심각한 상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23> 북한 주택 인프라 관련 현황 사진 자료

□ 주택건설 승인절차: 살림집 부지 승인(인민위원회 국토부), 살림집 건물 승인(인민위원회

도시경영과), 주택관리 및 세금관리(인민위원회 도시경영과 주택부)

□ 주택의 종류: 1종 주택(90년대 이후 지은 현대식 아파트), 2종 주택(구식 아파트), 3종

주택(주택조건을 모두 갖추어야 하고 상하수도 모두 있는 주택), 4종 주택(상수도망이

있어 수도사용은 가능하나, 하수도가 없는 주택), 5종 주택(주택이지만 전기는 사용

가능하고, 상하수도가 없는 주택), 6종 주택(주택 국가 규격을 갖추지 않은 건물)

Page 61: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42 -

4) 에너지분야 인프라 스톡의 실태조사 및 시사점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에너지분야에 대한 실태현황 및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북한의

기본적인 전력공급을 담당하는 화력발전 및 수력발전은 노후, 낙후, 과부하, 부실연료 사용

등의 원인으로 생산성 및 효율성이 낮고, 각종 고장 및 사고가 빈번하게 나타나며, 보수․보강

및 유지보수 미흡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에너지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탄광에서는 설비부족과 노후, 잦은 고장, 전력공급 미비, 기술 낙후, 노동능률

저하 등으로 인하여 생산에 차질이 발생하고, 대규모 정전 및 침수 등에 따라 시설물의 구조적

불안 심각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부분의 북한 주민들이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나무, 무연탄, 석탄 등은 공급부족에 따른 부실재료를 대체함으로써 화재발생, 가스

중독사고 등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4> 북한 에너지 인프라 관련 현황 사진 자료

□ 송전, 배전 시스템 노후, 송전중단 및 절단 등의 사고 빈번하게 발생, 송전손실 30% 이상

□ 2000년 이후 평양, 신의주, 혜산, 나진, 청진 등 국경지역 대도시 중심으로 LPG 가스 사용

증가 추세이며, 화재에 대한 안전대책 전무함

□ 발전, 송전, 배전, 분전 등 에너지 관련 시스템, 기술, 설비, 관리의 총체적 부실

Page 62: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43 -

5) 공공시설분야 인프라 스톡의 실태조사 및 시사점

마지막으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공공시설분야에 대한 실태현황 및 특성을 조사한 결과,

1980년대 후반부터 북한의 공공시설은 기본적으로 정상적인 관리기능이 실종되고 있고, 주민을

위한 대중적인 인프라 투자보다는 권력에 의한 특정 인프라 건설에 치중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공 인프라 시설 중 의료시설, 하수정화시설, 상수도 시설 등은 1980년대 중반

이후로 설비교체 및 현대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다만 전시행정과 특정인을 위한

용도로 건설된 도서관, 체육관, 영화관, 놀이공원 등의 공공시설분야는 건설 및 보수하여

운영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5> 북한 공공 인프라 관련 현황 사진 자료

□ 북한 순천시 중심부는 약 70% 정도 수도사용 불가하며, 수원지와 가까운 지역은

수도사용이 가능하나, 먼 경우 급수망이 낡아 사용이 불가

□ 상수도 시설은 1980년대 중반 이후로 현대화 및 설비교체 등 시스템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부분적인 유지보수만 시행, 국가차원의 투자는 전무하며 상수도망의

노후화는 극한 상태에 도달

□ 북한 의료시설, 하수정화시설 및 상수도 시설의 노후화 및 기능 저하

□ 북한 도서관, 영화관, 공원 등 특수목적 공공 인프라 시설물의 증가

Page 63: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44 -

<그림 26> 남북 SOC 관련 주요 인프라 현황 비교 및 비율

3.4 남한대비 북한 인프라 시설의 종합적 분석 및 평가

본 장에서는 먼저, 북한 인프라의 실태를 파악하고, 건설 인프라의 시대적인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인프라 스톡에 대한 변천사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다수의 다양한 인프라

시설물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분류하기 위하여 대상 시설물의 기존 및 범위를 선정하였다.

또한 최근 수집된 통계자료와 북한 관련 전문가, 실무자 및 북한이탈주민의 사전 인터뷰의

검토를 기반으로 하여 북한 인프라 시설의 분야별 현황조사를 실시하였고, 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남한대비 북한의 주요 인프라시설을 대상으로 시설물 분야별 수량,

규모, 특징에 대한 전체적인 검토를 실시하였고, 그에 따른 종합적인 분석을 제시하였다.

북한의 도로는 전체연장이 26,114㎞로 남한의 25%에 해당하고, 고속도로는 남한대비 18%

수준이며, 자동차 등록대수 역시 남한대비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로 포장율에

있어서도 약 1/4 정도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북한 도로 관련 시설물이 매우 취약하고,

도로 포장률 및 도로의 기능은 매우 낮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향후 도로 개선,

포장 재정비 및 안전시설 확충에 대한 시설 검토와 보완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Page 64: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45 -

북한의 철도와 전철은 남한에 비해 각각 5,299㎞(148%), 4,229㎞(172%)로 철도연장이 더

길고, 철도 객차와 화차 역시 2,102대(205%), 24,896대(204%)로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철화율도 79.8%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북한의 운송체계는

도로보다는 철도 중심으로 발전하여 향후 신설 철도보다는 기존 철도망의 현대화사업을

중심으로 건설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시설여건 및 운영에 있어서는 상시

보수와 정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북한 내 전력난으로 인하여 운행이 어려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정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남북 궤도 재료의 규격을

통일하고, 속도상승 및 선로용량 확보 측면에서 단계별 개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항만의 하역능력은 3,700만톤으로 남한의 3% 수준이며, 선박 보유에서는 73만G/T23)로

남한의 2% 정도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북한의 모든 항만에서 전용부두 시설

부족, 하역장비의 노후화 및 항만 배후 수송체계의 미비로 추정되고, 이에 따라 북한의

항만개발은 권역별 거점항만의 확대와 현대화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의 공항은 총 33개로 나타났으나 여객 및 물자수송 등 민간항공이용이 가능한 공항은

10여개로 파악되었다. 또한 민간항공기 보유대수는 23대로 남한의 4%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향후 육로에 의존하던 물류시스템을 수송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항공지원체계의 분담율을 높여야 할 것이며, 향후 항공 물동량과 여객수요를

감안하여 단계적 공항 정비 및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의 수자원 저장시설은 남한대비 저수지 1,890개(11%), 수로 50,000개(89%), 지하수시설

142,000개(15%) 수준인 것으로 파악되었고, 이에 반해 양수장은 36,400개로 남한 대비 약 6배

정도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향후 북한의 원활한 식량공급과 농업기반시설 지원을

위하여 수리시설의 신설 및 개보수, 갑문설치 및 다목적댐 건설 등의 투자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23) G/T는 Gross Tonnage로써 선박의 총톤수를 말하며, 총톤수란 선박의 크기를 표시하는 단위로 각국의 선박통계, 기타 입

거료, 등록세, 선박검사료, 도선료 등의 계산 기준이 됨. 용적을 중심으로 한 톤수이며 선박의 밀폐된 전내부공간, 즉 총용적

량으로서 상갑판 이하의 모든 공간과 상갑관상의 밀폐된 장소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음. 일반적으로 군함 이외의 선박의 크

기를 나타낼 때 쓰며 각국의 보유선복량을 비교할 때 이용

Page 65: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46 -

Page 66: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제 4 장

북한 인프라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비교검토

4.1 대인면접표본조사 및 설문개요

4.2 북한 인프라 상대적 취약성 분석 및 평가

4.3 북한 인프라 상대적 우선순위 개발중요도

분석 및 평가

4.4 북한 인프라 개별 위험수준 분석 및 평가

4.5 북한 인프라 개별 기술수준 분석 및 평가

4.6 남북 인프라 위험수준 종합 비교 및 시사점

4.7 남북 및 주요 선진국 기술수준 종합 비교

및 시사점

4.8 소결

Page 67: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Page 68: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49 -

제 4 장 북한 인프라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비교검토

4.1 대인면접표본조사 및 설문개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북한 인프라 스톡의 위험수준과 기술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한 설문조사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인프라 시설의 실태수준 측정을 위한

설문조사 기간은 2015. 07~2015. 08(2개월)이며, 총 7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최근 북한 시설물의 실태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0년 이후 탈북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개별 대인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방법으로는 유선 및 전자우편 등을 통하여 사전 연락 및 정보공개 질의 요청 후

이를 수락한 대상자들의 일대일 방문을 통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배포된 설문지는 총

60부이며, 미응답, 응답부적합 및 응답오류 등의 설문지를 제외한 최종 42부(설문 회수율

70%)를 분석했다. 이는 설문내용의 객관성 및 타당성을 확보하고 신뢰오차를 줄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인프라 시설의 실태수준 측정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와 응답자 현황은 아래와 같다.

설문조사 목적 북한 인프라 시설의 실태 수준 측정

설문조사 기간 및 회수 2015년 7월~2015년 8월(2개월), 총 7회

설문조사 대상 2000년 이후 탈북한 대한민국 거주 북한이탈주민

설문조사 방법유선 및 전자우편 등 사전 연락 및 정보공개 질의 요청 후

방문하여 설문 실시

전체

배포율

회수율순수 회수율 북한지역 거주 건설 관련 유경험자 42부

북한지역 거주 건설 관련 무경험자 13부

무응답, 응답부적합 및 응답오류 5부

60부

(100%)55부(92%) 42부(70%) 전체 배포 대상 60부

<표 14> 북한 인프라 시설의 실태수준 측정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Page 69: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50 -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응답자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체 42명 중

남성의 비율은 62%(26명)를 차지하였고, 여성은 38%(16명)로 나타났다. 그리고 응답자

연령대는 30세에서 60세까지 성인의 비율이 전체 대비 약 80%를 차지하였고, 기존

북한지역에서 근무하였던 건설경력은 6년에서 15년까지의 비율이 전체 대비 76%(32명)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북한을 탈북한 시기에 있어서는 2011년에서 2015년까지

62%(26명)로 5년 이내에 탈북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한지역의 시도별 거주지역

조사에서는 양강도와 자강도 지역을 제외한 전체 지역에서 골고루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조사 및 분석된 본 설문결과를 토대로 최근의 북한 전체 지역의 인프라에 대한

개략적인 특성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북한 인프라 스톡의 간접추정치로 제시된

통계자료를 보완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이 가능하다. 다만 본 설문조사의 한계점으로는

설문대상 표본수가 부족하고, 설문지 구성항목이 비교적 간단하게 제시되어 전체 시설물에

대한 정확한 실태수준을 측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설문지

구성항목을 좀 더 구체화시키고, 표본수를 300인에서 500인 정도의 대규모로 수행하고자 한다.

응답자 성별 응답자 수 응답자 비율 응답자 연령 응답자 수 응답자 비율

남 26 61.9% 20세 이하 0 0%

여 16 38.1% 21세~30세 3 7.1%

31세~40세 9 21.4%

41세~50세 14 33.3%

51세~60세 10 23.8%

61세~70세 4 9.5%

71세 이상 2 4.8%

건설 경력 응답자 수 응답자 비율 탈북시기 응답자 수 응답자 비율

5년 이하 3 7.1% 2000년~2005년 6 14.3%

6년~10년 17 40.5% 2006년~2010년 10 23.8%

11년~15년 15 35.7% 2011년~2015년 26 61.9%

16년~20년 5 11.9%

20년 이상 2 4.8%

북한거주지역 응답자 수 응답자 비율 북한거주지역 응답자 수 응답자 비율

함경북도 3 7.1% 양강도 0 0%

함경남도 4 9.5% 자강도 0 0%

평안북도 7 16.7% 강원도 6 14.3%

평안남도 4 9.5% 평양 8 19.0%

황해북도 5 11.9% 개성 2 4.8%

황해남도 3 7.1%

<표 15> 북한이탈주민 대상 설문조사 응답자 개요

Page 70: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51 -

4.2 북한 인프라 상대적 취약성 분석 및 평가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중 북한 인프라시설의 상대적 취약성 평가개요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가 대상 주요 시설물은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댐, 상하수도, 전력

및 통신, 건축물 등 8개 시설군이며, 해당 시설물 중에서 가장 취약하다고 판단되는 시설물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취약성

우선순위

시설 분야(응답건수) 순위별

가중치도로 철도 항만 공항 댐 상하수도 전력/통신 건축물

1순위 3 11 1 1 2 6 12 6 3점

2순위 6 10 1 1 4 4 11 5 2점

3순위 4 3 2 3 6 13 6 5 1점

합계 13 24 4 5 12 23 29 16 -

총점 25 56 7 8 20 39 64 33 -

비율(%) 9.9 22.2 2.8 3.2 7.9 15.5 25.4 13.1 -

평가결과 5 2 8 7 6 3 1 4 -

<표 16> 북한 시설분야별 취약성 우선순위 평가 결과

그리고 취약성평가 우선순위로 결정된 시설물의 가중치는 1순위(3점), 2순위(2점),

3순위(1점)로 부여하였고, 설문지 응답 평가결과, 전력 및 통신(25.4%) > 철도(22.2%) >

상하수도(15.5%) > 건축물(13.1%) > 도로(9.9%) > 댐(7.9%) > 공항(3.2%) > 항만(2.8%)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설문에 응답한 대부분의 북한이탈주민은 전력 및 통신, 철도 및

상하수도에 대한 시설물의 취약정도가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71: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52 -

<그림 27> 북한 시설분야별 취약성 우선순위 평가 도식화

Page 72: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53 -

4.3 북한 인프라 상대적 우선순위 개발중요도 분석 및 평가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중 북한 인프라시설의 상대적 우선순위

개발중요도 평가개요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가 대상 주요 시설물은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댐, 상하수도, 전력 및 통신, 건축물 등 8개 시설군이며, 해당 시설물 중에서 가장 먼저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시설물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개발중요도

우선순위

시설 분야(응답건수) 순위별

가중치도로 철도 항만 공항 댐 상하수도 전력/통신 건축물

1순위 6 7 2 1 2 6 13 5 3점

2순위 7 13 2 4 3 5 5 3 2점

3순위 8 9 1 3 4 9 4 4 1점

합계 21 29 5 8 9 20 22 12 -

총점 40 56 11 14 16 37 53 25 -

비율(%) 15.9 22.2 4.4 5.6 6.3 14.7 21.0 9.9 -

평가결과 3 1 8 7 6 4 2 5 -

<표 17> 북한 시설분야별 개발중요도 우선순위 평가 결과

그리고 개발 중요도평가 우선순위로 결정된 시설물의 가중치는 1순위(3점), 2순위(2점),

3순위(1점)로 부여하였고, 설문지 응답 평가결과, 철도(22.2%) > 전력 및 통신(21.0%) >

도로(15.9%) > 상하수도(14.7%) > 건축물(9.9%) > 댐(6.3%) > 공항(5.6%) > 항만(4.4%)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설문에 응답한 대부분의 북한이탈주민은 철도, 전력 및 통신,

도로에 대한 시설물의 개발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73: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54 -

<그림 28> 북한 시설분야별 개발중요도 우선순위 평가 도식화

Page 74: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55 -

4.4 북한 인프라 개별 위험수준 분석 및 평가

북한 인프라시설의 위험수준 분석 및 평가는 다음과 같다. 평가 대상 주요 시설물은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댐, 상하수도, 전력 및 통신, 건축물 등 8개 시설군이며, 해당 시설물에 대하여

개별 위험수준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위험수준의 등급은 5점 리커트척도를 사용하였고,

매우위험(5점), 위험(4점), 보통(3점), 안전(2점), 매우안전(1점)의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위험수준의 등급기준은 5개 등급으로 구분되며, A등급(매우 안전한 수준, 0~20), B등급(안전한

수준, 21~40), C등급(보통 수준, 41~60), D등급(위험한 수준, 61~80), E등급(매우 위험한 수준,

81~100)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지 응답 평가 분석결과, 도로(D등급, 78%), 철도(E등급, 90%),

항만(D등급, 68%), 공항(D등급, 69%), 댐(D등급, 74%), 상하수도(D등급, 71%), 전력 및

통신(E등급, 86%), 건축물(E등급, 84%)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체 시설분야 대부분의

위험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특히 철도, 전력 및 통신, 건축물 등 생활과 밀접한 국가

기반시설에 대한 위험수준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알 수 있다.

