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233
이 논문은 2005년도 노동부의 정책연구 용역사업의 일환으로 연구되었음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의 료 분 야) 2005. 12. 주관연구기관 대한의료감정학회

Upload: others

Post on 18-Jan-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이 논문은 2005년도 노동부의 정책연구

용역사업의 일환으로 연구되었음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의 료 분 야)

2005 12

주관연구기관한의료감정학회

노 동 부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200512

제 출 문

노동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2005년도 노동부의 정책연구용역과제인 ldquo산재보험

장해평가기 개선을 한 기 연구rdquo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5 12

주 연구기 한의료감정학회

연구책임자이경석(순천향 천안병원 신경외과)

연 구 자 임 술(동국의 방의학교실)

정한용(순천향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 (한양의 정신과학교실)

정두신(순천향 천안병원 신경과)

백 흠(한양의 신경외과)

김창호(한국소비자보호원 분쟁조정2국)

이 주(노동부 산재보험 신 )

유성재( 앙 법과 학)

이달휴(경북 법과 학)

조임 (한국법제연구원 법제연구실)

이홍무(일본와세다 상학부)

mdash mdashi

- 목 차 -

제 1 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Ⅱ 산재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Ⅲ AMA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Ⅳ 산재기 과 국내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

Ⅴ AMA 기 과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Ⅵ 결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제 2 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

Ⅱ 산재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Ⅲ AMA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Ⅳ 산재 기 과 국내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5

Ⅴ AMA 기 과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Ⅵ 결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제 3 장 정신행동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Ⅱ 산재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Ⅲ AMA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Ⅳ 산재기 과 국내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mdash mdashii

Ⅴ AMA 기 과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Ⅵ 결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제 4 장 특수기능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Ⅱ 산재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Ⅲ AMA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0

Ⅳ 산재기 과 국내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Ⅴ AMA 기 과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Ⅵ 결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제 5 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Ⅱ 문가용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Ⅲ 일반인용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08

mdash mdashiii

- 총 목 차 -

제 1 부 국 내 제 도 제1장 우리나라 장해평가기 의 황과 문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제2장 산재보험 통계자료를 이용한 장해등 련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제 2 부 외 국 제 도 제1장 미국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7

제2장 독일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1

제3장 일본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9

제4장 랑스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0

제 3 부 의료분야(Ⅱ) 제1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제2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

제3장 정신행동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제4장 특수기능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제5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 부 록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5

mdash mdash1

제 3 부 의 료 분 야

제1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제2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

제3장 정신행동 장해평가

제4장 특수기능 장해평가

제5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mdash mdash3

제 1 장 근골격계 장해평가1)

I 서 론

II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III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IV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1 상지 장애

2 하지 장애

3 척추 장애

V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1 상지 장애

2 하지 장애

3 척추 장애

VI 결 론

1) 백광흠(신외) 이승림(정외) 김종문(재활) 도재원(신외) 오성훈(신외) 강윤규(재활) 최재욱(예방) 조경석(신외)

mdash mdash5

제 1 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Ⅰ 서 론

근골격계 영역은 미국의학협회의 장해2)평가기준(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ition 이하 AMA라 칭함)에서 제 15장 척추와 골

반 제 16장 상지 그리고 제 17장 하지로 나누어 기술되어 있다 이는 산업재해보

상보험법의 장애등급 판정에서의 장해계열 구분에서는 15(척주) 16(기타 체간골)

17 팔(결손 기형장해) 18 팔(기능장해) 19 팔(흉터장해) 20 손가락(결손 기능

장해) 21 다리(결손 기형장해) 22 다리(기능 장해) 23 다리(단축장해) 24 다리

(흉터장해) 25 발가락(결손 기능장해) 장해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근골격계 장해

평가기준개발팀에서는 해당 AMA 기준 중에서 근골격계에 해당되는 내용을 요약

분석하고 근골격계의 장해평가를 산업재해보상보험법과 AMA의 기준을 비교한 후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 항목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모든 국내법은 장애 정도에 대한 평가 기준을 국가배상법 시행령의 별표로 규정

하고 있다 시행령의 별표를 살펴보면 장해평가는 등급을 나누고 추정 노동력 상

실율의 를 표시하였는데 각 등급에서는 장애항목을 예시하는 예시형 추정

(example-based estimation)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장애등급과 항목은 일본의

1926년 공장법 시행령 제7조 별표의 장애등급과 장애항목을 1947년 노동기준법

시행령의 보상일수에 대한 규정을 국내에서 1953년 근로기준법을 제정할 때에 번

역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공장법 시행령은 14등급 120항목이고 국내의 산업재

해 보상보험법은 14등급 141항목을 두고 있다 이러한 등급표는 너무나 단순하며

장해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규정을 가지고 있지 않다

산업재해 보상보험법에서는 국가배상법 시행령의 장애등급표와 거의 동일한 계열

2) 국내에서는 장애 장해에 대한 용어가 혼용되는데 WHO는 1980년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Disabilities and Handicaps (ICIDH)를 출판하였고 이는 국내에서 각각 순서대로 장해 장애

불구로 번역되었다 따라서 impairment와 disability에 해당되는 용어는 이를 기준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mdash mdash6

분류와 등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좀 더 객관적인 등급 결정을 위해 구체적인 시

행세칙을 마련하여 장해등급판정요령(1984 5 28 예규 101호)을 두고 이에 따라

장애등급을 판정하고 있다 또한 이 시행세칙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이외 자동차배

상법 생명보험사장해등급분류표에서 비슷한 내용의 장해평가기준의 기본이 되었다

산업재해 보상보험법에서는 신체를 해부학적 관점과 기능면의 생리학적인 관점에

서 장애군을 25개의 장애계열로 나누고 장애 등급을 1급에서 14급까지로 구분하

고 있다 만일 계열을 달리하는 신체장해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중한 쪽에 해당하

는 신체장해를 등급으로 인정하거나 1~3 등급을 인상하여 신체장해의 등급을 판

정한다 이렇게 신체장해의 등급을 달리하는 방법을 lsquo조정rsquo이라고 한다 또한 등급표

에 예시된 장해항목 이외의 신체장해가 있을 경우에는 장해의 정도에 따라 주어진

신체등급표의 장해항목에 준하여 등급을 결정하는데 이를 lsquo준용rsquo이라고 한다 산업

재해보상보험법의 장해등급평가 세칙은 장해(impairment)에 해당되는데 내용은 별

표의 해당 장해 항목이나 조정 등으로 정해진 장해등급에 따라서 보상일수가 정해

지므로 장해등급이 신체손상의 정도를 반영하게 된다 반면 동일한 방법의 장해평

가표이면서도 국가배상법에서는 장해등급표 옆에 임의로 노동능력 상실률을 정하고

있어 노동력 상실율과 신체손상율에 대한 개념의 혼동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국

가배상법에서는 제1~3급의 노동능력상실률이 100이며 제4급이 90이고 각 등

급마다 10씩 노동능력상실률이 낮아지도록 하고 있다

국내법에서 장해평가 시기는 증상이 고정됨을 전제로 하고 있다 산업재해 보상

보험법에서 lsquo치유된 때라 함은 부상 또는 질병에 대하여 의학상 일반적으로 승인된

치료방법을 사용하여 요양하였으나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태로서 남게 되는

증상이 자연적 경과로 인하여 도달된다고 인정되는 최종상태(증상의 고정)rsquo로 정의

하고 있다 장애정도의 평가는 원칙적으로 요양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태가 되

어 증상이 고정된 때에 실시한다 그리고 6개월 이내의 기간에 증상이 고정될 가망

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기간이 지난 후에 장해평가를

실시하여 장애 등급을 판정하고 있고 국민연금법에서는 초진일로부터 2년이 경과

한 시점을 장해평가시기로 정하고 있다

등급을 통한 장해평가는 신체장애의 종류에 따라 장애항목이 결정되어 장애에

관한 배상이나 보상의 관련된 업무에 대해 행정적 처리는 편리하다 또 다른 장점

으로는 시행세칙에 따른 평가에 있어 다소 불합리한 부분이 있더라도 조정이 잘되어

mdash mdash7

있고 해당조항이 없더라도 준용함으로써 비슷한 등급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장애항목의 서술이 애매한 형용사 형의 사용이 많아 조잡하며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항목의 분류가 엉성하다 또한 장애등급이 곧바로 신체손상율이나 노동능력상

실이라고도 말할 수 없고 현재의 사회 환경이나 의학수준과 격차가 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 하지의 장애를 주로 관절 장애로 준용하도록 유도되어 있어 신경손상

이나 국소적 근 손상 등의 평가도 관절운동의 제한으로 평가함으로써 적절치 못한

평가가 된다 뿐만 아니라 상 하지의 장애도 ldquo3대 관절 중 2(또는 1)관절rdquo 같은

식으로 각 관절간의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가 없이 단순히 해당 관절의 개수만을 평

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평치 못한 장해평가가 되고 만다 이에 비해 AMA나 맥브

라이드식 장해평가에서는 각 관절별 신체손상율 및 노동력 상실율이 실제 장애로

인한 기능적 제한 정도를 반영할 수 있도록 차등되어 있다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상 지

AMA에서 상지의 장해는 제 16장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제 139에서 상지의

말초신경 손상에 대한 장해평가에 일부 그 내용이 언급되어 있지만 주 내용은 제

16장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 장에서는 근골격계 손상에서의 상지 장해인 제 16장의

내용을 주로 다루고자 한다

AMA 제 5판에서는 근골격계에서 흔히 다루어 지는 장해인 절단 장해 관절 장

해 운동말초신경 장해 외에 뿐 감각신경 손상 혈관질환 복합국소통증증후군 등까

지 다루고 있다 맥브라이드나 이전 제 3판에서와 달리 장해평가에 있어 우성 수

(dominant hand)에 대한 조정을 하지 않고 있다 이는 우성 수를 객관적으로 알아

내기가 쉽지 않고 그 의존의 정도도 사람에 따라 다양하여 양손의 차이가 뚜렷할

수도 있지만 그 차이가 미미하거나 완벽한 양손잡이 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지의 장해평가는 크게 수부와 기타 부위로 나눌 수 있는데 이는 그림 16-1a와

b에 잘 나타나 있다

mdash mdash8

그림16-a 팔 장해 평가 기록 ndash 제1부 (손) 좌우 우 좌

성명 _________________ 연령 ______ 성별 남 여 주손 우좌 일자 ____________

직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진단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비정상 운동 절단 감각 소실 기타 장애 손 장해()

운동 또는 강직 각도 및 손 장해()를 기록한다

절단 위

치 및 장

해()를

표시한다

유형 위

치 및 장

해()를

표시 한다

유형 및

장해 기

록한다

손가락 장해를

병합한다

손 장해로 전환

한다

굴곡 신전 강직 장해()

IP각도

장해

MP각도

장해

운동 강직 장해()

CMC

요 골

외전

각도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내전Cm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대향접

촉운동

Cm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를 합산하면 CMC + MP + IP=

[1]

손 가 락

IMP =

[2]

손 가 락

IMP =

[3]

손 가 락

IMP =

[4]

손 장해

굴곡 신전 강직 장해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

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

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mdash mdash9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손 장해 총량 엄지손가락 + 집게손가락 + 가운뎃손가락 + 약손가락 + 새끼손가락 =

손 장해 총량을 팔 장해로 전환한다dagger(엄지중수골에 문제가 없다면 제2부 Ⅱ항에 기재한다) =

Thumb ray upper extremity amputation 장해____ + hand upper extremity 장해 ____ =

손 부위의 장해가 장해의 전부라면 팔 장해를 전신 장해로 전환한다 =

그림16-1b 팔 장해 평가 기록 ndash 제2부 (손목 팔꿈치 어깨) 좌우 우 좌

성명 _________________ 연령 ______ 성별 남 여 주손 우좌 일자 ____________

직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진단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비정상 운동 기타 장애 국소 장해 절단

운동 또는 강직 각도 및 장해를 기록한다유형 및 장해

를 나열한다

병합한다 [1] +

[2]

위치 및 장해

를 표시한다

굴곡 신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RD UD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합산한다 장해 굴곡신전 + RDUD = [1] 장해= [2]

굴곡 신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회내 회외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합산한다 장해 굴곡신전 + 회내회외= [1] 장해= [2]

mdash mdash10

굴곡 신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내전 외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내회전 외회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합산한다 장해 굴곡신전+ 내전외전+내회

전외회전 = [1]장해= [2] 장해 =

Ⅰ 절단 장해(손가락 외) =

Ⅱ 팔의 국소 장해

(합산한다 손 _____ + 손목 _______ + 팔꿈치 ________ + 어깨 _______ ) =

Ⅲ 말초신경계통 장해 =

Ⅳ 말초혈관계통 장해 =

Ⅴ 기타 장해 (국소 장해에 포함되지 않은 것) =

팔 장해 총량 (Ⅰ Ⅱ Ⅲ Ⅳ Ⅴ를 병합한다) =

전신 장해(표16-3을 활용한다) =

〈표 16-1 16-2 16-3〉을 이용하여 각각 수지 장해를 수부 장해 수부장해를 상지 장해

이를 다시 전신장해율로 전환하여 사용한다 각각의 장해율은 병합(combine) 하는 것이 원

칙인데 다음의 경우 합산(add) 하기도 한다

1 손 장해 총량(100)은 각각의 손가락 장해를 합산하여 구한다 엄지손가락은 40 집게

손가락은 20 가운뎃손가락은 20 약손가락은 10 새끼손가락은 10 이다 (표

16-1 및 표16-4)

2 손에 다른 장해가 있다면 이를 팔 장해로 전환한 후 thumb ray 절단으로 인한 팔 장해와

합산한다

3 Thumb Ray 운동 장해값은 각 관절 운동 장해값을 합산해서 구한다 엄지손가락의 기능

단위(100)는 수근중수골 75 중수수지(MP) 10 지절 사이(IP) 10 등 손가락을 구

성하는 관절의 장해값을 합산한다 그러나 운동 상실에 대한 손가락 관절 장해 등급은

합산하지 않고 병합해야 한다

상지의 관절운동 제한에 의한 장해평가에서 관절의 운동범위에 따라 장해율을 적

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기능적인 위치에서 신체손상율을 최소로 하고 여기에서

부터 가능한 운동 범위에 따라 신체손상율을 다르게 했다 즉 가능한 운동 범위에

따라 신체손상율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범위가 적어도 기능적 위치에 가까우

면 더 적은 신체손상율을 주도록 하고 있다

mdash mdash11

〈표 2-2〉 상지 관절에서 최소 장해율을 보일 때의 관절각도 (AMA 장해평가지침서 제5판)

관절 Ia

총 장해율

Ie

신전장해율

If

굴곡장해율

V

각도

견관절

굴곡 신전 15 5 10 40

15 5 10 30

15 4 11 20

내회전 외회전 6 2 4 내회전 20

6 2 4 내회전 30

6 3 3 내회전 40

6 4 2 내회전 50

주관절

굴곡 신전 21 11 10 80

회내 회외 8 4 4 회외 20

완관절

굴곡 신전 21 8 13 신전 10

21 11 10 0

21 13 8 10

요굴 척굴 9 5 4 0

9 4 5 척굴 5

9 4 5 척굴 10

무지

중수지관절 5 1 4 20

지관절 7 3 4 20

손가락

중수지관절 45 12 33 30

근위지관절 50 14 36 40

원위지관절 30 4 26 20

Ia 총 장해율 Ie 신전 장해율 If 굴곡 장해율 V 관절각도

Ia = Ie + If

이와 같이 AMA에서의 상지 장해평가는 상당히 복잡하고 그 평가에도 상당한 시

간이 소요된다 특히 다발성의 수지 손상이라면 그 평가에 필요한 시간은 엄청나게

증가된다 반면 상당히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므로 운동범위 등의 측정치만 일정

하다면 수학 공식과 같이 대입만하면 어느 누가 장해평가를 하더라도 거의 일치되

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하 지

하지의 장애는 17장에 기술되어 있으며 개인의 일상생활(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수행 여부를 반영하는 영구적인 신체장애율로 표기되며 이를 위해 하

mdash mdash12

지를 6분야로 나누고 있다 족부 후족부 족관절 하퇴 슬관절 고관절 및 골반부

로 나누고 이에 신경계 및 혈액순환계를 포함한다 평가는 하지의 해부학적 변화

진단적 기준 및 기능적 변화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제 5판의 AMA에서는 평가방법

을 명기하고 서로 병합할 수 있는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작열통(causalgia)과

같은 항목에 대해서는 중추신경계를 인용하여 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해부학적인 분류에 따른 평가는 하지부동 근위축 관절강직 절단 관절염 피부

결손 말초신경손상 혈관계손상 및 작열통의 세부항목으로 나뉘고 기능적 분류에

따른 평가는 관절운동범위 보행이상 및 근력으로 나뉘며 진단적 분류에 따른 평

가는 골절 인대손상 반월상연골판 절제술 족부변형 고관절부 및 골반부의 점액낭

염과 인공관절 치환술로 세분되어있다 각각의 평가항목들은 서로 병합할 수 있는

항목과 그렇지 못한 항목들을 구분하여 하지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지와 마찬가지로 한쪽(unilateral)의 하지를 기준으로

장해율이 표기되어 있으며 전(全) 손실의 경우 전신에 대하여 40의 상실률이 책

정되어 있다

3 척 추

제 15장 척추 장해를 살펴보면 다른 장기의 장해 평가 방법과 마찬가지로 장해

의 정도는 등급이 아닌 장해율로 평가를 한다 척추 장해 등급 평가는 진단 관련

평가(Diagnosis-related estimates DRE) 또는 운동 범위평가 (ROM) 중 하나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DRE 방법은 명백한 손상이 있는 환자를 평가할 때 주로 사용

된다 장해 원인을 알 수 없을 경우나 DRE 방법으로 장해의 특성을 잘 나타낼 수

없는 경우 DRE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ROM 방법은 DRE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에 사용한다 DRE 방법은 경추 흉추 요추 등 척추 3부위마다 8개의 DRE 카테고

리로 분류한다 환자를 DRE 카테고리에 정확하게 분류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한다 첫째 방법은 증상 징후 및 적정 진단 검사 결과에 근거한다 둘

째 방법은 골절 및또는 임상적 증상의 유무에 상관없이 탈구에 근거한다 환자의

골절이 확인되어 DRE 카테고리로 분류 되었다면 다른 증명은 필요하지 않다 상지

장해를 평가하는 방법은 근본적으로 해부학적 평가 방법이다 해부학적 부위별로

절단 운동 소실 또는 강직 감각 소실 기타로 인한 장해를 모두 구하여 이를 병합

mdash mdash13

표15-20 척추 장해 평가 요약

성명 ___________________ 주민등록번호 ____________________ 일자 _________________

장해 경추 흉추 요추

1 DRE 방법 (표15-3~표15-5)

2 ROM 방법 (표15-8)

3 신경근 통증이 있거나 없는 감각 소실 근력 소실

한 후 장해율표를 이용하여 장해정도를 평가한다 하지의 장해평가시 다리 평가에

는 13 가지 방법이 있다 표17-1은 13가지 방법을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3개 카

테고리 즉 (1) 해부학적 (2) 기능적 또는 (3) 진단에 근거한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주요 평가 방식을 반영하고 있다 운동 범위 (ROM) 다리 길이 차이 관절염 피부

변화 절단 근육 위축 신경 손상 혈관 장해 등 해부학적 변화는 이학적 검사를 통

해 평가한 후 임상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관절염에는 통증 쇠약 경

직 등으로 인해 손상을 입었으나 기능성 운동 범위를 유지하는 확진 관절염 환자에

게 적용되는 고유의 진단 카테고리가 있다 관절염은 X-선 사진에서 측정된 관절

공간이 좁아진 것을 근거로 평가한다 작열통 및 복합부위통증증후군(반사적 교감신

경성 기능장해)은 ROM 방법 및 말초신경 평가 기법을 병합하여 평가한다 진단에

근거한 평가는 특정 골절 및 변형 인대 불안정 윤활낭염 및 관절 치환 및 반월연

골절제술을 포함하는 여러 외과 처치로 인한 장해를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진단에 근거한 평가 방법을 다른 평가 방법과 병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기능 장해는 해부학적 변화의 분류가 어렵거나 기능적 관련성이 증명되었을 때 선

택된다 기능 장해는 맨 마지막에 평가한다 동일한 질환을 평가한 방법은 서로 병

합하지 않는다 적정 방법을 선택하거나 여러 방법을 병합하려면 판단력과 경험이

있어야 한다 정확하고 일관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입증 자료를 주의 깊게 검토

해야 한다 한 개 이상의 평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보다 높은 장해 등급이

확인되는 등급을 선택한다 상지나 하지의 장해평가에 대한 AMA 기준은 매우 논리

적이며 공신력이 있으며 아주 자세하고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합리적이다 하지만

너무 자세하고 복잡하여(상하지만 137개의 표) 따로 교육을 받지 않으면 평가할 수

없을 정도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점이 있다 특히 직관적이고 포괄적인 평가를 선호

하는 우리나라 의사들에게는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표 1〉 근골격계 장해평가표(AMA 기준 요약)

mdash mdash14

4 기타 (1514절 기준)

5 전체 국소 장해(lsquo병합장해율표를 이용하여 세로줄의 장해를 모두 병합한다)

6 전체 척추 장해(lsquo병합장해율표rsquo를 이용하여 모든 국소 장해 합계를 병합한다)

7 다른 기관 계통의 장해 각각의 장해에 대해 상태 본 지침서의 쪽수 장해율을 기록한다 장해가 발생한 기관 계통 장해율() 본 지침서 쪽수

a

b

c

d

e

8 전신 장해 lsquo병합장해율표rsquo를 이용하여 위 7항의 장해와 척추장해를 병합한다 장해가 여럿인 경우 척추 장해를 가장 큰 장해와 병합한 후 명시된 모든 장해가 반영되도록 기타의 장해값과 병합한다 전신 장해 총량 _______________________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신체장해평가 방법의 기준에 대해서는 각종 법률에 의해

정해져 있다 장해평가와 보상에 관련된 법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국가배상법 장

애인복지법과 각종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및 각종 연금법 등을 망라하여 근 20개가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대표적이고 다른 법규의 평가 기준의 모태가 되는 법은 산업

재해 보상보험법 국가배상법 장애인복지법을 들 수 있다 장해평가기준도 국가배

상법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그 근간을 두고 있으며 그 평가내용은 대개 동일하다

1 상지 장애

상지의 장애는 두 팔을 팔꿈치 관절 이상에서 잃은 사람 또는 두 팔을 영구적으

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1급)부터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

의 손가락의 말(末)관절을 굽히고 펼 수 없게 된 사람(14급)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기술이 구체적이고 비약이나 단절 없이 장해가 나열되어 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하 산재)의 신체장해등급표(시행령 별표 2)와 가장 비슷한

국내 장해평가기준은 국가배상법(이하 국배법)의 신체장해의 등급과 노동력상실율

표(시행령 별표2)이다 이 두 기준은 모두 일본법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장해등

급 분류와 항목이 거의 일치한다 그러나 장애등급 결정을 위한 세부 지침은 산업

mdash mdash15

재해보상법 시행규칙 별표 4의 신체부위별 장해등급결정에는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

나 국배법에는 없고 국배법에 제시되어 있는 노동력 상실율과 별표 3의 2개 부위

이상의 신체장해 종합평가 등급표(즉 장애 병합표)가 산재법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산재와 국배법의 장애등급이 14급까지로 분류되어 있는데 비해 국민연금(총 4급)

장애인복지법(총 6급) 생명보험(이전 총 6급 현 지급율에 따라 총 10-12등급)은

장애등급의 분류가 불명확하고 각 등급간의 차이에 대한 객관적 비교나 설명도 미

흡하다

또한 각 장해 평가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장해 내용은 서로 간에 매우 유사하

지만 해당 장해등급은 상이하다 특히 산재 장해등급의 경우 다른 장애등급표와 달

리 ldquo팔꿈치관절 이상에서의 손실rdquo ldquo손가락 장애의 세분화 된 항목rdquo 등이 설정되어

있어 다른 장해평가기준에 비해 좀 더 세세한 장해 분류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최근 개정된 생명보험사 약관의 장애지급율표와 국배법의 노동력 상실율을

비교해 보면 그 차이는 더욱 커짐을 알 수 있다 (아래 표 참조) 물론 지급율과 노

동력 상실율을 동일시 할 수는 없지만 노동력 상실율이 장애정도를 대변하듯이 지

급율도 마찬가지이므로 이 두 항목은 상당한 유사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럼

에도 국배법의 노동력상실율 생보약관 지급율 장애인복지법상 장애등급에 따른 장

애율 간에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장해의 경중이 유사한 장해끼리도

각 장해평가기준마다 조금씩 다르고 적용 등급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근골격계 장해평가의 근간이 되는 관절운동범위의 측정도 객관성이

거의 없는 능동운동범위를 측정하여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객관적인 장해평가가 매우

어렵다

산재법 시행규칙에 비교적 자세한 평가 가이드라인이 있으나 객관화된 검사법을

이용한 평가법이 거의 사용되지 않고 최신 검사나 검사법등에 대한 언급이 없는 단

점이 있다 또한 신경마비나 근 손상에 의한 장해도 능동운동 제한을 이용한 관절

운동으로 평가하는 등 객관화된 검사를 이용한 평가가 되지 못하는 것은 매우 안

타까운 일이다

mdash mdash16

상지 장애의 국내 장해평가기준 비교

장 애 상 태 국민연금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국배법

노실율()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1급 5 100

두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두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1급

(42)1급 1

2급 3

1급 6100 100

한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급 4 90

한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한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57) 2급 2

5급 2

5급 460 80

두 손의 손가락을 전부 상실하였거나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9 2급 1

3급 5

4급 6

100

90

한 손의 모든 손가락을 잃은 사람 3급 2 6급 8 55 70

한 팔의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3급 5 6급 6 7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4급 5 8급 6 30 50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4급 1 3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손가락을

잃은 사람5급 1 8급 3 25 5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6급 1 9급 10 15 40

결론적으로 산재법의 장해등급분류는 비교적 자세히 분류가 되어 있으나 장해의

경중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필요하고 일부의 경우는 매우 자세히 분류가 되어 있으

나(예 수지) 일부는 해당 항목을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점(예 근력의 정도에

따른 분류 등이 없음)과 좀더 객관화 된 검사를 이용하지 못하고 환자의 진술 능동

운동 등에 의해 평가가 된다는 점에서 장해평가표의 재구성과 객관화를 위한 가이

드라인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 하지 장애

하지의 장애 역시 두 다리를 무릎관절 이상에서 잃은 사람 또는 영구적으로 완전

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1급)부터 한 발의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1개 또는 2개

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14급)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구체적으로 장해가

나열되어 있다

mdash mdash17

장 애 상 태 국민연금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국배법

노실율()

두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두 다리를 무릎 관절 이상에서 상실한자1급 3 1급 2 1급 8 100

두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1급 5 2급 3 2급 4 100 100

한 다리를 무릎 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4급 5 90

한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2급 6 4급 5 5급 3 60 80

한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8 3급 5 5급 5 80

두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2급 10 5급 4급 7 90

한 다리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3급 6 4급~5급 6급 9 70

한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3급 9 6급 4 7급 8 40 60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을 쓸 수 없도록 장

애가 남은 자3급 10 5급 7 7급 11 6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4급 6 4급~6급 8급 8 30 50

한발의 5개발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8급 11 30 50

한발의 첫째발가락을 잃었을 때 10급 11 10 30

하지장애의 국내 장해평가기준 비교

AMA 기준은 팔의 비중이 다리의 비중보다 크다 그러나 한 팔을 팔꿈치관절 이

상에서 잃은 사람이 4급(90) 장해인데 비해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

람의 장해가 1급(100)으로 등급으로는 세 등급이 다르지만 장해율로는 10 차

이 밖에 없다 한편 사지의 관절운동 장해는 대부분의 장해가 운동범위 제한에 따

른 장해인데 운동범위 측정이 환자의 보상 심리 때문에 협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

면 부정확하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의 장해 평가 기준도 상지에서와 마찬가지로 각 장해등급표에서 제시하고 있

는 장해 내용의 유서성에 비해 해당 장해등급과 노동력 상실율 신체손상율 등은

각 장해기준마다 너무나 상이하다 특히 산재 장해등급의 경우 ldquo양측 무릎관절 이

상에서의 상실rdquo은 ldquo양측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rdquo 것과 동일

하게 1급에 해당되나 ldquo한쪽 무릎관절 이상에서의 상실rdquo (4급 5)은 ldquo한쪽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rdquo (5급 5)와 다르고 오히려 ldquo한 다리의 발목

관절 이상에서의 손실rdquo과 동일하다

즉 장해의 경중이 유사한 장해끼리도 각 장해평가기준마다 조금씩 다르고 적용

등급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근거도 알 수 없다

mdash mdash18

3 척추 장애

산업재해 보상보험법 시행령의 별표 2(2002년 6월 27일 개정)인 신체장애등급표

에서 척추의 장애는 변형장애 기능장애로 구분하고 있다 그리고 시행규칙의 별표

4(2000년 7월 29일 개정) 신체부위별 장애등급에서 보면 추간판탈출증에 대한 기

능장애로 장해평가에 대한 조건과 방법 및 준용등급에 대해서 따로 규정하고 있다

(표 2) 장애등급표의 장애항목은 lsquo척주에 뚜렷한 기형이나 뚜렷한 기능장애가 남은

사람(제6급제5호)rsquo lsquo척주에 경도의 기형이나 기능장애가 남은 사람(제8급제2호)rsquo

lsquo척주에 기능장애가 남았으나 보존적 요법으로 치유된 사람(제10급제6호)rsquo lsquo척주에

기형이 남은 사람(제11급제5호)rsquo 등으로 등급 자체가 4개 등급으로 너무 단순하

고 등급을 나누는 기준이 구체적이지 못하다 관례적으로 1분절 유합(fusion)은 8

급 2분절 유합은 6급으로 판정하는데 더 오랜 기간 더 많은 치료를 받은 뒤 더

높은 등급의 장해를 갖게 되는 기이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장애 정도에 대한 lsquo뚜

렷한rsquo lsquo경도의rsquo 등의 애매한 형용사형을 사용하고 있으며 장해평가의 시행세칙에서

각각의 평가 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형용사형의 기술에 의한 기준으

로는 장애의 객관적인 평가가 어렵다

또한 추간판탈출증에 대해서는 동법의 시행규칙에서 별도로 분류하여 평가하며

의학적 임상증상과 특수검사 소견이 일치하는 경우에 인정하고 있다 또한 수술여

부에 관계는 없으며 척추의 운동장애는 인정하지 아니하고 다만 후유신경증상의

유무와 정도에 따라 장애의 정도를 결정한다 장해평가의 기준을 보면 요통과 방사

통 등의 자각증세가 있으나 검사결과에 이상소견은 인정되지 아니하나 단순한 고

의나 과장이 아니라고 의학적으로 추정되는 경우에는 제14급으로 인정하고 자각증

세가 있고 하지직거상검사에 의한 양성소견이 있는 경우에는 제12급 근위축 또는

근력약화와 같은 임상소견이 뚜렷하고 특수보조검사에서 이상이 있으며 척추신경

근의 불완전마비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제10급 신경마비로 인하여 사지에 경도의

단마비가 있을 경우에는 제9급 2개 이상의 추체간에 추간판탈출증에 대한 수술을

하거나 하나의 추간판이라도 재수술을 하여 후유증상이 뚜렷한 경우에는 제8급을

인정한다고 시행세칙에 규정하고 있다

산업재해 보상보험법의 척추 장해평가는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척추의

장애를 크게 형태의 장애로 후만 측만과 골절정도에 의한 변형과 척추 기능의 장

애가 예상이 되는 형태의 변화로 골유합술 골절로 인한 척추운동의 제한으로 구분

mdash mdash19

장 애 상 태 국민연금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척추에 고도의 변형이나 현저한 기능장애가 남은 자 2급 4

척추의 장애로 인하여 앉아 있을 수 없거나 자기

힘으로 일어서기가 곤란한 사람2급 5

척추(등뼈)에 심한 기형을 남긴 때 50

척추(등뼈)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40

척추에 고도의 장애가 있는 사람 5급 8

척추의 기능에 중증도의 장애가 남은 자 3급 4

척추에 현저(뚜렷)한 장애가 있는 사람 6급 5 6급 5 30

척추(등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6급 5 30

척추에 기능장애가 남은 자 4급 4

척추(등뼈)에 약간의 운동장해를 남긴 때 8급 2 10

척추(등뼈)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 때 11급 5 15

하고 있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산업재해에서 많이 부딪히는 문제인 추간

판탈출증에 대해서는 따로 분류하여 이의 장해평가를 제한하고 신중히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추간판탈출증에서 주관적인 통증은 배제하려 노력하였고 방사선 검

사를 통하여 객관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신경근의 손상의 정도에 따른 신경학적

결손에 의해 척추의 장애를 평가하였다 그러나 장애 정도의 평가에 있어 장애등급

에 의한 평가로 여러 장기의 장애가 있는 복합장애를 평가함에 있어 등급의 조정은

매우 불합리하다

척추장애의 국내 기준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AMA기준은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해평가기준 중에서 지속적으로 개정 개선

되어 현재 의학 수준과 비슷한 평가가 가능한 평가방법으로 백분율인 신체장애율

로 신체장애의 정도를 표현하는 평가 기준이다

1 상지 장애

AMA 장해평가지침서의 신체손상율(impairment)과 맥브라이드 장해평가서의 노

동력상실율(disability)을 단순 비교하는 것은 옳지도 않고 그렇게 해서도 안 된다

mdash mdash20

물론 맥브라이드가 인체를 전신 상지 하지로 이를 다시 몇 개의 부분으로 분류하

여 국소부위 손상율을 전신대비 신체손상율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이

개념은 그대로 AMA에서도 사용되고 있지만 맥브라이드 장해평가의 경우 여기에

직업에 따른 장애 가중율(직업가중율 또는 직업계수)을 적용하는 점이 AMA와의 가

장 큰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전 판의 AMA 장해평가서의 신체손상율은 맥브라이드의 기본 장해율 즉 직업

계수가 적용 안 된 전신대비 장해율과 유사한 점이 많았었다 그러나 AMA 제 5판

에 와서는 이전 판에 비해 상당한 변화가 있어 책의 구성 기술뿐 아니라 장해율까

지 많은 변화가 있었다

맥브라이드식 장해평가에서 직업에 따른 노동력 상실율의 차등 적용은 일견 상당

히 일리가 있어 보이기도 한다 즉 손가락이 잘려나간 피아니스트와 축구선수의 노

동력 상실의 정도를 같다고 하는 것은 누구나 공평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의학적 관점에서 본다면 의사는 수순한 신체 손상에 대한 평가만을 하는 것이 옳다

는 주장도 있고 이것이 AMA 신체손상율이다 뿐만 아니라 맥브라이드 장해평가서

의 직업 분류에 대해서도 많은 논란이 있는데 그 당시에 있었던 직업이 현재는 없

기도 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또한 그 당시에는 상당한 육체적 기능이 뒷받침

이 되었던 직업이 현대에 와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따라서 좀더 객관적인

의학적 장애 판정을 위해서는 신체손상율을 판정하는 것이 옳을 것이라 생각된다

아래 표는 산재 보험에 해당되는 내용과 급수를 AMA 신체손상율(장해율)과 맥브

라이드의 직업계수를 적용하지 않은 기본 장애율과 일반 노동자 기준(직업계수 5)의

노동력상실율을 비교한 표이다 또한 이를 산재법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는 국가

배상법에서의 노동력 상실율(실제 내용상은 신체손상율에 가까움)과 비교하였다

AMA 신체손상율과 맥브라이드 노동력 상실율의 비교에서 맥브라이드의 기본 장

애율과는 상지의 근위부 절단과 같이 손상정도가 큰 경우는 그나마 큰 차이가 없었

으나 원위부의 경우는 매우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두 값의 비교가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AMA 신체손상율과 일반노동자 기준(직업계수 5)의 맥브라이드 장애율의

경우는 일부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비슷한 정도의 장애율을 보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손상의 정도가 국가배상법에서는 훨씬더 중하게 다루어짐을 알 수 있다

절단이 아닌 관절 장애의 경우 산재법을 비롯한 국내 장해평가기준들은 3대 관절

중 몇 관절이 포함되었느냐를 판단의 근거로 하였는데 이는 매우 잘못된 판단이다

즉 상지의 3개의 주요 관절 어깨 팔꿈치 손목의 중요성을 모두 동등하게 보고

mdash mdash21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McBride

(기본율)

McBride

(직업5)

국배법

노실율()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1급 5 6060=

84

5050=

75

5959=

8319100

두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두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3

1급 6

5757=

82

4040=

64

4949=

7399100

한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급 4 60 50 59 90

한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한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5급 2

5급 457 40 49 80

두 손의 손가락을 전부 상실하였거나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3급 5

4급 6

5454=

79

2756

2756=

4758

5439

5439=

7920

100

90

한 손의 모든 손가락을 잃은 사람 6급 8 54 276 5439 70

한 팔의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6급 6 7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8급 6 50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손가락

을 잃은 사람8급 3 5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9급 10 40

있는데 기능적으로도 장애율로도 이는 옳지 않은 평등적 평가이다 AMA뿐 아니

라 맥브라이드에서 관절에 따라 그 가중치를 다르게 하고 있어 산재법 하의 장애정

도를 이들 국외 장애 기준과 비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결론적으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비롯한 국내법의 경우 국외의 장해평가기준에

비해 기준이 모호하고 내용도 세분화 되지 못했으며 실제적인 기능적 사용의 평가

와도 거리가 멀고 외국 장해평가기준에 비해 그 정도가 심하게 평가되고 있는 경향

이 있다

상지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2 하지장애

기존의 장애판정은 해부학적인 절단위치 강직의 정도 관절운동범위 관절의 이완

및 하지 골격구조의 변형에 한정되어 있으나 제5판의 AMA의 제17장에 기술되어있는

하지 장애는 이외에도 보행이상 근력측정에 따른 약화의 정도 하지부동 근위축 관

절염 피부결손 신경계 및 혈관계이상 작열통 점액낭염 및 인공관절 치환술의 경과에

mdash mdash22

따른 장애정도의 판정 등을 첨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하지의 장애를 판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들을 병합하는 기준과 병합되지 못하는 기준도 제시되어

장애판정을 시행할 때 병합에 따른 이견을 미리 제거할 수 있는 근거를 나타낸다

장점은 기존의 기준에 비하여 의학적인 면이 세밀하게 기술되어 있어 과학적이고 객

관적이며 공신력을 가지고 있어 활용의 문제점이 없고 장애를 해부학적인 면과 기능적

인 면 그리고 진단적 방법에 의한 면으로 구별하여 장애를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으

며 시대적 변화에 따른 의학발전과 아울러 장애의 정도가 조정되어 있고 기존에 장애

판정을 시행할 수 없었던 주관적 증상에 따른 판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단점으

로는 이를 판정하는 데에 있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AMA 기준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 기준에 따른 적용방법에 대한 일종의 수련과정이 필요하여 미국

의 경우 자격증을 필요로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그러한 과정이 없는 것이 현실

이다 그러므로 적절한 수련과정 없이 이러한 기준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 기준

이 가지고 있는 객관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여 오히려 더 많은 잘못된 장애판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AMA 기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의 수련

과정이 선행조건이 된다고 판단된다 또한 신체장애율만을 평가하게 되므로 나이나 성

별 혹은 직업에 따른 상실율에 대한 보정의 형식이 없다 그러므로 사회적 환경에 따른

노동능력상실률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보정의 형식이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현

실적 참고문헌을 인용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AMA는 그 내용이 방대하기는 하지만 객

관적 평가 기준만을 원용하기 때문에 장애의 정도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것에 비해 상

대적으로 하향조정 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위해서는 타 항목을 준용하

여 합산하는 경우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장애로 생각되지 않는 경우가 장

애항목으로 예시되어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슬개골의 비전위성골절로 유합이 잘되어

있는 경우에도 진단적 항목으로 전신에 대하여 3의 신체장애율이 표기되어 있어 일

반 상식적으로 생각되어지는 장애의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도 있다 또한 평가방법이

너무 복잡하여 이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드는 단점이 있어 평가자

에 따라 항목을 임의로 정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지 말초신경손상

의 경우 손상된 신경이 지배하는 각각의 근육들에 대하여 근력평가를 시행하고 이의

정도를 다시 평가하여 병합합산하게 되어있으나 이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

므로 보행이상항목이나 근력약화의 항목을 준용하게 되고 이 경우 구체적인 신경손상

의 경우보다 적은 장애율을 나타내게 된다

mdash mdash23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 타

두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1급 8 64

두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2급 4 48~54 51~79

한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5급 3 28~32 30~54

한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5급 5 40

두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4급 7 33 51~79

한 다리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

은 자6급 9 19~24

한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7급 8 18 30~54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7급 11 17~29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8급 8 28~40

한발의 5개발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8급 11 16~18 8~34

한발의 첫째발가락을 잃었을 때 10급 11 2~8 6~22

이러한 단점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AMA방식에 따른 평가는 장애의 정도나 부위

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고 평가 기준이 객관적이며 현실적인 의료의 수준을

반영하고 있다는 가장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 적절한 사회적 보완과 현실 수준에 맞는

보정이 이루어진다면 다른 기준들에 비하여는 과학적이고 공신력 있는 기준으로 활용

될 수 있다고 보여진다

하지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3 척추장애

AMA 기준 5판은 제15장(페이지 373에서 431)에서 척추장해평가를 기술하고 있

다 5판의 척추장애의 평가기준은 이전 판에 비해 많은 변화를 보인다 이전 판에

서는 신경계통의 장애에서 별도로 기술하고 있는 척수손상에 대한 평가를 척추 장

애 장에서 기술을 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가장 큰 변화는 DRE 방법의 강화라고 할

수 있다 고전적으로 AMA 기준은 운동범위에 근거한 평가(range of motion

method 이하 ROM 방법lsquo이라 함)가 척추 장해평가의 가장 중요한 평가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었으나 장해평가에 있어 우선적으로 DRE 방법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

다 또 다른 변화로써 척추운동범위의 평가 방법의 측정기구로 각도기(goniometer)

에서 경사측정기(inclinometer)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경사측정기의 적용은 척추의

mdash mdash24

전범위 운동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 척추부의 기준부위에 정확하게 두 개의

경사측정기를 위치하여 정해진 운동방향의 운동각을 측정하게 함으로써 보다 정밀

하게 척추운동을 측정하고자 고안하였다

척추장해평가 시기는 AMA 기준의 다른 신체장기에서와 같이 의학적 최대호전시

기에 평가하도록 하였다 장애 부위는 경추 흉추 요추을 각각 평가하고 골반과 척

수의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별도로 평가하여 병합하도록 하고 있다

AMA 기준에서 DRE 방법이 척추장해평가의 일차적인 방법이다 DRE 방법은 경

추 흉추 요추 부위별로 장애의 정도를 5 범주로 분류되어 있고 각 범주에 해당

신체장애율이 제시되어 있다 각 범주 내에는 장해평가 항목이 제시되어 있고 장애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신체장애율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장애의 증상을

의학적으로 평가하여 항목을 선택하면 신체장애율을 구할 수 있는 간단 명료한 평

가방법이다 주요 적용대상은 손상(injury)에 의해 장애가 발생하였고 한 분절에 국

한된 경우이다

DRE 방법에서 장해평가에 적합한 항목을 선택하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증상과 진단검사를 통한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임상증상과 무관하게 골절

전위 등이 있는지를 방사선 검사에 근거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증상에서는 객관

적인 배부증상과 신경근병증에 유무와 정도 그리고 척추 운동분절의 소실과 관련

하여 단순방사선 촬영에서 척추의 불안정성이나 고정술 여부로 항목을 결정한다

골절은 방사선 검사에서 추체의 골절과 추체외 골절로 구분하고 있다 같은 범주내

의 장애율의 차이는 3를 두어 평가자가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ROM 방법은 척추는 다관절로 구성된 운동기관으로 신체의 다른 관절기관과 마

찬가지로 척추의 운동을 척추의 중요한 기능으로 판단하는데서 출발한다 ROM 방

법의 평가대상은 적합한 DRE 방법의 항목이 없거나 손상이 아닌 경우 다분절의

손상 재발성 그리고 법정의 요청인 경우에 평가하게 된다 여기에는 세 가지의 평

가요소를 가진다 1) 진단명에 의한 평가(accompanying diagnosis) 2) 운동 범위

의 평가(range of motion of the impaired spine region) 3) 척추신경 손상(spinal

nerve deficits)을 각각 독립적으로 평가하여 전신장애율을 구한 후에 병산(竝算)하

여 ROM 방법에 의한 척추의 최종 장애율을 산정한다

ROM 방법의 평가는 먼저 척추장애를 유발한 원인의 손상과 질환을 결정한다 이

는 진단명에 의한 평가이며 AMA 기준의 404페이지 표15-7에 있다 이 표의 진단

mdash mdash25

명의 분류를 요약하면 I 골절 II 추간판질환 및 연부조직 III 척추분리증 척추전

위증 비수술의 경우 IV 척추협착증 불안정증 척추전위증 골절 수술의 경우로

구분된다

두 번째로 운동 범위의 평가는 손상된 척추부의 운동범위를 경사측정기로 측정한

다 경사측정기는 두 기준점에 각각 경사측정기를 위치하고 수진자의 능동운동을

측정한다 요추는 굴곡신전 좌측굴우측굴의 운동범위를 측정하고 흉추는 굴곡

좌회전우회전을 측정하며 경추는 굴곡신전 좌측굴우측굴 좌회전우회전의 운동

범위를 측정한다 운동범위를 측정함에 있어 AMA 기준의 5판에서의 변화는 전술

한 바와 같이 각도기가 아닌 경사측정기를 이용하여 기준부위 사이에서 일어나는

운동범위를 측정한다 측정한 운동 측정값의 일관성(consistency)과 재현성

(reproducibility)을 담보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운동범위를 측정할 때 최

초 3번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평균값이 50도 이하면 측정값의 편차는 5도

이내여야 하며 평균값이 50도 이상이면 측정값의 편차는 10도 이내이어야만 한다

고 하였다 만일 이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운동범위에 대한 평가는 진행하지 않

도록 하였다 운동범위의 측정은 반드시 6번 이상 측정하여 연속한 3번의 측정값이

위의 편차를 만족해야만 운동범위를 제대로 평가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일관성과 재

현성은 수진자의 거짓 운동이나 평가자의 미숙함을 보완하고 운동측정값의 객관성

을 보장하기 위한 방편이다 또한 위에 기술한 통계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척추부위

별로 환자의 거짓 운동을 찾아내기 위한 타당성 검사(validity test)를 제시하고 있

다 요추에서는 SLR(straight leg raising) 각도는 천추의 굴곡각과 신전각의 합과

비슷해야 하므로 SLR 각도가 천추의 굴곡각과 신전각의 합보다 15도 이상이면

평가된 요추의 운동범위의 타당성은 없다고 하였다 흉추에서는 굴곡 검사에서 앉

은 자세와 선 자세에서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각각의 측정값이 같아야만 한다고

하였고 경추에는 특별한 타당성 검사를 기술하고 있지 않다 이렇게 객관성과 타당

성을 담보하기 위한 검증방법은 척추의 기능을 측정하는데 있어 척추 운동범위의

측정이 이론적으로는 합당하며 척추 기능의 제한을 판단하는 좋은 잣대가 될 수 있

지만 실제로 평가자와 수진자에게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오류가 발생할 가능

성이 높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반증하고 있다

세 번째로 척추신경의 손상은 충분한 신경학적 검사를 통하여 해당 척추신경의

손상부위를 결정한다 해당 척추신경의 감각과 운동에 대한 손상정도를 판단하여

mdash mdash26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 타

척추에 고도의 변형이나 현저한 기능장애가 남은 자

척추의 장애로 인하여 앉아 있을 수 없거나 자기 힘

으로 일어서기가 곤란한 사람

척추(등뼈)에 심한 기형을 남긴 때 17-53

척추(등뼈)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17-53

척추에 고도의 장애가 있는 사람 17-53

척추의 기능에 중증도의 장애가 남은 자 17-53

척추에 현저(뚜렷)한 장애가 있는 사람 6급 5 44-68 17-53

척추(등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6급 5 44-68 17-53

척추에 기능장애가 남은 자

척추(등뼈)에 약간의 운동장해를 남긴 때 8급 2 20-42

척추(등뼈)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 때 11급 5

국소장애율을 구한다 여기에서 구한 국소장애율을 상지에는 06 하지에는 04를

곱하면 전신장애율을 구할 수 있다

척추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척수손상에 대해서는 신경계의 장애에서 별도로 산정한다 AMA기준은 척추장애

를 평가하는데 있어 DRE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대부분의 척추장

애의 평가는 DRE방법으로 평가가 가능하다 평가항목을 예시하거나 평가방법을 제

시하여 해당 범주를 결정하고 그 내에서 장애율을 결정하도록 하였다 DRE방법의

문제점은 대부분의 항목이 치료후의 시점이 평가대상이 되지만 분절의 고정은 수

술전에 이미 장애정도와 장애율을 결정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척추장해평가는

근골격계 평가에 있어 매우 어려운 영역이다 해부학적인 형태학적 변화와 기능적

변화를 동시에 평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형태학적 변화는 반드시 기능적인 변화를

반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평가 기준을 제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보편적인 기준인 맥브라이드 기준을 간단히 살펴본

다 맥브라이드 기준의 척추장해평가의 항목은 I 척수의 손상을 동반하지 않은 1개

또는 2개의 추체의 골절 II 척수손상을 동반한 골절 III 척추체간 인대와 근막의

파열을 동반한 좌상 또는 염좌 IV 천요 또는 요천 증후군(sacroiliac or

lumbosacral syndrome) V 경추 또는 요추의 수핵증후군 VI 만성 류마티즘 혹

은 퇴행성 질환의 6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염좌가 장애의 평가대상이 되는 오류가

있으며 오래된 의학적 판단 기준으로 현재에 장해평가 항목으로 이용하기에는 어

려움을 가진 평가이다 하지만 장애항목을 선택하여 쉽게 노동능력상실률을 구할

mdash mdash27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백분율을 제시하고 있어 복합장애를 평가함에 있어 합리적

인 계산으로 복합 장애율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직업과 연령에 의한 보정이 가능

하다 하지만 노동능력상실률을 구하는데 있어 비의학적인 평가의 부분으로 단지

직업 연령만이 고려되어 있는 문제가 있다

현재까지 개발되어 있는 척추의 장해평가기준도 이상적인 방법은 없다고 보인다

하지만 형태학적인 면과 기능적인 면을 모두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의 개발이 필

요하며 AMA기준이 이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근골격계의 장해평가는 다른 부위에 비해 비교적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팔

다리의 장해는 변형 절단 강직과 마비 등 외적 형태 변화가 뚜렷하고 해부학적으

로도 손상이나 장해의 정도를 비교적 쉽고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감정의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외견상 쉽게 확인되는 변형 절

단을 제외하고는 이학적 신경학적 검사에서 피검자의 솔직한 협조가 없으면 정확

한 장해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예를 들어 관절운동범위의 측정에서

수동적 관절운동범위 측정도 피검자가 통증을 호소하면서 검사하고자 하는 반대 방

향으로 힘을 가하면 정확한 운동범위를 측정하는 것이 어려운데 이를 능동적 관절

운동범위로 평가하는 것은 환자의 솔직한 협조를 담보하지 않고는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한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장해평가기준들은 모두 능동관절운동에 의한 관절운동

범위를 장해평가의 기준으로 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객관적 검사법(예 방사선 검사

근전도 검사 등)에 의한 장해평가방법의 개발 적용에 힘써오지 않고 있었다 이 점

이 동일한 장해 장애인에 대해 검사자에 따라 너무나도 상이한 장해율을 보이게

되는 주요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비해 AMA 장해평가지침은 비교적 객관화된

검사법을 장해평가에 이용하려고 하는데 국내의 장해평가기준도 그 기준의 개선뿐

아니라 평가법의 객관화를 위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비롯한 국내 장해평가기준의 경우 신

체손상의 정도(장해율)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그 분류가 세분화 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체계화 되어 있지도 못하다 또한 국내법 간에도 같은 장해에 대해 비슷

mdash mdash28

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으면서도 서로 다른 장해등급으로 평가되기도 하고 장해의

중한 정도가 서로 간에 역전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 등 조속한 시일내에 이에 대한

전반적인 재조정이 필요하다

맥브라이드 방식과 AMA 방식의 장애(해)평가에 유사성과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

는 근골격계 장해평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절단 강직 근약 등 비교적 다

른 부위보다는 두 장해평가방식의 차이가 적은편이다 현 시점에서 두 평가법을 비

교한다면 AMA 방식이 분명 객관적이고 보다 정확한 장해평가법이라고 생각되나

그 사용의 복잡함이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생각된다

향후 개발 개선되어야 할 국내 장해평가기준은 감정의나 피검자 모두에게 쉽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보다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한국형 장해평가기준

의 확립이 필요하다

mdash mdash29

제 2 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3)

I 서 론

1 일반현황

2 산재보험의 내부 장기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II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문제점에 대한 요약

2 음주 및 간질환의 예

3 뇌심혈관질환에서 ldquo과로rdquo 개념의 규정 예

III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IV 산재 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V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VI 결 론

3) 정두신(신경과) 강세훈(일반외과) 김준성(재활의학과) 김형수(산업의학과) 이숭덕(법의학과) 진동규(내과)

mdash mdash31

I 서 론

1 일반현황

산재보험 및 보상 분야중 장해 평가 분야에 있어 업무상재해란 업무상의 사유에

의한 근로자의 부상 질병 신체 장해 또는 사망과 같은 상병 등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재해성 질병과 직업성 질병 (직업병)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림 2-1) 내부 장기 영역

은 재해성 질병 중 부상에 기인하는 이차적 질병이나 직업성 질병 (직업병)중에 직

업 관련성 질환의 항목 들이 주로 해당되고 있다 미국의학협회의 장해평가기준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ition)에서 내과 계

열은 제 3장 심혈관계 심장 및 대동맥 (심장판막 질환 관상동맥 질환 선천성 심

장 질환 심근병증 심막성 심장 질환 부정맥) 제 4장 심혈관계 전신 동맥 및 폐

동맥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 대동맥 질환 팔다리에 영향을 미치는 혈관계 질환

폐동맥 질환) 제 5장 호흡기계 (천식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과민성 폐렴 진폐증

폐암) 제 6장 소화기계 (상부 소화관 결장과 직장 및 항문 장피 누공 간 및 담

도계 헤르니아) 제 9장 조혈기관계 (빈혈 적혈구 증가증 및 골수섬유증 백혈구

질환 또는 백혈구 비정상증 출혈성 및 혈소판 질환 혈전 질환) 제 10장 내분비

계 (시상하부 - 뇌하수체 축 갑상샘 부갑상샘 부신피질 부신수질 췌장 생식샘

젖샘 대사 및 골 질환)에서 다루어진 질환들과 분류를 기초로 현재 우리나라 산재

보험 분류상의 비교와 이를 기초로 한 평가 및 요약으로 우리나라 현실에 합당한

상대 가치 평가를 위한 설문 항목 개발을 위한 사전 조사를 시작 하였다

mdash mdash32

〔그림 2-1〕 업무상 재해

2 산재보험의 내부장기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산재보험에서 장해평가시 신체 기관 또는 체계에 특정한 제한이 생겼다면 이를 정확

하고 일관되게 측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의사들

에게 제공된 지침은 그 내용이 매우 불분명하고 판정하는 사람에 따라 비슷한 상태에

서도 서로 다른 등급이 판정되기도 하여 평가자 보험 사정인 관련 행정기관 모두에게

불신이나 불필요한 추가 비용 부담을 안겨 주기도 하고 비슷한 수준의 장해에서 등급

평가상의 불일치는 평가 대상자들에게 비의학적 요인에 근거를 둔 불필요한 분노 의

심 적대감 소송 행위의 원인이 될 때도 있다 더욱이 기초 질환과 기존 질병에 대한

뚜렷한 정의 없이 업무와 관련이 없는 개인의 질병이 악화된 상태까지 업무상 질병

으로 인정하는 사례가 많이 있어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장해평가 과

정 전반을 더욱 정교하게 개선하여 평가 결과의 통일성을 높임으로써 보다 높은 수준

의 일관성 보편성 그리고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장해평가 과정에

일관성 및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AMA 가이드 의 방법론을 참조하여 우리

나라 현실의 제도를 보완하고 공통의 업무상 상해 및 등급 판정 문제에 관한 명확한 정

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업무상 요인이 기존 질병과 기초 질환을 어느 정

도 악화시켜야 산업재해로 인정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없기 때문에 근로

자 병의원 공단의 산재인정 결정에 혼선을 주고 있다 미국 OSHA의 경우에는 환

경에서 발생된 사고나 근로 환경에 노출로 인하여 기존 (pre-existing)의 재해나

질병이 악화 (aggravated) 되었을 경우 업무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

나 기존 재해나 질병의 ldquo악화 (aggravation)rdquo는 매우 광범위한 용어로서 2001년도

에 ldquo중대하게 악화 (significantly aggravated)rdquo된 경우로 수정하였다 이 규정은 기

mdash mdash33

존 재해와 질병 모두에 적용되고 있다 중대하게 악화된 경우란 응급 치료 이상의

치료 작업의 제한 또는 다른 작업으로 전출된 경우 병가를 받은 경우 의식을 잃

은 경우 사망한 경우 뿐 아니라 담당 의사가 심각한 상태로 진단한 경우로 규정하

고 있다 그리고 업무 요인 (occupational factor)과 개인적 요인 (personal factor)

이 서로 중복되어 재해나 질병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이 있어 업무적 요인이 명백한

경우에도 개인적 요인과 비교하여 ldquo업무 연관성rdquo 여부를 쉽게 판정하지 못하는 경

우가 있다 기존 질병이나 재해가 중대하게 악화되는 데 51 이상 기여한

(contributed) 경우로 추정되는 경우 ldquo업무 연관성rdquo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Ⅱ 산업재해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산업재해에서의 내과계 영역의 장해평가와 등급은 lsquoAMA 가이드rsquo와 같이 따로 일

목 요연 하게 분류 되어 있지는 않다 다음의 표 2-1과 같이 요약 된 자료를 참고

해 볼 수 있으며 그 내용도 흉복부장기의 기능 이란 표현으로 대부분의 내용을 함

축하고 있으며 고환 비장 및 신장이라고 일부 장기가 언급 되어 있다

1 문제점에 대한 요약

기왕증은 업무상 원인에 의하여 중대하게 악화될 때에만 인정되어야 한다 현행 업

무상 질병인정 요건을 규정한 산재보험법 시행규칙 제33조의 제2항제3호에 의하면

ldquo기초 질환 또는 기존 질병이 있는 근로자의 경우 그 질환 또는 질병이 자연 발생

적으로 나타난 증상이 아닐 것rdquo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근골격계 질환과 뇌

심혈관 질환과 같은 작업관련성 업무상 재해의 경우에는 기존 질환의 악화 여부 및

업무상 원인 때문에 기존 질환의 악화되었는지에 대한 의학적 판단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신 질환과 뇌심혈관 질환은 원칙적으로 급작스러운 업무적 쇼크에 의

하여 발생될 경우에만 인정하도록 되어 있다 우리의 생활 전체가 스트레스의 원인

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업무와 업무외 생활 요인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구분하

기가 쉽지 않으며 두 요인들은 서로 상호간에 스트레스를 상승 혹은 완화 시킬 수

도 있다 뇌심혈관 질환은 만성적인 원인에 의하여 발생한 경우 업무 기인성과 생

mdash mdash34

활 요인 및 개체적 요인과의 구별이 매우 곤란하고 또한 만성적 질병은 일상생활

에서 개별 근로자가 건강관리를 소홀하게 한 경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산재

인정을 위해서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만성적 요인에 의한 작업관련성 질환은 매

우 제한적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구체적 기준과 업무 평가성을 판단하기 위한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 준비 되어야 하고 또 이러한 상황이 인정 된다 하더라도 올바른 방법으로

정확하고 객관적이며 우리 현실에 맞는 장해평가 항목과 절차가 준비 되어야 한다

2 음주 및 간장 질환의 예

음주에 관한 업무상 간 질환은 특정 업무 종사자로 한정하고 구체적 사실이 있을

때에만 인정해야 한다 알코올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간 질환을 발생시키거나 악화

시키며 간장 질환 환자가 음주를 하게 되면 기존 간장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가 감

소될 뿐 아니라 음주 자체로 기존의 간장 질환이 더욱 악화된다고 알려져 있다 근

로복지공단이나 법원의 결정에서는 간장 질환을 일으키는 음주 행위와 업무의 상관

성 분석도 매우 중요한 평가 요소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

요하다 업무 수행성의 요건으로 업무상 음주 행위를 할 수밖에 없는 경우는 직업

군을 우선적으로 선별해야 한다 기존 법원의 판례는 업무적 요인에 의한 음주 행

위의 범위를 직업군에 상관없이 주관적이며 포괄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법원의 판례가 더 이상 누적되기 전에 소위 lsquo술 상무rsquo라고 일컬어지는 대

외 영업직을 중심으로 음주가 업무에 반드시 필요한 직업군을 선별해야 한다 B 형 간염

보균자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한 관리 지침을 만들어 만성 B형 간염보유자

에 대한 건강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법원의 업무상 재해인정 판결 여부의 판례 등으로

인한 혼동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여건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3 뇌심혈관질환에서 ldquo과로rdquo 개념의 규정 예

뇌혈관 질환 및 허혈성 심장 질환 등은 원래 노동 장소에서 특정한 위험 유해 인자에 기인하여 생

기는 직업성 질병과는 본질적으로 달리 업무 이외의 원인에 의해 그 많은 수가 발병하는 것이 특징

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ldquo근로자의 업무량과 업무 시간이 발병 전 3일 이상 연속적으로

mdash mdash35

일상 업무보다 30 이상 증가 되거나 발병 전 1주일 이내에 업무의 양시간강도책임

및 작업환경 등이 일반인이 적응하기 어려운 정도로 바뀐 경우를 말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일본은 장기간은 발병 직전 1개월에 100시간 2개월 이상에서는 평균 월 80시

간의 초과 시간을 근무한 경우이며 단기간은 업무량 업무내용 작업환경 등을 고려하

고 동료 노동자 또는 동종 노동자에게도 특히 과중한 신체적 정신적 부하로 인정되

는가의 관점에서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표 2-1〉 산업재해보상보험법시행령 신체장해등급표(제31조제1항 관련)4)

제1급

1 두 눈이 실명된 사람

2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모두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3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4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5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6 두 팔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7 두 다리를 무릎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8 두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제2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2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02이하로 된 사람

3 두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 두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5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제3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6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3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

4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

5 두 손의 손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제4급

1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06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3 고막의 전부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사람

4 한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 [일부개정 20041029 대통령령 18573호][별표 2] lt개정 2000627 200357gt

mdash mdash36

5 한 다리를 무릎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6 두 손의 손가락을 모두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7 두 발을 리스푸랑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제5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2 한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3 한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 한 팔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5 한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6 두 발의 발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7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8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제6급

1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1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3 고막의 대부분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이 모두 귓바퀴에 대고 말

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4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5 척주에 뚜렷한 기형이나 뚜렷한 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6 한 팔의 3대 관절중 2개 관절이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7 한 다리의 3대 관절중 2개 관절이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손의 5개의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4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제7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2 두 귀의 청력이 모두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3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4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

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

6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이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7 한 손의 5개의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4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 발을 리스푸랑관절 이상에서 잃은 사람

9 한 팔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10 한 다리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11 두 발의 발가락이 모두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외모에 뚜렷한 흉터가 남은 사람

mdash mdash37

13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

제8급

1 한 눈이 실명되거나 한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2 척주에 경도의 기형이나 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3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4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이나 둘째손가

락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5 한 다리가 5센티미터 이상 짧아진 사람

6 한 팔의 3대 관 절중 1개 관절이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7 한 다리의 3대 관 절중 1개 관절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 팔에 가관 절이 남은 사람

9 한 다리에 가관 절이 남은 사람

10 한 발의 5개의 발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11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제9급

1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6이하로 된 사람

2 한 눈의 시력이 006이하로 된 사람

3 두 눈에 모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4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5 코가 결손 되어 그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6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7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8 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9 한 귀의 청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1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3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한 발의 엄지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 이상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3 한 발의 발가락을 모두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4 생식기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15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

1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

제10급

1 한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3 14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4 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5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6 척주에 기능장해가 남았으나 보존적 요법으로 치유된 사람

7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2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mdash mdash38

8 한손의 엄지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3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9 한 다리가 3센티미터 이상 짧아진 사람

10 한 발의 엄지발가락 또는 그 외의 4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 팔의 3대 관절중 1개 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12 한 다리의 3대 관절중 1개 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제11급

1 두 눈이 모두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거나 또는 뚜렷한 운동기능 장해가 남은

사람

2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3 한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4 한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5 척주에 기형이 남은 사람

6 한 손의 가운데손가락 또는 넷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7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2개의 손

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 발의 엄지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 이상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9 흉복부장기에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10 10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11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2급

1 한 눈의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거나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2 한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3 7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4 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 된 사람

5 쇄골 흉골 늑골 견갑골 또는 골반골에 뚜렷한 기형이 남은 사람

6 한 팔의 3대 관절중의 1개 관절의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7 한 다리의 3대 관절중의 1개 관절의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8 장관골에 기형이 남은 사람

9 한 손의 가운데손가락 또는 넷째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0 한 발의 둘째발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둘째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3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 발의 엄지발가락 또는 그 외의 4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국부에 완고한 신경증상이 남은 사람

13 삭제 lt200357gt

14 외모에 흉터가 남은 사람

제13급

1 한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2 한 눈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3 두 눈의 눈꺼풀의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mdash mdash39

질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

심혈관 증상(예 피

로감 심계항진 호

흡곤란 흉통 등)

및 일반 증상이 기

능 및 일상 활동 능

력에 미치는 영향

변화가 예상된다면

그 예후 진료기록

검토

포괄적인 진찰 상

세한 심혈관 체계

평가

관련 검사로부

터 추출한 데이

터(예 ECG 심

장초음파검사

스트레스 테스

트 심장카테터

삽입)

종말기관 손상

및 장애 등 후

유증의 평가를

포함한다

모든 관련 진단을 기록

한다 상태가 치료에 의

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

달했는지 살핀다 아직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상태가 되어야 도달한

것으로 인정되는지 언

제쯤 이런 상태에 도달

할 수 있는지 논의한다

판막성

증상 및 이로 인한

신체 활동의 제한

(예 앙기나)에 관

해 논의한다 심박

출량 폐울혈 및 전

신 울혈을 다룬다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도플러 심장초음

파검사 또는 심장

카테터 삽입

울혈 또는 기능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관련 기관의 평

가(예 폐 신장)

대동맥 또는 승모판 협

착증 승모판 탈출증 대

동맥 또는 승모판 역류

대동맥 및또는 승모판

질환 심실 기능이상

4 5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5 한 손의 새끼손가락을 잃은 사람

6 한 손의 엄지손가락의 지골의 일부를 잃은 사람

7 한 손의 둘째손가락의 지골의 일부를 잃은 사람

8 한 손의 둘째손가락의 말관절을 굽히고 펼 수 없게 된 사람

9 한 다리가 1센티미터 이상 짧아진 사람

10 한 발의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1개 발가락 또는 2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발의 둘째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둘째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3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흉부장기에 진폐증의 소견이 있는 사람

제14급

1 한 눈의 눈꺼풀의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2 3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3 팔의 노출된 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4 다리의 노출된 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5 한 손의 새끼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6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손가락의 지골의 일부를 잃은 사람

7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손가락의 말관절을 굽히고 펼 수 없게 된 사람

8 한 발의 가운데 발가락이하의 1개 또는 2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9 국부에 신경증상이 남은 사람

10 삭제 lt200357gt

11 한 귀의 청력이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표 2-2〉 심혈관계 장해평가 요약 심장 및 대동맥

mdash mdash40

관상동맥

(CHD)

협심증 심실 기능

저하 피로감으로

인한 신체 활동 제

한 심계항진 호흡

곤란 협심증통

상세 병력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심장 혈관조영

술 흉부X선

ECG EF 휴식

시 또는 운동 전

후에 검사 실시

관련 기관 평

가(예 뇌 폐

신장 눈 말초

혈관계)

MI 협심증 관상동맥 혈

관경련 심실 기능상실

선천성

호흡곤란 피로감

심계항진 종말기관

기능 이상에 따른

증상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ECG 흉부X선

방사선동위원소

검사 심장초음

파검사 혈류역

학 측정 혈관조

영술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판막협착 사이막 결손

판막 기형 팔로씨 사징

엡스타인 기형 혈관 전

위 아이젠멩거 콤플렉스

심근병증

운동호흡곤란 앙기

나 실신 폐 또는 전

신(全身) 기관 울혈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심장초음파검사

ECG 흉부X선

심실 기능이상 동

적 유출로 폐쇄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확장 또는 울혈 비대

제한적

심막성

흉통

활성 염증 및 ESR

증가에 주의한다

박동율 리듬 심

장음(심막 잡읍

확장초기 노크음)

및 기타 기관 기능

등에 주의한다

ECHO 심막 삼

출 비대 또는

석회화 CT 또는

MRI 스캔상의

심막비대 심장

카테터삽입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협착 또는 특발 심장막

염 눌림증 종양 심막 삼

출 심막 손상

부정맥

실신 무력감 및 피

로감 심계항진 현

기증 가슴을 누르

는 듯한 느낌 숨참

박동율 리듬 심

장음에 주의한다

부정맥을 검사 등

을 통해 확인하고

발생 빈도를 측정

한다

ECG 조기박동

빠른 맥박수

심장초음파상

심방비대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실신 VT 심방 잔떨림

완전 심장 차단 조기박

질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

일상 활동에 제한

을 주는 기능 장애

정도를 판정한다

경정맥압 경동맥 및

말초 혈관 맥박에

관한 진찰 소견 심

장 및 폐 검사 복부

검사 안저검사 누

운 자세 앉은 자세

서있는 자세에서 측

정한 혈압

관련 검사(예

ECG 심장초음

파상 부하검사

심장카테터삽입

등)에서 얻은 데

이터

종말기관 손상

및 장애를 포

함한 후유증

평가

모든 관련 진단을 기록한

다 치료에 의한 최대 호

전 상태에 도달했는지

확인한다 도달하지 않았

다면 언제 어떤 조건 하

에서 안정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지 설명한다

고혈압

심장 신장 및 뇌

혈관 제한을 증명

하는 증상을 규명

한다

포괄적 검사 종말

기관 질환을 주의

하여 살핀다

ECG 심장초음

파상 부하검사

카테터삽입 혈

청 BUN 및 크레

아티닌 소변검

사 및 요단백 배

설 크레아티닌

청소 또는 GFR

평가 신장 초음

파 머리 CT 또

는 MRI 스캔 혈

관조영술

심장 눈 신장

뇌 단백뇨 크

레아티닌 상승

크레아티닌 청

소 감소 및 비정

상 요침전물의

감시

silver-wiring

및 동정맥교차

변화를 포함하

는 funduscopic

변화

고혈압 좌심실 비대 고

혈압 비대심근병증 고혈

압 관련 수축기 심장기

능살실 고혈압 관련 확

장기 심장기능상실 고혈

압 콩팥경화증 고혈압뇌

병증 뇌졸중 TIA

대동맥 일상 활동의 장애 포괄적 검사 가슴경유 심장 심장 대동맥 대동맥 동맥류 가슴 또는

〈표 2-3〉 심혈관계 장해평가 요약 전신 동맥 및 폐동맥

mdash mdash41

질 환

심장 및 말초 혈관

기능 장애를 규명

한다

초음파검사 및

식도경유 심장

초음파검사 CT

및또는 MRI 영

상 검사 대동맥

혈관조영술

복부 대동맥 박리 대동맥

축착 대동맥 죽경화증

대동맥 판막 역류 참조

말초혈관

질환

일상 활동의 제한

정도를 포함하는

상세한 병력

포괄적 검사

부하검사 발목-

위팔 압력지수

및 피부통과 산

소측정 말초 혈

관조영술 색소

또는 초음파도

플러 정맥 영상

대조 또는 표지

마커를 이용 림

프관 진단

팔 및 다리

레이노 현상 혈관의 궤

양형성 절뚝거림 대동맥

을 제외한 동맥류 허혈

손발가락 절단 괴저 및

폐쇄성 혈전혈관염 부

종 경화울혈 피부염

연조직염 궤양형성 및

혈전증을 포함하는 정맥

질환 림프부종 림프관

염 및 연조직염을 포함

하는 림프관 질환

폐순환

질환

기능 장애 과거의

치료 상의 문제

투약 또는 직업 환

경 등에 관한 상세

한 병력

포괄적 검사

심장초음파검사

폐동맥 혈관조

영술 CT 또는

MRI 영상

심장 및 폐손

상 평가

일차 및 이차 폐동맥고

혈압 폐동맥색전증 폐정

맥폐쇄증 폐정맥협착

질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반

호흡 증상(예 기

침) 일반 증상 기

능 또는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

는 영향 변화가 예

상된다면 그 예후

진료 기록 검토

포괄적인 이학적

검사 호흡기계통

상세 진단

관련 검사로부

터 도출한 데이

터(예 폐 기능

검사)

종말기관 손상

및 장해를 포함

하는 후유증 평

가를 포함한다

모든 관련 진단을 기록한

다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했는지 확인

한다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조건하에서 언제 안

정될 것인지를 논의한다

폐쇄

질환

호흡곤란 기침 가

래 염증 투약 운동

내성

호흡음 쌕쌕거림

큰 P2 경정맥 확

장 오른쪽 심장

융기

폐 기능 폐활량

검사 폐 용적

확산능 메타콜

린 유발 방사

선 사진

관련 기관(예 심

장기능 폐심장

증)을 평가한다

천식 만성 기관지엽 폐공

기종 기타 폐쇄성 질환

제한

질환

호흡곤란 기침 피

로 가래 운동내성

흉벽 운동 수포음

곤봉증

폐 기능 폐활량

검사 폐 용적 확

산능 영상 검사

심장 기능을 평

가한다

특발 폐섬유증 석면증 진

폐증 흉벽 질환 기타

폐암

운동내성 호흡곤

란 흉통 피로 체중

감소 흡연 유해 환

경 노출

흉벽 운동 수포음

곤봉증 선병증

기관지경술 폐

기능 검사 생검

다른 기관 평가

전이 징후

편평세포 샘세포 소세

포 등

〈표 2-4〉 호흡기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2

질 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반

위장 증상(예 식욕 변화 통증 설사 등)및 전신 증상 증상이 기능 및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 그 예후 진료 기록

전반적 이학적 검사 상세한 위장 계통 평가

관련 검사에서 추출한 데이터(예 바륨삼킴 상부 또는 하부 내시경검사)

종말기관 손상 및 장해를 포함하는 속발증 평가

모든 관련 진단 기록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한다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상태에서 언제 도달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식도 질환

고형식 및또는 유동식 연하곤란 위식도역류 과거 근위 위절제술 또는 간치술확장술 및또는 약물투여 요함 흡인 병력 신체 활동 제한

체중 감소 증가 증상의 지속기간피부경화증 또는 기타 중간엽 질환이완불능증 또는 광범위 연축으로 인한 과거 운동성 검사

협착 부위 및 정도 근위 식도는 확장되었나내시경검사소견 및 생검 결과

운동성 검사 결과 치료에 대한 반응 식도 부목 또는 간치술의 필요성 확장술 빈도

염증성 협착을 수반한 GERD 악성변화가 있거나 없는 Barett 식도피부경화증 속발 협착이완불능증 광범위 연축 Zenker 게실

위 질환

구토 체중감소 과거위절제술 덤핑 증세 궤양 또는 내분비병증 가족력궤양유발 약물(NSAIDS ASA) 사용 경험 신체 활동 제한

체중감소 신경병증이 있는 당뇨병

위 오목 주머니 크기 위-공장 amastomosis 부위 및 기능 내시경에 의한 구조 평가 운동성 검사

음식 조절에 대한 반응 항분비제 위장운동촉진제 시험 투여

위절제술 후 상태당뇨병위마비Zollinger-Ellison 증후군위장염전이 있는 식도곁탈장

소장 질환

설사(빈번하고 야간에 발생) 복부 급통증 및 팽만 장염전 병력 출혈 비열대스프루 및 운동 장애 가족력 체중감소 과거 수술 경험활동 제한

체중감소 확인 복부팽만 덩이 항문 주위 질환 관절병증 포진피부염 있음

바륨 검사 고위관장법 검사 공장 배양 및 점막 생검 항글리아딘 항체 운동성 검사 무손상 소장 길이(200cm 이상 또는 이하인지 추정한다)

철분 B12 흡수 장애 엽산 강직 자라지 못함 글루텐 제한에 대한 반응 비경구적 영양법

비열대스프루 림프종 합병증 발병 가능성 있음국소 장염크론병 허혈 장질환 방사선 장염 만성 가성폐홰 기계적 폐쇄 (유착)

췌장 질환

급성 췌장염 병력(객관적 증거 있음) 빈도 지속 기간 관련 황달 욕지기 식욕부진 음주 통증 관리의 적정성 위장 출혈 (비장 정맥 혈전증) 연관 만성 폐질환 (낭성 섬유증)

복부 덩이 누공 담석 병력 체중감소의 증거 황달

췌장 및 담도 초음파검사 십이지장 통과 초음파촬영술 CT 스캔 ERCP 지방변 측정 석회화를 보여주는 복부 단순촬영사진 등을 고려해 본다 낭성 섬유증을 배제하기 위한 땀 나트륨 검사

지방 소화불량 및 흡수장애의 정도 당뇨병복강신경총 및또는 내장 차단

알코올췌장염만성재발췌장염담도 질환 속발 췌장염낭성 섬유증

대장 질환

결장 수술 병력(잔여 길이 연결술의 성격) 출혈 수혈의 필요성대변 배설 빈도 습관(야간 실금)복통 체중감소 활동 제한

복부 덩이 항문 주위 질환 누공 관절병증

S상 결장경검사 결장내시경술바륨검사 점막 생검 배변검사 운동성 조임근 활동 양성 EMG

통제불능의 설사 처치곤란한 변비 거대결장증

염증장병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회장누공 설치술 및 결장절제술 또는 회장항문낭연결술

〈표 2-5〉 소화기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3

간 질환

음주(과거 현재) 과거 간독성 약물 사용 복수 부종 황달 철분과다증(중복 수혈) 위장 출혈 병력 가려움증 원발담관성간경화증 신체 활동 제한

만성 간 질환의 피부 및 안구 징후 복수 부종 피부 색소침착(혈색소침착증) 과거 간 부위 외과 수술 증거 눈(眼)의 Keyser-Fleischer 고리 궤양성 결장염 증거 황색종증

혈색소단백질 프로트롬빈 시간을 포함하는 영양 상태 혈소판 완전한 간염혈청학적 지표를 포함하는 원인 검사 신장 기능 HIV 검사 혈색소침착증이 있으면 당뇨병 (혈청 철분 및 페리틴 포화 항트립신) AMA 유전 및 침윤 질환은 제외한다 (예 아밀로이드증 사르코이드증 다낭질환) 구리 검사

출혈에 대한 CNS 내성체액 및 염분 과다 췌장 기능부족 이차 발생 간암 처치곤란 프로트롬빈 시간 연장 혈소판 결손 백혈구 감소증

알코올 간 질환 경화증 간암 간염후간경화증(과거 HBV HCV) 혈색소침착증 윌슨병원발 담관성간경화 경화담관염

담도 질환

과거 담도 수술담낭염 삽화 담도급통증 황달 빌리루빈 대사 기능이상 가족력 출혈 가려움증

과거 용해 치료 및또는 쇄석술 황달긁은 자국 비장비대 복부누공

초음파검사ERCP 필요한 경우 담관조영술프로트롬빈 시간

폐쇄증 완화후 지속적 고빌리루빈혈증 수술 소견

담관협착 매복담석 경화담관염 원발 담관성 간경화

헤르니아체위 변화와관련된 불편감 통증 신체 활동 제한

복부 돌출 또는 부기

방사선사진 CT 스캔

장 또는 그물막 꼬임

복벽 헤르니아 배꼽 헤르니아 절개헤르니아 서혜헤르니아 대퇴헤르니아

질 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

종말기관 장애 증상 심혈관(예 피로감 심계항진 흉통) 호흡기(예 숨참) 감염 일반 증상 기능 및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의 예후 진료 기록 재검토

영향을 받는 종말기관을 집중적으로 평가하는 포괄적 진찰

관련 검사 전혈구계산 혈청검사 뼈 림프절 생검

종말기관 손상 및 장애를 포함하는 후유증 평가 포함

모든 관련 진단의 기록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살펴야 함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조건에서 언제 도달할 수 있는 지 규명한다

적혈구

증상(예 운동시 숨참 현기증 두통 피로감) 이로 인한 신체 활동 제한 또는 합병증(예 앙기나)

다른 기관 기능이상(예 뇌 심장 신장)

전혈구계산 혈색소 전기이동 등

관련 기관의 울혈 또는 기능이상 평가(예 심장 폐 신장)

빈혈 겸상적혈구 용혈 만성 질환 적혈구증가증

백혈구 피로 빈번한 감염상세한 병력(예 감염 등)

전혈구계산 등

관련 기관 평가(예 심장 폐 신장 림프절)

백혈병 림프종

혈소판잇몸 입 위장관 요로의 비정상 출혈외상 발생시 지혈

코출혈 점상출혈 자색반 잠재 대변혈 비

혈소판 수치를 포함하는 전혈구 계산 출혈 시간

출혈로인한 것

면역혈소판감소자색반(ITP) HIV 또는 약물 관련 저혈소판증 혈전저

〈표 2-6〉 조혈기관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4

불량 비정상 혈액 응고 가족력

장비대 혈전증 증거

관련 혈소판 응집 검사(다른 응고 질환을 배제하기 위한 프로트롬빈 및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수치

혈소판증(TTP) 척수형성이상증 백혈병 혈소판 기능 질환 본태고혈소판증

혈전관련

혈소판 수치 포함하는 전혈구 계산 출혈 시간 프로트롬빈 및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섬유소원 인자 수치

출혈 혈관절증 또는 신경충돌로 인한 것

혈우병 인자 결핍 빌레브란드 병 dysfibinogenimia 파종혈관내응고

질 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성장의 변화 피로 쇠약 욕지기 과민성 등

신장 체중 혈압 맥박 피부온도 피부결 수분 근력 및 질량

아래 해당란참조

종말기관 손상 및 장해를 비롯한 후유증의 평가 포함

관련 진단 모두 기록함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함 도달하지 않았다면 언제 어떤 조건 하에서 안정 상태를 기대할 수 있는지 설명하여야 함

시상하부-뇌하수체 축

월경 주기 젖분비과다 다뇨 피로 쇠약 두통 등의 증상을 설명함

유방 배출물 확인 시야검사 및아래에 명시한 목표 기관의 평가

프로락틴 성장 호르몬 IGF-1 요(尿)비중 혈청 삼투질 농도 뇌하수체 CT 또는MRI 목표 기관의 기능

난소 고환 갑상샘 부신 골격 및 심장 등과 같은 관련 기관의 기능이상 치료에 대해 정도의 차이가 있더라도 자주 가역 반응을 보이는가

요붕증 프로락틴샘종 말단비대증 쿠싱 병 범뇌하수체저하증 또는 하나 이상의 뇌하수체 호르몬 결핍

갑상선

피로 쇠약 정신 작용 지체 냉(冷) 또는 열(熱) 불내성 불안 체중감소 심계항진 안구돌출 복시와 같은 눈의 변화 갑상샘종 배변 습관 변화

아킬레스건 반사 갑상샘 크기 및 소결절형성 떨림 불안 또는 굼뜬 동작 눈 돌출

혈청 프리 티록신 총 트리요오드티로닌 및 TSH 방사성 요오드 섭취율 및 갑상샘 스캔 갑상샘 초음파 갑상샘 결절 미세침 흡인

안근 및 안와 후부 조직 치료하면 회복되는 기타 종말기관 기능이상

갑상샘과다증 갑상샘저하증 갑상샘 결절 갑상샘종 암종

부갑상선

피로 쇠약 욕지기 다뇨 신장 결석 근육과민성 감각이상 강직 발작

크보스테크 징후 및 트루소 징후

혈청 칼슘 인 부갑상샘 호르몬요중 칼슘 배출 신장 초음파 골밀도 계측 초음파 MRI 부갑상샘 Sestamibi 스캔

신장 골격부갑상샘저하증 부갑상샘 부갑상샘항진증

부신피질

쇠약 쉽게 멍듬 조모증 여드름 체중 증가 우울증 월결불순 진균 감염

혈압 체중 및 체중의 신체 분포 피부 근력 부종

혈장 코르티솔 및 알도스테론 요중 코르티솔 배출 코르티솔 억제 및

골격 골절 여부치료하면 회복되는 기타 종말기관 기능이상

아디슨 병 쿠싱 징후군 성인기 발병 부신 과다형성

〈표 2-7〉 내분비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5

자극 테스트 혈장 ACTH 기타 스테로이드 대사물 혈청 전해질 요중 17-KS 배출 골밀도 계측 복부 CT 또는 MRI 검사

부신수질두통 심계항진 발한 불안 및 쇠약

혈압 맥박

요중 카테콜라민 및 그 대사물 측정 혈장 카테콜라민 및 클로니딘에 대한 억제 반응 부신 CT 또는 MRI 검사

심한 고혈압으로 인한 뇌혈관 사고 여부

갈색세포종

췌장(랑게르한스

섬)

다뇨 다음증 체중감소 쇠약 발한 빈맥 흐린 시력 착란 의식불명 경련 당뇨병 종말기관 기능이상 관련 증상(예 눈 신장 신경계 심장 혈관계통)

혈압 맥박 체중 피부 눈 신경계 심장 맥박

혈장 포도당 인슐린 또는 C-펩티드 HbA1c 지질 요검사 췌장 CT 또는 MRI 검사

눈 신장 신경계통 심혈관 피부

당뇨병 인슐린종 반응 저혈당증

생식선

이차 성발달 결여 불규칙한 월결 주기 또는 무월경 불임 이차 성징 조발 조모증 및 남성화 지구력 및 원기 결핍

생식샘 2차 성징 신장

혈장 생식샘자극호르몬 테스토스테론 난포호르몬 프로게스테론 정액검사 골반 포음파 골격연령 측정을 위한 X-선 검사

생식샘 피부골격

생식샘 발생장애 조기 난소 기능상실 성조발증 다낭 난소 징후군 정세관 발생장애 고환염

젖선

부적절한 모유 생산 남성에게서의 발달 여성에게서의 발달 결여 질료 기록

유방난포호르몬 테스토스테론 프리 티록신 간 기능검사

유방젖분비과다 형성 저하증 여성형 유방증

대사 및 골

골절 약물처치 암 신장 질환

골격 이상

DEXA 등 골밀도계측 요중 칼슘 배출 골격 대사 마커(marker)

골격 골다공증 골연화증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1 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법상의 내부 장기 관련 장애 분류

보건복지부가 주무부서가 되어 만든 장애등급 판정기준 (2003-7)상에 내부 장기

관련 장해평가기준은 9 신장장애 (2 5급) 10 심장장애 (1 2 3 5급) 11 호흡

기장애 (1 2 3급) 12 간장애 (1 2 3 5급) 14 장루 요루장애 (2 3 4 5급)

mdash mdash46

로 구분 되어 있다 복지부 장애 분류는 2개의 대분류 (신체적 장애 정신적 장애)

속에 신체장애는 다시 2개의 중분류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로 나

누고 각각의 중분류는 6개의 소분류 체계로 구분 하였다 더욱이 복지부의 내부 장

기 장해평가기준은 그 법의 목적 취지가 산업재해 보상 및 보험과는 차이가 있으므

로 이를 그대로 준용하여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으나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에

서 매우 참고 할 만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표 2-8〉 장애인복지법시행규칙 장애인의 장애등급표 (제2조 제1항 관련)5)

9 신장장애인

제2급

만성신부전증으로 인하여 1개월 이상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사람

제5급

신장을 이식 받은 사람

10 심장장애인

제1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안정시에도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 증상 등이 일어나서 운동

능력을 완전히 상실하여 상시적으로 개호인이 필요한 사람 (심장질환을 진단 받은지 1년 이상

경과한 사람에 한한다 이하 같다)

제2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신체주위의 일은 어느 정도 할 수 있지만 그 이상의 활동으로는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 증상 등이 일어나서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사람

제3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가정 내에서의 가벼운 활동은 상관없지만 그 이상의 활동에는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 증상 등이 일어나서 가벼운 일상생활은 가능하나 정상적인 사회활동을

영위하기 어려운 사람

제5급

심장을 이식받은 사람

11 호흡기장애인

제1급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부전으로 안정 시에도 산소요법을 받아야 할 정도의

호흡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 호기량)이 정상 예측치의 25 이하이거나

안정시의 자연 호흡 상태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55Hg 이하인 사람

제2급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부전으로 집안에서의 이동시에도 호흡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 호기량)이 정상예측치의 30 이하이거나 안정시 자연 호흡

5) [일부개정 2003613 보건복지부령 250호] [별표 1] lt개정 2001630 2003613gt

mdash mdash47

상태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60Hg 이하인 사람

제3급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부전으로 평지에서의 보행에도 호흡 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 호기량)이 정상예측치의 40 이하이거나 안정시 자연 호흡

상태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65mHg 이하인 사람

12 간장애인

제1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잔여 간기능이 Child- Pugh 평

가상 등급 C이면서 만성 간성뇌증 내과적 치료로 조절되지 아니하는 난치성 복수 등의 합병증

이 있는 사람

제2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잔여 간기능 평가상

Child-Pugh 등급 C이면서 간성뇌증의 병력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등의 병력이 있는 사람

제3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잔여 간기능이 Child- Pugh 평

가상 등급 C인 사람

제5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간이식을 시술받은 사람

14 장루 및 요루 장애인

제2급

1 요루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요루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가 현저한 변형이 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2 고도의 배뇨장애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가 현저한 변형이 있거나 장루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3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공장middot회장middot상행 또는 횡행결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

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으로부터 장(腸)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와 수술 등에 의하여서도 치

유될 가능성이 없으며 구멍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제3급

1 요루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는 사람

2 요루와 함께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에 현저한 변

형이 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3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고도의 배뇨기능장애가 있는 사람

4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공장middot회장middot상행 또는 횡행결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

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으로부터 장 내용물이 대부분 흘러나오며 수술 등에 의하여서도 치유될

가능성이 없는 사람

제4급

1 요루를 가진 사람

2 회장루middot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진 사람

3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배뇨기능장애가 있는 경우 또는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가 변형되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헐었기 때문에 장루보조용품을 1일 1회 이상 교체하

거나 장세척을 필요로 하는 사람

mdash mdash48

장 애 상 태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1급 4 100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2급 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3급 3급 4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5급 7

장기를 이식받은 사람 5급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7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5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50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8급 11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9급 16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20

흉복부장기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11급 9

4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하행 또는 에스결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에서 장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오며 수술 등에 의하여서도 치유될 가능성이

없는 사람

제5급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는 사람

〈표 2-9〉 심 폐 간 장애의 국내 기준 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AMA 가이드에서 사용하는 전신장해 백분율로 표시되는 척도상에 100가 되기 위

해서 신체 기관 또는 신체 계통이 어느 정도 손상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일치된 견해

를 얻는 일은 매우 어렵다 AMA 가이드는 사망에 근접한 상태를 전신 장해율

95~100의 표준으로 보고 있다 또한 장해율 0의 의미에 대해서도 완전한 합의는

아니지만 거의 장해가 없이 회복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상적 기능이란

mdash mdash49

무엇인가 정상적 기능이란 것도 근로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예측 가능한 차이에 근

거해서 조정이 필요한 사항은 아닌지에 대한 고려도 필요할 것으로 예상 되며 기존 병

태를 반영하기 위해 기능의 기준선을 어떻게 조정해야 하는가도 과제 사항이다 표준

장해 등급율 표에서 임의의 연속성 상실율이 0이면 잔존 상실이 없는 것으로 전

신장해율이 100이면 죽음이나 식물 상태에 가까운 것으로 받아들인다 예를 들면

새끼 손가락의 완전 절단은 전신 장해율 6에 해당한다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

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된다 장해등급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면 장해와 능력 상실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 장해등급은 정해진

일련의 관측으로부터 찾아내는 등급으로 그 자체가 근로자의 능력에 미치는 해부학

적 또는 기능적 손상의 영향을 밝혀주는 것은 아니다 lsquoAMA 가이드rsquo는 능력 상실

이란 장해로 인해 개인적 사회적 또는 직업적 요구 또는 법률적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이 변경된 상태라고 규정하고 있다 백분율로 표시한 장해율은

평가 대상자의 완전한 상태 대비 해부학적 또는 기능적 손실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다 장해평가는 능력 상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첫 번째 단계

라 할 수 있다 예를 든다면 의사가 팔 장해에 대하여 평가 할 수 있는 등급의 최

대치는 100 (팔의 절단 또는 어깨 관절 이단술)이며 이것은 곧 전신 장해 60에

해당한다 의사가 다리 장해에 대하여 평가 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의

다리 절단 (엉덩이 관절 이단술)에 부여하는 등급이며 이것은 곧 전신 장해 40에

해당한다(표 2-11) 이와 같은 방법으로 lsquoAMA 가이드는 내부 장기에 있어 내과계

질환들로 인한 인체의 기능 제한을 전신 장해율의 등급과 로 표시하고 있으며 각

질환에 따른 에는 표 2-11과 같이 다소 차등이 있다 우리의 현재 기준과 직접적

으로 대입하여 비교하기가 어려운 체계이나 굳이 비교를 해본다면 표 2-10과 같

이 나타내 볼 수 있다 성공적인 신장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이 대폭 개선된 경우

에는 상부 요로 질환으로 인한 장해 평가 2급으로 전신 장해율 15~34로 평가 한

다 비장의 경우 상실한 경우 Mcbride에서는 10~26로 한쪽 신장의 기능 상실은

Mcbride에서 25~40로 평가하고 있다 의사가 팔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

의 최대치는 100 (팔의 절단 또는 어깨 관절이단술)이나 전신 장해는 60에 해당하

고 다리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의 다리 절단 (엉덩이 관절

이단술)에 부여하는 등급이며 이것은 전신 장해 40에 해당 한다(표 2-11)

mdash mdash50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4 ~100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6 ~9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3급 4 ~75 50~7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5급 7

장기를 이식받은 사람 15~34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5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5 ~50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40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8급 11 ~14

비장10~

26

신장25~

40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9급 16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9 ~10

흉복부장기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11급 9 0~5 ~4

장애구분 1급 2급 3급 4급 5급

심혈관계

(심장판막 관상동맥 심

근병증 선천성 심막성

부정맥 고혈압 심혈관

대동맥 및 심장) 질환

0~9 10~29 30~49 50~100 -

말초혈관계

팔 및 다리 0~9 10~39 40~69 70~89 90~100

호흡계

폐동맥 고혈압

천식 폐기능

및 운동검사

결과에 의한 기준

0~9

0~9

10~29

10~25

30~49

26~50

50~100

51~100

-

-

〈표 2-10〉 심 폐 간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표 2-11〉 각 질환별 급수 및 전신 장애율 비교

mdash mdash51

소화계

상부소화관(식도

위 12지장 소장

췌장) 결장 및

직장 질환

0~9 10~24 25~49 50~75 -

항문질환 0~9 10~19 20~35 - -

간 및 담도 질환 0~14 15~29 30~49 50~95 -

헤르니아 0~9 10~19 20~30 - -

혈액 조혈계

빈혈

백혈구혈소판출혈병

0~10

0~15

11~30

16~30

31~70

31~55

71~100

56~100

-

내분비계

시상하부뇌하수체축

갑상선 질환

부갑상선 항진증

부갑상선 저하증

부신피질 항진증

부신피질 저하증

부신수질질환

당뇨질환

저혈당증

0~15

0~15

0~14

0~9

0~14

0~14

0~14

0~5

0~5

16~25

16~25

14~29

10~20

15~39

15~29

15~29

6~10

6~50

26~50

-

30~90

-

-

30~90

30~90

11~20

-

-

-

-

-

-

-

-

21~40

-

-

-

-

-

-

-

-

-

-

외과적 처치

식도 및 위 조루술

공장 및 회장 조루술

회장 항문 연결술

결장 조루술

10~15

15~20

15~20

5~10

-

-

-

-

-

-

-

-

-

-

-

-

-

-

-

-

등급 내 용

0 활동에 전혀 지장 없음 발병 전처럼 활동에 지장을 받지 않음

1힘을 쓰는 신체 활동에는 약간 지장이 있으나 보행이나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의 가벼운 일은

할 수 있음

2 대부분의 활동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며 자주 치료를 요한다

3스스로를 돌보는 일을 제한적으로 할 수 있을 뿐이며 깨어있는 시간의 절반 이상을 침대 또는 의자에서 보내는 경우

4 거의 대부분이 손상되어 스스로를 돌볼 여력이 없음 침대에 누워 있거나 의자를 떠날 수 없음

팔 및 다리의 장애율

〈표 2-12〉 폐암의 능력 판정 척도

mdash mdash52

Ⅴ 결 론

산업재해보상보험법시행령[일부개정 20041029 대통령령 18573호] lt개정 2000

627 200357gt 상에 신체장해등급표 (제31조제1항 관련)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행

산재보상 제도상으로는 내부 장기 및 내과 영역의 장애에 대한 고려는 그 비중이 낮은

상태로 기존 장애인 복지법상의 내부 장기 장해평가기준을 참조하여 상대 가치 평가

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설문 문항을 만들어 사전 조사 후에 의료 및 이 분야의 전문

가 집단을 대상으로 최종 검증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lsquoAMA 가이드rsquo는 미국의사협

회의 협회지에 수록된 기사를 모아 발간된 것이지만 그 동안 주기적으로 개정을 거듭

하여 제 5판을 발행하게 되었다 미국의 40개 주에서 산업재해보상제도는 lsquoAMA 가이

드rsquo를 사용하여 장해등급을 산정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lsquoAMA 가이드rsquo는 영구 손상에

관한 의학적 정보를 수치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유용한 도구이고 이렇게 전

환된 수치를 이용하여 법정 급여금의 금액을 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켈리포니아주 및

9개의 다른 관할 지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모든 관할 지역에서 사용되지는

않지만 장해의 합리적 평가 방법을 제공하고 평가자간에 발생하는 동일 등급에 대한

평가 차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어 미국의 거의 모든 주와 캐나다 호주

등 외국에서도 이용하고 있다 신체장애율은 의학적인 기준이므로 우리나라에서도

lsquoAMA 가이드rsquo 방식을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내과계열의 장해평

가에는 새로운 방법을 만든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오랜 시간과 수고를 필요로

하고 우리나라 현실에서 의사들에게 익숙한 장애인 복지법상의 제도를 참조하고 수

정 보완 한다면 좋은 결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의학적 측면에서

공유하고 있는 공통점은 있으나 산재보험이 지향하고 있는 법적 취지에 있어 사회

적 기대와 해결 목적에는 그 취지가 다르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

되고 내과적 기왕력이 있는 환자의 외상성 장해평가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라고 생각된다

mdash mdash53

제 3 장 정신행동 장해평가6)

Ⅰ 서 론

1 일반현황

2 산재보험의 정신 및 신경행동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3 조사방법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Ⅵ 결 론

6) 안동현(정신) 고용(신외) 김종문(재활) 조강희(재활) 유찬종(신외)

mdash mdash55

I 서 론

1 일반현황

보건복지부가 주무부서가 되어 만든 장애등급 판정기준 (2003-7)상에는 정신지

체 (1 2 3급) 정신장애 (1 2 3급) 발달장애(자폐증) (1 2 3급)로 분류되어 있

으며 이는 외상 스트레스 혹은 통증 등의 상황에 따른 impairement의 rating이나

evaluation이 고려되지 않았고 Psychological impairment와 functional somatic

syndrome에 대한 고려가 없는 상태로 산업재해 분야의 장애에 이용하기에는 많은

부분에서 미흡한 점이 있으며 중복 장애 형태시에 기존 장애에 미치는 negative

effect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며 기능 평가에 보정의 필요성 여부와 보상 체계에서

의 보정 합리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인간의 의식과 사고 및 정신 체계를 유지하고

이러한 기능에 이상을 야기 시킬 수 있는 기타의 다른 질환들이나 그와 관련된 질

환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현실을 뇌심혈관계의 경우와 같이 살펴보면 뇌심혈관계질

환 발생자는 lsquo04년 2285(사망788명) lsquo03년 2358(사망 820명)으로 사망재해원인

가운데 1위이다 이웃 나라 일본의 경우 뇌middot심장질환의 발생건수는 lsquo01년 143건

lsquo02년 317건 lsquo03년 312건으로 증가하였으며 정신질환의의 발생건수는 lsquo01년 70

건 lsquo02년 100건 lsquo03년 108건으로 소폭 증가하는 추세이다 뇌심혈관계질환의 산재

승인률은 lsquo96년 219에서 lsquo01년 715로 크게 증가하였다가 rsquo04년은 628 lsquo05년

6월 현재 949명이 발생하여 526의 인정률을 보였으며 지난 4년간 정신질환으로

업무상 재해를 신청한 자들은 모두 479명인데 그 중 559인 268명이 업무상재해로

인정받았다 일본의 뇌심장질환의 산재승인률은 각 207(01년) 387(02년)

445(03년)를 보이며 정신질환의 경우 산재승인률은 각 264(01년) 293(02년)

247(lsquo03년)를 보이고 있다 독일은 뇌심혈관계 및 간질환으로 1963년부터 2004년

까지 23건이 신청되었으나 산업재해로 인정받은 건수는 없다고 한다 (심근경색

10건 심장질환 고혈압 10건 뇌졸중 3건 신청 직무스트레스 및 정신질환 산재

인정 건수가 없음) 미국 캐나다는 갑작스런 업무적 정신적 쇼크이외에는 직무스트

레스 및 정신재해는 인정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즉 우리나라의 뇌심혈관계 및

정신 질환에 대한 구체적이고 상세한 산재인정기준이 없다는 것이 현실이며 문제점이다

mdash mdash56

2 산재보험의 정신 및 신경행동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정신질환에 대한 인정기준은 마련하지 못하고 있으며 뇌심혈관질환

인정기준에 대하여 ldquo현저한 생리적인 변화rdquo ldquo만성적으로 육체적정신적인 과로를

유발rdquo ldquo자연발생적으로 악화되었음이 의학적으로 명백하게 증명되지 아니함rdquo 등

지극히 주관적인 해석이 가능한 기준을 갖고 있다 특히 ldquo만성적인 과로rdquo의 정의를 발

병 전 3일 이상 연속적으로 일상 업무보다 30 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규정하여 지나치게

근로자에게 유리한 조항으로 되어 있다 일본은 뇌심혈관질환과 ldquo발병직전부터 전날까

지의 사이에 발생 상태를 시간적 및 장소적으로 명확히 할 수 있는 이상사건에 조

우한 것rdquo ldquo병에 근접한 시기에서 특히 과중한 업무에 취로한 것rdquo ldquo발병 전의 장기

간에 걸쳐서 현저하게 피로의 축적을 시키는 특히 과중한 업무에 종사한 것rdquo 등으

로 구분하고 이상사건 장단기 과로의 정의를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어 우리나라

도 이러한 부분에 대한 참고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더욱이 정신질환에 대하여도

1999년 정신장애 관련 지침 설정 후 ① 정신장해 발병의 유무 발병 시기 및 질환명의

확인 ② 업무에 의한 심리적 부하의 강도 평가 ③ 업무 이외의 심리적 부하의 강도 평

가 ④ 개 체측 요인의 평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검토한 후에 일

정 요건 하에서만 인정하고 있다 독일은 뇌심혈관 및 정신질환의 산재인정건수가 없

으며 미국캐나다는 정신질환에 대하여 단기적 쇼크에 의한 질환이외에는 산재인정

이 되지 않는 다고 규정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의 산재보상 목록을 살펴보면 원칙적

으로 직장 업무의 변경 상사와의 갈등 직장 상실 강등 또는 징계조치의 실제적인 또는

인지적인 위협 상사대중들과의 관계 특정한 또는 일반적인 직무 불만 작업부하 압력

근무 조건 또는 환경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 어떤 이유에서든 직장 상실 또는 강등 화학

물질방사능생물학적 위험기타 인식되는 위험에 대한 노출의 두려움 등 일반적인 스

트레스에 의한 정신장애는 산재급여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지하철

자살사건의 경험으로 인한 기관사의 공황장애나 직장내 성희롱에 의한 정신장애가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mdash mdash57

장애상태 산재등급 장애율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

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3 10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

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5 10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 할 수 없는 사람3급 3 10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

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5급 8 8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 외에

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4 6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

도로 제한된 사람9급 15 40

3 조사방법

기존 장해평가자들에 대한 장애정도 평가시에 고려여부를 조사하고 장해평가 대

상자들의 장애 정도와 그 영향을 평가한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만들고 중

복 장애시의 보정 방법과 장애정도에 미치는 영향 평가를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

으로 추진할 근거를 마련하며 특히 신체화 장애 부분에 대한 사전 조사항목에 중

점을 두고 질병 및 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에 객관화된 점수화 도입이나 예후 및 예

후 인자에 대한 조사와 확인에 중점을 두어 조사 하여야 할 것이다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표 1〉 정신행동 장해평가기준비교

장애인 복지법상 장애등급 판정기준 (2003-7)에는 정신지체 (1 2 3급) 정신장애

(1 2 3급) 발달장애(자폐증) (1 2 3급)로 분류되어 있다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신경계장애에 대해서는 제 13장에서 뇌 뇌신경 척수 신경근과 말초신경 그리고

근육 기능이상으로 인한 영구 장해 평가 기준을 제공하고 있다 크게 보면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기질성 및 비기질성 장해평가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운동 기능의 장애

mdash mdash58

기능 부위

또는 양상

1등급

장해 없음

2등급

가벼운 장해

3등급

심하지 않은 장해

4등급

뚜렷한 장해

5등급

심한 장해

일상 활동

사회적 기능

집중력 적응

장해 없음장해가 대부분의 유용

한 기능과 공존하함

장해가 일부의 유용

한 기능과 공존함

장해가 유용한 기능

을 심하게 방해함

장해가 유용한

기능을 배제함

장 애 상 태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1급 3 100

극심한 치매 CDR 척도 5점 100

심한 치매 CDR 척도 4점 80

(상지와 하지)평가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배뇨 배변 및 성기능의 장해평가 그리고

뇌신경기능 장해평가로 나눌 수 있다 다른 장기의 장해평가 방법과 마찬가지로 장애

의 정도는 등급이 아닌 장애율로 평가를 한다 장애율은 일률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닌 장애 범위를 제시함으로써 평가자가 증상의 정도에 따라 구분 항목 내에서 결

정하도록 하고 있다

정신(행동)장애는 제 14장에 그 내용을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으나 AMA 기준에

서는 정신행동장애에 대해서는 신체장애율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다른 장해계열과

달리 정신 질환의 정확한 장해 평가 기준은 없는데 백분율을 사용하면 존재하지 않는

확실성을 암시하게 되고 백분율은 정신 및 행동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검토할 가능성이 적은 심판관들에 의해 융통성 없이 사용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미

국정신의학협회장해 재활위원회(Committee 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of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는 이와 같은 어려운 문제를 숙고한 후 제4판의

정신 및 행동 장애 해당 장(章)에서 백분율 표시를 삼가 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이러한

권유를 제 5판에서 그대로 적용하여 장애율을 이용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다음의 표와 같이 간략하게 비교하여 볼 수 있다

〈표 2〉 AMA상 정신 및 행동장애로 인한 등급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정신신경 장애의 국내 기준 비교

mdash mdash59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

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2급 5 7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3급 3급 3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5급 8

심한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5급 7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외

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4

정신행동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 장

보기 등의 기본적 사회 활동을 혼자서 할 수 없는 상태4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9급 15

약간의 치매 CDR 척도 2점 40

약간의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10

장애상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타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극심한 치매 CDR 척도 5점

심한 치매 CDR 척도 4점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심한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

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

정신행동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대중교통을 이용

한 이동 장보기 등의 기본적 사회 활동을 혼자서

할 수 없는 상태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

약간의 치매 CDR 척도 2점

약간의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정신신경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신경계는 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위원회에서 AMA 기준을 근간으로 하여 우리

나라 여건에 맞도록 만들어 놓은 기준이 있다 이 기준의 타당성을 전문가의 자문을 통

mdash mdash60

하여 검토하고 개선 사항이 발견되면 이를 수정함이 좋을 것으로 본다 한편 정신행동

계 장해평가에 대해서는 노동부에서 2004년도에 정책 연구 용역사업으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를 시도 한 적이 있다

Ⅵ 결 론

AMA기준에서는 신경계와 정신행동계를 각각 구분하여 평가한다 신경계 장애의

장애율은 최소값과 최고값 사이에서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며 구별점을 비교적 구체

적이고 자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정신행동계의 장애는 백분율로 표현된 장

애율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산재보험법에서는 불과 6개 등급으로 포괄적이고 개념

적인 정의만 언급하고 있다

mdash mdash61

제 4 장 특수기능 장해평가7)

Ⅰ 서 론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안과 영역

2 이비인후과 영역

3 비뇨생식기계

4 흉터 장애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안과 영역

2 이비인후과 영역

3 비뇨생식기계

4 흉터 장애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Ⅵ 결 론

7) 정한용(정신) 이상원(신외) 황선철(신외) 정헌종(산업) 조경석(신외)

mdash mdash63

I 서 론

특수 기능 분야는 근골격계 내부 장기 정신신경계통을 제외한 부분들의 영역을

조사한다 이 분야는 미국의학협회의 장해평가기준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ition 이하 lsquoAMA기준rsquo 이라고 함)의 제7장 비뇨생

식기계 제8장 피부 제11장 귀 코 구강 (이비인후과 영역) 그리고 제12장 시각

계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장애등급판정(이하 lsquo산재기준rsquo

이라고 함)에서 장애부위 구분상 눈 귀 코 입의 전 부위와 두부middot안면부middot경부의 흉

터 장애 흉복부장기의 비뇨기 장애 생식기 장애를 포함하는 영역이 이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해당 장기의 영역을 안과 영역 이비인후과 영역 비뇨 생식기계 흉터(안면부)로

구분하고 현재 산재기준을 나열하고 의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해당

영역의 AMA기준을 분석하여 산재기준과 장단점을 열거하고자 한다

이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장애에 대한 국내에서의 인지도 분석을 위한 설문지 항

목의 초안을 만들어 보았다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산업기준에서 해당 영역의 장해평가와 등급 분석을 요약하고자 한다

1 안과 영역

눈의 장애는 안구와 눈꺼풀의 장애로 구분되어 있다 안구의 장애는 기능적인 장

애를 평가하여 시력 조절기능 안구운동 시야의 영역을 평가하고 눈꺼풀의 장애는

기질적 손상인 결손 장애 기능적 손상인 운동 장애에 대하여 평가한다 시력장애는

11단계로 국제시력표를 이용하여 교정시력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장애 등급

상 최고 등급은 두 눈이 실명된 사람으로 1급이며 한눈의 시력이 06이하인 사람

은 13등급의 최저등급으로 구분되어 있다(표1)

시력측정은 원칙적으로 국제시력표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시력이라 함은

mdash mdash64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안구의 장애

기능적 장애

시력 장애

제1급제1호

제2급제1호

제2급제2호

제3급제1호

제4급제1호

제5급제1호

제6급제1호

제7급제1호

제8급제1호

제9급제1호

제9급제2호

제10급제1호

제13급제2호

두 눈이 실명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02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6이하로 된 사람

두 분의 시력이 각각 006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1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거나 한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6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조절기

능 장애

제11급제1호

제12급제1호

두 눈이 모두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한 준의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운동

장애

제11급제1호

제12급제1호

두 눈이 모두 안구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한 눈의 안구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시야

장애

제9급제3호

제13급제2호

두눈에 모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한눈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눈꺼풀의 장애

기질적

장애

결손

장애

제9급제4호

제11급제3호

제13급제3호

제14급제1호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한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두 눈의 눈꺼풀에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또는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한 눈의 눈꺼풀에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또는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기능적

장애운동장애

제11급제2호

제12급제2호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한 준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표 26〉 눈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교정시력을 말하는 것으로 안경에 의하여 교정한 시력에 의거 측정한다 다만 시

력의 교정으로 부등상증(不等像症)이 생겨서 양안시가 곤란하게 되는 것이 의학적

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나안(裸眼)으로 시력을 측정한다 두 눈의 시력장애에 대해

서 등급표상 정해져 있는 해당 등급을 인정하며 한 눈마다의 등급을 정아여 조정

준용등급 방법은 인정하지 않고 있다

조절기능 장애는 제11급과 제12급 두 가지 등급을 결정하고 있다 lsquo안구에 뚜렷

한 조절기능장애가 남은 사람rsquo은 조절력이 통상의 2분의 1이하로 감소된 사람을 말

한다 예를 들어 한쪽의 눈에 인공수정체를 이식하여 교정한 시력이 06이상인 경

우는 시력장애는 해당되지 않으나 무수정체이기 때문에 원근의 조절작용이 전혀 없

으므로 장애등급 제12급제1호를 인정한다

안구의 운동장애는 안구의 운동을 담당하는 6개의 외안근(外眼筋)의 일부 혹은

전부 마비가 되어 안구 운동의 제한을 보이는 경우이다 양안시가 있는 사람은 복

시(複視)가 나타나게 된다 lsquo안구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rsquo이란 안구의

mdash mdash65

주시야의 넓이가 2분의 1이하로 감소된 사람을 말한다 주시야의 넓이는 상당한 개인

차가 있지만 평균치는 단안시에서 각방면 약 50도 양안시에서는 각방면 약 45도이다

시야장애에서 시야란 눈앞의 한 점을 응시하면서 동시에 볼 수 있는 시계(視界)

의 넓이를 말하는 것이다 시야협착(視野狹窄)은 시야 주변의 협착으로 동심성협착

과 불규칙협착이 있다 시신경의 손상으로도 시야의 협착이 발생한다 만일 고도의

동심성 협착이 있는 경우 시력이 양호해도 뚜렷하게 시기능을 방해하여 주위의 상

황을 살필 수 없기 때문에 보행 기타 여러 가지 동작이 곤란하게 된다 시야변상는

반맹증 시야의 결손 시야 협착 및 암점이 포함되지만 반맹증 및 시야협착에 대해

서는 등급표에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암점과 시야결손을 말한다

눈꺼풀의 장애는 기질적 장애인 결손과 기능적 장애인 운동장애로 구분된다 눈

꺼풀의 결손 장애는 9급에서 14급으로 4단계로 운동 장애는 11급과 12급 2단계로

되어 있다 눈꺼풀의 뚜렷한 결손은 눈을 감았을 때 각막을 완전히 덮을 수 없는

정도를 말하고 일부에 결손이 남은 경우는 눈을 감았을 때 각막을 완전히 덮을 수

는 있지만 결막이 노출되어 있는 정도를 말한다

산재기준에서 예시한 항목이 없거나 여러 개의 항목이 중복이 되는 경우에는 준

용(準用)과 조정(調整)을 한다 시행령의 제31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해 조정하여 등

급을 인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 눈의 눈꺼풀에 두렷한 결손으로 제11급제3호의

장애가 있고 다른 눈에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로 제12급제2호가 인정되는

경우는 등급을 조정하여 10급을 인정하게 된다 준용의 경우는 정면시에서 복시가

발생하여 양안시로 고도의 두통 현기증이 발생하여 노동에 뚜렷한 지장을 초래한는

경우는 제12급을 준용한다 만일 정면시에는 복시가 생기지 않지만 좌우상하시에서

복시가 발생하여 노동에 뚜렷한 지장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경도의 두통을 호소하면

제14급을 준용한다 대광반사가 뚜렷하게 장애를 입은 경우는 제12급을 준용한다

2 이비인후과 영역

1) 귀의 장애

귀의 장애는 기능적 장애인 청력 장애와 기질적 장애인 귓바퀴의 결손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청력 장애는 두 귀와 한 귀로 구분하고 있으며 청력의 측정

mdash mdash66

은 순음청력 검사의 기도청력 역치를 기준으로 6분법에 의하여 판정하고 있다 판

정 기준에는 검사 항목을 제시하여 필수 검사 항목으로 이비인후과 의사의 이학적

검사 순음청력검사 언어청력검사 임피던스 청력검사를 시행하고 보완검사 (의학

적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로 뇌간유발반응청력검사 자기청력계검사 이음향방사

검사 이명도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및 기타 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검사를 시

행하고 인력기준과 시설 기준에 대해서도 정해져 있다 비교적 평가 및 검사의 질

적 상태 유지를 위한 정도 관리가 시행되고 있다 장애 판정의 의료기관의 시설기

준에서 검사장비로 순음 및 언어청력검사기 임피던스청력검사기 뇌간유발반응청력

검사기 이음향방사검사기 자기청력검사기를 갖추도록 하고 있다

청력 장애에서 두 귀와 한 귀의 장애를 각각 평가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두 귀

장애는 고막의 전부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

은 사람을 최상위 등급은 4급으로 정하고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 이상의 거리

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을 11급으로 정하여 6 단계 (9개

구분)로 장애 정도의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한 귀의 청력장애는 9급에서 14급의 4

단계로 정하고 있다 귓바퀴 장애는 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 된 사람을 12

급으로 1개 등급을 정하고 있다(표2)

등급표에서는 청력장애의 등급의 예시항목이 추상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장해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에서는 순음청력과 언어명료도에 대한 구체적인 기

준을 제시하고 있다 청력의 측정은 24시간 이상 소음작업을 중단한 후 500

1000 2000 4000 Hz의 주파수음에 대한 청력치를 측정하여 6분법으로 판정한다

이러한 측정은 3-7일 간격으로 3회 이상 실시하여 검사의 유의차가 없는 경우 그

중 최소가청력치를 청력장애로 인정하고 있다 장애의 등급 구체적인 지침을 예로

들면 두 귀의 평균청력손실치가 80dB이상인 사람 또는 두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50dB이상 80dB 미만이고 최고 명료도가 30이하인 사람은 제6급3호로 판정하도

록 하고 있다 순음청력과 언어명료에 대한 측정치를 이용하여 청력장애를 판단하

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청력의 검사는 보청기 등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

하도록 하고 있다

mdash mdash67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귀 의 장 애

기 능 적 장 애

청 력 장 애

두 귀

제4급제3호고막의 전부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려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사람

제6급제3호

고막의 대부분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

의 청력이 모두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

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6급제4호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40

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

하게 된 사람

제7급제2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

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7급제3호

한 쉬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

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9급제7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9급제8호

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

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

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0급제5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1급제11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

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한 귀

제9급제9호 한 귀의 청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제10급제4호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는 큰 말 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1급제4호한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4급제11호한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

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귓바퀴

제12급제4호 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된 사람

〈표 27〉 귀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귓바퀴의 대부분의 결손은 이개의 연골부의 2분의 1이상이 결손된 것을 말한다

귓바퀴의 결손의 경우 외모의 흉터장애로 인정되는 경우의 등급 중에서 어느 것이

든 상위의 등급을 인정한다 예를 들면 여자의 경우 귓바퀴의 대부분의 결손이 있

는 경우는 제12급제4호에 해당하지만 흉터장애로서는 제7급제12호에 해당하기 때

문에 상위등급은 제7급제12호를 인정한다

귀의 장애에서도 산재기준에 예시한 항목이 없거나 여러 개의 항목이 중복이 되

는 경우에는 준용(準用)과 조정(調整)을 한다

mdash mdash68

2) 코의 장애

코의 장애는 기질 및 기능적 장애에 대해 한 가지의 등급을 정하고 있다 그 내

용은 코가 결손 되어 그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을 9급으로 한다 결손은

코 연골부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잃은 경우를 말하고 기능에 뚜렷한 장애는 코로

숨쉬기가 곤란한 사람 또는 후각이 상실된 사람을 말한다 코의 결손이 외모의 흉

터에 해당하는 경우는 두부middot안면부middot경부의 흉터 장애를 준용하여 남자는 14급 여자

는 12급으로 평가하도록 정하고 있다

3) 입의 장애

입의 장애는 기능적 장애로 말하는 기능 및 씹는 기능과 기질적 장애로 치아의

보철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말하는 기능은 구강에서 자음이 만들어지는 조음위치

(調音位置)에 따라 4 종류로 구분하여 ① 구순음(ㅁ ㅂ v) ② 치설음(ㄴ ㄷ ㅌ)

③ 구개음(ㅈ ㅊ) ④후두음(ㅇ ㅎ)으로 정하고 있다 말하는 기능의 장애는 위 4

종의 음성 중 3종 이상의 발음을 할 수 없는 경우를 3급으로 정하고 있고 1종의

발음을 할 수 없는 사람을 10급으로 정하고 있다 음식물을 씹는 기능 장애는 상하

교합(上下咬合)과 배열 상태 및 하악의 개패운동 등에 따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을 3급으로 정하고 있다(표3)

이러한 씹는 기능의 장애는 주관적인 판단기준으로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나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치아 장애는 보철이 된 치아의 개수에 따라 10급에서 14급

으로 5단계 구분을 제시하고 있다 식도의 협착 등의 삼키는 기능의 장애는 씹는

기능장애에 관한 등급을 준용하고 있으며 미각상실은 12급을 준용하도록 정하고 있다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입의 장애

기능적 장애

말하는

기능 및

음식물을

씹는

기능장애

제1급제2호

제3급제2호

제4급제2호

제6급제2호

제9급제6호

제10급제2호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모두 영구적으로 잃은 사람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

기질적 장애

결손

장애

제10급제3호

제11급제10호

제12급제2호

제13급제4호

제14급제2호

14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10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7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5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3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표 28〉 입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mdash mdash69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흉 복부

장기 장애

제7급제13호

제8급제11호

제9급제14호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

비장 또는 한 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생식기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표 29〉 비뇨생식기계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3 비뇨생식기계

비뇨생식기계에 대해서는 흉복부의 장애에 일부로 포함되어 있다 제시된 장애등

급 표에 의하면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은 7급 한 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은 8급

생식기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은 9급으로 정하고 있다 상세 장애등급 인정기

준을 살펴보면 비뇨기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로 구분하여 그에 해당하는 예를 제

시하고 있다(표4) 해당 예시항목이 없는 경우에는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

애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제3급제4호)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제7급제5호)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제9급제16

호) 흉복부 장기의 기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제11급제9호)의 항목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신장은 요로변경술 시행으로 신루 신우루 요관피부문합 요관장문합을 남긴 채

로 치유된 상태나 만성 신우신염 수신증인 사람을 제7급제5호로 정하고 있다 방

광 장애는 방광 기능이 완전히 없어진 사람은 제3급제4호로 위축방광(50cc이하)인

사람은 제7급제5호로 인정하고 있다 요도 협착은 11급과 14급으로 2 단계 구분을

제시하고 있다 생식기의 장애는 외부성기의 결손이나 협착 고환의 위축 등에 대해

9급 11급의 장애를 인정하고 있다

4 흉터 장애

두부middot안면부middot경부에서 흉터의 장애에 대해 정하고 있다 외모의 흉터에 대하여 남

자와 여자로 구별하여 2단계로 등급이 정해져 있고 팔다리의 노출면의 흉터에 대하

여는 남여의 차이 없이 1등급만을 인정하고 있다 외모란 두부 안면부 경부와 같

이 일상 생황에서 노출되는 부분을 말하며 팔 다리는 제외되어 있다 외모에 lsquo뚜렷

mdash mdash70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흉터 장애

외모

여자제7급제12호

제12급제14호

외모에 뚜렷한 흉터가 남은 여자

외모에 흉터가 남은 여자

남자제12급제13호

제14급제10호

외모에 뚜렷한 흉터가 남은 남자

외모에 흉터가 남은 남자

팔다리팔 제14급제3호 팔의 노출된 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다리 제14급제4호 다리의 노출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표 30〉 흉터장애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한 흉터rsquo란 두부에 있어서는 손바닥 크기 이상의 반흔 또는 두개골의 손바닥 크기

이상의 결손 안면부에 있어서는 계란 크기 이상의 반흔 길이 5 센티미터 이상의

선상흔 또는 10원짜리 동전 크기 이상의 조직함몰 경부에 있어서는 손바닥 크기

이상의 반흔을 말한다 lsquo단순한 흉터rsquo란 두부에 있어서는 계란 크기 이상의 반흔 또

는 두개골의 계란 크기 이상의 결손 안면부에 있어서는 10원짜리 동전 크기 이상

의 반흔 또는 길이 3센티미터 이상의 선상흔 경부에 있어서는 계란 크기 이상의

반흔을 말한다

외모의 장애는 여자는 뚜렷한 흉터가 남은 경우 7급 그 외는 12급으로 정하고

남자는 12급과 14급의 2단계로 등급을 정하고 있다 같은 정도의 흉터라 하더라도

여자가 남자에 비해 상위의 등급을 판정하도록 하였다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안과영역

AMA기준은 제12장의 시각계(Visual System)에서 평가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평가방법은 1936년 맥브라이드 평가법으로부터 시작하여 1995년 AMA기

준 4판가지 이르도록 내용상 큰 변화가 없이 시각장애를 평가했을 정도로 비교적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방법이다 AMA기준의 4판에서는 시력 시야 안구운동의

3가지 시각요소를 평가였으나 5판에서는 시력장애와 시야장애로 구분된다

저시력에 관련된 국제 전문가들이 관여하여 AMA기준 4판과는 완전히 달라진 평가

방법이다 이전의 기준에 사용하던 시효율(Visual Efficiency VE)의 개념이 없어지고

mdash mdash71

장애 등급

(ICD-9-CM 기준)

시력 시력점수

(VAS)시력장애율()

미국식 표기 1m 표기

정상

시력

정상

2025

2016

2020

2025

1063

108

11

1125

110

105

100

95

0

5

준정상

2032

2040

2050

2063

116

12

125

132

90

85

80

75

10

15

20

25

〈표 31〉 AMA Table 12-2 시력 점수(VAS)

시기능점수(Functional Vision Score FVS)로 대치되었다 시기능점수는 시력 및 시

야의 평가에 기초하고 있고 복시 및 무수정체증에 대한 여분의 측정계수 및 손실은 삭

제한 대신 필요한 경우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하였다 시력과 시야소실에 반영되

지 dskg는 대비감도 눈부심(현휘) 민감도 색각 양안시 입체시 억제 복시 등과 같은

기타 기능장애는 개별조정을 허용하고 있다

시력에 대한 시력기능점수(Functional Acuity Score FAS)와 시야기능점수

(Functional Field Score FFS)를 각각 구한 후에 FAS와 FFS를 이용하여 FVS를 구한다

1) 시력장애

시력의 측정은 원거리와 근거리를 시력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데 굴절이상이 있을

때는 안경으로 교정한 교정시력을 측정한다 눈에 들어온 평행한 빛이 망막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는 즉 보려고 하는 물체를 선명하게 보기 위해서는 굴절이 필요하고 이

것은 각막과 수정체의 굴절력 안축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며 여기에 이상이 있을 경우

굴절이상이라고 하여 굴절이상의 도수에 맞는 안경으로 교정하면 잘 보이게 되며 여

기에는 근시 원시 난시가 들어간다

시각장애율을 이전의 공식인 (3보다 좋은 눈 + 1보다 나쁜 눈)4 대신에 (3두

눈 + 오른쪽 눈 + 왼쪽 눈)5 공식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공식은 두 눈

의 기능이 보다 좋은 눈이 기능과 같지 않은 경우에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최

종적인 시각장애율은 100-시기능점수(FVS)로 구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시력이 01(VA 20200)인 경우에 AAM 4판의 시준으로 시력 상실률은

80였으나 5판의 기준으로 시력 장애율은 50(Table 12-2에 의함)으로 산정한다

mdash mdash72

가벼운

2080

20100

20125

20160

14

15

163

18

70

65

60

55

30

35

40

45

저시력

심한

20200

20250

20320

20400

110

1125

116

120

50

45

40

35

50

55

60

65

극심한

20500

20630

20800

201000

125

132

140

150

30

25

20

15

70

75

80

85

시력

상실

준시력

상실

201250

201600

202000 미만

163

180

1100 미만

10

5

0

90

95

0

완전시력상실 빛 식별 못함 0 0

Class 1

시력장애 0-9

Class 2

시력장애 10-29

Class 3

시력장애 30-49

Class 4

시력장애 50-69

Class 5

시력장애 70-89

Class 6

시력장애 90-100

FAS 98304491 FAS 90-71 FAS 70-51 FAS 50-31 FAS 30-11 FAS 98304310

정상 준정상 가벼운 심한 극심한 시력상실

〈표 32〉 AMA Table 12-4 시력장애율 분류

위의 표를 이용하여 시력점수(Visual Acuity Score VAS)를 각각 눈에 대해서 구한

후에 제시된 공식인 (VAS두 눈3 + VAS오른쪽 눈1 + VAS왼쪽 눈1)5로 시력기능점수

(FVS)를 구한다 시력기능점수를 구한 후에 Table 12-4의 표를 이용하여 시력 장애율

을 구한다

2) 시야장애

시야(visual field)란 한 눈은 가리고 검사하고자 하는 눈을 움직이지 않고 눈앞

의 한 점을 응시하면서 동시에 볼 수 있는 외계의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주변시력

(peripheral vision) 또는 주변시에 해당하며 이것에 의해 사람은 외계의 물체를 발견

하고 그 상호위치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중요한 시기능의 하나로 주변망막의 자

극에 의한다 시야는 골드만주변시야계(Goldmann perimetry)와 여러 가지 형태의 자

동시야계(automated perimetry)로 측정할 수 있다

mdash mdash73

장애 등급

(ICD-9-CM 기준)특별 조건

동심소실인

경우의 평균반경

시야점수

(VFS)시야장애율()

정상

시력

정상 60o

11010510095

05

준정상 한 눈의 상실

50o

40o

90858075

10152025

가벼운 상부 시야 상실

30o

20o

70656055

30354045

저시력

심한

반측 시야 상실

하부 시야 상실

10o

8o

50454035

50556065

극심한

6o

4o

30252015

70758085

시력

상실

준시력 상실

2o 미만

0

1050

90950

완전시력상실 시야 없음 0 0

〈표 33〉 AMA Table 12-5 시야 점수(VFS)

위의 표를 이용하여 시야점수(Visual Field Score VFS)를 각각 눈에 대해서 구한

후에 제시된 공식인 (VFS두 눈3 + VFS오른쪽 눈1 + VFS왼쪽 눈1)5로 시야기능점수

(FFS)를 구한다 시력기능점수를 구한 후에 Table 12-7의 표를 이용하여 시야 장애

율을 구한다(Table 12-7의 장애율은 Table12-4의 장애율과 동일하여 표는 생략한다)

시기능점수(FVS)은 FAS와 FFS의 곱의 백분율로 구한다(FVS=(FASFFS)100) 예

를 들면 FAS는 80(장애율은 20)이고 FFS는 75(장애율은 25)이면 FVS는

(8075)100인 60(장애율은 40)이다

2 이비인후과 영역

AMA기준은 제11장 코 귀 구강 및 관련 구조물로 설명하고 있다

1) 귀

귀의 장애는 청력장애(hearing loss)와 평형장애(equilibrium)에 대해 평가한다

청력은 순은 청력계를 이용하여 500 1000 2000 3000Hzd에서 청력 수준을 기록

mdash mdash74

Class 1 (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은 없음

및 도움을 받지 않고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Class 2 (1-1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복잡한 활동(예 자전거 타기) 또는 엄격한 주의가 요구되는 특정 업무 활동(예 대

들보 또는 비계 위를 걷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 없이 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Class 3 (11-3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단순한 활동(자신을 돌보는 일 집안 일 보행 다른 사람이 운전하는 자동차에 타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 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표 35〉 AMA Table 11-4 전정질환으로 인한 신체 장애 기준

양쪽 귀의 장애율() 전신장애율() 양쪽 귀의 장애율() 전신장애율()

00-1718-4243-7475-99

100-131

01234

500-531532-557558-588589-614615-645

1819202122

132-159160-188189-214215-245246-271

56789

646-671672-700701-7287209-759760-785

2324252627

272-300301-328329-359360-385386-417

1011121314

786-817818-842843-874875-899900-931

2829303132

418-442443-474475-499

151617

932-957958-988989-1000

333435

〈표 34〉 AMA Table 11-3 양쪽 귀의 장애율과 전신장애율의 비교

하고 만일 100dB을 초과하는 경우는 100dB로 기록한다 각 4개 영역의 청력수준

을 더하여 총합을 구한다(DSHL decibel sum of the hearing loss) 측정값에 대

해서 양쪽귀로 청력의 환산하는 표를 제시하고 있다 table 11-2는 양쪽 귀에서 측

정된 DSHL을 각각 대입하여 청력에 의한 장애율을 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장애율

은 0-35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 표에서 구한 청각 장애율의 공식은 장애율()

는 (5밝은 귀의 청각 장애율 + 어두운 귀의 장애율)6 으로 산출한다 이 공식의

특징은 한쪽 귀의 청력이 좋은 경우면 장애가 적게 산출이 된다는 것이다 양쪽 귀

에 대한 장애율을 구한 후에 표(Table 11-3)을 이용하여 전신장애율을 구한다

청력 이외의 귀의 기능인 평형에 대한 장애 기준은 표10과 같다

mdash mdash75

Class 4 (30-6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외에는 도움이 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Class 5 (61-95)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중 보행을 요하지 않는 행위를 제외하고 도움 없이 일상 활

동을할 수 없음 및 집안에 머물러 있어야만 함

Class 1 (0-5)

눈에 띄는 흉터 또는 비정상 색소침착(제8장 피부질환 참조) 등과 같이 피부 구조 장애

에 한정된 얼굴 이상

또는 가벼운 한쪽 또는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외모에 영향을 주는 코의 변형

Class 2 (6-10)

피부 장애(예 함몰된 뺨 비골 또는 전두골)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은 얼굴 장애로

서 얼굴 일부의 지지 구조의 상실을 초래한 경우

Class 3 (11-15)

눈 또는 코의 일부 상실 등과 같이 얼굴의 해부학적 부분 또는 부위의 결여 때문에 발

생한 얼굴 이상으로서 얼굴 변형을 초래한 경우 이 경우 기능 소실(예 시력)이 수반되

면 이를 병함한다(제12장)

또는 심한 한쪽 전체 얼굴 마비

또는 가벼운 양쪽 전체 얼굴 마비

Class 4 (15-50)

얼굴 해부학적 구조의극심한 또는 완전한 변형으로서 변형 정도가 극심해서 사회 적응

이 불가능할 정도인 경우 정신 및 행동 장애로 인한 장해 등급을 병합한다(제14장)

또는 심한 양쪽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코의 주요 부위 또는 전체 상실

〈표 36〉 AMA Table 11-5 얼굴 질환 및 변형으로 인한 신체 장애 기준

2) 안 면

안면장애는 얼굴의 질환 또는 변형으로 인한 영구 장애를 평가하기 위해서 해부

학적 변화 및 기능 변화를 평가한다 얼굴의 구조적 완전성과 관련되는 장애를 다

루고 있다 얼굴 변형의 원인은 화상 외상 수술 감염 또는 형성이상 등이 주요 원

인이 된다 안면신경의 마비에 의한 형태의 변형을 포함한다(표11)

3) 후각 및 미각 장애

장애율은 1-5을 정하고 있다

mdash mdash76

Class 1 (0-14)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대부분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이를 위해 간혹 노력해야

하고 때로 개인의 능력에 부치는 일일 수도 있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대부분의 조음 행위를 할 수 있다 그러나 간혹 다시 한번 말해 줄것을

요청 받거나 어떤 발성 단위는 발음하기 어려워하거나 불가능하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대부분의 요구를 층족 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

하게 해 낼 수 있으나 가끔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Class 2 (15-34)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많은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으며 평균적인 환경에서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승용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잘 들을 수 없다

일상 회회에 필요한 많은 조음 행위를 할 수 있으며 타인이 이를 알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오류가 있으며 간혹 조음이 어려울 경우가 있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많은 요구를 충족 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가끔 어려움을 겪으며 때때로 끊어지거나 중단되고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Class 3 (35-59)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특정 필요 즉 인접한 상대와의 대화가 가능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

나 목소리가 쉬 피로해지고 수초가 지나면 잘 들리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떨어지거나 승용

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과 같은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일부 조음 행위를 할 수 있으며 가족 및 친구들과 대화할 수 있으나 타

인은 말소리를 알아 듣기 어려워하며 자주 다시 한번 말해달라는 요청을 받는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일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지속적으로 말할 수 있으며 상대방에게 쉬 피곤해

한다는 인상을 준다

Class 4 (60-84)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한정된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나 가까이서 주의를 기

울여야 겨우 들을 수 있으며 또한 귀에 들릴 정도로 속삭일 수 있으나 크게 말할 수는 없

일상 회화에 필요한 제한된 조음 행위를 할 수 있으며 일부의 발성 단위를 발음할 수 있다

자기 가족의 이름 등 몇 단어는 비슷하게 발음하나 관련 없는 단어를 발음하면 알아 들을

수 없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제한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

게 말할 수 있으나(한 단어 ㄸ는 짧은 구절) 말이 자주 끊기고 아주 힘들어한다 속도가 대

단히 느리다

Class 5 (85-100)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전혀 낼 수 없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행위를 전혀 할 수 없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는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요구를 전혀 충족

시킬 수 없다

〈표 37〉 음성언어로 인한 신체 장애 기준

4) 음성 언어 장애

조음장애 유창성 장애 음성장애(후두이상) 언어장애로 구분하고 있다 가청도

(audibility) 가해성(intelligence) 기능적 효율성(functional efficiency)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mdash mdash77

언어 및 음성 장애는 분리해서 평가하지 않으면 장애등급은 3개 부문(가청도 가

해성 기능적 효율성)의 백분율 중 가장 큰 것을 장애율로 한다

3 비뇨생식기계

AMA기준 5판의 7장에서 비뇨 생식기계의 장해평가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다른

장기의 장해평가 방법과 마찬가지로 장애의 정도는 등급이 아닌 장애율로 평가를

한다 장애율은 일률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고 장애 범위를 제시함으로써 평가자

가 증상의 정도에 따른 구분항목 내에서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비뇨기계는 신장 요로 치환 방광 요도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생식기계는 남자는

음경 음낭 고환과 부속기 전립선으로 구분하고 여자는 외성기(질) 자궁 난소와

나팔관으로 구분하여 각각을 평가한다(각 기관별의 장애율은 표 13 참고)

신장은 크레아티닌 청소율(CCr)을 구하여 신장 기능을 평가하여 4개로 구분하였

다 최고의 장애율은 95로 한다 대표적으로 class 4는 장애율 60-95로 CCr lt

40Lday이며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을 가지는 경우로 투석이 요하는 경우이다

만성신부전으로 투석을 지속적으로 하는 경우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신장이

식 후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가 요하는 경우는 class 2로 장애율 15-34에 해당한

다 요로 치환술을 시행한 경우에도 각 시술에 따라서 요관-장루 10 피부 요관

창냄술 10 콩팥창냄술 15로 정하고 있다

방광은 빈뇨 야간뇨 등의 증상과 반사적 배뇨 활동을 구분하여 class 3으로 구

분을 하고 있으며 최고 장애율은 70이다 class 3는 41-70의 장애율을 제시하

고 있으며 배뇨의 반사적 활동이 없거나 자발적인 조절이 전혀 없는 경우이다 요

도의 장애는 요도 협착 요실금으로 3 단계로 구분을 하고 있다 최고 장애율은

40로 요도 이상으로 소변의 누출이있고 자발적인 조절이 되지 않는 경우가 평가

기준이다

생식계에서 제시된 장애율은 40-65세를 기준으로 하여 40세 미만은 50의 장

애율을 합산하고 65세 이상인 경우에는 50 장애율을 감산하도록 되어 있다 남

자의 경우 음경은 발기 사정 감각 등의 성기능을 평가하고 외상후 섬유증 탈구 등

에 해당하여 3단계로 구분 하였다 최고 장애율은 20고 성기능이 전혀 없음이다

mdash mdash78

신 장

Class 1 (0-14)

CCr 75-90Lday 증상은 있으나 치료 필요하지 않음 하나의 신장

Class 2 (15-34)

CCr 60-75Lday 증상이 있고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가 요함 신장이식 후

Class 3 (35-58)

CCr 40-60Lday 치료에도 완전히 조절되지 않는 증상을 가짐

Class 4 (60-95)

CCr lt 40Lday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증상을 가짐 투석이 요함

〈표 38〉 비뇨 생식기계의 평가표(AMA 기준 요약)

방 광

Class 1 (0-15)

방광이상 증상이 있고 간헐적인 치료가 요함 정상적인 기능이 남아 있음

Class 2 (16-40)

방광이상 증상이 있고 지속적인 치료가 요함

Class 3 (41-70)

배뇨의 반사적 활동이 없거나 자발적인 조절이 전혀 없음

음낭의 장애는 고환 기능에 이상은 없으나 음낭의 소실 통증 등으로 평가하며 3

단계 구분을 하였다 고환과 부속기는 해부학적 이상과 정액과 호르몬의 기능을 평

가하며 여기에는 부고환염 정자부족증 고환절제술 상태가 해당한다 장애는 3 단

계 구분으로 최고 장애율은 양측 고환이 없고 정액과 호르몬 기능이 없는 경우는

class 3으로 장애율은 16-20이다 최고 장애율은 음경의 장애에 의한 최고 장애

율과 같다 전립선의 경우는 3단계 구분으로 최고 장애율은 20이다

여자는 외성기의 장애는 변형으로 인하여 성행위와 질식 분만 가능성에 대하여

평가를 하고 3단계 분류로 class 3은 장애율이 26-35로 치료에도 조절되지 않는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성행위와 질식분만이 불가능한 경우로 정의하고 있

다 자궁에 관한 장애는 자궁절제술 자궁경부 협착 등이 해당하며 폐경기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장해평가를 하고 있다 3단계로 분류하고 최고 장애율은 35이

다 난소와 나팔관의 기능이나 변형에 대한 평가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폐경기 이

전에 나팔관의 개방성이 없거나 난자의 생성이 불가능하거나 해부학적 소실이 있는

경우가 장애율은 26-35에 해당한다 만일 관련된 호르몬의 기능 이상이 있는 경

우 내분비계에서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여자의 생식기계는 해부학적 부위별로 공

통적으로 3 단계 구분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동일한 정도의 장애율을 제시하고 있다

mdash mdash79

요 도

Class 1 (0-10)

요도이상 증상이 있고 간헐적인 치료가 요함

Class 2 (11-20)

요도이상 증상이 있고 치료에 효과적이지 못함

Class 3 (21-40)

요도이상으로 소변이 새고 자발적인 조절이 되지 않음

음 경(남자)

Class 1 (0-10)

성행위는 가능하나 발기 사정 감각이 어느 정도 불편

Class 2 (11-19)

발기로 성행위는 가능하나 사정과 감각에 결손

Class 3 (20)

성기능이 없음

음 낭(남자)

Class 1 (0-10)

음낭의 일부소실 고환의 기능이상은 없음 고환 위치이상이 있음

Class 2 (11-20)

음낭의 구조적 변형 고환을 음낭 이외에 위치하고 활동시 통증이 있음

음낭의 완전 소실

Class 3 (21-35)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음낭질환으로 신체적 활동에 제약

고 환(남자)

Class 1 (0-10)

고환 부고환 정삭의 해부학적 이상이 있고 지속적인 치료는 필요하지 않고 정액과 호

르몬의 이상은 없음 고환이 하나

Class 2 (11-15)

고환 부고환 정삭의 해부학적 이상이 있고 지속적인 치료가 요하거나 치료가 불가능

하고 정액과 호르몬의 이상이 있음

Class 3 (16-20)

양측 고환이 없음 정액화 호르몬의 기능이 없음

전립선(남자)

Class 1 (0-10)

전립선과 정낭의 이상증상과 해부학적 변형과 지속적인 치료는 필요하지 않음

Class 2 (11-15)

빈번한 전립선과 정낭의 이상 증상과 해부학적 변형과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

Class 3 (16-20)

전립선과 정낭이 없음

mdash mdash80

외성기(여자)

Class 1 (0-15)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이 있으나 치료는 요하지 않고 성행위가 가능하고 출산이 가

Class 2 (16-25)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치료가 요하고 성행위는 가능하나 어려움이 있고 질식

분만에 제한이 있음

Class 3 (26-35)

치료에도 조절되지 않는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성행위와 질식분만이 불가능함

자 궁(여자)

Class 1 (0-15)

자궁과 경부의 이상과 변형이 있으나 지속적인 치료는 요하지 않음

치료가 요하지 않는 경부협착 폐경기의 자궁과 경부의 소실

Class 2 (16-25)

자궁과 경부의 이상과 변형으로 지속적인 치료가 요함

주기적인 치료가 요하는 경부협착

Class 3 (26-35)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자궁과 경부의 이상과 변형

완전한 경부 협착

폐경기 이전에 자궁과 경부의 해부학적 기능적 소실

난 소(여자)

Class 1 (0-15)

자궁관 난소의 이상이나 변형이 있으나 치료가 요하지 않음

폐경기 이전에 단일 자궁관과 난소

폐경기 이후에 양측 자궁관과 난소의 기능이 없음

Class 2 (16-25)

자궁관 난소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지속적인 치료가 요하나 자궁관의 개방성은유지되

어 배란이 가능함

Class 3 (26-35)

자궁관 난소의 이상이나 변형이 있고 폐경기 이전에 자궁관의 개방성이 없거나 난자

의 생성이 불가능하거나 양측의 해부학적 소실

4 피 부

AMA 5판에서 피부에 대한 평가기준은 8장에서 기술하고 있다 치료 후 회복 단

계를 거친 다음 지속되는 피부의 기능 이상 또는 상실을 말하며 치료의 지속 여부를

mdash mdash81

Class 1

장애율 0-9

Class 2

장애율 10-24

Class 3

장애율 25-54

Class 4

장애율 55-84

Class 1

장애율 85-95

피부질환 징후 및 증상

이 있거나 가끔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상

이 있거나 가끔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상

이 있거나 가끔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

상 항상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

상 항상 있음

일상 활동 수행에 전

혀 지장이 없거나 약

간 있음 특정 물리

화학적 발생원에 노

출되면 일시적으로

활동 제한 폭이 커짐

일상 활동 중 일부

제한 있음

일상 활동 중 많은

부분 제한 있음

일상 활동 중 많은

부분 제한 있으며 이

따금 집 또는 기타

장소에 들어 박혀 활

동을 자제해야 함

일상 활동 중 대부분

제한 있으며 이따금

집 또는 기타 장소에

들어 박혀 활동을 자

제해야 함

치료가 필요 없거나

간헐적 치료를 요함

간헐적 치료 또는 지

속적 치료 요함

간헐적 치료 또는 지

속적 치료 요함

간헐적 치료 또는 지

속적 치료 요함

간헐적 또는 지속적

치료 요함

〈표 14〉 AMA Table 8-2 피부질환으로 인한 장해평가기준

막론하고 더 이상의 중대한 변화가 예상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임상적인 평가는

병력과 진찰 진단기법을 이용하여 판단한다 실험실 검사는 부착포 검사 개방검사

단자 검사 피부내 검사 혈청 알레르기 검사 우드등 검사 배양 세균 진균 및 바

이러스 검사 그리고 생검 등이 있다

해당이 되는 영역은 추상(醜相 변형 disfigurement) 흉터 및 피부이식 접촉성

피부염 라텍스 알레르기 피부암 등을 포함하고 있다 장애 판정기준은 AMA기준

5판의 Table 8-2에 제시하고 있다(표 14)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국내의 장해평가기준은 예시형 등급제도이다 예시형은 장애에 해당하는 참고항

목을 제시하고 그에 해당하는 항목에 따라서 장애의 경중을 나누고 등급을 결정하

도록 하고 있다 예시형은 모든 장애항목의 예를 제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제

시된 항목이 없으면 다른 항목에 준용을 할 수 밖에 없다 장애의 정도는 연속선상

에 위치한 것이지 계단형의 높고 낮음의 비교라고 할 수 없다 산재기준의 장애 등

급표는 1-14급으로 등급이 되어 있다

안과 영역에서 산재 기준은 장애등급이 연속적이지 못하고 단절과 비약이 심하

다 예를 들면 시력장애의 경우 장애등급의 범위는 1-13급이지만 11 12 14 등급

mdash mdash82

은 정해지지 않았다 임상에서 01 이하에서의 시력은 심각한 장애등급에 해당하여

신준을 기해야 한다 하지만 여기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그 차이가 구별하는데 어

려움이 많고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대표적인 예인 두눈이 먼 경우와 한쪽 눈만 먼

경우를 산재기준 장애인복지법 생명보험의 기준을 비교하면 장애 정도나 장애 등

급은 대동소이하다(표 15) 두 눈을 먼 경우는 국내의 모든 평가기준에서 1급이나

100의 장애를 인정하고 있다

산재 기준에서와 같이 시야장애를 단순히 반맹협착 등으로만 판정하기에는 부족

하다 한쪽 눈에만 국한된 시야 장애의 경우에는 등급이 너무 저평가되어 있다 시

야장애의 경우는 외국의 기준인 AMA기준 맥브라이드 평가법과 같은 결손범위 위

치에 따른 산정방법이 필요하다 다른 장애 부분에서도 제시된 항목이 애매한 형용

사형으로 표현되어 그 장애의 정도가 명확하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보면 청력을 잃었을 때의 장애 정도는 매우 상이하다 두

귀의 청력을 잃었을 때는 산재기준에서는 4급이고 장애인복지법에서는 2급으로 정

하고 있다 생명보험약관에서는 80의 장애율을 제시하고 있다 산재기준의 귀의

기능적 장애인 청력에 대해서는 평가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하지

만 평가방법이 피평가자의 주관성에 너무 의존하고 있으며 예시된 항목이 너무 구

체적이다 청력을 두 귀의 장애와 한 귀의 장애를 다르게 분류하여 항목을 제시하

고 있다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예시된 항목

의 분류는 구분이 애매하여 과학적이 못하다

비뇨기계의 장애 항목을 비교하면 양쪽 고환의 상실의 경우 국내 기준의 장애 정

도는 비슷한 정도로 평가되어 있다 하지만 외모에 대한 추상 장애의 경우는 장애

인 복지법에서는 2급의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어 있으나 생명보험약과에서는 15

의 낮은 장애로 평가되어 있다

국내의 장해평가기준의 모태는 산재기준이다 산재기준에서 제시되어 있는 장애

등급의 구분을 다른 평가기준에서 대부분을 받아들이고 있다 등급은 1급에서 14급

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장애항목은 산재기준에서의 항목을 많은 부분을 활용하고

있다 이렇기에 장애상태에 대한 장애정도나 등급은 비슷하다 하지만 추상장애의

경우와 같이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는 평가기준을 만든 주체가 따라 달라지는 것으

로 판단된다 국내의 장해평가기준은 보상이나 배상으로 위한 장애등급이기 때문에

지급의 주체에 의해 변경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의학적인 기준이

mdash mdash83

장 애 상 태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두 눈이 멀었을 때 1급1호 1급1호 100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 X 7급13호 50

한눈이 멀었을 때 6급 7급1호 50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2급 4급3호 80

한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X 9급9호 25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X 12급12 15외모에 뚜렷한 추상(추한 모습)을 남긴 때 2급1호 7급12호 15

〈표 15〉 특수기능 장애의 국내기준 비교

기보다는 단순한 주체의 이익이나 배상의 편익만을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국내 기준에서의 예시형 평가기준은 제시된 항목의 장애 정도를 표기하는데 있어

lsquo뚜렷한rsquo lsquo현저한rsquo lsquo경도의rsquo의 등의 형용사 어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형용사형

표현을 통해 장애의 등급을 결정하는 지표가 된다 예를 들면 입의 장애에 대한 장

애 정도로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모두 영구적으로 잃은 사람 말하

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

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 등으로 그 표현이 구체적이질 못하다

이러한 형용사형은 평가자 피평가자가 생각하는 개인차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

일 수 있다 이를 줄이기 위해 산재기준에서는 별도의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평가

자는 예시되어 있는 장애항목을 찾고 이에 대한 장애정도를 다시 지침에서 확인해

야하는 부담이 있다 평가지침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평가자의

주관에 따라서 등급이 결정되어 버리는 편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평가방식은 장해

평가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뇨기계의 장애항목은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 비장 또는 한 쪽의 신

장을 잃은 사람 생식기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의 3가지 항목만 제시하고 있

고 각각의 해당 장애등급은 7 8 9급이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항목은 흉복부 장

기에 장애의 정도에 따라서 준용하도록 하고 있다 준용의 예로 방광기능이 완전히

소실된 경우는 3급 신장의 이상으로 신우루를 낸 경우는 7급으로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제시된 항목의 예가 너무 제한적이다

주 표의 장애상태는 아래를 기준으로 하였음

장애복지법의 장애등급은 다음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음

외모에 뚜렷한 추상을 남긴 때는 lsquo노출된 안면부의 90 이상의 변형이 있는 사람rsquo으로

기준함

산재 보험의 장애등급은 다음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음

mdash mdash84

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는 lsquo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rsquo으로 기준함

한눈이 멀었을 때는 lsquo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rsquo으로 기준함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는 lsquo후각상실 또는 코로 숨쉬기가 곤란한 사람rsquo을 기준으

로 하여 준용함

외모에 뚜렷한 추상을 남긴 때는 여자가 기준임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AMA 기준과 산재 기준을 비교하면 복잡하고 상위의 장애항목의 장애 정도는 비

