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129

Upload: others

Post on 03-Jan-2021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머 리 말

2015 국내 나노융합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나노산업은 2010년부터 2014

년까지 지난 5년간 매년 107 증가하였으며 2014년도 총 매출액은 132조 2930억

원으로 제조업 전체 매출액의 9를 차지 할 정도로 중요한 산업이 되었습니다

이렇게 급속도로 성장하는 나노산업의 시장규모를 예측하는 것은 나노기술분야의

중middot장기적 관점의 정책 도출하는 일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본 조사는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가지고 있는 나노시장의 단기 예상 매출

액 산업별 중요도 및 기술수준 나노산업 성장을 위한 제언 나노기술 혜택 및 지

각된 위험 인식 등을 조사 하였으며 이를 분석하여 나노 산업의 미래 성장과 확

산을 예측을 통해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나노기술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할 때 나노산업의 전망은 매우 긍

정적이며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며 현재 매출액 기준으로는 나노전자(소자)

시장의 점유율이 매우 높지만 앞으로 나노소재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들도 매년 큰 성장이 예상되기 때문에 나노기업 및 관련 정부기관들은 이에

대한 준비와 투자에 보다 적극적일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끝으로 본 보고서 집필에 참여한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강상규 배성훈 책임

정연주 김준현 연구원 및 단국대 천성용 교수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2017년 04월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소장

i

요 약

본 연구는 계량적 모형을 활용하여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체계적으로 예측하

였다 분석 결과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은 약 667조원으로 성장 예측되며 세부 산

업별로 나노소재 150조 나노전자(소자) 511조 나노바이오의료 13조 나노장비기

기 46조 시장을 형성할 전망이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나노산업의 경제적 파

급효과를 파악하고 관련 정부 기관 및 나노기업의 정책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

안할 수 있다

1 연구의 개요

나노기술이 국내 산업과 일반 국민의 소비 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할 때 체계적이

고 과학적인 방법론에 근거한 미래 나노시장 규모 예측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이라는 계량적 모형을 활용하여 2025년 국내 나노산업의 시장 규모를 예측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과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는 종합적인

예측 방법론을 제안하였으며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의

각 세부 산업별 매출액을 예측함으로써 각 산업별 성장 가능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전

문가 의견 및 몇 가지 시나리오를 반영한 민감도 분석을 실행하여 미래 나노시장의 다양한

변화 가능성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나노 관련 정부 기관 나노기업들은 향

후 나노시장의 잠재적 성장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2 조사 방법 및 설계

본 연구는 먼저 전문가가 아닌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를 정리하고

(Step 1) 해당 결과를 산업 전문가들에게 제시한 후 향후 5년간 각 나노산업의 시장 매출액

을 예상하게 하였다(Step 2) 본 연구는 이렇게 얻어진 전문가 예측값을 Diffusion Model의

입력 자료에 포함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2025년 국내 나노산업의 시장 총매출액을 예측하

였다(Step 3) 이후 다양한 시나리오에 의해 모형의 계수값을 변경시키면서 시장 예측값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을지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행하였다

ii

3 주요 결과

기존 나노산업 규모 예측치는 대부분 해외 유명 기관 학자들의 의견을 그대로 따르거나

혹은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에 기반한 단순한 방법으로 계산된 것이다 일례로 Roco 박

사가 제시한 lsquo2020년 나노산업 3조달러 성장rsquo 예측은 국내외 다양한 보고서 신문자료 등에

서 빈번히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과거 연평균성장률을 통한 예측은 이미 성숙기에 도달한

안정적 산업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나노기술과 같이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하고자 하였

다 Diffusion Model이라는 계량적 모델과 일반소비자 조사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 조사라

는 정성적 방법을 종합하여 2025년 국내 나노기술 시장 규모를 예측하였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나노기술 시장은 2025년 약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으며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시장 대비 약 504배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만약 전체 제조업이 2010~2014년

의 연평균성장률 26를 유지한다고 가정할 경우 2014년 기준 전체 제조업 중 89를 차

지하는 나노산업은 2025년 3368으로 비중 확대될 전망이다 한편 전문가 예측 의견의 최

대값 최소값을 각각 Diffusion Model에 반영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의 최대

값은 811조 최소값은 534조로 예측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나노산업을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의

세부 산업으로 구분하고 각 산업의 미래 규모를 추정하였다 먼저 나노소재 산업은 2025년

150조원 시장으로 성장하여 2014년 현재 약 10조5천억원 대비 143161 성장할 것으로 예

측되었다 나노전자(소자) 산업은 2025년 511조원으로 성장하여 2014년 현재 약 119조원

대비 4282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25년 13조원 시장으

로 성장하여 2014년 현재 약 7천억원 대비 1795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마지막으로

나노장비기기 산업은 2025년 46조원 시장으로 성장하여 2014년 현재 약 1조8천억원 대비

25810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성장률 기준으로 비교할 경우 나노소재 산업이 가장 큰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

로 판단되며 그 다음으로 나노전자(소자) 나노장비기기 나노바이오의료 순서로 예상된다

단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2014년도 특별히 크게 성장한 점을 반영하여 예측값을 보정할

경우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25년 약 4조6천억원

iii

시장으로 예상되며 이 경우 국내 나노시장의 총규모도 670조원으로 상승이 예상된다

한편 각 산업별 매출 비중을 비교할 경우 2025년 전체 나노시장에서 나노소재 산업이 차

지하는 비중은 2247 나노전자(소자) 7665 나노바이오의료 020 나노장비기기

068로 예측된다 이는 2014년 현재 기준과 비교할 때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비중이 다

소 줄어들고 나노소재 산업의 비중이 늘어날 것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한편 나노바이오

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 2014년과 비교할 때 여전히 작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

상된다

4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국내 나노산업이 2025년까지 빠른 속도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측하였다

나노산업의 미래 시장 규모 예측은 모든 나노 관련 정책의 기본적인 토대이다 본 조사 결

과는 향후 각종 나노산업 통계 및 예측의 기초 자료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으며 국내 나노

시장의 성장 방향 및 전략 도출을 위한 세부적인 분석 및 시사점 제안을 가능하게 할 것이

다 예를 들어 나노기업은 본 조사 결과를 활용해 향후 나노시장의 성장 속도에 대비한 적

절한 투자와 인력 충원 등을 선제적으로 계획할 수 있다 또한 나노 관련 정책을 개발하는

정부 기관 연구소들도 미래 나노시장의 잠재적 규모에 근거한 관련 정책을 개발 및 지원할

수 있다

본 조사는 이를 위해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수많은 나노 관련 연구들이 가장 중요한 미래 시장 규모 예

측에 있어 비교적 단순한 방법을 적용했음을 감안할 때 본 연구가 향후 국내 나노산업이

보다 체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단 현재 국내 나노

산업 매출 데이터가 아직 충분하지 않아 예측 결과값이 민감하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향후

지속적인 업데이트 과정을 통해 미래 나노산업 예측값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iv

Abstract

This study systematically predicts the size of the domestic nano-market using

quantitative model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 domestic nano-market will

grow to about 667 trillion won by 2025 By industry it is expected to form a

market of 150 trillion won for nanomaterials 511 trillion won for

nanoelectronics(devices) 13 trillion won for nanobiotechnologyhealthcare and 46

trillion won for nanotechnology equi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the nano-industry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policy development of nano-related government agencies and companies

1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rsquo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nano-market size based on a systematic

and scientific methodology This study predicted the market size of domestic nano-industry in

2025 by using a ldquoDiffusion Modelrdquo which is one of the quantitative models

In this process we proposed a comprehensive forecasting methodology that reflects the

general consumersrsquo perception of nanotechnology and nano-industry expertsrsquo opinions

As we predicted the sales of each industry of nanomaterials nanoelectronics(devices)

nanobiotechnologyhealthcare nanotechnology equipment the growth potential of each

industry was compared and analyzed Also sensitivity analysis that reflects various

expert opinions and several scenarios was conducted to include various potential changes

in the future nano-market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nano-related government

agencies and companies can proactively respond to the potential growth of the future

nano-market

v

2 Survey Method and Design

In this study we first summarized the results of nanotechnology perception survey by

general consumers(Step 1) After presenting the results to experts in nano-industry we

asked experts to estimate the sales of each nano-industry market over the next five

years(Step 2) We predicted the total sales of nano-industry market in 2025 by finally

incorporating the obtained expert estimates into the fundamental data of the diffusion

model(Step 3) We then conducted a sensitivity analysis of how the market predictions

could be different by changing the modelrsquos coefficients by various scenarios

3 Major Results

Most of the existing nano-industry size forecasts are predicted by simple methods

based on the past compound annual growth rate(CAGR) or by following the opinions of

overseas famous institutions and scholars For example the growth forecast of US $ 3

trillion in nano-industry in 2020 proposed by Dr Roco is widely used in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ports and newspaper articles However the part CAGR is

suitable for a stable industry that has already reached maturity and it is limited to apply

to the rapidly growing industries such as nanotechnology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size of domestic nano-market in a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method A quantitative model called the Diffusion Model a general consumer

survey and a qualitative method of nano-industry expert survey were combined to predict

the domestic nano-market size in 2025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the domestic nano-market is expected to grow to about 667 trillion won

in 2025 and is expected to grow 504 times as much as the 130 trillion won market as

of 2014 Assuming that the entire manufacturing industry maintains a CAGR of 26

between 2010 and 2014 the nano-industry which accounts for 89 of the total

manufacturing industry as of 2014 is expected to grow to 3368 by 2025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ximum and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소비자 인식조사 최종보고서

vi

minimum values of the expert estimates are applied to the diffusion model the

maximum value of the domestic nano-market size was estimated to be 811 trillion won

and the minimum value of 534 trillion won respectively

In addition this study devides the nano-industry into nanomaterials nanoelectronics(devices)

nanobiotechnologyhealthcare nanotechnology equipment and estimates the future size of each

industry First the nanomaterials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150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143161 in 2025 from about 105 trillion won as of 2014 The nanoelectronics

(devices)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511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42821 in

2025 from about 119 trillion won as of 2014 The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13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17951 in 2025 from about 700

billion won as of 2014 Lastly the nanotechnology equipment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46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25810 in 2025 from about 18 trillion won as of

2014

In terms of growth rate the nanomaterials industry is expected to have the greatest growth

potential followed by nanoelectronics(devices) nanotechnology equipment and

nanobiotechnologyhealthcare However if we revise the forecasts to reflect the large growth

of the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in 2014 the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is expected to reach about 46 trillion won in 2025 In this case the total size of

the domestic nano-market is expected to increase to 670 trillion won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the share of each industry the share of the nanomaterials industry in the

entire nano-market is estimated to be 2247 nanoelectronics(devices) 7665

nanobiotechnologyhealthcare 020 and nanotechnology equipment 068 This

demonstrates that the share of the nanoelectronics(devices) industry will be somewhat reduced

and that the share of the nanomaterials industry will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standards

as of 2014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and nanotechnology equipment industry

are expected to remain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2014

vii

4 Conclusion and Implications

This study predicts that the domestic nano-industry will continue to grow at a rapid

pace by 2025 The future market size forecast of nano-industry is the most basic

foundation of all nano-related poli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widely used as

fundamental data of various nano-industry statistics and forecasts and it can provide

in-depth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the growth direction and strategy of domestic

nano-market For instance a nanotechnology company can take advantage of the results

of this survey to respond appropriately to proper investment and personnel recruitment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growth of the nano-market Government agencies and research

institutes developing nano-related policies can also develop and support relevant policies

based on the potential size of future nano-marke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growth of the domestic nano-market is

approached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Given that many nano-related studies have

applied relatively simple methods to predict the most important future market size this

study will help the domestic nano-industry to develop more systematically in the future

However since the sales data of the domestic nano-industry is not enough yet the

forecast result value may be sensitively chang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forecast value of the future nano-industry through a continuous update process in the

future

ix

차 례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연구 방법론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2장 주요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1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2 세부 나노산업별 시장 규모 예측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3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변화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4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분석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1 신기술 확산 및 예측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2 소비자 수용 및 혁신 저항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3 산업전문가 활용 조사 방법론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4 나노산업 관련 이론 및 발전 동향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5 문헌연구 분석 결과 시사점 도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1 나노시장 예측 방법론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2 Diffusion Model 소개 및 적용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3 일반소비자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4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4

5 Diffusion Model을 적용한 나노산업의 미래 규모 예측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51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52 세부 산업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53 민감도 분석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1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2 시사점 도출 및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

3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소비자 인식조사 최종보고서

x

표차례

lt표 1gt 나노융합산업 분야별 매출액 현황 (단위 억원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lt표 2gt 현재와 미래의 중점과학기술 나라별 기술수준 기술격차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lt표 3gt 미래 면허증 보유자(포화시장규모) 예측 (단위 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lt표 4gt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단위 대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lt표 5gt 각 확산 예측 모형 별 오차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lt표 6gt 전체 시장 규모 대비 정부 투자 비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lt표 7gt Sheth(1981)의 저항 강도에 따른 혁신저항 4가지 유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lt표 8gt 전문가 델파이 분석의 설문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

lt표 9gt 중요도 및 난이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lt표 10gt 전문가 확신도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lt표 11gt 가상의 나노기술 적용제품 세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lt표 12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속성수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lt표 13gt 세 가지 나노기술 적용 제품군 별 구매의도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1

lt표 14gt 일반인 그룹의 컨조인트 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lt표 15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세 가지 제품군의 효용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lt표 16gt 본 연구의 기본 전제 및 해결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lt표 17gt 나노기술의 특징 품질 혁신성 이해 정도 비교 (동영상 시청전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lt표 18gt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추이 (단위 억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4

lt표 19gt 최종 나노산업 전문가 집단 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lt표 20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lt표 21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lt표 22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5

lt표 23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lt표 24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lt표 25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lt표 26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연도별 세부산업별 데이터 (단위 억원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lt표 27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lt표 2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2014년 예상 매출액 Vs 실제 매출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lt표 29gt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 성장 적용 시 예상 매출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lt표 30gt 나노산업별 p q 추정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lt표 31gt 혁신계수값 변화에 따른 나노산업 예측 규모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6

lt표 32gt 주요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8

xi

그림차례

lt그림 1gt 2020년 글로벌 나노시장 3조달러 자료를 인용한 신문 보도자료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

lt그림 2gt 과거 연평균 성장률 적용의 가상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lt그림 3gt 본 연구의 특징 및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lt그림 4gt 본 연구의 방법론 및 단계적 흐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lt그림 5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lt그림 6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단위 억원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lt그림 7gt 국내 나노소재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lt그림 8gt 국내 나노전자(소자)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lt그림 9gt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lt그림 10gt 국내 나노장비기기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lt그림 11gt 전체 나노산업 중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 비중 변화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lt그림 1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전문가 예상 매출액 보정 후 나노시장 총규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lt그림 13gt p q값을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으로 적용할 경우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lt그림 14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 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lt그림 15gt Bass(1969) 모형의 분석적 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lt그림 16gt 바이오칩 센서기술의 성장곡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

lt그림 17gt 모션플랫폼 확산 실제값 예측값 데이터 비교 세계와 한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lt그림 18gt 총 자동차 시장 대비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lt그림 19gt 세 모형 간 원데이터와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lt그림 20gt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lt그림 21gt 국내 RFID 확산 예측 모형과 실제 데이터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lt그림 22gt 각 모형별 확산 예측과 실제 데이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lt그림 23gt 델파이기법의 실행 절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0

lt그림 24gt 델파이 조사 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lt그림 25gt 생체인식 시스템 기술수준 중요도 난이도 종합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lt그림 26gt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도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lt그림 27gt 일반인과 전문가의 나노제품에 대한 지각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lt그림 28gt 일반인전문가 나노기술의 위해성 인식여부와 불안감여부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lt그림 29gt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나노산업 영향력 도출 방법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lt그림 30gt 나노기술 인식 조사 변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0

lt그림 31gt 일반 소비자의 나노기술 나노제품 사용 여부 인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lt그림 32gt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정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lt그림 33gt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과정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

lt그림 34gt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측값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lt그림 35gt 일반인 Vs 전문가 나노기술 인식 차이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lt그림 36gt 나노산업별 중요도 및 상대적 기술 수준 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소비자 인식조사 최종보고서

xii

lt그림 37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lt그림 38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최소값 평균값 최대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lt그림 39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lt그림 40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lt그림 41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5

lt그림 4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lt그림 43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lt그림 44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lt그림 45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최근 급속한 성장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lt그림 46gt 2025년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예상 매출액 (보정값)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lt그림 47gt 2025년 국내 나노산업별 비중 비교 (보정값)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lt그림 4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보정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산업 매출 예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lt그림 49gt 모든 산업이 나노전자 혹은 나노소재 산업 수준으로 성장할 경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lt그림 50gt 일반적인 소비재 제품의 혁신계수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lt그림 51gt 다른 연구(김진 고경일 2014)에서 추정된 p q 값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

lt그림 52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6

Table of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Summary of Research Methodolog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Chapter 2 Major Result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1 Summary of Forecasts of Total Domestic Nano-market Size in 2025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2 Summary of Market Size Forecasts by Sub-nano-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3 Summary of Sales Change by Nano-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4 Summary of Scenario-Based Sales Change Analysis Result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Chapter 3 Literature Review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1 Expansion and Prediction of New Technologi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2 Adoption Intention and Innovation Resistance of Consume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3 Industrial Experts-based Survey Methodolog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4 Nano-industry Related Theory and Development Tren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5 Drawing Implications from Literature Review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Chapter 4 Summary of Forecasts of Total Domestic Nano-market Size in 2025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1 Summary of Nano-market Forecast Methodolog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2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Direction of Diffusion Mod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3 Survey Results Summary of Nanotechnology Perception of Consumer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4 Survey Results Summary of Nano-industry Exper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4

5 Forecast Results of Future Nano-indudstry Size Applying Diffusion Model middotmiddot 79

51 Forecasts of Total Size of Nano-marke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52 Sales Forecast by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53 Sensitivity Analysis Scenario-based Sales Chang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Chapter 5 Conclusion and Implication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1 Summary of Result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2 Drawing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

3 Expected Effects and Application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

Referenc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제1장 서 론

1

제1장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나노산업의 성장이 계속되면서 나노기술 및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

가하고 있다 2016년 발표 자료1)에 따르면 2014년도 나노융합산업 매출액은 총

132조2930억원으로 전체 제조업 대비 약 9를 차지하였다 이는 지난 5년간 매년

연평균 107 성장한 수치이며 같은 기간 전체 제조업 매출액의 연평균 성장률

26보다 약 4배 정도 높은 성장률이다

lt표 1gt 나노융합산업 분야별 매출액 현황 (단위 억원 )

분야별 매출액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연평균 성장률

나노소재 87191 111370 96651 144391 104664 47

나노전자 770863 785380 1170282 1215753 1193383 115

나노바이오의료 2718 2934 4444 4126 7249 278

나노장비기기 19698 23170 19152 22669 17634 -27

나노융합산업 합계 880470 922854 1290529 1386939 1322930 107

제조업 합계 13395480 15023530 15114951 14957302 14865742 26

자료 2016년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일반적으로 나노융합산업이란 ldquo나노기술을 활용하여 나노융합제품을 생산하는

산업rdquo으로 나노융합제품은 ldquo100nm 이하의 크기에서 인위적 조작을 통해 혁신적

인 기능을 창출하는 제품rdquo으로 정의하고 있다 나노기술의 발전과 함께 시장에 새

롭게 출시되는 나노제품들이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도 나노산업의 발전은 계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나노기술이 향후 국민 소비와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할 때 나노산

업의 미래 성장 예측은 필수적이다 미래 나노시장의 규모 예측에 기반해 정부의

관련 정책 개발 및 기업의 투자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정부기

1) 2016년 12월 산업통상자원부가 국내 나노융합기업 59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발표한 ldquo2015 국내 나노융합산업 실태조사rdquo 결과 자료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

관 및 많은 나노관련 연구소들은 나노산업의 성장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

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 규모에 대해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KISTEP에서 발행한 한 연구 보고서2)에서도 언

급되었듯이 현재 나노관련 시장의 규모의 예측은 다양한 방식으로 추정되는 상

황이며 시장 전망 조사 전문 기관의 시장 예측 규모도 조사 기관 간에 매우 큰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추정하는 방법은 대체로 해외 유명 기관 혹은

학자의 예측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혹은 글로벌 예상 매출액에 단순히 목표

점유율을 계산하여 국내 시장의 미래 규모를 예측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나노비지니스 얼라이언스(NanoBusiness Alliance) 나노기술산

업 컨설팅사인 럭스리서치(Lux Research) 일본 미쯔비시 연구소 등에서 발표하는

나노관련 시장의 규모 및 성장률 자료를 그대로 인용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Roco 박사가 제시한 2020년 글로벌 나노시장 3조달러 예상(Roco et

al 2010) 수치는 국내 다양한 연구기관과 신문 보도 자료들에서 여러 차례 활용

되고 있다

lt그림 1gt 2020년 글로벌 나노시장 3조달러 자료를 인용한 신문 보도자료들

2) 김석필 외(2014) ldquo나노기술 상용화 현황 진단과 혁신과제rdquo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연구보고 2014-016

제1장 서 론

3

그런데 이와 같은 자료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과거 나노산업의 연평균 성장률

(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을 대입하여 단순하게 미래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했다는 것이다 즉 과거의 성장률을 기반으로 미래의 시장을 예측하

는 방법을 활용한 것이다

이 방법은 다양한 산업에서 비교적 쉽게 사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나노산업 이

외에도 일상적으로 자주 활용되는 방법이다 하지만 연평균성장률 적용 방법은

성숙기에 접어든 안정적인 산업 혹은 저성장 산업에 적용할 경우 보다 적합한 방

법이다 일례로 아래 그림과 같은 두 가지 가상의 예를 제시할 수 있다

lt그림 2gt 과거 연평균 성장률 적용의 가상 예

위의 두 경우 연평균성장률은 115로 동일하다 하지만 성장 패턴을 비교할

때 왼쪽 나노전자(A)의 경우 향후 추가적인 성장이 기대되지만 오른쪽 나노전자

(B)의 경우 점차 하락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즉 두 가지 사례가 서로 다른 모습

의 성장 과정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연평균 성장률은 시작값과 마지막값의 차이

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같은 수치를 보이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이미 충분히 성장한 성숙기 산업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

을 수 있다 어느 정도 성장이 완료된 이후에는 성장 패턴에 큰 차이가 없기 때문

에 과거 연평균 성장률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연구의 초점인 나노산업의 경우 현재 급속한 성장이 진행되고 있으며 세부 산업

별 성장 패턴도 다양한 편이다 즉 과거 연평균 성장률이 미래에도 안정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실제로 2020년 3조달러 시장을 제안했던 Roco 박사도 2014년 한 발표에서 2011

년 이전 연평균 성장률 25를 보였던 나노산업이 2011~2013년 전세계적으로 연평

균 44 성장했다고 하였다(Roco 2014) 즉 과거의 나노산업 성장 예측 기대치보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

다 최근 더욱 빠른 성장세가 발견된 것이다 이 역시 과거 연평균 성장률이라는

단순한 계산에 의해 나노산업의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한계가 있을 수 있음 보여

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문제점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보

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하고자 한다 우

리나라가 앞으로 나노 선진국으로 한 걸음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 해외 자

료에만 의존할 수 없다 이제 국내 독자적으로 나노시장을 예측하고 미래 시장

규모에 적절한 체계적 대응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나노시장

의 규모 예측은 모든 나노 관련 정책의 가장 밑받침이 될 것이기 때문에 본 연구

와 같은 시도는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처럼 나노시장 예측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국내 나노관련

연구들은 기술 중심 현황 분석 중심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예를 들어 국내외

나노산업의 단순 현황(ex 산업별 매출액 나노융합기업 사업체 수 고용인원

RampD투자액 등)을 조사하거나 기술 발전 동향 조사 나노기술의 부작용 위험성

조사 사업화 역량 조사 등이 주를 이루었다 즉 다른 산업의 연구에 비해 계량적

이고 체계적인 연구 및 방법론 활용이 부족하였고 무엇보다 가장 기본이 되는 수

요예측의 과학적 접근이 부족하였다

국내 나노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이제 계량적이고 체계적인 모형을 활

용한 예측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에서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의

견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아직 시장 데이터가 불충분하고 불확실성이

높은 나노산업의 시장 규모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산업을 가장 잘 이해하는 전문

가들의 의견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는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도 연구 결과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초기 시장을 지나 본격적인 성장기로 돌

입하기 위해서는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혜택 이해와 수용이 필수적이라고 판

단했기 때문이다 기존 문헌에서도 새로운 과학기술과 관련된 산업에서는 다양한

구성원들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예를 들어 오미영 외(2008)의 연구

에서도 과학 기술이 사회 경제적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사회 구성원들에 대한 이

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이라는 계량적인 모형을 활용해 보다 체

계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미래 규모를 예측하고자 한다 또한 나노산업

이 아직 초기 단계에 있음을 반영하여 산업 전문가 조사와 일반 소비자 조사의 의

제1장 서 론

5

견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수요예측 방법론을 제안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나노산업

의 미래 예측 결과를 통해 향후 나노 관련 정책 개발 및 나노기업의 전략 설정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논의한 본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량적 모형을

활용한 과학적인 나노기술 확산 및 성장 예측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계량적 모

형과 함께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과 최종 소비자 의견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고자

한다 셋째 다양한 서베이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정책 개발을 위

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lt그림 3gt 본 연구의 특징 및 목적

또한 본 연구는 보다 완성도 있는 결과물을 위해 특별히 다음의 세부 요건들을

최대한 만족하는 연구 결과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나노기술

이 특정한 최종 제품에만 적용되는 타겟 기술이 아닌 ldquo기반 기술rdquo이라는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둘째 나노산업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현업 전문가들의 의견

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셋째 나노기술의 확산을 위해 나노기술에 대한 지식 수

준이 낮은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을 모형에 적절히 반영해야 한다 넷째

전반적인 예측 과정의 논리적 흐름이 설득력 있고 간결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

2 연구 방법론 요약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의 연구 과정을 통해 최종적인 나노기술의 산업 영향력

을 도출할 계획이다 이를 그림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4gt 본 연구의 방법론 및 단계적 흐름

우선 본 조사는 나노제품을 사용하는 최종 소비자인 일반 사람들의 나노기술 인

식 정도를 측정할 것이다(Step 1) 특별히 나노기술에 대한 혜택 비용(혁신저항)

신뢰도 수용의도 등의 변수를 분류하고 이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측정할 것이다

이후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를 실시한다(Step 2) 나노산업을 통계청 기준에 따라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의 네 가지 산업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각 산업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상액

과 각 산업의 중요도 기술수준 평가 등을 실시한다 특이한 점은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앞서 실시한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결과를 제시한다는

것이다(그림 4에서 점선 표시)

이는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지나치게 기술 중심적 사고를 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시장을 예측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나노기술

의 경우 소비자의 잠재적 위험 인식이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고려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소비자의 인식도를 살펴본 후 관련 나노산업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

제1장 서 론

7

집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예측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지금까지의 두 가지 기본 조사를 완료한 후 본 조사의 핵심 내용인 국내 나노

시장의 미래 시장 규모를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예측한다(Step 3) 이 과정에

서 앞서 얻어진 산업 전문가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측값을 입력 자료로 포함하

여 최종적인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의 총규모와 산업별 규모를 예측한다

이와 같은 방법론을 시도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연구의 Diffusion

Model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장 매출액 초기값들이 필요하다 하지

만 현재 시장에서 집계된 나노산업 매출액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단 5년간의

데이터만 활용 가능하다 이 경우 데이터 부족으로 불안정한 추정값이 도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 나노산업의 특성을 반영해 시장을 가장 잘 파

악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나노산업 전문가의 단기적 미래 예측(2015~2018년)값을

수집해 최종적인 모형에 적용할 입력 자료의 양을 늘리고자 한다

물론 산업 전문가에게 더 많은 기간의 미래 예측값을 얻어낼 수도 있지만 불확

실성이 높은 성장 산업에 대한 중장기적 예측의 어려움을 감안해 향후 몇 년 간의

값만을 수집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일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단 이 경우 앞서 설

명한바와 같이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혹은 지나치게 기술

중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예측값을 제시하여 결과값이 과대 추정될 우려가 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일반적인 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조사

를 먼저 실행하여 해당 결과를 전문가에게 제시한 후 단기적 미래 예측값을 응답

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을 통해 본 연구는 나노산업의 초기적인 특징을 반영하면서

최대한 종합적인 시각에서 체계적으로 국내 나노산업 시장 규모를 추정하고자 계

획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계량적인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향후 나노

산업의 성장 및 영향력을 예측하는데 이 과정에서 최종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및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적극 활용할 것이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2025년 국내

나노산업의 총규모를 예측한다 그리고 산업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한 시나

리오 분석을 통해 민감도 분석을 실시할 계획이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

제2장주요 결과

1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요약

Diffusion Model 일반소비자 조사 전문가 의견조사를 종합한 방법론을 활용하

여 국내 나노산업의 매출 규모를 예측한 결과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은 약 667조

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대비 504배(504) 성

장 전망된 것이다 또한 전체 제조업이 2010~2014년 동안의 연평균성장률 26를

계속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 제조업 총매출에서 나노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89에서 2025년 3368 수준으로 비중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5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lt그림 6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단위 억원 )

제2장 주요 결과

9

2 세부 나노산업별 시장 규모 예측 요약

나노산업을 각 세부 산업별로 나누어 분석할 경우 우선 나노소재 시장은 평균

값 기준 202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

재 약 10조5천억원 대비 14316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lt그림 7gt 국내 나노소재 산업 매출액 전망

나노전자(소자)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511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19조원 대비 4282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

이다

lt그림 8gt 국내 나노전자(소자) 산업 매출액 전망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

나노바이오의료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1조3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되

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7천억원 대비 1795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lt그림 9gt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매출액 전망

나노장비기기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4조6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되었

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조8천억원 대비 25810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lt그림 10gt 국내 나노장비기기 산업 매출액 전망

제2장 주요 결과

11

3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변화 요약

본 연구의 예측치를 바탕으로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 비중을 비교하면 2014년 대

비 2025년 나노소재 산업의 매출 비중(791rarr2247)이 증가하고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매출 비중(9021rarr7665)이 하락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나노바이오

의료 산업과 나노장비기기 산업은 여전히 작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lt그림 11gt 전체 나노산업 중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 비중 변화 추이

4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분석 결과 요약

본 연구는 몇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2014

년도 급격히 성장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성장세를 감안하여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전문가 예상 매출액을 보정하여 예측한 결과 나노산업의 총매출 규모는

667조원에서 670조원으로 다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lt그림 1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전문가 예상 매출액 보정 후 나노시장 총규모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2

한편 만약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소재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

년 국내 나노산업은 평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또한 모

든 나노시장이 나노전자(소자)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

준 약 14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lt그림 13gt p q값을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으로 적용할 경우 민감도 분석

마지막으로 정부의 투자 지원 확대 등으로 나노시장의 혁신계수(P)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에는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lt그림 14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 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3

제3장관련 문헌 연구

1 신기술 확산 및 예측 연구

일반적으로 제품 서비스 기술에 대한 수요예측 방법론은 정성적인 방법론과

정량적인 방법론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성적 방법으로는 설문조사방법 주관적

예측방법 비교유추방법 등이 있으며 정량적인 방법론은 Bass 확산모형 Logistic

곡선모형 Gompertz 곡선모형 등이 있다 정성적 방법론은 주로 기존 시장의 자료

가 충분히 존재하지 않아서 수리적 모형화가 어려울 경우 소비자나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진행된다 반면 정량적 방법은

기존 시장 자료가 존재하고 이에 대한 통계적 분석이 가능할 경우 분석 자료를 통

해 앞으로의 수요패턴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정성적 방법론(qualitative method) 중 하나인 비교 유추법이란 미래 수요예측이

어려울 정도로 과거의 시장자료가 충분치 않을 때 원하는 제품과 유사한 제품의

시장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요패턴을 예측하거나 해당 제품이나 기술이 먼저 보

급화된 선진국의 수요패턴과 비교하고 답을 유추하는 과정을 통해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정성적 방법 중에는 전문가의 의견을 활용하는 주관적 예측법(subjective

estimation)이 존재하는데 이는 미래수요를 예측하고자 할 때 해당 제품 기술과

관련된 분야의 전문가들(기술담당자 마케팅 실무 담당자 관련된 기관에 근무하

는 전문가 등)의 의견을 통해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래 수요예측을 진행하며

이 주관적 예측법에는 브레인스토밍 델파이법(Delphi method) 등이 포함된다 이

중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브레인스토밍 기법은 과거에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

었지만 최근 사용되는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이며 최근 델파이 기법을 통해 정성

적 수요예측을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델파이 기법의 핵심요소는 전문가들

의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수요판단에 있

어서 다른 정성적 방법 중 비교적 객관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델파이 기

법은 분석과정에서 미래예측결과를 조사하고 또한 확인하는 과정을 다시 거치기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4

때문이다 따라서 정량화가 어려운 경우에도 나름대로 높은 신뢰성을 갖는 통계

를 보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수요예측 방법론으로는 정량적 방법(quantitative method)이 존재하는

데 과거 시장자료가 존재할 경우 이 데이터를 통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수요패턴을 예상하는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이 범주에는 시계열 모형 계량경제

모형 성장곡선 모형 등이 있다 시계열 모형은 시계열 자료에 대한 자기상관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생성되는 모형으로 대표적인 모형은 Box Jenkins의 ARIMA 모형

이며 주로 월별 매출의 변동과 같은 단기예측을 위해 사용된다 계량경제모형은

시장의 수요를 예측하려 할 때 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경제 변수

들을 파악하고 이들의 상호적 관계를 수식화해 regression하는 방법을 말한다 마

지막으로 성장곡선 모형은 신기술 신제품의 시간적 누적된 수요량의 궤적이 성

장곡선과 유사하게 완만한 S자형 모형의 곡선 형태를 보이는 점에 착안하였으며

Logistic 모형 Gompertz 모형 Bass 모형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성장곡선은 전염

병과 세포증식과 같은 생물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모형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1960년대부터 탁월한 수요예측 능력과 유용성을 인정받고 신제품 신기

술 서비스의 수요예측에 사용되어져 왔다 기술의 성장을 예측하는데 주로 활용

되는 Logistic 모형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Y는 t 시점에서 존재하는 기술 수준 k는 극한의 기술값을 뜻하며 α와 β

는 성장의 형태를 결정하는 계수를 의미한다 기술성장의 그래프 역시 기술의 극

한값 k를 기준으로 S-Curve의 곡선을 나타내게 된다

t⁰는 기술 수준의 최대값을 나타내며 이는 기술의 성숙기라고 표현할 수 있다

당기 기술수준의 최대점은 누적곡선의 변곡점이라 할 수 있으며 tsup1은 당기 기술

의 변곡점이다 이 때는 주로 성장기에 해당하며 본격적으로 해당기술이 개발되는

시점을 의미한다 성숙기와 성장기는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5

또한 곡선의 완만한 형태를 결정하게 되는 모수로는 α β가 있는데 K(기술의

극한값)가 일정할 경우 t의 시점에 따른 기술 Y가 추정이 가능하다 Logistic 곡선

은 선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α β가 추정 가능하다 Pearl과 Reed가 개발한 성

장곡선모형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Y(K-Y)는 기술변화

의 속도를 나타내며 해당 기술 발전의 속도가 현재의 기술 수준이 최대값의 기술

수준이 되기까지 남아있는 기술혁신에 해당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Gompertz 모형

은 Logistic 모형처럼 변곡점을 가지고 있지만 변곡점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비대

칭적 S자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장점으로는 좌우 대칭이라는 특성으로

해당 시장의 정확한 상황을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때 Logistic 모형과 비교해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Gompertz 모형은 변곡점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기술이나 제품 초기에 많은 성장을 보이는 경우 Logistic 모형보다 적

합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함수식은 다음과 같다

Gompertz 모형은 첨단기술 제품의 수요예측에 많이 사용되며 최근 기술발전으

로 제품 생애주기(Life Cycle)가 짧은 형태를 보임에 따라 신제품 또는 신기술의

빠른 성장을 예측하는데 더 나은 예측력을 보일 때가 많다

신제품의 수요 확산 예측을 위해 개발된 모형 중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모

형으로는 Bass가 개발한 최초구매 확산모형(First-Purchase Diffusion Model)을 말

할 수 있다 Bass 모형 연구는 내구재(TV 세탁기 등)를 제품으로 선정하였기 때문

에 소비자들이 이들 제품을 반복구매하는 상황보다는 한 개의 제품을 최초구매하

는 상황을 가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제품 수용자들의 수는 신제품의

판매숫자와 같다고 보았으며 잠재수용자들은 대중매체나 다른 사람들의 구전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영향을 받고 제품을 수용한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수용자들은 내부적 영향(구전 커뮤니케이션)과 외부적 영향(대충매체 커뮤니케이

션)의 영향에 따라 신제품을 수용하며 수용 시기에 따라 처음 수용하는 사람들을

혁신자 집단(innovators) 나머지 수용자들을 모방자 집단(imitators)으로 나누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6

Bass 모형은 아직까지 신제품을 수용한 경험이 없는 잠재구매자가 특정시점(t 시

점)에서 신제품 수용할 해저드함수(조건부함수)를 표현하며 이 함수식은 다음과

같다

이때 p는 혁신계수(Coefficient of Innovation) q는 모방계수(Coefficient of

Imitation) f(t)는 시간 t에서의 수용 확률 F(t)는 시간 t에서의 누적되는 수용 확률

을 의미한다 이때 특정시점(t 시점)에 신제품을 수용 채택하는 잠재구매자의 숫

자 s(t)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계산이 가능하다

이처럼 Bass 모형은 신제품 신기술이 최초로 채택되어 수용될 확률은 이전의

구매자 숫자의 선형함수라고 말한다

lt그림 15gt Bass(1969) 모형의 분석적 구조

BASS 확산모형은 잠재 시장 크기를 뜻하는 M 혁신계수를 뜻하는 P 모방계수

를 뜻하는 Q와 같이 세 개의 모수가 존재하는데 M은 해당 제품의 시장 최대 수

용치를 말하며 P는 대중매체와 같은 광고의 외부적 영향에 따른 계수이며 Q는

구전효과와 같은 내부적 영향에 따른 계수라 할 수 있다 Bass 모형은 Logistic 모

형이나 Gompertz 모형에 비해 모형의 세 모수가 모두 명확하고 객관적 해석이 가

능하여 의미 있는 결과 도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Logistic 모형과 Gompertz 모형을 적용한 연구로는 한민규 외(2010)의 바이오칩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7

센서기술 성장 예측 연구가 있다 이들은 국내의 미래 성장 경쟁력과 국가적 지위

향상을 위해서는 국가 수준에서 과학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현

재 국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과학기술의 데이터를 통해 현 상태를 파악하고 선진

국과의 기술수준차이 수준차이 요인 및 이를 줄이기 위해 필요한 조건 등을 파악

하고 한정된 자원의 효과적 배분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저자들은 기존 기술

수준을 평가한 연구들이 델파이 기법과 같은 방법론으로 조사한데 반해 기술성장

모형(Technology Growth Model)을 도입하여 기술수명주기에 따라 기술의 성장 모

습을 예측하였다 이들은 델파이 모형과 더불어 S-curve 모형 중 특히 Logistic모

형인 Pearl 모형과 Gompertz 모형을 사용하여 각각의 모형을 비교해 연구를 진행

하였다 기술수준의 현재와 미래 예측 분석결과 해당하는 기술의 궁극적 최대 기

술수준이 100라면 2008년 기준 국내 전체 과학기술 수준은 564 최고 기술보

유국과의 기술의 격차는 66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3년(이 연구는 2008년에

진행됨)을 예측해 보았을 때 한국과 중국은 최고기술보유국인 미국과의 격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본과 유럽연합은 미국과의 격차가 늘어나는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이는 국내의 과학기술 수준이 급격한 발전을 이룰 것이라

는 것을 전망한다

2008년 2013년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한국 564 66 635 63

미국 766 00 809 00

일본 704 17 755 20

중국 469 93 549 87

EU 729 11 776 14

lt표 2gt 현재와 미래의 중점과학기술 나라별 기술수준 기술격차 예측

자료 한민규 외(2010)

저자들은 이중 특히 바이오칩 센서기술 수준을 중점적으로 평가하였는데 바이

오 분야의 12가지 중점적 과학기술의 2008년 현재와 2013년 미래예측 기술수준

기술격차를 분석하였다 바이오칩 센서기술은 현재 최고기술 보유국인 미국와의

기술격차가 적은 편이었으며 2013년에는 이러한 기술 격차가 더욱 적어질 것으

로 예상되었다(바이오칩 센서 기술격차 2008 61년 -gt 2013 43년) 이는 바이오

칩 센서 분야의 기술이 세계적인 국가와 더욱 적은 기술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8

빠른 기술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분야를 지원한다면 세계 최고수준으로 오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lt그림 16gt 바이오칩 센서기술의 성장곡선

자료 한민규 외(2011)

기술성장곡선을 통해 도출해낸 기술수명주기의 경우 Pearl 모형의 경우 35년

Gompertz 모형의 경우 28년(Gompertz)을 도출하였으며 기술 발전 속도의 경우

Pearl 모형은 0158 Gompertz 모형의 경우 0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바이

오 분야의 다른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기술수명주기와 더욱 빠른 기술발

전 속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기술적 사회적 실현시기의 측정값이 다

른 바이오 분야의 기술 중 가장 빠른 2015년 2020년으로 나타난 점을 통해서도

나타났다 한민규 외(2010)의 연구는 기술성장모형(Pearl Gompertz)을 활용 현재

기술수준을 평가하고 수치적으로 기술수준의 미래를 평가한 연구이다 기술성장

모형은 기술에 대한 절대적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술을 더욱 객관적으로 관

측할 수 있게 도와주는데 각각의 기술분야를 세부적으로 보고 해당 분야의 미래

기술수준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해당 연구는 높은 시사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성장곡선 모형 중 Bass 모형을 적용한 연구는 권순동 이승률(2015)의 연구가 있

다 최근 스마트 공장과 같은 기술을 통한 자동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9

문에 자동화에 필요한 자동제어 생산자동화기기와 같은 모션컨트롤러장치의 필

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유럽이나 미국의 소프트웨어 컨트롤러 장치인 PLC기반 모

션컨트롤러의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는 아직 PLC의 국제표준을 완벽히

충족하는 제품의 출시가 이뤄지지 않고 있지만 전자부품연구원과 생산기술연구

원을 중심으로 이러한 국제표준을 지향하는 lsquo한국형 오픈소스 모션플랫폼

(KOSMOS)rsquo의 기술개발이 2016년 완료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으며 2017년 상용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KOSMOS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을 개발함과

동시에 제품의 기술확산을 예측하는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연구

를 진행하였다

이들은 2000~2014년까지 출원된 한국 일본 미국 유럽의 모션플랫폼 분야 기

술 모션제어기 분야 기술의 특허데이터를 확인하고 여기에서 나온 세계 데이터

와 한국데이터를 확인해 향후 20년의 특허정보를 예측하였다

lt그림 17gt 모션플랫폼 확산 실제값 예측값 데이터 비교 세계와 한국

세계 시장 한국 시장

자료 권순동 이승률(2015)

수집된 특허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Bass 모형으로 추정된 특허데이터의 산출 예

측값과 실제데이터를 비교분석한 결과 그림과 같이 실제데이터와 예측데이터 값

이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데이터와 Bass 모형을 통해 산출한 예측

데이터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냄에 따라 2035년까지의 PLC 기술(특허정보) 미

래 확산 예측을 실시하였다

세계 PLC관련 기술의 확산은 성숙기 단계로 접어들어 이미 변곡점을 넘은 것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0

알 수 있었으며 국내 PLC 기술의 추세는 성장기이며 기술확산의 속도가 더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확산의 포화상태의 경우 세계 데이터는 2025년을 국

내의 경우 2035년으로 10년이 넘는 격차를 예측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권순동 이승률(2015)의 연구는 PLC 기술 특허정보를 통해 기술확산

을 분석하였는데 국내의 경우 2030년이 넘어서야 기술 성숙기에 이를 것으로 예

상되기 때문에 기술격차를 줄이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ass 모형을 통해 실제데이터와 예측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실제와 매우 유사한 결과값이 나타난 점을 보았을 때 기술의 확산을 예측할

때 Bass 모형의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Bass 모형

의 모수추정에 있어 해당 산업의 전문가의 검증을 거치지 않았다는 점은 한계점

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ss 모형을 적용한 또 다른 연구로는 채현석 정재우 김종달(2016)의 전기자동

차 미래 수요예측 연구가 있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이미 19세기 초반에 내연기관

차보다 먼저 생산되어졌지만 당시 값싼 연료들이 나타나고 내연기관자동차가 시

장의 대부분을 장악한 필수품으로 거듭나면서 쇠퇴의 길을 걷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석유의 고갈문제 미세먼지를 비롯한 지구의 환경문제 등이 대두되면서 전

기자동차에 대한 이슈와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많은 회사들이 전기자동차를 개발

출시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채현석 정재우 김종달(2016)은 내연기관자동차

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는 전기자동차의 미래 누적수요를 Bass의 Diffusion 모형

을 사용하여 도출하였다

저자들은 기존 확산모형에서 포화시장의 규모를 고정시키지 않고 시간의 흐름

에 따라 상이하게 변화하는 포화시장을 적용하였는데 포화시장의 규모는 면허증

을 소지한 사람 수의 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미래 면허증 소지자 수를 예측하여 미

래의 연도별 포화시장의 규모를 설정하였다 이를 적용한 식은 다음과 같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1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성인인구 43304264 43736407 44145684 44529637 44822001 45051984

면허보유율 77262 78424 79586 80748 81910 83072

면허보유자 33457740 34299840 35133784 35956791 36713701 37425584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포화시장의 연도별 규모가 예측되었다

lt표 3gt 미래 면허증 보유자(포화시장규모) 예측 (단위 명)

구 분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성인인구 45253078 45401266 45546834 45724037 45930854 46096786

면허보유율 84234 85396 86558 87720 88882 90044

면허보유자 38118478 38770865 39424429 40109125 40824262 41507390

구 분 2030 2031 2032 2033 2034 2035

성인인구 46240946 46411167 46561300 46715986 46894600 47098744

면허보유율 91206 92368 93530 94692 95854 97016

면허보유자 42174517 42869067 43548784 44236301 44950350 45693317

자료 최현석 외(2016)

또한 혁신계수(p)값과 모방계수(q)값을 도출하기 위해 일본의 자동차기업인 도

요타 하이브리드의 과거 판매자료를 이용하였는데 이는 국내의 경우 전기자동차

의 판매량을 조사한 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혁신계수 모방

계수 값을 도출하였다(p= -0000123863 q= 01643282595)

과거 도요타 하이브리드 차량 데이터로 얻은 혁신계수 모방계수 값과 연도별

면허증 소지자 숫자인 포화시장 규모 예측값을 바탕으로 전기자동차의 총 누적

수요예측을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누적수요 5096472 9653628 13733868 17391699 20645273 23540681

lt표 4gt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단위 대수)

구 분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누적수요 26130695 28435214 30515473 32426076 34195417 35794262

구 분 2030 2031 2032 2033 2034 2035

누적수요 37253808 38629215 39897785 41092584 42242486 43359991

자료 최현석 외(2016)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2

lt그림 18gt 총 자동차 시장 대비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자료 최현석 외(2016)

결과적으로 미래 전기자동차는 2035년에는 내연 기관자동차들을 대신해 자동차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채현석 외(2016)의 연구에서는 포화

시장의 예측을 기존 자동차 면허증 소지자의 데이터를 토대로 미래 면허증소지자

의 숫자를 예측하는 방식으로 산정하였다는 점이 흥미롭다고 할 수 있는데 혁신

모방계수의 산정을 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판매데이터 부족으로 일본의 도요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일본 내 판매량을 바탕으로 p q 값을 도출해 내었다는 한계

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기술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을 모두 사용

한 연구로는 남기웅 외(2009)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O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

술들의 미래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기술예측 연구들은 델파이 기법

과 같이 전문가들의 직관에 의해 산정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러한 방법론은 많

은 시간과 비용과 소수전문가에 의한 왜곡으로 인해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과학적인 예측을 위해 정량적 예측을 사용하였다 또한 저자들은 특

허 데이터의 예측을 통해 미래기술 동향을 예측하였는데 이는 특허의 경우 일정

기간 동안 해당 기술을 독점할 지배권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기술의 발전과

성과의 정보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남기웅 외(2009)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미래수요(특허)예측 값의 확산 모형별 비

교는 다음과 같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3

lt그림 19gt 세 모형 간 원데이터와 비교

자료 남기웅 외(2009)

원래의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특허숫자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통해 확산 모

형에 대입했을 때 현재 데이터의 추정값의 비교는 위와 같다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 중 원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예측력을 보인 모

형은 Bass 모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자들은 Bass 모형을 적용하여 미래 차세

대 디스플레이 기술 수요의 예측을 진행하였다

그래프를 보면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확산(특허숫자)은 2032년까지 꾸준하게 증

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32년 이후로는 기술개발이 멈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이 포화기에 들어섰다고 할 수 있으며 성장상한치인 4237개와 2032년

예상 특허 숫자인 4230이 매우 유사한 것으로 보아 기술 완성단계에 접어들었다

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품과 기술의 확산예측에는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이 주로

사용되는데 Gompertz Logistic 모형의 경우 비교적 모형이 단순하고 사용이 간편

한 장점이 있지만 이들 모형은 시장에서 내부효과에 따른 확산만을 분석하기 때

문에 성장의 최대 상한 값을 추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성장

최대값을 전문가의 의견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문제가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4

lt그림 20gt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예측

자료 남기웅 외(2009)

반면에 Bass 모형의 경우 내부효과 뿐만 아니라 외부효과 또한 확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남기웅 외(2009)의 연구에서 더욱 정확한 예측력을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을 비교 적용한 연구로는 손동민 문

성현 정봉주(2014)의 국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시장 확산 예

측 연구가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물건이나 사람 등과 같은

객체들을 식별하는데 무선주파수인 RF 신호를 이용하는 비접촉식의 인식기술로

유비쿼터스 시대가 2000년대 초반 도래하면서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RFID는

우리가 생활하는데 필요한 모든 분야에 혁신적 기술이 될 것이라고 기대되고 있

으며 이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는 지속적으로 관련 기술을 개발 표준화 사업을 장

려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RFID의 확산에 대

한 성공사례가 부족하고 2003년부터 정부가 RFID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등의 노력

을 기울였지만 확산은 지지부진한 형태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손동민 문성현

정봉주(2014)는 현실적이고 정량적인 국내 RFID의 확산 예측을 위해 세 가지 확산

모형을 적용하고 가장 설명력이 높은 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003~2012의 국

내 RFID 시장의 자료를 바탕으로 예측을 진행하였으며 여기서 도출된 확산 예측

값과 실제 데이터값을 비교하였는데 Bass 모형이 가장 예측오차가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5

Bass Logistic Gompertz

1750 6740 4136

lt표 5gt 각 확산 예측 모형 별 오차율

자료 손동민 외(2014)

lt그림 21gt 국내 RFID 확산 예측 모형과 실제 데이터의 비교

자료 손동민 외(2014)

그런데 그래프를 보면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2003년 -2007년까지 실제 시장

성장이 Bass 확산 모형보다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확산 초기 정부의 적극적

인 투자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되며 RFID 시장초기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시장 확산에 효과를 보였지만 2008년 이후로는 그 효과가 반감되었음을

나타낸다 하지만 다른 해석으로는 초반 정부의 시장투자율이 2007년을 기점으로

준 것은 정부투자보다는 자가 성장이 가능한 시장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라는 해석

이 가능하다 실제로 2005년 대비 2007년의 정부의 절대적 투자액수는 2배로 증가

하였지만 전체 시장대비 투자비율은 3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표는 정부

의 비중 감소를 나타낸다

2003 2004 2005 2006 2007

086 035 020 027 018

lt표 6gt 전체 시장 규모 대비 정부 투자 비율

2008 2009 2010 2011 2012

025 015 011 008 005

자료 손동민 외(2014)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6

이것은 곧 RFID 시장이 2007년 본격적 성장기에 접었다는 것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부의 비중 감소라는 시장의 특성 변화를 감안하여 2007년 이후의 예측

값을 다시 예측하였는데 그 예측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lt그림 22gt 각 모형별 확산 예측과 실제 데이터 비교

자료 손동민 외(2014)

저자들은 Bass 모형의 예측오차를 더욱 줄이기 위해 정부의 투자 변화라는 시장

의 특성 변화를 토대로 수정된 확산 예측 모형을 도출하고 결과적으로 국내 RFID

의 확산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의 세 가지 확산 모형

을 사용한 결과 Bass 모형이 가장 우수한 설명력을 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2 소비자 수용 및 혁신 저항 연구

21 신기술에 대한 소비자 수용 연구

혁신기술이나 신기술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들은 주로 사회심리학적인 이론에 근거하여 신념이나 태도 행동의도 등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신기술 수용과 관련하여 소비자의 수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

해 제시한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Fishbein and Ajzen(1975)의 합리적 행동이론

(TRA) Ajzen(1985)의 계획된 행동이론(TBP) 등이 있으며 특히 Davis(1986)의 기술

수용이론(TAM)은 소비자의 수용의도를 설명하는데 있어 상당히 적합한 모델로

인정받아오고 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7

Fishbein and Ajzen(1975)이 제시한 합리적 행동이론(TRA Theory of Reasoned

Action)은 최초 사회심리학 분야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 신기술수용 분야에까지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진 모델로서 개인의 행동의도는 행동을 결정하며 행동의도

는 개인의 태도 및 주관적 규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이론이다 소비자의 수용

의도는 신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외부변수들이 주관적 규

범이나 태도를 통해 영향을 받게 된다 기본적으로 행동의도는 태도와 주관적 규

범에 의해 결정이 되며 행동의도는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태도를 결정하는 것은 개인적 평가와 행위적 신념이며 태도는 행위를

수행하는 결과이다 그리고 주관적 규범은 사회적 압력과 관련되어지며 개인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집단과 어울리려 하는 개인적 동기나 준거집단에서

느끼는 규범적 신념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이처럼 합리적 행동이론은 인간이 실제로 어떻게 행동하는지 인간의 행위를 설

명하고 이해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특정한 상황에서 이용행동이나 수용의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연구하는데 적합한 모델로 인식되어 Davis의 기술수

용모델에 적용되어졌다

Ajzen(1985)이 제시한 계획된 행동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r)은 합

리적 행동이론에 사용자의 지각된 행동통제라는 개념을 추가한 이론으로 여기서

행동통제라는 것은 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용이한 정도에 대해서 사람들이 어떻게

인지하는지와 관련된 것이다 개인은 행동을 수행할 때 주관적 규범이나 태도뿐

만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행동이나 능력이나 필요한 원천 등을 가진 뒤에야 자신

의 뜻대로 그 행동을 컨트롤할 수 있다고 인지하게 되며 그것이 형성되면 마침내

행동의도를 형성하게 된다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행동의도에 영향

을 주는 변수들로는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통제이다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태도는 행동에 대한 태도로 특정 행동에 대해서 개인이 호의적으로 느

끼거나 비호의적으로 느끼는 평가를 의미한다 그리고 태도는 행동에 따른 결과

로서 개인이 갖는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것을 말한다 주관적 규범은 행위를 하는

사람이 어떠한 행동을 행하는 것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할 것인지를 말하는 것으로 사회

적 압력에 대한 인식으로 바라볼 수 있으며 본인이 그러한 반응을 얼마나 잘 받아

들일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행위통제는 Bandura(1977)의 자기

효능감(self-efficacy)과 비슷한 의미로 개인적인 신념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것은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8

자신이 어떠한 행동을 할 때 그 행동을 얼마나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

한 인식을 말한다(Bandura 1982) 이처럼 계획된 행동이론은 합리적 행동이론의

확장한 것으로 합리적 행동을 설명하는 변수인 태도와 주관적 규범의 선행요인을

바탕으로 여기에 인지된 행위통제를 추가하여 만들어진 이론이다 계획된 행동이

론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행동의도를 측정하는 경우가 많지만 행동 자체에

대한 측정에는 소홀한 편이었다 이것은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검증한 결과

로 행동의도와 행동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Ajzen 1988 Canary

and Seibold 1984 Fishbein and Ajzen 1981) 이 이론의 강점은 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소 간결하고 단순한 구성 개념을 사용하였지만 이 구성 개념들이 행동

과 관련된 연구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적용되었으며 많은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다

하지만 단순이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추상적인 개념인 신념과 평가를 통해

나타내었고 이러한 변수 외에 다른 외부 요인들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을 단점

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지각된 행동통제라는 변수만을 합리적 행동이론에 추가하

여 설명함으로써 다소 설명력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Davis(1989)에 의해 제안된 기술수용이론(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은 Ajzen and Fishein(1980)의 합리적 행위이론(TRA Theory of Reasoned Action)

을 바탕으로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기 위해서 만

들어진 모델이다 사람들이 기술을 수용할 때 영향을 미치게 되는 요인들을 설명

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개인의 신념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태도는 행동의도

에 영향을 미치며 마지막으로 행동의도는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

였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이 모델을 설명하기 위해 기술수용과정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을 제시하고 이 두 가지 신념을 수용과정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Karahanna and Straub 1999) 지각된 유용성이라는 개념은 신기술이나 정

보시스템 등을 사용할 때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정도를 의

미하고 지각된 용이성은 이러한 신기술이나 정보시스템 등의 사용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정도로 이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정신적인 노력 등이 적게 든다는 것을 의

미한다(Davis 1989)

합리적 행동이론이 기술수용모델의 기반이 되는 이유는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

는 행동에 대한 결정을 합리적인 기대가치 체계에 의존한다는 점 때문이다(Shah

and Higgins 1997) 인간이 자신이 어떠한 행동을 했을 때 그 결과를 미리 생각하

고 결과를 예측하며 합리적인 판단을 하며 행동한다는 합리적 행동이론을 확장한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9

것이 계획행동이론이며 이러한 합리적 행동이론에 기술수용 상황을 적용시켜 수

정한 모델이 기술수용모델이다(송태민 외 2014) 기술수용모델은 모델의 복잡성

과 모듈성으로 인하여 신기술을 수용할 때 다양한 영향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통합적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

다 최근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을 구성하는 주요변수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

된 용이성 이 두 변수만으로 신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TAM을 구성하고 있는 기본적인 변수들이 다양한 정

보시스템의 환경에서는 완벽하게 적용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

를 극복하기 위해 TAM모델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고 확장시키고 있다 이에 따

라 계획행동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변수인 주관적 규범을 적용시켜 확장된 기술

수용모델인 TAM2 TAM3가 제시되기도 하였다(김정선 송태민 2014) 기술수용모

델의 주요 한계점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개인이 정보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

서 외부의 영향 요인들을 무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외부 요인으로는 조직이나

주변 환경 여가 이해관계자들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정보기술을 수용하는 과정

에서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Venkatesh and Bala 2008) 하지만

TAM을 적용한 많은 연구들을 살펴보면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단순히

개인의 동기적 요인 외에도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확장시키고 변형하여 빠르

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등장하는 기술 환경을 적절히 반영하여 그에 따라 통

합적인 모델을 도출할 수 있는 노력 또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Venkates and Davis(2000) 의해 제안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는 기본적인

TAM을 확장한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TAM2라고 명명하였다 이는 지각된 유용성

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선행요인들을 검증한 것이다 즉 지각된 용이성보다는 지

각된 유용성이 종속변수들에 대해 더 큰 영향력을 가짐에 따라 선행요인들을 확

장하여 사회적 영향 프로세스와 인지적 도구 프로세스를 추가한 모형이다(김성일

2011) TAM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주관적 규범을 사회적 영향 변수로서 외생변수

로 추가하여 확장시킨 것으로 주관적 규범은 수용의도를 높일 수 있는 역할을 한

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은 자발적이거나 비자발적인 상황에서 조직을 네 개로

구분하고 이후 사용시점에서 업무 시스템에 대한 수용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

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자세히 살펴보면 주관적 규범과

자발성은 외부 변수로 직무관련성과 사회적 영향 프로세스 결과 실연성 결과 품

질은 이미지로 설명되었으며 인지적 도구 프로세스는 지각된 용이성으로 설명하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0

여 기술수용모델을 확장시킨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의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외부 변수들은 지각된 유용성 및 수용의도에게까지

영향을 미치며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결과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TAM은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라는 변수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수용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된 모델이다 하지만 지각된 유용성

과 지각된 용이성의 영향은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Oh Lehto

and Park 2009) 하지만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태도나 행도의도에 영향을 미

치기 때문에 이러한 영향력을 반영하기 위한 TAM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

되고 있다

Venkatesh Morris Davis and Davis(2003)은 사용자의 기술수용을 통합 관점에

서 접근하여 궁극적으로 보다 높은 설명력을 갖춘 새로운 기술수용모델을 제안하

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통합기술수용이론 즉 UTAUT(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이다(박일순 2013) 기존 TRA(합리적 행동이론) TAM(기

술수용모형) TPB(계획된 행동이론) IDT(혁신확산이론) 등 기존의 8가지 이론에서

제시된 32개의 개념들을 조정하고 통합하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1개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3개와 이러한 과정을 조절해 줄 수 있는 통제변수로

4가지를 제시하여 UTAUT를 설계하였다 UTAUT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

수로 성과기대 노력기대 그리고 사회적 영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모델에서 제시

하고 있는 성과기대라는 변수는 TAM에서 제시하는 지각된 유용성과 일치하는 개

념으로 볼 수 있으며 시스템을 사용할 때 성과가 향상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

을 것이라고 믿는 정도를 의미한다 그리고 노력기대라는 변수는 시스템을 사용

하면서 느끼는 용이성의 정도로 해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영향은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주변인들이 이러한 새로운 시스템의 사용에 대해 믿음의 정

도로 해석할 수 있다

Venkatesh and Bala(2008)는 기술수용모델의 기초가 되는 개념인 개인적인 차이

점 시스템의 특성 사회적 영향력 및 촉진조건을 선행변수로 제시한 기술수용 모

델(TAM3)을 제안하였다 기술수용모델3(TAM3)은 과거의 기술수용모델에서 언급

하지 않았던 경험이라는 변수에 대한 조절 효과에 대해 강조하였다 이 모델에서

는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조직 구성원의 경험 수준에 따라서 의사결

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달라질 것이라는 내용을 추가하고 있다 그리고 새롭

게 추가된 변수들로 컴퓨터의 불안과 유희성 객관적인 사용 용이성 지각된 즐거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1

움이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이치는 영향을 경험이라는 변수가 조절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있다

Venkatesh and Bala(2008)은 TAM3의 주요 강점으로는 이 모델이 가지고 있는

포괄적인 면이라고 볼 수 있으며 정보기술을 수용하는 여러 가지 결정요인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학문적 기여를 하였다 기

술수용모델은 조직 차원에서 도입하여 사용하는 정보기술 시스템뿐만 아니라 일

반 소비자들이 혁신적인 신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소비재 시장에서 채택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적인 프레임으로도 넓게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기술수용모

델은 혁신적인 신기술이나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들이 의사결정을 할 때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하여 제시하고 그들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기술수용이론에서 기본적으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수용과정에서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인지된 유용성은 이후에 설명할 혁신확

산이론에서 인지된 혁신특성 구성 개념 중 상대적 이점과 깊은 관련성이 있는 요

소로 보며 인지된 용이성은 복잡성과 상당히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Davis 1989) 따라서 기술수용모델 이론에서는 사용자들이 혁신적 신기술이나 제

품 서비스 등이 개인의 업무 등에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성과를 이끌어내기에 유

용하다고 느낄수록 그 기술에 대한 채택 가능성이 높아지고 그 기술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고 손쉽게 사용 가능하다고 느낄수록 기술 수용의도나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술수용모델은 사람들이 신기술 신제품 또는 정보기술 시스템 등을 어떻

게 수용하고 있는지 그 수용의도와 행동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있는 이성

적 행위이론을 통해서 살펴본 것이다 신기술에 대한 사용자들의 태도와 수용의

도 실제 수용이나 행위를 예상할 수 있는 주요 변수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라는 선행요인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설은 과거의 다양한 연구

들(Adams Nelson and Todd 1992 Davis Bagozzi and Warshaw 1992 윤승욱

2009 이재신 이민영 2006)을 통해 증명되었다

22 혁신저항 연구

일반적으로 혁신(Innovation)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lsquonobusrsquo라는 단어에서 기원이

되었으며 lsquo새롭다rsquo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혁신의 정의와 분류에 대해서 최근까지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2

많은 연구에서 다뤄지고 있다 혁신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새롭다고 인지하는

재화나 서비스 또는 아이디어를 말하는 것으로 그 기간이 길고 짧은 것과는 관계

가 없으며 하이테크 마케팅에서 언급하고 있는 혁신적 신상품을 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Rogers(1971)는 혁신의 정의에 대해서 개인 또는 특정인들이 수용할 수 있는 범

위에서 새로운 것이라고 지각되는 아이디어 관행 또는 물건rsquo이라고 정의하였다

여기서 혁신이라 객관적이고 새로운 물건이나 아이디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인 감정을 강조하는 것으로 그 제품이나 아이디어 서비스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그것을 얼마나 새롭게 느끼는지에 대해 인식하는 정도를

말한다

Rick(1992)은 혁신을 정의를 마케팅 차원에서 바라보았다 기존에 없었던 전혀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 내거나 소비자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

고 있는 신기술이나 프로세스 그리고 신제품을 혁신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혁신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소비자가 그것을 신제품으로 인식하

는지의 여부를 강조하고 이것은 혁신을 정의하는 기초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Biemans(1992)의 연구에서 혁신은 기존의 시장 환경 안에서 새롭게 개발된 제

품 서비스나 아이디어가 초기 수용자로부터 시장에 없던 전혀 새로움으로 지각

된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Rogers(1995)가 주장한 혁신확산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은 첨단기술

수용과 확산에 접한 관계를 가지는 이론으로 상대적 이익 적합성 복잡성 관찰

가능성 실행가능성 등을 혁신 확산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안하였다

사용자들은 새로움이라는 혁신을 인지하고 이후 태도가 형성되면 이러한 혁신을

채택할지 채택하지 않을지의 여부가 결정되는 채택과정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채택 과정은 기본적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데 기본적으로 지식 설득 결정 실

행 마지막으로 확인을 거치는 과정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혁신확산이론의 기

본 과정은 특정 혁신이 사회에 성공적으로 투영되는 과정에 주로 초점을 맞추는

특성을 보인다

하지만 여러 연구자들(Sheth 1981 Rogers and Everett 2003)은 혁신확산에 대

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혁신에 대해 사람들이 아무런 편견 없이 긍정적으로 받아

들인다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혁신이 항상 긍정적이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수용 또는 채택된다는 것을 기본 가정으로 하고 있음을 비판한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3

그 동안 연구되어온 혁신연구들은 혁신의 수용과 확산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

으며 이들 연구에서는 모든 혁신이 유익하고 긍정적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혁신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변화를 요구하기 때문에 변화에 대한 저장을

유발하게 되므로 혁신의 확산이나 수용에 대해서 생각하기 이전에 혁신저항을 잘

극복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Sheth(1981)는 처음으로 혁신저항(Innovation Resistance)에 대한 개념을 사용하

고 정립하였다 소비자들의 저항 심리는 기존의 습관과 지각된 위험이라는 두 변

수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고 하였다 혁신저항을 일으키는 특성에 대해서는 구

체적 언급을 하지 않았지만 혁신저항의 유형에 따라 다른 확산 방법이 필요하다

는 것을 발견하였다

Zaltman and Wallendorf(1983)는 사람들이 변화에 대응하여 현재 상태를 유지하

려고 하는 모든 행동들을 혁신저항이라고 정의하였다 Ram(1987)은 혁신저항 개

념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켜 혁신저항 모델을 제시하였다 변화에 의해 위협받고

있는 정도로 정의하며 혁신저항을 태도변수로 보고 있다

Ram and Sheth(1989)는 Sheth(1981)의 혁신연구에서 제시한 변수인 지각된 위험

과 생활관습이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병수라고 제시하고 추가적으로 소비자

들의 개인적 특성이나 제품 자체의 특성 그 외에 환경적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lt표 7gt Sheth(1981)의 저항 강도에 따른 혁신저항 4가지 유형

유형 내용

습관 혁신저항 위험은 낮으나 평소 생활이나 습관에 대해 변화를 요구하는 혁신

위험 혁신저항

혁신이 기존의 관습이나 습관을ㄹ 대체시켜 주지는 못하지만 함께 어울리며 공존하여 새로

운 습관을 만들어냄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저항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것은 높은 위험에서 기인하는 것임

비 혁신적 저항 기존에 가지고 있던 습관을 변화시키지 않으려고 하는 혁신을 말함

습관 위험의

혁신저항

인구문제 교육 복지 등과 같은 과거의 습관과 높은 위섬 때문에 강한 정항에 직면하는 혁

신임

Ram and Sheth(1989)는 소비자들이 혁신을 채택할 때 저항하는 요인들을 크게

기능적 장벽과 심리적 장벽으로 구분하였다 기능적 장벽(functional barrier)은 다

시 세 가지 장벽으로 구분된다 첫째는 가치장벽(value barrier)으로서 혁신제품의

품질이나 성능 효과 그리고 가격 등이 소비자의 기대와 맞지 않을 때 나타나는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4

저항을 말한다 둘째는 사용장벽(usage barrier)으로 소비자들이 혁신제품을 사용

할 때 기존에 가지고 있는 생활 패턴이나 습관 등을 변화시켜야 할 때 나타나는

장벽을 말한다 하이테크 제품은 종종 기존의 사용방식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방

식의 제품사용과 나아가서는 생활 패턴의 변경까지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셋째

장벽은 위험장벽(risk barrier)이다 이것은 소비자가 혁신제품을 사용하게 될 때

그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위험을 느낄 것 같아 나타나는

수용을 거부하게 되는 저항을 말한다

한편 심리적 장벽(psychological barrier)은 관습장벽(traditional barrier)과 이미

지장벽(image barrier)으로 나누어진다 관습장벽이란 혁신제품을 사용할 때 주변

사람들을 인식하게 될 것 같거나 기존의 사회 관습과 규범과 다르다고 느낄 때 나

타나는 저항을 말한다 이것은 매우 미묘하게 나타나는 장벽이기 때문에 소비자

들을 면 하게 관찰하여 파악해야 한다 이미지장벽은 혁신제품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선입관이나 부정적인 편견과 같은 문제를 일컫는다 제품 성능과 관계없이

부정적인 편견이나 선입관 같은 이미지상의 문제를 의미한다

혁신 저항의 특성을 살펴보면 Ram and Sheth(1989)는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실

제로 혁신적인 신제품이나 서비스에서 소비자들이 혁신저항을 느꼈다는 것을 발

견하고 이러한 혁신저항의 특징들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혁신저항은 채택시기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데 혁신에 대한 성향을 기준

으로 혁신수용자(innovators) 선구자middot선견자(early adopters) 조기다수 수용자

(early majority) 후기다수 수용자(late majority) 지각수용자(laggards)로 구분하고

각각의 분류마다 그 성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혁신저항은 정도에 따라 다르

게 나타난다 즉 저항은 연속적으로 나타나고 지속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소비자

들은 혁신이 매우 위험하다고 느끼거나 혁신을 위해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충분한 이유를 찾지 못하여 혁신을 꺼리거나 혁신을 채택하는 결정을 미루

거나 혁신이 자신과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혁신에 대해 저항할 가능성이 높아

질 수 있다 셋째 혁신저항은 다양한 제품군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제품 자

체의 문제라기보다는 혁신의 문제로 소비자가 혁신제품을 수용하고자 할 때 변화

를 우려하거나 자신의 신념과 상충하는 정도에 따라 저항이 나타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연속적 혁신보다는 불연속적 혁신이 혁신저항의 강도가 보

다 클 것이라고 예측한다 왜냐하면 불연속적 혁신은 소비자가 혁신을 채택하게

됨으로써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행동을 하게 될 수밖에 없는 사용상황이나 관습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5

에 부딪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혁신의 정도가 매우 높아 혁신저항이

높게 나타나게 될 경우에는 동태적 연속혁신(dynamically continuous innovation)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동태적 혁신은 불연속적 혁신의 가운데에서 서로를 잇는 역할

을 하는 것으로 불연속적 혁신제품에 대해서 소비자들이 제품을 수용하는 시기가

늦어질 것을 예상하여 기존에 사용하는 제품과 혁신적인 새로운 제품의 일부 기

능만을 착용하거나 융합하여 만들어진 제품을 말한다 이들의 성공은 불연속적

혁신제품에 대한 저항의 크기와 그 기간의 길이에 상당히 의존한다 소비자들이

기존기술을 선호하는 집단과 혁신기술을 선호하는 집단으로 뚜렷하게 양분되는지

아니면 중간 단계의 수요가 상당한지에 대해 확인해 보아야 한다(김상훈 2008)

23 신뢰 연구

과학기술의 발전은 과학이나 기술분야를 넘어서 정치적 사회적으로도 많은 영

향을 미치고 있으며 과학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형태로서 국가의 주요

정책으로까지 활용함으로써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첨단 과학기술의 개발과

선점은 국가경쟁력에까지 그 파급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

지만 이러한 기술의 발달과 개발이 항상 긍정적인 결과만을 가져다준다고 판단하

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Seong and Hwang 2012)

첨단과학기술의 유익한 면 외에도 그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우리가 알지 못하는

위험성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의견으로 인하여 많은 논쟁을 가져오고 있으며 그

중심에 최근 주목받고 있는 나노기술영역을 들 수 있다 나노기술은 혁신적인 신

기술로 첨단과학기술 분야에서 많은 경제 사회발전 등 그 잠재력에 대해 많은 사

람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영역으로 급부상하고 있지만 나노기술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잠재적인 위험성에 대한 우려도 동시에 인식되고 있다(Nel

et al2006 Wittmaack 2007 Wiesner et al 2009)

나노기술(Nano Technology)은 물질을 구성하는 직경 1나노미터(nm) 이하의 원

자나 분자를 나노영역에서 조작해 실생활에 유용한 것으로 만드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나노기술개발촉진법 제2조 제1항에 의하면 ldquo물질을 나노미터 크기의 범

주에서 조작 분석하고 이를 제어함으로써 새롭거나 개선된 물리적 화학적 생물

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소재 소자 또는 시스템을 만들어내는 과학기술rdquo로 정의하

고 있다(성지은 황만성 2012) 이러한 나노기술은 전자통신 재료 보건 의료 생

명공학 환경 에너지 국방 항공우주 등 응용가능한 분야가 매우 넓기 때문에 선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6

진 각국에서는 lsquo기술혁신rsquo이나 lsquo신성장동력rsquo lsquo신산업의 창출rsquo 등의 용어를 통해 21

세기 국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로 바라본다(김찬원 외 2015) 하지만 나

노입자의 독성 가능성 나노물질의 인체로의 침투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각종 위

험성(DNA 파괴 등) 나노입자의 환경오염 가능성(위키백과 2015) 그리고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개인의 사생활 침해의 논란이 되는 감시나 통제 등으로의

활용 측면에서 그 위험성 논쟁이 높아지고 있는 위험영역이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평소 자신이 잘 모르는 문제나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정보

에 두려움을 갖는 lsquo가정된 위험rsquo을 만들어 낸다고 한다 이는 잘 알려진 위험에 비

해서 더 높은 위험을 느끼게 하며 관련된 지식이 없는 경우 그 위험은 더욱 커지

게 된다(Song and Kim 2014)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나노기술과 같이 불확실하

고 위험의 통제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 친숙하지 않음 미래에 어떤 위험이 있을

지 모르는 상황 지식 부족 등은 나노기술에 대한 불안감을 더욱 증폭시키게 된

다 이러한 일반인들이 느끼는 나노기술의 위험에 대한 인식은 나노기술을 개발

하는 기술자 위험에 대한 관리주체로서의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

게 된다 기술 자체 기술을 만들어 내는 과학자 이를 관리middot감독하고 위험에 대

처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정부middot국책기관에 대한 신뢰는 나노기술에 대한 위험인

식이나 나노기술을 수용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김원재 송해룡 김찬

원 2016)

실제로 여러 연구들(Cvetkovich 1999 Siegrist and Cvetkovich 2000)을 보더라

도 신뢰가 위험인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며 특정 위험에 대한 두려움 혹은 위

험수용의 반대는 바로 이해당사자들 간에 신뢰가 깨진 것에서 비롯된다(김영욱

이현승 2014) 사람들이 위험을 인식하는데 신뢰가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

구결과들이 계속적으로 보고되고 있고(Flynn et al 1992 Slovic 1993) 신뢰는 불

확실성이 높은 신기술이나 혁신기술과의 관계에서 사람들이 우려하는 요소들을

줄여주는 기능을 한다는 연구결과들을 살펴보았을 때(Paton 2008 Siegrist and

Cvetkovich 2000 Wachinger et al 2013) 신뢰라는 요인은 사람들이 느끼는 불

확실성을 줄여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위험수용

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으로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신뢰의 문제를 핵심 요인으로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 대상을 운영하고 관리 감독하는 집단들에 대한 공중

의 신뢰 수준에 따라 위험수용이 결정된다고 강조하고 있다(송해룡 김원제

2015) 이는 나노기술처럼 신뢰의 여부가 위험이나 불확실성으로부터 경제적으로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7

높은 성장성을 가져오고 사회적 파급력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사회에 존재하고 있는 위험은 단순이 특정 그룹이나 단체

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작용될 수 있다 이에 정부기

관이나 기업 미디어 과학자 시민단체 일반시민 등 사회를 조직하고 구성하는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위험수준 통제 관리를 위한 행동 또는 정책과 관련된 정보

를 주고받으며(Covello Slovic and Von Winterfeldt 1986 Kellens Terpstra and

De Maeyer 2013 Trettin and Musham 2000) 위험을 줄이고 총체적인 위험에 대

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김찬원 외 2015) 이러한 문제는 단순한 수준

차원이 아닌 이해당사자들 모두의 신뢰를 통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신뢰라는 개념은 단일 차원에서의 좁은 시각으로 볼 수 있는 개념이 아니며 매

우 광범위하게 그 뜻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신뢰의 추성적이고 광범위적인 개

념의 특성으로 특별히 위험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신뢰라는 개념은 다차원 적인

요소로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Earle 2010 Earle Siegrist and

Gutscher 2010 Rousseau Sitkin Burt and Cammerer 1998)

Earle(2010)는 신뢰의 개념을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연구를 종합하여 다른 사람

의 행위나 의도에 대한 긍정적 기대에 기초하여 취약성을 받아들이려는 심리적

상태로 정의하고 신뢰하는 사람과 신뢰받는 사람 간의 관계에 기초한 관계적 신

뢰와 미래 행위에 대한 제약이나 신뢰를 받는 사람의 지난 행위 기초한 계산적 신

뢰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Kaspweson Golding and Tuler(1992)는 신뢰에 대한 특징을 위험을 감수하는 믿

음과 타인과 미래에 대한 막연한 기대 그리고 상황과 타인에 대한 주관적 지각

등을 제시하고 있다 Luhmann(1980) 신뢰를 사회제도의 성과로 보고 있는데 신뢰

를 미시적 신뢰와 거시적 신뢰로 분류하고 있다 미시적 신뢰는 다른 사람들과 상

대적으로 차별화 되지 않은 사회 안에서 개인 간의 신뢰를 나타내는 것이고 거시

적 신뢰는 관료제도와 같이 현대의 복잡화된 사회에서 시스템 신뢰의 의미로 나

타냈으며 신뢰가 개인 간의 신뢰에서 시스템 신뢰로 옮겨져 가고 있다고 하였다

특별히 Luhmann(1980)과 Rousseau et al(1998)의 연구를 살펴보면 신뢰의 유형

으로 사회제도 안에서의 신뢰를 강조하며 신뢰의 대상으로서 기관에 대한 신뢰

와 사람에 대한 신뢰로 구분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왕재선 2013) 그

외에도 신뢰를 파악하고자 할 때 과학기술 자체에 대한 신뢰의 측면을 제시하는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8

연구들도 있다(송해룡 이원제 2015) Midden and Huijts(2009)와 Siegrist et

al(2007)은 과학기술을 관리하는 기관에 대한 신뢰가 과학기술 자체에 대한 긍정

적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주어 위험인식과 수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현주 이영애(2011)은 감정의 차원에서 신뢰를 바라보고 과학기술의 좋고 나

쁨을 평가하여 신뢰가 낮을수록 사람들은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게 되며 이는 결

국 과학기술에 대한 위험을 높게 인식한다고 하였다 박희제(2013)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익은 추상적인 것이고 위험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직접

적인 경험을 통해 인지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하였다 따라서 과학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나 수용은 신뢰수준에 매우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나노기술이 위험인식 기술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신뢰를 주

요 변수로 고려하였으며 나노기술의 위험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신뢰라는

개념을 보다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신뢰라는 변수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단순한 차원의 신뢰의 개념을 넘어서서

보다 다양한 차원(Earle 2010 Earle et al 2010)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

라고 보고 신뢰를 기관 사람(Butler 1991 왕재선 2013) 기술(박희제 2013 이현

주 이영애 2011 송해룡 김원제 2015)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기관은 정부국책기관과 기업으로 사람은 개발자와 나노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직원으로 구분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3 산업전문가 활용 조사 방법론 연구

산업 전문가 조사는 해당 산업에 있어서 상당한 지식과 식견을 지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내부적으로는 해당 산업의 제품을

생산하는 경영자 관리자 판매직원 등이 해당하며 기업 외부적으로는 기술 및 정

책연구자와 해당 산업에 대해 객관적 분석을 주 업무로 진행하는 시장분석 전문

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전문가 조사의 경우 확률적 표본추출을 사용하는 것이 어

렵고 적절히 대표성 있는 표본을 대상으로 비확률적 표본추출로 표본을 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 표본을 기업 내부와 외부 혹은 해당 산업을 분류해 분석을 할 계획이 있

다면 쿼터별로 적절한 대표성을 위해 할당 추출법(quota sampling)을 사용하기도

하며 이 경우 도출해내고자 하는 결과와 관련해 분야별 다양한 의견을 갖고 있는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9

전문가들의 종합적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산업 전문가의 의견이 주로 조사

되는 연구로는 앞서 Diffusion Model 리뷰에서도 언급되었던 델파이 기법이 있으

며 신기술 산업이나 제품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이해도가 많은 차이가 있거

나 그 기술의 산업 제품에 대한 혜택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식이 상반될 때에 일

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조사하는 연구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31 산업 전문가 델파이 기법 연구

이중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고자 개발된 기법으

로 다양한 분야에서 집단적 합의의 필요성이 높을 때 반복적인 의견수립을 통해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다 개인의 독립성과 객관성을 최대한 끌어내는 것

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물리적 공간이 아닌 설문을 통해 참여하며 설문에 참여하

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공유하지 않는 익명성이 델파이 기법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독립성은 산업 전문가들은 해당 산업에 대해 비전문가보다 높은 식

견과 정확한 판단력을 가지고 있다는 추론 하에 가능하며 브레인스토밍과 같이

물리적 공간에서 의견을 교환하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강력한 주장에서 발

생하는 논쟁을 피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이 의견 제안을 포기하거나 전문가 중 더

욱 명망있는 전문가의 의견을 따라 자신의 의견을 포기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

함이라 할 수 있다

델파이 기법의 경우 일반적으로 세 가지 과정을 거치는데 첫째 해당 산업의 전

문가를 선정해 조사에 참여해 달라고 요청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사 참여에는

특정 산업에 대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전문적 지식을 긍정부정에 상관없이 표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전문가들의 의견은 특정인의 가중치 없이 동일하게 수렴된

다 또한 이 과정에서는 전문가들은 자신의 의견이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는 익명

성을 보장받음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각 분야별 선정된 전문

가에게는 한번 이상의 반복적인 설문지가 전달되며 이러한 설문에 대한 결과가

이들에게 다시 전달되는 피드백 과정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자

신의 입장을 더욱 명확하게 세울 수 있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

해 다른 참여자들의 의견이 설명되며 자신과 다른 생각을 가진 의견에 대해 계속

적으로 반박과 재조정이 가능해진다 셋째 참가자들의 의견과 관련된 논쟁들이

이들에게 다시 피드백되기 때문에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전문가들의 의견수렴

이 가능해지고 의견수렴이 불가능 할지라도 이성적인 이견들을 종합해 결과적으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0

로 전문가 스스로 자신의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하

게 된다 일반 소비자조사와는 달리 델파이 조사의 경우 대부분 표본의 숫자가 작

은 편이기 때문에 전문가의 포괄적인 의견보다는 다양한 견해와 이견을 통해 새

로운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의견일치를 통한 결과가 아니더라도 새로

운 시각과 견해를 투영할 수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lt그림 23gt 델파이기법의 실행 절차

자료 김상훈(2013)

이 기법의 핵심은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인데 최근에는 인터넷의 등장으로

초기 델파이 측정 방식인 인터뷰나 대면조사에서 온라인 설문이 가능해졌기 때문

에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이 강화되어 최근 많은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

다 과거 페이퍼를 통한 초기 델파이의 경우 긴 소요시간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는데 두 단계 이상을 거치는 델파이 기법의 특성상 한 프로젝트당 4개월 가

까이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에 대한 비용의 문제도 걸림돌이었다 하지만 온라인

설문이 가능해지면서 많은 시간을 단축하여 현재는 비용 면에서도 많은 개선이

가능해졌다

초기 델파이의 연구에서는 각기 전문가들의 통합적 의견의 일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는데 왜냐하면 개인보다는 집단의 예상이 더욱 정확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

다(Keeney et al 2011) 이는 한명보다는 두 명의 판단이 낫다라는 가정에 근거하

지만 현재는 의견의 일치보다는 다양한 결과가 나온데 해도 그에 따른 다양한 시

사점도 중요시 되고 있다 물론 의견의 분산을 여러번의 조사를 통해 자신의 판단

을 보완하고 수정하면서 좁혀나가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결국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하나의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1

델파이 기법의 경우 정확히 알 수 없는 애매한 질문을 포함시키지 말아야하며

이를 위해 질문의 선정에 공을 들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며 또한 대표성있는 각

분야의 전문가를 선정하는 것도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문가 패널은

전문성 대표성 성실성 있는 참여 각 분야별 숫자 등이 고려되며 연구자가 직접

표본 전문가를 선정하거나 관련 분야에서 추천위원을 선정하여 그 추천위원이 다

시 패널을 선정하기도 한다 보통 델파이 기법의 표본은 7명~ 350명 정도가 일반

적이며 10~ 20명의 매우 작은 패널로도 의미있는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보

통 척도의 경우 5점이나 7점 리커트 척도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항목별 순위나 중

요도를 묻기도 한다 델파이 기법 특성상 2번 이상 반복 설문을 하기도 하는데 3

번 이상 설문이 진행될 경우 회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신중한 검토

가 필요하다

델파이 기법의 경우 처음에는 미지의 미래 값과 성취가능성에 대한 수량적 예측

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대립되는 정책 문제 해결을 위해 서로의 의견을 수

렴하기도 하고 의사결정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전문가나 연구원이 직접 참여하

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익명성을 이유로 진실된 응답이 가능하

기 때문에 외부적 영향을 최대한 줄여주는 장점이 있으며 어떤 문제에 있어서 전

문가들의 집중적 검토가 가능하기 때문에 창의적이고 직관적 생각을 도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점으로는 전문가 선정에서 전문가들의 전문성의 문제 분야

별 전문가를 나눌 때 분류 기준의 모호성 대표성 익명성으로 인한 불성실한 응

답 문제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연구로는 구훈영 민대기(2013)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델

파이 기법을 활용해 신재생 에너지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는데 이는 최근 일어난

원전사고 환경오염 문제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신재생 에너지에 대

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신재생 에너지는 태양열 태양관 풍

력 수력 천연가스 바이오에너지 연료전지 등을 포함하며 최근 문제가 되고 있

는 원전 사고의 위험성의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위기의 여

파로 신재생 에너지 산업의 성장과 발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데

여기에 신재생 에너지의 불확실성이 더해져 해당 산업에 대한 개발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구훈영 민대기(2013)는 신재생 에너지의 수요예측에 전문가 델

파이를 활용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2

질문항목 응답 항목 응답(명)

내외 환경 정책 등이 현재 상태가 유지된다는 전제하에 국내 태양광

설치용량 규모는 단기적으로 어느 정도로 예상되십니까

900MW 미만 1

900MW~1100MW 3

1100MW~1300MW 0

1300MW~1500MW 6

1500MW 이상 2

내외 환경 정책 등이 현재 상태가 유지된다는 전제하에 국내 태양광

설치용량 규모는 장기적으로 어느 정도로 예상되십니까

21GW 미만 0

21GW~35GW 5

35GW~49GW 1

49GW~63GW 5

63GW 이상 1

2010년 현재 태양광산업이 신재생에너지 전체 투자액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향후 전체 신재생에너지에서의 비중은 어떻게 변화할

것으로 전망하십니까

재생에너지 중

태양광산업의 비중()

평균 73

최대 80

최소 60

lt표 8gt 전문가 델파이 분석의 설문항목

자료 구훈형 민대기(2013)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최근 상업화되었기 때문에 데이터 부족으로

수요예측이 어려운 점이 있으며 정부의 정책 및 국제적 환경 변수가 불확실성 요

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불충분한 데이터의 보완과 불확실성과 관련된 판단

을 위해 전문가 델파이 방법을 사용하여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다 저자들은 50명

의 전문가들에게 태양광산업의 수요에 있어서 단기적 미래(2015년) 장기적 미래

(2025)년을 예측하게 하였다(조사시점은 2013년)

조사결과 2015년의 태양광 발전의 누적설치용량은 2011년과 비교하면 단기적

미래인 2015년까지는 10~15의 연평균 성장률을 장기적 미래인 2025년 까지는

응답자의 42가 35~37의 연평균 성장을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는 신재생 에너지와 같이 수요의 예측을 위한 데이터가 부족할 경우

유용한 수요예측의 도구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델파이 전문가 수요예측 연구로는 생체인식 시스템 분야에 대한 미래의

핵심기술을 예측한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생체인식

분야에서 여러 분야 중 각각의 기술들의 난이도 기술수준 중요도 등을 전문가

30명을 통해 조사하였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3

lt그림 24gt 델파이 조사 과정

자료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이들은 단기적 조사가 아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반복적 설문 조사를 통해 어느

정도 의견 수렴한 뒤 결론을 도출하였다 생체인식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기술성숙

도가 낮은 기술 분야이기 때문에 정량적 분석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저

자들은 정성적 분석인 델파이 분석 방법이 더욱 높은 신뢰도를 가질 것으로 예상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왜냐하면 델파이 분석에 동원되는 전문가들은 표준화된

많은 데이터가 없을 경우 객관적으로 문제에 접근해 서로간의 의견을 골고루 수

렴해 일부에 휩쓸리지 않는 합리적 결론을 도출해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연구에서는 산업체 학계 연구소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성 있는 30인의 전문가

들에게 중기 예측(2017년)과 장기예측(2022)을 진행하도록 요청하였다 또한 이러

한 설문 결과를 다시 피험자들에게 제시 2차 조사에는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보

고 이를 수렴하여 다시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4

점수 중요도난이도 기준

5 매우높음

4 높음

3 보통

2 낮음

1 매우낮음

lt표 9gt 중요도 및 난이도

확신도 확신도 기준 환산 점수

5 전문분야로 매우 자신있게 응답 100

4 전문분야이며 자신있게 응답 70

3 유사분야 전문지식을 갖고 응답 30

2 전문분야가 아니어서 확신이 다소 부족 10

1 전문지식이 없어 전혀 확신할 수 없음 5

lt표 10gt 전문가 확신도 기준

자료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총 10개의 생체인식 시스템 기술을 선정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해당 기술들에

대한 자신이 생각하는 중요도 난이도 확신도 선진국과의 기술차이 기술실현시

기 등의 항목들을 제시하였다

lt그림 25gt 생체인식 시스템 기술수준 중요도 난이도 종합분석

자료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5

조사결과 기술수준과 중요도 난이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lt그림 25gt와 같다

종합하면 기술수준도 높고 중요도도 높은 기술들(예를 들어 반도체마이크로센서

제작기술)같은 경우 계속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으며 중요도는 높지만 기술수준

이 낮은 기술(예를 들어 환경센서 기술)의 경우 다른 기술들보다 연구 개발의 우

선순위가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구훈영 민대기(2013)와 홍현수 외(2010)의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통해 조사분석

을 하였지만 정성적 방법만을 가지고 조사를 하였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객관적

인 정량적 근거 부족이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델파이 방법은 전문가

패널의 구성 이러한 전문가들을 상대로 하는 반복적 설문조사 분석 의견 수렴을

통해 결론을 도출해 내기 때문에 정성적 방법론에서는 많이 사용되는 분석방법이

다 표준화가 가능할 정도의 데이터가 없을 경우 전문가의 직관을 통해 미래 수요

를 예측하기 때문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익명성을 통해 보다 자유롭고 솔직

한 의견 도출이 가능하며 여러 명의 전문가들이 합의점을 도출하는 과정을 고치

기 때문에 일부의 의견에 휩쓸리는 일의 발생 가능성이 적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

지고 있다

32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 차이 조사 연구

또 다른 산업 전문가 의견을 활용하는 연구는 전문가와 일반인이 해당 기술 산

업이나 제품에 대한 인식에 많은 차이가 있을 때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어떠한 산업은 전문가들이 일반 소비자나 잠재소비자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새로운 기술 산업이나 제

품의 경우 그러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첨단 기술산업의 경우 일반 소비

자들은 해당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비교적 최근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신진산업의 경우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또한 불확실성과 위험

성을 내포하고 있는 신기술 산업의 경우 소비자들과 전문가들은 위험인식 혜택

수용의도에 걸쳐서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제대

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의견이 아닌 전문가의 의견에만 의

존할 결과를 도출하게 될 경우 본 보고서와 같이 미래의 수요를 예상하게 될 경

우 실제 수용자인 일반소비자들의 위험인식에 따른 낮은 태도를 반영하지 못해

신뢰하기 어려운 결과값이 도출 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일반 소비자의 의견만을 반

영하고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일반 소비자가 판단하기 어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6

운 첨단기술 산업의 경우 이들의 응답에 대한 신뢰도가 전문가와 비교해 매우 낮

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산업 전문가와 일반 소비자의 인식차이를 비교하고 의견

을 수렴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체세포 복제기술 나노기술 원자력기술가 같이 인체 유해성에 대한 우려가 높

은 산업의 경우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차이 조사 연구들이 비교적 많이 진행되

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연구로는 나노물질 위해성에 대한 인식차이를 조사한 이

정진 외(2008)의 연구가 있다 나노기술의 경우 기술 자체의 문제보다는 나노물질

이 가지고 있는 위해성 측면에서 일반인들이 매우 높은 위험성을 지각하는 분야

이다 이는 나노기술의 특성상 나노물질이 눈으로 보이지 않는 매우 작은 단위이

기 때문에 느끼는 심리적 위험성과 실질적 위험성을 포함한다 새로운 신기술의

경우 특히 일반인과 전문가 사이의 인식차이가 클 수밖에 없으며 이는 기술수용

단계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해당 기술 수용여부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이정진 외(2008)은 나노기술의 지속적이고 포괄적 성장을 위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예를 들어 신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경우 전문

가들은 해당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 안전하다고 합의가 된 상태더라도 소비자들이

만약 위험성을 느끼고 불안하다고 느낀다면 기술발전에 어려움이 생길 것이다

반대로 일반인들은 별다른 의심 없이 위험성에 대한 지각을 갖지 않고 해당 기술

적용 제품을 구매 사용하고 있는데 전문가들이 위험성을 느끼고 있다면 실질적

잠재적 기술의 위험성은 더욱 심각하다고 말할 수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이유로

전문가와 일반인 사이 나노물질의 위험성을 조사하여 비교하기 위해 전문가 165

명 일반인 599명 총 7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lt그림 26gt처럼 일반인과 전문가 사이의 나노기술 인식에 대해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나노기술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한 일반 소비자는

162 몇 번 들어본 적이 있다는 응답은 548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의 조사결과

(Macoubrie 2004)나 일본의 조사결과(Fujita 2006)보다 나노에 대한 인지도는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7

lt그림 26gt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도 차이

자료 이정진 외(2008)

이는 미국과 일본에 비교해서 국내의 경우 lsquo나노rsquo라는 단어를 브랜드화 한 경우

가 많으며 제품의 이름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은나노세탁기 은나노코

팅제) 또한 실제 나노 관련 소비재가 마트에 비교적 많기 때문에 lsquo나노rsquo라는 명칭

이 자주는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친숙한 것으로 보여진다 나노기술의 접촉 방법을

살펴보면 전문가의 경우 학술지 인터넷 신문 책 등 다양한 경로인데 반해 일반인

의 경우 TV 신문 등 매스미디어 혹은 인터넷을 통해 나노에 관해 정보를 얻는 것

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보면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 소비자의 인지도를 올리기 위

해서는 매스 미디어나 인터넷에서의 마케팅이 주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lt그림 27gt를 보면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일반인들은 세탁기 에어컨과

같은 가전제품 치약 칫솔 비누와 같은 생활용품 핸드폰 노트북과 같은 전자기

기 얼굴팩 기초화장품 자외선차단제와 같은 화장품 순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전문가들은 일반인가 비교해 비교적 고르게 나노기술 적용 제품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제품인지도에 있어서는 비교적

고른 편이었으며 이는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이 비교적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8

lt그림 27gt 일반인과 전문가의 나노제품에 대한 지각 차이

자료 이정진 외(2008)

lt그림 28gt 일반인전문가 나노기술의 위해성 인식여부와 불안감여부 차이

자료 이정진 외(2008)

또한 나노기술의 위해성 인식에 대해서는 위 그림처럼 전문가의 742는 들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반대로 일반인은 741가 모른다고 위해성에 대해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일반인의 나노기술 정보가 부족하며 한편으로는 나

노기술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신기술에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9

대해 일반인들은 전문가보다 높은 불안감을 보이는 것이 당연한데 동일한 설문

을 진행한 일본보다도 일반 소비자의 불안감이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일

반인 229) 이러한 흥미로운 결과는 전문가의 경우 742가 나노물질의 위해성

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다고 답한 반면 일반인의 경우 741가 들어본 적이 없

다고 답한 것과 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란 추측이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나노기

술이 더 안전하다고 높은 신뢰를 보인다기 보다는 나노물질에 대해 지식수준이

낮기 때문에 위해성 자체의 인식률이 떨어진다고 분석해 볼 수 있다 저자들은 이

러한 나노물질의 위해성에 대한 낮은 인지는 오히려 나노기술의 안정적 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런 상황에서 나노물질 위해성 연구를 추진

하거나 법률적 관리를 정부에서 나설 때 일반인들의 공감을 얻는 것이 어려워 보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의 인식차이를 줄이고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정진 외(2008)는 이는 나노산업의 성장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였다

또 다른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조사한 연구로는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

한 나노기술의 부정적 영향의 인식차이를 분석한 배성훈 외(2015)의 연구가 있다

나노기술은 성과 측면에서 국가적으로 매우 촉망받는 기반기술이며 많은 투자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술분야지만 나노물질에 대한 인체와 환경 유해성에 대

해서는 아직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명확한 규정 또한 지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기술중심의 사고를 통해 기술 자체에서 의미를 찾는 것 보다는 그

기술을 사용하는 일반인들에게 그 혜택과 가치가 전달되어야하며 이러한 수요중

심의 전략개발에 기술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배성훈 외(2015)의 연구에

서는 나노기술의 산업확장에 중대한 걸림돌로 지적되어온 부정적인 인식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인 집단과 전문가 집단을 분리해 차이를 비

교분석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정진 외(2008)의 리뷰에서처럼 만약 전문가

가 나노기술의 위험성에 대해 불안해하는데 수요를 하는 일반 소비자들이 안전하

다고 느낀다면 높은 수요로 인해 잠재적 부정적 결과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며

반대로 전문가들은 안전하다고 인지하고 있는 기술에 대해 소비자들이 막연한 불

안감을 느낀다면 해당 기술의 상용화는 매우 어려울 것이다 저자들은 나노기술

에 대한 인식과 나노제품의 속성의 수준별 조합에 따른 선호도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일반인 541명 전문가 62명 총 6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설문

지의 경우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수준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0

와 이유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속성별 구매선호도 분석을 위한 컨조인

트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 제품군을 분야별로 식약품 전자제품 미용품등으로

나눠 조사를 실시하였다 컨조인트 분석을 위해 각각 상품 속성 수준에 소비자의

효용을 적용하였으며 긍정적 속성은 나노기술적용표시 정부인증 부정적 속성은

위해치명도 위해발생 가능성으로 구성하였다

속성별 2가지 속성을 설정했기 때문에 이를 조합하면 총 16가지 제품 조합이 가

능하지만 이를 순위매기는 것은 피험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직교설계

(orthogonal design)를 통해 필요한 주효과만을 측정할 수 있는 최소한의 8개의 가

상의 프로파일 세트를 도출하여 이 가상제품의 구매우선순위를 응답받아 컨조인

트 분석 실시하였다

Product Labeling CertificationRisk

ChanceRisk

Fatality

1 Yes No High High

2 No Yes High Low

3 Yes No High Low

4 Yes Yes Low Low

5 No Yes High High

6 No No Low Low

7 Yes Yes Low High

8 No No Low High

lt표 11gt 가상의 나노기술 적용제품 세트

자료 배성훈 외(2015)

Attribute Level

Labeling No Yes

Certification No Yes

Risk Chance Low High

Risk Fatality Low High

lt표 12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속성수준

자료 배성훈 외(2015)

분석결과 일반인과 전문가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지수준을 조사 한 결과 일반인

의 경우 나노기술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는 사람이 76 용어만 알고 있다가

521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있다가 298 개념과 활용성을 이해하고 있다

가 83로 나노기술이 생소하진 않지만 개념까지 이해하지는 못한 수준인 것을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1

알 수 있었다 반면 전문가의 경우 개념과 활용성을 이해하고 있다가 774 개념

잘 이해하고 있으며 나노기술을 선호한다 21 개념 잘 이해하고 있지만 나노기

술을 선호하진 않는다가 16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전문가들은 일반인보다 높은

나노기술 이해도를 보였다 이를 보면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선호도는 나노기술

의 대한 인지도가 일정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추론해 볼 수 있다

한편 나노기술 상용화 제품 세 가지 제품군을 대상으로 5점리커드 척도로 구매

의도 분석결과 lsquo나노식약품rsquo의 경우 일반인 M=333 전문가 M=338 나노전자제

품lsquo의 경우 일반인 M= 382 전문가는 M= 443 마지막으로 rsquo나노 이미용품lsquo의 경

우 일반인 M=346 전문가 M=362로 나타났다 모든 제품군에서 전문가가 일반인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으며 특히 나노전자제품의 경우 t-검정 결

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GroupWillingness to pay

p-valueMean SD

Food amp MedicinePublic 333 099

034Experts 338 109

ElectronicsPublic 381 084

Experts 443 047

CosmeticsPublic 346 099

011Experts 362 089

lt표 13gt 세 가지 나노기술 적용 제품군 별 구매의도 차이

p-value lt 001

자료 배성훈 외(2015)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구매의도에 있어서 낮은 점수(12)와 높은 점수(45)을 준

피험자에게 각각 구매하지 않은 이유와 구매한다고 응답한 이유를 9개의 보기를

제시하고 응답하게 한 결과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구매이유로 상품성능 향상 상

품품질 향상 상품안전성 향상 순으로 구매이유를 설명하였다 반면 구매하지 않

은 이유(M=1~2)를 물은 결과 일반인의 경우 상품안전성 저하 위해성 향상 성능

감소 순으로 이유를 들었고 전문가의 경우 상품 위해성향상 상품안전성저하 상

품품질불안정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를 보면 일반인 전문가 모두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높은 성능 향상을 기대하였지만 전문가의 경우 일반인과는 달리 긍정적

영향만이 아닌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도 많은 이해를 바탕으로 고려하고 있기 때

문에 이 같은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예상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2

또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컨조인트 분석 결과 식약품과 전자제품 미용품의 제

품군에서 중요도의 유사패턴이 발견되었는데 위해치명도가 가장 중요한 속성이

었으며 다음은 위해발생 가능성 정부인증 나노기술의 적용표시가 그 뒤를 이었

다 전문가들의 경우 일반인과 패턴 면에서 유사하지만 위해치명도의 속성 중요

도가 더 크게 나타났고 나노기술적용표시 중요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전문가들의 경우 일반인 대비 나노기술의 인체유해성을 더욱 많이 파악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Attribute Level

Food amp Medicine Electronics Cosmetics

Part-worth

ImportancePart-worth

ImportancePart-worth

Importance

LabelingNo -0266

1420-283

1471-291

1389Yes 0266 283 291

CertificationNo -0425

1664-436

1606-395

1746Yes 0425 436 395

Risk ChanceLow 0632

3193662

3107640

3184High -0632 -662 -640

Risk FatalityLow 1105

37231080

37161083

3681High -1105 -1080 -1083

Personrsquos R

Correlation

Coefficient

Coefficient 0664 0732 0728

P-value 0036 0019 0020

lt표 14gt 일반인 그룹의 컨조인트 분석결과

p-value lt 001 p-value lt 005

자료 배성훈 외(2015)

Risk CaseLabelin

gCertification

Food amp Medicine Electronics Cosmetics

Public Experts Public Experts Public Experts

High Chance

Low Fatality

Yes Yes 1164 1621 1137 1391 1129 148

No Yes 0632 1129 0571 0963 0547 1052

Yes No 0314 0509 0265 0287 0339 0384

No No -0218 0017 -0301 -0141 -0243 -0044

Low Chance

High Fatality

Yes Yes 0218 -0017 0301 0141 0243 0044

No Yes -0314 -0509 0265 -0287 -0339 -0384

Yes No -0632 -1129 -0571 -0963 -0547 -1052

No No -1164 -1621 -1137 -1391 -1129 -1480

lt표 15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세 가지 제품군의 효용분석결과

자료 배성훈 외(2015)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3

추가적으로 속성 수준별 조합을 살펴본 결과 위해발생 가능성이 낮더라도 치명

도가 높을 경우 정부인증 마크와 나노기술표시가 표시된 상황에서만 효용 값이

양의 값(+)를 나타냈다 반면 전문가들의 경우 식약품 제품에 한해서는 이러한 표

시 상황에서도 부정적 태도를 보였는데 이는 전문가들은 식약품의 경우 인체에

흡수되기 때문에 가장 민감하게 위해 치명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4 나노산업 관련 이론 및 발전 동향 조사

41 나노산업 관련 이론

국내 나노기술 관련 이론적 연구 동향을 분석해 보면 크게 나노기술 적용시 그

효과성에 관한 연구 나노기술의 위험과 안전에 대한 규제 필요성에 관한 연구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이나 전문가의 인식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예기훈 성아영(2010)은 금 나노입자를 포함한 안의료용 고분자의 합성 및 물성

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과적인 부작

용과 문제점 이물감과 불편함을 완화하기 위해 콘택트렌즈 소재가 계속적으로

변화해 왔다 이러한 재질의 변화는 착용에 있어서 이물감을 줄여주게 되었지만

콘택트렌즈는 각막을 감싸고 있는 동안 산소의 각막으로 산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게 하거나 상소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방해하여 안과적인 문제

를 야기시킨다 나노 금은 항균성의 기능을 갖으면서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다는

점이 알려졌기 때문에 기능성 나노입자를 응용하여 나노기술이 적용된 기능성 콘

택트렌즈 재료를 중합시켜 실험하였다 그 결과 나노금은 고분자의 함수율에 영

향을 주었으며 함소율의 감소를 야기시킨다 또한 굴절율과 자외선 가시광선역

의 투과율 역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처럼 나노기술은 항균성을 함유하고

있는 기능성 고분자로써 콘택트렌즈에 적용시키는 것처럼 의료적인 분야에 다양

하게 적용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박덕용 이난영 이상호(2008)는 나노기술을 바탕으로 치아 우식증 예방을 위하

여 만들어진 불소함유 접착필름을 개발하였다 필름 형태의 새로운 불소 delivery

system을 개발할 경우 기존의 불소 하제보다 새로 개발된 불소 전달시스템인 불

소 함유 필름이 치아 우식증 예방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불소 함유

필름은 나노 코팅기술을 통해 미량의 불소만을 코팅처리하여 체내에 삼키는 양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4

최소화하였으며 무색 무취 무미한생체 친화적 제재로 그 안전성 면에서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전문가 불소도포 제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영주 고영훈 김우성 매유진 목진경 조한규(2014)는 나노마스크와 황사마스

크에 의한 토너가루와 담배연기 필터링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를 하였다 황사와

미세먼지 담배연기 등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에서는 마

스크를 착용을 권하고 있으며 약국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마스크를 판매

하고 있다 나노마스크와 약국에서 파는 황사마스크의 미세먼지와 황사차단 효과

그리고 담배연기 차단 효과를 비교해 나노필터와 부직포필터의 필터링 성능을

비교해 보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나노마스크는 나노필터에서 토너가

루(미세먼지 대용)가 다 걸러져 점모양만 남아 있는 반면 황사마스크는 토너가루

가 묻어 나옴 또한 담배연기에서 나오는 이물질 실험에서 두 마스크 모두 첫 번

째 필터에는 진한 노란색 이물질이 있었지만 두 번째 필터에서는 황사마스크의

부직포 필터에는 노란색 이물질이 있는 반면 나노마스크의 나노필터에는 노란색

이물질이 묻어 있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나노마스크 내 나노 필터가 황사마스크

의 부직포 필터에 비해 토너가루와 담배연기에서 나오는 이물질을 더 잘 걸러준

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현재 다소 비싸지만 경제성을 입증하게 된다면 실용

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외에도 수질오염물질의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는데 이는

수영장에서 살균을 위해 흔히 사용하고 있는 염소를 태양빛을 통해 대체할 수 있

는 나노기술을 개발하였다 이 기술은 나노입자의 태양빛을 이용하여 세균이나

유기물질 등을 제거하고 산화력과 반응성이 강한 활성산소 및 히드록실 라디칼

(hydroxyl radical)을 생성시킨다 염소로 인해 발생하는 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

의 생성을 크게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오염물 처리에 드는 에너지 및 화

학물질의 양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김준현 2015)

또한 나노기술은 기존 제품을 덜 소모하게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강화시켜 환경

에 긍정적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나노기술은 일상적으로 소모되는 자원을 절약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열과 마모에 강한 특징인 내구성 향상과 자기 수복성 부여

를 통해 나타난다 또한 콘크리트에 손상을 주는 근본적인 원인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콘크리트에서 기능성 나노복합 무기질 활성탄계를 활용하

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5

콘크리트 구조물은 균열이나 누수 박리 철근부식 박락과 같은 현상들이 발생

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들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이며 이러한 현상들이 심해지면 구조물의 붕괴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콘

크리트의 부식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유해물이나 수분이 콘크리트

안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보수재료

나 방수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손상된 부분을 다시

시공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나노수준에서 합성하여 콘크리트와 흡착성과

다공성으로 착화합물이 형성되어 일체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기능성 나노

복합 무기질 활성탄계는 콘크리트 조직에 침투하여 미세기공을 가지게 되는데 미

세기공은 직경이 3~100Å으로 열화인자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특성을 지

니고 있다

에너지의 경우를 살펴보면 나노기술은 에너지 소비량을 감소시키거나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그 혜택을 찾을 수 있다 나노기술을 사용하게 되면 기존에 사용하

고 있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보다 수명은 3배 이상 길어지고 출력은 5배 이상이나

높은 리튬이온 이차전지 양극소재를 개발할 수 있으며 기존의 태양전지보다 13

의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나노 크기의 미세한 돌기구조를 통해

서 이러한 효율 증대를 가능하게 한다 나노 크기의 미세한 돌기 구조와 표면에

마이크로 크기의 기둥을 가진 태양전지를 개발하였는데 이것은 빛의 흡수율을

높여주고 태양전지 내부의 전자 이동을 용이하게 해주어 순도가 낮은 저렴한 실

리콘으로도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게 해준다

연구팀은 시제품을 통한 실험으로 매우 높은 효율성이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으

며 마이크로 기둥 사이에 돌기형태로 형성된 나노 구조는 반사효율은 떨어뜨리

고 빛의 흡수율은 높여주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반사효율을

5 이하까지 낮추는 데 성공함 일반적 태양전지의 반사효율이 40 이상 특수

표면처리(텍스처링)한 태양전지 반사효율이 15~20 수준에 이르는 것을 감안하면

획기적인 수치라고 할 수 있다(김준현 2015)

나노기술은 가까운 시일 내에 인간의 근본적인 삶의 모습을 바꿀 수 있는 엄청

난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나노기술이 재료 의료 및 의약 전자 기계 에

너지 환경 등 매우 넓은 분야에서 기술혁신을 일으킬 수 있고 미래 산업의 경제

적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암을 치료하거나 생명주기를 연장하고 식

량난 해소 반도체의 성능 향상 환경 오염물질의 제거 등 열거 할 수 없을 정도로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6

무수히 많은 분야에서 우리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어느 정도까지 될지 평가하기

조자 어려울 정도이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혜택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위험

역시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정정적 위험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나노기술에 대

해서 윤리적인 문제가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첫째 나노기술에 대한 형평성 차원에서의 문제를 들 수 있다 나노기술의 발전

은 매우 긍정적인 요소 일 수 있으나 전 세계 모든 곳에서 균등하게 그 기술을

나누어 쓸 수는 없을 것이다 바로 lsquo나노격차rsquo(Nano Divide)가 생겨날 수 있다 나

노기술의 사업화와 사용화가 진행될수록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나노기술을 이용하는 부유층과 빈곤층 간의 격차로 인하여 사회적인 문제로 심화

될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기아 질병 오염 가

난 등의 문제를 먼저 해결하는데 이용되어야 하며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격

차가 심화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현재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들은 에너지 자원

의 고갈 의약품 부족 등으로 에이즈와 같은 질병을 치료하지 못하여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당하고 있으며 식수의 부족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들이 나타나

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등장한 기술인 나노기술을

선진국 보다는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에게 먼저 적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나노기술로 개발된 성과들에 대한 불공정한 분배로 나타나는 심각한 사회적 격차

가 문제점으로 나타날 수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lsquo첨단기술일수록 비싸

다rsquo(high-tech high-costs)라는 말이 의미하듯이 나노기술을 통해 개발된 제품과

같은 성과물들을 이용할 수 있는 사회적 계층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극심한

사회적인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이 야기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불평등이 아닌 사회적 평등을 조장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할 것이

다(이중원 2016)

다음으로 투자측면에서 연구비의 재정적 투자에 대한 형평성을 생각해 볼 수 있

다 정부의 나노기술 정책 활성화로 인하여 연구비 중 많은 부분이 나노기술 분야

에 편중되어 있어 나노기술에 대한 집중적 투자가 다른 연구비 투자에 비해 과도

하게 측정되어 있는 것이 과연 올바른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둘째 유전정보에 관한 문제등 개인의 생체정보 보호와 관련된 프라이버스 문제

를 들 수 있다 나노바이오 기술은 유전주 수준에서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노 크기의 장치를 개발하여 인간 DNA 자체를 조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나노기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나아가 윤리적 사회적 문제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7

로까지 번져 다른 차원에서의 문제점들을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나노기술을 접

목한 초정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의 발달은 나노-유비쿼터

스 개념의 기술 발달로 감시나 통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지만 개인 사생활에 대

한 침해의 요인 부분도 존재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나노기술의 발달이 효율적이

고 효과적인 측면도 존재하지만 이를 역이용하려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법적

으로나 윤리적으로 보다 강도 높은 규제나 제재를 통해 프라이버시 관련한 윤리

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셋째 생명체 변형의 도덕적 문제를 들 수 있다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인공 생체

기관을 만들거나 생명체를 조작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생명체들을 합성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나노기술은 새로운 생물체의 생성이나 변형을 충분히 가능하게 하며

예를 들어 유전자 조작 쥐나 키메라 등 생명 형태를 변형하는 것과 관련된 연구

들에 대해서 생명의 존엄이나 신성함과 관련하여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문제를 제

기하여 허용 가능한 범위를 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인체 및 환경의 안전성 문제가 있다 나노기술과 관련하여 가장 주된 잇슈

는 나노소재가 인체의 건강과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이다 나

노기술은 기존의 기술에서 가지고 있지 않은 전혀 새로운 차원에서의 문제를 가

지고 그 위험성에 대해서 논의되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나노물질들은 분

자적 수준에서의 입자들을 일컫는다 이는 매우 미세하며 우리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매우 작은 단위를 다루는 것이다 이러한 나노 물질들은 그 자체로 매우 강

한 독성을 지니고 있어서 인체에 습수될 경우 세포 내부로까지 침투하여 유전자

구조를 변형시키거나 세포 자체를 파괴할 가능성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나노입자들은 악성 폐암을 일으키는 미세한 석면 입자들보다 훨씬 작기 때

문에 이러한 입자들이 인체 침투하여 다양한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인공 장기 등을 인체에 이식하였

을 때 인체에 어떠한 형태로 작용할지 매우 불확실하다 가령 인공 장기가 기존

에 알고 있던 다른 어떠한 물질들 보다 인체에 위협적인 것이 될 확률도 존재한

다 실제로 2004년 이래로 나노물질의 심각한 독성에 대한 보고들이 나타나고 있

는데 탄소나노튜브가 생체 유전자 역할을 변형시켜 치어의 뇌를 손상시킨 사례

가 존재했고 은나노 입자로 인하여 인체 DNA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며 차세대

반도체 나노물질로 불리는 CdSe가 인체 내부에 들어서 카드늄 중독을 유발할 가

능성도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위험은 나노물질이 지닌 본성으로부터 불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8

가피하게 초래되는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것으로 나노물질의 독성과 그것이 인체

및 환경에 가하는 위험이 이와 같다면 이런 나노물질에 대해 안전한 관리와 통제

가 불가피해 보인다(이천무 윤종민 2016 오규운 김경훈2016 이중원2016)

최근들어 일부 나노제품과 나노물질에 대해서 보건 및 환경의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문제가 나타나면서 나노기술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나 우려의 목소리가 나노

기술의 안전과 사회적 수용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김선아 김호정 홍

용석 2013) 연일 매스컴에서 보도되고 있는 lsquo가습기 살균제 사건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는데 에어로졸 형태로 분무되는 다양한 제품은 이미 오래전부터 우

리 생활 속에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규율할 법적 근거는 식품 의약품 화장

품 공산품 등 개별 법령으로 분화되어 제조업체는 용도변경에 따라 법의 테두리

를 벗어날 수 있었으며 각 법령에서 요구되는 기준이 서로 달라 적용하는 행정주

체도 책임영역을 서로에게 미루는 상황이 발생하여 대다수의 국민들이 혼란과 불

안을 겪고 있다

규제의 공백영역에서 수많은 피해자를 양산한 이후에야 그 원인과 대책을 마련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현실이며 나노물질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적 보호 수단으로는 사전

예방을 통한 위험의 통제와 사후관리를 통한 피해구제 등이 고려될 수 있으나 피

해규모의 대형화와 피해기간의 장기화 원상회복의 불가역성 등을 고려할 때 사

전예방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지난 사건과 역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이라

할 수 있다 그 동안 우리나라는 나노기술의 육성과 진흥에 중점을 두어 왔기 때

문에 안전에 관한 부분은 다소 소홀하거나 형식적인 대응을 해왔는데 EU 등 선

진국은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나노물질 및 제품의 자국내 수입을 철저히 규제

하고 있어 사전에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글로벌 무역장벽을 넘지 못할 상황

이다 따라서 나노물질 및 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국내 정책 및 제도의 상황

을 점검하고 국내에서 시행중인 관련 법제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그

동안 나노안전성에 관한 법적 관점의 연구는 주로 공법상의 규율 민middot형사상의

책임과 구제 제도개선 등에 집중되어 있으며 나노안전을 위한 법제적 측면에서

의 개선방안 제시는 부족한 실정이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9

42 나노기술 관련 산업의 미래 전망 분석

나노기술의 기대효과에 대해 분석해 보면 첫째 나노혁신 기술확보와 산업현장

확산으로 인하여 제조업 활로 및 미래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나노기술의 성과가

다른 산업으로 융합middot확산됨에 따라 지속적인 혁신을 유도하고 국내 제조업의 질

적 성장을 견인할 수 있다 또한 첨단 나노소재의 적용이 확산됨에 따라 소재기업

과 최종 수요 기업의 경재역이 동반상승하게 될 것이다 나노기술은 산업적 파급

효과가 큰 전략기술로 미래 제조업의 새로운 혁신동력이 될 것이다 나노기술의

산업화 촉진으로 사업영역 확대(신사업 창출)되고 나노바이오 기술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 헬스산업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유망분야로 성장할 것이다 특히 전기자

동차 가정용 에너지 저장장치 등 에너지 활용으로 효율성 향상될 것이다

둘째 나노기반 미래 신산업 창출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확충될 것이다 나노기

술 기업의 성장 및 제조업 성장 촉진으로 신규 고용 창출할 수 있다 전통 제조기

업의 나노기업으로의 전환 등 기업 활동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고용의 질 제고

할 수 있다

셋째 미래세대와 함께 하는 지속가능한 사회 기반 구축할 수 있다 안전한 나노

기술개발로 나노기술에 의한 잠재적 위험을 최소화하고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안전 제고해야 한다 나노기술 기반의 에너지 발생 변환 저

장 절감기술 개발을 통해 에너지 자립도를 향상시키고 나노기술 기반의 대기 및

수질오염 제거 기술 개발을 통해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문제 최소화시킬

수 있다

나노기술의 상용화와 관련된 문제를 살펴보면 나노기술 분야에 대한 잇슈 중의

하나는 상용화와 제품화에 대한 것이다 이는 나노기술이 제품화가 되기까지의

과정이 매우 어렵게 때문이다

McNeil(2007) Kalil(2005) Hobson(2009)등이 제시한 장애 요인 분석을 바탕으로

나노기술분야가 IT 및 BT 분야 등 타 분야와 차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나노

기술이 상용화가 되기까지 약 5~10년의 기간이 걸린다 그리고 나노기기술은 첨

단기술로서 연구개발 단계에서 인프라 구축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장

비들이 고가이고 실험이나 측정을 위하여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되고 이러한 초

기 인프라 구축과 장기간의 시간을 통해 제품이 시장에 나왔다고 하더라고 성공

을 확신할 수 없는 부확실성의 성격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고가의 기반시설 등에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0

대한 인프라 구축은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역량으로는 매우

힘든 부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나노기술 분야에서 중소기업의 수가 많은

점을 생각하면 인프라 구축의 선행으로 인한 어려움의 요인이 나노의 상용화 어

려움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나노기술의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참여인력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

다 나노산업은 일반인이 접근하기에는 매우 어려우며 기술적으로 높은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그렇게 때문에 민간 차원에서 주도하여 성장할 수 있는 부분이라

기 보다는 정부차원에서 투자하고 발굴하여 추진해야 하는 분야의 산업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나노기술의 높은 이해도와 특징으로 인하여 대부분 나노기술 분

야를 주도하고 있는 것은 대학이나 정부 출연 기관의 연구원들이다 이들은 기본

적으로 나노기술을 사업화하여 이익을 창출해 내려는 사업가적 마인드로서의 시

각으로 바라보기 보다는 순수학문적인 분야에서 새로운 물질의 발견이나 합성 등

학문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다 그러므로 나노기술의 사업화를 통한 성과의

창출보다는 논문등재 등 이론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어 학문적인 업적을 창출하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나노기술

에 대한 투자가 주로 정부주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구비에 대한 투자를 연구

업적 등의 가시적 성과를 통해서 보여주려고 하기 때문이다

5 문헌연구 분석 결과 시사점 도출

앞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으로는 정량적 정성적

방법이 있다 각각의 수요예측에 대한 우월성은 학자들에 따라 의견이 다르지만

연구의 대상 관련 데이터의 확보여부 연구 범위에 따라 다르게 활용될 여지가

있다 정성적 예측 분석의 대표적 방법론으로는 델파이 기법이 있는데 델파이 분

석의 경우 전문가들의 익명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외부적 영향으로 인한 왜곡현상

이 방지되어 비교적 객관적인 답변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응답자인 전문가

들의 자질과 역량의 문제 응답의 불성실문제 비용문제 마지막으로 전문가의 직

관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정량적 분석과 비교 시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갖

고 있다

이에 반해 정량적 수요예측은 신속한 검증이 가능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결과의 타당성도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정략적 수요예측 방법으로는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61

일반적으로 Gompertz 모형 Logistic 모형 Bass 모형 등이 있으며 이중 Bass 의

Diffusion Model은 신상품 신규서비스 신기술이 시장에 도입되어 확산하는 과정

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모형이기 때문에 나노기술의 산업확산 수요

예측에 가장 적절한 분석방법이라 할 수 있다 Bass 확산모형은 시장 전체의 반응

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시장의 종합적 분석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요예측 토대로 기업이나 정부의 투자나 지원을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들에서 다루었듯이 신기술의 확산 또는 신

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미래 수요를 예측하는데 Diffusion Model이 널리 쓰이고 있

지만 현재까지 나노산업의 미래 수요예측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며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학습논문이나 연구보고서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보

고서는 나노산업의 미래 수요예측을 위해 계량적 분석 그 중 높은 예측력을 지닌

다고 알려진 Bass의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려고 한다

한편 소비자 인식 관련 문헌 연구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혁신의

수용을 혜택(Benefit)-비용(Cost)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고 나노기술이 위험인식

기술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신뢰라는 변수를 추가할 수 있다 소비자들

이 나노기술에 대한 긍정적 혜택과 관련된 변수로는 나노기술을 사용함으로 나타

날 것 같은 지각된 이득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이라는 변수를 선택할 수

있다 반대로 나노기술에 대한 부정적 요소로 비용 관점에서는 혁신저항의 변수

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저항변수로 기능적 장벽(지각된 위험 가치장벽 사용장벽)

과 심리적 장벽(관습장벽 이미지 장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뢰의 대상을 기관 사람 기술에 대한 신뢰로 구분하여 나노기술에 대한 소비자

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주요 변수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즉 문헌연구를 통하여

소비자의 기술수용과 이용행동에 관한 다양한 모델을 살펴보고 나노기술과 같은

신기술을 수용하는 소비자들에게 그들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어떠한 변수들이 중

요한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나노기술을 혁신의 차원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나노기술이 연속적 혁신

인지 불연속 현신인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나노기술이 어떻게 받아

들여지고 있는지 유추할 수 있다 나노기술은 산업 전반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므로 산업별 제품별로 연속적 혁신과 불연속 혁신이 산업 전반에서 다양하

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불연속적인 혁신의 경우 획기적인 성능과 증진된 편익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2

주는 나노기술의 경우 혁신제품 애호가들로부터 상당한 주목을 받는 경우가 많이

나타나지만 시장의 다수를 형성하는 보수적인 소비자들로부터는 외면당하기 쉬

울 수 있어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모두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나노기술처럼 불확실성이 높고 미래의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 소비자들

은 주관적 확신을 높이기 위해 정보탐색이나 구매 전 심사숙고의 과정을 더 많이

거치게 되며 의사결정에 이러한 요인들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문

헌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요인들을 혁신장벽이라는 개념으로 살펴볼 수 있었으

며 나노기술과 같은 혁신기술의 채택의 주요 장벽으로 기능적 장벽 심리적 장벽

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나노기술에 대해 전문가나

연구소 등 국책기관이나 정부 등을 신뢰하는 정도에 따라 이러한 불확실성에 대

한 위험인식을 낮추게 될 것이라는 점을 도출하였다

한편 산업 전문가 조사는 해당 산업에 대해 높은 지식과 식견을 가진 전문가들

을 표본으로 목적에 맞게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말하며 기업내외부적 전문가

들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산업의 세부적 분류를 사용해 분석할 경우 기업 내외

부와 산업 별 쿼터별로 적절한 대표성을 위해 할당 추출법(quota sampling)을 사

용하기도 하며 이 경우 도출해내고자 하는 결과와 관련해 분야별 다양한 의견을

갖고 있는 전문가들의 종합적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산업 전문가의 의견이

반영된 연구들로는 델파이 기법이 있으며 신기술 산업이나 제품에 대해 일반인

과 전문가의 이해도가 많은 차이가 있거나 그 기술의 산업 제품에 대한 혜택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식이 상반될 때에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조사하는 연

구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델파이 조사의 경우 일반적인 소비자조사보다 표본의 숫자가 작은 편이지만 다

양한 견해와 이견을 통해 새로운 시각의 직관적이고 창의적 견해를 포함하는 시

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인터넷의 등장으로 초기 델파이

측정 방식인 인터뷰나 대면조사에서 온라인 설문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이 강화되어 최근 많은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 다른 산업 전문가 의견을 활용하는 연구로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차이를

조사하는 연구가 있다 이는 해당 기술 산업이나 제품에 대한 인식에 많은 차이가

있을 때 중요하며 어떠한 산업은 전문가들이 일반 소비자나 잠재소비자의 특성

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새로운 기술 산업이나 제품의

경우 그러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첨단 기술산업의 경우 일반 소비자들은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63

해당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불확실성과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

는 신기술 산업의 경우 소비자들과 전문가들은 위험인식 혜택 수용의도에 걸쳐

서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의견이 아닌 전문가의 의견에만 의존할 결과를 도출하게 될 경우 본 보고서와 같

이 미래의 수요를 예상하게 될 경우 실제 수용자인 일반소비자들의 위험인식에

따른 낮은 태도를 반영하지 못해 신뢰하기 어려운 결과값이 도출 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일반 소비자의 의견만을 반영하고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일반 소비자가 판단하기 어려운 첨단기술 산업의 경우 이들의 응답에 대한

신뢰도가 전문가와 비교해 매우 낮을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산업 전문가와 일반

소비자의 인식차이를 비교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나노산업의 경우 나노물질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는 다르

게 사람들로 하여금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나노기술의 정확한 시장잠재력 및 확산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이해수준

이 높은 전문가의 의견도 물론 중요하지만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결국 최종 소

비자의 수용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의 잠재적 불

안감을 측정하고 이를 전문가의 의견과 함께 종합하여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예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노기술은 미래성장잠재력과 국가경제의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기술력이며 이에 대한 효과성은 광범위한 산업분야에서 연구를 통해 입증되어

왔다 나노기술은 삶을 더 풍요롭고 빠르고 편리하며 경제적으로 바꿔줄 가능성

이 매우 큰 혁신적인 분야이며 전통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국가 경제를 견

인할 차세대 기술혁신의 주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는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

치고 기존 산업을 파괴하거나 새로운 산업 창조가 가능할 정도로 파급력을 갖는

파괴적 혁신 기술(disruptive innovation technology)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산업

적 파괴력 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크다고 할 수 있다(배성훈 외 2015) 나노물질이 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는 다르게 사람들로 하여금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주고 있다 실제로 최근 몇몇 국내연구들에서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들의 잠재

적 위험성 인식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나노기술은 나노미터 크기의 아주 작은 단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4

위의 물질을 조작 분석 제어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관련지식이 적은 일반인들에

게는 막연한 불안감 위해성 인식을 불러 올 수 있다 또한 나노기술의 높은 효과

성과 파급력에 비해 나노기술의 정확한 이해나 응용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지식수준이 많은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나노기술의 정확한 시장잠재력 및 확산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이해수준이 높은 전문가의 의견도 물론 중요하지만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결국

최종 소비자의 수용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의 잠

재적 불안감을 측정하고 이를 전문가의 의견과 함께 종합하여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예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노관련 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로서 부가가치 유발 효과와 고용유발 효과를 들 수 있으며 나노관련 산업의 많은

부분이 제조업을 포함하기 때문에 특별히 제조업 전체의 발전을 통한 부각가치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나노산업은 연구개발과 시제품을 생산하는 단계를 지나 실제 상용화될 수

있는 제품을 제조하고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으며

제조업의 생산성을 뛰어넘는 유망한 성장동력으로 커가고 있다 또한 나노산업은

제조업 대비 고용증가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계획하고

있는 고용 확대 정책과도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고용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이다

나노기술의 파급효과와 빠른 성장 그리고 성공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성과가 매

우 크게 나타나지만 이러한 성공을 거두기까지 적어도 5~10년 정도의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단기간에 성과를 발생시켜야 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나노기술에

대한 연구의 투자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나노융합제품의 시장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나노융합제품의 매출 비중은

제조업 영역에서 확대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사업화를 확대시킬 수 있는 전략적인

지원정책 수반되어야 한다 나노기술은 기반 기술로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

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향후 산업 전반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하

고 있다 따라서 나노기술의 상용화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기업뿐만 아

니라 정부차원에서의 지원과 학재간 협력이 필요하다(김석필 외 2014)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전자산업이 초정 나노기술을 혁신 동력으로 발전하였

으나 차세대 기술에 대한 투자가 부족한 편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차세대 논리

소자 계산과학의 기술수준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나노소재 분야 기업이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65

다수이나 매출규모가 적고 나노바이오의 사업화가 특히 미흡한 편이다(국내 나노

산업의 03 해외는 10)

이처럼 나노산업인력은 양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기술 전문성 증진 필요함 국내

나노기술의 미래 전망에 대해 정성적인 분석을 통한 전망 외에 계량적인 모델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예측이 필요하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6

제4장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1 나노시장 예측 방법론 요약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process를 통하여

나노기술의 최종적인 산업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lt그림 29gt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나노산업 영향력 도출 방법론

먼저 Step1에서 과거 나노산업 매출 데이터(2010년~2014년)를 수집한다 이후

모델 추정을 위한 초기 데이터의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해 Step2에서 나노산업 전

문가들의 단기적 미래 나노산업 매출액(2015년~2018년) 예상값을 수집한다3) 단

이 과정에서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를 산업 전문가들에게

제시해 최대한 객관적인 시장에서 매출액을 예상하도록 유도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2010년부터 2018년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해 Diffusion Model의 계수 p q

값을 추정해낸다

마지막으로 Step3에서 추정된 p q값을 모델에 대입하여 2015년부터 2025년까

지의 최종 나노산업 매출액을 예측한다 이후 세부 나노산업별로 각각의 규모를

나누어 추정해보고 예측의 최소값 최대값 적용과 같은 몇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

3) 사전에 실시된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는 2014~2018년도 예상 매출액을 응답하게 하였으나 조사 기간 도중 2014년 실제 나노산업 매출액이 발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 적용 시 2010~2014년도 값은 나노산업의 매출 실제값을 2015~2018년도 값은 산업전문가의 예상 매출액을 활용하기로 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67

한 민감도 분석도 실시하기로 한다

이러한 방법론은 현재 나노산업이 가지고 있는 초기 데이터 부족 등 몇 가지 문

제점 및 전제를 감안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충분히 고려하였으

며 각각의 해결 방향은 요약 제시하면 다음의 표에 정리된 바와 같다

lt표 16gt 본 연구의 기본 전제 및 해결 방향

예측 과정의 문제점 및 전제 해결 방향

1

나노산업의 시장매출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아 모형

예측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를 필요로 함 (모형 추정

의 불안정성)

기본 계량 모형과 더불어 산업전문가의 예측 정보

를 함께 활용하고자 함

2산업전문가들의 장기적인 산업 예측은 신뢰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음

비현실적으로 장기적인 예측을 요구하지 않고 5년

간의 단기 예측 정보만을 요구하여 신뢰성을 높임

3산업전문가들의 기술 중심적인 사고를 보완하기 위해

보다 객관적인 정보 도출이 필요함

나노산업 전문가들에게

나노기술 최종 사용자인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

술 인식 조사결과를 제시하여

보다 객관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유도함

2 Diffusion Model 소개 및 적용 방향

Diffusion Model은 Bass(1969)가 제안한 이후 신기술 혹은 신제품의 확산 과정을

예측하기 위해 활발히 활용되는 대표적인 수리적 모형이다 Diffusion Model은 새

로운 상품이나 서비스가 나타내는 S자형의 성장 및 확산 모습을 가장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모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Bass Model은 기본적으로 신제품에 대한 구매가 혁신자(innovator)와 모방자

(imitator)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고 hazard rate라고 불리는 다음의 식으로

부터 출발한다 (hazard rate t시점까지 비구매자가 t시점에서 구매자가 될 확률)

이때 계수 p를 혁신 계수 q를 모방계수라고 한다

)(

)(1

)( tqFptFtf

f(t) t기에 제품을 수용할 확률

F(t) t기까지 수용자의 누적 확률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8

p 혁신계수 (coefficient of innovation)

q 모방계수 (coefficient of imitation)

위의 식로부터 미분방정식을 활용하여 t시점의 수용자 수를 다음와 같이 계산할

수 있고 각 t 시점마다의 누적 수용자수도 함께 계산할 수 있다

2)(

)(2

)1(

)()(

tqp

tqp

epqe

pqpMtS

S(t) t기에 제품을 수용한 소비자의 수

M 시장의 최종적인 잠재수요

확산모형의 모수추정방법으로는 크게 회귀분석을 활용하는 OLS(Ordinary Least

Square) 우도추정함수를 활용한 ML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방법 관찰

치와 예측치의 차이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함수를 설정한 후 모수를 삼차원 공간

에서 추정하는 NLS(Non-linear Least Square) 등의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중에서 지금까지 가장 안정적이고 좋은 성과를 보인다고 평가받고

있는 NLS 방법을 적용하기로 한다

한편 Diffusion Model이 기본적으로 제시하는 형태는 신제품의 수용자 수 기반

의 예측이나 나노산업의 경우 나노기술이 포함된 특정 제품을 선정하고 그 소비

자들만 추출해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최종적인 일반 소

비자들의 나노기술 지식 수준이 낮아 수용 소비자 수를 활용하는 예측의 효과성

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나노기술이 TV 자동차와 같이 최종 end-product로 일반소비

자에게 수용되기 보다는 다양한 산업과 제품에 활용되는 기반 기술이라는 특성을

감안하여 최종수용자 기반의 확산모형이 아닌 산업 총매출액 기반의 확산모형을

적용하고자 한다

실제로 이와 비슷한 특징을 가진 몇 가지 기술 확산 예측 모형에서 같은 이유로

인해 산업의 전체 매출액 데이터를 활용한 Diffusion Model이 활용된 바 있다 예

를 들어 최근 반도체 시장 수요 RFID 시장 수요 오픈소스 기술 수요 등 신기술

등장 시 전체 시장의 확산을 예측하는 계량적 모형으로 매출액 기반의 Diffusion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69

Model이 활용된 바 있다(김진 고경일 2014 권순동 이승률 2015 손동민 외

2014)

특별히 나노기술과 같이 다양한 하위 산업이 존재하는 신기술의 경우 시장 매

출 합산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측하는 포괄적 방법론이 더욱 설득력이 있다고 판

단된다 손동민 외(2014)의 연구에서도 합산 데이터를 활용하여 예측하는 것이 산

업의 포괄적 전망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시장 합산 데이터를 사용한다고 지적

한 바 있다 본 연구도 이와 같은 목적에서 수용자 수 기반의 Diffusion Model 보

다는 합산 매출액 기반의 Diffusion Model을 적용하여 최종 예측하고자 한다

3 일반소비자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 요약

본 연구는 사전 조사로 일반 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을 조사하였다4) 나노기술

과 같이 혁신적인 기술에 대해서 일반 소비자들은 혜택 지각된 위험 혁신 저항

신뢰 등 다양한 인식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소비자 인식은 최종적인 산업의 확

산 및 발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별히 나노기술은 과거 기술 위험성 부작용 등의 뉴스 및 연구 결과들이 발표

된 바 있어 최종 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이해와 개선이

향후 나노산업 발전을 위해 특별히 중요하다 일례로 최근에는 일반적인 공중

(public)이 느끼는 나노기술 위험 특성과 나노기술 개발 및 관리주체인 정부 및 과

학자에 대한 신뢰가 위험인식과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들도 진

행된 바 있다(김원제 외 2016)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에 대한 인식을 면 히 조사하고 향후 산업 전문가 제시 정보로도 활용하기 위해

서베이 기법을 활용한 시장조사를 진행하였다 서울 경기 및 5대 광역시(인천 대

구 광주 부산 대전) 거주하는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96명을 대상으로 진

행하였으며 2016년 10월 10일부터 10월 1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 및 동영상을

이용한 온라인 조사를 실행하였다

4)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2017 「나노기술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신뢰도 수용의도 조사분석 연구」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0

lt그림 30gt 나노기술 인식 조사 변수 소개

소비자 조사를 위한 주요 변수는 앞의 문헌연구를 종합하여 최종 선정하였으며

기본적으로 Benefit-Cost 관점에서 출발하여 나노기술에 대한 혜택 변수 위험 및

혁신장벽 등을 질문하였다 또한 나노기술이 위험인식 기술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기관 사람 기술에 대한 신뢰 변수를 추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나노기술에 대한 긍정적 혜택과 관련하여 지각된 이득 지각된 유용

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이 선정되었으며 혁신저항 변수로 기능적 장벽(지각된 위

험 가치장벽 사용장벽)과 심리적 장벽(관습장벽 이미지 장벽)으로 구분하여 측

정하였다 그리고 나노기술 관련 신뢰는 신뢰의 대상을 기관 사람 기술에 대한

신뢰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웹서베이를 통해 소비자의 연령 성별 나노기술 인식을 비교하여 해

당 분석 결과를 다음 순서인 전문가 조사 제시 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

다 또한 소비자 인식 수준을 참고로 나노기술 정책 개발자 및 나노기업 담당자

들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미 다른

보고서에서 소개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소비자 조사의 주요 결과만을 요약하

기로 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1

lt그림 31gt 일반 소비자의 나노기술 나노제품 사용 여부 인식

우선 본 조사는 일반 소비자들이 나노기술 이용여부를 얼마나 잘 인식하고 있는

지 측정하였다 스마트폰 등 일반 소비자들이 자주 쓰는 제품에서 나노기술이 이미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소비자들이 나노기술 나노제품 사용 여부를 인지하고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실제 소비자들은 나노제품 사용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많은 소비자들이 나노기술 나노제품을 사용한 적 없다

(30) 혹은 잘모르겠다(342)라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여성(40)과 젊은 연령대층

(20대 411)에서 나노기술 사용여부에 대해 잘 모르겠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이처럼 나노기술에 대해 일반소비자의 인식이 낮을 것을 예상하여 본 조사는

본격적인 질문을 시작하기 전에 나노기술과 관련된 홍보영상 관련 뉴스를 4개(총

재생시간 약 11분) 시청하게 하였다 동영상 시청 후 나노기술에 대한 이해도는

다음의 표와 같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lt표 17gt 나노기술의 특징 품질 혁신성 이해 정도 비교 (동영상 시청전후)

구분특징 품질 혁신성

시청 전 시청 후 시청 전 시청 후 시청 전 시청 후

부정 (1점+2점) 369 89 411 83 45 39

긍정(4점+5점) 344 694 283 675 693 796

점수(100점 만점 기준) 484 673 453 669 691 759

차이(시청 후ndash시청 전) 189 216 68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2

단 11분 정도의 간단한 동영상 시청만으로도 나노기술의 이해도가 의미 있게

증가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나노기술의 성장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일반소비자의 이해 수준은 낮은 편이고 이러한 이해도는 추가적인 홍보

를 통해 충분히 상승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향후 나노관련 정책 개발자는 나노기술에 대해 연령별 성별 특성에 적합한 맞

춤형 홍보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도 나노기술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 외의 나노기술 인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2gt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정도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3

우선 나노기술의 혜택으로 지각된 이득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을

100점 만점 기준으로 측정하였는데 일반 소비자들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

득 지각된 사용 용이성 순서대로 나노기술 혜택을 높이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여성보다는 남성이 그리고 저연령층보다는 고연령층 그룹에서 나노기술의 혜택

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나노 관련 정책 홍보 측면에서 나

노기술이 다양한 제품군에서 손쉽게 사용될 수 있음을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별히 여성과 20~30대 젊은 소비자들에게 나노기술의 혜택을 집중적으로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

비용 관점에서는 기능적 장벽(지각된 위험 가치장벽 사용장벽)과 심리적 장벽

(관습장벽 이미지 장벽)으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인 평균값은 혁

신장벽값으로 100점 만점 기준으로 나타내었다 조사 결과 나노기술에 대한 지각

된 위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치장벽과 심리적 장벽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

이었다 특별히 여성이 더 높은 지각된 위험을 인식하고 있으며 30대 소비자 그

룹에서 혁신 저항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즉 일반소비자들에게 특

히 30대 여성 그룹에게 나노기술의 안전성 홍보를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신뢰 측면은 기관에 대한 신뢰 사람에 대한 신뢰 기술에 대한 신뢰로 나누어

100점 만점 기준으로 측정하였는데 나노기술을 개발 운영 유지 관리하는 정부

공공기관 기업 등 기관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여성

들의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고 20~30대 젊은 소비자 그룹의 신뢰도 역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즉 여성과 20~30대 젊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나노

관련 기관들의 신뢰를 높이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서 측정

한 바와 같이 나노기술에 대한 높은 지각된 위험을 고려할 때 향후 더욱 적극적

인 신뢰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조사는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수용의도를 100점 만점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나노기술 적용 제품 수용의도는 남녀가 유의한 차이를 보

였으며 남성(643점)이 여성(603점)보다 수용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별대별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50대 이상이 671점으로

가장 높은 수용의도를 보였고 20대가 580점으로 가장 낮은 수용의도를 보였다

본 결과에 따르면 나노기업은 우선적으로 50대 이상 남성들이 자주 사용할 수 있

는 나노제품군 개발에 노력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장기적으로 젊은 여성 그룹이

선호할 수 있는 나노제품 개발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4

4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결과 요약

본 연구는 나노산업 초기 매출 데이터의 불충분함과 산업 전문가의 보다 현실적

인 예측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5) 이를 위해 먼저 나노

산업을 통계청 NTIS 등 국가승인통계 기준에 따라 ldquo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

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rdquo 네 분야로 분류하였다 단 나노전자산업에 대한

표기는 나노전자(소자)로 변경하였는데 이는 실제로 나노전자 산업에서 소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 산업의 전문가를 기업내부 기업외부 시장분석 전문가의 세 집단으

로 분류하였다 기업내부란 나노관련 기업에 종사하는 직원들을 의미하고 기업외

부란 나노기술과 관련한 국책연구소 정부기관 대학교수들을 의미한다 시장분석

전문가들은 나노산업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금융회사의 애널리스트

펀드매니저 투자전문가 IR담당자들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전문가조사는 기업내부의 전문가 위주의 조사가 주를 이루지만 본 연

구는 보다 객관적인 정보 수집을 위해 다양한 전문가 구성을 시도하고자 노력하

였다 특히 시장분석 전문가들은 나노 관련 기업의 매출 및 이익 구조에 근거해

lsquo돈rsquo과 관련된 투자 의사결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인 시각의 의견을 수

집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였다

전문가 조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산업별로 쿼터를 구성하였다 나노소

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을 각각 균등하게 배분

할 수도 있지만 실제 나노산업의 매출액 비중은 다음의 표와 같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lt표 18gt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추이 (단위 억원)

  2010 2011 2012 2013 2014 Total 비율

나노소재 87191 111370 96651 144391 104664 544267 938

나노전자(소자) 770863 785380 1170282 1215753 1193383 5135661 8849

나노바이오의료 2718 2934 4444 4126 7249 21471 037

나오장비기기 19698 23170 19152 22669 17634 83171 143

Total 880470 922854 1290529 1386939 1322930 5803722  

자료 나노융합산업 통계 산업통상자원부

5)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2017 「나노기술 성장 예측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정확한 제목 이곳에 명시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5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전체 나노산업에서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매출이 차

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이다 따라서 모든 산업을 균등한 비율로 분배하는 것은 무

리가 있다 그렇다고 반대로 단순 매출액에 비례하여 산업 전문가 샘플수를 결정

할 경우 나노전자(소자) 산업이 지나치게 많은 비중을 차지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매출 비중이 적어도 향후 높은 성장이 기대되는 각 나노

세부 산업의 특징을 감안하여 노전자(소자) 산업을 50 그 외 나머지 산업을 50

내에서 균등히 배분하기로 하였다 나노전자(소자) 이외의 다른 산업 매출액 현재

수준은 낮지만 향후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각 세부 그룹별 최소 10명의 전문

가 의견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나노전자

(소자)산업과 그 외 나노산업과의 비율을 5050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각 산업 내에서 전문가 특성별(기업내부 외부 시장분

석 전문가)구분은 서로 균등하게 배분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전문

가 집단 구성은 다음과 같다

lt표 19gt 최종 나노산업 전문가 집단 구성

기업내부 전문가 기업외부 전문가 시장분석 전문가 Total

나노소재 10 10 10 30

나노전자(소자) 30 30 30 90

나노바이오의료 10 10 10 30

나노장비기기 10 10 10 30

Total 60 60 60 180

본 연구는 이렇게 선정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웹서베이를 통해 다양한 의견

을 수집하였다 구체적인 질문에 앞서 먼저 실행된 일반적인 최종소비자들의 현

재 나노기술 인식 수준을 요약하여 제시하였고 이를 충분히 숙지한 후에 본 조사

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이는 자칫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자신이 소속된 산업에 지

나치게 긍정적인 평가를 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나노산업이 위험인식 기술

이고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이해 수준이 여전히 낮은 수준임을 제시한 후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시장을 바라보게 하고자 한 것이다

이후 구체적으로 조사 당시까지 발표된 2010년~2013년까지의 각 나노산업 매출

액을 제시한 후 이후 5년간(2014년-2018년) 자신이 소속된 나노산업 분야의 매출

액을 예측하게 하였다 정확한 예측값을 응답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해당 년도에 해당하는 예상 매출액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응답하게 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6

이후 나노산업의 발전을 위한 주관적 의견 및 나노산업별 중요도 기술수준 평가

항목 등을 측정하였다 지금까지의 조사 방법을 그림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3gt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과정 요약

본 조사는 나노산업과 같이 기술주도적인 산업은 현장에서 실제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산업 전문가의 예측이 가장 현실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는 기본 전제에 기반한 접근 방식이다 단 지나치게 장기적인 예측은 정확성이 떨

어질 것이므로 향후 5년 정도의 단기적인 예측만을 본 분석에 활용할 것이다

또한 지나치게 공급자 입장에서만 생각하는 근시안적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인 최종소비자의 의견 정보를 참고하게 함으로써 최대한 객관적인 의견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나노산업 전문가(기업 내부 외부 시장분석

전문가)를 대상으로 최대한 균형적인 의견을 얻어내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이를

최종적으로 Diffusion Model 예측 과정에 적용하여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의

적절한 조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147명의 응답 데이터를 확보하였으

며 본 연구는 주요 결과만을 간략하게 요약하기로 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7

lt그림 34gt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측값 추이

나노소재 산업 (단위 억원) 나노전자(소자) 산업 (단위 억원)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단위 억원) 나노장비기기 산업 (단위 억원)

우선 나노소재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36조6천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이는 2013년 14조4천억원 대비 253 성장 전망한 것이다 나노전자(소자)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228조5천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하였다 이는 2013년 121조6천

억원 대비 188 성장 전망한 것이다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7천9백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하였다

이는 2013년 4천1백억원 대비 192 성장 전망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나노장비기

기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3조5백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하였다 이는 2013년 2

조2천7백억원 대비 134 성장 전망한 것이다

본 전문가 조사 당시는 2014년 나노시장 매출액 공식 집계가 발표되기 직전이었

기 때문에 2014년~2018년 매출 예상한 것이다 그런데 본 조사를 진행하던 중

2014년 나노시장 공식 집계가 발표되었기 때문에 2014년도 전문가 예측값과 실제

값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특이한 점은 2014년 나노바이오산업의 급

성장으로 인해 실제 2014년도 매출액값에 비해 전문가 의견이 특별히 과소 예측

되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2014년의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전문가의 예상보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8

도 더 크게 성장하였다 단 한해의 값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구체적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다만 최근 바이오 업계의 성장으로 나노산업에서도

전문가 예상을 넘어서는 성장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원

인과 구체적인 분석은 향후 다른 연구에서 시도될 필요가 있다

본 조사는 이외에도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 차이를 상대적으

로 비교하였다 즉 앞서 실행된 일반인 나노기술 인식 조사와 전문가조사에서 같

은 질문 항목에 대해 어떠한 차이가 발견되었는지 확인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5gt 일반인 Vs 전문가 나노기술 인식 차이 비교

분석 결과 종합적으로 나노기술 관련 혜택 및 신뢰는 전문가들이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반면 혁신장벽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함을 확인하였다 이

는 실제로 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의 인식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시켜주는 자료이며

ldquo객관적인 사실 여부를 떠나rdquo나노전문가들의 관련 기술 정책 개발 시 이러한 인

식 차이를 인지하고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를 시사하는 결과

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본 조사는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현재 인식하는 각 세부 산업의 중요도와

기술수준을 평가하게 하였다 중요도란 전체 나노산업 분야에서 아래의 각 세부

나노산업이 차지하는 상대적 중요도(1거의중요하지않음 3보통 5매우중요함)를

의미하며 기술수준이란 최고 기술 보유국 대비 각 세부 국내 나노산업의 상대적

기술 수준을 평가(1최하위권 3보통 5최고선진국)한 것을 의미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9

lt그림 36gt 나노산업별 중요도 및 상대적 기술 수준 평가

분석 결과 전문가들은 나노소재 산업의 중요도를 가장 높게 평가하며 나노전

자(소자) 산업의 기술 수준을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노바이오

의료 산업은 중요도에 비해 기술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평가하고 있어 이 부

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 다른 산업에

비해 중요도와 기술수준이 낮게 평가되어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원이 필요함

을 알 수 있었다

5 Diffusion Model을 적용한 나노산업의 미래 규모 예측 결과

51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존 연구는 지금까지 논의한 Diffusion Model 일반소비자 조사 산업전문가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국내 나노시장의 2025년 매출 규모를 예측하였다 구체적인 방

법론을 다시 한 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Diffusion Model에 2010~2014

년까지의 실제 산업 매출 데이터와 전문가로부터 도출된 2015~2018년까지의 예상 매

출 데이터를 모델에 적용한 후 계수값인 p와 q 값을 추정하였다 이후 추정된 p

q 값을 Diffusion Model에 다시 적용하여 2015년부터 2025년까지 나노시장의 매

출액 규모를 최종 예측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0

Diffusion Model은 기본적으로 연속형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제안되었으나

Bass(1969)는 본 연구와 같이 이산형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는 모델도 함께 제시

하였다 본 연구는 나노산업 매출 데이터를 연도별로 획득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산형 모델을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모델의 형태는 다음

과 같다

S(t) t기의 매출액

N(t) t기까지 누적 매출액

M 시장의 최종적인 잠재 누적매출액

p 혁신계수 (coefficient of innovation)

q 모방계수 (coefficient of imitation)

일반적으로 Diffusion Model 관련 연구들은 추정값의 안정성을 위해 최종 잠재

규모인 M 값을 함께 추정하기보다 외부의 정보를 통해 모형에 직접 대입하는 것

을 추천한다(Putsis Jr and Srinivasan 2000 Mahajan et al 1990)

본 연구 역시 나노산업의 시장 매출액 데이터가 적기 때문에 모형 모수 추정의

불안정성이 존재한다 이 경우 역시 p q M 값을 모두 추정하기보다 외부 정보를

활용해 M값을 도출해내는 것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형의 M 값을 외부적 정보를 통해 계산해내었다 구체적인 도출 근거는 다음과

같다

나노산업은 기본적으로 제조업 산업에 소속되어 있으며 2014년 현재 발표 기준

으로 전체 제조업 산업에서 약 89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2025년 전체

나노시장의 잠재규모의 최대치는 2025년 제조업 산업의 매출 규모를 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물론 극단적으로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산업을 넘어서는 규모로 성장할 가능

성도 없지 않으나 현재 나노기술이 대부분 기존 제조업 기술을 대체하는 과정에

서 성장하고 있고 아직까지는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89로 작기 때문에

2025년이라는 기간 내에 전체 제조업 산업의 최대치를 넘어설 정도로 성장한다고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1

예상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체 제조업 시장이 지금과 같은 연평균성장률을 유지한다고

가정하고(2010년~2014년까지 연평균 26 성장) 2010년부터 2025년까지의 전체

제조업 시장의 잠재누적매출액을 나노시장의 M값으로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전

체 제조업산업의 2010년도 매출액은 약 1340조원이며 2014년 약 1490조원을 거

쳐 2025년 약 1980조원 시장으로 계산되었다 이때 2010~2025년까지의 누적 매출

액은 약 2경6천5백조원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이 값을 M 값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확산모형의 모수 추정방법으로는 앞서 정리한 바와 같이 크게 회귀분석을

활용하는 OLS(Ordinary Least Square) 우도추정함수를 활용한 ML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관찰치와 예측치의 차이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함수를 설정

한 후 모수를 삼차원 공간에서 추정하는 NLS(Non-linear Least Square) 등의 방법

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중에서 지금까지 가장 안정적이고 좋은 성과를 보인다고 평가받고 있는 NLS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도 Nonlinear estimation 방법을 활용하여 p q값을 추정

하였으며 이때 Levenberg-Marquardt algorithm을 사용하였다 지금까지의 설명한

추정 방법을 통해 최종 예측된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는 다음과 같다

lt그림 37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최종 분석 결과 국내 나노시장은 2020년 약 346조원을 거쳐 2025년 약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된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대비 약 504배(504) 성장

전망된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전문가 조사 시 예측값의 최소값과 최대값 응답을 확보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2

위에 제시된 667조원은 평균값 기준이며 만약 전문가 조사 결과의 최대값을 반영

할 경우 2025년 기준 811조원까지 성장이 예상되며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2025년

기준 534조원까지 성장이 예상된다 즉 시장을 가장 부정적으로 전망하더라고

2014년 대비 최소 약 4배의 성장이 예상되며 만약 최대한 긍정적으로 바라볼 경

우 약 6배에 이르는 성장이 예상된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8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최소값 평균값 최대값 비교)

평균값 최대값 최소값을 기준으로 2010년부터 2025년 각 연도별 매출액을 표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아래 표에서 2010년부터 2014년까지는 실제 나노산업

매출액 값이며 2015년부터 2025년까지가 Diffusion Model을 통해 예측된 값이다

lt표 20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2010 880470 880470 880470 2011 922854 922854 922854 2012 1290529 1290529 1290529 2013 1386939 1386939 1386939 2014 1322930 1322930 1322930 2015 1735686 1660302 1803485 2016 1996260 1875811 2107675 2017 2294292 2117633 2461458 2018 2634533 2388455 2872154 2019 3022133 2691095 3347877 2020 3462610 3028467 3897522 2021 3961789 3403531 4530702 2022 4525722 3819232 5257638 2023 5160564 4278422 6088963 2024 5872403 4783764 7035429 2025 6667048 5337626 8107480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3

lt그림 39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한편 본 연구는 전체 제조업이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 26를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해 보았다 전체 제조업은 초기 성장 단계를 지나 이미 성숙기에 도달한 산업

이고 모든 제조업을 종합한 결과치로서 향후 급속한 변화가 진행되지 않을 것으

로 기대되기 때문에 연평균 성장률을 적용해도 무리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분석 결과 2014년 기준 전체 제조업에서 89를 차지하는 나노산업이 2025년

기준 3368 비중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나노산업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약 25p 증가함을 의미하며 앞으로 나노기술이 전체 제조업의

상당수를 점유하는 수준까지 성장할 수 있을 것임을 기대하게 한다

lt표 21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단위 억원)

  제조업 매출 합계 나노산업 매출 예측 나노산업 비중

2010 13395480 880470 657

2011 15023530 922854 614

2012 15114951 1290529 854

2013 14957302 1386939 927

2014 14865742 1322930 890

2015 15257862 1735686 1138

2016 15660324 1996260 1275

2017 16073403 2294292 1427

2018 16497377 2634533 1597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4

  제조업 매출 합계 나노산업 매출 예측 나노산업 비중

2019 16932535 3022133 1785

2020 17379171 3462610 1992

2021 17837588 3961789 2221

2022 18308097 4525722 2472

2023 18791017 5160564 2746

2024 19286675 5872403 3045

2025 19795407 6667048 3368

제조업의 2015~2025년 매출액 합계는 2010~2014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 26를 적용하여 도출함

52 세부 산업별 매출액 예측

본 연구는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각 세부

산업별 매출액을 나누어 도출하였다 이를 순서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나노소재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

