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학원론 mooc강의용 ppt.pptx (2)...

Post on 08-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Chapter 4 국제무역환경1. 국제무역의 역사적 전개과정

2. GATT와 UR

3. GATT와 UR

4. 자유무역협정(FTA)

5. 한국경제, 한국무역 및 FTA

1. 국제무역의 역사적 전개과정

• 16~18세기(중상주의시대) : 강력한 보호무역주의 시대

• 19세기 : 자유무역주의(유일 선진국 영국)와 보호무역주의(미국, 독일 등모든 개도국) 공존 시대

• 20세기 : 보호무역주의(전반 50년, 세계대전 및 세계 대공황)와 자유무역주의(후반 50년, GATT시대)공존 시대

• 21세기 : 자유무역주의(WTO시대)하의 보호무역주의 팽배 과연 앞으로 세계경제는 어떤 미래를 준비할 것인가?

제2차 세계대전과 세계 경제질서의 변화• 세계경제의 자본주의(민주주의, 시장경제)와 공산주의(사회주의, 계획경제)로의 양분화 : 냉전 시작

• 식민지의 독립과 세계시장의 삼원화 : 선진국, 후진국, 공산권 진영

• 열간들의 경제블럭의 해체와 이를대체하기 위한 지역경제 협력 강화

• ECSC(유럽석탄철강공동체)+EEC(유럽경제공동체) + EURATOM(원자력공동체) = EEC로 통합EC(유럽공동체) EU(유럽연합, 1992년)을 등장

• 미국중심의 국제경제질서: BWS, American System, Pax Americana 및IMF-GATT체제 등장

미국중심의 국제경제질서

• Brettonwoods System(BWS)Brettonwoods Agreement(브레튼유즈협정, BWA) 체결로 세개 기구 탄생(1)ITO의 무산과 GATT출범 : 보호무역 대신 자유무역 추진(2)IMF(3)IBRD

• American System

• Pax Americana

• IMF-GATT System

ITO의 무산과 GATT출범

• ITO의 무산 이유

(1) 전쟁(2차 세계 대전) 직후 상황 하에서 갑작스런 자유무역 추진 부담

(2) ITO Charter(최종 헌장인 하바나헌장)의 규정이 매우 엄격함(예 : 관세 즉시 철폐 등)

(3) 당시 헌장 참여국 23개국중 2개국만 국회 비준 가능

(4) 나머지 21개국 특히 미국은 국회 비준 불가 상황

GATT출범 의미

(1) 결국 세계 경제가 회복될 때까지 ITO설립 연기하고

(2) 임시적으로 각 정부간에 신사협정 형식으로

(3) ‘관세 인하’와 ‘비관세 철폐’에만 집중적으로 다루기로 함

GATT 건물(현재 WTO건물)

GATT와 UR

• GATT의 기본 이념

• GATT의 기본 원칙

• GATT협정문의 구성

• GATT의 다자간 무역협상

• GATT에서의 UR

• GATT의 성과

• GATT의 한계

GATT의 기본 이념

• 국민 생활수준 향상

• 완전 고용 달성, 실질 소득 및 유효수요 증대

• 세계 자원의 효율적 이용

• 상품 생산 및 무역 증대

기본 이념 실현을 위한 GATT의 기본 원칙

• 무역의 자유화 = 자유무역의 실천 관세 인하 및 비관세 철폐

• 무차별 원칙 = 최혜국대우 원칙 + 내국민대우 원칙

• 명료성 원칙 : 무역제한조치를 취하기 전에 명확하게 공개

• 상호주의 원칙 :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이익을 1:1로 동등하게 대우1960년대 들어와 ‘남북문제'와 관련되어 개도국들이격하게 반대 피어슨보고서/틴버겐보고서/로마클럽보고서/국제질서개편보고서 등 속출 결국 GSP시행

