總廳管結石tË의 內視鏡的첼行性廳管造影術 所見 - …...authors a.nalysed 56 cases...

9
Vo l. XVIII , No. 1, 1982 - Abstract-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graphic findings in choledocholithiasis Jae Hoon Lim , M.D ., Young Kyun Yoon , M.D. , 500n Yong Kim , M.D. De partment of Radi%gy, Schoo/ of Medicine , Kyung He e University. Young 11 Min , M.D . Departme nt of /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 H ee University. Although ultrasonography replaced many invasive studies in biliary tract diseases , direct cholangio- graphy does st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holedocholithiasis. Endo- scopic retrograde cholangiography (ERC) is regarded as the best method in evaluation of exact extent of the disease and its frequent complication , cholangitis. Authors a.nalysed 56 cases of choledocolithiasis diagnosed by ERC and compared th ese with ERC in 18 cases of normal , 22 cases of cholecystitis , 15 cases of clonorchiasis and 9 cases of parenchyma l dis- eases of I ive 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E RC findings of choledocholithiasis are filling defects by stone or stones , dilation of common hepatic as well as common bile ducts and findings of cholangitis. 2. E RC findings of ch' olangitis are dilatation of larger intrahepatic biliary radicles and acute peripheral tapering , decrease of arborization , increased or right angle branching pattern , straightening and rigidity as well as irregular narrowing of intrahepatic biliary trees. This findings are observed in majority of choledocholithiasis. 3. Over 9mm in diameter at intraprancreatic portion of common bile duct was regarded as abnormal , with 95% sensitivity , 85% specificity and 91 % diagnostic accuracy by decision matrix analysis. and 91 % diagnostic accu racy by decision m atrix analysis_ 4. In the presence of dilatation of CBD and findings of cholangitis in E RC , one should consider choledo- cholith iasis in spite of absence of stone defect. 1 . - 116-

Upload: others

Post on 25-Apr-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大韓放射線醫學會誌 Vo l. XVIII, No. 1, 1982

    總廳管結石tË의 內視鏡的 첼行性廳管造影術 所見

    텅힐熙大學校 醫科大學 放射線科學敎室

    林在勳 • 尹榮均 • 金훌훌蕭

    ↓월照大學校 醫科大學 內科學敎室

    閔 榮- Abstract-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graphic findings in choledocholithiasis

    Jae Hoon Lim , M.D ., Young Kyun Yoon, M.D. , 500n Yong Kim , M.D.

    Department of Radi%gy, Schoo/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Young 11 Min, M.D.

    Departm ent of /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Although ultrasonography replaced many invasive studies in biliary tract diseases, direct cholangio-

    graphy does st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holedocholithiasis. Endo-

    scopic retrograde cholangiography (ERC) is regarded as the best method in evaluation of exact extent of

    the disease and its frequent complication , cholangitis. Authors a.nalysed 56 cases of choledocolithiasis diagnosed by ERC and compared th ese with ERC in

    18 cases of normal , 22 cases of cholecystitis, 15 cases of clonorchiasis and 9 cases of parenchymal dis-eases of I ive 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E RC findings of choledocholithiasis are filling defects by stone or stones, dilation of common hepatic as well as common bile ducts and findings of cholangitis.

    2. E RC findings of ch'olangitis are dilatation of larger intrahepatic biliary radicles and acute peripheral

    tapering , decrease of arborization , increased or right angle branching pattern , straightening and rigidity as well as irregular narrowing of intrahepatic biliary trees. This findings are observed in

    majority of choledocholithiasis.

    3. Over 9mm in diameter at intraprancreatic portion of common bile duct was regarded as abnormal , with 95% sensitivity , 85% specificity and 91 % diagnostic accuracy by decision matrix analysis. and 91 % diagnostic accu racy by decision m atrix analysis_

    4. In the presence of dilatation of CBD and findings of cholangitis in E RC , one should consider choledo-cholith iasis in spite of absence of stone defect.