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0조5천억원 대비 143161 성장할 것으로 예측

된 것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205조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10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6)

lt그림 40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6) 나노소재 산업이 특별히 고성장할 것이라는 예측 결과는 사전에 실시된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 조사(이곳에 정확한 보고서 이름 명기 필요)에서 나노소재 예상 매출액(2014~2018)이 상당히 높게 예측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결과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lsquo조사에 참여한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다양한 중간재로 투입되는 나노기술을 나노소재 산업으로 인식하여 객관적인 사실보다 소재 산업을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했을 가능성이 있다lsquo라고 평가한 의견이 있었음을 밝혀둔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5

lt표 22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2010 87191 87191 87191 2011 111370 111370 111370 2012 96651 96651 96651 2013 144391 144391 144391 2014 104664 104664 104664 2015 189068 174387 198871 2016 233173 207981 252008 2017 287479 247989 319229 2018 354301 295609 404194 2019 436454 352257 511478 2020 537351 419593 646764 2021 661109 499565 817073 2022 812669 594442 1031017 2023 997914 706863 1299050 2024 1223787 839874 1633696 2025 1498380 996963 2049695

나노전자(소자)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511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19조원 대비 4282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

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598조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429조원

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41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6

lt표 23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2010 770863 770863 770863

2011 785380 785380 785380

2012 1170282 1170282 1170282

2013 1215753 1215753 1215753

2014 1193383 1193383 1193383

2015 1516825 1457375 1573551

2016 1731242 1637921 1821832

2017 1972768 1838296 2105366

2018 2243828 2059983 2427787

2019 2546746 2304383 2792607

2020 2883611 2572743 3203008

2021 3256119 2866071 3661548

2022 3665365 3185037 4169800

2023 4111604 3529850 4727903

2024 4593963 3900123 5334038

2025 5110141 4294726 5983862

나노바이오의료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1조3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되

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7천억원 대비 1795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1조8천억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1조1천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4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7

lt표 24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2010 2718 2718 2718

2011 2934 2934 2934

2012 4444 4444 4444

2013 4126 4126 4126

2014 7249 7249 7249

2015 4870 5338 5406

2016 5373 5744 6100

2017 5928 6180 6883

2018 6540 6649 7765

2019 7216 7154 8762

2020 7961 7698 9885

2021 8783 8282 11153

2022 9690 8911 12583

2023 10691 9587 14197

2024 11795 10315 16017

2025 13013 11098 18071

마지막으로 나노장비기기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4조6천억원 규모로 성

장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조8천억원 대비 25810 성장할 것으로 예

측된 것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5조6천억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

우 3조5천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43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8

lt표 25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2010 19698 19698 19698 2011 23170 23170 23170 2012 19152 19152 19152 2013 22669 22669 22669 2014 17634 17634 17634 2015 24923 23201 25657 2016 26472 24164 27735 2017 28117 25168 29980 2018 29863 26213 32407 2019 31717 27301 35030 2020 33686 28434 37865 2021 35777 29613 40928 2022 37997 30842 44237 2023 40354 32121 47814 2024 42857 33453 51678 2025 45514 34839 55852

지금까지 분석한 각 산업별 성장률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재 가장 최

근값인 2014년 대비 2025년 예상 매출액의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lt표 26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연도별 세부산업별 데이터 (단위 억원 )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국내 나노산업은 나노소재 산업이 가장 큰 성장 잠

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 다음으로 나노전자(소자) 나노장비기기

나노바이오의료 순서로 예상되었다

단 본 조사는 당시 가장 최근값인 2013년 데이터까지 활용하여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실제 2014년도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전년도 대비 매우 큰 폭으

로 상승하였기 때문에 본 조사의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미래 예상 매출액이 과

소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나노바이오 산업은

201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493를 보였는데 2014년 전년 대비 17569으로 성

장하여 과거와는 다른 급격한 성장을 보였다

  2014년 (성장 예상) 2025년 성장률()

나노소재 104664 rarr 1498380 143161

나노전자(소자) 1193383 rarr 5110141 42821

나노바이오의료 7249 rarr 13013 17951

나노장비기기 17634 rarr 45514 25810

Total 1322930 rarr 6667048 50396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9

한편 전체 나노산업 매출에서 각각의 산업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44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lt표 27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위의 표와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2025년 기준 전체 나노시장에서 나노소재

2247 나노전자(소자) 7665 나노바이오의료 020 나노장비기기 068를 차

지할 전망이다 2014년 현재 기준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비중이 줄어들고 나노소

재 산업의 비중이 크게 늘어날 전망으로 파악된다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 여전히 적은 비중을 차지할 전망이다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종합

2025년

예상매출1498380 5110141 13013 45514 6667048

비중() 2247 7665 020 068 100

Vs

2014년

현재매출104664 1193383 7249 17634 1322930

비중 791 9021 055 133 100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0

53 민감도 분석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531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예측치 보정할 경우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최근 나노산업에서 바이오의료 분야가 급속히 성장하였

다 다음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010년부터 점진적인 상승세를 보이던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14년 약 2배에 가까운 급성장을 기록하였다

lt그림 45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최근 급속한 성장세

(단위 억원)

그런데 본 연구가 진행된 시점은 2014년 매출액 발표 직전이었기 때문에 조사

에 참여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전문가들은 2013년까지의 매출 변화만을 보고

미래 매출액(2014~2018년)을 예측하였다 실제로 산업전문가들의 2014년 나노바이

오의료 산업 매출액 예상액은 4430억원이었다 즉 실제 매출액값 대비 3889

적게 예측한 것이다

lt표 2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2014년 예상 매출액 Vs 실제 매출액

  나노바이오의료

2014 예측값 4430

2014 실제값 7249

오류 -3889

이에 따라 본 연구의 Diffusion Model에 적용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15~2018년

전문가 매출 예측액도 이와 같이 과소평가되어 도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91

본 연구는 2015년~2018년값을 2014년 과소평가된 만큼 상향 보정한 후 다시 2025년

나노시장 매출 규모를 예측하였다

이 경우 나노바이오시장은 2025년 평균 기준 4조6천억원 시장으로 성장되며 이

는 2014년 대비 62965 성장을 전망하게 한다 전체 나노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

도 약 068로 다소 상승될 것으로 예상되나 전체 나노시장 규모에 전반적으로

큰 영향은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lt그림 46gt 2025년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예상 매출액 (보정값)

lt그림 47gt 2025년 국내 나노산업별 비중 비교 (보정값)

한편 이렇게 보정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매출액 예측을 국내 나노시장 전

체 매출액에 적용할 경우 국내 전체 나노시장은 670조원 규모로 추가 상승할 여

력이 발생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2

lt그림 4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보정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산업 매출 예상

532 나노소재 전자 산업 수준으로 발전할 경우

본 연구 분석 결과 2014년 현재 2025년 모두 나노전자(소자) 나노소재 산업이

나노산업 매출에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직까지 나노바이오의료

산업과 나노장비기기 산업은 전체 나노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미미한 편이다

이는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예측치값을 보정하였을 경우에도 큰 차이 없이 발

견된 공통적 현상이었다

이는 국내 나노산업에서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

우 크고 앞으로도 이 분야에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고 해석할 수 있는 결과

이다 본 연구는 만약 모든 산업이 나노전자(소자) 혹은 나노소재 산업과 같이 고

성장할 경우 국내 나노산업이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지 시나리오 기반의 민감

도 분석을 실시해보았다 즉 나노산업을 최대한 긍정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경우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지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각 나노산업별로 혁신계수(p) 모방계수(q)를 각각 추정하였기 때문에

특정 산업에서 추정된 계수를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경우 어떠한 변화

가 관측될지 분석이 가능하다

먼저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소재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

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한편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전자

(소자)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준 약 1411조원 시장으

로 성장 전망되었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93

lt그림 49gt 모든 산업이 나노전자 혹은 나노소재 산업 수준으로 성장할 경우

lt표 29gt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 성장 적용 시 예상 매출액

  기존 예측값 나노소재 수준 나노전자(소자)수준

2010 880470 880470 880470

2011 922854 922854 922854

2012 1290529 1290529 1290529

2013 1386939 1386939 1386939

2014 1322930 1322930 1322930

2015 1735686 1583819 3929768

2016 1996260 1942178 4499727

2017 2294292 2377810 5146455

2018 2634533 2905467 5878440

2019 3022133 3541772 6704519

2020 3462610 4304962 7633691

2021 3961789 5214339 8674840

2022 4525722 6289290 9836377

2023 5160564 7547763 11125754

2024 5872403 9004111 12548875

2025 6667048 10666299 14109365

533 혁신계수(p)가 상승할 경우

Diffusion Model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형의 p q값을 추정하여 미래 수요

를 예측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추정된 p q값에 따라 미래 확산 패턴은 매

우 다양한 특징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에서 각 세부 나노산업별로 추정된 p q 값

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4

lt표 30gt 나노산업별 p q 추정값 비교

그런데 본 연구 결과 관찰된 나노산업의 특징은 다른 일반적인 산업의 확산모형

추정값에 비해 p값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일반 소비재 산업의

경우 대부분의 p값은 001~01 사이에서 추정되는 경우가 많다

lt그림 50gt 일반적인 소비재 제품의 혁신계수값 비교

물론 본 연구는 최종 수용자 인원 기준 추정이 아닌 매출액 기준 추정이고 일

반 소비재와는 다른 B2B 제품이 많은 나노산업의 특성상 직접적인 비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와 비슷한 기반 산업이라 볼 수 있는 반도체 시장의

한 연구에서 얻어진 p q 추정값과 비교해도 나노전자 산업을 제외하면 일반적으

로 혁신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김진 고경일 2014의

연구에서 p = 00006 q = 00509)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p 000023 000291 000001 000007

q 023464 015098 010333 006226

R square 093 096 062 061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95

lt그림 51gt 다른 연구(김진 고경일 2014)에서 추정된 p q 값의 예

일반적으로 Diffusion Model의 혁신계수(p)는 같은 제품을 이미 받아들인 소비자

들의 영향 없이 기업의 마케팅 활동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독자적으로 해당 제품을

수용하는 효과를 의미한다(Bass 1969 Mahajan et al 1990) 반대로 모방계수(q)가

높을 경우 나와 같은 주변 소비자들이 해당 제품을 많이 받아들이는 것에 영향을

받아서 제품을 수용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p를 혁신계수 q를

모방계수라고 부르게 된다

이를 본 연구의 나노산업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해석이 가능하다 p값이 낮다

는 것은 나노기업들이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독자적으로 나노제품을 개발하여 시

장에 내놓는 것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다른 나노제품 생산 기

업들이 얼마나 많은 제품을 개발 출시하는지 아직 눈치를 보고 있는 실정이라고

도 유추해 볼 수 있다 나노산업에서 p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q값은 바로 이

러한 모방효과가 나노산업에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이라고 해석할 수 있기 때

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만약 나노 관련 정부기관 등의 적극적인 투자 지원 등이 실행되

어 시장의 혁신계수(p) 값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경우의 국내 나노시장 매출 예측액

이 얼마나 크게 변화할 수 있을지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6

lt그림 52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lt표 31gt 혁신계수값 변화에 따른 나노산업 예측 규모 비교

(단위 억원)

  기존예측값 15p 2p

2010 880470 877752 880470

2011 922854 919920 922854

2012 1290529 1286085 1290529

2013 1386939 1382813 1386939

2014 1322930 1315681 1322930

2015 1735686 2149136 2574977

2016 1996260 2467240 2950618

2017 2294292 2829300 3376107

2018 2634533 3240309 3856425

2019 3022133 3705491 4396561

2020 3462610 4230213 5001356

2021 3961789 4819856 5675311

2022 4525722 5479653 6422356

2023 5160564 6214488 7245601

2024 5872403 7028659 8147069

2025 6667048 7925604 9127423

물론 구체적으로 어떤 정책과 지원을 실행할 경우 15p 2p가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세 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만 본 연구는 현재 나노산업의

혁신계수가 외부적인 노력에 의해 추가 상승될 경우 향후 국내 나노산업 시장이

더욱 성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존재함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97

제5장결론 및 시사점

1 결과 요약

나노산업은 국가 미래 발전을 위한 핵심 성장 동력 중 하나로 최근 본격적인

성장 산업으로서의 모습을 갖추며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향후 나노산업이 국내

산업과 국민 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안할 때 나노산업의 확산 및 미래 시장

규모 예측은 필수적이다

모든 나노산업 정책의 출발점은 미래 시장 규모 예측에 근거한다 정부 및 관련

연구기관 나노기업들의 미래 투자 및 고용 제품 생산 규모 등 거의 모든 사항은

국내 나노시장이 얼마나 더 성장할 것인지에 대한 예측을 활용할 수밖에 없기 때

문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 나노산업의 미래 예측은 해외 유명 기관 학자들의 의견

을 그대로 따르거나 혹은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을 활용한 단순한 방법론에

의해 추정된 것이 대부분이다 일례로 Roco 박사가 제시한 2020년 나노산업 3조

달러 성장 예측은 국내외 다양한 보고서 신문자료 등에서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과거 연평균성장률은 이미 성숙기에 도달한 안정적 산업에 적용하

는 것이 적합하며 나노기술과 같이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

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하

고자 하였다 Diffusion Model이라는 계량적 모델과 일반소비자 조사 나노산업 전

문가 의견 조사라는 정성적 방법을 종합하여 2025년 국내 나노기술 시장 규모를

예측하였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나노기술 시장은 2025년 약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전망되었으며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시장 대비 약 504배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만약 전체 제조

업이 2010~2014년 연평균성장률 26를 유지한다고 가정할 경우 2014년 기준 현

재 전체 제조업에서 89를 차지하는 나노산업이 2025년 기준 3368으로 비중

확대될 전망이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8

lt표 32gt 주요 결과 요약

구분 주요 결과 요약

2025년 국내 전체 나노시장 규모

- 평균값 기준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대비 약 504배(504) 성장 예상

- 최대값 기준 8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 최소값 기준 534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2025년 국내 나노소재 시장 규모- 202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143161 성장 예상

2025년 국내 나노전자(소자) 시장 규모- 2025년 약 511조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42821 성장 예상

2025년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시장 규모- 2025년 약 1조3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17951 성장 예상

2025년 국내 나노장비기기 시장 규모- 2025년 약 4조6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25810 성장 예상

전체 제조업에서 나노산업의 비중

- 2014년 기준 전체 제조업에서 89를 차지하는 나노산업이

2025년 3368 비중으로 확대될 전망

- 나노산업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약 25p 증가함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14년 급격한 성장 반영할 경우

민감도 분석

- 2025년 평균 기준 4조6천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62965 성장 예상

- 이 경우 전체 나노산업 시장도 670조원으로 다소 늘어날 전망

모든 나노산업이

나노소재 산업과 같은 패턴으로 성장할 경우

민감도 분석

- 2025년 평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모든 나노산업이

나노전자(소자) 산업과 같은 패턴으로 성장할

경우 민감도 분석

- 2025년 평균 기준 약 14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나노산업의 혁신계수(p)가 증가할 경우

민감도 분석

- 혁신계수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

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

-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 나노시장

은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

한편 전문가 예측 의견의 최대값 최소값을 각각 Diffusion 모형에 반영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의 최대값은 811조 최소값은 534조로 각각 예측되

었다

또한 나노산업을 세부 산업으로 구분할 경우 2025년 나노소재 150조원 나노전

자(소자) 511조원 나노바이오의료 13조원 나노장비기기 46조원 시장을 각각 형

성할 전망이다 이를 산업별 비중으로 비교하면 2025년 기준 전체 나노시장에서

나노소재는 2247 나노전자(소자)는 7665 나노바이오의료는 020 나노장비

기기는 068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2014년 현재와 비교할 경우 나노

소재 시장의 비중이 늘어나고 나노전자(소자) 시장의 비중이 다소 줄어들 것을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99

예측하게 한다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에는 여전히 적은 비중

을 차지할 전망이다

한편 본 연구는 몇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한 민감도 분석도 실시하였다 우선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2014년도 특별히 크게 성장한 점을 반영하여 예측값을 보

정할 경우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25년 4조6천억원 시장으로 예상되며 이 경

우 나노시장의 총규모도 670조원으로 상승 예상된다

만약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소재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전망되었다 또한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전자(소

자)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준 약 14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전망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투자 지원 확대 등으로 혁신계수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량적 정성적 방법을 종합하여 국내 나노시장의 매출 규모를 예측

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시장 매출 데이터가 아직 적은 편이어서 향후 매출 예측

결과값이 민감하게 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지속적으로 활용

하여 나노시장 예측값을 계속 보완해나갈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도출 및 제언

본 연구 결과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앞으로 국내 나노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나노관련 정부 기관 및 나노기업들은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

된 산업별 시장 규모에 적합한 투자 정책 개발 등 적극적인 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특별히 나노산업을 계속적으로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나노소재와 나노전자

(소자) 산업의 성장 배경을 면 히 분석하여 이를 나노 전 산업으로 공통적으로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반대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과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

우에는 상대적으로 성장이 크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추가 지원 및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에 앞서 실행된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및 나노산업 전문가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0

의견 조사와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향후 나노산업의 추가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시장에서 급속한 성장을 보이는 나노산업이지만

여전히 일반소비자들은 나노기술의 지각된 위험 등 혁신 저항 요인을 많이 인식

한다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2014년 현재 약 130조원의 나노산업이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6년 실시된

조사에서 일반적인 소비자들은 나노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대부분 lsquo사용한 적 없

다 혹은 잘 모르겠다rsquo라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나노기술 관련 정보를 제시하는

동영상을 시청한 후 나노기술 특징 품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급격하게 증

가함 역시 확인하였다 이는 나노기술의 혜택에 대한 홍보가 적절히 실시될 경우

현재의 성장 속도보다 더욱 빠른 나노산업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해주

는 결과이다

향후 나노기업 및 정책 개발자들은 일반 소비자들이 어떤 부분에서 나노기술의

혜택을 크게 느끼고 어떤 부분에서 위험 요인을 많이 인식하는지 보다 면 히 파

악하여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단기적 나노산업 매출 예측치를

Diffusion Model의 주요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다 하지만 앞서 실행된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 조사에서 산업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의 나노기술 인식 차이가 존재함

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칫 나노산업에 대한 시장 예측이 다소 긍정적으로 예측되

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전문가들이 나노기술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나치

게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나노산업의 매출도 긍정적으로 예측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나노산업이 더욱 성장하기 위해서는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수용이 절대적

이다 앞으로 이와 같은 나노산업 인식 및 매출 예측 조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

어 시장 매출 예측치의 값을 계속 업데이트해가며 보완해나갈 필요가 있다

3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나노산업의 미래 시장 규모 예측은 모든 나노 관련 정책의 가장 기본적인 토대

이다 본 조사 결과는 각종 나노산업 통계 및 예측의 기초 자료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으며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 방향 및 전략 도출을 위한 세부적인 분석 및 시

사점 제안을 가능하게 한다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01

예를 들어 국내 나노기업은 본 조사 결과를 활용해 향후 나노시장의 성장에 대

비한 적절한 투자와 인력 충원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나노 관련

정책을 개발하는 정부 기관 연구소들도 미래 나노시장의 잠재적 규모에 근거한

관련 정책을 개발 및 지원할 수 있다

본 조사는 이를 위해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

근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수많은 나노 관련 연구들이 가장 중요한

미래 시장 규모 예측에 있어 비교적 단순한 방법을 적용했음을 감안할 때 본 연

구가 향후 국내 나노산업이 보다 체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나노시장 예측을 기존처럼 해외 유명 학자 기관 등의 자료에 의존하지 않고 국

내에서 스스로 체계적으로 도출해낼 수 있다는 점은 향후 우리나라가 나노기술

분야의 최고 선진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초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단 현

재 국내의 나노산업 매출 데이터가 아직 충분하지 않아 예측 결과값이 민감하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향후 지속적인 업데이트 과정을 통해 미래 나노산업 예측을

계속하여 보완해나가야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2

참 고 문 헌

교육과학기술부(2012) 나노소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제조 및 활용 기준 확립과

사회적 영향연구 교육과학기술부

구훈영 민대기(2013) ldquo델파이 활용 신재생 에너지 수요예측과 장기전원 구성의

경제성 평가rdquo 대한산업공학회지 39(3) 183-191

권성훈 홍순기(2009) ldquo델파이 기술예측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에 관한 연구rdquo

기술혁신연구 17(1) 97-117

권순동 이승률 (2015) ldquoBass확산모형과 특허정보를 이용한 한국형 오픈소스 모션

플랫폼의 기술수요예측rdquo 대한산업공학회지 11 2271-2275

김병수(2009) ldquo기술성장모형에 기반한 기술수준평가방법론 연구rdquo 한국과학기술

기획평가원 연구보고서 2010(23) 1-244

김상훈(2008) 하이테크마케팅 박영사

김석필 정상기 김동현 정다래 권으뜸 김명순(2013) ldquo나노기술 상용화 현황 진

단과 혁신과제rdquo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김선아 김호정 홍용석(2013) ldquo나노물질 안전관리 동향 및 제도 도입에 관한 고

찰rdquo 환경정책연구 12(3) 49-71

김영욱 이현승(2014) ldquo미디어 레퍼토리 위험특성과 위험커뮤니케이션 인식이 원

자력 수용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rdquo 한국위기관리논집

10(4) 1-25

김원제 송해룡 김찬원(2016) ldquo과학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신뢰가 위험

인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나노기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위기관리논집

12(1) 69-81

김준현(2015)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신기술의 기술영향평가 나노기술의 사

회 영향평가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경영컨설팅학과 경영컨설팅

김진 고경일(2014) ldquo비선형회귀 확산모형을 이용한 반도체 시장수요 추정rdquo 디지

털정책연구 12(3) 141-147

김찬원 송해룡 김원제(2015) ldquo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전문가그룹 인식을 중심

으로rdquo 한국위기관리논집 11(6) 121-135

참고문헌

103

남기웅 박상성 신영근 정원교 장동식(2010) ldquo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의 예측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산학기술학회 10(10) 2923-2934

박덕용 이난영 이상호(2008) ldquo나노기술을 이용해 제작한 불소함유 접착필름의

치아우식증 예방효과rdquo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5(4) 662- 670

박희제(2013) ldquo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수용도rdquo 농촌사회 23(1)

327-367

반영주 고영훈 김우성 매유진 목진경 조한규(2014) ldquo나노마스크와 황사마스크

에 의한 토너가루와 담배연기 필터링 효과 비교rdquo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

회 자료집 2014(12) 233-235

배성훈 신광민 윤진선 강상규 김준현 성기완 이기광(2015) ldquo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나노기술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분석rdquo 산업

경영시스템학회지 38(3) 49-55

배성훈 신광민 윤진선 강상규 이솔희(2015) ldquo나노기술의 영향 평가 연구 사회

환경 문화 건강 안전을 중심으로rdquo 나노기술정책센터

산업통상자원부(2014) 2014나노융합산업 조사 보고서 산업통상자원부나노융합

산업협력기구산업연구원

산업통상자원부(2015) 2015 나노융합산업조사 산업통상자원부나노융합산업협력

기구

성지은 황만성(2012) 후기현대사회의 위험관리를 위한 형법 및 형사정책 연구

(Ⅰ)-나노공학기술과 위험관리 형사정책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손동민 문성현 정봉주(2014) ldquo국내 RFID 시장의 확산 분석 및 예측 모형rdquo 대한

산업공학회지 40(4) 415-423

송해룡 김원제(2015) ldquo다차원적 접근을 통한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신뢰가 위험인

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효과rdquo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36(-) 37-60

예기훈 성아영(2010) ldquo금 나노입자를 포함한 안의료용 고분자의 합성 및 물성에

관한 연구rdquo 대한화학회지 54(2) 222-227

오규운 김경훈(2016) ldquo나노기술의 디자인윤리경영과 나노기업의 사회적 책임rdquo

한국과학예술포럼 24(-) 265-276

오미영 외(2008) ldquo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 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용에 미치는 영향rdquo 한국언론

학보 52(1) 467-500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4

왕재선(2013) ldquo신뢰와 원자력 수용성rdquo 한국정책학회보 22(1) 235-266

위키백과(2015) 나노기술

윤승욱(2009) ldquoIPTV의 수용결정요인에 대한 연구rdquo 언론과학연구 9(1) 162-197

이세준 이윤준 홍정임(2008) ldquo통합적 미래연구 방법론의 탐색 및 적용rdquo 과학기

술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8(16) 1-229

이정진 김영훈 배은주 이수승 곽병규 최경희 이종협(2008) ldquo대한민국에서의

나노물질 위해성에 관한 일반인전문가 인식 설문조사rdquo 환경독성보건학회

지 23(4) 247-256

채현석 정재우 김종달(2016) ldquoBass 확산모형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수요예측rdquo 한

국환경정책학회 24(1) 109-132

최종후 강현철(2001)ldquo확산모형과 성장곡선모형을 이용한 중장기 수요예측에 관

한 연구rdquo 응용통계연구 14(2) 233-243

한민규 김병수 유지연 변순천(2010) ldquo기술성장모형에 기반을 둔 기술수준평가

결과 및 시사점 - 바이오칩센서기술을 중심으로rdquo 기술혁신학회지 13(2)

252-281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ldquo델파이기법을 적용한 생체인식시스템 기술예측rdquo 한

국산학기술학회 11(9) 3204-3209

Adams D A Nelson R R and Todd P A(1992) ldquo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Us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 Replicationrdquo MIS Quarterly

227-247

Ajzen I(1985)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rdquo

Action-control Springer Berlin Heidelberg 11-39

Bandura A(1977) ldquo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rdquo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Bass F(1969) ldquoA New Product Growth Model for Consumer Durablesrdquo Management

Science 15(5) 215-227

Bass F Krishnan T and Jain D(1994) Why the Bass Models Fits without Decision

Variablesrdquo Marketing Science 13 202-223

Biemans W G(1992) Managing Innovation within Networks Routledge

Butler J K(1991) ldquoToward Understanding and Measuring Conditions of Trust

Evolution of a Conditions of Trust Inventoryrdquo Journal of Management 17(3)

참고문헌

105

643-663

Canary D J and Seibold D R(1984) Attitudes and Behavior An Annotated

Bibliography Praeger Publishers

Covello V T Slovic P and Von Winterfeldt D(1986) Risk Communi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National Emergency Training Center

Cvetkovich G (1999)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nd R

Louml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Earthscan Publications

Ltd London 53ndash61

Davies J C(2008) Nanotechnology Oversight Washington DC Project on Emerging

Nanotechnologies

Davis F D(1989) ldquo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rdquo MIS Quarterly 319-340

Davis F D Bagozzi R P and Warshaw P R(1992) ldquo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to Use Computers in the Workplace1rdquo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2(14) 1111-1132

Dockner E and Jorgensen S(1988) Optimum Advertising Policies for Diffusion

Model of New Product Innovation in Monopolistic Situationsrdquo Management

Science 34(1) 119-130

Earle T C(2010) ldquoTrust in Risk Management A Model‐Based Review of Empirical

Researchrdquo Risk Analysis 30(4) 541-574

Earle T Siegrist M Gutscher H (2010) Trust Risk Perception and the TCC Model

of Cooperation In Earle T Siegrist M Gutscher H (Eds) Trust in Risk

Management Uncertainty and Scepticism in the Public Mind (pp 1-50) London

England Earthscan

Fishbein M and Ajzen I(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Flynn J Burns W Mertz C K and Slovic P(1992) ldquoTrust as a Determinant of

Opposition to a High‐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Analysis of a

Structural Modelrdquo Risk Analysis 12(3) 417-429

Fujita Y(2006) ldquoPerception of Nanotechnology Among General Public in Japanrdquo

Asia Pacific Nanotech Weekly 4 (6) 2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6

Hobson D W(2009) ldquoCommercialization of Nanotechnologyrdquo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Nanomedicine and Nanobiotechnology 1(2) 189-202

Kalil T A(2005) ldquoNanotechnology and the Valley of Deathrdquo Nanotechnol Law Bus

2(3) 265-268

Karahanna E Straub D W and Chervany N L(1999) ldquo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Across Time A Cross-Sectional Comparison of Preadoption and

Postadoption Beliefsrdquo MIS Quarterly 183-213

Kasperson R E Golding D and Tuler S(1992) ldquoSocial distrust as a Factor in

Siting Hazardous Facilities and Communicating Risksrdquo Journal of Social Issues

48(4) 161-187

Keeney S Hasson F and McKenna H(2011) The Delphi Techniquerdquo The Delphi

Technique in Nursing and Health Research 1-17

Kellens W Terpstra T and De Maeyer P(2013)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of Flood Risks A Systematic Review of Empirical Researchrdquo Risk Analysis

33(1) 24-49

Luhmann N(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in D

Gambetta(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Padstow

Cornwall Basil Blackwell Ltd 94-107

Macoubrie J(2004) Public Perceptions about Nanotechnology Risks Benefits and

Trustrdquo Journal of Nanoparticle Research 6(4) 395-405

Mahajan V Muller E and Bass F M(1990) New Product Diffusion Models

Market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Researchrdquo Journal of Marketing 54

1-26

McNeil R D Lowe J Mastroianni T Cronin J and Ferk D(2007) Barriers to

Nano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inal Report Prepared for US Department of

Commerce Technology Administrationrdquo Univercity of illinois at Springfield IL

httpswww ntis govpdfReport-BarriersNanotechnologyComme rcialization pdf

Midden C J and Huijts N(2009) The Role of Trust in the Affective Evaluation of

Novel Risks The Case of CO2 Storagerdquo Risk analysis 29(5) 743-751

Nel A Xia T Maumldler L and Li N(2006) Toxic Potential of Materials at the

Nanolevelrdquo Science 311(5761) 622-627

참고문헌

107

Oh S Lehto X Y and Park J(2009) Travelers Intent to Use Mobile

Technologies as a Function of Effort and Performance Expectancyrdquo Journal of

Hospitality Marketing amp Management 18(8) 765-781

Paton D(2008) Risk Communication and Natural Hazard Mitigation How Trust

Influences its Effectiveness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Global Environmental

Issues 8(1-2) 2-16

Putsis Jr W P and Srinivasan V(2000) Estimation Techniques for Macro Diffusion

Modelsrdquo New-Product Diffusion Models 11

Ram S(1987) A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rdquo NA-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ume 14

Ram S and Sheth J N(1989) ldquoConsumer Resistance to Innovations The Marketing

Problem and its Solutionsrdquo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6(2) 5-14

Roco M C(2014) Nanotechnology Research Trends in the USrdquo Korea-US Nano

Forum Seoul September 29

Roco M C Mirkin Chad A and Hersam M C(2010) WTEC Panel Report on

Nanotechnology Research Directions for Societal Needs in 2020 Retrospective

and Outlook Springer-Verlag New York

Rogers E M and Everett M(2003) Diffusion of Innovations 5th Edition Free

Pressrdquo New York

Rogers E M(1995) Definition of Innovation 4th Edition Free Press New York

Rogers E M(2003)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5thed) New York NY The Free

Press 2003

Roselius T(1971) ldquoConsumer Rankings of Risk Reduction Methodsrdquo Journal og

Marketing 35(-) 56-6

Rousseau D M Sitkin S B Burt R S and Camerer C(1998) ldquoNot so Different

After All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3) 393-404

Schmittlein D and V Mahajan(1982) ldquo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an

Innovation Diffusion Model of New Product Acceptancerdquo Marketing Science

1(1) 57-78

Seong J E and Hwang M S(2012) Studies on the Risk-Governing Criminal Law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8

and Criminology in the Late-modern Society (1) Risk-governance Criminal

Justice and Criminology in Nanotechnologyrdquo Series of Research 3 1-52

Shah J and and Higgins E T(1997) Expectancy times Value Effects Regulatory Focus

as Determinant of Magnitude and Directionrdquo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3) 447-458

Sheth J N(1981) ldquoPsychology of Innovation Resistance The Less Developed

Concept in Diffusion Researchrdquo Research in Marketing 4 273-282

Siegrist M and Cvetkovich G(2000) Perception of Hazards The Role of Social

Trust and Knowledgerdquo Risk Analysis 20(5) 713-720

Siegrist M Cousin M E Kastenholz H and Wiek A(2007) Public Acceptance

of Nanotechnology Foods and Food Packaging The Influence of Affect and

Trustrdquo Appetite 49(2) 459-466

Slovic P(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rdquo Risk Analysis 13(6)

675-682

Srinivasan V and Charlotte H M(1986) ldquoNonlinear Least Squares Estimation of

New Product Diffusion Modelsrdquo Marketing Science 5(2) 169-178

Trettin L and Musham C(2000) Is Trust a Realistic Goal of Environmental Risk

Communicationrdquo Environment and Behavior 32(3) 410-426

Van den Bulte C and Lilien G L(1997) Bias and Systematic Change in the

Parameter Estimates of Macro-level Diffusion Modelsrdquo Marketing Science 16(4)

338-353

Van den Bulte C and Stremersch S(2004) Social Contagion and Income

Heterogeneity in New Product Diffusion A Meta-Analytic Testrdquo Marketing

Science 23(4) 530-544

Venkatesh V and Bala H(2008) ldquoTechnology Acceptance Model 3 and a Research

Agenda on Interventionsrdquo Decision Sciences 39(2) 273-315

Venkatesh V and Davis F D(2000) ldquo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rdquo Management Science 46(2)

186-204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and Davis F D(2003) ldquo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rdquo MIS Quarterly 27(3)

참고문헌

109

425-478

Venkatraman N Loh L and Koh J(1994) The Adoption of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s a Test of Competing Diffusion Modelsrdquo Management Science

40(4) 496-507

Vernon R (1966) International Investment and International Trade in the Product

Cyclerdquo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90-207

Wachinger G Renn O Begg C and Kuhlicke C(2013) The Risk Perception

Paradoxmdashimplications for Governance and Communication of Natural Hazardsrdquo

Risk Analysis 33(6) 1049-1065

Wiesner M R G V Lowry K Jones J M H Gochella R T Di Giulio E

Casman and E S Bernhardt(2009) Decreasing Uncertainties in Assessing

Environmental Exposure Risk and Ecological Implications of Nanomaterialsrdquo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3(17) 6458-6462

Wittmaack K(2007) In Search of the Most Relevant Parameter for Quantifying Lung

Inflammatory Response to Nanoparticle Exposure Particle Number Surface Area

or Whatrdquo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87-194

Zaltman G and Wallendorf M(1983) Consumer Behavior Basic Findings and

Management Implications New York John wiley and Son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인 쇄

발 행

발 행 인

발 행 처

주 소

전 화

인 쇄 처

2017년 4월

2017년 4월

한 선 화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02)3299-6253

(주)승림디엔씨 (02)2271-2581

lt비매품gt

ltlt ASCII85EncodePages false AllowTransparency false AutoPositionEPSFiles true AutoRotatePages None Binding Left CalGrayProfile (Dot Gain 20) CalRGBProfile (sRGB IEC61966-21) CalCMYKProfile (US Web Coated 050SWOP051 v2) sRGBProfile (sRGB IEC61966-21) CannotEmbedFontPolicy Error CompatibilityLevel 14 CompressObjects Tags CompressPages true ConvertImagesToIndexed true PassThroughJPEGImages true CreateJobTicket false DefaultRenderingIntent Default DetectBlends true DetectCurves 00000 ColorConversionStrategy CMYK DoThumbnails false EmbedAllFonts true EmbedOpenType false ParseICCProfilesInComments true EmbedJobOptions true DSCReportingLevel 0 EmitDSCWarnings false EndPage -1 ImageMemory 1048576 LockDistillerParams false MaxSubsetPct 100 Optimize true OPM 1 ParseDSCComments true ParseDSCCommentsForDocInfo true PreserveCopyPage true PreserveDICMYKValues true PreserveEPSInfo true PreserveFlatness true PreserveHalftoneInfo false PreserveOPIComments true PreserveOverprintSettings true StartPage 1 SubsetFonts true TransferFunctionInfo Apply UCRandBGInfo Preserve UsePrologue false ColorSettingsFile () AlwaysEmbed [ true ] NeverEmbed [ true ] AntiAliasColorImages false CropColorImages true ColorImageMinResolution 300 Color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ColorImages true ColorImageDownsampleType Bicubic ColorImageResolution 300 ColorImageDepth -1 ColorImageMinDownsampleDepth 1 Color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ColorImages true Color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ColorImages true ColorImageAutoFilterStrategy JPEG ColorACS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Color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JPEG2000ColorACS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JPEG2000Color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AntiAliasGrayImages false CropGrayImages true GrayImageMinResolution 300 Gray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GrayImages true GrayImageDownsampleType Bicubic GrayImageResolution 300 GrayImageDepth -1 GrayImageMinDownsampleDepth 2 Gray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GrayImages true Gray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GrayImages true GrayImageAutoFilterStrategy JPEG GrayACS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Gray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JPEG2000GrayACS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JPEG2000Gray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AntiAliasMonoImages false CropMonoImages true MonoImageMinResolution 1200 Mono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MonoImages true MonoImageDownsampleType Bicubic MonoImageResolution 1200 MonoImageDepth -1 Mono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MonoImages true MonoImageFilter CCITTFaxEncode MonoImageDict ltlt K -1 gtgt AllowPSXObjects false CheckCompliance [ None ] PDFX1aCheck false PDFX3Check false PDFXCompliantPDFOnly false PDFXNoTrimBoxError true PDFXTrimBoxToMedia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SetBleedBoxToMediaBox true PDFXBleedBoxToTrim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OutputIntentProfile () PDFXOutputConditionIdentifier () PDFXOutputCondition () PDFXRegistryName () PDFXTrapped False CreateJDFFile false Description ltlt ARA ltFEFF06270633062A062E062F0645002006470630064700200627064406250639062F0627062F0627062A002006440625064606340627062100200648062B06270626064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645062A064806270641064206290020064406440637062806270639062900200641064A00200627064406450637062706280639002006300627062A0020062F0631062C0627062A002006270644062C0648062F0629002006270644063906270644064A0629061B0020064A06450643064600200641062A062D00200648062B0627062606420020005000440046002006270644064506460634062306290020062806270633062A062E062F06270645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648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6250635062F0627063100200035002E0030002006480627064406250635062F062706310627062A0020062706440623062D062F062B002E0635062F0627063100200035002E0030002006480627064406250635062F062706310627062A0020062706440623062D062F062B002Egt BGR ltFEFF04180437043f043e043b043704320430043904420435002004420435043704380020043d0430044104420440043e0439043a0438002c00200437043000200434043000200441044a043704340430043204300442043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8002c0020043c0430043a04410438043c0430043b043d043e0020043f044004380433043e04340435043d04380020043704300020043204380441043e043a043e043a0430044704350441044204320435043d0020043f04350447043004420020043704300020043f044004350434043f0435044704300442043d04300020043f043e04340433043e0442043e0432043a0430002e002000200421044a04370434043004340435043d0438044204350020005000440046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80020043c043e0433043004420020043404300020044104350020043e0442043204300440044f044200200441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43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43800200441043b0435043404320430044904380020043204350440044104380438002egt CHS ltFEFF4f7f75288fd94e9b8bbe5b9a521b5efa7684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65876863900275284e8e9ad88d2891cf76845370524d53705237300260a853ef4ee54f7f752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548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4ee553ca66f49ad87248672c676562535f00521b5efa768400200050004400460020658768633002gt CHT ltFEFF4f7f752890194e9b8a2d7f6e5efa7acb7684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65874ef69069752865bc9ad854c18cea76845370524d5370523786557406300260a853ef4ee54f7f752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548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4ee553ca66f49ad87248672c4f86958b555f5df25efa7acb76840020005000440046002065874ef63002gt CZE ltFEFF005400610074006f0020006e006100730074006100760065006e00ed00200070006f0075017e0069006a007400650020006b0020007600790074007600e101590065006e00ed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16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06b00740065007200e90020007300650020006e0065006a006c00e90070006500200068006f006400ed002000700072006f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e00ed0020007400690073006b00200061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e002000200056007900740076006f01590065006e00e9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90020005000440046002000620075006400650020006d006f017e006e00e90020006f007400650076015900ed007400200076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50063006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10020006e006f0076011b006a016100ed00630068002egt DAN ltFEFF004200720075006700200069006e0064007300740069006c006c0069006e006700650072006e0065002000740069006c0020006100740020006f0070007200650074007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72002c0020006400650072002000620065006400730074002000650067006e006500720020007300690067002000740069006c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d007500640073006b007200690076006e0069006e00670020006100660020006800f8006a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74002e0020004400650020006f0070007200650074007400650064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720020006b0061006e002000e50062006e006500730020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6c006c00650072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f00670020006e0079006500720065002egt DEU ltFEFF00560065007200770065006e00640065006e0020005300690065002000640069006500730065002000450069006e007300740065006c006c0075006e00670065006e0020007a0075006d002000450072007300740065006c006c0065006e00200076006f006e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4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6e002c00200076006f006e002000640065006e0065006e002000530069006500200068006f0063006800770065007200740069006700650020005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d0044007200750063006b0065002000650072007a0065007500670065006e0020006d00f60063006800740065006e002e002000450072007300740065006c006c007400650020005000440046002d004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6b00f6006e006e0065006e0020006d00690074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75006e0064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f0064006500720020006800f600680065007200200067006500f600660066006e00650074002000770065007200640065006e002egt ESP ltFEFF005500740069006c0069006300650020006500730074006100200063006f006e0066006900670075007200610063006900f3006e00200070006100720061002000630072006500610072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50004400460020006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61006400650063007500610064006f00730020007000610072006100200069006d0070007200650073006900f3006e0020007000720065002d0065006400690074006f007200690061006c00200064006500200061006c00740061002000630061006c0069006400610064002e002000530065002000700075006500640065006e002000610062007200690072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500610064006f007300200063006f006e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79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e0065007300200070006f00730074006500720069006f007200650073002egt ETI ltFEFF004b00610073007500740061006700650020006e0065006900640020007300e400740074006500690064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6500740073006500200074007200fc006b006900650065006c007300650020007000720069006e00740069006d0069007300650020006a0061006f006b007300200073006f00620069006c0069006b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9006400650020006c006f006f006d006900730065006b0073002e00200020004c006f006f006400750064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730061006100740065002000610076006100640061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d00690064006500670061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e0069006e0067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a00610020007500750065006d006100740065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f006e00690064006500670061002e000d000agt FRA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30065007a00200063006500730020006f007000740069006f006e00730020006100660069006e00200064006500200063007200e9006500720020006400650073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73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70006f0075007200200075006e00650020007100750061006c0069007400e90020006400270069006d007000720065007300730069006f006e00200070007200e9007000720065007300730065002e0020004c00650073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73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e900e90073002000700065007500760065006e0074002000ea0074007200650020006f007500760065007200740073002000640061006e0073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0610069006e007300690020007100750027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74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e007300200075006c007400e90072006900650075007200650073002egt GRE ltFEFF03a703c103b703c303b903bc03bf03c003bf03b903ae03c303c403b5002003b103c503c403ad03c2002003c403b903c2002003c103c503b803bc03af03c303b503b903c2002003b303b903b1002003bd03b1002003b403b703bc03b903bf03c503c103b303ae03c303b503c403b5002003ad03b303b303c103b103c603b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3c003bf03c5002003b503af03bd03b103b9002003ba03b103c42019002003b503be03bf03c703ae03bd002003ba03b103c403ac03bb03bb03b703bb03b1002003b303b903b1002003c003c103bf002d03b503ba03c403c503c003c903c403b903ba03ad03c2002003b503c103b303b103c303af03b503c2002003c503c803b703bb03ae03c2002003c003bf03b903cc03c403b703c403b103c2002e0020002003a403b10020005000440046002003ad03b303b303c103b103c603b1002003c003bf03c5002003ad03c703b503c403b5002003b403b703bc03b903bf03c503c103b303ae03c303b503b9002003bc03c003bf03c103bf03cd03bd002003bd03b1002003b103bd03bf03b903c703c403bf03cd03bd002003bc03b5002003c403bf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3c403b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3ba03b103b9002003bc03b503c403b103b303b503bd03ad03c303c403b503c103b503c2002003b503ba03b403cc03c303b503b903c2002egt HEB ltFEFF05D405E905EA05DE05E905D5002005D105D405D205D305E805D505EA002005D005DC05D4002005DB05D305D9002005DC05D905E605D505E8002005DE05E105DE05DB05D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5D405DE05D505EA05D005DE05D905DD002005DC05D405D305E405E105EA002005E705D305DD002D05D305E405D505E1002005D005D905DB05D505EA05D905EA002E002005DE05E105DE05DB05D90020005000440046002005E905E005D505E605E805D5002005E005D905EA05E005D905DD002005DC05E405EA05D905D705D4002005D105D005DE05E605E205D505E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5D5002D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5D505D205E805E105D005D505EA002005DE05EA05E705D305DE05D505EA002005D905D505EA05E8002E05D005DE05D905DD002005DC002D005000440046002F0058002D0033002C002005E205D905D905E005D5002005D105DE05D305E805D905DA002005DC05DE05E905EA05DE05E9002005E905DC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E002005DE05E105DE05DB05D90020005000440046002005E905E005D505E605E805D5002005E005D905EA05E005D905DD002005DC05E405EA05D905D705D4002005D105D005DE05E605E205D505E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5D5002D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5D505D205E805E105D005D505EA002005DE05EA05E705D305DE05D505EA002005D905D505EA05E8002Egt HRV (Za stvaranje Adobe PDF dokumenata najpogodnijih za visokokvalitetni ispis prije tiskanja koristite ove postavke Stvoreni PDF dokumenti mogu se otvoriti Acrobat i Adobe Reader 50 i kasnijim verzijama) HUN ltFEFF004b0069007600e1006c00f30020006d0069006e0151007300e9006701710020006e0079006f006d00640061006900200065006c0151006b00e90073007a00ed007401510020006e0079006f006d00740061007400e100730068006f007a0020006c006500670069006e006b00e1006200620020006d0065006700660065006c0065006c015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6d006f006b0061007400200065007a0065006b006b0065006c0020006100200062006500e1006c006c00ed007400e10073006f006b006b0061006c0020006b00e90073007a00ed0074006800650074002e0020002000410020006c00e90074007200650068006f007a006f00740074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6d006f006b00200061007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e9007300200061007a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c0020007600610067007900200061007a002000610074007400f3006c0020006b00e9007301510062006200690020007600650072007a006900f3006b006b0061006c0020006e00790069007400680061007400f3006b0020006d00650067002egt ITA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a007a006100720065002000710075006500730074006500200069006d0070006f007300740061007a0069006f006e006900200070006500720020006300720065006100720065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70006900f900200061006400610074007400690020006100200075006e00610020007000720065007300740061006d0070006100200064006900200061006c007400610020007100750061006c0069007400e0002e00200049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9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500610074006900200070006f00730073006f006e006f0020006500730073006500720065002000610070006500720074006900200063006f006e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e006900200073007500630063006500730073006900760065002egt JPN ltFEFF9ad854c18cea306a30d730ea30d730ec30b951fa529b752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658766f8306e4f5c6210306b4f7f75283057307e305930023053306e8a2d5b9a30674f5c62103055308c305f0020005000440046002030d530a130a430eb306f3001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304a30883073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4ee5964d3067958b304f30533068304c3067304d307e305930023053306e8a2d5b9a306b306f30d530a930f330c8306e57cb30818fbc307f304c5fc59808306730593002gt KOR ltFEFFc7740020c124c815c7440020c0acc6a9d558c5ec0020ace0d488c9c80020c2dcd5d80020c778c1c4c5d00020ac00c7a50020c801d569d55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bb38c11cb97c0020c791c131d569b2c8b2e4002e0020c774b807ac8c0020c791c131b41c00200050004400460020bb38c11cb294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bc0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c774c0c1c5d0c11c0020c5f40020c2180020c788c2b5b2c8b2e4002egt LTH ltFEFF004e006100750064006f006b0069007400650020016100690075006f007300200070006100720061006d006500740072007500730020006e006f0072011700640061006d00690020006b007500720074006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73002c0020006b00750072006900650020006c0061006200690061007500730069006100690020007000720069007400610069006b007900740069002000610075006b01610074006f00730020006b006f006b007900620117007300200070006100720065006e006700740069006e00690061006d00200073007000610075007300640069006e0069006d00750069002e0020002000530075006b0075007200740069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10069002000670061006c006900200062016b007400690020006100740069006400610072006f006d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9007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10072002000760117006c00650073006e0117006d00690073002000760065007200730069006a006f006d00690073002egt LVI ltFEFF0049007a006d0061006e0074006f006a00690065007400200161006f00730020006900650073007400610074012b006a0075006d00750073002c0020006c0061006900200076006500690064006f0074007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73002c0020006b006100730020006900720020012b00700061016100690020007000690065006d01130072006f00740069002000610075006700730074006100730020006b00760061006c0069007401010074006500730020007000690072006d007300690065007300700069006501610061006e006100730020006400720075006b00610069002e00200049007a0076006500690064006f006a006900650074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73002c0020006b006f00200076006100720020006100740076011300720074002000610072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75006e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c0020006b0101002000610072012b00200074006f0020006a00610075006e0101006b0101006d002000760065007200730069006a0101006d002egt NLD (Gebruik deze instellingen om Adobe PDF-documenten te maken die zijn geoptimaliseerd voor prepress-afdrukken van hoge kwaliteit De gemaakte PDF-documenten kunnen worden geopend met Acrobat en Adobe Reader 50 en hoger) NOR ltFEFF004200720075006b00200064006900730073006500200069006e006e007300740069006c006c0069006e00670065006e0065002000740069006c002000e50020006f00700070007200650074007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7200200073006f006d00200065007200200062006500730074002000650067006e0065007400200066006f00720020006600f80072007400720079006b006b0073007500740073006b00720069006600740020006100760020006800f80079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74002e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6e00650020006b0061006e002000e50070006e006500730020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6c006c0065007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6c006c00650072002000730065006e006500720065002egt POL ltFEFF0055007300740061007700690065006e0069006100200064006f002000740077006f0072007a0065006e00690061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f300770020005000440046002000700072007a0065007a006e00610063007a006f006e00790063006800200064006f002000770079006400720075006b00f30077002000770020007700790073006f006b00690065006a0020006a0061006b006f015b00630069002e00200020004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900200050004400460020006d006f017c006e00610020006f007400770069006500720061010700200077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90065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90020006e006f00770073007a0079006d002egt PTB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a006500200065007300730061007300200063006f006e00660069006700750072006100e700f50065007300200064006500200066006f0072006d006100200061002000630072006900610072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d00610069007300200061006400650071007500610064006f00730020007000610072006100200070007200e9002d0069006d0070007200650073007300f50065007300200064006500200061006c007400610020007100750061006c00690064006100640065002e0020004f0073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900610064006f007300200070006f00640065006d0020007300650072002000610062006500720074006f007300200063006f006d0020006f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20006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20007600650072007300f50065007300200070006f00730074006500720069006f007200650073002egt RUM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a00610163006900200061006300650073007400650020007300650074010300720069002000700065006e0074007200750020006100200063007200650061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10064006500630076006100740065002000700065006e0074007200750020007400690070010300720069007200650061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000640065002000630061006c006900740061007400650020007300750070006500720069006f006100720103002e00200020004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5006c0065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500610074006500200070006f0074002000660069002000640065007300630068006900730065002000630075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15f00690020007600650072007300690075006e0069006c006500200075006c0074006500720069006f006100720065002egt RUS ltFEFF04180441043f043e043b044c04370443043904420435002004340430043d043d044b04350020043d0430044104420440043e0439043a043800200434043b044f00200441043e043704340430043d0438044f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e043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43c0430043a04410438043c0430043b044c043d043e0020043f043e04340445043e0434044f04490438044500200434043b044f00200432044b0441043e043a043e043a0430044704350441044204320435043d043d043e0433043e00200434043e043f0435044704300442043d043e0433043e00200432044b0432043e04340430002e002000200421043e043704340430043d043d044b04350020005000440046002d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4b0020043c043e0436043d043e0020043e0442043a0440044b043204300442044c002004410020043f043e043c043e0449044c044e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43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43800200431043e043b043504350020043f043e04370434043d043804450020043204350440044104380439002egt SKY ltFEFF0054006900650074006f0020006e006100730074006100760065006e0069006100200070006f0075017e0069007400650020006e00610020007600790074007600e100720061006e00690065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f0076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06b0074006f007200e90020007300610020006e0061006a006c0065007001610069006500200068006f0064006900610020006e0061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e00fa00200074006c0061010d00200061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e00200056007900740076006f00720065006e00e9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90020005000440046002000620075006400650020006d006f017e006e00e90020006f00740076006f00720069016500200076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f0063006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10020006e006f0076016100ed00630068002egt SLV ltFEFF005400650020006e006100730074006100760069007400760065002000750070006f0072006100620069007400650020007a00610020007500730074007600610072006a0061006e006a0065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f0076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06b006900200073006f0020006e0061006a007000720069006d00650072006e0065006a016100690020007a00610020006b0061006b006f0076006f00730074006e006f0020007400690073006b0061006e006a00650020007300200070007200690070007200610076006f0020006e00610020007400690073006b002e00200020005500730074007600610072006a0065006e0065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50004400460020006a00650020006d006f0067006f010d00650020006f0064007000720065007400690020007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9006e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9006e0020006e006f00760065006a01610069006d002egt SUO ltFEFF004b00e40079007400e40020006e00e40069007400e4002000610073006500740075006b007300690061002c0020006b0075006e0020006c0075006f00740020006c00e400680069006e006e00e4002000760061006100740069007600610061006e0020007000610069006e006100740075006b00730065006e002000760061006c006d0069007300740065006c00750074007900f6006800f6006e00200073006f0070006900760069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40065006a0061002e0020004c0075006f006400750074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9007400200076006f0069006400610061006e002000610076006100740061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69006c006c00610020006a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3a006c006c00610020006a006100200075007500640065006d006d0069006c006c0061002egt SVE ltFEFF0041006e007600e4006e00640020006400650020006800e4007200200069006e0073007400e4006c006c006e0069006e006700610072006e00610020006f006d002000640075002000760069006c006c00200073006b00610070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200073006f006d002000e400720020006c00e4006d0070006c0069006700610020006600f60072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d007500740073006b00720069006600740020006d006500640020006800f60067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74002e002000200053006b0061007000610064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20006b0061006e002000f600700070006e006100730020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f0063006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f00630068002000730065006e006100720065002egt TUR ltFEFF005900fc006b00730065006b0020006b0061006c006900740065006c0069002000f6006e002000790061007a006401310072006d00610020006200610073006b013100730131006e006100200065006e0020006900790069002000750079006100620069006c006500630065006b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20065006c00670065006c0065007200690020006f006c0075015f007400750072006d0061006b0020006900e70069006e00200062007500200061007900610072006c0061007201310020006b0075006c006c0061006e0131006e002e00200020004f006c0075015f0074007500720075006c0061006e0020005000440046002000620065006c00670065006c00650072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76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76006500200073006f006e0072006100730131006e00640061006b00690020007300fc007200fc006d006c00650072006c00650020006100e70131006c006100620069006c00690072002egt UKR ltFEFF04120438043a043e0440043804410442043e043204430439044204350020044604560020043f043004400430043c043504420440043800200434043b044f0020044104420432043e04400435043d043d044f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56043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44f043a04560020043d04300439043a04400430044904350020043f045604340445043e0434044f0442044c00200434043b044f0020043204380441043e043a043e044f043a04560441043d043e0433043e0020043f0435044004350434043404400443043a043e0432043e0433043e0020043404400443043a0443002e00200020042104420432043e04400435043d0456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800200050004400460020043c043e0436043d04300020043204560434043a044004380442043800200443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4420430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4300431043e0020043f04560437043d04560448043e04570020043204350440044104560457002egt ENU (Use these settings to create Adobe PDF documents best suited for high-quality prepress printing Created PDF documents can be opened with Acrobat and Adobe Reader 50 and later) gtgt Namespace [ (Adobe) (Common) (10) ] OtherNamespaces [ ltlt AsReaderSpreads false CropImagesToFrames true ErrorControl WarnAndContinue FlattenerIgnoreSpreadOverrides false IncludeGuidesGrids false IncludeNonPrinting false IncludeSlug false Namespace [ (Adobe) (InDesign) (40) ] OmitPlacedBitmaps false OmitPlacedEPS false OmitPlacedPDF false SimulateOverprint Legacy gtgt ltlt AddBleedMarks false AddColorBars false AddCropMarks false AddPageInfo false AddRegMarks false ConvertColors ConvertToCMYK DestinationProfileName () DestinationProfileSelector DocumentCMYK Downsample16BitImages true FlattenerPreset ltlt PresetSelector MediumResolution gtgt FormElements false GenerateStructure false IncludeBookmarks false IncludeHyperlinks false IncludeInteractive false IncludeLayers false IncludeProfiles false MultimediaHandling UseObjectSettings Namespace [ (Adobe) (CreativeSuite) (20) ] PDFXOutputIntentProfileSelector DocumentCMYK PreserveEditing true UntaggedCMYKHandling LeaveUntagged UntaggedRGBHandling UseDocumentProfile UseDocumentBleed false gtgt ]gtgt setdistillerparamsltlt HWResolution [2400 2400] PageSize [612000 792000]gtgt setpagedevice

Page 2: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i

요 약

본 연구는 계량적 모형을 활용하여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체계적으로 예측하

였다 분석 결과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은 약 667조원으로 성장 예측되며 세부 산

업별로 나노소재 150조 나노전자(소자) 511조 나노바이오의료 13조 나노장비기

기 46조 시장을 형성할 전망이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나노산업의 경제적 파

급효과를 파악하고 관련 정부 기관 및 나노기업의 정책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

안할 수 있다

1 연구의 개요

나노기술이 국내 산업과 일반 국민의 소비 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할 때 체계적이

고 과학적인 방법론에 근거한 미래 나노시장 규모 예측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이라는 계량적 모형을 활용하여 2025년 국내 나노산업의 시장 규모를 예측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과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는 종합적인

예측 방법론을 제안하였으며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의

각 세부 산업별 매출액을 예측함으로써 각 산업별 성장 가능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전

문가 의견 및 몇 가지 시나리오를 반영한 민감도 분석을 실행하여 미래 나노시장의 다양한

변화 가능성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나노 관련 정부 기관 나노기업들은 향

후 나노시장의 잠재적 성장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2 조사 방법 및 설계

본 연구는 먼저 전문가가 아닌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를 정리하고

(Step 1) 해당 결과를 산업 전문가들에게 제시한 후 향후 5년간 각 나노산업의 시장 매출액

을 예상하게 하였다(Step 2) 본 연구는 이렇게 얻어진 전문가 예측값을 Diffusion Model의

입력 자료에 포함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2025년 국내 나노산업의 시장 총매출액을 예측하

였다(Step 3) 이후 다양한 시나리오에 의해 모형의 계수값을 변경시키면서 시장 예측값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을지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행하였다

ii

3 주요 결과

기존 나노산업 규모 예측치는 대부분 해외 유명 기관 학자들의 의견을 그대로 따르거나

혹은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에 기반한 단순한 방법으로 계산된 것이다 일례로 Roco 박

사가 제시한 lsquo2020년 나노산업 3조달러 성장rsquo 예측은 국내외 다양한 보고서 신문자료 등에

서 빈번히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과거 연평균성장률을 통한 예측은 이미 성숙기에 도달한

안정적 산업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나노기술과 같이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하고자 하였

다 Diffusion Model이라는 계량적 모델과 일반소비자 조사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 조사라

는 정성적 방법을 종합하여 2025년 국내 나노기술 시장 규모를 예측하였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나노기술 시장은 2025년 약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으며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시장 대비 약 504배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만약 전체 제조업이 2010~2014년

의 연평균성장률 26를 유지한다고 가정할 경우 2014년 기준 전체 제조업 중 89를 차

지하는 나노산업은 2025년 3368으로 비중 확대될 전망이다 한편 전문가 예측 의견의 최

대값 최소값을 각각 Diffusion Model에 반영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의 최대

값은 811조 최소값은 534조로 예측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나노산업을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의

세부 산업으로 구분하고 각 산업의 미래 규모를 추정하였다 먼저 나노소재 산업은 2025년

150조원 시장으로 성장하여 2014년 현재 약 10조5천억원 대비 143161 성장할 것으로 예

측되었다 나노전자(소자) 산업은 2025년 511조원으로 성장하여 2014년 현재 약 119조원

대비 4282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25년 13조원 시장으

로 성장하여 2014년 현재 약 7천억원 대비 1795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마지막으로

나노장비기기 산업은 2025년 46조원 시장으로 성장하여 2014년 현재 약 1조8천억원 대비

25810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성장률 기준으로 비교할 경우 나노소재 산업이 가장 큰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

로 판단되며 그 다음으로 나노전자(소자) 나노장비기기 나노바이오의료 순서로 예상된다

단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2014년도 특별히 크게 성장한 점을 반영하여 예측값을 보정할

경우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25년 약 4조6천억원

iii

시장으로 예상되며 이 경우 국내 나노시장의 총규모도 670조원으로 상승이 예상된다

한편 각 산업별 매출 비중을 비교할 경우 2025년 전체 나노시장에서 나노소재 산업이 차

지하는 비중은 2247 나노전자(소자) 7665 나노바이오의료 020 나노장비기기

068로 예측된다 이는 2014년 현재 기준과 비교할 때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비중이 다

소 줄어들고 나노소재 산업의 비중이 늘어날 것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한편 나노바이오

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 2014년과 비교할 때 여전히 작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

상된다

4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국내 나노산업이 2025년까지 빠른 속도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측하였다

나노산업의 미래 시장 규모 예측은 모든 나노 관련 정책의 기본적인 토대이다 본 조사 결

과는 향후 각종 나노산업 통계 및 예측의 기초 자료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으며 국내 나노

시장의 성장 방향 및 전략 도출을 위한 세부적인 분석 및 시사점 제안을 가능하게 할 것이

다 예를 들어 나노기업은 본 조사 결과를 활용해 향후 나노시장의 성장 속도에 대비한 적

절한 투자와 인력 충원 등을 선제적으로 계획할 수 있다 또한 나노 관련 정책을 개발하는

정부 기관 연구소들도 미래 나노시장의 잠재적 규모에 근거한 관련 정책을 개발 및 지원할

수 있다

본 조사는 이를 위해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수많은 나노 관련 연구들이 가장 중요한 미래 시장 규모 예

측에 있어 비교적 단순한 방법을 적용했음을 감안할 때 본 연구가 향후 국내 나노산업이

보다 체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단 현재 국내 나노

산업 매출 데이터가 아직 충분하지 않아 예측 결과값이 민감하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향후

지속적인 업데이트 과정을 통해 미래 나노산업 예측값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iv

Abstract

This study systematically predicts the size of the domestic nano-market using

quantitative model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 domestic nano-market will

grow to about 667 trillion won by 2025 By industry it is expected to form a

market of 150 trillion won for nanomaterials 511 trillion won for

nanoelectronics(devices) 13 trillion won for nanobiotechnologyhealthcare and 46

trillion won for nanotechnology equi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the nano-industry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policy development of nano-related government agencies and companies

1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rsquo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nano-market size based on a systematic

and scientific methodology This study predicted the market size of domestic nano-industry in

2025 by using a ldquoDiffusion Modelrdquo which is one of the quantitative models

In this process we proposed a comprehensive forecasting methodology that reflects the

general consumersrsquo perception of nanotechnology and nano-industry expertsrsquo opinions

As we predicted the sales of each industry of nanomaterials nanoelectronics(devices)

nanobiotechnologyhealthcare nanotechnology equipment the growth potential of each

industry was compared and analyzed Also sensitivity analysis that reflects various

expert opinions and several scenarios was conducted to include various potential changes

in the future nano-market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nano-related government

agencies and companies can proactively respond to the potential growth of the future

nano-market

v

2 Survey Method and Design

In this study we first summarized the results of nanotechnology perception survey by

general consumers(Step 1) After presenting the results to experts in nano-industry we

asked experts to estimate the sales of each nano-industry market over the next five

years(Step 2) We predicted the total sales of nano-industry market in 2025 by finally

incorporating the obtained expert estimates into the fundamental data of the diffusion

model(Step 3) We then conducted a sensitivity analysis of how the market predictions

could be different by changing the modelrsquos coefficients by various scenarios

3 Major Results

Most of the existing nano-industry size forecasts are predicted by simple methods

based on the past compound annual growth rate(CAGR) or by following the opinions of

overseas famous institutions and scholars For example the growth forecast of US $ 3

trillion in nano-industry in 2020 proposed by Dr Roco is widely used in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ports and newspaper articles However the part CAGR is

suitable for a stable industry that has already reached maturity and it is limited to apply

to the rapidly growing industries such as nanotechnology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size of domestic nano-market in a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method A quantitative model called the Diffusion Model a general consumer

survey and a qualitative method of nano-industry expert survey were combined to predict

the domestic nano-market size in 2025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the domestic nano-market is expected to grow to about 667 trillion won

in 2025 and is expected to grow 504 times as much as the 130 trillion won market as

of 2014 Assuming that the entire manufacturing industry maintains a CAGR of 26

between 2010 and 2014 the nano-industry which accounts for 89 of the total

manufacturing industry as of 2014 is expected to grow to 3368 by 2025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ximum and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소비자 인식조사 최종보고서

vi

minimum values of the expert estimates are applied to the diffusion model the

maximum value of the domestic nano-market size was estimated to be 811 trillion won

and the minimum value of 534 trillion won respectively

In addition this study devides the nano-industry into nanomaterials nanoelectronics(devices)

nanobiotechnologyhealthcare nanotechnology equipment and estimates the future size of each

industry First the nanomaterials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150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143161 in 2025 from about 105 trillion won as of 2014 The nanoelectronics

(devices)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511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42821 in

2025 from about 119 trillion won as of 2014 The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13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17951 in 2025 from about 700

billion won as of 2014 Lastly the nanotechnology equipment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46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25810 in 2025 from about 18 trillion won as of

2014

In terms of growth rate the nanomaterials industry is expected to have the greatest growth

potential followed by nanoelectronics(devices) nanotechnology equipment and

nanobiotechnologyhealthcare However if we revise the forecasts to reflect the large growth

of the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in 2014 the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is expected to reach about 46 trillion won in 2025 In this case the total size of

the domestic nano-market is expected to increase to 670 trillion won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the share of each industry the share of the nanomaterials industry in the

entire nano-market is estimated to be 2247 nanoelectronics(devices) 7665

nanobiotechnologyhealthcare 020 and nanotechnology equipment 068 This

demonstrates that the share of the nanoelectronics(devices) industry will be somewhat reduced

and that the share of the nanomaterials industry will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standards

as of 2014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and nanotechnology equipment industry

are expected to remain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2014

vii

4 Conclusion and Implications

This study predicts that the domestic nano-industry will continue to grow at a rapid

pace by 2025 The future market size forecast of nano-industry is the most basic

foundation of all nano-related poli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widely used as

fundamental data of various nano-industry statistics and forecasts and it can provide

in-depth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the growth direction and strategy of domestic

nano-market For instance a nanotechnology company can take advantage of the results

of this survey to respond appropriately to proper investment and personnel recruitment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growth of the nano-market Government agencies and research

institutes developing nano-related policies can also develop and support relevant policies

based on the potential size of future nano-marke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growth of the domestic nano-market is

approached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Given that many nano-related studies have

applied relatively simple methods to predict the most important future market size this

study will help the domestic nano-industry to develop more systematically in the future

However since the sales data of the domestic nano-industry is not enough yet the

forecast result value may be sensitively chang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forecast value of the future nano-industry through a continuous update process in the

future

ix

차 례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연구 방법론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2장 주요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1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2 세부 나노산업별 시장 규모 예측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3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변화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4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분석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1 신기술 확산 및 예측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2 소비자 수용 및 혁신 저항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3 산업전문가 활용 조사 방법론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4 나노산업 관련 이론 및 발전 동향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5 문헌연구 분석 결과 시사점 도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1 나노시장 예측 방법론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2 Diffusion Model 소개 및 적용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3 일반소비자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4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4

5 Diffusion Model을 적용한 나노산업의 미래 규모 예측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51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52 세부 산업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53 민감도 분석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1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2 시사점 도출 및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

3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소비자 인식조사 최종보고서

x

표차례

lt표 1gt 나노융합산업 분야별 매출액 현황 (단위 억원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lt표 2gt 현재와 미래의 중점과학기술 나라별 기술수준 기술격차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lt표 3gt 미래 면허증 보유자(포화시장규모) 예측 (단위 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lt표 4gt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단위 대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lt표 5gt 각 확산 예측 모형 별 오차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lt표 6gt 전체 시장 규모 대비 정부 투자 비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lt표 7gt Sheth(1981)의 저항 강도에 따른 혁신저항 4가지 유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lt표 8gt 전문가 델파이 분석의 설문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

lt표 9gt 중요도 및 난이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lt표 10gt 전문가 확신도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lt표 11gt 가상의 나노기술 적용제품 세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lt표 12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속성수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lt표 13gt 세 가지 나노기술 적용 제품군 별 구매의도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1

lt표 14gt 일반인 그룹의 컨조인트 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lt표 15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세 가지 제품군의 효용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lt표 16gt 본 연구의 기본 전제 및 해결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lt표 17gt 나노기술의 특징 품질 혁신성 이해 정도 비교 (동영상 시청전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lt표 18gt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추이 (단위 억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4

lt표 19gt 최종 나노산업 전문가 집단 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lt표 20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lt표 21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lt표 22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5

lt표 23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lt표 24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lt표 25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lt표 26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연도별 세부산업별 데이터 (단위 억원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lt표 27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lt표 2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2014년 예상 매출액 Vs 실제 매출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lt표 29gt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 성장 적용 시 예상 매출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lt표 30gt 나노산업별 p q 추정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lt표 31gt 혁신계수값 변화에 따른 나노산업 예측 규모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6

lt표 32gt 주요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8

xi

그림차례

lt그림 1gt 2020년 글로벌 나노시장 3조달러 자료를 인용한 신문 보도자료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

lt그림 2gt 과거 연평균 성장률 적용의 가상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lt그림 3gt 본 연구의 특징 및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lt그림 4gt 본 연구의 방법론 및 단계적 흐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lt그림 5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lt그림 6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단위 억원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lt그림 7gt 국내 나노소재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lt그림 8gt 국내 나노전자(소자)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lt그림 9gt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lt그림 10gt 국내 나노장비기기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lt그림 11gt 전체 나노산업 중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 비중 변화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lt그림 1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전문가 예상 매출액 보정 후 나노시장 총규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lt그림 13gt p q값을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으로 적용할 경우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lt그림 14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 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lt그림 15gt Bass(1969) 모형의 분석적 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lt그림 16gt 바이오칩 센서기술의 성장곡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

lt그림 17gt 모션플랫폼 확산 실제값 예측값 데이터 비교 세계와 한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lt그림 18gt 총 자동차 시장 대비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lt그림 19gt 세 모형 간 원데이터와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lt그림 20gt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lt그림 21gt 국내 RFID 확산 예측 모형과 실제 데이터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lt그림 22gt 각 모형별 확산 예측과 실제 데이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lt그림 23gt 델파이기법의 실행 절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0

lt그림 24gt 델파이 조사 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lt그림 25gt 생체인식 시스템 기술수준 중요도 난이도 종합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lt그림 26gt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도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lt그림 27gt 일반인과 전문가의 나노제품에 대한 지각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lt그림 28gt 일반인전문가 나노기술의 위해성 인식여부와 불안감여부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lt그림 29gt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나노산업 영향력 도출 방법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lt그림 30gt 나노기술 인식 조사 변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0

lt그림 31gt 일반 소비자의 나노기술 나노제품 사용 여부 인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lt그림 32gt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정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lt그림 33gt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과정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

lt그림 34gt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측값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lt그림 35gt 일반인 Vs 전문가 나노기술 인식 차이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lt그림 36gt 나노산업별 중요도 및 상대적 기술 수준 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소비자 인식조사 최종보고서

xii

lt그림 37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lt그림 38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최소값 평균값 최대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lt그림 39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lt그림 40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lt그림 41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5

lt그림 4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lt그림 43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lt그림 44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lt그림 45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최근 급속한 성장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lt그림 46gt 2025년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예상 매출액 (보정값)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lt그림 47gt 2025년 국내 나노산업별 비중 비교 (보정값)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lt그림 4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보정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산업 매출 예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lt그림 49gt 모든 산업이 나노전자 혹은 나노소재 산업 수준으로 성장할 경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lt그림 50gt 일반적인 소비재 제품의 혁신계수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lt그림 51gt 다른 연구(김진 고경일 2014)에서 추정된 p q 값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

lt그림 52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6

Table of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Summary of Research Methodolog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Chapter 2 Major Result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1 Summary of Forecasts of Total Domestic Nano-market Size in 2025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2 Summary of Market Size Forecasts by Sub-nano-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3 Summary of Sales Change by Nano-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4 Summary of Scenario-Based Sales Change Analysis Result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Chapter 3 Literature Review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1 Expansion and Prediction of New Technologi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2 Adoption Intention and Innovation Resistance of Consume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3 Industrial Experts-based Survey Methodolog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4 Nano-industry Related Theory and Development Tren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5 Drawing Implications from Literature Review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Chapter 4 Summary of Forecasts of Total Domestic Nano-market Size in 2025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1 Summary of Nano-market Forecast Methodolog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2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Direction of Diffusion Mod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3 Survey Results Summary of Nanotechnology Perception of Consumer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4 Survey Results Summary of Nano-industry Exper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4

5 Forecast Results of Future Nano-indudstry Size Applying Diffusion Model middotmiddot 79

51 Forecasts of Total Size of Nano-marke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52 Sales Forecast by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53 Sensitivity Analysis Scenario-based Sales Chang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Chapter 5 Conclusion and Implication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1 Summary of Result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2 Drawing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

3 Expected Effects and Application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

Referenc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제1장 서 론

1

제1장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나노산업의 성장이 계속되면서 나노기술 및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

가하고 있다 2016년 발표 자료1)에 따르면 2014년도 나노융합산업 매출액은 총

132조2930억원으로 전체 제조업 대비 약 9를 차지하였다 이는 지난 5년간 매년

연평균 107 성장한 수치이며 같은 기간 전체 제조업 매출액의 연평균 성장률

26보다 약 4배 정도 높은 성장률이다

lt표 1gt 나노융합산업 분야별 매출액 현황 (단위 억원 )

분야별 매출액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연평균 성장률

나노소재 87191 111370 96651 144391 104664 47

나노전자 770863 785380 1170282 1215753 1193383 115

나노바이오의료 2718 2934 4444 4126 7249 278

나노장비기기 19698 23170 19152 22669 17634 -27

나노융합산업 합계 880470 922854 1290529 1386939 1322930 107

제조업 합계 13395480 15023530 15114951 14957302 14865742 26

자료 2016년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일반적으로 나노융합산업이란 ldquo나노기술을 활용하여 나노융합제품을 생산하는

산업rdquo으로 나노융합제품은 ldquo100nm 이하의 크기에서 인위적 조작을 통해 혁신적

인 기능을 창출하는 제품rdquo으로 정의하고 있다 나노기술의 발전과 함께 시장에 새

롭게 출시되는 나노제품들이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도 나노산업의 발전은 계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나노기술이 향후 국민 소비와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할 때 나노산

업의 미래 성장 예측은 필수적이다 미래 나노시장의 규모 예측에 기반해 정부의

관련 정책 개발 및 기업의 투자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정부기

1) 2016년 12월 산업통상자원부가 국내 나노융합기업 59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발표한 ldquo2015 국내 나노융합산업 실태조사rdquo 결과 자료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

관 및 많은 나노관련 연구소들은 나노산업의 성장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

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 규모에 대해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KISTEP에서 발행한 한 연구 보고서2)에서도 언

급되었듯이 현재 나노관련 시장의 규모의 예측은 다양한 방식으로 추정되는 상

황이며 시장 전망 조사 전문 기관의 시장 예측 규모도 조사 기관 간에 매우 큰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추정하는 방법은 대체로 해외 유명 기관 혹은

학자의 예측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혹은 글로벌 예상 매출액에 단순히 목표

점유율을 계산하여 국내 시장의 미래 규모를 예측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나노비지니스 얼라이언스(NanoBusiness Alliance) 나노기술산

업 컨설팅사인 럭스리서치(Lux Research) 일본 미쯔비시 연구소 등에서 발표하는

나노관련 시장의 규모 및 성장률 자료를 그대로 인용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Roco 박사가 제시한 2020년 글로벌 나노시장 3조달러 예상(Roco et

al 2010) 수치는 국내 다양한 연구기관과 신문 보도 자료들에서 여러 차례 활용

되고 있다

lt그림 1gt 2020년 글로벌 나노시장 3조달러 자료를 인용한 신문 보도자료들

2) 김석필 외(2014) ldquo나노기술 상용화 현황 진단과 혁신과제rdquo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연구보고 2014-016

제1장 서 론

3

그런데 이와 같은 자료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과거 나노산업의 연평균 성장률

(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을 대입하여 단순하게 미래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했다는 것이다 즉 과거의 성장률을 기반으로 미래의 시장을 예측하

는 방법을 활용한 것이다

이 방법은 다양한 산업에서 비교적 쉽게 사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나노산업 이

외에도 일상적으로 자주 활용되는 방법이다 하지만 연평균성장률 적용 방법은

성숙기에 접어든 안정적인 산업 혹은 저성장 산업에 적용할 경우 보다 적합한 방

법이다 일례로 아래 그림과 같은 두 가지 가상의 예를 제시할 수 있다

lt그림 2gt 과거 연평균 성장률 적용의 가상 예

위의 두 경우 연평균성장률은 115로 동일하다 하지만 성장 패턴을 비교할

때 왼쪽 나노전자(A)의 경우 향후 추가적인 성장이 기대되지만 오른쪽 나노전자

(B)의 경우 점차 하락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즉 두 가지 사례가 서로 다른 모습

의 성장 과정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연평균 성장률은 시작값과 마지막값의 차이

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같은 수치를 보이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이미 충분히 성장한 성숙기 산업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

을 수 있다 어느 정도 성장이 완료된 이후에는 성장 패턴에 큰 차이가 없기 때문

에 과거 연평균 성장률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연구의 초점인 나노산업의 경우 현재 급속한 성장이 진행되고 있으며 세부 산업

별 성장 패턴도 다양한 편이다 즉 과거 연평균 성장률이 미래에도 안정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실제로 2020년 3조달러 시장을 제안했던 Roco 박사도 2014년 한 발표에서 2011

년 이전 연평균 성장률 25를 보였던 나노산업이 2011~2013년 전세계적으로 연평

균 44 성장했다고 하였다(Roco 2014) 즉 과거의 나노산업 성장 예측 기대치보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

다 최근 더욱 빠른 성장세가 발견된 것이다 이 역시 과거 연평균 성장률이라는

단순한 계산에 의해 나노산업의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한계가 있을 수 있음 보여

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문제점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보

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하고자 한다 우

리나라가 앞으로 나노 선진국으로 한 걸음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 해외 자

료에만 의존할 수 없다 이제 국내 독자적으로 나노시장을 예측하고 미래 시장

규모에 적절한 체계적 대응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나노시장

의 규모 예측은 모든 나노 관련 정책의 가장 밑받침이 될 것이기 때문에 본 연구

와 같은 시도는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처럼 나노시장 예측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국내 나노관련

연구들은 기술 중심 현황 분석 중심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예를 들어 국내외

나노산업의 단순 현황(ex 산업별 매출액 나노융합기업 사업체 수 고용인원

RampD투자액 등)을 조사하거나 기술 발전 동향 조사 나노기술의 부작용 위험성

조사 사업화 역량 조사 등이 주를 이루었다 즉 다른 산업의 연구에 비해 계량적

이고 체계적인 연구 및 방법론 활용이 부족하였고 무엇보다 가장 기본이 되는 수

요예측의 과학적 접근이 부족하였다

국내 나노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이제 계량적이고 체계적인 모형을 활

용한 예측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에서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의

견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아직 시장 데이터가 불충분하고 불확실성이

높은 나노산업의 시장 규모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산업을 가장 잘 이해하는 전문

가들의 의견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는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도 연구 결과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초기 시장을 지나 본격적인 성장기로 돌

입하기 위해서는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혜택 이해와 수용이 필수적이라고 판

단했기 때문이다 기존 문헌에서도 새로운 과학기술과 관련된 산업에서는 다양한

구성원들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예를 들어 오미영 외(2008)의 연구

에서도 과학 기술이 사회 경제적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사회 구성원들에 대한 이

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이라는 계량적인 모형을 활용해 보다 체

계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미래 규모를 예측하고자 한다 또한 나노산업

이 아직 초기 단계에 있음을 반영하여 산업 전문가 조사와 일반 소비자 조사의 의

제1장 서 론

5

견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수요예측 방법론을 제안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나노산업

의 미래 예측 결과를 통해 향후 나노 관련 정책 개발 및 나노기업의 전략 설정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논의한 본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량적 모형을

활용한 과학적인 나노기술 확산 및 성장 예측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계량적 모

형과 함께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과 최종 소비자 의견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고자

한다 셋째 다양한 서베이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정책 개발을 위

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lt그림 3gt 본 연구의 특징 및 목적

또한 본 연구는 보다 완성도 있는 결과물을 위해 특별히 다음의 세부 요건들을

최대한 만족하는 연구 결과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나노기술

이 특정한 최종 제품에만 적용되는 타겟 기술이 아닌 ldquo기반 기술rdquo이라는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둘째 나노산업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현업 전문가들의 의견

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셋째 나노기술의 확산을 위해 나노기술에 대한 지식 수

준이 낮은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을 모형에 적절히 반영해야 한다 넷째

전반적인 예측 과정의 논리적 흐름이 설득력 있고 간결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

2 연구 방법론 요약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의 연구 과정을 통해 최종적인 나노기술의 산업 영향력

을 도출할 계획이다 이를 그림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4gt 본 연구의 방법론 및 단계적 흐름

우선 본 조사는 나노제품을 사용하는 최종 소비자인 일반 사람들의 나노기술 인

식 정도를 측정할 것이다(Step 1) 특별히 나노기술에 대한 혜택 비용(혁신저항)

신뢰도 수용의도 등의 변수를 분류하고 이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측정할 것이다

이후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를 실시한다(Step 2) 나노산업을 통계청 기준에 따라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의 네 가지 산업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각 산업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상액

과 각 산업의 중요도 기술수준 평가 등을 실시한다 특이한 점은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앞서 실시한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결과를 제시한다는

것이다(그림 4에서 점선 표시)

이는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지나치게 기술 중심적 사고를 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시장을 예측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나노기술

의 경우 소비자의 잠재적 위험 인식이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고려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소비자의 인식도를 살펴본 후 관련 나노산업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

제1장 서 론

7

집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예측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지금까지의 두 가지 기본 조사를 완료한 후 본 조사의 핵심 내용인 국내 나노

시장의 미래 시장 규모를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예측한다(Step 3) 이 과정에

서 앞서 얻어진 산업 전문가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측값을 입력 자료로 포함하

여 최종적인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의 총규모와 산업별 규모를 예측한다

이와 같은 방법론을 시도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연구의 Diffusion

Model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장 매출액 초기값들이 필요하다 하지

만 현재 시장에서 집계된 나노산업 매출액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단 5년간의

데이터만 활용 가능하다 이 경우 데이터 부족으로 불안정한 추정값이 도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 나노산업의 특성을 반영해 시장을 가장 잘 파

악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나노산업 전문가의 단기적 미래 예측(2015~2018년)값을

수집해 최종적인 모형에 적용할 입력 자료의 양을 늘리고자 한다

물론 산업 전문가에게 더 많은 기간의 미래 예측값을 얻어낼 수도 있지만 불확

실성이 높은 성장 산업에 대한 중장기적 예측의 어려움을 감안해 향후 몇 년 간의

값만을 수집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일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단 이 경우 앞서 설

명한바와 같이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혹은 지나치게 기술

중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예측값을 제시하여 결과값이 과대 추정될 우려가 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일반적인 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조사

를 먼저 실행하여 해당 결과를 전문가에게 제시한 후 단기적 미래 예측값을 응답

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을 통해 본 연구는 나노산업의 초기적인 특징을 반영하면서

최대한 종합적인 시각에서 체계적으로 국내 나노산업 시장 규모를 추정하고자 계

획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계량적인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향후 나노

산업의 성장 및 영향력을 예측하는데 이 과정에서 최종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및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적극 활용할 것이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2025년 국내

나노산업의 총규모를 예측한다 그리고 산업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한 시나

리오 분석을 통해 민감도 분석을 실시할 계획이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

제2장주요 결과

1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요약

Diffusion Model 일반소비자 조사 전문가 의견조사를 종합한 방법론을 활용하

여 국내 나노산업의 매출 규모를 예측한 결과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은 약 667조

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대비 504배(504) 성

장 전망된 것이다 또한 전체 제조업이 2010~2014년 동안의 연평균성장률 26를

계속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 제조업 총매출에서 나노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89에서 2025년 3368 수준으로 비중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5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lt그림 6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단위 억원 )

제2장 주요 결과

9

2 세부 나노산업별 시장 규모 예측 요약

나노산업을 각 세부 산업별로 나누어 분석할 경우 우선 나노소재 시장은 평균

값 기준 202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

재 약 10조5천억원 대비 14316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lt그림 7gt 국내 나노소재 산업 매출액 전망

나노전자(소자)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511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19조원 대비 4282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

이다

lt그림 8gt 국내 나노전자(소자) 산업 매출액 전망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

나노바이오의료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1조3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되

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7천억원 대비 1795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lt그림 9gt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매출액 전망

나노장비기기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4조6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되었

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조8천억원 대비 25810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lt그림 10gt 국내 나노장비기기 산업 매출액 전망

제2장 주요 결과

11

3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변화 요약

본 연구의 예측치를 바탕으로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 비중을 비교하면 2014년 대

비 2025년 나노소재 산업의 매출 비중(791rarr2247)이 증가하고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매출 비중(9021rarr7665)이 하락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나노바이오

의료 산업과 나노장비기기 산업은 여전히 작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lt그림 11gt 전체 나노산업 중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 비중 변화 추이

4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분석 결과 요약

본 연구는 몇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2014

년도 급격히 성장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성장세를 감안하여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전문가 예상 매출액을 보정하여 예측한 결과 나노산업의 총매출 규모는

667조원에서 670조원으로 다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lt그림 1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전문가 예상 매출액 보정 후 나노시장 총규모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2

한편 만약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소재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

년 국내 나노산업은 평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또한 모

든 나노시장이 나노전자(소자)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

준 약 14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lt그림 13gt p q값을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으로 적용할 경우 민감도 분석

마지막으로 정부의 투자 지원 확대 등으로 나노시장의 혁신계수(P)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에는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lt그림 14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 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3

제3장관련 문헌 연구

1 신기술 확산 및 예측 연구

일반적으로 제품 서비스 기술에 대한 수요예측 방법론은 정성적인 방법론과

정량적인 방법론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성적 방법으로는 설문조사방법 주관적

예측방법 비교유추방법 등이 있으며 정량적인 방법론은 Bass 확산모형 Logistic

곡선모형 Gompertz 곡선모형 등이 있다 정성적 방법론은 주로 기존 시장의 자료

가 충분히 존재하지 않아서 수리적 모형화가 어려울 경우 소비자나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진행된다 반면 정량적 방법은

기존 시장 자료가 존재하고 이에 대한 통계적 분석이 가능할 경우 분석 자료를 통

해 앞으로의 수요패턴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정성적 방법론(qualitative method) 중 하나인 비교 유추법이란 미래 수요예측이

어려울 정도로 과거의 시장자료가 충분치 않을 때 원하는 제품과 유사한 제품의

시장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요패턴을 예측하거나 해당 제품이나 기술이 먼저 보

급화된 선진국의 수요패턴과 비교하고 답을 유추하는 과정을 통해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정성적 방법 중에는 전문가의 의견을 활용하는 주관적 예측법(subjective

estimation)이 존재하는데 이는 미래수요를 예측하고자 할 때 해당 제품 기술과

관련된 분야의 전문가들(기술담당자 마케팅 실무 담당자 관련된 기관에 근무하

는 전문가 등)의 의견을 통해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래 수요예측을 진행하며

이 주관적 예측법에는 브레인스토밍 델파이법(Delphi method) 등이 포함된다 이

중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브레인스토밍 기법은 과거에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

었지만 최근 사용되는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이며 최근 델파이 기법을 통해 정성

적 수요예측을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델파이 기법의 핵심요소는 전문가들

의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수요판단에 있

어서 다른 정성적 방법 중 비교적 객관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델파이 기

법은 분석과정에서 미래예측결과를 조사하고 또한 확인하는 과정을 다시 거치기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4

때문이다 따라서 정량화가 어려운 경우에도 나름대로 높은 신뢰성을 갖는 통계

를 보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수요예측 방법론으로는 정량적 방법(quantitative method)이 존재하는

데 과거 시장자료가 존재할 경우 이 데이터를 통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수요패턴을 예상하는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이 범주에는 시계열 모형 계량경제

모형 성장곡선 모형 등이 있다 시계열 모형은 시계열 자료에 대한 자기상관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생성되는 모형으로 대표적인 모형은 Box Jenkins의 ARIMA 모형

이며 주로 월별 매출의 변동과 같은 단기예측을 위해 사용된다 계량경제모형은

시장의 수요를 예측하려 할 때 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경제 변수

들을 파악하고 이들의 상호적 관계를 수식화해 regression하는 방법을 말한다 마

지막으로 성장곡선 모형은 신기술 신제품의 시간적 누적된 수요량의 궤적이 성

장곡선과 유사하게 완만한 S자형 모형의 곡선 형태를 보이는 점에 착안하였으며

Logistic 모형 Gompertz 모형 Bass 모형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성장곡선은 전염

병과 세포증식과 같은 생물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모형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1960년대부터 탁월한 수요예측 능력과 유용성을 인정받고 신제품 신기

술 서비스의 수요예측에 사용되어져 왔다 기술의 성장을 예측하는데 주로 활용

되는 Logistic 모형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Y는 t 시점에서 존재하는 기술 수준 k는 극한의 기술값을 뜻하며 α와 β

는 성장의 형태를 결정하는 계수를 의미한다 기술성장의 그래프 역시 기술의 극

한값 k를 기준으로 S-Curve의 곡선을 나타내게 된다

t⁰는 기술 수준의 최대값을 나타내며 이는 기술의 성숙기라고 표현할 수 있다

당기 기술수준의 최대점은 누적곡선의 변곡점이라 할 수 있으며 tsup1은 당기 기술

의 변곡점이다 이 때는 주로 성장기에 해당하며 본격적으로 해당기술이 개발되는

시점을 의미한다 성숙기와 성장기는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5

또한 곡선의 완만한 형태를 결정하게 되는 모수로는 α β가 있는데 K(기술의

극한값)가 일정할 경우 t의 시점에 따른 기술 Y가 추정이 가능하다 Logistic 곡선

은 선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α β가 추정 가능하다 Pearl과 Reed가 개발한 성

장곡선모형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Y(K-Y)는 기술변화

의 속도를 나타내며 해당 기술 발전의 속도가 현재의 기술 수준이 최대값의 기술

수준이 되기까지 남아있는 기술혁신에 해당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Gompertz 모형

은 Logistic 모형처럼 변곡점을 가지고 있지만 변곡점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비대

칭적 S자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장점으로는 좌우 대칭이라는 특성으로

해당 시장의 정확한 상황을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때 Logistic 모형과 비교해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Gompertz 모형은 변곡점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기술이나 제품 초기에 많은 성장을 보이는 경우 Logistic 모형보다 적

합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함수식은 다음과 같다

Gompertz 모형은 첨단기술 제품의 수요예측에 많이 사용되며 최근 기술발전으

로 제품 생애주기(Life Cycle)가 짧은 형태를 보임에 따라 신제품 또는 신기술의

빠른 성장을 예측하는데 더 나은 예측력을 보일 때가 많다

신제품의 수요 확산 예측을 위해 개발된 모형 중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모

형으로는 Bass가 개발한 최초구매 확산모형(First-Purchase Diffusion Model)을 말

할 수 있다 Bass 모형 연구는 내구재(TV 세탁기 등)를 제품으로 선정하였기 때문

에 소비자들이 이들 제품을 반복구매하는 상황보다는 한 개의 제품을 최초구매하

는 상황을 가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제품 수용자들의 수는 신제품의

판매숫자와 같다고 보았으며 잠재수용자들은 대중매체나 다른 사람들의 구전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영향을 받고 제품을 수용한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수용자들은 내부적 영향(구전 커뮤니케이션)과 외부적 영향(대충매체 커뮤니케이

션)의 영향에 따라 신제품을 수용하며 수용 시기에 따라 처음 수용하는 사람들을

혁신자 집단(innovators) 나머지 수용자들을 모방자 집단(imitators)으로 나누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6

Bass 모형은 아직까지 신제품을 수용한 경험이 없는 잠재구매자가 특정시점(t 시

점)에서 신제품 수용할 해저드함수(조건부함수)를 표현하며 이 함수식은 다음과

같다

이때 p는 혁신계수(Coefficient of Innovation) q는 모방계수(Coefficient of

Imitation) f(t)는 시간 t에서의 수용 확률 F(t)는 시간 t에서의 누적되는 수용 확률

을 의미한다 이때 특정시점(t 시점)에 신제품을 수용 채택하는 잠재구매자의 숫

자 s(t)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계산이 가능하다

이처럼 Bass 모형은 신제품 신기술이 최초로 채택되어 수용될 확률은 이전의

구매자 숫자의 선형함수라고 말한다

lt그림 15gt Bass(1969) 모형의 분석적 구조

BASS 확산모형은 잠재 시장 크기를 뜻하는 M 혁신계수를 뜻하는 P 모방계수

를 뜻하는 Q와 같이 세 개의 모수가 존재하는데 M은 해당 제품의 시장 최대 수

용치를 말하며 P는 대중매체와 같은 광고의 외부적 영향에 따른 계수이며 Q는

구전효과와 같은 내부적 영향에 따른 계수라 할 수 있다 Bass 모형은 Logistic 모

형이나 Gompertz 모형에 비해 모형의 세 모수가 모두 명확하고 객관적 해석이 가

능하여 의미 있는 결과 도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Logistic 모형과 Gompertz 모형을 적용한 연구로는 한민규 외(2010)의 바이오칩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7

센서기술 성장 예측 연구가 있다 이들은 국내의 미래 성장 경쟁력과 국가적 지위

향상을 위해서는 국가 수준에서 과학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현

재 국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과학기술의 데이터를 통해 현 상태를 파악하고 선진

국과의 기술수준차이 수준차이 요인 및 이를 줄이기 위해 필요한 조건 등을 파악

하고 한정된 자원의 효과적 배분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저자들은 기존 기술

수준을 평가한 연구들이 델파이 기법과 같은 방법론으로 조사한데 반해 기술성장

모형(Technology Growth Model)을 도입하여 기술수명주기에 따라 기술의 성장 모

습을 예측하였다 이들은 델파이 모형과 더불어 S-curve 모형 중 특히 Logistic모

형인 Pearl 모형과 Gompertz 모형을 사용하여 각각의 모형을 비교해 연구를 진행

하였다 기술수준의 현재와 미래 예측 분석결과 해당하는 기술의 궁극적 최대 기

술수준이 100라면 2008년 기준 국내 전체 과학기술 수준은 564 최고 기술보

유국과의 기술의 격차는 66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3년(이 연구는 2008년에

진행됨)을 예측해 보았을 때 한국과 중국은 최고기술보유국인 미국과의 격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본과 유럽연합은 미국과의 격차가 늘어나는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이는 국내의 과학기술 수준이 급격한 발전을 이룰 것이라

는 것을 전망한다

2008년 2013년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한국 564 66 635 63

미국 766 00 809 00

일본 704 17 755 20

중국 469 93 549 87

EU 729 11 776 14

lt표 2gt 현재와 미래의 중점과학기술 나라별 기술수준 기술격차 예측

자료 한민규 외(2010)

저자들은 이중 특히 바이오칩 센서기술 수준을 중점적으로 평가하였는데 바이

오 분야의 12가지 중점적 과학기술의 2008년 현재와 2013년 미래예측 기술수준

기술격차를 분석하였다 바이오칩 센서기술은 현재 최고기술 보유국인 미국와의

기술격차가 적은 편이었으며 2013년에는 이러한 기술 격차가 더욱 적어질 것으

로 예상되었다(바이오칩 센서 기술격차 2008 61년 -gt 2013 43년) 이는 바이오

칩 센서 분야의 기술이 세계적인 국가와 더욱 적은 기술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8

빠른 기술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분야를 지원한다면 세계 최고수준으로 오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lt그림 16gt 바이오칩 센서기술의 성장곡선

자료 한민규 외(2011)

기술성장곡선을 통해 도출해낸 기술수명주기의 경우 Pearl 모형의 경우 35년

Gompertz 모형의 경우 28년(Gompertz)을 도출하였으며 기술 발전 속도의 경우

Pearl 모형은 0158 Gompertz 모형의 경우 0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바이

오 분야의 다른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기술수명주기와 더욱 빠른 기술발

전 속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기술적 사회적 실현시기의 측정값이 다

른 바이오 분야의 기술 중 가장 빠른 2015년 2020년으로 나타난 점을 통해서도

나타났다 한민규 외(2010)의 연구는 기술성장모형(Pearl Gompertz)을 활용 현재

기술수준을 평가하고 수치적으로 기술수준의 미래를 평가한 연구이다 기술성장

모형은 기술에 대한 절대적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술을 더욱 객관적으로 관

측할 수 있게 도와주는데 각각의 기술분야를 세부적으로 보고 해당 분야의 미래

기술수준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해당 연구는 높은 시사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성장곡선 모형 중 Bass 모형을 적용한 연구는 권순동 이승률(2015)의 연구가 있

다 최근 스마트 공장과 같은 기술을 통한 자동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9

문에 자동화에 필요한 자동제어 생산자동화기기와 같은 모션컨트롤러장치의 필

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유럽이나 미국의 소프트웨어 컨트롤러 장치인 PLC기반 모

션컨트롤러의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는 아직 PLC의 국제표준을 완벽히

충족하는 제품의 출시가 이뤄지지 않고 있지만 전자부품연구원과 생산기술연구

원을 중심으로 이러한 국제표준을 지향하는 lsquo한국형 오픈소스 모션플랫폼

(KOSMOS)rsquo의 기술개발이 2016년 완료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으며 2017년 상용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KOSMOS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을 개발함과

동시에 제품의 기술확산을 예측하는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연구

를 진행하였다

이들은 2000~2014년까지 출원된 한국 일본 미국 유럽의 모션플랫폼 분야 기

술 모션제어기 분야 기술의 특허데이터를 확인하고 여기에서 나온 세계 데이터

와 한국데이터를 확인해 향후 20년의 특허정보를 예측하였다

lt그림 17gt 모션플랫폼 확산 실제값 예측값 데이터 비교 세계와 한국

세계 시장 한국 시장

자료 권순동 이승률(2015)

수집된 특허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Bass 모형으로 추정된 특허데이터의 산출 예

측값과 실제데이터를 비교분석한 결과 그림과 같이 실제데이터와 예측데이터 값

이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데이터와 Bass 모형을 통해 산출한 예측

데이터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냄에 따라 2035년까지의 PLC 기술(특허정보) 미

래 확산 예측을 실시하였다

세계 PLC관련 기술의 확산은 성숙기 단계로 접어들어 이미 변곡점을 넘은 것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0

알 수 있었으며 국내 PLC 기술의 추세는 성장기이며 기술확산의 속도가 더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확산의 포화상태의 경우 세계 데이터는 2025년을 국

내의 경우 2035년으로 10년이 넘는 격차를 예측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권순동 이승률(2015)의 연구는 PLC 기술 특허정보를 통해 기술확산

을 분석하였는데 국내의 경우 2030년이 넘어서야 기술 성숙기에 이를 것으로 예

상되기 때문에 기술격차를 줄이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ass 모형을 통해 실제데이터와 예측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실제와 매우 유사한 결과값이 나타난 점을 보았을 때 기술의 확산을 예측할

때 Bass 모형의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Bass 모형

의 모수추정에 있어 해당 산업의 전문가의 검증을 거치지 않았다는 점은 한계점

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ss 모형을 적용한 또 다른 연구로는 채현석 정재우 김종달(2016)의 전기자동

차 미래 수요예측 연구가 있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이미 19세기 초반에 내연기관

차보다 먼저 생산되어졌지만 당시 값싼 연료들이 나타나고 내연기관자동차가 시

장의 대부분을 장악한 필수품으로 거듭나면서 쇠퇴의 길을 걷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석유의 고갈문제 미세먼지를 비롯한 지구의 환경문제 등이 대두되면서 전

기자동차에 대한 이슈와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많은 회사들이 전기자동차를 개발

출시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채현석 정재우 김종달(2016)은 내연기관자동차

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는 전기자동차의 미래 누적수요를 Bass의 Diffusion 모형

을 사용하여 도출하였다

저자들은 기존 확산모형에서 포화시장의 규모를 고정시키지 않고 시간의 흐름

에 따라 상이하게 변화하는 포화시장을 적용하였는데 포화시장의 규모는 면허증

을 소지한 사람 수의 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미래 면허증 소지자 수를 예측하여 미

래의 연도별 포화시장의 규모를 설정하였다 이를 적용한 식은 다음과 같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1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성인인구 43304264 43736407 44145684 44529637 44822001 45051984

면허보유율 77262 78424 79586 80748 81910 83072

면허보유자 33457740 34299840 35133784 35956791 36713701 37425584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포화시장의 연도별 규모가 예측되었다

lt표 3gt 미래 면허증 보유자(포화시장규모) 예측 (단위 명)

구 분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성인인구 45253078 45401266 45546834 45724037 45930854 46096786

면허보유율 84234 85396 86558 87720 88882 90044

면허보유자 38118478 38770865 39424429 40109125 40824262 41507390

구 분 2030 2031 2032 2033 2034 2035

성인인구 46240946 46411167 46561300 46715986 46894600 47098744

면허보유율 91206 92368 93530 94692 95854 97016

면허보유자 42174517 42869067 43548784 44236301 44950350 45693317

자료 최현석 외(2016)

또한 혁신계수(p)값과 모방계수(q)값을 도출하기 위해 일본의 자동차기업인 도

요타 하이브리드의 과거 판매자료를 이용하였는데 이는 국내의 경우 전기자동차

의 판매량을 조사한 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혁신계수 모방

계수 값을 도출하였다(p= -0000123863 q= 01643282595)

과거 도요타 하이브리드 차량 데이터로 얻은 혁신계수 모방계수 값과 연도별

면허증 소지자 숫자인 포화시장 규모 예측값을 바탕으로 전기자동차의 총 누적

수요예측을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누적수요 5096472 9653628 13733868 17391699 20645273 23540681

lt표 4gt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단위 대수)

구 분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누적수요 26130695 28435214 30515473 32426076 34195417 35794262

구 분 2030 2031 2032 2033 2034 2035

누적수요 37253808 38629215 39897785 41092584 42242486 43359991

자료 최현석 외(2016)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2

lt그림 18gt 총 자동차 시장 대비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자료 최현석 외(2016)

결과적으로 미래 전기자동차는 2035년에는 내연 기관자동차들을 대신해 자동차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채현석 외(2016)의 연구에서는 포화

시장의 예측을 기존 자동차 면허증 소지자의 데이터를 토대로 미래 면허증소지자

의 숫자를 예측하는 방식으로 산정하였다는 점이 흥미롭다고 할 수 있는데 혁신

모방계수의 산정을 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판매데이터 부족으로 일본의 도요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일본 내 판매량을 바탕으로 p q 값을 도출해 내었다는 한계

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기술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을 모두 사용

한 연구로는 남기웅 외(2009)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O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

술들의 미래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기술예측 연구들은 델파이 기법

과 같이 전문가들의 직관에 의해 산정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러한 방법론은 많

은 시간과 비용과 소수전문가에 의한 왜곡으로 인해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과학적인 예측을 위해 정량적 예측을 사용하였다 또한 저자들은 특

허 데이터의 예측을 통해 미래기술 동향을 예측하였는데 이는 특허의 경우 일정

기간 동안 해당 기술을 독점할 지배권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기술의 발전과

성과의 정보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남기웅 외(2009)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미래수요(특허)예측 값의 확산 모형별 비

교는 다음과 같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3

lt그림 19gt 세 모형 간 원데이터와 비교

자료 남기웅 외(2009)

원래의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특허숫자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통해 확산 모

형에 대입했을 때 현재 데이터의 추정값의 비교는 위와 같다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 중 원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예측력을 보인 모

형은 Bass 모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자들은 Bass 모형을 적용하여 미래 차세

대 디스플레이 기술 수요의 예측을 진행하였다

그래프를 보면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확산(특허숫자)은 2032년까지 꾸준하게 증

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32년 이후로는 기술개발이 멈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이 포화기에 들어섰다고 할 수 있으며 성장상한치인 4237개와 2032년

예상 특허 숫자인 4230이 매우 유사한 것으로 보아 기술 완성단계에 접어들었다

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품과 기술의 확산예측에는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이 주로

사용되는데 Gompertz Logistic 모형의 경우 비교적 모형이 단순하고 사용이 간편

한 장점이 있지만 이들 모형은 시장에서 내부효과에 따른 확산만을 분석하기 때

문에 성장의 최대 상한 값을 추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성장

최대값을 전문가의 의견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문제가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4

lt그림 20gt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예측

자료 남기웅 외(2009)

반면에 Bass 모형의 경우 내부효과 뿐만 아니라 외부효과 또한 확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남기웅 외(2009)의 연구에서 더욱 정확한 예측력을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을 비교 적용한 연구로는 손동민 문

성현 정봉주(2014)의 국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시장 확산 예

측 연구가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물건이나 사람 등과 같은

객체들을 식별하는데 무선주파수인 RF 신호를 이용하는 비접촉식의 인식기술로

유비쿼터스 시대가 2000년대 초반 도래하면서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RFID는

우리가 생활하는데 필요한 모든 분야에 혁신적 기술이 될 것이라고 기대되고 있

으며 이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는 지속적으로 관련 기술을 개발 표준화 사업을 장

려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RFID의 확산에 대

한 성공사례가 부족하고 2003년부터 정부가 RFID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등의 노력

을 기울였지만 확산은 지지부진한 형태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손동민 문성현

정봉주(2014)는 현실적이고 정량적인 국내 RFID의 확산 예측을 위해 세 가지 확산

모형을 적용하고 가장 설명력이 높은 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003~2012의 국

내 RFID 시장의 자료를 바탕으로 예측을 진행하였으며 여기서 도출된 확산 예측

값과 실제 데이터값을 비교하였는데 Bass 모형이 가장 예측오차가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5

Bass Logistic Gompertz

1750 6740 4136

lt표 5gt 각 확산 예측 모형 별 오차율

자료 손동민 외(2014)

lt그림 21gt 국내 RFID 확산 예측 모형과 실제 데이터의 비교

자료 손동민 외(2014)

그런데 그래프를 보면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2003년 -2007년까지 실제 시장

성장이 Bass 확산 모형보다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확산 초기 정부의 적극적

인 투자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되며 RFID 시장초기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시장 확산에 효과를 보였지만 2008년 이후로는 그 효과가 반감되었음을

나타낸다 하지만 다른 해석으로는 초반 정부의 시장투자율이 2007년을 기점으로

준 것은 정부투자보다는 자가 성장이 가능한 시장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라는 해석

이 가능하다 실제로 2005년 대비 2007년의 정부의 절대적 투자액수는 2배로 증가

하였지만 전체 시장대비 투자비율은 3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표는 정부

의 비중 감소를 나타낸다

2003 2004 2005 2006 2007

086 035 020 027 018

lt표 6gt 전체 시장 규모 대비 정부 투자 비율

2008 2009 2010 2011 2012

025 015 011 008 005

자료 손동민 외(2014)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6

이것은 곧 RFID 시장이 2007년 본격적 성장기에 접었다는 것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부의 비중 감소라는 시장의 특성 변화를 감안하여 2007년 이후의 예측

값을 다시 예측하였는데 그 예측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lt그림 22gt 각 모형별 확산 예측과 실제 데이터 비교

자료 손동민 외(2014)

저자들은 Bass 모형의 예측오차를 더욱 줄이기 위해 정부의 투자 변화라는 시장

의 특성 변화를 토대로 수정된 확산 예측 모형을 도출하고 결과적으로 국내 RFID

의 확산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의 세 가지 확산 모형

을 사용한 결과 Bass 모형이 가장 우수한 설명력을 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2 소비자 수용 및 혁신 저항 연구

21 신기술에 대한 소비자 수용 연구

혁신기술이나 신기술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들은 주로 사회심리학적인 이론에 근거하여 신념이나 태도 행동의도 등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신기술 수용과 관련하여 소비자의 수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

해 제시한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Fishbein and Ajzen(1975)의 합리적 행동이론

(TRA) Ajzen(1985)의 계획된 행동이론(TBP) 등이 있으며 특히 Davis(1986)의 기술

수용이론(TAM)은 소비자의 수용의도를 설명하는데 있어 상당히 적합한 모델로

인정받아오고 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7

Fishbein and Ajzen(1975)이 제시한 합리적 행동이론(TRA Theory of Reasoned

Action)은 최초 사회심리학 분야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 신기술수용 분야에까지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진 모델로서 개인의 행동의도는 행동을 결정하며 행동의도

는 개인의 태도 및 주관적 규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이론이다 소비자의 수용

의도는 신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외부변수들이 주관적 규

범이나 태도를 통해 영향을 받게 된다 기본적으로 행동의도는 태도와 주관적 규

범에 의해 결정이 되며 행동의도는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태도를 결정하는 것은 개인적 평가와 행위적 신념이며 태도는 행위를

수행하는 결과이다 그리고 주관적 규범은 사회적 압력과 관련되어지며 개인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집단과 어울리려 하는 개인적 동기나 준거집단에서

느끼는 규범적 신념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이처럼 합리적 행동이론은 인간이 실제로 어떻게 행동하는지 인간의 행위를 설

명하고 이해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특정한 상황에서 이용행동이나 수용의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연구하는데 적합한 모델로 인식되어 Davis의 기술수

용모델에 적용되어졌다

Ajzen(1985)이 제시한 계획된 행동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r)은 합

리적 행동이론에 사용자의 지각된 행동통제라는 개념을 추가한 이론으로 여기서

행동통제라는 것은 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용이한 정도에 대해서 사람들이 어떻게

인지하는지와 관련된 것이다 개인은 행동을 수행할 때 주관적 규범이나 태도뿐

만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행동이나 능력이나 필요한 원천 등을 가진 뒤에야 자신

의 뜻대로 그 행동을 컨트롤할 수 있다고 인지하게 되며 그것이 형성되면 마침내

행동의도를 형성하게 된다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행동의도에 영향

을 주는 변수들로는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통제이다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태도는 행동에 대한 태도로 특정 행동에 대해서 개인이 호의적으로 느

끼거나 비호의적으로 느끼는 평가를 의미한다 그리고 태도는 행동에 따른 결과

로서 개인이 갖는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것을 말한다 주관적 규범은 행위를 하는

사람이 어떠한 행동을 행하는 것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할 것인지를 말하는 것으로 사회

적 압력에 대한 인식으로 바라볼 수 있으며 본인이 그러한 반응을 얼마나 잘 받아

들일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행위통제는 Bandura(1977)의 자기

효능감(self-efficacy)과 비슷한 의미로 개인적인 신념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것은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8

자신이 어떠한 행동을 할 때 그 행동을 얼마나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

한 인식을 말한다(Bandura 1982) 이처럼 계획된 행동이론은 합리적 행동이론의

확장한 것으로 합리적 행동을 설명하는 변수인 태도와 주관적 규범의 선행요인을

바탕으로 여기에 인지된 행위통제를 추가하여 만들어진 이론이다 계획된 행동이

론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행동의도를 측정하는 경우가 많지만 행동 자체에

대한 측정에는 소홀한 편이었다 이것은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검증한 결과

로 행동의도와 행동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Ajzen 1988 Canary

and Seibold 1984 Fishbein and Ajzen 1981) 이 이론의 강점은 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소 간결하고 단순한 구성 개념을 사용하였지만 이 구성 개념들이 행동

과 관련된 연구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적용되었으며 많은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다

하지만 단순이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추상적인 개념인 신념과 평가를 통해

나타내었고 이러한 변수 외에 다른 외부 요인들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을 단점

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지각된 행동통제라는 변수만을 합리적 행동이론에 추가하

여 설명함으로써 다소 설명력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Davis(1989)에 의해 제안된 기술수용이론(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은 Ajzen and Fishein(1980)의 합리적 행위이론(TRA Theory of Reasoned Action)

을 바탕으로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기 위해서 만

들어진 모델이다 사람들이 기술을 수용할 때 영향을 미치게 되는 요인들을 설명

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개인의 신념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태도는 행동의도

에 영향을 미치며 마지막으로 행동의도는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

였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이 모델을 설명하기 위해 기술수용과정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을 제시하고 이 두 가지 신념을 수용과정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Karahanna and Straub 1999) 지각된 유용성이라는 개념은 신기술이나 정

보시스템 등을 사용할 때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정도를 의

미하고 지각된 용이성은 이러한 신기술이나 정보시스템 등의 사용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정도로 이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정신적인 노력 등이 적게 든다는 것을 의

미한다(Davis 1989)

합리적 행동이론이 기술수용모델의 기반이 되는 이유는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

는 행동에 대한 결정을 합리적인 기대가치 체계에 의존한다는 점 때문이다(Shah

and Higgins 1997) 인간이 자신이 어떠한 행동을 했을 때 그 결과를 미리 생각하

고 결과를 예측하며 합리적인 판단을 하며 행동한다는 합리적 행동이론을 확장한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9

것이 계획행동이론이며 이러한 합리적 행동이론에 기술수용 상황을 적용시켜 수

정한 모델이 기술수용모델이다(송태민 외 2014) 기술수용모델은 모델의 복잡성

과 모듈성으로 인하여 신기술을 수용할 때 다양한 영향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통합적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

다 최근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을 구성하는 주요변수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

된 용이성 이 두 변수만으로 신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TAM을 구성하고 있는 기본적인 변수들이 다양한 정

보시스템의 환경에서는 완벽하게 적용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

를 극복하기 위해 TAM모델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고 확장시키고 있다 이에 따

라 계획행동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변수인 주관적 규범을 적용시켜 확장된 기술

수용모델인 TAM2 TAM3가 제시되기도 하였다(김정선 송태민 2014) 기술수용모

델의 주요 한계점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개인이 정보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

서 외부의 영향 요인들을 무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외부 요인으로는 조직이나

주변 환경 여가 이해관계자들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정보기술을 수용하는 과정

에서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Venkatesh and Bala 2008) 하지만

TAM을 적용한 많은 연구들을 살펴보면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단순히

개인의 동기적 요인 외에도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확장시키고 변형하여 빠르

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등장하는 기술 환경을 적절히 반영하여 그에 따라 통

합적인 모델을 도출할 수 있는 노력 또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Venkates and Davis(2000) 의해 제안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는 기본적인

TAM을 확장한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TAM2라고 명명하였다 이는 지각된 유용성

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선행요인들을 검증한 것이다 즉 지각된 용이성보다는 지

각된 유용성이 종속변수들에 대해 더 큰 영향력을 가짐에 따라 선행요인들을 확

장하여 사회적 영향 프로세스와 인지적 도구 프로세스를 추가한 모형이다(김성일

2011) TAM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주관적 규범을 사회적 영향 변수로서 외생변수

로 추가하여 확장시킨 것으로 주관적 규범은 수용의도를 높일 수 있는 역할을 한

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은 자발적이거나 비자발적인 상황에서 조직을 네 개로

구분하고 이후 사용시점에서 업무 시스템에 대한 수용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

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자세히 살펴보면 주관적 규범과

자발성은 외부 변수로 직무관련성과 사회적 영향 프로세스 결과 실연성 결과 품

질은 이미지로 설명되었으며 인지적 도구 프로세스는 지각된 용이성으로 설명하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0

여 기술수용모델을 확장시킨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의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외부 변수들은 지각된 유용성 및 수용의도에게까지

영향을 미치며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결과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TAM은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라는 변수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수용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된 모델이다 하지만 지각된 유용성

과 지각된 용이성의 영향은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Oh Lehto

and Park 2009) 하지만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태도나 행도의도에 영향을 미

치기 때문에 이러한 영향력을 반영하기 위한 TAM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

되고 있다

Venkatesh Morris Davis and Davis(2003)은 사용자의 기술수용을 통합 관점에

서 접근하여 궁극적으로 보다 높은 설명력을 갖춘 새로운 기술수용모델을 제안하

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통합기술수용이론 즉 UTAUT(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이다(박일순 2013) 기존 TRA(합리적 행동이론) TAM(기

술수용모형) TPB(계획된 행동이론) IDT(혁신확산이론) 등 기존의 8가지 이론에서

제시된 32개의 개념들을 조정하고 통합하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1개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3개와 이러한 과정을 조절해 줄 수 있는 통제변수로

4가지를 제시하여 UTAUT를 설계하였다 UTAUT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

수로 성과기대 노력기대 그리고 사회적 영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모델에서 제시

하고 있는 성과기대라는 변수는 TAM에서 제시하는 지각된 유용성과 일치하는 개

념으로 볼 수 있으며 시스템을 사용할 때 성과가 향상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

을 것이라고 믿는 정도를 의미한다 그리고 노력기대라는 변수는 시스템을 사용

하면서 느끼는 용이성의 정도로 해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영향은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주변인들이 이러한 새로운 시스템의 사용에 대해 믿음의 정

도로 해석할 수 있다

Venkatesh and Bala(2008)는 기술수용모델의 기초가 되는 개념인 개인적인 차이

점 시스템의 특성 사회적 영향력 및 촉진조건을 선행변수로 제시한 기술수용 모

델(TAM3)을 제안하였다 기술수용모델3(TAM3)은 과거의 기술수용모델에서 언급

하지 않았던 경험이라는 변수에 대한 조절 효과에 대해 강조하였다 이 모델에서

는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조직 구성원의 경험 수준에 따라서 의사결

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달라질 것이라는 내용을 추가하고 있다 그리고 새롭

게 추가된 변수들로 컴퓨터의 불안과 유희성 객관적인 사용 용이성 지각된 즐거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1

움이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이치는 영향을 경험이라는 변수가 조절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있다

Venkatesh and Bala(2008)은 TAM3의 주요 강점으로는 이 모델이 가지고 있는

포괄적인 면이라고 볼 수 있으며 정보기술을 수용하는 여러 가지 결정요인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학문적 기여를 하였다 기

술수용모델은 조직 차원에서 도입하여 사용하는 정보기술 시스템뿐만 아니라 일

반 소비자들이 혁신적인 신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소비재 시장에서 채택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적인 프레임으로도 넓게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기술수용모

델은 혁신적인 신기술이나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들이 의사결정을 할 때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하여 제시하고 그들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기술수용이론에서 기본적으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수용과정에서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인지된 유용성은 이후에 설명할 혁신확

산이론에서 인지된 혁신특성 구성 개념 중 상대적 이점과 깊은 관련성이 있는 요

소로 보며 인지된 용이성은 복잡성과 상당히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Davis 1989) 따라서 기술수용모델 이론에서는 사용자들이 혁신적 신기술이나 제

품 서비스 등이 개인의 업무 등에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성과를 이끌어내기에 유

용하다고 느낄수록 그 기술에 대한 채택 가능성이 높아지고 그 기술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고 손쉽게 사용 가능하다고 느낄수록 기술 수용의도나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술수용모델은 사람들이 신기술 신제품 또는 정보기술 시스템 등을 어떻

게 수용하고 있는지 그 수용의도와 행동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있는 이성

적 행위이론을 통해서 살펴본 것이다 신기술에 대한 사용자들의 태도와 수용의

도 실제 수용이나 행위를 예상할 수 있는 주요 변수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라는 선행요인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설은 과거의 다양한 연구

들(Adams Nelson and Todd 1992 Davis Bagozzi and Warshaw 1992 윤승욱

2009 이재신 이민영 2006)을 통해 증명되었다

22 혁신저항 연구

일반적으로 혁신(Innovation)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lsquonobusrsquo라는 단어에서 기원이

되었으며 lsquo새롭다rsquo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혁신의 정의와 분류에 대해서 최근까지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2

많은 연구에서 다뤄지고 있다 혁신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새롭다고 인지하는

재화나 서비스 또는 아이디어를 말하는 것으로 그 기간이 길고 짧은 것과는 관계

가 없으며 하이테크 마케팅에서 언급하고 있는 혁신적 신상품을 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Rogers(1971)는 혁신의 정의에 대해서 개인 또는 특정인들이 수용할 수 있는 범

위에서 새로운 것이라고 지각되는 아이디어 관행 또는 물건rsquo이라고 정의하였다

여기서 혁신이라 객관적이고 새로운 물건이나 아이디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인 감정을 강조하는 것으로 그 제품이나 아이디어 서비스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그것을 얼마나 새롭게 느끼는지에 대해 인식하는 정도를

말한다

Rick(1992)은 혁신을 정의를 마케팅 차원에서 바라보았다 기존에 없었던 전혀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 내거나 소비자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

고 있는 신기술이나 프로세스 그리고 신제품을 혁신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혁신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소비자가 그것을 신제품으로 인식하

는지의 여부를 강조하고 이것은 혁신을 정의하는 기초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Biemans(1992)의 연구에서 혁신은 기존의 시장 환경 안에서 새롭게 개발된 제

품 서비스나 아이디어가 초기 수용자로부터 시장에 없던 전혀 새로움으로 지각

된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Rogers(1995)가 주장한 혁신확산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은 첨단기술

수용과 확산에 접한 관계를 가지는 이론으로 상대적 이익 적합성 복잡성 관찰

가능성 실행가능성 등을 혁신 확산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안하였다

사용자들은 새로움이라는 혁신을 인지하고 이후 태도가 형성되면 이러한 혁신을

채택할지 채택하지 않을지의 여부가 결정되는 채택과정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채택 과정은 기본적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데 기본적으로 지식 설득 결정 실

행 마지막으로 확인을 거치는 과정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혁신확산이론의 기

본 과정은 특정 혁신이 사회에 성공적으로 투영되는 과정에 주로 초점을 맞추는

특성을 보인다

하지만 여러 연구자들(Sheth 1981 Rogers and Everett 2003)은 혁신확산에 대

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혁신에 대해 사람들이 아무런 편견 없이 긍정적으로 받아

들인다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혁신이 항상 긍정적이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수용 또는 채택된다는 것을 기본 가정으로 하고 있음을 비판한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3

그 동안 연구되어온 혁신연구들은 혁신의 수용과 확산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

으며 이들 연구에서는 모든 혁신이 유익하고 긍정적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혁신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변화를 요구하기 때문에 변화에 대한 저장을

유발하게 되므로 혁신의 확산이나 수용에 대해서 생각하기 이전에 혁신저항을 잘

극복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Sheth(1981)는 처음으로 혁신저항(Innovation Resistance)에 대한 개념을 사용하

고 정립하였다 소비자들의 저항 심리는 기존의 습관과 지각된 위험이라는 두 변

수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고 하였다 혁신저항을 일으키는 특성에 대해서는 구

체적 언급을 하지 않았지만 혁신저항의 유형에 따라 다른 확산 방법이 필요하다

는 것을 발견하였다

Zaltman and Wallendorf(1983)는 사람들이 변화에 대응하여 현재 상태를 유지하

려고 하는 모든 행동들을 혁신저항이라고 정의하였다 Ram(1987)은 혁신저항 개

념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켜 혁신저항 모델을 제시하였다 변화에 의해 위협받고

있는 정도로 정의하며 혁신저항을 태도변수로 보고 있다

Ram and Sheth(1989)는 Sheth(1981)의 혁신연구에서 제시한 변수인 지각된 위험

과 생활관습이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병수라고 제시하고 추가적으로 소비자

들의 개인적 특성이나 제품 자체의 특성 그 외에 환경적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lt표 7gt Sheth(1981)의 저항 강도에 따른 혁신저항 4가지 유형

유형 내용

습관 혁신저항 위험은 낮으나 평소 생활이나 습관에 대해 변화를 요구하는 혁신

위험 혁신저항

혁신이 기존의 관습이나 습관을ㄹ 대체시켜 주지는 못하지만 함께 어울리며 공존하여 새로

운 습관을 만들어냄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저항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것은 높은 위험에서 기인하는 것임

비 혁신적 저항 기존에 가지고 있던 습관을 변화시키지 않으려고 하는 혁신을 말함

습관 위험의

혁신저항

인구문제 교육 복지 등과 같은 과거의 습관과 높은 위섬 때문에 강한 정항에 직면하는 혁

신임

Ram and Sheth(1989)는 소비자들이 혁신을 채택할 때 저항하는 요인들을 크게

기능적 장벽과 심리적 장벽으로 구분하였다 기능적 장벽(functional barrier)은 다

시 세 가지 장벽으로 구분된다 첫째는 가치장벽(value barrier)으로서 혁신제품의

품질이나 성능 효과 그리고 가격 등이 소비자의 기대와 맞지 않을 때 나타나는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4

저항을 말한다 둘째는 사용장벽(usage barrier)으로 소비자들이 혁신제품을 사용

할 때 기존에 가지고 있는 생활 패턴이나 습관 등을 변화시켜야 할 때 나타나는

장벽을 말한다 하이테크 제품은 종종 기존의 사용방식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방

식의 제품사용과 나아가서는 생활 패턴의 변경까지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셋째

장벽은 위험장벽(risk barrier)이다 이것은 소비자가 혁신제품을 사용하게 될 때

그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위험을 느낄 것 같아 나타나는

수용을 거부하게 되는 저항을 말한다

한편 심리적 장벽(psychological barrier)은 관습장벽(traditional barrier)과 이미

지장벽(image barrier)으로 나누어진다 관습장벽이란 혁신제품을 사용할 때 주변

사람들을 인식하게 될 것 같거나 기존의 사회 관습과 규범과 다르다고 느낄 때 나

타나는 저항을 말한다 이것은 매우 미묘하게 나타나는 장벽이기 때문에 소비자

들을 면 하게 관찰하여 파악해야 한다 이미지장벽은 혁신제품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선입관이나 부정적인 편견과 같은 문제를 일컫는다 제품 성능과 관계없이

부정적인 편견이나 선입관 같은 이미지상의 문제를 의미한다

혁신 저항의 특성을 살펴보면 Ram and Sheth(1989)는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실

제로 혁신적인 신제품이나 서비스에서 소비자들이 혁신저항을 느꼈다는 것을 발

견하고 이러한 혁신저항의 특징들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혁신저항은 채택시기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데 혁신에 대한 성향을 기준

으로 혁신수용자(innovators) 선구자middot선견자(early adopters) 조기다수 수용자

(early majority) 후기다수 수용자(late majority) 지각수용자(laggards)로 구분하고

각각의 분류마다 그 성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혁신저항은 정도에 따라 다르

게 나타난다 즉 저항은 연속적으로 나타나고 지속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소비자

들은 혁신이 매우 위험하다고 느끼거나 혁신을 위해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충분한 이유를 찾지 못하여 혁신을 꺼리거나 혁신을 채택하는 결정을 미루

거나 혁신이 자신과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혁신에 대해 저항할 가능성이 높아

질 수 있다 셋째 혁신저항은 다양한 제품군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제품 자

체의 문제라기보다는 혁신의 문제로 소비자가 혁신제품을 수용하고자 할 때 변화

를 우려하거나 자신의 신념과 상충하는 정도에 따라 저항이 나타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연속적 혁신보다는 불연속적 혁신이 혁신저항의 강도가 보

다 클 것이라고 예측한다 왜냐하면 불연속적 혁신은 소비자가 혁신을 채택하게

됨으로써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행동을 하게 될 수밖에 없는 사용상황이나 관습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5

에 부딪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혁신의 정도가 매우 높아 혁신저항이

높게 나타나게 될 경우에는 동태적 연속혁신(dynamically continuous innovation)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동태적 혁신은 불연속적 혁신의 가운데에서 서로를 잇는 역할

을 하는 것으로 불연속적 혁신제품에 대해서 소비자들이 제품을 수용하는 시기가

늦어질 것을 예상하여 기존에 사용하는 제품과 혁신적인 새로운 제품의 일부 기

능만을 착용하거나 융합하여 만들어진 제품을 말한다 이들의 성공은 불연속적

혁신제품에 대한 저항의 크기와 그 기간의 길이에 상당히 의존한다 소비자들이

기존기술을 선호하는 집단과 혁신기술을 선호하는 집단으로 뚜렷하게 양분되는지

아니면 중간 단계의 수요가 상당한지에 대해 확인해 보아야 한다(김상훈 2008)

23 신뢰 연구

과학기술의 발전은 과학이나 기술분야를 넘어서 정치적 사회적으로도 많은 영

향을 미치고 있으며 과학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형태로서 국가의 주요

정책으로까지 활용함으로써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첨단 과학기술의 개발과

선점은 국가경쟁력에까지 그 파급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

지만 이러한 기술의 발달과 개발이 항상 긍정적인 결과만을 가져다준다고 판단하

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Seong and Hwang 2012)

첨단과학기술의 유익한 면 외에도 그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우리가 알지 못하는

위험성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의견으로 인하여 많은 논쟁을 가져오고 있으며 그

중심에 최근 주목받고 있는 나노기술영역을 들 수 있다 나노기술은 혁신적인 신

기술로 첨단과학기술 분야에서 많은 경제 사회발전 등 그 잠재력에 대해 많은 사

람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영역으로 급부상하고 있지만 나노기술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잠재적인 위험성에 대한 우려도 동시에 인식되고 있다(Nel

et al2006 Wittmaack 2007 Wiesner et al 2009)

나노기술(Nano Technology)은 물질을 구성하는 직경 1나노미터(nm) 이하의 원

자나 분자를 나노영역에서 조작해 실생활에 유용한 것으로 만드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나노기술개발촉진법 제2조 제1항에 의하면 ldquo물질을 나노미터 크기의 범

주에서 조작 분석하고 이를 제어함으로써 새롭거나 개선된 물리적 화학적 생물

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소재 소자 또는 시스템을 만들어내는 과학기술rdquo로 정의하

고 있다(성지은 황만성 2012) 이러한 나노기술은 전자통신 재료 보건 의료 생

명공학 환경 에너지 국방 항공우주 등 응용가능한 분야가 매우 넓기 때문에 선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6

진 각국에서는 lsquo기술혁신rsquo이나 lsquo신성장동력rsquo lsquo신산업의 창출rsquo 등의 용어를 통해 21

세기 국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로 바라본다(김찬원 외 2015) 하지만 나

노입자의 독성 가능성 나노물질의 인체로의 침투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각종 위

험성(DNA 파괴 등) 나노입자의 환경오염 가능성(위키백과 2015) 그리고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개인의 사생활 침해의 논란이 되는 감시나 통제 등으로의

활용 측면에서 그 위험성 논쟁이 높아지고 있는 위험영역이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평소 자신이 잘 모르는 문제나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정보

에 두려움을 갖는 lsquo가정된 위험rsquo을 만들어 낸다고 한다 이는 잘 알려진 위험에 비

해서 더 높은 위험을 느끼게 하며 관련된 지식이 없는 경우 그 위험은 더욱 커지

게 된다(Song and Kim 2014)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나노기술과 같이 불확실하

고 위험의 통제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 친숙하지 않음 미래에 어떤 위험이 있을

지 모르는 상황 지식 부족 등은 나노기술에 대한 불안감을 더욱 증폭시키게 된

다 이러한 일반인들이 느끼는 나노기술의 위험에 대한 인식은 나노기술을 개발

하는 기술자 위험에 대한 관리주체로서의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

게 된다 기술 자체 기술을 만들어 내는 과학자 이를 관리middot감독하고 위험에 대

처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정부middot국책기관에 대한 신뢰는 나노기술에 대한 위험인

식이나 나노기술을 수용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김원재 송해룡 김찬

원 2016)

실제로 여러 연구들(Cvetkovich 1999 Siegrist and Cvetkovich 2000)을 보더라

도 신뢰가 위험인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며 특정 위험에 대한 두려움 혹은 위

험수용의 반대는 바로 이해당사자들 간에 신뢰가 깨진 것에서 비롯된다(김영욱

이현승 2014) 사람들이 위험을 인식하는데 신뢰가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

구결과들이 계속적으로 보고되고 있고(Flynn et al 1992 Slovic 1993) 신뢰는 불

확실성이 높은 신기술이나 혁신기술과의 관계에서 사람들이 우려하는 요소들을

줄여주는 기능을 한다는 연구결과들을 살펴보았을 때(Paton 2008 Siegrist and

Cvetkovich 2000 Wachinger et al 2013) 신뢰라는 요인은 사람들이 느끼는 불

확실성을 줄여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위험수용

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으로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신뢰의 문제를 핵심 요인으로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 대상을 운영하고 관리 감독하는 집단들에 대한 공중

의 신뢰 수준에 따라 위험수용이 결정된다고 강조하고 있다(송해룡 김원제

2015) 이는 나노기술처럼 신뢰의 여부가 위험이나 불확실성으로부터 경제적으로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7

높은 성장성을 가져오고 사회적 파급력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사회에 존재하고 있는 위험은 단순이 특정 그룹이나 단체

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작용될 수 있다 이에 정부기

관이나 기업 미디어 과학자 시민단체 일반시민 등 사회를 조직하고 구성하는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위험수준 통제 관리를 위한 행동 또는 정책과 관련된 정보

를 주고받으며(Covello Slovic and Von Winterfeldt 1986 Kellens Terpstra and

De Maeyer 2013 Trettin and Musham 2000) 위험을 줄이고 총체적인 위험에 대

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김찬원 외 2015) 이러한 문제는 단순한 수준

차원이 아닌 이해당사자들 모두의 신뢰를 통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신뢰라는 개념은 단일 차원에서의 좁은 시각으로 볼 수 있는 개념이 아니며 매

우 광범위하게 그 뜻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신뢰의 추성적이고 광범위적인 개

념의 특성으로 특별히 위험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신뢰라는 개념은 다차원 적인

요소로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Earle 2010 Earle Siegrist and

Gutscher 2010 Rousseau Sitkin Burt and Cammerer 1998)

Earle(2010)는 신뢰의 개념을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연구를 종합하여 다른 사람

의 행위나 의도에 대한 긍정적 기대에 기초하여 취약성을 받아들이려는 심리적

상태로 정의하고 신뢰하는 사람과 신뢰받는 사람 간의 관계에 기초한 관계적 신

뢰와 미래 행위에 대한 제약이나 신뢰를 받는 사람의 지난 행위 기초한 계산적 신

뢰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Kaspweson Golding and Tuler(1992)는 신뢰에 대한 특징을 위험을 감수하는 믿

음과 타인과 미래에 대한 막연한 기대 그리고 상황과 타인에 대한 주관적 지각

등을 제시하고 있다 Luhmann(1980) 신뢰를 사회제도의 성과로 보고 있는데 신뢰

를 미시적 신뢰와 거시적 신뢰로 분류하고 있다 미시적 신뢰는 다른 사람들과 상

대적으로 차별화 되지 않은 사회 안에서 개인 간의 신뢰를 나타내는 것이고 거시

적 신뢰는 관료제도와 같이 현대의 복잡화된 사회에서 시스템 신뢰의 의미로 나

타냈으며 신뢰가 개인 간의 신뢰에서 시스템 신뢰로 옮겨져 가고 있다고 하였다

특별히 Luhmann(1980)과 Rousseau et al(1998)의 연구를 살펴보면 신뢰의 유형

으로 사회제도 안에서의 신뢰를 강조하며 신뢰의 대상으로서 기관에 대한 신뢰

와 사람에 대한 신뢰로 구분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왕재선 2013) 그

외에도 신뢰를 파악하고자 할 때 과학기술 자체에 대한 신뢰의 측면을 제시하는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8

연구들도 있다(송해룡 이원제 2015) Midden and Huijts(2009)와 Siegrist et

al(2007)은 과학기술을 관리하는 기관에 대한 신뢰가 과학기술 자체에 대한 긍정

적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주어 위험인식과 수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현주 이영애(2011)은 감정의 차원에서 신뢰를 바라보고 과학기술의 좋고 나

쁨을 평가하여 신뢰가 낮을수록 사람들은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게 되며 이는 결

국 과학기술에 대한 위험을 높게 인식한다고 하였다 박희제(2013)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익은 추상적인 것이고 위험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직접

적인 경험을 통해 인지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하였다 따라서 과학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나 수용은 신뢰수준에 매우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나노기술이 위험인식 기술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신뢰를 주

요 변수로 고려하였으며 나노기술의 위험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신뢰라는

개념을 보다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신뢰라는 변수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단순한 차원의 신뢰의 개념을 넘어서서

보다 다양한 차원(Earle 2010 Earle et al 2010)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

라고 보고 신뢰를 기관 사람(Butler 1991 왕재선 2013) 기술(박희제 2013 이현

주 이영애 2011 송해룡 김원제 2015)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기관은 정부국책기관과 기업으로 사람은 개발자와 나노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직원으로 구분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3 산업전문가 활용 조사 방법론 연구

산업 전문가 조사는 해당 산업에 있어서 상당한 지식과 식견을 지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내부적으로는 해당 산업의 제품을

생산하는 경영자 관리자 판매직원 등이 해당하며 기업 외부적으로는 기술 및 정

책연구자와 해당 산업에 대해 객관적 분석을 주 업무로 진행하는 시장분석 전문

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전문가 조사의 경우 확률적 표본추출을 사용하는 것이 어

렵고 적절히 대표성 있는 표본을 대상으로 비확률적 표본추출로 표본을 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 표본을 기업 내부와 외부 혹은 해당 산업을 분류해 분석을 할 계획이 있

다면 쿼터별로 적절한 대표성을 위해 할당 추출법(quota sampling)을 사용하기도

하며 이 경우 도출해내고자 하는 결과와 관련해 분야별 다양한 의견을 갖고 있는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9

전문가들의 종합적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산업 전문가의 의견이 주로 조사

되는 연구로는 앞서 Diffusion Model 리뷰에서도 언급되었던 델파이 기법이 있으

며 신기술 산업이나 제품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이해도가 많은 차이가 있거

나 그 기술의 산업 제품에 대한 혜택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식이 상반될 때에 일

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조사하는 연구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31 산업 전문가 델파이 기법 연구

이중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고자 개발된 기법으

로 다양한 분야에서 집단적 합의의 필요성이 높을 때 반복적인 의견수립을 통해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다 개인의 독립성과 객관성을 최대한 끌어내는 것

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물리적 공간이 아닌 설문을 통해 참여하며 설문에 참여하

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공유하지 않는 익명성이 델파이 기법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독립성은 산업 전문가들은 해당 산업에 대해 비전문가보다 높은 식

견과 정확한 판단력을 가지고 있다는 추론 하에 가능하며 브레인스토밍과 같이

물리적 공간에서 의견을 교환하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강력한 주장에서 발

생하는 논쟁을 피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이 의견 제안을 포기하거나 전문가 중 더

욱 명망있는 전문가의 의견을 따라 자신의 의견을 포기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

함이라 할 수 있다

델파이 기법의 경우 일반적으로 세 가지 과정을 거치는데 첫째 해당 산업의 전

문가를 선정해 조사에 참여해 달라고 요청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사 참여에는

특정 산업에 대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전문적 지식을 긍정부정에 상관없이 표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전문가들의 의견은 특정인의 가중치 없이 동일하게 수렴된

다 또한 이 과정에서는 전문가들은 자신의 의견이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는 익명

성을 보장받음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각 분야별 선정된 전문

가에게는 한번 이상의 반복적인 설문지가 전달되며 이러한 설문에 대한 결과가

이들에게 다시 전달되는 피드백 과정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자

신의 입장을 더욱 명확하게 세울 수 있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

해 다른 참여자들의 의견이 설명되며 자신과 다른 생각을 가진 의견에 대해 계속

적으로 반박과 재조정이 가능해진다 셋째 참가자들의 의견과 관련된 논쟁들이

이들에게 다시 피드백되기 때문에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전문가들의 의견수렴

이 가능해지고 의견수렴이 불가능 할지라도 이성적인 이견들을 종합해 결과적으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0

로 전문가 스스로 자신의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하

게 된다 일반 소비자조사와는 달리 델파이 조사의 경우 대부분 표본의 숫자가 작

은 편이기 때문에 전문가의 포괄적인 의견보다는 다양한 견해와 이견을 통해 새

로운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의견일치를 통한 결과가 아니더라도 새로

운 시각과 견해를 투영할 수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lt그림 23gt 델파이기법의 실행 절차

자료 김상훈(2013)

이 기법의 핵심은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인데 최근에는 인터넷의 등장으로

초기 델파이 측정 방식인 인터뷰나 대면조사에서 온라인 설문이 가능해졌기 때문

에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이 강화되어 최근 많은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

다 과거 페이퍼를 통한 초기 델파이의 경우 긴 소요시간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는데 두 단계 이상을 거치는 델파이 기법의 특성상 한 프로젝트당 4개월 가

까이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에 대한 비용의 문제도 걸림돌이었다 하지만 온라인

설문이 가능해지면서 많은 시간을 단축하여 현재는 비용 면에서도 많은 개선이

가능해졌다

초기 델파이의 연구에서는 각기 전문가들의 통합적 의견의 일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는데 왜냐하면 개인보다는 집단의 예상이 더욱 정확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

다(Keeney et al 2011) 이는 한명보다는 두 명의 판단이 낫다라는 가정에 근거하

지만 현재는 의견의 일치보다는 다양한 결과가 나온데 해도 그에 따른 다양한 시

사점도 중요시 되고 있다 물론 의견의 분산을 여러번의 조사를 통해 자신의 판단

을 보완하고 수정하면서 좁혀나가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결국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하나의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1

델파이 기법의 경우 정확히 알 수 없는 애매한 질문을 포함시키지 말아야하며

이를 위해 질문의 선정에 공을 들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며 또한 대표성있는 각

분야의 전문가를 선정하는 것도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문가 패널은

전문성 대표성 성실성 있는 참여 각 분야별 숫자 등이 고려되며 연구자가 직접

표본 전문가를 선정하거나 관련 분야에서 추천위원을 선정하여 그 추천위원이 다

시 패널을 선정하기도 한다 보통 델파이 기법의 표본은 7명~ 350명 정도가 일반

적이며 10~ 20명의 매우 작은 패널로도 의미있는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보

통 척도의 경우 5점이나 7점 리커트 척도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항목별 순위나 중

요도를 묻기도 한다 델파이 기법 특성상 2번 이상 반복 설문을 하기도 하는데 3

번 이상 설문이 진행될 경우 회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신중한 검토

가 필요하다

델파이 기법의 경우 처음에는 미지의 미래 값과 성취가능성에 대한 수량적 예측

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대립되는 정책 문제 해결을 위해 서로의 의견을 수

렴하기도 하고 의사결정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전문가나 연구원이 직접 참여하

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익명성을 이유로 진실된 응답이 가능하

기 때문에 외부적 영향을 최대한 줄여주는 장점이 있으며 어떤 문제에 있어서 전

문가들의 집중적 검토가 가능하기 때문에 창의적이고 직관적 생각을 도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점으로는 전문가 선정에서 전문가들의 전문성의 문제 분야

별 전문가를 나눌 때 분류 기준의 모호성 대표성 익명성으로 인한 불성실한 응

답 문제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연구로는 구훈영 민대기(2013)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델

파이 기법을 활용해 신재생 에너지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는데 이는 최근 일어난

원전사고 환경오염 문제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신재생 에너지에 대

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신재생 에너지는 태양열 태양관 풍

력 수력 천연가스 바이오에너지 연료전지 등을 포함하며 최근 문제가 되고 있

는 원전 사고의 위험성의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위기의 여

파로 신재생 에너지 산업의 성장과 발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데

여기에 신재생 에너지의 불확실성이 더해져 해당 산업에 대한 개발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구훈영 민대기(2013)는 신재생 에너지의 수요예측에 전문가 델

파이를 활용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2

질문항목 응답 항목 응답(명)

내외 환경 정책 등이 현재 상태가 유지된다는 전제하에 국내 태양광

설치용량 규모는 단기적으로 어느 정도로 예상되십니까

900MW 미만 1

900MW~1100MW 3

1100MW~1300MW 0

1300MW~1500MW 6

1500MW 이상 2

내외 환경 정책 등이 현재 상태가 유지된다는 전제하에 국내 태양광

설치용량 규모는 장기적으로 어느 정도로 예상되십니까

21GW 미만 0

21GW~35GW 5

35GW~49GW 1

49GW~63GW 5

63GW 이상 1

2010년 현재 태양광산업이 신재생에너지 전체 투자액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향후 전체 신재생에너지에서의 비중은 어떻게 변화할

것으로 전망하십니까

재생에너지 중

태양광산업의 비중()

평균 73

최대 80

최소 60

lt표 8gt 전문가 델파이 분석의 설문항목

자료 구훈형 민대기(2013)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최근 상업화되었기 때문에 데이터 부족으로

수요예측이 어려운 점이 있으며 정부의 정책 및 국제적 환경 변수가 불확실성 요

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불충분한 데이터의 보완과 불확실성과 관련된 판단

을 위해 전문가 델파이 방법을 사용하여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다 저자들은 50명

의 전문가들에게 태양광산업의 수요에 있어서 단기적 미래(2015년) 장기적 미래

(2025)년을 예측하게 하였다(조사시점은 2013년)

조사결과 2015년의 태양광 발전의 누적설치용량은 2011년과 비교하면 단기적

미래인 2015년까지는 10~15의 연평균 성장률을 장기적 미래인 2025년 까지는

응답자의 42가 35~37의 연평균 성장을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는 신재생 에너지와 같이 수요의 예측을 위한 데이터가 부족할 경우

유용한 수요예측의 도구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델파이 전문가 수요예측 연구로는 생체인식 시스템 분야에 대한 미래의

핵심기술을 예측한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생체인식

분야에서 여러 분야 중 각각의 기술들의 난이도 기술수준 중요도 등을 전문가

30명을 통해 조사하였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3

lt그림 24gt 델파이 조사 과정

자료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이들은 단기적 조사가 아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반복적 설문 조사를 통해 어느

정도 의견 수렴한 뒤 결론을 도출하였다 생체인식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기술성숙

도가 낮은 기술 분야이기 때문에 정량적 분석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저

자들은 정성적 분석인 델파이 분석 방법이 더욱 높은 신뢰도를 가질 것으로 예상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왜냐하면 델파이 분석에 동원되는 전문가들은 표준화된

많은 데이터가 없을 경우 객관적으로 문제에 접근해 서로간의 의견을 골고루 수

렴해 일부에 휩쓸리지 않는 합리적 결론을 도출해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연구에서는 산업체 학계 연구소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성 있는 30인의 전문가

들에게 중기 예측(2017년)과 장기예측(2022)을 진행하도록 요청하였다 또한 이러

한 설문 결과를 다시 피험자들에게 제시 2차 조사에는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보

고 이를 수렴하여 다시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4

점수 중요도난이도 기준

5 매우높음

4 높음

3 보통

2 낮음

1 매우낮음

lt표 9gt 중요도 및 난이도

확신도 확신도 기준 환산 점수

5 전문분야로 매우 자신있게 응답 100

4 전문분야이며 자신있게 응답 70

3 유사분야 전문지식을 갖고 응답 30

2 전문분야가 아니어서 확신이 다소 부족 10

1 전문지식이 없어 전혀 확신할 수 없음 5

lt표 10gt 전문가 확신도 기준

자료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총 10개의 생체인식 시스템 기술을 선정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해당 기술들에

대한 자신이 생각하는 중요도 난이도 확신도 선진국과의 기술차이 기술실현시

기 등의 항목들을 제시하였다

lt그림 25gt 생체인식 시스템 기술수준 중요도 난이도 종합분석

자료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5

조사결과 기술수준과 중요도 난이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lt그림 25gt와 같다

종합하면 기술수준도 높고 중요도도 높은 기술들(예를 들어 반도체마이크로센서

제작기술)같은 경우 계속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으며 중요도는 높지만 기술수준

이 낮은 기술(예를 들어 환경센서 기술)의 경우 다른 기술들보다 연구 개발의 우

선순위가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구훈영 민대기(2013)와 홍현수 외(2010)의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통해 조사분석

을 하였지만 정성적 방법만을 가지고 조사를 하였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객관적

인 정량적 근거 부족이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델파이 방법은 전문가

패널의 구성 이러한 전문가들을 상대로 하는 반복적 설문조사 분석 의견 수렴을

통해 결론을 도출해 내기 때문에 정성적 방법론에서는 많이 사용되는 분석방법이

다 표준화가 가능할 정도의 데이터가 없을 경우 전문가의 직관을 통해 미래 수요

를 예측하기 때문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익명성을 통해 보다 자유롭고 솔직

한 의견 도출이 가능하며 여러 명의 전문가들이 합의점을 도출하는 과정을 고치

기 때문에 일부의 의견에 휩쓸리는 일의 발생 가능성이 적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

지고 있다

32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 차이 조사 연구

또 다른 산업 전문가 의견을 활용하는 연구는 전문가와 일반인이 해당 기술 산

업이나 제품에 대한 인식에 많은 차이가 있을 때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어떠한 산업은 전문가들이 일반 소비자나 잠재소비자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새로운 기술 산업이나 제

품의 경우 그러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첨단 기술산업의 경우 일반 소비

자들은 해당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비교적 최근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신진산업의 경우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또한 불확실성과 위험

성을 내포하고 있는 신기술 산업의 경우 소비자들과 전문가들은 위험인식 혜택

수용의도에 걸쳐서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제대

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의견이 아닌 전문가의 의견에만 의

존할 결과를 도출하게 될 경우 본 보고서와 같이 미래의 수요를 예상하게 될 경

우 실제 수용자인 일반소비자들의 위험인식에 따른 낮은 태도를 반영하지 못해

신뢰하기 어려운 결과값이 도출 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일반 소비자의 의견만을 반

영하고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일반 소비자가 판단하기 어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6

운 첨단기술 산업의 경우 이들의 응답에 대한 신뢰도가 전문가와 비교해 매우 낮

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산업 전문가와 일반 소비자의 인식차이를 비교하고 의견

을 수렴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체세포 복제기술 나노기술 원자력기술가 같이 인체 유해성에 대한 우려가 높

은 산업의 경우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차이 조사 연구들이 비교적 많이 진행되

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연구로는 나노물질 위해성에 대한 인식차이를 조사한 이

정진 외(2008)의 연구가 있다 나노기술의 경우 기술 자체의 문제보다는 나노물질

이 가지고 있는 위해성 측면에서 일반인들이 매우 높은 위험성을 지각하는 분야

이다 이는 나노기술의 특성상 나노물질이 눈으로 보이지 않는 매우 작은 단위이

기 때문에 느끼는 심리적 위험성과 실질적 위험성을 포함한다 새로운 신기술의

경우 특히 일반인과 전문가 사이의 인식차이가 클 수밖에 없으며 이는 기술수용

단계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해당 기술 수용여부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이정진 외(2008)은 나노기술의 지속적이고 포괄적 성장을 위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예를 들어 신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경우 전문

가들은 해당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 안전하다고 합의가 된 상태더라도 소비자들이

만약 위험성을 느끼고 불안하다고 느낀다면 기술발전에 어려움이 생길 것이다

반대로 일반인들은 별다른 의심 없이 위험성에 대한 지각을 갖지 않고 해당 기술

적용 제품을 구매 사용하고 있는데 전문가들이 위험성을 느끼고 있다면 실질적

잠재적 기술의 위험성은 더욱 심각하다고 말할 수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이유로

전문가와 일반인 사이 나노물질의 위험성을 조사하여 비교하기 위해 전문가 165

명 일반인 599명 총 7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lt그림 26gt처럼 일반인과 전문가 사이의 나노기술 인식에 대해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나노기술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한 일반 소비자는

162 몇 번 들어본 적이 있다는 응답은 548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의 조사결과

(Macoubrie 2004)나 일본의 조사결과(Fujita 2006)보다 나노에 대한 인지도는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7

lt그림 26gt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도 차이

자료 이정진 외(2008)

이는 미국과 일본에 비교해서 국내의 경우 lsquo나노rsquo라는 단어를 브랜드화 한 경우

가 많으며 제품의 이름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은나노세탁기 은나노코

팅제) 또한 실제 나노 관련 소비재가 마트에 비교적 많기 때문에 lsquo나노rsquo라는 명칭

이 자주는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친숙한 것으로 보여진다 나노기술의 접촉 방법을

살펴보면 전문가의 경우 학술지 인터넷 신문 책 등 다양한 경로인데 반해 일반인

의 경우 TV 신문 등 매스미디어 혹은 인터넷을 통해 나노에 관해 정보를 얻는 것

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보면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 소비자의 인지도를 올리기 위

해서는 매스 미디어나 인터넷에서의 마케팅이 주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lt그림 27gt를 보면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일반인들은 세탁기 에어컨과

같은 가전제품 치약 칫솔 비누와 같은 생활용품 핸드폰 노트북과 같은 전자기

기 얼굴팩 기초화장품 자외선차단제와 같은 화장품 순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전문가들은 일반인가 비교해 비교적 고르게 나노기술 적용 제품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제품인지도에 있어서는 비교적

고른 편이었으며 이는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이 비교적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8

lt그림 27gt 일반인과 전문가의 나노제품에 대한 지각 차이

자료 이정진 외(2008)

lt그림 28gt 일반인전문가 나노기술의 위해성 인식여부와 불안감여부 차이

자료 이정진 외(2008)

또한 나노기술의 위해성 인식에 대해서는 위 그림처럼 전문가의 742는 들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반대로 일반인은 741가 모른다고 위해성에 대해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일반인의 나노기술 정보가 부족하며 한편으로는 나

노기술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신기술에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9

대해 일반인들은 전문가보다 높은 불안감을 보이는 것이 당연한데 동일한 설문

을 진행한 일본보다도 일반 소비자의 불안감이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일

반인 229) 이러한 흥미로운 결과는 전문가의 경우 742가 나노물질의 위해성

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다고 답한 반면 일반인의 경우 741가 들어본 적이 없

다고 답한 것과 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란 추측이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나노기

술이 더 안전하다고 높은 신뢰를 보인다기 보다는 나노물질에 대해 지식수준이

낮기 때문에 위해성 자체의 인식률이 떨어진다고 분석해 볼 수 있다 저자들은 이

러한 나노물질의 위해성에 대한 낮은 인지는 오히려 나노기술의 안정적 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런 상황에서 나노물질 위해성 연구를 추진

하거나 법률적 관리를 정부에서 나설 때 일반인들의 공감을 얻는 것이 어려워 보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의 인식차이를 줄이고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정진 외(2008)는 이는 나노산업의 성장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였다

또 다른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조사한 연구로는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

한 나노기술의 부정적 영향의 인식차이를 분석한 배성훈 외(2015)의 연구가 있다

나노기술은 성과 측면에서 국가적으로 매우 촉망받는 기반기술이며 많은 투자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술분야지만 나노물질에 대한 인체와 환경 유해성에 대

해서는 아직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명확한 규정 또한 지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기술중심의 사고를 통해 기술 자체에서 의미를 찾는 것 보다는 그

기술을 사용하는 일반인들에게 그 혜택과 가치가 전달되어야하며 이러한 수요중

심의 전략개발에 기술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배성훈 외(2015)의 연구에

서는 나노기술의 산업확장에 중대한 걸림돌로 지적되어온 부정적인 인식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인 집단과 전문가 집단을 분리해 차이를 비

교분석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정진 외(2008)의 리뷰에서처럼 만약 전문가

가 나노기술의 위험성에 대해 불안해하는데 수요를 하는 일반 소비자들이 안전하

다고 느낀다면 높은 수요로 인해 잠재적 부정적 결과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며

반대로 전문가들은 안전하다고 인지하고 있는 기술에 대해 소비자들이 막연한 불

안감을 느낀다면 해당 기술의 상용화는 매우 어려울 것이다 저자들은 나노기술

에 대한 인식과 나노제품의 속성의 수준별 조합에 따른 선호도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일반인 541명 전문가 62명 총 6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설문

지의 경우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수준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0

와 이유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속성별 구매선호도 분석을 위한 컨조인

트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 제품군을 분야별로 식약품 전자제품 미용품등으로

나눠 조사를 실시하였다 컨조인트 분석을 위해 각각 상품 속성 수준에 소비자의

효용을 적용하였으며 긍정적 속성은 나노기술적용표시 정부인증 부정적 속성은

위해치명도 위해발생 가능성으로 구성하였다

속성별 2가지 속성을 설정했기 때문에 이를 조합하면 총 16가지 제품 조합이 가

능하지만 이를 순위매기는 것은 피험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직교설계

(orthogonal design)를 통해 필요한 주효과만을 측정할 수 있는 최소한의 8개의 가

상의 프로파일 세트를 도출하여 이 가상제품의 구매우선순위를 응답받아 컨조인

트 분석 실시하였다

Product Labeling CertificationRisk

ChanceRisk

Fatality

1 Yes No High High

2 No Yes High Low

3 Yes No High Low

4 Yes Yes Low Low

5 No Yes High High

6 No No Low Low

7 Yes Yes Low High

8 No No Low High

lt표 11gt 가상의 나노기술 적용제품 세트

자료 배성훈 외(2015)

Attribute Level

Labeling No Yes

Certification No Yes

Risk Chance Low High

Risk Fatality Low High

lt표 12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속성수준

자료 배성훈 외(2015)

분석결과 일반인과 전문가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지수준을 조사 한 결과 일반인

의 경우 나노기술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는 사람이 76 용어만 알고 있다가

521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있다가 298 개념과 활용성을 이해하고 있다

가 83로 나노기술이 생소하진 않지만 개념까지 이해하지는 못한 수준인 것을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1

알 수 있었다 반면 전문가의 경우 개념과 활용성을 이해하고 있다가 774 개념

잘 이해하고 있으며 나노기술을 선호한다 21 개념 잘 이해하고 있지만 나노기

술을 선호하진 않는다가 16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전문가들은 일반인보다 높은

나노기술 이해도를 보였다 이를 보면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선호도는 나노기술

의 대한 인지도가 일정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추론해 볼 수 있다

한편 나노기술 상용화 제품 세 가지 제품군을 대상으로 5점리커드 척도로 구매

의도 분석결과 lsquo나노식약품rsquo의 경우 일반인 M=333 전문가 M=338 나노전자제

품lsquo의 경우 일반인 M= 382 전문가는 M= 443 마지막으로 rsquo나노 이미용품lsquo의 경

우 일반인 M=346 전문가 M=362로 나타났다 모든 제품군에서 전문가가 일반인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으며 특히 나노전자제품의 경우 t-검정 결

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GroupWillingness to pay

p-valueMean SD

Food amp MedicinePublic 333 099

034Experts 338 109

ElectronicsPublic 381 084

Experts 443 047

CosmeticsPublic 346 099

011Experts 362 089

lt표 13gt 세 가지 나노기술 적용 제품군 별 구매의도 차이

p-value lt 001

자료 배성훈 외(2015)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구매의도에 있어서 낮은 점수(12)와 높은 점수(45)을 준

피험자에게 각각 구매하지 않은 이유와 구매한다고 응답한 이유를 9개의 보기를

제시하고 응답하게 한 결과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구매이유로 상품성능 향상 상

품품질 향상 상품안전성 향상 순으로 구매이유를 설명하였다 반면 구매하지 않

은 이유(M=1~2)를 물은 결과 일반인의 경우 상품안전성 저하 위해성 향상 성능

감소 순으로 이유를 들었고 전문가의 경우 상품 위해성향상 상품안전성저하 상

품품질불안정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를 보면 일반인 전문가 모두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높은 성능 향상을 기대하였지만 전문가의 경우 일반인과는 달리 긍정적

영향만이 아닌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도 많은 이해를 바탕으로 고려하고 있기 때

문에 이 같은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예상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2

또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컨조인트 분석 결과 식약품과 전자제품 미용품의 제

품군에서 중요도의 유사패턴이 발견되었는데 위해치명도가 가장 중요한 속성이

었으며 다음은 위해발생 가능성 정부인증 나노기술의 적용표시가 그 뒤를 이었

다 전문가들의 경우 일반인과 패턴 면에서 유사하지만 위해치명도의 속성 중요

도가 더 크게 나타났고 나노기술적용표시 중요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전문가들의 경우 일반인 대비 나노기술의 인체유해성을 더욱 많이 파악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Attribute Level

Food amp Medicine Electronics Cosmetics

Part-worth

ImportancePart-worth

ImportancePart-worth

Importance

LabelingNo -0266

1420-283

1471-291

1389Yes 0266 283 291

CertificationNo -0425

1664-436

1606-395

1746Yes 0425 436 395

Risk ChanceLow 0632

3193662

3107640

3184High -0632 -662 -640

Risk FatalityLow 1105

37231080

37161083

3681High -1105 -1080 -1083

Personrsquos R

Correlation

Coefficient

Coefficient 0664 0732 0728

P-value 0036 0019 0020

lt표 14gt 일반인 그룹의 컨조인트 분석결과

p-value lt 001 p-value lt 005

자료 배성훈 외(2015)

