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시대에서의사회보장 public-private-social mix

64
4 차산업혁명시대에서의 사회보장 : Public - Private - Social Mix ( Prosperity vs Distribution) 김 원식 건국대 교수 2017. 3. 30 한반도선진화재단

Upload: others

Post on 16-Mar-2022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4차산업혁명시대에서의 사회보장:Public-Private-Social Mix

(Prosperity vs Distribution)

김 원식

건국대 교수

2017. 3. 30

한반도선진화재단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목차

I. 서론: 보수 vs 진보

II. 현황

III. 4차산업사회를위한복지혁명

IV. 결론: 성장(growth)을넘어서번영(prosperity)으로

2

I. 서론: 보수 vs 진보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4

‘한국형’ 보수와 진보

보수 진보

사회적 가치 자유 평등

사회적 목표 성장 => 번영(Positive-sum)

분배(Negative-sum)

제도의 유형 다양성 획일성

복지 공급자 Public-Private mix

=>Public-Private-Social mix

Public only

연대성 기업 친화적/ 내부화 개인, 가족, 기업 부양 =>정부 부양

재원조달 개인 능력 / 나눔 세금

활동의 대상 국가 저소득층

경제효과 장기적 단기적

<표> 복지정책에있어서보수와진보비교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5

‘한국형’ 보수와 진보

<그림> 보수의입장

보수의 입장은 W에서 국민들에게 더 낳은 M의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고 생산도 증가할 수 있다고 봄 (Positive-sum Game).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6

‘한국형’ 보수와 진보

<그림> 진보의입장

진보의 입장은 W에서 사회적 약자를 위하여 계약선 상에서 이동해야한다고 봄 (Zero-sum Game).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복지정책에 대한 선호가 다름. 진보: 복지는 정부만 해야 한다고 주장

공공 병원, 공공 유치원, 공립대학 선호 / 민간 복지서비스의 불신

보수: 복지는 다원적으로 운영되어야 함.

민간의 참여 가능하게 해야함.

영리형 비영리 서비스기관의 문제

정부 중심의 사회보장제도의 확대는 기업 복지를 축소시킴. 기업의 사회보장기능을 사회보장으로 대체시킴에 따라 기업과

근로자 간의 관계는 Zero-sum Game으로 전환됨.

복지제도의 지속가능을 위한 정부 능력의 한계

7

한국형 ‘진보와 보수’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II. 현황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양극화

Two-speed World

높은 소득증가율: 고소득층

풍부한 자본, 정보, 기회 등

낮은 소득증가율: 저소득층

빈곤의 고착화

저성장 저성장의 일반화

Deflation 공포

고령사회 겪어보지 못한 저성장의 핵심 요인

19세기의 경직적 산업노동시장

구조적정부재정적자 복지비용 부담 증가

성장정책의 한계: Quantitative Easing(QE)

9

한국형 ‘New normal’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1차: 증기기관을 활용한 기계화 (1784년)

2차: 전기 및 통신을 활용한 대량생산 (1870년)

3차: 컴퓨터를 활용한 정보화와 자동화 생산시스템 (1969년)

4차: AI 등 최첨단 기술과 산업의 융합 (2010년 이후) IoT: 세계 어디서나 원격 조정

AR/VR: 육감 극대화

Robot: 노동의 대체와 노동 도우미(노인에 긍정적)

Dron: 비용절감

3D-printer: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만족도 극대화

Connected car: 누구에게나 기사없는 사회

Uber: 시간 맞춤형 이동

기타

“4차산업혁명의 핵심은 디지털, 바이오, 오프라인 등의 기술을 융합하는 것”,

Claus Schwab

10

4차 산업 혁명 (WEF)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긍정:

생산성의 비약적 증대

소득과 삶의 질 개선

부정:

새로운 노동환경의 도래와 전통적 노동시장의 붕괴: On-demand Workers by Ubernomics

비정규직의 주류화

로봇 실업: 미국의 경우 15년 내 노동시장의 38% 대체 가능

(Martin Ford, “Rise of Robots“)

