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45
- 1 - 흥사단 창립 100주년 맞이 심포지엄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미주 지역에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 - 일시_Date : 2012년 6월 17일(일) 장소_Place : Garden Suite Hotel & Resort (LA) The independence movement review and National historic meaning of Dosan Ahn Chang Ho, Young Korean Academy(YKA) - Focusing on the activities in USA -

Upload: others

Post on 06-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1 -

흥사단 창립 100주년 맞이 심포지엄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미주 지역에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

-

■ 일시_Date : 2012년 6월 17일(일)

■ 장소_Place : Garden Suite Hotel & Resort (LA)

The independence movement review and National historic meaning of

Dosan Ahn Chang Ho, Young Korean Academy(YKA)

- Focusing on the activities in USA -

Page 2: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2 -

흥사단 창립 100주년 맞이 심포지엄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미주 지역에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

-

■ 일시_Date : 2012년 6월 17일(일)

■ 장소_Place : Garden Suite Hotel & Resort (LA)

The independence movement review and National historic meaning of

Dosan Ahn Chang Ho, Young Korean Academy(YKA)

- Focusing on the activities in USA -

Page 3: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자료 목차

▪ 미주 한인 사회의 역사와 비전 - 3

▪ 미주 지역에서 안창호의 활동과 민족사적 의의 - 17

▪ 미주 사회에서 흥사단운동의 비전과 방향 - 33

▪ 부록 Appendix _ 흥사단, 도산 안창호 소개(English) - 41

○ 여는 말씀 : 반재철(흥사단 이사장)

○ 기조 강연 : 차만재(단우, Fresno 주립대학 명예교수)

- 주제 : 미주 한인사회의 역사와 비전

○ 1부 : 미주 지역에서 안창호와 흥사단의 활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사회 : 강용찬(본부 비전위원장)

- 발표 : 박만규(흥사단중앙수련원 원장, 전남대 교수)

- 토론 : 김태근(흥사단100년사 집필위원)

윤형덕(본부 이사, 전 인천흥사단 대표) 외 미주 단우 2명

- 전체 토론

<중간 휴식>

○ 2부 : 미주 사회에서 흥사단운동의 비전과 활동 방향

- 사회 : 이병도(전 L.A.흥사단 대표)

- 발표 : 윤창희(뉴욕흥사단 대표)

- 토론 : 백두권(도산아카데미 원장, 고려대 교수) 외 미주단우 3명

- 참가자 토론(30분)

� 식� 순 Program

Page 4: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3 -

Abstract

The Korean U.S. Immigration History and Our Vision

Marn J. Cha

Ph.D., Professor Emeritus of Political Science California State University, Fresno

One ought to trace the origin of the Korean U.S. immigration to the

‘yellow peril’ that gripped the mid- 19th century California. The

California-led ‘yellow peril’ culminated in the passage of the Chinese

Exclusion Act of 1882 by U.S. Congress. The immediate effect of the

Chinese ban from the United Sates was a shortage of labor that

reverberated throughout California industry as well as industrial sectors

elsewhere that depended on Chinese labor.

To fill in the void left by the Chinese ban, the importation of Japanese

soon followed. The Japanese began to pour into the West Coast but most

heavily to Hawaii to work in Hawaii sugar plantations. The Japanese

workers turned out an excellent workforce; diligent and efficient But they

soon proved to be too demanding of employers. They began to demand

for a better wage and a better working condition by organizing. Resulting

strikes disrupted production.

Work stoppage was most frequent in Hawaii sugar plantations. This had

led the Hawaii sugar planters to seek an alternative to Japanese. It was at

this time that someone brought up considering importing another

reportedly ‘compliant’ Asian race, the Koreans. Thusly, an idea evolved to

미주 한인 사회의 역사와 비전

차 만 재

프레즈노 캘리포니아주립대학 정치학 명예교수

기조강연

Page 5: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4 -

a proposal to bring Koreans into Hawaii to gradually ease out the

aggressive Japanese workers.

The Hawaii Sugar Planters Association turned to Horace Allen, M.D., a

medical missionary, the very first American missionary who arrived in

Korea in 1884. Horace Allen proved to be quite a savvy diplomat so

much that the U.S. government appointed him to a ministerial position in

the U.S. legation in Seoul, Korea in 1897.

Allen was able to secure a permission from the Korean King to allow his

people to emigrate to Hawaii to work. Conservative Koreans were initially

reluctant to leave the country. It was American missionaries’ lot to

persuade them. And they did it first to their own flocks, the Korean

Christian converts. All in all, 7000 Koreans immigrated to Hawaii between

1902 and 1905. Many of them were Christians. Of 7000 Koreans, 2000

transmigrated to the West Coast, settling mostly in California.

These early Korean immigrants had a tough life. Racial discrimination

was rampant. They were all working for low wages. They had no civil

liberties and rights. Naturalization was not allowed. Since the Korean

Kingdom that issued them passport was wiped off form the map as Japan

annexed Korea into her territory in 1910, the Koreans were stateless

people.

It was only in 1952 when they were allowed to naturalize into U.S.

citizenship following the passage of McCarran-Walter Act. The

breakthrough came in 1965 when Hart-Celler Act that removed nationality

origin quota. Following the Celler-Hart Act, a flood of Koreans emigrated

to California and elsewhere. Close to 2 million Koreans are estimated to

be living in the United States as of date.

Preceding the 1965 was a passage of Civil Rights Act of 1964, the most

important legislation in American race relations. The U.S. government has

done as much as its legal tools permitted to end racial discrimination and

Page 6: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5 -

segregation. Following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was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another milestone ensuring all minorities’ right to vote and

take part in American political system.

The current immigrants and their offspring live and work in a far

different America. Their horizons are limitless. Globalization and digital

revolution opens up to younger generation new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the midst of it all, what relevance does Heung Sa Dahn have to the

modern Korean immigrants and their future? Heng Sa Dahn and Dosan’s

teachings have relevance. This is discussed under five headings:

multi-cultural pressures and identity crisis; an increasing challenge to live

together in a global age; how to reconcile one’s ideal with reality and vice

versa; how to balance an existing order with a need to disrupt it to bring

change and progress; and freedom and necessity.

들어가며

1789년 미합중국정부 수립 당시 미국원주민을 제외한 인구는 3백8십만여

명이었다. 이중 약 20%가 흑인 노예고 나머지는 유럽에서 이주한 백인들 이

었다.1) 동양인이 미국에 나타난 것은 캘리포니아에서 금이 발견된 이듬해

1849년부터 중국인이었다. 1882년 무렵 캘리포니아, 아이다호, 네바다, 오레

곤, 와싱톤주, 하와이의 중국인 수가 30만명이었다.2)

일본인들은 1886년부터 미국에 들어오기 시작하여 1896년 하와이에 3만명,

1900년에는 미 서부지역에 15만 명이었다.3) 한인들은 1903년부터 1905년 사

이 7천여명이 하와이로 집단 이주한 노동이민이 미주한인 역사의 시초다.4)

1) Paula McClain and Steve Tauber, American Government in Black and White,(Boulder and London: Paradigm Publishers, 2010), p. 21.

2) James Olson, The Ethnic Dimension in American History (New York: St. Martin’s, 1979), pp. 182-183. 3) Ibid., pp. 336-337.

Page 7: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6 -

중국인은 50년 일본인은 15년 미주 이민 선배다. 인구로 보아 중국의 30만

일본의 18만은 우리의 7천에 압도적이다. 우리의 국운이 두 이웃 열강과 얽

혀져 있는 것과 같이 한인 미주이민사도 이들과 밀접한 관계에서 시작된다.

黃禍 바람

1848년 캘리포니아 금 발견 소식은 전 세계로 퍼진다. 미국은 물론 남미, 유

럽, 아시아에서 노다지로 치부를 꿈꾸는 젊은이들이 캘리포니아로 몰려든다.

중국인들은 대부분 광동 지역에서 온다. 중국인들은 섬세함과 부지런함으로

금 캐는 재주가 뛰어났다. 이것에 백인들은 위협을 느끼기 시작한다.5)

이 위협에 대응 1850년 캘리포니아 주 의회는 “외국인 광산법”6)을 채택한

다. 이 법은 외국 탄광인들에 특별 세금을 부과한다. 중국인들은 세금 부담

이 힘겨워 채굴사업에서 물러나 백인 탄광업자들의 요리사, 세탁사로 전락한

다. 일부는 아이다호 네바다의 석탄 탄광으로 중가주, 오레곤, 와싱턴주 과수

원으로 흩어진다.

이로부터 10년 후 중국인이 미국에 들어올 기회가 또 생긴다. 1863년부터

시작된 대륙 횡단 철도건설 사업이다. 이 사업으로 광동, 홍콩 지역에서 중

국인 노동자가 캘리포니아로 대거 수입된다. 1869년 대륙횡단 철도가 완공되

자 캘리포니아 농산물의 전국 유통이 가능해지면서 농산물 생산 증가가 시

급해진다.7) 이것으로 중국인은 캘리포니아 농사에도 투입된다. 중국인은 19

세기 미국 서부 지역 경제에 절대 필요한 존재로 부상한다.

그러나 중국인은 필요한 존재인 동시에 백인들은 증오한다. 미국사회에 동

화하지 않고 중국식 life style을 고집하는 것이 백인들은 싫었다. 또 백인들이

싫은 것은 그들의 도박, 아편 버릇이었다. 여기에 그들이 백인 여성을 탐욕

4) Marn J. Cha, Koreans in Central California: A Study of Settlement and Transnational Politics (Lanham, Boulder and London: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10), p.3.

5) Olson, op.cit.,p.180-183.6) Lan Cao and Himilce Nova,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Asian American History (New York:

Plume, 1999), p. 93.7) Carey McWilliams, Factories in the Field: The Story of Migratory Farm Labor in California (New York:

Archon Book: 1969), p. 267.

Page 8: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7 -

한다는 공포증도 겹친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백인들이 겪는 불경기 실직

난을 중국인들의 저임금 탓으로 매도하는 황화 바람이다.

이 황화 바람은 중국인의 밀집지역 캘리포니아에서 가장 심했다. 중국인 살

해, 차이나타운 방화가 빈번이 일어난다. 그러나 민권, 인권 없는 유색 인종

인 중국인은 법의 보호를 받을 자격도 없었다. 19세기 말엽부터 이 캘리포니

아 황화 바람은 전국적 중국인 배척운동으로 퍼지면서 급기야 미국 연방의

회가 “중국인 배척법안”8)을 채택 하기에 이른다. 1882년의 일이다.