슷하다 예를 들어 두 눈이 먼 경우는 산재기준은 1급이고 AMA기준과 맥브라이드

기준도 동일하게 100 장애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하위의 장애를 보

이는 장애 항목의 장애 정도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대표적인 예가 한 귀가 들리

지 않는 경우이다 산재기준에서는 9급의 장애이지만 AMA기준에서는 최대 6의

장애율로 평가가되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표 16)

AMA기준은 상대적으로 과학적이지만 복잡하다 AMA기준은 예시형 백분율제도

라고 할 수 있다 복잡해보이지만 잘 정리된 표를 제시하여 이에 해당하는 장애 급

간(class 1-5)을 선택한다 급간을 선택하고 제시된 장애율 범위에 따라서 급간 내

에서 경중을 결정하여 최종 장애율을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안과영역에 있어 AMA기준은 국내 안과의사에게 인지도가 전혀 없고 시각요소

는 간단해졌지만 계산과정이 복잡하고 시야 측정시간이 매우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시력과 시야를 동시에 평가하여 눈의 보는 일에 대한 평가에 대해 충

실하고 있다 두 눈이 먼 경우에 산재기준과 AMA기준은 최고의 장애 등급으로 평

가하고 있다 하지만 한 눈만 기능이 없는 경우에 대해서는 산재기준은 7급이지만

AMA기준은 35 정도의 장애율로 평가된다 서로 차이는 상당한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청력장애에 있어 AMA기준은 산재기준에 비해 구체적이면서 과학적이다 장애가

일상생활능력의 제한의 정도라고 한다면 한쪽 귀의 청력이상이 있다고 하더라도 반

대쪽 귀가 청력이 명료하다면 일상생활에 큰 제약이 따르지 않는다 산재기준에서

는 한쪽의 청력을 완전히 소실한 경우는 9급으로 평가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를

AMA 기준으로 평가한다면 장애율을 약 5에 해당한다 산재기준과 AMA 기준이

mdash mdash85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일상생활능력에 대한 제약으로 볼 때 한쪽 귀의 청력의 소

실은 AMA기준의 장애율이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AMA 기준에서 비뇨 생식기계는 국소장기 별로 구분하여 장애를 평가한다 장애

율은 국소 장기별로 대동소이하게 평가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산업재해에서는 흉복

부장기의 내에서 아주 작은 항목만 언급하고 있다 AMA 기준과 비교할 때 산업재

해에서 신장과 방광의 기능 장애 정도가 보다 높게 평가되어 있다 그 예로 산업재

해에서는 한쪽 신장을 잃은 사람은 8급(50) 방광 기능이 상실은 3급(장애율

100)으로 평가하고 있다 AMA 기준에서는 같은 평가 항목이라고 할 수 있는 한

쪽 신장만 기능하는 경우는 class 1(0-14) 배뇨의 반사적 활동이 없거나 자발적

인 조절이 전혀 없음은 class 3(41-70)으로 평가하고 있다 산업재해의 장애는

등급으로 제시되어 있어 장애율은 단지 추정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고 장애율이 노

동상실률이라고 할 수 있기에 장기의 전신 대비한 손상율(impairment)인 AMA 기

준과의 비교가 절대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다른 항목을 비교했을 경우도

남자의 경우 양측 고환의 소실은 산업재해에서는 7급(장애율 60)이나 AMA 기준

에서는 class 3(16-20)이다 또 다른 예로 음경의 소실은 산업재해에서는 9급

(40)이나 AMA기준에서는 class 3(20)이다 산업재해의 장애정도가 AMA 기준

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고 할 수 있다

AMA 기준상 비뇨기계 평가는 신장 기능의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크레아

티닌 청소율을 제시하여 객관화 할 수 있으나 다른 항목의 장해평가는 주관적인 증

상에 의한 기능 평가로 객관화 하기 어렵고 모호 한 점들이 존재한다 비뇨기계는

해부학적 부위별로 기능이 다르므로 각각을 평가하는 방법이 타당할 것으로 보이고

생식기계의 해부학적 구분별로 비슷한 장애 구간 (구분)과 장애율를 제시하고 있다

복잡한 다수의 구분 없이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평가 항목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

로도 예상된다

mdash mdash86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타

두 눈이 멀었을 때 1급1호 85 85

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 7급13호20(남)

35(여)40

한눈이 멀었을 때 7급1호 36 24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4급3호 35 100

한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9급9호 6 10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12급12호 29 7외모에 뚜렷한 추상(추한 모습)을 남긴 때 7급12호 15-50

〈표 16〉 특수기능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주 표의 장애상태는 아래를 기준으로 하였음

AMA 에서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는 lsquo코의 완전 폐색rsquo이 기준임

McBride 에서

장애율은 lsquo전신기능에 대한 장애비율rsquo이 기준임

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는 lsquo고환의 양쪽 소실rsquo이 기준임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는 lsquo호흡장애를 일으키는 비의 손상rsquo이 기준임

장애는 신체 기관이 본래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정신 능력에 결함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장애의 정도는 계단식 구분의 등급보다는 백분율로 표현되어야 한

다고 할 수 있다 14 분류 단계의 장애 정도의 산출은 각 등급에 따라서 보상의 편

리를 위한 행정 편의주의이라고 할 수 있다 주관적인 불편함이나 일상적인 활동

사회적인 참여 노동의 제약의 정도는 구분선이 있다기 보다는 연속선에 있는 정도

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장애 등급에 의한 판정 보다는 백분율의 장애율에 의한

판정이 장애에 대한 개념을 접근하기 위해 적합하다고 할 것이다

Ⅵ 결 론

특수 기능이 담당하는 영역은 특수 감각을 평가하는 부분으로 전문가가 아니면

진단하기 어려운 분야이다 또한 각 병원별로 진단에 따르는 장비나 기구가 구비되

어 있는 면에서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 여건에 비교적 간단한 장비나 기구를 이용

하여 장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기준을 개발하여야할 것이다

국내에는 많은 장해평가기준이 있다 국내에서 개발된 기준은 예시형 등급제도로

평가자에 따라 등급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개발된 장해평가는 보상이나

배상을 위한 평가 기준이었다 이렇게 개발된 장해평가기준은 개발자(보험회사 공

mdash mdash87

단 행정부)의 주관이 많이 개입할 수밖에 없는 태생적인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장애에 대해서 의학적인 관점에서 객관적인 기준이 개발되어야 한다 순순한 의

미의 신체장애율을 구할 수 있는 장해평가기준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의학은 과학이다 과학은 진보한다 과학을 바탕으로 한 의학도 진보하고 발전하

다 진단 기술뿐만 아니라 치료에 필요한 약물 수술기법 재활치료법 등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에 따라서 신체기관의 중요도가 달라졌다 정량적인 수

치로 인체의 기관을 나열하여 등급을 매길 수는 없다 하지만 동시대 의사나 일반

인이 느끼는 중요도는 순위를 정하거나 정량화할 수 있다 또한 시대가 변화하면서

발전하는 복지 제도에 따라 신체적인 결함에 따른 불편함의 정도가 변화할 수 있

다 그리고 사회문화적인 차이에 따라서 신체 결함에 대한 불편함은 다를 수 있다

위에서 각 장애 기준의 비교에서와 같이 장애등급이나 장애율이 서로 상이한 경

우가 많다 의학적이 관점에서 장애를 평가하는 기준을 만들고 국내 정서와 현실을

반영하는 장애정도나 장애율을 제정해야 할 것이다 AMA 기준방식의 장해평가 방

법은 과학적이며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고 의학적인 관점에서 개발된 평가기준이

다 하지만 AMA기준은 외국의 기준으로 국내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 장애에

대한 문화환경적 차이 의학적 수준의 차이로 인해 인지되는 장애의 정도는 다르다

또한 평가자가 어렵게 생각되고 모호성이 있다면 평가기준으로 합당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객관적인 의학적 지식으로 개발되었고 최근까지 개정된 기준이므

로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 현실을 반영하는 장해평가 항목과 그 장애 정도에 따

른 장애율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mdash mdash89

제 5 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I 서 론

장애는 그 특성상 주관적인 면이 강하다 이를 객관화해야만 다른 사람들의 공감

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주관과 객관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주관과

객관을 어우르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접근 방법에 의한 특정 작업 특히 일상생활을

수행함에 따른 어려움의 정도에 대한 측정과 사회나 문화가 주는 편견이나 스트레

스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한 사회의 장애에 대한 인지도가 장해평가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에 이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현재의 여건과 문화적 여건에

합당한 장해평가기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근본 목적은 장해인지도

조사를 위한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이차년도에 시행할 설문지를 만드는 것이다 이

를 위해서는 매우 다양한 장애의 종류와 정도를 비교적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

록 설문을 만들어야 한다 한편 의학적 지식이나 상식이 부족한 국민들에게 심도

있는 질문과 답변을 구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어려움과 문외한인 일반 대중의 적

극적인 답변만으로 실제 우리나라 국민들의 장애 인지도를 평가할 때에는 현실과

동떨어진 편향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신체

와 신체 여러 부위의 구조나 기능에 대한 지식이 갖추어진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해

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장해평가나 의료 감정에 관심이 있는 의사들을 대상으로

주사를 수행하고 여기에서 얻은 자료를 취합하여 이중에서 대표적인 장애를 선정하

여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 이용함이 더 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40~50문항에 해당하는 전문가용 설문을 마련하고 이를 연내에 100명 이상의 전문

의를 대상으로 하여 의견을 취합함이 더 적절하다고 본다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성

인의 평균적인 상식에 의해 쉽게 파악하고 답변할 수 있는 뚜렷하며 대표적인 장애

를 기준으로 하여 설문에 답하는 국민들이 비교적 성실하게 답할 수 있도록 쉽고

간단한 문항을 개발해야만 한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합리적인 기준으로 미국

의학협회가 2000년에 발행한 AMA Guide 5판을 선택하였다 한편 장해평가제도

나 기준에 대한 문헌 조사와 고찰을 통해 이 기준을 선택한 이론적 근거와 타당성도 충

분히 밝히고자 한다 이 기준은 가장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공인된 기준이다 또한

mdash mdash90

이 기준은 자세하고 객관적이며 구체적이어야 한다는 조건도 만족한다 다만 우

리나라 현실에도 맞고 되도록 간편해야 한다는 기준에는 맞지 않다 우리나라 현

실에 맞도록 변형을 해야 하며 방대하고 복잡한 평가 기준과 방법을 간략하게 압

축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간편하여 이용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 동안 많이 이

용해 왔던 맥브라이드나 우리나라 산재 기준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장애

를 평가할 의사들에게 익숙한 방법이 아니면 의사들에게 외면을 당할 수 있다 그

렇게 되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장해평가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1 장애계열과 계열별 중요도

〔그림 1〕 운동 및 감각 축소 모형 인간과 뇌 피질 분포

대뇌의 피질에는 운동 축소인간(motor homunculus)과 감각 축소인간이 있다 이

는 신체 각 부위를 담당하는 대뇌 피질 영역을 그림으로 표시한 것으로 감각과 운

동에 대한 생리적 중요도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왼쪽의 운동 축소

mdash mdash91

인간의 중요도는 운동 부분에 한정된 것이며 윗 그림의 왼쪽 운동 축소인간의 손

크기에 비해 오른쪽 감각 축소 인간의 손 크기는 작다 또한 감각 중에서도 시각은

감각 축소 인간에서도 제외되어 있으며 대뇌피질 중 후두엽이 통째로 시각을 맡고

있음을 고려하면 ldquo몸이 천 냥이면 눈이 구백 냥rdquo이란 속담을 어느 정도는 수긍할

수 있다 다만 시각 소실이 인체 능력 중 90를 차지한다고 평가할 수는 없으며

생리적 중요도는 환경적 요인이나 문화적 요인 등이 배제된 것이므로 장애의 중요

도를 평가할 때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 구체적인 중요도는 설문조사를 통해 구해야

할 것이다

2 설문 조사를 위한 초안

15개 장해계열 중 심혈관계 호흡기계 소화기계 비뇨생식기계 피부 조혈계 내

분비계 등은 모두 인체의 특정 부위의 기능에만 장애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전신

적인 기능 장애를 가져와서 각 계열별로 0부터 100까지 장애가 발생할 수 있

다 또한 이들 장기의 기능은 생존에 모두 필수적인 요소들로 사실상 우열을 평가

할 기준이나 근거가 거의 없고 구태여 우열을 가려야 할 필요도 크지 않다 AMA

기준에 제시된 방법과 원칙에 따라 그대로 준용해도 큰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예상

되나 우리나라 현실에서 유용한 진단 방법에 의해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방법

에 따른 평가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이비인후과계 시계(視界

visual system) 신경계 정신(행동)계 척추 상지 하지의 경우에는 한 부위의 기능

완전 소실이 사람의 기능 완전 소실이 되지는 않기 때문에 이 경우에 신체 부위의 중요

도를 설문을 통해 조사할 필요가 있다 통증의 경우에는 객관적으로 표시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 해당하여 장해평가시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것이다

3 요 약

인체 모든 장기에 각기 다른 종류의 장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장해평가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이 매우 낮아 연구자도 적고 연구할 수 있는 여건도

매우 열악하다 그 동안 이 분야에 대한 관심과 연구들은 주로 산업재해나 교통사

고와 관련하여 외상을 다루는 전문과목 전문의들에 의하여 많이 시도 되었다 실무

mdash mdash92

상에도 이들 분야의 장해평가 빈도나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활용 면에서 보면 이

분야의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적절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보험 상품의 개발로 외상성 손상만이 아니라 질환이나

암까지도 장해여부나 정도 또는 인과관계 등에 대한 검토가 많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가장 공인된 기준을 도입하여 충분히 논리적인 근거에 의해 우리나라 여건에

맡도록 다듬어서 활용하면 가장 좋은 방법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되지만 아무리

좋은 기준을 개발하더라도 그 기준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지 못하면 쓸모가 없게 된

다 이를 위해 장해평가시 합당한 대우가 주어져야 할 것이며 장해평가기준과 실습

의 기회가 적절히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국공립 의료기관 보건소 또는 산재

자문의가 되기 위해서는 장해평가에 대한 지식을 갖추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미

국 영국 캐나다 및 호주 등과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장해평가에 대한 지식과 수련

을 체계적으로 마친 사람들에 대한 전문의 또는 인정의 제도의 도입에 대해서도 장

기적으로 검토해 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mdash mdash93

Ⅱ 전문가용 설문

설문 1)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은 경우(팔은 견관절 이단 다리는 고관절 이

단을 말함) 100 장애율이라고 할 때 다음 장애는 상대적 장애율은 어느 정도에

해당된다고 생각됩니까

100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음------------------------(100)

(1) 2 팔과 1 다리 잃음--------------------------( )

(2) 1 팔과 2 다리 잃음 -------------------------( )

(3) 1 팔 1 다리 잃음 ---------------------------( )

50

(4) 두 팔만 잃음-------------------------------( )

(5) 한 팔만 잃음-------------------------------( )

0 장애 없음-------------------------------------( 0 )

(6) 잘 모르겠다 ------------------------------( )

설문 2) 두 팔을 모두 잃은 사람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은 사람의 장애정도는

(1)두 팔을 잃은 사람이 크다( )

(2)두 다리를 잃은 사람이 크다( )

(3)서로 같다( )

(4)잘 모르겠다( )

설문 3) 생활 여건의 변화에 따라 발이나 다리의 기능에 비해 팔과 손의 기능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특히 전산화의 영향으로 뇌와 손가락의 기능이 다른

mdash mdash94

장기의 기능 보다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장애인의 이

동권이 보장되지 않아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다 목숨을 잃는 장애인도 있습니다

팔과 다리의 기능을 비교하면 다음 중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1) 팔 다리 = 40 60( )

(2) 팔 다리 = 45 55( )

(3) 팔 다리 = 50 50( )

(4) 팔 다리 = 55 45( )

(5) 팔 다리 = 60 40( )

(6) 잘 모르겠다( )

설문 4) 한쪽 팔을 잃었을 때에는 다른 쪽 팔로 어느 정도의 일은 할 수 있습니다 그

러나 양쪽 팔을 잃었을 때에는 할 수 없는 일이 훨씬 더 많아집니다 한쪽 팔을 잃었을

때 노동력 상실을 10으로 할 때 양쪽 팔을 잃었을 경우의 노동력 상실은 어느 정도라

고 생각 하십니까

(1)10+10 = 20( )

(2)10+15 = 25( )

(3)10+20 = 30( )

(4)10+25 = 35( )

(5)20+20 = 40( )

(6)잘 모르겠다( )

설문 5) 한쪽 다리를 잃었을 때에는 다른 쪽 다리만으로는 보행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습니다 물론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걸을 수도 있으나 양쪽 다리를 잃었을 때에는 한

쪽 다리만 잃었을 때 보다 불편이 훨씬 더 커집니다 한쪽 다리를 잃었을 때 노동력 상

실을 10으로 할 때 양쪽 다리를 잃었을 경우의 노동력 상실은 얼마나 된다고 보십니

(1) 10+10 = 20( )

(2) 10+15 = 25( )

(3) 10+20 = 30( )

(4) 10+25 = 35( )

mdash mdash95

(5) 20+20 = 40( )

(6) 잘 모르겠다( )

설문 6) 경추나 요추 염좌가 있었던 환자한테도 후유 장해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습

니까

(1) 있다( )

(2) 없다( )

(3)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 )(설문 7로 간다)

(4) 잘 모르겠다( )

설문 7) 설문 6에서 3번을 택하셨다면 어떤 경우에 장해가 있다고 평가하고 장애율

은 어느 정도가 적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후유장해라고 평가할 수 있는 조건은 답 ( )

(2) 장애율 답 ( )

설문 8) 관절 강직은 인공 관절을 이용하여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교정 할 수 있게 되

었습니다 그러나 인공 관절이 모두 성공하는 것은 아니며 영구적이지도 않습니다 관

절 완전 강직을 100으로 볼 때 인공 관절을 이용하는 경우 장해평가에서 어느 정도로

평가 하시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결과가 좋으면 75 결과가 나쁘면 100( )

(2) 결과가 좋으면 50 결과가 나쁘면 75( )

(3) 결과가 좋으면 25 결과가 나쁘면 50( )

(4) 결과가 좋으면 0 결과가 나쁘면 100( )

(5) 기타 결과가 좋으면 ( ) 결과가 나쁘면 ( )

(6) 잘 모르겠다( )

설문 9) 강직성 척추염처럼 모든 척추분절이 고정된 경우 아래 항목 중에서 어느 항

목과 비슷한 정도의 장해로 평가할 수 있습니까

(1) 완전한 시력의 소실( )

(2) 완전한 청력의 소실( )

mdash mdash96

(3) 양쪽 하지의 완전마비( )

(4) 양쪽 상지의 완전마비( )

(5) 성기의 소실로 인한 성기능의 소실( )

(6) 잘 모르겠다( )

설문 10) 다음 각 항목에서 둘 중 하나의 장애를 택해야 한다면 더 낫다고 생각

되는 장애에 표시하고 그 비율을 표시하세요 (나은 쪽의 숫자가 작도록 하여 비율

은 그 합이 10이 되도록 하세요)

예 한 팔 잃음 ( V )- 두 다리 잃음 ( ) = 3 7

(1) 1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 ( ) ( )

(2) 1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 ( ) ( )

(3) 2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 ( ) ( )

(4) 2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 ( ) ( )

설문 11) 상지에서 동일 부위의 장애 중 절단을 100라 했을 때 강직 마비의

상대적 장애는 어느 정도로 생각하십니까 기능이 없는

(1) 어깨 관절 절단 - 어깨 강직 - 견관절 이하 마비

( ) - ( ) - ( )

(2) 팔꿈치 관절 절단 - 팔꿈치 관절 강직 - 주관절 이하 마비

( ) - ( ) - ( )

(3) 손목 관절 절단 - 손목 관절 강직 - 손목관절 이하 마비

( ) - ( ) - ( )

(4) 전체 손가락 절단 - 전체 손가락 강직 - 전체 손가락 마비

( ) - ( ) - ( )

설문 12)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설문입니다 제 1지 절단(중수지

관절 절단)을 100 이라 설정했을 때 다른 손가락의 학습된 시각이 아닌 한국인의

일상생활을 감안하여 상대적 중요성을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1) 제 2지 절단 --- ( )

mdash mdash97

(2) 제 3지 절단 --- ( )

(3) 제 4지 절단 --- ( )

(4) 제 5지 절단 --- ( )

설문 13) 현재 사지에 대한 장해의 판정은 해당되는 부분의 전체 기능상실이 정

해져 있으며 병합 합산한 기능장해가 그 범위를 넘을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습니

다 예를 들어 비정상적인 위치에서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 및 족부가 강직되어 있

더라도 고관절 이단에 해당되는 40가 최대치로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병합합산

의 한계치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기능적인 장해가 절단을 초과할 수는 없다( )

(2) 기능적인 장해가 절단을 초과할 수 있다( )

2를 선택하신 경우 그 최대치가 너무 높은 경우를 만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1) 병합 합산한 그대로 인정되어야 한다

(2) 기능적인 평가의 한계치를 따로 설정해야한다

2를 선택하신 경우 그 최대치의 한계를 설정한다면

(1) 절단 최대치의 110( )

(2) 절단 최대치의 120( )

(3) 절단 최대치의 150( )

(4) 절단 최대치의 ( )

설문 14) 장해의 판정은 치료가 종결되고 증상이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합니

다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치료의 종결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예

를 들어 골이식술 및 수차례의 수술적 요법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경골 불유합의

경우) 장해판정의 적절한 시기는 언제로 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1) 치료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시간에 관계없다( )

(2) 치료가 가능하더라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의 상태에는 판정하는 것이 옳

다( )

(3) 치료 횟수나 기간에 상관없이 환자가 원하는 경우에 판정한다( )

(4) 몇 차례의 치료와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가능하다( )

mdash mdash98

상기문항 중 2나 4를 선택하신 경우 치료의 횟수나 기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됩니까

(1) 1회의 치료 1년 이상( )

(2) 2회의 치료 2년 이상( )

(3) 3회 이상의 치료 3년 이상( )

(4) ( )회 이상의 치료 ( )년 이상

설문 15) 장해의 판정은 치료가 종결되고 증상이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합니

다 말초신경손상 중 총비골신경손상의 경우 족하수가 발생하며 이 경우에는 최소

15 최대 19의 신체능력상실율이 있습니다 그러나 하지의 관절 중 족관절의

경우 적절한 범위에서 강직된 경우 전신체에 대하여 4의 신체능력상실이 있으며

최대치는 25로 기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치료의 종결시점을 어느 때로 보

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신경에 대한 치료가 종결되고 족하수 증상이 고정된 시점( )

(2)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족관절 고정술을 시행한 시점( )

(3) (1)(2) 모두 가능하다( )

설문 16) 장애판정은 현재의 상태뿐 아니라 보상적인 측면도 생각하는 경우가 있

습니다 복합 장애 판정의 경우 산술적으로 계산하다보면 범위로 판정하게 되는 경

우가 생기는데 이 경우 적절한 판정의 선택은 어떻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십니까

(1) 상위의 범위를 선택한다( )그 이유( )

(2) 평균적인 중간을 선택한다( )

(3) 하위의 범위를 선택한다( )그 이유( )

(4) 범위를 모두 기술한다( )

설문 17) 인공관절 치환술에 대한 장해판정의 경우 재치환술 여부에 상관없이 일

률적인 판정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재치환술의 경우 그 예후나 경과가 최초와

다른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장해의 판정에 대한 견해는 어떻습니까

(1) 기능적 평가보다는 관절운동범위로 판정하는 것이 옳다( )

(2) 현재의 기준대로 기능적 평가만을 시행하는 것이 옳다( )

(3) 재치환술의 경우 일정비율로 가중치를 산정하는 것이 옳다( )

(4) 현재의 기능적 평가에 추가로 나타나는 증상을 병합 합산하는 것이 옳다( )

mdash mdash99

설문 18) 슬관절 인대손상 중 십자인대 손상의 경우 현재는 이완정도와 관절운동

범위로 판정하도록 되어 있는데 현대의학적인 견지에서 인대재건술을 시행한 경우

이 항목에 대한 판정의 적절성은 어떠합니까

(1) 현재의 기준이 타당하다( )

(2) 인대재건술의 경우 인공관절 항목처럼 기능적 평가가 적용되어야 한다( )

(3) 다른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 )

설문 19) 장해를 판정하는 경우 객관성과 재현성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예를 들

어 근력손상의 정도나 보행이상을 판정하는 경우 주관적 증상이 판정의 인자로 작

용하여 범위를 선택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 장해를 판정하는 입장에

서 수용할 수 있는 오차의 범위는 최종적으로 어느 정도로 보십니까

(1) 오차 없이 완벽한 재현성이 있어야한다( )

(2) 3이내는 수용 가능하다( )

(3) 5이내는 수용 가능하다( )

(4) ( )이내는 수용 가능하다( )

설문 20) 44세 남자(기계공)가 연하곤란(음식물 삼키는 것이 힘듦) 증상을 호소

하여 진찰결과 이상소견을 발견 못하였고 위내시경과 위투시검사에서 위하수 진단

을 받았습니다 상기 환자는 현재 증상은 없습니다 이런 경우 장애율의 판정시 몇

에 해당될까요 (참고 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

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

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설문 21) 40세 여성(바텐더)이 3년동안 10여회의 간헐적 심와부 통증(주로 식사

후 발생)을 호소합니다 상기인은 2년전 담낭절제술을 시행받았고 이학적 검사상

특이소견이 없고 혈액검사상 아밀라제(췌장효소)가 상승되어 재발성 급성췌장염의

진단을 받았습니다 상기환자에게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

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5 다 10 라 15 마 기타 ( )

mdash mdash100

설문 22) 40세 남자로 10년간 간헐적인 궤양증상이 있었으며 3차례 수혈이 요구

되는 출혈이 있었습니다 또한 한차례 소장폐색증상으로 입원치료 받은 병력이 있

습니다 상기인은 수술적 치료를 거부하고 있으며 이 경우 지속적인 내과적 약물치

료가 요구됩니다 178cm크기로 59Kg이며 이상 체중보다 7 부족한 상태입니다

또한 상부소화관 투시검사상 상당한 십이지장궤양소견(변형)이 발견되어 재발성 활

동성 십이지장궤양으로 진단되었습니다 상기환자에게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

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설문 23) 38세의 남자로 지속적인 설사가 있으며 3년전 크론씨병으로 소장(회

장)부분 절제및 문합수술을 받았습니다 수술 후에도 재발되어 설사와 복통이 반복

되는 상태입니다 소장투시검사 결과 부분적으로 소장의 폐쇄가 있어 재발된 크론

씨병으로 진단되었으나 내과적 치료로 완치가 힘들고 무한정 수술을 받을 수 없는

상태입니다 상기환자의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

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

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20 나 40 다 60 라 80 마기타 ( )

설문 24) 여러 가지 원인으로(질병 사고등) 소장의 대량절제술후 서로 문합하면

소장이 거의 남지 않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소장이 없으면 음식물을 섭취해도 흡수

가 되지 않아 영양결핍상태가 되므로 경구영양공급만으로 부족하여 혈관내로 영양

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합니다 즉 환자는 평생 정맥주사를 통한 영양공급을 받

아야하는데 이 경우 장애율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

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10 나 20 다 30 라 40 마기타 ( )

mdash mdash101

설문 25) 45세 남자로 항문주위 농양이 있어 5년전 수술을 시행받았고 이후 재

발되어 1년전 치루절개술을 시행받았습니다 현재는 항문주위 감염소견이 없고 항

문괄약근 기능도 정상입니다 직장경검사상 항문주변을 수술한 흔적이 있는 것 외

에는 정상입니다 상기환자의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

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5 다 10 라 15 마 기타 ( )

설문 26) 56세 남자로 항문주위 농양이 있으며 3년동안 수차례 재발되었다 이

학적 검사결과 치루 외공이 4개가 각각 항문주위에서 발견되었고 2차례 수술적 치

료를 시행한 병력이 있었습니다 현재 항문괄약근 조절기능이 소실되어 배변실금현

상이 있어 속내의에 변이 뭍습니다 따라서 반복된 치루수술로 항문괄약근 기능이

상실된 배변실금으로 진단받았습니다

상기환자의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10 나 20 다 30 라 40 마 기타 ( )

설문 27) 장루환자는 장루로 인하여 개인적 활동 가정생활및 사회생활 그리고

직업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목욕 수영 성행위 등 개인생활 뿐만아니라 사

회생활이나 직장생활 등에서 냄새가 나고 장루백을 수시로 갈아야하는 불편함이 있

습니다 육체적 노동자라면 무거운 것을 드는 행위는 장루주위 탈장을 유발하므로

작업환경을 바꾸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장기간 여행시 장루주위를 위생적으로 처

리할 물품의 준비 등이 요구됩니다 이런 장루환자의 장애률은 다음준 어느 것과

동일한 장애정도로 생각됩니까

가 한 쪽 청력의 마비

나 양 쪽 청력의 마비

다 한 쪽 시력의 마비

mdash mdash102

라 양 쪽 시력의 마비

마 한 쪽 상지의 마비

바 양 쪽 상지의 마비

설문 28) 35세 남자로 황달 복수 식도 정맥류 출혈이 없고 영양결핍도 없으나

간기능 검사상 AST가 70UL으로 상승되어 있고 황달수치인 총 빌리루빈이

21mgdl로 상승되었습니다 또한 B형간염항원이 양성으로 판정되어 만성 B형간염

으로 진단되었습니다 상기 환자의 장애율 판정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

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설문 29) 55세 여자환자로 5년간 담낭염을 앓았습니다만 종교적 이유로 치료를

거부합니다 상기 환자는 우상복부 통증과 오심 구토 발열 황달 짙은 소변 색깔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있으며 혈액검사상 황달수치가 상승되고 간기능이 악화된 소

견을 보이며 간생검소견상 심한 간경화 소견을 보입니다 따라서 진단은 폐쇄성 황

달을 동반한 간경화입니다 상기환자의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

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20 나 40 다 60 라 80 마 기타 ( )

설문 30) 50세 남자로 우측 사타구니의 반복적 돌출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지

않았습니다 상기 탈장은 복압의 상승시 쉽게 튀어나오지만 자세를 누우면 통증없

이 다시 복강내로 들어갑니다 진단은 복구가능한 우측 서혜부 탈장입니다 (참고

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

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mdash mdash103

장 애 구 분 1급 2급 3급 4급 5급

심혈관계

(심장판막 관상동맥

심근병증 선천성 심

막성 부정맥 고혈압

심혈관 대동맥 및 심

장) 질환

0~( ) ~( ) ~( ) ~100 -

말초혈관계

팔 및 다리

0~9 10~39 40~69 70~89 90~100

팔 60

다리 40

호흡계

폐동맥 고혈압

천식 및 COPD

0~( )

0~( )

~( )

~( )

~( )

~( )

~100

~100

-

-

소화계

상부소화관결장직장 0~( ) ~( ) ~( ) ~75 -

항문질환 0~( ) ~( ) ~( ) - -

간 및 담도 질환 0~( ) ~( ) ~( ) ~95 -

헤르니아 0~( ) ~( ) ~( ) - -

혈액 조혈계

빈혈

백혈구혈소판출혈병

0~( )

0~( )

~( )

~( )

~( )

~( )

~100

~100

-

전문가용 설문 31) 다음의 표는 각 질환에 의한 장애로 인한 전신 장애율을 표시

한 것 입니다 3급 이상인 경우가 중증 장애에 해당하는 경우 입니다 ( )의 전신

장애율 를 적어보시오 lsquoAMA 가이드rsquo는 한 팔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이고 이에 해당하는 전신 장해는 60 한 다리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이고 전신 장해 40에 해당 합니다(참고사항 lsquoAMA 가

이드rsquo의 장애율 판정시 양측 청력의 와전 소실은 전신 장애율 35 양측 시력 상실은

85 일측 시력 상실은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

니다)

mdash mdash104

내분비계

시상하부뇌하수체축

갑상선 질환

부갑상선 항진증

부갑상선 저하증

부신피질 항진증

부신피질 저하증

당뇨질환

저혈당증

0~( )

0~( )

0~( )

0~( )

0~( )

0~( )

0~( )

0~( )

~( )

~25

~( )

~20

~39

~29

~( )

~50

~50

-

~90

-

-

~90

~( )

-

-

-

-

-

-

-

~40

-

-

-

-

-

-

-

-

-

외과적 처치

식도 및 위 조루술

공장 및 회장 조루술

회장 항문 연결술

결장 조루술

( )~15

( )~20

( )~20

( )~10

-

-

-

-

-

-

-

-

-

-

-

-

-

-

-

-

설문 32) AMA 기준에 따르면 정신(행동)장애에 대해서는 장애의 내용과 정도를 구

체적인 서술로 적고 구태여 백분율로 표현된 장애율을 구하지 않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다음 중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1) 가볍다(13) 보통이다(23) 심하다(33) 등 세 단계 정도로 구분한다

(2) 가벼움(14) 보통(24) 심함(34) 매우 심함(44) 4단계로 구분한다

(3) 5단계 이상으로 구분하여 등급을 제시한다

(4) 백분율을 정하고 백분율로 표현한다

(5) 장애내용을 자세히 기록하고 백분율은 구하지 않는다

설문 33) 중추신경계 기질성 장애의 장애율을 구할 때 이론상 기질성 장애는 0부

터 100까지 가능하지만 실제로 구체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특징적 소견이 한정되어

가벼움 보통임 심함 매우 심함 등의 4 단계로 구분하였을 때 그 장애율을 어떻게 정

하는 게 좋겠습니까

(1) 25 50 75 100 등 고정 값이 좋다

(2) 25 50 75 100로 정하고 5 가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mdash mdash105

(3) 20 45 70 95로 정하고 5 가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4) 15 40 65 90로 정하고 10 가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5) 0~25 25~50 50~75 75~100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한다

설문 34) 두 귀 중에서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이 완전한 청력이 상실된 경우입

니다 산재 기준의 장애등급은 9급(장애율로 환산하면 40)이고 AMA기준으로 평

가하면 장애율은 6입니다 어느 기준이 더 합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산재 기준이 합당하다( )

(2) AMA기준이 합당하다( )

(3) 두 기준 모두 합당하지 않다( )

위 문항에서 3) 두 기준 모두 합당하지 않다고 답하신 경우만 해당합니다 두 귀

중에서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이 완전한 청력이 상실된 경우에 어느 정도의 장애

율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0( ) (2) 5( ) (3) 10( ) (4) 20( )

(5) 30( ) (6) 기타 ( )

설문 35) 양쪽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경우 AMA기준에서 장애율은 35입니

다 같은 경우에 산재 기준은 4급(장애율로는 90)입니다 어느 정도의 장애율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25( ) (2) 35( ) (3) 50( ) (4) 65

(5) 기타 ( )

설문 36) AMA기준에서 청력장애의 평가 공식은 (5밝은 귀의 청각 장애율 +

어두운 귀의 장애율)6입니다 이 공식으로 평가하면 청력 장애의 장애율은 0에서

35(양쪽 귀의 청력을 완전히 소실된 경우)입니다 밝은 귀의 청력에 더 비중을 두

어 평가하여 장애율을 구하는 방식은 합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AMA기준은 합당하다( )

(2) 밝은 귀와 어두운 귀의 비중을 같이 두어야 한다( )

mdash mdash106

(3) 밝은 귀의 장애에 AMA기준보다 더 비중을 두어야 한다(가산숫자인 5보다

커야 한다)( )

(4) 밝은 귀의 장애에 비중을 두어야 하지만 AMA기준보다 적게 비중을 두어야

한다(가산숫자인 5보다 작아야 한다)( )

(5) 잘 모르겠다( )

설문 37) AMA기준(5판)에서 눈의 기능적 평가는 시력검사와 시야검사로 평가합니

다 시력점수(Visual Acuity Score VAS)를 각각 눈에 대해서 평가하여 제시된 점수를

이용하여 주어진 공식인 (VAS두 눈3 + VAS오른쪽 눈1 + VAS왼쪽 눈1)5로 시력기능점

수(Functional Visual Score FVS)를 구합니다 두 눈에 의한 시력에 더 비중을 두는

공식입니다 시력기능점수를 환산하는 공식이 합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이전 판(4판)까지는 (3보다 좋은 눈 + 1보다 나쁜 눈)4로 기능점수를 환산하였

습니다)

(1) 합당하다( )

(2) 합당하지 않다( )

(3) 잘 모르겠다( )

설문 38) 벨마비(Bells palsy)로 인해 얼굴 한 쪽의 완전한 운동마비가 있다 이

경우에 적합한 장애율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AMA기준은 약 15 정도의 장애율입니다)

(1) 10( ) (2) 15( ) (3) 20( ) (4) 25( )

(5) 30( )

설문 39) 비뇨기계 (신장 요관 방광 및 요도)의 장애에 의한 일상생활 능력의 제약

은 다음 어느 신체기관의 장애에 의한 제약의 정도와 같다고 생각하십니까

(1) 한쪽 시력의 장애( ) (2) 양쪽 시력의 장애( )

(3) 한쪽 청력의 장애( ) (4) 양쪽 청력의 장애( )

(5) 한쪽 하지의 장애( ) (6) 양쪽 하지의 장애( )

(7) 한쪽 상지의 장애 (오른쪽)( ) (8) 한쪽 상지의 장애 (오른쪽)( )

(9) 양쪽 하지의 장애( )

mdash mdash107

설문 40) 설문 6)의 9개의 항목에서 장애율이 크다고 생각하는 순서대로 나열해 보

세요 (장애율이 높은 항목에서 작은 항목 순으로)

( )

설문 41) 만성 방광염으로 빈뇨가 있는 경우 장애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까

(1) 있다( ) (2) 없다( )

(3) 빈뇨의 정도에 따라서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 )

만일 3으로 답하였다면 어느 정도의 빈뇨가 있으면 장애가 있다고 평가하고 장애율

은 어느 정도가 적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빈뇨의 정도 답 ( )시간마다

(2) 장애율은 답 ( )

설문 42) 폐경기 이전의 여성에서 다음의 항목 중에서 장애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

세요 (장애율이 높은 항목에서 작은 항목 순으로)

(1) 자궁이 없다( )

(2) 양쪽의 난소와 자궁관이 없다( )

(3) 질의 기형으로 성행위가 불가능하다( )

(4) 위 3가지 항목 모두 같은 정도의 장애이다( )

설문 43) 비뇨기계의 장해평가를 신장 및 요관 방광 요도의 세 가지로 분류하는 것

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 합리적이다( )

(2) 불합리하다 (비뇨기계 하나로 평가하도록 해야 한다)( )

(3) 불합리하다 (신장 및 요관 방광 및 요도의 두 가지로 분류해야 한다)( )

(4) 기타 ( )

mdash mdash108

Ⅲ 일반인용 설문

설문 1) 양쪽 팔과 양쪽 다리를 모두 잃은 경우(팔은 어깨에서 다리는 엉덩이에

서 잘려나감) 100 장애율이라고 할 때 다음 장애는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의 장애

로 봐야 하나

100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음------------------------(100)

(1) 2 팔과 1 다리 잃음---------------------( )

(2) 1 팔과 양쪽 다리 잃음 -------------( )

(3) 1 팔 1 다리 잃음 -------------( )

50

(4) 양쪽 팔만 잃음---------------------( )

(5) 한 팔만 잃음----------------------( )

0 장애 없음---------------------------------( 0 )

[목적] 상지와 하지의 비중을 알고자 함

[배경] 현재 산재에서는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과 두 다리를 무

릎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이 모두 장애율 100로 5050이지만 AMA기준에 따르

면 상지하지가 6040으로 상지의 비중이 큼 장애인 이동권이 보장된 경우라면 상

지의 비중이 크지만 이동권이 심하게 제한될 경우에는 하지의 비중이 더 클 수 있음

설문 2) 다음 각 항목에서 장애가 덜 심하다고 생각되는 장애에 표시하고 그 비

율을 표시하세요 (나은 쪽의 숫자가 작도록 하여 비율은 그 합이 10이 되도록 하

세요)

예 한 팔 잃음 ( V )- 두 다리 잃음

mdash mdash109

(1) 1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2) 1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3) 2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4) 2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설문 3)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설문입니다 첫 번째 손가락을 잃

었을 때를 100 장애라고 하면 다른 손가락을 잃었을 때는 몇 로 봐야 합니까

1) 제 2지 절단 --- ( )

2) 제 3지 절단 --- ( )

3) 제 4지 절단 --- ( )

4) 제 5지 절단 --- ( )

[목적] 상지와 하지의 비중과 함께 동반 손상시의 비중 변화를 알고자 함

[배경] 상지와 하지에 대한 비중을 파악한 후 일측 또는 양측 손상시 느끼는 비

중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하지와 상지의 비중을 감안하여 판단하도록 한다 현

재는 맥브라이드에서 상지 장해평가에서만 열성 상지에 대한 장애율 감소(90)를

적용하고 있으며 AMA와 국내법에서는 이에 대한 가감 없음

설문 4) 상지에서 동일 부위의 장애 중 절단을 100라 했을 때 강직 마비의

상대적 장애는 어느 정도로 생각하십니까 기능이 없는

(1) 어깨 관절 절단 - 어깨 강직 - 견관절 이하 마비

( ) - ( ) - ( )

(2) 팔꿈치 관절 절단 - 팔꿈치 관절 강직 - 주관절 이하 마비

( ) - ( ) - ( )

(3) 손목 관절 절단 - 손목 관절 강직 - 손목관절 이하 마비

( ) - ( ) - ( )

(4) 전체 손가락 절단 - 전체 손가락 강직 - 전체 손가락 마비

( ) - ( ) - ( )

[목적] 장애의 종류에 대한 비중을 설정하고자 함

mdash mdash110

[배경] 절단과 기능 전폐가 기능만으로 보면 거의 차이가 없고 국내법의 경우

대부분 동일한 장애등급으로 평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비중 재조정이 필요할 것임

설문 5)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설문입니다 제 1지 절단(중수지

관절 절단)을 100 이라 설정했을 때 다른 손가락의 학습된 시각이 아닌 한국인의

일상 생활을 감안하여 상대적 중요성을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1) 제 2지 절단 --- ( )

2) 제 3지 절단 --- ( )

3) 제 4지 절단 --- ( )

4) 제 5지 절단 --- ( )

[목적] 수지의 기능 소실에 대한 비중 평가

[배경] 일반적으로 제 1지의 기능을 50라고 하지만 AMA에서는 1지-40 2 3

지-각 20 4 5지-각 10의 장해율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한국인의 평가를

위함

설문 6) 다음의 질환에 의한 장애들을 문항과 같은 관점에서 불편이 심한 순서대

로 적어보시오

심혈관계 질환 - 1) 고혈압 및 심장 질환 2) 상하지의 말초혈관질환

호흡기계 질환 - 3) 천식 및 폐기능 질환 4) 폐암

소화기계 질환 - 5) 소화 장기(위 장 질환) 6) 간담도 및 췌장 효소 질환

조혈계 질환 - 7) 빈혈 및 혈소판 질환 8) 백혈병 등의 혈액암

내분비계 질환 - 9) 당뇨 질환 10) 감상선 호르몬 및 대사 조절계 질환

6-1) 일반인의 일상적 가정 생활상에 우선적으로 불편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질

환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mdash mdash111

6-2) 일반적인 직장인의 직장 생활상에 우선적으로 불편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질환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6-3) 경미한 질환이나 장애로도 직장 생활을 하기 어려울 상태가 잘 생길 것으로

예상되는 질환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6-4) 일반적인 사회 생활상에 상당한 어려움과 고통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질환

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설문 7) 두 눈 중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은 완전한 시력 상실인 경우와 두 귀

중에서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은 완전한 청력을 상실한 경우 어느 쪽이 더 장애

가 높다고 생각하십니까

(1) 한쪽의 눈의 시력이 상실한 경우가 높다( )

(2) 한쪽의 귀의 청력이 상실한 경우가 높다( )

(3) 서로 장애율은 같다( )

(4) 잘 모르겠다( )

설문 8) 52세 남자로 여러 차례 성대(聲帶)에 낭종(물혹)으로 낭종을 절개한 병력이

있다 쉰 목소리를 가지고 소리를 지르면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도 있으며 쉽게 목이

잠겨 목소리가 잘 나지 않는다고 한다 검사소견에서 좌측 성대에 수술로 인한 흉터가

보이고 후두염이 관찰된다 이러한 경우의 장애 정도는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미국의학협회의 기준에 의하면 장애율은 20 정도입니다)

(1) 10( ) (2) 20( ) (3) 25( ) (4) 30( )

(5) 40( ) (6) 잘 모르겠다( )

mdash mdash112

설문 9) 50세 여자로 미로염(속귀의 구조물로 소리를 뇌로 전달하는 세반고리관에

발생하는 염증)으로 인해 어지러움증을 가지고 있다 증상의 조절을 위해 약물투여를

해야 하며 밤에서 혼자서 다니기가 어렵다고 한다 청력은 정상이다 이 경우는 아래의

보기의 장애와 가장 비슷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한쪽 귀의 완전한 청력 소실( )

(2) 한쪽 눈의 완전한 시력 소실( )

(3) 우측 엄지손가락의 절단( )

(4) 우측의 새끼손가락의 절단( )

(5) 얼굴 한 쪽의 운동 마비( )

(6) 잘 모르겠다( )

설문 10) 25세 남자가 목 팔과 다리의 피부에 아토피 피부염이 있다 가려움증

으로 수면에 불편함이 있는 경우가 있고 가끔씩 연고를 바르고 항히스타민과 스테

로이드 등의 약물을 투약해야만 한다 이 경우 장애의 정도는 어느 정도라고 생각

하십니까

(1) 0( ) (2) 5( ) (3) 10( ) (4) 15( )

(5) 20( ) (6) 잘 모르겠다( )

설문 11) 교통사고 인해 좌측 코가 함몰되어 있고 근처에 약 4cm의 흉터가 있습

니다 미국의학협회의 기준에 의하면 장애의 정도는 15입니다 이러한 경우에 남

자와 여자의 장애 정도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 남자나 여자의 장애 정도는 같다( )

(2) 여자가 남자보다 약 5 정도 장애가 높다( )

(3) 여자가 남자보다 약 10 정도 장애가 높다( )

(4) 여자가 남자보다 약 15 정도 장애가 높다( )

(5) 잘 모르겠다( )

설문 12) 신장기능의 완전한 소실(예를 들면 일주일에 3회의 혈액 투석을 요하는 만성

신부전)의 경우입니다 이 경우는 아래의 보기의 장애와 가장 비슷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양쪽 눈의 완전한 시력 소실( )

mdash mdash113

(2) 양쪽 귀의 완전한 청력 소실( )

(3) 양쪽 하지의 완전 마비( )

(4) 양쪽 상지의 완전 마비( )

(5) 한쪽 눈의 시력 상실( )

설문 13) 설문 12의 5개의 항목에서 장애율이 크다고 생각하는 순서대로 나열해 보

세요 (장애율이 높은 항목에서 작은 항목 순으로)

( )

mdash mdash115

부 록

1 시각장해평가기준 2 이비인후과 장해평가기준3 맥브라이드 장해평가기준4 생명middot손해보험 장해분류표 개정내용5 대한신경외과학회 제안 장해평가기준

mdash mdash117

1 시각장해평가기준8)

용어(Terminology)

눈의 기능 시각(Vision)

1 시력 (Visual Acuity)

2 시야 (Visual Field)

3 색각 (Color Vision)

4 입체시(Stereoacuity)

5 대비감도(Contrast Sensitivity)

용어(Terminology)

시각장애(장해) Vision impairment

실명 맹 Blind ICD lt360

저시력 Low vision

시력(Visual AcuityVA) lt618

시야(Visual FieldVF) lt10deg

광각(+)이상의 시력을 가지며 이 시력을 사용할 수 있음

시각을 연습과 훈련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시력의 변화-)

약시 Amblyopia

시각장애의 일련 결과

시력 lt 612 (critical level to cause functional limitation)

1 Risk of falls doubles

2 Difficulties with daily living increase x2

3 Ease of social functioning reduced by half

4 Use of community services increase 12 with each line of vision lost

8)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안과학교실 교수 박성희

mdash mdash118

저시력의 영향

1 Work education amp leisure

2 Social isolation ndashfriends family amp religious activities

3 Emotional ndash depression

4 Sonsumer activities- shopping banking

5 Activities of daily living ndash personal amp household

시각장애에 의한 신체장해평가기준

lt국 외gt

1 McBrides Disability Evaluation and Principles of Treatment of

Compensable Injuries 6th Ed 1963

2 AMAs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4th Ed 3rd

printing 1995 (1st Ed 1971) 5th Ed 2001

lt국 내gt

3 새로운 신체장해평가법 ltAMA 장해평가지침gt 임광세편저 1995 (AMAs

3rd Ed 1990 revised)

4 보건복지부 장애등급판정기준 2003

국가배상법시행령 1998

산업재해보상보호법 2000

(근로복지공단 장해등급판정기준해설 1999)

근로기준법 1998

5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1999

산업재해보상보호법 - 국가배상법시행령(별표2)

mdash mdash119

신체장해의 등급과 노동력상실률표[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9)

계열번호(장해내용) 장해등급범위 없는 등급

1(시력장해) 1~13 11 12 14

9) lt의료분야 중간보고서 2005 08 17gt p8

mdash mdash120

2(안구운동장해) 11 12 13 14

3(눈조절기능장해) 11 12 13 14

4(시야장해) 9~13 10 11 12 14

5(눈꺼풀) 9~14 10

산재보험법 맥브라이드(amp AMA 4th ed 1995) AMA(5th ed 2001)

1(시력장해) 시력장해 시력장해

2(안구운동장해)

3(눈조절기능장해) 안구운동장해

4(시야장해) 시야장해 시야장해

5(눈꺼풀장해)

산재보험법의 문제점 장해등급이 연속적이지 못하고 단절과 비약이 심함

1 시력에 의한 등급판정이 대부분을 차지하나 이는 상당히 주관적임

특히 01이하의 시력을 측정하고 객관화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안전수동안전수지 등과 같은 시력평가는 어떻게

2 안구운동장해에서도 좀 더 세분화된 판정기준이 필요함

즉 복시의 범위와 부위 등에 대한 평가가 있어야 함

3 조절기능장해에서 홍채이상(손상 무홍채증 긴장성동공 등)

나이(노시안)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함

4 시야장해를 단순히 반맹협착 등으로만 판정하기에는 부족하며

결손범위를 산정하는 것이 필요함

단안시야결손의 등급이 너무 저평가되어 있음

5 눈꺼풀장해 ldquo현저한rdquo 과 같이 너무 모호한 판정 기준임

6 손상(외안부 각공막열상 망막손상 등)

인공수정체삽입술 등 수술 후 상태에 대한 평가도 있어야 함

mdash mdash121

맥브라이드(amp AMA 4th ed 1995)기준의 문제점

1 직업계수(안과는 없음)

2 시력 시야 안구운동 등 모든 검사가 환자의 말에 의해 결정됨

3 시야 안구운동검사 자동시야계만 있는 병원서는 기준이 모호함

4 사고 후 굴절부등(부등시)이 생겼지만 교정시력이 정상일 때

맥브라이드 amp AMA 4th ed (1995) 장해평가법

1 각 눈의 시각요소를 측정 후 소실율로 환산

1) 시력(VACV)

교정시력(원근거리) Table 23

2) 시야(VF) Fig 1 Table 145

3) 안구운동(OM) Fig 3

- 시각장애판정은 일차요소인 세 요소에 의해 결정함

- 여기에 반영되지 않은 안과장애는 정확히 검사한 의사의 판단으로 세 요소에

의해 이미 계산된 해당 눈의 시각장애에 5~10 정도를 combined 할 수 있음

- Ocular function에 영향을 주지 않는 orbit deformity scarring 등 cosmetic

defect도 전신 노동력상실율에 10까지 병합할 수 있음 단 성형외과장애와

중복시키지 않음

2 단안 시각장애율

1) 한 눈의 2 시각요소(CV amp VF)의 소실율을 병합함

2) 한 눈의 시각소실율 계산 (p478-479 Combined Table을 이용)

- 다른 계산법

우안 시효율 044 x 068 x 075 = 22 rarr 시각소실율은 78

좌안 시효율 054 x 068 = 37 rarr 시각소실율은 63

- 다른 계산법

우안 시효율 044 x 068 x 075 = 22 rarr 시각 소실율은 78

좌안 시효율 054 x 068 = rarr 시각 소실율은 63

mdash mdash122

3 양안시각장애율을 계산 (Table 7)

우안 78 좌안 63 rarr 67가 됨

- 다른 계산법

3 x better eye value + worse eye value

4 양안 시각장애율을 전신 노동력상실율로 전환 (Table 6)

AMA(5th ed 2001) 기준의 문제점

1 국내 안과의사에게 아직까지 인지도가 없다

2 계산 과정이 매우 매우 복잡하다

AMAs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 2001

- 저시력에 관련된 국제전문가들이 관여함

- 이전의 1925년 Snell의 lsquoVisual Efficiencyrsquo 개념이 없어지고 lsquoFunctional Vision

Score(FVS)rsquo로 대치됨

시력은 Visual Acuity Score인 (FAS)로 바뀜

예) VA 20200 -gt VA loss in VE 80

VA Impairment rating(ability loss) 50 (Table 12-2)

시야는 새로운 Visual Field Score인 (FFS)로 재계산됨

FVS = (FAS x FFS)100

- 복시와 무수정체안에 대한 항목이 없어짐 근거리시력은 선택사항임

- 시력 시야에 대한 시각장애(Visual impairment ratings)는 새로운 공식을 적용

(3 x OU + OD + OS)5 (이전 3 x better eye + 1 x lesser eye)4

- Visual system의 Impairment rating은 100-the FVS임

mdash mdash123

시각계통의 장해율 계산과정(flow chart)

시력검사(시력표)

mdash mdash124

시력장애

시력장애율의 계산

mdash mdash125

시력장애의 분류

시야장애의 검사- Goldmann주변시야계

자동시야계-Humphrey autofield analyzer

mdash mdash126

- 총 10개의 경선

25deg 65deg 115deg 155deg

195deg 225deg 155deg 285deg 315deg 345deg

중심 10deg내에서는 5점(2deg간격) 10deg밖에서는 10deg간격

정상시야에서 한 눈 당 총 100곳을 검사하게 됨

정상시야

mdash mdash127

Overlay Grid에 의한 정상시야

시야장애

mdash mdash128

시야 장애율 계산

시야장애의 분류

시야반경거리를 시야점수로 전환

mdash mdash129

중심 암점의 보정

시각장애과 전신장애의 분류

mdash mdash130

글씨크기와 시표거리에 따른 근거리시력과 장애율계산

mdash mdash131

2 이비인후과 영역의 장해평가기준10)

I 이비인후과 영역의 장애판정

1 이과분야

- 난청

- 안면신경마비

- 어지러움(현훈)

2 비과분야

- 후각장애

- 호흡장애

- 안면손상

3 두경부 분야

- 음성 언어장애

- 저작 및 연하기능장애

- 상부 호흡기손상 및 호흡장애

- 안면손상

1) 귀의 구조

외이 연골로 형성된 이개와 외이도로 이루어짐

외이도는 바깥 13의 연골부 안쪽 23의 골부로 형성되어 있음

중이

고막 외이와 중이의 경계 부위에 위치

중이에 대한 방어벽인 동시에 음전도 역할

이소골 3개의 뼈가 있어 외이를 통해 들어온 소리가 고막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이로 전달하는 역할

내이 소리를 감지하는 달팽이관과 몸의 균형을 담당하는 세반고리관이 있음

10) 한양대학병원 이비인후과 박철원

mdash mdash132

(1) 외이의 구조

이개 울퉁불퉁한 얇은 탄성연골로 골격을 이루며 피부로 덮여 있다 음파를 모

아서 외이도내로 도입하는 역할

외이도 외이도의 외측 13은 연골부 내측 23는 골부로 구성

협부 연골부와 골부의 경계부에서 약간 내측에 외이도에서 가장 좁은 부위

미주신경과 삼차신경이 지배 외이도를 자극했을 때 미주신경반사로 기침이 일어

날 수 있으며 후두 질환이 있을 때 방사통으로 인한 이통을 호소하게 된다

(2) 중이의 구조

중이 측두골내에서 점막으로 덮여 있고 공기로 채워진 공간 (6면체 구조)

외측 고막 내측 와우

고막 타원형의 진주양회백색(pearly gray color)

제(umbo) 고막중심에 내측으로 약간 함몰 되어 있는 곳 (추골병의 하단에 해당)

광추(cone of light) umbo에서 전방으로 있는 광반사

추골병의 상부전방에 있는 백색돌기가 단돌기(short process)이며 여기에서 전후

로 추골추벽(malleolar fold)가 있으며 이것이 경계가 되어 그 상부를 고막의 이완부

하부를 긴장부로 나눈다

이소골

고막 ndash lsquo추골 침골 등골rsquo ndash 난원창 과 연결되어 소리를 전달

추골(malleus) 이소골 중 가장 커서 약 75-80mm이며 3개의 인대로서 공간에 고

정되어 있다

침골(incus) 추골의 내후방에 위치하며 추골 및 등골과 연결

등골(stapes) 신체중 가장 작은 뼈이며 전체 높이는 약 33mm

(3) 내이의 구조

내이는 형태와 구조가 복잡하여 미로(labyrinth)라고도 한다

미로는 내부의 막미로(membranous labyrinth)와 이를 둘러싼 골미로(bony

labyrinth)로 구분하고 앞쪽에서부터 와우 전정 반규관의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골미로 안에 외림프(perilymph)가 들어 있고 그 안에 막미로가 있으며 막미로는 내

림프(endolymph)를 담고 있다

mdash mdash133

와우 달팽이관(cochlea) 청각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두바퀴 반의 나사형 모양을 하

고 있으며 각 회전의 공간에는 림프액으로 차 있다

전정 구형낭(saccule) 난형낭(utricle) 반고리관과 함께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전

정미로를 형성

반규관 수평반규관 후반규관 상반규관

2) 청각 기능

(1) 가청음역 16~20000 Hz사이 회화음역 250~2000 Hz사이

음의 전도 공기전도와 골전도

음압증강작용

면적비 171=25dB 지렛대비 131=25 dB

Shearing effect(buckling effect) 2~3배=4~9dB =gt 315~365dB

(2) 난청의 종류와 증상 및 검사

0 dB HL 이란 정상 청년 연령층에서 각 주파수의 가청역치의 평균치

가 일상생활 중 소리강도

0 dB 매우 희미하게 들리는 소리

30dB 도서관 속삭이는 소리

40dB 저음으로 대화할 때

50~60dB 일상적인 대화

60dB 정상적인 대화 타자기 또는 재봉틀 소리

90dB 트럭 달리는 소리 기계로 잔디 깎을 때 나는 소리

115dB 자동차 경적 소리 록 콘서트

130dB 제트기 소리

140dB 총소리

나 순음 청력 검사

순음청력계기의 구성

음을 발생시키는 진동기

mdash mdash134

발생된 음을 증폭시키는 증폭기

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감쇄기

이어폰

골전도 진동기

음 차폐기

다 순음청력검사의 임상적 적용

청력장애의 유형 및 정도에 따라 이에 맞는 치료방법 선택

청력장애의 유형 및 정도에 따라 재활 치료 시 타검사소견과 함께 보청기 선택

등의 기초자료 제공

누가현상 검사 및 피로검사 등을 이용한 병변 부위 진단에 보조적인 자료 제공

사청검사 등을 이용한 기능성 난청의 진단에 보조적인 자료 제공

라 청력도

횡축 주파수를 대수척도(logarithm) 좌측 125Hz 우측 8000Hz

종축 강도를 decibel척도(dBHL)로 하여 top -10dBHL bottom 120dBHL

가) 청력장애의 유형판별

(가) 전음성 난청 기도 역치는 나빠도

골도 역치가 정상범위이면서 기도

골도 차가 10sim15 dB 이상일 때

외이 및 중이 질환 의심되고 내이는

정상인 경우

(나) 감각 신경성 난청 기도 역치와

골도 역치가 같은 정도로 나빠진

경우로 기도 골도 차가 없는 경우

내이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mdash mdash135

(다) 혼합성 난청 기도와 골도 역치가 나쁘면

서 기도 골도 차가 10sim15dB 이상일 때

기도와 골도의 청력이 모두 장애가 있으나

기도 청력의 손실이 더 심한 경우

(3) 선천성 감각신경성 난청

유 전 성 비 유 전 성

비증후군성

DFNA DFNB

증후군성

Waardenburg 증후군

Usher 증후군

Pendred 증후군

백피증

조갑이영양증

Jevel 증후군

Trisomy(13151821)

산전감염

바이러스성 (예 모성풍진)

세균성

이독성 약물

기형유발 약물 (thalidomide)

대사이상 (cretinism)

주산기 외상 저산소증

방사능피폭

미숙아

(4) 후천성 감각신경성 난청

유 전 성 비 유 전 성

비증후군성

증후군성

Alport 증후군

Lysosomal storage 병

Kippel-Feil 증후군

Alstrom병

Refsum병

신경섬유종증

Crouzon병

Cockayne 증후군

염증성 질환

세균성 (예 미로염 수막염)

바이러스성 (예 유행성이하선염 미로염)

Spirochetal (예 매독)

이독성 약물

외상 (예 소음 측두골 골절)

노인성 난청

돌발성 난청

Meniere 병

종양 (예 청신경 종양)

기타 대상이상 (갑상선 기능저하)

허혈성질환 (VBI)

신경학적 이상

면역이상 골질환

mdash mdash136

(5) 소음성 난청

음향외상 갑작스러운 폭발음에 노출시 심한 고음성 감각신경성 난청 및 이명이 돌

발적으로 나타남

손상 정도에 따라 수일에서 수개월이 경과하면 회복되기도 하나 심한 손상시 영구적

인 난청을 초래함

안정을 취하며 반복적인 음향외상을 피해야하며 심한 난청시 보청기 등이 도움

음의 압력이 85dB이상의 장소에서 장시간 노출되면 내이 손상을 일으킬 수 있음

난청의 정도는 소음 폭로 시간 소음의 강도 주파수와 연관

청력검사상 초기에는 4000Hz에서의 청력소실인 C5 dip을 나타냄

소음성 난청의 예방

소음방지기를 착용하여 35dB까지 소음을 감소

작업장이나 소음이 심한 기계에 방음시설

소음성 난청의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안정과 재활교육 실시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소음성 작업장에서의 작업시간을 규정

(6) 이독성 약물에 의한 난청

증상 이명이 난청보다 먼저 출현하며 고음역의 난청이 가장 심각한 증상

현훈은 전정계를 침범하는 약제에 의해 발생

발생약물

Aminoglycoside 계열의 항생제 Streptomycin Neomycin Kanamycin

Gentamicin Tobramycin Amikacin 등

중이국소약제(귀에 넣는 약) Chloramphenicol Streptomycin Neomycin

Polymyxin Gentamicin Erythromycin 등

이뇨제 Loop diuretics인 ethacrinic acid와 furosemide 등

기타 Salicylate(aspirin) quinine 항암제 중 nitrogen mustard cisplatinum 등

이독성 약물에 의한 난청의 주의사항

이독성 약제를 사용 시 투여 전에 청력검사 신장검사 전정기능 검사 등을 시행

약물 투여시 청력검사는 주 1회 임상적 검사는 매일 이명은 매일 확인

이독성 약물에 의한 난청은 예방 가능하므로 더욱 주의를 요함

mdash mdash137

(7) 돌발성 난청

정의 순음청력 검사에서 3개 이상의 연속된 주파수에서 30dB이상의 감각신경성

청력 손실이 3일 이내에 발생한 경우

증상 감기 과로한 업무 술 마신 후 등 아침에 일어나 보니 갑자기 한 쪽 귀가 안

들림

간혹 잘 모르다가 전화를 받을 때 한 쪽 귀가 안 들린다는 사실을 발견

갑자기 안 들이는 것과 동반되는 증상으로는 이명 어지럼증 등이 동반될 수 있음

빨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비인후과적 응급질환

원인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바이러스 감염 혈액순환 장애 내이 임파

액병리설

자가 면역장애 자율신경기능 장애 외임파누공 청신경 종양 등

치료 급성기에 절대안정 부신피질호르몬제 (스테로이드) 혈류개선제 (혈액순환

개선제) 대사개선제 (고분자성 수액) 비타민제제 등

예후가 나쁜 경우

청력소실이 심한 경우 (가장 중요)

청력도상 저음보다 고음의 청력 소실이 심한경우

치료 시작 시기가 늦은 경우

어지럼증이 동반

당뇨 고혈압 등 동반 질환

대개 약물요법으로 치료를 하게 되면

30에서는 완전회복

30에서는 부분 회복

30에서 회복이 안 되거나 더 심해지는 경우도 있음

(8) 노인성 난청

노인성 난청의 조건

청력검사상 양측 귀에 대칭적 형태

외상 이독성 약물 귀의 질환 소음에의 노출 귀 수술 등의 과거력이 없고

최소한의 전음성 난청 (10dB 이하)

검사 결과가 신뢰성이 있을 것

mdash mdash138

65세 이상의 연령

가족력이 없을 것

원인 노화현상으로 인하여 내이유모세포의 퇴행성 병변 청신경의 신경세포의 감

소 중추신경세포의 소실

증상 30대에서 시작하여 70대에서 현저

양측 고주파 영역에 경도 혹은 중등도의 청력 감소

어음 명료도의 감소 대게 소리는 들리나 의미를 알아듣지 못하는 증세

방향 감지 능력의 저하

이명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 다른 감각신경성 난청과 같이 약물요법을 시행하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

우며 대게 영구적으로 남게 된다

조기에 보청기를 사용하여 사회적응을 도움

(9) 외상성 귀질환

외이도 골절 하악골에 가해지는 외상에 의해 하악골의 과상돌기(condyle)를 외

이도 내로 밀게 되어 외이도 전벽의 골절 발생

외이도 골절은 측두골 골절의 일부이므로 고막 중이 내이의 골절을 확인해야 한다

골편과 피부를 원래의 자리로 돌려놓고 제자리에 고정시키기 위해 항생제를 도포

한 거즈를 외이도에 유치시킨다

골절이 회복되고 외이도의 내경이 충분히 유지되었을 때 청력검사 시행한다

고막천공

원인 외상 기압변화 이물

치료 손상의 정도를 파악

수술을 고려해야하는 경우 고막후상방에 천공이 있으면서 현훈 안면신경마비

이소골 탈구 동반되거나 중이내 이물이 있는 경우

합병증 이차적인 감염 진주종 전음성 난청 감각신경성 난청 안면신경마비

측두골 골절

mdash mdash139

증상 난청 어지럼증 안면신경마비 뇌척수액 이루 비루 뇌막염

종 골 절 횡 골 절

골절선

빈도

외이도

고막

난청

안면마비

뇌척수액

안진

추체축에 평행

측두골 골절의 80

골절선

천공-고실출혈

전음성 난청

20

이루(otorrhea)

없다

추체축에 직각

측두골 골절의 80

정상

정상 또는 고실출혈

감각신경성 난청 전농

50

비루(rhinorrhea)

반대측

외이도 골절과 고막 천공

원인 외상 기압변화 이물

치료 손상의 정도를 파악

수술을 고려해야하는 경우

고막 후상방에 천공이 있으면서

현훈 안면신경마비 이소골 탈구

동반되거나 중이내 이물이 있는 경우

합병증 이차적인 감염 진주종 전음성 난청 감각신경성 난청 안면신경마비

(10) 청력 장애의 정도

dB HL (ASA 1951)

dB HL (ISO 1964)

표현법 사회적 핸디캡

15 이하 25 이하 정상

16 ~ 29 26 ~ 40 경도난청학교에서 앞 좌석으로 이동 및 구순 구독법(lip reading) 필요

30 ~ 44 41 ~ 55 중등도난청10-15m 이내의 회화음은 청취 학교에서 앞 좌석 이동 보청기 착용 청각 훈련 구순 구독법

45 ~ 59 56 ~ 70 중등고도난청10-15m 에서도 큰소리로 말해야 청취 군중이나 강의실 청취 곤란 특수 교육이 필요

60 ~ 79 71 ~ 90 고도난청30cm 이내에서도 큰 소리로 말해야 들리나 말의 분별이 곤란 특수 교육이 필요

80 이상 91 이상 농 언어 청취가 불가능 농아 교육이 필요

mdash mdash140

청력장애 판정기준(보건복지부)

장애등급 장 애 정 도

2급 두 귀의 청력 손실이 각각 90데시벨 이상인 사람

3급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80데시벨 이상인 사람

4급 1호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70데시벨 이상인 사람

4급 1호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최대의 명료도가 50 퍼센트 이하인 사람

5급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60데시벨 이상인 사람

6급한 귀의 청력손실이 80데시벨 이상 다른 귀의 청력 손실이 40 데시벨

이상인 사람

청각 장해 평가(미국의학협회)

순음 청력계로 각각의 귀를 500 1000 2000 및 3000 Hz에서의 청력 수준을 기록

한다

100dB을 초과하면 100dB로 한다

청력수준이 음의 값(예-5dB)인 경우 0dB로 한다

한쪽 귀 청각 장해() = 15x(편측청력역치-25dB)

양쪽 귀 청각 장해() = [5 x (보다 밝은 귀 청각 장해 ) + (보다 어두운 귀 청각

장해 )]6

양쪽 귀 청각 장해의 전신 장해와의 관계(미국의학협회)

mdash mdash141

3) 안면신경 마비

원인 특발성 안면신경 마비

Bellrsquos palsy

외상성 안면신경 마비

감염

Ramsay-Hunt 증후군

중이염 악성 외이도염

종양

안면신경초종

청신경종

이하선 종양

(1) 외상성 안면신경 마비

의인성 중이 이하선 청신경종양 수술 후 발생

비의인성

측두골외 손상 안면부 외상 또는 총상으로 인한 관통상

측두골내 손상 안면 두부에 대한 교통사고 또는 외상

기타

뇌진탕 중추신경 외상 관통상 안면열상

mdash mdash142

(2) 안면신경마비의 평가(H-B)

(3) 안면신경마비 검사

병변부위검사

누액배출검사 등골반사검사 전기미각검사

타액유량검사 전기신경전도검사

신경흥분성검사(nerve excitability test)

최대자극검사(maximum stimulation test)

신경전도검사(electroneuronography)

근전도검사(electromyography)

안면마비(미국의학협회)

안면 신경 장애와 연관된 감각소실은 일상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으므로 미각

상실은 주요 장해로 간주하지 않는다

mdash mdash143

〈표 13-12〉 제7뇌신경 (얼굴신경) 장해 평가 기

1등급

전신 장해 1~4

2등급

전신 장해 5~19

3등급

전신 장해 20~45

앞혀 미각 완전 상실 또는

가벼운 한쪽 얼굴 쇠약

가벼운 또는 심하지 않은 양

쪽 얼굴 쇠약 또는 심한 한

쪽 얼굴마비 75 이상의

얼굴이 연루되고 눈감기 통

제 안됨

심한 양쪽 얼굴마비 75

이상의 얼굴이 연루되고 눈

감기 통제 안됨

4) 어지러움의 종류와 원인 증상

어지럼증의 성질

회전성 어지러움증(Vertigo)

비회전성 어지러움증

부동감

안전 암흑감 가성 어지러움증

평형장애 보행장애등

말초전정기관 및 전정신경질환 회전성

중추전정질환 비회전성 부동감 안전암흑감 또는 평형장애

어지럼증의 발작양상과 경과

자발성 발작성

단발발작 돌발성 난청

전정신경염

뇌혈관 부전증

반복발작 메니에르병

유발성 발작성 양성 발작성 체위변환성 현기증

지속성 중추전정장애

진행성 중추전정장애

mdash mdash144

원인 인자로서의 과거병력

두경부외상

소음폭로병력

이독성항생제 사용여부 특히 SM KM GM

만성중이염 특히 진주종성 중이염 병력

심장질환여부

고혈압 저혈압 각종 빈혈 여부

동요병(멀미)

생리주기와 현기증의 상관관계

문진에 의한 감별진단

말초성 어지러움증 중추성 어지러움증

회전성인 경우가 많다

난청 이명 등을 수반

뇌신경 증상수반(-)

체위 두위에 따라 어지러움증이 변동된다

어지러움증 감각이 오심구토와 비례한다

수일에서 십수일내에 보상되는 것이 많다

의식장애를 수반하지 않는다

자율신경증상은 어지러움의 강도에 비례한다

보행 평형장애(-)

회전성도 있으나 비회전성이 많다

난청 이명등을 수반하지 않는다

뇌신경 증상을 동반한다

체위 두위에 따라 어지러움증이 변동되지 않는다

어지러움증감각이 오심구토와 비례하지 않는다

지속적이며 잘 보상되지 않는다

의식장애를 수반하는 수가 있다

일치하지 않는다

보행 평형장애(+)~(++)

전정기능검사

자세의 불안정을 보는 검사

지시검사(past-pointing)

직립반사검사

Tandem walking

mdash mdash145

안구운동의 이상을 보는 검사

자발안진

주시성 안진

두위안진

두위변환안진

Head-shaking nystagmus

Head-thrust test

Dollrsquos eye test

직립반사검사

Romberg 검사

Mann 검사

단각직립검사

회전성 어지러움증이 급성 발작적으로 나타난 후 지속되는 경우

(acute prolonged attack of vertigo)

mdash mdash146

회전성 어지러움증이 재발성으로 나타나는 경우

(recurrent spontaneous attack of vertigo)

두위변환성 어지러움증이 재발성으로 나타나는 경우

(recurrent episode of positional vertigo)

mdash mdash147

어지러움 평형장애의 시기별 치료방침

어지러움증 발작기(급성기)

병태설명 안정 diazepam 7 NaHCO3 atropine antihistamine corticosteroid

간헐기(만성기)

혈관확장제 순환개선제 대사부활제 진정제 정신신경안정제

내림프수종 탈수이뇨제(glycerol isosorbide urea)

부신피질 호르몬제

국소전신요인의 치료 혈압의 관리 경추증치료 뇌혈관장애 뇌종양의 수술요법

내이누공의 수술 치아의 치료 자율신경조정약

어지러움 발잘의 재발예방책

생활지도 스트레스 대책 자율신경 혈압조절제 혈관확장 순환의 개선

수술요법 내림프낭 감압술 내이누공 PLF폐쇄 뇌종양 뇌혈관장애의 수술

비가역적 장애에 대한 대책

중추성 보상 평형기능훈련 보청기 보청기의 정비 추적관찰(2주~1개월간격)

전정기능장애 장애판정

현기증 수평면에서 본인이 회전하는 느낌 또는 본인에 대해 사물이 회전하는 느낌

어지럼 또는 몽롱함 움직이는 느낌이 없다는 점에서 현기증과 구분된다

전정기능장애는 현기증이 있으면 확진할 수 있고 몽롱함이나 보행 이상은 전정기능

장애로 보지 않는다

전정 질환은 역동적이기 때문에 영구 장해 평가는 환자의 질환이 안정 상태에 도달

한 후에 실시해야 한다

mdash mdash148

평형장애 판정기준(미국의학협회)

〈표 11-4〉 전정 질활으로 인한 신체 장해 평가 기준

1등급 전신 장해

0

2등급 전신 장해

1~10

3등급 전신 장해

11~30

4등급 전신 장해

31~60

5등급 전신 장해

61`95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은

없음

도움을 받지

않고 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복잡한 활동(예

자전거 타기)

또는 엄격한

주의가요구되는

특정 업무

활동(예 대들보

또는 비계위를

걷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없이 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단순한

활동(자신을

돌보는 일 집안

일 보행 다른

사람이 운전하는

자동차에 타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외에는 도움이

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중

보행을 요하지

않는 행위를

제외하고

도움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집안에 머물러

있어야만 함

후각 및 미각장애

후각 장애의 원인

폐쇄성 비부비동 질환

상기도 감염

두부외상

노령

내분비대사 이상 당뇨

신경퇴행성 질환 Alzheimer Parkinson

종양 후각신경아세포종

의인성 원인 후두전적출술

정신질환

mdash mdash149

미각장애의 원인

전도성 장애

구내건조증

감각신경성 장애

약물 항류마티즘약제 항암제

외상 측두골골절 중이수술시 고삭신경손상

대상상 장애 당뇨병 갑상선기능저하증

감염 대상포진

영양실조 비타민 B 아연 결핍

악성종양 수술 방사선치료

검사 항목

병력

이학적검사

영상진단

후각기능검사

역치검사 CCCRC test TampT olfactometer

인지검사 CCCRC test UPSIT

미각기능검사

미각 감지역치검사

미각 역치상검사

전기미각검사

후각 및 미각 장애(AMA)

후각과 미각의 완전 소실이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그러므로 말초 환부에서 기인한 후각 또는 미각의 부분 또는 완전 소실은 전신 장해

1~5 범위의 등급 부여를 권장한다 그리고 나서 이를 환자의 다른 장해와 병합하여

야 한다

mdash mdash150

안면 손상

안면부 열상 구강내 열상 치아 손상

안면부 골절(비골 안와 협부 하악 상악)

원인 교통사고 추락사고 스포츠 사고 폭력사고 작업중 사고 등

범위 치아 안면골 연부 조직(피부 치은) 안구 타액선안면 신경

안면손상 검사 항목

이학적 검사

PNS x-ray

구강 비강 내시경 검사

안면 사진

PNS CT

안면부외상시 처치

생명구조

기도확보

혀를 잡아당긴다

혈액이나 점액질 토사물을 제거한다

체위 환자의 자세는 의식이 없는 경우는 머리를 한쪽으로 돌린 엎드린 자세가

좋고 의식이 있는 경우는 앉은 자세가 좋다

기관내 삽관이나 기관절개술을 신속히 시행한다

연관 손상부위 확인 대뇌 손상 경부 골절 흉부

복강내 손상( 간 장)

기능 회복

변형의 최소화

mdash mdash151

안면손상 판정(미국의학협회)

〈표 11-5〉 얼굴 질환 는 변형으로 인한 장해 평가 기

1등급 전신 장해 0~5

2등급 전신 장해 6~10

3등급 전신 장해 11~15

4등급 전신 장해 16~50

눈에 띄는 흉터 또는 비정상 색소침착 등과 같이 피부 구조 장애에 한정된 얼굴이상 또는 가벼운 한쪽 또는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외모에 영향을 주는 코의 변형

피부 장애(예 함몰된 뺨 비골 또는 전두골)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은 얼굴 장애로서 얼굴 일부의 지지 구조의 상실을 초래한 경우

눈 또는 코의 일부 상실 등과 같이 얼굴의 해부학적 부분 또는 부위의 결여 때문에 발생한 얼굴 이상으로서 얼굴 변형을 초래한 경우 또는 심한 한쪽 전체 얼굴마비 또는 가벼운 양쪽 전체 얼굴 마비

얼굴 해부학적 구조의 극심한 또는 완전한 변형으로서 변형 정도가 극심해서 사회 적응이 불가능할 정도인 경우 또는 심한 양쪽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코의 주요 부위 또는 전체 상실

음성 언어 장애

후두의 기능

기도 보호

호흡

발성

연하기능

언어장애의 원인

신체발달지체

청각장애

지적능력의 지체

조음기관의 장애

언어장애의 분류

조음장애

발음이 부정확한 것

청력손실 입술이나 구개의 파열 소대의 이상 신경 운동장애로 인한 마비성 조음장애

실행증 등의 문제로 나타날 수 있는 기질적 조음장애

mdash mdash152

신체적 구조상의 이상이 없더라도 연령 지능 성격 사회경제적 위치 문화적 영향

학업 성취도 습관 등에 따라 자신의 독특한 패턴으로 나타날 수 있는 기능적인 조음장애

유창성장애

말더듬

음이나 음절 또는 조음 포즈 등의 반복이나 연장 혹은 투쟁행동 등으로 구어의 흐름

이 비정상적으로 방해를 받을 때 말더듬이 발생

언어장애의 분류

음성장애

후두 특히 성대의 이상으로 인한 성대 혹이나 성대 결절 성대부종 스트레스 등으로

목소리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작은 소리(강도장애)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소리(음도장애)

목 쉰 소리 숨찬 소리 거친 소리 과비성(음질장애)

목소리의 강도나 음도에 의도적으로 변화를 주지 못하는 경우

기호장애(언어장애)

언어종속행동 즉 말하기 이해하기 읽기 쓰기 등에 문제

언어발달 지체 교통사고나 중풍으로 인한 대뇌손상이나 신경계 이상으로 인한 실어

증이나 구어실행증 지능이 낮은 결과로 인한 언어지체

음성재활(인공후두)

mdash mdash153

음성재활(식도발성)

검사 항목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Aerodynamic study

Electroglottography

음성언어치료사의 평가

MRI CT

객관적 검사

유창성 장애(말더듬) 말더듬 심도 검사

조음장애 그림자음검사 3위치 조음검사 한국어 발음검사

언어능력

20세 이상의 성인 보스톤 이름대기검사 K-WAB 검사

아동 그림어휘력검사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 영

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 문장이해력검사 언어이해인지력검사 언어문제해결력 검

사 한국-노스웨슨턴 구문선별검사

판정 기준(미국의학협회)

음성은 후두의 성대 주름의 진동으로 발생된 가청 범위 내의 소리를 말한다 가성대

주름 또는 식도는 제외한다

음성장애의 원인을 따지지 않고 비정상 음량 비정상 조절 비정상 음질 등의 분명한

증상을 평가 한다

평가 항목

가청도(可聽度) 들을수 있을 만큼 큰 소리로 말할 수 있는 능력

가해성(可解性) 분명히 발음하고 어음의 음성 단위를 정확하게 연결하여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드는 능력

기능적 효율성 충분히 빠른 속도로 말하며 일정 시간 그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

mdash mdash154

음성 언어장애 판정기준(가청도)

〈표 11-8〉 음성언어 장해 분류

1등급0~14

2등급15~34

3등급35~59

4등급60~84

5등급 85~100

일상 회화의 대부분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이를 위해 간혹 노력해야 하고 때로 개인의 능력에 부치는 일일 수도 있다

일상 회화의 많은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으며 평균적인 환경에서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승용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잘 들을 수 없다

일상 회화의 특정 필요 즉 인접한 상대와의 대화가 가능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나 목소리가 쉬 피로해지고 수초가 지나면 잘 들리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떨어지거나 승용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과 같은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일상 회화의 한정된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나 가까이서 주의를 기울여야 겨우 들을 수 있으며 또한 귀에 들릴 정도로 속삭일 수 있으나 크게 말할 수는 없다

일상 회화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전혀 낼 수 없다

음성 언어장애 판정기준(가해성)

〈표 11-8〉 음성언어 장해 분류

1등급0~14

2등급15~34

3등급35~59

4등급60~84

5등급 85~100

일상 회화에 필요

한 대부분의 조음

행위를 할 수 있

그러나 간혹 다시

한번 말해 줄것을

요청 받거나 어떤

발성 단위는 발음

하기 어려워하거

나 불가능하다

일상 회회에 필요

한 많은 조음 행

위를 할 수 있으

며 타인이 이를

알아 들을 수 있

그러나 많은 오류

가 있으며 간혹

조음이 어려울 경

우가 있다

일상 회화에 필요

한 일부 조음 행

위를 할 수 있으

며 가족 및 친구

들과 대화할 수

있으나 타인은 말

소리를 알아 듣기

어려워하며 자주

다시 한번 말해달

라는 요청을 받는

일상 회화에 필요

한 제한된 조음

행위를 할 수 있

으며 일부의 발성

단위를 발음할 수

있다

자기 가족의 이름

등 몇 단어는 비

슷하게 발음하나

관련 없는 단어를

발음하면 알아들

을 수 없다

일상 회화에 필요

한 조음 행위를

전혀 할 수 없다

mdash mdash155

음성 언어장애 판정기준(기능적 효율성)

〈표 11-8〉 음성언어 장해 분류

1등급0~14

2등급15~34

3등급35~59

4등급60~84

5등급85~100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대부분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해 낼 수 있으나 가끔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많은 요구를 충족 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가끔 어려움을 겪으며 때때로 끊어지거나 중단되고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일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지속적으로 말할 수 있으며 상대방에게 쉬 피곤해 한다는 인상을 준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제한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한 단어 또는 짧은 구절) 말이 자주 끊기고 아주 힘들어한다 속도가 대단히 느리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는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요구를 전혀 충족시킬 수 없다

저작 및 연하기능 장애

구강 및 구인두의 해부

음식물의 섭취작용

저작 하악의 운동과 치아의 작용과 아울러 볼 혀 구순의 협동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소화 타액에 있는 전분소화효소가 녹말을 분해한다

연하의 작용

구강 준비기

구강기

인두기

식도기

저작 및 연하기능의 손실

구강암 인두암 후두암 식도암 등의 치료후

구강 인두 후두 식도 등의 신경마비

전치의 상실

턱뼈의 골절로 인한 부정교합

혀 13 이상의 부분 상실

mdash mdash156

검사 항목

인두식도조영술

Videofluoroscopy

치과적 검사

Fiberoptic endoscopic swallowing

저작 및 연하 장애(미국의학협회)

저작 및 연하기능의 평가는 식사 능력이 안정적이고 최대한의 재활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실시해야 한다

〈표 11-7〉 식사 제한과 구 장해의 계

제한 종류 전신 장해율

식사는 반고형 또는 부드러운 음식에 한정한다

식사는 유동식만 허용한다

튜브 또는 위루 설치를 통해 음식을 섭취한다

5~19

20~39

40~60

상부 호흡기 손상 및 호흡 장애

Anatomy

Trachea

16-20 complete cartilage rings of hyaline cartilage from cricoid to

carina(9-12cm)

Tracheal wall

Mucous layer pseudostriated ciliated columner epithelium

Submucous layer

mucous and serous gland

Fibrous and muscular layer

vessels nerves lymphatics

mdash mdash157

상부 호흡기 호흡곤란

완전폐쇄

외상성 혹은 iatrogenic 완전후두협착으로 평생동안 영구기관절개술 혹은 영구기관

개방술을 받은 경우

심한 음식물 흡인으로 인하여 후두 혹은 기관분리 수술을 받은 경우

불완전폐쇄

성문하부협착 기도 협착으로 인하여 기관절개술을 받은 상태이며 T-tube

tracheal cannula의 삽관 상태이면서 tube을 막으면 호흡은 상당히 곤란하나 음성은

정상에 가까게 낼 수 있는 경우

양측 성대마비 혹은 양측 성대고정으로 인하여 상당한 호흡곤란이 있으나 기관절개

술은 필요치 않고 목소리도 비교적 양호한 상태 등

검사 항목

이학적 검사

내시경 검사

경부 방사선 검사

Neck CT or MRI

Chest Pleomorphic adenoma

Pulmonary function test

Rhinomanometry

Bronchoscopy

Acoustic rhinometry

mdash mdash158

호흡 장애(미국의학협회)

〈표 11-6〉 공기 통로 결함으로 인한 신체 장해 평가 기

1등급 전신 장해 0~10

2등급 전신 장해 11~29

3등급 전신 장해 30~49

4등급 전신 장해 50~89

5등급 전신 장해 90+

안정시 호흡곤란

없음 및

보행 계단 오르

기 또는 일상 활

동 중 호흡곤란

없음 및

스트레스 지속적

인 힘든 운동 급

히 서두름 언덕

오르기 오락 또

는 이와 유사한

기타 활동으로서

집중적인 노력을

요하는 행위 및

검사 결과 구강인

두 후두인두 후

두 상부기관(제4

연골고리까지)

하부기관 기관지

등의 부분 폐쇄

또는 코 또는 비

인강의 완전(양

쪽) 폐쇄

안정시 호흡곤란

없음 및 평탄한

길 보행시 계단

한번 오르기(층과

층을 연결하는 계

단) 기타 일상

활동 수행시 호흡

곤란 없음 그러나

스트레스 지속적

인 힘든 운동 급

히 서두름 언덕

오르기 오락 또

는 이와 유사한

기타 활동(앉아서

하는 활동 제외)

시 호흡곤란 있음

및 검사 결과 구

강인두 후두인

두 후두 상부기

관(제4 연골고리

까지) 하부기관

기관지 등의 부분

폐쇄 또는 코 또

는 비인강의 완전

(양쪽) 폐쇄

안정시 호흡곤란

없음 및 한 구획

이상 걷기 평상

시 계단 한번 오

르기(층과 층을

연결하는 계단)

또는 기타 일상

활동 등을 하면

호흡곤란 발생 및

스트레스 지속족

인 힘든 운동 급

히 서두름 언덕

오르기 오락 또

는 이와 유사한

기타 활동시 호흡

곤란 있음 및 검

사 결과 구강인

두 후두인두 후

두 상부기관(제4

연골고리까지)

하부기관 또는 기

관지의 부분 폐쇄

안정시 호흡곤란

있음 반드시 환

자가 침대에 누워

지내는 경우만 해

당되는 것은 아님

및 일상 활동을

하면 호흡곤란 악

화됨(손을 씻는

일 옷 입기 또는

빗질하기 등 자기

몸을 돌보는 일

이상의 것) 및 검

사 결과 구강인

두 후두인두 후

두 상부기관(제4

연골고리까지)

하부기관 및또는

기관지의 부분 폐

안정시 심한 호흡

곤란 있음 자발

호흡 충분하지 못

함 및 호흡 환기

요함 및 검사 결

과 구강인두 후

두인두 후두 상

부기관(제4 연골

고리까지) 하부

기관 및또는 기

관지의 부분 폐쇄

mdash mdash159

3 맥브라이드 장해평가기준Mc Bride식 노동능력상실평가11)

순 서

Ⅰ 자동차보험의 특성

Ⅱ 자동차보험 약관

Ⅲ 자동차보험 통계

Ⅳ Mc bride 노동능력상실 평가

Ⅰ 자동차보험의 특성

1 보험이란

동질의 우발적인 위험하에 있는 다수인이 위험단체를 구성하고 그 단체의

구성원이 일정한 기금 (=보험료 )을 갹출 기금을 형성하여 우연한 사고

(=보험사고)를 당한 구성원에게 재산적 급여(보험금)를 함으로써 경제적 불안을

제거하고자하는 제도임

2 보험의 분류(상법상)

손해보험 ndash 우연한 사고(보험사고)로 인하여 생긴 피보험자의 재산상의 손해를

보상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보험으로 이득금지의 원칙 등이 적용되며 상법상

화재 운송 해상 책임 자동차보험이 있음

인보험 ndash 사람의 생명 신체에 관하여 보험사고가 생길 경우 일정한 금액

(=보험금액) 을 지급하기로 하는 보험으로 상법상 생명보험과 상해보험이 있음

11) 교보자동차보험 의료팀장 이수재

mdash mdash160

Ⅱ 자동차보험 ( 약관 )

1 자동차보험의 구성

대인배상Ⅰ 대인배상Ⅱ 대물배상 자기신체사고 ( 자동차상해 또는 plus보험)

자기차량손해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등의 담보종목과 특별약관으로 구성됨

2 담보종목별 보상내용

자동차사고로 인한 타인의 피해를 보상하는 담보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의 재물을 파손하는 경우에 보상대물배상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그손해가

대인배상Ⅰ에서 지급하는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 그 초과손해 를 보상

-대인배상Ⅰ로 지급되는 금액 또는 대인배상Ⅰ미가입시 대인배상 Ⅰ

으로 지급될 수 있는 금액을 공제후 보상

대인배상Ⅱ

-자동차소유자에게는 강제되어있는 보험으로 책임보험이라고도 함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자동차

손해배상보장법(=자배법)에서 정한 한도 내에서 보상

-현행 한도(2005222부터) 사망부상장해 = 1억원 2000만원 1억원

대인배상Ⅰ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의 재물을 파손하는 경우에 보상대물배상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그손해가

대인배상Ⅰ에서 지급하는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 그 초과손해 를 보상

-대인배상Ⅰ로 지급되는 금액 또는 대인배상Ⅰ미가입시 대인배상 Ⅰ

으로 지급될 수 있는 금액을 공제후 보상

대인배상Ⅱ

-자동차소유자에게는 강제되어있는 보험으로 책임보험이라고도 함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자동차

손해배상보장법(=자배법)에서 정한 한도 내에서 보상

-현행 한도(2005222부터) 사망부상장해 = 1억원 2000만원 1억원

대인배상Ⅰ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자동차사고로 인한 피보험자등의 피해 를 보상하는 담보

무보험자동차에 의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자동차사고로 피보험자동차에 생긴 손해액 보상자기차량손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高보장상품 )

-대인배상보험처럼 적용하나 한도가 있음

자동차상해

또는 Plus보험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자배법에 의한 등급을 적용하며 한도가 있음

자기신체사고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무보험자동차에 의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자동차사고로 피보험자동차에 생긴 손해액 보상자기차량손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高보장상품 )

-대인배상보험처럼 적용하나 한도가 있음

자동차상해

또는 Plus보험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자배법에 의한 등급을 적용하며 한도가 있음

자기신체사고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mdash mdash161

3 보험금 지급기준 (사람이 죽거나 다친 경우)

대인배상 자동차상해 또는 plus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적극손해(구조수색비 치료관계비) 위자료 휴업손해 기타손해배상금

치료관계비 의사의 진단기간내에서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

휴업손해 1일수입감소액 X 휴업일수 x 80

기타손해배상금입원 11580월(식대공제)통원 5000원(실통원일수)

대인배상Ⅰ 자배법 상해급별 한도액 (1급 2000만원~14급 80만원)

부 상

장례비 위자료 상실수익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액-생활비)x 취업가능월수(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1억원 한도 (최저 2000만원)

사 망

지 급 기 준분 류

적극손해(구조수색비 치료관계비) 위자료 휴업손해 기타손해배상금

치료관계비 의사의 진단기간내에서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

휴업손해 1일수입감소액 X 휴업일수 x 80

기타손해배상금입원 11580월(식대공제)통원 5000원(실통원일수)

대인배상Ⅰ 자배법 상해급별 한도액 (1급 2000만원~14급 80만원)

부 상

장례비 위자료 상실수익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액-생활비)x 취업가능월수(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1억원 한도 (최저 2000만원)

사 망

지 급 기 준분 류

대인배상 자동차상해 또는 plus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위자료 상실수익액 가정간호비

위자료 부상위자료와 중복시 양자 중 많은 금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x 노동능력상실률 x 취업가능월수

(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자배법 장해급별 한도금액내 (1급 1억원~14급 630만원)

가정간호100노동능력상실식물인간과 척수마비환자 퇴원후 매월지급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위자료 상실수익액 가정간호비

위자료 부상위자료와 중복시 양자 중 많은 금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x 노동능력상실률 x 취업가능월수

(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자배법 장해급별 한도금액내 (1급 1억원~14급 630만원)

가정간호100노동능력상실식물인간과 척수마비환자 퇴원후 매월지급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자기신체사고

보험가입금액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사 망

보험가입금액 한도 (1급 1500만원~14급 20만원)

자배법시행령 별표1에서 정한 상해구분에 의함

의료수가는 건교부고시에 의함

부 상

보험가입금액 한도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자배법시행령 별표2에서 정한 후유장해구분에 의함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보험가입금액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사 망

보험가입금액 한도 (1급 1500만원~14급 20만원)

자배법시행령 별표1에서 정한 상해구분에 의함

의료수가는 건교부고시에 의함

부 상

보험가입금액 한도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자배법시행령 별표2에서 정한 후유장해구분에 의함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mdash mdash162

Ⅲ 자동차보험 통계

1 담보종목별 지급보험금 (FY 2004)

100425079222320074174849지급보험금

구성비

528242018945341958117424910952052203402561215지급보험금

43099338924712450140556316522191099211040533인원건

합계기타무보차량대물자손대인

100425079222320074174849지급보험금

구성비

528242018945341958117424910952052203402561215지급보험금

43099338924712450140556316522191099211040533인원건

합계기타무보차량대물자손대인

2 담보종목별 지급보험금 구성비 (FY 2004)

48

4

21

22

1 4

대인

자손

대물

차량

무보

기타

3 상해급별 지급보험금 (FY 2004)

8652215071996 1036564소 계

4991277041953 9915588급이하

1002561215100 1040504합 계

12131113229 304604-7급

24562689814 145461-3급부 상

135 346144043940사 망

구성비보험금구성비인원

8652215071996 1036564소 계

4991277041953 9915588급이하

1002561215100 1040504합 계

12131113229 304604-7급

24562689814 145461-3급부 상

135 346144043940사 망

구성비보험금구성비인원

mdash mdash163

4 상해급별 인원 (FY 2004)

1 3

96

0

사망

1-3급

4-7급

8급이하

5 상해급별 지급보험금 구성비 (FY 2004)

245

121

499

135

사망

1-3급

4-7급

8급이하

mdash mdash164

6 부상 지급보험금 (FY 2004)

2215071860460468914809369지급금액

계기 타후유장해치료비

2215071860460468914809369지급금액

계기 타후유장해치료비

365

212

423치료비

후유장해

기 타

Ⅳ Mc bride 노동능력상실 평가

용어정의

WHO 국제장해분류

질환은 신체장해 능력감퇴(저하) 사회적불이익 등의 순으로 확대

신체장해 (Physical impairment)

심리학적 및 생리학적 또는 해부학적 구조나 기능의 결손(loss)이나 이상을

말함

신체장해에는 일시적장해와 영구적장해의 두 가지가 있음

신체장해율 신체장해 정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

능력감퇴 (disability)

사람으로서 활동하는 능력에 제한이나 결손이 있는 것

개인적 숙련도 교육 직업적 경력 적응능력 연령 주위의 요구와 수정(AMA)

불이익 (handicap)

신체장해나 능력감퇴의 결과로 발생하는 개인의 불이익

mdash mdash165

나이 성별 사회문화적 견지에서 정상적 활동을 하는데 제한을 받거나 방해를

받는 것

노동능력상실률

손해배상 입장에서 본 능력감퇴

1 Mc bride 평가기준

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 정형외과 교수 Earl D Mc bride가 1936년 저술한

compensible injuries에 대해 ldquo노동능력상실평가와 치료원칙 (Disability

evaluation and principles of treatment of compensible injuries)이라는 책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제6판(1963년) 사용

2 자동차보험의 Mc bride 기준 적용

198698 개정된 자동차종합보험약관에서 채택

약관에서는 Mc bride 원서 279개 직종 중 1개인 일반근로자(common labor)

옥내 옥외 노동력상실률만 적용

현재 약관은 책임보험(대인Ⅰ)과 종합보험(대인Ⅱ) 모두에 적용

적용배경 소송시 McBride 노동능력상실률로 적용해 당시 적용약관(자동차손

해배상보장법시행령 별표2)과의 gap이 컸기 때문

소송시에는 Mc bride 노동능력상실률 원본에 충실 적용

3 평가방법

1) 국소장해율(specific part) 전신장해율(body as a whole)의 구분

국소장해율 사지의 비교적 큰 부위(예 상지나 하지)의 장해율을 100로

해서 그보다 작은 부위(예 손이나 발)의 장해율(표준부위표시)

mdash mdash166

전신장해율 전신기능(전신 100)에 대한 해당 부위의 장해율

Mc bride 책 중 Table 14의 윗단에 有

2) 노동능력상실율의 판정절차

- Table 15 에서

피해자의 직업 및 직업장해계수 확인 해당 직업란에서 신체장해 부위별

손상변수 (1-9)확인

- Table 14에서

해당 신체장해란에서 확인된 손상변수에 합치되는 노동능력상실률 확인

- 잘 쓰지 않는 손은 10 감산

3) 복수장해의 평가방법

A B 의 복합장해율 = A + B (1-A)

예 A=79 B=67가 복합된 경우의 장해율은

79 + 67 x (100-79) = 93

4) 연령별 노동능력상실률

McBride 책에 의하면 노동능력상실률이 1년에 05~1씩

기준연령인 30세 이하면 감소하고 30세 이상 60세까지는 증가

4 장 점

1) 세밀한 신체장해 평가가능

- 직업별 신체장해부위별 노동능력상실률()

- 국내법은 대부분 14등급으로만 분류되어 있으나 279개 직종별 14개의

신체부위에 따라 직업장해계수가 달라지면서 노동능력상실률이 표시됨

2) 운동범위 및 각도측정의 합리성

예) 슬관절의 경우

완전신전(180도)~90도까지 굴곡시 일반근로자 옥외 10

mdash mdash167

완전신전 ndash20도(160도) ~90도까지 굴곡시 ldquo 27

cf 국내법등은 관절운동범위를 단순 ROM을 측정해 14(장해가 남은 것) 12

(뚜렷한 장해가 남은 것) 34(제대로 못쓰게 된 것) 이상을 상실한 경우로

적용하고 있음

3) 복합장해 평가방법의 합리성

여러 개의 신체장해가 병합되어도 그 합이 100를 초과하지 않음

병합공식 A + B(100-A) --gt 신체장해가 3개면 먼저 2개의

병합치를 구한 후 그 병합치와 나머지 장해와의 병합치를 공식에 적용 도출

4) 잘 쓰는 손(팔)과 잘 안 쓰는 손(팔)의 구분평가 가능

McBride Table 14의 말초신경항목을 보면 잘 쓰는 손(팔)과 잘 안 쓰는 손(팔)

에 대한 노동능력상실율이 10가 적음

예) 잘 쓰는 팔의 신체장해율(전신)은 50 잘 쓰지 않는 팔의 장해율은

50-5= 45

5) 연령보정의 가능

30세 전과후의 05~1 노동능력상실률 가감

5 단 점

1) 일부 신체장해율의 부적절성(Table 14)

① 절단 - 견관절절단 85 견관절과 주관절사이 50

- 양측 견관절과 주관절사이 절단 50+50(100-50)=75

② 관절강직

- 장해정도가 가벼운 쪽이 무거운 쪽보다 더 많은 경우가 종종 있음

③ 다축관절의 평가문제

- 고관절 견관절 등의 다축관절의 경우 각축의 장해율 총합산이 관절절단이나

완전강직보다 장해율이 높음

mdash mdash168

④ 골절 후 변형문제

- 가용성변형 변형 중에는 장해로 볼 수 없는 가용성변형도

노동능력상실이 있는 것으로 표기 -- 상완골 15도 대퇴골 20도 등

- 단축변형 특별한 장해가 없는 경골1cm 상완골 2cm 등

- 불유합장해 상완골 불유합 74는 절단 65보다 높음

2) 직종의 편중

Table 15에 있는 직업은 거의 전부가 노무직이며 사무직 기술직이 별로 없음

3) 신체장해의 분야별 편중

McBride가 정형외과 의사였으므로 정형외과 영역은 자세하나 기타분야는 너무

간단

- 말초신경 완전마비 불완전마비로만 언급 등

4) 일시적 장해와 영구적 장해의 혼재

치료 가능한 기관지염 탈장 위궤양 골절 등도 영구적 장해로 오인

5) 시행세칙이 없음

- 평가자의 판단이 절대적

- 하나의 신체장해로부터 파생된 두개이상의 장해에 대한 평가규정 등이 없음

6) 의학수준의 발달

- 용어의 차이 외측 슬와지ext popliteal peronialn---gt 총비골신경

common peronialn 등

- 검사방법 발달 청력 사람말소리에 따른 feet---gt 청력계 ASO ISO측정법

mdash mdash169

6 문제점

1) 전문과별전문의별 병원별지역별로 평가결과가 다르다

2) 직업장해계수 결정을 위한 신체부위의 한계가 명확하지 않다

- Table 15 -

5

5

4

엄지손가락

5

5

5

5

5

5

아래팔

5

5

6

위팔

5

5

3

3

3

3

옥외

옥내

부위

직업

일반

탄광

3

5

6

복부및흉부

5

5

7

척추및골반

6

5

6

머리

3

3

3

신경계통및심장

발다리

둔부무릎넓적다리

손가락

6664

5554

7774노무자

5

5

4

엄지손가락

5

5

5

5

5

5

아래팔

5

5

6

위팔

5

5

3

3

3

3

옥외

옥내

부위

직업

일반

탄광

3

5

6

복부및흉부

5

5

7

척추및골반

6

5

6

머리

3

3

3

신경계통및심장

발다리

둔부무릎넓적다리

손가락

6664

5554

7774노무자

7 종합평가표

- Table 14 -

비뇨생식기계의 손상과 질병

직장

여성생식기

복부

관절염

두부뇌척수관절강직

흉곽의손상과 질병절단

결핵

시력장해말초신경

귀척주손상

안면골절

비뇨생식기계의 손상과 질병

직장

여성생식기

복부

관절염

두부뇌척수관절강직

흉곽의손상과 질병절단

결핵

시력장해말초신경

귀척주손상

안면골절

mdash mdash170

4 생명middot손해보험 장해분류표 개정내용(rsquo054월)1)

Ⅰ 추진배경

피보험자에게 보험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장해등급 적용의 곤란 등으로 분쟁이 지

속적으로 발생

동일한 장해에 대해 생손보사간 상이한 등급 적용으로 계약자 혼란 야기

장해등급분류 해설내용도 대부분 의학전문 용어 등을 사용작성되어 일반인이

이해하기 매우 어려운 실정

rArr 장해등급 적용과 관련된 분쟁 예방 보험소비자의 권익확대 및 전문 의학

및 보험용어의 순화를 통한 보험소비자의 이해 도모

Ⅱ 주요 개선내용

장해지급률에 의한 보험금 산정방식 도입

신체부위의 장해 및 손실정도에 따라 보험금이 합리적으로 차등지급될 수

있도록 장해율(3~100)에 의한 보험금 산정방식 도입

1급sim제6급 rarr 신체 부위별 장해 정도에 따라 3sim100

장해분류 세분화

신체 부위별 지급율 체계로 개선세분화

생명보험 6등급 71개 항목 rarr 13개 신체부위 87개 항목

장기손해보험 11개 신체부위 rarr 13개 신체부위 87개 항목

한시장해 인정 등 장해인정범위 확대

한시장해에 대해서도 보상

- 영구장해와의 형평성을 고려 영구장해율의 일정부분(20)을 인정하여 지급

1) 삼성생명 보험심사 김진구과장

mdash mdash171

장해평가 방법의 다양화

운동범위(기능) 측정에 의한 장해평가 방법 이외에도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평가 방법을 반영한 다양한 장해평가 방법을 인정

- 척추의 기능장해 손실모형에 의한 장해판정 인정

- 팔다리장해 근력 검사(근력약화 여부 측정)결과 인정

- 치매 일상적인 기본동작 제한이외 기억력 판단 및 문제해결 사회활동

능력 등을 감안 종합평가

개호가 필요한 기본동작제한에 대한 개념 명확화

일상생활의 기본동작에 대하여 중요도별로 가중치 부여하고 구체적으로 설명

- 이동동작 40 음식물 섭취 및 배변배뇨 각각 20 옷 입고 벗기

및 목욕 각각 10

팔다리 손발가락의 장해평가 방법 개선

가관절이 남아 장해를 남긴 때나 뼈에 기형을 남긴 경우 장해율을 부여

팔다리의 기능장해 및 손가락발가락의 기능 결손장해의 경우 장해 정

도에 따른 장해율을 설정한 후 장해율을 합산하여 전체 장해율을 결정

- 3대 관절중 1관절 장해의 경우 10 2관절 장해의 경우 20 3관절 장

해의 경우 30의 장해율 인정

용어의 순화

계약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의학용어 및 보험용어를 쉬운 용어로 대체 또는

병기

- 강직(관절굳음) 반흔(흉터) 등

mdash mdash172

(참고자료)

1 장해등급분류표 대비표

현 행 개 선 (안)

제1급(9개 항목)

두 눈의 시력을 완전 영구히 잃었을 때 등

1 눈의 장해(10개 항목)

두 눈이 멀었을 때 등

제2급(6개 항목)

중추신경계 또는 정신에 뚜렷한 장해를 남겨서 평생토록 수시 간호를 받아야 할 때 등

2 귀의 장해(6개 항목)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등

제3급(10개 항목)

한 눈의 시력을 영구히 잃었을 때 등

3 코의 장해(1개 항목)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제4급(16개 항목)

두 눈의 시력에 각각 뚜렷한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 등

4 씹어먹거나 말하는 장해(9개 항목)

씹어먹는 기능과 말하는 기능 모두에 심한 장해가 남았을 때 등

제5급(16개 항목)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상실한 때 등

5 외모의 추상(추한모습)장해(2개 항목)

외모에 뚜렷한 추상(추한모습)을 남긴 때 등

제6급(14개 항목)

한 눈의 시력에 뚜렷한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 등

6 등뼈(흉추)의 장해(9개 항목)

등뼈(흉추)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등

7 체간골의 장해(2개 항목)

어깨뼈나 골반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등

8 팔의 장해(9개 항목)

두 팔의 손목이상을 잃었을 때 등

9 다리의 장해(12개 항목)

두 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을 때 등

10 손가락의 장해(6개 항목)

한 손의 5개 손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등

11 발가락의 장해(7개 항목)

한 발의 리스프랑관절 이상을 잃었을 때 등

12 흉복부 장기 및 비뇨생식기의 장해(3개 항목)

흉복부 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심한 장해가 남았을 때 등

13 신경계정신행동 장해(11개 항목)

신경계에 장해가 남아 일상생활 기본동작에 제한을 남긴 때 등

mdash mdash173

2 CDR 검사방법에 의한 임상 치매척도(반영안)

구 분 기억력 지남력판단 및

문제해결사회활동

가정생활 및

취미개인관리

정 상

(0)

기억력

감퇴가

없거나

경미한

비지속적

건망증

완전히 있음 재정사업과

같은

일상문제 잘

해결

과거일과

관련 판단력

좋음

통상적

수준으로

독립적 기능

수행

(직업 장보기

자원봉사

집단활동)

가정에서의

생활

지적흥미 잘

유지

혼자서

충분히 수행

불확실

(05)

경미한

건망증 지속

및 사건에

대한 부분적

회상

시간에 대한

경미한

어려움

문제점

유사점

차이점을

다루는데

경미한 장애

상기의 활동

약간의 장애

상기의 활동

약간의 장애

혼자서

충분히 수행

경 도

(1)

중증도의

기억력 감퇴

및 최근

사건에 대한

장애 현저

시간에 대한

중등도 장애

문제점

유사점

차이점을

다루는데

중등도장애

상기의 활동

일부를

계속하고

있더라도

독립수행

불가능

확실한

가정에서의

생활기능

장애

암시 및

격려 필요

중등도

(2)

중증의

기억력 감퇴

및 새로운

지식 금방

소실

시간관계에

대한 심각한

장애

문제점

유사점

차이점을

다루는데

심각한 장애

집밖에서의

활동 외관상

독립수행

불가능

단순한

집안일만

가능

착의

위생상태 및

외모유지에

도움필요

중 증

(3)

중증의

기억력 감퇴

및 단편적

기억만 보유

사람에 대한

지남력만

보유

문제해결 및

판단 불가능

집밖에서의

활동 외관상

독립수행

불가능

집안에서의

특별한 활동

전무

개인관리에

많은 도움

필요

심각함

(4)

단편적

기억마저

상실 및

동문서답

자신의

이름에만

가끔 반응

간단한 지시

및 명령

불이행

사회적 모임에

의미있는 참여

불가

취미활동 및

가정내 활동

불가

보행에 도움

필요

말 기

(5)

의미있는

기억력 없음

자신에 대한

의식 불가

주변상황

이해 및

인식불가

활동 불가 활동 불가 혼자

식사불가 및

와상상태

주) 미국의사협회(AMA)의 영구적 신체장해 평가지침 제5판에서 규정

mdash mdash174

3 일상생활 기본동작(ADLs) 제한 장해평가표(개선안)

유 형 제 한 정 도 장해율

이동동작 특별한 보조기구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다른사람의 계속적인 도움이

없이는 방밖을 나올 수 없는 상태40

휠체어 또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방밖을 나올 수 없는 상태 30

목발 또는 walker를 사용하지 않으면 독립적인 보행이 불가능한 상태 20

독립적인 보행은 가능하나 파행이 있는 상태 난간을 잡지 않고는 계

단을 오르고 내리기가 불가능한 상태 계속하여 평지에서 100m 이상

을 걷지 못하는 상태

10

음식물섭취 식사를 전혀할 수 없어 계속적으로 튜브나 경정맥 수액을 통해 부분

혹은 전적인 영양공급을 받는 상태20

수저 사용이 불가능하여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이 없이는 식사를

전혀 할 수 없는 상태15

숟가락 사용은 가능하나 젓가락 사용이 불가능하여 음식물 섭취에 있

어 부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10

독립적인 음식물 섭취는 가능하나 젓가락을 이용하여 생선을 바르거나

음식물을 자르지는 못하는 상태 5

배변배뇨 배설을 돕기 위해 설치한 의료장치나 외과적 시술물을 사용함에 있어

타인의 계속적인 도움이 필요한 상태20

화장실에 가서 변기 위에 앉는 일(요강을 사용하는 일 포함)과 대소변

후에 화장지로 닦고 옷을 입는 일에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이 필

요한 상태

15

배변 배뇨는 독립적으로 가능하나 대소변 후 뒤처리에 있어 다른 사

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10

빈번하고 불규칙한 배변으로 인해 2시간 이상 계속되는 업무(운전 작

업 교육 등)를 수행하는 것이 어려운 상태 5

목 욕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 없이는 샤워 또는 목욕을 할 수 없는 상태 10

샤워는 가능하나 혼자서는 때밀기를 할 수 없는 상태 5

목욕시 신체(등 제외)의 일부 부위만 때를 밀 수 있는 상태 3

옷입고 벗

기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 없이는 전혀 옷을 챙겨 입을 수 없는 상태 10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 없이는 상의 또는 하의 중 하나만을 착용

할 수 있는 상태 5

착용은 가능하나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마무리(단추 잠그고 풀기

지퍼 올리고 내리기 끈 묶고 풀기 등)는 불가능한 상태 3

Activities of Daily Living

mdash mdash

4 팔다리 및 발손가락 장해평가표(개선안)

장해 계열 장 해 내 용 장해율

팔의 장해

두 팔의 손목이상을 잃었을 때 100

한 팔의 손목이상을 잃었을 때 6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3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1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5

한 팔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팔에 가관절이 남아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10

한 팔의 뼈에 기형을 남긴 때 5

다리의 장해

두 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을 때 100

한 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을 때 6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3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1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5

한 다리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다리에 가관절이 남아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10

한 다리의 뼈에 기형을 남긴 때 5

한 다리가 5cm 이상 짧아진 때 30

한 다리가 3cm 이상 짧아진 때 15

한 다리가 1cm 이상 짧아진 때 5

손가락장해

한 손의 5개 손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55

한 손의 첫째손가락의 손가락관절보다 윗쪽에서 잃었을 때 15

한 손의 첫째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을 둘째마디 관절보다 위쪽에서 잃었을 때(1손가락마다)

10

한 손의 5개 손가락 모두의 손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모두의 손가락뼈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30

한 손의 첫째손가락의 손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10

한 손의 첫째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의 손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1손가락마다)

5

발가락장해

한 발의 리스프랑관절 이상을 잃었을 때 40

한 발의 5개 발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30

한 발의 첫째발가락의 발가락관절보다 윗쪽에서 잃었을 때 10

한 발의 첫째발가락 이외의 발가락을 둘째마디 관절보다 윗쪽에서 잃었을 때(1발가락마다)

5

한 발의 5개 발가락 모두의 발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발의 첫째발가락의 발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8

한 발의 첫째발가락 이외의 발가락의 발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1발가락마다)

3

mdash mdash

5 척추에 한 장해평가표(개선안)

현 행개 선 (안)

비 고장 해 내 용 장해율

제3급의9

척추에 고도의 기형 또는 고도의 운동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추간판탈출증

은 제외)

제4급의15

척추에 중도의 기형 또는 중도의 운동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추간판탈출증

은 제외)

제5급의14

척추에 경도의 기형 또는 경도의 운동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추간판탈출증

은 제외)

제4급의16

고도의 추간판탈출증

제5급의16

중도의 추간판탈출증

제6급의14

경도의 추간판탈출증

등뼈(흉추)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40

-장해유형

에 따른

분류

-체간골의

기형장해

보상

등뼈(흉추)에 뚜렷한 운동장해

를 남긴 때30

등뼈(흉추)에 약간의 운동장해

를 남긴 때10

등뼈(흉추)에 심한 기형을 남

긴 때50

등뼈(흉추)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30

등뼈(흉추)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 때15

심한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 20

뚜렷한 추간판탈출증(속칭 디

스크)15

약간의 추간판탈출증(속칭 디

스크)10

어깨뼈나 골반뼈에 뚜렷한 기

형을 남긴 때15

빗장뼈 가슴뼈 갈비뼈에 뚜렷

한 기형을 남긴 때10

주) 심한 rarr 고도의 기형 뚜렷한 rarr 중도의 기형에 해당

mdash mdash

177

6

lsquo054

월 標

準約

款 改

訂에

따른

장해

등급

분류

변경

대비

mdash mdash

178

mdash mdash

179

mdash mdash

180

mdash mdash

181

mdash mdash

182

mdash mdash

183

mdash mdash

184

mdash mdash

185

mdash mdash

186

mdash mdash

187

mdash mdash

188

mdash mdash

189

mdash mdash

190

mdash mdash

191

mdash mdash

192

mdash mdash

193

mdash mdash

194

mdash mdash

195

mdash mdash

196

mdash mdash

197

mdash mdash

198

mdash mdash

199

mdash mdash

200

mdash mdash

201

mdash mdash202

5 대한신경외과학회 제안 장해평가기준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기준(신경계척추)

I 개 요

의료의 사회적 역할이 다양하게 요구되는 가운데 신체상의 손해나 장애를 감정하고

평가하는 업무가 또 다른 형태의 의료인의 중요한 업무로 대두되고 있다

경제 문화적 사회여건의 양적 질적 다양화로 일상생활과 산업현장에서 인과관계가

불분명한 사고와 질병의 발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사고와 질병에 의한 결과로

후유 장애를 보이는 경우 피해자나 환자에 대한 의학적으로 적정한 치료와 장해평가가

이루어지고 법률적으로도 공정한 심판이 있어야 하며 보험회사나 기업 나아가 국가

에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보상이 이루어져 이들을 조속히 사회로 복귀시키는 것은 우리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장애정도 판정은 각 단체나 기관이 일방적으로 정한 장해평가기준에

의하여 내려지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장해평가의 기준은 주로 배상과 보상을

위한 기준(근로기준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McBride식 기준

또는 AMA식 기준 국가배상법 광주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에 관한 법률)과 장애복지

기준(장애인 복지법 국민연금법 군인연금법 생명보험회사 약관 등)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준으로 장애정도를 판정하였을 경우 동일한 장애라도 서로 다른 장애정도의

판정이 내려짐은 물론이고 판정자가 다른 경우나 판정기관이 다른 경우에도 서로

상이한 장애정도의 판정이 내려지게 되어 일부 의료인에 의하여 내려진 장해평가가

사회적으로 적지 않은 불신과 불만을 가져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우리의 현실과 국민정서에 맞는 공정하고 과학적인 그리고 하나로 통합된

한국형 장해평가기준이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모두가 느끼고 있다

대한신경외과학회(이사장 변박장)에서는 2002년 10월에 장해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표준화 적정화 체계화된 신경외과 영역의 장해평가기준을

만들기로 하였다

대한신경외과 장해평가위원회에서 다룬 장해평가기준의 범위는 중추신경계 척추

말초와 통증의 세 분야이며 현재까지 수차례의 워크숍을 통하여 모든 위원들이 열심히

노력하여 새로운 장해평가기준을 만들었으며 다른 전공분야의 전문의와 유관 기관

mdash mdash203

(손해보험업계 및 법조인 단체)들과 여러 차례 공청회를 거쳐 수정 및 보완하였다

향후 이 장해평가기준을 대한의사협회와 다른 기관 및 정부 부처(손해보험협회 법

조인 단체 및 보건복지부 등)들로부터 인준을 받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이 장해평가기준은 대한신경외과학회에서 처음 만든 기준으로 의학의 발전이나 사

회 여건의 변화에 따라 앞으로도 주기적으로 수정 보완을 하여 더욱 더 완벽한 장

해평가기준이 만들어 지는데 초석이 되리라 기대한다

대한신경외과학회의 전 회원들께서는 이 장해평가기준의 내용에 부족함과 미숙함이

있더라도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이 평가기준을 널리 이용해주시고 이용할 때 의문

점이나 문제점이 생기는 경우는 언제라도 지적해 주시기 바란다

머지않은 장래에 대한신경외과학회의 장해평가기준이 국내에서 가장 공신력이 높은

평가기준으로 자리 매김하며 향후 전신에 대한 한국형 장해평가기준의 탄생에 매우

중요한 기폭제가 되리라 확신한다

마지막으로 신체 전반에 대한 우리 고유의 한국형 장해평가기준의 확립이 시급히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서는 해당 전문의학회 대한의사협회 그리고 보건복지부 등에서

앞장서서 제반 문제를 입안하고 시행하여야 하리라 생각된다

II 서 론

1 현 장해평가기준은 크게 중추신경계 척추 말초신경과 통증장애에 대한 장해평가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장해평가 시기는 원칙적으로 의학적 최대 호전(maximal medical improvement

MMI) 시기로 하고 만일 판정시점이 수상일로부터 6개월 이내인 경우는 6개월

이후로 한다 의학적 최대 호전(MMI) 시기란 의학적으로 더 이상 치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없는 시기를 의미하며 장해평가일로부터 12개월이 경과해도 장애율

변화가 3 안팎인 시점으로 한다 그리고 장애 판정을 받기 전까지 충분하고

성실하게 전문적인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하며 만일 그 이전이라도 충분한 치료로

증상의 악화 가능성이 없거나 전문적인 치료 후 호전될 가능성을 감안하여 판정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mdash mdash204

3 장해평가기준은 노동능력이 왕성한 건강한 성인을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노동

능력이 불확실한 소아나 노인의 장애를 평가할 때는 주위의 여러 요인들을 세심

하게 고려하여 현 장해평가기준을 적용함이 타당하리라 본다

4 현 장해평가기준의 핵심은 책자의 앞 부분에 있는 각 분야의 장해평가표이며

이는 해당 장해평가의 세부 영역과 정도를 쉽게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다른 평가

항목과도 비교할 수 있게 하였다

5 현 장해평가기준은 장애인에 대한 개호 사고의 관여도 직업계수 보조구와 여명

등의 개념은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이들에 대하여서는 추후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6 장해평가의 용어를 간소화하였으며 해당 항목의 구분도 간결하게 하였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세부지침을 두어 판정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7 각 분야별로 현 평가기준에 적합한 증례를 첨부하여 장해평가자의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8 용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용어해설을 첨부하였다

9 복합장애에 대한 병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AMA식 복합장애 병산표를 첨부

하였다

mdash mdash205

장해평가기준표

A 중추신경계 장해평가표

항 목 전신 장애율()

I 기능장애

A 기질성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2(05-019)

27(20-034)

42(35-049)

57(50-064)

72(65-079)

90(80-100)

B 비기질성 장애

a 객관적 이상소견이 없는 경우

b 객관적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

3(1-05)

8(6-10)

II 운동 기능장애

A 상지기능장애 잘 쓰는 팔 잘 안쓰는 팔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03(01-04)

10(05-14)

22(15-29)

38(30-45)

B 하지 기능장애(기립 및 보행)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III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

A 배뇨 배변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0(01-19)

30(20-39)

50(40-60)

B 성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5(10-19)

25(20-29)

mdash mdash206

항 목 전신 장애율()

IV 뇌신경 기능장애

A 제 1 뇌신경 장애

a 일측성 03(01-50)

b 양측성 08(06-10)

B 제 2 3 4 6 뇌신경 장애

C 제 5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0(15-24)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30(25-35)

D 제 7 뇌신경 장애

a 미각소실 05(01-90)

b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5(01-90)

c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5(10-19)

d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25(20-29)

E 제 8 뇌신경 장애

F 제 9 10 12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7(15-39)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50(40-60)

각 I II III IV 항에 해당되는 장애율을 서로 병산하도록 한다

안과와 이비인후과의 평가기준을 적용한다(세부 사항 참조)

mdash mdash207

B 척추 장해평가표

II 통증 및 신경장애

A a 명백한 배부증상

b 회복된 신경근병증

B a 보존적 치료로 고착된 신경근병증

b 수술로 회복된 신경근병증

C a 수술 후 고착된 신경근병증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05(01-08)

05(01-08)

11(09-13)

11(09-13)

19(14-23)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두 번이상 수술한 경우 수술 당 3 추가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A 척추불안정이 명백한 경우

B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a 두 분절 이하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b 세 분절 이상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17(10-23)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23(15-28)

32(25-38)

27(20-33)

38(30-45)

C 변형장애

a 척추 측만각25-39도

b 척추 측만각 40도 이상

c 척추 후만각 30-59도

d 척추 후만각 60도 이상

25(20-29)

35(30-40)

25(20-29)

35(30-40)

항 목전신 장애율()

경추부 흉추부 요추부

I 척추의 골절 및 탈구

A 추체의 압박골절

a 25 이하

b 26-49

c 50 이상

B 추체외 골절

a 신경관을 침범하지 않는 경우

b 신경관을 침범한 경우

C 정복된 탈구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10(07-13)

05(01-08)

14(09-18)

21(19-23)

05(01-08)

11(09-13)

09(07-10)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09(07-10)

다발성 골절인 경우 분절 당 3 추가

신경근 손상의 동반 5-15

mdash mdash208

C 말초신경 장해평가표

손 상 신 경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A 가벼운 B 보통의 C 심한

제 5-8 목신경 04 10 20

제 1 가슴신경 03 07 14

팔신경얼기 12 30 60

중간줄기(제 7 목신경) 04 10 20

아래줄기(제 8 목 제 1 가슴) 09 22 45

가슴근신경 01 02 03

겨드랑신경 04 12 24

등쪽어깨신경 01 02 03

긴가슴신경 2 05 10

안쪽아래팔피부신경 01 02 03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윗부분) 08 20 40

정중신경(앞뼈사이신경) 02 05 10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아래부분) 05 14 28

근육피부신경 03 09 18

노신경(삼두근침범) 05 14 28

노신경(삼두근보존) 04 12 24

어깨밑신경 1 02 03

어깨위신경 2 06 12

가슴등신경 1 03 06

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 6 05 30

자신경(아래팔중간 이하) 4 12 24

넙다리신경 3 07 15

폐쇄신경 1 02 03

위볼기신경 5 12 25

아래볼기신경 3 07 15

가쪽넙다리피부신경 1 02 03

궁둥신경 6 15 30

온종아리신경 3 07 15

얕은종아리신경 1 01 02

장딴지신경 1 01 02

안쪽발바닥신경 1 01 02

가쪽발바닥신경 1 01 02

A 가벼운 장애정상 활동이 가능한 경도의 감각감소 또는 저항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B 보통의 장애정상 활동에 제한을 주는 감각감소 또는 중력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C 심한 장애심한 통증을 동반한 감각감소 작열통 또는 운동이 거의 불가능한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

mdash mdash209

D 통증 장해평가표

통증을 평가하는 질환은 아래의 질환군으로 나누어 평가한다

항 목

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잘 쓰지 않는 팔다리

잘 쓰는 팔다리

I 복잡부위 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type I amp II )

A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에 경한 지장이 있는 경우 01-04 01-09

B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이 불가능한 경우05-14 10-24

C통증으로 인해 일상 생활에 현저한 지장을 주는경우 15-29 25-39

D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30-45 40-60

II 의학적으로 명백히 기질적인 손상이 있는 질환에서

통증증후군이 동반되어 통증을 평가할 때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II 통증을 설명할 수있는 명백한 장기의 손상이 없지만

통증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일반적인 통증 증후군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 II III군의 적용과 A B C 항의 적용에 대한 세부지침은 아래에 있는 평가요령을 참고로

한다

mdash mdash210

III 본 론

A 중추신경계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중추신경계 장해평가의 기준은 새로운 평가 방법을 설정한 것이 아니라 기존의 여러

평가기준의 평가방법에 따른 장애 정도를 어느 정도 규합하여 적용하게 한 것으로 볼수

있다 또한 각 평가의 장애정도에 적용범위를 두어 판정자의 판단에 따라 어느 정도의

보정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AMA식이나 맥브라이드 식을 적용하였을 경우나

다른 평가기준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도 장해평가에 대한 판정오차가 크지 않도록 하는

것에 우선적인 중점을 두었다

평가기준은 4분야로 나누어

1)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기질성 및 비기질성 장해평가

2)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운동 기능의 장애(상지 및 하지)평가

3)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배뇨배변 및 성기능의 장해평가

4) 뇌신경기능 장해평가

로 나누었고 이에 해당되는 항을 각각 적용하여 그 장애율을 병산한다

장해평가 시에 장애정도의 구분은 가벼운 경우 보통인 경우 심한 경우 매우 심한

경우 등으로 간결하게 하였고 이에 대한 세부사항을 두어 평가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세부사항 내에 여러 항목에 관련이 있는 경우는(3개항 해당과 그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조정이 가능하게 하였다

mdash mdash211

2 중추신경계 장해평가표

항 목 전신 장애율()

I 기능장애

A 기질성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2(05-019)

27(20-034)

42(35-049)

57(50-064)

72(65-079)

90(80-100)

B 비기질성 장애

a 객관적 이상소견이 없는 경우

b 객관적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

3(1-05)

8(6-10)

II 운동 기능장애

A 상지기능장애 잘 쓰는 팔 잘 안 쓰는 팔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3(01-04)

10(05-14)

22(15-29)

38(30-45)

B 하지 기능장애(기립 및 보행)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III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

A 배뇨 배변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0(01-19)

30(20-39)

50(40-60)

B 성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5(10-19)

25(20-29)

mdash mdash212

항 목 전신 장애율()

IV 뇌신경 기능장애

A 제 1 뇌신경 장애

a 일측성 03(01-50)

b 양측성 08(06-10)

B 제 2 3 4 6 뇌신경 장애

C 제 5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0(15-24)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30(25-35)

D 제 7 뇌신경 장애

a 미각소실 05(01-90)

b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5(01-90)

c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5(10-19)

d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25(20-29)

E 제 8 뇌신경 장애

F 제 9 10 12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7(15-39)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50(40-60)

각 I II III IV 항에 해당되는 장애율을 서로 병산하도록 한다

안과와 이비인후과의 평가기준을 적용한다(세부 사항 참조)

3 세부지침

I 기능장애

A 기질성 장애

1) 이는 대뇌 손상 등으로 인한 신경기능의 장애로 의식장애 언어장애 행동과 정서의

장애 경련증 소견 정신상태의 장애 등을포괄적으로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2) AMA식에서의 중추신경장애 분야와 같은 항으로 볼 수 있으며 맥브라이드 식에서는

두부 손상항목에서의 V VII VIII IX X 항과 관련이 있다

mdash mdash213

3) 세부 항에서 여러 개의 항목에 해당되면 장해평가율의 범위내에서 조정이 가능하다

(특히 3개항 이하에 해당되는 경우와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로 구분한다)

4) 판정시에는 반드시 두부 손상여부에 대한 정밀검사가 필요하다

① CT(혹은 MRI SPECT PET 등)로 뇌실질 손상 및 대사의 기능이상 여부 확인이

필요하다

② 경련증에 대한 장애인 경우 반드시 충분한 약물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경련증이

나타나는 경우에 해당되며 뇌파검사(EEG) 등 정밀검사확인이 필요하다

③ 일상생활 활동의 장애정도 여부 판정은 심리감정 평가를 시행하여 이를 바탕으로

판정을 하여야 한다

5) 일상생활활동이라 함은 사람이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사회활동을 할 수 있는지 여부을

판정하는 것으로 보행여부나 운동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기본적인 활동의

수행여부를 말한다 즉 본인 스스로 외출(보행여부와는 관련없음) 물건사기 책읽기

전화하기 돈 관리하기 대인관계 등을 말한다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5~191) 일상생활활동에는 지장이 없으나 간헐적

으로 인지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경우

2) 부분 경련이 2~3개월 간격으로 있거나 1년에 1회 이상의 전신경련이있는 경우

3) 정밀검사에서 뚜렷한 뇌실질의 이상소견은 보이지 않으나 고의적이 아니며 호전되지

않는 두통 현훈증 불면증 등을 호소하는 경우

4) 정밀검사에서 뇌실질의 이상 소견이 보이며 가벼운 증상(두통 현훈증 불면증 등)을

호소하는 경우

5) 중추신경의 이상으로 정서장애가 있어 일상생활활동에 가벼운 제한이 있는 경우

6) 일상생활활동은 가능하나 간헐적인 적응장애 기억력장애 판단력 제한 등의 소견이

있는 경우

7) 가벼운 언어장애가 있어 어느 정도 알아들을 수는 있으나 충분한 표현은 되지 않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20~49

1) 일상생활 활동을 다소 제한하는 인지기능의 장애가 있는 경우(예 착란상태

confusion)

mdash mdash214

2) 부분 경련이 1개월에 1회 이상 있으며 전신경련이 2~3개월에 1회 정도 있는 경우

3) 정밀검사에서 이상소견이 나타나며 일상생활 활동에 어느 정도의 제한 소견이 있는

경우

4) 최근의 일 등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시간에 대한 지남력에 뚜렷한 제한이 있는 경우

5) 사회 또는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이 있어서 독립적인 생활에 어려움이 따르는 경우

6) 일상생활 활동의 수행에 있어 때때로 타인의 조언이 필요한 경우

7) 보통 정도의 언어장애가 있어 알아듣기는 어려우며 지적 표현이 되지 않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50~79

1) 인지기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이 심하게 있는 경우

2) 1개월에 1회 정도의 전신 경련이나 1주에 2~3회 이상의 부분 경련이 있어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을 주는 경우

3)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이 있어 정서 및 적응에 장애가 심하게 있는 경우

4) 심한 기억력 장애나 판단력에 심한 제한이 있으며 IQ가 70 이하인 경우

5) 모든 일상생활 활동에서 대부분 타인의 지시와 도움이 필요한 경우

6) 본인 단독으로는 업무수행에 지장이 있어 타인의 감독이 필요하며 매우 단순한 일

수행만 가능한 경우

7) 심한 언어장애로 알아듣기나 표현이 불가능한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80~100

1) 다른 사람에 의존하지 않고는 일상생활 활동이 전혀 불가능한 경우

2) 반혼수 및 혼수상태로 타인에게 완전히 의존할 정도인 경우

3) 일상생활 활동에 있어 타인과 생활이 불가능하여 절대 격리가 필요한 경우(정신과적

격리를 말함)

B 비기질성 장애

임상심리검사(psychometry)에서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를 객관적 이상소견이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mdash mdash215

II 중추신경계의 운동 기능장애

1) 이는 중추신경 손상으로 인한 신경기능의 장애로 기립 및 보행 상지의 운동 장애

호흡장애등 운동기능의 장애를 포괄적으로 하여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2) AMA식에서의 기립 보행 운동 장애 분야와 같은 항으로 볼 수 있으며 맥브라이드

식에서는 두부손상 항에서의 III IV VI 항과 관련이 있다

3) 상지 운동장애는 상지의 동작여부를 말하며 양팔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잘 쓰는

팔과 잘 안 쓰는 팔의 장애를 병산한다

4) 상지의 미세한 동작 여부와 일상기본 동작으로 구분한다 상지의 미세한 동작은 상지

혹은 손가락의 장애로 인하여 그릇을 씻거나 돈세는 일 지갑에서 동전을 꺼내는

일 비교적 굵은 끈매기 단추 끼우기 등을 수행하는 정도를 말한다 일상기본동작

이란 상지 혹은 손가락의 장애로 인하여 기본적인 동작 수행을 말하는데 식사 세면

및 양치질 물마시기 목욕 물건 옮기기 대소변 가리기 등을 말한다

5) 하지 운동장애는 기립 및 보행 장애정도를 말하며 평지를 걸을 수가 잇는지 계단

오르내리기가 가능한지 보행시 보조구의 도움이 필요한지 독립보행이 가능한지

등으로 구분하여 판정한다

A 상지 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잘 쓰는 팔 helliphellip 1~9

1) 상지 혹은 손가락의 장애가 있어 미세한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즉 그릇을

씻거나 돈세는 일 지갑에서 동전을 꺼내는 일 비교적 굵은 끈매기 단추 끼우기 등)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10~24

1) 상지의 장애로 미세한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25~39

1) 상지의 장애로 일상생활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즉 식사 세면 양치질 목욕 및 물건 옮기기 등

mdash mdash216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40~60

1) 상지의 장애로 일상 기본동작을 전혀 수행할 수 없는 경우

B 하지 기능장애(기립 및 보행)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1~9

1) 일어설 수는 있으나 멀리 걷기 불편한 경우

2) 독립 보행은 가능하나 장거리 보행에 지장이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10~24

1) 일어설 수 있으나 평지만 걸을 수 있는 경우

2) 독립 보행은 가능한 편이나 계단을 사용하기가 어려운 상태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25~39

1) 일어설 수는 있으나 도움(보조구 등) 없이는 걷기 어려운 상태

2) 고르지 못한 바닥이나 계단을 오르내리기가 심히 어려운 상태

3) 독립 보행은 가능하나 간간히 부축이 필요한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40~60

1) 독립보행이 불가능하며 보행 시 반드시 보조기 사용이 필요하거나 타인의 도움이

절대 필요한 경우

2) 하지 마비로 인하여 휠체어 사용이 필요한 경우

III 중추신경장애로 인한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

1) 이는 중추신경 손상으로 인한 신경기능의 장애로 배뇨 및 배변의 장애와 성기능의

장애를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2) A 항은 배뇨 배변장애 B 항은 성기능 장애로 구분한다

3) 배뇨 배변 장애가 동시에 있어 여러 항목이 관련된 경우에는 장해평가율 분포에서

높은 쪽을 택한다

mdash mdash217

4) AMA식에서의 기립 보행 운동 장애 분야와 같은 항의 방광기능 직장 항문 기능

성기능에 해당되며 맥브라이드 식에서는 비뇨 생식계항과 직장항과 관련이 있다

5) 판정 시에는 비뇨기계 역동학적 검사(Urodynamic study)나 발기부전검사 등 정밀

검사 시행 후 증상과 관련이 있는 경우에 판정한다

6) 요로계통이나 직장계통의 손상 등으로 인한 장애는 관련이 없으며 중추신경계와

관련 있는 장애만을 판정한다

A 배뇨 배변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1~19

1) 배뇨장애가 있으나 혼자서 가릴 수는 있는 경우

2) 배뇨장애가 있어 감염과 통증으로 때때로 치료가 필요한 경우

3) 배뇨의 자가 조절은 다소 어려우나 반사적 배뇨기능이 양호한 경우

4) 항문의 반사적 조절기능은 있으나 조절에 제한이 있는 경우

5) 가끔 실변이 있어 패드착용이 필요한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20~39

1) 배뇨의 자가 조절 기능은 불가하며 반사적 기능도 좋지 않는 경우

2) 항문 기능의 반사적 조절 기능은 있으나 조절이 불가능한 경우

3) 괄약근의 기능저하로 실변 현상이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40~60

1) 배뇨의 자가 조절기능이 불가하며 반사적 배뇨도 불가능한 경우

2) 항시 카테터의 삽입이 필요한 상태

3) 항문의 괄약근 기능이 소실되었고 반사적 조절도 되지 않는 경우

B 성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1~9

1) 반사적 기능은 있으나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

mdash mdash218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10 ~19

1) 반사적 기능은 있으나 느낌이 없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20 ~29

1) 반사적 기능이 없는 경우

IV 뇌신경 기능장애

1) 이는 대부분의 경우 안과적인 사항인 2 3 4 6 뇌신경장애에 한정될 수 있으나

1 5 8 9 10 12 뇌신경인 경우 이비인후과적인 사항에 포함될 수 있다

2) 2 3 4 6 뇌신경장애는 안과의 장해평가기준에 따른다

3) 5 뇌신경장애는 기질적인 장애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한다

4) 안면신경 마비 시 우리나라에서는 외적인 요인으로 사실상 업무 수행에 지장을 초

래할 수 있으나 추후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5) 8 뇌신경장애시 평형감각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중추신경의 기립 보행장해평가에

준하여 평가한다

6) 8 뇌신경장애의 청력장애는 이비인후과적 장해평가에 따른다

A 제 1 뇌신경(후각신경) 장애 냄새를 전혀 맡지 못하는 경우

a 일측성 1~5

b 양측성 6~10

B 제 2 3 4 6 뇌신경

안과의 장해평가기준에 따른다

C 제 5 뇌신경(삼차신경) 장애 삼차신경통 안면통

a 가벼운 장애 1~14

1) 가벼운 정도의 조절이 되지 않는 통증으로 인해 일상동작에 어느 정도 제한이 있는

경우이다 여기에서 일상 동작이란 씹기 웃기 말하기 삼키기 등을 말한다

mdash mdash219

b 보통의 장애 15~24

1) 조절되지 않는 통증으로 인하여 일상동작에 제한이 뚜렷한 경우

c 심한 장애 25~35

1) 전혀 조절이 되지 않는 통증으로 일상동작 수행이 되지 않는 경우

D 제 7 뇌신경(안면신경) 장애 미각 및 안면 마비

a 미각 완전 소실 1~9

b 가벼운 안면신경 마비 1~9

1) 안면 마비 소견이 관찰되나 저작 눈감기 등이 심하지 않은 경우

c 보통의 안면신경마비 10~19

1) 안면마비 소견이 나타나며 저작이나 눈감기에 지장이 있는 경우

d 심한 안면신경 마비 20~29

1) 안면마비 소견이 매우 뚜렷하며 저작 눈감기 등이 불가능한 경우

E 제 8 뇌신경

a 청력 이비인후과의 장해평가기준을 따른다

b 평형기능 중추신경의 운동장애중 특히 하지기능에 적용한다

F 제 9 10 12 뇌신경(연하곤란)

a 가벼운 연하곤란 장애 1~14

1) 액상 반고형 음식 연하시 삼키기가 비교적 곤란한 경우

mdash mdash220

b 보통의 연하곤란 장애 15~39

1) 액상의 반고형 음식연하시 코로 역류되거나 폐로 흡인 되는 경우나 삼키기 곤란한

경우

c 심한 연하곤란 장애 40~60

1) 전혀 음식물을 삼킬 수 없는 상태로 레빈 튜브나 흡입장치가 필요한 경우

A B C D 항을 각각 산정하여 병산(combine) 하도록 한다

4 증 례

42세 남자로 2년 전 교통사고로 인하여 경막하 뇌출혈이 발생하여 응급으로 두개강내

혈종 제거술을 시행받고 추후 성형술을 시행받았다

현재 CT 소견에서 우측 뇌실질의 위축소견이 보이나 뇌파에서는 이상소견 보이지

않았다 경련 소견은 보이지 않으며 좌측 편 부전 마비로 독립 보행은 가능하나 계단

오르내리기 고른 길 걷기 등은 제한이 뚜렷하다 좌측 상지 기능저하로 물컵을 옮기거나

목욕 등에 제한이 따른다 의식은 명료한 편이며 언어 소통에는 불편이 없으나 심리

검사에서 적응장애가 뚜렷이 나타난다 배뇨 배변에는 불편이 없고 뇌신경기능에도

이상이 없다

장해평가

기질성 뇌기능장애

I-A-b-134 정도

운동기능장애

상지 장애II-A-c20하지장애II-B-c30

배뇨배변장애0

뇌신경장애0

이를 합산하면(Combine)63

이 피해자는 50 이상의 장애로 영구적 장애로 판정함이 타당할 것이다

mdash mdash221

B 척추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척추는 신경기능을 전달하는 척수 및 신경근 척주의 형태와 운동을 유지하는 인

대와 골격의 척주(spinal column) 그리고 척주의 다양한 운동을 유발하는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가 유기적이며 체계적일 때 정상적인 척추의 형태

와 기능을 유지하게 된다 정상적인 척추의 형태는 각 척추골의 형태와 전체적인

굽이(curvature)를 말하고 정상적인 기능은 척주의 움직임과 척수와 신경근의 신경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형태와 기능 이상의 대표적인 예로 형태는 변형 골절 전위

골유합 등이며 기능은 척주의 움직임의 제한 척수나 신경근의 손상으로 인한 신경

학적 손상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척추의 매우 복잡한 형태와 기능으로 인해 동일한 평가 방법으로 장해평

가를 하더라도 감정인에 따라 상이한 감정 결과를 보일 수 있다 기존의 제안된 척추

장해평가방법은 과학적이기는 하나 현실성이 부족하거나 간편하기는 하지만 객관

성과 과학성이 부족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척추장해평가방법을 만드

는 일은 매우 난해한 작업일 수밖에 없고 완벽한 장해평가방법을 만드는 데는 한

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로 여기서 제안한 장해평가기준도 장해평가에 관련된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는 없으며 완벽한 지침이라고는 볼 수 없다 하지만 최대한 객

관성과 과학성을 가진 평가기준을 만들고자 하였다

현 척추장해평가기준은 척추질환이나 손상의 진단에 바탕을 두지 않고 치료 후에

남아있는 기능과 형태상의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장애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치료

후에 남아있는 배부 증후 신경근병증으로 기능의 손상(impairment)을 평가하고자

하였고 고정술 변형 골절 등 방사선상에서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형태의 손

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제시되어 있는 장애율은 전신에 대비한 척추의 손상정도의 백분율을 제시하였으며

해당 항목의 장애율에 선택범위를 제시하여 같은 항목 내에서도 손상정도에 따라

장애율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시된 장애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고 다른 조

직이나 기관(organ)과의 형평성이 고려된 AMA 평가기준을 주로 참고하였다

척수 손상에 의한 신경학적 결손은 대한신경외과학회의 장해평가기준의 중추신경계

장해평가기준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mdash mdash222

목보다 허리를 더욱 중요시하는 국내의 정서와 McBride 장해평가기준과 이경석

논문(J Korean Neurosurg Soc 28670~674 1999) 등에 제시된 장애율은 요추

가 높은 경향이 있어 척추 고정술의 경우는 요추를 경추보다 높은 장애율로 결정하

였다

장해평가 항목은

I 척추 골절 및 탈구

II 통증 및 신경장애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로

세 가지 대항목으로 구분하였으며 대항목 내의 제시된 세부항목으로 실제적인 장해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대항목 중에서 하나의 세부항목을 선택하여 가장 높은 장애

율을 최종 장애율로 구하도록 하였다

척수손상이 동반된 경우에는 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기준의 중추신경계 장해평

가를 따르도록 하였다

본문은 척추장해평가 흐름도 장해평가표 장애판정지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가

흐름도는 피감정인의 장애상태에 따라 해당되는 대항목과 척수신경장애 등의 개요

를 평가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흐름도이다

장해평가지침은 장해평가표의 세부항목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평가방법의 예시이다

여기서 제시된 장해평가방법은 척추장해평가에 있어 완벽하지 않으며 장해평가에

관련된 종사자 모두를 만족할 수 있는 기준은 아니다

mdash mdash223

2 척추 장해평가 흐름도

2항목 중 최대 장애율

호전 가능성 여부 판정보류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예

척추 손상 여부

3항목 중 최대 장애율

척수신경손상 동반

척추장애 최대장애율 척추 및 척수장애 병산

1 척추 골절 및 탈구

2 통증 및 신경장애

3 척추운동 및 변형장애

2 통증 및 신경장애 3 척추운동 및 변형장애

중추신경 장애 평가표

3 척추 장해평가표

항 목전신 장애율()

경추부 흉추부 요추부

I 척추의 골절 및 탈구

A 추체의 압박골절

a 25 이하

b 26-49

c 50 이상

B 추체외 골절

a 신경관을 침범하지 않는 경우

b 신경관을 침범한 경우

C 정복된 탈구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10(07-13)

05(01-08)

14(09-18)

21(19-23)

05(01-08)

11(09-13)

09(07-10)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09(07-10)

다발성 골절인 경우 분절 당 3 추가

신경근 손상의 동반 5-15

mdash mdash224

II 통증 및 신경장애

A a 명백한 배부증상

b 회복된 신경근병증

B a 보존적 치료로 고착된 신경근병증

b 수술로 회복된 신경근병증

C a 수술 후 고착된 신경근병증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05(01-08)

05(01-08)

11(09-13)

11(09-13)

19(14-23)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두 번이상 수술한 경우 수술 당 3 추가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A 척추불안정이 명백한 경우

B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a 두 분절 이하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b 세 분절 이상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17(10-23)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23(15-28)

32(25-38)

27(20-33)

38(30-45)

C 변형장애

a 척추 측만각25-39도

b 척추 측만각 40도 이상

c 척추 후만각 30-59도

d 척추 후만각 60도 이상

25(20-29)

35(30-40)

25(20-29)

35(30-40)

4 세부지침

1) 각 척추 부위별(경추 흉추 요추)로 각각 장애를 평가하여 부위별 최대 장애

율을 구한 후 최종 장애율은 각 부위별 장애율을 병산한다 단 다발성 골절일 경우

에는 예외로 한다

2) 장해평가는 대항목인 1 척추의 골절 및 탈구 2 통증 및 신경장애 3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중에서 피감정인에 해당하는 최대의 장애율을 최종 장애율로 정

한다 즉 항목 1 2 3 내의 세부항목으로 장애율을 구하고 최대 장애율에 해당하

는 한 가지 항목만을 선택하여 척추장애의 최종 장애율로 한다

3) 세부항목의 평가내용은 객관적인 증후나 검사(신경생리 방사선 등)로 확인된

경우에만 해당한다

4) 척수손상으로 인해 상지 하지의 신경학적 결손이나 배뇨 배변 성기능의 장

애가 동반된 경우에는 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기준의 중추신경계 장해평가표의

B 중추신경계의 운동기능장애 C 중추신경계의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의 항목

mdash mdash225

을 이용하여 평가한다 척수손상의 장애율과 척추장애의 장애율은 병산하여 척추장

애의 최종 장애율을 산정한다

I 척추의 골절 및 탈구

1 골절 및 탈구는 방사선 검사(단순 촬영 CT MRI 뼈주사 등)으로 증명된 경

우에만 해당한다

2 항목은 추체의 압박골절 추체외 골절 정복된탈구로 구분한다

3 추체의 압박골절은 추체 전방의 정상 추체에 대한 압박의 정도를 나타낸다

4 추체외 골절은 신경관 침범 유무에 따라 판정하며 만일 척수신경이나 신경근

의 손상이 동반되면 상응하는 장애율을 병산하여 최종 장애율를 산정한다

5 이 항목에서 정복된 탈구라 함은 관혈적으로 척추 고정술을 시행하지 않았던

탈구를 의미한다

6 다발성 골절인 경우는 장애율이 가장 높은 골절 부위의 장애율을 구하고 난후

에 다른 골절은 부위 당 3씩 추가한다 즉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는 골절의 장애

율과 그 외의 골절 부위는 부위 당 3씩 합산한다 만일 경추 흉추 요추 등 각각

의척추부에 다발성의 골절이 있는 경우에는 척추 부위에 관계없이 최고 값의장애율

을 구하고 그 외의 척추 골절에 대해서는 부위 당 3씩 추가하여 합산한다 다발

성 골절로 인하여 척추의 후만증이나 측만증이 있는 경우에는 항목 III 척추운동

및 변형장애의 C 변형장애로 평가할 수 있다

예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 C5~50 T12~10

L1~30 인 경우

장애율은 C5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C5는 19~28 T12 L1은

각각 3를 추가한 6이다 척추의 골절과 탈구의 최종 장애율은 25~34로 산정

한다

예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 T12~60 L3~20 인

경우

장애율은 T12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T12는 19~23 L3는 3로

최종 장애율은 22~26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 척추 후만각이 40도 정도가 있다면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장애에서 C 변형장애에 해당하여 장애율은 30~40까

지 산정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장애율이 높은 항목이 최종 장애율이 된다

mdash mdash226

7 신경근 장애는 신경근 손상에 대한 신경학적 검사로 감각과 운동을 측정하여

신경근 손상의 정도에 의한 5~15를A B C 세부항목의 장애율과 합산을 하여 최

종 장애율을 산정한다 해당 신경근의 감각과 운동의 완전한 손상은 15이고 일부

감각과 운동의 소실은 최소 5로 한다 감정인의 재량에 의해 5~ 15로 평가할

수 있다 만일 오른쪽과 왼쪽의 상하지에 동시에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오른쪽 왼

쪽을 각각 평가를 한 후에 평가된 장애율을 병산하여 신경근 손상의 장애율을 평가

한다

8 척추외상에서 분쇄골절 등의 불안정성 골절의 경우에는 수술을 통한 고정술을

시행하므로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의 B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로

평가를 한다 만일 고정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A 추체의 압박골절이나 C

정복된 탈구에 준용하여 평가한다

II 통증 및 신경장애

1 통증 및 신경장애의 평가는 반드시 객관적인 증후 및 신경학적 검사에서 신경

근의 이상을 가지며 이에 대한 이상은 신경생리학적 검사에서 증명되어야 한다

2 평가 대상에는 추간판 질환 염좌 편타손상(whiplash injury) 등이 포함된다

3 명백한 배부증상의 객관적 증후는 근육연축 운동 유연성의 감소 가성 방사통

등이 동반됨을 의미한다

4 회복된 신경근병증이라 함은 치료하기 전의 방사선 소견이나 신경생리학적 검

사에서 신경근병증이 확인되었으나 장애 판정시점에서 신경근병증이 보이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5 고착된 신경근병증이라 함은 치료 전의 진찰 소견과 방사선 검사에서 신경근

병증을 보이고 치료 후에 진찰 소견에서 신경근병증의 증후가 관찰되고 신경생리검

사에서 증명된 경우를 말한다 고착된 신경근병증에는 신경학적 검사에서 반드시

신경학적 결손이 동반되어야 한다

6 두 번 이상 수술한 경우는 수술 방법에는 차이가 없이 두 번이상의 수술에 대

해서 두 번째 수술부터 수술 당 3를 추가한다 장애판정시점에서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평가대상이 되는 경우에 두 번이상의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 A B

C의 항목의 장애율을 결정한 후에 두 번이상의 수술에 대한 3를 추가하여 합산하

여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최종장애율을 산정한다 만일 두 번째 이후의 수술

mdash mdash227

이 고정술을 시행하였다면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장애의 B 척추 고정술을 시