Risk CaseLabelin

gCertification

Food amp Medicine Electronics Cosmetics

Public Experts Public Experts Public Experts

High Chance

Low Fatality

Yes Yes 1164 1621 1137 1391 1129 148

No Yes 0632 1129 0571 0963 0547 1052

Yes No 0314 0509 0265 0287 0339 0384

No No -0218 0017 -0301 -0141 -0243 -0044

Low Chance

High Fatality

Yes Yes 0218 -0017 0301 0141 0243 0044

No Yes -0314 -0509 0265 -0287 -0339 -0384

Yes No -0632 -1129 -0571 -0963 -0547 -1052

No No -1164 -1621 -1137 -1391 -1129 -1480

lt표 15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세 가지 제품군의 효용분석결과

자료 배성훈 외(2015)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3

추가적으로 속성 수준별 조합을 살펴본 결과 위해발생 가능성이 낮더라도 치명

도가 높을 경우 정부인증 마크와 나노기술표시가 표시된 상황에서만 효용 값이

양의 값(+)를 나타냈다 반면 전문가들의 경우 식약품 제품에 한해서는 이러한 표

시 상황에서도 부정적 태도를 보였는데 이는 전문가들은 식약품의 경우 인체에

흡수되기 때문에 가장 민감하게 위해 치명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4 나노산업 관련 이론 및 발전 동향 조사

41 나노산업 관련 이론

국내 나노기술 관련 이론적 연구 동향을 분석해 보면 크게 나노기술 적용시 그

효과성에 관한 연구 나노기술의 위험과 안전에 대한 규제 필요성에 관한 연구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이나 전문가의 인식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예기훈 성아영(2010)은 금 나노입자를 포함한 안의료용 고분자의 합성 및 물성

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과적인 부작

용과 문제점 이물감과 불편함을 완화하기 위해 콘택트렌즈 소재가 계속적으로

변화해 왔다 이러한 재질의 변화는 착용에 있어서 이물감을 줄여주게 되었지만

콘택트렌즈는 각막을 감싸고 있는 동안 산소의 각막으로 산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게 하거나 상소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방해하여 안과적인 문제

를 야기시킨다 나노 금은 항균성의 기능을 갖으면서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다는

점이 알려졌기 때문에 기능성 나노입자를 응용하여 나노기술이 적용된 기능성 콘

택트렌즈 재료를 중합시켜 실험하였다 그 결과 나노금은 고분자의 함수율에 영

향을 주었으며 함소율의 감소를 야기시킨다 또한 굴절율과 자외선 가시광선역

의 투과율 역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처럼 나노기술은 항균성을 함유하고

있는 기능성 고분자로써 콘택트렌즈에 적용시키는 것처럼 의료적인 분야에 다양

하게 적용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박덕용 이난영 이상호(2008)는 나노기술을 바탕으로 치아 우식증 예방을 위하

여 만들어진 불소함유 접착필름을 개발하였다 필름 형태의 새로운 불소 delivery

system을 개발할 경우 기존의 불소 하제보다 새로 개발된 불소 전달시스템인 불

소 함유 필름이 치아 우식증 예방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불소 함유

필름은 나노 코팅기술을 통해 미량의 불소만을 코팅처리하여 체내에 삼키는 양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4

최소화하였으며 무색 무취 무미한생체 친화적 제재로 그 안전성 면에서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전문가 불소도포 제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영주 고영훈 김우성 매유진 목진경 조한규(2014)는 나노마스크와 황사마스

크에 의한 토너가루와 담배연기 필터링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를 하였다 황사와

미세먼지 담배연기 등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에서는 마

스크를 착용을 권하고 있으며 약국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마스크를 판매

하고 있다 나노마스크와 약국에서 파는 황사마스크의 미세먼지와 황사차단 효과

그리고 담배연기 차단 효과를 비교해 나노필터와 부직포필터의 필터링 성능을

비교해 보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나노마스크는 나노필터에서 토너가

루(미세먼지 대용)가 다 걸러져 점모양만 남아 있는 반면 황사마스크는 토너가루

가 묻어 나옴 또한 담배연기에서 나오는 이물질 실험에서 두 마스크 모두 첫 번

째 필터에는 진한 노란색 이물질이 있었지만 두 번째 필터에서는 황사마스크의

부직포 필터에는 노란색 이물질이 있는 반면 나노마스크의 나노필터에는 노란색

이물질이 묻어 있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나노마스크 내 나노 필터가 황사마스크

의 부직포 필터에 비해 토너가루와 담배연기에서 나오는 이물질을 더 잘 걸러준

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현재 다소 비싸지만 경제성을 입증하게 된다면 실용

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외에도 수질오염물질의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는데 이는

수영장에서 살균을 위해 흔히 사용하고 있는 염소를 태양빛을 통해 대체할 수 있

는 나노기술을 개발하였다 이 기술은 나노입자의 태양빛을 이용하여 세균이나

유기물질 등을 제거하고 산화력과 반응성이 강한 활성산소 및 히드록실 라디칼

(hydroxyl radical)을 생성시킨다 염소로 인해 발생하는 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

의 생성을 크게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오염물 처리에 드는 에너지 및 화

학물질의 양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김준현 2015)

또한 나노기술은 기존 제품을 덜 소모하게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강화시켜 환경

에 긍정적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나노기술은 일상적으로 소모되는 자원을 절약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열과 마모에 강한 특징인 내구성 향상과 자기 수복성 부여

를 통해 나타난다 또한 콘크리트에 손상을 주는 근본적인 원인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콘크리트에서 기능성 나노복합 무기질 활성탄계를 활용하

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5

콘크리트 구조물은 균열이나 누수 박리 철근부식 박락과 같은 현상들이 발생

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들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이며 이러한 현상들이 심해지면 구조물의 붕괴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콘

크리트의 부식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유해물이나 수분이 콘크리트

안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보수재료

나 방수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손상된 부분을 다시

시공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나노수준에서 합성하여 콘크리트와 흡착성과

다공성으로 착화합물이 형성되어 일체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기능성 나노

복합 무기질 활성탄계는 콘크리트 조직에 침투하여 미세기공을 가지게 되는데 미

세기공은 직경이 3~100Å으로 열화인자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특성을 지

니고 있다

에너지의 경우를 살펴보면 나노기술은 에너지 소비량을 감소시키거나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그 혜택을 찾을 수 있다 나노기술을 사용하게 되면 기존에 사용하

고 있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보다 수명은 3배 이상 길어지고 출력은 5배 이상이나

높은 리튬이온 이차전지 양극소재를 개발할 수 있으며 기존의 태양전지보다 13

의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나노 크기의 미세한 돌기구조를 통해

서 이러한 효율 증대를 가능하게 한다 나노 크기의 미세한 돌기 구조와 표면에

마이크로 크기의 기둥을 가진 태양전지를 개발하였는데 이것은 빛의 흡수율을

높여주고 태양전지 내부의 전자 이동을 용이하게 해주어 순도가 낮은 저렴한 실

리콘으로도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게 해준다

연구팀은 시제품을 통한 실험으로 매우 높은 효율성이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으

며 마이크로 기둥 사이에 돌기형태로 형성된 나노 구조는 반사효율은 떨어뜨리

고 빛의 흡수율은 높여주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반사효율을

5 이하까지 낮추는 데 성공함 일반적 태양전지의 반사효율이 40 이상 특수

표면처리(텍스처링)한 태양전지 반사효율이 15~20 수준에 이르는 것을 감안하면

획기적인 수치라고 할 수 있다(김준현 2015)

나노기술은 가까운 시일 내에 인간의 근본적인 삶의 모습을 바꿀 수 있는 엄청

난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나노기술이 재료 의료 및 의약 전자 기계 에

너지 환경 등 매우 넓은 분야에서 기술혁신을 일으킬 수 있고 미래 산업의 경제

적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암을 치료하거나 생명주기를 연장하고 식

량난 해소 반도체의 성능 향상 환경 오염물질의 제거 등 열거 할 수 없을 정도로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6

무수히 많은 분야에서 우리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어느 정도까지 될지 평가하기

조자 어려울 정도이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혜택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위험

역시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정정적 위험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나노기술에 대

해서 윤리적인 문제가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첫째 나노기술에 대한 형평성 차원에서의 문제를 들 수 있다 나노기술의 발전

은 매우 긍정적인 요소 일 수 있으나 전 세계 모든 곳에서 균등하게 그 기술을

나누어 쓸 수는 없을 것이다 바로 lsquo나노격차rsquo(Nano Divide)가 생겨날 수 있다 나

노기술의 사업화와 사용화가 진행될수록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나노기술을 이용하는 부유층과 빈곤층 간의 격차로 인하여 사회적인 문제로 심화

될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기아 질병 오염 가

난 등의 문제를 먼저 해결하는데 이용되어야 하며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격

차가 심화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현재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들은 에너지 자원

의 고갈 의약품 부족 등으로 에이즈와 같은 질병을 치료하지 못하여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당하고 있으며 식수의 부족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들이 나타나

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등장한 기술인 나노기술을

선진국 보다는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에게 먼저 적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나노기술로 개발된 성과들에 대한 불공정한 분배로 나타나는 심각한 사회적 격차

가 문제점으로 나타날 수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lsquo첨단기술일수록 비싸

다rsquo(high-tech high-costs)라는 말이 의미하듯이 나노기술을 통해 개발된 제품과

같은 성과물들을 이용할 수 있는 사회적 계층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극심한

사회적인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이 야기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불평등이 아닌 사회적 평등을 조장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할 것이

다(이중원 2016)

다음으로 투자측면에서 연구비의 재정적 투자에 대한 형평성을 생각해 볼 수 있

다 정부의 나노기술 정책 활성화로 인하여 연구비 중 많은 부분이 나노기술 분야

에 편중되어 있어 나노기술에 대한 집중적 투자가 다른 연구비 투자에 비해 과도

하게 측정되어 있는 것이 과연 올바른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둘째 유전정보에 관한 문제등 개인의 생체정보 보호와 관련된 프라이버스 문제

를 들 수 있다 나노바이오 기술은 유전주 수준에서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노 크기의 장치를 개발하여 인간 DNA 자체를 조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나노기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나아가 윤리적 사회적 문제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7

로까지 번져 다른 차원에서의 문제점들을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나노기술을 접

목한 초정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의 발달은 나노-유비쿼터

스 개념의 기술 발달로 감시나 통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지만 개인 사생활에 대

한 침해의 요인 부분도 존재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나노기술의 발달이 효율적이

고 효과적인 측면도 존재하지만 이를 역이용하려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법적

으로나 윤리적으로 보다 강도 높은 규제나 제재를 통해 프라이버시 관련한 윤리

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셋째 생명체 변형의 도덕적 문제를 들 수 있다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인공 생체

기관을 만들거나 생명체를 조작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생명체들을 합성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나노기술은 새로운 생물체의 생성이나 변형을 충분히 가능하게 하며

예를 들어 유전자 조작 쥐나 키메라 등 생명 형태를 변형하는 것과 관련된 연구

들에 대해서 생명의 존엄이나 신성함과 관련하여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문제를 제

기하여 허용 가능한 범위를 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인체 및 환경의 안전성 문제가 있다 나노기술과 관련하여 가장 주된 잇슈

는 나노소재가 인체의 건강과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이다 나

노기술은 기존의 기술에서 가지고 있지 않은 전혀 새로운 차원에서의 문제를 가

지고 그 위험성에 대해서 논의되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나노물질들은 분

자적 수준에서의 입자들을 일컫는다 이는 매우 미세하며 우리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매우 작은 단위를 다루는 것이다 이러한 나노 물질들은 그 자체로 매우 강

한 독성을 지니고 있어서 인체에 습수될 경우 세포 내부로까지 침투하여 유전자

구조를 변형시키거나 세포 자체를 파괴할 가능성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나노입자들은 악성 폐암을 일으키는 미세한 석면 입자들보다 훨씬 작기 때

문에 이러한 입자들이 인체 침투하여 다양한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인공 장기 등을 인체에 이식하였

을 때 인체에 어떠한 형태로 작용할지 매우 불확실하다 가령 인공 장기가 기존

에 알고 있던 다른 어떠한 물질들 보다 인체에 위협적인 것이 될 확률도 존재한

다 실제로 2004년 이래로 나노물질의 심각한 독성에 대한 보고들이 나타나고 있

는데 탄소나노튜브가 생체 유전자 역할을 변형시켜 치어의 뇌를 손상시킨 사례

가 존재했고 은나노 입자로 인하여 인체 DNA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며 차세대

반도체 나노물질로 불리는 CdSe가 인체 내부에 들어서 카드늄 중독을 유발할 가

능성도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위험은 나노물질이 지닌 본성으로부터 불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8

가피하게 초래되는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것으로 나노물질의 독성과 그것이 인체

및 환경에 가하는 위험이 이와 같다면 이런 나노물질에 대해 안전한 관리와 통제

가 불가피해 보인다(이천무 윤종민 2016 오규운 김경훈2016 이중원2016)

최근들어 일부 나노제품과 나노물질에 대해서 보건 및 환경의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문제가 나타나면서 나노기술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나 우려의 목소리가 나노

기술의 안전과 사회적 수용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김선아 김호정 홍

용석 2013) 연일 매스컴에서 보도되고 있는 lsquo가습기 살균제 사건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는데 에어로졸 형태로 분무되는 다양한 제품은 이미 오래전부터 우

리 생활 속에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규율할 법적 근거는 식품 의약품 화장

품 공산품 등 개별 법령으로 분화되어 제조업체는 용도변경에 따라 법의 테두리

를 벗어날 수 있었으며 각 법령에서 요구되는 기준이 서로 달라 적용하는 행정주

체도 책임영역을 서로에게 미루는 상황이 발생하여 대다수의 국민들이 혼란과 불

안을 겪고 있다

규제의 공백영역에서 수많은 피해자를 양산한 이후에야 그 원인과 대책을 마련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현실이며 나노물질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적 보호 수단으로는 사전

예방을 통한 위험의 통제와 사후관리를 통한 피해구제 등이 고려될 수 있으나 피

해규모의 대형화와 피해기간의 장기화 원상회복의 불가역성 등을 고려할 때 사

전예방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지난 사건과 역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이라

할 수 있다 그 동안 우리나라는 나노기술의 육성과 진흥에 중점을 두어 왔기 때

문에 안전에 관한 부분은 다소 소홀하거나 형식적인 대응을 해왔는데 EU 등 선

진국은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나노물질 및 제품의 자국내 수입을 철저히 규제

하고 있어 사전에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글로벌 무역장벽을 넘지 못할 상황

이다 따라서 나노물질 및 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국내 정책 및 제도의 상황

을 점검하고 국내에서 시행중인 관련 법제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그

동안 나노안전성에 관한 법적 관점의 연구는 주로 공법상의 규율 민middot형사상의

책임과 구제 제도개선 등에 집중되어 있으며 나노안전을 위한 법제적 측면에서

의 개선방안 제시는 부족한 실정이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9

42 나노기술 관련 산업의 미래 전망 분석

나노기술의 기대효과에 대해 분석해 보면 첫째 나노혁신 기술확보와 산업현장

확산으로 인하여 제조업 활로 및 미래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나노기술의 성과가

다른 산업으로 융합middot확산됨에 따라 지속적인 혁신을 유도하고 국내 제조업의 질

적 성장을 견인할 수 있다 또한 첨단 나노소재의 적용이 확산됨에 따라 소재기업

과 최종 수요 기업의 경재역이 동반상승하게 될 것이다 나노기술은 산업적 파급

효과가 큰 전략기술로 미래 제조업의 새로운 혁신동력이 될 것이다 나노기술의

산업화 촉진으로 사업영역 확대(신사업 창출)되고 나노바이오 기술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 헬스산업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유망분야로 성장할 것이다 특히 전기자

동차 가정용 에너지 저장장치 등 에너지 활용으로 효율성 향상될 것이다

둘째 나노기반 미래 신산업 창출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확충될 것이다 나노기

술 기업의 성장 및 제조업 성장 촉진으로 신규 고용 창출할 수 있다 전통 제조기

업의 나노기업으로의 전환 등 기업 활동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고용의 질 제고

할 수 있다

셋째 미래세대와 함께 하는 지속가능한 사회 기반 구축할 수 있다 안전한 나노

기술개발로 나노기술에 의한 잠재적 위험을 최소화하고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안전 제고해야 한다 나노기술 기반의 에너지 발생 변환 저

장 절감기술 개발을 통해 에너지 자립도를 향상시키고 나노기술 기반의 대기 및

수질오염 제거 기술 개발을 통해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문제 최소화시킬

수 있다

나노기술의 상용화와 관련된 문제를 살펴보면 나노기술 분야에 대한 잇슈 중의

하나는 상용화와 제품화에 대한 것이다 이는 나노기술이 제품화가 되기까지의

과정이 매우 어렵게 때문이다

McNeil(2007) Kalil(2005) Hobson(2009)등이 제시한 장애 요인 분석을 바탕으로

나노기술분야가 IT 및 BT 분야 등 타 분야와 차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나노

기술이 상용화가 되기까지 약 5~10년의 기간이 걸린다 그리고 나노기기술은 첨

단기술로서 연구개발 단계에서 인프라 구축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장

비들이 고가이고 실험이나 측정을 위하여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되고 이러한 초

기 인프라 구축과 장기간의 시간을 통해 제품이 시장에 나왔다고 하더라고 성공

을 확신할 수 없는 부확실성의 성격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고가의 기반시설 등에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0

대한 인프라 구축은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역량으로는 매우

힘든 부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나노기술 분야에서 중소기업의 수가 많은

점을 생각하면 인프라 구축의 선행으로 인한 어려움의 요인이 나노의 상용화 어

려움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나노기술의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참여인력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

다 나노산업은 일반인이 접근하기에는 매우 어려우며 기술적으로 높은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그렇게 때문에 민간 차원에서 주도하여 성장할 수 있는 부분이라

기 보다는 정부차원에서 투자하고 발굴하여 추진해야 하는 분야의 산업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나노기술의 높은 이해도와 특징으로 인하여 대부분 나노기술 분

야를 주도하고 있는 것은 대학이나 정부 출연 기관의 연구원들이다 이들은 기본

적으로 나노기술을 사업화하여 이익을 창출해 내려는 사업가적 마인드로서의 시

각으로 바라보기 보다는 순수학문적인 분야에서 새로운 물질의 발견이나 합성 등

학문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다 그러므로 나노기술의 사업화를 통한 성과의

창출보다는 논문등재 등 이론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어 학문적인 업적을 창출하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나노기술

에 대한 투자가 주로 정부주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구비에 대한 투자를 연구

업적 등의 가시적 성과를 통해서 보여주려고 하기 때문이다

5 문헌연구 분석 결과 시사점 도출

앞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으로는 정량적 정성적

방법이 있다 각각의 수요예측에 대한 우월성은 학자들에 따라 의견이 다르지만

연구의 대상 관련 데이터의 확보여부 연구 범위에 따라 다르게 활용될 여지가

있다 정성적 예측 분석의 대표적 방법론으로는 델파이 기법이 있는데 델파이 분

석의 경우 전문가들의 익명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외부적 영향으로 인한 왜곡현상

이 방지되어 비교적 객관적인 답변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응답자인 전문가

들의 자질과 역량의 문제 응답의 불성실문제 비용문제 마지막으로 전문가의 직

관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정량적 분석과 비교 시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갖

고 있다

이에 반해 정량적 수요예측은 신속한 검증이 가능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결과의 타당성도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정략적 수요예측 방법으로는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61

일반적으로 Gompertz 모형 Logistic 모형 Bass 모형 등이 있으며 이중 Bass 의

Diffusion Model은 신상품 신규서비스 신기술이 시장에 도입되어 확산하는 과정

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모형이기 때문에 나노기술의 산업확산 수요

예측에 가장 적절한 분석방법이라 할 수 있다 Bass 확산모형은 시장 전체의 반응

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시장의 종합적 분석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요예측 토대로 기업이나 정부의 투자나 지원을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들에서 다루었듯이 신기술의 확산 또는 신

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미래 수요를 예측하는데 Diffusion Model이 널리 쓰이고 있

지만 현재까지 나노산업의 미래 수요예측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며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학습논문이나 연구보고서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보

고서는 나노산업의 미래 수요예측을 위해 계량적 분석 그 중 높은 예측력을 지닌

다고 알려진 Bass의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려고 한다

한편 소비자 인식 관련 문헌 연구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혁신의

수용을 혜택(Benefit)-비용(Cost)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고 나노기술이 위험인식

기술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신뢰라는 변수를 추가할 수 있다 소비자들

이 나노기술에 대한 긍정적 혜택과 관련된 변수로는 나노기술을 사용함으로 나타

날 것 같은 지각된 이득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이라는 변수를 선택할 수

있다 반대로 나노기술에 대한 부정적 요소로 비용 관점에서는 혁신저항의 변수

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저항변수로 기능적 장벽(지각된 위험 가치장벽 사용장벽)

과 심리적 장벽(관습장벽 이미지 장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뢰의 대상을 기관 사람 기술에 대한 신뢰로 구분하여 나노기술에 대한 소비자

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주요 변수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즉 문헌연구를 통하여

소비자의 기술수용과 이용행동에 관한 다양한 모델을 살펴보고 나노기술과 같은

신기술을 수용하는 소비자들에게 그들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어떠한 변수들이 중

요한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나노기술을 혁신의 차원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나노기술이 연속적 혁신

인지 불연속 현신인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나노기술이 어떻게 받아

들여지고 있는지 유추할 수 있다 나노기술은 산업 전반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므로 산업별 제품별로 연속적 혁신과 불연속 혁신이 산업 전반에서 다양하

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불연속적인 혁신의 경우 획기적인 성능과 증진된 편익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2

주는 나노기술의 경우 혁신제품 애호가들로부터 상당한 주목을 받는 경우가 많이

나타나지만 시장의 다수를 형성하는 보수적인 소비자들로부터는 외면당하기 쉬

울 수 있어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모두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나노기술처럼 불확실성이 높고 미래의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 소비자들

은 주관적 확신을 높이기 위해 정보탐색이나 구매 전 심사숙고의 과정을 더 많이

거치게 되며 의사결정에 이러한 요인들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문

헌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요인들을 혁신장벽이라는 개념으로 살펴볼 수 있었으

며 나노기술과 같은 혁신기술의 채택의 주요 장벽으로 기능적 장벽 심리적 장벽

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나노기술에 대해 전문가나

연구소 등 국책기관이나 정부 등을 신뢰하는 정도에 따라 이러한 불확실성에 대

한 위험인식을 낮추게 될 것이라는 점을 도출하였다

한편 산업 전문가 조사는 해당 산업에 대해 높은 지식과 식견을 가진 전문가들

을 표본으로 목적에 맞게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말하며 기업내외부적 전문가

들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산업의 세부적 분류를 사용해 분석할 경우 기업 내외

부와 산업 별 쿼터별로 적절한 대표성을 위해 할당 추출법(quota sampling)을 사

용하기도 하며 이 경우 도출해내고자 하는 결과와 관련해 분야별 다양한 의견을

갖고 있는 전문가들의 종합적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산업 전문가의 의견이

반영된 연구들로는 델파이 기법이 있으며 신기술 산업이나 제품에 대해 일반인

과 전문가의 이해도가 많은 차이가 있거나 그 기술의 산업 제품에 대한 혜택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식이 상반될 때에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조사하는 연

구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델파이 조사의 경우 일반적인 소비자조사보다 표본의 숫자가 작은 편이지만 다

양한 견해와 이견을 통해 새로운 시각의 직관적이고 창의적 견해를 포함하는 시

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인터넷의 등장으로 초기 델파이

측정 방식인 인터뷰나 대면조사에서 온라인 설문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이 강화되어 최근 많은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 다른 산업 전문가 의견을 활용하는 연구로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차이를

조사하는 연구가 있다 이는 해당 기술 산업이나 제품에 대한 인식에 많은 차이가

있을 때 중요하며 어떠한 산업은 전문가들이 일반 소비자나 잠재소비자의 특성

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새로운 기술 산업이나 제품의

경우 그러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첨단 기술산업의 경우 일반 소비자들은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63

해당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불확실성과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

는 신기술 산업의 경우 소비자들과 전문가들은 위험인식 혜택 수용의도에 걸쳐

서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의견이 아닌 전문가의 의견에만 의존할 결과를 도출하게 될 경우 본 보고서와 같

이 미래의 수요를 예상하게 될 경우 실제 수용자인 일반소비자들의 위험인식에

따른 낮은 태도를 반영하지 못해 신뢰하기 어려운 결과값이 도출 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일반 소비자의 의견만을 반영하고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일반 소비자가 판단하기 어려운 첨단기술 산업의 경우 이들의 응답에 대한

신뢰도가 전문가와 비교해 매우 낮을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산업 전문가와 일반

소비자의 인식차이를 비교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나노산업의 경우 나노물질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는 다르

게 사람들로 하여금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나노기술의 정확한 시장잠재력 및 확산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이해수준

이 높은 전문가의 의견도 물론 중요하지만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결국 최종 소

비자의 수용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의 잠재적 불

안감을 측정하고 이를 전문가의 의견과 함께 종합하여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예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노기술은 미래성장잠재력과 국가경제의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기술력이며 이에 대한 효과성은 광범위한 산업분야에서 연구를 통해 입증되어

왔다 나노기술은 삶을 더 풍요롭고 빠르고 편리하며 경제적으로 바꿔줄 가능성

이 매우 큰 혁신적인 분야이며 전통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국가 경제를 견

인할 차세대 기술혁신의 주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는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

치고 기존 산업을 파괴하거나 새로운 산업 창조가 가능할 정도로 파급력을 갖는

파괴적 혁신 기술(disruptive innovation technology)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산업

적 파괴력 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크다고 할 수 있다(배성훈 외 2015) 나노물질이 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는 다르게 사람들로 하여금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주고 있다 실제로 최근 몇몇 국내연구들에서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들의 잠재

적 위험성 인식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나노기술은 나노미터 크기의 아주 작은 단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4

위의 물질을 조작 분석 제어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관련지식이 적은 일반인들에

게는 막연한 불안감 위해성 인식을 불러 올 수 있다 또한 나노기술의 높은 효과

성과 파급력에 비해 나노기술의 정확한 이해나 응용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지식수준이 많은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나노기술의 정확한 시장잠재력 및 확산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이해수준이 높은 전문가의 의견도 물론 중요하지만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결국

최종 소비자의 수용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의 잠

재적 불안감을 측정하고 이를 전문가의 의견과 함께 종합하여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예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노관련 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로서 부가가치 유발 효과와 고용유발 효과를 들 수 있으며 나노관련 산업의 많은

부분이 제조업을 포함하기 때문에 특별히 제조업 전체의 발전을 통한 부각가치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나노산업은 연구개발과 시제품을 생산하는 단계를 지나 실제 상용화될 수

있는 제품을 제조하고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으며

제조업의 생산성을 뛰어넘는 유망한 성장동력으로 커가고 있다 또한 나노산업은

제조업 대비 고용증가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계획하고

있는 고용 확대 정책과도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고용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이다

나노기술의 파급효과와 빠른 성장 그리고 성공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성과가 매

우 크게 나타나지만 이러한 성공을 거두기까지 적어도 5~10년 정도의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단기간에 성과를 발생시켜야 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나노기술에

대한 연구의 투자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나노융합제품의 시장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나노융합제품의 매출 비중은

제조업 영역에서 확대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사업화를 확대시킬 수 있는 전략적인

지원정책 수반되어야 한다 나노기술은 기반 기술로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

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향후 산업 전반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하

고 있다 따라서 나노기술의 상용화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기업뿐만 아

니라 정부차원에서의 지원과 학재간 협력이 필요하다(김석필 외 2014)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전자산업이 초정 나노기술을 혁신 동력으로 발전하였

으나 차세대 기술에 대한 투자가 부족한 편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차세대 논리

소자 계산과학의 기술수준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나노소재 분야 기업이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65

다수이나 매출규모가 적고 나노바이오의 사업화가 특히 미흡한 편이다(국내 나노

산업의 03 해외는 10)

이처럼 나노산업인력은 양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기술 전문성 증진 필요함 국내

나노기술의 미래 전망에 대해 정성적인 분석을 통한 전망 외에 계량적인 모델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예측이 필요하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6

제4장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1 나노시장 예측 방법론 요약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process를 통하여

나노기술의 최종적인 산업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lt그림 29gt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나노산업 영향력 도출 방법론

먼저 Step1에서 과거 나노산업 매출 데이터(2010년~2014년)를 수집한다 이후

모델 추정을 위한 초기 데이터의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해 Step2에서 나노산업 전

문가들의 단기적 미래 나노산업 매출액(2015년~2018년) 예상값을 수집한다3) 단

이 과정에서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를 산업 전문가들에게

제시해 최대한 객관적인 시장에서 매출액을 예상하도록 유도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2010년부터 2018년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해 Diffusion Model의 계수 p q

값을 추정해낸다

마지막으로 Step3에서 추정된 p q값을 모델에 대입하여 2015년부터 2025년까

지의 최종 나노산업 매출액을 예측한다 이후 세부 나노산업별로 각각의 규모를

나누어 추정해보고 예측의 최소값 최대값 적용과 같은 몇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

3) 사전에 실시된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는 2014~2018년도 예상 매출액을 응답하게 하였으나 조사 기간 도중 2014년 실제 나노산업 매출액이 발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 적용 시 2010~2014년도 값은 나노산업의 매출 실제값을 2015~2018년도 값은 산업전문가의 예상 매출액을 활용하기로 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67

한 민감도 분석도 실시하기로 한다

이러한 방법론은 현재 나노산업이 가지고 있는 초기 데이터 부족 등 몇 가지 문

제점 및 전제를 감안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충분히 고려하였으

며 각각의 해결 방향은 요약 제시하면 다음의 표에 정리된 바와 같다

lt표 16gt 본 연구의 기본 전제 및 해결 방향

예측 과정의 문제점 및 전제 해결 방향

1

나노산업의 시장매출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아 모형

예측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를 필요로 함 (모형 추정

의 불안정성)

기본 계량 모형과 더불어 산업전문가의 예측 정보

를 함께 활용하고자 함

2산업전문가들의 장기적인 산업 예측은 신뢰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음

비현실적으로 장기적인 예측을 요구하지 않고 5년

간의 단기 예측 정보만을 요구하여 신뢰성을 높임

3산업전문가들의 기술 중심적인 사고를 보완하기 위해

보다 객관적인 정보 도출이 필요함

나노산업 전문가들에게

나노기술 최종 사용자인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

술 인식 조사결과를 제시하여

보다 객관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유도함

2 Diffusion Model 소개 및 적용 방향

Diffusion Model은 Bass(1969)가 제안한 이후 신기술 혹은 신제품의 확산 과정을

예측하기 위해 활발히 활용되는 대표적인 수리적 모형이다 Diffusion Model은 새

로운 상품이나 서비스가 나타내는 S자형의 성장 및 확산 모습을 가장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모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Bass Model은 기본적으로 신제품에 대한 구매가 혁신자(innovator)와 모방자

(imitator)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고 hazard rate라고 불리는 다음의 식으로

부터 출발한다 (hazard rate t시점까지 비구매자가 t시점에서 구매자가 될 확률)

이때 계수 p를 혁신 계수 q를 모방계수라고 한다

)(

)(1

)( tqFptFtf

f(t) t기에 제품을 수용할 확률

F(t) t기까지 수용자의 누적 확률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8

p 혁신계수 (coefficient of innovation)

q 모방계수 (coefficient of imitation)

위의 식로부터 미분방정식을 활용하여 t시점의 수용자 수를 다음와 같이 계산할

수 있고 각 t 시점마다의 누적 수용자수도 함께 계산할 수 있다

2)(

)(2

)1(

)()(

tqp

tqp

epqe

pqpMtS

S(t) t기에 제품을 수용한 소비자의 수

M 시장의 최종적인 잠재수요

확산모형의 모수추정방법으로는 크게 회귀분석을 활용하는 OLS(Ordinary Least

Square) 우도추정함수를 활용한 ML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방법 관찰

치와 예측치의 차이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함수를 설정한 후 모수를 삼차원 공간

에서 추정하는 NLS(Non-linear Least Square) 등의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중에서 지금까지 가장 안정적이고 좋은 성과를 보인다고 평가받고

있는 NLS 방법을 적용하기로 한다

한편 Diffusion Model이 기본적으로 제시하는 형태는 신제품의 수용자 수 기반

의 예측이나 나노산업의 경우 나노기술이 포함된 특정 제품을 선정하고 그 소비

자들만 추출해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최종적인 일반 소

비자들의 나노기술 지식 수준이 낮아 수용 소비자 수를 활용하는 예측의 효과성

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나노기술이 TV 자동차와 같이 최종 end-product로 일반소비

자에게 수용되기 보다는 다양한 산업과 제품에 활용되는 기반 기술이라는 특성을

감안하여 최종수용자 기반의 확산모형이 아닌 산업 총매출액 기반의 확산모형을

적용하고자 한다

실제로 이와 비슷한 특징을 가진 몇 가지 기술 확산 예측 모형에서 같은 이유로

인해 산업의 전체 매출액 데이터를 활용한 Diffusion Model이 활용된 바 있다 예

를 들어 최근 반도체 시장 수요 RFID 시장 수요 오픈소스 기술 수요 등 신기술

등장 시 전체 시장의 확산을 예측하는 계량적 모형으로 매출액 기반의 Diffusion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69

Model이 활용된 바 있다(김진 고경일 2014 권순동 이승률 2015 손동민 외

2014)

특별히 나노기술과 같이 다양한 하위 산업이 존재하는 신기술의 경우 시장 매

출 합산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측하는 포괄적 방법론이 더욱 설득력이 있다고 판

단된다 손동민 외(2014)의 연구에서도 합산 데이터를 활용하여 예측하는 것이 산

업의 포괄적 전망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시장 합산 데이터를 사용한다고 지적

한 바 있다 본 연구도 이와 같은 목적에서 수용자 수 기반의 Diffusion Model 보

다는 합산 매출액 기반의 Diffusion Model을 적용하여 최종 예측하고자 한다

3 일반소비자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 요약

본 연구는 사전 조사로 일반 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을 조사하였다4) 나노기술

과 같이 혁신적인 기술에 대해서 일반 소비자들은 혜택 지각된 위험 혁신 저항

신뢰 등 다양한 인식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소비자 인식은 최종적인 산업의 확

산 및 발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별히 나노기술은 과거 기술 위험성 부작용 등의 뉴스 및 연구 결과들이 발표

된 바 있어 최종 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이해와 개선이

향후 나노산업 발전을 위해 특별히 중요하다 일례로 최근에는 일반적인 공중

(public)이 느끼는 나노기술 위험 특성과 나노기술 개발 및 관리주체인 정부 및 과

학자에 대한 신뢰가 위험인식과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들도 진

행된 바 있다(김원제 외 2016)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에 대한 인식을 면 히 조사하고 향후 산업 전문가 제시 정보로도 활용하기 위해

서베이 기법을 활용한 시장조사를 진행하였다 서울 경기 및 5대 광역시(인천 대

구 광주 부산 대전) 거주하는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96명을 대상으로 진

행하였으며 2016년 10월 10일부터 10월 1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 및 동영상을

이용한 온라인 조사를 실행하였다

4)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2017 「나노기술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신뢰도 수용의도 조사분석 연구」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0

lt그림 30gt 나노기술 인식 조사 변수 소개

소비자 조사를 위한 주요 변수는 앞의 문헌연구를 종합하여 최종 선정하였으며

기본적으로 Benefit-Cost 관점에서 출발하여 나노기술에 대한 혜택 변수 위험 및

혁신장벽 등을 질문하였다 또한 나노기술이 위험인식 기술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기관 사람 기술에 대한 신뢰 변수를 추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나노기술에 대한 긍정적 혜택과 관련하여 지각된 이득 지각된 유용

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이 선정되었으며 혁신저항 변수로 기능적 장벽(지각된 위

험 가치장벽 사용장벽)과 심리적 장벽(관습장벽 이미지 장벽)으로 구분하여 측

정하였다 그리고 나노기술 관련 신뢰는 신뢰의 대상을 기관 사람 기술에 대한

신뢰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웹서베이를 통해 소비자의 연령 성별 나노기술 인식을 비교하여 해

당 분석 결과를 다음 순서인 전문가 조사 제시 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

다 또한 소비자 인식 수준을 참고로 나노기술 정책 개발자 및 나노기업 담당자

들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미 다른

보고서에서 소개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소비자 조사의 주요 결과만을 요약하

기로 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1

lt그림 31gt 일반 소비자의 나노기술 나노제품 사용 여부 인식

우선 본 조사는 일반 소비자들이 나노기술 이용여부를 얼마나 잘 인식하고 있는

지 측정하였다 스마트폰 등 일반 소비자들이 자주 쓰는 제품에서 나노기술이 이미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소비자들이 나노기술 나노제품 사용 여부를 인지하고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실제 소비자들은 나노제품 사용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많은 소비자들이 나노기술 나노제품을 사용한 적 없다

(30) 혹은 잘모르겠다(342)라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여성(40)과 젊은 연령대층

(20대 411)에서 나노기술 사용여부에 대해 잘 모르겠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이처럼 나노기술에 대해 일반소비자의 인식이 낮을 것을 예상하여 본 조사는

본격적인 질문을 시작하기 전에 나노기술과 관련된 홍보영상 관련 뉴스를 4개(총

재생시간 약 11분) 시청하게 하였다 동영상 시청 후 나노기술에 대한 이해도는

다음의 표와 같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lt표 17gt 나노기술의 특징 품질 혁신성 이해 정도 비교 (동영상 시청전후)

구분특징 품질 혁신성

시청 전 시청 후 시청 전 시청 후 시청 전 시청 후

부정 (1점+2점) 369 89 411 83 45 39

긍정(4점+5점) 344 694 283 675 693 796

점수(100점 만점 기준) 484 673 453 669 691 759

차이(시청 후ndash시청 전) 189 216 68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2

단 11분 정도의 간단한 동영상 시청만으로도 나노기술의 이해도가 의미 있게

증가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나노기술의 성장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일반소비자의 이해 수준은 낮은 편이고 이러한 이해도는 추가적인 홍보

를 통해 충분히 상승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향후 나노관련 정책 개발자는 나노기술에 대해 연령별 성별 특성에 적합한 맞

춤형 홍보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도 나노기술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 외의 나노기술 인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2gt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정도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3

우선 나노기술의 혜택으로 지각된 이득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을

100점 만점 기준으로 측정하였는데 일반 소비자들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

득 지각된 사용 용이성 순서대로 나노기술 혜택을 높이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여성보다는 남성이 그리고 저연령층보다는 고연령층 그룹에서 나노기술의 혜택

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나노 관련 정책 홍보 측면에서 나

노기술이 다양한 제품군에서 손쉽게 사용될 수 있음을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별히 여성과 20~30대 젊은 소비자들에게 나노기술의 혜택을 집중적으로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

비용 관점에서는 기능적 장벽(지각된 위험 가치장벽 사용장벽)과 심리적 장벽

(관습장벽 이미지 장벽)으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인 평균값은 혁

신장벽값으로 100점 만점 기준으로 나타내었다 조사 결과 나노기술에 대한 지각

된 위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치장벽과 심리적 장벽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

이었다 특별히 여성이 더 높은 지각된 위험을 인식하고 있으며 30대 소비자 그

룹에서 혁신 저항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즉 일반소비자들에게 특

히 30대 여성 그룹에게 나노기술의 안전성 홍보를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신뢰 측면은 기관에 대한 신뢰 사람에 대한 신뢰 기술에 대한 신뢰로 나누어

100점 만점 기준으로 측정하였는데 나노기술을 개발 운영 유지 관리하는 정부

공공기관 기업 등 기관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여성

들의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고 20~30대 젊은 소비자 그룹의 신뢰도 역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즉 여성과 20~30대 젊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나노

관련 기관들의 신뢰를 높이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서 측정

한 바와 같이 나노기술에 대한 높은 지각된 위험을 고려할 때 향후 더욱 적극적

인 신뢰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조사는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수용의도를 100점 만점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나노기술 적용 제품 수용의도는 남녀가 유의한 차이를 보

였으며 남성(643점)이 여성(603점)보다 수용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별대별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50대 이상이 671점으로

가장 높은 수용의도를 보였고 20대가 580점으로 가장 낮은 수용의도를 보였다

본 결과에 따르면 나노기업은 우선적으로 50대 이상 남성들이 자주 사용할 수 있

는 나노제품군 개발에 노력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장기적으로 젊은 여성 그룹이

선호할 수 있는 나노제품 개발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4

4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결과 요약

본 연구는 나노산업 초기 매출 데이터의 불충분함과 산업 전문가의 보다 현실적

인 예측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5) 이를 위해 먼저 나노

산업을 통계청 NTIS 등 국가승인통계 기준에 따라 ldquo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

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rdquo 네 분야로 분류하였다 단 나노전자산업에 대한

표기는 나노전자(소자)로 변경하였는데 이는 실제로 나노전자 산업에서 소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 산업의 전문가를 기업내부 기업외부 시장분석 전문가의 세 집단으

로 분류하였다 기업내부란 나노관련 기업에 종사하는 직원들을 의미하고 기업외

부란 나노기술과 관련한 국책연구소 정부기관 대학교수들을 의미한다 시장분석

전문가들은 나노산업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금융회사의 애널리스트

펀드매니저 투자전문가 IR담당자들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전문가조사는 기업내부의 전문가 위주의 조사가 주를 이루지만 본 연

구는 보다 객관적인 정보 수집을 위해 다양한 전문가 구성을 시도하고자 노력하

였다 특히 시장분석 전문가들은 나노 관련 기업의 매출 및 이익 구조에 근거해

lsquo돈rsquo과 관련된 투자 의사결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인 시각의 의견을 수

집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였다

전문가 조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산업별로 쿼터를 구성하였다 나노소

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을 각각 균등하게 배분

할 수도 있지만 실제 나노산업의 매출액 비중은 다음의 표와 같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lt표 18gt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추이 (단위 억원)

  2010 2011 2012 2013 2014 Total 비율

나노소재 87191 111370 96651 144391 104664 544267 938

나노전자(소자) 770863 785380 1170282 1215753 1193383 5135661 8849

나노바이오의료 2718 2934 4444 4126 7249 21471 037

나오장비기기 19698 23170 19152 22669 17634 83171 143

Total 880470 922854 1290529 1386939 1322930 5803722  

자료 나노융합산업 통계 산업통상자원부

5)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2017 「나노기술 성장 예측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정확한 제목 이곳에 명시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5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전체 나노산업에서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매출이 차

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이다 따라서 모든 산업을 균등한 비율로 분배하는 것은 무

리가 있다 그렇다고 반대로 단순 매출액에 비례하여 산업 전문가 샘플수를 결정

할 경우 나노전자(소자) 산업이 지나치게 많은 비중을 차지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매출 비중이 적어도 향후 높은 성장이 기대되는 각 나노

세부 산업의 특징을 감안하여 노전자(소자) 산업을 50 그 외 나머지 산업을 50

내에서 균등히 배분하기로 하였다 나노전자(소자) 이외의 다른 산업 매출액 현재

수준은 낮지만 향후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각 세부 그룹별 최소 10명의 전문

가 의견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나노전자

(소자)산업과 그 외 나노산업과의 비율을 5050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각 산업 내에서 전문가 특성별(기업내부 외부 시장분

석 전문가)구분은 서로 균등하게 배분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전문

가 집단 구성은 다음과 같다

lt표 19gt 최종 나노산업 전문가 집단 구성

기업내부 전문가 기업외부 전문가 시장분석 전문가 Total

나노소재 10 10 10 30

나노전자(소자) 30 30 30 90

나노바이오의료 10 10 10 30

나노장비기기 10 10 10 30

Total 60 60 60 180

본 연구는 이렇게 선정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웹서베이를 통해 다양한 의견

을 수집하였다 구체적인 질문에 앞서 먼저 실행된 일반적인 최종소비자들의 현

재 나노기술 인식 수준을 요약하여 제시하였고 이를 충분히 숙지한 후에 본 조사

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이는 자칫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자신이 소속된 산업에 지

나치게 긍정적인 평가를 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나노산업이 위험인식 기술

이고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이해 수준이 여전히 낮은 수준임을 제시한 후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시장을 바라보게 하고자 한 것이다

이후 구체적으로 조사 당시까지 발표된 2010년~2013년까지의 각 나노산업 매출

액을 제시한 후 이후 5년간(2014년-2018년) 자신이 소속된 나노산업 분야의 매출

액을 예측하게 하였다 정확한 예측값을 응답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해당 년도에 해당하는 예상 매출액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응답하게 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6

이후 나노산업의 발전을 위한 주관적 의견 및 나노산업별 중요도 기술수준 평가

항목 등을 측정하였다 지금까지의 조사 방법을 그림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3gt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과정 요약

본 조사는 나노산업과 같이 기술주도적인 산업은 현장에서 실제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산업 전문가의 예측이 가장 현실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는 기본 전제에 기반한 접근 방식이다 단 지나치게 장기적인 예측은 정확성이 떨

어질 것이므로 향후 5년 정도의 단기적인 예측만을 본 분석에 활용할 것이다

또한 지나치게 공급자 입장에서만 생각하는 근시안적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인 최종소비자의 의견 정보를 참고하게 함으로써 최대한 객관적인 의견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나노산업 전문가(기업 내부 외부 시장분석

전문가)를 대상으로 최대한 균형적인 의견을 얻어내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이를

최종적으로 Diffusion Model 예측 과정에 적용하여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의

적절한 조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147명의 응답 데이터를 확보하였으

며 본 연구는 주요 결과만을 간략하게 요약하기로 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7

lt그림 34gt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측값 추이

나노소재 산업 (단위 억원) 나노전자(소자) 산업 (단위 억원)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단위 억원) 나노장비기기 산업 (단위 억원)

우선 나노소재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36조6천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이는 2013년 14조4천억원 대비 253 성장 전망한 것이다 나노전자(소자)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228조5천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하였다 이는 2013년 121조6천

억원 대비 188 성장 전망한 것이다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7천9백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하였다

이는 2013년 4천1백억원 대비 192 성장 전망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나노장비기

기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3조5백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하였다 이는 2013년 2

조2천7백억원 대비 134 성장 전망한 것이다

본 전문가 조사 당시는 2014년 나노시장 매출액 공식 집계가 발표되기 직전이었

기 때문에 2014년~2018년 매출 예상한 것이다 그런데 본 조사를 진행하던 중

2014년 나노시장 공식 집계가 발표되었기 때문에 2014년도 전문가 예측값과 실제

값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특이한 점은 2014년 나노바이오산업의 급

성장으로 인해 실제 2014년도 매출액값에 비해 전문가 의견이 특별히 과소 예측

되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2014년의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전문가의 예상보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8

도 더 크게 성장하였다 단 한해의 값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구체적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다만 최근 바이오 업계의 성장으로 나노산업에서도

전문가 예상을 넘어서는 성장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원

인과 구체적인 분석은 향후 다른 연구에서 시도될 필요가 있다

본 조사는 이외에도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 차이를 상대적으

로 비교하였다 즉 앞서 실행된 일반인 나노기술 인식 조사와 전문가조사에서 같

은 질문 항목에 대해 어떠한 차이가 발견되었는지 확인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5gt 일반인 Vs 전문가 나노기술 인식 차이 비교

분석 결과 종합적으로 나노기술 관련 혜택 및 신뢰는 전문가들이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반면 혁신장벽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함을 확인하였다 이

는 실제로 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의 인식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시켜주는 자료이며

ldquo객관적인 사실 여부를 떠나rdquo나노전문가들의 관련 기술 정책 개발 시 이러한 인

식 차이를 인지하고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를 시사하는 결과

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본 조사는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현재 인식하는 각 세부 산업의 중요도와

기술수준을 평가하게 하였다 중요도란 전체 나노산업 분야에서 아래의 각 세부

나노산업이 차지하는 상대적 중요도(1거의중요하지않음 3보통 5매우중요함)를

의미하며 기술수준이란 최고 기술 보유국 대비 각 세부 국내 나노산업의 상대적

기술 수준을 평가(1최하위권 3보통 5최고선진국)한 것을 의미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9

lt그림 36gt 나노산업별 중요도 및 상대적 기술 수준 평가

분석 결과 전문가들은 나노소재 산업의 중요도를 가장 높게 평가하며 나노전

자(소자) 산업의 기술 수준을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노바이오

의료 산업은 중요도에 비해 기술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평가하고 있어 이 부

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 다른 산업에

비해 중요도와 기술수준이 낮게 평가되어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원이 필요함

을 알 수 있었다

5 Diffusion Model을 적용한 나노산업의 미래 규모 예측 결과

51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존 연구는 지금까지 논의한 Diffusion Model 일반소비자 조사 산업전문가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국내 나노시장의 2025년 매출 규모를 예측하였다 구체적인 방

법론을 다시 한 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Diffusion Model에 2010~2014

년까지의 실제 산업 매출 데이터와 전문가로부터 도출된 2015~2018년까지의 예상 매

출 데이터를 모델에 적용한 후 계수값인 p와 q 값을 추정하였다 이후 추정된 p

q 값을 Diffusion Model에 다시 적용하여 2015년부터 2025년까지 나노시장의 매

출액 규모를 최종 예측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0

Diffusion Model은 기본적으로 연속형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제안되었으나

Bass(1969)는 본 연구와 같이 이산형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는 모델도 함께 제시

하였다 본 연구는 나노산업 매출 데이터를 연도별로 획득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산형 모델을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모델의 형태는 다음

과 같다

S(t) t기의 매출액

N(t) t기까지 누적 매출액

M 시장의 최종적인 잠재 누적매출액

p 혁신계수 (coefficient of innovation)

q 모방계수 (coefficient of imitation)

일반적으로 Diffusion Model 관련 연구들은 추정값의 안정성을 위해 최종 잠재

규모인 M 값을 함께 추정하기보다 외부의 정보를 통해 모형에 직접 대입하는 것

을 추천한다(Putsis Jr and Srinivasan 2000 Mahajan et al 1990)

본 연구 역시 나노산업의 시장 매출액 데이터가 적기 때문에 모형 모수 추정의

불안정성이 존재한다 이 경우 역시 p q M 값을 모두 추정하기보다 외부 정보를

활용해 M값을 도출해내는 것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형의 M 값을 외부적 정보를 통해 계산해내었다 구체적인 도출 근거는 다음과

같다

나노산업은 기본적으로 제조업 산업에 소속되어 있으며 2014년 현재 발표 기준

으로 전체 제조업 산업에서 약 89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2025년 전체

나노시장의 잠재규모의 최대치는 2025년 제조업 산업의 매출 규모를 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물론 극단적으로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산업을 넘어서는 규모로 성장할 가능

성도 없지 않으나 현재 나노기술이 대부분 기존 제조업 기술을 대체하는 과정에

서 성장하고 있고 아직까지는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89로 작기 때문에

2025년이라는 기간 내에 전체 제조업 산업의 최대치를 넘어설 정도로 성장한다고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1

예상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체 제조업 시장이 지금과 같은 연평균성장률을 유지한다고

가정하고(2010년~2014년까지 연평균 26 성장) 2010년부터 2025년까지의 전체

제조업 시장의 잠재누적매출액을 나노시장의 M값으로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전

체 제조업산업의 2010년도 매출액은 약 1340조원이며 2014년 약 1490조원을 거

쳐 2025년 약 1980조원 시장으로 계산되었다 이때 2010~2025년까지의 누적 매출

액은 약 2경6천5백조원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이 값을 M 값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확산모형의 모수 추정방법으로는 앞서 정리한 바와 같이 크게 회귀분석을

활용하는 OLS(Ordinary Least Square) 우도추정함수를 활용한 ML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관찰치와 예측치의 차이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함수를 설정

한 후 모수를 삼차원 공간에서 추정하는 NLS(Non-linear Least Square) 등의 방법

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중에서 지금까지 가장 안정적이고 좋은 성과를 보인다고 평가받고 있는 NLS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도 Nonlinear estimation 방법을 활용하여 p q값을 추정

하였으며 이때 Levenberg-Marquardt algorithm을 사용하였다 지금까지의 설명한

추정 방법을 통해 최종 예측된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는 다음과 같다

lt그림 37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최종 분석 결과 국내 나노시장은 2020년 약 346조원을 거쳐 2025년 약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된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대비 약 504배(504) 성장

전망된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전문가 조사 시 예측값의 최소값과 최대값 응답을 확보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2

위에 제시된 667조원은 평균값 기준이며 만약 전문가 조사 결과의 최대값을 반영

할 경우 2025년 기준 811조원까지 성장이 예상되며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2025년

기준 534조원까지 성장이 예상된다 즉 시장을 가장 부정적으로 전망하더라고

2014년 대비 최소 약 4배의 성장이 예상되며 만약 최대한 긍정적으로 바라볼 경

우 약 6배에 이르는 성장이 예상된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8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최소값 평균값 최대값 비교)

평균값 최대값 최소값을 기준으로 2010년부터 2025년 각 연도별 매출액을 표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아래 표에서 2010년부터 2014년까지는 실제 나노산업

매출액 값이며 2015년부터 2025년까지가 Diffusion Model을 통해 예측된 값이다

lt표 20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2010 880470 880470 880470 2011 922854 922854 922854 2012 1290529 1290529 1290529 2013 1386939 1386939 1386939 2014 1322930 1322930 1322930 2015 1735686 1660302 1803485 2016 1996260 1875811 2107675 2017 2294292 2117633 2461458 2018 2634533 2388455 2872154 2019 3022133 2691095 3347877 2020 3462610 3028467 3897522 2021 3961789 3403531 4530702 2022 4525722 3819232 5257638 2023 5160564 4278422 6088963 2024 5872403 4783764 7035429 2025 6667048 5337626 8107480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3

lt그림 39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한편 본 연구는 전체 제조업이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 26를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해 보았다 전체 제조업은 초기 성장 단계를 지나 이미 성숙기에 도달한 산업

이고 모든 제조업을 종합한 결과치로서 향후 급속한 변화가 진행되지 않을 것으

로 기대되기 때문에 연평균 성장률을 적용해도 무리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분석 결과 2014년 기준 전체 제조업에서 89를 차지하는 나노산업이 2025년

기준 3368 비중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나노산업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약 25p 증가함을 의미하며 앞으로 나노기술이 전체 제조업의

상당수를 점유하는 수준까지 성장할 수 있을 것임을 기대하게 한다

lt표 21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단위 억원)

  제조업 매출 합계 나노산업 매출 예측 나노산업 비중

2010 13395480 880470 657

2011 15023530 922854 614

2012 15114951 1290529 854

2013 14957302 1386939 927

2014 14865742 1322930 890

2015 15257862 1735686 1138

2016 15660324 1996260 1275

2017 16073403 2294292 1427

2018 16497377 2634533 1597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4

  제조업 매출 합계 나노산업 매출 예측 나노산업 비중

2019 16932535 3022133 1785

2020 17379171 3462610 1992

2021 17837588 3961789 2221

2022 18308097 4525722 2472

2023 18791017 5160564 2746

2024 19286675 5872403 3045

2025 19795407 6667048 3368

제조업의 2015~2025년 매출액 합계는 2010~2014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 26를 적용하여 도출함

52 세부 산업별 매출액 예측

본 연구는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각 세부

산업별 매출액을 나누어 도출하였다 이를 순서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나노소재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

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0조5천억원 대비 143161 성장할 것으로 예측

된 것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205조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10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6)

lt그림 40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6) 나노소재 산업이 특별히 고성장할 것이라는 예측 결과는 사전에 실시된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 조사(이곳에 정확한 보고서 이름 명기 필요)에서 나노소재 예상 매출액(2014~2018)이 상당히 높게 예측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결과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lsquo조사에 참여한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다양한 중간재로 투입되는 나노기술을 나노소재 산업으로 인식하여 객관적인 사실보다 소재 산업을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했을 가능성이 있다lsquo라고 평가한 의견이 있었음을 밝혀둔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5

lt표 22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2010 87191 87191 87191 2011 111370 111370 111370 2012 96651 96651 96651 2013 144391 144391 144391 2014 104664 104664 104664 2015 189068 174387 198871 2016 233173 207981 252008 2017 287479 247989 319229 2018 354301 295609 404194 2019 436454 352257 511478 2020 537351 419593 646764 2021 661109 499565 817073 2022 812669 594442 1031017 2023 997914 706863 1299050 2024 1223787 839874 1633696 2025 1498380 996963 2049695

나노전자(소자)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511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19조원 대비 4282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

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598조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429조원

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41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6

lt표 23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2010 770863 770863 770863

2011 785380 785380 785380

2012 1170282 1170282 1170282

2013 1215753 1215753 1215753

2014 1193383 1193383 1193383

2015 1516825 1457375 1573551

2016 1731242 1637921 1821832

2017 1972768 1838296 2105366

2018 2243828 2059983 2427787

2019 2546746 2304383 2792607

2020 2883611 2572743 3203008

2021 3256119 2866071 3661548

2022 3665365 3185037 4169800

2023 4111604 3529850 4727903

2024 4593963 3900123 5334038

2025 5110141 4294726 5983862

나노바이오의료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1조3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되

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7천억원 대비 1795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1조8천억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1조1천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4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7

lt표 24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2010 2718 2718 2718

2011 2934 2934 2934

2012 4444 4444 4444

2013 4126 4126 4126

2014 7249 7249 7249

2015 4870 5338 5406

2016 5373 5744 6100

2017 5928 6180 6883

2018 6540 6649 7765

2019 7216 7154 8762

2020 7961 7698 9885

2021 8783 8282 11153

2022 9690 8911 12583

2023 10691 9587 14197

2024 11795 10315 16017

2025 13013 11098 18071

마지막으로 나노장비기기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4조6천억원 규모로 성

장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조8천억원 대비 25810 성장할 것으로 예

측된 것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5조6천억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

우 3조5천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43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8

lt표 25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2010 19698 19698 19698 2011 23170 23170 23170 2012 19152 19152 19152 2013 22669 22669 22669 2014 17634 17634 17634 2015 24923 23201 25657 2016 26472 24164 27735 2017 28117 25168 29980 2018 29863 26213 32407 2019 31717 27301 35030 2020 33686 28434 37865 2021 35777 29613 40928 2022 37997 30842 44237 2023 40354 32121 47814 2024 42857 33453 51678 2025 45514 34839 55852

지금까지 분석한 각 산업별 성장률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재 가장 최

근값인 2014년 대비 2025년 예상 매출액의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lt표 26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연도별 세부산업별 데이터 (단위 억원 )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국내 나노산업은 나노소재 산업이 가장 큰 성장 잠

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 다음으로 나노전자(소자) 나노장비기기

나노바이오의료 순서로 예상되었다

단 본 조사는 당시 가장 최근값인 2013년 데이터까지 활용하여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실제 2014년도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전년도 대비 매우 큰 폭으

로 상승하였기 때문에 본 조사의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미래 예상 매출액이 과

소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나노바이오 산업은

201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493를 보였는데 2014년 전년 대비 17569으로 성

장하여 과거와는 다른 급격한 성장을 보였다

  2014년 (성장 예상) 2025년 성장률()

나노소재 104664 rarr 1498380 143161

나노전자(소자) 1193383 rarr 5110141 42821

나노바이오의료 7249 rarr 13013 17951

나노장비기기 17634 rarr 45514 25810

Total 1322930 rarr 6667048 50396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9

한편 전체 나노산업 매출에서 각각의 산업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44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lt표 27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위의 표와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2025년 기준 전체 나노시장에서 나노소재

2247 나노전자(소자) 7665 나노바이오의료 020 나노장비기기 068를 차

지할 전망이다 2014년 현재 기준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비중이 줄어들고 나노소

재 산업의 비중이 크게 늘어날 전망으로 파악된다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 여전히 적은 비중을 차지할 전망이다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종합

2025년

예상매출1498380 5110141 13013 45514 6667048

비중() 2247 7665 020 068 100

Vs

2014년

현재매출104664 1193383 7249 17634 1322930

비중 791 9021 055 133 100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0

53 민감도 분석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531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예측치 보정할 경우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최근 나노산업에서 바이오의료 분야가 급속히 성장하였

다 다음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010년부터 점진적인 상승세를 보이던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14년 약 2배에 가까운 급성장을 기록하였다

lt그림 45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최근 급속한 성장세

(단위 억원)

그런데 본 연구가 진행된 시점은 2014년 매출액 발표 직전이었기 때문에 조사

에 참여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전문가들은 2013년까지의 매출 변화만을 보고

미래 매출액(2014~2018년)을 예측하였다 실제로 산업전문가들의 2014년 나노바이

오의료 산업 매출액 예상액은 4430억원이었다 즉 실제 매출액값 대비 3889

적게 예측한 것이다

lt표 2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2014년 예상 매출액 Vs 실제 매출액

  나노바이오의료

2014 예측값 4430

2014 실제값 7249

오류 -3889

이에 따라 본 연구의 Diffusion Model에 적용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15~2018년

전문가 매출 예측액도 이와 같이 과소평가되어 도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91

본 연구는 2015년~2018년값을 2014년 과소평가된 만큼 상향 보정한 후 다시 2025년

나노시장 매출 규모를 예측하였다

이 경우 나노바이오시장은 2025년 평균 기준 4조6천억원 시장으로 성장되며 이

는 2014년 대비 62965 성장을 전망하게 한다 전체 나노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

도 약 068로 다소 상승될 것으로 예상되나 전체 나노시장 규모에 전반적으로

큰 영향은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lt그림 46gt 2025년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예상 매출액 (보정값)

lt그림 47gt 2025년 국내 나노산업별 비중 비교 (보정값)

한편 이렇게 보정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매출액 예측을 국내 나노시장 전

체 매출액에 적용할 경우 국내 전체 나노시장은 670조원 규모로 추가 상승할 여

력이 발생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2

lt그림 4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보정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산업 매출 예상

532 나노소재 전자 산업 수준으로 발전할 경우

본 연구 분석 결과 2014년 현재 2025년 모두 나노전자(소자) 나노소재 산업이

나노산업 매출에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직까지 나노바이오의료

산업과 나노장비기기 산업은 전체 나노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미미한 편이다

이는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예측치값을 보정하였을 경우에도 큰 차이 없이 발

견된 공통적 현상이었다

이는 국내 나노산업에서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

우 크고 앞으로도 이 분야에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고 해석할 수 있는 결과

이다 본 연구는 만약 모든 산업이 나노전자(소자) 혹은 나노소재 산업과 같이 고

성장할 경우 국내 나노산업이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지 시나리오 기반의 민감

도 분석을 실시해보았다 즉 나노산업을 최대한 긍정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경우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지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각 나노산업별로 혁신계수(p) 모방계수(q)를 각각 추정하였기 때문에

특정 산업에서 추정된 계수를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경우 어떠한 변화

가 관측될지 분석이 가능하다

먼저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소재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

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한편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전자

(소자)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준 약 1411조원 시장으

로 성장 전망되었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93

lt그림 49gt 모든 산업이 나노전자 혹은 나노소재 산업 수준으로 성장할 경우

lt표 29gt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 성장 적용 시 예상 매출액

  기존 예측값 나노소재 수준 나노전자(소자)수준

2010 880470 880470 880470

2011 922854 922854 922854

2012 1290529 1290529 1290529

2013 1386939 1386939 1386939

2014 1322930 1322930 1322930

2015 1735686 1583819 3929768

2016 1996260 1942178 4499727

2017 2294292 2377810 5146455

2018 2634533 2905467 5878440

2019 3022133 3541772 6704519

2020 3462610 4304962 7633691

2021 3961789 5214339 8674840

2022 4525722 6289290 9836377

2023 5160564 7547763 11125754

2024 5872403 9004111 12548875

2025 6667048 10666299 14109365

533 혁신계수(p)가 상승할 경우

Diffusion Model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형의 p q값을 추정하여 미래 수요

를 예측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추정된 p q값에 따라 미래 확산 패턴은 매

우 다양한 특징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에서 각 세부 나노산업별로 추정된 p q 값

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4

lt표 30gt 나노산업별 p q 추정값 비교

그런데 본 연구 결과 관찰된 나노산업의 특징은 다른 일반적인 산업의 확산모형

추정값에 비해 p값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일반 소비재 산업의

경우 대부분의 p값은 001~01 사이에서 추정되는 경우가 많다

lt그림 50gt 일반적인 소비재 제품의 혁신계수값 비교

물론 본 연구는 최종 수용자 인원 기준 추정이 아닌 매출액 기준 추정이고 일

반 소비재와는 다른 B2B 제품이 많은 나노산업의 특성상 직접적인 비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와 비슷한 기반 산업이라 볼 수 있는 반도체 시장의

한 연구에서 얻어진 p q 추정값과 비교해도 나노전자 산업을 제외하면 일반적으

로 혁신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김진 고경일 2014의

연구에서 p = 00006 q = 00509)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p 000023 000291 000001 000007

q 023464 015098 010333 006226

R square 093 096 062 061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95

lt그림 51gt 다른 연구(김진 고경일 2014)에서 추정된 p q 값의 예

일반적으로 Diffusion Model의 혁신계수(p)는 같은 제품을 이미 받아들인 소비자

들의 영향 없이 기업의 마케팅 활동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독자적으로 해당 제품을

수용하는 효과를 의미한다(Bass 1969 Mahajan et al 1990) 반대로 모방계수(q)가

높을 경우 나와 같은 주변 소비자들이 해당 제품을 많이 받아들이는 것에 영향을

받아서 제품을 수용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p를 혁신계수 q를

모방계수라고 부르게 된다

이를 본 연구의 나노산업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해석이 가능하다 p값이 낮다

는 것은 나노기업들이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독자적으로 나노제품을 개발하여 시

장에 내놓는 것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다른 나노제품 생산 기

업들이 얼마나 많은 제품을 개발 출시하는지 아직 눈치를 보고 있는 실정이라고

도 유추해 볼 수 있다 나노산업에서 p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q값은 바로 이

러한 모방효과가 나노산업에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이라고 해석할 수 있기 때

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만약 나노 관련 정부기관 등의 적극적인 투자 지원 등이 실행되

어 시장의 혁신계수(p) 값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경우의 국내 나노시장 매출 예측액

이 얼마나 크게 변화할 수 있을지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6

lt그림 52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lt표 31gt 혁신계수값 변화에 따른 나노산업 예측 규모 비교

(단위 억원)

  기존예측값 15p 2p

2010 880470 877752 880470

2011 922854 919920 922854

2012 1290529 1286085 1290529

2013 1386939 1382813 1386939

2014 1322930 1315681 1322930

2015 1735686 2149136 2574977

2016 1996260 2467240 2950618

2017 2294292 2829300 3376107

2018 2634533 3240309 3856425

2019 3022133 3705491 4396561

2020 3462610 4230213 5001356

2021 3961789 4819856 5675311

2022 4525722 5479653 6422356

2023 5160564 6214488 7245601

2024 5872403 7028659 8147069

2025 6667048 7925604 9127423

물론 구체적으로 어떤 정책과 지원을 실행할 경우 15p 2p가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세 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만 본 연구는 현재 나노산업의

혁신계수가 외부적인 노력에 의해 추가 상승될 경우 향후 국내 나노산업 시장이

더욱 성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존재함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97

제5장결론 및 시사점

1 결과 요약

나노산업은 국가 미래 발전을 위한 핵심 성장 동력 중 하나로 최근 본격적인

성장 산업으로서의 모습을 갖추며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향후 나노산업이 국내

산업과 국민 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안할 때 나노산업의 확산 및 미래 시장

규모 예측은 필수적이다

모든 나노산업 정책의 출발점은 미래 시장 규모 예측에 근거한다 정부 및 관련

연구기관 나노기업들의 미래 투자 및 고용 제품 생산 규모 등 거의 모든 사항은

국내 나노시장이 얼마나 더 성장할 것인지에 대한 예측을 활용할 수밖에 없기 때

문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 나노산업의 미래 예측은 해외 유명 기관 학자들의 의견

을 그대로 따르거나 혹은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을 활용한 단순한 방법론에

의해 추정된 것이 대부분이다 일례로 Roco 박사가 제시한 2020년 나노산업 3조

달러 성장 예측은 국내외 다양한 보고서 신문자료 등에서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과거 연평균성장률은 이미 성숙기에 도달한 안정적 산업에 적용하

는 것이 적합하며 나노기술과 같이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

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하

고자 하였다 Diffusion Model이라는 계량적 모델과 일반소비자 조사 나노산업 전

문가 의견 조사라는 정성적 방법을 종합하여 2025년 국내 나노기술 시장 규모를

예측하였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나노기술 시장은 2025년 약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전망되었으며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시장 대비 약 504배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만약 전체 제조

업이 2010~2014년 연평균성장률 26를 유지한다고 가정할 경우 2014년 기준 현

재 전체 제조업에서 89를 차지하는 나노산업이 2025년 기준 3368으로 비중

확대될 전망이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8

lt표 32gt 주요 결과 요약

구분 주요 결과 요약

2025년 국내 전체 나노시장 규모

- 평균값 기준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대비 약 504배(504) 성장 예상

- 최대값 기준 8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 최소값 기준 534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2025년 국내 나노소재 시장 규모- 202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143161 성장 예상

2025년 국내 나노전자(소자) 시장 규모- 2025년 약 511조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42821 성장 예상

2025년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시장 규모- 2025년 약 1조3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17951 성장 예상

2025년 국내 나노장비기기 시장 규모- 2025년 약 4조6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25810 성장 예상

전체 제조업에서 나노산업의 비중

- 2014년 기준 전체 제조업에서 89를 차지하는 나노산업이

2025년 3368 비중으로 확대될 전망

- 나노산업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약 25p 증가함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14년 급격한 성장 반영할 경우

민감도 분석

- 2025년 평균 기준 4조6천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62965 성장 예상

- 이 경우 전체 나노산업 시장도 670조원으로 다소 늘어날 전망

모든 나노산업이

나노소재 산업과 같은 패턴으로 성장할 경우

민감도 분석

- 2025년 평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모든 나노산업이

나노전자(소자) 산업과 같은 패턴으로 성장할

경우 민감도 분석

- 2025년 평균 기준 약 14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나노산업의 혁신계수(p)가 증가할 경우

민감도 분석

- 혁신계수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

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

-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 나노시장

은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

한편 전문가 예측 의견의 최대값 최소값을 각각 Diffusion 모형에 반영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의 최대값은 811조 최소값은 534조로 각각 예측되

었다

또한 나노산업을 세부 산업으로 구분할 경우 2025년 나노소재 150조원 나노전

자(소자) 511조원 나노바이오의료 13조원 나노장비기기 46조원 시장을 각각 형

성할 전망이다 이를 산업별 비중으로 비교하면 2025년 기준 전체 나노시장에서

나노소재는 2247 나노전자(소자)는 7665 나노바이오의료는 020 나노장비

기기는 068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2014년 현재와 비교할 경우 나노

소재 시장의 비중이 늘어나고 나노전자(소자) 시장의 비중이 다소 줄어들 것을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99

예측하게 한다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에는 여전히 적은 비중

을 차지할 전망이다

한편 본 연구는 몇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한 민감도 분석도 실시하였다 우선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2014년도 특별히 크게 성장한 점을 반영하여 예측값을 보

정할 경우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25년 4조6천억원 시장으로 예상되며 이 경

우 나노시장의 총규모도 670조원으로 상승 예상된다

만약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소재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전망되었다 또한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전자(소

자)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준 약 14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전망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투자 지원 확대 등으로 혁신계수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량적 정성적 방법을 종합하여 국내 나노시장의 매출 규모를 예측

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시장 매출 데이터가 아직 적은 편이어서 향후 매출 예측

결과값이 민감하게 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지속적으로 활용

하여 나노시장 예측값을 계속 보완해나갈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도출 및 제언

본 연구 결과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앞으로 국내 나노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나노관련 정부 기관 및 나노기업들은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

된 산업별 시장 규모에 적합한 투자 정책 개발 등 적극적인 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특별히 나노산업을 계속적으로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나노소재와 나노전자

(소자) 산업의 성장 배경을 면 히 분석하여 이를 나노 전 산업으로 공통적으로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반대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과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

우에는 상대적으로 성장이 크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추가 지원 및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에 앞서 실행된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및 나노산업 전문가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0

의견 조사와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향후 나노산업의 추가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시장에서 급속한 성장을 보이는 나노산업이지만

여전히 일반소비자들은 나노기술의 지각된 위험 등 혁신 저항 요인을 많이 인식

한다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2014년 현재 약 130조원의 나노산업이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6년 실시된

조사에서 일반적인 소비자들은 나노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대부분 lsquo사용한 적 없

다 혹은 잘 모르겠다rsquo라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나노기술 관련 정보를 제시하는

동영상을 시청한 후 나노기술 특징 품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급격하게 증

가함 역시 확인하였다 이는 나노기술의 혜택에 대한 홍보가 적절히 실시될 경우

현재의 성장 속도보다 더욱 빠른 나노산업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해주

는 결과이다

향후 나노기업 및 정책 개발자들은 일반 소비자들이 어떤 부분에서 나노기술의

혜택을 크게 느끼고 어떤 부분에서 위험 요인을 많이 인식하는지 보다 면 히 파

악하여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단기적 나노산업 매출 예측치를

Diffusion Model의 주요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다 하지만 앞서 실행된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 조사에서 산업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의 나노기술 인식 차이가 존재함

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칫 나노산업에 대한 시장 예측이 다소 긍정적으로 예측되

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전문가들이 나노기술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나치

게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나노산업의 매출도 긍정적으로 예측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나노산업이 더욱 성장하기 위해서는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수용이 절대적

이다 앞으로 이와 같은 나노산업 인식 및 매출 예측 조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

어 시장 매출 예측치의 값을 계속 업데이트해가며 보완해나갈 필요가 있다

3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나노산업의 미래 시장 규모 예측은 모든 나노 관련 정책의 가장 기본적인 토대

이다 본 조사 결과는 각종 나노산업 통계 및 예측의 기초 자료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으며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 방향 및 전략 도출을 위한 세부적인 분석 및 시

사점 제안을 가능하게 한다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01

예를 들어 국내 나노기업은 본 조사 결과를 활용해 향후 나노시장의 성장에 대

비한 적절한 투자와 인력 충원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나노 관련

정책을 개발하는 정부 기관 연구소들도 미래 나노시장의 잠재적 규모에 근거한

관련 정책을 개발 및 지원할 수 있다

본 조사는 이를 위해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

근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수많은 나노 관련 연구들이 가장 중요한

미래 시장 규모 예측에 있어 비교적 단순한 방법을 적용했음을 감안할 때 본 연

구가 향후 국내 나노산업이 보다 체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나노시장 예측을 기존처럼 해외 유명 학자 기관 등의 자료에 의존하지 않고 국

내에서 스스로 체계적으로 도출해낼 수 있다는 점은 향후 우리나라가 나노기술

분야의 최고 선진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초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단 현

재 국내의 나노산업 매출 데이터가 아직 충분하지 않아 예측 결과값이 민감하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향후 지속적인 업데이트 과정을 통해 미래 나노산업 예측을

계속하여 보완해나가야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2

참 고 문 헌

교육과학기술부(2012) 나노소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제조 및 활용 기준 확립과

사회적 영향연구 교육과학기술부

구훈영 민대기(2013) ldquo델파이 활용 신재생 에너지 수요예측과 장기전원 구성의

경제성 평가rdquo 대한산업공학회지 39(3) 183-191

권성훈 홍순기(2009) ldquo델파이 기술예측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에 관한 연구rdquo

기술혁신연구 17(1) 97-117

권순동 이승률 (2015) ldquoBass확산모형과 특허정보를 이용한 한국형 오픈소스 모션

플랫폼의 기술수요예측rdquo 대한산업공학회지 11 2271-2275

김병수(2009) ldquo기술성장모형에 기반한 기술수준평가방법론 연구rdquo 한국과학기술

기획평가원 연구보고서 2010(23) 1-244

김상훈(2008) 하이테크마케팅 박영사

김석필 정상기 김동현 정다래 권으뜸 김명순(2013) ldquo나노기술 상용화 현황 진

단과 혁신과제rdquo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김선아 김호정 홍용석(2013) ldquo나노물질 안전관리 동향 및 제도 도입에 관한 고

찰rdquo 환경정책연구 12(3) 49-71

김영욱 이현승(2014) ldquo미디어 레퍼토리 위험특성과 위험커뮤니케이션 인식이 원

자력 수용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rdquo 한국위기관리논집

10(4) 1-25

김원제 송해룡 김찬원(2016) ldquo과학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신뢰가 위험

인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나노기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위기관리논집

12(1) 69-81

김준현(2015)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신기술의 기술영향평가 나노기술의 사

회 영향평가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경영컨설팅학과 경영컨설팅

김진 고경일(2014) ldquo비선형회귀 확산모형을 이용한 반도체 시장수요 추정rdquo 디지

털정책연구 12(3) 141-147

김찬원 송해룡 김원제(2015) ldquo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전문가그룹 인식을 중심

으로rdquo 한국위기관리논집 11(6) 121-135

참고문헌

103

남기웅 박상성 신영근 정원교 장동식(2010) ldquo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의 예측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산학기술학회 10(10) 2923-2934

박덕용 이난영 이상호(2008) ldquo나노기술을 이용해 제작한 불소함유 접착필름의

치아우식증 예방효과rdquo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5(4) 662- 670

박희제(2013) ldquo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수용도rdquo 농촌사회 23(1)

327-367

반영주 고영훈 김우성 매유진 목진경 조한규(2014) ldquo나노마스크와 황사마스크

에 의한 토너가루와 담배연기 필터링 효과 비교rdquo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

회 자료집 2014(12) 233-235

배성훈 신광민 윤진선 강상규 김준현 성기완 이기광(2015) ldquo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나노기술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분석rdquo 산업

경영시스템학회지 38(3) 49-55

배성훈 신광민 윤진선 강상규 이솔희(2015) ldquo나노기술의 영향 평가 연구 사회

환경 문화 건강 안전을 중심으로rdquo 나노기술정책센터

산업통상자원부(2014) 2014나노융합산업 조사 보고서 산업통상자원부나노융합

산업협력기구산업연구원

산업통상자원부(2015) 2015 나노융합산업조사 산업통상자원부나노융합산업협력

기구

성지은 황만성(2012) 후기현대사회의 위험관리를 위한 형법 및 형사정책 연구

(Ⅰ)-나노공학기술과 위험관리 형사정책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손동민 문성현 정봉주(2014) ldquo국내 RFID 시장의 확산 분석 및 예측 모형rdquo 대한

산업공학회지 40(4) 415-423

송해룡 김원제(2015) ldquo다차원적 접근을 통한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신뢰가 위험인

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효과rdquo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36(-) 37-60

예기훈 성아영(2010) ldquo금 나노입자를 포함한 안의료용 고분자의 합성 및 물성에

관한 연구rdquo 대한화학회지 54(2) 222-227

오규운 김경훈(2016) ldquo나노기술의 디자인윤리경영과 나노기업의 사회적 책임rdquo

한국과학예술포럼 24(-) 265-276

오미영 외(2008) ldquo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 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용에 미치는 영향rdquo 한국언론

학보 52(1) 467-500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4

왕재선(2013) ldquo신뢰와 원자력 수용성rdquo 한국정책학회보 22(1) 235-266

위키백과(2015) 나노기술

윤승욱(2009) ldquoIPTV의 수용결정요인에 대한 연구rdquo 언론과학연구 9(1) 162-197

이세준 이윤준 홍정임(2008) ldquo통합적 미래연구 방법론의 탐색 및 적용rdquo 과학기

술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8(16) 1-229

이정진 김영훈 배은주 이수승 곽병규 최경희 이종협(2008) ldquo대한민국에서의

나노물질 위해성에 관한 일반인전문가 인식 설문조사rdquo 환경독성보건학회

지 23(4) 247-256

채현석 정재우 김종달(2016) ldquoBass 확산모형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수요예측rdquo 한

국환경정책학회 24(1) 109-132

최종후 강현철(2001)ldquo확산모형과 성장곡선모형을 이용한 중장기 수요예측에 관

한 연구rdquo 응용통계연구 14(2) 233-243

한민규 김병수 유지연 변순천(2010) ldquo기술성장모형에 기반을 둔 기술수준평가

결과 및 시사점 - 바이오칩센서기술을 중심으로rdquo 기술혁신학회지 13(2)

252-281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ldquo델파이기법을 적용한 생체인식시스템 기술예측rdquo 한

국산학기술학회 11(9) 3204-3209

Adams D A Nelson R R and Todd P A(1992) ldquo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Us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 Replicationrdquo MIS Quarterly

227-247

Ajzen I(1985)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rdquo

Action-control Springer Berlin Heidelberg 11-39

Bandura A(1977) ldquo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rdquo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Bass F(1969) ldquoA New Product Growth Model for Consumer Durablesrdquo Management

Science 15(5) 215-227

Bass F Krishnan T and Jain D(1994) Why the Bass Models Fits without Decision

Variablesrdquo Marketing Science 13 202-223

Biemans W G(1992) Managing Innovation within Networks Routledge

Butler J K(1991) ldquoToward Understanding and Measuring Conditions of Trust

Evolution of a Conditions of Trust Inventoryrdquo Journal of Management 17(3)

참고문헌

105

643-663

Canary D J and Seibold D R(1984) Attitudes and Behavior An Annotated

Bibliography Praeger Publishers

Covello V T Slovic P and Von Winterfeldt D(1986) Risk Communi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National Emergency Training Center

Cvetkovich G (1999)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nd R

Louml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Earthscan Publications

Ltd London 53ndash61

Davies J C(2008) Nanotechnology Oversight Washington DC Project on Emerging

Nanotechnologies

Davis F D(1989) ldquo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rdquo MIS Quarterly 319-340

Davis F D Bagozzi R P and Warshaw P R(1992) ldquo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to Use Computers in the Workplace1rdquo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2(14) 1111-1132

Dockner E and Jorgensen S(1988) Optimum Advertising Policies for Diffusion

Model of New Product Innovation in Monopolistic Situationsrdquo Management

Science 34(1) 119-130

Earle T C(2010) ldquoTrust in Risk Management A Model‐Based Review of Empirical

Researchrdquo Risk Analysis 30(4) 541-574

Earle T Siegrist M Gutscher H (2010) Trust Risk Perception and the TCC Model

of Cooperation In Earle T Siegrist M Gutscher H (Eds) Trust in Risk

Management Uncertainty and Scepticism in the Public Mind (pp 1-50) London

England Earthscan

Fishbein M and Ajzen I(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Flynn J Burns W Mertz C K and Slovic P(1992) ldquoTrust as a Determinant of

Opposition to a High‐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Analysis of a

Structural Modelrdquo Risk Analysis 12(3) 417-429

Fujita Y(2006) ldquoPerception of Nanotechnology Among General Public in Japanrdquo

Asia Pacific Nanotech Weekly 4 (6) 2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6

Hobson D W(2009) ldquoCommercialization of Nanotechnologyrdquo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Nanomedicine and Nanobiotechnology 1(2) 189-202

Kalil T A(2005) ldquoNanotechnology and the Valley of Deathrdquo Nanotechnol Law Bus

2(3) 265-268

Karahanna E Straub D W and Chervany N L(1999) ldquo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Across Time A Cross-Sectional Comparison of Preadoption and

Postadoption Beliefsrdquo MIS Quarterly 183-213

Kasperson R E Golding D and Tuler S(1992) ldquoSocial distrust as a Factor in

Siting Hazardous Facilities and Communicating Risksrdquo Journal of Social Issues

48(4) 161-187

Keeney S Hasson F and McKenna H(2011) The Delphi Techniquerdquo The Delphi

Technique in Nursing and Health Research 1-17

Kellens W Terpstra T and De Maeyer P(2013)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of Flood Risks A Systematic Review of Empirical Researchrdquo Risk Analysis

33(1) 24-49

Luhmann N(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in D

Gambetta(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Padstow

Cornwall Basil Blackwell Ltd 94-107

Macoubrie J(2004) Public Perceptions about Nanotechnology Risks Benefits and

Trustrdquo Journal of Nanoparticle Research 6(4) 395-405

Mahajan V Muller E and Bass F M(1990) New Product Diffusion Models

Market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Researchrdquo Journal of Marketing 54

1-26

McNeil R D Lowe J Mastroianni T Cronin J and Ferk D(2007) Barriers to

Nano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inal Report Prepared for US Department of

Commerce Technology Administrationrdquo Univercity of illinois at Springfield IL

httpswww ntis govpdfReport-BarriersNanotechnologyComme rcialization pdf

Midden C J and Huijts N(2009) The Role of Trust in the Affective Evaluation of

Novel Risks The Case of CO2 Storagerdquo Risk analysis 29(5) 743-751

Nel A Xia T Maumldler L and Li N(2006) Toxic Potential of Materials at the

Nanolevelrdquo Science 311(5761) 622-627

참고문헌

107

Oh S Lehto X Y and Park J(2009) Travelers Intent to Use Mobile

Technologies as a Function of Effort and Performance Expectancyrdquo Journal of

Hospitality Marketing amp Management 18(8) 765-781

Paton D(2008) Risk Communication and Natural Hazard Mitigation How Trust

Influences its Effectiveness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Global Environmental

Issues 8(1-2) 2-16

Putsis Jr W P and Srinivasan V(2000) Estimation Techniques for Macro Diffusion

Modelsrdquo New-Product Diffusion Models 11

Ram S(1987) A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rdquo NA-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ume 14

Ram S and Sheth J N(1989) ldquoConsumer Resistance to Innovations The Marketing

Problem and its Solutionsrdquo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6(2) 5-14

Roco M C(2014) Nanotechnology Research Trends in the USrdquo Korea-US Nano

Forum Seoul September 29

Roco M C Mirkin Chad A and Hersam M C(2010) WTEC Panel Report on

Nanotechnology Research Directions for Societal Needs in 2020 Retrospective

and Outlook Springer-Verlag New York

Rogers E M and Everett M(2003) Diffusion of Innovations 5th Edition Free

Pressrdquo New York

Rogers E M(1995) Definition of Innovation 4th Edition Free Press New York

Rogers E M(2003)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5thed) New York NY The Free

Press 2003

Roselius T(1971) ldquoConsumer Rankings of Risk Reduction Methodsrdquo Journal og

Marketing 35(-) 56-6

Rousseau D M Sitkin S B Burt R S and Camerer C(1998) ldquoNot so Different

After All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3) 393-404

Schmittlein D and V Mahajan(1982) ldquo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an

Innovation Diffusion Model of New Product Acceptancerdquo Marketing Science

1(1) 57-78

Seong J E and Hwang M S(2012) Studies on the Risk-Governing Criminal Law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8

and Criminology in the Late-modern Society (1) Risk-governance Criminal

Justice and Criminology in Nanotechnologyrdquo Series of Research 3 1-52

Shah J and and Higgins E T(1997) Expectancy times Value Effects Regulatory Focus

as Determinant of Magnitude and Directionrdquo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3) 447-458

Sheth J N(1981) ldquoPsychology of Innovation Resistance The Less Developed

Concept in Diffusion Researchrdquo Research in Marketing 4 273-282

Siegrist M and Cvetkovich G(2000) Perception of Hazards The Role of Social

Trust and Knowledgerdquo Risk Analysis 20(5) 713-720

Siegrist M Cousin M E Kastenholz H and Wiek A(2007) Public Acceptance

of Nanotechnology Foods and Food Packaging The Influence of Affect and

Trustrdquo Appetite 49(2) 459-466

Slovic P(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rdquo Risk Analysis 13(6)

675-682

Srinivasan V and Charlotte H M(1986) ldquoNonlinear Least Squares Estimation of

New Product Diffusion Modelsrdquo Marketing Science 5(2) 169-178

Trettin L and Musham C(2000) Is Trust a Realistic Goal of Environmental Risk

Communicationrdquo Environment and Behavior 32(3) 410-426

Van den Bulte C and Lilien G L(1997) Bias and Systematic Change in the

Parameter Estimates of Macro-level Diffusion Modelsrdquo Marketing Science 16(4)

338-353

Van den Bulte C and Stremersch S(2004) Social Contagion and Income

Heterogeneity in New Product Diffusion A Meta-Analytic Testrdquo Marketing

Science 23(4) 530-544

Venkatesh V and Bala H(2008) ldquoTechnology Acceptance Model 3 and a Research

Agenda on Interventionsrdquo Decision Sciences 39(2) 273-315

Venkatesh V and Davis F D(2000) ldquo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rdquo Management Science 46(2)

186-204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and Davis F D(2003) ldquo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rdquo MIS Quarterly 27(3)

참고문헌

109

425-478

Venkatraman N Loh L and Koh J(1994) The Adoption of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s a Test of Competing Diffusion Modelsrdquo Management Science

40(4) 496-507

Vernon R (1966) International Investment and International Trade in the Product

Cyclerdquo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90-207

Wachinger G Renn O Begg C and Kuhlicke C(2013) The Risk Perception

Paradoxmdashimplications for Governance and Communication of Natural Hazardsrdquo

Risk Analysis 33(6) 1049-1065

Wiesner M R G V Lowry K Jones J M H Gochella R T Di Giulio E

Casman and E S Bernhardt(2009) Decreasing Uncertainties in Assessing

Environmental Exposure Risk and Ecological Implications of Nanomaterialsrdquo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3(17) 6458-6462

Wittmaack K(2007) In Search of the Most Relevant Parameter for Quantifying Lung

Inflammatory Response to Nanoparticle Exposure Particle Number Surface Area

or Whatrdquo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87-194

Zaltman G and Wallendorf M(1983) Consumer Behavior Basic Findings and

Management Implications New York John wiley and Son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인 쇄

발 행

발 행 인

발 행 처

주 소

전 화

인 쇄 처

2017년 4월

2017년 4월

한 선 화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02)3299-6253

(주)승림디엔씨 (02)2271-2581

lt비매품gt

ltlt ASCII85EncodePages false AllowTransparency false AutoPositionEPSFiles true AutoRotatePages None Binding Left CalGrayProfile (Dot Gain 20) CalRGBProfile (sRGB IEC61966-21) CalCMYKProfile (US Web Coated 050SWOP051 v2) sRGBProfile (sRGB IEC61966-21) CannotEmbedFontPolicy Error CompatibilityLevel 14 CompressObjects Tags CompressPages true ConvertImagesToIndexed true PassThroughJPEGImages true CreateJobTicket false DefaultRenderingIntent Default DetectBlends true DetectCurves 00000 ColorConversionStrategy CMYK DoThumbnails false EmbedAllFonts true EmbedOpenType false ParseICCProfilesInComments true EmbedJobOptions true DSCReportingLevel 0 EmitDSCWarnings false EndPage -1 ImageMemory 1048576 LockDistillerParams false MaxSubsetPct 100 Optimize true OPM 1 ParseDSCComments true ParseDSCCommentsForDocInfo true PreserveCopyPage true PreserveDICMYKValues true PreserveEPSInfo true PreserveFlatness true PreserveHalftoneInfo false PreserveOPIComments true PreserveOverprintSettings true StartPage 1 SubsetFonts true TransferFunctionInfo Apply UCRandBGInfo Preserve UsePrologue false ColorSettingsFile () AlwaysEmbed [ true ] NeverEmbed [ true ] AntiAliasColorImages false CropColorImages true ColorImageMinResolution 300 Color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ColorImages true ColorImageDownsampleType Bicubic ColorImageResolution 300 ColorImageDepth -1 ColorImageMinDownsampleDepth 1 Color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ColorImages true Color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ColorImages true ColorImageAutoFilterStrategy JPEG ColorACS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Color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JPEG2000ColorACS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JPEG2000Color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AntiAliasGrayImages false CropGrayImages true GrayImageMinResolution 300 Gray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GrayImages true GrayImageDownsampleType Bicubic GrayImageResolution 300 GrayImageDepth -1 GrayImageMinDownsampleDepth 2 Gray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GrayImages true Gray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GrayImages true GrayImageAutoFilterStrategy JPEG GrayACS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Gray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JPEG2000GrayACS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JPEG2000Gray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AntiAliasMonoImages false CropMonoImages true MonoImageMinResolution 1200 Mono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MonoImages true MonoImageDownsampleType Bicubic MonoImageResolution 1200 MonoImageDepth -1 Mono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MonoImages true MonoImageFilter CCITTFaxEncode MonoImageDict ltlt K -1 gtgt AllowPSXObjects false CheckCompliance [ None ] PDFX1aCheck false PDFX3Check false PDFXCompliantPDFOnly false PDFXNoTrimBoxError true PDFXTrimBoxToMedia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SetBleedBoxToMediaBox true PDFXBleedBoxToTrim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OutputIntentProfile () PDFXOutputConditionIdentifier () PDFXOutputCondition () PDFXRegistryName () PDFXTrapped False CreateJDFFile false Description ltlt ARA ltFEFF06270633062A062E062F0645002006470630064700200627064406250639062F0627062F0627062A002006440625064606340627062100200648062B06270626064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645062A064806270641064206290020064406440637062806270639062900200641064A00200627064406450637062706280639002006300627062A0020062F0631062C0627062A002006270644062C0648062F0629002006270644063906270644064A0629061B0020064A06450643064600200641062A062D00200648062B0627062606420020005000440046002006270644064506460634062306290020062806270633062A062E062F06270645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648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6250635062F0627063100200035002E0030002006480627064406250635062F062706310627062A0020062706440623062D062F062B002E0635062F0627063100200035002E0030002006480627064406250635062F062706310627062A0020062706440623062D062F062B002Egt BGR ltFEFF04180437043f043e043b043704320430043904420435002004420435043704380020043d0430044104420440043e0439043a0438002c00200437043000200434043000200441044a043704340430043204300442043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8002c0020043c0430043a04410438043c0430043b043d043e0020043f044004380433043e04340435043d04380020043704300020043204380441043e043a043e043a0430044704350441044204320435043d0020043f04350447043004420020043704300020043f044004350434043f0435044704300442043d04300020043f043e04340433043e0442043e0432043a0430002e002000200421044a04370434043004340435043d0438044204350020005000440046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80020043c043e0433043004420020043404300020044104350020043e0442043204300440044f044200200441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43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43800200441043b0435043404320430044904380020043204350440044104380438002egt CHS ltFEFF4f7f75288fd94e9b8bbe5b9a521b5efa7684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65876863900275284e8e9ad88d2891cf76845370524d53705237300260a853ef4ee54f7f752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548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4ee553ca66f49ad87248672c676562535f00521b5efa768400200050004400460020658768633002gt CHT ltFEFF4f7f752890194e9b8a2d7f6e5efa7acb7684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65874ef69069752865bc9ad854c18cea76845370524d5370523786557406300260a853ef4ee54f7f752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548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4ee553ca66f49ad87248672c4f86958b555f5df25efa7acb76840020005000440046002065874ef63002gt CZE ltFEFF005400610074006f0020006e006100730074006100760065006e00ed00200070006f0075017e0069006a007400650020006b0020007600790074007600e101590065006e00ed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16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06b00740065007200e90020007300650020006e0065006a006c00e90070006500200068006f006400ed002000700072006f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e00ed0020007400690073006b00200061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e002000200056007900740076006f01590065006e00e9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90020005000440046002000620075006400650020006d006f017e006e00e90020006f007400650076015900ed007400200076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50063006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10020006e006f0076011b006a016100ed00630068002egt DAN ltFEFF004200720075006700200069006e0064007300740069006c006c0069006e006700650072006e0065002000740069006c0020006100740020006f0070007200650074007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72002c0020006400650072002000620065006400730074002000650067006e006500720020007300690067002000740069006c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d007500640073006b007200690076006e0069006e00670020006100660020006800f8006a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74002e0020004400650020006f0070007200650074007400650064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720020006b0061006e002000e50062006e006500730020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6c006c00650072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f00670020006e0079006500720065002egt DEU ltFEFF00560065007200770065006e00640065006e0020005300690065002000640069006500730065002000450069006e007300740065006c006c0075006e00670065006e0020007a0075006d002000450072007300740065006c006c0065006e00200076006f006e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4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6e002c00200076006f006e002000640065006e0065006e002000530069006500200068006f0063006800770065007200740069006700650020005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d0044007200750063006b0065002000650072007a0065007500670065006e0020006d00f60063006800740065006e002e002000450072007300740065006c006c007400650020005000440046002d004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6b00f6006e006e0065006e0020006d00690074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75006e0064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f0064006500720020006800f600680065007200200067006500f600660066006e00650074002000770065007200640065006e002egt ESP ltFEFF005500740069006c0069006300650020006500730074006100200063006f006e0066006900670075007200610063006900f3006e00200070006100720061002000630072006500610072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50004400460020006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61006400650063007500610064006f00730020007000610072006100200069006d0070007200650073006900f3006e0020007000720065002d0065006400690074006f007200690061006c00200064006500200061006c00740061002000630061006c0069006400610064002e002000530065002000700075006500640065006e002000610062007200690072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500610064006f007300200063006f006e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79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e0065007300200070006f00730074006500720069006f007200650073002egt ETI ltFEFF004b00610073007500740061006700650020006e0065006900640020007300e400740074006500690064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6500740073006500200074007200fc006b006900650065006c007300650020007000720069006e00740069006d0069007300650020006a0061006f006b007300200073006f00620069006c0069006b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9006400650020006c006f006f006d006900730065006b0073002e00200020004c006f006f006400750064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730061006100740065002000610076006100640061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d00690064006500670061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e0069006e0067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a00610020007500750065006d006100740065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f006e00690064006500670061002e000d000agt FRA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30065007a00200063006500730020006f007000740069006f006e00730020006100660069006e00200064006500200063007200e9006500720020006400650073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73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70006f0075007200200075006e00650020007100750061006c0069007400e90020006400270069006d007000720065007300730069006f006e00200070007200e9007000720065007300730065002e0020004c00650073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73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e900e90073002000700065007500760065006e0074002000ea0074007200650020006f007500760065007200740073002000640061006e0073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0610069006e007300690020007100750027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74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e007300200075006c007400e90072006900650075007200650073002egt GRE ltFEFF03a703c103b703c303b903bc03bf03c003bf03b903ae03c303c403b5002003b103c503c403ad03c2002003c403b903c2002003c103c503b803bc03af03c303b503b903c2002003b303b903b1002003bd03b1002003b403b703bc03b903bf03c503c103b303ae03c303b503c403b5002003ad03b303b303c103b103c603b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3c003bf03c5002003b503af03bd03b103b9002003ba03b103c42019002003b503be03bf03c703ae03bd002003ba03b103c403ac03bb03bb03b703bb03b1002003b303b903b1002003c003c103bf002d03b503ba03c403c503c003c903c403b903ba03ad03c2002003b503c103b303b103c303af03b503c2002003c503c803b703bb03ae03c2002003c003bf03b903cc03c403b703c403b103c2002e0020002003a403b10020005000440046002003ad03b303b303c103b103c603b1002003c003bf03c5002003ad03c703b503c403b5002003b403b703bc03b903bf03c503c103b303ae03c303b503b9002003bc03c003bf03c103bf03cd03bd002003bd03b1002003b103bd03bf03b903c703c403bf03cd03bd002003bc03b5002003c403bf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3c403b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3ba03b103b9002003bc03b503c403b103b303b503bd03ad03c303c403b503c103b503c2002003b503ba03b403cc03c303b503b903c2002egt HEB ltFEFF05D405E905EA05DE05E905D5002005D105D405D205D305E805D505EA002005D005DC05D4002005DB05D305D9002005DC05D905E605D505E8002005DE05E105DE05DB05D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5D405DE05D505EA05D005DE05D905DD002005DC05D405D305E405E105EA002005E705D305DD002D05D305E405D505E1002005D005D905DB05D505EA05D905EA002E002005DE05E105DE05DB05D90020005000440046002005E905E005D505E605E805D5002005E005D905EA05E005D905DD002005DC05E405EA05D905D705D4002005D105D005DE05E605E205D505E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5D5002D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5D505D205E805E105D005D505EA002005DE05EA05E705D305DE05D505EA002005D905D505EA05E8002E05D005DE05D905DD002005DC002D005000440046002F0058002D0033002C002005E205D905D905E005D5002005D105DE05D305E805D905DA002005DC05DE05E905EA05DE05E9002005E905DC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E002005DE05E105DE05DB05D90020005000440046002005E905E005D505E605E805D5002005E005D905EA05E005D905DD002005DC05E405EA05D905D705D4002005D105D005DE05E605E205D505E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5D5002D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5D505D205E805E105D005D505EA002005DE05EA05E705D305DE05D505EA002005D905D505EA05E8002Egt HRV (Za stvaranje Adobe PDF dokumenata najpogodnijih za visokokvalitetni ispis prije tiskanja koristite ove postavke Stvoreni PDF dokumenti mogu se otvoriti Acrobat i Adobe Reader 50 i kasnijim verzijama) HUN ltFEFF004b0069007600e1006c00f30020006d0069006e0151007300e9006701710020006e0079006f006d00640061006900200065006c0151006b00e90073007a00ed007401510020006e0079006f006d00740061007400e100730068006f007a0020006c006500670069006e006b00e1006200620020006d0065006700660065006c0065006c015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6d006f006b0061007400200065007a0065006b006b0065006c0020006100200062006500e1006c006c00ed007400e10073006f006b006b0061006c0020006b00e90073007a00ed0074006800650074002e0020002000410020006c00e90074007200650068006f007a006f00740074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6d006f006b00200061007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e9007300200061007a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c0020007600610067007900200061007a002000610074007400f3006c0020006b00e9007301510062006200690020007600650072007a006900f3006b006b0061006c0020006e00790069007400680061007400f3006b0020006d00650067002egt ITA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a007a006100720065002000710075006500730074006500200069006d0070006f007300740061007a0069006f006e006900200070006500720020006300720065006100720065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70006900f900200061006400610074007400690020006100200075006e00610020007000720065007300740061006d0070006100200064006900200061006c007400610020007100750061006c0069007400e0002e00200049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9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500610074006900200070006f00730073006f006e006f0020006500730073006500720065002000610070006500720074006900200063006f006e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e006900200073007500630063006500730073006900760065002egt JPN ltFEFF9ad854c18cea306a30d730ea30d730ec30b951fa529b752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658766f8306e4f5c6210306b4f7f75283057307e305930023053306e8a2d5b9a30674f5c62103055308c305f0020005000440046002030d530a130a430eb306f3001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304a30883073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4ee5964d3067958b304f30533068304c3067304d307e305930023053306e8a2d5b9a306b306f30d530a930f330c8306e57cb30818fbc307f304c5fc59808306730593002gt KOR ltFEFFc7740020c124c815c7440020c0acc6a9d558c5ec0020ace0d488c9c80020c2dcd5d80020c778c1c4c5d00020ac00c7a50020c801d569d55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bb38c11cb97c0020c791c131d569b2c8b2e4002e0020c774b807ac8c0020c791c131b41c00200050004400460020bb38c11cb294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bc0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c774c0c1c5d0c11c0020c5f40020c2180020c788c2b5b2c8b2e4002egt LTH ltFEFF004e006100750064006f006b0069007400650020016100690075006f007300200070006100720061006d006500740072007500730020006e006f0072011700640061006d00690020006b007500720074006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73002c0020006b00750072006900650020006c0061006200690061007500730069006100690020007000720069007400610069006b007900740069002000610075006b01610074006f00730020006b006f006b007900620117007300200070006100720065006e006700740069006e00690061006d00200073007000610075007300640069006e0069006d00750069002e0020002000530075006b0075007200740069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10069002000670061006c006900200062016b007400690020006100740069006400610072006f006d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9007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10072002000760117006c00650073006e0117006d00690073002000760065007200730069006a006f006d00690073002egt LVI ltFEFF0049007a006d0061006e0074006f006a00690065007400200161006f00730020006900650073007400610074012b006a0075006d00750073002c0020006c0061006900200076006500690064006f0074007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73002c0020006b006100730020006900720020012b00700061016100690020007000690065006d01130072006f00740069002000610075006700730074006100730020006b00760061006c0069007401010074006500730020007000690072006d007300690065007300700069006501610061006e006100730020006400720075006b00610069002e00200049007a0076006500690064006f006a006900650074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73002c0020006b006f00200076006100720020006100740076011300720074002000610072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75006e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c0020006b0101002000610072012b00200074006f0020006a00610075006e0101006b0101006d002000760065007200730069006a0101006d002egt NLD (Gebruik deze instellingen om Adobe PDF-documenten te maken die zijn geoptimaliseerd voor prepress-afdrukken van hoge kwaliteit De gemaakte PDF-documenten kunnen worden geopend met Acrobat en Adobe Reader 50 en hoger) NOR ltFEFF004200720075006b00200064006900730073006500200069006e006e007300740069006c006c0069006e00670065006e0065002000740069006c002000e50020006f00700070007200650074007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7200200073006f006d00200065007200200062006500730074002000650067006e0065007400200066006f00720020006600f80072007400720079006b006b0073007500740073006b00720069006600740020006100760020006800f80079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74002e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6e00650020006b0061006e002000e50070006e006500730020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6c006c0065007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6c006c00650072002000730065006e006500720065002egt POL ltFEFF0055007300740061007700690065006e0069006100200064006f002000740077006f0072007a0065006e00690061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f300770020005000440046002000700072007a0065007a006e00610063007a006f006e00790063006800200064006f002000770079006400720075006b00f30077002000770020007700790073006f006b00690065006a0020006a0061006b006f015b00630069002e00200020004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900200050004400460020006d006f017c006e00610020006f007400770069006500720061010700200077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90065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90020006e006f00770073007a0079006d002egt PTB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a006500200065007300730061007300200063006f006e00660069006700750072006100e700f50065007300200064006500200066006f0072006d006100200061002000630072006900610072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d00610069007300200061006400650071007500610064006f00730020007000610072006100200070007200e9002d0069006d0070007200650073007300f50065007300200064006500200061006c007400610020007100750061006c00690064006100640065002e0020004f0073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900610064006f007300200070006f00640065006d0020007300650072002000610062006500720074006f007300200063006f006d0020006f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20006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20007600650072007300f50065007300200070006f00730074006500720069006f007200650073002egt RUM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a00610163006900200061006300650073007400650020007300650074010300720069002000700065006e0074007200750020006100200063007200650061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10064006500630076006100740065002000700065006e0074007200750020007400690070010300720069007200650061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000640065002000630061006c006900740061007400650020007300750070006500720069006f006100720103002e00200020004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5006c0065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500610074006500200070006f0074002000660069002000640065007300630068006900730065002000630075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15f00690020007600650072007300690075006e0069006c006500200075006c0074006500720069006f006100720065002egt RUS ltFEFF04180441043f043e043b044c04370443043904420435002004340430043d043d044b04350020043d0430044104420440043e0439043a043800200434043b044f00200441043e043704340430043d0438044f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e043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43c0430043a04410438043c0430043b044c043d043e0020043f043e04340445043e0434044f04490438044500200434043b044f00200432044b0441043e043a043e043a0430044704350441044204320435043d043d043e0433043e00200434043e043f0435044704300442043d043e0433043e00200432044b0432043e04340430002e002000200421043e043704340430043d043d044b04350020005000440046002d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4b0020043c043e0436043d043e0020043e0442043a0440044b043204300442044c002004410020043f043e043c043e0449044c044e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43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43800200431043e043b043504350020043f043e04370434043d043804450020043204350440044104380439002egt SKY ltFEFF0054006900650074006f0020006e006100730074006100760065006e0069006100200070006f0075017e0069007400650020006e00610020007600790074007600e100720061006e00690065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f0076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06b0074006f007200e90020007300610020006e0061006a006c0065007001610069006500200068006f0064006900610020006e0061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e00fa00200074006c0061010d00200061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e00200056007900740076006f00720065006e00e9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90020005000440046002000620075006400650020006d006f017e006e00e90020006f00740076006f00720069016500200076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f0063006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10020006e006f0076016100ed00630068002egt SLV ltFEFF005400650020006e006100730074006100760069007400760065002000750070006f0072006100620069007400650020007a00610020007500730074007600610072006a0061006e006a0065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f0076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06b006900200073006f0020006e0061006a007000720069006d00650072006e0065006a016100690020007a00610020006b0061006b006f0076006f00730074006e006f0020007400690073006b0061006e006a00650020007300200070007200690070007200610076006f0020006e00610020007400690073006b002e00200020005500730074007600610072006a0065006e0065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50004400460020006a00650020006d006f0067006f010d00650020006f0064007000720065007400690020007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9006e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9006e0020006e006f00760065006a01610069006d002egt SUO ltFEFF004b00e40079007400e40020006e00e40069007400e4002000610073006500740075006b007300690061002c0020006b0075006e0020006c0075006f00740020006c00e400680069006e006e00e4002000760061006100740069007600610061006e0020007000610069006e006100740075006b00730065006e002000760061006c006d0069007300740065006c00750074007900f6006800f6006e00200073006f0070006900760069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40065006a0061002e0020004c0075006f006400750074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9007400200076006f0069006400610061006e002000610076006100740061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69006c006c00610020006a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3a006c006c00610020006a006100200075007500640065006d006d0069006c006c0061002egt SVE ltFEFF0041006e007600e4006e00640020006400650020006800e4007200200069006e0073007400e4006c006c006e0069006e006700610072006e00610020006f006d002000640075002000760069006c006c00200073006b00610070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200073006f006d002000e400720020006c00e4006d0070006c0069006700610020006600f60072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d007500740073006b00720069006600740020006d006500640020006800f60067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74002e002000200053006b0061007000610064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20006b0061006e002000f600700070006e006100730020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f0063006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f00630068002000730065006e006100720065002egt TUR ltFEFF005900fc006b00730065006b0020006b0061006c006900740065006c0069002000f6006e002000790061007a006401310072006d00610020006200610073006b013100730131006e006100200065006e0020006900790069002000750079006100620069006c006500630065006b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20065006c00670065006c0065007200690020006f006c0075015f007400750072006d0061006b0020006900e70069006e00200062007500200061007900610072006c0061007201310020006b0075006c006c0061006e0131006e002e00200020004f006c0075015f0074007500720075006c0061006e0020005000440046002000620065006c00670065006c00650072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76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76006500200073006f006e0072006100730131006e00640061006b00690020007300fc007200fc006d006c00650072006c00650020006100e70131006c006100620069006c00690072002egt UKR ltFEFF04120438043a043e0440043804410442043e043204430439044204350020044604560020043f043004400430043c043504420440043800200434043b044f0020044104420432043e04400435043d043d044f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56043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44f043a04560020043d04300439043a04400430044904350020043f045604340445043e0434044f0442044c00200434043b044f0020043204380441043e043a043e044f043a04560441043d043e0433043e0020043f0435044004350434043404400443043a043e0432043e0433043e0020043404400443043a0443002e00200020042104420432043e04400435043d0456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800200050004400460020043c043e0436043d04300020043204560434043a044004380442043800200443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4420430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4300431043e0020043f04560437043d04560448043e04570020043204350440044104560457002egt ENU (Use these settings to create Adobe PDF documents best suited for high-quality prepress printing Created PDF documents can be opened with Acrobat and Adobe Reader 50 and later) gtgt Namespace [ (Adobe) (Common) (10) ] OtherNamespaces [ ltlt AsReaderSpreads false CropImagesToFrames true ErrorControl WarnAndContinue FlattenerIgnoreSpreadOverrides false IncludeGuidesGrids false IncludeNonPrinting false IncludeSlug false Namespace [ (Adobe) (InDesign) (40) ] OmitPlacedBitmaps false OmitPlacedEPS false OmitPlacedPDF false SimulateOverprint Legacy gtgt ltlt AddBleedMarks false AddColorBars false AddCropMarks false AddPageInfo false AddRegMarks false ConvertColors ConvertToCMYK DestinationProfileName () DestinationProfileSelector DocumentCMYK Downsample16BitImages true FlattenerPreset ltlt PresetSelector MediumResolution gtgt FormElements false GenerateStructure false IncludeBookmarks false IncludeHyperlinks false IncludeInteractive false IncludeLayers false IncludeProfiles false MultimediaHandling UseObjectSettings Namespace [ (Adobe) (CreativeSuite) (20) ] PDFXOutputIntentProfileSelector DocumentCMYK PreserveEditing true UntaggedCMYKHandling LeaveUntagged UntaggedRGBHandling UseDocumentProfile UseDocumentBleed false gtgt ]gtgt setdistillerparamsltlt HWResolution [2400 2400] PageSize [612000 792000]gtgt setpagedevice

Page 3: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ii

3 주요 결과

기존 나노산업 규모 예측치는 대부분 해외 유명 기관 학자들의 의견을 그대로 따르거나

혹은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에 기반한 단순한 방법으로 계산된 것이다 일례로 Roco 박

사가 제시한 lsquo2020년 나노산업 3조달러 성장rsquo 예측은 국내외 다양한 보고서 신문자료 등에

서 빈번히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과거 연평균성장률을 통한 예측은 이미 성숙기에 도달한

안정적 산업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나노기술과 같이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하고자 하였

다 Diffusion Model이라는 계량적 모델과 일반소비자 조사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 조사라

는 정성적 방법을 종합하여 2025년 국내 나노기술 시장 규모를 예측하였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나노기술 시장은 2025년 약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으며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시장 대비 약 504배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만약 전체 제조업이 2010~2014년

의 연평균성장률 26를 유지한다고 가정할 경우 2014년 기준 전체 제조업 중 89를 차

지하는 나노산업은 2025년 3368으로 비중 확대될 전망이다 한편 전문가 예측 의견의 최

대값 최소값을 각각 Diffusion Model에 반영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의 최대

값은 811조 최소값은 534조로 예측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나노산업을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의

세부 산업으로 구분하고 각 산업의 미래 규모를 추정하였다 먼저 나노소재 산업은 2025년

150조원 시장으로 성장하여 2014년 현재 약 10조5천억원 대비 143161 성장할 것으로 예

측되었다 나노전자(소자) 산업은 2025년 511조원으로 성장하여 2014년 현재 약 119조원

대비 4282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25년 13조원 시장으

로 성장하여 2014년 현재 약 7천억원 대비 1795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마지막으로

나노장비기기 산업은 2025년 46조원 시장으로 성장하여 2014년 현재 약 1조8천억원 대비

25810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성장률 기준으로 비교할 경우 나노소재 산업이 가장 큰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

로 판단되며 그 다음으로 나노전자(소자) 나노장비기기 나노바이오의료 순서로 예상된다

단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2014년도 특별히 크게 성장한 점을 반영하여 예측값을 보정할

경우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25년 약 4조6천억원

iii

시장으로 예상되며 이 경우 국내 나노시장의 총규모도 670조원으로 상승이 예상된다

한편 각 산업별 매출 비중을 비교할 경우 2025년 전체 나노시장에서 나노소재 산업이 차

지하는 비중은 2247 나노전자(소자) 7665 나노바이오의료 020 나노장비기기

068로 예측된다 이는 2014년 현재 기준과 비교할 때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비중이 다

소 줄어들고 나노소재 산업의 비중이 늘어날 것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한편 나노바이오

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 2014년과 비교할 때 여전히 작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

상된다

4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국내 나노산업이 2025년까지 빠른 속도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측하였다

나노산업의 미래 시장 규모 예측은 모든 나노 관련 정책의 기본적인 토대이다 본 조사 결

과는 향후 각종 나노산업 통계 및 예측의 기초 자료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으며 국내 나노

시장의 성장 방향 및 전략 도출을 위한 세부적인 분석 및 시사점 제안을 가능하게 할 것이

다 예를 들어 나노기업은 본 조사 결과를 활용해 향후 나노시장의 성장 속도에 대비한 적

절한 투자와 인력 충원 등을 선제적으로 계획할 수 있다 또한 나노 관련 정책을 개발하는

정부 기관 연구소들도 미래 나노시장의 잠재적 규모에 근거한 관련 정책을 개발 및 지원할

수 있다

본 조사는 이를 위해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수많은 나노 관련 연구들이 가장 중요한 미래 시장 규모 예

측에 있어 비교적 단순한 방법을 적용했음을 감안할 때 본 연구가 향후 국내 나노산업이

보다 체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단 현재 국내 나노

산업 매출 데이터가 아직 충분하지 않아 예측 결과값이 민감하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향후

지속적인 업데이트 과정을 통해 미래 나노산업 예측값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iv

Abstract

This study systematically predicts the size of the domestic nano-market using

quantitative model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 domestic nano-market will

grow to about 667 trillion won by 2025 By industry it is expected to form a

market of 150 trillion won for nanomaterials 511 trillion won for

nanoelectronics(devices) 13 trillion won for nanobiotechnologyhealthcare and 46

trillion won for nanotechnology equi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the nano-industry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policy development of nano-related government agencies and companies

1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rsquo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nano-market size based on a systematic

and scientific methodology This study predicted the market size of domestic nano-industry in

2025 by using a ldquoDiffusion Modelrdquo which is one of the quantitative models

In this process we proposed a comprehensive forecasting methodology that reflects the

general consumersrsquo perception of nanotechnology and nano-industry expertsrsquo opinions

As we predicted the sales of each industry of nanomaterials nanoelectronics(devices)

nanobiotechnologyhealthcare nanotechnology equipment the growth potential of each

industry was compared and analyzed Also sensitivity analysis that reflects various

expert opinions and several scenarios was conducted to include various potential changes

in the future nano-market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nano-related government

agencies and companies can proactively respond to the potential growth of the future

nano-market

v

2 Survey Method and Design

In this study we first summarized the results of nanotechnology perception survey by

general consumers(Step 1) After presenting the results to experts in nano-industry we

asked experts to estimate the sales of each nano-industry market over the next five

years(Step 2) We predicted the total sales of nano-industry market in 2025 by finally

incorporating the obtained expert estimates into the fundamental data of the diffusion

model(Step 3) We then conducted a sensitivity analysis of how the market predictions

could be different by changing the modelrsquos coefficients by various scenarios

3 Major Results

Most of the existing nano-industry size forecasts are predicted by simple methods

based on the past compound annual growth rate(CAGR) or by following the opinions of

overseas famous institutions and scholars For example the growth forecast of US $ 3

trillion in nano-industry in 2020 proposed by Dr Roco is widely used in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ports and newspaper articles However the part CAGR is

suitable for a stable industry that has already reached maturity and it is limited to apply

to the rapidly growing industries such as nanotechnology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size of domestic nano-market in a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method A quantitative model called the Diffusion Model a general consumer

survey and a qualitative method of nano-industry expert survey were combined to predict

the domestic nano-market size in 2025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the domestic nano-market is expected to grow to about 667 trillion won

in 2025 and is expected to grow 504 times as much as the 130 trillion won market as

of 2014 Assuming that the entire manufacturing industry maintains a CAGR of 26

between 2010 and 2014 the nano-industry which accounts for 89 of the total

manufacturing industry as of 2014 is expected to grow to 3368 by 2025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ximum and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소비자 인식조사 최종보고서

vi

minimum values of the expert estimates are applied to the diffusion model the

maximum value of the domestic nano-market size was estimated to be 811 trillion won

and the minimum value of 534 trillion won respectively

In addition this study devides the nano-industry into nanomaterials nanoelectronics(devices)

nanobiotechnologyhealthcare nanotechnology equipment and estimates the future size of each

industry First the nanomaterials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150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143161 in 2025 from about 105 trillion won as of 2014 The nanoelectronics

(devices)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511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42821 in

2025 from about 119 trillion won as of 2014 The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13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17951 in 2025 from about 700

billion won as of 2014 Lastly the nanotechnology equipment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46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25810 in 2025 from about 18 trillion won as of

2014

In terms of growth rate the nanomaterials industry is expected to have the greatest growth

potential followed by nanoelectronics(devices) nanotechnology equipment and

nanobiotechnologyhealthcare However if we revise the forecasts to reflect the large growth

of the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in 2014 the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is expected to reach about 46 trillion won in 2025 In this case the total size of

the domestic nano-market is expected to increase to 670 trillion won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the share of each industry the share of the nanomaterials industry in the

entire nano-market is estimated to be 2247 nanoelectronics(devices) 7665

nanobiotechnologyhealthcare 020 and nanotechnology equipment 068 This

demonstrates that the share of the nanoelectronics(devices) industry will be somewhat reduced

and that the share of the nanomaterials industry will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standards

as of 2014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and nanotechnology equipment industry

are expected to remain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2014

vii

4 Conclusion and Implications

This study predicts that the domestic nano-industry will continue to grow at a rapid

pace by 2025 The future market size forecast of nano-industry is the most basic

foundation of all nano-related poli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widely used as

fundamental data of various nano-industry statistics and forecasts and it can provide

in-depth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the growth direction and strategy of domestic

nano-market For instance a nanotechnology company can take advantage of the results

of this survey to respond appropriately to proper investment and personnel recruitment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growth of the nano-market Government agencies and research

institutes developing nano-related policies can also develop and support relevant policies

based on the potential size of future nano-marke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growth of the domestic nano-market is

approached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Given that many nano-related studies have

applied relatively simple methods to predict the most important future market size this

study will help the domestic nano-industry to develop more systematically in the future

However since the sales data of the domestic nano-industry is not enough yet the

forecast result value may be sensitively chang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forecast value of the future nano-industry through a continuous update process in the

future

ix

차 례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연구 방법론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2장 주요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1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2 세부 나노산업별 시장 규모 예측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3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변화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4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분석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1 신기술 확산 및 예측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2 소비자 수용 및 혁신 저항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3 산업전문가 활용 조사 방법론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4 나노산업 관련 이론 및 발전 동향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5 문헌연구 분석 결과 시사점 도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1 나노시장 예측 방법론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2 Diffusion Model 소개 및 적용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3 일반소비자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4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4

5 Diffusion Model을 적용한 나노산업의 미래 규모 예측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51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52 세부 산업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53 민감도 분석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1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2 시사점 도출 및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

3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소비자 인식조사 최종보고서

x

표차례

lt표 1gt 나노융합산업 분야별 매출액 현황 (단위 억원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lt표 2gt 현재와 미래의 중점과학기술 나라별 기술수준 기술격차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lt표 3gt 미래 면허증 보유자(포화시장규모) 예측 (단위 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lt표 4gt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단위 대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lt표 5gt 각 확산 예측 모형 별 오차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lt표 6gt 전체 시장 규모 대비 정부 투자 비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lt표 7gt Sheth(1981)의 저항 강도에 따른 혁신저항 4가지 유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lt표 8gt 전문가 델파이 분석의 설문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

lt표 9gt 중요도 및 난이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lt표 10gt 전문가 확신도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lt표 11gt 가상의 나노기술 적용제품 세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lt표 12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속성수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lt표 13gt 세 가지 나노기술 적용 제품군 별 구매의도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1

lt표 14gt 일반인 그룹의 컨조인트 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lt표 15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세 가지 제품군의 효용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lt표 16gt 본 연구의 기본 전제 및 해결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lt표 17gt 나노기술의 특징 품질 혁신성 이해 정도 비교 (동영상 시청전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lt표 18gt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추이 (단위 억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4

lt표 19gt 최종 나노산업 전문가 집단 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lt표 20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lt표 21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lt표 22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5

lt표 23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lt표 24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lt표 25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lt표 26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연도별 세부산업별 데이터 (단위 억원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lt표 27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lt표 2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2014년 예상 매출액 Vs 실제 매출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lt표 29gt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 성장 적용 시 예상 매출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lt표 30gt 나노산업별 p q 추정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lt표 31gt 혁신계수값 변화에 따른 나노산업 예측 규모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6

lt표 32gt 주요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8

xi

그림차례

lt그림 1gt 2020년 글로벌 나노시장 3조달러 자료를 인용한 신문 보도자료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

lt그림 2gt 과거 연평균 성장률 적용의 가상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lt그림 3gt 본 연구의 특징 및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lt그림 4gt 본 연구의 방법론 및 단계적 흐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lt그림 5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lt그림 6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단위 억원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lt그림 7gt 국내 나노소재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lt그림 8gt 국내 나노전자(소자)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lt그림 9gt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lt그림 10gt 국내 나노장비기기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lt그림 11gt 전체 나노산업 중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 비중 변화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lt그림 1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전문가 예상 매출액 보정 후 나노시장 총규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lt그림 13gt p q값을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으로 적용할 경우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lt그림 14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 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lt그림 15gt Bass(1969) 모형의 분석적 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lt그림 16gt 바이오칩 센서기술의 성장곡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

lt그림 17gt 모션플랫폼 확산 실제값 예측값 데이터 비교 세계와 한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lt그림 18gt 총 자동차 시장 대비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lt그림 19gt 세 모형 간 원데이터와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lt그림 20gt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lt그림 21gt 국내 RFID 확산 예측 모형과 실제 데이터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lt그림 22gt 각 모형별 확산 예측과 실제 데이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lt그림 23gt 델파이기법의 실행 절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0

lt그림 24gt 델파이 조사 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lt그림 25gt 생체인식 시스템 기술수준 중요도 난이도 종합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lt그림 26gt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도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lt그림 27gt 일반인과 전문가의 나노제품에 대한 지각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lt그림 28gt 일반인전문가 나노기술의 위해성 인식여부와 불안감여부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lt그림 29gt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나노산업 영향력 도출 방법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lt그림 30gt 나노기술 인식 조사 변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0

lt그림 31gt 일반 소비자의 나노기술 나노제품 사용 여부 인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lt그림 32gt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정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lt그림 33gt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과정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

lt그림 34gt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측값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lt그림 35gt 일반인 Vs 전문가 나노기술 인식 차이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lt그림 36gt 나노산업별 중요도 및 상대적 기술 수준 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소비자 인식조사 최종보고서

xii

lt그림 37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lt그림 38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최소값 평균값 최대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lt그림 39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lt그림 40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lt그림 41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5

lt그림 4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lt그림 43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lt그림 44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lt그림 45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최근 급속한 성장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lt그림 46gt 2025년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예상 매출액 (보정값)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lt그림 47gt 2025년 국내 나노산업별 비중 비교 (보정값)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lt그림 4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보정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산업 매출 예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lt그림 49gt 모든 산업이 나노전자 혹은 나노소재 산업 수준으로 성장할 경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lt그림 50gt 일반적인 소비재 제품의 혁신계수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lt그림 51gt 다른 연구(김진 고경일 2014)에서 추정된 p q 값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

lt그림 52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6

Table of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Summary of Research Methodolog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Chapter 2 Major Result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1 Summary of Forecasts of Total Domestic Nano-market Size in 2025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2 Summary of Market Size Forecasts by Sub-nano-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3 Summary of Sales Change by Nano-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4 Summary of Scenario-Based Sales Change Analysis Result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Chapter 3 Literature Review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1 Expansion and Prediction of New Technologi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2 Adoption Intention and Innovation Resistance of Consume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3 Industrial Experts-based Survey Methodolog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4 Nano-industry Related Theory and Development Tren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5 Drawing Implications from Literature Review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Chapter 4 Summary of Forecasts of Total Domestic Nano-market Size in 2025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1 Summary of Nano-market Forecast Methodolog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2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Direction of Diffusion Mod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3 Survey Results Summary of Nanotechnology Perception of Consumer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4 Survey Results Summary of Nano-industry Exper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4

5 Forecast Results of Future Nano-indudstry Size Applying Diffusion Model middotmiddot 79

51 Forecasts of Total Size of Nano-marke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52 Sales Forecast by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53 Sensitivity Analysis Scenario-based Sales Chang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Chapter 5 Conclusion and Implication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1 Summary of Result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2 Drawing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

3 Expected Effects and Application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

Referenc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제1장 서 론

1

제1장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나노산업의 성장이 계속되면서 나노기술 및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

가하고 있다 2016년 발표 자료1)에 따르면 2014년도 나노융합산업 매출액은 총

132조2930억원으로 전체 제조업 대비 약 9를 차지하였다 이는 지난 5년간 매년

연평균 107 성장한 수치이며 같은 기간 전체 제조업 매출액의 연평균 성장률

26보다 약 4배 정도 높은 성장률이다

lt표 1gt 나노융합산업 분야별 매출액 현황 (단위 억원 )

분야별 매출액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연평균 성장률

나노소재 87191 111370 96651 144391 104664 47

나노전자 770863 785380 1170282 1215753 1193383 115

나노바이오의료 2718 2934 4444 4126 7249 278

나노장비기기 19698 23170 19152 22669 17634 -27

나노융합산업 합계 880470 922854 1290529 1386939 1322930 107

제조업 합계 13395480 15023530 15114951 14957302 14865742 26

자료 2016년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일반적으로 나노융합산업이란 ldquo나노기술을 활용하여 나노융합제품을 생산하는

산업rdquo으로 나노융합제품은 ldquo100nm 이하의 크기에서 인위적 조작을 통해 혁신적

인 기능을 창출하는 제품rdquo으로 정의하고 있다 나노기술의 발전과 함께 시장에 새

롭게 출시되는 나노제품들이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도 나노산업의 발전은 계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나노기술이 향후 국민 소비와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할 때 나노산

업의 미래 성장 예측은 필수적이다 미래 나노시장의 규모 예측에 기반해 정부의

관련 정책 개발 및 기업의 투자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정부기

1) 2016년 12월 산업통상자원부가 국내 나노융합기업 59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발표한 ldquo2015 국내 나노융합산업 실태조사rdquo 결과 자료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

관 및 많은 나노관련 연구소들은 나노산업의 성장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

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 규모에 대해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KISTEP에서 발행한 한 연구 보고서2)에서도 언

급되었듯이 현재 나노관련 시장의 규모의 예측은 다양한 방식으로 추정되는 상

황이며 시장 전망 조사 전문 기관의 시장 예측 규모도 조사 기관 간에 매우 큰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추정하는 방법은 대체로 해외 유명 기관 혹은

학자의 예측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혹은 글로벌 예상 매출액에 단순히 목표

점유율을 계산하여 국내 시장의 미래 규모를 예측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나노비지니스 얼라이언스(NanoBusiness Alliance) 나노기술산

업 컨설팅사인 럭스리서치(Lux Research) 일본 미쯔비시 연구소 등에서 발표하는

나노관련 시장의 규모 및 성장률 자료를 그대로 인용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Roco 박사가 제시한 2020년 글로벌 나노시장 3조달러 예상(Roco et

al 2010) 수치는 국내 다양한 연구기관과 신문 보도 자료들에서 여러 차례 활용

되고 있다

lt그림 1gt 2020년 글로벌 나노시장 3조달러 자료를 인용한 신문 보도자료들

2) 김석필 외(2014) ldquo나노기술 상용화 현황 진단과 혁신과제rdquo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연구보고 2014-016

제1장 서 론

3

그런데 이와 같은 자료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과거 나노산업의 연평균 성장률

(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을 대입하여 단순하게 미래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했다는 것이다 즉 과거의 성장률을 기반으로 미래의 시장을 예측하

는 방법을 활용한 것이다

이 방법은 다양한 산업에서 비교적 쉽게 사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나노산업 이

외에도 일상적으로 자주 활용되는 방법이다 하지만 연평균성장률 적용 방법은

성숙기에 접어든 안정적인 산업 혹은 저성장 산업에 적용할 경우 보다 적합한 방

법이다 일례로 아래 그림과 같은 두 가지 가상의 예를 제시할 수 있다

lt그림 2gt 과거 연평균 성장률 적용의 가상 예

위의 두 경우 연평균성장률은 115로 동일하다 하지만 성장 패턴을 비교할

때 왼쪽 나노전자(A)의 경우 향후 추가적인 성장이 기대되지만 오른쪽 나노전자

(B)의 경우 점차 하락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즉 두 가지 사례가 서로 다른 모습

의 성장 과정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연평균 성장률은 시작값과 마지막값의 차이

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같은 수치를 보이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이미 충분히 성장한 성숙기 산업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

을 수 있다 어느 정도 성장이 완료된 이후에는 성장 패턴에 큰 차이가 없기 때문

에 과거 연평균 성장률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연구의 초점인 나노산업의 경우 현재 급속한 성장이 진행되고 있으며 세부 산업

별 성장 패턴도 다양한 편이다 즉 과거 연평균 성장률이 미래에도 안정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실제로 2020년 3조달러 시장을 제안했던 Roco 박사도 2014년 한 발표에서 2011

년 이전 연평균 성장률 25를 보였던 나노산업이 2011~2013년 전세계적으로 연평

균 44 성장했다고 하였다(Roco 2014) 즉 과거의 나노산업 성장 예측 기대치보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

다 최근 더욱 빠른 성장세가 발견된 것이다 이 역시 과거 연평균 성장률이라는

단순한 계산에 의해 나노산업의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한계가 있을 수 있음 보여

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문제점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보

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하고자 한다 우

리나라가 앞으로 나노 선진국으로 한 걸음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 해외 자

료에만 의존할 수 없다 이제 국내 독자적으로 나노시장을 예측하고 미래 시장

규모에 적절한 체계적 대응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나노시장

의 규모 예측은 모든 나노 관련 정책의 가장 밑받침이 될 것이기 때문에 본 연구

와 같은 시도는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처럼 나노시장 예측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국내 나노관련

연구들은 기술 중심 현황 분석 중심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예를 들어 국내외

나노산업의 단순 현황(ex 산업별 매출액 나노융합기업 사업체 수 고용인원

RampD투자액 등)을 조사하거나 기술 발전 동향 조사 나노기술의 부작용 위험성

조사 사업화 역량 조사 등이 주를 이루었다 즉 다른 산업의 연구에 비해 계량적

이고 체계적인 연구 및 방법론 활용이 부족하였고 무엇보다 가장 기본이 되는 수

요예측의 과학적 접근이 부족하였다

국내 나노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이제 계량적이고 체계적인 모형을 활

용한 예측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에서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의

견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아직 시장 데이터가 불충분하고 불확실성이

높은 나노산업의 시장 규모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산업을 가장 잘 이해하는 전문

가들의 의견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는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도 연구 결과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초기 시장을 지나 본격적인 성장기로 돌

입하기 위해서는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혜택 이해와 수용이 필수적이라고 판

단했기 때문이다 기존 문헌에서도 새로운 과학기술과 관련된 산업에서는 다양한

구성원들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예를 들어 오미영 외(2008)의 연구

에서도 과학 기술이 사회 경제적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사회 구성원들에 대한 이

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이라는 계량적인 모형을 활용해 보다 체

계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미래 규모를 예측하고자 한다 또한 나노산업

이 아직 초기 단계에 있음을 반영하여 산업 전문가 조사와 일반 소비자 조사의 의

제1장 서 론

5

견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수요예측 방법론을 제안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나노산업

의 미래 예측 결과를 통해 향후 나노 관련 정책 개발 및 나노기업의 전략 설정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논의한 본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량적 모형을

활용한 과학적인 나노기술 확산 및 성장 예측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계량적 모

형과 함께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과 최종 소비자 의견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고자

한다 셋째 다양한 서베이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정책 개발을 위

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lt그림 3gt 본 연구의 특징 및 목적

또한 본 연구는 보다 완성도 있는 결과물을 위해 특별히 다음의 세부 요건들을

최대한 만족하는 연구 결과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나노기술

이 특정한 최종 제품에만 적용되는 타겟 기술이 아닌 ldquo기반 기술rdquo이라는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둘째 나노산업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현업 전문가들의 의견

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셋째 나노기술의 확산을 위해 나노기술에 대한 지식 수

준이 낮은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을 모형에 적절히 반영해야 한다 넷째

전반적인 예측 과정의 논리적 흐름이 설득력 있고 간결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

2 연구 방법론 요약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의 연구 과정을 통해 최종적인 나노기술의 산업 영향력

을 도출할 계획이다 이를 그림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4gt 본 연구의 방법론 및 단계적 흐름

우선 본 조사는 나노제품을 사용하는 최종 소비자인 일반 사람들의 나노기술 인

식 정도를 측정할 것이다(Step 1) 특별히 나노기술에 대한 혜택 비용(혁신저항)

신뢰도 수용의도 등의 변수를 분류하고 이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측정할 것이다

이후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를 실시한다(Step 2) 나노산업을 통계청 기준에 따라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의 네 가지 산업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각 산업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상액

과 각 산업의 중요도 기술수준 평가 등을 실시한다 특이한 점은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앞서 실시한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결과를 제시한다는

것이다(그림 4에서 점선 표시)

이는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지나치게 기술 중심적 사고를 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시장을 예측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나노기술

의 경우 소비자의 잠재적 위험 인식이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고려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소비자의 인식도를 살펴본 후 관련 나노산업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

제1장 서 론

7

집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예측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지금까지의 두 가지 기본 조사를 완료한 후 본 조사의 핵심 내용인 국내 나노

시장의 미래 시장 규모를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예측한다(Step 3) 이 과정에

서 앞서 얻어진 산업 전문가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측값을 입력 자료로 포함하

여 최종적인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의 총규모와 산업별 규모를 예측한다

이와 같은 방법론을 시도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연구의 Diffusion

Model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장 매출액 초기값들이 필요하다 하지

만 현재 시장에서 집계된 나노산업 매출액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단 5년간의

데이터만 활용 가능하다 이 경우 데이터 부족으로 불안정한 추정값이 도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 나노산업의 특성을 반영해 시장을 가장 잘 파

악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나노산업 전문가의 단기적 미래 예측(2015~2018년)값을

수집해 최종적인 모형에 적용할 입력 자료의 양을 늘리고자 한다

물론 산업 전문가에게 더 많은 기간의 미래 예측값을 얻어낼 수도 있지만 불확

실성이 높은 성장 산업에 대한 중장기적 예측의 어려움을 감안해 향후 몇 년 간의

값만을 수집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일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단 이 경우 앞서 설

명한바와 같이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혹은 지나치게 기술

중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예측값을 제시하여 결과값이 과대 추정될 우려가 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일반적인 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조사

를 먼저 실행하여 해당 결과를 전문가에게 제시한 후 단기적 미래 예측값을 응답

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을 통해 본 연구는 나노산업의 초기적인 특징을 반영하면서

최대한 종합적인 시각에서 체계적으로 국내 나노산업 시장 규모를 추정하고자 계

획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계량적인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향후 나노

산업의 성장 및 영향력을 예측하는데 이 과정에서 최종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및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적극 활용할 것이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2025년 국내

나노산업의 총규모를 예측한다 그리고 산업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한 시나

리오 분석을 통해 민감도 분석을 실시할 계획이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

제2장주요 결과

1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요약

Diffusion Model 일반소비자 조사 전문가 의견조사를 종합한 방법론을 활용하

여 국내 나노산업의 매출 규모를 예측한 결과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은 약 667조

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대비 504배(504) 성

장 전망된 것이다 또한 전체 제조업이 2010~2014년 동안의 연평균성장률 26를

계속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 제조업 총매출에서 나노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89에서 2025년 3368 수준으로 비중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5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lt그림 6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단위 억원 )

제2장 주요 결과

9

2 세부 나노산업별 시장 규모 예측 요약

나노산업을 각 세부 산업별로 나누어 분석할 경우 우선 나노소재 시장은 평균

값 기준 202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

재 약 10조5천억원 대비 14316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lt그림 7gt 국내 나노소재 산업 매출액 전망

나노전자(소자)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511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19조원 대비 4282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

이다

lt그림 8gt 국내 나노전자(소자) 산업 매출액 전망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

나노바이오의료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1조3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되

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7천억원 대비 1795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lt그림 9gt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매출액 전망

나노장비기기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4조6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되었

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조8천억원 대비 25810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lt그림 10gt 국내 나노장비기기 산업 매출액 전망

제2장 주요 결과

11

3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변화 요약

본 연구의 예측치를 바탕으로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 비중을 비교하면 2014년 대

비 2025년 나노소재 산업의 매출 비중(791rarr2247)이 증가하고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매출 비중(9021rarr7665)이 하락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나노바이오

의료 산업과 나노장비기기 산업은 여전히 작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lt그림 11gt 전체 나노산업 중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 비중 변화 추이

4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분석 결과 요약

본 연구는 몇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2014

년도 급격히 성장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성장세를 감안하여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전문가 예상 매출액을 보정하여 예측한 결과 나노산업의 총매출 규모는

667조원에서 670조원으로 다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lt그림 1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전문가 예상 매출액 보정 후 나노시장 총규모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2

한편 만약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소재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

년 국내 나노산업은 평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또한 모

든 나노시장이 나노전자(소자)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

준 약 14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lt그림 13gt p q값을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으로 적용할 경우 민감도 분석

마지막으로 정부의 투자 지원 확대 등으로 나노시장의 혁신계수(P)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에는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lt그림 14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 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3

제3장관련 문헌 연구

1 신기술 확산 및 예측 연구

일반적으로 제품 서비스 기술에 대한 수요예측 방법론은 정성적인 방법론과

정량적인 방법론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성적 방법으로는 설문조사방법 주관적

예측방법 비교유추방법 등이 있으며 정량적인 방법론은 Bass 확산모형 Logistic

곡선모형 Gompertz 곡선모형 등이 있다 정성적 방법론은 주로 기존 시장의 자료

가 충분히 존재하지 않아서 수리적 모형화가 어려울 경우 소비자나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진행된다 반면 정량적 방법은

기존 시장 자료가 존재하고 이에 대한 통계적 분석이 가능할 경우 분석 자료를 통

해 앞으로의 수요패턴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정성적 방법론(qualitative method) 중 하나인 비교 유추법이란 미래 수요예측이

어려울 정도로 과거의 시장자료가 충분치 않을 때 원하는 제품과 유사한 제품의

시장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요패턴을 예측하거나 해당 제품이나 기술이 먼저 보

급화된 선진국의 수요패턴과 비교하고 답을 유추하는 과정을 통해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정성적 방법 중에는 전문가의 의견을 활용하는 주관적 예측법(subjective

estimation)이 존재하는데 이는 미래수요를 예측하고자 할 때 해당 제품 기술과

관련된 분야의 전문가들(기술담당자 마케팅 실무 담당자 관련된 기관에 근무하

는 전문가 등)의 의견을 통해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래 수요예측을 진행하며

이 주관적 예측법에는 브레인스토밍 델파이법(Delphi method) 등이 포함된다 이

중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브레인스토밍 기법은 과거에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

었지만 최근 사용되는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이며 최근 델파이 기법을 통해 정성

적 수요예측을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델파이 기법의 핵심요소는 전문가들

의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수요판단에 있

어서 다른 정성적 방법 중 비교적 객관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델파이 기

법은 분석과정에서 미래예측결과를 조사하고 또한 확인하는 과정을 다시 거치기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4

때문이다 따라서 정량화가 어려운 경우에도 나름대로 높은 신뢰성을 갖는 통계

를 보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수요예측 방법론으로는 정량적 방법(quantitative method)이 존재하는

데 과거 시장자료가 존재할 경우 이 데이터를 통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수요패턴을 예상하는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이 범주에는 시계열 모형 계량경제

모형 성장곡선 모형 등이 있다 시계열 모형은 시계열 자료에 대한 자기상관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생성되는 모형으로 대표적인 모형은 Box Jenkins의 ARIMA 모형

이며 주로 월별 매출의 변동과 같은 단기예측을 위해 사용된다 계량경제모형은

시장의 수요를 예측하려 할 때 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경제 변수

들을 파악하고 이들의 상호적 관계를 수식화해 regression하는 방법을 말한다 마

지막으로 성장곡선 모형은 신기술 신제품의 시간적 누적된 수요량의 궤적이 성

장곡선과 유사하게 완만한 S자형 모형의 곡선 형태를 보이는 점에 착안하였으며

Logistic 모형 Gompertz 모형 Bass 모형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성장곡선은 전염

병과 세포증식과 같은 생물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모형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1960년대부터 탁월한 수요예측 능력과 유용성을 인정받고 신제품 신기

술 서비스의 수요예측에 사용되어져 왔다 기술의 성장을 예측하는데 주로 활용

되는 Logistic 모형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Y는 t 시점에서 존재하는 기술 수준 k는 극한의 기술값을 뜻하며 α와 β

는 성장의 형태를 결정하는 계수를 의미한다 기술성장의 그래프 역시 기술의 극

한값 k를 기준으로 S-Curve의 곡선을 나타내게 된다

t⁰는 기술 수준의 최대값을 나타내며 이는 기술의 성숙기라고 표현할 수 있다

당기 기술수준의 최대점은 누적곡선의 변곡점이라 할 수 있으며 tsup1은 당기 기술

의 변곡점이다 이 때는 주로 성장기에 해당하며 본격적으로 해당기술이 개발되는

시점을 의미한다 성숙기와 성장기는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5

또한 곡선의 완만한 형태를 결정하게 되는 모수로는 α β가 있는데 K(기술의

극한값)가 일정할 경우 t의 시점에 따른 기술 Y가 추정이 가능하다 Logistic 곡선

은 선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α β가 추정 가능하다 Pearl과 Reed가 개발한 성

장곡선모형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Y(K-Y)는 기술변화

의 속도를 나타내며 해당 기술 발전의 속도가 현재의 기술 수준이 최대값의 기술

수준이 되기까지 남아있는 기술혁신에 해당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Gompertz 모형

은 Logistic 모형처럼 변곡점을 가지고 있지만 변곡점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비대

칭적 S자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장점으로는 좌우 대칭이라는 특성으로

해당 시장의 정확한 상황을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때 Logistic 모형과 비교해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Gompertz 모형은 변곡점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기술이나 제품 초기에 많은 성장을 보이는 경우 Logistic 모형보다 적

합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함수식은 다음과 같다

Gompertz 모형은 첨단기술 제품의 수요예측에 많이 사용되며 최근 기술발전으

로 제품 생애주기(Life Cycle)가 짧은 형태를 보임에 따라 신제품 또는 신기술의

빠른 성장을 예측하는데 더 나은 예측력을 보일 때가 많다

신제품의 수요 확산 예측을 위해 개발된 모형 중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모

형으로는 Bass가 개발한 최초구매 확산모형(First-Purchase Diffusion Model)을 말

할 수 있다 Bass 모형 연구는 내구재(TV 세탁기 등)를 제품으로 선정하였기 때문

에 소비자들이 이들 제품을 반복구매하는 상황보다는 한 개의 제품을 최초구매하

는 상황을 가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제품 수용자들의 수는 신제품의

판매숫자와 같다고 보았으며 잠재수용자들은 대중매체나 다른 사람들의 구전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영향을 받고 제품을 수용한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수용자들은 내부적 영향(구전 커뮤니케이션)과 외부적 영향(대충매체 커뮤니케이

션)의 영향에 따라 신제품을 수용하며 수용 시기에 따라 처음 수용하는 사람들을

혁신자 집단(innovators) 나머지 수용자들을 모방자 집단(imitators)으로 나누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6

Bass 모형은 아직까지 신제품을 수용한 경험이 없는 잠재구매자가 특정시점(t 시

점)에서 신제품 수용할 해저드함수(조건부함수)를 표현하며 이 함수식은 다음과

같다

이때 p는 혁신계수(Coefficient of Innovation) q는 모방계수(Coefficient of

Imitation) f(t)는 시간 t에서의 수용 확률 F(t)는 시간 t에서의 누적되는 수용 확률

을 의미한다 이때 특정시점(t 시점)에 신제품을 수용 채택하는 잠재구매자의 숫

자 s(t)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계산이 가능하다

이처럼 Bass 모형은 신제품 신기술이 최초로 채택되어 수용될 확률은 이전의

구매자 숫자의 선형함수라고 말한다

lt그림 15gt Bass(1969) 모형의 분석적 구조

BASS 확산모형은 잠재 시장 크기를 뜻하는 M 혁신계수를 뜻하는 P 모방계수

를 뜻하는 Q와 같이 세 개의 모수가 존재하는데 M은 해당 제품의 시장 최대 수

용치를 말하며 P는 대중매체와 같은 광고의 외부적 영향에 따른 계수이며 Q는

구전효과와 같은 내부적 영향에 따른 계수라 할 수 있다 Bass 모형은 Logistic 모

형이나 Gompertz 모형에 비해 모형의 세 모수가 모두 명확하고 객관적 해석이 가

능하여 의미 있는 결과 도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Logistic 모형과 Gompertz 모형을 적용한 연구로는 한민규 외(2010)의 바이오칩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7

센서기술 성장 예측 연구가 있다 이들은 국내의 미래 성장 경쟁력과 국가적 지위

향상을 위해서는 국가 수준에서 과학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현

재 국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과학기술의 데이터를 통해 현 상태를 파악하고 선진

국과의 기술수준차이 수준차이 요인 및 이를 줄이기 위해 필요한 조건 등을 파악

하고 한정된 자원의 효과적 배분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저자들은 기존 기술

수준을 평가한 연구들이 델파이 기법과 같은 방법론으로 조사한데 반해 기술성장

모형(Technology Growth Model)을 도입하여 기술수명주기에 따라 기술의 성장 모

습을 예측하였다 이들은 델파이 모형과 더불어 S-curve 모형 중 특히 Logistic모

형인 Pearl 모형과 Gompertz 모형을 사용하여 각각의 모형을 비교해 연구를 진행

하였다 기술수준의 현재와 미래 예측 분석결과 해당하는 기술의 궁극적 최대 기

술수준이 100라면 2008년 기준 국내 전체 과학기술 수준은 564 최고 기술보

유국과의 기술의 격차는 66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3년(이 연구는 2008년에

진행됨)을 예측해 보았을 때 한국과 중국은 최고기술보유국인 미국과의 격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본과 유럽연합은 미국과의 격차가 늘어나는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이는 국내의 과학기술 수준이 급격한 발전을 이룰 것이라

는 것을 전망한다

2008년 2013년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한국 564 66 635 63

미국 766 00 809 00

일본 704 17 755 20

중국 469 93 549 87

EU 729 11 776 14

lt표 2gt 현재와 미래의 중점과학기술 나라별 기술수준 기술격차 예측

자료 한민규 외(2010)

저자들은 이중 특히 바이오칩 센서기술 수준을 중점적으로 평가하였는데 바이

오 분야의 12가지 중점적 과학기술의 2008년 현재와 2013년 미래예측 기술수준

기술격차를 분석하였다 바이오칩 센서기술은 현재 최고기술 보유국인 미국와의

기술격차가 적은 편이었으며 2013년에는 이러한 기술 격차가 더욱 적어질 것으

로 예상되었다(바이오칩 센서 기술격차 2008 61년 -gt 2013 43년) 이는 바이오

칩 센서 분야의 기술이 세계적인 국가와 더욱 적은 기술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8

빠른 기술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분야를 지원한다면 세계 최고수준으로 오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lt그림 16gt 바이오칩 센서기술의 성장곡선

자료 한민규 외(2011)

기술성장곡선을 통해 도출해낸 기술수명주기의 경우 Pearl 모형의 경우 35년

Gompertz 모형의 경우 28년(Gompertz)을 도출하였으며 기술 발전 속도의 경우

Pearl 모형은 0158 Gompertz 모형의 경우 0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바이

오 분야의 다른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기술수명주기와 더욱 빠른 기술발

전 속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기술적 사회적 실현시기의 측정값이 다

른 바이오 분야의 기술 중 가장 빠른 2015년 2020년으로 나타난 점을 통해서도

나타났다 한민규 외(2010)의 연구는 기술성장모형(Pearl Gompertz)을 활용 현재

기술수준을 평가하고 수치적으로 기술수준의 미래를 평가한 연구이다 기술성장

모형은 기술에 대한 절대적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술을 더욱 객관적으로 관

측할 수 있게 도와주는데 각각의 기술분야를 세부적으로 보고 해당 분야의 미래

기술수준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해당 연구는 높은 시사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성장곡선 모형 중 Bass 모형을 적용한 연구는 권순동 이승률(2015)의 연구가 있

다 최근 스마트 공장과 같은 기술을 통한 자동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9

문에 자동화에 필요한 자동제어 생산자동화기기와 같은 모션컨트롤러장치의 필

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유럽이나 미국의 소프트웨어 컨트롤러 장치인 PLC기반 모

션컨트롤러의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는 아직 PLC의 국제표준을 완벽히

충족하는 제품의 출시가 이뤄지지 않고 있지만 전자부품연구원과 생산기술연구

원을 중심으로 이러한 국제표준을 지향하는 lsquo한국형 오픈소스 모션플랫폼

(KOSMOS)rsquo의 기술개발이 2016년 완료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으며 2017년 상용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KOSMOS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을 개발함과

동시에 제품의 기술확산을 예측하는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연구

를 진행하였다

이들은 2000~2014년까지 출원된 한국 일본 미국 유럽의 모션플랫폼 분야 기

술 모션제어기 분야 기술의 특허데이터를 확인하고 여기에서 나온 세계 데이터

와 한국데이터를 확인해 향후 20년의 특허정보를 예측하였다

lt그림 17gt 모션플랫폼 확산 실제값 예측값 데이터 비교 세계와 한국

세계 시장 한국 시장

자료 권순동 이승률(2015)

수집된 특허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Bass 모형으로 추정된 특허데이터의 산출 예

측값과 실제데이터를 비교분석한 결과 그림과 같이 실제데이터와 예측데이터 값

이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데이터와 Bass 모형을 통해 산출한 예측

데이터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냄에 따라 2035년까지의 PLC 기술(특허정보) 미

래 확산 예측을 실시하였다

세계 PLC관련 기술의 확산은 성숙기 단계로 접어들어 이미 변곡점을 넘은 것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0

알 수 있었으며 국내 PLC 기술의 추세는 성장기이며 기술확산의 속도가 더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확산의 포화상태의 경우 세계 데이터는 2025년을 국

내의 경우 2035년으로 10년이 넘는 격차를 예측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권순동 이승률(2015)의 연구는 PLC 기술 특허정보를 통해 기술확산

을 분석하였는데 국내의 경우 2030년이 넘어서야 기술 성숙기에 이를 것으로 예

상되기 때문에 기술격차를 줄이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ass 모형을 통해 실제데이터와 예측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실제와 매우 유사한 결과값이 나타난 점을 보았을 때 기술의 확산을 예측할

때 Bass 모형의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Bass 모형

의 모수추정에 있어 해당 산업의 전문가의 검증을 거치지 않았다는 점은 한계점

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ss 모형을 적용한 또 다른 연구로는 채현석 정재우 김종달(2016)의 전기자동

차 미래 수요예측 연구가 있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이미 19세기 초반에 내연기관

차보다 먼저 생산되어졌지만 당시 값싼 연료들이 나타나고 내연기관자동차가 시

장의 대부분을 장악한 필수품으로 거듭나면서 쇠퇴의 길을 걷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석유의 고갈문제 미세먼지를 비롯한 지구의 환경문제 등이 대두되면서 전

기자동차에 대한 이슈와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많은 회사들이 전기자동차를 개발

출시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채현석 정재우 김종달(2016)은 내연기관자동차

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는 전기자동차의 미래 누적수요를 Bass의 Diffusion 모형

을 사용하여 도출하였다

저자들은 기존 확산모형에서 포화시장의 규모를 고정시키지 않고 시간의 흐름

에 따라 상이하게 변화하는 포화시장을 적용하였는데 포화시장의 규모는 면허증

을 소지한 사람 수의 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미래 면허증 소지자 수를 예측하여 미

래의 연도별 포화시장의 규모를 설정하였다 이를 적용한 식은 다음과 같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1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성인인구 43304264 43736407 44145684 44529637 44822001 45051984

면허보유율 77262 78424 79586 80748 81910 83072

면허보유자 33457740 34299840 35133784 35956791 36713701 37425584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포화시장의 연도별 규모가 예측되었다

lt표 3gt 미래 면허증 보유자(포화시장규모) 예측 (단위 명)

구 분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성인인구 45253078 45401266 45546834 45724037 45930854 46096786

면허보유율 84234 85396 86558 87720 88882 90044

면허보유자 38118478 38770865 39424429 40109125 40824262 41507390

구 분 2030 2031 2032 2033 2034 2035

성인인구 46240946 46411167 46561300 46715986 46894600 47098744

면허보유율 91206 92368 93530 94692 95854 97016

면허보유자 42174517 42869067 43548784 44236301 44950350 45693317

자료 최현석 외(2016)

또한 혁신계수(p)값과 모방계수(q)값을 도출하기 위해 일본의 자동차기업인 도

요타 하이브리드의 과거 판매자료를 이용하였는데 이는 국내의 경우 전기자동차

의 판매량을 조사한 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혁신계수 모방

계수 값을 도출하였다(p= -0000123863 q= 01643282595)

과거 도요타 하이브리드 차량 데이터로 얻은 혁신계수 모방계수 값과 연도별

면허증 소지자 숫자인 포화시장 규모 예측값을 바탕으로 전기자동차의 총 누적

수요예측을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누적수요 5096472 9653628 13733868 17391699 20645273 23540681

lt표 4gt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단위 대수)

구 분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누적수요 26130695 28435214 30515473 32426076 34195417 35794262

구 분 2030 2031 2032 2033 2034 2035

누적수요 37253808 38629215 39897785 41092584 42242486 43359991

자료 최현석 외(2016)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2

lt그림 18gt 총 자동차 시장 대비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자료 최현석 외(2016)

결과적으로 미래 전기자동차는 2035년에는 내연 기관자동차들을 대신해 자동차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채현석 외(2016)의 연구에서는 포화

시장의 예측을 기존 자동차 면허증 소지자의 데이터를 토대로 미래 면허증소지자

의 숫자를 예측하는 방식으로 산정하였다는 점이 흥미롭다고 할 수 있는데 혁신

모방계수의 산정을 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판매데이터 부족으로 일본의 도요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일본 내 판매량을 바탕으로 p q 값을 도출해 내었다는 한계

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기술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을 모두 사용

한 연구로는 남기웅 외(2009)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O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

술들의 미래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기술예측 연구들은 델파이 기법

과 같이 전문가들의 직관에 의해 산정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러한 방법론은 많

은 시간과 비용과 소수전문가에 의한 왜곡으로 인해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과학적인 예측을 위해 정량적 예측을 사용하였다 또한 저자들은 특

허 데이터의 예측을 통해 미래기술 동향을 예측하였는데 이는 특허의 경우 일정

기간 동안 해당 기술을 독점할 지배권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기술의 발전과

성과의 정보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남기웅 외(2009)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미래수요(특허)예측 값의 확산 모형별 비

교는 다음과 같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3

lt그림 19gt 세 모형 간 원데이터와 비교

자료 남기웅 외(2009)

원래의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특허숫자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통해 확산 모

형에 대입했을 때 현재 데이터의 추정값의 비교는 위와 같다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 중 원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예측력을 보인 모

형은 Bass 모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자들은 Bass 모형을 적용하여 미래 차세

대 디스플레이 기술 수요의 예측을 진행하였다

그래프를 보면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확산(특허숫자)은 2032년까지 꾸준하게 증

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32년 이후로는 기술개발이 멈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이 포화기에 들어섰다고 할 수 있으며 성장상한치인 4237개와 2032년

예상 특허 숫자인 4230이 매우 유사한 것으로 보아 기술 완성단계에 접어들었다

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품과 기술의 확산예측에는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이 주로

사용되는데 Gompertz Logistic 모형의 경우 비교적 모형이 단순하고 사용이 간편

한 장점이 있지만 이들 모형은 시장에서 내부효과에 따른 확산만을 분석하기 때

문에 성장의 최대 상한 값을 추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성장

최대값을 전문가의 의견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문제가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4

lt그림 20gt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예측

자료 남기웅 외(2009)

반면에 Bass 모형의 경우 내부효과 뿐만 아니라 외부효과 또한 확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남기웅 외(2009)의 연구에서 더욱 정확한 예측력을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을 비교 적용한 연구로는 손동민 문

성현 정봉주(2014)의 국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시장 확산 예

측 연구가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물건이나 사람 등과 같은

객체들을 식별하는데 무선주파수인 RF 신호를 이용하는 비접촉식의 인식기술로

유비쿼터스 시대가 2000년대 초반 도래하면서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RFID는

우리가 생활하는데 필요한 모든 분야에 혁신적 기술이 될 것이라고 기대되고 있

으며 이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는 지속적으로 관련 기술을 개발 표준화 사업을 장

려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RFID의 확산에 대

한 성공사례가 부족하고 2003년부터 정부가 RFID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등의 노력

을 기울였지만 확산은 지지부진한 형태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손동민 문성현

정봉주(2014)는 현실적이고 정량적인 국내 RFID의 확산 예측을 위해 세 가지 확산

모형을 적용하고 가장 설명력이 높은 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003~2012의 국

내 RFID 시장의 자료를 바탕으로 예측을 진행하였으며 여기서 도출된 확산 예측

값과 실제 데이터값을 비교하였는데 Bass 모형이 가장 예측오차가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5

Bass Logistic Gompertz

1750 6740 4136

lt표 5gt 각 확산 예측 모형 별 오차율

자료 손동민 외(2014)

lt그림 21gt 국내 RFID 확산 예측 모형과 실제 데이터의 비교

자료 손동민 외(2014)

그런데 그래프를 보면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2003년 -2007년까지 실제 시장