이 “중국인 배척법”은 외교관, 유학생을 제외하고는 중국인은 고용을 목적

으로 미국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원천봉쇄한다. 이것은 곧 미국산업체들의 인

력난으로 이어진다. 이 인력난 해소책으로 1886년부터 또 다른 동양인 일본

인들이 대거 미국으로 진출한다.

일본인들은 중국인에 비해 교육 수준이 높고 잡기도 없었다. 또 백인 고용

주들은 일본인들의 성실함에 매우 만족한다. 그러나 일본인들이 주도하는 노

동 분쟁이 자주 일어난다. 종종 파업으로 이어지는 이 노동 분쟁이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에서 제일 심했다. 그래서 하와이 사탕수수재배협회는 일본인

을 대신할 대안을 찾던 중 누가 “어질고 순종 잘”하는 또 다른 동양인 “코리

안”9)을 제의한다. 이렇게 하여 일본인 대안으로 한국인 하와이 이민안이 이

루어진다. 미주한인 이민사의 시초다.

한인 하와이 노동 이민 실현 배경

1876년 강화도 조약은 중국이 이들의 오랜 종속국 한반도를 일본에 양보하

는 청신호였다. 당시 중국은 일본을 제재할 힘없이 쇠퇴하고 있었다. 그래서

미국을 한반도에 개입시켜 일본을 견제하는 대책이 나온다.

미국은 이미 두 번이나 (1866년 셔먼호 사건, 1871년 신미양요) 조선의 개

방을 시도했던 터라 한반도 개입에 응한다. 1882년 3월부터 청국의 이홍 장

과 미국의 Robert W. Shufeldt 제독이 협상하기 시작한 한미조약이 5월 제물포

8) Olson, Op.cit.,p.179.9) Wayne Patterson, The Korean Frontier in America: Immigration to Hawaii, 1896-1910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8), p. 12.

Page 9: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8 -

에서 체결된다. 11개 조항에 걸친 이 조약에는 양국의 인적 교류를 장려하며

유학생들을 보호, 지원한다는 조항이 있다.10)

이 한미조약 인적교류 조항에 의해 1884년 미국서 첫 선교사이자 의사인

호레이스 알렌이 조선에 도착한다. 호레이스 알렌은 도착하자 얼마 안되어

갑신정변을 목격하게 된다. 민비의 조카 민영익이 이 정변에서 크게 부상당

한 것을 알렌이 치료해 회복시켜 준다. 이 인연으로 고종과 민비의 총애를

받는다.

미국은 한미조약을 맺자 정치보다 교역, 선교 활동에 더 관심을 보인다. 그

결과로 20세기 초 한국에 들어온 선교사가 247명에나 달했고, 세례교인 11만

명이었다.11) 호레이스 알렌은 선교사일 뿐 아니라 정치 감각이 뛰어난 외교

가이기도 했다. 미국정부는 그의 외교술을 인정하여 알렌을 1897년 주한 미

공사로 임명한다.

하와이 사탕수수 재배업자들은 알렌 공사를 접촉하여 한인들의 하와이 이

민 가능성을 타진한다. 알렌 공사는 하와이 이민은 조선인들이 가난을 벗어

날 기회며 또 이민 협약으로 미국을 한반도에 적극적으로 개입시켜 일본세

력을 견제할 수 있으리라 믿고,12) 고종에게 이민 허락을 상정한다.

고종은 ‘우리가 얼마나 못살면 백성들이 나라를 떠나 살아야 한다는 말인

가?’ 이런 자책감 외에 유교전통도 그를 괴롭혔다. ‘그들이 떠나면 조상 무덤

은 누가 지킬 것인가? 돌아온다는 기약도 없지 않은가?’ 하며 허락할 기색

을 보이지 않는다.13)

이에 알렌 공사는 백성들이 하와이에서 벌어 고국에 보낼 돈이 나라 경제

를 크게 도울 것을 생각하시라고 고한다. 고종의 심기까지 잘 알던 알렌 은

또 이렇게 고한다. ‘미국인들이 조선인이 청인 보다 훨씬 월등함으로 하와이

로 초청하는 겁니다.’ 조선인이 청인보다 낫다는 말에 고종이 반색 하며 수

그러지기 시작한다.14)

결국 고종은 민영환을 총재로 하는 수민원을 설립하게 된다. 수민원은 이

이민자들을 검열하여 여권 발급을 맡게 된다. 보수적인 조선인들이 이민 모

10) Choy Bong Youn, Koreans in America (Chicago: Nelson-Hall, 1979), pp. 46-4711) James Gale, Korea in Transition (Cincinnati, OH: Jenning & Graham, 1909), pp. 193-19412) Choy, Op. cit., p. 73.13) Patterson, Op.cit., pp. 38-41.14) Ibid.

Page 10: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9 -

집에 선뜻 응할 리 없었다. 그래서 선교사들이 교인들부터 이민을 설득한다.

이 결과로 선교사와 교인 밀집지역 경기도와 평안남·북도에서 많은 이민자

들이 모집된다. 1902년 12월 22일 제물포항을 출발한 첫 이민선이 1903년 1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선편으로 7,000명이 하와이로 오는 선편

마다 목회자가 대동하도록 하여 운항 중에도 예배를 보도록 한다. 이것이 한

국인들이 하와이 섬 전역에 36개의 교회를 세우게 한다. 오늘날 한인 미주사

회에 교회가 구심적 역할을 하는 것은 이러한 오랜 기독교 이민 전통에서

오는 것이다.15)

하와이 한인이 증가하면서 일본인들은 한국인들의 저임금이 자기네들의 급

여도 낮춘다며 일본 정부에 한인 이민 정지를 상소한다. 곧 일본은 고종에게

하와이 이민 정지를 요구한다. 이미 일본에 실권을 빼앗겨가고 있던 조정으

로서는 이를 받아드릴 수밖에 없게 된다. 이로서 하와이 이민은 1905년 8월

로 정지 된다.

하와이의 7천명 중 약 2천명이 미 서부 지역으로 이주한다. 그러나 이 하와

이 이주민들의 미국 본토 진출 전인, 1885년 4월 서재필이 샌프란시스코로

망명해 있었다. 또 1893년부터 114명의 한인들이 샌프란시스코로 입국했다.

이 중 24명이 유학생, 90명이 인삼 장수, 15명이 상인이었다.16)

유학생은 1882년 한미수호조약에 의해 유학을 목적으로 온 사람들이고 인

삼 장수는 중국인으로 미국에 들어온 사람들이다. 1902년 도산이 샌프란시스

코에 도착해서 만난 한인 유학생과 인삼 상인들이 바로 이 사람들이다.

차별과 수난의 삶

1941년 일본의 진주만 폭격으로 제2차 중일전쟁에 미국이 중국과 합세하여

일본에 대항하게 된다. 미국은 중국과 동맹국인 입장에서 1882년의 중국인

15) Yi Mahn-yol, “Miju Han-in Gyo-hoe-wa Dong-rip Un-dong,” (Korean Churches in the U.S.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Mi-ju Han-in-ui Min-jok Un-dong (Koreans Americans and their Struggle for National Independence), Seoul, Korea: Hean-an 2003), p. 68.

16) Cha, Op. cit., p.p. 24-25.

Page 11: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10 -

배척법을 지속한다는 것이 예우가 아니었다. 그래서 1943년에 중국인 배척법

이 철폐된다.17) 이로서 중국 1세들의 미국 귀화와 시민권 자격이 허용되나

중국 이민은 한정된 쿼터제로 통제한다.

한국인과 일본인들은 10년 뒤인 1952년이 되어 미국 귀화와 시민권 자격을

얻는다.18) 이민은 중국인들과 같이 국가별 쿼터제로 소수가 이민할 수 있게

한다. 2차 대전종말 이후로 동양인들의 부동산 취득금지법이 무너지기 시작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인종 차별은 계속되어 교육 받은 2세들도 자기 전공

전문직에 종사하지 못한다. 백인 동네에 산다는 것도 상상 못한다.

1965년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국가별 인종 쿼터제 철폐다. 이 개정법

이후로 한국인의 미주 이민은 급격한 증가를 보인다. 로스앤젤레스 한인 인

구 변화에서 볼 수 있다. 1945년 한인 인구는 약 650명, 1950년 700명, 1960

년 약 1,000명, 1970년 8,811명, 1980년 60,431명, 1990년 145,431명, 2000년

186,350명, 2010년 남가주 한인 283,000명이다.19) 미국 전역에 한인 인구 외통

부 통계로 210만이다.

이 이민 개정법이 1965년에 채택된 것을 주목해야 한다. 1960년대는 미국

의 격동기였다. 외부로는 공산국가들과의 경쟁에서 자유민주주의, 내부로는

마틴 루터 킹이 이끌던 인권운동으로 정의로운 사회 본보기를 보여줄 압력

을 받고 있었다. 이러한 압력으로 1964년 인종차별을 전폐하는 미국 민권법

이 생겨난다.20) 1965년에는 모든 소수민족 정치참여를 보장하는 선거법이 채

택된다. 이런 속죄형법들이 채택됨에 따라 인종 차별적인 이민 쿼터제도 대

거 수정된다.

1964년 민권법은 고용, 진급, 급여, 입학, 거주, 공공시설 이용, 사회생활 전

반에 걸친 인종차별 금지를 명기하고 있다. 이와 같이 미국이 법으로 할 수

17) Fred Riggs, Pressures on Congress: A Study of the Repeal of Chinese Exclusion (New York: King’s Crown Press, 1950).

18) It refers to McCarran Walter Act of 1952, which removed race from immigration but still retained quota,. No less than 100 from non-Western countries; it set a higher quota from Northwestern countries; hence, still discriminatory; 1965 immigration reform refers to Hart-Celler Act.

19) Yu Eui Young, “Nam Ga-ju Han-in Sa-hoe: 1903-1964” (Southern California Korean Immigrant History: 1803-1964) in Mi-ju I-min Baek Yeon-sa (100 Year History of Korean Immigration to America), (Los Angeles: Southern California Korean U.S. Immigration Centennial Commemorative Committee, 2002), p.431.

20) Refer to Civil Rights Act of 1964 and Voting Rights Act of 1965.

Page 12: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11 -

있는 사회 형평성을 최대한 실시할 준비된 시기에 한인 이민이 쇄도하기 시작

했다.

구한말의 미주이민 선열들에 비해 지금 우리는 매우 달라진 미국에서 산

다. 미국 시민 영주권자로 법적 보호, 선거·피선거권이 있다. 전문직, 선출

직, 행정직 문호도 열려 있다. 감성적 인종차별은 있을 수 있으나 정책적 차

별은 없다. 나라 없는 무국적자 신세로 살던 선열들에 비해 10대 경제대국의

부강한 조국이 있다.

