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선절제술환아어머니를위한 교육프로그램효과 -...

Post on 20-May-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간호학 석사학 논문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 효과

아 주 학 교 학 원

간 호 학 과

이 미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 효과

지도교수 송 미 숙

이 논문을 간호학 석사학 논문으로 제출함.

2016년 2월

아 주 학 교 학 원

간 호 학 과

이 미

이미 의 간호학 석사학 논문을 인 함.

심사 원장 송 미 숙 (인)

심 사 원 유 문 숙 (인)

심 사 원 유 미 애 (인)

아 주 학 교 학 원

2015년 12월 18일

i

-국문요약 -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 효과

아주 학교 학원 간호학과

이 미

(지도교수:송 미 숙)

본 연구는 수술 환아 어머니 상으로 체계 인 교육자료를 개발하기 하여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재한 후 상자의 불안과

불확실성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해 시도된 유사실험 연구설계

로 2015년 3월 15일부터 2015년 4월 15일까지 일개 학병원 소아외과 병동에서 편

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 상으로 시도되었다.

교육내용은 입원일,수술당일,수술 후 1일간의 시 별로 상자가 수행해야

할 환아 리의 을 알기 쉽게 이해시키기 해서 표 진료지침에서 용하고 있

는「 찰측정」,「투약」,「검사」,「식이」,「처치」,「활동」,「교육과 퇴원

계획」 역별로 분류하여 ①의료진들이 진료하고 간호하는 내용과 ②이 때 환아에

게 찰되는 증상과 ③이를 해결하기 해서 어머니가 리해야 하는 사항을 동

상과 그림 사진을 활용한 교육 로그램 내용으로 구성하 다.

연구결과는 SPSSwindows20.0 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 고, 상자의

일반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실험군과 조군의 동질성은 χ²-test와 t-test로 검

정하 으며,불안과 불확실성 간호만족도의 차이는 t-test로 분석하 다.연구 결

과는 다음과 같다.

1.「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재한 결과,실험군

환아 어머니의 불안수 은 5.17±1.78 으로 조군 7.70±2.05 에 비해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t=8.146,p<.001).

ii

2.「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재한 결과,실험군

환아 어머니의 불확실성은 63.57±7.14 으로 조군 68.03±6.81 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t=5.64,p<.001).

3.「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재한 결과,실험군

환아 어머니의 간호만족도는 56.50±3.04 으로 조군 38.17±6.10 보다 통계 으

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14.72,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

램」이 수술 환아 어머니의 불안과 불확실성감소 간호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으

로 나타났다.따라서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에게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은 효과 인 간호 재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 하며,수

술 교육의 지침으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핵심어:간호만족도,교육 로그램,불안,불확실성,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

iii

차 례

국문요약·························································································································ⅰ

차 례·························································································································ⅲ

표 차 례·························································································································ⅴ

그림차례·························································································································ⅴ

부록차례·························································································································ⅴ

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1

B.연구 목 ············································································································4

C.연구 가설············································································································4

D.용어 정의···········································································································4

Ⅱ.문헌고찰 ···················································································································7

A.불안·····················································································································7

B.질병에 한 불확실성······················································································8

C.환아 어머니의 간호만족도············································································10

D.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12

Ⅲ.연구방법 ·················································································································14

A.연구설계···········································································································14

B.연구 상············································································································14

C.연구도구 ··········································································································15

D.연구 차 ·········································································································17

E.자료분석 ··········································································································22

F.연구의 제한 ································································································23

iv

Ⅳ.연구결과 ·················································································································24

A. 상자의 동질성 검증···················································································24

B.가설검증············································································································26

Ⅴ.논의 ···························································································································29

Ⅵ.결론 제언 ···········································································································33

참고문헌···························································································································35

부 록 ·························································································································41

ABSTRACT ··················································································································56

v

표 차 례

표 1.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램············································20

표 2.두집단의 일반 특성에 한 동질성 검증··················································24

표 3.환아의 일반 특성에 한 두집단의 동질성 검증····································25

표 4. 상자의 교육 불안과 불확실성에 한 두집단의 동질성 검증··········25

표 5.두집단의 불안수 차이····················································································26

표 6.두집단의 불확실성 차이····················································································26

표 7.두집단의 간호만족도 차이················································································27

표 8.두집단의 항목별 간호만족도 차이··································································28

그림 차례

그림 1.연구설계············································································································14

부록 차례

부록 1. 조군 연구 참여 설명문··············································································41

부록 2.실험군 연구 참여 설명문··············································································42

부록 3.연구동의서········································································································43

부록 4.설문지················································································································44

부록 5.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48

1

Ⅰ.서론

A.연구의 필요성

부모는 입원 아동 즉,환아의 간호에서 없어서는 안 될 요한 인물이며 더욱

이 어머니는 우리나라의 사회 문화 상황을 고려할 때 일차 인 아동 돌 제공자

로서 입원아동과 병원 생활을 같이 하면서 아동 간호에 극 으로 참여한다(문

숙,2007).그러나 이러한 자녀양육에 있어 주된 역할을 담당하는 어머니는 자녀의

입원으로 인한 낯선 병원환경과 검사와 투약 처치에 한 정보부족과 불안,공

포감,무력감 등의 부정 인 정서와 함께 부모역할 수행에 있어 죄의식을 경험하게

되며(구 ,2002),간호사의 온정 이지 못한 태도와 낯선 의소소통 등은 어머니

로 하여 스트 스를 유발한다(Musa,Akande,& Adebayo,2005).이와 같은 부모

의 부정 인 정서를 통한 불안한 태도를 보이게 되면 이러한 감정상태가 아동에게

이되어 심리 불안감을 래할 수 있다(McCann,& Kain,2001).

오늘날 가족 심의 간호가 강조되면서,아동에게 가장 향력 있는 사람은 어

머니이며,입원과정과 퇴원 후 회복기동안 환아는 어머니에게 의존하는 상황에서

치료를 받게 됨으로써 환아 어머니는 환아에게 직 인 향을 미치게 된다(이재

은,2004).부모는 아동의 특성을 가까이에서 가장 잘 악하고,아동에 한 많은

정보를 인지할 수 있으며(Glascoe,2003),아동에게 나타날 수 있는 불안 부정

행동을 가장 잘 측할 수 있다(Voepel-Lewis,Tait,& Malviya,2000).따라서 환

아 어머니는 입원 환아의 상태를 악하고 간호사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역

할을 하고,퇴원 후 환아 회복에 직 인 간호 재 역할을 한다.그러므로 입원아

동의 리에 있어 부모를 포함한 아동의 간호교육 재가 필요하다(Copanitsa-nou,

& Valkeapaa,2014).

수술환자와 가족의 입원 시 입원 차와 수술 ‧후 교육,퇴원 후 리에

한 명확한 정보제공은 그들의 애매모호한 감정을 감소시켜 불확실성과 불안을 감

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지 순,2004).선행연구에서 구 ,조연정,김옥희,박호

2

란(2007)는 사진을 이용한 정보를 제공받은 실험군부모의 주 불안은 조군부

모보다 낮게 측정되었으며,문 숙(2007)은 간호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 환아 어머

니의 불확실성 지각정도가 조군의 불확실성 지각정도보다 낮게 측정되었다고 보

고하 다.즉,효과 인 교육방법을 통한 정보제공은 불안과 불확실성을 낮추는 역

할을 함을 알 수 있다.따라서 환아 수술 정보제공은 환아의 부모에게 필요한

간호 재임을 알 수 있다.

소아의 수술 편도선 제술은 1년에 4만 건 이상이 행해지고 있으며,연령

별로 보면 9세 이하에서 수술 건수 1 를 차지할 정도로 아동에게 빈번하게 시

행되고 있다(국민건강보험공단,2012). 한 2012년 7월부터 편도선 제술이 포 수

과제 용 상에 포함됨에 따라 부분의 병‧의원에서 표 진료지침 용,재원 기

간이 평균 3일을 넘지 않고 있다.하지만,표 진료지침 로 퇴원하지 못한 사유

퇴원거부가 31.8%에 달했다는 이 문제 으로 두되었고 이유가 환자들의 교육

요구,질병과정에 한 설명 등의 요구 충족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순규 등,2001).따라서, 재 제공하는 정보의 내용이나 달방

식에 문제 을 고찰 해 보고 입원기간의 단축에 따른 어머니의 교육요구도에 맞춘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우선,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에게 제공되는 간호문제 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첫째,설명방식의 문제 을 들 수 있다.인쇄자료를 이용한 교육은 설명이

락이 쉽고,정보제공자의 감정개입,정보의 생생함 실제와의 일치성이 부족하나

(김정희,2005), 제의 교육방식은 표 진료지침 인쇄자료를 이용한 간호사의 설명

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간호사는 상자의 사 조사를 통하여 수 에 맞는 여러 가

지 시청각자료를 이용하여 교육하는 것이 효율 이며(임혜선,2004),이를 통한 교

육은 당면하게 될 환경을 역동 으로 감지할 수 있어 교육내용을 기억하고 실천하

는데 도움을 수 있는 매체(강경숙, 은미,2010)이므로 사 조사를 통한 교육요

구도에 맞춘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교육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둘째,퇴원 후 환

아 리에 한 교육이 부족하다.수술 후 퇴원한 환아는 가정에서 짧은 재원기간동

안 병원에서 얻은 지식을 기 로 하여 가족에게 돌 을 받게 되며 주의사항을 이행

3

하게 된다(조유숙,2001).퇴원 후 환아의 리는 어머니의 역할이 되므로 편도선

제술후 나타날 수 있는 상황 처방법에 한 교육을 입원 시 제공함으로써 환아의

역할행 로 이어질 수 있도록 계획된 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재연구들은 소수에

불과하 으며 이 한 환아 어머니를 상으로 동일한 교육내용을 통한 재연

구로(이민희,2008;김 정,2011) 재에 따른 수술 환아 어머니에게 미치는 효과는

미비하 다.즉,이민희(2008)은 시각 정보제공을 수술 환아와 어머니에게 제

공하 는데 그 교육내용이 학령 기 아동에게 합한 상자료를 선별한 교육자료

이므로 재를 받은 수술 환아의 불안은 감소하 으나 수술 환아 어머니의 불안

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김 정(2011)의 연구 한 편도선 제술 환아와 어머니에

게 소책자를 통한 동일한 정보 재의 결과 정보를 제공받은 실험군 어머니의 불

안과 간호만족도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양지연(2014)는 편도선 제

술 환아 어머니 상으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 를 활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어머

니의 지식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지만,10회의 교육 로그램 재 후에도 환아 어머

니의 추가 인 궁 증이 많았다.이는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 를 활용한 교육 로

그램 재가 환아 어머니가 요구하는 교육요구도를 충분히 반 하지 못한 결과라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편도선 제수술을 받는 환아 어머니의 교육요구도를 사

에 조사 후 이를 충분하게 반 한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

을 제공하여 수술 환아 어머니의 불안과 불확실성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 다.