성장이 Bass 확산 모형보다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확산 초기 정부의 적극적

인 투자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되며 RFID 시장초기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시장 확산에 효과를 보였지만 2008년 이후로는 그 효과가 반감되었음을

나타낸다 하지만 다른 해석으로는 초반 정부의 시장투자율이 2007년을 기점으로

준 것은 정부투자보다는 자가 성장이 가능한 시장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라는 해석

이 가능하다 실제로 2005년 대비 2007년의 정부의 절대적 투자액수는 2배로 증가

하였지만 전체 시장대비 투자비율은 3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표는 정부

의 비중 감소를 나타낸다

2003 2004 2005 2006 2007

086 035 020 027 018

lt표 6gt 전체 시장 규모 대비 정부 투자 비율

2008 2009 2010 2011 2012

025 015 011 008 005

자료 손동민 외(2014)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6

이것은 곧 RFID 시장이 2007년 본격적 성장기에 접었다는 것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부의 비중 감소라는 시장의 특성 변화를 감안하여 2007년 이후의 예측

값을 다시 예측하였는데 그 예측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lt그림 22gt 각 모형별 확산 예측과 실제 데이터 비교

자료 손동민 외(2014)

저자들은 Bass 모형의 예측오차를 더욱 줄이기 위해 정부의 투자 변화라는 시장

의 특성 변화를 토대로 수정된 확산 예측 모형을 도출하고 결과적으로 국내 RFID

의 확산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의 세 가지 확산 모형

을 사용한 결과 Bass 모형이 가장 우수한 설명력을 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2 소비자 수용 및 혁신 저항 연구

21 신기술에 대한 소비자 수용 연구

혁신기술이나 신기술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들은 주로 사회심리학적인 이론에 근거하여 신념이나 태도 행동의도 등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신기술 수용과 관련하여 소비자의 수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

해 제시한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Fishbein and Ajzen(1975)의 합리적 행동이론

(TRA) Ajzen(1985)의 계획된 행동이론(TBP) 등이 있으며 특히 Davis(1986)의 기술

수용이론(TAM)은 소비자의 수용의도를 설명하는데 있어 상당히 적합한 모델로

인정받아오고 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7

Fishbein and Ajzen(1975)이 제시한 합리적 행동이론(TRA Theory of Reasoned

Action)은 최초 사회심리학 분야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 신기술수용 분야에까지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진 모델로서 개인의 행동의도는 행동을 결정하며 행동의도

는 개인의 태도 및 주관적 규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이론이다 소비자의 수용

의도는 신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외부변수들이 주관적 규

범이나 태도를 통해 영향을 받게 된다 기본적으로 행동의도는 태도와 주관적 규

범에 의해 결정이 되며 행동의도는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태도를 결정하는 것은 개인적 평가와 행위적 신념이며 태도는 행위를

수행하는 결과이다 그리고 주관적 규범은 사회적 압력과 관련되어지며 개인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집단과 어울리려 하는 개인적 동기나 준거집단에서

느끼는 규범적 신념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이처럼 합리적 행동이론은 인간이 실제로 어떻게 행동하는지 인간의 행위를 설

명하고 이해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특정한 상황에서 이용행동이나 수용의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연구하는데 적합한 모델로 인식되어 Davis의 기술수

용모델에 적용되어졌다

Ajzen(1985)이 제시한 계획된 행동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r)은 합

리적 행동이론에 사용자의 지각된 행동통제라는 개념을 추가한 이론으로 여기서

행동통제라는 것은 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용이한 정도에 대해서 사람들이 어떻게

인지하는지와 관련된 것이다 개인은 행동을 수행할 때 주관적 규범이나 태도뿐

만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행동이나 능력이나 필요한 원천 등을 가진 뒤에야 자신

의 뜻대로 그 행동을 컨트롤할 수 있다고 인지하게 되며 그것이 형성되면 마침내

행동의도를 형성하게 된다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행동의도에 영향

을 주는 변수들로는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통제이다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태도는 행동에 대한 태도로 특정 행동에 대해서 개인이 호의적으로 느

끼거나 비호의적으로 느끼는 평가를 의미한다 그리고 태도는 행동에 따른 결과

로서 개인이 갖는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것을 말한다 주관적 규범은 행위를 하는

사람이 어떠한 행동을 행하는 것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할 것인지를 말하는 것으로 사회

적 압력에 대한 인식으로 바라볼 수 있으며 본인이 그러한 반응을 얼마나 잘 받아

들일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행위통제는 Bandura(1977)의 자기

효능감(self-efficacy)과 비슷한 의미로 개인적인 신념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것은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8

자신이 어떠한 행동을 할 때 그 행동을 얼마나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

한 인식을 말한다(Bandura 1982) 이처럼 계획된 행동이론은 합리적 행동이론의

확장한 것으로 합리적 행동을 설명하는 변수인 태도와 주관적 규범의 선행요인을

바탕으로 여기에 인지된 행위통제를 추가하여 만들어진 이론이다 계획된 행동이

론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행동의도를 측정하는 경우가 많지만 행동 자체에

대한 측정에는 소홀한 편이었다 이것은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검증한 결과

로 행동의도와 행동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Ajzen 1988 Canary

and Seibold 1984 Fishbein and Ajzen 1981) 이 이론의 강점은 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소 간결하고 단순한 구성 개념을 사용하였지만 이 구성 개념들이 행동

과 관련된 연구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적용되었으며 많은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다

하지만 단순이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추상적인 개념인 신념과 평가를 통해

나타내었고 이러한 변수 외에 다른 외부 요인들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을 단점

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지각된 행동통제라는 변수만을 합리적 행동이론에 추가하

여 설명함으로써 다소 설명력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Davis(1989)에 의해 제안된 기술수용이론(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은 Ajzen and Fishein(1980)의 합리적 행위이론(TRA Theory of Reasoned Action)

을 바탕으로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기 위해서 만

들어진 모델이다 사람들이 기술을 수용할 때 영향을 미치게 되는 요인들을 설명

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개인의 신념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태도는 행동의도

에 영향을 미치며 마지막으로 행동의도는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

였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이 모델을 설명하기 위해 기술수용과정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을 제시하고 이 두 가지 신념을 수용과정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Karahanna and Straub 1999) 지각된 유용성이라는 개념은 신기술이나 정

보시스템 등을 사용할 때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정도를 의

미하고 지각된 용이성은 이러한 신기술이나 정보시스템 등의 사용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정도로 이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정신적인 노력 등이 적게 든다는 것을 의

미한다(Davis 1989)

합리적 행동이론이 기술수용모델의 기반이 되는 이유는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

는 행동에 대한 결정을 합리적인 기대가치 체계에 의존한다는 점 때문이다(Shah

and Higgins 1997) 인간이 자신이 어떠한 행동을 했을 때 그 결과를 미리 생각하

고 결과를 예측하며 합리적인 판단을 하며 행동한다는 합리적 행동이론을 확장한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9

것이 계획행동이론이며 이러한 합리적 행동이론에 기술수용 상황을 적용시켜 수

정한 모델이 기술수용모델이다(송태민 외 2014) 기술수용모델은 모델의 복잡성

과 모듈성으로 인하여 신기술을 수용할 때 다양한 영향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통합적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

다 최근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을 구성하는 주요변수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

된 용이성 이 두 변수만으로 신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TAM을 구성하고 있는 기본적인 변수들이 다양한 정

보시스템의 환경에서는 완벽하게 적용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

를 극복하기 위해 TAM모델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고 확장시키고 있다 이에 따

라 계획행동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변수인 주관적 규범을 적용시켜 확장된 기술

수용모델인 TAM2 TAM3가 제시되기도 하였다(김정선 송태민 2014) 기술수용모

델의 주요 한계점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개인이 정보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

서 외부의 영향 요인들을 무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외부 요인으로는 조직이나

주변 환경 여가 이해관계자들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정보기술을 수용하는 과정

에서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Venkatesh and Bala 2008) 하지만

TAM을 적용한 많은 연구들을 살펴보면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단순히

개인의 동기적 요인 외에도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확장시키고 변형하여 빠르

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등장하는 기술 환경을 적절히 반영하여 그에 따라 통

합적인 모델을 도출할 수 있는 노력 또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Venkates and Davis(2000) 의해 제안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는 기본적인

TAM을 확장한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TAM2라고 명명하였다 이는 지각된 유용성

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선행요인들을 검증한 것이다 즉 지각된 용이성보다는 지

각된 유용성이 종속변수들에 대해 더 큰 영향력을 가짐에 따라 선행요인들을 확

장하여 사회적 영향 프로세스와 인지적 도구 프로세스를 추가한 모형이다(김성일

2011) TAM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주관적 규범을 사회적 영향 변수로서 외생변수

로 추가하여 확장시킨 것으로 주관적 규범은 수용의도를 높일 수 있는 역할을 한

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은 자발적이거나 비자발적인 상황에서 조직을 네 개로

구분하고 이후 사용시점에서 업무 시스템에 대한 수용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

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자세히 살펴보면 주관적 규범과

자발성은 외부 변수로 직무관련성과 사회적 영향 프로세스 결과 실연성 결과 품

질은 이미지로 설명되었으며 인지적 도구 프로세스는 지각된 용이성으로 설명하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0

여 기술수용모델을 확장시킨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의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외부 변수들은 지각된 유용성 및 수용의도에게까지

영향을 미치며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결과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TAM은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라는 변수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수용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된 모델이다 하지만 지각된 유용성

과 지각된 용이성의 영향은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Oh Lehto

and Park 2009) 하지만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태도나 행도의도에 영향을 미

치기 때문에 이러한 영향력을 반영하기 위한 TAM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

되고 있다

Venkatesh Morris Davis and Davis(2003)은 사용자의 기술수용을 통합 관점에

서 접근하여 궁극적으로 보다 높은 설명력을 갖춘 새로운 기술수용모델을 제안하

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통합기술수용이론 즉 UTAUT(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이다(박일순 2013) 기존 TRA(합리적 행동이론) TAM(기

술수용모형) TPB(계획된 행동이론) IDT(혁신확산이론) 등 기존의 8가지 이론에서

제시된 32개의 개념들을 조정하고 통합하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1개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3개와 이러한 과정을 조절해 줄 수 있는 통제변수로

4가지를 제시하여 UTAUT를 설계하였다 UTAUT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

수로 성과기대 노력기대 그리고 사회적 영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모델에서 제시

하고 있는 성과기대라는 변수는 TAM에서 제시하는 지각된 유용성과 일치하는 개

념으로 볼 수 있으며 시스템을 사용할 때 성과가 향상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

을 것이라고 믿는 정도를 의미한다 그리고 노력기대라는 변수는 시스템을 사용

하면서 느끼는 용이성의 정도로 해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영향은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주변인들이 이러한 새로운 시스템의 사용에 대해 믿음의 정

도로 해석할 수 있다

Venkatesh and Bala(2008)는 기술수용모델의 기초가 되는 개념인 개인적인 차이

점 시스템의 특성 사회적 영향력 및 촉진조건을 선행변수로 제시한 기술수용 모

델(TAM3)을 제안하였다 기술수용모델3(TAM3)은 과거의 기술수용모델에서 언급

하지 않았던 경험이라는 변수에 대한 조절 효과에 대해 강조하였다 이 모델에서

는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조직 구성원의 경험 수준에 따라서 의사결

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달라질 것이라는 내용을 추가하고 있다 그리고 새롭

게 추가된 변수들로 컴퓨터의 불안과 유희성 객관적인 사용 용이성 지각된 즐거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1

움이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이치는 영향을 경험이라는 변수가 조절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있다

Venkatesh and Bala(2008)은 TAM3의 주요 강점으로는 이 모델이 가지고 있는

포괄적인 면이라고 볼 수 있으며 정보기술을 수용하는 여러 가지 결정요인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학문적 기여를 하였다 기

술수용모델은 조직 차원에서 도입하여 사용하는 정보기술 시스템뿐만 아니라 일

반 소비자들이 혁신적인 신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소비재 시장에서 채택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적인 프레임으로도 넓게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기술수용모

델은 혁신적인 신기술이나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들이 의사결정을 할 때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하여 제시하고 그들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기술수용이론에서 기본적으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수용과정에서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인지된 유용성은 이후에 설명할 혁신확

산이론에서 인지된 혁신특성 구성 개념 중 상대적 이점과 깊은 관련성이 있는 요

소로 보며 인지된 용이성은 복잡성과 상당히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Davis 1989) 따라서 기술수용모델 이론에서는 사용자들이 혁신적 신기술이나 제

품 서비스 등이 개인의 업무 등에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성과를 이끌어내기에 유

용하다고 느낄수록 그 기술에 대한 채택 가능성이 높아지고 그 기술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고 손쉽게 사용 가능하다고 느낄수록 기술 수용의도나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술수용모델은 사람들이 신기술 신제품 또는 정보기술 시스템 등을 어떻

게 수용하고 있는지 그 수용의도와 행동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있는 이성

적 행위이론을 통해서 살펴본 것이다 신기술에 대한 사용자들의 태도와 수용의

도 실제 수용이나 행위를 예상할 수 있는 주요 변수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라는 선행요인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설은 과거의 다양한 연구

들(Adams Nelson and Todd 1992 Davis Bagozzi and Warshaw 1992 윤승욱

2009 이재신 이민영 2006)을 통해 증명되었다

22 혁신저항 연구

일반적으로 혁신(Innovation)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lsquonobusrsquo라는 단어에서 기원이

되었으며 lsquo새롭다rsquo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혁신의 정의와 분류에 대해서 최근까지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2

많은 연구에서 다뤄지고 있다 혁신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새롭다고 인지하는

재화나 서비스 또는 아이디어를 말하는 것으로 그 기간이 길고 짧은 것과는 관계

가 없으며 하이테크 마케팅에서 언급하고 있는 혁신적 신상품을 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Rogers(1971)는 혁신의 정의에 대해서 개인 또는 특정인들이 수용할 수 있는 범

위에서 새로운 것이라고 지각되는 아이디어 관행 또는 물건rsquo이라고 정의하였다

여기서 혁신이라 객관적이고 새로운 물건이나 아이디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인 감정을 강조하는 것으로 그 제품이나 아이디어 서비스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그것을 얼마나 새롭게 느끼는지에 대해 인식하는 정도를

말한다

Rick(1992)은 혁신을 정의를 마케팅 차원에서 바라보았다 기존에 없었던 전혀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 내거나 소비자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

고 있는 신기술이나 프로세스 그리고 신제품을 혁신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혁신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소비자가 그것을 신제품으로 인식하

는지의 여부를 강조하고 이것은 혁신을 정의하는 기초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Biemans(1992)의 연구에서 혁신은 기존의 시장 환경 안에서 새롭게 개발된 제

품 서비스나 아이디어가 초기 수용자로부터 시장에 없던 전혀 새로움으로 지각

된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Rogers(1995)가 주장한 혁신확산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은 첨단기술

수용과 확산에 접한 관계를 가지는 이론으로 상대적 이익 적합성 복잡성 관찰

가능성 실행가능성 등을 혁신 확산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안하였다

사용자들은 새로움이라는 혁신을 인지하고 이후 태도가 형성되면 이러한 혁신을

채택할지 채택하지 않을지의 여부가 결정되는 채택과정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채택 과정은 기본적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데 기본적으로 지식 설득 결정 실

행 마지막으로 확인을 거치는 과정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혁신확산이론의 기

본 과정은 특정 혁신이 사회에 성공적으로 투영되는 과정에 주로 초점을 맞추는

특성을 보인다

하지만 여러 연구자들(Sheth 1981 Rogers and Everett 2003)은 혁신확산에 대

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혁신에 대해 사람들이 아무런 편견 없이 긍정적으로 받아

들인다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혁신이 항상 긍정적이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수용 또는 채택된다는 것을 기본 가정으로 하고 있음을 비판한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3

그 동안 연구되어온 혁신연구들은 혁신의 수용과 확산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

으며 이들 연구에서는 모든 혁신이 유익하고 긍정적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혁신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변화를 요구하기 때문에 변화에 대한 저장을

유발하게 되므로 혁신의 확산이나 수용에 대해서 생각하기 이전에 혁신저항을 잘

극복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Sheth(1981)는 처음으로 혁신저항(Innovation Resistance)에 대한 개념을 사용하

고 정립하였다 소비자들의 저항 심리는 기존의 습관과 지각된 위험이라는 두 변

수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고 하였다 혁신저항을 일으키는 특성에 대해서는 구

체적 언급을 하지 않았지만 혁신저항의 유형에 따라 다른 확산 방법이 필요하다

는 것을 발견하였다

Zaltman and Wallendorf(1983)는 사람들이 변화에 대응하여 현재 상태를 유지하

려고 하는 모든 행동들을 혁신저항이라고 정의하였다 Ram(1987)은 혁신저항 개

념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켜 혁신저항 모델을 제시하였다 변화에 의해 위협받고

있는 정도로 정의하며 혁신저항을 태도변수로 보고 있다

Ram and Sheth(1989)는 Sheth(1981)의 혁신연구에서 제시한 변수인 지각된 위험

과 생활관습이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병수라고 제시하고 추가적으로 소비자

들의 개인적 특성이나 제품 자체의 특성 그 외에 환경적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lt표 7gt Sheth(1981)의 저항 강도에 따른 혁신저항 4가지 유형

유형 내용

습관 혁신저항 위험은 낮으나 평소 생활이나 습관에 대해 변화를 요구하는 혁신

위험 혁신저항

혁신이 기존의 관습이나 습관을ㄹ 대체시켜 주지는 못하지만 함께 어울리며 공존하여 새로

운 습관을 만들어냄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저항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것은 높은 위험에서 기인하는 것임

비 혁신적 저항 기존에 가지고 있던 습관을 변화시키지 않으려고 하는 혁신을 말함

습관 위험의

혁신저항

인구문제 교육 복지 등과 같은 과거의 습관과 높은 위섬 때문에 강한 정항에 직면하는 혁

신임

Ram and Sheth(1989)는 소비자들이 혁신을 채택할 때 저항하는 요인들을 크게

기능적 장벽과 심리적 장벽으로 구분하였다 기능적 장벽(functional barrier)은 다

시 세 가지 장벽으로 구분된다 첫째는 가치장벽(value barrier)으로서 혁신제품의

품질이나 성능 효과 그리고 가격 등이 소비자의 기대와 맞지 않을 때 나타나는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4

저항을 말한다 둘째는 사용장벽(usage barrier)으로 소비자들이 혁신제품을 사용

할 때 기존에 가지고 있는 생활 패턴이나 습관 등을 변화시켜야 할 때 나타나는

장벽을 말한다 하이테크 제품은 종종 기존의 사용방식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방

식의 제품사용과 나아가서는 생활 패턴의 변경까지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셋째

장벽은 위험장벽(risk barrier)이다 이것은 소비자가 혁신제품을 사용하게 될 때

그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위험을 느낄 것 같아 나타나는

수용을 거부하게 되는 저항을 말한다

한편 심리적 장벽(psychological barrier)은 관습장벽(traditional barrier)과 이미

지장벽(image barrier)으로 나누어진다 관습장벽이란 혁신제품을 사용할 때 주변

사람들을 인식하게 될 것 같거나 기존의 사회 관습과 규범과 다르다고 느낄 때 나

타나는 저항을 말한다 이것은 매우 미묘하게 나타나는 장벽이기 때문에 소비자

들을 면 하게 관찰하여 파악해야 한다 이미지장벽은 혁신제품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선입관이나 부정적인 편견과 같은 문제를 일컫는다 제품 성능과 관계없이

부정적인 편견이나 선입관 같은 이미지상의 문제를 의미한다

혁신 저항의 특성을 살펴보면 Ram and Sheth(1989)는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실

제로 혁신적인 신제품이나 서비스에서 소비자들이 혁신저항을 느꼈다는 것을 발

견하고 이러한 혁신저항의 특징들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혁신저항은 채택시기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데 혁신에 대한 성향을 기준

으로 혁신수용자(innovators) 선구자middot선견자(early adopters) 조기다수 수용자

(early majority) 후기다수 수용자(late majority) 지각수용자(laggards)로 구분하고

각각의 분류마다 그 성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혁신저항은 정도에 따라 다르

게 나타난다 즉 저항은 연속적으로 나타나고 지속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소비자

들은 혁신이 매우 위험하다고 느끼거나 혁신을 위해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충분한 이유를 찾지 못하여 혁신을 꺼리거나 혁신을 채택하는 결정을 미루

거나 혁신이 자신과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혁신에 대해 저항할 가능성이 높아

질 수 있다 셋째 혁신저항은 다양한 제품군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제품 자

체의 문제라기보다는 혁신의 문제로 소비자가 혁신제품을 수용하고자 할 때 변화

를 우려하거나 자신의 신념과 상충하는 정도에 따라 저항이 나타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연속적 혁신보다는 불연속적 혁신이 혁신저항의 강도가 보

다 클 것이라고 예측한다 왜냐하면 불연속적 혁신은 소비자가 혁신을 채택하게

됨으로써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행동을 하게 될 수밖에 없는 사용상황이나 관습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5

에 부딪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혁신의 정도가 매우 높아 혁신저항이

높게 나타나게 될 경우에는 동태적 연속혁신(dynamically continuous innovation)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동태적 혁신은 불연속적 혁신의 가운데에서 서로를 잇는 역할

을 하는 것으로 불연속적 혁신제품에 대해서 소비자들이 제품을 수용하는 시기가

늦어질 것을 예상하여 기존에 사용하는 제품과 혁신적인 새로운 제품의 일부 기

능만을 착용하거나 융합하여 만들어진 제품을 말한다 이들의 성공은 불연속적

혁신제품에 대한 저항의 크기와 그 기간의 길이에 상당히 의존한다 소비자들이

기존기술을 선호하는 집단과 혁신기술을 선호하는 집단으로 뚜렷하게 양분되는지

아니면 중간 단계의 수요가 상당한지에 대해 확인해 보아야 한다(김상훈 2008)

23 신뢰 연구

과학기술의 발전은 과학이나 기술분야를 넘어서 정치적 사회적으로도 많은 영

향을 미치고 있으며 과학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형태로서 국가의 주요

정책으로까지 활용함으로써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첨단 과학기술의 개발과

선점은 국가경쟁력에까지 그 파급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

지만 이러한 기술의 발달과 개발이 항상 긍정적인 결과만을 가져다준다고 판단하

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Seong and Hwang 2012)

첨단과학기술의 유익한 면 외에도 그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우리가 알지 못하는

위험성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의견으로 인하여 많은 논쟁을 가져오고 있으며 그

중심에 최근 주목받고 있는 나노기술영역을 들 수 있다 나노기술은 혁신적인 신

기술로 첨단과학기술 분야에서 많은 경제 사회발전 등 그 잠재력에 대해 많은 사

람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영역으로 급부상하고 있지만 나노기술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잠재적인 위험성에 대한 우려도 동시에 인식되고 있다(Nel

et al2006 Wittmaack 2007 Wiesner et al 2009)

나노기술(Nano Technology)은 물질을 구성하는 직경 1나노미터(nm) 이하의 원

자나 분자를 나노영역에서 조작해 실생활에 유용한 것으로 만드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나노기술개발촉진법 제2조 제1항에 의하면 ldquo물질을 나노미터 크기의 범

주에서 조작 분석하고 이를 제어함으로써 새롭거나 개선된 물리적 화학적 생물

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소재 소자 또는 시스템을 만들어내는 과학기술rdquo로 정의하

고 있다(성지은 황만성 2012) 이러한 나노기술은 전자통신 재료 보건 의료 생

명공학 환경 에너지 국방 항공우주 등 응용가능한 분야가 매우 넓기 때문에 선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6

진 각국에서는 lsquo기술혁신rsquo이나 lsquo신성장동력rsquo lsquo신산업의 창출rsquo 등의 용어를 통해 21

세기 국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로 바라본다(김찬원 외 2015) 하지만 나

노입자의 독성 가능성 나노물질의 인체로의 침투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각종 위

험성(DNA 파괴 등) 나노입자의 환경오염 가능성(위키백과 2015) 그리고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개인의 사생활 침해의 논란이 되는 감시나 통제 등으로의

활용 측면에서 그 위험성 논쟁이 높아지고 있는 위험영역이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평소 자신이 잘 모르는 문제나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정보

에 두려움을 갖는 lsquo가정된 위험rsquo을 만들어 낸다고 한다 이는 잘 알려진 위험에 비

해서 더 높은 위험을 느끼게 하며 관련된 지식이 없는 경우 그 위험은 더욱 커지

게 된다(Song and Kim 2014)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나노기술과 같이 불확실하

고 위험의 통제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 친숙하지 않음 미래에 어떤 위험이 있을

지 모르는 상황 지식 부족 등은 나노기술에 대한 불안감을 더욱 증폭시키게 된

다 이러한 일반인들이 느끼는 나노기술의 위험에 대한 인식은 나노기술을 개발

하는 기술자 위험에 대한 관리주체로서의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

게 된다 기술 자체 기술을 만들어 내는 과학자 이를 관리middot감독하고 위험에 대

처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정부middot국책기관에 대한 신뢰는 나노기술에 대한 위험인

식이나 나노기술을 수용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김원재 송해룡 김찬

원 2016)

실제로 여러 연구들(Cvetkovich 1999 Siegrist and Cvetkovich 2000)을 보더라

도 신뢰가 위험인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며 특정 위험에 대한 두려움 혹은 위

험수용의 반대는 바로 이해당사자들 간에 신뢰가 깨진 것에서 비롯된다(김영욱

이현승 2014) 사람들이 위험을 인식하는데 신뢰가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

구결과들이 계속적으로 보고되고 있고(Flynn et al 1992 Slovic 1993) 신뢰는 불

확실성이 높은 신기술이나 혁신기술과의 관계에서 사람들이 우려하는 요소들을

줄여주는 기능을 한다는 연구결과들을 살펴보았을 때(Paton 2008 Siegrist and

Cvetkovich 2000 Wachinger et al 2013) 신뢰라는 요인은 사람들이 느끼는 불

확실성을 줄여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위험수용

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으로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신뢰의 문제를 핵심 요인으로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 대상을 운영하고 관리 감독하는 집단들에 대한 공중

의 신뢰 수준에 따라 위험수용이 결정된다고 강조하고 있다(송해룡 김원제

2015) 이는 나노기술처럼 신뢰의 여부가 위험이나 불확실성으로부터 경제적으로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7

높은 성장성을 가져오고 사회적 파급력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사회에 존재하고 있는 위험은 단순이 특정 그룹이나 단체

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작용될 수 있다 이에 정부기

관이나 기업 미디어 과학자 시민단체 일반시민 등 사회를 조직하고 구성하는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위험수준 통제 관리를 위한 행동 또는 정책과 관련된 정보

를 주고받으며(Covello Slovic and Von Winterfeldt 1986 Kellens Terpstra and

De Maeyer 2013 Trettin and Musham 2000) 위험을 줄이고 총체적인 위험에 대

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김찬원 외 2015) 이러한 문제는 단순한 수준

차원이 아닌 이해당사자들 모두의 신뢰를 통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신뢰라는 개념은 단일 차원에서의 좁은 시각으로 볼 수 있는 개념이 아니며 매

우 광범위하게 그 뜻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신뢰의 추성적이고 광범위적인 개

념의 특성으로 특별히 위험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신뢰라는 개념은 다차원 적인

요소로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Earle 2010 Earle Siegrist and

Gutscher 2010 Rousseau Sitkin Burt and Cammerer 1998)

Earle(2010)는 신뢰의 개념을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연구를 종합하여 다른 사람

의 행위나 의도에 대한 긍정적 기대에 기초하여 취약성을 받아들이려는 심리적

상태로 정의하고 신뢰하는 사람과 신뢰받는 사람 간의 관계에 기초한 관계적 신

뢰와 미래 행위에 대한 제약이나 신뢰를 받는 사람의 지난 행위 기초한 계산적 신

뢰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Kaspweson Golding and Tuler(1992)는 신뢰에 대한 특징을 위험을 감수하는 믿

음과 타인과 미래에 대한 막연한 기대 그리고 상황과 타인에 대한 주관적 지각

등을 제시하고 있다 Luhmann(1980) 신뢰를 사회제도의 성과로 보고 있는데 신뢰

를 미시적 신뢰와 거시적 신뢰로 분류하고 있다 미시적 신뢰는 다른 사람들과 상

대적으로 차별화 되지 않은 사회 안에서 개인 간의 신뢰를 나타내는 것이고 거시

적 신뢰는 관료제도와 같이 현대의 복잡화된 사회에서 시스템 신뢰의 의미로 나

타냈으며 신뢰가 개인 간의 신뢰에서 시스템 신뢰로 옮겨져 가고 있다고 하였다

특별히 Luhmann(1980)과 Rousseau et al(1998)의 연구를 살펴보면 신뢰의 유형

으로 사회제도 안에서의 신뢰를 강조하며 신뢰의 대상으로서 기관에 대한 신뢰

와 사람에 대한 신뢰로 구분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왕재선 2013) 그

외에도 신뢰를 파악하고자 할 때 과학기술 자체에 대한 신뢰의 측면을 제시하는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8

연구들도 있다(송해룡 이원제 2015) Midden and Huijts(2009)와 Siegrist et

al(2007)은 과학기술을 관리하는 기관에 대한 신뢰가 과학기술 자체에 대한 긍정

적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주어 위험인식과 수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현주 이영애(2011)은 감정의 차원에서 신뢰를 바라보고 과학기술의 좋고 나

쁨을 평가하여 신뢰가 낮을수록 사람들은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게 되며 이는 결

국 과학기술에 대한 위험을 높게 인식한다고 하였다 박희제(2013)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익은 추상적인 것이고 위험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직접

적인 경험을 통해 인지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하였다 따라서 과학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나 수용은 신뢰수준에 매우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나노기술이 위험인식 기술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신뢰를 주

요 변수로 고려하였으며 나노기술의 위험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신뢰라는

개념을 보다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신뢰라는 변수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단순한 차원의 신뢰의 개념을 넘어서서

보다 다양한 차원(Earle 2010 Earle et al 2010)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

라고 보고 신뢰를 기관 사람(Butler 1991 왕재선 2013) 기술(박희제 2013 이현

주 이영애 2011 송해룡 김원제 2015)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기관은 정부국책기관과 기업으로 사람은 개발자와 나노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직원으로 구분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3 산업전문가 활용 조사 방법론 연구

산업 전문가 조사는 해당 산업에 있어서 상당한 지식과 식견을 지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내부적으로는 해당 산업의 제품을

생산하는 경영자 관리자 판매직원 등이 해당하며 기업 외부적으로는 기술 및 정

책연구자와 해당 산업에 대해 객관적 분석을 주 업무로 진행하는 시장분석 전문

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전문가 조사의 경우 확률적 표본추출을 사용하는 것이 어

렵고 적절히 대표성 있는 표본을 대상으로 비확률적 표본추출로 표본을 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 표본을 기업 내부와 외부 혹은 해당 산업을 분류해 분석을 할 계획이 있

다면 쿼터별로 적절한 대표성을 위해 할당 추출법(quota sampling)을 사용하기도

하며 이 경우 도출해내고자 하는 결과와 관련해 분야별 다양한 의견을 갖고 있는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9

전문가들의 종합적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산업 전문가의 의견이 주로 조사

되는 연구로는 앞서 Diffusion Model 리뷰에서도 언급되었던 델파이 기법이 있으

며 신기술 산업이나 제품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이해도가 많은 차이가 있거

나 그 기술의 산업 제품에 대한 혜택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식이 상반될 때에 일

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조사하는 연구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31 산업 전문가 델파이 기법 연구

이중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고자 개발된 기법으

로 다양한 분야에서 집단적 합의의 필요성이 높을 때 반복적인 의견수립을 통해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다 개인의 독립성과 객관성을 최대한 끌어내는 것

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물리적 공간이 아닌 설문을 통해 참여하며 설문에 참여하

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공유하지 않는 익명성이 델파이 기법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독립성은 산업 전문가들은 해당 산업에 대해 비전문가보다 높은 식

견과 정확한 판단력을 가지고 있다는 추론 하에 가능하며 브레인스토밍과 같이

물리적 공간에서 의견을 교환하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강력한 주장에서 발

생하는 논쟁을 피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이 의견 제안을 포기하거나 전문가 중 더

욱 명망있는 전문가의 의견을 따라 자신의 의견을 포기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

함이라 할 수 있다

델파이 기법의 경우 일반적으로 세 가지 과정을 거치는데 첫째 해당 산업의 전

문가를 선정해 조사에 참여해 달라고 요청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사 참여에는

특정 산업에 대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전문적 지식을 긍정부정에 상관없이 표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전문가들의 의견은 특정인의 가중치 없이 동일하게 수렴된

다 또한 이 과정에서는 전문가들은 자신의 의견이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는 익명

성을 보장받음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각 분야별 선정된 전문

가에게는 한번 이상의 반복적인 설문지가 전달되며 이러한 설문에 대한 결과가

이들에게 다시 전달되는 피드백 과정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자

신의 입장을 더욱 명확하게 세울 수 있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

해 다른 참여자들의 의견이 설명되며 자신과 다른 생각을 가진 의견에 대해 계속

적으로 반박과 재조정이 가능해진다 셋째 참가자들의 의견과 관련된 논쟁들이

이들에게 다시 피드백되기 때문에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전문가들의 의견수렴

이 가능해지고 의견수렴이 불가능 할지라도 이성적인 이견들을 종합해 결과적으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0

로 전문가 스스로 자신의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하

게 된다 일반 소비자조사와는 달리 델파이 조사의 경우 대부분 표본의 숫자가 작

은 편이기 때문에 전문가의 포괄적인 의견보다는 다양한 견해와 이견을 통해 새

로운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의견일치를 통한 결과가 아니더라도 새로

운 시각과 견해를 투영할 수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lt그림 23gt 델파이기법의 실행 절차

자료 김상훈(2013)

이 기법의 핵심은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인데 최근에는 인터넷의 등장으로

초기 델파이 측정 방식인 인터뷰나 대면조사에서 온라인 설문이 가능해졌기 때문

에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이 강화되어 최근 많은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

다 과거 페이퍼를 통한 초기 델파이의 경우 긴 소요시간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는데 두 단계 이상을 거치는 델파이 기법의 특성상 한 프로젝트당 4개월 가

까이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에 대한 비용의 문제도 걸림돌이었다 하지만 온라인

설문이 가능해지면서 많은 시간을 단축하여 현재는 비용 면에서도 많은 개선이

가능해졌다

초기 델파이의 연구에서는 각기 전문가들의 통합적 의견의 일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는데 왜냐하면 개인보다는 집단의 예상이 더욱 정확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

다(Keeney et al 2011) 이는 한명보다는 두 명의 판단이 낫다라는 가정에 근거하

지만 현재는 의견의 일치보다는 다양한 결과가 나온데 해도 그에 따른 다양한 시

사점도 중요시 되고 있다 물론 의견의 분산을 여러번의 조사를 통해 자신의 판단

을 보완하고 수정하면서 좁혀나가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결국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하나의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1

델파이 기법의 경우 정확히 알 수 없는 애매한 질문을 포함시키지 말아야하며

이를 위해 질문의 선정에 공을 들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며 또한 대표성있는 각

분야의 전문가를 선정하는 것도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문가 패널은

전문성 대표성 성실성 있는 참여 각 분야별 숫자 등이 고려되며 연구자가 직접

표본 전문가를 선정하거나 관련 분야에서 추천위원을 선정하여 그 추천위원이 다

시 패널을 선정하기도 한다 보통 델파이 기법의 표본은 7명~ 350명 정도가 일반

적이며 10~ 20명의 매우 작은 패널로도 의미있는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보

통 척도의 경우 5점이나 7점 리커트 척도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항목별 순위나 중

요도를 묻기도 한다 델파이 기법 특성상 2번 이상 반복 설문을 하기도 하는데 3

번 이상 설문이 진행될 경우 회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신중한 검토

가 필요하다

델파이 기법의 경우 처음에는 미지의 미래 값과 성취가능성에 대한 수량적 예측

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대립되는 정책 문제 해결을 위해 서로의 의견을 수

렴하기도 하고 의사결정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전문가나 연구원이 직접 참여하

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익명성을 이유로 진실된 응답이 가능하

기 때문에 외부적 영향을 최대한 줄여주는 장점이 있으며 어떤 문제에 있어서 전

문가들의 집중적 검토가 가능하기 때문에 창의적이고 직관적 생각을 도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점으로는 전문가 선정에서 전문가들의 전문성의 문제 분야

별 전문가를 나눌 때 분류 기준의 모호성 대표성 익명성으로 인한 불성실한 응

답 문제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연구로는 구훈영 민대기(2013)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델

파이 기법을 활용해 신재생 에너지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는데 이는 최근 일어난

원전사고 환경오염 문제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신재생 에너지에 대

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신재생 에너지는 태양열 태양관 풍

력 수력 천연가스 바이오에너지 연료전지 등을 포함하며 최근 문제가 되고 있

는 원전 사고의 위험성의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위기의 여

파로 신재생 에너지 산업의 성장과 발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데

여기에 신재생 에너지의 불확실성이 더해져 해당 산업에 대한 개발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구훈영 민대기(2013)는 신재생 에너지의 수요예측에 전문가 델

파이를 활용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2

질문항목 응답 항목 응답(명)

내외 환경 정책 등이 현재 상태가 유지된다는 전제하에 국내 태양광

설치용량 규모는 단기적으로 어느 정도로 예상되십니까

900MW 미만 1

900MW~1100MW 3

1100MW~1300MW 0

1300MW~1500MW 6

1500MW 이상 2

내외 환경 정책 등이 현재 상태가 유지된다는 전제하에 국내 태양광

설치용량 규모는 장기적으로 어느 정도로 예상되십니까

21GW 미만 0

21GW~35GW 5

35GW~49GW 1

49GW~63GW 5

63GW 이상 1

2010년 현재 태양광산업이 신재생에너지 전체 투자액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향후 전체 신재생에너지에서의 비중은 어떻게 변화할

것으로 전망하십니까

재생에너지 중

태양광산업의 비중()

평균 73

최대 80

최소 60

lt표 8gt 전문가 델파이 분석의 설문항목

자료 구훈형 민대기(2013)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최근 상업화되었기 때문에 데이터 부족으로

수요예측이 어려운 점이 있으며 정부의 정책 및 국제적 환경 변수가 불확실성 요

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불충분한 데이터의 보완과 불확실성과 관련된 판단

을 위해 전문가 델파이 방법을 사용하여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다 저자들은 50명

의 전문가들에게 태양광산업의 수요에 있어서 단기적 미래(2015년) 장기적 미래

(2025)년을 예측하게 하였다(조사시점은 2013년)

조사결과 2015년의 태양광 발전의 누적설치용량은 2011년과 비교하면 단기적

미래인 2015년까지는 10~15의 연평균 성장률을 장기적 미래인 2025년 까지는

응답자의 42가 35~37의 연평균 성장을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는 신재생 에너지와 같이 수요의 예측을 위한 데이터가 부족할 경우

유용한 수요예측의 도구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델파이 전문가 수요예측 연구로는 생체인식 시스템 분야에 대한 미래의

핵심기술을 예측한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생체인식

분야에서 여러 분야 중 각각의 기술들의 난이도 기술수준 중요도 등을 전문가

30명을 통해 조사하였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3

lt그림 24gt 델파이 조사 과정

자료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이들은 단기적 조사가 아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반복적 설문 조사를 통해 어느

정도 의견 수렴한 뒤 결론을 도출하였다 생체인식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기술성숙

도가 낮은 기술 분야이기 때문에 정량적 분석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저

자들은 정성적 분석인 델파이 분석 방법이 더욱 높은 신뢰도를 가질 것으로 예상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왜냐하면 델파이 분석에 동원되는 전문가들은 표준화된

많은 데이터가 없을 경우 객관적으로 문제에 접근해 서로간의 의견을 골고루 수

렴해 일부에 휩쓸리지 않는 합리적 결론을 도출해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연구에서는 산업체 학계 연구소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성 있는 30인의 전문가

들에게 중기 예측(2017년)과 장기예측(2022)을 진행하도록 요청하였다 또한 이러

한 설문 결과를 다시 피험자들에게 제시 2차 조사에는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보

고 이를 수렴하여 다시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4

점수 중요도난이도 기준

5 매우높음

4 높음

3 보통

2 낮음

1 매우낮음

lt표 9gt 중요도 및 난이도

확신도 확신도 기준 환산 점수

5 전문분야로 매우 자신있게 응답 100

4 전문분야이며 자신있게 응답 70

3 유사분야 전문지식을 갖고 응답 30

2 전문분야가 아니어서 확신이 다소 부족 10

1 전문지식이 없어 전혀 확신할 수 없음 5

lt표 10gt 전문가 확신도 기준

자료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총 10개의 생체인식 시스템 기술을 선정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해당 기술들에

대한 자신이 생각하는 중요도 난이도 확신도 선진국과의 기술차이 기술실현시

기 등의 항목들을 제시하였다

lt그림 25gt 생체인식 시스템 기술수준 중요도 난이도 종합분석

자료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5

조사결과 기술수준과 중요도 난이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lt그림 25gt와 같다

종합하면 기술수준도 높고 중요도도 높은 기술들(예를 들어 반도체마이크로센서

제작기술)같은 경우 계속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으며 중요도는 높지만 기술수준

이 낮은 기술(예를 들어 환경센서 기술)의 경우 다른 기술들보다 연구 개발의 우

선순위가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구훈영 민대기(2013)와 홍현수 외(2010)의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통해 조사분석

을 하였지만 정성적 방법만을 가지고 조사를 하였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객관적

인 정량적 근거 부족이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델파이 방법은 전문가

패널의 구성 이러한 전문가들을 상대로 하는 반복적 설문조사 분석 의견 수렴을

통해 결론을 도출해 내기 때문에 정성적 방법론에서는 많이 사용되는 분석방법이

다 표준화가 가능할 정도의 데이터가 없을 경우 전문가의 직관을 통해 미래 수요

를 예측하기 때문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익명성을 통해 보다 자유롭고 솔직

한 의견 도출이 가능하며 여러 명의 전문가들이 합의점을 도출하는 과정을 고치

기 때문에 일부의 의견에 휩쓸리는 일의 발생 가능성이 적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

지고 있다

32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 차이 조사 연구

또 다른 산업 전문가 의견을 활용하는 연구는 전문가와 일반인이 해당 기술 산

업이나 제품에 대한 인식에 많은 차이가 있을 때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어떠한 산업은 전문가들이 일반 소비자나 잠재소비자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새로운 기술 산업이나 제

품의 경우 그러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첨단 기술산업의 경우 일반 소비

자들은 해당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비교적 최근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신진산업의 경우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또한 불확실성과 위험

성을 내포하고 있는 신기술 산업의 경우 소비자들과 전문가들은 위험인식 혜택

수용의도에 걸쳐서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제대

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의견이 아닌 전문가의 의견에만 의

존할 결과를 도출하게 될 경우 본 보고서와 같이 미래의 수요를 예상하게 될 경

우 실제 수용자인 일반소비자들의 위험인식에 따른 낮은 태도를 반영하지 못해

신뢰하기 어려운 결과값이 도출 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일반 소비자의 의견만을 반

영하고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일반 소비자가 판단하기 어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6

운 첨단기술 산업의 경우 이들의 응답에 대한 신뢰도가 전문가와 비교해 매우 낮

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산업 전문가와 일반 소비자의 인식차이를 비교하고 의견

을 수렴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체세포 복제기술 나노기술 원자력기술가 같이 인체 유해성에 대한 우려가 높

은 산업의 경우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차이 조사 연구들이 비교적 많이 진행되

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연구로는 나노물질 위해성에 대한 인식차이를 조사한 이

정진 외(2008)의 연구가 있다 나노기술의 경우 기술 자체의 문제보다는 나노물질

이 가지고 있는 위해성 측면에서 일반인들이 매우 높은 위험성을 지각하는 분야

이다 이는 나노기술의 특성상 나노물질이 눈으로 보이지 않는 매우 작은 단위이

기 때문에 느끼는 심리적 위험성과 실질적 위험성을 포함한다 새로운 신기술의

경우 특히 일반인과 전문가 사이의 인식차이가 클 수밖에 없으며 이는 기술수용

단계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해당 기술 수용여부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이정진 외(2008)은 나노기술의 지속적이고 포괄적 성장을 위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예를 들어 신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경우 전문

가들은 해당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 안전하다고 합의가 된 상태더라도 소비자들이

만약 위험성을 느끼고 불안하다고 느낀다면 기술발전에 어려움이 생길 것이다

반대로 일반인들은 별다른 의심 없이 위험성에 대한 지각을 갖지 않고 해당 기술

적용 제품을 구매 사용하고 있는데 전문가들이 위험성을 느끼고 있다면 실질적

잠재적 기술의 위험성은 더욱 심각하다고 말할 수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이유로

전문가와 일반인 사이 나노물질의 위험성을 조사하여 비교하기 위해 전문가 165

명 일반인 599명 총 7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lt그림 26gt처럼 일반인과 전문가 사이의 나노기술 인식에 대해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나노기술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한 일반 소비자는

162 몇 번 들어본 적이 있다는 응답은 548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의 조사결과

(Macoubrie 2004)나 일본의 조사결과(Fujita 2006)보다 나노에 대한 인지도는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7

lt그림 26gt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도 차이

자료 이정진 외(2008)

이는 미국과 일본에 비교해서 국내의 경우 lsquo나노rsquo라는 단어를 브랜드화 한 경우

가 많으며 제품의 이름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은나노세탁기 은나노코

팅제) 또한 실제 나노 관련 소비재가 마트에 비교적 많기 때문에 lsquo나노rsquo라는 명칭

이 자주는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친숙한 것으로 보여진다 나노기술의 접촉 방법을

살펴보면 전문가의 경우 학술지 인터넷 신문 책 등 다양한 경로인데 반해 일반인

의 경우 TV 신문 등 매스미디어 혹은 인터넷을 통해 나노에 관해 정보를 얻는 것

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보면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 소비자의 인지도를 올리기 위

해서는 매스 미디어나 인터넷에서의 마케팅이 주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lt그림 27gt를 보면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일반인들은 세탁기 에어컨과

같은 가전제품 치약 칫솔 비누와 같은 생활용품 핸드폰 노트북과 같은 전자기

기 얼굴팩 기초화장품 자외선차단제와 같은 화장품 순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전문가들은 일반인가 비교해 비교적 고르게 나노기술 적용 제품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제품인지도에 있어서는 비교적

고른 편이었으며 이는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이 비교적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8

lt그림 27gt 일반인과 전문가의 나노제품에 대한 지각 차이

자료 이정진 외(2008)

lt그림 28gt 일반인전문가 나노기술의 위해성 인식여부와 불안감여부 차이

자료 이정진 외(2008)

또한 나노기술의 위해성 인식에 대해서는 위 그림처럼 전문가의 742는 들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반대로 일반인은 741가 모른다고 위해성에 대해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일반인의 나노기술 정보가 부족하며 한편으로는 나

노기술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신기술에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9

대해 일반인들은 전문가보다 높은 불안감을 보이는 것이 당연한데 동일한 설문

을 진행한 일본보다도 일반 소비자의 불안감이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일

반인 229) 이러한 흥미로운 결과는 전문가의 경우 742가 나노물질의 위해성

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다고 답한 반면 일반인의 경우 741가 들어본 적이 없

다고 답한 것과 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란 추측이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나노기

술이 더 안전하다고 높은 신뢰를 보인다기 보다는 나노물질에 대해 지식수준이

낮기 때문에 위해성 자체의 인식률이 떨어진다고 분석해 볼 수 있다 저자들은 이

러한 나노물질의 위해성에 대한 낮은 인지는 오히려 나노기술의 안정적 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런 상황에서 나노물질 위해성 연구를 추진

하거나 법률적 관리를 정부에서 나설 때 일반인들의 공감을 얻는 것이 어려워 보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의 인식차이를 줄이고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정진 외(2008)는 이는 나노산업의 성장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였다

또 다른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조사한 연구로는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

한 나노기술의 부정적 영향의 인식차이를 분석한 배성훈 외(2015)의 연구가 있다

나노기술은 성과 측면에서 국가적으로 매우 촉망받는 기반기술이며 많은 투자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술분야지만 나노물질에 대한 인체와 환경 유해성에 대

해서는 아직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명확한 규정 또한 지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기술중심의 사고를 통해 기술 자체에서 의미를 찾는 것 보다는 그

기술을 사용하는 일반인들에게 그 혜택과 가치가 전달되어야하며 이러한 수요중

심의 전략개발에 기술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배성훈 외(2015)의 연구에

서는 나노기술의 산업확장에 중대한 걸림돌로 지적되어온 부정적인 인식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인 집단과 전문가 집단을 분리해 차이를 비

교분석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정진 외(2008)의 리뷰에서처럼 만약 전문가

가 나노기술의 위험성에 대해 불안해하는데 수요를 하는 일반 소비자들이 안전하

다고 느낀다면 높은 수요로 인해 잠재적 부정적 결과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며

반대로 전문가들은 안전하다고 인지하고 있는 기술에 대해 소비자들이 막연한 불

안감을 느낀다면 해당 기술의 상용화는 매우 어려울 것이다 저자들은 나노기술

에 대한 인식과 나노제품의 속성의 수준별 조합에 따른 선호도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일반인 541명 전문가 62명 총 6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설문

지의 경우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수준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0

와 이유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속성별 구매선호도 분석을 위한 컨조인

트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 제품군을 분야별로 식약품 전자제품 미용품등으로

나눠 조사를 실시하였다 컨조인트 분석을 위해 각각 상품 속성 수준에 소비자의

효용을 적용하였으며 긍정적 속성은 나노기술적용표시 정부인증 부정적 속성은

위해치명도 위해발생 가능성으로 구성하였다

속성별 2가지 속성을 설정했기 때문에 이를 조합하면 총 16가지 제품 조합이 가

능하지만 이를 순위매기는 것은 피험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직교설계

(orthogonal design)를 통해 필요한 주효과만을 측정할 수 있는 최소한의 8개의 가

상의 프로파일 세트를 도출하여 이 가상제품의 구매우선순위를 응답받아 컨조인

트 분석 실시하였다

Product Labeling CertificationRisk

ChanceRisk

Fatality

1 Yes No High High

2 No Yes High Low

3 Yes No High Low

4 Yes Yes Low Low

5 No Yes High High

6 No No Low Low

7 Yes Yes Low High

8 No No Low High

lt표 11gt 가상의 나노기술 적용제품 세트

자료 배성훈 외(2015)

Attribute Level

Labeling No Yes

Certification No Yes

Risk Chance Low High

Risk Fatality Low High

lt표 12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속성수준

자료 배성훈 외(2015)

분석결과 일반인과 전문가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지수준을 조사 한 결과 일반인

의 경우 나노기술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는 사람이 76 용어만 알고 있다가

521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있다가 298 개념과 활용성을 이해하고 있다

가 83로 나노기술이 생소하진 않지만 개념까지 이해하지는 못한 수준인 것을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1

알 수 있었다 반면 전문가의 경우 개념과 활용성을 이해하고 있다가 774 개념

잘 이해하고 있으며 나노기술을 선호한다 21 개념 잘 이해하고 있지만 나노기

술을 선호하진 않는다가 16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전문가들은 일반인보다 높은

나노기술 이해도를 보였다 이를 보면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선호도는 나노기술

의 대한 인지도가 일정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추론해 볼 수 있다

한편 나노기술 상용화 제품 세 가지 제품군을 대상으로 5점리커드 척도로 구매

의도 분석결과 lsquo나노식약품rsquo의 경우 일반인 M=333 전문가 M=338 나노전자제

품lsquo의 경우 일반인 M= 382 전문가는 M= 443 마지막으로 rsquo나노 이미용품lsquo의 경

우 일반인 M=346 전문가 M=362로 나타났다 모든 제품군에서 전문가가 일반인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으며 특히 나노전자제품의 경우 t-검정 결

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GroupWillingness to pay

p-valueMean SD

Food amp MedicinePublic 333 099

034Experts 338 109

ElectronicsPublic 381 084

Experts 443 047

CosmeticsPublic 346 099

011Experts 362 089

lt표 13gt 세 가지 나노기술 적용 제품군 별 구매의도 차이

p-value lt 001

자료 배성훈 외(2015)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구매의도에 있어서 낮은 점수(12)와 높은 점수(45)을 준

피험자에게 각각 구매하지 않은 이유와 구매한다고 응답한 이유를 9개의 보기를

제시하고 응답하게 한 결과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구매이유로 상품성능 향상 상

품품질 향상 상품안전성 향상 순으로 구매이유를 설명하였다 반면 구매하지 않

은 이유(M=1~2)를 물은 결과 일반인의 경우 상품안전성 저하 위해성 향상 성능

감소 순으로 이유를 들었고 전문가의 경우 상품 위해성향상 상품안전성저하 상

품품질불안정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를 보면 일반인 전문가 모두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높은 성능 향상을 기대하였지만 전문가의 경우 일반인과는 달리 긍정적

영향만이 아닌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도 많은 이해를 바탕으로 고려하고 있기 때

문에 이 같은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예상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2

또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컨조인트 분석 결과 식약품과 전자제품 미용품의 제

품군에서 중요도의 유사패턴이 발견되었는데 위해치명도가 가장 중요한 속성이

었으며 다음은 위해발생 가능성 정부인증 나노기술의 적용표시가 그 뒤를 이었

다 전문가들의 경우 일반인과 패턴 면에서 유사하지만 위해치명도의 속성 중요

도가 더 크게 나타났고 나노기술적용표시 중요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전문가들의 경우 일반인 대비 나노기술의 인체유해성을 더욱 많이 파악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Attribute Level

Food amp Medicine Electronics Cosmetics

Part-worth

ImportancePart-worth

ImportancePart-worth

Importance

LabelingNo -0266

1420-283

1471-291

1389Yes 0266 283 291

CertificationNo -0425

1664-436

1606-395

1746Yes 0425 436 395

Risk ChanceLow 0632

3193662

3107640

3184High -0632 -662 -640

Risk FatalityLow 1105

37231080

37161083

3681High -1105 -1080 -1083

Personrsquos R

Correlation

Coefficient

Coefficient 0664 0732 0728

P-value 0036 0019 0020

lt표 14gt 일반인 그룹의 컨조인트 분석결과

p-value lt 001 p-value lt 005

자료 배성훈 외(2015)

Risk CaseLabelin

gCertification

Food amp Medicine Electronics Cosmetics

Public Experts Public Experts Public Experts

High Chance

Low Fatality

Yes Yes 1164 1621 1137 1391 1129 148

No Yes 0632 1129 0571 0963 0547 1052

Yes No 0314 0509 0265 0287 0339 0384

No No -0218 0017 -0301 -0141 -0243 -0044

Low Chance

High Fatality

Yes Yes 0218 -0017 0301 0141 0243 0044

No Yes -0314 -0509 0265 -0287 -0339 -0384

Yes No -0632 -1129 -0571 -0963 -0547 -1052

No No -1164 -1621 -1137 -1391 -1129 -1480

lt표 15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세 가지 제품군의 효용분석결과

자료 배성훈 외(2015)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3

추가적으로 속성 수준별 조합을 살펴본 결과 위해발생 가능성이 낮더라도 치명

도가 높을 경우 정부인증 마크와 나노기술표시가 표시된 상황에서만 효용 값이

양의 값(+)를 나타냈다 반면 전문가들의 경우 식약품 제품에 한해서는 이러한 표

시 상황에서도 부정적 태도를 보였는데 이는 전문가들은 식약품의 경우 인체에

흡수되기 때문에 가장 민감하게 위해 치명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4 나노산업 관련 이론 및 발전 동향 조사

41 나노산업 관련 이론

국내 나노기술 관련 이론적 연구 동향을 분석해 보면 크게 나노기술 적용시 그

효과성에 관한 연구 나노기술의 위험과 안전에 대한 규제 필요성에 관한 연구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이나 전문가의 인식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예기훈 성아영(2010)은 금 나노입자를 포함한 안의료용 고분자의 합성 및 물성

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과적인 부작

용과 문제점 이물감과 불편함을 완화하기 위해 콘택트렌즈 소재가 계속적으로

변화해 왔다 이러한 재질의 변화는 착용에 있어서 이물감을 줄여주게 되었지만

콘택트렌즈는 각막을 감싸고 있는 동안 산소의 각막으로 산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게 하거나 상소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방해하여 안과적인 문제

를 야기시킨다 나노 금은 항균성의 기능을 갖으면서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다는

점이 알려졌기 때문에 기능성 나노입자를 응용하여 나노기술이 적용된 기능성 콘

택트렌즈 재료를 중합시켜 실험하였다 그 결과 나노금은 고분자의 함수율에 영

향을 주었으며 함소율의 감소를 야기시킨다 또한 굴절율과 자외선 가시광선역

의 투과율 역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처럼 나노기술은 항균성을 함유하고

있는 기능성 고분자로써 콘택트렌즈에 적용시키는 것처럼 의료적인 분야에 다양

하게 적용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박덕용 이난영 이상호(2008)는 나노기술을 바탕으로 치아 우식증 예방을 위하

여 만들어진 불소함유 접착필름을 개발하였다 필름 형태의 새로운 불소 delivery

system을 개발할 경우 기존의 불소 하제보다 새로 개발된 불소 전달시스템인 불

소 함유 필름이 치아 우식증 예방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불소 함유

필름은 나노 코팅기술을 통해 미량의 불소만을 코팅처리하여 체내에 삼키는 양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4

최소화하였으며 무색 무취 무미한생체 친화적 제재로 그 안전성 면에서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전문가 불소도포 제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영주 고영훈 김우성 매유진 목진경 조한규(2014)는 나노마스크와 황사마스

크에 의한 토너가루와 담배연기 필터링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를 하였다 황사와

미세먼지 담배연기 등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에서는 마

스크를 착용을 권하고 있으며 약국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마스크를 판매

하고 있다 나노마스크와 약국에서 파는 황사마스크의 미세먼지와 황사차단 효과

그리고 담배연기 차단 효과를 비교해 나노필터와 부직포필터의 필터링 성능을

비교해 보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나노마스크는 나노필터에서 토너가

루(미세먼지 대용)가 다 걸러져 점모양만 남아 있는 반면 황사마스크는 토너가루

가 묻어 나옴 또한 담배연기에서 나오는 이물질 실험에서 두 마스크 모두 첫 번

째 필터에는 진한 노란색 이물질이 있었지만 두 번째 필터에서는 황사마스크의

부직포 필터에는 노란색 이물질이 있는 반면 나노마스크의 나노필터에는 노란색

이물질이 묻어 있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나노마스크 내 나노 필터가 황사마스크

의 부직포 필터에 비해 토너가루와 담배연기에서 나오는 이물질을 더 잘 걸러준

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현재 다소 비싸지만 경제성을 입증하게 된다면 실용

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외에도 수질오염물질의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는데 이는

수영장에서 살균을 위해 흔히 사용하고 있는 염소를 태양빛을 통해 대체할 수 있

는 나노기술을 개발하였다 이 기술은 나노입자의 태양빛을 이용하여 세균이나

유기물질 등을 제거하고 산화력과 반응성이 강한 활성산소 및 히드록실 라디칼

(hydroxyl radical)을 생성시킨다 염소로 인해 발생하는 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

의 생성을 크게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오염물 처리에 드는 에너지 및 화

학물질의 양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김준현 2015)

또한 나노기술은 기존 제품을 덜 소모하게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강화시켜 환경

에 긍정적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나노기술은 일상적으로 소모되는 자원을 절약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열과 마모에 강한 특징인 내구성 향상과 자기 수복성 부여

를 통해 나타난다 또한 콘크리트에 손상을 주는 근본적인 원인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콘크리트에서 기능성 나노복합 무기질 활성탄계를 활용하

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5

콘크리트 구조물은 균열이나 누수 박리 철근부식 박락과 같은 현상들이 발생

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들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이며 이러한 현상들이 심해지면 구조물의 붕괴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콘

크리트의 부식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유해물이나 수분이 콘크리트

안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보수재료

나 방수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손상된 부분을 다시

시공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나노수준에서 합성하여 콘크리트와 흡착성과

다공성으로 착화합물이 형성되어 일체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기능성 나노

복합 무기질 활성탄계는 콘크리트 조직에 침투하여 미세기공을 가지게 되는데 미

세기공은 직경이 3~100Å으로 열화인자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특성을 지

니고 있다

에너지의 경우를 살펴보면 나노기술은 에너지 소비량을 감소시키거나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그 혜택을 찾을 수 있다 나노기술을 사용하게 되면 기존에 사용하

고 있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보다 수명은 3배 이상 길어지고 출력은 5배 이상이나

높은 리튬이온 이차전지 양극소재를 개발할 수 있으며 기존의 태양전지보다 13

의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나노 크기의 미세한 돌기구조를 통해

서 이러한 효율 증대를 가능하게 한다 나노 크기의 미세한 돌기 구조와 표면에

마이크로 크기의 기둥을 가진 태양전지를 개발하였는데 이것은 빛의 흡수율을

높여주고 태양전지 내부의 전자 이동을 용이하게 해주어 순도가 낮은 저렴한 실

리콘으로도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게 해준다

연구팀은 시제품을 통한 실험으로 매우 높은 효율성이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으

며 마이크로 기둥 사이에 돌기형태로 형성된 나노 구조는 반사효율은 떨어뜨리

고 빛의 흡수율은 높여주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반사효율을

5 이하까지 낮추는 데 성공함 일반적 태양전지의 반사효율이 40 이상 특수

표면처리(텍스처링)한 태양전지 반사효율이 15~20 수준에 이르는 것을 감안하면

획기적인 수치라고 할 수 있다(김준현 2015)

나노기술은 가까운 시일 내에 인간의 근본적인 삶의 모습을 바꿀 수 있는 엄청

난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나노기술이 재료 의료 및 의약 전자 기계 에

너지 환경 등 매우 넓은 분야에서 기술혁신을 일으킬 수 있고 미래 산업의 경제

적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암을 치료하거나 생명주기를 연장하고 식

량난 해소 반도체의 성능 향상 환경 오염물질의 제거 등 열거 할 수 없을 정도로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6

무수히 많은 분야에서 우리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어느 정도까지 될지 평가하기

조자 어려울 정도이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혜택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위험

역시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정정적 위험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나노기술에 대

해서 윤리적인 문제가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첫째 나노기술에 대한 형평성 차원에서의 문제를 들 수 있다 나노기술의 발전

은 매우 긍정적인 요소 일 수 있으나 전 세계 모든 곳에서 균등하게 그 기술을

나누어 쓸 수는 없을 것이다 바로 lsquo나노격차rsquo(Nano Divide)가 생겨날 수 있다 나

노기술의 사업화와 사용화가 진행될수록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나노기술을 이용하는 부유층과 빈곤층 간의 격차로 인하여 사회적인 문제로 심화

될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기아 질병 오염 가

난 등의 문제를 먼저 해결하는데 이용되어야 하며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격

차가 심화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현재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들은 에너지 자원

의 고갈 의약품 부족 등으로 에이즈와 같은 질병을 치료하지 못하여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당하고 있으며 식수의 부족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들이 나타나

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등장한 기술인 나노기술을

선진국 보다는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에게 먼저 적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나노기술로 개발된 성과들에 대한 불공정한 분배로 나타나는 심각한 사회적 격차

가 문제점으로 나타날 수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lsquo첨단기술일수록 비싸

다rsquo(high-tech high-costs)라는 말이 의미하듯이 나노기술을 통해 개발된 제품과

같은 성과물들을 이용할 수 있는 사회적 계층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극심한

사회적인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이 야기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불평등이 아닌 사회적 평등을 조장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할 것이

다(이중원 2016)

다음으로 투자측면에서 연구비의 재정적 투자에 대한 형평성을 생각해 볼 수 있

다 정부의 나노기술 정책 활성화로 인하여 연구비 중 많은 부분이 나노기술 분야

에 편중되어 있어 나노기술에 대한 집중적 투자가 다른 연구비 투자에 비해 과도

하게 측정되어 있는 것이 과연 올바른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둘째 유전정보에 관한 문제등 개인의 생체정보 보호와 관련된 프라이버스 문제

를 들 수 있다 나노바이오 기술은 유전주 수준에서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노 크기의 장치를 개발하여 인간 DNA 자체를 조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나노기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나아가 윤리적 사회적 문제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7

로까지 번져 다른 차원에서의 문제점들을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나노기술을 접

목한 초정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의 발달은 나노-유비쿼터

스 개념의 기술 발달로 감시나 통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지만 개인 사생활에 대

한 침해의 요인 부분도 존재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나노기술의 발달이 효율적이

고 효과적인 측면도 존재하지만 이를 역이용하려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법적

으로나 윤리적으로 보다 강도 높은 규제나 제재를 통해 프라이버시 관련한 윤리

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셋째 생명체 변형의 도덕적 문제를 들 수 있다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인공 생체

기관을 만들거나 생명체를 조작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생명체들을 합성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나노기술은 새로운 생물체의 생성이나 변형을 충분히 가능하게 하며

예를 들어 유전자 조작 쥐나 키메라 등 생명 형태를 변형하는 것과 관련된 연구

들에 대해서 생명의 존엄이나 신성함과 관련하여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문제를 제

기하여 허용 가능한 범위를 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인체 및 환경의 안전성 문제가 있다 나노기술과 관련하여 가장 주된 잇슈

는 나노소재가 인체의 건강과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이다 나

노기술은 기존의 기술에서 가지고 있지 않은 전혀 새로운 차원에서의 문제를 가

지고 그 위험성에 대해서 논의되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나노물질들은 분

자적 수준에서의 입자들을 일컫는다 이는 매우 미세하며 우리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매우 작은 단위를 다루는 것이다 이러한 나노 물질들은 그 자체로 매우 강

한 독성을 지니고 있어서 인체에 습수될 경우 세포 내부로까지 침투하여 유전자

구조를 변형시키거나 세포 자체를 파괴할 가능성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나노입자들은 악성 폐암을 일으키는 미세한 석면 입자들보다 훨씬 작기 때

문에 이러한 입자들이 인체 침투하여 다양한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인공 장기 등을 인체에 이식하였

을 때 인체에 어떠한 형태로 작용할지 매우 불확실하다 가령 인공 장기가 기존

에 알고 있던 다른 어떠한 물질들 보다 인체에 위협적인 것이 될 확률도 존재한

다 실제로 2004년 이래로 나노물질의 심각한 독성에 대한 보고들이 나타나고 있

는데 탄소나노튜브가 생체 유전자 역할을 변형시켜 치어의 뇌를 손상시킨 사례

가 존재했고 은나노 입자로 인하여 인체 DNA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며 차세대

반도체 나노물질로 불리는 CdSe가 인체 내부에 들어서 카드늄 중독을 유발할 가

능성도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위험은 나노물질이 지닌 본성으로부터 불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8

가피하게 초래되는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것으로 나노물질의 독성과 그것이 인체

및 환경에 가하는 위험이 이와 같다면 이런 나노물질에 대해 안전한 관리와 통제

가 불가피해 보인다(이천무 윤종민 2016 오규운 김경훈2016 이중원2016)

최근들어 일부 나노제품과 나노물질에 대해서 보건 및 환경의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문제가 나타나면서 나노기술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나 우려의 목소리가 나노

기술의 안전과 사회적 수용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김선아 김호정 홍

용석 2013) 연일 매스컴에서 보도되고 있는 lsquo가습기 살균제 사건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는데 에어로졸 형태로 분무되는 다양한 제품은 이미 오래전부터 우

리 생활 속에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규율할 법적 근거는 식품 의약품 화장

품 공산품 등 개별 법령으로 분화되어 제조업체는 용도변경에 따라 법의 테두리

를 벗어날 수 있었으며 각 법령에서 요구되는 기준이 서로 달라 적용하는 행정주

체도 책임영역을 서로에게 미루는 상황이 발생하여 대다수의 국민들이 혼란과 불

안을 겪고 있다

규제의 공백영역에서 수많은 피해자를 양산한 이후에야 그 원인과 대책을 마련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현실이며 나노물질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적 보호 수단으로는 사전

예방을 통한 위험의 통제와 사후관리를 통한 피해구제 등이 고려될 수 있으나 피

해규모의 대형화와 피해기간의 장기화 원상회복의 불가역성 등을 고려할 때 사

전예방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지난 사건과 역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이라

할 수 있다 그 동안 우리나라는 나노기술의 육성과 진흥에 중점을 두어 왔기 때

문에 안전에 관한 부분은 다소 소홀하거나 형식적인 대응을 해왔는데 EU 등 선

진국은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나노물질 및 제품의 자국내 수입을 철저히 규제

하고 있어 사전에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글로벌 무역장벽을 넘지 못할 상황

이다 따라서 나노물질 및 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국내 정책 및 제도의 상황

을 점검하고 국내에서 시행중인 관련 법제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그

동안 나노안전성에 관한 법적 관점의 연구는 주로 공법상의 규율 민middot형사상의

책임과 구제 제도개선 등에 집중되어 있으며 나노안전을 위한 법제적 측면에서

의 개선방안 제시는 부족한 실정이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9

42 나노기술 관련 산업의 미래 전망 분석

나노기술의 기대효과에 대해 분석해 보면 첫째 나노혁신 기술확보와 산업현장

확산으로 인하여 제조업 활로 및 미래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나노기술의 성과가

다른 산업으로 융합middot확산됨에 따라 지속적인 혁신을 유도하고 국내 제조업의 질

적 성장을 견인할 수 있다 또한 첨단 나노소재의 적용이 확산됨에 따라 소재기업

과 최종 수요 기업의 경재역이 동반상승하게 될 것이다 나노기술은 산업적 파급

효과가 큰 전략기술로 미래 제조업의 새로운 혁신동력이 될 것이다 나노기술의

산업화 촉진으로 사업영역 확대(신사업 창출)되고 나노바이오 기술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 헬스산업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유망분야로 성장할 것이다 특히 전기자

동차 가정용 에너지 저장장치 등 에너지 활용으로 효율성 향상될 것이다

둘째 나노기반 미래 신산업 창출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확충될 것이다 나노기

술 기업의 성장 및 제조업 성장 촉진으로 신규 고용 창출할 수 있다 전통 제조기

업의 나노기업으로의 전환 등 기업 활동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고용의 질 제고

할 수 있다

셋째 미래세대와 함께 하는 지속가능한 사회 기반 구축할 수 있다 안전한 나노

기술개발로 나노기술에 의한 잠재적 위험을 최소화하고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안전 제고해야 한다 나노기술 기반의 에너지 발생 변환 저

장 절감기술 개발을 통해 에너지 자립도를 향상시키고 나노기술 기반의 대기 및

수질오염 제거 기술 개발을 통해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문제 최소화시킬

수 있다

나노기술의 상용화와 관련된 문제를 살펴보면 나노기술 분야에 대한 잇슈 중의

하나는 상용화와 제품화에 대한 것이다 이는 나노기술이 제품화가 되기까지의

과정이 매우 어렵게 때문이다

McNeil(2007) Kalil(2005) Hobson(2009)등이 제시한 장애 요인 분석을 바탕으로

나노기술분야가 IT 및 BT 분야 등 타 분야와 차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나노

기술이 상용화가 되기까지 약 5~10년의 기간이 걸린다 그리고 나노기기술은 첨

단기술로서 연구개발 단계에서 인프라 구축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장

비들이 고가이고 실험이나 측정을 위하여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되고 이러한 초

기 인프라 구축과 장기간의 시간을 통해 제품이 시장에 나왔다고 하더라고 성공

을 확신할 수 없는 부확실성의 성격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고가의 기반시설 등에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0

대한 인프라 구축은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역량으로는 매우

힘든 부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나노기술 분야에서 중소기업의 수가 많은

점을 생각하면 인프라 구축의 선행으로 인한 어려움의 요인이 나노의 상용화 어

려움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나노기술의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참여인력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

다 나노산업은 일반인이 접근하기에는 매우 어려우며 기술적으로 높은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그렇게 때문에 민간 차원에서 주도하여 성장할 수 있는 부분이라

기 보다는 정부차원에서 투자하고 발굴하여 추진해야 하는 분야의 산업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나노기술의 높은 이해도와 특징으로 인하여 대부분 나노기술 분

야를 주도하고 있는 것은 대학이나 정부 출연 기관의 연구원들이다 이들은 기본

적으로 나노기술을 사업화하여 이익을 창출해 내려는 사업가적 마인드로서의 시

각으로 바라보기 보다는 순수학문적인 분야에서 새로운 물질의 발견이나 합성 등

학문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다 그러므로 나노기술의 사업화를 통한 성과의

창출보다는 논문등재 등 이론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어 학문적인 업적을 창출하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나노기술

에 대한 투자가 주로 정부주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구비에 대한 투자를 연구

업적 등의 가시적 성과를 통해서 보여주려고 하기 때문이다

5 문헌연구 분석 결과 시사점 도출

앞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으로는 정량적 정성적

방법이 있다 각각의 수요예측에 대한 우월성은 학자들에 따라 의견이 다르지만

연구의 대상 관련 데이터의 확보여부 연구 범위에 따라 다르게 활용될 여지가

있다 정성적 예측 분석의 대표적 방법론으로는 델파이 기법이 있는데 델파이 분

석의 경우 전문가들의 익명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외부적 영향으로 인한 왜곡현상

이 방지되어 비교적 객관적인 답변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응답자인 전문가

들의 자질과 역량의 문제 응답의 불성실문제 비용문제 마지막으로 전문가의 직

관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정량적 분석과 비교 시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갖

고 있다

이에 반해 정량적 수요예측은 신속한 검증이 가능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결과의 타당성도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정략적 수요예측 방법으로는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61

일반적으로 Gompertz 모형 Logistic 모형 Bass 모형 등이 있으며 이중 Bass 의

Diffusion Model은 신상품 신규서비스 신기술이 시장에 도입되어 확산하는 과정

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모형이기 때문에 나노기술의 산업확산 수요

예측에 가장 적절한 분석방법이라 할 수 있다 Bass 확산모형은 시장 전체의 반응

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시장의 종합적 분석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요예측 토대로 기업이나 정부의 투자나 지원을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들에서 다루었듯이 신기술의 확산 또는 신

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미래 수요를 예측하는데 Diffusion Model이 널리 쓰이고 있

지만 현재까지 나노산업의 미래 수요예측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며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학습논문이나 연구보고서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보

고서는 나노산업의 미래 수요예측을 위해 계량적 분석 그 중 높은 예측력을 지닌

다고 알려진 Bass의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려고 한다

한편 소비자 인식 관련 문헌 연구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혁신의

수용을 혜택(Benefit)-비용(Cost)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고 나노기술이 위험인식

기술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신뢰라는 변수를 추가할 수 있다 소비자들

이 나노기술에 대한 긍정적 혜택과 관련된 변수로는 나노기술을 사용함으로 나타

날 것 같은 지각된 이득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이라는 변수를 선택할 수

있다 반대로 나노기술에 대한 부정적 요소로 비용 관점에서는 혁신저항의 변수

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저항변수로 기능적 장벽(지각된 위험 가치장벽 사용장벽)

과 심리적 장벽(관습장벽 이미지 장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뢰의 대상을 기관 사람 기술에 대한 신뢰로 구분하여 나노기술에 대한 소비자

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주요 변수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즉 문헌연구를 통하여

소비자의 기술수용과 이용행동에 관한 다양한 모델을 살펴보고 나노기술과 같은

신기술을 수용하는 소비자들에게 그들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어떠한 변수들이 중

요한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나노기술을 혁신의 차원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나노기술이 연속적 혁신

인지 불연속 현신인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나노기술이 어떻게 받아

들여지고 있는지 유추할 수 있다 나노기술은 산업 전반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므로 산업별 제품별로 연속적 혁신과 불연속 혁신이 산업 전반에서 다양하

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불연속적인 혁신의 경우 획기적인 성능과 증진된 편익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2

주는 나노기술의 경우 혁신제품 애호가들로부터 상당한 주목을 받는 경우가 많이

나타나지만 시장의 다수를 형성하는 보수적인 소비자들로부터는 외면당하기 쉬

울 수 있어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모두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나노기술처럼 불확실성이 높고 미래의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 소비자들

은 주관적 확신을 높이기 위해 정보탐색이나 구매 전 심사숙고의 과정을 더 많이

거치게 되며 의사결정에 이러한 요인들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문

헌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요인들을 혁신장벽이라는 개념으로 살펴볼 수 있었으

며 나노기술과 같은 혁신기술의 채택의 주요 장벽으로 기능적 장벽 심리적 장벽

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나노기술에 대해 전문가나

연구소 등 국책기관이나 정부 등을 신뢰하는 정도에 따라 이러한 불확실성에 대

한 위험인식을 낮추게 될 것이라는 점을 도출하였다

한편 산업 전문가 조사는 해당 산업에 대해 높은 지식과 식견을 가진 전문가들

을 표본으로 목적에 맞게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말하며 기업내외부적 전문가

들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산업의 세부적 분류를 사용해 분석할 경우 기업 내외

부와 산업 별 쿼터별로 적절한 대표성을 위해 할당 추출법(quota sampling)을 사

용하기도 하며 이 경우 도출해내고자 하는 결과와 관련해 분야별 다양한 의견을

갖고 있는 전문가들의 종합적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산업 전문가의 의견이

반영된 연구들로는 델파이 기법이 있으며 신기술 산업이나 제품에 대해 일반인

과 전문가의 이해도가 많은 차이가 있거나 그 기술의 산업 제품에 대한 혜택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식이 상반될 때에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조사하는 연

구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델파이 조사의 경우 일반적인 소비자조사보다 표본의 숫자가 작은 편이지만 다

양한 견해와 이견을 통해 새로운 시각의 직관적이고 창의적 견해를 포함하는 시

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인터넷의 등장으로 초기 델파이

측정 방식인 인터뷰나 대면조사에서 온라인 설문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이 강화되어 최근 많은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 다른 산업 전문가 의견을 활용하는 연구로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차이를

조사하는 연구가 있다 이는 해당 기술 산업이나 제품에 대한 인식에 많은 차이가

있을 때 중요하며 어떠한 산업은 전문가들이 일반 소비자나 잠재소비자의 특성

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새로운 기술 산업이나 제품의

경우 그러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첨단 기술산업의 경우 일반 소비자들은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63

해당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불확실성과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

는 신기술 산업의 경우 소비자들과 전문가들은 위험인식 혜택 수용의도에 걸쳐

서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의견이 아닌 전문가의 의견에만 의존할 결과를 도출하게 될 경우 본 보고서와 같

이 미래의 수요를 예상하게 될 경우 실제 수용자인 일반소비자들의 위험인식에

따른 낮은 태도를 반영하지 못해 신뢰하기 어려운 결과값이 도출 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일반 소비자의 의견만을 반영하고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일반 소비자가 판단하기 어려운 첨단기술 산업의 경우 이들의 응답에 대한

신뢰도가 전문가와 비교해 매우 낮을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산업 전문가와 일반

소비자의 인식차이를 비교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나노산업의 경우 나노물질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는 다르

게 사람들로 하여금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나노기술의 정확한 시장잠재력 및 확산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이해수준

이 높은 전문가의 의견도 물론 중요하지만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결국 최종 소

비자의 수용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의 잠재적 불

안감을 측정하고 이를 전문가의 의견과 함께 종합하여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예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노기술은 미래성장잠재력과 국가경제의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기술력이며 이에 대한 효과성은 광범위한 산업분야에서 연구를 통해 입증되어

왔다 나노기술은 삶을 더 풍요롭고 빠르고 편리하며 경제적으로 바꿔줄 가능성

이 매우 큰 혁신적인 분야이며 전통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국가 경제를 견

인할 차세대 기술혁신의 주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는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

치고 기존 산업을 파괴하거나 새로운 산업 창조가 가능할 정도로 파급력을 갖는

파괴적 혁신 기술(disruptive innovation technology)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산업

적 파괴력 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크다고 할 수 있다(배성훈 외 2015) 나노물질이 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는 다르게 사람들로 하여금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주고 있다 실제로 최근 몇몇 국내연구들에서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들의 잠재

적 위험성 인식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나노기술은 나노미터 크기의 아주 작은 단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4

위의 물질을 조작 분석 제어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관련지식이 적은 일반인들에

게는 막연한 불안감 위해성 인식을 불러 올 수 있다 또한 나노기술의 높은 효과

성과 파급력에 비해 나노기술의 정확한 이해나 응용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지식수준이 많은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나노기술의 정확한 시장잠재력 및 확산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이해수준이 높은 전문가의 의견도 물론 중요하지만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결국

최종 소비자의 수용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의 잠

재적 불안감을 측정하고 이를 전문가의 의견과 함께 종합하여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예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노관련 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로서 부가가치 유발 효과와 고용유발 효과를 들 수 있으며 나노관련 산업의 많은

부분이 제조업을 포함하기 때문에 특별히 제조업 전체의 발전을 통한 부각가치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나노산업은 연구개발과 시제품을 생산하는 단계를 지나 실제 상용화될 수

있는 제품을 제조하고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으며

제조업의 생산성을 뛰어넘는 유망한 성장동력으로 커가고 있다 또한 나노산업은

제조업 대비 고용증가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계획하고

있는 고용 확대 정책과도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고용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이다

나노기술의 파급효과와 빠른 성장 그리고 성공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성과가 매

우 크게 나타나지만 이러한 성공을 거두기까지 적어도 5~10년 정도의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단기간에 성과를 발생시켜야 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나노기술에

대한 연구의 투자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나노융합제품의 시장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나노융합제품의 매출 비중은

제조업 영역에서 확대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사업화를 확대시킬 수 있는 전략적인

지원정책 수반되어야 한다 나노기술은 기반 기술로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

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향후 산업 전반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하

고 있다 따라서 나노기술의 상용화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기업뿐만 아

니라 정부차원에서의 지원과 학재간 협력이 필요하다(김석필 외 2014)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전자산업이 초정 나노기술을 혁신 동력으로 발전하였

으나 차세대 기술에 대한 투자가 부족한 편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차세대 논리

소자 계산과학의 기술수준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나노소재 분야 기업이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65

다수이나 매출규모가 적고 나노바이오의 사업화가 특히 미흡한 편이다(국내 나노

산업의 03 해외는 10)

이처럼 나노산업인력은 양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기술 전문성 증진 필요함 국내

나노기술의 미래 전망에 대해 정성적인 분석을 통한 전망 외에 계량적인 모델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예측이 필요하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6

제4장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1 나노시장 예측 방법론 요약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process를 통하여

나노기술의 최종적인 산업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lt그림 29gt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나노산업 영향력 도출 방법론

먼저 Step1에서 과거 나노산업 매출 데이터(2010년~2014년)를 수집한다 이후

모델 추정을 위한 초기 데이터의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해 Step2에서 나노산업 전

문가들의 단기적 미래 나노산업 매출액(2015년~2018년) 예상값을 수집한다3) 단

이 과정에서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를 산업 전문가들에게

제시해 최대한 객관적인 시장에서 매출액을 예상하도록 유도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2010년부터 2018년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해 Diffusion Model의 계수 p q

값을 추정해낸다

마지막으로 Step3에서 추정된 p q값을 모델에 대입하여 2015년부터 2025년까

지의 최종 나노산업 매출액을 예측한다 이후 세부 나노산업별로 각각의 규모를

나누어 추정해보고 예측의 최소값 최대값 적용과 같은 몇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

3) 사전에 실시된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는 2014~2018년도 예상 매출액을 응답하게 하였으나 조사 기간 도중 2014년 실제 나노산업 매출액이 발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 적용 시 2010~2014년도 값은 나노산업의 매출 실제값을 2015~2018년도 값은 산업전문가의 예상 매출액을 활용하기로 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67

한 민감도 분석도 실시하기로 한다

이러한 방법론은 현재 나노산업이 가지고 있는 초기 데이터 부족 등 몇 가지 문

제점 및 전제를 감안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충분히 고려하였으

며 각각의 해결 방향은 요약 제시하면 다음의 표에 정리된 바와 같다

lt표 16gt 본 연구의 기본 전제 및 해결 방향

예측 과정의 문제점 및 전제 해결 방향

1

나노산업의 시장매출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아 모형

예측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를 필요로 함 (모형 추정

의 불안정성)

기본 계량 모형과 더불어 산업전문가의 예측 정보

를 함께 활용하고자 함

2산업전문가들의 장기적인 산업 예측은 신뢰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음

비현실적으로 장기적인 예측을 요구하지 않고 5년

간의 단기 예측 정보만을 요구하여 신뢰성을 높임

3산업전문가들의 기술 중심적인 사고를 보완하기 위해

보다 객관적인 정보 도출이 필요함

나노산업 전문가들에게

나노기술 최종 사용자인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

술 인식 조사결과를 제시하여

보다 객관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유도함

2 Diffusion Model 소개 및 적용 방향

Diffusion Model은 Bass(1969)가 제안한 이후 신기술 혹은 신제품의 확산 과정을

예측하기 위해 활발히 활용되는 대표적인 수리적 모형이다 Diffusion Model은 새

로운 상품이나 서비스가 나타내는 S자형의 성장 및 확산 모습을 가장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모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Bass Model은 기본적으로 신제품에 대한 구매가 혁신자(innovator)와 모방자

(imitator)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고 hazard rate라고 불리는 다음의 식으로

부터 출발한다 (hazard rate t시점까지 비구매자가 t시점에서 구매자가 될 확률)

이때 계수 p를 혁신 계수 q를 모방계수라고 한다

)(

)(1

)( tqFptFtf

f(t) t기에 제품을 수용할 확률

F(t) t기까지 수용자의 누적 확률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8

p 혁신계수 (coefficient of innovation)

q 모방계수 (coefficient of imitation)

위의 식로부터 미분방정식을 활용하여 t시점의 수용자 수를 다음와 같이 계산할

수 있고 각 t 시점마다의 누적 수용자수도 함께 계산할 수 있다

2)(

)(2

)1(

)()(

tqp

tqp

epqe

pqpMtS

S(t) t기에 제품을 수용한 소비자의 수

M 시장의 최종적인 잠재수요

확산모형의 모수추정방법으로는 크게 회귀분석을 활용하는 OLS(Ordinary Least

Square) 우도추정함수를 활용한 ML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방법 관찰

치와 예측치의 차이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함수를 설정한 후 모수를 삼차원 공간

에서 추정하는 NLS(Non-linear Least Square) 등의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중에서 지금까지 가장 안정적이고 좋은 성과를 보인다고 평가받고

있는 NLS 방법을 적용하기로 한다

한편 Diffusion Model이 기본적으로 제시하는 형태는 신제품의 수용자 수 기반

의 예측이나 나노산업의 경우 나노기술이 포함된 특정 제품을 선정하고 그 소비

자들만 추출해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최종적인 일반 소

비자들의 나노기술 지식 수준이 낮아 수용 소비자 수를 활용하는 예측의 효과성

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나노기술이 TV 자동차와 같이 최종 end-product로 일반소비

자에게 수용되기 보다는 다양한 산업과 제품에 활용되는 기반 기술이라는 특성을

감안하여 최종수용자 기반의 확산모형이 아닌 산업 총매출액 기반의 확산모형을

적용하고자 한다

실제로 이와 비슷한 특징을 가진 몇 가지 기술 확산 예측 모형에서 같은 이유로

인해 산업의 전체 매출액 데이터를 활용한 Diffusion Model이 활용된 바 있다 예

를 들어 최근 반도체 시장 수요 RFID 시장 수요 오픈소스 기술 수요 등 신기술

등장 시 전체 시장의 확산을 예측하는 계량적 모형으로 매출액 기반의 Diffusion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69

Model이 활용된 바 있다(김진 고경일 2014 권순동 이승률 2015 손동민 외

2014)

특별히 나노기술과 같이 다양한 하위 산업이 존재하는 신기술의 경우 시장 매

출 합산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측하는 포괄적 방법론이 더욱 설득력이 있다고 판

단된다 손동민 외(2014)의 연구에서도 합산 데이터를 활용하여 예측하는 것이 산

업의 포괄적 전망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시장 합산 데이터를 사용한다고 지적

한 바 있다 본 연구도 이와 같은 목적에서 수용자 수 기반의 Diffusion Model 보

다는 합산 매출액 기반의 Diffusion Model을 적용하여 최종 예측하고자 한다

3 일반소비자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 요약

본 연구는 사전 조사로 일반 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을 조사하였다4) 나노기술

과 같이 혁신적인 기술에 대해서 일반 소비자들은 혜택 지각된 위험 혁신 저항

신뢰 등 다양한 인식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소비자 인식은 최종적인 산업의 확

산 및 발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별히 나노기술은 과거 기술 위험성 부작용 등의 뉴스 및 연구 결과들이 발표

된 바 있어 최종 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이해와 개선이

향후 나노산업 발전을 위해 특별히 중요하다 일례로 최근에는 일반적인 공중

(public)이 느끼는 나노기술 위험 특성과 나노기술 개발 및 관리주체인 정부 및 과

학자에 대한 신뢰가 위험인식과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들도 진

행된 바 있다(김원제 외 2016)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에 대한 인식을 면 히 조사하고 향후 산업 전문가 제시 정보로도 활용하기 위해

서베이 기법을 활용한 시장조사를 진행하였다 서울 경기 및 5대 광역시(인천 대

구 광주 부산 대전) 거주하는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96명을 대상으로 진

행하였으며 2016년 10월 10일부터 10월 1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 및 동영상을

이용한 온라인 조사를 실행하였다

4)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2017 「나노기술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신뢰도 수용의도 조사분석 연구」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0

lt그림 30gt 나노기술 인식 조사 변수 소개

소비자 조사를 위한 주요 변수는 앞의 문헌연구를 종합하여 최종 선정하였으며

기본적으로 Benefit-Cost 관점에서 출발하여 나노기술에 대한 혜택 변수 위험 및

혁신장벽 등을 질문하였다 또한 나노기술이 위험인식 기술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기관 사람 기술에 대한 신뢰 변수를 추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나노기술에 대한 긍정적 혜택과 관련하여 지각된 이득 지각된 유용

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이 선정되었으며 혁신저항 변수로 기능적 장벽(지각된 위

험 가치장벽 사용장벽)과 심리적 장벽(관습장벽 이미지 장벽)으로 구분하여 측

정하였다 그리고 나노기술 관련 신뢰는 신뢰의 대상을 기관 사람 기술에 대한

신뢰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웹서베이를 통해 소비자의 연령 성별 나노기술 인식을 비교하여 해

당 분석 결과를 다음 순서인 전문가 조사 제시 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

다 또한 소비자 인식 수준을 참고로 나노기술 정책 개발자 및 나노기업 담당자

들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미 다른

보고서에서 소개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소비자 조사의 주요 결과만을 요약하

기로 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1

lt그림 31gt 일반 소비자의 나노기술 나노제품 사용 여부 인식

우선 본 조사는 일반 소비자들이 나노기술 이용여부를 얼마나 잘 인식하고 있는

지 측정하였다 스마트폰 등 일반 소비자들이 자주 쓰는 제품에서 나노기술이 이미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소비자들이 나노기술 나노제품 사용 여부를 인지하고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실제 소비자들은 나노제품 사용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많은 소비자들이 나노기술 나노제품을 사용한 적 없다

(30) 혹은 잘모르겠다(342)라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여성(40)과 젊은 연령대층

(20대 411)에서 나노기술 사용여부에 대해 잘 모르겠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이처럼 나노기술에 대해 일반소비자의 인식이 낮을 것을 예상하여 본 조사는

본격적인 질문을 시작하기 전에 나노기술과 관련된 홍보영상 관련 뉴스를 4개(총

재생시간 약 11분) 시청하게 하였다 동영상 시청 후 나노기술에 대한 이해도는

다음의 표와 같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lt표 17gt 나노기술의 특징 품질 혁신성 이해 정도 비교 (동영상 시청전후)

구분특징 품질 혁신성

시청 전 시청 후 시청 전 시청 후 시청 전 시청 후

부정 (1점+2점) 369 89 411 83 45 39

긍정(4점+5점) 344 694 283 675 693 796

점수(100점 만점 기준) 484 673 453 669 691 759

차이(시청 후ndash시청 전) 189 216 68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2

단 11분 정도의 간단한 동영상 시청만으로도 나노기술의 이해도가 의미 있게

증가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나노기술의 성장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일반소비자의 이해 수준은 낮은 편이고 이러한 이해도는 추가적인 홍보

를 통해 충분히 상승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향후 나노관련 정책 개발자는 나노기술에 대해 연령별 성별 특성에 적합한 맞

춤형 홍보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도 나노기술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 외의 나노기술 인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2gt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정도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3

우선 나노기술의 혜택으로 지각된 이득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을

100점 만점 기준으로 측정하였는데 일반 소비자들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

득 지각된 사용 용이성 순서대로 나노기술 혜택을 높이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여성보다는 남성이 그리고 저연령층보다는 고연령층 그룹에서 나노기술의 혜택

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나노 관련 정책 홍보 측면에서 나

노기술이 다양한 제품군에서 손쉽게 사용될 수 있음을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별히 여성과 20~30대 젊은 소비자들에게 나노기술의 혜택을 집중적으로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

비용 관점에서는 기능적 장벽(지각된 위험 가치장벽 사용장벽)과 심리적 장벽

(관습장벽 이미지 장벽)으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인 평균값은 혁

신장벽값으로 100점 만점 기준으로 나타내었다 조사 결과 나노기술에 대한 지각

된 위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치장벽과 심리적 장벽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

이었다 특별히 여성이 더 높은 지각된 위험을 인식하고 있으며 30대 소비자 그

룹에서 혁신 저항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즉 일반소비자들에게 특

히 30대 여성 그룹에게 나노기술의 안전성 홍보를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신뢰 측면은 기관에 대한 신뢰 사람에 대한 신뢰 기술에 대한 신뢰로 나누어

100점 만점 기준으로 측정하였는데 나노기술을 개발 운영 유지 관리하는 정부

공공기관 기업 등 기관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여성

들의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고 20~30대 젊은 소비자 그룹의 신뢰도 역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즉 여성과 20~30대 젊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나노

관련 기관들의 신뢰를 높이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서 측정

한 바와 같이 나노기술에 대한 높은 지각된 위험을 고려할 때 향후 더욱 적극적

인 신뢰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조사는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수용의도를 100점 만점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나노기술 적용 제품 수용의도는 남녀가 유의한 차이를 보

였으며 남성(643점)이 여성(603점)보다 수용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별대별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50대 이상이 671점으로

가장 높은 수용의도를 보였고 20대가 580점으로 가장 낮은 수용의도를 보였다

본 결과에 따르면 나노기업은 우선적으로 50대 이상 남성들이 자주 사용할 수 있

는 나노제품군 개발에 노력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장기적으로 젊은 여성 그룹이

선호할 수 있는 나노제품 개발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4

4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결과 요약

본 연구는 나노산업 초기 매출 데이터의 불충분함과 산업 전문가의 보다 현실적

인 예측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5) 이를 위해 먼저 나노

산업을 통계청 NTIS 등 국가승인통계 기준에 따라 ldquo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

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rdquo 네 분야로 분류하였다 단 나노전자산업에 대한

표기는 나노전자(소자)로 변경하였는데 이는 실제로 나노전자 산업에서 소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 산업의 전문가를 기업내부 기업외부 시장분석 전문가의 세 집단으

로 분류하였다 기업내부란 나노관련 기업에 종사하는 직원들을 의미하고 기업외

부란 나노기술과 관련한 국책연구소 정부기관 대학교수들을 의미한다 시장분석

전문가들은 나노산업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금융회사의 애널리스트

펀드매니저 투자전문가 IR담당자들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전문가조사는 기업내부의 전문가 위주의 조사가 주를 이루지만 본 연

구는 보다 객관적인 정보 수집을 위해 다양한 전문가 구성을 시도하고자 노력하

였다 특히 시장분석 전문가들은 나노 관련 기업의 매출 및 이익 구조에 근거해

lsquo돈rsquo과 관련된 투자 의사결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인 시각의 의견을 수

집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였다

전문가 조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산업별로 쿼터를 구성하였다 나노소

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을 각각 균등하게 배분

할 수도 있지만 실제 나노산업의 매출액 비중은 다음의 표와 같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lt표 18gt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추이 (단위 억원)

  2010 2011 2012 2013 2014 Total 비율

나노소재 87191 111370 96651 144391 104664 544267 938

나노전자(소자) 770863 785380 1170282 1215753 1193383 5135661 8849

나노바이오의료 2718 2934 4444 4126 7249 21471 037

나오장비기기 19698 23170 19152 22669 17634 83171 143

Total 880470 922854 1290529 1386939 1322930 5803722  

자료 나노융합산업 통계 산업통상자원부

5)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2017 「나노기술 성장 예측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정확한 제목 이곳에 명시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5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전체 나노산업에서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매출이 차

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이다 따라서 모든 산업을 균등한 비율로 분배하는 것은 무

리가 있다 그렇다고 반대로 단순 매출액에 비례하여 산업 전문가 샘플수를 결정

할 경우 나노전자(소자) 산업이 지나치게 많은 비중을 차지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매출 비중이 적어도 향후 높은 성장이 기대되는 각 나노

세부 산업의 특징을 감안하여 노전자(소자) 산업을 50 그 외 나머지 산업을 50

내에서 균등히 배분하기로 하였다 나노전자(소자) 이외의 다른 산업 매출액 현재

수준은 낮지만 향후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각 세부 그룹별 최소 10명의 전문

가 의견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나노전자

(소자)산업과 그 외 나노산업과의 비율을 5050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각 산업 내에서 전문가 특성별(기업내부 외부 시장분

석 전문가)구분은 서로 균등하게 배분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전문

가 집단 구성은 다음과 같다

lt표 19gt 최종 나노산업 전문가 집단 구성

기업내부 전문가 기업외부 전문가 시장분석 전문가 Total

나노소재 10 10 10 30

나노전자(소자) 30 30 30 90

나노바이오의료 10 10 10 30

나노장비기기 10 10 10 30

Total 60 60 60 180

본 연구는 이렇게 선정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웹서베이를 통해 다양한 의견

을 수집하였다 구체적인 질문에 앞서 먼저 실행된 일반적인 최종소비자들의 현

재 나노기술 인식 수준을 요약하여 제시하였고 이를 충분히 숙지한 후에 본 조사

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이는 자칫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자신이 소속된 산업에 지

나치게 긍정적인 평가를 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나노산업이 위험인식 기술

이고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이해 수준이 여전히 낮은 수준임을 제시한 후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시장을 바라보게 하고자 한 것이다

이후 구체적으로 조사 당시까지 발표된 2010년~2013년까지의 각 나노산업 매출

액을 제시한 후 이후 5년간(2014년-2018년) 자신이 소속된 나노산업 분야의 매출

액을 예측하게 하였다 정확한 예측값을 응답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해당 년도에 해당하는 예상 매출액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응답하게 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6

이후 나노산업의 발전을 위한 주관적 의견 및 나노산업별 중요도 기술수준 평가

항목 등을 측정하였다 지금까지의 조사 방법을 그림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3gt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과정 요약

본 조사는 나노산업과 같이 기술주도적인 산업은 현장에서 실제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산업 전문가의 예측이 가장 현실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는 기본 전제에 기반한 접근 방식이다 단 지나치게 장기적인 예측은 정확성이 떨

어질 것이므로 향후 5년 정도의 단기적인 예측만을 본 분석에 활용할 것이다

또한 지나치게 공급자 입장에서만 생각하는 근시안적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인 최종소비자의 의견 정보를 참고하게 함으로써 최대한 객관적인 의견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나노산업 전문가(기업 내부 외부 시장분석

전문가)를 대상으로 최대한 균형적인 의견을 얻어내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이를

최종적으로 Diffusion Model 예측 과정에 적용하여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의

적절한 조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147명의 응답 데이터를 확보하였으

며 본 연구는 주요 결과만을 간략하게 요약하기로 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7

lt그림 34gt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측값 추이

나노소재 산업 (단위 억원) 나노전자(소자) 산업 (단위 억원)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단위 억원) 나노장비기기 산업 (단위 억원)

우선 나노소재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36조6천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이는 2013년 14조4천억원 대비 253 성장 전망한 것이다 나노전자(소자)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228조5천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하였다 이는 2013년 121조6천

억원 대비 188 성장 전망한 것이다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7천9백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하였다

이는 2013년 4천1백억원 대비 192 성장 전망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나노장비기

기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3조5백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하였다 이는 2013년 2

조2천7백억원 대비 134 성장 전망한 것이다

본 전문가 조사 당시는 2014년 나노시장 매출액 공식 집계가 발표되기 직전이었

기 때문에 2014년~2018년 매출 예상한 것이다 그런데 본 조사를 진행하던 중

2014년 나노시장 공식 집계가 발표되었기 때문에 2014년도 전문가 예측값과 실제

값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특이한 점은 2014년 나노바이오산업의 급

성장으로 인해 실제 2014년도 매출액값에 비해 전문가 의견이 특별히 과소 예측

되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2014년의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전문가의 예상보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8

도 더 크게 성장하였다 단 한해의 값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구체적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다만 최근 바이오 업계의 성장으로 나노산업에서도

전문가 예상을 넘어서는 성장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원

인과 구체적인 분석은 향후 다른 연구에서 시도될 필요가 있다

본 조사는 이외에도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 차이를 상대적으

로 비교하였다 즉 앞서 실행된 일반인 나노기술 인식 조사와 전문가조사에서 같

은 질문 항목에 대해 어떠한 차이가 발견되었는지 확인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5gt 일반인 Vs 전문가 나노기술 인식 차이 비교

분석 결과 종합적으로 나노기술 관련 혜택 및 신뢰는 전문가들이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반면 혁신장벽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함을 확인하였다 이

는 실제로 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의 인식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시켜주는 자료이며

ldquo객관적인 사실 여부를 떠나rdquo나노전문가들의 관련 기술 정책 개발 시 이러한 인

식 차이를 인지하고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를 시사하는 결과

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본 조사는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현재 인식하는 각 세부 산업의 중요도와

기술수준을 평가하게 하였다 중요도란 전체 나노산업 분야에서 아래의 각 세부

나노산업이 차지하는 상대적 중요도(1거의중요하지않음 3보통 5매우중요함)를

의미하며 기술수준이란 최고 기술 보유국 대비 각 세부 국내 나노산업의 상대적

기술 수준을 평가(1최하위권 3보통 5최고선진국)한 것을 의미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9

lt그림 36gt 나노산업별 중요도 및 상대적 기술 수준 평가

분석 결과 전문가들은 나노소재 산업의 중요도를 가장 높게 평가하며 나노전

자(소자) 산업의 기술 수준을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노바이오

의료 산업은 중요도에 비해 기술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평가하고 있어 이 부

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 다른 산업에

비해 중요도와 기술수준이 낮게 평가되어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원이 필요함

을 알 수 있었다

5 Diffusion Model을 적용한 나노산업의 미래 규모 예측 결과

51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존 연구는 지금까지 논의한 Diffusion Model 일반소비자 조사 산업전문가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국내 나노시장의 2025년 매출 규모를 예측하였다 구체적인 방

법론을 다시 한 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Diffusion Model에 2010~2014

년까지의 실제 산업 매출 데이터와 전문가로부터 도출된 2015~2018년까지의 예상 매

출 데이터를 모델에 적용한 후 계수값인 p와 q 값을 추정하였다 이후 추정된 p

q 값을 Diffusion Model에 다시 적용하여 2015년부터 2025년까지 나노시장의 매

출액 규모를 최종 예측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0

Diffusion Model은 기본적으로 연속형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제안되었으나

Bass(1969)는 본 연구와 같이 이산형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는 모델도 함께 제시

하였다 본 연구는 나노산업 매출 데이터를 연도별로 획득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산형 모델을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모델의 형태는 다음

과 같다

S(t) t기의 매출액

N(t) t기까지 누적 매출액

M 시장의 최종적인 잠재 누적매출액

p 혁신계수 (coefficient of innovation)

q 모방계수 (coefficient of imitation)

일반적으로 Diffusion Model 관련 연구들은 추정값의 안정성을 위해 최종 잠재

규모인 M 값을 함께 추정하기보다 외부의 정보를 통해 모형에 직접 대입하는 것

을 추천한다(Putsis Jr and Srinivasan 2000 Mahajan et al 1990)

본 연구 역시 나노산업의 시장 매출액 데이터가 적기 때문에 모형 모수 추정의

불안정성이 존재한다 이 경우 역시 p q M 값을 모두 추정하기보다 외부 정보를

활용해 M값을 도출해내는 것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형의 M 값을 외부적 정보를 통해 계산해내었다 구체적인 도출 근거는 다음과

같다

나노산업은 기본적으로 제조업 산업에 소속되어 있으며 2014년 현재 발표 기준

으로 전체 제조업 산업에서 약 89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2025년 전체

나노시장의 잠재규모의 최대치는 2025년 제조업 산업의 매출 규모를 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물론 극단적으로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산업을 넘어서는 규모로 성장할 가능

성도 없지 않으나 현재 나노기술이 대부분 기존 제조업 기술을 대체하는 과정에

서 성장하고 있고 아직까지는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89로 작기 때문에

2025년이라는 기간 내에 전체 제조업 산업의 최대치를 넘어설 정도로 성장한다고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1

예상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체 제조업 시장이 지금과 같은 연평균성장률을 유지한다고

가정하고(2010년~2014년까지 연평균 26 성장) 2010년부터 2025년까지의 전체

제조업 시장의 잠재누적매출액을 나노시장의 M값으로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전

체 제조업산업의 2010년도 매출액은 약 1340조원이며 2014년 약 1490조원을 거

쳐 2025년 약 1980조원 시장으로 계산되었다 이때 2010~2025년까지의 누적 매출

액은 약 2경6천5백조원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이 값을 M 값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확산모형의 모수 추정방법으로는 앞서 정리한 바와 같이 크게 회귀분석을

활용하는 OLS(Ordinary Least Square) 우도추정함수를 활용한 ML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관찰치와 예측치의 차이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함수를 설정

한 후 모수를 삼차원 공간에서 추정하는 NLS(Non-linear Least Square) 등의 방법

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중에서 지금까지 가장 안정적이고 좋은 성과를 보인다고 평가받고 있는 NLS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도 Nonlinear estimation 방법을 활용하여 p q값을 추정

하였으며 이때 Levenberg-Marquardt algorithm을 사용하였다 지금까지의 설명한

추정 방법을 통해 최종 예측된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는 다음과 같다

lt그림 37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최종 분석 결과 국내 나노시장은 2020년 약 346조원을 거쳐 2025년 약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된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대비 약 504배(504) 성장

전망된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전문가 조사 시 예측값의 최소값과 최대값 응답을 확보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2

위에 제시된 667조원은 평균값 기준이며 만약 전문가 조사 결과의 최대값을 반영

할 경우 2025년 기준 811조원까지 성장이 예상되며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2025년

기준 534조원까지 성장이 예상된다 즉 시장을 가장 부정적으로 전망하더라고

2014년 대비 최소 약 4배의 성장이 예상되며 만약 최대한 긍정적으로 바라볼 경

우 약 6배에 이르는 성장이 예상된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8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최소값 평균값 최대값 비교)

평균값 최대값 최소값을 기준으로 2010년부터 2025년 각 연도별 매출액을 표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아래 표에서 2010년부터 2014년까지는 실제 나노산업

매출액 값이며 2015년부터 2025년까지가 Diffusion Model을 통해 예측된 값이다

lt표 20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2010 880470 880470 880470 2011 922854 922854 922854 2012 1290529 1290529 1290529 2013 1386939 1386939 1386939 2014 1322930 1322930 1322930 2015 1735686 1660302 1803485 2016 1996260 1875811 2107675 2017 2294292 2117633 2461458 2018 2634533 2388455 2872154 2019 3022133 2691095 3347877 2020 3462610 3028467 3897522 2021 3961789 3403531 4530702 2022 4525722 3819232 5257638 2023 5160564 4278422 6088963 2024 5872403 4783764 7035429 2025 6667048 5337626 8107480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3

lt그림 39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한편 본 연구는 전체 제조업이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 26를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해 보았다 전체 제조업은 초기 성장 단계를 지나 이미 성숙기에 도달한 산업

이고 모든 제조업을 종합한 결과치로서 향후 급속한 변화가 진행되지 않을 것으

로 기대되기 때문에 연평균 성장률을 적용해도 무리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분석 결과 2014년 기준 전체 제조업에서 89를 차지하는 나노산업이 2025년

기준 3368 비중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나노산업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약 25p 증가함을 의미하며 앞으로 나노기술이 전체 제조업의

상당수를 점유하는 수준까지 성장할 수 있을 것임을 기대하게 한다

lt표 21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단위 억원)

  제조업 매출 합계 나노산업 매출 예측 나노산업 비중

2010 13395480 880470 657

2011 15023530 922854 614

2012 15114951 1290529 854

2013 14957302 1386939 927

2014 14865742 1322930 890

2015 15257862 1735686 1138

2016 15660324 1996260 1275

2017 16073403 2294292 1427

2018 16497377 2634533 1597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4

  제조업 매출 합계 나노산업 매출 예측 나노산업 비중

2019 16932535 3022133 1785

2020 17379171 3462610 1992

2021 17837588 3961789 2221

2022 18308097 4525722 2472

2023 18791017 5160564 2746

2024 19286675 5872403 3045

2025 19795407 6667048 3368

제조업의 2015~2025년 매출액 합계는 2010~2014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 26를 적용하여 도출함

52 세부 산업별 매출액 예측

본 연구는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각 세부

산업별 매출액을 나누어 도출하였다 이를 순서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나노소재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

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0조5천억원 대비 143161 성장할 것으로 예측

된 것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205조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10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6)

lt그림 40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6) 나노소재 산업이 특별히 고성장할 것이라는 예측 결과는 사전에 실시된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 조사(이곳에 정확한 보고서 이름 명기 필요)에서 나노소재 예상 매출액(2014~2018)이 상당히 높게 예측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결과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lsquo조사에 참여한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다양한 중간재로 투입되는 나노기술을 나노소재 산업으로 인식하여 객관적인 사실보다 소재 산업을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했을 가능성이 있다lsquo라고 평가한 의견이 있었음을 밝혀둔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5

lt표 22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2010 87191 87191 87191 2011 111370 111370 111370 2012 96651 96651 96651 2013 144391 144391 144391 2014 104664 104664 104664 2015 189068 174387 198871 2016 233173 207981 252008 2017 287479 247989 319229 2018 354301 295609 404194 2019 436454 352257 511478 2020 537351 419593 646764 2021 661109 499565 817073 2022 812669 594442 1031017 2023 997914 706863 1299050 2024 1223787 839874 1633696 2025 1498380 996963 2049695

나노전자(소자)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511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19조원 대비 4282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

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598조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429조원

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41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6

lt표 23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2010 770863 770863 770863

2011 785380 785380 785380

2012 1170282 1170282 1170282

2013 1215753 1215753 1215753

2014 1193383 1193383 1193383

2015 1516825 1457375 1573551

2016 1731242 1637921 1821832

2017 1972768 1838296 2105366

2018 2243828 2059983 2427787

2019 2546746 2304383 2792607

2020 2883611 2572743 3203008

2021 3256119 2866071 3661548

2022 3665365 3185037 4169800

2023 4111604 3529850 4727903

2024 4593963 3900123 5334038

2025 5110141 4294726 5983862

나노바이오의료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1조3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되

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7천억원 대비 1795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1조8천억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1조1천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4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7

lt표 24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2010 2718 2718 2718

2011 2934 2934 2934

2012 4444 4444 4444

2013 4126 4126 4126

2014 7249 7249 7249

2015 4870 5338 5406

2016 5373 5744 6100

2017 5928 6180 6883

2018 6540 6649 7765

2019 7216 7154 8762

2020 7961 7698 9885

2021 8783 8282 11153

2022 9690 8911 12583

2023 10691 9587 14197

2024 11795 10315 16017

2025 13013 11098 18071

마지막으로 나노장비기기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4조6천억원 규모로 성

장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조8천억원 대비 25810 성장할 것으로 예

측된 것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5조6천억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

우 3조5천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43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8

lt표 25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2010 19698 19698 19698 2011 23170 23170 23170 2012 19152 19152 19152 2013 22669 22669 22669 2014 17634 17634 17634 2015 24923 23201 25657 2016 26472 24164 27735 2017 28117 25168 29980 2018 29863 26213 32407 2019 31717 27301 35030 2020 33686 28434 37865 2021 35777 29613 40928 2022 37997 30842 44237 2023 40354 32121 47814 2024 42857 33453 51678 2025 45514 34839 55852

지금까지 분석한 각 산업별 성장률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재 가장 최

근값인 2014년 대비 2025년 예상 매출액의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lt표 26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연도별 세부산업별 데이터 (단위 억원 )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국내 나노산업은 나노소재 산업이 가장 큰 성장 잠

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 다음으로 나노전자(소자) 나노장비기기

나노바이오의료 순서로 예상되었다

단 본 조사는 당시 가장 최근값인 2013년 데이터까지 활용하여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실제 2014년도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전년도 대비 매우 큰 폭으

로 상승하였기 때문에 본 조사의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미래 예상 매출액이 과

소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나노바이오 산업은

201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493를 보였는데 2014년 전년 대비 17569으로 성

장하여 과거와는 다른 급격한 성장을 보였다

  2014년 (성장 예상) 2025년 성장률()

나노소재 104664 rarr 1498380 143161

나노전자(소자) 1193383 rarr 5110141 42821

나노바이오의료 7249 rarr 13013 17951

나노장비기기 17634 rarr 45514 25810

Total 1322930 rarr 6667048 50396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9

한편 전체 나노산업 매출에서 각각의 산업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44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lt표 27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위의 표와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2025년 기준 전체 나노시장에서 나노소재

2247 나노전자(소자) 7665 나노바이오의료 020 나노장비기기 068를 차

지할 전망이다 2014년 현재 기준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비중이 줄어들고 나노소

재 산업의 비중이 크게 늘어날 전망으로 파악된다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 여전히 적은 비중을 차지할 전망이다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종합

2025년

예상매출1498380 5110141 13013 45514 6667048

비중() 2247 7665 020 068 100

Vs

2014년

현재매출104664 1193383 7249 17634 1322930

비중 791 9021 055 133 100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0

53 민감도 분석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531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예측치 보정할 경우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최근 나노산업에서 바이오의료 분야가 급속히 성장하였

다 다음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010년부터 점진적인 상승세를 보이던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14년 약 2배에 가까운 급성장을 기록하였다

lt그림 45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최근 급속한 성장세

(단위 억원)

그런데 본 연구가 진행된 시점은 2014년 매출액 발표 직전이었기 때문에 조사

에 참여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전문가들은 2013년까지의 매출 변화만을 보고

미래 매출액(2014~2018년)을 예측하였다 실제로 산업전문가들의 2014년 나노바이

오의료 산업 매출액 예상액은 4430억원이었다 즉 실제 매출액값 대비 3889

적게 예측한 것이다

lt표 2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2014년 예상 매출액 Vs 실제 매출액

  나노바이오의료

2014 예측값 4430

2014 실제값 7249

오류 -3889

이에 따라 본 연구의 Diffusion Model에 적용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15~2018년

전문가 매출 예측액도 이와 같이 과소평가되어 도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91

본 연구는 2015년~2018년값을 2014년 과소평가된 만큼 상향 보정한 후 다시 2025년

나노시장 매출 규모를 예측하였다

이 경우 나노바이오시장은 2025년 평균 기준 4조6천억원 시장으로 성장되며 이

는 2014년 대비 62965 성장을 전망하게 한다 전체 나노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

도 약 068로 다소 상승될 것으로 예상되나 전체 나노시장 규모에 전반적으로

큰 영향은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lt그림 46gt 2025년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예상 매출액 (보정값)

lt그림 47gt 2025년 국내 나노산업별 비중 비교 (보정값)

한편 이렇게 보정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매출액 예측을 국내 나노시장 전

체 매출액에 적용할 경우 국내 전체 나노시장은 670조원 규모로 추가 상승할 여

력이 발생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2

lt그림 4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보정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산업 매출 예상

532 나노소재 전자 산업 수준으로 발전할 경우

본 연구 분석 결과 2014년 현재 2025년 모두 나노전자(소자) 나노소재 산업이

나노산업 매출에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직까지 나노바이오의료

산업과 나노장비기기 산업은 전체 나노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미미한 편이다

이는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예측치값을 보정하였을 경우에도 큰 차이 없이 발

견된 공통적 현상이었다

이는 국내 나노산업에서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

우 크고 앞으로도 이 분야에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고 해석할 수 있는 결과

이다 본 연구는 만약 모든 산업이 나노전자(소자) 혹은 나노소재 산업과 같이 고

성장할 경우 국내 나노산업이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지 시나리오 기반의 민감

도 분석을 실시해보았다 즉 나노산업을 최대한 긍정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경우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지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각 나노산업별로 혁신계수(p) 모방계수(q)를 각각 추정하였기 때문에

특정 산업에서 추정된 계수를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경우 어떠한 변화

가 관측될지 분석이 가능하다

먼저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소재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

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한편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전자

(소자)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준 약 1411조원 시장으

로 성장 전망되었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93

lt그림 49gt 모든 산업이 나노전자 혹은 나노소재 산업 수준으로 성장할 경우

lt표 29gt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 성장 적용 시 예상 매출액

  기존 예측값 나노소재 수준 나노전자(소자)수준

2010 880470 880470 880470

2011 922854 922854 922854

2012 1290529 1290529 1290529

2013 1386939 1386939 1386939

2014 1322930 1322930 1322930

2015 1735686 1583819 3929768

2016 1996260 1942178 4499727

2017 2294292 2377810 5146455

2018 2634533 2905467 5878440

2019 3022133 3541772 6704519

2020 3462610 4304962 7633691

2021 3961789 5214339 8674840

2022 4525722 6289290 9836377

2023 5160564 7547763 11125754

2024 5872403 9004111 12548875

2025 6667048 10666299 14109365

533 혁신계수(p)가 상승할 경우

Diffusion Model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형의 p q값을 추정하여 미래 수요

를 예측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추정된 p q값에 따라 미래 확산 패턴은 매

우 다양한 특징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에서 각 세부 나노산업별로 추정된 p q 값

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4

lt표 30gt 나노산업별 p q 추정값 비교

그런데 본 연구 결과 관찰된 나노산업의 특징은 다른 일반적인 산업의 확산모형

추정값에 비해 p값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일반 소비재 산업의

경우 대부분의 p값은 001~01 사이에서 추정되는 경우가 많다

lt그림 50gt 일반적인 소비재 제품의 혁신계수값 비교

물론 본 연구는 최종 수용자 인원 기준 추정이 아닌 매출액 기준 추정이고 일

반 소비재와는 다른 B2B 제품이 많은 나노산업의 특성상 직접적인 비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와 비슷한 기반 산업이라 볼 수 있는 반도체 시장의

한 연구에서 얻어진 p q 추정값과 비교해도 나노전자 산업을 제외하면 일반적으

로 혁신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김진 고경일 2014의

연구에서 p = 00006 q = 00509)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p 000023 000291 000001 000007

q 023464 015098 010333 006226

R square 093 096 062 061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95

lt그림 51gt 다른 연구(김진 고경일 2014)에서 추정된 p q 값의 예

일반적으로 Diffusion Model의 혁신계수(p)는 같은 제품을 이미 받아들인 소비자

들의 영향 없이 기업의 마케팅 활동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독자적으로 해당 제품을

수용하는 효과를 의미한다(Bass 1969 Mahajan et al 1990) 반대로 모방계수(q)가

높을 경우 나와 같은 주변 소비자들이 해당 제품을 많이 받아들이는 것에 영향을

받아서 제품을 수용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p를 혁신계수 q를

모방계수라고 부르게 된다

이를 본 연구의 나노산업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해석이 가능하다 p값이 낮다

는 것은 나노기업들이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독자적으로 나노제품을 개발하여 시

장에 내놓는 것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다른 나노제품 생산 기

업들이 얼마나 많은 제품을 개발 출시하는지 아직 눈치를 보고 있는 실정이라고

도 유추해 볼 수 있다 나노산업에서 p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q값은 바로 이

러한 모방효과가 나노산업에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이라고 해석할 수 있기 때

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만약 나노 관련 정부기관 등의 적극적인 투자 지원 등이 실행되

어 시장의 혁신계수(p) 값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경우의 국내 나노시장 매출 예측액

이 얼마나 크게 변화할 수 있을지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6

lt그림 52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lt표 31gt 혁신계수값 변화에 따른 나노산업 예측 규모 비교

(단위 억원)

  기존예측값 15p 2p

2010 880470 877752 880470

2011 922854 919920 922854

2012 1290529 1286085 1290529

2013 1386939 1382813 1386939

2014 1322930 1315681 1322930

2015 1735686 2149136 2574977

2016 1996260 2467240 2950618

2017 2294292 2829300 3376107

2018 2634533 3240309 3856425

2019 3022133 3705491 4396561

2020 3462610 4230213 5001356

2021 3961789 4819856 5675311

2022 4525722 5479653 6422356

2023 5160564 6214488 7245601

2024 5872403 7028659 8147069

2025 6667048 7925604 9127423

물론 구체적으로 어떤 정책과 지원을 실행할 경우 15p 2p가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세 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만 본 연구는 현재 나노산업의

혁신계수가 외부적인 노력에 의해 추가 상승될 경우 향후 국내 나노산업 시장이

더욱 성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존재함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97

제5장결론 및 시사점

1 결과 요약

나노산업은 국가 미래 발전을 위한 핵심 성장 동력 중 하나로 최근 본격적인

성장 산업으로서의 모습을 갖추며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향후 나노산업이 국내

산업과 국민 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안할 때 나노산업의 확산 및 미래 시장

규모 예측은 필수적이다

모든 나노산업 정책의 출발점은 미래 시장 규모 예측에 근거한다 정부 및 관련

연구기관 나노기업들의 미래 투자 및 고용 제품 생산 규모 등 거의 모든 사항은

국내 나노시장이 얼마나 더 성장할 것인지에 대한 예측을 활용할 수밖에 없기 때

문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 나노산업의 미래 예측은 해외 유명 기관 학자들의 의견

을 그대로 따르거나 혹은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을 활용한 단순한 방법론에

의해 추정된 것이 대부분이다 일례로 Roco 박사가 제시한 2020년 나노산업 3조

달러 성장 예측은 국내외 다양한 보고서 신문자료 등에서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과거 연평균성장률은 이미 성숙기에 도달한 안정적 산업에 적용하

는 것이 적합하며 나노기술과 같이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

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하

고자 하였다 Diffusion Model이라는 계량적 모델과 일반소비자 조사 나노산업 전

문가 의견 조사라는 정성적 방법을 종합하여 2025년 국내 나노기술 시장 규모를

예측하였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나노기술 시장은 2025년 약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전망되었으며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시장 대비 약 504배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만약 전체 제조

업이 2010~2014년 연평균성장률 26를 유지한다고 가정할 경우 2014년 기준 현

재 전체 제조업에서 89를 차지하는 나노산업이 2025년 기준 3368으로 비중

확대될 전망이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8

lt표 32gt 주요 결과 요약

구분 주요 결과 요약

2025년 국내 전체 나노시장 규모

- 평균값 기준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대비 약 504배(504) 성장 예상

- 최대값 기준 8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 최소값 기준 534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2025년 국내 나노소재 시장 규모- 202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143161 성장 예상

2025년 국내 나노전자(소자) 시장 규모- 2025년 약 511조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42821 성장 예상

2025년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시장 규모- 2025년 약 1조3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17951 성장 예상

2025년 국내 나노장비기기 시장 규모- 2025년 약 4조6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25810 성장 예상

전체 제조업에서 나노산업의 비중

- 2014년 기준 전체 제조업에서 89를 차지하는 나노산업이

2025년 3368 비중으로 확대될 전망

- 나노산업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약 25p 증가함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14년 급격한 성장 반영할 경우

민감도 분석

- 2025년 평균 기준 4조6천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62965 성장 예상

- 이 경우 전체 나노산업 시장도 670조원으로 다소 늘어날 전망

모든 나노산업이

나노소재 산업과 같은 패턴으로 성장할 경우

민감도 분석

- 2025년 평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모든 나노산업이

나노전자(소자) 산업과 같은 패턴으로 성장할

경우 민감도 분석

- 2025년 평균 기준 약 14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나노산업의 혁신계수(p)가 증가할 경우

민감도 분석

- 혁신계수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

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

-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 나노시장

은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

한편 전문가 예측 의견의 최대값 최소값을 각각 Diffusion 모형에 반영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의 최대값은 811조 최소값은 534조로 각각 예측되

었다

또한 나노산업을 세부 산업으로 구분할 경우 2025년 나노소재 150조원 나노전

자(소자) 511조원 나노바이오의료 13조원 나노장비기기 46조원 시장을 각각 형

성할 전망이다 이를 산업별 비중으로 비교하면 2025년 기준 전체 나노시장에서

나노소재는 2247 나노전자(소자)는 7665 나노바이오의료는 020 나노장비

기기는 068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2014년 현재와 비교할 경우 나노

소재 시장의 비중이 늘어나고 나노전자(소자) 시장의 비중이 다소 줄어들 것을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99

예측하게 한다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에는 여전히 적은 비중

을 차지할 전망이다

한편 본 연구는 몇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한 민감도 분석도 실시하였다 우선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2014년도 특별히 크게 성장한 점을 반영하여 예측값을 보

정할 경우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25년 4조6천억원 시장으로 예상되며 이 경

우 나노시장의 총규모도 670조원으로 상승 예상된다

만약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소재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전망되었다 또한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전자(소

자)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준 약 14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전망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투자 지원 확대 등으로 혁신계수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량적 정성적 방법을 종합하여 국내 나노시장의 매출 규모를 예측

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시장 매출 데이터가 아직 적은 편이어서 향후 매출 예측

결과값이 민감하게 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지속적으로 활용

하여 나노시장 예측값을 계속 보완해나갈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도출 및 제언

본 연구 결과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앞으로 국내 나노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나노관련 정부 기관 및 나노기업들은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

된 산업별 시장 규모에 적합한 투자 정책 개발 등 적극적인 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특별히 나노산업을 계속적으로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나노소재와 나노전자

(소자) 산업의 성장 배경을 면 히 분석하여 이를 나노 전 산업으로 공통적으로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반대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과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

우에는 상대적으로 성장이 크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추가 지원 및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에 앞서 실행된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및 나노산업 전문가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0

의견 조사와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향후 나노산업의 추가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시장에서 급속한 성장을 보이는 나노산업이지만

여전히 일반소비자들은 나노기술의 지각된 위험 등 혁신 저항 요인을 많이 인식

한다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2014년 현재 약 130조원의 나노산업이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6년 실시된

조사에서 일반적인 소비자들은 나노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대부분 lsquo사용한 적 없

다 혹은 잘 모르겠다rsquo라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나노기술 관련 정보를 제시하는

동영상을 시청한 후 나노기술 특징 품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급격하게 증

가함 역시 확인하였다 이는 나노기술의 혜택에 대한 홍보가 적절히 실시될 경우

현재의 성장 속도보다 더욱 빠른 나노산업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해주

는 결과이다

향후 나노기업 및 정책 개발자들은 일반 소비자들이 어떤 부분에서 나노기술의

혜택을 크게 느끼고 어떤 부분에서 위험 요인을 많이 인식하는지 보다 면 히 파

악하여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단기적 나노산업 매출 예측치를

Diffusion Model의 주요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다 하지만 앞서 실행된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 조사에서 산업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의 나노기술 인식 차이가 존재함

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칫 나노산업에 대한 시장 예측이 다소 긍정적으로 예측되

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전문가들이 나노기술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나치

게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나노산업의 매출도 긍정적으로 예측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나노산업이 더욱 성장하기 위해서는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수용이 절대적

이다 앞으로 이와 같은 나노산업 인식 및 매출 예측 조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

어 시장 매출 예측치의 값을 계속 업데이트해가며 보완해나갈 필요가 있다

3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나노산업의 미래 시장 규모 예측은 모든 나노 관련 정책의 가장 기본적인 토대

이다 본 조사 결과는 각종 나노산업 통계 및 예측의 기초 자료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으며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 방향 및 전략 도출을 위한 세부적인 분석 및 시

사점 제안을 가능하게 한다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01

예를 들어 국내 나노기업은 본 조사 결과를 활용해 향후 나노시장의 성장에 대

비한 적절한 투자와 인력 충원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나노 관련

정책을 개발하는 정부 기관 연구소들도 미래 나노시장의 잠재적 규모에 근거한

관련 정책을 개발 및 지원할 수 있다

본 조사는 이를 위해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

근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수많은 나노 관련 연구들이 가장 중요한

미래 시장 규모 예측에 있어 비교적 단순한 방법을 적용했음을 감안할 때 본 연

구가 향후 국내 나노산업이 보다 체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나노시장 예측을 기존처럼 해외 유명 학자 기관 등의 자료에 의존하지 않고 국

내에서 스스로 체계적으로 도출해낼 수 있다는 점은 향후 우리나라가 나노기술

분야의 최고 선진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초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단 현

재 국내의 나노산업 매출 데이터가 아직 충분하지 않아 예측 결과값이 민감하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향후 지속적인 업데이트 과정을 통해 미래 나노산업 예측을

계속하여 보완해나가야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2

참 고 문 헌

교육과학기술부(2012) 나노소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제조 및 활용 기준 확립과

사회적 영향연구 교육과학기술부

구훈영 민대기(2013) ldquo델파이 활용 신재생 에너지 수요예측과 장기전원 구성의

경제성 평가rdquo 대한산업공학회지 39(3) 183-191

권성훈 홍순기(2009) ldquo델파이 기술예측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에 관한 연구rdquo

기술혁신연구 17(1) 97-117

권순동 이승률 (2015) ldquoBass확산모형과 특허정보를 이용한 한국형 오픈소스 모션

플랫폼의 기술수요예측rdquo 대한산업공학회지 11 2271-2275

김병수(2009) ldquo기술성장모형에 기반한 기술수준평가방법론 연구rdquo 한국과학기술

기획평가원 연구보고서 2010(23) 1-244

김상훈(2008) 하이테크마케팅 박영사

김석필 정상기 김동현 정다래 권으뜸 김명순(2013) ldquo나노기술 상용화 현황 진

단과 혁신과제rdquo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김선아 김호정 홍용석(2013) ldquo나노물질 안전관리 동향 및 제도 도입에 관한 고

찰rdquo 환경정책연구 12(3) 49-71

김영욱 이현승(2014) ldquo미디어 레퍼토리 위험특성과 위험커뮤니케이션 인식이 원

자력 수용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rdquo 한국위기관리논집

10(4) 1-25

김원제 송해룡 김찬원(2016) ldquo과학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신뢰가 위험

인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나노기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위기관리논집

12(1) 69-81

김준현(2015)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신기술의 기술영향평가 나노기술의 사

회 영향평가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경영컨설팅학과 경영컨설팅

김진 고경일(2014) ldquo비선형회귀 확산모형을 이용한 반도체 시장수요 추정rdquo 디지

털정책연구 12(3) 141-147

김찬원 송해룡 김원제(2015) ldquo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전문가그룹 인식을 중심

으로rdquo 한국위기관리논집 11(6) 121-135

참고문헌

103

남기웅 박상성 신영근 정원교 장동식(2010) ldquo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의 예측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산학기술학회 10(10) 2923-2934

박덕용 이난영 이상호(2008) ldquo나노기술을 이용해 제작한 불소함유 접착필름의

치아우식증 예방효과rdquo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5(4) 662- 670

박희제(2013) ldquo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수용도rdquo 농촌사회 23(1)

327-367

반영주 고영훈 김우성 매유진 목진경 조한규(2014) ldquo나노마스크와 황사마스크

에 의한 토너가루와 담배연기 필터링 효과 비교rdquo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

회 자료집 2014(12) 233-235

배성훈 신광민 윤진선 강상규 김준현 성기완 이기광(2015) ldquo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나노기술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분석rdquo 산업

경영시스템학회지 38(3) 49-55

배성훈 신광민 윤진선 강상규 이솔희(2015) ldquo나노기술의 영향 평가 연구 사회

환경 문화 건강 안전을 중심으로rdquo 나노기술정책센터

산업통상자원부(2014) 2014나노융합산업 조사 보고서 산업통상자원부나노융합

산업협력기구산업연구원

산업통상자원부(2015) 2015 나노융합산업조사 산업통상자원부나노융합산업협력

기구

성지은 황만성(2012) 후기현대사회의 위험관리를 위한 형법 및 형사정책 연구

(Ⅰ)-나노공학기술과 위험관리 형사정책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손동민 문성현 정봉주(2014) ldquo국내 RFID 시장의 확산 분석 및 예측 모형rdquo 대한

산업공학회지 40(4) 415-423

송해룡 김원제(2015) ldquo다차원적 접근을 통한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신뢰가 위험인

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효과rdquo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36(-) 37-60

예기훈 성아영(2010) ldquo금 나노입자를 포함한 안의료용 고분자의 합성 및 물성에

관한 연구rdquo 대한화학회지 54(2) 222-227

오규운 김경훈(2016) ldquo나노기술의 디자인윤리경영과 나노기업의 사회적 책임rdquo

한국과학예술포럼 24(-) 265-276

오미영 외(2008) ldquo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 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용에 미치는 영향rdquo 한국언론

학보 52(1) 467-500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4

왕재선(2013) ldquo신뢰와 원자력 수용성rdquo 한국정책학회보 22(1) 235-266

위키백과(2015) 나노기술

윤승욱(2009) ldquoIPTV의 수용결정요인에 대한 연구rdquo 언론과학연구 9(1) 162-197

이세준 이윤준 홍정임(2008) ldquo통합적 미래연구 방법론의 탐색 및 적용rdquo 과학기

술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8(16) 1-229

이정진 김영훈 배은주 이수승 곽병규 최경희 이종협(2008) ldquo대한민국에서의

나노물질 위해성에 관한 일반인전문가 인식 설문조사rdquo 환경독성보건학회

지 23(4) 247-256

채현석 정재우 김종달(2016) ldquoBass 확산모형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수요예측rdquo 한

국환경정책학회 24(1) 109-132

최종후 강현철(2001)ldquo확산모형과 성장곡선모형을 이용한 중장기 수요예측에 관

한 연구rdquo 응용통계연구 14(2) 233-243

한민규 김병수 유지연 변순천(2010) ldquo기술성장모형에 기반을 둔 기술수준평가

결과 및 시사점 - 바이오칩센서기술을 중심으로rdquo 기술혁신학회지 13(2)

252-281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ldquo델파이기법을 적용한 생체인식시스템 기술예측rdquo 한

국산학기술학회 11(9) 3204-3209

Adams D A Nelson R R and Todd P A(1992) ldquo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Us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 Replicationrdquo MIS Quarterly

227-247

Ajzen I(1985)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rdquo

Action-control Springer Berlin Heidelberg 11-39

Bandura A(1977) ldquo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rdquo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Bass F(1969) ldquoA New Product Growth Model for Consumer Durablesrdquo Management

Science 15(5) 215-227

Bass F Krishnan T and Jain D(1994) Why the Bass Models Fits without Decision

Variablesrdquo Marketing Science 13 202-223

Biemans W G(1992) Managing Innovation within Networks Routledge

Butler J K(1991) ldquoToward Understanding and Measuring Conditions of Trust

Evolution of a Conditions of Trust Inventoryrdquo Journal of Management 17(3)

참고문헌

105

643-663

Canary D J and Seibold D R(1984) Attitudes and Behavior An Annotated

Bibliography Praeger Publishers

Covello V T Slovic P and Von Winterfeldt D(1986) Risk Communi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National Emergency Training Center

Cvetkovich G (1999)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nd R

Louml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Earthscan Publications

Ltd London 53ndash61

Davies J C(2008) Nanotechnology Oversight Washington DC Project on Emerging

Nanotechnologies

Davis F D(1989) ldquo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rdquo MIS Quarterly 319-340

Davis F D Bagozzi R P and Warshaw P R(1992) ldquo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to Use Computers in the Workplace1rdquo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2(14) 1111-1132

Dockner E and Jorgensen S(1988) Optimum Advertising Policies for Diffusion

Model of New Product Innovation in Monopolistic Situationsrdquo Management

Science 34(1) 119-130

Earle T C(2010) ldquoTrust in Risk Management A Model‐Based Review of Empirical

Researchrdquo Risk Analysis 30(4) 541-574

Earle T Siegrist M Gutscher H (2010) Trust Risk Perception and the TCC Model

of Cooperation In Earle T Siegrist M Gutscher H (Eds) Trust in Risk

Management Uncertainty and Scepticism in the Public Mind (pp 1-50) London

England Earthscan

Fishbein M and Ajzen I(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Flynn J Burns W Mertz C K and Slovic P(1992) ldquoTrust as a Determinant of

Opposition to a High‐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Analysis of a

Structural Modelrdquo Risk Analysis 12(3) 417-429

Fujita Y(2006) ldquoPerception of Nanotechnology Among General Public in Japanrdquo

Asia Pacific Nanotech Weekly 4 (6) 2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6

Hobson D W(2009) ldquoCommercialization of Nanotechnologyrdquo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Nanomedicine and Nanobiotechnology 1(2) 189-202

Kalil T A(2005) ldquoNanotechnology and the Valley of Deathrdquo Nanotechnol Law Bus

2(3) 265-268

Karahanna E Straub D W and Chervany N L(1999) ldquo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Across Time A Cross-Sectional Comparison of Preadoption and

Postadoption Beliefsrdquo MIS Quarterly 183-213

Kasperson R E Golding D and Tuler S(1992) ldquoSocial distrust as a Factor in

Siting Hazardous Facilities and Communicating Risksrdquo Journal of Social Issues

48(4) 161-187

Keeney S Hasson F and McKenna H(2011) The Delphi Techniquerdquo The Delphi

Technique in Nursing and Health Research 1-17

Kellens W Terpstra T and De Maeyer P(2013)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of Flood Risks A Systematic Review of Empirical Researchrdquo Risk Analysis

33(1) 24-49

Luhmann N(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in D

Gambetta(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Padstow

Cornwall Basil Blackwell Ltd 94-107

Macoubrie J(2004) Public Perceptions about Nanotechnology Risks Benefits and

Trustrdquo Journal of Nanoparticle Research 6(4) 395-405

Mahajan V Muller E and Bass F M(1990) New Product Diffusion Models

Market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Researchrdquo Journal of Marketing 54

1-26

McNeil R D Lowe J Mastroianni T Cronin J and Ferk D(2007) Barriers to

Nano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inal Report Prepared for US Department of

Commerce Technology Administrationrdquo Univercity of illinois at Springfield IL

httpswww ntis govpdfReport-BarriersNanotechnologyComme rcialization pdf

Midden C J and Huijts N(2009) The Role of Trust in the Affective Evaluation of

Novel Risks The Case of CO2 Storagerdquo Risk analysis 29(5) 743-751

Nel A Xia T Maumldler L and Li N(2006) Toxic Potential of Materials at the

Nanolevelrdquo Science 311(5761) 622-627

참고문헌

107

Oh S Lehto X Y and Park J(2009) Travelers Intent to Use Mobile

Technologies as a Function of Effort and Performance Expectancyrdquo Journal of

Hospitality Marketing amp Management 18(8) 765-781

Paton D(2008) Risk Communication and Natural Hazard Mitigation How Trust

Influences its Effectiveness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Global Environmental

Issues 8(1-2) 2-16

Putsis Jr W P and Srinivasan V(2000) Estimation Techniques for Macro Diffusion

Modelsrdquo New-Product Diffusion Models 11

Ram S(1987) A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rdquo NA-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ume 14

Ram S and Sheth J N(1989) ldquoConsumer Resistance to Innovations The Marketing

Problem and its Solutionsrdquo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6(2) 5-14

Roco M C(2014) Nanotechnology Research Trends in the USrdquo Korea-US Nano

Forum Seoul September 29

Roco M C Mirkin Chad A and Hersam M C(2010) WTEC Panel Report on

Nanotechnology Research Directions for Societal Needs in 2020 Retrospective

and Outlook Springer-Verlag New York

Rogers E M and Everett M(2003) Diffusion of Innovations 5th Edition Free

Pressrdquo New York

Rogers E M(1995) Definition of Innovation 4th Edition Free Press New York

Rogers E M(2003)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5thed) New York NY The Free

Press 2003

Roselius T(1971) ldquoConsumer Rankings of Risk Reduction Methodsrdquo Journal og

Marketing 35(-) 56-6

Rousseau D M Sitkin S B Burt R S and Camerer C(1998) ldquoNot so Different

After All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3) 393-404

Schmittlein D and V Mahajan(1982) ldquo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an

Innovation Diffusion Model of New Product Acceptancerdquo Marketing Science

1(1) 57-78

Seong J E and Hwang M S(2012) Studies on the Risk-Governing Criminal Law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8

and Criminology in the Late-modern Society (1) Risk-governance Criminal

Justice and Criminology in Nanotechnologyrdquo Series of Research 3 1-52

Shah J and and Higgins E T(1997) Expectancy times Value Effects Regulatory Focus

as Determinant of Magnitude and Directionrdquo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3) 447-458

Sheth J N(1981) ldquoPsychology of Innovation Resistance The Less Developed

Concept in Diffusion Researchrdquo Research in Marketing 4 273-282

Siegrist M and Cvetkovich G(2000) Perception of Hazards The Role of Social

Trust and Knowledgerdquo Risk Analysis 20(5) 713-720

Siegrist M Cousin M E Kastenholz H and Wiek A(2007) Public Acceptance

of Nanotechnology Foods and Food Packaging The Influence of Affect and

Trustrdquo Appetite 49(2) 459-466

Slovic P(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rdquo Risk Analysis 13(6)

675-682

Srinivasan V and Charlotte H M(1986) ldquoNonlinear Least Squares Estimation of

New Product Diffusion Modelsrdquo Marketing Science 5(2) 169-178

Trettin L and Musham C(2000) Is Trust a Realistic Goal of Environmental Risk

Communicationrdquo Environment and Behavior 32(3) 410-426

Van den Bulte C and Lilien G L(1997) Bias and Systematic Change in the

Parameter Estimates of Macro-level Diffusion Modelsrdquo Marketing Science 16(4)

338-353

Van den Bulte C and Stremersch S(2004) Social Contagion and Income

Heterogeneity in New Product Diffusion A Meta-Analytic Testrdquo Marketing

Science 23(4) 530-544

Venkatesh V and Bala H(2008) ldquoTechnology Acceptance Model 3 and a Research

Agenda on Interventionsrdquo Decision Sciences 39(2) 273-315

Venkatesh V and Davis F D(2000) ldquo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rdquo Management Science 46(2)

186-204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and Davis F D(2003) ldquo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rdquo MIS Quarterly 27(3)

참고문헌

109

425-478

Venkatraman N Loh L and Koh J(1994) The Adoption of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s a Test of Competing Diffusion Modelsrdquo Management Science

40(4) 496-507

Vernon R (1966) International Investment and International Trade in the Product

Cyclerdquo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90-207

Wachinger G Renn O Begg C and Kuhlicke C(2013) The Risk Perception

Paradoxmdashimplications for Governance and Communication of Natural Hazardsrdquo

Risk Analysis 33(6) 1049-1065

Wiesner M R G V Lowry K Jones J M H Gochella R T Di Giulio E

Casman and E S Bernhardt(2009) Decreasing Uncertainties in Assessing

Environmental Exposure Risk and Ecological Implications of Nanomaterialsrdquo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3(17) 6458-6462

Wittmaack K(2007) In Search of the Most Relevant Parameter for Quantifying Lung

Inflammatory Response to Nanoparticle Exposure Particle Number Surface Area

or Whatrdquo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87-194

Zaltman G and Wallendorf M(1983) Consumer Behavior Basic Findings and

Management Implications New York John wiley and Son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인 쇄

발 행

발 행 인

발 행 처

주 소

전 화

인 쇄 처

2017년 4월

2017년 4월

한 선 화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02)3299-6253

(주)승림디엔씨 (02)2271-2581

lt비매품gt

ltlt ASCII85EncodePages false AllowTransparency false AutoPositionEPSFiles true AutoRotatePages None Binding Left CalGrayProfile (Dot Gain 20) CalRGBProfile (sRGB IEC61966-21) CalCMYKProfile (US Web Coated 050SWOP051 v2) sRGBProfile (sRGB IEC61966-21) CannotEmbedFontPolicy Error CompatibilityLevel 14 CompressObjects Tags CompressPages true ConvertImagesToIndexed true PassThroughJPEGImages true CreateJobTicket false DefaultRenderingIntent Default DetectBlends true DetectCurves 00000 ColorConversionStrategy CMYK DoThumbnails false EmbedAllFonts true EmbedOpenType false ParseICCProfilesInComments true EmbedJobOptions true DSCReportingLevel 0 EmitDSCWarnings false EndPage -1 ImageMemory 1048576 LockDistillerParams false MaxSubsetPct 100 Optimize true OPM 1 ParseDSCComments true ParseDSCCommentsForDocInfo true PreserveCopyPage true PreserveDICMYKValues true PreserveEPSInfo true PreserveFlatness true PreserveHalftoneInfo false PreserveOPIComments true PreserveOverprintSettings true StartPage 1 SubsetFonts true TransferFunctionInfo Apply UCRandBGInfo Preserve UsePrologue false ColorSettingsFile () AlwaysEmbed [ true ] NeverEmbed [ true ] AntiAliasColorImages false CropColorImages true ColorImageMinResolution 300 Color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ColorImages true ColorImageDownsampleType Bicubic ColorImageResolution 300 ColorImageDepth -1 ColorImageMinDownsampleDepth 1 Color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ColorImages true Color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ColorImages true ColorImageAutoFilterStrategy JPEG ColorACS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Color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JPEG2000ColorACS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JPEG2000Color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AntiAliasGrayImages false CropGrayImages true GrayImageMinResolution 300 Gray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GrayImages true GrayImageDownsampleType Bicubic GrayImageResolution 300 GrayImageDepth -1 GrayImageMinDownsampleDepth 2 Gray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GrayImages true Gray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GrayImages true GrayImageAutoFilterStrategy JPEG GrayACS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Gray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JPEG2000GrayACS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JPEG2000Gray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AntiAliasMonoImages false CropMonoImages true MonoImageMinResolution 1200 Mono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MonoImages true MonoImageDownsampleType Bicubic MonoImageResolution 1200 MonoImageDepth -1 Mono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MonoImages true MonoImageFilter CCITTFaxEncode MonoImageDict ltlt K -1 gtgt AllowPSXObjects false CheckCompliance [ None ] PDFX1aCheck false PDFX3Check false PDFXCompliantPDFOnly false PDFXNoTrimBoxError true PDFXTrimBoxToMedia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SetBleedBoxToMediaBox true PDFXBleedBoxToTrim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OutputIntentProfile () PDFXOutputConditionIdentifier () PDFXOutputCondition () PDFXRegistryName () PDFXTrapped False CreateJDFFile false Description ltlt ARA ltFEFF06270633062A062E062F0645002006470630064700200627064406250639062F0627062F0627062A002006440625064606340627062100200648062B06270626064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645062A064806270641064206290020064406440637062806270639062900200641064A00200627064406450637062706280639002006300627062A0020062F0631062C0627062A002006270644062C0648062F0629002006270644063906270644064A0629061B0020064A06450643064600200641062A062D00200648062B0627062606420020005000440046002006270644064506460634062306290020062806270633062A062E062F06270645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648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6250635062F0627063100200035002E0030002006480627064406250635062F062706310627062A0020062706440623062D062F062B002E0635062F0627063100200035002E0030002006480627064406250635062F062706310627062A0020062706440623062D062F062B002Egt BGR ltFEFF04180437043f043e043b043704320430043904420435002004420435043704380020043d0430044104420440043e0439043a0438002c00200437043000200434043000200441044a043704340430043204300442043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8002c0020043c0430043a04410438043c0430043b043d043e0020043f044004380433043e04340435043d04380020043704300020043204380441043e043a043e043a0430044704350441044204320435043d0020043f04350447043004420020043704300020043f044004350434043f0435044704300442043d04300020043f043e04340433043e0442043e0432043a0430002e002000200421044a04370434043004340435043d0438044204350020005000440046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80020043c043e0433043004420020043404300020044104350020043e0442043204300440044f044200200441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43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43800200441043b0435043404320430044904380020043204350440044104380438002egt CHS ltFEFF4f7f75288fd94e9b8bbe5b9a521b5efa7684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65876863900275284e8e9ad88d2891cf76845370524d53705237300260a853ef4ee54f7f752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548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4ee553ca66f49ad87248672c676562535f00521b5efa768400200050004400460020658768633002gt CHT ltFEFF4f7f752890194e9b8a2d7f6e5efa7acb7684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65874ef69069752865bc9ad854c18cea76845370524d5370523786557406300260a853ef4ee54f7f752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548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4ee553ca66f49ad87248672c4f86958b555f5df25efa7acb76840020005000440046002065874ef63002gt CZE ltFEFF005400610074006f0020006e006100730074006100760065006e00ed00200070006f0075017e0069006a007400650020006b0020007600790074007600e101590065006e00ed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16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06b00740065007200e90020007300650020006e0065006a006c00e90070006500200068006f006400ed002000700072006f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e00ed0020007400690073006b00200061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e002000200056007900740076006f01590065006e00e9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90020005000440046002000620075006400650020006d006f017e006e00e90020006f007400650076015900ed007400200076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50063006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10020006e006f0076011b006a016100ed00630068002egt DAN ltFEFF004200720075006700200069006e0064007300740069006c006c0069006e006700650072006e0065002000740069006c0020006100740020006f0070007200650074007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72002c0020006400650072002000620065006400730074002000650067006e006500720020007300690067002000740069006c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d007500640073006b007200690076006e0069006e00670020006100660020006800f8006a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74002e0020004400650020006f0070007200650074007400650064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720020006b0061006e002000e50062006e006500730020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6c006c00650072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f00670020006e0079006500720065002egt DEU ltFEFF00560065007200770065006e00640065006e0020005300690065002000640069006500730065002000450069006e007300740065006c006c0075006e00670065006e0020007a0075006d002000450072007300740065006c006c0065006e00200076006f006e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4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6e002c00200076006f006e002000640065006e0065006e002000530069006500200068006f0063006800770065007200740069006700650020005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d0044007200750063006b0065002000650072007a0065007500670065006e0020006d00f60063006800740065006e002e002000450072007300740065006c006c007400650020005000440046002d004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6b00f6006e006e0065006e0020006d00690074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75006e0064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f0064006500720020006800f600680065007200200067006500f600660066006e00650074002000770065007200640065006e002egt ESP ltFEFF005500740069006c0069006300650020006500730074006100200063006f006e0066006900670075007200610063006900f3006e00200070006100720061002000630072006500610072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50004400460020006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61006400650063007500610064006f00730020007000610072006100200069006d0070007200650073006900f3006e0020007000720065002d0065006400690074006f007200690061006c00200064006500200061006c00740061002000630061006c0069006400610064002e002000530065002000700075006500640065006e002000610062007200690072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500610064006f007300200063006f006e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79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e0065007300200070006f00730074006500720069006f007200650073002egt ETI ltFEFF004b00610073007500740061006700650020006e0065006900640020007300e400740074006500690064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6500740073006500200074007200fc006b006900650065006c007300650020007000720069006e00740069006d0069007300650020006a0061006f006b007300200073006f00620069006c0069006b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9006400650020006c006f006f006d006900730065006b0073002e00200020004c006f006f006400750064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730061006100740065002000610076006100640061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d00690064006500670061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e0069006e0067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a00610020007500750065006d006100740065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f006e00690064006500670061002e000d000agt FRA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30065007a00200063006500730020006f007000740069006f006e00730020006100660069006e00200064006500200063007200e9006500720020006400650073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73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70006f0075007200200075006e00650020007100750061006c0069007400e90020006400270069006d007000720065007300730069006f006e00200070007200e9007000720065007300730065002e0020004c00650073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73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e900e90073002000700065007500760065006e0074002000ea0074007200650020006f007500760065007200740073002000640061006e0073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0610069006e007300690020007100750027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74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e007300200075006c007400e90072006900650075007200650073002egt GRE ltFEFF03a703c103b703c303b903bc03bf03c003bf03b903ae03c303c403b5002003b103c503c403ad03c2002003c403b903c2002003c103c503b803bc03af03c303b503b903c2002003b303b903b1002003bd03b1002003b403b703bc03b903bf03c503c103b303ae03c303b503c403b5002003ad03b303b303c103b103c603b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3c003bf03c5002003b503af03bd03b103b9002003ba03b103c42019002003b503be03bf03c703ae03bd002003ba03b103c403ac03bb03bb03b703bb03b1002003b303b903b1002003c003c103bf002d03b503ba03c403c503c003c903c403b903ba03ad03c2002003b503c103b303b103c303af03b503c2002003c503c803b703bb03ae03c2002003c003bf03b903cc03c403b703c403b103c2002e0020002003a403b10020005000440046002003ad03b303b303c103b103c603b1002003c003bf03c5002003ad03c703b503c403b5002003b403b703bc03b903bf03c503c103b303ae03c303b503b9002003bc03c003bf03c103bf03cd03bd002003bd03b1002003b103bd03bf03b903c703c403bf03cd03bd002003bc03b5002003c403bf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3c403b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3ba03b103b9002003bc03b503c403b103b303b503bd03ad03c303c403b503c103b503c2002003b503ba03b403cc03c303b503b903c2002egt HEB ltFEFF05D405E905EA05DE05E905D5002005D105D405D205D305E805D505EA002005D005DC05D4002005DB05D305D9002005DC05D905E605D505E8002005DE05E105DE05DB05D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5D405DE05D505EA05D005DE05D905DD002005DC05D405D305E405E105EA002005E705D305DD002D05D305E405D505E1002005D005D905DB05D505EA05D905EA002E002005DE05E105DE05DB05D90020005000440046002005E905E005D505E605E805D5002005E005D905EA05E005D905DD002005DC05E405EA05D905D705D4002005D105D005DE05E605E205D505E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5D5002D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5D505D205E805E105D005D505EA002005DE05EA05E705D305DE05D505EA002005D905D505EA05E8002E05D005DE05D905DD002005DC002D005000440046002F0058002D0033002C002005E205D905D905E005D5002005D105DE05D305E805D905DA002005DC05DE05E905EA05DE05E9002005E905DC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E002005DE05E105DE05DB05D90020005000440046002005E905E005D505E605E805D5002005E005D905EA05E005D905DD002005DC05E405EA05D905D705D4002005D105D005DE05E605E205D505E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5D5002D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5D505D205E805E105D005D505EA002005DE05EA05E705D305DE05D505EA002005D905D505EA05E8002Egt HRV (Za stvaranje Adobe PDF dokumenata najpogodnijih za visokokvalitetni ispis prije tiskanja koristite ove postavke Stvoreni PDF dokumenti mogu se otvoriti Acrobat i Adobe Reader 50 i kasnijim verzijama) HUN ltFEFF004b0069007600e1006c00f30020006d0069006e0151007300e9006701710020006e0079006f006d00640061006900200065006c0151006b00e90073007a00ed007401510020006e0079006f006d00740061007400e100730068006f007a0020006c006500670069006e006b00e1006200620020006d0065006700660065006c0065006c015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6d006f006b0061007400200065007a0065006b006b0065006c0020006100200062006500e1006c006c00ed007400e10073006f006b006b0061006c0020006b00e90073007a00ed0074006800650074002e0020002000410020006c00e90074007200650068006f007a006f00740074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6d006f006b00200061007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e9007300200061007a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c0020007600610067007900200061007a002000610074007400f3006c0020006b00e9007301510062006200690020007600650072007a006900f3006b006b0061006c0020006e00790069007400680061007400f3006b0020006d00650067002egt ITA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a007a006100720065002000710075006500730074006500200069006d0070006f007300740061007a0069006f006e006900200070006500720020006300720065006100720065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70006900f900200061006400610074007400690020006100200075006e00610020007000720065007300740061006d0070006100200064006900200061006c007400610020007100750061006c0069007400e0002e00200049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9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500610074006900200070006f00730073006f006e006f0020006500730073006500720065002000610070006500720074006900200063006f006e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e006900200073007500630063006500730073006900760065002egt JPN ltFEFF9ad854c18cea306a30d730ea30d730ec30b951fa529b752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658766f8306e4f5c6210306b4f7f75283057307e305930023053306e8a2d5b9a30674f5c62103055308c305f0020005000440046002030d530a130a430eb306f3001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304a30883073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4ee5964d3067958b304f30533068304c3067304d307e305930023053306e8a2d5b9a306b306f30d530a930f330c8306e57cb30818fbc307f304c5fc59808306730593002gt KOR ltFEFFc7740020c124c815c7440020c0acc6a9d558c5ec0020ace0d488c9c80020c2dcd5d80020c778c1c4c5d00020ac00c7a50020c801d569d55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bb38c11cb97c0020c791c131d569b2c8b2e4002e0020c774b807ac8c0020c791c131b41c00200050004400460020bb38c11cb294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bc0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c774c0c1c5d0c11c0020c5f40020c2180020c788c2b5b2c8b2e4002egt LTH ltFEFF004e006100750064006f006b0069007400650020016100690075006f007300200070006100720061006d006500740072007500730020006e006f0072011700640061006d00690020006b007500720074006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73002c0020006b00750072006900650020006c0061006200690061007500730069006100690020007000720069007400610069006b007900740069002000610075006b01610074006f00730020006b006f006b007900620117007300200070006100720065006e006700740069006e00690061006d00200073007000610075007300640069006e0069006d00750069002e0020002000530075006b0075007200740069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10069002000670061006c006900200062016b007400690020006100740069006400610072006f006d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9007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10072002000760117006c00650073006e0117006d00690073002000760065007200730069006a006f006d00690073002egt LVI ltFEFF0049007a006d0061006e0074006f006a00690065007400200161006f00730020006900650073007400610074012b006a0075006d00750073002c0020006c0061006900200076006500690064006f0074007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73002c0020006b006100730020006900720020012b00700061016100690020007000690065006d01130072006f00740069002000610075006700730074006100730020006b00760061006c0069007401010074006500730020007000690072006d007300690065007300700069006501610061006e006100730020006400720075006b00610069002e00200049007a0076006500690064006f006a006900650074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73002c0020006b006f00200076006100720020006100740076011300720074002000610072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75006e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c0020006b0101002000610072012b00200074006f0020006a00610075006e0101006b0101006d002000760065007200730069006a0101006d002egt NLD (Gebruik deze instellingen om Adobe PDF-documenten te maken die zijn geoptimaliseerd voor prepress-afdrukken van hoge kwaliteit De gemaakte PDF-documenten kunnen worden geopend met Acrobat en Adobe Reader 50 en hoger) NOR ltFEFF004200720075006b00200064006900730073006500200069006e006e007300740069006c006c0069006e00670065006e0065002000740069006c002000e50020006f00700070007200650074007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7200200073006f006d00200065007200200062006500730074002000650067006e0065007400200066006f00720020006600f80072007400720079006b006b0073007500740073006b00720069006600740020006100760020006800f80079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74002e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6e00650020006b0061006e002000e50070006e006500730020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6c006c0065007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6c006c00650072002000730065006e006500720065002egt POL ltFEFF0055007300740061007700690065006e0069006100200064006f002000740077006f0072007a0065006e00690061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f300770020005000440046002000700072007a0065007a006e00610063007a006f006e00790063006800200064006f002000770079006400720075006b00f30077002000770020007700790073006f006b00690065006a0020006a0061006b006f015b00630069002e00200020004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900200050004400460020006d006f017c006e00610020006f007400770069006500720061010700200077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90065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90020006e006f00770073007a0079006d002egt PTB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a006500200065007300730061007300200063006f006e00660069006700750072006100e700f50065007300200064006500200066006f0072006d006100200061002000630072006900610072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d00610069007300200061006400650071007500610064006f00730020007000610072006100200070007200e9002d0069006d0070007200650073007300f50065007300200064006500200061006c007400610020007100750061006c00690064006100640065002e0020004f0073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900610064006f007300200070006f00640065006d0020007300650072002000610062006500720074006f007300200063006f006d0020006f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20006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20007600650072007300f50065007300200070006f00730074006500720069006f007200650073002egt RUM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a00610163006900200061006300650073007400650020007300650074010300720069002000700065006e0074007200750020006100200063007200650061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10064006500630076006100740065002000700065006e0074007200750020007400690070010300720069007200650061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000640065002000630061006c006900740061007400650020007300750070006500720069006f006100720103002e00200020004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5006c0065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500610074006500200070006f0074002000660069002000640065007300630068006900730065002000630075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15f00690020007600650072007300690075006e0069006c006500200075006c0074006500720069006f006100720065002egt RUS ltFEFF04180441043f043e043b044c04370443043904420435002004340430043d043d044b04350020043d0430044104420440043e0439043a043800200434043b044f00200441043e043704340430043d0438044f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e043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43c0430043a04410438043c0430043b044c043d043e0020043f043e04340445043e0434044f04490438044500200434043b044f00200432044b0441043e043a043e043a0430044704350441044204320435043d043d043e0433043e00200434043e043f0435044704300442043d043e0433043e00200432044b0432043e04340430002e002000200421043e043704340430043d043d044b04350020005000440046002d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4b0020043c043e0436043d043e0020043e0442043a0440044b043204300442044c002004410020043f043e043c043e0449044c044e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43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43800200431043e043b043504350020043f043e04370434043d043804450020043204350440044104380439002egt SKY ltFEFF0054006900650074006f0020006e006100730074006100760065006e0069006100200070006f0075017e0069007400650020006e00610020007600790074007600e100720061006e00690065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f0076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06b0074006f007200e90020007300610020006e0061006a006c0065007001610069006500200068006f0064006900610020006e0061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e00fa00200074006c0061010d00200061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e00200056007900740076006f00720065006e00e9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90020005000440046002000620075006400650020006d006f017e006e00e90020006f00740076006f00720069016500200076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f0063006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10020006e006f0076016100ed00630068002egt SLV ltFEFF005400650020006e006100730074006100760069007400760065002000750070006f0072006100620069007400650020007a00610020007500730074007600610072006a0061006e006a0065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f0076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06b006900200073006f0020006e0061006a007000720069006d00650072006e0065006a016100690020007a00610020006b0061006b006f0076006f00730074006e006f0020007400690073006b0061006e006a00650020007300200070007200690070007200610076006f0020006e00610020007400690073006b002e00200020005500730074007600610072006a0065006e0065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50004400460020006a00650020006d006f0067006f010d00650020006f0064007000720065007400690020007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9006e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9006e0020006e006f00760065006a01610069006d002egt SUO ltFEFF004b00e40079007400e40020006e00e40069007400e4002000610073006500740075006b007300690061002c0020006b0075006e0020006c0075006f00740020006c00e400680069006e006e00e4002000760061006100740069007600610061006e0020007000610069006e006100740075006b00730065006e002000760061006c006d0069007300740065006c00750074007900f6006800f6006e00200073006f0070006900760069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40065006a0061002e0020004c0075006f006400750074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9007400200076006f0069006400610061006e002000610076006100740061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69006c006c00610020006a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3a006c006c00610020006a006100200075007500640065006d006d0069006c006c0061002egt SVE ltFEFF0041006e007600e4006e00640020006400650020006800e4007200200069006e0073007400e4006c006c006e0069006e006700610072006e00610020006f006d002000640075002000760069006c006c00200073006b00610070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200073006f006d002000e400720020006c00e4006d0070006c0069006700610020006600f60072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d007500740073006b00720069006600740020006d006500640020006800f60067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74002e002000200053006b0061007000610064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20006b0061006e002000f600700070006e006100730020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f0063006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f00630068002000730065006e006100720065002egt TUR ltFEFF005900fc006b00730065006b0020006b0061006c006900740065006c0069002000f6006e002000790061007a006401310072006d00610020006200610073006b013100730131006e006100200065006e0020006900790069002000750079006100620069006c006500630065006b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20065006c00670065006c0065007200690020006f006c0075015f007400750072006d0061006b0020006900e70069006e00200062007500200061007900610072006c0061007201310020006b0075006c006c0061006e0131006e002e00200020004f006c0075015f0074007500720075006c0061006e0020005000440046002000620065006c00670065006c00650072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76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76006500200073006f006e0072006100730131006e00640061006b00690020007300fc007200fc006d006c00650072006c00650020006100e70131006c006100620069006c00690072002egt UKR ltFEFF04120438043a043e0440043804410442043e043204430439044204350020044604560020043f043004400430043c043504420440043800200434043b044f0020044104420432043e04400435043d043d044f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56043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44f043a04560020043d04300439043a04400430044904350020043f045604340445043e0434044f0442044c00200434043b044f0020043204380441043e043a043e044f043a04560441043d043e0433043e0020043f0435044004350434043404400443043a043e0432043e0433043e0020043404400443043a0443002e00200020042104420432043e04400435043d0456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800200050004400460020043c043e0436043d04300020043204560434043a044004380442043800200443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4420430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4300431043e0020043f04560437043d04560448043e04570020043204350440044104560457002egt ENU (Use these settings to create Adobe PDF documents best suited for high-quality prepress printing Created PDF documents can be opened with Acrobat and Adobe Reader 50 and later) gtgt Namespace [ (Adobe) (Common) (10) ] OtherNamespaces [ ltlt AsReaderSpreads false CropImagesToFrames true ErrorControl WarnAndContinue FlattenerIgnoreSpreadOverrides false IncludeGuidesGrids false IncludeNonPrinting false IncludeSlug false Namespace [ (Adobe) (InDesign) (40) ] OmitPlacedBitmaps false OmitPlacedEPS false OmitPlacedPDF false SimulateOverprint Legacy gtgt ltlt AddBleedMarks false AddColorBars false AddCropMarks false AddPageInfo false AddRegMarks false ConvertColors ConvertToCMYK DestinationProfileName () DestinationProfileSelector DocumentCMYK Downsample16BitImages true FlattenerPreset ltlt PresetSelector MediumResolution gtgt FormElements false GenerateStructure false IncludeBookmarks false IncludeHyperlinks false IncludeInteractive false IncludeLayers false IncludeProfiles false MultimediaHandling UseObjectSettings Namespace [ (Adobe) (CreativeSuite) (20) ] PDFXOutputIntentProfileSelector DocumentCMYK PreserveEditing true UntaggedCMYKHandling LeaveUntagged UntaggedRGBHandling UseDocumentProfile UseDocumentBleed false gtgt ]gtgt setdistillerparamsltlt HWResolution [2400 2400] PageSize [612000 792000]gtgt setpagedevice