또 통신혁명시대에 산다. 동시 통신, 통화할 수 있는 오늘과 20세기 초 3개

월 걸려 편지 한번 왕래하던 때와 비교하라! 글로벌 전체가 생산, 투자, 주거

대상지이다. 어디서 사느냐가 중요하지 않고 어떻게 사느냐가 중요한 시대다.

그러나 이 엄청난 변화는 물리적 변화다. 인간의 정신, 도덕적 세계는 별로

변화지 않았다. 도산은 인간의 주체성과 도덕성 재건에 일생을 바쳤다. 주체

성 확립, 도덕성 회복이 독립의 지름길이라 믿었다. 도산 메시지의 함축성과

그 깊이는 시대를 초월한다.

세계화 개방화 시대에 우리는 야누스처럼 양면 힘의 긴장, 갈등 속에서 산

다. 다문화와 정체성, 이기와 공생, 이상과 현실, 질서와 혼탁, 자유와 필연의

대치를 들 수 있겠다. 도산의 삶과 정신이 이 대치상황에 어떤 교훈을 주는

지를 살펴봄으로 이 글을 맺는다.

1) 다문화와 정체성

정체성 문제는 이민 사회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다민족을 이웃으로 사는

비율이 급증하고 있다. 정보 overload는 내가 누구인지를 혼동케 한다. 건전한

자화상은 중요한 자산이다. 자신감, 포부, 용기가 건전한 자아의식에서 온다.

도산은 중화론 사대주의에 사로 잡혀있던 구한말 조선에 민족주의를 정립

시키신 분이다. 흐트러진 조선인의 자화상을 튼튼히 잡아 주셨다. 도산의 삶

과 흥사단은 민족의식 그 자체다. 여기에 정체성 문제에 흥사단이 할 일이

있다.

글로벌 시대에 나를 잃어버린 젊은이들은 흥사단에서 자기뿌리를 알 수 있

다. 민족주의 의식 제고보다도 자기의 역사적 위치를 앎으로 자아의식을 키

Page 13: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12 -

울 것이다.

2) 이기와 공생

우리는 조상, 가문, 혈통을 중시하는 유교사상의 산물이다. 그러나 혈통, 동

향 너머 더불어 살아야 하는 공생공존 시대에 산다. 도산은 애기애타를 외쳤다.

빙그레 웃는 얼굴, 훈훈한 마음을 역설했다. 미국서 산지 오래된 한인 1세

들 중에도 오고 가는 사람과 마주칠 때 가벼운 미소를 지을 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얼굴이 굳어있다. 군자는 점잖이 근엄해야 한다. 말을 삼가며 비

실비실 웃지 않는다.

빙그레 웃는 얼굴, 훈훈한 마음은 이웃과 더불어 사는 기초며 애타의 실천

이다. 흥사단 안에서 우리 모두가 군(君)이다. 겸양없이 누구나 다 평등하게

대하자는 이 정신이 공존공생의 길이다.

3) 이상과 현실

많은 근대정신 질환은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처리할 줄 몰라 생긴다. 도산

은 어찌했나? 도산은 이상주의자며 현실주의자였다. 목적있는 토론은 즐겼지

만 탁상공론은 싫어했다.

계획을 세운 다음 실천에 필요한 요소들을 꼼꼼히 챙겼다. 일인일기(一人一技)는 매우 현실적인 이야기다. 신용을 재산같이 여겨라 함에서도 도산이 현

실적 감각의 소유자였음을 엿볼 수 있다.

흥사단도 자기 사상의 실천기관으로 세운 것이다. 대공주의도 이데오로그

(Ideologue)들 간의 갈등과 불화를 조율, 통합하려는 현실적 노력이었다. 실용

주의 이상가다. 자기 이상을 포기, 타협한 것이 아니라 이를 실천하는 방법,

접근에 유연성을 보였다.

이상과 현실 괴리에 선택은 대개 둘이다. 이상을 현실에 맡게 조율하던가,

이상을 도달하기 위해 부족한 부분을 충족하는 길이다. 도산은 후자다.

4) 질서와 혼탁

경직된 질서는 진보의 걸림돌이다. 무질서 상태는 예측불허일 뿐 아니라 안

Page 14: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13 -

정을 찾을 수 없다. 문제는 어떤 질서를 유지하고, 어느 때 이것을 포기하고,

새로운 질서를 찾을 줄 아는 분별력, 판단력이다. 세계화, 정보화 시대라 하

여 유행따라, 바람따라 내키는 대로 사는 것이 아니다. 분별적인 변화를 추

구하면서 진취적, 진보적 행보를 취하는 것이다.

도산은 질서를 좋아하신 분이다. 샌프란시스코 인삼장수 아파트들에 커튼을

달고 화단으로 계단 출입구를 단장하여 정돈된 삶의 본보기를 보여 주었다.

송태산장의 담을 올린 것은 질서적인 그의 성품을 나타냈다. 그러나 도산은

한곳에서 오래 살지 못했다. 항상 움직이고 떠나야 했다.

Comfort zone에 안주하지 않았다. 안주하면 목적을 달성할 수 없었기 때문이

다. 멕시코 한인이민자들과 낙후된 식생활을 이겨내며 몇 달을 지냈다. 질서

가 파괴되는 순간에는 혼돈과 불편이 온다. 이것을 이겨내야 발전이 있다.

흥사단 단우는 기존 질서 파괴자다. 혼탁한 사회에 소금이 되기 위해서다.

5) 자유와 필연

동양인들은 많은 필연 법칙에 얽매어 산다. 꼭 지키고 그래야만 옳다고 생

각하며, 그에 따라 행동해야 하는 것들이 많다. 이것이 사회질서를 유지하지

만, 창의력에는 걸림돌이다. 창의력은 주어진 현상을 question 하는데서 부터

시작된다. 자유분방한 열린 마음이다.

우리 흥사단에는 필연적으로 믿는 것들이 있다. 이것은 도산의 가르침이다.

우리의 이정표다. 도산은 우리가 이것만을 철칙같이 믿어 우리 마음이 경직

되어 다른 것은 볼 수 없는 close mind 되기를 원했을까? 아니다. 도산은 맹

종을 원치 않는다. 실은 자기의 가르침에 질문을 다하고 스스로 납득하여 믿

기를 원한다. 그렇게 하므로 흥사단에 들어와 questioning mind를 가진 발랄한

지성인이 되기를 원한다.

어디서 이런 근거를 찾을 수 있는가? 도산의 입단 문답에서다. 입단 맹약

서만을 달달 외우게 하여 입단시키지 않는다. 질의문답식이다. 자치적

autonomously 깨달음으로 입단 자격을 판단했다. Pro-active한 소크라테스 식

교육 방법이다. 군은 왜 흥사단에 입단하려 하시오? 이 길밖에 없다고 생각

합니다. 왜 이길 밖에 없다고 생각 하시오? 도산은 장황한 강의식 연설로 설

득하는 것이 아니었다. 본인이 스스로 깨닫는 자기 주도식 방법이다.

그렇다고 나홀로 철학자가 되라는 것은 아니다. 도산은 독자적 learning style

Page 15: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14 -

에 동맹수련을 추가한다. 공동 합숙으로 동기들 간에 정의돈수하며 대화를

나눈다. 그룹 토론으로 자기 생각의 타당성을 검증받는 자발적 교육방법이다.

결론: 도산과의 가상 대화

도산은 다음과 같은 질문도 마다 안하시고 기꺼이 들어 주셨을 것이다.

“선생님 무실역행은 왜 해야 합니까? 도덕, 도덕 하시는데 흥사단이 백

년 있은 후 사회가 달라진 게 뭐 있습니까? 우리 흥사단 단우들끼리 비난,

모략, 불신하는 거 아십니까? 보수, 진보하는데 흥사단은 어디 속 합니까?

반쪽이나마 독립된 나라가 있고, 세계화 시대에 민족주의를 상징하는 흥사

단이 필요합니까?”

도산은 아마 이렇게 대답했을 것이다.

“좋은 질문이네. 그런데 군은 그 질문을 왜 하게 됐는가? … 알았네. 그

런데 군은 무실역행이 뭐라고 생각 하는가? … 그래. 그러면 그걸 실천해

야 할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내가 도덕, 도덕 하는게 그렇게 언짢게 들리는 이유라도 있나? … 그러

면 우리 사회가 더 달라지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 … 아

그런가? 부도덕한 사회를 생각해 봤나? … 알았어. 그러면 자네는 무얼

하겠는가? 내가 대한민국 전체를 흥사단으로 만들고자 한다고 보는가?

그래 서로 싸우고 모략하고 이간질 한다지? 왜 그런다고 생각하나? 이럴

때 자네는 무얼 하였나? 말렸나? 중재했나?”

“하도 기가 막혀 그냥 웃어 버리고 말았습니다.”

“이 사람아 그게 자네 할 일이라고 생각하나?”

“그러면 저보고 뭘 하라는 겁니까?”

“그걸 왜 나에게 묻나? 그래 그 정치 이야기. 보수, 진보 말인데. 군은

어디에 속하나? … 왜 거기에? … 그래 내 생각하고 비슷하네. 내 지조가

있다면 많은 사람들이 잘사는 나라를 만들어 보자는 것이야. 그래서 정

치, 경제, 교육이 균등한 기회와 성과가 있어야 한다고 믿었어. 나는 label

이 중요하다고 생각 안하네. 그래 지구촌에 사는 것 분명해. 내가 민족주

의 을 찾은 거라 생각하나? 나를 구제하기 위해 우선 내가 나를 중시 여

Page 16: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15 -

겨 살아남아야겠다는 의지가 있어야 할 것 아니겠는가?”

“듣고 보니 그러네요.”

“나라도 마찬 가질세. 그 나라를 곤경에서 구하려면 그 국민들이 자기네

들이 누군가에 대한 의식이 확고히 있어야 하네. 우리는 요사이 경제 10

국이니 뭐니 하면서 잘살지 않나?

“그렇지요.”

“그러나 빈부의 격차가 너무 심해. 부익부 빈익빈이 매우 걱정이야. 아프

리카를 보게나. 그 나라들에 민족주의가 필요하다고 안보나? 거기서 자네

할일 있다고 생각 안하나? 민족주의 외에 내 메시지 뭐라고 보나? 이에

관해 군에게 하나 더 묻겠네. 불교는 어디서 시작됐나?”

“인도로 알고 있습니다.”