4

B.연구목

본 연구목 은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이 수술 환아

어머니의 불안과 불확실성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며,이를

한 구체 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1.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이 수술 환아 어머니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한다.

2.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이 수술 환아 어머니의 불확실성

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한다.

3.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이 수술 환아 어머니의 간호만족

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한다.

C.연구가설

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1.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재받은 실험군은 조군에

비해 불안이 낮을 것이다.

2.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재받은 실험군은 조군에

비해 불확실성이 낮을 것이다.

3.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재받은 실험군은 조군에

비해 간호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D.용어의 정의

1.불안

5

(a)이론 정의

불안이란 불특정 이고 의식 으로 인식할 수 없는 에 한 긴장,우려,

두려움 등의 정서 반응으로써 생리 각성과 함께 여려가지 유형의 두려운 행동

과 감정이 혼합된 주 인 느낌이다.특수한 상황과 계없이 평소에 지니고 있는

비교 안정된 개인 인 차이인 기질불안과 특정 상황에 개인이 경험하는 주 인

느낌의 일시 인 반응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강도가 변하는 상태불안으로 구분

한다(Spielberger,1972).

(b)조작 정의

본 연구에서의 환아 어머니의 불안정도 측정은 숫자평정척도로 측정한 수를

의미한다.

2.불확실성

(a)이론 정의

불확실성은 의사 결정자가 질병 련 사건이나 사물에 정확한 가치를 부여하

지 못하거나 그 결과를 측할 수 없어 해당 사건의 의미를 해석하거나 결정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Mishel,1988).

(b)조작 정의

본 연구에서 불확실성은 Mishel(1983)이 입원한 아동의 부모를 상으로 개발

한 Parents’PerceptionofUncertaintyScale(PPUS)의 도구를 오진아(1997)가 수정

한 도구로 측정한 수를 말한다.

3.간호만족도

(a)이론 정의

간호만족도란 이상 인 간호수행에 한 기 와 실제로 제공받는 간호에 한

인식의 일치정도를 말한다(이 선,1996).

(b)조작 정의

6

본 연구에서 간호만족도는 김 순(2004)의 측정 도구를 김 정(2011)이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한 수를 말한다.

7

Ⅱ.문헌고찰

A.불안

수술은 모든 사람에게 기의식을 느끼게 하는 하나의 사건으로(송승희,

2008),수술을 앞둔 환자들은 소에 계없이 마취,통증, 후 수술에 한 두

려움 등의 심리 불안을 가지게 된다(황자연 등,2004).어린이나 유아의 경우에

는 자신의 감정을 숨기지 않고 그 로 드러내기 때문에 불안을 더욱 확연하고 쉽게

찰할 수 있으며(김남순,2011),이러한 아동의 다양하고 강한 행동반응은 부모에

게 큰 부담이 된다(문 숙,2007).시기 으로 수술 날 녁 환아 부모의 불안이

가장 높다고 하 는데(Kain,Mayes,Caldwell-Andrews,Karas,& McClain,2007),

이는 아동의 입원 당시에는 수술에 한 실감이 느껴지지 않다가 수술 날 행해

지는 여러 가지 검사와 수술에 한 설명 등을 갑작스 당혹을 느끼기 때문이다

(Lawoko,& Soares,2006). 한 퇴원한 후에는 부모가 직 환아를 돌 야 하는

상황이 되므로 불안은 지속된다(Samuel,Zeffie,& Margot,2008).환아가 입원하고

있는 동안에는 매일 수술부 상태확인과 식이제공,통증 리,합병증을 최소화하

기 한 역할이 의료진에 있으나 퇴원 후 이러한 역할이 환아 부모의 역할이 되므

로 퇴원 후 환아를 돌보는 것에 한 불안을 느끼게 된다.수술로 인해서 가족이

느끼는 불안의 다른 요인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수술 과정에 좋지 않은 이야기를 듣

는 것,수술실이라는 낯선 환경에서 환자가 가족과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가

있다(이연희,2003).따라서 수술 과 회복기 동안 아동의 부모를 정서 으로 지지

할 수 있는 간호 재가 계획되어야만 하며 이 게 수술 에 그들의 요구에 을

둔 재들은 아동과 부모에게 정 인 회복기 결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LaMontagne,2000).

환자가족의 불안이 환자의 불안을 증가시키고 환자의 응이나 회복에 좋지

못한 향을 미치게 되는 반면,가족의 정 이고 조 인 태도는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한 응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되고(이연희,2003),가족의 지지

8

정도가 높을수록 불안 정도가 낮아서 환자의 향후 결과에 좋은 향을 수 있다

(박숙단,2003).환자가족을 한 재는 환자의 상태에 한 확실성을 주고,가족을

환자곁에 있게 하며,환자에 한 정보를 주고,편안함을 제공하며,유용한 지지를

제공하는 등이 있는데 이러한 재를 통하여 환자 가족과 의료진간의 신뢰성과

동심이 형성될 수 있다고 보고하 다(Leske,2003).따라서 아동에게 향을 주는

어머니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해서 우선 으로 어머니의 불안 정도를 확인하고 이

를 재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본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심장수술 환자 가족을 지지하는 방법으로 치료에 있어

서 주의를 기울이고,정보를 주며,시각 인 정보를 주고,수술과정에 한 정보를

주는 것이 환자가족 지지에 요하다고 제시하 다(이재은,2004). 한 소아 수술

에서 김윤경(2007)은 환아를 둔 어머니의 불안을 측정하 는데 흉부외과에 입원하

여 개심술을 받은 환아 어머니에게 연구자가 제작한 소책자를 이용하여 정보제공한

후 불안 수를 낮추는 결과를 얻었다. 한 지 순(2004)는 탈장,편도선 제술,고

막성형술 등을 시행한 15세미만의 수술 환자와 돌 제공자를 상으로 연구자가

제작한 사진을 이용한 시각 로그램을 제공한 결과 상태불안에 효과 임을 보고

하 으며 홍희정(2004)은 기존에 설치된 수술환자 보호자 기실에 있는 환자 황

의 로그램을 자체 으로 새롭게 고안하여 컴퓨터의 단축키를 러 수술시작,

수술 끝,마취회복,회복실퇴실에 한 수술환자의 상황에 한 정보를 제공함으로

환자가족의 불안을 크게 감소하 다고 보고하 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술로 인해 불안을 경험하는 환자가족에게 환자

가족이 요구하는 궁 증을 충분히 반 한 효과 인 정보제공을 통하여 환자가족의

불안을 낮출 수 있는 간호 재가 제공되어야 한다.

B.질병에 한 불확실성

질병의 불확실성이란 환자가 질병과 련된 상황에 해 의미를 정의할 수 없

는 경우에 발생하는 주요한 심리 인 스트 스 요인으로서(Mishel,1990),부정확한

9

설명과 불명확한 진단 그리고 치료와 질병의 진행과정에 한 정보 부족 등이 불확

실성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여 주 인 단을 방해하게 한다.

자녀의 입원은 가족으로 하여 질병 상태를 애매모호하게 인지하고,명료성

과 질병에 한 정보가 부족하며, 후에 해서 측이 어려운 상태,즉 불확실한

상태를 경험하게 되며,이러한 불확실성은 아동과 가족에게 입원,치료 간호과정

동안 향을 미치게 된다(김은주,2004).자녀의 질병과 입원에 한 불확실한 인지

상태는 환아의 미래를 측할 수 없게 하며(박인숙,김신정,강경아,김태희,2004).

어머니의 이해력을 떨어뜨리고 불안감을 높임으로써 의사소통이 어려울 뿐 아니라

질병 회복에 한 왜곡된 생각으로까지 향을 미치게 된다(이미진,2010).때로는

환아의 질병과정에 한 불확실성이 험이나 기회로 인지될 수 있는데 험으로

인지하는 경우 환아의 질병과정에 하게 처하지 못하는 반면,기회로 인지하

는 경우에는 치료 상황에 한 의학 정보를 얻기 해 극 으로 의료진과 상담

하는 등 극 으로 처하게 되므로 어머니 자신의 심리 안정은 물론 환아의 질

병에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이미진,2010;Mishel,1988).

불확실성의 속성은 4가지 형태로 분류된다.애매모호성은 불확실성의 형태

가장 일반 인 것으로,이해할 수 있는 범 내에서 사건을 처리하지 못하는 무능

력으로 정의되며 애매모호하게 단될 때 불확실성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복잡성

은 친숙하지 않은 의학용어 사용 등으로 인한 불완 한 설명이나 제한된 지 능력

등으로 인한 이해 부족의 결과로 일어나며,정보부족은 불확실한 진단 질병과정

에 한 이해부족 등 정보가 공유되지 않거나 알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경험하게 된

다.불 측성은 잦은 재발과 측할 수 없는 후로 이는 미래에 한 측을 불가

능하게 한다(Mishel,1983).많은 부모는 자녀의 양육과 련한 문제에 처하는 방

법을 추구하며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있다

따라서 부모는 미래와 련된 지식을 분명하게 해 으로써 불확실성을 감소

킬 수 있으며 이는 효과 인 정보획득과,새로운 스트 스에 응하고 질병과정상

겪게 되는 여러 경험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 개념을 병원에서 입원한 환아 어머니나 가족을 상으로 연

10

구한 국내 논문들의 연구한 결과 유경희(2007)의 연구에서 성기를 지났거나 입원

기간이 짧은 경우가 만성질환을 돌보는 환아 어머니보다 불확실성이 다소 낮게 측

정되었으며,박경(2000)의 연구결과 암 환아 어머니의 불확실성 수가 일반환 아 어

머니의 불확실성 수보다 높게 측정되었다.즉,암환아 어머니 일수록 만성 인 질

병을 가진 환아 어머니 일수록 불확실성 수가 높게 측정되었다. 한 이미진

(2010)의 연구에서는 환아 어머니의 학력이 낮을수록 불확실성 정도가 크다고 보았

으며,박인숙(2003)의 연구에서는 불확실성 정도가 클수록 환아 어머니는 환아의 문

제를 심각하게 단한다고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술 환아 어머니는 입원 수술로 인하여 부정

인 감정을 경험하게 되며 그 불확실성은 환아의 질병의 치료 회복에 큰

향을 다.따라서 간호 장에서는 환아의 치료과정에 한 어머니의 불확실성 정

도를 악하고 이를 재하는 것은 요한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환아 어머니의 간호만족도

환아의 부모에게 있어 수술은 매우 스트 스 사건이며,부모가 어떻게 그 상

황을 평가하고 처하는지 아동을 돌보기 해 어떠한 간호요구가 있는지,그들의

불안 요소는 무엇인지 악하는 것이 요하며,이러한 부모의 요구를 확인하고 해

결 해 주는 것은 부모의 스트 스를 일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부모가 아동을 좀

더 지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최미 ,2003).수술에 한 정보는 상자의 요구를

악하여 그에 맞는 간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간호만족도 향상에 기여가 된다고 하

다(임연호,서인선,정승희,2010).그러므로 간호사는 효과 인 간호교육을 수행

하여 간호만족도를 향상시키기 해 간호사가 요하다고 인식하는 교육을 제공하

는 것이 아닌 수술환아 어머니의 간호요구가 먼처 악하여 계획되어야하며 이를

통한 교육은 간호만족도 향상에 향을 미칠 것이다.