Page 4: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iii

시장으로 예상되며 이 경우 국내 나노시장의 총규모도 670조원으로 상승이 예상된다

한편 각 산업별 매출 비중을 비교할 경우 2025년 전체 나노시장에서 나노소재 산업이 차

지하는 비중은 2247 나노전자(소자) 7665 나노바이오의료 020 나노장비기기

068로 예측된다 이는 2014년 현재 기준과 비교할 때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비중이 다

소 줄어들고 나노소재 산업의 비중이 늘어날 것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한편 나노바이오

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 2014년과 비교할 때 여전히 작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

상된다

4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국내 나노산업이 2025년까지 빠른 속도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측하였다

나노산업의 미래 시장 규모 예측은 모든 나노 관련 정책의 기본적인 토대이다 본 조사 결

과는 향후 각종 나노산업 통계 및 예측의 기초 자료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으며 국내 나노

시장의 성장 방향 및 전략 도출을 위한 세부적인 분석 및 시사점 제안을 가능하게 할 것이

다 예를 들어 나노기업은 본 조사 결과를 활용해 향후 나노시장의 성장 속도에 대비한 적

절한 투자와 인력 충원 등을 선제적으로 계획할 수 있다 또한 나노 관련 정책을 개발하는

정부 기관 연구소들도 미래 나노시장의 잠재적 규모에 근거한 관련 정책을 개발 및 지원할

수 있다

본 조사는 이를 위해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수많은 나노 관련 연구들이 가장 중요한 미래 시장 규모 예

측에 있어 비교적 단순한 방법을 적용했음을 감안할 때 본 연구가 향후 국내 나노산업이

보다 체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단 현재 국내 나노

산업 매출 데이터가 아직 충분하지 않아 예측 결과값이 민감하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향후

지속적인 업데이트 과정을 통해 미래 나노산업 예측값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iv

Abstract

This study systematically predicts the size of the domestic nano-market using

quantitative model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 domestic nano-market will

grow to about 667 trillion won by 2025 By industry it is expected to form a

market of 150 trillion won for nanomaterials 511 trillion won for

nanoelectronics(devices) 13 trillion won for nanobiotechnologyhealthcare and 46

trillion won for nanotechnology equi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the nano-industry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policy development of nano-related government agencies and companies

1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rsquo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nano-market size based on a systematic

and scientific methodology This study predicted the market size of domestic nano-industry in

2025 by using a ldquoDiffusion Modelrdquo which is one of the quantitative models

In this process we proposed a comprehensive forecasting methodology that reflects the

general consumersrsquo perception of nanotechnology and nano-industry expertsrsquo opinions

As we predicted the sales of each industry of nanomaterials nanoelectronics(devices)

nanobiotechnologyhealthcare nanotechnology equipment the growth potential of each

industry was compared and analyzed Also sensitivity analysis that reflects various

expert opinions and several scenarios was conducted to include various potential changes

in the future nano-market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nano-related government

agencies and companies can proactively respond to the potential growth of the future

nano-market

v

2 Survey Method and Design

In this study we first summarized the results of nanotechnology perception survey by

general consumers(Step 1) After presenting the results to experts in nano-industry we

asked experts to estimate the sales of each nano-industry market over the next five

years(Step 2) We predicted the total sales of nano-industry market in 2025 by finally

incorporating the obtained expert estimates into the fundamental data of the diffusion

model(Step 3) We then conducted a sensitivity analysis of how the market predictions

could be different by changing the modelrsquos coefficients by various scenarios

3 Major Results

Most of the existing nano-industry size forecasts are predicted by simple methods

based on the past compound annual growth rate(CAGR) or by following the opinions of

overseas famous institutions and scholars For example the growth forecast of US $ 3

trillion in nano-industry in 2020 proposed by Dr Roco is widely used in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ports and newspaper articles However the part CAGR is

suitable for a stable industry that has already reached maturity and it is limited to apply

to the rapidly growing industries such as nanotechnology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size of domestic nano-market in a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method A quantitative model called the Diffusion Model a general consumer

survey and a qualitative method of nano-industry expert survey were combined to predict

the domestic nano-market size in 2025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the domestic nano-market is expected to grow to about 667 trillion won

in 2025 and is expected to grow 504 times as much as the 130 trillion won market as

of 2014 Assuming that the entire manufacturing industry maintains a CAGR of 26

between 2010 and 2014 the nano-industry which accounts for 89 of the total

manufacturing industry as of 2014 is expected to grow to 3368 by 2025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ximum and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소비자 인식조사 최종보고서

vi

minimum values of the expert estimates are applied to the diffusion model the

maximum value of the domestic nano-market size was estimated to be 811 trillion won

and the minimum value of 534 trillion won respectively

In addition this study devides the nano-industry into nanomaterials nanoelectronics(devices)

nanobiotechnologyhealthcare nanotechnology equipment and estimates the future size of each

industry First the nanomaterials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150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143161 in 2025 from about 105 trillion won as of 2014 The nanoelectronics

(devices)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511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42821 in

2025 from about 119 trillion won as of 2014 The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13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17951 in 2025 from about 700

billion won as of 2014 Lastly the nanotechnology equipment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46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25810 in 2025 from about 18 trillion won as of

2014

In terms of growth rate the nanomaterials industry is expected to have the greatest growth

potential followed by nanoelectronics(devices) nanotechnology equipment and

nanobiotechnologyhealthcare However if we revise the forecasts to reflect the large growth

of the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in 2014 the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is expected to reach about 46 trillion won in 2025 In this case the total size of

the domestic nano-market is expected to increase to 670 trillion won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the share of each industry the share of the nanomaterials industry in the

entire nano-market is estimated to be 2247 nanoelectronics(devices) 7665

nanobiotechnologyhealthcare 020 and nanotechnology equipment 068 This

demonstrates that the share of the nanoelectronics(devices) industry will be somewhat reduced

and that the share of the nanomaterials industry will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standards

as of 2014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and nanotechnology equipment industry

are expected to remain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2014

vii

4 Conclusion and Implications

This study predicts that the domestic nano-industry will continue to grow at a rapid

pace by 2025 The future market size forecast of nano-industry is the most basic

foundation of all nano-related poli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widely used as

fundamental data of various nano-industry statistics and forecasts and it can provide

in-depth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the growth direction and strategy of domestic

nano-market For instance a nanotechnology company can take advantage of the results

of this survey to respond appropriately to proper investment and personnel recruitment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growth of the nano-market Government agencies and research

institutes developing nano-related policies can also develop and support relevant policies

based on the potential size of future nano-marke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growth of the domestic nano-market is

approached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Given that many nano-related studies have

applied relatively simple methods to predict the most important future market size this

study will help the domestic nano-industry to develop more systematically in the future

However since the sales data of the domestic nano-industry is not enough yet the

forecast result value may be sensitively chang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forecast value of the future nano-industry through a continuous update process in the

future

ix

차 례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연구 방법론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2장 주요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1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2 세부 나노산업별 시장 규모 예측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3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변화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4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분석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1 신기술 확산 및 예측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2 소비자 수용 및 혁신 저항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3 산업전문가 활용 조사 방법론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4 나노산업 관련 이론 및 발전 동향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5 문헌연구 분석 결과 시사점 도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1 나노시장 예측 방법론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2 Diffusion Model 소개 및 적용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3 일반소비자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4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4

5 Diffusion Model을 적용한 나노산업의 미래 규모 예측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51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52 세부 산업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53 민감도 분석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1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2 시사점 도출 및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

3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소비자 인식조사 최종보고서

x

표차례

lt표 1gt 나노융합산업 분야별 매출액 현황 (단위 억원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lt표 2gt 현재와 미래의 중점과학기술 나라별 기술수준 기술격차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lt표 3gt 미래 면허증 보유자(포화시장규모) 예측 (단위 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lt표 4gt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단위 대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lt표 5gt 각 확산 예측 모형 별 오차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lt표 6gt 전체 시장 규모 대비 정부 투자 비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lt표 7gt Sheth(1981)의 저항 강도에 따른 혁신저항 4가지 유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lt표 8gt 전문가 델파이 분석의 설문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

lt표 9gt 중요도 및 난이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lt표 10gt 전문가 확신도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lt표 11gt 가상의 나노기술 적용제품 세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lt표 12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속성수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lt표 13gt 세 가지 나노기술 적용 제품군 별 구매의도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1

lt표 14gt 일반인 그룹의 컨조인트 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lt표 15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세 가지 제품군의 효용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lt표 16gt 본 연구의 기본 전제 및 해결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lt표 17gt 나노기술의 특징 품질 혁신성 이해 정도 비교 (동영상 시청전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lt표 18gt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추이 (단위 억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4

lt표 19gt 최종 나노산업 전문가 집단 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lt표 20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lt표 21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lt표 22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5

lt표 23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lt표 24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lt표 25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lt표 26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연도별 세부산업별 데이터 (단위 억원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lt표 27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lt표 2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2014년 예상 매출액 Vs 실제 매출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lt표 29gt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 성장 적용 시 예상 매출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lt표 30gt 나노산업별 p q 추정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lt표 31gt 혁신계수값 변화에 따른 나노산업 예측 규모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6

lt표 32gt 주요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8

xi

그림차례

lt그림 1gt 2020년 글로벌 나노시장 3조달러 자료를 인용한 신문 보도자료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

lt그림 2gt 과거 연평균 성장률 적용의 가상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lt그림 3gt 본 연구의 특징 및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lt그림 4gt 본 연구의 방법론 및 단계적 흐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lt그림 5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lt그림 6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단위 억원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lt그림 7gt 국내 나노소재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lt그림 8gt 국내 나노전자(소자)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lt그림 9gt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lt그림 10gt 국내 나노장비기기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lt그림 11gt 전체 나노산업 중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 비중 변화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lt그림 1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전문가 예상 매출액 보정 후 나노시장 총규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lt그림 13gt p q값을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으로 적용할 경우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lt그림 14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 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lt그림 15gt Bass(1969) 모형의 분석적 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lt그림 16gt 바이오칩 센서기술의 성장곡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

lt그림 17gt 모션플랫폼 확산 실제값 예측값 데이터 비교 세계와 한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lt그림 18gt 총 자동차 시장 대비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lt그림 19gt 세 모형 간 원데이터와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lt그림 20gt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lt그림 21gt 국내 RFID 확산 예측 모형과 실제 데이터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lt그림 22gt 각 모형별 확산 예측과 실제 데이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lt그림 23gt 델파이기법의 실행 절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0

lt그림 24gt 델파이 조사 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lt그림 25gt 생체인식 시스템 기술수준 중요도 난이도 종합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lt그림 26gt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도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lt그림 27gt 일반인과 전문가의 나노제품에 대한 지각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lt그림 28gt 일반인전문가 나노기술의 위해성 인식여부와 불안감여부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lt그림 29gt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나노산업 영향력 도출 방법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lt그림 30gt 나노기술 인식 조사 변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0

lt그림 31gt 일반 소비자의 나노기술 나노제품 사용 여부 인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lt그림 32gt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정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lt그림 33gt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과정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

lt그림 34gt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측값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lt그림 35gt 일반인 Vs 전문가 나노기술 인식 차이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lt그림 36gt 나노산업별 중요도 및 상대적 기술 수준 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소비자 인식조사 최종보고서

xii

lt그림 37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lt그림 38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최소값 평균값 최대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lt그림 39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lt그림 40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lt그림 41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5

lt그림 4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lt그림 43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lt그림 44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lt그림 45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최근 급속한 성장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lt그림 46gt 2025년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예상 매출액 (보정값)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lt그림 47gt 2025년 국내 나노산업별 비중 비교 (보정값)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lt그림 4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보정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산업 매출 예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lt그림 49gt 모든 산업이 나노전자 혹은 나노소재 산업 수준으로 성장할 경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lt그림 50gt 일반적인 소비재 제품의 혁신계수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lt그림 51gt 다른 연구(김진 고경일 2014)에서 추정된 p q 값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

lt그림 52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6

Table of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Summary of Research Methodolog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Chapter 2 Major Result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1 Summary of Forecasts of Total Domestic Nano-market Size in 2025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2 Summary of Market Size Forecasts by Sub-nano-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3 Summary of Sales Change by Nano-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4 Summary of Scenario-Based Sales Change Analysis Result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Chapter 3 Literature Review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1 Expansion and Prediction of New Technologi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2 Adoption Intention and Innovation Resistance of Consume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3 Industrial Experts-based Survey Methodolog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4 Nano-industry Related Theory and Development Tren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5 Drawing Implications from Literature Review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Chapter 4 Summary of Forecasts of Total Domestic Nano-market Size in 2025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1 Summary of Nano-market Forecast Methodolog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2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Direction of Diffusion Mod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3 Survey Results Summary of Nanotechnology Perception of Consumer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4 Survey Results Summary of Nano-industry Exper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4

5 Forecast Results of Future Nano-indudstry Size Applying Diffusion Model middotmiddot 79

51 Forecasts of Total Size of Nano-marke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52 Sales Forecast by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53 Sensitivity Analysis Scenario-based Sales Chang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Chapter 5 Conclusion and Implication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1 Summary of Result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2 Drawing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

3 Expected Effects and Application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

Referenc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제1장 서 론

1

제1장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나노산업의 성장이 계속되면서 나노기술 및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

가하고 있다 2016년 발표 자료1)에 따르면 2014년도 나노융합산업 매출액은 총

132조2930억원으로 전체 제조업 대비 약 9를 차지하였다 이는 지난 5년간 매년

연평균 107 성장한 수치이며 같은 기간 전체 제조업 매출액의 연평균 성장률

26보다 약 4배 정도 높은 성장률이다

lt표 1gt 나노융합산업 분야별 매출액 현황 (단위 억원 )

분야별 매출액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연평균 성장률

나노소재 87191 111370 96651 144391 104664 47

나노전자 770863 785380 1170282 1215753 1193383 115

나노바이오의료 2718 2934 4444 4126 7249 278

나노장비기기 19698 23170 19152 22669 17634 -27

나노융합산업 합계 880470 922854 1290529 1386939 1322930 107

제조업 합계 13395480 15023530 15114951 14957302 14865742 26

자료 2016년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일반적으로 나노융합산업이란 ldquo나노기술을 활용하여 나노융합제품을 생산하는

산업rdquo으로 나노융합제품은 ldquo100nm 이하의 크기에서 인위적 조작을 통해 혁신적

인 기능을 창출하는 제품rdquo으로 정의하고 있다 나노기술의 발전과 함께 시장에 새

롭게 출시되는 나노제품들이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도 나노산업의 발전은 계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나노기술이 향후 국민 소비와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할 때 나노산

업의 미래 성장 예측은 필수적이다 미래 나노시장의 규모 예측에 기반해 정부의

관련 정책 개발 및 기업의 투자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정부기

1) 2016년 12월 산업통상자원부가 국내 나노융합기업 59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발표한 ldquo2015 국내 나노융합산업 실태조사rdquo 결과 자료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

관 및 많은 나노관련 연구소들은 나노산업의 성장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

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 규모에 대해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KISTEP에서 발행한 한 연구 보고서2)에서도 언

급되었듯이 현재 나노관련 시장의 규모의 예측은 다양한 방식으로 추정되는 상

황이며 시장 전망 조사 전문 기관의 시장 예측 규모도 조사 기관 간에 매우 큰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추정하는 방법은 대체로 해외 유명 기관 혹은

학자의 예측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혹은 글로벌 예상 매출액에 단순히 목표

점유율을 계산하여 국내 시장의 미래 규모를 예측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나노비지니스 얼라이언스(NanoBusiness Alliance) 나노기술산

업 컨설팅사인 럭스리서치(Lux Research) 일본 미쯔비시 연구소 등에서 발표하는

나노관련 시장의 규모 및 성장률 자료를 그대로 인용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Roco 박사가 제시한 2020년 글로벌 나노시장 3조달러 예상(Roco et

al 2010) 수치는 국내 다양한 연구기관과 신문 보도 자료들에서 여러 차례 활용

되고 있다

lt그림 1gt 2020년 글로벌 나노시장 3조달러 자료를 인용한 신문 보도자료들

2) 김석필 외(2014) ldquo나노기술 상용화 현황 진단과 혁신과제rdquo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연구보고 2014-016

제1장 서 론

3

그런데 이와 같은 자료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과거 나노산업의 연평균 성장률

(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을 대입하여 단순하게 미래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했다는 것이다 즉 과거의 성장률을 기반으로 미래의 시장을 예측하

는 방법을 활용한 것이다

이 방법은 다양한 산업에서 비교적 쉽게 사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나노산업 이

외에도 일상적으로 자주 활용되는 방법이다 하지만 연평균성장률 적용 방법은

성숙기에 접어든 안정적인 산업 혹은 저성장 산업에 적용할 경우 보다 적합한 방

법이다 일례로 아래 그림과 같은 두 가지 가상의 예를 제시할 수 있다

lt그림 2gt 과거 연평균 성장률 적용의 가상 예

위의 두 경우 연평균성장률은 115로 동일하다 하지만 성장 패턴을 비교할

때 왼쪽 나노전자(A)의 경우 향후 추가적인 성장이 기대되지만 오른쪽 나노전자

(B)의 경우 점차 하락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즉 두 가지 사례가 서로 다른 모습

의 성장 과정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연평균 성장률은 시작값과 마지막값의 차이

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같은 수치를 보이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이미 충분히 성장한 성숙기 산업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

을 수 있다 어느 정도 성장이 완료된 이후에는 성장 패턴에 큰 차이가 없기 때문

에 과거 연평균 성장률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연구의 초점인 나노산업의 경우 현재 급속한 성장이 진행되고 있으며 세부 산업

별 성장 패턴도 다양한 편이다 즉 과거 연평균 성장률이 미래에도 안정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실제로 2020년 3조달러 시장을 제안했던 Roco 박사도 2014년 한 발표에서 2011

년 이전 연평균 성장률 25를 보였던 나노산업이 2011~2013년 전세계적으로 연평

균 44 성장했다고 하였다(Roco 2014) 즉 과거의 나노산업 성장 예측 기대치보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

다 최근 더욱 빠른 성장세가 발견된 것이다 이 역시 과거 연평균 성장률이라는

단순한 계산에 의해 나노산업의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한계가 있을 수 있음 보여

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문제점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보

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하고자 한다 우

리나라가 앞으로 나노 선진국으로 한 걸음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 해외 자

료에만 의존할 수 없다 이제 국내 독자적으로 나노시장을 예측하고 미래 시장

규모에 적절한 체계적 대응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나노시장

의 규모 예측은 모든 나노 관련 정책의 가장 밑받침이 될 것이기 때문에 본 연구

와 같은 시도는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처럼 나노시장 예측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국내 나노관련

연구들은 기술 중심 현황 분석 중심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예를 들어 국내외

나노산업의 단순 현황(ex 산업별 매출액 나노융합기업 사업체 수 고용인원

RampD투자액 등)을 조사하거나 기술 발전 동향 조사 나노기술의 부작용 위험성

조사 사업화 역량 조사 등이 주를 이루었다 즉 다른 산업의 연구에 비해 계량적

이고 체계적인 연구 및 방법론 활용이 부족하였고 무엇보다 가장 기본이 되는 수

요예측의 과학적 접근이 부족하였다

국내 나노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이제 계량적이고 체계적인 모형을 활

용한 예측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에서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의

견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아직 시장 데이터가 불충분하고 불확실성이

높은 나노산업의 시장 규모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산업을 가장 잘 이해하는 전문

가들의 의견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는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도 연구 결과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초기 시장을 지나 본격적인 성장기로 돌

입하기 위해서는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혜택 이해와 수용이 필수적이라고 판

단했기 때문이다 기존 문헌에서도 새로운 과학기술과 관련된 산업에서는 다양한

구성원들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예를 들어 오미영 외(2008)의 연구

에서도 과학 기술이 사회 경제적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사회 구성원들에 대한 이

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이라는 계량적인 모형을 활용해 보다 체

계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미래 규모를 예측하고자 한다 또한 나노산업

이 아직 초기 단계에 있음을 반영하여 산업 전문가 조사와 일반 소비자 조사의 의

제1장 서 론

5

견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수요예측 방법론을 제안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나노산업

의 미래 예측 결과를 통해 향후 나노 관련 정책 개발 및 나노기업의 전략 설정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논의한 본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량적 모형을

활용한 과학적인 나노기술 확산 및 성장 예측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계량적 모

형과 함께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과 최종 소비자 의견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고자

한다 셋째 다양한 서베이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정책 개발을 위

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lt그림 3gt 본 연구의 특징 및 목적

또한 본 연구는 보다 완성도 있는 결과물을 위해 특별히 다음의 세부 요건들을

최대한 만족하는 연구 결과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나노기술

이 특정한 최종 제품에만 적용되는 타겟 기술이 아닌 ldquo기반 기술rdquo이라는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둘째 나노산업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현업 전문가들의 의견

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셋째 나노기술의 확산을 위해 나노기술에 대한 지식 수

준이 낮은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을 모형에 적절히 반영해야 한다 넷째

전반적인 예측 과정의 논리적 흐름이 설득력 있고 간결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

2 연구 방법론 요약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의 연구 과정을 통해 최종적인 나노기술의 산업 영향력

을 도출할 계획이다 이를 그림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4gt 본 연구의 방법론 및 단계적 흐름

우선 본 조사는 나노제품을 사용하는 최종 소비자인 일반 사람들의 나노기술 인

식 정도를 측정할 것이다(Step 1) 특별히 나노기술에 대한 혜택 비용(혁신저항)

신뢰도 수용의도 등의 변수를 분류하고 이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측정할 것이다

이후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를 실시한다(Step 2) 나노산업을 통계청 기준에 따라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의 네 가지 산업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각 산업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상액

과 각 산업의 중요도 기술수준 평가 등을 실시한다 특이한 점은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앞서 실시한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결과를 제시한다는

것이다(그림 4에서 점선 표시)

이는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지나치게 기술 중심적 사고를 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시장을 예측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나노기술

의 경우 소비자의 잠재적 위험 인식이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고려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소비자의 인식도를 살펴본 후 관련 나노산업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

제1장 서 론

7

집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예측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지금까지의 두 가지 기본 조사를 완료한 후 본 조사의 핵심 내용인 국내 나노

시장의 미래 시장 규모를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예측한다(Step 3) 이 과정에

서 앞서 얻어진 산업 전문가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측값을 입력 자료로 포함하

여 최종적인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의 총규모와 산업별 규모를 예측한다

이와 같은 방법론을 시도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연구의 Diffusion

Model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장 매출액 초기값들이 필요하다 하지

만 현재 시장에서 집계된 나노산업 매출액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단 5년간의

데이터만 활용 가능하다 이 경우 데이터 부족으로 불안정한 추정값이 도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 나노산업의 특성을 반영해 시장을 가장 잘 파

악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나노산업 전문가의 단기적 미래 예측(2015~2018년)값을

수집해 최종적인 모형에 적용할 입력 자료의 양을 늘리고자 한다

물론 산업 전문가에게 더 많은 기간의 미래 예측값을 얻어낼 수도 있지만 불확

실성이 높은 성장 산업에 대한 중장기적 예측의 어려움을 감안해 향후 몇 년 간의

값만을 수집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일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단 이 경우 앞서 설

명한바와 같이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혹은 지나치게 기술

중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예측값을 제시하여 결과값이 과대 추정될 우려가 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일반적인 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조사

를 먼저 실행하여 해당 결과를 전문가에게 제시한 후 단기적 미래 예측값을 응답

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을 통해 본 연구는 나노산업의 초기적인 특징을 반영하면서

최대한 종합적인 시각에서 체계적으로 국내 나노산업 시장 규모를 추정하고자 계

획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계량적인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향후 나노

산업의 성장 및 영향력을 예측하는데 이 과정에서 최종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및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적극 활용할 것이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2025년 국내

나노산업의 총규모를 예측한다 그리고 산업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한 시나

리오 분석을 통해 민감도 분석을 실시할 계획이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

제2장주요 결과

1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요약

Diffusion Model 일반소비자 조사 전문가 의견조사를 종합한 방법론을 활용하

여 국내 나노산업의 매출 규모를 예측한 결과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은 약 667조

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대비 504배(504) 성

장 전망된 것이다 또한 전체 제조업이 2010~2014년 동안의 연평균성장률 26를

계속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 제조업 총매출에서 나노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89에서 2025년 3368 수준으로 비중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5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lt그림 6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단위 억원 )

제2장 주요 결과

9

2 세부 나노산업별 시장 규모 예측 요약

나노산업을 각 세부 산업별로 나누어 분석할 경우 우선 나노소재 시장은 평균

값 기준 202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

재 약 10조5천억원 대비 14316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lt그림 7gt 국내 나노소재 산업 매출액 전망

나노전자(소자)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511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19조원 대비 4282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

이다

lt그림 8gt 국내 나노전자(소자) 산업 매출액 전망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

나노바이오의료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1조3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되

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7천억원 대비 1795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lt그림 9gt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매출액 전망

나노장비기기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4조6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되었

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조8천억원 대비 25810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lt그림 10gt 국내 나노장비기기 산업 매출액 전망

제2장 주요 결과

11

3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변화 요약

본 연구의 예측치를 바탕으로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 비중을 비교하면 2014년 대

비 2025년 나노소재 산업의 매출 비중(791rarr2247)이 증가하고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매출 비중(9021rarr7665)이 하락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나노바이오

의료 산업과 나노장비기기 산업은 여전히 작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lt그림 11gt 전체 나노산업 중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 비중 변화 추이

4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분석 결과 요약

본 연구는 몇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2014

년도 급격히 성장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성장세를 감안하여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전문가 예상 매출액을 보정하여 예측한 결과 나노산업의 총매출 규모는

667조원에서 670조원으로 다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lt그림 1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전문가 예상 매출액 보정 후 나노시장 총규모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2

한편 만약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소재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

년 국내 나노산업은 평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또한 모

든 나노시장이 나노전자(소자)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

준 약 14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lt그림 13gt p q값을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으로 적용할 경우 민감도 분석

마지막으로 정부의 투자 지원 확대 등으로 나노시장의 혁신계수(P)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에는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lt그림 14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 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3

제3장관련 문헌 연구

1 신기술 확산 및 예측 연구

일반적으로 제품 서비스 기술에 대한 수요예측 방법론은 정성적인 방법론과

정량적인 방법론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성적 방법으로는 설문조사방법 주관적

예측방법 비교유추방법 등이 있으며 정량적인 방법론은 Bass 확산모형 Logistic

곡선모형 Gompertz 곡선모형 등이 있다 정성적 방법론은 주로 기존 시장의 자료

가 충분히 존재하지 않아서 수리적 모형화가 어려울 경우 소비자나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진행된다 반면 정량적 방법은

기존 시장 자료가 존재하고 이에 대한 통계적 분석이 가능할 경우 분석 자료를 통

해 앞으로의 수요패턴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정성적 방법론(qualitative method) 중 하나인 비교 유추법이란 미래 수요예측이

어려울 정도로 과거의 시장자료가 충분치 않을 때 원하는 제품과 유사한 제품의

시장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요패턴을 예측하거나 해당 제품이나 기술이 먼저 보

급화된 선진국의 수요패턴과 비교하고 답을 유추하는 과정을 통해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정성적 방법 중에는 전문가의 의견을 활용하는 주관적 예측법(subjective

estimation)이 존재하는데 이는 미래수요를 예측하고자 할 때 해당 제품 기술과

관련된 분야의 전문가들(기술담당자 마케팅 실무 담당자 관련된 기관에 근무하

는 전문가 등)의 의견을 통해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래 수요예측을 진행하며

이 주관적 예측법에는 브레인스토밍 델파이법(Delphi method) 등이 포함된다 이

중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브레인스토밍 기법은 과거에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

었지만 최근 사용되는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이며 최근 델파이 기법을 통해 정성

적 수요예측을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델파이 기법의 핵심요소는 전문가들

의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수요판단에 있

어서 다른 정성적 방법 중 비교적 객관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델파이 기

법은 분석과정에서 미래예측결과를 조사하고 또한 확인하는 과정을 다시 거치기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4

때문이다 따라서 정량화가 어려운 경우에도 나름대로 높은 신뢰성을 갖는 통계

를 보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수요예측 방법론으로는 정량적 방법(quantitative method)이 존재하는

데 과거 시장자료가 존재할 경우 이 데이터를 통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수요패턴을 예상하는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이 범주에는 시계열 모형 계량경제

모형 성장곡선 모형 등이 있다 시계열 모형은 시계열 자료에 대한 자기상관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생성되는 모형으로 대표적인 모형은 Box Jenkins의 ARIMA 모형

이며 주로 월별 매출의 변동과 같은 단기예측을 위해 사용된다 계량경제모형은

시장의 수요를 예측하려 할 때 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경제 변수

들을 파악하고 이들의 상호적 관계를 수식화해 regression하는 방법을 말한다 마

지막으로 성장곡선 모형은 신기술 신제품의 시간적 누적된 수요량의 궤적이 성

장곡선과 유사하게 완만한 S자형 모형의 곡선 형태를 보이는 점에 착안하였으며

Logistic 모형 Gompertz 모형 Bass 모형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성장곡선은 전염

병과 세포증식과 같은 생물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모형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1960년대부터 탁월한 수요예측 능력과 유용성을 인정받고 신제품 신기

술 서비스의 수요예측에 사용되어져 왔다 기술의 성장을 예측하는데 주로 활용

되는 Logistic 모형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Y는 t 시점에서 존재하는 기술 수준 k는 극한의 기술값을 뜻하며 α와 β

는 성장의 형태를 결정하는 계수를 의미한다 기술성장의 그래프 역시 기술의 극

한값 k를 기준으로 S-Curve의 곡선을 나타내게 된다

t⁰는 기술 수준의 최대값을 나타내며 이는 기술의 성숙기라고 표현할 수 있다

당기 기술수준의 최대점은 누적곡선의 변곡점이라 할 수 있으며 tsup1은 당기 기술

의 변곡점이다 이 때는 주로 성장기에 해당하며 본격적으로 해당기술이 개발되는

시점을 의미한다 성숙기와 성장기는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5

또한 곡선의 완만한 형태를 결정하게 되는 모수로는 α β가 있는데 K(기술의

극한값)가 일정할 경우 t의 시점에 따른 기술 Y가 추정이 가능하다 Logistic 곡선

은 선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α β가 추정 가능하다 Pearl과 Reed가 개발한 성

장곡선모형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Y(K-Y)는 기술변화

의 속도를 나타내며 해당 기술 발전의 속도가 현재의 기술 수준이 최대값의 기술

수준이 되기까지 남아있는 기술혁신에 해당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Gompertz 모형

은 Logistic 모형처럼 변곡점을 가지고 있지만 변곡점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비대

칭적 S자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장점으로는 좌우 대칭이라는 특성으로

해당 시장의 정확한 상황을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때 Logistic 모형과 비교해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Gompertz 모형은 변곡점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기술이나 제품 초기에 많은 성장을 보이는 경우 Logistic 모형보다 적

합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함수식은 다음과 같다

Gompertz 모형은 첨단기술 제품의 수요예측에 많이 사용되며 최근 기술발전으

로 제품 생애주기(Life Cycle)가 짧은 형태를 보임에 따라 신제품 또는 신기술의

빠른 성장을 예측하는데 더 나은 예측력을 보일 때가 많다

신제품의 수요 확산 예측을 위해 개발된 모형 중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모

형으로는 Bass가 개발한 최초구매 확산모형(First-Purchase Diffusion Model)을 말

할 수 있다 Bass 모형 연구는 내구재(TV 세탁기 등)를 제품으로 선정하였기 때문

에 소비자들이 이들 제품을 반복구매하는 상황보다는 한 개의 제품을 최초구매하

는 상황을 가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제품 수용자들의 수는 신제품의

판매숫자와 같다고 보았으며 잠재수용자들은 대중매체나 다른 사람들의 구전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영향을 받고 제품을 수용한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수용자들은 내부적 영향(구전 커뮤니케이션)과 외부적 영향(대충매체 커뮤니케이

션)의 영향에 따라 신제품을 수용하며 수용 시기에 따라 처음 수용하는 사람들을

혁신자 집단(innovators) 나머지 수용자들을 모방자 집단(imitators)으로 나누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6

Bass 모형은 아직까지 신제품을 수용한 경험이 없는 잠재구매자가 특정시점(t 시

점)에서 신제품 수용할 해저드함수(조건부함수)를 표현하며 이 함수식은 다음과

같다

이때 p는 혁신계수(Coefficient of Innovation) q는 모방계수(Coefficient of

Imitation) f(t)는 시간 t에서의 수용 확률 F(t)는 시간 t에서의 누적되는 수용 확률

을 의미한다 이때 특정시점(t 시점)에 신제품을 수용 채택하는 잠재구매자의 숫

자 s(t)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계산이 가능하다

이처럼 Bass 모형은 신제품 신기술이 최초로 채택되어 수용될 확률은 이전의

구매자 숫자의 선형함수라고 말한다

lt그림 15gt Bass(1969) 모형의 분석적 구조

BASS 확산모형은 잠재 시장 크기를 뜻하는 M 혁신계수를 뜻하는 P 모방계수

를 뜻하는 Q와 같이 세 개의 모수가 존재하는데 M은 해당 제품의 시장 최대 수

용치를 말하며 P는 대중매체와 같은 광고의 외부적 영향에 따른 계수이며 Q는

구전효과와 같은 내부적 영향에 따른 계수라 할 수 있다 Bass 모형은 Logistic 모

형이나 Gompertz 모형에 비해 모형의 세 모수가 모두 명확하고 객관적 해석이 가

능하여 의미 있는 결과 도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Logistic 모형과 Gompertz 모형을 적용한 연구로는 한민규 외(2010)의 바이오칩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7

센서기술 성장 예측 연구가 있다 이들은 국내의 미래 성장 경쟁력과 국가적 지위

향상을 위해서는 국가 수준에서 과학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현

재 국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과학기술의 데이터를 통해 현 상태를 파악하고 선진

국과의 기술수준차이 수준차이 요인 및 이를 줄이기 위해 필요한 조건 등을 파악

하고 한정된 자원의 효과적 배분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저자들은 기존 기술

수준을 평가한 연구들이 델파이 기법과 같은 방법론으로 조사한데 반해 기술성장

모형(Technology Growth Model)을 도입하여 기술수명주기에 따라 기술의 성장 모

습을 예측하였다 이들은 델파이 모형과 더불어 S-curve 모형 중 특히 Logistic모

형인 Pearl 모형과 Gompertz 모형을 사용하여 각각의 모형을 비교해 연구를 진행

하였다 기술수준의 현재와 미래 예측 분석결과 해당하는 기술의 궁극적 최대 기

술수준이 100라면 2008년 기준 국내 전체 과학기술 수준은 564 최고 기술보

유국과의 기술의 격차는 66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3년(이 연구는 2008년에

진행됨)을 예측해 보았을 때 한국과 중국은 최고기술보유국인 미국과의 격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본과 유럽연합은 미국과의 격차가 늘어나는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이는 국내의 과학기술 수준이 급격한 발전을 이룰 것이라

는 것을 전망한다

2008년 2013년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한국 564 66 635 63

미국 766 00 809 00

일본 704 17 755 20

중국 469 93 549 87

EU 729 11 776 14

lt표 2gt 현재와 미래의 중점과학기술 나라별 기술수준 기술격차 예측

자료 한민규 외(2010)

저자들은 이중 특히 바이오칩 센서기술 수준을 중점적으로 평가하였는데 바이

오 분야의 12가지 중점적 과학기술의 2008년 현재와 2013년 미래예측 기술수준

기술격차를 분석하였다 바이오칩 센서기술은 현재 최고기술 보유국인 미국와의

기술격차가 적은 편이었으며 2013년에는 이러한 기술 격차가 더욱 적어질 것으

로 예상되었다(바이오칩 센서 기술격차 2008 61년 -gt 2013 43년) 이는 바이오

칩 센서 분야의 기술이 세계적인 국가와 더욱 적은 기술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8

빠른 기술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분야를 지원한다면 세계 최고수준으로 오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lt그림 16gt 바이오칩 센서기술의 성장곡선

자료 한민규 외(2011)

기술성장곡선을 통해 도출해낸 기술수명주기의 경우 Pearl 모형의 경우 35년

Gompertz 모형의 경우 28년(Gompertz)을 도출하였으며 기술 발전 속도의 경우

Pearl 모형은 0158 Gompertz 모형의 경우 0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바이

오 분야의 다른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기술수명주기와 더욱 빠른 기술발

전 속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기술적 사회적 실현시기의 측정값이 다

른 바이오 분야의 기술 중 가장 빠른 2015년 2020년으로 나타난 점을 통해서도

나타났다 한민규 외(2010)의 연구는 기술성장모형(Pearl Gompertz)을 활용 현재

기술수준을 평가하고 수치적으로 기술수준의 미래를 평가한 연구이다 기술성장

모형은 기술에 대한 절대적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술을 더욱 객관적으로 관

측할 수 있게 도와주는데 각각의 기술분야를 세부적으로 보고 해당 분야의 미래

기술수준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해당 연구는 높은 시사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성장곡선 모형 중 Bass 모형을 적용한 연구는 권순동 이승률(2015)의 연구가 있

다 최근 스마트 공장과 같은 기술을 통한 자동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9

문에 자동화에 필요한 자동제어 생산자동화기기와 같은 모션컨트롤러장치의 필

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유럽이나 미국의 소프트웨어 컨트롤러 장치인 PLC기반 모

션컨트롤러의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는 아직 PLC의 국제표준을 완벽히

충족하는 제품의 출시가 이뤄지지 않고 있지만 전자부품연구원과 생산기술연구

원을 중심으로 이러한 국제표준을 지향하는 lsquo한국형 오픈소스 모션플랫폼

(KOSMOS)rsquo의 기술개발이 2016년 완료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으며 2017년 상용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KOSMOS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을 개발함과

동시에 제품의 기술확산을 예측하는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연구

를 진행하였다

이들은 2000~2014년까지 출원된 한국 일본 미국 유럽의 모션플랫폼 분야 기

술 모션제어기 분야 기술의 특허데이터를 확인하고 여기에서 나온 세계 데이터

와 한국데이터를 확인해 향후 20년의 특허정보를 예측하였다

lt그림 17gt 모션플랫폼 확산 실제값 예측값 데이터 비교 세계와 한국

세계 시장 한국 시장

자료 권순동 이승률(2015)

수집된 특허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Bass 모형으로 추정된 특허데이터의 산출 예

측값과 실제데이터를 비교분석한 결과 그림과 같이 실제데이터와 예측데이터 값

이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데이터와 Bass 모형을 통해 산출한 예측

데이터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냄에 따라 2035년까지의 PLC 기술(특허정보) 미

래 확산 예측을 실시하였다

세계 PLC관련 기술의 확산은 성숙기 단계로 접어들어 이미 변곡점을 넘은 것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0

알 수 있었으며 국내 PLC 기술의 추세는 성장기이며 기술확산의 속도가 더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확산의 포화상태의 경우 세계 데이터는 2025년을 국

내의 경우 2035년으로 10년이 넘는 격차를 예측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권순동 이승률(2015)의 연구는 PLC 기술 특허정보를 통해 기술확산

을 분석하였는데 국내의 경우 2030년이 넘어서야 기술 성숙기에 이를 것으로 예

상되기 때문에 기술격차를 줄이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ass 모형을 통해 실제데이터와 예측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실제와 매우 유사한 결과값이 나타난 점을 보았을 때 기술의 확산을 예측할

때 Bass 모형의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Bass 모형

의 모수추정에 있어 해당 산업의 전문가의 검증을 거치지 않았다는 점은 한계점

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ss 모형을 적용한 또 다른 연구로는 채현석 정재우 김종달(2016)의 전기자동

차 미래 수요예측 연구가 있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이미 19세기 초반에 내연기관

차보다 먼저 생산되어졌지만 당시 값싼 연료들이 나타나고 내연기관자동차가 시

장의 대부분을 장악한 필수품으로 거듭나면서 쇠퇴의 길을 걷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석유의 고갈문제 미세먼지를 비롯한 지구의 환경문제 등이 대두되면서 전

기자동차에 대한 이슈와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많은 회사들이 전기자동차를 개발

출시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채현석 정재우 김종달(2016)은 내연기관자동차

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는 전기자동차의 미래 누적수요를 Bass의 Diffusion 모형

을 사용하여 도출하였다

저자들은 기존 확산모형에서 포화시장의 규모를 고정시키지 않고 시간의 흐름

에 따라 상이하게 변화하는 포화시장을 적용하였는데 포화시장의 규모는 면허증

을 소지한 사람 수의 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미래 면허증 소지자 수를 예측하여 미

래의 연도별 포화시장의 규모를 설정하였다 이를 적용한 식은 다음과 같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1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성인인구 43304264 43736407 44145684 44529637 44822001 45051984

면허보유율 77262 78424 79586 80748 81910 83072

면허보유자 33457740 34299840 35133784 35956791 36713701 37425584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포화시장의 연도별 규모가 예측되었다

lt표 3gt 미래 면허증 보유자(포화시장규모) 예측 (단위 명)

구 분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성인인구 45253078 45401266 45546834 45724037 45930854 46096786

면허보유율 84234 85396 86558 87720 88882 90044

면허보유자 38118478 38770865 39424429 40109125 40824262 41507390

구 분 2030 2031 2032 2033 2034 2035

성인인구 46240946 46411167 46561300 46715986 46894600 47098744

면허보유율 91206 92368 93530 94692 95854 97016

면허보유자 42174517 42869067 43548784 44236301 44950350 45693317

자료 최현석 외(2016)

또한 혁신계수(p)값과 모방계수(q)값을 도출하기 위해 일본의 자동차기업인 도

요타 하이브리드의 과거 판매자료를 이용하였는데 이는 국내의 경우 전기자동차

의 판매량을 조사한 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혁신계수 모방

계수 값을 도출하였다(p= -0000123863 q= 01643282595)

과거 도요타 하이브리드 차량 데이터로 얻은 혁신계수 모방계수 값과 연도별

면허증 소지자 숫자인 포화시장 규모 예측값을 바탕으로 전기자동차의 총 누적

수요예측을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누적수요 5096472 9653628 13733868 17391699 20645273 23540681

lt표 4gt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단위 대수)

구 분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누적수요 26130695 28435214 30515473 32426076 34195417 35794262

구 분 2030 2031 2032 2033 2034 2035

누적수요 37253808 38629215 39897785 41092584 42242486 43359991

자료 최현석 외(2016)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2

lt그림 18gt 총 자동차 시장 대비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자료 최현석 외(2016)

결과적으로 미래 전기자동차는 2035년에는 내연 기관자동차들을 대신해 자동차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채현석 외(2016)의 연구에서는 포화

시장의 예측을 기존 자동차 면허증 소지자의 데이터를 토대로 미래 면허증소지자

의 숫자를 예측하는 방식으로 산정하였다는 점이 흥미롭다고 할 수 있는데 혁신

모방계수의 산정을 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판매데이터 부족으로 일본의 도요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일본 내 판매량을 바탕으로 p q 값을 도출해 내었다는 한계

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기술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을 모두 사용

한 연구로는 남기웅 외(2009)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O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

술들의 미래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기술예측 연구들은 델파이 기법

과 같이 전문가들의 직관에 의해 산정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러한 방법론은 많

은 시간과 비용과 소수전문가에 의한 왜곡으로 인해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과학적인 예측을 위해 정량적 예측을 사용하였다 또한 저자들은 특

허 데이터의 예측을 통해 미래기술 동향을 예측하였는데 이는 특허의 경우 일정

기간 동안 해당 기술을 독점할 지배권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기술의 발전과

성과의 정보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남기웅 외(2009)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미래수요(특허)예측 값의 확산 모형별 비

교는 다음과 같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3

lt그림 19gt 세 모형 간 원데이터와 비교

자료 남기웅 외(2009)

원래의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특허숫자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통해 확산 모

형에 대입했을 때 현재 데이터의 추정값의 비교는 위와 같다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 중 원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예측력을 보인 모

형은 Bass 모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자들은 Bass 모형을 적용하여 미래 차세

대 디스플레이 기술 수요의 예측을 진행하였다

그래프를 보면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확산(특허숫자)은 2032년까지 꾸준하게 증

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32년 이후로는 기술개발이 멈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이 포화기에 들어섰다고 할 수 있으며 성장상한치인 4237개와 2032년

예상 특허 숫자인 4230이 매우 유사한 것으로 보아 기술 완성단계에 접어들었다

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품과 기술의 확산예측에는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이 주로

사용되는데 Gompertz Logistic 모형의 경우 비교적 모형이 단순하고 사용이 간편

한 장점이 있지만 이들 모형은 시장에서 내부효과에 따른 확산만을 분석하기 때

문에 성장의 최대 상한 값을 추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성장

최대값을 전문가의 의견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문제가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4

lt그림 20gt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예측

자료 남기웅 외(2009)

반면에 Bass 모형의 경우 내부효과 뿐만 아니라 외부효과 또한 확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남기웅 외(2009)의 연구에서 더욱 정확한 예측력을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을 비교 적용한 연구로는 손동민 문

성현 정봉주(2014)의 국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시장 확산 예

측 연구가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물건이나 사람 등과 같은

객체들을 식별하는데 무선주파수인 RF 신호를 이용하는 비접촉식의 인식기술로

유비쿼터스 시대가 2000년대 초반 도래하면서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RFID는

우리가 생활하는데 필요한 모든 분야에 혁신적 기술이 될 것이라고 기대되고 있

으며 이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는 지속적으로 관련 기술을 개발 표준화 사업을 장

려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RFID의 확산에 대

한 성공사례가 부족하고 2003년부터 정부가 RFID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등의 노력

을 기울였지만 확산은 지지부진한 형태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손동민 문성현

정봉주(2014)는 현실적이고 정량적인 국내 RFID의 확산 예측을 위해 세 가지 확산

모형을 적용하고 가장 설명력이 높은 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003~2012의 국

내 RFID 시장의 자료를 바탕으로 예측을 진행하였으며 여기서 도출된 확산 예측

값과 실제 데이터값을 비교하였는데 Bass 모형이 가장 예측오차가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5

Bass Logistic Gompertz

1750 6740 4136

lt표 5gt 각 확산 예측 모형 별 오차율

자료 손동민 외(2014)

lt그림 21gt 국내 RFID 확산 예측 모형과 실제 데이터의 비교

자료 손동민 외(2014)

그런데 그래프를 보면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2003년 -2007년까지 실제 시장

성장이 Bass 확산 모형보다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확산 초기 정부의 적극적

인 투자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되며 RFID 시장초기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시장 확산에 효과를 보였지만 2008년 이후로는 그 효과가 반감되었음을

나타낸다 하지만 다른 해석으로는 초반 정부의 시장투자율이 2007년을 기점으로

준 것은 정부투자보다는 자가 성장이 가능한 시장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라는 해석

이 가능하다 실제로 2005년 대비 2007년의 정부의 절대적 투자액수는 2배로 증가

하였지만 전체 시장대비 투자비율은 3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표는 정부

의 비중 감소를 나타낸다

2003 2004 2005 2006 2007

086 035 020 027 018

lt표 6gt 전체 시장 규모 대비 정부 투자 비율

2008 2009 2010 2011 2012

025 015 011 008 005

자료 손동민 외(2014)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6

이것은 곧 RFID 시장이 2007년 본격적 성장기에 접었다는 것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부의 비중 감소라는 시장의 특성 변화를 감안하여 2007년 이후의 예측

값을 다시 예측하였는데 그 예측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lt그림 22gt 각 모형별 확산 예측과 실제 데이터 비교

자료 손동민 외(2014)

저자들은 Bass 모형의 예측오차를 더욱 줄이기 위해 정부의 투자 변화라는 시장

의 특성 변화를 토대로 수정된 확산 예측 모형을 도출하고 결과적으로 국내 RFID

의 확산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의 세 가지 확산 모형

을 사용한 결과 Bass 모형이 가장 우수한 설명력을 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2 소비자 수용 및 혁신 저항 연구

21 신기술에 대한 소비자 수용 연구

혁신기술이나 신기술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들은 주로 사회심리학적인 이론에 근거하여 신념이나 태도 행동의도 등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신기술 수용과 관련하여 소비자의 수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

해 제시한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Fishbein and Ajzen(1975)의 합리적 행동이론

(TRA) Ajzen(1985)의 계획된 행동이론(TBP) 등이 있으며 특히 Davis(1986)의 기술

수용이론(TAM)은 소비자의 수용의도를 설명하는데 있어 상당히 적합한 모델로

인정받아오고 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7

Fishbein and Ajzen(1975)이 제시한 합리적 행동이론(TRA Theory of Reasoned

Action)은 최초 사회심리학 분야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 신기술수용 분야에까지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진 모델로서 개인의 행동의도는 행동을 결정하며 행동의도

는 개인의 태도 및 주관적 규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이론이다 소비자의 수용

의도는 신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외부변수들이 주관적 규

범이나 태도를 통해 영향을 받게 된다 기본적으로 행동의도는 태도와 주관적 규

범에 의해 결정이 되며 행동의도는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태도를 결정하는 것은 개인적 평가와 행위적 신념이며 태도는 행위를

수행하는 결과이다 그리고 주관적 규범은 사회적 압력과 관련되어지며 개인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집단과 어울리려 하는 개인적 동기나 준거집단에서

느끼는 규범적 신념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이처럼 합리적 행동이론은 인간이 실제로 어떻게 행동하는지 인간의 행위를 설

명하고 이해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특정한 상황에서 이용행동이나 수용의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연구하는데 적합한 모델로 인식되어 Davis의 기술수

용모델에 적용되어졌다

Ajzen(1985)이 제시한 계획된 행동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r)은 합

리적 행동이론에 사용자의 지각된 행동통제라는 개념을 추가한 이론으로 여기서

행동통제라는 것은 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용이한 정도에 대해서 사람들이 어떻게

인지하는지와 관련된 것이다 개인은 행동을 수행할 때 주관적 규범이나 태도뿐

만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행동이나 능력이나 필요한 원천 등을 가진 뒤에야 자신

의 뜻대로 그 행동을 컨트롤할 수 있다고 인지하게 되며 그것이 형성되면 마침내

행동의도를 형성하게 된다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행동의도에 영향

을 주는 변수들로는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통제이다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태도는 행동에 대한 태도로 특정 행동에 대해서 개인이 호의적으로 느

끼거나 비호의적으로 느끼는 평가를 의미한다 그리고 태도는 행동에 따른 결과

로서 개인이 갖는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것을 말한다 주관적 규범은 행위를 하는

사람이 어떠한 행동을 행하는 것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할 것인지를 말하는 것으로 사회

적 압력에 대한 인식으로 바라볼 수 있으며 본인이 그러한 반응을 얼마나 잘 받아

들일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행위통제는 Bandura(1977)의 자기

효능감(self-efficacy)과 비슷한 의미로 개인적인 신념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것은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8

자신이 어떠한 행동을 할 때 그 행동을 얼마나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

한 인식을 말한다(Bandura 1982) 이처럼 계획된 행동이론은 합리적 행동이론의

확장한 것으로 합리적 행동을 설명하는 변수인 태도와 주관적 규범의 선행요인을

바탕으로 여기에 인지된 행위통제를 추가하여 만들어진 이론이다 계획된 행동이

론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행동의도를 측정하는 경우가 많지만 행동 자체에

대한 측정에는 소홀한 편이었다 이것은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검증한 결과

로 행동의도와 행동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Ajzen 1988 Canary

and Seibold 1984 Fishbein and Ajzen 1981) 이 이론의 강점은 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소 간결하고 단순한 구성 개념을 사용하였지만 이 구성 개념들이 행동

과 관련된 연구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적용되었으며 많은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다

하지만 단순이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추상적인 개념인 신념과 평가를 통해

나타내었고 이러한 변수 외에 다른 외부 요인들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을 단점

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지각된 행동통제라는 변수만을 합리적 행동이론에 추가하

여 설명함으로써 다소 설명력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Davis(1989)에 의해 제안된 기술수용이론(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은 Ajzen and Fishein(1980)의 합리적 행위이론(TRA Theory of Reasoned Action)

을 바탕으로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기 위해서 만

들어진 모델이다 사람들이 기술을 수용할 때 영향을 미치게 되는 요인들을 설명

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개인의 신념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태도는 행동의도

에 영향을 미치며 마지막으로 행동의도는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

였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이 모델을 설명하기 위해 기술수용과정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을 제시하고 이 두 가지 신념을 수용과정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Karahanna and Straub 1999) 지각된 유용성이라는 개념은 신기술이나 정

보시스템 등을 사용할 때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정도를 의

미하고 지각된 용이성은 이러한 신기술이나 정보시스템 등의 사용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정도로 이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정신적인 노력 등이 적게 든다는 것을 의

미한다(Davis 1989)

합리적 행동이론이 기술수용모델의 기반이 되는 이유는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

는 행동에 대한 결정을 합리적인 기대가치 체계에 의존한다는 점 때문이다(Shah

and Higgins 1997) 인간이 자신이 어떠한 행동을 했을 때 그 결과를 미리 생각하

고 결과를 예측하며 합리적인 판단을 하며 행동한다는 합리적 행동이론을 확장한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9

것이 계획행동이론이며 이러한 합리적 행동이론에 기술수용 상황을 적용시켜 수

정한 모델이 기술수용모델이다(송태민 외 2014) 기술수용모델은 모델의 복잡성

과 모듈성으로 인하여 신기술을 수용할 때 다양한 영향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통합적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

다 최근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을 구성하는 주요변수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

된 용이성 이 두 변수만으로 신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TAM을 구성하고 있는 기본적인 변수들이 다양한 정

보시스템의 환경에서는 완벽하게 적용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

를 극복하기 위해 TAM모델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고 확장시키고 있다 이에 따

라 계획행동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변수인 주관적 규범을 적용시켜 확장된 기술

수용모델인 TAM2 TAM3가 제시되기도 하였다(김정선 송태민 2014) 기술수용모

델의 주요 한계점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개인이 정보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

서 외부의 영향 요인들을 무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외부 요인으로는 조직이나

주변 환경 여가 이해관계자들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정보기술을 수용하는 과정

에서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Venkatesh and Bala 2008) 하지만

TAM을 적용한 많은 연구들을 살펴보면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단순히

개인의 동기적 요인 외에도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확장시키고 변형하여 빠르

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등장하는 기술 환경을 적절히 반영하여 그에 따라 통

합적인 모델을 도출할 수 있는 노력 또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Venkates and Davis(2000) 의해 제안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는 기본적인

TAM을 확장한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TAM2라고 명명하였다 이는 지각된 유용성

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선행요인들을 검증한 것이다 즉 지각된 용이성보다는 지

각된 유용성이 종속변수들에 대해 더 큰 영향력을 가짐에 따라 선행요인들을 확

장하여 사회적 영향 프로세스와 인지적 도구 프로세스를 추가한 모형이다(김성일

2011) TAM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주관적 규범을 사회적 영향 변수로서 외생변수

로 추가하여 확장시킨 것으로 주관적 규범은 수용의도를 높일 수 있는 역할을 한

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은 자발적이거나 비자발적인 상황에서 조직을 네 개로

구분하고 이후 사용시점에서 업무 시스템에 대한 수용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

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자세히 살펴보면 주관적 규범과

자발성은 외부 변수로 직무관련성과 사회적 영향 프로세스 결과 실연성 결과 품

질은 이미지로 설명되었으며 인지적 도구 프로세스는 지각된 용이성으로 설명하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0

여 기술수용모델을 확장시킨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의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외부 변수들은 지각된 유용성 및 수용의도에게까지

영향을 미치며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결과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TAM은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라는 변수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수용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된 모델이다 하지만 지각된 유용성

과 지각된 용이성의 영향은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Oh Lehto

and Park 2009) 하지만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태도나 행도의도에 영향을 미

치기 때문에 이러한 영향력을 반영하기 위한 TAM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

되고 있다

Venkatesh Morris Davis and Davis(2003)은 사용자의 기술수용을 통합 관점에

서 접근하여 궁극적으로 보다 높은 설명력을 갖춘 새로운 기술수용모델을 제안하

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통합기술수용이론 즉 UTAUT(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이다(박일순 2013) 기존 TRA(합리적 행동이론) TAM(기

술수용모형) TPB(계획된 행동이론) IDT(혁신확산이론) 등 기존의 8가지 이론에서

제시된 32개의 개념들을 조정하고 통합하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1개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3개와 이러한 과정을 조절해 줄 수 있는 통제변수로

4가지를 제시하여 UTAUT를 설계하였다 UTAUT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

수로 성과기대 노력기대 그리고 사회적 영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모델에서 제시

하고 있는 성과기대라는 변수는 TAM에서 제시하는 지각된 유용성과 일치하는 개

념으로 볼 수 있으며 시스템을 사용할 때 성과가 향상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

을 것이라고 믿는 정도를 의미한다 그리고 노력기대라는 변수는 시스템을 사용

하면서 느끼는 용이성의 정도로 해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영향은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주변인들이 이러한 새로운 시스템의 사용에 대해 믿음의 정

도로 해석할 수 있다

Venkatesh and Bala(2008)는 기술수용모델의 기초가 되는 개념인 개인적인 차이

점 시스템의 특성 사회적 영향력 및 촉진조건을 선행변수로 제시한 기술수용 모

델(TAM3)을 제안하였다 기술수용모델3(TAM3)은 과거의 기술수용모델에서 언급

하지 않았던 경험이라는 변수에 대한 조절 효과에 대해 강조하였다 이 모델에서

는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조직 구성원의 경험 수준에 따라서 의사결

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달라질 것이라는 내용을 추가하고 있다 그리고 새롭

게 추가된 변수들로 컴퓨터의 불안과 유희성 객관적인 사용 용이성 지각된 즐거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1

움이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이치는 영향을 경험이라는 변수가 조절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있다

Venkatesh and Bala(2008)은 TAM3의 주요 강점으로는 이 모델이 가지고 있는

포괄적인 면이라고 볼 수 있으며 정보기술을 수용하는 여러 가지 결정요인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학문적 기여를 하였다 기

술수용모델은 조직 차원에서 도입하여 사용하는 정보기술 시스템뿐만 아니라 일

반 소비자들이 혁신적인 신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소비재 시장에서 채택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적인 프레임으로도 넓게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기술수용모

델은 혁신적인 신기술이나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들이 의사결정을 할 때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하여 제시하고 그들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기술수용이론에서 기본적으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수용과정에서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인지된 유용성은 이후에 설명할 혁신확

산이론에서 인지된 혁신특성 구성 개념 중 상대적 이점과 깊은 관련성이 있는 요

소로 보며 인지된 용이성은 복잡성과 상당히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Davis 1989) 따라서 기술수용모델 이론에서는 사용자들이 혁신적 신기술이나 제

품 서비스 등이 개인의 업무 등에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성과를 이끌어내기에 유

용하다고 느낄수록 그 기술에 대한 채택 가능성이 높아지고 그 기술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고 손쉽게 사용 가능하다고 느낄수록 기술 수용의도나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술수용모델은 사람들이 신기술 신제품 또는 정보기술 시스템 등을 어떻

게 수용하고 있는지 그 수용의도와 행동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있는 이성

적 행위이론을 통해서 살펴본 것이다 신기술에 대한 사용자들의 태도와 수용의

도 실제 수용이나 행위를 예상할 수 있는 주요 변수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라는 선행요인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설은 과거의 다양한 연구

들(Adams Nelson and Todd 1992 Davis Bagozzi and Warshaw 1992 윤승욱

2009 이재신 이민영 2006)을 통해 증명되었다

22 혁신저항 연구

일반적으로 혁신(Innovation)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lsquonobusrsquo라는 단어에서 기원이

되었으며 lsquo새롭다rsquo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혁신의 정의와 분류에 대해서 최근까지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2

많은 연구에서 다뤄지고 있다 혁신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새롭다고 인지하는

재화나 서비스 또는 아이디어를 말하는 것으로 그 기간이 길고 짧은 것과는 관계

가 없으며 하이테크 마케팅에서 언급하고 있는 혁신적 신상품을 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Rogers(1971)는 혁신의 정의에 대해서 개인 또는 특정인들이 수용할 수 있는 범

위에서 새로운 것이라고 지각되는 아이디어 관행 또는 물건rsquo이라고 정의하였다

여기서 혁신이라 객관적이고 새로운 물건이나 아이디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인 감정을 강조하는 것으로 그 제품이나 아이디어 서비스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그것을 얼마나 새롭게 느끼는지에 대해 인식하는 정도를

말한다

Rick(1992)은 혁신을 정의를 마케팅 차원에서 바라보았다 기존에 없었던 전혀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 내거나 소비자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

고 있는 신기술이나 프로세스 그리고 신제품을 혁신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혁신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소비자가 그것을 신제품으로 인식하

는지의 여부를 강조하고 이것은 혁신을 정의하는 기초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Biemans(1992)의 연구에서 혁신은 기존의 시장 환경 안에서 새롭게 개발된 제

품 서비스나 아이디어가 초기 수용자로부터 시장에 없던 전혀 새로움으로 지각

된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Rogers(1995)가 주장한 혁신확산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은 첨단기술

수용과 확산에 접한 관계를 가지는 이론으로 상대적 이익 적합성 복잡성 관찰

가능성 실행가능성 등을 혁신 확산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안하였다

사용자들은 새로움이라는 혁신을 인지하고 이후 태도가 형성되면 이러한 혁신을

채택할지 채택하지 않을지의 여부가 결정되는 채택과정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채택 과정은 기본적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데 기본적으로 지식 설득 결정 실

행 마지막으로 확인을 거치는 과정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혁신확산이론의 기

본 과정은 특정 혁신이 사회에 성공적으로 투영되는 과정에 주로 초점을 맞추는

특성을 보인다

하지만 여러 연구자들(Sheth 1981 Rogers and Everett 2003)은 혁신확산에 대

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혁신에 대해 사람들이 아무런 편견 없이 긍정적으로 받아

들인다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혁신이 항상 긍정적이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수용 또는 채택된다는 것을 기본 가정으로 하고 있음을 비판한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3

그 동안 연구되어온 혁신연구들은 혁신의 수용과 확산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

으며 이들 연구에서는 모든 혁신이 유익하고 긍정적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혁신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변화를 요구하기 때문에 변화에 대한 저장을

유발하게 되므로 혁신의 확산이나 수용에 대해서 생각하기 이전에 혁신저항을 잘

극복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Sheth(1981)는 처음으로 혁신저항(Innovation Resistance)에 대한 개념을 사용하

고 정립하였다 소비자들의 저항 심리는 기존의 습관과 지각된 위험이라는 두 변

수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고 하였다 혁신저항을 일으키는 특성에 대해서는 구

체적 언급을 하지 않았지만 혁신저항의 유형에 따라 다른 확산 방법이 필요하다

는 것을 발견하였다

Zaltman and Wallendorf(1983)는 사람들이 변화에 대응하여 현재 상태를 유지하

려고 하는 모든 행동들을 혁신저항이라고 정의하였다 Ram(1987)은 혁신저항 개

념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켜 혁신저항 모델을 제시하였다 변화에 의해 위협받고

있는 정도로 정의하며 혁신저항을 태도변수로 보고 있다

Ram and Sheth(1989)는 Sheth(1981)의 혁신연구에서 제시한 변수인 지각된 위험

과 생활관습이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병수라고 제시하고 추가적으로 소비자

들의 개인적 특성이나 제품 자체의 특성 그 외에 환경적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lt표 7gt Sheth(1981)의 저항 강도에 따른 혁신저항 4가지 유형

유형 내용

습관 혁신저항 위험은 낮으나 평소 생활이나 습관에 대해 변화를 요구하는 혁신

위험 혁신저항

혁신이 기존의 관습이나 습관을ㄹ 대체시켜 주지는 못하지만 함께 어울리며 공존하여 새로

운 습관을 만들어냄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저항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것은 높은 위험에서 기인하는 것임

비 혁신적 저항 기존에 가지고 있던 습관을 변화시키지 않으려고 하는 혁신을 말함

습관 위험의

혁신저항

인구문제 교육 복지 등과 같은 과거의 습관과 높은 위섬 때문에 강한 정항에 직면하는 혁

신임

Ram and Sheth(1989)는 소비자들이 혁신을 채택할 때 저항하는 요인들을 크게

기능적 장벽과 심리적 장벽으로 구분하였다 기능적 장벽(functional barrier)은 다

시 세 가지 장벽으로 구분된다 첫째는 가치장벽(value barrier)으로서 혁신제품의

품질이나 성능 효과 그리고 가격 등이 소비자의 기대와 맞지 않을 때 나타나는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4

저항을 말한다 둘째는 사용장벽(usage barrier)으로 소비자들이 혁신제품을 사용

할 때 기존에 가지고 있는 생활 패턴이나 습관 등을 변화시켜야 할 때 나타나는

장벽을 말한다 하이테크 제품은 종종 기존의 사용방식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방

식의 제품사용과 나아가서는 생활 패턴의 변경까지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셋째

장벽은 위험장벽(risk barrier)이다 이것은 소비자가 혁신제품을 사용하게 될 때

그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위험을 느낄 것 같아 나타나는

수용을 거부하게 되는 저항을 말한다

한편 심리적 장벽(psychological barrier)은 관습장벽(traditional barrier)과 이미

지장벽(image barrier)으로 나누어진다 관습장벽이란 혁신제품을 사용할 때 주변

사람들을 인식하게 될 것 같거나 기존의 사회 관습과 규범과 다르다고 느낄 때 나

타나는 저항을 말한다 이것은 매우 미묘하게 나타나는 장벽이기 때문에 소비자

들을 면 하게 관찰하여 파악해야 한다 이미지장벽은 혁신제품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선입관이나 부정적인 편견과 같은 문제를 일컫는다 제품 성능과 관계없이

부정적인 편견이나 선입관 같은 이미지상의 문제를 의미한다

혁신 저항의 특성을 살펴보면 Ram and Sheth(1989)는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실

제로 혁신적인 신제품이나 서비스에서 소비자들이 혁신저항을 느꼈다는 것을 발

견하고 이러한 혁신저항의 특징들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혁신저항은 채택시기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데 혁신에 대한 성향을 기준

으로 혁신수용자(innovators) 선구자middot선견자(early adopters) 조기다수 수용자

(early majority) 후기다수 수용자(late majority) 지각수용자(laggards)로 구분하고

각각의 분류마다 그 성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혁신저항은 정도에 따라 다르

게 나타난다 즉 저항은 연속적으로 나타나고 지속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소비자

들은 혁신이 매우 위험하다고 느끼거나 혁신을 위해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충분한 이유를 찾지 못하여 혁신을 꺼리거나 혁신을 채택하는 결정을 미루

거나 혁신이 자신과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혁신에 대해 저항할 가능성이 높아

질 수 있다 셋째 혁신저항은 다양한 제품군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제품 자

체의 문제라기보다는 혁신의 문제로 소비자가 혁신제품을 수용하고자 할 때 변화

를 우려하거나 자신의 신념과 상충하는 정도에 따라 저항이 나타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연속적 혁신보다는 불연속적 혁신이 혁신저항의 강도가 보

다 클 것이라고 예측한다 왜냐하면 불연속적 혁신은 소비자가 혁신을 채택하게

됨으로써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행동을 하게 될 수밖에 없는 사용상황이나 관습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5

에 부딪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혁신의 정도가 매우 높아 혁신저항이

높게 나타나게 될 경우에는 동태적 연속혁신(dynamically continuous innovation)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동태적 혁신은 불연속적 혁신의 가운데에서 서로를 잇는 역할

을 하는 것으로 불연속적 혁신제품에 대해서 소비자들이 제품을 수용하는 시기가

늦어질 것을 예상하여 기존에 사용하는 제품과 혁신적인 새로운 제품의 일부 기

능만을 착용하거나 융합하여 만들어진 제품을 말한다 이들의 성공은 불연속적

혁신제품에 대한 저항의 크기와 그 기간의 길이에 상당히 의존한다 소비자들이

기존기술을 선호하는 집단과 혁신기술을 선호하는 집단으로 뚜렷하게 양분되는지

아니면 중간 단계의 수요가 상당한지에 대해 확인해 보아야 한다(김상훈 2008)

23 신뢰 연구

과학기술의 발전은 과학이나 기술분야를 넘어서 정치적 사회적으로도 많은 영

향을 미치고 있으며 과학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형태로서 국가의 주요

정책으로까지 활용함으로써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첨단 과학기술의 개발과

선점은 국가경쟁력에까지 그 파급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

지만 이러한 기술의 발달과 개발이 항상 긍정적인 결과만을 가져다준다고 판단하

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Seong and Hwang 2012)

첨단과학기술의 유익한 면 외에도 그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우리가 알지 못하는

위험성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의견으로 인하여 많은 논쟁을 가져오고 있으며 그

중심에 최근 주목받고 있는 나노기술영역을 들 수 있다 나노기술은 혁신적인 신

기술로 첨단과학기술 분야에서 많은 경제 사회발전 등 그 잠재력에 대해 많은 사

람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영역으로 급부상하고 있지만 나노기술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잠재적인 위험성에 대한 우려도 동시에 인식되고 있다(Nel

et al2006 Wittmaack 2007 Wiesner et al 2009)

나노기술(Nano Technology)은 물질을 구성하는 직경 1나노미터(nm) 이하의 원

자나 분자를 나노영역에서 조작해 실생활에 유용한 것으로 만드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나노기술개발촉진법 제2조 제1항에 의하면 ldquo물질을 나노미터 크기의 범

주에서 조작 분석하고 이를 제어함으로써 새롭거나 개선된 물리적 화학적 생물

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소재 소자 또는 시스템을 만들어내는 과학기술rdquo로 정의하

고 있다(성지은 황만성 2012) 이러한 나노기술은 전자통신 재료 보건 의료 생

명공학 환경 에너지 국방 항공우주 등 응용가능한 분야가 매우 넓기 때문에 선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6

진 각국에서는 lsquo기술혁신rsquo이나 lsquo신성장동력rsquo lsquo신산업의 창출rsquo 등의 용어를 통해 21

세기 국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로 바라본다(김찬원 외 2015) 하지만 나

노입자의 독성 가능성 나노물질의 인체로의 침투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각종 위

험성(DNA 파괴 등) 나노입자의 환경오염 가능성(위키백과 2015) 그리고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개인의 사생활 침해의 논란이 되는 감시나 통제 등으로의

활용 측면에서 그 위험성 논쟁이 높아지고 있는 위험영역이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평소 자신이 잘 모르는 문제나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정보

에 두려움을 갖는 lsquo가정된 위험rsquo을 만들어 낸다고 한다 이는 잘 알려진 위험에 비

해서 더 높은 위험을 느끼게 하며 관련된 지식이 없는 경우 그 위험은 더욱 커지

게 된다(Song and Kim 2014)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나노기술과 같이 불확실하

고 위험의 통제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 친숙하지 않음 미래에 어떤 위험이 있을

지 모르는 상황 지식 부족 등은 나노기술에 대한 불안감을 더욱 증폭시키게 된

다 이러한 일반인들이 느끼는 나노기술의 위험에 대한 인식은 나노기술을 개발

하는 기술자 위험에 대한 관리주체로서의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

게 된다 기술 자체 기술을 만들어 내는 과학자 이를 관리middot감독하고 위험에 대

처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정부middot국책기관에 대한 신뢰는 나노기술에 대한 위험인

식이나 나노기술을 수용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김원재 송해룡 김찬

원 2016)

실제로 여러 연구들(Cvetkovich 1999 Siegrist and Cvetkovich 2000)을 보더라

도 신뢰가 위험인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며 특정 위험에 대한 두려움 혹은 위

험수용의 반대는 바로 이해당사자들 간에 신뢰가 깨진 것에서 비롯된다(김영욱

이현승 2014) 사람들이 위험을 인식하는데 신뢰가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

구결과들이 계속적으로 보고되고 있고(Flynn et al 1992 Slovic 1993) 신뢰는 불

확실성이 높은 신기술이나 혁신기술과의 관계에서 사람들이 우려하는 요소들을

줄여주는 기능을 한다는 연구결과들을 살펴보았을 때(Paton 2008 Siegrist and

Cvetkovich 2000 Wachinger et al 2013) 신뢰라는 요인은 사람들이 느끼는 불

확실성을 줄여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위험수용

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으로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신뢰의 문제를 핵심 요인으로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 대상을 운영하고 관리 감독하는 집단들에 대한 공중

의 신뢰 수준에 따라 위험수용이 결정된다고 강조하고 있다(송해룡 김원제

2015) 이는 나노기술처럼 신뢰의 여부가 위험이나 불확실성으로부터 경제적으로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7

높은 성장성을 가져오고 사회적 파급력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사회에 존재하고 있는 위험은 단순이 특정 그룹이나 단체

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작용될 수 있다 이에 정부기

관이나 기업 미디어 과학자 시민단체 일반시민 등 사회를 조직하고 구성하는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위험수준 통제 관리를 위한 행동 또는 정책과 관련된 정보

를 주고받으며(Covello Slovic and Von Winterfeldt 1986 Kellens Terpstra and

De Maeyer 2013 Trettin and Musham 2000) 위험을 줄이고 총체적인 위험에 대

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김찬원 외 2015) 이러한 문제는 단순한 수준

차원이 아닌 이해당사자들 모두의 신뢰를 통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신뢰라는 개념은 단일 차원에서의 좁은 시각으로 볼 수 있는 개념이 아니며 매

우 광범위하게 그 뜻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신뢰의 추성적이고 광범위적인 개

념의 특성으로 특별히 위험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신뢰라는 개념은 다차원 적인

요소로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Earle 2010 Earle Siegrist and

Gutscher 2010 Rousseau Sitkin Burt and Cammerer 1998)

Earle(2010)는 신뢰의 개념을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연구를 종합하여 다른 사람

의 행위나 의도에 대한 긍정적 기대에 기초하여 취약성을 받아들이려는 심리적

상태로 정의하고 신뢰하는 사람과 신뢰받는 사람 간의 관계에 기초한 관계적 신

뢰와 미래 행위에 대한 제약이나 신뢰를 받는 사람의 지난 행위 기초한 계산적 신

뢰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Kaspweson Golding and Tuler(1992)는 신뢰에 대한 특징을 위험을 감수하는 믿

음과 타인과 미래에 대한 막연한 기대 그리고 상황과 타인에 대한 주관적 지각

등을 제시하고 있다 Luhmann(1980) 신뢰를 사회제도의 성과로 보고 있는데 신뢰

를 미시적 신뢰와 거시적 신뢰로 분류하고 있다 미시적 신뢰는 다른 사람들과 상

대적으로 차별화 되지 않은 사회 안에서 개인 간의 신뢰를 나타내는 것이고 거시

적 신뢰는 관료제도와 같이 현대의 복잡화된 사회에서 시스템 신뢰의 의미로 나

타냈으며 신뢰가 개인 간의 신뢰에서 시스템 신뢰로 옮겨져 가고 있다고 하였다

특별히 Luhmann(1980)과 Rousseau et al(1998)의 연구를 살펴보면 신뢰의 유형

으로 사회제도 안에서의 신뢰를 강조하며 신뢰의 대상으로서 기관에 대한 신뢰

와 사람에 대한 신뢰로 구분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왕재선 2013) 그

외에도 신뢰를 파악하고자 할 때 과학기술 자체에 대한 신뢰의 측면을 제시하는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8

연구들도 있다(송해룡 이원제 2015) Midden and Huijts(2009)와 Siegrist et

al(2007)은 과학기술을 관리하는 기관에 대한 신뢰가 과학기술 자체에 대한 긍정

적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주어 위험인식과 수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현주 이영애(2011)은 감정의 차원에서 신뢰를 바라보고 과학기술의 좋고 나

쁨을 평가하여 신뢰가 낮을수록 사람들은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게 되며 이는 결

국 과학기술에 대한 위험을 높게 인식한다고 하였다 박희제(2013)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익은 추상적인 것이고 위험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직접

적인 경험을 통해 인지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하였다 따라서 과학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나 수용은 신뢰수준에 매우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나노기술이 위험인식 기술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신뢰를 주

요 변수로 고려하였으며 나노기술의 위험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신뢰라는

개념을 보다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신뢰라는 변수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단순한 차원의 신뢰의 개념을 넘어서서

보다 다양한 차원(Earle 2010 Earle et al 2010)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

라고 보고 신뢰를 기관 사람(Butler 1991 왕재선 2013) 기술(박희제 2013 이현

주 이영애 2011 송해룡 김원제 2015)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기관은 정부국책기관과 기업으로 사람은 개발자와 나노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직원으로 구분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3 산업전문가 활용 조사 방법론 연구

산업 전문가 조사는 해당 산업에 있어서 상당한 지식과 식견을 지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내부적으로는 해당 산업의 제품을

생산하는 경영자 관리자 판매직원 등이 해당하며 기업 외부적으로는 기술 및 정

책연구자와 해당 산업에 대해 객관적 분석을 주 업무로 진행하는 시장분석 전문

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전문가 조사의 경우 확률적 표본추출을 사용하는 것이 어

렵고 적절히 대표성 있는 표본을 대상으로 비확률적 표본추출로 표본을 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 표본을 기업 내부와 외부 혹은 해당 산업을 분류해 분석을 할 계획이 있

다면 쿼터별로 적절한 대표성을 위해 할당 추출법(quota sampling)을 사용하기도

하며 이 경우 도출해내고자 하는 결과와 관련해 분야별 다양한 의견을 갖고 있는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9

전문가들의 종합적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산업 전문가의 의견이 주로 조사

되는 연구로는 앞서 Diffusion Model 리뷰에서도 언급되었던 델파이 기법이 있으

며 신기술 산업이나 제품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이해도가 많은 차이가 있거

나 그 기술의 산업 제품에 대한 혜택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식이 상반될 때에 일

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조사하는 연구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31 산업 전문가 델파이 기법 연구

이중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고자 개발된 기법으

로 다양한 분야에서 집단적 합의의 필요성이 높을 때 반복적인 의견수립을 통해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다 개인의 독립성과 객관성을 최대한 끌어내는 것

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물리적 공간이 아닌 설문을 통해 참여하며 설문에 참여하

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공유하지 않는 익명성이 델파이 기법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독립성은 산업 전문가들은 해당 산업에 대해 비전문가보다 높은 식

견과 정확한 판단력을 가지고 있다는 추론 하에 가능하며 브레인스토밍과 같이

물리적 공간에서 의견을 교환하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강력한 주장에서 발

생하는 논쟁을 피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이 의견 제안을 포기하거나 전문가 중 더

욱 명망있는 전문가의 의견을 따라 자신의 의견을 포기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

함이라 할 수 있다

델파이 기법의 경우 일반적으로 세 가지 과정을 거치는데 첫째 해당 산업의 전

문가를 선정해 조사에 참여해 달라고 요청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사 참여에는

특정 산업에 대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전문적 지식을 긍정부정에 상관없이 표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전문가들의 의견은 특정인의 가중치 없이 동일하게 수렴된

다 또한 이 과정에서는 전문가들은 자신의 의견이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는 익명

성을 보장받음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각 분야별 선정된 전문

가에게는 한번 이상의 반복적인 설문지가 전달되며 이러한 설문에 대한 결과가

이들에게 다시 전달되는 피드백 과정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자

신의 입장을 더욱 명확하게 세울 수 있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

해 다른 참여자들의 의견이 설명되며 자신과 다른 생각을 가진 의견에 대해 계속

적으로 반박과 재조정이 가능해진다 셋째 참가자들의 의견과 관련된 논쟁들이

이들에게 다시 피드백되기 때문에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전문가들의 의견수렴

이 가능해지고 의견수렴이 불가능 할지라도 이성적인 이견들을 종합해 결과적으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0

로 전문가 스스로 자신의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하

게 된다 일반 소비자조사와는 달리 델파이 조사의 경우 대부분 표본의 숫자가 작

은 편이기 때문에 전문가의 포괄적인 의견보다는 다양한 견해와 이견을 통해 새

로운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의견일치를 통한 결과가 아니더라도 새로

운 시각과 견해를 투영할 수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lt그림 23gt 델파이기법의 실행 절차

자료 김상훈(2013)

이 기법의 핵심은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인데 최근에는 인터넷의 등장으로

초기 델파이 측정 방식인 인터뷰나 대면조사에서 온라인 설문이 가능해졌기 때문

에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이 강화되어 최근 많은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

다 과거 페이퍼를 통한 초기 델파이의 경우 긴 소요시간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는데 두 단계 이상을 거치는 델파이 기법의 특성상 한 프로젝트당 4개월 가

까이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에 대한 비용의 문제도 걸림돌이었다 하지만 온라인

설문이 가능해지면서 많은 시간을 단축하여 현재는 비용 면에서도 많은 개선이

가능해졌다

초기 델파이의 연구에서는 각기 전문가들의 통합적 의견의 일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는데 왜냐하면 개인보다는 집단의 예상이 더욱 정확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

다(Keeney et al 2011) 이는 한명보다는 두 명의 판단이 낫다라는 가정에 근거하

지만 현재는 의견의 일치보다는 다양한 결과가 나온데 해도 그에 따른 다양한 시

사점도 중요시 되고 있다 물론 의견의 분산을 여러번의 조사를 통해 자신의 판단

을 보완하고 수정하면서 좁혀나가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결국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하나의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1

델파이 기법의 경우 정확히 알 수 없는 애매한 질문을 포함시키지 말아야하며

이를 위해 질문의 선정에 공을 들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며 또한 대표성있는 각

분야의 전문가를 선정하는 것도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문가 패널은

전문성 대표성 성실성 있는 참여 각 분야별 숫자 등이 고려되며 연구자가 직접

표본 전문가를 선정하거나 관련 분야에서 추천위원을 선정하여 그 추천위원이 다

시 패널을 선정하기도 한다 보통 델파이 기법의 표본은 7명~ 350명 정도가 일반

적이며 10~ 20명의 매우 작은 패널로도 의미있는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보

통 척도의 경우 5점이나 7점 리커트 척도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항목별 순위나 중

요도를 묻기도 한다 델파이 기법 특성상 2번 이상 반복 설문을 하기도 하는데 3

번 이상 설문이 진행될 경우 회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신중한 검토

가 필요하다

델파이 기법의 경우 처음에는 미지의 미래 값과 성취가능성에 대한 수량적 예측

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대립되는 정책 문제 해결을 위해 서로의 의견을 수

렴하기도 하고 의사결정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전문가나 연구원이 직접 참여하

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익명성을 이유로 진실된 응답이 가능하

기 때문에 외부적 영향을 최대한 줄여주는 장점이 있으며 어떤 문제에 있어서 전

문가들의 집중적 검토가 가능하기 때문에 창의적이고 직관적 생각을 도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점으로는 전문가 선정에서 전문가들의 전문성의 문제 분야

별 전문가를 나눌 때 분류 기준의 모호성 대표성 익명성으로 인한 불성실한 응

답 문제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연구로는 구훈영 민대기(2013)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델

파이 기법을 활용해 신재생 에너지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는데 이는 최근 일어난

원전사고 환경오염 문제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신재생 에너지에 대

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신재생 에너지는 태양열 태양관 풍

력 수력 천연가스 바이오에너지 연료전지 등을 포함하며 최근 문제가 되고 있

는 원전 사고의 위험성의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위기의 여

파로 신재생 에너지 산업의 성장과 발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데

여기에 신재생 에너지의 불확실성이 더해져 해당 산업에 대한 개발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구훈영 민대기(2013)는 신재생 에너지의 수요예측에 전문가 델

파이를 활용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2

질문항목 응답 항목 응답(명)

내외 환경 정책 등이 현재 상태가 유지된다는 전제하에 국내 태양광

설치용량 규모는 단기적으로 어느 정도로 예상되십니까

900MW 미만 1

900MW~1100MW 3

1100MW~1300MW 0

1300MW~1500MW 6

1500MW 이상 2

내외 환경 정책 등이 현재 상태가 유지된다는 전제하에 국내 태양광

설치용량 규모는 장기적으로 어느 정도로 예상되십니까

21GW 미만 0

21GW~35GW 5

35GW~49GW 1

49GW~63GW 5

63GW 이상 1

2010년 현재 태양광산업이 신재생에너지 전체 투자액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향후 전체 신재생에너지에서의 비중은 어떻게 변화할

것으로 전망하십니까

재생에너지 중

태양광산업의 비중()

평균 73

최대 80

최소 60

lt표 8gt 전문가 델파이 분석의 설문항목

자료 구훈형 민대기(2013)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최근 상업화되었기 때문에 데이터 부족으로

수요예측이 어려운 점이 있으며 정부의 정책 및 국제적 환경 변수가 불확실성 요

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불충분한 데이터의 보완과 불확실성과 관련된 판단

을 위해 전문가 델파이 방법을 사용하여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다 저자들은 50명

의 전문가들에게 태양광산업의 수요에 있어서 단기적 미래(2015년) 장기적 미래

(2025)년을 예측하게 하였다(조사시점은 2013년)

조사결과 2015년의 태양광 발전의 누적설치용량은 2011년과 비교하면 단기적

미래인 2015년까지는 10~15의 연평균 성장률을 장기적 미래인 2025년 까지는

응답자의 42가 35~37의 연평균 성장을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는 신재생 에너지와 같이 수요의 예측을 위한 데이터가 부족할 경우

유용한 수요예측의 도구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델파이 전문가 수요예측 연구로는 생체인식 시스템 분야에 대한 미래의

핵심기술을 예측한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생체인식

분야에서 여러 분야 중 각각의 기술들의 난이도 기술수준 중요도 등을 전문가

30명을 통해 조사하였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3

lt그림 24gt 델파이 조사 과정

자료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이들은 단기적 조사가 아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반복적 설문 조사를 통해 어느

정도 의견 수렴한 뒤 결론을 도출하였다 생체인식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기술성숙

도가 낮은 기술 분야이기 때문에 정량적 분석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저

자들은 정성적 분석인 델파이 분석 방법이 더욱 높은 신뢰도를 가질 것으로 예상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왜냐하면 델파이 분석에 동원되는 전문가들은 표준화된

많은 데이터가 없을 경우 객관적으로 문제에 접근해 서로간의 의견을 골고루 수

렴해 일부에 휩쓸리지 않는 합리적 결론을 도출해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연구에서는 산업체 학계 연구소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성 있는 30인의 전문가

들에게 중기 예측(2017년)과 장기예측(2022)을 진행하도록 요청하였다 또한 이러

한 설문 결과를 다시 피험자들에게 제시 2차 조사에는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보

고 이를 수렴하여 다시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4

점수 중요도난이도 기준

5 매우높음

4 높음

3 보통

2 낮음

1 매우낮음

lt표 9gt 중요도 및 난이도

확신도 확신도 기준 환산 점수

5 전문분야로 매우 자신있게 응답 100

4 전문분야이며 자신있게 응답 70

3 유사분야 전문지식을 갖고 응답 30

2 전문분야가 아니어서 확신이 다소 부족 10

1 전문지식이 없어 전혀 확신할 수 없음 5

lt표 10gt 전문가 확신도 기준

자료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총 10개의 생체인식 시스템 기술을 선정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해당 기술들에

대한 자신이 생각하는 중요도 난이도 확신도 선진국과의 기술차이 기술실현시

기 등의 항목들을 제시하였다

lt그림 25gt 생체인식 시스템 기술수준 중요도 난이도 종합분석

자료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5

조사결과 기술수준과 중요도 난이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lt그림 25gt와 같다

종합하면 기술수준도 높고 중요도도 높은 기술들(예를 들어 반도체마이크로센서

제작기술)같은 경우 계속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으며 중요도는 높지만 기술수준

이 낮은 기술(예를 들어 환경센서 기술)의 경우 다른 기술들보다 연구 개발의 우

선순위가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구훈영 민대기(2013)와 홍현수 외(2010)의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통해 조사분석

을 하였지만 정성적 방법만을 가지고 조사를 하였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객관적

인 정량적 근거 부족이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델파이 방법은 전문가

패널의 구성 이러한 전문가들을 상대로 하는 반복적 설문조사 분석 의견 수렴을

통해 결론을 도출해 내기 때문에 정성적 방법론에서는 많이 사용되는 분석방법이

다 표준화가 가능할 정도의 데이터가 없을 경우 전문가의 직관을 통해 미래 수요

를 예측하기 때문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익명성을 통해 보다 자유롭고 솔직

한 의견 도출이 가능하며 여러 명의 전문가들이 합의점을 도출하는 과정을 고치

기 때문에 일부의 의견에 휩쓸리는 일의 발생 가능성이 적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

지고 있다

32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 차이 조사 연구

또 다른 산업 전문가 의견을 활용하는 연구는 전문가와 일반인이 해당 기술 산

업이나 제품에 대한 인식에 많은 차이가 있을 때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어떠한 산업은 전문가들이 일반 소비자나 잠재소비자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새로운 기술 산업이나 제

품의 경우 그러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첨단 기술산업의 경우 일반 소비

자들은 해당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비교적 최근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신진산업의 경우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또한 불확실성과 위험

성을 내포하고 있는 신기술 산업의 경우 소비자들과 전문가들은 위험인식 혜택

수용의도에 걸쳐서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제대

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의견이 아닌 전문가의 의견에만 의

존할 결과를 도출하게 될 경우 본 보고서와 같이 미래의 수요를 예상하게 될 경

우 실제 수용자인 일반소비자들의 위험인식에 따른 낮은 태도를 반영하지 못해

신뢰하기 어려운 결과값이 도출 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일반 소비자의 의견만을 반

영하고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일반 소비자가 판단하기 어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6

운 첨단기술 산업의 경우 이들의 응답에 대한 신뢰도가 전문가와 비교해 매우 낮

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산업 전문가와 일반 소비자의 인식차이를 비교하고 의견

을 수렴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체세포 복제기술 나노기술 원자력기술가 같이 인체 유해성에 대한 우려가 높

은 산업의 경우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차이 조사 연구들이 비교적 많이 진행되

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연구로는 나노물질 위해성에 대한 인식차이를 조사한 이

정진 외(2008)의 연구가 있다 나노기술의 경우 기술 자체의 문제보다는 나노물질

이 가지고 있는 위해성 측면에서 일반인들이 매우 높은 위험성을 지각하는 분야

이다 이는 나노기술의 특성상 나노물질이 눈으로 보이지 않는 매우 작은 단위이

기 때문에 느끼는 심리적 위험성과 실질적 위험성을 포함한다 새로운 신기술의

경우 특히 일반인과 전문가 사이의 인식차이가 클 수밖에 없으며 이는 기술수용

단계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해당 기술 수용여부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이정진 외(2008)은 나노기술의 지속적이고 포괄적 성장을 위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예를 들어 신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경우 전문

가들은 해당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 안전하다고 합의가 된 상태더라도 소비자들이

만약 위험성을 느끼고 불안하다고 느낀다면 기술발전에 어려움이 생길 것이다

반대로 일반인들은 별다른 의심 없이 위험성에 대한 지각을 갖지 않고 해당 기술

적용 제품을 구매 사용하고 있는데 전문가들이 위험성을 느끼고 있다면 실질적

잠재적 기술의 위험성은 더욱 심각하다고 말할 수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이유로

전문가와 일반인 사이 나노물질의 위험성을 조사하여 비교하기 위해 전문가 165

명 일반인 599명 총 7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lt그림 26gt처럼 일반인과 전문가 사이의 나노기술 인식에 대해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나노기술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한 일반 소비자는

162 몇 번 들어본 적이 있다는 응답은 548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의 조사결과

(Macoubrie 2004)나 일본의 조사결과(Fujita 2006)보다 나노에 대한 인지도는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7

lt그림 26gt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도 차이

자료 이정진 외(2008)

이는 미국과 일본에 비교해서 국내의 경우 lsquo나노rsquo라는 단어를 브랜드화 한 경우

가 많으며 제품의 이름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은나노세탁기 은나노코

팅제) 또한 실제 나노 관련 소비재가 마트에 비교적 많기 때문에 lsquo나노rsquo라는 명칭

이 자주는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친숙한 것으로 보여진다 나노기술의 접촉 방법을

살펴보면 전문가의 경우 학술지 인터넷 신문 책 등 다양한 경로인데 반해 일반인

의 경우 TV 신문 등 매스미디어 혹은 인터넷을 통해 나노에 관해 정보를 얻는 것

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보면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 소비자의 인지도를 올리기 위

해서는 매스 미디어나 인터넷에서의 마케팅이 주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lt그림 27gt를 보면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일반인들은 세탁기 에어컨과

같은 가전제품 치약 칫솔 비누와 같은 생활용품 핸드폰 노트북과 같은 전자기

기 얼굴팩 기초화장품 자외선차단제와 같은 화장품 순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전문가들은 일반인가 비교해 비교적 고르게 나노기술 적용 제품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제품인지도에 있어서는 비교적

고른 편이었으며 이는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이 비교적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8

lt그림 27gt 일반인과 전문가의 나노제품에 대한 지각 차이

자료 이정진 외(2008)

lt그림 28gt 일반인전문가 나노기술의 위해성 인식여부와 불안감여부 차이

자료 이정진 외(2008)

또한 나노기술의 위해성 인식에 대해서는 위 그림처럼 전문가의 742는 들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반대로 일반인은 741가 모른다고 위해성에 대해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일반인의 나노기술 정보가 부족하며 한편으로는 나

노기술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신기술에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9

대해 일반인들은 전문가보다 높은 불안감을 보이는 것이 당연한데 동일한 설문

을 진행한 일본보다도 일반 소비자의 불안감이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일

반인 229) 이러한 흥미로운 결과는 전문가의 경우 742가 나노물질의 위해성

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다고 답한 반면 일반인의 경우 741가 들어본 적이 없

다고 답한 것과 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란 추측이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나노기

술이 더 안전하다고 높은 신뢰를 보인다기 보다는 나노물질에 대해 지식수준이

낮기 때문에 위해성 자체의 인식률이 떨어진다고 분석해 볼 수 있다 저자들은 이

러한 나노물질의 위해성에 대한 낮은 인지는 오히려 나노기술의 안정적 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런 상황에서 나노물질 위해성 연구를 추진

하거나 법률적 관리를 정부에서 나설 때 일반인들의 공감을 얻는 것이 어려워 보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의 인식차이를 줄이고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정진 외(2008)는 이는 나노산업의 성장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였다

또 다른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조사한 연구로는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

한 나노기술의 부정적 영향의 인식차이를 분석한 배성훈 외(2015)의 연구가 있다

나노기술은 성과 측면에서 국가적으로 매우 촉망받는 기반기술이며 많은 투자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술분야지만 나노물질에 대한 인체와 환경 유해성에 대

해서는 아직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명확한 규정 또한 지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기술중심의 사고를 통해 기술 자체에서 의미를 찾는 것 보다는 그

기술을 사용하는 일반인들에게 그 혜택과 가치가 전달되어야하며 이러한 수요중

심의 전략개발에 기술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배성훈 외(2015)의 연구에

서는 나노기술의 산업확장에 중대한 걸림돌로 지적되어온 부정적인 인식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인 집단과 전문가 집단을 분리해 차이를 비

교분석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정진 외(2008)의 리뷰에서처럼 만약 전문가

가 나노기술의 위험성에 대해 불안해하는데 수요를 하는 일반 소비자들이 안전하

다고 느낀다면 높은 수요로 인해 잠재적 부정적 결과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며

반대로 전문가들은 안전하다고 인지하고 있는 기술에 대해 소비자들이 막연한 불

안감을 느낀다면 해당 기술의 상용화는 매우 어려울 것이다 저자들은 나노기술

에 대한 인식과 나노제품의 속성의 수준별 조합에 따른 선호도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일반인 541명 전문가 62명 총 6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설문

지의 경우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수준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0

와 이유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속성별 구매선호도 분석을 위한 컨조인

트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 제품군을 분야별로 식약품 전자제품 미용품등으로

나눠 조사를 실시하였다 컨조인트 분석을 위해 각각 상품 속성 수준에 소비자의

효용을 적용하였으며 긍정적 속성은 나노기술적용표시 정부인증 부정적 속성은

위해치명도 위해발생 가능성으로 구성하였다

속성별 2가지 속성을 설정했기 때문에 이를 조합하면 총 16가지 제품 조합이 가

능하지만 이를 순위매기는 것은 피험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직교설계

(orthogonal design)를 통해 필요한 주효과만을 측정할 수 있는 최소한의 8개의 가

상의 프로파일 세트를 도출하여 이 가상제품의 구매우선순위를 응답받아 컨조인

트 분석 실시하였다

Product Labeling CertificationRisk

ChanceRisk

Fatality

1 Yes No High High

2 No Yes High Low

3 Yes No High Low

4 Yes Yes Low Low

5 No Yes High High

6 No No Low Low

7 Yes Yes Low High

8 No No Low High

lt표 11gt 가상의 나노기술 적용제품 세트

자료 배성훈 외(2015)

Attribute Level

Labeling No Yes

Certification No Yes

Risk Chance Low High

Risk Fatality Low High

lt표 12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속성수준

자료 배성훈 외(2015)

분석결과 일반인과 전문가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지수준을 조사 한 결과 일반인

의 경우 나노기술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는 사람이 76 용어만 알고 있다가

521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있다가 298 개념과 활용성을 이해하고 있다

가 83로 나노기술이 생소하진 않지만 개념까지 이해하지는 못한 수준인 것을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1

알 수 있었다 반면 전문가의 경우 개념과 활용성을 이해하고 있다가 774 개념

잘 이해하고 있으며 나노기술을 선호한다 21 개념 잘 이해하고 있지만 나노기

술을 선호하진 않는다가 16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전문가들은 일반인보다 높은

나노기술 이해도를 보였다 이를 보면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선호도는 나노기술

의 대한 인지도가 일정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추론해 볼 수 있다

한편 나노기술 상용화 제품 세 가지 제품군을 대상으로 5점리커드 척도로 구매

의도 분석결과 lsquo나노식약품rsquo의 경우 일반인 M=333 전문가 M=338 나노전자제

품lsquo의 경우 일반인 M= 382 전문가는 M= 443 마지막으로 rsquo나노 이미용품lsquo의 경

우 일반인 M=346 전문가 M=362로 나타났다 모든 제품군에서 전문가가 일반인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으며 특히 나노전자제품의 경우 t-검정 결

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GroupWillingness to pay

p-valueMean SD

Food amp MedicinePublic 333 099

034Experts 338 109

ElectronicsPublic 381 084

Experts 443 047

CosmeticsPublic 346 099

011Experts 362 089

lt표 13gt 세 가지 나노기술 적용 제품군 별 구매의도 차이

p-value lt 001

자료 배성훈 외(2015)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구매의도에 있어서 낮은 점수(12)와 높은 점수(45)을 준

피험자에게 각각 구매하지 않은 이유와 구매한다고 응답한 이유를 9개의 보기를

제시하고 응답하게 한 결과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구매이유로 상품성능 향상 상

품품질 향상 상품안전성 향상 순으로 구매이유를 설명하였다 반면 구매하지 않

은 이유(M=1~2)를 물은 결과 일반인의 경우 상품안전성 저하 위해성 향상 성능

감소 순으로 이유를 들었고 전문가의 경우 상품 위해성향상 상품안전성저하 상

품품질불안정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를 보면 일반인 전문가 모두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높은 성능 향상을 기대하였지만 전문가의 경우 일반인과는 달리 긍정적

영향만이 아닌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도 많은 이해를 바탕으로 고려하고 있기 때

문에 이 같은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예상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2

또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컨조인트 분석 결과 식약품과 전자제품 미용품의 제

품군에서 중요도의 유사패턴이 발견되었는데 위해치명도가 가장 중요한 속성이

었으며 다음은 위해발생 가능성 정부인증 나노기술의 적용표시가 그 뒤를 이었

다 전문가들의 경우 일반인과 패턴 면에서 유사하지만 위해치명도의 속성 중요

도가 더 크게 나타났고 나노기술적용표시 중요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전문가들의 경우 일반인 대비 나노기술의 인체유해성을 더욱 많이 파악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Attribute Level

Food amp Medicine Electronics Cosmetics

Part-worth

ImportancePart-worth

ImportancePart-worth

Importance

LabelingNo -0266

1420-283

1471-291

1389Yes 0266 283 291

CertificationNo -0425

1664-436

1606-395

1746Yes 0425 436 395

Risk ChanceLow 0632

3193662

3107640

3184High -0632 -662 -640

Risk FatalityLow 1105

37231080

37161083

3681High -1105 -1080 -1083

Personrsquos R

Correlation

Coefficient

Coefficient 0664 0732 0728

P-value 0036 0019 0020

lt표 14gt 일반인 그룹의 컨조인트 분석결과

p-value lt 001 p-value lt 005

자료 배성훈 외(2015)

Risk CaseLabelin

gCertification

Food amp Medicine Electronics Cosmetics

Public Experts Public Experts Public Experts

High Chance

Low Fatality

Yes Yes 1164 1621 1137 1391 1129 148

No Yes 0632 1129 0571 0963 0547 1052

Yes No 0314 0509 0265 0287 0339 0384

No No -0218 0017 -0301 -0141 -0243 -0044

Low Chance

High Fatality

Yes Yes 0218 -0017 0301 0141 0243 0044

No Yes -0314 -0509 0265 -0287 -0339 -0384

Yes No -0632 -1129 -0571 -0963 -0547 -1052

No No -1164 -1621 -1137 -1391 -1129 -1480

lt표 15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세 가지 제품군의 효용분석결과

자료 배성훈 외(2015)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3

추가적으로 속성 수준별 조합을 살펴본 결과 위해발생 가능성이 낮더라도 치명

도가 높을 경우 정부인증 마크와 나노기술표시가 표시된 상황에서만 효용 값이

양의 값(+)를 나타냈다 반면 전문가들의 경우 식약품 제품에 한해서는 이러한 표

시 상황에서도 부정적 태도를 보였는데 이는 전문가들은 식약품의 경우 인체에

흡수되기 때문에 가장 민감하게 위해 치명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4 나노산업 관련 이론 및 발전 동향 조사

41 나노산업 관련 이론

국내 나노기술 관련 이론적 연구 동향을 분석해 보면 크게 나노기술 적용시 그

효과성에 관한 연구 나노기술의 위험과 안전에 대한 규제 필요성에 관한 연구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이나 전문가의 인식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예기훈 성아영(2010)은 금 나노입자를 포함한 안의료용 고분자의 합성 및 물성

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과적인 부작

용과 문제점 이물감과 불편함을 완화하기 위해 콘택트렌즈 소재가 계속적으로

변화해 왔다 이러한 재질의 변화는 착용에 있어서 이물감을 줄여주게 되었지만

콘택트렌즈는 각막을 감싸고 있는 동안 산소의 각막으로 산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게 하거나 상소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방해하여 안과적인 문제

를 야기시킨다 나노 금은 항균성의 기능을 갖으면서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다는

점이 알려졌기 때문에 기능성 나노입자를 응용하여 나노기술이 적용된 기능성 콘

택트렌즈 재료를 중합시켜 실험하였다 그 결과 나노금은 고분자의 함수율에 영

향을 주었으며 함소율의 감소를 야기시킨다 또한 굴절율과 자외선 가시광선역

의 투과율 역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처럼 나노기술은 항균성을 함유하고

있는 기능성 고분자로써 콘택트렌즈에 적용시키는 것처럼 의료적인 분야에 다양

하게 적용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박덕용 이난영 이상호(2008)는 나노기술을 바탕으로 치아 우식증 예방을 위하

여 만들어진 불소함유 접착필름을 개발하였다 필름 형태의 새로운 불소 delivery

system을 개발할 경우 기존의 불소 하제보다 새로 개발된 불소 전달시스템인 불

소 함유 필름이 치아 우식증 예방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불소 함유

필름은 나노 코팅기술을 통해 미량의 불소만을 코팅처리하여 체내에 삼키는 양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4

최소화하였으며 무색 무취 무미한생체 친화적 제재로 그 안전성 면에서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전문가 불소도포 제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영주 고영훈 김우성 매유진 목진경 조한규(2014)는 나노마스크와 황사마스

크에 의한 토너가루와 담배연기 필터링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를 하였다 황사와

미세먼지 담배연기 등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에서는 마

스크를 착용을 권하고 있으며 약국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마스크를 판매

하고 있다 나노마스크와 약국에서 파는 황사마스크의 미세먼지와 황사차단 효과

그리고 담배연기 차단 효과를 비교해 나노필터와 부직포필터의 필터링 성능을

비교해 보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나노마스크는 나노필터에서 토너가

루(미세먼지 대용)가 다 걸러져 점모양만 남아 있는 반면 황사마스크는 토너가루

가 묻어 나옴 또한 담배연기에서 나오는 이물질 실험에서 두 마스크 모두 첫 번

째 필터에는 진한 노란색 이물질이 있었지만 두 번째 필터에서는 황사마스크의

부직포 필터에는 노란색 이물질이 있는 반면 나노마스크의 나노필터에는 노란색

이물질이 묻어 있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나노마스크 내 나노 필터가 황사마스크

의 부직포 필터에 비해 토너가루와 담배연기에서 나오는 이물질을 더 잘 걸러준

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현재 다소 비싸지만 경제성을 입증하게 된다면 실용

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외에도 수질오염물질의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는데 이는

수영장에서 살균을 위해 흔히 사용하고 있는 염소를 태양빛을 통해 대체할 수 있

는 나노기술을 개발하였다 이 기술은 나노입자의 태양빛을 이용하여 세균이나

유기물질 등을 제거하고 산화력과 반응성이 강한 활성산소 및 히드록실 라디칼

(hydroxyl radical)을 생성시킨다 염소로 인해 발생하는 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

의 생성을 크게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오염물 처리에 드는 에너지 및 화

학물질의 양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김준현 2015)

또한 나노기술은 기존 제품을 덜 소모하게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강화시켜 환경

에 긍정적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나노기술은 일상적으로 소모되는 자원을 절약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열과 마모에 강한 특징인 내구성 향상과 자기 수복성 부여

를 통해 나타난다 또한 콘크리트에 손상을 주는 근본적인 원인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콘크리트에서 기능성 나노복합 무기질 활성탄계를 활용하

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5

콘크리트 구조물은 균열이나 누수 박리 철근부식 박락과 같은 현상들이 발생

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들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이며 이러한 현상들이 심해지면 구조물의 붕괴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콘

크리트의 부식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유해물이나 수분이 콘크리트

안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보수재료

나 방수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손상된 부분을 다시

시공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나노수준에서 합성하여 콘크리트와 흡착성과

다공성으로 착화합물이 형성되어 일체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기능성 나노

복합 무기질 활성탄계는 콘크리트 조직에 침투하여 미세기공을 가지게 되는데 미

세기공은 직경이 3~100Å으로 열화인자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특성을 지

니고 있다

에너지의 경우를 살펴보면 나노기술은 에너지 소비량을 감소시키거나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그 혜택을 찾을 수 있다 나노기술을 사용하게 되면 기존에 사용하

고 있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보다 수명은 3배 이상 길어지고 출력은 5배 이상이나

높은 리튬이온 이차전지 양극소재를 개발할 수 있으며 기존의 태양전지보다 13

의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나노 크기의 미세한 돌기구조를 통해

서 이러한 효율 증대를 가능하게 한다 나노 크기의 미세한 돌기 구조와 표면에

마이크로 크기의 기둥을 가진 태양전지를 개발하였는데 이것은 빛의 흡수율을

높여주고 태양전지 내부의 전자 이동을 용이하게 해주어 순도가 낮은 저렴한 실

리콘으로도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게 해준다

연구팀은 시제품을 통한 실험으로 매우 높은 효율성이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으

며 마이크로 기둥 사이에 돌기형태로 형성된 나노 구조는 반사효율은 떨어뜨리

고 빛의 흡수율은 높여주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반사효율을

5 이하까지 낮추는 데 성공함 일반적 태양전지의 반사효율이 40 이상 특수

표면처리(텍스처링)한 태양전지 반사효율이 15~20 수준에 이르는 것을 감안하면

획기적인 수치라고 할 수 있다(김준현 2015)

나노기술은 가까운 시일 내에 인간의 근본적인 삶의 모습을 바꿀 수 있는 엄청

난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나노기술이 재료 의료 및 의약 전자 기계 에

너지 환경 등 매우 넓은 분야에서 기술혁신을 일으킬 수 있고 미래 산업의 경제

적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암을 치료하거나 생명주기를 연장하고 식

량난 해소 반도체의 성능 향상 환경 오염물질의 제거 등 열거 할 수 없을 정도로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6

무수히 많은 분야에서 우리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어느 정도까지 될지 평가하기

조자 어려울 정도이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혜택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위험

역시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정정적 위험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나노기술에 대

해서 윤리적인 문제가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첫째 나노기술에 대한 형평성 차원에서의 문제를 들 수 있다 나노기술의 발전

은 매우 긍정적인 요소 일 수 있으나 전 세계 모든 곳에서 균등하게 그 기술을

나누어 쓸 수는 없을 것이다 바로 lsquo나노격차rsquo(Nano Divide)가 생겨날 수 있다 나

노기술의 사업화와 사용화가 진행될수록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나노기술을 이용하는 부유층과 빈곤층 간의 격차로 인하여 사회적인 문제로 심화

될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기아 질병 오염 가

난 등의 문제를 먼저 해결하는데 이용되어야 하며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격

차가 심화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현재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들은 에너지 자원

의 고갈 의약품 부족 등으로 에이즈와 같은 질병을 치료하지 못하여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당하고 있으며 식수의 부족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들이 나타나

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등장한 기술인 나노기술을

선진국 보다는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에게 먼저 적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나노기술로 개발된 성과들에 대한 불공정한 분배로 나타나는 심각한 사회적 격차

가 문제점으로 나타날 수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lsquo첨단기술일수록 비싸

다rsquo(high-tech high-costs)라는 말이 의미하듯이 나노기술을 통해 개발된 제품과

같은 성과물들을 이용할 수 있는 사회적 계층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극심한

사회적인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이 야기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불평등이 아닌 사회적 평등을 조장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할 것이

다(이중원 2016)

다음으로 투자측면에서 연구비의 재정적 투자에 대한 형평성을 생각해 볼 수 있

다 정부의 나노기술 정책 활성화로 인하여 연구비 중 많은 부분이 나노기술 분야

에 편중되어 있어 나노기술에 대한 집중적 투자가 다른 연구비 투자에 비해 과도

하게 측정되어 있는 것이 과연 올바른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둘째 유전정보에 관한 문제등 개인의 생체정보 보호와 관련된 프라이버스 문제

를 들 수 있다 나노바이오 기술은 유전주 수준에서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노 크기의 장치를 개발하여 인간 DNA 자체를 조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나노기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나아가 윤리적 사회적 문제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7

로까지 번져 다른 차원에서의 문제점들을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나노기술을 접

목한 초정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의 발달은 나노-유비쿼터

스 개념의 기술 발달로 감시나 통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지만 개인 사생활에 대

한 침해의 요인 부분도 존재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나노기술의 발달이 효율적이

고 효과적인 측면도 존재하지만 이를 역이용하려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법적

으로나 윤리적으로 보다 강도 높은 규제나 제재를 통해 프라이버시 관련한 윤리

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셋째 생명체 변형의 도덕적 문제를 들 수 있다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인공 생체

기관을 만들거나 생명체를 조작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생명체들을 합성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나노기술은 새로운 생물체의 생성이나 변형을 충분히 가능하게 하며

예를 들어 유전자 조작 쥐나 키메라 등 생명 형태를 변형하는 것과 관련된 연구

들에 대해서 생명의 존엄이나 신성함과 관련하여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문제를 제

기하여 허용 가능한 범위를 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인체 및 환경의 안전성 문제가 있다 나노기술과 관련하여 가장 주된 잇슈

는 나노소재가 인체의 건강과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이다 나

노기술은 기존의 기술에서 가지고 있지 않은 전혀 새로운 차원에서의 문제를 가

지고 그 위험성에 대해서 논의되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나노물질들은 분

자적 수준에서의 입자들을 일컫는다 이는 매우 미세하며 우리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매우 작은 단위를 다루는 것이다 이러한 나노 물질들은 그 자체로 매우 강

한 독성을 지니고 있어서 인체에 습수될 경우 세포 내부로까지 침투하여 유전자

구조를 변형시키거나 세포 자체를 파괴할 가능성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나노입자들은 악성 폐암을 일으키는 미세한 석면 입자들보다 훨씬 작기 때

문에 이러한 입자들이 인체 침투하여 다양한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인공 장기 등을 인체에 이식하였

을 때 인체에 어떠한 형태로 작용할지 매우 불확실하다 가령 인공 장기가 기존

에 알고 있던 다른 어떠한 물질들 보다 인체에 위협적인 것이 될 확률도 존재한

다 실제로 2004년 이래로 나노물질의 심각한 독성에 대한 보고들이 나타나고 있

는데 탄소나노튜브가 생체 유전자 역할을 변형시켜 치어의 뇌를 손상시킨 사례

가 존재했고 은나노 입자로 인하여 인체 DNA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며 차세대

반도체 나노물질로 불리는 CdSe가 인체 내부에 들어서 카드늄 중독을 유발할 가

능성도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위험은 나노물질이 지닌 본성으로부터 불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8

가피하게 초래되는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것으로 나노물질의 독성과 그것이 인체

및 환경에 가하는 위험이 이와 같다면 이런 나노물질에 대해 안전한 관리와 통제

가 불가피해 보인다(이천무 윤종민 2016 오규운 김경훈2016 이중원2016)

최근들어 일부 나노제품과 나노물질에 대해서 보건 및 환경의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문제가 나타나면서 나노기술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나 우려의 목소리가 나노

기술의 안전과 사회적 수용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김선아 김호정 홍

용석 2013) 연일 매스컴에서 보도되고 있는 lsquo가습기 살균제 사건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는데 에어로졸 형태로 분무되는 다양한 제품은 이미 오래전부터 우

리 생활 속에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규율할 법적 근거는 식품 의약품 화장

품 공산품 등 개별 법령으로 분화되어 제조업체는 용도변경에 따라 법의 테두리

를 벗어날 수 있었으며 각 법령에서 요구되는 기준이 서로 달라 적용하는 행정주

체도 책임영역을 서로에게 미루는 상황이 발생하여 대다수의 국민들이 혼란과 불

안을 겪고 있다

규제의 공백영역에서 수많은 피해자를 양산한 이후에야 그 원인과 대책을 마련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현실이며 나노물질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적 보호 수단으로는 사전

예방을 통한 위험의 통제와 사후관리를 통한 피해구제 등이 고려될 수 있으나 피

해규모의 대형화와 피해기간의 장기화 원상회복의 불가역성 등을 고려할 때 사

전예방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지난 사건과 역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이라

할 수 있다 그 동안 우리나라는 나노기술의 육성과 진흥에 중점을 두어 왔기 때

문에 안전에 관한 부분은 다소 소홀하거나 형식적인 대응을 해왔는데 EU 등 선

진국은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나노물질 및 제품의 자국내 수입을 철저히 규제

하고 있어 사전에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글로벌 무역장벽을 넘지 못할 상황

이다 따라서 나노물질 및 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국내 정책 및 제도의 상황

을 점검하고 국내에서 시행중인 관련 법제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그

동안 나노안전성에 관한 법적 관점의 연구는 주로 공법상의 규율 민middot형사상의

책임과 구제 제도개선 등에 집중되어 있으며 나노안전을 위한 법제적 측면에서

의 개선방안 제시는 부족한 실정이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9

42 나노기술 관련 산업의 미래 전망 분석

나노기술의 기대효과에 대해 분석해 보면 첫째 나노혁신 기술확보와 산업현장

확산으로 인하여 제조업 활로 및 미래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나노기술의 성과가

다른 산업으로 융합middot확산됨에 따라 지속적인 혁신을 유도하고 국내 제조업의 질

적 성장을 견인할 수 있다 또한 첨단 나노소재의 적용이 확산됨에 따라 소재기업

과 최종 수요 기업의 경재역이 동반상승하게 될 것이다 나노기술은 산업적 파급

효과가 큰 전략기술로 미래 제조업의 새로운 혁신동력이 될 것이다 나노기술의

산업화 촉진으로 사업영역 확대(신사업 창출)되고 나노바이오 기술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 헬스산업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유망분야로 성장할 것이다 특히 전기자

동차 가정용 에너지 저장장치 등 에너지 활용으로 효율성 향상될 것이다

둘째 나노기반 미래 신산업 창출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확충될 것이다 나노기

술 기업의 성장 및 제조업 성장 촉진으로 신규 고용 창출할 수 있다 전통 제조기

업의 나노기업으로의 전환 등 기업 활동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고용의 질 제고

할 수 있다

셋째 미래세대와 함께 하는 지속가능한 사회 기반 구축할 수 있다 안전한 나노

기술개발로 나노기술에 의한 잠재적 위험을 최소화하고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안전 제고해야 한다 나노기술 기반의 에너지 발생 변환 저

장 절감기술 개발을 통해 에너지 자립도를 향상시키고 나노기술 기반의 대기 및

수질오염 제거 기술 개발을 통해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문제 최소화시킬

수 있다

나노기술의 상용화와 관련된 문제를 살펴보면 나노기술 분야에 대한 잇슈 중의

하나는 상용화와 제품화에 대한 것이다 이는 나노기술이 제품화가 되기까지의

과정이 매우 어렵게 때문이다

McNeil(2007) Kalil(2005) Hobson(2009)등이 제시한 장애 요인 분석을 바탕으로

나노기술분야가 IT 및 BT 분야 등 타 분야와 차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나노

기술이 상용화가 되기까지 약 5~10년의 기간이 걸린다 그리고 나노기기술은 첨

단기술로서 연구개발 단계에서 인프라 구축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장

비들이 고가이고 실험이나 측정을 위하여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되고 이러한 초

기 인프라 구축과 장기간의 시간을 통해 제품이 시장에 나왔다고 하더라고 성공

을 확신할 수 없는 부확실성의 성격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고가의 기반시설 등에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0

대한 인프라 구축은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역량으로는 매우

힘든 부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나노기술 분야에서 중소기업의 수가 많은

점을 생각하면 인프라 구축의 선행으로 인한 어려움의 요인이 나노의 상용화 어

려움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나노기술의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참여인력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

다 나노산업은 일반인이 접근하기에는 매우 어려우며 기술적으로 높은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그렇게 때문에 민간 차원에서 주도하여 성장할 수 있는 부분이라

기 보다는 정부차원에서 투자하고 발굴하여 추진해야 하는 분야의 산업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나노기술의 높은 이해도와 특징으로 인하여 대부분 나노기술 분

야를 주도하고 있는 것은 대학이나 정부 출연 기관의 연구원들이다 이들은 기본

적으로 나노기술을 사업화하여 이익을 창출해 내려는 사업가적 마인드로서의 시

각으로 바라보기 보다는 순수학문적인 분야에서 새로운 물질의 발견이나 합성 등

학문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다 그러므로 나노기술의 사업화를 통한 성과의

창출보다는 논문등재 등 이론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어 학문적인 업적을 창출하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나노기술

에 대한 투자가 주로 정부주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구비에 대한 투자를 연구

업적 등의 가시적 성과를 통해서 보여주려고 하기 때문이다

5 문헌연구 분석 결과 시사점 도출

앞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으로는 정량적 정성적

방법이 있다 각각의 수요예측에 대한 우월성은 학자들에 따라 의견이 다르지만

연구의 대상 관련 데이터의 확보여부 연구 범위에 따라 다르게 활용될 여지가

있다 정성적 예측 분석의 대표적 방법론으로는 델파이 기법이 있는데 델파이 분

석의 경우 전문가들의 익명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외부적 영향으로 인한 왜곡현상

이 방지되어 비교적 객관적인 답변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응답자인 전문가

들의 자질과 역량의 문제 응답의 불성실문제 비용문제 마지막으로 전문가의 직

관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정량적 분석과 비교 시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갖

고 있다

이에 반해 정량적 수요예측은 신속한 검증이 가능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결과의 타당성도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정략적 수요예측 방법으로는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61

일반적으로 Gompertz 모형 Logistic 모형 Bass 모형 등이 있으며 이중 Bass 의

Diffusion Model은 신상품 신규서비스 신기술이 시장에 도입되어 확산하는 과정

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모형이기 때문에 나노기술의 산업확산 수요

예측에 가장 적절한 분석방법이라 할 수 있다 Bass 확산모형은 시장 전체의 반응

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시장의 종합적 분석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요예측 토대로 기업이나 정부의 투자나 지원을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들에서 다루었듯이 신기술의 확산 또는 신

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미래 수요를 예측하는데 Diffusion Model이 널리 쓰이고 있

지만 현재까지 나노산업의 미래 수요예측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며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학습논문이나 연구보고서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보

고서는 나노산업의 미래 수요예측을 위해 계량적 분석 그 중 높은 예측력을 지닌

다고 알려진 Bass의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려고 한다

한편 소비자 인식 관련 문헌 연구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혁신의

수용을 혜택(Benefit)-비용(Cost)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고 나노기술이 위험인식

기술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신뢰라는 변수를 추가할 수 있다 소비자들

이 나노기술에 대한 긍정적 혜택과 관련된 변수로는 나노기술을 사용함으로 나타

날 것 같은 지각된 이득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이라는 변수를 선택할 수

있다 반대로 나노기술에 대한 부정적 요소로 비용 관점에서는 혁신저항의 변수

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저항변수로 기능적 장벽(지각된 위험 가치장벽 사용장벽)

과 심리적 장벽(관습장벽 이미지 장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뢰의 대상을 기관 사람 기술에 대한 신뢰로 구분하여 나노기술에 대한 소비자

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주요 변수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즉 문헌연구를 통하여

소비자의 기술수용과 이용행동에 관한 다양한 모델을 살펴보고 나노기술과 같은

신기술을 수용하는 소비자들에게 그들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어떠한 변수들이 중

요한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나노기술을 혁신의 차원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나노기술이 연속적 혁신

인지 불연속 현신인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나노기술이 어떻게 받아

들여지고 있는지 유추할 수 있다 나노기술은 산업 전반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므로 산업별 제품별로 연속적 혁신과 불연속 혁신이 산업 전반에서 다양하

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불연속적인 혁신의 경우 획기적인 성능과 증진된 편익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2

주는 나노기술의 경우 혁신제품 애호가들로부터 상당한 주목을 받는 경우가 많이

나타나지만 시장의 다수를 형성하는 보수적인 소비자들로부터는 외면당하기 쉬

울 수 있어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모두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나노기술처럼 불확실성이 높고 미래의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 소비자들

은 주관적 확신을 높이기 위해 정보탐색이나 구매 전 심사숙고의 과정을 더 많이

거치게 되며 의사결정에 이러한 요인들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문

헌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요인들을 혁신장벽이라는 개념으로 살펴볼 수 있었으

며 나노기술과 같은 혁신기술의 채택의 주요 장벽으로 기능적 장벽 심리적 장벽

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나노기술에 대해 전문가나

연구소 등 국책기관이나 정부 등을 신뢰하는 정도에 따라 이러한 불확실성에 대

한 위험인식을 낮추게 될 것이라는 점을 도출하였다

한편 산업 전문가 조사는 해당 산업에 대해 높은 지식과 식견을 가진 전문가들

을 표본으로 목적에 맞게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말하며 기업내외부적 전문가

들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산업의 세부적 분류를 사용해 분석할 경우 기업 내외

부와 산업 별 쿼터별로 적절한 대표성을 위해 할당 추출법(quota sampling)을 사

용하기도 하며 이 경우 도출해내고자 하는 결과와 관련해 분야별 다양한 의견을

갖고 있는 전문가들의 종합적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산업 전문가의 의견이

반영된 연구들로는 델파이 기법이 있으며 신기술 산업이나 제품에 대해 일반인

과 전문가의 이해도가 많은 차이가 있거나 그 기술의 산업 제품에 대한 혜택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식이 상반될 때에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조사하는 연

구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델파이 조사의 경우 일반적인 소비자조사보다 표본의 숫자가 작은 편이지만 다

양한 견해와 이견을 통해 새로운 시각의 직관적이고 창의적 견해를 포함하는 시

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인터넷의 등장으로 초기 델파이

측정 방식인 인터뷰나 대면조사에서 온라인 설문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이 강화되어 최근 많은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 다른 산업 전문가 의견을 활용하는 연구로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차이를

조사하는 연구가 있다 이는 해당 기술 산업이나 제품에 대한 인식에 많은 차이가

있을 때 중요하며 어떠한 산업은 전문가들이 일반 소비자나 잠재소비자의 특성

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새로운 기술 산업이나 제품의

경우 그러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첨단 기술산업의 경우 일반 소비자들은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63

해당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불확실성과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

는 신기술 산업의 경우 소비자들과 전문가들은 위험인식 혜택 수용의도에 걸쳐

서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의견이 아닌 전문가의 의견에만 의존할 결과를 도출하게 될 경우 본 보고서와 같

이 미래의 수요를 예상하게 될 경우 실제 수용자인 일반소비자들의 위험인식에

따른 낮은 태도를 반영하지 못해 신뢰하기 어려운 결과값이 도출 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일반 소비자의 의견만을 반영하고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일반 소비자가 판단하기 어려운 첨단기술 산업의 경우 이들의 응답에 대한

신뢰도가 전문가와 비교해 매우 낮을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산업 전문가와 일반

소비자의 인식차이를 비교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나노산업의 경우 나노물질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는 다르

게 사람들로 하여금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나노기술의 정확한 시장잠재력 및 확산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이해수준

이 높은 전문가의 의견도 물론 중요하지만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결국 최종 소

비자의 수용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의 잠재적 불

안감을 측정하고 이를 전문가의 의견과 함께 종합하여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예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노기술은 미래성장잠재력과 국가경제의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기술력이며 이에 대한 효과성은 광범위한 산업분야에서 연구를 통해 입증되어

왔다 나노기술은 삶을 더 풍요롭고 빠르고 편리하며 경제적으로 바꿔줄 가능성

이 매우 큰 혁신적인 분야이며 전통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국가 경제를 견

인할 차세대 기술혁신의 주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는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

치고 기존 산업을 파괴하거나 새로운 산업 창조가 가능할 정도로 파급력을 갖는

파괴적 혁신 기술(disruptive innovation technology)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산업

적 파괴력 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크다고 할 수 있다(배성훈 외 2015) 나노물질이 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는 다르게 사람들로 하여금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주고 있다 실제로 최근 몇몇 국내연구들에서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들의 잠재

적 위험성 인식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나노기술은 나노미터 크기의 아주 작은 단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4

위의 물질을 조작 분석 제어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관련지식이 적은 일반인들에

게는 막연한 불안감 위해성 인식을 불러 올 수 있다 또한 나노기술의 높은 효과

성과 파급력에 비해 나노기술의 정확한 이해나 응용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지식수준이 많은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나노기술의 정확한 시장잠재력 및 확산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이해수준이 높은 전문가의 의견도 물론 중요하지만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결국

최종 소비자의 수용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의 잠

재적 불안감을 측정하고 이를 전문가의 의견과 함께 종합하여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예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노관련 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로서 부가가치 유발 효과와 고용유발 효과를 들 수 있으며 나노관련 산업의 많은

부분이 제조업을 포함하기 때문에 특별히 제조업 전체의 발전을 통한 부각가치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나노산업은 연구개발과 시제품을 생산하는 단계를 지나 실제 상용화될 수

있는 제품을 제조하고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으며

제조업의 생산성을 뛰어넘는 유망한 성장동력으로 커가고 있다 또한 나노산업은

제조업 대비 고용증가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계획하고

있는 고용 확대 정책과도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고용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이다

나노기술의 파급효과와 빠른 성장 그리고 성공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성과가 매

우 크게 나타나지만 이러한 성공을 거두기까지 적어도 5~10년 정도의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단기간에 성과를 발생시켜야 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나노기술에

대한 연구의 투자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나노융합제품의 시장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나노융합제품의 매출 비중은

제조업 영역에서 확대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사업화를 확대시킬 수 있는 전략적인

지원정책 수반되어야 한다 나노기술은 기반 기술로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

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향후 산업 전반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하

고 있다 따라서 나노기술의 상용화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기업뿐만 아

니라 정부차원에서의 지원과 학재간 협력이 필요하다(김석필 외 2014)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전자산업이 초정 나노기술을 혁신 동력으로 발전하였

으나 차세대 기술에 대한 투자가 부족한 편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차세대 논리

소자 계산과학의 기술수준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나노소재 분야 기업이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65

다수이나 매출규모가 적고 나노바이오의 사업화가 특히 미흡한 편이다(국내 나노

산업의 03 해외는 10)

이처럼 나노산업인력은 양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기술 전문성 증진 필요함 국내

나노기술의 미래 전망에 대해 정성적인 분석을 통한 전망 외에 계량적인 모델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예측이 필요하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6

제4장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1 나노시장 예측 방법론 요약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process를 통하여

나노기술의 최종적인 산업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lt그림 29gt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나노산업 영향력 도출 방법론

먼저 Step1에서 과거 나노산업 매출 데이터(2010년~2014년)를 수집한다 이후

모델 추정을 위한 초기 데이터의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해 Step2에서 나노산업 전

문가들의 단기적 미래 나노산업 매출액(2015년~2018년) 예상값을 수집한다3) 단

이 과정에서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를 산업 전문가들에게

제시해 최대한 객관적인 시장에서 매출액을 예상하도록 유도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2010년부터 2018년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해 Diffusion Model의 계수 p q

값을 추정해낸다

마지막으로 Step3에서 추정된 p q값을 모델에 대입하여 2015년부터 2025년까

지의 최종 나노산업 매출액을 예측한다 이후 세부 나노산업별로 각각의 규모를

나누어 추정해보고 예측의 최소값 최대값 적용과 같은 몇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

3) 사전에 실시된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는 2014~2018년도 예상 매출액을 응답하게 하였으나 조사 기간 도중 2014년 실제 나노산업 매출액이 발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 적용 시 2010~2014년도 값은 나노산업의 매출 실제값을 2015~2018년도 값은 산업전문가의 예상 매출액을 활용하기로 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67

한 민감도 분석도 실시하기로 한다

이러한 방법론은 현재 나노산업이 가지고 있는 초기 데이터 부족 등 몇 가지 문

제점 및 전제를 감안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충분히 고려하였으

며 각각의 해결 방향은 요약 제시하면 다음의 표에 정리된 바와 같다

lt표 16gt 본 연구의 기본 전제 및 해결 방향

예측 과정의 문제점 및 전제 해결 방향

1

나노산업의 시장매출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아 모형

예측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를 필요로 함 (모형 추정

의 불안정성)

기본 계량 모형과 더불어 산업전문가의 예측 정보

를 함께 활용하고자 함

2산업전문가들의 장기적인 산업 예측은 신뢰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음

비현실적으로 장기적인 예측을 요구하지 않고 5년

간의 단기 예측 정보만을 요구하여 신뢰성을 높임

3산업전문가들의 기술 중심적인 사고를 보완하기 위해

보다 객관적인 정보 도출이 필요함

나노산업 전문가들에게

나노기술 최종 사용자인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

술 인식 조사결과를 제시하여

보다 객관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유도함

2 Diffusion Model 소개 및 적용 방향

Diffusion Model은 Bass(1969)가 제안한 이후 신기술 혹은 신제품의 확산 과정을

예측하기 위해 활발히 활용되는 대표적인 수리적 모형이다 Diffusion Model은 새

로운 상품이나 서비스가 나타내는 S자형의 성장 및 확산 모습을 가장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모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Bass Model은 기본적으로 신제품에 대한 구매가 혁신자(innovator)와 모방자

(imitator)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고 hazard rate라고 불리는 다음의 식으로

부터 출발한다 (hazard rate t시점까지 비구매자가 t시점에서 구매자가 될 확률)

이때 계수 p를 혁신 계수 q를 모방계수라고 한다

)(

)(1

)( tqFptFtf

f(t) t기에 제품을 수용할 확률

F(t) t기까지 수용자의 누적 확률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8

p 혁신계수 (coefficient of innovation)

q 모방계수 (coefficient of imitation)

위의 식로부터 미분방정식을 활용하여 t시점의 수용자 수를 다음와 같이 계산할

수 있고 각 t 시점마다의 누적 수용자수도 함께 계산할 수 있다

2)(

)(2

)1(

)()(

tqp

tqp

epqe

pqpMtS

S(t) t기에 제품을 수용한 소비자의 수

M 시장의 최종적인 잠재수요

확산모형의 모수추정방법으로는 크게 회귀분석을 활용하는 OLS(Ordinary Least

Square) 우도추정함수를 활용한 ML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방법 관찰

치와 예측치의 차이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함수를 설정한 후 모수를 삼차원 공간

에서 추정하는 NLS(Non-linear Least Square) 등의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중에서 지금까지 가장 안정적이고 좋은 성과를 보인다고 평가받고

있는 NLS 방법을 적용하기로 한다

한편 Diffusion Model이 기본적으로 제시하는 형태는 신제품의 수용자 수 기반

의 예측이나 나노산업의 경우 나노기술이 포함된 특정 제품을 선정하고 그 소비

자들만 추출해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최종적인 일반 소

비자들의 나노기술 지식 수준이 낮아 수용 소비자 수를 활용하는 예측의 효과성

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나노기술이 TV 자동차와 같이 최종 end-product로 일반소비

자에게 수용되기 보다는 다양한 산업과 제품에 활용되는 기반 기술이라는 특성을

감안하여 최종수용자 기반의 확산모형이 아닌 산업 총매출액 기반의 확산모형을

적용하고자 한다

실제로 이와 비슷한 특징을 가진 몇 가지 기술 확산 예측 모형에서 같은 이유로

인해 산업의 전체 매출액 데이터를 활용한 Diffusion Model이 활용된 바 있다 예

를 들어 최근 반도체 시장 수요 RFID 시장 수요 오픈소스 기술 수요 등 신기술

등장 시 전체 시장의 확산을 예측하는 계량적 모형으로 매출액 기반의 Diffusion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69

Model이 활용된 바 있다(김진 고경일 2014 권순동 이승률 2015 손동민 외

2014)

특별히 나노기술과 같이 다양한 하위 산업이 존재하는 신기술의 경우 시장 매

출 합산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측하는 포괄적 방법론이 더욱 설득력이 있다고 판

단된다 손동민 외(2014)의 연구에서도 합산 데이터를 활용하여 예측하는 것이 산

업의 포괄적 전망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시장 합산 데이터를 사용한다고 지적

한 바 있다 본 연구도 이와 같은 목적에서 수용자 수 기반의 Diffusion Model 보

다는 합산 매출액 기반의 Diffusion Model을 적용하여 최종 예측하고자 한다

3 일반소비자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 요약

본 연구는 사전 조사로 일반 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을 조사하였다4) 나노기술

과 같이 혁신적인 기술에 대해서 일반 소비자들은 혜택 지각된 위험 혁신 저항

신뢰 등 다양한 인식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소비자 인식은 최종적인 산업의 확

산 및 발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별히 나노기술은 과거 기술 위험성 부작용 등의 뉴스 및 연구 결과들이 발표

된 바 있어 최종 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이해와 개선이

향후 나노산업 발전을 위해 특별히 중요하다 일례로 최근에는 일반적인 공중

(public)이 느끼는 나노기술 위험 특성과 나노기술 개발 및 관리주체인 정부 및 과

학자에 대한 신뢰가 위험인식과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들도 진

행된 바 있다(김원제 외 2016)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에 대한 인식을 면 히 조사하고 향후 산업 전문가 제시 정보로도 활용하기 위해

서베이 기법을 활용한 시장조사를 진행하였다 서울 경기 및 5대 광역시(인천 대

구 광주 부산 대전) 거주하는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96명을 대상으로 진

행하였으며 2016년 10월 10일부터 10월 1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 및 동영상을

이용한 온라인 조사를 실행하였다

4)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2017 「나노기술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신뢰도 수용의도 조사분석 연구」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0

lt그림 30gt 나노기술 인식 조사 변수 소개

소비자 조사를 위한 주요 변수는 앞의 문헌연구를 종합하여 최종 선정하였으며

기본적으로 Benefit-Cost 관점에서 출발하여 나노기술에 대한 혜택 변수 위험 및

혁신장벽 등을 질문하였다 또한 나노기술이 위험인식 기술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기관 사람 기술에 대한 신뢰 변수를 추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나노기술에 대한 긍정적 혜택과 관련하여 지각된 이득 지각된 유용

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이 선정되었으며 혁신저항 변수로 기능적 장벽(지각된 위

험 가치장벽 사용장벽)과 심리적 장벽(관습장벽 이미지 장벽)으로 구분하여 측

정하였다 그리고 나노기술 관련 신뢰는 신뢰의 대상을 기관 사람 기술에 대한

신뢰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웹서베이를 통해 소비자의 연령 성별 나노기술 인식을 비교하여 해

당 분석 결과를 다음 순서인 전문가 조사 제시 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

다 또한 소비자 인식 수준을 참고로 나노기술 정책 개발자 및 나노기업 담당자

들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미 다른

보고서에서 소개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소비자 조사의 주요 결과만을 요약하

기로 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1

lt그림 31gt 일반 소비자의 나노기술 나노제품 사용 여부 인식

우선 본 조사는 일반 소비자들이 나노기술 이용여부를 얼마나 잘 인식하고 있는

지 측정하였다 스마트폰 등 일반 소비자들이 자주 쓰는 제품에서 나노기술이 이미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소비자들이 나노기술 나노제품 사용 여부를 인지하고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실제 소비자들은 나노제품 사용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많은 소비자들이 나노기술 나노제품을 사용한 적 없다

(30) 혹은 잘모르겠다(342)라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여성(40)과 젊은 연령대층

(20대 411)에서 나노기술 사용여부에 대해 잘 모르겠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이처럼 나노기술에 대해 일반소비자의 인식이 낮을 것을 예상하여 본 조사는

본격적인 질문을 시작하기 전에 나노기술과 관련된 홍보영상 관련 뉴스를 4개(총

재생시간 약 11분) 시청하게 하였다 동영상 시청 후 나노기술에 대한 이해도는

다음의 표와 같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lt표 17gt 나노기술의 특징 품질 혁신성 이해 정도 비교 (동영상 시청전후)

구분특징 품질 혁신성

시청 전 시청 후 시청 전 시청 후 시청 전 시청 후

부정 (1점+2점) 369 89 411 83 45 39

긍정(4점+5점) 344 694 283 675 693 796

점수(100점 만점 기준) 484 673 453 669 691 759

차이(시청 후ndash시청 전) 189 216 68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2

단 11분 정도의 간단한 동영상 시청만으로도 나노기술의 이해도가 의미 있게

증가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나노기술의 성장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일반소비자의 이해 수준은 낮은 편이고 이러한 이해도는 추가적인 홍보

를 통해 충분히 상승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향후 나노관련 정책 개발자는 나노기술에 대해 연령별 성별 특성에 적합한 맞

춤형 홍보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도 나노기술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 외의 나노기술 인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2gt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정도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3

우선 나노기술의 혜택으로 지각된 이득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을

100점 만점 기준으로 측정하였는데 일반 소비자들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

득 지각된 사용 용이성 순서대로 나노기술 혜택을 높이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여성보다는 남성이 그리고 저연령층보다는 고연령층 그룹에서 나노기술의 혜택

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나노 관련 정책 홍보 측면에서 나

노기술이 다양한 제품군에서 손쉽게 사용될 수 있음을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별히 여성과 20~30대 젊은 소비자들에게 나노기술의 혜택을 집중적으로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

비용 관점에서는 기능적 장벽(지각된 위험 가치장벽 사용장벽)과 심리적 장벽

(관습장벽 이미지 장벽)으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인 평균값은 혁

신장벽값으로 100점 만점 기준으로 나타내었다 조사 결과 나노기술에 대한 지각

된 위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치장벽과 심리적 장벽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

이었다 특별히 여성이 더 높은 지각된 위험을 인식하고 있으며 30대 소비자 그

룹에서 혁신 저항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즉 일반소비자들에게 특

히 30대 여성 그룹에게 나노기술의 안전성 홍보를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신뢰 측면은 기관에 대한 신뢰 사람에 대한 신뢰 기술에 대한 신뢰로 나누어

100점 만점 기준으로 측정하였는데 나노기술을 개발 운영 유지 관리하는 정부

공공기관 기업 등 기관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여성

들의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고 20~30대 젊은 소비자 그룹의 신뢰도 역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즉 여성과 20~30대 젊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나노

관련 기관들의 신뢰를 높이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서 측정

한 바와 같이 나노기술에 대한 높은 지각된 위험을 고려할 때 향후 더욱 적극적

인 신뢰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조사는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수용의도를 100점 만점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나노기술 적용 제품 수용의도는 남녀가 유의한 차이를 보

였으며 남성(643점)이 여성(603점)보다 수용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별대별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50대 이상이 671점으로

가장 높은 수용의도를 보였고 20대가 580점으로 가장 낮은 수용의도를 보였다

본 결과에 따르면 나노기업은 우선적으로 50대 이상 남성들이 자주 사용할 수 있

는 나노제품군 개발에 노력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장기적으로 젊은 여성 그룹이

선호할 수 있는 나노제품 개발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4

4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결과 요약

본 연구는 나노산업 초기 매출 데이터의 불충분함과 산업 전문가의 보다 현실적

인 예측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5) 이를 위해 먼저 나노

산업을 통계청 NTIS 등 국가승인통계 기준에 따라 ldquo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

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rdquo 네 분야로 분류하였다 단 나노전자산업에 대한

표기는 나노전자(소자)로 변경하였는데 이는 실제로 나노전자 산업에서 소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 산업의 전문가를 기업내부 기업외부 시장분석 전문가의 세 집단으

로 분류하였다 기업내부란 나노관련 기업에 종사하는 직원들을 의미하고 기업외

부란 나노기술과 관련한 국책연구소 정부기관 대학교수들을 의미한다 시장분석

전문가들은 나노산업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금융회사의 애널리스트

펀드매니저 투자전문가 IR담당자들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전문가조사는 기업내부의 전문가 위주의 조사가 주를 이루지만 본 연

구는 보다 객관적인 정보 수집을 위해 다양한 전문가 구성을 시도하고자 노력하

였다 특히 시장분석 전문가들은 나노 관련 기업의 매출 및 이익 구조에 근거해

lsquo돈rsquo과 관련된 투자 의사결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인 시각의 의견을 수

집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였다

전문가 조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산업별로 쿼터를 구성하였다 나노소

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을 각각 균등하게 배분

할 수도 있지만 실제 나노산업의 매출액 비중은 다음의 표와 같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lt표 18gt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추이 (단위 억원)

  2010 2011 2012 2013 2014 Total 비율

나노소재 87191 111370 96651 144391 104664 544267 938

나노전자(소자) 770863 785380 1170282 1215753 1193383 5135661 8849

나노바이오의료 2718 2934 4444 4126 7249 21471 037

나오장비기기 19698 23170 19152 22669 17634 83171 143

Total 880470 922854 1290529 1386939 1322930 5803722  

자료 나노융합산업 통계 산업통상자원부

5)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2017 「나노기술 성장 예측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정확한 제목 이곳에 명시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5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전체 나노산업에서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매출이 차

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이다 따라서 모든 산업을 균등한 비율로 분배하는 것은 무

리가 있다 그렇다고 반대로 단순 매출액에 비례하여 산업 전문가 샘플수를 결정

할 경우 나노전자(소자) 산업이 지나치게 많은 비중을 차지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매출 비중이 적어도 향후 높은 성장이 기대되는 각 나노

세부 산업의 특징을 감안하여 노전자(소자) 산업을 50 그 외 나머지 산업을 50

내에서 균등히 배분하기로 하였다 나노전자(소자) 이외의 다른 산업 매출액 현재

수준은 낮지만 향후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각 세부 그룹별 최소 10명의 전문

가 의견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나노전자

(소자)산업과 그 외 나노산업과의 비율을 5050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각 산업 내에서 전문가 특성별(기업내부 외부 시장분

석 전문가)구분은 서로 균등하게 배분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전문

가 집단 구성은 다음과 같다

lt표 19gt 최종 나노산업 전문가 집단 구성

기업내부 전문가 기업외부 전문가 시장분석 전문가 Total

나노소재 10 10 10 30

나노전자(소자) 30 30 30 90

나노바이오의료 10 10 10 30

나노장비기기 10 10 10 30

Total 60 60 60 180

본 연구는 이렇게 선정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웹서베이를 통해 다양한 의견

을 수집하였다 구체적인 질문에 앞서 먼저 실행된 일반적인 최종소비자들의 현

재 나노기술 인식 수준을 요약하여 제시하였고 이를 충분히 숙지한 후에 본 조사

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이는 자칫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자신이 소속된 산업에 지

나치게 긍정적인 평가를 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나노산업이 위험인식 기술

이고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이해 수준이 여전히 낮은 수준임을 제시한 후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시장을 바라보게 하고자 한 것이다

이후 구체적으로 조사 당시까지 발표된 2010년~2013년까지의 각 나노산업 매출

액을 제시한 후 이후 5년간(2014년-2018년) 자신이 소속된 나노산업 분야의 매출

액을 예측하게 하였다 정확한 예측값을 응답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해당 년도에 해당하는 예상 매출액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응답하게 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6

이후 나노산업의 발전을 위한 주관적 의견 및 나노산업별 중요도 기술수준 평가

항목 등을 측정하였다 지금까지의 조사 방법을 그림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3gt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과정 요약

본 조사는 나노산업과 같이 기술주도적인 산업은 현장에서 실제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산업 전문가의 예측이 가장 현실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는 기본 전제에 기반한 접근 방식이다 단 지나치게 장기적인 예측은 정확성이 떨

어질 것이므로 향후 5년 정도의 단기적인 예측만을 본 분석에 활용할 것이다

또한 지나치게 공급자 입장에서만 생각하는 근시안적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인 최종소비자의 의견 정보를 참고하게 함으로써 최대한 객관적인 의견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나노산업 전문가(기업 내부 외부 시장분석

전문가)를 대상으로 최대한 균형적인 의견을 얻어내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이를

최종적으로 Diffusion Model 예측 과정에 적용하여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의

적절한 조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147명의 응답 데이터를 확보하였으

며 본 연구는 주요 결과만을 간략하게 요약하기로 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7

lt그림 34gt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측값 추이

나노소재 산업 (단위 억원) 나노전자(소자) 산업 (단위 억원)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단위 억원) 나노장비기기 산업 (단위 억원)

우선 나노소재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36조6천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이는 2013년 14조4천억원 대비 253 성장 전망한 것이다 나노전자(소자)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228조5천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하였다 이는 2013년 121조6천

억원 대비 188 성장 전망한 것이다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7천9백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하였다

이는 2013년 4천1백억원 대비 192 성장 전망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나노장비기

기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3조5백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하였다 이는 2013년 2

조2천7백억원 대비 134 성장 전망한 것이다

본 전문가 조사 당시는 2014년 나노시장 매출액 공식 집계가 발표되기 직전이었

기 때문에 2014년~2018년 매출 예상한 것이다 그런데 본 조사를 진행하던 중

2014년 나노시장 공식 집계가 발표되었기 때문에 2014년도 전문가 예측값과 실제

값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특이한 점은 2014년 나노바이오산업의 급

성장으로 인해 실제 2014년도 매출액값에 비해 전문가 의견이 특별히 과소 예측

되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2014년의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전문가의 예상보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8

도 더 크게 성장하였다 단 한해의 값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구체적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다만 최근 바이오 업계의 성장으로 나노산업에서도

전문가 예상을 넘어서는 성장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원

인과 구체적인 분석은 향후 다른 연구에서 시도될 필요가 있다

본 조사는 이외에도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 차이를 상대적으

로 비교하였다 즉 앞서 실행된 일반인 나노기술 인식 조사와 전문가조사에서 같

은 질문 항목에 대해 어떠한 차이가 발견되었는지 확인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5gt 일반인 Vs 전문가 나노기술 인식 차이 비교

분석 결과 종합적으로 나노기술 관련 혜택 및 신뢰는 전문가들이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반면 혁신장벽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함을 확인하였다 이

는 실제로 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의 인식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시켜주는 자료이며

ldquo객관적인 사실 여부를 떠나rdquo나노전문가들의 관련 기술 정책 개발 시 이러한 인

식 차이를 인지하고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를 시사하는 결과

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본 조사는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현재 인식하는 각 세부 산업의 중요도와

기술수준을 평가하게 하였다 중요도란 전체 나노산업 분야에서 아래의 각 세부

나노산업이 차지하는 상대적 중요도(1거의중요하지않음 3보통 5매우중요함)를

의미하며 기술수준이란 최고 기술 보유국 대비 각 세부 국내 나노산업의 상대적

기술 수준을 평가(1최하위권 3보통 5최고선진국)한 것을 의미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9

lt그림 36gt 나노산업별 중요도 및 상대적 기술 수준 평가

분석 결과 전문가들은 나노소재 산업의 중요도를 가장 높게 평가하며 나노전

자(소자) 산업의 기술 수준을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노바이오

의료 산업은 중요도에 비해 기술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평가하고 있어 이 부

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 다른 산업에

비해 중요도와 기술수준이 낮게 평가되어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원이 필요함

을 알 수 있었다

5 Diffusion Model을 적용한 나노산업의 미래 규모 예측 결과

51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존 연구는 지금까지 논의한 Diffusion Model 일반소비자 조사 산업전문가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국내 나노시장의 2025년 매출 규모를 예측하였다 구체적인 방

법론을 다시 한 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Diffusion Model에 2010~2014

년까지의 실제 산업 매출 데이터와 전문가로부터 도출된 2015~2018년까지의 예상 매

출 데이터를 모델에 적용한 후 계수값인 p와 q 값을 추정하였다 이후 추정된 p

q 값을 Diffusion Model에 다시 적용하여 2015년부터 2025년까지 나노시장의 매

출액 규모를 최종 예측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0

Diffusion Model은 기본적으로 연속형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제안되었으나

Bass(1969)는 본 연구와 같이 이산형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는 모델도 함께 제시

하였다 본 연구는 나노산업 매출 데이터를 연도별로 획득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산형 모델을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모델의 형태는 다음

과 같다

S(t) t기의 매출액

N(t) t기까지 누적 매출액

M 시장의 최종적인 잠재 누적매출액

p 혁신계수 (coefficient of innovation)

q 모방계수 (coefficient of imitation)

일반적으로 Diffusion Model 관련 연구들은 추정값의 안정성을 위해 최종 잠재

규모인 M 값을 함께 추정하기보다 외부의 정보를 통해 모형에 직접 대입하는 것

을 추천한다(Putsis Jr and Srinivasan 2000 Mahajan et al 1990)

본 연구 역시 나노산업의 시장 매출액 데이터가 적기 때문에 모형 모수 추정의

불안정성이 존재한다 이 경우 역시 p q M 값을 모두 추정하기보다 외부 정보를

활용해 M값을 도출해내는 것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형의 M 값을 외부적 정보를 통해 계산해내었다 구체적인 도출 근거는 다음과

같다

나노산업은 기본적으로 제조업 산업에 소속되어 있으며 2014년 현재 발표 기준

으로 전체 제조업 산업에서 약 89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2025년 전체

나노시장의 잠재규모의 최대치는 2025년 제조업 산업의 매출 규모를 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물론 극단적으로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산업을 넘어서는 규모로 성장할 가능

성도 없지 않으나 현재 나노기술이 대부분 기존 제조업 기술을 대체하는 과정에

서 성장하고 있고 아직까지는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89로 작기 때문에

2025년이라는 기간 내에 전체 제조업 산업의 최대치를 넘어설 정도로 성장한다고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1

예상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체 제조업 시장이 지금과 같은 연평균성장률을 유지한다고

가정하고(2010년~2014년까지 연평균 26 성장) 2010년부터 2025년까지의 전체

제조업 시장의 잠재누적매출액을 나노시장의 M값으로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전

체 제조업산업의 2010년도 매출액은 약 1340조원이며 2014년 약 1490조원을 거

쳐 2025년 약 1980조원 시장으로 계산되었다 이때 2010~2025년까지의 누적 매출

액은 약 2경6천5백조원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이 값을 M 값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확산모형의 모수 추정방법으로는 앞서 정리한 바와 같이 크게 회귀분석을

활용하는 OLS(Ordinary Least Square) 우도추정함수를 활용한 ML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관찰치와 예측치의 차이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함수를 설정

한 후 모수를 삼차원 공간에서 추정하는 NLS(Non-linear Least Square) 등의 방법

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중에서 지금까지 가장 안정적이고 좋은 성과를 보인다고 평가받고 있는 NLS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도 Nonlinear estimation 방법을 활용하여 p q값을 추정

하였으며 이때 Levenberg-Marquardt algorithm을 사용하였다 지금까지의 설명한

추정 방법을 통해 최종 예측된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는 다음과 같다

lt그림 37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최종 분석 결과 국내 나노시장은 2020년 약 346조원을 거쳐 2025년 약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된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대비 약 504배(504) 성장

전망된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전문가 조사 시 예측값의 최소값과 최대값 응답을 확보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2

위에 제시된 667조원은 평균값 기준이며 만약 전문가 조사 결과의 최대값을 반영

할 경우 2025년 기준 811조원까지 성장이 예상되며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2025년

기준 534조원까지 성장이 예상된다 즉 시장을 가장 부정적으로 전망하더라고

2014년 대비 최소 약 4배의 성장이 예상되며 만약 최대한 긍정적으로 바라볼 경

우 약 6배에 이르는 성장이 예상된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8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최소값 평균값 최대값 비교)

평균값 최대값 최소값을 기준으로 2010년부터 2025년 각 연도별 매출액을 표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아래 표에서 2010년부터 2014년까지는 실제 나노산업

매출액 값이며 2015년부터 2025년까지가 Diffusion Model을 통해 예측된 값이다

lt표 20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2010 880470 880470 880470 2011 922854 922854 922854 2012 1290529 1290529 1290529 2013 1386939 1386939 1386939 2014 1322930 1322930 1322930 2015 1735686 1660302 1803485 2016 1996260 1875811 2107675 2017 2294292 2117633 2461458 2018 2634533 2388455 2872154 2019 3022133 2691095 3347877 2020 3462610 3028467 3897522 2021 3961789 3403531 4530702 2022 4525722 3819232 5257638 2023 5160564 4278422 6088963 2024 5872403 4783764 7035429 2025 6667048 5337626 8107480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3

lt그림 39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한편 본 연구는 전체 제조업이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 26를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해 보았다 전체 제조업은 초기 성장 단계를 지나 이미 성숙기에 도달한 산업

이고 모든 제조업을 종합한 결과치로서 향후 급속한 변화가 진행되지 않을 것으

로 기대되기 때문에 연평균 성장률을 적용해도 무리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분석 결과 2014년 기준 전체 제조업에서 89를 차지하는 나노산업이 2025년

기준 3368 비중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나노산업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약 25p 증가함을 의미하며 앞으로 나노기술이 전체 제조업의

상당수를 점유하는 수준까지 성장할 수 있을 것임을 기대하게 한다

lt표 21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단위 억원)