“유교 사상은?”

“중국 아닙니까?”

“그렇네. 기독교는?”

“이스라엘. 예수 자신이 유대인 아닙니까?”

“그렇네. 셋이다 출생지와는 무관하게 다른 곳으로 번졌지?”

“그렀습니다.”

“내 더 이상 묻지 않겠네!”

“흥사단의 세계화 말씀입니까?”

“글쎄 내 더 묻지 않겠다고 하잖는가.”

“마지막으로 해 주실 말씀이라도…”

“흥사단 백년을 지켜온 자네들에게 감사하네. 대견스럽네. 앞으로의 백년

도 부탁하네.”

Page 17: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16 -

Page 18: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17 -

Abstract

Early Korean Society in the USA and Ahn Chang Ho

Park, Man-kyu

Professor of Jeonnam National University

Ahn Chang Ho left to the States for a study in 1902 at the age of 24,

but he gave up the formal academic study and plunged himself into the

leading of Korean immigrants. In 1903, he organized the 'Haninchinmokhoe'

(Association of Korean Fellowship), and in 1905 he expanded it into the

'Gongriphyuphoe'(Association of Public) making himself as the supreme

leader in Korean immigrants' society. He came back to Korea in 1907 and

devoted himself to the organization of the 'Sinminhoe'(Association of New

Citizen) for three years before seeking a refuge in the States in 1910. He

was acknowledged as one of the best leader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Ahn Chang Ho led large followers as a prominent leader during colonial

period and organized 'Sinminhoe'(Association of New Citizen) with a

reformative and persuasive theory of Independence Movement. So he was

also very influential in theory. He argued for the democratic republic as

an aim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for the preparation of modern

independence war as an effective independence movement. This argument

was the most advanced and resonable logic at this period, thus evaluated

미주 지역에서 안창호의 활동과

민족사적 의의

박 만 규

흥사단중앙수련원장, 전남대 교수

주제발표 1

Page 19: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18 -

as the main goal and method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e reason why Ahn Chang Ho presented this persuasive theory was

that he experienced the instruction of Korean immigrants in the States

during his youth. At that time the number of Korean immigrants was less

than 10,000, and they were far from the mother country as a small

periphery.

However, the United States was a rising big country and had a proud

history of establishing a democratic republic after achieving an

independence from the United Kingdom despite an inferior military power.

This example might give an inspiration to Ahn Chang Ho while he was

designing a future of mother country as a prominent leader of Korean

immigrants society.

By devoting himself to the guide of Korean immigrants instead of

achieving a diploma, he influenced to the Korean society of immigrants as

follows;

Korean immigrants had a pioneer spirit in an unknown world in the

early 20th century, but as labor immigrants they were in a state of

dislocation as an underclass with an inferior life condition. But with the

guidance of leaders like Ahn Chang Ho, they preserved national identity

with pride and mission as an honorable human being.

Also, Korean society of immigrants always provided a strong financial

and manpower resources to Ahn Chang Ho while he lived as a leader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e received a deep inspiration from this

leadership experience while he was devising the ways and methods of

independence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democratic republic.

1. 머리말

Page 20: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19 -

돌이켜보면 미국에 거주하였던 한국인들은 물론 전체 한국 민족에게 지난

한 세기 100년은 큰 고난 속에서 분투노력한 끝에 마침내 광명을 되찾은 시

기였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민족은 20세기에 접어들면서 곧바로 일본에게 국권을 침탈당하고 식

민지 지배를 겪어야 했다. 해방 후에는 미·소 양대국의 개입과 민족 내부의

심각한 갈등 끝에 남북으로 갈리어 전쟁까지 치렀다. 그러나 이 같은 상황

속에서도 결코 좌절하지 않았으며 자주독립과 번영발전을 위한 의지를 잃지

않았다. 그리하여 전민족이 다함께 혹은 계층별로 다양한 시도와 운동을 지

속적으로 전개한 끝에, 특히 남쪽 대한민국의 경우 산업화와 민주화에 성공

하여 선진 국가 진입을 바라보는 시점에 이르렀다.

20세기 시작과 함께 거의 대부분 열악한 조건의 노동이민으로 시작된 미주

의 한인사회도 극심한 고통 속에서 상당히 오랜 인고의 시간을 보내야 했다.

그러나 조국 해방 후 여러 계기를 통해 수적으로 크게 팽창하고 질적으로도

성장하여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모든 부면에서 미국 주류사회의 일원으

로 빠르게 진입해 들어가고 있다.

우리 근대 역사를 통해 근대화와 자주독립을 지향하는 갖가지 형태의 운동

과 사건이 분출되는 과정에서는 당연히 많은 선각자와 애국지사들이 헌신적

으로 앞장서 나섰다. 그 중에서도 국권수호와 독립달성을 1차적인 과제로 안

고 있던 20세기 전반의 한말. 일제 시기 여러 지도자들 가운데 가장 우뚝한

봉우리의 하나로 서 있는 인물이 도산 안창호(1878-1938)이다.

미주 한인사회의 형성과 발전 과정과도 긴밀한 관련을 가진 그는 다방면에

걸쳐 직접 활동을 전개했던 실천운동가이면서 동시에 나름대로 구국독립의

방안은 물론 독립 이후의 민족국가의 발전 방안까지를 폭넓게 모색했던 사

상이론가였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된다. 한국근대 민족운동의 최고위급 지도

자로서 다양한 활동은 물론 독자적인 이론체계를 함께 보여준 드문 경우의

하나였다.

2. 안창호의 미주에서의 초기 활동(=공립협회 운동)

먼저 그의 민족운동을 초창기의 미주 한인사회와도 관련하여 개괄적으로

Page 21: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20 -

살펴보자.

개항 직후 평양 근교의 한 평범한 농가에서 출생한 안창호가 우리 근대민

족운동에 처음 뛰어든 것은 그의 나이 만 19세 되던 1897년 독립협회 운동

에 가담하면서부터였다. 비록 1년 반 정도의 짧은 기간이었지만 이때 그는

독립협회의 평양지회 설립에 중요 인물의 한사람으로 참여하였고 만민공동

회에서의 탁월한 연설로 상당한 대중적 명성도 얻게 되었다.

그러나 1898년의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 활동에서 만 20세에 불과하였던

그는 청년 간부의 한사람으로 활약하기는 했지만 아직 전체 운동 방향에 영

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의 위치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당시 그는 우리 근대

민족운동의 큰 흐름에서 보면 개화파 계열의 서재필, 윤치호 등 독립협회 지

도층의 근대화사상과 민주주의사상 그리고 민족주의에 크게 영향 받으면서

성장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안창호가 나름대로 하나의 독자적인 사회세력을 형성하여 그 지도적 위치

에 설 수 있었던 것은 지난 세기 초 미국의 교민사회에서 였다. 1902년 교육

학과 기독교를 공부하겠다는 목적을 갖고 유학을 위해 미국에 건너간 그는

이내 방침을 바꾸게 되었다. 현지 동포들의 비참한 생활상에 충격을 받아 일

단 학업을 포기하고 우선 그들의 생활개선을 위한 교민지도에 나서게 된 것

이다.

당시 샌프란시스코에는 20여 명의 한국인이 거주하고 있었다. 그 중 절반

은 그와 비슷한 처지의 유학생이었으며 나머지 반은 주로 중국인 노동자들

틈에 끼어서 온 평안도 출신의 인삼장사들이었다. 이들은 중국 여권을 갖고

들어와 중국인들이 거주하는 지역을 찾아다니며 인삼을 팔았다. 열악한 처지

에서 보다 나은 판매구역을 차지하기 위하여 자칫하면 서로 싸움을 벌이는

실정이었다.

물론 그들의 생활 정도는 극히 낮아 하층 빈민의 처지를 벗어나지 못하였

다. 안창호는 동향 출신의 유학생 이강, 정재관, 김성무 등의 도움을 받으며

헌신적으로 교민지도에 나섰다. 솔선수범의 자세로 차츰 신임을 얻게 된 그

는 이듬해 1903년 9월 23일 샌프란시스코에서 10여 명의 발기인을 모아 한

인친목회를 만들었다. 아주 미미한 세력이었지만 미국 본토에서 조직된 최초

의 한인단체였다는 의미를 갖고 있었다.

Page 22: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21 -

곧 이어 그는 로스앤젤레스 부근의 리버사이드로 이주하였다. 이때 로스엔

젤레스와 샌프란시스코를 비롯한 미국 서부에는 처음 하와이로 갔던 사탕수

수농장 이민자들 가운데 계약기간이 끝난 사람들이 보다 나은 삶을 찾아 들

어오고 있었다. 로스엔젤레스에서 80마일 떨어진 리버사이드에도 많은 한인

들이 찾아 왔다. 여기서도 그는 18명의 한인노동자를 결집하여 공립협회라는

이름으로 조직을 만들었다. 차츰 회원이 증가하고 어느 정도 기틀이 세워진

다음 그는 동지들의 권유를 받아들여 다시 샌프란시스코로 되돌아 갔다. 여

기서도 그는 기왕의 친목회를 확대 발전시켜 공립협회를 창립하였다.

1905년 4월 15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안창호를 회장으로 하여 창립된 공립협

회는 이전의 한인친목회가 회원 간의 상부상조를 목적으로 하던 단순 친목

단체였던 데 비해 위기에 처한 조국의 국권회복까지를 포함하는 민족운동

단체로 발전하였다. 이후 공립협회는 창립 이래 1907년 초 그가 미국을 떠나

국내로 들어가기까지 직접 이끌었던 2년 미만의 단기간에 1,300여명의 한인

가운데 절반 가량을 회원으로 결집하는 한편, 회관 건물을 구입하고 매월 두

차례 공립신보를 발간하는 등 당시로서는 국내외를 통틀어 매우 유력한 단

체 가운데 하나로 성장하였다.

결과적으로 안창호는 유학이라는 본래 목적에서 벗어나 개인적으로 큰 자

산이 될 수 있었던 학위 취득에는 실패하고 말았다. 대신 미주에서 교민 지

도에 직접 투신함으로써 보다 크게 민족사적 관점에서 보면 다음 두 가지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보아진다.