무역의 자유화

• 관세의 점진적 인하 : 다자간 관세 인하 협상• UR에서 드디어 무관세품목 등장• 공산품 평균 양허관세율 2~3%로 낮아짐

• 비관세의 철폐 : 도쿄라운드에서 10개의 비관세장벽코드 탄생 UR에서 타결 후 5년이내 모든 NTBs철폐대신 예외없는 관세화(Tariffication)도입

* 예외없는 관세화(Tarification Only) : 농산물도 개방

* 관세화율 = (국내가격 – 국제가격) / 국제가격 x 100

무차별 원칙• 최혜국대우 원칙 : MFN

(예외 1) 연방제도는 과거 것만 인정(새로운 연방 불허)(예외 2) 관세동맹, 자유무역 등 경제통합은 과거, 현재, 미래 모두 허용(GATT24조)(예외 3) 특별한 나라 가입 제약 허용(당시 인종차별국가의 GATT허용불가 위한 조치)

* 오늘날 WTO체제하에서도 배타적인 조치인 FTA가 확산되고 있는 근거

• 내국민대우 원칙 :NT일단 국내 시장으로 진입한 이후에는 국산품과 차별금지

* (대표적 사례) 한국 주세분쟁

GATT협정문의 구성

• 전문

• 제1부 : 1조~2조(최혜국대우와 양허표에 관한 규정)

• 제2부 : 3조~23조(자유무역을 구현 하기 위한 핵심적인 규정)

• 제3부 : 24조~35조(관세 교섭, 가입과 탈퇴등 운영규정)

• 제4부 : 36조~38조(무역과 개발에 관한 규정,개도국 조항, 1966년 발효)

GATT의 다자간 무역협상명칭 기간 참가국수 관세협상

방법특징

제1차 일반관세협상 1947 23 품목별 인하

제2차 “ 1949 32 “

제3차 “ 1950 34 “

제4차 “ 1956 22 “

제5차 딜론라운드 1961 23 “

제6차 케네디라운드 1964 56 일괄인하

제7차 도쿄라운드 1973 99 관세조화 NTBs 철폐 성과

제8차 우루과이라운드 1986 125 “ 1) 무세 품목 등장 2) 협상 분야 대폭 확대 3) NTBs5년 내철폐 4) 예외 없는 관세화 도입

GATT/UR 협상 결과 구조

• 최종의정서

• WTO설립을 위한 마라케쉬협정(부속서 1-3) 다자간무역협정(17개)

(부속서 1A) 상품무역관련 다자간 협정(13개)(부속서 1B) GATS(부속서 1C) TRIPs(부속서 2) DSU(부속서 3) TPRM

(부속서 4) 복수국가 무역협정(2개)

• 각료 결정 및 선언

GATT의 성과

[긍정적 평가]• GATT가 국제무역 전담 기구는 아니어도 가맹국가 간 상호협조 정신• (신사협정)에 기초를 둠• 세계 무역량 증가(연평균 8.2%씩) 세계 후생 증가

[부정적 평가]• 세계무역증가는 주로 선진국 상호간 무역(수평무역)임개도국간• 수평무역은 거의 기여하지 못함• 개도국들의 강력한 반발 GATT규정 개정 요구GATT제4부 신설 + GSP제도 도입

• 신국제경제질서(NIEO) 대두

GATT의 한계

• GATT 규정의 구속력 미흡ITO발효전까지 GATT를 잠정적으로 발효시키는 협정에 불과

조부조항 을 예외로 허용 불가피 국내법 우선 적용 불가GATT규정 위반 제재조치 거의 불가

• GATT규정의 통일성과 체계성 결여ITO규정중 일부만 발췌 각국 주장이 복ㅈ바하게 반영됨통일성과 체계성 미흡

• 국제협정으로서의 조건 불충분잠정협정이기 때문에 행정권 범위내에서 GATT의 수락하는 형식을 취함국제협정처럼 국회 비준 거치지 않음

• GATT의 국제기구로서의 성격 미비신사협정에 불과하였음잠정적 협정에 불과하였음

WTO Annual Report 2016

WTO와 DDA

• WTO의 설립• WTO체제 출범의 의의• WTO설립 협정 내용

(1)UR최종 협정문(2)WTO의 기능(3)WTO의 조직구조(4)WTO의 지위(5)WTO의 의사결정 방식(6)GATT와 WTO의 비교(7)WTO체제 출범에 대한 당시 기대치