위험수준

평가

시설 분야(응답건수) 순위별가

중치도로 철도 항만 공항 댐 상하수도 전력/통신 건축물

매우위험 11 26 5 7 11 8 22 19 5점

위험 19 11 14 12 13 12 12 16 4점

보통 9 4 16 16 13 19 7 5 3점

안전 3 1 7 7 4 2 1 1 2점

매우안전 0 0 0 0 1 1 0 1 1점

총점 164 188 143 145 155 150 181 177 -

비율(%) 78 90 68 69 74 71 86 84 -

평가등급 D E D D D D E E -

<표 18> 북한 주요 인프라 분야별 위험수준 평가 결과

Page 75: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56 -

<그림 29> 북한 주요 인프라 분야별 위험수준 평가 도식화

Page 76: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57 -

4.5 북한 인프라 개별 기술수준 분석 및 평가

북한 인프라시설의 기술수준 분석 및 평가 역시 대상 주요 시설물은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댐, 상하수도, 전력 및 통신, 건축물 등 8개 시설군이며, 해당 시설물에 대하여 개별 기술수준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기술수준의 등급은 5점 리커트척도24)를 사용하였고, 매우높음(5점),

높음(4점), 보통(3점), 낮음(2점), 매우낮음(1점)의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기술수준의 등급기준은

5개 등급으로 구분되며, A등급(매우 높은 수준, 81~100), B등급(높은 수준, 61~80), C등급(보통

수준, 41~60), D등급(낮은 수준, 21~40), E등급(매우 낮은 수준, 0~20)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지

응답 평가 분석결과, 도로(D등급, 36%), 철도(D등급, 29%), 항만(C등급, 44%), 공항(C등급,

45%), 댐(C등급, 42%), 상하수도(D등급, 37%), 전력 및 통신(D등급, 31%), 건축물(C등급,

4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체 시설분야 대부분의 기술수준이 보통 이하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특히 도로, 철도, 상하수도, 전력 및 통신 등 교통 및 운송, 주거와 관련된 국가

기반시설에 대한 기술수준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기술수준

평가

시설 분야(응답건수) 순위별

가중치도로 철도 항만 공항 댐 상하수도 전력/통신 건축물

매우높음 0 0 1 1 2 0 0 2 5점

높음 2 1 4 4 3 3 1 5 4점

보통 6 3 9 11 10 8 4 6 3점

낮음 16 10 17 14 9 10 12 12 2점

매우낮음 18 28 11 12 18 21 25 17 1점

총점 76 61 93 94 88 77 65 89 -

비율(%) 36 29 44 45 42 37 31 42 -

평가등급 D D C C C D D C -

<표 19> 북한 주요 인프라 분야별 기술수준 평가 결과

24) 리커트 척도는 응답자의 각각의 진술에 대해 그들이 어느 정도까지 동의하거나 동의하지 않는가에 따라 3점, 5점, 혹은 7점

을 부여하는 질문을 받음. 5점 척도가 일반적으로 가장 좋은 것으로 간주되고 각각의 질문에 대한 응답은 부호화되어서, 높

은 점수는 주제에 대한 강한 찬성을 나타내고 낮은 점수는 그 극단적인 반대를 나타내고 있음. 리커트 척도는 전체 득점과

가장 가깝게 상관된 점수의 항목을 사용하여 구성됨. 즉 척도가 내적 일관성을 가지며, 각 항목은 예측가능성을 가져야 하며,

척도의 최종적 형태가 연구대상인 모집단에 제공됨.

Page 77: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58 -

<그림 30> 북한 주요 인프라 분야별 기술수준 평가 도식화

Page 78: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59 -

4.6 북한 인프라 위험수준 종합 비교 및 시사점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인프라시설의 기술수준 및 위험수준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한 결과,

먼저 주요 인프라시설의 평균 위험수준은 매우위험 수준에 근접한 위험단계로 조사되었다. 8개

시설군에 대한 위험수준의 실태 평균값은 77.6%(위험단계, 61~80%)로 위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험정도가 매우 높은 주요 위험시설군에는 철도, 전력 및 통신, 건축물 등이

해당되었다. 또한 기술수준의 실태 평균값은 38.3%(기술수준이 낮은 단계, 21~40%)로 대부분의

시설군이 보통이하의 기술수준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북한이탈주민들은 철도, 도로,

상하수도, 전력 및 통신에서 자국의 기술수준이 취약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북한 인프라의 8개 시설군에 대한 위험 및 기술수준의 비교 검토 결과, 위험수준이

대체로 높은 시설군들이 기술수준 또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항만, 공항 및 댐 등과 같은

사회기반시설들은 개인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이유로 인하여 타 시설군에 비해 위험정도와

기술적 성능이 다소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31> 북한 인프라 위험수준 및 기술수준 비교

Page 79: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60 -

4.7 남북 및 주요 선진국 기술수준 종합 비교 및 시사점

2000년 이후 탈북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대인면접표본조사를 통해 북한 인프라 스톡의

실태 추적을 위한 위험수준과 기술수준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 탈북한 북한이탈주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하고 있는 북한 인프라 스톡의 안전성, 기술적 성능 및 관리에 대한 수준을

개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토대로 북한 인프라 스톡의 분야별 수준이 한국 및 주요 선진국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간접적으로 가늠하고자 위험수준과 기술수준을 비교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먼저, 한반도 인프라 구축이라는 전제하에 남북 인프라 스톡에 대한

상호 위험수준을 비교하였고, 기술수준에 있어서는 최근 전세계 120개 국가전략기술의

기술수준평가 자료25)를 토대로 남북 및 주요선진국을 대상으로 기술수준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먼저, 남북 인프라 스톡의 위험수준 비교 및 분석결과, 첫째, 남북 인프라 전체에 대한 평균

위험수준 체감도에서는 북한이 77.6%(위험수준의 정도가 높음)로 나타났고, 남한이

41.8%(위험수준의 정도가 보통에 근접하여 낮음)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남북 상호간

위험수준 격차는 약 36%로 나타났으며, 이는 위험수준을 전체 5개 등급으로 구분하였을 경우 약

2개 등급의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둘째, 남북 주요 인프라 시설 분야별

위험수준 특성 비교에 있어서 북한은 대부분의 인프라 시설이 취약하고, 특히 철도, 전력 및

통신, 건축물, 도로 등의 위험수준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남한은 대부분의

인프라 시설이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댐, 도로, 철도 등의 위험수준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남북 시설군별 위험수준 격차에 있어서는 철도(50%), 전력 및

통신(44%), 도로(42%), 댐(41%), 건축물(40%) 등의 위험수준 격차가 2등급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고, 이외에 상하수도(24%), 공항(23%), 항만(21%) 등에서 위험수준 격차가 1등급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인프라 스톡에 대한 직접적인 실태 및 전수조사 방법이 아닌

간접적인 설문 및 통계자료 조사 방법에 근거함으로 위험수준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나, 전체적인 인프라 스톡의 위험수준을 개략적으로 이해하고 파악하는 데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남북 및 주요 선진국 기술수준 비교 및 분석결과, 첫째, 북한 인프라 시설군별

기술수준에서는 철도, 전력 및 통신, 도로, 상하수도 등에서 기술수준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둘째, 북한 인프라 전체에 대한 평균 기술수준 체감도는 38.3%(기술수준의 정도가 낮음)로

25) 2013년 미래창조과학부가 발주하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주관한 2012년 국가중점과학기술 기술수준평가 연구의 보고

서를 참고하였으며, 본 보고서의 120개 국가전략기술 중에서 건설․교통 분야 관련 기술수준을 토대로 하였음.

Page 80: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61 -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북한의 인프라 스톡 기술수준을 토대로 남북 및 주요 선진국과의

기술수준26)을 비교 및 검토한 결과, 미국(100%), 일본(97.7%), EU(97.5%), 대한민국(79%),

중국(66.5%), 북한(38.3%)로 조사되었다27). 이를 통해 대부분의 주요 선진국들에 비해 북한 건설

인프라 관련 기술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남북 상호 기술수준 격차에서도 40.7%를

차지하여 북한 인프라 기술수준에 취약성을 감안하면 이에 대한 기술개발 및 지원이 절실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동북아지역에서 지정학적으로 북한의 접경지역에 위치한 중국의

기술수준은 이미 북한을 추월하여 대한민국을 추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2> 남북 및 주요 선진국 위험수준 및 기술수준 비교

26) 기술수준은 기초연구 수준과 응용 및 개발연구 수준을 평균하여 나타낸 수준을 의미하며, 최고 기술수준 보유국(미국)을

100%로 기준 설정하였고, 나머지 국가는 상대적 기술수준을 의미함

27) 기술수준 척도의 평균값은 100%(최고): 세계 최고 수준, 80% 초과~100%미만(선도그룹): 기술분야를 선도하는 수준, 60%

초과~80%미만(추격그룹): 선진기술의 모방개량이 가능한 수준, 40% 초과~60%미만(후발그룹): 선진기술의 도입적용이 가능

한 수준, 40% 이하(낙후그룹): 연구개발 능력이 미약한 수준으로 정의내리고 있음

Page 81: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62 -

4.8 소결

본 장에서는 북한 인프라를 대상으로 안전 및 유지관리의 수준을 비교 및 검토하기 위하여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세부적인 연구수행 절차는 다음과 같다.

설문조사방식으로는 설문 응답의 신뢰도와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인면접표본조사를

실시하였고, 북한의 8개 시설 분야에 해당하는 주요 인프라를 대상으로 상대적 취약성, 상대적

우선순위 개발중요도, 위험수준 및 기술수준을 분석 및 평가하였다.

먼저 설문조사 응답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 42명 중 남성비율은 62%, 여성비율은

38%로 나타났고, 응답자 연령은 30세에서 60세까지 약 80%를 차지하였으며, 건설 실무경력은

6년에서 15년까지 76%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탈북 시기는 2011년에서 2015년까지

62%로 5년 이내에 탈북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 대상 주요 시설물은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댐, 상하수도, 전력 및 통신, 건축물 등 8개 시설군이고, 순위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개별 총점 및 비율을 산정하였다.

첫째, 북한 인프라시설의 상대적 취약성 분석 및 평가에서는 전력 및 통신(25.4%),

철도(22.2%), 상하수도(15.5%) 등의 시설물 취약정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북한 인프라시설의 우선순위 개발중요도 분석 및 평가에서는 철도(22.2%), 전력 및

통신(21.0%), 도로(15.9%) 등의 시설물 개발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북한 인프라시설의 위험수준 분석 및 평가에서는 도로(위험수준, 78%), 철도(매우 위험

수준 90%), 항만(위험수준, 68%), 공항(위험수준, 69%), 댐(위험수준, 74%), 상하수도(위험수준,

71%), 전력 및 통신(매우 위험수준, 86%), 건축물(매우 위험수준, 84%)로 나타났다

넷째, 북한 인프라시설의 기술수준 분석 및 평가에서는 도로(낮은 수준, 36%), 철도(낮은

수준, 29%), 항만(보통 수준, 44%), 공항(보통 수준, 45%), 댐(보통 수준, 42%), 상하수도(낮은

수준, 37%), 전력 및 통신(낮은 수준, 31%), 건축물(보통 수준, 42%)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남북 및 주요 선진국 대상 인프라시설의 위험 및 기술수준 종합검토에서는 남북

인프라 전체에 대한 평균 위험수준은 북한이 77.6%(위험수준의 정도가 높음)로 나타났고,

남한이 41.8%(위험수준의 정도가 보통에 근접하여 낮음)로 조사되었다. 또한 북한의 인프라

스톡 기술수준을 토대로 남북 및 주요 선진국과의 기술수준을 비교 및 검토한 결과,

미국(100%), 일본(97.7%), EU(97.5%), 대한민국(79%), 중국(66.5%), 북한(38.3%)로 조사되었다.

Page 82: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제 5 장

남북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한 방안 도출

5.1 국가/산업/시장/기술적 측면의 방안 제시

5.2 남북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한

공단의 역할과 기능

5.3 소결

Page 83: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Page 84: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65 -

제 5 장 남북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한 방안 도출

5.1 국가/산업/시장/기술적 측면의 방안 제시

본 장에서는 남북 통합 인프라 구축의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하여

국가․산업․시장․기술적 측면의 4대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현재 조사된 남북

인프라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을 토대로 향후 통일을 대비하여 인프라 성능 및

관리수준의 균형적 통합을 실현하고, 그에 따른 대북 경제적 지원방안으로 활용하고자 하며,

최종적으로 대한민국 정부가 한반도 인프라 구축을 시행하기 위한 정책 및 의사결정의

기반으로 세우고자 한다.