이연희(2003)의 수술 환자가족의 수술에 한 불안과 간호요구에 한 연구에

서는 의료진에게 궁 한 사항을 물어보고 답을 들을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

11

싶어 하 으며, 한 수술 진행정도 환자의 상태에 하여 알려주기를 원하 다.

나윤경(2008)는 환자 가족은 수술 에 수술진행정도와 수술의 상 소요시기

를 알고 싶어 했고,수술 집도의와 만나고 싶어 했으며,수술 에는 수술 간상황

수술 종료여부,마취회복여부,수술결과,환자의 상태,수술과정을 알고 싶어하

으며 수술이후에는 환자가 회복실에 머무는 시간과 마취에 회복되는 과정에 한

정보를 알고 싶어 했다.즉,환자의 가족들의 간호요구는 의료진에게 직 환자의

상태 입원진행과정,수술진행과정에 하여 설명을 듣기 원하 다.

수술과 련된 정보를 제공한 후 보호자의 간호만족도를 조사한 선행연구에서

김 정(2011)는 수술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수술 정보를 제공받지 않은

조군에 비해 간호만족도가 높게 측정되었다.따라서 간호만족도를 높이기 해서

는 환자의 알고자 하는 요구를 충족시켜 주며 회복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오유경,2012). 한 임정순(2006)은 수술진행 정보제공 방법에 따른 암수술 환

자가족의 간호요구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직 정보를 제공한 환자가족이 문자 송으

로 정보를 제공한 환자가족보다 간호요구에 한 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며,문나

(2014)는 수술실간호사가 수술실 환경에 한 정보와 수술진행상황에 한 정보를

직 제공받은 실험군의 간호만족도가 환자 황 으로 제공하는 단순정보를 받은

조군에 비해 간호만족도가 낮아 수술실간호사의 직 정보제공이 간호만족도 향상

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즉,정보를 의료진으로부터 직 제공받은 가족

들 환자들의 간호만족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홍승 (2015)는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정보제공이 사시수술 보호자의 수술 후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결과를 확인한 결과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정보제공을 받은 보

호자가 정보를 제공받지 않은 보호자에 비해 간호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수술 후 간

호만족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국내의 선행연구 경향을 살펴보면 부분의 환아

어머니들은 입원으로 인하여 부정 인 감정을 경험하게 되므로 환아 어머니들이 알

고자하는 간호요구도에 바탕을 둔 체계 이며 시청각 정보제공은 간호만족도 향

상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다.

12

D.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

편도선 제술은 이비인후과에서 주로 행해지는 수술 하나로 반복되는 편도

염이나 편도비 ,수면무호흡증 코골이 치료의 목 으로 시행되고 있다(백홍인,

2010).이러한 편도선 제술은 짧은 입원기간으로 퇴원 후 회복기동안 환아 역할행

가 회복에 요하다.환아는 퇴원하여 부모에게 의존하며,특히 어머니는 아동건

강에 한 요한 리자로(이혜림,2011),입원과정과 퇴원 후 어머니의 역할이 환

아 회복에 있어 요한 향을 미친다.따라서 입원과정 간호사는 어머니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교육자로서 책임이 있다(이동원,2008)

재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일방 이고 단기 인 특

성을 지니며 입원 시 제공되는 간호에 한 교육이 부분을 차지하고 퇴원 후

리방법에 한 교육이 부족하다.이에 입원 교육에 만족하지 못하는 보호자들은

질병의 상태 증상에 한 정보를 스스로 찾으려는 행동을 보이게 되는데(박상희

와 이수 ,2011), 재 자녀를 둔 다수의 어머니들은 양육과 교육을 목 으로 주로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나(백종화,2001),인터넷 정보는 무한하고 시간과 공간의

제한 없이 무작 속하여 정보를 공유하기 때문에 이용자들에게 혼란을 수 있

다(김지수,2010).따라서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에게 입원 시 효과 인 정보를

제공하여야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편도선 제술과 련된 수술내용을 소책자로 비하여

교육한 연구(김 정,2011)에서는 부모의 지식은 높은 수를 얻었으나 불안감소와

만족도 향상의 수변화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이민희,윤은경과 한상숙(2010)은 3

∼7세 학령 기 부모에게 입원 후 수술 날 동 상 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육한 실

험군과 일반교육을 실시한 조군의 불안과 역할수행을 측정하 는데 부모의 불안

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국외 선행연구에선 Kain등l(2007)는 아

동과 부모 상으로 일반교육,부모동반 수술실 입실,수술 가족 심으로 교육

로그램과 경구용 진정제 투여로 재방법에 따라 불안을 측정한 결과 수술 가

족 심 교육 로그램을 받은 경우가 아동과 부모의 불안이 낮게 나타났다.

13

Li,Lopez와 Lee(2007)은 수술7일 아동과 부모 5 의 소그룹으로 수부터 마취

유도실,수술실과 회복실을 견학하 고,수술실 안에서 인형을 가지고 활력증후 측

정,산소공 ,흡입과 마취,정맥주사에 한 교육을 받고,그 과정을 인형을 가지고

직 시연해 보았을 때 로그램에 참가하진 않은 상자보다 아동과 부모의 불안

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술 환아 어머니의 교육 재를 한 교육 로그램 설계시 환아 어머

니의 교육요구도를 악하여 교육 로그램이 충분히 이를 반 되어야 하며,교육

로그램은 가족과 함께 참여하되 구두설명보다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수술 간

인 사 경험은 수술 환아 가족에 불안 감소에 정 인 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진다.

14

사 조사 처치 사후조사 사 조사 처지 사후조사

조군 YC1 XC YC2

실험군 Ye1 Xe Ye2

Ⅲ.연구방법

A.연구설계

본 연구는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이 편도선 제

술을 받은 환아 어머니의 불안과 불확실성 간호만족도를 악하기 한 비동등

성 조군 사 사후 시차 설계에 의한 유사실험설계이다<그림 1>.

실험 재는 부모에게 제공되는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

그램」이며 효과변수는 환아 어머니의 불안,불확실성,간호만족도이다.자료를 수

집하는 장소가 동일하므로 조군을 먼 선정한 후,실험군을 선정함으로써 실험

처치의 확산을 최소화하 다.

XC:상례 인 간호제공

Xe:상례 인 간호제공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

YC1,Ye1:불안,불확실성

YC2,Ye2:불안,불확실성,간호만족도

<그림 1>연구설계

B.연구 상

경기도에 소재한 일개 학병원 이비인후과에서 편도선 제술 정인 학령기

(6-12세)환아 어머니를 상으로 하 다.2015년 3월 15일부터 2015년 3월 25일까

지 입원한 환아 어머니를 조군으로,2015년 3월 26일에서 2015년 4월 15일까지

15

입원한 환아 어머니를 실험군으로 하여 각 30명씩 다음의 상자의 선정기 을

용하여 총 60명을 편의표출 하 다. 한 실험군과 조군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하여 표집된 조군 환아 환아 어머니의 일반 인 특성과 유사한 상자를 짝짓

기(Matching)하여 실험군으로 선정하 다.세부 인 선정 기 은 다음과 같다.

1. 상자 선정기

(a)학령기(6-12세)환아의 어머니

(b)다음날 수술이 결정되어 마취과 수술 일정에 등록한 환아의 어머니

(c)환아의 수술 등도가 경증인 환아의 어머니

(d)의사소통이 가능하고,지남력이 있으며,청각이나 언어 정신 장애가 없

는 환아의 어머니

(e)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참여하기를 동의한 환아의 어머니

(f)동일한 의사의 진료 설명,수술을 진행하는 환아의 어머니

연구 표본은 t-test를 한 Cohen(1988)의 공식에 따라 그룹의 수 2,유의수

α=.05,검정력 80%로하고,효과크기는 류경(2014)의 결과를 통하여 0.8로 표본크기

를 산정한 결과,각각 26명 총 52명의 상자가 필요하 으나,탈락자가 없어 최종

연구 상자는 실험군30명 조군30명으로 하 다.

C.연구도구

1.불안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의 상자의 상태불안을 측정하기 해 숫자평정척로를 이용하

고,이 도구는 왼쪽 끝에 0cm( 불안하지 않다),오른쪽 끝에 10cm(매우 불안하

다)이라고 있는 수평선상에 상자가 느끼는 불안의 정도를 한 으로 표시

16

하도록 하며 수가 높을수록 불안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2.불확실성 측정도구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Mishel(1983)이 개발한 Parents’Perceptionof

UncertaintyScale을 오진아(1997)가 번역,수정한 도구를 이용하 다.이 도구는

Mishel의 원 도구 31문항을 오진아(1997)가 같은 개념군끼리 재분류하고 요인분석

하여 총 22문항의 4 Likert척도(‘ 그 지 않다’=1 ,‘매우 그 다’=4 )로

구성된 도구인데, 수범 는 최소 22 에서 최고 88 이며 수가 높을수록 불확

실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정문항에는 역 수로 산정하 다.

Mishel(1983)이 개발 당시 내 신뢰도는 Cronbach's⍺=.910이었으며,오진아(1997)

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83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87이었다.

