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공학용 전분 나노섬유 매트릭스의 제조 preparation of starch ... ·...

5
Biomaterials Research (2008) 12(3) : 109-113 109 Biomaterials Research C The Korean Society for Biomaterials 조직공학용 전분 나노섬유 매트릭스의 제조 Preparation of Starch Nanofiber Matrix for Tissue Engineering 박미정 1 ·김영진 2 ·강인규 1 * Mi-Jung Park 1 , Young-Jin Kim 2 , and Inn-Kyu Kang 1 * 경북대학교, 고분자공학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공학과 Dept. of Polymer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702-701, Korea Dept. of Biomed. Eng.,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702-701, Korea (Received July 23, 2008/Accepted August 14, 2008) Starch was dissolved in trifluoroacetic acid with various concentration and the solution was stirred for three days at room temperature. The polymer solution was placed into a 10 ml glass syringe fitted with a needl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0.4 mm. The polymer solutions were electrospun with a fixed mass flow rate of 0.2~0.5 ml/h and a volt- age between 15 and 25 kV. The electrospun starch nanofibrous matrix was cross-linked by treatment with glu- taraldehyde vapor, saturated with glutaraldehyde aqueous solution for various time periods, followed by treatment with glycine aqueous solution to block unreacted aldehyde groups. Morphologies of the electrospun nanofiber were observed by using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s the results, the starch nanofibers having a diam- eter in the range from 500 nm~2 µm were successfully prepared via an electrospinning technique. The starch nanofi- ber matrix surface-crosslinked with glutaraldehyde was stable in aqueous solution, suggesting the potential to be used as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Key words: Starch, Electrospiining, Crosslinking, Glutaraldehyde 공학은 의학, 공학, 약학 분야에서 크게 주목되고 으며 재생 의학의 목적은 손상, 생체조직과 장기치료를 위한 세포를 이용하여 생체를 재생 혹은 재구축하는 기술을 립하는 데에 있다. 조직공학(Bone Tissue Engineer- ing) 뼈의 치료와 재생을 위해 새롭고 장래성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조직공학은 이상적인 지지체를 설계하고 제조하여 세포를 증식, 분화시키어 생체활성을 유도하는 것이나 실제로는 매우 까다로워 완전하게 연구되어 실용화되기까지는 힘들다. 1) 이상 적인 지지체란 생체적합성과 생분해성을 가진 다공성 형태에 세포와 영양분이 스며들 있는 투과성의 구조이며 세포의 , 증식을 위한 표면구조와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 이러한 지지체를 만드는 방법으로는 solvent casting, gas foaming, fiber bonding, melt molding, electrospinning 있다. 2) 특히 전기방사(electrospinning) 방법이 간단하고 초미세한 고분자 섬유제조가 가능하며 높은 비표면적과 aspect ratio 가지므로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3-5) 친환경적 고분 자재료는 생분해성 합성고분자(polycaprolactone, polylactide, polyvinyl alcohol, polyesteramide) 재생 가능한 천연고분자 (chitin, chitosan, pectin, starch, cellulose) 나눌 있다. 이들 starch 양이 풍부하며 가격이 저렴하므로 식품, , 종이산업 등에 넓게 이용되고 있다. 6) Starch 아밀로펙틴 (branched polymer, ~70%, 4000 glucose units) 아밀로오 (linear polymer, ~30%, 1000 glucose units) 혼합물이 , 이들은 1,4- 산소원자를 통해 서로 연결된 α-glucisidic unit 으로 이루어져 있다. Starch 기본으로 하는 물질은 생의학적 응용에 적용되는 특성을 가지게 되는데 완벽한 생분해성뿐만 아니라 합성고분자로부터 만들어진 물질과 유사한 물리적·기 계적 특성을 나타낸다. 다른 합성고분자와 starch 블랜드 으로써 지지체나 약물방출 등에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루어져 왔다. 7-8) 또한 Starch 기본으로 이루어진 3 차원 다공 지지체는 생체적합성과 뛰어난 in vivo 적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8-9) 연구에서는 starch 만을 이용한 전기방사를 통해 starch 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콜라겐 10) , 키토산 11) , 키틴 12) , 실크 피브 로인 13) 같은 천연고분자화합물의 전기방사에 대해선 많은 구가 이루어졌으나. Starch 대한 단독 전기방사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전기방사를 통해 제조된 starch 나노섬 유는 물에 쉽게 용해되어 풀어지므로 물과의 상호작용을 억제 하기 위해 표면가교반응을 하였다. 표면가교반응을 통해 압력 * 책임연락저자: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02-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조직공학용 전분 나노섬유 매트릭스의 제조 Preparation of Starch ... · 2013-08-04 · Biomaterials Research (2008) 12(3) : 109-113109 Biomaterials Research C The