• WTO와 DDA의 미래

WTO의 설립

• 1994년 4월 모로코 마라케쉬

• UR각료회의에서 종료 선언

• GATT/UR협상에서 타결된 21개 협정을 집행하기 위한 새로운 체제 필요

• WTO설립협정 제1조Article I Establishment of the Organization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WTO") is hereby established.”

“ 이 협정에 따라 세계무역기구가 설립된다"

• 1995년 1월 1일부터 WTO체제 출범

WTO체제 출범의 의의

• 국경없는 전방위 경쟁시대 혹은 무한경쟁의 시대로 본격 진입비교우위 원리에 의거한 완벽한 자유무역 시대

• 자유무역주의 이탈에서 다시 자유무역주의로의 회귀(1) 1970~1995년까지의 신보호무역주의 퇴조

(2) 상품+서비스, 투자, 지식재산권 등도 비교우위원리에 따라 개방

• 새로운 통상의제에 대한 논의 시작• (1)기술과 무역 간의 연계조치(TR)

• (2) 노동과 무역 간의 연계조치(BR)

• (3) 환경과 무역 간의 연계조치(GR) WTO로 이관하여 논의 중(무역환경위원회)

• (4) 경쟁과 무역 간의 연계조치(CR)

• (5) 투자와 무역 간의 연계조치(IR)

WTO설립 협정 내용

(1)UR최종 협정문 WTO설립 협정+다자간 무역 협정+복수국 간 무역 협정

(2)WTO의 기능4가지 기능(교재 420~421)

(3)WTO의 조직구조 각료회의(최고의사결정기관) + 일반이사회(각료회의 비회기 중 기능 수행) +위원회

(4)WTO의 지위법인격 기능 / 세계 경찰 / 국제 법원

(5)WTO의 의사결정 방식 원칙(합의제) + 예외(다수결 표결방식)

(6)GATT와 WTO의 비교(7)WTO체제 출범에 대한 당시 기대치

WTO와 DDA의 미래

• 첫 다자 간 무역협상(DDA) 2001년 11월 시작~2003년 11월 멕시코 칸쿤회의에서 향후 DDA협상 중단 선언2016년 말까지 DDA 좌초 상태 지속

• 일부 미세한 분야 타결(1) 발리 패키지 : 농업 일부+개발 및 최빈개도국 우대 등 타결(2) 나이로비 패키지 IT 확대 협상 타결+농업분야+최빈개도국 면화 수출분야 + 최빈 개도국특혜원산지 및

서비스 분야

• 2017년의 전망(1) 제11차 각료 회의 시기와 장소 정하지 못함(2) DDA 협상 의제 진전 없음(3) 중국이 WTO가입(2001년) 때 개도국으로 분류되었으나 여전히 개도국으로 분류(4) 최빈개도국들의 DDA협상 기대가 큼

자유무역협정(FTA)

• 비교우위원리에 따라 자유무역을 실행함으로써 국민 후생 수준을 드높이자는목적으로 164개국이 참여하고 있는 WTO체제하에서의 첫 다자간 무역협상이좌초 2004년 이후 각국은 끼리끼리만의 자유무역을 추진하기 시작 WTO지역무역협정위원회에 통보된 RTA 수는 635개이고 이중 발효중인 것은 423개 계속 증가 추이 지속

• The overall number of RTAs in force has been increasingly steadily, a trend likely to be strengthened by the many RTAs currently under negotiations. Of these RTAs, Free Trade Agreements (FTAs) and partial scope agreements account for 90%, while customs unions account for 10%.(WTO홈페이지)

• 자유무역을 구현한다는 목표로 출범한 WTO체제하에서 역내에서만 자유무역하고 역외국에는 배타적인 조치를 취하겠다는 RTA는 WTO에 위반이 아닌가?