3.간호만족도 측정도구

김 순(2004)이 선행연구(Risser,1975;이향련,1997;신정섭,1991;이윤희,1995;

조 남,1995;김춘길,1999)를 토 로 수정보완한 것을 김 정(2011)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 다. 상자에게 제공된 교육 측면에 한 간호만족도 측정도구는

15문항의 4 Likert척도(‘ 그 지 않다’=1 ,‘매우 그 다’=4 )로 설계되어

측정된 수가 높을수록 간호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수범 는 15∼60이다.

김 정(2011)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925이었으며,본 연구에

서는 Cronbach's⍺=.86이었다.

17

D.연구 차

본 연구 차는 다음과 같다.

1.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 구성

편도선 제술 정인 환아의 어머니에게 제공할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

를 한 교육 로그램」을 개발하기 해서 2015년 2월 한달간 일개 학병원 소아

외과병동에서 이미 동일한 수술을 받은 환아 어머니 10명을 상으로 입원 시 궁

했던 과 교육이 필요한 ,퇴원 후 궁 한 사항 설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을 화로 질의하여 이들의 교육요구도를 수집하 다.

환아 어머니들이 생각하는 교육요구도는 1순 가 ‘입원 후 진행되는 수술 ‧

후 과정’에 한 사항이었으며,2순 가 ‘퇴원 후 환아 리 방법 처방법’이

었다.그 밖의 입원기간,수술이 소요되는 시간,마취방법,수술의 통증 리방법 등

으로 악되었다.

한 소아외과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상으로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에

게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을 조사한 결과,1순 가 ‘동의서는 언제 받나요?’,‘주사는

언제 맞아요?’‘퇴원은 언제 가능한가요?’등의 수술 ‧후 과정과 ‘퇴원 후 수술부

에 피가 나면 어떻게 하나요?’,‘퇴원해서도 아 면 어떻게 하죠?’, ‘언제까지 밥

을 먹을 수 없죠?’등의 퇴원 후 환아 리에 한 교육요구도가 악되어 편도선

수술을 받고 퇴원한 환아 어머니가 생각하는 교육요구도와 동일하 다.

이외에도 연구자의 임상경험에서 입원생활시 정맥주사 리방법,수술 후 심

호흡 등,수술 후 조기이상의 요성 등에 한 교육요구도도 악되었다.

이상의 상자가 요구하는 교육요구도에 한 기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입원

일,수술당일(수술 ),수술당일(수술후),수술후 1일(퇴원일)의 편도선 제술 환아가

입원 과정동안 진행되는 시간 순서 로 구성하 고,그 세부항목은 Danna 와

Kathy의 표 진료지침(clinicalpathwaysforcollaborativepractice)틀(1995)에서 제

18

시하고 있는 「 찰측정」,「투약」,「검사」,「식이」,「처치」,「활동」,「교

육과 퇴원계획」 역별로 분류하여 ①의료진들이 진료하고 간호하는 내용과 ②이

때 환아에게 찰되는 증상과 ③이를 해결하기 해서 어머니가 리해야 하는 사

항을 교육 로그램 내용으로 구성하 다.<표 1참조>.

입원당일의 교육의 목표는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가 환아가 수술실가기

비해야 할 내용에 한 정보제공 이해를 높이기 함이며,교육내용은 찰측

정(키‧몸무게 측정,활력징후 측정),투약(향생제,수액),검사(항생제 반응검사, 액

검사),식이( 식),교육(입원생활안내,동의서작성,정맥주사 리방법,수술 비

사항)으로 구성하 다.

수술당일(수술 )교육의 목표는 편도선 제수술 환아 어머니는 수술 비

해야 할 상황에 한 정보를 제공받고 의료진을 도와 수술 환아 비 과정을

이해하기 함이며 교육내용은 찰 측정(활력증상 측정),투약(항생제,수액),

식이( 식),처치(수술 확인사항),교육(수술 진행과정)으로 구성하 다.

수술당일(수술후)교육의 목표는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는 수술 후 아동이

겪어야 할 사항에 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해를 높이기 함이며,교육내용은 찰

측정(활력징후 측정,출 증상 찰,자연배뇨확인),투약(항생제,수액,진해거담제,

필요시 진통제와 항구토제 투여),검사(필요시 흉부촬 과 액검사),식이(찬미음),

처치(얼음주머니 용),활동(수술후 자세,심호흡방법,조기이상),교육(수술후 진행

과정,수술후 주의사항,심호흡방법,얼음주머니 용법)으로 구성하 다.

수술후 1일(퇴원일)의 교육의 목표는 부모가 귀가 후 가정 내에서 아동에게

제공할 간호에 한 정보를 제공받고 이해함으로써 아동에게 더 효율 인 돌 을

제공하기 함이며,교육내용은 찰 측정(출 발열상태 확인),투약(퇴원약

복용법),식이(찬미음),처치(얼음주머니 용기간 이유),활동(퇴원후 일상생활 설

명),교육 과 퇴원계획(퇴원후 발생하는 발열,출 ,통증 리,외래 응 실방문

증상,퇴원 차 교육)으로 구성하 다.

이러한 내용으로 사진,동 상,그림을 활용하여 47장의 슬라이드를 워포인

트를 이용하여 제작하 고 약 20분간 교육할 수 있는 분량으로 제작하여 「편도선

19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 이란 제목을 명명하여 연구자 연구

보조자가 이를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에게 교육하 다<부록 5참조>.

교육내용과 방법에 한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기 해서 이비인후과 문의 2

명,임상경험이 10년 이상인 소아외과 간호사 3인의 문가를 구성하여 이들에게

자문받아 내용을 정련화 하 다.

교육방법으로는 간호사가 입원첫날 1시간 이내로 일 일 교육을 시행하고,추

가 으로 설명이 필요한 경우 담당간호사가 수시로 교육을 추가로 실시하 다.

20

입원일수술당일

수술 후 1일(퇴원일수술 수술 후

▶키,몸무게측정

▶활력징후 측정▶활력징후 측정

▶활력징후 측정

▶출 증상 찰

▶자연배뇨 확인

▶출 발열상태

확인

▶항생제,수액

(자가 복용 약

의사확인 후 복용)

▶항생제,수액

▶마취과 처방

약물소량의 물과

복용

▶항생제,수액

▶항구토제(필요시)

▶진해거담제

▶진통제(필요시)

▶퇴원 약

-항생제,진통제

▶항생제,수액

▶항생제 반응검사

▶ 액검사(필요시)

▶ 액검사(필요시)

▶흉부촬 (필요시)

이▶자정부터 식 ▶ 식 ▶찬 미음 ▶찬 미음

▶수술 확인 사항

-환자확인

-수술 명과 부

-동의서확인

-배뇨확인

-부착물 제거

- 식유무확인

▶얼음주머니 용 ▶얼음주머니 용

▶좌 반 좌

▶심호흡

▶수술 후 조기이상

▶일상생활

기타문의

▶입원생활 안내

▶동의서 작성

▶정맥주사 리

▶수술 비사항

▶수술 진행과정

-수술 소요시간

-수술실 치

-수술 보호자

동행 통제구역

▶수술 후 진행과정

▶수술 후 주의사항

-주의 음식

-통증 리

-발열 리

▶얼음주머니 만들기

수술후 심호흡 방법

▶퇴원 차교육

▶퇴원 후 리

-발열 리

-출 리

-통증 리

-식이 리

▶외래

응 실방문증상

<표 1>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

2.연구보조원 훈련

본 연구는 연구자(소아외과 병동 7년차 간호사)이외에 2명의 연구보조원(아주

소아외과 병동 6년차 간호사,아주 소아외과 병동 7년차 간호사)이 참여하 는

21

데 자료수집의 조사자간 일치도를 높이고,진료과정별 교육 로그램을 동일하게 제

공하기 하여 2015년 3월4일∼2015년 3월 10일까지 7일간 모의교육을 실시한 후,

교육방식과 교육내용이 차이가 있을 경우 불일치의 원인을 규명,분석하여 일치도

를 높이기 해서 연구보조원을 훈련시켰다.

3. 비조사

본 연구의 재도구인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육하 으며,자료수집의 타당도를 높이기 하여 연구보조원의 훈련을

마친 후 ,2015년 3월 11일부터 3월 14일까지 경기도 A의료원 소아외과 편도선 제

술 환아 어머니 10명을 상으로 교육방법에 한 비조사를 실시한 결과,단체교

육보다는 일 일 교육과 반복교육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 으며, 비 실험 상자

는 본 실험에서 제외시켰다.

4.사 조사

소아외과에 내원한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에게 환아 어머니가 연구 상

에 합한 경우 연구목 을 설명하고 실험에 참여여부를 동의 받은 후 1시간 이내

에 일반 인 특성과 불안 불확실성에 해 설문조사하 다.그리고 설문지를

작성한 후 조군에게는 상례 인 방식으로 간호정보를 제공하 다.

5.실험처치

(1) 조군

조군에게 입원첫날 1시간 이내에 연구자 보조자가 상자 병실에 방문하

여 입원생활안내 소책자,표 진료지침 인쇄물을 이용하여 구두로 교육하 다.

(2)실험군

22

실험군에게 입원첫날 1시간 이내에 연구자 연구보조자가 상자 병실에

방문하여 조군에게 설명한 방법 그 로 입원생활안내 소책자,표 진료지침 인쇄

물을 이용하여 구두로 교육 하 으며,추가 으로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개별 으로 약 20분간 교육하 다.교육을 실시한 후,궁

한 내용에 하여 질문 받아 교육내용의 이해도를 높 으며,입원과정동안 교육내

용에 궁 한 이 있을 경우 연구자 연구보조자가 재 설명 하 다.

6.사후조사.

조군과 실험군 모두에게 퇴원당일(수술후 1일)불안,불확실성,간호만족도

를 설문지로 조사하 다.

7.윤리 고려

본 연구를 수행하기 해 연구를 진행하게 될 A 학교병원 IRB에 피 실험자

의 권리와 안 을 보호하기 하여 연구 차에 한 승인을 받고

(MED-SUR-14-395)입원 후 1시간이내에 연구 상에 합한 경우 연구목 을 설

명하여 동의 여부를 확인 후 서명 동의서를 받았다. 한 연구 상자에게는 소정

의 답례품을 제공하 다.

E.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20.0 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분석하 다.

1. 상자의 일반 인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기술하 으며,실험군과 조군의 동

질성은 χ²-test와 t-test로 검정하 다.

2.실험군과 조군의 불안과 불확실성,간호만족도의 차이는 t-test로 분석 하 다.

23

3.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a값으로 분석하 다.