행한 경우로 평가할 수 있다

예제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되어 있으며 세 번의

신경감압술을 시행한 경우

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이후의 수술에 대한

6의 장애율을 합산하여 최종 장애율은 25~34로 산정한다

예제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된 있으며 첫 번째 수술은

신경감압술을 시행하였고 두 번째 수술은 요추 4-5번의 골융합술을 시행한 경우

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수술에 대한 3의

장애율을 합산하여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최종 장애율 22~31이다

이러한 경우는 척추의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이므로 항목 III-A-a-2의 장애율

29~38로 산정할 수도 있다 항목 III으로 평가한 경우에는 시행한 수술에 횟수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아니한다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1 척추 운동 및 변형은 방사선 검사(단순촬영 CT MRI 뼈주사 등)으로 증명된

경우에만 해당한다

2 척추 불안정증이란 방사선 검사에서 다음이 증명된 경우이다

1) 요추부

방사선 굴곡신전 검사상 분절이 45mm 이상 전위된 경우 혹은 각변형이 L1-2

L2-3 L3-4에서 15deg이상 L4-5에서 20deg이상 L5S1에서 25deg이상인 경우

2) 흉추부

방사선 굴곡신전검사상 분절이 25mm 이상 전위된 경우

3) 경추부

방사선 굴곡신전검사상 분절이 35mm 이상 전위된 경우나 각변형이 11deg 이상인

경우

3 척추 고정술이라 함은 골융합에 의한 방법과 나사못 등에 의한 고정술로 운동

분절의 손실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4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에서 신경학적 결손이라 함은 신경학적 검사에서

감각과 운동의 마비가 객관적으로 증명된 경우를 말한다

mdash mdash228

5 만일 척추 분절이 경흉추부 흉요추부가 포함된 다분절의 고정술인 경우에는

고정된 분절이 많은 척추 부위의 장애율을 이용한다 만일 고정된 분절이 동수인

경우에는 높은 장애율에 해당하는 척추부위의 장애율을 이용한다

예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없는 경우흉추부 요추부가 동수의 분절이 고정되어 있

으므로 높은 장애율을 제시하고있는 요추부 항목 III-B-a-1의 15~28를 이용하

여 장애율을 판정한다

예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0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있는 경우흉추부는 두 분절 요추부는 한 분절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흉추부 항목 III-B-b-2의 25~40를 이용하여 장애율을 판정

한다

6 변형장애는 척추 스캐노그람(spine scanogram)을 촬영하여 변형각을 측정하

여 장애율을 산정한다 변형장애는 골절 탈구 고정술 척추관절의 질환 선천성 변

형 등이 포함된다 변형장애의 장애율이 다른 평가항목의 장애율보다 높을 경우에

는 최종 장애율을 항목 III-C 항을 적용할 수있다

5 증 례

1) 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C5~50 T12~10

L1~30 인 경우장애율은 C5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C5는

19~28 T12 L1은 각각 3를 추가한 6이다 척추의 골절과 탈구의 최종 장애

율은 25~34로 산정한다

2) 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 T12~60 L3~20 인

경우장애율은 T12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T12는 19~23 L3는

3로 최종 장애율은 22~26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 척추 후만각이 40도 정도가

있다면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장애에서 C 변형장애에 해당하여 장애율은

30~40까지 산정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장애율이 높은 항목이 최종 장애율이 된다

3)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되어 있으며 세 번의 신경

감압술을 시행한 경우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이후의 수술에 대한 6의 장애율을 합산하여 최종 장애율은 25~34로 산정한다

4)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된 있으며 첫 번째 수술은

mdash mdash229

신경감압술을 시행하였고 두 번째 수술은 요추 4-5번의 골융합술을 시행한 경우

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수술에 대한 3의 장

애율을 합산하여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최종 장애율 22~31이다

이러한 경우는 척추의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이므로 항목III-A-a-2의 장애율

29~38로 산정할 수도 있다 항목 III으로 평가한 경우에는 시행한 수술에 횟수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아니한다

5) 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없는 경우흉추부 요추부가 동수의 분절이 고정되어 있

으므로 높은 장애율을 제시하고 있는 요추부 항목 III-B-a-1의 15~28를 이용하

여 장애율을 판정한다

6) 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0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있는 경우흉추부는 두 분절 요추부는 한 분절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흉추부 항목 III-B-b-2의 25~ 40를 이용하여 장애율을 판정

한다

C 말초신경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1) 장해평가를 받기 전까지 충분하고 성실하게 전문적 검사와 치료를받아야 하며

특히 말초신경계 장애의 경우 객관적 관찰 및 신경학적 검사시 주관적 개입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필수적인 신경보조검사를 시행한 경우에 한한다

2) 두 신경 이상의 손상의 경우 AMA식 복합장애 병산표를 이용한 병산 또는합

산을 인정한다

3) 다음의 경우는 말초신경 장해평가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a) 중추신경장애로 인한 2차성 말초신경 퇴행 및 이로 인한 동반장애 증상

b) 척추질환으로 인한 신경근 압박으로 초래된 감각 및 운동신경장애 증상

c) 신경전도검사 유발전위검사 또는 근전도 검사등 객관적 검사상ldquo추정적

(suggestive)rdquo이상의 등급으로 인정되지 않는 말초신경 손상

mdash mdash230

2 장해평가 방법론

1) AMA 식의 평가기준 기술방식적 접근에는 동의하나 장황한 서술은 지양한다

2) McBride 식 평가의 간결성을 적용한다

3) 일개 장애에 대하여 여러 항목에 대한 복잡한 분석 후 백분율() 산정 AMA

식 복합장애 병산표를 이용하여 합산하는 AMA 식 접근법은 지양한다

4) 손상의 정도를 가벼운 보통의 심한 장애로 나누어 이의 성립요건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기술한다

a) 신경근(spinal nerve root)의 경우 AMA에서 산정한 C5부터 C8의 최대 장애

율은 30~45로 T1은 20로 나와 있으므로 C5부터 C8은 부위에 상관없이

35를 최대 장애율로 하고 T1만 20를 인정한다

b) 감각과 운동신경장애를 통합하여 경도 중등도 고도의 항목에 모두 통합 기술

한다

- A 가벼운 장애정상 활동이 가능한 경도의 감각감소 또는 저항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 B 보통의 장애정상 활동에 제한을 주는 감각감소 또는 중력에 반하는 운

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 C 심한 장애심한 통증을 동반한 감각감소 또는 작열통(causalgia) 또는

운동이 거의 불가능한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

c) 각 항목에 대하여 AMA 식 평가의 최대치를 산정하여 전신비율로 산정한 값은

McBride 식 평가에서의 완전손상 항목과 상당히 유사한 값을 나타낸다는 점에

착안 시안의ldquo심한rdquo에 해당하는 평가치로 준용하고 AMA 식 평가값의 백분율

을 변형하여 20(15)에 해당하는 것을ldquo가벼운rdquo으로 50(12)에 해당하는 것

을ldquo보통의rdquo로 단일화하여 전신비율로 계산된 값을 각각ldquo가벼운rdquo 및ldquo보통의rdquo 최

종 평가값으로 준용한다 운동 및 감각기능의 손상을 통합적으로 다루었으므로

AMA의 감각 운동신경 복합손상에서 기술한 평가치를 기준으로 한다

mdash mdash231

3 말초신경 장해평가표

손 상 신 경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A 가벼운 B 보통의 C 심한

제 5-8 목신경 04 10 20

제 1 가슴신경 03 07 14

팔신경얼기 12 30 60

중간줄기(제 7 목신경) 04 10 20

아래줄기(제 8 목 제 1 가슴) 09 22 45

가슴근신경 01 02 03

겨드랑신경 04 12 24

등쪽어깨신경 01 02 03

긴가슴신경 2 05 10

안쪽아래팔피부신경 01 02 03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윗부분) 08 20 40

정중신경(앞뼈사이신경) 02 05 10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아래부분) 05 14 28

근육피부신경 03 09 18

노신경(삼두근침범) 05 14 28

노신경(삼두근보존) 04 12 24

어깨밑신경 1 02 03

어깨위신경 2 06 12

가슴등신경 1 03 06

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 6 05 30

자신경(아래팔중간 이하) 4 12 24

넙다리신경 3 07 15

폐쇄신경 1 02 03

위볼기신경 5 12 25

아래볼기신경 3 07 15

가쪽넙다리피부신경 1 02 03

궁둥신경 6 15 30

온종아리신경 3 07 15

얕은종아리신경 1 01 02

장딴지신경 1 01 02

안쪽발바닥신경 1 01 02

가쪽발바닥신경 1 01 02

A 가벼운 장애정상 활동이 가능한 경도의 감각감소 또는 저항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B 보통의 장애정상 활동에 제한을 주는 감각감소 또는 중력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C 심한 장애심한 통증을 동반한 감각감소 작열통 또는 운동이 거의 불가능한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

mdash mdash232

4 증 례

3O 세의 남자(오른손잡이)가 유리작업을 하다가 깨진 유리에 왼쪽 팔꿈치 아래의

심한 자상을 입고 치료를 받았다 당시 근육은 봉합 가능하였으나 신경은 봉합을

하였으나 기능은 회복되지 않았으며 이후 좌측 손 근육의 근 위축이 서서히 생기면

서 전형적인 갈구리 변형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상태로 내인성 근육의 근력저하가

이학적으로 명백하여 왼손으로는 일상생활울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또한 좌측

자신경의 감각소실이 현저하였다 다치고 계속 물리치료와 약물치료를 하다가 수상

후 약 8개월째 장해평가를 받기 원한다

먼저 수상후 최소 6개월이 지났으며 의학적으로 최대한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는 시기(MMI)를 경과하였다고 감정의사가 판단하고 더 이상 호전이 없을 것으로

생각하면 수상후 8개월에 장해평가가 가능하다

먼저 수상부위가 아래팔(forearm)의 중간이상 부위가 감각저하와 근육마비로 확

인이 되므로 일단 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의 항목에 해당된다고 본다 상기 상태는

C심한 장애상태로 판단되며 심한 통증과 작열통이 없지만 운동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ldquo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

의손상-Crdquo로 평가하며 24의 노동력 상실로 장해평가를 한다

D 통증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및 전신장애율()

항 목

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잘 쓰지 않는

팔다리

잘 쓰는

팔다리

I 복잡부위 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type I amp II )

A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에 경한 지장이 있는 경우 01-04 01-09

B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이 불가능한 경우05-14 10-24

C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현저한 지장을 주는

경우 15-29 25-39

D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30-45 40-60

mdash mdash233

항 목

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잘 쓰지 않는

팔다리

잘 쓰는

팔다리

II 의학적으로 명백히 기질적인 손상이 있는 질환에서

통증증후군이 동반되어 통증을 평가할 때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II 통증을 설명할 수있는 명백한 장기의 손상이 없지만

통증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일반적인 통증

증후군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 II III군의 적용과 A B C 항의 적용에 대한 세부지침은 아래에 있는 평가요령을 참고로

한다

2 세부지침

1) I 항 해당질환복잡부위 통증증후군 제 1 2형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I amp IICRPS type I(reflex sympathetic dystrophy RSD

반사교감 이형성증) CRPS type II(causalgia and posttr-aumatic neuralgia

작열통과 말초신경의 외상후성 신경통)

2) 복잡부위 통증증후군의 진단기준(Guide to the evaluation of the permanent

impairment AMA 5th ed p496)

국소 임상 증상

혈관운동계 변화(vasomotor changes)

bull 피부 색깔얼룩덜룩해진다 창백해진다

bull 피부 온도차다

bull 부종

발한성 변화(sudomotor changes)

bull 피부가 건조해 지거나 또는 촉촉해진다

영양성 변화(trophic changes)

bull 피부 결부드럽고 탄력이 떨어지는

mdash mdash234

bull 연부조직 위축특히 손발끝에서

bull 관절 강직과 운동범위 감소

bull 손발톱 변화홈이 나며 구부러지고 부리 같은 변화

bull 털 성장 변화빠지고 가늘고 길어진다

방사선학적 변화

bull 단순방사선검사뼈의 영양성 변화 골다공증

bull 방사성 동위원소 뼈스캔복잡부위 통증증후군에 합당한 소견

해석

=gt8복잡부위 통증증후군

lt8복잡부위 통증증후군이 아님

3) II 항 해당사항

① 의학적으로 확인할수 있는 기관의 장애가 있고 뇌 척추 말초신경과 같은 다른

항목에서 장애율을 매길 수 있는 질환에서 통증평가(다른 항목(뇌 척추 말초신경)

으로 계산한 장애정도가 통증장애를 포함한 모든 장애를 대표한다고 평가하였다고

보기 어려울 때)

예를 들어자기공명영상으로 확인이 되고 임상적으로 근력약화 감가소실을 나타

내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가 수술후 해당 신경뿌리 피부 영역에서 심한 통증을

계속 호소할 때

② 잘 알려진 통증질환이지만 통증증후군의 발생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어

통증의 발생을 미리 예측할 수 없는 경우(해당질환마비후 통증 척수공동증 통증 시

상증후군 상완신경총손상 통증 신경포착성 증후군 말초신경병 중추성 신경통)

4) III 항 해당질환해당질환두통 포진후 신경통 삼차신경통 홍색사지통증과

같은 질환

5) II III 항의 A-C 세부사항

A통증이 있지만 일상생활에 불편이 없음 통증으로 인한 고통이 없거나 미미

함 통증치료를 규칙적으로 할 필요가 없음 진찰중 통증관련 제한이 가볍거나 통증

행동이 거의 없음

B일상생활에 불편이 있고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조정이 필요함 통증으로

인해 다소의 정서적인 고통이 있음 통증 때문에 치료받거나 약을 복용하고 있음

진찰중 통증관련 제한이 상당히 있지만 통증행동은 거의 관찰되지 않음

mdash mdash235

C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움 통증으로 인해 심한 정서적 고통이 있음

통증약을 항상 복용함 진찰중 통증관련 제한이 심하고 통증행동이 많음

3 증 례

42세 오른손잡이 남자(선반공)로 우측 손의 수근관 증후군으로 진단받고 발병 3개월에

인대절제술을 시행하였음 수술후 수술전의 저림은 없어졌으나 수술 약 2주후부터

우측 손의 부종이 점차 발생하면서 우측 손의전반적인 통증이 발생하였다 복잡부

위 통증증후군 제 1형으로 진단받고 수회의 교감신경블록과 정중신경블록 약물치

료와 물리치료를 6개월 이상 시행하였다 현재 통증은 우측손에서 아래팔에서 어깨

까지 진행한 상태로 VAS 7-810상태가 계속된다 통증으로 인해 우측 손과 팔꿈치

어깨의 운동범위가 심하게 제한을 받고 있으며 이학적 소견상 우측손의 부종과 얼룩

덜룩한 색깔변화 손톱이 갈라지고 손이 차며 피부가 건조하다 손가락의 운동범위는

심각하게 감소하였으며 팔꿈치와 어깨는 어느 정도 관절운동 범위가 유지되고 있다

감각저하(hy-pesthesia)와 저림(paresthesia)가 있다 또한 스치면 통증을 느끼는

작열통이 동반되어 있다 검사시 우측 팔을 가능한 움직이지 않으려고 하며 스치면

얼굴을 찡그리면서 약간의 신음소리를 보였다 단순방사선 검사상 골다공 소견을

보이며 방사성 동위원소 뼈주사에서 동위원소의 증가소견을 보인다

장해평가

현 상태로 보아 정중신경의 만성적인 포착에 따르는 수근관 인대 절개술후 발생

한 복잡부위 통증증후군 제 1형(반사교감 이형성증 과거의 용어)으로 진단되며 세

부지침에 있는 복잡부위 통증증후군의 진단기준중 8개 이상을 보이는 전형적인 진

단기준에 합당하다 장애정도는 C 항에 해당한다 이환된 손가락의 운동은 불가하

지만 위의 설명상 우측 팔을 완전히 사용 못하는 상태는 아니라고 판단하기 때문이

다 오른손잡이이므로 25~39의 범위에서 감정의사의 재량에 따라 평가할 수 있

다 현 평가의 환자의 증상이 과장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고 vas 7-810을 보임에

따라 35~37의 장해평가를 내린다 범위가 있는 것은 통증 환자들은 모두 다른

증상을 보이는 다양한 장애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감정의사는 세심하

고 정확한 이학적 검사 및 면담을 통해 통증반응과 같은 상황을 참작하여 허용된

범위 안에서 자신의 판단을 이용하여 개개의 피감정인을 평가할 수 있다

Page 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200512

제 출 문

노동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2005년도 노동부의 정책연구용역과제인 ldquo산재보험

장해평가기 개선을 한 기 연구rdquo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5 12

주 연구기 한의료감정학회

연구책임자이경석(순천향 천안병원 신경외과)

연 구 자 임 술(동국의 방의학교실)

정한용(순천향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 (한양의 정신과학교실)

정두신(순천향 천안병원 신경과)

백 흠(한양의 신경외과)

김창호(한국소비자보호원 분쟁조정2국)

이 주(노동부 산재보험 신 )

유성재( 앙 법과 학)

이달휴(경북 법과 학)

조임 (한국법제연구원 법제연구실)

이홍무(일본와세다 상학부)

mdash mdashi

- 목 차 -

제 1 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Ⅱ 산재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Ⅲ AMA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Ⅳ 산재기 과 국내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

Ⅴ AMA 기 과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Ⅵ 결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제 2 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

Ⅱ 산재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Ⅲ AMA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Ⅳ 산재 기 과 국내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5

Ⅴ AMA 기 과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Ⅵ 결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제 3 장 정신행동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Ⅱ 산재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Ⅲ AMA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Ⅳ 산재기 과 국내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mdash mdashii

Ⅴ AMA 기 과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Ⅵ 결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제 4 장 특수기능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Ⅱ 산재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Ⅲ AMA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0

Ⅳ 산재기 과 국내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Ⅴ AMA 기 과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Ⅵ 결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제 5 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Ⅱ 문가용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Ⅲ 일반인용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08

mdash mdashiii

- 총 목 차 -

제 1 부 국 내 제 도 제1장 우리나라 장해평가기 의 황과 문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제2장 산재보험 통계자료를 이용한 장해등 련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제 2 부 외 국 제 도 제1장 미국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7

제2장 독일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1

제3장 일본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9

제4장 랑스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0

제 3 부 의료분야(Ⅱ) 제1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제2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

제3장 정신행동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제4장 특수기능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제5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 부 록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5

mdash mdash1

제 3 부 의 료 분 야

제1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제2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

제3장 정신행동 장해평가

제4장 특수기능 장해평가

제5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mdash mdash3

제 1 장 근골격계 장해평가1)

I 서 론

II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III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IV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1 상지 장애

2 하지 장애

3 척추 장애

V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1 상지 장애

2 하지 장애

3 척추 장애

VI 결 론

1) 백광흠(신외) 이승림(정외) 김종문(재활) 도재원(신외) 오성훈(신외) 강윤규(재활) 최재욱(예방) 조경석(신외)

mdash mdash5

제 1 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Ⅰ 서 론

근골격계 영역은 미국의학협회의 장해2)평가기준(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ition 이하 AMA라 칭함)에서 제 15장 척추와 골

반 제 16장 상지 그리고 제 17장 하지로 나누어 기술되어 있다 이는 산업재해보

상보험법의 장애등급 판정에서의 장해계열 구분에서는 15(척주) 16(기타 체간골)

17 팔(결손 기형장해) 18 팔(기능장해) 19 팔(흉터장해) 20 손가락(결손 기능

장해) 21 다리(결손 기형장해) 22 다리(기능 장해) 23 다리(단축장해) 24 다리

(흉터장해) 25 발가락(결손 기능장해) 장해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근골격계 장해

평가기준개발팀에서는 해당 AMA 기준 중에서 근골격계에 해당되는 내용을 요약

분석하고 근골격계의 장해평가를 산업재해보상보험법과 AMA의 기준을 비교한 후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 항목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모든 국내법은 장애 정도에 대한 평가 기준을 국가배상법 시행령의 별표로 규정

하고 있다 시행령의 별표를 살펴보면 장해평가는 등급을 나누고 추정 노동력 상

실율의 를 표시하였는데 각 등급에서는 장애항목을 예시하는 예시형 추정

(example-based estimation)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장애등급과 항목은 일본의

1926년 공장법 시행령 제7조 별표의 장애등급과 장애항목을 1947년 노동기준법

시행령의 보상일수에 대한 규정을 국내에서 1953년 근로기준법을 제정할 때에 번

역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공장법 시행령은 14등급 120항목이고 국내의 산업재

해 보상보험법은 14등급 141항목을 두고 있다 이러한 등급표는 너무나 단순하며

장해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규정을 가지고 있지 않다

산업재해 보상보험법에서는 국가배상법 시행령의 장애등급표와 거의 동일한 계열

2) 국내에서는 장애 장해에 대한 용어가 혼용되는데 WHO는 1980년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Disabilities and Handicaps (ICIDH)를 출판하였고 이는 국내에서 각각 순서대로 장해 장애

불구로 번역되었다 따라서 impairment와 disability에 해당되는 용어는 이를 기준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mdash mdash6

분류와 등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좀 더 객관적인 등급 결정을 위해 구체적인 시

행세칙을 마련하여 장해등급판정요령(1984 5 28 예규 101호)을 두고 이에 따라

장애등급을 판정하고 있다 또한 이 시행세칙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이외 자동차배

상법 생명보험사장해등급분류표에서 비슷한 내용의 장해평가기준의 기본이 되었다

산업재해 보상보험법에서는 신체를 해부학적 관점과 기능면의 생리학적인 관점에

서 장애군을 25개의 장애계열로 나누고 장애 등급을 1급에서 14급까지로 구분하

고 있다 만일 계열을 달리하는 신체장해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중한 쪽에 해당하

는 신체장해를 등급으로 인정하거나 1~3 등급을 인상하여 신체장해의 등급을 판

정한다 이렇게 신체장해의 등급을 달리하는 방법을 lsquo조정rsquo이라고 한다 또한 등급표

에 예시된 장해항목 이외의 신체장해가 있을 경우에는 장해의 정도에 따라 주어진

신체등급표의 장해항목에 준하여 등급을 결정하는데 이를 lsquo준용rsquo이라고 한다 산업

재해보상보험법의 장해등급평가 세칙은 장해(impairment)에 해당되는데 내용은 별

표의 해당 장해 항목이나 조정 등으로 정해진 장해등급에 따라서 보상일수가 정해

지므로 장해등급이 신체손상의 정도를 반영하게 된다 반면 동일한 방법의 장해평

가표이면서도 국가배상법에서는 장해등급표 옆에 임의로 노동능력 상실률을 정하고

있어 노동력 상실율과 신체손상율에 대한 개념의 혼동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국

가배상법에서는 제1~3급의 노동능력상실률이 100이며 제4급이 90이고 각 등

급마다 10씩 노동능력상실률이 낮아지도록 하고 있다

국내법에서 장해평가 시기는 증상이 고정됨을 전제로 하고 있다 산업재해 보상

보험법에서 lsquo치유된 때라 함은 부상 또는 질병에 대하여 의학상 일반적으로 승인된

치료방법을 사용하여 요양하였으나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태로서 남게 되는

증상이 자연적 경과로 인하여 도달된다고 인정되는 최종상태(증상의 고정)rsquo로 정의

하고 있다 장애정도의 평가는 원칙적으로 요양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태가 되

어 증상이 고정된 때에 실시한다 그리고 6개월 이내의 기간에 증상이 고정될 가망

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기간이 지난 후에 장해평가를

실시하여 장애 등급을 판정하고 있고 국민연금법에서는 초진일로부터 2년이 경과

한 시점을 장해평가시기로 정하고 있다

등급을 통한 장해평가는 신체장애의 종류에 따라 장애항목이 결정되어 장애에

관한 배상이나 보상의 관련된 업무에 대해 행정적 처리는 편리하다 또 다른 장점

으로는 시행세칙에 따른 평가에 있어 다소 불합리한 부분이 있더라도 조정이 잘되어

mdash mdash7

있고 해당조항이 없더라도 준용함으로써 비슷한 등급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장애항목의 서술이 애매한 형용사 형의 사용이 많아 조잡하며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항목의 분류가 엉성하다 또한 장애등급이 곧바로 신체손상율이나 노동능력상

실이라고도 말할 수 없고 현재의 사회 환경이나 의학수준과 격차가 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 하지의 장애를 주로 관절 장애로 준용하도록 유도되어 있어 신경손상

이나 국소적 근 손상 등의 평가도 관절운동의 제한으로 평가함으로써 적절치 못한

평가가 된다 뿐만 아니라 상 하지의 장애도 ldquo3대 관절 중 2(또는 1)관절rdquo 같은

식으로 각 관절간의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가 없이 단순히 해당 관절의 개수만을 평

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평치 못한 장해평가가 되고 만다 이에 비해 AMA나 맥브

라이드식 장해평가에서는 각 관절별 신체손상율 및 노동력 상실율이 실제 장애로

인한 기능적 제한 정도를 반영할 수 있도록 차등되어 있다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상 지

AMA에서 상지의 장해는 제 16장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제 139에서 상지의

말초신경 손상에 대한 장해평가에 일부 그 내용이 언급되어 있지만 주 내용은 제

16장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 장에서는 근골격계 손상에서의 상지 장해인 제 16장의

내용을 주로 다루고자 한다

AMA 제 5판에서는 근골격계에서 흔히 다루어 지는 장해인 절단 장해 관절 장

해 운동말초신경 장해 외에 뿐 감각신경 손상 혈관질환 복합국소통증증후군 등까

지 다루고 있다 맥브라이드나 이전 제 3판에서와 달리 장해평가에 있어 우성 수

(dominant hand)에 대한 조정을 하지 않고 있다 이는 우성 수를 객관적으로 알아

내기가 쉽지 않고 그 의존의 정도도 사람에 따라 다양하여 양손의 차이가 뚜렷할

수도 있지만 그 차이가 미미하거나 완벽한 양손잡이 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지의 장해평가는 크게 수부와 기타 부위로 나눌 수 있는데 이는 그림 16-1a와

b에 잘 나타나 있다

mdash mdash8

그림16-a 팔 장해 평가 기록 ndash 제1부 (손) 좌우 우 좌

성명 _________________ 연령 ______ 성별 남 여 주손 우좌 일자 ____________

직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진단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비정상 운동 절단 감각 소실 기타 장애 손 장해()

운동 또는 강직 각도 및 손 장해()를 기록한다

절단 위

치 및 장

해()를

표시한다

유형 위

치 및 장

해()를

표시 한다

유형 및

장해 기

록한다

손가락 장해를

병합한다

손 장해로 전환

한다

굴곡 신전 강직 장해()

IP각도

장해

MP각도

장해

운동 강직 장해()

CMC

요 골

외전

각도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내전Cm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대향접

촉운동

Cm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를 합산하면 CMC + MP + IP=

[1]

손 가 락

IMP =

[2]

손 가 락

IMP =

[3]

손 가 락

IMP =

[4]

손 장해

굴곡 신전 강직 장해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

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

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mdash mdash9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손 장해 총량 엄지손가락 + 집게손가락 + 가운뎃손가락 + 약손가락 + 새끼손가락 =

손 장해 총량을 팔 장해로 전환한다dagger(엄지중수골에 문제가 없다면 제2부 Ⅱ항에 기재한다) =

Thumb ray upper extremity amputation 장해____ + hand upper extremity 장해 ____ =

손 부위의 장해가 장해의 전부라면 팔 장해를 전신 장해로 전환한다 =

그림16-1b 팔 장해 평가 기록 ndash 제2부 (손목 팔꿈치 어깨) 좌우 우 좌

성명 _________________ 연령 ______ 성별 남 여 주손 우좌 일자 ____________

직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진단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비정상 운동 기타 장애 국소 장해 절단

운동 또는 강직 각도 및 장해를 기록한다유형 및 장해

를 나열한다

병합한다 [1] +

[2]

위치 및 장해

를 표시한다

굴곡 신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RD UD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합산한다 장해 굴곡신전 + RDUD = [1] 장해= [2]

굴곡 신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회내 회외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합산한다 장해 굴곡신전 + 회내회외= [1] 장해= [2]

mdash mdash10

굴곡 신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내전 외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내회전 외회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합산한다 장해 굴곡신전+ 내전외전+내회

전외회전 = [1]장해= [2] 장해 =

Ⅰ 절단 장해(손가락 외) =

Ⅱ 팔의 국소 장해

(합산한다 손 _____ + 손목 _______ + 팔꿈치 ________ + 어깨 _______ ) =

Ⅲ 말초신경계통 장해 =

Ⅳ 말초혈관계통 장해 =

Ⅴ 기타 장해 (국소 장해에 포함되지 않은 것) =

팔 장해 총량 (Ⅰ Ⅱ Ⅲ Ⅳ Ⅴ를 병합한다) =

전신 장해(표16-3을 활용한다) =

〈표 16-1 16-2 16-3〉을 이용하여 각각 수지 장해를 수부 장해 수부장해를 상지 장해

이를 다시 전신장해율로 전환하여 사용한다 각각의 장해율은 병합(combine) 하는 것이 원

칙인데 다음의 경우 합산(add) 하기도 한다

1 손 장해 총량(100)은 각각의 손가락 장해를 합산하여 구한다 엄지손가락은 40 집게

손가락은 20 가운뎃손가락은 20 약손가락은 10 새끼손가락은 10 이다 (표

16-1 및 표16-4)

2 손에 다른 장해가 있다면 이를 팔 장해로 전환한 후 thumb ray 절단으로 인한 팔 장해와

합산한다

3 Thumb Ray 운동 장해값은 각 관절 운동 장해값을 합산해서 구한다 엄지손가락의 기능

단위(100)는 수근중수골 75 중수수지(MP) 10 지절 사이(IP) 10 등 손가락을 구

성하는 관절의 장해값을 합산한다 그러나 운동 상실에 대한 손가락 관절 장해 등급은

합산하지 않고 병합해야 한다

상지의 관절운동 제한에 의한 장해평가에서 관절의 운동범위에 따라 장해율을 적

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기능적인 위치에서 신체손상율을 최소로 하고 여기에서

부터 가능한 운동 범위에 따라 신체손상율을 다르게 했다 즉 가능한 운동 범위에

따라 신체손상율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범위가 적어도 기능적 위치에 가까우

면 더 적은 신체손상율을 주도록 하고 있다

mdash mdash11

〈표 2-2〉 상지 관절에서 최소 장해율을 보일 때의 관절각도 (AMA 장해평가지침서 제5판)

관절 Ia

총 장해율

Ie

신전장해율

If

굴곡장해율

V

각도

견관절

굴곡 신전 15 5 10 40

15 5 10 30

15 4 11 20

내회전 외회전 6 2 4 내회전 20

6 2 4 내회전 30

6 3 3 내회전 40

6 4 2 내회전 50

주관절

굴곡 신전 21 11 10 80

회내 회외 8 4 4 회외 20

완관절

굴곡 신전 21 8 13 신전 10

21 11 10 0

21 13 8 10

요굴 척굴 9 5 4 0

9 4 5 척굴 5

9 4 5 척굴 10

무지

중수지관절 5 1 4 20

지관절 7 3 4 20

손가락

중수지관절 45 12 33 30

근위지관절 50 14 36 40

원위지관절 30 4 26 20

Ia 총 장해율 Ie 신전 장해율 If 굴곡 장해율 V 관절각도

Ia = Ie + If

이와 같이 AMA에서의 상지 장해평가는 상당히 복잡하고 그 평가에도 상당한 시

간이 소요된다 특히 다발성의 수지 손상이라면 그 평가에 필요한 시간은 엄청나게

증가된다 반면 상당히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므로 운동범위 등의 측정치만 일정

하다면 수학 공식과 같이 대입만하면 어느 누가 장해평가를 하더라도 거의 일치되

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하 지

하지의 장애는 17장에 기술되어 있으며 개인의 일상생활(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수행 여부를 반영하는 영구적인 신체장애율로 표기되며 이를 위해 하

mdash mdash12

지를 6분야로 나누고 있다 족부 후족부 족관절 하퇴 슬관절 고관절 및 골반부

로 나누고 이에 신경계 및 혈액순환계를 포함한다 평가는 하지의 해부학적 변화

진단적 기준 및 기능적 변화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제 5판의 AMA에서는 평가방법

을 명기하고 서로 병합할 수 있는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작열통(causalgia)과

같은 항목에 대해서는 중추신경계를 인용하여 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해부학적인 분류에 따른 평가는 하지부동 근위축 관절강직 절단 관절염 피부

결손 말초신경손상 혈관계손상 및 작열통의 세부항목으로 나뉘고 기능적 분류에

따른 평가는 관절운동범위 보행이상 및 근력으로 나뉘며 진단적 분류에 따른 평

가는 골절 인대손상 반월상연골판 절제술 족부변형 고관절부 및 골반부의 점액낭

염과 인공관절 치환술로 세분되어있다 각각의 평가항목들은 서로 병합할 수 있는

항목과 그렇지 못한 항목들을 구분하여 하지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지와 마찬가지로 한쪽(unilateral)의 하지를 기준으로

장해율이 표기되어 있으며 전(全) 손실의 경우 전신에 대하여 40의 상실률이 책

정되어 있다

3 척 추

제 15장 척추 장해를 살펴보면 다른 장기의 장해 평가 방법과 마찬가지로 장해

의 정도는 등급이 아닌 장해율로 평가를 한다 척추 장해 등급 평가는 진단 관련

평가(Diagnosis-related estimates DRE) 또는 운동 범위평가 (ROM) 중 하나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DRE 방법은 명백한 손상이 있는 환자를 평가할 때 주로 사용

된다 장해 원인을 알 수 없을 경우나 DRE 방법으로 장해의 특성을 잘 나타낼 수

없는 경우 DRE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ROM 방법은 DRE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에 사용한다 DRE 방법은 경추 흉추 요추 등 척추 3부위마다 8개의 DRE 카테고

리로 분류한다 환자를 DRE 카테고리에 정확하게 분류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한다 첫째 방법은 증상 징후 및 적정 진단 검사 결과에 근거한다 둘

째 방법은 골절 및또는 임상적 증상의 유무에 상관없이 탈구에 근거한다 환자의

골절이 확인되어 DRE 카테고리로 분류 되었다면 다른 증명은 필요하지 않다 상지

장해를 평가하는 방법은 근본적으로 해부학적 평가 방법이다 해부학적 부위별로

절단 운동 소실 또는 강직 감각 소실 기타로 인한 장해를 모두 구하여 이를 병합

mdash mdash13

표15-20 척추 장해 평가 요약

성명 ___________________ 주민등록번호 ____________________ 일자 _________________

장해 경추 흉추 요추

1 DRE 방법 (표15-3~표15-5)

2 ROM 방법 (표15-8)

3 신경근 통증이 있거나 없는 감각 소실 근력 소실

한 후 장해율표를 이용하여 장해정도를 평가한다 하지의 장해평가시 다리 평가에

는 13 가지 방법이 있다 표17-1은 13가지 방법을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3개 카

테고리 즉 (1) 해부학적 (2) 기능적 또는 (3) 진단에 근거한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주요 평가 방식을 반영하고 있다 운동 범위 (ROM) 다리 길이 차이 관절염 피부

변화 절단 근육 위축 신경 손상 혈관 장해 등 해부학적 변화는 이학적 검사를 통

해 평가한 후 임상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관절염에는 통증 쇠약 경

직 등으로 인해 손상을 입었으나 기능성 운동 범위를 유지하는 확진 관절염 환자에

게 적용되는 고유의 진단 카테고리가 있다 관절염은 X-선 사진에서 측정된 관절

공간이 좁아진 것을 근거로 평가한다 작열통 및 복합부위통증증후군(반사적 교감신

경성 기능장해)은 ROM 방법 및 말초신경 평가 기법을 병합하여 평가한다 진단에

근거한 평가는 특정 골절 및 변형 인대 불안정 윤활낭염 및 관절 치환 및 반월연

골절제술을 포함하는 여러 외과 처치로 인한 장해를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진단에 근거한 평가 방법을 다른 평가 방법과 병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기능 장해는 해부학적 변화의 분류가 어렵거나 기능적 관련성이 증명되었을 때 선

택된다 기능 장해는 맨 마지막에 평가한다 동일한 질환을 평가한 방법은 서로 병

합하지 않는다 적정 방법을 선택하거나 여러 방법을 병합하려면 판단력과 경험이

있어야 한다 정확하고 일관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입증 자료를 주의 깊게 검토

해야 한다 한 개 이상의 평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보다 높은 장해 등급이

확인되는 등급을 선택한다 상지나 하지의 장해평가에 대한 AMA 기준은 매우 논리

적이며 공신력이 있으며 아주 자세하고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합리적이다 하지만

너무 자세하고 복잡하여(상하지만 137개의 표) 따로 교육을 받지 않으면 평가할 수

없을 정도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점이 있다 특히 직관적이고 포괄적인 평가를 선호

하는 우리나라 의사들에게는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표 1〉 근골격계 장해평가표(AMA 기준 요약)

mdash mdash14

4 기타 (1514절 기준)

5 전체 국소 장해(lsquo병합장해율표를 이용하여 세로줄의 장해를 모두 병합한다)

6 전체 척추 장해(lsquo병합장해율표rsquo를 이용하여 모든 국소 장해 합계를 병합한다)

7 다른 기관 계통의 장해 각각의 장해에 대해 상태 본 지침서의 쪽수 장해율을 기록한다 장해가 발생한 기관 계통 장해율() 본 지침서 쪽수

a

b

c

d

e

8 전신 장해 lsquo병합장해율표rsquo를 이용하여 위 7항의 장해와 척추장해를 병합한다 장해가 여럿인 경우 척추 장해를 가장 큰 장해와 병합한 후 명시된 모든 장해가 반영되도록 기타의 장해값과 병합한다 전신 장해 총량 _______________________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신체장해평가 방법의 기준에 대해서는 각종 법률에 의해

정해져 있다 장해평가와 보상에 관련된 법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국가배상법 장

애인복지법과 각종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및 각종 연금법 등을 망라하여 근 20개가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대표적이고 다른 법규의 평가 기준의 모태가 되는 법은 산업

재해 보상보험법 국가배상법 장애인복지법을 들 수 있다 장해평가기준도 국가배

상법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그 근간을 두고 있으며 그 평가내용은 대개 동일하다

1 상지 장애

상지의 장애는 두 팔을 팔꿈치 관절 이상에서 잃은 사람 또는 두 팔을 영구적으

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1급)부터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

의 손가락의 말(末)관절을 굽히고 펼 수 없게 된 사람(14급)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기술이 구체적이고 비약이나 단절 없이 장해가 나열되어 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하 산재)의 신체장해등급표(시행령 별표 2)와 가장 비슷한

국내 장해평가기준은 국가배상법(이하 국배법)의 신체장해의 등급과 노동력상실율

표(시행령 별표2)이다 이 두 기준은 모두 일본법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장해등

급 분류와 항목이 거의 일치한다 그러나 장애등급 결정을 위한 세부 지침은 산업

mdash mdash15

재해보상법 시행규칙 별표 4의 신체부위별 장해등급결정에는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

나 국배법에는 없고 국배법에 제시되어 있는 노동력 상실율과 별표 3의 2개 부위

이상의 신체장해 종합평가 등급표(즉 장애 병합표)가 산재법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산재와 국배법의 장애등급이 14급까지로 분류되어 있는데 비해 국민연금(총 4급)

장애인복지법(총 6급) 생명보험(이전 총 6급 현 지급율에 따라 총 10-12등급)은

장애등급의 분류가 불명확하고 각 등급간의 차이에 대한 객관적 비교나 설명도 미

흡하다

또한 각 장해 평가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장해 내용은 서로 간에 매우 유사하

지만 해당 장해등급은 상이하다 특히 산재 장해등급의 경우 다른 장애등급표와 달

리 ldquo팔꿈치관절 이상에서의 손실rdquo ldquo손가락 장애의 세분화 된 항목rdquo 등이 설정되어

있어 다른 장해평가기준에 비해 좀 더 세세한 장해 분류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최근 개정된 생명보험사 약관의 장애지급율표와 국배법의 노동력 상실율을

비교해 보면 그 차이는 더욱 커짐을 알 수 있다 (아래 표 참조) 물론 지급율과 노

동력 상실율을 동일시 할 수는 없지만 노동력 상실율이 장애정도를 대변하듯이 지

급율도 마찬가지이므로 이 두 항목은 상당한 유사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럼

에도 국배법의 노동력상실율 생보약관 지급율 장애인복지법상 장애등급에 따른 장

애율 간에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장해의 경중이 유사한 장해끼리도

각 장해평가기준마다 조금씩 다르고 적용 등급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근골격계 장해평가의 근간이 되는 관절운동범위의 측정도 객관성이

거의 없는 능동운동범위를 측정하여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객관적인 장해평가가 매우

어렵다

산재법 시행규칙에 비교적 자세한 평가 가이드라인이 있으나 객관화된 검사법을

이용한 평가법이 거의 사용되지 않고 최신 검사나 검사법등에 대한 언급이 없는 단

점이 있다 또한 신경마비나 근 손상에 의한 장해도 능동운동 제한을 이용한 관절

운동으로 평가하는 등 객관화된 검사를 이용한 평가가 되지 못하는 것은 매우 안

타까운 일이다

mdash mdash16

상지 장애의 국내 장해평가기준 비교

장 애 상 태 국민연금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국배법

노실율()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1급 5 100

두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두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1급

(42)1급 1

2급 3

1급 6100 100

한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급 4 90

한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한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57) 2급 2

5급 2

5급 460 80

두 손의 손가락을 전부 상실하였거나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9 2급 1

3급 5

4급 6

100

90

한 손의 모든 손가락을 잃은 사람 3급 2 6급 8 55 70

한 팔의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3급 5 6급 6 7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4급 5 8급 6 30 50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4급 1 3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손가락을

잃은 사람5급 1 8급 3 25 5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6급 1 9급 10 15 40

결론적으로 산재법의 장해등급분류는 비교적 자세히 분류가 되어 있으나 장해의

경중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필요하고 일부의 경우는 매우 자세히 분류가 되어 있으

나(예 수지) 일부는 해당 항목을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점(예 근력의 정도에

따른 분류 등이 없음)과 좀더 객관화 된 검사를 이용하지 못하고 환자의 진술 능동

운동 등에 의해 평가가 된다는 점에서 장해평가표의 재구성과 객관화를 위한 가이

드라인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 하지 장애

하지의 장애 역시 두 다리를 무릎관절 이상에서 잃은 사람 또는 영구적으로 완전

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1급)부터 한 발의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1개 또는 2개

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14급)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구체적으로 장해가

나열되어 있다

mdash mdash17

장 애 상 태 국민연금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국배법

노실율()

두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두 다리를 무릎 관절 이상에서 상실한자1급 3 1급 2 1급 8 100

두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1급 5 2급 3 2급 4 100 100

한 다리를 무릎 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4급 5 90

한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2급 6 4급 5 5급 3 60 80

한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8 3급 5 5급 5 80

두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2급 10 5급 4급 7 90

한 다리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3급 6 4급~5급 6급 9 70

한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3급 9 6급 4 7급 8 40 60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을 쓸 수 없도록 장

애가 남은 자3급 10 5급 7 7급 11 6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4급 6 4급~6급 8급 8 30 50

한발의 5개발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8급 11 30 50

한발의 첫째발가락을 잃었을 때 10급 11 10 30

하지장애의 국내 장해평가기준 비교

AMA 기준은 팔의 비중이 다리의 비중보다 크다 그러나 한 팔을 팔꿈치관절 이

상에서 잃은 사람이 4급(90) 장해인데 비해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

람의 장해가 1급(100)으로 등급으로는 세 등급이 다르지만 장해율로는 10 차

이 밖에 없다 한편 사지의 관절운동 장해는 대부분의 장해가 운동범위 제한에 따

른 장해인데 운동범위 측정이 환자의 보상 심리 때문에 협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

면 부정확하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의 장해 평가 기준도 상지에서와 마찬가지로 각 장해등급표에서 제시하고 있

는 장해 내용의 유서성에 비해 해당 장해등급과 노동력 상실율 신체손상율 등은

각 장해기준마다 너무나 상이하다 특히 산재 장해등급의 경우 ldquo양측 무릎관절 이

상에서의 상실rdquo은 ldquo양측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rdquo 것과 동일

하게 1급에 해당되나 ldquo한쪽 무릎관절 이상에서의 상실rdquo (4급 5)은 ldquo한쪽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rdquo (5급 5)와 다르고 오히려 ldquo한 다리의 발목

관절 이상에서의 손실rdquo과 동일하다

즉 장해의 경중이 유사한 장해끼리도 각 장해평가기준마다 조금씩 다르고 적용

등급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근거도 알 수 없다

mdash mdash18

3 척추 장애

산업재해 보상보험법 시행령의 별표 2(2002년 6월 27일 개정)인 신체장애등급표

에서 척추의 장애는 변형장애 기능장애로 구분하고 있다 그리고 시행규칙의 별표

4(2000년 7월 29일 개정) 신체부위별 장애등급에서 보면 추간판탈출증에 대한 기

능장애로 장해평가에 대한 조건과 방법 및 준용등급에 대해서 따로 규정하고 있다

(표 2) 장애등급표의 장애항목은 lsquo척주에 뚜렷한 기형이나 뚜렷한 기능장애가 남은

사람(제6급제5호)rsquo lsquo척주에 경도의 기형이나 기능장애가 남은 사람(제8급제2호)rsquo

lsquo척주에 기능장애가 남았으나 보존적 요법으로 치유된 사람(제10급제6호)rsquo lsquo척주에

기형이 남은 사람(제11급제5호)rsquo 등으로 등급 자체가 4개 등급으로 너무 단순하

고 등급을 나누는 기준이 구체적이지 못하다 관례적으로 1분절 유합(fusion)은 8

급 2분절 유합은 6급으로 판정하는데 더 오랜 기간 더 많은 치료를 받은 뒤 더

높은 등급의 장해를 갖게 되는 기이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장애 정도에 대한 lsquo뚜

렷한rsquo lsquo경도의rsquo 등의 애매한 형용사형을 사용하고 있으며 장해평가의 시행세칙에서

각각의 평가 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형용사형의 기술에 의한 기준으

로는 장애의 객관적인 평가가 어렵다

또한 추간판탈출증에 대해서는 동법의 시행규칙에서 별도로 분류하여 평가하며

의학적 임상증상과 특수검사 소견이 일치하는 경우에 인정하고 있다 또한 수술여

부에 관계는 없으며 척추의 운동장애는 인정하지 아니하고 다만 후유신경증상의

유무와 정도에 따라 장애의 정도를 결정한다 장해평가의 기준을 보면 요통과 방사

통 등의 자각증세가 있으나 검사결과에 이상소견은 인정되지 아니하나 단순한 고

의나 과장이 아니라고 의학적으로 추정되는 경우에는 제14급으로 인정하고 자각증

세가 있고 하지직거상검사에 의한 양성소견이 있는 경우에는 제12급 근위축 또는

근력약화와 같은 임상소견이 뚜렷하고 특수보조검사에서 이상이 있으며 척추신경

근의 불완전마비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제10급 신경마비로 인하여 사지에 경도의

단마비가 있을 경우에는 제9급 2개 이상의 추체간에 추간판탈출증에 대한 수술을

하거나 하나의 추간판이라도 재수술을 하여 후유증상이 뚜렷한 경우에는 제8급을

인정한다고 시행세칙에 규정하고 있다

산업재해 보상보험법의 척추 장해평가는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척추의

장애를 크게 형태의 장애로 후만 측만과 골절정도에 의한 변형과 척추 기능의 장

애가 예상이 되는 형태의 변화로 골유합술 골절로 인한 척추운동의 제한으로 구분

mdash mdash19

장 애 상 태 국민연금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척추에 고도의 변형이나 현저한 기능장애가 남은 자 2급 4

척추의 장애로 인하여 앉아 있을 수 없거나 자기

힘으로 일어서기가 곤란한 사람2급 5

척추(등뼈)에 심한 기형을 남긴 때 50

척추(등뼈)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40

척추에 고도의 장애가 있는 사람 5급 8

척추의 기능에 중증도의 장애가 남은 자 3급 4

척추에 현저(뚜렷)한 장애가 있는 사람 6급 5 6급 5 30

척추(등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6급 5 30

척추에 기능장애가 남은 자 4급 4

척추(등뼈)에 약간의 운동장해를 남긴 때 8급 2 10

척추(등뼈)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 때 11급 5 15

하고 있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산업재해에서 많이 부딪히는 문제인 추간

판탈출증에 대해서는 따로 분류하여 이의 장해평가를 제한하고 신중히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추간판탈출증에서 주관적인 통증은 배제하려 노력하였고 방사선 검

사를 통하여 객관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신경근의 손상의 정도에 따른 신경학적

결손에 의해 척추의 장애를 평가하였다 그러나 장애 정도의 평가에 있어 장애등급

에 의한 평가로 여러 장기의 장애가 있는 복합장애를 평가함에 있어 등급의 조정은

매우 불합리하다

척추장애의 국내 기준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AMA기준은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해평가기준 중에서 지속적으로 개정 개선

되어 현재 의학 수준과 비슷한 평가가 가능한 평가방법으로 백분율인 신체장애율

로 신체장애의 정도를 표현하는 평가 기준이다

1 상지 장애

AMA 장해평가지침서의 신체손상율(impairment)과 맥브라이드 장해평가서의 노

동력상실율(disability)을 단순 비교하는 것은 옳지도 않고 그렇게 해서도 안 된다

mdash mdash20

물론 맥브라이드가 인체를 전신 상지 하지로 이를 다시 몇 개의 부분으로 분류하

여 국소부위 손상율을 전신대비 신체손상율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이

개념은 그대로 AMA에서도 사용되고 있지만 맥브라이드 장해평가의 경우 여기에

직업에 따른 장애 가중율(직업가중율 또는 직업계수)을 적용하는 점이 AMA와의 가

장 큰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전 판의 AMA 장해평가서의 신체손상율은 맥브라이드의 기본 장해율 즉 직업

계수가 적용 안 된 전신대비 장해율과 유사한 점이 많았었다 그러나 AMA 제 5판

에 와서는 이전 판에 비해 상당한 변화가 있어 책의 구성 기술뿐 아니라 장해율까

지 많은 변화가 있었다

맥브라이드식 장해평가에서 직업에 따른 노동력 상실율의 차등 적용은 일견 상당

히 일리가 있어 보이기도 한다 즉 손가락이 잘려나간 피아니스트와 축구선수의 노

동력 상실의 정도를 같다고 하는 것은 누구나 공평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의학적 관점에서 본다면 의사는 수순한 신체 손상에 대한 평가만을 하는 것이 옳다

는 주장도 있고 이것이 AMA 신체손상율이다 뿐만 아니라 맥브라이드 장해평가서

의 직업 분류에 대해서도 많은 논란이 있는데 그 당시에 있었던 직업이 현재는 없

기도 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또한 그 당시에는 상당한 육체적 기능이 뒷받침

이 되었던 직업이 현대에 와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따라서 좀더 객관적인

의학적 장애 판정을 위해서는 신체손상율을 판정하는 것이 옳을 것이라 생각된다

아래 표는 산재 보험에 해당되는 내용과 급수를 AMA 신체손상율(장해율)과 맥브

라이드의 직업계수를 적용하지 않은 기본 장애율과 일반 노동자 기준(직업계수 5)의

노동력상실율을 비교한 표이다 또한 이를 산재법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는 국가

배상법에서의 노동력 상실율(실제 내용상은 신체손상율에 가까움)과 비교하였다

AMA 신체손상율과 맥브라이드 노동력 상실율의 비교에서 맥브라이드의 기본 장

애율과는 상지의 근위부 절단과 같이 손상정도가 큰 경우는 그나마 큰 차이가 없었

으나 원위부의 경우는 매우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두 값의 비교가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AMA 신체손상율과 일반노동자 기준(직업계수 5)의 맥브라이드 장애율의

경우는 일부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비슷한 정도의 장애율을 보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손상의 정도가 국가배상법에서는 훨씬더 중하게 다루어짐을 알 수 있다

절단이 아닌 관절 장애의 경우 산재법을 비롯한 국내 장해평가기준들은 3대 관절

중 몇 관절이 포함되었느냐를 판단의 근거로 하였는데 이는 매우 잘못된 판단이다

즉 상지의 3개의 주요 관절 어깨 팔꿈치 손목의 중요성을 모두 동등하게 보고

mdash mdash21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McBride

(기본율)

McBride

(직업5)

국배법

노실율()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1급 5 6060=

84

5050=

75

5959=

8319100

두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두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3

1급 6

5757=

82

4040=

64

4949=

7399100

한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급 4 60 50 59 90

한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한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5급 2

5급 457 40 49 80

두 손의 손가락을 전부 상실하였거나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3급 5

4급 6

5454=

79

2756

2756=

4758

5439

5439=

7920

100

90

한 손의 모든 손가락을 잃은 사람 6급 8 54 276 5439 70

한 팔의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6급 6 7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8급 6 50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손가락

을 잃은 사람8급 3 5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9급 10 40

있는데 기능적으로도 장애율로도 이는 옳지 않은 평등적 평가이다 AMA뿐 아니

라 맥브라이드에서 관절에 따라 그 가중치를 다르게 하고 있어 산재법 하의 장애정

도를 이들 국외 장애 기준과 비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결론적으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비롯한 국내법의 경우 국외의 장해평가기준에

비해 기준이 모호하고 내용도 세분화 되지 못했으며 실제적인 기능적 사용의 평가

와도 거리가 멀고 외국 장해평가기준에 비해 그 정도가 심하게 평가되고 있는 경향

이 있다

상지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2 하지장애

기존의 장애판정은 해부학적인 절단위치 강직의 정도 관절운동범위 관절의 이완

및 하지 골격구조의 변형에 한정되어 있으나 제5판의 AMA의 제17장에 기술되어있는

하지 장애는 이외에도 보행이상 근력측정에 따른 약화의 정도 하지부동 근위축 관

절염 피부결손 신경계 및 혈관계이상 작열통 점액낭염 및 인공관절 치환술의 경과에

mdash mdash22

따른 장애정도의 판정 등을 첨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하지의 장애를 판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들을 병합하는 기준과 병합되지 못하는 기준도 제시되어

장애판정을 시행할 때 병합에 따른 이견을 미리 제거할 수 있는 근거를 나타낸다

장점은 기존의 기준에 비하여 의학적인 면이 세밀하게 기술되어 있어 과학적이고 객

관적이며 공신력을 가지고 있어 활용의 문제점이 없고 장애를 해부학적인 면과 기능적

인 면 그리고 진단적 방법에 의한 면으로 구별하여 장애를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으

며 시대적 변화에 따른 의학발전과 아울러 장애의 정도가 조정되어 있고 기존에 장애

판정을 시행할 수 없었던 주관적 증상에 따른 판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단점으

로는 이를 판정하는 데에 있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AMA 기준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 기준에 따른 적용방법에 대한 일종의 수련과정이 필요하여 미국

의 경우 자격증을 필요로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그러한 과정이 없는 것이 현실

이다 그러므로 적절한 수련과정 없이 이러한 기준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 기준

이 가지고 있는 객관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여 오히려 더 많은 잘못된 장애판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AMA 기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의 수련

과정이 선행조건이 된다고 판단된다 또한 신체장애율만을 평가하게 되므로 나이나 성

별 혹은 직업에 따른 상실율에 대한 보정의 형식이 없다 그러므로 사회적 환경에 따른

노동능력상실률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보정의 형식이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현

실적 참고문헌을 인용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AMA는 그 내용이 방대하기는 하지만 객

관적 평가 기준만을 원용하기 때문에 장애의 정도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것에 비해 상

대적으로 하향조정 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위해서는 타 항목을 준용하

여 합산하는 경우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장애로 생각되지 않는 경우가 장

애항목으로 예시되어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슬개골의 비전위성골절로 유합이 잘되어

있는 경우에도 진단적 항목으로 전신에 대하여 3의 신체장애율이 표기되어 있어 일

반 상식적으로 생각되어지는 장애의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도 있다 또한 평가방법이

너무 복잡하여 이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드는 단점이 있어 평가자

에 따라 항목을 임의로 정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지 말초신경손상

의 경우 손상된 신경이 지배하는 각각의 근육들에 대하여 근력평가를 시행하고 이의

정도를 다시 평가하여 병합합산하게 되어있으나 이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

므로 보행이상항목이나 근력약화의 항목을 준용하게 되고 이 경우 구체적인 신경손상

의 경우보다 적은 장애율을 나타내게 된다

mdash mdash23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 타

두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1급 8 64

두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2급 4 48~54 51~79

한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5급 3 28~32 30~54

한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5급 5 40

두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4급 7 33 51~79

한 다리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

은 자6급 9 19~24

한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7급 8 18 30~54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7급 11 17~29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8급 8 28~40

한발의 5개발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8급 11 16~18 8~34

한발의 첫째발가락을 잃었을 때 10급 11 2~8 6~22

이러한 단점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AMA방식에 따른 평가는 장애의 정도나 부위

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고 평가 기준이 객관적이며 현실적인 의료의 수준을

반영하고 있다는 가장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 적절한 사회적 보완과 현실 수준에 맞는

보정이 이루어진다면 다른 기준들에 비하여는 과학적이고 공신력 있는 기준으로 활용

될 수 있다고 보여진다

하지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3 척추장애

AMA 기준 5판은 제15장(페이지 373에서 431)에서 척추장해평가를 기술하고 있

다 5판의 척추장애의 평가기준은 이전 판에 비해 많은 변화를 보인다 이전 판에

서는 신경계통의 장애에서 별도로 기술하고 있는 척수손상에 대한 평가를 척추 장

애 장에서 기술을 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가장 큰 변화는 DRE 방법의 강화라고 할

수 있다 고전적으로 AMA 기준은 운동범위에 근거한 평가(range of motion

method 이하 ROM 방법lsquo이라 함)가 척추 장해평가의 가장 중요한 평가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었으나 장해평가에 있어 우선적으로 DRE 방법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

다 또 다른 변화로써 척추운동범위의 평가 방법의 측정기구로 각도기(goniometer)

에서 경사측정기(inclinometer)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경사측정기의 적용은 척추의

mdash mdash24

전범위 운동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 척추부의 기준부위에 정확하게 두 개의

경사측정기를 위치하여 정해진 운동방향의 운동각을 측정하게 함으로써 보다 정밀

하게 척추운동을 측정하고자 고안하였다

척추장해평가 시기는 AMA 기준의 다른 신체장기에서와 같이 의학적 최대호전시

기에 평가하도록 하였다 장애 부위는 경추 흉추 요추을 각각 평가하고 골반과 척

수의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별도로 평가하여 병합하도록 하고 있다

AMA 기준에서 DRE 방법이 척추장해평가의 일차적인 방법이다 DRE 방법은 경

추 흉추 요추 부위별로 장애의 정도를 5 범주로 분류되어 있고 각 범주에 해당

신체장애율이 제시되어 있다 각 범주 내에는 장해평가 항목이 제시되어 있고 장애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신체장애율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장애의 증상을

의학적으로 평가하여 항목을 선택하면 신체장애율을 구할 수 있는 간단 명료한 평

가방법이다 주요 적용대상은 손상(injury)에 의해 장애가 발생하였고 한 분절에 국

한된 경우이다

DRE 방법에서 장해평가에 적합한 항목을 선택하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증상과 진단검사를 통한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임상증상과 무관하게 골절

전위 등이 있는지를 방사선 검사에 근거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증상에서는 객관

적인 배부증상과 신경근병증에 유무와 정도 그리고 척추 운동분절의 소실과 관련

하여 단순방사선 촬영에서 척추의 불안정성이나 고정술 여부로 항목을 결정한다

골절은 방사선 검사에서 추체의 골절과 추체외 골절로 구분하고 있다 같은 범주내

의 장애율의 차이는 3를 두어 평가자가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ROM 방법은 척추는 다관절로 구성된 운동기관으로 신체의 다른 관절기관과 마

찬가지로 척추의 운동을 척추의 중요한 기능으로 판단하는데서 출발한다 ROM 방

법의 평가대상은 적합한 DRE 방법의 항목이 없거나 손상이 아닌 경우 다분절의

손상 재발성 그리고 법정의 요청인 경우에 평가하게 된다 여기에는 세 가지의 평

가요소를 가진다 1) 진단명에 의한 평가(accompanying diagnosis) 2) 운동 범위

의 평가(range of motion of the impaired spine region) 3) 척추신경 손상(spinal

nerve deficits)을 각각 독립적으로 평가하여 전신장애율을 구한 후에 병산(竝算)하

여 ROM 방법에 의한 척추의 최종 장애율을 산정한다

ROM 방법의 평가는 먼저 척추장애를 유발한 원인의 손상과 질환을 결정한다 이

는 진단명에 의한 평가이며 AMA 기준의 404페이지 표15-7에 있다 이 표의 진단

mdash mdash25

명의 분류를 요약하면 I 골절 II 추간판질환 및 연부조직 III 척추분리증 척추전

위증 비수술의 경우 IV 척추협착증 불안정증 척추전위증 골절 수술의 경우로

구분된다

두 번째로 운동 범위의 평가는 손상된 척추부의 운동범위를 경사측정기로 측정한

다 경사측정기는 두 기준점에 각각 경사측정기를 위치하고 수진자의 능동운동을

측정한다 요추는 굴곡신전 좌측굴우측굴의 운동범위를 측정하고 흉추는 굴곡

좌회전우회전을 측정하며 경추는 굴곡신전 좌측굴우측굴 좌회전우회전의 운동

범위를 측정한다 운동범위를 측정함에 있어 AMA 기준의 5판에서의 변화는 전술

한 바와 같이 각도기가 아닌 경사측정기를 이용하여 기준부위 사이에서 일어나는

운동범위를 측정한다 측정한 운동 측정값의 일관성(consistency)과 재현성

(reproducibility)을 담보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운동범위를 측정할 때 최

초 3번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평균값이 50도 이하면 측정값의 편차는 5도

이내여야 하며 평균값이 50도 이상이면 측정값의 편차는 10도 이내이어야만 한다

고 하였다 만일 이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운동범위에 대한 평가는 진행하지 않

도록 하였다 운동범위의 측정은 반드시 6번 이상 측정하여 연속한 3번의 측정값이

위의 편차를 만족해야만 운동범위를 제대로 평가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일관성과 재

현성은 수진자의 거짓 운동이나 평가자의 미숙함을 보완하고 운동측정값의 객관성

을 보장하기 위한 방편이다 또한 위에 기술한 통계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척추부위

별로 환자의 거짓 운동을 찾아내기 위한 타당성 검사(validity test)를 제시하고 있

다 요추에서는 SLR(straight leg raising) 각도는 천추의 굴곡각과 신전각의 합과

비슷해야 하므로 SLR 각도가 천추의 굴곡각과 신전각의 합보다 15도 이상이면

평가된 요추의 운동범위의 타당성은 없다고 하였다 흉추에서는 굴곡 검사에서 앉

은 자세와 선 자세에서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각각의 측정값이 같아야만 한다고

하였고 경추에는 특별한 타당성 검사를 기술하고 있지 않다 이렇게 객관성과 타당

성을 담보하기 위한 검증방법은 척추의 기능을 측정하는데 있어 척추 운동범위의

측정이 이론적으로는 합당하며 척추 기능의 제한을 판단하는 좋은 잣대가 될 수 있

지만 실제로 평가자와 수진자에게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오류가 발생할 가능

성이 높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반증하고 있다

세 번째로 척추신경의 손상은 충분한 신경학적 검사를 통하여 해당 척추신경의

손상부위를 결정한다 해당 척추신경의 감각과 운동에 대한 손상정도를 판단하여

mdash mdash26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 타

척추에 고도의 변형이나 현저한 기능장애가 남은 자

척추의 장애로 인하여 앉아 있을 수 없거나 자기 힘

으로 일어서기가 곤란한 사람

척추(등뼈)에 심한 기형을 남긴 때 17-53

척추(등뼈)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17-53

척추에 고도의 장애가 있는 사람 17-53

척추의 기능에 중증도의 장애가 남은 자 17-53

척추에 현저(뚜렷)한 장애가 있는 사람 6급 5 44-68 17-53

척추(등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6급 5 44-68 17-53

척추에 기능장애가 남은 자

척추(등뼈)에 약간의 운동장해를 남긴 때 8급 2 20-42

척추(등뼈)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 때 11급 5

국소장애율을 구한다 여기에서 구한 국소장애율을 상지에는 06 하지에는 04를

곱하면 전신장애율을 구할 수 있다

척추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척수손상에 대해서는 신경계의 장애에서 별도로 산정한다 AMA기준은 척추장애

를 평가하는데 있어 DRE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대부분의 척추장

애의 평가는 DRE방법으로 평가가 가능하다 평가항목을 예시하거나 평가방법을 제

시하여 해당 범주를 결정하고 그 내에서 장애율을 결정하도록 하였다 DRE방법의

문제점은 대부분의 항목이 치료후의 시점이 평가대상이 되지만 분절의 고정은 수

술전에 이미 장애정도와 장애율을 결정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척추장해평가는

근골격계 평가에 있어 매우 어려운 영역이다 해부학적인 형태학적 변화와 기능적

변화를 동시에 평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형태학적 변화는 반드시 기능적인 변화를

반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평가 기준을 제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보편적인 기준인 맥브라이드 기준을 간단히 살펴본

다 맥브라이드 기준의 척추장해평가의 항목은 I 척수의 손상을 동반하지 않은 1개

또는 2개의 추체의 골절 II 척수손상을 동반한 골절 III 척추체간 인대와 근막의

파열을 동반한 좌상 또는 염좌 IV 천요 또는 요천 증후군(sacroiliac or

lumbosacral syndrome) V 경추 또는 요추의 수핵증후군 VI 만성 류마티즘 혹

은 퇴행성 질환의 6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염좌가 장애의 평가대상이 되는 오류가

있으며 오래된 의학적 판단 기준으로 현재에 장해평가 항목으로 이용하기에는 어

려움을 가진 평가이다 하지만 장애항목을 선택하여 쉽게 노동능력상실률을 구할

mdash mdash27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백분율을 제시하고 있어 복합장애를 평가함에 있어 합리적

인 계산으로 복합 장애율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직업과 연령에 의한 보정이 가능

하다 하지만 노동능력상실률을 구하는데 있어 비의학적인 평가의 부분으로 단지

직업 연령만이 고려되어 있는 문제가 있다

현재까지 개발되어 있는 척추의 장해평가기준도 이상적인 방법은 없다고 보인다

하지만 형태학적인 면과 기능적인 면을 모두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의 개발이 필

요하며 AMA기준이 이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근골격계의 장해평가는 다른 부위에 비해 비교적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팔

다리의 장해는 변형 절단 강직과 마비 등 외적 형태 변화가 뚜렷하고 해부학적으

로도 손상이나 장해의 정도를 비교적 쉽고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감정의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외견상 쉽게 확인되는 변형 절

단을 제외하고는 이학적 신경학적 검사에서 피검자의 솔직한 협조가 없으면 정확

한 장해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예를 들어 관절운동범위의 측정에서

수동적 관절운동범위 측정도 피검자가 통증을 호소하면서 검사하고자 하는 반대 방

향으로 힘을 가하면 정확한 운동범위를 측정하는 것이 어려운데 이를 능동적 관절

운동범위로 평가하는 것은 환자의 솔직한 협조를 담보하지 않고는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한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장해평가기준들은 모두 능동관절운동에 의한 관절운동

범위를 장해평가의 기준으로 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객관적 검사법(예 방사선 검사

근전도 검사 등)에 의한 장해평가방법의 개발 적용에 힘써오지 않고 있었다 이 점

이 동일한 장해 장애인에 대해 검사자에 따라 너무나도 상이한 장해율을 보이게

되는 주요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비해 AMA 장해평가지침은 비교적 객관화된

검사법을 장해평가에 이용하려고 하는데 국내의 장해평가기준도 그 기준의 개선뿐

아니라 평가법의 객관화를 위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비롯한 국내 장해평가기준의 경우 신

체손상의 정도(장해율)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그 분류가 세분화 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체계화 되어 있지도 못하다 또한 국내법 간에도 같은 장해에 대해 비슷

mdash mdash28

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으면서도 서로 다른 장해등급으로 평가되기도 하고 장해의

중한 정도가 서로 간에 역전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 등 조속한 시일내에 이에 대한

전반적인 재조정이 필요하다

맥브라이드 방식과 AMA 방식의 장애(해)평가에 유사성과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

는 근골격계 장해평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절단 강직 근약 등 비교적 다

른 부위보다는 두 장해평가방식의 차이가 적은편이다 현 시점에서 두 평가법을 비

교한다면 AMA 방식이 분명 객관적이고 보다 정확한 장해평가법이라고 생각되나

그 사용의 복잡함이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생각된다

향후 개발 개선되어야 할 국내 장해평가기준은 감정의나 피검자 모두에게 쉽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보다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한국형 장해평가기준

의 확립이 필요하다

mdash mdash29

제 2 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3)

I 서 론

1 일반현황

2 산재보험의 내부 장기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II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문제점에 대한 요약

2 음주 및 간질환의 예

3 뇌심혈관질환에서 ldquo과로rdquo 개념의 규정 예

III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IV 산재 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V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VI 결 론

3) 정두신(신경과) 강세훈(일반외과) 김준성(재활의학과) 김형수(산업의학과) 이숭덕(법의학과) 진동규(내과)

mdash mdash31

I 서 론

1 일반현황

산재보험 및 보상 분야중 장해 평가 분야에 있어 업무상재해란 업무상의 사유에

의한 근로자의 부상 질병 신체 장해 또는 사망과 같은 상병 등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재해성 질병과 직업성 질병 (직업병)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림 2-1) 내부 장기 영역

은 재해성 질병 중 부상에 기인하는 이차적 질병이나 직업성 질병 (직업병)중에 직

업 관련성 질환의 항목 들이 주로 해당되고 있다 미국의학협회의 장해평가기준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ition)에서 내과 계

열은 제 3장 심혈관계 심장 및 대동맥 (심장판막 질환 관상동맥 질환 선천성 심

장 질환 심근병증 심막성 심장 질환 부정맥) 제 4장 심혈관계 전신 동맥 및 폐

동맥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 대동맥 질환 팔다리에 영향을 미치는 혈관계 질환

폐동맥 질환) 제 5장 호흡기계 (천식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과민성 폐렴 진폐증

폐암) 제 6장 소화기계 (상부 소화관 결장과 직장 및 항문 장피 누공 간 및 담

도계 헤르니아) 제 9장 조혈기관계 (빈혈 적혈구 증가증 및 골수섬유증 백혈구

질환 또는 백혈구 비정상증 출혈성 및 혈소판 질환 혈전 질환) 제 10장 내분비

계 (시상하부 - 뇌하수체 축 갑상샘 부갑상샘 부신피질 부신수질 췌장 생식샘

젖샘 대사 및 골 질환)에서 다루어진 질환들과 분류를 기초로 현재 우리나라 산재

보험 분류상의 비교와 이를 기초로 한 평가 및 요약으로 우리나라 현실에 합당한

상대 가치 평가를 위한 설문 항목 개발을 위한 사전 조사를 시작 하였다

mdash mdash32

〔그림 2-1〕 업무상 재해

2 산재보험의 내부장기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산재보험에서 장해평가시 신체 기관 또는 체계에 특정한 제한이 생겼다면 이를 정확

하고 일관되게 측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의사들

에게 제공된 지침은 그 내용이 매우 불분명하고 판정하는 사람에 따라 비슷한 상태에

서도 서로 다른 등급이 판정되기도 하여 평가자 보험 사정인 관련 행정기관 모두에게

불신이나 불필요한 추가 비용 부담을 안겨 주기도 하고 비슷한 수준의 장해에서 등급

평가상의 불일치는 평가 대상자들에게 비의학적 요인에 근거를 둔 불필요한 분노 의

심 적대감 소송 행위의 원인이 될 때도 있다 더욱이 기초 질환과 기존 질병에 대한

뚜렷한 정의 없이 업무와 관련이 없는 개인의 질병이 악화된 상태까지 업무상 질병

으로 인정하는 사례가 많이 있어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장해평가 과

정 전반을 더욱 정교하게 개선하여 평가 결과의 통일성을 높임으로써 보다 높은 수준

의 일관성 보편성 그리고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장해평가 과정에

일관성 및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AMA 가이드 의 방법론을 참조하여 우리

나라 현실의 제도를 보완하고 공통의 업무상 상해 및 등급 판정 문제에 관한 명확한 정

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업무상 요인이 기존 질병과 기초 질환을 어느 정

도 악화시켜야 산업재해로 인정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없기 때문에 근로

자 병의원 공단의 산재인정 결정에 혼선을 주고 있다 미국 OSHA의 경우에는 환

경에서 발생된 사고나 근로 환경에 노출로 인하여 기존 (pre-existing)의 재해나

질병이 악화 (aggravated) 되었을 경우 업무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

나 기존 재해나 질병의 ldquo악화 (aggravation)rdquo는 매우 광범위한 용어로서 2001년도

에 ldquo중대하게 악화 (significantly aggravated)rdquo된 경우로 수정하였다 이 규정은 기

mdash mdash33

존 재해와 질병 모두에 적용되고 있다 중대하게 악화된 경우란 응급 치료 이상의

치료 작업의 제한 또는 다른 작업으로 전출된 경우 병가를 받은 경우 의식을 잃

은 경우 사망한 경우 뿐 아니라 담당 의사가 심각한 상태로 진단한 경우로 규정하

고 있다 그리고 업무 요인 (occupational factor)과 개인적 요인 (personal factor)

이 서로 중복되어 재해나 질병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이 있어 업무적 요인이 명백한

경우에도 개인적 요인과 비교하여 ldquo업무 연관성rdquo 여부를 쉽게 판정하지 못하는 경

우가 있다 기존 질병이나 재해가 중대하게 악화되는 데 51 이상 기여한

(contributed) 경우로 추정되는 경우 ldquo업무 연관성rdquo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Ⅱ 산업재해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산업재해에서의 내과계 영역의 장해평가와 등급은 lsquoAMA 가이드rsquo와 같이 따로 일

목 요연 하게 분류 되어 있지는 않다 다음의 표 2-1과 같이 요약 된 자료를 참고

해 볼 수 있으며 그 내용도 흉복부장기의 기능 이란 표현으로 대부분의 내용을 함

축하고 있으며 고환 비장 및 신장이라고 일부 장기가 언급 되어 있다

1 문제점에 대한 요약

기왕증은 업무상 원인에 의하여 중대하게 악화될 때에만 인정되어야 한다 현행 업

무상 질병인정 요건을 규정한 산재보험법 시행규칙 제33조의 제2항제3호에 의하면

ldquo기초 질환 또는 기존 질병이 있는 근로자의 경우 그 질환 또는 질병이 자연 발생

적으로 나타난 증상이 아닐 것rdquo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근골격계 질환과 뇌

심혈관 질환과 같은 작업관련성 업무상 재해의 경우에는 기존 질환의 악화 여부 및

업무상 원인 때문에 기존 질환의 악화되었는지에 대한 의학적 판단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신 질환과 뇌심혈관 질환은 원칙적으로 급작스러운 업무적 쇼크에 의

하여 발생될 경우에만 인정하도록 되어 있다 우리의 생활 전체가 스트레스의 원인

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업무와 업무외 생활 요인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구분하

기가 쉽지 않으며 두 요인들은 서로 상호간에 스트레스를 상승 혹은 완화 시킬 수

도 있다 뇌심혈관 질환은 만성적인 원인에 의하여 발생한 경우 업무 기인성과 생

mdash mdash34

활 요인 및 개체적 요인과의 구별이 매우 곤란하고 또한 만성적 질병은 일상생활

에서 개별 근로자가 건강관리를 소홀하게 한 경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산재

인정을 위해서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만성적 요인에 의한 작업관련성 질환은 매

우 제한적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구체적 기준과 업무 평가성을 판단하기 위한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 준비 되어야 하고 또 이러한 상황이 인정 된다 하더라도 올바른 방법으로

정확하고 객관적이며 우리 현실에 맞는 장해평가 항목과 절차가 준비 되어야 한다

2 음주 및 간장 질환의 예

음주에 관한 업무상 간 질환은 특정 업무 종사자로 한정하고 구체적 사실이 있을

때에만 인정해야 한다 알코올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간 질환을 발생시키거나 악화

시키며 간장 질환 환자가 음주를 하게 되면 기존 간장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가 감

소될 뿐 아니라 음주 자체로 기존의 간장 질환이 더욱 악화된다고 알려져 있다 근

로복지공단이나 법원의 결정에서는 간장 질환을 일으키는 음주 행위와 업무의 상관

성 분석도 매우 중요한 평가 요소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

요하다 업무 수행성의 요건으로 업무상 음주 행위를 할 수밖에 없는 경우는 직업

군을 우선적으로 선별해야 한다 기존 법원의 판례는 업무적 요인에 의한 음주 행

위의 범위를 직업군에 상관없이 주관적이며 포괄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법원의 판례가 더 이상 누적되기 전에 소위 lsquo술 상무rsquo라고 일컬어지는 대

외 영업직을 중심으로 음주가 업무에 반드시 필요한 직업군을 선별해야 한다 B 형 간염

보균자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한 관리 지침을 만들어 만성 B형 간염보유자

에 대한 건강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법원의 업무상 재해인정 판결 여부의 판례 등으로

인한 혼동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여건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3 뇌심혈관질환에서 ldquo과로rdquo 개념의 규정 예

뇌혈관 질환 및 허혈성 심장 질환 등은 원래 노동 장소에서 특정한 위험 유해 인자에 기인하여 생

기는 직업성 질병과는 본질적으로 달리 업무 이외의 원인에 의해 그 많은 수가 발병하는 것이 특징

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ldquo근로자의 업무량과 업무 시간이 발병 전 3일 이상 연속적으로

mdash mdash35

일상 업무보다 30 이상 증가 되거나 발병 전 1주일 이내에 업무의 양시간강도책임

및 작업환경 등이 일반인이 적응하기 어려운 정도로 바뀐 경우를 말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일본은 장기간은 발병 직전 1개월에 100시간 2개월 이상에서는 평균 월 80시

간의 초과 시간을 근무한 경우이며 단기간은 업무량 업무내용 작업환경 등을 고려하

고 동료 노동자 또는 동종 노동자에게도 특히 과중한 신체적 정신적 부하로 인정되

는가의 관점에서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표 2-1〉 산업재해보상보험법시행령 신체장해등급표(제31조제1항 관련)4)

제1급

1 두 눈이 실명된 사람

2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모두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3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4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5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6 두 팔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7 두 다리를 무릎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8 두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제2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2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02이하로 된 사람

3 두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 두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5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제3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6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3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

4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

5 두 손의 손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제4급

1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06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3 고막의 전부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사람

4 한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 [일부개정 20041029 대통령령 18573호][별표 2] lt개정 2000627 200357gt

mdash mdash36

5 한 다리를 무릎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6 두 손의 손가락을 모두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7 두 발을 리스푸랑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제5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2 한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3 한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 한 팔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5 한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6 두 발의 발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7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8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제6급

1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1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3 고막의 대부분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이 모두 귓바퀴에 대고 말

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4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5 척주에 뚜렷한 기형이나 뚜렷한 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6 한 팔의 3대 관절중 2개 관절이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7 한 다리의 3대 관절중 2개 관절이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손의 5개의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4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제7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2 두 귀의 청력이 모두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3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4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

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

6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이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7 한 손의 5개의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4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 발을 리스푸랑관절 이상에서 잃은 사람

9 한 팔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10 한 다리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11 두 발의 발가락이 모두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외모에 뚜렷한 흉터가 남은 사람

mdash mdash37

13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

제8급

1 한 눈이 실명되거나 한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2 척주에 경도의 기형이나 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3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4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이나 둘째손가

락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5 한 다리가 5센티미터 이상 짧아진 사람

6 한 팔의 3대 관 절중 1개 관절이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7 한 다리의 3대 관 절중 1개 관절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 팔에 가관 절이 남은 사람

9 한 다리에 가관 절이 남은 사람

10 한 발의 5개의 발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11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제9급

1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6이하로 된 사람

2 한 눈의 시력이 006이하로 된 사람

3 두 눈에 모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4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5 코가 결손 되어 그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6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7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8 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9 한 귀의 청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1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3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한 발의 엄지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 이상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3 한 발의 발가락을 모두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4 생식기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15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

1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

제10급

1 한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3 14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4 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5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6 척주에 기능장해가 남았으나 보존적 요법으로 치유된 사람

7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2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mdash mdash38

8 한손의 엄지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3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9 한 다리가 3센티미터 이상 짧아진 사람

10 한 발의 엄지발가락 또는 그 외의 4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 팔의 3대 관절중 1개 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12 한 다리의 3대 관절중 1개 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제11급

1 두 눈이 모두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거나 또는 뚜렷한 운동기능 장해가 남은

사람

2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3 한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4 한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5 척주에 기형이 남은 사람

6 한 손의 가운데손가락 또는 넷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7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2개의 손

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 발의 엄지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 이상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9 흉복부장기에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10 10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11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2급

1 한 눈의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거나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2 한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3 7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4 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 된 사람

5 쇄골 흉골 늑골 견갑골 또는 골반골에 뚜렷한 기형이 남은 사람

6 한 팔의 3대 관절중의 1개 관절의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7 한 다리의 3대 관절중의 1개 관절의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8 장관골에 기형이 남은 사람

9 한 손의 가운데손가락 또는 넷째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0 한 발의 둘째발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둘째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3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 발의 엄지발가락 또는 그 외의 4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국부에 완고한 신경증상이 남은 사람

13 삭제 lt200357gt

14 외모에 흉터가 남은 사람

제13급

1 한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2 한 눈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3 두 눈의 눈꺼풀의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mdash mdash39

질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

심혈관 증상(예 피

로감 심계항진 호

흡곤란 흉통 등)

및 일반 증상이 기

능 및 일상 활동 능

력에 미치는 영향

변화가 예상된다면

그 예후 진료기록

검토

포괄적인 진찰 상

세한 심혈관 체계

평가

관련 검사로부

터 추출한 데이

터(예 ECG 심

장초음파검사

스트레스 테스

트 심장카테터

삽입)

종말기관 손상

및 장애 등 후

유증의 평가를

포함한다

모든 관련 진단을 기록

한다 상태가 치료에 의

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

달했는지 살핀다 아직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상태가 되어야 도달한

것으로 인정되는지 언

제쯤 이런 상태에 도달

할 수 있는지 논의한다

판막성

증상 및 이로 인한

신체 활동의 제한

(예 앙기나)에 관

해 논의한다 심박

출량 폐울혈 및 전

신 울혈을 다룬다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도플러 심장초음

파검사 또는 심장

카테터 삽입

울혈 또는 기능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관련 기관의 평

가(예 폐 신장)

대동맥 또는 승모판 협

착증 승모판 탈출증 대

동맥 또는 승모판 역류

대동맥 및또는 승모판

질환 심실 기능이상

4 5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5 한 손의 새끼손가락을 잃은 사람

6 한 손의 엄지손가락의 지골의 일부를 잃은 사람

7 한 손의 둘째손가락의 지골의 일부를 잃은 사람

8 한 손의 둘째손가락의 말관절을 굽히고 펼 수 없게 된 사람

9 한 다리가 1센티미터 이상 짧아진 사람

10 한 발의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1개 발가락 또는 2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발의 둘째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둘째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3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흉부장기에 진폐증의 소견이 있는 사람

제14급

1 한 눈의 눈꺼풀의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2 3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3 팔의 노출된 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4 다리의 노출된 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5 한 손의 새끼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6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손가락의 지골의 일부를 잃은 사람

7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손가락의 말관절을 굽히고 펼 수 없게 된 사람

8 한 발의 가운데 발가락이하의 1개 또는 2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9 국부에 신경증상이 남은 사람

10 삭제 lt200357gt

11 한 귀의 청력이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표 2-2〉 심혈관계 장해평가 요약 심장 및 대동맥

mdash mdash40

관상동맥

(CHD)

협심증 심실 기능

저하 피로감으로

인한 신체 활동 제

한 심계항진 호흡

곤란 협심증통

상세 병력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심장 혈관조영

술 흉부X선

ECG EF 휴식

시 또는 운동 전

후에 검사 실시

관련 기관 평

가(예 뇌 폐

신장 눈 말초

혈관계)

MI 협심증 관상동맥 혈

관경련 심실 기능상실

선천성

호흡곤란 피로감

심계항진 종말기관

기능 이상에 따른

증상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ECG 흉부X선

방사선동위원소

검사 심장초음

파검사 혈류역

학 측정 혈관조

영술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판막협착 사이막 결손

판막 기형 팔로씨 사징

엡스타인 기형 혈관 전

위 아이젠멩거 콤플렉스

심근병증

운동호흡곤란 앙기

나 실신 폐 또는 전

신(全身) 기관 울혈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심장초음파검사

ECG 흉부X선

심실 기능이상 동

적 유출로 폐쇄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확장 또는 울혈 비대

제한적

심막성

흉통

활성 염증 및 ESR

증가에 주의한다

박동율 리듬 심

장음(심막 잡읍

확장초기 노크음)

및 기타 기관 기능

등에 주의한다

ECHO 심막 삼

출 비대 또는

석회화 CT 또는

MRI 스캔상의

심막비대 심장

카테터삽입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협착 또는 특발 심장막

염 눌림증 종양 심막 삼

출 심막 손상

부정맥

실신 무력감 및 피

로감 심계항진 현

기증 가슴을 누르

는 듯한 느낌 숨참

박동율 리듬 심

장음에 주의한다

부정맥을 검사 등

을 통해 확인하고

발생 빈도를 측정

한다

ECG 조기박동

빠른 맥박수

심장초음파상

심방비대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실신 VT 심방 잔떨림

완전 심장 차단 조기박

질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

일상 활동에 제한

을 주는 기능 장애

정도를 판정한다

경정맥압 경동맥 및

말초 혈관 맥박에

관한 진찰 소견 심

장 및 폐 검사 복부

검사 안저검사 누

운 자세 앉은 자세

서있는 자세에서 측

정한 혈압

관련 검사(예

ECG 심장초음

파상 부하검사

심장카테터삽입

등)에서 얻은 데

이터

종말기관 손상

및 장애를 포

함한 후유증

평가

모든 관련 진단을 기록한

다 치료에 의한 최대 호

전 상태에 도달했는지

확인한다 도달하지 않았

다면 언제 어떤 조건 하

에서 안정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지 설명한다

고혈압

심장 신장 및 뇌

혈관 제한을 증명

하는 증상을 규명

한다

포괄적 검사 종말

기관 질환을 주의

하여 살핀다

ECG 심장초음

파상 부하검사

카테터삽입 혈

청 BUN 및 크레

아티닌 소변검

사 및 요단백 배

설 크레아티닌

청소 또는 GFR

평가 신장 초음

파 머리 CT 또

는 MRI 스캔 혈

관조영술

심장 눈 신장

뇌 단백뇨 크

레아티닌 상승

크레아티닌 청

소 감소 및 비정

상 요침전물의

감시

silver-wiring

및 동정맥교차

변화를 포함하

는 funduscopic

변화

고혈압 좌심실 비대 고

혈압 비대심근병증 고혈

압 관련 수축기 심장기

능살실 고혈압 관련 확

장기 심장기능상실 고혈

압 콩팥경화증 고혈압뇌

병증 뇌졸중 TIA

대동맥 일상 활동의 장애 포괄적 검사 가슴경유 심장 심장 대동맥 대동맥 동맥류 가슴 또는

〈표 2-3〉 심혈관계 장해평가 요약 전신 동맥 및 폐동맥

mdash mdash41

질 환

심장 및 말초 혈관

기능 장애를 규명

한다

초음파검사 및

식도경유 심장

초음파검사 CT

및또는 MRI 영

상 검사 대동맥

혈관조영술

복부 대동맥 박리 대동맥

축착 대동맥 죽경화증

대동맥 판막 역류 참조

말초혈관

질환

일상 활동의 제한

정도를 포함하는

상세한 병력

포괄적 검사

부하검사 발목-

위팔 압력지수

및 피부통과 산

소측정 말초 혈

관조영술 색소

또는 초음파도

플러 정맥 영상

대조 또는 표지

마커를 이용 림

프관 진단

팔 및 다리

레이노 현상 혈관의 궤

양형성 절뚝거림 대동맥

을 제외한 동맥류 허혈

손발가락 절단 괴저 및

폐쇄성 혈전혈관염 부

종 경화울혈 피부염

연조직염 궤양형성 및

혈전증을 포함하는 정맥

질환 림프부종 림프관

염 및 연조직염을 포함

하는 림프관 질환

폐순환

질환

기능 장애 과거의

치료 상의 문제

투약 또는 직업 환

경 등에 관한 상세

한 병력

포괄적 검사

심장초음파검사

폐동맥 혈관조

영술 CT 또는

MRI 영상

심장 및 폐손

상 평가

일차 및 이차 폐동맥고

혈압 폐동맥색전증 폐정

맥폐쇄증 폐정맥협착

질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반

호흡 증상(예 기

침) 일반 증상 기

능 또는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

는 영향 변화가 예

상된다면 그 예후

진료 기록 검토

포괄적인 이학적

검사 호흡기계통

상세 진단

관련 검사로부

터 도출한 데이

터(예 폐 기능

검사)

종말기관 손상

및 장해를 포함

하는 후유증 평

가를 포함한다

모든 관련 진단을 기록한

다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했는지 확인

한다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조건하에서 언제 안

정될 것인지를 논의한다

폐쇄

질환

호흡곤란 기침 가

래 염증 투약 운동

내성

호흡음 쌕쌕거림

큰 P2 경정맥 확

장 오른쪽 심장

융기

폐 기능 폐활량

검사 폐 용적

확산능 메타콜

린 유발 방사

선 사진

관련 기관(예 심

장기능 폐심장

증)을 평가한다

천식 만성 기관지엽 폐공

기종 기타 폐쇄성 질환

제한

질환

호흡곤란 기침 피

로 가래 운동내성

흉벽 운동 수포음

곤봉증

폐 기능 폐활량

검사 폐 용적 확

산능 영상 검사

심장 기능을 평

가한다

특발 폐섬유증 석면증 진

폐증 흉벽 질환 기타

폐암

운동내성 호흡곤

란 흉통 피로 체중

감소 흡연 유해 환

경 노출

흉벽 운동 수포음

곤봉증 선병증

기관지경술 폐

기능 검사 생검

다른 기관 평가

전이 징후

편평세포 샘세포 소세

포 등

〈표 2-4〉 호흡기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2

질 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반

위장 증상(예 식욕 변화 통증 설사 등)및 전신 증상 증상이 기능 및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 그 예후 진료 기록

전반적 이학적 검사 상세한 위장 계통 평가

관련 검사에서 추출한 데이터(예 바륨삼킴 상부 또는 하부 내시경검사)

종말기관 손상 및 장해를 포함하는 속발증 평가

모든 관련 진단 기록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한다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상태에서 언제 도달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식도 질환

고형식 및또는 유동식 연하곤란 위식도역류 과거 근위 위절제술 또는 간치술확장술 및또는 약물투여 요함 흡인 병력 신체 활동 제한

체중 감소 증가 증상의 지속기간피부경화증 또는 기타 중간엽 질환이완불능증 또는 광범위 연축으로 인한 과거 운동성 검사

협착 부위 및 정도 근위 식도는 확장되었나내시경검사소견 및 생검 결과

운동성 검사 결과 치료에 대한 반응 식도 부목 또는 간치술의 필요성 확장술 빈도

염증성 협착을 수반한 GERD 악성변화가 있거나 없는 Barett 식도피부경화증 속발 협착이완불능증 광범위 연축 Zenker 게실

위 질환

구토 체중감소 과거위절제술 덤핑 증세 궤양 또는 내분비병증 가족력궤양유발 약물(NSAIDS ASA) 사용 경험 신체 활동 제한

체중감소 신경병증이 있는 당뇨병

위 오목 주머니 크기 위-공장 amastomosis 부위 및 기능 내시경에 의한 구조 평가 운동성 검사

음식 조절에 대한 반응 항분비제 위장운동촉진제 시험 투여

위절제술 후 상태당뇨병위마비Zollinger-Ellison 증후군위장염전이 있는 식도곁탈장

소장 질환

설사(빈번하고 야간에 발생) 복부 급통증 및 팽만 장염전 병력 출혈 비열대스프루 및 운동 장애 가족력 체중감소 과거 수술 경험활동 제한

체중감소 확인 복부팽만 덩이 항문 주위 질환 관절병증 포진피부염 있음

바륨 검사 고위관장법 검사 공장 배양 및 점막 생검 항글리아딘 항체 운동성 검사 무손상 소장 길이(200cm 이상 또는 이하인지 추정한다)

철분 B12 흡수 장애 엽산 강직 자라지 못함 글루텐 제한에 대한 반응 비경구적 영양법

비열대스프루 림프종 합병증 발병 가능성 있음국소 장염크론병 허혈 장질환 방사선 장염 만성 가성폐홰 기계적 폐쇄 (유착)

췌장 질환

급성 췌장염 병력(객관적 증거 있음) 빈도 지속 기간 관련 황달 욕지기 식욕부진 음주 통증 관리의 적정성 위장 출혈 (비장 정맥 혈전증) 연관 만성 폐질환 (낭성 섬유증)

복부 덩이 누공 담석 병력 체중감소의 증거 황달

췌장 및 담도 초음파검사 십이지장 통과 초음파촬영술 CT 스캔 ERCP 지방변 측정 석회화를 보여주는 복부 단순촬영사진 등을 고려해 본다 낭성 섬유증을 배제하기 위한 땀 나트륨 검사

지방 소화불량 및 흡수장애의 정도 당뇨병복강신경총 및또는 내장 차단

알코올췌장염만성재발췌장염담도 질환 속발 췌장염낭성 섬유증

대장 질환

결장 수술 병력(잔여 길이 연결술의 성격) 출혈 수혈의 필요성대변 배설 빈도 습관(야간 실금)복통 체중감소 활동 제한

복부 덩이 항문 주위 질환 누공 관절병증

S상 결장경검사 결장내시경술바륨검사 점막 생검 배변검사 운동성 조임근 활동 양성 EMG

통제불능의 설사 처치곤란한 변비 거대결장증

염증장병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회장누공 설치술 및 결장절제술 또는 회장항문낭연결술

〈표 2-5〉 소화기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3

간 질환

음주(과거 현재) 과거 간독성 약물 사용 복수 부종 황달 철분과다증(중복 수혈) 위장 출혈 병력 가려움증 원발담관성간경화증 신체 활동 제한

만성 간 질환의 피부 및 안구 징후 복수 부종 피부 색소침착(혈색소침착증) 과거 간 부위 외과 수술 증거 눈(眼)의 Keyser-Fleischer 고리 궤양성 결장염 증거 황색종증

혈색소단백질 프로트롬빈 시간을 포함하는 영양 상태 혈소판 완전한 간염혈청학적 지표를 포함하는 원인 검사 신장 기능 HIV 검사 혈색소침착증이 있으면 당뇨병 (혈청 철분 및 페리틴 포화 항트립신) AMA 유전 및 침윤 질환은 제외한다 (예 아밀로이드증 사르코이드증 다낭질환) 구리 검사

출혈에 대한 CNS 내성체액 및 염분 과다 췌장 기능부족 이차 발생 간암 처치곤란 프로트롬빈 시간 연장 혈소판 결손 백혈구 감소증

알코올 간 질환 경화증 간암 간염후간경화증(과거 HBV HCV) 혈색소침착증 윌슨병원발 담관성간경화 경화담관염

담도 질환

과거 담도 수술담낭염 삽화 담도급통증 황달 빌리루빈 대사 기능이상 가족력 출혈 가려움증

과거 용해 치료 및또는 쇄석술 황달긁은 자국 비장비대 복부누공

초음파검사ERCP 필요한 경우 담관조영술프로트롬빈 시간

폐쇄증 완화후 지속적 고빌리루빈혈증 수술 소견

담관협착 매복담석 경화담관염 원발 담관성 간경화

헤르니아체위 변화와관련된 불편감 통증 신체 활동 제한

복부 돌출 또는 부기

방사선사진 CT 스캔

장 또는 그물막 꼬임

복벽 헤르니아 배꼽 헤르니아 절개헤르니아 서혜헤르니아 대퇴헤르니아

질 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

종말기관 장애 증상 심혈관(예 피로감 심계항진 흉통) 호흡기(예 숨참) 감염 일반 증상 기능 및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의 예후 진료 기록 재검토

영향을 받는 종말기관을 집중적으로 평가하는 포괄적 진찰

관련 검사 전혈구계산 혈청검사 뼈 림프절 생검

종말기관 손상 및 장애를 포함하는 후유증 평가 포함

모든 관련 진단의 기록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살펴야 함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조건에서 언제 도달할 수 있는 지 규명한다

적혈구

증상(예 운동시 숨참 현기증 두통 피로감) 이로 인한 신체 활동 제한 또는 합병증(예 앙기나)

다른 기관 기능이상(예 뇌 심장 신장)

전혈구계산 혈색소 전기이동 등

관련 기관의 울혈 또는 기능이상 평가(예 심장 폐 신장)

빈혈 겸상적혈구 용혈 만성 질환 적혈구증가증

백혈구 피로 빈번한 감염상세한 병력(예 감염 등)

전혈구계산 등

관련 기관 평가(예 심장 폐 신장 림프절)

백혈병 림프종

혈소판잇몸 입 위장관 요로의 비정상 출혈외상 발생시 지혈

코출혈 점상출혈 자색반 잠재 대변혈 비

혈소판 수치를 포함하는 전혈구 계산 출혈 시간

출혈로인한 것

면역혈소판감소자색반(ITP) HIV 또는 약물 관련 저혈소판증 혈전저

〈표 2-6〉 조혈기관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4

불량 비정상 혈액 응고 가족력

장비대 혈전증 증거

관련 혈소판 응집 검사(다른 응고 질환을 배제하기 위한 프로트롬빈 및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수치

혈소판증(TTP) 척수형성이상증 백혈병 혈소판 기능 질환 본태고혈소판증

혈전관련

혈소판 수치 포함하는 전혈구 계산 출혈 시간 프로트롬빈 및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섬유소원 인자 수치

출혈 혈관절증 또는 신경충돌로 인한 것

혈우병 인자 결핍 빌레브란드 병 dysfibinogenimia 파종혈관내응고

질 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성장의 변화 피로 쇠약 욕지기 과민성 등

신장 체중 혈압 맥박 피부온도 피부결 수분 근력 및 질량

아래 해당란참조

종말기관 손상 및 장해를 비롯한 후유증의 평가 포함

관련 진단 모두 기록함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함 도달하지 않았다면 언제 어떤 조건 하에서 안정 상태를 기대할 수 있는지 설명하여야 함

시상하부-뇌하수체 축

월경 주기 젖분비과다 다뇨 피로 쇠약 두통 등의 증상을 설명함

유방 배출물 확인 시야검사 및아래에 명시한 목표 기관의 평가

프로락틴 성장 호르몬 IGF-1 요(尿)비중 혈청 삼투질 농도 뇌하수체 CT 또는MRI 목표 기관의 기능

난소 고환 갑상샘 부신 골격 및 심장 등과 같은 관련 기관의 기능이상 치료에 대해 정도의 차이가 있더라도 자주 가역 반응을 보이는가

요붕증 프로락틴샘종 말단비대증 쿠싱 병 범뇌하수체저하증 또는 하나 이상의 뇌하수체 호르몬 결핍

갑상선

피로 쇠약 정신 작용 지체 냉(冷) 또는 열(熱) 불내성 불안 체중감소 심계항진 안구돌출 복시와 같은 눈의 변화 갑상샘종 배변 습관 변화

아킬레스건 반사 갑상샘 크기 및 소결절형성 떨림 불안 또는 굼뜬 동작 눈 돌출

혈청 프리 티록신 총 트리요오드티로닌 및 TSH 방사성 요오드 섭취율 및 갑상샘 스캔 갑상샘 초음파 갑상샘 결절 미세침 흡인

안근 및 안와 후부 조직 치료하면 회복되는 기타 종말기관 기능이상

갑상샘과다증 갑상샘저하증 갑상샘 결절 갑상샘종 암종

부갑상선

피로 쇠약 욕지기 다뇨 신장 결석 근육과민성 감각이상 강직 발작

크보스테크 징후 및 트루소 징후

혈청 칼슘 인 부갑상샘 호르몬요중 칼슘 배출 신장 초음파 골밀도 계측 초음파 MRI 부갑상샘 Sestamibi 스캔

신장 골격부갑상샘저하증 부갑상샘 부갑상샘항진증

부신피질

쇠약 쉽게 멍듬 조모증 여드름 체중 증가 우울증 월결불순 진균 감염

혈압 체중 및 체중의 신체 분포 피부 근력 부종

혈장 코르티솔 및 알도스테론 요중 코르티솔 배출 코르티솔 억제 및

골격 골절 여부치료하면 회복되는 기타 종말기관 기능이상

아디슨 병 쿠싱 징후군 성인기 발병 부신 과다형성

〈표 2-7〉 내분비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5

자극 테스트 혈장 ACTH 기타 스테로이드 대사물 혈청 전해질 요중 17-KS 배출 골밀도 계측 복부 CT 또는 MRI 검사

부신수질두통 심계항진 발한 불안 및 쇠약

혈압 맥박

요중 카테콜라민 및 그 대사물 측정 혈장 카테콜라민 및 클로니딘에 대한 억제 반응 부신 CT 또는 MRI 검사

심한 고혈압으로 인한 뇌혈관 사고 여부

갈색세포종

췌장(랑게르한스

섬)

다뇨 다음증 체중감소 쇠약 발한 빈맥 흐린 시력 착란 의식불명 경련 당뇨병 종말기관 기능이상 관련 증상(예 눈 신장 신경계 심장 혈관계통)

혈압 맥박 체중 피부 눈 신경계 심장 맥박

혈장 포도당 인슐린 또는 C-펩티드 HbA1c 지질 요검사 췌장 CT 또는 MRI 검사

눈 신장 신경계통 심혈관 피부

당뇨병 인슐린종 반응 저혈당증

생식선

이차 성발달 결여 불규칙한 월결 주기 또는 무월경 불임 이차 성징 조발 조모증 및 남성화 지구력 및 원기 결핍

생식샘 2차 성징 신장

혈장 생식샘자극호르몬 테스토스테론 난포호르몬 프로게스테론 정액검사 골반 포음파 골격연령 측정을 위한 X-선 검사

생식샘 피부골격

생식샘 발생장애 조기 난소 기능상실 성조발증 다낭 난소 징후군 정세관 발생장애 고환염

젖선

부적절한 모유 생산 남성에게서의 발달 여성에게서의 발달 결여 질료 기록

유방난포호르몬 테스토스테론 프리 티록신 간 기능검사

유방젖분비과다 형성 저하증 여성형 유방증

대사 및 골

골절 약물처치 암 신장 질환

골격 이상

DEXA 등 골밀도계측 요중 칼슘 배출 골격 대사 마커(marker)

골격 골다공증 골연화증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1 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법상의 내부 장기 관련 장애 분류

보건복지부가 주무부서가 되어 만든 장애등급 판정기준 (2003-7)상에 내부 장기

관련 장해평가기준은 9 신장장애 (2 5급) 10 심장장애 (1 2 3 5급) 11 호흡

기장애 (1 2 3급) 12 간장애 (1 2 3 5급) 14 장루 요루장애 (2 3 4 5급)

mdash mdash46

로 구분 되어 있다 복지부 장애 분류는 2개의 대분류 (신체적 장애 정신적 장애)

속에 신체장애는 다시 2개의 중분류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로 나

누고 각각의 중분류는 6개의 소분류 체계로 구분 하였다 더욱이 복지부의 내부 장

기 장해평가기준은 그 법의 목적 취지가 산업재해 보상 및 보험과는 차이가 있으므

로 이를 그대로 준용하여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으나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에

서 매우 참고 할 만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표 2-8〉 장애인복지법시행규칙 장애인의 장애등급표 (제2조 제1항 관련)5)

9 신장장애인

제2급

만성신부전증으로 인하여 1개월 이상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사람

제5급

신장을 이식 받은 사람

10 심장장애인

제1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안정시에도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 증상 등이 일어나서 운동

능력을 완전히 상실하여 상시적으로 개호인이 필요한 사람 (심장질환을 진단 받은지 1년 이상

경과한 사람에 한한다 이하 같다)

제2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신체주위의 일은 어느 정도 할 수 있지만 그 이상의 활동으로는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 증상 등이 일어나서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사람

제3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가정 내에서의 가벼운 활동은 상관없지만 그 이상의 활동에는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 증상 등이 일어나서 가벼운 일상생활은 가능하나 정상적인 사회활동을

영위하기 어려운 사람

제5급

심장을 이식받은 사람

11 호흡기장애인

제1급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부전으로 안정 시에도 산소요법을 받아야 할 정도의

호흡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 호기량)이 정상 예측치의 25 이하이거나

안정시의 자연 호흡 상태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55Hg 이하인 사람

제2급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부전으로 집안에서의 이동시에도 호흡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 호기량)이 정상예측치의 30 이하이거나 안정시 자연 호흡

5) [일부개정 2003613 보건복지부령 250호] [별표 1] lt개정 2001630 2003613gt

mdash mdash47

상태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60Hg 이하인 사람

제3급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부전으로 평지에서의 보행에도 호흡 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 호기량)이 정상예측치의 40 이하이거나 안정시 자연 호흡

상태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65mHg 이하인 사람

12 간장애인

제1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잔여 간기능이 Child- Pugh 평

가상 등급 C이면서 만성 간성뇌증 내과적 치료로 조절되지 아니하는 난치성 복수 등의 합병증

이 있는 사람

제2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잔여 간기능 평가상

Child-Pugh 등급 C이면서 간성뇌증의 병력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등의 병력이 있는 사람

제3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잔여 간기능이 Child- Pugh 평

가상 등급 C인 사람

제5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간이식을 시술받은 사람

14 장루 및 요루 장애인

제2급

1 요루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요루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가 현저한 변형이 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2 고도의 배뇨장애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가 현저한 변형이 있거나 장루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3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공장middot회장middot상행 또는 횡행결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

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으로부터 장(腸)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와 수술 등에 의하여서도 치

유될 가능성이 없으며 구멍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제3급

1 요루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는 사람

2 요루와 함께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에 현저한 변

형이 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3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고도의 배뇨기능장애가 있는 사람

4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공장middot회장middot상행 또는 횡행결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

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으로부터 장 내용물이 대부분 흘러나오며 수술 등에 의하여서도 치유될

가능성이 없는 사람

제4급

1 요루를 가진 사람

2 회장루middot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진 사람

3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배뇨기능장애가 있는 경우 또는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가 변형되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헐었기 때문에 장루보조용품을 1일 1회 이상 교체하

거나 장세척을 필요로 하는 사람

mdash mdash48

장 애 상 태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1급 4 100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2급 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3급 3급 4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5급 7

장기를 이식받은 사람 5급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7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5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50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8급 11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9급 16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20

흉복부장기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11급 9

4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하행 또는 에스결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에서 장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오며 수술 등에 의하여서도 치유될 가능성이

없는 사람

제5급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는 사람

〈표 2-9〉 심 폐 간 장애의 국내 기준 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AMA 가이드에서 사용하는 전신장해 백분율로 표시되는 척도상에 100가 되기 위

해서 신체 기관 또는 신체 계통이 어느 정도 손상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일치된 견해

를 얻는 일은 매우 어렵다 AMA 가이드는 사망에 근접한 상태를 전신 장해율

95~100의 표준으로 보고 있다 또한 장해율 0의 의미에 대해서도 완전한 합의는

아니지만 거의 장해가 없이 회복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상적 기능이란

mdash mdash49

무엇인가 정상적 기능이란 것도 근로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예측 가능한 차이에 근

거해서 조정이 필요한 사항은 아닌지에 대한 고려도 필요할 것으로 예상 되며 기존 병

태를 반영하기 위해 기능의 기준선을 어떻게 조정해야 하는가도 과제 사항이다 표준

장해 등급율 표에서 임의의 연속성 상실율이 0이면 잔존 상실이 없는 것으로 전

신장해율이 100이면 죽음이나 식물 상태에 가까운 것으로 받아들인다 예를 들면

새끼 손가락의 완전 절단은 전신 장해율 6에 해당한다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

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된다 장해등급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면 장해와 능력 상실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 장해등급은 정해진

일련의 관측으로부터 찾아내는 등급으로 그 자체가 근로자의 능력에 미치는 해부학

적 또는 기능적 손상의 영향을 밝혀주는 것은 아니다 lsquoAMA 가이드rsquo는 능력 상실

이란 장해로 인해 개인적 사회적 또는 직업적 요구 또는 법률적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이 변경된 상태라고 규정하고 있다 백분율로 표시한 장해율은

평가 대상자의 완전한 상태 대비 해부학적 또는 기능적 손실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다 장해평가는 능력 상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첫 번째 단계

라 할 수 있다 예를 든다면 의사가 팔 장해에 대하여 평가 할 수 있는 등급의 최

대치는 100 (팔의 절단 또는 어깨 관절 이단술)이며 이것은 곧 전신 장해 60에

해당한다 의사가 다리 장해에 대하여 평가 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의

다리 절단 (엉덩이 관절 이단술)에 부여하는 등급이며 이것은 곧 전신 장해 40에

해당한다(표 2-11) 이와 같은 방법으로 lsquoAMA 가이드는 내부 장기에 있어 내과계

질환들로 인한 인체의 기능 제한을 전신 장해율의 등급과 로 표시하고 있으며 각

질환에 따른 에는 표 2-11과 같이 다소 차등이 있다 우리의 현재 기준과 직접적

으로 대입하여 비교하기가 어려운 체계이나 굳이 비교를 해본다면 표 2-10과 같

이 나타내 볼 수 있다 성공적인 신장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이 대폭 개선된 경우

에는 상부 요로 질환으로 인한 장해 평가 2급으로 전신 장해율 15~34로 평가 한

다 비장의 경우 상실한 경우 Mcbride에서는 10~26로 한쪽 신장의 기능 상실은

Mcbride에서 25~40로 평가하고 있다 의사가 팔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

의 최대치는 100 (팔의 절단 또는 어깨 관절이단술)이나 전신 장해는 60에 해당하

고 다리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의 다리 절단 (엉덩이 관절

이단술)에 부여하는 등급이며 이것은 전신 장해 40에 해당 한다(표 2-11)

mdash mdash50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4 ~100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6 ~9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3급 4 ~75 50~7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5급 7

장기를 이식받은 사람 15~34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5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5 ~50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40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8급 11 ~14

비장10~

26

신장25~

40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9급 16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9 ~10

흉복부장기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11급 9 0~5 ~4

장애구분 1급 2급 3급 4급 5급

심혈관계

(심장판막 관상동맥 심

근병증 선천성 심막성

부정맥 고혈압 심혈관

대동맥 및 심장) 질환

0~9 10~29 30~49 50~100 -

말초혈관계

팔 및 다리 0~9 10~39 40~69 70~89 90~100

호흡계

폐동맥 고혈압

천식 폐기능

및 운동검사

결과에 의한 기준

0~9

0~9

10~29

10~25

30~49

26~50

50~100

51~100

-

-

〈표 2-10〉 심 폐 간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표 2-11〉 각 질환별 급수 및 전신 장애율 비교

mdash mdash51

소화계

상부소화관(식도

위 12지장 소장

췌장) 결장 및

직장 질환

0~9 10~24 25~49 50~75 -

항문질환 0~9 10~19 20~35 - -

간 및 담도 질환 0~14 15~29 30~49 50~95 -

헤르니아 0~9 10~19 20~30 - -

혈액 조혈계

빈혈

백혈구혈소판출혈병

0~10

0~15

11~30

16~30

31~70

31~55

71~100

56~100

-

내분비계

시상하부뇌하수체축

갑상선 질환

부갑상선 항진증

부갑상선 저하증

부신피질 항진증

부신피질 저하증

부신수질질환

당뇨질환

저혈당증

0~15

0~15

0~14

0~9

0~14

0~14

0~14

0~5

0~5

16~25

16~25

14~29

10~20

15~39

15~29

15~29

6~10

6~50

26~50

-

30~90

-

-

30~90

30~90

11~20

-

-

-

-

-

-

-

-

21~40

-

-

-

-

-

-

-

-

-

-

외과적 처치

식도 및 위 조루술

공장 및 회장 조루술

회장 항문 연결술

결장 조루술

10~15

15~20

15~20

5~10

-

-

-

-

-

-

-

-

-

-

-

-

-

-

-

-

등급 내 용

0 활동에 전혀 지장 없음 발병 전처럼 활동에 지장을 받지 않음

1힘을 쓰는 신체 활동에는 약간 지장이 있으나 보행이나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의 가벼운 일은

할 수 있음

2 대부분의 활동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며 자주 치료를 요한다

3스스로를 돌보는 일을 제한적으로 할 수 있을 뿐이며 깨어있는 시간의 절반 이상을 침대 또는 의자에서 보내는 경우

4 거의 대부분이 손상되어 스스로를 돌볼 여력이 없음 침대에 누워 있거나 의자를 떠날 수 없음

팔 및 다리의 장애율

〈표 2-12〉 폐암의 능력 판정 척도

mdash mdash52

Ⅴ 결 론

산업재해보상보험법시행령[일부개정 20041029 대통령령 18573호] lt개정 2000

627 200357gt 상에 신체장해등급표 (제31조제1항 관련)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행

산재보상 제도상으로는 내부 장기 및 내과 영역의 장애에 대한 고려는 그 비중이 낮은

상태로 기존 장애인 복지법상의 내부 장기 장해평가기준을 참조하여 상대 가치 평가

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설문 문항을 만들어 사전 조사 후에 의료 및 이 분야의 전문

가 집단을 대상으로 최종 검증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lsquoAMA 가이드rsquo는 미국의사협

회의 협회지에 수록된 기사를 모아 발간된 것이지만 그 동안 주기적으로 개정을 거듭

하여 제 5판을 발행하게 되었다 미국의 40개 주에서 산업재해보상제도는 lsquoAMA 가이

드rsquo를 사용하여 장해등급을 산정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lsquoAMA 가이드rsquo는 영구 손상에

관한 의학적 정보를 수치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유용한 도구이고 이렇게 전

환된 수치를 이용하여 법정 급여금의 금액을 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켈리포니아주 및

9개의 다른 관할 지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모든 관할 지역에서 사용되지는

않지만 장해의 합리적 평가 방법을 제공하고 평가자간에 발생하는 동일 등급에 대한

평가 차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어 미국의 거의 모든 주와 캐나다 호주

등 외국에서도 이용하고 있다 신체장애율은 의학적인 기준이므로 우리나라에서도

lsquoAMA 가이드rsquo 방식을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내과계열의 장해평

가에는 새로운 방법을 만든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오랜 시간과 수고를 필요로

하고 우리나라 현실에서 의사들에게 익숙한 장애인 복지법상의 제도를 참조하고 수

정 보완 한다면 좋은 결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의학적 측면에서

공유하고 있는 공통점은 있으나 산재보험이 지향하고 있는 법적 취지에 있어 사회

적 기대와 해결 목적에는 그 취지가 다르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

되고 내과적 기왕력이 있는 환자의 외상성 장해평가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라고 생각된다

mdash mdash53

제 3 장 정신행동 장해평가6)

Ⅰ 서 론

1 일반현황

2 산재보험의 정신 및 신경행동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3 조사방법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Ⅵ 결 론

6) 안동현(정신) 고용(신외) 김종문(재활) 조강희(재활) 유찬종(신외)

mdash mdash55

I 서 론

1 일반현황

보건복지부가 주무부서가 되어 만든 장애등급 판정기준 (2003-7)상에는 정신지

체 (1 2 3급) 정신장애 (1 2 3급) 발달장애(자폐증) (1 2 3급)로 분류되어 있

으며 이는 외상 스트레스 혹은 통증 등의 상황에 따른 impairement의 rating이나

evaluation이 고려되지 않았고 Psychological impairment와 functional somatic

syndrome에 대한 고려가 없는 상태로 산업재해 분야의 장애에 이용하기에는 많은

부분에서 미흡한 점이 있으며 중복 장애 형태시에 기존 장애에 미치는 negative

effect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며 기능 평가에 보정의 필요성 여부와 보상 체계에서

의 보정 합리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인간의 의식과 사고 및 정신 체계를 유지하고

이러한 기능에 이상을 야기 시킬 수 있는 기타의 다른 질환들이나 그와 관련된 질

환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현실을 뇌심혈관계의 경우와 같이 살펴보면 뇌심혈관계질

환 발생자는 lsquo04년 2285(사망788명) lsquo03년 2358(사망 820명)으로 사망재해원인

가운데 1위이다 이웃 나라 일본의 경우 뇌middot심장질환의 발생건수는 lsquo01년 143건

lsquo02년 317건 lsquo03년 312건으로 증가하였으며 정신질환의의 발생건수는 lsquo01년 70

건 lsquo02년 100건 lsquo03년 108건으로 소폭 증가하는 추세이다 뇌심혈관계질환의 산재

승인률은 lsquo96년 219에서 lsquo01년 715로 크게 증가하였다가 rsquo04년은 628 lsquo05년

6월 현재 949명이 발생하여 526의 인정률을 보였으며 지난 4년간 정신질환으로

업무상 재해를 신청한 자들은 모두 479명인데 그 중 559인 268명이 업무상재해로

인정받았다 일본의 뇌심장질환의 산재승인률은 각 207(01년) 387(02년)

445(03년)를 보이며 정신질환의 경우 산재승인률은 각 264(01년) 293(02년)

247(lsquo03년)를 보이고 있다 독일은 뇌심혈관계 및 간질환으로 1963년부터 2004년

까지 23건이 신청되었으나 산업재해로 인정받은 건수는 없다고 한다 (심근경색

10건 심장질환 고혈압 10건 뇌졸중 3건 신청 직무스트레스 및 정신질환 산재

인정 건수가 없음) 미국 캐나다는 갑작스런 업무적 정신적 쇼크이외에는 직무스트

레스 및 정신재해는 인정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즉 우리나라의 뇌심혈관계 및

정신 질환에 대한 구체적이고 상세한 산재인정기준이 없다는 것이 현실이며 문제점이다

mdash mdash56

2 산재보험의 정신 및 신경행동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정신질환에 대한 인정기준은 마련하지 못하고 있으며 뇌심혈관질환

인정기준에 대하여 ldquo현저한 생리적인 변화rdquo ldquo만성적으로 육체적정신적인 과로를

유발rdquo ldquo자연발생적으로 악화되었음이 의학적으로 명백하게 증명되지 아니함rdquo 등

지극히 주관적인 해석이 가능한 기준을 갖고 있다 특히 ldquo만성적인 과로rdquo의 정의를 발

병 전 3일 이상 연속적으로 일상 업무보다 30 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규정하여 지나치게

근로자에게 유리한 조항으로 되어 있다 일본은 뇌심혈관질환과 ldquo발병직전부터 전날까

지의 사이에 발생 상태를 시간적 및 장소적으로 명확히 할 수 있는 이상사건에 조

우한 것rdquo ldquo병에 근접한 시기에서 특히 과중한 업무에 취로한 것rdquo ldquo발병 전의 장기

간에 걸쳐서 현저하게 피로의 축적을 시키는 특히 과중한 업무에 종사한 것rdquo 등으

로 구분하고 이상사건 장단기 과로의 정의를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어 우리나라

도 이러한 부분에 대한 참고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더욱이 정신질환에 대하여도

1999년 정신장애 관련 지침 설정 후 ① 정신장해 발병의 유무 발병 시기 및 질환명의

확인 ② 업무에 의한 심리적 부하의 강도 평가 ③ 업무 이외의 심리적 부하의 강도 평

가 ④ 개 체측 요인의 평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검토한 후에 일

정 요건 하에서만 인정하고 있다 독일은 뇌심혈관 및 정신질환의 산재인정건수가 없

으며 미국캐나다는 정신질환에 대하여 단기적 쇼크에 의한 질환이외에는 산재인정

이 되지 않는 다고 규정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의 산재보상 목록을 살펴보면 원칙적

으로 직장 업무의 변경 상사와의 갈등 직장 상실 강등 또는 징계조치의 실제적인 또는

인지적인 위협 상사대중들과의 관계 특정한 또는 일반적인 직무 불만 작업부하 압력

근무 조건 또는 환경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 어떤 이유에서든 직장 상실 또는 강등 화학

물질방사능생물학적 위험기타 인식되는 위험에 대한 노출의 두려움 등 일반적인 스

트레스에 의한 정신장애는 산재급여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지하철

자살사건의 경험으로 인한 기관사의 공황장애나 직장내 성희롱에 의한 정신장애가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mdash mdash57

장애상태 산재등급 장애율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

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3 10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

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5 10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 할 수 없는 사람3급 3 10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

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5급 8 8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 외에

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4 6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

도로 제한된 사람9급 15 40

3 조사방법

기존 장해평가자들에 대한 장애정도 평가시에 고려여부를 조사하고 장해평가 대

상자들의 장애 정도와 그 영향을 평가한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만들고 중

복 장애시의 보정 방법과 장애정도에 미치는 영향 평가를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

으로 추진할 근거를 마련하며 특히 신체화 장애 부분에 대한 사전 조사항목에 중

점을 두고 질병 및 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에 객관화된 점수화 도입이나 예후 및 예

후 인자에 대한 조사와 확인에 중점을 두어 조사 하여야 할 것이다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표 1〉 정신행동 장해평가기준비교

장애인 복지법상 장애등급 판정기준 (2003-7)에는 정신지체 (1 2 3급) 정신장애

(1 2 3급) 발달장애(자폐증) (1 2 3급)로 분류되어 있다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신경계장애에 대해서는 제 13장에서 뇌 뇌신경 척수 신경근과 말초신경 그리고

근육 기능이상으로 인한 영구 장해 평가 기준을 제공하고 있다 크게 보면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기질성 및 비기질성 장해평가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운동 기능의 장애

mdash mdash58

기능 부위

또는 양상

1등급

장해 없음

2등급

가벼운 장해

3등급

심하지 않은 장해

4등급

뚜렷한 장해

5등급

심한 장해

일상 활동

사회적 기능

집중력 적응

장해 없음장해가 대부분의 유용

한 기능과 공존하함

장해가 일부의 유용

한 기능과 공존함

장해가 유용한 기능

을 심하게 방해함

장해가 유용한

기능을 배제함

장 애 상 태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1급 3 100

극심한 치매 CDR 척도 5점 100

심한 치매 CDR 척도 4점 80

(상지와 하지)평가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배뇨 배변 및 성기능의 장해평가 그리고

뇌신경기능 장해평가로 나눌 수 있다 다른 장기의 장해평가 방법과 마찬가지로 장애

의 정도는 등급이 아닌 장애율로 평가를 한다 장애율은 일률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닌 장애 범위를 제시함으로써 평가자가 증상의 정도에 따라 구분 항목 내에서 결

정하도록 하고 있다

정신(행동)장애는 제 14장에 그 내용을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으나 AMA 기준에

서는 정신행동장애에 대해서는 신체장애율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다른 장해계열과

달리 정신 질환의 정확한 장해 평가 기준은 없는데 백분율을 사용하면 존재하지 않는

확실성을 암시하게 되고 백분율은 정신 및 행동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검토할 가능성이 적은 심판관들에 의해 융통성 없이 사용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미

국정신의학협회장해 재활위원회(Committee 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of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는 이와 같은 어려운 문제를 숙고한 후 제4판의

정신 및 행동 장애 해당 장(章)에서 백분율 표시를 삼가 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이러한

권유를 제 5판에서 그대로 적용하여 장애율을 이용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다음의 표와 같이 간략하게 비교하여 볼 수 있다

〈표 2〉 AMA상 정신 및 행동장애로 인한 등급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정신신경 장애의 국내 기준 비교

mdash mdash59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

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2급 5 7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3급 3급 3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5급 8

심한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5급 7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외

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4

정신행동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 장

보기 등의 기본적 사회 활동을 혼자서 할 수 없는 상태4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9급 15

약간의 치매 CDR 척도 2점 40

약간의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10

장애상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타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극심한 치매 CDR 척도 5점

심한 치매 CDR 척도 4점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심한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

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

정신행동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대중교통을 이용

한 이동 장보기 등의 기본적 사회 활동을 혼자서

할 수 없는 상태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

약간의 치매 CDR 척도 2점

약간의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정신신경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신경계는 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위원회에서 AMA 기준을 근간으로 하여 우리

나라 여건에 맞도록 만들어 놓은 기준이 있다 이 기준의 타당성을 전문가의 자문을 통

mdash mdash60

하여 검토하고 개선 사항이 발견되면 이를 수정함이 좋을 것으로 본다 한편 정신행동

계 장해평가에 대해서는 노동부에서 2004년도에 정책 연구 용역사업으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를 시도 한 적이 있다

Ⅵ 결 론

AMA기준에서는 신경계와 정신행동계를 각각 구분하여 평가한다 신경계 장애의

장애율은 최소값과 최고값 사이에서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며 구별점을 비교적 구체

적이고 자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정신행동계의 장애는 백분율로 표현된 장

애율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산재보험법에서는 불과 6개 등급으로 포괄적이고 개념

적인 정의만 언급하고 있다

mdash mdash61

제 4 장 특수기능 장해평가7)

Ⅰ 서 론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안과 영역

2 이비인후과 영역

3 비뇨생식기계

4 흉터 장애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안과 영역

2 이비인후과 영역

3 비뇨생식기계

4 흉터 장애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Ⅵ 결 론

7) 정한용(정신) 이상원(신외) 황선철(신외) 정헌종(산업) 조경석(신외)

mdash mdash63

I 서 론

특수 기능 분야는 근골격계 내부 장기 정신신경계통을 제외한 부분들의 영역을

조사한다 이 분야는 미국의학협회의 장해평가기준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ition 이하 lsquoAMA기준rsquo 이라고 함)의 제7장 비뇨생

식기계 제8장 피부 제11장 귀 코 구강 (이비인후과 영역) 그리고 제12장 시각

계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장애등급판정(이하 lsquo산재기준rsquo

이라고 함)에서 장애부위 구분상 눈 귀 코 입의 전 부위와 두부middot안면부middot경부의 흉

터 장애 흉복부장기의 비뇨기 장애 생식기 장애를 포함하는 영역이 이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해당 장기의 영역을 안과 영역 이비인후과 영역 비뇨 생식기계 흉터(안면부)로

구분하고 현재 산재기준을 나열하고 의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해당

영역의 AMA기준을 분석하여 산재기준과 장단점을 열거하고자 한다

이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장애에 대한 국내에서의 인지도 분석을 위한 설문지 항

목의 초안을 만들어 보았다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산업기준에서 해당 영역의 장해평가와 등급 분석을 요약하고자 한다

1 안과 영역

눈의 장애는 안구와 눈꺼풀의 장애로 구분되어 있다 안구의 장애는 기능적인 장

애를 평가하여 시력 조절기능 안구운동 시야의 영역을 평가하고 눈꺼풀의 장애는

기질적 손상인 결손 장애 기능적 손상인 운동 장애에 대하여 평가한다 시력장애는

11단계로 국제시력표를 이용하여 교정시력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장애 등급

상 최고 등급은 두 눈이 실명된 사람으로 1급이며 한눈의 시력이 06이하인 사람

은 13등급의 최저등급으로 구분되어 있다(표1)

시력측정은 원칙적으로 국제시력표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시력이라 함은

mdash mdash64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안구의 장애

기능적 장애

시력 장애

제1급제1호

제2급제1호

제2급제2호

제3급제1호

제4급제1호

제5급제1호

제6급제1호

제7급제1호

제8급제1호

제9급제1호

제9급제2호

제10급제1호

제13급제2호

두 눈이 실명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02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6이하로 된 사람

두 분의 시력이 각각 006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1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거나 한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6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조절기

능 장애

제11급제1호

제12급제1호

두 눈이 모두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한 준의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운동

장애

제11급제1호

제12급제1호

두 눈이 모두 안구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한 눈의 안구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시야

장애

제9급제3호

제13급제2호

두눈에 모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한눈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눈꺼풀의 장애

기질적

장애

결손

장애

제9급제4호

제11급제3호

제13급제3호

제14급제1호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한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두 눈의 눈꺼풀에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또는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한 눈의 눈꺼풀에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또는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기능적

장애운동장애

제11급제2호

제12급제2호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한 준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표 26〉 눈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교정시력을 말하는 것으로 안경에 의하여 교정한 시력에 의거 측정한다 다만 시

력의 교정으로 부등상증(不等像症)이 생겨서 양안시가 곤란하게 되는 것이 의학적

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나안(裸眼)으로 시력을 측정한다 두 눈의 시력장애에 대해

서 등급표상 정해져 있는 해당 등급을 인정하며 한 눈마다의 등급을 정아여 조정

준용등급 방법은 인정하지 않고 있다

조절기능 장애는 제11급과 제12급 두 가지 등급을 결정하고 있다 lsquo안구에 뚜렷

한 조절기능장애가 남은 사람rsquo은 조절력이 통상의 2분의 1이하로 감소된 사람을 말

한다 예를 들어 한쪽의 눈에 인공수정체를 이식하여 교정한 시력이 06이상인 경

우는 시력장애는 해당되지 않으나 무수정체이기 때문에 원근의 조절작용이 전혀 없

으므로 장애등급 제12급제1호를 인정한다

안구의 운동장애는 안구의 운동을 담당하는 6개의 외안근(外眼筋)의 일부 혹은

전부 마비가 되어 안구 운동의 제한을 보이는 경우이다 양안시가 있는 사람은 복

시(複視)가 나타나게 된다 lsquo안구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rsquo이란 안구의

mdash mdash65

주시야의 넓이가 2분의 1이하로 감소된 사람을 말한다 주시야의 넓이는 상당한 개인

차가 있지만 평균치는 단안시에서 각방면 약 50도 양안시에서는 각방면 약 45도이다

시야장애에서 시야란 눈앞의 한 점을 응시하면서 동시에 볼 수 있는 시계(視界)

의 넓이를 말하는 것이다 시야협착(視野狹窄)은 시야 주변의 협착으로 동심성협착

과 불규칙협착이 있다 시신경의 손상으로도 시야의 협착이 발생한다 만일 고도의

동심성 협착이 있는 경우 시력이 양호해도 뚜렷하게 시기능을 방해하여 주위의 상

황을 살필 수 없기 때문에 보행 기타 여러 가지 동작이 곤란하게 된다 시야변상는

반맹증 시야의 결손 시야 협착 및 암점이 포함되지만 반맹증 및 시야협착에 대해

서는 등급표에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암점과 시야결손을 말한다

눈꺼풀의 장애는 기질적 장애인 결손과 기능적 장애인 운동장애로 구분된다 눈

꺼풀의 결손 장애는 9급에서 14급으로 4단계로 운동 장애는 11급과 12급 2단계로

되어 있다 눈꺼풀의 뚜렷한 결손은 눈을 감았을 때 각막을 완전히 덮을 수 없는

정도를 말하고 일부에 결손이 남은 경우는 눈을 감았을 때 각막을 완전히 덮을 수

는 있지만 결막이 노출되어 있는 정도를 말한다

산재기준에서 예시한 항목이 없거나 여러 개의 항목이 중복이 되는 경우에는 준

용(準用)과 조정(調整)을 한다 시행령의 제31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해 조정하여 등

급을 인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 눈의 눈꺼풀에 두렷한 결손으로 제11급제3호의

장애가 있고 다른 눈에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로 제12급제2호가 인정되는

경우는 등급을 조정하여 10급을 인정하게 된다 준용의 경우는 정면시에서 복시가

발생하여 양안시로 고도의 두통 현기증이 발생하여 노동에 뚜렷한 지장을 초래한는

경우는 제12급을 준용한다 만일 정면시에는 복시가 생기지 않지만 좌우상하시에서

복시가 발생하여 노동에 뚜렷한 지장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경도의 두통을 호소하면

제14급을 준용한다 대광반사가 뚜렷하게 장애를 입은 경우는 제12급을 준용한다

2 이비인후과 영역

1) 귀의 장애

귀의 장애는 기능적 장애인 청력 장애와 기질적 장애인 귓바퀴의 결손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청력 장애는 두 귀와 한 귀로 구분하고 있으며 청력의 측정

mdash mdash66

은 순음청력 검사의 기도청력 역치를 기준으로 6분법에 의하여 판정하고 있다 판

정 기준에는 검사 항목을 제시하여 필수 검사 항목으로 이비인후과 의사의 이학적

검사 순음청력검사 언어청력검사 임피던스 청력검사를 시행하고 보완검사 (의학

적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로 뇌간유발반응청력검사 자기청력계검사 이음향방사

검사 이명도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및 기타 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검사를 시

행하고 인력기준과 시설 기준에 대해서도 정해져 있다 비교적 평가 및 검사의 질

적 상태 유지를 위한 정도 관리가 시행되고 있다 장애 판정의 의료기관의 시설기

준에서 검사장비로 순음 및 언어청력검사기 임피던스청력검사기 뇌간유발반응청력

검사기 이음향방사검사기 자기청력검사기를 갖추도록 하고 있다

청력 장애에서 두 귀와 한 귀의 장애를 각각 평가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두 귀

장애는 고막의 전부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

은 사람을 최상위 등급은 4급으로 정하고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 이상의 거리

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을 11급으로 정하여 6 단계 (9개

구분)로 장애 정도의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한 귀의 청력장애는 9급에서 14급의 4

단계로 정하고 있다 귓바퀴 장애는 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 된 사람을 12

급으로 1개 등급을 정하고 있다(표2)

등급표에서는 청력장애의 등급의 예시항목이 추상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장해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에서는 순음청력과 언어명료도에 대한 구체적인 기

준을 제시하고 있다 청력의 측정은 24시간 이상 소음작업을 중단한 후 500

1000 2000 4000 Hz의 주파수음에 대한 청력치를 측정하여 6분법으로 판정한다

이러한 측정은 3-7일 간격으로 3회 이상 실시하여 검사의 유의차가 없는 경우 그

중 최소가청력치를 청력장애로 인정하고 있다 장애의 등급 구체적인 지침을 예로

들면 두 귀의 평균청력손실치가 80dB이상인 사람 또는 두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50dB이상 80dB 미만이고 최고 명료도가 30이하인 사람은 제6급3호로 판정하도

록 하고 있다 순음청력과 언어명료에 대한 측정치를 이용하여 청력장애를 판단하

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청력의 검사는 보청기 등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

하도록 하고 있다

mdash mdash67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귀 의 장 애

기 능 적 장 애

청 력 장 애

두 귀

제4급제3호고막의 전부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려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사람

제6급제3호

고막의 대부분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

의 청력이 모두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

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6급제4호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40

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

하게 된 사람

제7급제2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

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7급제3호

한 쉬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

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9급제7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9급제8호

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

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

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0급제5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1급제11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

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한 귀

제9급제9호 한 귀의 청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제10급제4호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는 큰 말 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1급제4호한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4급제11호한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

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귓바퀴

제12급제4호 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된 사람

〈표 27〉 귀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귓바퀴의 대부분의 결손은 이개의 연골부의 2분의 1이상이 결손된 것을 말한다

귓바퀴의 결손의 경우 외모의 흉터장애로 인정되는 경우의 등급 중에서 어느 것이

든 상위의 등급을 인정한다 예를 들면 여자의 경우 귓바퀴의 대부분의 결손이 있

는 경우는 제12급제4호에 해당하지만 흉터장애로서는 제7급제12호에 해당하기 때

문에 상위등급은 제7급제12호를 인정한다

귀의 장애에서도 산재기준에 예시한 항목이 없거나 여러 개의 항목이 중복이 되

는 경우에는 준용(準用)과 조정(調整)을 한다

mdash mdash68

2) 코의 장애

코의 장애는 기질 및 기능적 장애에 대해 한 가지의 등급을 정하고 있다 그 내

용은 코가 결손 되어 그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을 9급으로 한다 결손은

코 연골부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잃은 경우를 말하고 기능에 뚜렷한 장애는 코로

숨쉬기가 곤란한 사람 또는 후각이 상실된 사람을 말한다 코의 결손이 외모의 흉

터에 해당하는 경우는 두부middot안면부middot경부의 흉터 장애를 준용하여 남자는 14급 여자

는 12급으로 평가하도록 정하고 있다

3) 입의 장애

입의 장애는 기능적 장애로 말하는 기능 및 씹는 기능과 기질적 장애로 치아의

보철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말하는 기능은 구강에서 자음이 만들어지는 조음위치

(調音位置)에 따라 4 종류로 구분하여 ① 구순음(ㅁ ㅂ v) ② 치설음(ㄴ ㄷ ㅌ)

③ 구개음(ㅈ ㅊ) ④후두음(ㅇ ㅎ)으로 정하고 있다 말하는 기능의 장애는 위 4

종의 음성 중 3종 이상의 발음을 할 수 없는 경우를 3급으로 정하고 있고 1종의

발음을 할 수 없는 사람을 10급으로 정하고 있다 음식물을 씹는 기능 장애는 상하

교합(上下咬合)과 배열 상태 및 하악의 개패운동 등에 따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을 3급으로 정하고 있다(표3)

이러한 씹는 기능의 장애는 주관적인 판단기준으로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나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치아 장애는 보철이 된 치아의 개수에 따라 10급에서 14급

으로 5단계 구분을 제시하고 있다 식도의 협착 등의 삼키는 기능의 장애는 씹는

기능장애에 관한 등급을 준용하고 있으며 미각상실은 12급을 준용하도록 정하고 있다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입의 장애

기능적 장애

말하는

기능 및

음식물을

씹는

기능장애

제1급제2호

제3급제2호

제4급제2호

제6급제2호

제9급제6호

제10급제2호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모두 영구적으로 잃은 사람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

기질적 장애

결손

장애

제10급제3호

제11급제10호

제12급제2호

제13급제4호

제14급제2호

14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10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7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5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3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표 28〉 입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mdash mdash69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흉 복부

장기 장애

제7급제13호

제8급제11호

제9급제14호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

비장 또는 한 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생식기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표 29〉 비뇨생식기계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3 비뇨생식기계

비뇨생식기계에 대해서는 흉복부의 장애에 일부로 포함되어 있다 제시된 장애등

급 표에 의하면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은 7급 한 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은 8급

생식기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은 9급으로 정하고 있다 상세 장애등급 인정기

준을 살펴보면 비뇨기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로 구분하여 그에 해당하는 예를 제

시하고 있다(표4) 해당 예시항목이 없는 경우에는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

애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제3급제4호)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제7급제5호)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제9급제16

호) 흉복부 장기의 기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제11급제9호)의 항목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신장은 요로변경술 시행으로 신루 신우루 요관피부문합 요관장문합을 남긴 채

로 치유된 상태나 만성 신우신염 수신증인 사람을 제7급제5호로 정하고 있다 방

광 장애는 방광 기능이 완전히 없어진 사람은 제3급제4호로 위축방광(50cc이하)인

사람은 제7급제5호로 인정하고 있다 요도 협착은 11급과 14급으로 2 단계 구분을

제시하고 있다 생식기의 장애는 외부성기의 결손이나 협착 고환의 위축 등에 대해

9급 11급의 장애를 인정하고 있다

4 흉터 장애

두부middot안면부middot경부에서 흉터의 장애에 대해 정하고 있다 외모의 흉터에 대하여 남

자와 여자로 구별하여 2단계로 등급이 정해져 있고 팔다리의 노출면의 흉터에 대하

여는 남여의 차이 없이 1등급만을 인정하고 있다 외모란 두부 안면부 경부와 같

이 일상 생황에서 노출되는 부분을 말하며 팔 다리는 제외되어 있다 외모에 lsquo뚜렷

mdash mdash70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흉터 장애

외모

여자제7급제12호

제12급제14호

외모에 뚜렷한 흉터가 남은 여자

외모에 흉터가 남은 여자

남자제12급제13호

제14급제10호

외모에 뚜렷한 흉터가 남은 남자

외모에 흉터가 남은 남자

팔다리팔 제14급제3호 팔의 노출된 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다리 제14급제4호 다리의 노출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표 30〉 흉터장애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한 흉터rsquo란 두부에 있어서는 손바닥 크기 이상의 반흔 또는 두개골의 손바닥 크기

이상의 결손 안면부에 있어서는 계란 크기 이상의 반흔 길이 5 센티미터 이상의

선상흔 또는 10원짜리 동전 크기 이상의 조직함몰 경부에 있어서는 손바닥 크기

이상의 반흔을 말한다 lsquo단순한 흉터rsquo란 두부에 있어서는 계란 크기 이상의 반흔 또

는 두개골의 계란 크기 이상의 결손 안면부에 있어서는 10원짜리 동전 크기 이상

의 반흔 또는 길이 3센티미터 이상의 선상흔 경부에 있어서는 계란 크기 이상의

반흔을 말한다

외모의 장애는 여자는 뚜렷한 흉터가 남은 경우 7급 그 외는 12급으로 정하고

남자는 12급과 14급의 2단계로 등급을 정하고 있다 같은 정도의 흉터라 하더라도

여자가 남자에 비해 상위의 등급을 판정하도록 하였다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안과영역

AMA기준은 제12장의 시각계(Visual System)에서 평가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평가방법은 1936년 맥브라이드 평가법으로부터 시작하여 1995년 AMA기

준 4판가지 이르도록 내용상 큰 변화가 없이 시각장애를 평가했을 정도로 비교적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방법이다 AMA기준의 4판에서는 시력 시야 안구운동의

3가지 시각요소를 평가였으나 5판에서는 시력장애와 시야장애로 구분된다

저시력에 관련된 국제 전문가들이 관여하여 AMA기준 4판과는 완전히 달라진 평가

방법이다 이전의 기준에 사용하던 시효율(Visual Efficiency VE)의 개념이 없어지고

mdash mdash71

장애 등급

(ICD-9-CM 기준)

시력 시력점수

(VAS)시력장애율()

미국식 표기 1m 표기

정상

시력

정상

2025

2016

2020

2025

1063

108

11

1125

110

105

100

95

0

5

준정상

2032

2040

2050

2063

116

12

125

132

90

85

80

75

10

15

20

25

〈표 31〉 AMA Table 12-2 시력 점수(VAS)

시기능점수(Functional Vision Score FVS)로 대치되었다 시기능점수는 시력 및 시

야의 평가에 기초하고 있고 복시 및 무수정체증에 대한 여분의 측정계수 및 손실은 삭

제한 대신 필요한 경우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하였다 시력과 시야소실에 반영되

지 dskg는 대비감도 눈부심(현휘) 민감도 색각 양안시 입체시 억제 복시 등과 같은

기타 기능장애는 개별조정을 허용하고 있다

시력에 대한 시력기능점수(Functional Acuity Score FAS)와 시야기능점수

(Functional Field Score FFS)를 각각 구한 후에 FAS와 FFS를 이용하여 FVS를 구한다

1) 시력장애

시력의 측정은 원거리와 근거리를 시력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데 굴절이상이 있을

때는 안경으로 교정한 교정시력을 측정한다 눈에 들어온 평행한 빛이 망막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는 즉 보려고 하는 물체를 선명하게 보기 위해서는 굴절이 필요하고 이

것은 각막과 수정체의 굴절력 안축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며 여기에 이상이 있을 경우

굴절이상이라고 하여 굴절이상의 도수에 맞는 안경으로 교정하면 잘 보이게 되며 여

기에는 근시 원시 난시가 들어간다

시각장애율을 이전의 공식인 (3보다 좋은 눈 + 1보다 나쁜 눈)4 대신에 (3두

눈 + 오른쪽 눈 + 왼쪽 눈)5 공식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공식은 두 눈

의 기능이 보다 좋은 눈이 기능과 같지 않은 경우에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최

종적인 시각장애율은 100-시기능점수(FVS)로 구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시력이 01(VA 20200)인 경우에 AAM 4판의 시준으로 시력 상실률은

80였으나 5판의 기준으로 시력 장애율은 50(Table 12-2에 의함)으로 산정한다

mdash mdash72

가벼운

2080

20100

20125

20160

14

15

163

18

70

65

60

55

30

35

40

45

저시력

심한

20200

20250

20320

20400

110

1125

116

120

50

45

40

35

50

55

60

65

극심한

20500

20630

20800

201000

125

132

140

150

30

25

20

15

70

75

80

85

시력

상실

준시력

상실

201250

201600

202000 미만

163

180

1100 미만

10

5

0

90

95

0

완전시력상실 빛 식별 못함 0 0

Class 1

시력장애 0-9

Class 2

시력장애 10-29

Class 3

시력장애 30-49

Class 4

시력장애 50-69

Class 5

시력장애 70-89

Class 6

시력장애 90-100

FAS 98304491 FAS 90-71 FAS 70-51 FAS 50-31 FAS 30-11 FAS 98304310

정상 준정상 가벼운 심한 극심한 시력상실

〈표 32〉 AMA Table 12-4 시력장애율 분류

위의 표를 이용하여 시력점수(Visual Acuity Score VAS)를 각각 눈에 대해서 구한

후에 제시된 공식인 (VAS두 눈3 + VAS오른쪽 눈1 + VAS왼쪽 눈1)5로 시력기능점수

(FVS)를 구한다 시력기능점수를 구한 후에 Table 12-4의 표를 이용하여 시력 장애율

을 구한다

2) 시야장애

시야(visual field)란 한 눈은 가리고 검사하고자 하는 눈을 움직이지 않고 눈앞

의 한 점을 응시하면서 동시에 볼 수 있는 외계의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주변시력

(peripheral vision) 또는 주변시에 해당하며 이것에 의해 사람은 외계의 물체를 발견

하고 그 상호위치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중요한 시기능의 하나로 주변망막의 자

극에 의한다 시야는 골드만주변시야계(Goldmann perimetry)와 여러 가지 형태의 자

동시야계(automated perimetry)로 측정할 수 있다

mdash mdash73

장애 등급

(ICD-9-CM 기준)특별 조건

동심소실인

경우의 평균반경

시야점수

(VFS)시야장애율()

정상

시력

정상 60o

11010510095

05

준정상 한 눈의 상실

50o

40o

90858075

10152025

가벼운 상부 시야 상실

30o

20o

70656055

30354045

저시력

심한

반측 시야 상실

하부 시야 상실

10o

8o

50454035

50556065

극심한

6o

4o

30252015

70758085

시력

상실

준시력 상실

2o 미만

0

1050

90950

완전시력상실 시야 없음 0 0

〈표 33〉 AMA Table 12-5 시야 점수(VFS)

위의 표를 이용하여 시야점수(Visual Field Score VFS)를 각각 눈에 대해서 구한

후에 제시된 공식인 (VFS두 눈3 + VFS오른쪽 눈1 + VFS왼쪽 눈1)5로 시야기능점수

(FFS)를 구한다 시력기능점수를 구한 후에 Table 12-7의 표를 이용하여 시야 장애

율을 구한다(Table 12-7의 장애율은 Table12-4의 장애율과 동일하여 표는 생략한다)

시기능점수(FVS)은 FAS와 FFS의 곱의 백분율로 구한다(FVS=(FASFFS)100) 예

를 들면 FAS는 80(장애율은 20)이고 FFS는 75(장애율은 25)이면 FVS는

(8075)100인 60(장애율은 40)이다

2 이비인후과 영역

AMA기준은 제11장 코 귀 구강 및 관련 구조물로 설명하고 있다

1) 귀

귀의 장애는 청력장애(hearing loss)와 평형장애(equilibrium)에 대해 평가한다

청력은 순은 청력계를 이용하여 500 1000 2000 3000Hzd에서 청력 수준을 기록

mdash mdash74

Class 1 (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은 없음

및 도움을 받지 않고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Class 2 (1-1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복잡한 활동(예 자전거 타기) 또는 엄격한 주의가 요구되는 특정 업무 활동(예 대

들보 또는 비계 위를 걷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 없이 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Class 3 (11-3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단순한 활동(자신을 돌보는 일 집안 일 보행 다른 사람이 운전하는 자동차에 타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 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표 35〉 AMA Table 11-4 전정질환으로 인한 신체 장애 기준

양쪽 귀의 장애율() 전신장애율() 양쪽 귀의 장애율() 전신장애율()

00-1718-4243-7475-99

100-131

01234

500-531532-557558-588589-614615-645

1819202122

132-159160-188189-214215-245246-271

56789

646-671672-700701-7287209-759760-785

2324252627

272-300301-328329-359360-385386-417

1011121314

786-817818-842843-874875-899900-931

2829303132

418-442443-474475-499

151617

932-957958-988989-1000

333435

〈표 34〉 AMA Table 11-3 양쪽 귀의 장애율과 전신장애율의 비교

하고 만일 100dB을 초과하는 경우는 100dB로 기록한다 각 4개 영역의 청력수준

을 더하여 총합을 구한다(DSHL decibel sum of the hearing loss) 측정값에 대

해서 양쪽귀로 청력의 환산하는 표를 제시하고 있다 table 11-2는 양쪽 귀에서 측

정된 DSHL을 각각 대입하여 청력에 의한 장애율을 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장애율

은 0-35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 표에서 구한 청각 장애율의 공식은 장애율()

는 (5밝은 귀의 청각 장애율 + 어두운 귀의 장애율)6 으로 산출한다 이 공식의

특징은 한쪽 귀의 청력이 좋은 경우면 장애가 적게 산출이 된다는 것이다 양쪽 귀

에 대한 장애율을 구한 후에 표(Table 11-3)을 이용하여 전신장애율을 구한다

청력 이외의 귀의 기능인 평형에 대한 장애 기준은 표10과 같다

mdash mdash75

Class 4 (30-6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외에는 도움이 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Class 5 (61-95)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중 보행을 요하지 않는 행위를 제외하고 도움 없이 일상 활

동을할 수 없음 및 집안에 머물러 있어야만 함

Class 1 (0-5)

눈에 띄는 흉터 또는 비정상 색소침착(제8장 피부질환 참조) 등과 같이 피부 구조 장애

에 한정된 얼굴 이상

또는 가벼운 한쪽 또는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외모에 영향을 주는 코의 변형

Class 2 (6-10)

피부 장애(예 함몰된 뺨 비골 또는 전두골)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은 얼굴 장애로

서 얼굴 일부의 지지 구조의 상실을 초래한 경우

Class 3 (11-15)

눈 또는 코의 일부 상실 등과 같이 얼굴의 해부학적 부분 또는 부위의 결여 때문에 발

생한 얼굴 이상으로서 얼굴 변형을 초래한 경우 이 경우 기능 소실(예 시력)이 수반되

면 이를 병함한다(제12장)

또는 심한 한쪽 전체 얼굴 마비

또는 가벼운 양쪽 전체 얼굴 마비

Class 4 (15-50)

얼굴 해부학적 구조의극심한 또는 완전한 변형으로서 변형 정도가 극심해서 사회 적응

이 불가능할 정도인 경우 정신 및 행동 장애로 인한 장해 등급을 병합한다(제14장)

또는 심한 양쪽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코의 주요 부위 또는 전체 상실

〈표 36〉 AMA Table 11-5 얼굴 질환 및 변형으로 인한 신체 장애 기준

2) 안 면

안면장애는 얼굴의 질환 또는 변형으로 인한 영구 장애를 평가하기 위해서 해부

학적 변화 및 기능 변화를 평가한다 얼굴의 구조적 완전성과 관련되는 장애를 다

루고 있다 얼굴 변형의 원인은 화상 외상 수술 감염 또는 형성이상 등이 주요 원

인이 된다 안면신경의 마비에 의한 형태의 변형을 포함한다(표11)

3) 후각 및 미각 장애

장애율은 1-5을 정하고 있다

mdash mdash76

Class 1 (0-14)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대부분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이를 위해 간혹 노력해야

하고 때로 개인의 능력에 부치는 일일 수도 있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대부분의 조음 행위를 할 수 있다 그러나 간혹 다시 한번 말해 줄것을

요청 받거나 어떤 발성 단위는 발음하기 어려워하거나 불가능하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대부분의 요구를 층족 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

하게 해 낼 수 있으나 가끔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Class 2 (15-34)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많은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으며 평균적인 환경에서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승용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잘 들을 수 없다

일상 회회에 필요한 많은 조음 행위를 할 수 있으며 타인이 이를 알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오류가 있으며 간혹 조음이 어려울 경우가 있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많은 요구를 충족 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가끔 어려움을 겪으며 때때로 끊어지거나 중단되고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Class 3 (35-59)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특정 필요 즉 인접한 상대와의 대화가 가능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

나 목소리가 쉬 피로해지고 수초가 지나면 잘 들리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떨어지거나 승용

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과 같은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일부 조음 행위를 할 수 있으며 가족 및 친구들과 대화할 수 있으나 타

인은 말소리를 알아 듣기 어려워하며 자주 다시 한번 말해달라는 요청을 받는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일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지속적으로 말할 수 있으며 상대방에게 쉬 피곤해

한다는 인상을 준다

Class 4 (60-84)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한정된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나 가까이서 주의를 기

울여야 겨우 들을 수 있으며 또한 귀에 들릴 정도로 속삭일 수 있으나 크게 말할 수는 없

일상 회화에 필요한 제한된 조음 행위를 할 수 있으며 일부의 발성 단위를 발음할 수 있다

자기 가족의 이름 등 몇 단어는 비슷하게 발음하나 관련 없는 단어를 발음하면 알아 들을

수 없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제한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

게 말할 수 있으나(한 단어 ㄸ는 짧은 구절) 말이 자주 끊기고 아주 힘들어한다 속도가 대

단히 느리다

Class 5 (85-100)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전혀 낼 수 없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행위를 전혀 할 수 없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는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요구를 전혀 충족

시킬 수 없다

〈표 37〉 음성언어로 인한 신체 장애 기준

4) 음성 언어 장애

조음장애 유창성 장애 음성장애(후두이상) 언어장애로 구분하고 있다 가청도

(audibility) 가해성(intelligence) 기능적 효율성(functional efficiency)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mdash mdash77