• GATT 1994 (1947 제24조 MFN조항의 예외조항)에 근거하므로 위반이아니라 오히려 합법적임

자유무역협정(FTA)

• 세계 지역무역협정의 확대와 심화• 지역무역협정 이론(1) RTA의 의의

(2) RTA의 형태

(3) RTA의 효과

(4) 한국의 FTA추진 정책

(5) 한국의 FTA체결 관련법

• 지역무역협정 실제(1) 아시아지역

(2) 아프리카지역

(3) 중동지역

(4) 유럽지역

(5) 미주지역

세계 지역무역협정의 확대와 심화• 세계 경제질서의 재편

(1)미국 경제력 절대적 위상(1극체제)(2)미국 경제력 상대적 하락독일, 일본, ANICs부상(3)다자주의, 글로벌리즘(GATT)WTO 체제 이후 지역주의(RTA)로의 재편 심화

• 지역무역협정의 추세와 전망(1)GATT 1947 제24조에 근거하여 확산 및 심화 중(2) GATT1994 제24조의 해석에 관한 양해 조항지역주의 확산에 제약 시항 추가하고 있음

[제24조제5항(c)에 언급된 "합리적인 기간"은 예외적인 경우에만 10년을 초과한다. 10년이 불충분하다고 판단하는 잠정협정당사자인 회원국은 보다 장기간의 필요성에 대한 충분한설명을 상품무역이사회에 제시한다]

(3)세계 경제 침체 지속+GATT/UR상 억지 타결+WTO체제 전망 불투명RTA계속 확산 심화

• 지역무역협정간의 통합추세와 대두(1)TTIP / TPP / RCEP / 한-중-일FTA / FTAAP 등(2)WTO(전세계 모두 동시에 자유무역 실현) vs RTA(역내끼리만 자유무역)(3)경제통합(종속관계 성격 RTA(대등관계 성격)

지역무역협정 이론

(1) RTA의 의의 : 경제동맹+ 정치동맹

(2) RTA의 형태 : 다섯 가지 형태

(3) RTA의 효과 : 정태적 효과 + 동태적 효과

(4) 한국의 FTA추진 정책 : 제1기(동시다발적) 제2기(메가 FTA)제3기(ODA-KSP연계형 FTA)

(5) 한국의 FTA체결 관련법 : 관세법+통상조약법+FTA특례법

RTA의 의의[의의]

• 2개국 이상이 협정 체결 협정국은 비협정국에 대하여 관세 및 비관세장벽을 차별화 하여 협정국 경제의 최적 상태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상호 협업하는 국제경제 조직체(경제동맹)

• [정치동맹/안보동맹]

• 경제동맹을 넘어 정치-안보동맹으로까지 확대됨

RTA의 형태 : 다섯 가지 형태

자유무역협정(FTA)

• 회원국 간 상품 서비스 투자 지재권 정부조달 등에 대한 관세 비관세 장벽을 완화함으로써 상호간 교역 증진을 도모하는 특혜무역협정을 의미하며 특히 관세/비관세 철폐에 주요 초점이 맞춰져 있음

• FTA는 지역무역협정 (RTA: Regional Trade Agreement)의 주류를 이루고있으며, 자유무역협정→ 관세동맹 → 공동시장 → 단일시장 등의 단계를통해 경제통합으로 진화해 나감

• WTO에 보고된 RTA(2016년말 기준 635 개, 이중 발효중인 것은 423개)중90%가 FTA형태(나머지 10%가 CU임)