F.연구의 제한

1.본 연구에 있어서 연구 상자가 S시에 소재한 일 학병원에 입원한 편도

선 제술 환아 어머니 상에 국한하 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신 을 기

해야한다.

2.병원환경 특성상 다른 간호사 의료인에 의해 실시되는 수술 정보제

공을 통제할 수 없었다.

3.설문지를 이용한 측정에서 첫 번째 측정과 두 번째 측정 사이에 2주에서 4

주의 측정 간격을 둘 것을 권장하고 있다.본 연구에서 사용한 불안과 불확실성 측

정도구는 표 화된 도구로 본 연구 목 의 특성상 1일 간격으로 측정하 기 때문에

신뢰도와 안정성 문제가 우려될 수 있다.

4.환아 어머니의 기질불안에 한 동질성 검증이 되지 않았다. 인 상황

에서 기질불안이 높은 사람이 기질불안이 낮은 사람에 비해 더 높은 상태불안을 나

타낸다(김정택,1978).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기질불안에 한 사 조사를 시행하지

않아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 이 있을 수 있다.

24

Ⅳ.연구결과

A. 상자의 동질성 검증

환아 어머니의 일반 특성인 연령,직업,학력,경제 상태 수술경험,입원경험,

염려정도,질병지식에 한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 <표 2>와 같다.

일반 특성에 한 동질성을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아 두

집단의 일반 특성에 한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표 2>두집단의 일반 특성에 한 동질성 검증

특성 구분조군(n=30) 실험군(n=30)

χ²ort pn(%) n(%)

연령 평균±표 편차 38.90±3.74 37.53±3.98 14.27 .586

직업 있음 11(36.7%) 11(36.7%)0.00 1.00

없음 19(63.3%) 19(63.3%)

학력 고졸 8(26.7%) 9(30.0%)

0.29 .866학교 졸 18(60.0%) 16(53.3%)

학원 졸 이상 4(13.3%) 5(16.7%)

경제 상태 상 14(46.7%) 17(56.7%)

0.82 .66415(50.0%) 11(36.7%)

하 1(3.3%) 2(6.6%)

수술경험 있다 4(13.3%) 3(10.0%)0.16 .500

없다 26(86.7%) 27(90.0%)

입원경험 있다 9(30.0%) 8(26.7%)0.08 .774

없다 21(70.0%) 22(73.3%)

질병염려 정도 매우 걱정 된다 23(76.7%) 20(66.7%)

0.83 .661조 걱정 된다 6(20.0%) 8(26.7%)

보통이다 1(3.3%) 2(6.6%)

질병지식 부분알고 있다 3(10.0%) 3(10.0%)

0.13 .988보통이다 10(33.3%) 9(30.0%)

조 알고 있다 11(36.7%) 11(36.7%)

모른다 6(20.0%) 7(23.3%)

25

환아의 연령,성별,형제순 ,평소기질에 한 일반 특성에 한 동질성을

분석한 결과,모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아 두집단 상자 자녀의 일반 특성

에 한 동질성이 확보되었다<표 3>.

<표 3>환아의 일반 특성에 한 두집단의 동질성 검증

구분조군(n=30) 실험군(n=30)

χ²ort pn(%) n(%)

연령 평균 7.17±1.32 6.73±1.28 4.77 .445

성별 남자 19(63.3%) 17(56.7%)0.28 .598

여자 11(36.7%) 13(43.3%)

형제순 첫째 18(60.0%) 17(56.7%)

1.03 .598둘째 12(40.0%) 12(40.0%)

셋째 0(0.0%) 1(3.3%)

평소기질 다루기 쉽다 8(26.7%) 10(33.3%)0.32 .573

다루기 어렵다 22(73.3%) 20(66.7%)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재하기 인 실험군과

조군 두집단의 불안과 불확실성을 t-test로 검증한 결과,불안(t=-0.70,p=.489)

과 불확실성(t=0.12,p=.905)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아 두집단의

동질성이 확보되었다<표 4>.

<표 4> 상자의 교육 불안과 불확실성에 한 두집단의 동질성 검증

조군(n=30) 실험군(n=30)t p

Mean±SD Mean±SD

불안 9.13±0.73 9.00±0.743 -0.70 .489

불확실성 70.47±6.61 70.67±6.28 0.12 .905

26

B.가설검증

1.「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

은 조군에 비해 불안정도가 낮을 것 이다’라는 제 1가설을 검증하기 해 불안

수 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5>와 같다.실험군의 불안수 은 5.17±1.78 으

로 조군의 불안수 인 7.70±2.05 에 비해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

나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t=8.146,p<.001).

<표 5>두집단의 불안수 차이

조군(n=30) 실험군(n=30)t p

Mean±SD Mean±SD

불안수 7.70±2.05 5.17±1.78 8.15 <.001

2.「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조군에 비해 불확실성이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하여 두집단의 불

확실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표 6>과 같다.실험군의 불확실성 수 은

63.57±7.14 으로 조군 불안수 인 68.03±6.81 에 비해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낮

은 것으로 나타나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t=5.64,p<.001).

<표 6>두집단의 불확실성 차이

조군(n=30) 실험군(n=30)t p

Mean±SD Mean±SD

불확실성 68.03±6.81 63.57±7.14 5.64 <.001

3.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

은 조군에 비해 간호만족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하여 실험군

27

과 조군의 간호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7>과 같다.실험군의 간호만

족도 수 은 56.50±3.04 으로 조군의 간호만족도 수 인 38.17±6.10 에 비해 통

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제 3가설은 지지되었다(t=14.72,p<.001).

<표 7> 두집단의 간호만족도 차이

조군(n=30) 실험군(n=30)t p

Mean±SD Mean±SD

간호만족도 38.17±6.10 56.50±3.04 14.72 <.001

간호만족도를 문항별로 살펴보면 <표 8>와 같다.

실험군의 경우 ‘수술 후의 퇴원시기에 해 설명해 다’라는 항목이 3.97±0.52

으로 가장 간호만족도가 높았으며 ‘수술실로 가는 정시간에 해 설명해 다’

라는 문항이 3.91±0.31 으로 간호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군은 ‘정맥주사를 맞는 이유에 해 설명해 다’라는 항목의 간호만족도

가 3.00±0.83 으로 가장 높았으며 ‘수술실로 가는 정 시간에 해 설명해 다’,

라는 문항이 1.97±1.03 으로 간호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28

내용간호만족도(M±SD)

조군(N=30) 실험군(N=30)

1.수술 승낙서를 쓰는 이유에 해 설명한다. 2.80±0.71 3.95±0.18

2. 식을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2.73±0.82 3.93±0.25

3.수술실로 가기 에 화장이나 매니큐어를 지우고 의치,시계,

반지 목걸이 등을 제거하는 이유에 하여 설명한다.2.23±0.63 3.67±0.66

4.수술실로 가는 정시간에 해 설명한다. 1.97±1.03 3.80±0.48

5.정맥주사를 맞는 이유에 해 설명한다. 3.00±0.83 3.95±0.18

6.수술 투약을 하는 이유에 해 설명한다. 2.50±0.78 3.87±0.35

7.수술실 입구까지 보호자가 동행가능하나 수술실과 회복실에

는 출입이 통제된다는 것을 설명한다.1.97±0.76 3.87±0.35

8.수술소요시간에 해 설명한다. 2.10±0.84 3.91±0.31

9.마취방법에 해 설명한다. 2.20±0.61 3.87±0.35

10.수술 후의 통증조 에 해 설명한다. 2.40±0.86 3.97±0.25

11.수술 후의 심호흡과 기침에 해 설명한다. 2.70±0.79 3.96±0.18

12.수술 후의 식사에 해 설명한다. 3.27±0.74 3.96±0.18

13.수술부 의 치료계획에 해 설명한다. 2.43±0.77 3.96±0.30

14.수술 후의 주의사항에 해 설명한다. 2.67±0.61 3.90±0.31

15.수술 후의 퇴원시기에 해 설명한다. 2.07±0.64 3.97±0.52

총 38.17±6.10 56.50±3.04

<표 8>두집단의 항목별 간호만족도 차이

29

Ⅴ.논의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A 학 부속병원 편도선 제술을 앞둔 환아 어머니에게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이들의 불안과

불확실성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이들의 불안을 해소시키기 해 수술 에 주치의와 간호사는 수술승낙서를

받는 과정에서 수술과정과 후에 해 설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술과정

리에 한 질문은 반복되며 어머니의 불안과 불확실성이 더욱 증가하는 문제 을

극 으로 해결하기 한 방안으로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

그램」을 재한 결과,첫번째 가설인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의 불안 수는 평균 5.17 으로 조군의 불안 수 평

균 7.70 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다.이러한 결과는 환아 리에

한 구체 인 방법을 교육하고 이와 더불어 퇴원 후 발생 가능한 상황까지 미리 간

으로 경험하게 함으로써 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 이었던 것으로

해석되었다.환아의 어머니는 의료처치,수술에 한 정보에 부족하거나 제 로 알

지 못해 이로 인해 불안을 느끼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본 연구와 유사한 방법으로 환아 어머니에게 수술 처치 비사항,

수술진행 과정을 시간순서에 따라 구성하여 사진과 동 상을 통해서 교육한 후 어

머니의 주 불안 정도가 낮게 나타난 윤수 (2012)의 연구와 PowerPoint와

MediaPlayer를 활용한 동 상을 이용하여 환아 어머니에게 수술과정 간호활동

에 한 정보를 제공하여 어머니의 불안이 감소시켰다는 이민희(2008)의 연구결과

가 본 연구결과의 해석을 지지한다.

한 환자가족들을 정서 으로 지지해주고 가족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

도록 한 정보를 지속 으로 제공하여 주는 것이 환자가족의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Kloos& Daly,2008)는 선행연구결과 역시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

다.

이외에도,수술 기실에서 기다리는 수술환자 가족에게 수술진행 상황과 환자

30

상태를 문자메시지로 제공한 결과 수술환자 가족의 불안 감소하 으며(나윤경,

2008),개심술 환아 어머니에게 정보 간호 재를 제공하여 어머니의 불안을 감소

시키는데 효과 인 것으로 나타난(김윤경,2007)연구결과 역시 본 연구결과의 해석

을 뒷받침해주고 있다.이 듯 상자에게 의료시술 방법과 차에 한 상황을 사

에 이해하고 측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환아 어머니의 불안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추후 다른 수술 환아 어머니들에게 확 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두번째 가설인「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의 불확실성 수가 평균 63.57 으로 조군의 불확실성 수 평균 68.03

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다.이러한 결과는,일반 으로 환아에게

나타날 증상이나 의료진이 시행할 수술내용 등을 모르는 채 수술 후 환아 리에

한 내용을 한꺼번에 교육하는 경우,환아 어머니는 학습한 내용을 모두 기억하기

어려워 하는 에 착안하여,연구자가 어머니에게 환아 리에 해 알아야 할 내용

을 입원일,수술당일,수술 후 1일간의 시 별로 교육함으로써 곧 경험하게 될 사항

을 측하고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 상자들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었던

것으로 풀이한다.