    1 . 絡 論훨)과 閒짧性 폈펄(外科的 Ji~훨)을 쉽 게 正1m;히 區別할

    수 있으며 閒찌.~i의 程度와 場所를 比較的 正않히 訴斷할

    수 있어 서 폈훤J뽑者의 -次的 檢호法으로 널리 ;fiJ用되

    윗훨愚者의 超팝波 씀斷은 8주細R힘{生 黃훨(內科的 짧 고 있으나4 ,7 , 8 , 15 , 2μ2 , 2 5 , 28 , 3 1 , 34) 閒銀의 病因學的 양斷은

    - 116-

  • 그 표確度가 35"'40%이 다’, 18) •

    따라서 外科的 黃훤의 正確한 原因과 場所, 特히 手

    術 可能性의 決定에 는 經皮經8구廳管造影&과 內視鏡的

    뾰行性廳管造影術等의 直接的 順道造影術 또는 電算化斷

    層題影이 決定的안 않홈j을 한다3, 29 , 32>. 이 들中 內視鏡的

    않行性擔 g후造影術은 그 成功率。165% 內外이 치 는 하냐

    經皮經맑)웹道造影術의 合꺼HE인 n청脫內出血이 나 願ì'tß흉

    體%이 없는 比較的 安全한 檢좁法이고 g후廠의 病變도

    항께 探知할 수 있는 좋은 方法야 마1 , 3 , 11 , 32) • 韓國에 많

    은 關管願石liE파 그의 合감HE인 願道%의 ~~斷에 있 어

    서도 그 f홉f直가 크다 .

    n영管m쩔石효에 서 의 直接I않道造影術에 關하여 는 많은 論

    文이 있으며 13, 17 ,33) , 國內放射線科學文없으로서는 經皮

    經RU쩔道 造影術에서 觀察한 몇몇 論文파5, 6 , 12 , 30) _編의

    內視鏡的 평行性脫牌管造影術에 關한 發表16)가 있으나

    이 들 또한 結石에 의 한 充滿缺根파 總順管의 據張에 關

    한 文敵들이고, 廳道結石liE의 흔한 合í*liE연 廳管χ의

    所見에 關하여 記述한 文없은 거의 없다.

    著者들은 廳道結:OliE에 서 의 內視鏡的 않行'1生願管造影

    術 所見을 分析하고 이를 正常 빛 他훌愚에 있어서의

    內視鏡的 않行뾰~管造影術파 比較하여 벚 가지 特徵的

    안 事實을 얻었기에 이를 報告코저 한다.

    n. 觀察對象 및 方法

    였다.

    府內觸管이 造影펀 45{1lJ는 맑內願엽;의 樣相파 分技像

    을 觀察하였 고 總輸廳管 據張의 程度는 Vater~大部 1. 5 cm 上方에서 }에j定하였다. 또한 이들 所見올 18í列의 표

    常A , 22例의 願짧~ 愚者 , 15{1lJ의 8주吸EÚ.liE 愚者 빚 9 例의 脫道以外의 6千훌愚 l뚫者의 內視鏡的 않行{生願管造

    影像과 比較 1없察하였다.

    ][. 結 果

    總 56例의 總願管結石liE 愚者의 男女比는 26: 30야 었

    고 52例(93%)가 30代 以後에 짧病하였마 . 56例中 52例

    에 서 總願管에 單一 (25例) 혹은 多數(27例)의 結E에

    의 한 充滿缺휩이 觀察되 었고 이 中 5例는 府內脫管에 도

    結石。l 存在하였다 .

    結石의 大部分은 째型 또는 圓型이었고 約 1/3에서는

    多싫型이었으며, 單純옆훌影像에서는 모두 放射線 透明하

    였 다. 5SØlJ中 4例에서는 뺑行性廳管造影術에서는 充滿

    缺휩이 나타냐치 않았으냐手術로 結石liE이 確認되었다.

    總、廳管結石liE 거의 오든 例에서 總願管이 據張되었

    다(Table 1) . 18例의 正常例에 있어서는 7mm 以內안

    ‘ J牌職部位總廳管이 總願管結石liE에 있 어 서 는 7例는 7",9

    mm, 25例는 10'" 15mm , 24例는 16mm 以上으로 據張

    되었다. 이에 反하여 廳짧%에 있어서는 22例中 13{1lJ,

    府吸없liE에 있어서는 12例中 9例, 땀實質훌愚에 있어서 1978年 6月부터 1981年 5月까지 慶照大學校 醫科大學 는 9例中 8例가 7mm以內이었다·

    附屬病院에 서 廳道 빚 牌魔훌愚이 疑心되 어 內視鏡的방 R千內 廳管。} 造影된 45{1lJ의 總願管 結石liE의 願管造行性廳際염;造影術을 施行한 450餘名의 t뽑、者中 總RU쩔管 影像은 Table 1I와 같다· 正常에서는 府內 願管이 末稍