한반도 인프라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한 목표, 전략 및 기대효과는 아래 그림

33에서 제시하였고, 관련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림 33> 한반도 인프라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

Page 85: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66 -

5.1.1 국가 측면의 전략적 방안

남북 통합 인프라 구축의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하여 국가 측면의 전략적

방안으로 첫째, 통합 인프라 구축을 위한 로드맵 및 마스터플랜 수립, 둘째, 통합 인프라

개선․개발을 위한 정책 및 제도 수립, 셋째, 한반도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 기준 및 체계

수립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통합 인프라 구축을 위한 로드맵 및 마스터플랜 수립에서는 한반도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경제공동체를 실현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하며, 통일 추진으로 인한 막대한

인프라 건설비용을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통합 인프라 개선․개발을 위한 정책 및

제도 수립에서는 남북의 인프라 수준 격차를 줄이고, 정부의 통일비전 및 정책을 실현

가능하도록 체계적인 대응전략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한반도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

기준 및 체계 수립에서는 국가별․지역별․권역별․시설분야별로 이원화 되어있는 남북 안전

및 유지관리 체계를 하나의 통합된 기준으로 완성하고자 하며, 관련 건설 기준, 평가 및

관리방안, 지침, 법 및 제도 등의 체계를 일원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5.1.2 산업 측면의 전략적 방안

남북 통합 인프라 구축의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하여 산업 측면의 전략적

방안으로 첫째, 남북 산업구조 개편에 따른 인프라 특화전략 수립(자원, 인력, 장비, 예산),

둘째, 산업별 특성에 의한 주요 전략 및 프로그램 개발, 셋째, 민간투자를 지원할 수 있는

전문기구 및 기관 설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남북 산업구조 개편에 따른 인프라 특화전략 수립에서는 남북의 상이한 산업구조를

분석하여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 가능한 자원을 개발하고, 적정한

인력 배치를 계획하며, 최신의 장비를 도입하고, 다양한 재원조달을 통해 예산을 효율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산업별 특성에 의한 주요 전략 및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남북

경제발전을 위하여 선도산업, 중심산업, 보전산업으로 구분하고, 해당 산업별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그에 따른 투자정책을 제시해야 한다. 또한 민간투자를 지원할 수 있는 전문기구 및

기관 설치에서는 공공과 민간이 사업 위험을 분담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남북 당국의

직접적인 재정지원 및 이에 상응하는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Page 86: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67 -

5.1.3 시장 측면의 전략적 방안

남북 통합 인프라 구축의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하여 시장 측면의 전략적

방안으로 첫째, 지역별․권역별 거점을 통한 안전 및 유지관리 서비스 수준 수립, 둘째, 남북

건설 인프라 경제협력사업 및 시장 활성화 방안 구상, 셋째, 남북 건설시장의 효율적 진출을

위한 건설기능인력 훈련 및 활용 방안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지역별․권역별 거점을 통한 안전 및 유지관리 서비스 수준 수립에서는 통일대비 건설

인프라 구축의 시범사업 추진을 통하여 남북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성능 및 서비스

수준을 균형적으로 실현화하고자 한다. 그리고 남북 건설 인프라 경제협력사업 및 시장 활성화

방안 구상에서는 북한 건설 인프라시장 진출에 대한 남한 기업들의 경제적 효과를 추구하고,

북한의 토지 및 자원을 활용하여 남북 경제적 수준 격차를 줄이고자 한다. 또한 남북

건설시장의 효율적 진출을 위한 건설기능인력 훈련 및 활용 방안에서는 남한의 기술, 장비 및

교육시스템을 도입하여 북한 건설기능인력의 기술수준과 전문성을 높이고자 한다.

5.1.4 기술 측면의 전략적 방안

남북 통합 인프라 구축의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하여 기술 측면의 전략적

방안으로 첫째, 통일 추진시나리오에 의한 기술수요조사 실시, 둘째, 시설 분야별 기술 지원 및

협력 방안, 셋째, 기술 분야별 중장기 개발 계획 및 실용화 방안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통일 추진시나리오에 의한 기술수요조사 실시에서는 통일이전, 통일추진, 통일이후의

단계별 시나리오에 따라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다양한 융․복합기술들에 대해 적용

가능성 및 실용화 방안을 추진하고자 한다. 그리고 시설 분야별 기술 지원 및 협력 방안에서는

SOC를 포함한 국가 인프라 및 생활기반 인프라를 대상으로 남한의 기술지원 종류, 방식, 규모,

절차 등을 검토하여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또한 기술 분야별 중장기 개발 계획 및

실용화 방안에서는 남한이 보유하고 있는 요소기술 및 핵심기술을 추진 시기별에 의한

단기․중기․장기로 구분하여 전략적인 지원계획으로 수립하고자 한다.

Page 87: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68 -

5.2 남북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한 공단의 역할과 기능

22년전 북한에서 탈북하여 대한민국에서 16년 동안 북한 관련 주요 정책 및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심층 인터뷰 결과, 과거의 북한과 지금의 북한은

외형적으로 유사하지만, 내부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고 말하고 있다. 남북을 모두

경험한 선험자로서 통일이 얼마나 어려운 과제이며, 통일이 얼마나 오랜 시간을 요구하는 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비록 어려움과 갈등이 있더라도 남북 모두 승자가

되는 통일이야말로 우리가 준비해야 할 과업이자 숙원임에 틀림이 없을 것이다.

앞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북한의 주요 인프라 시설 분야별 실태 및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북한 인프라 관련 통계자료 분석에 의한 정량적인 평가와 북한이탈주민 및 관련

전문가 심층 인터뷰에 의한 정성적인 평가를 취합하여 북한 주요 인프라의 실태현황을

파악하였다.

이에 따라 북한 인프라의 시설물에 대한 현황 및 특성을 토대로 국가차원에서 공단은

그동안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장기간 보유하고 축척해온 인적자원, 기술력 및

첨단장비, 지원 체계 및 시스템을 활용하여 통일을 대비한 다양한 지원방안과 협력 시나리오를

구상해야 할 것이다.

통일대비 한반도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공단의 역할과 지원방안은 그림 34에서 제시하였고,

구체적인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림 34> 통일대비 한반도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공단의 역할과 지원방안

Page 88: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69 -

먼저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정보자료를 활용하여 북한 시설물의 현황을 조사하고, 특성을

도출하였다. 조사된 시설물별 연구내용으로는 시설물 수량 및 분포, 지역 및 규모, 시설 분야별

특성, 성능 및 기술수준, 안전 및 위험도 등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통일을 대비한 공단의

기능, 역할 및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가시설 안전 및 유지관리 분야에서 공공 정책지원기관으로 특화되어 있는 공단의

강점으로는 전문인력 확보, 기술 및 장비 확보, 점검 및 진단 시스템 구축, 보수 및 보강 기준

보유, 정보관리 시스템에 의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R&D 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 교육․홍보에

의한 대국민 안전 서비스 지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향후 통일 대비 인프라 개선

및 구축의 관점에서 공단은 다음과 같은 전략적 시나리오를 구상해야 할 것이다.

첫째, 북한 인프라의 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행절차 및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북한 인프라의 보수 및 보강을 위한 인력․기술․장비․조직 등의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셋째, 남북의 건설 기술 및 전문인력 수준격차를 줄이기 위하여 상호협력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북한 인프라의 안전 및 성능개선을 위한 사업방식 및 재원조달에 대한 다각적인

협력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다섯째, 기술수준이 낙후한 북한 건설 기능인력과 남한의 전문인력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훈련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지원방안을 구상해야 한다.

여섯째, 향후 국가별․지역별․관리주체별로 개별 관리되고 있는 인프라를 체계적으로 운영

및 실행하기 위하여 통합분류체계의 기준을 수립하고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북한 인프라 구축을 위한 비용절감과 효과적인 사업수행을 위하여 정책, 법령

및 제도 등의 개선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그리고 통일대비 한반도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공단의 역할과 지원방안에 따라 추진 지원전략

시나리오는 아래 그림 35와 같다. 통일을 추진하는 대표 조직 및 기관으로 가칭 “남북 공동

인프라 협력 지원단”을 설립하고, “통합 건설 인프라 운영위원회”를 구성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총괄기획, 진단, 교육, 정보, 연구의 5개 분야 부서를 중심으로 인력, 조직,

재원조달, 예산, 장비, 자재 등에 총괄 계획 수립을 실시하고, 시설물․교육․정보관리․연구

분야에 대한 세부 운영방안을 세워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Page 89: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70 -

<그림 35> 공단의 내·외부 조직 및 기능의 특성에 따른 지원전략 시나리오

이를 통해 향후 연구에서는 남북 인프라 시설에 대한 상세 기술수준을 분석하고, 수준

균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자 하며, 현재까지 조사된 북한 인프라를 대상으로

사용성 및 건전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는 한반도 통합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략적인

방안으로 남북 시설물의 안전에 대한 건전도와 성능에 대한 사용성을 평가하여 남북의

위험수준 및 기술수준에 대한 격차를 줄이고, 최종적으로는 통합 한반도 안전 및 유지관리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통일비용 대비 통일편익을 극대화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Page 90: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71 -

5.3 소결

본 장에서는 남북 통합 인프라 구축의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하여

국가․산업․시장․기술적 측면의 4대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였고, 그에 따른 공단의 역할과

지원방안 및 전략적 시나리오를 구상하였다.

먼저 국가 측면의 전략적 방안으로는 통합 인프라 구축을 위한 로드맵 및 마스터플랜 수립,

통합 인프라 개선․개발을 위한 정책 및 제도 수립, 한반도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 기준 및

체계 수립을 제시하였고, 산업 측면의 전략적 방안으로는 남북 산업구조 개편에 따른 인프라

특화전략 수립(자원, 인력, 장비, 예산), 산업별 특성에 의한 주요 전략 및 프로그램 개발,

민간투자를 지원할 수 있는 전문기구 및 기관 설치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시장 측면의 전략적

방안으로는 지역별․권역별 거점을 통한 안전 및 유지관리 서비스 수준 수립, 남북 건설

인프라 경제협력사업 및 시장 활성화 방안 구상, 남북 건설시장의 효율적 진출을 위한

건설기능인력 훈련 및 활용 방안 등을 제안하였으며, 기술 측면의 전략적 방안으로는 통일

추진시나리오에 의한 기술수요조사 실시, 시설 분야별 기술 지원 및 협력 방안, 기술 분야별

중장기 개발 계획 및 실용화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공단의 역할과 지원방안 및 전략적 시나리오에서는 북한 인프라의 시설물에 대한

현황 및 특성을 토대로 공단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장기간 보유하고

축척해온 인적자원, 기술력 및 첨단장비, 지원 체계 및 시스템을 활용하여 통일을 대비한

다양한 지원방안과 협력 시나리오를 구상하였다.

Page 91: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72 -

Page 92: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제 6 장

통일대비 북한 인프라의 안전 및

유지관리 방향 제시

6.1 정책, 제도, 기술, 인력지원, 사업방식,

재원조달에 대한 전략적 방향 수립

6.2 통일대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공단의

추진 전략

6.3 소결

Page 93: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Page 94: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75 -

제 6 장 통일대비 북한 인프라의 안전 및 유지관리 방향 제시

6.1 정책, 제도, 기술, 인력지원, 사업방식, 재원조달에 대한 전략적 방향 수립

본 장에서는 남북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한 국가․산업․시장․기술적 측면의

방안을 토대로 정책, 제도, 기술, 사업방식, 재원조달 등에 대한 전략적 방향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통일을 준비하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비용절감을 통한 경제적 효과와 남북

통합 인프라 조성을 위한 사회․문화적 효과를 추구하기 위함이다. 다음은 북한 인프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획단계로 정책, 제도, 기술, 사업방식, 재원조달 등에

대한 전략적 방향을 수립하였다.

○ 정책 및 제도 관련 전략적 방향

통일대비 안전 및 유지관리의 정책 및 제도와 관련된 전략적 방향으로 다음의 세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① 북한 인프라 개선․개발 로드맵 및 국제컨소시엄 계획(안) 구성

최근 북한 인프라의 실태조사 결과, 안전성 및 성능에 대한 위험지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북한 지역 내 당국의 인프라 기능 및 관리수준은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북한 인프라를 전면적으로 개선 및 개발하기 위한 로드맵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고,

한반도의 통합적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먼저 북한 내 거점지역을 활용한 연계 방법, 남북

연계 방법 그리고 한반도와 동북아지역을 포함한 주변국과의 연계방법 등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국제컨소시엄 구성계획을 마련하여 통합 한반도 인프라 구축을 위한 단계별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② 정부 부처별 협력 및 조직 구성(안) 마련

북한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먼저 대한민국 정부의 부처별 협력 및 조직 구성이 우선 시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남북 건설 인프라 구축과 관련된 정부 부처 및 담당 업무를

검토한 결과, 국토교통부, 통일부, 외교부, 안전행정부, 산업자원통상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등

해당 부처별에 의한 개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통일대비 건설 인프라 구축 시

Page 95: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76 -

이원화되어 있는 부처별 기능을 조정하여 통합 컨트롤타워 및 조직체계를 구성하고,

분야별(도로, 철도, 교통, 국토, 수자원, 공항, 항만, 주택, 도시, 전력 및 통신 등) 상호협력이

가능하도록 일원화 할 필요가 있다.

이 외에 북한 인프라의 실제적인 사업수행 실시와 복잡하고 불공정한 사업수행 체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전 및 유지관리 관련 인허가, 사업 절차, 기준 및 체계를 수립하여야 할

것이고, 남북 인프라 법령의 기준을 세우기 위해서 북한 인프라 법령 및 체계, 시설

분야별(국토, 도시, 주택환경, 교통, 산업단지, 관광, 수자원 등) 제도 종합검토, 남북 인프라

관련 법률을 비교해야 할 것이다.