이러한 해석은 간호정보제공을 받은 입원 환아 어머니의 불확실성 지각정도가

조군의 불확실성 지각정도보다 수가 낮았으며(문 숙,2008),열성경련 환아 어

머니에게 신체 ‧정서 ‧정보 간호 재 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조군의

비해 불확실성 수가 낮게 측정된 선행연구결과(신소 ,2015)가 본 연구결과의 해

석을 뒷받침 해 다.즉, 한 시기에 합한 내용으로 반복 인 교육을 실시함으

로써 상자의 이해를 높이고 애매모호함을 감소시킴으로써 상자가 지각하는 불

확실성이 감소되었다고 사료된다.

한 본 연구자가 설계한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

램」은 미국의 표 치료지침(clinical pathways for collaborative practice)틀

(Donna,D.I& Kathy,A.H., 1995)에서 용하고 있는「 찰측정」,「투약」,

31

「검사」,「식이」,「처치」,「활동」,「교육과 퇴원계획」 역별로 교육할 내

용을 구성하여 ① 의료진들이 진료하고 간호하는 내용과 ② 이 때 환아에게 찰될

증상과 ③ 이를 해결하기 해서 어머니가 리해야 하는 사항으로 구성하여 교육

한 결과, 재하기 에 비해 상자들이 간호사에게 하는 질문이 매우 구체 이었

으며,간호사가 설명하는 내용에 한 상자들의 이해도 역시 높아지는 것을 찰

할 수 있었다.상례 인 방식으로 교육받은 조군에 비해 「편도선 제술 환아 어

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용받은 실험군이 퇴원 후 화방문 결과,통증과

발열 시 잘 처하고 있다고 답하 다.

이러한 로그램의 효과는 연구자가 기존과는 다른 소재의 교육매체를 선택한

것에 기인하기도 한다고 단한다.음성과 시각 이미지를 함께 보여주면 정보를

이해하기 쉽다고 보고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황자연 등,2004)수술과정,수술부

의 변화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입원과정별로 동 상과 그림 사진으로

교육내용을 제작함으로써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었고 나아가 상자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었던 것으로 풀이한다.

세번째 가설인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제공받

은 실험군의 간호만족도가 평균 56.50 으로 조군의 평균 38.17 에 비하여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두로 일회성으로 교육하는 일반 인 교육방법에 비하여 멀티

미디어를 이용하여 교육하는 방법은 상자에게 간호와 치료에 한 내용을 효과

으로 달할 수 있으며(정 철,2008),이로 인해 환자의 신체 ,심리 안녕에 도

움을 으로써 간호만족도가 높아진 것으로 풀이한다.

동 상을 이용하여 입원생활을 교육한 실험군이 책자를 이용하여 교육한 조

군보다 이해도와 만족도가 높았고(정 철,2008),개심술 환아 어머니에게 정보제공

정서 지지의 간호 재를 용한 결과에서도 조군에 비해 간호만족도가 높은

한편(나윤경,2008)입원아동 어머니를 한 간호교육 로그램이 간호만족도를 높

이는데 정 인 효과가 있었으며(김미숙 등,2003)동 상을 통한 입원생활안내에

32

한 정보를 제공받은 실험군이 조군에 비해 환자 가족의 간호만족도를 높 다

는(이문경,2012)선행연구결과들이 본 연구결과를 지지해 다.

즉,이번 연구결과를 통해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반복 인 교육은 간 인

경험을 시각화함으로써 정보에 한 기억과 이해를 높이고,간호만족도 역시 높일

수 있었던 것으로 풀이한다.

한편,환아 어머니의 이해력,기억력,집 력,불안 등의 수 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한 번의 교육만으로 교육 효과를 기 하기 어렵고,임상 장에서는 제한

된 교육시간으로 인해서 환자 보호자에게 설명과 교육이 제 로 이루어지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하여 연구자는 일 일 교육과 반복 인 방식으로 교육하는

한편,교육에 사용하는 용어는 가능한 한 비 문 인 용어를 사용하 으며,성인의

평균 으로 집 이 가능한 시간을 감안하여 20분 범 로 교육내용을 구성하여 상

자들의 교육에 한 이해도를 높이고,학습에 한 부담을 여주었던 것 역시 교

육효과를 높이고 간호만족도도 높일 수 있었던 것으로 풀이한다.

이상의 논의결과를 종합하면,본 연구는 일개병원에서 편도선 제술을 받은

환아 어머니에 국한하여 수행하 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신 을 기해

야 하지만,자녀의 수술을 앞둔 환아 어머니의 불안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간호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개발

함으로써 아동간호분야에 용할 수 있는 실용가치를 높이는데 본 연구에 의의가

있다.

33

Ⅵ.결론 제언

본 연구는 비동등성 조군 ‧후 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로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에게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재한 후 어머니의 불안과 불확실성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추후

근거 심의 다양한 수술환자 정보제공에 한 가이드라인 간호 재 개발에 기여

하고자 시도하 다.

연구 상은 2015년 3월 15일부터 2015년 4월 15일 까지 편도선 제술을 받기

해 일개 학병원 소아외과 병동에 입원한 만6∼12세까지의 수술 환아 어머니 실

험군 30명, 조군 30명을 상자로 하 다.연구 상자를 보호하기 해 연구 시

작 윤리심의 원회(승인번호 :MED-SUR-14-395)의 승인 후 자료 수집을 하

다.

조군에게는 입원시부터 퇴원시까지 기존의 교육방식인 입원생활 안내소책자

표 진료지침 인쇄물을 활용한 구두교육을 통하여 편도선 제술에 한 정보를

제공하 고,실험군에게는 상례 인 정보제공과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제공하여 어머니의 불안과 불확실성 간호만족도를 측정하

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dows20.0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 고, 상자

의 일반 인 특성을 실수와 백분율로,실험군과 조군의 동질성은 Χ²-test와 t-test

로 검정하 으며,불안과 불확실성 간호만족도 차이는 t-test로 분석하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받

은 실험군은 조군보다 불안 수가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t=8.146,p<.000).

34

2.「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받

은 실험군은 조군보다 불확실성 수가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분

석 되었다(t=5.64,p<.000).

3.「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받

은 실험군은 조군보다 간호만족도 수가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t=14.72,p<.000).

결과 으로,「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은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의 불안과 불확실성을 낮추고 간호만족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향후 편도선 제술 외에도 아동의 수술 간호 재로 용

될 수 있다고 본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 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 본 연구에서 개발된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이 일

학병원에 입원한 환자 어머니를 상으로 자료가 수집되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 하여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의 용이 환아 어머니의 불

안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간호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 된 바 실무

에서의 수술 교육의 지침으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 제외한 다른 질병으로 입원한 수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35

참고문헌

강경숙, 은미(2010).자궁 출술환자 동 상 교육 로그램,잔뇨,가스배출,상태

불안.한국간호과학회,10(1),238∼238.

국민건강보험공단(2012).2011주요수술통계.www.nhic.or.kr

구 (2002).입원 아동의 가족의 불확실성과 불안.아동간호학회,8(1),67∼76.

구 ,조연정,김옥희,박호란(2007).사진을 이용한 정보제공이 아동과 부모의 수

술 불안에 미치는 효과.아동간호학회지,13(3),273∼281.

김남순(2011).수술 교육이 고 치환술환자의 수술 직 불안과 불확실성에 미

치는 효과.경희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서울.

김 순(2004).비디오를 이용한 수술 환자교육이 수술 후 폐 기능 회복,수면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강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춘천.

김윤경(2007).지지 간호 재가 개심술 환아 어머니의 불안 간호만족도에 미치

는 향.동의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부산.

김은주(2004).입원 아동 어머니가 지각한 불확실성,교육요구 간호사의 교육수

행정도.조선 학교 환경보건 학원 석사학 논문, 주.

김정택,신동균(1978).STAI의 한국표 화에 한 연구.최식의학,21(11),69-75.

김정희(2005).시청각매체를 이용한 수술 교육이 자궁 출술 환자에게 미치는

향.연세 학교 석사학 논문,서울.

김지수(2010).국내 인터넷 상의 보육시설 유아 건강 련 웹사이트의 평가.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10(1),334-342.

김 정(2011).수술 정보제공이 수술 후 통증과 불안,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을지 학교 임상간호 학원 석사학 논문,

나윤경(2008).SMS를 이용한 수술환자 진행정보제공이 환자가족의 간호요구 만족

도와 상태불안에 미치는 향.이화여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서울.

류경(2014).시각 정보제공이 슬 치환술 노인환자의 수술 후 불안,불확실

성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남부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주.

문나 (2014).수술실 간호사의 정보제공이 응 수술 환자가족의 불안 간호요구

36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경희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서울.

문 숙(2007).입원 환아 어머니의 스트 스와 처노력에 한 연구.부모자녀건강

학회지,10(2),147∼157.

박경(2000).환아 어머니의 환아질환에 한 불확실성과 스트 스,불안.경북 학교

보건 학원 석사학 논문, 구.

박상희,이수 (2011).질병태도와 인터넷에서의 건강정보추구행태에 기반한 건강정

보 이용자 유형에 한 탐색 연구.한국언론학보,55(4),105-133.

박숙단(2003).수술 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불안과의 계 연구.조선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주.

박인숙(2003).입원환아 어머니의 질병에 한 불확실성 지각정도와 처방안에

한 연구.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

박인숙,김신정,강경아,김태희(2004).입원 환아의 어머니가 지각하는 피로.아동간

호학회지,10(1),80∼88.

백종화(2001).어머니의 인터넷 이용실태 사회 지지로서 인터넷이용이 양육 효

능감에 미치는 향.이화여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서울.

백홍인(2012).편도 제술의 4가지 기법에 한 비교. 남 학교 학원, 주

송승희(2008).간호 정보 제공과 손 마사지가 복강경 담낭 제술 환자의 수술 불

안에 미치는 향.고려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서울.

양지연(2014).모바일 인스턴트 메신 를 활용한 정보제공이 편도 제술 환아 어머

니의 지식과 환아의 불안 역할행 에 미치는 효과.경희 학교 학원 석

사학 논문,서울.