  제조업 매출 합계 나노산업 매출 예측 나노산업 비중

2010 13395480 880470 657

2011 15023530 922854 614

2012 15114951 1290529 854

2013 14957302 1386939 927

2014 14865742 1322930 890

2015 15257862 1735686 1138

2016 15660324 1996260 1275

2017 16073403 2294292 1427

2018 16497377 2634533 1597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4

  제조업 매출 합계 나노산업 매출 예측 나노산업 비중

2019 16932535 3022133 1785

2020 17379171 3462610 1992

2021 17837588 3961789 2221

2022 18308097 4525722 2472

2023 18791017 5160564 2746

2024 19286675 5872403 3045

2025 19795407 6667048 3368

제조업의 2015~2025년 매출액 합계는 2010~2014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 26를 적용하여 도출함

52 세부 산업별 매출액 예측

본 연구는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각 세부

산업별 매출액을 나누어 도출하였다 이를 순서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나노소재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

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0조5천억원 대비 143161 성장할 것으로 예측

된 것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205조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10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6)

lt그림 40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6) 나노소재 산업이 특별히 고성장할 것이라는 예측 결과는 사전에 실시된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 조사(이곳에 정확한 보고서 이름 명기 필요)에서 나노소재 예상 매출액(2014~2018)이 상당히 높게 예측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결과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lsquo조사에 참여한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다양한 중간재로 투입되는 나노기술을 나노소재 산업으로 인식하여 객관적인 사실보다 소재 산업을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했을 가능성이 있다lsquo라고 평가한 의견이 있었음을 밝혀둔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5

lt표 22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2010 87191 87191 87191 2011 111370 111370 111370 2012 96651 96651 96651 2013 144391 144391 144391 2014 104664 104664 104664 2015 189068 174387 198871 2016 233173 207981 252008 2017 287479 247989 319229 2018 354301 295609 404194 2019 436454 352257 511478 2020 537351 419593 646764 2021 661109 499565 817073 2022 812669 594442 1031017 2023 997914 706863 1299050 2024 1223787 839874 1633696 2025 1498380 996963 2049695

나노전자(소자)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511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19조원 대비 4282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

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598조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429조원

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41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6

lt표 23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2010 770863 770863 770863

2011 785380 785380 785380

2012 1170282 1170282 1170282

2013 1215753 1215753 1215753

2014 1193383 1193383 1193383

2015 1516825 1457375 1573551

2016 1731242 1637921 1821832

2017 1972768 1838296 2105366

2018 2243828 2059983 2427787

2019 2546746 2304383 2792607

2020 2883611 2572743 3203008

2021 3256119 2866071 3661548

2022 3665365 3185037 4169800

2023 4111604 3529850 4727903

2024 4593963 3900123 5334038

2025 5110141 4294726 5983862

나노바이오의료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1조3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되

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7천억원 대비 1795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1조8천억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1조1천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4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7

lt표 24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2010 2718 2718 2718

2011 2934 2934 2934

2012 4444 4444 4444

2013 4126 4126 4126

2014 7249 7249 7249

2015 4870 5338 5406

2016 5373 5744 6100

2017 5928 6180 6883

2018 6540 6649 7765

2019 7216 7154 8762

2020 7961 7698 9885

2021 8783 8282 11153

2022 9690 8911 12583

2023 10691 9587 14197

2024 11795 10315 16017

2025 13013 11098 18071

마지막으로 나노장비기기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4조6천억원 규모로 성

장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조8천억원 대비 25810 성장할 것으로 예

측된 것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5조6천억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

우 3조5천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43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8

lt표 25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2010 19698 19698 19698 2011 23170 23170 23170 2012 19152 19152 19152 2013 22669 22669 22669 2014 17634 17634 17634 2015 24923 23201 25657 2016 26472 24164 27735 2017 28117 25168 29980 2018 29863 26213 32407 2019 31717 27301 35030 2020 33686 28434 37865 2021 35777 29613 40928 2022 37997 30842 44237 2023 40354 32121 47814 2024 42857 33453 51678 2025 45514 34839 55852

지금까지 분석한 각 산업별 성장률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재 가장 최

근값인 2014년 대비 2025년 예상 매출액의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lt표 26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연도별 세부산업별 데이터 (단위 억원 )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국내 나노산업은 나노소재 산업이 가장 큰 성장 잠

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 다음으로 나노전자(소자) 나노장비기기

나노바이오의료 순서로 예상되었다

단 본 조사는 당시 가장 최근값인 2013년 데이터까지 활용하여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실제 2014년도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전년도 대비 매우 큰 폭으

로 상승하였기 때문에 본 조사의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미래 예상 매출액이 과

소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나노바이오 산업은

201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493를 보였는데 2014년 전년 대비 17569으로 성

장하여 과거와는 다른 급격한 성장을 보였다

  2014년 (성장 예상) 2025년 성장률()

나노소재 104664 rarr 1498380 143161

나노전자(소자) 1193383 rarr 5110141 42821

나노바이오의료 7249 rarr 13013 17951

나노장비기기 17634 rarr 45514 25810

Total 1322930 rarr 6667048 50396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9

한편 전체 나노산업 매출에서 각각의 산업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44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lt표 27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위의 표와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2025년 기준 전체 나노시장에서 나노소재

2247 나노전자(소자) 7665 나노바이오의료 020 나노장비기기 068를 차

지할 전망이다 2014년 현재 기준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비중이 줄어들고 나노소

재 산업의 비중이 크게 늘어날 전망으로 파악된다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 여전히 적은 비중을 차지할 전망이다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종합

2025년

예상매출1498380 5110141 13013 45514 6667048

비중() 2247 7665 020 068 100

Vs

2014년

현재매출104664 1193383 7249 17634 1322930

비중 791 9021 055 133 100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0

53 민감도 분석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531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예측치 보정할 경우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최근 나노산업에서 바이오의료 분야가 급속히 성장하였

다 다음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010년부터 점진적인 상승세를 보이던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14년 약 2배에 가까운 급성장을 기록하였다

lt그림 45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최근 급속한 성장세

(단위 억원)

그런데 본 연구가 진행된 시점은 2014년 매출액 발표 직전이었기 때문에 조사

에 참여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전문가들은 2013년까지의 매출 변화만을 보고

미래 매출액(2014~2018년)을 예측하였다 실제로 산업전문가들의 2014년 나노바이

오의료 산업 매출액 예상액은 4430억원이었다 즉 실제 매출액값 대비 3889

적게 예측한 것이다

lt표 2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2014년 예상 매출액 Vs 실제 매출액

  나노바이오의료

2014 예측값 4430

2014 실제값 7249

오류 -3889

이에 따라 본 연구의 Diffusion Model에 적용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15~2018년

전문가 매출 예측액도 이와 같이 과소평가되어 도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91

본 연구는 2015년~2018년값을 2014년 과소평가된 만큼 상향 보정한 후 다시 2025년

나노시장 매출 규모를 예측하였다

이 경우 나노바이오시장은 2025년 평균 기준 4조6천억원 시장으로 성장되며 이

는 2014년 대비 62965 성장을 전망하게 한다 전체 나노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

도 약 068로 다소 상승될 것으로 예상되나 전체 나노시장 규모에 전반적으로

큰 영향은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lt그림 46gt 2025년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예상 매출액 (보정값)

lt그림 47gt 2025년 국내 나노산업별 비중 비교 (보정값)

한편 이렇게 보정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매출액 예측을 국내 나노시장 전

체 매출액에 적용할 경우 국내 전체 나노시장은 670조원 규모로 추가 상승할 여

력이 발생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2

lt그림 4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보정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산업 매출 예상

532 나노소재 전자 산업 수준으로 발전할 경우

본 연구 분석 결과 2014년 현재 2025년 모두 나노전자(소자) 나노소재 산업이

나노산업 매출에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직까지 나노바이오의료

산업과 나노장비기기 산업은 전체 나노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미미한 편이다

이는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예측치값을 보정하였을 경우에도 큰 차이 없이 발

견된 공통적 현상이었다

이는 국내 나노산업에서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

우 크고 앞으로도 이 분야에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고 해석할 수 있는 결과

이다 본 연구는 만약 모든 산업이 나노전자(소자) 혹은 나노소재 산업과 같이 고

성장할 경우 국내 나노산업이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지 시나리오 기반의 민감

도 분석을 실시해보았다 즉 나노산업을 최대한 긍정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경우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지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각 나노산업별로 혁신계수(p) 모방계수(q)를 각각 추정하였기 때문에

특정 산업에서 추정된 계수를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경우 어떠한 변화

가 관측될지 분석이 가능하다

먼저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소재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

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한편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전자

(소자)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준 약 1411조원 시장으

로 성장 전망되었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93

lt그림 49gt 모든 산업이 나노전자 혹은 나노소재 산업 수준으로 성장할 경우

lt표 29gt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 성장 적용 시 예상 매출액

  기존 예측값 나노소재 수준 나노전자(소자)수준

2010 880470 880470 880470

2011 922854 922854 922854

2012 1290529 1290529 1290529

2013 1386939 1386939 1386939

2014 1322930 1322930 1322930

2015 1735686 1583819 3929768

2016 1996260 1942178 4499727

2017 2294292 2377810 5146455

2018 2634533 2905467 5878440

2019 3022133 3541772 6704519

2020 3462610 4304962 7633691

2021 3961789 5214339 8674840

2022 4525722 6289290 9836377

2023 5160564 7547763 11125754

2024 5872403 9004111 12548875

2025 6667048 10666299 14109365

533 혁신계수(p)가 상승할 경우

Diffusion Model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형의 p q값을 추정하여 미래 수요

를 예측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추정된 p q값에 따라 미래 확산 패턴은 매

우 다양한 특징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에서 각 세부 나노산업별로 추정된 p q 값

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4

lt표 30gt 나노산업별 p q 추정값 비교

그런데 본 연구 결과 관찰된 나노산업의 특징은 다른 일반적인 산업의 확산모형

추정값에 비해 p값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일반 소비재 산업의

경우 대부분의 p값은 001~01 사이에서 추정되는 경우가 많다

lt그림 50gt 일반적인 소비재 제품의 혁신계수값 비교

물론 본 연구는 최종 수용자 인원 기준 추정이 아닌 매출액 기준 추정이고 일

반 소비재와는 다른 B2B 제품이 많은 나노산업의 특성상 직접적인 비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와 비슷한 기반 산업이라 볼 수 있는 반도체 시장의

한 연구에서 얻어진 p q 추정값과 비교해도 나노전자 산업을 제외하면 일반적으

로 혁신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김진 고경일 2014의

연구에서 p = 00006 q = 00509)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p 000023 000291 000001 000007

q 023464 015098 010333 006226

R square 093 096 062 061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95

lt그림 51gt 다른 연구(김진 고경일 2014)에서 추정된 p q 값의 예

일반적으로 Diffusion Model의 혁신계수(p)는 같은 제품을 이미 받아들인 소비자

들의 영향 없이 기업의 마케팅 활동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독자적으로 해당 제품을

수용하는 효과를 의미한다(Bass 1969 Mahajan et al 1990) 반대로 모방계수(q)가

높을 경우 나와 같은 주변 소비자들이 해당 제품을 많이 받아들이는 것에 영향을

받아서 제품을 수용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p를 혁신계수 q를

모방계수라고 부르게 된다

이를 본 연구의 나노산업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해석이 가능하다 p값이 낮다

는 것은 나노기업들이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독자적으로 나노제품을 개발하여 시

장에 내놓는 것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다른 나노제품 생산 기

업들이 얼마나 많은 제품을 개발 출시하는지 아직 눈치를 보고 있는 실정이라고

도 유추해 볼 수 있다 나노산업에서 p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q값은 바로 이

러한 모방효과가 나노산업에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이라고 해석할 수 있기 때

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만약 나노 관련 정부기관 등의 적극적인 투자 지원 등이 실행되

어 시장의 혁신계수(p) 값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경우의 국내 나노시장 매출 예측액

이 얼마나 크게 변화할 수 있을지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6

lt그림 52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lt표 31gt 혁신계수값 변화에 따른 나노산업 예측 규모 비교

(단위 억원)

  기존예측값 15p 2p

2010 880470 877752 880470

2011 922854 919920 922854

2012 1290529 1286085 1290529

2013 1386939 1382813 1386939

2014 1322930 1315681 1322930

2015 1735686 2149136 2574977

2016 1996260 2467240 2950618

2017 2294292 2829300 3376107

2018 2634533 3240309 3856425

2019 3022133 3705491 4396561

2020 3462610 4230213 5001356

2021 3961789 4819856 5675311

2022 4525722 5479653 6422356

2023 5160564 6214488 7245601

2024 5872403 7028659 8147069

2025 6667048 7925604 9127423

물론 구체적으로 어떤 정책과 지원을 실행할 경우 15p 2p가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세 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만 본 연구는 현재 나노산업의

혁신계수가 외부적인 노력에 의해 추가 상승될 경우 향후 국내 나노산업 시장이

더욱 성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존재함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97

제5장결론 및 시사점

1 결과 요약

나노산업은 국가 미래 발전을 위한 핵심 성장 동력 중 하나로 최근 본격적인

성장 산업으로서의 모습을 갖추며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향후 나노산업이 국내

산업과 국민 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안할 때 나노산업의 확산 및 미래 시장

규모 예측은 필수적이다

모든 나노산업 정책의 출발점은 미래 시장 규모 예측에 근거한다 정부 및 관련

연구기관 나노기업들의 미래 투자 및 고용 제품 생산 규모 등 거의 모든 사항은

국내 나노시장이 얼마나 더 성장할 것인지에 대한 예측을 활용할 수밖에 없기 때

문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 나노산업의 미래 예측은 해외 유명 기관 학자들의 의견

을 그대로 따르거나 혹은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을 활용한 단순한 방법론에

의해 추정된 것이 대부분이다 일례로 Roco 박사가 제시한 2020년 나노산업 3조

달러 성장 예측은 국내외 다양한 보고서 신문자료 등에서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과거 연평균성장률은 이미 성숙기에 도달한 안정적 산업에 적용하

는 것이 적합하며 나노기술과 같이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

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하

고자 하였다 Diffusion Model이라는 계량적 모델과 일반소비자 조사 나노산업 전

문가 의견 조사라는 정성적 방법을 종합하여 2025년 국내 나노기술 시장 규모를

예측하였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나노기술 시장은 2025년 약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전망되었으며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시장 대비 약 504배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만약 전체 제조

업이 2010~2014년 연평균성장률 26를 유지한다고 가정할 경우 2014년 기준 현

재 전체 제조업에서 89를 차지하는 나노산업이 2025년 기준 3368으로 비중

확대될 전망이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8

lt표 32gt 주요 결과 요약

구분 주요 결과 요약

2025년 국내 전체 나노시장 규모

- 평균값 기준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대비 약 504배(504) 성장 예상

- 최대값 기준 8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 최소값 기준 534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2025년 국내 나노소재 시장 규모- 202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143161 성장 예상

2025년 국내 나노전자(소자) 시장 규모- 2025년 약 511조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42821 성장 예상

2025년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시장 규모- 2025년 약 1조3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17951 성장 예상

2025년 국내 나노장비기기 시장 규모- 2025년 약 4조6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25810 성장 예상

전체 제조업에서 나노산업의 비중

- 2014년 기준 전체 제조업에서 89를 차지하는 나노산업이

2025년 3368 비중으로 확대될 전망

- 나노산업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약 25p 증가함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14년 급격한 성장 반영할 경우

민감도 분석

- 2025년 평균 기준 4조6천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62965 성장 예상

- 이 경우 전체 나노산업 시장도 670조원으로 다소 늘어날 전망

모든 나노산업이

나노소재 산업과 같은 패턴으로 성장할 경우

민감도 분석

- 2025년 평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모든 나노산업이

나노전자(소자) 산업과 같은 패턴으로 성장할

경우 민감도 분석

- 2025년 평균 기준 약 14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나노산업의 혁신계수(p)가 증가할 경우

민감도 분석

- 혁신계수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

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

-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 나노시장

은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

한편 전문가 예측 의견의 최대값 최소값을 각각 Diffusion 모형에 반영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의 최대값은 811조 최소값은 534조로 각각 예측되

었다

또한 나노산업을 세부 산업으로 구분할 경우 2025년 나노소재 150조원 나노전

자(소자) 511조원 나노바이오의료 13조원 나노장비기기 46조원 시장을 각각 형

성할 전망이다 이를 산업별 비중으로 비교하면 2025년 기준 전체 나노시장에서

나노소재는 2247 나노전자(소자)는 7665 나노바이오의료는 020 나노장비

기기는 068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2014년 현재와 비교할 경우 나노

소재 시장의 비중이 늘어나고 나노전자(소자) 시장의 비중이 다소 줄어들 것을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99

예측하게 한다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에는 여전히 적은 비중

을 차지할 전망이다

한편 본 연구는 몇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한 민감도 분석도 실시하였다 우선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2014년도 특별히 크게 성장한 점을 반영하여 예측값을 보

정할 경우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25년 4조6천억원 시장으로 예상되며 이 경

우 나노시장의 총규모도 670조원으로 상승 예상된다

만약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소재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전망되었다 또한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전자(소

자)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준 약 14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전망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투자 지원 확대 등으로 혁신계수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량적 정성적 방법을 종합하여 국내 나노시장의 매출 규모를 예측

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시장 매출 데이터가 아직 적은 편이어서 향후 매출 예측

결과값이 민감하게 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지속적으로 활용

하여 나노시장 예측값을 계속 보완해나갈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도출 및 제언

본 연구 결과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앞으로 국내 나노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나노관련 정부 기관 및 나노기업들은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

된 산업별 시장 규모에 적합한 투자 정책 개발 등 적극적인 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특별히 나노산업을 계속적으로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나노소재와 나노전자

(소자) 산업의 성장 배경을 면 히 분석하여 이를 나노 전 산업으로 공통적으로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반대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과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

우에는 상대적으로 성장이 크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추가 지원 및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에 앞서 실행된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및 나노산업 전문가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0

의견 조사와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향후 나노산업의 추가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시장에서 급속한 성장을 보이는 나노산업이지만

여전히 일반소비자들은 나노기술의 지각된 위험 등 혁신 저항 요인을 많이 인식

한다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2014년 현재 약 130조원의 나노산업이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6년 실시된

조사에서 일반적인 소비자들은 나노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대부분 lsquo사용한 적 없

다 혹은 잘 모르겠다rsquo라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나노기술 관련 정보를 제시하는

동영상을 시청한 후 나노기술 특징 품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급격하게 증

가함 역시 확인하였다 이는 나노기술의 혜택에 대한 홍보가 적절히 실시될 경우

현재의 성장 속도보다 더욱 빠른 나노산업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해주

는 결과이다

향후 나노기업 및 정책 개발자들은 일반 소비자들이 어떤 부분에서 나노기술의

혜택을 크게 느끼고 어떤 부분에서 위험 요인을 많이 인식하는지 보다 면 히 파

악하여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단기적 나노산업 매출 예측치를

Diffusion Model의 주요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다 하지만 앞서 실행된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 조사에서 산업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의 나노기술 인식 차이가 존재함

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칫 나노산업에 대한 시장 예측이 다소 긍정적으로 예측되

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전문가들이 나노기술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나치

게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나노산업의 매출도 긍정적으로 예측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나노산업이 더욱 성장하기 위해서는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수용이 절대적

이다 앞으로 이와 같은 나노산업 인식 및 매출 예측 조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

어 시장 매출 예측치의 값을 계속 업데이트해가며 보완해나갈 필요가 있다

3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나노산업의 미래 시장 규모 예측은 모든 나노 관련 정책의 가장 기본적인 토대

이다 본 조사 결과는 각종 나노산업 통계 및 예측의 기초 자료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으며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 방향 및 전략 도출을 위한 세부적인 분석 및 시

사점 제안을 가능하게 한다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01

예를 들어 국내 나노기업은 본 조사 결과를 활용해 향후 나노시장의 성장에 대

비한 적절한 투자와 인력 충원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나노 관련

정책을 개발하는 정부 기관 연구소들도 미래 나노시장의 잠재적 규모에 근거한

관련 정책을 개발 및 지원할 수 있다

본 조사는 이를 위해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

근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수많은 나노 관련 연구들이 가장 중요한

미래 시장 규모 예측에 있어 비교적 단순한 방법을 적용했음을 감안할 때 본 연

구가 향후 국내 나노산업이 보다 체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나노시장 예측을 기존처럼 해외 유명 학자 기관 등의 자료에 의존하지 않고 국

내에서 스스로 체계적으로 도출해낼 수 있다는 점은 향후 우리나라가 나노기술

분야의 최고 선진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초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단 현

재 국내의 나노산업 매출 데이터가 아직 충분하지 않아 예측 결과값이 민감하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향후 지속적인 업데이트 과정을 통해 미래 나노산업 예측을

계속하여 보완해나가야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2

참 고 문 헌

교육과학기술부(2012) 나노소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제조 및 활용 기준 확립과

사회적 영향연구 교육과학기술부

구훈영 민대기(2013) ldquo델파이 활용 신재생 에너지 수요예측과 장기전원 구성의

경제성 평가rdquo 대한산업공학회지 39(3) 183-191

권성훈 홍순기(2009) ldquo델파이 기술예측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에 관한 연구rdquo

기술혁신연구 17(1) 97-117

권순동 이승률 (2015) ldquoBass확산모형과 특허정보를 이용한 한국형 오픈소스 모션

플랫폼의 기술수요예측rdquo 대한산업공학회지 11 2271-2275

김병수(2009) ldquo기술성장모형에 기반한 기술수준평가방법론 연구rdquo 한국과학기술

기획평가원 연구보고서 2010(23) 1-244

김상훈(2008) 하이테크마케팅 박영사

김석필 정상기 김동현 정다래 권으뜸 김명순(2013) ldquo나노기술 상용화 현황 진

단과 혁신과제rdquo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김선아 김호정 홍용석(2013) ldquo나노물질 안전관리 동향 및 제도 도입에 관한 고

찰rdquo 환경정책연구 12(3) 49-71

김영욱 이현승(2014) ldquo미디어 레퍼토리 위험특성과 위험커뮤니케이션 인식이 원

자력 수용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rdquo 한국위기관리논집

10(4) 1-25

김원제 송해룡 김찬원(2016) ldquo과학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신뢰가 위험

인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나노기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위기관리논집

12(1) 69-81

김준현(2015)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신기술의 기술영향평가 나노기술의 사

회 영향평가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경영컨설팅학과 경영컨설팅

김진 고경일(2014) ldquo비선형회귀 확산모형을 이용한 반도체 시장수요 추정rdquo 디지

털정책연구 12(3) 141-147

김찬원 송해룡 김원제(2015) ldquo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전문가그룹 인식을 중심

으로rdquo 한국위기관리논집 11(6) 121-135

참고문헌

103

남기웅 박상성 신영근 정원교 장동식(2010) ldquo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의 예측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산학기술학회 10(10) 2923-2934

박덕용 이난영 이상호(2008) ldquo나노기술을 이용해 제작한 불소함유 접착필름의

치아우식증 예방효과rdquo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5(4) 662- 670

박희제(2013) ldquo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수용도rdquo 농촌사회 23(1)

327-367

반영주 고영훈 김우성 매유진 목진경 조한규(2014) ldquo나노마스크와 황사마스크

에 의한 토너가루와 담배연기 필터링 효과 비교rdquo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

회 자료집 2014(12) 233-235

배성훈 신광민 윤진선 강상규 김준현 성기완 이기광(2015) ldquo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나노기술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분석rdquo 산업

경영시스템학회지 38(3) 49-55

배성훈 신광민 윤진선 강상규 이솔희(2015) ldquo나노기술의 영향 평가 연구 사회

환경 문화 건강 안전을 중심으로rdquo 나노기술정책센터

산업통상자원부(2014) 2014나노융합산업 조사 보고서 산업통상자원부나노융합

산업협력기구산업연구원

산업통상자원부(2015) 2015 나노융합산업조사 산업통상자원부나노융합산업협력

기구

성지은 황만성(2012) 후기현대사회의 위험관리를 위한 형법 및 형사정책 연구

(Ⅰ)-나노공학기술과 위험관리 형사정책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손동민 문성현 정봉주(2014) ldquo국내 RFID 시장의 확산 분석 및 예측 모형rdquo 대한

산업공학회지 40(4) 415-423

송해룡 김원제(2015) ldquo다차원적 접근을 통한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신뢰가 위험인

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효과rdquo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36(-) 37-60

예기훈 성아영(2010) ldquo금 나노입자를 포함한 안의료용 고분자의 합성 및 물성에

관한 연구rdquo 대한화학회지 54(2) 222-227

오규운 김경훈(2016) ldquo나노기술의 디자인윤리경영과 나노기업의 사회적 책임rdquo

한국과학예술포럼 24(-) 265-276

오미영 외(2008) ldquo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 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용에 미치는 영향rdquo 한국언론

학보 52(1) 467-500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4

왕재선(2013) ldquo신뢰와 원자력 수용성rdquo 한국정책학회보 22(1) 235-266

위키백과(2015) 나노기술

윤승욱(2009) ldquoIPTV의 수용결정요인에 대한 연구rdquo 언론과학연구 9(1) 162-197

이세준 이윤준 홍정임(2008) ldquo통합적 미래연구 방법론의 탐색 및 적용rdquo 과학기

술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8(16) 1-229

이정진 김영훈 배은주 이수승 곽병규 최경희 이종협(2008) ldquo대한민국에서의

나노물질 위해성에 관한 일반인전문가 인식 설문조사rdquo 환경독성보건학회

지 23(4) 247-256

채현석 정재우 김종달(2016) ldquoBass 확산모형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수요예측rdquo 한

국환경정책학회 24(1) 109-132

최종후 강현철(2001)ldquo확산모형과 성장곡선모형을 이용한 중장기 수요예측에 관

한 연구rdquo 응용통계연구 14(2) 233-243

한민규 김병수 유지연 변순천(2010) ldquo기술성장모형에 기반을 둔 기술수준평가

결과 및 시사점 - 바이오칩센서기술을 중심으로rdquo 기술혁신학회지 13(2)

252-281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ldquo델파이기법을 적용한 생체인식시스템 기술예측rdquo 한

국산학기술학회 11(9) 3204-3209

Adams D A Nelson R R and Todd P A(1992) ldquo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Us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 Replicationrdquo MIS Quarterly

227-247

Ajzen I(1985)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rdquo

Action-control Springer Berlin Heidelberg 11-39

Bandura A(1977) ldquo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rdquo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Bass F(1969) ldquoA New Product Growth Model for Consumer Durablesrdquo Management

Science 15(5) 215-227

Bass F Krishnan T and Jain D(1994) Why the Bass Models Fits without Decision

Variablesrdquo Marketing Science 13 202-223

Biemans W G(1992) Managing Innovation within Networks Routledge

Butler J K(1991) ldquoToward Understanding and Measuring Conditions of Trust

Evolution of a Conditions of Trust Inventoryrdquo Journal of Management 17(3)

참고문헌

105

643-663

Canary D J and Seibold D R(1984) Attitudes and Behavior An Annotated

Bibliography Praeger Publishers

Covello V T Slovic P and Von Winterfeldt D(1986) Risk Communi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National Emergency Training Center

Cvetkovich G (1999)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nd R

Louml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Earthscan Publications

Ltd London 53ndash61

Davies J C(2008) Nanotechnology Oversight Washington DC Project on Emerging

Nanotechnologies

Davis F D(1989) ldquo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rdquo MIS Quarterly 319-340

Davis F D Bagozzi R P and Warshaw P R(1992) ldquo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to Use Computers in the Workplace1rdquo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2(14) 1111-1132

Dockner E and Jorgensen S(1988) Optimum Advertising Policies for Diffusion

Model of New Product Innovation in Monopolistic Situationsrdquo Management

Science 34(1) 119-130

Earle T C(2010) ldquoTrust in Risk Management A Model‐Based Review of Empirical

Researchrdquo Risk Analysis 30(4) 541-574

Earle T Siegrist M Gutscher H (2010) Trust Risk Perception and the TCC Model

of Cooperation In Earle T Siegrist M Gutscher H (Eds) Trust in Risk

Management Uncertainty and Scepticism in the Public Mind (pp 1-50) London

England Earthscan

Fishbein M and Ajzen I(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Flynn J Burns W Mertz C K and Slovic P(1992) ldquoTrust as a Determinant of

Opposition to a High‐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Analysis of a

Structural Modelrdquo Risk Analysis 12(3) 417-429

Fujita Y(2006) ldquoPerception of Nanotechnology Among General Public in Japanrdquo

Asia Pacific Nanotech Weekly 4 (6) 2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6

Hobson D W(2009) ldquoCommercialization of Nanotechnologyrdquo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Nanomedicine and Nanobiotechnology 1(2) 189-202

Kalil T A(2005) ldquoNanotechnology and the Valley of Deathrdquo Nanotechnol Law Bus

2(3) 265-268

Karahanna E Straub D W and Chervany N L(1999) ldquo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Across Time A Cross-Sectional Comparison of Preadoption and

Postadoption Beliefsrdquo MIS Quarterly 183-213

Kasperson R E Golding D and Tuler S(1992) ldquoSocial distrust as a Factor in

Siting Hazardous Facilities and Communicating Risksrdquo Journal of Social Issues

48(4) 161-187

Keeney S Hasson F and McKenna H(2011) The Delphi Techniquerdquo The Delphi

Technique in Nursing and Health Research 1-17

Kellens W Terpstra T and De Maeyer P(2013)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of Flood Risks A Systematic Review of Empirical Researchrdquo Risk Analysis

33(1) 24-49

Luhmann N(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in D

Gambetta(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Padstow

Cornwall Basil Blackwell Ltd 94-107

Macoubrie J(2004) Public Perceptions about Nanotechnology Risks Benefits and

Trustrdquo Journal of Nanoparticle Research 6(4) 395-405

Mahajan V Muller E and Bass F M(1990) New Product Diffusion Models

Market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Researchrdquo Journal of Marketing 54

1-26

McNeil R D Lowe J Mastroianni T Cronin J and Ferk D(2007) Barriers to

Nano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inal Report Prepared for US Department of

Commerce Technology Administrationrdquo Univercity of illinois at Springfield IL

httpswww ntis govpdfReport-BarriersNanotechnologyComme rcialization pdf

Midden C J and Huijts N(2009) The Role of Trust in the Affective Evaluation of

Novel Risks The Case of CO2 Storagerdquo Risk analysis 29(5) 743-751

Nel A Xia T Maumldler L and Li N(2006) Toxic Potential of Materials at the

Nanolevelrdquo Science 311(5761) 622-627

참고문헌

107

Oh S Lehto X Y and Park J(2009) Travelers Intent to Use Mobile

Technologies as a Function of Effort and Performance Expectancyrdquo Journal of

Hospitality Marketing amp Management 18(8) 765-781

Paton D(2008) Risk Communication and Natural Hazard Mitigation How Trust

Influences its Effectiveness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Global Environmental

Issues 8(1-2) 2-16

Putsis Jr W P and Srinivasan V(2000) Estimation Techniques for Macro Diffusion

Modelsrdquo New-Product Diffusion Models 11

Ram S(1987) A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rdquo NA-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ume 14

Ram S and Sheth J N(1989) ldquoConsumer Resistance to Innovations The Marketing

Problem and its Solutionsrdquo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6(2) 5-14

Roco M C(2014) Nanotechnology Research Trends in the USrdquo Korea-US Nano

Forum Seoul September 29

Roco M C Mirkin Chad A and Hersam M C(2010) WTEC Panel Report on

Nanotechnology Research Directions for Societal Needs in 2020 Retrospective

and Outlook Springer-Verlag New York

Rogers E M and Everett M(2003) Diffusion of Innovations 5th Edition Free

Pressrdquo New York

Rogers E M(1995) Definition of Innovation 4th Edition Free Press New York

Rogers E M(2003)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5thed) New York NY The Free

Press 2003

Roselius T(1971) ldquoConsumer Rankings of Risk Reduction Methodsrdquo Journal og

Marketing 35(-) 56-6

Rousseau D M Sitkin S B Burt R S and Camerer C(1998) ldquoNot so Different

After All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3) 393-404

Schmittlein D and V Mahajan(1982) ldquo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an

Innovation Diffusion Model of New Product Acceptancerdquo Marketing Science

1(1) 57-78

Seong J E and Hwang M S(2012) Studies on the Risk-Governing Criminal Law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8

and Criminology in the Late-modern Society (1) Risk-governance Criminal

Justice and Criminology in Nanotechnologyrdquo Series of Research 3 1-52

Shah J and and Higgins E T(1997) Expectancy times Value Effects Regulatory Focus

as Determinant of Magnitude and Directionrdquo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3) 447-458

Sheth J N(1981) ldquoPsychology of Innovation Resistance The Less Developed

Concept in Diffusion Researchrdquo Research in Marketing 4 273-282

Siegrist M and Cvetkovich G(2000) Perception of Hazards The Role of Social

Trust and Knowledgerdquo Risk Analysis 20(5) 713-720

Siegrist M Cousin M E Kastenholz H and Wiek A(2007) Public Acceptance

of Nanotechnology Foods and Food Packaging The Influence of Affect and

Trustrdquo Appetite 49(2) 459-466

Slovic P(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rdquo Risk Analysis 13(6)

675-682

Srinivasan V and Charlotte H M(1986) ldquoNonlinear Least Squares Estimation of

New Product Diffusion Modelsrdquo Marketing Science 5(2) 169-178

Trettin L and Musham C(2000) Is Trust a Realistic Goal of Environmental Risk

Communicationrdquo Environment and Behavior 32(3) 410-426

Van den Bulte C and Lilien G L(1997) Bias and Systematic Change in the

Parameter Estimates of Macro-level Diffusion Modelsrdquo Marketing Science 16(4)

338-353

Van den Bulte C and Stremersch S(2004) Social Contagion and Income

Heterogeneity in New Product Diffusion A Meta-Analytic Testrdquo Marketing

Science 23(4) 530-544

Venkatesh V and Bala H(2008) ldquoTechnology Acceptance Model 3 and a Research

Agenda on Interventionsrdquo Decision Sciences 39(2) 273-315

Venkatesh V and Davis F D(2000) ldquo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rdquo Management Science 46(2)

186-204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and Davis F D(2003) ldquo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rdquo MIS Quarterly 27(3)

참고문헌

109

425-478

Venkatraman N Loh L and Koh J(1994) The Adoption of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s a Test of Competing Diffusion Modelsrdquo Management Science

40(4) 496-507

Vernon R (1966) International Investment and International Trade in the Product

Cyclerdquo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90-207

Wachinger G Renn O Begg C and Kuhlicke C(2013) The Risk Perception

Paradoxmdashimplications for Governance and Communication of Natural Hazardsrdquo

Risk Analysis 33(6) 1049-1065

Wiesner M R G V Lowry K Jones J M H Gochella R T Di Giulio E

Casman and E S Bernhardt(2009) Decreasing Uncertainties in Assessing

Environmental Exposure Risk and Ecological Implications of Nanomaterialsrdquo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3(17) 6458-6462

Wittmaack K(2007) In Search of the Most Relevant Parameter for Quantifying Lung

Inflammatory Response to Nanoparticle Exposure Particle Number Surface Area

or Whatrdquo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87-194

Zaltman G and Wallendorf M(1983) Consumer Behavior Basic Findings and

Management Implications New York John wiley and Son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인 쇄

발 행

발 행 인

발 행 처

주 소

전 화

인 쇄 처

2017년 4월

2017년 4월

한 선 화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02)3299-6253

(주)승림디엔씨 (02)2271-2581

lt비매품gt

ltlt ASCII85EncodePages false AllowTransparency false AutoPositionEPSFiles true AutoRotatePages None Binding Left CalGrayProfile (Dot Gain 20) CalRGBProfile (sRGB IEC61966-21) CalCMYKProfile (US Web Coated 050SWOP051 v2) sRGBProfile (sRGB IEC61966-21) CannotEmbedFontPolicy Error CompatibilityLevel 14 CompressObjects Tags CompressPages true ConvertImagesToIndexed true PassThroughJPEGImages true CreateJobTicket false DefaultRenderingIntent Default DetectBlends true DetectCurves 00000 ColorConversionStrategy CMYK DoThumbnails false EmbedAllFonts true EmbedOpenType false ParseICCProfilesInComments true EmbedJobOptions true DSCReportingLevel 0 EmitDSCWarnings false EndPage -1 ImageMemory 1048576 LockDistillerParams false MaxSubsetPct 100 Optimize true OPM 1 ParseDSCComments true ParseDSCCommentsForDocInfo true PreserveCopyPage true PreserveDICMYKValues true PreserveEPSInfo true PreserveFlatness true PreserveHalftoneInfo false PreserveOPIComments true PreserveOverprintSettings true StartPage 1 SubsetFonts true TransferFunctionInfo Apply UCRandBGInfo Preserve UsePrologue false ColorSettingsFile () AlwaysEmbed [ true ] NeverEmbed [ true ] AntiAliasColorImages false CropColorImages true ColorImageMinResolution 300 Color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ColorImages true ColorImageDownsampleType Bicubic ColorImageResolution 300 ColorImageDepth -1 ColorImageMinDownsampleDepth 1 Color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ColorImages true Color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ColorImages true ColorImageAutoFilterStrategy JPEG ColorACS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Color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JPEG2000ColorACS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JPEG2000Color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AntiAliasGrayImages false CropGrayImages true GrayImageMinResolution 300 Gray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GrayImages true GrayImageDownsampleType Bicubic GrayImageResolution 300 GrayImageDepth -1 GrayImageMinDownsampleDepth 2 Gray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GrayImages true Gray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GrayImages true GrayImageAutoFilterStrategy JPEG GrayACS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Gray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JPEG2000GrayACS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JPEG2000Gray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AntiAliasMonoImages false CropMonoImages true MonoImageMinResolution 1200 Mono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MonoImages true MonoImageDownsampleType Bicubic MonoImageResolution 1200 MonoImageDepth -1 Mono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MonoImages true MonoImageFilter CCITTFaxEncode MonoImageDict ltlt K -1 gtgt AllowPSXObjects false CheckCompliance [ None ] PDFX1aCheck false PDFX3Check false PDFXCompliantPDFOnly false PDFXNoTrimBoxError true PDFXTrimBoxToMedia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SetBleedBoxToMediaBox true PDFXBleedBoxToTrim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OutputIntentProfile () PDFXOutputConditionIdentifier () PDFXOutputCondition () PDFXRegistryName () PDFXTrapped False CreateJDFFile false Description ltlt ARA ltFEFF06270633062A062E062F0645002006470630064700200627064406250639062F0627062F0627062A002006440625064606340627062100200648062B06270626064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645062A064806270641064206290020064406440637062806270639062900200641064A00200627064406450637062706280639002006300627062A0020062F0631062C0627062A002006270644062C0648062F0629002006270644063906270644064A0629061B0020064A06450643064600200641062A062D00200648062B0627062606420020005000440046002006270644064506460634062306290020062806270633062A062E062F06270645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648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6250635062F0627063100200035002E0030002006480627064406250635062F062706310627062A0020062706440623062D062F062B002E0635062F0627063100200035002E0030002006480627064406250635062F062706310627062A0020062706440623062D062F062B002Egt BGR ltFEFF04180437043f043e043b043704320430043904420435002004420435043704380020043d0430044104420440043e0439043a0438002c00200437043000200434043000200441044a043704340430043204300442043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8002c0020043c0430043a04410438043c0430043b043d043e0020043f044004380433043e04340435043d04380020043704300020043204380441043e043a043e043a0430044704350441044204320435043d0020043f04350447043004420020043704300020043f044004350434043f0435044704300442043d04300020043f043e04340433043e0442043e0432043a0430002e002000200421044a04370434043004340435043d0438044204350020005000440046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80020043c043e0433043004420020043404300020044104350020043e0442043204300440044f044200200441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43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43800200441043b0435043404320430044904380020043204350440044104380438002egt CHS ltFEFF4f7f75288fd94e9b8bbe5b9a521b5efa7684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65876863900275284e8e9ad88d2891cf76845370524d53705237300260a853ef4ee54f7f752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548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4ee553ca66f49ad87248672c676562535f00521b5efa768400200050004400460020658768633002gt CHT ltFEFF4f7f752890194e9b8a2d7f6e5efa7acb7684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65874ef69069752865bc9ad854c18cea76845370524d5370523786557406300260a853ef4ee54f7f752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548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4ee553ca66f49ad87248672c4f86958b555f5df25efa7acb76840020005000440046002065874ef63002gt CZE ltFEFF005400610074006f0020006e006100730074006100760065006e00ed00200070006f0075017e0069006a007400650020006b0020007600790074007600e101590065006e00ed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16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06b00740065007200e90020007300650020006e0065006a006c00e90070006500200068006f006400ed002000700072006f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e00ed0020007400690073006b00200061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e002000200056007900740076006f01590065006e00e9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90020005000440046002000620075006400650020006d006f017e006e00e90020006f007400650076015900ed007400200076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50063006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10020006e006f0076011b006a016100ed00630068002egt DAN ltFEFF004200720075006700200069006e0064007300740069006c006c0069006e006700650072006e0065002000740069006c0020006100740020006f0070007200650074007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72002c0020006400650072002000620065006400730074002000650067006e006500720020007300690067002000740069006c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d007500640073006b007200690076006e0069006e00670020006100660020006800f8006a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74002e0020004400650020006f0070007200650074007400650064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720020006b0061006e002000e50062006e006500730020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6c006c00650072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f00670020006e0079006500720065002egt DEU ltFEFF00560065007200770065006e00640065006e0020005300690065002000640069006500730065002000450069006e007300740065006c006c0075006e00670065006e0020007a0075006d002000450072007300740065006c006c0065006e00200076006f006e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4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6e002c00200076006f006e002000640065006e0065006e002000530069006500200068006f0063006800770065007200740069006700650020005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d0044007200750063006b0065002000650072007a0065007500670065006e0020006d00f60063006800740065006e002e002000450072007300740065006c006c007400650020005000440046002d004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6b00f6006e006e0065006e0020006d00690074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75006e0064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f0064006500720020006800f600680065007200200067006500f600660066006e00650074002000770065007200640065006e002egt ESP ltFEFF005500740069006c0069006300650020006500730074006100200063006f006e0066006900670075007200610063006900f3006e00200070006100720061002000630072006500610072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50004400460020006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61006400650063007500610064006f00730020007000610072006100200069006d0070007200650073006900f3006e0020007000720065002d0065006400690074006f007200690061006c00200064006500200061006c00740061002000630061006c0069006400610064002e002000530065002000700075006500640065006e002000610062007200690072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500610064006f007300200063006f006e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79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e0065007300200070006f00730074006500720069006f007200650073002egt ETI ltFEFF004b00610073007500740061006700650020006e0065006900640020007300e400740074006500690064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6500740073006500200074007200fc006b006900650065006c007300650020007000720069006e00740069006d0069007300650020006a0061006f006b007300200073006f00620069006c0069006b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9006400650020006c006f006f006d006900730065006b0073002e00200020004c006f006f006400750064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730061006100740065002000610076006100640061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d00690064006500670061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e0069006e0067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a00610020007500750065006d006100740065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f006e00690064006500670061002e000d000agt FRA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30065007a00200063006500730020006f007000740069006f006e00730020006100660069006e00200064006500200063007200e9006500720020006400650073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73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70006f0075007200200075006e00650020007100750061006c0069007400e90020006400270069006d007000720065007300730069006f006e00200070007200e9007000720065007300730065002e0020004c00650073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73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e900e90073002000700065007500760065006e0074002000ea0074007200650020006f007500760065007200740073002000640061006e0073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0610069006e007300690020007100750027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74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e007300200075006c007400e90072006900650075007200650073002egt GRE ltFEFF03a703c103b703c303b903bc03bf03c003bf03b903ae03c303c403b5002003b103c503c403ad03c2002003c403b903c2002003c103c503b803bc03af03c303b503b903c2002003b303b903b1002003bd03b1002003b403b703bc03b903bf03c503c103b303ae03c303b503c403b5002003ad03b303b303c103b103c603b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3c003bf03c5002003b503af03bd03b103b9002003ba03b103c42019002003b503be03bf03c703ae03bd002003ba03b103c403ac03bb03bb03b703bb03b1002003b303b903b1002003c003c103bf002d03b503ba03c403c503c003c903c403b903ba03ad03c2002003b503c103b303b103c303af03b503c2002003c503c803b703bb03ae03c2002003c003bf03b903cc03c403b703c403b103c2002e0020002003a403b10020005000440046002003ad03b303b303c103b103c603b1002003c003bf03c5002003ad03c703b503c403b5002003b403b703bc03b903bf03c503c103b303ae03c303b503b9002003bc03c003bf03c103bf03cd03bd002003bd03b1002003b103bd03bf03b903c703c403bf03cd03bd002003bc03b5002003c403bf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3c403b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3ba03b103b9002003bc03b503c403b103b303b503bd03ad03c303c403b503c103b503c2002003b503ba03b403cc03c303b503b903c2002egt HEB ltFEFF05D405E905EA05DE05E905D5002005D105D405D205D305E805D505EA002005D005DC05D4002005DB05D305D9002005DC05D905E605D505E8002005DE05E105DE05DB05D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5D405DE05D505EA05D005DE05D905DD002005DC05D405D305E405E105EA002005E705D305DD002D05D305E405D505E1002005D005D905DB05D505EA05D905EA002E002005DE05E105DE05DB05D90020005000440046002005E905E005D505E605E805D5002005E005D905EA05E005D905DD002005DC05E405EA05D905D705D4002005D105D005DE05E605E205D505E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5D5002D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5D505D205E805E105D005D505EA002005DE05EA05E705D305DE05D505EA002005D905D505EA05E8002E05D005DE05D905DD002005DC002D005000440046002F0058002D0033002C002005E205D905D905E005D5002005D105DE05D305E805D905DA002005DC05DE05E905EA05DE05E9002005E905DC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E002005DE05E105DE05DB05D90020005000440046002005E905E005D505E605E805D5002005E005D905EA05E005D905DD002005DC05E405EA05D905D705D4002005D105D005DE05E605E205D505E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5D5002D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5D505D205E805E105D005D505EA002005DE05EA05E705D305DE05D505EA002005D905D505EA05E8002Egt HRV (Za stvaranje Adobe PDF dokumenata najpogodnijih za visokokvalitetni ispis prije tiskanja koristite ove postavke Stvoreni PDF dokumenti mogu se otvoriti Acrobat i Adobe Reader 50 i kasnijim verzijama) HUN ltFEFF004b0069007600e1006c00f30020006d0069006e0151007300e9006701710020006e0079006f006d00640061006900200065006c0151006b00e90073007a00ed007401510020006e0079006f006d00740061007400e100730068006f007a0020006c006500670069006e006b00e1006200620020006d0065006700660065006c0065006c015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6d006f006b0061007400200065007a0065006b006b0065006c0020006100200062006500e1006c006c00ed007400e10073006f006b006b0061006c0020006b00e90073007a00ed0074006800650074002e0020002000410020006c00e90074007200650068006f007a006f00740074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6d006f006b00200061007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e9007300200061007a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c0020007600610067007900200061007a002000610074007400f3006c0020006b00e9007301510062006200690020007600650072007a006900f3006b006b0061006c0020006e00790069007400680061007400f3006b0020006d00650067002egt ITA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a007a006100720065002000710075006500730074006500200069006d0070006f007300740061007a0069006f006e006900200070006500720020006300720065006100720065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70006900f900200061006400610074007400690020006100200075006e00610020007000720065007300740061006d0070006100200064006900200061006c007400610020007100750061006c0069007400e0002e00200049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9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500610074006900200070006f00730073006f006e006f0020006500730073006500720065002000610070006500720074006900200063006f006e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e006900200073007500630063006500730073006900760065002egt JPN ltFEFF9ad854c18cea306a30d730ea30d730ec30b951fa529b752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658766f8306e4f5c6210306b4f7f75283057307e305930023053306e8a2d5b9a30674f5c62103055308c305f0020005000440046002030d530a130a430eb306f3001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304a30883073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4ee5964d3067958b304f30533068304c3067304d307e305930023053306e8a2d5b9a306b306f30d530a930f330c8306e57cb30818fbc307f304c5fc59808306730593002gt KOR ltFEFFc7740020c124c815c7440020c0acc6a9d558c5ec0020ace0d488c9c80020c2dcd5d80020c778c1c4c5d00020ac00c7a50020c801d569d55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bb38c11cb97c0020c791c131d569b2c8b2e4002e0020c774b807ac8c0020c791c131b41c00200050004400460020bb38c11cb294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bc0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c774c0c1c5d0c11c0020c5f40020c2180020c788c2b5b2c8b2e4002egt LTH ltFEFF004e006100750064006f006b0069007400650020016100690075006f007300200070006100720061006d006500740072007500730020006e006f0072011700640061006d00690020006b007500720074006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73002c0020006b00750072006900650020006c0061006200690061007500730069006100690020007000720069007400610069006b007900740069002000610075006b01610074006f00730020006b006f006b007900620117007300200070006100720065006e006700740069006e00690061006d00200073007000610075007300640069006e0069006d00750069002e0020002000530075006b0075007200740069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10069002000670061006c006900200062016b007400690020006100740069006400610072006f006d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9007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10072002000760117006c00650073006e0117006d00690073002000760065007200730069006a006f006d00690073002egt LVI ltFEFF0049007a006d0061006e0074006f006a00690065007400200161006f00730020006900650073007400610074012b006a0075006d00750073002c0020006c0061006900200076006500690064006f0074007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73002c0020006b006100730020006900720020012b00700061016100690020007000690065006d01130072006f00740069002000610075006700730074006100730020006b00760061006c0069007401010074006500730020007000690072006d007300690065007300700069006501610061006e006100730020006400720075006b00610069002e00200049007a0076006500690064006f006a006900650074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73002c0020006b006f00200076006100720020006100740076011300720074002000610072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75006e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c0020006b0101002000610072012b00200074006f0020006a00610075006e0101006b0101006d002000760065007200730069006a0101006d002egt NLD (Gebruik deze instellingen om Adobe PDF-documenten te maken die zijn geoptimaliseerd voor prepress-afdrukken van hoge kwaliteit De gemaakte PDF-documenten kunnen worden geopend met Acrobat en Adobe Reader 50 en hoger) NOR ltFEFF004200720075006b00200064006900730073006500200069006e006e007300740069006c006c0069006e00670065006e0065002000740069006c002000e50020006f00700070007200650074007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7200200073006f006d00200065007200200062006500730074002000650067006e0065007400200066006f00720020006600f80072007400720079006b006b0073007500740073006b00720069006600740020006100760020006800f80079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74002e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6e00650020006b0061006e002000e50070006e006500730020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6c006c0065007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6c006c00650072002000730065006e006500720065002egt POL ltFEFF0055007300740061007700690065006e0069006100200064006f002000740077006f0072007a0065006e00690061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f300770020005000440046002000700072007a0065007a006e00610063007a006f006e00790063006800200064006f002000770079006400720075006b00f30077002000770020007700790073006f006b00690065006a0020006a0061006b006f015b00630069002e00200020004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900200050004400460020006d006f017c006e00610020006f007400770069006500720061010700200077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90065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90020006e006f00770073007a0079006d002egt PTB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a006500200065007300730061007300200063006f006e00660069006700750072006100e700f50065007300200064006500200066006f0072006d006100200061002000630072006900610072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d00610069007300200061006400650071007500610064006f00730020007000610072006100200070007200e9002d0069006d0070007200650073007300f50065007300200064006500200061006c007400610020007100750061006c00690064006100640065002e0020004f0073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900610064006f007300200070006f00640065006d0020007300650072002000610062006500720074006f007300200063006f006d0020006f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20006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20007600650072007300f50065007300200070006f00730074006500720069006f007200650073002egt RUM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a00610163006900200061006300650073007400650020007300650074010300720069002000700065006e0074007200750020006100200063007200650061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10064006500630076006100740065002000700065006e0074007200750020007400690070010300720069007200650061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000640065002000630061006c006900740061007400650020007300750070006500720069006f006100720103002e00200020004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5006c0065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500610074006500200070006f0074002000660069002000640065007300630068006900730065002000630075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15f00690020007600650072007300690075006e0069006c006500200075006c0074006500720069006f006100720065002egt RUS ltFEFF04180441043f043e043b044c04370443043904420435002004340430043d043d044b04350020043d0430044104420440043e0439043a043800200434043b044f00200441043e043704340430043d0438044f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e043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43c0430043a04410438043c0430043b044c043d043e0020043f043e04340445043e0434044f04490438044500200434043b044f00200432044b0441043e043a043e043a0430044704350441044204320435043d043d043e0433043e00200434043e043f0435044704300442043d043e0433043e00200432044b0432043e04340430002e002000200421043e043704340430043d043d044b04350020005000440046002d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4b0020043c043e0436043d043e0020043e0442043a0440044b043204300442044c002004410020043f043e043c043e0449044c044e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43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43800200431043e043b043504350020043f043e04370434043d043804450020043204350440044104380439002egt SKY ltFEFF0054006900650074006f0020006e006100730074006100760065006e0069006100200070006f0075017e0069007400650020006e00610020007600790074007600e100720061006e00690065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f0076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06b0074006f007200e90020007300610020006e0061006a006c0065007001610069006500200068006f0064006900610020006e0061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e00fa00200074006c0061010d00200061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e00200056007900740076006f00720065006e00e9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90020005000440046002000620075006400650020006d006f017e006e00e90020006f00740076006f00720069016500200076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f0063006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10020006e006f0076016100ed00630068002egt SLV ltFEFF005400650020006e006100730074006100760069007400760065002000750070006f0072006100620069007400650020007a00610020007500730074007600610072006a0061006e006a0065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f0076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06b006900200073006f0020006e0061006a007000720069006d00650072006e0065006a016100690020007a00610020006b0061006b006f0076006f00730074006e006f0020007400690073006b0061006e006a00650020007300200070007200690070007200610076006f0020006e00610020007400690073006b002e00200020005500730074007600610072006a0065006e0065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50004400460020006a00650020006d006f0067006f010d00650020006f0064007000720065007400690020007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9006e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9006e0020006e006f00760065006a01610069006d002egt SUO ltFEFF004b00e40079007400e40020006e00e40069007400e4002000610073006500740075006b007300690061002c0020006b0075006e0020006c0075006f00740020006c00e400680069006e006e00e4002000760061006100740069007600610061006e0020007000610069006e006100740075006b00730065006e002000760061006c006d0069007300740065006c00750074007900f6006800f6006e00200073006f0070006900760069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40065006a0061002e0020004c0075006f006400750074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9007400200076006f0069006400610061006e002000610076006100740061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69006c006c00610020006a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3a006c006c00610020006a006100200075007500640065006d006d0069006c006c0061002egt SVE ltFEFF0041006e007600e4006e00640020006400650020006800e4007200200069006e0073007400e4006c006c006e0069006e006700610072006e00610020006f006d002000640075002000760069006c006c00200073006b00610070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200073006f006d002000e400720020006c00e4006d0070006c0069006700610020006600f60072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d007500740073006b00720069006600740020006d006500640020006800f60067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74002e002000200053006b0061007000610064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20006b0061006e002000f600700070006e006100730020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f0063006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f00630068002000730065006e006100720065002egt TUR ltFEFF005900fc006b00730065006b0020006b0061006c006900740065006c0069002000f6006e002000790061007a006401310072006d00610020006200610073006b013100730131006e006100200065006e0020006900790069002000750079006100620069006c006500630065006b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20065006c00670065006c0065007200690020006f006c0075015f007400750072006d0061006b0020006900e70069006e00200062007500200061007900610072006c0061007201310020006b0075006c006c0061006e0131006e002e00200020004f006c0075015f0074007500720075006c0061006e0020005000440046002000620065006c00670065006c00650072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76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76006500200073006f006e0072006100730131006e00640061006b00690020007300fc007200fc006d006c00650072006c00650020006100e70131006c006100620069006c00690072002egt UKR ltFEFF04120438043a043e0440043804410442043e043204430439044204350020044604560020043f043004400430043c043504420440043800200434043b044f0020044104420432043e04400435043d043d044f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56043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44f043a04560020043d04300439043a04400430044904350020043f045604340445043e0434044f0442044c00200434043b044f0020043204380441043e043a043e044f043a04560441043d043e0433043e0020043f0435044004350434043404400443043a043e0432043e0433043e0020043404400443043a0443002e00200020042104420432043e04400435043d0456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800200050004400460020043c043e0436043d04300020043204560434043a044004380442043800200443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4420430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4300431043e0020043f04560437043d04560448043e04570020043204350440044104560457002egt ENU (Use these settings to create Adobe PDF documents best suited for high-quality prepress printing Created PDF documents can be opened with Acrobat and Adobe Reader 50 and later) gtgt Namespace [ (Adobe) (Common) (10) ] OtherNamespaces [ ltlt AsReaderSpreads false CropImagesToFrames true ErrorControl WarnAndContinue FlattenerIgnoreSpreadOverrides false IncludeGuidesGrids false IncludeNonPrinting false IncludeSlug false Namespace [ (Adobe) (InDesign) (40) ] OmitPlacedBitmaps false OmitPlacedEPS false OmitPlacedPDF false SimulateOverprint Legacy gtgt ltlt AddBleedMarks false AddColorBars false AddCropMarks false AddPageInfo false AddRegMarks false ConvertColors ConvertToCMYK DestinationProfileName () DestinationProfileSelector DocumentCMYK Downsample16BitImages true FlattenerPreset ltlt PresetSelector MediumResolution gtgt FormElements false GenerateStructure false IncludeBookmarks false IncludeHyperlinks false IncludeInteractive false IncludeLayers false IncludeProfiles false MultimediaHandling UseObjectSettings Namespace [ (Adobe) (CreativeSuite) (20) ] PDFXOutputIntentProfileSelector DocumentCMYK PreserveEditing true UntaggedCMYKHandling LeaveUntagged UntaggedRGBHandling UseDocumentProfile UseDocumentBleed false gtgt ]gtgt setdistillerparamsltlt HWResolution [2400 2400] PageSize [612000 792000]gtgt setpagedevice

Page 5: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iv

Abstract

This study systematically predicts the size of the domestic nano-market using

quantitative model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 domestic nano-market will

grow to about 667 trillion won by 2025 By industry it is expected to form a

market of 150 trillion won for nanomaterials 511 trillion won for

nanoelectronics(devices) 13 trillion won for nanobiotechnologyhealthcare and 46

trillion won for nanotechnology equi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the nano-industry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policy development of nano-related government agencies and companies

1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rsquo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nano-market size based on a systematic

and scientific methodology This study predicted the market size of domestic nano-industry in

2025 by using a ldquoDiffusion Modelrdquo which is one of the quantitative models

In this process we proposed a comprehensive forecasting methodology that reflects the

general consumersrsquo perception of nanotechnology and nano-industry expertsrsquo opinions

As we predicted the sales of each industry of nanomaterials nanoelectronics(devices)

nanobiotechnologyhealthcare nanotechnology equipment the growth potential of each

industry was compared and analyzed Also sensitivity analysis that reflects various

expert opinions and several scenarios was conducted to include various potential changes

in the future nano-market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nano-related government

agencies and companies can proactively respond to the potential growth of the future

nano-market

v

2 Survey Method and Design

In this study we first summarized the results of nanotechnology perception survey by

general consumers(Step 1) After presenting the results to experts in nano-industry we

asked experts to estimate the sales of each nano-industry market over the next five

years(Step 2) We predicted the total sales of nano-industry market in 2025 by finally

incorporating the obtained expert estimates into the fundamental data of the diffusion

model(Step 3) We then conducted a sensitivity analysis of how the market predictions

could be different by changing the modelrsquos coefficients by various scenarios

3 Major Results

Most of the existing nano-industry size forecasts are predicted by simple methods

based on the past compound annual growth rate(CAGR) or by following the opinions of

overseas famous institutions and scholars For example the growth forecast of US $ 3

trillion in nano-industry in 2020 proposed by Dr Roco is widely used in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ports and newspaper articles However the part CAGR is

suitable for a stable industry that has already reached maturity and it is limited to apply

to the rapidly growing industries such as nanotechnology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size of domestic nano-market in a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method A quantitative model called the Diffusion Model a general consumer

survey and a qualitative method of nano-industry expert survey were combined to predict

the domestic nano-market size in 2025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the domestic nano-market is expected to grow to about 667 trillion won

in 2025 and is expected to grow 504 times as much as the 130 trillion won market as

of 2014 Assuming that the entire manufacturing industry maintains a CAGR of 26

between 2010 and 2014 the nano-industry which accounts for 89 of the total

manufacturing industry as of 2014 is expected to grow to 3368 by 2025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ximum and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소비자 인식조사 최종보고서

vi

minimum values of the expert estimates are applied to the diffusion model the

maximum value of the domestic nano-market size was estimated to be 811 trillion won

and the minimum value of 534 trillion won respectively

In addition this study devides the nano-industry into nanomaterials nanoelectronics(devices)

nanobiotechnologyhealthcare nanotechnology equipment and estimates the future size of each

industry First the nanomaterials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150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143161 in 2025 from about 105 trillion won as of 2014 The nanoelectronics

(devices)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511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42821 in

2025 from about 119 trillion won as of 2014 The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13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17951 in 2025 from about 700

billion won as of 2014 Lastly the nanotechnology equipment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46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25810 in 2025 from about 18 trillion won as of

2014

In terms of growth rate the nanomaterials industry is expected to have the greatest growth

potential followed by nanoelectronics(devices) nanotechnology equipment and

nanobiotechnologyhealthcare However if we revise the forecasts to reflect the large growth

of the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in 2014 the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is expected to reach about 46 trillion won in 2025 In this case the total size of

the domestic nano-market is expected to increase to 670 trillion won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the share of each industry the share of the nanomaterials industry in the

entire nano-market is estimated to be 2247 nanoelectronics(devices) 7665

nanobiotechnologyhealthcare 020 and nanotechnology equipment 068 This

demonstrates that the share of the nanoelectronics(devices) industry will be somewhat reduced

and that the share of the nanomaterials industry will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standards

as of 2014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and nanotechnology equipment industry

are expected to remain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2014

vii

4 Conclusion and Implications

This study predicts that the domestic nano-industry will continue to grow at a rapid

pace by 2025 The future market size forecast of nano-industry is the most basic

foundation of all nano-related poli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widely used as

fundamental data of various nano-industry statistics and forecasts and it can provide

in-depth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the growth direction and strategy of domestic

nano-market For instance a nanotechnology company can take advantage of the results

of this survey to respond appropriately to proper investment and personnel recruitment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growth of the nano-market Government agencies and research

institutes developing nano-related policies can also develop and support relevant policies

based on the potential size of future nano-marke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growth of the domestic nano-market is

approached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Given that many nano-related studies have

applied relatively simple methods to predict the most important future market size this

study will help the domestic nano-industry to develop more systematically in the future

However since the sales data of the domestic nano-industry is not enough yet the

forecast result value may be sensitively chang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forecast value of the future nano-industry through a continuous update process in the

future

ix

차 례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연구 방법론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2장 주요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1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2 세부 나노산업별 시장 규모 예측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3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변화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4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분석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1 신기술 확산 및 예측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2 소비자 수용 및 혁신 저항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3 산업전문가 활용 조사 방법론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4 나노산업 관련 이론 및 발전 동향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5 문헌연구 분석 결과 시사점 도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1 나노시장 예측 방법론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2 Diffusion Model 소개 및 적용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3 일반소비자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4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4

5 Diffusion Model을 적용한 나노산업의 미래 규모 예측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51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52 세부 산업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53 민감도 분석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1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2 시사점 도출 및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

3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소비자 인식조사 최종보고서

x

표차례

lt표 1gt 나노융합산업 분야별 매출액 현황 (단위 억원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lt표 2gt 현재와 미래의 중점과학기술 나라별 기술수준 기술격차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lt표 3gt 미래 면허증 보유자(포화시장규모) 예측 (단위 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lt표 4gt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단위 대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lt표 5gt 각 확산 예측 모형 별 오차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lt표 6gt 전체 시장 규모 대비 정부 투자 비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lt표 7gt Sheth(1981)의 저항 강도에 따른 혁신저항 4가지 유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lt표 8gt 전문가 델파이 분석의 설문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

lt표 9gt 중요도 및 난이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lt표 10gt 전문가 확신도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lt표 11gt 가상의 나노기술 적용제품 세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lt표 12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속성수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lt표 13gt 세 가지 나노기술 적용 제품군 별 구매의도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1

lt표 14gt 일반인 그룹의 컨조인트 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lt표 15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세 가지 제품군의 효용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lt표 16gt 본 연구의 기본 전제 및 해결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lt표 17gt 나노기술의 특징 품질 혁신성 이해 정도 비교 (동영상 시청전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lt표 18gt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추이 (단위 억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4

lt표 19gt 최종 나노산업 전문가 집단 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lt표 20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lt표 21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lt표 22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5

lt표 23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lt표 24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lt표 25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lt표 26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연도별 세부산업별 데이터 (단위 억원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lt표 27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lt표 2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2014년 예상 매출액 Vs 실제 매출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lt표 29gt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 성장 적용 시 예상 매출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lt표 30gt 나노산업별 p q 추정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lt표 31gt 혁신계수값 변화에 따른 나노산업 예측 규모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6

lt표 32gt 주요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8

xi

그림차례

lt그림 1gt 2020년 글로벌 나노시장 3조달러 자료를 인용한 신문 보도자료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

lt그림 2gt 과거 연평균 성장률 적용의 가상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lt그림 3gt 본 연구의 특징 및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lt그림 4gt 본 연구의 방법론 및 단계적 흐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lt그림 5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lt그림 6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단위 억원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lt그림 7gt 국내 나노소재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lt그림 8gt 국내 나노전자(소자)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lt그림 9gt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lt그림 10gt 국내 나노장비기기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lt그림 11gt 전체 나노산업 중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 비중 변화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lt그림 1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전문가 예상 매출액 보정 후 나노시장 총규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lt그림 13gt p q값을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으로 적용할 경우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lt그림 14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 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lt그림 15gt Bass(1969) 모형의 분석적 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lt그림 16gt 바이오칩 센서기술의 성장곡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

lt그림 17gt 모션플랫폼 확산 실제값 예측값 데이터 비교 세계와 한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lt그림 18gt 총 자동차 시장 대비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lt그림 19gt 세 모형 간 원데이터와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lt그림 20gt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lt그림 21gt 국내 RFID 확산 예측 모형과 실제 데이터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lt그림 22gt 각 모형별 확산 예측과 실제 데이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lt그림 23gt 델파이기법의 실행 절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0

lt그림 24gt 델파이 조사 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lt그림 25gt 생체인식 시스템 기술수준 중요도 난이도 종합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lt그림 26gt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도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lt그림 27gt 일반인과 전문가의 나노제품에 대한 지각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lt그림 28gt 일반인전문가 나노기술의 위해성 인식여부와 불안감여부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lt그림 29gt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나노산업 영향력 도출 방법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lt그림 30gt 나노기술 인식 조사 변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0

lt그림 31gt 일반 소비자의 나노기술 나노제품 사용 여부 인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lt그림 32gt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정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lt그림 33gt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과정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

lt그림 34gt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측값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lt그림 35gt 일반인 Vs 전문가 나노기술 인식 차이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lt그림 36gt 나노산업별 중요도 및 상대적 기술 수준 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소비자 인식조사 최종보고서

xii

lt그림 37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lt그림 38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최소값 평균값 최대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lt그림 39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lt그림 40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lt그림 41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5

lt그림 4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lt그림 43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lt그림 44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lt그림 45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최근 급속한 성장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lt그림 46gt 2025년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예상 매출액 (보정값)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lt그림 47gt 2025년 국내 나노산업별 비중 비교 (보정값)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lt그림 4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보정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산업 매출 예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lt그림 49gt 모든 산업이 나노전자 혹은 나노소재 산업 수준으로 성장할 경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lt그림 50gt 일반적인 소비재 제품의 혁신계수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lt그림 51gt 다른 연구(김진 고경일 2014)에서 추정된 p q 값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

lt그림 52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6

Table of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Summary of Research Methodolog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Chapter 2 Major Result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1 Summary of Forecasts of Total Domestic Nano-market Size in 2025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2 Summary of Market Size Forecasts by Sub-nano-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3 Summary of Sales Change by Nano-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4 Summary of Scenario-Based Sales Change Analysis Result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Chapter 3 Literature Review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1 Expansion and Prediction of New Technologi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2 Adoption Intention and Innovation Resistance of Consume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3 Industrial Experts-based Survey Methodolog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4 Nano-industry Related Theory and Development Tren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5 Drawing Implications from Literature Review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Chapter 4 Summary of Forecasts of Total Domestic Nano-market Size in 2025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1 Summary of Nano-market Forecast Methodolog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2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Direction of Diffusion Mod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3 Survey Results Summary of Nanotechnology Perception of Consumer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4 Survey Results Summary of Nano-industry Exper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4

5 Forecast Results of Future Nano-indudstry Size Applying Diffusion Model middotmiddot 79

51 Forecasts of Total Size of Nano-marke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52 Sales Forecast by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53 Sensitivity Analysis Scenario-based Sales Chang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Chapter 5 Conclusion and Implication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1 Summary of Result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2 Drawing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

3 Expected Effects and Application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

Referenc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제1장 서 론

1

제1장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나노산업의 성장이 계속되면서 나노기술 및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

가하고 있다 2016년 발표 자료1)에 따르면 2014년도 나노융합산업 매출액은 총

132조2930억원으로 전체 제조업 대비 약 9를 차지하였다 이는 지난 5년간 매년

연평균 107 성장한 수치이며 같은 기간 전체 제조업 매출액의 연평균 성장률

26보다 약 4배 정도 높은 성장률이다

lt표 1gt 나노융합산업 분야별 매출액 현황 (단위 억원 )

분야별 매출액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연평균 성장률

나노소재 87191 111370 96651 144391 104664 47

나노전자 770863 785380 1170282 1215753 1193383 115

나노바이오의료 2718 2934 4444 4126 7249 278

나노장비기기 19698 23170 19152 22669 17634 -27

나노융합산업 합계 880470 922854 1290529 1386939 1322930 107

제조업 합계 13395480 15023530 15114951 14957302 14865742 26

자료 2016년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일반적으로 나노융합산업이란 ldquo나노기술을 활용하여 나노융합제품을 생산하는

산업rdquo으로 나노융합제품은 ldquo100nm 이하의 크기에서 인위적 조작을 통해 혁신적

인 기능을 창출하는 제품rdquo으로 정의하고 있다 나노기술의 발전과 함께 시장에 새

롭게 출시되는 나노제품들이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도 나노산업의 발전은 계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나노기술이 향후 국민 소비와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할 때 나노산

업의 미래 성장 예측은 필수적이다 미래 나노시장의 규모 예측에 기반해 정부의

관련 정책 개발 및 기업의 투자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정부기

1) 2016년 12월 산업통상자원부가 국내 나노융합기업 59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발표한 ldquo2015 국내 나노융합산업 실태조사rdquo 결과 자료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

관 및 많은 나노관련 연구소들은 나노산업의 성장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

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 규모에 대해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KISTEP에서 발행한 한 연구 보고서2)에서도 언

급되었듯이 현재 나노관련 시장의 규모의 예측은 다양한 방식으로 추정되는 상

황이며 시장 전망 조사 전문 기관의 시장 예측 규모도 조사 기관 간에 매우 큰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추정하는 방법은 대체로 해외 유명 기관 혹은

학자의 예측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혹은 글로벌 예상 매출액에 단순히 목표

점유율을 계산하여 국내 시장의 미래 규모를 예측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나노비지니스 얼라이언스(NanoBusiness Alliance) 나노기술산

업 컨설팅사인 럭스리서치(Lux Research) 일본 미쯔비시 연구소 등에서 발표하는

나노관련 시장의 규모 및 성장률 자료를 그대로 인용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Roco 박사가 제시한 2020년 글로벌 나노시장 3조달러 예상(Roco et

al 2010) 수치는 국내 다양한 연구기관과 신문 보도 자료들에서 여러 차례 활용

되고 있다

lt그림 1gt 2020년 글로벌 나노시장 3조달러 자료를 인용한 신문 보도자료들

2) 김석필 외(2014) ldquo나노기술 상용화 현황 진단과 혁신과제rdquo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연구보고 2014-016

제1장 서 론

3

그런데 이와 같은 자료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과거 나노산업의 연평균 성장률

(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을 대입하여 단순하게 미래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했다는 것이다 즉 과거의 성장률을 기반으로 미래의 시장을 예측하

는 방법을 활용한 것이다

이 방법은 다양한 산업에서 비교적 쉽게 사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나노산업 이

외에도 일상적으로 자주 활용되는 방법이다 하지만 연평균성장률 적용 방법은

성숙기에 접어든 안정적인 산업 혹은 저성장 산업에 적용할 경우 보다 적합한 방

법이다 일례로 아래 그림과 같은 두 가지 가상의 예를 제시할 수 있다

lt그림 2gt 과거 연평균 성장률 적용의 가상 예

위의 두 경우 연평균성장률은 115로 동일하다 하지만 성장 패턴을 비교할

때 왼쪽 나노전자(A)의 경우 향후 추가적인 성장이 기대되지만 오른쪽 나노전자

(B)의 경우 점차 하락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즉 두 가지 사례가 서로 다른 모습

의 성장 과정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연평균 성장률은 시작값과 마지막값의 차이

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같은 수치를 보이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이미 충분히 성장한 성숙기 산업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

을 수 있다 어느 정도 성장이 완료된 이후에는 성장 패턴에 큰 차이가 없기 때문

에 과거 연평균 성장률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연구의 초점인 나노산업의 경우 현재 급속한 성장이 진행되고 있으며 세부 산업

별 성장 패턴도 다양한 편이다 즉 과거 연평균 성장률이 미래에도 안정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실제로 2020년 3조달러 시장을 제안했던 Roco 박사도 2014년 한 발표에서 2011

년 이전 연평균 성장률 25를 보였던 나노산업이 2011~2013년 전세계적으로 연평

균 44 성장했다고 하였다(Roco 2014) 즉 과거의 나노산업 성장 예측 기대치보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

다 최근 더욱 빠른 성장세가 발견된 것이다 이 역시 과거 연평균 성장률이라는

단순한 계산에 의해 나노산업의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한계가 있을 수 있음 보여

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문제점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보

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하고자 한다 우

리나라가 앞으로 나노 선진국으로 한 걸음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 해외 자

료에만 의존할 수 없다 이제 국내 독자적으로 나노시장을 예측하고 미래 시장

규모에 적절한 체계적 대응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나노시장

의 규모 예측은 모든 나노 관련 정책의 가장 밑받침이 될 것이기 때문에 본 연구

와 같은 시도는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처럼 나노시장 예측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국내 나노관련

연구들은 기술 중심 현황 분석 중심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예를 들어 국내외

나노산업의 단순 현황(ex 산업별 매출액 나노융합기업 사업체 수 고용인원

RampD투자액 등)을 조사하거나 기술 발전 동향 조사 나노기술의 부작용 위험성

조사 사업화 역량 조사 등이 주를 이루었다 즉 다른 산업의 연구에 비해 계량적

이고 체계적인 연구 및 방법론 활용이 부족하였고 무엇보다 가장 기본이 되는 수

요예측의 과학적 접근이 부족하였다

국내 나노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이제 계량적이고 체계적인 모형을 활

용한 예측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에서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의

견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아직 시장 데이터가 불충분하고 불확실성이

높은 나노산업의 시장 규모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산업을 가장 잘 이해하는 전문

가들의 의견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는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도 연구 결과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초기 시장을 지나 본격적인 성장기로 돌

입하기 위해서는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혜택 이해와 수용이 필수적이라고 판

단했기 때문이다 기존 문헌에서도 새로운 과학기술과 관련된 산업에서는 다양한

구성원들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예를 들어 오미영 외(2008)의 연구

에서도 과학 기술이 사회 경제적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사회 구성원들에 대한 이

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이라는 계량적인 모형을 활용해 보다 체

계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미래 규모를 예측하고자 한다 또한 나노산업

이 아직 초기 단계에 있음을 반영하여 산업 전문가 조사와 일반 소비자 조사의 의

제1장 서 론

5

견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수요예측 방법론을 제안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나노산업

의 미래 예측 결과를 통해 향후 나노 관련 정책 개발 및 나노기업의 전략 설정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논의한 본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량적 모형을

활용한 과학적인 나노기술 확산 및 성장 예측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계량적 모

형과 함께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과 최종 소비자 의견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고자

한다 셋째 다양한 서베이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정책 개발을 위

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lt그림 3gt 본 연구의 특징 및 목적

또한 본 연구는 보다 완성도 있는 결과물을 위해 특별히 다음의 세부 요건들을

최대한 만족하는 연구 결과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나노기술

이 특정한 최종 제품에만 적용되는 타겟 기술이 아닌 ldquo기반 기술rdquo이라는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둘째 나노산업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현업 전문가들의 의견

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셋째 나노기술의 확산을 위해 나노기술에 대한 지식 수

준이 낮은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을 모형에 적절히 반영해야 한다 넷째

전반적인 예측 과정의 논리적 흐름이 설득력 있고 간결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

2 연구 방법론 요약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의 연구 과정을 통해 최종적인 나노기술의 산업 영향력

을 도출할 계획이다 이를 그림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4gt 본 연구의 방법론 및 단계적 흐름

우선 본 조사는 나노제품을 사용하는 최종 소비자인 일반 사람들의 나노기술 인

식 정도를 측정할 것이다(Step 1) 특별히 나노기술에 대한 혜택 비용(혁신저항)

신뢰도 수용의도 등의 변수를 분류하고 이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측정할 것이다

이후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를 실시한다(Step 2) 나노산업을 통계청 기준에 따라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의 네 가지 산업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각 산업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상액

과 각 산업의 중요도 기술수준 평가 등을 실시한다 특이한 점은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앞서 실시한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결과를 제시한다는

것이다(그림 4에서 점선 표시)

이는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지나치게 기술 중심적 사고를 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시장을 예측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나노기술

의 경우 소비자의 잠재적 위험 인식이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고려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소비자의 인식도를 살펴본 후 관련 나노산업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

제1장 서 론

7

집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예측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지금까지의 두 가지 기본 조사를 완료한 후 본 조사의 핵심 내용인 국내 나노

시장의 미래 시장 규모를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예측한다(Step 3) 이 과정에

서 앞서 얻어진 산업 전문가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측값을 입력 자료로 포함하

여 최종적인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의 총규모와 산업별 규모를 예측한다

이와 같은 방법론을 시도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연구의 Diffusion

Model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장 매출액 초기값들이 필요하다 하지

만 현재 시장에서 집계된 나노산업 매출액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단 5년간의

데이터만 활용 가능하다 이 경우 데이터 부족으로 불안정한 추정값이 도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 나노산업의 특성을 반영해 시장을 가장 잘 파

악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나노산업 전문가의 단기적 미래 예측(2015~2018년)값을

수집해 최종적인 모형에 적용할 입력 자료의 양을 늘리고자 한다

물론 산업 전문가에게 더 많은 기간의 미래 예측값을 얻어낼 수도 있지만 불확

실성이 높은 성장 산업에 대한 중장기적 예측의 어려움을 감안해 향후 몇 년 간의

값만을 수집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일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단 이 경우 앞서 설

명한바와 같이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혹은 지나치게 기술

중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예측값을 제시하여 결과값이 과대 추정될 우려가 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일반적인 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조사

를 먼저 실행하여 해당 결과를 전문가에게 제시한 후 단기적 미래 예측값을 응답

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을 통해 본 연구는 나노산업의 초기적인 특징을 반영하면서

최대한 종합적인 시각에서 체계적으로 국내 나노산업 시장 규모를 추정하고자 계

획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계량적인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향후 나노

산업의 성장 및 영향력을 예측하는데 이 과정에서 최종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및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적극 활용할 것이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2025년 국내

나노산업의 총규모를 예측한다 그리고 산업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한 시나

리오 분석을 통해 민감도 분석을 실시할 계획이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

제2장주요 결과

1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요약

Diffusion Model 일반소비자 조사 전문가 의견조사를 종합한 방법론을 활용하

여 국내 나노산업의 매출 규모를 예측한 결과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은 약 667조

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대비 504배(504) 성

장 전망된 것이다 또한 전체 제조업이 2010~2014년 동안의 연평균성장률 26를

계속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 제조업 총매출에서 나노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89에서 2025년 3368 수준으로 비중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5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lt그림 6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단위 억원 )

제2장 주요 결과

9

2 세부 나노산업별 시장 규모 예측 요약

나노산업을 각 세부 산업별로 나누어 분석할 경우 우선 나노소재 시장은 평균

값 기준 202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

재 약 10조5천억원 대비 14316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lt그림 7gt 국내 나노소재 산업 매출액 전망

나노전자(소자)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511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19조원 대비 4282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

이다

lt그림 8gt 국내 나노전자(소자) 산업 매출액 전망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

나노바이오의료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1조3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되

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7천억원 대비 1795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lt그림 9gt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매출액 전망

나노장비기기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4조6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되었

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조8천억원 대비 25810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lt그림 10gt 국내 나노장비기기 산업 매출액 전망

제2장 주요 결과

11

3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변화 요약

본 연구의 예측치를 바탕으로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 비중을 비교하면 2014년 대

비 2025년 나노소재 산업의 매출 비중(791rarr2247)이 증가하고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매출 비중(9021rarr7665)이 하락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나노바이오

의료 산업과 나노장비기기 산업은 여전히 작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lt그림 11gt 전체 나노산업 중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 비중 변화 추이

4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분석 결과 요약

본 연구는 몇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2014

년도 급격히 성장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성장세를 감안하여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전문가 예상 매출액을 보정하여 예측한 결과 나노산업의 총매출 규모는

667조원에서 670조원으로 다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lt그림 1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전문가 예상 매출액 보정 후 나노시장 총규모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2

한편 만약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소재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

년 국내 나노산업은 평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또한 모

든 나노시장이 나노전자(소자)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

준 약 14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lt그림 13gt p q값을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으로 적용할 경우 민감도 분석

마지막으로 정부의 투자 지원 확대 등으로 나노시장의 혁신계수(P)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에는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lt그림 14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 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3

제3장관련 문헌 연구

1 신기술 확산 및 예측 연구

일반적으로 제품 서비스 기술에 대한 수요예측 방법론은 정성적인 방법론과

정량적인 방법론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성적 방법으로는 설문조사방법 주관적

예측방법 비교유추방법 등이 있으며 정량적인 방법론은 Bass 확산모형 Logistic

곡선모형 Gompertz 곡선모형 등이 있다 정성적 방법론은 주로 기존 시장의 자료

가 충분히 존재하지 않아서 수리적 모형화가 어려울 경우 소비자나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진행된다 반면 정량적 방법은

기존 시장 자료가 존재하고 이에 대한 통계적 분석이 가능할 경우 분석 자료를 통

해 앞으로의 수요패턴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정성적 방법론(qualitative method) 중 하나인 비교 유추법이란 미래 수요예측이

어려울 정도로 과거의 시장자료가 충분치 않을 때 원하는 제품과 유사한 제품의

시장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요패턴을 예측하거나 해당 제품이나 기술이 먼저 보

급화된 선진국의 수요패턴과 비교하고 답을 유추하는 과정을 통해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정성적 방법 중에는 전문가의 의견을 활용하는 주관적 예측법(subjective

estimation)이 존재하는데 이는 미래수요를 예측하고자 할 때 해당 제품 기술과

관련된 분야의 전문가들(기술담당자 마케팅 실무 담당자 관련된 기관에 근무하

는 전문가 등)의 의견을 통해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래 수요예측을 진행하며

이 주관적 예측법에는 브레인스토밍 델파이법(Delphi method) 등이 포함된다 이

중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브레인스토밍 기법은 과거에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

었지만 최근 사용되는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이며 최근 델파이 기법을 통해 정성

적 수요예측을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델파이 기법의 핵심요소는 전문가들

의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수요판단에 있

어서 다른 정성적 방법 중 비교적 객관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델파이 기

법은 분석과정에서 미래예측결과를 조사하고 또한 확인하는 과정을 다시 거치기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4

때문이다 따라서 정량화가 어려운 경우에도 나름대로 높은 신뢰성을 갖는 통계

를 보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수요예측 방법론으로는 정량적 방법(quantitative method)이 존재하는

데 과거 시장자료가 존재할 경우 이 데이터를 통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수요패턴을 예상하는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이 범주에는 시계열 모형 계량경제

모형 성장곡선 모형 등이 있다 시계열 모형은 시계열 자료에 대한 자기상관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생성되는 모형으로 대표적인 모형은 Box Jenkins의 ARIMA 모형

이며 주로 월별 매출의 변동과 같은 단기예측을 위해 사용된다 계량경제모형은

시장의 수요를 예측하려 할 때 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경제 변수

들을 파악하고 이들의 상호적 관계를 수식화해 regression하는 방법을 말한다 마

지막으로 성장곡선 모형은 신기술 신제품의 시간적 누적된 수요량의 궤적이 성

장곡선과 유사하게 완만한 S자형 모형의 곡선 형태를 보이는 점에 착안하였으며

Logistic 모형 Gompertz 모형 Bass 모형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성장곡선은 전염

병과 세포증식과 같은 생물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모형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1960년대부터 탁월한 수요예측 능력과 유용성을 인정받고 신제품 신기

술 서비스의 수요예측에 사용되어져 왔다 기술의 성장을 예측하는데 주로 활용

되는 Logistic 모형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Y는 t 시점에서 존재하는 기술 수준 k는 극한의 기술값을 뜻하며 α와 β

는 성장의 형태를 결정하는 계수를 의미한다 기술성장의 그래프 역시 기술의 극

한값 k를 기준으로 S-Curve의 곡선을 나타내게 된다

t⁰는 기술 수준의 최대값을 나타내며 이는 기술의 성숙기라고 표현할 수 있다

당기 기술수준의 최대점은 누적곡선의 변곡점이라 할 수 있으며 tsup1은 당기 기술

의 변곡점이다 이 때는 주로 성장기에 해당하며 본격적으로 해당기술이 개발되는

시점을 의미한다 성숙기와 성장기는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5

또한 곡선의 완만한 형태를 결정하게 되는 모수로는 α β가 있는데 K(기술의

극한값)가 일정할 경우 t의 시점에 따른 기술 Y가 추정이 가능하다 Logistic 곡선

은 선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α β가 추정 가능하다 Pearl과 Reed가 개발한 성

장곡선모형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Y(K-Y)는 기술변화

의 속도를 나타내며 해당 기술 발전의 속도가 현재의 기술 수준이 최대값의 기술

수준이 되기까지 남아있는 기술혁신에 해당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Gompertz 모형

은 Logistic 모형처럼 변곡점을 가지고 있지만 변곡점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비대

칭적 S자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장점으로는 좌우 대칭이라는 특성으로

해당 시장의 정확한 상황을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때 Logistic 모형과 비교해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Gompertz 모형은 변곡점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기술이나 제품 초기에 많은 성장을 보이는 경우 Logistic 모형보다 적

합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함수식은 다음과 같다

Gompertz 모형은 첨단기술 제품의 수요예측에 많이 사용되며 최근 기술발전으

로 제품 생애주기(Life Cycle)가 짧은 형태를 보임에 따라 신제품 또는 신기술의

빠른 성장을 예측하는데 더 나은 예측력을 보일 때가 많다

신제품의 수요 확산 예측을 위해 개발된 모형 중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모

형으로는 Bass가 개발한 최초구매 확산모형(First-Purchase Diffusion Model)을 말

할 수 있다 Bass 모형 연구는 내구재(TV 세탁기 등)를 제품으로 선정하였기 때문

에 소비자들이 이들 제품을 반복구매하는 상황보다는 한 개의 제품을 최초구매하

는 상황을 가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제품 수용자들의 수는 신제품의

판매숫자와 같다고 보았으며 잠재수용자들은 대중매체나 다른 사람들의 구전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영향을 받고 제품을 수용한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수용자들은 내부적 영향(구전 커뮤니케이션)과 외부적 영향(대충매체 커뮤니케이

션)의 영향에 따라 신제품을 수용하며 수용 시기에 따라 처음 수용하는 사람들을

혁신자 집단(innovators) 나머지 수용자들을 모방자 집단(imitators)으로 나누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6

Bass 모형은 아직까지 신제품을 수용한 경험이 없는 잠재구매자가 특정시점(t 시

점)에서 신제품 수용할 해저드함수(조건부함수)를 표현하며 이 함수식은 다음과

같다

이때 p는 혁신계수(Coefficient of Innovation) q는 모방계수(Coefficient of

Imitation) f(t)는 시간 t에서의 수용 확률 F(t)는 시간 t에서의 누적되는 수용 확률

을 의미한다 이때 특정시점(t 시점)에 신제품을 수용 채택하는 잠재구매자의 숫

자 s(t)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계산이 가능하다

이처럼 Bass 모형은 신제품 신기술이 최초로 채택되어 수용될 확률은 이전의

구매자 숫자의 선형함수라고 말한다

lt그림 15gt Bass(1969) 모형의 분석적 구조

BASS 확산모형은 잠재 시장 크기를 뜻하는 M 혁신계수를 뜻하는 P 모방계수

를 뜻하는 Q와 같이 세 개의 모수가 존재하는데 M은 해당 제품의 시장 최대 수

용치를 말하며 P는 대중매체와 같은 광고의 외부적 영향에 따른 계수이며 Q는

구전효과와 같은 내부적 영향에 따른 계수라 할 수 있다 Bass 모형은 Logistic 모

형이나 Gompertz 모형에 비해 모형의 세 모수가 모두 명확하고 객관적 해석이 가

능하여 의미 있는 결과 도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Logistic 모형과 Gompertz 모형을 적용한 연구로는 한민규 외(2010)의 바이오칩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7

센서기술 성장 예측 연구가 있다 이들은 국내의 미래 성장 경쟁력과 국가적 지위

향상을 위해서는 국가 수준에서 과학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현

재 국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과학기술의 데이터를 통해 현 상태를 파악하고 선진

국과의 기술수준차이 수준차이 요인 및 이를 줄이기 위해 필요한 조건 등을 파악

하고 한정된 자원의 효과적 배분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저자들은 기존 기술

수준을 평가한 연구들이 델파이 기법과 같은 방법론으로 조사한데 반해 기술성장

모형(Technology Growth Model)을 도입하여 기술수명주기에 따라 기술의 성장 모

습을 예측하였다 이들은 델파이 모형과 더불어 S-curve 모형 중 특히 Logistic모

형인 Pearl 모형과 Gompertz 모형을 사용하여 각각의 모형을 비교해 연구를 진행

하였다 기술수준의 현재와 미래 예측 분석결과 해당하는 기술의 궁극적 최대 기

술수준이 100라면 2008년 기준 국내 전체 과학기술 수준은 564 최고 기술보

유국과의 기술의 격차는 66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3년(이 연구는 2008년에

진행됨)을 예측해 보았을 때 한국과 중국은 최고기술보유국인 미국과의 격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본과 유럽연합은 미국과의 격차가 늘어나는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이는 국내의 과학기술 수준이 급격한 발전을 이룰 것이라

는 것을 전망한다

2008년 2013년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한국 564 66 635 63

미국 766 00 809 00

일본 704 17 755 20

중국 469 93 549 87

EU 729 11 776 14

lt표 2gt 현재와 미래의 중점과학기술 나라별 기술수준 기술격차 예측

자료 한민규 외(2010)

저자들은 이중 특히 바이오칩 센서기술 수준을 중점적으로 평가하였는데 바이

오 분야의 12가지 중점적 과학기술의 2008년 현재와 2013년 미래예측 기술수준

기술격차를 분석하였다 바이오칩 센서기술은 현재 최고기술 보유국인 미국와의

기술격차가 적은 편이었으며 2013년에는 이러한 기술 격차가 더욱 적어질 것으

로 예상되었다(바이오칩 센서 기술격차 2008 61년 -gt 2013 43년) 이는 바이오

칩 센서 분야의 기술이 세계적인 국가와 더욱 적은 기술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8

빠른 기술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분야를 지원한다면 세계 최고수준으로 오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lt그림 16gt 바이오칩 센서기술의 성장곡선

자료 한민규 외(2011)

기술성장곡선을 통해 도출해낸 기술수명주기의 경우 Pearl 모형의 경우 35년

Gompertz 모형의 경우 28년(Gompertz)을 도출하였으며 기술 발전 속도의 경우

Pearl 모형은 0158 Gompertz 모형의 경우 0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바이

오 분야의 다른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기술수명주기와 더욱 빠른 기술발

전 속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기술적 사회적 실현시기의 측정값이 다

른 바이오 분야의 기술 중 가장 빠른 2015년 2020년으로 나타난 점을 통해서도

나타났다 한민규 외(2010)의 연구는 기술성장모형(Pearl Gompertz)을 활용 현재

기술수준을 평가하고 수치적으로 기술수준의 미래를 평가한 연구이다 기술성장

모형은 기술에 대한 절대적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술을 더욱 객관적으로 관

측할 수 있게 도와주는데 각각의 기술분야를 세부적으로 보고 해당 분야의 미래

기술수준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해당 연구는 높은 시사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성장곡선 모형 중 Bass 모형을 적용한 연구는 권순동 이승률(2015)의 연구가 있

다 최근 스마트 공장과 같은 기술을 통한 자동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9

문에 자동화에 필요한 자동제어 생산자동화기기와 같은 모션컨트롤러장치의 필

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유럽이나 미국의 소프트웨어 컨트롤러 장치인 PLC기반 모

션컨트롤러의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는 아직 PLC의 국제표준을 완벽히

충족하는 제품의 출시가 이뤄지지 않고 있지만 전자부품연구원과 생산기술연구

원을 중심으로 이러한 국제표준을 지향하는 lsquo한국형 오픈소스 모션플랫폼

(KOSMOS)rsquo의 기술개발이 2016년 완료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으며 2017년 상용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KOSMOS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을 개발함과

동시에 제품의 기술확산을 예측하는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연구

를 진행하였다

이들은 2000~2014년까지 출원된 한국 일본 미국 유럽의 모션플랫폼 분야 기

술 모션제어기 분야 기술의 특허데이터를 확인하고 여기에서 나온 세계 데이터

와 한국데이터를 확인해 향후 20년의 특허정보를 예측하였다

lt그림 17gt 모션플랫폼 확산 실제값 예측값 데이터 비교 세계와 한국

세계 시장 한국 시장

자료 권순동 이승률(2015)

수집된 특허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Bass 모형으로 추정된 특허데이터의 산출 예

측값과 실제데이터를 비교분석한 결과 그림과 같이 실제데이터와 예측데이터 값

이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데이터와 Bass 모형을 통해 산출한 예측

데이터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냄에 따라 2035년까지의 PLC 기술(특허정보) 미

래 확산 예측을 실시하였다

세계 PLC관련 기술의 확산은 성숙기 단계로 접어들어 이미 변곡점을 넘은 것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0

알 수 있었으며 국내 PLC 기술의 추세는 성장기이며 기술확산의 속도가 더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확산의 포화상태의 경우 세계 데이터는 2025년을 국

내의 경우 2035년으로 10년이 넘는 격차를 예측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권순동 이승률(2015)의 연구는 PLC 기술 특허정보를 통해 기술확산

을 분석하였는데 국내의 경우 2030년이 넘어서야 기술 성숙기에 이를 것으로 예

상되기 때문에 기술격차를 줄이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ass 모형을 통해 실제데이터와 예측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실제와 매우 유사한 결과값이 나타난 점을 보았을 때 기술의 확산을 예측할

때 Bass 모형의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Bass 모형

의 모수추정에 있어 해당 산업의 전문가의 검증을 거치지 않았다는 점은 한계점

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ss 모형을 적용한 또 다른 연구로는 채현석 정재우 김종달(2016)의 전기자동

차 미래 수요예측 연구가 있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이미 19세기 초반에 내연기관

차보다 먼저 생산되어졌지만 당시 값싼 연료들이 나타나고 내연기관자동차가 시

장의 대부분을 장악한 필수품으로 거듭나면서 쇠퇴의 길을 걷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석유의 고갈문제 미세먼지를 비롯한 지구의 환경문제 등이 대두되면서 전

기자동차에 대한 이슈와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많은 회사들이 전기자동차를 개발

출시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채현석 정재우 김종달(2016)은 내연기관자동차

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는 전기자동차의 미래 누적수요를 Bass의 Diffusion 모형

을 사용하여 도출하였다

저자들은 기존 확산모형에서 포화시장의 규모를 고정시키지 않고 시간의 흐름

에 따라 상이하게 변화하는 포화시장을 적용하였는데 포화시장의 규모는 면허증

을 소지한 사람 수의 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미래 면허증 소지자 수를 예측하여 미

래의 연도별 포화시장의 규모를 설정하였다 이를 적용한 식은 다음과 같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1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성인인구 43304264 43736407 44145684 44529637 44822001 45051984

면허보유율 77262 78424 79586 80748 81910 83072

면허보유자 33457740 34299840 35133784 35956791 36713701 37425584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포화시장의 연도별 규모가 예측되었다

lt표 3gt 미래 면허증 보유자(포화시장규모) 예측 (단위 명)

구 분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성인인구 45253078 45401266 45546834 45724037 45930854 46096786

면허보유율 84234 85396 86558 87720 88882 90044

면허보유자 38118478 38770865 39424429 40109125 40824262 41507390

구 분 2030 2031 2032 2033 2034 2035

성인인구 46240946 46411167 46561300 46715986 46894600 47098744

면허보유율 91206 92368 93530 94692 95854 97016

면허보유자 42174517 42869067 43548784 44236301 44950350 45693317

자료 최현석 외(2016)

또한 혁신계수(p)값과 모방계수(q)값을 도출하기 위해 일본의 자동차기업인 도

요타 하이브리드의 과거 판매자료를 이용하였는데 이는 국내의 경우 전기자동차

의 판매량을 조사한 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혁신계수 모방

계수 값을 도출하였다(p= -0000123863 q= 01643282595)

과거 도요타 하이브리드 차량 데이터로 얻은 혁신계수 모방계수 값과 연도별

면허증 소지자 숫자인 포화시장 규모 예측값을 바탕으로 전기자동차의 총 누적

수요예측을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누적수요 5096472 9653628 13733868 17391699 20645273 23540681

lt표 4gt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단위 대수)

구 분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누적수요 26130695 28435214 30515473 32426076 34195417 35794262

구 분 2030 2031 2032 2033 2034 2035

누적수요 37253808 38629215 39897785 41092584 42242486 43359991

자료 최현석 외(2016)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2

lt그림 18gt 총 자동차 시장 대비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자료 최현석 외(2016)

결과적으로 미래 전기자동차는 2035년에는 내연 기관자동차들을 대신해 자동차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채현석 외(2016)의 연구에서는 포화

시장의 예측을 기존 자동차 면허증 소지자의 데이터를 토대로 미래 면허증소지자

의 숫자를 예측하는 방식으로 산정하였다는 점이 흥미롭다고 할 수 있는데 혁신

모방계수의 산정을 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판매데이터 부족으로 일본의 도요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일본 내 판매량을 바탕으로 p q 값을 도출해 내었다는 한계

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기술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을 모두 사용

한 연구로는 남기웅 외(2009)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O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

술들의 미래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기술예측 연구들은 델파이 기법

과 같이 전문가들의 직관에 의해 산정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러한 방법론은 많

은 시간과 비용과 소수전문가에 의한 왜곡으로 인해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과학적인 예측을 위해 정량적 예측을 사용하였다 또한 저자들은 특

허 데이터의 예측을 통해 미래기술 동향을 예측하였는데 이는 특허의 경우 일정

기간 동안 해당 기술을 독점할 지배권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기술의 발전과

성과의 정보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남기웅 외(2009)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미래수요(특허)예측 값의 확산 모형별 비

교는 다음과 같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3

lt그림 19gt 세 모형 간 원데이터와 비교

자료 남기웅 외(2009)

원래의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특허숫자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통해 확산 모

형에 대입했을 때 현재 데이터의 추정값의 비교는 위와 같다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 중 원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예측력을 보인 모

형은 Bass 모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자들은 Bass 모형을 적용하여 미래 차세

대 디스플레이 기술 수요의 예측을 진행하였다

그래프를 보면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확산(특허숫자)은 2032년까지 꾸준하게 증

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32년 이후로는 기술개발이 멈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이 포화기에 들어섰다고 할 수 있으며 성장상한치인 4237개와 2032년

예상 특허 숫자인 4230이 매우 유사한 것으로 보아 기술 완성단계에 접어들었다

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품과 기술의 확산예측에는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이 주로

사용되는데 Gompertz Logistic 모형의 경우 비교적 모형이 단순하고 사용이 간편

한 장점이 있지만 이들 모형은 시장에서 내부효과에 따른 확산만을 분석하기 때

문에 성장의 최대 상한 값을 추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성장

최대값을 전문가의 의견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문제가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4

lt그림 20gt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예측

자료 남기웅 외(2009)

반면에 Bass 모형의 경우 내부효과 뿐만 아니라 외부효과 또한 확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남기웅 외(2009)의 연구에서 더욱 정확한 예측력을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을 비교 적용한 연구로는 손동민 문

성현 정봉주(2014)의 국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시장 확산 예

측 연구가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물건이나 사람 등과 같은

객체들을 식별하는데 무선주파수인 RF 신호를 이용하는 비접촉식의 인식기술로

유비쿼터스 시대가 2000년대 초반 도래하면서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RFID는

우리가 생활하는데 필요한 모든 분야에 혁신적 기술이 될 것이라고 기대되고 있

으며 이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는 지속적으로 관련 기술을 개발 표준화 사업을 장

려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RFID의 확산에 대

한 성공사례가 부족하고 2003년부터 정부가 RFID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등의 노력

을 기울였지만 확산은 지지부진한 형태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손동민 문성현

정봉주(2014)는 현실적이고 정량적인 국내 RFID의 확산 예측을 위해 세 가지 확산

모형을 적용하고 가장 설명력이 높은 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003~2012의 국

내 RFID 시장의 자료를 바탕으로 예측을 진행하였으며 여기서 도출된 확산 예측

값과 실제 데이터값을 비교하였는데 Bass 모형이 가장 예측오차가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5

Bass Logistic Gompertz

1750 6740 4136

lt표 5gt 각 확산 예측 모형 별 오차율

자료 손동민 외(2014)

lt그림 21gt 국내 RFID 확산 예측 모형과 실제 데이터의 비교

자료 손동민 외(2014)

그런데 그래프를 보면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2003년 -2007년까지 실제 시장

성장이 Bass 확산 모형보다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확산 초기 정부의 적극적

인 투자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되며 RFID 시장초기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시장 확산에 효과를 보였지만 2008년 이후로는 그 효과가 반감되었음을

나타낸다 하지만 다른 해석으로는 초반 정부의 시장투자율이 2007년을 기점으로

준 것은 정부투자보다는 자가 성장이 가능한 시장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라는 해석

이 가능하다 실제로 2005년 대비 2007년의 정부의 절대적 투자액수는 2배로 증가

하였지만 전체 시장대비 투자비율은 3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표는 정부

의 비중 감소를 나타낸다

2003 2004 2005 2006 2007

086 035 020 027 018

lt표 6gt 전체 시장 규모 대비 정부 투자 비율

2008 2009 2010 2011 2012

025 015 011 008 005

자료 손동민 외(2014)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6

이것은 곧 RFID 시장이 2007년 본격적 성장기에 접었다는 것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부의 비중 감소라는 시장의 특성 변화를 감안하여 2007년 이후의 예측

값을 다시 예측하였는데 그 예측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lt그림 22gt 각 모형별 확산 예측과 실제 데이터 비교

자료 손동민 외(2014)

저자들은 Bass 모형의 예측오차를 더욱 줄이기 위해 정부의 투자 변화라는 시장

의 특성 변화를 토대로 수정된 확산 예측 모형을 도출하고 결과적으로 국내 RFID

의 확산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의 세 가지 확산 모형

을 사용한 결과 Bass 모형이 가장 우수한 설명력을 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2 소비자 수용 및 혁신 저항 연구

21 신기술에 대한 소비자 수용 연구

혁신기술이나 신기술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들은 주로 사회심리학적인 이론에 근거하여 신념이나 태도 행동의도 등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신기술 수용과 관련하여 소비자의 수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

해 제시한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Fishbein and Ajzen(1975)의 합리적 행동이론

(TRA) Ajzen(1985)의 계획된 행동이론(TBP) 등이 있으며 특히 Davis(1986)의 기술

수용이론(TAM)은 소비자의 수용의도를 설명하는데 있어 상당히 적합한 모델로

인정받아오고 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7

Fishbein and Ajzen(1975)이 제시한 합리적 행동이론(TRA Theory of Reasoned

Action)은 최초 사회심리학 분야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 신기술수용 분야에까지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진 모델로서 개인의 행동의도는 행동을 결정하며 행동의도

는 개인의 태도 및 주관적 규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이론이다 소비자의 수용

의도는 신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외부변수들이 주관적 규

범이나 태도를 통해 영향을 받게 된다 기본적으로 행동의도는 태도와 주관적 규

범에 의해 결정이 되며 행동의도는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태도를 결정하는 것은 개인적 평가와 행위적 신념이며 태도는 행위를

수행하는 결과이다 그리고 주관적 규범은 사회적 압력과 관련되어지며 개인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집단과 어울리려 하는 개인적 동기나 준거집단에서

느끼는 규범적 신념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이처럼 합리적 행동이론은 인간이 실제로 어떻게 행동하는지 인간의 행위를 설

명하고 이해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특정한 상황에서 이용행동이나 수용의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연구하는데 적합한 모델로 인식되어 Davis의 기술수

용모델에 적용되어졌다

Ajzen(1985)이 제시한 계획된 행동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r)은 합

리적 행동이론에 사용자의 지각된 행동통제라는 개념을 추가한 이론으로 여기서

행동통제라는 것은 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용이한 정도에 대해서 사람들이 어떻게

인지하는지와 관련된 것이다 개인은 행동을 수행할 때 주관적 규범이나 태도뿐

만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행동이나 능력이나 필요한 원천 등을 가진 뒤에야 자신

의 뜻대로 그 행동을 컨트롤할 수 있다고 인지하게 되며 그것이 형성되면 마침내

행동의도를 형성하게 된다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행동의도에 영향

을 주는 변수들로는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통제이다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태도는 행동에 대한 태도로 특정 행동에 대해서 개인이 호의적으로 느

끼거나 비호의적으로 느끼는 평가를 의미한다 그리고 태도는 행동에 따른 결과

로서 개인이 갖는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것을 말한다 주관적 규범은 행위를 하는

사람이 어떠한 행동을 행하는 것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할 것인지를 말하는 것으로 사회

적 압력에 대한 인식으로 바라볼 수 있으며 본인이 그러한 반응을 얼마나 잘 받아

들일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행위통제는 Bandura(1977)의 자기

효능감(self-efficacy)과 비슷한 의미로 개인적인 신념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것은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8

자신이 어떠한 행동을 할 때 그 행동을 얼마나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

한 인식을 말한다(Bandura 1982) 이처럼 계획된 행동이론은 합리적 행동이론의

확장한 것으로 합리적 행동을 설명하는 변수인 태도와 주관적 규범의 선행요인을

바탕으로 여기에 인지된 행위통제를 추가하여 만들어진 이론이다 계획된 행동이

론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행동의도를 측정하는 경우가 많지만 행동 자체에

대한 측정에는 소홀한 편이었다 이것은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검증한 결과

로 행동의도와 행동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Ajzen 1988 Canary

and Seibold 1984 Fishbein and Ajzen 1981) 이 이론의 강점은 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소 간결하고 단순한 구성 개념을 사용하였지만 이 구성 개념들이 행동

과 관련된 연구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적용되었으며 많은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다

하지만 단순이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추상적인 개념인 신념과 평가를 통해

나타내었고 이러한 변수 외에 다른 외부 요인들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을 단점

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지각된 행동통제라는 변수만을 합리적 행동이론에 추가하

여 설명함으로써 다소 설명력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Davis(1989)에 의해 제안된 기술수용이론(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은 Ajzen and Fishein(1980)의 합리적 행위이론(TRA Theory of Reasoned Action)

을 바탕으로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기 위해서 만

들어진 모델이다 사람들이 기술을 수용할 때 영향을 미치게 되는 요인들을 설명

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개인의 신념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태도는 행동의도

에 영향을 미치며 마지막으로 행동의도는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

였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이 모델을 설명하기 위해 기술수용과정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을 제시하고 이 두 가지 신념을 수용과정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Karahanna and Straub 1999) 지각된 유용성이라는 개념은 신기술이나 정

보시스템 등을 사용할 때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정도를 의

미하고 지각된 용이성은 이러한 신기술이나 정보시스템 등의 사용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정도로 이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정신적인 노력 등이 적게 든다는 것을 의

미한다(Davis 1989)

합리적 행동이론이 기술수용모델의 기반이 되는 이유는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

는 행동에 대한 결정을 합리적인 기대가치 체계에 의존한다는 점 때문이다(Shah

and Higgins 1997) 인간이 자신이 어떠한 행동을 했을 때 그 결과를 미리 생각하

고 결과를 예측하며 합리적인 판단을 하며 행동한다는 합리적 행동이론을 확장한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9

것이 계획행동이론이며 이러한 합리적 행동이론에 기술수용 상황을 적용시켜 수

정한 모델이 기술수용모델이다(송태민 외 2014) 기술수용모델은 모델의 복잡성

과 모듈성으로 인하여 신기술을 수용할 때 다양한 영향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통합적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

다 최근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을 구성하는 주요변수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

된 용이성 이 두 변수만으로 신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TAM을 구성하고 있는 기본적인 변수들이 다양한 정

보시스템의 환경에서는 완벽하게 적용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

를 극복하기 위해 TAM모델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고 확장시키고 있다 이에 따

라 계획행동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변수인 주관적 규범을 적용시켜 확장된 기술

수용모델인 TAM2 TAM3가 제시되기도 하였다(김정선 송태민 2014) 기술수용모

델의 주요 한계점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개인이 정보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

서 외부의 영향 요인들을 무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외부 요인으로는 조직이나

주변 환경 여가 이해관계자들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정보기술을 수용하는 과정

에서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Venkatesh and Bala 2008) 하지만

TAM을 적용한 많은 연구들을 살펴보면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단순히

개인의 동기적 요인 외에도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확장시키고 변형하여 빠르

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등장하는 기술 환경을 적절히 반영하여 그에 따라 통

합적인 모델을 도출할 수 있는 노력 또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Venkates and Davis(2000) 의해 제안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는 기본적인

TAM을 확장한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TAM2라고 명명하였다 이는 지각된 유용성

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선행요인들을 검증한 것이다 즉 지각된 용이성보다는 지

각된 유용성이 종속변수들에 대해 더 큰 영향력을 가짐에 따라 선행요인들을 확

장하여 사회적 영향 프로세스와 인지적 도구 프로세스를 추가한 모형이다(김성일

2011) TAM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주관적 규범을 사회적 영향 변수로서 외생변수

로 추가하여 확장시킨 것으로 주관적 규범은 수용의도를 높일 수 있는 역할을 한

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은 자발적이거나 비자발적인 상황에서 조직을 네 개로

구분하고 이후 사용시점에서 업무 시스템에 대한 수용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

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자세히 살펴보면 주관적 규범과

자발성은 외부 변수로 직무관련성과 사회적 영향 프로세스 결과 실연성 결과 품

질은 이미지로 설명되었으며 인지적 도구 프로세스는 지각된 용이성으로 설명하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0

여 기술수용모델을 확장시킨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의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외부 변수들은 지각된 유용성 및 수용의도에게까지

영향을 미치며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결과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TAM은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라는 변수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수용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된 모델이다 하지만 지각된 유용성

과 지각된 용이성의 영향은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Oh Lehto

and Park 2009) 하지만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태도나 행도의도에 영향을 미

치기 때문에 이러한 영향력을 반영하기 위한 TAM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

되고 있다

Venkatesh Morris Davis and Davis(2003)은 사용자의 기술수용을 통합 관점에

서 접근하여 궁극적으로 보다 높은 설명력을 갖춘 새로운 기술수용모델을 제안하

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통합기술수용이론 즉 UTAUT(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이다(박일순 2013) 기존 TRA(합리적 행동이론) TAM(기

술수용모형) TPB(계획된 행동이론) IDT(혁신확산이론) 등 기존의 8가지 이론에서

제시된 32개의 개념들을 조정하고 통합하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1개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3개와 이러한 과정을 조절해 줄 수 있는 통제변수로

4가지를 제시하여 UTAUT를 설계하였다 UTAUT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

수로 성과기대 노력기대 그리고 사회적 영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모델에서 제시

하고 있는 성과기대라는 변수는 TAM에서 제시하는 지각된 유용성과 일치하는 개

념으로 볼 수 있으며 시스템을 사용할 때 성과가 향상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

을 것이라고 믿는 정도를 의미한다 그리고 노력기대라는 변수는 시스템을 사용

하면서 느끼는 용이성의 정도로 해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영향은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주변인들이 이러한 새로운 시스템의 사용에 대해 믿음의 정

도로 해석할 수 있다

Venkatesh and Bala(2008)는 기술수용모델의 기초가 되는 개념인 개인적인 차이

점 시스템의 특성 사회적 영향력 및 촉진조건을 선행변수로 제시한 기술수용 모

델(TAM3)을 제안하였다 기술수용모델3(TAM3)은 과거의 기술수용모델에서 언급

하지 않았던 경험이라는 변수에 대한 조절 효과에 대해 강조하였다 이 모델에서

는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조직 구성원의 경험 수준에 따라서 의사결

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달라질 것이라는 내용을 추가하고 있다 그리고 새롭

게 추가된 변수들로 컴퓨터의 불안과 유희성 객관적인 사용 용이성 지각된 즐거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1

움이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이치는 영향을 경험이라는 변수가 조절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있다

Venkatesh and Bala(2008)은 TAM3의 주요 강점으로는 이 모델이 가지고 있는

포괄적인 면이라고 볼 수 있으며 정보기술을 수용하는 여러 가지 결정요인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학문적 기여를 하였다 기

술수용모델은 조직 차원에서 도입하여 사용하는 정보기술 시스템뿐만 아니라 일

반 소비자들이 혁신적인 신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소비재 시장에서 채택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적인 프레임으로도 넓게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기술수용모

델은 혁신적인 신기술이나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들이 의사결정을 할 때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하여 제시하고 그들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기술수용이론에서 기본적으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수용과정에서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인지된 유용성은 이후에 설명할 혁신확

산이론에서 인지된 혁신특성 구성 개념 중 상대적 이점과 깊은 관련성이 있는 요

소로 보며 인지된 용이성은 복잡성과 상당히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Davis 1989) 따라서 기술수용모델 이론에서는 사용자들이 혁신적 신기술이나 제

품 서비스 등이 개인의 업무 등에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성과를 이끌어내기에 유

용하다고 느낄수록 그 기술에 대한 채택 가능성이 높아지고 그 기술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고 손쉽게 사용 가능하다고 느낄수록 기술 수용의도나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술수용모델은 사람들이 신기술 신제품 또는 정보기술 시스템 등을 어떻

게 수용하고 있는지 그 수용의도와 행동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있는 이성

적 행위이론을 통해서 살펴본 것이다 신기술에 대한 사용자들의 태도와 수용의

도 실제 수용이나 행위를 예상할 수 있는 주요 변수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라는 선행요인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설은 과거의 다양한 연구

들(Adams Nelson and Todd 1992 Davis Bagozzi and Warshaw 1992 윤승욱

2009 이재신 이민영 2006)을 통해 증명되었다

22 혁신저항 연구

일반적으로 혁신(Innovation)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lsquonobusrsquo라는 단어에서 기원이

되었으며 lsquo새롭다rsquo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혁신의 정의와 분류에 대해서 최근까지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2

많은 연구에서 다뤄지고 있다 혁신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새롭다고 인지하는

재화나 서비스 또는 아이디어를 말하는 것으로 그 기간이 길고 짧은 것과는 관계

가 없으며 하이테크 마케팅에서 언급하고 있는 혁신적 신상품을 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Rogers(1971)는 혁신의 정의에 대해서 개인 또는 특정인들이 수용할 수 있는 범

위에서 새로운 것이라고 지각되는 아이디어 관행 또는 물건rsquo이라고 정의하였다

여기서 혁신이라 객관적이고 새로운 물건이나 아이디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인 감정을 강조하는 것으로 그 제품이나 아이디어 서비스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그것을 얼마나 새롭게 느끼는지에 대해 인식하는 정도를

말한다

Rick(1992)은 혁신을 정의를 마케팅 차원에서 바라보았다 기존에 없었던 전혀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 내거나 소비자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

고 있는 신기술이나 프로세스 그리고 신제품을 혁신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혁신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소비자가 그것을 신제품으로 인식하

는지의 여부를 강조하고 이것은 혁신을 정의하는 기초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Biemans(1992)의 연구에서 혁신은 기존의 시장 환경 안에서 새롭게 개발된 제

품 서비스나 아이디어가 초기 수용자로부터 시장에 없던 전혀 새로움으로 지각

된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Rogers(1995)가 주장한 혁신확산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은 첨단기술

수용과 확산에 접한 관계를 가지는 이론으로 상대적 이익 적합성 복잡성 관찰

가능성 실행가능성 등을 혁신 확산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안하였다

사용자들은 새로움이라는 혁신을 인지하고 이후 태도가 형성되면 이러한 혁신을

채택할지 채택하지 않을지의 여부가 결정되는 채택과정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채택 과정은 기본적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데 기본적으로 지식 설득 결정 실

행 마지막으로 확인을 거치는 과정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혁신확산이론의 기

본 과정은 특정 혁신이 사회에 성공적으로 투영되는 과정에 주로 초점을 맞추는

특성을 보인다

하지만 여러 연구자들(Sheth 1981 Rogers and Everett 2003)은 혁신확산에 대

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혁신에 대해 사람들이 아무런 편견 없이 긍정적으로 받아

들인다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혁신이 항상 긍정적이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수용 또는 채택된다는 것을 기본 가정으로 하고 있음을 비판한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3

그 동안 연구되어온 혁신연구들은 혁신의 수용과 확산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

으며 이들 연구에서는 모든 혁신이 유익하고 긍정적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혁신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변화를 요구하기 때문에 변화에 대한 저장을

유발하게 되므로 혁신의 확산이나 수용에 대해서 생각하기 이전에 혁신저항을 잘

극복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Sheth(1981)는 처음으로 혁신저항(Innovation Resistance)에 대한 개념을 사용하

고 정립하였다 소비자들의 저항 심리는 기존의 습관과 지각된 위험이라는 두 변

수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고 하였다 혁신저항을 일으키는 특성에 대해서는 구

체적 언급을 하지 않았지만 혁신저항의 유형에 따라 다른 확산 방법이 필요하다

는 것을 발견하였다

Zaltman and Wallendorf(1983)는 사람들이 변화에 대응하여 현재 상태를 유지하

려고 하는 모든 행동들을 혁신저항이라고 정의하였다 Ram(1987)은 혁신저항 개

념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켜 혁신저항 모델을 제시하였다 변화에 의해 위협받고

있는 정도로 정의하며 혁신저항을 태도변수로 보고 있다

Ram and Sheth(1989)는 Sheth(1981)의 혁신연구에서 제시한 변수인 지각된 위험

과 생활관습이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병수라고 제시하고 추가적으로 소비자

들의 개인적 특성이나 제품 자체의 특성 그 외에 환경적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lt표 7gt Sheth(1981)의 저항 강도에 따른 혁신저항 4가지 유형

유형 내용

습관 혁신저항 위험은 낮으나 평소 생활이나 습관에 대해 변화를 요구하는 혁신

위험 혁신저항

혁신이 기존의 관습이나 습관을ㄹ 대체시켜 주지는 못하지만 함께 어울리며 공존하여 새로

운 습관을 만들어냄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저항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것은 높은 위험에서 기인하는 것임

비 혁신적 저항 기존에 가지고 있던 습관을 변화시키지 않으려고 하는 혁신을 말함

습관 위험의

혁신저항

인구문제 교육 복지 등과 같은 과거의 습관과 높은 위섬 때문에 강한 정항에 직면하는 혁

신임

Ram and Sheth(1989)는 소비자들이 혁신을 채택할 때 저항하는 요인들을 크게

기능적 장벽과 심리적 장벽으로 구분하였다 기능적 장벽(functional barrier)은 다

시 세 가지 장벽으로 구분된다 첫째는 가치장벽(value barrier)으로서 혁신제품의

품질이나 성능 효과 그리고 가격 등이 소비자의 기대와 맞지 않을 때 나타나는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4

저항을 말한다 둘째는 사용장벽(usage barrier)으로 소비자들이 혁신제품을 사용

할 때 기존에 가지고 있는 생활 패턴이나 습관 등을 변화시켜야 할 때 나타나는

장벽을 말한다 하이테크 제품은 종종 기존의 사용방식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방

식의 제품사용과 나아가서는 생활 패턴의 변경까지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셋째

장벽은 위험장벽(risk barrier)이다 이것은 소비자가 혁신제품을 사용하게 될 때

그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위험을 느낄 것 같아 나타나는

수용을 거부하게 되는 저항을 말한다

한편 심리적 장벽(psychological barrier)은 관습장벽(traditional barrier)과 이미

지장벽(image barrier)으로 나누어진다 관습장벽이란 혁신제품을 사용할 때 주변

사람들을 인식하게 될 것 같거나 기존의 사회 관습과 규범과 다르다고 느낄 때 나

타나는 저항을 말한다 이것은 매우 미묘하게 나타나는 장벽이기 때문에 소비자

들을 면 하게 관찰하여 파악해야 한다 이미지장벽은 혁신제품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선입관이나 부정적인 편견과 같은 문제를 일컫는다 제품 성능과 관계없이

부정적인 편견이나 선입관 같은 이미지상의 문제를 의미한다

혁신 저항의 특성을 살펴보면 Ram and Sheth(1989)는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실

제로 혁신적인 신제품이나 서비스에서 소비자들이 혁신저항을 느꼈다는 것을 발

견하고 이러한 혁신저항의 특징들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혁신저항은 채택시기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데 혁신에 대한 성향을 기준

으로 혁신수용자(innovators) 선구자middot선견자(early adopters) 조기다수 수용자

(early majority) 후기다수 수용자(late majority) 지각수용자(laggards)로 구분하고

각각의 분류마다 그 성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혁신저항은 정도에 따라 다르

게 나타난다 즉 저항은 연속적으로 나타나고 지속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소비자

들은 혁신이 매우 위험하다고 느끼거나 혁신을 위해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충분한 이유를 찾지 못하여 혁신을 꺼리거나 혁신을 채택하는 결정을 미루

거나 혁신이 자신과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혁신에 대해 저항할 가능성이 높아

질 수 있다 셋째 혁신저항은 다양한 제품군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제품 자

체의 문제라기보다는 혁신의 문제로 소비자가 혁신제품을 수용하고자 할 때 변화

를 우려하거나 자신의 신념과 상충하는 정도에 따라 저항이 나타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연속적 혁신보다는 불연속적 혁신이 혁신저항의 강도가 보

다 클 것이라고 예측한다 왜냐하면 불연속적 혁신은 소비자가 혁신을 채택하게

됨으로써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행동을 하게 될 수밖에 없는 사용상황이나 관습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5

에 부딪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혁신의 정도가 매우 높아 혁신저항이

높게 나타나게 될 경우에는 동태적 연속혁신(dynamically continuous innovation)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동태적 혁신은 불연속적 혁신의 가운데에서 서로를 잇는 역할

을 하는 것으로 불연속적 혁신제품에 대해서 소비자들이 제품을 수용하는 시기가

늦어질 것을 예상하여 기존에 사용하는 제품과 혁신적인 새로운 제품의 일부 기

능만을 착용하거나 융합하여 만들어진 제품을 말한다 이들의 성공은 불연속적

혁신제품에 대한 저항의 크기와 그 기간의 길이에 상당히 의존한다 소비자들이

기존기술을 선호하는 집단과 혁신기술을 선호하는 집단으로 뚜렷하게 양분되는지

아니면 중간 단계의 수요가 상당한지에 대해 확인해 보아야 한다(김상훈 2008)

23 신뢰 연구

과학기술의 발전은 과학이나 기술분야를 넘어서 정치적 사회적으로도 많은 영

향을 미치고 있으며 과학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형태로서 국가의 주요

정책으로까지 활용함으로써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첨단 과학기술의 개발과

선점은 국가경쟁력에까지 그 파급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

지만 이러한 기술의 발달과 개발이 항상 긍정적인 결과만을 가져다준다고 판단하

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Seong and Hwang 2012)

첨단과학기술의 유익한 면 외에도 그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우리가 알지 못하는

위험성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의견으로 인하여 많은 논쟁을 가져오고 있으며 그

중심에 최근 주목받고 있는 나노기술영역을 들 수 있다 나노기술은 혁신적인 신

기술로 첨단과학기술 분야에서 많은 경제 사회발전 등 그 잠재력에 대해 많은 사

람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영역으로 급부상하고 있지만 나노기술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잠재적인 위험성에 대한 우려도 동시에 인식되고 있다(Nel

et al2006 Wittmaack 2007 Wiesner et al 2009)

나노기술(Nano Technology)은 물질을 구성하는 직경 1나노미터(nm) 이하의 원

자나 분자를 나노영역에서 조작해 실생활에 유용한 것으로 만드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나노기술개발촉진법 제2조 제1항에 의하면 ldquo물질을 나노미터 크기의 범

주에서 조작 분석하고 이를 제어함으로써 새롭거나 개선된 물리적 화학적 생물

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소재 소자 또는 시스템을 만들어내는 과학기술rdquo로 정의하

고 있다(성지은 황만성 2012) 이러한 나노기술은 전자통신 재료 보건 의료 생

명공학 환경 에너지 국방 항공우주 등 응용가능한 분야가 매우 넓기 때문에 선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6

진 각국에서는 lsquo기술혁신rsquo이나 lsquo신성장동력rsquo lsquo신산업의 창출rsquo 등의 용어를 통해 21

세기 국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로 바라본다(김찬원 외 2015) 하지만 나

노입자의 독성 가능성 나노물질의 인체로의 침투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각종 위

험성(DNA 파괴 등) 나노입자의 환경오염 가능성(위키백과 2015) 그리고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개인의 사생활 침해의 논란이 되는 감시나 통제 등으로의

활용 측면에서 그 위험성 논쟁이 높아지고 있는 위험영역이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평소 자신이 잘 모르는 문제나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정보

에 두려움을 갖는 lsquo가정된 위험rsquo을 만들어 낸다고 한다 이는 잘 알려진 위험에 비

해서 더 높은 위험을 느끼게 하며 관련된 지식이 없는 경우 그 위험은 더욱 커지

게 된다(Song and Kim 2014)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나노기술과 같이 불확실하

고 위험의 통제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 친숙하지 않음 미래에 어떤 위험이 있을

지 모르는 상황 지식 부족 등은 나노기술에 대한 불안감을 더욱 증폭시키게 된

다 이러한 일반인들이 느끼는 나노기술의 위험에 대한 인식은 나노기술을 개발

하는 기술자 위험에 대한 관리주체로서의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

게 된다 기술 자체 기술을 만들어 내는 과학자 이를 관리middot감독하고 위험에 대

처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정부middot국책기관에 대한 신뢰는 나노기술에 대한 위험인

식이나 나노기술을 수용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김원재 송해룡 김찬

원 2016)

실제로 여러 연구들(Cvetkovich 1999 Siegrist and Cvetkovich 2000)을 보더라

도 신뢰가 위험인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며 특정 위험에 대한 두려움 혹은 위

험수용의 반대는 바로 이해당사자들 간에 신뢰가 깨진 것에서 비롯된다(김영욱

이현승 2014) 사람들이 위험을 인식하는데 신뢰가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

구결과들이 계속적으로 보고되고 있고(Flynn et al 1992 Slovic 1993) 신뢰는 불

확실성이 높은 신기술이나 혁신기술과의 관계에서 사람들이 우려하는 요소들을

줄여주는 기능을 한다는 연구결과들을 살펴보았을 때(Paton 2008 Siegrist and

Cvetkovich 2000 Wachinger et al 2013) 신뢰라는 요인은 사람들이 느끼는 불

확실성을 줄여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위험수용

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으로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신뢰의 문제를 핵심 요인으로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 대상을 운영하고 관리 감독하는 집단들에 대한 공중

의 신뢰 수준에 따라 위험수용이 결정된다고 강조하고 있다(송해룡 김원제

2015) 이는 나노기술처럼 신뢰의 여부가 위험이나 불확실성으로부터 경제적으로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7

높은 성장성을 가져오고 사회적 파급력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사회에 존재하고 있는 위험은 단순이 특정 그룹이나 단체

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작용될 수 있다 이에 정부기

관이나 기업 미디어 과학자 시민단체 일반시민 등 사회를 조직하고 구성하는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위험수준 통제 관리를 위한 행동 또는 정책과 관련된 정보

를 주고받으며(Covello Slovic and Von Winterfeldt 1986 Kellens Terpstra and

De Maeyer 2013 Trettin and Musham 2000) 위험을 줄이고 총체적인 위험에 대

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김찬원 외 2015) 이러한 문제는 단순한 수준

차원이 아닌 이해당사자들 모두의 신뢰를 통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신뢰라는 개념은 단일 차원에서의 좁은 시각으로 볼 수 있는 개념이 아니며 매

우 광범위하게 그 뜻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신뢰의 추성적이고 광범위적인 개

념의 특성으로 특별히 위험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신뢰라는 개념은 다차원 적인

요소로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Earle 2010 Earle Siegrist and

Gutscher 2010 Rousseau Sitkin Burt and Cammerer 1998)

Earle(2010)는 신뢰의 개념을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연구를 종합하여 다른 사람

의 행위나 의도에 대한 긍정적 기대에 기초하여 취약성을 받아들이려는 심리적

상태로 정의하고 신뢰하는 사람과 신뢰받는 사람 간의 관계에 기초한 관계적 신

뢰와 미래 행위에 대한 제약이나 신뢰를 받는 사람의 지난 행위 기초한 계산적 신

뢰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Kaspweson Golding and Tuler(1992)는 신뢰에 대한 특징을 위험을 감수하는 믿

음과 타인과 미래에 대한 막연한 기대 그리고 상황과 타인에 대한 주관적 지각

등을 제시하고 있다 Luhmann(1980) 신뢰를 사회제도의 성과로 보고 있는데 신뢰

를 미시적 신뢰와 거시적 신뢰로 분류하고 있다 미시적 신뢰는 다른 사람들과 상

대적으로 차별화 되지 않은 사회 안에서 개인 간의 신뢰를 나타내는 것이고 거시

적 신뢰는 관료제도와 같이 현대의 복잡화된 사회에서 시스템 신뢰의 의미로 나

타냈으며 신뢰가 개인 간의 신뢰에서 시스템 신뢰로 옮겨져 가고 있다고 하였다

특별히 Luhmann(1980)과 Rousseau et al(1998)의 연구를 살펴보면 신뢰의 유형

으로 사회제도 안에서의 신뢰를 강조하며 신뢰의 대상으로서 기관에 대한 신뢰

와 사람에 대한 신뢰로 구분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왕재선 2013) 그

외에도 신뢰를 파악하고자 할 때 과학기술 자체에 대한 신뢰의 측면을 제시하는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8

연구들도 있다(송해룡 이원제 2015) Midden and Huijts(2009)와 Siegrist et

al(2007)은 과학기술을 관리하는 기관에 대한 신뢰가 과학기술 자체에 대한 긍정

적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주어 위험인식과 수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현주 이영애(2011)은 감정의 차원에서 신뢰를 바라보고 과학기술의 좋고 나

쁨을 평가하여 신뢰가 낮을수록 사람들은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게 되며 이는 결

국 과학기술에 대한 위험을 높게 인식한다고 하였다 박희제(2013)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익은 추상적인 것이고 위험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직접

적인 경험을 통해 인지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하였다 따라서 과학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나 수용은 신뢰수준에 매우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나노기술이 위험인식 기술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신뢰를 주

요 변수로 고려하였으며 나노기술의 위험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신뢰라는

개념을 보다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신뢰라는 변수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단순한 차원의 신뢰의 개념을 넘어서서

보다 다양한 차원(Earle 2010 Earle et al 2010)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

라고 보고 신뢰를 기관 사람(Butler 1991 왕재선 2013) 기술(박희제 2013 이현

주 이영애 2011 송해룡 김원제 2015)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기관은 정부국책기관과 기업으로 사람은 개발자와 나노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직원으로 구분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3 산업전문가 활용 조사 방법론 연구

산업 전문가 조사는 해당 산업에 있어서 상당한 지식과 식견을 지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내부적으로는 해당 산업의 제품을

생산하는 경영자 관리자 판매직원 등이 해당하며 기업 외부적으로는 기술 및 정

책연구자와 해당 산업에 대해 객관적 분석을 주 업무로 진행하는 시장분석 전문

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전문가 조사의 경우 확률적 표본추출을 사용하는 것이 어

렵고 적절히 대표성 있는 표본을 대상으로 비확률적 표본추출로 표본을 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 표본을 기업 내부와 외부 혹은 해당 산업을 분류해 분석을 할 계획이 있

다면 쿼터별로 적절한 대표성을 위해 할당 추출법(quota sampling)을 사용하기도

하며 이 경우 도출해내고자 하는 결과와 관련해 분야별 다양한 의견을 갖고 있는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9

전문가들의 종합적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산업 전문가의 의견이 주로 조사

되는 연구로는 앞서 Diffusion Model 리뷰에서도 언급되었던 델파이 기법이 있으

며 신기술 산업이나 제품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이해도가 많은 차이가 있거

나 그 기술의 산업 제품에 대한 혜택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식이 상반될 때에 일

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조사하는 연구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31 산업 전문가 델파이 기법 연구

이중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고자 개발된 기법으

로 다양한 분야에서 집단적 합의의 필요성이 높을 때 반복적인 의견수립을 통해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다 개인의 독립성과 객관성을 최대한 끌어내는 것

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물리적 공간이 아닌 설문을 통해 참여하며 설문에 참여하

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공유하지 않는 익명성이 델파이 기법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독립성은 산업 전문가들은 해당 산업에 대해 비전문가보다 높은 식

견과 정확한 판단력을 가지고 있다는 추론 하에 가능하며 브레인스토밍과 같이

물리적 공간에서 의견을 교환하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강력한 주장에서 발

생하는 논쟁을 피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이 의견 제안을 포기하거나 전문가 중 더

욱 명망있는 전문가의 의견을 따라 자신의 의견을 포기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

함이라 할 수 있다

델파이 기법의 경우 일반적으로 세 가지 과정을 거치는데 첫째 해당 산업의 전

문가를 선정해 조사에 참여해 달라고 요청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사 참여에는

특정 산업에 대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전문적 지식을 긍정부정에 상관없이 표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전문가들의 의견은 특정인의 가중치 없이 동일하게 수렴된

다 또한 이 과정에서는 전문가들은 자신의 의견이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는 익명

성을 보장받음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각 분야별 선정된 전문

가에게는 한번 이상의 반복적인 설문지가 전달되며 이러한 설문에 대한 결과가

이들에게 다시 전달되는 피드백 과정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자

신의 입장을 더욱 명확하게 세울 수 있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

해 다른 참여자들의 의견이 설명되며 자신과 다른 생각을 가진 의견에 대해 계속

적으로 반박과 재조정이 가능해진다 셋째 참가자들의 의견과 관련된 논쟁들이

이들에게 다시 피드백되기 때문에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전문가들의 의견수렴

이 가능해지고 의견수렴이 불가능 할지라도 이성적인 이견들을 종합해 결과적으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0

로 전문가 스스로 자신의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하

게 된다 일반 소비자조사와는 달리 델파이 조사의 경우 대부분 표본의 숫자가 작

은 편이기 때문에 전문가의 포괄적인 의견보다는 다양한 견해와 이견을 통해 새

로운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의견일치를 통한 결과가 아니더라도 새로

운 시각과 견해를 투영할 수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lt그림 23gt 델파이기법의 실행 절차

자료 김상훈(2013)

이 기법의 핵심은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인데 최근에는 인터넷의 등장으로

초기 델파이 측정 방식인 인터뷰나 대면조사에서 온라인 설문이 가능해졌기 때문

에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이 강화되어 최근 많은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

다 과거 페이퍼를 통한 초기 델파이의 경우 긴 소요시간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는데 두 단계 이상을 거치는 델파이 기법의 특성상 한 프로젝트당 4개월 가

까이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에 대한 비용의 문제도 걸림돌이었다 하지만 온라인

설문이 가능해지면서 많은 시간을 단축하여 현재는 비용 면에서도 많은 개선이

가능해졌다

초기 델파이의 연구에서는 각기 전문가들의 통합적 의견의 일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는데 왜냐하면 개인보다는 집단의 예상이 더욱 정확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

다(Keeney et al 2011) 이는 한명보다는 두 명의 판단이 낫다라는 가정에 근거하

지만 현재는 의견의 일치보다는 다양한 결과가 나온데 해도 그에 따른 다양한 시

사점도 중요시 되고 있다 물론 의견의 분산을 여러번의 조사를 통해 자신의 판단

을 보완하고 수정하면서 좁혀나가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결국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하나의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1

델파이 기법의 경우 정확히 알 수 없는 애매한 질문을 포함시키지 말아야하며

이를 위해 질문의 선정에 공을 들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며 또한 대표성있는 각

분야의 전문가를 선정하는 것도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문가 패널은

전문성 대표성 성실성 있는 참여 각 분야별 숫자 등이 고려되며 연구자가 직접

표본 전문가를 선정하거나 관련 분야에서 추천위원을 선정하여 그 추천위원이 다

시 패널을 선정하기도 한다 보통 델파이 기법의 표본은 7명~ 350명 정도가 일반

적이며 10~ 20명의 매우 작은 패널로도 의미있는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보

통 척도의 경우 5점이나 7점 리커트 척도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항목별 순위나 중

요도를 묻기도 한다 델파이 기법 특성상 2번 이상 반복 설문을 하기도 하는데 3

번 이상 설문이 진행될 경우 회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신중한 검토

가 필요하다

델파이 기법의 경우 처음에는 미지의 미래 값과 성취가능성에 대한 수량적 예측

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대립되는 정책 문제 해결을 위해 서로의 의견을 수

렴하기도 하고 의사결정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전문가나 연구원이 직접 참여하

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익명성을 이유로 진실된 응답이 가능하

기 때문에 외부적 영향을 최대한 줄여주는 장점이 있으며 어떤 문제에 있어서 전

문가들의 집중적 검토가 가능하기 때문에 창의적이고 직관적 생각을 도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점으로는 전문가 선정에서 전문가들의 전문성의 문제 분야

별 전문가를 나눌 때 분류 기준의 모호성 대표성 익명성으로 인한 불성실한 응

답 문제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연구로는 구훈영 민대기(2013)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델

파이 기법을 활용해 신재생 에너지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는데 이는 최근 일어난

원전사고 환경오염 문제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신재생 에너지에 대

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신재생 에너지는 태양열 태양관 풍

력 수력 천연가스 바이오에너지 연료전지 등을 포함하며 최근 문제가 되고 있

는 원전 사고의 위험성의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위기의 여

파로 신재생 에너지 산업의 성장과 발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데

여기에 신재생 에너지의 불확실성이 더해져 해당 산업에 대한 개발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구훈영 민대기(2013)는 신재생 에너지의 수요예측에 전문가 델

파이를 활용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2

질문항목 응답 항목 응답(명)

내외 환경 정책 등이 현재 상태가 유지된다는 전제하에 국내 태양광

설치용량 규모는 단기적으로 어느 정도로 예상되십니까

900MW 미만 1

900MW~1100MW 3

1100MW~1300MW 0

1300MW~1500MW 6

1500MW 이상 2

내외 환경 정책 등이 현재 상태가 유지된다는 전제하에 국내 태양광

설치용량 규모는 장기적으로 어느 정도로 예상되십니까

21GW 미만 0

21GW~35GW 5

35GW~49GW 1

49GW~63GW 5

63GW 이상 1

2010년 현재 태양광산업이 신재생에너지 전체 투자액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향후 전체 신재생에너지에서의 비중은 어떻게 변화할

것으로 전망하십니까

재생에너지 중

태양광산업의 비중()

평균 73

최대 80

최소 60

lt표 8gt 전문가 델파이 분석의 설문항목

자료 구훈형 민대기(2013)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최근 상업화되었기 때문에 데이터 부족으로

수요예측이 어려운 점이 있으며 정부의 정책 및 국제적 환경 변수가 불확실성 요

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불충분한 데이터의 보완과 불확실성과 관련된 판단

을 위해 전문가 델파이 방법을 사용하여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다 저자들은 50명

의 전문가들에게 태양광산업의 수요에 있어서 단기적 미래(2015년) 장기적 미래

(2025)년을 예측하게 하였다(조사시점은 2013년)

조사결과 2015년의 태양광 발전의 누적설치용량은 2011년과 비교하면 단기적

미래인 2015년까지는 10~15의 연평균 성장률을 장기적 미래인 2025년 까지는

응답자의 42가 35~37의 연평균 성장을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는 신재생 에너지와 같이 수요의 예측을 위한 데이터가 부족할 경우

유용한 수요예측의 도구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델파이 전문가 수요예측 연구로는 생체인식 시스템 분야에 대한 미래의

핵심기술을 예측한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생체인식

분야에서 여러 분야 중 각각의 기술들의 난이도 기술수준 중요도 등을 전문가

30명을 통해 조사하였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3

lt그림 24gt 델파이 조사 과정

자료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이들은 단기적 조사가 아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반복적 설문 조사를 통해 어느

정도 의견 수렴한 뒤 결론을 도출하였다 생체인식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기술성숙

도가 낮은 기술 분야이기 때문에 정량적 분석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저

자들은 정성적 분석인 델파이 분석 방법이 더욱 높은 신뢰도를 가질 것으로 예상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왜냐하면 델파이 분석에 동원되는 전문가들은 표준화된

많은 데이터가 없을 경우 객관적으로 문제에 접근해 서로간의 의견을 골고루 수

렴해 일부에 휩쓸리지 않는 합리적 결론을 도출해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연구에서는 산업체 학계 연구소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성 있는 30인의 전문가

들에게 중기 예측(2017년)과 장기예측(2022)을 진행하도록 요청하였다 또한 이러

한 설문 결과를 다시 피험자들에게 제시 2차 조사에는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보

고 이를 수렴하여 다시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4

점수 중요도난이도 기준

5 매우높음

4 높음

3 보통

2 낮음

1 매우낮음

lt표 9gt 중요도 및 난이도

확신도 확신도 기준 환산 점수

5 전문분야로 매우 자신있게 응답 100

4 전문분야이며 자신있게 응답 70

3 유사분야 전문지식을 갖고 응답 30

2 전문분야가 아니어서 확신이 다소 부족 10

1 전문지식이 없어 전혀 확신할 수 없음 5

lt표 10gt 전문가 확신도 기준

자료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총 10개의 생체인식 시스템 기술을 선정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해당 기술들에

대한 자신이 생각하는 중요도 난이도 확신도 선진국과의 기술차이 기술실현시

기 등의 항목들을 제시하였다

lt그림 25gt 생체인식 시스템 기술수준 중요도 난이도 종합분석

자료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5

조사결과 기술수준과 중요도 난이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lt그림 25gt와 같다

종합하면 기술수준도 높고 중요도도 높은 기술들(예를 들어 반도체마이크로센서

제작기술)같은 경우 계속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으며 중요도는 높지만 기술수준

이 낮은 기술(예를 들어 환경센서 기술)의 경우 다른 기술들보다 연구 개발의 우

선순위가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구훈영 민대기(2013)와 홍현수 외(2010)의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통해 조사분석

을 하였지만 정성적 방법만을 가지고 조사를 하였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객관적

인 정량적 근거 부족이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델파이 방법은 전문가

패널의 구성 이러한 전문가들을 상대로 하는 반복적 설문조사 분석 의견 수렴을

통해 결론을 도출해 내기 때문에 정성적 방법론에서는 많이 사용되는 분석방법이

다 표준화가 가능할 정도의 데이터가 없을 경우 전문가의 직관을 통해 미래 수요

를 예측하기 때문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익명성을 통해 보다 자유롭고 솔직

한 의견 도출이 가능하며 여러 명의 전문가들이 합의점을 도출하는 과정을 고치

기 때문에 일부의 의견에 휩쓸리는 일의 발생 가능성이 적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

지고 있다

32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 차이 조사 연구

또 다른 산업 전문가 의견을 활용하는 연구는 전문가와 일반인이 해당 기술 산

업이나 제품에 대한 인식에 많은 차이가 있을 때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어떠한 산업은 전문가들이 일반 소비자나 잠재소비자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새로운 기술 산업이나 제

품의 경우 그러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첨단 기술산업의 경우 일반 소비

자들은 해당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비교적 최근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신진산업의 경우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또한 불확실성과 위험

성을 내포하고 있는 신기술 산업의 경우 소비자들과 전문가들은 위험인식 혜택

수용의도에 걸쳐서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제대

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의견이 아닌 전문가의 의견에만 의

존할 결과를 도출하게 될 경우 본 보고서와 같이 미래의 수요를 예상하게 될 경

우 실제 수용자인 일반소비자들의 위험인식에 따른 낮은 태도를 반영하지 못해

신뢰하기 어려운 결과값이 도출 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일반 소비자의 의견만을 반

영하고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일반 소비자가 판단하기 어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6

운 첨단기술 산업의 경우 이들의 응답에 대한 신뢰도가 전문가와 비교해 매우 낮

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산업 전문가와 일반 소비자의 인식차이를 비교하고 의견

을 수렴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체세포 복제기술 나노기술 원자력기술가 같이 인체 유해성에 대한 우려가 높

은 산업의 경우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차이 조사 연구들이 비교적 많이 진행되

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연구로는 나노물질 위해성에 대한 인식차이를 조사한 이

정진 외(2008)의 연구가 있다 나노기술의 경우 기술 자체의 문제보다는 나노물질

이 가지고 있는 위해성 측면에서 일반인들이 매우 높은 위험성을 지각하는 분야

이다 이는 나노기술의 특성상 나노물질이 눈으로 보이지 않는 매우 작은 단위이

기 때문에 느끼는 심리적 위험성과 실질적 위험성을 포함한다 새로운 신기술의

경우 특히 일반인과 전문가 사이의 인식차이가 클 수밖에 없으며 이는 기술수용

단계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해당 기술 수용여부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이정진 외(2008)은 나노기술의 지속적이고 포괄적 성장을 위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예를 들어 신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경우 전문

가들은 해당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 안전하다고 합의가 된 상태더라도 소비자들이

만약 위험성을 느끼고 불안하다고 느낀다면 기술발전에 어려움이 생길 것이다

반대로 일반인들은 별다른 의심 없이 위험성에 대한 지각을 갖지 않고 해당 기술

적용 제품을 구매 사용하고 있는데 전문가들이 위험성을 느끼고 있다면 실질적

잠재적 기술의 위험성은 더욱 심각하다고 말할 수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이유로

전문가와 일반인 사이 나노물질의 위험성을 조사하여 비교하기 위해 전문가 165

명 일반인 599명 총 7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lt그림 26gt처럼 일반인과 전문가 사이의 나노기술 인식에 대해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나노기술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한 일반 소비자는

162 몇 번 들어본 적이 있다는 응답은 548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의 조사결과

(Macoubrie 2004)나 일본의 조사결과(Fujita 2006)보다 나노에 대한 인지도는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7

lt그림 26gt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도 차이

자료 이정진 외(2008)

이는 미국과 일본에 비교해서 국내의 경우 lsquo나노rsquo라는 단어를 브랜드화 한 경우

가 많으며 제품의 이름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은나노세탁기 은나노코

팅제) 또한 실제 나노 관련 소비재가 마트에 비교적 많기 때문에 lsquo나노rsquo라는 명칭

이 자주는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친숙한 것으로 보여진다 나노기술의 접촉 방법을

살펴보면 전문가의 경우 학술지 인터넷 신문 책 등 다양한 경로인데 반해 일반인

의 경우 TV 신문 등 매스미디어 혹은 인터넷을 통해 나노에 관해 정보를 얻는 것

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보면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 소비자의 인지도를 올리기 위

해서는 매스 미디어나 인터넷에서의 마케팅이 주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lt그림 27gt를 보면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일반인들은 세탁기 에어컨과

같은 가전제품 치약 칫솔 비누와 같은 생활용품 핸드폰 노트북과 같은 전자기

기 얼굴팩 기초화장품 자외선차단제와 같은 화장품 순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전문가들은 일반인가 비교해 비교적 고르게 나노기술 적용 제품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제품인지도에 있어서는 비교적

고른 편이었으며 이는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이 비교적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8

lt그림 27gt 일반인과 전문가의 나노제품에 대한 지각 차이

자료 이정진 외(2008)

lt그림 28gt 일반인전문가 나노기술의 위해성 인식여부와 불안감여부 차이

자료 이정진 외(2008)

또한 나노기술의 위해성 인식에 대해서는 위 그림처럼 전문가의 742는 들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반대로 일반인은 741가 모른다고 위해성에 대해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일반인의 나노기술 정보가 부족하며 한편으로는 나

노기술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신기술에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9

대해 일반인들은 전문가보다 높은 불안감을 보이는 것이 당연한데 동일한 설문

을 진행한 일본보다도 일반 소비자의 불안감이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일

반인 229) 이러한 흥미로운 결과는 전문가의 경우 742가 나노물질의 위해성

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다고 답한 반면 일반인의 경우 741가 들어본 적이 없

다고 답한 것과 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란 추측이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나노기

술이 더 안전하다고 높은 신뢰를 보인다기 보다는 나노물질에 대해 지식수준이

낮기 때문에 위해성 자체의 인식률이 떨어진다고 분석해 볼 수 있다 저자들은 이

러한 나노물질의 위해성에 대한 낮은 인지는 오히려 나노기술의 안정적 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런 상황에서 나노물질 위해성 연구를 추진

하거나 법률적 관리를 정부에서 나설 때 일반인들의 공감을 얻는 것이 어려워 보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의 인식차이를 줄이고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정진 외(2008)는 이는 나노산업의 성장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였다

또 다른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조사한 연구로는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

한 나노기술의 부정적 영향의 인식차이를 분석한 배성훈 외(2015)의 연구가 있다

나노기술은 성과 측면에서 국가적으로 매우 촉망받는 기반기술이며 많은 투자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술분야지만 나노물질에 대한 인체와 환경 유해성에 대

해서는 아직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명확한 규정 또한 지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기술중심의 사고를 통해 기술 자체에서 의미를 찾는 것 보다는 그

기술을 사용하는 일반인들에게 그 혜택과 가치가 전달되어야하며 이러한 수요중

심의 전략개발에 기술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배성훈 외(2015)의 연구에

서는 나노기술의 산업확장에 중대한 걸림돌로 지적되어온 부정적인 인식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인 집단과 전문가 집단을 분리해 차이를 비

교분석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정진 외(2008)의 리뷰에서처럼 만약 전문가

가 나노기술의 위험성에 대해 불안해하는데 수요를 하는 일반 소비자들이 안전하

다고 느낀다면 높은 수요로 인해 잠재적 부정적 결과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며

반대로 전문가들은 안전하다고 인지하고 있는 기술에 대해 소비자들이 막연한 불

안감을 느낀다면 해당 기술의 상용화는 매우 어려울 것이다 저자들은 나노기술

에 대한 인식과 나노제품의 속성의 수준별 조합에 따른 선호도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일반인 541명 전문가 62명 총 6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설문

지의 경우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수준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0

와 이유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속성별 구매선호도 분석을 위한 컨조인

트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 제품군을 분야별로 식약품 전자제품 미용품등으로

나눠 조사를 실시하였다 컨조인트 분석을 위해 각각 상품 속성 수준에 소비자의

효용을 적용하였으며 긍정적 속성은 나노기술적용표시 정부인증 부정적 속성은

위해치명도 위해발생 가능성으로 구성하였다

속성별 2가지 속성을 설정했기 때문에 이를 조합하면 총 16가지 제품 조합이 가

능하지만 이를 순위매기는 것은 피험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직교설계

(orthogonal design)를 통해 필요한 주효과만을 측정할 수 있는 최소한의 8개의 가

상의 프로파일 세트를 도출하여 이 가상제품의 구매우선순위를 응답받아 컨조인

트 분석 실시하였다

Product Labeling CertificationRisk

ChanceRisk

Fatality

1 Yes No High High

2 No Yes High Low

3 Yes No High Low

4 Yes Yes Low Low

5 No Yes High High

6 No No Low Low

7 Yes Yes Low High

8 No No Low High

lt표 11gt 가상의 나노기술 적용제품 세트

자료 배성훈 외(2015)

Attribute Level

Labeling No Yes

Certification No Yes

Risk Chance Low High

Risk Fatality Low High

lt표 12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속성수준

자료 배성훈 외(2015)

분석결과 일반인과 전문가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지수준을 조사 한 결과 일반인

의 경우 나노기술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는 사람이 76 용어만 알고 있다가

521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있다가 298 개념과 활용성을 이해하고 있다

가 83로 나노기술이 생소하진 않지만 개념까지 이해하지는 못한 수준인 것을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1

알 수 있었다 반면 전문가의 경우 개념과 활용성을 이해하고 있다가 774 개념

잘 이해하고 있으며 나노기술을 선호한다 21 개념 잘 이해하고 있지만 나노기

술을 선호하진 않는다가 16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전문가들은 일반인보다 높은

나노기술 이해도를 보였다 이를 보면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선호도는 나노기술

의 대한 인지도가 일정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추론해 볼 수 있다

한편 나노기술 상용화 제품 세 가지 제품군을 대상으로 5점리커드 척도로 구매

의도 분석결과 lsquo나노식약품rsquo의 경우 일반인 M=333 전문가 M=338 나노전자제

품lsquo의 경우 일반인 M= 382 전문가는 M= 443 마지막으로 rsquo나노 이미용품lsquo의 경

우 일반인 M=346 전문가 M=362로 나타났다 모든 제품군에서 전문가가 일반인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으며 특히 나노전자제품의 경우 t-검정 결

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GroupWillingness to pay

p-valueMean SD

Food amp MedicinePublic 333 099

034Experts 338 109

ElectronicsPublic 381 084

Experts 443 047

CosmeticsPublic 346 099

011Experts 362 089

lt표 13gt 세 가지 나노기술 적용 제품군 별 구매의도 차이

p-value lt 001

자료 배성훈 외(2015)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구매의도에 있어서 낮은 점수(12)와 높은 점수(45)을 준

피험자에게 각각 구매하지 않은 이유와 구매한다고 응답한 이유를 9개의 보기를

제시하고 응답하게 한 결과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구매이유로 상품성능 향상 상

품품질 향상 상품안전성 향상 순으로 구매이유를 설명하였다 반면 구매하지 않

은 이유(M=1~2)를 물은 결과 일반인의 경우 상품안전성 저하 위해성 향상 성능

감소 순으로 이유를 들었고 전문가의 경우 상품 위해성향상 상품안전성저하 상

품품질불안정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를 보면 일반인 전문가 모두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높은 성능 향상을 기대하였지만 전문가의 경우 일반인과는 달리 긍정적

영향만이 아닌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도 많은 이해를 바탕으로 고려하고 있기 때

문에 이 같은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예상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2

또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컨조인트 분석 결과 식약품과 전자제품 미용품의 제

품군에서 중요도의 유사패턴이 발견되었는데 위해치명도가 가장 중요한 속성이

었으며 다음은 위해발생 가능성 정부인증 나노기술의 적용표시가 그 뒤를 이었

다 전문가들의 경우 일반인과 패턴 면에서 유사하지만 위해치명도의 속성 중요

도가 더 크게 나타났고 나노기술적용표시 중요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전문가들의 경우 일반인 대비 나노기술의 인체유해성을 더욱 많이 파악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Attribute Level

Food amp Medicine Electronics Cosmetics

Part-worth

ImportancePart-worth

ImportancePart-worth

Importance

LabelingNo -0266

1420-283

1471-291

1389Yes 0266 283 291

CertificationNo -0425

1664-436

1606-395

1746Yes 0425 436 395

Risk ChanceLow 0632

3193662

3107640

3184High -0632 -662 -640

Risk FatalityLow 1105

37231080

37161083

3681High -1105 -1080 -1083

Personrsquos R

Correlation

Coefficient

Coefficient 0664 0732 0728

P-value 0036 0019 0020

lt표 14gt 일반인 그룹의 컨조인트 분석결과

p-value lt 001 p-value lt 005

자료 배성훈 외(2015)

Risk CaseLabelin

gCertification

Food amp Medicine Electronics Cosmetics

Public Experts Public Experts Public Experts

High Chance

Low Fatality

Yes Yes 1164 1621 1137 1391 1129 148

No Yes 0632 1129 0571 0963 0547 1052

Yes No 0314 0509 0265 0287 0339 0384

No No -0218 0017 -0301 -0141 -0243 -0044

Low Chance

High Fatality

Yes Yes 0218 -0017 0301 0141 0243 0044

No Yes -0314 -0509 0265 -0287 -0339 -0384

Yes No -0632 -1129 -0571 -0963 -0547 -1052

No No -1164 -1621 -1137 -1391 -1129 -1480

lt표 15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세 가지 제품군의 효용분석결과

자료 배성훈 외(2015)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3

추가적으로 속성 수준별 조합을 살펴본 결과 위해발생 가능성이 낮더라도 치명

도가 높을 경우 정부인증 마크와 나노기술표시가 표시된 상황에서만 효용 값이

양의 값(+)를 나타냈다 반면 전문가들의 경우 식약품 제품에 한해서는 이러한 표

시 상황에서도 부정적 태도를 보였는데 이는 전문가들은 식약품의 경우 인체에

흡수되기 때문에 가장 민감하게 위해 치명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4 나노산업 관련 이론 및 발전 동향 조사

41 나노산업 관련 이론

국내 나노기술 관련 이론적 연구 동향을 분석해 보면 크게 나노기술 적용시 그

효과성에 관한 연구 나노기술의 위험과 안전에 대한 규제 필요성에 관한 연구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이나 전문가의 인식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예기훈 성아영(2010)은 금 나노입자를 포함한 안의료용 고분자의 합성 및 물성

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과적인 부작

용과 문제점 이물감과 불편함을 완화하기 위해 콘택트렌즈 소재가 계속적으로

변화해 왔다 이러한 재질의 변화는 착용에 있어서 이물감을 줄여주게 되었지만

콘택트렌즈는 각막을 감싸고 있는 동안 산소의 각막으로 산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게 하거나 상소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방해하여 안과적인 문제

를 야기시킨다 나노 금은 항균성의 기능을 갖으면서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다는

점이 알려졌기 때문에 기능성 나노입자를 응용하여 나노기술이 적용된 기능성 콘

택트렌즈 재료를 중합시켜 실험하였다 그 결과 나노금은 고분자의 함수율에 영

향을 주었으며 함소율의 감소를 야기시킨다 또한 굴절율과 자외선 가시광선역

의 투과율 역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처럼 나노기술은 항균성을 함유하고

있는 기능성 고분자로써 콘택트렌즈에 적용시키는 것처럼 의료적인 분야에 다양

하게 적용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박덕용 이난영 이상호(2008)는 나노기술을 바탕으로 치아 우식증 예방을 위하

여 만들어진 불소함유 접착필름을 개발하였다 필름 형태의 새로운 불소 delivery

system을 개발할 경우 기존의 불소 하제보다 새로 개발된 불소 전달시스템인 불

소 함유 필름이 치아 우식증 예방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불소 함유

필름은 나노 코팅기술을 통해 미량의 불소만을 코팅처리하여 체내에 삼키는 양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4

최소화하였으며 무색 무취 무미한생체 친화적 제재로 그 안전성 면에서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전문가 불소도포 제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영주 고영훈 김우성 매유진 목진경 조한규(2014)는 나노마스크와 황사마스

크에 의한 토너가루와 담배연기 필터링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를 하였다 황사와

미세먼지 담배연기 등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에서는 마

스크를 착용을 권하고 있으며 약국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마스크를 판매

하고 있다 나노마스크와 약국에서 파는 황사마스크의 미세먼지와 황사차단 효과

그리고 담배연기 차단 효과를 비교해 나노필터와 부직포필터의 필터링 성능을

비교해 보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나노마스크는 나노필터에서 토너가

루(미세먼지 대용)가 다 걸러져 점모양만 남아 있는 반면 황사마스크는 토너가루

가 묻어 나옴 또한 담배연기에서 나오는 이물질 실험에서 두 마스크 모두 첫 번

째 필터에는 진한 노란색 이물질이 있었지만 두 번째 필터에서는 황사마스크의

부직포 필터에는 노란색 이물질이 있는 반면 나노마스크의 나노필터에는 노란색

이물질이 묻어 있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나노마스크 내 나노 필터가 황사마스크

의 부직포 필터에 비해 토너가루와 담배연기에서 나오는 이물질을 더 잘 걸러준

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현재 다소 비싸지만 경제성을 입증하게 된다면 실용

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외에도 수질오염물질의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는데 이는