○ 기술 및 인력지원 관련 전략적 방향

통일대비 안전 및 유지관리의 기술 및 인력지원과 관련된 전략적 방향으로 다음의 세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① 북한 인프라 시설물 점검․진단 기준 및 지침 마련

북한 인프라의 심각한 노후화․고령화․기능상실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향후에는

시설물에 대한 점검․진단 등의 검사 기준 및 관련 지침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현재

한국시설안전공단이 국내 인프라 시설물을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는 점검․진단 체계에 대한

매뉴얼 및 평가 방법 등을 활용하여 북한 인프라 시설의 특성에 적합한 점검․진단의 기준과

세부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

② 북한 인프라 시설물 평가 시나리오 및 추진 프로세스 마련

북한 인프라 시설물의 평가 시나리오에 대해서는 추진시기별 평가 전략으로 크게

단기․중기․장기로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단기 평가방안은 인프라의 상태 및 성능에서

위험도 높음, 중요도 및 경제성 높음으로 판단되는 인프라에 대하여 평가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것이고, 중기 평가방안은 위험도 높음, 중요도 및 경제성이 보통 수준으로 판단되는 인프라에

대하여 평가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장기 평가방안은 위험도 보통, 중요도

보통 및 경제성이 낮은 인프라에 대하여 평가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그 외에 기술수요조사에 있어서는 북한 인프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측면에 대하여 관련

Page 96: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77 -

적용 가능한 기술의 종류와 수준을 결정하고, 이를 위해 기술적인 지원 및 협력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남북 건설 인프라 관련 기술적 용어의 표기, 의미전달의 차이로

인하여 인프라 개발 및 구축을 수행하기에는 한계점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는 용어,

단위 등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북한 건설기능인력의 교육 참여방안 및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인프라 구축을 위한 효과적인 인력분배를 유도하고,

건설인력의 전문화․고급화를 추구해야 할 것이다.

○ 사업방식 및 재원조달 관련 전략적 방향

통일대비 안전 및 유지관리의 사업방식 및 재원조달과 관련된 전략적 방향으로 다음의 세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① 정부 주도, 국내․외 민간자본 및 다국적 국가들의 국제협력기구에 의한 사업방식 제시

통일대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사업방식의 전략적 방향으로는 국내 정부 및 관련 부처

주도에 의한 개발방식, 국내․외 민간자본에 의한 개발방식, 다국적 국가들의 국제협력기구

설립 및 추진에 의한 개발방식 등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사업방식을 선정할 경우 주요

검토사항으로는 사업의 위험성을 해소하고 사업절차의 간소화 및 표준화 등을 위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② 북한 인프라 재원조달의 종류, 규모, 방법 등에 대한 체계 마련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재원조달의 전략적 방향으로는 재원조달의 종류, 규모, 방법에

대한 사항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재원조달의 종류에는 국내와 국외 차원으로 구분가능하고,

국내 측면에서는 남북협력기금, 대외경제협력기금의 남북협력기금화, 한국국제협력단 자금,

재정투융자, 해외자원개발기금, 국공채 발행, 목적세 신설, 해외차관 도입 등이 있으며, 국외

측면에서는 세계은행(국제부흥개발은행, IBRD) 및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지원 프로그램,

국내외 참여 신탁기금, 공적개발원조(ODA),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등의 활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북한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재원조달 규모 산정에 있어서는 인프라 개선 및 개발

지원을 위한 단계별․연도별 경제적 부담의 목표를 설정하여 추진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그 외 재원조달을 위한 방법으로 북한 인프라 개발용 재원조달 목적의

국제협력체 설립, 해외기업 및 한국기업의 동반진출 유도, 남북 공동협력 차원의 금융모델

개발, 재원조달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 인프라개발기금 마련 등을 계획하여야 한다.

Page 97: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78 -

6.2 통일대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공단의 추진 전략

최근 대한민국 정부는 통일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드레스덴 선언 등 범정부 차원의

통일대비에 관한 논의와 실행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정부 산하기관, 연구기관, 언론, 정치권,

시민단체 및 학계 등에서도 한반도 통일을 주요 키워드로 다양한 남북협력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리고 북한에서 군수 및 건설에 직접 참여하였던 북한이탈주민(실무자)과 관련 대북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 및 심층 면담을 실시한 결과, 현재 북한의 건설 인프라 수준은

우리나라의 1970년대 중반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북한 인프라 수준을 대한민국 수준으로

균형화 시키는데 약 100조원 이상의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화와 정책기조에 부합하여 공단은 앞으로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이라는

목표아래 향후 통일대비 단계별 추진 시나리오에 따른 국가기반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대한 사전준비를 시작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통일을 대비한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공단의 단계별 추진전략과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물의 수량, 규모, 범위 및 상태 등 간접적인 추정치로 조사되고 있는 북한 인프라

시설의 정확한 실태현황을 파악하고 측정하기 위해서 다각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전수조사 및

표본조사 수립계획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수립된 실태조사 프로세스를 토대로 남북 시설물의 안전관리 및 유지관리에 대한 통합

분류기준을 세우고, 해당 시설 분야별 지표를 선정해야 할 것이다.

셋째, 남북으로 이원화된 안전 및 유지관리의 현황과 수준을 파악하여 통합된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기존의 남북 국토 및 시설물 정보 데이터를 구축, 공유 및 일원화하기 위해서 통합

인프라 실태정보시스템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실질적 단기, 중기, 장기적인 통일 추진시기에 따라 시설의 안전 및 유지관리

마스터플랜과 로드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다음은 전체 추진전략에 대한 세부 실시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Page 98: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79 -

① 대북 시설물 실태현황 전수조사 수립계획 마련

- 북한 시설물의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자료 수집 및 취득

- 북한 시설물 및 시설환경의 구체적 현황조사를 위한 방법론 구축

② 남북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 통합 기준 및 지표 선정

- 남북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진단, 점검주기, 등급, 평가방법 마련

- 북한 인프라 건설 시 안전성을 고려한 설계기준, 시방서 등 건설기준 마련

- 북한 인프라 건설 시 유지관리를 고려한 설계기준, 시방서 등 건설기준 마련

③ 남북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 체계 구축

- 남북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표준분류체계 수립

- 통일 시나리오에 따른 통합 시설물 안전관리체계 및 전략 방안 도출

- 통일 시나리오에 따른 통합 시설물 유지관리체계 및 전략 방안 도출

- 통합 인프라 실태정보시스템 개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④ 추진시기별 한반도 시설 안전 및 유지관리 마스터플랜 수립

- 남북 시설물의 특성 및 분류에 따른 범위 선정(주거, 생산, 수자원, 주민 등)

- 북한 인프라 진단 및 지원을 위한 인력, 장비, 자재 및 기술적 협력 방안 도출

- 북한 재난․재해 위험요소 도출 및 위험도 평가

- 남북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책, 제도, 법령, 재원조달, 예산 및 조직 구성

Page 99: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80 -

6.3 소결

본 장에서는 통일대비 북한 인프라의 안전 및 유지관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먼저, 정책,

제도, 기술, 인력지원, 사업방식, 재원조달 등에 대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였고, 그에 따른

공단의 추진 전략을 구상하였다.

먼저 북한 건설 인프라 관련 정책, 제도, 기술, 인력지원, 사업방식, 재원조달 등에 대한

전략적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 및 제도 관련 방향으로는 북한 인프라 개선․개발

로드맵 및 국제컨소시엄 계획(안) 구성, 정부 부처별 협력 및 조직 구성(안) 마련, 안전 및

유지관리 관련 인허가, 사업 절차, 기준 및 체계 수립, 북한 인프라 법령 및 체계 마련, 시설

분야별 제도 종합 검토, 남북 인프라 관련 법률 비교 등이 있다. 둘째, 기술 및 인력지원 관련

방향으로는 북한 인프라 시설물 점검․진단 기준 및 지침 마련, 북한 인프라 시설물 평가

시나리오 및 추진 프로세스 마련, 북한 인프라의 안전 및 유지관리 기술수요조사, 기술적인

지원 및 협력방안 도출, 남북 건설 인프라 관련 기술적 용어 표준화, 북한 건설기능인력의

교육 참여방안 및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도입 등이 있다. 셋째, 사업방식 및 재원조달과

관련된 전략적 방향으로는 정부 주도, 국내․외 민간자본 및 다국적 국가들의 국제협력기구에

의한 사업방식 제시, 북한 인프라 재원조달의 종류, 규모, 방법 등에 대한 체계 마련 등이

있다.

그리고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공단의 단계별 추진전략과 방안으로는

첫째, 북한 인프라 시설의 전수조사 및 표본조사 수립계획 마련, 남북 시설물 안전관리 및

유지관리에 대한 통합 분류기준 및 지표 선정, 셋째, 남북 안전 및 유지관리 통합 관리체계

구축, 통일 추진시기별 안전 및 유지관리 마스터플랜 및 로드맵 수립이다.

Page 100: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제 7 장

결 론

7.1 결론

7.2 연구의 성과

7.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Page 101: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82 -

Page 102: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83 -

제 7 장 결론

7.1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기본방향은 통일대비 북한 인프라 시설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대한 전체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인프라 실태와 수준을 파악하여 국가 차원의 통합

인프라 구축을 위한 효율적․전략적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다. 또한 세부적으로는 향후 통일을

대비하여 남북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하여 국가시설 안전 및 유지관리 분야에서 공공

정책지원기관으로 특화되어 있는 공단의 기능과 역할을 토대로 통합 추진전략 및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이론적 고찰 및 남북 주요 통계지표 비교에서는 통계청 및

통일부 자료를 활용하여 남북 주요 경제지표 및 산업구조를 고찰하였고, 남북 시설물 분야별

통계지표를 분석 및 비교하였다. 둘째, 북한 주요 인프라 시설 분야별 현황조사, 특성 및

시사점 도출에서는 통계청, 한국은행 통계자료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북한 건설 관련

국내․외 외부 전문가를 통해 전문가 인터뷰 및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셋째, 북한 인프라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비교검토에서는 북한 인프라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을 비교검토하기 위하여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대인면접표본조사를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북한 인프라의

취약성․우선순위 개발중요도․위험수준․기술수준을 분석 및 평가하였다. 또한 이에 따라

최종 남북 및 주요선진국의 위험수준과 기술수준에 대한 비교 및 검토를 실시하였다. 넷째,

북한 인프라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한 방안 도출에서는 앞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국가․산업․시장․기술적 측면의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남북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균등화를 위한 공단의 역할과 기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통일대비 북한

인프라의 안전 및 유지관리 방향 제시에서는 향후 통일 시나리오에 따른 정책․제도․기술․

인력지원․사업방식․재원조달에 대한 전략적 방향을 수립하였고, 최종 공단의 추진

전략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기반으로 남북 인프라 스톡에 대한 상세 기술수준을

분석하고, 수준 균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자 하며, 현재까지 조사된 북한

인프라를 대상으로 사용성 및 건전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는 한반도 통합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략적인 방안으로 남북 시설물의 안전에 대한 건전도와 성능에 대한 사용성을 평가하여

Page 103: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84 -

남북의 위험수준 및 기술수준에 대한 격차를 줄이고, 최종적으로는 통합 한반도 안전 및

유지관리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통일비용 대비 통일편익을 극대화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Page 104: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85 -

7.2 연구의 성과

금번 당해연구의 과제수행(2015년)을 통해 도출된 연구성과 실적은 다음 표 20과 같다. 연구

실적물은 교육적 효과(연구 수행과 관련된 실질적 교육 참여), 기술적 효과(연구 수행 과정 및

결과로부터 취득된 학술․기술적 성과물), 홍보 효과(주요 연구내용 관련 국내․외 발표한

강연, 세미나, 수상 등)의 3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수행된 주요 실적으로

교육적 효과 1건, 기술적 효과 4건, 홍보 효과 7건으로 나타났다.

NO 분야 성과목표 관련주제 및 내용 일시 주관 장소

1 교육교육 수행

및 참여제1차 중견실무공무원 교육 2015. 04 통일교육원 서울

2 기술 기술서적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공단의역할과 추진 전략

2015. 04 한국시설안전공단 일산

3 〃 기술서적북한 인프라 스톡의 실태추적과 통일대비 공단의

역할 시나리오2015. 10 한국시설안전공단 일산

4 〃학술지 및학술발표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략적

방안2015. 04 대한건축학회 용인

5 〃학술지 및학술발표

북한이탈주민의대인면접표본조사에 의한

북한 인프라 기술 및위험수준 예측

2015. 10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용평

6 홍보 세미나북한 건설시장의 현황과

과제2014. 11

한국건설산업연구원(박용석)

일산

7 〃 세미나북한 건설 인프라 개요 및

현황 소개2015. 03

북한발전연구원(김승철)

일산

8 〃 세미나최근 북한 교통의 현황 및

특성 소개2015. 10

한국교통연구원(안병민)

일산

9 〃 강연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실태추적 및 공단 역할 시나리오

2015. 08 한국시설안전공단 일산

10 〃 강연북한 주요 인프라 스톡의

실태추적과 기술 및위험수준 평가

2015. 10 대한토목학회 군산

11 〃 강연북한 인프라의 실태 및

대처방안2015. 11

한국토질 및기초기술사회

일산

12 〃 수상2015 춘계학술발표

우수논문상2015. 04 대한건축학회 용인

<표 20> 당해연도 연구과제 수행으로 인한 연구성과 실적물

Page 105: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86 -

7.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7.3.1 본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를 통해 기존 통계자료의 현황조사 및 종합분석 결과, 북한의 주요 도로, 철도, 항만,

공항, 수자원 등의 국가기반시설(물)은 대부분 수량과 규모에 대해서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존 시설물의 급격한 노후화 및 노령화가 진행되어 붕괴․파괴․기능상실의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무엇보다도 시설물의 정확한 안전 진단과 정기적인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구조물과 시설환경에 대한 보수․보강 역시 매우

미흡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북한 인프라의 객관적인 실태조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며, 다양한 경로와 방법을 활용하여 북한 인프라 실태정보를 취득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향과는 달리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기존 문헌고찰과 관련

자료를 사전에 검토한 결과, 북한 국토 및 건설 인프라와 연관된 대부분의 자료들이 통일부,

국방부, 국가정보원 등의 관계기관에서 대외비 문서로 취급하여 자료 수집 및 취득이 어려운

상황이며, 둘째, 현재 공개된 대부분의 공식자료들은 통계청 및 북한 관련 연구기관에서 간접

추정치로 제시한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의 자료만으로 북한 전체

시설물의 현황과 수준을 객관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기에는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북한 관련 전문가 및 전문기관을 통하여 면담 및 자문결과, 건설 인프라 관련 개별

연구는 다수 진행되고 있으나, 안전 및 유지관리 측면의 전체 인프라에 대한 검토 및 평가,

진단 및 점검방법, 수준 및 관리 현황 등 통일대비 남북 건설 인프라 구축에 대한 종합적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공단은 최근 북한 인프라 시설의 안전 및 유지관리 측면의 종합적인 현황조사를

토대로 남북 시설물의 종합적인 실태파악을 수행하기 위한 다각적인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고, 공단이 보유하고 있는 특성화된 인력, 장비 및 기술력을 적극 활용하여 한반도 인프라

구축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 및 시나리오별 전략적인 방안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Page 106: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87 -

7.3.2 향후 연구 방향

본 연구인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통합 추진 전략(2015)”과 연계된 후속

연구 방향으로서 국가차원의 남북 인프라 기획 및 관리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고, 통일추진

비용절감과 대북지원 협력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북한 인프라 스톡의 실태추적(북한이탈주민, 대국민 및 국내외 전문가 설문)을 기반으로

통일대비 한반도 인프라 세부 항목별 핵심요소기술 및 위험지표를 도출하고, 북한 인프라

스톡의 기술 및 위험수준을 상세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통일대비 남북 인프라 시설물의 성능 및 기술수준의 균등화를 위하여 북한 인프라

스톡의 사용성․건전도 평가방법 및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북한 인프라 스톡의 사용성․건전도 평가모델에 의한 시뮬레이션 및 공단 역할

시나리오에 따라 북한 인프라 진단 및 지원을 위한 인력, 장비, 교육 및 기술의 협력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남북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공단의 선진화 방안으로서 정책, 제도, 법령,

재원조달, 예산, 조직 등을 구상하여 추진시기별 한반도 시설 안전 및 유지관리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자 한다.