언어 및 음성 장애는 분리해서 평가하지 않으면 장애등급은 3개 부문(가청도 가

해성 기능적 효율성)의 백분율 중 가장 큰 것을 장애율로 한다

3 비뇨생식기계

AMA기준 5판의 7장에서 비뇨 생식기계의 장해평가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다른

장기의 장해평가 방법과 마찬가지로 장애의 정도는 등급이 아닌 장애율로 평가를

한다 장애율은 일률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고 장애 범위를 제시함으로써 평가자

가 증상의 정도에 따른 구분항목 내에서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비뇨기계는 신장 요로 치환 방광 요도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생식기계는 남자는

음경 음낭 고환과 부속기 전립선으로 구분하고 여자는 외성기(질) 자궁 난소와

나팔관으로 구분하여 각각을 평가한다(각 기관별의 장애율은 표 13 참고)

신장은 크레아티닌 청소율(CCr)을 구하여 신장 기능을 평가하여 4개로 구분하였

다 최고의 장애율은 95로 한다 대표적으로 class 4는 장애율 60-95로 CCr lt

40Lday이며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을 가지는 경우로 투석이 요하는 경우이다

만성신부전으로 투석을 지속적으로 하는 경우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신장이

식 후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가 요하는 경우는 class 2로 장애율 15-34에 해당한

다 요로 치환술을 시행한 경우에도 각 시술에 따라서 요관-장루 10 피부 요관

창냄술 10 콩팥창냄술 15로 정하고 있다

방광은 빈뇨 야간뇨 등의 증상과 반사적 배뇨 활동을 구분하여 class 3으로 구

분을 하고 있으며 최고 장애율은 70이다 class 3는 41-70의 장애율을 제시하

고 있으며 배뇨의 반사적 활동이 없거나 자발적인 조절이 전혀 없는 경우이다 요

도의 장애는 요도 협착 요실금으로 3 단계로 구분을 하고 있다 최고 장애율은

40로 요도 이상으로 소변의 누출이있고 자발적인 조절이 되지 않는 경우가 평가

기준이다

생식계에서 제시된 장애율은 40-65세를 기준으로 하여 40세 미만은 50의 장

애율을 합산하고 65세 이상인 경우에는 50 장애율을 감산하도록 되어 있다 남

자의 경우 음경은 발기 사정 감각 등의 성기능을 평가하고 외상후 섬유증 탈구 등

에 해당하여 3단계로 구분 하였다 최고 장애율은 20고 성기능이 전혀 없음이다

mdash mdash78

신 장

Class 1 (0-14)

CCr 75-90Lday 증상은 있으나 치료 필요하지 않음 하나의 신장

Class 2 (15-34)

CCr 60-75Lday 증상이 있고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가 요함 신장이식 후

Class 3 (35-58)

CCr 40-60Lday 치료에도 완전히 조절되지 않는 증상을 가짐

Class 4 (60-95)

CCr lt 40Lday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증상을 가짐 투석이 요함

〈표 38〉 비뇨 생식기계의 평가표(AMA 기준 요약)

방 광

Class 1 (0-15)

방광이상 증상이 있고 간헐적인 치료가 요함 정상적인 기능이 남아 있음

Class 2 (16-40)

방광이상 증상이 있고 지속적인 치료가 요함

Class 3 (41-70)

배뇨의 반사적 활동이 없거나 자발적인 조절이 전혀 없음

음낭의 장애는 고환 기능에 이상은 없으나 음낭의 소실 통증 등으로 평가하며 3

단계 구분을 하였다 고환과 부속기는 해부학적 이상과 정액과 호르몬의 기능을 평

가하며 여기에는 부고환염 정자부족증 고환절제술 상태가 해당한다 장애는 3 단

계 구분으로 최고 장애율은 양측 고환이 없고 정액과 호르몬 기능이 없는 경우는

class 3으로 장애율은 16-20이다 최고 장애율은 음경의 장애에 의한 최고 장애

율과 같다 전립선의 경우는 3단계 구분으로 최고 장애율은 20이다

여자는 외성기의 장애는 변형으로 인하여 성행위와 질식 분만 가능성에 대하여

평가를 하고 3단계 분류로 class 3은 장애율이 26-35로 치료에도 조절되지 않는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성행위와 질식분만이 불가능한 경우로 정의하고 있

다 자궁에 관한 장애는 자궁절제술 자궁경부 협착 등이 해당하며 폐경기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장해평가를 하고 있다 3단계로 분류하고 최고 장애율은 35이

다 난소와 나팔관의 기능이나 변형에 대한 평가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폐경기 이

전에 나팔관의 개방성이 없거나 난자의 생성이 불가능하거나 해부학적 소실이 있는

경우가 장애율은 26-35에 해당한다 만일 관련된 호르몬의 기능 이상이 있는 경

우 내분비계에서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여자의 생식기계는 해부학적 부위별로 공

통적으로 3 단계 구분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동일한 정도의 장애율을 제시하고 있다

mdash mdash79

요 도

Class 1 (0-10)

요도이상 증상이 있고 간헐적인 치료가 요함

Class 2 (11-20)

요도이상 증상이 있고 치료에 효과적이지 못함

Class 3 (21-40)

요도이상으로 소변이 새고 자발적인 조절이 되지 않음

음 경(남자)

Class 1 (0-10)

성행위는 가능하나 발기 사정 감각이 어느 정도 불편

Class 2 (11-19)

발기로 성행위는 가능하나 사정과 감각에 결손

Class 3 (20)

성기능이 없음

음 낭(남자)

Class 1 (0-10)

음낭의 일부소실 고환의 기능이상은 없음 고환 위치이상이 있음

Class 2 (11-20)

음낭의 구조적 변형 고환을 음낭 이외에 위치하고 활동시 통증이 있음

음낭의 완전 소실

Class 3 (21-35)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음낭질환으로 신체적 활동에 제약

고 환(남자)

Class 1 (0-10)

고환 부고환 정삭의 해부학적 이상이 있고 지속적인 치료는 필요하지 않고 정액과 호

르몬의 이상은 없음 고환이 하나

Class 2 (11-15)

고환 부고환 정삭의 해부학적 이상이 있고 지속적인 치료가 요하거나 치료가 불가능

하고 정액과 호르몬의 이상이 있음

Class 3 (16-20)

양측 고환이 없음 정액화 호르몬의 기능이 없음

전립선(남자)

Class 1 (0-10)

전립선과 정낭의 이상증상과 해부학적 변형과 지속적인 치료는 필요하지 않음

Class 2 (11-15)

빈번한 전립선과 정낭의 이상 증상과 해부학적 변형과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

Class 3 (16-20)

전립선과 정낭이 없음

mdash mdash80

외성기(여자)

Class 1 (0-15)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이 있으나 치료는 요하지 않고 성행위가 가능하고 출산이 가

Class 2 (16-25)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치료가 요하고 성행위는 가능하나 어려움이 있고 질식

분만에 제한이 있음

Class 3 (26-35)

치료에도 조절되지 않는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성행위와 질식분만이 불가능함

자 궁(여자)

Class 1 (0-15)

자궁과 경부의 이상과 변형이 있으나 지속적인 치료는 요하지 않음

치료가 요하지 않는 경부협착 폐경기의 자궁과 경부의 소실

Class 2 (16-25)

자궁과 경부의 이상과 변형으로 지속적인 치료가 요함

주기적인 치료가 요하는 경부협착

Class 3 (26-35)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자궁과 경부의 이상과 변형

완전한 경부 협착

폐경기 이전에 자궁과 경부의 해부학적 기능적 소실

난 소(여자)

Class 1 (0-15)

자궁관 난소의 이상이나 변형이 있으나 치료가 요하지 않음

폐경기 이전에 단일 자궁관과 난소

폐경기 이후에 양측 자궁관과 난소의 기능이 없음

Class 2 (16-25)

자궁관 난소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지속적인 치료가 요하나 자궁관의 개방성은유지되

어 배란이 가능함

Class 3 (26-35)

자궁관 난소의 이상이나 변형이 있고 폐경기 이전에 자궁관의 개방성이 없거나 난자

의 생성이 불가능하거나 양측의 해부학적 소실

4 피 부

AMA 5판에서 피부에 대한 평가기준은 8장에서 기술하고 있다 치료 후 회복 단

계를 거친 다음 지속되는 피부의 기능 이상 또는 상실을 말하며 치료의 지속 여부를

mdash mdash81

Class 1

장애율 0-9

Class 2

장애율 10-24

Class 3

장애율 25-54

Class 4

장애율 55-84

Class 1

장애율 85-95

피부질환 징후 및 증상

이 있거나 가끔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상

이 있거나 가끔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상

이 있거나 가끔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

상 항상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

상 항상 있음

일상 활동 수행에 전

혀 지장이 없거나 약

간 있음 특정 물리

화학적 발생원에 노

출되면 일시적으로

활동 제한 폭이 커짐

일상 활동 중 일부

제한 있음

일상 활동 중 많은

부분 제한 있음

일상 활동 중 많은

부분 제한 있으며 이

따금 집 또는 기타

장소에 들어 박혀 활

동을 자제해야 함

일상 활동 중 대부분

제한 있으며 이따금

집 또는 기타 장소에

들어 박혀 활동을 자

제해야 함

치료가 필요 없거나

간헐적 치료를 요함

간헐적 치료 또는 지

속적 치료 요함

간헐적 치료 또는 지

속적 치료 요함

간헐적 치료 또는 지

속적 치료 요함

간헐적 또는 지속적

치료 요함

〈표 14〉 AMA Table 8-2 피부질환으로 인한 장해평가기준

막론하고 더 이상의 중대한 변화가 예상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임상적인 평가는

병력과 진찰 진단기법을 이용하여 판단한다 실험실 검사는 부착포 검사 개방검사

단자 검사 피부내 검사 혈청 알레르기 검사 우드등 검사 배양 세균 진균 및 바

이러스 검사 그리고 생검 등이 있다

해당이 되는 영역은 추상(醜相 변형 disfigurement) 흉터 및 피부이식 접촉성

피부염 라텍스 알레르기 피부암 등을 포함하고 있다 장애 판정기준은 AMA기준

5판의 Table 8-2에 제시하고 있다(표 14)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국내의 장해평가기준은 예시형 등급제도이다 예시형은 장애에 해당하는 참고항

목을 제시하고 그에 해당하는 항목에 따라서 장애의 경중을 나누고 등급을 결정하

도록 하고 있다 예시형은 모든 장애항목의 예를 제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제

시된 항목이 없으면 다른 항목에 준용을 할 수 밖에 없다 장애의 정도는 연속선상

에 위치한 것이지 계단형의 높고 낮음의 비교라고 할 수 없다 산재기준의 장애 등

급표는 1-14급으로 등급이 되어 있다

안과 영역에서 산재 기준은 장애등급이 연속적이지 못하고 단절과 비약이 심하

다 예를 들면 시력장애의 경우 장애등급의 범위는 1-13급이지만 11 12 14 등급

mdash mdash82

은 정해지지 않았다 임상에서 01 이하에서의 시력은 심각한 장애등급에 해당하여

신준을 기해야 한다 하지만 여기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그 차이가 구별하는데 어

려움이 많고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대표적인 예인 두눈이 먼 경우와 한쪽 눈만 먼

경우를 산재기준 장애인복지법 생명보험의 기준을 비교하면 장애 정도나 장애 등

급은 대동소이하다(표 15) 두 눈을 먼 경우는 국내의 모든 평가기준에서 1급이나

100의 장애를 인정하고 있다

산재 기준에서와 같이 시야장애를 단순히 반맹협착 등으로만 판정하기에는 부족

하다 한쪽 눈에만 국한된 시야 장애의 경우에는 등급이 너무 저평가되어 있다 시

야장애의 경우는 외국의 기준인 AMA기준 맥브라이드 평가법과 같은 결손범위 위

치에 따른 산정방법이 필요하다 다른 장애 부분에서도 제시된 항목이 애매한 형용

사형으로 표현되어 그 장애의 정도가 명확하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보면 청력을 잃었을 때의 장애 정도는 매우 상이하다 두

귀의 청력을 잃었을 때는 산재기준에서는 4급이고 장애인복지법에서는 2급으로 정

하고 있다 생명보험약관에서는 80의 장애율을 제시하고 있다 산재기준의 귀의

기능적 장애인 청력에 대해서는 평가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하지

만 평가방법이 피평가자의 주관성에 너무 의존하고 있으며 예시된 항목이 너무 구

체적이다 청력을 두 귀의 장애와 한 귀의 장애를 다르게 분류하여 항목을 제시하

고 있다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예시된 항목

의 분류는 구분이 애매하여 과학적이 못하다

비뇨기계의 장애 항목을 비교하면 양쪽 고환의 상실의 경우 국내 기준의 장애 정

도는 비슷한 정도로 평가되어 있다 하지만 외모에 대한 추상 장애의 경우는 장애

인 복지법에서는 2급의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어 있으나 생명보험약과에서는 15

의 낮은 장애로 평가되어 있다

국내의 장해평가기준의 모태는 산재기준이다 산재기준에서 제시되어 있는 장애

등급의 구분을 다른 평가기준에서 대부분을 받아들이고 있다 등급은 1급에서 14급

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장애항목은 산재기준에서의 항목을 많은 부분을 활용하고

있다 이렇기에 장애상태에 대한 장애정도나 등급은 비슷하다 하지만 추상장애의

경우와 같이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는 평가기준을 만든 주체가 따라 달라지는 것으

로 판단된다 국내의 장해평가기준은 보상이나 배상으로 위한 장애등급이기 때문에

지급의 주체에 의해 변경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의학적인 기준이

mdash mdash83

장 애 상 태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두 눈이 멀었을 때 1급1호 1급1호 100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 X 7급13호 50

한눈이 멀었을 때 6급 7급1호 50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2급 4급3호 80

한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X 9급9호 25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X 12급12 15외모에 뚜렷한 추상(추한 모습)을 남긴 때 2급1호 7급12호 15

〈표 15〉 특수기능 장애의 국내기준 비교

기보다는 단순한 주체의 이익이나 배상의 편익만을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국내 기준에서의 예시형 평가기준은 제시된 항목의 장애 정도를 표기하는데 있어

lsquo뚜렷한rsquo lsquo현저한rsquo lsquo경도의rsquo의 등의 형용사 어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형용사형

표현을 통해 장애의 등급을 결정하는 지표가 된다 예를 들면 입의 장애에 대한 장

애 정도로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모두 영구적으로 잃은 사람 말하

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

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 등으로 그 표현이 구체적이질 못하다

이러한 형용사형은 평가자 피평가자가 생각하는 개인차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

일 수 있다 이를 줄이기 위해 산재기준에서는 별도의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평가

자는 예시되어 있는 장애항목을 찾고 이에 대한 장애정도를 다시 지침에서 확인해

야하는 부담이 있다 평가지침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평가자의

주관에 따라서 등급이 결정되어 버리는 편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평가방식은 장해

평가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뇨기계의 장애항목은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 비장 또는 한 쪽의 신

장을 잃은 사람 생식기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의 3가지 항목만 제시하고 있

고 각각의 해당 장애등급은 7 8 9급이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항목은 흉복부 장

기에 장애의 정도에 따라서 준용하도록 하고 있다 준용의 예로 방광기능이 완전히

소실된 경우는 3급 신장의 이상으로 신우루를 낸 경우는 7급으로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제시된 항목의 예가 너무 제한적이다

주 표의 장애상태는 아래를 기준으로 하였음

장애복지법의 장애등급은 다음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음

외모에 뚜렷한 추상을 남긴 때는 lsquo노출된 안면부의 90 이상의 변형이 있는 사람rsquo으로

기준함

산재 보험의 장애등급은 다음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음

mdash mdash84

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는 lsquo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rsquo으로 기준함

한눈이 멀었을 때는 lsquo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rsquo으로 기준함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는 lsquo후각상실 또는 코로 숨쉬기가 곤란한 사람rsquo을 기준으

로 하여 준용함

외모에 뚜렷한 추상을 남긴 때는 여자가 기준임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AMA 기준과 산재 기준을 비교하면 복잡하고 상위의 장애항목의 장애 정도는 비

슷하다 예를 들어 두 눈이 먼 경우는 산재기준은 1급이고 AMA기준과 맥브라이드

기준도 동일하게 100 장애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하위의 장애를 보

이는 장애 항목의 장애 정도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대표적인 예가 한 귀가 들리

지 않는 경우이다 산재기준에서는 9급의 장애이지만 AMA기준에서는 최대 6의

장애율로 평가가되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표 16)

AMA기준은 상대적으로 과학적이지만 복잡하다 AMA기준은 예시형 백분율제도

라고 할 수 있다 복잡해보이지만 잘 정리된 표를 제시하여 이에 해당하는 장애 급

간(class 1-5)을 선택한다 급간을 선택하고 제시된 장애율 범위에 따라서 급간 내

에서 경중을 결정하여 최종 장애율을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안과영역에 있어 AMA기준은 국내 안과의사에게 인지도가 전혀 없고 시각요소

는 간단해졌지만 계산과정이 복잡하고 시야 측정시간이 매우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시력과 시야를 동시에 평가하여 눈의 보는 일에 대한 평가에 대해 충

실하고 있다 두 눈이 먼 경우에 산재기준과 AMA기준은 최고의 장애 등급으로 평

가하고 있다 하지만 한 눈만 기능이 없는 경우에 대해서는 산재기준은 7급이지만

AMA기준은 35 정도의 장애율로 평가된다 서로 차이는 상당한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청력장애에 있어 AMA기준은 산재기준에 비해 구체적이면서 과학적이다 장애가

일상생활능력의 제한의 정도라고 한다면 한쪽 귀의 청력이상이 있다고 하더라도 반

대쪽 귀가 청력이 명료하다면 일상생활에 큰 제약이 따르지 않는다 산재기준에서

는 한쪽의 청력을 완전히 소실한 경우는 9급으로 평가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를

AMA 기준으로 평가한다면 장애율을 약 5에 해당한다 산재기준과 AMA 기준이

mdash mdash85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일상생활능력에 대한 제약으로 볼 때 한쪽 귀의 청력의 소

실은 AMA기준의 장애율이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AMA 기준에서 비뇨 생식기계는 국소장기 별로 구분하여 장애를 평가한다 장애

율은 국소 장기별로 대동소이하게 평가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산업재해에서는 흉복

부장기의 내에서 아주 작은 항목만 언급하고 있다 AMA 기준과 비교할 때 산업재

해에서 신장과 방광의 기능 장애 정도가 보다 높게 평가되어 있다 그 예로 산업재

해에서는 한쪽 신장을 잃은 사람은 8급(50) 방광 기능이 상실은 3급(장애율

100)으로 평가하고 있다 AMA 기준에서는 같은 평가 항목이라고 할 수 있는 한

쪽 신장만 기능하는 경우는 class 1(0-14) 배뇨의 반사적 활동이 없거나 자발적

인 조절이 전혀 없음은 class 3(41-70)으로 평가하고 있다 산업재해의 장애는

등급으로 제시되어 있어 장애율은 단지 추정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고 장애율이 노

동상실률이라고 할 수 있기에 장기의 전신 대비한 손상율(impairment)인 AMA 기

준과의 비교가 절대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다른 항목을 비교했을 경우도

남자의 경우 양측 고환의 소실은 산업재해에서는 7급(장애율 60)이나 AMA 기준

에서는 class 3(16-20)이다 또 다른 예로 음경의 소실은 산업재해에서는 9급

(40)이나 AMA기준에서는 class 3(20)이다 산업재해의 장애정도가 AMA 기준

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고 할 수 있다

AMA 기준상 비뇨기계 평가는 신장 기능의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크레아

티닌 청소율을 제시하여 객관화 할 수 있으나 다른 항목의 장해평가는 주관적인 증

상에 의한 기능 평가로 객관화 하기 어렵고 모호 한 점들이 존재한다 비뇨기계는

해부학적 부위별로 기능이 다르므로 각각을 평가하는 방법이 타당할 것으로 보이고

생식기계의 해부학적 구분별로 비슷한 장애 구간 (구분)과 장애율를 제시하고 있다

복잡한 다수의 구분 없이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평가 항목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

로도 예상된다

mdash mdash86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타

두 눈이 멀었을 때 1급1호 85 85

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 7급13호20(남)

35(여)40

한눈이 멀었을 때 7급1호 36 24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4급3호 35 100

한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9급9호 6 10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12급12호 29 7외모에 뚜렷한 추상(추한 모습)을 남긴 때 7급12호 15-50

〈표 16〉 특수기능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주 표의 장애상태는 아래를 기준으로 하였음

AMA 에서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는 lsquo코의 완전 폐색rsquo이 기준임

McBride 에서

장애율은 lsquo전신기능에 대한 장애비율rsquo이 기준임

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는 lsquo고환의 양쪽 소실rsquo이 기준임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는 lsquo호흡장애를 일으키는 비의 손상rsquo이 기준임

장애는 신체 기관이 본래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정신 능력에 결함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장애의 정도는 계단식 구분의 등급보다는 백분율로 표현되어야 한

다고 할 수 있다 14 분류 단계의 장애 정도의 산출은 각 등급에 따라서 보상의 편

리를 위한 행정 편의주의이라고 할 수 있다 주관적인 불편함이나 일상적인 활동

사회적인 참여 노동의 제약의 정도는 구분선이 있다기 보다는 연속선에 있는 정도

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장애 등급에 의한 판정 보다는 백분율의 장애율에 의한

판정이 장애에 대한 개념을 접근하기 위해 적합하다고 할 것이다

Ⅵ 결 론

특수 기능이 담당하는 영역은 특수 감각을 평가하는 부분으로 전문가가 아니면

진단하기 어려운 분야이다 또한 각 병원별로 진단에 따르는 장비나 기구가 구비되

어 있는 면에서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 여건에 비교적 간단한 장비나 기구를 이용

하여 장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기준을 개발하여야할 것이다

국내에는 많은 장해평가기준이 있다 국내에서 개발된 기준은 예시형 등급제도로

평가자에 따라 등급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개발된 장해평가는 보상이나

배상을 위한 평가 기준이었다 이렇게 개발된 장해평가기준은 개발자(보험회사 공

mdash mdash87

단 행정부)의 주관이 많이 개입할 수밖에 없는 태생적인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장애에 대해서 의학적인 관점에서 객관적인 기준이 개발되어야 한다 순순한 의

미의 신체장애율을 구할 수 있는 장해평가기준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의학은 과학이다 과학은 진보한다 과학을 바탕으로 한 의학도 진보하고 발전하

다 진단 기술뿐만 아니라 치료에 필요한 약물 수술기법 재활치료법 등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에 따라서 신체기관의 중요도가 달라졌다 정량적인 수

치로 인체의 기관을 나열하여 등급을 매길 수는 없다 하지만 동시대 의사나 일반

인이 느끼는 중요도는 순위를 정하거나 정량화할 수 있다 또한 시대가 변화하면서

발전하는 복지 제도에 따라 신체적인 결함에 따른 불편함의 정도가 변화할 수 있

다 그리고 사회문화적인 차이에 따라서 신체 결함에 대한 불편함은 다를 수 있다

위에서 각 장애 기준의 비교에서와 같이 장애등급이나 장애율이 서로 상이한 경

우가 많다 의학적이 관점에서 장애를 평가하는 기준을 만들고 국내 정서와 현실을

반영하는 장애정도나 장애율을 제정해야 할 것이다 AMA 기준방식의 장해평가 방

법은 과학적이며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고 의학적인 관점에서 개발된 평가기준이

다 하지만 AMA기준은 외국의 기준으로 국내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 장애에

대한 문화환경적 차이 의학적 수준의 차이로 인해 인지되는 장애의 정도는 다르다

또한 평가자가 어렵게 생각되고 모호성이 있다면 평가기준으로 합당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객관적인 의학적 지식으로 개발되었고 최근까지 개정된 기준이므

로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 현실을 반영하는 장해평가 항목과 그 장애 정도에 따

른 장애율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mdash mdash89

제 5 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I 서 론

장애는 그 특성상 주관적인 면이 강하다 이를 객관화해야만 다른 사람들의 공감

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주관과 객관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주관과

객관을 어우르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접근 방법에 의한 특정 작업 특히 일상생활을

수행함에 따른 어려움의 정도에 대한 측정과 사회나 문화가 주는 편견이나 스트레

스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한 사회의 장애에 대한 인지도가 장해평가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에 이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현재의 여건과 문화적 여건에

합당한 장해평가기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근본 목적은 장해인지도

조사를 위한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이차년도에 시행할 설문지를 만드는 것이다 이

를 위해서는 매우 다양한 장애의 종류와 정도를 비교적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

록 설문을 만들어야 한다 한편 의학적 지식이나 상식이 부족한 국민들에게 심도

있는 질문과 답변을 구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어려움과 문외한인 일반 대중의 적

극적인 답변만으로 실제 우리나라 국민들의 장애 인지도를 평가할 때에는 현실과

동떨어진 편향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신체

와 신체 여러 부위의 구조나 기능에 대한 지식이 갖추어진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해

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장해평가나 의료 감정에 관심이 있는 의사들을 대상으로

주사를 수행하고 여기에서 얻은 자료를 취합하여 이중에서 대표적인 장애를 선정하

여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 이용함이 더 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40~50문항에 해당하는 전문가용 설문을 마련하고 이를 연내에 100명 이상의 전문

의를 대상으로 하여 의견을 취합함이 더 적절하다고 본다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성

인의 평균적인 상식에 의해 쉽게 파악하고 답변할 수 있는 뚜렷하며 대표적인 장애

를 기준으로 하여 설문에 답하는 국민들이 비교적 성실하게 답할 수 있도록 쉽고

간단한 문항을 개발해야만 한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합리적인 기준으로 미국

의학협회가 2000년에 발행한 AMA Guide 5판을 선택하였다 한편 장해평가제도

나 기준에 대한 문헌 조사와 고찰을 통해 이 기준을 선택한 이론적 근거와 타당성도 충

분히 밝히고자 한다 이 기준은 가장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공인된 기준이다 또한

mdash mdash90

이 기준은 자세하고 객관적이며 구체적이어야 한다는 조건도 만족한다 다만 우

리나라 현실에도 맞고 되도록 간편해야 한다는 기준에는 맞지 않다 우리나라 현

실에 맞도록 변형을 해야 하며 방대하고 복잡한 평가 기준과 방법을 간략하게 압

축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간편하여 이용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 동안 많이 이

용해 왔던 맥브라이드나 우리나라 산재 기준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장애

를 평가할 의사들에게 익숙한 방법이 아니면 의사들에게 외면을 당할 수 있다 그

렇게 되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장해평가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1 장애계열과 계열별 중요도

〔그림 1〕 운동 및 감각 축소 모형 인간과 뇌 피질 분포

대뇌의 피질에는 운동 축소인간(motor homunculus)과 감각 축소인간이 있다 이

는 신체 각 부위를 담당하는 대뇌 피질 영역을 그림으로 표시한 것으로 감각과 운

동에 대한 생리적 중요도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왼쪽의 운동 축소

mdash mdash91

인간의 중요도는 운동 부분에 한정된 것이며 윗 그림의 왼쪽 운동 축소인간의 손

크기에 비해 오른쪽 감각 축소 인간의 손 크기는 작다 또한 감각 중에서도 시각은

감각 축소 인간에서도 제외되어 있으며 대뇌피질 중 후두엽이 통째로 시각을 맡고

있음을 고려하면 ldquo몸이 천 냥이면 눈이 구백 냥rdquo이란 속담을 어느 정도는 수긍할

수 있다 다만 시각 소실이 인체 능력 중 90를 차지한다고 평가할 수는 없으며

생리적 중요도는 환경적 요인이나 문화적 요인 등이 배제된 것이므로 장애의 중요

도를 평가할 때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 구체적인 중요도는 설문조사를 통해 구해야

할 것이다

2 설문 조사를 위한 초안

15개 장해계열 중 심혈관계 호흡기계 소화기계 비뇨생식기계 피부 조혈계 내

분비계 등은 모두 인체의 특정 부위의 기능에만 장애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전신

적인 기능 장애를 가져와서 각 계열별로 0부터 100까지 장애가 발생할 수 있

다 또한 이들 장기의 기능은 생존에 모두 필수적인 요소들로 사실상 우열을 평가

할 기준이나 근거가 거의 없고 구태여 우열을 가려야 할 필요도 크지 않다 AMA

기준에 제시된 방법과 원칙에 따라 그대로 준용해도 큰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예상

되나 우리나라 현실에서 유용한 진단 방법에 의해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방법

에 따른 평가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이비인후과계 시계(視界

visual system) 신경계 정신(행동)계 척추 상지 하지의 경우에는 한 부위의 기능

완전 소실이 사람의 기능 완전 소실이 되지는 않기 때문에 이 경우에 신체 부위의 중요

도를 설문을 통해 조사할 필요가 있다 통증의 경우에는 객관적으로 표시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 해당하여 장해평가시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것이다

3 요 약

인체 모든 장기에 각기 다른 종류의 장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장해평가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이 매우 낮아 연구자도 적고 연구할 수 있는 여건도

매우 열악하다 그 동안 이 분야에 대한 관심과 연구들은 주로 산업재해나 교통사

고와 관련하여 외상을 다루는 전문과목 전문의들에 의하여 많이 시도 되었다 실무

mdash mdash92

상에도 이들 분야의 장해평가 빈도나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활용 면에서 보면 이

분야의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적절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보험 상품의 개발로 외상성 손상만이 아니라 질환이나

암까지도 장해여부나 정도 또는 인과관계 등에 대한 검토가 많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가장 공인된 기준을 도입하여 충분히 논리적인 근거에 의해 우리나라 여건에

맡도록 다듬어서 활용하면 가장 좋은 방법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되지만 아무리

좋은 기준을 개발하더라도 그 기준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지 못하면 쓸모가 없게 된

다 이를 위해 장해평가시 합당한 대우가 주어져야 할 것이며 장해평가기준과 실습

의 기회가 적절히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국공립 의료기관 보건소 또는 산재

자문의가 되기 위해서는 장해평가에 대한 지식을 갖추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미

국 영국 캐나다 및 호주 등과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장해평가에 대한 지식과 수련

을 체계적으로 마친 사람들에 대한 전문의 또는 인정의 제도의 도입에 대해서도 장

기적으로 검토해 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mdash mdash93

Ⅱ 전문가용 설문

설문 1)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은 경우(팔은 견관절 이단 다리는 고관절 이

단을 말함) 100 장애율이라고 할 때 다음 장애는 상대적 장애율은 어느 정도에

해당된다고 생각됩니까

100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음------------------------(100)

(1) 2 팔과 1 다리 잃음--------------------------( )

(2) 1 팔과 2 다리 잃음 -------------------------( )

(3) 1 팔 1 다리 잃음 ---------------------------( )

50

(4) 두 팔만 잃음-------------------------------( )

(5) 한 팔만 잃음-------------------------------( )

0 장애 없음-------------------------------------( 0 )

(6) 잘 모르겠다 ------------------------------( )

설문 2) 두 팔을 모두 잃은 사람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은 사람의 장애정도는

(1)두 팔을 잃은 사람이 크다( )

(2)두 다리를 잃은 사람이 크다( )

(3)서로 같다( )

(4)잘 모르겠다( )

설문 3) 생활 여건의 변화에 따라 발이나 다리의 기능에 비해 팔과 손의 기능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특히 전산화의 영향으로 뇌와 손가락의 기능이 다른

mdash mdash94

장기의 기능 보다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장애인의 이

동권이 보장되지 않아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다 목숨을 잃는 장애인도 있습니다

팔과 다리의 기능을 비교하면 다음 중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1) 팔 다리 = 40 60( )

(2) 팔 다리 = 45 55( )

(3) 팔 다리 = 50 50( )

(4) 팔 다리 = 55 45( )

(5) 팔 다리 = 60 40( )

(6) 잘 모르겠다( )

설문 4) 한쪽 팔을 잃었을 때에는 다른 쪽 팔로 어느 정도의 일은 할 수 있습니다 그

러나 양쪽 팔을 잃었을 때에는 할 수 없는 일이 훨씬 더 많아집니다 한쪽 팔을 잃었을

때 노동력 상실을 10으로 할 때 양쪽 팔을 잃었을 경우의 노동력 상실은 어느 정도라

고 생각 하십니까

(1)10+10 = 20( )

(2)10+15 = 25( )

(3)10+20 = 30( )

(4)10+25 = 35( )

(5)20+20 = 40( )

(6)잘 모르겠다( )

설문 5) 한쪽 다리를 잃었을 때에는 다른 쪽 다리만으로는 보행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습니다 물론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걸을 수도 있으나 양쪽 다리를 잃었을 때에는 한

쪽 다리만 잃었을 때 보다 불편이 훨씬 더 커집니다 한쪽 다리를 잃었을 때 노동력 상

실을 10으로 할 때 양쪽 다리를 잃었을 경우의 노동력 상실은 얼마나 된다고 보십니

(1) 10+10 = 20( )

(2) 10+15 = 25( )

(3) 10+20 = 30( )

(4) 10+25 = 35( )

mdash mdash95

(5) 20+20 = 40( )

(6) 잘 모르겠다( )

설문 6) 경추나 요추 염좌가 있었던 환자한테도 후유 장해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습

니까

(1) 있다( )

(2) 없다( )

(3)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 )(설문 7로 간다)

(4) 잘 모르겠다( )

설문 7) 설문 6에서 3번을 택하셨다면 어떤 경우에 장해가 있다고 평가하고 장애율

은 어느 정도가 적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후유장해라고 평가할 수 있는 조건은 답 ( )

(2) 장애율 답 ( )

설문 8) 관절 강직은 인공 관절을 이용하여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교정 할 수 있게 되

었습니다 그러나 인공 관절이 모두 성공하는 것은 아니며 영구적이지도 않습니다 관

절 완전 강직을 100으로 볼 때 인공 관절을 이용하는 경우 장해평가에서 어느 정도로

평가 하시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결과가 좋으면 75 결과가 나쁘면 100( )

(2) 결과가 좋으면 50 결과가 나쁘면 75( )

(3) 결과가 좋으면 25 결과가 나쁘면 50( )

(4) 결과가 좋으면 0 결과가 나쁘면 100( )

(5) 기타 결과가 좋으면 ( ) 결과가 나쁘면 ( )

(6) 잘 모르겠다( )

설문 9) 강직성 척추염처럼 모든 척추분절이 고정된 경우 아래 항목 중에서 어느 항

목과 비슷한 정도의 장해로 평가할 수 있습니까

(1) 완전한 시력의 소실( )

(2) 완전한 청력의 소실( )

mdash mdash96

(3) 양쪽 하지의 완전마비( )

(4) 양쪽 상지의 완전마비( )

(5) 성기의 소실로 인한 성기능의 소실( )

(6) 잘 모르겠다( )

설문 10) 다음 각 항목에서 둘 중 하나의 장애를 택해야 한다면 더 낫다고 생각

되는 장애에 표시하고 그 비율을 표시하세요 (나은 쪽의 숫자가 작도록 하여 비율

은 그 합이 10이 되도록 하세요)

예 한 팔 잃음 ( V )- 두 다리 잃음 ( ) = 3 7

(1) 1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 ( ) ( )

(2) 1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 ( ) ( )

(3) 2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 ( ) ( )

(4) 2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 ( ) ( )

설문 11) 상지에서 동일 부위의 장애 중 절단을 100라 했을 때 강직 마비의

상대적 장애는 어느 정도로 생각하십니까 기능이 없는

(1) 어깨 관절 절단 - 어깨 강직 - 견관절 이하 마비

( ) - ( ) - ( )

(2) 팔꿈치 관절 절단 - 팔꿈치 관절 강직 - 주관절 이하 마비

( ) - ( ) - ( )

(3) 손목 관절 절단 - 손목 관절 강직 - 손목관절 이하 마비

( ) - ( ) - ( )

(4) 전체 손가락 절단 - 전체 손가락 강직 - 전체 손가락 마비

( ) - ( ) - ( )

설문 12)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설문입니다 제 1지 절단(중수지

관절 절단)을 100 이라 설정했을 때 다른 손가락의 학습된 시각이 아닌 한국인의

일상생활을 감안하여 상대적 중요성을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1) 제 2지 절단 --- ( )

mdash mdash97

(2) 제 3지 절단 --- ( )

(3) 제 4지 절단 --- ( )

(4) 제 5지 절단 --- ( )

설문 13) 현재 사지에 대한 장해의 판정은 해당되는 부분의 전체 기능상실이 정

해져 있으며 병합 합산한 기능장해가 그 범위를 넘을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습니

다 예를 들어 비정상적인 위치에서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 및 족부가 강직되어 있

더라도 고관절 이단에 해당되는 40가 최대치로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병합합산

의 한계치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기능적인 장해가 절단을 초과할 수는 없다( )

(2) 기능적인 장해가 절단을 초과할 수 있다( )

2를 선택하신 경우 그 최대치가 너무 높은 경우를 만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1) 병합 합산한 그대로 인정되어야 한다

(2) 기능적인 평가의 한계치를 따로 설정해야한다

2를 선택하신 경우 그 최대치의 한계를 설정한다면

(1) 절단 최대치의 110( )

(2) 절단 최대치의 120( )

(3) 절단 최대치의 150( )

(4) 절단 최대치의 ( )

설문 14) 장해의 판정은 치료가 종결되고 증상이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합니

다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치료의 종결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예

를 들어 골이식술 및 수차례의 수술적 요법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경골 불유합의

경우) 장해판정의 적절한 시기는 언제로 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1) 치료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시간에 관계없다( )

(2) 치료가 가능하더라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의 상태에는 판정하는 것이 옳

다( )

(3) 치료 횟수나 기간에 상관없이 환자가 원하는 경우에 판정한다( )

(4) 몇 차례의 치료와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가능하다( )

mdash mdash98

상기문항 중 2나 4를 선택하신 경우 치료의 횟수나 기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됩니까

(1) 1회의 치료 1년 이상( )

(2) 2회의 치료 2년 이상( )

(3) 3회 이상의 치료 3년 이상( )

(4) ( )회 이상의 치료 ( )년 이상

설문 15) 장해의 판정은 치료가 종결되고 증상이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합니

다 말초신경손상 중 총비골신경손상의 경우 족하수가 발생하며 이 경우에는 최소

15 최대 19의 신체능력상실율이 있습니다 그러나 하지의 관절 중 족관절의

경우 적절한 범위에서 강직된 경우 전신체에 대하여 4의 신체능력상실이 있으며

최대치는 25로 기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치료의 종결시점을 어느 때로 보

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신경에 대한 치료가 종결되고 족하수 증상이 고정된 시점( )

(2)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족관절 고정술을 시행한 시점( )

(3) (1)(2) 모두 가능하다( )

설문 16) 장애판정은 현재의 상태뿐 아니라 보상적인 측면도 생각하는 경우가 있

습니다 복합 장애 판정의 경우 산술적으로 계산하다보면 범위로 판정하게 되는 경

우가 생기는데 이 경우 적절한 판정의 선택은 어떻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십니까

(1) 상위의 범위를 선택한다( )그 이유( )

(2) 평균적인 중간을 선택한다( )

(3) 하위의 범위를 선택한다( )그 이유( )

(4) 범위를 모두 기술한다( )

설문 17) 인공관절 치환술에 대한 장해판정의 경우 재치환술 여부에 상관없이 일

률적인 판정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재치환술의 경우 그 예후나 경과가 최초와

다른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장해의 판정에 대한 견해는 어떻습니까

(1) 기능적 평가보다는 관절운동범위로 판정하는 것이 옳다( )

(2) 현재의 기준대로 기능적 평가만을 시행하는 것이 옳다( )

(3) 재치환술의 경우 일정비율로 가중치를 산정하는 것이 옳다( )

(4) 현재의 기능적 평가에 추가로 나타나는 증상을 병합 합산하는 것이 옳다( )

mdash mdash99

설문 18) 슬관절 인대손상 중 십자인대 손상의 경우 현재는 이완정도와 관절운동

범위로 판정하도록 되어 있는데 현대의학적인 견지에서 인대재건술을 시행한 경우

이 항목에 대한 판정의 적절성은 어떠합니까

(1) 현재의 기준이 타당하다( )

(2) 인대재건술의 경우 인공관절 항목처럼 기능적 평가가 적용되어야 한다( )

(3) 다른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 )

설문 19) 장해를 판정하는 경우 객관성과 재현성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예를 들

어 근력손상의 정도나 보행이상을 판정하는 경우 주관적 증상이 판정의 인자로 작

용하여 범위를 선택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 장해를 판정하는 입장에

서 수용할 수 있는 오차의 범위는 최종적으로 어느 정도로 보십니까

(1) 오차 없이 완벽한 재현성이 있어야한다( )

(2) 3이내는 수용 가능하다( )

(3) 5이내는 수용 가능하다( )

(4) ( )이내는 수용 가능하다( )

설문 20) 44세 남자(기계공)가 연하곤란(음식물 삼키는 것이 힘듦) 증상을 호소

하여 진찰결과 이상소견을 발견 못하였고 위내시경과 위투시검사에서 위하수 진단

을 받았습니다 상기 환자는 현재 증상은 없습니다 이런 경우 장애율의 판정시 몇

에 해당될까요 (참고 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

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

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설문 21) 40세 여성(바텐더)이 3년동안 10여회의 간헐적 심와부 통증(주로 식사

후 발생)을 호소합니다 상기인은 2년전 담낭절제술을 시행받았고 이학적 검사상

특이소견이 없고 혈액검사상 아밀라제(췌장효소)가 상승되어 재발성 급성췌장염의

진단을 받았습니다 상기환자에게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

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5 다 10 라 15 마 기타 ( )

mdash mdash100

설문 22) 40세 남자로 10년간 간헐적인 궤양증상이 있었으며 3차례 수혈이 요구

되는 출혈이 있었습니다 또한 한차례 소장폐색증상으로 입원치료 받은 병력이 있

습니다 상기인은 수술적 치료를 거부하고 있으며 이 경우 지속적인 내과적 약물치

료가 요구됩니다 178cm크기로 59Kg이며 이상 체중보다 7 부족한 상태입니다

또한 상부소화관 투시검사상 상당한 십이지장궤양소견(변형)이 발견되어 재발성 활

동성 십이지장궤양으로 진단되었습니다 상기환자에게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

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설문 23) 38세의 남자로 지속적인 설사가 있으며 3년전 크론씨병으로 소장(회

장)부분 절제및 문합수술을 받았습니다 수술 후에도 재발되어 설사와 복통이 반복

되는 상태입니다 소장투시검사 결과 부분적으로 소장의 폐쇄가 있어 재발된 크론

씨병으로 진단되었으나 내과적 치료로 완치가 힘들고 무한정 수술을 받을 수 없는

상태입니다 상기환자의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

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

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20 나 40 다 60 라 80 마기타 ( )

설문 24) 여러 가지 원인으로(질병 사고등) 소장의 대량절제술후 서로 문합하면

소장이 거의 남지 않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소장이 없으면 음식물을 섭취해도 흡수

가 되지 않아 영양결핍상태가 되므로 경구영양공급만으로 부족하여 혈관내로 영양

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합니다 즉 환자는 평생 정맥주사를 통한 영양공급을 받

아야하는데 이 경우 장애율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

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10 나 20 다 30 라 40 마기타 ( )

mdash mdash101

설문 25) 45세 남자로 항문주위 농양이 있어 5년전 수술을 시행받았고 이후 재

발되어 1년전 치루절개술을 시행받았습니다 현재는 항문주위 감염소견이 없고 항

문괄약근 기능도 정상입니다 직장경검사상 항문주변을 수술한 흔적이 있는 것 외

에는 정상입니다 상기환자의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

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5 다 10 라 15 마 기타 ( )

설문 26) 56세 남자로 항문주위 농양이 있으며 3년동안 수차례 재발되었다 이

학적 검사결과 치루 외공이 4개가 각각 항문주위에서 발견되었고 2차례 수술적 치

료를 시행한 병력이 있었습니다 현재 항문괄약근 조절기능이 소실되어 배변실금현

상이 있어 속내의에 변이 뭍습니다 따라서 반복된 치루수술로 항문괄약근 기능이

상실된 배변실금으로 진단받았습니다

상기환자의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10 나 20 다 30 라 40 마 기타 ( )

설문 27) 장루환자는 장루로 인하여 개인적 활동 가정생활및 사회생활 그리고

직업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목욕 수영 성행위 등 개인생활 뿐만아니라 사

회생활이나 직장생활 등에서 냄새가 나고 장루백을 수시로 갈아야하는 불편함이 있

습니다 육체적 노동자라면 무거운 것을 드는 행위는 장루주위 탈장을 유발하므로

작업환경을 바꾸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장기간 여행시 장루주위를 위생적으로 처

리할 물품의 준비 등이 요구됩니다 이런 장루환자의 장애률은 다음준 어느 것과

동일한 장애정도로 생각됩니까

가 한 쪽 청력의 마비

나 양 쪽 청력의 마비

다 한 쪽 시력의 마비

mdash mdash102

라 양 쪽 시력의 마비

마 한 쪽 상지의 마비

바 양 쪽 상지의 마비

설문 28) 35세 남자로 황달 복수 식도 정맥류 출혈이 없고 영양결핍도 없으나

간기능 검사상 AST가 70UL으로 상승되어 있고 황달수치인 총 빌리루빈이

21mgdl로 상승되었습니다 또한 B형간염항원이 양성으로 판정되어 만성 B형간염

으로 진단되었습니다 상기 환자의 장애율 판정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

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설문 29) 55세 여자환자로 5년간 담낭염을 앓았습니다만 종교적 이유로 치료를

거부합니다 상기 환자는 우상복부 통증과 오심 구토 발열 황달 짙은 소변 색깔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있으며 혈액검사상 황달수치가 상승되고 간기능이 악화된 소

견을 보이며 간생검소견상 심한 간경화 소견을 보입니다 따라서 진단은 폐쇄성 황

달을 동반한 간경화입니다 상기환자의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

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20 나 40 다 60 라 80 마 기타 ( )

설문 30) 50세 남자로 우측 사타구니의 반복적 돌출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지

않았습니다 상기 탈장은 복압의 상승시 쉽게 튀어나오지만 자세를 누우면 통증없

이 다시 복강내로 들어갑니다 진단은 복구가능한 우측 서혜부 탈장입니다 (참고

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

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mdash mdash103

장 애 구 분 1급 2급 3급 4급 5급

심혈관계

(심장판막 관상동맥

심근병증 선천성 심

막성 부정맥 고혈압

심혈관 대동맥 및 심

장) 질환

0~( ) ~( ) ~( ) ~100 -

말초혈관계

팔 및 다리

0~9 10~39 40~69 70~89 90~100

팔 60

다리 40

호흡계

폐동맥 고혈압

천식 및 COPD

0~( )

0~( )

~( )

~( )

~( )

~( )

~100

~100

-

-

소화계

상부소화관결장직장 0~( ) ~( ) ~( ) ~75 -

항문질환 0~( ) ~( ) ~( ) - -

간 및 담도 질환 0~( ) ~( ) ~( ) ~95 -

헤르니아 0~( ) ~( ) ~( ) - -

혈액 조혈계

빈혈

백혈구혈소판출혈병

0~( )

0~( )

~( )

~( )

~( )

~( )

~100

~100

-

전문가용 설문 31) 다음의 표는 각 질환에 의한 장애로 인한 전신 장애율을 표시

한 것 입니다 3급 이상인 경우가 중증 장애에 해당하는 경우 입니다 ( )의 전신

장애율 를 적어보시오 lsquoAMA 가이드rsquo는 한 팔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이고 이에 해당하는 전신 장해는 60 한 다리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이고 전신 장해 40에 해당 합니다(참고사항 lsquoAMA 가

이드rsquo의 장애율 판정시 양측 청력의 와전 소실은 전신 장애율 35 양측 시력 상실은

85 일측 시력 상실은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

니다)

mdash mdash104

내분비계

시상하부뇌하수체축

갑상선 질환

부갑상선 항진증

부갑상선 저하증

부신피질 항진증

부신피질 저하증

당뇨질환

저혈당증

0~( )

0~( )

0~( )

0~( )

0~( )

0~( )

0~( )

0~( )

~( )

~25

~( )

~20

~39

~29

~( )

~50

~50

-

~90

-

-

~90

~( )

-

-

-

-

-

-

-

~40

-

-

-

-

-

-

-

-

-

외과적 처치

식도 및 위 조루술

공장 및 회장 조루술

회장 항문 연결술

결장 조루술

( )~15

( )~20

( )~20

( )~10

-

-

-

-

-

-

-

-

-

-

-

-

-

-

-

-

설문 32) AMA 기준에 따르면 정신(행동)장애에 대해서는 장애의 내용과 정도를 구

체적인 서술로 적고 구태여 백분율로 표현된 장애율을 구하지 않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다음 중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1) 가볍다(13) 보통이다(23) 심하다(33) 등 세 단계 정도로 구분한다

(2) 가벼움(14) 보통(24) 심함(34) 매우 심함(44) 4단계로 구분한다

(3) 5단계 이상으로 구분하여 등급을 제시한다

(4) 백분율을 정하고 백분율로 표현한다

(5) 장애내용을 자세히 기록하고 백분율은 구하지 않는다

설문 33) 중추신경계 기질성 장애의 장애율을 구할 때 이론상 기질성 장애는 0부

터 100까지 가능하지만 실제로 구체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특징적 소견이 한정되어

가벼움 보통임 심함 매우 심함 등의 4 단계로 구분하였을 때 그 장애율을 어떻게 정

하는 게 좋겠습니까

(1) 25 50 75 100 등 고정 값이 좋다

(2) 25 50 75 100로 정하고 5 가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mdash mdash105

(3) 20 45 70 95로 정하고 5 가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4) 15 40 65 90로 정하고 10 가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5) 0~25 25~50 50~75 75~100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한다

설문 34) 두 귀 중에서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이 완전한 청력이 상실된 경우입

니다 산재 기준의 장애등급은 9급(장애율로 환산하면 40)이고 AMA기준으로 평

가하면 장애율은 6입니다 어느 기준이 더 합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산재 기준이 합당하다( )

(2) AMA기준이 합당하다( )

(3) 두 기준 모두 합당하지 않다( )

위 문항에서 3) 두 기준 모두 합당하지 않다고 답하신 경우만 해당합니다 두 귀

중에서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이 완전한 청력이 상실된 경우에 어느 정도의 장애

율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0( ) (2) 5( ) (3) 10( ) (4) 20( )

(5) 30( ) (6) 기타 ( )

설문 35) 양쪽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경우 AMA기준에서 장애율은 35입니

다 같은 경우에 산재 기준은 4급(장애율로는 90)입니다 어느 정도의 장애율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25( ) (2) 35( ) (3) 50( ) (4) 65

(5) 기타 ( )

설문 36) AMA기준에서 청력장애의 평가 공식은 (5밝은 귀의 청각 장애율 +

어두운 귀의 장애율)6입니다 이 공식으로 평가하면 청력 장애의 장애율은 0에서

35(양쪽 귀의 청력을 완전히 소실된 경우)입니다 밝은 귀의 청력에 더 비중을 두

어 평가하여 장애율을 구하는 방식은 합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AMA기준은 합당하다( )

(2) 밝은 귀와 어두운 귀의 비중을 같이 두어야 한다( )

mdash mdash106

(3) 밝은 귀의 장애에 AMA기준보다 더 비중을 두어야 한다(가산숫자인 5보다

커야 한다)( )

(4) 밝은 귀의 장애에 비중을 두어야 하지만 AMA기준보다 적게 비중을 두어야

한다(가산숫자인 5보다 작아야 한다)( )

(5) 잘 모르겠다( )

설문 37) AMA기준(5판)에서 눈의 기능적 평가는 시력검사와 시야검사로 평가합니

다 시력점수(Visual Acuity Score VAS)를 각각 눈에 대해서 평가하여 제시된 점수를

이용하여 주어진 공식인 (VAS두 눈3 + VAS오른쪽 눈1 + VAS왼쪽 눈1)5로 시력기능점

수(Functional Visual Score FVS)를 구합니다 두 눈에 의한 시력에 더 비중을 두는

공식입니다 시력기능점수를 환산하는 공식이 합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이전 판(4판)까지는 (3보다 좋은 눈 + 1보다 나쁜 눈)4로 기능점수를 환산하였

습니다)

(1) 합당하다( )

(2) 합당하지 않다( )

(3) 잘 모르겠다( )

설문 38) 벨마비(Bells palsy)로 인해 얼굴 한 쪽의 완전한 운동마비가 있다 이

경우에 적합한 장애율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AMA기준은 약 15 정도의 장애율입니다)

(1) 10( ) (2) 15( ) (3) 20( ) (4) 25( )

(5) 30( )

설문 39) 비뇨기계 (신장 요관 방광 및 요도)의 장애에 의한 일상생활 능력의 제약

은 다음 어느 신체기관의 장애에 의한 제약의 정도와 같다고 생각하십니까

(1) 한쪽 시력의 장애( ) (2) 양쪽 시력의 장애( )

(3) 한쪽 청력의 장애( ) (4) 양쪽 청력의 장애( )

(5) 한쪽 하지의 장애( ) (6) 양쪽 하지의 장애( )

(7) 한쪽 상지의 장애 (오른쪽)( ) (8) 한쪽 상지의 장애 (오른쪽)( )

(9) 양쪽 하지의 장애( )

mdash mdash107

설문 40) 설문 6)의 9개의 항목에서 장애율이 크다고 생각하는 순서대로 나열해 보

세요 (장애율이 높은 항목에서 작은 항목 순으로)

( )

설문 41) 만성 방광염으로 빈뇨가 있는 경우 장애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까

(1) 있다( ) (2) 없다( )

(3) 빈뇨의 정도에 따라서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 )

만일 3으로 답하였다면 어느 정도의 빈뇨가 있으면 장애가 있다고 평가하고 장애율

은 어느 정도가 적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빈뇨의 정도 답 ( )시간마다

(2) 장애율은 답 ( )

설문 42) 폐경기 이전의 여성에서 다음의 항목 중에서 장애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

세요 (장애율이 높은 항목에서 작은 항목 순으로)

(1) 자궁이 없다( )

(2) 양쪽의 난소와 자궁관이 없다( )

(3) 질의 기형으로 성행위가 불가능하다( )

(4) 위 3가지 항목 모두 같은 정도의 장애이다( )

설문 43) 비뇨기계의 장해평가를 신장 및 요관 방광 요도의 세 가지로 분류하는 것

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 합리적이다( )

(2) 불합리하다 (비뇨기계 하나로 평가하도록 해야 한다)( )

(3) 불합리하다 (신장 및 요관 방광 및 요도의 두 가지로 분류해야 한다)( )

(4) 기타 ( )

mdash mdash108

Ⅲ 일반인용 설문

설문 1) 양쪽 팔과 양쪽 다리를 모두 잃은 경우(팔은 어깨에서 다리는 엉덩이에

서 잘려나감) 100 장애율이라고 할 때 다음 장애는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의 장애

로 봐야 하나

100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음------------------------(100)

(1) 2 팔과 1 다리 잃음---------------------( )

(2) 1 팔과 양쪽 다리 잃음 -------------( )

(3) 1 팔 1 다리 잃음 -------------( )

50

(4) 양쪽 팔만 잃음---------------------( )

(5) 한 팔만 잃음----------------------( )

0 장애 없음---------------------------------( 0 )

[목적] 상지와 하지의 비중을 알고자 함

[배경] 현재 산재에서는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과 두 다리를 무

릎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이 모두 장애율 100로 5050이지만 AMA기준에 따르

면 상지하지가 6040으로 상지의 비중이 큼 장애인 이동권이 보장된 경우라면 상

지의 비중이 크지만 이동권이 심하게 제한될 경우에는 하지의 비중이 더 클 수 있음

설문 2) 다음 각 항목에서 장애가 덜 심하다고 생각되는 장애에 표시하고 그 비

율을 표시하세요 (나은 쪽의 숫자가 작도록 하여 비율은 그 합이 10이 되도록 하

세요)

예 한 팔 잃음 ( V )- 두 다리 잃음

mdash mdash109

(1) 1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2) 1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3) 2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4) 2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설문 3)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설문입니다 첫 번째 손가락을 잃

었을 때를 100 장애라고 하면 다른 손가락을 잃었을 때는 몇 로 봐야 합니까

1) 제 2지 절단 --- ( )

2) 제 3지 절단 --- ( )

3) 제 4지 절단 --- ( )

4) 제 5지 절단 --- ( )

[목적] 상지와 하지의 비중과 함께 동반 손상시의 비중 변화를 알고자 함

[배경] 상지와 하지에 대한 비중을 파악한 후 일측 또는 양측 손상시 느끼는 비

중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하지와 상지의 비중을 감안하여 판단하도록 한다 현

재는 맥브라이드에서 상지 장해평가에서만 열성 상지에 대한 장애율 감소(90)를

적용하고 있으며 AMA와 국내법에서는 이에 대한 가감 없음

설문 4) 상지에서 동일 부위의 장애 중 절단을 100라 했을 때 강직 마비의

상대적 장애는 어느 정도로 생각하십니까 기능이 없는

(1) 어깨 관절 절단 - 어깨 강직 - 견관절 이하 마비

( ) - ( ) - ( )

(2) 팔꿈치 관절 절단 - 팔꿈치 관절 강직 - 주관절 이하 마비

( ) - ( ) - ( )

(3) 손목 관절 절단 - 손목 관절 강직 - 손목관절 이하 마비

( ) - ( ) - ( )

(4) 전체 손가락 절단 - 전체 손가락 강직 - 전체 손가락 마비

( ) - ( ) - ( )

[목적] 장애의 종류에 대한 비중을 설정하고자 함

mdash mdash110

[배경] 절단과 기능 전폐가 기능만으로 보면 거의 차이가 없고 국내법의 경우

대부분 동일한 장애등급으로 평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비중 재조정이 필요할 것임

설문 5)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설문입니다 제 1지 절단(중수지

관절 절단)을 100 이라 설정했을 때 다른 손가락의 학습된 시각이 아닌 한국인의

일상 생활을 감안하여 상대적 중요성을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1) 제 2지 절단 --- ( )

2) 제 3지 절단 --- ( )

3) 제 4지 절단 --- ( )

4) 제 5지 절단 --- ( )

[목적] 수지의 기능 소실에 대한 비중 평가

[배경] 일반적으로 제 1지의 기능을 50라고 하지만 AMA에서는 1지-40 2 3

지-각 20 4 5지-각 10의 장해율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한국인의 평가를

위함

설문 6) 다음의 질환에 의한 장애들을 문항과 같은 관점에서 불편이 심한 순서대

로 적어보시오

심혈관계 질환 - 1) 고혈압 및 심장 질환 2) 상하지의 말초혈관질환

호흡기계 질환 - 3) 천식 및 폐기능 질환 4) 폐암

소화기계 질환 - 5) 소화 장기(위 장 질환) 6) 간담도 및 췌장 효소 질환

조혈계 질환 - 7) 빈혈 및 혈소판 질환 8) 백혈병 등의 혈액암

내분비계 질환 - 9) 당뇨 질환 10) 감상선 호르몬 및 대사 조절계 질환

6-1) 일반인의 일상적 가정 생활상에 우선적으로 불편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질

환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mdash mdash111

6-2) 일반적인 직장인의 직장 생활상에 우선적으로 불편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질환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6-3) 경미한 질환이나 장애로도 직장 생활을 하기 어려울 상태가 잘 생길 것으로

예상되는 질환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6-4) 일반적인 사회 생활상에 상당한 어려움과 고통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질환

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설문 7) 두 눈 중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은 완전한 시력 상실인 경우와 두 귀

중에서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은 완전한 청력을 상실한 경우 어느 쪽이 더 장애

가 높다고 생각하십니까

(1) 한쪽의 눈의 시력이 상실한 경우가 높다( )

(2) 한쪽의 귀의 청력이 상실한 경우가 높다( )

(3) 서로 장애율은 같다( )

(4) 잘 모르겠다( )

설문 8) 52세 남자로 여러 차례 성대(聲帶)에 낭종(물혹)으로 낭종을 절개한 병력이

있다 쉰 목소리를 가지고 소리를 지르면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도 있으며 쉽게 목이

잠겨 목소리가 잘 나지 않는다고 한다 검사소견에서 좌측 성대에 수술로 인한 흉터가

보이고 후두염이 관찰된다 이러한 경우의 장애 정도는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미국의학협회의 기준에 의하면 장애율은 20 정도입니다)

(1) 10( ) (2) 20( ) (3) 25( ) (4) 30( )

(5) 40( ) (6) 잘 모르겠다( )

mdash mdash112

설문 9) 50세 여자로 미로염(속귀의 구조물로 소리를 뇌로 전달하는 세반고리관에

발생하는 염증)으로 인해 어지러움증을 가지고 있다 증상의 조절을 위해 약물투여를

해야 하며 밤에서 혼자서 다니기가 어렵다고 한다 청력은 정상이다 이 경우는 아래의

보기의 장애와 가장 비슷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한쪽 귀의 완전한 청력 소실( )

(2) 한쪽 눈의 완전한 시력 소실( )

(3) 우측 엄지손가락의 절단( )

(4) 우측의 새끼손가락의 절단( )

(5) 얼굴 한 쪽의 운동 마비( )

(6) 잘 모르겠다( )

설문 10) 25세 남자가 목 팔과 다리의 피부에 아토피 피부염이 있다 가려움증

으로 수면에 불편함이 있는 경우가 있고 가끔씩 연고를 바르고 항히스타민과 스테

로이드 등의 약물을 투약해야만 한다 이 경우 장애의 정도는 어느 정도라고 생각

하십니까

(1) 0( ) (2) 5( ) (3) 10( ) (4) 15( )

(5) 20( ) (6) 잘 모르겠다( )

설문 11) 교통사고 인해 좌측 코가 함몰되어 있고 근처에 약 4cm의 흉터가 있습

니다 미국의학협회의 기준에 의하면 장애의 정도는 15입니다 이러한 경우에 남

자와 여자의 장애 정도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 남자나 여자의 장애 정도는 같다( )

(2) 여자가 남자보다 약 5 정도 장애가 높다( )

(3) 여자가 남자보다 약 10 정도 장애가 높다( )

(4) 여자가 남자보다 약 15 정도 장애가 높다( )

(5) 잘 모르겠다( )

설문 12) 신장기능의 완전한 소실(예를 들면 일주일에 3회의 혈액 투석을 요하는 만성

신부전)의 경우입니다 이 경우는 아래의 보기의 장애와 가장 비슷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양쪽 눈의 완전한 시력 소실( )

mdash mdash113

(2) 양쪽 귀의 완전한 청력 소실( )

(3) 양쪽 하지의 완전 마비( )

(4) 양쪽 상지의 완전 마비( )

(5) 한쪽 눈의 시력 상실( )

설문 13) 설문 12의 5개의 항목에서 장애율이 크다고 생각하는 순서대로 나열해 보

세요 (장애율이 높은 항목에서 작은 항목 순으로)

( )

mdash mdash115

부 록

1 시각장해평가기준 2 이비인후과 장해평가기준3 맥브라이드 장해평가기준4 생명middot손해보험 장해분류표 개정내용5 대한신경외과학회 제안 장해평가기준

mdash mdash117

1 시각장해평가기준8)

용어(Terminology)

눈의 기능 시각(Vision)

1 시력 (Visual Acuity)

2 시야 (Visual Field)

3 색각 (Color Vision)

4 입체시(Stereoacuity)

5 대비감도(Contrast Sensitivity)

용어(Terminology)

시각장애(장해) Vision impairment

실명 맹 Blind ICD lt360

저시력 Low vision

시력(Visual AcuityVA) lt618

시야(Visual FieldVF) lt10deg

광각(+)이상의 시력을 가지며 이 시력을 사용할 수 있음

시각을 연습과 훈련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시력의 변화-)

약시 Amblyopia

시각장애의 일련 결과

시력 lt 612 (critical level to cause functional limitation)

1 Risk of falls doubles

2 Difficulties with daily living increase x2

3 Ease of social functioning reduced by half

4 Use of community services increase 12 with each line of vision lost

8)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안과학교실 교수 박성희

mdash mdash118

저시력의 영향

1 Work education amp leisure

2 Social isolation ndashfriends family amp religious activities

3 Emotional ndash depression

4 Sonsumer activities- shopping banking

5 Activities of daily living ndash personal amp household

시각장애에 의한 신체장해평가기준

lt국 외gt

1 McBrides Disability Evaluation and Principles of Treatment of

Compensable Injuries 6th Ed 1963

2 AMAs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4th Ed 3rd

printing 1995 (1st Ed 1971) 5th Ed 2001

lt국 내gt

3 새로운 신체장해평가법 ltAMA 장해평가지침gt 임광세편저 1995 (AMAs

3rd Ed 1990 revised)

4 보건복지부 장애등급판정기준 2003

국가배상법시행령 1998

산업재해보상보호법 2000

(근로복지공단 장해등급판정기준해설 1999)

근로기준법 1998

5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1999

산업재해보상보호법 - 국가배상법시행령(별표2)

mdash mdash119

신체장해의 등급과 노동력상실률표[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9)

계열번호(장해내용) 장해등급범위 없는 등급

1(시력장해) 1~13 11 12 14

9) lt의료분야 중간보고서 2005 08 17gt p8

mdash mdash120

2(안구운동장해) 11 12 13 14

3(눈조절기능장해) 11 12 13 14

4(시야장해) 9~13 10 11 12 14

5(눈꺼풀) 9~14 10

산재보험법 맥브라이드(amp AMA 4th ed 1995) AMA(5th ed 2001)

1(시력장해) 시력장해 시력장해

2(안구운동장해)

3(눈조절기능장해) 안구운동장해

4(시야장해) 시야장해 시야장해

5(눈꺼풀장해)

산재보험법의 문제점 장해등급이 연속적이지 못하고 단절과 비약이 심함

1 시력에 의한 등급판정이 대부분을 차지하나 이는 상당히 주관적임

특히 01이하의 시력을 측정하고 객관화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안전수동안전수지 등과 같은 시력평가는 어떻게

2 안구운동장해에서도 좀 더 세분화된 판정기준이 필요함

즉 복시의 범위와 부위 등에 대한 평가가 있어야 함

3 조절기능장해에서 홍채이상(손상 무홍채증 긴장성동공 등)

나이(노시안)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함

4 시야장해를 단순히 반맹협착 등으로만 판정하기에는 부족하며

결손범위를 산정하는 것이 필요함

단안시야결손의 등급이 너무 저평가되어 있음

5 눈꺼풀장해 ldquo현저한rdquo 과 같이 너무 모호한 판정 기준임

6 손상(외안부 각공막열상 망막손상 등)

인공수정체삽입술 등 수술 후 상태에 대한 평가도 있어야 함

mdash mdash121

맥브라이드(amp AMA 4th ed 1995)기준의 문제점

1 직업계수(안과는 없음)

2 시력 시야 안구운동 등 모든 검사가 환자의 말에 의해 결정됨

3 시야 안구운동검사 자동시야계만 있는 병원서는 기준이 모호함

4 사고 후 굴절부등(부등시)이 생겼지만 교정시력이 정상일 때

맥브라이드 amp AMA 4th ed (1995) 장해평가법

1 각 눈의 시각요소를 측정 후 소실율로 환산

1) 시력(VACV)

교정시력(원근거리) Table 23

2) 시야(VF) Fig 1 Table 145

3) 안구운동(OM) Fig 3

- 시각장애판정은 일차요소인 세 요소에 의해 결정함

- 여기에 반영되지 않은 안과장애는 정확히 검사한 의사의 판단으로 세 요소에

의해 이미 계산된 해당 눈의 시각장애에 5~10 정도를 combined 할 수 있음

- Ocular function에 영향을 주지 않는 orbit deformity scarring 등 cosmetic

defect도 전신 노동력상실율에 10까지 병합할 수 있음 단 성형외과장애와

중복시키지 않음

2 단안 시각장애율

1) 한 눈의 2 시각요소(CV amp VF)의 소실율을 병합함

2) 한 눈의 시각소실율 계산 (p478-479 Combined Table을 이용)

- 다른 계산법

우안 시효율 044 x 068 x 075 = 22 rarr 시각소실율은 78

좌안 시효율 054 x 068 = 37 rarr 시각소실율은 63

- 다른 계산법

우안 시효율 044 x 068 x 075 = 22 rarr 시각 소실율은 78

좌안 시효율 054 x 068 = rarr 시각 소실율은 63

mdash mdash122

3 양안시각장애율을 계산 (Table 7)

우안 78 좌안 63 rarr 67가 됨

- 다른 계산법

3 x better eye value + worse eye value

4 양안 시각장애율을 전신 노동력상실율로 전환 (Table 6)

AMA(5th ed 2001) 기준의 문제점

1 국내 안과의사에게 아직까지 인지도가 없다

2 계산 과정이 매우 매우 복잡하다

AMAs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 2001

- 저시력에 관련된 국제전문가들이 관여함

- 이전의 1925년 Snell의 lsquoVisual Efficiencyrsquo 개념이 없어지고 lsquoFunctional Vision

Score(FVS)rsquo로 대치됨

시력은 Visual Acuity Score인 (FAS)로 바뀜

예) VA 20200 -gt VA loss in VE 80

VA Impairment rating(ability loss) 50 (Table 12-2)

시야는 새로운 Visual Field Score인 (FFS)로 재계산됨

FVS = (FAS x FFS)100

- 복시와 무수정체안에 대한 항목이 없어짐 근거리시력은 선택사항임

- 시력 시야에 대한 시각장애(Visual impairment ratings)는 새로운 공식을 적용

(3 x OU + OD + OS)5 (이전 3 x better eye + 1 x lesser eye)4

- Visual system의 Impairment rating은 100-the FVS임

mdash mdash123

시각계통의 장해율 계산과정(flow chart)

시력검사(시력표)

mdash mdash124

시력장애

시력장애율의 계산

mdash mdash125

시력장애의 분류

시야장애의 검사- Goldmann주변시야계

자동시야계-Humphrey autofield analyzer

mdash mdash126

- 총 10개의 경선

25deg 65deg 115deg 155deg

195deg 225deg 155deg 285deg 315deg 345deg

중심 10deg내에서는 5점(2deg간격) 10deg밖에서는 10deg간격

정상시야에서 한 눈 당 총 100곳을 검사하게 됨

정상시야

mdash mdash127

Overlay Grid에 의한 정상시야

시야장애

mdash mdash128

시야 장애율 계산

시야장애의 분류

시야반경거리를 시야점수로 전환

mdash mdash129

중심 암점의 보정

시각장애과 전신장애의 분류

mdash mdash130

글씨크기와 시표거리에 따른 근거리시력과 장애율계산

mdash mdash131

2 이비인후과 영역의 장해평가기준10)

I 이비인후과 영역의 장애판정

1 이과분야

- 난청

- 안면신경마비

- 어지러움(현훈)

2 비과분야

- 후각장애

- 호흡장애

- 안면손상

3 두경부 분야

- 음성 언어장애

- 저작 및 연하기능장애

- 상부 호흡기손상 및 호흡장애

- 안면손상

1) 귀의 구조

외이 연골로 형성된 이개와 외이도로 이루어짐

외이도는 바깥 13의 연골부 안쪽 23의 골부로 형성되어 있음

중이

고막 외이와 중이의 경계 부위에 위치

중이에 대한 방어벽인 동시에 음전도 역할

이소골 3개의 뼈가 있어 외이를 통해 들어온 소리가 고막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이로 전달하는 역할

내이 소리를 감지하는 달팽이관과 몸의 균형을 담당하는 세반고리관이 있음

10) 한양대학병원 이비인후과 박철원

mdash mdash132

(1) 외이의 구조

이개 울퉁불퉁한 얇은 탄성연골로 골격을 이루며 피부로 덮여 있다 음파를 모

아서 외이도내로 도입하는 역할

외이도 외이도의 외측 13은 연골부 내측 23는 골부로 구성

협부 연골부와 골부의 경계부에서 약간 내측에 외이도에서 가장 좁은 부위

미주신경과 삼차신경이 지배 외이도를 자극했을 때 미주신경반사로 기침이 일어

날 수 있으며 후두 질환이 있을 때 방사통으로 인한 이통을 호소하게 된다

(2) 중이의 구조

중이 측두골내에서 점막으로 덮여 있고 공기로 채워진 공간 (6면체 구조)

외측 고막 내측 와우

고막 타원형의 진주양회백색(pearly gray color)

제(umbo) 고막중심에 내측으로 약간 함몰 되어 있는 곳 (추골병의 하단에 해당)

광추(cone of light) umbo에서 전방으로 있는 광반사

추골병의 상부전방에 있는 백색돌기가 단돌기(short process)이며 여기에서 전후

로 추골추벽(malleolar fold)가 있으며 이것이 경계가 되어 그 상부를 고막의 이완부

하부를 긴장부로 나눈다

이소골

고막 ndash lsquo추골 침골 등골rsquo ndash 난원창 과 연결되어 소리를 전달

추골(malleus) 이소골 중 가장 커서 약 75-80mm이며 3개의 인대로서 공간에 고

정되어 있다

침골(incus) 추골의 내후방에 위치하며 추골 및 등골과 연결

등골(stapes) 신체중 가장 작은 뼈이며 전체 높이는 약 33mm

(3) 내이의 구조

내이는 형태와 구조가 복잡하여 미로(labyrinth)라고도 한다

미로는 내부의 막미로(membranous labyrinth)와 이를 둘러싼 골미로(bony

labyrinth)로 구분하고 앞쪽에서부터 와우 전정 반규관의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골미로 안에 외림프(perilymph)가 들어 있고 그 안에 막미로가 있으며 막미로는 내

림프(endolymph)를 담고 있다

mdash mdash133

와우 달팽이관(cochlea) 청각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두바퀴 반의 나사형 모양을 하

고 있으며 각 회전의 공간에는 림프액으로 차 있다

전정 구형낭(saccule) 난형낭(utricle) 반고리관과 함께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전

정미로를 형성

반규관 수평반규관 후반규관 상반규관

2) 청각 기능

(1) 가청음역 16~20000 Hz사이 회화음역 250~2000 Hz사이

음의 전도 공기전도와 골전도

음압증강작용

면적비 171=25dB 지렛대비 131=25 dB

Shearing effect(buckling effect) 2~3배=4~9dB =gt 315~365dB

(2) 난청의 종류와 증상 및 검사

0 dB HL 이란 정상 청년 연령층에서 각 주파수의 가청역치의 평균치

가 일상생활 중 소리강도

0 dB 매우 희미하게 들리는 소리

30dB 도서관 속삭이는 소리

40dB 저음으로 대화할 때

50~60dB 일상적인 대화

60dB 정상적인 대화 타자기 또는 재봉틀 소리

90dB 트럭 달리는 소리 기계로 잔디 깎을 때 나는 소리

115dB 자동차 경적 소리 록 콘서트

130dB 제트기 소리

140dB 총소리

나 순음 청력 검사

순음청력계기의 구성

음을 발생시키는 진동기

mdash mdash134

발생된 음을 증폭시키는 증폭기

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감쇄기

이어폰

골전도 진동기

음 차폐기

다 순음청력검사의 임상적 적용

청력장애의 유형 및 정도에 따라 이에 맞는 치료방법 선택

청력장애의 유형 및 정도에 따라 재활 치료 시 타검사소견과 함께 보청기 선택

등의 기초자료 제공

누가현상 검사 및 피로검사 등을 이용한 병변 부위 진단에 보조적인 자료 제공

사청검사 등을 이용한 기능성 난청의 진단에 보조적인 자료 제공

라 청력도

횡축 주파수를 대수척도(logarithm) 좌측 125Hz 우측 8000Hz

종축 강도를 decibel척도(dBHL)로 하여 top -10dBHL bottom 120dBHL

가) 청력장애의 유형판별

(가) 전음성 난청 기도 역치는 나빠도

골도 역치가 정상범위이면서 기도

골도 차가 10sim15 dB 이상일 때

외이 및 중이 질환 의심되고 내이는

정상인 경우

(나) 감각 신경성 난청 기도 역치와

골도 역치가 같은 정도로 나빠진

경우로 기도 골도 차가 없는 경우

내이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mdash mdash135

(다) 혼합성 난청 기도와 골도 역치가 나쁘면

서 기도 골도 차가 10sim15dB 이상일 때

기도와 골도의 청력이 모두 장애가 있으나

기도 청력의 손실이 더 심한 경우

(3) 선천성 감각신경성 난청

유 전 성 비 유 전 성

비증후군성

DFNA DFNB

증후군성

Waardenburg 증후군

Usher 증후군

Pendred 증후군

백피증

조갑이영양증

Jevel 증후군

Trisomy(13151821)

산전감염

바이러스성 (예 모성풍진)

세균성

이독성 약물

기형유발 약물 (thalidomide)

대사이상 (cretinism)

주산기 외상 저산소증

방사능피폭

미숙아

(4) 후천성 감각신경성 난청

유 전 성 비 유 전 성

비증후군성

증후군성

Alport 증후군

Lysosomal storage 병

Kippel-Feil 증후군

Alstrom병

Refsum병

신경섬유종증

Crouzon병

Cockayne 증후군

염증성 질환

세균성 (예 미로염 수막염)

바이러스성 (예 유행성이하선염 미로염)

Spirochetal (예 매독)

이독성 약물

외상 (예 소음 측두골 골절)

노인성 난청

돌발성 난청

Meniere 병

종양 (예 청신경 종양)

기타 대상이상 (갑상선 기능저하)

허혈성질환 (VBI)

신경학적 이상

면역이상 골질환

mdash mdash136

(5) 소음성 난청

음향외상 갑작스러운 폭발음에 노출시 심한 고음성 감각신경성 난청 및 이명이 돌

발적으로 나타남

손상 정도에 따라 수일에서 수개월이 경과하면 회복되기도 하나 심한 손상시 영구적

인 난청을 초래함

안정을 취하며 반복적인 음향외상을 피해야하며 심한 난청시 보청기 등이 도움

음의 압력이 85dB이상의 장소에서 장시간 노출되면 내이 손상을 일으킬 수 있음

난청의 정도는 소음 폭로 시간 소음의 강도 주파수와 연관

청력검사상 초기에는 4000Hz에서의 청력소실인 C5 dip을 나타냄

소음성 난청의 예방

소음방지기를 착용하여 35dB까지 소음을 감소

작업장이나 소음이 심한 기계에 방음시설

소음성 난청의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안정과 재활교육 실시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소음성 작업장에서의 작업시간을 규정

(6) 이독성 약물에 의한 난청

증상 이명이 난청보다 먼저 출현하며 고음역의 난청이 가장 심각한 증상

현훈은 전정계를 침범하는 약제에 의해 발생

발생약물

Aminoglycoside 계열의 항생제 Streptomycin Neomycin Kanamycin

Gentamicin Tobramycin Amikacin 등

중이국소약제(귀에 넣는 약) Chloramphenicol Streptomycin Neomycin

Polymyxin Gentamicin Erythromycin 등

이뇨제 Loop diuretics인 ethacrinic acid와 furosemide 등

기타 Salicylate(aspirin) quinine 항암제 중 nitrogen mustard cisplatinum 등

이독성 약물에 의한 난청의 주의사항

이독성 약제를 사용 시 투여 전에 청력검사 신장검사 전정기능 검사 등을 시행

약물 투여시 청력검사는 주 1회 임상적 검사는 매일 이명은 매일 확인

이독성 약물에 의한 난청은 예방 가능하므로 더욱 주의를 요함

mdash mdash137

(7) 돌발성 난청

정의 순음청력 검사에서 3개 이상의 연속된 주파수에서 30dB이상의 감각신경성

청력 손실이 3일 이내에 발생한 경우

증상 감기 과로한 업무 술 마신 후 등 아침에 일어나 보니 갑자기 한 쪽 귀가 안

들림

간혹 잘 모르다가 전화를 받을 때 한 쪽 귀가 안 들린다는 사실을 발견

갑자기 안 들이는 것과 동반되는 증상으로는 이명 어지럼증 등이 동반될 수 있음

빨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비인후과적 응급질환

원인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바이러스 감염 혈액순환 장애 내이 임파

액병리설

자가 면역장애 자율신경기능 장애 외임파누공 청신경 종양 등

치료 급성기에 절대안정 부신피질호르몬제 (스테로이드) 혈류개선제 (혈액순환

개선제) 대사개선제 (고분자성 수액) 비타민제제 등

예후가 나쁜 경우

청력소실이 심한 경우 (가장 중요)

청력도상 저음보다 고음의 청력 소실이 심한경우

치료 시작 시기가 늦은 경우

어지럼증이 동반

당뇨 고혈압 등 동반 질환

대개 약물요법으로 치료를 하게 되면

30에서는 완전회복

30에서는 부분 회복

30에서 회복이 안 되거나 더 심해지는 경우도 있음

(8) 노인성 난청

노인성 난청의 조건

청력검사상 양측 귀에 대칭적 형태

외상 이독성 약물 귀의 질환 소음에의 노출 귀 수술 등의 과거력이 없고

최소한의 전음성 난청 (10dB 이하)

검사 결과가 신뢰성이 있을 것

mdash mdash138

65세 이상의 연령

가족력이 없을 것

원인 노화현상으로 인하여 내이유모세포의 퇴행성 병변 청신경의 신경세포의 감

소 중추신경세포의 소실

증상 30대에서 시작하여 70대에서 현저

양측 고주파 영역에 경도 혹은 중등도의 청력 감소

어음 명료도의 감소 대게 소리는 들리나 의미를 알아듣지 못하는 증세

방향 감지 능력의 저하

이명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 다른 감각신경성 난청과 같이 약물요법을 시행하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

우며 대게 영구적으로 남게 된다

조기에 보청기를 사용하여 사회적응을 도움

(9) 외상성 귀질환

외이도 골절 하악골에 가해지는 외상에 의해 하악골의 과상돌기(condyle)를 외

이도 내로 밀게 되어 외이도 전벽의 골절 발생

외이도 골절은 측두골 골절의 일부이므로 고막 중이 내이의 골절을 확인해야 한다

골편과 피부를 원래의 자리로 돌려놓고 제자리에 고정시키기 위해 항생제를 도포

한 거즈를 외이도에 유치시킨다

골절이 회복되고 외이도의 내경이 충분히 유지되었을 때 청력검사 시행한다

고막천공

원인 외상 기압변화 이물

치료 손상의 정도를 파악

수술을 고려해야하는 경우 고막후상방에 천공이 있으면서 현훈 안면신경마비

이소골 탈구 동반되거나 중이내 이물이 있는 경우

합병증 이차적인 감염 진주종 전음성 난청 감각신경성 난청 안면신경마비

측두골 골절

mdash mdash139

증상 난청 어지럼증 안면신경마비 뇌척수액 이루 비루 뇌막염

종 골 절 횡 골 절

골절선

빈도

외이도

고막

난청

안면마비

뇌척수액

안진

추체축에 평행

측두골 골절의 80

골절선

천공-고실출혈

전음성 난청

20

이루(otorrhea)

없다

추체축에 직각

측두골 골절의 80

정상

정상 또는 고실출혈

감각신경성 난청 전농

50

비루(rhinorrhea)

반대측

외이도 골절과 고막 천공

원인 외상 기압변화 이물

치료 손상의 정도를 파악

수술을 고려해야하는 경우

고막 후상방에 천공이 있으면서

현훈 안면신경마비 이소골 탈구

동반되거나 중이내 이물이 있는 경우

합병증 이차적인 감염 진주종 전음성 난청 감각신경성 난청 안면신경마비

(10) 청력 장애의 정도

dB HL (ASA 1951)

dB HL (ISO 1964)

표현법 사회적 핸디캡

15 이하 25 이하 정상

16 ~ 29 26 ~ 40 경도난청학교에서 앞 좌석으로 이동 및 구순 구독법(lip reading) 필요

30 ~ 44 41 ~ 55 중등도난청10-15m 이내의 회화음은 청취 학교에서 앞 좌석 이동 보청기 착용 청각 훈련 구순 구독법

45 ~ 59 56 ~ 70 중등고도난청10-15m 에서도 큰소리로 말해야 청취 군중이나 강의실 청취 곤란 특수 교육이 필요

60 ~ 79 71 ~ 90 고도난청30cm 이내에서도 큰 소리로 말해야 들리나 말의 분별이 곤란 특수 교육이 필요

80 이상 91 이상 농 언어 청취가 불가능 농아 교육이 필요

mdash mdash140

청력장애 판정기준(보건복지부)

장애등급 장 애 정 도

2급 두 귀의 청력 손실이 각각 90데시벨 이상인 사람

3급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80데시벨 이상인 사람

4급 1호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70데시벨 이상인 사람

4급 1호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최대의 명료도가 50 퍼센트 이하인 사람

5급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60데시벨 이상인 사람

6급한 귀의 청력손실이 80데시벨 이상 다른 귀의 청력 손실이 40 데시벨

이상인 사람

청각 장해 평가(미국의학협회)

순음 청력계로 각각의 귀를 500 1000 2000 및 3000 Hz에서의 청력 수준을 기록

한다

100dB을 초과하면 100dB로 한다

청력수준이 음의 값(예-5dB)인 경우 0dB로 한다

한쪽 귀 청각 장해() = 15x(편측청력역치-25dB)

양쪽 귀 청각 장해() = [5 x (보다 밝은 귀 청각 장해 ) + (보다 어두운 귀 청각

장해 )]6

양쪽 귀 청각 장해의 전신 장해와의 관계(미국의학협회)

mdash mdash141

3) 안면신경 마비

원인 특발성 안면신경 마비

Bellrsquos palsy

외상성 안면신경 마비

감염

Ramsay-Hunt 증후군

중이염 악성 외이도염

종양

안면신경초종

청신경종

이하선 종양

(1) 외상성 안면신경 마비

의인성 중이 이하선 청신경종양 수술 후 발생

비의인성

측두골외 손상 안면부 외상 또는 총상으로 인한 관통상

측두골내 손상 안면 두부에 대한 교통사고 또는 외상

기타

뇌진탕 중추신경 외상 관통상 안면열상

mdash mdash142

(2) 안면신경마비의 평가(H-B)

(3) 안면신경마비 검사

병변부위검사

누액배출검사 등골반사검사 전기미각검사

타액유량검사 전기신경전도검사

신경흥분성검사(nerve excitability test)

최대자극검사(maximum stimulation test)

신경전도검사(electroneuronography)

근전도검사(electromyography)

안면마비(미국의학협회)

안면 신경 장애와 연관된 감각소실은 일상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으므로 미각

상실은 주요 장해로 간주하지 않는다

mdash mdash143

〈표 13-12〉 제7뇌신경 (얼굴신경) 장해 평가 기

1등급

전신 장해 1~4

2등급

전신 장해 5~19

3등급

전신 장해 20~45

앞혀 미각 완전 상실 또는

가벼운 한쪽 얼굴 쇠약

가벼운 또는 심하지 않은 양

쪽 얼굴 쇠약 또는 심한 한

쪽 얼굴마비 75 이상의

얼굴이 연루되고 눈감기 통

제 안됨

심한 양쪽 얼굴마비 75

이상의 얼굴이 연루되고 눈

감기 통제 안됨

4) 어지러움의 종류와 원인 증상

어지럼증의 성질

회전성 어지러움증(Vertigo)

비회전성 어지러움증

부동감

안전 암흑감 가성 어지러움증

평형장애 보행장애등

말초전정기관 및 전정신경질환 회전성

중추전정질환 비회전성 부동감 안전암흑감 또는 평형장애

어지럼증의 발작양상과 경과

자발성 발작성

단발발작 돌발성 난청

전정신경염

뇌혈관 부전증

반복발작 메니에르병

유발성 발작성 양성 발작성 체위변환성 현기증

지속성 중추전정장애

진행성 중추전정장애

mdash mdash144

원인 인자로서의 과거병력

두경부외상

소음폭로병력

이독성항생제 사용여부 특히 SM KM GM

만성중이염 특히 진주종성 중이염 병력

심장질환여부

고혈압 저혈압 각종 빈혈 여부

동요병(멀미)

생리주기와 현기증의 상관관계

문진에 의한 감별진단

말초성 어지러움증 중추성 어지러움증

회전성인 경우가 많다

난청 이명 등을 수반

뇌신경 증상수반(-)

체위 두위에 따라 어지러움증이 변동된다

어지러움증 감각이 오심구토와 비례한다

수일에서 십수일내에 보상되는 것이 많다

의식장애를 수반하지 않는다

자율신경증상은 어지러움의 강도에 비례한다

보행 평형장애(-)

회전성도 있으나 비회전성이 많다

난청 이명등을 수반하지 않는다

뇌신경 증상을 동반한다

체위 두위에 따라 어지러움증이 변동되지 않는다

어지러움증감각이 오심구토와 비례하지 않는다

지속적이며 잘 보상되지 않는다

의식장애를 수반하는 수가 있다

일치하지 않는다

보행 평형장애(+)~(++)

전정기능검사

자세의 불안정을 보는 검사

지시검사(past-pointing)

직립반사검사

Tandem walking

mdash mdash145

안구운동의 이상을 보는 검사

자발안진

주시성 안진

두위안진

두위변환안진

Head-shaking nystagmus

Head-thrust test

Dollrsquos eye test

직립반사검사

Romberg 검사

Mann 검사

단각직립검사

회전성 어지러움증이 급성 발작적으로 나타난 후 지속되는 경우

(acute prolonged attack of vertigo)

mdash mdash146

회전성 어지러움증이 재발성으로 나타나는 경우

(recurrent spontaneous attack of vertigo)

두위변환성 어지러움증이 재발성으로 나타나는 경우

(recurrent episode of positional vertigo)

mdash mdash147

어지러움 평형장애의 시기별 치료방침

어지러움증 발작기(급성기)

병태설명 안정 diazepam 7 NaHCO3 atropine antihistamine corticosteroid

간헐기(만성기)

혈관확장제 순환개선제 대사부활제 진정제 정신신경안정제

내림프수종 탈수이뇨제(glycerol isosorbide urea)

부신피질 호르몬제

국소전신요인의 치료 혈압의 관리 경추증치료 뇌혈관장애 뇌종양의 수술요법

내이누공의 수술 치아의 치료 자율신경조정약

어지러움 발잘의 재발예방책

생활지도 스트레스 대책 자율신경 혈압조절제 혈관확장 순환의 개선

수술요법 내림프낭 감압술 내이누공 PLF폐쇄 뇌종양 뇌혈관장애의 수술

비가역적 장애에 대한 대책

중추성 보상 평형기능훈련 보청기 보청기의 정비 추적관찰(2주~1개월간격)

전정기능장애 장애판정

현기증 수평면에서 본인이 회전하는 느낌 또는 본인에 대해 사물이 회전하는 느낌

어지럼 또는 몽롱함 움직이는 느낌이 없다는 점에서 현기증과 구분된다

전정기능장애는 현기증이 있으면 확진할 수 있고 몽롱함이나 보행 이상은 전정기능

장애로 보지 않는다

전정 질환은 역동적이기 때문에 영구 장해 평가는 환자의 질환이 안정 상태에 도달

한 후에 실시해야 한다

mdash mdash148

평형장애 판정기준(미국의학협회)

〈표 11-4〉 전정 질활으로 인한 신체 장해 평가 기준

1등급 전신 장해

0

2등급 전신 장해

1~10

3등급 전신 장해

11~30

4등급 전신 장해

31~60

5등급 전신 장해

61`95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은

없음

도움을 받지

않고 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복잡한 활동(예

자전거 타기)

또는 엄격한

주의가요구되는

특정 업무

활동(예 대들보

또는 비계위를

걷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없이 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단순한

활동(자신을

돌보는 일 집안

일 보행 다른

사람이 운전하는

자동차에 타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외에는 도움이

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중

보행을 요하지

않는 행위를

제외하고

도움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집안에 머물러

있어야만 함

후각 및 미각장애

후각 장애의 원인

폐쇄성 비부비동 질환

상기도 감염

두부외상

노령

내분비대사 이상 당뇨

신경퇴행성 질환 Alzheimer Parkinson

종양 후각신경아세포종

의인성 원인 후두전적출술

정신질환

mdash mdash149

미각장애의 원인

전도성 장애

구내건조증

감각신경성 장애

약물 항류마티즘약제 항암제

외상 측두골골절 중이수술시 고삭신경손상

대상상 장애 당뇨병 갑상선기능저하증

감염 대상포진

영양실조 비타민 B 아연 결핍

악성종양 수술 방사선치료

검사 항목

병력

이학적검사

영상진단

후각기능검사

역치검사 CCCRC test TampT olfactometer

인지검사 CCCRC test UPSIT

미각기능검사

미각 감지역치검사

미각 역치상검사

전기미각검사

후각 및 미각 장애(AMA)

후각과 미각의 완전 소실이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그러므로 말초 환부에서 기인한 후각 또는 미각의 부분 또는 완전 소실은 전신 장해

1~5 범위의 등급 부여를 권장한다 그리고 나서 이를 환자의 다른 장해와 병합하여

야 한다

mdash mdash150

안면 손상

안면부 열상 구강내 열상 치아 손상

안면부 골절(비골 안와 협부 하악 상악)

원인 교통사고 추락사고 스포츠 사고 폭력사고 작업중 사고 등

범위 치아 안면골 연부 조직(피부 치은) 안구 타액선안면 신경

안면손상 검사 항목

이학적 검사

PNS x-ray

구강 비강 내시경 검사

안면 사진

PNS CT

안면부외상시 처치

생명구조

기도확보

혀를 잡아당긴다

혈액이나 점액질 토사물을 제거한다

체위 환자의 자세는 의식이 없는 경우는 머리를 한쪽으로 돌린 엎드린 자세가

좋고 의식이 있는 경우는 앉은 자세가 좋다

기관내 삽관이나 기관절개술을 신속히 시행한다

연관 손상부위 확인 대뇌 손상 경부 골절 흉부

복강내 손상( 간 장)

기능 회복

변형의 최소화

mdash mdash151

안면손상 판정(미국의학협회)

〈표 11-5〉 얼굴 질환 는 변형으로 인한 장해 평가 기

1등급 전신 장해 0~5

2등급 전신 장해 6~10

3등급 전신 장해 11~15

4등급 전신 장해 16~50

눈에 띄는 흉터 또는 비정상 색소침착 등과 같이 피부 구조 장애에 한정된 얼굴이상 또는 가벼운 한쪽 또는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외모에 영향을 주는 코의 변형

피부 장애(예 함몰된 뺨 비골 또는 전두골)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은 얼굴 장애로서 얼굴 일부의 지지 구조의 상실을 초래한 경우

눈 또는 코의 일부 상실 등과 같이 얼굴의 해부학적 부분 또는 부위의 결여 때문에 발생한 얼굴 이상으로서 얼굴 변형을 초래한 경우 또는 심한 한쪽 전체 얼굴마비 또는 가벼운 양쪽 전체 얼굴 마비

얼굴 해부학적 구조의 극심한 또는 완전한 변형으로서 변형 정도가 극심해서 사회 적응이 불가능할 정도인 경우 또는 심한 양쪽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코의 주요 부위 또는 전체 상실

음성 언어 장애

후두의 기능

기도 보호

호흡

발성

연하기능

언어장애의 원인

신체발달지체

청각장애

지적능력의 지체

조음기관의 장애

언어장애의 분류

조음장애

발음이 부정확한 것

청력손실 입술이나 구개의 파열 소대의 이상 신경 운동장애로 인한 마비성 조음장애

실행증 등의 문제로 나타날 수 있는 기질적 조음장애

mdash mdash152

신체적 구조상의 이상이 없더라도 연령 지능 성격 사회경제적 위치 문화적 영향

학업 성취도 습관 등에 따라 자신의 독특한 패턴으로 나타날 수 있는 기능적인 조음장애

유창성장애

말더듬

음이나 음절 또는 조음 포즈 등의 반복이나 연장 혹은 투쟁행동 등으로 구어의 흐름

이 비정상적으로 방해를 받을 때 말더듬이 발생

언어장애의 분류

음성장애

후두 특히 성대의 이상으로 인한 성대 혹이나 성대 결절 성대부종 스트레스 등으로

목소리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작은 소리(강도장애)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소리(음도장애)

목 쉰 소리 숨찬 소리 거친 소리 과비성(음질장애)

목소리의 강도나 음도에 의도적으로 변화를 주지 못하는 경우

기호장애(언어장애)

언어종속행동 즉 말하기 이해하기 읽기 쓰기 등에 문제

언어발달 지체 교통사고나 중풍으로 인한 대뇌손상이나 신경계 이상으로 인한 실어

증이나 구어실행증 지능이 낮은 결과로 인한 언어지체

음성재활(인공후두)

mdash mdash153

음성재활(식도발성)

검사 항목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Aerodynamic study

Electroglottography

음성언어치료사의 평가

MRI CT

객관적 검사

유창성 장애(말더듬) 말더듬 심도 검사

조음장애 그림자음검사 3위치 조음검사 한국어 발음검사

언어능력

20세 이상의 성인 보스톤 이름대기검사 K-WAB 검사

아동 그림어휘력검사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 영

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 문장이해력검사 언어이해인지력검사 언어문제해결력 검

사 한국-노스웨슨턴 구문선별검사

판정 기준(미국의학협회)

음성은 후두의 성대 주름의 진동으로 발생된 가청 범위 내의 소리를 말한다 가성대

주름 또는 식도는 제외한다

음성장애의 원인을 따지지 않고 비정상 음량 비정상 조절 비정상 음질 등의 분명한

증상을 평가 한다

평가 항목

가청도(可聽度) 들을수 있을 만큼 큰 소리로 말할 수 있는 능력

가해성(可解性) 분명히 발음하고 어음의 음성 단위를 정확하게 연결하여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드는 능력

기능적 효율성 충분히 빠른 속도로 말하며 일정 시간 그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

mdash mdash154

음성 언어장애 판정기준(가청도)

〈표 11-8〉 음성언어 장해 분류

1등급0~14

2등급15~34

3등급35~59

4등급60~84

5등급 85~100

일상 회화의 대부분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이를 위해 간혹 노력해야 하고 때로 개인의 능력에 부치는 일일 수도 있다

일상 회화의 많은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으며 평균적인 환경에서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승용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잘 들을 수 없다

일상 회화의 특정 필요 즉 인접한 상대와의 대화가 가능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나 목소리가 쉬 피로해지고 수초가 지나면 잘 들리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떨어지거나 승용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과 같은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일상 회화의 한정된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나 가까이서 주의를 기울여야 겨우 들을 수 있으며 또한 귀에 들릴 정도로 속삭일 수 있으나 크게 말할 수는 없다

일상 회화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전혀 낼 수 없다

음성 언어장애 판정기준(가해성)

〈표 11-8〉 음성언어 장해 분류

1등급0~14

2등급15~34

3등급35~59

4등급60~84

5등급 85~100

일상 회화에 필요

한 대부분의 조음

행위를 할 수 있

그러나 간혹 다시

한번 말해 줄것을

요청 받거나 어떤

발성 단위는 발음

하기 어려워하거

나 불가능하다

일상 회회에 필요

한 많은 조음 행

위를 할 수 있으

며 타인이 이를

알아 들을 수 있

그러나 많은 오류

가 있으며 간혹

조음이 어려울 경

우가 있다

일상 회화에 필요

한 일부 조음 행

위를 할 수 있으

며 가족 및 친구

들과 대화할 수

있으나 타인은 말

소리를 알아 듣기

어려워하며 자주

다시 한번 말해달

라는 요청을 받는

일상 회화에 필요

한 제한된 조음

행위를 할 수 있

으며 일부의 발성

단위를 발음할 수

있다

자기 가족의 이름

등 몇 단어는 비

슷하게 발음하나

관련 없는 단어를

발음하면 알아들

을 수 없다

일상 회화에 필요

한 조음 행위를

전혀 할 수 없다

mdash mdash155

음성 언어장애 판정기준(기능적 효율성)

〈표 11-8〉 음성언어 장해 분류

1등급0~14

2등급15~34

3등급35~59

4등급60~84

5등급85~100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대부분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해 낼 수 있으나 가끔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많은 요구를 충족 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가끔 어려움을 겪으며 때때로 끊어지거나 중단되고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일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지속적으로 말할 수 있으며 상대방에게 쉬 피곤해 한다는 인상을 준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제한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한 단어 또는 짧은 구절) 말이 자주 끊기고 아주 힘들어한다 속도가 대단히 느리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는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요구를 전혀 충족시킬 수 없다

저작 및 연하기능 장애

구강 및 구인두의 해부

음식물의 섭취작용

저작 하악의 운동과 치아의 작용과 아울러 볼 혀 구순의 협동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소화 타액에 있는 전분소화효소가 녹말을 분해한다

연하의 작용

구강 준비기

구강기

인두기

식도기

저작 및 연하기능의 손실

구강암 인두암 후두암 식도암 등의 치료후

구강 인두 후두 식도 등의 신경마비

전치의 상실

턱뼈의 골절로 인한 부정교합

혀 13 이상의 부분 상실

mdash mdash156

검사 항목

인두식도조영술

Videofluoroscopy

치과적 검사

Fiberoptic endoscopic swallowing

저작 및 연하 장애(미국의학협회)

저작 및 연하기능의 평가는 식사 능력이 안정적이고 최대한의 재활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실시해야 한다

〈표 11-7〉 식사 제한과 구 장해의 계

제한 종류 전신 장해율

식사는 반고형 또는 부드러운 음식에 한정한다

식사는 유동식만 허용한다

튜브 또는 위루 설치를 통해 음식을 섭취한다

5~19

20~39

40~60

상부 호흡기 손상 및 호흡 장애

Anatomy

Trachea

16-20 complete cartilage rings of hyaline cartilage from cricoid to

carina(9-12cm)

Tracheal wall

Mucous layer pseudostriated ciliated columner epithelium

Submucous layer

mucous and serous gland

Fibrous and muscular layer

vessels nerves lymphatics

mdash mdash157

상부 호흡기 호흡곤란

완전폐쇄

외상성 혹은 iatrogenic 완전후두협착으로 평생동안 영구기관절개술 혹은 영구기관

개방술을 받은 경우

심한 음식물 흡인으로 인하여 후두 혹은 기관분리 수술을 받은 경우

불완전폐쇄

성문하부협착 기도 협착으로 인하여 기관절개술을 받은 상태이며 T-tube

tracheal cannula의 삽관 상태이면서 tube을 막으면 호흡은 상당히 곤란하나 음성은

정상에 가까게 낼 수 있는 경우

양측 성대마비 혹은 양측 성대고정으로 인하여 상당한 호흡곤란이 있으나 기관절개

술은 필요치 않고 목소리도 비교적 양호한 상태 등

검사 항목

이학적 검사

내시경 검사

경부 방사선 검사

Neck CT or MRI

Chest Pleomorphic adenoma

Pulmonary function test

Rhinomanometry

Bronchoscopy

Acoustic rhinometry

mdash mdash158

호흡 장애(미국의학협회)

〈표 11-6〉 공기 통로 결함으로 인한 신체 장해 평가 기

1등급 전신 장해 0~10

2등급 전신 장해 11~29

3등급 전신 장해 30~49

4등급 전신 장해 50~89

5등급 전신 장해 90+

안정시 호흡곤란

없음 및

보행 계단 오르

기 또는 일상 활

동 중 호흡곤란

없음 및

스트레스 지속적

인 힘든 운동 급

히 서두름 언덕

오르기 오락 또

는 이와 유사한

기타 활동으로서

집중적인 노력을

요하는 행위 및

검사 결과 구강인

두 후두인두 후

두 상부기관(제4

연골고리까지)

하부기관 기관지

등의 부분 폐쇄

또는 코 또는 비

인강의 완전(양

쪽) 폐쇄

안정시 호흡곤란

없음 및 평탄한

길 보행시 계단

한번 오르기(층과

층을 연결하는 계

단) 기타 일상

활동 수행시 호흡

곤란 없음 그러나

스트레스 지속적

인 힘든 운동 급

히 서두름 언덕

오르기 오락 또

는 이와 유사한

기타 활동(앉아서

하는 활동 제외)

시 호흡곤란 있음

및 검사 결과 구

강인두 후두인

두 후두 상부기

관(제4 연골고리

까지) 하부기관

기관지 등의 부분

폐쇄 또는 코 또

는 비인강의 완전

(양쪽) 폐쇄

안정시 호흡곤란

없음 및 한 구획

이상 걷기 평상

시 계단 한번 오

르기(층과 층을

연결하는 계단)

또는 기타 일상

활동 등을 하면

호흡곤란 발생 및

스트레스 지속족

인 힘든 운동 급

히 서두름 언덕

오르기 오락 또

는 이와 유사한

기타 활동시 호흡

곤란 있음 및 검

사 결과 구강인

두 후두인두 후

두 상부기관(제4

연골고리까지)

하부기관 또는 기

관지의 부분 폐쇄

안정시 호흡곤란

있음 반드시 환

자가 침대에 누워

지내는 경우만 해

당되는 것은 아님

및 일상 활동을

하면 호흡곤란 악

화됨(손을 씻는

일 옷 입기 또는

빗질하기 등 자기

몸을 돌보는 일

이상의 것) 및 검

사 결과 구강인

두 후두인두 후

두 상부기관(제4

연골고리까지)

하부기관 및또는

기관지의 부분 폐

안정시 심한 호흡

곤란 있음 자발

호흡 충분하지 못

함 및 호흡 환기

요함 및 검사 결

과 구강인두 후

두인두 후두 상

부기관(제4 연골

고리까지) 하부

기관 및또는 기

관지의 부분 폐쇄

mdash mdash159

3 맥브라이드 장해평가기준Mc Bride식 노동능력상실평가11)

순 서

Ⅰ 자동차보험의 특성

Ⅱ 자동차보험 약관

Ⅲ 자동차보험 통계

Ⅳ Mc bride 노동능력상실 평가

Ⅰ 자동차보험의 특성

1 보험이란

동질의 우발적인 위험하에 있는 다수인이 위험단체를 구성하고 그 단체의

구성원이 일정한 기금 (=보험료 )을 갹출 기금을 형성하여 우연한 사고

(=보험사고)를 당한 구성원에게 재산적 급여(보험금)를 함으로써 경제적 불안을

제거하고자하는 제도임

2 보험의 분류(상법상)

손해보험 ndash 우연한 사고(보험사고)로 인하여 생긴 피보험자의 재산상의 손해를

보상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보험으로 이득금지의 원칙 등이 적용되며 상법상

화재 운송 해상 책임 자동차보험이 있음

인보험 ndash 사람의 생명 신체에 관하여 보험사고가 생길 경우 일정한 금액

(=보험금액) 을 지급하기로 하는 보험으로 상법상 생명보험과 상해보험이 있음

11) 교보자동차보험 의료팀장 이수재

mdash mdash160

Ⅱ 자동차보험 ( 약관 )

1 자동차보험의 구성

대인배상Ⅰ 대인배상Ⅱ 대물배상 자기신체사고 ( 자동차상해 또는 plus보험)

자기차량손해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등의 담보종목과 특별약관으로 구성됨

2 담보종목별 보상내용

자동차사고로 인한 타인의 피해를 보상하는 담보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의 재물을 파손하는 경우에 보상대물배상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그손해가

대인배상Ⅰ에서 지급하는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 그 초과손해 를 보상

-대인배상Ⅰ로 지급되는 금액 또는 대인배상Ⅰ미가입시 대인배상 Ⅰ

으로 지급될 수 있는 금액을 공제후 보상

대인배상Ⅱ

-자동차소유자에게는 강제되어있는 보험으로 책임보험이라고도 함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자동차

손해배상보장법(=자배법)에서 정한 한도 내에서 보상

-현행 한도(2005222부터) 사망부상장해 = 1억원 2000만원 1억원

대인배상Ⅰ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의 재물을 파손하는 경우에 보상대물배상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그손해가

대인배상Ⅰ에서 지급하는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 그 초과손해 를 보상

-대인배상Ⅰ로 지급되는 금액 또는 대인배상Ⅰ미가입시 대인배상 Ⅰ

으로 지급될 수 있는 금액을 공제후 보상

대인배상Ⅱ

-자동차소유자에게는 강제되어있는 보험으로 책임보험이라고도 함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자동차

손해배상보장법(=자배법)에서 정한 한도 내에서 보상

-현행 한도(2005222부터) 사망부상장해 = 1억원 2000만원 1억원

대인배상Ⅰ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자동차사고로 인한 피보험자등의 피해 를 보상하는 담보

무보험자동차에 의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자동차사고로 피보험자동차에 생긴 손해액 보상자기차량손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高보장상품 )

-대인배상보험처럼 적용하나 한도가 있음

자동차상해

또는 Plus보험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자배법에 의한 등급을 적용하며 한도가 있음

자기신체사고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무보험자동차에 의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자동차사고로 피보험자동차에 생긴 손해액 보상자기차량손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高보장상품 )

-대인배상보험처럼 적용하나 한도가 있음

자동차상해

또는 Plus보험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자배법에 의한 등급을 적용하며 한도가 있음

자기신체사고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mdash mdash161

3 보험금 지급기준 (사람이 죽거나 다친 경우)

대인배상 자동차상해 또는 plus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적극손해(구조수색비 치료관계비) 위자료 휴업손해 기타손해배상금

치료관계비 의사의 진단기간내에서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

휴업손해 1일수입감소액 X 휴업일수 x 80

기타손해배상금입원 11580월(식대공제)통원 5000원(실통원일수)

대인배상Ⅰ 자배법 상해급별 한도액 (1급 2000만원~14급 80만원)

부 상

장례비 위자료 상실수익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액-생활비)x 취업가능월수(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1억원 한도 (최저 2000만원)

사 망

지 급 기 준분 류

적극손해(구조수색비 치료관계비) 위자료 휴업손해 기타손해배상금

치료관계비 의사의 진단기간내에서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

휴업손해 1일수입감소액 X 휴업일수 x 80

기타손해배상금입원 11580월(식대공제)통원 5000원(실통원일수)

대인배상Ⅰ 자배법 상해급별 한도액 (1급 2000만원~14급 80만원)

부 상

장례비 위자료 상실수익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액-생활비)x 취업가능월수(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1억원 한도 (최저 2000만원)

사 망

지 급 기 준분 류

대인배상 자동차상해 또는 plus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위자료 상실수익액 가정간호비

위자료 부상위자료와 중복시 양자 중 많은 금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x 노동능력상실률 x 취업가능월수

(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자배법 장해급별 한도금액내 (1급 1억원~14급 630만원)

가정간호100노동능력상실식물인간과 척수마비환자 퇴원후 매월지급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위자료 상실수익액 가정간호비

위자료 부상위자료와 중복시 양자 중 많은 금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x 노동능력상실률 x 취업가능월수

(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자배법 장해급별 한도금액내 (1급 1억원~14급 630만원)

가정간호100노동능력상실식물인간과 척수마비환자 퇴원후 매월지급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자기신체사고

보험가입금액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사 망

보험가입금액 한도 (1급 1500만원~14급 20만원)

자배법시행령 별표1에서 정한 상해구분에 의함

의료수가는 건교부고시에 의함

부 상

보험가입금액 한도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자배법시행령 별표2에서 정한 후유장해구분에 의함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보험가입금액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사 망

보험가입금액 한도 (1급 1500만원~14급 20만원)

자배법시행령 별표1에서 정한 상해구분에 의함

의료수가는 건교부고시에 의함

부 상

보험가입금액 한도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자배법시행령 별표2에서 정한 후유장해구분에 의함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mdash mdash162

Ⅲ 자동차보험 통계

1 담보종목별 지급보험금 (FY 2004)

100425079222320074174849지급보험금

구성비

528242018945341958117424910952052203402561215지급보험금

43099338924712450140556316522191099211040533인원건

합계기타무보차량대물자손대인

100425079222320074174849지급보험금

구성비

528242018945341958117424910952052203402561215지급보험금

43099338924712450140556316522191099211040533인원건

합계기타무보차량대물자손대인

2 담보종목별 지급보험금 구성비 (FY 2004)

48

4

21

22

1 4

대인

자손

대물

차량

무보

기타

3 상해급별 지급보험금 (FY 2004)

8652215071996 1036564소 계

4991277041953 9915588급이하

1002561215100 1040504합 계

12131113229 304604-7급

24562689814 145461-3급부 상

135 346144043940사 망

구성비보험금구성비인원

8652215071996 1036564소 계

4991277041953 9915588급이하

1002561215100 1040504합 계

12131113229 304604-7급

24562689814 145461-3급부 상

135 346144043940사 망

구성비보험금구성비인원

mdash mdash163

4 상해급별 인원 (FY 2004)

1 3

96

0

사망

1-3급

4-7급

8급이하

5 상해급별 지급보험금 구성비 (FY 2004)

245

121

499

135

사망

1-3급

4-7급

8급이하

mdash mdash164

6 부상 지급보험금 (FY 2004)

2215071860460468914809369지급금액

계기 타후유장해치료비

2215071860460468914809369지급금액

계기 타후유장해치료비

365

212

423치료비

후유장해

기 타

Ⅳ Mc bride 노동능력상실 평가

용어정의

WHO 국제장해분류

질환은 신체장해 능력감퇴(저하) 사회적불이익 등의 순으로 확대

신체장해 (Physical impairment)

심리학적 및 생리학적 또는 해부학적 구조나 기능의 결손(loss)이나 이상을

말함

신체장해에는 일시적장해와 영구적장해의 두 가지가 있음

신체장해율 신체장해 정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

능력감퇴 (disability)

사람으로서 활동하는 능력에 제한이나 결손이 있는 것

개인적 숙련도 교육 직업적 경력 적응능력 연령 주위의 요구와 수정(AMA)

불이익 (handicap)

신체장해나 능력감퇴의 결과로 발생하는 개인의 불이익

mdash mdash165

나이 성별 사회문화적 견지에서 정상적 활동을 하는데 제한을 받거나 방해를

받는 것

노동능력상실률

손해배상 입장에서 본 능력감퇴

1 Mc bride 평가기준

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 정형외과 교수 Earl D Mc bride가 1936년 저술한

compensible injuries에 대해 ldquo노동능력상실평가와 치료원칙 (Disability

evaluation and principles of treatment of compensible injuries)이라는 책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제6판(1963년) 사용

2 자동차보험의 Mc bride 기준 적용

198698 개정된 자동차종합보험약관에서 채택

약관에서는 Mc bride 원서 279개 직종 중 1개인 일반근로자(common labor)

옥내 옥외 노동력상실률만 적용

현재 약관은 책임보험(대인Ⅰ)과 종합보험(대인Ⅱ) 모두에 적용

적용배경 소송시 McBride 노동능력상실률로 적용해 당시 적용약관(자동차손

해배상보장법시행령 별표2)과의 gap이 컸기 때문

소송시에는 Mc bride 노동능력상실률 원본에 충실 적용

3 평가방법

1) 국소장해율(specific part) 전신장해율(body as a whole)의 구분

국소장해율 사지의 비교적 큰 부위(예 상지나 하지)의 장해율을 100로

해서 그보다 작은 부위(예 손이나 발)의 장해율(표준부위표시)

mdash mdash166

전신장해율 전신기능(전신 100)에 대한 해당 부위의 장해율

Mc bride 책 중 Table 14의 윗단에 有

2) 노동능력상실율의 판정절차

- Table 15 에서

피해자의 직업 및 직업장해계수 확인 해당 직업란에서 신체장해 부위별

손상변수 (1-9)확인

- Table 14에서

해당 신체장해란에서 확인된 손상변수에 합치되는 노동능력상실률 확인

- 잘 쓰지 않는 손은 10 감산

3) 복수장해의 평가방법

A B 의 복합장해율 = A + B (1-A)

예 A=79 B=67가 복합된 경우의 장해율은

79 + 67 x (100-79) = 93

4) 연령별 노동능력상실률

McBride 책에 의하면 노동능력상실률이 1년에 05~1씩

기준연령인 30세 이하면 감소하고 30세 이상 60세까지는 증가

4 장 점

1) 세밀한 신체장해 평가가능

- 직업별 신체장해부위별 노동능력상실률()

- 국내법은 대부분 14등급으로만 분류되어 있으나 279개 직종별 14개의

신체부위에 따라 직업장해계수가 달라지면서 노동능력상실률이 표시됨

2) 운동범위 및 각도측정의 합리성

예) 슬관절의 경우

완전신전(180도)~90도까지 굴곡시 일반근로자 옥외 10

mdash mdash167

완전신전 ndash20도(160도) ~90도까지 굴곡시 ldquo 27

cf 국내법등은 관절운동범위를 단순 ROM을 측정해 14(장해가 남은 것) 12

(뚜렷한 장해가 남은 것) 34(제대로 못쓰게 된 것) 이상을 상실한 경우로

적용하고 있음

3) 복합장해 평가방법의 합리성

여러 개의 신체장해가 병합되어도 그 합이 100를 초과하지 않음

병합공식 A + B(100-A) --gt 신체장해가 3개면 먼저 2개의

병합치를 구한 후 그 병합치와 나머지 장해와의 병합치를 공식에 적용 도출

4) 잘 쓰는 손(팔)과 잘 안 쓰는 손(팔)의 구분평가 가능

McBride Table 14의 말초신경항목을 보면 잘 쓰는 손(팔)과 잘 안 쓰는 손(팔)

에 대한 노동능력상실율이 10가 적음

예) 잘 쓰는 팔의 신체장해율(전신)은 50 잘 쓰지 않는 팔의 장해율은

50-5= 45

5) 연령보정의 가능

30세 전과후의 05~1 노동능력상실률 가감

5 단 점

1) 일부 신체장해율의 부적절성(Table 14)

① 절단 - 견관절절단 85 견관절과 주관절사이 50

- 양측 견관절과 주관절사이 절단 50+50(100-50)=75

② 관절강직

- 장해정도가 가벼운 쪽이 무거운 쪽보다 더 많은 경우가 종종 있음

③ 다축관절의 평가문제

- 고관절 견관절 등의 다축관절의 경우 각축의 장해율 총합산이 관절절단이나

완전강직보다 장해율이 높음

mdash mdash168

④ 골절 후 변형문제

- 가용성변형 변형 중에는 장해로 볼 수 없는 가용성변형도

노동능력상실이 있는 것으로 표기 -- 상완골 15도 대퇴골 20도 등

- 단축변형 특별한 장해가 없는 경골1cm 상완골 2cm 등

- 불유합장해 상완골 불유합 74는 절단 65보다 높음

2) 직종의 편중

Table 15에 있는 직업은 거의 전부가 노무직이며 사무직 기술직이 별로 없음

3) 신체장해의 분야별 편중

McBride가 정형외과 의사였으므로 정형외과 영역은 자세하나 기타분야는 너무

간단

- 말초신경 완전마비 불완전마비로만 언급 등

4) 일시적 장해와 영구적 장해의 혼재

치료 가능한 기관지염 탈장 위궤양 골절 등도 영구적 장해로 오인

5) 시행세칙이 없음

- 평가자의 판단이 절대적

- 하나의 신체장해로부터 파생된 두개이상의 장해에 대한 평가규정 등이 없음

6) 의학수준의 발달

- 용어의 차이 외측 슬와지ext popliteal peronialn---gt 총비골신경

common peronialn 등

- 검사방법 발달 청력 사람말소리에 따른 feet---gt 청력계 ASO ISO측정법

mdash mdash169

6 문제점

1) 전문과별전문의별 병원별지역별로 평가결과가 다르다

2) 직업장해계수 결정을 위한 신체부위의 한계가 명확하지 않다

- Table 15 -

5

5

4

엄지손가락

5

5

5

5

5

5

아래팔

5

5

6

위팔

5

5

3

3

3

3

옥외

옥내

부위

직업

일반

탄광

3

5

6

복부및흉부

5

5

7

척추및골반

6

5

6

머리

3

3

3

신경계통및심장

발다리

둔부무릎넓적다리

손가락

6664

5554

7774노무자

5

5

4

엄지손가락

5

5

5

5

5

5

아래팔

5

5

6

위팔

5

5

3

3

3

3

옥외

옥내

부위

직업

일반

탄광

3

5

6

복부및흉부

5

5

7

척추및골반

6

5

6

머리

3

3

3

신경계통및심장

발다리

둔부무릎넓적다리

손가락

6664

5554

7774노무자

7 종합평가표

- Table 14 -

비뇨생식기계의 손상과 질병

직장

여성생식기

복부

관절염

두부뇌척수관절강직

흉곽의손상과 질병절단

결핵

시력장해말초신경

귀척주손상

안면골절

비뇨생식기계의 손상과 질병

직장

여성생식기

복부

관절염

두부뇌척수관절강직

흉곽의손상과 질병절단

결핵

시력장해말초신경

귀척주손상

안면골절

mdash mdash170

4 생명middot손해보험 장해분류표 개정내용(rsquo054월)1)

Ⅰ 추진배경

피보험자에게 보험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장해등급 적용의 곤란 등으로 분쟁이 지

속적으로 발생

동일한 장해에 대해 생손보사간 상이한 등급 적용으로 계약자 혼란 야기

장해등급분류 해설내용도 대부분 의학전문 용어 등을 사용작성되어 일반인이

이해하기 매우 어려운 실정

rArr 장해등급 적용과 관련된 분쟁 예방 보험소비자의 권익확대 및 전문 의학

및 보험용어의 순화를 통한 보험소비자의 이해 도모

Ⅱ 주요 개선내용

장해지급률에 의한 보험금 산정방식 도입

신체부위의 장해 및 손실정도에 따라 보험금이 합리적으로 차등지급될 수

있도록 장해율(3~100)에 의한 보험금 산정방식 도입

1급sim제6급 rarr 신체 부위별 장해 정도에 따라 3sim100

장해분류 세분화

신체 부위별 지급율 체계로 개선세분화

생명보험 6등급 71개 항목 rarr 13개 신체부위 87개 항목

장기손해보험 11개 신체부위 rarr 13개 신체부위 87개 항목

한시장해 인정 등 장해인정범위 확대

한시장해에 대해서도 보상

- 영구장해와의 형평성을 고려 영구장해율의 일정부분(20)을 인정하여 지급

1) 삼성생명 보험심사 김진구과장

mdash mdash171

장해평가 방법의 다양화

운동범위(기능) 측정에 의한 장해평가 방법 이외에도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평가 방법을 반영한 다양한 장해평가 방법을 인정

- 척추의 기능장해 손실모형에 의한 장해판정 인정

- 팔다리장해 근력 검사(근력약화 여부 측정)결과 인정

- 치매 일상적인 기본동작 제한이외 기억력 판단 및 문제해결 사회활동

능력 등을 감안 종합평가

개호가 필요한 기본동작제한에 대한 개념 명확화

일상생활의 기본동작에 대하여 중요도별로 가중치 부여하고 구체적으로 설명

- 이동동작 40 음식물 섭취 및 배변배뇨 각각 20 옷 입고 벗기

및 목욕 각각 10

팔다리 손발가락의 장해평가 방법 개선

가관절이 남아 장해를 남긴 때나 뼈에 기형을 남긴 경우 장해율을 부여

팔다리의 기능장해 및 손가락발가락의 기능 결손장해의 경우 장해 정

도에 따른 장해율을 설정한 후 장해율을 합산하여 전체 장해율을 결정

- 3대 관절중 1관절 장해의 경우 10 2관절 장해의 경우 20 3관절 장

해의 경우 30의 장해율 인정

용어의 순화

계약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의학용어 및 보험용어를 쉬운 용어로 대체 또는

병기

- 강직(관절굳음) 반흔(흉터) 등

mdash mdash172

(참고자료)

1 장해등급분류표 대비표

현 행 개 선 (안)

제1급(9개 항목)

두 눈의 시력을 완전 영구히 잃었을 때 등

1 눈의 장해(10개 항목)

두 눈이 멀었을 때 등

제2급(6개 항목)

중추신경계 또는 정신에 뚜렷한 장해를 남겨서 평생토록 수시 간호를 받아야 할 때 등

2 귀의 장해(6개 항목)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등

제3급(10개 항목)

한 눈의 시력을 영구히 잃었을 때 등

3 코의 장해(1개 항목)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제4급(16개 항목)

두 눈의 시력에 각각 뚜렷한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 등

4 씹어먹거나 말하는 장해(9개 항목)

씹어먹는 기능과 말하는 기능 모두에 심한 장해가 남았을 때 등

제5급(16개 항목)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상실한 때 등

5 외모의 추상(추한모습)장해(2개 항목)

외모에 뚜렷한 추상(추한모습)을 남긴 때 등

제6급(14개 항목)

한 눈의 시력에 뚜렷한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 등

6 등뼈(흉추)의 장해(9개 항목)

등뼈(흉추)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등

7 체간골의 장해(2개 항목)

어깨뼈나 골반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등

8 팔의 장해(9개 항목)

두 팔의 손목이상을 잃었을 때 등

9 다리의 장해(12개 항목)

두 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을 때 등

10 손가락의 장해(6개 항목)

한 손의 5개 손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등

11 발가락의 장해(7개 항목)

한 발의 리스프랑관절 이상을 잃었을 때 등

12 흉복부 장기 및 비뇨생식기의 장해(3개 항목)

흉복부 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심한 장해가 남았을 때 등

13 신경계정신행동 장해(11개 항목)

신경계에 장해가 남아 일상생활 기본동작에 제한을 남긴 때 등

mdash mdash173

2 CDR 검사방법에 의한 임상 치매척도(반영안)

구 분 기억력 지남력판단 및

문제해결사회활동

가정생활 및

취미개인관리

정 상

(0)

기억력

감퇴가

없거나

경미한

비지속적

건망증

완전히 있음 재정사업과

같은

일상문제 잘

해결

과거일과

관련 판단력

좋음

통상적

수준으로

독립적 기능

수행

(직업 장보기

자원봉사

집단활동)

가정에서의

생활

지적흥미 잘

유지

혼자서

충분히 수행

불확실

(05)

경미한

건망증 지속

및 사건에

대한 부분적

회상

시간에 대한

경미한

어려움

문제점

유사점

차이점을

다루는데

경미한 장애

상기의 활동

약간의 장애

상기의 활동

약간의 장애

혼자서

충분히 수행

경 도

(1)

중증도의

기억력 감퇴

및 최근

사건에 대한

장애 현저

시간에 대한

중등도 장애

문제점

유사점

차이점을

다루는데

중등도장애

상기의 활동

일부를

계속하고

있더라도

독립수행

불가능

확실한

가정에서의

생활기능

장애

암시 및

격려 필요

중등도

(2)

중증의

기억력 감퇴

및 새로운

지식 금방

소실

시간관계에

대한 심각한

장애

문제점

유사점

차이점을

다루는데

심각한 장애

집밖에서의

활동 외관상

독립수행

불가능

단순한

집안일만

가능

착의

위생상태 및

외모유지에

도움필요

중 증

(3)

중증의

기억력 감퇴

및 단편적

기억만 보유

사람에 대한

지남력만

보유

문제해결 및

판단 불가능

집밖에서의

활동 외관상

독립수행

불가능

집안에서의

특별한 활동

전무

개인관리에

많은 도움

필요

심각함

(4)

단편적

기억마저

상실 및

동문서답

자신의

이름에만

가끔 반응

간단한 지시

및 명령

불이행

사회적 모임에

의미있는 참여

불가

취미활동 및

가정내 활동

불가

보행에 도움

필요

말 기

(5)

의미있는

기억력 없음

자신에 대한

의식 불가

주변상황

이해 및

인식불가

활동 불가 활동 불가 혼자

식사불가 및

와상상태

주) 미국의사협회(AMA)의 영구적 신체장해 평가지침 제5판에서 규정

mdash mdash174

3 일상생활 기본동작(ADLs) 제한 장해평가표(개선안)

유 형 제 한 정 도 장해율

이동동작 특별한 보조기구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다른사람의 계속적인 도움이

없이는 방밖을 나올 수 없는 상태40

휠체어 또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방밖을 나올 수 없는 상태 30

목발 또는 walker를 사용하지 않으면 독립적인 보행이 불가능한 상태 20

독립적인 보행은 가능하나 파행이 있는 상태 난간을 잡지 않고는 계

단을 오르고 내리기가 불가능한 상태 계속하여 평지에서 100m 이상

을 걷지 못하는 상태

10

음식물섭취 식사를 전혀할 수 없어 계속적으로 튜브나 경정맥 수액을 통해 부분

혹은 전적인 영양공급을 받는 상태20

수저 사용이 불가능하여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이 없이는 식사를

전혀 할 수 없는 상태15

숟가락 사용은 가능하나 젓가락 사용이 불가능하여 음식물 섭취에 있

어 부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10

독립적인 음식물 섭취는 가능하나 젓가락을 이용하여 생선을 바르거나

음식물을 자르지는 못하는 상태 5

배변배뇨 배설을 돕기 위해 설치한 의료장치나 외과적 시술물을 사용함에 있어

타인의 계속적인 도움이 필요한 상태20

화장실에 가서 변기 위에 앉는 일(요강을 사용하는 일 포함)과 대소변

후에 화장지로 닦고 옷을 입는 일에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이 필

요한 상태

15

배변 배뇨는 독립적으로 가능하나 대소변 후 뒤처리에 있어 다른 사

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10

빈번하고 불규칙한 배변으로 인해 2시간 이상 계속되는 업무(운전 작

업 교육 등)를 수행하는 것이 어려운 상태 5

목 욕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 없이는 샤워 또는 목욕을 할 수 없는 상태 10

샤워는 가능하나 혼자서는 때밀기를 할 수 없는 상태 5

목욕시 신체(등 제외)의 일부 부위만 때를 밀 수 있는 상태 3

옷입고 벗

기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 없이는 전혀 옷을 챙겨 입을 수 없는 상태 10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 없이는 상의 또는 하의 중 하나만을 착용

할 수 있는 상태 5

착용은 가능하나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마무리(단추 잠그고 풀기

지퍼 올리고 내리기 끈 묶고 풀기 등)는 불가능한 상태 3

Activities of Daily Living

mdash mdash

4 팔다리 및 발손가락 장해평가표(개선안)

장해 계열 장 해 내 용 장해율

팔의 장해

두 팔의 손목이상을 잃었을 때 100

한 팔의 손목이상을 잃었을 때 6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3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1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5

한 팔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팔에 가관절이 남아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10

한 팔의 뼈에 기형을 남긴 때 5

다리의 장해

두 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을 때 100

한 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을 때 6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3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1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5

한 다리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다리에 가관절이 남아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10

한 다리의 뼈에 기형을 남긴 때 5

한 다리가 5cm 이상 짧아진 때 30

한 다리가 3cm 이상 짧아진 때 15

한 다리가 1cm 이상 짧아진 때 5

손가락장해

한 손의 5개 손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55

한 손의 첫째손가락의 손가락관절보다 윗쪽에서 잃었을 때 15

한 손의 첫째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을 둘째마디 관절보다 위쪽에서 잃었을 때(1손가락마다)

10

한 손의 5개 손가락 모두의 손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모두의 손가락뼈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30

한 손의 첫째손가락의 손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10

한 손의 첫째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의 손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1손가락마다)

5

발가락장해

한 발의 리스프랑관절 이상을 잃었을 때 40

한 발의 5개 발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30

한 발의 첫째발가락의 발가락관절보다 윗쪽에서 잃었을 때 10

한 발의 첫째발가락 이외의 발가락을 둘째마디 관절보다 윗쪽에서 잃었을 때(1발가락마다)

5

한 발의 5개 발가락 모두의 발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발의 첫째발가락의 발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8

한 발의 첫째발가락 이외의 발가락의 발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1발가락마다)

3

mdash mdash

5 척추에 한 장해평가표(개선안)

현 행개 선 (안)

비 고장 해 내 용 장해율

제3급의9

척추에 고도의 기형 또는 고도의 운동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추간판탈출증

은 제외)

제4급의15

척추에 중도의 기형 또는 중도의 운동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추간판탈출증

은 제외)

제5급의14

척추에 경도의 기형 또는 경도의 운동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추간판탈출증

은 제외)

제4급의16

고도의 추간판탈출증

제5급의16

중도의 추간판탈출증

제6급의14

경도의 추간판탈출증

등뼈(흉추)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40

-장해유형

에 따른

분류

-체간골의

기형장해

보상

등뼈(흉추)에 뚜렷한 운동장해

를 남긴 때30

등뼈(흉추)에 약간의 운동장해

를 남긴 때10

등뼈(흉추)에 심한 기형을 남

긴 때50

등뼈(흉추)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30

등뼈(흉추)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 때15

심한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 20

뚜렷한 추간판탈출증(속칭 디

스크)15

약간의 추간판탈출증(속칭 디

스크)10

어깨뼈나 골반뼈에 뚜렷한 기

형을 남긴 때15

빗장뼈 가슴뼈 갈비뼈에 뚜렷

한 기형을 남긴 때10

주) 심한 rarr 고도의 기형 뚜렷한 rarr 중도의 기형에 해당

mdash mdash

177

6

lsquo054

월 標

準約

款 改

訂에

따른

장해

등급

분류

변경

대비

mdash mdash

178

mdash mdash

179

mdash mdash

180

mdash mdash

181

mdash mdash

182

mdash mdash

183

mdash mdash

184

mdash mdash

185

mdash mdash

186

mdash mdash

187

mdash mdash

188

mdash mdash

189

mdash mdash

190

mdash mdash

191

mdash mdash

192

mdash mdash

193

mdash mdash

194

mdash mdash

195

mdash mdash

196

mdash mdash

197

mdash mdash

198

mdash mdash

199

mdash mdash

200

mdash mdash

201

mdash mdash202

5 대한신경외과학회 제안 장해평가기준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기준(신경계척추)

I 개 요

의료의 사회적 역할이 다양하게 요구되는 가운데 신체상의 손해나 장애를 감정하고

평가하는 업무가 또 다른 형태의 의료인의 중요한 업무로 대두되고 있다

경제 문화적 사회여건의 양적 질적 다양화로 일상생활과 산업현장에서 인과관계가

불분명한 사고와 질병의 발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사고와 질병에 의한 결과로

후유 장애를 보이는 경우 피해자나 환자에 대한 의학적으로 적정한 치료와 장해평가가

이루어지고 법률적으로도 공정한 심판이 있어야 하며 보험회사나 기업 나아가 국가

에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보상이 이루어져 이들을 조속히 사회로 복귀시키는 것은 우리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장애정도 판정은 각 단체나 기관이 일방적으로 정한 장해평가기준에

의하여 내려지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장해평가의 기준은 주로 배상과 보상을

위한 기준(근로기준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McBride식 기준

또는 AMA식 기준 국가배상법 광주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에 관한 법률)과 장애복지

기준(장애인 복지법 국민연금법 군인연금법 생명보험회사 약관 등)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준으로 장애정도를 판정하였을 경우 동일한 장애라도 서로 다른 장애정도의

판정이 내려짐은 물론이고 판정자가 다른 경우나 판정기관이 다른 경우에도 서로

상이한 장애정도의 판정이 내려지게 되어 일부 의료인에 의하여 내려진 장해평가가

사회적으로 적지 않은 불신과 불만을 가져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우리의 현실과 국민정서에 맞는 공정하고 과학적인 그리고 하나로 통합된

한국형 장해평가기준이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모두가 느끼고 있다

대한신경외과학회(이사장 변박장)에서는 2002년 10월에 장해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표준화 적정화 체계화된 신경외과 영역의 장해평가기준을

만들기로 하였다

대한신경외과 장해평가위원회에서 다룬 장해평가기준의 범위는 중추신경계 척추

말초와 통증의 세 분야이며 현재까지 수차례의 워크숍을 통하여 모든 위원들이 열심히

노력하여 새로운 장해평가기준을 만들었으며 다른 전공분야의 전문의와 유관 기관

mdash mdash203

(손해보험업계 및 법조인 단체)들과 여러 차례 공청회를 거쳐 수정 및 보완하였다

향후 이 장해평가기준을 대한의사협회와 다른 기관 및 정부 부처(손해보험협회 법

조인 단체 및 보건복지부 등)들로부터 인준을 받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이 장해평가기준은 대한신경외과학회에서 처음 만든 기준으로 의학의 발전이나 사

회 여건의 변화에 따라 앞으로도 주기적으로 수정 보완을 하여 더욱 더 완벽한 장

해평가기준이 만들어 지는데 초석이 되리라 기대한다

대한신경외과학회의 전 회원들께서는 이 장해평가기준의 내용에 부족함과 미숙함이

있더라도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이 평가기준을 널리 이용해주시고 이용할 때 의문

점이나 문제점이 생기는 경우는 언제라도 지적해 주시기 바란다

머지않은 장래에 대한신경외과학회의 장해평가기준이 국내에서 가장 공신력이 높은

평가기준으로 자리 매김하며 향후 전신에 대한 한국형 장해평가기준의 탄생에 매우

중요한 기폭제가 되리라 확신한다

마지막으로 신체 전반에 대한 우리 고유의 한국형 장해평가기준의 확립이 시급히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서는 해당 전문의학회 대한의사협회 그리고 보건복지부 등에서

앞장서서 제반 문제를 입안하고 시행하여야 하리라 생각된다

II 서 론

1 현 장해평가기준은 크게 중추신경계 척추 말초신경과 통증장애에 대한 장해평가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장해평가 시기는 원칙적으로 의학적 최대 호전(maximal medical improvement

MMI) 시기로 하고 만일 판정시점이 수상일로부터 6개월 이내인 경우는 6개월

이후로 한다 의학적 최대 호전(MMI) 시기란 의학적으로 더 이상 치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없는 시기를 의미하며 장해평가일로부터 12개월이 경과해도 장애율

변화가 3 안팎인 시점으로 한다 그리고 장애 판정을 받기 전까지 충분하고

성실하게 전문적인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하며 만일 그 이전이라도 충분한 치료로

증상의 악화 가능성이 없거나 전문적인 치료 후 호전될 가능성을 감안하여 판정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mdash mdash204

3 장해평가기준은 노동능력이 왕성한 건강한 성인을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노동

능력이 불확실한 소아나 노인의 장애를 평가할 때는 주위의 여러 요인들을 세심

하게 고려하여 현 장해평가기준을 적용함이 타당하리라 본다

4 현 장해평가기준의 핵심은 책자의 앞 부분에 있는 각 분야의 장해평가표이며

이는 해당 장해평가의 세부 영역과 정도를 쉽게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다른 평가

항목과도 비교할 수 있게 하였다

5 현 장해평가기준은 장애인에 대한 개호 사고의 관여도 직업계수 보조구와 여명

등의 개념은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이들에 대하여서는 추후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6 장해평가의 용어를 간소화하였으며 해당 항목의 구분도 간결하게 하였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세부지침을 두어 판정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7 각 분야별로 현 평가기준에 적합한 증례를 첨부하여 장해평가자의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8 용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용어해설을 첨부하였다

9 복합장애에 대한 병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AMA식 복합장애 병산표를 첨부

하였다

mdash mdash205

장해평가기준표

A 중추신경계 장해평가표

항 목 전신 장애율()

I 기능장애

A 기질성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2(05-019)

27(20-034)

42(35-049)

57(50-064)

72(65-079)

90(80-100)

B 비기질성 장애

a 객관적 이상소견이 없는 경우

b 객관적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

3(1-05)

8(6-10)

II 운동 기능장애

A 상지기능장애 잘 쓰는 팔 잘 안쓰는 팔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03(01-04)

10(05-14)

22(15-29)

38(30-45)

B 하지 기능장애(기립 및 보행)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III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

A 배뇨 배변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0(01-19)

30(20-39)

50(40-60)

B 성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5(10-19)

25(20-29)

mdash mdash206

항 목 전신 장애율()

IV 뇌신경 기능장애

A 제 1 뇌신경 장애

a 일측성 03(01-50)

b 양측성 08(06-10)

B 제 2 3 4 6 뇌신경 장애

C 제 5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0(15-24)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30(25-35)

D 제 7 뇌신경 장애

a 미각소실 05(01-90)

b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5(01-90)

c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5(10-19)

d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25(20-29)

E 제 8 뇌신경 장애

F 제 9 10 12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7(15-39)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50(40-60)

각 I II III IV 항에 해당되는 장애율을 서로 병산하도록 한다

안과와 이비인후과의 평가기준을 적용한다(세부 사항 참조)

mdash mdash207

B 척추 장해평가표

II 통증 및 신경장애

A a 명백한 배부증상

b 회복된 신경근병증

B a 보존적 치료로 고착된 신경근병증

b 수술로 회복된 신경근병증

C a 수술 후 고착된 신경근병증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05(01-08)

05(01-08)

11(09-13)

11(09-13)

19(14-23)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두 번이상 수술한 경우 수술 당 3 추가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A 척추불안정이 명백한 경우

B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a 두 분절 이하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b 세 분절 이상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17(10-23)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23(15-28)

32(25-38)

27(20-33)

38(30-45)

C 변형장애

a 척추 측만각25-39도

b 척추 측만각 40도 이상

c 척추 후만각 30-59도

d 척추 후만각 60도 이상

25(20-29)

35(30-40)

25(20-29)

35(30-40)

항 목전신 장애율()

경추부 흉추부 요추부

I 척추의 골절 및 탈구

A 추체의 압박골절

a 25 이하

b 26-49

c 50 이상

B 추체외 골절

a 신경관을 침범하지 않는 경우

b 신경관을 침범한 경우

C 정복된 탈구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10(07-13)

05(01-08)

14(09-18)

21(19-23)

05(01-08)

11(09-13)

09(07-10)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09(07-10)

다발성 골절인 경우 분절 당 3 추가

신경근 손상의 동반 5-15

mdash mdash208

C 말초신경 장해평가표

손 상 신 경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A 가벼운 B 보통의 C 심한

제 5-8 목신경 04 10 20

제 1 가슴신경 03 07 14

팔신경얼기 12 30 60

중간줄기(제 7 목신경) 04 10 20

아래줄기(제 8 목 제 1 가슴) 09 22 45

가슴근신경 01 02 03

겨드랑신경 04 12 24

등쪽어깨신경 01 02 03

긴가슴신경 2 05 10

안쪽아래팔피부신경 01 02 03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윗부분) 08 20 40

정중신경(앞뼈사이신경) 02 05 10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아래부분) 05 14 28

근육피부신경 03 09 18

노신경(삼두근침범) 05 14 28

노신경(삼두근보존) 04 12 24

어깨밑신경 1 02 03

어깨위신경 2 06 12

가슴등신경 1 03 06

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 6 05 30

자신경(아래팔중간 이하) 4 12 24

넙다리신경 3 07 15

폐쇄신경 1 02 03

위볼기신경 5 12 25

아래볼기신경 3 07 15

가쪽넙다리피부신경 1 02 03

궁둥신경 6 15 30

온종아리신경 3 07 15

얕은종아리신경 1 01 02

장딴지신경 1 01 02

안쪽발바닥신경 1 01 02

가쪽발바닥신경 1 01 02

A 가벼운 장애정상 활동이 가능한 경도의 감각감소 또는 저항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B 보통의 장애정상 활동에 제한을 주는 감각감소 또는 중력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C 심한 장애심한 통증을 동반한 감각감소 작열통 또는 운동이 거의 불가능한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

mdash mdash209

D 통증 장해평가표

통증을 평가하는 질환은 아래의 질환군으로 나누어 평가한다

항 목

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잘 쓰지 않는 팔다리

잘 쓰는 팔다리

I 복잡부위 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type I amp II )

A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에 경한 지장이 있는 경우 01-04 01-09

B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이 불가능한 경우05-14 10-24

C통증으로 인해 일상 생활에 현저한 지장을 주는경우 15-29 25-39

D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30-45 40-60

II 의학적으로 명백히 기질적인 손상이 있는 질환에서

통증증후군이 동반되어 통증을 평가할 때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II 통증을 설명할 수있는 명백한 장기의 손상이 없지만

통증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일반적인 통증 증후군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 II III군의 적용과 A B C 항의 적용에 대한 세부지침은 아래에 있는 평가요령을 참고로

한다

mdash mdash210

III 본 론

A 중추신경계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중추신경계 장해평가의 기준은 새로운 평가 방법을 설정한 것이 아니라 기존의 여러

평가기준의 평가방법에 따른 장애 정도를 어느 정도 규합하여 적용하게 한 것으로 볼수

있다 또한 각 평가의 장애정도에 적용범위를 두어 판정자의 판단에 따라 어느 정도의

보정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AMA식이나 맥브라이드 식을 적용하였을 경우나

다른 평가기준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도 장해평가에 대한 판정오차가 크지 않도록 하는

것에 우선적인 중점을 두었다

평가기준은 4분야로 나누어

1)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기질성 및 비기질성 장해평가

2)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운동 기능의 장애(상지 및 하지)평가

3)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배뇨배변 및 성기능의 장해평가

4) 뇌신경기능 장해평가

로 나누었고 이에 해당되는 항을 각각 적용하여 그 장애율을 병산한다

장해평가 시에 장애정도의 구분은 가벼운 경우 보통인 경우 심한 경우 매우 심한

경우 등으로 간결하게 하였고 이에 대한 세부사항을 두어 평가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세부사항 내에 여러 항목에 관련이 있는 경우는(3개항 해당과 그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조정이 가능하게 하였다

mdash mdash211

2 중추신경계 장해평가표

항 목 전신 장애율()

I 기능장애

A 기질성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2(05-019)

27(20-034)

42(35-049)

57(50-064)

72(65-079)

90(80-100)

B 비기질성 장애

a 객관적 이상소견이 없는 경우

b 객관적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

3(1-05)

8(6-10)

II 운동 기능장애

A 상지기능장애 잘 쓰는 팔 잘 안 쓰는 팔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3(01-04)

10(05-14)

22(15-29)

38(30-45)

B 하지 기능장애(기립 및 보행)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III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

A 배뇨 배변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0(01-19)

30(20-39)

50(40-60)

B 성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5(10-19)

25(20-29)

mdash mdash212

항 목 전신 장애율()

IV 뇌신경 기능장애

A 제 1 뇌신경 장애

a 일측성 03(01-50)

b 양측성 08(06-10)

B 제 2 3 4 6 뇌신경 장애

C 제 5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0(15-24)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30(25-35)

D 제 7 뇌신경 장애

a 미각소실 05(01-90)

b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5(01-90)

c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5(10-19)

d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25(20-29)

E 제 8 뇌신경 장애

F 제 9 10 12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7(15-39)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50(40-60)

각 I II III IV 항에 해당되는 장애율을 서로 병산하도록 한다

안과와 이비인후과의 평가기준을 적용한다(세부 사항 참조)

3 세부지침

I 기능장애

A 기질성 장애

1) 이는 대뇌 손상 등으로 인한 신경기능의 장애로 의식장애 언어장애 행동과 정서의

장애 경련증 소견 정신상태의 장애 등을포괄적으로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2) AMA식에서의 중추신경장애 분야와 같은 항으로 볼 수 있으며 맥브라이드 식에서는

두부 손상항목에서의 V VII VIII IX X 항과 관련이 있다

mdash mdash213

3) 세부 항에서 여러 개의 항목에 해당되면 장해평가율의 범위내에서 조정이 가능하다

(특히 3개항 이하에 해당되는 경우와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로 구분한다)

4) 판정시에는 반드시 두부 손상여부에 대한 정밀검사가 필요하다

① CT(혹은 MRI SPECT PET 등)로 뇌실질 손상 및 대사의 기능이상 여부 확인이

필요하다

② 경련증에 대한 장애인 경우 반드시 충분한 약물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경련증이

나타나는 경우에 해당되며 뇌파검사(EEG) 등 정밀검사확인이 필요하다

③ 일상생활 활동의 장애정도 여부 판정은 심리감정 평가를 시행하여 이를 바탕으로

판정을 하여야 한다

5) 일상생활활동이라 함은 사람이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사회활동을 할 수 있는지 여부을

판정하는 것으로 보행여부나 운동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기본적인 활동의

수행여부를 말한다 즉 본인 스스로 외출(보행여부와는 관련없음) 물건사기 책읽기

전화하기 돈 관리하기 대인관계 등을 말한다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5~191) 일상생활활동에는 지장이 없으나 간헐적

으로 인지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경우

2) 부분 경련이 2~3개월 간격으로 있거나 1년에 1회 이상의 전신경련이있는 경우

3) 정밀검사에서 뚜렷한 뇌실질의 이상소견은 보이지 않으나 고의적이 아니며 호전되지

않는 두통 현훈증 불면증 등을 호소하는 경우

4) 정밀검사에서 뇌실질의 이상 소견이 보이며 가벼운 증상(두통 현훈증 불면증 등)을

호소하는 경우

5) 중추신경의 이상으로 정서장애가 있어 일상생활활동에 가벼운 제한이 있는 경우

6) 일상생활활동은 가능하나 간헐적인 적응장애 기억력장애 판단력 제한 등의 소견이

있는 경우

7) 가벼운 언어장애가 있어 어느 정도 알아들을 수는 있으나 충분한 표현은 되지 않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20~49

1) 일상생활 활동을 다소 제한하는 인지기능의 장애가 있는 경우(예 착란상태

confusion)

mdash mdash214

2) 부분 경련이 1개월에 1회 이상 있으며 전신경련이 2~3개월에 1회 정도 있는 경우

3) 정밀검사에서 이상소견이 나타나며 일상생활 활동에 어느 정도의 제한 소견이 있는

경우

4) 최근의 일 등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시간에 대한 지남력에 뚜렷한 제한이 있는 경우

5) 사회 또는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이 있어서 독립적인 생활에 어려움이 따르는 경우

6) 일상생활 활동의 수행에 있어 때때로 타인의 조언이 필요한 경우

7) 보통 정도의 언어장애가 있어 알아듣기는 어려우며 지적 표현이 되지 않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50~79

1) 인지기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이 심하게 있는 경우

2) 1개월에 1회 정도의 전신 경련이나 1주에 2~3회 이상의 부분 경련이 있어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을 주는 경우

3)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이 있어 정서 및 적응에 장애가 심하게 있는 경우

4) 심한 기억력 장애나 판단력에 심한 제한이 있으며 IQ가 70 이하인 경우

5) 모든 일상생활 활동에서 대부분 타인의 지시와 도움이 필요한 경우

6) 본인 단독으로는 업무수행에 지장이 있어 타인의 감독이 필요하며 매우 단순한 일

수행만 가능한 경우

7) 심한 언어장애로 알아듣기나 표현이 불가능한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80~100

1) 다른 사람에 의존하지 않고는 일상생활 활동이 전혀 불가능한 경우

2) 반혼수 및 혼수상태로 타인에게 완전히 의존할 정도인 경우

3) 일상생활 활동에 있어 타인과 생활이 불가능하여 절대 격리가 필요한 경우(정신과적

격리를 말함)

B 비기질성 장애

임상심리검사(psychometry)에서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를 객관적 이상소견이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mdash mdash215

II 중추신경계의 운동 기능장애

1) 이는 중추신경 손상으로 인한 신경기능의 장애로 기립 및 보행 상지의 운동 장애

호흡장애등 운동기능의 장애를 포괄적으로 하여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2) AMA식에서의 기립 보행 운동 장애 분야와 같은 항으로 볼 수 있으며 맥브라이드

식에서는 두부손상 항에서의 III IV VI 항과 관련이 있다

3) 상지 운동장애는 상지의 동작여부를 말하며 양팔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잘 쓰는

팔과 잘 안 쓰는 팔의 장애를 병산한다

4) 상지의 미세한 동작 여부와 일상기본 동작으로 구분한다 상지의 미세한 동작은 상지

혹은 손가락의 장애로 인하여 그릇을 씻거나 돈세는 일 지갑에서 동전을 꺼내는

일 비교적 굵은 끈매기 단추 끼우기 등을 수행하는 정도를 말한다 일상기본동작

이란 상지 혹은 손가락의 장애로 인하여 기본적인 동작 수행을 말하는데 식사 세면

및 양치질 물마시기 목욕 물건 옮기기 대소변 가리기 등을 말한다

5) 하지 운동장애는 기립 및 보행 장애정도를 말하며 평지를 걸을 수가 잇는지 계단

오르내리기가 가능한지 보행시 보조구의 도움이 필요한지 독립보행이 가능한지

등으로 구분하여 판정한다

A 상지 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잘 쓰는 팔 helliphellip 1~9

1) 상지 혹은 손가락의 장애가 있어 미세한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즉 그릇을

씻거나 돈세는 일 지갑에서 동전을 꺼내는 일 비교적 굵은 끈매기 단추 끼우기 등)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10~24

1) 상지의 장애로 미세한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25~39

1) 상지의 장애로 일상생활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즉 식사 세면 양치질 목욕 및 물건 옮기기 등

mdash mdash216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40~60

1) 상지의 장애로 일상 기본동작을 전혀 수행할 수 없는 경우

B 하지 기능장애(기립 및 보행)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1~9

1) 일어설 수는 있으나 멀리 걷기 불편한 경우

2) 독립 보행은 가능하나 장거리 보행에 지장이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10~24

1) 일어설 수 있으나 평지만 걸을 수 있는 경우

2) 독립 보행은 가능한 편이나 계단을 사용하기가 어려운 상태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25~39

1) 일어설 수는 있으나 도움(보조구 등) 없이는 걷기 어려운 상태

2) 고르지 못한 바닥이나 계단을 오르내리기가 심히 어려운 상태

3) 독립 보행은 가능하나 간간히 부축이 필요한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40~60

1) 독립보행이 불가능하며 보행 시 반드시 보조기 사용이 필요하거나 타인의 도움이

절대 필요한 경우

2) 하지 마비로 인하여 휠체어 사용이 필요한 경우

III 중추신경장애로 인한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

1) 이는 중추신경 손상으로 인한 신경기능의 장애로 배뇨 및 배변의 장애와 성기능의

장애를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2) A 항은 배뇨 배변장애 B 항은 성기능 장애로 구분한다