오유경(2012).수술 정보제공 로그램 개발이 복강경 질식자궁 출술 환자의 상

태에 미치는 효과(불안감 간호 만족도 심으로).아주 학교 보건

학원 석사학 논문,수원

오진아(1997).아동입원과 련된 어머니의 불확실성의 지각정도와 처노력.이화

여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서울.

유경희(2007).입원 아동 어머니가 지각하는 불확실성과 불안 간호요구도.한국

37

간호교육학회지,14(2),213-220.

윤수 (2012).곰인형이 환아와 어머니의 수술 불안에 미치는 향.경희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서울.

이동원(2008).아동 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감염 방에 한 지식과 실천.경상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경상남도.

이문경(2012). 환자실 입원시 동 상 심의 간호 정보제공이 환자 가족의 환경

스트 스,불안감 간호요구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인제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경상남도.

이미진(2010).환아 어머니의 입원에 한 불확실성과 처노력. 당 학교 산업

학원,무안.

이민희(2008).시각 정보제공이 편도선 제술 환아와 어머니의 불안 환아역할

행 에 미치는 효과.성인간호학회지,22(1),1∼10

이민희,윤은경,한상숙(2010).편도 제술 동 상 로그램이 환아와 어머니의 불안

환자역할행태에 미치는 효과, 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10(1),1-9

이순규,김용일, 호경,이우용,손태성,노재형,허진석,박경희,최혜옥,조 숙,심

인주,장송자,박승미,황문희, 석규,조상옥,김 익(2001). 제술, 장

직장 제술,복강경담낭 제술과 일반외과 DRG 련상병의 진료용 CP와 환자

용CP 용 QA활돌 사례 효과.간호학탐구,10(1),20∼22

이연희(2003).수술환자 가족의 수술에 한 불안과 간호요구.카톨릭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서울.

이 선(1996).입원환자와 간호사의 간호 만족도비교.한양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서울.

이재은(2004).선천성 심장병 환아 어머니들의 지지간호 요구도와 간호사의 수행 정

도 지각에 한 비교.울산 학교 석사학 논문,울산.

이혜림(2011).요로감염 환아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요로감염 련 지식 방행

실천.이화여자 학교 석사학 논문.

임연호,서인선,정승희(2010).간호정보 제공이 당일수술환자의 불안과 간호만족도

38

에 미치는 효과.성인간호학회지,22(1),1-10.

임정순(2006).수술진행 정보제공 방법에 따른 암수술 환자가족의 간호요구만족도와

상태불안.경북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구.

임혜선(2004).정보제공과 지시 심상요법이 척추마취 시 수술환자의 상태불안과

력징후에 미치는 효과.경희 학교 석사학 논문,서울.

정 철(2008).동 상과 책자를 이용한 교육이 환자의 입원생활 이해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향.간호학회지,14(1),45∼50.

조유숙(2001).추후 리 로토콜 개발 화상담 용 효과에 한 연구:편도선

제술 환아를 심으로.연세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서울.

지 순(2004).시각 정보제공이 수술 환아와 돌 자의 불안에 한 연구.공주

학교 석사학 논문,공주.

최미 (2003).선천 심장환아의 수술동의서 작성과 련된 부모의 요구.서울 학

교 학원 석사학 논문,서울.

홍승 (2015).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정보제공이 사실수술 아동과 보호자의 불안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동의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부산.

황자연,박연환,박인선,김남이,김정미,김진 (2004).CDROM을 이용한 교육 로

그램이 단기입원수술 환자의 수술 불안과 수술 후 자가 간호수행을 한

지식에 미치는 효과.성인간호학회지,16(1),82∼89

홍희정(2004).수술 기실 환자 황 을 이용한 수술진행 정보제공이 환아어머니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서울 학교 학원,서울.

Cline,M.E.,Herman,J.,Shaw,E.R.,Morton,D(1992).Standardizationofthe

visualanaloguescale.Nursiongresearch,41(6),378∼380.

Copanitsanou,P.& Valkeapaa,K.(2014).Effects ofeducation ofpaediatric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surgical procedures on their anxiety

systematicreview.JournalofClinicalNursing,23(7-8),940-954.

DonnaDI,KathyAH.Clinicalpathwaysforcollaborativepractice.Philadelphia,

39

1995

Glascoe,F.P(2003).Parents’evaluationofdevelopmentalstatus;How welldo

parents’concernsidentifychildrenwithbehavioralandemotionalproblems.

ClinicalPediatrics,42(2),133-139.

Kain,Z.N.,Caldwell-Andrews,A.A.,Mayes,L.C.,Weinberg,M.E.,Wang,S.

M.,MacLAREN,J.E.,& Blount,R.L.(2007).Family-centeredpreparationfor

surgery improves perioperative outcomes in children: A randomized

controlledtrial.Anesthesiology,106(1),65-74.

KloosJA,DalyBJ.(2008).EffectofaFamily-MaintainedProgressJournalon

anxietyoffamiliesofcriticallyillpatients.CriticalCareNursingQ,31(2),

96-107.

LaMontage,L.L.(2000).Children'sCopingwithsurgery:A process-oriented

perspective.JPediatricNurse,15(5),307-312.

Lawoko,S.,& Soares,J.J(2006).Psychosocialmorbidity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congenitalheartdisease:a prospectivelongitudinalstudy.

Heart& Lung,35(5),203-314.

Leske.J.S.(2003).Needsofrelativesofcritically illpatients:afollow up.

HeartLung,15,189-193

Li,H.C.W.,Lopez,V.,& Lee,T.L.I(2007).Psychoeducationalpreparationof

children forsurgery:The importance ofparentalinvolvement.Patient

EducationandCounseling,65(1),34-41.

McCann,M.E.,& Kain,Z.N.(2001).Themanagementofpreoperativeanxietyin

children:Anupdate.AnesthesiaandAnalgesia,93(1),98-105.

Mishel M.H.(1983).Parents Perception of Uncertainty Concerning Their

HospitalizedChild.NursingResearch,32(6),324∼330.

Mishe.,M.H.(1988),Uncertainty in Illeness,Image :JournalofNursing

Schoarship,20(4),225∼232

40

Mishel,M.H.(1990).ReconceptualizationofTheUncertaintyinIllnessTheory

Image,22(4),256∼262.

Musa O.I.,Akande,T.M.,& Adebayo,V.T.(2005).Stressfulevents

experienced by mothers with children on admission at the

emergency pediatric unit of a tertiary hospitalin nor-thern nigeria.

european.JournalofScientificResearch,10(3),66-75

Samuel,M.,Zeffie,P.,& Margot,P(2008).Childrensubjectedtocardiacsurgery

for congenital heart disease. Part2-Parental emotional experiences.

InteractCardiovascularandThoracicSurgery,7(2),605-608.

Spielberger,C.D.(1972).Anxietyonemotionalstate.InC.D.Spielberger(ed).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ch 1. New York:

AcademicPressInc.

Voepel-Lewis,T.,Tait,A.R.,& Malviya,S.(2000).Separationandinduction

behaviors in children;Are parents good predictors? JournalofPeri

AnesthesiaNursing,15(1),6-11.

41

안녕하십니까?

는 아주 학교 간호학 석사과정 재학 이며 아주 학교병원에서 근무하는 이미 간

호사입니다.

본 연구는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에게 수술에 련된 교육을 효과 으로 제공하여

수술 후 경험하게 되는 불안과 불확실성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한 연구를 설

계하고 있습니다.연구가 완성이 되면 앞으로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의 수술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로 제공하게 되어 교육 로그램개발에 기여하게 될 것입니다.연구에

참여하는 동안 어떠한 비용이나 험이 따르지 않으며 참여하는 도 원하지 않는 경우

언제든지 참여를 거 할 수 있습니다.

연구는 수술 날(입원당일)연구의 목 을 설명을 받고 연구에 동의한 경우 자가 보고

형 설문지를 작성하게 될 것입니다.이는 일반 인특성 ,불안 불확실성을 측정하는 것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10분정도가 소요됩니다.설문지 작성 후 연구에 참여하는 환아

어머니는 30명으로 간호사가 입원생활안내 소책자,표 진료지침 인쇄물을 이용한 구두

설명으로 수술 비사항 수술 후 주의사항을 1회 제공 받습니다.이는 10분정도가

소요됩니다.퇴원 하는 날 오 10시경 자가 보고 형 설문지를 작성하게 될 것입니다.이는

불안 불확실성,간호만족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약 10분정도가 소요됩니다.연

구가 종료된 이후에는 환아 어머니에게 소정의 선물(장난감,만원상당)이 제공됩니다.

질문의 내용이 많아 번거로우시겠지만 연구의 필요한 내용들이 들어있으니 성의 있는

답변 부탁드립니다.설문결과는 연구 이외의 다른 목 으로 이용되지 않을 것이며

익명으로 진행될 것입니다.각 항목을 느끼는 로 솔직하게 답변해 주시면 큰 도움이 되

겠습니다.

본 연구에 조해 주신 귀하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연구자 :이미

지도교수 :송미숙

아주 학교 간호 학원 석사과정

연락처 :010-2527-1511

이메일 :skycomom@naver.com

연구 피험자로서의 귀하의 권리에 하여 질문이 있다면,이 연구의 일반 인 사항들을

논의할 수 있는 기 연구윤리심의 원회에 연락 하십시오

000병원 기 연구윤리심의 원회

부록 1- 조군 연구 참여 설명문

연구 설명문

42

안녕하십니까?

는 아주 학교 간호학 석사과정 재학 이며 아주 학교병원에서 근무하는 이미 간

호사입니다.

본 연구는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에게 수술에 련된 교육을 효과 으로 제공하여

수술 후 경험하게 되는 불안과 불확실성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한 연구를 설

계하고 있습니다.연구가 완성이 되면 앞으로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의 수술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로 제공하게 되어 교육 로그램개발에 기여하게 될 것입니다.연구에

참여하는 동안 어떠한 비용이나 험이 따르지 않으며 참여하는 도 원하지 않는 경우

언제든지 참여를 거 할 수 있습니다.

