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파비오 로사(fabio rosa, 브라질, 1989년 선정)

Post on 21-Jul-2016

238 Views

Category:

Documents

5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DESCRIPTION

 

TRANSCRIPT

“연혁별로 살펴보는아쇼카 펠로우 이야기”

#2파비오 호사(Fabio Rosa)

1989년 선정, 브라질IDEASS 설립자

경제개발

팜파스* 지역의 농가에서 자란 파비오 호사는, 소 우리를 세우고

소형 관개수로를 짓는 경험을 하며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 그는

대학에서 농업공학을 전공하고, 졸업하자마자 브라질 파오마레스**

주의 농업담당관으로 부임하게 됩니다.

* 팜파스: 남아메리카 중위도 지역 저지대에 있는 평야

** 파오마레스: 브라질 최남단에 위치한 주

농촌과 함께한 성장배경

2 / 20 ▶

1970년대, 농업담당관으로 일하던 호사는

가난한 농민들이 일자리를 찾아 농지를 버리고 도시 빈민가로

몰려들어 실업률과 범죄율이 치솟는 상황에 문제를 느낍니다.

그는 지역 농민들의 생활을 향상시키고, 도시 빈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고심합니다.

도시로 떠나는 농민들

3 / 20 ▶

왜 농민들이 농지를 버리는가?

4 / 20 ▶

호사는 문제의 근본 원인을 찾아내기 위해 질문하기 시작합니다.

파오마레스 토지의 90%가 오직 벼농사에만 적합한 토질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벼농사에는 상당량의 물이 필요했습니다.

* 지도 속 빨강색 표시: 파오마레스 지역으로 브라질 최남단 팜파스 벼농사 지대

농사를 할 수 없었던 전기이용료

5 / 20 ▶

한편, 부유한 지주들이 댐과 관개수로 대부분을 장악하고

이용료를 비상식적으로 높게 부과하고 있었습니다.

농민들은 물 값으로만 수입의 1/4 을 지출하고 있었고,

이마저도 불가능한 빈농들은 논에 물을 댈 수 없어서

가난에 시달리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관개 시설을 직접 만들지 않는가?

6 / 20 ▶

새로운 관개 시설 건설하기 위해서는 전기가 필요했습니다.

1980년대 브라질 농촌 지역에 전기를 공급하는 가격은

7000달러로,가구의 5~10년치 수입에 해당되는 큰 액수였습니다.

전기 공급가가 너무 높아 사실상 관개 시설 건설이 불가능했던

것입니다.

어떻게 전기를 공급할 수 있을까?

7 / 20 ▶

고민을 계속하던 어느 날, 호사는 텔레비전 저녁 뉴스를 보다가

우연히 해결책을 발견합니다.

브라질 연방 펠로타스 기술학교의 엔니우 아마라우 교수가저렴한

지방전력체제* 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는 것입니다.

* 지방전력체제: 전통적인 전력공급체제와 달리 하나의 고압전선만으로 전류를 실어 나르고 변압기를통해 각 가정에 전기를 공급하는 시스템. 과도하지 않은 전력을 쓰는데 적합한 체제로 전반적인 전기비용 절감에 큰 효과를 나타냄

▼ 엔니우 아마리우 교수의 연설

호사는 다음날 당장 20달러와 자가용을 빌려 아마라우 교수를

찾아갑니다. 그리고 비법을 전해 듣고 무릎을 쳤습니다.

8 / 20 ▶

“머릿속에 반짝 불이 켜지더군요.

값싼 전기만 있으면 가난한 농부들이 우물을 파고 논에

물을 댈 수 있다, 그러면 농민들이 물 가진 자들의

횡포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겁니다.”

실행을 위한 발걸음

9 / 20 ▶

그러나 호사는 또 다른 문제에 봉착하고 맙니다.

새로운 전력 공급 방식은 아마라우 교수의 10년에 걸친 개발

덕분에 완벽한 상용화가 가능했지만 국영 전기공사의 기술표준에

맞지 않아 실험지역 밖에서 사용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아마라우 교수님은 자신의 구상이 훌륭하게 완성되자마자

그것이 불법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죠.”

뜻 밖의 문제: 고착화된 업계 제도와 관행

10 / 20 ▶

그러나 호사는 좌절하지 않고 주민에게 전기를 공급한다는 공약을

했던 파오마레스 지역 시장에게 도움을 요청해 고위 공무원을

설득했습니다. 결국, 주 전기공사의 허가를 따내고 BNDES*에서

재정지원까지 받을 수 있었습니다.