<그림 36> 본 연구와 연계한 향후 연구추진 전략

Page 107: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88 -

Page 108: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89 -

참 고 문 헌

[1] 공준현 (2008), “북한 경제특구 발전을 위한 교통인프라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권원일 (2008), “북한투자요인을 고려한 남북물류의 효과적인 추진 방안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관호, 김명원 (2014), “북한의 건설재료”, 한국콘크리트학회 2014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4] 김상균 (2009), “남북철도 현대화를 위한 남북한 철도건설기준 비교 분석”,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제12권 제6호.

[5] 김순재 (2001), “남·북한 전력사업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승철 (2015), “북한의 건설 인프라 개요 및 현황 소개”, (사)북한발전연구원.

[7] 김재관 (2010), “북한 사회 인프라 건설 지금 우리가 시작해야”, 대한토목학회 제58권 제11호.

[8] 김제철, 김미경 (2006), “남북한간 정기 항공운송 개시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통연구원.

[9] 김종선, 이춘근, 성지은, 손수정, 장용석 (2010), “북한의 산업기술 발전경로와 수준 및 남북

산업연계 강화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0] 박용석 (2010), “남북한 건설 분야 협력사례 분석과 북한 내 산업단지 개발 방안”,

한국건설사업연구원.

[11] 박용석 (2014), “북한 건설수요와 건설산업의 대응과제”, 국토연구원 2014년 10월호.

[12] 박용석 (2015), “북한 건설시장의 현황과 과제에 대한 소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3] 배승주, 김효규, 김대상, 조국환 (2014), “극한지 외기온도 변화에 따른 철도터널 동결깊이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2014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14] 변근주 (2008), “북한의 건설기술 현황 및 향후 정책 방향”,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15] 사공호상, 서기환, 한선희 (2006), “북한지역 국토이용실태 조사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16] 서울대학교 (2013), “통일을 대비한 상하수도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연구”, 환경부.

[17] 안병민 (2015), “교과서에 안 나오는 북한의 교통 이야기”, 통일부 통일교육원.

[18] 안병민 (2015), “북한의 교통인프라 현황과 과제”, 한국교통연구원.

[19] 안병민, 김선철 (2012), “북한 항만 현황 분석”, 한국교통연구원.

[20] 안재섭 (2013),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북한의 평성시와 함흥시의 도시공간구조”

한국사진지리학회 제23권 제4호.

Page 109: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90 -

[21] 엄창용 (2005), “남북한 도로관리체계 상호연계방안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석기, 양문수, 김석진, 이영훈, 임강택, 조봉현 (2013), “북한경제 쟁점분석”, 산업연구원.

[23] 이정석, 김미나, 윤태국 (2015),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공단의 역할과

추진 전략”, 한국시설안전공단.

[24] 이정석, 김미나, 신철식 (2015), “북한 인프라 스톡의 실태 추적과 통일대비 공단의 역할

시나리오”, 한국시설안전공단.

[25] 이홍기, 이상중, 양성덕 (2008), “개성공단 전력수요 전망과 효율적 공급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6] 임강택 (2009), “북한경제의 시장화 실태에 관한 연구”, 통일연구원.

[27] 장석명, 이영수, 박기용, 송종화 (2014), “남북한 도로설계기준 비교 및 적용방안”,

한국도로학회 제16권 제3호.

[28] 정봉민, 박용안, 최종희, 전형진, 황진회, 박용욱, 고현정 (2007), “남북한 물류체계 통합 및

활용방안(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9] 정봉민, 최종희, 황진회, 고병욱, 박문진 (2008), “남북한 물류체계 통합 및 활용방안(Ⅱ)”,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0] 정일호 (2011), “북한 인프라 및 건설시장에 대한 전망”, 대한토목학회지 제59권 제13호

대한토목학회 60주년 기념호.

[31] 통계청 (2014), “2014 북한의 주요통계지표”.

[3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 “2012년 기술수준평가”, 미래창조과학부.

[33] 한국교통연구원 (2008), “대륙철도 연계를 위한 북한철도 현대화 기본계획 구상 연구”,

국토교통부.

[34] 한국교통연구원 (2008), 남북도로교통건설기술 공통시방서 작성.

[35] 한국은행 (2014), “http://ecos.bok.or.kr>국민계정”.

[36]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0), “남북한 건설기술(항만분야) 표준화 방안 연구”, 국토해양부.

[37] 한의석, 이인근, 박선규 (2013), “북한의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교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33권 제2호.

[38] 홍민 (2014), “북한의 아파트 건설시장과 도시정치”, KDI 북한경제리뷰 2014년 8월.

[39] 홍순직, 이상만 (2010), “북한의 경제 구조 변화요인 분석과 전망”, 평화문제연구소 제22권 2호.

[40] 홍천희, 정상기 (2010), “북한철도 건설인력 수준과 활용 방안 연구”,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Page 110: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부 록: 1

설문지 양식

부록 1.1 북한 인프라 시설의 실태수준 측정을 위한

설문조사

부록 1.2 전문가 자문 의견서

부록 1.3 전문가 자문 결과보고서

Page 111: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92 -

부록 1.1 북한 인프라 시설의 실태수준 측정을 위한 설문조사

북한 인프라 시설의 실태수준 측정을 위한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국토교통부 산하 한국시설안전공단 시설안전연구소에서 연구과제와 관련된 “북한 인프라

시설의 실태수준 측정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합니다.

본 조사는 “북한이탈주민 정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북한이탈주민(새터민)을

대상으로 실시하고자 합니다. 바쁘시더라도 시간을 할애하여 다음의 질문에 응답하여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설문응답은 통계법 제33조에 의해 비밀이 보장되며, 귀하의 개인정보 또한 개인정보

보호법 제3조에 의거 철저하게 보호됨을 알려드립니다.

그리고 귀하가 응답한 모든 설문내용 및 결과는 통일대비 한반도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국가시책 마련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지원방안 수립에 활용할 목적이며, 이는 통계작성

용으로만 사용하고, 개인정보가 외부로 알려지는 일은 절대 없도록 약속드립니다.

☎ 담당자 : 이정석 선임연구원(031-930-4614), 김미나 연구원(031-930-4618)

e-mail :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2015년 8월

○ 연구과제명 : 통일대비 한반도 인프라 구축을 위한 통합 추진 전략

○ 과제기간 : 2015. 1. 1. ~ 12. 31. (1차년도)

○ 과제 목적 : 통일대비 북한 인프라 시설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대한 현황 조사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실태와 수준을 파악하여 국가 차원의 통합 인프라

구축을 위한 효율적․전략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Page 112: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93 -

Q1. 설문 응답자 기본사항√ 성명 ( ), √ 성별 ( ), √ 연령 ( ), √ 결혼여부 ( )

√ 탈북시기: 2000년 이전( ), 2000년~2005년( ), 2005년~2010년( ), 2010년~2015년( ) √ 북한지역 출생지 : 함경북도( ), 함경남도( ), 평안북도( ), 평안남도( ), 황해북도( ),

황해남도( ), 양강도( ), 자강도( ), 강원도( ), 평양( ), 개성( ) √ 북한지역 종사 직업 ( ), 북한지역 근무경력 ( 년) √ 현재 대한민국 거주지 :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 ), 비수도권 “수도권외 지역” ( ) √ 현재 대한민국 종사 직업 ( ), 현재 대한민국 근무경력 ( 년)

Q2. 다음 북한시설물 중 가장 취약하다고 판단되는 시설물을 높은 순서대로 기입해 주십시오.시설물 종류: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댐, 상하수도, 전력 및 통신, 건축물, 기타

1. ( ) > 2. ( ) > 3. ( )

Q3. 다음 북한시설물 중 개발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시설물을 순서대로 기입해 주십시오.시설물 종류: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댐, 상하수도, 전력 및 통신, 건축물, 기타 1. ( ) > 2. ( ) > 3. ( )

Q4. 다음 북한 시설물에 대하여 위험수준 및 기술수준을 각각 평가해 주십시오.

구분위험수준(위험도) 기술수준(기술력)

매우 위험 위험 보통 안전 매우

안전매우 낮음 낮음 보통 높음 매우

높음도로철도항만공항댐

상하수도전력 및 통신

건축물기타

Page 113: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94 -

부록 1.2 전문가 자문 의견서

전문가 자문 의견서

자문위원 : 김승철 (서명)

■ 건명 :「통일대비 한반도 인프라 구축을 위한 통합 추진 전략」연구과제에서 북한 건설

인프라의 수준, 현황 및 특성에 대한 검토

■ 자문의견

○ 설문조사 기준 및 내용에 관한 주요 검토의견

-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설문조사 방법은 단순 이메일이나 전화통화에 의한

조사방법으로 설문 응답의 신뢰성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름. 이에 따라 설문조사

응답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인별 대면면접에 의한 설문조사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됨.

- 설문조사 대상 부수는 북한이탈주민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가급적 많은 부수를 확보하여

자료를 분석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사료됨. 다만 다수의 북한이탈주민을 개별로 대인면

접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표본 대상을 선정하여 사전 설문을 실시한 후 본 설문을

진행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됨.

○ 북한 건설 인프라의 현황 및 특성에 대한 검토

- 북한 관련 자료 대부분은 통계청 및 통계사이트에 공개된 자료를 제외하면 통일부, 국방

부, 국가정보원 등 관계기관에서 대외비 문서로 취급하여 자료 취득이 용이하지 않은 것

으로 알고 있음. 이에 따라 북한 인프라의 수량, 규모 및 상태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실

제적인 근거 자료를 취득하기 위한 다각적인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예를 들면 중국,

러시아를 비롯한 주변국들의 전문가 활용 및 최근 북한이탈주민의 심층 인터뷰 등)

- 최근 김정은정권 시기에 건설 및 관리되고 있는 북한 주요 인프라 시설들은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알려진 내용과 달리 시설물의 안전 상태나 사용수준이 매우 열악하고,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알고 있음. 이에 따라 향후 통일을 준비하는 한국의 입장에서는 어떤 방법

으로 북한 시설물의 성능과 수준을 파악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어떤 전략과 방안으로

시설 인프라를 지원, 개선 및 개발할 것인가에 대한 장기적인 플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2015. 08. 18. (화)

Page 114: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95 -

전문가 자문 의견서

자문위원 : 차 왕 (서명)

■ 건명 :「통일대비 한반도 인프라 구축을 위한 통합 추진 전략」연구과제에서 북한 건설

인프라의 수준, 현황 및 특성에 대한 검토

■ 자문의견

○ 설문조사 기준 및 내용에 관한 주요 검토의견

- 설문조사에 대한 기준, 방법 및 절차에 대한 구성은 무난한 것으로 보이나, 다음의 2가지를

고려하여 설문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함.

- 첫째, 설문조사 진행 시 개별 면담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만, 최근 탈북한

이탈주민과의 의사소통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이에 따라 남북의 인프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있거나, 의사소통이 원활한 조사원을 대동하여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됨.

- 둘째, 기존의 북한에서 거주한 탈북자들의 특성상 북한 내 지역별 이동이 쉽지 않고,

타 지역과의 정보교류가 원활하지 않음으로 설문조사에 의한 응답자료가 일관성이 부족

할 것으로 판단됨. 이에 따라 지역별로 설문대상을 구분하여 해당 지역의 특성을 구분하고,

이를 취합하여 종합하는 방법이 적합할 것으로 예측됨.

○ 북한 건설 인프라의 현황 및 특성에 대한 검토

- 북한 건설 인프라에 대한 연구내용 중 전문용어의 표기가 적절하지 않거나, 남북이 사용

하고 있는 학술적․기술적 전문 용어들의 보완 설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 연구내용에서 제시한 북한 건설 인프라의 현황 및 특성은 남한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준보다

훨씬 심각한 것으로 알고 있음. 이에 따라 대한민국이 실질적인 북한의 경제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향후에는 조사된 설문응답지를 통하여 북한 건설 인프라의 기술 및 위험수준을 분석하고,

남북이 공통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됨.

