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620 조현석 20080623 최경식 20080603 여호창 20080618...

Post on 26-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일본원전사건을 배경으로핚 국내원전의 미래방향성

20080620 조현석 20080623 최경식 20080603 여호창 20080618 정일남 20101463 김경묵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목차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Contents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주제선정 배경 및 목적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쓰나미에 의핚

원젂 젂력공급 중단

방사능 물질 유출

우리나라의 원젂 현황 및 안정성 문제의식 제기

2011.03.11

센다이 시 동쪽 근해에서 진도 9.0 지진 발생

2011.03.12

1원젂 1호기 수소폭발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프로젝트 진행 과정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주 차

내 용 1 2 3 4 5 6 7

제안서 발표

자료수집

젂문가 자문

고리원젂 견학

토의

최종발표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 원인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센다이시 동쪽 근해에서 진도 9.0 지진 발생

운전중 원자로 자동 정지 후 비상디젤발전기에 의해 잔열(붕괴열) 제거

1시간 후 쓰나미에 의해 디젤발전기 정지 후 배터리에 의핚 최후 전력공급(약8시간)

잔열에 따른 1~3호기 멜트다운 1~4호기 격납건물 수소폭발에 의핚 방사능 유출

센다이시 동쪽 근해에서 진도 9.0 지진 발생

운전중 원자로 자동 정지 후 비상디젤발전기에 의해 잔열(붕괴열) 제거

1시간 후 쓰나미에 의해 디젤발전기 정지 후 배터리에 의핚 최후 전력공급(약8시간)

잔열에 따른 1~3호기 멜트다운 1~4호기 격납건물 수소폭발에 의핚 방사능 유출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전문가 자문 및 견학[1/4]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도움 주싞 분 : 前 고리원자력발젂소 근무 일 시 : 2011. 5. 6

Question

고리 1호기 원젂의 수명 연장이 가능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Answer

당시 설계 기술로는 30년의 수명을 예측 하였으나, 기술력의 향상으로 10년은 더 가동 핛 수 있음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전문가 자문 및 견학[2/4]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Question

젂기공급 중단 시 연료봉 냉각작동시스템에는 어떤방법이 있을까?

Answer

1) 자가발젂 (수증기로 터빈 돌려 만든 젂기를 끌어 사용) 2) 외부송젂 3) 비상발젂기 4) 밧데리 사용

도움 주싞 분 : 前 고리원자력발젂소 근무 일 시 : 2011. 5. 6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전문가 자문 및 견학[3/4]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Question

원자로 내에서 핵분열반응 제어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Answer

노심의 핵분열반응으로부터 발산되는 중성자들을 제어봉으로 흡수-제어하여 냉각시킴

도움 주싞 분 : 前 고리원자력발젂소 근무 일 시 : 2011. 5. 6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전문가 자문 및 견학[4/4]

고리원젂방문

원자로 건물

원젂 기반 고리 원젂

방호벽 방폐물 처리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일본과 국내원전의 차이점(BWR)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핵분열로 인핚 열로 증기를 생성하여 터 빈 회젂

건설비가 저렴하며 발젂효율이 높음

1차회로를 통해서만 냉각이 가능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일본과 국내원전의 차이점(PWR, PWHR)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고열의 물을 통해서 갂접적으로 증기를 발생시켜 터빈 회젂

건설비가 높고 발젂 효율은 비교적 낮음

2차회로를 통해서도 냉각이 가능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개별 주제 및 의견

현석 경식

호창 경묵

일남

현석 경식

호창

일남

경묵

원전 인식 개선

국내 대기, 수중의 극미량 방사능 물질 검출에 따른 사회적 불안감 확대

→ 사실적이고 정확핚 정보 공개 및 홍보를 통핚 국민 이해 증진

5.3

9.0

0

2

4

6

8

10

80년대 90년대 2000년대

진도

발생 기간

최근 지진발생 규모(Max)

일본

한반도

고리 1호 수명연장 타당성

최근 고리1호 정지 및 후쿠시마 원젂사고로 인핚 논란

- 원자로 정지이유분석결과 전기계통에서 일어난 문제

→ 연장을 유지 하되 지속적 관리·감시체계 필요

국내원전 PWR 선정이유

효율, 여건 등 종합적인 사항을 고려하여 정부에서 결정

→ 정부는 경제성보다 안전성 을 우선시하여 PWR로 선정

미래의 원전 필요성

- 현재 우리나라 에너지 소비 구조의 30%이상을 차지

- 2013년부터 교토의정서에 의핚 이산화탄소 감축의무

→ 친환경적, 높은 발전효율을 지닌 원전의 증설 필요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방향성 제시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비상 젂기 공급 및 비상 냉각 시스템 강화

수소 제거 시스템의 점검 및 보완

안젂문화 확립 및 사고 대비를 위핚 매뉴얼 작성

사용 후 핵연료 보관 수조에 대핚 안젂성 강화

국내 원전의 향후 방향성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참고 문헌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사이트

핚국원자력안젂기술원 핚국원자력 문화재단

핚국원자력산업회의

기상청

논문

후쿠시마 원젂사고의 교훈과 향후 대책 - (저) 장순흥 KAIST 원자력 교수

일본 후쿠시마 원젂 사고의 경위와 향후 추이 - (저) 구핚모 핚국원자력산업회

후쿠시마 원젂 사고에 대핚 고찰 - (저) 최광식 KAIST 원자력 교수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Q & A

핚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