로봇세: Bill Gates

11

4차 산업 혁명 (WEF)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12

<표> 4차산업혁명국가별적응력순위

순위 국가노동유연성 기술수준

교육적응력 인프라

법적안정성 종합

1 스위스 1 4 1 4.5 6.75 3.4

2 싱가포르 2 1 9 3.5 9 4.9

3 네덜란드 17 3 8 6.5 12.5 9.4

4 미국 4 6 4 12 23 10.2

5 일본 21 21 5 12 18 15.4

25 한국 83 23 19 20 62.25 41.5

28 중국 37 68 31 56.5 64.25 51.4

31 러시아 50 38 68 47.5 114 63.5

41 인도 102 90 42 100.5 81.5 83.4

43 브라질 122 93 84 64 97.75 92.2

출처: UBS, 각 분야별 가중평균 랭킹 기준, 김정욱 외, 2016 다보스 리포트: 인공지능발 4차 산업혁명, 매일경제신문사, p.53.

우리나라는 4차 산업혁명의 적응력이 현격히 하락할 것으로 보임.

특히, 노동시장유연성에서 적응력이 떨어짐. 노동시장의 유연성은 복지개혁으로만 해소될 수 있음.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근로자소득분배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음.

근로자간 임금 격차 커지고 있음.

근로자 계층화

가계 저축율 회복 중: 3.4%(2011), 8.66%(2015)

스위스 (20.13%), 스웨덴(16.45%), 룩셈부르크(17.48%), 독일(10.38%) 등

고령화 및 경기 불안에 따른 소비 감소의 불황형 저축 증가

가계부채: 1,099조원(2015.3), 가계 가처분소득대비 137.6%. 국민총생산의 80%수준.

1,257조원(2016.6)

13

현황: 노동시장의현황 (1)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사회복지와 보건 부문은 정부예산의 39.5% (146.4조원, 2017년도 예산)임.

그러나 빈곤율은 하락하지 않고 있음.

146조원은 146만명이 연간 1억 원을 나눌 수 있는 돈

세모녀 사건 등 복지사각지대 빈발

국민들의 복지 기대치 대비 만족도 낮음.

노인요양, 보육, 교육, 주택 등 양적 질적 복지서비스 요구 확대

국민 복지 비용 증가의 국가부채화

복지 비용 부담 기피

복지 vs 세금 논쟁으로 사회적 갈등 심화

14

현황: 노동시장의현황 (2)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여성은 가사만 담당할 것으로 가정 가족 중심의 복지 체계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

여성은 필수 노동력

개인소득은 근로소득 중심이라고 가정 근로자의 자본 시장 참여

다양한 자본(특허권, 저작권, 탄소배출권 등) 형성 및 축적

복지제도를 통한 계층간 이전에 대한 무관심 가정 안정된 사회를 위하여 기회보장은 필수

생애 소득 중심의 소득 재분배 무시

복지 정책에 박애 정신 없음.

지속적 인구증가 가정 출산율 하락으로 인구 정체

15

우리나라복지/성장정책의오류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평균수명의 정체 가정

평균수명의 증가는 연금재정적자의 근본원인

의료제도 및 건강관리로 100세 사회로

노인의료비 급증

공공복지가 최선?

남북통일이 안 될 것이라는 가정

통일 시 복지제도의 북한 적용은 즉시적이며 필수

16

우리나라복지/성장정책의오류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본격적 복지정책은 지금부터...

지금까지의 복지는 경제성장에 기반한 수혜 극대화 복지였음.

소득 성장의 뒷받침으로 성공적이었음.

복지이해 관계자의 확대에 따라 난이도가 매우 높은 복지정책과제가 폭주할 것임.