    빚 總輸願管(合하여 이하 總뿜管이라 함)結石효으로 장 部位호 가면서 平띔하게 서서허 좁아지며 分技모양이

    斷된 56Ø1J를 選擇하였다. 談斷은 Jlf:ii管造影像에서 略管 뚫↑용한데 比하여 (Fig . 1), 結石뾰에서는 8千內l뺑管의 據

    內에 結石에 의 한 充滿缺휩이 確認된 52例와 充滿缺펴 폈 빛 末稍部位의 急쨌한 內짧減少, 分技數의 減少, 分

    응 없으나 手術로 }짧認된 4例를 包含하였으며 이들 愚 技β~i합加, 分技의 直線化와 硬直化, 內짧의 不規則化等

    者의 內祖鏡的 평行性없쉽;造影術을 剛及的으로 觀察하 多核한 n칩옆;;~ 所見이 觀察되었고 , 이들中 가장 흔한

    Table I. Diameter of CBD at Pancreatic Segment

    Diameterι mm

    SubjectNumber of 등7 8 9 10 11-15 16득 Cases

    Normal 18 18

    Choledocholithiasis 56 l 2 4 3 22 24

    Cholecystitis 22 13 2 2 2 3

    Clonorchiasis 12 9 1 1

    Clonorchiasis and 3 3 choledocholithiasis

    Hepatic parenchymal 9 8 1 diseases

    - 117-

    -

  • Table 11. Cholangiographic Findings of Cholangitis in 分技가 閒鎭되어 造影되지 않았다 (Fig. 4). 45 Cases of Choledocholithiasis

    Findings of lntrahepatic Biliary Ducts Number

    ofCases

    Dilatation of m며or biliary ducts with acu te peripher외 tapering 34

    32 Decrease in arborization

    lncreased or right angle branching pattern

    Straigh tening and rigidity

    lrregular narrowing and beading

    E

    Xμ Xω 所見은 n쩔염;의 直짧化와 빠直化였다 (Fig. 2-A , B , Fig .

    3) . 脫管%의 所見을 보인 것 은 45例中 35例로서 22例

    에서는 輕徵한 變化를, 1 3f71]에서는 심한 짧化를 觀察하

    였마. 이 에 比하여 It션짧%에서는 22例中 5例에서만 脫

    管%의 所見을 뼈쳤할 수 있었고(Fig. 6-B) , 府實質‘뽑

    者 9f71]에 서 는 假섣;~의 所見이 나타나지 않았다 . 1 5例

    의 밤!댔뾰폼에 서 는 H吸뽀 nX:.r:a에 의 한 充滿缺펌外에

    m쩔管擬張, 分技數減少, 直*Jít化와 硬直化와 不分明한 앓

    綠等의 所見을이 뼈察되 었 으나 餘他 原因에 依한 順엽 Fig. 1. Norrnal ERC , showing normal diameter, normal %파는 달러 脫管의 末稍分技의 急激한 內짧減少를 보 branching pattern and gradual smooth p바ipheral 이 지 않고 도리 어 末稍로 가연 서 더 욱 械張되 던 가 末稍 tap ering 0 f b iliary trees.

    F뼈.2-A, B

    Mild (A) and severe (B) cholangitis caused by ch이edocholithiasis showing dilatation of major biliary ducts with aαte peripheral tapering, decrease in arborization, increased or right angle branching pattern, straightening and ri밍dity , and irregular beaded narrowing of biliary trees.

    - 118 -

  • Fi용 3. Schematic drawing of cholangitis in cholangio-graphy. A: Dilatation of major biliary ducts with acute

    peripheral tapering B: De crease in arborization C: Increased or right angle branching pattern D: Straightening and rigidity E: Irregular narrowing and beading CD denotes cystic duct