먼저, 교민사회의 입장에서 보면 열악한 처지의 초창기 미주 동포들이 나날

의 생존에 허덕이다가 뿔뿔이 흩어져 미국의 하층 빈민으로 분해되어 버리

지 않고 대신 안창호와 같은 헌신적인 지도자를 중심으로 단체를 이룸으로

써 인간적 품격과 민족적 정체성을 지닌 집단으로 존속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한편, 안창호의 입장에서 보면 이후 그가 평생토록 민족운동 지도자로 활동

하는 동안 늘 인적 재정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었던 든든한 지지기반의

하나를 확보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때의 공립협회 활동 과정에서 그는 전

생애를 일관하여 견지한 독립달성 및 민족발전 방안의 마스터플랜을 정립하

는 큰 성과를 얻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점들이 합쳐져 안창호가 단지

미주 교민사회의 지도자로 그치지 않고 전민족적 지도자로 부상할 수 있는

Page 23: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22 -

밑바탕이 되어 주었다.

이제 여기서는 안창호가 초기 미국에서의 공립협회 운동기에 한국근대민족

운동의 청사진을 갖게 된 점에 주목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신민회운

동을 전개함으로써 그가 한국민족의 최고지도자 가운데 한사람으로 성장한

사실을 살펴보려고 한다.

3. 국내에서의 신민회운동

안창호가 마침내 한국민족운동의 핵심적인 중심인물로 떠오른 계기는 1907

년 초 귀국하여 국내에서 신민회를 조직하면서부터라고 말할 수 있다. 형성

과정의 초창기 미주 교민사회에서 그 지도자로 성장하기까지 그의 활동은

대다수가 주로 노동이민으로 이루어진 열악한 처지의 교민들을 결집시켜 그

들의 생활상 권익을 보호하고 민족의식을 유지 강화시킨 나름대로 큰 의미

를 가진 것이었다. 그러나 전체 민족운동의 시야에서 보면 먼 해외에서의 주

변부적 활동에 불과하다는 한계를 벗어날 수 없었다. 본격적인 역할을 위해

서는 역시 국내에 거점을 두지 않으면 안 되었던 것이다.

안창호와 공립협회 동지들의 원대한 구상에 입각해 만들어진 신민회는 비

록 일제의 침략으로부터 나라를 지키는 데는 실패하였다. 그러나 그를 비롯

하여 거기에 참여했던 인물들이 후일 임시정부를 비롯해 각 독립운동 단체

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독립운동의 지도세력을 형성하였기 때문

에 한국근대민족운동사의 흐름 속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단체이다.

그런 신민회를 조직하고 그 활동을 이끌어간 중심인물이 누구였는지에 대

해서는 현재 안창호로 보는 견해와 양기탁 이라고 보는 두 가지 다른 주장

이 있다. 안창호라고 말하는 경우는 그가 신민회의 최초 발의자였을 뿐 아니

라 조직과 설득에 탁월한 능력을 가진 인물이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반

면 양기탁이 그 중심이었다고 보는 경우는 그가 신민회의 총감독이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나아가 그 결성 과정에서 다양한 집단의 인물들이 규합될

수 있었던 것도 그의 영향력이 있었기 때문으로 본다. 특히 신민회를 다른

계몽 단체들과는 달리 보다 적극적인 성격의 국권회복운동 단체로 보려는

입장일수록 양기탁의 비중을 강조하는 한편 안창호는 신민회 내의 온건파

Page 24: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23 -

혹은 우파를 대표하는 인물로 한정시켜 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박은식, 김구, 장도빈 등 당시 직접 신민회에 참여했던 인물들이 남

긴 기록을 보면 예외 없이 안창호를 신민회운동의 중심인물로 인식하고 있

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비밀결사 신민회의 결성을 처음 발의하여 성공시켰

으며 그 활동 과정에서도 가장 역동적으로 활약함으로써 이등박문 면담 및

도산내각설 등에서 보듯 한말 신지식인 구국운동가들 속에서 중심인물로 부

상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안창호가 신민회 운동을 통해 한국 근대민족운동의 중심에 서게 된

사실과 관련해서는 다음 사실이 좀더 설득력 있게 설명되어야 한다고 본다.

즉 일찍이 1902년 미국에 건너가 5년 여 동안이나 체류했던 그가 1907년 2

월 귀국한 뒤 불과 몇 달 사이에 당시의 지도급 애국지사들을 설득해 위험

성이 매우 큰 비밀조직으로 총결집해낼 수 있었던 요인이 과연 무엇이었겠

는가 하는 점이다.

안창호가 비록 개인적으로 조직과 설득에 탁월한 능력을 가진 인물이었다

고 하더라도 오랜 공백 끝에 귀국한 그가 단기간에 국내의 계몽운동 지도자

들을 주로 독립협회운동 시절의 인간관계만으로 규합할 수 있는 상황은 아

니었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 경우 다음으로는 비밀결사로서 신민회가 결성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인으로 그 명분과 이론적 배경이 무엇이었던가에 대해

더욱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정치사회적 목적을 가진 단체가 새로 만들어지

기 위해서는 그에 합당한 명분과 논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은 상식에 속

하기 때문이다.

이점을 밝히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신민회가 왜 비밀결사로 구상되고

조직되었는지에 대해서부터 살펴보아야 한다. 신민회가 당시의 다른 계몽단

체들과 구별되는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바로 그것이 비밀결사였다는 점에서

찾아지기 때문이다.

앞에서 언급되었듯이 신민회 결성을 위한 초기의 논의 과정에서 안창호와

과 양기탁 간에는 비밀결사론과 합법단체론의 이견이 표출된 바 있었으나

결국 비밀결사로 귀결되었다. 안창호가 비밀결사를 주장했던 이유는 후일 그

가 일제 경찰에 체포당해 신문 받으면서 진술한 바 있다. 신민회를 비밀결사

로 했던 까닭은 수구파의 방해와 불순분자의 침투 그리고 일제의 탄압에 대

한 우려에서 이를 미연에 방지하려한 때문이었다고 했다. 그런데 이런 점들

Page 25: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24 -

을 우려해야 했던 보다 근원적인 이유는 역시 그가 신민회를 통해 이루려고

했던 진정한 목적이 무엇이었는가를 생각할 수밖에 없도록 한다.

신민회의 궁극적인 목표가 민주공화제의 근대국민국가를 건설하는데 있다

는 것은 현재 잘 알려져 있다. 즉 안창호는 대한제국의 몰락이 임박한 상황

속에서 낡은 대한제국의 수호가 아니라 새로운 대한민국의 건설을 근대민족

운동의 새로운 목표로 제시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는 당시 의병세력이 절대

군주제 사상을 견지하고 있고 다른 계몽운동 단체들은 제한군주제 정치사상

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던 상황에서 매우 혁신적인 생각이 아닐 수 없었다.

동시에 민주공화제의 신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는 신민회가 일제로부터 국권

을 회복하는 최고 전략으로 독립전쟁전략을 채택하고 있었다는 것 또한 잘

알려져 있다. 단지 그 같은 독립전쟁전략 혹은 독립전쟁론이 신민회 결성을

제안하면서 처음부터 안창호에 의해 주장되었으리라는 사실은 아직 잘 받아

들여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그는 귀국 직후 신민회 결성의 초기부터 공개

연설을 통해 일본과의 전쟁이 불가피함을 설파하고 즉각 그 준비에 나설 것

을 역설하고 있었다. 이는 당시 의병세력이 실천하고 있던 항일 무장투쟁과

계몽운동세력의 비폭력 실력양성론을 결합하여 장차의 대일 독립전쟁을 상

정한 독립전쟁준비론이었다.

결국 안창호는 일제의 국권 탈취 기도가 막바지에 이른 절박한 시점에서

민주공화제의 신국가(=대한민국) 건설이라는 목표와, 독립전쟁전략에 입각해

일제와의 독립전쟁을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준비하자는 방법론이 포함된

참신하고도 설득력 있는 명분과 논리를 제시함으로써 단기간에 선각적 애국

지사들을 비밀결사의 형태로 결집해낼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면 어떻게 안창호와 공립협회 나아가 그 모태가 되었던 미주 교민사회

는 국내의 다른 사람들 보다 먼저 공화국가 건설과 독립전쟁 준비를 근간으

로 하는 선진적이고 설득력 있는 운동론을 정립할 수 있었을까. 한국독립운

동의 전체적인 시야에서 보면 당시 미주 교민사회는 수적으로 매우 작은 규

모였고 지리적으로도 본국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작은 변방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미국은 당시 자유문명의 신흥 강대국으로 떠오르고 있었으며, 절대

불리한 군사력에도 불구하고 대영제국과 독립전쟁을 감행해 공화국가를 세

운 독립혁명의 역사를 갖고 있었다. 이같은 사실은 미주의 교민들과 그들의

정치사회적 결집체인 공립협회 그리고 특히 그 지도자였던 안창호에게 위기

Page 26: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25 -

에 처한 조국의 미래를 구상하는데 깊은 영감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안창호의 민족운동 구상과 활동

그러면 이제 미국에서의 공립협회 활동기에 정립된 안창호의 민족운동 구

상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자.

안창호의 애국애족의 일생은 문자 그대로 오로지 국가와 민족의 독립과 발

전을 위한 헌신의 생애였다. 특히 국내에서의 신민회운동 이래 민족운동의

최고 지도자 가운데 한사람으로 부상한 그는 참으로 다양한 사업과 활동을

펼쳤으며 수많은 조직을 만들고 참여했다. 그러나 안창호의 생애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의 다양한 사업과 활동은 상황과 시세에 편승한 즉흥적 대응

에서가 아니고 일관된 목표와 방법론의 테두리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즉 그의 모든 실천 활동은 확고한 이론적 토대 위에서 이루어지

고 있었던 것이다.

이제 그의 총체적인 민족운동 구상을 그가 수첩에 직접 작성해 갖고 다녔

던 도표 형식의 친필 메모를 통해 알아보기로 하자.

Page 27: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26 -

<독립운동구상안(1910년대)>

Page 28: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27 -

Page 29: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28 -

앞의 <표>에서 보듯 그는 우리 근대민족운동의 진행 경로를 크게 다섯 단계

로 설정하고 있었다. 즉 (1)기초, (2)진행준비, (3)완전준비, (4)진행결과, (5)완

전결과의 다섯 단계였다. 이제 위의 각 단계별 내용을 그가 남긴 각종 언설

과 활동들을 참작하면서 그의 메모에 따라 좀더 부연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초는 뜻있는 청년들로 하여금 신애 충의 용감 인내 등의 정신적 덕목

을 생명처럼 중히 여기는 건전한 인격의 인물들로 훈련하고 이들을 주의의

통일, 직무의 분담, 행동의 일치라는 원칙 아래 공고히 단결하도록 훈련하여

민족운동의 기간이 될 지도적 인재들을 양성하는 단계이다.

