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미컨

23
DIGITAL MEADIA CONTENTS 동 동 동 동 동동

Upload: jojaehyun

Post on 06-Aug-2015

57 views

Category:

Data & Analytic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디미컨

DIGITAL MEADIA CONTENTS

동 물 쇼 의 이면

Page 2: 디미컨

“ 돌고래쇼 ”

Page 3: 디미컨

1. 이 데이터를 통해서 사용자들이 어떠한 정보를 보기를 원하는가? 

모르던 사실을 알리고자 한다 . 사람들은 돌고래 쇼가 어떻게 시작하는지 ,어떠한 경로로 통하여

돌고래가 들어오는지 모른다 . 모를 뿐 아니라 생각해볼 여지조차 갖고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

그들은 돌고래 쇼를 보며 돌고래가 웃는것으로 착각한다 . 하지만 그것은 사실이 아니기 때문에

돌고래 쇼가 어떻게 시작되는지 , 어떠한 경로로 오게 되는지 , 계속 돌고래 쇼가 진행되고 우리나라에

돌고래 수족관이 늘어나면 후에 우리나라 자연생태의 돌고래 수에 어떠한 변화가 오는지 ,

심각성과 올바른 인식을 전달하고자 한다 . 돌고래 쇼가 단순히 재미용으로 시작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포그래픽을 통해 전달받았으면 좋겠다 . 다시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

 

Page 4: 디미컨

2. 자신의 정보디자인을 통해서 사용자들이 얻는 메시지나

정보에 결론은 무엇이라고 예상하는가 ?

 메세지는 돌고래 쇼를 보는것이 교육에 유익한 것일까 라는 고찰을 하게될 것이다 . 돌고래 쇼에

동원되는 돌고래가 이렇게 잔인하게 잡혀왔고 , 이 현황이 계속 지속될시 미래에 어떠한 부정적 결과를

초래 할 수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게 될 것이다 . 올바른 방법은 무엇일지등을 생각하게 되고 자기가

지금 껏 생각해왔던 동물쇼에 관한 일반적 인식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될 것이다 . 그리고 실천적으로

돌고래쇼를 보는 행동에 대해 자제하게 될 것이다 .

 

Page 5: 디미컨

<앞으로의 일정> 1. 스케치 컨펌을 받고 수정한다 . 2. 내가 찿아야하는 데이터를 완벽히 구해서 정리한다 . 어떠한 표로 나타내야 효과적인지 생각하고 , 적절한 표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 3. 주조색 , 강조색등을정하고 구체적인 디자인에 들어간다 .

4. 데이타 표를 어떤식으로 배치해야 정보가 한눈에 읽힐지를 생각해 배치한다 . 5. 돌고래가 잡혀오는 과정을 그린다 .  6. 전달 하고자 하는 것이 잘 보이는 지 확인한다 . 7. 수정한다 . 8. 최종 완성한다 .

Page 6: 디미컨

< 내가 쓸 데이터 > 제주도 돌고래

1. 제주 남방 큰 돌고래의 수 ( 과거부터 지금까지 의 변화 ) 2. 제주 남방 큰 돌고래의 수가 왜 감소되었는지 - 이유제시 ( 불법포획데이타 , 그물망에 걸리기 때문 )- 혼획률과 좌초율 데이타제시 .  3. 어떤 성별이 포획되는지 이러한 포획으로 앞으로 닥칠 결과 ( 멸종 ). 4. 제주 남방 큰 돌고래의 서식지 5. 현재 몇마리의 돌고래가 수족관에 있는지 그 돌고래들은 어디서어떻게 왔는지 . 6. 수족관 돌고래와 자연상태의 돌고래의 수명비교 7. 해외의 수족관현황과 우리나라와비교 일본 타이지 돌고래 1. 매년 몇마리가 잡히는지

2. 그렇게 잡힌 돌고래가 우리나라에 얼마나 수입되는지

3. 일본의 타이지 지도 돌고래의 서식지표시 .

Page 7: 디미컨

잘못된 의식 개선 - 메시지 첨부하기

:우리가 돌고래를 만나야 할곳은 좁은 쇼장이나 접시위가 아니라 드넓은 바다입니다 .