    N. 考 按

    m쩔윌;結石j[파 이 의 合f1tj[은 聯'*에 서 흔히 볼 수 있

    는 흉恩으로 發熟 , JIji함1파 항께 f숭딴늘을 강、起하며 再發率

    이 높다 . 이 의 H~斷은 超音波檢좁를 施行‘함으로서 閒銷

    {生黃훨의 存在와 n엉쉽’擬張의 程度 빚 結石의 位置를 比

    較的 표짜히 ~&斷할 수 있다4 , 1 5 , ,0 , : 5 ) • 그러냐 結E의 正

    確한 位置와 數뿐 아니 라 閒ÎfH生끓휠의 原因과 部{立를

    正確히 判斷하는데 있어서는 超音波檢값는 아직 도 未治

    한 點이 많고4 , 2 0 ,22 ,Z5) , 이 를 위 하여 는 內視鎬的 않行1生

    R쩔월;造影術파 經皮經ijflj1성씁造影術휠 으의 直接 R쩔쉽;造影

    術3 , 2 9 )28 )이나 또는 電싫〔化斷l햄振影이 펄요하며 )따쉴;結

    石llE의 合꺼tllE안 n엉管썼의 放射線學的 ~~짧f은 直接 n정

    엽;造影~I,j外는 探知하는 方法이 없다 . 手術的 l따쯤;造影

    術에 의한 |엠管結石llE의 ~~斷 빛 짧‘1뾰염 試驗切開의 決

    定에 댐하여는 Marks等23)파 Faris뽕 11 )에 의하여 評쩨I

    허 記述되 었고 脫깥結石llE에 對한 經皮經HfJIú휩造彩術

    벚 內視鏡的 평行性)랩염’造彩術 所見에 rv섭한 5쩌文도 또

    한 많이 있으냐 國內放射綠fl學 文없t은 점~&:經빠|뼈管造

    影術어1 rnf.1한 것이 歐編있고5 , 6 , 12 , ::'0) , 內視鏡的않行{경=.J않

    Fig. 4. ERC of clonorchiasis, showing di1atation and obstruction of peripheral biliary trees. Note normal diameter of common bile duct.

    쉽;造影術에 關한 것 은 1編에 不過하다. 또 願管찢에 對

    한 것 으로는 直接脫管造影術에 關한 Berk & Clemet2 ) ,

    Ho等13) , Wastie等33)의 發表-와 않行'1生n쩔협;造影術에 關

    한 Lam等17) , Rohrmann等27 )의 發表가 있으냐 國內에

    서는 報告펀 바가 없다.

    願管結石j[에 서 가장 重要한 所見은 옮石에 의 한 充

    滿缺根이 며 이 는 願管內氣泡, 血被8쩔i't효E,꾸吸뾰 잊

    폴럽樣 睡傷等파 鍵別을 要하냐 R쩔管結石은 多앓型 , !1IJ 型 또는 圓型의 缺휩들이 願管內에 서 移動하는 것 이 特

    徵이 다. 總 56例中 25例는 單 1個의 結石이 , 그러 고 27

    例는 多數의 結石이 觀察되었고, 냐머지 4例는 脫管;

    造影像에는 結石 自體에 의한 充滿缺휩을 發見치 못하

    였으나 手術로 1個 또는 多數의 結E 또는 無數한 따型

    의 結E이 確認되었고, 이들 56例 모두 單純振影像에서

    는 發見되지 않았던 放射線 透明한 結石플。l 었다.

    結石을 含有하고 있는 號管, 特히 總 l없管은 總 56例

    中 49例에서 lOmm 以上 據張되었고 24例는 16mm 以

    上 觀張되 었 으며 그 中에 서 도 順束管 上部의 總8千n뀔管

    의 據張。l 가장 현저하였다 . 總、m쩔월;익 據張은 結石의

    位置 , 크기나 閒銷 程度에 關係없이 總、m쩔쉴;이 Vater應

    大部까지 全長에 걸쳐 據張되었으며 大部分 結石의 크

    - 11 9 -

    -

  • 기보다 훨씬 크게 據恨되었다· 內짧까지 합쳐서 뼈IJ定할 可能{生이 있고 또 總Ulf:'l管切|해,

    韓等12)은 總、n않管結石ifE의 80%에 서 總輸廳管이 2cm 또는 T 쩡;揮入等의 手~造f'p을 拖行하는 部位여 서 手術

    以上 據張되었다고 報告하였고 , 朱等5 ) , 신웰30 )도 結石 後에는 評1뤘하기 가 困難한 點等이 있싹 著者들은 Vater

    ifE의 大部分에 서 總假管이 據張펀다고 發表하였다~大部 lcm 上部에 서 勝職內總輸脫管올 얘IJ定로록 하였

    Faris等11)은 結石에 의한 充滿缺혐이 없을 혜 結石뾰의 다 (Fig. 5).

    가장 重要한 指標는 總n쩔管의 搬張이 며 總n엉管의 內~

    이 正常(l2mm) 以內라도 內쩔이 크챈 클수록 結石이

    있을 可能性이 높다고 하였다.

    總願管의 lE常 內짧에 關하여 는 여 러 學者을의 여 러

    意見이 있다. Wise36 )는 經靜}]Jj\ J엠管造影術에 서 m정짧↑~;

    部位의 zp:均內쩔은 55mm이 고, 그 때웹는 2,,-, 1 5mm라

    고 하였으며 同一한 生理的 狀態에서의 超音波據影上의

    크키 는 4"-'7mm7,8 , ~G , 28)로 報告되 었 고 李等10)은 超홉ì1!l.