Biomaterials Research (2008) 12(3) : 109-113

109

Biomaterials

Research

C The Korean Society for Biomaterials

조직공학용 전분 나노섬유 매트릭스의 제조

Preparation of Starch Nanofiber Matrix for Tissue Engineering

박미정1·김영진

2·강인규

1*

Mi-Jung Park1, Young-Jin Kim2, and Inn-Kyu Kang1*

1경북대학교, 고분자공학과, 2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공학과1Dept. of Polymer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702-701, Korea2Dept. of Biomed. Eng.,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702-701, Korea(Received July 23, 2008/Accepted August 14, 2008)

Starch was dissolved in trifluoroacetic acid with various concentration and the solution was stirred for three days atroom temperature. The polymer solution was placed into a 10 ml glass syringe fitted with a needle having an innerdiameter of 0.4 mm. The polymer solutions were electrospun with a fixed mass flow rate of 0.2~0.5 ml/h and a volt-age between 15 and 25 kV. The electrospun starch nanofibrous matrix was cross-linked by treatment with glu-taraldehyde vapor, saturated with glutaraldehyde aqueous solution for various time periods, followed by treatment withglycine aqueous solution to block unreacted aldehyde groups. Morphologies of the electrospun nanofiber wereobserved by using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s the results, the starch nanofibers having a diam-eter in the range from 500 nm~2 µm were successfully prepared via an electrospinning technique. The starch nanofi-ber matrix surface-crosslinked with glutaraldehyde was stable in aqueous solution, suggesting the potential to be usedas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Key words: Starch, Electrospiining, Crosslinking, Glutaraldehyde

서 론

직 공학은 의학, 공학, 약학 분야에서 크게 주목되고 있

으며 재생 의학의 목적은 손상, 생체조직과 장기치료를

위한 세포를 이용하여 생체를 재생 혹은 재구축하는 기술을 확

립하는 데에 있다. 그 중 골 조직공학(Bone Tissue Engineer-

ing)은 뼈의 치료와 재생을 위해 새롭고 장래성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골 조직공학은 이상적인 지지체를 설계하고 제조하여 세포를

증식, 분화시키어 생체활성을 유도하는 것이나 실제로는 매우

까다로워 완전하게 연구되어 실용화되기까지는 힘들다.1) 이상

적인 지지체란 생체적합성과 생분해성을 가진 다공성 형태에

세포와 영양분이 스며들 수 있는 투과성의 구조이며 세포의 접

착, 증식을 위한 표면구조와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한

다. 이러한 지지체를 만드는 방법으로는 solvent casting, gas

foaming, fiber bonding, melt molding, electrospinning 등

이 있다.2) 특히 전기방사(electrospinning)는 방법이 간단하고

초미세한 고분자 섬유제조가 가능하며 높은 비표면적과 aspect

ratio를 가지므로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3-5) 친환경적 고분

자재료는 생분해성 합성고분자(polycaprolactone, polylactide,

polyvinyl alcohol, polyesteramide)와 재생 가능한 천연고분자

(chitin, chitosan, pectin, starch, cellulose)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중 starch는 양이 풍부하며 가격이 저렴하므로 식품, 섬