2015. 08. 18. (화)

Page 115: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96 -

부록 1.3 전문가 자문 결과보고서

전문가 자문 결과보고서

1. 연구과제 : 통일대비 한반도 인프라 구축을 위한 통합 추진 전략 연구

2. 자문일시 : 2015. 08. 18

3. 자문방법 : 서면검토에 의한 전문가 자문

4. 전문가 활용 명단 및 활용내역

성 명(소속)

급 수(경력)

자문기간(건수)

검토사항 전문가 선정사유

김승철(북한개혁방송)

A급(석사9년이상)

`15.08.18(1건)

․ 의견수렴․ 설문조사

북한 건설관련 경력보유및 다수 업무 수행

차왕(북한개혁방송)

B급(학사9년이상)

`15.08.18(1건)

․ 의견수렴․ 설문조사

북한 건설관련 실무경력및 연구 수행

5. 연구사업 개요

과 제 명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통합 추진 전략사업구분 자 체

담당부서 기술본부 시설안전연구소 연구책임자 신철식

총 연구기간 2015. 1. 1. ~ 2015. 12. 31. ( 1 년 개월)

당 해 연 도

연 구 기 간2015. 1. 1. ~ 2015. 12. 31. ( 1 년 개월)

연구개발비

(천원)

총계 1차년도

19,712 19,712

Page 116: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97 -

위원 자문의견 조치결과

김승철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설문

조사 방법은 단순 이메일이나 전화통화에

의한 조사방법으로 설문 응답의 신뢰성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름. 이에 따라

설문조사 응답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

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인별 대면면접에

의한 설문조사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

∙기존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있어서는 자문의원의 지적사항과

동일하게 단순 이메일이나 유무선에 의한

방법을 배제하였으며, 향후 추가 설문 역시

연구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대면면접을 수행하고자 함

∙설문조사 대상부수는 북한이탈주민의 특

수성을 고려, 가급적 많은 부수를 확보하

여 자료를 분석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사료. 다만 다수의 북한이탈주민을 개별

로 대인면접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하므

로, 표본 대상을 선정하여 설문을 진행하

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

∙본 연구의 예산으로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많은 수량의 설문조사 수행에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어 표본조사를

수행할 예정이며, 향후 연구에서 예산 확

보 후 추후 반영하도록 할 계획임

∙북한 관련 자료 대부분은 통계청 및 통계

사이트에 공개된 자료를 제외하면 통일부,

국방부, 국가정보원 등 관계기관에서

대외비 문서로 취급하여 자료 취득이

용이하지 않음. 이에 따라 북한 인프라의

수량, 규모 및 상태 등을 파악하기 위해

서는 실제적인 근거 자료를 취득하기 위

한 다각적인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

∙북한 관련 정보 및 데이터 수집에 관하여

국외 전문가 및 해외기관의 문헌을 추가

적으로 조사하여 연구에 반영할 계획임

∙최근 김정은정권 시기에 건설 및 관리되고

있는 북한 주요 인프라 시설들은 일반적

으로 외부에서 알려진 내용과 달리 시설

물의 안전 상태나 사용수준이 매우 열악

하고,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알고 있음.

이에 따라 향후 통일을 준비하는 한국의

입장에서는 어떤 방법으로 북한 시설물의

성능과 수준을 파악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어떤전략과 방안으로 시설 인프라를

지원, 개선 및 개발할 것인가에 대한 장

기적인 플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북한 인프라 개선 및 개발에 대한 장기

적인 플랜은 이미 연구 내용중에 일부

포함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시나리오 및

전략적인 방안들은 차기 연구에서 중점

적으로 다루고자 함

6. 자문의견 및 조치계획

Page 117: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98 -

위원 자문의견 조치결과

차왕

∙설문조사 진행시 개별 면담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만, 최근 탈북한

이탈주민과의 의사소통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이에 따라 남북의

인프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있거나,

의사소통이 원활한 조사원을 대동하여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

∙연구 여건상 조사원을 별도로 지정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름.

대신 북한에서 건설에 종사하였고, 한국

어에 능통한 탈북 전문가를 통해서 검토

및 검증을 실시하였음

∙기존의 북한에서 거주한 탈북자들의

특성상 북한 내 지역별 이동이 쉽지 않고,

타 지역과의 정보교류가 원활하지 않음

으로 설문조사에 의한 응답 자료가 일관

성이 부족할 것으로 판단됨. 이에 따라

지역별로 설문대상을 구분하여 해당

지역의 특성을 구분하고, 이를 취합하여

종합하는 방법이 적합할 것으로 예측

∙북한의 11개 전체 지역에 대한 북한

이탈주민을 조사대상으로 설문을 하기

에는 연구여건상 한계점이 있음.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지역별 표본 대상을

선정하기보다는 전체적인 인프라 시설의

위험수준 및 기술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음

∙북한 건설 인프라에 대한 연구내용 중

전문용어의 표기가 적절하지않거나, 남북이

사용하고 있는 학술적․기술적 전문 용어

들의 보완 설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

∙남북학술 용어사전에 의한 전문용어들을

정리하고자 함

∙연구내용에서 제시한 북한 건설 인프라의

현황 및 특성은 남한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준보다 훨씬 심각한 것으로 알고 있음.

이에 따라 대한민국이 실질적인 북한의

경제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북한 인프라 개선 및 개발에 대한 지원

방안은 이미 연구내용 중에 일부 포함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시나리오 및 전략적인

방안들은 차기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함

∙향후에는 조사된 설문응답지를 통하여

북한 건설 인프라의 기술 및 위험수준을

분석하고, 남북이 공통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으로 판단

∙북한 인프라 기술 및 위험수준에 대한

분석은 연구 진행중에 있으며, 구체적인

결과와 전략적인 방안들은 본 연구의

결과에 제시하고자 함

Page 118: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99 -

부 록: 2

내부세미나 개최

부록 2.1 북한 건설시장의 현황과 과제에 대한 소개

부록 2.2 북한 건설 인프라 개요 및 현황 소개

부록 2.3 북한의 교통 인프라 현황과 과제

Page 119: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00 -

부록 2.1 북한 건설시장의 현황과 과제에 대한 소개

○ 연구과제명 :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통합 추진 전략(2015년 추진계획 중인 자체 연구)

○ 세미나명 : 북한 관련 전문가 초청 세미나○ 일시 : 2014년 11월 28일 금요일 17:00∼18:00 (1시간)○ 참석자 : 신철식 소장 외 13명○ 장소 : 한국시설안전공단 4층 진단평가 대회의실○ 발표자 : 박용석 연구위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발표내용 : 북한 건설시장의 현황과 과제에 대한 소개○ 북한 경제 및 건설산업의 개요 - 북한 경제의 개요, 문제점 제시 - 북한 경제정책 동향, 건설 제도 및 공급 구조에 대한 설명○ 북한의 주요 건설수요 현황 - 농업기반시설, 교통인프라, 에너지 및 전력, 경제 및 관광특구, 주택 소개○ 건설산업의 과제 - 북한 인프라 종합개발계획에 관한 의견 제시 - 통일 인프라 건설활동의 안정성 및 예측가능성 제고 - 북한 건설기능인력 훈련센터에 관한 방안 제시

○ 세미나 관련 사진

Page 120: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01 -

부록 2.2 북한 건설 인프라 개요 및 현황 소개

○ 연구과제명 :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통합 추진 전략○ 세미나명 : 북한 관련 외부 전문가(새터민) 초청 세미나○ 일시 : 2015년 03월 17일 화요일 14:00∼16:00 (2시간)○ 참석자 : 신철식 소장 외 23명○ 장소 : 한국시설안전공단 2층 대회의실○ 발표자 : 김승철 대표 ((사)북한개혁연구원, 북한개혁방송)○ 발표내용 : 북한 건설 인프라 개요 및 현황 소개

1. 북한 인프라 건설 변천사 - 북한의 시기별 국가의 지원 변화 - 북한의 경제상황에 따른 건설 산업변화 동향2. 북한의 건설분야 정책 및 법․제도 - 북한의 건설 정책 및 제도 특성 - 북한의 기술 및 시공제도 적용기준3. 북한의 건설 인프라 현황 - 교통시설(철도, 도로)의 시설수준 및 현황 - 주택 건설방식과 전기 및 상하수도 시설 설치 현황 - 에너지 사용 원료 변화 및 전기 송전 실태 현황 4. 북한 체제변화 전망과 인프라 개선 방안 - 북한 인프라 실태에 대한 최근 현황조사 방안 마련 - 북한 체제변화에 따른 협력방안 모색 - 장기적 과제 진행을 위한 북한 관련 위원회 설립 5. 질의응답 관련 사항 - 북한 시설물 관련 실태조사 실시방안에 대한 검토 - 북한 건설 기준 및 기술수준의 현황 - 남북시설물 점검 및 진단기준 세부내용

Page 121: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02 -

○ 세미나 관련 사진

Page 122: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03 -

부록 2.3 북한의 교통 인프라 현황과 과제

○ 연구과제 :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통합 추진 전략○ 일 시 : 2015년 10월 27일 (화) 10:00∼12:00 (2시간)○ 참 석 자 : 신철식 소장 외 12명○ 장 소 : 시설안전연구소 내 회의실(주엽동)○ 발 표 자 : 한국교통연구원 유라시아·북한인프라센터 안병민 소장 ○ 발표내용 : 북한의 교통 인프라 현황과 과제

1. 북한에서의 교통 : 개념과 위상 -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교통의 기능 - 북한에서의 교통 개념 - 교통과 생산성

2. 북한 교통부분에서의 변화 - 수송난의 지속

3. 북한의 교통 SOC 현황 - 철도/도로/항만/항공/건설

4. 북한 교통 부문의 대외협력 - 주변국가 지원을 통한 교통시설의 현대화 추진

5. 북한 인프라협력 추진방향 - 남북협력사업에 대한 평가 - 향후 추진 전략 및 과제

Page 123: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04 -

○ 세미나 관련 사진

Page 124: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05 -

부 록: 3

외부 세미나 참석 내용

부록 3.1 남북발전연구회 통일대비 국토대응전략

부록 3.2 남북물류포럼 조찬간담회

부록 3.3 시민평화포럼 ‘2015 남북관계 돌파구를 열자’

부록 3.4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동북아 정세토론회

부록 3.5 한국수자원학회 특별위원회 세미나

부록 3.6 대한토목학회 그랜드 코리아 인프라 구축 심포지엄

Page 125: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06 -

부록 3.1 남북발전연구회 통일대비 국토대응전략

□ 일시 및 장소

○ 2014. 12. 18(목) 15:00~17:30, 국토연구원 10층 회의실

□ 참석자 명단

○ 국토부 내 통일업무 관련과 및 산하기관, 연구원 담당자 25인

* 국토부(국토정책과, 산업입지정책과, 건설인력기재과, 수자원정책과, 교통정책조정과,

도로정책과, 국제철도팀, 철도건설과, 국제항공과, 공학정책과, 항공관제과,

공간정보기획과, 지적기획과, 국토지리정보원 등)

* 산하기관(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도로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공항공사, 한국시설안전공단, 대한지적공사)

* 연구원(국토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토지주택연구원)

□ 논의 과제

○ 통일대비 국토대응전략 연구 중간보고

□ 회의 진행 순서

- 15:00~15:10 인사말씀(김규현, 국토정책과장)

- 15:10~15:20 전체 사회(임강택, 통일연구원)

- 15:20~16:00 통일대비 국토대응전략 연구 중간보고(이상준, 국토연구원)

- 16:00~17:30 전체토론

Page 126: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07 -

□ 연구기간 : 2014. 06. 10 ~ 2015. 02. 04

□ 주제 : 통일에 대비한 국토분야 실천과제 방안 연구

□ 필요성 : 통일대비 실질적인 정책개발의 필요성 대두

□ 목적 : 통일시나리오에 따른 국토분야 단계별 핵심실천과제 제시

□ 범위 : 국토이용관리, 산업입지개발, 도시개발, 주택개발, 수자원개발,

교통 관광 농산촌 및 산림, 제도통합 및 재원조달

□ 주요 연구 내용

○ 통일시나리오별 추진 단계

- 급변관리단계, 통일추진단계, 실질통합단계로 구분

○ 급변관리단계 주요 방안

- 총리실 산하 위기관리본부 창설 후 긴급구호, 난민대응, 통일준비

등에 대한 조직 구성, 단기적 추진 방안 검토

○ 통일추진단계 주요 방안

- 북한 내 기반시설 긴급정비(도로/철도 연결, 주요 시설 긴급보수)

- 가칭 국토자산관리청 설립 후 토지, 주택 및 기타 시설물에 대한

실태조사 시행

- 주거환경 개선 및 조치 시행(상하수도, 전력 공급 등)

- 인프라 관련 조치 시행(도로, 철도, 교통망, 항만, 항공, 항로 등)

- 북한 지역의 기후 및 환경특성 고려한 개발계획 수립

○ 실질통합단계 주요 방안

- 주거 안정화 조치 시행(주택 임대, 주택 건설 및 도시 개발)

- 인프라 관련 조치 시행

Page 127: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08 -

○ 국토부 핵심 과제 방안

- 통일대비 국토분야의 한시적 특별법 제정

- 국토종합계획 및 북한지역 조사계획 수립

- 주택공급계획 및 도시정비계획 수립

- 광역교통망 건설계획 수립

- 수자원 종합계획 수립

- 북한지역에 대한 공무원 파견교육, 현지인력 재교육(독일사례) 검토

○ 통일 독일사례 시사점

- 과잉투자와 중복투자에 관한 Risk 고려

- 통일이전 동독 및 서독간의 교통부문 사전 협력

- 제도 통합과정에서 우선 및 필요시 되는 특별법 상정

- 지역적 불균형에 대한 문제점 고민

- 광역적이고 거시적인 SOC 개발

□ 전체 토론 주요 의견

- 급변에 대한 개념 설명 보완(오해 소지 있음)

- 통일준비를 위한 정부부처 및 관련 산하기관과의 협력이 중요

- 북한경제 위험요소 면밀히 검토(식량, 의료, 주거, 에너지 등)

- 북한지역 내 거리와 시간을 기준으로 분석 및 시뮬레이션 필요

- 위기관리 대응 방안 및 시장에 대한 파악과 지원방안 모색

- 북한 인프라 시설물에 대한 전방위 실태조사 방법 및 접근 방안 필요

- 중국, 러시아, 일본 등 주변국들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대한

움직임 파악 후 향후 대응 방안 필요

- 향후 탈북자들에 대한 보호 및 수용시설에 대한 고민 필요

Page 128: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09 -

부록 3.2 남북물류포럼 조찬간담회

□ 일시 및 장소

○ 2015. 01. 23(금) 07:00~09:30, 퍼시픽호텔 2층 남산홀

□ 참석자 명단

○ 사 회 : 한반도개발협력연구소장 추원서 박사

○ 발표자 : 중국 연변대학교 최철호 교수

○ 기타 참석자 : 연변과학기술대학교 곽승지 교수 외 100인[붙임1 참조]

□ 논의 과제

○ 두만강 지역 다국적 관광협력과 한국의 역할

□ 회의 진행 순서

- 07:00~07:35 조찬

- 07:35~07:40 동영상 ‘다리와 디딤돌 제2편’