(2) 진행준비는 위의 기초 단계를 통해 배출된 지도적 인물들이 곳곳에서

학업단과 실업단을 만들어 인재와 재정을 준비해 가는 단계이다. 학업단은

통신 혹은 서적을 통한 공동 수학이나 학교 교육을 통한 전문 수학 등으로

덕육 지육 체육의 각종 학업을 수행하는 조직체를 결성하여 활동하는 것을

말하며, 실업단은 농업 상업 공업을 위한 회사를 조직하고 금융기관 교통기

관을 만들며 각 개인들의 경제력을 제고하는 여러 활동들을 뜻했다.

(3) 완전준비는 위의 학업단과 실업단의 활동에 의해 각 부문의 인재들이

속속 양성되고 장차 소요될 재정이 확보되는 단계이다. 즉 장차 적절한 기회

에 결행할 독립전쟁에 대비하여 독립군 지휘관을 비롯해 정치가, 기술자, 의

사, 실업가, 학자 등 각 분야 전문 인재의 확보가 이루어지고, 아울러 군사비,

건설비, 외교비가 비축되는 단계를 말한다.

(4) 진행결과는 드디어 일제와 독립전쟁을 결행하고, 그와 동시에 전민족적

대표성을 갖는 민족정권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5) 완전결과는 독립전쟁을 통해 마침내 일제를 구축하여 국권을 회복한 다

음, 문명 부강한 독립국가를 건설해 가는 단계이다.

이상을 통해서 보면 안창호는 일제에 의한 완전 식민지 지배 아래서의 유

례없는 악조건 속에 놓여 있으면서도 민족의 자주 독립과 번영 발전이라는

원대한 이상을 세워 놓고 그에 도달하기 위한 민족운동의 전 도정을 매우

Page 30: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29 -

정밀하게 정립해 놓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민족운동 구상을 보다 선명히 이해할 수 있도록 다시 이를 간결하게

세 단계로 정리해 보기로 하자.

첫째, 기초단계이니 위의 (1)기초에 해당하는 바, 건전한 인격과 유능한 자

질을 가진 청년들을 모집하여 조직적으로 정신훈련과 단결훈련을 시켜 민족

운동의 간부요원으로 양성하는 과정을 말한다.

둘째, 준비단계이니 이는 위의 (2)진행준비와 (3)완전준비에 해당한다. 기초

단계를 통해 배출된 간부급 인물들이 각 방면에서 조직적으로 교육과 산업

활동을 전개해 독립운동과 독립국가의 건설 과정에서 소요될 전문 인재 및

재정을 널리 확보해 가는 것을 말한다.

셋째, 운동 단계이니 위의 (4)진행결과와 (5)완전결과에 해당한다. 준비단계

를 통해 확보된 인재와 재정의 실력을 바탕으로 적절한 기회를 포착하여 본

격적인 독립운동 곧 일제와 독립전쟁을 결행함으로써 광복을 달성한 다음,

나아가 문명 부강한 국가를 건설해 번영을 누리는 것을 말한다.

안창호의 이 같은 민족운동의 이론 체계가 구체적으로 언제 완전히 정립되

었는지는 특정해 말하기 어렵다. 그러나 그의 생애와 활동을 주의 깊게 살펴

보면 위에 나타난 구상은 매우 이른 시기부터 그의 민족운동의 밑바탕에 확

고히 자리 잡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늦어도 한말 신민회운동을 위해 귀국

할 때는 이미 그 내용이 확실하게 세워져 있었다고 보여 진다. 즉 미국에서

공립협회를 결성해 미주교민들을 지도하던 청년 시기에 이미 그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한국근대민족운동의 진로에 대한 이론적 틀을 정립했던 것이다. 그

리고 그 배경에는 미국의 과거 독립 역사와 당시의 발전상이 짙게 투영되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이 그의 평생에 걸친 활동을 개관해 보면 쉽게 확인된다. 널

리 알려져 있듯이 안창호는 한말에는 국내에서 청년학우회를 설립했으며 미

국에 망명해서는 흥사단을 세웠는데, 이는 민족운동에 헌신할 지도적 인물

곧 민족운동 간부의 양성을 위한 것으로 그의 총체적 구상에 비춰보면 가장

Page 31: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30 -

기초 단계에 해당하는 일이었다.

다음으로 그가 점진학교 대성학교 평양자기제조회사 태극서관 북미실업주

식회사 모범촌건설 등의 각종 부문 사업을 직접 추진하고, 독립협회 공립협

회 신민회 대한인국민회 임시정부 대독립당 등의 조직체에 참여하거나 혹은

스스로 설립했던 것은 장차 다가올 본격적인 운동단계(=독립전쟁과 국가건

설)를 전망하면서 그에 대비하여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각 부문의 인재와 재

정의 확보 및 그것을 위한 조직 사업에 헌신함이었으니 모두 준비 단계의

활동이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그는 1931년 중국에서 일제의 만주 침략 소식에 접해 드디어

오래 기다리던 독립전쟁의 기회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고 판단하면서 상해

에서 대일전선통일동맹을 결성하는 등 본격적인 항일 투쟁을 준비하다가 윤

봉길 의거의 여파로 일제 경찰에 체포당하였던 것이다.

지금까지 말한 안창호의 민족운동론을 다시 집약해서 말하면, 기초 단계로

서 독립과 건국의 민족운동 요원 양성을 위한 흥사단운동론과, 준비 단계의

독립운동 방략으로서 교육과 실업 등 각종 실력배양론을 포괄하고 이를 장

차의 대일 독립전쟁에 집약하는 독립전쟁준비론과, 독립 이후 건설할 민족국

가의 설계로서 자유 평등의 문명 부강한 민주국가건설론이라는 세 가지를

그 핵심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었던 것이다.

5. 맺 음 말

초창기 미주 교민사회에서의 지도 경력을 기반으로 하고 식민지화 직전 국

내에서 전개한 신민회 활동을 통해 한국 근대민족운동의 중심인물로 부상한

안창호는 다시 국내를 탈출한 다음 중국과 연해주를 거쳐 미국으로 돌아갔

다. 이후 1910년대에는 국외의 최대 교민 조직인 대한인국민회를 재건하여

이끄는 동시에 1913년에 흥사단을 창립하여 지도하였다. 3.1운동 후에는 중

국으로 건너가 임시정부와 국민대표회에 종사하고 대독립당운동을 전개하였

다. 물론 그밖에도 그는 최고지도자의 한사람으로 다양한 사업과 조직활동을

전개하다가 1932년 일제 경찰에 체포되었고 국내에 압송된 후 수년간의 옥

고 끝에 타계하였다.

Page 32: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31 -

안창호의 60년 생애를 되돌아보면 글자 그대로 오로지 <민족의 독립과 번

영을 위한 모색과 실천> 바로 그것이었다. 그가 활동하던 시기의 객관적 여

건이 너무도 제약이 많았기에 그의 실천 활동들이 당장 큰 효과를 내는 성

공을 거두지는 못하였다. 오히려 헌신적인 노력에 비해 시련과 좌절이 더 많

았다. 그러나 이는 그만이 아니라 한국 근대민족운동 전반이 처했던 현실이

었고 한계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안창호가 당대에 거둔 가시적 성과가 무엇이었는지를 헤아

리기보다는 그가 지향했던 이상과 가치가 무엇이었고, 그 실현을 위한 과정

에서 한결같이 견지해 보여 주었던 태도가 어떠했는지에 주목해야 할 것이

다. 그것들은 비단 지난 세기 제국주의에 고통 받던 한 약소민족의 민족적

차원에서만 유효했던 것이 아니고 좁게는 개개 인간들의 일상의 삶 속에서,

그리고 더 넓게는 평화세계를 향해 나아가야 할 인류 전체가 보고 배워야

할 보편성까지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그가 험난한 민족운동의 당면 투쟁 과제들에 한치의 양보도 없이 용

감하게 대응하면서도 일생에 걸쳐 일관되게 강조하였던 무실역행의 건전한

인격을 가진 인재양성론의 <흥사단 사상>, 공동체에의 자발적 헌신과 봉사를

강조한 <대공주의>, 애기애타를 통해 전 인류의 완전한 행복을 지향하였던

<사랑론·행복론> 등은 여전히 강력한 생명력을 갖고 있는 귀중한 유산들이다.

그래서 안창호의 활동과 이론의 주된 시공간적 배경은 20세기 전반 미주

교민사회를 포함한 한민족이었으나, 21세기에 접어든 지금 그의 생애와 사상

은 오히려 한민족의 범위를 벗어나 세계인 모두에게 영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전인류 공통의 미래 자산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글로벌 시대

한민족 가운데서도 제 1선에 위치한 미국의 한인사회, 그리고 특히 그의 유

지를 소중히 여기는 흥사단은 안창호를 새롭게 만나야 하는 큰 사명을 안고

있다.

Page 33: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32 -

[참고자료]

<저서>

미주한인이미100주년남가주기념사업회, 2003, 『미주한인사회와 독립운동1』

도산학회, 2005, 『미주국민회 자료집』 1-22

한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0,『도산안창호전집』 1-14

미동포재단, 2002, 『미주한인이민 100년사』

현규환, 1976, 『한국유이민사』 상.하

방선주, 1989, 『재미한인의 독립운동』

김원용, 1959, 『재미한인50년사』

노재연, 1951, 『재미 한인사략』

이광수, 1947,『도산 안창호』

박현환, 1954, 『속편 도산안창호』

주요한, 1963,『안도산전서』

곽림대, 1963, 『도산 안창호』

장리욱, 1976, 『도산의 인격과 생애』

Arthur Leslie Gardner, 1979, 『The Korean Nationalist Movement And An Chang-ho,

Advocate of Gradualism』

흥사단, 1986, 『흥사단운동70년사』

Byung-il Kim, 1995, 『Korean American Pioneer Dosan - A Biography of Dosan

Chang-ho, Ahn』

Hyung-chan, Kim, 1996, 『AHN CHANG-HO - A Profile of a Prophetic Patriot』

이명화, 2002, 『도산 안창호의 독립운동과 통일노선』

이태복, 2006, 『도산 안창호 평전』

<논문>

박만규, 2005, 「21세기 도산사상의 새로운 키워드」『도산학연구』11.12집

유준기, 2004, 「미주지역에서의 안창호의 독립운동」『미주지역의 한인사회와

독립운동』

최기영, 2002, 「도산 안창호와 대한인국민회」『도산사상연구』8

김도훈, 1989,「공립협회(1906-1909의 민족운동연구」『한국민족운동사』4

Page 34: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33 -

Abstract

Vision and Direction of Young Korean Academy in USA

Chang Hi Yun

President of YKA in New York, Attorney

YKA, Hung Sa Dahn, will celebrate its 100th anniversary on May 13,

2013. This celebration sets a precedent because no other Korean

organization has remained alive and viable as long as YKA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YKA’s past has been a success. Since its inception

by the founder, Chang Ho Ahn, YKA has produced many incredible and

influential leaders in Korea. I consider Chang Ho Ahn to be the Korean

Martin Ruther King, Jr. He could be called a Korean Ghandi because just

as Chang Ho Ahn did, these leaders rallied their people behind a just

cause to better their respective nations.