유, 종이산업 등에 넓게 이용되고 있다.6) Starch는 아밀로펙틴

(branched polymer, ~70%, 4000 glucose units)과 아밀로오

스(linear polymer, ~30%, 1000 glucose units)의 혼합물이

며, 이들은 1,4-산소원자를 통해 서로 연결된 α-glucisidic unit

으로 이루어져 있다. Starch를 기본으로 하는 물질은 생의학적

응용에 적용되는 특성을 가지게 되는데 완벽한 생분해성뿐만

아니라 합성고분자로부터 만들어진 물질과 유사한 물리적·기

계적 특성을 나타낸다. 다른 합성고분자와 starch를 블랜드 함

으로써 골 지지체나 약물방출 등에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

루어져 왔다.7-8) 또한 Starch를 기본으로 이루어진 3차원 다공

성 지지체는 생체적합성과 뛰어난 in vivo 적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8-9)

본 연구에서는 starch만을 이용한 전기방사를 통해 starch 나

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콜라겐10), 키토산11), 키틴12), 실크 피브

로인13)과 같은 천연고분자화합물의 전기방사에 대해선 많은 연

구가 이루어졌으나. Starch에 대한 단독 전기방사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전기방사를 통해 제조된 starch 나노섬

유는 물에 쉽게 용해되어 풀어지므로 물과의 상호작용을 억제

하기 위해 표면가교반응을 하였다. 표면가교반응을 통해 압력*책임연락저자: [email protected]

Page 2: 조직공학용 전분 나노섬유 매트릭스의 제조 Preparation of Starch ... · 2013-08-04 · Biomaterials Research (2008) 12(3) : 109-113109 Biomaterials Research C The

110 박미정·김영진·강인규

Biomaterials Research 2008

이나 수분에 노출되어 있는 동안 본래의 형태를 유지할 수가

있도록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재료 및 시약

Starch (from potato)는 Sigma-Aldrich Co.에서 구입하였다.

용매로 사용한 trifluoroacetic acid (TFA)는 TCI (tokyo Kasei),

25% glutaraldehyde는 Acros Organics에서 구입하였다.

Starch용액 제조

수분이 많은 starch를 24시간동안 진공 건조하여 수분을 제

거하였다. 건조된 starch는 용매 trifluoroacetic acid에 15~25

wt%의 농도를 가지도록 상온에서 72시간동안 충분히 교반하

여 방사용액을 제조한다.

전기방사(electrospinning)

Starch 나노섬유를 제조할 때 용액의 농도와 전압이 섬유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전기방사는 Figure

1에서와 같은 장치로 구성이 되며 본 실험에서는 0.2~0.5 ml/

h의 속도로 유체를 주입하였고 전압은 15~25 kV 범위 내에서

사용하였으며 syringe pump와 주사기와 collector의 거리는

10~15 cm로 하였다. 전기 방사는 챔버 안에서 20% 이하의

습도를 유지하여 사용하였고 중력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중력의 수직방향으로 방사하였다. 제조된 나노섬유의 구조와 형

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S-4300 HITACHI)으로 관찰하였다.

가교반응(crosslinking)

Starch 나노섬유는 물에 쉽게 녹기 때문에 가교반응이 반드

시 필요하다. 잘 알려진 가교반응 시약으로는 glutaraldehyde,

formaldehyde, water-soluble carbodiimide가 있다. 그 중 가

장 많이 사용되는 glutaraldehyde를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만

들어진 starch 나노섬유 부직포는 일정한 크기로 잘라 상온에

서 25% glutaraldehyde 증기를 이용하여 가교반응을 시켰다.

24시간까지 정해진 시간마다 부직포의 표면반응을 중지하기 위

하여 0.1 M glycine으로 3~4회 세척하였다. 건조한 부직포는

무게를 잰 후 scanning electron microscope로 관찰하였다.

Figure 1. Schematic illustration describing electrospinning appartus.

Figure 2. SEM micrographs of starch fibers electrospun at different concentration: (a) 7 wt%, (b) 13 wt%, (c) 19 wt%, (d) 23 wt%.

Page 3: 조직공학용 전분 나노섬유 매트릭스의 제조 Preparation of Starch ... · 2013-08-04 · Biomaterials Research (2008) 12(3) : 109-113109 Biomaterials Research C The

조직공학용 전분 나노섬유 매트릭스의 제조 111

Vol. 12, No. 3

결과 및 고찰

가교반응을 하기 전에 starch의 전기방사 가능성을 확인하고

최적 조건을 구하였다. 전기방사는 고분자 용액에 가해주는 전

압의 세기, 고분자 용액의 flow rate, 주사기와 collector간 거

리 등 공정 인자들(processing parameters)에 우선해서 고분자

Figure 3. SEM micrographs of starch fibers electrospun at different concentration: (a) 15 wt%, (b) 19 wt%, (c) 25 wt%.