상대적 분배정책 취약

무상 복지의 실패

기회 형평성 무시: 공적 서비스 질적 취약

교육, 보육 등

정보 불형평성: 취약계층이 더 최악의 선택 (행태적 빈곤)

17

(통렬한) 반성 (1)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민간복지서비스의 공공복지 종속화

사립 학교(유치원, 대학 포함)의 공립화

민간 병원의 공공화 /요양기관 강제 지정제 등

국민건강보험과 민영보험 간의 협조 부재

국민연금과 사적 연금 간 조화 부재

결과: 민간 복지 산업의 후진

복지정책의 대상은 Moving target: Dynamic Welfarism

18

(통렬한) 반성 (2)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복지 1.0: 빈곤의 해결을 위한 빈곤 박멸

[Poverty Eradication]

복지 2.0: 빈곤의 함정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연대

[Social Solidarity]

복지 3.0: 사회적 배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통합/융화

[Social Inclusion]과 기회보장

양극화 해소

법률적 보호/질서 강화

OECD 국민신뢰도 조사: 사법신뢰도 27%(40/44), 정부신뢰도34%(26/41)

사유재산권 보호

지역개발에 따른 빈곤층 도심이탈과 시외 이전으로 빈민촌 형성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무한 경쟁에 따른 중소기업 위기

지적재산의 보호 부족에 따른 기회 상실

19

한국복지정책의진화 (1)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복지 서비스의 공급체계 진화는 부실

수혜자의 도덕적 해이

관료적: 공공부문의 책임성 부재

복지 부문의 민간인 배제: 공공부문 중심의 운영으로 인한전문성 부족

이해 당사자의 기득권 보호 등

20

한국복지정책의진화 (2)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국민연금 2060년 기금 고갈

국민연금 수급 액 30-40% 감소

국민연금은 최고의 노후보장 수단이 아님/ 최후의 노후보장수단임.

건강보험 고령화로 의료비 부담 급증

보장성 강화 등으로 보험료율 10%이상 예상

건강보험 보장률: 63.2% (2014)

민영보험 가입자: 3150만명 (2015)

고용보험 전체 실업률 5.0%, 청년 실업률 12.3% (2017.2)

실업급여 부담 가중

도덕적 해이로 사중적 손실 증가

고용보험은 취업률 증가 수단 아님/ 산업자원부임.

21

4차산업혁명시대의사회복지현황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산재보험 산재 사망률: OECD 국가중 최고

산재 연금의 지급불능 가능성: 부과 방식

노인장기요양보험 연금이나 건강보험보다 더 심각한 미래의 폭탄

2016년: 총지출 4조 7천억 원 = 보험료 수입 3조원 + 정부 부담금 1조 7천억 원.

요양기관의 불만족/부실화 심화

기초연금 2040년 100조 원 추정

국가 중심의 사회안전망에서

Public-Private-Social Mix 사회안전망으로

22

4차산업혁명시대의사회복지현황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보험료로 조달되는 소득 재분배형 사회보험

(산재보험,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장기노인요양보험) 보험료 부담의 한계 가중

정부보전 증가 중 (국민건강보험, 장기노인요양보험, 국민연금 예정)

소득재분배 효과 없음: ‘중산층’ 중심의 수혜

조세로 조달되는 기초생활보장제도와 무상복지 확대 기초연금, 무상급식, 의료보장, 무상보육, 의무교육, 주거지원 등

복지비용 조달 구조가 보험료에서 조세로 전환 중 본인부담 기피를 위한 도덕적 해이 (가입자, 공급자, 보험자 공통) 만연

포퓰리스트(Populist)들의 포퓰리즘(Populism): 역진적 부담

23

한국복지제도의특성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가계소득의하락 2012년 현재 가계소득은 국민총소득의 62.3%임.

가계소득증가율은 1980년대 연평균 16.9%, 1990년대 13.0%, 2000년대 5.9%로 감소추세

가계소득 하락의 원인

경제성장률의 하락/ 피용자 보수증가율 하락

기업부문에서 가계부문으로의 소득유입 약화/ 고용유발계수하락

자영업자의 증가와 낮은 수익성

이자소득의 감소/ 가처분소득대비 가계부채비율 상승

소득의 하락은 노후소득의 감소를 의미함.