    홈훌影上의 總輸願管의 內짧은 7mm로 正常f直의 限'Jf.를

    지었다. 표入많力 잊 放射線獨影上 不可經한 짧大率을

    考慮해 야 하는 直接願管造影術에 있어 서 는 總n쩔엽;의 크

    기가 이을보다 若千 커 질 것임은 쉽게 理m되는 바이고

    Le Quesnel9 )는 12mm (手術的臨管造影術), Lasser等 18 )

    은 7"-' 9mm (道行性階管造影術)等으로 發表하였고 普通

    10mm를 基準으로 하는 學者들이 많으며 이 플의 大部分

    은 R홈짧管近處의 總‘m점管을 測定하였다.

    超音波的 測定f直는 生理的 狀態에 서 ìJllj定하는 長點이

    있으나 陽管의 ~氣로 因하여 ì!l,lJ定이 不可한 경우도 있

    고, 測定部位가; 總應管의 어느 部分안가를 決定짓기

    어 려 운 短點이 있 으며 18,'- 0 ) , 直接脫管造影術에 있 어 서 도

    觸훌管 部位의 總廳管이 가장 많은 部位이 나 m홉킹훌管의

    F용 6-A, B, C

    Fig. S. Site of measurement of intrapancreatic CBD, 1.5 cm proxirnal to sphincter rnuscle (srnall arrows indicate stone)

    A: ERC in patient with choledocholithiasis showing norrnal diarneter of intrapancreatic portion ofCBD.

    B: ERC inpatient with acute cholecystitis showing cholangitis and dilatation of intrapancreatic CBD.

    C: ERC in patient with choledocholithiasis without filling defect of stone and cholangitκ How-ever, intrapancreatic CBD is dilated, over 12rnm in diarneter.

    - 120 -

  • a주吸!H.파 合' 11t-펀 3例를 包含한 59171J의 總假管結石효

    中 56例에 서 總輸隨엽:; 01 9mm以上 據張되 었 고 3171J에 서

    만 8mm以下였 는데 (Fig . 6-A) , 야 에 反하여 正합 18171J

    는 모두 7mm以下이었고, 脫짧썼, ft구吸;l;iJE 빛 ftf實휠

    횟愚 43171J 中 1 3例에서는 8mm以上이 었다 .

    總n쩔쉽;結石iJE의 牌職內 總輸I않쏠;의 內짧을 8, 9, 10mm

    를 基準으로 定했을 혜 決定얘트릭스(decision matrix)

    에 의한 感受度(Sensi.tivity) , 特異度(specificity ) 빛

    씀斷率 (Accuracy)를 구하면2') Table ]l 과 같고 9mm

    以上을 總假管짧石뾰으로 ~~짧f하는 경 우 決定애 트릭 스基

    準(decision matrix criteria )는 Table W와 같다.

    超音波 檢흉上의 표常直짧의 限界는 大部分의 學者

    플7, 8 , 26 , 28)이 7mm로 잡고 있다 . 않行"j生 n쩔管造影術로 測

    定한 正常總R엉管의 直쩔은 部位別로 큰 差가 없는 것이

    普通이 나 差累가 있는 경 우에 는 解職內總、輸廳管이 餘他

    部{立보다 석 은 것 이 常f끼j이 다 18) 著者들이 뼈察한 18171J

    의 lE常例에 있어 서 도 가장 넓 은 部位는 n엉짧管部近의

    總、脫管이었다 .

    著者들의 牌願內總輸|땀管 內쩔이 超音波밟影으로 뻐IJ

    定한 總廳管內짧보다 큰 理由로는 평行'j生n않管造影術의

    注入睡力으로 因한 搬大와 放射線션용影의 據大率 애 문

    이라고 思料핀다.

    總n쩔웹;의 據張은 結石의 {立置와 크기 에 關係없이 全

    長이 據張되었는데 이것은 따發된 )않管~파 $L碩%으로

    因한 좋L頭部 俠쩔。l 原因이 아닌가 推얘IJ된다 1 , 37 ) . 59例

    의 總順管結EiJE中 많은 例에 서 Anacker 1 )와 Zimmon等

    37)야 記述한 좋L碩俠쩔의 所見, 즉 üjdi括約節의 m~맡,

    結廳의 增찌훌융 同伴한 성 한 俠%음을 뼈察할 수 있었다.