Page 8: 디미컨

DATA

데이타

Page 9: 디미컨

20 일 동안 1076 ㎞를 다니는 것으로 연구된 돌고래가 돌고래 쇼장에 있는 것

= 우리가 평생 침대에서 사는 것과 같은 것 ( 인간의 행동반경을 10KM 로 잡았을시 )

비유통한 메시지 제시

5m

4m

12m

5m

퍼시픽랜드 서울동물원

Page 10: 디미컨

① 동물쇼에 잡혀가기 까지에 과정을 넣는다

Page 11: 디미컨

일본 와카야마현 타이지 ( 太地町 ) 에서는 매년 9 월 1 일 포경선이 고동소리를 울리며 출항한다 . 다음해 3 월까지 이어지는 돌고래 대학살의 전주곡이다 . 환경단체는 세계 유일의 돌고래 수출지인 이곳에서 매년 2 만 3,000 여마리의 돌고래가 사냥당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

② 일본 타이지만에서 잡혀오는 수

Page 12: 디미컨

멸종위기종인 고래를 연간 500여 마리씩 잡아 유통시키면서 생물종 보호를 말할 수 있는가

고래의 멸종위기는 근대와 현대 산업사회 환경문제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 바다 생태계의 상징으로 희귀한 바다포유류인 고래를 멸종위기에서 구해내려는 자각에서 비롯된 것이 이 시대 환경운동의 상징이자 각국 해양환경정책 추진의 배경이다 . 지난 1987 년 국제포경위원회가 상업적 고래잡이를 금지했음에도 한국에서는 지난 10 년 동안 무려 4722 마리의 고래가 혼획의 이름으로 도살되었다 . 고래를 보호해야 할 멸종위기동물로 보지 않고 ‘생선’으로 보는 농림수산부가 고래정책을 주관하면서 지난 3 월 고래잡이 허용을 추진하다 국무회의에서 국제사회의 망신을 살 것을 우려한 외교통상부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 이 회의에서 환경부가 적극적인 고래보호입장을 개진하지 않고 수수방관한 것으로 알려져 다시 한번 ‘육지환경부’로서의 면모 (?) 를 과시했다 . 

Page 13: 디미컨

③ 야생과 수족관 돌고래 수명비교

Page 15: 디미컨

⑤ 쇼에 이용되는 돌고래가 멸종위기종임을 알림

한반도에서 유일하게 제주 주변 해역에 분포하는 남방 큰 돌고래가 매년 4.5% 의 개체 감소로 인해 20 년 후 멸종 위기

Page 16: 디미컨
Page 17: 디미컨

 < 문제점 > 1. 데이타들이 연결되어서 읽히지 않는다 . 데이타들을 효과적으로 재 배치해야할 필요가 있다 . 2. 디자인이 단조롭고 심각성 위험성등을 알리고 강력한 메세지를 전달하고자 하는데 힘이없는 디자인 . 더 강렬한 핵심디자인이 필요하다 . 또한 분위기를 개선해야 할필요가 있다 . 3. 영어와 한글이 혼합되어있는데 조금 불균형이 느껴진다 . 통일성을 가지도록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

Page 18: 디미컨

< 문제점 > 1. 심각성을 전달하고자 , 어떻게 잡혀오는지 사실을 전달하고자 ,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인데 , 프로세스가 ( 이야기가 ) 잘 전달되지 않는다 .  2. 과정을 너무 간소화시켰다 . - 전달력이 떨어진다 .

Page 19: 디미컨

< 문제점 >

1. 아래에는 사실적인 정보 위에는 프로세스인데 , 프로세스와 정보가 일치되는 면이 부족하다 . 정보를 재배치하고 정보에 맞게 제주도의 돌고래들도 어떻

게 잡혀서 수족관에 오는지 나타낸다 . 2. 색이 다소 칙칙하다 . 주조색과 강조색 보조색을 확실히 정해서 디자인을 한다 . 3. 잡혀오는 과정을 좀더 자세히 나타낸다 . 4. 이야기로 풀어나가도록 재배치가 필요하다 .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분명히 제시해야겠다

Page 20: 디미컨

왜 ? 이 인포그래픽을 보면 한눈에 무엇을 이야기 하고자 하는지 알 수 있다 .강렬하게 느껴진다 . 제목을 보면 의문형으로 사용해 우리에게 다시 한번더 생각하게 하는 것 같고 , 디자인 분위기가 심각성을 나타내는 것 같다 .

Page 21: 디미컨
Page 22: 디미컨

▲ 고래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배치하였다 . 여러가지 정보를 알 수 있다 .

이야기처럼 읽히는 점이 좋다▶

Page 23: 디미컨

프로세스 인포그래픽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