24

양극화 (1)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소득양극화 소득 격차의 요인은 근로소득의 격차에 기인함 (70% 이상).

투기에 의한 소득양극화 아님.

임금양극화

노동조합, 정규직, 연봉제를 통한 Rent Seeking

해외소득은 분배에 의한 것이 아님.

건강양극화 고소득층이 의료와 건강 독점

본인부담금의 최대수혜자는 고소득층

저소득층의 질병 위험

스스로의 관리 부족 가능성

개인적 중독

낮은 교육수준

25

양극화 (2)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교육양극화 공교육의 한계

공교육의 질 저하

사교육 증가와 고액화

사회적기회의양극화 소득계층/학벌/지연의 이해집단화

보이지 않는 차별

사회적 배제

일자리 대물림 등

지역간양극화: 수도권집중

26

양극화 (3)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주거양극화 Imputed Income을 고려한 주거비는 전체 소득의 20-30%임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전세 소멸

아파트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수명 단축, 아파트 질 저하

전세 전멸론에 대비하여 주택거래 활성화 및 다주택보유책 필요함.

남북한격차

양극화시스템 리먼 사태(2008)의 최대 수혜자는 미국(구조조정과 제조업 르네상스),

독일, 중국

최대 피해자는 PIGS와 BRICs (중국 제외)

월가 점령 운동과 1:99 QE혜택의 40%가 상위 5%로 감 (영란 은행 보고서)

성장 종말론 (Robert Gorden), 기술개발 둔화론

27

양극화 (4)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한국의 사회지출 증가율은 북유럽국가들에 비하여 매우 급속히 증가함.

2000년부터 2011년의 기간 동안 약 3배 증가함.

28

주요국공적사회지출증가율추이(%, 실질증가율)

2000 2005 2006 2007 2009 20112011/2000

스웨덴 0.16 1.59 2.06 -0.72 2.85 0.56 122.9

노르웨이 -7.14 -4.71 -3.79 3.64 15.73 -1.1 123.3

덴마크 0.34 0.97 1.01 -0.81 6.16 1.77 124.1

스페인 3.73 4.95 4.15 4.66 9.41 0.46 164.2

이탈리아 3.46 2.10 2.62 0.78 1.86 -0.39 123.2

그리스 4.48 7.85 6.53 4.12 3.88 -1.52 151.9

영국 4.18 2.76 1.55 2.73 7.27 0.4 146.4

미국 3.99 2.40 3.62 3.18 9.88 0.53 161.3

한국 -14.73 11.51 20.69 8.14 14.94 3.95 294.0

한국제외평균 1.65 2.24 2.22 2.20 7.13 0.09 139.7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한국은 복지정책의 소득재분배 효과 거의 없음.

29

주요국소득재분배정책효과 (2000 vs 2010)

빈곤율 지니계수

소득재분배전 소득재분배후 소득재분배전 소득재분배후

2000 2010 2000 2010 2000 2010 2000 2010

스웨덴 0.27 0.28 0.05 0.09 0.45 0.44 .. 0.34

노르웨이 0.24 0.26 0.06 0.08 0.43 0.42 .. 0.31

덴마크 0.23 0.24 0.05 0.06 0.42 0.43 0.23 0.25

스페인 .. 0.35 .. 0.15 .. 0.51 0.26 0.25

이탈리아 0.28 0.32 0.12 0.13 0.47 0.50 .. 0.34

그리스 .. 0.32 .. 0.14 .. 0.52 0.36 0.38

영국 0.31 0.32 0.11 0.10 0.51 0.52 0.24 0.27

미국 0.26 0.28 0.17 0.17 0.48 0.50 0.35 0.34

한국 .. 0.17 .. 0.15 .. 0.34 0.32 0.32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우리나라 평균수명은 1970년 58.8세에서 2010년 80세로 고속 증가해 왔음.