- 07:40~07:45 인사말씀 및 참가자 소개

- 07:45~08:25 주제발표

- 08:25~09:00 질의응답

- 09:00~ 폐회 및 친교

□ 참여목적

○ 북한관련 전문가 강연 참석 및 향후 자문 협조(연변대학교 최철호 교수, 연변과학기술대학교 곽승지 교수 등)

○ 북한관련 전문가 면담을 통한 간접적인 북한시설 현황 파악

Page 129: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10 -

□ 주요내용

○ 두만강 지역의 범위

- 두만강 지역의 북한 부지 현황

- 북한관광과 중․북 관광협력 연구에서의 관광지구 선정 범위

○ 두만강지역 관광상품(코스)

- 북한지역의 관광지구 선정 현황

- 북한의 나진지역 관광시설 및 항만시설 운영 실태

- 중․북․(러) 관광 상품 현황 제시(북한지역 방문 방안관련)

○ 두만강지역 관광시장

- 두만강지역의 국가별 관광인구 현황

○ 두만강지역 다국적 관광협력에서 존재하는 문제점 및 대안

- 북한관광 체제의 문제점 제시(통관수속, 관광시설의 노후화 등)

- 북한관광 체제의 대안 마련

(통관수속의 간소화, 신 관광코스 개발, 중장기 관광발전 전략 마련 등)

○ 한국의 역할

- 중․북․러 관광 확대를 위한 한국의 적극적인 대응 필요

(국내 관광컨설팅회사의 연변진출, 중국과 한반도 연결 관광코스 개발 등)

□ 향후 전문가 활용 계획

○ 북한 인프라 현황 및 실태파악을 위한 정보자료 요청 예정

○ 향후 통일대비 한반도 인프라 구축 연구를 위한 관련분야 전문가

네트워킹 수행

Page 130: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11 -

□ 참고사항

○ 중국 및 러시아의 북한지역 지원 : 전선 및 전력 보급 진행 중

○ 나선특별시는 중․북 협력을 통한 지역개발 진행 및 운영

※ 나선특별시 지역개발 진행을 위해서는 나선무역지대 관리위원회를 거쳐야함

□ 참석 사진

□ 참석자 명함(연변대학교 최철호 교수, 연변과학기술대학교 곽승지 교수)

Page 131: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12 -

부록 3.3 시민평화포럼 ‘2015 남북관계 돌파구를 열자’

□ 일시 및 장소

○ 2015. 02. 27(금) 13:30~18:00, 한국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

□ 참석자 명단

○ 사 회 : 시민평화포럼 정현백 대표

○ 발표 및 토론 : 김종대 외 9인

□ 논의 과제

○ 세션1 : 남북관계의 과제와 새로운 접근

○ 세션2 : 2015 남북관계, 돌파구를 열자

□ 회의 진행 순서

- 13:30~14:00 인사말 및 축사

- 14:00~16:00 세션1 남북관계의 과제와 새로운 접근

- 16:00~18:00 세션2 2015 남북관계, 돌파구를 열자

□ 참여목적

○ 국내의 남북관계 정세파악 및 남북 관계발전 개선방향에 대한

자료수집 및 전문가 의견청취

Page 132: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13 -

□ 발표 주요내용

○ 김종대(디펜스21+ 편집장)

: 군사 대화와 협력이 가장 효과적인 안보전략

- 안보달성을 위한 두 가지 방법이 존재함. 국가적 위협에 군사적으로

대응하는 소극적 방법과 군사적 대화를 통한 적극적인 방법.

- 남북대치상황인 이 시점에 소극적 방법인 군사적 대응은 무리가 있음.

- 군사적 대화를 통한 적극적 방법은 국가 안보예산 절감과 국민 불안

문제 해결이 가능함.

○ 이석기(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북한 경제변화와 경제를 통한 남북관계 개선 방향

- 경제적 측면에서 큰 변화를 선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민간기업

중심으로 한 남북한 경제협력의 확대가 남북한 관계발전에 도움이 될 것임.(정부 주도하의 남북경협은 정부 간 사업의 성격 차이 등 정치적 갈등 유발 가능성 내재)

- 민간기업 중심의 남북경협은 기존과 차별화된 추진 전략이 필요하며,

대안으로 중소기업 중심의 남북경협 제시.

- 남북경협의 초기 교역은 위탁가공교역으로 재개하여 북한기업의

생산능력을 이끌어 내도록 해야 함.

○ 강영식(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무총장)

: 민간 교류협력을 통한 남북관계 개선의 가능성

- 현 정부의 남북교류협력 방식은 정부의 일방적이고 자의적인 통제를

통해 남북관계에서 ‘민관협력’보다는 ‘정부주도-민간종속’ 기조 유지.

- 민관협력 방식으로 전환하지 않는다면 광복 70주년 남북 간

사회문화교류는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이에 따라 2015년 계획된 ‘광복 70년 기념 남북공동행사’는 민간이

주관하고, 정부가 후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함.

Page 133: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14 -

□ 토론회 주요 의견

○ 토론 참여자 : 고경빈 이사, 안병민 소장, 이우영 교수

○ 국가안보 측면

- 북한의 군사적 전투력 감축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북한의 군사적 전투력 감축을 위한 방안으로써, 정부에서는 북한과의

대화 단절 태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됨.

○ 북한경제 측면

- 북한의 경제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화폐 비교 분석한 결과, 북한의

경제체제는 비교적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됨.

- 법 개정 및 산업변화 현상을 통해 북한의 경제변화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며, 기존의 사업방식과는 다른 선진화된 방안 마련이 필요함.

(예) Package형 사업, 북한의 지방경제 개발 방안 마련 등)

○ 국가정치 측면

- 북한과의 교류 단절에 대한 정확한 원인 분석이 필요함.

- 북한과의 남북경협 사업 및 교류 확대를 위해서는 현 정부의 남북교류

협력 방안의 문제점 지적 등과 같은 적극적 의사표현이 필요함.

○ 기타

- 이산가족 문제해결을 위한 국가의 행사 개최와 같은 단기적 조치가

아닌 장기적 조치가 필요함.

(예) 이산가족 상봉 장소 및 자원제공 등)

- 국가보안법에 의거하여 국민의 표현의 자유를 억압할 것이 아니라,

국민의 알 권리를 존중해야함.

Page 134: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15 -

□ 연구관련 주요 시사점

○ 북한경제

- 북한경제는 2000년대 들어 제한적이지만 회복 추세를 보임.

- 한국은행의 북한경제 추정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북한경제를 추정해 본 결과,

한국은행의 추정치가 타 방식에 의한 추정치 보다 4~5% 정도 낮게 추정됨.

- 한국은행의 북한경제 추정치는 북한경제의 회복과 성장속도를

과소평가할 가능성 내재.

- 북한환율을 달러와 비교 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비교적 안정적인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됨.

- 북한경제는 산업별로 불균등하게 회복 추세를 보임

(회복속도 : 식품 > 서비스28), 에너지, 건재사업29) 등 > 금속)

- 북한경제는 2000년대 후반부터 대형설비 제작과 화학공업에 대규모 투자

재개

○ 북한경제 회복 원인

- 외부요인 : 국제사회의 지원, 대외무역의 확대

- 내부요인

1. 계획화 체계의 제한적인 작동

2. 산업정책의 전환

3. 시장화의 진전에 따른 노동력 등 생산요소 투입의 증가

4. 국지적인 효율성 증대

5. 제정능력의 부분적인 회복

6. 국가차원 투자의 재개

28) 정부로부터의 서비스는 축소되고, 민간에 의한 상업․유통 서비스는 확대됨

29) 주택건설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사업이 발달하였으며, 그 중 시멘트 중심으로 회복이 빠름

Page 135: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16 -

○ 북한경제의 시장화

- 북한경제의 계획화 체계는 발전소, 제철소 등 전략적인 사업 중심.

- 현재의 북한경제는 계획화 체계 + 시장경제 융복합적 체제로 구성됨.

- 북한경제에서 계획화 체계와 시장은 상호 경쟁적 관계이면서, 상호

의존적 관계라 할 수 있음.

○ 북한경제의 시장화 촉진요인

- 내수 시장의 발달

- 시장에 대한 북한 당국의 태도변화

- 국가의 재정능력 약화로 인한 도 인민위원회 운수사업부 등의 사적인

영리활동 인정

예)전국적인 시외버스 망 구축, 소규모 상점 및 식당 운영 등

- 독점적이기는 하나 국가가 외국인 자본을 유치하여 새로운 시장 창출

예)무선통신 시장, 대형 유통시설 등

○ 북한경제의 시장화 실태 및 한계

- 북한 전체 주민의 10%는 시장을 통한 경제활동을 함.

- 공식적인 금융시장인 상업은행의 부재상황에서, 사금융이 상당한

수준으로 확대되고 있음.

- 설비투자는 국가가, 생산을 위한 중간재 배분은 시장을 통한 거래 증가.

- 국영기업의 자본부족으로 인한 생산 확장의 어려움.

(시장거래를 통해 형성된 자본이 국영기업에 투자 방안 부재)

Page 136: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17 -

○ 기타

- 북한의 버스운영 노선은 남한대비 3.5배

(남한 버스운영 노선 : 200km, 북한 버스운영 노선 : 700km)

- 북한 내부의 신종 서비스업 창출

(예)택배서비스 등)

- 외자유치 방안에 대한 북한 정부의 의식변화

(평양순항공항 시공비용 마련을 위해 기존 도로법에서 외국기업에 한정

되었던 도로사용료 대상을 북한주민까지 확대하도록 법 개정)

- 북한경제 발전에 따른 양극화 현상으로, 평양과 지방의 경제격차 발생

- 북한과의 교류 및 지원정책 방안 마련

(예)지방경제개발구30)를 활용한 정책, Package형 사업 등)

□ 참석 사진

30) 지방의 중소규모 개발구에 입주한 외국인 기업과 개발구 인근 북한 국영기업과 거래관계를 통한 시장경제 구축

Page 137: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18 -

부록 3.4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동북아 정세토론회

□ 일시 및 장소

○ 일 시 : 2015. 03. 10(화) 14:00 ~ 16:00

○ 장 소 : 남북교륙협력지원협회 회의실(KT명동빌딩 9층)

□ 참석자 명단

○ 주최기관 :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 진행자 : 정욱식(평화네트워크 대표이사)

○ 참석자 : 산업은행 통일사업부 관계자 외 15인

□ 논의 과제

○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와 박근혜 정부의 선택(동북아패권경쟁과 한반도)

□ 세미나 진행 순서

- 14:00~15:00 동북아 패권경쟁과 한반도 주제발표

- 15:00~16:00 질의응답 및 토론

□ 참여목적

○ 동북아 정세 및 북한과의 협력관계 유지를 위한 전문가 의견청취

Page 138: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19 -

□ 세미나 주요내용

○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와 박근혜 정부의 선택(동북아 패권경쟁과 한반도)

-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주변국 입장

⇒ 중국 : 남북관계 개선/ 미국 : 남북관계 개선 보류

- 북한과의 통일문제와 관련하여 한국의 입장과 전략 중요

⇒ 현 시점에서는 미국의 개입 없이, 북한과의 통일 우선

- 사드배치와 관련하여 한미동맹과 남북통일의 목표는 실현의 어려움 내재

○ 기타사항

- 사드의 한국배치는 한국과 중국의 관계에 부정적 영향

(중국의 군사주권에 무력을 가하는 것으로 판단 가능성 내재)

□ 참석 사진

Page 139: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20 -

부록 3.5 한국수자원학회 특별위원회 세미나

□ 일시 및 장소

○ 일 시 : 2015. 03. 13(금) 16:00 ~ 18:00

○ 장 소 :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2호관 한반도물문제연구센터

□ 참석자 명단

○ 주최기관 : 한국수자원학회 內 수자원 특별위원회

○ 참석자 : 수자원공사 관계자 외 30인

□ 논의 과제

○ 남북공유하천의 공평한 물 이용에 관한 고찰

○ 남북공유하천의 유역공동체 형성 방안

□ 세미나 진행 순서

- 16:00~17:00 남북공유하천의 공평한 물 이용에 관한 고찰

- 17:00~18:00 남북공유하천의 유역공동체 형성 방안

□ 참여목적

○ 남북 간 국가공유하천 관련 연구과제별 추진방향에 대한 자료수집

및 전문가 의견청취

Page 140: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21 -

□ 세미나 주요내용

○ 남북공유하천의 공평한 물 이용에 관한 고찰

- 이슈 : 국제적으로 공유자원 및 물 이용관련 합리적인 배분 기준 없음

- 내용 : 상․하류 국가 간 관계와 규정검토를 통한 최상의 협력 모델

분석 및 남북관계 발전 방향 모색

- 시사점 : 수자원분야와 관련한 남북 협력관계 형성 방안

① 통일한국은 한반도의 중심부인 남북공유하천 DMZ 중심으로

협력체계 형성

② 남북 수자원 정보공유를 통한 유역공동체 형성

(남북 신뢰형성, 기술자 및 위원회 등 관련분야 지식공동체 형성)

○ 남북공유하천의 유역공동체 형성 방안

- 국제하천에서 상류국은 하류국의 수량 및 수질에 영향을 미치면

협의․교섭 의무 발생

- 수자원 분야에서의 남북 간 문제점

① 남북 간 추가교류 없이 임진강 및 수해문제에 국한되어 협의됨

② 남북 수자원과 관련하여 명확한 정책적, 이론적 근거 미비

- 남북 관계 개선방안

① 남․북한 간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제고하고, 단체 협력 허용

②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주민 등 이해관계자간 역할제고

③ 남북공유하천 포럼 구성을 통한 논의 확산 및 방안 마련

Page 141: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22 -

□ 참석 사진

Page 142: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23 -

부록 3.6 대한토목학회 그랜드 코리아 인프라 구축 심포지엄

□ 일시 및 장소

○ 일 시 : 2015. 05. 07(목) 14:00 ~ 16:40

○ 장 소 : 건설회관 2층 대회의실

□ 참석자 명단

○ 주최기관 : 대한토목학회 & (주)기술과가치

○ 참석자 : 미래예측연구소장 외 100명

□ 논의 과제

○ 통일대비 북한인프라 구축 및 관리 전략

□ 세미나 진행 순서

- 14:00~14:05 개회선언

- 14:05~14:45 심포지엄 취지 및 경과설명, 개회사, 축사

- 14:45~15:30 북한 인프라 주제발표 3건

- 15:30~16:40 토론

□ 참여목적

○ 통일대비 효율적 북한 인프라 구축 및 관리를 위한 기술개발

전략 구축 연구과제 추진방향에 대한 자료수집 및 전문가

의견청취

Page 143: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24 -

□ 세미나 주요내용

○ 아시아 경제공동체 시각에서 본 북한 인프라의 중요성

- 아시아의 육로 교통망의 연결은 국가 간 경제적 문호개방 및 지역적

고립 문제의 해결책(북한은 아시아 육로 교통망의 조인 당사국)

① 아시아 고속도로 관련 북한도로 : AH1, AH6, AH32

② 아시아 횡단철도(TAR)과 북한 : AH1, AH6

○ 통일한반도 국토인프라 구축을 위한 준비 연구과제

- ‘통일대비 북한인프라 구축 및 관리전략’과제의 연구목적은 독일의

통일사례를 참조하여, 통일 이전에 준비해야 할 사안 도출하는 것임.