3) 배뇨 배변 장애가 동시에 있어 여러 항목이 관련된 경우에는 장해평가율 분포에서

높은 쪽을 택한다

mdash mdash217

4) AMA식에서의 기립 보행 운동 장애 분야와 같은 항의 방광기능 직장 항문 기능

성기능에 해당되며 맥브라이드 식에서는 비뇨 생식계항과 직장항과 관련이 있다

5) 판정 시에는 비뇨기계 역동학적 검사(Urodynamic study)나 발기부전검사 등 정밀

검사 시행 후 증상과 관련이 있는 경우에 판정한다

6) 요로계통이나 직장계통의 손상 등으로 인한 장애는 관련이 없으며 중추신경계와

관련 있는 장애만을 판정한다

A 배뇨 배변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1~19

1) 배뇨장애가 있으나 혼자서 가릴 수는 있는 경우

2) 배뇨장애가 있어 감염과 통증으로 때때로 치료가 필요한 경우

3) 배뇨의 자가 조절은 다소 어려우나 반사적 배뇨기능이 양호한 경우

4) 항문의 반사적 조절기능은 있으나 조절에 제한이 있는 경우

5) 가끔 실변이 있어 패드착용이 필요한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20~39

1) 배뇨의 자가 조절 기능은 불가하며 반사적 기능도 좋지 않는 경우

2) 항문 기능의 반사적 조절 기능은 있으나 조절이 불가능한 경우

3) 괄약근의 기능저하로 실변 현상이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40~60

1) 배뇨의 자가 조절기능이 불가하며 반사적 배뇨도 불가능한 경우

2) 항시 카테터의 삽입이 필요한 상태

3) 항문의 괄약근 기능이 소실되었고 반사적 조절도 되지 않는 경우

B 성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1~9

1) 반사적 기능은 있으나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

mdash mdash218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10 ~19

1) 반사적 기능은 있으나 느낌이 없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20 ~29

1) 반사적 기능이 없는 경우

IV 뇌신경 기능장애

1) 이는 대부분의 경우 안과적인 사항인 2 3 4 6 뇌신경장애에 한정될 수 있으나

1 5 8 9 10 12 뇌신경인 경우 이비인후과적인 사항에 포함될 수 있다

2) 2 3 4 6 뇌신경장애는 안과의 장해평가기준에 따른다

3) 5 뇌신경장애는 기질적인 장애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한다

4) 안면신경 마비 시 우리나라에서는 외적인 요인으로 사실상 업무 수행에 지장을 초

래할 수 있으나 추후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5) 8 뇌신경장애시 평형감각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중추신경의 기립 보행장해평가에

준하여 평가한다

6) 8 뇌신경장애의 청력장애는 이비인후과적 장해평가에 따른다

A 제 1 뇌신경(후각신경) 장애 냄새를 전혀 맡지 못하는 경우

a 일측성 1~5

b 양측성 6~10

B 제 2 3 4 6 뇌신경

안과의 장해평가기준에 따른다

C 제 5 뇌신경(삼차신경) 장애 삼차신경통 안면통

a 가벼운 장애 1~14

1) 가벼운 정도의 조절이 되지 않는 통증으로 인해 일상동작에 어느 정도 제한이 있는

경우이다 여기에서 일상 동작이란 씹기 웃기 말하기 삼키기 등을 말한다

mdash mdash219

b 보통의 장애 15~24

1) 조절되지 않는 통증으로 인하여 일상동작에 제한이 뚜렷한 경우

c 심한 장애 25~35

1) 전혀 조절이 되지 않는 통증으로 일상동작 수행이 되지 않는 경우

D 제 7 뇌신경(안면신경) 장애 미각 및 안면 마비

a 미각 완전 소실 1~9

b 가벼운 안면신경 마비 1~9

1) 안면 마비 소견이 관찰되나 저작 눈감기 등이 심하지 않은 경우

c 보통의 안면신경마비 10~19

1) 안면마비 소견이 나타나며 저작이나 눈감기에 지장이 있는 경우

d 심한 안면신경 마비 20~29

1) 안면마비 소견이 매우 뚜렷하며 저작 눈감기 등이 불가능한 경우

E 제 8 뇌신경

a 청력 이비인후과의 장해평가기준을 따른다

b 평형기능 중추신경의 운동장애중 특히 하지기능에 적용한다

F 제 9 10 12 뇌신경(연하곤란)

a 가벼운 연하곤란 장애 1~14

1) 액상 반고형 음식 연하시 삼키기가 비교적 곤란한 경우

mdash mdash220

b 보통의 연하곤란 장애 15~39

1) 액상의 반고형 음식연하시 코로 역류되거나 폐로 흡인 되는 경우나 삼키기 곤란한

경우

c 심한 연하곤란 장애 40~60

1) 전혀 음식물을 삼킬 수 없는 상태로 레빈 튜브나 흡입장치가 필요한 경우

A B C D 항을 각각 산정하여 병산(combine) 하도록 한다

4 증 례

42세 남자로 2년 전 교통사고로 인하여 경막하 뇌출혈이 발생하여 응급으로 두개강내

혈종 제거술을 시행받고 추후 성형술을 시행받았다

현재 CT 소견에서 우측 뇌실질의 위축소견이 보이나 뇌파에서는 이상소견 보이지

않았다 경련 소견은 보이지 않으며 좌측 편 부전 마비로 독립 보행은 가능하나 계단

오르내리기 고른 길 걷기 등은 제한이 뚜렷하다 좌측 상지 기능저하로 물컵을 옮기거나

목욕 등에 제한이 따른다 의식은 명료한 편이며 언어 소통에는 불편이 없으나 심리

검사에서 적응장애가 뚜렷이 나타난다 배뇨 배변에는 불편이 없고 뇌신경기능에도

이상이 없다

장해평가

기질성 뇌기능장애

I-A-b-134 정도

운동기능장애

상지 장애II-A-c20하지장애II-B-c30

배뇨배변장애0

뇌신경장애0

이를 합산하면(Combine)63

이 피해자는 50 이상의 장애로 영구적 장애로 판정함이 타당할 것이다

mdash mdash221

B 척추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척추는 신경기능을 전달하는 척수 및 신경근 척주의 형태와 운동을 유지하는 인

대와 골격의 척주(spinal column) 그리고 척주의 다양한 운동을 유발하는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가 유기적이며 체계적일 때 정상적인 척추의 형태

와 기능을 유지하게 된다 정상적인 척추의 형태는 각 척추골의 형태와 전체적인

굽이(curvature)를 말하고 정상적인 기능은 척주의 움직임과 척수와 신경근의 신경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형태와 기능 이상의 대표적인 예로 형태는 변형 골절 전위

골유합 등이며 기능은 척주의 움직임의 제한 척수나 신경근의 손상으로 인한 신경

학적 손상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척추의 매우 복잡한 형태와 기능으로 인해 동일한 평가 방법으로 장해평

가를 하더라도 감정인에 따라 상이한 감정 결과를 보일 수 있다 기존의 제안된 척추

장해평가방법은 과학적이기는 하나 현실성이 부족하거나 간편하기는 하지만 객관

성과 과학성이 부족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척추장해평가방법을 만드

는 일은 매우 난해한 작업일 수밖에 없고 완벽한 장해평가방법을 만드는 데는 한

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로 여기서 제안한 장해평가기준도 장해평가에 관련된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는 없으며 완벽한 지침이라고는 볼 수 없다 하지만 최대한 객

관성과 과학성을 가진 평가기준을 만들고자 하였다

현 척추장해평가기준은 척추질환이나 손상의 진단에 바탕을 두지 않고 치료 후에

남아있는 기능과 형태상의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장애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치료

후에 남아있는 배부 증후 신경근병증으로 기능의 손상(impairment)을 평가하고자

하였고 고정술 변형 골절 등 방사선상에서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형태의 손

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제시되어 있는 장애율은 전신에 대비한 척추의 손상정도의 백분율을 제시하였으며

해당 항목의 장애율에 선택범위를 제시하여 같은 항목 내에서도 손상정도에 따라

장애율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시된 장애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고 다른 조

직이나 기관(organ)과의 형평성이 고려된 AMA 평가기준을 주로 참고하였다

척수 손상에 의한 신경학적 결손은 대한신경외과학회의 장해평가기준의 중추신경계

장해평가기준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mdash mdash222

목보다 허리를 더욱 중요시하는 국내의 정서와 McBride 장해평가기준과 이경석

논문(J Korean Neurosurg Soc 28670~674 1999) 등에 제시된 장애율은 요추

가 높은 경향이 있어 척추 고정술의 경우는 요추를 경추보다 높은 장애율로 결정하

였다

장해평가 항목은

I 척추 골절 및 탈구

II 통증 및 신경장애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로

세 가지 대항목으로 구분하였으며 대항목 내의 제시된 세부항목으로 실제적인 장해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대항목 중에서 하나의 세부항목을 선택하여 가장 높은 장애

율을 최종 장애율로 구하도록 하였다

척수손상이 동반된 경우에는 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기준의 중추신경계 장해평

가를 따르도록 하였다

본문은 척추장해평가 흐름도 장해평가표 장애판정지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가

흐름도는 피감정인의 장애상태에 따라 해당되는 대항목과 척수신경장애 등의 개요

를 평가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흐름도이다

장해평가지침은 장해평가표의 세부항목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평가방법의 예시이다

여기서 제시된 장해평가방법은 척추장해평가에 있어 완벽하지 않으며 장해평가에

관련된 종사자 모두를 만족할 수 있는 기준은 아니다

mdash mdash223

2 척추 장해평가 흐름도

2항목 중 최대 장애율

호전 가능성 여부 판정보류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예

척추 손상 여부

3항목 중 최대 장애율

척수신경손상 동반

척추장애 최대장애율 척추 및 척수장애 병산

1 척추 골절 및 탈구

2 통증 및 신경장애

3 척추운동 및 변형장애

2 통증 및 신경장애 3 척추운동 및 변형장애

중추신경 장애 평가표

3 척추 장해평가표

항 목전신 장애율()

경추부 흉추부 요추부

I 척추의 골절 및 탈구

A 추체의 압박골절

a 25 이하

b 26-49

c 50 이상

B 추체외 골절

a 신경관을 침범하지 않는 경우

b 신경관을 침범한 경우

C 정복된 탈구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10(07-13)

05(01-08)

14(09-18)

21(19-23)

05(01-08)

11(09-13)

09(07-10)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09(07-10)

다발성 골절인 경우 분절 당 3 추가

신경근 손상의 동반 5-15

mdash mdash224

II 통증 및 신경장애

A a 명백한 배부증상

b 회복된 신경근병증

B a 보존적 치료로 고착된 신경근병증

b 수술로 회복된 신경근병증

C a 수술 후 고착된 신경근병증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05(01-08)

05(01-08)

11(09-13)

11(09-13)

19(14-23)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두 번이상 수술한 경우 수술 당 3 추가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A 척추불안정이 명백한 경우

B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a 두 분절 이하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b 세 분절 이상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17(10-23)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23(15-28)

32(25-38)

27(20-33)

38(30-45)

C 변형장애

a 척추 측만각25-39도

b 척추 측만각 40도 이상

c 척추 후만각 30-59도

d 척추 후만각 60도 이상

25(20-29)

35(30-40)

25(20-29)

35(30-40)

4 세부지침

1) 각 척추 부위별(경추 흉추 요추)로 각각 장애를 평가하여 부위별 최대 장애

율을 구한 후 최종 장애율은 각 부위별 장애율을 병산한다 단 다발성 골절일 경우

에는 예외로 한다

2) 장해평가는 대항목인 1 척추의 골절 및 탈구 2 통증 및 신경장애 3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중에서 피감정인에 해당하는 최대의 장애율을 최종 장애율로 정

한다 즉 항목 1 2 3 내의 세부항목으로 장애율을 구하고 최대 장애율에 해당하

는 한 가지 항목만을 선택하여 척추장애의 최종 장애율로 한다

3) 세부항목의 평가내용은 객관적인 증후나 검사(신경생리 방사선 등)로 확인된

경우에만 해당한다

4) 척수손상으로 인해 상지 하지의 신경학적 결손이나 배뇨 배변 성기능의 장

애가 동반된 경우에는 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기준의 중추신경계 장해평가표의

B 중추신경계의 운동기능장애 C 중추신경계의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의 항목

mdash mdash225

을 이용하여 평가한다 척수손상의 장애율과 척추장애의 장애율은 병산하여 척추장

애의 최종 장애율을 산정한다

I 척추의 골절 및 탈구

1 골절 및 탈구는 방사선 검사(단순 촬영 CT MRI 뼈주사 등)으로 증명된 경

우에만 해당한다

2 항목은 추체의 압박골절 추체외 골절 정복된탈구로 구분한다

3 추체의 압박골절은 추체 전방의 정상 추체에 대한 압박의 정도를 나타낸다

4 추체외 골절은 신경관 침범 유무에 따라 판정하며 만일 척수신경이나 신경근

의 손상이 동반되면 상응하는 장애율을 병산하여 최종 장애율를 산정한다

5 이 항목에서 정복된 탈구라 함은 관혈적으로 척추 고정술을 시행하지 않았던

탈구를 의미한다

6 다발성 골절인 경우는 장애율이 가장 높은 골절 부위의 장애율을 구하고 난후

에 다른 골절은 부위 당 3씩 추가한다 즉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는 골절의 장애

율과 그 외의 골절 부위는 부위 당 3씩 합산한다 만일 경추 흉추 요추 등 각각

의척추부에 다발성의 골절이 있는 경우에는 척추 부위에 관계없이 최고 값의장애율

을 구하고 그 외의 척추 골절에 대해서는 부위 당 3씩 추가하여 합산한다 다발

성 골절로 인하여 척추의 후만증이나 측만증이 있는 경우에는 항목 III 척추운동

및 변형장애의 C 변형장애로 평가할 수 있다

예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 C5~50 T12~10

L1~30 인 경우

장애율은 C5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C5는 19~28 T12 L1은

각각 3를 추가한 6이다 척추의 골절과 탈구의 최종 장애율은 25~34로 산정

한다

예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 T12~60 L3~20 인

경우

장애율은 T12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T12는 19~23 L3는 3로

최종 장애율은 22~26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 척추 후만각이 40도 정도가 있다면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장애에서 C 변형장애에 해당하여 장애율은 30~40까

지 산정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장애율이 높은 항목이 최종 장애율이 된다

mdash mdash226

7 신경근 장애는 신경근 손상에 대한 신경학적 검사로 감각과 운동을 측정하여

신경근 손상의 정도에 의한 5~15를A B C 세부항목의 장애율과 합산을 하여 최

종 장애율을 산정한다 해당 신경근의 감각과 운동의 완전한 손상은 15이고 일부

감각과 운동의 소실은 최소 5로 한다 감정인의 재량에 의해 5~ 15로 평가할

수 있다 만일 오른쪽과 왼쪽의 상하지에 동시에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오른쪽 왼

쪽을 각각 평가를 한 후에 평가된 장애율을 병산하여 신경근 손상의 장애율을 평가

한다

8 척추외상에서 분쇄골절 등의 불안정성 골절의 경우에는 수술을 통한 고정술을

시행하므로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의 B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로

평가를 한다 만일 고정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A 추체의 압박골절이나 C

정복된 탈구에 준용하여 평가한다

II 통증 및 신경장애

1 통증 및 신경장애의 평가는 반드시 객관적인 증후 및 신경학적 검사에서 신경

근의 이상을 가지며 이에 대한 이상은 신경생리학적 검사에서 증명되어야 한다

2 평가 대상에는 추간판 질환 염좌 편타손상(whiplash injury) 등이 포함된다

3 명백한 배부증상의 객관적 증후는 근육연축 운동 유연성의 감소 가성 방사통

등이 동반됨을 의미한다

4 회복된 신경근병증이라 함은 치료하기 전의 방사선 소견이나 신경생리학적 검

사에서 신경근병증이 확인되었으나 장애 판정시점에서 신경근병증이 보이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5 고착된 신경근병증이라 함은 치료 전의 진찰 소견과 방사선 검사에서 신경근

병증을 보이고 치료 후에 진찰 소견에서 신경근병증의 증후가 관찰되고 신경생리검

사에서 증명된 경우를 말한다 고착된 신경근병증에는 신경학적 검사에서 반드시

신경학적 결손이 동반되어야 한다

6 두 번 이상 수술한 경우는 수술 방법에는 차이가 없이 두 번이상의 수술에 대

해서 두 번째 수술부터 수술 당 3를 추가한다 장애판정시점에서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평가대상이 되는 경우에 두 번이상의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 A B

C의 항목의 장애율을 결정한 후에 두 번이상의 수술에 대한 3를 추가하여 합산하

여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최종장애율을 산정한다 만일 두 번째 이후의 수술

mdash mdash227

이 고정술을 시행하였다면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장애의 B 척추 고정술을 시

행한 경우로 평가할 수 있다

예제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되어 있으며 세 번의

신경감압술을 시행한 경우

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이후의 수술에 대한

6의 장애율을 합산하여 최종 장애율은 25~34로 산정한다

예제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된 있으며 첫 번째 수술은

신경감압술을 시행하였고 두 번째 수술은 요추 4-5번의 골융합술을 시행한 경우

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수술에 대한 3의

장애율을 합산하여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최종 장애율 22~31이다

이러한 경우는 척추의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이므로 항목 III-A-a-2의 장애율

29~38로 산정할 수도 있다 항목 III으로 평가한 경우에는 시행한 수술에 횟수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아니한다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1 척추 운동 및 변형은 방사선 검사(단순촬영 CT MRI 뼈주사 등)으로 증명된

경우에만 해당한다

2 척추 불안정증이란 방사선 검사에서 다음이 증명된 경우이다

1) 요추부

방사선 굴곡신전 검사상 분절이 45mm 이상 전위된 경우 혹은 각변형이 L1-2

L2-3 L3-4에서 15deg이상 L4-5에서 20deg이상 L5S1에서 25deg이상인 경우

2) 흉추부

방사선 굴곡신전검사상 분절이 25mm 이상 전위된 경우

3) 경추부

방사선 굴곡신전검사상 분절이 35mm 이상 전위된 경우나 각변형이 11deg 이상인

경우

3 척추 고정술이라 함은 골융합에 의한 방법과 나사못 등에 의한 고정술로 운동

분절의 손실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4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에서 신경학적 결손이라 함은 신경학적 검사에서

감각과 운동의 마비가 객관적으로 증명된 경우를 말한다

mdash mdash228

5 만일 척추 분절이 경흉추부 흉요추부가 포함된 다분절의 고정술인 경우에는

고정된 분절이 많은 척추 부위의 장애율을 이용한다 만일 고정된 분절이 동수인

경우에는 높은 장애율에 해당하는 척추부위의 장애율을 이용한다

예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없는 경우흉추부 요추부가 동수의 분절이 고정되어 있

으므로 높은 장애율을 제시하고있는 요추부 항목 III-B-a-1의 15~28를 이용하

여 장애율을 판정한다

예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0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있는 경우흉추부는 두 분절 요추부는 한 분절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흉추부 항목 III-B-b-2의 25~40를 이용하여 장애율을 판정

한다

6 변형장애는 척추 스캐노그람(spine scanogram)을 촬영하여 변형각을 측정하

여 장애율을 산정한다 변형장애는 골절 탈구 고정술 척추관절의 질환 선천성 변

형 등이 포함된다 변형장애의 장애율이 다른 평가항목의 장애율보다 높을 경우에

는 최종 장애율을 항목 III-C 항을 적용할 수있다

5 증 례

1) 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C5~50 T12~10

L1~30 인 경우장애율은 C5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C5는

19~28 T12 L1은 각각 3를 추가한 6이다 척추의 골절과 탈구의 최종 장애

율은 25~34로 산정한다

2) 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 T12~60 L3~20 인

경우장애율은 T12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T12는 19~23 L3는

3로 최종 장애율은 22~26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 척추 후만각이 40도 정도가

있다면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장애에서 C 변형장애에 해당하여 장애율은

30~40까지 산정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장애율이 높은 항목이 최종 장애율이 된다

3)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되어 있으며 세 번의 신경

감압술을 시행한 경우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이후의 수술에 대한 6의 장애율을 합산하여 최종 장애율은 25~34로 산정한다

4)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된 있으며 첫 번째 수술은

mdash mdash229

신경감압술을 시행하였고 두 번째 수술은 요추 4-5번의 골융합술을 시행한 경우

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수술에 대한 3의 장

애율을 합산하여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최종 장애율 22~31이다

이러한 경우는 척추의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이므로 항목III-A-a-2의 장애율

29~38로 산정할 수도 있다 항목 III으로 평가한 경우에는 시행한 수술에 횟수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아니한다

5) 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없는 경우흉추부 요추부가 동수의 분절이 고정되어 있

으므로 높은 장애율을 제시하고 있는 요추부 항목 III-B-a-1의 15~28를 이용하

여 장애율을 판정한다

6) 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0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있는 경우흉추부는 두 분절 요추부는 한 분절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흉추부 항목 III-B-b-2의 25~ 40를 이용하여 장애율을 판정

한다

C 말초신경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1) 장해평가를 받기 전까지 충분하고 성실하게 전문적 검사와 치료를받아야 하며

특히 말초신경계 장애의 경우 객관적 관찰 및 신경학적 검사시 주관적 개입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필수적인 신경보조검사를 시행한 경우에 한한다

2) 두 신경 이상의 손상의 경우 AMA식 복합장애 병산표를 이용한 병산 또는합

산을 인정한다

3) 다음의 경우는 말초신경 장해평가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a) 중추신경장애로 인한 2차성 말초신경 퇴행 및 이로 인한 동반장애 증상

b) 척추질환으로 인한 신경근 압박으로 초래된 감각 및 운동신경장애 증상

c) 신경전도검사 유발전위검사 또는 근전도 검사등 객관적 검사상ldquo추정적

(suggestive)rdquo이상의 등급으로 인정되지 않는 말초신경 손상

mdash mdash230

2 장해평가 방법론

1) AMA 식의 평가기준 기술방식적 접근에는 동의하나 장황한 서술은 지양한다

2) McBride 식 평가의 간결성을 적용한다

3) 일개 장애에 대하여 여러 항목에 대한 복잡한 분석 후 백분율() 산정 AMA

식 복합장애 병산표를 이용하여 합산하는 AMA 식 접근법은 지양한다

4) 손상의 정도를 가벼운 보통의 심한 장애로 나누어 이의 성립요건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기술한다

a) 신경근(spinal nerve root)의 경우 AMA에서 산정한 C5부터 C8의 최대 장애

율은 30~45로 T1은 20로 나와 있으므로 C5부터 C8은 부위에 상관없이

35를 최대 장애율로 하고 T1만 20를 인정한다

b) 감각과 운동신경장애를 통합하여 경도 중등도 고도의 항목에 모두 통합 기술

한다

- A 가벼운 장애정상 활동이 가능한 경도의 감각감소 또는 저항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 B 보통의 장애정상 활동에 제한을 주는 감각감소 또는 중력에 반하는 운

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 C 심한 장애심한 통증을 동반한 감각감소 또는 작열통(causalgia) 또는

운동이 거의 불가능한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

c) 각 항목에 대하여 AMA 식 평가의 최대치를 산정하여 전신비율로 산정한 값은

McBride 식 평가에서의 완전손상 항목과 상당히 유사한 값을 나타낸다는 점에

착안 시안의ldquo심한rdquo에 해당하는 평가치로 준용하고 AMA 식 평가값의 백분율

을 변형하여 20(15)에 해당하는 것을ldquo가벼운rdquo으로 50(12)에 해당하는 것

을ldquo보통의rdquo로 단일화하여 전신비율로 계산된 값을 각각ldquo가벼운rdquo 및ldquo보통의rdquo 최

종 평가값으로 준용한다 운동 및 감각기능의 손상을 통합적으로 다루었으므로

AMA의 감각 운동신경 복합손상에서 기술한 평가치를 기준으로 한다

mdash mdash231

3 말초신경 장해평가표

손 상 신 경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A 가벼운 B 보통의 C 심한

제 5-8 목신경 04 10 20

제 1 가슴신경 03 07 14

팔신경얼기 12 30 60

중간줄기(제 7 목신경) 04 10 20

아래줄기(제 8 목 제 1 가슴) 09 22 45

가슴근신경 01 02 03

겨드랑신경 04 12 24

등쪽어깨신경 01 02 03

긴가슴신경 2 05 10

안쪽아래팔피부신경 01 02 03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윗부분) 08 20 40

정중신경(앞뼈사이신경) 02 05 10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아래부분) 05 14 28

근육피부신경 03 09 18

노신경(삼두근침범) 05 14 28

노신경(삼두근보존) 04 12 24

어깨밑신경 1 02 03

어깨위신경 2 06 12

가슴등신경 1 03 06

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 6 05 30

자신경(아래팔중간 이하) 4 12 24

넙다리신경 3 07 15

폐쇄신경 1 02 03

위볼기신경 5 12 25

아래볼기신경 3 07 15

가쪽넙다리피부신경 1 02 03

궁둥신경 6 15 30

온종아리신경 3 07 15

얕은종아리신경 1 01 02

장딴지신경 1 01 02

안쪽발바닥신경 1 01 02

가쪽발바닥신경 1 01 02

A 가벼운 장애정상 활동이 가능한 경도의 감각감소 또는 저항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B 보통의 장애정상 활동에 제한을 주는 감각감소 또는 중력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C 심한 장애심한 통증을 동반한 감각감소 작열통 또는 운동이 거의 불가능한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

mdash mdash232

4 증 례

3O 세의 남자(오른손잡이)가 유리작업을 하다가 깨진 유리에 왼쪽 팔꿈치 아래의

심한 자상을 입고 치료를 받았다 당시 근육은 봉합 가능하였으나 신경은 봉합을

하였으나 기능은 회복되지 않았으며 이후 좌측 손 근육의 근 위축이 서서히 생기면

서 전형적인 갈구리 변형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상태로 내인성 근육의 근력저하가

이학적으로 명백하여 왼손으로는 일상생활울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또한 좌측

자신경의 감각소실이 현저하였다 다치고 계속 물리치료와 약물치료를 하다가 수상

후 약 8개월째 장해평가를 받기 원한다

먼저 수상후 최소 6개월이 지났으며 의학적으로 최대한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는 시기(MMI)를 경과하였다고 감정의사가 판단하고 더 이상 호전이 없을 것으로

생각하면 수상후 8개월에 장해평가가 가능하다

먼저 수상부위가 아래팔(forearm)의 중간이상 부위가 감각저하와 근육마비로 확

인이 되므로 일단 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의 항목에 해당된다고 본다 상기 상태는

C심한 장애상태로 판단되며 심한 통증과 작열통이 없지만 운동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ldquo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

의손상-Crdquo로 평가하며 24의 노동력 상실로 장해평가를 한다

D 통증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및 전신장애율()

항 목

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잘 쓰지 않는

팔다리

잘 쓰는

팔다리

I 복잡부위 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type I amp II )

A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에 경한 지장이 있는 경우 01-04 01-09

B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이 불가능한 경우05-14 10-24

C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현저한 지장을 주는

경우 15-29 25-39

D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30-45 40-60

mdash mdash233

항 목

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잘 쓰지 않는

팔다리

잘 쓰는

팔다리

II 의학적으로 명백히 기질적인 손상이 있는 질환에서

통증증후군이 동반되어 통증을 평가할 때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II 통증을 설명할 수있는 명백한 장기의 손상이 없지만

통증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일반적인 통증

증후군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 II III군의 적용과 A B C 항의 적용에 대한 세부지침은 아래에 있는 평가요령을 참고로

한다

2 세부지침

1) I 항 해당질환복잡부위 통증증후군 제 1 2형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I amp IICRPS type I(reflex sympathetic dystrophy RSD

반사교감 이형성증) CRPS type II(causalgia and posttr-aumatic neuralgia

작열통과 말초신경의 외상후성 신경통)

2) 복잡부위 통증증후군의 진단기준(Guide to the evaluation of the permanent

impairment AMA 5th ed p496)

국소 임상 증상

혈관운동계 변화(vasomotor changes)

bull 피부 색깔얼룩덜룩해진다 창백해진다

bull 피부 온도차다

bull 부종

발한성 변화(sudomotor changes)

bull 피부가 건조해 지거나 또는 촉촉해진다

영양성 변화(trophic changes)

bull 피부 결부드럽고 탄력이 떨어지는

mdash mdash234

bull 연부조직 위축특히 손발끝에서

bull 관절 강직과 운동범위 감소

bull 손발톱 변화홈이 나며 구부러지고 부리 같은 변화

bull 털 성장 변화빠지고 가늘고 길어진다

방사선학적 변화

bull 단순방사선검사뼈의 영양성 변화 골다공증

bull 방사성 동위원소 뼈스캔복잡부위 통증증후군에 합당한 소견

해석

=gt8복잡부위 통증증후군

lt8복잡부위 통증증후군이 아님

3) II 항 해당사항

① 의학적으로 확인할수 있는 기관의 장애가 있고 뇌 척추 말초신경과 같은 다른

항목에서 장애율을 매길 수 있는 질환에서 통증평가(다른 항목(뇌 척추 말초신경)

으로 계산한 장애정도가 통증장애를 포함한 모든 장애를 대표한다고 평가하였다고

보기 어려울 때)

예를 들어자기공명영상으로 확인이 되고 임상적으로 근력약화 감가소실을 나타

내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가 수술후 해당 신경뿌리 피부 영역에서 심한 통증을

계속 호소할 때

② 잘 알려진 통증질환이지만 통증증후군의 발생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어

통증의 발생을 미리 예측할 수 없는 경우(해당질환마비후 통증 척수공동증 통증 시

상증후군 상완신경총손상 통증 신경포착성 증후군 말초신경병 중추성 신경통)

4) III 항 해당질환해당질환두통 포진후 신경통 삼차신경통 홍색사지통증과

같은 질환

5) II III 항의 A-C 세부사항

A통증이 있지만 일상생활에 불편이 없음 통증으로 인한 고통이 없거나 미미

함 통증치료를 규칙적으로 할 필요가 없음 진찰중 통증관련 제한이 가볍거나 통증

행동이 거의 없음

B일상생활에 불편이 있고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조정이 필요함 통증으로

인해 다소의 정서적인 고통이 있음 통증 때문에 치료받거나 약을 복용하고 있음

진찰중 통증관련 제한이 상당히 있지만 통증행동은 거의 관찰되지 않음

mdash mdash235

C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움 통증으로 인해 심한 정서적 고통이 있음

통증약을 항상 복용함 진찰중 통증관련 제한이 심하고 통증행동이 많음

3 증 례

42세 오른손잡이 남자(선반공)로 우측 손의 수근관 증후군으로 진단받고 발병 3개월에

인대절제술을 시행하였음 수술후 수술전의 저림은 없어졌으나 수술 약 2주후부터

우측 손의 부종이 점차 발생하면서 우측 손의전반적인 통증이 발생하였다 복잡부

위 통증증후군 제 1형으로 진단받고 수회의 교감신경블록과 정중신경블록 약물치

료와 물리치료를 6개월 이상 시행하였다 현재 통증은 우측손에서 아래팔에서 어깨

까지 진행한 상태로 VAS 7-810상태가 계속된다 통증으로 인해 우측 손과 팔꿈치

어깨의 운동범위가 심하게 제한을 받고 있으며 이학적 소견상 우측손의 부종과 얼룩

덜룩한 색깔변화 손톱이 갈라지고 손이 차며 피부가 건조하다 손가락의 운동범위는

심각하게 감소하였으며 팔꿈치와 어깨는 어느 정도 관절운동 범위가 유지되고 있다

감각저하(hy-pesthesia)와 저림(paresthesia)가 있다 또한 스치면 통증을 느끼는

작열통이 동반되어 있다 검사시 우측 팔을 가능한 움직이지 않으려고 하며 스치면

얼굴을 찡그리면서 약간의 신음소리를 보였다 단순방사선 검사상 골다공 소견을

보이며 방사성 동위원소 뼈주사에서 동위원소의 증가소견을 보인다

장해평가

현 상태로 보아 정중신경의 만성적인 포착에 따르는 수근관 인대 절개술후 발생

한 복잡부위 통증증후군 제 1형(반사교감 이형성증 과거의 용어)으로 진단되며 세

부지침에 있는 복잡부위 통증증후군의 진단기준중 8개 이상을 보이는 전형적인 진

단기준에 합당하다 장애정도는 C 항에 해당한다 이환된 손가락의 운동은 불가하

지만 위의 설명상 우측 팔을 완전히 사용 못하는 상태는 아니라고 판단하기 때문이

다 오른손잡이이므로 25~39의 범위에서 감정의사의 재량에 따라 평가할 수 있

다 현 평가의 환자의 증상이 과장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고 vas 7-810을 보임에

따라 35~37의 장해평가를 내린다 범위가 있는 것은 통증 환자들은 모두 다른

증상을 보이는 다양한 장애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감정의사는 세심하

고 정확한 이학적 검사 및 면담을 통해 통증반응과 같은 상황을 참작하여 허용된

범위 안에서 자신의 판단을 이용하여 개개의 피감정인을 평가할 수 있다

Page 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제 출 문

노동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2005년도 노동부의 정책연구용역과제인 ldquo산재보험

장해평가기 개선을 한 기 연구rdquo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5 12

주 연구기 한의료감정학회

연구책임자이경석(순천향 천안병원 신경외과)

연 구 자 임 술(동국의 방의학교실)

정한용(순천향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 (한양의 정신과학교실)

정두신(순천향 천안병원 신경과)

백 흠(한양의 신경외과)

김창호(한국소비자보호원 분쟁조정2국)

이 주(노동부 산재보험 신 )

유성재( 앙 법과 학)

이달휴(경북 법과 학)

조임 (한국법제연구원 법제연구실)

이홍무(일본와세다 상학부)

mdash mdashi

- 목 차 -

제 1 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Ⅱ 산재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Ⅲ AMA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Ⅳ 산재기 과 국내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

Ⅴ AMA 기 과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Ⅵ 결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제 2 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

Ⅱ 산재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Ⅲ AMA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Ⅳ 산재 기 과 국내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5

Ⅴ AMA 기 과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Ⅵ 결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제 3 장 정신행동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Ⅱ 산재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Ⅲ AMA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Ⅳ 산재기 과 국내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mdash mdashii

Ⅴ AMA 기 과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Ⅵ 결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제 4 장 특수기능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Ⅱ 산재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Ⅲ AMA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0

Ⅳ 산재기 과 국내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Ⅴ AMA 기 과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Ⅵ 결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제 5 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Ⅱ 문가용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Ⅲ 일반인용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08

mdash mdashiii

- 총 목 차 -

제 1 부 국 내 제 도 제1장 우리나라 장해평가기 의 황과 문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제2장 산재보험 통계자료를 이용한 장해등 련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제 2 부 외 국 제 도 제1장 미국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7

제2장 독일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1

제3장 일본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9

제4장 랑스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0

제 3 부 의료분야(Ⅱ) 제1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제2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

제3장 정신행동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제4장 특수기능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제5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 부 록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5

mdash mdash1

제 3 부 의 료 분 야

제1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제2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

제3장 정신행동 장해평가

제4장 특수기능 장해평가

제5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mdash mdash3

제 1 장 근골격계 장해평가1)

I 서 론

II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III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IV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1 상지 장애

2 하지 장애

3 척추 장애

V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1 상지 장애

2 하지 장애

3 척추 장애

VI 결 론

1) 백광흠(신외) 이승림(정외) 김종문(재활) 도재원(신외) 오성훈(신외) 강윤규(재활) 최재욱(예방) 조경석(신외)

mdash mdash5

제 1 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Ⅰ 서 론

근골격계 영역은 미국의학협회의 장해2)평가기준(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ition 이하 AMA라 칭함)에서 제 15장 척추와 골

반 제 16장 상지 그리고 제 17장 하지로 나누어 기술되어 있다 이는 산업재해보

상보험법의 장애등급 판정에서의 장해계열 구분에서는 15(척주) 16(기타 체간골)

17 팔(결손 기형장해) 18 팔(기능장해) 19 팔(흉터장해) 20 손가락(결손 기능

장해) 21 다리(결손 기형장해) 22 다리(기능 장해) 23 다리(단축장해) 24 다리

(흉터장해) 25 발가락(결손 기능장해) 장해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근골격계 장해

평가기준개발팀에서는 해당 AMA 기준 중에서 근골격계에 해당되는 내용을 요약

분석하고 근골격계의 장해평가를 산업재해보상보험법과 AMA의 기준을 비교한 후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 항목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모든 국내법은 장애 정도에 대한 평가 기준을 국가배상법 시행령의 별표로 규정

하고 있다 시행령의 별표를 살펴보면 장해평가는 등급을 나누고 추정 노동력 상

실율의 를 표시하였는데 각 등급에서는 장애항목을 예시하는 예시형 추정

(example-based estimation)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장애등급과 항목은 일본의

1926년 공장법 시행령 제7조 별표의 장애등급과 장애항목을 1947년 노동기준법

시행령의 보상일수에 대한 규정을 국내에서 1953년 근로기준법을 제정할 때에 번

역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공장법 시행령은 14등급 120항목이고 국내의 산업재

해 보상보험법은 14등급 141항목을 두고 있다 이러한 등급표는 너무나 단순하며

장해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규정을 가지고 있지 않다

산업재해 보상보험법에서는 국가배상법 시행령의 장애등급표와 거의 동일한 계열

2) 국내에서는 장애 장해에 대한 용어가 혼용되는데 WHO는 1980년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Disabilities and Handicaps (ICIDH)를 출판하였고 이는 국내에서 각각 순서대로 장해 장애

불구로 번역되었다 따라서 impairment와 disability에 해당되는 용어는 이를 기준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mdash mdash6

분류와 등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좀 더 객관적인 등급 결정을 위해 구체적인 시

행세칙을 마련하여 장해등급판정요령(1984 5 28 예규 101호)을 두고 이에 따라

장애등급을 판정하고 있다 또한 이 시행세칙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이외 자동차배

상법 생명보험사장해등급분류표에서 비슷한 내용의 장해평가기준의 기본이 되었다

산업재해 보상보험법에서는 신체를 해부학적 관점과 기능면의 생리학적인 관점에

서 장애군을 25개의 장애계열로 나누고 장애 등급을 1급에서 14급까지로 구분하

고 있다 만일 계열을 달리하는 신체장해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중한 쪽에 해당하

는 신체장해를 등급으로 인정하거나 1~3 등급을 인상하여 신체장해의 등급을 판

정한다 이렇게 신체장해의 등급을 달리하는 방법을 lsquo조정rsquo이라고 한다 또한 등급표

에 예시된 장해항목 이외의 신체장해가 있을 경우에는 장해의 정도에 따라 주어진

신체등급표의 장해항목에 준하여 등급을 결정하는데 이를 lsquo준용rsquo이라고 한다 산업

재해보상보험법의 장해등급평가 세칙은 장해(impairment)에 해당되는데 내용은 별

표의 해당 장해 항목이나 조정 등으로 정해진 장해등급에 따라서 보상일수가 정해

지므로 장해등급이 신체손상의 정도를 반영하게 된다 반면 동일한 방법의 장해평

가표이면서도 국가배상법에서는 장해등급표 옆에 임의로 노동능력 상실률을 정하고

있어 노동력 상실율과 신체손상율에 대한 개념의 혼동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국

가배상법에서는 제1~3급의 노동능력상실률이 100이며 제4급이 90이고 각 등

급마다 10씩 노동능력상실률이 낮아지도록 하고 있다

국내법에서 장해평가 시기는 증상이 고정됨을 전제로 하고 있다 산업재해 보상

보험법에서 lsquo치유된 때라 함은 부상 또는 질병에 대하여 의학상 일반적으로 승인된

치료방법을 사용하여 요양하였으나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태로서 남게 되는

증상이 자연적 경과로 인하여 도달된다고 인정되는 최종상태(증상의 고정)rsquo로 정의

하고 있다 장애정도의 평가는 원칙적으로 요양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태가 되

어 증상이 고정된 때에 실시한다 그리고 6개월 이내의 기간에 증상이 고정될 가망

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기간이 지난 후에 장해평가를

실시하여 장애 등급을 판정하고 있고 국민연금법에서는 초진일로부터 2년이 경과

한 시점을 장해평가시기로 정하고 있다

등급을 통한 장해평가는 신체장애의 종류에 따라 장애항목이 결정되어 장애에

관한 배상이나 보상의 관련된 업무에 대해 행정적 처리는 편리하다 또 다른 장점

으로는 시행세칙에 따른 평가에 있어 다소 불합리한 부분이 있더라도 조정이 잘되어

mdash mdash7

있고 해당조항이 없더라도 준용함으로써 비슷한 등급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장애항목의 서술이 애매한 형용사 형의 사용이 많아 조잡하며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항목의 분류가 엉성하다 또한 장애등급이 곧바로 신체손상율이나 노동능력상

실이라고도 말할 수 없고 현재의 사회 환경이나 의학수준과 격차가 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 하지의 장애를 주로 관절 장애로 준용하도록 유도되어 있어 신경손상

이나 국소적 근 손상 등의 평가도 관절운동의 제한으로 평가함으로써 적절치 못한

평가가 된다 뿐만 아니라 상 하지의 장애도 ldquo3대 관절 중 2(또는 1)관절rdquo 같은

식으로 각 관절간의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가 없이 단순히 해당 관절의 개수만을 평

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평치 못한 장해평가가 되고 만다 이에 비해 AMA나 맥브

라이드식 장해평가에서는 각 관절별 신체손상율 및 노동력 상실율이 실제 장애로

인한 기능적 제한 정도를 반영할 수 있도록 차등되어 있다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상 지

AMA에서 상지의 장해는 제 16장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제 139에서 상지의

말초신경 손상에 대한 장해평가에 일부 그 내용이 언급되어 있지만 주 내용은 제

16장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 장에서는 근골격계 손상에서의 상지 장해인 제 16장의

내용을 주로 다루고자 한다

AMA 제 5판에서는 근골격계에서 흔히 다루어 지는 장해인 절단 장해 관절 장

해 운동말초신경 장해 외에 뿐 감각신경 손상 혈관질환 복합국소통증증후군 등까

지 다루고 있다 맥브라이드나 이전 제 3판에서와 달리 장해평가에 있어 우성 수

(dominant hand)에 대한 조정을 하지 않고 있다 이는 우성 수를 객관적으로 알아

내기가 쉽지 않고 그 의존의 정도도 사람에 따라 다양하여 양손의 차이가 뚜렷할

수도 있지만 그 차이가 미미하거나 완벽한 양손잡이 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지의 장해평가는 크게 수부와 기타 부위로 나눌 수 있는데 이는 그림 16-1a와

b에 잘 나타나 있다

mdash mdash8

그림16-a 팔 장해 평가 기록 ndash 제1부 (손) 좌우 우 좌

성명 _________________ 연령 ______ 성별 남 여 주손 우좌 일자 ____________

직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진단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비정상 운동 절단 감각 소실 기타 장애 손 장해()

운동 또는 강직 각도 및 손 장해()를 기록한다

절단 위

치 및 장

해()를

표시한다

유형 위

치 및 장

해()를

표시 한다

유형 및

장해 기

록한다

손가락 장해를

병합한다

손 장해로 전환

한다

굴곡 신전 강직 장해()

IP각도

장해

MP각도

장해

운동 강직 장해()

CMC

요 골

외전

각도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내전Cm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대향접

촉운동

Cm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를 합산하면 CMC + MP + IP=

[1]

손 가 락

IMP =

[2]

손 가 락

IMP =

[3]

손 가 락

IMP =

[4]

손 장해

굴곡 신전 강직 장해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

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

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mdash mdash9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손 장해 총량 엄지손가락 + 집게손가락 + 가운뎃손가락 + 약손가락 + 새끼손가락 =

손 장해 총량을 팔 장해로 전환한다dagger(엄지중수골에 문제가 없다면 제2부 Ⅱ항에 기재한다) =

Thumb ray upper extremity amputation 장해____ + hand upper extremity 장해 ____ =

손 부위의 장해가 장해의 전부라면 팔 장해를 전신 장해로 전환한다 =

그림16-1b 팔 장해 평가 기록 ndash 제2부 (손목 팔꿈치 어깨) 좌우 우 좌

성명 _________________ 연령 ______ 성별 남 여 주손 우좌 일자 ____________

직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진단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비정상 운동 기타 장애 국소 장해 절단

운동 또는 강직 각도 및 장해를 기록한다유형 및 장해

를 나열한다

병합한다 [1] +

[2]

위치 및 장해

를 표시한다

굴곡 신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RD UD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합산한다 장해 굴곡신전 + RDUD = [1] 장해= [2]

굴곡 신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회내 회외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합산한다 장해 굴곡신전 + 회내회외= [1] 장해= [2]

mdash mdash10

굴곡 신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내전 외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내회전 외회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합산한다 장해 굴곡신전+ 내전외전+내회

전외회전 = [1]장해= [2] 장해 =

Ⅰ 절단 장해(손가락 외) =

Ⅱ 팔의 국소 장해

(합산한다 손 _____ + 손목 _______ + 팔꿈치 ________ + 어깨 _______ ) =

Ⅲ 말초신경계통 장해 =

Ⅳ 말초혈관계통 장해 =

Ⅴ 기타 장해 (국소 장해에 포함되지 않은 것) =

팔 장해 총량 (Ⅰ Ⅱ Ⅲ Ⅳ Ⅴ를 병합한다) =

전신 장해(표16-3을 활용한다) =

〈표 16-1 16-2 16-3〉을 이용하여 각각 수지 장해를 수부 장해 수부장해를 상지 장해

이를 다시 전신장해율로 전환하여 사용한다 각각의 장해율은 병합(combine) 하는 것이 원

칙인데 다음의 경우 합산(add) 하기도 한다

1 손 장해 총량(100)은 각각의 손가락 장해를 합산하여 구한다 엄지손가락은 40 집게

손가락은 20 가운뎃손가락은 20 약손가락은 10 새끼손가락은 10 이다 (표

16-1 및 표16-4)

2 손에 다른 장해가 있다면 이를 팔 장해로 전환한 후 thumb ray 절단으로 인한 팔 장해와

합산한다

3 Thumb Ray 운동 장해값은 각 관절 운동 장해값을 합산해서 구한다 엄지손가락의 기능

단위(100)는 수근중수골 75 중수수지(MP) 10 지절 사이(IP) 10 등 손가락을 구

성하는 관절의 장해값을 합산한다 그러나 운동 상실에 대한 손가락 관절 장해 등급은

합산하지 않고 병합해야 한다

상지의 관절운동 제한에 의한 장해평가에서 관절의 운동범위에 따라 장해율을 적

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기능적인 위치에서 신체손상율을 최소로 하고 여기에서

부터 가능한 운동 범위에 따라 신체손상율을 다르게 했다 즉 가능한 운동 범위에

따라 신체손상율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범위가 적어도 기능적 위치에 가까우

면 더 적은 신체손상율을 주도록 하고 있다

mdash mdash11

〈표 2-2〉 상지 관절에서 최소 장해율을 보일 때의 관절각도 (AMA 장해평가지침서 제5판)

관절 Ia

총 장해율

Ie

신전장해율

If

굴곡장해율

V

각도

견관절

굴곡 신전 15 5 10 40

15 5 10 30

15 4 11 20

내회전 외회전 6 2 4 내회전 20

6 2 4 내회전 30

6 3 3 내회전 40

6 4 2 내회전 50

주관절

굴곡 신전 21 11 10 80

회내 회외 8 4 4 회외 20

완관절

굴곡 신전 21 8 13 신전 10

21 11 10 0

21 13 8 10

요굴 척굴 9 5 4 0

9 4 5 척굴 5

9 4 5 척굴 10

무지

중수지관절 5 1 4 20

지관절 7 3 4 20

손가락

중수지관절 45 12 33 30

근위지관절 50 14 36 40

원위지관절 30 4 26 20

Ia 총 장해율 Ie 신전 장해율 If 굴곡 장해율 V 관절각도

Ia = Ie + If

이와 같이 AMA에서의 상지 장해평가는 상당히 복잡하고 그 평가에도 상당한 시

간이 소요된다 특히 다발성의 수지 손상이라면 그 평가에 필요한 시간은 엄청나게

증가된다 반면 상당히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므로 운동범위 등의 측정치만 일정

하다면 수학 공식과 같이 대입만하면 어느 누가 장해평가를 하더라도 거의 일치되

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하 지

하지의 장애는 17장에 기술되어 있으며 개인의 일상생활(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수행 여부를 반영하는 영구적인 신체장애율로 표기되며 이를 위해 하

mdash mdash12

지를 6분야로 나누고 있다 족부 후족부 족관절 하퇴 슬관절 고관절 및 골반부

로 나누고 이에 신경계 및 혈액순환계를 포함한다 평가는 하지의 해부학적 변화

진단적 기준 및 기능적 변화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제 5판의 AMA에서는 평가방법

을 명기하고 서로 병합할 수 있는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작열통(causalgia)과

같은 항목에 대해서는 중추신경계를 인용하여 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해부학적인 분류에 따른 평가는 하지부동 근위축 관절강직 절단 관절염 피부

결손 말초신경손상 혈관계손상 및 작열통의 세부항목으로 나뉘고 기능적 분류에

따른 평가는 관절운동범위 보행이상 및 근력으로 나뉘며 진단적 분류에 따른 평

가는 골절 인대손상 반월상연골판 절제술 족부변형 고관절부 및 골반부의 점액낭

염과 인공관절 치환술로 세분되어있다 각각의 평가항목들은 서로 병합할 수 있는

항목과 그렇지 못한 항목들을 구분하여 하지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지와 마찬가지로 한쪽(unilateral)의 하지를 기준으로

장해율이 표기되어 있으며 전(全) 손실의 경우 전신에 대하여 40의 상실률이 책

정되어 있다

3 척 추

제 15장 척추 장해를 살펴보면 다른 장기의 장해 평가 방법과 마찬가지로 장해

의 정도는 등급이 아닌 장해율로 평가를 한다 척추 장해 등급 평가는 진단 관련

평가(Diagnosis-related estimates DRE) 또는 운동 범위평가 (ROM) 중 하나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DRE 방법은 명백한 손상이 있는 환자를 평가할 때 주로 사용

된다 장해 원인을 알 수 없을 경우나 DRE 방법으로 장해의 특성을 잘 나타낼 수

없는 경우 DRE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ROM 방법은 DRE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에 사용한다 DRE 방법은 경추 흉추 요추 등 척추 3부위마다 8개의 DRE 카테고

리로 분류한다 환자를 DRE 카테고리에 정확하게 분류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한다 첫째 방법은 증상 징후 및 적정 진단 검사 결과에 근거한다 둘

째 방법은 골절 및또는 임상적 증상의 유무에 상관없이 탈구에 근거한다 환자의

골절이 확인되어 DRE 카테고리로 분류 되었다면 다른 증명은 필요하지 않다 상지

장해를 평가하는 방법은 근본적으로 해부학적 평가 방법이다 해부학적 부위별로

절단 운동 소실 또는 강직 감각 소실 기타로 인한 장해를 모두 구하여 이를 병합

mdash mdash13

표15-20 척추 장해 평가 요약

성명 ___________________ 주민등록번호 ____________________ 일자 _________________

장해 경추 흉추 요추

1 DRE 방법 (표15-3~표15-5)

2 ROM 방법 (표15-8)

3 신경근 통증이 있거나 없는 감각 소실 근력 소실

한 후 장해율표를 이용하여 장해정도를 평가한다 하지의 장해평가시 다리 평가에

는 13 가지 방법이 있다 표17-1은 13가지 방법을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3개 카

테고리 즉 (1) 해부학적 (2) 기능적 또는 (3) 진단에 근거한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주요 평가 방식을 반영하고 있다 운동 범위 (ROM) 다리 길이 차이 관절염 피부

변화 절단 근육 위축 신경 손상 혈관 장해 등 해부학적 변화는 이학적 검사를 통

해 평가한 후 임상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관절염에는 통증 쇠약 경

직 등으로 인해 손상을 입었으나 기능성 운동 범위를 유지하는 확진 관절염 환자에

게 적용되는 고유의 진단 카테고리가 있다 관절염은 X-선 사진에서 측정된 관절

공간이 좁아진 것을 근거로 평가한다 작열통 및 복합부위통증증후군(반사적 교감신

경성 기능장해)은 ROM 방법 및 말초신경 평가 기법을 병합하여 평가한다 진단에

근거한 평가는 특정 골절 및 변형 인대 불안정 윤활낭염 및 관절 치환 및 반월연

골절제술을 포함하는 여러 외과 처치로 인한 장해를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진단에 근거한 평가 방법을 다른 평가 방법과 병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기능 장해는 해부학적 변화의 분류가 어렵거나 기능적 관련성이 증명되었을 때 선

택된다 기능 장해는 맨 마지막에 평가한다 동일한 질환을 평가한 방법은 서로 병

합하지 않는다 적정 방법을 선택하거나 여러 방법을 병합하려면 판단력과 경험이

있어야 한다 정확하고 일관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입증 자료를 주의 깊게 검토

해야 한다 한 개 이상의 평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보다 높은 장해 등급이

확인되는 등급을 선택한다 상지나 하지의 장해평가에 대한 AMA 기준은 매우 논리

적이며 공신력이 있으며 아주 자세하고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합리적이다 하지만

너무 자세하고 복잡하여(상하지만 137개의 표) 따로 교육을 받지 않으면 평가할 수

없을 정도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점이 있다 특히 직관적이고 포괄적인 평가를 선호

하는 우리나라 의사들에게는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표 1〉 근골격계 장해평가표(AMA 기준 요약)

mdash mdash14

4 기타 (1514절 기준)

5 전체 국소 장해(lsquo병합장해율표를 이용하여 세로줄의 장해를 모두 병합한다)

6 전체 척추 장해(lsquo병합장해율표rsquo를 이용하여 모든 국소 장해 합계를 병합한다)

7 다른 기관 계통의 장해 각각의 장해에 대해 상태 본 지침서의 쪽수 장해율을 기록한다 장해가 발생한 기관 계통 장해율() 본 지침서 쪽수

a

b

c

d

e

8 전신 장해 lsquo병합장해율표rsquo를 이용하여 위 7항의 장해와 척추장해를 병합한다 장해가 여럿인 경우 척추 장해를 가장 큰 장해와 병합한 후 명시된 모든 장해가 반영되도록 기타의 장해값과 병합한다 전신 장해 총량 _______________________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신체장해평가 방법의 기준에 대해서는 각종 법률에 의해

정해져 있다 장해평가와 보상에 관련된 법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국가배상법 장

애인복지법과 각종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및 각종 연금법 등을 망라하여 근 20개가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대표적이고 다른 법규의 평가 기준의 모태가 되는 법은 산업

재해 보상보험법 국가배상법 장애인복지법을 들 수 있다 장해평가기준도 국가배

상법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그 근간을 두고 있으며 그 평가내용은 대개 동일하다

1 상지 장애

상지의 장애는 두 팔을 팔꿈치 관절 이상에서 잃은 사람 또는 두 팔을 영구적으

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1급)부터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

의 손가락의 말(末)관절을 굽히고 펼 수 없게 된 사람(14급)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기술이 구체적이고 비약이나 단절 없이 장해가 나열되어 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하 산재)의 신체장해등급표(시행령 별표 2)와 가장 비슷한

국내 장해평가기준은 국가배상법(이하 국배법)의 신체장해의 등급과 노동력상실율

표(시행령 별표2)이다 이 두 기준은 모두 일본법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장해등

급 분류와 항목이 거의 일치한다 그러나 장애등급 결정을 위한 세부 지침은 산업

mdash mdash15

재해보상법 시행규칙 별표 4의 신체부위별 장해등급결정에는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

나 국배법에는 없고 국배법에 제시되어 있는 노동력 상실율과 별표 3의 2개 부위

이상의 신체장해 종합평가 등급표(즉 장애 병합표)가 산재법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산재와 국배법의 장애등급이 14급까지로 분류되어 있는데 비해 국민연금(총 4급)

장애인복지법(총 6급) 생명보험(이전 총 6급 현 지급율에 따라 총 10-12등급)은

장애등급의 분류가 불명확하고 각 등급간의 차이에 대한 객관적 비교나 설명도 미

흡하다

또한 각 장해 평가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장해 내용은 서로 간에 매우 유사하

지만 해당 장해등급은 상이하다 특히 산재 장해등급의 경우 다른 장애등급표와 달

리 ldquo팔꿈치관절 이상에서의 손실rdquo ldquo손가락 장애의 세분화 된 항목rdquo 등이 설정되어

있어 다른 장해평가기준에 비해 좀 더 세세한 장해 분류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최근 개정된 생명보험사 약관의 장애지급율표와 국배법의 노동력 상실율을

비교해 보면 그 차이는 더욱 커짐을 알 수 있다 (아래 표 참조) 물론 지급율과 노

동력 상실율을 동일시 할 수는 없지만 노동력 상실율이 장애정도를 대변하듯이 지

급율도 마찬가지이므로 이 두 항목은 상당한 유사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럼

에도 국배법의 노동력상실율 생보약관 지급율 장애인복지법상 장애등급에 따른 장

애율 간에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장해의 경중이 유사한 장해끼리도

각 장해평가기준마다 조금씩 다르고 적용 등급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근골격계 장해평가의 근간이 되는 관절운동범위의 측정도 객관성이

거의 없는 능동운동범위를 측정하여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객관적인 장해평가가 매우

어렵다

산재법 시행규칙에 비교적 자세한 평가 가이드라인이 있으나 객관화된 검사법을

이용한 평가법이 거의 사용되지 않고 최신 검사나 검사법등에 대한 언급이 없는 단

점이 있다 또한 신경마비나 근 손상에 의한 장해도 능동운동 제한을 이용한 관절

운동으로 평가하는 등 객관화된 검사를 이용한 평가가 되지 못하는 것은 매우 안

타까운 일이다

mdash mdash16

상지 장애의 국내 장해평가기준 비교

장 애 상 태 국민연금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국배법

노실율()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1급 5 100

두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두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1급

(42)1급 1

2급 3

1급 6100 100

한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급 4 90

한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한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57) 2급 2

5급 2

5급 460 80

두 손의 손가락을 전부 상실하였거나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9 2급 1

3급 5

4급 6

100

90

한 손의 모든 손가락을 잃은 사람 3급 2 6급 8 55 70

한 팔의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3급 5 6급 6 7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4급 5 8급 6 30 50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4급 1 3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손가락을

잃은 사람5급 1 8급 3 25 5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6급 1 9급 10 15 40

결론적으로 산재법의 장해등급분류는 비교적 자세히 분류가 되어 있으나 장해의

경중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필요하고 일부의 경우는 매우 자세히 분류가 되어 있으

나(예 수지) 일부는 해당 항목을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점(예 근력의 정도에

따른 분류 등이 없음)과 좀더 객관화 된 검사를 이용하지 못하고 환자의 진술 능동

운동 등에 의해 평가가 된다는 점에서 장해평가표의 재구성과 객관화를 위한 가이

드라인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 하지 장애

하지의 장애 역시 두 다리를 무릎관절 이상에서 잃은 사람 또는 영구적으로 완전

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1급)부터 한 발의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1개 또는 2개

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14급)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구체적으로 장해가

나열되어 있다

mdash mdash17

장 애 상 태 국민연금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국배법

노실율()

두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두 다리를 무릎 관절 이상에서 상실한자1급 3 1급 2 1급 8 100

두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1급 5 2급 3 2급 4 100 100

한 다리를 무릎 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4급 5 90

한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2급 6 4급 5 5급 3 60 80

한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8 3급 5 5급 5 80

두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2급 10 5급 4급 7 90

한 다리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3급 6 4급~5급 6급 9 70

한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3급 9 6급 4 7급 8 40 60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을 쓸 수 없도록 장

애가 남은 자3급 10 5급 7 7급 11 6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4급 6 4급~6급 8급 8 30 50

한발의 5개발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8급 11 30 50

한발의 첫째발가락을 잃었을 때 10급 11 10 30

하지장애의 국내 장해평가기준 비교

AMA 기준은 팔의 비중이 다리의 비중보다 크다 그러나 한 팔을 팔꿈치관절 이

상에서 잃은 사람이 4급(90) 장해인데 비해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

람의 장해가 1급(100)으로 등급으로는 세 등급이 다르지만 장해율로는 10 차

이 밖에 없다 한편 사지의 관절운동 장해는 대부분의 장해가 운동범위 제한에 따

른 장해인데 운동범위 측정이 환자의 보상 심리 때문에 협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

면 부정확하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의 장해 평가 기준도 상지에서와 마찬가지로 각 장해등급표에서 제시하고 있

는 장해 내용의 유서성에 비해 해당 장해등급과 노동력 상실율 신체손상율 등은

각 장해기준마다 너무나 상이하다 특히 산재 장해등급의 경우 ldquo양측 무릎관절 이

상에서의 상실rdquo은 ldquo양측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rdquo 것과 동일

하게 1급에 해당되나 ldquo한쪽 무릎관절 이상에서의 상실rdquo (4급 5)은 ldquo한쪽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rdquo (5급 5)와 다르고 오히려 ldquo한 다리의 발목

관절 이상에서의 손실rdquo과 동일하다

즉 장해의 경중이 유사한 장해끼리도 각 장해평가기준마다 조금씩 다르고 적용

등급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근거도 알 수 없다

mdash mdash18

3 척추 장애

산업재해 보상보험법 시행령의 별표 2(2002년 6월 27일 개정)인 신체장애등급표

에서 척추의 장애는 변형장애 기능장애로 구분하고 있다 그리고 시행규칙의 별표

4(2000년 7월 29일 개정) 신체부위별 장애등급에서 보면 추간판탈출증에 대한 기

능장애로 장해평가에 대한 조건과 방법 및 준용등급에 대해서 따로 규정하고 있다

(표 2) 장애등급표의 장애항목은 lsquo척주에 뚜렷한 기형이나 뚜렷한 기능장애가 남은

사람(제6급제5호)rsquo lsquo척주에 경도의 기형이나 기능장애가 남은 사람(제8급제2호)rsquo

lsquo척주에 기능장애가 남았으나 보존적 요법으로 치유된 사람(제10급제6호)rsquo lsquo척주에

기형이 남은 사람(제11급제5호)rsquo 등으로 등급 자체가 4개 등급으로 너무 단순하

고 등급을 나누는 기준이 구체적이지 못하다 관례적으로 1분절 유합(fusion)은 8

급 2분절 유합은 6급으로 판정하는데 더 오랜 기간 더 많은 치료를 받은 뒤 더

높은 등급의 장해를 갖게 되는 기이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장애 정도에 대한 lsquo뚜

렷한rsquo lsquo경도의rsquo 등의 애매한 형용사형을 사용하고 있으며 장해평가의 시행세칙에서

각각의 평가 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형용사형의 기술에 의한 기준으

로는 장애의 객관적인 평가가 어렵다

또한 추간판탈출증에 대해서는 동법의 시행규칙에서 별도로 분류하여 평가하며

의학적 임상증상과 특수검사 소견이 일치하는 경우에 인정하고 있다 또한 수술여

부에 관계는 없으며 척추의 운동장애는 인정하지 아니하고 다만 후유신경증상의

유무와 정도에 따라 장애의 정도를 결정한다 장해평가의 기준을 보면 요통과 방사

통 등의 자각증세가 있으나 검사결과에 이상소견은 인정되지 아니하나 단순한 고

의나 과장이 아니라고 의학적으로 추정되는 경우에는 제14급으로 인정하고 자각증

세가 있고 하지직거상검사에 의한 양성소견이 있는 경우에는 제12급 근위축 또는

근력약화와 같은 임상소견이 뚜렷하고 특수보조검사에서 이상이 있으며 척추신경

근의 불완전마비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제10급 신경마비로 인하여 사지에 경도의

단마비가 있을 경우에는 제9급 2개 이상의 추체간에 추간판탈출증에 대한 수술을

하거나 하나의 추간판이라도 재수술을 하여 후유증상이 뚜렷한 경우에는 제8급을

인정한다고 시행세칙에 규정하고 있다

산업재해 보상보험법의 척추 장해평가는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척추의

장애를 크게 형태의 장애로 후만 측만과 골절정도에 의한 변형과 척추 기능의 장

애가 예상이 되는 형태의 변화로 골유합술 골절로 인한 척추운동의 제한으로 구분

mdash mdash19

장 애 상 태 국민연금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척추에 고도의 변형이나 현저한 기능장애가 남은 자 2급 4

척추의 장애로 인하여 앉아 있을 수 없거나 자기

힘으로 일어서기가 곤란한 사람2급 5

척추(등뼈)에 심한 기형을 남긴 때 50

척추(등뼈)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40

척추에 고도의 장애가 있는 사람 5급 8

척추의 기능에 중증도의 장애가 남은 자 3급 4

척추에 현저(뚜렷)한 장애가 있는 사람 6급 5 6급 5 30

척추(등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6급 5 30

척추에 기능장애가 남은 자 4급 4

척추(등뼈)에 약간의 운동장해를 남긴 때 8급 2 10

척추(등뼈)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 때 11급 5 15

하고 있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산업재해에서 많이 부딪히는 문제인 추간

판탈출증에 대해서는 따로 분류하여 이의 장해평가를 제한하고 신중히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추간판탈출증에서 주관적인 통증은 배제하려 노력하였고 방사선 검

사를 통하여 객관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신경근의 손상의 정도에 따른 신경학적

결손에 의해 척추의 장애를 평가하였다 그러나 장애 정도의 평가에 있어 장애등급

에 의한 평가로 여러 장기의 장애가 있는 복합장애를 평가함에 있어 등급의 조정은

매우 불합리하다

척추장애의 국내 기준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AMA기준은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해평가기준 중에서 지속적으로 개정 개선

되어 현재 의학 수준과 비슷한 평가가 가능한 평가방법으로 백분율인 신체장애율

로 신체장애의 정도를 표현하는 평가 기준이다

1 상지 장애

AMA 장해평가지침서의 신체손상율(impairment)과 맥브라이드 장해평가서의 노

동력상실율(disability)을 단순 비교하는 것은 옳지도 않고 그렇게 해서도 안 된다

mdash mdash20

물론 맥브라이드가 인체를 전신 상지 하지로 이를 다시 몇 개의 부분으로 분류하

여 국소부위 손상율을 전신대비 신체손상율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이

개념은 그대로 AMA에서도 사용되고 있지만 맥브라이드 장해평가의 경우 여기에

직업에 따른 장애 가중율(직업가중율 또는 직업계수)을 적용하는 점이 AMA와의 가

장 큰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전 판의 AMA 장해평가서의 신체손상율은 맥브라이드의 기본 장해율 즉 직업

계수가 적용 안 된 전신대비 장해율과 유사한 점이 많았었다 그러나 AMA 제 5판

에 와서는 이전 판에 비해 상당한 변화가 있어 책의 구성 기술뿐 아니라 장해율까

지 많은 변화가 있었다

맥브라이드식 장해평가에서 직업에 따른 노동력 상실율의 차등 적용은 일견 상당

히 일리가 있어 보이기도 한다 즉 손가락이 잘려나간 피아니스트와 축구선수의 노

동력 상실의 정도를 같다고 하는 것은 누구나 공평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의학적 관점에서 본다면 의사는 수순한 신체 손상에 대한 평가만을 하는 것이 옳다

는 주장도 있고 이것이 AMA 신체손상율이다 뿐만 아니라 맥브라이드 장해평가서

의 직업 분류에 대해서도 많은 논란이 있는데 그 당시에 있었던 직업이 현재는 없

기도 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또한 그 당시에는 상당한 육체적 기능이 뒷받침

이 되었던 직업이 현대에 와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따라서 좀더 객관적인

의학적 장애 판정을 위해서는 신체손상율을 판정하는 것이 옳을 것이라 생각된다

아래 표는 산재 보험에 해당되는 내용과 급수를 AMA 신체손상율(장해율)과 맥브

라이드의 직업계수를 적용하지 않은 기본 장애율과 일반 노동자 기준(직업계수 5)의

노동력상실율을 비교한 표이다 또한 이를 산재법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는 국가

배상법에서의 노동력 상실율(실제 내용상은 신체손상율에 가까움)과 비교하였다

AMA 신체손상율과 맥브라이드 노동력 상실율의 비교에서 맥브라이드의 기본 장

애율과는 상지의 근위부 절단과 같이 손상정도가 큰 경우는 그나마 큰 차이가 없었

으나 원위부의 경우는 매우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두 값의 비교가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AMA 신체손상율과 일반노동자 기준(직업계수 5)의 맥브라이드 장애율의

경우는 일부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비슷한 정도의 장애율을 보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손상의 정도가 국가배상법에서는 훨씬더 중하게 다루어짐을 알 수 있다

절단이 아닌 관절 장애의 경우 산재법을 비롯한 국내 장해평가기준들은 3대 관절

중 몇 관절이 포함되었느냐를 판단의 근거로 하였는데 이는 매우 잘못된 판단이다

즉 상지의 3개의 주요 관절 어깨 팔꿈치 손목의 중요성을 모두 동등하게 보고

mdash mdash21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McBride

(기본율)

McBride

(직업5)

국배법

노실율()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1급 5 6060=

84

5050=

75

5959=

8319100

두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두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3

1급 6

5757=

82

4040=

64

4949=

7399100

한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급 4 60 50 59 90

한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한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5급 2

5급 457 40 49 80

두 손의 손가락을 전부 상실하였거나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3급 5

4급 6

5454=

79

2756

2756=

4758

5439

5439=

7920

100

90

한 손의 모든 손가락을 잃은 사람 6급 8 54 276 5439 70

한 팔의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6급 6 7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8급 6 50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손가락

을 잃은 사람8급 3 5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9급 10 40

있는데 기능적으로도 장애율로도 이는 옳지 않은 평등적 평가이다 AMA뿐 아니

라 맥브라이드에서 관절에 따라 그 가중치를 다르게 하고 있어 산재법 하의 장애정

도를 이들 국외 장애 기준과 비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결론적으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비롯한 국내법의 경우 국외의 장해평가기준에

비해 기준이 모호하고 내용도 세분화 되지 못했으며 실제적인 기능적 사용의 평가

와도 거리가 멀고 외국 장해평가기준에 비해 그 정도가 심하게 평가되고 있는 경향

이 있다

상지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2 하지장애

기존의 장애판정은 해부학적인 절단위치 강직의 정도 관절운동범위 관절의 이완

및 하지 골격구조의 변형에 한정되어 있으나 제5판의 AMA의 제17장에 기술되어있는

하지 장애는 이외에도 보행이상 근력측정에 따른 약화의 정도 하지부동 근위축 관

절염 피부결손 신경계 및 혈관계이상 작열통 점액낭염 및 인공관절 치환술의 경과에

mdash mdash22

따른 장애정도의 판정 등을 첨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하지의 장애를 판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들을 병합하는 기준과 병합되지 못하는 기준도 제시되어

장애판정을 시행할 때 병합에 따른 이견을 미리 제거할 수 있는 근거를 나타낸다

장점은 기존의 기준에 비하여 의학적인 면이 세밀하게 기술되어 있어 과학적이고 객

관적이며 공신력을 가지고 있어 활용의 문제점이 없고 장애를 해부학적인 면과 기능적

인 면 그리고 진단적 방법에 의한 면으로 구별하여 장애를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으

며 시대적 변화에 따른 의학발전과 아울러 장애의 정도가 조정되어 있고 기존에 장애

판정을 시행할 수 없었던 주관적 증상에 따른 판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단점으

로는 이를 판정하는 데에 있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AMA 기준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 기준에 따른 적용방법에 대한 일종의 수련과정이 필요하여 미국

의 경우 자격증을 필요로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그러한 과정이 없는 것이 현실

이다 그러므로 적절한 수련과정 없이 이러한 기준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 기준

이 가지고 있는 객관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여 오히려 더 많은 잘못된 장애판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AMA 기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의 수련

과정이 선행조건이 된다고 판단된다 또한 신체장애율만을 평가하게 되므로 나이나 성

별 혹은 직업에 따른 상실율에 대한 보정의 형식이 없다 그러므로 사회적 환경에 따른

노동능력상실률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보정의 형식이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현

실적 참고문헌을 인용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AMA는 그 내용이 방대하기는 하지만 객

관적 평가 기준만을 원용하기 때문에 장애의 정도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것에 비해 상

대적으로 하향조정 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위해서는 타 항목을 준용하

여 합산하는 경우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장애로 생각되지 않는 경우가 장

애항목으로 예시되어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슬개골의 비전위성골절로 유합이 잘되어

있는 경우에도 진단적 항목으로 전신에 대하여 3의 신체장애율이 표기되어 있어 일

반 상식적으로 생각되어지는 장애의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도 있다 또한 평가방법이

너무 복잡하여 이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드는 단점이 있어 평가자

에 따라 항목을 임의로 정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지 말초신경손상

의 경우 손상된 신경이 지배하는 각각의 근육들에 대하여 근력평가를 시행하고 이의

정도를 다시 평가하여 병합합산하게 되어있으나 이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

므로 보행이상항목이나 근력약화의 항목을 준용하게 되고 이 경우 구체적인 신경손상

의 경우보다 적은 장애율을 나타내게 된다

mdash mdash23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 타

두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1급 8 64

두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2급 4 48~54 51~79

한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5급 3 28~32 30~54

한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5급 5 40

두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4급 7 33 51~79

한 다리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

은 자6급 9 19~24

한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7급 8 18 30~54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7급 11 17~29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8급 8 28~40

한발의 5개발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8급 11 16~18 8~34

한발의 첫째발가락을 잃었을 때 10급 11 2~8 6~22

이러한 단점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AMA방식에 따른 평가는 장애의 정도나 부위

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고 평가 기준이 객관적이며 현실적인 의료의 수준을

반영하고 있다는 가장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 적절한 사회적 보완과 현실 수준에 맞는

보정이 이루어진다면 다른 기준들에 비하여는 과학적이고 공신력 있는 기준으로 활용

될 수 있다고 보여진다

하지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3 척추장애

AMA 기준 5판은 제15장(페이지 373에서 431)에서 척추장해평가를 기술하고 있

다 5판의 척추장애의 평가기준은 이전 판에 비해 많은 변화를 보인다 이전 판에

서는 신경계통의 장애에서 별도로 기술하고 있는 척수손상에 대한 평가를 척추 장

애 장에서 기술을 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가장 큰 변화는 DRE 방법의 강화라고 할

수 있다 고전적으로 AMA 기준은 운동범위에 근거한 평가(range of motion

method 이하 ROM 방법lsquo이라 함)가 척추 장해평가의 가장 중요한 평가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었으나 장해평가에 있어 우선적으로 DRE 방법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

다 또 다른 변화로써 척추운동범위의 평가 방법의 측정기구로 각도기(goniometer)

에서 경사측정기(inclinometer)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경사측정기의 적용은 척추의

mdash mdash24

전범위 운동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 척추부의 기준부위에 정확하게 두 개의

경사측정기를 위치하여 정해진 운동방향의 운동각을 측정하게 함으로써 보다 정밀

하게 척추운동을 측정하고자 고안하였다

척추장해평가 시기는 AMA 기준의 다른 신체장기에서와 같이 의학적 최대호전시

기에 평가하도록 하였다 장애 부위는 경추 흉추 요추을 각각 평가하고 골반과 척

수의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별도로 평가하여 병합하도록 하고 있다

AMA 기준에서 DRE 방법이 척추장해평가의 일차적인 방법이다 DRE 방법은 경

추 흉추 요추 부위별로 장애의 정도를 5 범주로 분류되어 있고 각 범주에 해당

신체장애율이 제시되어 있다 각 범주 내에는 장해평가 항목이 제시되어 있고 장애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신체장애율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장애의 증상을

의학적으로 평가하여 항목을 선택하면 신체장애율을 구할 수 있는 간단 명료한 평

가방법이다 주요 적용대상은 손상(injury)에 의해 장애가 발생하였고 한 분절에 국

한된 경우이다

DRE 방법에서 장해평가에 적합한 항목을 선택하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증상과 진단검사를 통한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임상증상과 무관하게 골절

전위 등이 있는지를 방사선 검사에 근거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증상에서는 객관

적인 배부증상과 신경근병증에 유무와 정도 그리고 척추 운동분절의 소실과 관련

하여 단순방사선 촬영에서 척추의 불안정성이나 고정술 여부로 항목을 결정한다

골절은 방사선 검사에서 추체의 골절과 추체외 골절로 구분하고 있다 같은 범주내

의 장애율의 차이는 3를 두어 평가자가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ROM 방법은 척추는 다관절로 구성된 운동기관으로 신체의 다른 관절기관과 마

찬가지로 척추의 운동을 척추의 중요한 기능으로 판단하는데서 출발한다 ROM 방

법의 평가대상은 적합한 DRE 방법의 항목이 없거나 손상이 아닌 경우 다분절의

손상 재발성 그리고 법정의 요청인 경우에 평가하게 된다 여기에는 세 가지의 평

가요소를 가진다 1) 진단명에 의한 평가(accompanying diagnosis) 2) 운동 범위

의 평가(range of motion of the impaired spine region) 3) 척추신경 손상(spinal

nerve deficits)을 각각 독립적으로 평가하여 전신장애율을 구한 후에 병산(竝算)하

여 ROM 방법에 의한 척추의 최종 장애율을 산정한다

ROM 방법의 평가는 먼저 척추장애를 유발한 원인의 손상과 질환을 결정한다 이

는 진단명에 의한 평가이며 AMA 기준의 404페이지 표15-7에 있다 이 표의 진단

mdash mdash25

명의 분류를 요약하면 I 골절 II 추간판질환 및 연부조직 III 척추분리증 척추전

위증 비수술의 경우 IV 척추협착증 불안정증 척추전위증 골절 수술의 경우로

구분된다

두 번째로 운동 범위의 평가는 손상된 척추부의 운동범위를 경사측정기로 측정한

다 경사측정기는 두 기준점에 각각 경사측정기를 위치하고 수진자의 능동운동을

측정한다 요추는 굴곡신전 좌측굴우측굴의 운동범위를 측정하고 흉추는 굴곡

좌회전우회전을 측정하며 경추는 굴곡신전 좌측굴우측굴 좌회전우회전의 운동

범위를 측정한다 운동범위를 측정함에 있어 AMA 기준의 5판에서의 변화는 전술

한 바와 같이 각도기가 아닌 경사측정기를 이용하여 기준부위 사이에서 일어나는

운동범위를 측정한다 측정한 운동 측정값의 일관성(consistency)과 재현성

(reproducibility)을 담보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운동범위를 측정할 때 최

초 3번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평균값이 50도 이하면 측정값의 편차는 5도

이내여야 하며 평균값이 50도 이상이면 측정값의 편차는 10도 이내이어야만 한다

고 하였다 만일 이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운동범위에 대한 평가는 진행하지 않

도록 하였다 운동범위의 측정은 반드시 6번 이상 측정하여 연속한 3번의 측정값이

위의 편차를 만족해야만 운동범위를 제대로 평가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일관성과 재

현성은 수진자의 거짓 운동이나 평가자의 미숙함을 보완하고 운동측정값의 객관성

을 보장하기 위한 방편이다 또한 위에 기술한 통계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척추부위

별로 환자의 거짓 운동을 찾아내기 위한 타당성 검사(validity test)를 제시하고 있

다 요추에서는 SLR(straight leg raising) 각도는 천추의 굴곡각과 신전각의 합과

비슷해야 하므로 SLR 각도가 천추의 굴곡각과 신전각의 합보다 15도 이상이면

평가된 요추의 운동범위의 타당성은 없다고 하였다 흉추에서는 굴곡 검사에서 앉

은 자세와 선 자세에서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각각의 측정값이 같아야만 한다고

하였고 경추에는 특별한 타당성 검사를 기술하고 있지 않다 이렇게 객관성과 타당

성을 담보하기 위한 검증방법은 척추의 기능을 측정하는데 있어 척추 운동범위의

측정이 이론적으로는 합당하며 척추 기능의 제한을 판단하는 좋은 잣대가 될 수 있

지만 실제로 평가자와 수진자에게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오류가 발생할 가능

성이 높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반증하고 있다

세 번째로 척추신경의 손상은 충분한 신경학적 검사를 통하여 해당 척추신경의

손상부위를 결정한다 해당 척추신경의 감각과 운동에 대한 손상정도를 판단하여

mdash mdash26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 타

척추에 고도의 변형이나 현저한 기능장애가 남은 자

척추의 장애로 인하여 앉아 있을 수 없거나 자기 힘

으로 일어서기가 곤란한 사람

척추(등뼈)에 심한 기형을 남긴 때 17-53

척추(등뼈)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17-53

척추에 고도의 장애가 있는 사람 17-53

척추의 기능에 중증도의 장애가 남은 자 17-53

척추에 현저(뚜렷)한 장애가 있는 사람 6급 5 44-68 17-53

척추(등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6급 5 44-68 17-53

척추에 기능장애가 남은 자

척추(등뼈)에 약간의 운동장해를 남긴 때 8급 2 20-42

척추(등뼈)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 때 11급 5

국소장애율을 구한다 여기에서 구한 국소장애율을 상지에는 06 하지에는 04를

곱하면 전신장애율을 구할 수 있다

척추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척수손상에 대해서는 신경계의 장애에서 별도로 산정한다 AMA기준은 척추장애

를 평가하는데 있어 DRE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대부분의 척추장

애의 평가는 DRE방법으로 평가가 가능하다 평가항목을 예시하거나 평가방법을 제

시하여 해당 범주를 결정하고 그 내에서 장애율을 결정하도록 하였다 DRE방법의

문제점은 대부분의 항목이 치료후의 시점이 평가대상이 되지만 분절의 고정은 수

술전에 이미 장애정도와 장애율을 결정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척추장해평가는

근골격계 평가에 있어 매우 어려운 영역이다 해부학적인 형태학적 변화와 기능적

변화를 동시에 평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형태학적 변화는 반드시 기능적인 변화를

반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평가 기준을 제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보편적인 기준인 맥브라이드 기준을 간단히 살펴본

다 맥브라이드 기준의 척추장해평가의 항목은 I 척수의 손상을 동반하지 않은 1개

또는 2개의 추체의 골절 II 척수손상을 동반한 골절 III 척추체간 인대와 근막의

파열을 동반한 좌상 또는 염좌 IV 천요 또는 요천 증후군(sacroiliac or

lumbosacral syndrome) V 경추 또는 요추의 수핵증후군 VI 만성 류마티즘 혹

은 퇴행성 질환의 6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염좌가 장애의 평가대상이 되는 오류가

있으며 오래된 의학적 판단 기준으로 현재에 장해평가 항목으로 이용하기에는 어

려움을 가진 평가이다 하지만 장애항목을 선택하여 쉽게 노동능력상실률을 구할

mdash mdash27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백분율을 제시하고 있어 복합장애를 평가함에 있어 합리적

인 계산으로 복합 장애율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직업과 연령에 의한 보정이 가능

하다 하지만 노동능력상실률을 구하는데 있어 비의학적인 평가의 부분으로 단지

직업 연령만이 고려되어 있는 문제가 있다

현재까지 개발되어 있는 척추의 장해평가기준도 이상적인 방법은 없다고 보인다

하지만 형태학적인 면과 기능적인 면을 모두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의 개발이 필

요하며 AMA기준이 이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근골격계의 장해평가는 다른 부위에 비해 비교적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팔

다리의 장해는 변형 절단 강직과 마비 등 외적 형태 변화가 뚜렷하고 해부학적으

로도 손상이나 장해의 정도를 비교적 쉽고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감정의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외견상 쉽게 확인되는 변형 절

단을 제외하고는 이학적 신경학적 검사에서 피검자의 솔직한 협조가 없으면 정확

한 장해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예를 들어 관절운동범위의 측정에서

수동적 관절운동범위 측정도 피검자가 통증을 호소하면서 검사하고자 하는 반대 방

향으로 힘을 가하면 정확한 운동범위를 측정하는 것이 어려운데 이를 능동적 관절

운동범위로 평가하는 것은 환자의 솔직한 협조를 담보하지 않고는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한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장해평가기준들은 모두 능동관절운동에 의한 관절운동

범위를 장해평가의 기준으로 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객관적 검사법(예 방사선 검사

근전도 검사 등)에 의한 장해평가방법의 개발 적용에 힘써오지 않고 있었다 이 점

이 동일한 장해 장애인에 대해 검사자에 따라 너무나도 상이한 장해율을 보이게

되는 주요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비해 AMA 장해평가지침은 비교적 객관화된

검사법을 장해평가에 이용하려고 하는데 국내의 장해평가기준도 그 기준의 개선뿐

아니라 평가법의 객관화를 위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비롯한 국내 장해평가기준의 경우 신

체손상의 정도(장해율)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그 분류가 세분화 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체계화 되어 있지도 못하다 또한 국내법 간에도 같은 장해에 대해 비슷

mdash mdash28

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으면서도 서로 다른 장해등급으로 평가되기도 하고 장해의

중한 정도가 서로 간에 역전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 등 조속한 시일내에 이에 대한

전반적인 재조정이 필요하다

맥브라이드 방식과 AMA 방식의 장애(해)평가에 유사성과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

는 근골격계 장해평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절단 강직 근약 등 비교적 다

른 부위보다는 두 장해평가방식의 차이가 적은편이다 현 시점에서 두 평가법을 비

교한다면 AMA 방식이 분명 객관적이고 보다 정확한 장해평가법이라고 생각되나

그 사용의 복잡함이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생각된다

향후 개발 개선되어야 할 국내 장해평가기준은 감정의나 피검자 모두에게 쉽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보다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한국형 장해평가기준

의 확립이 필요하다

mdash mdash29

제 2 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3)

I 서 론

1 일반현황

2 산재보험의 내부 장기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II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문제점에 대한 요약

2 음주 및 간질환의 예

3 뇌심혈관질환에서 ldquo과로rdquo 개념의 규정 예

III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IV 산재 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V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VI 결 론

3) 정두신(신경과) 강세훈(일반외과) 김준성(재활의학과) 김형수(산업의학과) 이숭덕(법의학과) 진동규(내과)

mdash mdash31

I 서 론

1 일반현황

산재보험 및 보상 분야중 장해 평가 분야에 있어 업무상재해란 업무상의 사유에

의한 근로자의 부상 질병 신체 장해 또는 사망과 같은 상병 등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재해성 질병과 직업성 질병 (직업병)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림 2-1) 내부 장기 영역

은 재해성 질병 중 부상에 기인하는 이차적 질병이나 직업성 질병 (직업병)중에 직

업 관련성 질환의 항목 들이 주로 해당되고 있다 미국의학협회의 장해평가기준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ition)에서 내과 계

열은 제 3장 심혈관계 심장 및 대동맥 (심장판막 질환 관상동맥 질환 선천성 심

장 질환 심근병증 심막성 심장 질환 부정맥) 제 4장 심혈관계 전신 동맥 및 폐

동맥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 대동맥 질환 팔다리에 영향을 미치는 혈관계 질환

폐동맥 질환) 제 5장 호흡기계 (천식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과민성 폐렴 진폐증

폐암) 제 6장 소화기계 (상부 소화관 결장과 직장 및 항문 장피 누공 간 및 담

도계 헤르니아) 제 9장 조혈기관계 (빈혈 적혈구 증가증 및 골수섬유증 백혈구

질환 또는 백혈구 비정상증 출혈성 및 혈소판 질환 혈전 질환) 제 10장 내분비

계 (시상하부 - 뇌하수체 축 갑상샘 부갑상샘 부신피질 부신수질 췌장 생식샘

젖샘 대사 및 골 질환)에서 다루어진 질환들과 분류를 기초로 현재 우리나라 산재

보험 분류상의 비교와 이를 기초로 한 평가 및 요약으로 우리나라 현실에 합당한

상대 가치 평가를 위한 설문 항목 개발을 위한 사전 조사를 시작 하였다

mdash mdash32

〔그림 2-1〕 업무상 재해

2 산재보험의 내부장기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산재보험에서 장해평가시 신체 기관 또는 체계에 특정한 제한이 생겼다면 이를 정확

하고 일관되게 측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의사들

에게 제공된 지침은 그 내용이 매우 불분명하고 판정하는 사람에 따라 비슷한 상태에

서도 서로 다른 등급이 판정되기도 하여 평가자 보험 사정인 관련 행정기관 모두에게

불신이나 불필요한 추가 비용 부담을 안겨 주기도 하고 비슷한 수준의 장해에서 등급

평가상의 불일치는 평가 대상자들에게 비의학적 요인에 근거를 둔 불필요한 분노 의

심 적대감 소송 행위의 원인이 될 때도 있다 더욱이 기초 질환과 기존 질병에 대한

뚜렷한 정의 없이 업무와 관련이 없는 개인의 질병이 악화된 상태까지 업무상 질병

으로 인정하는 사례가 많이 있어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장해평가 과

정 전반을 더욱 정교하게 개선하여 평가 결과의 통일성을 높임으로써 보다 높은 수준

의 일관성 보편성 그리고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장해평가 과정에

일관성 및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AMA 가이드 의 방법론을 참조하여 우리

나라 현실의 제도를 보완하고 공통의 업무상 상해 및 등급 판정 문제에 관한 명확한 정

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업무상 요인이 기존 질병과 기초 질환을 어느 정

도 악화시켜야 산업재해로 인정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없기 때문에 근로

자 병의원 공단의 산재인정 결정에 혼선을 주고 있다 미국 OSHA의 경우에는 환

경에서 발생된 사고나 근로 환경에 노출로 인하여 기존 (pre-existing)의 재해나

질병이 악화 (aggravated) 되었을 경우 업무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

나 기존 재해나 질병의 ldquo악화 (aggravation)rdquo는 매우 광범위한 용어로서 2001년도

에 ldquo중대하게 악화 (significantly aggravated)rdquo된 경우로 수정하였다 이 규정은 기

mdash mdash33

존 재해와 질병 모두에 적용되고 있다 중대하게 악화된 경우란 응급 치료 이상의

치료 작업의 제한 또는 다른 작업으로 전출된 경우 병가를 받은 경우 의식을 잃

은 경우 사망한 경우 뿐 아니라 담당 의사가 심각한 상태로 진단한 경우로 규정하

고 있다 그리고 업무 요인 (occupational factor)과 개인적 요인 (personal factor)

이 서로 중복되어 재해나 질병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이 있어 업무적 요인이 명백한

경우에도 개인적 요인과 비교하여 ldquo업무 연관성rdquo 여부를 쉽게 판정하지 못하는 경

우가 있다 기존 질병이나 재해가 중대하게 악화되는 데 51 이상 기여한

(contributed) 경우로 추정되는 경우 ldquo업무 연관성rdquo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Ⅱ 산업재해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산업재해에서의 내과계 영역의 장해평가와 등급은 lsquoAMA 가이드rsquo와 같이 따로 일

목 요연 하게 분류 되어 있지는 않다 다음의 표 2-1과 같이 요약 된 자료를 참고

해 볼 수 있으며 그 내용도 흉복부장기의 기능 이란 표현으로 대부분의 내용을 함

축하고 있으며 고환 비장 및 신장이라고 일부 장기가 언급 되어 있다

1 문제점에 대한 요약

기왕증은 업무상 원인에 의하여 중대하게 악화될 때에만 인정되어야 한다 현행 업

무상 질병인정 요건을 규정한 산재보험법 시행규칙 제33조의 제2항제3호에 의하면

ldquo기초 질환 또는 기존 질병이 있는 근로자의 경우 그 질환 또는 질병이 자연 발생

적으로 나타난 증상이 아닐 것rdquo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근골격계 질환과 뇌

심혈관 질환과 같은 작업관련성 업무상 재해의 경우에는 기존 질환의 악화 여부 및

업무상 원인 때문에 기존 질환의 악화되었는지에 대한 의학적 판단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신 질환과 뇌심혈관 질환은 원칙적으로 급작스러운 업무적 쇼크에 의

하여 발생될 경우에만 인정하도록 되어 있다 우리의 생활 전체가 스트레스의 원인

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업무와 업무외 생활 요인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구분하

기가 쉽지 않으며 두 요인들은 서로 상호간에 스트레스를 상승 혹은 완화 시킬 수

도 있다 뇌심혈관 질환은 만성적인 원인에 의하여 발생한 경우 업무 기인성과 생

mdash mdash34

활 요인 및 개체적 요인과의 구별이 매우 곤란하고 또한 만성적 질병은 일상생활

에서 개별 근로자가 건강관리를 소홀하게 한 경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산재

인정을 위해서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만성적 요인에 의한 작업관련성 질환은 매

우 제한적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구체적 기준과 업무 평가성을 판단하기 위한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 준비 되어야 하고 또 이러한 상황이 인정 된다 하더라도 올바른 방법으로

정확하고 객관적이며 우리 현실에 맞는 장해평가 항목과 절차가 준비 되어야 한다

2 음주 및 간장 질환의 예

음주에 관한 업무상 간 질환은 특정 업무 종사자로 한정하고 구체적 사실이 있을

때에만 인정해야 한다 알코올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간 질환을 발생시키거나 악화

시키며 간장 질환 환자가 음주를 하게 되면 기존 간장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가 감

소될 뿐 아니라 음주 자체로 기존의 간장 질환이 더욱 악화된다고 알려져 있다 근

로복지공단이나 법원의 결정에서는 간장 질환을 일으키는 음주 행위와 업무의 상관

성 분석도 매우 중요한 평가 요소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

요하다 업무 수행성의 요건으로 업무상 음주 행위를 할 수밖에 없는 경우는 직업

군을 우선적으로 선별해야 한다 기존 법원의 판례는 업무적 요인에 의한 음주 행

위의 범위를 직업군에 상관없이 주관적이며 포괄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법원의 판례가 더 이상 누적되기 전에 소위 lsquo술 상무rsquo라고 일컬어지는 대

외 영업직을 중심으로 음주가 업무에 반드시 필요한 직업군을 선별해야 한다 B 형 간염

보균자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한 관리 지침을 만들어 만성 B형 간염보유자

에 대한 건강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법원의 업무상 재해인정 판결 여부의 판례 등으로

인한 혼동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여건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3 뇌심혈관질환에서 ldquo과로rdquo 개념의 규정 예

뇌혈관 질환 및 허혈성 심장 질환 등은 원래 노동 장소에서 특정한 위험 유해 인자에 기인하여 생

기는 직업성 질병과는 본질적으로 달리 업무 이외의 원인에 의해 그 많은 수가 발병하는 것이 특징

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ldquo근로자의 업무량과 업무 시간이 발병 전 3일 이상 연속적으로

mdash mdash35

일상 업무보다 30 이상 증가 되거나 발병 전 1주일 이내에 업무의 양시간강도책임

및 작업환경 등이 일반인이 적응하기 어려운 정도로 바뀐 경우를 말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일본은 장기간은 발병 직전 1개월에 100시간 2개월 이상에서는 평균 월 80시

간의 초과 시간을 근무한 경우이며 단기간은 업무량 업무내용 작업환경 등을 고려하

고 동료 노동자 또는 동종 노동자에게도 특히 과중한 신체적 정신적 부하로 인정되

는가의 관점에서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표 2-1〉 산업재해보상보험법시행령 신체장해등급표(제31조제1항 관련)4)

제1급

1 두 눈이 실명된 사람

2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모두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3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4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5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6 두 팔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7 두 다리를 무릎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8 두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제2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2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02이하로 된 사람

3 두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 두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5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제3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6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3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

4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

5 두 손의 손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제4급

1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06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3 고막의 전부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사람

4 한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 [일부개정 20041029 대통령령 18573호][별표 2] lt개정 2000627 200357gt

mdash mdash36

5 한 다리를 무릎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6 두 손의 손가락을 모두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7 두 발을 리스푸랑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제5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2 한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3 한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 한 팔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5 한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6 두 발의 발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7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8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제6급

1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1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3 고막의 대부분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이 모두 귓바퀴에 대고 말

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4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5 척주에 뚜렷한 기형이나 뚜렷한 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6 한 팔의 3대 관절중 2개 관절이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7 한 다리의 3대 관절중 2개 관절이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손의 5개의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4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제7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2 두 귀의 청력이 모두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3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4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

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

6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이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7 한 손의 5개의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4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 발을 리스푸랑관절 이상에서 잃은 사람

9 한 팔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10 한 다리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11 두 발의 발가락이 모두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외모에 뚜렷한 흉터가 남은 사람

mdash mdash37

13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

제8급

1 한 눈이 실명되거나 한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2 척주에 경도의 기형이나 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3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4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이나 둘째손가

락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5 한 다리가 5센티미터 이상 짧아진 사람

6 한 팔의 3대 관 절중 1개 관절이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7 한 다리의 3대 관 절중 1개 관절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 팔에 가관 절이 남은 사람

9 한 다리에 가관 절이 남은 사람

10 한 발의 5개의 발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11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제9급

1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6이하로 된 사람

2 한 눈의 시력이 006이하로 된 사람

3 두 눈에 모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4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5 코가 결손 되어 그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6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7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8 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9 한 귀의 청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1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3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한 발의 엄지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 이상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3 한 발의 발가락을 모두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4 생식기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15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

1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

제10급

1 한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3 14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4 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5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6 척주에 기능장해가 남았으나 보존적 요법으로 치유된 사람

7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2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mdash mdash38

8 한손의 엄지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3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9 한 다리가 3센티미터 이상 짧아진 사람

10 한 발의 엄지발가락 또는 그 외의 4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 팔의 3대 관절중 1개 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12 한 다리의 3대 관절중 1개 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제11급

1 두 눈이 모두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거나 또는 뚜렷한 운동기능 장해가 남은

사람

2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3 한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4 한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5 척주에 기형이 남은 사람

6 한 손의 가운데손가락 또는 넷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7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2개의 손

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 발의 엄지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 이상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9 흉복부장기에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10 10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11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2급

1 한 눈의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거나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2 한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3 7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4 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 된 사람

5 쇄골 흉골 늑골 견갑골 또는 골반골에 뚜렷한 기형이 남은 사람

6 한 팔의 3대 관절중의 1개 관절의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7 한 다리의 3대 관절중의 1개 관절의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8 장관골에 기형이 남은 사람

9 한 손의 가운데손가락 또는 넷째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0 한 발의 둘째발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둘째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3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 발의 엄지발가락 또는 그 외의 4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국부에 완고한 신경증상이 남은 사람

13 삭제 lt200357gt

14 외모에 흉터가 남은 사람

제13급

1 한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2 한 눈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3 두 눈의 눈꺼풀의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mdash mdash39

질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

심혈관 증상(예 피

로감 심계항진 호

흡곤란 흉통 등)

및 일반 증상이 기

능 및 일상 활동 능

력에 미치는 영향

변화가 예상된다면

그 예후 진료기록

검토

포괄적인 진찰 상

세한 심혈관 체계

평가

관련 검사로부

터 추출한 데이

터(예 ECG 심

장초음파검사

스트레스 테스

트 심장카테터

삽입)

종말기관 손상

및 장애 등 후

유증의 평가를

포함한다

모든 관련 진단을 기록

한다 상태가 치료에 의

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

달했는지 살핀다 아직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상태가 되어야 도달한

것으로 인정되는지 언

제쯤 이런 상태에 도달

할 수 있는지 논의한다

판막성

증상 및 이로 인한

신체 활동의 제한

(예 앙기나)에 관

해 논의한다 심박

출량 폐울혈 및 전

신 울혈을 다룬다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도플러 심장초음

파검사 또는 심장

카테터 삽입

울혈 또는 기능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관련 기관의 평

가(예 폐 신장)

대동맥 또는 승모판 협

착증 승모판 탈출증 대

동맥 또는 승모판 역류

대동맥 및또는 승모판

질환 심실 기능이상

4 5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5 한 손의 새끼손가락을 잃은 사람

6 한 손의 엄지손가락의 지골의 일부를 잃은 사람

7 한 손의 둘째손가락의 지골의 일부를 잃은 사람

8 한 손의 둘째손가락의 말관절을 굽히고 펼 수 없게 된 사람

9 한 다리가 1센티미터 이상 짧아진 사람

10 한 발의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1개 발가락 또는 2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발의 둘째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둘째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3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흉부장기에 진폐증의 소견이 있는 사람

제14급

1 한 눈의 눈꺼풀의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2 3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3 팔의 노출된 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4 다리의 노출된 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5 한 손의 새끼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6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손가락의 지골의 일부를 잃은 사람

7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손가락의 말관절을 굽히고 펼 수 없게 된 사람

8 한 발의 가운데 발가락이하의 1개 또는 2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9 국부에 신경증상이 남은 사람

10 삭제 lt200357gt

11 한 귀의 청력이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표 2-2〉 심혈관계 장해평가 요약 심장 및 대동맥

mdash mdash40

관상동맥

(CHD)

협심증 심실 기능

저하 피로감으로

인한 신체 활동 제

한 심계항진 호흡

곤란 협심증통

상세 병력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심장 혈관조영

술 흉부X선

ECG EF 휴식

시 또는 운동 전

후에 검사 실시

관련 기관 평

가(예 뇌 폐

신장 눈 말초

혈관계)

MI 협심증 관상동맥 혈

관경련 심실 기능상실

선천성

호흡곤란 피로감

심계항진 종말기관

기능 이상에 따른

증상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ECG 흉부X선

방사선동위원소

검사 심장초음

파검사 혈류역

학 측정 혈관조

영술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판막협착 사이막 결손

판막 기형 팔로씨 사징

엡스타인 기형 혈관 전

위 아이젠멩거 콤플렉스

심근병증

운동호흡곤란 앙기

나 실신 폐 또는 전

신(全身) 기관 울혈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심장초음파검사

ECG 흉부X선

심실 기능이상 동

적 유출로 폐쇄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확장 또는 울혈 비대

제한적

심막성

흉통

활성 염증 및 ESR

증가에 주의한다

박동율 리듬 심

장음(심막 잡읍

확장초기 노크음)

및 기타 기관 기능

등에 주의한다

ECHO 심막 삼

출 비대 또는

석회화 CT 또는

MRI 스캔상의

심막비대 심장

카테터삽입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협착 또는 특발 심장막

염 눌림증 종양 심막 삼

출 심막 손상

부정맥

실신 무력감 및 피

로감 심계항진 현

기증 가슴을 누르

는 듯한 느낌 숨참

박동율 리듬 심

장음에 주의한다

부정맥을 검사 등

을 통해 확인하고

발생 빈도를 측정

한다

ECG 조기박동

빠른 맥박수

심장초음파상

심방비대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실신 VT 심방 잔떨림

완전 심장 차단 조기박

질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

일상 활동에 제한

을 주는 기능 장애

정도를 판정한다

경정맥압 경동맥 및

말초 혈관 맥박에

관한 진찰 소견 심

장 및 폐 검사 복부

검사 안저검사 누

운 자세 앉은 자세

서있는 자세에서 측

정한 혈압

관련 검사(예

ECG 심장초음

파상 부하검사

심장카테터삽입

등)에서 얻은 데

이터

종말기관 손상

및 장애를 포

함한 후유증

평가

모든 관련 진단을 기록한

다 치료에 의한 최대 호

전 상태에 도달했는지

확인한다 도달하지 않았

다면 언제 어떤 조건 하

에서 안정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지 설명한다

고혈압

심장 신장 및 뇌

혈관 제한을 증명

하는 증상을 규명

한다

포괄적 검사 종말

기관 질환을 주의

하여 살핀다

ECG 심장초음

파상 부하검사

카테터삽입 혈

청 BUN 및 크레

아티닌 소변검

사 및 요단백 배

설 크레아티닌

청소 또는 GFR

평가 신장 초음

파 머리 CT 또

는 MRI 스캔 혈

관조영술

심장 눈 신장

뇌 단백뇨 크

레아티닌 상승

크레아티닌 청

소 감소 및 비정

상 요침전물의

감시

silver-wiring

및 동정맥교차

변화를 포함하

는 funduscopic

변화

고혈압 좌심실 비대 고

혈압 비대심근병증 고혈

압 관련 수축기 심장기

능살실 고혈압 관련 확

장기 심장기능상실 고혈

압 콩팥경화증 고혈압뇌

병증 뇌졸중 TIA

대동맥 일상 활동의 장애 포괄적 검사 가슴경유 심장 심장 대동맥 대동맥 동맥류 가슴 또는

〈표 2-3〉 심혈관계 장해평가 요약 전신 동맥 및 폐동맥

mdash mdash41

질 환

심장 및 말초 혈관

기능 장애를 규명

한다

초음파검사 및

식도경유 심장

초음파검사 CT

및또는 MRI 영

상 검사 대동맥

혈관조영술

복부 대동맥 박리 대동맥

축착 대동맥 죽경화증

대동맥 판막 역류 참조

말초혈관

질환

일상 활동의 제한

정도를 포함하는

상세한 병력

포괄적 검사

부하검사 발목-

위팔 압력지수

및 피부통과 산

소측정 말초 혈

관조영술 색소

또는 초음파도

플러 정맥 영상

대조 또는 표지

마커를 이용 림

프관 진단

팔 및 다리

레이노 현상 혈관의 궤

양형성 절뚝거림 대동맥

을 제외한 동맥류 허혈

손발가락 절단 괴저 및

폐쇄성 혈전혈관염 부

종 경화울혈 피부염

연조직염 궤양형성 및

혈전증을 포함하는 정맥

질환 림프부종 림프관

염 및 연조직염을 포함

하는 림프관 질환

폐순환

질환

기능 장애 과거의

치료 상의 문제

투약 또는 직업 환

경 등에 관한 상세

한 병력

포괄적 검사

심장초음파검사

폐동맥 혈관조

영술 CT 또는

MRI 영상

심장 및 폐손

상 평가

일차 및 이차 폐동맥고

혈압 폐동맥색전증 폐정

맥폐쇄증 폐정맥협착

질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반

호흡 증상(예 기

침) 일반 증상 기

능 또는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

는 영향 변화가 예

상된다면 그 예후

진료 기록 검토

포괄적인 이학적

검사 호흡기계통

상세 진단

관련 검사로부

터 도출한 데이

터(예 폐 기능

검사)

종말기관 손상

및 장해를 포함

하는 후유증 평

가를 포함한다

모든 관련 진단을 기록한

다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했는지 확인

한다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조건하에서 언제 안

정될 것인지를 논의한다

폐쇄

질환

호흡곤란 기침 가

래 염증 투약 운동

내성

호흡음 쌕쌕거림

큰 P2 경정맥 확

장 오른쪽 심장

융기

폐 기능 폐활량

검사 폐 용적

확산능 메타콜

린 유발 방사

선 사진

관련 기관(예 심

장기능 폐심장

증)을 평가한다

천식 만성 기관지엽 폐공

기종 기타 폐쇄성 질환

제한

질환

호흡곤란 기침 피

로 가래 운동내성

흉벽 운동 수포음

곤봉증

폐 기능 폐활량

검사 폐 용적 확

산능 영상 검사

심장 기능을 평

가한다

특발 폐섬유증 석면증 진

폐증 흉벽 질환 기타

폐암

운동내성 호흡곤

란 흉통 피로 체중

감소 흡연 유해 환

경 노출

흉벽 운동 수포음

곤봉증 선병증

기관지경술 폐

기능 검사 생검

다른 기관 평가

전이 징후

편평세포 샘세포 소세

포 등

〈표 2-4〉 호흡기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2

질 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반

위장 증상(예 식욕 변화 통증 설사 등)및 전신 증상 증상이 기능 및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 그 예후 진료 기록

전반적 이학적 검사 상세한 위장 계통 평가

관련 검사에서 추출한 데이터(예 바륨삼킴 상부 또는 하부 내시경검사)

종말기관 손상 및 장해를 포함하는 속발증 평가

모든 관련 진단 기록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한다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상태에서 언제 도달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식도 질환

고형식 및또는 유동식 연하곤란 위식도역류 과거 근위 위절제술 또는 간치술확장술 및또는 약물투여 요함 흡인 병력 신체 활동 제한

체중 감소 증가 증상의 지속기간피부경화증 또는 기타 중간엽 질환이완불능증 또는 광범위 연축으로 인한 과거 운동성 검사

협착 부위 및 정도 근위 식도는 확장되었나내시경검사소견 및 생검 결과

운동성 검사 결과 치료에 대한 반응 식도 부목 또는 간치술의 필요성 확장술 빈도

염증성 협착을 수반한 GERD 악성변화가 있거나 없는 Barett 식도피부경화증 속발 협착이완불능증 광범위 연축 Zenker 게실

위 질환

구토 체중감소 과거위절제술 덤핑 증세 궤양 또는 내분비병증 가족력궤양유발 약물(NSAIDS ASA) 사용 경험 신체 활동 제한

체중감소 신경병증이 있는 당뇨병

위 오목 주머니 크기 위-공장 amastomosis 부위 및 기능 내시경에 의한 구조 평가 운동성 검사

음식 조절에 대한 반응 항분비제 위장운동촉진제 시험 투여

위절제술 후 상태당뇨병위마비Zollinger-Ellison 증후군위장염전이 있는 식도곁탈장

소장 질환

설사(빈번하고 야간에 발생) 복부 급통증 및 팽만 장염전 병력 출혈 비열대스프루 및 운동 장애 가족력 체중감소 과거 수술 경험활동 제한

체중감소 확인 복부팽만 덩이 항문 주위 질환 관절병증 포진피부염 있음

바륨 검사 고위관장법 검사 공장 배양 및 점막 생검 항글리아딘 항체 운동성 검사 무손상 소장 길이(200cm 이상 또는 이하인지 추정한다)

철분 B12 흡수 장애 엽산 강직 자라지 못함 글루텐 제한에 대한 반응 비경구적 영양법

비열대스프루 림프종 합병증 발병 가능성 있음국소 장염크론병 허혈 장질환 방사선 장염 만성 가성폐홰 기계적 폐쇄 (유착)

췌장 질환

급성 췌장염 병력(객관적 증거 있음) 빈도 지속 기간 관련 황달 욕지기 식욕부진 음주 통증 관리의 적정성 위장 출혈 (비장 정맥 혈전증) 연관 만성 폐질환 (낭성 섬유증)

복부 덩이 누공 담석 병력 체중감소의 증거 황달

췌장 및 담도 초음파검사 십이지장 통과 초음파촬영술 CT 스캔 ERCP 지방변 측정 석회화를 보여주는 복부 단순촬영사진 등을 고려해 본다 낭성 섬유증을 배제하기 위한 땀 나트륨 검사

지방 소화불량 및 흡수장애의 정도 당뇨병복강신경총 및또는 내장 차단

알코올췌장염만성재발췌장염담도 질환 속발 췌장염낭성 섬유증

대장 질환

결장 수술 병력(잔여 길이 연결술의 성격) 출혈 수혈의 필요성대변 배설 빈도 습관(야간 실금)복통 체중감소 활동 제한

복부 덩이 항문 주위 질환 누공 관절병증

S상 결장경검사 결장내시경술바륨검사 점막 생검 배변검사 운동성 조임근 활동 양성 EMG

통제불능의 설사 처치곤란한 변비 거대결장증

염증장병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회장누공 설치술 및 결장절제술 또는 회장항문낭연결술

〈표 2-5〉 소화기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3

간 질환

음주(과거 현재) 과거 간독성 약물 사용 복수 부종 황달 철분과다증(중복 수혈) 위장 출혈 병력 가려움증 원발담관성간경화증 신체 활동 제한

만성 간 질환의 피부 및 안구 징후 복수 부종 피부 색소침착(혈색소침착증) 과거 간 부위 외과 수술 증거 눈(眼)의 Keyser-Fleischer 고리 궤양성 결장염 증거 황색종증

혈색소단백질 프로트롬빈 시간을 포함하는 영양 상태 혈소판 완전한 간염혈청학적 지표를 포함하는 원인 검사 신장 기능 HIV 검사 혈색소침착증이 있으면 당뇨병 (혈청 철분 및 페리틴 포화 항트립신) AMA 유전 및 침윤 질환은 제외한다 (예 아밀로이드증 사르코이드증 다낭질환) 구리 검사

출혈에 대한 CNS 내성체액 및 염분 과다 췌장 기능부족 이차 발생 간암 처치곤란 프로트롬빈 시간 연장 혈소판 결손 백혈구 감소증

알코올 간 질환 경화증 간암 간염후간경화증(과거 HBV HCV) 혈색소침착증 윌슨병원발 담관성간경화 경화담관염

담도 질환

과거 담도 수술담낭염 삽화 담도급통증 황달 빌리루빈 대사 기능이상 가족력 출혈 가려움증

과거 용해 치료 및또는 쇄석술 황달긁은 자국 비장비대 복부누공

초음파검사ERCP 필요한 경우 담관조영술프로트롬빈 시간

폐쇄증 완화후 지속적 고빌리루빈혈증 수술 소견

담관협착 매복담석 경화담관염 원발 담관성 간경화

헤르니아체위 변화와관련된 불편감 통증 신체 활동 제한

복부 돌출 또는 부기

방사선사진 CT 스캔

장 또는 그물막 꼬임

복벽 헤르니아 배꼽 헤르니아 절개헤르니아 서혜헤르니아 대퇴헤르니아

질 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

종말기관 장애 증상 심혈관(예 피로감 심계항진 흉통) 호흡기(예 숨참) 감염 일반 증상 기능 및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의 예후 진료 기록 재검토

영향을 받는 종말기관을 집중적으로 평가하는 포괄적 진찰

관련 검사 전혈구계산 혈청검사 뼈 림프절 생검

종말기관 손상 및 장애를 포함하는 후유증 평가 포함

모든 관련 진단의 기록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살펴야 함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조건에서 언제 도달할 수 있는 지 규명한다

적혈구

증상(예 운동시 숨참 현기증 두통 피로감) 이로 인한 신체 활동 제한 또는 합병증(예 앙기나)

다른 기관 기능이상(예 뇌 심장 신장)

전혈구계산 혈색소 전기이동 등

관련 기관의 울혈 또는 기능이상 평가(예 심장 폐 신장)

빈혈 겸상적혈구 용혈 만성 질환 적혈구증가증

백혈구 피로 빈번한 감염상세한 병력(예 감염 등)

전혈구계산 등

관련 기관 평가(예 심장 폐 신장 림프절)

백혈병 림프종

혈소판잇몸 입 위장관 요로의 비정상 출혈외상 발생시 지혈

코출혈 점상출혈 자색반 잠재 대변혈 비

혈소판 수치를 포함하는 전혈구 계산 출혈 시간

출혈로인한 것

면역혈소판감소자색반(ITP) HIV 또는 약물 관련 저혈소판증 혈전저

〈표 2-6〉 조혈기관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4

불량 비정상 혈액 응고 가족력

장비대 혈전증 증거

관련 혈소판 응집 검사(다른 응고 질환을 배제하기 위한 프로트롬빈 및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수치

혈소판증(TTP) 척수형성이상증 백혈병 혈소판 기능 질환 본태고혈소판증

혈전관련

혈소판 수치 포함하는 전혈구 계산 출혈 시간 프로트롬빈 및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섬유소원 인자 수치

출혈 혈관절증 또는 신경충돌로 인한 것

혈우병 인자 결핍 빌레브란드 병 dysfibinogenimia 파종혈관내응고

질 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성장의 변화 피로 쇠약 욕지기 과민성 등

신장 체중 혈압 맥박 피부온도 피부결 수분 근력 및 질량

아래 해당란참조

종말기관 손상 및 장해를 비롯한 후유증의 평가 포함

관련 진단 모두 기록함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함 도달하지 않았다면 언제 어떤 조건 하에서 안정 상태를 기대할 수 있는지 설명하여야 함

시상하부-뇌하수체 축

월경 주기 젖분비과다 다뇨 피로 쇠약 두통 등의 증상을 설명함

유방 배출물 확인 시야검사 및아래에 명시한 목표 기관의 평가

프로락틴 성장 호르몬 IGF-1 요(尿)비중 혈청 삼투질 농도 뇌하수체 CT 또는MRI 목표 기관의 기능

난소 고환 갑상샘 부신 골격 및 심장 등과 같은 관련 기관의 기능이상 치료에 대해 정도의 차이가 있더라도 자주 가역 반응을 보이는가

요붕증 프로락틴샘종 말단비대증 쿠싱 병 범뇌하수체저하증 또는 하나 이상의 뇌하수체 호르몬 결핍

갑상선

피로 쇠약 정신 작용 지체 냉(冷) 또는 열(熱) 불내성 불안 체중감소 심계항진 안구돌출 복시와 같은 눈의 변화 갑상샘종 배변 습관 변화

아킬레스건 반사 갑상샘 크기 및 소결절형성 떨림 불안 또는 굼뜬 동작 눈 돌출

혈청 프리 티록신 총 트리요오드티로닌 및 TSH 방사성 요오드 섭취율 및 갑상샘 스캔 갑상샘 초음파 갑상샘 결절 미세침 흡인

안근 및 안와 후부 조직 치료하면 회복되는 기타 종말기관 기능이상

갑상샘과다증 갑상샘저하증 갑상샘 결절 갑상샘종 암종

부갑상선

피로 쇠약 욕지기 다뇨 신장 결석 근육과민성 감각이상 강직 발작

크보스테크 징후 및 트루소 징후

혈청 칼슘 인 부갑상샘 호르몬요중 칼슘 배출 신장 초음파 골밀도 계측 초음파 MRI 부갑상샘 Sestamibi 스캔

신장 골격부갑상샘저하증 부갑상샘 부갑상샘항진증

부신피질

쇠약 쉽게 멍듬 조모증 여드름 체중 증가 우울증 월결불순 진균 감염

혈압 체중 및 체중의 신체 분포 피부 근력 부종

혈장 코르티솔 및 알도스테론 요중 코르티솔 배출 코르티솔 억제 및

골격 골절 여부치료하면 회복되는 기타 종말기관 기능이상

아디슨 병 쿠싱 징후군 성인기 발병 부신 과다형성

〈표 2-7〉 내분비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5

자극 테스트 혈장 ACTH 기타 스테로이드 대사물 혈청 전해질 요중 17-KS 배출 골밀도 계측 복부 CT 또는 MRI 검사

부신수질두통 심계항진 발한 불안 및 쇠약

혈압 맥박

요중 카테콜라민 및 그 대사물 측정 혈장 카테콜라민 및 클로니딘에 대한 억제 반응 부신 CT 또는 MRI 검사

심한 고혈압으로 인한 뇌혈관 사고 여부

갈색세포종

췌장(랑게르한스

섬)

다뇨 다음증 체중감소 쇠약 발한 빈맥 흐린 시력 착란 의식불명 경련 당뇨병 종말기관 기능이상 관련 증상(예 눈 신장 신경계 심장 혈관계통)

혈압 맥박 체중 피부 눈 신경계 심장 맥박

혈장 포도당 인슐린 또는 C-펩티드 HbA1c 지질 요검사 췌장 CT 또는 MRI 검사

눈 신장 신경계통 심혈관 피부

당뇨병 인슐린종 반응 저혈당증

생식선

이차 성발달 결여 불규칙한 월결 주기 또는 무월경 불임 이차 성징 조발 조모증 및 남성화 지구력 및 원기 결핍

생식샘 2차 성징 신장

혈장 생식샘자극호르몬 테스토스테론 난포호르몬 프로게스테론 정액검사 골반 포음파 골격연령 측정을 위한 X-선 검사

생식샘 피부골격

생식샘 발생장애 조기 난소 기능상실 성조발증 다낭 난소 징후군 정세관 발생장애 고환염

젖선

부적절한 모유 생산 남성에게서의 발달 여성에게서의 발달 결여 질료 기록

유방난포호르몬 테스토스테론 프리 티록신 간 기능검사

유방젖분비과다 형성 저하증 여성형 유방증

대사 및 골

골절 약물처치 암 신장 질환

골격 이상

DEXA 등 골밀도계측 요중 칼슘 배출 골격 대사 마커(marker)

골격 골다공증 골연화증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1 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법상의 내부 장기 관련 장애 분류

보건복지부가 주무부서가 되어 만든 장애등급 판정기준 (2003-7)상에 내부 장기

관련 장해평가기준은 9 신장장애 (2 5급) 10 심장장애 (1 2 3 5급) 11 호흡

기장애 (1 2 3급) 12 간장애 (1 2 3 5급) 14 장루 요루장애 (2 3 4 5급)

mdash mdash46

로 구분 되어 있다 복지부 장애 분류는 2개의 대분류 (신체적 장애 정신적 장애)

속에 신체장애는 다시 2개의 중분류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로 나

누고 각각의 중분류는 6개의 소분류 체계로 구분 하였다 더욱이 복지부의 내부 장

기 장해평가기준은 그 법의 목적 취지가 산업재해 보상 및 보험과는 차이가 있으므

로 이를 그대로 준용하여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으나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에

서 매우 참고 할 만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표 2-8〉 장애인복지법시행규칙 장애인의 장애등급표 (제2조 제1항 관련)5)

9 신장장애인

제2급

만성신부전증으로 인하여 1개월 이상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사람

제5급

신장을 이식 받은 사람

10 심장장애인

제1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안정시에도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 증상 등이 일어나서 운동

능력을 완전히 상실하여 상시적으로 개호인이 필요한 사람 (심장질환을 진단 받은지 1년 이상

경과한 사람에 한한다 이하 같다)

제2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신체주위의 일은 어느 정도 할 수 있지만 그 이상의 활동으로는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 증상 등이 일어나서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사람

제3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가정 내에서의 가벼운 활동은 상관없지만 그 이상의 활동에는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 증상 등이 일어나서 가벼운 일상생활은 가능하나 정상적인 사회활동을

영위하기 어려운 사람

제5급

심장을 이식받은 사람

11 호흡기장애인

제1급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부전으로 안정 시에도 산소요법을 받아야 할 정도의

호흡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 호기량)이 정상 예측치의 25 이하이거나

안정시의 자연 호흡 상태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55Hg 이하인 사람

제2급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부전으로 집안에서의 이동시에도 호흡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 호기량)이 정상예측치의 30 이하이거나 안정시 자연 호흡

5) [일부개정 2003613 보건복지부령 250호] [별표 1] lt개정 2001630 2003613gt

mdash mdash47

상태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60Hg 이하인 사람

제3급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부전으로 평지에서의 보행에도 호흡 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 호기량)이 정상예측치의 40 이하이거나 안정시 자연 호흡

상태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65mHg 이하인 사람

12 간장애인

제1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잔여 간기능이 Child- Pugh 평

가상 등급 C이면서 만성 간성뇌증 내과적 치료로 조절되지 아니하는 난치성 복수 등의 합병증

이 있는 사람

제2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잔여 간기능 평가상

Child-Pugh 등급 C이면서 간성뇌증의 병력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등의 병력이 있는 사람

제3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잔여 간기능이 Child- Pugh 평

가상 등급 C인 사람

제5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간이식을 시술받은 사람

14 장루 및 요루 장애인

제2급

1 요루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요루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가 현저한 변형이 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2 고도의 배뇨장애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가 현저한 변형이 있거나 장루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3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공장middot회장middot상행 또는 횡행결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

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으로부터 장(腸)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와 수술 등에 의하여서도 치

유될 가능성이 없으며 구멍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제3급

1 요루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는 사람

2 요루와 함께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에 현저한 변

형이 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3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고도의 배뇨기능장애가 있는 사람

4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공장middot회장middot상행 또는 횡행결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

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으로부터 장 내용물이 대부분 흘러나오며 수술 등에 의하여서도 치유될

가능성이 없는 사람

제4급

1 요루를 가진 사람

2 회장루middot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진 사람

3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배뇨기능장애가 있는 경우 또는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가 변형되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헐었기 때문에 장루보조용품을 1일 1회 이상 교체하

거나 장세척을 필요로 하는 사람

mdash mdash48

장 애 상 태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1급 4 100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2급 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3급 3급 4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5급 7

장기를 이식받은 사람 5급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7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5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50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8급 11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9급 16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20

흉복부장기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11급 9

4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하행 또는 에스결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에서 장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오며 수술 등에 의하여서도 치유될 가능성이

없는 사람

제5급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는 사람

〈표 2-9〉 심 폐 간 장애의 국내 기준 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AMA 가이드에서 사용하는 전신장해 백분율로 표시되는 척도상에 100가 되기 위

해서 신체 기관 또는 신체 계통이 어느 정도 손상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일치된 견해

를 얻는 일은 매우 어렵다 AMA 가이드는 사망에 근접한 상태를 전신 장해율

95~100의 표준으로 보고 있다 또한 장해율 0의 의미에 대해서도 완전한 합의는

아니지만 거의 장해가 없이 회복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상적 기능이란

mdash mdash49

무엇인가 정상적 기능이란 것도 근로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예측 가능한 차이에 근

거해서 조정이 필요한 사항은 아닌지에 대한 고려도 필요할 것으로 예상 되며 기존 병

태를 반영하기 위해 기능의 기준선을 어떻게 조정해야 하는가도 과제 사항이다 표준

장해 등급율 표에서 임의의 연속성 상실율이 0이면 잔존 상실이 없는 것으로 전

신장해율이 100이면 죽음이나 식물 상태에 가까운 것으로 받아들인다 예를 들면

새끼 손가락의 완전 절단은 전신 장해율 6에 해당한다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

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된다 장해등급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면 장해와 능력 상실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 장해등급은 정해진

일련의 관측으로부터 찾아내는 등급으로 그 자체가 근로자의 능력에 미치는 해부학

적 또는 기능적 손상의 영향을 밝혀주는 것은 아니다 lsquoAMA 가이드rsquo는 능력 상실

이란 장해로 인해 개인적 사회적 또는 직업적 요구 또는 법률적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이 변경된 상태라고 규정하고 있다 백분율로 표시한 장해율은

평가 대상자의 완전한 상태 대비 해부학적 또는 기능적 손실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다 장해평가는 능력 상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첫 번째 단계

라 할 수 있다 예를 든다면 의사가 팔 장해에 대하여 평가 할 수 있는 등급의 최

대치는 100 (팔의 절단 또는 어깨 관절 이단술)이며 이것은 곧 전신 장해 60에

해당한다 의사가 다리 장해에 대하여 평가 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의

다리 절단 (엉덩이 관절 이단술)에 부여하는 등급이며 이것은 곧 전신 장해 40에

해당한다(표 2-11) 이와 같은 방법으로 lsquoAMA 가이드는 내부 장기에 있어 내과계

질환들로 인한 인체의 기능 제한을 전신 장해율의 등급과 로 표시하고 있으며 각

질환에 따른 에는 표 2-11과 같이 다소 차등이 있다 우리의 현재 기준과 직접적

으로 대입하여 비교하기가 어려운 체계이나 굳이 비교를 해본다면 표 2-10과 같

이 나타내 볼 수 있다 성공적인 신장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이 대폭 개선된 경우

에는 상부 요로 질환으로 인한 장해 평가 2급으로 전신 장해율 15~34로 평가 한

다 비장의 경우 상실한 경우 Mcbride에서는 10~26로 한쪽 신장의 기능 상실은

Mcbride에서 25~40로 평가하고 있다 의사가 팔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

의 최대치는 100 (팔의 절단 또는 어깨 관절이단술)이나 전신 장해는 60에 해당하

고 다리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의 다리 절단 (엉덩이 관절

이단술)에 부여하는 등급이며 이것은 전신 장해 40에 해당 한다(표 2-11)

mdash mdash50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4 ~100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6 ~9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3급 4 ~75 50~7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5급 7

장기를 이식받은 사람 15~34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5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5 ~50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40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8급 11 ~14

비장10~

26

신장25~

40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9급 16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9 ~10

흉복부장기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11급 9 0~5 ~4

장애구분 1급 2급 3급 4급 5급

심혈관계

(심장판막 관상동맥 심

근병증 선천성 심막성

부정맥 고혈압 심혈관

대동맥 및 심장) 질환

0~9 10~29 30~49 50~100 -

말초혈관계

팔 및 다리 0~9 10~39 40~69 70~89 90~100

호흡계

폐동맥 고혈압

천식 폐기능

및 운동검사

결과에 의한 기준

0~9

0~9

10~29

10~25

30~49

26~50

50~100

51~100

-

-

〈표 2-10〉 심 폐 간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표 2-11〉 각 질환별 급수 및 전신 장애율 비교

mdash mdash51

소화계

상부소화관(식도

위 12지장 소장

췌장) 결장 및

직장 질환

0~9 10~24 25~49 50~75 -

항문질환 0~9 10~19 20~35 - -

간 및 담도 질환 0~14 15~29 30~49 50~95 -

헤르니아 0~9 10~19 20~30 - -

혈액 조혈계

빈혈

백혈구혈소판출혈병

0~10

0~15

11~30

16~30

31~70

31~55

71~100

56~100

-

내분비계

시상하부뇌하수체축

갑상선 질환

부갑상선 항진증

부갑상선 저하증

부신피질 항진증

부신피질 저하증

부신수질질환

당뇨질환

저혈당증

0~15

0~15

0~14

0~9

0~14

0~14

0~14

0~5

0~5

16~25

16~25

14~29

10~20

15~39

15~29

15~29

6~10

6~50

26~50

-

30~90

-

-

30~90

30~90

11~20

-

-

-

-

-

-

-

-

21~40

-

-

-

-

-

-

-

-

-

-

외과적 처치

식도 및 위 조루술

공장 및 회장 조루술

회장 항문 연결술

결장 조루술

10~15

15~20

15~20

5~10

-

-

-

-

-

-

-

-

-

-

-

-

-

-

-

-

등급 내 용

0 활동에 전혀 지장 없음 발병 전처럼 활동에 지장을 받지 않음

1힘을 쓰는 신체 활동에는 약간 지장이 있으나 보행이나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의 가벼운 일은

할 수 있음

2 대부분의 활동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며 자주 치료를 요한다

3스스로를 돌보는 일을 제한적으로 할 수 있을 뿐이며 깨어있는 시간의 절반 이상을 침대 또는 의자에서 보내는 경우

4 거의 대부분이 손상되어 스스로를 돌볼 여력이 없음 침대에 누워 있거나 의자를 떠날 수 없음

팔 및 다리의 장애율

〈표 2-12〉 폐암의 능력 판정 척도

mdash mdash52

Ⅴ 결 론

산업재해보상보험법시행령[일부개정 20041029 대통령령 18573호] lt개정 2000

627 200357gt 상에 신체장해등급표 (제31조제1항 관련)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행

산재보상 제도상으로는 내부 장기 및 내과 영역의 장애에 대한 고려는 그 비중이 낮은

상태로 기존 장애인 복지법상의 내부 장기 장해평가기준을 참조하여 상대 가치 평가

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설문 문항을 만들어 사전 조사 후에 의료 및 이 분야의 전문

가 집단을 대상으로 최종 검증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lsquoAMA 가이드rsquo는 미국의사협

회의 협회지에 수록된 기사를 모아 발간된 것이지만 그 동안 주기적으로 개정을 거듭

하여 제 5판을 발행하게 되었다 미국의 40개 주에서 산업재해보상제도는 lsquoAMA 가이

드rsquo를 사용하여 장해등급을 산정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lsquoAMA 가이드rsquo는 영구 손상에

관한 의학적 정보를 수치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유용한 도구이고 이렇게 전

환된 수치를 이용하여 법정 급여금의 금액을 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켈리포니아주 및

9개의 다른 관할 지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모든 관할 지역에서 사용되지는

않지만 장해의 합리적 평가 방법을 제공하고 평가자간에 발생하는 동일 등급에 대한

평가 차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어 미국의 거의 모든 주와 캐나다 호주

등 외국에서도 이용하고 있다 신체장애율은 의학적인 기준이므로 우리나라에서도

lsquoAMA 가이드rsquo 방식을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내과계열의 장해평

가에는 새로운 방법을 만든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오랜 시간과 수고를 필요로

하고 우리나라 현실에서 의사들에게 익숙한 장애인 복지법상의 제도를 참조하고 수

정 보완 한다면 좋은 결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의학적 측면에서

공유하고 있는 공통점은 있으나 산재보험이 지향하고 있는 법적 취지에 있어 사회

적 기대와 해결 목적에는 그 취지가 다르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

되고 내과적 기왕력이 있는 환자의 외상성 장해평가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라고 생각된다

mdash mdash53

제 3 장 정신행동 장해평가6)

Ⅰ 서 론

1 일반현황

2 산재보험의 정신 및 신경행동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3 조사방법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Ⅵ 결 론

6) 안동현(정신) 고용(신외) 김종문(재활) 조강희(재활) 유찬종(신외)

mdash mdash55

I 서 론

1 일반현황

보건복지부가 주무부서가 되어 만든 장애등급 판정기준 (2003-7)상에는 정신지

체 (1 2 3급) 정신장애 (1 2 3급) 발달장애(자폐증) (1 2 3급)로 분류되어 있

으며 이는 외상 스트레스 혹은 통증 등의 상황에 따른 impairement의 rating이나

evaluation이 고려되지 않았고 Psychological impairment와 functional somatic

syndrome에 대한 고려가 없는 상태로 산업재해 분야의 장애에 이용하기에는 많은

부분에서 미흡한 점이 있으며 중복 장애 형태시에 기존 장애에 미치는 negative

effect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며 기능 평가에 보정의 필요성 여부와 보상 체계에서

의 보정 합리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인간의 의식과 사고 및 정신 체계를 유지하고

이러한 기능에 이상을 야기 시킬 수 있는 기타의 다른 질환들이나 그와 관련된 질

환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현실을 뇌심혈관계의 경우와 같이 살펴보면 뇌심혈관계질

환 발생자는 lsquo04년 2285(사망788명) lsquo03년 2358(사망 820명)으로 사망재해원인

가운데 1위이다 이웃 나라 일본의 경우 뇌middot심장질환의 발생건수는 lsquo01년 143건

lsquo02년 317건 lsquo03년 312건으로 증가하였으며 정신질환의의 발생건수는 lsquo01년 70

건 lsquo02년 100건 lsquo03년 108건으로 소폭 증가하는 추세이다 뇌심혈관계질환의 산재

승인률은 lsquo96년 219에서 lsquo01년 715로 크게 증가하였다가 rsquo04년은 628 lsquo05년

6월 현재 949명이 발생하여 526의 인정률을 보였으며 지난 4년간 정신질환으로

업무상 재해를 신청한 자들은 모두 479명인데 그 중 559인 268명이 업무상재해로

인정받았다 일본의 뇌심장질환의 산재승인률은 각 207(01년) 387(02년)

445(03년)를 보이며 정신질환의 경우 산재승인률은 각 264(01년) 293(02년)

247(lsquo03년)를 보이고 있다 독일은 뇌심혈관계 및 간질환으로 1963년부터 2004년

까지 23건이 신청되었으나 산업재해로 인정받은 건수는 없다고 한다 (심근경색

10건 심장질환 고혈압 10건 뇌졸중 3건 신청 직무스트레스 및 정신질환 산재

인정 건수가 없음) 미국 캐나다는 갑작스런 업무적 정신적 쇼크이외에는 직무스트

레스 및 정신재해는 인정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즉 우리나라의 뇌심혈관계 및

정신 질환에 대한 구체적이고 상세한 산재인정기준이 없다는 것이 현실이며 문제점이다

mdash mdash56

2 산재보험의 정신 및 신경행동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정신질환에 대한 인정기준은 마련하지 못하고 있으며 뇌심혈관질환

인정기준에 대하여 ldquo현저한 생리적인 변화rdquo ldquo만성적으로 육체적정신적인 과로를

유발rdquo ldquo자연발생적으로 악화되었음이 의학적으로 명백하게 증명되지 아니함rdquo 등

지극히 주관적인 해석이 가능한 기준을 갖고 있다 특히 ldquo만성적인 과로rdquo의 정의를 발

병 전 3일 이상 연속적으로 일상 업무보다 30 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규정하여 지나치게

근로자에게 유리한 조항으로 되어 있다 일본은 뇌심혈관질환과 ldquo발병직전부터 전날까

지의 사이에 발생 상태를 시간적 및 장소적으로 명확히 할 수 있는 이상사건에 조

우한 것rdquo ldquo병에 근접한 시기에서 특히 과중한 업무에 취로한 것rdquo ldquo발병 전의 장기

간에 걸쳐서 현저하게 피로의 축적을 시키는 특히 과중한 업무에 종사한 것rdquo 등으

로 구분하고 이상사건 장단기 과로의 정의를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어 우리나라

도 이러한 부분에 대한 참고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더욱이 정신질환에 대하여도

1999년 정신장애 관련 지침 설정 후 ① 정신장해 발병의 유무 발병 시기 및 질환명의

확인 ② 업무에 의한 심리적 부하의 강도 평가 ③ 업무 이외의 심리적 부하의 강도 평

가 ④ 개 체측 요인의 평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검토한 후에 일

정 요건 하에서만 인정하고 있다 독일은 뇌심혈관 및 정신질환의 산재인정건수가 없

으며 미국캐나다는 정신질환에 대하여 단기적 쇼크에 의한 질환이외에는 산재인정

이 되지 않는 다고 규정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의 산재보상 목록을 살펴보면 원칙적

으로 직장 업무의 변경 상사와의 갈등 직장 상실 강등 또는 징계조치의 실제적인 또는

인지적인 위협 상사대중들과의 관계 특정한 또는 일반적인 직무 불만 작업부하 압력

근무 조건 또는 환경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 어떤 이유에서든 직장 상실 또는 강등 화학

물질방사능생물학적 위험기타 인식되는 위험에 대한 노출의 두려움 등 일반적인 스

트레스에 의한 정신장애는 산재급여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지하철

자살사건의 경험으로 인한 기관사의 공황장애나 직장내 성희롱에 의한 정신장애가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mdash mdash57

장애상태 산재등급 장애율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

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3 10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

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5 10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 할 수 없는 사람3급 3 10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

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5급 8 8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 외에

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4 6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

도로 제한된 사람9급 15 40

3 조사방법

기존 장해평가자들에 대한 장애정도 평가시에 고려여부를 조사하고 장해평가 대

상자들의 장애 정도와 그 영향을 평가한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만들고 중

복 장애시의 보정 방법과 장애정도에 미치는 영향 평가를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

으로 추진할 근거를 마련하며 특히 신체화 장애 부분에 대한 사전 조사항목에 중

점을 두고 질병 및 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에 객관화된 점수화 도입이나 예후 및 예

후 인자에 대한 조사와 확인에 중점을 두어 조사 하여야 할 것이다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표 1〉 정신행동 장해평가기준비교

장애인 복지법상 장애등급 판정기준 (2003-7)에는 정신지체 (1 2 3급) 정신장애

(1 2 3급) 발달장애(자폐증) (1 2 3급)로 분류되어 있다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신경계장애에 대해서는 제 13장에서 뇌 뇌신경 척수 신경근과 말초신경 그리고

근육 기능이상으로 인한 영구 장해 평가 기준을 제공하고 있다 크게 보면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기질성 및 비기질성 장해평가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운동 기능의 장애

mdash mdash58

기능 부위

또는 양상

1등급

장해 없음

2등급

가벼운 장해

3등급

심하지 않은 장해

4등급

뚜렷한 장해

5등급

심한 장해

일상 활동

사회적 기능

집중력 적응

장해 없음장해가 대부분의 유용

한 기능과 공존하함

장해가 일부의 유용

한 기능과 공존함

장해가 유용한 기능

을 심하게 방해함

장해가 유용한

기능을 배제함

장 애 상 태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1급 3 100

극심한 치매 CDR 척도 5점 100

심한 치매 CDR 척도 4점 80

(상지와 하지)평가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배뇨 배변 및 성기능의 장해평가 그리고

뇌신경기능 장해평가로 나눌 수 있다 다른 장기의 장해평가 방법과 마찬가지로 장애

의 정도는 등급이 아닌 장애율로 평가를 한다 장애율은 일률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닌 장애 범위를 제시함으로써 평가자가 증상의 정도에 따라 구분 항목 내에서 결

정하도록 하고 있다

정신(행동)장애는 제 14장에 그 내용을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으나 AMA 기준에

서는 정신행동장애에 대해서는 신체장애율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다른 장해계열과

달리 정신 질환의 정확한 장해 평가 기준은 없는데 백분율을 사용하면 존재하지 않는

확실성을 암시하게 되고 백분율은 정신 및 행동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검토할 가능성이 적은 심판관들에 의해 융통성 없이 사용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미

국정신의학협회장해 재활위원회(Committee 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of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는 이와 같은 어려운 문제를 숙고한 후 제4판의

정신 및 행동 장애 해당 장(章)에서 백분율 표시를 삼가 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이러한

권유를 제 5판에서 그대로 적용하여 장애율을 이용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다음의 표와 같이 간략하게 비교하여 볼 수 있다

〈표 2〉 AMA상 정신 및 행동장애로 인한 등급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정신신경 장애의 국내 기준 비교

mdash mdash59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

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2급 5 7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3급 3급 3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5급 8

심한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5급 7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외

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4

정신행동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 장

보기 등의 기본적 사회 활동을 혼자서 할 수 없는 상태4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9급 15

약간의 치매 CDR 척도 2점 40

약간의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10

장애상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타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극심한 치매 CDR 척도 5점

심한 치매 CDR 척도 4점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심한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

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

정신행동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대중교통을 이용

한 이동 장보기 등의 기본적 사회 활동을 혼자서

할 수 없는 상태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

약간의 치매 CDR 척도 2점

약간의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정신신경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신경계는 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위원회에서 AMA 기준을 근간으로 하여 우리

나라 여건에 맞도록 만들어 놓은 기준이 있다 이 기준의 타당성을 전문가의 자문을 통

mdash mdash60

하여 검토하고 개선 사항이 발견되면 이를 수정함이 좋을 것으로 본다 한편 정신행동

계 장해평가에 대해서는 노동부에서 2004년도에 정책 연구 용역사업으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를 시도 한 적이 있다

Ⅵ 결 론

AMA기준에서는 신경계와 정신행동계를 각각 구분하여 평가한다 신경계 장애의

장애율은 최소값과 최고값 사이에서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며 구별점을 비교적 구체

적이고 자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정신행동계의 장애는 백분율로 표현된 장

애율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산재보험법에서는 불과 6개 등급으로 포괄적이고 개념

적인 정의만 언급하고 있다

mdash mdash61

제 4 장 특수기능 장해평가7)

Ⅰ 서 론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안과 영역

2 이비인후과 영역

3 비뇨생식기계

4 흉터 장애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안과 영역

2 이비인후과 영역

3 비뇨생식기계

4 흉터 장애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Ⅵ 결 론

7) 정한용(정신) 이상원(신외) 황선철(신외) 정헌종(산업) 조경석(신외)

mdash mdash63

I 서 론

특수 기능 분야는 근골격계 내부 장기 정신신경계통을 제외한 부분들의 영역을

조사한다 이 분야는 미국의학협회의 장해평가기준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ition 이하 lsquoAMA기준rsquo 이라고 함)의 제7장 비뇨생

식기계 제8장 피부 제11장 귀 코 구강 (이비인후과 영역) 그리고 제12장 시각

계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장애등급판정(이하 lsquo산재기준rsquo

이라고 함)에서 장애부위 구분상 눈 귀 코 입의 전 부위와 두부middot안면부middot경부의 흉

터 장애 흉복부장기의 비뇨기 장애 생식기 장애를 포함하는 영역이 이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해당 장기의 영역을 안과 영역 이비인후과 영역 비뇨 생식기계 흉터(안면부)로

구분하고 현재 산재기준을 나열하고 의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해당

영역의 AMA기준을 분석하여 산재기준과 장단점을 열거하고자 한다

이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장애에 대한 국내에서의 인지도 분석을 위한 설문지 항

목의 초안을 만들어 보았다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산업기준에서 해당 영역의 장해평가와 등급 분석을 요약하고자 한다

1 안과 영역

눈의 장애는 안구와 눈꺼풀의 장애로 구분되어 있다 안구의 장애는 기능적인 장

애를 평가하여 시력 조절기능 안구운동 시야의 영역을 평가하고 눈꺼풀의 장애는

기질적 손상인 결손 장애 기능적 손상인 운동 장애에 대하여 평가한다 시력장애는

11단계로 국제시력표를 이용하여 교정시력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장애 등급

상 최고 등급은 두 눈이 실명된 사람으로 1급이며 한눈의 시력이 06이하인 사람

은 13등급의 최저등급으로 구분되어 있다(표1)

시력측정은 원칙적으로 국제시력표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시력이라 함은

mdash mdash64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안구의 장애

기능적 장애

시력 장애

제1급제1호

제2급제1호

제2급제2호

제3급제1호

제4급제1호

제5급제1호

제6급제1호

제7급제1호

제8급제1호

제9급제1호

제9급제2호

제10급제1호

제13급제2호

두 눈이 실명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02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6이하로 된 사람

두 분의 시력이 각각 006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1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거나 한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6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조절기

능 장애

제11급제1호

제12급제1호

두 눈이 모두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한 준의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운동

장애

제11급제1호

제12급제1호

두 눈이 모두 안구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한 눈의 안구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시야

장애

제9급제3호

제13급제2호

두눈에 모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한눈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눈꺼풀의 장애

기질적

장애

결손

장애

제9급제4호

제11급제3호

제13급제3호

제14급제1호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한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두 눈의 눈꺼풀에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또는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한 눈의 눈꺼풀에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또는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기능적

장애운동장애

제11급제2호

제12급제2호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한 준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표 26〉 눈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교정시력을 말하는 것으로 안경에 의하여 교정한 시력에 의거 측정한다 다만 시

력의 교정으로 부등상증(不等像症)이 생겨서 양안시가 곤란하게 되는 것이 의학적

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나안(裸眼)으로 시력을 측정한다 두 눈의 시력장애에 대해

서 등급표상 정해져 있는 해당 등급을 인정하며 한 눈마다의 등급을 정아여 조정

준용등급 방법은 인정하지 않고 있다

조절기능 장애는 제11급과 제12급 두 가지 등급을 결정하고 있다 lsquo안구에 뚜렷

한 조절기능장애가 남은 사람rsquo은 조절력이 통상의 2분의 1이하로 감소된 사람을 말

한다 예를 들어 한쪽의 눈에 인공수정체를 이식하여 교정한 시력이 06이상인 경

우는 시력장애는 해당되지 않으나 무수정체이기 때문에 원근의 조절작용이 전혀 없

으므로 장애등급 제12급제1호를 인정한다

안구의 운동장애는 안구의 운동을 담당하는 6개의 외안근(外眼筋)의 일부 혹은

전부 마비가 되어 안구 운동의 제한을 보이는 경우이다 양안시가 있는 사람은 복

시(複視)가 나타나게 된다 lsquo안구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rsquo이란 안구의

mdash mdash65

주시야의 넓이가 2분의 1이하로 감소된 사람을 말한다 주시야의 넓이는 상당한 개인

차가 있지만 평균치는 단안시에서 각방면 약 50도 양안시에서는 각방면 약 45도이다

시야장애에서 시야란 눈앞의 한 점을 응시하면서 동시에 볼 수 있는 시계(視界)

의 넓이를 말하는 것이다 시야협착(視野狹窄)은 시야 주변의 협착으로 동심성협착

과 불규칙협착이 있다 시신경의 손상으로도 시야의 협착이 발생한다 만일 고도의

동심성 협착이 있는 경우 시력이 양호해도 뚜렷하게 시기능을 방해하여 주위의 상

황을 살필 수 없기 때문에 보행 기타 여러 가지 동작이 곤란하게 된다 시야변상는

반맹증 시야의 결손 시야 협착 및 암점이 포함되지만 반맹증 및 시야협착에 대해

서는 등급표에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암점과 시야결손을 말한다

눈꺼풀의 장애는 기질적 장애인 결손과 기능적 장애인 운동장애로 구분된다 눈

꺼풀의 결손 장애는 9급에서 14급으로 4단계로 운동 장애는 11급과 12급 2단계로

되어 있다 눈꺼풀의 뚜렷한 결손은 눈을 감았을 때 각막을 완전히 덮을 수 없는

정도를 말하고 일부에 결손이 남은 경우는 눈을 감았을 때 각막을 완전히 덮을 수

는 있지만 결막이 노출되어 있는 정도를 말한다

산재기준에서 예시한 항목이 없거나 여러 개의 항목이 중복이 되는 경우에는 준

용(準用)과 조정(調整)을 한다 시행령의 제31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해 조정하여 등

급을 인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 눈의 눈꺼풀에 두렷한 결손으로 제11급제3호의

장애가 있고 다른 눈에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로 제12급제2호가 인정되는

경우는 등급을 조정하여 10급을 인정하게 된다 준용의 경우는 정면시에서 복시가

발생하여 양안시로 고도의 두통 현기증이 발생하여 노동에 뚜렷한 지장을 초래한는

경우는 제12급을 준용한다 만일 정면시에는 복시가 생기지 않지만 좌우상하시에서

복시가 발생하여 노동에 뚜렷한 지장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경도의 두통을 호소하면

제14급을 준용한다 대광반사가 뚜렷하게 장애를 입은 경우는 제12급을 준용한다

2 이비인후과 영역

1) 귀의 장애

귀의 장애는 기능적 장애인 청력 장애와 기질적 장애인 귓바퀴의 결손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청력 장애는 두 귀와 한 귀로 구분하고 있으며 청력의 측정

mdash mdash66

은 순음청력 검사의 기도청력 역치를 기준으로 6분법에 의하여 판정하고 있다 판

정 기준에는 검사 항목을 제시하여 필수 검사 항목으로 이비인후과 의사의 이학적

검사 순음청력검사 언어청력검사 임피던스 청력검사를 시행하고 보완검사 (의학

적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로 뇌간유발반응청력검사 자기청력계검사 이음향방사

검사 이명도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및 기타 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검사를 시

행하고 인력기준과 시설 기준에 대해서도 정해져 있다 비교적 평가 및 검사의 질

적 상태 유지를 위한 정도 관리가 시행되고 있다 장애 판정의 의료기관의 시설기

준에서 검사장비로 순음 및 언어청력검사기 임피던스청력검사기 뇌간유발반응청력

검사기 이음향방사검사기 자기청력검사기를 갖추도록 하고 있다

청력 장애에서 두 귀와 한 귀의 장애를 각각 평가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두 귀

장애는 고막의 전부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

은 사람을 최상위 등급은 4급으로 정하고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 이상의 거리

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을 11급으로 정하여 6 단계 (9개

구분)로 장애 정도의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한 귀의 청력장애는 9급에서 14급의 4

단계로 정하고 있다 귓바퀴 장애는 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 된 사람을 12

급으로 1개 등급을 정하고 있다(표2)

등급표에서는 청력장애의 등급의 예시항목이 추상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장해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에서는 순음청력과 언어명료도에 대한 구체적인 기

준을 제시하고 있다 청력의 측정은 24시간 이상 소음작업을 중단한 후 500

1000 2000 4000 Hz의 주파수음에 대한 청력치를 측정하여 6분법으로 판정한다

이러한 측정은 3-7일 간격으로 3회 이상 실시하여 검사의 유의차가 없는 경우 그

중 최소가청력치를 청력장애로 인정하고 있다 장애의 등급 구체적인 지침을 예로

들면 두 귀의 평균청력손실치가 80dB이상인 사람 또는 두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50dB이상 80dB 미만이고 최고 명료도가 30이하인 사람은 제6급3호로 판정하도

록 하고 있다 순음청력과 언어명료에 대한 측정치를 이용하여 청력장애를 판단하

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청력의 검사는 보청기 등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

하도록 하고 있다

mdash mdash67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귀 의 장 애

기 능 적 장 애

청 력 장 애

두 귀

제4급제3호고막의 전부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려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사람

제6급제3호

고막의 대부분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

의 청력이 모두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

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6급제4호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40

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

하게 된 사람

제7급제2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

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7급제3호

한 쉬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

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9급제7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9급제8호

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

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

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0급제5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1급제11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

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한 귀

제9급제9호 한 귀의 청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제10급제4호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는 큰 말 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1급제4호한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4급제11호한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

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귓바퀴

제12급제4호 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된 사람

〈표 27〉 귀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귓바퀴의 대부분의 결손은 이개의 연골부의 2분의 1이상이 결손된 것을 말한다

귓바퀴의 결손의 경우 외모의 흉터장애로 인정되는 경우의 등급 중에서 어느 것이

든 상위의 등급을 인정한다 예를 들면 여자의 경우 귓바퀴의 대부분의 결손이 있

는 경우는 제12급제4호에 해당하지만 흉터장애로서는 제7급제12호에 해당하기 때

문에 상위등급은 제7급제12호를 인정한다

귀의 장애에서도 산재기준에 예시한 항목이 없거나 여러 개의 항목이 중복이 되

는 경우에는 준용(準用)과 조정(調整)을 한다

mdash mdash68

2) 코의 장애

코의 장애는 기질 및 기능적 장애에 대해 한 가지의 등급을 정하고 있다 그 내

용은 코가 결손 되어 그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을 9급으로 한다 결손은

코 연골부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잃은 경우를 말하고 기능에 뚜렷한 장애는 코로

숨쉬기가 곤란한 사람 또는 후각이 상실된 사람을 말한다 코의 결손이 외모의 흉

터에 해당하는 경우는 두부middot안면부middot경부의 흉터 장애를 준용하여 남자는 14급 여자

는 12급으로 평가하도록 정하고 있다

3) 입의 장애

입의 장애는 기능적 장애로 말하는 기능 및 씹는 기능과 기질적 장애로 치아의

보철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말하는 기능은 구강에서 자음이 만들어지는 조음위치

(調音位置)에 따라 4 종류로 구분하여 ① 구순음(ㅁ ㅂ v) ② 치설음(ㄴ ㄷ ㅌ)

③ 구개음(ㅈ ㅊ) ④후두음(ㅇ ㅎ)으로 정하고 있다 말하는 기능의 장애는 위 4

종의 음성 중 3종 이상의 발음을 할 수 없는 경우를 3급으로 정하고 있고 1종의

발음을 할 수 없는 사람을 10급으로 정하고 있다 음식물을 씹는 기능 장애는 상하

교합(上下咬合)과 배열 상태 및 하악의 개패운동 등에 따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을 3급으로 정하고 있다(표3)

이러한 씹는 기능의 장애는 주관적인 판단기준으로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나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치아 장애는 보철이 된 치아의 개수에 따라 10급에서 14급

으로 5단계 구분을 제시하고 있다 식도의 협착 등의 삼키는 기능의 장애는 씹는

기능장애에 관한 등급을 준용하고 있으며 미각상실은 12급을 준용하도록 정하고 있다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입의 장애

기능적 장애

말하는

기능 및

음식물을

씹는

기능장애

제1급제2호

제3급제2호

제4급제2호

제6급제2호

제9급제6호

제10급제2호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모두 영구적으로 잃은 사람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

기질적 장애

결손

장애

제10급제3호

제11급제10호

제12급제2호

제13급제4호

제14급제2호

14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10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7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5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3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표 28〉 입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mdash mdash69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흉 복부