평균 수명이 지난 40년 간 연평균 5개월 씩 상승함.

의료기술의 발달 및 보급으로 평균수명의 상승 추세가 멈추지 않을 것임.

최빈 사망연령도 생명 연장술의 발달로 계속 상승할 것임. 30

고령화<그림> 국가별 평균수명 추이 (단위: 세)

고령화투자 격차

고령화투자 수요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소득이 낮은 1 분위와 2 분위에서 전체소득에 대한 이전소득비율이2010년 이후 낮아지고 있음.

非빈곤층의 이전소득비율은 상승하고 있음.

31

복지지출의 성과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소득10분위의 1분위 경계 값 대비 10분위 경계 값의 비율을 시장소득과 가처분소득으로 보면 2009년 이후 개선되지 않음.

1997년부터 2009년까지의 복지지출은 효과가 있었음.

32

복지지출의 성과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III. 4차 산업 사회를 위한 복지 혁명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산업 발전’은 복지의 기본

현황

19세기 산업시대 노동시장: 노동시장 효율성 83위 (WEF)

지점망 금융시장: 금융시장 성숙도 87위(WEF)

아날로그 의료시장

불감증 안전산업: 세월호, OECD 최고의 산재사망률

4차 산업기술을 활용한 복지는 사회 안전망의 혁신

4차 산업기술을 활용한 ‘공급’ 주도 복지 모델로

현황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로 인한 복지단가 상승

영리추구 복지 사업가 양산

4차 산업기술의 글로벌화로 성장 기여 가능

34

4차 산업 사회의 복지 정책 (1)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현금복지에서 ‘질적 서비스’복지로

현황

노동집약화에 따른 비용상승

양질의 복지서비스 공급 부족

복지 인력 부족

4차산업기술로 복지 산업을 노동집약산업에서 지식기반산업으로

민간 복지 산업의 육성을 통한 사회 생태의 자생력 배양

공공 vs 민간 영리 vs 민간 비영리 (NPO)

35

4차 산업 사회의 복지 정책 (2)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36

복지네트워크모델(2016)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소득 보장 축

안정적 고용 소득의 원천이면서 노후소득의 원천

금융산업의 경쟁력 제고 연금 활성화

의료 보장 축

의료산업의 경쟁력 강화

건강관리의 개선

산업안전의 제고

재활 및 장애인 보호

37

복지네트워크모델: 복지와경제 (1)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외곽마름모 산업 네트워크: 금융, 의료, 노동, 산업안전

외곽과 내부의 중간 민간 사회 안전망: 민간건강보험, 민간연금, 민간산재보험,

능력개발

내부마름모 공공 사회 안전망: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장기노인요양보험

내부마름모와 중심 사회서비스: 의료급여, 실업부조, 장애인 서비스 등

중심 기초생활보장제도

38

복지네트워크모델: 복지와경제 (2)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공공 vs 민간 vs 사회단체

공공

무상 공급자로서 정부의 관료화 및 정부의 실패

복지 부문의 낮은 생산성

민간

민간부문의 창의성과 기술 개발을 통한 복지 효율화

新복지 기술의 범사회적 확산 및 투자

사회단체

종교 및 NPO를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형성

39

복지네트워크모델: 복지와경제 (3)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국민연금 소득 대체율

명목: 40년 기준 40%, 실질 25%

재정

2060년 기금 고갈: 2060년 이후 연금액 30-40% 삭감 가능성

4차 산업형 실업으로 기금 조기 고갈 가능성

기금운용

관료적 운영으로 자본시장 경쟁력 퇴화

퇴직연금 실질 부담률: 연 10% 수준

연금화율 낮음.

낙후된 자본시장으로 수익률 낮음.