수영장에서 살균을 위해 흔히 사용하고 있는 염소를 태양빛을 통해 대체할 수 있

는 나노기술을 개발하였다 이 기술은 나노입자의 태양빛을 이용하여 세균이나

유기물질 등을 제거하고 산화력과 반응성이 강한 활성산소 및 히드록실 라디칼

(hydroxyl radical)을 생성시킨다 염소로 인해 발생하는 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

의 생성을 크게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오염물 처리에 드는 에너지 및 화

학물질의 양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김준현 2015)

또한 나노기술은 기존 제품을 덜 소모하게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강화시켜 환경

에 긍정적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나노기술은 일상적으로 소모되는 자원을 절약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열과 마모에 강한 특징인 내구성 향상과 자기 수복성 부여

를 통해 나타난다 또한 콘크리트에 손상을 주는 근본적인 원인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콘크리트에서 기능성 나노복합 무기질 활성탄계를 활용하

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5

콘크리트 구조물은 균열이나 누수 박리 철근부식 박락과 같은 현상들이 발생

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들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이며 이러한 현상들이 심해지면 구조물의 붕괴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콘

크리트의 부식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유해물이나 수분이 콘크리트

안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보수재료

나 방수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손상된 부분을 다시

시공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나노수준에서 합성하여 콘크리트와 흡착성과

다공성으로 착화합물이 형성되어 일체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기능성 나노

복합 무기질 활성탄계는 콘크리트 조직에 침투하여 미세기공을 가지게 되는데 미

세기공은 직경이 3~100Å으로 열화인자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특성을 지

니고 있다

에너지의 경우를 살펴보면 나노기술은 에너지 소비량을 감소시키거나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그 혜택을 찾을 수 있다 나노기술을 사용하게 되면 기존에 사용하

고 있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보다 수명은 3배 이상 길어지고 출력은 5배 이상이나

높은 리튬이온 이차전지 양극소재를 개발할 수 있으며 기존의 태양전지보다 13

의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나노 크기의 미세한 돌기구조를 통해

서 이러한 효율 증대를 가능하게 한다 나노 크기의 미세한 돌기 구조와 표면에

마이크로 크기의 기둥을 가진 태양전지를 개발하였는데 이것은 빛의 흡수율을

높여주고 태양전지 내부의 전자 이동을 용이하게 해주어 순도가 낮은 저렴한 실

리콘으로도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게 해준다

연구팀은 시제품을 통한 실험으로 매우 높은 효율성이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으

며 마이크로 기둥 사이에 돌기형태로 형성된 나노 구조는 반사효율은 떨어뜨리

고 빛의 흡수율은 높여주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반사효율을

5 이하까지 낮추는 데 성공함 일반적 태양전지의 반사효율이 40 이상 특수

표면처리(텍스처링)한 태양전지 반사효율이 15~20 수준에 이르는 것을 감안하면

획기적인 수치라고 할 수 있다(김준현 2015)

나노기술은 가까운 시일 내에 인간의 근본적인 삶의 모습을 바꿀 수 있는 엄청

난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나노기술이 재료 의료 및 의약 전자 기계 에

너지 환경 등 매우 넓은 분야에서 기술혁신을 일으킬 수 있고 미래 산업의 경제

적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암을 치료하거나 생명주기를 연장하고 식

량난 해소 반도체의 성능 향상 환경 오염물질의 제거 등 열거 할 수 없을 정도로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6

무수히 많은 분야에서 우리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어느 정도까지 될지 평가하기

조자 어려울 정도이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혜택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위험

역시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정정적 위험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나노기술에 대

해서 윤리적인 문제가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첫째 나노기술에 대한 형평성 차원에서의 문제를 들 수 있다 나노기술의 발전

은 매우 긍정적인 요소 일 수 있으나 전 세계 모든 곳에서 균등하게 그 기술을

나누어 쓸 수는 없을 것이다 바로 lsquo나노격차rsquo(Nano Divide)가 생겨날 수 있다 나

노기술의 사업화와 사용화가 진행될수록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나노기술을 이용하는 부유층과 빈곤층 간의 격차로 인하여 사회적인 문제로 심화

될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기아 질병 오염 가

난 등의 문제를 먼저 해결하는데 이용되어야 하며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격

차가 심화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현재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들은 에너지 자원

의 고갈 의약품 부족 등으로 에이즈와 같은 질병을 치료하지 못하여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당하고 있으며 식수의 부족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들이 나타나

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등장한 기술인 나노기술을

선진국 보다는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에게 먼저 적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나노기술로 개발된 성과들에 대한 불공정한 분배로 나타나는 심각한 사회적 격차

가 문제점으로 나타날 수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lsquo첨단기술일수록 비싸

다rsquo(high-tech high-costs)라는 말이 의미하듯이 나노기술을 통해 개발된 제품과

같은 성과물들을 이용할 수 있는 사회적 계층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극심한

사회적인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이 야기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불평등이 아닌 사회적 평등을 조장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할 것이

다(이중원 2016)

다음으로 투자측면에서 연구비의 재정적 투자에 대한 형평성을 생각해 볼 수 있

다 정부의 나노기술 정책 활성화로 인하여 연구비 중 많은 부분이 나노기술 분야

에 편중되어 있어 나노기술에 대한 집중적 투자가 다른 연구비 투자에 비해 과도

하게 측정되어 있는 것이 과연 올바른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둘째 유전정보에 관한 문제등 개인의 생체정보 보호와 관련된 프라이버스 문제

를 들 수 있다 나노바이오 기술은 유전주 수준에서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노 크기의 장치를 개발하여 인간 DNA 자체를 조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나노기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나아가 윤리적 사회적 문제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7

로까지 번져 다른 차원에서의 문제점들을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나노기술을 접

목한 초정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의 발달은 나노-유비쿼터

스 개념의 기술 발달로 감시나 통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지만 개인 사생활에 대

한 침해의 요인 부분도 존재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나노기술의 발달이 효율적이

고 효과적인 측면도 존재하지만 이를 역이용하려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법적

으로나 윤리적으로 보다 강도 높은 규제나 제재를 통해 프라이버시 관련한 윤리

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셋째 생명체 변형의 도덕적 문제를 들 수 있다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인공 생체

기관을 만들거나 생명체를 조작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생명체들을 합성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나노기술은 새로운 생물체의 생성이나 변형을 충분히 가능하게 하며

예를 들어 유전자 조작 쥐나 키메라 등 생명 형태를 변형하는 것과 관련된 연구

들에 대해서 생명의 존엄이나 신성함과 관련하여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문제를 제

기하여 허용 가능한 범위를 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인체 및 환경의 안전성 문제가 있다 나노기술과 관련하여 가장 주된 잇슈

는 나노소재가 인체의 건강과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이다 나

노기술은 기존의 기술에서 가지고 있지 않은 전혀 새로운 차원에서의 문제를 가

지고 그 위험성에 대해서 논의되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나노물질들은 분

자적 수준에서의 입자들을 일컫는다 이는 매우 미세하며 우리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매우 작은 단위를 다루는 것이다 이러한 나노 물질들은 그 자체로 매우 강

한 독성을 지니고 있어서 인체에 습수될 경우 세포 내부로까지 침투하여 유전자

구조를 변형시키거나 세포 자체를 파괴할 가능성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나노입자들은 악성 폐암을 일으키는 미세한 석면 입자들보다 훨씬 작기 때

문에 이러한 입자들이 인체 침투하여 다양한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인공 장기 등을 인체에 이식하였

을 때 인체에 어떠한 형태로 작용할지 매우 불확실하다 가령 인공 장기가 기존

에 알고 있던 다른 어떠한 물질들 보다 인체에 위협적인 것이 될 확률도 존재한

다 실제로 2004년 이래로 나노물질의 심각한 독성에 대한 보고들이 나타나고 있

는데 탄소나노튜브가 생체 유전자 역할을 변형시켜 치어의 뇌를 손상시킨 사례

가 존재했고 은나노 입자로 인하여 인체 DNA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며 차세대

반도체 나노물질로 불리는 CdSe가 인체 내부에 들어서 카드늄 중독을 유발할 가

능성도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위험은 나노물질이 지닌 본성으로부터 불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8

가피하게 초래되는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것으로 나노물질의 독성과 그것이 인체

및 환경에 가하는 위험이 이와 같다면 이런 나노물질에 대해 안전한 관리와 통제

가 불가피해 보인다(이천무 윤종민 2016 오규운 김경훈2016 이중원2016)

최근들어 일부 나노제품과 나노물질에 대해서 보건 및 환경의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문제가 나타나면서 나노기술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나 우려의 목소리가 나노

기술의 안전과 사회적 수용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김선아 김호정 홍

용석 2013) 연일 매스컴에서 보도되고 있는 lsquo가습기 살균제 사건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는데 에어로졸 형태로 분무되는 다양한 제품은 이미 오래전부터 우

리 생활 속에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규율할 법적 근거는 식품 의약품 화장

품 공산품 등 개별 법령으로 분화되어 제조업체는 용도변경에 따라 법의 테두리

를 벗어날 수 있었으며 각 법령에서 요구되는 기준이 서로 달라 적용하는 행정주

체도 책임영역을 서로에게 미루는 상황이 발생하여 대다수의 국민들이 혼란과 불

안을 겪고 있다

규제의 공백영역에서 수많은 피해자를 양산한 이후에야 그 원인과 대책을 마련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현실이며 나노물질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적 보호 수단으로는 사전

예방을 통한 위험의 통제와 사후관리를 통한 피해구제 등이 고려될 수 있으나 피

해규모의 대형화와 피해기간의 장기화 원상회복의 불가역성 등을 고려할 때 사

전예방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지난 사건과 역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이라

할 수 있다 그 동안 우리나라는 나노기술의 육성과 진흥에 중점을 두어 왔기 때

문에 안전에 관한 부분은 다소 소홀하거나 형식적인 대응을 해왔는데 EU 등 선

진국은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나노물질 및 제품의 자국내 수입을 철저히 규제

하고 있어 사전에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글로벌 무역장벽을 넘지 못할 상황

이다 따라서 나노물질 및 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국내 정책 및 제도의 상황

을 점검하고 국내에서 시행중인 관련 법제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그

동안 나노안전성에 관한 법적 관점의 연구는 주로 공법상의 규율 민middot형사상의

책임과 구제 제도개선 등에 집중되어 있으며 나노안전을 위한 법제적 측면에서

의 개선방안 제시는 부족한 실정이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9

42 나노기술 관련 산업의 미래 전망 분석

나노기술의 기대효과에 대해 분석해 보면 첫째 나노혁신 기술확보와 산업현장

확산으로 인하여 제조업 활로 및 미래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나노기술의 성과가

다른 산업으로 융합middot확산됨에 따라 지속적인 혁신을 유도하고 국내 제조업의 질

적 성장을 견인할 수 있다 또한 첨단 나노소재의 적용이 확산됨에 따라 소재기업

과 최종 수요 기업의 경재역이 동반상승하게 될 것이다 나노기술은 산업적 파급

효과가 큰 전략기술로 미래 제조업의 새로운 혁신동력이 될 것이다 나노기술의

산업화 촉진으로 사업영역 확대(신사업 창출)되고 나노바이오 기술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 헬스산업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유망분야로 성장할 것이다 특히 전기자

동차 가정용 에너지 저장장치 등 에너지 활용으로 효율성 향상될 것이다

둘째 나노기반 미래 신산업 창출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확충될 것이다 나노기

술 기업의 성장 및 제조업 성장 촉진으로 신규 고용 창출할 수 있다 전통 제조기

업의 나노기업으로의 전환 등 기업 활동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고용의 질 제고

할 수 있다

셋째 미래세대와 함께 하는 지속가능한 사회 기반 구축할 수 있다 안전한 나노

기술개발로 나노기술에 의한 잠재적 위험을 최소화하고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안전 제고해야 한다 나노기술 기반의 에너지 발생 변환 저

장 절감기술 개발을 통해 에너지 자립도를 향상시키고 나노기술 기반의 대기 및

수질오염 제거 기술 개발을 통해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문제 최소화시킬

수 있다

나노기술의 상용화와 관련된 문제를 살펴보면 나노기술 분야에 대한 잇슈 중의

하나는 상용화와 제품화에 대한 것이다 이는 나노기술이 제품화가 되기까지의

과정이 매우 어렵게 때문이다

McNeil(2007) Kalil(2005) Hobson(2009)등이 제시한 장애 요인 분석을 바탕으로

나노기술분야가 IT 및 BT 분야 등 타 분야와 차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나노

기술이 상용화가 되기까지 약 5~10년의 기간이 걸린다 그리고 나노기기술은 첨

단기술로서 연구개발 단계에서 인프라 구축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장

비들이 고가이고 실험이나 측정을 위하여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되고 이러한 초

기 인프라 구축과 장기간의 시간을 통해 제품이 시장에 나왔다고 하더라고 성공

을 확신할 수 없는 부확실성의 성격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고가의 기반시설 등에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0

대한 인프라 구축은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역량으로는 매우

힘든 부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나노기술 분야에서 중소기업의 수가 많은

점을 생각하면 인프라 구축의 선행으로 인한 어려움의 요인이 나노의 상용화 어

려움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나노기술의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참여인력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

다 나노산업은 일반인이 접근하기에는 매우 어려우며 기술적으로 높은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그렇게 때문에 민간 차원에서 주도하여 성장할 수 있는 부분이라

기 보다는 정부차원에서 투자하고 발굴하여 추진해야 하는 분야의 산업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나노기술의 높은 이해도와 특징으로 인하여 대부분 나노기술 분

야를 주도하고 있는 것은 대학이나 정부 출연 기관의 연구원들이다 이들은 기본

적으로 나노기술을 사업화하여 이익을 창출해 내려는 사업가적 마인드로서의 시

각으로 바라보기 보다는 순수학문적인 분야에서 새로운 물질의 발견이나 합성 등

학문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다 그러므로 나노기술의 사업화를 통한 성과의

창출보다는 논문등재 등 이론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어 학문적인 업적을 창출하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나노기술

에 대한 투자가 주로 정부주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구비에 대한 투자를 연구

업적 등의 가시적 성과를 통해서 보여주려고 하기 때문이다

5 문헌연구 분석 결과 시사점 도출

앞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으로는 정량적 정성적

방법이 있다 각각의 수요예측에 대한 우월성은 학자들에 따라 의견이 다르지만

연구의 대상 관련 데이터의 확보여부 연구 범위에 따라 다르게 활용될 여지가

있다 정성적 예측 분석의 대표적 방법론으로는 델파이 기법이 있는데 델파이 분

석의 경우 전문가들의 익명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외부적 영향으로 인한 왜곡현상

이 방지되어 비교적 객관적인 답변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응답자인 전문가

들의 자질과 역량의 문제 응답의 불성실문제 비용문제 마지막으로 전문가의 직

관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정량적 분석과 비교 시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갖

고 있다

이에 반해 정량적 수요예측은 신속한 검증이 가능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결과의 타당성도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정략적 수요예측 방법으로는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61

일반적으로 Gompertz 모형 Logistic 모형 Bass 모형 등이 있으며 이중 Bass 의

Diffusion Model은 신상품 신규서비스 신기술이 시장에 도입되어 확산하는 과정

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모형이기 때문에 나노기술의 산업확산 수요

예측에 가장 적절한 분석방법이라 할 수 있다 Bass 확산모형은 시장 전체의 반응

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시장의 종합적 분석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요예측 토대로 기업이나 정부의 투자나 지원을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들에서 다루었듯이 신기술의 확산 또는 신

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미래 수요를 예측하는데 Diffusion Model이 널리 쓰이고 있

지만 현재까지 나노산업의 미래 수요예측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며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학습논문이나 연구보고서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보

고서는 나노산업의 미래 수요예측을 위해 계량적 분석 그 중 높은 예측력을 지닌

다고 알려진 Bass의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려고 한다

한편 소비자 인식 관련 문헌 연구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혁신의

수용을 혜택(Benefit)-비용(Cost)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고 나노기술이 위험인식

기술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신뢰라는 변수를 추가할 수 있다 소비자들

이 나노기술에 대한 긍정적 혜택과 관련된 변수로는 나노기술을 사용함으로 나타

날 것 같은 지각된 이득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이라는 변수를 선택할 수

있다 반대로 나노기술에 대한 부정적 요소로 비용 관점에서는 혁신저항의 변수

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저항변수로 기능적 장벽(지각된 위험 가치장벽 사용장벽)

과 심리적 장벽(관습장벽 이미지 장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뢰의 대상을 기관 사람 기술에 대한 신뢰로 구분하여 나노기술에 대한 소비자

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주요 변수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즉 문헌연구를 통하여

소비자의 기술수용과 이용행동에 관한 다양한 모델을 살펴보고 나노기술과 같은

신기술을 수용하는 소비자들에게 그들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어떠한 변수들이 중

요한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나노기술을 혁신의 차원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나노기술이 연속적 혁신

인지 불연속 현신인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나노기술이 어떻게 받아

들여지고 있는지 유추할 수 있다 나노기술은 산업 전반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므로 산업별 제품별로 연속적 혁신과 불연속 혁신이 산업 전반에서 다양하

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불연속적인 혁신의 경우 획기적인 성능과 증진된 편익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2

주는 나노기술의 경우 혁신제품 애호가들로부터 상당한 주목을 받는 경우가 많이

나타나지만 시장의 다수를 형성하는 보수적인 소비자들로부터는 외면당하기 쉬

울 수 있어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모두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나노기술처럼 불확실성이 높고 미래의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 소비자들

은 주관적 확신을 높이기 위해 정보탐색이나 구매 전 심사숙고의 과정을 더 많이

거치게 되며 의사결정에 이러한 요인들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문

헌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요인들을 혁신장벽이라는 개념으로 살펴볼 수 있었으

며 나노기술과 같은 혁신기술의 채택의 주요 장벽으로 기능적 장벽 심리적 장벽

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나노기술에 대해 전문가나

연구소 등 국책기관이나 정부 등을 신뢰하는 정도에 따라 이러한 불확실성에 대

한 위험인식을 낮추게 될 것이라는 점을 도출하였다

한편 산업 전문가 조사는 해당 산업에 대해 높은 지식과 식견을 가진 전문가들

을 표본으로 목적에 맞게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말하며 기업내외부적 전문가

들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산업의 세부적 분류를 사용해 분석할 경우 기업 내외

부와 산업 별 쿼터별로 적절한 대표성을 위해 할당 추출법(quota sampling)을 사

용하기도 하며 이 경우 도출해내고자 하는 결과와 관련해 분야별 다양한 의견을

갖고 있는 전문가들의 종합적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산업 전문가의 의견이

반영된 연구들로는 델파이 기법이 있으며 신기술 산업이나 제품에 대해 일반인

과 전문가의 이해도가 많은 차이가 있거나 그 기술의 산업 제품에 대한 혜택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식이 상반될 때에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조사하는 연

구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델파이 조사의 경우 일반적인 소비자조사보다 표본의 숫자가 작은 편이지만 다

양한 견해와 이견을 통해 새로운 시각의 직관적이고 창의적 견해를 포함하는 시

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인터넷의 등장으로 초기 델파이

측정 방식인 인터뷰나 대면조사에서 온라인 설문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이 강화되어 최근 많은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 다른 산업 전문가 의견을 활용하는 연구로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차이를

조사하는 연구가 있다 이는 해당 기술 산업이나 제품에 대한 인식에 많은 차이가

있을 때 중요하며 어떠한 산업은 전문가들이 일반 소비자나 잠재소비자의 특성

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새로운 기술 산업이나 제품의

경우 그러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첨단 기술산업의 경우 일반 소비자들은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63

해당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불확실성과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

는 신기술 산업의 경우 소비자들과 전문가들은 위험인식 혜택 수용의도에 걸쳐

서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의견이 아닌 전문가의 의견에만 의존할 결과를 도출하게 될 경우 본 보고서와 같

이 미래의 수요를 예상하게 될 경우 실제 수용자인 일반소비자들의 위험인식에

따른 낮은 태도를 반영하지 못해 신뢰하기 어려운 결과값이 도출 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일반 소비자의 의견만을 반영하고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일반 소비자가 판단하기 어려운 첨단기술 산업의 경우 이들의 응답에 대한

신뢰도가 전문가와 비교해 매우 낮을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산업 전문가와 일반

소비자의 인식차이를 비교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나노산업의 경우 나노물질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는 다르

게 사람들로 하여금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나노기술의 정확한 시장잠재력 및 확산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이해수준

이 높은 전문가의 의견도 물론 중요하지만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결국 최종 소

비자의 수용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의 잠재적 불

안감을 측정하고 이를 전문가의 의견과 함께 종합하여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예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노기술은 미래성장잠재력과 국가경제의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기술력이며 이에 대한 효과성은 광범위한 산업분야에서 연구를 통해 입증되어

왔다 나노기술은 삶을 더 풍요롭고 빠르고 편리하며 경제적으로 바꿔줄 가능성

이 매우 큰 혁신적인 분야이며 전통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국가 경제를 견

인할 차세대 기술혁신의 주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는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

치고 기존 산업을 파괴하거나 새로운 산업 창조가 가능할 정도로 파급력을 갖는

파괴적 혁신 기술(disruptive innovation technology)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산업

적 파괴력 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크다고 할 수 있다(배성훈 외 2015) 나노물질이 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는 다르게 사람들로 하여금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주고 있다 실제로 최근 몇몇 국내연구들에서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들의 잠재

적 위험성 인식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나노기술은 나노미터 크기의 아주 작은 단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4

위의 물질을 조작 분석 제어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관련지식이 적은 일반인들에

게는 막연한 불안감 위해성 인식을 불러 올 수 있다 또한 나노기술의 높은 효과

성과 파급력에 비해 나노기술의 정확한 이해나 응용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지식수준이 많은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나노기술의 정확한 시장잠재력 및 확산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이해수준이 높은 전문가의 의견도 물론 중요하지만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결국

최종 소비자의 수용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의 잠

재적 불안감을 측정하고 이를 전문가의 의견과 함께 종합하여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예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노관련 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로서 부가가치 유발 효과와 고용유발 효과를 들 수 있으며 나노관련 산업의 많은

부분이 제조업을 포함하기 때문에 특별히 제조업 전체의 발전을 통한 부각가치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나노산업은 연구개발과 시제품을 생산하는 단계를 지나 실제 상용화될 수

있는 제품을 제조하고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으며

제조업의 생산성을 뛰어넘는 유망한 성장동력으로 커가고 있다 또한 나노산업은

제조업 대비 고용증가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계획하고

있는 고용 확대 정책과도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고용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이다

나노기술의 파급효과와 빠른 성장 그리고 성공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성과가 매

우 크게 나타나지만 이러한 성공을 거두기까지 적어도 5~10년 정도의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단기간에 성과를 발생시켜야 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나노기술에

대한 연구의 투자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나노융합제품의 시장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나노융합제품의 매출 비중은

제조업 영역에서 확대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사업화를 확대시킬 수 있는 전략적인

지원정책 수반되어야 한다 나노기술은 기반 기술로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

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향후 산업 전반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하

고 있다 따라서 나노기술의 상용화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기업뿐만 아

니라 정부차원에서의 지원과 학재간 협력이 필요하다(김석필 외 2014)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전자산업이 초정 나노기술을 혁신 동력으로 발전하였

으나 차세대 기술에 대한 투자가 부족한 편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차세대 논리

소자 계산과학의 기술수준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나노소재 분야 기업이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65

다수이나 매출규모가 적고 나노바이오의 사업화가 특히 미흡한 편이다(국내 나노

산업의 03 해외는 10)

이처럼 나노산업인력은 양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기술 전문성 증진 필요함 국내

나노기술의 미래 전망에 대해 정성적인 분석을 통한 전망 외에 계량적인 모델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예측이 필요하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6

제4장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1 나노시장 예측 방법론 요약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process를 통하여

나노기술의 최종적인 산업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lt그림 29gt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나노산업 영향력 도출 방법론

먼저 Step1에서 과거 나노산업 매출 데이터(2010년~2014년)를 수집한다 이후

모델 추정을 위한 초기 데이터의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해 Step2에서 나노산업 전

문가들의 단기적 미래 나노산업 매출액(2015년~2018년) 예상값을 수집한다3) 단

이 과정에서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를 산업 전문가들에게

제시해 최대한 객관적인 시장에서 매출액을 예상하도록 유도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2010년부터 2018년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해 Diffusion Model의 계수 p q

값을 추정해낸다

마지막으로 Step3에서 추정된 p q값을 모델에 대입하여 2015년부터 2025년까

지의 최종 나노산업 매출액을 예측한다 이후 세부 나노산업별로 각각의 규모를

나누어 추정해보고 예측의 최소값 최대값 적용과 같은 몇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

3) 사전에 실시된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는 2014~2018년도 예상 매출액을 응답하게 하였으나 조사 기간 도중 2014년 실제 나노산업 매출액이 발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 적용 시 2010~2014년도 값은 나노산업의 매출 실제값을 2015~2018년도 값은 산업전문가의 예상 매출액을 활용하기로 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67

한 민감도 분석도 실시하기로 한다

이러한 방법론은 현재 나노산업이 가지고 있는 초기 데이터 부족 등 몇 가지 문

제점 및 전제를 감안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충분히 고려하였으

며 각각의 해결 방향은 요약 제시하면 다음의 표에 정리된 바와 같다

lt표 16gt 본 연구의 기본 전제 및 해결 방향

예측 과정의 문제점 및 전제 해결 방향

1

나노산업의 시장매출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아 모형

예측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를 필요로 함 (모형 추정

의 불안정성)

기본 계량 모형과 더불어 산업전문가의 예측 정보

를 함께 활용하고자 함

2산업전문가들의 장기적인 산업 예측은 신뢰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음

비현실적으로 장기적인 예측을 요구하지 않고 5년

간의 단기 예측 정보만을 요구하여 신뢰성을 높임

3산업전문가들의 기술 중심적인 사고를 보완하기 위해

보다 객관적인 정보 도출이 필요함

나노산업 전문가들에게

나노기술 최종 사용자인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

술 인식 조사결과를 제시하여

보다 객관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유도함

2 Diffusion Model 소개 및 적용 방향

Diffusion Model은 Bass(1969)가 제안한 이후 신기술 혹은 신제품의 확산 과정을

예측하기 위해 활발히 활용되는 대표적인 수리적 모형이다 Diffusion Model은 새

로운 상품이나 서비스가 나타내는 S자형의 성장 및 확산 모습을 가장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모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Bass Model은 기본적으로 신제품에 대한 구매가 혁신자(innovator)와 모방자

(imitator)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고 hazard rate라고 불리는 다음의 식으로

부터 출발한다 (hazard rate t시점까지 비구매자가 t시점에서 구매자가 될 확률)

이때 계수 p를 혁신 계수 q를 모방계수라고 한다

)(

)(1

)( tqFptFtf

f(t) t기에 제품을 수용할 확률

F(t) t기까지 수용자의 누적 확률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8

p 혁신계수 (coefficient of innovation)

q 모방계수 (coefficient of imitation)

위의 식로부터 미분방정식을 활용하여 t시점의 수용자 수를 다음와 같이 계산할

수 있고 각 t 시점마다의 누적 수용자수도 함께 계산할 수 있다

2)(

)(2

)1(

)()(

tqp

tqp

epqe

pqpMtS

S(t) t기에 제품을 수용한 소비자의 수

M 시장의 최종적인 잠재수요

확산모형의 모수추정방법으로는 크게 회귀분석을 활용하는 OLS(Ordinary Least

Square) 우도추정함수를 활용한 ML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방법 관찰

치와 예측치의 차이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함수를 설정한 후 모수를 삼차원 공간

에서 추정하는 NLS(Non-linear Least Square) 등의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중에서 지금까지 가장 안정적이고 좋은 성과를 보인다고 평가받고

있는 NLS 방법을 적용하기로 한다

한편 Diffusion Model이 기본적으로 제시하는 형태는 신제품의 수용자 수 기반

의 예측이나 나노산업의 경우 나노기술이 포함된 특정 제품을 선정하고 그 소비

자들만 추출해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최종적인 일반 소

비자들의 나노기술 지식 수준이 낮아 수용 소비자 수를 활용하는 예측의 효과성

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나노기술이 TV 자동차와 같이 최종 end-product로 일반소비

자에게 수용되기 보다는 다양한 산업과 제품에 활용되는 기반 기술이라는 특성을

감안하여 최종수용자 기반의 확산모형이 아닌 산업 총매출액 기반의 확산모형을

적용하고자 한다

실제로 이와 비슷한 특징을 가진 몇 가지 기술 확산 예측 모형에서 같은 이유로

인해 산업의 전체 매출액 데이터를 활용한 Diffusion Model이 활용된 바 있다 예

를 들어 최근 반도체 시장 수요 RFID 시장 수요 오픈소스 기술 수요 등 신기술

등장 시 전체 시장의 확산을 예측하는 계량적 모형으로 매출액 기반의 Diffusion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69

Model이 활용된 바 있다(김진 고경일 2014 권순동 이승률 2015 손동민 외

2014)

특별히 나노기술과 같이 다양한 하위 산업이 존재하는 신기술의 경우 시장 매

출 합산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측하는 포괄적 방법론이 더욱 설득력이 있다고 판

단된다 손동민 외(2014)의 연구에서도 합산 데이터를 활용하여 예측하는 것이 산

업의 포괄적 전망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시장 합산 데이터를 사용한다고 지적

한 바 있다 본 연구도 이와 같은 목적에서 수용자 수 기반의 Diffusion Model 보

다는 합산 매출액 기반의 Diffusion Model을 적용하여 최종 예측하고자 한다

3 일반소비자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 요약

본 연구는 사전 조사로 일반 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을 조사하였다4) 나노기술

과 같이 혁신적인 기술에 대해서 일반 소비자들은 혜택 지각된 위험 혁신 저항

신뢰 등 다양한 인식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소비자 인식은 최종적인 산업의 확

산 및 발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별히 나노기술은 과거 기술 위험성 부작용 등의 뉴스 및 연구 결과들이 발표

된 바 있어 최종 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이해와 개선이

향후 나노산업 발전을 위해 특별히 중요하다 일례로 최근에는 일반적인 공중

(public)이 느끼는 나노기술 위험 특성과 나노기술 개발 및 관리주체인 정부 및 과

학자에 대한 신뢰가 위험인식과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들도 진

행된 바 있다(김원제 외 2016)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에 대한 인식을 면 히 조사하고 향후 산업 전문가 제시 정보로도 활용하기 위해

서베이 기법을 활용한 시장조사를 진행하였다 서울 경기 및 5대 광역시(인천 대

구 광주 부산 대전) 거주하는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96명을 대상으로 진

행하였으며 2016년 10월 10일부터 10월 1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 및 동영상을

이용한 온라인 조사를 실행하였다

4)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2017 「나노기술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신뢰도 수용의도 조사분석 연구」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0

lt그림 30gt 나노기술 인식 조사 변수 소개

소비자 조사를 위한 주요 변수는 앞의 문헌연구를 종합하여 최종 선정하였으며

기본적으로 Benefit-Cost 관점에서 출발하여 나노기술에 대한 혜택 변수 위험 및

혁신장벽 등을 질문하였다 또한 나노기술이 위험인식 기술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기관 사람 기술에 대한 신뢰 변수를 추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나노기술에 대한 긍정적 혜택과 관련하여 지각된 이득 지각된 유용

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이 선정되었으며 혁신저항 변수로 기능적 장벽(지각된 위

험 가치장벽 사용장벽)과 심리적 장벽(관습장벽 이미지 장벽)으로 구분하여 측

정하였다 그리고 나노기술 관련 신뢰는 신뢰의 대상을 기관 사람 기술에 대한

신뢰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웹서베이를 통해 소비자의 연령 성별 나노기술 인식을 비교하여 해

당 분석 결과를 다음 순서인 전문가 조사 제시 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

다 또한 소비자 인식 수준을 참고로 나노기술 정책 개발자 및 나노기업 담당자

들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미 다른

보고서에서 소개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소비자 조사의 주요 결과만을 요약하

기로 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1

lt그림 31gt 일반 소비자의 나노기술 나노제품 사용 여부 인식

우선 본 조사는 일반 소비자들이 나노기술 이용여부를 얼마나 잘 인식하고 있는

지 측정하였다 스마트폰 등 일반 소비자들이 자주 쓰는 제품에서 나노기술이 이미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소비자들이 나노기술 나노제품 사용 여부를 인지하고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실제 소비자들은 나노제품 사용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많은 소비자들이 나노기술 나노제품을 사용한 적 없다

(30) 혹은 잘모르겠다(342)라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여성(40)과 젊은 연령대층

(20대 411)에서 나노기술 사용여부에 대해 잘 모르겠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이처럼 나노기술에 대해 일반소비자의 인식이 낮을 것을 예상하여 본 조사는

본격적인 질문을 시작하기 전에 나노기술과 관련된 홍보영상 관련 뉴스를 4개(총

재생시간 약 11분) 시청하게 하였다 동영상 시청 후 나노기술에 대한 이해도는

다음의 표와 같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lt표 17gt 나노기술의 특징 품질 혁신성 이해 정도 비교 (동영상 시청전후)

구분특징 품질 혁신성

시청 전 시청 후 시청 전 시청 후 시청 전 시청 후

부정 (1점+2점) 369 89 411 83 45 39

긍정(4점+5점) 344 694 283 675 693 796

점수(100점 만점 기준) 484 673 453 669 691 759

차이(시청 후ndash시청 전) 189 216 68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2

단 11분 정도의 간단한 동영상 시청만으로도 나노기술의 이해도가 의미 있게

증가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나노기술의 성장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일반소비자의 이해 수준은 낮은 편이고 이러한 이해도는 추가적인 홍보

를 통해 충분히 상승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향후 나노관련 정책 개발자는 나노기술에 대해 연령별 성별 특성에 적합한 맞

춤형 홍보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도 나노기술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 외의 나노기술 인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2gt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정도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3

우선 나노기술의 혜택으로 지각된 이득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을

100점 만점 기준으로 측정하였는데 일반 소비자들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

득 지각된 사용 용이성 순서대로 나노기술 혜택을 높이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여성보다는 남성이 그리고 저연령층보다는 고연령층 그룹에서 나노기술의 혜택

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나노 관련 정책 홍보 측면에서 나

노기술이 다양한 제품군에서 손쉽게 사용될 수 있음을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별히 여성과 20~30대 젊은 소비자들에게 나노기술의 혜택을 집중적으로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

비용 관점에서는 기능적 장벽(지각된 위험 가치장벽 사용장벽)과 심리적 장벽

(관습장벽 이미지 장벽)으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인 평균값은 혁

신장벽값으로 100점 만점 기준으로 나타내었다 조사 결과 나노기술에 대한 지각

된 위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치장벽과 심리적 장벽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

이었다 특별히 여성이 더 높은 지각된 위험을 인식하고 있으며 30대 소비자 그

룹에서 혁신 저항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즉 일반소비자들에게 특

히 30대 여성 그룹에게 나노기술의 안전성 홍보를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신뢰 측면은 기관에 대한 신뢰 사람에 대한 신뢰 기술에 대한 신뢰로 나누어

100점 만점 기준으로 측정하였는데 나노기술을 개발 운영 유지 관리하는 정부

공공기관 기업 등 기관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여성

들의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고 20~30대 젊은 소비자 그룹의 신뢰도 역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즉 여성과 20~30대 젊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나노

관련 기관들의 신뢰를 높이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서 측정

한 바와 같이 나노기술에 대한 높은 지각된 위험을 고려할 때 향후 더욱 적극적

인 신뢰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조사는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수용의도를 100점 만점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나노기술 적용 제품 수용의도는 남녀가 유의한 차이를 보

였으며 남성(643점)이 여성(603점)보다 수용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별대별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50대 이상이 671점으로

가장 높은 수용의도를 보였고 20대가 580점으로 가장 낮은 수용의도를 보였다

본 결과에 따르면 나노기업은 우선적으로 50대 이상 남성들이 자주 사용할 수 있

는 나노제품군 개발에 노력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장기적으로 젊은 여성 그룹이

선호할 수 있는 나노제품 개발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4

4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결과 요약

본 연구는 나노산업 초기 매출 데이터의 불충분함과 산업 전문가의 보다 현실적

인 예측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5) 이를 위해 먼저 나노

산업을 통계청 NTIS 등 국가승인통계 기준에 따라 ldquo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

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rdquo 네 분야로 분류하였다 단 나노전자산업에 대한

표기는 나노전자(소자)로 변경하였는데 이는 실제로 나노전자 산업에서 소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 산업의 전문가를 기업내부 기업외부 시장분석 전문가의 세 집단으

로 분류하였다 기업내부란 나노관련 기업에 종사하는 직원들을 의미하고 기업외

부란 나노기술과 관련한 국책연구소 정부기관 대학교수들을 의미한다 시장분석

전문가들은 나노산업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금융회사의 애널리스트

펀드매니저 투자전문가 IR담당자들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전문가조사는 기업내부의 전문가 위주의 조사가 주를 이루지만 본 연

구는 보다 객관적인 정보 수집을 위해 다양한 전문가 구성을 시도하고자 노력하

였다 특히 시장분석 전문가들은 나노 관련 기업의 매출 및 이익 구조에 근거해

lsquo돈rsquo과 관련된 투자 의사결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인 시각의 의견을 수

집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였다

전문가 조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산업별로 쿼터를 구성하였다 나노소

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을 각각 균등하게 배분

할 수도 있지만 실제 나노산업의 매출액 비중은 다음의 표와 같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lt표 18gt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추이 (단위 억원)

  2010 2011 2012 2013 2014 Total 비율

나노소재 87191 111370 96651 144391 104664 544267 938

나노전자(소자) 770863 785380 1170282 1215753 1193383 5135661 8849

나노바이오의료 2718 2934 4444 4126 7249 21471 037

나오장비기기 19698 23170 19152 22669 17634 83171 143

Total 880470 922854 1290529 1386939 1322930 5803722  

자료 나노융합산업 통계 산업통상자원부

5)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2017 「나노기술 성장 예측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정확한 제목 이곳에 명시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5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전체 나노산업에서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매출이 차

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이다 따라서 모든 산업을 균등한 비율로 분배하는 것은 무

리가 있다 그렇다고 반대로 단순 매출액에 비례하여 산업 전문가 샘플수를 결정

할 경우 나노전자(소자) 산업이 지나치게 많은 비중을 차지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매출 비중이 적어도 향후 높은 성장이 기대되는 각 나노

세부 산업의 특징을 감안하여 노전자(소자) 산업을 50 그 외 나머지 산업을 50

내에서 균등히 배분하기로 하였다 나노전자(소자) 이외의 다른 산업 매출액 현재

수준은 낮지만 향후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각 세부 그룹별 최소 10명의 전문

가 의견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나노전자

(소자)산업과 그 외 나노산업과의 비율을 5050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각 산업 내에서 전문가 특성별(기업내부 외부 시장분

석 전문가)구분은 서로 균등하게 배분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전문

가 집단 구성은 다음과 같다

lt표 19gt 최종 나노산업 전문가 집단 구성

기업내부 전문가 기업외부 전문가 시장분석 전문가 Total

나노소재 10 10 10 30

나노전자(소자) 30 30 30 90

나노바이오의료 10 10 10 30

나노장비기기 10 10 10 30

Total 60 60 60 180

본 연구는 이렇게 선정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웹서베이를 통해 다양한 의견

을 수집하였다 구체적인 질문에 앞서 먼저 실행된 일반적인 최종소비자들의 현

재 나노기술 인식 수준을 요약하여 제시하였고 이를 충분히 숙지한 후에 본 조사

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이는 자칫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자신이 소속된 산업에 지

나치게 긍정적인 평가를 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나노산업이 위험인식 기술

이고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이해 수준이 여전히 낮은 수준임을 제시한 후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시장을 바라보게 하고자 한 것이다

이후 구체적으로 조사 당시까지 발표된 2010년~2013년까지의 각 나노산업 매출

액을 제시한 후 이후 5년간(2014년-2018년) 자신이 소속된 나노산업 분야의 매출

액을 예측하게 하였다 정확한 예측값을 응답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해당 년도에 해당하는 예상 매출액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응답하게 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6

이후 나노산업의 발전을 위한 주관적 의견 및 나노산업별 중요도 기술수준 평가

항목 등을 측정하였다 지금까지의 조사 방법을 그림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3gt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과정 요약

본 조사는 나노산업과 같이 기술주도적인 산업은 현장에서 실제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산업 전문가의 예측이 가장 현실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는 기본 전제에 기반한 접근 방식이다 단 지나치게 장기적인 예측은 정확성이 떨

어질 것이므로 향후 5년 정도의 단기적인 예측만을 본 분석에 활용할 것이다

또한 지나치게 공급자 입장에서만 생각하는 근시안적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인 최종소비자의 의견 정보를 참고하게 함으로써 최대한 객관적인 의견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나노산업 전문가(기업 내부 외부 시장분석

전문가)를 대상으로 최대한 균형적인 의견을 얻어내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이를

최종적으로 Diffusion Model 예측 과정에 적용하여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의

적절한 조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147명의 응답 데이터를 확보하였으

며 본 연구는 주요 결과만을 간략하게 요약하기로 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7

lt그림 34gt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측값 추이

나노소재 산업 (단위 억원) 나노전자(소자) 산업 (단위 억원)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단위 억원) 나노장비기기 산업 (단위 억원)

우선 나노소재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36조6천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이는 2013년 14조4천억원 대비 253 성장 전망한 것이다 나노전자(소자)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228조5천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하였다 이는 2013년 121조6천

억원 대비 188 성장 전망한 것이다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7천9백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하였다

이는 2013년 4천1백억원 대비 192 성장 전망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나노장비기

기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3조5백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하였다 이는 2013년 2

조2천7백억원 대비 134 성장 전망한 것이다

본 전문가 조사 당시는 2014년 나노시장 매출액 공식 집계가 발표되기 직전이었

기 때문에 2014년~2018년 매출 예상한 것이다 그런데 본 조사를 진행하던 중

2014년 나노시장 공식 집계가 발표되었기 때문에 2014년도 전문가 예측값과 실제

값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특이한 점은 2014년 나노바이오산업의 급

성장으로 인해 실제 2014년도 매출액값에 비해 전문가 의견이 특별히 과소 예측

되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2014년의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전문가의 예상보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8

도 더 크게 성장하였다 단 한해의 값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구체적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다만 최근 바이오 업계의 성장으로 나노산업에서도

전문가 예상을 넘어서는 성장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원

인과 구체적인 분석은 향후 다른 연구에서 시도될 필요가 있다

본 조사는 이외에도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 차이를 상대적으

로 비교하였다 즉 앞서 실행된 일반인 나노기술 인식 조사와 전문가조사에서 같

은 질문 항목에 대해 어떠한 차이가 발견되었는지 확인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5gt 일반인 Vs 전문가 나노기술 인식 차이 비교

분석 결과 종합적으로 나노기술 관련 혜택 및 신뢰는 전문가들이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반면 혁신장벽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함을 확인하였다 이

는 실제로 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의 인식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시켜주는 자료이며

ldquo객관적인 사실 여부를 떠나rdquo나노전문가들의 관련 기술 정책 개발 시 이러한 인

식 차이를 인지하고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를 시사하는 결과

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본 조사는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현재 인식하는 각 세부 산업의 중요도와

기술수준을 평가하게 하였다 중요도란 전체 나노산업 분야에서 아래의 각 세부

나노산업이 차지하는 상대적 중요도(1거의중요하지않음 3보통 5매우중요함)를

의미하며 기술수준이란 최고 기술 보유국 대비 각 세부 국내 나노산업의 상대적

기술 수준을 평가(1최하위권 3보통 5최고선진국)한 것을 의미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9

lt그림 36gt 나노산업별 중요도 및 상대적 기술 수준 평가

분석 결과 전문가들은 나노소재 산업의 중요도를 가장 높게 평가하며 나노전

자(소자) 산업의 기술 수준을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노바이오

의료 산업은 중요도에 비해 기술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평가하고 있어 이 부

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 다른 산업에

비해 중요도와 기술수준이 낮게 평가되어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원이 필요함

을 알 수 있었다

5 Diffusion Model을 적용한 나노산업의 미래 규모 예측 결과

51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존 연구는 지금까지 논의한 Diffusion Model 일반소비자 조사 산업전문가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국내 나노시장의 2025년 매출 규모를 예측하였다 구체적인 방

법론을 다시 한 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Diffusion Model에 2010~2014

년까지의 실제 산업 매출 데이터와 전문가로부터 도출된 2015~2018년까지의 예상 매

출 데이터를 모델에 적용한 후 계수값인 p와 q 값을 추정하였다 이후 추정된 p

q 값을 Diffusion Model에 다시 적용하여 2015년부터 2025년까지 나노시장의 매

출액 규모를 최종 예측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0

Diffusion Model은 기본적으로 연속형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제안되었으나

Bass(1969)는 본 연구와 같이 이산형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는 모델도 함께 제시

하였다 본 연구는 나노산업 매출 데이터를 연도별로 획득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산형 모델을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모델의 형태는 다음

과 같다

S(t) t기의 매출액

N(t) t기까지 누적 매출액

M 시장의 최종적인 잠재 누적매출액

p 혁신계수 (coefficient of innovation)

q 모방계수 (coefficient of imitation)

일반적으로 Diffusion Model 관련 연구들은 추정값의 안정성을 위해 최종 잠재

규모인 M 값을 함께 추정하기보다 외부의 정보를 통해 모형에 직접 대입하는 것

을 추천한다(Putsis Jr and Srinivasan 2000 Mahajan et al 1990)

본 연구 역시 나노산업의 시장 매출액 데이터가 적기 때문에 모형 모수 추정의

불안정성이 존재한다 이 경우 역시 p q M 값을 모두 추정하기보다 외부 정보를

활용해 M값을 도출해내는 것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형의 M 값을 외부적 정보를 통해 계산해내었다 구체적인 도출 근거는 다음과

같다

나노산업은 기본적으로 제조업 산업에 소속되어 있으며 2014년 현재 발표 기준

으로 전체 제조업 산업에서 약 89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2025년 전체

나노시장의 잠재규모의 최대치는 2025년 제조업 산업의 매출 규모를 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물론 극단적으로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산업을 넘어서는 규모로 성장할 가능

성도 없지 않으나 현재 나노기술이 대부분 기존 제조업 기술을 대체하는 과정에

서 성장하고 있고 아직까지는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89로 작기 때문에

2025년이라는 기간 내에 전체 제조업 산업의 최대치를 넘어설 정도로 성장한다고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1

예상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체 제조업 시장이 지금과 같은 연평균성장률을 유지한다고

가정하고(2010년~2014년까지 연평균 26 성장) 2010년부터 2025년까지의 전체

제조업 시장의 잠재누적매출액을 나노시장의 M값으로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전

체 제조업산업의 2010년도 매출액은 약 1340조원이며 2014년 약 1490조원을 거

쳐 2025년 약 1980조원 시장으로 계산되었다 이때 2010~2025년까지의 누적 매출

액은 약 2경6천5백조원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이 값을 M 값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확산모형의 모수 추정방법으로는 앞서 정리한 바와 같이 크게 회귀분석을

활용하는 OLS(Ordinary Least Square) 우도추정함수를 활용한 ML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관찰치와 예측치의 차이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함수를 설정

한 후 모수를 삼차원 공간에서 추정하는 NLS(Non-linear Least Square) 등의 방법

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중에서 지금까지 가장 안정적이고 좋은 성과를 보인다고 평가받고 있는 NLS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도 Nonlinear estimation 방법을 활용하여 p q값을 추정

하였으며 이때 Levenberg-Marquardt algorithm을 사용하였다 지금까지의 설명한

추정 방법을 통해 최종 예측된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는 다음과 같다

lt그림 37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최종 분석 결과 국내 나노시장은 2020년 약 346조원을 거쳐 2025년 약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된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대비 약 504배(504) 성장

전망된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전문가 조사 시 예측값의 최소값과 최대값 응답을 확보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2

위에 제시된 667조원은 평균값 기준이며 만약 전문가 조사 결과의 최대값을 반영

할 경우 2025년 기준 811조원까지 성장이 예상되며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2025년

기준 534조원까지 성장이 예상된다 즉 시장을 가장 부정적으로 전망하더라고

2014년 대비 최소 약 4배의 성장이 예상되며 만약 최대한 긍정적으로 바라볼 경

우 약 6배에 이르는 성장이 예상된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8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최소값 평균값 최대값 비교)

평균값 최대값 최소값을 기준으로 2010년부터 2025년 각 연도별 매출액을 표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아래 표에서 2010년부터 2014년까지는 실제 나노산업

매출액 값이며 2015년부터 2025년까지가 Diffusion Model을 통해 예측된 값이다

lt표 20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2010 880470 880470 880470 2011 922854 922854 922854 2012 1290529 1290529 1290529 2013 1386939 1386939 1386939 2014 1322930 1322930 1322930 2015 1735686 1660302 1803485 2016 1996260 1875811 2107675 2017 2294292 2117633 2461458 2018 2634533 2388455 2872154 2019 3022133 2691095 3347877 2020 3462610 3028467 3897522 2021 3961789 3403531 4530702 2022 4525722 3819232 5257638 2023 5160564 4278422 6088963 2024 5872403 4783764 7035429 2025 6667048 5337626 8107480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3

lt그림 39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한편 본 연구는 전체 제조업이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 26를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해 보았다 전체 제조업은 초기 성장 단계를 지나 이미 성숙기에 도달한 산업

이고 모든 제조업을 종합한 결과치로서 향후 급속한 변화가 진행되지 않을 것으

로 기대되기 때문에 연평균 성장률을 적용해도 무리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분석 결과 2014년 기준 전체 제조업에서 89를 차지하는 나노산업이 2025년

기준 3368 비중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나노산업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약 25p 증가함을 의미하며 앞으로 나노기술이 전체 제조업의

상당수를 점유하는 수준까지 성장할 수 있을 것임을 기대하게 한다

lt표 21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단위 억원)

  제조업 매출 합계 나노산업 매출 예측 나노산업 비중

2010 13395480 880470 657

2011 15023530 922854 614

2012 15114951 1290529 854

2013 14957302 1386939 927

2014 14865742 1322930 890

2015 15257862 1735686 1138

2016 15660324 1996260 1275

2017 16073403 2294292 1427

2018 16497377 2634533 1597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4

  제조업 매출 합계 나노산업 매출 예측 나노산업 비중

2019 16932535 3022133 1785

2020 17379171 3462610 1992

2021 17837588 3961789 2221

2022 18308097 4525722 2472

2023 18791017 5160564 2746

2024 19286675 5872403 3045

2025 19795407 6667048 3368

제조업의 2015~2025년 매출액 합계는 2010~2014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 26를 적용하여 도출함

52 세부 산업별 매출액 예측

본 연구는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각 세부

산업별 매출액을 나누어 도출하였다 이를 순서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나노소재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

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0조5천억원 대비 143161 성장할 것으로 예측

된 것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205조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10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6)

lt그림 40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6) 나노소재 산업이 특별히 고성장할 것이라는 예측 결과는 사전에 실시된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 조사(이곳에 정확한 보고서 이름 명기 필요)에서 나노소재 예상 매출액(2014~2018)이 상당히 높게 예측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결과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lsquo조사에 참여한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다양한 중간재로 투입되는 나노기술을 나노소재 산업으로 인식하여 객관적인 사실보다 소재 산업을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했을 가능성이 있다lsquo라고 평가한 의견이 있었음을 밝혀둔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5

lt표 22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2010 87191 87191 87191 2011 111370 111370 111370 2012 96651 96651 96651 2013 144391 144391 144391 2014 104664 104664 104664 2015 189068 174387 198871 2016 233173 207981 252008 2017 287479 247989 319229 2018 354301 295609 404194 2019 436454 352257 511478 2020 537351 419593 646764 2021 661109 499565 817073 2022 812669 594442 1031017 2023 997914 706863 1299050 2024 1223787 839874 1633696 2025 1498380 996963 2049695

나노전자(소자)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511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19조원 대비 4282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

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598조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429조원

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41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6

lt표 23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2010 770863 770863 770863

2011 785380 785380 785380

2012 1170282 1170282 1170282

2013 1215753 1215753 1215753

2014 1193383 1193383 1193383

2015 1516825 1457375 1573551

2016 1731242 1637921 1821832

2017 1972768 1838296 2105366

2018 2243828 2059983 2427787

2019 2546746 2304383 2792607

2020 2883611 2572743 3203008

2021 3256119 2866071 3661548

2022 3665365 3185037 4169800

2023 4111604 3529850 4727903

2024 4593963 3900123 5334038

2025 5110141 4294726 5983862

나노바이오의료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1조3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되

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7천억원 대비 1795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1조8천억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1조1천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4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7

lt표 24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2010 2718 2718 2718

2011 2934 2934 2934

2012 4444 4444 4444

2013 4126 4126 4126

2014 7249 7249 7249

2015 4870 5338 5406

2016 5373 5744 6100

2017 5928 6180 6883

2018 6540 6649 7765

2019 7216 7154 8762

2020 7961 7698 9885

2021 8783 8282 11153

2022 9690 8911 12583

2023 10691 9587 14197

2024 11795 10315 16017

2025 13013 11098 18071

마지막으로 나노장비기기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4조6천억원 규모로 성

장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조8천억원 대비 25810 성장할 것으로 예

측된 것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5조6천억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

우 3조5천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43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8

lt표 25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2010 19698 19698 19698 2011 23170 23170 23170 2012 19152 19152 19152 2013 22669 22669 22669 2014 17634 17634 17634 2015 24923 23201 25657 2016 26472 24164 27735 2017 28117 25168 29980 2018 29863 26213 32407 2019 31717 27301 35030 2020 33686 28434 37865 2021 35777 29613 40928 2022 37997 30842 44237 2023 40354 32121 47814 2024 42857 33453 51678 2025 45514 34839 55852

지금까지 분석한 각 산업별 성장률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재 가장 최

근값인 2014년 대비 2025년 예상 매출액의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lt표 26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연도별 세부산업별 데이터 (단위 억원 )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국내 나노산업은 나노소재 산업이 가장 큰 성장 잠

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 다음으로 나노전자(소자) 나노장비기기

나노바이오의료 순서로 예상되었다

단 본 조사는 당시 가장 최근값인 2013년 데이터까지 활용하여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실제 2014년도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전년도 대비 매우 큰 폭으

로 상승하였기 때문에 본 조사의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미래 예상 매출액이 과

소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나노바이오 산업은

201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493를 보였는데 2014년 전년 대비 17569으로 성

장하여 과거와는 다른 급격한 성장을 보였다

  2014년 (성장 예상) 2025년 성장률()

나노소재 104664 rarr 1498380 143161

나노전자(소자) 1193383 rarr 5110141 42821

나노바이오의료 7249 rarr 13013 17951

나노장비기기 17634 rarr 45514 25810

Total 1322930 rarr 6667048 50396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9

한편 전체 나노산업 매출에서 각각의 산업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44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lt표 27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위의 표와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2025년 기준 전체 나노시장에서 나노소재

2247 나노전자(소자) 7665 나노바이오의료 020 나노장비기기 068를 차

지할 전망이다 2014년 현재 기준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비중이 줄어들고 나노소

재 산업의 비중이 크게 늘어날 전망으로 파악된다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 여전히 적은 비중을 차지할 전망이다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종합

2025년

예상매출1498380 5110141 13013 45514 6667048

비중() 2247 7665 020 068 100

Vs

2014년

현재매출104664 1193383 7249 17634 1322930

비중 791 9021 055 133 100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0

53 민감도 분석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531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예측치 보정할 경우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최근 나노산업에서 바이오의료 분야가 급속히 성장하였

다 다음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010년부터 점진적인 상승세를 보이던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14년 약 2배에 가까운 급성장을 기록하였다

lt그림 45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최근 급속한 성장세

(단위 억원)

그런데 본 연구가 진행된 시점은 2014년 매출액 발표 직전이었기 때문에 조사

에 참여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전문가들은 2013년까지의 매출 변화만을 보고

미래 매출액(2014~2018년)을 예측하였다 실제로 산업전문가들의 2014년 나노바이

오의료 산업 매출액 예상액은 4430억원이었다 즉 실제 매출액값 대비 3889

적게 예측한 것이다

lt표 2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2014년 예상 매출액 Vs 실제 매출액

  나노바이오의료

2014 예측값 4430

2014 실제값 7249

오류 -3889

이에 따라 본 연구의 Diffusion Model에 적용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15~2018년

전문가 매출 예측액도 이와 같이 과소평가되어 도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91

본 연구는 2015년~2018년값을 2014년 과소평가된 만큼 상향 보정한 후 다시 2025년

나노시장 매출 규모를 예측하였다

이 경우 나노바이오시장은 2025년 평균 기준 4조6천억원 시장으로 성장되며 이

는 2014년 대비 62965 성장을 전망하게 한다 전체 나노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

도 약 068로 다소 상승될 것으로 예상되나 전체 나노시장 규모에 전반적으로

큰 영향은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lt그림 46gt 2025년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예상 매출액 (보정값)

lt그림 47gt 2025년 국내 나노산업별 비중 비교 (보정값)

한편 이렇게 보정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매출액 예측을 국내 나노시장 전

체 매출액에 적용할 경우 국내 전체 나노시장은 670조원 규모로 추가 상승할 여

력이 발생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2

lt그림 4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보정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산업 매출 예상

532 나노소재 전자 산업 수준으로 발전할 경우

본 연구 분석 결과 2014년 현재 2025년 모두 나노전자(소자) 나노소재 산업이

나노산업 매출에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직까지 나노바이오의료

산업과 나노장비기기 산업은 전체 나노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미미한 편이다

이는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예측치값을 보정하였을 경우에도 큰 차이 없이 발

견된 공통적 현상이었다

이는 국내 나노산업에서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

우 크고 앞으로도 이 분야에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고 해석할 수 있는 결과

이다 본 연구는 만약 모든 산업이 나노전자(소자) 혹은 나노소재 산업과 같이 고

성장할 경우 국내 나노산업이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지 시나리오 기반의 민감

도 분석을 실시해보았다 즉 나노산업을 최대한 긍정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경우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지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각 나노산업별로 혁신계수(p) 모방계수(q)를 각각 추정하였기 때문에

특정 산업에서 추정된 계수를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경우 어떠한 변화

가 관측될지 분석이 가능하다

먼저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소재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

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한편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전자

(소자)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준 약 1411조원 시장으

로 성장 전망되었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93

lt그림 49gt 모든 산업이 나노전자 혹은 나노소재 산업 수준으로 성장할 경우

lt표 29gt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 성장 적용 시 예상 매출액

  기존 예측값 나노소재 수준 나노전자(소자)수준

2010 880470 880470 880470

2011 922854 922854 922854

2012 1290529 1290529 1290529

2013 1386939 1386939 1386939

2014 1322930 1322930 1322930

2015 1735686 1583819 3929768

2016 1996260 1942178 4499727

2017 2294292 2377810 5146455

2018 2634533 2905467 5878440

2019 3022133 3541772 6704519

2020 3462610 4304962 7633691

2021 3961789 5214339 8674840

2022 4525722 6289290 9836377

2023 5160564 7547763 11125754

2024 5872403 9004111 12548875

2025 6667048 10666299 14109365

533 혁신계수(p)가 상승할 경우

Diffusion Model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형의 p q값을 추정하여 미래 수요

를 예측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추정된 p q값에 따라 미래 확산 패턴은 매

우 다양한 특징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에서 각 세부 나노산업별로 추정된 p q 값

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4

lt표 30gt 나노산업별 p q 추정값 비교

그런데 본 연구 결과 관찰된 나노산업의 특징은 다른 일반적인 산업의 확산모형

추정값에 비해 p값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일반 소비재 산업의

경우 대부분의 p값은 001~01 사이에서 추정되는 경우가 많다

lt그림 50gt 일반적인 소비재 제품의 혁신계수값 비교

물론 본 연구는 최종 수용자 인원 기준 추정이 아닌 매출액 기준 추정이고 일

반 소비재와는 다른 B2B 제품이 많은 나노산업의 특성상 직접적인 비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와 비슷한 기반 산업이라 볼 수 있는 반도체 시장의

한 연구에서 얻어진 p q 추정값과 비교해도 나노전자 산업을 제외하면 일반적으

로 혁신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김진 고경일 2014의

연구에서 p = 00006 q = 00509)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p 000023 000291 000001 000007

q 023464 015098 010333 006226

R square 093 096 062 061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95

lt그림 51gt 다른 연구(김진 고경일 2014)에서 추정된 p q 값의 예

일반적으로 Diffusion Model의 혁신계수(p)는 같은 제품을 이미 받아들인 소비자

들의 영향 없이 기업의 마케팅 활동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독자적으로 해당 제품을

수용하는 효과를 의미한다(Bass 1969 Mahajan et al 1990) 반대로 모방계수(q)가

높을 경우 나와 같은 주변 소비자들이 해당 제품을 많이 받아들이는 것에 영향을

받아서 제품을 수용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p를 혁신계수 q를

모방계수라고 부르게 된다

이를 본 연구의 나노산업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해석이 가능하다 p값이 낮다

는 것은 나노기업들이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독자적으로 나노제품을 개발하여 시

장에 내놓는 것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다른 나노제품 생산 기

업들이 얼마나 많은 제품을 개발 출시하는지 아직 눈치를 보고 있는 실정이라고

도 유추해 볼 수 있다 나노산업에서 p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q값은 바로 이

러한 모방효과가 나노산업에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이라고 해석할 수 있기 때

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만약 나노 관련 정부기관 등의 적극적인 투자 지원 등이 실행되

어 시장의 혁신계수(p) 값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경우의 국내 나노시장 매출 예측액

이 얼마나 크게 변화할 수 있을지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6

lt그림 52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lt표 31gt 혁신계수값 변화에 따른 나노산업 예측 규모 비교

(단위 억원)

  기존예측값 15p 2p

2010 880470 877752 880470

2011 922854 919920 922854

2012 1290529 1286085 1290529

2013 1386939 1382813 1386939

2014 1322930 1315681 1322930

2015 1735686 2149136 2574977

2016 1996260 2467240 2950618

2017 2294292 2829300 3376107

2018 2634533 3240309 3856425

2019 3022133 3705491 4396561

2020 3462610 4230213 5001356

2021 3961789 4819856 5675311

2022 4525722 5479653 6422356

2023 5160564 6214488 7245601

2024 5872403 7028659 8147069

2025 6667048 7925604 9127423

물론 구체적으로 어떤 정책과 지원을 실행할 경우 15p 2p가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세 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만 본 연구는 현재 나노산업의

혁신계수가 외부적인 노력에 의해 추가 상승될 경우 향후 국내 나노산업 시장이

더욱 성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존재함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97

제5장결론 및 시사점

1 결과 요약

나노산업은 국가 미래 발전을 위한 핵심 성장 동력 중 하나로 최근 본격적인

성장 산업으로서의 모습을 갖추며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향후 나노산업이 국내

산업과 국민 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안할 때 나노산업의 확산 및 미래 시장

규모 예측은 필수적이다

모든 나노산업 정책의 출발점은 미래 시장 규모 예측에 근거한다 정부 및 관련

연구기관 나노기업들의 미래 투자 및 고용 제품 생산 규모 등 거의 모든 사항은

국내 나노시장이 얼마나 더 성장할 것인지에 대한 예측을 활용할 수밖에 없기 때

문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 나노산업의 미래 예측은 해외 유명 기관 학자들의 의견

을 그대로 따르거나 혹은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을 활용한 단순한 방법론에

의해 추정된 것이 대부분이다 일례로 Roco 박사가 제시한 2020년 나노산업 3조

달러 성장 예측은 국내외 다양한 보고서 신문자료 등에서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과거 연평균성장률은 이미 성숙기에 도달한 안정적 산업에 적용하

는 것이 적합하며 나노기술과 같이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

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하

고자 하였다 Diffusion Model이라는 계량적 모델과 일반소비자 조사 나노산업 전

문가 의견 조사라는 정성적 방법을 종합하여 2025년 국내 나노기술 시장 규모를

예측하였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나노기술 시장은 2025년 약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전망되었으며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시장 대비 약 504배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만약 전체 제조

업이 2010~2014년 연평균성장률 26를 유지한다고 가정할 경우 2014년 기준 현

재 전체 제조업에서 89를 차지하는 나노산업이 2025년 기준 3368으로 비중

확대될 전망이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8

lt표 32gt 주요 결과 요약

구분 주요 결과 요약

2025년 국내 전체 나노시장 규모

- 평균값 기준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대비 약 504배(504) 성장 예상

- 최대값 기준 8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 최소값 기준 534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2025년 국내 나노소재 시장 규모- 202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143161 성장 예상

2025년 국내 나노전자(소자) 시장 규모- 2025년 약 511조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42821 성장 예상

2025년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시장 규모- 2025년 약 1조3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17951 성장 예상

2025년 국내 나노장비기기 시장 규모- 2025년 약 4조6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25810 성장 예상

전체 제조업에서 나노산업의 비중

- 2014년 기준 전체 제조업에서 89를 차지하는 나노산업이

2025년 3368 비중으로 확대될 전망

- 나노산업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약 25p 증가함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14년 급격한 성장 반영할 경우

민감도 분석

- 2025년 평균 기준 4조6천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62965 성장 예상

- 이 경우 전체 나노산업 시장도 670조원으로 다소 늘어날 전망

모든 나노산업이

나노소재 산업과 같은 패턴으로 성장할 경우

민감도 분석

- 2025년 평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모든 나노산업이

나노전자(소자) 산업과 같은 패턴으로 성장할

경우 민감도 분석

- 2025년 평균 기준 약 14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나노산업의 혁신계수(p)가 증가할 경우

민감도 분석

- 혁신계수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

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

-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 나노시장

은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

한편 전문가 예측 의견의 최대값 최소값을 각각 Diffusion 모형에 반영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의 최대값은 811조 최소값은 534조로 각각 예측되

었다

또한 나노산업을 세부 산업으로 구분할 경우 2025년 나노소재 150조원 나노전

자(소자) 511조원 나노바이오의료 13조원 나노장비기기 46조원 시장을 각각 형

성할 전망이다 이를 산업별 비중으로 비교하면 2025년 기준 전체 나노시장에서

나노소재는 2247 나노전자(소자)는 7665 나노바이오의료는 020 나노장비

기기는 068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2014년 현재와 비교할 경우 나노

소재 시장의 비중이 늘어나고 나노전자(소자) 시장의 비중이 다소 줄어들 것을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99

예측하게 한다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에는 여전히 적은 비중

을 차지할 전망이다

한편 본 연구는 몇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한 민감도 분석도 실시하였다 우선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2014년도 특별히 크게 성장한 점을 반영하여 예측값을 보

정할 경우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25년 4조6천억원 시장으로 예상되며 이 경

우 나노시장의 총규모도 670조원으로 상승 예상된다

만약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소재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전망되었다 또한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전자(소

자)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준 약 14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전망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투자 지원 확대 등으로 혁신계수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량적 정성적 방법을 종합하여 국내 나노시장의 매출 규모를 예측

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시장 매출 데이터가 아직 적은 편이어서 향후 매출 예측

결과값이 민감하게 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지속적으로 활용

하여 나노시장 예측값을 계속 보완해나갈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도출 및 제언

본 연구 결과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앞으로 국내 나노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나노관련 정부 기관 및 나노기업들은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

된 산업별 시장 규모에 적합한 투자 정책 개발 등 적극적인 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특별히 나노산업을 계속적으로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나노소재와 나노전자

(소자) 산업의 성장 배경을 면 히 분석하여 이를 나노 전 산업으로 공통적으로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반대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과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

우에는 상대적으로 성장이 크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추가 지원 및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에 앞서 실행된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및 나노산업 전문가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0

의견 조사와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향후 나노산업의 추가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시장에서 급속한 성장을 보이는 나노산업이지만

여전히 일반소비자들은 나노기술의 지각된 위험 등 혁신 저항 요인을 많이 인식

한다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2014년 현재 약 130조원의 나노산업이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6년 실시된

조사에서 일반적인 소비자들은 나노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대부분 lsquo사용한 적 없

다 혹은 잘 모르겠다rsquo라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나노기술 관련 정보를 제시하는

동영상을 시청한 후 나노기술 특징 품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급격하게 증

가함 역시 확인하였다 이는 나노기술의 혜택에 대한 홍보가 적절히 실시될 경우

현재의 성장 속도보다 더욱 빠른 나노산업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해주

는 결과이다

향후 나노기업 및 정책 개발자들은 일반 소비자들이 어떤 부분에서 나노기술의

혜택을 크게 느끼고 어떤 부분에서 위험 요인을 많이 인식하는지 보다 면 히 파

악하여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단기적 나노산업 매출 예측치를

Diffusion Model의 주요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다 하지만 앞서 실행된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 조사에서 산업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의 나노기술 인식 차이가 존재함

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칫 나노산업에 대한 시장 예측이 다소 긍정적으로 예측되

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전문가들이 나노기술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나치

게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나노산업의 매출도 긍정적으로 예측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나노산업이 더욱 성장하기 위해서는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수용이 절대적

이다 앞으로 이와 같은 나노산업 인식 및 매출 예측 조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

어 시장 매출 예측치의 값을 계속 업데이트해가며 보완해나갈 필요가 있다

3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나노산업의 미래 시장 규모 예측은 모든 나노 관련 정책의 가장 기본적인 토대

이다 본 조사 결과는 각종 나노산업 통계 및 예측의 기초 자료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으며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 방향 및 전략 도출을 위한 세부적인 분석 및 시

사점 제안을 가능하게 한다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01

예를 들어 국내 나노기업은 본 조사 결과를 활용해 향후 나노시장의 성장에 대

비한 적절한 투자와 인력 충원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나노 관련

정책을 개발하는 정부 기관 연구소들도 미래 나노시장의 잠재적 규모에 근거한

관련 정책을 개발 및 지원할 수 있다

본 조사는 이를 위해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

근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수많은 나노 관련 연구들이 가장 중요한

미래 시장 규모 예측에 있어 비교적 단순한 방법을 적용했음을 감안할 때 본 연

구가 향후 국내 나노산업이 보다 체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나노시장 예측을 기존처럼 해외 유명 학자 기관 등의 자료에 의존하지 않고 국

내에서 스스로 체계적으로 도출해낼 수 있다는 점은 향후 우리나라가 나노기술

분야의 최고 선진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초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단 현

재 국내의 나노산업 매출 데이터가 아직 충분하지 않아 예측 결과값이 민감하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향후 지속적인 업데이트 과정을 통해 미래 나노산업 예측을

계속하여 보완해나가야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2

참 고 문 헌

교육과학기술부(2012) 나노소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제조 및 활용 기준 확립과

사회적 영향연구 교육과학기술부

구훈영 민대기(2013) ldquo델파이 활용 신재생 에너지 수요예측과 장기전원 구성의

경제성 평가rdquo 대한산업공학회지 39(3) 183-191

권성훈 홍순기(2009) ldquo델파이 기술예측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에 관한 연구rdquo

기술혁신연구 17(1) 97-117

권순동 이승률 (2015) ldquoBass확산모형과 특허정보를 이용한 한국형 오픈소스 모션

플랫폼의 기술수요예측rdquo 대한산업공학회지 11 2271-2275

김병수(2009) ldquo기술성장모형에 기반한 기술수준평가방법론 연구rdquo 한국과학기술

기획평가원 연구보고서 2010(23) 1-244

김상훈(2008) 하이테크마케팅 박영사

김석필 정상기 김동현 정다래 권으뜸 김명순(2013) ldquo나노기술 상용화 현황 진

단과 혁신과제rdquo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김선아 김호정 홍용석(2013) ldquo나노물질 안전관리 동향 및 제도 도입에 관한 고

찰rdquo 환경정책연구 12(3) 49-71

김영욱 이현승(2014) ldquo미디어 레퍼토리 위험특성과 위험커뮤니케이션 인식이 원

자력 수용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rdquo 한국위기관리논집

10(4) 1-25

김원제 송해룡 김찬원(2016) ldquo과학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신뢰가 위험

인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나노기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위기관리논집

12(1) 69-81

김준현(2015)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신기술의 기술영향평가 나노기술의 사

회 영향평가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경영컨설팅학과 경영컨설팅

김진 고경일(2014) ldquo비선형회귀 확산모형을 이용한 반도체 시장수요 추정rdquo 디지

털정책연구 12(3) 141-147

김찬원 송해룡 김원제(2015) ldquo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전문가그룹 인식을 중심

으로rdquo 한국위기관리논집 11(6) 121-135

참고문헌

103

남기웅 박상성 신영근 정원교 장동식(2010) ldquo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의 예측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산학기술학회 10(10) 2923-2934

박덕용 이난영 이상호(2008) ldquo나노기술을 이용해 제작한 불소함유 접착필름의

치아우식증 예방효과rdquo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5(4) 662- 670

박희제(2013) ldquo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수용도rdquo 농촌사회 23(1)

327-367

반영주 고영훈 김우성 매유진 목진경 조한규(2014) ldquo나노마스크와 황사마스크

에 의한 토너가루와 담배연기 필터링 효과 비교rdquo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

회 자료집 2014(12) 233-235

배성훈 신광민 윤진선 강상규 김준현 성기완 이기광(2015) ldquo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나노기술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분석rdquo 산업

경영시스템학회지 38(3) 49-55

배성훈 신광민 윤진선 강상규 이솔희(2015) ldquo나노기술의 영향 평가 연구 사회

환경 문화 건강 안전을 중심으로rdquo 나노기술정책센터

산업통상자원부(2014) 2014나노융합산업 조사 보고서 산업통상자원부나노융합

산업협력기구산업연구원

산업통상자원부(2015) 2015 나노융합산업조사 산업통상자원부나노융합산업협력

기구

성지은 황만성(2012) 후기현대사회의 위험관리를 위한 형법 및 형사정책 연구

(Ⅰ)-나노공학기술과 위험관리 형사정책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손동민 문성현 정봉주(2014) ldquo국내 RFID 시장의 확산 분석 및 예측 모형rdquo 대한

산업공학회지 40(4) 415-423

송해룡 김원제(2015) ldquo다차원적 접근을 통한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신뢰가 위험인

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효과rdquo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36(-) 37-60

예기훈 성아영(2010) ldquo금 나노입자를 포함한 안의료용 고분자의 합성 및 물성에

관한 연구rdquo 대한화학회지 54(2) 222-227

오규운 김경훈(2016) ldquo나노기술의 디자인윤리경영과 나노기업의 사회적 책임rdquo

한국과학예술포럼 24(-) 265-276

오미영 외(2008) ldquo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 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용에 미치는 영향rdquo 한국언론

학보 52(1) 467-500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4

왕재선(2013) ldquo신뢰와 원자력 수용성rdquo 한국정책학회보 22(1) 235-266

위키백과(2015) 나노기술

윤승욱(2009) ldquoIPTV의 수용결정요인에 대한 연구rdquo 언론과학연구 9(1) 162-197

이세준 이윤준 홍정임(2008) ldquo통합적 미래연구 방법론의 탐색 및 적용rdquo 과학기

술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8(16) 1-229

이정진 김영훈 배은주 이수승 곽병규 최경희 이종협(2008) ldquo대한민국에서의

나노물질 위해성에 관한 일반인전문가 인식 설문조사rdquo 환경독성보건학회

지 23(4) 247-256

채현석 정재우 김종달(2016) ldquoBass 확산모형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수요예측rdquo 한

국환경정책학회 24(1) 109-132

최종후 강현철(2001)ldquo확산모형과 성장곡선모형을 이용한 중장기 수요예측에 관

한 연구rdquo 응용통계연구 14(2) 233-243

한민규 김병수 유지연 변순천(2010) ldquo기술성장모형에 기반을 둔 기술수준평가

결과 및 시사점 - 바이오칩센서기술을 중심으로rdquo 기술혁신학회지 13(2)

252-281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ldquo델파이기법을 적용한 생체인식시스템 기술예측rdquo 한

국산학기술학회 11(9) 3204-3209

Adams D A Nelson R R and Todd P A(1992) ldquo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Us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 Replicationrdquo MIS Quarterly

227-247

Ajzen I(1985)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rdquo

Action-control Springer Berlin Heidelberg 11-39

Bandura A(1977) ldquo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rdquo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Bass F(1969) ldquoA New Product Growth Model for Consumer Durablesrdquo Management

Science 15(5) 215-227

Bass F Krishnan T and Jain D(1994) Why the Bass Models Fits without Decision

Variablesrdquo Marketing Science 13 202-223

Biemans W G(1992) Managing Innovation within Networks Routledge

Butler J K(1991) ldquoToward Understanding and Measuring Conditions of Trust

Evolution of a Conditions of Trust Inventoryrdquo Journal of Management 17(3)

참고문헌

105

643-663

Canary D J and Seibold D R(1984) Attitudes and Behavior An Annotated

Bibliography Praeger Publishers

Covello V T Slovic P and Von Winterfeldt D(1986) Risk Communi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National Emergency Training Center

Cvetkovich G (1999)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nd R

Louml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Earthscan Publications

Ltd London 53ndash61

Davies J C(2008) Nanotechnology Oversight Washington DC Project on Emerging

Nanotechnologies

Davis F D(1989) ldquo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rdquo MIS Quarterly 319-340

Davis F D Bagozzi R P and Warshaw P R(1992) ldquo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to Use Computers in the Workplace1rdquo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2(14) 1111-1132

Dockner E and Jorgensen S(1988) Optimum Advertising Policies for Diffusion

Model of New Product Innovation in Monopolistic Situationsrdquo Management

Science 34(1) 119-130

Earle T C(2010) ldquoTrust in Risk Management A Model‐Based Review of Empirical

Researchrdquo Risk Analysis 30(4) 541-574

Earle T Siegrist M Gutscher H (2010) Trust Risk Perception and the TCC Model

of Cooperation In Earle T Siegrist M Gutscher H (Eds) Trust in Risk

Management Uncertainty and Scepticism in the Public Mind (pp 1-50) London

England Earthscan

Fishbein M and Ajzen I(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Flynn J Burns W Mertz C K and Slovic P(1992) ldquoTrust as a Determinant of

Opposition to a High‐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Analysis of a

Structural Modelrdquo Risk Analysis 12(3) 417-429

Fujita Y(2006) ldquoPerception of Nanotechnology Among General Public in Japanrdquo

Asia Pacific Nanotech Weekly 4 (6) 2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6

Hobson D W(2009) ldquoCommercialization of Nanotechnologyrdquo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Nanomedicine and Nanobiotechnology 1(2) 189-202

Kalil T A(2005) ldquoNanotechnology and the Valley of Deathrdquo Nanotechnol Law Bus

2(3) 265-268

Karahanna E Straub D W and Chervany N L(1999) ldquo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Across Time A Cross-Sectional Comparison of Preadoption and

Postadoption Beliefsrdquo MIS Quarterly 183-213

Kasperson R E Golding D and Tuler S(1992) ldquoSocial distrust as a Factor in

Siting Hazardous Facilities and Communicating Risksrdquo Journal of Social Issues

48(4) 161-187

Keeney S Hasson F and McKenna H(2011) The Delphi Techniquerdquo The Delphi

Technique in Nursing and Health Research 1-17

Kellens W Terpstra T and De Maeyer P(2013)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of Flood Risks A Systematic Review of Empirical Researchrdquo Risk Analysis

33(1) 24-49

Luhmann N(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in D

Gambetta(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Padstow

Cornwall Basil Blackwell Ltd 94-107

Macoubrie J(2004) Public Perceptions about Nanotechnology Risks Benefits and

Trustrdquo Journal of Nanoparticle Research 6(4) 395-405

Mahajan V Muller E and Bass F M(1990) New Product Diffusion Models

Market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Researchrdquo Journal of Marketing 54

1-26

McNeil R D Lowe J Mastroianni T Cronin J and Ferk D(2007) Barriers to

Nano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inal Report Prepared for US Department of

Commerce Technology Administrationrdquo Univercity of illinois at Springfield IL

httpswww ntis govpdfReport-BarriersNanotechnologyComme rcialization pdf

Midden C J and Huijts N(2009) The Role of Trust in the Affective Evaluation of

Novel Risks The Case of CO2 Storagerdquo Risk analysis 29(5) 743-751

Nel A Xia T Maumldler L and Li N(2006) Toxic Potential of Materials at the

Nanolevelrdquo Science 311(5761) 622-627

참고문헌

107

Oh S Lehto X Y and Park J(2009) Travelers Intent to Use Mobile

Technologies as a Function of Effort and Performance Expectancyrdquo Journal of

Hospitality Marketing amp Management 18(8) 765-781

Paton D(2008) Risk Communication and Natural Hazard Mitigation How Trust

Influences its Effectiveness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Global Environmental

Issues 8(1-2) 2-16

Putsis Jr W P and Srinivasan V(2000) Estimation Techniques for Macro Diffusion

Modelsrdquo New-Product Diffusion Models 11

Ram S(1987) A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rdquo NA-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ume 14

Ram S and Sheth J N(1989) ldquoConsumer Resistance to Innovations The Marketing

Problem and its Solutionsrdquo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6(2) 5-14

Roco M C(2014) Nanotechnology Research Trends in the USrdquo Korea-US Nano

Forum Seoul September 29

Roco M C Mirkin Chad A and Hersam M C(2010) WTEC Panel Report on

Nanotechnology Research Directions for Societal Needs in 2020 Retrospective

and Outlook Springer-Verlag New York

Rogers E M and Everett M(2003) Diffusion of Innovations 5th Edition Free

Pressrdquo New York

Rogers E M(1995) Definition of Innovation 4th Edition Free Press New York

Rogers E M(2003)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5thed) New York NY The Free

Press 2003

Roselius T(1971) ldquoConsumer Rankings of Risk Reduction Methodsrdquo Journal og

Marketing 35(-) 56-6

Rousseau D M Sitkin S B Burt R S and Camerer C(1998) ldquoNot so Different

After All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3) 393-404

Schmittlein D and V Mahajan(1982) ldquo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an

Innovation Diffusion Model of New Product Acceptancerdquo Marketing Science

1(1) 57-78

Seong J E and Hwang M S(2012) Studies on the Risk-Governing Criminal Law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8

and Criminology in the Late-modern Society (1) Risk-governance Criminal

Justice and Criminology in Nanotechnologyrdquo Series of Research 3 1-52

Shah J and and Higgins E T(1997) Expectancy times Value Effects Regulatory Focus

as Determinant of Magnitude and Directionrdquo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3) 447-458

Sheth J N(1981) ldquoPsychology of Innovation Resistance The Less Developed

Concept in Diffusion Researchrdquo Research in Marketing 4 273-282

Siegrist M and Cvetkovich G(2000) Perception of Hazards The Role of Social

Trust and Knowledgerdquo Risk Analysis 20(5) 713-720

Siegrist M Cousin M E Kastenholz H and Wiek A(2007) Public Acceptance

of Nanotechnology Foods and Food Packaging The Influence of Affect and

Trustrdquo Appetite 49(2) 459-466

Slovic P(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rdquo Risk Analysis 13(6)

675-682

Srinivasan V and Charlotte H M(1986) ldquoNonlinear Least Squares Estimation of

New Product Diffusion Modelsrdquo Marketing Science 5(2) 169-178

Trettin L and Musham C(2000) Is Trust a Realistic Goal of Environmental Risk

Communicationrdquo Environment and Behavior 32(3) 410-426

Van den Bulte C and Lilien G L(1997) Bias and Systematic Change in the

Parameter Estimates of Macro-level Diffusion Modelsrdquo Marketing Science 16(4)

338-353

Van den Bulte C and Stremersch S(2004) Social Contagion and Income

Heterogeneity in New Product Diffusion A Meta-Analytic Testrdquo Marketing

Science 23(4) 530-544

Venkatesh V and Bala H(2008) ldquoTechnology Acceptance Model 3 and a Research

Agenda on Interventionsrdquo Decision Sciences 39(2) 273-315

Venkatesh V and Davis F D(2000) ldquo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rdquo Management Science 46(2)

186-204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and Davis F D(2003) ldquo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rdquo MIS Quarterly 27(3)

참고문헌

109

425-478

Venkatraman N Loh L and Koh J(1994) The Adoption of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s a Test of Competing Diffusion Modelsrdquo Management Science

40(4) 496-507

Vernon R (1966) International Investment and International Trade in the Product

Cyclerdquo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90-207

Wachinger G Renn O Begg C and Kuhlicke C(2013) The Risk Perception

Paradoxmdashimplications for Governance and Communication of Natural Hazardsrdquo

Risk Analysis 33(6) 1049-1065

Wiesner M R G V Lowry K Jones J M H Gochella R T Di Giulio E

Casman and E S Bernhardt(2009) Decreasing Uncertainties in Assessing

Environmental Exposure Risk and Ecological Implications of Nanomaterialsrdquo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3(17) 6458-6462

Wittmaack K(2007) In Search of the Most Relevant Parameter for Quantifying Lung

Inflammatory Response to Nanoparticle Exposure Particle Number Surface Area

or Whatrdquo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87-194

Zaltman G and Wallendorf M(1983) Consumer Behavior Basic Findings and

Management Implications New York John wiley and Son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인 쇄

발 행

발 행 인

발 행 처

주 소

전 화

인 쇄 처

2017년 4월

2017년 4월

한 선 화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02)3299-6253

(주)승림디엔씨 (02)2271-2581

lt비매품gt

ltlt ASCII85EncodePages false AllowTransparency false AutoPositionEPSFiles true AutoRotatePages None Binding Left CalGrayProfile (Dot Gain 20) CalRGBProfile (sRGB IEC61966-21) CalCMYKProfile (US Web Coated 050SWOP051 v2) sRGBProfile (sRGB IEC61966-21) CannotEmbedFontPolicy Error CompatibilityLevel 14 CompressObjects Tags CompressPages true ConvertImagesToIndexed true PassThroughJPEGImages true CreateJobTicket false DefaultRenderingIntent Default DetectBlends true DetectCurves 00000 ColorConversionStrategy CMYK DoThumbnails false EmbedAllFonts true EmbedOpenType false ParseICCProfilesInComments true EmbedJobOptions true DSCReportingLevel 0 EmitDSCWarnings false EndPage -1 ImageMemory 1048576 LockDistillerParams false MaxSubsetPct 100 Optimize true OPM 1 ParseDSCComments true ParseDSCCommentsForDocInfo true PreserveCopyPage true PreserveDICMYKValues true PreserveEPSInfo true PreserveFlatness true PreserveHalftoneInfo false PreserveOPIComments true PreserveOverprintSettings true StartPage 1 SubsetFonts true TransferFunctionInfo Apply UCRandBGInfo Preserve UsePrologue false ColorSettingsFile () AlwaysEmbed [ true ] NeverEmbed [ true ] AntiAliasColorImages false CropColorImages true ColorImageMinResolution 300 Color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ColorImages true ColorImageDownsampleType Bicubic ColorImageResolution 300 ColorImageDepth -1 ColorImageMinDownsampleDepth 1 Color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ColorImages true Color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ColorImages true ColorImageAutoFilterStrategy JPEG ColorACS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Color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JPEG2000ColorACS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JPEG2000Color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AntiAliasGrayImages false CropGrayImages true GrayImageMinResolution 300 Gray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GrayImages true GrayImageDownsampleType Bicubic GrayImageResolution 300 GrayImageDepth -1 GrayImageMinDownsampleDepth 2 Gray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GrayImages true Gray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GrayImages true GrayImageAutoFilterStrategy JPEG GrayACS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Gray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JPEG2000GrayACS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JPEG2000Gray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AntiAliasMonoImages false CropMonoImages true MonoImageMinResolution 1200 Mono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MonoImages true MonoImageDownsampleType Bicubic MonoImageResolution 1200 MonoImageDepth -1 Mono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MonoImages true MonoImageFilter CCITTFaxEncode MonoImageDict ltlt K -1 gtgt AllowPSXObjects false CheckCompliance [ None ] PDFX1aCheck false PDFX3Check false PDFXCompliantPDFOnly false PDFXNoTrimBoxError true PDFXTrimBoxToMedia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SetBleedBoxToMediaBox true PDFXBleedBoxToTrim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OutputIntentProfile () PDFXOutputConditionIdentifier () PDFXOutputCondition () PDFXRegistryName () PDFXTrapped False CreateJDFFile false Description ltlt ARA ltFEFF06270633062A062E062F0645002006470630064700200627064406250639062F0627062F0627062A002006440625064606340627062100200648062B06270626064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645062A064806270641064206290020064406440637062806270639062900200641064A00200627064406450637062706280639002006300627062A0020062F0631062C0627062A002006270644062C0648062F0629002006270644063906270644064A0629061B0020064A06450643064600200641062A062D00200648062B0627062606420020005000440046002006270644064506460634062306290020062806270633062A062E062F06270645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648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6250635062F0627063100200035002E0030002006480627064406250635062F062706310627062A0020062706440623062D062F062B002E0635062F0627063100200035002E0030002006480627064406250635062F062706310627062A0020062706440623062D062F062B002Egt BGR ltFEFF04180437043f043e043b043704320430043904420435002004420435043704380020043d0430044104420440043e0439043a0438002c00200437043000200434043000200441044a043704340430043204300442043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8002c0020043c0430043a04410438043c0430043b043d043e0020043f044004380433043e04340435043d04380020043704300020043204380441043e043a043e043a0430044704350441044204320435043d0020043f04350447043004420020043704300020043f044004350434043f0435044704300442043d04300020043f043e04340433043e0442043e0432043a0430002e002000200421044a04370434043004340435043d0438044204350020005000440046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80020043c043e0433043004420020043404300020044104350020043e0442043204300440044f044200200441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43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43800200441043b0435043404320430044904380020043204350440044104380438002egt CHS ltFEFF4f7f75288fd94e9b8bbe5b9a521b5efa7684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65876863900275284e8e9ad88d2891cf76845370524d53705237300260a853ef4ee54f7f752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548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4ee553ca66f49ad87248672c676562535f00521b5efa768400200050004400460020658768633002gt CHT ltFEFF4f7f752890194e9b8a2d7f6e5efa7acb7684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65874ef69069752865bc9ad854c18cea76845370524d5370523786557406300260a853ef4ee54f7f752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548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4ee553ca66f49ad87248672c4f86958b555f5df25efa7acb76840020005000440046002065874ef63002gt CZE ltFEFF005400610074006f0020006e006100730074006100760065006e00ed00200070006f0075017e0069006a007400650020006b0020007600790074007600e101590065006e00ed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16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06b00740065007200e90020007300650020006e0065006a006c00e90070006500200068006f006400ed002000700072006f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e00ed0020007400690073006b00200061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e002000200056007900740076006f01590065006e00e9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90020005000440046002000620075006400650020006d006f017e006e00e90020006f007400650076015900ed007400200076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50063006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10020006e006f0076011b006a016100ed00630068002egt DAN ltFEFF004200720075006700200069006e0064007300740069006c006c0069006e006700650072006e0065002000740069006c0020006100740020006f0070007200650074007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72002c0020006400650072002000620065006400730074002000650067006e006500720020007300690067002000740069006c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d007500640073006b007200690076006e0069006e00670020006100660020006800f8006a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74002e0020004400650020006f0070007200650074007400650064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720020006b0061006e002000e50062006e006500730020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6c006c00650072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f00670020006e0079006500720065002egt DEU ltFEFF00560065007200770065006e00640065006e0020005300690065002000640069006500730065002000450069006e007300740065006c006c0075006e00670065006e0020007a0075006d002000450072007300740065006c006c0065006e00200076006f006e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4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6e002c00200076006f006e002000640065006e0065006e002000530069006500200068006f0063006800770065007200740069006700650020005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d0044007200750063006b0065002000650072007a0065007500670065006e0020006d00f60063006800740065006e002e002000450072007300740065006c006c007400650020005000440046002d004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6b00f6006e006e0065006e0020006d00690074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75006e0064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f0064006500720020006800f600680065007200200067006500f600660066006e00650074002000770065007200640065006e002egt ESP ltFEFF005500740069006c0069006300650020006500730074006100200063006f006e0066006900670075007200610063006900f3006e00200070006100720061002000630072006500610072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50004400460020006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61006400650063007500610064006f00730020007000610072006100200069006d0070007200650073006900f3006e0020007000720065002d0065006400690074006f007200690061006c00200064006500200061006c00740061002000630061006c0069006400610064002e002000530065002000700075006500640065006e002000610062007200690072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500610064006f007300200063006f006e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79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e0065007300200070006f00730074006500720069006f007200650073002egt ETI ltFEFF004b00610073007500740061006700650020006e0065006900640020007300e400740074006500690064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6500740073006500200074007200fc006b006900650065006c007300650020007000720069006e00740069006d0069007300650020006a0061006f006b007300200073006f00620069006c0069006b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9006400650020006c006f006f006d006900730065006b0073002e00200020004c006f006f006400750064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730061006100740065002000610076006100640061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d00690064006500670061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e0069006e0067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a00610020007500750065006d006100740065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f006e00690064006500670061002e000d000agt FRA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30065007a00200063006500730020006f007000740069006f006e00730020006100660069006e00200064006500200063007200e9006500720020006400650073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73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70006f0075007200200075006e00650020007100750061006c0069007400e90020006400270069006d007000720065007300730069006f006e00200070007200e9007000720065007300730065002e0020004c00650073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73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e900e90073002000700065007500760065006e0074002000ea0074007200650020006f007500760065007200740073002000640061006e0073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0610069006e007300690020007100750027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74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e007300200075006c007400e90072006900650075007200650073002egt GRE ltFEFF03a703c103b703c303b903bc03bf03c003bf03b903ae03c303c403b5002003b103c503c403ad03c2002003c403b903c2002003c103c503b803bc03af03c303b503b903c2002003b303b903b1002003bd03b1002003b403b703bc03b903bf03c503c103b303ae03c303b503c403b5002003ad03b303b303c103b103c603b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3c003bf03c5002003b503af03bd03b103b9002003ba03b103c42019002003b503be03bf03c703ae03bd002003ba03b103c403ac03bb03bb03b703bb03b1002003b303b903b1002003c003c103bf002d03b503ba03c403c503c003c903c403b903ba03ad03c2002003b503c103b303b103c303af03b503c2002003c503c803b703bb03ae03c2002003c003bf03b903cc03c403b703c403b103c2002e0020002003a403b10020005000440046002003ad03b303b303c103b103c603b1002003c003bf03c5002003ad03c703b503c403b5002003b403b703bc03b903bf03c503c103b303ae03c303b503b9002003bc03c003bf03c103bf03cd03bd002003bd03b1002003b103bd03bf03b903c703c403bf03cd03bd002003bc03b5002003c403bf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3c403b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3ba03b103b9002003bc03b503c403b103b303b503bd03ad03c303c403b503c103b503c2002003b503ba03b403cc03c303b503b903c2002egt HEB ltFEFF05D405E905EA05DE05E905D5002005D105D405D205D305E805D505EA002005D005DC05D4002005DB05D305D9002005DC05D905E605D505E8002005DE05E105DE05DB05D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5D405DE05D505EA05D005DE05D905DD002005DC05D405D305E405E105EA002005E705D305DD002D05D305E405D505E1002005D005D905DB05D505EA05D905EA002E002005DE05E105DE05DB05D90020005000440046002005E905E005D505E605E805D5002005E005D905EA05E005D905DD002005DC05E405EA05D905D705D4002005D105D005DE05E605E205D505E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5D5002D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5D505D205E805E105D005D505EA002005DE05EA05E705D305DE05D505EA002005D905D505EA05E8002E05D005DE05D905DD002005DC002D005000440046002F0058002D0033002C002005E205D905D905E005D5002005D105DE05D305E805D905DA002005DC05DE05E905EA05DE05E9002005E905DC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E002005DE05E105DE05DB05D90020005000440046002005E905E005D505E605E805D5002005E005D905EA05E005D905DD002005DC05E405EA05D905D705D4002005D105D005DE05E605E205D505E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5D5002D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5D505D205E805E105D005D505EA002005DE05EA05E705D305DE05D505EA002005D905D505EA05E8002Egt HRV (Za stvaranje Adobe PDF dokumenata najpogodnijih za visokokvalitetni ispis prije tiskanja koristite ove postavke Stvoreni PDF dokumenti mogu se otvoriti Acrobat i Adobe Reader 50 i kasnijim verzijama) HUN ltFEFF004b0069007600e1006c00f30020006d0069006e0151007300e9006701710020006e0079006f006d00640061006900200065006c0151006b00e90073007a00ed007401510020006e0079006f006d00740061007400e100730068006f007a0020006c006500670069006e006b00e1006200620020006d0065006700660065006c0065006c015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6d006f006b0061007400200065007a0065006b006b0065006c0020006100200062006500e1006c006c00ed007400e10073006f006b006b0061006c0020006b00e90073007a00ed0074006800650074002e0020002000410020006c00e90074007200650068006f007a006f00740074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6d006f006b00200061007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e9007300200061007a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c0020007600610067007900200061007a002000610074007400f3006c0020006b00e9007301510062006200690020007600650072007a006900f3006b006b0061006c0020006e00790069007400680061007400f3006b0020006d00650067002egt ITA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a007a006100720065002000710075006500730074006500200069006d0070006f007300740061007a0069006f006e006900200070006500720020006300720065006100720065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70006900f900200061006400610074007400690020006100200075006e00610020007000720065007300740061006d0070006100200064006900200061006c007400610020007100750061006c0069007400e0002e00200049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9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500610074006900200070006f00730073006f006e006f0020006500730073006500720065002000610070006500720074006900200063006f006e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e006900200073007500630063006500730073006900760065002egt JPN ltFEFF9ad854c18cea306a30d730ea30d730ec30b951fa529b752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658766f8306e4f5c6210306b4f7f75283057307e305930023053306e8a2d5b9a30674f5c62103055308c305f0020005000440046002030d530a130a430eb306f3001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304a30883073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4ee5964d3067958b304f30533068304c3067304d307e305930023053306e8a2d5b9a306b306f30d530a930f330c8306e57cb30818fbc307f304c5fc59808306730593002gt KOR ltFEFFc7740020c124c815c7440020c0acc6a9d558c5ec0020ace0d488c9c80020c2dcd5d80020c778c1c4c5d00020ac00c7a50020c801d569d55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bb38c11cb97c0020c791c131d569b2c8b2e4002e0020c774b807ac8c0020c791c131b41c00200050004400460020bb38c11cb294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bc0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c774c0c1c5d0c11c0020c5f40020c2180020c788c2b5b2c8b2e4002egt LTH ltFEFF004e006100750064006f006b0069007400650020016100690075006f007300200070006100720061006d006500740072007500730020006e006f0072011700640061006d00690020006b007500720074006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73002c0020006b00750072006900650020006c0061006200690061007500730069006100690020007000720069007400610069006b007900740069002000610075006b01610074006f00730020006b006f006b007900620117007300200070006100720065006e006700740069006e00690061006d00200073007000610075007300640069006e0069006d00750069002e0020002000530075006b0075007200740069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10069002000670061006c006900200062016b007400690020006100740069006400610072006f006d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9007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10072002000760117006c00650073006e0117006d00690073002000760065007200730069006a006f006d00690073002egt LVI ltFEFF0049007a006d0061006e0074006f006a00690065007400200161006f00730020006900650073007400610074012b006a0075006d00750073002c0020006c0061006900200076006500690064006f0074007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73002c0020006b006100730020006900720020012b00700061016100690020007000690065006d01130072006f00740069002000610075006700730074006100730020006b00760061006c0069007401010074006500730020007000690072006d007300690065007300700069006501610061006e006100730020006400720075006b00610069002e00200049007a0076006500690064006f006a006900650074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73002c0020006b006f00200076006100720020006100740076011300720074002000610072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75006e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c0020006b0101002000610072012b00200074006f0020006a00610075006e0101006b0101006d002000760065007200730069006a0101006d002egt NLD (Gebruik deze instellingen om Adobe PDF-documenten te maken die zijn geoptimaliseerd voor prepress-afdrukken van hoge kwaliteit De gemaakte PDF-documenten kunnen worden geopend met Acrobat en Adobe Reader 50 en hoger) NOR ltFEFF004200720075006b00200064006900730073006500200069006e006e007300740069006c006c0069006e00670065006e0065002000740069006c002000e50020006f00700070007200650074007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7200200073006f006d00200065007200200062006500730074002000650067006e0065007400200066006f00720020006600f80072007400720079006b006b0073007500740073006b00720069006600740020006100760020006800f80079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74002e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6e00650020006b0061006e002000e50070006e006500730020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6c006c0065007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6c006c00650072002000730065006e006500720065002egt POL ltFEFF0055007300740061007700690065006e0069006100200064006f002000740077006f0072007a0065006e00690061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f300770020005000440046002000700072007a0065007a006e00610063007a006f006e00790063006800200064006f002000770079006400720075006b00f30077002000770020007700790073006f006b00690065006a0020006a0061006b006f015b00630069002e00200020004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900200050004400460020006d006f017c006e00610020006f007400770069006500720061010700200077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90065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90020006e006f00770073007a0079006d002egt PTB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a006500200065007300730061007300200063006f006e00660069006700750072006100e700f50065007300200064006500200066006f0072006d006100200061002000630072006900610072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d00610069007300200061006400650071007500610064006f00730020007000610072006100200070007200e9002d0069006d0070007200650073007300f50065007300200064006500200061006c007400610020007100750061006c00690064006100640065002e0020004f0073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900610064006f007300200070006f00640065006d0020007300650072002000610062006500720074006f007300200063006f006d0020006f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20006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20007600650072007300f50065007300200070006f00730074006500720069006f007200650073002egt RUM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a00610163006900200061006300650073007400650020007300650074010300720069002000700065006e0074007200750020006100200063007200650061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10064006500630076006100740065002000700065006e0074007200750020007400690070010300720069007200650061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000640065002000630061006c006900740061007400650020007300750070006500720069006f006100720103002e00200020004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5006c0065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500610074006500200070006f0074002000660069002000640065007300630068006900730065002000630075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15f00690020007600650072007300690075006e0069006c006500200075006c0074006500720069006f006100720065002egt RUS ltFEFF04180441043f043e043b044c04370443043904420435002004340430043d043d044b04350020043d0430044104420440043e0439043a043800200434043b044f00200441043e043704340430043d0438044f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e043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43c0430043a04410438043c0430043b044c043d043e0020043f043e04340445043e0434044f04490438044500200434043b044f00200432044b0441043e043a043e043a0430044704350441044204320435043d043d043e0433043e00200434043e043f0435044704300442043d043e0433043e00200432044b0432043e04340430002e002000200421043e043704340430043d043d044b04350020005000440046002d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4b0020043c043e0436043d043e0020043e0442043a0440044b043204300442044c002004410020043f043e043c043e0449044c044e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43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43800200431043e043b043504350020043f043e04370434043d043804450020043204350440044104380439002egt SKY ltFEFF0054006900650074006f0020006e006100730074006100760065006e0069006100200070006f0075017e0069007400650020006e00610020007600790074007600e100720061006e00690065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f0076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06b0074006f007200e90020007300610020006e0061006a006c0065007001610069006500200068006f0064006900610020006e0061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e00fa00200074006c0061010d00200061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e00200056007900740076006f00720065006e00e9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90020005000440046002000620075006400650020006d006f017e006e00e90020006f00740076006f00720069016500200076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f0063006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10020006e006f0076016100ed00630068002egt SLV ltFEFF005400650020006e006100730074006100760069007400760065002000750070006f0072006100620069007400650020007a00610020007500730074007600610072006a0061006e006a0065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f0076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06b006900200073006f0020006e0061006a007000720069006d00650072006e0065006a016100690020007a00610020006b0061006b006f0076006f00730074006e006f0020007400690073006b0061006e006a00650020007300200070007200690070007200610076006f0020006e00610020007400690073006b002e00200020005500730074007600610072006a0065006e0065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50004400460020006a00650020006d006f0067006f010d00650020006f0064007000720065007400690020007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9006e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9006e0020006e006f00760065006a01610069006d002egt SUO ltFEFF004b00e40079007400e40020006e00e40069007400e4002000610073006500740075006b007300690061002c0020006b0075006e0020006c0075006f00740020006c00e400680069006e006e00e4002000760061006100740069007600610061006e0020007000610069006e006100740075006b00730065006e002000760061006c006d0069007300740065006c00750074007900f6006800f6006e00200073006f0070006900760069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40065006a0061002e0020004c0075006f006400750074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9007400200076006f0069006400610061006e002000610076006100740061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69006c006c00610020006a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3a006c006c00610020006a006100200075007500640065006d006d0069006c006c0061002egt SVE ltFEFF0041006e007600e4006e00640020006400650020006800e4007200200069006e0073007400e4006c006c006e0069006e006700610072006e00610020006f006d002000640075002000760069006c006c00200073006b00610070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200073006f006d002000e400720020006c00e4006d0070006c0069006700610020006600f60072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d007500740073006b00720069006600740020006d006500640020006800f60067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74002e002000200053006b0061007000610064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20006b0061006e002000f600700070006e006100730020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f0063006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f00630068002000730065006e006100720065002egt TUR ltFEFF005900fc006b00730065006b0020006b0061006c006900740065006c0069002000f6006e002000790061007a006401310072006d00610020006200610073006b013100730131006e006100200065006e0020006900790069002000750079006100620069006c006500630065006b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20065006c00670065006c0065007200690020006f006c0075015f007400750072006d0061006b0020006900e70069006e00200062007500200061007900610072006c0061007201310020006b0075006c006c0061006e0131006e002e00200020004f006c0075015f0074007500720075006c0061006e0020005000440046002000620065006c00670065006c00650072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76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76006500200073006f006e0072006100730131006e00640061006b00690020007300fc007200fc006d006c00650072006c00650020006100e70131006c006100620069006c00690072002egt UKR ltFEFF04120438043a043e0440043804410442043e043204430439044204350020044604560020043f043004400430043c043504420440043800200434043b044f0020044104420432043e04400435043d043d044f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56043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44f043a04560020043d04300439043a04400430044904350020043f045604340445043e0434044f0442044c00200434043b044f0020043204380441043e043a043e044f043a04560441043d043e0433043e0020043f0435044004350434043404400443043a043e0432043e0433043e0020043404400443043a0443002e00200020042104420432043e04400435043d0456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800200050004400460020043c043e0436043d04300020043204560434043a044004380442043800200443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4420430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4300431043e0020043f04560437043d04560448043e04570020043204350440044104560457002egt ENU (Use these settings to create Adobe PDF documents best suited for high-quality prepress printing Created PDF documents can be opened with Acrobat and Adobe Reader 50 and later) gtgt Namespace [ (Adobe) (Common) (10) ] OtherNamespaces [ ltlt AsReaderSpreads false CropImagesToFrames true ErrorControl WarnAndContinue FlattenerIgnoreSpreadOverrides false IncludeGuidesGrids false IncludeNonPrinting false IncludeSlug false Namespace [ (Adobe) (InDesign) (40) ] OmitPlacedBitmaps false OmitPlacedEPS false OmitPlacedPDF false SimulateOverprint Legacy gtgt ltlt AddBleedMarks false AddColorBars false AddCropMarks false AddPageInfo false AddRegMarks false ConvertColors ConvertToCMYK DestinationProfileName () DestinationProfileSelector DocumentCMYK Downsample16BitImages true FlattenerPreset ltlt PresetSelector MediumResolution gtgt FormElements false GenerateStructure false IncludeBookmarks false IncludeHyperlinks false IncludeInteractive false IncludeLayers false IncludeProfiles false MultimediaHandling UseObjectSettings Namespace [ (Adobe) (CreativeSuite) (20) ] PDFXOutputIntentProfileSelector DocumentCMYK PreserveEditing true UntaggedCMYKHandling LeaveUntagged UntaggedRGBHandling UseDocumentProfile UseDocumentBleed false gtgt ]gtgt setdistillerparamsltlt HWResolution [2400 2400] PageSize [612000 792000]gtgt setpagedevice

Page 6: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v

2 Survey Method and Design

In this study we first summarized the results of nanotechnology perception survey by

general consumers(Step 1) After presenting the results to experts in nano-industry we

asked experts to estimate the sales of each nano-industry market over the next five

years(Step 2) We predicted the total sales of nano-industry market in 2025 by finally

incorporating the obtained expert estimates into the fundamental data of the diffusion

model(Step 3) We then conducted a sensitivity analysis of how the market predictions

could be different by changing the modelrsquos coefficients by various scenarios

3 Major Results

Most of the existing nano-industry size forecasts are predicted by simple methods

based on the past compound annual growth rate(CAGR) or by following the opinions of

overseas famous institutions and scholars For example the growth forecast of US $ 3

trillion in nano-industry in 2020 proposed by Dr Roco is widely used in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ports and newspaper articles However the part CAGR is

suitable for a stable industry that has already reached maturity and it is limited to apply

to the rapidly growing industries such as nanotechnology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size of domestic nano-market in a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method A quantitative model called the Diffusion Model a general consumer

survey and a qualitative method of nano-industry expert survey were combined to predict

the domestic nano-market size in 2025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the domestic nano-market is expected to grow to about 667 trillion won

in 2025 and is expected to grow 504 times as much as the 130 trillion won market as

of 2014 Assuming that the entire manufacturing industry maintains a CAGR of 26

between 2010 and 2014 the nano-industry which accounts for 89 of the total

manufacturing industry as of 2014 is expected to grow to 3368 by 2025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ximum and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소비자 인식조사 최종보고서

vi

minimum values of the expert estimates are applied to the diffusion model the

maximum value of the domestic nano-market size was estimated to be 811 trillion won

and the minimum value of 534 trillion won respectively

In addition this study devides the nano-industry into nanomaterials nanoelectronics(devices)

nanobiotechnologyhealthcare nanotechnology equipment and estimates the future size of each

industry First the nanomaterials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150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143161 in 2025 from about 105 trillion won as of 2014 The nanoelectronics

(devices)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511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42821 in

2025 from about 119 trillion won as of 2014 The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13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17951 in 2025 from about 700

billion won as of 2014 Lastly the nanotechnology equipment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o

46 trillion won by 2025 and to grow 25810 in 2025 from about 18 trillion won as of

2014

In terms of growth rate the nanomaterials industry is expected to have the greatest growth

potential followed by nanoelectronics(devices) nanotechnology equipment and

nanobiotechnologyhealthcare However if we revise the forecasts to reflect the large growth

of the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in 2014 the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is expected to reach about 46 trillion won in 2025 In this case the total size of

the domestic nano-market is expected to increase to 670 trillion won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the share of each industry the share of the nanomaterials industry in the

entire nano-market is estimated to be 2247 nanoelectronics(devices) 7665

nanobiotechnologyhealthcare 020 and nanotechnology equipment 068 This

demonstrates that the share of the nanoelectronics(devices) industry will be somewhat reduced

and that the share of the nanomaterials industry will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standards

as of 2014 Nanobiotechnologyhealthcare industry and nanotechnology equipment industry

are expected to remain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2014

vii

4 Conclusion and Implications

This study predicts that the domestic nano-industry will continue to grow at a rapid

pace by 2025 The future market size forecast of nano-industry is the most basic

foundation of all nano-related poli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widely used as

fundamental data of various nano-industry statistics and forecasts and it can provide

in-depth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the growth direction and strategy of domestic

nano-market For instance a nanotechnology company can take advantage of the results

of this survey to respond appropriately to proper investment and personnel recruitment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growth of the nano-market Government agencies and research

institutes developing nano-related policies can also develop and support relevant policies

based on the potential size of future nano-marke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growth of the domestic nano-market is

approached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Given that many nano-related studies have

applied relatively simple methods to predict the most important future market size this

study will help the domestic nano-industry to develop more systematically in the future

However since the sales data of the domestic nano-industry is not enough yet the

forecast result value may be sensitively chang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forecast value of the future nano-industry through a continuous update process in the

future

ix

차 례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연구 방법론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2장 주요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1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2 세부 나노산업별 시장 규모 예측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3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변화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4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분석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1 신기술 확산 및 예측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2 소비자 수용 및 혁신 저항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3 산업전문가 활용 조사 방법론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4 나노산업 관련 이론 및 발전 동향 조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5 문헌연구 분석 결과 시사점 도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1 나노시장 예측 방법론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2 Diffusion Model 소개 및 적용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3 일반소비자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4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4

5 Diffusion Model을 적용한 나노산업의 미래 규모 예측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51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52 세부 산업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53 민감도 분석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1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2 시사점 도출 및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

3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소비자 인식조사 최종보고서

x

표차례

lt표 1gt 나노융합산업 분야별 매출액 현황 (단위 억원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lt표 2gt 현재와 미래의 중점과학기술 나라별 기술수준 기술격차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lt표 3gt 미래 면허증 보유자(포화시장규모) 예측 (단위 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lt표 4gt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단위 대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lt표 5gt 각 확산 예측 모형 별 오차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lt표 6gt 전체 시장 규모 대비 정부 투자 비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lt표 7gt Sheth(1981)의 저항 강도에 따른 혁신저항 4가지 유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lt표 8gt 전문가 델파이 분석의 설문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

lt표 9gt 중요도 및 난이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lt표 10gt 전문가 확신도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lt표 11gt 가상의 나노기술 적용제품 세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lt표 12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속성수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lt표 13gt 세 가지 나노기술 적용 제품군 별 구매의도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1

lt표 14gt 일반인 그룹의 컨조인트 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lt표 15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세 가지 제품군의 효용분석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lt표 16gt 본 연구의 기본 전제 및 해결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lt표 17gt 나노기술의 특징 품질 혁신성 이해 정도 비교 (동영상 시청전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lt표 18gt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추이 (단위 억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4

lt표 19gt 최종 나노산업 전문가 집단 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lt표 20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lt표 21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lt표 22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5

lt표 23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lt표 24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lt표 25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lt표 26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연도별 세부산업별 데이터 (단위 억원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lt표 27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lt표 2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2014년 예상 매출액 Vs 실제 매출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lt표 29gt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 성장 적용 시 예상 매출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lt표 30gt 나노산업별 p q 추정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lt표 31gt 혁신계수값 변화에 따른 나노산업 예측 규모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6

lt표 32gt 주요 결과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8

xi

그림차례

lt그림 1gt 2020년 글로벌 나노시장 3조달러 자료를 인용한 신문 보도자료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

lt그림 2gt 과거 연평균 성장률 적용의 가상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lt그림 3gt 본 연구의 특징 및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lt그림 4gt 본 연구의 방법론 및 단계적 흐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lt그림 5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lt그림 6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단위 억원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lt그림 7gt 국내 나노소재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lt그림 8gt 국내 나노전자(소자)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lt그림 9gt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lt그림 10gt 국내 나노장비기기 산업 매출액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lt그림 11gt 전체 나노산업 중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 비중 변화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lt그림 1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전문가 예상 매출액 보정 후 나노시장 총규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lt그림 13gt p q값을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으로 적용할 경우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lt그림 14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 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lt그림 15gt Bass(1969) 모형의 분석적 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lt그림 16gt 바이오칩 센서기술의 성장곡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

lt그림 17gt 모션플랫폼 확산 실제값 예측값 데이터 비교 세계와 한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lt그림 18gt 총 자동차 시장 대비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lt그림 19gt 세 모형 간 원데이터와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lt그림 20gt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lt그림 21gt 국내 RFID 확산 예측 모형과 실제 데이터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lt그림 22gt 각 모형별 확산 예측과 실제 데이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lt그림 23gt 델파이기법의 실행 절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0

lt그림 24gt 델파이 조사 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lt그림 25gt 생체인식 시스템 기술수준 중요도 난이도 종합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lt그림 26gt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도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lt그림 27gt 일반인과 전문가의 나노제품에 대한 지각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lt그림 28gt 일반인전문가 나노기술의 위해성 인식여부와 불안감여부 차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lt그림 29gt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나노산업 영향력 도출 방법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lt그림 30gt 나노기술 인식 조사 변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0

lt그림 31gt 일반 소비자의 나노기술 나노제품 사용 여부 인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lt그림 32gt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정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lt그림 33gt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과정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

lt그림 34gt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측값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lt그림 35gt 일반인 Vs 전문가 나노기술 인식 차이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lt그림 36gt 나노산업별 중요도 및 상대적 기술 수준 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소비자 인식조사 최종보고서

xii

lt그림 37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lt그림 38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최소값 평균값 최대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lt그림 39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lt그림 40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lt그림 41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5

lt그림 4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lt그림 43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lt그림 44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lt그림 45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최근 급속한 성장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lt그림 46gt 2025년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예상 매출액 (보정값)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lt그림 47gt 2025년 국내 나노산업별 비중 비교 (보정값)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lt그림 4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보정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산업 매출 예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lt그림 49gt 모든 산업이 나노전자 혹은 나노소재 산업 수준으로 성장할 경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lt그림 50gt 일반적인 소비재 제품의 혁신계수값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lt그림 51gt 다른 연구(김진 고경일 2014)에서 추정된 p q 값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

lt그림 52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6

Table of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Summary of Research Methodolog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Chapter 2 Major Result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1 Summary of Forecasts of Total Domestic Nano-market Size in 2025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2 Summary of Market Size Forecasts by Sub-nano-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3 Summary of Sales Change by Nano-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4 Summary of Scenario-Based Sales Change Analysis Result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Chapter 3 Literature Review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1 Expansion and Prediction of New Technologi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2 Adoption Intention and Innovation Resistance of Consumer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3 Industrial Experts-based Survey Methodolog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4 Nano-industry Related Theory and Development Trend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5 Drawing Implications from Literature Review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Chapter 4 Summary of Forecasts of Total Domestic Nano-market Size in 2025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1 Summary of Nano-market Forecast Methodolog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2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Direction of Diffusion Model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3 Survey Results Summary of Nanotechnology Perception of Consumer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4 Survey Results Summary of Nano-industry Exper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4

5 Forecast Results of Future Nano-indudstry Size Applying Diffusion Model middotmiddot 79

51 Forecasts of Total Size of Nano-market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52 Sales Forecast by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53 Sensitivity Analysis Scenario-based Sales Chang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Chapter 5 Conclusion and Implication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1 Summary of Result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2 Drawing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

3 Expected Effects and Application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

Referenc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제1장 서 론

1

제1장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나노산업의 성장이 계속되면서 나노기술 및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

가하고 있다 2016년 발표 자료1)에 따르면 2014년도 나노융합산업 매출액은 총

132조2930억원으로 전체 제조업 대비 약 9를 차지하였다 이는 지난 5년간 매년

연평균 107 성장한 수치이며 같은 기간 전체 제조업 매출액의 연평균 성장률

26보다 약 4배 정도 높은 성장률이다

lt표 1gt 나노융합산업 분야별 매출액 현황 (단위 억원 )

분야별 매출액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연평균 성장률

나노소재 87191 111370 96651 144391 104664 47

나노전자 770863 785380 1170282 1215753 1193383 115

나노바이오의료 2718 2934 4444 4126 7249 278

나노장비기기 19698 23170 19152 22669 17634 -27

나노융합산업 합계 880470 922854 1290529 1386939 1322930 107

제조업 합계 13395480 15023530 15114951 14957302 14865742 26

자료 2016년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일반적으로 나노융합산업이란 ldquo나노기술을 활용하여 나노융합제품을 생산하는

산업rdquo으로 나노융합제품은 ldquo100nm 이하의 크기에서 인위적 조작을 통해 혁신적

인 기능을 창출하는 제품rdquo으로 정의하고 있다 나노기술의 발전과 함께 시장에 새

롭게 출시되는 나노제품들이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도 나노산업의 발전은 계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나노기술이 향후 국민 소비와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할 때 나노산

업의 미래 성장 예측은 필수적이다 미래 나노시장의 규모 예측에 기반해 정부의

관련 정책 개발 및 기업의 투자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정부기

1) 2016년 12월 산업통상자원부가 국내 나노융합기업 59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발표한 ldquo2015 국내 나노융합산업 실태조사rdquo 결과 자료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

관 및 많은 나노관련 연구소들은 나노산업의 성장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

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 규모에 대해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KISTEP에서 발행한 한 연구 보고서2)에서도 언

급되었듯이 현재 나노관련 시장의 규모의 예측은 다양한 방식으로 추정되는 상

황이며 시장 전망 조사 전문 기관의 시장 예측 규모도 조사 기관 간에 매우 큰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추정하는 방법은 대체로 해외 유명 기관 혹은

학자의 예측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혹은 글로벌 예상 매출액에 단순히 목표

점유율을 계산하여 국내 시장의 미래 규모를 예측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나노비지니스 얼라이언스(NanoBusiness Alliance) 나노기술산

업 컨설팅사인 럭스리서치(Lux Research) 일본 미쯔비시 연구소 등에서 발표하는

나노관련 시장의 규모 및 성장률 자료를 그대로 인용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Roco 박사가 제시한 2020년 글로벌 나노시장 3조달러 예상(Roco et

al 2010) 수치는 국내 다양한 연구기관과 신문 보도 자료들에서 여러 차례 활용

되고 있다

lt그림 1gt 2020년 글로벌 나노시장 3조달러 자료를 인용한 신문 보도자료들

2) 김석필 외(2014) ldquo나노기술 상용화 현황 진단과 혁신과제rdquo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연구보고 2014-016

제1장 서 론

3

그런데 이와 같은 자료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과거 나노산업의 연평균 성장률

(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을 대입하여 단순하게 미래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했다는 것이다 즉 과거의 성장률을 기반으로 미래의 시장을 예측하

는 방법을 활용한 것이다

이 방법은 다양한 산업에서 비교적 쉽게 사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나노산업 이

외에도 일상적으로 자주 활용되는 방법이다 하지만 연평균성장률 적용 방법은

성숙기에 접어든 안정적인 산업 혹은 저성장 산업에 적용할 경우 보다 적합한 방

법이다 일례로 아래 그림과 같은 두 가지 가상의 예를 제시할 수 있다

lt그림 2gt 과거 연평균 성장률 적용의 가상 예

위의 두 경우 연평균성장률은 115로 동일하다 하지만 성장 패턴을 비교할

때 왼쪽 나노전자(A)의 경우 향후 추가적인 성장이 기대되지만 오른쪽 나노전자

(B)의 경우 점차 하락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즉 두 가지 사례가 서로 다른 모습

의 성장 과정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연평균 성장률은 시작값과 마지막값의 차이

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같은 수치를 보이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이미 충분히 성장한 성숙기 산업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

을 수 있다 어느 정도 성장이 완료된 이후에는 성장 패턴에 큰 차이가 없기 때문

에 과거 연평균 성장률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연구의 초점인 나노산업의 경우 현재 급속한 성장이 진행되고 있으며 세부 산업

별 성장 패턴도 다양한 편이다 즉 과거 연평균 성장률이 미래에도 안정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실제로 2020년 3조달러 시장을 제안했던 Roco 박사도 2014년 한 발표에서 2011

년 이전 연평균 성장률 25를 보였던 나노산업이 2011~2013년 전세계적으로 연평

균 44 성장했다고 하였다(Roco 2014) 즉 과거의 나노산업 성장 예측 기대치보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

다 최근 더욱 빠른 성장세가 발견된 것이다 이 역시 과거 연평균 성장률이라는

단순한 계산에 의해 나노산업의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한계가 있을 수 있음 보여

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문제점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보

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하고자 한다 우

리나라가 앞으로 나노 선진국으로 한 걸음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 해외 자

료에만 의존할 수 없다 이제 국내 독자적으로 나노시장을 예측하고 미래 시장

규모에 적절한 체계적 대응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나노시장

의 규모 예측은 모든 나노 관련 정책의 가장 밑받침이 될 것이기 때문에 본 연구

와 같은 시도는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처럼 나노시장 예측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국내 나노관련

연구들은 기술 중심 현황 분석 중심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예를 들어 국내외

나노산업의 단순 현황(ex 산업별 매출액 나노융합기업 사업체 수 고용인원

RampD투자액 등)을 조사하거나 기술 발전 동향 조사 나노기술의 부작용 위험성

조사 사업화 역량 조사 등이 주를 이루었다 즉 다른 산업의 연구에 비해 계량적

이고 체계적인 연구 및 방법론 활용이 부족하였고 무엇보다 가장 기본이 되는 수

요예측의 과학적 접근이 부족하였다

국내 나노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이제 계량적이고 체계적인 모형을 활

용한 예측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에서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의

견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아직 시장 데이터가 불충분하고 불확실성이

높은 나노산업의 시장 규모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산업을 가장 잘 이해하는 전문

가들의 의견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는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도 연구 결과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초기 시장을 지나 본격적인 성장기로 돌

입하기 위해서는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혜택 이해와 수용이 필수적이라고 판

단했기 때문이다 기존 문헌에서도 새로운 과학기술과 관련된 산업에서는 다양한

구성원들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예를 들어 오미영 외(2008)의 연구

에서도 과학 기술이 사회 경제적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사회 구성원들에 대한 이

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이라는 계량적인 모형을 활용해 보다 체

계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미래 규모를 예측하고자 한다 또한 나노산업

이 아직 초기 단계에 있음을 반영하여 산업 전문가 조사와 일반 소비자 조사의 의

제1장 서 론

5

견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수요예측 방법론을 제안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나노산업

의 미래 예측 결과를 통해 향후 나노 관련 정책 개발 및 나노기업의 전략 설정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논의한 본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량적 모형을

활용한 과학적인 나노기술 확산 및 성장 예측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계량적 모

형과 함께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과 최종 소비자 의견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고자

한다 셋째 다양한 서베이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정책 개발을 위

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lt그림 3gt 본 연구의 특징 및 목적

또한 본 연구는 보다 완성도 있는 결과물을 위해 특별히 다음의 세부 요건들을

최대한 만족하는 연구 결과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나노기술

이 특정한 최종 제품에만 적용되는 타겟 기술이 아닌 ldquo기반 기술rdquo이라는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둘째 나노산업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현업 전문가들의 의견

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셋째 나노기술의 확산을 위해 나노기술에 대한 지식 수

준이 낮은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을 모형에 적절히 반영해야 한다 넷째

전반적인 예측 과정의 논리적 흐름이 설득력 있고 간결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

2 연구 방법론 요약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의 연구 과정을 통해 최종적인 나노기술의 산업 영향력

을 도출할 계획이다 이를 그림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4gt 본 연구의 방법론 및 단계적 흐름

우선 본 조사는 나노제품을 사용하는 최종 소비자인 일반 사람들의 나노기술 인

식 정도를 측정할 것이다(Step 1) 특별히 나노기술에 대한 혜택 비용(혁신저항)

신뢰도 수용의도 등의 변수를 분류하고 이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측정할 것이다

이후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를 실시한다(Step 2) 나노산업을 통계청 기준에 따라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의 네 가지 산업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각 산업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상액

과 각 산업의 중요도 기술수준 평가 등을 실시한다 특이한 점은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앞서 실시한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결과를 제시한다는

것이다(그림 4에서 점선 표시)

이는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지나치게 기술 중심적 사고를 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시장을 예측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나노기술

의 경우 소비자의 잠재적 위험 인식이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고려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소비자의 인식도를 살펴본 후 관련 나노산업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

제1장 서 론

7

집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예측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지금까지의 두 가지 기본 조사를 완료한 후 본 조사의 핵심 내용인 국내 나노

시장의 미래 시장 규모를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예측한다(Step 3) 이 과정에

서 앞서 얻어진 산업 전문가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측값을 입력 자료로 포함하

여 최종적인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의 총규모와 산업별 규모를 예측한다

이와 같은 방법론을 시도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연구의 Diffusion

Model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장 매출액 초기값들이 필요하다 하지

만 현재 시장에서 집계된 나노산업 매출액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단 5년간의

데이터만 활용 가능하다 이 경우 데이터 부족으로 불안정한 추정값이 도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 나노산업의 특성을 반영해 시장을 가장 잘 파

악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나노산업 전문가의 단기적 미래 예측(2015~2018년)값을

수집해 최종적인 모형에 적용할 입력 자료의 양을 늘리고자 한다

물론 산업 전문가에게 더 많은 기간의 미래 예측값을 얻어낼 수도 있지만 불확

실성이 높은 성장 산업에 대한 중장기적 예측의 어려움을 감안해 향후 몇 년 간의

값만을 수집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일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단 이 경우 앞서 설

명한바와 같이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혹은 지나치게 기술

중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예측값을 제시하여 결과값이 과대 추정될 우려가 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일반적인 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조사

를 먼저 실행하여 해당 결과를 전문가에게 제시한 후 단기적 미래 예측값을 응답

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을 통해 본 연구는 나노산업의 초기적인 특징을 반영하면서

최대한 종합적인 시각에서 체계적으로 국내 나노산업 시장 규모를 추정하고자 계

획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계량적인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향후 나노

산업의 성장 및 영향력을 예측하는데 이 과정에서 최종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및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적극 활용할 것이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2025년 국내

나노산업의 총규모를 예측한다 그리고 산업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한 시나

리오 분석을 통해 민감도 분석을 실시할 계획이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

제2장주요 결과

1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요약

Diffusion Model 일반소비자 조사 전문가 의견조사를 종합한 방법론을 활용하

여 국내 나노산업의 매출 규모를 예측한 결과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은 약 667조

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대비 504배(504) 성

장 전망된 것이다 또한 전체 제조업이 2010~2014년 동안의 연평균성장률 26를

계속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 제조업 총매출에서 나노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89에서 2025년 3368 수준으로 비중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5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lt그림 6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단위 억원 )

제2장 주요 결과

9

2 세부 나노산업별 시장 규모 예측 요약

나노산업을 각 세부 산업별로 나누어 분석할 경우 우선 나노소재 시장은 평균

값 기준 202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

재 약 10조5천억원 대비 14316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lt그림 7gt 국내 나노소재 산업 매출액 전망

나노전자(소자)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511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19조원 대비 4282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

이다

lt그림 8gt 국내 나노전자(소자) 산업 매출액 전망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

나노바이오의료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1조3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되

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7천억원 대비 1795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lt그림 9gt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매출액 전망

나노장비기기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4조6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되었

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조8천억원 대비 25810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lt그림 10gt 국내 나노장비기기 산업 매출액 전망

제2장 주요 결과

11

3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변화 요약

본 연구의 예측치를 바탕으로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 비중을 비교하면 2014년 대

비 2025년 나노소재 산업의 매출 비중(791rarr2247)이 증가하고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매출 비중(9021rarr7665)이 하락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나노바이오

의료 산업과 나노장비기기 산업은 여전히 작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lt그림 11gt 전체 나노산업 중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 비중 변화 추이

4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분석 결과 요약

본 연구는 몇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2014

년도 급격히 성장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성장세를 감안하여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전문가 예상 매출액을 보정하여 예측한 결과 나노산업의 총매출 규모는

667조원에서 670조원으로 다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lt그림 1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전문가 예상 매출액 보정 후 나노시장 총규모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2

한편 만약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소재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

년 국내 나노산업은 평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또한 모

든 나노시장이 나노전자(소자)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

준 약 14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lt그림 13gt p q값을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으로 적용할 경우 민감도 분석

마지막으로 정부의 투자 지원 확대 등으로 나노시장의 혁신계수(P)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에는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lt그림 14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 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3

제3장관련 문헌 연구

1 신기술 확산 및 예측 연구

일반적으로 제품 서비스 기술에 대한 수요예측 방법론은 정성적인 방법론과

정량적인 방법론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성적 방법으로는 설문조사방법 주관적

예측방법 비교유추방법 등이 있으며 정량적인 방법론은 Bass 확산모형 Logistic

곡선모형 Gompertz 곡선모형 등이 있다 정성적 방법론은 주로 기존 시장의 자료

가 충분히 존재하지 않아서 수리적 모형화가 어려울 경우 소비자나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진행된다 반면 정량적 방법은

기존 시장 자료가 존재하고 이에 대한 통계적 분석이 가능할 경우 분석 자료를 통

해 앞으로의 수요패턴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정성적 방법론(qualitative method) 중 하나인 비교 유추법이란 미래 수요예측이

어려울 정도로 과거의 시장자료가 충분치 않을 때 원하는 제품과 유사한 제품의

시장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요패턴을 예측하거나 해당 제품이나 기술이 먼저 보

급화된 선진국의 수요패턴과 비교하고 답을 유추하는 과정을 통해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정성적 방법 중에는 전문가의 의견을 활용하는 주관적 예측법(subjective

estimation)이 존재하는데 이는 미래수요를 예측하고자 할 때 해당 제품 기술과

관련된 분야의 전문가들(기술담당자 마케팅 실무 담당자 관련된 기관에 근무하

는 전문가 등)의 의견을 통해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래 수요예측을 진행하며

이 주관적 예측법에는 브레인스토밍 델파이법(Delphi method) 등이 포함된다 이

중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브레인스토밍 기법은 과거에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

었지만 최근 사용되는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이며 최근 델파이 기법을 통해 정성

적 수요예측을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델파이 기법의 핵심요소는 전문가들

의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수요판단에 있

어서 다른 정성적 방법 중 비교적 객관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델파이 기

법은 분석과정에서 미래예측결과를 조사하고 또한 확인하는 과정을 다시 거치기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4

때문이다 따라서 정량화가 어려운 경우에도 나름대로 높은 신뢰성을 갖는 통계

를 보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수요예측 방법론으로는 정량적 방법(quantitative method)이 존재하는

데 과거 시장자료가 존재할 경우 이 데이터를 통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수요패턴을 예상하는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이 범주에는 시계열 모형 계량경제

모형 성장곡선 모형 등이 있다 시계열 모형은 시계열 자료에 대한 자기상관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생성되는 모형으로 대표적인 모형은 Box Jenkins의 ARIMA 모형

이며 주로 월별 매출의 변동과 같은 단기예측을 위해 사용된다 계량경제모형은

시장의 수요를 예측하려 할 때 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경제 변수

들을 파악하고 이들의 상호적 관계를 수식화해 regression하는 방법을 말한다 마

지막으로 성장곡선 모형은 신기술 신제품의 시간적 누적된 수요량의 궤적이 성

장곡선과 유사하게 완만한 S자형 모형의 곡선 형태를 보이는 점에 착안하였으며

Logistic 모형 Gompertz 모형 Bass 모형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성장곡선은 전염

병과 세포증식과 같은 생물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모형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1960년대부터 탁월한 수요예측 능력과 유용성을 인정받고 신제품 신기

술 서비스의 수요예측에 사용되어져 왔다 기술의 성장을 예측하는데 주로 활용

되는 Logistic 모형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Y는 t 시점에서 존재하는 기술 수준 k는 극한의 기술값을 뜻하며 α와 β

는 성장의 형태를 결정하는 계수를 의미한다 기술성장의 그래프 역시 기술의 극

한값 k를 기준으로 S-Curve의 곡선을 나타내게 된다

t⁰는 기술 수준의 최대값을 나타내며 이는 기술의 성숙기라고 표현할 수 있다

당기 기술수준의 최대점은 누적곡선의 변곡점이라 할 수 있으며 tsup1은 당기 기술

의 변곡점이다 이 때는 주로 성장기에 해당하며 본격적으로 해당기술이 개발되는

시점을 의미한다 성숙기와 성장기는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5

또한 곡선의 완만한 형태를 결정하게 되는 모수로는 α β가 있는데 K(기술의

극한값)가 일정할 경우 t의 시점에 따른 기술 Y가 추정이 가능하다 Logistic 곡선

은 선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α β가 추정 가능하다 Pearl과 Reed가 개발한 성

장곡선모형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Y(K-Y)는 기술변화

의 속도를 나타내며 해당 기술 발전의 속도가 현재의 기술 수준이 최대값의 기술

수준이 되기까지 남아있는 기술혁신에 해당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Gompertz 모형

은 Logistic 모형처럼 변곡점을 가지고 있지만 변곡점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비대

칭적 S자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장점으로는 좌우 대칭이라는 특성으로

해당 시장의 정확한 상황을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때 Logistic 모형과 비교해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Gompertz 모형은 변곡점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기술이나 제품 초기에 많은 성장을 보이는 경우 Logistic 모형보다 적

합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함수식은 다음과 같다

Gompertz 모형은 첨단기술 제품의 수요예측에 많이 사용되며 최근 기술발전으

로 제품 생애주기(Life Cycle)가 짧은 형태를 보임에 따라 신제품 또는 신기술의

빠른 성장을 예측하는데 더 나은 예측력을 보일 때가 많다

신제품의 수요 확산 예측을 위해 개발된 모형 중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모

형으로는 Bass가 개발한 최초구매 확산모형(First-Purchase Diffusion Model)을 말

할 수 있다 Bass 모형 연구는 내구재(TV 세탁기 등)를 제품으로 선정하였기 때문

에 소비자들이 이들 제품을 반복구매하는 상황보다는 한 개의 제품을 최초구매하

는 상황을 가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제품 수용자들의 수는 신제품의

판매숫자와 같다고 보았으며 잠재수용자들은 대중매체나 다른 사람들의 구전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영향을 받고 제품을 수용한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수용자들은 내부적 영향(구전 커뮤니케이션)과 외부적 영향(대충매체 커뮤니케이

션)의 영향에 따라 신제품을 수용하며 수용 시기에 따라 처음 수용하는 사람들을

혁신자 집단(innovators) 나머지 수용자들을 모방자 집단(imitators)으로 나누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6

Bass 모형은 아직까지 신제품을 수용한 경험이 없는 잠재구매자가 특정시점(t 시

점)에서 신제품 수용할 해저드함수(조건부함수)를 표현하며 이 함수식은 다음과

같다

이때 p는 혁신계수(Coefficient of Innovation) q는 모방계수(Coefficient of

Imitation) f(t)는 시간 t에서의 수용 확률 F(t)는 시간 t에서의 누적되는 수용 확률

을 의미한다 이때 특정시점(t 시점)에 신제품을 수용 채택하는 잠재구매자의 숫

자 s(t)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계산이 가능하다

이처럼 Bass 모형은 신제품 신기술이 최초로 채택되어 수용될 확률은 이전의

구매자 숫자의 선형함수라고 말한다

lt그림 15gt Bass(1969) 모형의 분석적 구조

BASS 확산모형은 잠재 시장 크기를 뜻하는 M 혁신계수를 뜻하는 P 모방계수

를 뜻하는 Q와 같이 세 개의 모수가 존재하는데 M은 해당 제품의 시장 최대 수

용치를 말하며 P는 대중매체와 같은 광고의 외부적 영향에 따른 계수이며 Q는

구전효과와 같은 내부적 영향에 따른 계수라 할 수 있다 Bass 모형은 Logistic 모

형이나 Gompertz 모형에 비해 모형의 세 모수가 모두 명확하고 객관적 해석이 가

능하여 의미 있는 결과 도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Logistic 모형과 Gompertz 모형을 적용한 연구로는 한민규 외(2010)의 바이오칩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7

센서기술 성장 예측 연구가 있다 이들은 국내의 미래 성장 경쟁력과 국가적 지위

향상을 위해서는 국가 수준에서 과학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현

재 국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과학기술의 데이터를 통해 현 상태를 파악하고 선진

국과의 기술수준차이 수준차이 요인 및 이를 줄이기 위해 필요한 조건 등을 파악

하고 한정된 자원의 효과적 배분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저자들은 기존 기술

수준을 평가한 연구들이 델파이 기법과 같은 방법론으로 조사한데 반해 기술성장

모형(Technology Growth Model)을 도입하여 기술수명주기에 따라 기술의 성장 모

습을 예측하였다 이들은 델파이 모형과 더불어 S-curve 모형 중 특히 Logistic모

형인 Pearl 모형과 Gompertz 모형을 사용하여 각각의 모형을 비교해 연구를 진행

하였다 기술수준의 현재와 미래 예측 분석결과 해당하는 기술의 궁극적 최대 기

술수준이 100라면 2008년 기준 국내 전체 과학기술 수준은 564 최고 기술보

유국과의 기술의 격차는 66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3년(이 연구는 2008년에

진행됨)을 예측해 보았을 때 한국과 중국은 최고기술보유국인 미국과의 격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본과 유럽연합은 미국과의 격차가 늘어나는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이는 국내의 과학기술 수준이 급격한 발전을 이룰 것이라

는 것을 전망한다

2008년 2013년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한국 564 66 635 63

미국 766 00 809 00

일본 704 17 755 20

중국 469 93 549 87

EU 729 11 776 14

lt표 2gt 현재와 미래의 중점과학기술 나라별 기술수준 기술격차 예측

자료 한민규 외(2010)

저자들은 이중 특히 바이오칩 센서기술 수준을 중점적으로 평가하였는데 바이

오 분야의 12가지 중점적 과학기술의 2008년 현재와 2013년 미래예측 기술수준

기술격차를 분석하였다 바이오칩 센서기술은 현재 최고기술 보유국인 미국와의

기술격차가 적은 편이었으며 2013년에는 이러한 기술 격차가 더욱 적어질 것으

로 예상되었다(바이오칩 센서 기술격차 2008 61년 -gt 2013 43년) 이는 바이오

칩 센서 분야의 기술이 세계적인 국가와 더욱 적은 기술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8

빠른 기술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분야를 지원한다면 세계 최고수준으로 오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lt그림 16gt 바이오칩 센서기술의 성장곡선

자료 한민규 외(2011)

기술성장곡선을 통해 도출해낸 기술수명주기의 경우 Pearl 모형의 경우 35년

Gompertz 모형의 경우 28년(Gompertz)을 도출하였으며 기술 발전 속도의 경우

Pearl 모형은 0158 Gompertz 모형의 경우 0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바이

오 분야의 다른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기술수명주기와 더욱 빠른 기술발

전 속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기술적 사회적 실현시기의 측정값이 다

른 바이오 분야의 기술 중 가장 빠른 2015년 2020년으로 나타난 점을 통해서도

나타났다 한민규 외(2010)의 연구는 기술성장모형(Pearl Gompertz)을 활용 현재

기술수준을 평가하고 수치적으로 기술수준의 미래를 평가한 연구이다 기술성장

모형은 기술에 대한 절대적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술을 더욱 객관적으로 관

측할 수 있게 도와주는데 각각의 기술분야를 세부적으로 보고 해당 분야의 미래

기술수준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해당 연구는 높은 시사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성장곡선 모형 중 Bass 모형을 적용한 연구는 권순동 이승률(2015)의 연구가 있

다 최근 스마트 공장과 같은 기술을 통한 자동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19

문에 자동화에 필요한 자동제어 생산자동화기기와 같은 모션컨트롤러장치의 필

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유럽이나 미국의 소프트웨어 컨트롤러 장치인 PLC기반 모

션컨트롤러의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는 아직 PLC의 국제표준을 완벽히

충족하는 제품의 출시가 이뤄지지 않고 있지만 전자부품연구원과 생산기술연구

원을 중심으로 이러한 국제표준을 지향하는 lsquo한국형 오픈소스 모션플랫폼

(KOSMOS)rsquo의 기술개발이 2016년 완료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으며 2017년 상용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KOSMOS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을 개발함과

동시에 제품의 기술확산을 예측하는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연구

를 진행하였다

이들은 2000~2014년까지 출원된 한국 일본 미국 유럽의 모션플랫폼 분야 기

술 모션제어기 분야 기술의 특허데이터를 확인하고 여기에서 나온 세계 데이터

와 한국데이터를 확인해 향후 20년의 특허정보를 예측하였다

lt그림 17gt 모션플랫폼 확산 실제값 예측값 데이터 비교 세계와 한국

세계 시장 한국 시장

자료 권순동 이승률(2015)

수집된 특허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Bass 모형으로 추정된 특허데이터의 산출 예

측값과 실제데이터를 비교분석한 결과 그림과 같이 실제데이터와 예측데이터 값

이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데이터와 Bass 모형을 통해 산출한 예측

데이터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냄에 따라 2035년까지의 PLC 기술(특허정보) 미

래 확산 예측을 실시하였다

세계 PLC관련 기술의 확산은 성숙기 단계로 접어들어 이미 변곡점을 넘은 것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0

알 수 있었으며 국내 PLC 기술의 추세는 성장기이며 기술확산의 속도가 더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확산의 포화상태의 경우 세계 데이터는 2025년을 국

내의 경우 2035년으로 10년이 넘는 격차를 예측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권순동 이승률(2015)의 연구는 PLC 기술 특허정보를 통해 기술확산

을 분석하였는데 국내의 경우 2030년이 넘어서야 기술 성숙기에 이를 것으로 예

상되기 때문에 기술격차를 줄이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ass 모형을 통해 실제데이터와 예측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실제와 매우 유사한 결과값이 나타난 점을 보았을 때 기술의 확산을 예측할

때 Bass 모형의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Bass 모형

의 모수추정에 있어 해당 산업의 전문가의 검증을 거치지 않았다는 점은 한계점

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ss 모형을 적용한 또 다른 연구로는 채현석 정재우 김종달(2016)의 전기자동

차 미래 수요예측 연구가 있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이미 19세기 초반에 내연기관

차보다 먼저 생산되어졌지만 당시 값싼 연료들이 나타나고 내연기관자동차가 시

장의 대부분을 장악한 필수품으로 거듭나면서 쇠퇴의 길을 걷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석유의 고갈문제 미세먼지를 비롯한 지구의 환경문제 등이 대두되면서 전

기자동차에 대한 이슈와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많은 회사들이 전기자동차를 개발

출시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채현석 정재우 김종달(2016)은 내연기관자동차

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는 전기자동차의 미래 누적수요를 Bass의 Diffusion 모형

을 사용하여 도출하였다

저자들은 기존 확산모형에서 포화시장의 규모를 고정시키지 않고 시간의 흐름

에 따라 상이하게 변화하는 포화시장을 적용하였는데 포화시장의 규모는 면허증

을 소지한 사람 수의 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미래 면허증 소지자 수를 예측하여 미

래의 연도별 포화시장의 규모를 설정하였다 이를 적용한 식은 다음과 같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1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성인인구 43304264 43736407 44145684 44529637 44822001 45051984

면허보유율 77262 78424 79586 80748 81910 83072

면허보유자 33457740 34299840 35133784 35956791 36713701 37425584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포화시장의 연도별 규모가 예측되었다

lt표 3gt 미래 면허증 보유자(포화시장규모) 예측 (단위 명)

구 분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성인인구 45253078 45401266 45546834 45724037 45930854 46096786

면허보유율 84234 85396 86558 87720 88882 90044

면허보유자 38118478 38770865 39424429 40109125 40824262 41507390

구 분 2030 2031 2032 2033 2034 2035

성인인구 46240946 46411167 46561300 46715986 46894600 47098744

면허보유율 91206 92368 93530 94692 95854 97016

면허보유자 42174517 42869067 43548784 44236301 44950350 45693317

자료 최현석 외(2016)

또한 혁신계수(p)값과 모방계수(q)값을 도출하기 위해 일본의 자동차기업인 도

요타 하이브리드의 과거 판매자료를 이용하였는데 이는 국내의 경우 전기자동차

의 판매량을 조사한 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혁신계수 모방

계수 값을 도출하였다(p= -0000123863 q= 01643282595)

과거 도요타 하이브리드 차량 데이터로 얻은 혁신계수 모방계수 값과 연도별

면허증 소지자 숫자인 포화시장 규모 예측값을 바탕으로 전기자동차의 총 누적

수요예측을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누적수요 5096472 9653628 13733868 17391699 20645273 23540681

lt표 4gt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단위 대수)

구 분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누적수요 26130695 28435214 30515473 32426076 34195417 35794262

구 분 2030 2031 2032 2033 2034 2035

누적수요 37253808 38629215 39897785 41092584 42242486 43359991

자료 최현석 외(2016)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2

lt그림 18gt 총 자동차 시장 대비 국내 전기자동차의 미래 수요예측

자료 최현석 외(2016)

결과적으로 미래 전기자동차는 2035년에는 내연 기관자동차들을 대신해 자동차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채현석 외(2016)의 연구에서는 포화

시장의 예측을 기존 자동차 면허증 소지자의 데이터를 토대로 미래 면허증소지자

의 숫자를 예측하는 방식으로 산정하였다는 점이 흥미롭다고 할 수 있는데 혁신

모방계수의 산정을 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판매데이터 부족으로 일본의 도요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일본 내 판매량을 바탕으로 p q 값을 도출해 내었다는 한계

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기술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을 모두 사용

한 연구로는 남기웅 외(2009)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O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

술들의 미래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기술예측 연구들은 델파이 기법

과 같이 전문가들의 직관에 의해 산정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러한 방법론은 많

은 시간과 비용과 소수전문가에 의한 왜곡으로 인해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과학적인 예측을 위해 정량적 예측을 사용하였다 또한 저자들은 특

허 데이터의 예측을 통해 미래기술 동향을 예측하였는데 이는 특허의 경우 일정

기간 동안 해당 기술을 독점할 지배권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기술의 발전과

성과의 정보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남기웅 외(2009)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미래수요(특허)예측 값의 확산 모형별 비

교는 다음과 같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3

lt그림 19gt 세 모형 간 원데이터와 비교

자료 남기웅 외(2009)

원래의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특허숫자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통해 확산 모

형에 대입했을 때 현재 데이터의 추정값의 비교는 위와 같다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 중 원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예측력을 보인 모

형은 Bass 모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자들은 Bass 모형을 적용하여 미래 차세

대 디스플레이 기술 수요의 예측을 진행하였다

그래프를 보면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확산(특허숫자)은 2032년까지 꾸준하게 증

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32년 이후로는 기술개발이 멈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이 포화기에 들어섰다고 할 수 있으며 성장상한치인 4237개와 2032년

예상 특허 숫자인 4230이 매우 유사한 것으로 보아 기술 완성단계에 접어들었다

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품과 기술의 확산예측에는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이 주로

사용되는데 Gompertz Logistic 모형의 경우 비교적 모형이 단순하고 사용이 간편

한 장점이 있지만 이들 모형은 시장에서 내부효과에 따른 확산만을 분석하기 때

문에 성장의 최대 상한 값을 추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성장

최대값을 전문가의 의견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문제가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4

lt그림 20gt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예측

자료 남기웅 외(2009)

반면에 Bass 모형의 경우 내부효과 뿐만 아니라 외부효과 또한 확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남기웅 외(2009)의 연구에서 더욱 정확한 예측력을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을 비교 적용한 연구로는 손동민 문

성현 정봉주(2014)의 국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시장 확산 예

측 연구가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물건이나 사람 등과 같은

객체들을 식별하는데 무선주파수인 RF 신호를 이용하는 비접촉식의 인식기술로

유비쿼터스 시대가 2000년대 초반 도래하면서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RFID는

우리가 생활하는데 필요한 모든 분야에 혁신적 기술이 될 것이라고 기대되고 있

으며 이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는 지속적으로 관련 기술을 개발 표준화 사업을 장

려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RFID의 확산에 대

한 성공사례가 부족하고 2003년부터 정부가 RFID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등의 노력

을 기울였지만 확산은 지지부진한 형태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손동민 문성현

정봉주(2014)는 현실적이고 정량적인 국내 RFID의 확산 예측을 위해 세 가지 확산

모형을 적용하고 가장 설명력이 높은 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003~2012의 국

내 RFID 시장의 자료를 바탕으로 예측을 진행하였으며 여기서 도출된 확산 예측

값과 실제 데이터값을 비교하였는데 Bass 모형이 가장 예측오차가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5

Bass Logistic Gompertz

1750 6740 4136

lt표 5gt 각 확산 예측 모형 별 오차율

자료 손동민 외(2014)

lt그림 21gt 국내 RFID 확산 예측 모형과 실제 데이터의 비교

자료 손동민 외(2014)

그런데 그래프를 보면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2003년 -2007년까지 실제 시장

성장이 Bass 확산 모형보다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확산 초기 정부의 적극적

인 투자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되며 RFID 시장초기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시장 확산에 효과를 보였지만 2008년 이후로는 그 효과가 반감되었음을

나타낸다 하지만 다른 해석으로는 초반 정부의 시장투자율이 2007년을 기점으로

준 것은 정부투자보다는 자가 성장이 가능한 시장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라는 해석

이 가능하다 실제로 2005년 대비 2007년의 정부의 절대적 투자액수는 2배로 증가

하였지만 전체 시장대비 투자비율은 3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표는 정부

의 비중 감소를 나타낸다

2003 2004 2005 2006 2007

086 035 020 027 018

lt표 6gt 전체 시장 규모 대비 정부 투자 비율

2008 2009 2010 2011 2012

025 015 011 008 005

자료 손동민 외(2014)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6

이것은 곧 RFID 시장이 2007년 본격적 성장기에 접었다는 것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부의 비중 감소라는 시장의 특성 변화를 감안하여 2007년 이후의 예측

값을 다시 예측하였는데 그 예측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lt그림 22gt 각 모형별 확산 예측과 실제 데이터 비교

자료 손동민 외(2014)

저자들은 Bass 모형의 예측오차를 더욱 줄이기 위해 정부의 투자 변화라는 시장

의 특성 변화를 토대로 수정된 확산 예측 모형을 도출하고 결과적으로 국내 RFID

의 확산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Gompertz Logistic Bass 모형의 세 가지 확산 모형

을 사용한 결과 Bass 모형이 가장 우수한 설명력을 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2 소비자 수용 및 혁신 저항 연구

21 신기술에 대한 소비자 수용 연구

혁신기술이나 신기술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들은 주로 사회심리학적인 이론에 근거하여 신념이나 태도 행동의도 등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신기술 수용과 관련하여 소비자의 수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

해 제시한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Fishbein and Ajzen(1975)의 합리적 행동이론

(TRA) Ajzen(1985)의 계획된 행동이론(TBP) 등이 있으며 특히 Davis(1986)의 기술

수용이론(TAM)은 소비자의 수용의도를 설명하는데 있어 상당히 적합한 모델로

인정받아오고 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7

Fishbein and Ajzen(1975)이 제시한 합리적 행동이론(TRA Theory of Reasoned

Action)은 최초 사회심리학 분야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 신기술수용 분야에까지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진 모델로서 개인의 행동의도는 행동을 결정하며 행동의도

는 개인의 태도 및 주관적 규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이론이다 소비자의 수용

의도는 신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외부변수들이 주관적 규

범이나 태도를 통해 영향을 받게 된다 기본적으로 행동의도는 태도와 주관적 규

범에 의해 결정이 되며 행동의도는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태도를 결정하는 것은 개인적 평가와 행위적 신념이며 태도는 행위를

수행하는 결과이다 그리고 주관적 규범은 사회적 압력과 관련되어지며 개인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집단과 어울리려 하는 개인적 동기나 준거집단에서

느끼는 규범적 신념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이처럼 합리적 행동이론은 인간이 실제로 어떻게 행동하는지 인간의 행위를 설

명하고 이해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특정한 상황에서 이용행동이나 수용의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연구하는데 적합한 모델로 인식되어 Davis의 기술수

용모델에 적용되어졌다

Ajzen(1985)이 제시한 계획된 행동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r)은 합

리적 행동이론에 사용자의 지각된 행동통제라는 개념을 추가한 이론으로 여기서

행동통제라는 것은 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용이한 정도에 대해서 사람들이 어떻게

인지하는지와 관련된 것이다 개인은 행동을 수행할 때 주관적 규범이나 태도뿐

만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행동이나 능력이나 필요한 원천 등을 가진 뒤에야 자신

의 뜻대로 그 행동을 컨트롤할 수 있다고 인지하게 되며 그것이 형성되면 마침내

행동의도를 형성하게 된다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행동의도에 영향

을 주는 변수들로는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통제이다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태도는 행동에 대한 태도로 특정 행동에 대해서 개인이 호의적으로 느

끼거나 비호의적으로 느끼는 평가를 의미한다 그리고 태도는 행동에 따른 결과

로서 개인이 갖는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것을 말한다 주관적 규범은 행위를 하는

사람이 어떠한 행동을 행하는 것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할 것인지를 말하는 것으로 사회

적 압력에 대한 인식으로 바라볼 수 있으며 본인이 그러한 반응을 얼마나 잘 받아

들일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행위통제는 Bandura(1977)의 자기

효능감(self-efficacy)과 비슷한 의미로 개인적인 신념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것은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28

자신이 어떠한 행동을 할 때 그 행동을 얼마나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

한 인식을 말한다(Bandura 1982) 이처럼 계획된 행동이론은 합리적 행동이론의

확장한 것으로 합리적 행동을 설명하는 변수인 태도와 주관적 규범의 선행요인을

바탕으로 여기에 인지된 행위통제를 추가하여 만들어진 이론이다 계획된 행동이

론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행동의도를 측정하는 경우가 많지만 행동 자체에

대한 측정에는 소홀한 편이었다 이것은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검증한 결과

로 행동의도와 행동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Ajzen 1988 Canary

and Seibold 1984 Fishbein and Ajzen 1981) 이 이론의 강점은 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소 간결하고 단순한 구성 개념을 사용하였지만 이 구성 개념들이 행동

과 관련된 연구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적용되었으며 많은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다

하지만 단순이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추상적인 개념인 신념과 평가를 통해

나타내었고 이러한 변수 외에 다른 외부 요인들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을 단점

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지각된 행동통제라는 변수만을 합리적 행동이론에 추가하

여 설명함으로써 다소 설명력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Davis(1989)에 의해 제안된 기술수용이론(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은 Ajzen and Fishein(1980)의 합리적 행위이론(TRA Theory of Reasoned Action)

을 바탕으로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기 위해서 만

들어진 모델이다 사람들이 기술을 수용할 때 영향을 미치게 되는 요인들을 설명

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개인의 신념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태도는 행동의도

에 영향을 미치며 마지막으로 행동의도는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

였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이 모델을 설명하기 위해 기술수용과정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을 제시하고 이 두 가지 신념을 수용과정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Karahanna and Straub 1999) 지각된 유용성이라는 개념은 신기술이나 정

보시스템 등을 사용할 때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정도를 의

미하고 지각된 용이성은 이러한 신기술이나 정보시스템 등의 사용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정도로 이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정신적인 노력 등이 적게 든다는 것을 의

미한다(Davis 1989)

합리적 행동이론이 기술수용모델의 기반이 되는 이유는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

는 행동에 대한 결정을 합리적인 기대가치 체계에 의존한다는 점 때문이다(Shah

and Higgins 1997) 인간이 자신이 어떠한 행동을 했을 때 그 결과를 미리 생각하

고 결과를 예측하며 합리적인 판단을 하며 행동한다는 합리적 행동이론을 확장한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29

것이 계획행동이론이며 이러한 합리적 행동이론에 기술수용 상황을 적용시켜 수

정한 모델이 기술수용모델이다(송태민 외 2014) 기술수용모델은 모델의 복잡성

과 모듈성으로 인하여 신기술을 수용할 때 다양한 영향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통합적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

다 최근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을 구성하는 주요변수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

된 용이성 이 두 변수만으로 신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TAM을 구성하고 있는 기본적인 변수들이 다양한 정

보시스템의 환경에서는 완벽하게 적용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

를 극복하기 위해 TAM모델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고 확장시키고 있다 이에 따

라 계획행동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변수인 주관적 규범을 적용시켜 확장된 기술

수용모델인 TAM2 TAM3가 제시되기도 하였다(김정선 송태민 2014) 기술수용모

델의 주요 한계점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개인이 정보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

서 외부의 영향 요인들을 무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외부 요인으로는 조직이나

주변 환경 여가 이해관계자들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정보기술을 수용하는 과정

에서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Venkatesh and Bala 2008) 하지만

TAM을 적용한 많은 연구들을 살펴보면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단순히

개인의 동기적 요인 외에도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확장시키고 변형하여 빠르

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등장하는 기술 환경을 적절히 반영하여 그에 따라 통

합적인 모델을 도출할 수 있는 노력 또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Venkates and Davis(2000) 의해 제안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는 기본적인

TAM을 확장한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TAM2라고 명명하였다 이는 지각된 유용성

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선행요인들을 검증한 것이다 즉 지각된 용이성보다는 지

각된 유용성이 종속변수들에 대해 더 큰 영향력을 가짐에 따라 선행요인들을 확

장하여 사회적 영향 프로세스와 인지적 도구 프로세스를 추가한 모형이다(김성일

2011) TAM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주관적 규범을 사회적 영향 변수로서 외생변수

로 추가하여 확장시킨 것으로 주관적 규범은 수용의도를 높일 수 있는 역할을 한

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은 자발적이거나 비자발적인 상황에서 조직을 네 개로

구분하고 이후 사용시점에서 업무 시스템에 대한 수용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

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자세히 살펴보면 주관적 규범과

자발성은 외부 변수로 직무관련성과 사회적 영향 프로세스 결과 실연성 결과 품

질은 이미지로 설명되었으며 인지적 도구 프로세스는 지각된 용이성으로 설명하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0

여 기술수용모델을 확장시킨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의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외부 변수들은 지각된 유용성 및 수용의도에게까지

영향을 미치며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결과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TAM은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라는 변수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수용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된 모델이다 하지만 지각된 유용성

과 지각된 용이성의 영향은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Oh Lehto

and Park 2009) 하지만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태도나 행도의도에 영향을 미