    Parulekar26 )와 Weinstein等35)은 假많*에 서 뼈察되 는

    總廳쏠;의 據張의 原因이 結石이 Vater隨大部를 通過하

    고 난 後야기 예 문에 結石은 안보이고 總脫管의 據張만

    이 };l..이는 것이라고 說明하였다. 著者들의 경우도 22171J

    의 願짧씻中 7171J는 總廳管의 據張, fi양엽;씻의 所見 빚

    臨tRiJE狀等으로 보아 結石이 빠져냐간 것으로 推뻐Ij된다

    以上의 事寶들로 터1 루어 總廳管全長 特히 R후廠內 總

    輸m쩔휩;이 9mm以上 據張되어 있을혜는 結石에 의한 充

    滿缺휩이 없올 혜라도 얼단 總‘廳管結石의 可能性을 考

    愚해야 할 것으로 思料왼다. 本 分析에서 4쩌j에서는 充

    滿缺휩없이 總觸管 據張과 廳管*의 所見만으로(Fig.

    6- C) 總願管짧石효을 疑心하여 手術하였 던 바 結石이

    證明되었던 事賢j흐 마루어 보아 씀石에 의한 充滿缺협

    이 없올 해 結石을 양斷할 수 있는 가장 重要한 所見이

    總擔管의 據張이라는 Faris等 11 )의 主張파 -致하는 것

    이다. 또 m쩔쩔찢찢이나 廳石iJE 愚者에 있어서 牌部總廳

    管。1 9mm以上 據張되 어 있을 해 는 經!願管에 도 結石이

    있을 것으로 看做하고 手術時는 總隨管을 切開하여 總

    n쩔쩔’結石iJE을 確認해야 할 것으로 思料된다.

    總Mli管結石JJE의 大部分에 서 同{半되 는 n쩔쏠;*의 放용t

    線學的 所見은 Wastie等33 )파 Lam等17 )은 廳管 벚 總、8쩔

    管의 俠%붙파 擬張이 라고 하였고 Ho等13) , Rohrmann

    等~7), Berk等2)은 맑內 願管 分校數의 減少, 鏡角分技,

    府內 願엽;의 據張파 急ðJJ:한 內짧減少 빚 m쩔管의 直線化

    Table 111. Nosological Probabilities Using Different Size Criteria for an Dia1ated CBD at Pancreatic

    Segment

    Size Sensitivity Specificity False negative False positive

    No (%) No (%) No (%) No (%)

    8mm 58/59 (98%) 48/61 (79%) 1β9 (2%) 13/61 (21%)

    9mm 56/59 (95%) 52/61 (85%) 3/59 (5%) 9/61 (15%)

    lOmm 52/59 (88%) 55/6 1 (90%) 7/59 (1 2%) 6/61 (10%)

    Table IV. Decision Matrix Criteria for Abnormal Intrapancreatic Segment of CBD

    ERCP Diagnosis

    Choledocholithiasis (늦 9mm)

    Condition other than Choledocholithiasis (

  • 等이라고 하였다.

    總觸管結石뾰 56例中 府內願管을 分싸할 수 있는 45

    ØlJ의 放射線學的 所見은 Ho等13)의 記述파 비슷하였다.

    則 가장 흔한 所見은 廳管分技의 直線化와 硬直化이 었

    고 脫管의 內쩔樓張파 末稍、減少, 直角 또는 分技角의

    增加 빚 分技數의 減少, 內짧의 不規則化等의 順이 었

    으며 10例에서는 正常이었다. 이에 比하여 18例의 正

    常A., 9例의 8주寶質훌愚에서는 廳쏠;찢의 所見이 觀察되

    지 않았으며 廳짧찢 , 22Ø1J中 17例는 願管씻의 所見이

    없었고, 5Ø1J는 願管*의 所見이 觀察되었다 . 또한 府吸

    뾰뾰에서는 廳管의 癡張 , 不規則化, 直線化, 硬直化,

    不分明한 邊綠等 m쩔쯤;~의 所見等이 뼈察되었으냐 m정

    管n촬石ill':에서 觀察되는 廳管의 急搬한 內쩔減少가 없으

    며 매신 末稍願管이 閒鎭되어 造影되지 않커냐 오히려

    末稍I뽑管이 據張되었다 . j험 R重으로 因한 m영管閒銷時에

    는 8千內願管의 急激한 內쩔減少가 없고 그들의 直線化,

    硬直化 , 不規則化等이 없는 平뿜한 擬張을 볼 수 있으

    며 分技角파 分技敎도 正常이다 (Fig. 7).

    Fig. 7. PTC in patient with distal CBD cancer. Note diffuse dilatation without any abnorrnality in branching pattern and arborization.

    m올管m쩔1Jill':에 의 한 願管씻에 서 는 病理組織學的 所見

    (Fig. 8)에 서 보는 바와 같이 假엽;周園짧IH힘홉潤파 함께

    鐵維化로 因한 內쩔減少가 願著하다. Ho等13)은 分校數

    Fig. 8. Microphotograph of liver in patient with chol. angitis caused by ch이edocholithiasis. Note periductal concentric fibrosis, lyrnphoplasmotic infiltration and ederna (H & E, X 100).