Figure 4. SEM micrographs of starch fibers electrospun at different electrical potential: (a) 12 kV, (b) 15 kV, (c) 18 kV. The fibers were electrospunfrom a 19 wt% solution of starch in trifluoroacetic acid.

Page 4: 조직공학용 전분 나노섬유 매트릭스의 제조 Preparation of Starch ... · 2013-08-04 · Biomaterials Research (2008) 12(3) : 109-113109 Biomaterials Research C The

112 박미정·김영진·강인규

Biomaterials Research 2008

용액 자체의 농도 조절이 성공적인 나노섬유 제조를 위해 매

우 중요하다. 고분자 jet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전기장 하에서

고분자 droplet이 연신되면서 Taylor cone 형태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때, 고분자 용액의 농도가 특정 농도 이하가 되어 점

도가 너무 낮으면 고분자 방울이 연신되지 못하고 그대로

collector에 떨어져 Figure 2(a)에 나타나듯이 섬유형태가 아닌

알갱이(granules)형태의 구조체가 얻어진다. 하지만 고분자 용액

의 농도를 점차 증가시키면 beaded string 구조(b, c)를 거쳐

최종적으로 나노섬유들만의 구조체가 얻어진다. Figure 3은 전

압 18 kV일 때 용액의 농도에 따른 나노섬유 형태를 나타낸

사진으로 15 wt%에서는 섬유의 굵기가 일정치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25 wt%의 농도에서는 섬유들이 서로 이어져 있는

형태를 확인 할 수 있었고 19 wt%에서 가장 좋은 나노섬유

형태를 얻을 수 있었다. Figure 4는 농도 19 wt% 용액을 여

러 가지 전압에서 전기 방사한 섬유의 사진이다. 모든 전압에

서 대체로 전기방사가 잘 되었지만 15 kV 이하의 전압에서는

섬유의 굵기가 일정치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starch

Figure 5. Crosslinking of starch macromolecules with glutaralde-hyde.14)

Figure 6. Weight loss of the starch nanofiber matrix as the function ofcross-linking time.

Figure 7. SEM micrographs of starch nanofiber matrix cross-linked with glutaraldehyde for various time: (a) 0.5 h, (b) 4 h, (c) 12 h, and (d) 24 h.

Page 5: 조직공학용 전분 나노섬유 매트릭스의 제조 Preparation of Starch ... · 2013-08-04 · Biomaterials Research (2008) 12(3) : 109-113109 Biomaterials Research C The

조직공학용 전분 나노섬유 매트릭스의 제조 113

Vol. 12, No. 3

용액의 농도 19 wt%, 18 kV의 전압을 유지하여 방사할 때

가장 좋은 섬유를 얻을 수 있었다. 제조된 starch 나노섬유에

표면가교반응을 하였다. Polysaccharide의 가교반응은 분자와

분자사이를 이어줌으로 인해 다당의 용해성을 낮추어 주는 가

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Glutaraldehyde를 이용한 starch의 가교반응은 Figure 5와

같이 hemi-acetal 결합을 형성하는 친핵체 첨가를 통해 이루어

진다. Figure 6은 시간에 따른 starch 나노섬유의 weight loss

를 나타낸 것이다. 가교시간이 4시간까지는 weight loss가 급

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시간이 길어질수록 일정

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가교반응 후 starch 나노섬유의 표

면형태를 알아보기 위해 scanning electron microscope로 관

찰하였다(Figure 7). 30분경과 후 가교반응이 제대로 이루어 지

지 않았음을 알 수 있고(a) 4시간부터는 가교반응이 완전히 일

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12시간 이상 가교반응을 하였을 경우

는 porous하지 않은 부직포(d)가 얻어짐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재생 가능한 천연고분자인 starch는 양이 풍부하며 가격이

저렴하므로 식품, 섬유, 종이산업 등에 넓게 이용되고 있다.