With this outstanding track record, what will be the future of YKA? YKA

faces challenges in developing a new model to cultivate young people

with good character and capable minds. YKA members are to build a

network of trust and sincerity as an entity not only to represent Korean

nationals, but also to serve the world community. YKA ought to build a

foundation to cultivate young leaders who will devote their lives to

seeking the truth and value loyalty and courage. These leaders need to

미주 사회에서 흥사단운동의

비전과 방향- 빛나는 흥사단 선배 단우들을 본 받아, 훌륭한 단우들을 키우자! -

윤 창 희

뉴욕흥사단 대표, 변호사

주제발표 2

Page 35: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34 -

pursue the personal development of sound character through moral,

physical, and intellectual discipline. They need to value diversity in an

ever globalizing world. With these leaders, YKA will build a firm

organization as well as capable and passionate future leaders for

Koreaandthegreaterglobalsociety.

YKA members choose the difficult way of life to be models for other

people. I have full confidence that with our strong foundation in a history

of adhering to organizational values, YKA will continue to build the

organization, its members, and its future leaders to leave a legacy in this

world.

저의 좌우명이랄까, 아니면 나침반이랄까? 제가 인생을 살아가는데 하나의

방향을 잡아 주는 말이 있습니다.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 “어떠한 일에도

좌절하지 않는다” Don’t give in. Never give up. 이러한 말들입니다. 이것은 저

의 어머님으로 부터, 제가 배운 산 지식입니다.

저는 도산이 이 세상을 떠날 때에, 이 민족에 던진, “낙심 마오”라는 말을

오랫동안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최근에, 저는 이 말의 의미를 다시

금 생각했습니다. “아! 우리 보고 포기하지 말라는 말이구나!” 저는 감탄하여

서, 소리를 질렀습니다. 우리의 선각자들은 참으로 훌륭한 말씀들을 남겼습

니다. 안 중근 의사를 보십시요. 그가 여순 감옥에 있을 때에, 우리 민족에

던진 주옥같은 진리의 말들이 있습니다. 안 중근 의사의 말씀 중에, 제가 좋

아하는 글귀가 있습니다. 百忍堂中有泰和 - 백번 참는 집안에 큰 화평이 있

다라는 말입니다. 매헌 윤 봉길 의사의 丈夫出家生不還– 사나이 대장부가 뜻

을 세워 집을 나가면, 그 뜻을 이루기 전에는 살아서 집에 돌아 오지 않는

다 라는 말입니다. 말이 펄펄 살아 있습니다. 윤봉길 의사가 25세 때에 남긴

글입니다.

도산 안창호, 안 중근의사, 매헌 윤 봉길 의사의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들은

한 때의 흥분으로 큰 일을 한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사물을 관찰하고, 크고

Page 36: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35 -

깊은 생각으로 민족대사를 도모했다는 사실입니다. 매헌 윤 봉길 의사는, 그

의 나이 25세가 되기 전에, 학문에 정진하여 3개의 시집을 낸 문장가였고,

야학, 농촌 계몽운동 등을 포함한 많은 조직 운동을 통하여 국내의 독립운동

으로는 한계를 느끼고, 어린 아내와 강보에 싸인 슬하의 자식 둘을 놓고, 큰

일을 위하여 상해로 갔습니다. 1932년은 한국 독립의 어려운 시기였습니다.

상해 임시 정부가 시작할 때는, 1000여명의 지사들이 드나들어 활발했지만,

1932년도 당시에 임시정부는 거의 문을 닫았고, 남아 있던 독립 운동가들은

모두 어려운 생활을 하였습니다. 중국의 도움없이는 한국 독립 운동이 어렵

다는 것을 판단한 백범 김구는 윤 봉길 의사를 택하지 않았습니까? 폭탄을

던지고 도망가는 것이 아니라, 그 자리에서 “대한독립 만세”를 외친 윤 봉길!

이토오 히로부미를 쏘고, 도망가지 않고, 그 자리에서“대한민국 만세”를 외친

안 중근, “나는 죽어도 대한 독립을 위해, 살아도 대한 독립을 위해 일하다

죽는다”라고 말한 도산! 이들은 참으로 찬란한 인생을 살다 가신 선각자들

입니다.

우리의 선각자뿐만 아니라, 오늘 여기에 오신, 한국에서 그 먼 거리를 마다

하고 마치 치타처럼 달려오신 흥사단 단우 동지들과, 미주 전역에서 모이신

우리 흥사단 단우 동지들은, 참으로 빛나는 흥사단 단우들입니다. 위의 선각

자들과 비교할 수는 없지만, 저한테는 여러분이 더 소중하고, 가까운 동지들

입니다.

자기 돈과 자기 시간을 바쳐서 오신 동지 여러분!

무엇이 여러분을 이 자리를 사모하게 하고, 동지를 만나고 싶고, 기쁨의 대

화를 하고 싶게 하였습니까?

1. 빛나는 흥사단 단우들

저는 흥사단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름 아닌 바로 오늘 이 자리에 참석하신 흥사단 단우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흥사단은 사람입니다. 흥사단은 인물 공부를 하려고 모인, 인재

들이 모인 단체입니다. “무실·역행·충의·용감”이라는 정신적인 바탕은 시

Page 37: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36 -

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진리이고, 어느 나라, 어느 민족에도 환영받는 도덕적

가치 기준입니다. 우리 단우들은 개인의 영광과 부귀를 원하는 것 보다는,

우리가 속한 공동체에서, 시대의 요구에 따라, 빛과 소금의 역할을 다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왔습니다. 나라가 없을 때는, 조국의 독립 광복을 위하여,

나라가 있을 때는, 나라의 부흥을 위해, 헌신한 단우들이 많습니다.

참으로, 흥사단 선배 단우들을 생각해 볼 때마다, 저는 그들의 숭고한 인격

과 성실한 삶의 자세에 감격하고, 감사를 드립니다. 만약 그들이 센 권력을

자랑하고, 큰 부를 과시하였다면, 저한테서 그렇게 존경스러운 마음이 스스

로 일어나지 않았을 것입니다.

과거에 훌륭한 흥사단 단우들이 있었다면, 앞으로도 훌륭한 인재들을 흥사

단 단우로 키워서, 좋은 인재 풀을 만드는 것이 흥사단의 방향이고, 미주 흥

사단의 방향이라고 믿습니다. 흥사단 단우들의 공통점이 있다면, 참으로 겸

손한 단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흥사단 단우들의 특징은, 거의 모두가 평생동

안 흥사단 운동을 한다는 점입니다.

우리 흥사단 동지들은, 쉽게 사는 인생이 아니라, 무엇인가 뜻있는 인생을

살려고, 작심하고, 그것을 매일 같이 실천할려고 노력하는, 그러한 사람들 입

니다. 그러한 사람들이 모여서, 내가 먼저 좋은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수신제

가” 와 우리가 속한 사회와 공동체를 선하게 변화시키겠다는 “치국평천화”의

사상을 가진 동지들이 모인 곳이 우리 흥사단입니다.

한 단체가 존속하는, “100년”이라는 이 숫자가, 한국 민족의 역사에서 차지

하는 흥사단의 위치를 단적으로 말해 줍니다. 해방 후 독립 유공자가 106명

이라는 숫자도, 흥사단의 위상을 말해줄 수 있습니다. 세계 역사상 유례가

없는 민주화와 산업화를 동시에 이룬, 한국 현대사에서도, 흥사단은 나름대

로 역할을 했다고 자부합니다.

미주는 흥사단이 창단된 곳이고, 독립 운동뿐만 아니라, 해방후 많은 한국

의 인재들을 배출한 것이 사실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흥사단의 과거를 긍

정적으로 평가하고 싶습니다. 그러면, 흥사단의 현재와 미래는 무엇입니까?

앞으로 흥사단의 운동은 어디로 가야할까요? 특히, 말도 설고 물도 설은, 이

곳 미주에서의 흥사단의 비전과 방향은 어디에 있습니까? 이것이 오늘 제가

Page 38: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37 -

이 자리에 서서 여러분과 같이 고민할 내용입니다.

100주년을 맞는 우리 흥사단은, 처음의 목표와 마지막의 목표가 단우를 잘

개발하고, 키우는 일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저의 생각입니

다. 한국은 한국 사정에 맞게, 미국은 미국 사정에 맞게, 단우를 키우는 작업

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인류의 발달 과정을 4개 단계로 구별하고 있습니다. 농업 혁명,

산업 혁명, 정보·통신 혁명, 그리고 지식 혁명입니다. 저는 흥사단이 창단된

1913년도의 한국 사회는, 농업 혁명과 산업 혁명의 와중에 있었다고 봅니다.

현재는 정보·통신·지식 혁명의 와중에 있고, 하루가 다르게 사회가 변화하

고 있습니다. 모든 사고와 행동의 패러다임이 혁명적으로 바뀌어졌습니다.

그러나, 변하지 않은 것이 있다면 인류가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이상입니다.

우리 흥사단은 정직할 것, 성실할 것, 용감할 것, 그리고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할 것 등을, 우리의 이상으로, 정신적인 바탕으로 갖는 단체입니다. 이 사

상은 세계 어디에다 내놓아도 부끄러움이 없는 철학입니다.

얼마 전에 뉴욕에서, 예비단우 입단식이 있었습니다. 우리 원로 단우께서,

말씀이 있었습니다. “흥사단 단우의 자세는, 자기는 죽고, 단의 이름은 빛나

야 된다”라는 요지의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참으로 귀중한 흥사단의 방향을

제시한 말씀이었습니다. 이것이 흥사단입니다. 나는 죽고, 흥사단과 흥사단

동지들의 이름은 드높이는 것입니다.

흥사단에는 빛나는 흥사단 단우들이 많이 있습니다. 100여년 동안의 역사

에, 참으로 빛과 소금의 역활을 한 단우들이 밤 하늘의 별과 같이 빛나고 있

습니다. 저는 제가 흥사단 단우라는 것이 얼마나 자랑스러운지 모릅니다.

“I am proud of being a member of Young Korean Academy.”