*BNDES: 브라질 국책은행인 경제사회개발은행

끈질기게 이해관계자를 설득하다

농민들은 기존 요금의 1/17금액으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풍부한 물을 활용한 침수농법으로 50~80달러에서

200~300달러로 서너 배의 월 수익을 올릴 수 있었습니다.

게다가 이들 가구 중 1/3 은 파오마레스를 떠나 도시로 나갔다가

다시 돌아온 사람들이었습니다.

도시로 이주한 사람들을 다시 돌아오게 하다

11 / 20 ▶

▼ 파비오 호사의 발전기를 설치한 가족의 기념 촬영

12 / 20 ▶

브라질 전역의 기술진이 파오마레스 지역에 앞다퉈 찾아왔고,

BNDES는 호사의 시스템을 전국에 확대할 예산을 지원,

호사가 정립한 기술적 기준은 ‘표준 025’로 공식 승인되었습니다.

“그제야 우리는 법을 어기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었죠.”

제도와 업계관행구조를개선하다

13 / 20 ▶

하지만 호사는 이후에도 끊임없는 장애물에 부딪힙니다. 도움을

주던 아제베도 시장이 물러나고 다른 후보가 당선되자 담당부서는

해체되고, 기술자들은 쫓겨났으며, 예산은 전용됐습니다.

모든 사업이 사실상 철폐된 것입니다.

끊임없이 나타나는 장애물

14 / 20 ▶

그러나 호사는 포기하지 않고 이번에는 STA*라는 영리 회사를 차려

태양광을 이용한 농업용 전기기술 시스템을 5년 만에

브라질 16 개주 700곳에 퍼뜨립니다.

“공무원들과 싸우느라 10년을 허비한 것보다 훨씬 빨랐죠.”

* STA: 시스테마스 데 테크놀로지아 아데콰다 (농업용 전기기술 시스템 회사)

장애물을 극복하는 기업가적 자질

15 / 20 ▶

또한 호사는 이러한 영리 모델을 이용하기 어려운 빈농층을 위해

IDEAAS*라는 비영리기구를 설립합니다. IDEAAS는 장기 저금리

대출을 통해 저소득층이 더 효율적이고 환경친화적으로 전기를

공급받아 지속 가능한 고생산 농업을 할 수 있게 했습니다.

*IDEAAS: 자연에너지 및 자가지속성 개발기구

잠재적 이슈에 대응하는 탄력적인 면모

▲ IDEAAS 공식 홈페이지

16 / 20 ▶

호사는 이처럼 영리와 비영리 섹터의 경계를 넘나들며 브라질의

외진 농촌에 전기를 보급하는 일을 계속하면서 농촌 지역의 경제 뿐

아니라 교육, 보건, 농업 체제, 그리고 도시 빈곤 문제까지

해결해나가고 있습니다.

영리와 비영리 사업의 절묘한 조화

Solution

Non Profit

ForProfit

17 / 20 ▶

브라질의 정치경제적 상황이 바뀔 때마다 사업은 뒷걸음질치기도

하지만 호사는 개의치 않고 말합니다.

“상황과 환경은 바뀌지만 내 일의 절대적 필요성은 그대로입니다.

나는 기업가이고, 기업가로서 늘 아이디어가 넘칩니다.

한 가지 아이디어가 잘못되었다고 해서 모든 것이 끝나는 것은

아니죠. 단지 일을 더 열심히 해야 할 뿐입니다.

이번에 성공하지 못한다면 다음 일을 시작해야 합니다.”

특정한 상황에 개의치 않는 행동가

18 / 20 ▶

1989년 아쇼카 펠로우로 선정된 호사는 2001년 슈밥사회적기업재단

선정 사회적기업가 40인의 첫 수상자 명단에 오르고,

기술혁신박물관상* 을 수상해 상금 5만 달러를 받는 등 2000년대에도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는 끊임없이 말합니다.

“이번 일도 잘 될 가능성이 보입니다. 또 다른 시작이네요!”

* 새너제이기술박물관이 인류애 증진에 기여한 기술자에게 수여하는 상

증명하고, 인정받다

장애물이 끊임없이 당신을 가로막는 것 같을 때,

끝없이 돌을 밀어 올리는 시시포스처럼 느껴질 때,

계속해서 극복의 방법을 찾아낸 브라질 아쇼카 펠로우

파비오 호사를 떠올려보면 어떨까요?

끊임없는 장애물이 당신을 가로막는다면

19 / 20 ▶

‘연혁별 주요 아쇼카 펠로우’와‘아쇼카의 지난 발자취’를더욱 자세히 살펴보세요!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 더보기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