- 한반도 통일비용 산정에 대한 시각적인 차이가 존재함.

① 인프라 구축비용을 산정하기 위한 합리적인 절차를 구성

② 인프라 구축의 목표 및 시나리오 구성

(1. 양적 목표, 2. 질적 성능 목표, 3. 인프라 부문별 우선순위)

○ 북한인프라 구축 및 관리기술 개발 전략

- 북한 인프라 건설에 필요한 현황 조사/분석,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마스터

플랜 수립 ⇒ 통일비용 절감을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 전략 마련

① 북한 인프라 현황, 기술수요 조사 및 재해 취약성 분석 및 평가

② 북한 주요 인프라 통합 정보 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

③ 통일 시 북한 인프라 건설의 문제점 예측 및 대안에 따른 마스터

플랜 수립

- 인프라 개발을 통한 시너지 창출 및 효과

① 남한 : 저성장 남한 경제의 재도약 및 물류비용 단축으로 경제 효율성 증가

② 북한 : 지속적 경제 성장기반 확보 및 국제사회의 신뢰회복

③ 한반도 : 한반도 지정학적 리스크 감소 및 남북한 경제력 격차 해소 등

Page 144: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25 -

□ 기타 사항(토론)

○ 조선일보 배성규(통일안보 팀장)

- 통일 전후 10년간 예상 투자비용 연간 120억→ 투자 회수비용은 3배이상 추정

- 동해선~블라디보스톡까지 현재 45일 소요되지만, 물류 실크로드 구축 시25일 소요될 것으로 파악(물류이동 시간 20일 단축)

- 국제적인 컨소시엄 구축함으로써 북한의 독단적 행동에 대한 대응방안 마련

○ 국토연구원 이백진(연구위원)

- 국내에는 정확한 북한 DATA가 없는 것으로 파악

- 북한의 도로기준에 대한 유무는 파악되지 않았으며, 현재 국내에서사용하고 있는 자료는 북한의 대학교재 발췌 내용임

□ 참석 사진

Page 145: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Page 146: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27 -

부 록: 4

북한 통계 자료

부록 4.1 예산규모

부록 4.2 인구

부록 4.3 국민 총소득(GNI) 및 경제성장률

부록 4.4 무역총액

부록 4.5 석탄 및 철광석 생산량

부록 4.6 시멘트 생산량

부록 4.7 발전설비용량

부록 4.8 발전전력량

부록 4.9 자동차 등록대수

부록 4.10 항공기 보유대수

부록 4.11 선박 보유톤수

부록 4.12 항만 하역능력

Page 147: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28 -

부록 4.1 예산규모

단위 : 억 달러

년도남한

(South Korea)

북한

(North Korea)

1992 427 185

1993 464 187

1994 535 192

1995 668 -

1996 727 -

1997 673 91

1998 523 91

1999 677 92

2000 774 96

2001 768 98

2002 876 -

2003 991 -

2004 1,050 25

2005 1,320 29

2006 1,538 30

2007 1,684 32

2008 1,628 35

2009 1,595 37

2010 1,741 52

2011 1,894 58

2012 1,980 62

2013 2,257 68

Page 148: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29 -

부록 4.2 인구

단위 : 천명

년도남한

(South Korea)

북한

(North Korea)

남북한

(S & N Korea)

1995 45,093 21,715 66,808

1996 45,525 21,991 67,516

1997 45,954 22,208 68,162

1998 46,287 22,355 68,642

1999 46,617 22,507 69,124

2000 47,008 22,702 69,710

2001 47,357 22,902 70,259

2002 47,622 23,088 70,710

2003 47,859 23,254 71,113

2004 48,039 23,411 71,450

2005 48,138 23,561 71,699

2006 48,372 23,707 72,079

2007 48,598 23,849 72,447

2008 48,949 23,934 72,883

2009 49,182 24,062 73,244

2010 49,410 24,187 73,597

2011 49,779 24,308 74,087

2012 50,004 24,427 74,431

2013 50,220 24,545 74,765

Page 149: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30 -

부록 4.3 국민총소득(GNI) 및 경제성장률

단위 : 십 억원, 만원, %

년도명목 GNI(남한 십억원) 1인당 GNI(남한 만원) 경제성장률(%)

남한 북한 남한 북한 남한 북한

1998 492,574 17,597 1,064 79 -5.7 -0.9

1999 542,178 18,741 1,163 83 10.7 6.1

2000 600,159 18,978 1,277 84 8.8 0.4

2001 683,447 20,287 1,443 89 4.5 3.8

2002 758,863 21,311 1,594 92 7.4 1.2

2003 807,778 21,947 1,688 94 2.9 1.8

2004 874,239 23,767 1,820 102 4.9 2.1

2005 912,609 24,792 1,896 105 3.9 3.8

2006 962,447 24,429 1,990 103 5.2 -1.0

2007 1,040,092 24,827 2,140 104 5.5 -1.2

2008 1,104,414 27,347 2,256 114 2.8 3.1

2009 1,148,982 28,635 2,336 119 0.7 -0.9

2010 1,266,580 30,049 2,563 124 6.5 -0.5

2011 1,340,530 32,438 2,693 133 3.7 0.8

2012 1,391,596 33,479 2,783 137 2.3 1.3

2013 1,441,064 33,844 2,870 138 3.0 1.1

Page 150: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31 -

부록 4.4 무역총액

단위 : 억 달러, %

년도남한 북한

남북교역액South Korea 증감율 North Korea 증감률

1995 2,601.8 31.2 20.5 -2.3 2.9

1996 2,800.5 7.6 19.8 -3.7 2.5

1997 2,807.8 0.3 21.8 10.1 3.1

1998 2,255.9 -19.7 14.4 -33.7 2.2

1999 2,634.4 16.8 14.8 2.6 3.3

2000 3,327.5 26.3 19.7 33.1 4.3

2001 2,915.4 -12.4 22.7 15.3 4.0

2002 3,146.0 7.9 22.6 -0.4 6.4

2003 3,726.4 18.5 23.9 5.8 7.2

2004 4,783.1 28.4 28.6 19.5 7.0

2005 5,456.6 14.1 30.0 5.1 10.6

2006 6,348.5 16.3 30.0 -0.2 13.5

2007 7,283.3 14.7 29.4 -1.8 18.0

2008 8,572.8 17.7 38.2 29.7 18.2

2009 6,866.2 -19.9 34.1 -10.5 16.8

2010 8,916.0 29.9 41.7 22.3 19.1

2011 10,796.3 21.1 63.6 52.3 17.1

2012 10,674.5 -1.1 68.1 7.1 19.7

2013 10,752.2 0.7 73.4 7.8 11.4

Page 151: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32 -

부록 4.5 석탄 및 철광석 생산량

단위 : 천M/T

년도석탄 철광석

남한 북한 남한 북한

1995 5,720 23,700 184 4,221

1996 4,951 21,000 211 3,440

1997 4,514 20,600 296 2,910

1998 4,361 18,600 238 2,890

1999 4,197 21,200 188 3,786

2000 4,150 22,500 163 3,793

2001 3,817 23,100 23 4,208

2002 3,318 21,900 157 4,078

2003 3,299 22,300 174 4,433

2004 3,191 22,800 226 4,579

2005 2,832 24,060 213 4,913

2006 2,833 24,680 227 5,041

2007 2,886 24,100 291 5,130

2008 2,773 25,060 366 5,316

2009 2,519 25,500 455 4,955

2010 2,084 25,000 513 5,093

2011 2,084 25,500 542 5,232

2012 2,094 25,800 593 5,190

2013 1,815 26,600 663 5,486

Page 152: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33 -

부록 4.6 시멘트 생산량

단위 : 천M/T

년도 남한 북한

1999 48,157 4,100

2000 51,255 4,600

2001 52,046 5,160

2002 55,514 5,320

2003 59,194 5,543

2004 54,330 5,632

2005 47,197 5,930

2006 49,199 6,155

2007 52,182 6,129

2008 51,653 6,415

2009 50,126 6,126

2010 47,420 6,279

2011 48,249 6,452

2012 46,862 6,446

2013 47,291 6,600

Page 153: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34 -

부록 4.7 발전설비용량

단위 : 천KW

년도남한 북한

수력 화력 원자력대체

에너지수력 화력 원자력

1995 3,093 20,475 8,616 - 4,337 2,900 -

1996 3,094 23,005 9,616 - 4,437 2,950 -

1997 3,115 29,611 10,316 - 4,437 2,950 -

1998 3,131 28,259 12,016 - 4,437 2,950 -

1999 3,148 30,114 13,716 - 4,437 2,950 -

2000 3,149 31,586 13,716 - 4,592 2,960 -

2001 3,876 33,267 13,716 - 4,792 2,960 -

2002 3,876 34,209 15,716 - 4,812 2,960 -

2003 3,877 36,460 15,716 - 4,812 2,960 -

2004 3,879 39,366 16,716 - 4,812 2,960 -

2005 3,883 40,659 17,716 - 4,812 3,010 -

2006 5,485 42,313 17,716 - 4,812 3,010 -

2007 5,492 45,060 17,716 - 4,942 3,010 -

2008 5,505 49,270 17,716 - 4,487 3,010 -

2009 5,515 50,239 17,716 - 3,918 3,010 -

2010 5,525 52,837 17,716 - 3,958 3,010 -

2011 6,418 54,208 18,716 - 3,960 2,960 -

2012 6,446 52,306 20,716 2,338 4,260 2,960 -

2013 6,454 56,280 20,716 3,519 4,283 2,960 -

Page 154: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35 -

부록 4.8 발전전력량

단위 : 억KWh

년도남한 북한

수력 화력 원자력대체

에너지수력 화력 원자력

1995 55 1,122 670 - 142 88 -

1996 52 1,264 739 - 125 88 -

1997 54 1,419 771 - 107 86 -

1998 61 1,195 897 - 102 68 -

1999 61 1,301 1,031 - 103 83 -

2000 56 1,518 1,090 - 102 92 -

2001 42 1,689 1,121 - 106 96 -

2002 53 1,821 1,191 - 106 84 -

2003 69 1,859 1,297 - 117 79 -

2004 59 2,055 1,307 - 125 81 -

2005 52 2,126 1,468 - 131 84 -

2006 52 2,273 1,487 - 126 99 -

2007 50 2,552 1,429 - 133 103 -

2008 56 2,658 1,510 - 141 114 -

2009 56 2,802 1,478 - 125 110 -

2010 65 3,196 1,486 - 134 103 -

2011 78 3,344 1,547 - 132 79 -

2012 77 3,430 1,503 86 135 80 -

2013 85 3,586 1,388 113 139 82 -

Page 155: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36 -

부록 4.9 자동차 등록대수

단위 : 천대

년대 남한 북한

1995 8,468.9 272.0

1996 9,553.1 269.1

1997 10,413.4 268.1

1998 10,469.6 269.4

1999 11,163.7 268.6

2000 12,059.3 261.9

2001 12,914.1 255.7

2002 13,949.4 247.9

2003 14,586.8 242.2

2004 14,934.1 249.0

2005 15,396.7 249.7

2006 15,895.2 251.7

2007 16,428.2 260.0

2008 16,794.2 259.0

2009 17,325.2 254.0

2010 17,941.4 257.0

2011 18,437.4 262.0

2012 18,870.5 266.1

2013 19,400.9 271.9

Page 156: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37 -

부록 4.10 항공기 보유대수

단위 : 대

년도남한 북한

민간항공기(대) 민간항공기(대)

1995 240 21

1996 252 21

1997 265 20

1998 254 20

1999 256 20

2000 267 20

2001 282 20

2002 293 20

2003 289 20

2004 292 20

2005 296 20

2006 325 20

2007 419 21

2008 446 21

2009 477 21

2010 513 22

2011 550 22

2012 590 22

2013 623 23

Page 157: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38 -

부록 4.11 선박 보유톤수

단위 : 만G/T

년도남한 북한

North KoreaSouth Korea 등록선

1995 1,164 633 90

1996 1,274 699 92

1997 1,300 676 95

1998 1,192 524 72

1999 1,311 605 79

2000 1,438 615 85

2001 1,471 659 85

2002 1,530 764 81

2003 1,471 745 88

2004 1,671 851 90

2005 1,918 1,007 90

2006 1,853 1,113 90

2007 2,414 1,393 90

2008 2,476 1,471 86

2009 2,680 1,392 84

2010 3,129 1,427 80

2011 3,586 1,367 76

2012 4,013 1,306 76

2013 4,371 1,358 73

Page 158: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39 -

부록 4.12 항만 하역능력

단위 : 천 톤

년도 남한 북한

1995 285,200 35,010

1996 295,257 35,010

1997 357,351 35,010

1998 416,254 35,010

1999 417,561 35,010

2000 430,437 35,500

2001 469,535 35,500

2002 486,889 35,500

2003 510,210 35,500

2004 523,537 36,900

2005 650,331 37,000

2006 682,025 37,000

2007 728,612 37,000

2008 758,615 37,000

2009 800,533 37,000

2010 915,430 37,000

2011 943,900 37,000

2012 1,017,190 37,000

2013 1,063,669 37,000

Page 159: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 140 -

Page 160: 2015 통일과제 최종보고서 최종본 - kalis.or.kr

통일대비 한반도 건설 인프라 구축을 위한 통합 추진 전략

2015년 12월 인쇄

2015년 12월 발행

발 행 인 : 장 기 창

발 행 처 : 한국시설안전공단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고양대로 315(대화동 2311)

TEL 1599 - 4114

홈페이지 : www.kistec.or.kr

ⓒ 한국시설안전공단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