장기 장애

제7급제13호

제8급제11호

제9급제14호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

비장 또는 한 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생식기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표 29〉 비뇨생식기계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3 비뇨생식기계

비뇨생식기계에 대해서는 흉복부의 장애에 일부로 포함되어 있다 제시된 장애등

급 표에 의하면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은 7급 한 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은 8급

생식기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은 9급으로 정하고 있다 상세 장애등급 인정기

준을 살펴보면 비뇨기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로 구분하여 그에 해당하는 예를 제

시하고 있다(표4) 해당 예시항목이 없는 경우에는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

애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제3급제4호)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제7급제5호)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제9급제16

호) 흉복부 장기의 기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제11급제9호)의 항목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신장은 요로변경술 시행으로 신루 신우루 요관피부문합 요관장문합을 남긴 채

로 치유된 상태나 만성 신우신염 수신증인 사람을 제7급제5호로 정하고 있다 방

광 장애는 방광 기능이 완전히 없어진 사람은 제3급제4호로 위축방광(50cc이하)인

사람은 제7급제5호로 인정하고 있다 요도 협착은 11급과 14급으로 2 단계 구분을

제시하고 있다 생식기의 장애는 외부성기의 결손이나 협착 고환의 위축 등에 대해

9급 11급의 장애를 인정하고 있다

4 흉터 장애

두부middot안면부middot경부에서 흉터의 장애에 대해 정하고 있다 외모의 흉터에 대하여 남

자와 여자로 구별하여 2단계로 등급이 정해져 있고 팔다리의 노출면의 흉터에 대하

여는 남여의 차이 없이 1등급만을 인정하고 있다 외모란 두부 안면부 경부와 같

이 일상 생황에서 노출되는 부분을 말하며 팔 다리는 제외되어 있다 외모에 lsquo뚜렷

mdash mdash70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흉터 장애

외모

여자제7급제12호

제12급제14호

외모에 뚜렷한 흉터가 남은 여자

외모에 흉터가 남은 여자

남자제12급제13호

제14급제10호

외모에 뚜렷한 흉터가 남은 남자

외모에 흉터가 남은 남자

팔다리팔 제14급제3호 팔의 노출된 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다리 제14급제4호 다리의 노출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표 30〉 흉터장애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한 흉터rsquo란 두부에 있어서는 손바닥 크기 이상의 반흔 또는 두개골의 손바닥 크기

이상의 결손 안면부에 있어서는 계란 크기 이상의 반흔 길이 5 센티미터 이상의

선상흔 또는 10원짜리 동전 크기 이상의 조직함몰 경부에 있어서는 손바닥 크기

이상의 반흔을 말한다 lsquo단순한 흉터rsquo란 두부에 있어서는 계란 크기 이상의 반흔 또

는 두개골의 계란 크기 이상의 결손 안면부에 있어서는 10원짜리 동전 크기 이상

의 반흔 또는 길이 3센티미터 이상의 선상흔 경부에 있어서는 계란 크기 이상의

반흔을 말한다

외모의 장애는 여자는 뚜렷한 흉터가 남은 경우 7급 그 외는 12급으로 정하고

남자는 12급과 14급의 2단계로 등급을 정하고 있다 같은 정도의 흉터라 하더라도

여자가 남자에 비해 상위의 등급을 판정하도록 하였다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안과영역

AMA기준은 제12장의 시각계(Visual System)에서 평가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평가방법은 1936년 맥브라이드 평가법으로부터 시작하여 1995년 AMA기

준 4판가지 이르도록 내용상 큰 변화가 없이 시각장애를 평가했을 정도로 비교적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방법이다 AMA기준의 4판에서는 시력 시야 안구운동의

3가지 시각요소를 평가였으나 5판에서는 시력장애와 시야장애로 구분된다

저시력에 관련된 국제 전문가들이 관여하여 AMA기준 4판과는 완전히 달라진 평가

방법이다 이전의 기준에 사용하던 시효율(Visual Efficiency VE)의 개념이 없어지고

mdash mdash71

장애 등급

(ICD-9-CM 기준)

시력 시력점수

(VAS)시력장애율()

미국식 표기 1m 표기

정상

시력

정상

2025

2016

2020

2025

1063

108

11

1125

110

105

100

95

0

5

준정상

2032

2040

2050

2063

116

12

125

132

90

85

80

75

10

15

20

25

〈표 31〉 AMA Table 12-2 시력 점수(VAS)

시기능점수(Functional Vision Score FVS)로 대치되었다 시기능점수는 시력 및 시

야의 평가에 기초하고 있고 복시 및 무수정체증에 대한 여분의 측정계수 및 손실은 삭

제한 대신 필요한 경우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하였다 시력과 시야소실에 반영되

지 dskg는 대비감도 눈부심(현휘) 민감도 색각 양안시 입체시 억제 복시 등과 같은

기타 기능장애는 개별조정을 허용하고 있다

시력에 대한 시력기능점수(Functional Acuity Score FAS)와 시야기능점수

(Functional Field Score FFS)를 각각 구한 후에 FAS와 FFS를 이용하여 FVS를 구한다

1) 시력장애

시력의 측정은 원거리와 근거리를 시력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데 굴절이상이 있을

때는 안경으로 교정한 교정시력을 측정한다 눈에 들어온 평행한 빛이 망막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는 즉 보려고 하는 물체를 선명하게 보기 위해서는 굴절이 필요하고 이

것은 각막과 수정체의 굴절력 안축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며 여기에 이상이 있을 경우

굴절이상이라고 하여 굴절이상의 도수에 맞는 안경으로 교정하면 잘 보이게 되며 여

기에는 근시 원시 난시가 들어간다

시각장애율을 이전의 공식인 (3보다 좋은 눈 + 1보다 나쁜 눈)4 대신에 (3두

눈 + 오른쪽 눈 + 왼쪽 눈)5 공식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공식은 두 눈

의 기능이 보다 좋은 눈이 기능과 같지 않은 경우에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최

종적인 시각장애율은 100-시기능점수(FVS)로 구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시력이 01(VA 20200)인 경우에 AAM 4판의 시준으로 시력 상실률은

80였으나 5판의 기준으로 시력 장애율은 50(Table 12-2에 의함)으로 산정한다

mdash mdash72

가벼운

2080

20100

20125

20160

14

15

163

18

70

65

60

55

30

35

40

45

저시력

심한

20200

20250

20320

20400

110

1125

116

120

50

45

40

35

50

55

60

65

극심한

20500

20630

20800

201000

125

132

140

150

30

25

20

15

70

75

80

85

시력

상실

준시력

상실

201250

201600

202000 미만

163

180

1100 미만

10

5

0

90

95

0

완전시력상실 빛 식별 못함 0 0

Class 1

시력장애 0-9

Class 2

시력장애 10-29

Class 3

시력장애 30-49

Class 4

시력장애 50-69

Class 5

시력장애 70-89

Class 6

시력장애 90-100

FAS 98304491 FAS 90-71 FAS 70-51 FAS 50-31 FAS 30-11 FAS 98304310

정상 준정상 가벼운 심한 극심한 시력상실

〈표 32〉 AMA Table 12-4 시력장애율 분류

위의 표를 이용하여 시력점수(Visual Acuity Score VAS)를 각각 눈에 대해서 구한

후에 제시된 공식인 (VAS두 눈3 + VAS오른쪽 눈1 + VAS왼쪽 눈1)5로 시력기능점수

(FVS)를 구한다 시력기능점수를 구한 후에 Table 12-4의 표를 이용하여 시력 장애율

을 구한다

2) 시야장애

시야(visual field)란 한 눈은 가리고 검사하고자 하는 눈을 움직이지 않고 눈앞

의 한 점을 응시하면서 동시에 볼 수 있는 외계의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주변시력

(peripheral vision) 또는 주변시에 해당하며 이것에 의해 사람은 외계의 물체를 발견

하고 그 상호위치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중요한 시기능의 하나로 주변망막의 자

극에 의한다 시야는 골드만주변시야계(Goldmann perimetry)와 여러 가지 형태의 자

동시야계(automated perimetry)로 측정할 수 있다

mdash mdash73

장애 등급

(ICD-9-CM 기준)특별 조건

동심소실인

경우의 평균반경

시야점수

(VFS)시야장애율()

정상

시력

정상 60o

11010510095

05

준정상 한 눈의 상실

50o

40o

90858075

10152025

가벼운 상부 시야 상실

30o

20o

70656055

30354045

저시력

심한

반측 시야 상실

하부 시야 상실

10o

8o

50454035

50556065

극심한

6o

4o

30252015

70758085

시력

상실

준시력 상실

2o 미만

0

1050

90950

완전시력상실 시야 없음 0 0

〈표 33〉 AMA Table 12-5 시야 점수(VFS)

위의 표를 이용하여 시야점수(Visual Field Score VFS)를 각각 눈에 대해서 구한

후에 제시된 공식인 (VFS두 눈3 + VFS오른쪽 눈1 + VFS왼쪽 눈1)5로 시야기능점수

(FFS)를 구한다 시력기능점수를 구한 후에 Table 12-7의 표를 이용하여 시야 장애

율을 구한다(Table 12-7의 장애율은 Table12-4의 장애율과 동일하여 표는 생략한다)

시기능점수(FVS)은 FAS와 FFS의 곱의 백분율로 구한다(FVS=(FASFFS)100) 예

를 들면 FAS는 80(장애율은 20)이고 FFS는 75(장애율은 25)이면 FVS는

(8075)100인 60(장애율은 40)이다

2 이비인후과 영역

AMA기준은 제11장 코 귀 구강 및 관련 구조물로 설명하고 있다

1) 귀

귀의 장애는 청력장애(hearing loss)와 평형장애(equilibrium)에 대해 평가한다

청력은 순은 청력계를 이용하여 500 1000 2000 3000Hzd에서 청력 수준을 기록

mdash mdash74

Class 1 (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은 없음

및 도움을 받지 않고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Class 2 (1-1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복잡한 활동(예 자전거 타기) 또는 엄격한 주의가 요구되는 특정 업무 활동(예 대

들보 또는 비계 위를 걷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 없이 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Class 3 (11-3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단순한 활동(자신을 돌보는 일 집안 일 보행 다른 사람이 운전하는 자동차에 타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 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표 35〉 AMA Table 11-4 전정질환으로 인한 신체 장애 기준

양쪽 귀의 장애율() 전신장애율() 양쪽 귀의 장애율() 전신장애율()

00-1718-4243-7475-99

100-131

01234

500-531532-557558-588589-614615-645

1819202122

132-159160-188189-214215-245246-271

56789

646-671672-700701-7287209-759760-785

2324252627

272-300301-328329-359360-385386-417

1011121314

786-817818-842843-874875-899900-931

2829303132

418-442443-474475-499

151617

932-957958-988989-1000

333435

〈표 34〉 AMA Table 11-3 양쪽 귀의 장애율과 전신장애율의 비교

하고 만일 100dB을 초과하는 경우는 100dB로 기록한다 각 4개 영역의 청력수준

을 더하여 총합을 구한다(DSHL decibel sum of the hearing loss) 측정값에 대

해서 양쪽귀로 청력의 환산하는 표를 제시하고 있다 table 11-2는 양쪽 귀에서 측

정된 DSHL을 각각 대입하여 청력에 의한 장애율을 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장애율

은 0-35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 표에서 구한 청각 장애율의 공식은 장애율()

는 (5밝은 귀의 청각 장애율 + 어두운 귀의 장애율)6 으로 산출한다 이 공식의

특징은 한쪽 귀의 청력이 좋은 경우면 장애가 적게 산출이 된다는 것이다 양쪽 귀

에 대한 장애율을 구한 후에 표(Table 11-3)을 이용하여 전신장애율을 구한다

청력 이외의 귀의 기능인 평형에 대한 장애 기준은 표10과 같다

mdash mdash75

Class 4 (30-6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외에는 도움이 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Class 5 (61-95)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중 보행을 요하지 않는 행위를 제외하고 도움 없이 일상 활

동을할 수 없음 및 집안에 머물러 있어야만 함

Class 1 (0-5)

눈에 띄는 흉터 또는 비정상 색소침착(제8장 피부질환 참조) 등과 같이 피부 구조 장애

에 한정된 얼굴 이상

또는 가벼운 한쪽 또는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외모에 영향을 주는 코의 변형

Class 2 (6-10)

피부 장애(예 함몰된 뺨 비골 또는 전두골)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은 얼굴 장애로

서 얼굴 일부의 지지 구조의 상실을 초래한 경우

Class 3 (11-15)

눈 또는 코의 일부 상실 등과 같이 얼굴의 해부학적 부분 또는 부위의 결여 때문에 발

생한 얼굴 이상으로서 얼굴 변형을 초래한 경우 이 경우 기능 소실(예 시력)이 수반되

면 이를 병함한다(제12장)

또는 심한 한쪽 전체 얼굴 마비

또는 가벼운 양쪽 전체 얼굴 마비

Class 4 (15-50)

얼굴 해부학적 구조의극심한 또는 완전한 변형으로서 변형 정도가 극심해서 사회 적응

이 불가능할 정도인 경우 정신 및 행동 장애로 인한 장해 등급을 병합한다(제14장)

또는 심한 양쪽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코의 주요 부위 또는 전체 상실

〈표 36〉 AMA Table 11-5 얼굴 질환 및 변형으로 인한 신체 장애 기준

2) 안 면

안면장애는 얼굴의 질환 또는 변형으로 인한 영구 장애를 평가하기 위해서 해부

학적 변화 및 기능 변화를 평가한다 얼굴의 구조적 완전성과 관련되는 장애를 다

루고 있다 얼굴 변형의 원인은 화상 외상 수술 감염 또는 형성이상 등이 주요 원

인이 된다 안면신경의 마비에 의한 형태의 변형을 포함한다(표11)

3) 후각 및 미각 장애

장애율은 1-5을 정하고 있다

mdash mdash76

Class 1 (0-14)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대부분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이를 위해 간혹 노력해야

하고 때로 개인의 능력에 부치는 일일 수도 있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대부분의 조음 행위를 할 수 있다 그러나 간혹 다시 한번 말해 줄것을

요청 받거나 어떤 발성 단위는 발음하기 어려워하거나 불가능하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대부분의 요구를 층족 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

하게 해 낼 수 있으나 가끔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Class 2 (15-34)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많은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으며 평균적인 환경에서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승용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잘 들을 수 없다

일상 회회에 필요한 많은 조음 행위를 할 수 있으며 타인이 이를 알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오류가 있으며 간혹 조음이 어려울 경우가 있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많은 요구를 충족 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가끔 어려움을 겪으며 때때로 끊어지거나 중단되고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Class 3 (35-59)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특정 필요 즉 인접한 상대와의 대화가 가능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

나 목소리가 쉬 피로해지고 수초가 지나면 잘 들리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떨어지거나 승용

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과 같은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일부 조음 행위를 할 수 있으며 가족 및 친구들과 대화할 수 있으나 타

인은 말소리를 알아 듣기 어려워하며 자주 다시 한번 말해달라는 요청을 받는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일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지속적으로 말할 수 있으며 상대방에게 쉬 피곤해

한다는 인상을 준다

Class 4 (60-84)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한정된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나 가까이서 주의를 기

울여야 겨우 들을 수 있으며 또한 귀에 들릴 정도로 속삭일 수 있으나 크게 말할 수는 없

일상 회화에 필요한 제한된 조음 행위를 할 수 있으며 일부의 발성 단위를 발음할 수 있다

자기 가족의 이름 등 몇 단어는 비슷하게 발음하나 관련 없는 단어를 발음하면 알아 들을

수 없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제한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

게 말할 수 있으나(한 단어 ㄸ는 짧은 구절) 말이 자주 끊기고 아주 힘들어한다 속도가 대

단히 느리다

Class 5 (85-100)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전혀 낼 수 없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행위를 전혀 할 수 없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는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요구를 전혀 충족

시킬 수 없다

〈표 37〉 음성언어로 인한 신체 장애 기준

4) 음성 언어 장애

조음장애 유창성 장애 음성장애(후두이상) 언어장애로 구분하고 있다 가청도

(audibility) 가해성(intelligence) 기능적 효율성(functional efficiency)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mdash mdash77

언어 및 음성 장애는 분리해서 평가하지 않으면 장애등급은 3개 부문(가청도 가

해성 기능적 효율성)의 백분율 중 가장 큰 것을 장애율로 한다

3 비뇨생식기계

AMA기준 5판의 7장에서 비뇨 생식기계의 장해평가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다른

장기의 장해평가 방법과 마찬가지로 장애의 정도는 등급이 아닌 장애율로 평가를

한다 장애율은 일률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고 장애 범위를 제시함으로써 평가자

가 증상의 정도에 따른 구분항목 내에서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비뇨기계는 신장 요로 치환 방광 요도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생식기계는 남자는

음경 음낭 고환과 부속기 전립선으로 구분하고 여자는 외성기(질) 자궁 난소와

나팔관으로 구분하여 각각을 평가한다(각 기관별의 장애율은 표 13 참고)

신장은 크레아티닌 청소율(CCr)을 구하여 신장 기능을 평가하여 4개로 구분하였

다 최고의 장애율은 95로 한다 대표적으로 class 4는 장애율 60-95로 CCr lt

40Lday이며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을 가지는 경우로 투석이 요하는 경우이다

만성신부전으로 투석을 지속적으로 하는 경우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신장이

식 후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가 요하는 경우는 class 2로 장애율 15-34에 해당한

다 요로 치환술을 시행한 경우에도 각 시술에 따라서 요관-장루 10 피부 요관

창냄술 10 콩팥창냄술 15로 정하고 있다

방광은 빈뇨 야간뇨 등의 증상과 반사적 배뇨 활동을 구분하여 class 3으로 구

분을 하고 있으며 최고 장애율은 70이다 class 3는 41-70의 장애율을 제시하

고 있으며 배뇨의 반사적 활동이 없거나 자발적인 조절이 전혀 없는 경우이다 요

도의 장애는 요도 협착 요실금으로 3 단계로 구분을 하고 있다 최고 장애율은

40로 요도 이상으로 소변의 누출이있고 자발적인 조절이 되지 않는 경우가 평가

기준이다

생식계에서 제시된 장애율은 40-65세를 기준으로 하여 40세 미만은 50의 장

애율을 합산하고 65세 이상인 경우에는 50 장애율을 감산하도록 되어 있다 남

자의 경우 음경은 발기 사정 감각 등의 성기능을 평가하고 외상후 섬유증 탈구 등

에 해당하여 3단계로 구분 하였다 최고 장애율은 20고 성기능이 전혀 없음이다

mdash mdash78

신 장

Class 1 (0-14)

CCr 75-90Lday 증상은 있으나 치료 필요하지 않음 하나의 신장

Class 2 (15-34)

CCr 60-75Lday 증상이 있고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가 요함 신장이식 후

Class 3 (35-58)

CCr 40-60Lday 치료에도 완전히 조절되지 않는 증상을 가짐

Class 4 (60-95)

CCr lt 40Lday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증상을 가짐 투석이 요함

〈표 38〉 비뇨 생식기계의 평가표(AMA 기준 요약)

방 광

Class 1 (0-15)

방광이상 증상이 있고 간헐적인 치료가 요함 정상적인 기능이 남아 있음

Class 2 (16-40)

방광이상 증상이 있고 지속적인 치료가 요함

Class 3 (41-70)

배뇨의 반사적 활동이 없거나 자발적인 조절이 전혀 없음

음낭의 장애는 고환 기능에 이상은 없으나 음낭의 소실 통증 등으로 평가하며 3

단계 구분을 하였다 고환과 부속기는 해부학적 이상과 정액과 호르몬의 기능을 평

가하며 여기에는 부고환염 정자부족증 고환절제술 상태가 해당한다 장애는 3 단

계 구분으로 최고 장애율은 양측 고환이 없고 정액과 호르몬 기능이 없는 경우는

class 3으로 장애율은 16-20이다 최고 장애율은 음경의 장애에 의한 최고 장애

율과 같다 전립선의 경우는 3단계 구분으로 최고 장애율은 20이다

여자는 외성기의 장애는 변형으로 인하여 성행위와 질식 분만 가능성에 대하여

평가를 하고 3단계 분류로 class 3은 장애율이 26-35로 치료에도 조절되지 않는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성행위와 질식분만이 불가능한 경우로 정의하고 있

다 자궁에 관한 장애는 자궁절제술 자궁경부 협착 등이 해당하며 폐경기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장해평가를 하고 있다 3단계로 분류하고 최고 장애율은 35이

다 난소와 나팔관의 기능이나 변형에 대한 평가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폐경기 이

전에 나팔관의 개방성이 없거나 난자의 생성이 불가능하거나 해부학적 소실이 있는

경우가 장애율은 26-35에 해당한다 만일 관련된 호르몬의 기능 이상이 있는 경

우 내분비계에서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여자의 생식기계는 해부학적 부위별로 공

통적으로 3 단계 구분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동일한 정도의 장애율을 제시하고 있다

mdash mdash79

요 도

Class 1 (0-10)

요도이상 증상이 있고 간헐적인 치료가 요함

Class 2 (11-20)

요도이상 증상이 있고 치료에 효과적이지 못함

Class 3 (21-40)

요도이상으로 소변이 새고 자발적인 조절이 되지 않음

음 경(남자)

Class 1 (0-10)

성행위는 가능하나 발기 사정 감각이 어느 정도 불편

Class 2 (11-19)

발기로 성행위는 가능하나 사정과 감각에 결손

Class 3 (20)

성기능이 없음

음 낭(남자)

Class 1 (0-10)

음낭의 일부소실 고환의 기능이상은 없음 고환 위치이상이 있음

Class 2 (11-20)

음낭의 구조적 변형 고환을 음낭 이외에 위치하고 활동시 통증이 있음

음낭의 완전 소실

Class 3 (21-35)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음낭질환으로 신체적 활동에 제약

고 환(남자)

Class 1 (0-10)

고환 부고환 정삭의 해부학적 이상이 있고 지속적인 치료는 필요하지 않고 정액과 호

르몬의 이상은 없음 고환이 하나

Class 2 (11-15)

고환 부고환 정삭의 해부학적 이상이 있고 지속적인 치료가 요하거나 치료가 불가능

하고 정액과 호르몬의 이상이 있음

Class 3 (16-20)

양측 고환이 없음 정액화 호르몬의 기능이 없음

전립선(남자)

Class 1 (0-10)

전립선과 정낭의 이상증상과 해부학적 변형과 지속적인 치료는 필요하지 않음

Class 2 (11-15)

빈번한 전립선과 정낭의 이상 증상과 해부학적 변형과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

Class 3 (16-20)

전립선과 정낭이 없음

mdash mdash80

외성기(여자)

Class 1 (0-15)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이 있으나 치료는 요하지 않고 성행위가 가능하고 출산이 가

Class 2 (16-25)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치료가 요하고 성행위는 가능하나 어려움이 있고 질식

분만에 제한이 있음

Class 3 (26-35)

치료에도 조절되지 않는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성행위와 질식분만이 불가능함

자 궁(여자)

Class 1 (0-15)

자궁과 경부의 이상과 변형이 있으나 지속적인 치료는 요하지 않음

치료가 요하지 않는 경부협착 폐경기의 자궁과 경부의 소실

Class 2 (16-25)

자궁과 경부의 이상과 변형으로 지속적인 치료가 요함

주기적인 치료가 요하는 경부협착

Class 3 (26-35)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자궁과 경부의 이상과 변형

완전한 경부 협착

폐경기 이전에 자궁과 경부의 해부학적 기능적 소실

난 소(여자)

Class 1 (0-15)

자궁관 난소의 이상이나 변형이 있으나 치료가 요하지 않음

폐경기 이전에 단일 자궁관과 난소

폐경기 이후에 양측 자궁관과 난소의 기능이 없음

Class 2 (16-25)

자궁관 난소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지속적인 치료가 요하나 자궁관의 개방성은유지되

어 배란이 가능함

Class 3 (26-35)

자궁관 난소의 이상이나 변형이 있고 폐경기 이전에 자궁관의 개방성이 없거나 난자

의 생성이 불가능하거나 양측의 해부학적 소실

4 피 부

AMA 5판에서 피부에 대한 평가기준은 8장에서 기술하고 있다 치료 후 회복 단

계를 거친 다음 지속되는 피부의 기능 이상 또는 상실을 말하며 치료의 지속 여부를

mdash mdash81

Class 1

장애율 0-9

Class 2

장애율 10-24

Class 3

장애율 25-54

Class 4

장애율 55-84

Class 1

장애율 85-95

피부질환 징후 및 증상

이 있거나 가끔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상

이 있거나 가끔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상

이 있거나 가끔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

상 항상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

상 항상 있음

일상 활동 수행에 전

혀 지장이 없거나 약

간 있음 특정 물리

화학적 발생원에 노

출되면 일시적으로

활동 제한 폭이 커짐

일상 활동 중 일부

제한 있음

일상 활동 중 많은

부분 제한 있음

일상 활동 중 많은

부분 제한 있으며 이

따금 집 또는 기타

장소에 들어 박혀 활

동을 자제해야 함

일상 활동 중 대부분

제한 있으며 이따금

집 또는 기타 장소에

들어 박혀 활동을 자

제해야 함

치료가 필요 없거나

간헐적 치료를 요함

간헐적 치료 또는 지

속적 치료 요함

간헐적 치료 또는 지

속적 치료 요함

간헐적 치료 또는 지

속적 치료 요함

간헐적 또는 지속적

치료 요함

〈표 14〉 AMA Table 8-2 피부질환으로 인한 장해평가기준

막론하고 더 이상의 중대한 변화가 예상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임상적인 평가는

병력과 진찰 진단기법을 이용하여 판단한다 실험실 검사는 부착포 검사 개방검사

단자 검사 피부내 검사 혈청 알레르기 검사 우드등 검사 배양 세균 진균 및 바

이러스 검사 그리고 생검 등이 있다

해당이 되는 영역은 추상(醜相 변형 disfigurement) 흉터 및 피부이식 접촉성

피부염 라텍스 알레르기 피부암 등을 포함하고 있다 장애 판정기준은 AMA기준

5판의 Table 8-2에 제시하고 있다(표 14)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국내의 장해평가기준은 예시형 등급제도이다 예시형은 장애에 해당하는 참고항

목을 제시하고 그에 해당하는 항목에 따라서 장애의 경중을 나누고 등급을 결정하

도록 하고 있다 예시형은 모든 장애항목의 예를 제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제

시된 항목이 없으면 다른 항목에 준용을 할 수 밖에 없다 장애의 정도는 연속선상

에 위치한 것이지 계단형의 높고 낮음의 비교라고 할 수 없다 산재기준의 장애 등

급표는 1-14급으로 등급이 되어 있다

안과 영역에서 산재 기준은 장애등급이 연속적이지 못하고 단절과 비약이 심하

다 예를 들면 시력장애의 경우 장애등급의 범위는 1-13급이지만 11 12 14 등급

mdash mdash82

은 정해지지 않았다 임상에서 01 이하에서의 시력은 심각한 장애등급에 해당하여

신준을 기해야 한다 하지만 여기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그 차이가 구별하는데 어

려움이 많고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대표적인 예인 두눈이 먼 경우와 한쪽 눈만 먼

경우를 산재기준 장애인복지법 생명보험의 기준을 비교하면 장애 정도나 장애 등

급은 대동소이하다(표 15) 두 눈을 먼 경우는 국내의 모든 평가기준에서 1급이나

100의 장애를 인정하고 있다

산재 기준에서와 같이 시야장애를 단순히 반맹협착 등으로만 판정하기에는 부족

하다 한쪽 눈에만 국한된 시야 장애의 경우에는 등급이 너무 저평가되어 있다 시

야장애의 경우는 외국의 기준인 AMA기준 맥브라이드 평가법과 같은 결손범위 위

치에 따른 산정방법이 필요하다 다른 장애 부분에서도 제시된 항목이 애매한 형용

사형으로 표현되어 그 장애의 정도가 명확하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보면 청력을 잃었을 때의 장애 정도는 매우 상이하다 두

귀의 청력을 잃었을 때는 산재기준에서는 4급이고 장애인복지법에서는 2급으로 정

하고 있다 생명보험약관에서는 80의 장애율을 제시하고 있다 산재기준의 귀의

기능적 장애인 청력에 대해서는 평가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하지

만 평가방법이 피평가자의 주관성에 너무 의존하고 있으며 예시된 항목이 너무 구

체적이다 청력을 두 귀의 장애와 한 귀의 장애를 다르게 분류하여 항목을 제시하

고 있다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예시된 항목

의 분류는 구분이 애매하여 과학적이 못하다

비뇨기계의 장애 항목을 비교하면 양쪽 고환의 상실의 경우 국내 기준의 장애 정

도는 비슷한 정도로 평가되어 있다 하지만 외모에 대한 추상 장애의 경우는 장애

인 복지법에서는 2급의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어 있으나 생명보험약과에서는 15

의 낮은 장애로 평가되어 있다

국내의 장해평가기준의 모태는 산재기준이다 산재기준에서 제시되어 있는 장애

등급의 구분을 다른 평가기준에서 대부분을 받아들이고 있다 등급은 1급에서 14급

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장애항목은 산재기준에서의 항목을 많은 부분을 활용하고

있다 이렇기에 장애상태에 대한 장애정도나 등급은 비슷하다 하지만 추상장애의

경우와 같이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는 평가기준을 만든 주체가 따라 달라지는 것으

로 판단된다 국내의 장해평가기준은 보상이나 배상으로 위한 장애등급이기 때문에

지급의 주체에 의해 변경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의학적인 기준이

mdash mdash83

장 애 상 태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두 눈이 멀었을 때 1급1호 1급1호 100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 X 7급13호 50

한눈이 멀었을 때 6급 7급1호 50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2급 4급3호 80

한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X 9급9호 25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X 12급12 15외모에 뚜렷한 추상(추한 모습)을 남긴 때 2급1호 7급12호 15

〈표 15〉 특수기능 장애의 국내기준 비교

기보다는 단순한 주체의 이익이나 배상의 편익만을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국내 기준에서의 예시형 평가기준은 제시된 항목의 장애 정도를 표기하는데 있어

lsquo뚜렷한rsquo lsquo현저한rsquo lsquo경도의rsquo의 등의 형용사 어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형용사형

표현을 통해 장애의 등급을 결정하는 지표가 된다 예를 들면 입의 장애에 대한 장

애 정도로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모두 영구적으로 잃은 사람 말하

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

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 등으로 그 표현이 구체적이질 못하다

이러한 형용사형은 평가자 피평가자가 생각하는 개인차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

일 수 있다 이를 줄이기 위해 산재기준에서는 별도의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평가

자는 예시되어 있는 장애항목을 찾고 이에 대한 장애정도를 다시 지침에서 확인해

야하는 부담이 있다 평가지침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평가자의

주관에 따라서 등급이 결정되어 버리는 편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평가방식은 장해

평가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뇨기계의 장애항목은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 비장 또는 한 쪽의 신

장을 잃은 사람 생식기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의 3가지 항목만 제시하고 있

고 각각의 해당 장애등급은 7 8 9급이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항목은 흉복부 장

기에 장애의 정도에 따라서 준용하도록 하고 있다 준용의 예로 방광기능이 완전히

소실된 경우는 3급 신장의 이상으로 신우루를 낸 경우는 7급으로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제시된 항목의 예가 너무 제한적이다

주 표의 장애상태는 아래를 기준으로 하였음

장애복지법의 장애등급은 다음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음

외모에 뚜렷한 추상을 남긴 때는 lsquo노출된 안면부의 90 이상의 변형이 있는 사람rsquo으로

기준함

산재 보험의 장애등급은 다음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음

mdash mdash84

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는 lsquo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rsquo으로 기준함

한눈이 멀었을 때는 lsquo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rsquo으로 기준함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는 lsquo후각상실 또는 코로 숨쉬기가 곤란한 사람rsquo을 기준으

로 하여 준용함

외모에 뚜렷한 추상을 남긴 때는 여자가 기준임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AMA 기준과 산재 기준을 비교하면 복잡하고 상위의 장애항목의 장애 정도는 비

슷하다 예를 들어 두 눈이 먼 경우는 산재기준은 1급이고 AMA기준과 맥브라이드

기준도 동일하게 100 장애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하위의 장애를 보

이는 장애 항목의 장애 정도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대표적인 예가 한 귀가 들리

지 않는 경우이다 산재기준에서는 9급의 장애이지만 AMA기준에서는 최대 6의

장애율로 평가가되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표 16)

AMA기준은 상대적으로 과학적이지만 복잡하다 AMA기준은 예시형 백분율제도

라고 할 수 있다 복잡해보이지만 잘 정리된 표를 제시하여 이에 해당하는 장애 급

간(class 1-5)을 선택한다 급간을 선택하고 제시된 장애율 범위에 따라서 급간 내

에서 경중을 결정하여 최종 장애율을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안과영역에 있어 AMA기준은 국내 안과의사에게 인지도가 전혀 없고 시각요소

는 간단해졌지만 계산과정이 복잡하고 시야 측정시간이 매우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시력과 시야를 동시에 평가하여 눈의 보는 일에 대한 평가에 대해 충

실하고 있다 두 눈이 먼 경우에 산재기준과 AMA기준은 최고의 장애 등급으로 평

가하고 있다 하지만 한 눈만 기능이 없는 경우에 대해서는 산재기준은 7급이지만

AMA기준은 35 정도의 장애율로 평가된다 서로 차이는 상당한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청력장애에 있어 AMA기준은 산재기준에 비해 구체적이면서 과학적이다 장애가

일상생활능력의 제한의 정도라고 한다면 한쪽 귀의 청력이상이 있다고 하더라도 반

대쪽 귀가 청력이 명료하다면 일상생활에 큰 제약이 따르지 않는다 산재기준에서

는 한쪽의 청력을 완전히 소실한 경우는 9급으로 평가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를

AMA 기준으로 평가한다면 장애율을 약 5에 해당한다 산재기준과 AMA 기준이

mdash mdash85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일상생활능력에 대한 제약으로 볼 때 한쪽 귀의 청력의 소

실은 AMA기준의 장애율이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AMA 기준에서 비뇨 생식기계는 국소장기 별로 구분하여 장애를 평가한다 장애

율은 국소 장기별로 대동소이하게 평가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산업재해에서는 흉복

부장기의 내에서 아주 작은 항목만 언급하고 있다 AMA 기준과 비교할 때 산업재

해에서 신장과 방광의 기능 장애 정도가 보다 높게 평가되어 있다 그 예로 산업재

해에서는 한쪽 신장을 잃은 사람은 8급(50) 방광 기능이 상실은 3급(장애율

100)으로 평가하고 있다 AMA 기준에서는 같은 평가 항목이라고 할 수 있는 한

쪽 신장만 기능하는 경우는 class 1(0-14) 배뇨의 반사적 활동이 없거나 자발적

인 조절이 전혀 없음은 class 3(41-70)으로 평가하고 있다 산업재해의 장애는

등급으로 제시되어 있어 장애율은 단지 추정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고 장애율이 노

동상실률이라고 할 수 있기에 장기의 전신 대비한 손상율(impairment)인 AMA 기

준과의 비교가 절대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다른 항목을 비교했을 경우도

남자의 경우 양측 고환의 소실은 산업재해에서는 7급(장애율 60)이나 AMA 기준

에서는 class 3(16-20)이다 또 다른 예로 음경의 소실은 산업재해에서는 9급

(40)이나 AMA기준에서는 class 3(20)이다 산업재해의 장애정도가 AMA 기준

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고 할 수 있다

AMA 기준상 비뇨기계 평가는 신장 기능의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크레아

티닌 청소율을 제시하여 객관화 할 수 있으나 다른 항목의 장해평가는 주관적인 증

상에 의한 기능 평가로 객관화 하기 어렵고 모호 한 점들이 존재한다 비뇨기계는

해부학적 부위별로 기능이 다르므로 각각을 평가하는 방법이 타당할 것으로 보이고

생식기계의 해부학적 구분별로 비슷한 장애 구간 (구분)과 장애율를 제시하고 있다

복잡한 다수의 구분 없이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평가 항목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

로도 예상된다

mdash mdash86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타

두 눈이 멀었을 때 1급1호 85 85

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 7급13호20(남)

35(여)40

한눈이 멀었을 때 7급1호 36 24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4급3호 35 100

한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9급9호 6 10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12급12호 29 7외모에 뚜렷한 추상(추한 모습)을 남긴 때 7급12호 15-50

〈표 16〉 특수기능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주 표의 장애상태는 아래를 기준으로 하였음

AMA 에서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는 lsquo코의 완전 폐색rsquo이 기준임

McBride 에서

장애율은 lsquo전신기능에 대한 장애비율rsquo이 기준임

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는 lsquo고환의 양쪽 소실rsquo이 기준임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는 lsquo호흡장애를 일으키는 비의 손상rsquo이 기준임

장애는 신체 기관이 본래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정신 능력에 결함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장애의 정도는 계단식 구분의 등급보다는 백분율로 표현되어야 한

다고 할 수 있다 14 분류 단계의 장애 정도의 산출은 각 등급에 따라서 보상의 편

리를 위한 행정 편의주의이라고 할 수 있다 주관적인 불편함이나 일상적인 활동

사회적인 참여 노동의 제약의 정도는 구분선이 있다기 보다는 연속선에 있는 정도

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장애 등급에 의한 판정 보다는 백분율의 장애율에 의한

판정이 장애에 대한 개념을 접근하기 위해 적합하다고 할 것이다

Ⅵ 결 론

특수 기능이 담당하는 영역은 특수 감각을 평가하는 부분으로 전문가가 아니면

진단하기 어려운 분야이다 또한 각 병원별로 진단에 따르는 장비나 기구가 구비되

어 있는 면에서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 여건에 비교적 간단한 장비나 기구를 이용

하여 장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기준을 개발하여야할 것이다

국내에는 많은 장해평가기준이 있다 국내에서 개발된 기준은 예시형 등급제도로

평가자에 따라 등급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개발된 장해평가는 보상이나

배상을 위한 평가 기준이었다 이렇게 개발된 장해평가기준은 개발자(보험회사 공

mdash mdash87

단 행정부)의 주관이 많이 개입할 수밖에 없는 태생적인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장애에 대해서 의학적인 관점에서 객관적인 기준이 개발되어야 한다 순순한 의

미의 신체장애율을 구할 수 있는 장해평가기준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의학은 과학이다 과학은 진보한다 과학을 바탕으로 한 의학도 진보하고 발전하

다 진단 기술뿐만 아니라 치료에 필요한 약물 수술기법 재활치료법 등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에 따라서 신체기관의 중요도가 달라졌다 정량적인 수

치로 인체의 기관을 나열하여 등급을 매길 수는 없다 하지만 동시대 의사나 일반

인이 느끼는 중요도는 순위를 정하거나 정량화할 수 있다 또한 시대가 변화하면서

발전하는 복지 제도에 따라 신체적인 결함에 따른 불편함의 정도가 변화할 수 있

다 그리고 사회문화적인 차이에 따라서 신체 결함에 대한 불편함은 다를 수 있다

위에서 각 장애 기준의 비교에서와 같이 장애등급이나 장애율이 서로 상이한 경

우가 많다 의학적이 관점에서 장애를 평가하는 기준을 만들고 국내 정서와 현실을

반영하는 장애정도나 장애율을 제정해야 할 것이다 AMA 기준방식의 장해평가 방

법은 과학적이며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고 의학적인 관점에서 개발된 평가기준이

다 하지만 AMA기준은 외국의 기준으로 국내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 장애에

대한 문화환경적 차이 의학적 수준의 차이로 인해 인지되는 장애의 정도는 다르다

또한 평가자가 어렵게 생각되고 모호성이 있다면 평가기준으로 합당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객관적인 의학적 지식으로 개발되었고 최근까지 개정된 기준이므

로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 현실을 반영하는 장해평가 항목과 그 장애 정도에 따

른 장애율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mdash mdash89

제 5 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I 서 론

장애는 그 특성상 주관적인 면이 강하다 이를 객관화해야만 다른 사람들의 공감

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주관과 객관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주관과

객관을 어우르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접근 방법에 의한 특정 작업 특히 일상생활을

수행함에 따른 어려움의 정도에 대한 측정과 사회나 문화가 주는 편견이나 스트레

스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한 사회의 장애에 대한 인지도가 장해평가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에 이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현재의 여건과 문화적 여건에

합당한 장해평가기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근본 목적은 장해인지도

조사를 위한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이차년도에 시행할 설문지를 만드는 것이다 이

를 위해서는 매우 다양한 장애의 종류와 정도를 비교적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

록 설문을 만들어야 한다 한편 의학적 지식이나 상식이 부족한 국민들에게 심도

있는 질문과 답변을 구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어려움과 문외한인 일반 대중의 적

극적인 답변만으로 실제 우리나라 국민들의 장애 인지도를 평가할 때에는 현실과

동떨어진 편향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신체

와 신체 여러 부위의 구조나 기능에 대한 지식이 갖추어진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해

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장해평가나 의료 감정에 관심이 있는 의사들을 대상으로

주사를 수행하고 여기에서 얻은 자료를 취합하여 이중에서 대표적인 장애를 선정하

여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 이용함이 더 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40~50문항에 해당하는 전문가용 설문을 마련하고 이를 연내에 100명 이상의 전문

의를 대상으로 하여 의견을 취합함이 더 적절하다고 본다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성

인의 평균적인 상식에 의해 쉽게 파악하고 답변할 수 있는 뚜렷하며 대표적인 장애

를 기준으로 하여 설문에 답하는 국민들이 비교적 성실하게 답할 수 있도록 쉽고

간단한 문항을 개발해야만 한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합리적인 기준으로 미국

의학협회가 2000년에 발행한 AMA Guide 5판을 선택하였다 한편 장해평가제도

나 기준에 대한 문헌 조사와 고찰을 통해 이 기준을 선택한 이론적 근거와 타당성도 충

분히 밝히고자 한다 이 기준은 가장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공인된 기준이다 또한

mdash mdash90

이 기준은 자세하고 객관적이며 구체적이어야 한다는 조건도 만족한다 다만 우

리나라 현실에도 맞고 되도록 간편해야 한다는 기준에는 맞지 않다 우리나라 현

실에 맞도록 변형을 해야 하며 방대하고 복잡한 평가 기준과 방법을 간략하게 압

축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간편하여 이용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 동안 많이 이

용해 왔던 맥브라이드나 우리나라 산재 기준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장애

를 평가할 의사들에게 익숙한 방법이 아니면 의사들에게 외면을 당할 수 있다 그

렇게 되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장해평가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1 장애계열과 계열별 중요도

〔그림 1〕 운동 및 감각 축소 모형 인간과 뇌 피질 분포

대뇌의 피질에는 운동 축소인간(motor homunculus)과 감각 축소인간이 있다 이

는 신체 각 부위를 담당하는 대뇌 피질 영역을 그림으로 표시한 것으로 감각과 운

동에 대한 생리적 중요도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왼쪽의 운동 축소

mdash mdash91

인간의 중요도는 운동 부분에 한정된 것이며 윗 그림의 왼쪽 운동 축소인간의 손

크기에 비해 오른쪽 감각 축소 인간의 손 크기는 작다 또한 감각 중에서도 시각은

감각 축소 인간에서도 제외되어 있으며 대뇌피질 중 후두엽이 통째로 시각을 맡고

있음을 고려하면 ldquo몸이 천 냥이면 눈이 구백 냥rdquo이란 속담을 어느 정도는 수긍할

수 있다 다만 시각 소실이 인체 능력 중 90를 차지한다고 평가할 수는 없으며

생리적 중요도는 환경적 요인이나 문화적 요인 등이 배제된 것이므로 장애의 중요

도를 평가할 때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 구체적인 중요도는 설문조사를 통해 구해야

할 것이다

2 설문 조사를 위한 초안

15개 장해계열 중 심혈관계 호흡기계 소화기계 비뇨생식기계 피부 조혈계 내

분비계 등은 모두 인체의 특정 부위의 기능에만 장애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전신

적인 기능 장애를 가져와서 각 계열별로 0부터 100까지 장애가 발생할 수 있

다 또한 이들 장기의 기능은 생존에 모두 필수적인 요소들로 사실상 우열을 평가

할 기준이나 근거가 거의 없고 구태여 우열을 가려야 할 필요도 크지 않다 AMA

기준에 제시된 방법과 원칙에 따라 그대로 준용해도 큰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예상

되나 우리나라 현실에서 유용한 진단 방법에 의해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방법

에 따른 평가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이비인후과계 시계(視界

visual system) 신경계 정신(행동)계 척추 상지 하지의 경우에는 한 부위의 기능

완전 소실이 사람의 기능 완전 소실이 되지는 않기 때문에 이 경우에 신체 부위의 중요

도를 설문을 통해 조사할 필요가 있다 통증의 경우에는 객관적으로 표시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 해당하여 장해평가시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것이다

3 요 약

인체 모든 장기에 각기 다른 종류의 장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장해평가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이 매우 낮아 연구자도 적고 연구할 수 있는 여건도

매우 열악하다 그 동안 이 분야에 대한 관심과 연구들은 주로 산업재해나 교통사

고와 관련하여 외상을 다루는 전문과목 전문의들에 의하여 많이 시도 되었다 실무

mdash mdash92

상에도 이들 분야의 장해평가 빈도나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활용 면에서 보면 이

분야의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적절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보험 상품의 개발로 외상성 손상만이 아니라 질환이나

암까지도 장해여부나 정도 또는 인과관계 등에 대한 검토가 많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가장 공인된 기준을 도입하여 충분히 논리적인 근거에 의해 우리나라 여건에

맡도록 다듬어서 활용하면 가장 좋은 방법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되지만 아무리

좋은 기준을 개발하더라도 그 기준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지 못하면 쓸모가 없게 된

다 이를 위해 장해평가시 합당한 대우가 주어져야 할 것이며 장해평가기준과 실습

의 기회가 적절히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국공립 의료기관 보건소 또는 산재

자문의가 되기 위해서는 장해평가에 대한 지식을 갖추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미

국 영국 캐나다 및 호주 등과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장해평가에 대한 지식과 수련

을 체계적으로 마친 사람들에 대한 전문의 또는 인정의 제도의 도입에 대해서도 장

기적으로 검토해 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mdash mdash93

Ⅱ 전문가용 설문

설문 1)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은 경우(팔은 견관절 이단 다리는 고관절 이

단을 말함) 100 장애율이라고 할 때 다음 장애는 상대적 장애율은 어느 정도에

해당된다고 생각됩니까

100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음------------------------(100)

(1) 2 팔과 1 다리 잃음--------------------------( )

(2) 1 팔과 2 다리 잃음 -------------------------( )

(3) 1 팔 1 다리 잃음 ---------------------------( )

50

(4) 두 팔만 잃음-------------------------------( )

(5) 한 팔만 잃음-------------------------------( )

0 장애 없음-------------------------------------( 0 )

(6) 잘 모르겠다 ------------------------------( )

설문 2) 두 팔을 모두 잃은 사람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은 사람의 장애정도는

(1)두 팔을 잃은 사람이 크다( )

(2)두 다리를 잃은 사람이 크다( )

(3)서로 같다( )

(4)잘 모르겠다( )

설문 3) 생활 여건의 변화에 따라 발이나 다리의 기능에 비해 팔과 손의 기능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특히 전산화의 영향으로 뇌와 손가락의 기능이 다른

mdash mdash94

장기의 기능 보다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장애인의 이

동권이 보장되지 않아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다 목숨을 잃는 장애인도 있습니다

팔과 다리의 기능을 비교하면 다음 중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1) 팔 다리 = 40 60( )

(2) 팔 다리 = 45 55( )

(3) 팔 다리 = 50 50( )

(4) 팔 다리 = 55 45( )

(5) 팔 다리 = 60 40( )

(6) 잘 모르겠다( )

설문 4) 한쪽 팔을 잃었을 때에는 다른 쪽 팔로 어느 정도의 일은 할 수 있습니다 그

러나 양쪽 팔을 잃었을 때에는 할 수 없는 일이 훨씬 더 많아집니다 한쪽 팔을 잃었을

때 노동력 상실을 10으로 할 때 양쪽 팔을 잃었을 경우의 노동력 상실은 어느 정도라

고 생각 하십니까

(1)10+10 = 20( )

(2)10+15 = 25( )

(3)10+20 = 30( )

(4)10+25 = 35( )

(5)20+20 = 40( )

(6)잘 모르겠다( )

설문 5) 한쪽 다리를 잃었을 때에는 다른 쪽 다리만으로는 보행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습니다 물론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걸을 수도 있으나 양쪽 다리를 잃었을 때에는 한

쪽 다리만 잃었을 때 보다 불편이 훨씬 더 커집니다 한쪽 다리를 잃었을 때 노동력 상

실을 10으로 할 때 양쪽 다리를 잃었을 경우의 노동력 상실은 얼마나 된다고 보십니

(1) 10+10 = 20( )

(2) 10+15 = 25( )

(3) 10+20 = 30( )

(4) 10+25 = 35( )

mdash mdash95

(5) 20+20 = 40( )

(6) 잘 모르겠다( )

설문 6) 경추나 요추 염좌가 있었던 환자한테도 후유 장해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습

니까

(1) 있다( )

(2) 없다( )

(3)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 )(설문 7로 간다)

(4) 잘 모르겠다( )

설문 7) 설문 6에서 3번을 택하셨다면 어떤 경우에 장해가 있다고 평가하고 장애율

은 어느 정도가 적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후유장해라고 평가할 수 있는 조건은 답 ( )

(2) 장애율 답 ( )

설문 8) 관절 강직은 인공 관절을 이용하여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교정 할 수 있게 되

었습니다 그러나 인공 관절이 모두 성공하는 것은 아니며 영구적이지도 않습니다 관

절 완전 강직을 100으로 볼 때 인공 관절을 이용하는 경우 장해평가에서 어느 정도로

평가 하시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결과가 좋으면 75 결과가 나쁘면 100( )

(2) 결과가 좋으면 50 결과가 나쁘면 75( )

(3) 결과가 좋으면 25 결과가 나쁘면 50( )

(4) 결과가 좋으면 0 결과가 나쁘면 100( )

(5) 기타 결과가 좋으면 ( ) 결과가 나쁘면 ( )

(6) 잘 모르겠다( )

설문 9) 강직성 척추염처럼 모든 척추분절이 고정된 경우 아래 항목 중에서 어느 항

목과 비슷한 정도의 장해로 평가할 수 있습니까

(1) 완전한 시력의 소실( )

(2) 완전한 청력의 소실( )

mdash mdash96

(3) 양쪽 하지의 완전마비( )

(4) 양쪽 상지의 완전마비( )

(5) 성기의 소실로 인한 성기능의 소실( )

(6) 잘 모르겠다( )

설문 10) 다음 각 항목에서 둘 중 하나의 장애를 택해야 한다면 더 낫다고 생각

되는 장애에 표시하고 그 비율을 표시하세요 (나은 쪽의 숫자가 작도록 하여 비율

은 그 합이 10이 되도록 하세요)

예 한 팔 잃음 ( V )- 두 다리 잃음 ( ) = 3 7

(1) 1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 ( ) ( )

(2) 1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 ( ) ( )

(3) 2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 ( ) ( )

(4) 2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 ( ) ( )

설문 11) 상지에서 동일 부위의 장애 중 절단을 100라 했을 때 강직 마비의

상대적 장애는 어느 정도로 생각하십니까 기능이 없는

(1) 어깨 관절 절단 - 어깨 강직 - 견관절 이하 마비

( ) - ( ) - ( )

(2) 팔꿈치 관절 절단 - 팔꿈치 관절 강직 - 주관절 이하 마비

( ) - ( ) - ( )

(3) 손목 관절 절단 - 손목 관절 강직 - 손목관절 이하 마비

( ) - ( ) - ( )

(4) 전체 손가락 절단 - 전체 손가락 강직 - 전체 손가락 마비

( ) - ( ) - ( )

설문 12)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설문입니다 제 1지 절단(중수지

관절 절단)을 100 이라 설정했을 때 다른 손가락의 학습된 시각이 아닌 한국인의

일상생활을 감안하여 상대적 중요성을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1) 제 2지 절단 --- ( )

mdash mdash97

(2) 제 3지 절단 --- ( )

(3) 제 4지 절단 --- ( )

(4) 제 5지 절단 --- ( )

설문 13) 현재 사지에 대한 장해의 판정은 해당되는 부분의 전체 기능상실이 정

해져 있으며 병합 합산한 기능장해가 그 범위를 넘을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습니

다 예를 들어 비정상적인 위치에서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 및 족부가 강직되어 있

더라도 고관절 이단에 해당되는 40가 최대치로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병합합산

의 한계치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기능적인 장해가 절단을 초과할 수는 없다( )

(2) 기능적인 장해가 절단을 초과할 수 있다( )

2를 선택하신 경우 그 최대치가 너무 높은 경우를 만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1) 병합 합산한 그대로 인정되어야 한다

(2) 기능적인 평가의 한계치를 따로 설정해야한다

2를 선택하신 경우 그 최대치의 한계를 설정한다면

(1) 절단 최대치의 110( )

(2) 절단 최대치의 120( )

(3) 절단 최대치의 150( )

(4) 절단 최대치의 ( )

설문 14) 장해의 판정은 치료가 종결되고 증상이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합니

다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치료의 종결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예

를 들어 골이식술 및 수차례의 수술적 요법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경골 불유합의

경우) 장해판정의 적절한 시기는 언제로 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1) 치료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시간에 관계없다( )

(2) 치료가 가능하더라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의 상태에는 판정하는 것이 옳

다( )

(3) 치료 횟수나 기간에 상관없이 환자가 원하는 경우에 판정한다( )

(4) 몇 차례의 치료와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가능하다( )

mdash mdash98

상기문항 중 2나 4를 선택하신 경우 치료의 횟수나 기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됩니까

(1) 1회의 치료 1년 이상( )

(2) 2회의 치료 2년 이상( )

(3) 3회 이상의 치료 3년 이상( )

(4) ( )회 이상의 치료 ( )년 이상

설문 15) 장해의 판정은 치료가 종결되고 증상이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합니

다 말초신경손상 중 총비골신경손상의 경우 족하수가 발생하며 이 경우에는 최소

15 최대 19의 신체능력상실율이 있습니다 그러나 하지의 관절 중 족관절의

경우 적절한 범위에서 강직된 경우 전신체에 대하여 4의 신체능력상실이 있으며

최대치는 25로 기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치료의 종결시점을 어느 때로 보

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신경에 대한 치료가 종결되고 족하수 증상이 고정된 시점( )

(2)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족관절 고정술을 시행한 시점( )

(3) (1)(2) 모두 가능하다( )

설문 16) 장애판정은 현재의 상태뿐 아니라 보상적인 측면도 생각하는 경우가 있

습니다 복합 장애 판정의 경우 산술적으로 계산하다보면 범위로 판정하게 되는 경

우가 생기는데 이 경우 적절한 판정의 선택은 어떻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십니까

(1) 상위의 범위를 선택한다( )그 이유( )

(2) 평균적인 중간을 선택한다( )

(3) 하위의 범위를 선택한다( )그 이유( )

(4) 범위를 모두 기술한다( )

설문 17) 인공관절 치환술에 대한 장해판정의 경우 재치환술 여부에 상관없이 일

률적인 판정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재치환술의 경우 그 예후나 경과가 최초와

다른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장해의 판정에 대한 견해는 어떻습니까

(1) 기능적 평가보다는 관절운동범위로 판정하는 것이 옳다( )

(2) 현재의 기준대로 기능적 평가만을 시행하는 것이 옳다( )

(3) 재치환술의 경우 일정비율로 가중치를 산정하는 것이 옳다( )

(4) 현재의 기능적 평가에 추가로 나타나는 증상을 병합 합산하는 것이 옳다( )

mdash mdash99

설문 18) 슬관절 인대손상 중 십자인대 손상의 경우 현재는 이완정도와 관절운동

범위로 판정하도록 되어 있는데 현대의학적인 견지에서 인대재건술을 시행한 경우

이 항목에 대한 판정의 적절성은 어떠합니까

(1) 현재의 기준이 타당하다( )

(2) 인대재건술의 경우 인공관절 항목처럼 기능적 평가가 적용되어야 한다( )

(3) 다른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 )

설문 19) 장해를 판정하는 경우 객관성과 재현성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예를 들

어 근력손상의 정도나 보행이상을 판정하는 경우 주관적 증상이 판정의 인자로 작

용하여 범위를 선택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 장해를 판정하는 입장에

서 수용할 수 있는 오차의 범위는 최종적으로 어느 정도로 보십니까

(1) 오차 없이 완벽한 재현성이 있어야한다( )

(2) 3이내는 수용 가능하다( )

(3) 5이내는 수용 가능하다( )

(4) ( )이내는 수용 가능하다( )

설문 20) 44세 남자(기계공)가 연하곤란(음식물 삼키는 것이 힘듦) 증상을 호소

하여 진찰결과 이상소견을 발견 못하였고 위내시경과 위투시검사에서 위하수 진단

을 받았습니다 상기 환자는 현재 증상은 없습니다 이런 경우 장애율의 판정시 몇

에 해당될까요 (참고 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

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

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설문 21) 40세 여성(바텐더)이 3년동안 10여회의 간헐적 심와부 통증(주로 식사

후 발생)을 호소합니다 상기인은 2년전 담낭절제술을 시행받았고 이학적 검사상

특이소견이 없고 혈액검사상 아밀라제(췌장효소)가 상승되어 재발성 급성췌장염의

진단을 받았습니다 상기환자에게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

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5 다 10 라 15 마 기타 ( )

mdash mdash100

설문 22) 40세 남자로 10년간 간헐적인 궤양증상이 있었으며 3차례 수혈이 요구

되는 출혈이 있었습니다 또한 한차례 소장폐색증상으로 입원치료 받은 병력이 있

습니다 상기인은 수술적 치료를 거부하고 있으며 이 경우 지속적인 내과적 약물치

료가 요구됩니다 178cm크기로 59Kg이며 이상 체중보다 7 부족한 상태입니다

또한 상부소화관 투시검사상 상당한 십이지장궤양소견(변형)이 발견되어 재발성 활

동성 십이지장궤양으로 진단되었습니다 상기환자에게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

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설문 23) 38세의 남자로 지속적인 설사가 있으며 3년전 크론씨병으로 소장(회

장)부분 절제및 문합수술을 받았습니다 수술 후에도 재발되어 설사와 복통이 반복

되는 상태입니다 소장투시검사 결과 부분적으로 소장의 폐쇄가 있어 재발된 크론

씨병으로 진단되었으나 내과적 치료로 완치가 힘들고 무한정 수술을 받을 수 없는

상태입니다 상기환자의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

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

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20 나 40 다 60 라 80 마기타 ( )

설문 24) 여러 가지 원인으로(질병 사고등) 소장의 대량절제술후 서로 문합하면

소장이 거의 남지 않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소장이 없으면 음식물을 섭취해도 흡수

가 되지 않아 영양결핍상태가 되므로 경구영양공급만으로 부족하여 혈관내로 영양

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합니다 즉 환자는 평생 정맥주사를 통한 영양공급을 받

아야하는데 이 경우 장애율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

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10 나 20 다 30 라 40 마기타 ( )

mdash mdash101

설문 25) 45세 남자로 항문주위 농양이 있어 5년전 수술을 시행받았고 이후 재

발되어 1년전 치루절개술을 시행받았습니다 현재는 항문주위 감염소견이 없고 항

문괄약근 기능도 정상입니다 직장경검사상 항문주변을 수술한 흔적이 있는 것 외

에는 정상입니다 상기환자의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

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5 다 10 라 15 마 기타 ( )

설문 26) 56세 남자로 항문주위 농양이 있으며 3년동안 수차례 재발되었다 이

학적 검사결과 치루 외공이 4개가 각각 항문주위에서 발견되었고 2차례 수술적 치

료를 시행한 병력이 있었습니다 현재 항문괄약근 조절기능이 소실되어 배변실금현

상이 있어 속내의에 변이 뭍습니다 따라서 반복된 치루수술로 항문괄약근 기능이

상실된 배변실금으로 진단받았습니다

상기환자의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10 나 20 다 30 라 40 마 기타 ( )

설문 27) 장루환자는 장루로 인하여 개인적 활동 가정생활및 사회생활 그리고

직업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목욕 수영 성행위 등 개인생활 뿐만아니라 사

회생활이나 직장생활 등에서 냄새가 나고 장루백을 수시로 갈아야하는 불편함이 있

습니다 육체적 노동자라면 무거운 것을 드는 행위는 장루주위 탈장을 유발하므로

작업환경을 바꾸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장기간 여행시 장루주위를 위생적으로 처

리할 물품의 준비 등이 요구됩니다 이런 장루환자의 장애률은 다음준 어느 것과

동일한 장애정도로 생각됩니까

가 한 쪽 청력의 마비

나 양 쪽 청력의 마비

다 한 쪽 시력의 마비

mdash mdash102

라 양 쪽 시력의 마비

마 한 쪽 상지의 마비

바 양 쪽 상지의 마비

설문 28) 35세 남자로 황달 복수 식도 정맥류 출혈이 없고 영양결핍도 없으나

간기능 검사상 AST가 70UL으로 상승되어 있고 황달수치인 총 빌리루빈이

21mgdl로 상승되었습니다 또한 B형간염항원이 양성으로 판정되어 만성 B형간염

으로 진단되었습니다 상기 환자의 장애율 판정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

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설문 29) 55세 여자환자로 5년간 담낭염을 앓았습니다만 종교적 이유로 치료를

거부합니다 상기 환자는 우상복부 통증과 오심 구토 발열 황달 짙은 소변 색깔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있으며 혈액검사상 황달수치가 상승되고 간기능이 악화된 소

견을 보이며 간생검소견상 심한 간경화 소견을 보입니다 따라서 진단은 폐쇄성 황

달을 동반한 간경화입니다 상기환자의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

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20 나 40 다 60 라 80 마 기타 ( )

설문 30) 50세 남자로 우측 사타구니의 반복적 돌출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지

않았습니다 상기 탈장은 복압의 상승시 쉽게 튀어나오지만 자세를 누우면 통증없

이 다시 복강내로 들어갑니다 진단은 복구가능한 우측 서혜부 탈장입니다 (참고

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

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mdash mdash103

장 애 구 분 1급 2급 3급 4급 5급

심혈관계

(심장판막 관상동맥

심근병증 선천성 심

막성 부정맥 고혈압

심혈관 대동맥 및 심

장) 질환

0~( ) ~( ) ~( ) ~100 -

말초혈관계

팔 및 다리

0~9 10~39 40~69 70~89 90~100

팔 60

다리 40

호흡계

폐동맥 고혈압

천식 및 COPD

0~( )

0~( )

~( )

~( )

~( )

~( )

~100

~100

-

-

소화계

상부소화관결장직장 0~( ) ~( ) ~( ) ~75 -

항문질환 0~( ) ~( ) ~( ) - -

간 및 담도 질환 0~( ) ~( ) ~( ) ~95 -

헤르니아 0~( ) ~( ) ~( ) - -

혈액 조혈계

빈혈

백혈구혈소판출혈병

0~( )

0~( )

~( )

~( )

~( )

~( )

~100

~100

-

전문가용 설문 31) 다음의 표는 각 질환에 의한 장애로 인한 전신 장애율을 표시

한 것 입니다 3급 이상인 경우가 중증 장애에 해당하는 경우 입니다 ( )의 전신

장애율 를 적어보시오 lsquoAMA 가이드rsquo는 한 팔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이고 이에 해당하는 전신 장해는 60 한 다리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이고 전신 장해 40에 해당 합니다(참고사항 lsquoAMA 가

이드rsquo의 장애율 판정시 양측 청력의 와전 소실은 전신 장애율 35 양측 시력 상실은

85 일측 시력 상실은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

니다)

mdash mdash104

내분비계

시상하부뇌하수체축

갑상선 질환

부갑상선 항진증

부갑상선 저하증

부신피질 항진증

부신피질 저하증

당뇨질환

저혈당증

0~( )

0~( )

0~( )

0~( )

0~( )

0~( )

0~( )

0~( )

~( )

~25

~( )

~20

~39

~29

~( )

~50

~50

-

~90

-

-

~90

~( )

-

-

-

-

-

-

-

~40

-

-

-

-

-

-

-

-

-

외과적 처치

식도 및 위 조루술

공장 및 회장 조루술

회장 항문 연결술

결장 조루술

( )~15

( )~20

( )~20

( )~10

-

-

-

-

-

-

-

-

-

-

-

-

-

-

-

-

설문 32) AMA 기준에 따르면 정신(행동)장애에 대해서는 장애의 내용과 정도를 구

체적인 서술로 적고 구태여 백분율로 표현된 장애율을 구하지 않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다음 중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1) 가볍다(13) 보통이다(23) 심하다(33) 등 세 단계 정도로 구분한다

(2) 가벼움(14) 보통(24) 심함(34) 매우 심함(44) 4단계로 구분한다

(3) 5단계 이상으로 구분하여 등급을 제시한다

(4) 백분율을 정하고 백분율로 표현한다

(5) 장애내용을 자세히 기록하고 백분율은 구하지 않는다

설문 33) 중추신경계 기질성 장애의 장애율을 구할 때 이론상 기질성 장애는 0부

터 100까지 가능하지만 실제로 구체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특징적 소견이 한정되어

가벼움 보통임 심함 매우 심함 등의 4 단계로 구분하였을 때 그 장애율을 어떻게 정

하는 게 좋겠습니까

(1) 25 50 75 100 등 고정 값이 좋다

(2) 25 50 75 100로 정하고 5 가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mdash mdash105

(3) 20 45 70 95로 정하고 5 가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4) 15 40 65 90로 정하고 10 가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5) 0~25 25~50 50~75 75~100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한다

설문 34) 두 귀 중에서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이 완전한 청력이 상실된 경우입

니다 산재 기준의 장애등급은 9급(장애율로 환산하면 40)이고 AMA기준으로 평

가하면 장애율은 6입니다 어느 기준이 더 합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산재 기준이 합당하다( )

(2) AMA기준이 합당하다( )

(3) 두 기준 모두 합당하지 않다( )

위 문항에서 3) 두 기준 모두 합당하지 않다고 답하신 경우만 해당합니다 두 귀

중에서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이 완전한 청력이 상실된 경우에 어느 정도의 장애

율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0( ) (2) 5( ) (3) 10( ) (4) 20( )

(5) 30( ) (6) 기타 ( )

설문 35) 양쪽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경우 AMA기준에서 장애율은 35입니

다 같은 경우에 산재 기준은 4급(장애율로는 90)입니다 어느 정도의 장애율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25( ) (2) 35( ) (3) 50( ) (4) 65

(5) 기타 ( )

설문 36) AMA기준에서 청력장애의 평가 공식은 (5밝은 귀의 청각 장애율 +

어두운 귀의 장애율)6입니다 이 공식으로 평가하면 청력 장애의 장애율은 0에서

35(양쪽 귀의 청력을 완전히 소실된 경우)입니다 밝은 귀의 청력에 더 비중을 두

어 평가하여 장애율을 구하는 방식은 합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AMA기준은 합당하다( )

(2) 밝은 귀와 어두운 귀의 비중을 같이 두어야 한다( )

mdash mdash106

(3) 밝은 귀의 장애에 AMA기준보다 더 비중을 두어야 한다(가산숫자인 5보다

커야 한다)( )

(4) 밝은 귀의 장애에 비중을 두어야 하지만 AMA기준보다 적게 비중을 두어야

한다(가산숫자인 5보다 작아야 한다)( )

(5) 잘 모르겠다( )

설문 37) AMA기준(5판)에서 눈의 기능적 평가는 시력검사와 시야검사로 평가합니

다 시력점수(Visual Acuity Score VAS)를 각각 눈에 대해서 평가하여 제시된 점수를

이용하여 주어진 공식인 (VAS두 눈3 + VAS오른쪽 눈1 + VAS왼쪽 눈1)5로 시력기능점

수(Functional Visual Score FVS)를 구합니다 두 눈에 의한 시력에 더 비중을 두는

공식입니다 시력기능점수를 환산하는 공식이 합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이전 판(4판)까지는 (3보다 좋은 눈 + 1보다 나쁜 눈)4로 기능점수를 환산하였

습니다)

(1) 합당하다( )

(2) 합당하지 않다( )

(3) 잘 모르겠다( )

설문 38) 벨마비(Bells palsy)로 인해 얼굴 한 쪽의 완전한 운동마비가 있다 이

경우에 적합한 장애율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AMA기준은 약 15 정도의 장애율입니다)

(1) 10( ) (2) 15( ) (3) 20( ) (4) 25( )

(5) 30( )

설문 39) 비뇨기계 (신장 요관 방광 및 요도)의 장애에 의한 일상생활 능력의 제약

은 다음 어느 신체기관의 장애에 의한 제약의 정도와 같다고 생각하십니까

(1) 한쪽 시력의 장애( ) (2) 양쪽 시력의 장애( )

(3) 한쪽 청력의 장애( ) (4) 양쪽 청력의 장애( )

(5) 한쪽 하지의 장애( ) (6) 양쪽 하지의 장애( )

(7) 한쪽 상지의 장애 (오른쪽)( ) (8) 한쪽 상지의 장애 (오른쪽)( )

(9) 양쪽 하지의 장애( )

mdash mdash107

설문 40) 설문 6)의 9개의 항목에서 장애율이 크다고 생각하는 순서대로 나열해 보

세요 (장애율이 높은 항목에서 작은 항목 순으로)

( )

설문 41) 만성 방광염으로 빈뇨가 있는 경우 장애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까

(1) 있다( ) (2) 없다( )

(3) 빈뇨의 정도에 따라서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 )

만일 3으로 답하였다면 어느 정도의 빈뇨가 있으면 장애가 있다고 평가하고 장애율

은 어느 정도가 적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빈뇨의 정도 답 ( )시간마다

(2) 장애율은 답 ( )

설문 42) 폐경기 이전의 여성에서 다음의 항목 중에서 장애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

세요 (장애율이 높은 항목에서 작은 항목 순으로)

(1) 자궁이 없다( )

(2) 양쪽의 난소와 자궁관이 없다( )

(3) 질의 기형으로 성행위가 불가능하다( )

(4) 위 3가지 항목 모두 같은 정도의 장애이다( )

설문 43) 비뇨기계의 장해평가를 신장 및 요관 방광 요도의 세 가지로 분류하는 것

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 합리적이다( )

(2) 불합리하다 (비뇨기계 하나로 평가하도록 해야 한다)( )

(3) 불합리하다 (신장 및 요관 방광 및 요도의 두 가지로 분류해야 한다)( )

(4) 기타 ( )

mdash mdash108

Ⅲ 일반인용 설문

설문 1) 양쪽 팔과 양쪽 다리를 모두 잃은 경우(팔은 어깨에서 다리는 엉덩이에

서 잘려나감) 100 장애율이라고 할 때 다음 장애는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의 장애

로 봐야 하나

100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음------------------------(100)

(1) 2 팔과 1 다리 잃음---------------------( )

(2) 1 팔과 양쪽 다리 잃음 -------------( )

(3) 1 팔 1 다리 잃음 -------------( )

50

(4) 양쪽 팔만 잃음---------------------( )

(5) 한 팔만 잃음----------------------( )

0 장애 없음---------------------------------( 0 )

[목적] 상지와 하지의 비중을 알고자 함

[배경] 현재 산재에서는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과 두 다리를 무

릎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이 모두 장애율 100로 5050이지만 AMA기준에 따르

면 상지하지가 6040으로 상지의 비중이 큼 장애인 이동권이 보장된 경우라면 상

지의 비중이 크지만 이동권이 심하게 제한될 경우에는 하지의 비중이 더 클 수 있음

설문 2) 다음 각 항목에서 장애가 덜 심하다고 생각되는 장애에 표시하고 그 비

율을 표시하세요 (나은 쪽의 숫자가 작도록 하여 비율은 그 합이 10이 되도록 하

세요)

예 한 팔 잃음 ( V )- 두 다리 잃음

mdash mdash109

(1) 1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2) 1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3) 2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4) 2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설문 3)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설문입니다 첫 번째 손가락을 잃

었을 때를 100 장애라고 하면 다른 손가락을 잃었을 때는 몇 로 봐야 합니까

1) 제 2지 절단 --- ( )

2) 제 3지 절단 --- ( )

3) 제 4지 절단 --- ( )

4) 제 5지 절단 --- ( )

[목적] 상지와 하지의 비중과 함께 동반 손상시의 비중 변화를 알고자 함

[배경] 상지와 하지에 대한 비중을 파악한 후 일측 또는 양측 손상시 느끼는 비

중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하지와 상지의 비중을 감안하여 판단하도록 한다 현

재는 맥브라이드에서 상지 장해평가에서만 열성 상지에 대한 장애율 감소(90)를

적용하고 있으며 AMA와 국내법에서는 이에 대한 가감 없음

설문 4) 상지에서 동일 부위의 장애 중 절단을 100라 했을 때 강직 마비의

상대적 장애는 어느 정도로 생각하십니까 기능이 없는

(1) 어깨 관절 절단 - 어깨 강직 - 견관절 이하 마비

( ) - ( ) - ( )

(2) 팔꿈치 관절 절단 - 팔꿈치 관절 강직 - 주관절 이하 마비

( ) - ( ) - ( )

(3) 손목 관절 절단 - 손목 관절 강직 - 손목관절 이하 마비

( ) - ( ) - ( )

(4) 전체 손가락 절단 - 전체 손가락 강직 - 전체 손가락 마비

( ) - ( ) - ( )

[목적] 장애의 종류에 대한 비중을 설정하고자 함

mdash mdash110

[배경] 절단과 기능 전폐가 기능만으로 보면 거의 차이가 없고 국내법의 경우

대부분 동일한 장애등급으로 평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비중 재조정이 필요할 것임

설문 5)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설문입니다 제 1지 절단(중수지

관절 절단)을 100 이라 설정했을 때 다른 손가락의 학습된 시각이 아닌 한국인의

일상 생활을 감안하여 상대적 중요성을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1) 제 2지 절단 --- ( )

2) 제 3지 절단 --- ( )

3) 제 4지 절단 --- ( )

4) 제 5지 절단 --- ( )

[목적] 수지의 기능 소실에 대한 비중 평가

[배경] 일반적으로 제 1지의 기능을 50라고 하지만 AMA에서는 1지-40 2 3

지-각 20 4 5지-각 10의 장해율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한국인의 평가를

위함

설문 6) 다음의 질환에 의한 장애들을 문항과 같은 관점에서 불편이 심한 순서대

로 적어보시오

심혈관계 질환 - 1) 고혈압 및 심장 질환 2) 상하지의 말초혈관질환

호흡기계 질환 - 3) 천식 및 폐기능 질환 4) 폐암

소화기계 질환 - 5) 소화 장기(위 장 질환) 6) 간담도 및 췌장 효소 질환

조혈계 질환 - 7) 빈혈 및 혈소판 질환 8) 백혈병 등의 혈액암

내분비계 질환 - 9) 당뇨 질환 10) 감상선 호르몬 및 대사 조절계 질환

6-1) 일반인의 일상적 가정 생활상에 우선적으로 불편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질

환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mdash mdash111

6-2) 일반적인 직장인의 직장 생활상에 우선적으로 불편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질환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6-3) 경미한 질환이나 장애로도 직장 생활을 하기 어려울 상태가 잘 생길 것으로

예상되는 질환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6-4) 일반적인 사회 생활상에 상당한 어려움과 고통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질환

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설문 7) 두 눈 중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은 완전한 시력 상실인 경우와 두 귀

중에서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은 완전한 청력을 상실한 경우 어느 쪽이 더 장애

가 높다고 생각하십니까

(1) 한쪽의 눈의 시력이 상실한 경우가 높다( )

(2) 한쪽의 귀의 청력이 상실한 경우가 높다( )

(3) 서로 장애율은 같다( )

(4) 잘 모르겠다( )

설문 8) 52세 남자로 여러 차례 성대(聲帶)에 낭종(물혹)으로 낭종을 절개한 병력이

있다 쉰 목소리를 가지고 소리를 지르면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도 있으며 쉽게 목이

잠겨 목소리가 잘 나지 않는다고 한다 검사소견에서 좌측 성대에 수술로 인한 흉터가

보이고 후두염이 관찰된다 이러한 경우의 장애 정도는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미국의학협회의 기준에 의하면 장애율은 20 정도입니다)

(1) 10( ) (2) 20( ) (3) 25( ) (4) 30( )

(5) 40( ) (6) 잘 모르겠다( )

mdash mdash112

설문 9) 50세 여자로 미로염(속귀의 구조물로 소리를 뇌로 전달하는 세반고리관에

발생하는 염증)으로 인해 어지러움증을 가지고 있다 증상의 조절을 위해 약물투여를

해야 하며 밤에서 혼자서 다니기가 어렵다고 한다 청력은 정상이다 이 경우는 아래의

보기의 장애와 가장 비슷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한쪽 귀의 완전한 청력 소실( )

(2) 한쪽 눈의 완전한 시력 소실( )

(3) 우측 엄지손가락의 절단( )

(4) 우측의 새끼손가락의 절단( )

(5) 얼굴 한 쪽의 운동 마비( )

(6) 잘 모르겠다( )

설문 10) 25세 남자가 목 팔과 다리의 피부에 아토피 피부염이 있다 가려움증

으로 수면에 불편함이 있는 경우가 있고 가끔씩 연고를 바르고 항히스타민과 스테

로이드 등의 약물을 투약해야만 한다 이 경우 장애의 정도는 어느 정도라고 생각

하십니까

(1) 0( ) (2) 5( ) (3) 10( ) (4) 15( )

(5) 20( ) (6) 잘 모르겠다( )

설문 11) 교통사고 인해 좌측 코가 함몰되어 있고 근처에 약 4cm의 흉터가 있습

니다 미국의학협회의 기준에 의하면 장애의 정도는 15입니다 이러한 경우에 남

자와 여자의 장애 정도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 남자나 여자의 장애 정도는 같다( )

(2) 여자가 남자보다 약 5 정도 장애가 높다( )

(3) 여자가 남자보다 약 10 정도 장애가 높다( )

(4) 여자가 남자보다 약 15 정도 장애가 높다( )

(5) 잘 모르겠다( )

설문 12) 신장기능의 완전한 소실(예를 들면 일주일에 3회의 혈액 투석을 요하는 만성

신부전)의 경우입니다 이 경우는 아래의 보기의 장애와 가장 비슷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양쪽 눈의 완전한 시력 소실( )

mdash mdash113

(2) 양쪽 귀의 완전한 청력 소실( )

(3) 양쪽 하지의 완전 마비( )

(4) 양쪽 상지의 완전 마비( )

(5) 한쪽 눈의 시력 상실( )

설문 13) 설문 12의 5개의 항목에서 장애율이 크다고 생각하는 순서대로 나열해 보

세요 (장애율이 높은 항목에서 작은 항목 순으로)

( )

mdash mdash115

부 록

1 시각장해평가기준 2 이비인후과 장해평가기준3 맥브라이드 장해평가기준4 생명middot손해보험 장해분류표 개정내용5 대한신경외과학회 제안 장해평가기준

mdash mdash117

1 시각장해평가기준8)

용어(Terminology)

눈의 기능 시각(Vision)

1 시력 (Visual Acuity)

2 시야 (Visual Field)

3 색각 (Color Vision)

4 입체시(Stereoacuity)

5 대비감도(Contrast Sensitivity)

용어(Terminology)

시각장애(장해) Vision impairment

실명 맹 Blind ICD lt360

저시력 Low vision

시력(Visual AcuityVA) lt618

시야(Visual FieldVF) lt10deg

광각(+)이상의 시력을 가지며 이 시력을 사용할 수 있음

시각을 연습과 훈련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시력의 변화-)

약시 Amblyopia

시각장애의 일련 결과

시력 lt 612 (critical level to cause functional limitation)

1 Risk of falls doubles

2 Difficulties with daily living increase x2

3 Ease of social functioning reduced by half

4 Use of community services increase 12 with each line of vision lost

8)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안과학교실 교수 박성희

mdash mdash118

저시력의 영향

1 Work education amp leisure

2 Social isolation ndashfriends family amp religious activities

3 Emotional ndash depression

4 Sonsumer activities- shopping banking

5 Activities of daily living ndash personal amp household

시각장애에 의한 신체장해평가기준

lt국 외gt

1 McBrides Disability Evaluation and Principles of Treatment of

Compensable Injuries 6th Ed 1963

2 AMAs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4th Ed 3rd

printing 1995 (1st Ed 1971) 5th Ed 2001

lt국 내gt

3 새로운 신체장해평가법 ltAMA 장해평가지침gt 임광세편저 1995 (AMAs

3rd Ed 1990 revised)

4 보건복지부 장애등급판정기준 2003

국가배상법시행령 1998

산업재해보상보호법 2000

(근로복지공단 장해등급판정기준해설 1999)

근로기준법 1998

5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1999

산업재해보상보호법 - 국가배상법시행령(별표2)

mdash mdash119

신체장해의 등급과 노동력상실률표[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9)

계열번호(장해내용) 장해등급범위 없는 등급

1(시력장해) 1~13 11 12 14

9) lt의료분야 중간보고서 2005 08 17gt p8

mdash mdash120

2(안구운동장해) 11 12 13 14

3(눈조절기능장해) 11 12 13 14

4(시야장해) 9~13 10 11 12 14

5(눈꺼풀) 9~14 10

산재보험법 맥브라이드(amp AMA 4th ed 1995) AMA(5th ed 2001)

1(시력장해) 시력장해 시력장해

2(안구운동장해)

3(눈조절기능장해) 안구운동장해

4(시야장해) 시야장해 시야장해

5(눈꺼풀장해)

산재보험법의 문제점 장해등급이 연속적이지 못하고 단절과 비약이 심함

1 시력에 의한 등급판정이 대부분을 차지하나 이는 상당히 주관적임

특히 01이하의 시력을 측정하고 객관화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안전수동안전수지 등과 같은 시력평가는 어떻게

2 안구운동장해에서도 좀 더 세분화된 판정기준이 필요함

즉 복시의 범위와 부위 등에 대한 평가가 있어야 함

3 조절기능장해에서 홍채이상(손상 무홍채증 긴장성동공 등)

나이(노시안)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함

4 시야장해를 단순히 반맹협착 등으로만 판정하기에는 부족하며

결손범위를 산정하는 것이 필요함

단안시야결손의 등급이 너무 저평가되어 있음

5 눈꺼풀장해 ldquo현저한rdquo 과 같이 너무 모호한 판정 기준임

6 손상(외안부 각공막열상 망막손상 등)

인공수정체삽입술 등 수술 후 상태에 대한 평가도 있어야 함

mdash mdash121

맥브라이드(amp AMA 4th ed 1995)기준의 문제점

1 직업계수(안과는 없음)

2 시력 시야 안구운동 등 모든 검사가 환자의 말에 의해 결정됨

3 시야 안구운동검사 자동시야계만 있는 병원서는 기준이 모호함

4 사고 후 굴절부등(부등시)이 생겼지만 교정시력이 정상일 때

맥브라이드 amp AMA 4th ed (1995) 장해평가법

1 각 눈의 시각요소를 측정 후 소실율로 환산

1) 시력(VACV)

교정시력(원근거리) Table 23

2) 시야(VF) Fig 1 Table 145

3) 안구운동(OM) Fig 3

- 시각장애판정은 일차요소인 세 요소에 의해 결정함

- 여기에 반영되지 않은 안과장애는 정확히 검사한 의사의 판단으로 세 요소에

의해 이미 계산된 해당 눈의 시각장애에 5~10 정도를 combined 할 수 있음

- Ocular function에 영향을 주지 않는 orbit deformity scarring 등 cosmetic

defect도 전신 노동력상실율에 10까지 병합할 수 있음 단 성형외과장애와

중복시키지 않음

2 단안 시각장애율

1) 한 눈의 2 시각요소(CV amp VF)의 소실율을 병합함

2) 한 눈의 시각소실율 계산 (p478-479 Combined Table을 이용)

- 다른 계산법

우안 시효율 044 x 068 x 075 = 22 rarr 시각소실율은 78

좌안 시효율 054 x 068 = 37 rarr 시각소실율은 63

- 다른 계산법

우안 시효율 044 x 068 x 075 = 22 rarr 시각 소실율은 78

좌안 시효율 054 x 068 = rarr 시각 소실율은 63

mdash mdash122

3 양안시각장애율을 계산 (Table 7)

우안 78 좌안 63 rarr 67가 됨

- 다른 계산법

3 x better eye value + worse eye value

4 양안 시각장애율을 전신 노동력상실율로 전환 (Table 6)

AMA(5th ed 2001) 기준의 문제점

1 국내 안과의사에게 아직까지 인지도가 없다

2 계산 과정이 매우 매우 복잡하다

AMAs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 2001

- 저시력에 관련된 국제전문가들이 관여함

- 이전의 1925년 Snell의 lsquoVisual Efficiencyrsquo 개념이 없어지고 lsquoFunctional Vision

Score(FVS)rsquo로 대치됨

시력은 Visual Acuity Score인 (FAS)로 바뀜

예) VA 20200 -gt VA loss in VE 80

VA Impairment rating(ability loss) 50 (Table 12-2)

시야는 새로운 Visual Field Score인 (FFS)로 재계산됨

FVS = (FAS x FFS)100

- 복시와 무수정체안에 대한 항목이 없어짐 근거리시력은 선택사항임

- 시력 시야에 대한 시각장애(Visual impairment ratings)는 새로운 공식을 적용

(3 x OU + OD + OS)5 (이전 3 x better eye + 1 x lesser eye)4

- Visual system의 Impairment rating은 100-the FVS임

mdash mdash123

시각계통의 장해율 계산과정(flow chart)

시력검사(시력표)

mdash mdash124

시력장애

시력장애율의 계산

mdash mdash125

시력장애의 분류

시야장애의 검사- Goldmann주변시야계

자동시야계-Humphrey autofield analyzer

mdash mdash126

- 총 10개의 경선

25deg 65deg 115deg 155deg

195deg 225deg 155deg 285deg 315deg 345deg

중심 10deg내에서는 5점(2deg간격) 10deg밖에서는 10deg간격

정상시야에서 한 눈 당 총 100곳을 검사하게 됨

정상시야

mdash mdash127

Overlay Grid에 의한 정상시야

시야장애

mdash mdash128

시야 장애율 계산

시야장애의 분류

시야반경거리를 시야점수로 전환

mdash mdash129

중심 암점의 보정

시각장애과 전신장애의 분류

mdash mdash130

글씨크기와 시표거리에 따른 근거리시력과 장애율계산

mdash mdash131

2 이비인후과 영역의 장해평가기준10)

I 이비인후과 영역의 장애판정

1 이과분야

- 난청

- 안면신경마비

- 어지러움(현훈)

2 비과분야

- 후각장애

- 호흡장애

- 안면손상

3 두경부 분야

- 음성 언어장애

- 저작 및 연하기능장애

- 상부 호흡기손상 및 호흡장애

- 안면손상

1) 귀의 구조

외이 연골로 형성된 이개와 외이도로 이루어짐

외이도는 바깥 13의 연골부 안쪽 23의 골부로 형성되어 있음

중이

고막 외이와 중이의 경계 부위에 위치

중이에 대한 방어벽인 동시에 음전도 역할

이소골 3개의 뼈가 있어 외이를 통해 들어온 소리가 고막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이로 전달하는 역할

내이 소리를 감지하는 달팽이관과 몸의 균형을 담당하는 세반고리관이 있음

10) 한양대학병원 이비인후과 박철원

mdash mdash132

(1) 외이의 구조

이개 울퉁불퉁한 얇은 탄성연골로 골격을 이루며 피부로 덮여 있다 음파를 모

아서 외이도내로 도입하는 역할

외이도 외이도의 외측 13은 연골부 내측 23는 골부로 구성

협부 연골부와 골부의 경계부에서 약간 내측에 외이도에서 가장 좁은 부위

미주신경과 삼차신경이 지배 외이도를 자극했을 때 미주신경반사로 기침이 일어

날 수 있으며 후두 질환이 있을 때 방사통으로 인한 이통을 호소하게 된다

(2) 중이의 구조

중이 측두골내에서 점막으로 덮여 있고 공기로 채워진 공간 (6면체 구조)

외측 고막 내측 와우

고막 타원형의 진주양회백색(pearly gray color)

제(umbo) 고막중심에 내측으로 약간 함몰 되어 있는 곳 (추골병의 하단에 해당)

광추(cone of light) umbo에서 전방으로 있는 광반사

추골병의 상부전방에 있는 백색돌기가 단돌기(short process)이며 여기에서 전후

로 추골추벽(malleolar fold)가 있으며 이것이 경계가 되어 그 상부를 고막의 이완부

하부를 긴장부로 나눈다

이소골

고막 ndash lsquo추골 침골 등골rsquo ndash 난원창 과 연결되어 소리를 전달

추골(malleus) 이소골 중 가장 커서 약 75-80mm이며 3개의 인대로서 공간에 고

정되어 있다

침골(incus) 추골의 내후방에 위치하며 추골 및 등골과 연결

등골(stapes) 신체중 가장 작은 뼈이며 전체 높이는 약 33mm

(3) 내이의 구조

내이는 형태와 구조가 복잡하여 미로(labyrinth)라고도 한다

미로는 내부의 막미로(membranous labyrinth)와 이를 둘러싼 골미로(bony

labyrinth)로 구분하고 앞쪽에서부터 와우 전정 반규관의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골미로 안에 외림프(perilymph)가 들어 있고 그 안에 막미로가 있으며 막미로는 내

림프(endolymph)를 담고 있다

mdash mdash133

와우 달팽이관(cochlea) 청각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두바퀴 반의 나사형 모양을 하

고 있으며 각 회전의 공간에는 림프액으로 차 있다

전정 구형낭(saccule) 난형낭(utricle) 반고리관과 함께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전

정미로를 형성

반규관 수평반규관 후반규관 상반규관

2) 청각 기능

(1) 가청음역 16~20000 Hz사이 회화음역 250~2000 Hz사이

음의 전도 공기전도와 골전도

음압증강작용

면적비 171=25dB 지렛대비 131=25 dB

Shearing effect(buckling effect) 2~3배=4~9dB =gt 315~365dB

(2) 난청의 종류와 증상 및 검사

0 dB HL 이란 정상 청년 연령층에서 각 주파수의 가청역치의 평균치

가 일상생활 중 소리강도

0 dB 매우 희미하게 들리는 소리

30dB 도서관 속삭이는 소리

40dB 저음으로 대화할 때

50~60dB 일상적인 대화

60dB 정상적인 대화 타자기 또는 재봉틀 소리

90dB 트럭 달리는 소리 기계로 잔디 깎을 때 나는 소리

115dB 자동차 경적 소리 록 콘서트

130dB 제트기 소리

140dB 총소리

나 순음 청력 검사

순음청력계기의 구성

음을 발생시키는 진동기

mdash mdash134

발생된 음을 증폭시키는 증폭기

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감쇄기

이어폰

골전도 진동기

음 차폐기

다 순음청력검사의 임상적 적용

청력장애의 유형 및 정도에 따라 이에 맞는 치료방법 선택

청력장애의 유형 및 정도에 따라 재활 치료 시 타검사소견과 함께 보청기 선택

등의 기초자료 제공

누가현상 검사 및 피로검사 등을 이용한 병변 부위 진단에 보조적인 자료 제공

사청검사 등을 이용한 기능성 난청의 진단에 보조적인 자료 제공

라 청력도

횡축 주파수를 대수척도(logarithm) 좌측 125Hz 우측 8000Hz

종축 강도를 decibel척도(dBHL)로 하여 top -10dBHL bottom 120dBHL

가) 청력장애의 유형판별

(가) 전음성 난청 기도 역치는 나빠도

골도 역치가 정상범위이면서 기도

골도 차가 10sim15 dB 이상일 때

외이 및 중이 질환 의심되고 내이는

정상인 경우

(나) 감각 신경성 난청 기도 역치와

골도 역치가 같은 정도로 나빠진

경우로 기도 골도 차가 없는 경우

내이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mdash mdash135

(다) 혼합성 난청 기도와 골도 역치가 나쁘면

서 기도 골도 차가 10sim15dB 이상일 때

기도와 골도의 청력이 모두 장애가 있으나

기도 청력의 손실이 더 심한 경우

(3) 선천성 감각신경성 난청

유 전 성 비 유 전 성

비증후군성

DFNA DFNB

증후군성

Waardenburg 증후군

Usher 증후군

Pendred 증후군

백피증

조갑이영양증

Jevel 증후군

Trisomy(13151821)

산전감염

바이러스성 (예 모성풍진)

세균성

이독성 약물

기형유발 약물 (thalidomide)

대사이상 (cretinism)

주산기 외상 저산소증

방사능피폭

미숙아

(4) 후천성 감각신경성 난청

유 전 성 비 유 전 성

비증후군성

증후군성

Alport 증후군

Lysosomal storage 병

Kippel-Feil 증후군

Alstrom병

Refsum병

신경섬유종증

Crouzon병

Cockayne 증후군

염증성 질환

세균성 (예 미로염 수막염)

바이러스성 (예 유행성이하선염 미로염)

Spirochetal (예 매독)

이독성 약물

외상 (예 소음 측두골 골절)

노인성 난청

돌발성 난청

Meniere 병

종양 (예 청신경 종양)

기타 대상이상 (갑상선 기능저하)

허혈성질환 (VBI)

신경학적 이상

면역이상 골질환

mdash mdash136

(5) 소음성 난청

음향외상 갑작스러운 폭발음에 노출시 심한 고음성 감각신경성 난청 및 이명이 돌

발적으로 나타남

손상 정도에 따라 수일에서 수개월이 경과하면 회복되기도 하나 심한 손상시 영구적

인 난청을 초래함

안정을 취하며 반복적인 음향외상을 피해야하며 심한 난청시 보청기 등이 도움

음의 압력이 85dB이상의 장소에서 장시간 노출되면 내이 손상을 일으킬 수 있음

난청의 정도는 소음 폭로 시간 소음의 강도 주파수와 연관

청력검사상 초기에는 4000Hz에서의 청력소실인 C5 dip을 나타냄

소음성 난청의 예방

소음방지기를 착용하여 35dB까지 소음을 감소

작업장이나 소음이 심한 기계에 방음시설

소음성 난청의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안정과 재활교육 실시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소음성 작업장에서의 작업시간을 규정

(6) 이독성 약물에 의한 난청

증상 이명이 난청보다 먼저 출현하며 고음역의 난청이 가장 심각한 증상

현훈은 전정계를 침범하는 약제에 의해 발생

발생약물

Aminoglycoside 계열의 항생제 Streptomycin Neomycin Kanamycin

Gentamicin Tobramycin Amikacin 등

중이국소약제(귀에 넣는 약) Chloramphenicol Streptomycin Neomycin

Polymyxin Gentamicin Erythromycin 등

이뇨제 Loop diuretics인 ethacrinic acid와 furosemide 등

기타 Salicylate(aspirin) quinine 항암제 중 nitrogen mustard cisplatinum 등

이독성 약물에 의한 난청의 주의사항

이독성 약제를 사용 시 투여 전에 청력검사 신장검사 전정기능 검사 등을 시행

약물 투여시 청력검사는 주 1회 임상적 검사는 매일 이명은 매일 확인

이독성 약물에 의한 난청은 예방 가능하므로 더욱 주의를 요함

mdash mdash137

(7) 돌발성 난청

정의 순음청력 검사에서 3개 이상의 연속된 주파수에서 30dB이상의 감각신경성

청력 손실이 3일 이내에 발생한 경우

증상 감기 과로한 업무 술 마신 후 등 아침에 일어나 보니 갑자기 한 쪽 귀가 안

들림

간혹 잘 모르다가 전화를 받을 때 한 쪽 귀가 안 들린다는 사실을 발견

갑자기 안 들이는 것과 동반되는 증상으로는 이명 어지럼증 등이 동반될 수 있음

빨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비인후과적 응급질환

원인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바이러스 감염 혈액순환 장애 내이 임파

액병리설

자가 면역장애 자율신경기능 장애 외임파누공 청신경 종양 등

치료 급성기에 절대안정 부신피질호르몬제 (스테로이드) 혈류개선제 (혈액순환

개선제) 대사개선제 (고분자성 수액) 비타민제제 등

예후가 나쁜 경우

청력소실이 심한 경우 (가장 중요)

청력도상 저음보다 고음의 청력 소실이 심한경우

치료 시작 시기가 늦은 경우

어지럼증이 동반

당뇨 고혈압 등 동반 질환

대개 약물요법으로 치료를 하게 되면

30에서는 완전회복

30에서는 부분 회복

30에서 회복이 안 되거나 더 심해지는 경우도 있음

(8) 노인성 난청

노인성 난청의 조건

청력검사상 양측 귀에 대칭적 형태

외상 이독성 약물 귀의 질환 소음에의 노출 귀 수술 등의 과거력이 없고

최소한의 전음성 난청 (10dB 이하)

검사 결과가 신뢰성이 있을 것

mdash mdash138

65세 이상의 연령

가족력이 없을 것

원인 노화현상으로 인하여 내이유모세포의 퇴행성 병변 청신경의 신경세포의 감

소 중추신경세포의 소실

증상 30대에서 시작하여 70대에서 현저

양측 고주파 영역에 경도 혹은 중등도의 청력 감소

어음 명료도의 감소 대게 소리는 들리나 의미를 알아듣지 못하는 증세

방향 감지 능력의 저하

이명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 다른 감각신경성 난청과 같이 약물요법을 시행하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

우며 대게 영구적으로 남게 된다

조기에 보청기를 사용하여 사회적응을 도움

(9) 외상성 귀질환

외이도 골절 하악골에 가해지는 외상에 의해 하악골의 과상돌기(condyle)를 외

이도 내로 밀게 되어 외이도 전벽의 골절 발생

외이도 골절은 측두골 골절의 일부이므로 고막 중이 내이의 골절을 확인해야 한다

골편과 피부를 원래의 자리로 돌려놓고 제자리에 고정시키기 위해 항생제를 도포

한 거즈를 외이도에 유치시킨다

골절이 회복되고 외이도의 내경이 충분히 유지되었을 때 청력검사 시행한다

고막천공

원인 외상 기압변화 이물

치료 손상의 정도를 파악

수술을 고려해야하는 경우 고막후상방에 천공이 있으면서 현훈 안면신경마비

이소골 탈구 동반되거나 중이내 이물이 있는 경우

합병증 이차적인 감염 진주종 전음성 난청 감각신경성 난청 안면신경마비

측두골 골절

mdash mdash139

증상 난청 어지럼증 안면신경마비 뇌척수액 이루 비루 뇌막염

종 골 절 횡 골 절

골절선

빈도

외이도

고막

난청

안면마비

뇌척수액

안진

추체축에 평행

측두골 골절의 80

골절선

천공-고실출혈

전음성 난청

20

이루(otorrhea)

없다

추체축에 직각

측두골 골절의 80

정상

정상 또는 고실출혈

감각신경성 난청 전농

50

비루(rhinorrhea)

반대측

외이도 골절과 고막 천공

원인 외상 기압변화 이물

치료 손상의 정도를 파악

수술을 고려해야하는 경우

고막 후상방에 천공이 있으면서

현훈 안면신경마비 이소골 탈구

동반되거나 중이내 이물이 있는 경우

합병증 이차적인 감염 진주종 전음성 난청 감각신경성 난청 안면신경마비

(10) 청력 장애의 정도

dB HL (ASA 1951)

dB HL (ISO 1964)

표현법 사회적 핸디캡

15 이하 25 이하 정상

16 ~ 29 26 ~ 40 경도난청학교에서 앞 좌석으로 이동 및 구순 구독법(lip reading) 필요

30 ~ 44 41 ~ 55 중등도난청10-15m 이내의 회화음은 청취 학교에서 앞 좌석 이동 보청기 착용 청각 훈련 구순 구독법

45 ~ 59 56 ~ 70 중등고도난청10-15m 에서도 큰소리로 말해야 청취 군중이나 강의실 청취 곤란 특수 교육이 필요

60 ~ 79 71 ~ 90 고도난청30cm 이내에서도 큰 소리로 말해야 들리나 말의 분별이 곤란 특수 교육이 필요

80 이상 91 이상 농 언어 청취가 불가능 농아 교육이 필요

mdash mdash140

청력장애 판정기준(보건복지부)

장애등급 장 애 정 도

2급 두 귀의 청력 손실이 각각 90데시벨 이상인 사람

3급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80데시벨 이상인 사람

4급 1호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70데시벨 이상인 사람

4급 1호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최대의 명료도가 50 퍼센트 이하인 사람

5급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60데시벨 이상인 사람

6급한 귀의 청력손실이 80데시벨 이상 다른 귀의 청력 손실이 40 데시벨

이상인 사람

청각 장해 평가(미국의학협회)

순음 청력계로 각각의 귀를 500 1000 2000 및 3000 Hz에서의 청력 수준을 기록

한다

100dB을 초과하면 100dB로 한다

청력수준이 음의 값(예-5dB)인 경우 0dB로 한다

한쪽 귀 청각 장해() = 15x(편측청력역치-25dB)

양쪽 귀 청각 장해() = [5 x (보다 밝은 귀 청각 장해 ) + (보다 어두운 귀 청각

장해 )]6

양쪽 귀 청각 장해의 전신 장해와의 관계(미국의학협회)

mdash mdash141

3) 안면신경 마비

원인 특발성 안면신경 마비

Bellrsquos palsy

외상성 안면신경 마비

감염

Ramsay-Hunt 증후군

중이염 악성 외이도염

종양

안면신경초종

청신경종

이하선 종양

(1) 외상성 안면신경 마비

의인성 중이 이하선 청신경종양 수술 후 발생

비의인성

측두골외 손상 안면부 외상 또는 총상으로 인한 관통상

측두골내 손상 안면 두부에 대한 교통사고 또는 외상

기타

뇌진탕 중추신경 외상 관통상 안면열상

mdash mdash142

(2) 안면신경마비의 평가(H-B)

(3) 안면신경마비 검사

병변부위검사

누액배출검사 등골반사검사 전기미각검사

타액유량검사 전기신경전도검사

신경흥분성검사(nerve excitability test)

최대자극검사(maximum stimulation test)

신경전도검사(electroneuronography)

근전도검사(electromyography)

안면마비(미국의학협회)

안면 신경 장애와 연관된 감각소실은 일상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으므로 미각

상실은 주요 장해로 간주하지 않는다

mdash mdash143

〈표 13-12〉 제7뇌신경 (얼굴신경) 장해 평가 기

1등급

전신 장해 1~4

2등급

전신 장해 5~19

3등급

전신 장해 20~45

앞혀 미각 완전 상실 또는

가벼운 한쪽 얼굴 쇠약

가벼운 또는 심하지 않은 양

쪽 얼굴 쇠약 또는 심한 한

쪽 얼굴마비 75 이상의

얼굴이 연루되고 눈감기 통

제 안됨

심한 양쪽 얼굴마비 75

이상의 얼굴이 연루되고 눈

감기 통제 안됨

4) 어지러움의 종류와 원인 증상

어지럼증의 성질

회전성 어지러움증(Vertigo)

비회전성 어지러움증

부동감

안전 암흑감 가성 어지러움증

평형장애 보행장애등

말초전정기관 및 전정신경질환 회전성

중추전정질환 비회전성 부동감 안전암흑감 또는 평형장애

어지럼증의 발작양상과 경과

자발성 발작성

단발발작 돌발성 난청

전정신경염

뇌혈관 부전증

반복발작 메니에르병

유발성 발작성 양성 발작성 체위변환성 현기증

지속성 중추전정장애

진행성 중추전정장애

mdash mdash144

원인 인자로서의 과거병력

두경부외상

소음폭로병력

이독성항생제 사용여부 특히 SM KM GM

만성중이염 특히 진주종성 중이염 병력

심장질환여부

고혈압 저혈압 각종 빈혈 여부

동요병(멀미)

생리주기와 현기증의 상관관계

문진에 의한 감별진단

말초성 어지러움증 중추성 어지러움증

회전성인 경우가 많다

난청 이명 등을 수반

뇌신경 증상수반(-)

체위 두위에 따라 어지러움증이 변동된다

어지러움증 감각이 오심구토와 비례한다

수일에서 십수일내에 보상되는 것이 많다

의식장애를 수반하지 않는다

자율신경증상은 어지러움의 강도에 비례한다

보행 평형장애(-)

회전성도 있으나 비회전성이 많다

난청 이명등을 수반하지 않는다

뇌신경 증상을 동반한다

체위 두위에 따라 어지러움증이 변동되지 않는다

어지러움증감각이 오심구토와 비례하지 않는다

지속적이며 잘 보상되지 않는다

의식장애를 수반하는 수가 있다

일치하지 않는다

보행 평형장애(+)~(++)

전정기능검사

자세의 불안정을 보는 검사

지시검사(past-pointing)

직립반사검사

Tandem walking

mdash mdash145

안구운동의 이상을 보는 검사

자발안진

주시성 안진

두위안진

두위변환안진

Head-shaking nystagmus

Head-thrust test

Dollrsquos eye test

직립반사검사

Romberg 검사

Mann 검사

단각직립검사

회전성 어지러움증이 급성 발작적으로 나타난 후 지속되는 경우

(acute prolonged attack of vertigo)

mdash mdash146

회전성 어지러움증이 재발성으로 나타나는 경우

(recurrent spontaneous attack of vertigo)

두위변환성 어지러움증이 재발성으로 나타나는 경우

(recurrent episode of positional vertigo)

mdash mdash147

어지러움 평형장애의 시기별 치료방침

어지러움증 발작기(급성기)

병태설명 안정 diazepam 7 NaHCO3 atropine antihistamine corticosteroid

간헐기(만성기)

혈관확장제 순환개선제 대사부활제 진정제 정신신경안정제

내림프수종 탈수이뇨제(glycerol isosorbide urea)

부신피질 호르몬제

국소전신요인의 치료 혈압의 관리 경추증치료 뇌혈관장애 뇌종양의 수술요법

내이누공의 수술 치아의 치료 자율신경조정약

어지러움 발잘의 재발예방책

생활지도 스트레스 대책 자율신경 혈압조절제 혈관확장 순환의 개선

수술요법 내림프낭 감압술 내이누공 PLF폐쇄 뇌종양 뇌혈관장애의 수술

비가역적 장애에 대한 대책

중추성 보상 평형기능훈련 보청기 보청기의 정비 추적관찰(2주~1개월간격)

전정기능장애 장애판정

현기증 수평면에서 본인이 회전하는 느낌 또는 본인에 대해 사물이 회전하는 느낌

어지럼 또는 몽롱함 움직이는 느낌이 없다는 점에서 현기증과 구분된다

전정기능장애는 현기증이 있으면 확진할 수 있고 몽롱함이나 보행 이상은 전정기능

장애로 보지 않는다

전정 질환은 역동적이기 때문에 영구 장해 평가는 환자의 질환이 안정 상태에 도달

한 후에 실시해야 한다

mdash mdash148

평형장애 판정기준(미국의학협회)

〈표 11-4〉 전정 질활으로 인한 신체 장해 평가 기준

1등급 전신 장해

0

2등급 전신 장해

1~10

3등급 전신 장해

11~30

4등급 전신 장해

31~60

5등급 전신 장해

61`95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은

없음

도움을 받지

않고 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복잡한 활동(예

자전거 타기)

또는 엄격한

주의가요구되는

특정 업무

활동(예 대들보

또는 비계위를

걷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없이 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단순한

활동(자신을

돌보는 일 집안

일 보행 다른

사람이 운전하는

자동차에 타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외에는 도움이

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중

보행을 요하지

않는 행위를

제외하고

도움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집안에 머물러

있어야만 함

후각 및 미각장애

후각 장애의 원인

폐쇄성 비부비동 질환

상기도 감염

두부외상

노령

내분비대사 이상 당뇨

신경퇴행성 질환 Alzheimer Parkinson

종양 후각신경아세포종

의인성 원인 후두전적출술

정신질환

mdash mdash149

미각장애의 원인

전도성 장애

구내건조증

감각신경성 장애

약물 항류마티즘약제 항암제

외상 측두골골절 중이수술시 고삭신경손상

대상상 장애 당뇨병 갑상선기능저하증

감염 대상포진

영양실조 비타민 B 아연 결핍

악성종양 수술 방사선치료

검사 항목

병력

이학적검사

영상진단

후각기능검사

역치검사 CCCRC test TampT olfactometer

인지검사 CCCRC test UPSIT

미각기능검사

미각 감지역치검사

미각 역치상검사

전기미각검사

후각 및 미각 장애(AMA)

후각과 미각의 완전 소실이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그러므로 말초 환부에서 기인한 후각 또는 미각의 부분 또는 완전 소실은 전신 장해

1~5 범위의 등급 부여를 권장한다 그리고 나서 이를 환자의 다른 장해와 병합하여

야 한다

mdash mdash150

안면 손상

안면부 열상 구강내 열상 치아 손상

안면부 골절(비골 안와 협부 하악 상악)

원인 교통사고 추락사고 스포츠 사고 폭력사고 작업중 사고 등

범위 치아 안면골 연부 조직(피부 치은) 안구 타액선안면 신경

안면손상 검사 항목

이학적 검사

PNS x-ray

구강 비강 내시경 검사

안면 사진

PNS CT

안면부외상시 처치

생명구조

기도확보

혀를 잡아당긴다

혈액이나 점액질 토사물을 제거한다

체위 환자의 자세는 의식이 없는 경우는 머리를 한쪽으로 돌린 엎드린 자세가

좋고 의식이 있는 경우는 앉은 자세가 좋다

기관내 삽관이나 기관절개술을 신속히 시행한다

연관 손상부위 확인 대뇌 손상 경부 골절 흉부

복강내 손상( 간 장)

기능 회복

변형의 최소화

mdash mdash151

안면손상 판정(미국의학협회)

〈표 11-5〉 얼굴 질환 는 변형으로 인한 장해 평가 기

1등급 전신 장해 0~5

2등급 전신 장해 6~10

3등급 전신 장해 11~15

4등급 전신 장해 16~50

눈에 띄는 흉터 또는 비정상 색소침착 등과 같이 피부 구조 장애에 한정된 얼굴이상 또는 가벼운 한쪽 또는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외모에 영향을 주는 코의 변형

피부 장애(예 함몰된 뺨 비골 또는 전두골)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은 얼굴 장애로서 얼굴 일부의 지지 구조의 상실을 초래한 경우

눈 또는 코의 일부 상실 등과 같이 얼굴의 해부학적 부분 또는 부위의 결여 때문에 발생한 얼굴 이상으로서 얼굴 변형을 초래한 경우 또는 심한 한쪽 전체 얼굴마비 또는 가벼운 양쪽 전체 얼굴 마비

얼굴 해부학적 구조의 극심한 또는 완전한 변형으로서 변형 정도가 극심해서 사회 적응이 불가능할 정도인 경우 또는 심한 양쪽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코의 주요 부위 또는 전체 상실

음성 언어 장애

후두의 기능

기도 보호

호흡

발성

연하기능

언어장애의 원인

신체발달지체

청각장애

지적능력의 지체

조음기관의 장애

언어장애의 분류

조음장애

발음이 부정확한 것

청력손실 입술이나 구개의 파열 소대의 이상 신경 운동장애로 인한 마비성 조음장애

실행증 등의 문제로 나타날 수 있는 기질적 조음장애

mdash mdash152

신체적 구조상의 이상이 없더라도 연령 지능 성격 사회경제적 위치 문화적 영향

학업 성취도 습관 등에 따라 자신의 독특한 패턴으로 나타날 수 있는 기능적인 조음장애

유창성장애

말더듬

음이나 음절 또는 조음 포즈 등의 반복이나 연장 혹은 투쟁행동 등으로 구어의 흐름

이 비정상적으로 방해를 받을 때 말더듬이 발생

언어장애의 분류

음성장애

후두 특히 성대의 이상으로 인한 성대 혹이나 성대 결절 성대부종 스트레스 등으로

목소리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작은 소리(강도장애)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소리(음도장애)

목 쉰 소리 숨찬 소리 거친 소리 과비성(음질장애)

목소리의 강도나 음도에 의도적으로 변화를 주지 못하는 경우

기호장애(언어장애)

언어종속행동 즉 말하기 이해하기 읽기 쓰기 등에 문제

언어발달 지체 교통사고나 중풍으로 인한 대뇌손상이나 신경계 이상으로 인한 실어

증이나 구어실행증 지능이 낮은 결과로 인한 언어지체

음성재활(인공후두)

mdash mdash153

음성재활(식도발성)

검사 항목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Aerodynamic study

Electroglottography

음성언어치료사의 평가

MRI CT

객관적 검사

유창성 장애(말더듬) 말더듬 심도 검사

조음장애 그림자음검사 3위치 조음검사 한국어 발음검사

언어능력

20세 이상의 성인 보스톤 이름대기검사 K-WAB 검사

아동 그림어휘력검사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 영

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 문장이해력검사 언어이해인지력검사 언어문제해결력 검

사 한국-노스웨슨턴 구문선별검사

판정 기준(미국의학협회)

음성은 후두의 성대 주름의 진동으로 발생된 가청 범위 내의 소리를 말한다 가성대

주름 또는 식도는 제외한다

음성장애의 원인을 따지지 않고 비정상 음량 비정상 조절 비정상 음질 등의 분명한

증상을 평가 한다

평가 항목

가청도(可聽度) 들을수 있을 만큼 큰 소리로 말할 수 있는 능력

가해성(可解性) 분명히 발음하고 어음의 음성 단위를 정확하게 연결하여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드는 능력

기능적 효율성 충분히 빠른 속도로 말하며 일정 시간 그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

mdash mdash154

음성 언어장애 판정기준(가청도)

〈표 11-8〉 음성언어 장해 분류

1등급0~14

2등급15~34

3등급35~59

4등급60~84

5등급 85~100

일상 회화의 대부분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이를 위해 간혹 노력해야 하고 때로 개인의 능력에 부치는 일일 수도 있다

일상 회화의 많은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으며 평균적인 환경에서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승용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잘 들을 수 없다

일상 회화의 특정 필요 즉 인접한 상대와의 대화가 가능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나 목소리가 쉬 피로해지고 수초가 지나면 잘 들리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떨어지거나 승용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과 같은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일상 회화의 한정된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나 가까이서 주의를 기울여야 겨우 들을 수 있으며 또한 귀에 들릴 정도로 속삭일 수 있으나 크게 말할 수는 없다

일상 회화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전혀 낼 수 없다

음성 언어장애 판정기준(가해성)

〈표 11-8〉 음성언어 장해 분류

1등급0~14

2등급15~34

3등급35~59

4등급60~84

5등급 85~100

일상 회화에 필요

한 대부분의 조음

행위를 할 수 있

그러나 간혹 다시

한번 말해 줄것을

요청 받거나 어떤

발성 단위는 발음

하기 어려워하거

나 불가능하다

일상 회회에 필요

한 많은 조음 행

위를 할 수 있으

며 타인이 이를

알아 들을 수 있

그러나 많은 오류

가 있으며 간혹

조음이 어려울 경

우가 있다

일상 회화에 필요

한 일부 조음 행

위를 할 수 있으

며 가족 및 친구

들과 대화할 수

있으나 타인은 말

소리를 알아 듣기

어려워하며 자주

다시 한번 말해달

라는 요청을 받는

일상 회화에 필요

한 제한된 조음

행위를 할 수 있

으며 일부의 발성

단위를 발음할 수

있다

자기 가족의 이름

등 몇 단어는 비

슷하게 발음하나

관련 없는 단어를

발음하면 알아들

을 수 없다

일상 회화에 필요

한 조음 행위를

전혀 할 수 없다

mdash mdash155

음성 언어장애 판정기준(기능적 효율성)

〈표 11-8〉 음성언어 장해 분류

1등급0~14

2등급15~34

3등급35~59

4등급60~84

5등급85~100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대부분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해 낼 수 있으나 가끔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많은 요구를 충족 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가끔 어려움을 겪으며 때때로 끊어지거나 중단되고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일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지속적으로 말할 수 있으며 상대방에게 쉬 피곤해 한다는 인상을 준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제한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한 단어 또는 짧은 구절) 말이 자주 끊기고 아주 힘들어한다 속도가 대단히 느리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는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요구를 전혀 충족시킬 수 없다

저작 및 연하기능 장애

구강 및 구인두의 해부

음식물의 섭취작용

저작 하악의 운동과 치아의 작용과 아울러 볼 혀 구순의 협동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소화 타액에 있는 전분소화효소가 녹말을 분해한다

연하의 작용

구강 준비기

구강기

인두기

식도기

저작 및 연하기능의 손실

구강암 인두암 후두암 식도암 등의 치료후

구강 인두 후두 식도 등의 신경마비

전치의 상실

턱뼈의 골절로 인한 부정교합

혀 13 이상의 부분 상실

mdash mdash156

검사 항목

인두식도조영술

Videofluoroscopy

치과적 검사

Fiberoptic endoscopic swallowing

저작 및 연하 장애(미국의학협회)

저작 및 연하기능의 평가는 식사 능력이 안정적이고 최대한의 재활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실시해야 한다

〈표 11-7〉 식사 제한과 구 장해의 계

제한 종류 전신 장해율

식사는 반고형 또는 부드러운 음식에 한정한다

식사는 유동식만 허용한다

튜브 또는 위루 설치를 통해 음식을 섭취한다

5~19

20~39

40~60

상부 호흡기 손상 및 호흡 장애

Anatomy

Trachea

16-20 complete cartilage rings of hyaline cartilage from cricoid to

carina(9-12cm)

Tracheal wall

Mucous layer pseudostriated ciliated columner epithelium

Submucous layer

mucous and serous gland

Fibrous and muscular layer

vessels nerves lymphatics

mdash mdash157

상부 호흡기 호흡곤란

완전폐쇄

외상성 혹은 iatrogenic 완전후두협착으로 평생동안 영구기관절개술 혹은 영구기관

개방술을 받은 경우

심한 음식물 흡인으로 인하여 후두 혹은 기관분리 수술을 받은 경우

불완전폐쇄

성문하부협착 기도 협착으로 인하여 기관절개술을 받은 상태이며 T-tube

tracheal cannula의 삽관 상태이면서 tube을 막으면 호흡은 상당히 곤란하나 음성은

정상에 가까게 낼 수 있는 경우

양측 성대마비 혹은 양측 성대고정으로 인하여 상당한 호흡곤란이 있으나 기관절개

술은 필요치 않고 목소리도 비교적 양호한 상태 등

검사 항목

이학적 검사

내시경 검사

경부 방사선 검사

Neck CT or MRI

Chest Pleomorphic adenoma

Pulmonary function test

Rhinomanometry

Bronchoscopy

Acoustic rhinometry

mdash mdash158

호흡 장애(미국의학협회)

〈표 11-6〉 공기 통로 결함으로 인한 신체 장해 평가 기

1등급 전신 장해 0~10

2등급 전신 장해 11~29

3등급 전신 장해 30~49

4등급 전신 장해 50~89

5등급 전신 장해 90+

안정시 호흡곤란

없음 및

보행 계단 오르

기 또는 일상 활

동 중 호흡곤란

없음 및

스트레스 지속적

인 힘든 운동 급

히 서두름 언덕

오르기 오락 또

는 이와 유사한

기타 활동으로서

집중적인 노력을

요하는 행위 및

검사 결과 구강인

두 후두인두 후

두 상부기관(제4

연골고리까지)

하부기관 기관지

등의 부분 폐쇄

또는 코 또는 비

인강의 완전(양

쪽) 폐쇄

안정시 호흡곤란

없음 및 평탄한

길 보행시 계단

한번 오르기(층과

층을 연결하는 계

단) 기타 일상

활동 수행시 호흡

곤란 없음 그러나

스트레스 지속적

인 힘든 운동 급

히 서두름 언덕

오르기 오락 또

는 이와 유사한

기타 활동(앉아서

하는 활동 제외)

시 호흡곤란 있음

및 검사 결과 구

강인두 후두인

두 후두 상부기

관(제4 연골고리

까지) 하부기관

기관지 등의 부분

폐쇄 또는 코 또

는 비인강의 완전

(양쪽) 폐쇄

안정시 호흡곤란

없음 및 한 구획

이상 걷기 평상

시 계단 한번 오

르기(층과 층을

연결하는 계단)

또는 기타 일상

활동 등을 하면

호흡곤란 발생 및

스트레스 지속족

인 힘든 운동 급

히 서두름 언덕

오르기 오락 또

는 이와 유사한

기타 활동시 호흡

곤란 있음 및 검

사 결과 구강인

두 후두인두 후

두 상부기관(제4

연골고리까지)

하부기관 또는 기

관지의 부분 폐쇄

안정시 호흡곤란

있음 반드시 환

자가 침대에 누워

지내는 경우만 해

당되는 것은 아님

및 일상 활동을

하면 호흡곤란 악

화됨(손을 씻는

일 옷 입기 또는

빗질하기 등 자기

몸을 돌보는 일

이상의 것) 및 검

사 결과 구강인

두 후두인두 후

두 상부기관(제4

연골고리까지)

하부기관 및또는

기관지의 부분 폐

안정시 심한 호흡

곤란 있음 자발

호흡 충분하지 못

함 및 호흡 환기

요함 및 검사 결

과 구강인두 후

두인두 후두 상

부기관(제4 연골

고리까지) 하부

기관 및또는 기

관지의 부분 폐쇄

mdash mdash159

3 맥브라이드 장해평가기준Mc Bride식 노동능력상실평가11)

순 서

Ⅰ 자동차보험의 특성

Ⅱ 자동차보험 약관

Ⅲ 자동차보험 통계

Ⅳ Mc bride 노동능력상실 평가

Ⅰ 자동차보험의 특성

1 보험이란

동질의 우발적인 위험하에 있는 다수인이 위험단체를 구성하고 그 단체의

구성원이 일정한 기금 (=보험료 )을 갹출 기금을 형성하여 우연한 사고

(=보험사고)를 당한 구성원에게 재산적 급여(보험금)를 함으로써 경제적 불안을

제거하고자하는 제도임

2 보험의 분류(상법상)

손해보험 ndash 우연한 사고(보험사고)로 인하여 생긴 피보험자의 재산상의 손해를

보상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보험으로 이득금지의 원칙 등이 적용되며 상법상

화재 운송 해상 책임 자동차보험이 있음

인보험 ndash 사람의 생명 신체에 관하여 보험사고가 생길 경우 일정한 금액

(=보험금액) 을 지급하기로 하는 보험으로 상법상 생명보험과 상해보험이 있음

11) 교보자동차보험 의료팀장 이수재

mdash mdash160

Ⅱ 자동차보험 ( 약관 )

1 자동차보험의 구성

대인배상Ⅰ 대인배상Ⅱ 대물배상 자기신체사고 ( 자동차상해 또는 plus보험)

자기차량손해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등의 담보종목과 특별약관으로 구성됨

2 담보종목별 보상내용

자동차사고로 인한 타인의 피해를 보상하는 담보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의 재물을 파손하는 경우에 보상대물배상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그손해가

대인배상Ⅰ에서 지급하는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 그 초과손해 를 보상

-대인배상Ⅰ로 지급되는 금액 또는 대인배상Ⅰ미가입시 대인배상 Ⅰ

으로 지급될 수 있는 금액을 공제후 보상

대인배상Ⅱ

-자동차소유자에게는 강제되어있는 보험으로 책임보험이라고도 함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자동차

손해배상보장법(=자배법)에서 정한 한도 내에서 보상

-현행 한도(2005222부터) 사망부상장해 = 1억원 2000만원 1억원

대인배상Ⅰ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의 재물을 파손하는 경우에 보상대물배상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그손해가

대인배상Ⅰ에서 지급하는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 그 초과손해 를 보상

-대인배상Ⅰ로 지급되는 금액 또는 대인배상Ⅰ미가입시 대인배상 Ⅰ

으로 지급될 수 있는 금액을 공제후 보상

대인배상Ⅱ

-자동차소유자에게는 강제되어있는 보험으로 책임보험이라고도 함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자동차

손해배상보장법(=자배법)에서 정한 한도 내에서 보상

-현행 한도(2005222부터) 사망부상장해 = 1억원 2000만원 1억원

대인배상Ⅰ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자동차사고로 인한 피보험자등의 피해 를 보상하는 담보

무보험자동차에 의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자동차사고로 피보험자동차에 생긴 손해액 보상자기차량손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高보장상품 )

-대인배상보험처럼 적용하나 한도가 있음

자동차상해

또는 Plus보험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자배법에 의한 등급을 적용하며 한도가 있음

자기신체사고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무보험자동차에 의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자동차사고로 피보험자동차에 생긴 손해액 보상자기차량손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高보장상품 )

-대인배상보험처럼 적용하나 한도가 있음

자동차상해

또는 Plus보험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자배법에 의한 등급을 적용하며 한도가 있음

자기신체사고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mdash mdash161

3 보험금 지급기준 (사람이 죽거나 다친 경우)

대인배상 자동차상해 또는 plus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적극손해(구조수색비 치료관계비) 위자료 휴업손해 기타손해배상금

치료관계비 의사의 진단기간내에서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

휴업손해 1일수입감소액 X 휴업일수 x 80

기타손해배상금입원 11580월(식대공제)통원 5000원(실통원일수)

대인배상Ⅰ 자배법 상해급별 한도액 (1급 2000만원~14급 80만원)

부 상

장례비 위자료 상실수익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액-생활비)x 취업가능월수(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1억원 한도 (최저 2000만원)

사 망

지 급 기 준분 류

적극손해(구조수색비 치료관계비) 위자료 휴업손해 기타손해배상금

치료관계비 의사의 진단기간내에서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

휴업손해 1일수입감소액 X 휴업일수 x 80

기타손해배상금입원 11580월(식대공제)통원 5000원(실통원일수)

대인배상Ⅰ 자배법 상해급별 한도액 (1급 2000만원~14급 80만원)

부 상

장례비 위자료 상실수익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액-생활비)x 취업가능월수(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1억원 한도 (최저 2000만원)

사 망

지 급 기 준분 류

대인배상 자동차상해 또는 plus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위자료 상실수익액 가정간호비

위자료 부상위자료와 중복시 양자 중 많은 금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x 노동능력상실률 x 취업가능월수

(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자배법 장해급별 한도금액내 (1급 1억원~14급 630만원)

가정간호100노동능력상실식물인간과 척수마비환자 퇴원후 매월지급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위자료 상실수익액 가정간호비

위자료 부상위자료와 중복시 양자 중 많은 금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x 노동능력상실률 x 취업가능월수

(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자배법 장해급별 한도금액내 (1급 1억원~14급 630만원)

가정간호100노동능력상실식물인간과 척수마비환자 퇴원후 매월지급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자기신체사고

보험가입금액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사 망

보험가입금액 한도 (1급 1500만원~14급 20만원)

자배법시행령 별표1에서 정한 상해구분에 의함

의료수가는 건교부고시에 의함

부 상

보험가입금액 한도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자배법시행령 별표2에서 정한 후유장해구분에 의함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보험가입금액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사 망

보험가입금액 한도 (1급 1500만원~14급 20만원)

자배법시행령 별표1에서 정한 상해구분에 의함

의료수가는 건교부고시에 의함

부 상

보험가입금액 한도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자배법시행령 별표2에서 정한 후유장해구분에 의함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mdash mdash162

Ⅲ 자동차보험 통계

1 담보종목별 지급보험금 (FY 2004)

100425079222320074174849지급보험금

구성비

528242018945341958117424910952052203402561215지급보험금

43099338924712450140556316522191099211040533인원건

합계기타무보차량대물자손대인

100425079222320074174849지급보험금

구성비

528242018945341958117424910952052203402561215지급보험금

43099338924712450140556316522191099211040533인원건

합계기타무보차량대물자손대인

2 담보종목별 지급보험금 구성비 (FY 2004)

48

4

21

22

1 4

대인

자손

대물

차량

무보

기타

3 상해급별 지급보험금 (FY 2004)

8652215071996 1036564소 계

4991277041953 9915588급이하

1002561215100 1040504합 계

12131113229 304604-7급

24562689814 145461-3급부 상

135 346144043940사 망

구성비보험금구성비인원

8652215071996 1036564소 계

4991277041953 9915588급이하

1002561215100 1040504합 계

12131113229 304604-7급

24562689814 145461-3급부 상

135 346144043940사 망

구성비보험금구성비인원

mdash mdash163

4 상해급별 인원 (FY 2004)

1 3

96

0

사망

1-3급

4-7급

8급이하

5 상해급별 지급보험금 구성비 (FY 2004)

245

121

499

135

사망

1-3급

4-7급

8급이하

mdash mdash164

6 부상 지급보험금 (FY 2004)

2215071860460468914809369지급금액

계기 타후유장해치료비

2215071860460468914809369지급금액

계기 타후유장해치료비

365

212

423치료비

후유장해

기 타

Ⅳ Mc bride 노동능력상실 평가

용어정의

WHO 국제장해분류

질환은 신체장해 능력감퇴(저하) 사회적불이익 등의 순으로 확대

신체장해 (Physical impairment)

심리학적 및 생리학적 또는 해부학적 구조나 기능의 결손(loss)이나 이상을

말함

신체장해에는 일시적장해와 영구적장해의 두 가지가 있음

신체장해율 신체장해 정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

능력감퇴 (disability)

사람으로서 활동하는 능력에 제한이나 결손이 있는 것

개인적 숙련도 교육 직업적 경력 적응능력 연령 주위의 요구와 수정(AMA)

불이익 (handicap)

신체장해나 능력감퇴의 결과로 발생하는 개인의 불이익

mdash mdash165

나이 성별 사회문화적 견지에서 정상적 활동을 하는데 제한을 받거나 방해를

받는 것

노동능력상실률

손해배상 입장에서 본 능력감퇴

1 Mc bride 평가기준

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 정형외과 교수 Earl D Mc bride가 1936년 저술한

compensible injuries에 대해 ldquo노동능력상실평가와 치료원칙 (Disability

evaluation and principles of treatment of compensible injuries)이라는 책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제6판(1963년) 사용

2 자동차보험의 Mc bride 기준 적용

198698 개정된 자동차종합보험약관에서 채택

약관에서는 Mc bride 원서 279개 직종 중 1개인 일반근로자(common labor)

옥내 옥외 노동력상실률만 적용

현재 약관은 책임보험(대인Ⅰ)과 종합보험(대인Ⅱ) 모두에 적용

적용배경 소송시 McBride 노동능력상실률로 적용해 당시 적용약관(자동차손

해배상보장법시행령 별표2)과의 gap이 컸기 때문

소송시에는 Mc bride 노동능력상실률 원본에 충실 적용

3 평가방법

1) 국소장해율(specific part) 전신장해율(body as a whole)의 구분

국소장해율 사지의 비교적 큰 부위(예 상지나 하지)의 장해율을 100로

해서 그보다 작은 부위(예 손이나 발)의 장해율(표준부위표시)

mdash mdash166

전신장해율 전신기능(전신 100)에 대한 해당 부위의 장해율

Mc bride 책 중 Table 14의 윗단에 有

2) 노동능력상실율의 판정절차

- Table 15 에서

피해자의 직업 및 직업장해계수 확인 해당 직업란에서 신체장해 부위별

손상변수 (1-9)확인

- Table 14에서

해당 신체장해란에서 확인된 손상변수에 합치되는 노동능력상실률 확인

- 잘 쓰지 않는 손은 10 감산

3) 복수장해의 평가방법

A B 의 복합장해율 = A + B (1-A)

예 A=79 B=67가 복합된 경우의 장해율은

79 + 67 x (100-79) = 93

4) 연령별 노동능력상실률

McBride 책에 의하면 노동능력상실률이 1년에 05~1씩

기준연령인 30세 이하면 감소하고 30세 이상 60세까지는 증가

4 장 점

1) 세밀한 신체장해 평가가능

- 직업별 신체장해부위별 노동능력상실률()

- 국내법은 대부분 14등급으로만 분류되어 있으나 279개 직종별 14개의

신체부위에 따라 직업장해계수가 달라지면서 노동능력상실률이 표시됨

2) 운동범위 및 각도측정의 합리성

예) 슬관절의 경우

완전신전(180도)~90도까지 굴곡시 일반근로자 옥외 10

mdash mdash167

완전신전 ndash20도(160도) ~90도까지 굴곡시 ldquo 27

cf 국내법등은 관절운동범위를 단순 ROM을 측정해 14(장해가 남은 것) 12

(뚜렷한 장해가 남은 것) 34(제대로 못쓰게 된 것) 이상을 상실한 경우로

적용하고 있음

3) 복합장해 평가방법의 합리성

여러 개의 신체장해가 병합되어도 그 합이 100를 초과하지 않음

병합공식 A + B(100-A) --gt 신체장해가 3개면 먼저 2개의

병합치를 구한 후 그 병합치와 나머지 장해와의 병합치를 공식에 적용 도출

4) 잘 쓰는 손(팔)과 잘 안 쓰는 손(팔)의 구분평가 가능

McBride Table 14의 말초신경항목을 보면 잘 쓰는 손(팔)과 잘 안 쓰는 손(팔)

에 대한 노동능력상실율이 10가 적음

예) 잘 쓰는 팔의 신체장해율(전신)은 50 잘 쓰지 않는 팔의 장해율은

50-5= 45

5) 연령보정의 가능

30세 전과후의 05~1 노동능력상실률 가감

5 단 점

1) 일부 신체장해율의 부적절성(Table 14)

① 절단 - 견관절절단 85 견관절과 주관절사이 50

- 양측 견관절과 주관절사이 절단 50+50(100-50)=75

② 관절강직

- 장해정도가 가벼운 쪽이 무거운 쪽보다 더 많은 경우가 종종 있음

③ 다축관절의 평가문제

- 고관절 견관절 등의 다축관절의 경우 각축의 장해율 총합산이 관절절단이나

완전강직보다 장해율이 높음

mdash mdash168

④ 골절 후 변형문제

- 가용성변형 변형 중에는 장해로 볼 수 없는 가용성변형도

노동능력상실이 있는 것으로 표기 -- 상완골 15도 대퇴골 20도 등

- 단축변형 특별한 장해가 없는 경골1cm 상완골 2cm 등

- 불유합장해 상완골 불유합 74는 절단 65보다 높음

2) 직종의 편중

Table 15에 있는 직업은 거의 전부가 노무직이며 사무직 기술직이 별로 없음

3) 신체장해의 분야별 편중

McBride가 정형외과 의사였으므로 정형외과 영역은 자세하나 기타분야는 너무

간단

- 말초신경 완전마비 불완전마비로만 언급 등

4) 일시적 장해와 영구적 장해의 혼재

치료 가능한 기관지염 탈장 위궤양 골절 등도 영구적 장해로 오인

5) 시행세칙이 없음

- 평가자의 판단이 절대적

- 하나의 신체장해로부터 파생된 두개이상의 장해에 대한 평가규정 등이 없음

6) 의학수준의 발달

- 용어의 차이 외측 슬와지ext popliteal peronialn---gt 총비골신경

common peronialn 등

- 검사방법 발달 청력 사람말소리에 따른 feet---gt 청력계 ASO ISO측정법

mdash mdash169

6 문제점

1) 전문과별전문의별 병원별지역별로 평가결과가 다르다

2) 직업장해계수 결정을 위한 신체부위의 한계가 명확하지 않다

- Table 15 -

5

5

4

엄지손가락

5

5

5

5

5

5

아래팔

5

5

6

위팔

5

5

3

3

3

3

옥외

옥내

부위

직업

일반

탄광

3

5

6

복부및흉부

5

5

7

척추및골반

6

5

6

머리

3

3

3

신경계통및심장

발다리

둔부무릎넓적다리

손가락

6664

5554

7774노무자

5

5

4

엄지손가락

5

5

5

5

5

5

아래팔

5

5

6

위팔

5

5

3

3

3

3

옥외

옥내

부위

직업

일반

탄광

3

5

6

복부및흉부

5

5

7

척추및골반

6

5

6

머리

3

3

3

신경계통및심장

발다리

둔부무릎넓적다리

손가락

6664

5554

7774노무자

7 종합평가표

- Table 14 -

비뇨생식기계의 손상과 질병

직장

여성생식기

복부

관절염

두부뇌척수관절강직

흉곽의손상과 질병절단

결핵

시력장해말초신경

귀척주손상

안면골절

비뇨생식기계의 손상과 질병

직장

여성생식기

복부

관절염

두부뇌척수관절강직

흉곽의손상과 질병절단

결핵

시력장해말초신경

귀척주손상

안면골절

mdash mdash170

4 생명middot손해보험 장해분류표 개정내용(rsquo054월)1)

Ⅰ 추진배경

피보험자에게 보험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장해등급 적용의 곤란 등으로 분쟁이 지

속적으로 발생

동일한 장해에 대해 생손보사간 상이한 등급 적용으로 계약자 혼란 야기

장해등급분류 해설내용도 대부분 의학전문 용어 등을 사용작성되어 일반인이

이해하기 매우 어려운 실정

rArr 장해등급 적용과 관련된 분쟁 예방 보험소비자의 권익확대 및 전문 의학

및 보험용어의 순화를 통한 보험소비자의 이해 도모

Ⅱ 주요 개선내용

장해지급률에 의한 보험금 산정방식 도입

신체부위의 장해 및 손실정도에 따라 보험금이 합리적으로 차등지급될 수

있도록 장해율(3~100)에 의한 보험금 산정방식 도입

1급sim제6급 rarr 신체 부위별 장해 정도에 따라 3sim100

장해분류 세분화

신체 부위별 지급율 체계로 개선세분화

생명보험 6등급 71개 항목 rarr 13개 신체부위 87개 항목

장기손해보험 11개 신체부위 rarr 13개 신체부위 87개 항목

한시장해 인정 등 장해인정범위 확대

한시장해에 대해서도 보상

- 영구장해와의 형평성을 고려 영구장해율의 일정부분(20)을 인정하여 지급

1) 삼성생명 보험심사 김진구과장

mdash mdash171

장해평가 방법의 다양화

운동범위(기능) 측정에 의한 장해평가 방법 이외에도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평가 방법을 반영한 다양한 장해평가 방법을 인정

- 척추의 기능장해 손실모형에 의한 장해판정 인정

- 팔다리장해 근력 검사(근력약화 여부 측정)결과 인정

- 치매 일상적인 기본동작 제한이외 기억력 판단 및 문제해결 사회활동

능력 등을 감안 종합평가

개호가 필요한 기본동작제한에 대한 개념 명확화

일상생활의 기본동작에 대하여 중요도별로 가중치 부여하고 구체적으로 설명

- 이동동작 40 음식물 섭취 및 배변배뇨 각각 20 옷 입고 벗기

및 목욕 각각 10

팔다리 손발가락의 장해평가 방법 개선

가관절이 남아 장해를 남긴 때나 뼈에 기형을 남긴 경우 장해율을 부여

팔다리의 기능장해 및 손가락발가락의 기능 결손장해의 경우 장해 정

도에 따른 장해율을 설정한 후 장해율을 합산하여 전체 장해율을 결정

- 3대 관절중 1관절 장해의 경우 10 2관절 장해의 경우 20 3관절 장

해의 경우 30의 장해율 인정

용어의 순화

계약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의학용어 및 보험용어를 쉬운 용어로 대체 또는

병기

- 강직(관절굳음) 반흔(흉터) 등

mdash mdash172

(참고자료)

1 장해등급분류표 대비표

현 행 개 선 (안)

제1급(9개 항목)

두 눈의 시력을 완전 영구히 잃었을 때 등

1 눈의 장해(10개 항목)

두 눈이 멀었을 때 등

제2급(6개 항목)

중추신경계 또는 정신에 뚜렷한 장해를 남겨서 평생토록 수시 간호를 받아야 할 때 등

2 귀의 장해(6개 항목)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등

제3급(10개 항목)

한 눈의 시력을 영구히 잃었을 때 등

3 코의 장해(1개 항목)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제4급(16개 항목)

두 눈의 시력에 각각 뚜렷한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 등

4 씹어먹거나 말하는 장해(9개 항목)

씹어먹는 기능과 말하는 기능 모두에 심한 장해가 남았을 때 등

제5급(16개 항목)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상실한 때 등

5 외모의 추상(추한모습)장해(2개 항목)

외모에 뚜렷한 추상(추한모습)을 남긴 때 등

제6급(14개 항목)

한 눈의 시력에 뚜렷한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 등

6 등뼈(흉추)의 장해(9개 항목)

등뼈(흉추)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등

7 체간골의 장해(2개 항목)

어깨뼈나 골반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등

8 팔의 장해(9개 항목)

두 팔의 손목이상을 잃었을 때 등

9 다리의 장해(12개 항목)

두 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을 때 등

10 손가락의 장해(6개 항목)

한 손의 5개 손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등

11 발가락의 장해(7개 항목)

한 발의 리스프랑관절 이상을 잃었을 때 등

12 흉복부 장기 및 비뇨생식기의 장해(3개 항목)

흉복부 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심한 장해가 남았을 때 등

13 신경계정신행동 장해(11개 항목)

신경계에 장해가 남아 일상생활 기본동작에 제한을 남긴 때 등

mdash mdash173

2 CDR 검사방법에 의한 임상 치매척도(반영안)

구 분 기억력 지남력판단 및

문제해결사회활동

가정생활 및

취미개인관리

정 상

(0)

기억력

감퇴가

없거나

경미한

비지속적

건망증

완전히 있음 재정사업과

같은

일상문제 잘

해결

과거일과

관련 판단력

좋음

통상적

수준으로

독립적 기능

수행

(직업 장보기

자원봉사

집단활동)

가정에서의

생활

지적흥미 잘

유지

혼자서

충분히 수행

불확실

(05)

경미한

건망증 지속

및 사건에

대한 부분적

회상

시간에 대한

경미한

어려움

문제점

유사점

차이점을

다루는데

경미한 장애

상기의 활동

약간의 장애

상기의 활동

약간의 장애

혼자서

충분히 수행

경 도

(1)

중증도의

기억력 감퇴

및 최근

사건에 대한

장애 현저

시간에 대한

중등도 장애

문제점

유사점

차이점을

다루는데

중등도장애

상기의 활동

일부를

계속하고

있더라도

독립수행

불가능

확실한

가정에서의

생활기능

장애

암시 및

격려 필요

중등도

(2)

중증의

기억력 감퇴

및 새로운

지식 금방

소실

시간관계에

대한 심각한

장애

문제점

유사점

차이점을

다루는데

심각한 장애

집밖에서의

활동 외관상

독립수행

불가능

단순한

집안일만

가능

착의

위생상태 및

외모유지에

도움필요

중 증

(3)

중증의

기억력 감퇴

및 단편적

기억만 보유

사람에 대한

지남력만

보유

문제해결 및

판단 불가능

집밖에서의

활동 외관상

독립수행

불가능

집안에서의

특별한 활동

전무

개인관리에

많은 도움

필요

심각함

(4)

단편적

기억마저

상실 및

동문서답

자신의

이름에만

가끔 반응

간단한 지시

및 명령

불이행

사회적 모임에

의미있는 참여

불가

취미활동 및

가정내 활동

불가

보행에 도움

필요

말 기

(5)

의미있는

기억력 없음

자신에 대한

의식 불가

주변상황

이해 및

인식불가

활동 불가 활동 불가 혼자

식사불가 및

와상상태

주) 미국의사협회(AMA)의 영구적 신체장해 평가지침 제5판에서 규정

mdash mdash174

3 일상생활 기본동작(ADLs) 제한 장해평가표(개선안)

유 형 제 한 정 도 장해율

이동동작 특별한 보조기구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다른사람의 계속적인 도움이

없이는 방밖을 나올 수 없는 상태40

휠체어 또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방밖을 나올 수 없는 상태 30

목발 또는 walker를 사용하지 않으면 독립적인 보행이 불가능한 상태 20

독립적인 보행은 가능하나 파행이 있는 상태 난간을 잡지 않고는 계

단을 오르고 내리기가 불가능한 상태 계속하여 평지에서 100m 이상

을 걷지 못하는 상태

10

음식물섭취 식사를 전혀할 수 없어 계속적으로 튜브나 경정맥 수액을 통해 부분

혹은 전적인 영양공급을 받는 상태20

수저 사용이 불가능하여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이 없이는 식사를

전혀 할 수 없는 상태15

숟가락 사용은 가능하나 젓가락 사용이 불가능하여 음식물 섭취에 있

어 부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10

독립적인 음식물 섭취는 가능하나 젓가락을 이용하여 생선을 바르거나

음식물을 자르지는 못하는 상태 5

배변배뇨 배설을 돕기 위해 설치한 의료장치나 외과적 시술물을 사용함에 있어

타인의 계속적인 도움이 필요한 상태20

화장실에 가서 변기 위에 앉는 일(요강을 사용하는 일 포함)과 대소변

후에 화장지로 닦고 옷을 입는 일에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이 필

요한 상태

15

배변 배뇨는 독립적으로 가능하나 대소변 후 뒤처리에 있어 다른 사

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10

빈번하고 불규칙한 배변으로 인해 2시간 이상 계속되는 업무(운전 작

업 교육 등)를 수행하는 것이 어려운 상태 5

목 욕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 없이는 샤워 또는 목욕을 할 수 없는 상태 10

샤워는 가능하나 혼자서는 때밀기를 할 수 없는 상태 5

목욕시 신체(등 제외)의 일부 부위만 때를 밀 수 있는 상태 3

옷입고 벗

기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 없이는 전혀 옷을 챙겨 입을 수 없는 상태 10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 없이는 상의 또는 하의 중 하나만을 착용

할 수 있는 상태 5

착용은 가능하나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마무리(단추 잠그고 풀기

지퍼 올리고 내리기 끈 묶고 풀기 등)는 불가능한 상태 3

Activities of Daily Living

mdash mdash

4 팔다리 및 발손가락 장해평가표(개선안)

장해 계열 장 해 내 용 장해율

팔의 장해

두 팔의 손목이상을 잃었을 때 100

한 팔의 손목이상을 잃었을 때 6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3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1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5

한 팔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팔에 가관절이 남아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10

한 팔의 뼈에 기형을 남긴 때 5

다리의 장해

두 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을 때 100

한 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을 때 6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3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1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5

한 다리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다리에 가관절이 남아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10

한 다리의 뼈에 기형을 남긴 때 5

한 다리가 5cm 이상 짧아진 때 30

한 다리가 3cm 이상 짧아진 때 15

한 다리가 1cm 이상 짧아진 때 5

손가락장해

한 손의 5개 손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55

한 손의 첫째손가락의 손가락관절보다 윗쪽에서 잃었을 때 15

한 손의 첫째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을 둘째마디 관절보다 위쪽에서 잃었을 때(1손가락마다)

10

한 손의 5개 손가락 모두의 손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모두의 손가락뼈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30

한 손의 첫째손가락의 손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10

한 손의 첫째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의 손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1손가락마다)

5

발가락장해

한 발의 리스프랑관절 이상을 잃었을 때 40

한 발의 5개 발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30

한 발의 첫째발가락의 발가락관절보다 윗쪽에서 잃었을 때 10

한 발의 첫째발가락 이외의 발가락을 둘째마디 관절보다 윗쪽에서 잃었을 때(1발가락마다)

5

한 발의 5개 발가락 모두의 발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발의 첫째발가락의 발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8

한 발의 첫째발가락 이외의 발가락의 발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1발가락마다)

3

mdash mdash

5 척추에 한 장해평가표(개선안)

현 행개 선 (안)

비 고장 해 내 용 장해율

제3급의9

척추에 고도의 기형 또는 고도의 운동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추간판탈출증

은 제외)

제4급의15

척추에 중도의 기형 또는 중도의 운동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추간판탈출증

은 제외)

제5급의14

척추에 경도의 기형 또는 경도의 운동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추간판탈출증

은 제외)

제4급의16

고도의 추간판탈출증

제5급의16

중도의 추간판탈출증

제6급의14

경도의 추간판탈출증

등뼈(흉추)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40

-장해유형

에 따른

분류

-체간골의

기형장해

보상

등뼈(흉추)에 뚜렷한 운동장해

를 남긴 때30

등뼈(흉추)에 약간의 운동장해

를 남긴 때10

등뼈(흉추)에 심한 기형을 남

긴 때50

등뼈(흉추)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30

등뼈(흉추)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 때15

심한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 20

뚜렷한 추간판탈출증(속칭 디

스크)15

약간의 추간판탈출증(속칭 디

스크)10

어깨뼈나 골반뼈에 뚜렷한 기

형을 남긴 때15

빗장뼈 가슴뼈 갈비뼈에 뚜렷

한 기형을 남긴 때10

주) 심한 rarr 고도의 기형 뚜렷한 rarr 중도의 기형에 해당

mdash mdash

177

6

lsquo054

월 標

準約

款 改

訂에

따른

장해

등급

분류

변경

대비

mdash mdash

178

mdash mdash

179

mdash mdash

180

mdash mdash

181

mdash mdash

182

mdash mdash

183

mdash mdash

184

mdash mdash

185

mdash mdash

186

mdash mdash

187

mdash mdash

188

mdash mdash

189

mdash mdash

190

mdash mdash

191

mdash mdash

192

mdash mdash

193

mdash mdash

194

mdash mdash

195

mdash mdash

196

mdash mdash

197

mdash mdash

198

mdash mdash

199

mdash mdash

200

mdash mdash

201

mdash mdash202

5 대한신경외과학회 제안 장해평가기준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기준(신경계척추)

I 개 요

의료의 사회적 역할이 다양하게 요구되는 가운데 신체상의 손해나 장애를 감정하고

평가하는 업무가 또 다른 형태의 의료인의 중요한 업무로 대두되고 있다

경제 문화적 사회여건의 양적 질적 다양화로 일상생활과 산업현장에서 인과관계가

불분명한 사고와 질병의 발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사고와 질병에 의한 결과로

후유 장애를 보이는 경우 피해자나 환자에 대한 의학적으로 적정한 치료와 장해평가가

이루어지고 법률적으로도 공정한 심판이 있어야 하며 보험회사나 기업 나아가 국가

에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보상이 이루어져 이들을 조속히 사회로 복귀시키는 것은 우리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장애정도 판정은 각 단체나 기관이 일방적으로 정한 장해평가기준에

의하여 내려지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장해평가의 기준은 주로 배상과 보상을

위한 기준(근로기준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McBride식 기준

또는 AMA식 기준 국가배상법 광주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에 관한 법률)과 장애복지

기준(장애인 복지법 국민연금법 군인연금법 생명보험회사 약관 등)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준으로 장애정도를 판정하였을 경우 동일한 장애라도 서로 다른 장애정도의

판정이 내려짐은 물론이고 판정자가 다른 경우나 판정기관이 다른 경우에도 서로

상이한 장애정도의 판정이 내려지게 되어 일부 의료인에 의하여 내려진 장해평가가

사회적으로 적지 않은 불신과 불만을 가져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우리의 현실과 국민정서에 맞는 공정하고 과학적인 그리고 하나로 통합된

한국형 장해평가기준이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모두가 느끼고 있다

대한신경외과학회(이사장 변박장)에서는 2002년 10월에 장해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표준화 적정화 체계화된 신경외과 영역의 장해평가기준을

만들기로 하였다

대한신경외과 장해평가위원회에서 다룬 장해평가기준의 범위는 중추신경계 척추

말초와 통증의 세 분야이며 현재까지 수차례의 워크숍을 통하여 모든 위원들이 열심히

노력하여 새로운 장해평가기준을 만들었으며 다른 전공분야의 전문의와 유관 기관

mdash mdash203

(손해보험업계 및 법조인 단체)들과 여러 차례 공청회를 거쳐 수정 및 보완하였다

향후 이 장해평가기준을 대한의사협회와 다른 기관 및 정부 부처(손해보험협회 법

조인 단체 및 보건복지부 등)들로부터 인준을 받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이 장해평가기준은 대한신경외과학회에서 처음 만든 기준으로 의학의 발전이나 사

회 여건의 변화에 따라 앞으로도 주기적으로 수정 보완을 하여 더욱 더 완벽한 장

해평가기준이 만들어 지는데 초석이 되리라 기대한다

대한신경외과학회의 전 회원들께서는 이 장해평가기준의 내용에 부족함과 미숙함이

있더라도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이 평가기준을 널리 이용해주시고 이용할 때 의문

점이나 문제점이 생기는 경우는 언제라도 지적해 주시기 바란다

머지않은 장래에 대한신경외과학회의 장해평가기준이 국내에서 가장 공신력이 높은

평가기준으로 자리 매김하며 향후 전신에 대한 한국형 장해평가기준의 탄생에 매우

중요한 기폭제가 되리라 확신한다

마지막으로 신체 전반에 대한 우리 고유의 한국형 장해평가기준의 확립이 시급히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서는 해당 전문의학회 대한의사협회 그리고 보건복지부 등에서

앞장서서 제반 문제를 입안하고 시행하여야 하리라 생각된다

II 서 론

1 현 장해평가기준은 크게 중추신경계 척추 말초신경과 통증장애에 대한 장해평가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장해평가 시기는 원칙적으로 의학적 최대 호전(maximal medical improvement

MMI) 시기로 하고 만일 판정시점이 수상일로부터 6개월 이내인 경우는 6개월

이후로 한다 의학적 최대 호전(MMI) 시기란 의학적으로 더 이상 치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없는 시기를 의미하며 장해평가일로부터 12개월이 경과해도 장애율

변화가 3 안팎인 시점으로 한다 그리고 장애 판정을 받기 전까지 충분하고

성실하게 전문적인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하며 만일 그 이전이라도 충분한 치료로

증상의 악화 가능성이 없거나 전문적인 치료 후 호전될 가능성을 감안하여 판정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mdash mdash204

3 장해평가기준은 노동능력이 왕성한 건강한 성인을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노동

능력이 불확실한 소아나 노인의 장애를 평가할 때는 주위의 여러 요인들을 세심

하게 고려하여 현 장해평가기준을 적용함이 타당하리라 본다

4 현 장해평가기준의 핵심은 책자의 앞 부분에 있는 각 분야의 장해평가표이며

이는 해당 장해평가의 세부 영역과 정도를 쉽게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다른 평가