    減少, 分校角增1JU는 아마도 各各 府의 鐵維化와 廠훨化

    에 의 하여 廳管의 據9동파 俠%붙은 1뺨월;의 ↑뭘性찢ill':에 의

    한다고 說明하였다.

    이 와 같은 順管*에 의 한 應管의 變化는 다른 檢훌에

    서는 觀察할 수 없고 오직 直接的 m정管造影術에 의해서

    만 양斷할 수 있고13 , 17 , 2 7 , 3 3) , 또 그 程度까지 判斷할 수

    있으므로 願管願石효에 서 의 行평{生n염管造影術의 ~$斷的

    f덮{直가 크다고 하겠다.

    V. 結 論

    著者들은 1978年 6月 부터 1980年 5月 사야 에 慶!熙大

    學校 훌훌科大學 附屬病院에 서 施行한 450餘例의 內視鏡

    的 i뾰行f生8염睡쉽’造影術中 像이 뚜렷 한 總廳管結石ill':

    56Ø1J릎 分析하고 。1 를 18例의 正常, 22例의 願많씻 , 15

    ØlJ의 府吸!åill': 벚 9例의 ijf1핫質族愚에 서 의 遭行뾰願管

    造影~Ï파 比較 뼈察하여 다음파 같은 結5힘을 얻었다 .

    1. 總없씁結石ill':의 內視鏡的 평行{生 n용管造影術 所見

    은 結E에 의한 充滿없펴뺑쓸;씻所見 빛 總H염管의 據

    張等이었다.

    2. 脫管*의 땀쉽;造影所見은 n千內n엉쉽;의 擬張 빚 末

    稍部位의 急I썼한 內쩔減少, 分校링k의 減少, 分技角t曾

    加, 分技의 直線化와 硬直化, 그리고 內쩔의 不規則한

    俠쩔等。l 었 으며 이 플은 總H쩔월;結石ill':의 大部分에 서 觀

    察되었다 .

    3. 總脫씁;은 解廠部짧輸l따띔의 直짧이 9mm以上이 연

    擬폈된 것이라고 믿어지 고, 그 표짧度는 感受度 95% ,

    特異度 85% , 용증히Il~~斷率 91%였다 . 4. 內視찮的 평行{生願엽;造影術上 總號管 全長의 W;~없

    - 122 -

  • 고1- w쩔뽑’*의 所見이 있으연 結石에 의한 充滿缺혐이 없

    어 ' - 總廳쓸;結石1lE을 왔心할 수 있다.

    REFERENCES

    1. Anacker H_, Weiss HD , Kramann B : Endoscopic retrograde pancreaticocholangiography in chronic

    disease of pancreas and in papillary stenosis. Gas-

    troint RadioI3:325-334, 7978 2. Berk RN , Clemett AR : The interpretation ofthe

    dlrect cholangiogram in Rad.띠logy of the gall blad-

    der and bile ducts. W B 5aunders Company, Philadel-phia-London-Toronto 294, 7977

    3. Blumgart LH , 5almon PR , Cotton PB Endo-scopy and retrograde choledochopancreatography in

    the diagnosis of the patient with jaundice. 5urg.

    Gynecol. Obst. 738:563-570, 7974 4. 趙炳濟, 裵湖勳, 李承쩔, 金周完 : 黃훨의 超音波所

    見에 關한 맑究. 大韓放射線醫學會誌 16: 370 -376 ,

    1980

    5. 朱東雲, 짧萬춤 . 새로운 針을 使用한 經皮經府廳管

    造影꿇斷에 |짧한 %究. 大韓放射線훌훌學會誌 12 :255

    -266 , 1976

    6. 鄭圭炳, 金允燦 l 李南俊, 徐原鏡 經皮經R주觸管造

    影術. 大韓放射線醫學會誌 16: 549 - 556 , 1980

    7. Cooperberg PL High-resolution real-time ultra-

    ,ound in the evaluation of normal and obstructed biliary tract. RadioI729:477-480, 7978

    8. Cooperberg PL , L i D, Wong P et al : A ccuracy of common hepatic duct size in the evaluation of

    extrahepatic obstructlon. Radiol 735:747-745, 7980

    9. Petrosa C5 Casanova R, Lezana AH , et al Computed tomography in obstructive jaundice.

    Part 1/: The cause of obstruction. Radiol 739:635-

    645, june 7987 10. Petrosa C5 , Casanova R, Rodriguez R : Computed

    tomography in obstructive jaundice. Part 1: The

    level of obstruction. Radiol 739:627-634, june 7987

    11. Faris 1, Thomson JP5, Grundy DJ, et al : Operatlve CholangiographYi 0 reappraisal based on a review

    of 400 cholanaiograms. Br. j. 5urg. 62: 966-972, 7975.