개인연금 세제혜택 낮음으로 인하여 가입 저조

40

연금 (1)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41

연금 (2)

정책방향

국민연금재정의 안정화 보험료율의 인상

연금수급연령의 상향조정/ 연금재정 자동안정장치

급여의 소득재분배급여와 소득비례급여 분리 운영: 소득재분배급여는 DB, 소득비례부분은 DC 운영

국민연금기금의 투명한 운영과 지배구조 개선

국민연금기금의 목적별 분할 운영 및 상호 경쟁/ 기금 소진기 실적별폐지

국민연금기금의 주주권 행사 최소화

기초노령연금과 기초생활보장급여와의 조정 기초연금: 65세 이상 70%에 20만원 지급 (국민연금과 연계 중)

기초생활보장급여: 4인 가구 130만원 이하 소득가구에 지급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42

연금 (3)

정책방향

국민연금의 기초연금화와 사적 연금(퇴직연금, 개인연금 등)의소득 비례화

사적 연금의 세제혜택 확대

청년 대상 연금 보조금: 청년들 저소득으로 노후 저축할 여력 없음.

사적 연금 성과 보수형 수수료 제도 강화

로보 어드바이저

노인 노동시장 활성화를 통한 연금 수급권 보장: 일자리 감소로저소득으로 오래 근로함.

다층 연금시스템의 구축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다층 노후소득보장시스템

43

정년연장 및 고령자 유연 노동(G)

개인연금(F)

개인연금(F)퇴직연금(E)

퇴직금(E)추가형

퇴직연금(적용제외) (D″)

소득비례 추가급여(D′)

국민연금

(C+D)

국민연금소득비례(D)

국민연금 소득비례(C′)

국민연금기초부분(C) 소득조사형 국민연금(A+B+C)(단,

기초노령연금액 보장)기초연금(B)

기초생활보장급여(A)

현행 개선 후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개혁안: 국민연금 기금운용

향후 연금기금은 현재보다 3배 이상의 추가 적립 예상됨. 자본시장의관리 능력 한계임.

급여별 재정 분리 시 기금고갈에 따른 정부의 부담은 반으로 축소됨. 국민연금기금 적립 및 고갈에 따른 자본시장의 혼란이 반감됨.

44

<그림> 기초급여와소득비례급여분리시재정추정 (2011년기준)

계수 변화로

계수변화로 이동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국민건강보험 (1)

제3자 지불제도에 의한 도덕적 해이

보험자: 건강개선 노력 부족

의료공급자: 과잉진료 등

가입자 (기업 포함): 의료 쇼핑, 건강관리 유인 낮음 등

낮은 의료비 보장률 (63% 수준)

低부담 低급여

비급여 증가

건강보험통합

가입자 특성, 지역 등 고려하지 않은 재정운영

국민건강보험의 의료산업 왜곡

보건복지부내 의료공급자와 의료 수요자(건강보험)간 이해상충

45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우리나라는 도덕적 해이가 다른 나라보다 심각한 것으로 분석됨(IMF).

노인층의 의료비 지출에 대한 도덕적 해이가 이들에게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Broken Window Effect).

46

<표> 주요 선진국의 의료비 변화요인 분석 비교(연간 증가율, 1990-2010) 단위: %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보험진료비의 연령별 구성비가 2010년 전후하여 쌍봉이 형성됨.

47

<표> 연도별 연령별 보험진료비 구성비 변화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국민건강보험 (2)

정책방향 건강보험재정의 정부지원 폐지: 순수 보험형 제도로 운영

건강보험수가제도 개혁 진료원가보장 및 시설 비용과 서비스 비용 분리

의약품 실거래 가상 환제 개선

DRG 확대

건강보험재정의 지역간, 직역간 분리 운영

자치단체의 주민 건강관리 시스템 구축

국민건강보험과 민영건강보험과의 다층 건강보험시스템 구축

기업의료보험도입: 민간의료보험대체 기업의근로자건강관리유인

질병 급여[Sickness Pay]제도 도입

노인의료보험 도입 장기노인요양보험과 국민건강보험의 75세 이상 노인 적용대상

호스피스제도 활성화

48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국민건강보험 (3)

의료산업화 영리병원 허용

완전 본인부담: 고소득층 건강보험재정 절감

진료비 자율 제도: 의료시장 왜곡 개선

세제혜택 없음: 의료산업 세수 증대

원격의료 허용: Mobile apps, telemedicine 등

의료산업화의 대표적 주자들 Traditional innovators: GE Healthcare, Siemens, Medtoronci, Phillips, etc.