항목과도 비교할 수 있게 하였다

5 현 장해평가기준은 장애인에 대한 개호 사고의 관여도 직업계수 보조구와 여명

등의 개념은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이들에 대하여서는 추후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6 장해평가의 용어를 간소화하였으며 해당 항목의 구분도 간결하게 하였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세부지침을 두어 판정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7 각 분야별로 현 평가기준에 적합한 증례를 첨부하여 장해평가자의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8 용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용어해설을 첨부하였다

9 복합장애에 대한 병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AMA식 복합장애 병산표를 첨부

하였다

mdash mdash205

장해평가기준표

A 중추신경계 장해평가표

항 목 전신 장애율()

I 기능장애

A 기질성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2(05-019)

27(20-034)

42(35-049)

57(50-064)

72(65-079)

90(80-100)

B 비기질성 장애

a 객관적 이상소견이 없는 경우

b 객관적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

3(1-05)

8(6-10)

II 운동 기능장애

A 상지기능장애 잘 쓰는 팔 잘 안쓰는 팔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03(01-04)

10(05-14)

22(15-29)

38(30-45)

B 하지 기능장애(기립 및 보행)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III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

A 배뇨 배변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0(01-19)

30(20-39)

50(40-60)

B 성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5(10-19)

25(20-29)

mdash mdash206

항 목 전신 장애율()

IV 뇌신경 기능장애

A 제 1 뇌신경 장애

a 일측성 03(01-50)

b 양측성 08(06-10)

B 제 2 3 4 6 뇌신경 장애

C 제 5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0(15-24)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30(25-35)

D 제 7 뇌신경 장애

a 미각소실 05(01-90)

b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5(01-90)

c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5(10-19)

d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25(20-29)

E 제 8 뇌신경 장애

F 제 9 10 12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7(15-39)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50(40-60)

각 I II III IV 항에 해당되는 장애율을 서로 병산하도록 한다

안과와 이비인후과의 평가기준을 적용한다(세부 사항 참조)

mdash mdash207

B 척추 장해평가표

II 통증 및 신경장애

A a 명백한 배부증상

b 회복된 신경근병증

B a 보존적 치료로 고착된 신경근병증

b 수술로 회복된 신경근병증

C a 수술 후 고착된 신경근병증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05(01-08)

05(01-08)

11(09-13)

11(09-13)

19(14-23)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두 번이상 수술한 경우 수술 당 3 추가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A 척추불안정이 명백한 경우

B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a 두 분절 이하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b 세 분절 이상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17(10-23)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23(15-28)

32(25-38)

27(20-33)

38(30-45)

C 변형장애

a 척추 측만각25-39도

b 척추 측만각 40도 이상

c 척추 후만각 30-59도

d 척추 후만각 60도 이상

25(20-29)

35(30-40)

25(20-29)

35(30-40)

항 목전신 장애율()

경추부 흉추부 요추부

I 척추의 골절 및 탈구

A 추체의 압박골절

a 25 이하

b 26-49

c 50 이상

B 추체외 골절

a 신경관을 침범하지 않는 경우

b 신경관을 침범한 경우

C 정복된 탈구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10(07-13)

05(01-08)

14(09-18)

21(19-23)

05(01-08)

11(09-13)

09(07-10)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09(07-10)

다발성 골절인 경우 분절 당 3 추가

신경근 손상의 동반 5-15

mdash mdash208

C 말초신경 장해평가표

손 상 신 경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A 가벼운 B 보통의 C 심한

제 5-8 목신경 04 10 20

제 1 가슴신경 03 07 14

팔신경얼기 12 30 60

중간줄기(제 7 목신경) 04 10 20

아래줄기(제 8 목 제 1 가슴) 09 22 45

가슴근신경 01 02 03

겨드랑신경 04 12 24

등쪽어깨신경 01 02 03

긴가슴신경 2 05 10

안쪽아래팔피부신경 01 02 03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윗부분) 08 20 40

정중신경(앞뼈사이신경) 02 05 10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아래부분) 05 14 28

근육피부신경 03 09 18

노신경(삼두근침범) 05 14 28

노신경(삼두근보존) 04 12 24

어깨밑신경 1 02 03

어깨위신경 2 06 12

가슴등신경 1 03 06

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 6 05 30

자신경(아래팔중간 이하) 4 12 24

넙다리신경 3 07 15

폐쇄신경 1 02 03

위볼기신경 5 12 25

아래볼기신경 3 07 15

가쪽넙다리피부신경 1 02 03

궁둥신경 6 15 30

온종아리신경 3 07 15

얕은종아리신경 1 01 02

장딴지신경 1 01 02

안쪽발바닥신경 1 01 02

가쪽발바닥신경 1 01 02

A 가벼운 장애정상 활동이 가능한 경도의 감각감소 또는 저항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B 보통의 장애정상 활동에 제한을 주는 감각감소 또는 중력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C 심한 장애심한 통증을 동반한 감각감소 작열통 또는 운동이 거의 불가능한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

mdash mdash209

D 통증 장해평가표

통증을 평가하는 질환은 아래의 질환군으로 나누어 평가한다

항 목

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잘 쓰지 않는 팔다리

잘 쓰는 팔다리

I 복잡부위 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type I amp II )

A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에 경한 지장이 있는 경우 01-04 01-09

B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이 불가능한 경우05-14 10-24

C통증으로 인해 일상 생활에 현저한 지장을 주는경우 15-29 25-39

D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30-45 40-60

II 의학적으로 명백히 기질적인 손상이 있는 질환에서

통증증후군이 동반되어 통증을 평가할 때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II 통증을 설명할 수있는 명백한 장기의 손상이 없지만

통증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일반적인 통증 증후군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 II III군의 적용과 A B C 항의 적용에 대한 세부지침은 아래에 있는 평가요령을 참고로

한다

mdash mdash210

III 본 론

A 중추신경계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중추신경계 장해평가의 기준은 새로운 평가 방법을 설정한 것이 아니라 기존의 여러

평가기준의 평가방법에 따른 장애 정도를 어느 정도 규합하여 적용하게 한 것으로 볼수

있다 또한 각 평가의 장애정도에 적용범위를 두어 판정자의 판단에 따라 어느 정도의

보정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AMA식이나 맥브라이드 식을 적용하였을 경우나

다른 평가기준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도 장해평가에 대한 판정오차가 크지 않도록 하는

것에 우선적인 중점을 두었다

평가기준은 4분야로 나누어

1)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기질성 및 비기질성 장해평가

2)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운동 기능의 장애(상지 및 하지)평가

3)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배뇨배변 및 성기능의 장해평가

4) 뇌신경기능 장해평가

로 나누었고 이에 해당되는 항을 각각 적용하여 그 장애율을 병산한다

장해평가 시에 장애정도의 구분은 가벼운 경우 보통인 경우 심한 경우 매우 심한

경우 등으로 간결하게 하였고 이에 대한 세부사항을 두어 평가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세부사항 내에 여러 항목에 관련이 있는 경우는(3개항 해당과 그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조정이 가능하게 하였다

mdash mdash211

2 중추신경계 장해평가표

항 목 전신 장애율()

I 기능장애

A 기질성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2(05-019)

27(20-034)

42(35-049)

57(50-064)

72(65-079)

90(80-100)

B 비기질성 장애

a 객관적 이상소견이 없는 경우

b 객관적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

3(1-05)

8(6-10)

II 운동 기능장애

A 상지기능장애 잘 쓰는 팔 잘 안 쓰는 팔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3(01-04)

10(05-14)

22(15-29)

38(30-45)

B 하지 기능장애(기립 및 보행)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III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

A 배뇨 배변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0(01-19)

30(20-39)

50(40-60)

B 성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5(10-19)

25(20-29)

mdash mdash212

항 목 전신 장애율()

IV 뇌신경 기능장애

A 제 1 뇌신경 장애

a 일측성 03(01-50)

b 양측성 08(06-10)

B 제 2 3 4 6 뇌신경 장애

C 제 5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0(15-24)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30(25-35)

D 제 7 뇌신경 장애

a 미각소실 05(01-90)

b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5(01-90)

c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5(10-19)

d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25(20-29)

E 제 8 뇌신경 장애

F 제 9 10 12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7(15-39)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50(40-60)

각 I II III IV 항에 해당되는 장애율을 서로 병산하도록 한다

안과와 이비인후과의 평가기준을 적용한다(세부 사항 참조)

3 세부지침

I 기능장애

A 기질성 장애

1) 이는 대뇌 손상 등으로 인한 신경기능의 장애로 의식장애 언어장애 행동과 정서의

장애 경련증 소견 정신상태의 장애 등을포괄적으로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2) AMA식에서의 중추신경장애 분야와 같은 항으로 볼 수 있으며 맥브라이드 식에서는

두부 손상항목에서의 V VII VIII IX X 항과 관련이 있다

mdash mdash213

3) 세부 항에서 여러 개의 항목에 해당되면 장해평가율의 범위내에서 조정이 가능하다

(특히 3개항 이하에 해당되는 경우와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로 구분한다)

4) 판정시에는 반드시 두부 손상여부에 대한 정밀검사가 필요하다

① CT(혹은 MRI SPECT PET 등)로 뇌실질 손상 및 대사의 기능이상 여부 확인이

필요하다

② 경련증에 대한 장애인 경우 반드시 충분한 약물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경련증이

나타나는 경우에 해당되며 뇌파검사(EEG) 등 정밀검사확인이 필요하다

③ 일상생활 활동의 장애정도 여부 판정은 심리감정 평가를 시행하여 이를 바탕으로

판정을 하여야 한다

5) 일상생활활동이라 함은 사람이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사회활동을 할 수 있는지 여부을

판정하는 것으로 보행여부나 운동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기본적인 활동의

수행여부를 말한다 즉 본인 스스로 외출(보행여부와는 관련없음) 물건사기 책읽기

전화하기 돈 관리하기 대인관계 등을 말한다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5~191) 일상생활활동에는 지장이 없으나 간헐적

으로 인지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경우

2) 부분 경련이 2~3개월 간격으로 있거나 1년에 1회 이상의 전신경련이있는 경우

3) 정밀검사에서 뚜렷한 뇌실질의 이상소견은 보이지 않으나 고의적이 아니며 호전되지

않는 두통 현훈증 불면증 등을 호소하는 경우

4) 정밀검사에서 뇌실질의 이상 소견이 보이며 가벼운 증상(두통 현훈증 불면증 등)을

호소하는 경우

5) 중추신경의 이상으로 정서장애가 있어 일상생활활동에 가벼운 제한이 있는 경우

6) 일상생활활동은 가능하나 간헐적인 적응장애 기억력장애 판단력 제한 등의 소견이

있는 경우

7) 가벼운 언어장애가 있어 어느 정도 알아들을 수는 있으나 충분한 표현은 되지 않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20~49

1) 일상생활 활동을 다소 제한하는 인지기능의 장애가 있는 경우(예 착란상태

confusion)

mdash mdash214

2) 부분 경련이 1개월에 1회 이상 있으며 전신경련이 2~3개월에 1회 정도 있는 경우

3) 정밀검사에서 이상소견이 나타나며 일상생활 활동에 어느 정도의 제한 소견이 있는

경우

4) 최근의 일 등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시간에 대한 지남력에 뚜렷한 제한이 있는 경우

5) 사회 또는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이 있어서 독립적인 생활에 어려움이 따르는 경우

6) 일상생활 활동의 수행에 있어 때때로 타인의 조언이 필요한 경우

7) 보통 정도의 언어장애가 있어 알아듣기는 어려우며 지적 표현이 되지 않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50~79

1) 인지기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이 심하게 있는 경우

2) 1개월에 1회 정도의 전신 경련이나 1주에 2~3회 이상의 부분 경련이 있어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을 주는 경우

3)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이 있어 정서 및 적응에 장애가 심하게 있는 경우

4) 심한 기억력 장애나 판단력에 심한 제한이 있으며 IQ가 70 이하인 경우

5) 모든 일상생활 활동에서 대부분 타인의 지시와 도움이 필요한 경우

6) 본인 단독으로는 업무수행에 지장이 있어 타인의 감독이 필요하며 매우 단순한 일

수행만 가능한 경우

7) 심한 언어장애로 알아듣기나 표현이 불가능한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80~100

1) 다른 사람에 의존하지 않고는 일상생활 활동이 전혀 불가능한 경우

2) 반혼수 및 혼수상태로 타인에게 완전히 의존할 정도인 경우

3) 일상생활 활동에 있어 타인과 생활이 불가능하여 절대 격리가 필요한 경우(정신과적

격리를 말함)

B 비기질성 장애

임상심리검사(psychometry)에서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를 객관적 이상소견이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mdash mdash215

II 중추신경계의 운동 기능장애

1) 이는 중추신경 손상으로 인한 신경기능의 장애로 기립 및 보행 상지의 운동 장애

호흡장애등 운동기능의 장애를 포괄적으로 하여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2) AMA식에서의 기립 보행 운동 장애 분야와 같은 항으로 볼 수 있으며 맥브라이드

식에서는 두부손상 항에서의 III IV VI 항과 관련이 있다

3) 상지 운동장애는 상지의 동작여부를 말하며 양팔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잘 쓰는

팔과 잘 안 쓰는 팔의 장애를 병산한다

4) 상지의 미세한 동작 여부와 일상기본 동작으로 구분한다 상지의 미세한 동작은 상지

혹은 손가락의 장애로 인하여 그릇을 씻거나 돈세는 일 지갑에서 동전을 꺼내는

일 비교적 굵은 끈매기 단추 끼우기 등을 수행하는 정도를 말한다 일상기본동작

이란 상지 혹은 손가락의 장애로 인하여 기본적인 동작 수행을 말하는데 식사 세면

및 양치질 물마시기 목욕 물건 옮기기 대소변 가리기 등을 말한다

5) 하지 운동장애는 기립 및 보행 장애정도를 말하며 평지를 걸을 수가 잇는지 계단

오르내리기가 가능한지 보행시 보조구의 도움이 필요한지 독립보행이 가능한지

등으로 구분하여 판정한다

A 상지 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잘 쓰는 팔 helliphellip 1~9

1) 상지 혹은 손가락의 장애가 있어 미세한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즉 그릇을

씻거나 돈세는 일 지갑에서 동전을 꺼내는 일 비교적 굵은 끈매기 단추 끼우기 등)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10~24

1) 상지의 장애로 미세한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25~39

1) 상지의 장애로 일상생활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즉 식사 세면 양치질 목욕 및 물건 옮기기 등

mdash mdash216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40~60

1) 상지의 장애로 일상 기본동작을 전혀 수행할 수 없는 경우

B 하지 기능장애(기립 및 보행)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1~9

1) 일어설 수는 있으나 멀리 걷기 불편한 경우

2) 독립 보행은 가능하나 장거리 보행에 지장이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10~24

1) 일어설 수 있으나 평지만 걸을 수 있는 경우

2) 독립 보행은 가능한 편이나 계단을 사용하기가 어려운 상태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25~39

1) 일어설 수는 있으나 도움(보조구 등) 없이는 걷기 어려운 상태

2) 고르지 못한 바닥이나 계단을 오르내리기가 심히 어려운 상태

3) 독립 보행은 가능하나 간간히 부축이 필요한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40~60

1) 독립보행이 불가능하며 보행 시 반드시 보조기 사용이 필요하거나 타인의 도움이

절대 필요한 경우

2) 하지 마비로 인하여 휠체어 사용이 필요한 경우

III 중추신경장애로 인한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

1) 이는 중추신경 손상으로 인한 신경기능의 장애로 배뇨 및 배변의 장애와 성기능의

장애를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2) A 항은 배뇨 배변장애 B 항은 성기능 장애로 구분한다

3) 배뇨 배변 장애가 동시에 있어 여러 항목이 관련된 경우에는 장해평가율 분포에서

높은 쪽을 택한다

mdash mdash217

4) AMA식에서의 기립 보행 운동 장애 분야와 같은 항의 방광기능 직장 항문 기능

성기능에 해당되며 맥브라이드 식에서는 비뇨 생식계항과 직장항과 관련이 있다

5) 판정 시에는 비뇨기계 역동학적 검사(Urodynamic study)나 발기부전검사 등 정밀

검사 시행 후 증상과 관련이 있는 경우에 판정한다

6) 요로계통이나 직장계통의 손상 등으로 인한 장애는 관련이 없으며 중추신경계와

관련 있는 장애만을 판정한다

A 배뇨 배변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1~19

1) 배뇨장애가 있으나 혼자서 가릴 수는 있는 경우

2) 배뇨장애가 있어 감염과 통증으로 때때로 치료가 필요한 경우

3) 배뇨의 자가 조절은 다소 어려우나 반사적 배뇨기능이 양호한 경우

4) 항문의 반사적 조절기능은 있으나 조절에 제한이 있는 경우

5) 가끔 실변이 있어 패드착용이 필요한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20~39

1) 배뇨의 자가 조절 기능은 불가하며 반사적 기능도 좋지 않는 경우

2) 항문 기능의 반사적 조절 기능은 있으나 조절이 불가능한 경우

3) 괄약근의 기능저하로 실변 현상이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40~60

1) 배뇨의 자가 조절기능이 불가하며 반사적 배뇨도 불가능한 경우

2) 항시 카테터의 삽입이 필요한 상태

3) 항문의 괄약근 기능이 소실되었고 반사적 조절도 되지 않는 경우

B 성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1~9

1) 반사적 기능은 있으나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

mdash mdash218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10 ~19

1) 반사적 기능은 있으나 느낌이 없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20 ~29

1) 반사적 기능이 없는 경우

IV 뇌신경 기능장애

1) 이는 대부분의 경우 안과적인 사항인 2 3 4 6 뇌신경장애에 한정될 수 있으나

1 5 8 9 10 12 뇌신경인 경우 이비인후과적인 사항에 포함될 수 있다

2) 2 3 4 6 뇌신경장애는 안과의 장해평가기준에 따른다

3) 5 뇌신경장애는 기질적인 장애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한다

4) 안면신경 마비 시 우리나라에서는 외적인 요인으로 사실상 업무 수행에 지장을 초

래할 수 있으나 추후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5) 8 뇌신경장애시 평형감각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중추신경의 기립 보행장해평가에

준하여 평가한다

6) 8 뇌신경장애의 청력장애는 이비인후과적 장해평가에 따른다

A 제 1 뇌신경(후각신경) 장애 냄새를 전혀 맡지 못하는 경우

a 일측성 1~5

b 양측성 6~10

B 제 2 3 4 6 뇌신경

안과의 장해평가기준에 따른다

C 제 5 뇌신경(삼차신경) 장애 삼차신경통 안면통

a 가벼운 장애 1~14

1) 가벼운 정도의 조절이 되지 않는 통증으로 인해 일상동작에 어느 정도 제한이 있는

경우이다 여기에서 일상 동작이란 씹기 웃기 말하기 삼키기 등을 말한다

mdash mdash219

b 보통의 장애 15~24

1) 조절되지 않는 통증으로 인하여 일상동작에 제한이 뚜렷한 경우

c 심한 장애 25~35

1) 전혀 조절이 되지 않는 통증으로 일상동작 수행이 되지 않는 경우

D 제 7 뇌신경(안면신경) 장애 미각 및 안면 마비

a 미각 완전 소실 1~9

b 가벼운 안면신경 마비 1~9

1) 안면 마비 소견이 관찰되나 저작 눈감기 등이 심하지 않은 경우

c 보통의 안면신경마비 10~19

1) 안면마비 소견이 나타나며 저작이나 눈감기에 지장이 있는 경우

d 심한 안면신경 마비 20~29

1) 안면마비 소견이 매우 뚜렷하며 저작 눈감기 등이 불가능한 경우

E 제 8 뇌신경

a 청력 이비인후과의 장해평가기준을 따른다

b 평형기능 중추신경의 운동장애중 특히 하지기능에 적용한다

F 제 9 10 12 뇌신경(연하곤란)

a 가벼운 연하곤란 장애 1~14

1) 액상 반고형 음식 연하시 삼키기가 비교적 곤란한 경우

mdash mdash220

b 보통의 연하곤란 장애 15~39

1) 액상의 반고형 음식연하시 코로 역류되거나 폐로 흡인 되는 경우나 삼키기 곤란한

경우

c 심한 연하곤란 장애 40~60

1) 전혀 음식물을 삼킬 수 없는 상태로 레빈 튜브나 흡입장치가 필요한 경우

A B C D 항을 각각 산정하여 병산(combine) 하도록 한다

4 증 례

42세 남자로 2년 전 교통사고로 인하여 경막하 뇌출혈이 발생하여 응급으로 두개강내

혈종 제거술을 시행받고 추후 성형술을 시행받았다

현재 CT 소견에서 우측 뇌실질의 위축소견이 보이나 뇌파에서는 이상소견 보이지

않았다 경련 소견은 보이지 않으며 좌측 편 부전 마비로 독립 보행은 가능하나 계단

오르내리기 고른 길 걷기 등은 제한이 뚜렷하다 좌측 상지 기능저하로 물컵을 옮기거나

목욕 등에 제한이 따른다 의식은 명료한 편이며 언어 소통에는 불편이 없으나 심리

검사에서 적응장애가 뚜렷이 나타난다 배뇨 배변에는 불편이 없고 뇌신경기능에도

이상이 없다

장해평가

기질성 뇌기능장애

I-A-b-134 정도

운동기능장애

상지 장애II-A-c20하지장애II-B-c30

배뇨배변장애0

뇌신경장애0

이를 합산하면(Combine)63

이 피해자는 50 이상의 장애로 영구적 장애로 판정함이 타당할 것이다

mdash mdash221

B 척추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척추는 신경기능을 전달하는 척수 및 신경근 척주의 형태와 운동을 유지하는 인

대와 골격의 척주(spinal column) 그리고 척주의 다양한 운동을 유발하는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가 유기적이며 체계적일 때 정상적인 척추의 형태

와 기능을 유지하게 된다 정상적인 척추의 형태는 각 척추골의 형태와 전체적인

굽이(curvature)를 말하고 정상적인 기능은 척주의 움직임과 척수와 신경근의 신경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형태와 기능 이상의 대표적인 예로 형태는 변형 골절 전위

골유합 등이며 기능은 척주의 움직임의 제한 척수나 신경근의 손상으로 인한 신경

학적 손상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척추의 매우 복잡한 형태와 기능으로 인해 동일한 평가 방법으로 장해평

가를 하더라도 감정인에 따라 상이한 감정 결과를 보일 수 있다 기존의 제안된 척추

장해평가방법은 과학적이기는 하나 현실성이 부족하거나 간편하기는 하지만 객관

성과 과학성이 부족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척추장해평가방법을 만드

는 일은 매우 난해한 작업일 수밖에 없고 완벽한 장해평가방법을 만드는 데는 한

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로 여기서 제안한 장해평가기준도 장해평가에 관련된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는 없으며 완벽한 지침이라고는 볼 수 없다 하지만 최대한 객

관성과 과학성을 가진 평가기준을 만들고자 하였다

현 척추장해평가기준은 척추질환이나 손상의 진단에 바탕을 두지 않고 치료 후에

남아있는 기능과 형태상의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장애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치료

후에 남아있는 배부 증후 신경근병증으로 기능의 손상(impairment)을 평가하고자

하였고 고정술 변형 골절 등 방사선상에서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형태의 손

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제시되어 있는 장애율은 전신에 대비한 척추의 손상정도의 백분율을 제시하였으며

해당 항목의 장애율에 선택범위를 제시하여 같은 항목 내에서도 손상정도에 따라

장애율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시된 장애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고 다른 조

직이나 기관(organ)과의 형평성이 고려된 AMA 평가기준을 주로 참고하였다

척수 손상에 의한 신경학적 결손은 대한신경외과학회의 장해평가기준의 중추신경계

장해평가기준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mdash mdash222

목보다 허리를 더욱 중요시하는 국내의 정서와 McBride 장해평가기준과 이경석

논문(J Korean Neurosurg Soc 28670~674 1999) 등에 제시된 장애율은 요추

가 높은 경향이 있어 척추 고정술의 경우는 요추를 경추보다 높은 장애율로 결정하

였다

장해평가 항목은

I 척추 골절 및 탈구

II 통증 및 신경장애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로

세 가지 대항목으로 구분하였으며 대항목 내의 제시된 세부항목으로 실제적인 장해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대항목 중에서 하나의 세부항목을 선택하여 가장 높은 장애

율을 최종 장애율로 구하도록 하였다

척수손상이 동반된 경우에는 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기준의 중추신경계 장해평

가를 따르도록 하였다

본문은 척추장해평가 흐름도 장해평가표 장애판정지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가

흐름도는 피감정인의 장애상태에 따라 해당되는 대항목과 척수신경장애 등의 개요

를 평가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흐름도이다

장해평가지침은 장해평가표의 세부항목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평가방법의 예시이다

여기서 제시된 장해평가방법은 척추장해평가에 있어 완벽하지 않으며 장해평가에

관련된 종사자 모두를 만족할 수 있는 기준은 아니다

mdash mdash223

2 척추 장해평가 흐름도

2항목 중 최대 장애율

호전 가능성 여부 판정보류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예

척추 손상 여부

3항목 중 최대 장애율

척수신경손상 동반

척추장애 최대장애율 척추 및 척수장애 병산

1 척추 골절 및 탈구

2 통증 및 신경장애

3 척추운동 및 변형장애

2 통증 및 신경장애 3 척추운동 및 변형장애

중추신경 장애 평가표

3 척추 장해평가표

항 목전신 장애율()

경추부 흉추부 요추부

I 척추의 골절 및 탈구

A 추체의 압박골절

a 25 이하

b 26-49

c 50 이상

B 추체외 골절

a 신경관을 침범하지 않는 경우

b 신경관을 침범한 경우

C 정복된 탈구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10(07-13)

05(01-08)

14(09-18)

21(19-23)

05(01-08)

11(09-13)

09(07-10)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09(07-10)

다발성 골절인 경우 분절 당 3 추가

신경근 손상의 동반 5-15

mdash mdash224

II 통증 및 신경장애

A a 명백한 배부증상

b 회복된 신경근병증

B a 보존적 치료로 고착된 신경근병증

b 수술로 회복된 신경근병증

C a 수술 후 고착된 신경근병증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05(01-08)

05(01-08)

11(09-13)

11(09-13)

19(14-23)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두 번이상 수술한 경우 수술 당 3 추가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A 척추불안정이 명백한 경우

B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a 두 분절 이하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b 세 분절 이상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17(10-23)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23(15-28)

32(25-38)

27(20-33)

38(30-45)

C 변형장애

a 척추 측만각25-39도

b 척추 측만각 40도 이상

c 척추 후만각 30-59도

d 척추 후만각 60도 이상

25(20-29)

35(30-40)

25(20-29)

35(30-40)

4 세부지침

1) 각 척추 부위별(경추 흉추 요추)로 각각 장애를 평가하여 부위별 최대 장애

율을 구한 후 최종 장애율은 각 부위별 장애율을 병산한다 단 다발성 골절일 경우

에는 예외로 한다

2) 장해평가는 대항목인 1 척추의 골절 및 탈구 2 통증 및 신경장애 3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중에서 피감정인에 해당하는 최대의 장애율을 최종 장애율로 정

한다 즉 항목 1 2 3 내의 세부항목으로 장애율을 구하고 최대 장애율에 해당하

는 한 가지 항목만을 선택하여 척추장애의 최종 장애율로 한다

3) 세부항목의 평가내용은 객관적인 증후나 검사(신경생리 방사선 등)로 확인된

경우에만 해당한다

4) 척수손상으로 인해 상지 하지의 신경학적 결손이나 배뇨 배변 성기능의 장

애가 동반된 경우에는 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기준의 중추신경계 장해평가표의

B 중추신경계의 운동기능장애 C 중추신경계의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의 항목

mdash mdash225

을 이용하여 평가한다 척수손상의 장애율과 척추장애의 장애율은 병산하여 척추장

애의 최종 장애율을 산정한다

I 척추의 골절 및 탈구

1 골절 및 탈구는 방사선 검사(단순 촬영 CT MRI 뼈주사 등)으로 증명된 경

우에만 해당한다

2 항목은 추체의 압박골절 추체외 골절 정복된탈구로 구분한다

3 추체의 압박골절은 추체 전방의 정상 추체에 대한 압박의 정도를 나타낸다

4 추체외 골절은 신경관 침범 유무에 따라 판정하며 만일 척수신경이나 신경근

의 손상이 동반되면 상응하는 장애율을 병산하여 최종 장애율를 산정한다

5 이 항목에서 정복된 탈구라 함은 관혈적으로 척추 고정술을 시행하지 않았던

탈구를 의미한다

6 다발성 골절인 경우는 장애율이 가장 높은 골절 부위의 장애율을 구하고 난후

에 다른 골절은 부위 당 3씩 추가한다 즉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는 골절의 장애

율과 그 외의 골절 부위는 부위 당 3씩 합산한다 만일 경추 흉추 요추 등 각각

의척추부에 다발성의 골절이 있는 경우에는 척추 부위에 관계없이 최고 값의장애율

을 구하고 그 외의 척추 골절에 대해서는 부위 당 3씩 추가하여 합산한다 다발

성 골절로 인하여 척추의 후만증이나 측만증이 있는 경우에는 항목 III 척추운동

및 변형장애의 C 변형장애로 평가할 수 있다

예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 C5~50 T12~10

L1~30 인 경우

장애율은 C5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C5는 19~28 T12 L1은

각각 3를 추가한 6이다 척추의 골절과 탈구의 최종 장애율은 25~34로 산정

한다

예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 T12~60 L3~20 인

경우

장애율은 T12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T12는 19~23 L3는 3로

최종 장애율은 22~26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 척추 후만각이 40도 정도가 있다면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장애에서 C 변형장애에 해당하여 장애율은 30~40까

지 산정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장애율이 높은 항목이 최종 장애율이 된다

mdash mdash226

7 신경근 장애는 신경근 손상에 대한 신경학적 검사로 감각과 운동을 측정하여

신경근 손상의 정도에 의한 5~15를A B C 세부항목의 장애율과 합산을 하여 최

종 장애율을 산정한다 해당 신경근의 감각과 운동의 완전한 손상은 15이고 일부

감각과 운동의 소실은 최소 5로 한다 감정인의 재량에 의해 5~ 15로 평가할

수 있다 만일 오른쪽과 왼쪽의 상하지에 동시에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오른쪽 왼

쪽을 각각 평가를 한 후에 평가된 장애율을 병산하여 신경근 손상의 장애율을 평가

한다

8 척추외상에서 분쇄골절 등의 불안정성 골절의 경우에는 수술을 통한 고정술을

시행하므로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의 B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로

평가를 한다 만일 고정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A 추체의 압박골절이나 C

정복된 탈구에 준용하여 평가한다

II 통증 및 신경장애

1 통증 및 신경장애의 평가는 반드시 객관적인 증후 및 신경학적 검사에서 신경

근의 이상을 가지며 이에 대한 이상은 신경생리학적 검사에서 증명되어야 한다

2 평가 대상에는 추간판 질환 염좌 편타손상(whiplash injury) 등이 포함된다

3 명백한 배부증상의 객관적 증후는 근육연축 운동 유연성의 감소 가성 방사통

등이 동반됨을 의미한다

4 회복된 신경근병증이라 함은 치료하기 전의 방사선 소견이나 신경생리학적 검

사에서 신경근병증이 확인되었으나 장애 판정시점에서 신경근병증이 보이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5 고착된 신경근병증이라 함은 치료 전의 진찰 소견과 방사선 검사에서 신경근

병증을 보이고 치료 후에 진찰 소견에서 신경근병증의 증후가 관찰되고 신경생리검

사에서 증명된 경우를 말한다 고착된 신경근병증에는 신경학적 검사에서 반드시

신경학적 결손이 동반되어야 한다

6 두 번 이상 수술한 경우는 수술 방법에는 차이가 없이 두 번이상의 수술에 대

해서 두 번째 수술부터 수술 당 3를 추가한다 장애판정시점에서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평가대상이 되는 경우에 두 번이상의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 A B

C의 항목의 장애율을 결정한 후에 두 번이상의 수술에 대한 3를 추가하여 합산하

여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최종장애율을 산정한다 만일 두 번째 이후의 수술

mdash mdash227

이 고정술을 시행하였다면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장애의 B 척추 고정술을 시

행한 경우로 평가할 수 있다

예제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되어 있으며 세 번의

신경감압술을 시행한 경우

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이후의 수술에 대한

6의 장애율을 합산하여 최종 장애율은 25~34로 산정한다

예제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된 있으며 첫 번째 수술은

신경감압술을 시행하였고 두 번째 수술은 요추 4-5번의 골융합술을 시행한 경우

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수술에 대한 3의

장애율을 합산하여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최종 장애율 22~31이다

이러한 경우는 척추의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이므로 항목 III-A-a-2의 장애율

29~38로 산정할 수도 있다 항목 III으로 평가한 경우에는 시행한 수술에 횟수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아니한다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1 척추 운동 및 변형은 방사선 검사(단순촬영 CT MRI 뼈주사 등)으로 증명된

경우에만 해당한다

2 척추 불안정증이란 방사선 검사에서 다음이 증명된 경우이다

1) 요추부

방사선 굴곡신전 검사상 분절이 45mm 이상 전위된 경우 혹은 각변형이 L1-2

L2-3 L3-4에서 15deg이상 L4-5에서 20deg이상 L5S1에서 25deg이상인 경우

2) 흉추부

방사선 굴곡신전검사상 분절이 25mm 이상 전위된 경우

3) 경추부

방사선 굴곡신전검사상 분절이 35mm 이상 전위된 경우나 각변형이 11deg 이상인

경우

3 척추 고정술이라 함은 골융합에 의한 방법과 나사못 등에 의한 고정술로 운동

분절의 손실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4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에서 신경학적 결손이라 함은 신경학적 검사에서

감각과 운동의 마비가 객관적으로 증명된 경우를 말한다

mdash mdash228

5 만일 척추 분절이 경흉추부 흉요추부가 포함된 다분절의 고정술인 경우에는

고정된 분절이 많은 척추 부위의 장애율을 이용한다 만일 고정된 분절이 동수인

경우에는 높은 장애율에 해당하는 척추부위의 장애율을 이용한다

예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없는 경우흉추부 요추부가 동수의 분절이 고정되어 있

으므로 높은 장애율을 제시하고있는 요추부 항목 III-B-a-1의 15~28를 이용하

여 장애율을 판정한다

예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0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있는 경우흉추부는 두 분절 요추부는 한 분절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흉추부 항목 III-B-b-2의 25~40를 이용하여 장애율을 판정

한다

6 변형장애는 척추 스캐노그람(spine scanogram)을 촬영하여 변형각을 측정하

여 장애율을 산정한다 변형장애는 골절 탈구 고정술 척추관절의 질환 선천성 변

형 등이 포함된다 변형장애의 장애율이 다른 평가항목의 장애율보다 높을 경우에

는 최종 장애율을 항목 III-C 항을 적용할 수있다

5 증 례

1) 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C5~50 T12~10

L1~30 인 경우장애율은 C5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C5는

19~28 T12 L1은 각각 3를 추가한 6이다 척추의 골절과 탈구의 최종 장애

율은 25~34로 산정한다

2) 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 T12~60 L3~20 인

경우장애율은 T12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T12는 19~23 L3는

3로 최종 장애율은 22~26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 척추 후만각이 40도 정도가

있다면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장애에서 C 변형장애에 해당하여 장애율은

30~40까지 산정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장애율이 높은 항목이 최종 장애율이 된다

3)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되어 있으며 세 번의 신경

감압술을 시행한 경우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이후의 수술에 대한 6의 장애율을 합산하여 최종 장애율은 25~34로 산정한다

4)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된 있으며 첫 번째 수술은

mdash mdash229

신경감압술을 시행하였고 두 번째 수술은 요추 4-5번의 골융합술을 시행한 경우

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수술에 대한 3의 장

애율을 합산하여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최종 장애율 22~31이다

이러한 경우는 척추의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이므로 항목III-A-a-2의 장애율

29~38로 산정할 수도 있다 항목 III으로 평가한 경우에는 시행한 수술에 횟수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아니한다

5) 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없는 경우흉추부 요추부가 동수의 분절이 고정되어 있

으므로 높은 장애율을 제시하고 있는 요추부 항목 III-B-a-1의 15~28를 이용하

여 장애율을 판정한다

6) 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0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있는 경우흉추부는 두 분절 요추부는 한 분절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흉추부 항목 III-B-b-2의 25~ 40를 이용하여 장애율을 판정

한다

C 말초신경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1) 장해평가를 받기 전까지 충분하고 성실하게 전문적 검사와 치료를받아야 하며

특히 말초신경계 장애의 경우 객관적 관찰 및 신경학적 검사시 주관적 개입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필수적인 신경보조검사를 시행한 경우에 한한다

2) 두 신경 이상의 손상의 경우 AMA식 복합장애 병산표를 이용한 병산 또는합

산을 인정한다

3) 다음의 경우는 말초신경 장해평가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a) 중추신경장애로 인한 2차성 말초신경 퇴행 및 이로 인한 동반장애 증상

b) 척추질환으로 인한 신경근 압박으로 초래된 감각 및 운동신경장애 증상

c) 신경전도검사 유발전위검사 또는 근전도 검사등 객관적 검사상ldquo추정적

(suggestive)rdquo이상의 등급으로 인정되지 않는 말초신경 손상

mdash mdash230

2 장해평가 방법론

1) AMA 식의 평가기준 기술방식적 접근에는 동의하나 장황한 서술은 지양한다

2) McBride 식 평가의 간결성을 적용한다

3) 일개 장애에 대하여 여러 항목에 대한 복잡한 분석 후 백분율() 산정 AMA

식 복합장애 병산표를 이용하여 합산하는 AMA 식 접근법은 지양한다

4) 손상의 정도를 가벼운 보통의 심한 장애로 나누어 이의 성립요건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기술한다

a) 신경근(spinal nerve root)의 경우 AMA에서 산정한 C5부터 C8의 최대 장애

율은 30~45로 T1은 20로 나와 있으므로 C5부터 C8은 부위에 상관없이

35를 최대 장애율로 하고 T1만 20를 인정한다

b) 감각과 운동신경장애를 통합하여 경도 중등도 고도의 항목에 모두 통합 기술

한다

- A 가벼운 장애정상 활동이 가능한 경도의 감각감소 또는 저항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 B 보통의 장애정상 활동에 제한을 주는 감각감소 또는 중력에 반하는 운

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 C 심한 장애심한 통증을 동반한 감각감소 또는 작열통(causalgia) 또는

운동이 거의 불가능한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

c) 각 항목에 대하여 AMA 식 평가의 최대치를 산정하여 전신비율로 산정한 값은

McBride 식 평가에서의 완전손상 항목과 상당히 유사한 값을 나타낸다는 점에

착안 시안의ldquo심한rdquo에 해당하는 평가치로 준용하고 AMA 식 평가값의 백분율

을 변형하여 20(15)에 해당하는 것을ldquo가벼운rdquo으로 50(12)에 해당하는 것

을ldquo보통의rdquo로 단일화하여 전신비율로 계산된 값을 각각ldquo가벼운rdquo 및ldquo보통의rdquo 최

종 평가값으로 준용한다 운동 및 감각기능의 손상을 통합적으로 다루었으므로

AMA의 감각 운동신경 복합손상에서 기술한 평가치를 기준으로 한다

mdash mdash231

3 말초신경 장해평가표

손 상 신 경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A 가벼운 B 보통의 C 심한

제 5-8 목신경 04 10 20

제 1 가슴신경 03 07 14

팔신경얼기 12 30 60

중간줄기(제 7 목신경) 04 10 20

아래줄기(제 8 목 제 1 가슴) 09 22 45

가슴근신경 01 02 03

겨드랑신경 04 12 24

등쪽어깨신경 01 02 03

긴가슴신경 2 05 10

안쪽아래팔피부신경 01 02 03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윗부분) 08 20 40

정중신경(앞뼈사이신경) 02 05 10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아래부분) 05 14 28

근육피부신경 03 09 18

노신경(삼두근침범) 05 14 28

노신경(삼두근보존) 04 12 24

어깨밑신경 1 02 03

어깨위신경 2 06 12

가슴등신경 1 03 06

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 6 05 30

자신경(아래팔중간 이하) 4 12 24

넙다리신경 3 07 15

폐쇄신경 1 02 03

위볼기신경 5 12 25

아래볼기신경 3 07 15

가쪽넙다리피부신경 1 02 03

궁둥신경 6 15 30

온종아리신경 3 07 15

얕은종아리신경 1 01 02

장딴지신경 1 01 02

안쪽발바닥신경 1 01 02

가쪽발바닥신경 1 01 02

A 가벼운 장애정상 활동이 가능한 경도의 감각감소 또는 저항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B 보통의 장애정상 활동에 제한을 주는 감각감소 또는 중력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C 심한 장애심한 통증을 동반한 감각감소 작열통 또는 운동이 거의 불가능한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

mdash mdash232

4 증 례

3O 세의 남자(오른손잡이)가 유리작업을 하다가 깨진 유리에 왼쪽 팔꿈치 아래의

심한 자상을 입고 치료를 받았다 당시 근육은 봉합 가능하였으나 신경은 봉합을

하였으나 기능은 회복되지 않았으며 이후 좌측 손 근육의 근 위축이 서서히 생기면

서 전형적인 갈구리 변형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상태로 내인성 근육의 근력저하가

이학적으로 명백하여 왼손으로는 일상생활울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또한 좌측

자신경의 감각소실이 현저하였다 다치고 계속 물리치료와 약물치료를 하다가 수상

후 약 8개월째 장해평가를 받기 원한다

먼저 수상후 최소 6개월이 지났으며 의학적으로 최대한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는 시기(MMI)를 경과하였다고 감정의사가 판단하고 더 이상 호전이 없을 것으로

생각하면 수상후 8개월에 장해평가가 가능하다

먼저 수상부위가 아래팔(forearm)의 중간이상 부위가 감각저하와 근육마비로 확

인이 되므로 일단 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의 항목에 해당된다고 본다 상기 상태는

C심한 장애상태로 판단되며 심한 통증과 작열통이 없지만 운동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ldquo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

의손상-Crdquo로 평가하며 24의 노동력 상실로 장해평가를 한다

D 통증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및 전신장애율()

항 목

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잘 쓰지 않는

팔다리

잘 쓰는

팔다리

I 복잡부위 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type I amp II )

A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에 경한 지장이 있는 경우 01-04 01-09

B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이 불가능한 경우05-14 10-24

C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현저한 지장을 주는

경우 15-29 25-39

D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30-45 40-60

mdash mdash233

항 목

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잘 쓰지 않는

팔다리

잘 쓰는

팔다리

II 의학적으로 명백히 기질적인 손상이 있는 질환에서

통증증후군이 동반되어 통증을 평가할 때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II 통증을 설명할 수있는 명백한 장기의 손상이 없지만

통증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일반적인 통증

증후군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 II III군의 적용과 A B C 항의 적용에 대한 세부지침은 아래에 있는 평가요령을 참고로

한다

2 세부지침

1) I 항 해당질환복잡부위 통증증후군 제 1 2형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I amp IICRPS type I(reflex sympathetic dystrophy RSD

반사교감 이형성증) CRPS type II(causalgia and posttr-aumatic neuralgia

작열통과 말초신경의 외상후성 신경통)

2) 복잡부위 통증증후군의 진단기준(Guide to the evaluation of the permanent

impairment AMA 5th ed p496)

국소 임상 증상

혈관운동계 변화(vasomotor changes)

bull 피부 색깔얼룩덜룩해진다 창백해진다

bull 피부 온도차다

bull 부종

발한성 변화(sudomotor changes)

bull 피부가 건조해 지거나 또는 촉촉해진다

영양성 변화(trophic changes)

bull 피부 결부드럽고 탄력이 떨어지는

mdash mdash234

bull 연부조직 위축특히 손발끝에서

bull 관절 강직과 운동범위 감소

bull 손발톱 변화홈이 나며 구부러지고 부리 같은 변화

bull 털 성장 변화빠지고 가늘고 길어진다

방사선학적 변화

bull 단순방사선검사뼈의 영양성 변화 골다공증

bull 방사성 동위원소 뼈스캔복잡부위 통증증후군에 합당한 소견

해석

=gt8복잡부위 통증증후군

lt8복잡부위 통증증후군이 아님

3) II 항 해당사항

① 의학적으로 확인할수 있는 기관의 장애가 있고 뇌 척추 말초신경과 같은 다른

항목에서 장애율을 매길 수 있는 질환에서 통증평가(다른 항목(뇌 척추 말초신경)

으로 계산한 장애정도가 통증장애를 포함한 모든 장애를 대표한다고 평가하였다고

보기 어려울 때)

예를 들어자기공명영상으로 확인이 되고 임상적으로 근력약화 감가소실을 나타

내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가 수술후 해당 신경뿌리 피부 영역에서 심한 통증을

계속 호소할 때

② 잘 알려진 통증질환이지만 통증증후군의 발생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어

통증의 발생을 미리 예측할 수 없는 경우(해당질환마비후 통증 척수공동증 통증 시

상증후군 상완신경총손상 통증 신경포착성 증후군 말초신경병 중추성 신경통)

4) III 항 해당질환해당질환두통 포진후 신경통 삼차신경통 홍색사지통증과

같은 질환

5) II III 항의 A-C 세부사항

A통증이 있지만 일상생활에 불편이 없음 통증으로 인한 고통이 없거나 미미

함 통증치료를 규칙적으로 할 필요가 없음 진찰중 통증관련 제한이 가볍거나 통증

행동이 거의 없음

B일상생활에 불편이 있고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조정이 필요함 통증으로

인해 다소의 정서적인 고통이 있음 통증 때문에 치료받거나 약을 복용하고 있음

진찰중 통증관련 제한이 상당히 있지만 통증행동은 거의 관찰되지 않음

mdash mdash235

C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움 통증으로 인해 심한 정서적 고통이 있음

통증약을 항상 복용함 진찰중 통증관련 제한이 심하고 통증행동이 많음

3 증 례

42세 오른손잡이 남자(선반공)로 우측 손의 수근관 증후군으로 진단받고 발병 3개월에

인대절제술을 시행하였음 수술후 수술전의 저림은 없어졌으나 수술 약 2주후부터

우측 손의 부종이 점차 발생하면서 우측 손의전반적인 통증이 발생하였다 복잡부

위 통증증후군 제 1형으로 진단받고 수회의 교감신경블록과 정중신경블록 약물치

료와 물리치료를 6개월 이상 시행하였다 현재 통증은 우측손에서 아래팔에서 어깨

까지 진행한 상태로 VAS 7-810상태가 계속된다 통증으로 인해 우측 손과 팔꿈치

어깨의 운동범위가 심하게 제한을 받고 있으며 이학적 소견상 우측손의 부종과 얼룩

덜룩한 색깔변화 손톱이 갈라지고 손이 차며 피부가 건조하다 손가락의 운동범위는

심각하게 감소하였으며 팔꿈치와 어깨는 어느 정도 관절운동 범위가 유지되고 있다

감각저하(hy-pesthesia)와 저림(paresthesia)가 있다 또한 스치면 통증을 느끼는

작열통이 동반되어 있다 검사시 우측 팔을 가능한 움직이지 않으려고 하며 스치면

얼굴을 찡그리면서 약간의 신음소리를 보였다 단순방사선 검사상 골다공 소견을

보이며 방사성 동위원소 뼈주사에서 동위원소의 증가소견을 보인다

장해평가

현 상태로 보아 정중신경의 만성적인 포착에 따르는 수근관 인대 절개술후 발생

한 복잡부위 통증증후군 제 1형(반사교감 이형성증 과거의 용어)으로 진단되며 세

부지침에 있는 복잡부위 통증증후군의 진단기준중 8개 이상을 보이는 전형적인 진

단기준에 합당하다 장애정도는 C 항에 해당한다 이환된 손가락의 운동은 불가하

지만 위의 설명상 우측 팔을 완전히 사용 못하는 상태는 아니라고 판단하기 때문이

다 오른손잡이이므로 25~39의 범위에서 감정의사의 재량에 따라 평가할 수 있

다 현 평가의 환자의 증상이 과장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고 vas 7-810을 보임에

따라 35~37의 장해평가를 내린다 범위가 있는 것은 통증 환자들은 모두 다른

증상을 보이는 다양한 장애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감정의사는 세심하

고 정확한 이학적 검사 및 면담을 통해 통증반응과 같은 상황을 참작하여 허용된

범위 안에서 자신의 판단을 이용하여 개개의 피감정인을 평가할 수 있다

Page 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mdash mdashi

- 목 차 -

제 1 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Ⅱ 산재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Ⅲ AMA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Ⅳ 산재기 과 국내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

Ⅴ AMA 기 과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Ⅵ 결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제 2 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

Ⅱ 산재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Ⅲ AMA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Ⅳ 산재 기 과 국내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5

Ⅴ AMA 기 과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Ⅵ 결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제 3 장 정신행동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Ⅱ 산재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Ⅲ AMA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Ⅳ 산재기 과 국내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mdash mdashii

Ⅴ AMA 기 과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Ⅵ 결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제 4 장 특수기능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Ⅱ 산재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Ⅲ AMA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0

Ⅳ 산재기 과 국내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Ⅴ AMA 기 과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Ⅵ 결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제 5 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Ⅱ 문가용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Ⅲ 일반인용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08

mdash mdashiii

- 총 목 차 -

제 1 부 국 내 제 도 제1장 우리나라 장해평가기 의 황과 문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제2장 산재보험 통계자료를 이용한 장해등 련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제 2 부 외 국 제 도 제1장 미국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7

제2장 독일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1

제3장 일본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9

제4장 랑스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0

제 3 부 의료분야(Ⅱ) 제1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제2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

제3장 정신행동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제4장 특수기능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제5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 부 록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5

mdash mdash1

제 3 부 의 료 분 야

제1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제2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

제3장 정신행동 장해평가

제4장 특수기능 장해평가

제5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mdash mdash3

제 1 장 근골격계 장해평가1)

I 서 론

II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III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IV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1 상지 장애

2 하지 장애

3 척추 장애

V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1 상지 장애

2 하지 장애

3 척추 장애

VI 결 론

1) 백광흠(신외) 이승림(정외) 김종문(재활) 도재원(신외) 오성훈(신외) 강윤규(재활) 최재욱(예방) 조경석(신외)

mdash mdash5

제 1 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Ⅰ 서 론

근골격계 영역은 미국의학협회의 장해2)평가기준(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ition 이하 AMA라 칭함)에서 제 15장 척추와 골

반 제 16장 상지 그리고 제 17장 하지로 나누어 기술되어 있다 이는 산업재해보

상보험법의 장애등급 판정에서의 장해계열 구분에서는 15(척주) 16(기타 체간골)

17 팔(결손 기형장해) 18 팔(기능장해) 19 팔(흉터장해) 20 손가락(결손 기능

장해) 21 다리(결손 기형장해) 22 다리(기능 장해) 23 다리(단축장해) 24 다리

(흉터장해) 25 발가락(결손 기능장해) 장해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근골격계 장해

평가기준개발팀에서는 해당 AMA 기준 중에서 근골격계에 해당되는 내용을 요약

분석하고 근골격계의 장해평가를 산업재해보상보험법과 AMA의 기준을 비교한 후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 항목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모든 국내법은 장애 정도에 대한 평가 기준을 국가배상법 시행령의 별표로 규정

하고 있다 시행령의 별표를 살펴보면 장해평가는 등급을 나누고 추정 노동력 상

실율의 를 표시하였는데 각 등급에서는 장애항목을 예시하는 예시형 추정

(example-based estimation)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장애등급과 항목은 일본의

1926년 공장법 시행령 제7조 별표의 장애등급과 장애항목을 1947년 노동기준법

시행령의 보상일수에 대한 규정을 국내에서 1953년 근로기준법을 제정할 때에 번

역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공장법 시행령은 14등급 120항목이고 국내의 산업재

해 보상보험법은 14등급 141항목을 두고 있다 이러한 등급표는 너무나 단순하며

장해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규정을 가지고 있지 않다

산업재해 보상보험법에서는 국가배상법 시행령의 장애등급표와 거의 동일한 계열

2) 국내에서는 장애 장해에 대한 용어가 혼용되는데 WHO는 1980년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Disabilities and Handicaps (ICIDH)를 출판하였고 이는 국내에서 각각 순서대로 장해 장애

불구로 번역되었다 따라서 impairment와 disability에 해당되는 용어는 이를 기준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mdash mdash6

분류와 등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좀 더 객관적인 등급 결정을 위해 구체적인 시

행세칙을 마련하여 장해등급판정요령(1984 5 28 예규 101호)을 두고 이에 따라

장애등급을 판정하고 있다 또한 이 시행세칙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이외 자동차배

상법 생명보험사장해등급분류표에서 비슷한 내용의 장해평가기준의 기본이 되었다

산업재해 보상보험법에서는 신체를 해부학적 관점과 기능면의 생리학적인 관점에

서 장애군을 25개의 장애계열로 나누고 장애 등급을 1급에서 14급까지로 구분하

고 있다 만일 계열을 달리하는 신체장해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중한 쪽에 해당하

는 신체장해를 등급으로 인정하거나 1~3 등급을 인상하여 신체장해의 등급을 판

정한다 이렇게 신체장해의 등급을 달리하는 방법을 lsquo조정rsquo이라고 한다 또한 등급표

에 예시된 장해항목 이외의 신체장해가 있을 경우에는 장해의 정도에 따라 주어진

신체등급표의 장해항목에 준하여 등급을 결정하는데 이를 lsquo준용rsquo이라고 한다 산업

재해보상보험법의 장해등급평가 세칙은 장해(impairment)에 해당되는데 내용은 별

표의 해당 장해 항목이나 조정 등으로 정해진 장해등급에 따라서 보상일수가 정해

지므로 장해등급이 신체손상의 정도를 반영하게 된다 반면 동일한 방법의 장해평

가표이면서도 국가배상법에서는 장해등급표 옆에 임의로 노동능력 상실률을 정하고

있어 노동력 상실율과 신체손상율에 대한 개념의 혼동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국

가배상법에서는 제1~3급의 노동능력상실률이 100이며 제4급이 90이고 각 등

급마다 10씩 노동능력상실률이 낮아지도록 하고 있다

국내법에서 장해평가 시기는 증상이 고정됨을 전제로 하고 있다 산업재해 보상

보험법에서 lsquo치유된 때라 함은 부상 또는 질병에 대하여 의학상 일반적으로 승인된

치료방법을 사용하여 요양하였으나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태로서 남게 되는

증상이 자연적 경과로 인하여 도달된다고 인정되는 최종상태(증상의 고정)rsquo로 정의

하고 있다 장애정도의 평가는 원칙적으로 요양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태가 되

어 증상이 고정된 때에 실시한다 그리고 6개월 이내의 기간에 증상이 고정될 가망

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기간이 지난 후에 장해평가를

실시하여 장애 등급을 판정하고 있고 국민연금법에서는 초진일로부터 2년이 경과

한 시점을 장해평가시기로 정하고 있다

등급을 통한 장해평가는 신체장애의 종류에 따라 장애항목이 결정되어 장애에

관한 배상이나 보상의 관련된 업무에 대해 행정적 처리는 편리하다 또 다른 장점

으로는 시행세칙에 따른 평가에 있어 다소 불합리한 부분이 있더라도 조정이 잘되어

mdash mdash7

있고 해당조항이 없더라도 준용함으로써 비슷한 등급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장애항목의 서술이 애매한 형용사 형의 사용이 많아 조잡하며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항목의 분류가 엉성하다 또한 장애등급이 곧바로 신체손상율이나 노동능력상

실이라고도 말할 수 없고 현재의 사회 환경이나 의학수준과 격차가 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 하지의 장애를 주로 관절 장애로 준용하도록 유도되어 있어 신경손상

이나 국소적 근 손상 등의 평가도 관절운동의 제한으로 평가함으로써 적절치 못한

평가가 된다 뿐만 아니라 상 하지의 장애도 ldquo3대 관절 중 2(또는 1)관절rdquo 같은

식으로 각 관절간의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가 없이 단순히 해당 관절의 개수만을 평

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평치 못한 장해평가가 되고 만다 이에 비해 AMA나 맥브

라이드식 장해평가에서는 각 관절별 신체손상율 및 노동력 상실율이 실제 장애로

인한 기능적 제한 정도를 반영할 수 있도록 차등되어 있다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상 지

AMA에서 상지의 장해는 제 16장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제 139에서 상지의

말초신경 손상에 대한 장해평가에 일부 그 내용이 언급되어 있지만 주 내용은 제

16장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 장에서는 근골격계 손상에서의 상지 장해인 제 16장의

내용을 주로 다루고자 한다

AMA 제 5판에서는 근골격계에서 흔히 다루어 지는 장해인 절단 장해 관절 장

해 운동말초신경 장해 외에 뿐 감각신경 손상 혈관질환 복합국소통증증후군 등까

지 다루고 있다 맥브라이드나 이전 제 3판에서와 달리 장해평가에 있어 우성 수

(dominant hand)에 대한 조정을 하지 않고 있다 이는 우성 수를 객관적으로 알아

내기가 쉽지 않고 그 의존의 정도도 사람에 따라 다양하여 양손의 차이가 뚜렷할

수도 있지만 그 차이가 미미하거나 완벽한 양손잡이 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지의 장해평가는 크게 수부와 기타 부위로 나눌 수 있는데 이는 그림 16-1a와

b에 잘 나타나 있다

mdash mdash8

그림16-a 팔 장해 평가 기록 ndash 제1부 (손) 좌우 우 좌

성명 _________________ 연령 ______ 성별 남 여 주손 우좌 일자 ____________

직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진단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비정상 운동 절단 감각 소실 기타 장애 손 장해()

운동 또는 강직 각도 및 손 장해()를 기록한다

절단 위

치 및 장

해()를

표시한다

유형 위

치 및 장

해()를

표시 한다

유형 및

장해 기

록한다

손가락 장해를

병합한다

손 장해로 전환

한다

굴곡 신전 강직 장해()

IP각도

장해

MP각도

장해

운동 강직 장해()

CMC

요 골

외전

각도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내전Cm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대향접

촉운동

Cm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를 합산하면 CMC + MP + IP=

[1]

손 가 락

IMP =

[2]

손 가 락

IMP =

[3]

손 가 락

IMP =

[4]

손 장해

굴곡 신전 강직 장해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

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

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mdash mdash9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손 장해 총량 엄지손가락 + 집게손가락 + 가운뎃손가락 + 약손가락 + 새끼손가락 =

손 장해 총량을 팔 장해로 전환한다dagger(엄지중수골에 문제가 없다면 제2부 Ⅱ항에 기재한다) =

Thumb ray upper extremity amputation 장해____ + hand upper extremity 장해 ____ =

손 부위의 장해가 장해의 전부라면 팔 장해를 전신 장해로 전환한다 =

그림16-1b 팔 장해 평가 기록 ndash 제2부 (손목 팔꿈치 어깨) 좌우 우 좌

성명 _________________ 연령 ______ 성별 남 여 주손 우좌 일자 ____________

직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진단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비정상 운동 기타 장애 국소 장해 절단

운동 또는 강직 각도 및 장해를 기록한다유형 및 장해

를 나열한다

병합한다 [1] +

[2]

위치 및 장해

를 표시한다

굴곡 신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RD UD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합산한다 장해 굴곡신전 + RDUD = [1] 장해= [2]

굴곡 신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회내 회외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합산한다 장해 굴곡신전 + 회내회외= [1] 장해= [2]

mdash mdash10

굴곡 신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내전 외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내회전 외회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합산한다 장해 굴곡신전+ 내전외전+내회

전외회전 = [1]장해= [2] 장해 =

Ⅰ 절단 장해(손가락 외) =

Ⅱ 팔의 국소 장해

(합산한다 손 _____ + 손목 _______ + 팔꿈치 ________ + 어깨 _______ ) =

Ⅲ 말초신경계통 장해 =

Ⅳ 말초혈관계통 장해 =

Ⅴ 기타 장해 (국소 장해에 포함되지 않은 것) =

팔 장해 총량 (Ⅰ Ⅱ Ⅲ Ⅳ Ⅴ를 병합한다) =

전신 장해(표16-3을 활용한다) =

〈표 16-1 16-2 16-3〉을 이용하여 각각 수지 장해를 수부 장해 수부장해를 상지 장해

이를 다시 전신장해율로 전환하여 사용한다 각각의 장해율은 병합(combine) 하는 것이 원

칙인데 다음의 경우 합산(add) 하기도 한다

1 손 장해 총량(100)은 각각의 손가락 장해를 합산하여 구한다 엄지손가락은 40 집게

손가락은 20 가운뎃손가락은 20 약손가락은 10 새끼손가락은 10 이다 (표

16-1 및 표16-4)

2 손에 다른 장해가 있다면 이를 팔 장해로 전환한 후 thumb ray 절단으로 인한 팔 장해와

합산한다

3 Thumb Ray 운동 장해값은 각 관절 운동 장해값을 합산해서 구한다 엄지손가락의 기능

단위(100)는 수근중수골 75 중수수지(MP) 10 지절 사이(IP) 10 등 손가락을 구

성하는 관절의 장해값을 합산한다 그러나 운동 상실에 대한 손가락 관절 장해 등급은

합산하지 않고 병합해야 한다

상지의 관절운동 제한에 의한 장해평가에서 관절의 운동범위에 따라 장해율을 적

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기능적인 위치에서 신체손상율을 최소로 하고 여기에서

부터 가능한 운동 범위에 따라 신체손상율을 다르게 했다 즉 가능한 운동 범위에

따라 신체손상율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범위가 적어도 기능적 위치에 가까우

면 더 적은 신체손상율을 주도록 하고 있다

mdash mdash11

〈표 2-2〉 상지 관절에서 최소 장해율을 보일 때의 관절각도 (AMA 장해평가지침서 제5판)

관절 Ia

총 장해율

Ie

신전장해율

If

굴곡장해율

V

각도

견관절

굴곡 신전 15 5 10 40

15 5 10 30

15 4 11 20

내회전 외회전 6 2 4 내회전 20

6 2 4 내회전 30

6 3 3 내회전 40

6 4 2 내회전 50

주관절

굴곡 신전 21 11 10 80

회내 회외 8 4 4 회외 20

완관절

굴곡 신전 21 8 13 신전 10

21 11 10 0

21 13 8 10

요굴 척굴 9 5 4 0

9 4 5 척굴 5

9 4 5 척굴 10

무지

중수지관절 5 1 4 20

지관절 7 3 4 20

손가락

중수지관절 45 12 33 30

근위지관절 50 14 36 40

원위지관절 30 4 26 20

Ia 총 장해율 Ie 신전 장해율 If 굴곡 장해율 V 관절각도

Ia = Ie + If

이와 같이 AMA에서의 상지 장해평가는 상당히 복잡하고 그 평가에도 상당한 시

간이 소요된다 특히 다발성의 수지 손상이라면 그 평가에 필요한 시간은 엄청나게

증가된다 반면 상당히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므로 운동범위 등의 측정치만 일정

하다면 수학 공식과 같이 대입만하면 어느 누가 장해평가를 하더라도 거의 일치되

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하 지

하지의 장애는 17장에 기술되어 있으며 개인의 일상생활(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수행 여부를 반영하는 영구적인 신체장애율로 표기되며 이를 위해 하

mdash mdash12

지를 6분야로 나누고 있다 족부 후족부 족관절 하퇴 슬관절 고관절 및 골반부

로 나누고 이에 신경계 및 혈액순환계를 포함한다 평가는 하지의 해부학적 변화

진단적 기준 및 기능적 변화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제 5판의 AMA에서는 평가방법

을 명기하고 서로 병합할 수 있는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작열통(causalgia)과

같은 항목에 대해서는 중추신경계를 인용하여 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해부학적인 분류에 따른 평가는 하지부동 근위축 관절강직 절단 관절염 피부

결손 말초신경손상 혈관계손상 및 작열통의 세부항목으로 나뉘고 기능적 분류에

따른 평가는 관절운동범위 보행이상 및 근력으로 나뉘며 진단적 분류에 따른 평

가는 골절 인대손상 반월상연골판 절제술 족부변형 고관절부 및 골반부의 점액낭

염과 인공관절 치환술로 세분되어있다 각각의 평가항목들은 서로 병합할 수 있는

항목과 그렇지 못한 항목들을 구분하여 하지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지와 마찬가지로 한쪽(unilateral)의 하지를 기준으로

장해율이 표기되어 있으며 전(全) 손실의 경우 전신에 대하여 40의 상실률이 책

정되어 있다

3 척 추

제 15장 척추 장해를 살펴보면 다른 장기의 장해 평가 방법과 마찬가지로 장해

의 정도는 등급이 아닌 장해율로 평가를 한다 척추 장해 등급 평가는 진단 관련

평가(Diagnosis-related estimates DRE) 또는 운동 범위평가 (ROM) 중 하나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DRE 방법은 명백한 손상이 있는 환자를 평가할 때 주로 사용

된다 장해 원인을 알 수 없을 경우나 DRE 방법으로 장해의 특성을 잘 나타낼 수

없는 경우 DRE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ROM 방법은 DRE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에 사용한다 DRE 방법은 경추 흉추 요추 등 척추 3부위마다 8개의 DRE 카테고

리로 분류한다 환자를 DRE 카테고리에 정확하게 분류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한다 첫째 방법은 증상 징후 및 적정 진단 검사 결과에 근거한다 둘

째 방법은 골절 및또는 임상적 증상의 유무에 상관없이 탈구에 근거한다 환자의

골절이 확인되어 DRE 카테고리로 분류 되었다면 다른 증명은 필요하지 않다 상지

장해를 평가하는 방법은 근본적으로 해부학적 평가 방법이다 해부학적 부위별로

절단 운동 소실 또는 강직 감각 소실 기타로 인한 장해를 모두 구하여 이를 병합

mdash mdash13

표15-20 척추 장해 평가 요약

성명 ___________________ 주민등록번호 ____________________ 일자 _________________

장해 경추 흉추 요추

1 DRE 방법 (표15-3~표15-5)

2 ROM 방법 (표15-8)

3 신경근 통증이 있거나 없는 감각 소실 근력 소실

한 후 장해율표를 이용하여 장해정도를 평가한다 하지의 장해평가시 다리 평가에

는 13 가지 방법이 있다 표17-1은 13가지 방법을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3개 카

테고리 즉 (1) 해부학적 (2) 기능적 또는 (3) 진단에 근거한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주요 평가 방식을 반영하고 있다 운동 범위 (ROM) 다리 길이 차이 관절염 피부

변화 절단 근육 위축 신경 손상 혈관 장해 등 해부학적 변화는 이학적 검사를 통

해 평가한 후 임상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관절염에는 통증 쇠약 경

직 등으로 인해 손상을 입었으나 기능성 운동 범위를 유지하는 확진 관절염 환자에

게 적용되는 고유의 진단 카테고리가 있다 관절염은 X-선 사진에서 측정된 관절

공간이 좁아진 것을 근거로 평가한다 작열통 및 복합부위통증증후군(반사적 교감신

경성 기능장해)은 ROM 방법 및 말초신경 평가 기법을 병합하여 평가한다 진단에

근거한 평가는 특정 골절 및 변형 인대 불안정 윤활낭염 및 관절 치환 및 반월연

골절제술을 포함하는 여러 외과 처치로 인한 장해를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진단에 근거한 평가 방법을 다른 평가 방법과 병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기능 장해는 해부학적 변화의 분류가 어렵거나 기능적 관련성이 증명되었을 때 선

택된다 기능 장해는 맨 마지막에 평가한다 동일한 질환을 평가한 방법은 서로 병

합하지 않는다 적정 방법을 선택하거나 여러 방법을 병합하려면 판단력과 경험이

있어야 한다 정확하고 일관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입증 자료를 주의 깊게 검토

해야 한다 한 개 이상의 평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보다 높은 장해 등급이

확인되는 등급을 선택한다 상지나 하지의 장해평가에 대한 AMA 기준은 매우 논리

적이며 공신력이 있으며 아주 자세하고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합리적이다 하지만

너무 자세하고 복잡하여(상하지만 137개의 표) 따로 교육을 받지 않으면 평가할 수

없을 정도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점이 있다 특히 직관적이고 포괄적인 평가를 선호

하는 우리나라 의사들에게는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표 1〉 근골격계 장해평가표(AMA 기준 요약)

mdash mdash14

4 기타 (1514절 기준)

5 전체 국소 장해(lsquo병합장해율표를 이용하여 세로줄의 장해를 모두 병합한다)

6 전체 척추 장해(lsquo병합장해율표rsquo를 이용하여 모든 국소 장해 합계를 병합한다)

7 다른 기관 계통의 장해 각각의 장해에 대해 상태 본 지침서의 쪽수 장해율을 기록한다 장해가 발생한 기관 계통 장해율() 본 지침서 쪽수

a

b

c

d

e

8 전신 장해 lsquo병합장해율표rsquo를 이용하여 위 7항의 장해와 척추장해를 병합한다 장해가 여럿인 경우 척추 장해를 가장 큰 장해와 병합한 후 명시된 모든 장해가 반영되도록 기타의 장해값과 병합한다 전신 장해 총량 _______________________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신체장해평가 방법의 기준에 대해서는 각종 법률에 의해

정해져 있다 장해평가와 보상에 관련된 법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국가배상법 장

애인복지법과 각종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및 각종 연금법 등을 망라하여 근 20개가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대표적이고 다른 법규의 평가 기준의 모태가 되는 법은 산업

재해 보상보험법 국가배상법 장애인복지법을 들 수 있다 장해평가기준도 국가배

상법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그 근간을 두고 있으며 그 평가내용은 대개 동일하다

1 상지 장애

상지의 장애는 두 팔을 팔꿈치 관절 이상에서 잃은 사람 또는 두 팔을 영구적으

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1급)부터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

의 손가락의 말(末)관절을 굽히고 펼 수 없게 된 사람(14급)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기술이 구체적이고 비약이나 단절 없이 장해가 나열되어 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하 산재)의 신체장해등급표(시행령 별표 2)와 가장 비슷한

국내 장해평가기준은 국가배상법(이하 국배법)의 신체장해의 등급과 노동력상실율

표(시행령 별표2)이다 이 두 기준은 모두 일본법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장해등

급 분류와 항목이 거의 일치한다 그러나 장애등급 결정을 위한 세부 지침은 산업

mdash mdash15

재해보상법 시행규칙 별표 4의 신체부위별 장해등급결정에는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

나 국배법에는 없고 국배법에 제시되어 있는 노동력 상실율과 별표 3의 2개 부위

이상의 신체장해 종합평가 등급표(즉 장애 병합표)가 산재법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산재와 국배법의 장애등급이 14급까지로 분류되어 있는데 비해 국민연금(총 4급)

장애인복지법(총 6급) 생명보험(이전 총 6급 현 지급율에 따라 총 10-12등급)은

장애등급의 분류가 불명확하고 각 등급간의 차이에 대한 객관적 비교나 설명도 미

흡하다

또한 각 장해 평가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장해 내용은 서로 간에 매우 유사하

지만 해당 장해등급은 상이하다 특히 산재 장해등급의 경우 다른 장애등급표와 달

리 ldquo팔꿈치관절 이상에서의 손실rdquo ldquo손가락 장애의 세분화 된 항목rdquo 등이 설정되어

있어 다른 장해평가기준에 비해 좀 더 세세한 장해 분류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최근 개정된 생명보험사 약관의 장애지급율표와 국배법의 노동력 상실율을

비교해 보면 그 차이는 더욱 커짐을 알 수 있다 (아래 표 참조) 물론 지급율과 노

동력 상실율을 동일시 할 수는 없지만 노동력 상실율이 장애정도를 대변하듯이 지

급율도 마찬가지이므로 이 두 항목은 상당한 유사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럼

에도 국배법의 노동력상실율 생보약관 지급율 장애인복지법상 장애등급에 따른 장

애율 간에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장해의 경중이 유사한 장해끼리도

각 장해평가기준마다 조금씩 다르고 적용 등급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근골격계 장해평가의 근간이 되는 관절운동범위의 측정도 객관성이

거의 없는 능동운동범위를 측정하여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객관적인 장해평가가 매우

어렵다

산재법 시행규칙에 비교적 자세한 평가 가이드라인이 있으나 객관화된 검사법을

이용한 평가법이 거의 사용되지 않고 최신 검사나 검사법등에 대한 언급이 없는 단

점이 있다 또한 신경마비나 근 손상에 의한 장해도 능동운동 제한을 이용한 관절

운동으로 평가하는 등 객관화된 검사를 이용한 평가가 되지 못하는 것은 매우 안

타까운 일이다

mdash mdash16

상지 장애의 국내 장해평가기준 비교

장 애 상 태 국민연금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국배법

노실율()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1급 5 100

두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두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1급

(42)1급 1

2급 3

1급 6100 100

한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급 4 90

한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한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57) 2급 2

5급 2

5급 460 80

두 손의 손가락을 전부 상실하였거나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9 2급 1

3급 5

4급 6

100

90

한 손의 모든 손가락을 잃은 사람 3급 2 6급 8 55 70

한 팔의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3급 5 6급 6 7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4급 5 8급 6 30 50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4급 1 3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손가락을

잃은 사람5급 1 8급 3 25 5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6급 1 9급 10 15 40

결론적으로 산재법의 장해등급분류는 비교적 자세히 분류가 되어 있으나 장해의

경중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필요하고 일부의 경우는 매우 자세히 분류가 되어 있으

나(예 수지) 일부는 해당 항목을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점(예 근력의 정도에

따른 분류 등이 없음)과 좀더 객관화 된 검사를 이용하지 못하고 환자의 진술 능동

운동 등에 의해 평가가 된다는 점에서 장해평가표의 재구성과 객관화를 위한 가이

드라인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 하지 장애

하지의 장애 역시 두 다리를 무릎관절 이상에서 잃은 사람 또는 영구적으로 완전

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1급)부터 한 발의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1개 또는 2개

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14급)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구체적으로 장해가

나열되어 있다

mdash mdash17

장 애 상 태 국민연금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국배법

노실율()

두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두 다리를 무릎 관절 이상에서 상실한자1급 3 1급 2 1급 8 100

두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1급 5 2급 3 2급 4 100 100

한 다리를 무릎 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4급 5 90

한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2급 6 4급 5 5급 3 60 80

한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8 3급 5 5급 5 80

두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2급 10 5급 4급 7 90

한 다리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3급 6 4급~5급 6급 9 70

한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3급 9 6급 4 7급 8 40 60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을 쓸 수 없도록 장

애가 남은 자3급 10 5급 7 7급 11 6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4급 6 4급~6급 8급 8 30 50

한발의 5개발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8급 11 30 50

한발의 첫째발가락을 잃었을 때 10급 11 10 30

하지장애의 국내 장해평가기준 비교

AMA 기준은 팔의 비중이 다리의 비중보다 크다 그러나 한 팔을 팔꿈치관절 이

상에서 잃은 사람이 4급(90) 장해인데 비해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

람의 장해가 1급(100)으로 등급으로는 세 등급이 다르지만 장해율로는 10 차

이 밖에 없다 한편 사지의 관절운동 장해는 대부분의 장해가 운동범위 제한에 따

른 장해인데 운동범위 측정이 환자의 보상 심리 때문에 협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

면 부정확하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의 장해 평가 기준도 상지에서와 마찬가지로 각 장해등급표에서 제시하고 있

는 장해 내용의 유서성에 비해 해당 장해등급과 노동력 상실율 신체손상율 등은

각 장해기준마다 너무나 상이하다 특히 산재 장해등급의 경우 ldquo양측 무릎관절 이

상에서의 상실rdquo은 ldquo양측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rdquo 것과 동일

하게 1급에 해당되나 ldquo한쪽 무릎관절 이상에서의 상실rdquo (4급 5)은 ldquo한쪽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rdquo (5급 5)와 다르고 오히려 ldquo한 다리의 발목

관절 이상에서의 손실rdquo과 동일하다

즉 장해의 경중이 유사한 장해끼리도 각 장해평가기준마다 조금씩 다르고 적용

등급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근거도 알 수 없다

mdash mdash18

3 척추 장애

산업재해 보상보험법 시행령의 별표 2(2002년 6월 27일 개정)인 신체장애등급표

에서 척추의 장애는 변형장애 기능장애로 구분하고 있다 그리고 시행규칙의 별표

4(2000년 7월 29일 개정) 신체부위별 장애등급에서 보면 추간판탈출증에 대한 기

능장애로 장해평가에 대한 조건과 방법 및 준용등급에 대해서 따로 규정하고 있다

(표 2) 장애등급표의 장애항목은 lsquo척주에 뚜렷한 기형이나 뚜렷한 기능장애가 남은

사람(제6급제5호)rsquo lsquo척주에 경도의 기형이나 기능장애가 남은 사람(제8급제2호)rsquo

lsquo척주에 기능장애가 남았으나 보존적 요법으로 치유된 사람(제10급제6호)rsquo lsquo척주에

기형이 남은 사람(제11급제5호)rsquo 등으로 등급 자체가 4개 등급으로 너무 단순하

고 등급을 나누는 기준이 구체적이지 못하다 관례적으로 1분절 유합(fusion)은 8

급 2분절 유합은 6급으로 판정하는데 더 오랜 기간 더 많은 치료를 받은 뒤 더

높은 등급의 장해를 갖게 되는 기이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장애 정도에 대한 lsquo뚜

렷한rsquo lsquo경도의rsquo 등의 애매한 형용사형을 사용하고 있으며 장해평가의 시행세칙에서

각각의 평가 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형용사형의 기술에 의한 기준으

로는 장애의 객관적인 평가가 어렵다

또한 추간판탈출증에 대해서는 동법의 시행규칙에서 별도로 분류하여 평가하며

의학적 임상증상과 특수검사 소견이 일치하는 경우에 인정하고 있다 또한 수술여

부에 관계는 없으며 척추의 운동장애는 인정하지 아니하고 다만 후유신경증상의

유무와 정도에 따라 장애의 정도를 결정한다 장해평가의 기준을 보면 요통과 방사

통 등의 자각증세가 있으나 검사결과에 이상소견은 인정되지 아니하나 단순한 고

의나 과장이 아니라고 의학적으로 추정되는 경우에는 제14급으로 인정하고 자각증

세가 있고 하지직거상검사에 의한 양성소견이 있는 경우에는 제12급 근위축 또는

근력약화와 같은 임상소견이 뚜렷하고 특수보조검사에서 이상이 있으며 척추신경

근의 불완전마비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제10급 신경마비로 인하여 사지에 경도의

단마비가 있을 경우에는 제9급 2개 이상의 추체간에 추간판탈출증에 대한 수술을

하거나 하나의 추간판이라도 재수술을 하여 후유증상이 뚜렷한 경우에는 제8급을

인정한다고 시행세칙에 규정하고 있다

산업재해 보상보험법의 척추 장해평가는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척추의

장애를 크게 형태의 장애로 후만 측만과 골절정도에 의한 변형과 척추 기능의 장

애가 예상이 되는 형태의 변화로 골유합술 골절로 인한 척추운동의 제한으로 구분

mdash mdash19

장 애 상 태 국민연금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척추에 고도의 변형이나 현저한 기능장애가 남은 자 2급 4

척추의 장애로 인하여 앉아 있을 수 없거나 자기

힘으로 일어서기가 곤란한 사람2급 5

척추(등뼈)에 심한 기형을 남긴 때 50

척추(등뼈)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40

척추에 고도의 장애가 있는 사람 5급 8

척추의 기능에 중증도의 장애가 남은 자 3급 4

척추에 현저(뚜렷)한 장애가 있는 사람 6급 5 6급 5 30

척추(등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6급 5 30

척추에 기능장애가 남은 자 4급 4

척추(등뼈)에 약간의 운동장해를 남긴 때 8급 2 10

척추(등뼈)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 때 11급 5 15

하고 있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산업재해에서 많이 부딪히는 문제인 추간

판탈출증에 대해서는 따로 분류하여 이의 장해평가를 제한하고 신중히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추간판탈출증에서 주관적인 통증은 배제하려 노력하였고 방사선 검

사를 통하여 객관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신경근의 손상의 정도에 따른 신경학적

결손에 의해 척추의 장애를 평가하였다 그러나 장애 정도의 평가에 있어 장애등급

에 의한 평가로 여러 장기의 장애가 있는 복합장애를 평가함에 있어 등급의 조정은

매우 불합리하다

척추장애의 국내 기준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AMA기준은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해평가기준 중에서 지속적으로 개정 개선

되어 현재 의학 수준과 비슷한 평가가 가능한 평가방법으로 백분율인 신체장애율

로 신체장애의 정도를 표현하는 평가 기준이다

1 상지 장애

AMA 장해평가지침서의 신체손상율(impairment)과 맥브라이드 장해평가서의 노

동력상실율(disability)을 단순 비교하는 것은 옳지도 않고 그렇게 해서도 안 된다

mdash mdash20

물론 맥브라이드가 인체를 전신 상지 하지로 이를 다시 몇 개의 부분으로 분류하

여 국소부위 손상율을 전신대비 신체손상율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이

개념은 그대로 AMA에서도 사용되고 있지만 맥브라이드 장해평가의 경우 여기에

직업에 따른 장애 가중율(직업가중율 또는 직업계수)을 적용하는 점이 AMA와의 가

장 큰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전 판의 AMA 장해평가서의 신체손상율은 맥브라이드의 기본 장해율 즉 직업

계수가 적용 안 된 전신대비 장해율과 유사한 점이 많았었다 그러나 AMA 제 5판

에 와서는 이전 판에 비해 상당한 변화가 있어 책의 구성 기술뿐 아니라 장해율까

지 많은 변화가 있었다

맥브라이드식 장해평가에서 직업에 따른 노동력 상실율의 차등 적용은 일견 상당

히 일리가 있어 보이기도 한다 즉 손가락이 잘려나간 피아니스트와 축구선수의 노

동력 상실의 정도를 같다고 하는 것은 누구나 공평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의학적 관점에서 본다면 의사는 수순한 신체 손상에 대한 평가만을 하는 것이 옳다

는 주장도 있고 이것이 AMA 신체손상율이다 뿐만 아니라 맥브라이드 장해평가서

의 직업 분류에 대해서도 많은 논란이 있는데 그 당시에 있었던 직업이 현재는 없

기도 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또한 그 당시에는 상당한 육체적 기능이 뒷받침

이 되었던 직업이 현대에 와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따라서 좀더 객관적인

의학적 장애 판정을 위해서는 신체손상율을 판정하는 것이 옳을 것이라 생각된다

아래 표는 산재 보험에 해당되는 내용과 급수를 AMA 신체손상율(장해율)과 맥브

라이드의 직업계수를 적용하지 않은 기본 장애율과 일반 노동자 기준(직업계수 5)의

노동력상실율을 비교한 표이다 또한 이를 산재법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는 국가

배상법에서의 노동력 상실율(실제 내용상은 신체손상율에 가까움)과 비교하였다

AMA 신체손상율과 맥브라이드 노동력 상실율의 비교에서 맥브라이드의 기본 장

애율과는 상지의 근위부 절단과 같이 손상정도가 큰 경우는 그나마 큰 차이가 없었

으나 원위부의 경우는 매우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두 값의 비교가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AMA 신체손상율과 일반노동자 기준(직업계수 5)의 맥브라이드 장애율의

경우는 일부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비슷한 정도의 장애율을 보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손상의 정도가 국가배상법에서는 훨씬더 중하게 다루어짐을 알 수 있다

절단이 아닌 관절 장애의 경우 산재법을 비롯한 국내 장해평가기준들은 3대 관절

중 몇 관절이 포함되었느냐를 판단의 근거로 하였는데 이는 매우 잘못된 판단이다

즉 상지의 3개의 주요 관절 어깨 팔꿈치 손목의 중요성을 모두 동등하게 보고

mdash mdash21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McBride

(기본율)

McBride

(직업5)

국배법

노실율()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1급 5 6060=

84

5050=

75

5959=

8319100

두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두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3

1급 6

5757=

82

4040=

64

4949=

7399100

한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급 4 60 50 59 90

한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한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5급 2

5급 457 40 49 80

두 손의 손가락을 전부 상실하였거나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3급 5

4급 6

5454=

79

2756

2756=

4758

5439

5439=

7920

100

90

한 손의 모든 손가락을 잃은 사람 6급 8 54 276 5439 70

한 팔의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6급 6 7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8급 6 50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손가락

을 잃은 사람8급 3 5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9급 10 40

있는데 기능적으로도 장애율로도 이는 옳지 않은 평등적 평가이다 AMA뿐 아니

라 맥브라이드에서 관절에 따라 그 가중치를 다르게 하고 있어 산재법 하의 장애정

도를 이들 국외 장애 기준과 비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결론적으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비롯한 국내법의 경우 국외의 장해평가기준에

비해 기준이 모호하고 내용도 세분화 되지 못했으며 실제적인 기능적 사용의 평가

와도 거리가 멀고 외국 장해평가기준에 비해 그 정도가 심하게 평가되고 있는 경향

이 있다

상지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2 하지장애

기존의 장애판정은 해부학적인 절단위치 강직의 정도 관절운동범위 관절의 이완

및 하지 골격구조의 변형에 한정되어 있으나 제5판의 AMA의 제17장에 기술되어있는

하지 장애는 이외에도 보행이상 근력측정에 따른 약화의 정도 하지부동 근위축 관

절염 피부결손 신경계 및 혈관계이상 작열통 점액낭염 및 인공관절 치환술의 경과에

mdash mdash22

따른 장애정도의 판정 등을 첨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하지의 장애를 판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들을 병합하는 기준과 병합되지 못하는 기준도 제시되어

장애판정을 시행할 때 병합에 따른 이견을 미리 제거할 수 있는 근거를 나타낸다

장점은 기존의 기준에 비하여 의학적인 면이 세밀하게 기술되어 있어 과학적이고 객

관적이며 공신력을 가지고 있어 활용의 문제점이 없고 장애를 해부학적인 면과 기능적

인 면 그리고 진단적 방법에 의한 면으로 구별하여 장애를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으

며 시대적 변화에 따른 의학발전과 아울러 장애의 정도가 조정되어 있고 기존에 장애

판정을 시행할 수 없었던 주관적 증상에 따른 판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단점으

로는 이를 판정하는 데에 있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AMA 기준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 기준에 따른 적용방법에 대한 일종의 수련과정이 필요하여 미국

의 경우 자격증을 필요로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그러한 과정이 없는 것이 현실

이다 그러므로 적절한 수련과정 없이 이러한 기준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 기준

이 가지고 있는 객관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여 오히려 더 많은 잘못된 장애판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AMA 기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의 수련

과정이 선행조건이 된다고 판단된다 또한 신체장애율만을 평가하게 되므로 나이나 성

별 혹은 직업에 따른 상실율에 대한 보정의 형식이 없다 그러므로 사회적 환경에 따른

노동능력상실률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보정의 형식이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현

실적 참고문헌을 인용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AMA는 그 내용이 방대하기는 하지만 객

관적 평가 기준만을 원용하기 때문에 장애의 정도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것에 비해 상

대적으로 하향조정 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위해서는 타 항목을 준용하

여 합산하는 경우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장애로 생각되지 않는 경우가 장

애항목으로 예시되어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슬개골의 비전위성골절로 유합이 잘되어

있는 경우에도 진단적 항목으로 전신에 대하여 3의 신체장애율이 표기되어 있어 일

반 상식적으로 생각되어지는 장애의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도 있다 또한 평가방법이

너무 복잡하여 이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드는 단점이 있어 평가자

에 따라 항목을 임의로 정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지 말초신경손상

의 경우 손상된 신경이 지배하는 각각의 근육들에 대하여 근력평가를 시행하고 이의

정도를 다시 평가하여 병합합산하게 되어있으나 이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

므로 보행이상항목이나 근력약화의 항목을 준용하게 되고 이 경우 구체적인 신경손상

의 경우보다 적은 장애율을 나타내게 된다

mdash mdash23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 타

두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1급 8 64

두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2급 4 48~54 51~79

한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5급 3 28~32 30~54

한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5급 5 40

두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4급 7 33 51~79

한 다리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

은 자6급 9 19~24

한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7급 8 18 30~54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7급 11 17~29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8급 8 28~40

한발의 5개발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8급 11 16~18 8~34

한발의 첫째발가락을 잃었을 때 10급 11 2~8 6~22

이러한 단점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AMA방식에 따른 평가는 장애의 정도나 부위

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고 평가 기준이 객관적이며 현실적인 의료의 수준을

반영하고 있다는 가장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 적절한 사회적 보완과 현실 수준에 맞는

보정이 이루어진다면 다른 기준들에 비하여는 과학적이고 공신력 있는 기준으로 활용

될 수 있다고 보여진다

하지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3 척추장애

AMA 기준 5판은 제15장(페이지 373에서 431)에서 척추장해평가를 기술하고 있

다 5판의 척추장애의 평가기준은 이전 판에 비해 많은 변화를 보인다 이전 판에

서는 신경계통의 장애에서 별도로 기술하고 있는 척수손상에 대한 평가를 척추 장

애 장에서 기술을 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가장 큰 변화는 DRE 방법의 강화라고 할

수 있다 고전적으로 AMA 기준은 운동범위에 근거한 평가(range of motion

method 이하 ROM 방법lsquo이라 함)가 척추 장해평가의 가장 중요한 평가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었으나 장해평가에 있어 우선적으로 DRE 방법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

다 또 다른 변화로써 척추운동범위의 평가 방법의 측정기구로 각도기(goniometer)

에서 경사측정기(inclinometer)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경사측정기의 적용은 척추의

mdash mdash24

전범위 운동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 척추부의 기준부위에 정확하게 두 개의

경사측정기를 위치하여 정해진 운동방향의 운동각을 측정하게 함으로써 보다 정밀

하게 척추운동을 측정하고자 고안하였다

척추장해평가 시기는 AMA 기준의 다른 신체장기에서와 같이 의학적 최대호전시

기에 평가하도록 하였다 장애 부위는 경추 흉추 요추을 각각 평가하고 골반과 척

수의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별도로 평가하여 병합하도록 하고 있다

AMA 기준에서 DRE 방법이 척추장해평가의 일차적인 방법이다 DRE 방법은 경

추 흉추 요추 부위별로 장애의 정도를 5 범주로 분류되어 있고 각 범주에 해당

신체장애율이 제시되어 있다 각 범주 내에는 장해평가 항목이 제시되어 있고 장애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신체장애율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장애의 증상을

의학적으로 평가하여 항목을 선택하면 신체장애율을 구할 수 있는 간단 명료한 평

가방법이다 주요 적용대상은 손상(injury)에 의해 장애가 발생하였고 한 분절에 국

한된 경우이다

DRE 방법에서 장해평가에 적합한 항목을 선택하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증상과 진단검사를 통한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임상증상과 무관하게 골절

전위 등이 있는지를 방사선 검사에 근거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증상에서는 객관

적인 배부증상과 신경근병증에 유무와 정도 그리고 척추 운동분절의 소실과 관련

하여 단순방사선 촬영에서 척추의 불안정성이나 고정술 여부로 항목을 결정한다

골절은 방사선 검사에서 추체의 골절과 추체외 골절로 구분하고 있다 같은 범주내

의 장애율의 차이는 3를 두어 평가자가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ROM 방법은 척추는 다관절로 구성된 운동기관으로 신체의 다른 관절기관과 마

찬가지로 척추의 운동을 척추의 중요한 기능으로 판단하는데서 출발한다 ROM 방

법의 평가대상은 적합한 DRE 방법의 항목이 없거나 손상이 아닌 경우 다분절의

손상 재발성 그리고 법정의 요청인 경우에 평가하게 된다 여기에는 세 가지의 평

가요소를 가진다 1) 진단명에 의한 평가(accompanying diagnosis) 2) 운동 범위

의 평가(range of motion of the impaired spine region) 3) 척추신경 손상(spinal

nerve deficits)을 각각 독립적으로 평가하여 전신장애율을 구한 후에 병산(竝算)하

여 ROM 방법에 의한 척추의 최종 장애율을 산정한다

ROM 방법의 평가는 먼저 척추장애를 유발한 원인의 손상과 질환을 결정한다 이

는 진단명에 의한 평가이며 AMA 기준의 404페이지 표15-7에 있다 이 표의 진단

mdash mdash25

명의 분류를 요약하면 I 골절 II 추간판질환 및 연부조직 III 척추분리증 척추전

위증 비수술의 경우 IV 척추협착증 불안정증 척추전위증 골절 수술의 경우로

구분된다

두 번째로 운동 범위의 평가는 손상된 척추부의 운동범위를 경사측정기로 측정한

다 경사측정기는 두 기준점에 각각 경사측정기를 위치하고 수진자의 능동운동을

측정한다 요추는 굴곡신전 좌측굴우측굴의 운동범위를 측정하고 흉추는 굴곡

좌회전우회전을 측정하며 경추는 굴곡신전 좌측굴우측굴 좌회전우회전의 운동

범위를 측정한다 운동범위를 측정함에 있어 AMA 기준의 5판에서의 변화는 전술

한 바와 같이 각도기가 아닌 경사측정기를 이용하여 기준부위 사이에서 일어나는

운동범위를 측정한다 측정한 운동 측정값의 일관성(consistency)과 재현성

(reproducibility)을 담보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운동범위를 측정할 때 최

초 3번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평균값이 50도 이하면 측정값의 편차는 5도

이내여야 하며 평균값이 50도 이상이면 측정값의 편차는 10도 이내이어야만 한다

고 하였다 만일 이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운동범위에 대한 평가는 진행하지 않

도록 하였다 운동범위의 측정은 반드시 6번 이상 측정하여 연속한 3번의 측정값이

위의 편차를 만족해야만 운동범위를 제대로 평가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일관성과 재

현성은 수진자의 거짓 운동이나 평가자의 미숙함을 보완하고 운동측정값의 객관성

을 보장하기 위한 방편이다 또한 위에 기술한 통계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척추부위

별로 환자의 거짓 운동을 찾아내기 위한 타당성 검사(validity test)를 제시하고 있

다 요추에서는 SLR(straight leg raising) 각도는 천추의 굴곡각과 신전각의 합과

비슷해야 하므로 SLR 각도가 천추의 굴곡각과 신전각의 합보다 15도 이상이면

평가된 요추의 운동범위의 타당성은 없다고 하였다 흉추에서는 굴곡 검사에서 앉

은 자세와 선 자세에서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각각의 측정값이 같아야만 한다고

하였고 경추에는 특별한 타당성 검사를 기술하고 있지 않다 이렇게 객관성과 타당

성을 담보하기 위한 검증방법은 척추의 기능을 측정하는데 있어 척추 운동범위의

측정이 이론적으로는 합당하며 척추 기능의 제한을 판단하는 좋은 잣대가 될 수 있

지만 실제로 평가자와 수진자에게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오류가 발생할 가능

성이 높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반증하고 있다

세 번째로 척추신경의 손상은 충분한 신경학적 검사를 통하여 해당 척추신경의

손상부위를 결정한다 해당 척추신경의 감각과 운동에 대한 손상정도를 판단하여

mdash mdash26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 타

척추에 고도의 변형이나 현저한 기능장애가 남은 자

척추의 장애로 인하여 앉아 있을 수 없거나 자기 힘

으로 일어서기가 곤란한 사람

척추(등뼈)에 심한 기형을 남긴 때 17-53

척추(등뼈)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17-53

척추에 고도의 장애가 있는 사람 17-53

척추의 기능에 중증도의 장애가 남은 자 17-53

척추에 현저(뚜렷)한 장애가 있는 사람 6급 5 44-68 17-53

척추(등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6급 5 44-68 17-53

척추에 기능장애가 남은 자

척추(등뼈)에 약간의 운동장해를 남긴 때 8급 2 20-42

척추(등뼈)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 때 11급 5

국소장애율을 구한다 여기에서 구한 국소장애율을 상지에는 06 하지에는 04를

곱하면 전신장애율을 구할 수 있다

척추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척수손상에 대해서는 신경계의 장애에서 별도로 산정한다 AMA기준은 척추장애

를 평가하는데 있어 DRE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대부분의 척추장

애의 평가는 DRE방법으로 평가가 가능하다 평가항목을 예시하거나 평가방법을 제

시하여 해당 범주를 결정하고 그 내에서 장애율을 결정하도록 하였다 DRE방법의

문제점은 대부분의 항목이 치료후의 시점이 평가대상이 되지만 분절의 고정은 수

술전에 이미 장애정도와 장애율을 결정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척추장해평가는

근골격계 평가에 있어 매우 어려운 영역이다 해부학적인 형태학적 변화와 기능적

변화를 동시에 평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형태학적 변화는 반드시 기능적인 변화를

반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평가 기준을 제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보편적인 기준인 맥브라이드 기준을 간단히 살펴본

다 맥브라이드 기준의 척추장해평가의 항목은 I 척수의 손상을 동반하지 않은 1개

또는 2개의 추체의 골절 II 척수손상을 동반한 골절 III 척추체간 인대와 근막의

파열을 동반한 좌상 또는 염좌 IV 천요 또는 요천 증후군(sacroiliac or

lumbosacral syndrome) V 경추 또는 요추의 수핵증후군 VI 만성 류마티즘 혹

은 퇴행성 질환의 6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염좌가 장애의 평가대상이 되는 오류가

있으며 오래된 의학적 판단 기준으로 현재에 장해평가 항목으로 이용하기에는 어

려움을 가진 평가이다 하지만 장애항목을 선택하여 쉽게 노동능력상실률을 구할

mdash mdash27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백분율을 제시하고 있어 복합장애를 평가함에 있어 합리적

인 계산으로 복합 장애율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직업과 연령에 의한 보정이 가능

하다 하지만 노동능력상실률을 구하는데 있어 비의학적인 평가의 부분으로 단지

직업 연령만이 고려되어 있는 문제가 있다

현재까지 개발되어 있는 척추의 장해평가기준도 이상적인 방법은 없다고 보인다

하지만 형태학적인 면과 기능적인 면을 모두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의 개발이 필

요하며 AMA기준이 이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근골격계의 장해평가는 다른 부위에 비해 비교적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팔

다리의 장해는 변형 절단 강직과 마비 등 외적 형태 변화가 뚜렷하고 해부학적으

로도 손상이나 장해의 정도를 비교적 쉽고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감정의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외견상 쉽게 확인되는 변형 절

단을 제외하고는 이학적 신경학적 검사에서 피검자의 솔직한 협조가 없으면 정확

한 장해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예를 들어 관절운동범위의 측정에서

수동적 관절운동범위 측정도 피검자가 통증을 호소하면서 검사하고자 하는 반대 방

향으로 힘을 가하면 정확한 운동범위를 측정하는 것이 어려운데 이를 능동적 관절

운동범위로 평가하는 것은 환자의 솔직한 협조를 담보하지 않고는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한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장해평가기준들은 모두 능동관절운동에 의한 관절운동

범위를 장해평가의 기준으로 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객관적 검사법(예 방사선 검사

근전도 검사 등)에 의한 장해평가방법의 개발 적용에 힘써오지 않고 있었다 이 점

이 동일한 장해 장애인에 대해 검사자에 따라 너무나도 상이한 장해율을 보이게

되는 주요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비해 AMA 장해평가지침은 비교적 객관화된

검사법을 장해평가에 이용하려고 하는데 국내의 장해평가기준도 그 기준의 개선뿐

아니라 평가법의 객관화를 위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비롯한 국내 장해평가기준의 경우 신

체손상의 정도(장해율)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그 분류가 세분화 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체계화 되어 있지도 못하다 또한 국내법 간에도 같은 장해에 대해 비슷

mdash mdash28

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으면서도 서로 다른 장해등급으로 평가되기도 하고 장해의

중한 정도가 서로 간에 역전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 등 조속한 시일내에 이에 대한

전반적인 재조정이 필요하다

맥브라이드 방식과 AMA 방식의 장애(해)평가에 유사성과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

는 근골격계 장해평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절단 강직 근약 등 비교적 다

른 부위보다는 두 장해평가방식의 차이가 적은편이다 현 시점에서 두 평가법을 비

교한다면 AMA 방식이 분명 객관적이고 보다 정확한 장해평가법이라고 생각되나

그 사용의 복잡함이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생각된다

향후 개발 개선되어야 할 국내 장해평가기준은 감정의나 피검자 모두에게 쉽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보다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한국형 장해평가기준

의 확립이 필요하다

mdash mdash29

제 2 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3)

I 서 론

1 일반현황

2 산재보험의 내부 장기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II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문제점에 대한 요약

2 음주 및 간질환의 예

3 뇌심혈관질환에서 ldquo과로rdquo 개념의 규정 예

III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IV 산재 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V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VI 결 론

3) 정두신(신경과) 강세훈(일반외과) 김준성(재활의학과) 김형수(산업의학과) 이숭덕(법의학과) 진동규(내과)

mdash mdash31

I 서 론

1 일반현황

산재보험 및 보상 분야중 장해 평가 분야에 있어 업무상재해란 업무상의 사유에

의한 근로자의 부상 질병 신체 장해 또는 사망과 같은 상병 등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재해성 질병과 직업성 질병 (직업병)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림 2-1) 내부 장기 영역

은 재해성 질병 중 부상에 기인하는 이차적 질병이나 직업성 질병 (직업병)중에 직

업 관련성 질환의 항목 들이 주로 해당되고 있다 미국의학협회의 장해평가기준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ition)에서 내과 계

열은 제 3장 심혈관계 심장 및 대동맥 (심장판막 질환 관상동맥 질환 선천성 심

장 질환 심근병증 심막성 심장 질환 부정맥) 제 4장 심혈관계 전신 동맥 및 폐

동맥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 대동맥 질환 팔다리에 영향을 미치는 혈관계 질환

폐동맥 질환) 제 5장 호흡기계 (천식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과민성 폐렴 진폐증

폐암) 제 6장 소화기계 (상부 소화관 결장과 직장 및 항문 장피 누공 간 및 담

도계 헤르니아) 제 9장 조혈기관계 (빈혈 적혈구 증가증 및 골수섬유증 백혈구

질환 또는 백혈구 비정상증 출혈성 및 혈소판 질환 혈전 질환) 제 10장 내분비

계 (시상하부 - 뇌하수체 축 갑상샘 부갑상샘 부신피질 부신수질 췌장 생식샘

젖샘 대사 및 골 질환)에서 다루어진 질환들과 분류를 기초로 현재 우리나라 산재

보험 분류상의 비교와 이를 기초로 한 평가 및 요약으로 우리나라 현실에 합당한

상대 가치 평가를 위한 설문 항목 개발을 위한 사전 조사를 시작 하였다

mdash mdash32

〔그림 2-1〕 업무상 재해

2 산재보험의 내부장기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산재보험에서 장해평가시 신체 기관 또는 체계에 특정한 제한이 생겼다면 이를 정확

하고 일관되게 측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의사들

에게 제공된 지침은 그 내용이 매우 불분명하고 판정하는 사람에 따라 비슷한 상태에

서도 서로 다른 등급이 판정되기도 하여 평가자 보험 사정인 관련 행정기관 모두에게

불신이나 불필요한 추가 비용 부담을 안겨 주기도 하고 비슷한 수준의 장해에서 등급

평가상의 불일치는 평가 대상자들에게 비의학적 요인에 근거를 둔 불필요한 분노 의

심 적대감 소송 행위의 원인이 될 때도 있다 더욱이 기초 질환과 기존 질병에 대한

뚜렷한 정의 없이 업무와 관련이 없는 개인의 질병이 악화된 상태까지 업무상 질병

으로 인정하는 사례가 많이 있어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장해평가 과

정 전반을 더욱 정교하게 개선하여 평가 결과의 통일성을 높임으로써 보다 높은 수준

의 일관성 보편성 그리고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장해평가 과정에

일관성 및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AMA 가이드 의 방법론을 참조하여 우리

나라 현실의 제도를 보완하고 공통의 업무상 상해 및 등급 판정 문제에 관한 명확한 정

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업무상 요인이 기존 질병과 기초 질환을 어느 정

도 악화시켜야 산업재해로 인정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없기 때문에 근로

자 병의원 공단의 산재인정 결정에 혼선을 주고 있다 미국 OSHA의 경우에는 환

경에서 발생된 사고나 근로 환경에 노출로 인하여 기존 (pre-existing)의 재해나

질병이 악화 (aggravated) 되었을 경우 업무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

나 기존 재해나 질병의 ldquo악화 (aggravation)rdquo는 매우 광범위한 용어로서 2001년도

에 ldquo중대하게 악화 (significantly aggravated)rdquo된 경우로 수정하였다 이 규정은 기

mdash mdash33

존 재해와 질병 모두에 적용되고 있다 중대하게 악화된 경우란 응급 치료 이상의

치료 작업의 제한 또는 다른 작업으로 전출된 경우 병가를 받은 경우 의식을 잃

은 경우 사망한 경우 뿐 아니라 담당 의사가 심각한 상태로 진단한 경우로 규정하

고 있다 그리고 업무 요인 (occupational factor)과 개인적 요인 (personal factor)

이 서로 중복되어 재해나 질병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이 있어 업무적 요인이 명백한

경우에도 개인적 요인과 비교하여 ldquo업무 연관성rdquo 여부를 쉽게 판정하지 못하는 경

우가 있다 기존 질병이나 재해가 중대하게 악화되는 데 51 이상 기여한

(contributed) 경우로 추정되는 경우 ldquo업무 연관성rdquo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Ⅱ 산업재해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산업재해에서의 내과계 영역의 장해평가와 등급은 lsquoAMA 가이드rsquo와 같이 따로 일

목 요연 하게 분류 되어 있지는 않다 다음의 표 2-1과 같이 요약 된 자료를 참고

해 볼 수 있으며 그 내용도 흉복부장기의 기능 이란 표현으로 대부분의 내용을 함

축하고 있으며 고환 비장 및 신장이라고 일부 장기가 언급 되어 있다

1 문제점에 대한 요약

기왕증은 업무상 원인에 의하여 중대하게 악화될 때에만 인정되어야 한다 현행 업

무상 질병인정 요건을 규정한 산재보험법 시행규칙 제33조의 제2항제3호에 의하면

ldquo기초 질환 또는 기존 질병이 있는 근로자의 경우 그 질환 또는 질병이 자연 발생

적으로 나타난 증상이 아닐 것rdquo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근골격계 질환과 뇌

심혈관 질환과 같은 작업관련성 업무상 재해의 경우에는 기존 질환의 악화 여부 및

업무상 원인 때문에 기존 질환의 악화되었는지에 대한 의학적 판단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신 질환과 뇌심혈관 질환은 원칙적으로 급작스러운 업무적 쇼크에 의

하여 발생될 경우에만 인정하도록 되어 있다 우리의 생활 전체가 스트레스의 원인

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업무와 업무외 생활 요인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구분하

기가 쉽지 않으며 두 요인들은 서로 상호간에 스트레스를 상승 혹은 완화 시킬 수

도 있다 뇌심혈관 질환은 만성적인 원인에 의하여 발생한 경우 업무 기인성과 생

mdash mdash34

활 요인 및 개체적 요인과의 구별이 매우 곤란하고 또한 만성적 질병은 일상생활

에서 개별 근로자가 건강관리를 소홀하게 한 경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산재

인정을 위해서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만성적 요인에 의한 작업관련성 질환은 매

우 제한적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구체적 기준과 업무 평가성을 판단하기 위한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 준비 되어야 하고 또 이러한 상황이 인정 된다 하더라도 올바른 방법으로

정확하고 객관적이며 우리 현실에 맞는 장해평가 항목과 절차가 준비 되어야 한다

2 음주 및 간장 질환의 예

음주에 관한 업무상 간 질환은 특정 업무 종사자로 한정하고 구체적 사실이 있을

때에만 인정해야 한다 알코올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간 질환을 발생시키거나 악화

시키며 간장 질환 환자가 음주를 하게 되면 기존 간장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가 감

소될 뿐 아니라 음주 자체로 기존의 간장 질환이 더욱 악화된다고 알려져 있다 근

로복지공단이나 법원의 결정에서는 간장 질환을 일으키는 음주 행위와 업무의 상관

성 분석도 매우 중요한 평가 요소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

요하다 업무 수행성의 요건으로 업무상 음주 행위를 할 수밖에 없는 경우는 직업

군을 우선적으로 선별해야 한다 기존 법원의 판례는 업무적 요인에 의한 음주 행

위의 범위를 직업군에 상관없이 주관적이며 포괄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법원의 판례가 더 이상 누적되기 전에 소위 lsquo술 상무rsquo라고 일컬어지는 대

외 영업직을 중심으로 음주가 업무에 반드시 필요한 직업군을 선별해야 한다 B 형 간염

보균자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한 관리 지침을 만들어 만성 B형 간염보유자

에 대한 건강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법원의 업무상 재해인정 판결 여부의 판례 등으로

인한 혼동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여건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3 뇌심혈관질환에서 ldquo과로rdquo 개념의 규정 예

뇌혈관 질환 및 허혈성 심장 질환 등은 원래 노동 장소에서 특정한 위험 유해 인자에 기인하여 생

기는 직업성 질병과는 본질적으로 달리 업무 이외의 원인에 의해 그 많은 수가 발병하는 것이 특징

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ldquo근로자의 업무량과 업무 시간이 발병 전 3일 이상 연속적으로

mdash mdash35

일상 업무보다 30 이상 증가 되거나 발병 전 1주일 이내에 업무의 양시간강도책임

및 작업환경 등이 일반인이 적응하기 어려운 정도로 바뀐 경우를 말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일본은 장기간은 발병 직전 1개월에 100시간 2개월 이상에서는 평균 월 80시

간의 초과 시간을 근무한 경우이며 단기간은 업무량 업무내용 작업환경 등을 고려하

고 동료 노동자 또는 동종 노동자에게도 특히 과중한 신체적 정신적 부하로 인정되

는가의 관점에서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표 2-1〉 산업재해보상보험법시행령 신체장해등급표(제31조제1항 관련)4)

제1급

1 두 눈이 실명된 사람

2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모두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3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4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5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6 두 팔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7 두 다리를 무릎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8 두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제2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2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02이하로 된 사람

3 두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 두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5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제3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6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3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

4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

5 두 손의 손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제4급

1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06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3 고막의 전부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사람

4 한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 [일부개정 20041029 대통령령 18573호][별표 2] lt개정 2000627 200357gt

mdash mdash36

5 한 다리를 무릎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6 두 손의 손가락을 모두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7 두 발을 리스푸랑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제5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2 한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3 한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 한 팔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5 한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6 두 발의 발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7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8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제6급

1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1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3 고막의 대부분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이 모두 귓바퀴에 대고 말

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4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5 척주에 뚜렷한 기형이나 뚜렷한 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6 한 팔의 3대 관절중 2개 관절이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7 한 다리의 3대 관절중 2개 관절이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손의 5개의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4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제7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2 두 귀의 청력이 모두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3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4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

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

6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이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7 한 손의 5개의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4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 발을 리스푸랑관절 이상에서 잃은 사람

9 한 팔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10 한 다리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11 두 발의 발가락이 모두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외모에 뚜렷한 흉터가 남은 사람

mdash mdash37

13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

제8급

1 한 눈이 실명되거나 한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2 척주에 경도의 기형이나 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3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4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이나 둘째손가

락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5 한 다리가 5센티미터 이상 짧아진 사람

6 한 팔의 3대 관 절중 1개 관절이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7 한 다리의 3대 관 절중 1개 관절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 팔에 가관 절이 남은 사람

9 한 다리에 가관 절이 남은 사람

10 한 발의 5개의 발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11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제9급

1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6이하로 된 사람

2 한 눈의 시력이 006이하로 된 사람

3 두 눈에 모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4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5 코가 결손 되어 그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6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7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8 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9 한 귀의 청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1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3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한 발의 엄지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 이상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3 한 발의 발가락을 모두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4 생식기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15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

1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

제10급

1 한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3 14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4 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5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6 척주에 기능장해가 남았으나 보존적 요법으로 치유된 사람

7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2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mdash mdash38

8 한손의 엄지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3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9 한 다리가 3센티미터 이상 짧아진 사람

10 한 발의 엄지발가락 또는 그 외의 4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 팔의 3대 관절중 1개 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12 한 다리의 3대 관절중 1개 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제11급

1 두 눈이 모두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거나 또는 뚜렷한 운동기능 장해가 남은

사람

2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3 한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4 한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5 척주에 기형이 남은 사람

6 한 손의 가운데손가락 또는 넷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7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2개의 손

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 발의 엄지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 이상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9 흉복부장기에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10 10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11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2급

1 한 눈의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거나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2 한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3 7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4 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 된 사람

5 쇄골 흉골 늑골 견갑골 또는 골반골에 뚜렷한 기형이 남은 사람

6 한 팔의 3대 관절중의 1개 관절의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7 한 다리의 3대 관절중의 1개 관절의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8 장관골에 기형이 남은 사람

9 한 손의 가운데손가락 또는 넷째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0 한 발의 둘째발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둘째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3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 발의 엄지발가락 또는 그 외의 4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국부에 완고한 신경증상이 남은 사람

13 삭제 lt200357gt

14 외모에 흉터가 남은 사람

제13급

1 한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2 한 눈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3 두 눈의 눈꺼풀의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mdash mdash39

질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

심혈관 증상(예 피

로감 심계항진 호

흡곤란 흉통 등)

및 일반 증상이 기

능 및 일상 활동 능

력에 미치는 영향

변화가 예상된다면

그 예후 진료기록

검토

포괄적인 진찰 상

세한 심혈관 체계

평가

관련 검사로부

터 추출한 데이

터(예 ECG 심

장초음파검사

스트레스 테스

트 심장카테터

삽입)

종말기관 손상

및 장애 등 후

유증의 평가를

포함한다

모든 관련 진단을 기록

한다 상태가 치료에 의

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

달했는지 살핀다 아직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상태가 되어야 도달한

것으로 인정되는지 언

제쯤 이런 상태에 도달

할 수 있는지 논의한다

판막성

증상 및 이로 인한

신체 활동의 제한

(예 앙기나)에 관

해 논의한다 심박

출량 폐울혈 및 전

신 울혈을 다룬다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도플러 심장초음

파검사 또는 심장

카테터 삽입

울혈 또는 기능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관련 기관의 평

가(예 폐 신장)

대동맥 또는 승모판 협

착증 승모판 탈출증 대

동맥 또는 승모판 역류

대동맥 및또는 승모판

질환 심실 기능이상

4 5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5 한 손의 새끼손가락을 잃은 사람

6 한 손의 엄지손가락의 지골의 일부를 잃은 사람

7 한 손의 둘째손가락의 지골의 일부를 잃은 사람

8 한 손의 둘째손가락의 말관절을 굽히고 펼 수 없게 된 사람

9 한 다리가 1센티미터 이상 짧아진 사람

10 한 발의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1개 발가락 또는 2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발의 둘째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둘째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3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흉부장기에 진폐증의 소견이 있는 사람

제14급

1 한 눈의 눈꺼풀의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2 3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3 팔의 노출된 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4 다리의 노출된 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5 한 손의 새끼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6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손가락의 지골의 일부를 잃은 사람

7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손가락의 말관절을 굽히고 펼 수 없게 된 사람

8 한 발의 가운데 발가락이하의 1개 또는 2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9 국부에 신경증상이 남은 사람

10 삭제 lt200357gt

11 한 귀의 청력이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표 2-2〉 심혈관계 장해평가 요약 심장 및 대동맥

mdash mdash40

관상동맥

(CHD)

협심증 심실 기능

저하 피로감으로

인한 신체 활동 제

한 심계항진 호흡

곤란 협심증통

상세 병력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심장 혈관조영

술 흉부X선

ECG EF 휴식

시 또는 운동 전

후에 검사 실시

관련 기관 평

가(예 뇌 폐

신장 눈 말초

혈관계)

MI 협심증 관상동맥 혈

관경련 심실 기능상실

선천성

호흡곤란 피로감

심계항진 종말기관

기능 이상에 따른

증상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ECG 흉부X선

방사선동위원소

검사 심장초음

파검사 혈류역

학 측정 혈관조

영술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판막협착 사이막 결손

판막 기형 팔로씨 사징

엡스타인 기형 혈관 전

위 아이젠멩거 콤플렉스

심근병증

운동호흡곤란 앙기

나 실신 폐 또는 전

신(全身) 기관 울혈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심장초음파검사

ECG 흉부X선

심실 기능이상 동

적 유출로 폐쇄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확장 또는 울혈 비대

제한적

심막성

흉통

활성 염증 및 ESR

증가에 주의한다

박동율 리듬 심

장음(심막 잡읍

확장초기 노크음)

및 기타 기관 기능

등에 주의한다

ECHO 심막 삼

출 비대 또는

석회화 CT 또는

MRI 스캔상의

심막비대 심장

카테터삽입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협착 또는 특발 심장막

염 눌림증 종양 심막 삼

출 심막 손상

부정맥

실신 무력감 및 피

로감 심계항진 현

기증 가슴을 누르

는 듯한 느낌 숨참

박동율 리듬 심

장음에 주의한다

부정맥을 검사 등

을 통해 확인하고

발생 빈도를 측정

한다

ECG 조기박동

빠른 맥박수

심장초음파상

심방비대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실신 VT 심방 잔떨림

완전 심장 차단 조기박

질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

일상 활동에 제한

을 주는 기능 장애

정도를 판정한다

경정맥압 경동맥 및

말초 혈관 맥박에

관한 진찰 소견 심

장 및 폐 검사 복부

검사 안저검사 누

운 자세 앉은 자세

서있는 자세에서 측

정한 혈압

관련 검사(예

ECG 심장초음

파상 부하검사

심장카테터삽입

등)에서 얻은 데

이터

종말기관 손상

및 장애를 포

함한 후유증

평가

모든 관련 진단을 기록한

다 치료에 의한 최대 호

전 상태에 도달했는지

확인한다 도달하지 않았

다면 언제 어떤 조건 하

에서 안정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지 설명한다

고혈압

심장 신장 및 뇌

혈관 제한을 증명

하는 증상을 규명

한다

포괄적 검사 종말

기관 질환을 주의

하여 살핀다

ECG 심장초음

파상 부하검사

카테터삽입 혈

청 BUN 및 크레

아티닌 소변검

사 및 요단백 배

설 크레아티닌

청소 또는 GFR

평가 신장 초음

파 머리 CT 또

는 MRI 스캔 혈

관조영술

심장 눈 신장

뇌 단백뇨 크

레아티닌 상승

크레아티닌 청

소 감소 및 비정

상 요침전물의

감시

silver-wiring

및 동정맥교차

변화를 포함하

는 funduscopic

변화

고혈압 좌심실 비대 고

혈압 비대심근병증 고혈

압 관련 수축기 심장기

능살실 고혈압 관련 확

장기 심장기능상실 고혈

압 콩팥경화증 고혈압뇌

병증 뇌졸중 TIA

대동맥 일상 활동의 장애 포괄적 검사 가슴경유 심장 심장 대동맥 대동맥 동맥류 가슴 또는

〈표 2-3〉 심혈관계 장해평가 요약 전신 동맥 및 폐동맥

mdash mdash41

질 환

심장 및 말초 혈관

기능 장애를 규명

한다

초음파검사 및

식도경유 심장

초음파검사 CT

및또는 MRI 영

상 검사 대동맥

혈관조영술

복부 대동맥 박리 대동맥

축착 대동맥 죽경화증

대동맥 판막 역류 참조

말초혈관

질환

일상 활동의 제한

정도를 포함하는

상세한 병력

포괄적 검사

부하검사 발목-

위팔 압력지수

및 피부통과 산

소측정 말초 혈

관조영술 색소

또는 초음파도

플러 정맥 영상

대조 또는 표지

마커를 이용 림

프관 진단

팔 및 다리

레이노 현상 혈관의 궤

양형성 절뚝거림 대동맥

을 제외한 동맥류 허혈

손발가락 절단 괴저 및

폐쇄성 혈전혈관염 부

종 경화울혈 피부염

연조직염 궤양형성 및

혈전증을 포함하는 정맥

질환 림프부종 림프관

염 및 연조직염을 포함

하는 림프관 질환

폐순환

질환

기능 장애 과거의

치료 상의 문제

투약 또는 직업 환

경 등에 관한 상세

한 병력

포괄적 검사

심장초음파검사

폐동맥 혈관조

영술 CT 또는

MRI 영상

심장 및 폐손

상 평가

일차 및 이차 폐동맥고

혈압 폐동맥색전증 폐정

맥폐쇄증 폐정맥협착

질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반

호흡 증상(예 기

침) 일반 증상 기

능 또는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

는 영향 변화가 예

상된다면 그 예후

진료 기록 검토

포괄적인 이학적

검사 호흡기계통

상세 진단

관련 검사로부

터 도출한 데이

터(예 폐 기능

검사)

종말기관 손상

및 장해를 포함

하는 후유증 평

가를 포함한다

모든 관련 진단을 기록한

다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했는지 확인

한다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조건하에서 언제 안

정될 것인지를 논의한다

폐쇄

질환

호흡곤란 기침 가

래 염증 투약 운동

내성

호흡음 쌕쌕거림

큰 P2 경정맥 확

장 오른쪽 심장

융기

폐 기능 폐활량

검사 폐 용적

확산능 메타콜

린 유발 방사

선 사진

관련 기관(예 심

장기능 폐심장

증)을 평가한다

천식 만성 기관지엽 폐공

기종 기타 폐쇄성 질환

제한

질환

호흡곤란 기침 피

로 가래 운동내성

흉벽 운동 수포음

곤봉증

폐 기능 폐활량

검사 폐 용적 확

산능 영상 검사

심장 기능을 평

가한다

특발 폐섬유증 석면증 진

폐증 흉벽 질환 기타

폐암

운동내성 호흡곤

란 흉통 피로 체중

감소 흡연 유해 환

경 노출

흉벽 운동 수포음

곤봉증 선병증

기관지경술 폐

기능 검사 생검

다른 기관 평가

전이 징후

편평세포 샘세포 소세

포 등

〈표 2-4〉 호흡기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2

질 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반

위장 증상(예 식욕 변화 통증 설사 등)및 전신 증상 증상이 기능 및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 그 예후 진료 기록

전반적 이학적 검사 상세한 위장 계통 평가

관련 검사에서 추출한 데이터(예 바륨삼킴 상부 또는 하부 내시경검사)

종말기관 손상 및 장해를 포함하는 속발증 평가

모든 관련 진단 기록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한다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상태에서 언제 도달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식도 질환

고형식 및또는 유동식 연하곤란 위식도역류 과거 근위 위절제술 또는 간치술확장술 및또는 약물투여 요함 흡인 병력 신체 활동 제한

체중 감소 증가 증상의 지속기간피부경화증 또는 기타 중간엽 질환이완불능증 또는 광범위 연축으로 인한 과거 운동성 검사

협착 부위 및 정도 근위 식도는 확장되었나내시경검사소견 및 생검 결과

운동성 검사 결과 치료에 대한 반응 식도 부목 또는 간치술의 필요성 확장술 빈도

염증성 협착을 수반한 GERD 악성변화가 있거나 없는 Barett 식도피부경화증 속발 협착이완불능증 광범위 연축 Zenker 게실

위 질환

구토 체중감소 과거위절제술 덤핑 증세 궤양 또는 내분비병증 가족력궤양유발 약물(NSAIDS ASA) 사용 경험 신체 활동 제한

체중감소 신경병증이 있는 당뇨병

위 오목 주머니 크기 위-공장 amastomosis 부위 및 기능 내시경에 의한 구조 평가 운동성 검사

음식 조절에 대한 반응 항분비제 위장운동촉진제 시험 투여

위절제술 후 상태당뇨병위마비Zollinger-Ellison 증후군위장염전이 있는 식도곁탈장

소장 질환

설사(빈번하고 야간에 발생) 복부 급통증 및 팽만 장염전 병력 출혈 비열대스프루 및 운동 장애 가족력 체중감소 과거 수술 경험활동 제한

체중감소 확인 복부팽만 덩이 항문 주위 질환 관절병증 포진피부염 있음

바륨 검사 고위관장법 검사 공장 배양 및 점막 생검 항글리아딘 항체 운동성 검사 무손상 소장 길이(200cm 이상 또는 이하인지 추정한다)

철분 B12 흡수 장애 엽산 강직 자라지 못함 글루텐 제한에 대한 반응 비경구적 영양법

비열대스프루 림프종 합병증 발병 가능성 있음국소 장염크론병 허혈 장질환 방사선 장염 만성 가성폐홰 기계적 폐쇄 (유착)

췌장 질환

급성 췌장염 병력(객관적 증거 있음) 빈도 지속 기간 관련 황달 욕지기 식욕부진 음주 통증 관리의 적정성 위장 출혈 (비장 정맥 혈전증) 연관 만성 폐질환 (낭성 섬유증)

복부 덩이 누공 담석 병력 체중감소의 증거 황달

췌장 및 담도 초음파검사 십이지장 통과 초음파촬영술 CT 스캔 ERCP 지방변 측정 석회화를 보여주는 복부 단순촬영사진 등을 고려해 본다 낭성 섬유증을 배제하기 위한 땀 나트륨 검사

지방 소화불량 및 흡수장애의 정도 당뇨병복강신경총 및또는 내장 차단

알코올췌장염만성재발췌장염담도 질환 속발 췌장염낭성 섬유증

대장 질환

결장 수술 병력(잔여 길이 연결술의 성격) 출혈 수혈의 필요성대변 배설 빈도 습관(야간 실금)복통 체중감소 활동 제한

복부 덩이 항문 주위 질환 누공 관절병증

S상 결장경검사 결장내시경술바륨검사 점막 생검 배변검사 운동성 조임근 활동 양성 EMG

통제불능의 설사 처치곤란한 변비 거대결장증

염증장병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회장누공 설치술 및 결장절제술 또는 회장항문낭연결술

〈표 2-5〉 소화기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3

간 질환

음주(과거 현재) 과거 간독성 약물 사용 복수 부종 황달 철분과다증(중복 수혈) 위장 출혈 병력 가려움증 원발담관성간경화증 신체 활동 제한

만성 간 질환의 피부 및 안구 징후 복수 부종 피부 색소침착(혈색소침착증) 과거 간 부위 외과 수술 증거 눈(眼)의 Keyser-Fleischer 고리 궤양성 결장염 증거 황색종증

혈색소단백질 프로트롬빈 시간을 포함하는 영양 상태 혈소판 완전한 간염혈청학적 지표를 포함하는 원인 검사 신장 기능 HIV 검사 혈색소침착증이 있으면 당뇨병 (혈청 철분 및 페리틴 포화 항트립신) AMA 유전 및 침윤 질환은 제외한다 (예 아밀로이드증 사르코이드증 다낭질환) 구리 검사

출혈에 대한 CNS 내성체액 및 염분 과다 췌장 기능부족 이차 발생 간암 처치곤란 프로트롬빈 시간 연장 혈소판 결손 백혈구 감소증

알코올 간 질환 경화증 간암 간염후간경화증(과거 HBV HCV) 혈색소침착증 윌슨병원발 담관성간경화 경화담관염

담도 질환

과거 담도 수술담낭염 삽화 담도급통증 황달 빌리루빈 대사 기능이상 가족력 출혈 가려움증

과거 용해 치료 및또는 쇄석술 황달긁은 자국 비장비대 복부누공

초음파검사ERCP 필요한 경우 담관조영술프로트롬빈 시간

폐쇄증 완화후 지속적 고빌리루빈혈증 수술 소견

담관협착 매복담석 경화담관염 원발 담관성 간경화

헤르니아체위 변화와관련된 불편감 통증 신체 활동 제한

복부 돌출 또는 부기

방사선사진 CT 스캔

장 또는 그물막 꼬임

복벽 헤르니아 배꼽 헤르니아 절개헤르니아 서혜헤르니아 대퇴헤르니아

질 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

종말기관 장애 증상 심혈관(예 피로감 심계항진 흉통) 호흡기(예 숨참) 감염 일반 증상 기능 및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의 예후 진료 기록 재검토

영향을 받는 종말기관을 집중적으로 평가하는 포괄적 진찰

관련 검사 전혈구계산 혈청검사 뼈 림프절 생검

종말기관 손상 및 장애를 포함하는 후유증 평가 포함

모든 관련 진단의 기록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살펴야 함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조건에서 언제 도달할 수 있는 지 규명한다

적혈구

증상(예 운동시 숨참 현기증 두통 피로감) 이로 인한 신체 활동 제한 또는 합병증(예 앙기나)

다른 기관 기능이상(예 뇌 심장 신장)

전혈구계산 혈색소 전기이동 등

관련 기관의 울혈 또는 기능이상 평가(예 심장 폐 신장)

빈혈 겸상적혈구 용혈 만성 질환 적혈구증가증

백혈구 피로 빈번한 감염상세한 병력(예 감염 등)

전혈구계산 등

관련 기관 평가(예 심장 폐 신장 림프절)

백혈병 림프종

혈소판잇몸 입 위장관 요로의 비정상 출혈외상 발생시 지혈

코출혈 점상출혈 자색반 잠재 대변혈 비

혈소판 수치를 포함하는 전혈구 계산 출혈 시간

출혈로인한 것

면역혈소판감소자색반(ITP) HIV 또는 약물 관련 저혈소판증 혈전저

〈표 2-6〉 조혈기관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4

불량 비정상 혈액 응고 가족력

장비대 혈전증 증거

관련 혈소판 응집 검사(다른 응고 질환을 배제하기 위한 프로트롬빈 및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수치

혈소판증(TTP) 척수형성이상증 백혈병 혈소판 기능 질환 본태고혈소판증

혈전관련

혈소판 수치 포함하는 전혈구 계산 출혈 시간 프로트롬빈 및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섬유소원 인자 수치

출혈 혈관절증 또는 신경충돌로 인한 것

혈우병 인자 결핍 빌레브란드 병 dysfibinogenimia 파종혈관내응고

질 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성장의 변화 피로 쇠약 욕지기 과민성 등

신장 체중 혈압 맥박 피부온도 피부결 수분 근력 및 질량

아래 해당란참조

종말기관 손상 및 장해를 비롯한 후유증의 평가 포함

관련 진단 모두 기록함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함 도달하지 않았다면 언제 어떤 조건 하에서 안정 상태를 기대할 수 있는지 설명하여야 함

시상하부-뇌하수체 축

월경 주기 젖분비과다 다뇨 피로 쇠약 두통 등의 증상을 설명함

유방 배출물 확인 시야검사 및아래에 명시한 목표 기관의 평가

프로락틴 성장 호르몬 IGF-1 요(尿)비중 혈청 삼투질 농도 뇌하수체 CT 또는MRI 목표 기관의 기능

난소 고환 갑상샘 부신 골격 및 심장 등과 같은 관련 기관의 기능이상 치료에 대해 정도의 차이가 있더라도 자주 가역 반응을 보이는가

요붕증 프로락틴샘종 말단비대증 쿠싱 병 범뇌하수체저하증 또는 하나 이상의 뇌하수체 호르몬 결핍

갑상선

피로 쇠약 정신 작용 지체 냉(冷) 또는 열(熱) 불내성 불안 체중감소 심계항진 안구돌출 복시와 같은 눈의 변화 갑상샘종 배변 습관 변화

아킬레스건 반사 갑상샘 크기 및 소결절형성 떨림 불안 또는 굼뜬 동작 눈 돌출

혈청 프리 티록신 총 트리요오드티로닌 및 TSH 방사성 요오드 섭취율 및 갑상샘 스캔 갑상샘 초음파 갑상샘 결절 미세침 흡인

안근 및 안와 후부 조직 치료하면 회복되는 기타 종말기관 기능이상

갑상샘과다증 갑상샘저하증 갑상샘 결절 갑상샘종 암종

부갑상선

피로 쇠약 욕지기 다뇨 신장 결석 근육과민성 감각이상 강직 발작

크보스테크 징후 및 트루소 징후

혈청 칼슘 인 부갑상샘 호르몬요중 칼슘 배출 신장 초음파 골밀도 계측 초음파 MRI 부갑상샘 Sestamibi 스캔

신장 골격부갑상샘저하증 부갑상샘 부갑상샘항진증

부신피질

쇠약 쉽게 멍듬 조모증 여드름 체중 증가 우울증 월결불순 진균 감염

혈압 체중 및 체중의 신체 분포 피부 근력 부종

혈장 코르티솔 및 알도스테론 요중 코르티솔 배출 코르티솔 억제 및

골격 골절 여부치료하면 회복되는 기타 종말기관 기능이상

아디슨 병 쿠싱 징후군 성인기 발병 부신 과다형성

〈표 2-7〉 내분비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5

자극 테스트 혈장 ACTH 기타 스테로이드 대사물 혈청 전해질 요중 17-KS 배출 골밀도 계측 복부 CT 또는 MRI 검사

부신수질두통 심계항진 발한 불안 및 쇠약

혈압 맥박

요중 카테콜라민 및 그 대사물 측정 혈장 카테콜라민 및 클로니딘에 대한 억제 반응 부신 CT 또는 MRI 검사

심한 고혈압으로 인한 뇌혈관 사고 여부

갈색세포종

췌장(랑게르한스

섬)

다뇨 다음증 체중감소 쇠약 발한 빈맥 흐린 시력 착란 의식불명 경련 당뇨병 종말기관 기능이상 관련 증상(예 눈 신장 신경계 심장 혈관계통)

혈압 맥박 체중 피부 눈 신경계 심장 맥박

혈장 포도당 인슐린 또는 C-펩티드 HbA1c 지질 요검사 췌장 CT 또는 MRI 검사

눈 신장 신경계통 심혈관 피부

당뇨병 인슐린종 반응 저혈당증

생식선

이차 성발달 결여 불규칙한 월결 주기 또는 무월경 불임 이차 성징 조발 조모증 및 남성화 지구력 및 원기 결핍

생식샘 2차 성징 신장

혈장 생식샘자극호르몬 테스토스테론 난포호르몬 프로게스테론 정액검사 골반 포음파 골격연령 측정을 위한 X-선 검사

생식샘 피부골격

생식샘 발생장애 조기 난소 기능상실 성조발증 다낭 난소 징후군 정세관 발생장애 고환염

젖선

부적절한 모유 생산 남성에게서의 발달 여성에게서의 발달 결여 질료 기록

유방난포호르몬 테스토스테론 프리 티록신 간 기능검사

유방젖분비과다 형성 저하증 여성형 유방증

대사 및 골

골절 약물처치 암 신장 질환

골격 이상

DEXA 등 골밀도계측 요중 칼슘 배출 골격 대사 마커(marker)

골격 골다공증 골연화증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1 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법상의 내부 장기 관련 장애 분류

보건복지부가 주무부서가 되어 만든 장애등급 판정기준 (2003-7)상에 내부 장기

관련 장해평가기준은 9 신장장애 (2 5급) 10 심장장애 (1 2 3 5급) 11 호흡

기장애 (1 2 3급) 12 간장애 (1 2 3 5급) 14 장루 요루장애 (2 3 4 5급)

mdash mdash46

로 구분 되어 있다 복지부 장애 분류는 2개의 대분류 (신체적 장애 정신적 장애)

속에 신체장애는 다시 2개의 중분류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로 나

누고 각각의 중분류는 6개의 소분류 체계로 구분 하였다 더욱이 복지부의 내부 장

기 장해평가기준은 그 법의 목적 취지가 산업재해 보상 및 보험과는 차이가 있으므

로 이를 그대로 준용하여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으나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에

서 매우 참고 할 만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표 2-8〉 장애인복지법시행규칙 장애인의 장애등급표 (제2조 제1항 관련)5)

9 신장장애인

제2급

만성신부전증으로 인하여 1개월 이상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사람

제5급

신장을 이식 받은 사람

10 심장장애인

제1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안정시에도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 증상 등이 일어나서 운동

능력을 완전히 상실하여 상시적으로 개호인이 필요한 사람 (심장질환을 진단 받은지 1년 이상

경과한 사람에 한한다 이하 같다)

제2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신체주위의 일은 어느 정도 할 수 있지만 그 이상의 활동으로는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 증상 등이 일어나서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사람

제3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가정 내에서의 가벼운 활동은 상관없지만 그 이상의 활동에는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 증상 등이 일어나서 가벼운 일상생활은 가능하나 정상적인 사회활동을

영위하기 어려운 사람

제5급

심장을 이식받은 사람

11 호흡기장애인

제1급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부전으로 안정 시에도 산소요법을 받아야 할 정도의

호흡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 호기량)이 정상 예측치의 25 이하이거나

안정시의 자연 호흡 상태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55Hg 이하인 사람

제2급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부전으로 집안에서의 이동시에도 호흡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 호기량)이 정상예측치의 30 이하이거나 안정시 자연 호흡

5) [일부개정 2003613 보건복지부령 250호] [별표 1] lt개정 2001630 2003613gt

mdash mdash47

상태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60Hg 이하인 사람

제3급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부전으로 평지에서의 보행에도 호흡 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 호기량)이 정상예측치의 40 이하이거나 안정시 자연 호흡

상태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65mHg 이하인 사람

12 간장애인

제1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잔여 간기능이 Child- Pugh 평

가상 등급 C이면서 만성 간성뇌증 내과적 치료로 조절되지 아니하는 난치성 복수 등의 합병증

이 있는 사람

제2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잔여 간기능 평가상

Child-Pugh 등급 C이면서 간성뇌증의 병력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등의 병력이 있는 사람

제3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잔여 간기능이 Child- Pugh 평

가상 등급 C인 사람

제5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간이식을 시술받은 사람

14 장루 및 요루 장애인

제2급

1 요루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요루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가 현저한 변형이 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2 고도의 배뇨장애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가 현저한 변형이 있거나 장루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3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공장middot회장middot상행 또는 횡행결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

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으로부터 장(腸)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와 수술 등에 의하여서도 치

유될 가능성이 없으며 구멍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제3급

1 요루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는 사람

2 요루와 함께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에 현저한 변

형이 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3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고도의 배뇨기능장애가 있는 사람

4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공장middot회장middot상행 또는 횡행결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

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으로부터 장 내용물이 대부분 흘러나오며 수술 등에 의하여서도 치유될

가능성이 없는 사람

제4급

1 요루를 가진 사람

2 회장루middot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진 사람

3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배뇨기능장애가 있는 경우 또는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가 변형되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헐었기 때문에 장루보조용품을 1일 1회 이상 교체하

거나 장세척을 필요로 하는 사람

mdash mdash48

장 애 상 태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1급 4 100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2급 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3급 3급 4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5급 7

장기를 이식받은 사람 5급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7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5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50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8급 11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9급 16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20

흉복부장기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11급 9

4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하행 또는 에스결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에서 장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오며 수술 등에 의하여서도 치유될 가능성이

없는 사람

제5급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는 사람

〈표 2-9〉 심 폐 간 장애의 국내 기준 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AMA 가이드에서 사용하는 전신장해 백분율로 표시되는 척도상에 100가 되기 위

해서 신체 기관 또는 신체 계통이 어느 정도 손상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일치된 견해

를 얻는 일은 매우 어렵다 AMA 가이드는 사망에 근접한 상태를 전신 장해율

95~100의 표준으로 보고 있다 또한 장해율 0의 의미에 대해서도 완전한 합의는

아니지만 거의 장해가 없이 회복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상적 기능이란

mdash mdash49

무엇인가 정상적 기능이란 것도 근로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예측 가능한 차이에 근

거해서 조정이 필요한 사항은 아닌지에 대한 고려도 필요할 것으로 예상 되며 기존 병

태를 반영하기 위해 기능의 기준선을 어떻게 조정해야 하는가도 과제 사항이다 표준

장해 등급율 표에서 임의의 연속성 상실율이 0이면 잔존 상실이 없는 것으로 전

신장해율이 100이면 죽음이나 식물 상태에 가까운 것으로 받아들인다 예를 들면

새끼 손가락의 완전 절단은 전신 장해율 6에 해당한다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

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된다 장해등급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면 장해와 능력 상실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 장해등급은 정해진

일련의 관측으로부터 찾아내는 등급으로 그 자체가 근로자의 능력에 미치는 해부학

적 또는 기능적 손상의 영향을 밝혀주는 것은 아니다 lsquoAMA 가이드rsquo는 능력 상실

이란 장해로 인해 개인적 사회적 또는 직업적 요구 또는 법률적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이 변경된 상태라고 규정하고 있다 백분율로 표시한 장해율은

평가 대상자의 완전한 상태 대비 해부학적 또는 기능적 손실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다 장해평가는 능력 상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첫 번째 단계

라 할 수 있다 예를 든다면 의사가 팔 장해에 대하여 평가 할 수 있는 등급의 최

대치는 100 (팔의 절단 또는 어깨 관절 이단술)이며 이것은 곧 전신 장해 60에

해당한다 의사가 다리 장해에 대하여 평가 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의

다리 절단 (엉덩이 관절 이단술)에 부여하는 등급이며 이것은 곧 전신 장해 40에

해당한다(표 2-11) 이와 같은 방법으로 lsquoAMA 가이드는 내부 장기에 있어 내과계

질환들로 인한 인체의 기능 제한을 전신 장해율의 등급과 로 표시하고 있으며 각

질환에 따른 에는 표 2-11과 같이 다소 차등이 있다 우리의 현재 기준과 직접적

으로 대입하여 비교하기가 어려운 체계이나 굳이 비교를 해본다면 표 2-10과 같

이 나타내 볼 수 있다 성공적인 신장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이 대폭 개선된 경우

에는 상부 요로 질환으로 인한 장해 평가 2급으로 전신 장해율 15~34로 평가 한

다 비장의 경우 상실한 경우 Mcbride에서는 10~26로 한쪽 신장의 기능 상실은

Mcbride에서 25~40로 평가하고 있다 의사가 팔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

의 최대치는 100 (팔의 절단 또는 어깨 관절이단술)이나 전신 장해는 60에 해당하

고 다리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의 다리 절단 (엉덩이 관절

이단술)에 부여하는 등급이며 이것은 전신 장해 40에 해당 한다(표 2-11)

mdash mdash50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4 ~100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6 ~9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3급 4 ~75 50~7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5급 7

장기를 이식받은 사람 15~34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5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5 ~50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40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8급 11 ~14

비장10~

26

신장25~

40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9급 16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9 ~10

흉복부장기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11급 9 0~5 ~4

장애구분 1급 2급 3급 4급 5급

심혈관계

(심장판막 관상동맥 심

근병증 선천성 심막성

부정맥 고혈압 심혈관

대동맥 및 심장) 질환

0~9 10~29 30~49 50~100 -

말초혈관계

팔 및 다리 0~9 10~39 40~69 70~89 90~100

호흡계

폐동맥 고혈압

천식 폐기능

및 운동검사

결과에 의한 기준

0~9

0~9

10~29

10~25

30~49

26~50

50~100

51~100

-

-

〈표 2-10〉 심 폐 간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표 2-11〉 각 질환별 급수 및 전신 장애율 비교

mdash mdash51

소화계

상부소화관(식도

위 12지장 소장

췌장) 결장 및

직장 질환

0~9 10~24 25~49 50~75 -

항문질환 0~9 10~19 20~35 - -

간 및 담도 질환 0~14 15~29 30~49 50~95 -

헤르니아 0~9 10~19 20~30 - -

혈액 조혈계

빈혈

백혈구혈소판출혈병

0~10

0~15

11~30

16~30

31~70

31~55

71~100

56~100

-

내분비계

시상하부뇌하수체축

갑상선 질환

부갑상선 항진증

부갑상선 저하증

부신피질 항진증

부신피질 저하증

부신수질질환

당뇨질환

저혈당증

0~15

0~15

0~14

0~9

0~14

0~14

0~14

0~5

0~5

16~25

16~25

14~29

10~20

15~39

15~29

15~29

6~10

6~50

26~50

-

30~90

-

-

30~90

30~90

11~20

-

-

-

-

-

-

-

-

21~40

-

-

-

-

-

-

-

-

-

-

외과적 처치

식도 및 위 조루술

공장 및 회장 조루술

회장 항문 연결술

결장 조루술

10~15

15~20

15~20

5~10

-

-

-

-

-

-

-

-

-

-

-

-

-

-

-

-

등급 내 용

0 활동에 전혀 지장 없음 발병 전처럼 활동에 지장을 받지 않음

1힘을 쓰는 신체 활동에는 약간 지장이 있으나 보행이나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의 가벼운 일은

할 수 있음

2 대부분의 활동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며 자주 치료를 요한다

3스스로를 돌보는 일을 제한적으로 할 수 있을 뿐이며 깨어있는 시간의 절반 이상을 침대 또는 의자에서 보내는 경우

4 거의 대부분이 손상되어 스스로를 돌볼 여력이 없음 침대에 누워 있거나 의자를 떠날 수 없음

팔 및 다리의 장애율

〈표 2-12〉 폐암의 능력 판정 척도

mdash mdash52

Ⅴ 결 론

산업재해보상보험법시행령[일부개정 20041029 대통령령 18573호] lt개정 2000

627 200357gt 상에 신체장해등급표 (제31조제1항 관련)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행

산재보상 제도상으로는 내부 장기 및 내과 영역의 장애에 대한 고려는 그 비중이 낮은

상태로 기존 장애인 복지법상의 내부 장기 장해평가기준을 참조하여 상대 가치 평가

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설문 문항을 만들어 사전 조사 후에 의료 및 이 분야의 전문

가 집단을 대상으로 최종 검증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lsquoAMA 가이드rsquo는 미국의사협

회의 협회지에 수록된 기사를 모아 발간된 것이지만 그 동안 주기적으로 개정을 거듭

하여 제 5판을 발행하게 되었다 미국의 40개 주에서 산업재해보상제도는 lsquoAMA 가이

드rsquo를 사용하여 장해등급을 산정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lsquoAMA 가이드rsquo는 영구 손상에

관한 의학적 정보를 수치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유용한 도구이고 이렇게 전

환된 수치를 이용하여 법정 급여금의 금액을 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켈리포니아주 및

9개의 다른 관할 지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모든 관할 지역에서 사용되지는

않지만 장해의 합리적 평가 방법을 제공하고 평가자간에 발생하는 동일 등급에 대한

평가 차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어 미국의 거의 모든 주와 캐나다 호주

등 외국에서도 이용하고 있다 신체장애율은 의학적인 기준이므로 우리나라에서도

lsquoAMA 가이드rsquo 방식을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내과계열의 장해평

가에는 새로운 방법을 만든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오랜 시간과 수고를 필요로

하고 우리나라 현실에서 의사들에게 익숙한 장애인 복지법상의 제도를 참조하고 수

정 보완 한다면 좋은 결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의학적 측면에서

공유하고 있는 공통점은 있으나 산재보험이 지향하고 있는 법적 취지에 있어 사회

적 기대와 해결 목적에는 그 취지가 다르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

되고 내과적 기왕력이 있는 환자의 외상성 장해평가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라고 생각된다

mdash mdash53

제 3 장 정신행동 장해평가6)

Ⅰ 서 론

1 일반현황

2 산재보험의 정신 및 신경행동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3 조사방법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Ⅵ 결 론

6) 안동현(정신) 고용(신외) 김종문(재활) 조강희(재활) 유찬종(신외)

mdash mdash55

I 서 론

1 일반현황

보건복지부가 주무부서가 되어 만든 장애등급 판정기준 (2003-7)상에는 정신지

체 (1 2 3급) 정신장애 (1 2 3급) 발달장애(자폐증) (1 2 3급)로 분류되어 있

으며 이는 외상 스트레스 혹은 통증 등의 상황에 따른 impairement의 rating이나

evaluation이 고려되지 않았고 Psychological impairment와 functional somatic

syndrome에 대한 고려가 없는 상태로 산업재해 분야의 장애에 이용하기에는 많은

부분에서 미흡한 점이 있으며 중복 장애 형태시에 기존 장애에 미치는 negative

effect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며 기능 평가에 보정의 필요성 여부와 보상 체계에서

의 보정 합리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인간의 의식과 사고 및 정신 체계를 유지하고

이러한 기능에 이상을 야기 시킬 수 있는 기타의 다른 질환들이나 그와 관련된 질

환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현실을 뇌심혈관계의 경우와 같이 살펴보면 뇌심혈관계질

환 발생자는 lsquo04년 2285(사망788명) lsquo03년 2358(사망 820명)으로 사망재해원인

가운데 1위이다 이웃 나라 일본의 경우 뇌middot심장질환의 발생건수는 lsquo01년 143건

lsquo02년 317건 lsquo03년 312건으로 증가하였으며 정신질환의의 발생건수는 lsquo01년 70

건 lsquo02년 100건 lsquo03년 108건으로 소폭 증가하는 추세이다 뇌심혈관계질환의 산재

승인률은 lsquo96년 219에서 lsquo01년 715로 크게 증가하였다가 rsquo04년은 628 lsquo05년

6월 현재 949명이 발생하여 526의 인정률을 보였으며 지난 4년간 정신질환으로

업무상 재해를 신청한 자들은 모두 479명인데 그 중 559인 268명이 업무상재해로

인정받았다 일본의 뇌심장질환의 산재승인률은 각 207(01년) 387(02년)

445(03년)를 보이며 정신질환의 경우 산재승인률은 각 264(01년) 293(02년)

247(lsquo03년)를 보이고 있다 독일은 뇌심혈관계 및 간질환으로 1963년부터 2004년

까지 23건이 신청되었으나 산업재해로 인정받은 건수는 없다고 한다 (심근경색

10건 심장질환 고혈압 10건 뇌졸중 3건 신청 직무스트레스 및 정신질환 산재

인정 건수가 없음) 미국 캐나다는 갑작스런 업무적 정신적 쇼크이외에는 직무스트

레스 및 정신재해는 인정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즉 우리나라의 뇌심혈관계 및

정신 질환에 대한 구체적이고 상세한 산재인정기준이 없다는 것이 현실이며 문제점이다

mdash mdash56

2 산재보험의 정신 및 신경행동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정신질환에 대한 인정기준은 마련하지 못하고 있으며 뇌심혈관질환

인정기준에 대하여 ldquo현저한 생리적인 변화rdquo ldquo만성적으로 육체적정신적인 과로를

유발rdquo ldquo자연발생적으로 악화되었음이 의학적으로 명백하게 증명되지 아니함rdquo 등

지극히 주관적인 해석이 가능한 기준을 갖고 있다 특히 ldquo만성적인 과로rdquo의 정의를 발

병 전 3일 이상 연속적으로 일상 업무보다 30 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규정하여 지나치게

근로자에게 유리한 조항으로 되어 있다 일본은 뇌심혈관질환과 ldquo발병직전부터 전날까

지의 사이에 발생 상태를 시간적 및 장소적으로 명확히 할 수 있는 이상사건에 조

우한 것rdquo ldquo병에 근접한 시기에서 특히 과중한 업무에 취로한 것rdquo ldquo발병 전의 장기

간에 걸쳐서 현저하게 피로의 축적을 시키는 특히 과중한 업무에 종사한 것rdquo 등으

로 구분하고 이상사건 장단기 과로의 정의를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어 우리나라

도 이러한 부분에 대한 참고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더욱이 정신질환에 대하여도

1999년 정신장애 관련 지침 설정 후 ① 정신장해 발병의 유무 발병 시기 및 질환명의

확인 ② 업무에 의한 심리적 부하의 강도 평가 ③ 업무 이외의 심리적 부하의 강도 평

가 ④ 개 체측 요인의 평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검토한 후에 일

정 요건 하에서만 인정하고 있다 독일은 뇌심혈관 및 정신질환의 산재인정건수가 없

으며 미국캐나다는 정신질환에 대하여 단기적 쇼크에 의한 질환이외에는 산재인정

이 되지 않는 다고 규정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의 산재보상 목록을 살펴보면 원칙적

으로 직장 업무의 변경 상사와의 갈등 직장 상실 강등 또는 징계조치의 실제적인 또는

인지적인 위협 상사대중들과의 관계 특정한 또는 일반적인 직무 불만 작업부하 압력

근무 조건 또는 환경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 어떤 이유에서든 직장 상실 또는 강등 화학

물질방사능생물학적 위험기타 인식되는 위험에 대한 노출의 두려움 등 일반적인 스

트레스에 의한 정신장애는 산재급여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지하철

자살사건의 경험으로 인한 기관사의 공황장애나 직장내 성희롱에 의한 정신장애가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mdash mdash57

장애상태 산재등급 장애율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

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3 10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

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5 10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 할 수 없는 사람3급 3 10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

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5급 8 8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 외에

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4 6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

도로 제한된 사람9급 15 40

3 조사방법

기존 장해평가자들에 대한 장애정도 평가시에 고려여부를 조사하고 장해평가 대

상자들의 장애 정도와 그 영향을 평가한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만들고 중

복 장애시의 보정 방법과 장애정도에 미치는 영향 평가를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

으로 추진할 근거를 마련하며 특히 신체화 장애 부분에 대한 사전 조사항목에 중

점을 두고 질병 및 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에 객관화된 점수화 도입이나 예후 및 예

후 인자에 대한 조사와 확인에 중점을 두어 조사 하여야 할 것이다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표 1〉 정신행동 장해평가기준비교

장애인 복지법상 장애등급 판정기준 (2003-7)에는 정신지체 (1 2 3급) 정신장애

(1 2 3급) 발달장애(자폐증) (1 2 3급)로 분류되어 있다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신경계장애에 대해서는 제 13장에서 뇌 뇌신경 척수 신경근과 말초신경 그리고

근육 기능이상으로 인한 영구 장해 평가 기준을 제공하고 있다 크게 보면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기질성 및 비기질성 장해평가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운동 기능의 장애

mdash mdash58

기능 부위

또는 양상

1등급

장해 없음

2등급

가벼운 장해

3등급

심하지 않은 장해

4등급

뚜렷한 장해

5등급

심한 장해

일상 활동

사회적 기능

집중력 적응

장해 없음장해가 대부분의 유용

한 기능과 공존하함

장해가 일부의 유용

한 기능과 공존함

장해가 유용한 기능

을 심하게 방해함

장해가 유용한

기능을 배제함

장 애 상 태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1급 3 100

극심한 치매 CDR 척도 5점 100

심한 치매 CDR 척도 4점 80

(상지와 하지)평가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배뇨 배변 및 성기능의 장해평가 그리고