Starch를 기본으로 하는 물질은 생의학적 응용에 적용되는 특

성을 가지게 되는데, 완벽한 생분해성뿐만 아니라 합성고분

자로부터 만들어진 물질과 유사한 물리적·기계적 특성을 나

타낸다. 이러한 starch를 기본으로 이루어진 3차원 다공성

지지체를 만들기 위해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19 wt%, 18 kV

에서 최적의 나노섬유를 얻을 수 있었고, glutaraldehyde를

이용한 가교반응을 한 결과 지지체로 사용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더 나아가 세포의 접착, 이동, 분화, 증식에 대한

실험을 통해 생체적합성에 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This research was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Technology (MEST) and Korea Indus-

trial Technology Foundation (KOTEF) through the Human

Resource Training Project for Regional Innovation.

참고문헌

1. M. E. Gomes and R. L. Reis, “Tissue engineering: Key elementsand some trends,” Macromol Biosci., 4, 737-742 (2004).

2. K. Tuzlakoglu, N. Bolgen, A. J, Salgado, M. E. Gomes, E. Piskin,R. L. Reis, “Nano- and micro- fiber combined scaffolds: A newarchitecture for bone tissue engineering,” J. Mater. Sci. Mater.Med., 16, 1099-1104 (2005).

3. Z. M. Huang, Y. Z. Zhang, M. Kotaki, S. Ramakrishna, “AReview on polymer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and theirapplications in nanocomposites,” Composites Science andTechnology, 63, 2223-2253 (2003).

4. H. Fong, I. Chun, D. H. Reneker, “Beaded nanofibers formedduring electrospinning,” Polymer, 40, 4585-4592 (2003).

5. J. M. Deitzel, J. Kleinmeyer, D. Harris, T. N. C. Tan, “The effectof processing variables on the morphology of electrospun nanofi-bers and textiles,” Polymer, 42, 261-272 (2001).

6. R. P. Ellis, M. P. Cochrane, M. F. P. Dale, C. M. Duffus, A. Lynn, I.M. Morrison, R. D. M. Prentice, J. S. Swanston, S. A. Tiller,“Starch production and industrial use,” J. Sci. Food. Agr., 77, 289(1998).

7. S. H. Mun, M. Shin., “Mild hydrosys of resistant starch frommaize,” Food Chemistry, 96(1), 112-115 (2005).

8. N. Natarajan, V. Shashirekha, S. Noorjahan, M. Rameshkumar, C.Rose, T. Sastry, “Fibrin-chitosan-gelatin composite film: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J. Mater. Sci. Mater. Part A-Pure Appl.Chem., A42(7), 945-953 (2005).

9. R. L. Shogren, W. M. Lawton, F. Doane, K. F. Tiefenbacher,“Structure and morphology of baked starch forms,” Polymer,39(25), 6649-6655 (1998).

10. J. A. Matthews, G. E. Wnek, D. G. Simpson, G. L. Bowlin,“Electrospinning of Collagen Nanofibers,” Biomacromolecules,3(2), 232-238 (2002).

11. K. Ohkawa, D. Cha, H. Kim, A. Nishida, H. Yamamoto, “Elec-trospinning of chitosan,” Macromol. Rapid Commun,, 25(18),1600-1605 (2004).

12. B. Min, S. W. Lee, J. N. Lim, Y. You, T. S. Lee, P. H. Kang, W. H.Park, “Chitin and chitosan nanofibers: electrospinning of chitinand deacetylation of chitin nanofibers,” Polymer, 45, 1233(2002).

13. H. J. Jin, S. V. Fridrikh, G. C. Rutledge, D. L. Kaplan, “Electro-spinning Bombyx mori silk with poly(ethylene oxide),” Bio-macromolecules, 3(6), 1233-1239 (2002).

14. K. El-Tahlawy, R. A. Venditti, J. J. Pawlak, “Aspects of thepreparation of starch microcellular form particles crosslinkedwith glutaraldehyde using a solvent exchange technique,”Carbohydrate Polymers, 67, 319-331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