Incumbent Players: health insurers, 영국의 NHS (Medical AI 테스트 중), etc.

Insurgents: Google, Apple, Amazon, etc.

FDA: 2016년 36개 건강 App 과 관련 기구 승인

미국: 2020년까지 일반인들의 540만 건의 영상 진료 예상

국민건강보험의 갈라파고스 위기

49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다층의료보장시스템

50

3층Major

Risk중증질환(고액진료비)

기금(목적세)

민영

건강

보험

공공건강보

험2층 ↑ 중증질환(간단한입원및고액외래)

1층 ↓ 경증질환(소액진료비)

노인의료보험

(장기노인요양보험

포함)

일반: 민영보험

0층 저소득층 의료급여

건강증진Minor

Risk

생애주기별(유아, 청소년, 중장년, 노년) 건강관리

프로그램

조세(일반재정)/

저소득층

보장단계 보장대상 재원조달방식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고용보험

실업급여제도와 고용정책의 통합 운영에 따른 정책효과 낮음. 역대 최고수준의 실업률

낮은 고용 효과

고용정책 방향

고용정책의 역할 분담 고용노동부는 근로자 보호

산업자원부와 자치단체는 고용 창출

경험료율제도 도입 인건비 비중 높은 기업 우대

정규직 비율 높은 기업 우대 등

장기실업자 혹은 대학생, 저소득근로자를 위한 실업부조제도

학생들에 대한 조기 직업교육 강화

유연한 노동정책에 대한 지원: 비정규직 근로자 보호 강화 On-demand Worker의 보호

51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산업재해보상보험

산재 사망률 OECD국가중 최고 수준

음성적 산재 환자의 지표임.

국민건강보험으로 이전됨.

산재 연금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부과 방식 운영

산재 환자의 평균수명도 상승함에 따라 연금액도 증가함.

정책방향

재해근로자들에 대한 사후관리

산재 보험과 산업 안전의 통합관리

산재 보험 운영의 경쟁체제 도입

산재 보험의 진료와 건강 보험의 통합

기업별 근로자 진료비를 산재보험료에 반영

산재보험의 역할을 산재소득손실보험으로 전환

52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장기노인요양보험

평균수명의 증가에 따른 장기 재정 불안정

공공 비용 부담률 34.6% (2016)

요양기관의 지역별 수급불안정 및 관리 부실

요양과 진료의 분리로 인한 노인의료비의 증가

정책방향

노인의료보험 도입을 통한 요양과 진료의 연계성 강화

장기노인요양보험 기금화 필요: 사망 시까지 부담해야 함.

요양기관의 운영 효율화: ICT, AI, 로봇 등 적극 활용

53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수혜자수는 2010년 33.8만 명에서 2014년 58.5만명으로 급증하고 있음.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기금화가 필요함. 54

<표> 연령별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액 추이

단위: 십 억원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기업복지: 제6의사회보험

의의

근로자들의 복지제고와 생산성 향상

기업경영의 안정성 제고

근로자 특성별 관리 가능

제2의 사회보장제도이면서 사회적 인프라

문제점

임금중심의 획일화된 보상체계

퇴직금 중심의 종업원 복지제도

조세지원의 미흡

55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기업복지

정책방향 고용 차별금지

비정규직제도 폐지

동일노동 동일임금

정년 폐지

생산성 향상 중심의 기업복지제도

근로자 생활안정

근로자 및 가족의 노후 안정

기업 생명보험 활성화

선택적 복지제도의 활성화

정부 사회보장제도와의 조화 등

56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사회단체(NPO)

사회단체의 정치화/ 이기주의 사회단체의 정상적 운영은 일반 기업보다 더 어려움.