치기 때문에 이러한 영향력을 반영하기 위한 TAM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

되고 있다

Venkatesh Morris Davis and Davis(2003)은 사용자의 기술수용을 통합 관점에

서 접근하여 궁극적으로 보다 높은 설명력을 갖춘 새로운 기술수용모델을 제안하

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통합기술수용이론 즉 UTAUT(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이다(박일순 2013) 기존 TRA(합리적 행동이론) TAM(기

술수용모형) TPB(계획된 행동이론) IDT(혁신확산이론) 등 기존의 8가지 이론에서

제시된 32개의 개념들을 조정하고 통합하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1개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3개와 이러한 과정을 조절해 줄 수 있는 통제변수로

4가지를 제시하여 UTAUT를 설계하였다 UTAUT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

수로 성과기대 노력기대 그리고 사회적 영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모델에서 제시

하고 있는 성과기대라는 변수는 TAM에서 제시하는 지각된 유용성과 일치하는 개

념으로 볼 수 있으며 시스템을 사용할 때 성과가 향상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

을 것이라고 믿는 정도를 의미한다 그리고 노력기대라는 변수는 시스템을 사용

하면서 느끼는 용이성의 정도로 해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영향은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주변인들이 이러한 새로운 시스템의 사용에 대해 믿음의 정

도로 해석할 수 있다

Venkatesh and Bala(2008)는 기술수용모델의 기초가 되는 개념인 개인적인 차이

점 시스템의 특성 사회적 영향력 및 촉진조건을 선행변수로 제시한 기술수용 모

델(TAM3)을 제안하였다 기술수용모델3(TAM3)은 과거의 기술수용모델에서 언급

하지 않았던 경험이라는 변수에 대한 조절 효과에 대해 강조하였다 이 모델에서

는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조직 구성원의 경험 수준에 따라서 의사결

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달라질 것이라는 내용을 추가하고 있다 그리고 새롭

게 추가된 변수들로 컴퓨터의 불안과 유희성 객관적인 사용 용이성 지각된 즐거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1

움이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이치는 영향을 경험이라는 변수가 조절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있다

Venkatesh and Bala(2008)은 TAM3의 주요 강점으로는 이 모델이 가지고 있는

포괄적인 면이라고 볼 수 있으며 정보기술을 수용하는 여러 가지 결정요인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학문적 기여를 하였다 기

술수용모델은 조직 차원에서 도입하여 사용하는 정보기술 시스템뿐만 아니라 일

반 소비자들이 혁신적인 신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소비재 시장에서 채택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적인 프레임으로도 넓게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기술수용모

델은 혁신적인 신기술이나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들이 의사결정을 할 때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하여 제시하고 그들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기술수용이론에서 기본적으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수용과정에서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인지된 유용성은 이후에 설명할 혁신확

산이론에서 인지된 혁신특성 구성 개념 중 상대적 이점과 깊은 관련성이 있는 요

소로 보며 인지된 용이성은 복잡성과 상당히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Davis 1989) 따라서 기술수용모델 이론에서는 사용자들이 혁신적 신기술이나 제

품 서비스 등이 개인의 업무 등에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성과를 이끌어내기에 유

용하다고 느낄수록 그 기술에 대한 채택 가능성이 높아지고 그 기술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고 손쉽게 사용 가능하다고 느낄수록 기술 수용의도나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술수용모델은 사람들이 신기술 신제품 또는 정보기술 시스템 등을 어떻

게 수용하고 있는지 그 수용의도와 행동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있는 이성

적 행위이론을 통해서 살펴본 것이다 신기술에 대한 사용자들의 태도와 수용의

도 실제 수용이나 행위를 예상할 수 있는 주요 변수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라는 선행요인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설은 과거의 다양한 연구

들(Adams Nelson and Todd 1992 Davis Bagozzi and Warshaw 1992 윤승욱

2009 이재신 이민영 2006)을 통해 증명되었다

22 혁신저항 연구

일반적으로 혁신(Innovation)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lsquonobusrsquo라는 단어에서 기원이

되었으며 lsquo새롭다rsquo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혁신의 정의와 분류에 대해서 최근까지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2

많은 연구에서 다뤄지고 있다 혁신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새롭다고 인지하는

재화나 서비스 또는 아이디어를 말하는 것으로 그 기간이 길고 짧은 것과는 관계

가 없으며 하이테크 마케팅에서 언급하고 있는 혁신적 신상품을 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Rogers(1971)는 혁신의 정의에 대해서 개인 또는 특정인들이 수용할 수 있는 범

위에서 새로운 것이라고 지각되는 아이디어 관행 또는 물건rsquo이라고 정의하였다

여기서 혁신이라 객관적이고 새로운 물건이나 아이디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인 감정을 강조하는 것으로 그 제품이나 아이디어 서비스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그것을 얼마나 새롭게 느끼는지에 대해 인식하는 정도를

말한다

Rick(1992)은 혁신을 정의를 마케팅 차원에서 바라보았다 기존에 없었던 전혀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 내거나 소비자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

고 있는 신기술이나 프로세스 그리고 신제품을 혁신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혁신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소비자가 그것을 신제품으로 인식하

는지의 여부를 강조하고 이것은 혁신을 정의하는 기초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Biemans(1992)의 연구에서 혁신은 기존의 시장 환경 안에서 새롭게 개발된 제

품 서비스나 아이디어가 초기 수용자로부터 시장에 없던 전혀 새로움으로 지각

된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Rogers(1995)가 주장한 혁신확산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은 첨단기술

수용과 확산에 접한 관계를 가지는 이론으로 상대적 이익 적합성 복잡성 관찰

가능성 실행가능성 등을 혁신 확산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안하였다

사용자들은 새로움이라는 혁신을 인지하고 이후 태도가 형성되면 이러한 혁신을

채택할지 채택하지 않을지의 여부가 결정되는 채택과정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채택 과정은 기본적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데 기본적으로 지식 설득 결정 실

행 마지막으로 확인을 거치는 과정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혁신확산이론의 기

본 과정은 특정 혁신이 사회에 성공적으로 투영되는 과정에 주로 초점을 맞추는

특성을 보인다

하지만 여러 연구자들(Sheth 1981 Rogers and Everett 2003)은 혁신확산에 대

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혁신에 대해 사람들이 아무런 편견 없이 긍정적으로 받아

들인다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혁신이 항상 긍정적이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수용 또는 채택된다는 것을 기본 가정으로 하고 있음을 비판한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3

그 동안 연구되어온 혁신연구들은 혁신의 수용과 확산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

으며 이들 연구에서는 모든 혁신이 유익하고 긍정적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혁신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변화를 요구하기 때문에 변화에 대한 저장을

유발하게 되므로 혁신의 확산이나 수용에 대해서 생각하기 이전에 혁신저항을 잘

극복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Sheth(1981)는 처음으로 혁신저항(Innovation Resistance)에 대한 개념을 사용하

고 정립하였다 소비자들의 저항 심리는 기존의 습관과 지각된 위험이라는 두 변

수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고 하였다 혁신저항을 일으키는 특성에 대해서는 구

체적 언급을 하지 않았지만 혁신저항의 유형에 따라 다른 확산 방법이 필요하다

는 것을 발견하였다

Zaltman and Wallendorf(1983)는 사람들이 변화에 대응하여 현재 상태를 유지하

려고 하는 모든 행동들을 혁신저항이라고 정의하였다 Ram(1987)은 혁신저항 개

념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켜 혁신저항 모델을 제시하였다 변화에 의해 위협받고

있는 정도로 정의하며 혁신저항을 태도변수로 보고 있다

Ram and Sheth(1989)는 Sheth(1981)의 혁신연구에서 제시한 변수인 지각된 위험

과 생활관습이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병수라고 제시하고 추가적으로 소비자

들의 개인적 특성이나 제품 자체의 특성 그 외에 환경적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lt표 7gt Sheth(1981)의 저항 강도에 따른 혁신저항 4가지 유형

유형 내용

습관 혁신저항 위험은 낮으나 평소 생활이나 습관에 대해 변화를 요구하는 혁신

위험 혁신저항

혁신이 기존의 관습이나 습관을ㄹ 대체시켜 주지는 못하지만 함께 어울리며 공존하여 새로

운 습관을 만들어냄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저항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것은 높은 위험에서 기인하는 것임

비 혁신적 저항 기존에 가지고 있던 습관을 변화시키지 않으려고 하는 혁신을 말함

습관 위험의

혁신저항

인구문제 교육 복지 등과 같은 과거의 습관과 높은 위섬 때문에 강한 정항에 직면하는 혁

신임

Ram and Sheth(1989)는 소비자들이 혁신을 채택할 때 저항하는 요인들을 크게

기능적 장벽과 심리적 장벽으로 구분하였다 기능적 장벽(functional barrier)은 다

시 세 가지 장벽으로 구분된다 첫째는 가치장벽(value barrier)으로서 혁신제품의

품질이나 성능 효과 그리고 가격 등이 소비자의 기대와 맞지 않을 때 나타나는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4

저항을 말한다 둘째는 사용장벽(usage barrier)으로 소비자들이 혁신제품을 사용

할 때 기존에 가지고 있는 생활 패턴이나 습관 등을 변화시켜야 할 때 나타나는

장벽을 말한다 하이테크 제품은 종종 기존의 사용방식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방

식의 제품사용과 나아가서는 생활 패턴의 변경까지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셋째

장벽은 위험장벽(risk barrier)이다 이것은 소비자가 혁신제품을 사용하게 될 때

그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위험을 느낄 것 같아 나타나는

수용을 거부하게 되는 저항을 말한다

한편 심리적 장벽(psychological barrier)은 관습장벽(traditional barrier)과 이미

지장벽(image barrier)으로 나누어진다 관습장벽이란 혁신제품을 사용할 때 주변

사람들을 인식하게 될 것 같거나 기존의 사회 관습과 규범과 다르다고 느낄 때 나

타나는 저항을 말한다 이것은 매우 미묘하게 나타나는 장벽이기 때문에 소비자

들을 면 하게 관찰하여 파악해야 한다 이미지장벽은 혁신제품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선입관이나 부정적인 편견과 같은 문제를 일컫는다 제품 성능과 관계없이

부정적인 편견이나 선입관 같은 이미지상의 문제를 의미한다

혁신 저항의 특성을 살펴보면 Ram and Sheth(1989)는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실

제로 혁신적인 신제품이나 서비스에서 소비자들이 혁신저항을 느꼈다는 것을 발

견하고 이러한 혁신저항의 특징들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혁신저항은 채택시기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데 혁신에 대한 성향을 기준

으로 혁신수용자(innovators) 선구자middot선견자(early adopters) 조기다수 수용자

(early majority) 후기다수 수용자(late majority) 지각수용자(laggards)로 구분하고

각각의 분류마다 그 성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혁신저항은 정도에 따라 다르

게 나타난다 즉 저항은 연속적으로 나타나고 지속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소비자

들은 혁신이 매우 위험하다고 느끼거나 혁신을 위해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충분한 이유를 찾지 못하여 혁신을 꺼리거나 혁신을 채택하는 결정을 미루

거나 혁신이 자신과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혁신에 대해 저항할 가능성이 높아

질 수 있다 셋째 혁신저항은 다양한 제품군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제품 자

체의 문제라기보다는 혁신의 문제로 소비자가 혁신제품을 수용하고자 할 때 변화

를 우려하거나 자신의 신념과 상충하는 정도에 따라 저항이 나타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연속적 혁신보다는 불연속적 혁신이 혁신저항의 강도가 보

다 클 것이라고 예측한다 왜냐하면 불연속적 혁신은 소비자가 혁신을 채택하게

됨으로써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행동을 하게 될 수밖에 없는 사용상황이나 관습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5

에 부딪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혁신의 정도가 매우 높아 혁신저항이

높게 나타나게 될 경우에는 동태적 연속혁신(dynamically continuous innovation)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동태적 혁신은 불연속적 혁신의 가운데에서 서로를 잇는 역할

을 하는 것으로 불연속적 혁신제품에 대해서 소비자들이 제품을 수용하는 시기가

늦어질 것을 예상하여 기존에 사용하는 제품과 혁신적인 새로운 제품의 일부 기

능만을 착용하거나 융합하여 만들어진 제품을 말한다 이들의 성공은 불연속적

혁신제품에 대한 저항의 크기와 그 기간의 길이에 상당히 의존한다 소비자들이

기존기술을 선호하는 집단과 혁신기술을 선호하는 집단으로 뚜렷하게 양분되는지

아니면 중간 단계의 수요가 상당한지에 대해 확인해 보아야 한다(김상훈 2008)

23 신뢰 연구

과학기술의 발전은 과학이나 기술분야를 넘어서 정치적 사회적으로도 많은 영

향을 미치고 있으며 과학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형태로서 국가의 주요

정책으로까지 활용함으로써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첨단 과학기술의 개발과

선점은 국가경쟁력에까지 그 파급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

지만 이러한 기술의 발달과 개발이 항상 긍정적인 결과만을 가져다준다고 판단하

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Seong and Hwang 2012)

첨단과학기술의 유익한 면 외에도 그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우리가 알지 못하는

위험성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의견으로 인하여 많은 논쟁을 가져오고 있으며 그

중심에 최근 주목받고 있는 나노기술영역을 들 수 있다 나노기술은 혁신적인 신

기술로 첨단과학기술 분야에서 많은 경제 사회발전 등 그 잠재력에 대해 많은 사

람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영역으로 급부상하고 있지만 나노기술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잠재적인 위험성에 대한 우려도 동시에 인식되고 있다(Nel

et al2006 Wittmaack 2007 Wiesner et al 2009)

나노기술(Nano Technology)은 물질을 구성하는 직경 1나노미터(nm) 이하의 원

자나 분자를 나노영역에서 조작해 실생활에 유용한 것으로 만드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나노기술개발촉진법 제2조 제1항에 의하면 ldquo물질을 나노미터 크기의 범

주에서 조작 분석하고 이를 제어함으로써 새롭거나 개선된 물리적 화학적 생물

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소재 소자 또는 시스템을 만들어내는 과학기술rdquo로 정의하

고 있다(성지은 황만성 2012) 이러한 나노기술은 전자통신 재료 보건 의료 생

명공학 환경 에너지 국방 항공우주 등 응용가능한 분야가 매우 넓기 때문에 선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6

진 각국에서는 lsquo기술혁신rsquo이나 lsquo신성장동력rsquo lsquo신산업의 창출rsquo 등의 용어를 통해 21

세기 국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로 바라본다(김찬원 외 2015) 하지만 나

노입자의 독성 가능성 나노물질의 인체로의 침투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각종 위

험성(DNA 파괴 등) 나노입자의 환경오염 가능성(위키백과 2015) 그리고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개인의 사생활 침해의 논란이 되는 감시나 통제 등으로의

활용 측면에서 그 위험성 논쟁이 높아지고 있는 위험영역이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평소 자신이 잘 모르는 문제나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정보

에 두려움을 갖는 lsquo가정된 위험rsquo을 만들어 낸다고 한다 이는 잘 알려진 위험에 비

해서 더 높은 위험을 느끼게 하며 관련된 지식이 없는 경우 그 위험은 더욱 커지

게 된다(Song and Kim 2014)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나노기술과 같이 불확실하

고 위험의 통제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 친숙하지 않음 미래에 어떤 위험이 있을

지 모르는 상황 지식 부족 등은 나노기술에 대한 불안감을 더욱 증폭시키게 된

다 이러한 일반인들이 느끼는 나노기술의 위험에 대한 인식은 나노기술을 개발

하는 기술자 위험에 대한 관리주체로서의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

게 된다 기술 자체 기술을 만들어 내는 과학자 이를 관리middot감독하고 위험에 대

처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정부middot국책기관에 대한 신뢰는 나노기술에 대한 위험인

식이나 나노기술을 수용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김원재 송해룡 김찬

원 2016)

실제로 여러 연구들(Cvetkovich 1999 Siegrist and Cvetkovich 2000)을 보더라

도 신뢰가 위험인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며 특정 위험에 대한 두려움 혹은 위

험수용의 반대는 바로 이해당사자들 간에 신뢰가 깨진 것에서 비롯된다(김영욱

이현승 2014) 사람들이 위험을 인식하는데 신뢰가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

구결과들이 계속적으로 보고되고 있고(Flynn et al 1992 Slovic 1993) 신뢰는 불

확실성이 높은 신기술이나 혁신기술과의 관계에서 사람들이 우려하는 요소들을

줄여주는 기능을 한다는 연구결과들을 살펴보았을 때(Paton 2008 Siegrist and

Cvetkovich 2000 Wachinger et al 2013) 신뢰라는 요인은 사람들이 느끼는 불

확실성을 줄여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위험수용

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으로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신뢰의 문제를 핵심 요인으로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 대상을 운영하고 관리 감독하는 집단들에 대한 공중

의 신뢰 수준에 따라 위험수용이 결정된다고 강조하고 있다(송해룡 김원제

2015) 이는 나노기술처럼 신뢰의 여부가 위험이나 불확실성으로부터 경제적으로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7

높은 성장성을 가져오고 사회적 파급력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사회에 존재하고 있는 위험은 단순이 특정 그룹이나 단체

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작용될 수 있다 이에 정부기

관이나 기업 미디어 과학자 시민단체 일반시민 등 사회를 조직하고 구성하는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위험수준 통제 관리를 위한 행동 또는 정책과 관련된 정보

를 주고받으며(Covello Slovic and Von Winterfeldt 1986 Kellens Terpstra and

De Maeyer 2013 Trettin and Musham 2000) 위험을 줄이고 총체적인 위험에 대

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김찬원 외 2015) 이러한 문제는 단순한 수준

차원이 아닌 이해당사자들 모두의 신뢰를 통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신뢰라는 개념은 단일 차원에서의 좁은 시각으로 볼 수 있는 개념이 아니며 매

우 광범위하게 그 뜻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신뢰의 추성적이고 광범위적인 개

념의 특성으로 특별히 위험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신뢰라는 개념은 다차원 적인

요소로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Earle 2010 Earle Siegrist and

Gutscher 2010 Rousseau Sitkin Burt and Cammerer 1998)

Earle(2010)는 신뢰의 개념을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연구를 종합하여 다른 사람

의 행위나 의도에 대한 긍정적 기대에 기초하여 취약성을 받아들이려는 심리적

상태로 정의하고 신뢰하는 사람과 신뢰받는 사람 간의 관계에 기초한 관계적 신

뢰와 미래 행위에 대한 제약이나 신뢰를 받는 사람의 지난 행위 기초한 계산적 신

뢰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Kaspweson Golding and Tuler(1992)는 신뢰에 대한 특징을 위험을 감수하는 믿

음과 타인과 미래에 대한 막연한 기대 그리고 상황과 타인에 대한 주관적 지각

등을 제시하고 있다 Luhmann(1980) 신뢰를 사회제도의 성과로 보고 있는데 신뢰

를 미시적 신뢰와 거시적 신뢰로 분류하고 있다 미시적 신뢰는 다른 사람들과 상

대적으로 차별화 되지 않은 사회 안에서 개인 간의 신뢰를 나타내는 것이고 거시

적 신뢰는 관료제도와 같이 현대의 복잡화된 사회에서 시스템 신뢰의 의미로 나

타냈으며 신뢰가 개인 간의 신뢰에서 시스템 신뢰로 옮겨져 가고 있다고 하였다

특별히 Luhmann(1980)과 Rousseau et al(1998)의 연구를 살펴보면 신뢰의 유형

으로 사회제도 안에서의 신뢰를 강조하며 신뢰의 대상으로서 기관에 대한 신뢰

와 사람에 대한 신뢰로 구분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왕재선 2013) 그

외에도 신뢰를 파악하고자 할 때 과학기술 자체에 대한 신뢰의 측면을 제시하는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38

연구들도 있다(송해룡 이원제 2015) Midden and Huijts(2009)와 Siegrist et

al(2007)은 과학기술을 관리하는 기관에 대한 신뢰가 과학기술 자체에 대한 긍정

적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주어 위험인식과 수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현주 이영애(2011)은 감정의 차원에서 신뢰를 바라보고 과학기술의 좋고 나

쁨을 평가하여 신뢰가 낮을수록 사람들은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게 되며 이는 결

국 과학기술에 대한 위험을 높게 인식한다고 하였다 박희제(2013)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익은 추상적인 것이고 위험은 잠재적인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직접

적인 경험을 통해 인지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하였다 따라서 과학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나 수용은 신뢰수준에 매우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나노기술이 위험인식 기술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신뢰를 주

요 변수로 고려하였으며 나노기술의 위험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신뢰라는

개념을 보다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신뢰라는 변수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단순한 차원의 신뢰의 개념을 넘어서서

보다 다양한 차원(Earle 2010 Earle et al 2010)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

라고 보고 신뢰를 기관 사람(Butler 1991 왕재선 2013) 기술(박희제 2013 이현

주 이영애 2011 송해룡 김원제 2015)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기관은 정부국책기관과 기업으로 사람은 개발자와 나노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직원으로 구분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3 산업전문가 활용 조사 방법론 연구

산업 전문가 조사는 해당 산업에 있어서 상당한 지식과 식견을 지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내부적으로는 해당 산업의 제품을

생산하는 경영자 관리자 판매직원 등이 해당하며 기업 외부적으로는 기술 및 정

책연구자와 해당 산업에 대해 객관적 분석을 주 업무로 진행하는 시장분석 전문

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전문가 조사의 경우 확률적 표본추출을 사용하는 것이 어

렵고 적절히 대표성 있는 표본을 대상으로 비확률적 표본추출로 표본을 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 표본을 기업 내부와 외부 혹은 해당 산업을 분류해 분석을 할 계획이 있

다면 쿼터별로 적절한 대표성을 위해 할당 추출법(quota sampling)을 사용하기도

하며 이 경우 도출해내고자 하는 결과와 관련해 분야별 다양한 의견을 갖고 있는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39

전문가들의 종합적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산업 전문가의 의견이 주로 조사

되는 연구로는 앞서 Diffusion Model 리뷰에서도 언급되었던 델파이 기법이 있으

며 신기술 산업이나 제품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이해도가 많은 차이가 있거

나 그 기술의 산업 제품에 대한 혜택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식이 상반될 때에 일

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조사하는 연구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31 산업 전문가 델파이 기법 연구

이중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고자 개발된 기법으

로 다양한 분야에서 집단적 합의의 필요성이 높을 때 반복적인 의견수립을 통해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다 개인의 독립성과 객관성을 최대한 끌어내는 것

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물리적 공간이 아닌 설문을 통해 참여하며 설문에 참여하

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공유하지 않는 익명성이 델파이 기법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독립성은 산업 전문가들은 해당 산업에 대해 비전문가보다 높은 식

견과 정확한 판단력을 가지고 있다는 추론 하에 가능하며 브레인스토밍과 같이

물리적 공간에서 의견을 교환하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강력한 주장에서 발

생하는 논쟁을 피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이 의견 제안을 포기하거나 전문가 중 더

욱 명망있는 전문가의 의견을 따라 자신의 의견을 포기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

함이라 할 수 있다

델파이 기법의 경우 일반적으로 세 가지 과정을 거치는데 첫째 해당 산업의 전

문가를 선정해 조사에 참여해 달라고 요청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사 참여에는

특정 산업에 대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전문적 지식을 긍정부정에 상관없이 표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전문가들의 의견은 특정인의 가중치 없이 동일하게 수렴된

다 또한 이 과정에서는 전문가들은 자신의 의견이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는 익명

성을 보장받음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각 분야별 선정된 전문

가에게는 한번 이상의 반복적인 설문지가 전달되며 이러한 설문에 대한 결과가

이들에게 다시 전달되는 피드백 과정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자

신의 입장을 더욱 명확하게 세울 수 있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

해 다른 참여자들의 의견이 설명되며 자신과 다른 생각을 가진 의견에 대해 계속

적으로 반박과 재조정이 가능해진다 셋째 참가자들의 의견과 관련된 논쟁들이

이들에게 다시 피드백되기 때문에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전문가들의 의견수렴

이 가능해지고 의견수렴이 불가능 할지라도 이성적인 이견들을 종합해 결과적으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0

로 전문가 스스로 자신의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하

게 된다 일반 소비자조사와는 달리 델파이 조사의 경우 대부분 표본의 숫자가 작

은 편이기 때문에 전문가의 포괄적인 의견보다는 다양한 견해와 이견을 통해 새

로운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의견일치를 통한 결과가 아니더라도 새로

운 시각과 견해를 투영할 수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lt그림 23gt 델파이기법의 실행 절차

자료 김상훈(2013)

이 기법의 핵심은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인데 최근에는 인터넷의 등장으로

초기 델파이 측정 방식인 인터뷰나 대면조사에서 온라인 설문이 가능해졌기 때문

에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이 강화되어 최근 많은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

다 과거 페이퍼를 통한 초기 델파이의 경우 긴 소요시간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는데 두 단계 이상을 거치는 델파이 기법의 특성상 한 프로젝트당 4개월 가

까이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에 대한 비용의 문제도 걸림돌이었다 하지만 온라인

설문이 가능해지면서 많은 시간을 단축하여 현재는 비용 면에서도 많은 개선이

가능해졌다

초기 델파이의 연구에서는 각기 전문가들의 통합적 의견의 일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는데 왜냐하면 개인보다는 집단의 예상이 더욱 정확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

다(Keeney et al 2011) 이는 한명보다는 두 명의 판단이 낫다라는 가정에 근거하

지만 현재는 의견의 일치보다는 다양한 결과가 나온데 해도 그에 따른 다양한 시

사점도 중요시 되고 있다 물론 의견의 분산을 여러번의 조사를 통해 자신의 판단

을 보완하고 수정하면서 좁혀나가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결국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하나의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1

델파이 기법의 경우 정확히 알 수 없는 애매한 질문을 포함시키지 말아야하며

이를 위해 질문의 선정에 공을 들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며 또한 대표성있는 각

분야의 전문가를 선정하는 것도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문가 패널은

전문성 대표성 성실성 있는 참여 각 분야별 숫자 등이 고려되며 연구자가 직접

표본 전문가를 선정하거나 관련 분야에서 추천위원을 선정하여 그 추천위원이 다

시 패널을 선정하기도 한다 보통 델파이 기법의 표본은 7명~ 350명 정도가 일반

적이며 10~ 20명의 매우 작은 패널로도 의미있는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보

통 척도의 경우 5점이나 7점 리커트 척도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항목별 순위나 중

요도를 묻기도 한다 델파이 기법 특성상 2번 이상 반복 설문을 하기도 하는데 3

번 이상 설문이 진행될 경우 회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신중한 검토

가 필요하다

델파이 기법의 경우 처음에는 미지의 미래 값과 성취가능성에 대한 수량적 예측

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대립되는 정책 문제 해결을 위해 서로의 의견을 수

렴하기도 하고 의사결정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전문가나 연구원이 직접 참여하

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익명성을 이유로 진실된 응답이 가능하

기 때문에 외부적 영향을 최대한 줄여주는 장점이 있으며 어떤 문제에 있어서 전

문가들의 집중적 검토가 가능하기 때문에 창의적이고 직관적 생각을 도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점으로는 전문가 선정에서 전문가들의 전문성의 문제 분야

별 전문가를 나눌 때 분류 기준의 모호성 대표성 익명성으로 인한 불성실한 응

답 문제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연구로는 구훈영 민대기(2013)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델

파이 기법을 활용해 신재생 에너지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는데 이는 최근 일어난

원전사고 환경오염 문제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신재생 에너지에 대

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신재생 에너지는 태양열 태양관 풍

력 수력 천연가스 바이오에너지 연료전지 등을 포함하며 최근 문제가 되고 있

는 원전 사고의 위험성의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위기의 여

파로 신재생 에너지 산업의 성장과 발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데

여기에 신재생 에너지의 불확실성이 더해져 해당 산업에 대한 개발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구훈영 민대기(2013)는 신재생 에너지의 수요예측에 전문가 델

파이를 활용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2

질문항목 응답 항목 응답(명)

내외 환경 정책 등이 현재 상태가 유지된다는 전제하에 국내 태양광

설치용량 규모는 단기적으로 어느 정도로 예상되십니까

900MW 미만 1

900MW~1100MW 3

1100MW~1300MW 0

1300MW~1500MW 6

1500MW 이상 2

내외 환경 정책 등이 현재 상태가 유지된다는 전제하에 국내 태양광

설치용량 규모는 장기적으로 어느 정도로 예상되십니까

21GW 미만 0

21GW~35GW 5

35GW~49GW 1

49GW~63GW 5

63GW 이상 1

2010년 현재 태양광산업이 신재생에너지 전체 투자액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향후 전체 신재생에너지에서의 비중은 어떻게 변화할

것으로 전망하십니까

재생에너지 중

태양광산업의 비중()

평균 73

최대 80

최소 60

lt표 8gt 전문가 델파이 분석의 설문항목

자료 구훈형 민대기(2013)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최근 상업화되었기 때문에 데이터 부족으로

수요예측이 어려운 점이 있으며 정부의 정책 및 국제적 환경 변수가 불확실성 요

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불충분한 데이터의 보완과 불확실성과 관련된 판단

을 위해 전문가 델파이 방법을 사용하여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다 저자들은 50명

의 전문가들에게 태양광산업의 수요에 있어서 단기적 미래(2015년) 장기적 미래

(2025)년을 예측하게 하였다(조사시점은 2013년)

조사결과 2015년의 태양광 발전의 누적설치용량은 2011년과 비교하면 단기적

미래인 2015년까지는 10~15의 연평균 성장률을 장기적 미래인 2025년 까지는

응답자의 42가 35~37의 연평균 성장을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는 신재생 에너지와 같이 수요의 예측을 위한 데이터가 부족할 경우

유용한 수요예측의 도구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델파이 전문가 수요예측 연구로는 생체인식 시스템 분야에 대한 미래의

핵심기술을 예측한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생체인식

분야에서 여러 분야 중 각각의 기술들의 난이도 기술수준 중요도 등을 전문가

30명을 통해 조사하였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3

lt그림 24gt 델파이 조사 과정

자료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이들은 단기적 조사가 아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반복적 설문 조사를 통해 어느

정도 의견 수렴한 뒤 결론을 도출하였다 생체인식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기술성숙

도가 낮은 기술 분야이기 때문에 정량적 분석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저

자들은 정성적 분석인 델파이 분석 방법이 더욱 높은 신뢰도를 가질 것으로 예상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왜냐하면 델파이 분석에 동원되는 전문가들은 표준화된

많은 데이터가 없을 경우 객관적으로 문제에 접근해 서로간의 의견을 골고루 수

렴해 일부에 휩쓸리지 않는 합리적 결론을 도출해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연구에서는 산업체 학계 연구소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성 있는 30인의 전문가

들에게 중기 예측(2017년)과 장기예측(2022)을 진행하도록 요청하였다 또한 이러

한 설문 결과를 다시 피험자들에게 제시 2차 조사에는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보

고 이를 수렴하여 다시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4

점수 중요도난이도 기준

5 매우높음

4 높음

3 보통

2 낮음

1 매우낮음

lt표 9gt 중요도 및 난이도

확신도 확신도 기준 환산 점수

5 전문분야로 매우 자신있게 응답 100

4 전문분야이며 자신있게 응답 70

3 유사분야 전문지식을 갖고 응답 30

2 전문분야가 아니어서 확신이 다소 부족 10

1 전문지식이 없어 전혀 확신할 수 없음 5

lt표 10gt 전문가 확신도 기준

자료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총 10개의 생체인식 시스템 기술을 선정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해당 기술들에

대한 자신이 생각하는 중요도 난이도 확신도 선진국과의 기술차이 기술실현시

기 등의 항목들을 제시하였다

lt그림 25gt 생체인식 시스템 기술수준 중요도 난이도 종합분석

자료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5

조사결과 기술수준과 중요도 난이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lt그림 25gt와 같다

종합하면 기술수준도 높고 중요도도 높은 기술들(예를 들어 반도체마이크로센서

제작기술)같은 경우 계속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으며 중요도는 높지만 기술수준

이 낮은 기술(예를 들어 환경센서 기술)의 경우 다른 기술들보다 연구 개발의 우

선순위가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구훈영 민대기(2013)와 홍현수 외(2010)의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통해 조사분석

을 하였지만 정성적 방법만을 가지고 조사를 하였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객관적

인 정량적 근거 부족이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델파이 방법은 전문가

패널의 구성 이러한 전문가들을 상대로 하는 반복적 설문조사 분석 의견 수렴을

통해 결론을 도출해 내기 때문에 정성적 방법론에서는 많이 사용되는 분석방법이

다 표준화가 가능할 정도의 데이터가 없을 경우 전문가의 직관을 통해 미래 수요

를 예측하기 때문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익명성을 통해 보다 자유롭고 솔직

한 의견 도출이 가능하며 여러 명의 전문가들이 합의점을 도출하는 과정을 고치

기 때문에 일부의 의견에 휩쓸리는 일의 발생 가능성이 적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

지고 있다

32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 차이 조사 연구

또 다른 산업 전문가 의견을 활용하는 연구는 전문가와 일반인이 해당 기술 산

업이나 제품에 대한 인식에 많은 차이가 있을 때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어떠한 산업은 전문가들이 일반 소비자나 잠재소비자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새로운 기술 산업이나 제

품의 경우 그러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첨단 기술산업의 경우 일반 소비

자들은 해당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비교적 최근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신진산업의 경우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또한 불확실성과 위험

성을 내포하고 있는 신기술 산업의 경우 소비자들과 전문가들은 위험인식 혜택

수용의도에 걸쳐서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제대

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의견이 아닌 전문가의 의견에만 의

존할 결과를 도출하게 될 경우 본 보고서와 같이 미래의 수요를 예상하게 될 경

우 실제 수용자인 일반소비자들의 위험인식에 따른 낮은 태도를 반영하지 못해

신뢰하기 어려운 결과값이 도출 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일반 소비자의 의견만을 반

영하고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일반 소비자가 판단하기 어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6

운 첨단기술 산업의 경우 이들의 응답에 대한 신뢰도가 전문가와 비교해 매우 낮

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산업 전문가와 일반 소비자의 인식차이를 비교하고 의견

을 수렴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체세포 복제기술 나노기술 원자력기술가 같이 인체 유해성에 대한 우려가 높

은 산업의 경우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차이 조사 연구들이 비교적 많이 진행되

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연구로는 나노물질 위해성에 대한 인식차이를 조사한 이

정진 외(2008)의 연구가 있다 나노기술의 경우 기술 자체의 문제보다는 나노물질

이 가지고 있는 위해성 측면에서 일반인들이 매우 높은 위험성을 지각하는 분야

이다 이는 나노기술의 특성상 나노물질이 눈으로 보이지 않는 매우 작은 단위이

기 때문에 느끼는 심리적 위험성과 실질적 위험성을 포함한다 새로운 신기술의

경우 특히 일반인과 전문가 사이의 인식차이가 클 수밖에 없으며 이는 기술수용

단계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해당 기술 수용여부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이정진 외(2008)은 나노기술의 지속적이고 포괄적 성장을 위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예를 들어 신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경우 전문

가들은 해당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 안전하다고 합의가 된 상태더라도 소비자들이

만약 위험성을 느끼고 불안하다고 느낀다면 기술발전에 어려움이 생길 것이다

반대로 일반인들은 별다른 의심 없이 위험성에 대한 지각을 갖지 않고 해당 기술

적용 제품을 구매 사용하고 있는데 전문가들이 위험성을 느끼고 있다면 실질적

잠재적 기술의 위험성은 더욱 심각하다고 말할 수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이유로

전문가와 일반인 사이 나노물질의 위험성을 조사하여 비교하기 위해 전문가 165

명 일반인 599명 총 7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lt그림 26gt처럼 일반인과 전문가 사이의 나노기술 인식에 대해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나노기술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한 일반 소비자는

162 몇 번 들어본 적이 있다는 응답은 548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의 조사결과

(Macoubrie 2004)나 일본의 조사결과(Fujita 2006)보다 나노에 대한 인지도는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7

lt그림 26gt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도 차이

자료 이정진 외(2008)

이는 미국과 일본에 비교해서 국내의 경우 lsquo나노rsquo라는 단어를 브랜드화 한 경우

가 많으며 제품의 이름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은나노세탁기 은나노코

팅제) 또한 실제 나노 관련 소비재가 마트에 비교적 많기 때문에 lsquo나노rsquo라는 명칭

이 자주는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친숙한 것으로 보여진다 나노기술의 접촉 방법을

살펴보면 전문가의 경우 학술지 인터넷 신문 책 등 다양한 경로인데 반해 일반인

의 경우 TV 신문 등 매스미디어 혹은 인터넷을 통해 나노에 관해 정보를 얻는 것

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보면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 소비자의 인지도를 올리기 위

해서는 매스 미디어나 인터넷에서의 마케팅이 주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lt그림 27gt를 보면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일반인들은 세탁기 에어컨과

같은 가전제품 치약 칫솔 비누와 같은 생활용품 핸드폰 노트북과 같은 전자기

기 얼굴팩 기초화장품 자외선차단제와 같은 화장품 순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전문가들은 일반인가 비교해 비교적 고르게 나노기술 적용 제품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제품인지도에 있어서는 비교적

고른 편이었으며 이는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이 비교적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48

lt그림 27gt 일반인과 전문가의 나노제품에 대한 지각 차이

자료 이정진 외(2008)

lt그림 28gt 일반인전문가 나노기술의 위해성 인식여부와 불안감여부 차이

자료 이정진 외(2008)

또한 나노기술의 위해성 인식에 대해서는 위 그림처럼 전문가의 742는 들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반대로 일반인은 741가 모른다고 위해성에 대해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일반인의 나노기술 정보가 부족하며 한편으로는 나

노기술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신기술에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49

대해 일반인들은 전문가보다 높은 불안감을 보이는 것이 당연한데 동일한 설문

을 진행한 일본보다도 일반 소비자의 불안감이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일

반인 229) 이러한 흥미로운 결과는 전문가의 경우 742가 나노물질의 위해성

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다고 답한 반면 일반인의 경우 741가 들어본 적이 없

다고 답한 것과 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란 추측이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나노기

술이 더 안전하다고 높은 신뢰를 보인다기 보다는 나노물질에 대해 지식수준이

낮기 때문에 위해성 자체의 인식률이 떨어진다고 분석해 볼 수 있다 저자들은 이

러한 나노물질의 위해성에 대한 낮은 인지는 오히려 나노기술의 안정적 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런 상황에서 나노물질 위해성 연구를 추진

하거나 법률적 관리를 정부에서 나설 때 일반인들의 공감을 얻는 것이 어려워 보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의 인식차이를 줄이고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정진 외(2008)는 이는 나노산업의 성장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였다

또 다른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조사한 연구로는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

한 나노기술의 부정적 영향의 인식차이를 분석한 배성훈 외(2015)의 연구가 있다

나노기술은 성과 측면에서 국가적으로 매우 촉망받는 기반기술이며 많은 투자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술분야지만 나노물질에 대한 인체와 환경 유해성에 대

해서는 아직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명확한 규정 또한 지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기술중심의 사고를 통해 기술 자체에서 의미를 찾는 것 보다는 그

기술을 사용하는 일반인들에게 그 혜택과 가치가 전달되어야하며 이러한 수요중

심의 전략개발에 기술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배성훈 외(2015)의 연구에

서는 나노기술의 산업확장에 중대한 걸림돌로 지적되어온 부정적인 인식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인 집단과 전문가 집단을 분리해 차이를 비

교분석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정진 외(2008)의 리뷰에서처럼 만약 전문가

가 나노기술의 위험성에 대해 불안해하는데 수요를 하는 일반 소비자들이 안전하

다고 느낀다면 높은 수요로 인해 잠재적 부정적 결과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며

반대로 전문가들은 안전하다고 인지하고 있는 기술에 대해 소비자들이 막연한 불

안감을 느낀다면 해당 기술의 상용화는 매우 어려울 것이다 저자들은 나노기술

에 대한 인식과 나노제품의 속성의 수준별 조합에 따른 선호도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일반인 541명 전문가 62명 총 6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설문

지의 경우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수준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0

와 이유 나노기술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속성별 구매선호도 분석을 위한 컨조인

트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 제품군을 분야별로 식약품 전자제품 미용품등으로

나눠 조사를 실시하였다 컨조인트 분석을 위해 각각 상품 속성 수준에 소비자의

효용을 적용하였으며 긍정적 속성은 나노기술적용표시 정부인증 부정적 속성은

위해치명도 위해발생 가능성으로 구성하였다

속성별 2가지 속성을 설정했기 때문에 이를 조합하면 총 16가지 제품 조합이 가

능하지만 이를 순위매기는 것은 피험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직교설계

(orthogonal design)를 통해 필요한 주효과만을 측정할 수 있는 최소한의 8개의 가

상의 프로파일 세트를 도출하여 이 가상제품의 구매우선순위를 응답받아 컨조인

트 분석 실시하였다

Product Labeling CertificationRisk

ChanceRisk

Fatality

1 Yes No High High

2 No Yes High Low

3 Yes No High Low

4 Yes Yes Low Low

5 No Yes High High

6 No No Low Low

7 Yes Yes Low High

8 No No Low High

lt표 11gt 가상의 나노기술 적용제품 세트

자료 배성훈 외(2015)

Attribute Level

Labeling No Yes

Certification No Yes

Risk Chance Low High

Risk Fatality Low High

lt표 12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속성수준

자료 배성훈 외(2015)

분석결과 일반인과 전문가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지수준을 조사 한 결과 일반인

의 경우 나노기술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는 사람이 76 용어만 알고 있다가

521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있다가 298 개념과 활용성을 이해하고 있다

가 83로 나노기술이 생소하진 않지만 개념까지 이해하지는 못한 수준인 것을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1

알 수 있었다 반면 전문가의 경우 개념과 활용성을 이해하고 있다가 774 개념

잘 이해하고 있으며 나노기술을 선호한다 21 개념 잘 이해하고 있지만 나노기

술을 선호하진 않는다가 16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전문가들은 일반인보다 높은

나노기술 이해도를 보였다 이를 보면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선호도는 나노기술

의 대한 인지도가 일정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추론해 볼 수 있다

한편 나노기술 상용화 제품 세 가지 제품군을 대상으로 5점리커드 척도로 구매

의도 분석결과 lsquo나노식약품rsquo의 경우 일반인 M=333 전문가 M=338 나노전자제

품lsquo의 경우 일반인 M= 382 전문가는 M= 443 마지막으로 rsquo나노 이미용품lsquo의 경

우 일반인 M=346 전문가 M=362로 나타났다 모든 제품군에서 전문가가 일반인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으며 특히 나노전자제품의 경우 t-검정 결

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GroupWillingness to pay

p-valueMean SD

Food amp MedicinePublic 333 099

034Experts 338 109

ElectronicsPublic 381 084

Experts 443 047

CosmeticsPublic 346 099

011Experts 362 089

lt표 13gt 세 가지 나노기술 적용 제품군 별 구매의도 차이

p-value lt 001

자료 배성훈 외(2015)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구매의도에 있어서 낮은 점수(12)와 높은 점수(45)을 준

피험자에게 각각 구매하지 않은 이유와 구매한다고 응답한 이유를 9개의 보기를

제시하고 응답하게 한 결과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구매이유로 상품성능 향상 상

품품질 향상 상품안전성 향상 순으로 구매이유를 설명하였다 반면 구매하지 않

은 이유(M=1~2)를 물은 결과 일반인의 경우 상품안전성 저하 위해성 향상 성능

감소 순으로 이유를 들었고 전문가의 경우 상품 위해성향상 상품안전성저하 상

품품질불안정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를 보면 일반인 전문가 모두 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높은 성능 향상을 기대하였지만 전문가의 경우 일반인과는 달리 긍정적

영향만이 아닌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도 많은 이해를 바탕으로 고려하고 있기 때

문에 이 같은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예상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2

또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컨조인트 분석 결과 식약품과 전자제품 미용품의 제

품군에서 중요도의 유사패턴이 발견되었는데 위해치명도가 가장 중요한 속성이

었으며 다음은 위해발생 가능성 정부인증 나노기술의 적용표시가 그 뒤를 이었

다 전문가들의 경우 일반인과 패턴 면에서 유사하지만 위해치명도의 속성 중요

도가 더 크게 나타났고 나노기술적용표시 중요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전문가들의 경우 일반인 대비 나노기술의 인체유해성을 더욱 많이 파악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Attribute Level

Food amp Medicine Electronics Cosmetics

Part-worth

ImportancePart-worth

ImportancePart-worth

Importance

LabelingNo -0266

1420-283

1471-291

1389Yes 0266 283 291

CertificationNo -0425

1664-436

1606-395

1746Yes 0425 436 395

Risk ChanceLow 0632

3193662

3107640

3184High -0632 -662 -640

Risk FatalityLow 1105

37231080

37161083

3681High -1105 -1080 -1083

Personrsquos R

Correlation

Coefficient

Coefficient 0664 0732 0728

P-value 0036 0019 0020

lt표 14gt 일반인 그룹의 컨조인트 분석결과

p-value lt 001 p-value lt 005

자료 배성훈 외(2015)

Risk CaseLabelin

gCertification

Food amp Medicine Electronics Cosmetics

Public Experts Public Experts Public Experts

High Chance

Low Fatality

Yes Yes 1164 1621 1137 1391 1129 148

No Yes 0632 1129 0571 0963 0547 1052

Yes No 0314 0509 0265 0287 0339 0384

No No -0218 0017 -0301 -0141 -0243 -0044

Low Chance

High Fatality

Yes Yes 0218 -0017 0301 0141 0243 0044

No Yes -0314 -0509 0265 -0287 -0339 -0384

Yes No -0632 -1129 -0571 -0963 -0547 -1052

No No -1164 -1621 -1137 -1391 -1129 -1480

lt표 15gt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세 가지 제품군의 효용분석결과

자료 배성훈 외(2015)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3

추가적으로 속성 수준별 조합을 살펴본 결과 위해발생 가능성이 낮더라도 치명

도가 높을 경우 정부인증 마크와 나노기술표시가 표시된 상황에서만 효용 값이

양의 값(+)를 나타냈다 반면 전문가들의 경우 식약품 제품에 한해서는 이러한 표

시 상황에서도 부정적 태도를 보였는데 이는 전문가들은 식약품의 경우 인체에

흡수되기 때문에 가장 민감하게 위해 치명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4 나노산업 관련 이론 및 발전 동향 조사

41 나노산업 관련 이론

국내 나노기술 관련 이론적 연구 동향을 분석해 보면 크게 나노기술 적용시 그

효과성에 관한 연구 나노기술의 위험과 안전에 대한 규제 필요성에 관한 연구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이나 전문가의 인식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예기훈 성아영(2010)은 금 나노입자를 포함한 안의료용 고분자의 합성 및 물성

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과적인 부작

용과 문제점 이물감과 불편함을 완화하기 위해 콘택트렌즈 소재가 계속적으로

변화해 왔다 이러한 재질의 변화는 착용에 있어서 이물감을 줄여주게 되었지만

콘택트렌즈는 각막을 감싸고 있는 동안 산소의 각막으로 산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게 하거나 상소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방해하여 안과적인 문제

를 야기시킨다 나노 금은 항균성의 기능을 갖으면서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다는

점이 알려졌기 때문에 기능성 나노입자를 응용하여 나노기술이 적용된 기능성 콘

택트렌즈 재료를 중합시켜 실험하였다 그 결과 나노금은 고분자의 함수율에 영

향을 주었으며 함소율의 감소를 야기시킨다 또한 굴절율과 자외선 가시광선역

의 투과율 역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처럼 나노기술은 항균성을 함유하고

있는 기능성 고분자로써 콘택트렌즈에 적용시키는 것처럼 의료적인 분야에 다양

하게 적용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박덕용 이난영 이상호(2008)는 나노기술을 바탕으로 치아 우식증 예방을 위하

여 만들어진 불소함유 접착필름을 개발하였다 필름 형태의 새로운 불소 delivery

system을 개발할 경우 기존의 불소 하제보다 새로 개발된 불소 전달시스템인 불

소 함유 필름이 치아 우식증 예방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불소 함유

필름은 나노 코팅기술을 통해 미량의 불소만을 코팅처리하여 체내에 삼키는 양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4

최소화하였으며 무색 무취 무미한생체 친화적 제재로 그 안전성 면에서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전문가 불소도포 제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영주 고영훈 김우성 매유진 목진경 조한규(2014)는 나노마스크와 황사마스

크에 의한 토너가루와 담배연기 필터링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를 하였다 황사와

미세먼지 담배연기 등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에서는 마

스크를 착용을 권하고 있으며 약국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마스크를 판매

하고 있다 나노마스크와 약국에서 파는 황사마스크의 미세먼지와 황사차단 효과

그리고 담배연기 차단 효과를 비교해 나노필터와 부직포필터의 필터링 성능을

비교해 보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나노마스크는 나노필터에서 토너가

루(미세먼지 대용)가 다 걸러져 점모양만 남아 있는 반면 황사마스크는 토너가루

가 묻어 나옴 또한 담배연기에서 나오는 이물질 실험에서 두 마스크 모두 첫 번

째 필터에는 진한 노란색 이물질이 있었지만 두 번째 필터에서는 황사마스크의

부직포 필터에는 노란색 이물질이 있는 반면 나노마스크의 나노필터에는 노란색

이물질이 묻어 있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나노마스크 내 나노 필터가 황사마스크

의 부직포 필터에 비해 토너가루와 담배연기에서 나오는 이물질을 더 잘 걸러준

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현재 다소 비싸지만 경제성을 입증하게 된다면 실용

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외에도 수질오염물질의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는데 이는

수영장에서 살균을 위해 흔히 사용하고 있는 염소를 태양빛을 통해 대체할 수 있

는 나노기술을 개발하였다 이 기술은 나노입자의 태양빛을 이용하여 세균이나

유기물질 등을 제거하고 산화력과 반응성이 강한 활성산소 및 히드록실 라디칼

(hydroxyl radical)을 생성시킨다 염소로 인해 발생하는 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

의 생성을 크게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오염물 처리에 드는 에너지 및 화

학물질의 양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김준현 2015)

또한 나노기술은 기존 제품을 덜 소모하게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강화시켜 환경

에 긍정적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나노기술은 일상적으로 소모되는 자원을 절약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열과 마모에 강한 특징인 내구성 향상과 자기 수복성 부여

를 통해 나타난다 또한 콘크리트에 손상을 주는 근본적인 원인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콘크리트에서 기능성 나노복합 무기질 활성탄계를 활용하

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5

콘크리트 구조물은 균열이나 누수 박리 철근부식 박락과 같은 현상들이 발생

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들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이며 이러한 현상들이 심해지면 구조물의 붕괴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콘

크리트의 부식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유해물이나 수분이 콘크리트

안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보수재료

나 방수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손상된 부분을 다시

시공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나노수준에서 합성하여 콘크리트와 흡착성과

다공성으로 착화합물이 형성되어 일체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기능성 나노

복합 무기질 활성탄계는 콘크리트 조직에 침투하여 미세기공을 가지게 되는데 미

세기공은 직경이 3~100Å으로 열화인자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특성을 지

니고 있다

에너지의 경우를 살펴보면 나노기술은 에너지 소비량을 감소시키거나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그 혜택을 찾을 수 있다 나노기술을 사용하게 되면 기존에 사용하

고 있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보다 수명은 3배 이상 길어지고 출력은 5배 이상이나

높은 리튬이온 이차전지 양극소재를 개발할 수 있으며 기존의 태양전지보다 13

의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나노 크기의 미세한 돌기구조를 통해

서 이러한 효율 증대를 가능하게 한다 나노 크기의 미세한 돌기 구조와 표면에

마이크로 크기의 기둥을 가진 태양전지를 개발하였는데 이것은 빛의 흡수율을

높여주고 태양전지 내부의 전자 이동을 용이하게 해주어 순도가 낮은 저렴한 실

리콘으로도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게 해준다

연구팀은 시제품을 통한 실험으로 매우 높은 효율성이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으

며 마이크로 기둥 사이에 돌기형태로 형성된 나노 구조는 반사효율은 떨어뜨리

고 빛의 흡수율은 높여주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반사효율을

5 이하까지 낮추는 데 성공함 일반적 태양전지의 반사효율이 40 이상 특수

표면처리(텍스처링)한 태양전지 반사효율이 15~20 수준에 이르는 것을 감안하면

획기적인 수치라고 할 수 있다(김준현 2015)

나노기술은 가까운 시일 내에 인간의 근본적인 삶의 모습을 바꿀 수 있는 엄청

난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나노기술이 재료 의료 및 의약 전자 기계 에

너지 환경 등 매우 넓은 분야에서 기술혁신을 일으킬 수 있고 미래 산업의 경제

적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암을 치료하거나 생명주기를 연장하고 식

량난 해소 반도체의 성능 향상 환경 오염물질의 제거 등 열거 할 수 없을 정도로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6

무수히 많은 분야에서 우리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이 어느 정도까지 될지 평가하기

조자 어려울 정도이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혜택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위험

역시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정정적 위험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나노기술에 대

해서 윤리적인 문제가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첫째 나노기술에 대한 형평성 차원에서의 문제를 들 수 있다 나노기술의 발전

은 매우 긍정적인 요소 일 수 있으나 전 세계 모든 곳에서 균등하게 그 기술을

나누어 쓸 수는 없을 것이다 바로 lsquo나노격차rsquo(Nano Divide)가 생겨날 수 있다 나

노기술의 사업화와 사용화가 진행될수록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나노기술을 이용하는 부유층과 빈곤층 간의 격차로 인하여 사회적인 문제로 심화

될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기아 질병 오염 가

난 등의 문제를 먼저 해결하는데 이용되어야 하며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격

차가 심화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현재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들은 에너지 자원

의 고갈 의약품 부족 등으로 에이즈와 같은 질병을 치료하지 못하여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당하고 있으며 식수의 부족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들이 나타나

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등장한 기술인 나노기술을

선진국 보다는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에게 먼저 적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나노기술로 개발된 성과들에 대한 불공정한 분배로 나타나는 심각한 사회적 격차

가 문제점으로 나타날 수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lsquo첨단기술일수록 비싸

다rsquo(high-tech high-costs)라는 말이 의미하듯이 나노기술을 통해 개발된 제품과

같은 성과물들을 이용할 수 있는 사회적 계층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극심한

사회적인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이 야기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불평등이 아닌 사회적 평등을 조장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할 것이

다(이중원 2016)

다음으로 투자측면에서 연구비의 재정적 투자에 대한 형평성을 생각해 볼 수 있

다 정부의 나노기술 정책 활성화로 인하여 연구비 중 많은 부분이 나노기술 분야

에 편중되어 있어 나노기술에 대한 집중적 투자가 다른 연구비 투자에 비해 과도

하게 측정되어 있는 것이 과연 올바른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둘째 유전정보에 관한 문제등 개인의 생체정보 보호와 관련된 프라이버스 문제

를 들 수 있다 나노바이오 기술은 유전주 수준에서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노 크기의 장치를 개발하여 인간 DNA 자체를 조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나노기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나아가 윤리적 사회적 문제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7

로까지 번져 다른 차원에서의 문제점들을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나노기술을 접

목한 초정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의 발달은 나노-유비쿼터

스 개념의 기술 발달로 감시나 통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지만 개인 사생활에 대

한 침해의 요인 부분도 존재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나노기술의 발달이 효율적이

고 효과적인 측면도 존재하지만 이를 역이용하려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법적

으로나 윤리적으로 보다 강도 높은 규제나 제재를 통해 프라이버시 관련한 윤리

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셋째 생명체 변형의 도덕적 문제를 들 수 있다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인공 생체

기관을 만들거나 생명체를 조작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생명체들을 합성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나노기술은 새로운 생물체의 생성이나 변형을 충분히 가능하게 하며

예를 들어 유전자 조작 쥐나 키메라 등 생명 형태를 변형하는 것과 관련된 연구

들에 대해서 생명의 존엄이나 신성함과 관련하여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문제를 제

기하여 허용 가능한 범위를 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인체 및 환경의 안전성 문제가 있다 나노기술과 관련하여 가장 주된 잇슈

는 나노소재가 인체의 건강과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이다 나

노기술은 기존의 기술에서 가지고 있지 않은 전혀 새로운 차원에서의 문제를 가

지고 그 위험성에 대해서 논의되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나노물질들은 분

자적 수준에서의 입자들을 일컫는다 이는 매우 미세하며 우리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매우 작은 단위를 다루는 것이다 이러한 나노 물질들은 그 자체로 매우 강

한 독성을 지니고 있어서 인체에 습수될 경우 세포 내부로까지 침투하여 유전자

구조를 변형시키거나 세포 자체를 파괴할 가능성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나노입자들은 악성 폐암을 일으키는 미세한 석면 입자들보다 훨씬 작기 때

문에 이러한 입자들이 인체 침투하여 다양한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인공 장기 등을 인체에 이식하였

을 때 인체에 어떠한 형태로 작용할지 매우 불확실하다 가령 인공 장기가 기존

에 알고 있던 다른 어떠한 물질들 보다 인체에 위협적인 것이 될 확률도 존재한

다 실제로 2004년 이래로 나노물질의 심각한 독성에 대한 보고들이 나타나고 있

는데 탄소나노튜브가 생체 유전자 역할을 변형시켜 치어의 뇌를 손상시킨 사례

가 존재했고 은나노 입자로 인하여 인체 DNA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며 차세대

반도체 나노물질로 불리는 CdSe가 인체 내부에 들어서 카드늄 중독을 유발할 가

능성도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위험은 나노물질이 지닌 본성으로부터 불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58

가피하게 초래되는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것으로 나노물질의 독성과 그것이 인체

및 환경에 가하는 위험이 이와 같다면 이런 나노물질에 대해 안전한 관리와 통제

가 불가피해 보인다(이천무 윤종민 2016 오규운 김경훈2016 이중원2016)

최근들어 일부 나노제품과 나노물질에 대해서 보건 및 환경의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문제가 나타나면서 나노기술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나 우려의 목소리가 나노

기술의 안전과 사회적 수용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김선아 김호정 홍

용석 2013) 연일 매스컴에서 보도되고 있는 lsquo가습기 살균제 사건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는데 에어로졸 형태로 분무되는 다양한 제품은 이미 오래전부터 우

리 생활 속에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규율할 법적 근거는 식품 의약품 화장

품 공산품 등 개별 법령으로 분화되어 제조업체는 용도변경에 따라 법의 테두리

를 벗어날 수 있었으며 각 법령에서 요구되는 기준이 서로 달라 적용하는 행정주

체도 책임영역을 서로에게 미루는 상황이 발생하여 대다수의 국민들이 혼란과 불

안을 겪고 있다

규제의 공백영역에서 수많은 피해자를 양산한 이후에야 그 원인과 대책을 마련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현실이며 나노물질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적 보호 수단으로는 사전

예방을 통한 위험의 통제와 사후관리를 통한 피해구제 등이 고려될 수 있으나 피

해규모의 대형화와 피해기간의 장기화 원상회복의 불가역성 등을 고려할 때 사

전예방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지난 사건과 역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이라

할 수 있다 그 동안 우리나라는 나노기술의 육성과 진흥에 중점을 두어 왔기 때

문에 안전에 관한 부분은 다소 소홀하거나 형식적인 대응을 해왔는데 EU 등 선

진국은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나노물질 및 제품의 자국내 수입을 철저히 규제

하고 있어 사전에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글로벌 무역장벽을 넘지 못할 상황

이다 따라서 나노물질 및 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국내 정책 및 제도의 상황

을 점검하고 국내에서 시행중인 관련 법제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그

동안 나노안전성에 관한 법적 관점의 연구는 주로 공법상의 규율 민middot형사상의

책임과 구제 제도개선 등에 집중되어 있으며 나노안전을 위한 법제적 측면에서

의 개선방안 제시는 부족한 실정이다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59

42 나노기술 관련 산업의 미래 전망 분석

나노기술의 기대효과에 대해 분석해 보면 첫째 나노혁신 기술확보와 산업현장

확산으로 인하여 제조업 활로 및 미래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나노기술의 성과가

다른 산업으로 융합middot확산됨에 따라 지속적인 혁신을 유도하고 국내 제조업의 질

적 성장을 견인할 수 있다 또한 첨단 나노소재의 적용이 확산됨에 따라 소재기업

과 최종 수요 기업의 경재역이 동반상승하게 될 것이다 나노기술은 산업적 파급

효과가 큰 전략기술로 미래 제조업의 새로운 혁신동력이 될 것이다 나노기술의

산업화 촉진으로 사업영역 확대(신사업 창출)되고 나노바이오 기술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 헬스산업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유망분야로 성장할 것이다 특히 전기자

동차 가정용 에너지 저장장치 등 에너지 활용으로 효율성 향상될 것이다

둘째 나노기반 미래 신산업 창출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확충될 것이다 나노기

술 기업의 성장 및 제조업 성장 촉진으로 신규 고용 창출할 수 있다 전통 제조기

업의 나노기업으로의 전환 등 기업 활동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고용의 질 제고

할 수 있다

셋째 미래세대와 함께 하는 지속가능한 사회 기반 구축할 수 있다 안전한 나노

기술개발로 나노기술에 의한 잠재적 위험을 최소화하고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안전 제고해야 한다 나노기술 기반의 에너지 발생 변환 저

장 절감기술 개발을 통해 에너지 자립도를 향상시키고 나노기술 기반의 대기 및

수질오염 제거 기술 개발을 통해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문제 최소화시킬

수 있다

나노기술의 상용화와 관련된 문제를 살펴보면 나노기술 분야에 대한 잇슈 중의

하나는 상용화와 제품화에 대한 것이다 이는 나노기술이 제품화가 되기까지의

과정이 매우 어렵게 때문이다

McNeil(2007) Kalil(2005) Hobson(2009)등이 제시한 장애 요인 분석을 바탕으로

나노기술분야가 IT 및 BT 분야 등 타 분야와 차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나노

기술이 상용화가 되기까지 약 5~10년의 기간이 걸린다 그리고 나노기기술은 첨

단기술로서 연구개발 단계에서 인프라 구축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장

비들이 고가이고 실험이나 측정을 위하여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되고 이러한 초

기 인프라 구축과 장기간의 시간을 통해 제품이 시장에 나왔다고 하더라고 성공

을 확신할 수 없는 부확실성의 성격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고가의 기반시설 등에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0

대한 인프라 구축은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역량으로는 매우

힘든 부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나노기술 분야에서 중소기업의 수가 많은

점을 생각하면 인프라 구축의 선행으로 인한 어려움의 요인이 나노의 상용화 어

려움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나노기술의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참여인력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

다 나노산업은 일반인이 접근하기에는 매우 어려우며 기술적으로 높은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그렇게 때문에 민간 차원에서 주도하여 성장할 수 있는 부분이라

기 보다는 정부차원에서 투자하고 발굴하여 추진해야 하는 분야의 산업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나노기술의 높은 이해도와 특징으로 인하여 대부분 나노기술 분

야를 주도하고 있는 것은 대학이나 정부 출연 기관의 연구원들이다 이들은 기본

적으로 나노기술을 사업화하여 이익을 창출해 내려는 사업가적 마인드로서의 시

각으로 바라보기 보다는 순수학문적인 분야에서 새로운 물질의 발견이나 합성 등

학문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다 그러므로 나노기술의 사업화를 통한 성과의

창출보다는 논문등재 등 이론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어 학문적인 업적을 창출하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나노기술

에 대한 투자가 주로 정부주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구비에 대한 투자를 연구

업적 등의 가시적 성과를 통해서 보여주려고 하기 때문이다

5 문헌연구 분석 결과 시사점 도출

앞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으로는 정량적 정성적

방법이 있다 각각의 수요예측에 대한 우월성은 학자들에 따라 의견이 다르지만

연구의 대상 관련 데이터의 확보여부 연구 범위에 따라 다르게 활용될 여지가

있다 정성적 예측 분석의 대표적 방법론으로는 델파이 기법이 있는데 델파이 분

석의 경우 전문가들의 익명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외부적 영향으로 인한 왜곡현상

이 방지되어 비교적 객관적인 답변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응답자인 전문가

들의 자질과 역량의 문제 응답의 불성실문제 비용문제 마지막으로 전문가의 직

관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정량적 분석과 비교 시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갖

고 있다

이에 반해 정량적 수요예측은 신속한 검증이 가능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결과의 타당성도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정략적 수요예측 방법으로는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61

일반적으로 Gompertz 모형 Logistic 모형 Bass 모형 등이 있으며 이중 Bass 의

Diffusion Model은 신상품 신규서비스 신기술이 시장에 도입되어 확산하는 과정

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모형이기 때문에 나노기술의 산업확산 수요

예측에 가장 적절한 분석방법이라 할 수 있다 Bass 확산모형은 시장 전체의 반응

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시장의 종합적 분석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요예측 토대로 기업이나 정부의 투자나 지원을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들에서 다루었듯이 신기술의 확산 또는 신

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미래 수요를 예측하는데 Diffusion Model이 널리 쓰이고 있

지만 현재까지 나노산업의 미래 수요예측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며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학습논문이나 연구보고서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보

고서는 나노산업의 미래 수요예측을 위해 계량적 분석 그 중 높은 예측력을 지닌

다고 알려진 Bass의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려고 한다

한편 소비자 인식 관련 문헌 연구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혁신의

수용을 혜택(Benefit)-비용(Cost)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고 나노기술이 위험인식

기술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신뢰라는 변수를 추가할 수 있다 소비자들

이 나노기술에 대한 긍정적 혜택과 관련된 변수로는 나노기술을 사용함으로 나타

날 것 같은 지각된 이득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이라는 변수를 선택할 수

있다 반대로 나노기술에 대한 부정적 요소로 비용 관점에서는 혁신저항의 변수

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저항변수로 기능적 장벽(지각된 위험 가치장벽 사용장벽)

과 심리적 장벽(관습장벽 이미지 장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뢰의 대상을 기관 사람 기술에 대한 신뢰로 구분하여 나노기술에 대한 소비자

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주요 변수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즉 문헌연구를 통하여

소비자의 기술수용과 이용행동에 관한 다양한 모델을 살펴보고 나노기술과 같은

신기술을 수용하는 소비자들에게 그들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어떠한 변수들이 중

요한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나노기술을 혁신의 차원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나노기술이 연속적 혁신

인지 불연속 현신인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나노기술이 어떻게 받아

들여지고 있는지 유추할 수 있다 나노기술은 산업 전반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므로 산업별 제품별로 연속적 혁신과 불연속 혁신이 산업 전반에서 다양하

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불연속적인 혁신의 경우 획기적인 성능과 증진된 편익을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2

주는 나노기술의 경우 혁신제품 애호가들로부터 상당한 주목을 받는 경우가 많이

나타나지만 시장의 다수를 형성하는 보수적인 소비자들로부터는 외면당하기 쉬

울 수 있어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모두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나노기술처럼 불확실성이 높고 미래의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 소비자들

은 주관적 확신을 높이기 위해 정보탐색이나 구매 전 심사숙고의 과정을 더 많이

거치게 되며 의사결정에 이러한 요인들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문

헌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요인들을 혁신장벽이라는 개념으로 살펴볼 수 있었으

며 나노기술과 같은 혁신기술의 채택의 주요 장벽으로 기능적 장벽 심리적 장벽

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나노기술에 대해 전문가나

연구소 등 국책기관이나 정부 등을 신뢰하는 정도에 따라 이러한 불확실성에 대

한 위험인식을 낮추게 될 것이라는 점을 도출하였다

한편 산업 전문가 조사는 해당 산업에 대해 높은 지식과 식견을 가진 전문가들

을 표본으로 목적에 맞게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말하며 기업내외부적 전문가

들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산업의 세부적 분류를 사용해 분석할 경우 기업 내외

부와 산업 별 쿼터별로 적절한 대표성을 위해 할당 추출법(quota sampling)을 사

용하기도 하며 이 경우 도출해내고자 하는 결과와 관련해 분야별 다양한 의견을

갖고 있는 전문가들의 종합적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산업 전문가의 의견이

반영된 연구들로는 델파이 기법이 있으며 신기술 산업이나 제품에 대해 일반인

과 전문가의 이해도가 많은 차이가 있거나 그 기술의 산업 제품에 대한 혜택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식이 상반될 때에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차이를 조사하는 연

구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델파이 조사의 경우 일반적인 소비자조사보다 표본의 숫자가 작은 편이지만 다

양한 견해와 이견을 통해 새로운 시각의 직관적이고 창의적 견해를 포함하는 시

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인터넷의 등장으로 초기 델파이

측정 방식인 인터뷰나 대면조사에서 온라인 설문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익명성과

즉각적인 피드백이 강화되어 최근 많은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 다른 산업 전문가 의견을 활용하는 연구로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차이를

조사하는 연구가 있다 이는 해당 기술 산업이나 제품에 대한 인식에 많은 차이가

있을 때 중요하며 어떠한 산업은 전문가들이 일반 소비자나 잠재소비자의 특성

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새로운 기술 산업이나 제품의

경우 그러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첨단 기술산업의 경우 일반 소비자들은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63

해당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불확실성과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

는 신기술 산업의 경우 소비자들과 전문가들은 위험인식 혜택 수용의도에 걸쳐

서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의견이 아닌 전문가의 의견에만 의존할 결과를 도출하게 될 경우 본 보고서와 같

이 미래의 수요를 예상하게 될 경우 실제 수용자인 일반소비자들의 위험인식에

따른 낮은 태도를 반영하지 못해 신뢰하기 어려운 결과값이 도출 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일반 소비자의 의견만을 반영하고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일반 소비자가 판단하기 어려운 첨단기술 산업의 경우 이들의 응답에 대한

신뢰도가 전문가와 비교해 매우 낮을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산업 전문가와 일반

소비자의 인식차이를 비교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나노산업의 경우 나노물질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는 다르

게 사람들로 하여금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나노기술의 정확한 시장잠재력 및 확산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이해수준

이 높은 전문가의 의견도 물론 중요하지만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결국 최종 소

비자의 수용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의 잠재적 불

안감을 측정하고 이를 전문가의 의견과 함께 종합하여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예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노기술은 미래성장잠재력과 국가경제의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기술력이며 이에 대한 효과성은 광범위한 산업분야에서 연구를 통해 입증되어

왔다 나노기술은 삶을 더 풍요롭고 빠르고 편리하며 경제적으로 바꿔줄 가능성

이 매우 큰 혁신적인 분야이며 전통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국가 경제를 견

인할 차세대 기술혁신의 주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는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

치고 기존 산업을 파괴하거나 새로운 산업 창조가 가능할 정도로 파급력을 갖는

파괴적 혁신 기술(disruptive innovation technology)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산업

적 파괴력 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크다고 할 수 있다(배성훈 외 2015) 나노물질이 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는 다르게 사람들로 하여금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주고 있다 실제로 최근 몇몇 국내연구들에서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들의 잠재

적 위험성 인식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나노기술은 나노미터 크기의 아주 작은 단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4

위의 물질을 조작 분석 제어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관련지식이 적은 일반인들에

게는 막연한 불안감 위해성 인식을 불러 올 수 있다 또한 나노기술의 높은 효과

성과 파급력에 비해 나노기술의 정확한 이해나 응용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지식수준이 많은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나노기술의 정확한 시장잠재력 및 확산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이해수준이 높은 전문가의 의견도 물론 중요하지만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결국

최종 소비자의 수용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의 잠

재적 불안감을 측정하고 이를 전문가의 의견과 함께 종합하여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예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노관련 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로서 부가가치 유발 효과와 고용유발 효과를 들 수 있으며 나노관련 산업의 많은

부분이 제조업을 포함하기 때문에 특별히 제조업 전체의 발전을 통한 부각가치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나노산업은 연구개발과 시제품을 생산하는 단계를 지나 실제 상용화될 수

있는 제품을 제조하고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으며

제조업의 생산성을 뛰어넘는 유망한 성장동력으로 커가고 있다 또한 나노산업은

제조업 대비 고용증가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계획하고

있는 고용 확대 정책과도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고용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이다

나노기술의 파급효과와 빠른 성장 그리고 성공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성과가 매

우 크게 나타나지만 이러한 성공을 거두기까지 적어도 5~10년 정도의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단기간에 성과를 발생시켜야 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나노기술에

대한 연구의 투자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나노융합제품의 시장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나노융합제품의 매출 비중은

제조업 영역에서 확대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사업화를 확대시킬 수 있는 전략적인

지원정책 수반되어야 한다 나노기술은 기반 기술로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

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향후 산업 전반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하

고 있다 따라서 나노기술의 상용화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기업뿐만 아

니라 정부차원에서의 지원과 학재간 협력이 필요하다(김석필 외 2014)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전자산업이 초정 나노기술을 혁신 동력으로 발전하였

으나 차세대 기술에 대한 투자가 부족한 편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차세대 논리

소자 계산과학의 기술수준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나노소재 분야 기업이

제3장 관련 문헌 연구

65

다수이나 매출규모가 적고 나노바이오의 사업화가 특히 미흡한 편이다(국내 나노

산업의 03 해외는 10)

이처럼 나노산업인력은 양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기술 전문성 증진 필요함 국내

나노기술의 미래 전망에 대해 정성적인 분석을 통한 전망 외에 계량적인 모델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예측이 필요하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6

제4장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1 나노시장 예측 방법론 요약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process를 통하여

나노기술의 최종적인 산업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lt그림 29gt Diffusion Model을 활용한 나노산업 영향력 도출 방법론

먼저 Step1에서 과거 나노산업 매출 데이터(2010년~2014년)를 수집한다 이후

모델 추정을 위한 초기 데이터의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해 Step2에서 나노산업 전

문가들의 단기적 미래 나노산업 매출액(2015년~2018년) 예상값을 수집한다3) 단

이 과정에서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를 산업 전문가들에게

제시해 최대한 객관적인 시장에서 매출액을 예상하도록 유도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2010년부터 2018년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해 Diffusion Model의 계수 p q

값을 추정해낸다

마지막으로 Step3에서 추정된 p q값을 모델에 대입하여 2015년부터 2025년까

지의 최종 나노산업 매출액을 예측한다 이후 세부 나노산업별로 각각의 규모를

나누어 추정해보고 예측의 최소값 최대값 적용과 같은 몇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

3) 사전에 실시된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는 2014~2018년도 예상 매출액을 응답하게 하였으나 조사 기간 도중 2014년 실제 나노산업 매출액이 발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Diffusion Model 적용 시 2010~2014년도 값은 나노산업의 매출 실제값을 2015~2018년도 값은 산업전문가의 예상 매출액을 활용하기로 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67

한 민감도 분석도 실시하기로 한다

이러한 방법론은 현재 나노산업이 가지고 있는 초기 데이터 부족 등 몇 가지 문

제점 및 전제를 감안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충분히 고려하였으

며 각각의 해결 방향은 요약 제시하면 다음의 표에 정리된 바와 같다

lt표 16gt 본 연구의 기본 전제 및 해결 방향

예측 과정의 문제점 및 전제 해결 방향

1

나노산업의 시장매출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아 모형

예측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를 필요로 함 (모형 추정

의 불안정성)

기본 계량 모형과 더불어 산업전문가의 예측 정보

를 함께 활용하고자 함

2산업전문가들의 장기적인 산업 예측은 신뢰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음

비현실적으로 장기적인 예측을 요구하지 않고 5년

간의 단기 예측 정보만을 요구하여 신뢰성을 높임

3산업전문가들의 기술 중심적인 사고를 보완하기 위해

보다 객관적인 정보 도출이 필요함

나노산업 전문가들에게

나노기술 최종 사용자인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

술 인식 조사결과를 제시하여

보다 객관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유도함

2 Diffusion Model 소개 및 적용 방향

Diffusion Model은 Bass(1969)가 제안한 이후 신기술 혹은 신제품의 확산 과정을

예측하기 위해 활발히 활용되는 대표적인 수리적 모형이다 Diffusion Model은 새

로운 상품이나 서비스가 나타내는 S자형의 성장 및 확산 모습을 가장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모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Bass Model은 기본적으로 신제품에 대한 구매가 혁신자(innovator)와 모방자

(imitator)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고 hazard rate라고 불리는 다음의 식으로

부터 출발한다 (hazard rate t시점까지 비구매자가 t시점에서 구매자가 될 확률)

이때 계수 p를 혁신 계수 q를 모방계수라고 한다

)(

)(1

)( tqFptFtf

f(t) t기에 제품을 수용할 확률

F(t) t기까지 수용자의 누적 확률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68

p 혁신계수 (coefficient of innovation)

q 모방계수 (coefficient of imitation)

위의 식로부터 미분방정식을 활용하여 t시점의 수용자 수를 다음와 같이 계산할

수 있고 각 t 시점마다의 누적 수용자수도 함께 계산할 수 있다

2)(

)(2

)1(

)()(

tqp

tqp

epqe

pqpMtS

S(t) t기에 제품을 수용한 소비자의 수

M 시장의 최종적인 잠재수요

확산모형의 모수추정방법으로는 크게 회귀분석을 활용하는 OLS(Ordinary Least

Square) 우도추정함수를 활용한 ML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방법 관찰

치와 예측치의 차이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함수를 설정한 후 모수를 삼차원 공간

에서 추정하는 NLS(Non-linear Least Square) 등의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중에서 지금까지 가장 안정적이고 좋은 성과를 보인다고 평가받고

있는 NLS 방법을 적용하기로 한다

한편 Diffusion Model이 기본적으로 제시하는 형태는 신제품의 수용자 수 기반

의 예측이나 나노산업의 경우 나노기술이 포함된 특정 제품을 선정하고 그 소비

자들만 추출해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최종적인 일반 소

비자들의 나노기술 지식 수준이 낮아 수용 소비자 수를 활용하는 예측의 효과성

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나노기술이 TV 자동차와 같이 최종 end-product로 일반소비

자에게 수용되기 보다는 다양한 산업과 제품에 활용되는 기반 기술이라는 특성을

감안하여 최종수용자 기반의 확산모형이 아닌 산업 총매출액 기반의 확산모형을

적용하고자 한다

실제로 이와 비슷한 특징을 가진 몇 가지 기술 확산 예측 모형에서 같은 이유로

인해 산업의 전체 매출액 데이터를 활용한 Diffusion Model이 활용된 바 있다 예

를 들어 최근 반도체 시장 수요 RFID 시장 수요 오픈소스 기술 수요 등 신기술

등장 시 전체 시장의 확산을 예측하는 계량적 모형으로 매출액 기반의 Diffusion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69

Model이 활용된 바 있다(김진 고경일 2014 권순동 이승률 2015 손동민 외

2014)

특별히 나노기술과 같이 다양한 하위 산업이 존재하는 신기술의 경우 시장 매

출 합산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측하는 포괄적 방법론이 더욱 설득력이 있다고 판

단된다 손동민 외(2014)의 연구에서도 합산 데이터를 활용하여 예측하는 것이 산

업의 포괄적 전망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시장 합산 데이터를 사용한다고 지적

한 바 있다 본 연구도 이와 같은 목적에서 수용자 수 기반의 Diffusion Model 보

다는 합산 매출액 기반의 Diffusion Model을 적용하여 최종 예측하고자 한다

3 일반소비자 나노기술 인식 조사 결과 요약

본 연구는 사전 조사로 일반 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을 조사하였다4) 나노기술

과 같이 혁신적인 기술에 대해서 일반 소비자들은 혜택 지각된 위험 혁신 저항

신뢰 등 다양한 인식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소비자 인식은 최종적인 산업의 확

산 및 발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별히 나노기술은 과거 기술 위험성 부작용 등의 뉴스 및 연구 결과들이 발표

된 바 있어 최종 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이해와 개선이

향후 나노산업 발전을 위해 특별히 중요하다 일례로 최근에는 일반적인 공중

(public)이 느끼는 나노기술 위험 특성과 나노기술 개발 및 관리주체인 정부 및 과

학자에 대한 신뢰가 위험인식과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들도 진

행된 바 있다(김원제 외 2016)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에 대한 인식을 면 히 조사하고 향후 산업 전문가 제시 정보로도 활용하기 위해

서베이 기법을 활용한 시장조사를 진행하였다 서울 경기 및 5대 광역시(인천 대

구 광주 부산 대전) 거주하는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96명을 대상으로 진

행하였으며 2016년 10월 10일부터 10월 1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 및 동영상을

이용한 온라인 조사를 실행하였다

4)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2017 「나노기술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신뢰도 수용의도 조사분석 연구」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0

lt그림 30gt 나노기술 인식 조사 변수 소개

소비자 조사를 위한 주요 변수는 앞의 문헌연구를 종합하여 최종 선정하였으며

기본적으로 Benefit-Cost 관점에서 출발하여 나노기술에 대한 혜택 변수 위험 및

혁신장벽 등을 질문하였다 또한 나노기술이 위험인식 기술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기관 사람 기술에 대한 신뢰 변수를 추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나노기술에 대한 긍정적 혜택과 관련하여 지각된 이득 지각된 유용

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이 선정되었으며 혁신저항 변수로 기능적 장벽(지각된 위

험 가치장벽 사용장벽)과 심리적 장벽(관습장벽 이미지 장벽)으로 구분하여 측

정하였다 그리고 나노기술 관련 신뢰는 신뢰의 대상을 기관 사람 기술에 대한

신뢰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웹서베이를 통해 소비자의 연령 성별 나노기술 인식을 비교하여 해

당 분석 결과를 다음 순서인 전문가 조사 제시 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

다 또한 소비자 인식 수준을 참고로 나노기술 정책 개발자 및 나노기업 담당자

들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미 다른

보고서에서 소개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소비자 조사의 주요 결과만을 요약하

기로 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1

lt그림 31gt 일반 소비자의 나노기술 나노제품 사용 여부 인식

우선 본 조사는 일반 소비자들이 나노기술 이용여부를 얼마나 잘 인식하고 있는

지 측정하였다 스마트폰 등 일반 소비자들이 자주 쓰는 제품에서 나노기술이 이미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소비자들이 나노기술 나노제품 사용 여부를 인지하고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실제 소비자들은 나노제품 사용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많은 소비자들이 나노기술 나노제품을 사용한 적 없다

(30) 혹은 잘모르겠다(342)라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여성(40)과 젊은 연령대층

(20대 411)에서 나노기술 사용여부에 대해 잘 모르겠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이처럼 나노기술에 대해 일반소비자의 인식이 낮을 것을 예상하여 본 조사는

본격적인 질문을 시작하기 전에 나노기술과 관련된 홍보영상 관련 뉴스를 4개(총

재생시간 약 11분) 시청하게 하였다 동영상 시청 후 나노기술에 대한 이해도는

다음의 표와 같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lt표 17gt 나노기술의 특징 품질 혁신성 이해 정도 비교 (동영상 시청전후)

구분특징 품질 혁신성

시청 전 시청 후 시청 전 시청 후 시청 전 시청 후

부정 (1점+2점) 369 89 411 83 45 39

긍정(4점+5점) 344 694 283 675 693 796

점수(100점 만점 기준) 484 673 453 669 691 759

차이(시청 후ndash시청 전) 189 216 68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2

단 11분 정도의 간단한 동영상 시청만으로도 나노기술의 이해도가 의미 있게

증가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나노기술의 성장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일반소비자의 이해 수준은 낮은 편이고 이러한 이해도는 추가적인 홍보

를 통해 충분히 상승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향후 나노관련 정책 개발자는 나노기술에 대해 연령별 성별 특성에 적합한 맞

춤형 홍보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도 나노기술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 외의 나노기술 인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2gt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정도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3

우선 나노기술의 혜택으로 지각된 이득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을

100점 만점 기준으로 측정하였는데 일반 소비자들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

득 지각된 사용 용이성 순서대로 나노기술 혜택을 높이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여성보다는 남성이 그리고 저연령층보다는 고연령층 그룹에서 나노기술의 혜택

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나노 관련 정책 홍보 측면에서 나

노기술이 다양한 제품군에서 손쉽게 사용될 수 있음을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별히 여성과 20~30대 젊은 소비자들에게 나노기술의 혜택을 집중적으로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

비용 관점에서는 기능적 장벽(지각된 위험 가치장벽 사용장벽)과 심리적 장벽

(관습장벽 이미지 장벽)으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인 평균값은 혁

신장벽값으로 100점 만점 기준으로 나타내었다 조사 결과 나노기술에 대한 지각

된 위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치장벽과 심리적 장벽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

이었다 특별히 여성이 더 높은 지각된 위험을 인식하고 있으며 30대 소비자 그

룹에서 혁신 저항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즉 일반소비자들에게 특

히 30대 여성 그룹에게 나노기술의 안전성 홍보를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신뢰 측면은 기관에 대한 신뢰 사람에 대한 신뢰 기술에 대한 신뢰로 나누어

100점 만점 기준으로 측정하였는데 나노기술을 개발 운영 유지 관리하는 정부

공공기관 기업 등 기관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여성

들의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고 20~30대 젊은 소비자 그룹의 신뢰도 역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즉 여성과 20~30대 젊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나노

관련 기관들의 신뢰를 높이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서 측정

한 바와 같이 나노기술에 대한 높은 지각된 위험을 고려할 때 향후 더욱 적극적

인 신뢰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조사는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수용의도를 100점 만점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나노기술 적용 제품 수용의도는 남녀가 유의한 차이를 보

였으며 남성(643점)이 여성(603점)보다 수용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별대별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50대 이상이 671점으로

가장 높은 수용의도를 보였고 20대가 580점으로 가장 낮은 수용의도를 보였다

본 결과에 따르면 나노기업은 우선적으로 50대 이상 남성들이 자주 사용할 수 있

는 나노제품군 개발에 노력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장기적으로 젊은 여성 그룹이

선호할 수 있는 나노제품 개발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4

4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결과 요약

본 연구는 나노산업 초기 매출 데이터의 불충분함과 산업 전문가의 보다 현실적

인 예측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5) 이를 위해 먼저 나노

산업을 통계청 NTIS 등 국가승인통계 기준에 따라 ldquo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

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rdquo 네 분야로 분류하였다 단 나노전자산업에 대한

표기는 나노전자(소자)로 변경하였는데 이는 실제로 나노전자 산업에서 소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 산업의 전문가를 기업내부 기업외부 시장분석 전문가의 세 집단으

로 분류하였다 기업내부란 나노관련 기업에 종사하는 직원들을 의미하고 기업외

부란 나노기술과 관련한 국책연구소 정부기관 대학교수들을 의미한다 시장분석

전문가들은 나노산업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금융회사의 애널리스트

펀드매니저 투자전문가 IR담당자들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전문가조사는 기업내부의 전문가 위주의 조사가 주를 이루지만 본 연

구는 보다 객관적인 정보 수집을 위해 다양한 전문가 구성을 시도하고자 노력하

였다 특히 시장분석 전문가들은 나노 관련 기업의 매출 및 이익 구조에 근거해

lsquo돈rsquo과 관련된 투자 의사결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인 시각의 의견을 수

집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였다

전문가 조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산업별로 쿼터를 구성하였다 나노소

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을 각각 균등하게 배분

할 수도 있지만 실제 나노산업의 매출액 비중은 다음의 표와 같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lt표 18gt 세부 나노산업별 매출액 비중 추이 (단위 억원)

  2010 2011 2012 2013 2014 Total 비율

나노소재 87191 111370 96651 144391 104664 544267 938

나노전자(소자) 770863 785380 1170282 1215753 1193383 5135661 8849

나노바이오의료 2718 2934 4444 4126 7249 21471 037

나오장비기기 19698 23170 19152 22669 17634 83171 143

Total 880470 922854 1290529 1386939 1322930 5803722  

자료 나노융합산업 통계 산업통상자원부

5)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2017 「나노기술 성장 예측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정확한 제목 이곳에 명시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5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전체 나노산업에서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매출이 차

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이다 따라서 모든 산업을 균등한 비율로 분배하는 것은 무

리가 있다 그렇다고 반대로 단순 매출액에 비례하여 산업 전문가 샘플수를 결정

할 경우 나노전자(소자) 산업이 지나치게 많은 비중을 차지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매출 비중이 적어도 향후 높은 성장이 기대되는 각 나노

세부 산업의 특징을 감안하여 노전자(소자) 산업을 50 그 외 나머지 산업을 50

내에서 균등히 배분하기로 하였다 나노전자(소자) 이외의 다른 산업 매출액 현재

수준은 낮지만 향후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각 세부 그룹별 최소 10명의 전문

가 의견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나노전자

(소자)산업과 그 외 나노산업과의 비율을 5050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각 산업 내에서 전문가 특성별(기업내부 외부 시장분

석 전문가)구분은 서로 균등하게 배분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전문

가 집단 구성은 다음과 같다

lt표 19gt 최종 나노산업 전문가 집단 구성

기업내부 전문가 기업외부 전문가 시장분석 전문가 Total

나노소재 10 10 10 30

나노전자(소자) 30 30 30 90

나노바이오의료 10 10 10 30

나노장비기기 10 10 10 30

Total 60 60 60 180

본 연구는 이렇게 선정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웹서베이를 통해 다양한 의견

을 수집하였다 구체적인 질문에 앞서 먼저 실행된 일반적인 최종소비자들의 현

재 나노기술 인식 수준을 요약하여 제시하였고 이를 충분히 숙지한 후에 본 조사

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이는 자칫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자신이 소속된 산업에 지

나치게 긍정적인 평가를 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나노산업이 위험인식 기술

이고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이해 수준이 여전히 낮은 수준임을 제시한 후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시장을 바라보게 하고자 한 것이다

이후 구체적으로 조사 당시까지 발표된 2010년~2013년까지의 각 나노산업 매출

액을 제시한 후 이후 5년간(2014년-2018년) 자신이 소속된 나노산업 분야의 매출

액을 예측하게 하였다 정확한 예측값을 응답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해당 년도에 해당하는 예상 매출액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응답하게 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6

이후 나노산업의 발전을 위한 주관적 의견 및 나노산업별 중요도 기술수준 평가

항목 등을 측정하였다 지금까지의 조사 방법을 그림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3gt 나노산업 전문가 조사 과정 요약

본 조사는 나노산업과 같이 기술주도적인 산업은 현장에서 실제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산업 전문가의 예측이 가장 현실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는 기본 전제에 기반한 접근 방식이다 단 지나치게 장기적인 예측은 정확성이 떨

어질 것이므로 향후 5년 정도의 단기적인 예측만을 본 분석에 활용할 것이다

또한 지나치게 공급자 입장에서만 생각하는 근시안적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인 최종소비자의 의견 정보를 참고하게 함으로써 최대한 객관적인 의견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나노산업 전문가(기업 내부 외부 시장분석

전문가)를 대상으로 최대한 균형적인 의견을 얻어내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이를

최종적으로 Diffusion Model 예측 과정에 적용하여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의

적절한 조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147명의 응답 데이터를 확보하였으

며 본 연구는 주요 결과만을 간략하게 요약하기로 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7

lt그림 34gt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단기적 미래 매출액 예측값 추이

나노소재 산업 (단위 억원) 나노전자(소자) 산업 (단위 억원)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단위 억원) 나노장비기기 산업 (단위 억원)

우선 나노소재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36조6천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이는 2013년 14조4천억원 대비 253 성장 전망한 것이다 나노전자(소자)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228조5천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하였다 이는 2013년 121조6천

억원 대비 188 성장 전망한 것이다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7천9백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하였다

이는 2013년 4천1백억원 대비 192 성장 전망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나노장비기

기 산업은 2018년 평균 약 3조5백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하였다 이는 2013년 2

조2천7백억원 대비 134 성장 전망한 것이다

본 전문가 조사 당시는 2014년 나노시장 매출액 공식 집계가 발표되기 직전이었

기 때문에 2014년~2018년 매출 예상한 것이다 그런데 본 조사를 진행하던 중

2014년 나노시장 공식 집계가 발표되었기 때문에 2014년도 전문가 예측값과 실제

값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특이한 점은 2014년 나노바이오산업의 급

성장으로 인해 실제 2014년도 매출액값에 비해 전문가 의견이 특별히 과소 예측

되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2014년의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전문가의 예상보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78

도 더 크게 성장하였다 단 한해의 값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구체적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다만 최근 바이오 업계의 성장으로 나노산업에서도

전문가 예상을 넘어서는 성장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원

인과 구체적인 분석은 향후 다른 연구에서 시도될 필요가 있다

본 조사는 이외에도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 차이를 상대적으

로 비교하였다 즉 앞서 실행된 일반인 나노기술 인식 조사와 전문가조사에서 같

은 질문 항목에 대해 어떠한 차이가 발견되었는지 확인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5gt 일반인 Vs 전문가 나노기술 인식 차이 비교

분석 결과 종합적으로 나노기술 관련 혜택 및 신뢰는 전문가들이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반면 혁신장벽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함을 확인하였다 이

는 실제로 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의 인식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시켜주는 자료이며

ldquo객관적인 사실 여부를 떠나rdquo나노전문가들의 관련 기술 정책 개발 시 이러한 인

식 차이를 인지하고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를 시사하는 결과

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본 조사는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현재 인식하는 각 세부 산업의 중요도와

기술수준을 평가하게 하였다 중요도란 전체 나노산업 분야에서 아래의 각 세부

나노산업이 차지하는 상대적 중요도(1거의중요하지않음 3보통 5매우중요함)를

의미하며 기술수준이란 최고 기술 보유국 대비 각 세부 국내 나노산업의 상대적

기술 수준을 평가(1최하위권 3보통 5최고선진국)한 것을 의미한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79

lt그림 36gt 나노산업별 중요도 및 상대적 기술 수준 평가

분석 결과 전문가들은 나노소재 산업의 중요도를 가장 높게 평가하며 나노전

자(소자) 산업의 기술 수준을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노바이오

의료 산업은 중요도에 비해 기술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평가하고 있어 이 부

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 다른 산업에

비해 중요도와 기술수준이 낮게 평가되어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원이 필요함

을 알 수 있었다

5 Diffusion Model을 적용한 나노산업의 미래 규모 예측 결과

51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존 연구는 지금까지 논의한 Diffusion Model 일반소비자 조사 산업전문가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국내 나노시장의 2025년 매출 규모를 예측하였다 구체적인 방

법론을 다시 한 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Diffusion Model에 2010~2014

년까지의 실제 산업 매출 데이터와 전문가로부터 도출된 2015~2018년까지의 예상 매

출 데이터를 모델에 적용한 후 계수값인 p와 q 값을 추정하였다 이후 추정된 p

q 값을 Diffusion Model에 다시 적용하여 2015년부터 2025년까지 나노시장의 매

출액 규모를 최종 예측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0

Diffusion Model은 기본적으로 연속형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제안되었으나

Bass(1969)는 본 연구와 같이 이산형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는 모델도 함께 제시

하였다 본 연구는 나노산업 매출 데이터를 연도별로 획득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산형 모델을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모델의 형태는 다음

과 같다

S(t) t기의 매출액

N(t) t기까지 누적 매출액

M 시장의 최종적인 잠재 누적매출액

p 혁신계수 (coefficient of innovation)

q 모방계수 (coefficient of imitation)

일반적으로 Diffusion Model 관련 연구들은 추정값의 안정성을 위해 최종 잠재

규모인 M 값을 함께 추정하기보다 외부의 정보를 통해 모형에 직접 대입하는 것

을 추천한다(Putsis Jr and Srinivasan 2000 Mahajan et al 1990)

본 연구 역시 나노산업의 시장 매출액 데이터가 적기 때문에 모형 모수 추정의

불안정성이 존재한다 이 경우 역시 p q M 값을 모두 추정하기보다 외부 정보를

활용해 M값을 도출해내는 것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형의 M 값을 외부적 정보를 통해 계산해내었다 구체적인 도출 근거는 다음과

같다

나노산업은 기본적으로 제조업 산업에 소속되어 있으며 2014년 현재 발표 기준

으로 전체 제조업 산업에서 약 89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2025년 전체

나노시장의 잠재규모의 최대치는 2025년 제조업 산업의 매출 규모를 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물론 극단적으로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산업을 넘어서는 규모로 성장할 가능

성도 없지 않으나 현재 나노기술이 대부분 기존 제조업 기술을 대체하는 과정에

서 성장하고 있고 아직까지는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89로 작기 때문에

2025년이라는 기간 내에 전체 제조업 산업의 최대치를 넘어설 정도로 성장한다고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1

예상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체 제조업 시장이 지금과 같은 연평균성장률을 유지한다고

가정하고(2010년~2014년까지 연평균 26 성장) 2010년부터 2025년까지의 전체

제조업 시장의 잠재누적매출액을 나노시장의 M값으로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전

체 제조업산업의 2010년도 매출액은 약 1340조원이며 2014년 약 1490조원을 거

쳐 2025년 약 1980조원 시장으로 계산되었다 이때 2010~2025년까지의 누적 매출

액은 약 2경6천5백조원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이 값을 M 값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확산모형의 모수 추정방법으로는 앞서 정리한 바와 같이 크게 회귀분석을

활용하는 OLS(Ordinary Least Square) 우도추정함수를 활용한 ML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관찰치와 예측치의 차이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함수를 설정

한 후 모수를 삼차원 공간에서 추정하는 NLS(Non-linear Least Square) 등의 방법

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중에서 지금까지 가장 안정적이고 좋은 성과를 보인다고 평가받고 있는 NLS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도 Nonlinear estimation 방법을 활용하여 p q값을 추정

하였으며 이때 Levenberg-Marquardt algorithm을 사용하였다 지금까지의 설명한

추정 방법을 통해 최종 예측된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는 다음과 같다

lt그림 37gt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매출 규모 예측 추이

최종 분석 결과 국내 나노시장은 2020년 약 346조원을 거쳐 2025년 약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된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대비 약 504배(504) 성장

전망된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전문가 조사 시 예측값의 최소값과 최대값 응답을 확보하였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2

위에 제시된 667조원은 평균값 기준이며 만약 전문가 조사 결과의 최대값을 반영

할 경우 2025년 기준 811조원까지 성장이 예상되며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2025년

기준 534조원까지 성장이 예상된다 즉 시장을 가장 부정적으로 전망하더라고

2014년 대비 최소 약 4배의 성장이 예상되며 만약 최대한 긍정적으로 바라볼 경

우 약 6배에 이르는 성장이 예상된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38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최소값 평균값 최대값 비교)

평균값 최대값 최소값을 기준으로 2010년부터 2025년 각 연도별 매출액을 표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아래 표에서 2010년부터 2014년까지는 실제 나노산업

매출액 값이며 2015년부터 2025년까지가 Diffusion Model을 통해 예측된 값이다

lt표 20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2010 880470 880470 880470 2011 922854 922854 922854 2012 1290529 1290529 1290529 2013 1386939 1386939 1386939 2014 1322930 1322930 1322930 2015 1735686 1660302 1803485 2016 1996260 1875811 2107675 2017 2294292 2117633 2461458 2018 2634533 2388455 2872154 2019 3022133 2691095 3347877 2020 3462610 3028467 3897522 2021 3961789 3403531 4530702 2022 4525722 3819232 5257638 2023 5160564 4278422 6088963 2024 5872403 4783764 7035429 2025 6667048 5337626 8107480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3

lt그림 39gt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

한편 본 연구는 전체 제조업이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 26를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 나노산업이 전체 제조업 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해 보았다 전체 제조업은 초기 성장 단계를 지나 이미 성숙기에 도달한 산업

이고 모든 제조업을 종합한 결과치로서 향후 급속한 변화가 진행되지 않을 것으

로 기대되기 때문에 연평균 성장률을 적용해도 무리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분석 결과 2014년 기준 전체 제조업에서 89를 차지하는 나노산업이 2025년

기준 3368 비중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나노산업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약 25p 증가함을 의미하며 앞으로 나노기술이 전체 제조업의

상당수를 점유하는 수준까지 성장할 수 있을 것임을 기대하게 한다

lt표 21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비교

(단위 억원)

  제조업 매출 합계 나노산업 매출 예측 나노산업 비중

2010 13395480 880470 657

2011 15023530 922854 614

2012 15114951 1290529 854

2013 14957302 1386939 927

2014 14865742 1322930 890

2015 15257862 1735686 1138

2016 15660324 1996260 1275

2017 16073403 2294292 1427

2018 16497377 2634533 1597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4

  제조업 매출 합계 나노산업 매출 예측 나노산업 비중

2019 16932535 3022133 1785

2020 17379171 3462610 1992

2021 17837588 3961789 2221

2022 18308097 4525722 2472

2023 18791017 5160564 2746

2024 19286675 5872403 3045

2025 19795407 6667048 3368

제조업의 2015~2025년 매출액 합계는 2010~2014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 26를 적용하여 도출함

52 세부 산업별 매출액 예측

본 연구는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각 세부

산업별 매출액을 나누어 도출하였다 이를 순서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나노소재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

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0조5천억원 대비 143161 성장할 것으로 예측

된 것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205조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10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6)

lt그림 40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6) 나노소재 산업이 특별히 고성장할 것이라는 예측 결과는 사전에 실시된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 조사(이곳에 정확한 보고서 이름 명기 필요)에서 나노소재 예상 매출액(2014~2018)이 상당히 높게 예측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결과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lsquo조사에 참여한 나노산업 전문가들이 다양한 중간재로 투입되는 나노기술을 나노소재 산업으로 인식하여 객관적인 사실보다 소재 산업을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했을 가능성이 있다lsquo라고 평가한 의견이 있었음을 밝혀둔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5

lt표 22gt 나노소재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2010 87191 87191 87191 2011 111370 111370 111370 2012 96651 96651 96651 2013 144391 144391 144391 2014 104664 104664 104664 2015 189068 174387 198871 2016 233173 207981 252008 2017 287479 247989 319229 2018 354301 295609 404194 2019 436454 352257 511478 2020 537351 419593 646764 2021 661109 499565 817073 2022 812669 594442 1031017 2023 997914 706863 1299050 2024 1223787 839874 1633696 2025 1498380 996963 2049695

나노전자(소자)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511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19조원 대비 4282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

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598조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429조원

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41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6

lt표 23gt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2010 770863 770863 770863

2011 785380 785380 785380

2012 1170282 1170282 1170282

2013 1215753 1215753 1215753

2014 1193383 1193383 1193383

2015 1516825 1457375 1573551

2016 1731242 1637921 1821832

2017 1972768 1838296 2105366

2018 2243828 2059983 2427787

2019 2546746 2304383 2792607

2020 2883611 2572743 3203008

2021 3256119 2866071 3661548

2022 3665365 3185037 4169800

2023 4111604 3529850 4727903

2024 4593963 3900123 5334038

2025 5110141 4294726 5983862

나노바이오의료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1조3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되

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7천억원 대비 1795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 것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1조8천억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우 1조1천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42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7

lt표 24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2010 2718 2718 2718

2011 2934 2934 2934

2012 4444 4444 4444

2013 4126 4126 4126

2014 7249 7249 7249

2015 4870 5338 5406

2016 5373 5744 6100

2017 5928 6180 6883

2018 6540 6649 7765

2019 7216 7154 8762

2020 7961 7698 9885

2021 8783 8282 11153

2022 9690 8911 12583

2023 10691 9587 14197

2024 11795 10315 16017

2025 13013 11098 18071

마지막으로 나노장비기기 시장은 평균값 기준 2025년 약 4조6천억원 규모로 성

장 예측되었다 이는 2014년 현재 약 1조8천억원 대비 25810 성장할 것으로 예

측된 것이다 전문가 의견 최대값을 반영할 경우 5조6천억원 최소값을 반영할 경

우 3조5천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lt그림 43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88

lt표 25gt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2025년 매출액 예측값 비교

(단위 억원)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2010 19698 19698 19698 2011 23170 23170 23170 2012 19152 19152 19152 2013 22669 22669 22669 2014 17634 17634 17634 2015 24923 23201 25657 2016 26472 24164 27735 2017 28117 25168 29980 2018 29863 26213 32407 2019 31717 27301 35030 2020 33686 28434 37865 2021 35777 29613 40928 2022 37997 30842 44237 2023 40354 32121 47814 2024 42857 33453 51678 2025 45514 34839 55852

지금까지 분석한 각 산업별 성장률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재 가장 최

근값인 2014년 대비 2025년 예상 매출액의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lt표 26gt 국내 나노산업 매출액 전망 연도별 세부산업별 데이터 (단위 억원 )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국내 나노산업은 나노소재 산업이 가장 큰 성장 잠

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 다음으로 나노전자(소자) 나노장비기기

나노바이오의료 순서로 예상되었다

단 본 조사는 당시 가장 최근값인 2013년 데이터까지 활용하여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실제 2014년도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전년도 대비 매우 큰 폭으

로 상승하였기 때문에 본 조사의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미래 예상 매출액이 과

소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나노바이오 산업은

201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493를 보였는데 2014년 전년 대비 17569으로 성

장하여 과거와는 다른 급격한 성장을 보였다

  2014년 (성장 예상) 2025년 성장률()

나노소재 104664 rarr 1498380 143161

나노전자(소자) 1193383 rarr 5110141 42821

나노바이오의료 7249 rarr 13013 17951

나노장비기기 17634 rarr 45514 25810

Total 1322930 rarr 6667048 50396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89

한편 전체 나노산업 매출에서 각각의 산업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lt그림 44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lt표 27gt 국내 나노산업별 매출액 전망 비중 비교 2025 Vs 2014

위의 표와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2025년 기준 전체 나노시장에서 나노소재

2247 나노전자(소자) 7665 나노바이오의료 020 나노장비기기 068를 차

지할 전망이다 2014년 현재 기준 나노전자(소자) 산업의 비중이 줄어들고 나노소

재 산업의 비중이 크게 늘어날 전망으로 파악된다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 여전히 적은 비중을 차지할 전망이다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종합

2025년

예상매출1498380 5110141 13013 45514 6667048

비중() 2247 7665 020 068 100

Vs

2014년

현재매출104664 1193383 7249 17634 1322930

비중 791 9021 055 133 100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0

53 민감도 분석 시나리오 기반 매출액 변화

531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예측치 보정할 경우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최근 나노산업에서 바이오의료 분야가 급속히 성장하였

다 다음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010년부터 점진적인 상승세를 보이던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14년 약 2배에 가까운 급성장을 기록하였다

lt그림 45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최근 급속한 성장세

(단위 억원)

그런데 본 연구가 진행된 시점은 2014년 매출액 발표 직전이었기 때문에 조사

에 참여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전문가들은 2013년까지의 매출 변화만을 보고

미래 매출액(2014~2018년)을 예측하였다 실제로 산업전문가들의 2014년 나노바이

오의료 산업 매출액 예상액은 4430억원이었다 즉 실제 매출액값 대비 3889

적게 예측한 것이다

lt표 2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2014년 예상 매출액 Vs 실제 매출액

  나노바이오의료

2014 예측값 4430

2014 실제값 7249

오류 -3889

이에 따라 본 연구의 Diffusion Model에 적용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15~2018년

전문가 매출 예측액도 이와 같이 과소평가되어 도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91

본 연구는 2015년~2018년값을 2014년 과소평가된 만큼 상향 보정한 후 다시 2025년

나노시장 매출 규모를 예측하였다

이 경우 나노바이오시장은 2025년 평균 기준 4조6천억원 시장으로 성장되며 이

는 2014년 대비 62965 성장을 전망하게 한다 전체 나노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

도 약 068로 다소 상승될 것으로 예상되나 전체 나노시장 규모에 전반적으로

큰 영향은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lt그림 46gt 2025년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예상 매출액 (보정값)

lt그림 47gt 2025년 국내 나노산업별 비중 비교 (보정값)

한편 이렇게 보정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매출액 예측을 국내 나노시장 전

체 매출액에 적용할 경우 국내 전체 나노시장은 670조원 규모로 추가 상승할 여

력이 발생한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2

lt그림 48gt 나노바이오의료 산업 보정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산업 매출 예상

532 나노소재 전자 산업 수준으로 발전할 경우

본 연구 분석 결과 2014년 현재 2025년 모두 나노전자(소자) 나노소재 산업이

나노산업 매출에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직까지 나노바이오의료

산업과 나노장비기기 산업은 전체 나노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미미한 편이다

이는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예측치값을 보정하였을 경우에도 큰 차이 없이 발

견된 공통적 현상이었다

이는 국내 나노산업에서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

우 크고 앞으로도 이 분야에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고 해석할 수 있는 결과

이다 본 연구는 만약 모든 산업이 나노전자(소자) 혹은 나노소재 산업과 같이 고

성장할 경우 국내 나노산업이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지 시나리오 기반의 민감

도 분석을 실시해보았다 즉 나노산업을 최대한 긍정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경우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지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각 나노산업별로 혁신계수(p) 모방계수(q)를 각각 추정하였기 때문에

특정 산업에서 추정된 계수를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경우 어떠한 변화

가 관측될지 분석이 가능하다

먼저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소재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

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되었다 한편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전자

(소자)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준 약 1411조원 시장으

로 성장 전망되었다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93

lt그림 49gt 모든 산업이 나노전자 혹은 나노소재 산업 수준으로 성장할 경우

lt표 29gt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수준 성장 적용 시 예상 매출액

  기존 예측값 나노소재 수준 나노전자(소자)수준

2010 880470 880470 880470

2011 922854 922854 922854

2012 1290529 1290529 1290529

2013 1386939 1386939 1386939

2014 1322930 1322930 1322930

2015 1735686 1583819 3929768

2016 1996260 1942178 4499727

2017 2294292 2377810 5146455

2018 2634533 2905467 5878440

2019 3022133 3541772 6704519

2020 3462610 4304962 7633691

2021 3961789 5214339 8674840

2022 4525722 6289290 9836377

2023 5160564 7547763 11125754

2024 5872403 9004111 12548875

2025 6667048 10666299 14109365

533 혁신계수(p)가 상승할 경우

Diffusion Model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형의 p q값을 추정하여 미래 수요

를 예측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추정된 p q값에 따라 미래 확산 패턴은 매

우 다양한 특징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에서 각 세부 나노산업별로 추정된 p q 값

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4

lt표 30gt 나노산업별 p q 추정값 비교

그런데 본 연구 결과 관찰된 나노산업의 특징은 다른 일반적인 산업의 확산모형

추정값에 비해 p값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일반 소비재 산업의

경우 대부분의 p값은 001~01 사이에서 추정되는 경우가 많다

lt그림 50gt 일반적인 소비재 제품의 혁신계수값 비교

물론 본 연구는 최종 수용자 인원 기준 추정이 아닌 매출액 기준 추정이고 일

반 소비재와는 다른 B2B 제품이 많은 나노산업의 특성상 직접적인 비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와 비슷한 기반 산업이라 볼 수 있는 반도체 시장의

한 연구에서 얻어진 p q 추정값과 비교해도 나노전자 산업을 제외하면 일반적으

로 혁신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김진 고경일 2014의

연구에서 p = 00006 q = 00509)

  나노소재 나노전자(소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p 000023 000291 000001 000007

q 023464 015098 010333 006226

R square 093 096 062 061

제4장 2025년 국내 나노시장 총규모 예측 결과

95

lt그림 51gt 다른 연구(김진 고경일 2014)에서 추정된 p q 값의 예

일반적으로 Diffusion Model의 혁신계수(p)는 같은 제품을 이미 받아들인 소비자

들의 영향 없이 기업의 마케팅 활동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독자적으로 해당 제품을

수용하는 효과를 의미한다(Bass 1969 Mahajan et al 1990) 반대로 모방계수(q)가

높을 경우 나와 같은 주변 소비자들이 해당 제품을 많이 받아들이는 것에 영향을

받아서 제품을 수용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p를 혁신계수 q를

모방계수라고 부르게 된다

이를 본 연구의 나노산업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해석이 가능하다 p값이 낮다

는 것은 나노기업들이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독자적으로 나노제품을 개발하여 시

장에 내놓는 것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다른 나노제품 생산 기

업들이 얼마나 많은 제품을 개발 출시하는지 아직 눈치를 보고 있는 실정이라고

도 유추해 볼 수 있다 나노산업에서 p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q값은 바로 이

러한 모방효과가 나노산업에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이라고 해석할 수 있기 때

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만약 나노 관련 정부기관 등의 적극적인 투자 지원 등이 실행되

어 시장의 혁신계수(p) 값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경우의 국내 나노시장 매출 예측액

이 얼마나 크게 변화할 수 있을지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6

lt그림 52gt 나노시장의 혁신계수값이 변화할 경우 민감도 분석

lt표 31gt 혁신계수값 변화에 따른 나노산업 예측 규모 비교

(단위 억원)

  기존예측값 15p 2p

2010 880470 877752 880470

2011 922854 919920 922854

2012 1290529 1286085 1290529

2013 1386939 1382813 1386939

2014 1322930 1315681 1322930

2015 1735686 2149136 2574977

2016 1996260 2467240 2950618

2017 2294292 2829300 3376107

2018 2634533 3240309 3856425

2019 3022133 3705491 4396561

2020 3462610 4230213 5001356

2021 3961789 4819856 5675311

2022 4525722 5479653 6422356

2023 5160564 6214488 7245601

2024 5872403 7028659 8147069

2025 6667048 7925604 9127423

물론 구체적으로 어떤 정책과 지원을 실행할 경우 15p 2p가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세 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만 본 연구는 현재 나노산업의

혁신계수가 외부적인 노력에 의해 추가 상승될 경우 향후 국내 나노산업 시장이

더욱 성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존재함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97

제5장결론 및 시사점

1 결과 요약

나노산업은 국가 미래 발전을 위한 핵심 성장 동력 중 하나로 최근 본격적인

성장 산업으로서의 모습을 갖추며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향후 나노산업이 국내

산업과 국민 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안할 때 나노산업의 확산 및 미래 시장

규모 예측은 필수적이다

모든 나노산업 정책의 출발점은 미래 시장 규모 예측에 근거한다 정부 및 관련

연구기관 나노기업들의 미래 투자 및 고용 제품 생산 규모 등 거의 모든 사항은

국내 나노시장이 얼마나 더 성장할 것인지에 대한 예측을 활용할 수밖에 없기 때

문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 나노산업의 미래 예측은 해외 유명 기관 학자들의 의견

을 그대로 따르거나 혹은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을 활용한 단순한 방법론에

의해 추정된 것이 대부분이다 일례로 Roco 박사가 제시한 2020년 나노산업 3조

달러 성장 예측은 국내외 다양한 보고서 신문자료 등에서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과거 연평균성장률은 이미 성숙기에 도달한 안정적 산업에 적용하

는 것이 적합하며 나노기술과 같이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

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를 예측하

고자 하였다 Diffusion Model이라는 계량적 모델과 일반소비자 조사 나노산업 전

문가 의견 조사라는 정성적 방법을 종합하여 2025년 국내 나노기술 시장 규모를

예측하였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나노기술 시장은 2025년 약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전망되었으며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시장 대비 약 504배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만약 전체 제조

업이 2010~2014년 연평균성장률 26를 유지한다고 가정할 경우 2014년 기준 현

재 전체 제조업에서 89를 차지하는 나노산업이 2025년 기준 3368으로 비중

확대될 전망이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98

lt표 32gt 주요 결과 요약

구분 주요 결과 요약

2025년 국내 전체 나노시장 규모

- 평균값 기준 6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 2014년 현재 약 130조원 대비 약 504배(504) 성장 예상

- 최대값 기준 8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 최소값 기준 534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2025년 국내 나노소재 시장 규모- 202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143161 성장 예상

2025년 국내 나노전자(소자) 시장 규모- 2025년 약 511조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42821 성장 예상

2025년 국내 나노바이오의료 시장 규모- 2025년 약 1조3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17951 성장 예상

2025년 국내 나노장비기기 시장 규모- 2025년 약 4조6천억원 규모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25810 성장 예상

전체 제조업에서 나노산업의 비중

- 2014년 기준 전체 제조업에서 89를 차지하는 나노산업이

2025년 3368 비중으로 확대될 전망

- 나노산업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약 25p 증가함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의

2014년 급격한 성장 반영할 경우

민감도 분석

- 2025년 평균 기준 4조6천억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 2014년 대비 62965 성장 예상

- 이 경우 전체 나노산업 시장도 670조원으로 다소 늘어날 전망

모든 나노산업이

나노소재 산업과 같은 패턴으로 성장할 경우

민감도 분석

- 2025년 평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모든 나노산업이

나노전자(소자) 산업과 같은 패턴으로 성장할

경우 민감도 분석

- 2025년 평균 기준 약 14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예측

나노산업의 혁신계수(p)가 증가할 경우

민감도 분석

- 혁신계수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

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

-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 나노시장

은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

한편 전문가 예측 의견의 최대값 최소값을 각각 Diffusion 모형에 반영할 경우

2025년 국내 나노시장의 규모의 최대값은 811조 최소값은 534조로 각각 예측되

었다

또한 나노산업을 세부 산업으로 구분할 경우 2025년 나노소재 150조원 나노전

자(소자) 511조원 나노바이오의료 13조원 나노장비기기 46조원 시장을 각각 형

성할 전망이다 이를 산업별 비중으로 비교하면 2025년 기준 전체 나노시장에서

나노소재는 2247 나노전자(소자)는 7665 나노바이오의료는 020 나노장비

기기는 068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2014년 현재와 비교할 경우 나노

소재 시장의 비중이 늘어나고 나노전자(소자) 시장의 비중이 다소 줄어들 것을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99

예측하게 한다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우에는 여전히 적은 비중

을 차지할 전망이다

한편 본 연구는 몇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한 민감도 분석도 실시하였다 우선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이 2014년도 특별히 크게 성장한 점을 반영하여 예측값을 보

정할 경우 나노바이오의료 산업은 2025년 4조6천억원 시장으로 예상되며 이 경

우 나노시장의 총규모도 670조원으로 상승 예상된다

만약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소재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준 약 1067조원 시장으로 성장 전망되었다 또한 모든 나노시장이 나노전자(소

자) 산업과 비슷한 형태로 성장한다면 2025년 평균 기준 약 1411조원 시장으로

성장 전망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투자 지원 확대 등으로 혁신계수 추정값이 50 증가하여

15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79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만약 혁신계수 추정값이 100 증가하여 2p가 될 경우 나노시장은 전체 약

913조원까지 성장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량적 정성적 방법을 종합하여 국내 나노시장의 매출 규모를 예측

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시장 매출 데이터가 아직 적은 편이어서 향후 매출 예측

결과값이 민감하게 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지속적으로 활용

하여 나노시장 예측값을 계속 보완해나갈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도출 및 제언

본 연구 결과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앞으로 국내 나노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나노관련 정부 기관 및 나노기업들은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

된 산업별 시장 규모에 적합한 투자 정책 개발 등 적극적인 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특별히 나노산업을 계속적으로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나노소재와 나노전자

(소자) 산업의 성장 배경을 면 히 분석하여 이를 나노 전 산업으로 공통적으로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반대로 나노바이오의료 산업과 나노장비기기 산업의 경

우에는 상대적으로 성장이 크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추가 지원 및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에 앞서 실행된 일반소비자의 나노기술 인식 및 나노산업 전문가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0

의견 조사와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향후 나노산업의 추가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시장에서 급속한 성장을 보이는 나노산업이지만

여전히 일반소비자들은 나노기술의 지각된 위험 등 혁신 저항 요인을 많이 인식

한다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2014년 현재 약 130조원의 나노산업이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6년 실시된

조사에서 일반적인 소비자들은 나노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대부분 lsquo사용한 적 없

다 혹은 잘 모르겠다rsquo라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나노기술 관련 정보를 제시하는

동영상을 시청한 후 나노기술 특징 품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급격하게 증

가함 역시 확인하였다 이는 나노기술의 혜택에 대한 홍보가 적절히 실시될 경우

현재의 성장 속도보다 더욱 빠른 나노산업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해주

는 결과이다

향후 나노기업 및 정책 개발자들은 일반 소비자들이 어떤 부분에서 나노기술의

혜택을 크게 느끼고 어떤 부분에서 위험 요인을 많이 인식하는지 보다 면 히 파

악하여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나노산업 전문가들의 단기적 나노산업 매출 예측치를

Diffusion Model의 주요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다 하지만 앞서 실행된 나노산업

전문가 의견 조사에서 산업전문가들과 일반인들의 나노기술 인식 차이가 존재함

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칫 나노산업에 대한 시장 예측이 다소 긍정적으로 예측되

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전문가들이 나노기술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나치

게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나노산업의 매출도 긍정적으로 예측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나노산업이 더욱 성장하기 위해서는 일반 소비자들의 나노기술 수용이 절대적

이다 앞으로 이와 같은 나노산업 인식 및 매출 예측 조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

어 시장 매출 예측치의 값을 계속 업데이트해가며 보완해나갈 필요가 있다

3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나노산업의 미래 시장 규모 예측은 모든 나노 관련 정책의 가장 기본적인 토대

이다 본 조사 결과는 각종 나노산업 통계 및 예측의 기초 자료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으며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 방향 및 전략 도출을 위한 세부적인 분석 및 시

사점 제안을 가능하게 한다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01

예를 들어 국내 나노기업은 본 조사 결과를 활용해 향후 나노시장의 성장에 대

비한 적절한 투자와 인력 충원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나노 관련

정책을 개발하는 정부 기관 연구소들도 미래 나노시장의 잠재적 규모에 근거한

관련 정책을 개발 및 지원할 수 있다

본 조사는 이를 위해 국내 나노시장의 성장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

근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수많은 나노 관련 연구들이 가장 중요한

미래 시장 규모 예측에 있어 비교적 단순한 방법을 적용했음을 감안할 때 본 연

구가 향후 국내 나노산업이 보다 체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나노시장 예측을 기존처럼 해외 유명 학자 기관 등의 자료에 의존하지 않고 국

내에서 스스로 체계적으로 도출해낼 수 있다는 점은 향후 우리나라가 나노기술

분야의 최고 선진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초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단 현

재 국내의 나노산업 매출 데이터가 아직 충분하지 않아 예측 결과값이 민감하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향후 지속적인 업데이트 과정을 통해 미래 나노산업 예측을

계속하여 보완해나가야 있다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2

참 고 문 헌

교육과학기술부(2012) 나노소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제조 및 활용 기준 확립과

사회적 영향연구 교육과학기술부

구훈영 민대기(2013) ldquo델파이 활용 신재생 에너지 수요예측과 장기전원 구성의

경제성 평가rdquo 대한산업공학회지 39(3) 183-191

권성훈 홍순기(2009) ldquo델파이 기술예측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에 관한 연구rdquo

기술혁신연구 17(1) 97-117

권순동 이승률 (2015) ldquoBass확산모형과 특허정보를 이용한 한국형 오픈소스 모션

플랫폼의 기술수요예측rdquo 대한산업공학회지 11 2271-2275

김병수(2009) ldquo기술성장모형에 기반한 기술수준평가방법론 연구rdquo 한국과학기술

기획평가원 연구보고서 2010(23) 1-244

김상훈(2008) 하이테크마케팅 박영사

김석필 정상기 김동현 정다래 권으뜸 김명순(2013) ldquo나노기술 상용화 현황 진

단과 혁신과제rdquo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김선아 김호정 홍용석(2013) ldquo나노물질 안전관리 동향 및 제도 도입에 관한 고

찰rdquo 환경정책연구 12(3) 49-71

김영욱 이현승(2014) ldquo미디어 레퍼토리 위험특성과 위험커뮤니케이션 인식이 원

자력 수용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rdquo 한국위기관리논집

10(4) 1-25

김원제 송해룡 김찬원(2016) ldquo과학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신뢰가 위험

인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나노기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위기관리논집

12(1) 69-81

김준현(2015)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신기술의 기술영향평가 나노기술의 사

회 영향평가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경영컨설팅학과 경영컨설팅

김진 고경일(2014) ldquo비선형회귀 확산모형을 이용한 반도체 시장수요 추정rdquo 디지

털정책연구 12(3) 141-147

김찬원 송해룡 김원제(2015) ldquo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전문가그룹 인식을 중심

으로rdquo 한국위기관리논집 11(6) 121-135

참고문헌

103

남기웅 박상성 신영근 정원교 장동식(2010) ldquo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의 예측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산학기술학회 10(10) 2923-2934

박덕용 이난영 이상호(2008) ldquo나노기술을 이용해 제작한 불소함유 접착필름의

치아우식증 예방효과rdquo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5(4) 662- 670

박희제(2013) ldquo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수용도rdquo 농촌사회 23(1)

327-367

반영주 고영훈 김우성 매유진 목진경 조한규(2014) ldquo나노마스크와 황사마스크

에 의한 토너가루와 담배연기 필터링 효과 비교rdquo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

회 자료집 2014(12) 233-235

배성훈 신광민 윤진선 강상규 김준현 성기완 이기광(2015) ldquo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나노기술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분석rdquo 산업

경영시스템학회지 38(3) 49-55

배성훈 신광민 윤진선 강상규 이솔희(2015) ldquo나노기술의 영향 평가 연구 사회

환경 문화 건강 안전을 중심으로rdquo 나노기술정책센터

산업통상자원부(2014) 2014나노융합산업 조사 보고서 산업통상자원부나노융합

산업협력기구산업연구원

산업통상자원부(2015) 2015 나노융합산업조사 산업통상자원부나노융합산업협력

기구

성지은 황만성(2012) 후기현대사회의 위험관리를 위한 형법 및 형사정책 연구

(Ⅰ)-나노공학기술과 위험관리 형사정책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손동민 문성현 정봉주(2014) ldquo국내 RFID 시장의 확산 분석 및 예측 모형rdquo 대한

산업공학회지 40(4) 415-423

송해룡 김원제(2015) ldquo다차원적 접근을 통한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신뢰가 위험인

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효과rdquo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36(-) 37-60

예기훈 성아영(2010) ldquo금 나노입자를 포함한 안의료용 고분자의 합성 및 물성에

관한 연구rdquo 대한화학회지 54(2) 222-227

오규운 김경훈(2016) ldquo나노기술의 디자인윤리경영과 나노기업의 사회적 책임rdquo

한국과학예술포럼 24(-) 265-276

오미영 외(2008) ldquo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 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용에 미치는 영향rdquo 한국언론

학보 52(1) 467-500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4

왕재선(2013) ldquo신뢰와 원자력 수용성rdquo 한국정책학회보 22(1) 235-266

위키백과(2015) 나노기술

윤승욱(2009) ldquoIPTV의 수용결정요인에 대한 연구rdquo 언론과학연구 9(1) 162-197

이세준 이윤준 홍정임(2008) ldquo통합적 미래연구 방법론의 탐색 및 적용rdquo 과학기

술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8(16) 1-229

이정진 김영훈 배은주 이수승 곽병규 최경희 이종협(2008) ldquo대한민국에서의

나노물질 위해성에 관한 일반인전문가 인식 설문조사rdquo 환경독성보건학회

지 23(4) 247-256

채현석 정재우 김종달(2016) ldquoBass 확산모형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수요예측rdquo 한

국환경정책학회 24(1) 109-132

최종후 강현철(2001)ldquo확산모형과 성장곡선모형을 이용한 중장기 수요예측에 관

한 연구rdquo 응용통계연구 14(2) 233-243

한민규 김병수 유지연 변순천(2010) ldquo기술성장모형에 기반을 둔 기술수준평가

결과 및 시사점 - 바이오칩센서기술을 중심으로rdquo 기술혁신학회지 13(2)

252-281

홍현수 박승 홍성대(2010) ldquo델파이기법을 적용한 생체인식시스템 기술예측rdquo 한

국산학기술학회 11(9) 3204-3209

Adams D A Nelson R R and Todd P A(1992) ldquo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Us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 Replicationrdquo MIS Quarterly

227-247

Ajzen I(1985)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rdquo

Action-control Springer Berlin Heidelberg 11-39

Bandura A(1977) ldquo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rdquo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Bass F(1969) ldquoA New Product Growth Model for Consumer Durablesrdquo Management

Science 15(5) 215-227

Bass F Krishnan T and Jain D(1994) Why the Bass Models Fits without Decision

Variablesrdquo Marketing Science 13 202-223

Biemans W G(1992) Managing Innovation within Networks Routledge

Butler J K(1991) ldquoToward Understanding and Measuring Conditions of Trust

Evolution of a Conditions of Trust Inventoryrdquo Journal of Management 17(3)

참고문헌

105

643-663

Canary D J and Seibold D R(1984) Attitudes and Behavior An Annotated

Bibliography Praeger Publishers

Covello V T Slovic P and Von Winterfeldt D(1986) Risk Communi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National Emergency Training Center

Cvetkovich G (1999)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nd R

Louml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Earthscan Publications

Ltd London 53ndash61

Davies J C(2008) Nanotechnology Oversight Washington DC Project on Emerging

Nanotechnologies

Davis F D(1989) ldquo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rdquo MIS Quarterly 319-340

Davis F D Bagozzi R P and Warshaw P R(1992) ldquo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to Use Computers in the Workplace1rdquo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2(14) 1111-1132

Dockner E and Jorgensen S(1988) Optimum Advertising Policies for Diffusion

Model of New Product Innovation in Monopolistic Situationsrdquo Management

Science 34(1) 119-130

Earle T C(2010) ldquoTrust in Risk Management A Model‐Based Review of Empirical

Researchrdquo Risk Analysis 30(4) 541-574

Earle T Siegrist M Gutscher H (2010) Trust Risk Perception and the TCC Model

of Cooperation In Earle T Siegrist M Gutscher H (Eds) Trust in Risk

Management Uncertainty and Scepticism in the Public Mind (pp 1-50) London

England Earthscan

Fishbein M and Ajzen I(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Flynn J Burns W Mertz C K and Slovic P(1992) ldquoTrust as a Determinant of

Opposition to a High‐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Analysis of a

Structural Modelrdquo Risk Analysis 12(3) 417-429

Fujita Y(2006) ldquoPerception of Nanotechnology Among General Public in Japanrdquo

Asia Pacific Nanotech Weekly 4 (6) 2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6

Hobson D W(2009) ldquoCommercialization of Nanotechnologyrdquo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Nanomedicine and Nanobiotechnology 1(2) 189-202

Kalil T A(2005) ldquoNanotechnology and the Valley of Deathrdquo Nanotechnol Law Bus

2(3) 265-268

Karahanna E Straub D W and Chervany N L(1999) ldquo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Across Time A Cross-Sectional Comparison of Preadoption and

Postadoption Beliefsrdquo MIS Quarterly 183-213

Kasperson R E Golding D and Tuler S(1992) ldquoSocial distrust as a Factor in

Siting Hazardous Facilities and Communicating Risksrdquo Journal of Social Issues

48(4) 161-187

Keeney S Hasson F and McKenna H(2011) The Delphi Techniquerdquo The Delphi

Technique in Nursing and Health Research 1-17

Kellens W Terpstra T and De Maeyer P(2013)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of Flood Risks A Systematic Review of Empirical Researchrdquo Risk Analysis

33(1) 24-49

Luhmann N(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in D

Gambetta(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Padstow

Cornwall Basil Blackwell Ltd 94-107

Macoubrie J(2004) Public Perceptions about Nanotechnology Risks Benefits and

Trustrdquo Journal of Nanoparticle Research 6(4) 395-405

Mahajan V Muller E and Bass F M(1990) New Product Diffusion Models

Market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Researchrdquo Journal of Marketing 54

1-26

McNeil R D Lowe J Mastroianni T Cronin J and Ferk D(2007) Barriers to

Nano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inal Report Prepared for US Department of

Commerce Technology Administrationrdquo Univercity of illinois at Springfield IL

httpswww ntis govpdfReport-BarriersNanotechnologyComme rcialization pdf

Midden C J and Huijts N(2009) The Role of Trust in the Affective Evaluation of

Novel Risks The Case of CO2 Storagerdquo Risk analysis 29(5) 743-751

Nel A Xia T Maumldler L and Li N(2006) Toxic Potential of Materials at the

Nanolevelrdquo Science 311(5761) 622-627

참고문헌

107

Oh S Lehto X Y and Park J(2009) Travelers Intent to Use Mobile

Technologies as a Function of Effort and Performance Expectancyrdquo Journal of

Hospitality Marketing amp Management 18(8) 765-781

Paton D(2008) Risk Communication and Natural Hazard Mitigation How Trust

Influences its Effectivenessrdquo International Journal of Global Environmental

Issues 8(1-2) 2-16

Putsis Jr W P and Srinivasan V(2000) Estimation Techniques for Macro Diffusion

Modelsrdquo New-Product Diffusion Models 11

Ram S(1987) A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rdquo NA-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ume 14

Ram S and Sheth J N(1989) ldquoConsumer Resistance to Innovations The Marketing

Problem and its Solutionsrdquo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6(2) 5-14

Roco M C(2014) Nanotechnology Research Trends in the USrdquo Korea-US Nano

Forum Seoul September 29

Roco M C Mirkin Chad A and Hersam M C(2010) WTEC Panel Report on

Nanotechnology Research Directions for Societal Needs in 2020 Retrospective

and Outlook Springer-Verlag New York

Rogers E M and Everett M(2003) Diffusion of Innovations 5th Edition Free

Pressrdquo New York

Rogers E M(1995) Definition of Innovation 4th Edition Free Press New York

Rogers E M(2003)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5thed) New York NY The Free

Press 2003

Roselius T(1971) ldquoConsumer Rankings of Risk Reduction Methodsrdquo Journal og

Marketing 35(-) 56-6

Rousseau D M Sitkin S B Burt R S and Camerer C(1998) ldquoNot so Different

After All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rdquo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3) 393-404

Schmittlein D and V Mahajan(1982) ldquo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an

Innovation Diffusion Model of New Product Acceptancerdquo Marketing Science

1(1) 57-78

Seong J E and Hwang M S(2012) Studies on the Risk-Governing Criminal Law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108

and Criminology in the Late-modern Society (1) Risk-governance Criminal

Justice and Criminology in Nanotechnologyrdquo Series of Research 3 1-52

Shah J and and Higgins E T(1997) Expectancy times Value Effects Regulatory Focus

as Determinant of Magnitude and Directionrdquo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3) 447-458

Sheth J N(1981) ldquoPsychology of Innovation Resistance The Less Developed

Concept in Diffusion Researchrdquo Research in Marketing 4 273-282

Siegrist M and Cvetkovich G(2000) Perception of Hazards The Role of Social

Trust and Knowledgerdquo Risk Analysis 20(5) 713-720

Siegrist M Cousin M E Kastenholz H and Wiek A(2007) Public Acceptance

of Nanotechnology Foods and Food Packaging The Influence of Affect and

Trustrdquo Appetite 49(2) 459-466

Slovic P(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rdquo Risk Analysis 13(6)

675-682

Srinivasan V and Charlotte H M(1986) ldquoNonlinear Least Squares Estimation of

New Product Diffusion Modelsrdquo Marketing Science 5(2) 169-178

Trettin L and Musham C(2000) Is Trust a Realistic Goal of Environmental Risk

Communicationrdquo Environment and Behavior 32(3) 410-426

Van den Bulte C and Lilien G L(1997) Bias and Systematic Change in the

Parameter Estimates of Macro-level Diffusion Modelsrdquo Marketing Science 16(4)

338-353

Van den Bulte C and Stremersch S(2004) Social Contagion and Income

Heterogeneity in New Product Diffusion A Meta-Analytic Testrdquo Marketing

Science 23(4) 530-544

Venkatesh V and Bala H(2008) ldquoTechnology Acceptance Model 3 and a Research

Agenda on Interventionsrdquo Decision Sciences 39(2) 273-315

Venkatesh V and Davis F D(2000) ldquo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rdquo Management Science 46(2)

186-204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and Davis F D(2003) ldquo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rdquo MIS Quarterly 27(3)

참고문헌

109

425-478

Venkatraman N Loh L and Koh J(1994) The Adoption of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s a Test of Competing Diffusion Modelsrdquo Management Science

40(4) 496-507

Vernon R (1966) International Investment and International Trade in the Product

Cyclerdquo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90-207

Wachinger G Renn O Begg C and Kuhlicke C(2013) The Risk Perception

Paradoxmdashimplications for Governance and Communication of Natural Hazardsrdquo

Risk Analysis 33(6) 1049-1065

Wiesner M R G V Lowry K Jones J M H Gochella R T Di Giulio E

Casman and E S Bernhardt(2009) Decreasing Uncertainties in Assessing

Environmental Exposure Risk and Ecological Implications of Nanomaterialsrdquo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3(17) 6458-6462

Wittmaack K(2007) In Search of the Most Relevant Parameter for Quantifying Lung

Inflammatory Response to Nanoparticle Exposure Particle Number Surface Area

or Whatrdquo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87-194

Zaltman G and Wallendorf M(1983) Consumer Behavior Basic Findings and

Management Implications New York John wiley and Son

나노기술 확산 및 영향평가

2025년 국내 나노시장 규모 예측

인 쇄

발 행

발 행 인

발 행 처

주 소

전 화

인 쇄 처

2017년 4월

2017년 4월

한 선 화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02)3299-6253

(주)승림디엔씨 (02)2271-2581

lt비매품gt

ltlt ASCII85EncodePages false AllowTransparency false AutoPositionEPSFiles true AutoRotatePages None Binding Left CalGrayProfile (Dot Gain 20) CalRGBProfile (sRGB IEC61966-21) CalCMYKProfile (US Web Coated 050SWOP051 v2) sRGBProfile (sRGB IEC61966-21) CannotEmbedFontPolicy Error CompatibilityLevel 14 CompressObjects Tags CompressPages true ConvertImagesToIndexed true PassThroughJPEGImages true CreateJobTicket false DefaultRenderingIntent Default DetectBlends true DetectCurves 00000 ColorConversionStrategy CMYK DoThumbnails false EmbedAllFonts true EmbedOpenType false ParseICCProfilesInComments true EmbedJobOptions true DSCReportingLevel 0 EmitDSCWarnings false EndPage -1 ImageMemory 1048576 LockDistillerParams false MaxSubsetPct 100 Optimize true OPM 1 ParseDSCComments true ParseDSCCommentsForDocInfo true PreserveCopyPage true PreserveDICMYKValues true PreserveEPSInfo true PreserveFlatness true PreserveHalftoneInfo false PreserveOPIComments true PreserveOverprintSettings true StartPage 1 SubsetFonts true TransferFunctionInfo Apply UCRandBGInfo Preserve UsePrologue false ColorSettingsFile () AlwaysEmbed [ true ] NeverEmbed [ true ] AntiAliasColorImages false CropColorImages true ColorImageMinResolution 300 Color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ColorImages true ColorImageDownsampleType Bicubic ColorImageResolution 300 ColorImageDepth -1 ColorImageMinDownsampleDepth 1 Color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ColorImages true Color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ColorImages true ColorImageAutoFilterStrategy JPEG ColorACS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Color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JPEG2000ColorACS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JPEG2000Color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AntiAliasGrayImages false CropGrayImages true GrayImageMinResolution 300 Gray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GrayImages true GrayImageDownsampleType Bicubic GrayImageResolution 300 GrayImageDepth -1 GrayImageMinDownsampleDepth 2 Gray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GrayImages true Gray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GrayImages true GrayImageAutoFilterStrategy JPEG GrayACS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GrayImageDict ltlt QFactor 015 HSamples [1 1 1 1] VSamples [1 1 1 1] gtgt JPEG2000GrayACS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JPEG2000GrayImageDict ltlt TileWidth 256 TileHeight 256 Quality 30 gtgt AntiAliasMonoImages false CropMonoImages true MonoImageMinResolution 1200 Mono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MonoImages true MonoImageDownsampleType Bicubic MonoImageResolution 1200 MonoImageDepth -1 Mono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MonoImages true MonoImageFilter CCITTFaxEncode MonoImageDict ltlt K -1 gtgt AllowPSXObjects false CheckCompliance [ None ] PDFX1aCheck false PDFX3Check false PDFXCompliantPDFOnly false PDFXNoTrimBoxError true PDFXTrimBoxToMedia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SetBleedBoxToMediaBox true PDFXBleedBoxToTrim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OutputIntentProfile () PDFXOutputConditionIdentifier () PDFXOutputCondition () PDFXRegistryName () PDFXTrapped False CreateJDFFile false Description ltlt ARA ltFEFF06270633062A062E062F0645002006470630064700200627064406250639062F0627062F0627062A002006440625064606340627062100200648062B06270626064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645062A064806270641064206290020064406440637062806270639062900200641064A00200627064406450637062706280639002006300627062A0020062F0631062C0627062A002006270644062C0648062F0629002006270644063906270644064A0629061B0020064A06450643064600200641062A062D00200648062B0627062606420020005000440046002006270644064506460634062306290020062806270633062A062E062F06270645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648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6250635062F0627063100200035002E0030002006480627064406250635062F062706310627062A0020062706440623062D062F062B002E0635062F0627063100200035002E0030002006480627064406250635062F062706310627062A0020062706440623062D062F062B002Egt BGR ltFEFF04180437043f043e043b043704320430043904420435002004420435043704380020043d0430044104420440043e0439043a0438002c00200437043000200434043000200441044a043704340430043204300442043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8002c0020043c0430043a04410438043c0430043b043d043e0020043f044004380433043e04340435043d04380020043704300020043204380441043e043a043e043a0430044704350441044204320435043d0020043f04350447043004420020043704300020043f044004350434043f0435044704300442043d04300020043f043e04340433043e0442043e0432043a0430002e002000200421044a04370434043004340435043d0438044204350020005000440046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80020043c043e0433043004420020043404300020044104350020043e0442043204300440044f044200200441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43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43800200441043b0435043404320430044904380020043204350440044104380438002egt CHS ltFEFF4f7f75288fd94e9b8bbe5b9a521b5efa7684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65876863900275284e8e9ad88d2891cf76845370524d53705237300260a853ef4ee54f7f752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548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4ee553ca66f49ad87248672c676562535f00521b5efa768400200050004400460020658768633002gt CHT ltFEFF4f7f752890194e9b8a2d7f6e5efa7acb7684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65874ef69069752865bc9ad854c18cea76845370524d5370523786557406300260a853ef4ee54f7f752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548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4ee553ca66f49ad87248672c4f86958b555f5df25efa7acb76840020005000440046002065874ef63002gt CZE ltFEFF005400610074006f0020006e006100730074006100760065006e00ed00200070006f0075017e0069006a007400650020006b0020007600790074007600e101590065006e00ed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16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06b00740065007200e90020007300650020006e0065006a006c00e90070006500200068006f006400ed002000700072006f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e00ed0020007400690073006b00200061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e002000200056007900740076006f01590065006e00e9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90020005000440046002000620075006400650020006d006f017e006e00e90020006f007400650076015900ed007400200076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50063006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10020006e006f0076011b006a016100ed00630068002egt DAN ltFEFF004200720075006700200069006e0064007300740069006c006c0069006e006700650072006e0065002000740069006c0020006100740020006f0070007200650074007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72002c0020006400650072002000620065006400730074002000650067006e006500720020007300690067002000740069006c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d007500640073006b007200690076006e0069006e00670020006100660020006800f8006a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74002e0020004400650020006f0070007200650074007400650064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720020006b0061006e002000e50062006e006500730020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6c006c00650072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f00670020006e0079006500720065002egt DEU ltFEFF00560065007200770065006e00640065006e0020005300690065002000640069006500730065002000450069006e007300740065006c006c0075006e00670065006e0020007a0075006d002000450072007300740065006c006c0065006e00200076006f006e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4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6e002c00200076006f006e002000640065006e0065006e002000530069006500200068006f0063006800770065007200740069006700650020005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d0044007200750063006b0065002000650072007a0065007500670065006e0020006d00f60063006800740065006e002e002000450072007300740065006c006c007400650020005000440046002d004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6b00f6006e006e0065006e0020006d00690074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75006e0064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f0064006500720020006800f600680065007200200067006500f600660066006e00650074002000770065007200640065006e002egt ESP ltFEFF005500740069006c0069006300650020006500730074006100200063006f006e0066006900670075007200610063006900f3006e00200070006100720061002000630072006500610072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50004400460020006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61006400650063007500610064006f00730020007000610072006100200069006d0070007200650073006900f3006e0020007000720065002d0065006400690074006f007200690061006c00200064006500200061006c00740061002000630061006c0069006400610064002e002000530065002000700075006500640065006e002000610062007200690072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500610064006f007300200063006f006e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79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e0065007300200070006f00730074006500720069006f007200650073002egt ETI ltFEFF004b00610073007500740061006700650020006e0065006900640020007300e400740074006500690064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6500740073006500200074007200fc006b006900650065006c007300650020007000720069006e00740069006d0069007300650020006a0061006f006b007300200073006f00620069006c0069006b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9006400650020006c006f006f006d006900730065006b0073002e00200020004c006f006f006400750064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730061006100740065002000610076006100640061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d00690064006500670061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e0069006e0067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a00610020007500750065006d006100740065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f006e00690064006500670061002e000d000agt FRA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30065007a00200063006500730020006f007000740069006f006e00730020006100660069006e00200064006500200063007200e9006500720020006400650073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73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70006f0075007200200075006e00650020007100750061006c0069007400e90020006400270069006d007000720065007300730069006f006e00200070007200e9007000720065007300730065002e0020004c00650073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73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e900e90073002000700065007500760065006e0074002000ea0074007200650020006f007500760065007200740073002000640061006e0073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0610069006e007300690020007100750027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74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e007300200075006c007400e90072006900650075007200650073002egt GRE ltFEFF03a703c103b703c303b903bc03bf03c003bf03b903ae03c303c403b5002003b103c503c403ad03c2002003c403b903c2002003c103c503b803bc03af03c303b503b903c2002003b303b903b1002003bd03b1002003b403b703bc03b903bf03c503c103b303ae03c303b503c403b5002003ad03b303b303c103b103c603b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3c003bf03c5002003b503af03bd03b103b9002003ba03b103c42019002003b503be03bf03c703ae03bd002003ba03b103c403ac03bb03bb03b703bb03b1002003b303b903b1002003c003c103bf002d03b503ba03c403c503c003c903c403b903ba03ad03c2002003b503c103b303b103c303af03b503c2002003c503c803b703bb03ae03c2002003c003bf03b903cc03c403b703c403b103c2002e0020002003a403b10020005000440046002003ad03b303b303c103b103c603b1002003c003bf03c5002003ad03c703b503c403b5002003b403b703bc03b903bf03c503c103b303ae03c303b503b9002003bc03c003bf03c103bf03cd03bd002003bd03b1002003b103bd03bf03b903c703c403bf03cd03bd002003bc03b5002003c403bf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3c403b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3ba03b103b9002003bc03b503c403b103b303b503bd03ad03c303c403b503c103b503c2002003b503ba03b403cc03c303b503b903c2002egt HEB ltFEFF05D405E905EA05DE05E905D5002005D105D405D205D305E805D505EA002005D005DC05D4002005DB05D305D9002005DC05D905E605D505E8002005DE05E105DE05DB05D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5D405DE05D505EA05D005DE05D905DD002005DC05D405D305E405E105EA002005E705D305DD002D05D305E405D505E1002005D005D905DB05D505EA05D905EA002E002005DE05E105DE05DB05D90020005000440046002005E905E005D505E605E805D5002005E005D905EA05E005D905DD002005DC05E405EA05D905D705D4002005D105D005DE05E605E205D505E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5D5002D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5D505D205E805E105D005D505EA002005DE05EA05E705D305DE05D505EA002005D905D505EA05E8002E05D005DE05D905DD002005DC002D005000440046002F0058002D0033002C002005E205D905D905E005D5002005D105DE05D305E805D905DA002005DC05DE05E905EA05DE05E9002005E905DC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E002005DE05E105DE05DB05D90020005000440046002005E905E005D505E605E805D5002005E005D905EA05E005D905DD002005DC05E405EA05D905D705D4002005D105D005DE05E605E205D505E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5D5002D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5D505D205E805E105D005D505EA002005DE05EA05E705D305DE05D505EA002005D905D505EA05E8002Egt HRV (Za stvaranje Adobe PDF dokumenata najpogodnijih za visokokvalitetni ispis prije tiskanja koristite ove postavke Stvoreni PDF dokumenti mogu se otvoriti Acrobat i Adobe Reader 50 i kasnijim verzijama) HUN ltFEFF004b0069007600e1006c00f30020006d0069006e0151007300e9006701710020006e0079006f006d00640061006900200065006c0151006b00e90073007a00ed007401510020006e0079006f006d00740061007400e100730068006f007a0020006c006500670069006e006b00e1006200620020006d0065006700660065006c0065006c015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6d006f006b0061007400200065007a0065006b006b0065006c0020006100200062006500e1006c006c00ed007400e10073006f006b006b0061006c0020006b00e90073007a00ed0074006800650074002e0020002000410020006c00e90074007200650068006f007a006f00740074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6d006f006b00200061007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e9007300200061007a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c0020007600610067007900200061007a002000610074007400f3006c0020006b00e9007301510062006200690020007600650072007a006900f3006b006b0061006c0020006e00790069007400680061007400f3006b0020006d00650067002egt ITA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a007a006100720065002000710075006500730074006500200069006d0070006f007300740061007a0069006f006e006900200070006500720020006300720065006100720065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70006900f900200061006400610074007400690020006100200075006e00610020007000720065007300740061006d0070006100200064006900200061006c007400610020007100750061006c0069007400e0002e00200049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9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500610074006900200070006f00730073006f006e006f0020006500730073006500720065002000610070006500720074006900200063006f006e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2000760065007200730069006f006e006900200073007500630063006500730073006900760065002egt JPN ltFEFF9ad854c18cea306a30d730ea30d730ec30b951fa529b752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658766f8306e4f5c6210306b4f7f75283057307e305930023053306e8a2d5b9a30674f5c62103055308c305f0020005000440046002030d530a130a430eb306f3001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304a30883073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4ee5964d3067958b304f30533068304c3067304d307e305930023053306e8a2d5b9a306b306f30d530a930f330c8306e57cb30818fbc307f304c5fc59808306730593002gt KOR ltFEFFc7740020c124c815c7440020c0acc6a9d558c5ec0020ace0d488c9c80020c2dcd5d80020c778c1c4c5d00020ac00c7a50020c801d569d55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bb38c11cb97c0020c791c131d569b2c8b2e4002e0020c774b807ac8c0020c791c131b41c00200050004400460020bb38c11cb294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bc0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c774c0c1c5d0c11c0020c5f40020c2180020c788c2b5b2c8b2e4002egt LTH ltFEFF004e006100750064006f006b0069007400650020016100690075006f007300200070006100720061006d006500740072007500730020006e006f0072011700640061006d00690020006b007500720074006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73002c0020006b00750072006900650020006c0061006200690061007500730069006100690020007000720069007400610069006b007900740069002000610075006b01610074006f00730020006b006f006b007900620117007300200070006100720065006e006700740069006e00690061006d00200073007000610075007300640069006e0069006d00750069002e0020002000530075006b0075007200740069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10069002000670061006c006900200062016b007400690020006100740069006400610072006f006d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9007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10072002000760117006c00650073006e0117006d00690073002000760065007200730069006a006f006d00690073002egt LVI ltFEFF0049007a006d0061006e0074006f006a00690065007400200161006f00730020006900650073007400610074012b006a0075006d00750073002c0020006c0061006900200076006500690064006f0074007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73002c0020006b006100730020006900720020012b00700061016100690020007000690065006d01130072006f00740069002000610075006700730074006100730020006b00760061006c0069007401010074006500730020007000690072006d007300690065007300700069006501610061006e006100730020006400720075006b00610069002e00200049007a0076006500690064006f006a0069006500740020005000440046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50073002c0020006b006f00200076006100720020006100740076011300720074002000610072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75006e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c0020006b0101002000610072012b00200074006f0020006a00610075006e0101006b0101006d002000760065007200730069006a0101006d002egt NLD (Gebruik deze instellingen om Adobe PDF-documenten te maken die zijn geoptimaliseerd voor prepress-afdrukken van hoge kwaliteit De gemaakte PDF-documenten kunnen worden geopend met Acrobat en Adobe Reader 50 en hoger) NOR ltFEFF004200720075006b00200064006900730073006500200069006e006e007300740069006c006c0069006e00670065006e0065002000740069006c002000e50020006f00700070007200650074007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7200200073006f006d00200065007200200062006500730074002000650067006e0065007400200066006f00720020006600f80072007400720079006b006b0073007500740073006b00720069006600740020006100760020006800f80079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74002e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6e00650020006b0061006e002000e50070006e006500730020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6c006c0065007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6c006c00650072002000730065006e006500720065002egt POL ltFEFF0055007300740061007700690065006e0069006100200064006f002000740077006f0072007a0065006e00690061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f300770020005000440046002000700072007a0065007a006e00610063007a006f006e00790063006800200064006f002000770079006400720075006b00f30077002000770020007700790073006f006b00690065006a0020006a0061006b006f015b00630069002e00200020004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900200050004400460020006d006f017c006e00610020006f007400770069006500720061010700200077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90065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9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90020006e006f00770073007a0079006d002egt PTB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a006500200065007300730061007300200063006f006e00660069006700750072006100e700f50065007300200064006500200066006f0072006d006100200061002000630072006900610072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d00610069007300200061006400650071007500610064006f00730020007000610072006100200070007200e9002d0069006d0070007200650073007300f50065007300200064006500200061006c007400610020007100750061006c00690064006100640065002e0020004f0073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f0073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900610064006f007300200070006f00640065006d0020007300650072002000610062006500720074006f007300200063006f006d0020006f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50020006f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50020007600650072007300f50065007300200070006f00730074006500720069006f007200650073002egt RUM ltFEFF005500740069006c0069007a00610163006900200061006300650073007400650020007300650074010300720069002000700065006e00740072007500200061002000630072006500610020006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10064006500630076006100740065002000700065006e0074007200750020007400690070010300720069007200650061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000640065002000630061006c006900740061007400650020007300750070006500720069006f006100720103002e002000200044006f00630075006d0065006e00740065006c00650020005000440046002000630072006500610074006500200070006f0074002000660069002000640065007300630068006900730065002000630075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c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15f00690020007600650072007300690075006e0069006c006500200075006c0074006500720069006f006100720065002egt RUS ltFEFF04180441043f043e043b044c04370443043904420435002004340430043d043d044b04350020043d0430044104420440043e0439043a043800200434043b044f00200441043e043704340430043d0438044f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e043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43c0430043a04410438043c0430043b044c043d043e0020043f043e04340445043e0434044f04490438044500200434043b044f00200432044b0441043e043a043e043a0430044704350441044204320435043d043d043e0433043e00200434043e043f0435044704300442043d043e0433043e00200432044b0432043e04340430002e002000200421043e043704340430043d043d044b04350020005000440046002d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4b0020043c043e0436043d043e0020043e0442043a0440044b043204300442044c002004410020043f043e043c043e0449044c044e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43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43800200431043e043b043504350020043f043e04370434043d043804450020043204350440044104380439002egt SKY ltFEFF0054006900650074006f0020006e006100730074006100760065006e0069006100200070006f0075017e0069007400650020006e00610020007600790074007600e100720061006e00690065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f0076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06b0074006f007200e90020007300610020006e0061006a006c0065007001610069006500200068006f0064006900610020006e0061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e00fa00200074006c0061010d00200061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e00200056007900740076006f00720065006e00e9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90020005000440046002000620075006400650020006d006f017e006e00e90020006f00740076006f00720069016500200076002000700072006f006700720061006d006f00630068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10020006e006f0076016100ed00630068002egt SLV ltFEFF005400650020006e006100730074006100760069007400760065002000750070006f0072006100620069007400650020007a00610020007500730074007600610072006a0061006e006a0065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f0076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06b006900200073006f0020006e0061006a007000720069006d00650072006e0065006a016100690020007a00610020006b0061006b006f0076006f00730074006e006f0020007400690073006b0061006e006a00650020007300200070007200690070007200610076006f0020006e00610020007400690073006b002e00200020005500730074007600610072006a0065006e00650020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500200050004400460020006a00650020006d006f0067006f010d00650020006f0064007000720065007400690020007a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9006e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9006e0020006e006f00760065006a01610069006d002egt SUO ltFEFF004b00e40079007400e40020006e00e40069007400e4002000610073006500740075006b007300690061002c0020006b0075006e0020006c0075006f00740020006c00e400680069006e006e00e4002000760061006100740069007600610061006e0020007000610069006e006100740075006b00730065006e002000760061006c006d0069007300740065006c00750074007900f6006800f6006e00200073006f0070006900760069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740065006a0061002e0020004c0075006f006400750074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69007400200076006f0069006400610061006e002000610076006100740061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69006c006c00610020006a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3a006c006c00610020006a006100200075007500640065006d006d0069006c006c0061002egt SVE ltFEFF0041006e007600e4006e00640020006400650020006800e4007200200069006e0073007400e4006c006c006e0069006e006700610072006e00610020006f006d002000640075002000760069006c006c00200073006b006100700061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200073006f006d002000e400720020006c00e4006d0070006c0069006700610020006600f60072002000700072006500700072006500730073002d007500740073006b00720069006600740020006d006500640020006800f600670020006b00760061006c0069007400650074002e002000200053006b006100700061006400650020005000440046002d0064006f006b0075006d0065006e00740020006b0061006e002000f600700070006e006100730020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6f00630068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6f00630068002000730065006e006100720065002egt TUR ltFEFF005900fc006b00730065006b0020006b0061006c006900740065006c0069002000f6006e002000790061007a006401310072006d00610020006200610073006b013100730131006e006100200065006e0020006900790069002000750079006100620069006c006500630065006b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000620065006c00670065006c0065007200690020006f006c0075015f007400750072006d0061006b0020006900e70069006e00200062007500200061007900610072006c0061007201310020006b0075006c006c0061006e0131006e002e00200020004f006c0075015f0074007500720075006c0061006e0020005000440046002000620065006c00670065006c006500720069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0760065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076006500200073006f006e0072006100730131006e00640061006b00690020007300fc007200fc006d006c00650072006c00650020006100e70131006c006100620069006c00690072002egt UKR ltFEFF04120438043a043e0440043804410442043e043204430439044204350020044604560020043f043004400430043c043504420440043800200434043b044f0020044104420432043e04400435043d043d044f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560432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000440046002c0020044f043a04560020043d04300439043a04400430044904350020043f045604340445043e0434044f0442044c00200434043b044f0020043204380441043e043a043e044f043a04560441043d043e0433043e0020043f0435044004350434043404400443043a043e0432043e0433043e0020043404400443043a0443002e00200020042104420432043e04400435043d045600200434043e043a0443043c0435043d0442043800200050004400460020043c043e0436043d04300020043204560434043a0440043804420438002004430020004100630072006f006200610074002004420430002000410064006f00620065002000520065006100640065007200200035002e0030002004300431043e0020043f04560437043d04560448043e04570020043204350440044104560457002egt ENU (Use these settings to create Adobe PDF documents best suited for high-quality prepress printing Created PDF documents can be opened with Acrobat and Adobe Reader 50 and later) gtgt Namespace [ (Adobe) (Common) (10) ] OtherNamespaces [ ltlt AsReaderSpreads false CropImagesToFrames true ErrorControl WarnAndContinue FlattenerIgnoreSpreadOverrides false IncludeGuidesGrids false IncludeNonPrinting false IncludeSlug false Namespace [ (Adobe) (InDesign) (40) ] OmitPlacedBitmaps false OmitPlacedEPS false OmitPlacedPDF false SimulateOverprint Legacy gtgt ltlt AddBleedMarks false AddColorBars false AddCropMarks false AddPageInfo false AddRegMarks false ConvertColors ConvertToCMYK DestinationProfileName () DestinationProfileSelector DocumentCMYK Downsample16BitImages true FlattenerPreset ltlt PresetSelector MediumResolution gtgt FormElements false GenerateStructure false IncludeBookmarks false IncludeHyperlinks false IncludeInteractive false IncludeLayers false IncludeProfiles false MultimediaHandling UseObjectSettings Namespace [ (Adobe) (CreativeSuite) (20) ] PDFXOutputIntentProfileSelector DocumentCMYK PreserveEditing true UntaggedCMYKHandling LeaveUntagged UntaggedRGBHandling UseDocumentProfile UseDocumentBleed false gtgt ]gtgt setdistillerparamsltlt HWResolution [2400 2400] PageSize [612000 792000]gtgt setpagedevice

Page 7: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8: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9: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0: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1: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2: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3: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4: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5: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6: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7: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8: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9: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20: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21: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22: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23: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24: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25: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26: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27: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28: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29: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30: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31: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32: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33: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34: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35: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36: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37: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38: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39: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40: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41: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42: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43: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44: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45: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46: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47: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48: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49: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50: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51: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52: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53: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54: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55: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56: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57: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58: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59: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60: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61: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62: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63: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64: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65: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66: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67: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68: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69: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70: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71: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72: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73: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74: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75: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76: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77: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78: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79: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80: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81: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82: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83: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84: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85: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86: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87: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88: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89: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90: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91: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92: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93: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94: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95: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96: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97: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98: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99: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00: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01: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02: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03: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04: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05: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06: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07: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08: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09: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10: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11: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12: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13: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14: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15: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16: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17: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18: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19: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20: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21: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22: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
Page 123: 머 리 말 · 2018. 10. 12. · Overview Given the impact of nanotechnology on the domestic industry and the general public’s consumption behavior, it is essential to predict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