연구는 수술 날(입원당일)연구의 목 을 설명을 받고 연구에 동의한 경우 자가보고

형 설문지를 작성하게 될 것입니다.이는 일반 인특성 ,불안 불확실성을 측정하는 것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10분정도가 소요됩니다.설문지 작성 후 연구에 참여하는 환아

어머니는 30명으로 담당 간호사를 통하여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

램을 1회 제공 받습니다 이는 20분정도가 소요됩니다.퇴원 하는 날 오 10시경 자가 보

고 형 설문지를 작성하게 될 것입니다.이는 불안 불확실성,간호만족도를 측정하는 것

으로 구성되어 약 10분정도가 소요됩니다.연구가 종료된 이후에는 환아 어머니에게 소정

의 선물(장난감,만원상당)이 제공됩니다.

질문의 내용이 많아 번거로우시겠지만 연구의 필요한 내용들이 들어있으니 성의 있는

답변 부탁드립니다.설문결과는 연구 이외의 다른 목 으로 이용되지 않을 것이며

익명으로 진행될 것입니다.각 항목을 느끼는 로 솔직하게 답변해 주시면 큰 도움이 되

겠습니다.

본 연구에 조해 주신 귀하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연구자 :이미

지도교수 :송미숙

아주 학교 간호 학원 석사과정

연락처 :010-2527-1511

이메일 :skycomom@naver.com

연구 피험자로서의 귀하의 권리에 하여 질문이 있다면,이 연구의 일반 인 사항들을

논의할 수 있는 기 연구윤리심의 원회에 연락 하십시오

000병원 기 연구윤리심의 원회

부록 2-실험군 연구 참여 설명문

연구 설명문

43

동의서

연구제목 :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 효과

본인은 이 연구에 한 연구의 목 ,방법,기 효과,가능한 험성 등에 해 충분한

설명을 듣고 읽고 이해하 으며 모든 궁 한 사항에 하여 책임연구원에게 만족할 만한

답변을 들었습니다.충분한 시간을 갖고 생각한 이후에 본인은 상기 연구에 참여하기를 자

유로운 의사에 따라 동의합니다.본 연구에 동의한 경우라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음과

본인은 자발 으로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한 언제든지 연구에 참여

를 거부하거나 연구의 참여를 도에 철회할 수 있고 이러한 결정이 나와 아동에게 어떠

한 해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본인은 이 설명문 동의서 사본을 받을 것을 알고 있습니다.

연구 상자: 2015년 월 일 (서명)

연구자: 2015년 월 일 (서명)

연구자 :이미

지도교수 :송미숙

아주 학교 간호 학원 석사과정

연락처 :010-2527-1511

이메일 :skycomom@naver.com

연구 피험자로서의 귀하의 권리에 하여 질문이 있다면,이 연구의 일반 인 사항들을 논

의할 수 있는 기 연구윤리심의 원회에 연락 하십시오

000병원 기 연구윤리심의 원회

부록 3-연구 동의서

연구 동의서

44

부록4-설문지

Ⅰ.일반 특성 측정도구

다음 사항을 읽으신 후 란에 기록 해당사항을 V해 주시기 바랍니다.

◉ 어머니의 일반 특성

1.귀하의 연령은 몇 세 입니까? ( )세

2.귀하는 재 직업을 가지고 있습니까?

① 있다( ) ②없다( )

3.귀하의 최종 학력은?

① 고졸( ) ② 졸( ) ③ 학원 졸 이상( )

4.귀하의 재 경재상태는?

① 상( ) ② ( ) ③ 하( )

5.귀하의 자녀에 한 수술 경험은?

① 있다( ) ②없다( )

6.귀하의 자녀에 한 입원 경험은?

① 있다( ) ②없다( )

7.귀하의 자녀의 질병에 한 염려정도는?

① 매우 걱정된다( ) ② 조 걱정된다( ) ③보통이다( )

8.귀하는 자녀의 질병에 한 지식정도는?

① 부분 알고 있다( ) ② 보통이다( ) ③조 알고 있다( ) ④ 모른다( )

45

◉ 자녀의 일반 특성

9.귀하의 자녀의 나이는? ( )세

10.귀하의 자녀의 성별은?

① 남( ) ② 여( )

11.귀하의 자녀의 형제순 는?

① 첫째( ) ② 둘째( ) ③ 셋째( )

12.귀하의 자녀의 평소기질은?

① 다루기 쉽다( ) ② 다루기 어렵다( )

Ⅱ.불안측정도구

재 느끼고 있는 불안한 정도를 해당 숫자에 표시(V)를 해 주십시오.

0 1 2 3 4 5 6 7 8 9 10

간 매우

불안 하지 않다. 정도불안하다. 불안하다.

46

질문내용매우

그 다

체로

그 다

체로

그 지 않다 그 지 않다

1.수술 승낙서를 쓰는 이유 에 해 설명한다.

2. 식을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3.수술실로 가기 에 화장이나 매니큐어를 지우고

의치,시계,반지 목걸이 등을 제거하는 이유에 하

여 설명한다.

4.수술실로 가는 정시간에 해 설명한다.

5.정맥주사를 맞는 이유에 해 설명한다.

6.수술 투약을 하는 이유에 해 설명한다.

7.수술실 입구까지 보호자가 동행가능하나 수술실

과 회복실에는 출입이 통제된다는 것을 설명한다.

8.수술소요시간에 해 설명한다.

9.마취방법에 해 설명한다.

10.수술 후의 통증조 에 해 설명한다.

11.수술 후의 심호흡과 기침에 해 설명한다.

12.수술 후의 식사에 해 설명한다.

13.수술부 의 치료계획에 해 설명한다.

14.수술 후의 주의사항에 해 설명한다.

15.수술 후의 퇴원시기에 해 설명한다.

Ⅲ.간호만족도 측정도구

각 문항을 읽고 귀하의 느낌과 일치하는 곳에 표시(V)를 해 주십시오.

47

질문내용매우

그 다

체로

그 다

체로

그 지 않다 그 지 않다

1.퇴원 후 내 아이를 어떻게 돌 야할지 막연하다

2.치료의 효과는 확실하지 않다

3.내 아이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지 분명하지 않다

4.내 아이의 통증이 어떻게 나빠질지 모르겠다

5.질병을 측할 수 없기 때문에 나는 미래를 계획

할 수 없다

6.내 아이의 병이 호 될지 악화될지 확신을 할 수

없다

7.내 아이의 질병은 계속 변화하며 좋은 날도 있고

나쁜 날도 있다.

8.치료 때문에 내 아이가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

는 일이 계속 변한다

9.내 아이의 증상은 측 할 수 없이 계속 변한다

10.내 아이의 검사결과가 일정치 않다

11.내 아이의 질병과정을 어느 정도 측할 수 있다

12.내 아이의 질병의 심한정도를 알고 있다

13.내 아이의 질병이 얼마나 오래갈지 측할 수 있

다.

14.의료진들은 내 아이에게 명확한 진단을 내리지

않는다

15.내 아이의 신체 인 어려움은 측할 수 있으며

언제 좋아지거나 나빠질지 나는 안다

16.내 아이에 한 진단은 정확하고 변하지 않을 것

이다.

17.내 아이가 앞으로 행복할지 불행할지 해서

체로 알고 있는 편이다

18.내 아이에게 무슨 이상이 생겼는지 모르겠다

19.의사와 간호사들은 일상용어를 사용하므로 나는

그들의 말을 이해할 수 있다

20.의사들은 내게 의미 있는 것을 많이 이야기해

21.많은 의료진들이 있지만 가 어떤 문제에 한

책임을 맡고 있는지 알 수 없다

22.간호사가 필요할 때 그들에게 의지할 수 있다

Ⅳ.불확실성 측정도구

각 문항을 읽고 귀하의 느낌과 일치하는 곳에 표시(V)를 해 주십시오.

48

편도선절제술환아 어머니를위한 교육프로그램

부록 5-「편도선 제술 환아 어머니를 한 교육 로그램」

49

50

51

52

53

54

55

56

-ABSTRACT-

TheEffectsofanEducationProgram forMothersof

ChildrenwithTonsillectomy

Mi-youngLee

DepartmentofNursingScience

TheGraduateSchool,AjouUniversity

(SupervisedbyProfessorSongMi-suk,Ph.D.)

Thepurposeofthisstudywastodevelopsystematiceducationmaterials

formothersofchildrenundergoingsurgery;forthispurpose,itwasbasedon

quasi-experimentaldesignfordeterminingtheeffectsoftheinterventionwith

the Education Program forMothers ofChildren with Tonsillectomy on the

participants'anxiety,uncertainty,andnursingsatisfactionandwasconductedin

mothersofchildrenundergoingtonsillectomyinwardsofpediatricsurgeryata

singleuniversityhospitalfrom March15toApril15,2015.

Theeducationprogram wasdevelopedusingvideos,pictures,andphotos

thatdescribed 1)treatmentand nursing by themedicalstaff,2)symptoms

observedamongthechildren,and3)whatmothersneededtomanagetocope

with them in such areas as observation and measurement, medication,

examination,diet,treatment,activity,andeducationandplanningdischarge,as

foundinthestandardguidelinesfortreatment,withtheaim ofallowingthem to

getagoodunderstanding ofthestandpointsofpatientcarethey neededto

perform onthedayofhospitalization,onthedayofsurgery,andforaday

postoperatively.

Theresultswereanalyzed using an SPSS windows20.0program:the

57

participants'generalcharacteristics were presented in the realnumberand

percentage; χ²-test and t-test were performed to determine homogeneity

betweentheexperimentalandcontrolgroups;andt-testwascarriedoutto

determine differences in anxiety,uncertainty,and nursing satisfaction.The

resultsofthisstudyareasfollows:

1.The mothers in the experimentalgroup getting intervention with the

program (5.17±1.78)scoredstatisticallysignificantlylowerforanxietythanthose

inthecontrolgroup(7.70±2.05)(t=8.146,p<.001).

2.The mothers in the experimentalgroup getting intervention with the

program (63.57±7.14)scoredstatisticallysignificantlylowerforuncertaintythan

thoseinthecontrolgroup(68.03±6.81)(t=5.64,p<.001).

3.The mothers in the experimentalgroup getting intervention with the

program (56.50±3.04) sco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or nursing

satisfactionthanthoseinthecontrolgroup(38.17±6.10)(t=14.72,p<.001).

To putthe results together,the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of

ChildrenwithTonsillectomyallowedmothersofchildrenundergoingsurgeryto

reduceanxietyanduncertaintyandincreasenursingsatisfaction.Therefore,the

program isexpectedtobecomean effectivenursing intervention methodfor

mothersofchildrenundergoingtonsillectomyandtobeusefulasaguidelinefor

presurgicaleducation.

Keywords:Nursingsatisfaction,educationprogram,anxiety,uncertainty,mother

ofchildwithtonsillectomy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