관세동맹(CU)

• FTA + 대외공통관세(CET)

• 전세계 RTA중 10% 차지

• Andean공동체 / CACM / COMESA / ECOWAS / CEMAC / EAC(동아프리

카공동체 : 브루디-르완다) / EC확대 / EU-안도라, 산마리노, 터키 /

ECEC(유라시아경제공동체) / EAEU(유라시아경제동맹) / GCC 등

공동시장(CM)

• FTA + CET + 역내 생산 요소(노동, 자본 등)의 자유 이동

• 현재 RTA중 CM형태는 없음

• EU는 이 단계를 이미 지났음

• 터키가 EU에 가입하기 어려운 점(1) 종교가 다르다(유럽은 기독교 VS 터키는 이슬람교)(2) 터키의 노동자들이 독일, 프랑스 등 일자리 찾아 대거 이동 우려

경제동맹(EU)

• EU(유럽연합) 1) 독일, 프랑스, 영국, 아일랜드,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스, 체코, 헝가리, 폴란드, 슬로바키아,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슬로베니아, 키프로스, 몰타, 불가리아,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등

28개국 회원국으로 구성

2) 1993년 11월 1일 창립

EU는 가장 어려운 통화단일화를 이룸(Euro화)

완전경제통합(연방국가)

• 미국 : 미합중국(United State of America)

• EU : 종국적으로 미국같이 연방국가 형성 추구

RTA의 효과

• 정태적 효과 : 단기적 효과(Stock개념)

(1)무역창출효과 : 자원의 효율적 이용(긍정적 효과)(2)무역전환효과 : 자원의 비효율적 이용(부정적 효과)

• 동태적 효과 : 장기적 효과(Flow개념)

(1)시간의 흐름 고려(2)경제성장 효과 / 일자리 창출 효과 / 소득증대 효과 / 물가 안정 효과 등

한국의 FTA추진 정책

• 제1기(2004~2014 ,10년) :동시다발적

• 제2기(2015~ 현재) : 메가 FTA(TPP / RCEP / 한-중-일FTA)* 미국 도널드 트럼프 당선자 : TPP폐기 주장

* 중국 중심의 RCEP 관심 집중

• 제3기(2018년 ~향후) : ODA-KSP-무역보험 연계형 FTA* 향후 FTA대상국 : 현재 자원풍부국 + 가까운 미래 구매잠재력 큰 국가(시장)

* 아프리카 / 중동 / 중앙아시아 / 서남아시아 / 남미 등

* OECD/DAC국가로서 현재 원조(ODA)제공국 +KSP(한국경제개발경험 전수사업)

실시국 + 무역리스크를 무역보험으로 카바 가능한 개도국

지역무역협정 실제

(1) 아시아지역(1) ASEANAFTA(2) SAARCSAPTASAFTA(3) APECFTAAP

(2) 아프리카지역(1)ECOWAS (2)CEMAC (3)COMESA (4) EAC

(3) 중동지역 : GCC

(4) 유럽지역 : EU , EFTA, EEC

(5) 미주지역 :NAFTA, CACM, MERCOSUR 등

한국의 FTA체결 관련법• 관세법, 동시행령 및 시행규칙

• 통상조약의 체결절차 및 이행에 관한 법률(통상조약법) 및 시행령

* 제8조(기업제안제) : 윤기관 교수의 <신FTA정책> 제안 근거조항

•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FTA특례법), 동시행령 및 시행규칙

한국경제, 한국무역 및 FTA

• 국민경제 구성 요소 : Y = C + I + G + (X – M)

• 내수부문(C + I ) 확대•• 정부부문(G)

• 해외부문(X - M) 확대(1) 해외 전략 광물자원 + 원부자재 수입 확대(M)(2) 수입원자재의 국내 가공하여 부가가치 제고(3) 부가가치(Added Value)해외로의 수출(X)확대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