얼마 전에,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미주 임시 총회가 열렸습니다. 총회 중에,

미주 위원부 회칙 개정 문제가 대두 되었습니다. 제가 평소에 존경하는 단

우의 말씀이 있었습니다. “회칙 개정이 보니까, 징계 위원회를 강화해서, 징

계를 어떻게 한다는 그러한 내용이 중점적으로 나온 개정안인데, 흥사단 안

에 무슨 징계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라는 요지의 말씀을 해 주

Page 39: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38 -

셨습니다. 그렇습니다. 동지의 징계는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일이지,

회칙에 있다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날, 여러분이 잘 아시다시피, 우리 미

주 위원부는 화해의 장을 열고, 감격적인 새 출발을 하지 않았습니까?

저는 바로, 이 중심을 잡아 주는 원로 단우 같은, 많은 흥사단의 단우들이

오늘날의 흥사단을 만들었다고 믿고 있습니다. 평생 한 길을 걸어오신 흥사

단 동지들, 특히 여기 앉아 계신, 단우님들의 인생을 축하드립니다. 잘하셨습

니다. 감사합니다. 우리 흥사단 안에, 얼마나 기라성 같이 뛰어난 단우들이

많이 있습니까?

사회 활동도 중요합니다. 그러나, 저는 먼저 단우의 정예화를 외치고 싶습

니다. 우리 단우 중에, 저를 비롯하여, 못난 단우들이 있습니다. 흥사단의 이

름과 동지들의 이름은 없고, 자기의 독선전인 이름만 내세우는, 못난 흥사단

단우가 있습니다. 또한, 우리 중에 거짓말하는 단우가 있습니다.

제가 보는 흥사단은 수레바퀴가 두개 달린 마차입니다. 하나는, 인격 수련

단체이고, 또 하나는 공동체를 이루어 활동을 하는 사회 공공 단체입니다.

하나는 수신제가이고, 또 하나는 치국평천하입니다. 전에는, 사회 활동이 한

국 민족에 국한되었지만, 이제는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흥사단이 되어야

합니다. 특히, 미주에 있는 흥사단은, 과감히 2세로 내려가는 작업이 진행되

어야 합니다. 저는 가끔 생각합니다. 미주의 흥사단은 유태인들과 같이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단체가 되어야겠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흥사단이 되려면, 그

시작이 좋은 단우들이 먼저 모여야겠다는 것입니다. 나 자신부터 좋은 단우

가 되는 부단한 인격 훈련을 해야 합니다.

2. 낙심 마오 (Don’t give in. Never give up)

인생이 무엇이냐? 제가 보는 인생은 성공과 실패의 연속입니다. 헛발질의

연속입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포기하지 않는다라는 것입니다.

흥사단 운동은 포기하지 않는다는 것에 그 진면목이 있습니다. 자기 수양이

라는 그 어려운 일을 포기하지 않고, 점진적으로 평생 동안 하고, 동지를 믿

고, 사랑하고, 또 좋은 동지를 개발하는, 이 어려운 일을 포기하지 않고 한다

는 데에 그 의미가 있습니다.

Page 40: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39 -

“동지를 믿고 속으라” 이 얼마나, 가슴이 찡한 말입니까?

“그대는 나라를 사랑하는가? 그대 먼저 건전 인격이 되라.” 저는 나이가 들

어 갈수록, 도산의 이 말씀에 감격하고, 어쩌면 케네디 대통령이 말한 “Ask

not what your country can do for you. Ask what you can do for your country.”란

말보다 더 깊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올해 봄에 뉴욕·필라델피아·워싱턴 DC, 3개 지부가 “흥사단 창단100 주년

기념 벚꽂 맞이 걷기 대회”를,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에서 개최 하였습니다.

당시에 많은 단우들이 참석하였고, 특히 워싱턴 DC 흥사단의 부흥을 다시

보는 것 같아서, 마음이 흐뭇한 대회였습니다. 여러분이 잘 아시다시피, 워싱

턴 DC는 기라성 같은 흥사단 단우들을 배출한 곳입니다. 제가 표시는 않지

만, 항상 존경하는 우리 흥사단의 헌신적인 단우들이 있는 곳입니다. 저의

표현으로 “빛나는 흥사단 단우들”이 있는 곳입니다. 이 걷기 대회 때, 저는

마틴 루터 킹 기념관을 자세히 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미국의 힘이 어디서

나오는가? 그것은 마틴 루터 킹같은 사람이 있기 때문에, 미국의 힘이 있는

것입니다. 저는 저의 자녀들한테, 도산 안창호는 한국의 마틴 루터 킹이고,

한국의 간디라고 말합니다. 그러면, 아이들이 금방 알아듣습니다.

이 마틴 루터 킹의 동상 옆 바위에 쓰여 있는 글을 보고, 저는 또 한번 놀

랐습니다. 거기에 “Out of Mountains of Despair, A Stone of Hope.”라는 글이 있

는데, 한국말로 하면, “태산과 같은 절망 속에서도, 한줄기 희망이”라는 말입

니다. 어쩌면, 도산의 “낙심마오”와 같습니까? 도산이 우리 민족한테, 마지막

준 말이 바로 이 “낙심마오”입니다.

여러분!

우리 흥사단 단우 동지들은 낙심하지 맙시다. 포기하지 맙시다. 오뚜기처럼

다시 일어납시다!

저는 여기 한 인생을 소개 하려고 합니다. “정직”하였기 때문에, 그는 하는

일마다 실패하였습니다. 그는 정기 교육을 못 받았습니다. 변호사 업무도 실

패하였고, 수많은 선거에서도 낙마하였습니다. 자녀들은 먼저 죽고, 부인은

Page 41: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40 -

정신이 쇠약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항상 깊은 우수에 차 있었습니다. 사람

들은 그를 놀렸습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철학을 믿었고, “정직” 이라는

원칙을 굳게 지키고, 인생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마침내 모든 실패를

이겨내고, 미국의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미국의 역대 대통령 중에, 가장 존경

받는 미국의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그가 바로 미국의 링컨 대통령 입니다.

그는 인생을 낙심하지 않고, 포기 하지 않아서, 마침내 “정직”으로, 승리하는

인생을 살았습니다.

“Honesty is the best policy.” 아브라함 링컨 미국 대통령이 남긴 말입니다.

“죽더라도 거짓이 없으라!”우리의 자랑, 우리 민족의 스승, 흥사단을 만든, 도

산 안창호의 말입니다. 도산은 “정직”을 제일 큰 덕목으로 삼았습니다. “죽

더라도 거짓이 없어라”를 제가 영어로 번역해 보았습니다.

“Honesty Is The Best Policy”

“정직”은 흥사단 단우 번호 4번, 1번이 아니고 4번을 선택하여, 스스로 겸

손, 섬김, 그리고 모심의 자리에 자신을 두고, 흥사단을 민족 앞에 내 놓고,

또한 세계속에 내놓은, 자랑스러운 흥사단 단우, 도산 안창호의 말입니다.

흥사단 만세!

흥사단 단우 만세!

Page 42: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41 -

What is Hung Sa Dan(Young Korean Academy; Y.K.A.)?

Hung Sa Dan(Young Korean Academy; Y.K.A.) is national campaign organization that

Dosan Ahn Chang Ho established in San francisco, United States in May 13 1913, for

the independence and prosperity of the nation. Hung Sa Dan raised leading characters

to dedicate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had the vision that they would build

powerful independent nation by preparing for the war of independence systematically.

The goal of the vision was not only to develop the self-reliant independence movement

based on the development of power and skill to regain the lost country, but also to

build a true democratic republic where every citizen can live a free and even life. After

the liberation, Hung Sa Dan started to train character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the nation. In addition, it served to the democratization of the Korean

society through the organizations of high school, university and youth academy. These

days, it develops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three major civic movements such as

national unification movement, transparent society movement, and education movement

in order to try to resolve the national project.

Fundamental Principles of Y.K.A.

Three Fundamental disciplines ● Personality discipline forms healthy personality by developing virtue, training bodies,

and acquiring specialized knowledge or manufacturing skills.

● Unity discipline creates sacred organization by keeping the faith, conforming to the

rules, and helping and loving each other.

● Civil discipline enhances national dignity by developing self-reliant spirit and

self-governing ability and promoting knowledge about democratic society and life

manner of community service.

Four Fundamental principles ● Seek the Truth is the principle of sinking a lie and loving the truth, that is, to

respect reality.

● Act upon the Truth is the principle of reaching out for goal steadily, emphasizing

부록 Appendix

Page 43: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42 -

practice rather than empty words.

● Be Loyal and Trustworthy is the principle of trying to be honest to others and trying

one’s best for everything.

● Be Courageous is the principle of living an enterprising life with strong will on each

affair.

Founder Dosan Ahn Chang Ho

Dosan Ahn Chang Ho who was born in Dorong Island

located at the downstream of Daedong River in

Pyeonannam-Do, had joined an independence

association and had organized a public office branch

of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at Pyeonyang. Also

he had earned fame as an outstanding orator by

making his first speech at the hosting of Manmin

gongdongwhe

(general convention of all the people) at Kwejejung.

Dosan Ahn Chang Ho, an excellent organizer, had

developed a save-the-nation movement by organizing

Shinminhwe which is a secret desperate organization,

in 1907 when he was 29 years old. Furthermore, he had developed Youth Association in

1909, Korea National Association in 1912, Hung Sa Dan in 1913, and Korea

Independence Party in 1928. Moreover, he had worked as an acting premier and

domestic president of Shanghai provisional government and had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lso, he had strived for Left- and Right-Wing

Collaboration Movement. He insisted Daegongism(=emphasizing fidelity for the publicness

and nation-state). He had organized Korea Independence Party and had tried to create

an ideal country as the base of Independence Movement at Najing, China in 1923. He

had been arrested due to the after effect of the bomb accident of Yun Bong-Gil at

Hong Gu Park at Shanghai and had been sent to Korea under escort in 1932. Dosan’s

lifetime until he had passed away at the Seoul University Hospital in March 10 1938 is

the model of one’s love of the country and people and influences many fields such as

politics, society, education, culture, and industry these days.

Page 44: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 43 -

Page 45: 도산 안창호와 흥사단의 독립운동 고찰과 민족사적 의의 · 2012. 12. 18. · 월 13일 호놀룰루 항에 도착한다. 선교사들은 1905년 8월까지 65척의

1-28, DONGSUNG-DONG, JONGRO-KU, SEOUL, 110-809, KOREA

Tel: 82-2-743-2511∼4 Fax: 82-2-743-2515

Homepage: http://www.yka.or.kr e-mail: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