기업운영기법 외에 나눔의 철학이 있어야 함.

사회단체의 사회적 기여 낮음. 경제활동인구 중 사회단체 활동가 비율은 2% 수준.

네덜란드 14%, 미국 10%, 영국 8%, 독일 6%, 일본 4% 등

사회활동의 GDP비중: 미국 7.2%, 일본 5.2%, 프랑스 4.2% 등

Kalland & Clark, The Third Sector, 2016.

정책방향 사회단체 지원체제 강화

정부 중심의 사회 안전망 지원은 한계임.

4차산업혁명사회에서 가장 큰 역할 가능성

Social Impact Fund의 수혜대상

정부에서도 Social Impact Policy 도입: 혁신적 제도 도입 유인

57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V. 결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사회 보험 혁명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사회안전망개혁의원칙 개인적 선택의 허용: 공공 vs 민간 vs 사회단체

복지의 “小품종 대량생산”에서 “多품종 소량생산”

“만족하지 않으면 복지가 아니다/ 낭비다.”

제도의 투명성: 4차산업기술의 도입

정치적 역동성 인식: 비정규 포함 모든 근로자 적용

사회적 갈등 최소화

59

4차산업혁명시대의사회안전망: 원칙 (1)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사회안전망의운영상(경제학적)원칙 사회보험급여와 보험료의 경제적 효과를 정확히 예측

사회적 위험으로부터의 보호와 경제적 왜곡간의 균형 유지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 새로운 기술, 사회보험제도에 대한 개인적행태 변화 등에 따라 제고 개선

사회보험으로부터의 소득재분배 분리

사회단체도 국민 생산에 기여

60

4차산업혁명시대의사회안전망: 원칙 (2)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노동환경의변화에따른사회적위험의억제와

근로빈곤층자립능력의제고 중산층 육성: 4차산업기술의 도구화

“가족 시스템”의 부활: 생산성 증대의 기본

근로자도 가족: 정부 의존 탈피와 기업 역할 강화

비정규직(On-demand Worker)의 보호

복지서비스의수요증가에대한양적질적공급 서비스 공급자의 다원화: 공공, 민간, 사회 종교단체, 자원봉사 등

금융산업 및 의료산업의 활성화

61

4차산업혁명시대의사회안전망정책방향 (1)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모든복지서비스에대한투자, 지속가능성, 신뢰제고 민영화/ 영리/ 新기업 경영 방식 도입

안정적고령사회의진입 노인노동시장의 활성화: 재교육 강화

4차 산업기술은 고령자의 축복: 로봇, 자동번역, AI 등

4차 산업기술을 이용한 인생 3모작 사회 시스템 구축

62

4차산업혁명시대의사회안전망정책방향 (2)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ICT 복지시스템 정부(사회복지)는 4차산업기술의 최대 수요자: 정보기술, 로봇,

생체공학 등을 성장 뿐 아니라 ‘나눔/Sharing’을 위하여 활용

청년층의 고용 증대를 위하여 정보기술을 교육 훈련 활용

고령자 고용을 위한 로봇시스템 도입 및 도움로봇 활용

요양원 등 복시시설의 과학적 관리

노화 억제를 위한 생체공학기술 보급

Big Data의 활용을 통한 복지시스템 개혁 등

복지부문에서 정부의 목표지향형 기술개발과 시스템 개혁 필요

사회복지는 노동집약형에서 ‘자본 집약형’으로

통일한국에대비한복지제도및복지공급시스템의구축 4차 산업기술을 이용한 북한 복지제도 구축: Jump-Up

63

4차산업혁명시대의사회안전망정책방향 (3)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4차선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

Thank you for your attention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사회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