    12. 韓萬좁, 鄭圭炳, 徐廷守, 朱東雲 ; 經皮紙/ffW홉管造

    影術. 大韓放射線醫學會훌훌 14: 369 - 378 , 1978

    13. Ho CS, Wesson DE : Recurrent pyogenic cholangi-tis in Chinese imminglants. AjR 722:368-374, 7974

    14. 姜益遠, 徐興錫, 任東蘭 , 延敬模 :/ff吸蟲의 放射線

    學的 所見 大韓放射線홈學會誌 16: 159- 162, 1980

    15. Koenigsberg M, Winener 5N , Walzer A The ac-curacy of sonography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obstructive jaundicei comparisonwith cholangio-

    graphy. Radiol 733:757-765, 7979 16. 金仁元, 李承홈, 韓萬좁, 朱東雲F9m鏡的훨行性

    廳 ·戰賢造影術 所見에 關한 주똥察 . 大韓放射線醫學會

    誌 15: 427 -433 , 1979

    17. Lam WK, Wong KP , Chan PK , et al Recurrent

    py ogenic cholangitis. A study by endoscopic retro-

    grade cholangiography. Gastroenterol 74: 7 796-

    7203, 7978 18. Lasser RB , 5ilvis 5E , Vennes JA The normal

    cholangiogram. Am j. Oig. Ois 23:586-590, 7978 19. Le Quesne L.P. Cholangiography. Proc. R. 50c.

    Med.53:852-855, 7960 20. 李敬熙, 廷敬模, 金周完 : 黃桓의 超흡波옳斷에 關

    한 考察 17 : 134-141 , 1981

    21. Mahour GH , Wakim KG , Ferris DO The com-mond bile duct in mani its diameter and circum-

    ference. Ann 5urg. 765:475-479, 7967 22. Malini 5. , 5abel J. Ultrasonography in obstructive

    jaundice. Radiol 723:429-433, 7977 23. Marks CG Kelvin FM : Operative cholangiography;

    criteria which make explor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desirable. Br. j. 5urg. 63:57-54, 7976 24. McNeil BJ. Adelstein 5T Oetermining the value

    of diagnostic and screening tests. j. Nucl. Med.

    77:439-448, 7976 25. Neiman HL, Mintzer RA Accuracy of biliary

    duct ultrasoundi comparison with cholangiography.

    AjR 729:979-982, 7977 26. Parulekar 5G Ultrasound evaluation of common

    bile duct size. Radiol 733:703- 707, 7979 27. Rohrmann CA , Ansel HJ , Ayoola EA Endo-

    scopic retrograde intrahepatic cholangiogram; radio-

    graphic findings in intrahepatic disease. AjR 728:

    45-52, 7977 28. 5ample WF , 5arti DA , Goldstein LI et al Gray

    scale ultrasonography of the jandiced patient.

    Radiol 728:779-725, 7978 29. 5iegel J H ERCP uptate; Oiagnostic and therapeu-

    tic application. Gastroint Radiol 3:377-378, 7978

    - 123 -

  • 30. 신경성, 정수교 , 이재운, 운영자, 윤세철, 박용후J: 34. Weill F , Eisencher A, Zeltner F Ultrasonic

    유연한 침품 사용한 정피성 경간담판초영 솔 14 :.439 study of the normal and dilated biliary tree. Radiol

    - 447 , 1978 727:227-224, 7978 31. Taylor KW , Rosenfiedl AT , Spiro H Diagnostic 35. Weinstein B], Weinstein DP Billiary tract dilata-

    accuracy of gray scale ultrasonography for jandiced tion in the nonjaundiced patient. Aj R 734:899-

    patient. Arch.lntern. Med. 739:60-63, 7979 906, 7980 32. Venees JA , jacobson j R, Silvis SE E ndoscopic 36. Wise RE : Intravenous cholangiography. Charles C.

    cholangiography for biliary system diagnosis. Annals Thom as. Springfield,lIl, 7962

    Int. Med. 80:67-64, 7974 37. Zimmon DS , Ferrara TP , Clemett AR Radio

    33. Wastie ML , Cunningham LGE Roentgenologic logy of papilla of vater stenosis. Gastroint Radiol findings in recurrent pyogenic cholangitis. Aj R 3:343-348, 79 78 779:77-77, 7973

    - 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