뇌신경기능 장해평가로 나눌 수 있다 다른 장기의 장해평가 방법과 마찬가지로 장애

의 정도는 등급이 아닌 장애율로 평가를 한다 장애율은 일률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닌 장애 범위를 제시함으로써 평가자가 증상의 정도에 따라 구분 항목 내에서 결

정하도록 하고 있다

정신(행동)장애는 제 14장에 그 내용을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으나 AMA 기준에

서는 정신행동장애에 대해서는 신체장애율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다른 장해계열과

달리 정신 질환의 정확한 장해 평가 기준은 없는데 백분율을 사용하면 존재하지 않는

확실성을 암시하게 되고 백분율은 정신 및 행동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검토할 가능성이 적은 심판관들에 의해 융통성 없이 사용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미

국정신의학협회장해 재활위원회(Committee 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of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는 이와 같은 어려운 문제를 숙고한 후 제4판의

정신 및 행동 장애 해당 장(章)에서 백분율 표시를 삼가 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이러한

권유를 제 5판에서 그대로 적용하여 장애율을 이용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다음의 표와 같이 간략하게 비교하여 볼 수 있다

〈표 2〉 AMA상 정신 및 행동장애로 인한 등급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정신신경 장애의 국내 기준 비교

mdash mdash59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

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2급 5 7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3급 3급 3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5급 8

심한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5급 7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외

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4

정신행동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 장

보기 등의 기본적 사회 활동을 혼자서 할 수 없는 상태4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9급 15

약간의 치매 CDR 척도 2점 40

약간의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10

장애상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타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극심한 치매 CDR 척도 5점

심한 치매 CDR 척도 4점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심한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

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

정신행동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대중교통을 이용

한 이동 장보기 등의 기본적 사회 활동을 혼자서

할 수 없는 상태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

약간의 치매 CDR 척도 2점

약간의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정신신경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신경계는 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위원회에서 AMA 기준을 근간으로 하여 우리

나라 여건에 맞도록 만들어 놓은 기준이 있다 이 기준의 타당성을 전문가의 자문을 통

mdash mdash60

하여 검토하고 개선 사항이 발견되면 이를 수정함이 좋을 것으로 본다 한편 정신행동

계 장해평가에 대해서는 노동부에서 2004년도에 정책 연구 용역사업으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를 시도 한 적이 있다

Ⅵ 결 론

AMA기준에서는 신경계와 정신행동계를 각각 구분하여 평가한다 신경계 장애의

장애율은 최소값과 최고값 사이에서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며 구별점을 비교적 구체

적이고 자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정신행동계의 장애는 백분율로 표현된 장

애율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산재보험법에서는 불과 6개 등급으로 포괄적이고 개념

적인 정의만 언급하고 있다

mdash mdash61

제 4 장 특수기능 장해평가7)

Ⅰ 서 론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안과 영역

2 이비인후과 영역

3 비뇨생식기계

4 흉터 장애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안과 영역

2 이비인후과 영역

3 비뇨생식기계

4 흉터 장애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Ⅵ 결 론

7) 정한용(정신) 이상원(신외) 황선철(신외) 정헌종(산업) 조경석(신외)

mdash mdash63

I 서 론

특수 기능 분야는 근골격계 내부 장기 정신신경계통을 제외한 부분들의 영역을

조사한다 이 분야는 미국의학협회의 장해평가기준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ition 이하 lsquoAMA기준rsquo 이라고 함)의 제7장 비뇨생

식기계 제8장 피부 제11장 귀 코 구강 (이비인후과 영역) 그리고 제12장 시각

계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장애등급판정(이하 lsquo산재기준rsquo

이라고 함)에서 장애부위 구분상 눈 귀 코 입의 전 부위와 두부middot안면부middot경부의 흉

터 장애 흉복부장기의 비뇨기 장애 생식기 장애를 포함하는 영역이 이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해당 장기의 영역을 안과 영역 이비인후과 영역 비뇨 생식기계 흉터(안면부)로

구분하고 현재 산재기준을 나열하고 의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해당

영역의 AMA기준을 분석하여 산재기준과 장단점을 열거하고자 한다

이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장애에 대한 국내에서의 인지도 분석을 위한 설문지 항

목의 초안을 만들어 보았다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산업기준에서 해당 영역의 장해평가와 등급 분석을 요약하고자 한다

1 안과 영역

눈의 장애는 안구와 눈꺼풀의 장애로 구분되어 있다 안구의 장애는 기능적인 장

애를 평가하여 시력 조절기능 안구운동 시야의 영역을 평가하고 눈꺼풀의 장애는

기질적 손상인 결손 장애 기능적 손상인 운동 장애에 대하여 평가한다 시력장애는

11단계로 국제시력표를 이용하여 교정시력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장애 등급

상 최고 등급은 두 눈이 실명된 사람으로 1급이며 한눈의 시력이 06이하인 사람

은 13등급의 최저등급으로 구분되어 있다(표1)

시력측정은 원칙적으로 국제시력표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시력이라 함은

mdash mdash64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안구의 장애

기능적 장애

시력 장애

제1급제1호

제2급제1호

제2급제2호

제3급제1호

제4급제1호

제5급제1호

제6급제1호

제7급제1호

제8급제1호

제9급제1호

제9급제2호

제10급제1호

제13급제2호

두 눈이 실명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02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6이하로 된 사람

두 분의 시력이 각각 006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1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거나 한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6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조절기

능 장애

제11급제1호

제12급제1호

두 눈이 모두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한 준의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운동

장애

제11급제1호

제12급제1호

두 눈이 모두 안구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한 눈의 안구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시야

장애

제9급제3호

제13급제2호

두눈에 모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한눈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눈꺼풀의 장애

기질적

장애

결손

장애

제9급제4호

제11급제3호

제13급제3호

제14급제1호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한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두 눈의 눈꺼풀에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또는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한 눈의 눈꺼풀에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또는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기능적

장애운동장애

제11급제2호

제12급제2호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한 준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표 26〉 눈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교정시력을 말하는 것으로 안경에 의하여 교정한 시력에 의거 측정한다 다만 시

력의 교정으로 부등상증(不等像症)이 생겨서 양안시가 곤란하게 되는 것이 의학적

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나안(裸眼)으로 시력을 측정한다 두 눈의 시력장애에 대해

서 등급표상 정해져 있는 해당 등급을 인정하며 한 눈마다의 등급을 정아여 조정

준용등급 방법은 인정하지 않고 있다

조절기능 장애는 제11급과 제12급 두 가지 등급을 결정하고 있다 lsquo안구에 뚜렷

한 조절기능장애가 남은 사람rsquo은 조절력이 통상의 2분의 1이하로 감소된 사람을 말

한다 예를 들어 한쪽의 눈에 인공수정체를 이식하여 교정한 시력이 06이상인 경

우는 시력장애는 해당되지 않으나 무수정체이기 때문에 원근의 조절작용이 전혀 없

으므로 장애등급 제12급제1호를 인정한다

안구의 운동장애는 안구의 운동을 담당하는 6개의 외안근(外眼筋)의 일부 혹은

전부 마비가 되어 안구 운동의 제한을 보이는 경우이다 양안시가 있는 사람은 복

시(複視)가 나타나게 된다 lsquo안구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rsquo이란 안구의

mdash mdash65

주시야의 넓이가 2분의 1이하로 감소된 사람을 말한다 주시야의 넓이는 상당한 개인

차가 있지만 평균치는 단안시에서 각방면 약 50도 양안시에서는 각방면 약 45도이다

시야장애에서 시야란 눈앞의 한 점을 응시하면서 동시에 볼 수 있는 시계(視界)

의 넓이를 말하는 것이다 시야협착(視野狹窄)은 시야 주변의 협착으로 동심성협착

과 불규칙협착이 있다 시신경의 손상으로도 시야의 협착이 발생한다 만일 고도의

동심성 협착이 있는 경우 시력이 양호해도 뚜렷하게 시기능을 방해하여 주위의 상

황을 살필 수 없기 때문에 보행 기타 여러 가지 동작이 곤란하게 된다 시야변상는

반맹증 시야의 결손 시야 협착 및 암점이 포함되지만 반맹증 및 시야협착에 대해

서는 등급표에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암점과 시야결손을 말한다

눈꺼풀의 장애는 기질적 장애인 결손과 기능적 장애인 운동장애로 구분된다 눈

꺼풀의 결손 장애는 9급에서 14급으로 4단계로 운동 장애는 11급과 12급 2단계로

되어 있다 눈꺼풀의 뚜렷한 결손은 눈을 감았을 때 각막을 완전히 덮을 수 없는

정도를 말하고 일부에 결손이 남은 경우는 눈을 감았을 때 각막을 완전히 덮을 수

는 있지만 결막이 노출되어 있는 정도를 말한다

산재기준에서 예시한 항목이 없거나 여러 개의 항목이 중복이 되는 경우에는 준

용(準用)과 조정(調整)을 한다 시행령의 제31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해 조정하여 등

급을 인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 눈의 눈꺼풀에 두렷한 결손으로 제11급제3호의

장애가 있고 다른 눈에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로 제12급제2호가 인정되는

경우는 등급을 조정하여 10급을 인정하게 된다 준용의 경우는 정면시에서 복시가

발생하여 양안시로 고도의 두통 현기증이 발생하여 노동에 뚜렷한 지장을 초래한는

경우는 제12급을 준용한다 만일 정면시에는 복시가 생기지 않지만 좌우상하시에서

복시가 발생하여 노동에 뚜렷한 지장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경도의 두통을 호소하면

제14급을 준용한다 대광반사가 뚜렷하게 장애를 입은 경우는 제12급을 준용한다

2 이비인후과 영역

1) 귀의 장애

귀의 장애는 기능적 장애인 청력 장애와 기질적 장애인 귓바퀴의 결손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청력 장애는 두 귀와 한 귀로 구분하고 있으며 청력의 측정

mdash mdash66

은 순음청력 검사의 기도청력 역치를 기준으로 6분법에 의하여 판정하고 있다 판

정 기준에는 검사 항목을 제시하여 필수 검사 항목으로 이비인후과 의사의 이학적

검사 순음청력검사 언어청력검사 임피던스 청력검사를 시행하고 보완검사 (의학

적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로 뇌간유발반응청력검사 자기청력계검사 이음향방사

검사 이명도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및 기타 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검사를 시

행하고 인력기준과 시설 기준에 대해서도 정해져 있다 비교적 평가 및 검사의 질

적 상태 유지를 위한 정도 관리가 시행되고 있다 장애 판정의 의료기관의 시설기

준에서 검사장비로 순음 및 언어청력검사기 임피던스청력검사기 뇌간유발반응청력

검사기 이음향방사검사기 자기청력검사기를 갖추도록 하고 있다

청력 장애에서 두 귀와 한 귀의 장애를 각각 평가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두 귀

장애는 고막의 전부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

은 사람을 최상위 등급은 4급으로 정하고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 이상의 거리

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을 11급으로 정하여 6 단계 (9개

구분)로 장애 정도의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한 귀의 청력장애는 9급에서 14급의 4

단계로 정하고 있다 귓바퀴 장애는 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 된 사람을 12

급으로 1개 등급을 정하고 있다(표2)

등급표에서는 청력장애의 등급의 예시항목이 추상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장해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에서는 순음청력과 언어명료도에 대한 구체적인 기

준을 제시하고 있다 청력의 측정은 24시간 이상 소음작업을 중단한 후 500

1000 2000 4000 Hz의 주파수음에 대한 청력치를 측정하여 6분법으로 판정한다

이러한 측정은 3-7일 간격으로 3회 이상 실시하여 검사의 유의차가 없는 경우 그

중 최소가청력치를 청력장애로 인정하고 있다 장애의 등급 구체적인 지침을 예로

들면 두 귀의 평균청력손실치가 80dB이상인 사람 또는 두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50dB이상 80dB 미만이고 최고 명료도가 30이하인 사람은 제6급3호로 판정하도

록 하고 있다 순음청력과 언어명료에 대한 측정치를 이용하여 청력장애를 판단하

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청력의 검사는 보청기 등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

하도록 하고 있다

mdash mdash67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귀 의 장 애

기 능 적 장 애

청 력 장 애

두 귀

제4급제3호고막의 전부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려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사람

제6급제3호

고막의 대부분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

의 청력이 모두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

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6급제4호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40

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

하게 된 사람

제7급제2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

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7급제3호

한 쉬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

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9급제7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9급제8호

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

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

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0급제5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1급제11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

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한 귀

제9급제9호 한 귀의 청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제10급제4호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는 큰 말 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1급제4호한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4급제11호한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

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귓바퀴

제12급제4호 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된 사람

〈표 27〉 귀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귓바퀴의 대부분의 결손은 이개의 연골부의 2분의 1이상이 결손된 것을 말한다

귓바퀴의 결손의 경우 외모의 흉터장애로 인정되는 경우의 등급 중에서 어느 것이

든 상위의 등급을 인정한다 예를 들면 여자의 경우 귓바퀴의 대부분의 결손이 있

는 경우는 제12급제4호에 해당하지만 흉터장애로서는 제7급제12호에 해당하기 때

문에 상위등급은 제7급제12호를 인정한다

귀의 장애에서도 산재기준에 예시한 항목이 없거나 여러 개의 항목이 중복이 되

는 경우에는 준용(準用)과 조정(調整)을 한다

mdash mdash68

2) 코의 장애

코의 장애는 기질 및 기능적 장애에 대해 한 가지의 등급을 정하고 있다 그 내

용은 코가 결손 되어 그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을 9급으로 한다 결손은

코 연골부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잃은 경우를 말하고 기능에 뚜렷한 장애는 코로

숨쉬기가 곤란한 사람 또는 후각이 상실된 사람을 말한다 코의 결손이 외모의 흉

터에 해당하는 경우는 두부middot안면부middot경부의 흉터 장애를 준용하여 남자는 14급 여자

는 12급으로 평가하도록 정하고 있다

3) 입의 장애

입의 장애는 기능적 장애로 말하는 기능 및 씹는 기능과 기질적 장애로 치아의

보철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말하는 기능은 구강에서 자음이 만들어지는 조음위치

(調音位置)에 따라 4 종류로 구분하여 ① 구순음(ㅁ ㅂ v) ② 치설음(ㄴ ㄷ ㅌ)

③ 구개음(ㅈ ㅊ) ④후두음(ㅇ ㅎ)으로 정하고 있다 말하는 기능의 장애는 위 4

종의 음성 중 3종 이상의 발음을 할 수 없는 경우를 3급으로 정하고 있고 1종의

발음을 할 수 없는 사람을 10급으로 정하고 있다 음식물을 씹는 기능 장애는 상하

교합(上下咬合)과 배열 상태 및 하악의 개패운동 등에 따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을 3급으로 정하고 있다(표3)

이러한 씹는 기능의 장애는 주관적인 판단기준으로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나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치아 장애는 보철이 된 치아의 개수에 따라 10급에서 14급

으로 5단계 구분을 제시하고 있다 식도의 협착 등의 삼키는 기능의 장애는 씹는

기능장애에 관한 등급을 준용하고 있으며 미각상실은 12급을 준용하도록 정하고 있다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입의 장애

기능적 장애

말하는

기능 및

음식물을

씹는

기능장애

제1급제2호

제3급제2호

제4급제2호

제6급제2호

제9급제6호

제10급제2호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모두 영구적으로 잃은 사람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

기질적 장애

결손

장애

제10급제3호

제11급제10호

제12급제2호

제13급제4호

제14급제2호

14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10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7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5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3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표 28〉 입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mdash mdash69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흉 복부

장기 장애

제7급제13호

제8급제11호

제9급제14호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

비장 또는 한 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생식기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표 29〉 비뇨생식기계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3 비뇨생식기계

비뇨생식기계에 대해서는 흉복부의 장애에 일부로 포함되어 있다 제시된 장애등

급 표에 의하면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은 7급 한 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은 8급

생식기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은 9급으로 정하고 있다 상세 장애등급 인정기

준을 살펴보면 비뇨기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로 구분하여 그에 해당하는 예를 제

시하고 있다(표4) 해당 예시항목이 없는 경우에는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

애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제3급제4호)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제7급제5호)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제9급제16

호) 흉복부 장기의 기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제11급제9호)의 항목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신장은 요로변경술 시행으로 신루 신우루 요관피부문합 요관장문합을 남긴 채

로 치유된 상태나 만성 신우신염 수신증인 사람을 제7급제5호로 정하고 있다 방

광 장애는 방광 기능이 완전히 없어진 사람은 제3급제4호로 위축방광(50cc이하)인

사람은 제7급제5호로 인정하고 있다 요도 협착은 11급과 14급으로 2 단계 구분을

제시하고 있다 생식기의 장애는 외부성기의 결손이나 협착 고환의 위축 등에 대해

9급 11급의 장애를 인정하고 있다

4 흉터 장애

두부middot안면부middot경부에서 흉터의 장애에 대해 정하고 있다 외모의 흉터에 대하여 남

자와 여자로 구별하여 2단계로 등급이 정해져 있고 팔다리의 노출면의 흉터에 대하

여는 남여의 차이 없이 1등급만을 인정하고 있다 외모란 두부 안면부 경부와 같

이 일상 생황에서 노출되는 부분을 말하며 팔 다리는 제외되어 있다 외모에 lsquo뚜렷

mdash mdash70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흉터 장애

외모

여자제7급제12호

제12급제14호

외모에 뚜렷한 흉터가 남은 여자

외모에 흉터가 남은 여자

남자제12급제13호

제14급제10호

외모에 뚜렷한 흉터가 남은 남자

외모에 흉터가 남은 남자

팔다리팔 제14급제3호 팔의 노출된 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다리 제14급제4호 다리의 노출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표 30〉 흉터장애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한 흉터rsquo란 두부에 있어서는 손바닥 크기 이상의 반흔 또는 두개골의 손바닥 크기

이상의 결손 안면부에 있어서는 계란 크기 이상의 반흔 길이 5 센티미터 이상의

선상흔 또는 10원짜리 동전 크기 이상의 조직함몰 경부에 있어서는 손바닥 크기

이상의 반흔을 말한다 lsquo단순한 흉터rsquo란 두부에 있어서는 계란 크기 이상의 반흔 또

는 두개골의 계란 크기 이상의 결손 안면부에 있어서는 10원짜리 동전 크기 이상

의 반흔 또는 길이 3센티미터 이상의 선상흔 경부에 있어서는 계란 크기 이상의

반흔을 말한다

외모의 장애는 여자는 뚜렷한 흉터가 남은 경우 7급 그 외는 12급으로 정하고

남자는 12급과 14급의 2단계로 등급을 정하고 있다 같은 정도의 흉터라 하더라도

여자가 남자에 비해 상위의 등급을 판정하도록 하였다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안과영역

AMA기준은 제12장의 시각계(Visual System)에서 평가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평가방법은 1936년 맥브라이드 평가법으로부터 시작하여 1995년 AMA기

준 4판가지 이르도록 내용상 큰 변화가 없이 시각장애를 평가했을 정도로 비교적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방법이다 AMA기준의 4판에서는 시력 시야 안구운동의

3가지 시각요소를 평가였으나 5판에서는 시력장애와 시야장애로 구분된다

저시력에 관련된 국제 전문가들이 관여하여 AMA기준 4판과는 완전히 달라진 평가

방법이다 이전의 기준에 사용하던 시효율(Visual Efficiency VE)의 개념이 없어지고

mdash mdash71

장애 등급

(ICD-9-CM 기준)

시력 시력점수

(VAS)시력장애율()

미국식 표기 1m 표기

정상

시력

정상

2025

2016

2020

2025

1063

108

11

1125

110

105

100

95

0

5

준정상

2032

2040

2050

2063

116

12

125

132

90

85

80

75

10

15

20

25

〈표 31〉 AMA Table 12-2 시력 점수(VAS)

시기능점수(Functional Vision Score FVS)로 대치되었다 시기능점수는 시력 및 시

야의 평가에 기초하고 있고 복시 및 무수정체증에 대한 여분의 측정계수 및 손실은 삭

제한 대신 필요한 경우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하였다 시력과 시야소실에 반영되

지 dskg는 대비감도 눈부심(현휘) 민감도 색각 양안시 입체시 억제 복시 등과 같은

기타 기능장애는 개별조정을 허용하고 있다

시력에 대한 시력기능점수(Functional Acuity Score FAS)와 시야기능점수

(Functional Field Score FFS)를 각각 구한 후에 FAS와 FFS를 이용하여 FVS를 구한다

1) 시력장애

시력의 측정은 원거리와 근거리를 시력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데 굴절이상이 있을

때는 안경으로 교정한 교정시력을 측정한다 눈에 들어온 평행한 빛이 망막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는 즉 보려고 하는 물체를 선명하게 보기 위해서는 굴절이 필요하고 이

것은 각막과 수정체의 굴절력 안축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며 여기에 이상이 있을 경우

굴절이상이라고 하여 굴절이상의 도수에 맞는 안경으로 교정하면 잘 보이게 되며 여

기에는 근시 원시 난시가 들어간다

시각장애율을 이전의 공식인 (3보다 좋은 눈 + 1보다 나쁜 눈)4 대신에 (3두

눈 + 오른쪽 눈 + 왼쪽 눈)5 공식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공식은 두 눈

의 기능이 보다 좋은 눈이 기능과 같지 않은 경우에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최

종적인 시각장애율은 100-시기능점수(FVS)로 구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시력이 01(VA 20200)인 경우에 AAM 4판의 시준으로 시력 상실률은

80였으나 5판의 기준으로 시력 장애율은 50(Table 12-2에 의함)으로 산정한다

mdash mdash72

가벼운

2080

20100

20125

20160

14

15

163

18

70

65

60

55

30

35

40

45

저시력

심한

20200

20250

20320

20400

110

1125

116

120

50

45

40

35

50

55

60

65

극심한

20500

20630

20800

201000

125

132

140

150

30

25

20

15

70

75

80

85

시력

상실

준시력

상실

201250

201600

202000 미만

163

180

1100 미만

10

5

0

90

95

0

완전시력상실 빛 식별 못함 0 0

Class 1

시력장애 0-9

Class 2

시력장애 10-29

Class 3

시력장애 30-49

Class 4

시력장애 50-69

Class 5

시력장애 70-89

Class 6

시력장애 90-100

FAS 98304491 FAS 90-71 FAS 70-51 FAS 50-31 FAS 30-11 FAS 98304310

정상 준정상 가벼운 심한 극심한 시력상실

〈표 32〉 AMA Table 12-4 시력장애율 분류

위의 표를 이용하여 시력점수(Visual Acuity Score VAS)를 각각 눈에 대해서 구한

후에 제시된 공식인 (VAS두 눈3 + VAS오른쪽 눈1 + VAS왼쪽 눈1)5로 시력기능점수

(FVS)를 구한다 시력기능점수를 구한 후에 Table 12-4의 표를 이용하여 시력 장애율

을 구한다

2) 시야장애

시야(visual field)란 한 눈은 가리고 검사하고자 하는 눈을 움직이지 않고 눈앞

의 한 점을 응시하면서 동시에 볼 수 있는 외계의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주변시력

(peripheral vision) 또는 주변시에 해당하며 이것에 의해 사람은 외계의 물체를 발견

하고 그 상호위치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중요한 시기능의 하나로 주변망막의 자

극에 의한다 시야는 골드만주변시야계(Goldmann perimetry)와 여러 가지 형태의 자

동시야계(automated perimetry)로 측정할 수 있다

mdash mdash73

장애 등급

(ICD-9-CM 기준)특별 조건

동심소실인

경우의 평균반경

시야점수

(VFS)시야장애율()

정상

시력

정상 60o

11010510095

05

준정상 한 눈의 상실

50o

40o

90858075

10152025

가벼운 상부 시야 상실

30o

20o

70656055

30354045

저시력

심한

반측 시야 상실

하부 시야 상실

10o

8o

50454035

50556065

극심한

6o

4o

30252015

70758085

시력

상실

준시력 상실

2o 미만

0

1050

90950

완전시력상실 시야 없음 0 0

〈표 33〉 AMA Table 12-5 시야 점수(VFS)

위의 표를 이용하여 시야점수(Visual Field Score VFS)를 각각 눈에 대해서 구한

후에 제시된 공식인 (VFS두 눈3 + VFS오른쪽 눈1 + VFS왼쪽 눈1)5로 시야기능점수

(FFS)를 구한다 시력기능점수를 구한 후에 Table 12-7의 표를 이용하여 시야 장애

율을 구한다(Table 12-7의 장애율은 Table12-4의 장애율과 동일하여 표는 생략한다)

시기능점수(FVS)은 FAS와 FFS의 곱의 백분율로 구한다(FVS=(FASFFS)100) 예

를 들면 FAS는 80(장애율은 20)이고 FFS는 75(장애율은 25)이면 FVS는

(8075)100인 60(장애율은 40)이다

2 이비인후과 영역

AMA기준은 제11장 코 귀 구강 및 관련 구조물로 설명하고 있다

1) 귀

귀의 장애는 청력장애(hearing loss)와 평형장애(equilibrium)에 대해 평가한다

청력은 순은 청력계를 이용하여 500 1000 2000 3000Hzd에서 청력 수준을 기록

mdash mdash74

Class 1 (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은 없음

및 도움을 받지 않고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Class 2 (1-1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복잡한 활동(예 자전거 타기) 또는 엄격한 주의가 요구되는 특정 업무 활동(예 대

들보 또는 비계 위를 걷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 없이 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Class 3 (11-3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단순한 활동(자신을 돌보는 일 집안 일 보행 다른 사람이 운전하는 자동차에 타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 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표 35〉 AMA Table 11-4 전정질환으로 인한 신체 장애 기준

양쪽 귀의 장애율() 전신장애율() 양쪽 귀의 장애율() 전신장애율()

00-1718-4243-7475-99

100-131

01234

500-531532-557558-588589-614615-645

1819202122

132-159160-188189-214215-245246-271

56789

646-671672-700701-7287209-759760-785

2324252627

272-300301-328329-359360-385386-417

1011121314

786-817818-842843-874875-899900-931

2829303132

418-442443-474475-499

151617

932-957958-988989-1000

333435

〈표 34〉 AMA Table 11-3 양쪽 귀의 장애율과 전신장애율의 비교

하고 만일 100dB을 초과하는 경우는 100dB로 기록한다 각 4개 영역의 청력수준

을 더하여 총합을 구한다(DSHL decibel sum of the hearing loss) 측정값에 대

해서 양쪽귀로 청력의 환산하는 표를 제시하고 있다 table 11-2는 양쪽 귀에서 측

정된 DSHL을 각각 대입하여 청력에 의한 장애율을 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장애율

은 0-35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 표에서 구한 청각 장애율의 공식은 장애율()

는 (5밝은 귀의 청각 장애율 + 어두운 귀의 장애율)6 으로 산출한다 이 공식의

특징은 한쪽 귀의 청력이 좋은 경우면 장애가 적게 산출이 된다는 것이다 양쪽 귀

에 대한 장애율을 구한 후에 표(Table 11-3)을 이용하여 전신장애율을 구한다

청력 이외의 귀의 기능인 평형에 대한 장애 기준은 표10과 같다

mdash mdash75

Class 4 (30-6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외에는 도움이 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Class 5 (61-95)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중 보행을 요하지 않는 행위를 제외하고 도움 없이 일상 활

동을할 수 없음 및 집안에 머물러 있어야만 함

Class 1 (0-5)

눈에 띄는 흉터 또는 비정상 색소침착(제8장 피부질환 참조) 등과 같이 피부 구조 장애

에 한정된 얼굴 이상

또는 가벼운 한쪽 또는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외모에 영향을 주는 코의 변형

Class 2 (6-10)

피부 장애(예 함몰된 뺨 비골 또는 전두골)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은 얼굴 장애로

서 얼굴 일부의 지지 구조의 상실을 초래한 경우

Class 3 (11-15)

눈 또는 코의 일부 상실 등과 같이 얼굴의 해부학적 부분 또는 부위의 결여 때문에 발

생한 얼굴 이상으로서 얼굴 변형을 초래한 경우 이 경우 기능 소실(예 시력)이 수반되

면 이를 병함한다(제12장)

또는 심한 한쪽 전체 얼굴 마비

또는 가벼운 양쪽 전체 얼굴 마비

Class 4 (15-50)

얼굴 해부학적 구조의극심한 또는 완전한 변형으로서 변형 정도가 극심해서 사회 적응

이 불가능할 정도인 경우 정신 및 행동 장애로 인한 장해 등급을 병합한다(제14장)

또는 심한 양쪽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코의 주요 부위 또는 전체 상실

〈표 36〉 AMA Table 11-5 얼굴 질환 및 변형으로 인한 신체 장애 기준

2) 안 면

안면장애는 얼굴의 질환 또는 변형으로 인한 영구 장애를 평가하기 위해서 해부

학적 변화 및 기능 변화를 평가한다 얼굴의 구조적 완전성과 관련되는 장애를 다

루고 있다 얼굴 변형의 원인은 화상 외상 수술 감염 또는 형성이상 등이 주요 원

인이 된다 안면신경의 마비에 의한 형태의 변형을 포함한다(표11)

3) 후각 및 미각 장애

장애율은 1-5을 정하고 있다

mdash mdash76

Class 1 (0-14)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대부분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이를 위해 간혹 노력해야

하고 때로 개인의 능력에 부치는 일일 수도 있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대부분의 조음 행위를 할 수 있다 그러나 간혹 다시 한번 말해 줄것을

요청 받거나 어떤 발성 단위는 발음하기 어려워하거나 불가능하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대부분의 요구를 층족 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

하게 해 낼 수 있으나 가끔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Class 2 (15-34)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많은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으며 평균적인 환경에서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승용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잘 들을 수 없다

일상 회회에 필요한 많은 조음 행위를 할 수 있으며 타인이 이를 알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오류가 있으며 간혹 조음이 어려울 경우가 있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많은 요구를 충족 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가끔 어려움을 겪으며 때때로 끊어지거나 중단되고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Class 3 (35-59)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특정 필요 즉 인접한 상대와의 대화가 가능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

나 목소리가 쉬 피로해지고 수초가 지나면 잘 들리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떨어지거나 승용

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과 같은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일부 조음 행위를 할 수 있으며 가족 및 친구들과 대화할 수 있으나 타

인은 말소리를 알아 듣기 어려워하며 자주 다시 한번 말해달라는 요청을 받는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일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지속적으로 말할 수 있으며 상대방에게 쉬 피곤해

한다는 인상을 준다

Class 4 (60-84)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한정된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나 가까이서 주의를 기

울여야 겨우 들을 수 있으며 또한 귀에 들릴 정도로 속삭일 수 있으나 크게 말할 수는 없

일상 회화에 필요한 제한된 조음 행위를 할 수 있으며 일부의 발성 단위를 발음할 수 있다

자기 가족의 이름 등 몇 단어는 비슷하게 발음하나 관련 없는 단어를 발음하면 알아 들을

수 없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제한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

게 말할 수 있으나(한 단어 ㄸ는 짧은 구절) 말이 자주 끊기고 아주 힘들어한다 속도가 대

단히 느리다

Class 5 (85-100)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전혀 낼 수 없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행위를 전혀 할 수 없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는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요구를 전혀 충족

시킬 수 없다

〈표 37〉 음성언어로 인한 신체 장애 기준

4) 음성 언어 장애

조음장애 유창성 장애 음성장애(후두이상) 언어장애로 구분하고 있다 가청도

(audibility) 가해성(intelligence) 기능적 효율성(functional efficiency)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mdash mdash77

언어 및 음성 장애는 분리해서 평가하지 않으면 장애등급은 3개 부문(가청도 가

해성 기능적 효율성)의 백분율 중 가장 큰 것을 장애율로 한다

3 비뇨생식기계

AMA기준 5판의 7장에서 비뇨 생식기계의 장해평가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다른

장기의 장해평가 방법과 마찬가지로 장애의 정도는 등급이 아닌 장애율로 평가를

한다 장애율은 일률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고 장애 범위를 제시함으로써 평가자

가 증상의 정도에 따른 구분항목 내에서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비뇨기계는 신장 요로 치환 방광 요도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생식기계는 남자는

음경 음낭 고환과 부속기 전립선으로 구분하고 여자는 외성기(질) 자궁 난소와

나팔관으로 구분하여 각각을 평가한다(각 기관별의 장애율은 표 13 참고)

신장은 크레아티닌 청소율(CCr)을 구하여 신장 기능을 평가하여 4개로 구분하였

다 최고의 장애율은 95로 한다 대표적으로 class 4는 장애율 60-95로 CCr lt

40Lday이며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을 가지는 경우로 투석이 요하는 경우이다

만성신부전으로 투석을 지속적으로 하는 경우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신장이

식 후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가 요하는 경우는 class 2로 장애율 15-34에 해당한

다 요로 치환술을 시행한 경우에도 각 시술에 따라서 요관-장루 10 피부 요관

창냄술 10 콩팥창냄술 15로 정하고 있다

방광은 빈뇨 야간뇨 등의 증상과 반사적 배뇨 활동을 구분하여 class 3으로 구

분을 하고 있으며 최고 장애율은 70이다 class 3는 41-70의 장애율을 제시하

고 있으며 배뇨의 반사적 활동이 없거나 자발적인 조절이 전혀 없는 경우이다 요

도의 장애는 요도 협착 요실금으로 3 단계로 구분을 하고 있다 최고 장애율은

40로 요도 이상으로 소변의 누출이있고 자발적인 조절이 되지 않는 경우가 평가

기준이다

생식계에서 제시된 장애율은 40-65세를 기준으로 하여 40세 미만은 50의 장

애율을 합산하고 65세 이상인 경우에는 50 장애율을 감산하도록 되어 있다 남

자의 경우 음경은 발기 사정 감각 등의 성기능을 평가하고 외상후 섬유증 탈구 등

에 해당하여 3단계로 구분 하였다 최고 장애율은 20고 성기능이 전혀 없음이다

mdash mdash78

신 장

Class 1 (0-14)

CCr 75-90Lday 증상은 있으나 치료 필요하지 않음 하나의 신장

Class 2 (15-34)

CCr 60-75Lday 증상이 있고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가 요함 신장이식 후

Class 3 (35-58)

CCr 40-60Lday 치료에도 완전히 조절되지 않는 증상을 가짐

Class 4 (60-95)

CCr lt 40Lday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증상을 가짐 투석이 요함

〈표 38〉 비뇨 생식기계의 평가표(AMA 기준 요약)

방 광

Class 1 (0-15)

방광이상 증상이 있고 간헐적인 치료가 요함 정상적인 기능이 남아 있음

Class 2 (16-40)

방광이상 증상이 있고 지속적인 치료가 요함

Class 3 (41-70)

배뇨의 반사적 활동이 없거나 자발적인 조절이 전혀 없음

음낭의 장애는 고환 기능에 이상은 없으나 음낭의 소실 통증 등으로 평가하며 3

단계 구분을 하였다 고환과 부속기는 해부학적 이상과 정액과 호르몬의 기능을 평

가하며 여기에는 부고환염 정자부족증 고환절제술 상태가 해당한다 장애는 3 단

계 구분으로 최고 장애율은 양측 고환이 없고 정액과 호르몬 기능이 없는 경우는

class 3으로 장애율은 16-20이다 최고 장애율은 음경의 장애에 의한 최고 장애

율과 같다 전립선의 경우는 3단계 구분으로 최고 장애율은 20이다

여자는 외성기의 장애는 변형으로 인하여 성행위와 질식 분만 가능성에 대하여

평가를 하고 3단계 분류로 class 3은 장애율이 26-35로 치료에도 조절되지 않는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성행위와 질식분만이 불가능한 경우로 정의하고 있

다 자궁에 관한 장애는 자궁절제술 자궁경부 협착 등이 해당하며 폐경기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장해평가를 하고 있다 3단계로 분류하고 최고 장애율은 35이

다 난소와 나팔관의 기능이나 변형에 대한 평가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폐경기 이

전에 나팔관의 개방성이 없거나 난자의 생성이 불가능하거나 해부학적 소실이 있는

경우가 장애율은 26-35에 해당한다 만일 관련된 호르몬의 기능 이상이 있는 경

우 내분비계에서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여자의 생식기계는 해부학적 부위별로 공

통적으로 3 단계 구분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동일한 정도의 장애율을 제시하고 있다

mdash mdash79

요 도

Class 1 (0-10)

요도이상 증상이 있고 간헐적인 치료가 요함

Class 2 (11-20)

요도이상 증상이 있고 치료에 효과적이지 못함

Class 3 (21-40)

요도이상으로 소변이 새고 자발적인 조절이 되지 않음

음 경(남자)

Class 1 (0-10)

성행위는 가능하나 발기 사정 감각이 어느 정도 불편

Class 2 (11-19)

발기로 성행위는 가능하나 사정과 감각에 결손

Class 3 (20)

성기능이 없음

음 낭(남자)

Class 1 (0-10)

음낭의 일부소실 고환의 기능이상은 없음 고환 위치이상이 있음

Class 2 (11-20)

음낭의 구조적 변형 고환을 음낭 이외에 위치하고 활동시 통증이 있음

음낭의 완전 소실

Class 3 (21-35)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음낭질환으로 신체적 활동에 제약

고 환(남자)

Class 1 (0-10)

고환 부고환 정삭의 해부학적 이상이 있고 지속적인 치료는 필요하지 않고 정액과 호

르몬의 이상은 없음 고환이 하나

Class 2 (11-15)

고환 부고환 정삭의 해부학적 이상이 있고 지속적인 치료가 요하거나 치료가 불가능

하고 정액과 호르몬의 이상이 있음

Class 3 (16-20)

양측 고환이 없음 정액화 호르몬의 기능이 없음

전립선(남자)

Class 1 (0-10)

전립선과 정낭의 이상증상과 해부학적 변형과 지속적인 치료는 필요하지 않음

Class 2 (11-15)

빈번한 전립선과 정낭의 이상 증상과 해부학적 변형과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

Class 3 (16-20)

전립선과 정낭이 없음

mdash mdash80

외성기(여자)

Class 1 (0-15)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이 있으나 치료는 요하지 않고 성행위가 가능하고 출산이 가

Class 2 (16-25)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치료가 요하고 성행위는 가능하나 어려움이 있고 질식

분만에 제한이 있음

Class 3 (26-35)

치료에도 조절되지 않는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성행위와 질식분만이 불가능함

자 궁(여자)

Class 1 (0-15)

자궁과 경부의 이상과 변형이 있으나 지속적인 치료는 요하지 않음

치료가 요하지 않는 경부협착 폐경기의 자궁과 경부의 소실

Class 2 (16-25)

자궁과 경부의 이상과 변형으로 지속적인 치료가 요함

주기적인 치료가 요하는 경부협착

Class 3 (26-35)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자궁과 경부의 이상과 변형

완전한 경부 협착

폐경기 이전에 자궁과 경부의 해부학적 기능적 소실

난 소(여자)

Class 1 (0-15)

자궁관 난소의 이상이나 변형이 있으나 치료가 요하지 않음

폐경기 이전에 단일 자궁관과 난소

폐경기 이후에 양측 자궁관과 난소의 기능이 없음

Class 2 (16-25)

자궁관 난소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지속적인 치료가 요하나 자궁관의 개방성은유지되

어 배란이 가능함

Class 3 (26-35)

자궁관 난소의 이상이나 변형이 있고 폐경기 이전에 자궁관의 개방성이 없거나 난자

의 생성이 불가능하거나 양측의 해부학적 소실

4 피 부

AMA 5판에서 피부에 대한 평가기준은 8장에서 기술하고 있다 치료 후 회복 단

계를 거친 다음 지속되는 피부의 기능 이상 또는 상실을 말하며 치료의 지속 여부를

mdash mdash81

Class 1

장애율 0-9

Class 2

장애율 10-24

Class 3

장애율 25-54

Class 4

장애율 55-84

Class 1

장애율 85-95

피부질환 징후 및 증상

이 있거나 가끔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상

이 있거나 가끔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상

이 있거나 가끔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

상 항상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

상 항상 있음

일상 활동 수행에 전

혀 지장이 없거나 약

간 있음 특정 물리

화학적 발생원에 노

출되면 일시적으로

활동 제한 폭이 커짐

일상 활동 중 일부

제한 있음

일상 활동 중 많은

부분 제한 있음

일상 활동 중 많은

부분 제한 있으며 이

따금 집 또는 기타

장소에 들어 박혀 활

동을 자제해야 함

일상 활동 중 대부분

제한 있으며 이따금

집 또는 기타 장소에

들어 박혀 활동을 자

제해야 함

치료가 필요 없거나

간헐적 치료를 요함

간헐적 치료 또는 지

속적 치료 요함

간헐적 치료 또는 지

속적 치료 요함

간헐적 치료 또는 지

속적 치료 요함

간헐적 또는 지속적

치료 요함

〈표 14〉 AMA Table 8-2 피부질환으로 인한 장해평가기준

막론하고 더 이상의 중대한 변화가 예상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임상적인 평가는

병력과 진찰 진단기법을 이용하여 판단한다 실험실 검사는 부착포 검사 개방검사

단자 검사 피부내 검사 혈청 알레르기 검사 우드등 검사 배양 세균 진균 및 바

이러스 검사 그리고 생검 등이 있다

해당이 되는 영역은 추상(醜相 변형 disfigurement) 흉터 및 피부이식 접촉성

피부염 라텍스 알레르기 피부암 등을 포함하고 있다 장애 판정기준은 AMA기준

5판의 Table 8-2에 제시하고 있다(표 14)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국내의 장해평가기준은 예시형 등급제도이다 예시형은 장애에 해당하는 참고항

목을 제시하고 그에 해당하는 항목에 따라서 장애의 경중을 나누고 등급을 결정하

도록 하고 있다 예시형은 모든 장애항목의 예를 제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제

시된 항목이 없으면 다른 항목에 준용을 할 수 밖에 없다 장애의 정도는 연속선상

에 위치한 것이지 계단형의 높고 낮음의 비교라고 할 수 없다 산재기준의 장애 등

급표는 1-14급으로 등급이 되어 있다

안과 영역에서 산재 기준은 장애등급이 연속적이지 못하고 단절과 비약이 심하

다 예를 들면 시력장애의 경우 장애등급의 범위는 1-13급이지만 11 12 14 등급

mdash mdash82

은 정해지지 않았다 임상에서 01 이하에서의 시력은 심각한 장애등급에 해당하여

신준을 기해야 한다 하지만 여기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그 차이가 구별하는데 어

려움이 많고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대표적인 예인 두눈이 먼 경우와 한쪽 눈만 먼

경우를 산재기준 장애인복지법 생명보험의 기준을 비교하면 장애 정도나 장애 등

급은 대동소이하다(표 15) 두 눈을 먼 경우는 국내의 모든 평가기준에서 1급이나

100의 장애를 인정하고 있다

산재 기준에서와 같이 시야장애를 단순히 반맹협착 등으로만 판정하기에는 부족

하다 한쪽 눈에만 국한된 시야 장애의 경우에는 등급이 너무 저평가되어 있다 시

야장애의 경우는 외국의 기준인 AMA기준 맥브라이드 평가법과 같은 결손범위 위

치에 따른 산정방법이 필요하다 다른 장애 부분에서도 제시된 항목이 애매한 형용

사형으로 표현되어 그 장애의 정도가 명확하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보면 청력을 잃었을 때의 장애 정도는 매우 상이하다 두

귀의 청력을 잃었을 때는 산재기준에서는 4급이고 장애인복지법에서는 2급으로 정

하고 있다 생명보험약관에서는 80의 장애율을 제시하고 있다 산재기준의 귀의

기능적 장애인 청력에 대해서는 평가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하지

만 평가방법이 피평가자의 주관성에 너무 의존하고 있으며 예시된 항목이 너무 구

체적이다 청력을 두 귀의 장애와 한 귀의 장애를 다르게 분류하여 항목을 제시하

고 있다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예시된 항목

의 분류는 구분이 애매하여 과학적이 못하다

비뇨기계의 장애 항목을 비교하면 양쪽 고환의 상실의 경우 국내 기준의 장애 정

도는 비슷한 정도로 평가되어 있다 하지만 외모에 대한 추상 장애의 경우는 장애

인 복지법에서는 2급의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어 있으나 생명보험약과에서는 15

의 낮은 장애로 평가되어 있다

국내의 장해평가기준의 모태는 산재기준이다 산재기준에서 제시되어 있는 장애

등급의 구분을 다른 평가기준에서 대부분을 받아들이고 있다 등급은 1급에서 14급

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장애항목은 산재기준에서의 항목을 많은 부분을 활용하고

있다 이렇기에 장애상태에 대한 장애정도나 등급은 비슷하다 하지만 추상장애의

경우와 같이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는 평가기준을 만든 주체가 따라 달라지는 것으

로 판단된다 국내의 장해평가기준은 보상이나 배상으로 위한 장애등급이기 때문에

지급의 주체에 의해 변경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의학적인 기준이

mdash mdash83

장 애 상 태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두 눈이 멀었을 때 1급1호 1급1호 100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 X 7급13호 50

한눈이 멀었을 때 6급 7급1호 50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2급 4급3호 80

한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X 9급9호 25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X 12급12 15외모에 뚜렷한 추상(추한 모습)을 남긴 때 2급1호 7급12호 15

〈표 15〉 특수기능 장애의 국내기준 비교

기보다는 단순한 주체의 이익이나 배상의 편익만을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국내 기준에서의 예시형 평가기준은 제시된 항목의 장애 정도를 표기하는데 있어

lsquo뚜렷한rsquo lsquo현저한rsquo lsquo경도의rsquo의 등의 형용사 어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형용사형

표현을 통해 장애의 등급을 결정하는 지표가 된다 예를 들면 입의 장애에 대한 장

애 정도로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모두 영구적으로 잃은 사람 말하

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

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 등으로 그 표현이 구체적이질 못하다

이러한 형용사형은 평가자 피평가자가 생각하는 개인차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

일 수 있다 이를 줄이기 위해 산재기준에서는 별도의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평가

자는 예시되어 있는 장애항목을 찾고 이에 대한 장애정도를 다시 지침에서 확인해

야하는 부담이 있다 평가지침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평가자의

주관에 따라서 등급이 결정되어 버리는 편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평가방식은 장해

평가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뇨기계의 장애항목은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 비장 또는 한 쪽의 신

장을 잃은 사람 생식기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의 3가지 항목만 제시하고 있

고 각각의 해당 장애등급은 7 8 9급이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항목은 흉복부 장

기에 장애의 정도에 따라서 준용하도록 하고 있다 준용의 예로 방광기능이 완전히

소실된 경우는 3급 신장의 이상으로 신우루를 낸 경우는 7급으로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제시된 항목의 예가 너무 제한적이다

주 표의 장애상태는 아래를 기준으로 하였음

장애복지법의 장애등급은 다음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음

외모에 뚜렷한 추상을 남긴 때는 lsquo노출된 안면부의 90 이상의 변형이 있는 사람rsquo으로

기준함

산재 보험의 장애등급은 다음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음

mdash mdash84

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는 lsquo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rsquo으로 기준함

한눈이 멀었을 때는 lsquo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rsquo으로 기준함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는 lsquo후각상실 또는 코로 숨쉬기가 곤란한 사람rsquo을 기준으

로 하여 준용함

외모에 뚜렷한 추상을 남긴 때는 여자가 기준임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AMA 기준과 산재 기준을 비교하면 복잡하고 상위의 장애항목의 장애 정도는 비

슷하다 예를 들어 두 눈이 먼 경우는 산재기준은 1급이고 AMA기준과 맥브라이드

기준도 동일하게 100 장애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하위의 장애를 보

이는 장애 항목의 장애 정도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대표적인 예가 한 귀가 들리

지 않는 경우이다 산재기준에서는 9급의 장애이지만 AMA기준에서는 최대 6의

장애율로 평가가되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표 16)

AMA기준은 상대적으로 과학적이지만 복잡하다 AMA기준은 예시형 백분율제도

라고 할 수 있다 복잡해보이지만 잘 정리된 표를 제시하여 이에 해당하는 장애 급

간(class 1-5)을 선택한다 급간을 선택하고 제시된 장애율 범위에 따라서 급간 내

에서 경중을 결정하여 최종 장애율을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안과영역에 있어 AMA기준은 국내 안과의사에게 인지도가 전혀 없고 시각요소

는 간단해졌지만 계산과정이 복잡하고 시야 측정시간이 매우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시력과 시야를 동시에 평가하여 눈의 보는 일에 대한 평가에 대해 충

실하고 있다 두 눈이 먼 경우에 산재기준과 AMA기준은 최고의 장애 등급으로 평

가하고 있다 하지만 한 눈만 기능이 없는 경우에 대해서는 산재기준은 7급이지만

AMA기준은 35 정도의 장애율로 평가된다 서로 차이는 상당한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청력장애에 있어 AMA기준은 산재기준에 비해 구체적이면서 과학적이다 장애가

일상생활능력의 제한의 정도라고 한다면 한쪽 귀의 청력이상이 있다고 하더라도 반

대쪽 귀가 청력이 명료하다면 일상생활에 큰 제약이 따르지 않는다 산재기준에서

는 한쪽의 청력을 완전히 소실한 경우는 9급으로 평가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를

AMA 기준으로 평가한다면 장애율을 약 5에 해당한다 산재기준과 AMA 기준이

mdash mdash85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일상생활능력에 대한 제약으로 볼 때 한쪽 귀의 청력의 소

실은 AMA기준의 장애율이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AMA 기준에서 비뇨 생식기계는 국소장기 별로 구분하여 장애를 평가한다 장애

율은 국소 장기별로 대동소이하게 평가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산업재해에서는 흉복

부장기의 내에서 아주 작은 항목만 언급하고 있다 AMA 기준과 비교할 때 산업재

해에서 신장과 방광의 기능 장애 정도가 보다 높게 평가되어 있다 그 예로 산업재

해에서는 한쪽 신장을 잃은 사람은 8급(50) 방광 기능이 상실은 3급(장애율

100)으로 평가하고 있다 AMA 기준에서는 같은 평가 항목이라고 할 수 있는 한

쪽 신장만 기능하는 경우는 class 1(0-14) 배뇨의 반사적 활동이 없거나 자발적

인 조절이 전혀 없음은 class 3(41-70)으로 평가하고 있다 산업재해의 장애는

등급으로 제시되어 있어 장애율은 단지 추정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고 장애율이 노

동상실률이라고 할 수 있기에 장기의 전신 대비한 손상율(impairment)인 AMA 기

준과의 비교가 절대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다른 항목을 비교했을 경우도

남자의 경우 양측 고환의 소실은 산업재해에서는 7급(장애율 60)이나 AMA 기준

에서는 class 3(16-20)이다 또 다른 예로 음경의 소실은 산업재해에서는 9급

(40)이나 AMA기준에서는 class 3(20)이다 산업재해의 장애정도가 AMA 기준

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고 할 수 있다

AMA 기준상 비뇨기계 평가는 신장 기능의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크레아

티닌 청소율을 제시하여 객관화 할 수 있으나 다른 항목의 장해평가는 주관적인 증

상에 의한 기능 평가로 객관화 하기 어렵고 모호 한 점들이 존재한다 비뇨기계는

해부학적 부위별로 기능이 다르므로 각각을 평가하는 방법이 타당할 것으로 보이고

생식기계의 해부학적 구분별로 비슷한 장애 구간 (구분)과 장애율를 제시하고 있다

복잡한 다수의 구분 없이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평가 항목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

로도 예상된다

mdash mdash86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타

두 눈이 멀었을 때 1급1호 85 85

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 7급13호20(남)

35(여)40

한눈이 멀었을 때 7급1호 36 24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4급3호 35 100

한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9급9호 6 10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12급12호 29 7외모에 뚜렷한 추상(추한 모습)을 남긴 때 7급12호 15-50

〈표 16〉 특수기능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주 표의 장애상태는 아래를 기준으로 하였음

AMA 에서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는 lsquo코의 완전 폐색rsquo이 기준임

McBride 에서

장애율은 lsquo전신기능에 대한 장애비율rsquo이 기준임

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는 lsquo고환의 양쪽 소실rsquo이 기준임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는 lsquo호흡장애를 일으키는 비의 손상rsquo이 기준임

장애는 신체 기관이 본래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정신 능력에 결함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장애의 정도는 계단식 구분의 등급보다는 백분율로 표현되어야 한

다고 할 수 있다 14 분류 단계의 장애 정도의 산출은 각 등급에 따라서 보상의 편

리를 위한 행정 편의주의이라고 할 수 있다 주관적인 불편함이나 일상적인 활동

사회적인 참여 노동의 제약의 정도는 구분선이 있다기 보다는 연속선에 있는 정도

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장애 등급에 의한 판정 보다는 백분율의 장애율에 의한

판정이 장애에 대한 개념을 접근하기 위해 적합하다고 할 것이다

Ⅵ 결 론

특수 기능이 담당하는 영역은 특수 감각을 평가하는 부분으로 전문가가 아니면

진단하기 어려운 분야이다 또한 각 병원별로 진단에 따르는 장비나 기구가 구비되

어 있는 면에서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 여건에 비교적 간단한 장비나 기구를 이용

하여 장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기준을 개발하여야할 것이다

국내에는 많은 장해평가기준이 있다 국내에서 개발된 기준은 예시형 등급제도로

평가자에 따라 등급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개발된 장해평가는 보상이나

배상을 위한 평가 기준이었다 이렇게 개발된 장해평가기준은 개발자(보험회사 공

mdash mdash87

단 행정부)의 주관이 많이 개입할 수밖에 없는 태생적인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장애에 대해서 의학적인 관점에서 객관적인 기준이 개발되어야 한다 순순한 의

미의 신체장애율을 구할 수 있는 장해평가기준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의학은 과학이다 과학은 진보한다 과학을 바탕으로 한 의학도 진보하고 발전하

다 진단 기술뿐만 아니라 치료에 필요한 약물 수술기법 재활치료법 등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에 따라서 신체기관의 중요도가 달라졌다 정량적인 수

치로 인체의 기관을 나열하여 등급을 매길 수는 없다 하지만 동시대 의사나 일반

인이 느끼는 중요도는 순위를 정하거나 정량화할 수 있다 또한 시대가 변화하면서

발전하는 복지 제도에 따라 신체적인 결함에 따른 불편함의 정도가 변화할 수 있

다 그리고 사회문화적인 차이에 따라서 신체 결함에 대한 불편함은 다를 수 있다

위에서 각 장애 기준의 비교에서와 같이 장애등급이나 장애율이 서로 상이한 경

우가 많다 의학적이 관점에서 장애를 평가하는 기준을 만들고 국내 정서와 현실을

반영하는 장애정도나 장애율을 제정해야 할 것이다 AMA 기준방식의 장해평가 방

법은 과학적이며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고 의학적인 관점에서 개발된 평가기준이

다 하지만 AMA기준은 외국의 기준으로 국내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 장애에

대한 문화환경적 차이 의학적 수준의 차이로 인해 인지되는 장애의 정도는 다르다

또한 평가자가 어렵게 생각되고 모호성이 있다면 평가기준으로 합당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객관적인 의학적 지식으로 개발되었고 최근까지 개정된 기준이므

로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 현실을 반영하는 장해평가 항목과 그 장애 정도에 따

른 장애율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mdash mdash89

제 5 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I 서 론

장애는 그 특성상 주관적인 면이 강하다 이를 객관화해야만 다른 사람들의 공감

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주관과 객관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주관과

객관을 어우르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접근 방법에 의한 특정 작업 특히 일상생활을

수행함에 따른 어려움의 정도에 대한 측정과 사회나 문화가 주는 편견이나 스트레

스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한 사회의 장애에 대한 인지도가 장해평가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에 이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현재의 여건과 문화적 여건에

합당한 장해평가기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근본 목적은 장해인지도

조사를 위한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이차년도에 시행할 설문지를 만드는 것이다 이

를 위해서는 매우 다양한 장애의 종류와 정도를 비교적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

록 설문을 만들어야 한다 한편 의학적 지식이나 상식이 부족한 국민들에게 심도

있는 질문과 답변을 구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어려움과 문외한인 일반 대중의 적

극적인 답변만으로 실제 우리나라 국민들의 장애 인지도를 평가할 때에는 현실과

동떨어진 편향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신체

와 신체 여러 부위의 구조나 기능에 대한 지식이 갖추어진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해

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장해평가나 의료 감정에 관심이 있는 의사들을 대상으로

주사를 수행하고 여기에서 얻은 자료를 취합하여 이중에서 대표적인 장애를 선정하

여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 이용함이 더 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40~50문항에 해당하는 전문가용 설문을 마련하고 이를 연내에 100명 이상의 전문

의를 대상으로 하여 의견을 취합함이 더 적절하다고 본다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성

인의 평균적인 상식에 의해 쉽게 파악하고 답변할 수 있는 뚜렷하며 대표적인 장애

를 기준으로 하여 설문에 답하는 국민들이 비교적 성실하게 답할 수 있도록 쉽고

간단한 문항을 개발해야만 한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합리적인 기준으로 미국

의학협회가 2000년에 발행한 AMA Guide 5판을 선택하였다 한편 장해평가제도

나 기준에 대한 문헌 조사와 고찰을 통해 이 기준을 선택한 이론적 근거와 타당성도 충

분히 밝히고자 한다 이 기준은 가장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공인된 기준이다 또한

mdash mdash90

이 기준은 자세하고 객관적이며 구체적이어야 한다는 조건도 만족한다 다만 우

리나라 현실에도 맞고 되도록 간편해야 한다는 기준에는 맞지 않다 우리나라 현

실에 맞도록 변형을 해야 하며 방대하고 복잡한 평가 기준과 방법을 간략하게 압

축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간편하여 이용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 동안 많이 이

용해 왔던 맥브라이드나 우리나라 산재 기준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장애

를 평가할 의사들에게 익숙한 방법이 아니면 의사들에게 외면을 당할 수 있다 그

렇게 되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장해평가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1 장애계열과 계열별 중요도

〔그림 1〕 운동 및 감각 축소 모형 인간과 뇌 피질 분포

대뇌의 피질에는 운동 축소인간(motor homunculus)과 감각 축소인간이 있다 이

는 신체 각 부위를 담당하는 대뇌 피질 영역을 그림으로 표시한 것으로 감각과 운

동에 대한 생리적 중요도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왼쪽의 운동 축소

mdash mdash91

인간의 중요도는 운동 부분에 한정된 것이며 윗 그림의 왼쪽 운동 축소인간의 손

크기에 비해 오른쪽 감각 축소 인간의 손 크기는 작다 또한 감각 중에서도 시각은

감각 축소 인간에서도 제외되어 있으며 대뇌피질 중 후두엽이 통째로 시각을 맡고

있음을 고려하면 ldquo몸이 천 냥이면 눈이 구백 냥rdquo이란 속담을 어느 정도는 수긍할

수 있다 다만 시각 소실이 인체 능력 중 90를 차지한다고 평가할 수는 없으며

생리적 중요도는 환경적 요인이나 문화적 요인 등이 배제된 것이므로 장애의 중요

도를 평가할 때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 구체적인 중요도는 설문조사를 통해 구해야

할 것이다

2 설문 조사를 위한 초안

15개 장해계열 중 심혈관계 호흡기계 소화기계 비뇨생식기계 피부 조혈계 내

분비계 등은 모두 인체의 특정 부위의 기능에만 장애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전신

적인 기능 장애를 가져와서 각 계열별로 0부터 100까지 장애가 발생할 수 있

다 또한 이들 장기의 기능은 생존에 모두 필수적인 요소들로 사실상 우열을 평가

할 기준이나 근거가 거의 없고 구태여 우열을 가려야 할 필요도 크지 않다 AMA

기준에 제시된 방법과 원칙에 따라 그대로 준용해도 큰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예상

되나 우리나라 현실에서 유용한 진단 방법에 의해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방법

에 따른 평가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이비인후과계 시계(視界

visual system) 신경계 정신(행동)계 척추 상지 하지의 경우에는 한 부위의 기능

완전 소실이 사람의 기능 완전 소실이 되지는 않기 때문에 이 경우에 신체 부위의 중요

도를 설문을 통해 조사할 필요가 있다 통증의 경우에는 객관적으로 표시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 해당하여 장해평가시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것이다

3 요 약

인체 모든 장기에 각기 다른 종류의 장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장해평가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이 매우 낮아 연구자도 적고 연구할 수 있는 여건도

매우 열악하다 그 동안 이 분야에 대한 관심과 연구들은 주로 산업재해나 교통사

고와 관련하여 외상을 다루는 전문과목 전문의들에 의하여 많이 시도 되었다 실무

mdash mdash92

상에도 이들 분야의 장해평가 빈도나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활용 면에서 보면 이

분야의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적절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보험 상품의 개발로 외상성 손상만이 아니라 질환이나

암까지도 장해여부나 정도 또는 인과관계 등에 대한 검토가 많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가장 공인된 기준을 도입하여 충분히 논리적인 근거에 의해 우리나라 여건에

맡도록 다듬어서 활용하면 가장 좋은 방법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되지만 아무리

좋은 기준을 개발하더라도 그 기준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지 못하면 쓸모가 없게 된

다 이를 위해 장해평가시 합당한 대우가 주어져야 할 것이며 장해평가기준과 실습

의 기회가 적절히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국공립 의료기관 보건소 또는 산재

자문의가 되기 위해서는 장해평가에 대한 지식을 갖추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미

국 영국 캐나다 및 호주 등과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장해평가에 대한 지식과 수련

을 체계적으로 마친 사람들에 대한 전문의 또는 인정의 제도의 도입에 대해서도 장

기적으로 검토해 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mdash mdash93

Ⅱ 전문가용 설문

설문 1)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은 경우(팔은 견관절 이단 다리는 고관절 이

단을 말함) 100 장애율이라고 할 때 다음 장애는 상대적 장애율은 어느 정도에

해당된다고 생각됩니까

100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음------------------------(100)

(1) 2 팔과 1 다리 잃음--------------------------( )

(2) 1 팔과 2 다리 잃음 -------------------------( )

(3) 1 팔 1 다리 잃음 ---------------------------( )

50

(4) 두 팔만 잃음-------------------------------( )

(5) 한 팔만 잃음-------------------------------( )

0 장애 없음-------------------------------------( 0 )

(6) 잘 모르겠다 ------------------------------( )

설문 2) 두 팔을 모두 잃은 사람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은 사람의 장애정도는

(1)두 팔을 잃은 사람이 크다( )

(2)두 다리를 잃은 사람이 크다( )

(3)서로 같다( )

(4)잘 모르겠다( )

설문 3) 생활 여건의 변화에 따라 발이나 다리의 기능에 비해 팔과 손의 기능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특히 전산화의 영향으로 뇌와 손가락의 기능이 다른

mdash mdash94

장기의 기능 보다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장애인의 이

동권이 보장되지 않아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다 목숨을 잃는 장애인도 있습니다

팔과 다리의 기능을 비교하면 다음 중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1) 팔 다리 = 40 60( )

(2) 팔 다리 = 45 55( )

(3) 팔 다리 = 50 50( )

(4) 팔 다리 = 55 45( )

(5) 팔 다리 = 60 40( )

(6) 잘 모르겠다( )

설문 4) 한쪽 팔을 잃었을 때에는 다른 쪽 팔로 어느 정도의 일은 할 수 있습니다 그

러나 양쪽 팔을 잃었을 때에는 할 수 없는 일이 훨씬 더 많아집니다 한쪽 팔을 잃었을

때 노동력 상실을 10으로 할 때 양쪽 팔을 잃었을 경우의 노동력 상실은 어느 정도라

고 생각 하십니까

(1)10+10 = 20( )

(2)10+15 = 25( )

(3)10+20 = 30( )

(4)10+25 = 35( )

(5)20+20 = 40( )

(6)잘 모르겠다( )

설문 5) 한쪽 다리를 잃었을 때에는 다른 쪽 다리만으로는 보행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습니다 물론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걸을 수도 있으나 양쪽 다리를 잃었을 때에는 한

쪽 다리만 잃었을 때 보다 불편이 훨씬 더 커집니다 한쪽 다리를 잃었을 때 노동력 상

실을 10으로 할 때 양쪽 다리를 잃었을 경우의 노동력 상실은 얼마나 된다고 보십니

(1) 10+10 = 20( )

(2) 10+15 = 25( )

(3) 10+20 = 30( )

(4) 10+25 = 35( )

mdash mdash95

(5) 20+20 = 40( )

(6) 잘 모르겠다( )

설문 6) 경추나 요추 염좌가 있었던 환자한테도 후유 장해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습

니까

(1) 있다( )

(2) 없다( )

(3)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 )(설문 7로 간다)

(4) 잘 모르겠다( )

설문 7) 설문 6에서 3번을 택하셨다면 어떤 경우에 장해가 있다고 평가하고 장애율

은 어느 정도가 적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후유장해라고 평가할 수 있는 조건은 답 ( )

(2) 장애율 답 ( )

설문 8) 관절 강직은 인공 관절을 이용하여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교정 할 수 있게 되

었습니다 그러나 인공 관절이 모두 성공하는 것은 아니며 영구적이지도 않습니다 관

절 완전 강직을 100으로 볼 때 인공 관절을 이용하는 경우 장해평가에서 어느 정도로

평가 하시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결과가 좋으면 75 결과가 나쁘면 100( )

(2) 결과가 좋으면 50 결과가 나쁘면 75( )

(3) 결과가 좋으면 25 결과가 나쁘면 50( )

(4) 결과가 좋으면 0 결과가 나쁘면 100( )

(5) 기타 결과가 좋으면 ( ) 결과가 나쁘면 ( )

(6) 잘 모르겠다( )

설문 9) 강직성 척추염처럼 모든 척추분절이 고정된 경우 아래 항목 중에서 어느 항

목과 비슷한 정도의 장해로 평가할 수 있습니까

(1) 완전한 시력의 소실( )

(2) 완전한 청력의 소실( )

mdash mdash96

(3) 양쪽 하지의 완전마비( )

(4) 양쪽 상지의 완전마비( )

(5) 성기의 소실로 인한 성기능의 소실( )

(6) 잘 모르겠다( )

설문 10) 다음 각 항목에서 둘 중 하나의 장애를 택해야 한다면 더 낫다고 생각

되는 장애에 표시하고 그 비율을 표시하세요 (나은 쪽의 숫자가 작도록 하여 비율

은 그 합이 10이 되도록 하세요)

예 한 팔 잃음 ( V )- 두 다리 잃음 ( ) = 3 7

(1) 1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 ( ) ( )

(2) 1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 ( ) ( )

(3) 2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 ( ) ( )

(4) 2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 ( ) ( )

설문 11) 상지에서 동일 부위의 장애 중 절단을 100라 했을 때 강직 마비의

상대적 장애는 어느 정도로 생각하십니까 기능이 없는

(1) 어깨 관절 절단 - 어깨 강직 - 견관절 이하 마비

( ) - ( ) - ( )

(2) 팔꿈치 관절 절단 - 팔꿈치 관절 강직 - 주관절 이하 마비

( ) - ( ) - ( )

(3) 손목 관절 절단 - 손목 관절 강직 - 손목관절 이하 마비

( ) - ( ) - ( )

(4) 전체 손가락 절단 - 전체 손가락 강직 - 전체 손가락 마비

( ) - ( ) - ( )

설문 12)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설문입니다 제 1지 절단(중수지

관절 절단)을 100 이라 설정했을 때 다른 손가락의 학습된 시각이 아닌 한국인의

일상생활을 감안하여 상대적 중요성을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1) 제 2지 절단 --- ( )

mdash mdash97

(2) 제 3지 절단 --- ( )

(3) 제 4지 절단 --- ( )

(4) 제 5지 절단 --- ( )

설문 13) 현재 사지에 대한 장해의 판정은 해당되는 부분의 전체 기능상실이 정

해져 있으며 병합 합산한 기능장해가 그 범위를 넘을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습니

다 예를 들어 비정상적인 위치에서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 및 족부가 강직되어 있

더라도 고관절 이단에 해당되는 40가 최대치로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병합합산

의 한계치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기능적인 장해가 절단을 초과할 수는 없다( )

(2) 기능적인 장해가 절단을 초과할 수 있다( )

2를 선택하신 경우 그 최대치가 너무 높은 경우를 만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1) 병합 합산한 그대로 인정되어야 한다

(2) 기능적인 평가의 한계치를 따로 설정해야한다

2를 선택하신 경우 그 최대치의 한계를 설정한다면

(1) 절단 최대치의 110( )

(2) 절단 최대치의 120( )

(3) 절단 최대치의 150( )

(4) 절단 최대치의 ( )

설문 14) 장해의 판정은 치료가 종결되고 증상이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합니

다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치료의 종결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예

를 들어 골이식술 및 수차례의 수술적 요법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경골 불유합의

경우) 장해판정의 적절한 시기는 언제로 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1) 치료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시간에 관계없다( )

(2) 치료가 가능하더라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의 상태에는 판정하는 것이 옳

다( )

(3) 치료 횟수나 기간에 상관없이 환자가 원하는 경우에 판정한다( )

(4) 몇 차례의 치료와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가능하다( )

mdash mdash98

상기문항 중 2나 4를 선택하신 경우 치료의 횟수나 기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됩니까

(1) 1회의 치료 1년 이상( )

(2) 2회의 치료 2년 이상( )

(3) 3회 이상의 치료 3년 이상( )

(4) ( )회 이상의 치료 ( )년 이상

설문 15) 장해의 판정은 치료가 종결되고 증상이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합니

다 말초신경손상 중 총비골신경손상의 경우 족하수가 발생하며 이 경우에는 최소

15 최대 19의 신체능력상실율이 있습니다 그러나 하지의 관절 중 족관절의

경우 적절한 범위에서 강직된 경우 전신체에 대하여 4의 신체능력상실이 있으며

최대치는 25로 기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치료의 종결시점을 어느 때로 보

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신경에 대한 치료가 종결되고 족하수 증상이 고정된 시점( )

(2)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족관절 고정술을 시행한 시점( )

(3) (1)(2) 모두 가능하다( )

설문 16) 장애판정은 현재의 상태뿐 아니라 보상적인 측면도 생각하는 경우가 있

습니다 복합 장애 판정의 경우 산술적으로 계산하다보면 범위로 판정하게 되는 경

우가 생기는데 이 경우 적절한 판정의 선택은 어떻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십니까

(1) 상위의 범위를 선택한다( )그 이유( )

(2) 평균적인 중간을 선택한다( )

(3) 하위의 범위를 선택한다( )그 이유( )

(4) 범위를 모두 기술한다( )

설문 17) 인공관절 치환술에 대한 장해판정의 경우 재치환술 여부에 상관없이 일

률적인 판정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재치환술의 경우 그 예후나 경과가 최초와

다른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장해의 판정에 대한 견해는 어떻습니까

(1) 기능적 평가보다는 관절운동범위로 판정하는 것이 옳다( )

(2) 현재의 기준대로 기능적 평가만을 시행하는 것이 옳다( )

(3) 재치환술의 경우 일정비율로 가중치를 산정하는 것이 옳다( )

(4) 현재의 기능적 평가에 추가로 나타나는 증상을 병합 합산하는 것이 옳다( )

mdash mdash99

설문 18) 슬관절 인대손상 중 십자인대 손상의 경우 현재는 이완정도와 관절운동

범위로 판정하도록 되어 있는데 현대의학적인 견지에서 인대재건술을 시행한 경우

이 항목에 대한 판정의 적절성은 어떠합니까

(1) 현재의 기준이 타당하다( )

(2) 인대재건술의 경우 인공관절 항목처럼 기능적 평가가 적용되어야 한다( )

(3) 다른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 )

설문 19) 장해를 판정하는 경우 객관성과 재현성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예를 들

어 근력손상의 정도나 보행이상을 판정하는 경우 주관적 증상이 판정의 인자로 작

용하여 범위를 선택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 장해를 판정하는 입장에

서 수용할 수 있는 오차의 범위는 최종적으로 어느 정도로 보십니까

(1) 오차 없이 완벽한 재현성이 있어야한다( )

(2) 3이내는 수용 가능하다( )

(3) 5이내는 수용 가능하다( )

(4) ( )이내는 수용 가능하다( )

설문 20) 44세 남자(기계공)가 연하곤란(음식물 삼키는 것이 힘듦) 증상을 호소

하여 진찰결과 이상소견을 발견 못하였고 위내시경과 위투시검사에서 위하수 진단

을 받았습니다 상기 환자는 현재 증상은 없습니다 이런 경우 장애율의 판정시 몇

에 해당될까요 (참고 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

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

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설문 21) 40세 여성(바텐더)이 3년동안 10여회의 간헐적 심와부 통증(주로 식사

후 발생)을 호소합니다 상기인은 2년전 담낭절제술을 시행받았고 이학적 검사상

특이소견이 없고 혈액검사상 아밀라제(췌장효소)가 상승되어 재발성 급성췌장염의

진단을 받았습니다 상기환자에게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

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5 다 10 라 15 마 기타 ( )

mdash mdash100

설문 22) 40세 남자로 10년간 간헐적인 궤양증상이 있었으며 3차례 수혈이 요구

되는 출혈이 있었습니다 또한 한차례 소장폐색증상으로 입원치료 받은 병력이 있

습니다 상기인은 수술적 치료를 거부하고 있으며 이 경우 지속적인 내과적 약물치

료가 요구됩니다 178cm크기로 59Kg이며 이상 체중보다 7 부족한 상태입니다

또한 상부소화관 투시검사상 상당한 십이지장궤양소견(변형)이 발견되어 재발성 활

동성 십이지장궤양으로 진단되었습니다 상기환자에게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

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설문 23) 38세의 남자로 지속적인 설사가 있으며 3년전 크론씨병으로 소장(회

장)부분 절제및 문합수술을 받았습니다 수술 후에도 재발되어 설사와 복통이 반복

되는 상태입니다 소장투시검사 결과 부분적으로 소장의 폐쇄가 있어 재발된 크론

씨병으로 진단되었으나 내과적 치료로 완치가 힘들고 무한정 수술을 받을 수 없는

상태입니다 상기환자의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

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

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20 나 40 다 60 라 80 마기타 ( )

설문 24) 여러 가지 원인으로(질병 사고등) 소장의 대량절제술후 서로 문합하면

소장이 거의 남지 않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소장이 없으면 음식물을 섭취해도 흡수

가 되지 않아 영양결핍상태가 되므로 경구영양공급만으로 부족하여 혈관내로 영양

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합니다 즉 환자는 평생 정맥주사를 통한 영양공급을 받

아야하는데 이 경우 장애율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

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10 나 20 다 30 라 40 마기타 ( )

mdash mdash101

설문 25) 45세 남자로 항문주위 농양이 있어 5년전 수술을 시행받았고 이후 재

발되어 1년전 치루절개술을 시행받았습니다 현재는 항문주위 감염소견이 없고 항

문괄약근 기능도 정상입니다 직장경검사상 항문주변을 수술한 흔적이 있는 것 외

에는 정상입니다 상기환자의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

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5 다 10 라 15 마 기타 ( )

설문 26) 56세 남자로 항문주위 농양이 있으며 3년동안 수차례 재발되었다 이

학적 검사결과 치루 외공이 4개가 각각 항문주위에서 발견되었고 2차례 수술적 치

료를 시행한 병력이 있었습니다 현재 항문괄약근 조절기능이 소실되어 배변실금현

상이 있어 속내의에 변이 뭍습니다 따라서 반복된 치루수술로 항문괄약근 기능이

상실된 배변실금으로 진단받았습니다

상기환자의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10 나 20 다 30 라 40 마 기타 ( )

설문 27) 장루환자는 장루로 인하여 개인적 활동 가정생활및 사회생활 그리고

직업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목욕 수영 성행위 등 개인생활 뿐만아니라 사

회생활이나 직장생활 등에서 냄새가 나고 장루백을 수시로 갈아야하는 불편함이 있

습니다 육체적 노동자라면 무거운 것을 드는 행위는 장루주위 탈장을 유발하므로

작업환경을 바꾸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장기간 여행시 장루주위를 위생적으로 처

리할 물품의 준비 등이 요구됩니다 이런 장루환자의 장애률은 다음준 어느 것과

동일한 장애정도로 생각됩니까

가 한 쪽 청력의 마비

나 양 쪽 청력의 마비

다 한 쪽 시력의 마비

mdash mdash102

라 양 쪽 시력의 마비

마 한 쪽 상지의 마비

바 양 쪽 상지의 마비

설문 28) 35세 남자로 황달 복수 식도 정맥류 출혈이 없고 영양결핍도 없으나

간기능 검사상 AST가 70UL으로 상승되어 있고 황달수치인 총 빌리루빈이

21mgdl로 상승되었습니다 또한 B형간염항원이 양성으로 판정되어 만성 B형간염

으로 진단되었습니다 상기 환자의 장애율 판정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

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설문 29) 55세 여자환자로 5년간 담낭염을 앓았습니다만 종교적 이유로 치료를

거부합니다 상기 환자는 우상복부 통증과 오심 구토 발열 황달 짙은 소변 색깔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있으며 혈액검사상 황달수치가 상승되고 간기능이 악화된 소

견을 보이며 간생검소견상 심한 간경화 소견을 보입니다 따라서 진단은 폐쇄성 황

달을 동반한 간경화입니다 상기환자의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

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20 나 40 다 60 라 80 마 기타 ( )

설문 30) 50세 남자로 우측 사타구니의 반복적 돌출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지

않았습니다 상기 탈장은 복압의 상승시 쉽게 튀어나오지만 자세를 누우면 통증없

이 다시 복강내로 들어갑니다 진단은 복구가능한 우측 서혜부 탈장입니다 (참고

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

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mdash mdash103

장 애 구 분 1급 2급 3급 4급 5급

심혈관계

(심장판막 관상동맥

심근병증 선천성 심

막성 부정맥 고혈압

심혈관 대동맥 및 심

장) 질환

0~( ) ~( ) ~( ) ~100 -

말초혈관계

팔 및 다리

0~9 10~39 40~69 70~89 90~100

팔 60

다리 40

호흡계

폐동맥 고혈압

천식 및 COPD

0~( )

0~( )

~( )

~( )

~( )

~( )

~100

~100

-

-

소화계

상부소화관결장직장 0~( ) ~( ) ~( ) ~75 -

항문질환 0~( ) ~( ) ~( ) - -

간 및 담도 질환 0~( ) ~( ) ~( ) ~95 -

헤르니아 0~( ) ~( ) ~( ) - -

혈액 조혈계

빈혈

백혈구혈소판출혈병

0~( )

0~( )

~( )

~( )

~( )

~( )

~100

~100

-

전문가용 설문 31) 다음의 표는 각 질환에 의한 장애로 인한 전신 장애율을 표시

한 것 입니다 3급 이상인 경우가 중증 장애에 해당하는 경우 입니다 ( )의 전신

장애율 를 적어보시오 lsquoAMA 가이드rsquo는 한 팔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이고 이에 해당하는 전신 장해는 60 한 다리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이고 전신 장해 40에 해당 합니다(참고사항 lsquoAMA 가

이드rsquo의 장애율 판정시 양측 청력의 와전 소실은 전신 장애율 35 양측 시력 상실은

85 일측 시력 상실은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

니다)

mdash mdash104

내분비계

시상하부뇌하수체축

갑상선 질환

부갑상선 항진증

부갑상선 저하증

부신피질 항진증

부신피질 저하증

당뇨질환

저혈당증

0~( )

0~( )

0~( )

0~( )

0~( )

0~( )

0~( )

0~( )

~( )

~25

~( )

~20

~39

~29

~( )

~50

~50

-

~90

-

-

~90

~( )

-

-

-

-

-

-

-

~40

-

-

-

-

-

-

-

-

-

외과적 처치

식도 및 위 조루술

공장 및 회장 조루술

회장 항문 연결술

결장 조루술

( )~15

( )~20

( )~20

( )~10

-

-

-

-

-

-

-

-

-

-

-

-

-

-

-

-

설문 32) AMA 기준에 따르면 정신(행동)장애에 대해서는 장애의 내용과 정도를 구

체적인 서술로 적고 구태여 백분율로 표현된 장애율을 구하지 않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다음 중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1) 가볍다(13) 보통이다(23) 심하다(33) 등 세 단계 정도로 구분한다

(2) 가벼움(14) 보통(24) 심함(34) 매우 심함(44) 4단계로 구분한다

(3) 5단계 이상으로 구분하여 등급을 제시한다

(4) 백분율을 정하고 백분율로 표현한다

(5) 장애내용을 자세히 기록하고 백분율은 구하지 않는다

설문 33) 중추신경계 기질성 장애의 장애율을 구할 때 이론상 기질성 장애는 0부

터 100까지 가능하지만 실제로 구체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특징적 소견이 한정되어

가벼움 보통임 심함 매우 심함 등의 4 단계로 구분하였을 때 그 장애율을 어떻게 정

하는 게 좋겠습니까

(1) 25 50 75 100 등 고정 값이 좋다

(2) 25 50 75 100로 정하고 5 가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mdash mdash105

(3) 20 45 70 95로 정하고 5 가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4) 15 40 65 90로 정하고 10 가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5) 0~25 25~50 50~75 75~100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한다

설문 34) 두 귀 중에서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이 완전한 청력이 상실된 경우입

니다 산재 기준의 장애등급은 9급(장애율로 환산하면 40)이고 AMA기준으로 평

가하면 장애율은 6입니다 어느 기준이 더 합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산재 기준이 합당하다( )

(2) AMA기준이 합당하다( )

(3) 두 기준 모두 합당하지 않다( )

위 문항에서 3) 두 기준 모두 합당하지 않다고 답하신 경우만 해당합니다 두 귀

중에서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이 완전한 청력이 상실된 경우에 어느 정도의 장애

율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0( ) (2) 5( ) (3) 10( ) (4) 20( )

(5) 30( ) (6) 기타 ( )

설문 35) 양쪽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경우 AMA기준에서 장애율은 35입니

다 같은 경우에 산재 기준은 4급(장애율로는 90)입니다 어느 정도의 장애율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25( ) (2) 35( ) (3) 50( ) (4) 65

(5) 기타 ( )

설문 36) AMA기준에서 청력장애의 평가 공식은 (5밝은 귀의 청각 장애율 +

어두운 귀의 장애율)6입니다 이 공식으로 평가하면 청력 장애의 장애율은 0에서

35(양쪽 귀의 청력을 완전히 소실된 경우)입니다 밝은 귀의 청력에 더 비중을 두

어 평가하여 장애율을 구하는 방식은 합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AMA기준은 합당하다( )

(2) 밝은 귀와 어두운 귀의 비중을 같이 두어야 한다( )

mdash mdash106

(3) 밝은 귀의 장애에 AMA기준보다 더 비중을 두어야 한다(가산숫자인 5보다

커야 한다)( )

(4) 밝은 귀의 장애에 비중을 두어야 하지만 AMA기준보다 적게 비중을 두어야

한다(가산숫자인 5보다 작아야 한다)( )

(5) 잘 모르겠다( )

설문 37) AMA기준(5판)에서 눈의 기능적 평가는 시력검사와 시야검사로 평가합니

다 시력점수(Visual Acuity Score VAS)를 각각 눈에 대해서 평가하여 제시된 점수를

이용하여 주어진 공식인 (VAS두 눈3 + VAS오른쪽 눈1 + VAS왼쪽 눈1)5로 시력기능점

수(Functional Visual Score FVS)를 구합니다 두 눈에 의한 시력에 더 비중을 두는

공식입니다 시력기능점수를 환산하는 공식이 합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이전 판(4판)까지는 (3보다 좋은 눈 + 1보다 나쁜 눈)4로 기능점수를 환산하였

습니다)

(1) 합당하다( )

(2) 합당하지 않다( )

(3) 잘 모르겠다( )

설문 38) 벨마비(Bells palsy)로 인해 얼굴 한 쪽의 완전한 운동마비가 있다 이

경우에 적합한 장애율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AMA기준은 약 15 정도의 장애율입니다)

(1) 10( ) (2) 15( ) (3) 20( ) (4) 25( )

(5) 30( )

설문 39) 비뇨기계 (신장 요관 방광 및 요도)의 장애에 의한 일상생활 능력의 제약

은 다음 어느 신체기관의 장애에 의한 제약의 정도와 같다고 생각하십니까

(1) 한쪽 시력의 장애( ) (2) 양쪽 시력의 장애( )

(3) 한쪽 청력의 장애( ) (4) 양쪽 청력의 장애( )

(5) 한쪽 하지의 장애( ) (6) 양쪽 하지의 장애( )

(7) 한쪽 상지의 장애 (오른쪽)( ) (8) 한쪽 상지의 장애 (오른쪽)( )

(9) 양쪽 하지의 장애( )

mdash mdash107

설문 40) 설문 6)의 9개의 항목에서 장애율이 크다고 생각하는 순서대로 나열해 보

세요 (장애율이 높은 항목에서 작은 항목 순으로)

( )

설문 41) 만성 방광염으로 빈뇨가 있는 경우 장애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까

(1) 있다( ) (2) 없다( )

(3) 빈뇨의 정도에 따라서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 )

만일 3으로 답하였다면 어느 정도의 빈뇨가 있으면 장애가 있다고 평가하고 장애율

은 어느 정도가 적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빈뇨의 정도 답 ( )시간마다

(2) 장애율은 답 ( )

설문 42) 폐경기 이전의 여성에서 다음의 항목 중에서 장애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

세요 (장애율이 높은 항목에서 작은 항목 순으로)

(1) 자궁이 없다( )

(2) 양쪽의 난소와 자궁관이 없다( )

(3) 질의 기형으로 성행위가 불가능하다( )

(4) 위 3가지 항목 모두 같은 정도의 장애이다( )

설문 43) 비뇨기계의 장해평가를 신장 및 요관 방광 요도의 세 가지로 분류하는 것

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 합리적이다( )

(2) 불합리하다 (비뇨기계 하나로 평가하도록 해야 한다)( )

(3) 불합리하다 (신장 및 요관 방광 및 요도의 두 가지로 분류해야 한다)( )

(4) 기타 ( )

mdash mdash108

Ⅲ 일반인용 설문

설문 1) 양쪽 팔과 양쪽 다리를 모두 잃은 경우(팔은 어깨에서 다리는 엉덩이에

서 잘려나감) 100 장애율이라고 할 때 다음 장애는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의 장애

로 봐야 하나

100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음------------------------(100)

(1) 2 팔과 1 다리 잃음---------------------( )

(2) 1 팔과 양쪽 다리 잃음 -------------( )

(3) 1 팔 1 다리 잃음 -------------( )

50

(4) 양쪽 팔만 잃음---------------------( )

(5) 한 팔만 잃음----------------------( )

0 장애 없음---------------------------------( 0 )

[목적] 상지와 하지의 비중을 알고자 함

[배경] 현재 산재에서는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과 두 다리를 무

릎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이 모두 장애율 100로 5050이지만 AMA기준에 따르

면 상지하지가 6040으로 상지의 비중이 큼 장애인 이동권이 보장된 경우라면 상

지의 비중이 크지만 이동권이 심하게 제한될 경우에는 하지의 비중이 더 클 수 있음

설문 2) 다음 각 항목에서 장애가 덜 심하다고 생각되는 장애에 표시하고 그 비

율을 표시하세요 (나은 쪽의 숫자가 작도록 하여 비율은 그 합이 10이 되도록 하

세요)

예 한 팔 잃음 ( V )- 두 다리 잃음

mdash mdash109

(1) 1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2) 1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3) 2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4) 2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설문 3)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설문입니다 첫 번째 손가락을 잃

었을 때를 100 장애라고 하면 다른 손가락을 잃었을 때는 몇 로 봐야 합니까

1) 제 2지 절단 --- ( )

2) 제 3지 절단 --- ( )

3) 제 4지 절단 --- ( )

4) 제 5지 절단 --- ( )

[목적] 상지와 하지의 비중과 함께 동반 손상시의 비중 변화를 알고자 함

[배경] 상지와 하지에 대한 비중을 파악한 후 일측 또는 양측 손상시 느끼는 비

중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하지와 상지의 비중을 감안하여 판단하도록 한다 현

재는 맥브라이드에서 상지 장해평가에서만 열성 상지에 대한 장애율 감소(90)를

적용하고 있으며 AMA와 국내법에서는 이에 대한 가감 없음

설문 4) 상지에서 동일 부위의 장애 중 절단을 100라 했을 때 강직 마비의

상대적 장애는 어느 정도로 생각하십니까 기능이 없는

(1) 어깨 관절 절단 - 어깨 강직 - 견관절 이하 마비

( ) - ( ) - ( )

(2) 팔꿈치 관절 절단 - 팔꿈치 관절 강직 - 주관절 이하 마비

( ) - ( ) - ( )

(3) 손목 관절 절단 - 손목 관절 강직 - 손목관절 이하 마비

( ) - ( ) - ( )

(4) 전체 손가락 절단 - 전체 손가락 강직 - 전체 손가락 마비

( ) - ( ) - ( )

[목적] 장애의 종류에 대한 비중을 설정하고자 함

mdash mdash110

[배경] 절단과 기능 전폐가 기능만으로 보면 거의 차이가 없고 국내법의 경우

대부분 동일한 장애등급으로 평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비중 재조정이 필요할 것임

설문 5)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설문입니다 제 1지 절단(중수지

관절 절단)을 100 이라 설정했을 때 다른 손가락의 학습된 시각이 아닌 한국인의

일상 생활을 감안하여 상대적 중요성을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1) 제 2지 절단 --- ( )

2) 제 3지 절단 --- ( )

3) 제 4지 절단 --- ( )

4) 제 5지 절단 --- ( )

[목적] 수지의 기능 소실에 대한 비중 평가

[배경] 일반적으로 제 1지의 기능을 50라고 하지만 AMA에서는 1지-40 2 3

지-각 20 4 5지-각 10의 장해율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한국인의 평가를

위함

설문 6) 다음의 질환에 의한 장애들을 문항과 같은 관점에서 불편이 심한 순서대

로 적어보시오

심혈관계 질환 - 1) 고혈압 및 심장 질환 2) 상하지의 말초혈관질환

호흡기계 질환 - 3) 천식 및 폐기능 질환 4) 폐암

소화기계 질환 - 5) 소화 장기(위 장 질환) 6) 간담도 및 췌장 효소 질환

조혈계 질환 - 7) 빈혈 및 혈소판 질환 8) 백혈병 등의 혈액암

내분비계 질환 - 9) 당뇨 질환 10) 감상선 호르몬 및 대사 조절계 질환

6-1) 일반인의 일상적 가정 생활상에 우선적으로 불편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질

환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mdash mdash111

6-2) 일반적인 직장인의 직장 생활상에 우선적으로 불편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질환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6-3) 경미한 질환이나 장애로도 직장 생활을 하기 어려울 상태가 잘 생길 것으로

예상되는 질환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6-4) 일반적인 사회 생활상에 상당한 어려움과 고통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질환

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설문 7) 두 눈 중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은 완전한 시력 상실인 경우와 두 귀

중에서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은 완전한 청력을 상실한 경우 어느 쪽이 더 장애

가 높다고 생각하십니까

(1) 한쪽의 눈의 시력이 상실한 경우가 높다( )

(2) 한쪽의 귀의 청력이 상실한 경우가 높다( )

(3) 서로 장애율은 같다( )

(4) 잘 모르겠다( )

설문 8) 52세 남자로 여러 차례 성대(聲帶)에 낭종(물혹)으로 낭종을 절개한 병력이

있다 쉰 목소리를 가지고 소리를 지르면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도 있으며 쉽게 목이

잠겨 목소리가 잘 나지 않는다고 한다 검사소견에서 좌측 성대에 수술로 인한 흉터가

보이고 후두염이 관찰된다 이러한 경우의 장애 정도는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미국의학협회의 기준에 의하면 장애율은 20 정도입니다)

(1) 10( ) (2) 20( ) (3) 25( ) (4) 30( )

(5) 40( ) (6) 잘 모르겠다( )

mdash mdash112

설문 9) 50세 여자로 미로염(속귀의 구조물로 소리를 뇌로 전달하는 세반고리관에

발생하는 염증)으로 인해 어지러움증을 가지고 있다 증상의 조절을 위해 약물투여를

해야 하며 밤에서 혼자서 다니기가 어렵다고 한다 청력은 정상이다 이 경우는 아래의

보기의 장애와 가장 비슷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한쪽 귀의 완전한 청력 소실( )

(2) 한쪽 눈의 완전한 시력 소실( )

(3) 우측 엄지손가락의 절단( )

(4) 우측의 새끼손가락의 절단( )

(5) 얼굴 한 쪽의 운동 마비( )

(6) 잘 모르겠다( )

설문 10) 25세 남자가 목 팔과 다리의 피부에 아토피 피부염이 있다 가려움증

으로 수면에 불편함이 있는 경우가 있고 가끔씩 연고를 바르고 항히스타민과 스테

로이드 등의 약물을 투약해야만 한다 이 경우 장애의 정도는 어느 정도라고 생각

하십니까

(1) 0( ) (2) 5( ) (3) 10( ) (4) 15( )

(5) 20( ) (6) 잘 모르겠다( )

설문 11) 교통사고 인해 좌측 코가 함몰되어 있고 근처에 약 4cm의 흉터가 있습

니다 미국의학협회의 기준에 의하면 장애의 정도는 15입니다 이러한 경우에 남

자와 여자의 장애 정도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 남자나 여자의 장애 정도는 같다( )

(2) 여자가 남자보다 약 5 정도 장애가 높다( )

(3) 여자가 남자보다 약 10 정도 장애가 높다( )

(4) 여자가 남자보다 약 15 정도 장애가 높다( )

(5) 잘 모르겠다( )

설문 12) 신장기능의 완전한 소실(예를 들면 일주일에 3회의 혈액 투석을 요하는 만성

신부전)의 경우입니다 이 경우는 아래의 보기의 장애와 가장 비슷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양쪽 눈의 완전한 시력 소실( )

mdash mdash113

(2) 양쪽 귀의 완전한 청력 소실( )

(3) 양쪽 하지의 완전 마비( )

(4) 양쪽 상지의 완전 마비( )

(5) 한쪽 눈의 시력 상실( )

설문 13) 설문 12의 5개의 항목에서 장애율이 크다고 생각하는 순서대로 나열해 보

세요 (장애율이 높은 항목에서 작은 항목 순으로)

( )

mdash mdash115

부 록

1 시각장해평가기준 2 이비인후과 장해평가기준3 맥브라이드 장해평가기준4 생명middot손해보험 장해분류표 개정내용5 대한신경외과학회 제안 장해평가기준

mdash mdash117

1 시각장해평가기준8)

용어(Terminology)

눈의 기능 시각(Vision)

1 시력 (Visual Acuity)

2 시야 (Visual Field)

3 색각 (Color Vision)

4 입체시(Stereoacuity)

5 대비감도(Contrast Sensitivity)

용어(Terminology)

시각장애(장해) Vision impairment

실명 맹 Blind ICD lt360

저시력 Low vision

시력(Visual AcuityVA) lt618

시야(Visual FieldVF) lt10deg

광각(+)이상의 시력을 가지며 이 시력을 사용할 수 있음

시각을 연습과 훈련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시력의 변화-)

약시 Amblyopia

시각장애의 일련 결과

시력 lt 612 (critical level to cause functional limitation)

1 Risk of falls doubles

2 Difficulties with daily living increase x2

3 Ease of social functioning reduced by half

4 Use of community services increase 12 with each line of vision lost

8)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안과학교실 교수 박성희

mdash mdash118

저시력의 영향

1 Work education amp leisure

2 Social isolation ndashfriends family amp religious activities

3 Emotional ndash depression

4 Sonsumer activities- shopping banking

5 Activities of daily living ndash personal amp household

시각장애에 의한 신체장해평가기준

lt국 외gt

1 McBrides Disability Evaluation and Principles of Treatment of

Compensable Injuries 6th Ed 1963

2 AMAs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4th Ed 3rd

printing 1995 (1st Ed 1971) 5th Ed 2001

lt국 내gt

3 새로운 신체장해평가법 ltAMA 장해평가지침gt 임광세편저 1995 (AMAs

3rd Ed 1990 revised)

4 보건복지부 장애등급판정기준 2003

국가배상법시행령 1998

산업재해보상보호법 2000

(근로복지공단 장해등급판정기준해설 1999)

근로기준법 1998

5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1999

산업재해보상보호법 - 국가배상법시행령(별표2)

mdash mdash119

신체장해의 등급과 노동력상실률표[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9)

계열번호(장해내용) 장해등급범위 없는 등급

1(시력장해) 1~13 11 12 14

9) lt의료분야 중간보고서 2005 08 17gt p8

mdash mdash120

2(안구운동장해) 11 12 13 14

3(눈조절기능장해) 11 12 13 14

4(시야장해) 9~13 10 11 12 14

5(눈꺼풀) 9~14 10

산재보험법 맥브라이드(amp AMA 4th ed 1995) AMA(5th ed 2001)

1(시력장해) 시력장해 시력장해

2(안구운동장해)

3(눈조절기능장해) 안구운동장해

4(시야장해) 시야장해 시야장해

5(눈꺼풀장해)

산재보험법의 문제점 장해등급이 연속적이지 못하고 단절과 비약이 심함

1 시력에 의한 등급판정이 대부분을 차지하나 이는 상당히 주관적임

특히 01이하의 시력을 측정하고 객관화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안전수동안전수지 등과 같은 시력평가는 어떻게

2 안구운동장해에서도 좀 더 세분화된 판정기준이 필요함

즉 복시의 범위와 부위 등에 대한 평가가 있어야 함

3 조절기능장해에서 홍채이상(손상 무홍채증 긴장성동공 등)

나이(노시안)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함

4 시야장해를 단순히 반맹협착 등으로만 판정하기에는 부족하며

결손범위를 산정하는 것이 필요함

단안시야결손의 등급이 너무 저평가되어 있음

5 눈꺼풀장해 ldquo현저한rdquo 과 같이 너무 모호한 판정 기준임

6 손상(외안부 각공막열상 망막손상 등)

인공수정체삽입술 등 수술 후 상태에 대한 평가도 있어야 함

mdash mdash121

맥브라이드(amp AMA 4th ed 1995)기준의 문제점

1 직업계수(안과는 없음)

2 시력 시야 안구운동 등 모든 검사가 환자의 말에 의해 결정됨

3 시야 안구운동검사 자동시야계만 있는 병원서는 기준이 모호함

4 사고 후 굴절부등(부등시)이 생겼지만 교정시력이 정상일 때

맥브라이드 amp AMA 4th ed (1995) 장해평가법

1 각 눈의 시각요소를 측정 후 소실율로 환산

1) 시력(VACV)

교정시력(원근거리) Table 23

2) 시야(VF) Fig 1 Table 145

3) 안구운동(OM) Fig 3

- 시각장애판정은 일차요소인 세 요소에 의해 결정함

- 여기에 반영되지 않은 안과장애는 정확히 검사한 의사의 판단으로 세 요소에

의해 이미 계산된 해당 눈의 시각장애에 5~10 정도를 combined 할 수 있음

- Ocular function에 영향을 주지 않는 orbit deformity scarring 등 cosmetic

defect도 전신 노동력상실율에 10까지 병합할 수 있음 단 성형외과장애와

중복시키지 않음

2 단안 시각장애율

1) 한 눈의 2 시각요소(CV amp VF)의 소실율을 병합함

2) 한 눈의 시각소실율 계산 (p478-479 Combined Table을 이용)

- 다른 계산법

우안 시효율 044 x 068 x 075 = 22 rarr 시각소실율은 78

좌안 시효율 054 x 068 = 37 rarr 시각소실율은 63

- 다른 계산법

우안 시효율 044 x 068 x 075 = 22 rarr 시각 소실율은 78

좌안 시효율 054 x 068 = rarr 시각 소실율은 63

mdash mdash122

3 양안시각장애율을 계산 (Table 7)

우안 78 좌안 63 rarr 67가 됨

- 다른 계산법

3 x better eye value + worse eye value

4 양안 시각장애율을 전신 노동력상실율로 전환 (Table 6)

AMA(5th ed 2001) 기준의 문제점

1 국내 안과의사에게 아직까지 인지도가 없다

2 계산 과정이 매우 매우 복잡하다

AMAs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 2001

- 저시력에 관련된 국제전문가들이 관여함

- 이전의 1925년 Snell의 lsquoVisual Efficiencyrsquo 개념이 없어지고 lsquoFunctional Vision

Score(FVS)rsquo로 대치됨

시력은 Visual Acuity Score인 (FAS)로 바뀜

예) VA 20200 -gt VA loss in VE 80

VA Impairment rating(ability loss) 50 (Table 12-2)

시야는 새로운 Visual Field Score인 (FFS)로 재계산됨

FVS = (FAS x FFS)100

- 복시와 무수정체안에 대한 항목이 없어짐 근거리시력은 선택사항임

- 시력 시야에 대한 시각장애(Visual impairment ratings)는 새로운 공식을 적용

(3 x OU + OD + OS)5 (이전 3 x better eye + 1 x lesser eye)4

- Visual system의 Impairment rating은 100-the FVS임

mdash mdash123

시각계통의 장해율 계산과정(flow chart)

시력검사(시력표)

mdash mdash124

시력장애

시력장애율의 계산

mdash mdash125

시력장애의 분류

시야장애의 검사- Goldmann주변시야계

자동시야계-Humphrey autofield analyzer

mdash mdash126

- 총 10개의 경선

25deg 65deg 115deg 155deg

195deg 225deg 155deg 285deg 315deg 345deg

중심 10deg내에서는 5점(2deg간격) 10deg밖에서는 10deg간격

정상시야에서 한 눈 당 총 100곳을 검사하게 됨

정상시야

mdash mdash127

Overlay Grid에 의한 정상시야

시야장애

mdash mdash128

시야 장애율 계산

시야장애의 분류

시야반경거리를 시야점수로 전환

mdash mdash129

중심 암점의 보정

시각장애과 전신장애의 분류

mdash mdash130

글씨크기와 시표거리에 따른 근거리시력과 장애율계산

mdash mdash131

2 이비인후과 영역의 장해평가기준10)

I 이비인후과 영역의 장애판정

1 이과분야

- 난청

- 안면신경마비

- 어지러움(현훈)

2 비과분야

- 후각장애

- 호흡장애

- 안면손상

3 두경부 분야

- 음성 언어장애

- 저작 및 연하기능장애

- 상부 호흡기손상 및 호흡장애

- 안면손상

1) 귀의 구조

외이 연골로 형성된 이개와 외이도로 이루어짐

외이도는 바깥 13의 연골부 안쪽 23의 골부로 형성되어 있음

중이

고막 외이와 중이의 경계 부위에 위치

중이에 대한 방어벽인 동시에 음전도 역할

이소골 3개의 뼈가 있어 외이를 통해 들어온 소리가 고막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이로 전달하는 역할

내이 소리를 감지하는 달팽이관과 몸의 균형을 담당하는 세반고리관이 있음

10) 한양대학병원 이비인후과 박철원

mdash mdash132

(1) 외이의 구조

이개 울퉁불퉁한 얇은 탄성연골로 골격을 이루며 피부로 덮여 있다 음파를 모

아서 외이도내로 도입하는 역할

외이도 외이도의 외측 13은 연골부 내측 23는 골부로 구성

협부 연골부와 골부의 경계부에서 약간 내측에 외이도에서 가장 좁은 부위

미주신경과 삼차신경이 지배 외이도를 자극했을 때 미주신경반사로 기침이 일어

날 수 있으며 후두 질환이 있을 때 방사통으로 인한 이통을 호소하게 된다

(2) 중이의 구조

중이 측두골내에서 점막으로 덮여 있고 공기로 채워진 공간 (6면체 구조)

외측 고막 내측 와우

고막 타원형의 진주양회백색(pearly gray color)

제(umbo) 고막중심에 내측으로 약간 함몰 되어 있는 곳 (추골병의 하단에 해당)

광추(cone of light) umbo에서 전방으로 있는 광반사

추골병의 상부전방에 있는 백색돌기가 단돌기(short process)이며 여기에서 전후

로 추골추벽(malleolar fold)가 있으며 이것이 경계가 되어 그 상부를 고막의 이완부

하부를 긴장부로 나눈다

이소골

고막 ndash lsquo추골 침골 등골rsquo ndash 난원창 과 연결되어 소리를 전달

추골(malleus) 이소골 중 가장 커서 약 75-80mm이며 3개의 인대로서 공간에 고

정되어 있다

침골(incus) 추골의 내후방에 위치하며 추골 및 등골과 연결

등골(stapes) 신체중 가장 작은 뼈이며 전체 높이는 약 33mm

(3) 내이의 구조

내이는 형태와 구조가 복잡하여 미로(labyrinth)라고도 한다

미로는 내부의 막미로(membranous labyrinth)와 이를 둘러싼 골미로(bony

labyrinth)로 구분하고 앞쪽에서부터 와우 전정 반규관의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골미로 안에 외림프(perilymph)가 들어 있고 그 안에 막미로가 있으며 막미로는 내

림프(endolymph)를 담고 있다

mdash mdash133

와우 달팽이관(cochlea) 청각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두바퀴 반의 나사형 모양을 하

고 있으며 각 회전의 공간에는 림프액으로 차 있다

전정 구형낭(saccule) 난형낭(utricle) 반고리관과 함께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전

정미로를 형성

반규관 수평반규관 후반규관 상반규관

2) 청각 기능

(1) 가청음역 16~20000 Hz사이 회화음역 250~2000 Hz사이

음의 전도 공기전도와 골전도

음압증강작용

면적비 171=25dB 지렛대비 131=25 dB

Shearing effect(buckling effect) 2~3배=4~9dB =gt 315~365dB

(2) 난청의 종류와 증상 및 검사

0 dB HL 이란 정상 청년 연령층에서 각 주파수의 가청역치의 평균치

가 일상생활 중 소리강도

0 dB 매우 희미하게 들리는 소리

30dB 도서관 속삭이는 소리

40dB 저음으로 대화할 때

50~60dB 일상적인 대화

60dB 정상적인 대화 타자기 또는 재봉틀 소리

90dB 트럭 달리는 소리 기계로 잔디 깎을 때 나는 소리

115dB 자동차 경적 소리 록 콘서트

130dB 제트기 소리

140dB 총소리

나 순음 청력 검사

순음청력계기의 구성

음을 발생시키는 진동기

mdash mdash134

발생된 음을 증폭시키는 증폭기

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감쇄기

이어폰

골전도 진동기

음 차폐기

다 순음청력검사의 임상적 적용

청력장애의 유형 및 정도에 따라 이에 맞는 치료방법 선택

청력장애의 유형 및 정도에 따라 재활 치료 시 타검사소견과 함께 보청기 선택

등의 기초자료 제공

누가현상 검사 및 피로검사 등을 이용한 병변 부위 진단에 보조적인 자료 제공

사청검사 등을 이용한 기능성 난청의 진단에 보조적인 자료 제공

라 청력도

횡축 주파수를 대수척도(logarithm) 좌측 125Hz 우측 8000Hz

종축 강도를 decibel척도(dBHL)로 하여 top -10dBHL bottom 120dBHL

가) 청력장애의 유형판별

(가) 전음성 난청 기도 역치는 나빠도

골도 역치가 정상범위이면서 기도

골도 차가 10sim15 dB 이상일 때

외이 및 중이 질환 의심되고 내이는

정상인 경우

(나) 감각 신경성 난청 기도 역치와

골도 역치가 같은 정도로 나빠진

경우로 기도 골도 차가 없는 경우

내이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mdash mdash135

(다) 혼합성 난청 기도와 골도 역치가 나쁘면

서 기도 골도 차가 10sim15dB 이상일 때

기도와 골도의 청력이 모두 장애가 있으나

기도 청력의 손실이 더 심한 경우

(3) 선천성 감각신경성 난청

유 전 성 비 유 전 성

비증후군성

DFNA DFNB

증후군성

Waardenburg 증후군

Usher 증후군

Pendred 증후군

백피증

조갑이영양증

Jevel 증후군

Trisomy(13151821)

산전감염

바이러스성 (예 모성풍진)

세균성

이독성 약물

기형유발 약물 (thalidomide)

대사이상 (cretinism)

주산기 외상 저산소증

방사능피폭

미숙아

(4) 후천성 감각신경성 난청

유 전 성 비 유 전 성

비증후군성

증후군성

Alport 증후군

Lysosomal storage 병

Kippel-Feil 증후군

Alstrom병

Refsum병

신경섬유종증

Crouzon병

Cockayne 증후군

염증성 질환

세균성 (예 미로염 수막염)

바이러스성 (예 유행성이하선염 미로염)

Spirochetal (예 매독)

이독성 약물

외상 (예 소음 측두골 골절)

노인성 난청

돌발성 난청

Meniere 병

종양 (예 청신경 종양)

기타 대상이상 (갑상선 기능저하)

허혈성질환 (VBI)

신경학적 이상

면역이상 골질환

mdash mdash136

(5) 소음성 난청

음향외상 갑작스러운 폭발음에 노출시 심한 고음성 감각신경성 난청 및 이명이 돌

발적으로 나타남

손상 정도에 따라 수일에서 수개월이 경과하면 회복되기도 하나 심한 손상시 영구적

인 난청을 초래함

안정을 취하며 반복적인 음향외상을 피해야하며 심한 난청시 보청기 등이 도움

음의 압력이 85dB이상의 장소에서 장시간 노출되면 내이 손상을 일으킬 수 있음

난청의 정도는 소음 폭로 시간 소음의 강도 주파수와 연관

청력검사상 초기에는 4000Hz에서의 청력소실인 C5 dip을 나타냄

소음성 난청의 예방

소음방지기를 착용하여 35dB까지 소음을 감소

작업장이나 소음이 심한 기계에 방음시설

소음성 난청의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안정과 재활교육 실시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소음성 작업장에서의 작업시간을 규정

(6) 이독성 약물에 의한 난청

증상 이명이 난청보다 먼저 출현하며 고음역의 난청이 가장 심각한 증상

현훈은 전정계를 침범하는 약제에 의해 발생

발생약물

Aminoglycoside 계열의 항생제 Streptomycin Neomycin Kanamycin

Gentamicin Tobramycin Amikacin 등

중이국소약제(귀에 넣는 약) Chloramphenicol Streptomycin Neomycin

Polymyxin Gentamicin Erythromycin 등

이뇨제 Loop diuretics인 ethacrinic acid와 furosemide 등

기타 Salicylate(aspirin) quinine 항암제 중 nitrogen mustard cisplatinum 등

이독성 약물에 의한 난청의 주의사항

이독성 약제를 사용 시 투여 전에 청력검사 신장검사 전정기능 검사 등을 시행

약물 투여시 청력검사는 주 1회 임상적 검사는 매일 이명은 매일 확인

이독성 약물에 의한 난청은 예방 가능하므로 더욱 주의를 요함

mdash mdash137

(7) 돌발성 난청

정의 순음청력 검사에서 3개 이상의 연속된 주파수에서 30dB이상의 감각신경성

청력 손실이 3일 이내에 발생한 경우

증상 감기 과로한 업무 술 마신 후 등 아침에 일어나 보니 갑자기 한 쪽 귀가 안

들림

간혹 잘 모르다가 전화를 받을 때 한 쪽 귀가 안 들린다는 사실을 발견

갑자기 안 들이는 것과 동반되는 증상으로는 이명 어지럼증 등이 동반될 수 있음

빨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비인후과적 응급질환

원인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바이러스 감염 혈액순환 장애 내이 임파

액병리설

자가 면역장애 자율신경기능 장애 외임파누공 청신경 종양 등

치료 급성기에 절대안정 부신피질호르몬제 (스테로이드) 혈류개선제 (혈액순환

개선제) 대사개선제 (고분자성 수액) 비타민제제 등

예후가 나쁜 경우

청력소실이 심한 경우 (가장 중요)

청력도상 저음보다 고음의 청력 소실이 심한경우

치료 시작 시기가 늦은 경우

어지럼증이 동반

당뇨 고혈압 등 동반 질환

대개 약물요법으로 치료를 하게 되면

30에서는 완전회복

30에서는 부분 회복

30에서 회복이 안 되거나 더 심해지는 경우도 있음

(8) 노인성 난청

노인성 난청의 조건

청력검사상 양측 귀에 대칭적 형태

외상 이독성 약물 귀의 질환 소음에의 노출 귀 수술 등의 과거력이 없고

최소한의 전음성 난청 (10dB 이하)

검사 결과가 신뢰성이 있을 것

mdash mdash138

65세 이상의 연령

가족력이 없을 것

원인 노화현상으로 인하여 내이유모세포의 퇴행성 병변 청신경의 신경세포의 감

소 중추신경세포의 소실

증상 30대에서 시작하여 70대에서 현저

양측 고주파 영역에 경도 혹은 중등도의 청력 감소

어음 명료도의 감소 대게 소리는 들리나 의미를 알아듣지 못하는 증세

방향 감지 능력의 저하

이명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 다른 감각신경성 난청과 같이 약물요법을 시행하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

우며 대게 영구적으로 남게 된다

조기에 보청기를 사용하여 사회적응을 도움

(9) 외상성 귀질환

외이도 골절 하악골에 가해지는 외상에 의해 하악골의 과상돌기(condyle)를 외

이도 내로 밀게 되어 외이도 전벽의 골절 발생

외이도 골절은 측두골 골절의 일부이므로 고막 중이 내이의 골절을 확인해야 한다

골편과 피부를 원래의 자리로 돌려놓고 제자리에 고정시키기 위해 항생제를 도포

한 거즈를 외이도에 유치시킨다

골절이 회복되고 외이도의 내경이 충분히 유지되었을 때 청력검사 시행한다

고막천공

원인 외상 기압변화 이물

치료 손상의 정도를 파악

수술을 고려해야하는 경우 고막후상방에 천공이 있으면서 현훈 안면신경마비

이소골 탈구 동반되거나 중이내 이물이 있는 경우

합병증 이차적인 감염 진주종 전음성 난청 감각신경성 난청 안면신경마비

측두골 골절

mdash mdash139

증상 난청 어지럼증 안면신경마비 뇌척수액 이루 비루 뇌막염

종 골 절 횡 골 절

골절선

빈도

외이도

고막

난청

안면마비

뇌척수액

안진

추체축에 평행

측두골 골절의 80

골절선

천공-고실출혈

전음성 난청

20

이루(otorrhea)

없다

추체축에 직각

측두골 골절의 80

정상

정상 또는 고실출혈

감각신경성 난청 전농

50

비루(rhinorrhea)

반대측

외이도 골절과 고막 천공

원인 외상 기압변화 이물

치료 손상의 정도를 파악

수술을 고려해야하는 경우

고막 후상방에 천공이 있으면서

현훈 안면신경마비 이소골 탈구

동반되거나 중이내 이물이 있는 경우

합병증 이차적인 감염 진주종 전음성 난청 감각신경성 난청 안면신경마비

(10) 청력 장애의 정도

dB HL (ASA 1951)

dB HL (ISO 1964)

표현법 사회적 핸디캡

15 이하 25 이하 정상

16 ~ 29 26 ~ 40 경도난청학교에서 앞 좌석으로 이동 및 구순 구독법(lip reading) 필요

30 ~ 44 41 ~ 55 중등도난청10-15m 이내의 회화음은 청취 학교에서 앞 좌석 이동 보청기 착용 청각 훈련 구순 구독법

45 ~ 59 56 ~ 70 중등고도난청10-15m 에서도 큰소리로 말해야 청취 군중이나 강의실 청취 곤란 특수 교육이 필요

60 ~ 79 71 ~ 90 고도난청30cm 이내에서도 큰 소리로 말해야 들리나 말의 분별이 곤란 특수 교육이 필요

80 이상 91 이상 농 언어 청취가 불가능 농아 교육이 필요

mdash mdash140

청력장애 판정기준(보건복지부)

장애등급 장 애 정 도

2급 두 귀의 청력 손실이 각각 90데시벨 이상인 사람

3급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80데시벨 이상인 사람

4급 1호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70데시벨 이상인 사람

4급 1호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최대의 명료도가 50 퍼센트 이하인 사람

5급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60데시벨 이상인 사람

6급한 귀의 청력손실이 80데시벨 이상 다른 귀의 청력 손실이 40 데시벨

이상인 사람

청각 장해 평가(미국의학협회)

순음 청력계로 각각의 귀를 500 1000 2000 및 3000 Hz에서의 청력 수준을 기록

한다

100dB을 초과하면 100dB로 한다

청력수준이 음의 값(예-5dB)인 경우 0dB로 한다

한쪽 귀 청각 장해() = 15x(편측청력역치-25dB)

양쪽 귀 청각 장해() = [5 x (보다 밝은 귀 청각 장해 ) + (보다 어두운 귀 청각

장해 )]6

양쪽 귀 청각 장해의 전신 장해와의 관계(미국의학협회)

mdash mdash141

3) 안면신경 마비

원인 특발성 안면신경 마비

Bellrsquos palsy

외상성 안면신경 마비

감염

Ramsay-Hunt 증후군

중이염 악성 외이도염

종양

안면신경초종

청신경종

이하선 종양

(1) 외상성 안면신경 마비

의인성 중이 이하선 청신경종양 수술 후 발생

비의인성

측두골외 손상 안면부 외상 또는 총상으로 인한 관통상

측두골내 손상 안면 두부에 대한 교통사고 또는 외상

기타

뇌진탕 중추신경 외상 관통상 안면열상

mdash mdash142

(2) 안면신경마비의 평가(H-B)

(3) 안면신경마비 검사

병변부위검사

누액배출검사 등골반사검사 전기미각검사

타액유량검사 전기신경전도검사

신경흥분성검사(nerve excitability test)

최대자극검사(maximum stimulation test)

신경전도검사(electroneuronography)

근전도검사(electromyography)

안면마비(미국의학협회)

안면 신경 장애와 연관된 감각소실은 일상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으므로 미각

상실은 주요 장해로 간주하지 않는다

mdash mdash143

〈표 13-12〉 제7뇌신경 (얼굴신경) 장해 평가 기

1등급

전신 장해 1~4

2등급

전신 장해 5~19

3등급

전신 장해 20~45

앞혀 미각 완전 상실 또는

가벼운 한쪽 얼굴 쇠약

가벼운 또는 심하지 않은 양

쪽 얼굴 쇠약 또는 심한 한

쪽 얼굴마비 75 이상의

얼굴이 연루되고 눈감기 통

제 안됨

심한 양쪽 얼굴마비 75

이상의 얼굴이 연루되고 눈

감기 통제 안됨

4) 어지러움의 종류와 원인 증상

어지럼증의 성질

회전성 어지러움증(Vertigo)

비회전성 어지러움증

부동감

안전 암흑감 가성 어지러움증

평형장애 보행장애등

말초전정기관 및 전정신경질환 회전성

중추전정질환 비회전성 부동감 안전암흑감 또는 평형장애

어지럼증의 발작양상과 경과

자발성 발작성

단발발작 돌발성 난청

전정신경염

뇌혈관 부전증

반복발작 메니에르병

유발성 발작성 양성 발작성 체위변환성 현기증

지속성 중추전정장애

진행성 중추전정장애

mdash mdash144

원인 인자로서의 과거병력

두경부외상

소음폭로병력

이독성항생제 사용여부 특히 SM KM GM

만성중이염 특히 진주종성 중이염 병력

심장질환여부

고혈압 저혈압 각종 빈혈 여부

동요병(멀미)

생리주기와 현기증의 상관관계

문진에 의한 감별진단

말초성 어지러움증 중추성 어지러움증

회전성인 경우가 많다

난청 이명 등을 수반

뇌신경 증상수반(-)

체위 두위에 따라 어지러움증이 변동된다

어지러움증 감각이 오심구토와 비례한다

수일에서 십수일내에 보상되는 것이 많다

의식장애를 수반하지 않는다

자율신경증상은 어지러움의 강도에 비례한다

보행 평형장애(-)

회전성도 있으나 비회전성이 많다

난청 이명등을 수반하지 않는다

뇌신경 증상을 동반한다

체위 두위에 따라 어지러움증이 변동되지 않는다

어지러움증감각이 오심구토와 비례하지 않는다

지속적이며 잘 보상되지 않는다

의식장애를 수반하는 수가 있다

일치하지 않는다

보행 평형장애(+)~(++)

전정기능검사

자세의 불안정을 보는 검사

지시검사(past-pointing)

직립반사검사

Tandem walking

mdash mdash145

안구운동의 이상을 보는 검사

자발안진

주시성 안진

두위안진

두위변환안진

Head-shaking nystagmus

Head-thrust test

Dollrsquos eye test

직립반사검사

Romberg 검사

Mann 검사

단각직립검사

회전성 어지러움증이 급성 발작적으로 나타난 후 지속되는 경우

(acute prolonged attack of vertigo)

mdash mdash146

회전성 어지러움증이 재발성으로 나타나는 경우

(recurrent spontaneous attack of vertigo)

두위변환성 어지러움증이 재발성으로 나타나는 경우

(recurrent episode of positional vertigo)

mdash mdash147

어지러움 평형장애의 시기별 치료방침

어지러움증 발작기(급성기)

병태설명 안정 diazepam 7 NaHCO3 atropine antihistamine corticosteroid

간헐기(만성기)

혈관확장제 순환개선제 대사부활제 진정제 정신신경안정제

내림프수종 탈수이뇨제(glycerol isosorbide urea)

부신피질 호르몬제

국소전신요인의 치료 혈압의 관리 경추증치료 뇌혈관장애 뇌종양의 수술요법

내이누공의 수술 치아의 치료 자율신경조정약

어지러움 발잘의 재발예방책

생활지도 스트레스 대책 자율신경 혈압조절제 혈관확장 순환의 개선

수술요법 내림프낭 감압술 내이누공 PLF폐쇄 뇌종양 뇌혈관장애의 수술

비가역적 장애에 대한 대책

중추성 보상 평형기능훈련 보청기 보청기의 정비 추적관찰(2주~1개월간격)

전정기능장애 장애판정

현기증 수평면에서 본인이 회전하는 느낌 또는 본인에 대해 사물이 회전하는 느낌

어지럼 또는 몽롱함 움직이는 느낌이 없다는 점에서 현기증과 구분된다

전정기능장애는 현기증이 있으면 확진할 수 있고 몽롱함이나 보행 이상은 전정기능

장애로 보지 않는다

전정 질환은 역동적이기 때문에 영구 장해 평가는 환자의 질환이 안정 상태에 도달

한 후에 실시해야 한다

mdash mdash148

평형장애 판정기준(미국의학협회)

〈표 11-4〉 전정 질활으로 인한 신체 장해 평가 기준

1등급 전신 장해

0

2등급 전신 장해

1~10

3등급 전신 장해

11~30

4등급 전신 장해

31~60

5등급 전신 장해

61`95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은

없음

도움을 받지

않고 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복잡한 활동(예

자전거 타기)

또는 엄격한

주의가요구되는

특정 업무

활동(예 대들보

또는 비계위를

걷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없이 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단순한

활동(자신을

돌보는 일 집안

일 보행 다른

사람이 운전하는

자동차에 타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외에는 도움이

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중

보행을 요하지

않는 행위를

제외하고

도움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집안에 머물러

있어야만 함

후각 및 미각장애

후각 장애의 원인

폐쇄성 비부비동 질환

상기도 감염

두부외상

노령

내분비대사 이상 당뇨

신경퇴행성 질환 Alzheimer Parkinson

종양 후각신경아세포종

의인성 원인 후두전적출술

정신질환

mdash mdash149

미각장애의 원인

전도성 장애

구내건조증

감각신경성 장애

약물 항류마티즘약제 항암제

외상 측두골골절 중이수술시 고삭신경손상

대상상 장애 당뇨병 갑상선기능저하증

감염 대상포진

영양실조 비타민 B 아연 결핍

악성종양 수술 방사선치료

검사 항목

병력

이학적검사

영상진단

후각기능검사

역치검사 CCCRC test TampT olfactometer

인지검사 CCCRC test UPSIT

미각기능검사

미각 감지역치검사

미각 역치상검사

전기미각검사

후각 및 미각 장애(AMA)

후각과 미각의 완전 소실이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그러므로 말초 환부에서 기인한 후각 또는 미각의 부분 또는 완전 소실은 전신 장해

1~5 범위의 등급 부여를 권장한다 그리고 나서 이를 환자의 다른 장해와 병합하여

야 한다

mdash mdash150

안면 손상

안면부 열상 구강내 열상 치아 손상

안면부 골절(비골 안와 협부 하악 상악)

원인 교통사고 추락사고 스포츠 사고 폭력사고 작업중 사고 등

범위 치아 안면골 연부 조직(피부 치은) 안구 타액선안면 신경

안면손상 검사 항목

이학적 검사

PNS x-ray

구강 비강 내시경 검사

안면 사진

PNS CT

안면부외상시 처치

생명구조

기도확보

혀를 잡아당긴다

혈액이나 점액질 토사물을 제거한다

체위 환자의 자세는 의식이 없는 경우는 머리를 한쪽으로 돌린 엎드린 자세가

좋고 의식이 있는 경우는 앉은 자세가 좋다

기관내 삽관이나 기관절개술을 신속히 시행한다

연관 손상부위 확인 대뇌 손상 경부 골절 흉부

복강내 손상( 간 장)

기능 회복

변형의 최소화

mdash mdash151

안면손상 판정(미국의학협회)

〈표 11-5〉 얼굴 질환 는 변형으로 인한 장해 평가 기

1등급 전신 장해 0~5

2등급 전신 장해 6~10

3등급 전신 장해 11~15

4등급 전신 장해 16~50

눈에 띄는 흉터 또는 비정상 색소침착 등과 같이 피부 구조 장애에 한정된 얼굴이상 또는 가벼운 한쪽 또는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외모에 영향을 주는 코의 변형

피부 장애(예 함몰된 뺨 비골 또는 전두골)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은 얼굴 장애로서 얼굴 일부의 지지 구조의 상실을 초래한 경우

눈 또는 코의 일부 상실 등과 같이 얼굴의 해부학적 부분 또는 부위의 결여 때문에 발생한 얼굴 이상으로서 얼굴 변형을 초래한 경우 또는 심한 한쪽 전체 얼굴마비 또는 가벼운 양쪽 전체 얼굴 마비

얼굴 해부학적 구조의 극심한 또는 완전한 변형으로서 변형 정도가 극심해서 사회 적응이 불가능할 정도인 경우 또는 심한 양쪽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코의 주요 부위 또는 전체 상실

음성 언어 장애

후두의 기능

기도 보호

호흡

발성

연하기능

언어장애의 원인

신체발달지체

청각장애

지적능력의 지체

조음기관의 장애

언어장애의 분류

조음장애

발음이 부정확한 것

청력손실 입술이나 구개의 파열 소대의 이상 신경 운동장애로 인한 마비성 조음장애

실행증 등의 문제로 나타날 수 있는 기질적 조음장애

mdash mdash152

신체적 구조상의 이상이 없더라도 연령 지능 성격 사회경제적 위치 문화적 영향

학업 성취도 습관 등에 따라 자신의 독특한 패턴으로 나타날 수 있는 기능적인 조음장애

유창성장애

말더듬

음이나 음절 또는 조음 포즈 등의 반복이나 연장 혹은 투쟁행동 등으로 구어의 흐름

이 비정상적으로 방해를 받을 때 말더듬이 발생

언어장애의 분류

음성장애

후두 특히 성대의 이상으로 인한 성대 혹이나 성대 결절 성대부종 스트레스 등으로

목소리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작은 소리(강도장애)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소리(음도장애)

목 쉰 소리 숨찬 소리 거친 소리 과비성(음질장애)

목소리의 강도나 음도에 의도적으로 변화를 주지 못하는 경우

기호장애(언어장애)

언어종속행동 즉 말하기 이해하기 읽기 쓰기 등에 문제

언어발달 지체 교통사고나 중풍으로 인한 대뇌손상이나 신경계 이상으로 인한 실어

증이나 구어실행증 지능이 낮은 결과로 인한 언어지체

음성재활(인공후두)

mdash mdash153

음성재활(식도발성)

검사 항목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Aerodynamic study

Electroglottography

음성언어치료사의 평가

MRI CT

객관적 검사

유창성 장애(말더듬) 말더듬 심도 검사

조음장애 그림자음검사 3위치 조음검사 한국어 발음검사

언어능력

20세 이상의 성인 보스톤 이름대기검사 K-WAB 검사

아동 그림어휘력검사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 영

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 문장이해력검사 언어이해인지력검사 언어문제해결력 검

사 한국-노스웨슨턴 구문선별검사

판정 기준(미국의학협회)

음성은 후두의 성대 주름의 진동으로 발생된 가청 범위 내의 소리를 말한다 가성대

주름 또는 식도는 제외한다

음성장애의 원인을 따지지 않고 비정상 음량 비정상 조절 비정상 음질 등의 분명한

증상을 평가 한다

평가 항목

가청도(可聽度) 들을수 있을 만큼 큰 소리로 말할 수 있는 능력

가해성(可解性) 분명히 발음하고 어음의 음성 단위를 정확하게 연결하여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드는 능력

기능적 효율성 충분히 빠른 속도로 말하며 일정 시간 그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

mdash mdash154

음성 언어장애 판정기준(가청도)

〈표 11-8〉 음성언어 장해 분류

1등급0~14

2등급15~34

3등급35~59

4등급60~84

5등급 85~100

일상 회화의 대부분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이를 위해 간혹 노력해야 하고 때로 개인의 능력에 부치는 일일 수도 있다

일상 회화의 많은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으며 평균적인 환경에서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승용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잘 들을 수 없다

일상 회화의 특정 필요 즉 인접한 상대와의 대화가 가능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나 목소리가 쉬 피로해지고 수초가 지나면 잘 들리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떨어지거나 승용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과 같은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일상 회화의 한정된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나 가까이서 주의를 기울여야 겨우 들을 수 있으며 또한 귀에 들릴 정도로 속삭일 수 있으나 크게 말할 수는 없다

일상 회화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전혀 낼 수 없다

음성 언어장애 판정기준(가해성)

〈표 11-8〉 음성언어 장해 분류

1등급0~14

2등급15~34

3등급35~59

4등급60~84

5등급 85~100

일상 회화에 필요

한 대부분의 조음

행위를 할 수 있

그러나 간혹 다시

한번 말해 줄것을

요청 받거나 어떤

발성 단위는 발음

하기 어려워하거

나 불가능하다

일상 회회에 필요

한 많은 조음 행

위를 할 수 있으

며 타인이 이를

알아 들을 수 있

그러나 많은 오류

가 있으며 간혹

조음이 어려울 경

우가 있다

일상 회화에 필요

한 일부 조음 행

위를 할 수 있으

며 가족 및 친구

들과 대화할 수

있으나 타인은 말

소리를 알아 듣기

어려워하며 자주

다시 한번 말해달

라는 요청을 받는

일상 회화에 필요

한 제한된 조음

행위를 할 수 있

으며 일부의 발성

단위를 발음할 수

있다

자기 가족의 이름

등 몇 단어는 비

슷하게 발음하나

관련 없는 단어를

발음하면 알아들

을 수 없다

일상 회화에 필요

한 조음 행위를

전혀 할 수 없다

mdash mdash155

음성 언어장애 판정기준(기능적 효율성)

〈표 11-8〉 음성언어 장해 분류

1등급0~14

2등급15~34

3등급35~59

4등급60~84

5등급85~100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대부분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해 낼 수 있으나 가끔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많은 요구를 충족 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가끔 어려움을 겪으며 때때로 끊어지거나 중단되고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일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지속적으로 말할 수 있으며 상대방에게 쉬 피곤해 한다는 인상을 준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제한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한 단어 또는 짧은 구절) 말이 자주 끊기고 아주 힘들어한다 속도가 대단히 느리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는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요구를 전혀 충족시킬 수 없다

저작 및 연하기능 장애

구강 및 구인두의 해부

음식물의 섭취작용

저작 하악의 운동과 치아의 작용과 아울러 볼 혀 구순의 협동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소화 타액에 있는 전분소화효소가 녹말을 분해한다

연하의 작용

구강 준비기

구강기

인두기

식도기

저작 및 연하기능의 손실

구강암 인두암 후두암 식도암 등의 치료후

구강 인두 후두 식도 등의 신경마비

전치의 상실

턱뼈의 골절로 인한 부정교합

혀 13 이상의 부분 상실

mdash mdash156

검사 항목

인두식도조영술

Videofluoroscopy

치과적 검사

Fiberoptic endoscopic swallowing

저작 및 연하 장애(미국의학협회)

저작 및 연하기능의 평가는 식사 능력이 안정적이고 최대한의 재활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실시해야 한다

〈표 11-7〉 식사 제한과 구 장해의 계

제한 종류 전신 장해율

식사는 반고형 또는 부드러운 음식에 한정한다

식사는 유동식만 허용한다

튜브 또는 위루 설치를 통해 음식을 섭취한다

5~19

20~39

40~60

상부 호흡기 손상 및 호흡 장애

Anatomy

Trachea

16-20 complete cartilage rings of hyaline cartilage from cricoid to

carina(9-12cm)

Tracheal wall

Mucous layer pseudostriated ciliated columner epithelium

Submucous layer

mucous and serous gland

Fibrous and muscular layer

vessels nerves lymphatics

mdash mdash157

상부 호흡기 호흡곤란

완전폐쇄

외상성 혹은 iatrogenic 완전후두협착으로 평생동안 영구기관절개술 혹은 영구기관

개방술을 받은 경우

심한 음식물 흡인으로 인하여 후두 혹은 기관분리 수술을 받은 경우

불완전폐쇄

성문하부협착 기도 협착으로 인하여 기관절개술을 받은 상태이며 T-tube

tracheal cannula의 삽관 상태이면서 tube을 막으면 호흡은 상당히 곤란하나 음성은

정상에 가까게 낼 수 있는 경우

양측 성대마비 혹은 양측 성대고정으로 인하여 상당한 호흡곤란이 있으나 기관절개

술은 필요치 않고 목소리도 비교적 양호한 상태 등

검사 항목

이학적 검사

내시경 검사

경부 방사선 검사

Neck CT or MRI

Chest Pleomorphic adenoma

Pulmonary function test

Rhinomanometry

Bronchoscopy

Acoustic rhinometry

mdash mdash158

호흡 장애(미국의학협회)

〈표 11-6〉 공기 통로 결함으로 인한 신체 장해 평가 기

1등급 전신 장해 0~10

2등급 전신 장해 11~29

3등급 전신 장해 30~49

4등급 전신 장해 50~89

5등급 전신 장해 90+

안정시 호흡곤란

없음 및

보행 계단 오르

기 또는 일상 활

동 중 호흡곤란

없음 및

스트레스 지속적

인 힘든 운동 급

히 서두름 언덕

오르기 오락 또

는 이와 유사한

기타 활동으로서

집중적인 노력을

요하는 행위 및

검사 결과 구강인

두 후두인두 후

두 상부기관(제4

연골고리까지)

하부기관 기관지

등의 부분 폐쇄

또는 코 또는 비

인강의 완전(양

쪽) 폐쇄

안정시 호흡곤란

없음 및 평탄한

길 보행시 계단

한번 오르기(층과

층을 연결하는 계

단) 기타 일상

활동 수행시 호흡

곤란 없음 그러나

스트레스 지속적

인 힘든 운동 급

히 서두름 언덕

오르기 오락 또

는 이와 유사한

기타 활동(앉아서

하는 활동 제외)

시 호흡곤란 있음

및 검사 결과 구

강인두 후두인

두 후두 상부기

관(제4 연골고리

까지) 하부기관

기관지 등의 부분

폐쇄 또는 코 또

는 비인강의 완전

(양쪽) 폐쇄

안정시 호흡곤란

없음 및 한 구획

이상 걷기 평상

시 계단 한번 오

르기(층과 층을

연결하는 계단)

또는 기타 일상

활동 등을 하면

호흡곤란 발생 및

스트레스 지속족

인 힘든 운동 급

히 서두름 언덕

오르기 오락 또

는 이와 유사한

기타 활동시 호흡

곤란 있음 및 검

사 결과 구강인

두 후두인두 후

두 상부기관(제4

연골고리까지)

하부기관 또는 기

관지의 부분 폐쇄

안정시 호흡곤란

있음 반드시 환

자가 침대에 누워

지내는 경우만 해

당되는 것은 아님

및 일상 활동을

하면 호흡곤란 악

화됨(손을 씻는

일 옷 입기 또는

빗질하기 등 자기

몸을 돌보는 일

이상의 것) 및 검

사 결과 구강인

두 후두인두 후

두 상부기관(제4

연골고리까지)

하부기관 및또는

기관지의 부분 폐

안정시 심한 호흡

곤란 있음 자발

호흡 충분하지 못

함 및 호흡 환기

요함 및 검사 결

과 구강인두 후

두인두 후두 상

부기관(제4 연골

고리까지) 하부

기관 및또는 기

관지의 부분 폐쇄

mdash mdash159

3 맥브라이드 장해평가기준Mc Bride식 노동능력상실평가11)

순 서

Ⅰ 자동차보험의 특성

Ⅱ 자동차보험 약관

Ⅲ 자동차보험 통계

Ⅳ Mc bride 노동능력상실 평가

Ⅰ 자동차보험의 특성

1 보험이란

동질의 우발적인 위험하에 있는 다수인이 위험단체를 구성하고 그 단체의

구성원이 일정한 기금 (=보험료 )을 갹출 기금을 형성하여 우연한 사고

(=보험사고)를 당한 구성원에게 재산적 급여(보험금)를 함으로써 경제적 불안을

제거하고자하는 제도임

2 보험의 분류(상법상)

손해보험 ndash 우연한 사고(보험사고)로 인하여 생긴 피보험자의 재산상의 손해를

보상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보험으로 이득금지의 원칙 등이 적용되며 상법상

화재 운송 해상 책임 자동차보험이 있음

인보험 ndash 사람의 생명 신체에 관하여 보험사고가 생길 경우 일정한 금액

(=보험금액) 을 지급하기로 하는 보험으로 상법상 생명보험과 상해보험이 있음

11) 교보자동차보험 의료팀장 이수재

mdash mdash160

Ⅱ 자동차보험 ( 약관 )

1 자동차보험의 구성

대인배상Ⅰ 대인배상Ⅱ 대물배상 자기신체사고 ( 자동차상해 또는 plus보험)

자기차량손해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등의 담보종목과 특별약관으로 구성됨

2 담보종목별 보상내용

자동차사고로 인한 타인의 피해를 보상하는 담보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의 재물을 파손하는 경우에 보상대물배상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그손해가

대인배상Ⅰ에서 지급하는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 그 초과손해 를 보상

-대인배상Ⅰ로 지급되는 금액 또는 대인배상Ⅰ미가입시 대인배상 Ⅰ

으로 지급될 수 있는 금액을 공제후 보상

대인배상Ⅱ

-자동차소유자에게는 강제되어있는 보험으로 책임보험이라고도 함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자동차

손해배상보장법(=자배법)에서 정한 한도 내에서 보상

-현행 한도(2005222부터) 사망부상장해 = 1억원 2000만원 1억원

대인배상Ⅰ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의 재물을 파손하는 경우에 보상대물배상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그손해가

대인배상Ⅰ에서 지급하는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 그 초과손해 를 보상

-대인배상Ⅰ로 지급되는 금액 또는 대인배상Ⅰ미가입시 대인배상 Ⅰ

으로 지급될 수 있는 금액을 공제후 보상

대인배상Ⅱ

-자동차소유자에게는 강제되어있는 보험으로 책임보험이라고도 함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자동차

손해배상보장법(=자배법)에서 정한 한도 내에서 보상

-현행 한도(2005222부터) 사망부상장해 = 1억원 2000만원 1억원

대인배상Ⅰ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자동차사고로 인한 피보험자등의 피해 를 보상하는 담보

무보험자동차에 의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자동차사고로 피보험자동차에 생긴 손해액 보상자기차량손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高보장상품 )

-대인배상보험처럼 적용하나 한도가 있음

자동차상해

또는 Plus보험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자배법에 의한 등급을 적용하며 한도가 있음

자기신체사고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무보험자동차에 의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자동차사고로 피보험자동차에 생긴 손해액 보상자기차량손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高보장상품 )

-대인배상보험처럼 적용하나 한도가 있음

자동차상해

또는 Plus보험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자배법에 의한 등급을 적용하며 한도가 있음

자기신체사고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mdash mdash161

3 보험금 지급기준 (사람이 죽거나 다친 경우)

대인배상 자동차상해 또는 plus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적극손해(구조수색비 치료관계비) 위자료 휴업손해 기타손해배상금

치료관계비 의사의 진단기간내에서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

휴업손해 1일수입감소액 X 휴업일수 x 80

기타손해배상금입원 11580월(식대공제)통원 5000원(실통원일수)

대인배상Ⅰ 자배법 상해급별 한도액 (1급 2000만원~14급 80만원)

부 상

장례비 위자료 상실수익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액-생활비)x 취업가능월수(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1억원 한도 (최저 2000만원)

사 망

지 급 기 준분 류

적극손해(구조수색비 치료관계비) 위자료 휴업손해 기타손해배상금

치료관계비 의사의 진단기간내에서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

휴업손해 1일수입감소액 X 휴업일수 x 80

기타손해배상금입원 11580월(식대공제)통원 5000원(실통원일수)

대인배상Ⅰ 자배법 상해급별 한도액 (1급 2000만원~14급 80만원)

부 상

장례비 위자료 상실수익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액-생활비)x 취업가능월수(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1억원 한도 (최저 2000만원)

사 망

지 급 기 준분 류

대인배상 자동차상해 또는 plus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위자료 상실수익액 가정간호비

위자료 부상위자료와 중복시 양자 중 많은 금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x 노동능력상실률 x 취업가능월수

(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자배법 장해급별 한도금액내 (1급 1억원~14급 630만원)

가정간호100노동능력상실식물인간과 척수마비환자 퇴원후 매월지급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위자료 상실수익액 가정간호비

위자료 부상위자료와 중복시 양자 중 많은 금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x 노동능력상실률 x 취업가능월수

(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자배법 장해급별 한도금액내 (1급 1억원~14급 630만원)

가정간호100노동능력상실식물인간과 척수마비환자 퇴원후 매월지급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자기신체사고

보험가입금액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사 망

보험가입금액 한도 (1급 1500만원~14급 20만원)

자배법시행령 별표1에서 정한 상해구분에 의함

의료수가는 건교부고시에 의함

부 상

보험가입금액 한도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자배법시행령 별표2에서 정한 후유장해구분에 의함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보험가입금액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사 망

보험가입금액 한도 (1급 1500만원~14급 20만원)

자배법시행령 별표1에서 정한 상해구분에 의함

의료수가는 건교부고시에 의함

부 상

보험가입금액 한도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자배법시행령 별표2에서 정한 후유장해구분에 의함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mdash mdash162

Ⅲ 자동차보험 통계

1 담보종목별 지급보험금 (FY 2004)

100425079222320074174849지급보험금

구성비

528242018945341958117424910952052203402561215지급보험금

43099338924712450140556316522191099211040533인원건

합계기타무보차량대물자손대인

100425079222320074174849지급보험금

구성비

528242018945341958117424910952052203402561215지급보험금

43099338924712450140556316522191099211040533인원건

합계기타무보차량대물자손대인

2 담보종목별 지급보험금 구성비 (FY 2004)

48

4

21

22

1 4

대인

자손

대물

차량

무보

기타

3 상해급별 지급보험금 (FY 2004)

8652215071996 1036564소 계

4991277041953 9915588급이하

1002561215100 1040504합 계

12131113229 304604-7급

24562689814 145461-3급부 상

135 346144043940사 망

구성비보험금구성비인원

8652215071996 1036564소 계

4991277041953 9915588급이하

1002561215100 1040504합 계

12131113229 304604-7급

24562689814 145461-3급부 상

135 346144043940사 망

구성비보험금구성비인원

mdash mdash163

4 상해급별 인원 (FY 2004)

1 3

96

0

사망

1-3급

4-7급

8급이하

5 상해급별 지급보험금 구성비 (FY 2004)

245

121

499

135

사망

1-3급

4-7급

8급이하

mdash mdash164

6 부상 지급보험금 (FY 2004)

2215071860460468914809369지급금액

계기 타후유장해치료비

2215071860460468914809369지급금액

계기 타후유장해치료비

365

212

423치료비

후유장해

기 타

Ⅳ Mc bride 노동능력상실 평가

용어정의

WHO 국제장해분류

질환은 신체장해 능력감퇴(저하) 사회적불이익 등의 순으로 확대

신체장해 (Physical impairment)

심리학적 및 생리학적 또는 해부학적 구조나 기능의 결손(loss)이나 이상을

말함

신체장해에는 일시적장해와 영구적장해의 두 가지가 있음

신체장해율 신체장해 정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

능력감퇴 (disability)

사람으로서 활동하는 능력에 제한이나 결손이 있는 것

개인적 숙련도 교육 직업적 경력 적응능력 연령 주위의 요구와 수정(AMA)

불이익 (handicap)

신체장해나 능력감퇴의 결과로 발생하는 개인의 불이익

mdash mdash165

나이 성별 사회문화적 견지에서 정상적 활동을 하는데 제한을 받거나 방해를

받는 것

노동능력상실률

손해배상 입장에서 본 능력감퇴

1 Mc bride 평가기준

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 정형외과 교수 Earl D Mc bride가 1936년 저술한

compensible injuries에 대해 ldquo노동능력상실평가와 치료원칙 (Disability

evaluation and principles of treatment of compensible injuries)이라는 책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제6판(1963년) 사용

2 자동차보험의 Mc bride 기준 적용

198698 개정된 자동차종합보험약관에서 채택

약관에서는 Mc bride 원서 279개 직종 중 1개인 일반근로자(common labor)

옥내 옥외 노동력상실률만 적용

현재 약관은 책임보험(대인Ⅰ)과 종합보험(대인Ⅱ) 모두에 적용

적용배경 소송시 McBride 노동능력상실률로 적용해 당시 적용약관(자동차손

해배상보장법시행령 별표2)과의 gap이 컸기 때문

소송시에는 Mc bride 노동능력상실률 원본에 충실 적용

3 평가방법

1) 국소장해율(specific part) 전신장해율(body as a whole)의 구분

국소장해율 사지의 비교적 큰 부위(예 상지나 하지)의 장해율을 100로

해서 그보다 작은 부위(예 손이나 발)의 장해율(표준부위표시)

mdash mdash166

전신장해율 전신기능(전신 100)에 대한 해당 부위의 장해율

Mc bride 책 중 Table 14의 윗단에 有

2) 노동능력상실율의 판정절차

- Table 15 에서

피해자의 직업 및 직업장해계수 확인 해당 직업란에서 신체장해 부위별

손상변수 (1-9)확인

- Table 14에서

해당 신체장해란에서 확인된 손상변수에 합치되는 노동능력상실률 확인

- 잘 쓰지 않는 손은 10 감산

3) 복수장해의 평가방법

A B 의 복합장해율 = A + B (1-A)

예 A=79 B=67가 복합된 경우의 장해율은

79 + 67 x (100-79) = 93

4) 연령별 노동능력상실률

McBride 책에 의하면 노동능력상실률이 1년에 05~1씩

기준연령인 30세 이하면 감소하고 30세 이상 60세까지는 증가

4 장 점

1) 세밀한 신체장해 평가가능

- 직업별 신체장해부위별 노동능력상실률()

- 국내법은 대부분 14등급으로만 분류되어 있으나 279개 직종별 14개의

신체부위에 따라 직업장해계수가 달라지면서 노동능력상실률이 표시됨

2) 운동범위 및 각도측정의 합리성

예) 슬관절의 경우

완전신전(180도)~90도까지 굴곡시 일반근로자 옥외 10

mdash mdash167

완전신전 ndash20도(160도) ~90도까지 굴곡시 ldquo 27

cf 국내법등은 관절운동범위를 단순 ROM을 측정해 14(장해가 남은 것) 12

(뚜렷한 장해가 남은 것) 34(제대로 못쓰게 된 것) 이상을 상실한 경우로

적용하고 있음

3) 복합장해 평가방법의 합리성

여러 개의 신체장해가 병합되어도 그 합이 100를 초과하지 않음

병합공식 A + B(100-A) --gt 신체장해가 3개면 먼저 2개의

병합치를 구한 후 그 병합치와 나머지 장해와의 병합치를 공식에 적용 도출

4) 잘 쓰는 손(팔)과 잘 안 쓰는 손(팔)의 구분평가 가능

McBride Table 14의 말초신경항목을 보면 잘 쓰는 손(팔)과 잘 안 쓰는 손(팔)

에 대한 노동능력상실율이 10가 적음

예) 잘 쓰는 팔의 신체장해율(전신)은 50 잘 쓰지 않는 팔의 장해율은

50-5= 45

5) 연령보정의 가능

30세 전과후의 05~1 노동능력상실률 가감

5 단 점

1) 일부 신체장해율의 부적절성(Table 14)

① 절단 - 견관절절단 85 견관절과 주관절사이 50

- 양측 견관절과 주관절사이 절단 50+50(100-50)=75

② 관절강직

- 장해정도가 가벼운 쪽이 무거운 쪽보다 더 많은 경우가 종종 있음

③ 다축관절의 평가문제

- 고관절 견관절 등의 다축관절의 경우 각축의 장해율 총합산이 관절절단이나

완전강직보다 장해율이 높음

mdash mdash168

④ 골절 후 변형문제

- 가용성변형 변형 중에는 장해로 볼 수 없는 가용성변형도

노동능력상실이 있는 것으로 표기 -- 상완골 15도 대퇴골 20도 등

- 단축변형 특별한 장해가 없는 경골1cm 상완골 2cm 등

- 불유합장해 상완골 불유합 74는 절단 65보다 높음

2) 직종의 편중

Table 15에 있는 직업은 거의 전부가 노무직이며 사무직 기술직이 별로 없음

3) 신체장해의 분야별 편중

McBride가 정형외과 의사였으므로 정형외과 영역은 자세하나 기타분야는 너무

간단

- 말초신경 완전마비 불완전마비로만 언급 등

4) 일시적 장해와 영구적 장해의 혼재

치료 가능한 기관지염 탈장 위궤양 골절 등도 영구적 장해로 오인

5) 시행세칙이 없음

- 평가자의 판단이 절대적

- 하나의 신체장해로부터 파생된 두개이상의 장해에 대한 평가규정 등이 없음

6) 의학수준의 발달

- 용어의 차이 외측 슬와지ext popliteal peronialn---gt 총비골신경

common peronialn 등

- 검사방법 발달 청력 사람말소리에 따른 feet---gt 청력계 ASO ISO측정법

mdash mdash169

6 문제점

1) 전문과별전문의별 병원별지역별로 평가결과가 다르다

2) 직업장해계수 결정을 위한 신체부위의 한계가 명확하지 않다

- Table 15 -

5

5

4

엄지손가락

5

5

5

5

5

5

아래팔

5

5

6

위팔

5

5

3

3

3

3

옥외

옥내

부위

직업

일반

탄광

3

5

6

복부및흉부

5

5

7

척추및골반

6

5

6

머리

3

3

3

신경계통및심장

발다리

둔부무릎넓적다리

손가락

6664

5554

7774노무자

5

5

4

엄지손가락

5

5

5

5

5

5

아래팔

5

5

6

위팔

5

5

3

3

3

3

옥외

옥내

부위

직업

일반

탄광

3

5

6

복부및흉부

5

5

7

척추및골반

6

5

6

머리

3

3

3

신경계통및심장

발다리

둔부무릎넓적다리

손가락

6664

5554

7774노무자

7 종합평가표

- Table 14 -

비뇨생식기계의 손상과 질병

직장

여성생식기

복부

관절염

두부뇌척수관절강직

흉곽의손상과 질병절단

결핵

시력장해말초신경

귀척주손상

안면골절

비뇨생식기계의 손상과 질병

직장

여성생식기

복부

관절염

두부뇌척수관절강직

흉곽의손상과 질병절단

결핵

시력장해말초신경

귀척주손상

안면골절

mdash mdash170

4 생명middot손해보험 장해분류표 개정내용(rsquo054월)1)

Ⅰ 추진배경

피보험자에게 보험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장해등급 적용의 곤란 등으로 분쟁이 지

속적으로 발생

동일한 장해에 대해 생손보사간 상이한 등급 적용으로 계약자 혼란 야기

장해등급분류 해설내용도 대부분 의학전문 용어 등을 사용작성되어 일반인이

이해하기 매우 어려운 실정

rArr 장해등급 적용과 관련된 분쟁 예방 보험소비자의 권익확대 및 전문 의학

및 보험용어의 순화를 통한 보험소비자의 이해 도모

Ⅱ 주요 개선내용

장해지급률에 의한 보험금 산정방식 도입

신체부위의 장해 및 손실정도에 따라 보험금이 합리적으로 차등지급될 수

있도록 장해율(3~100)에 의한 보험금 산정방식 도입

1급sim제6급 rarr 신체 부위별 장해 정도에 따라 3sim100

장해분류 세분화

신체 부위별 지급율 체계로 개선세분화

생명보험 6등급 71개 항목 rarr 13개 신체부위 87개 항목

장기손해보험 11개 신체부위 rarr 13개 신체부위 87개 항목

한시장해 인정 등 장해인정범위 확대

한시장해에 대해서도 보상

- 영구장해와의 형평성을 고려 영구장해율의 일정부분(20)을 인정하여 지급

1) 삼성생명 보험심사 김진구과장

mdash mdash171

장해평가 방법의 다양화

운동범위(기능) 측정에 의한 장해평가 방법 이외에도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평가 방법을 반영한 다양한 장해평가 방법을 인정

- 척추의 기능장해 손실모형에 의한 장해판정 인정

- 팔다리장해 근력 검사(근력약화 여부 측정)결과 인정

- 치매 일상적인 기본동작 제한이외 기억력 판단 및 문제해결 사회활동

능력 등을 감안 종합평가

개호가 필요한 기본동작제한에 대한 개념 명확화

일상생활의 기본동작에 대하여 중요도별로 가중치 부여하고 구체적으로 설명

- 이동동작 40 음식물 섭취 및 배변배뇨 각각 20 옷 입고 벗기

및 목욕 각각 10

팔다리 손발가락의 장해평가 방법 개선

가관절이 남아 장해를 남긴 때나 뼈에 기형을 남긴 경우 장해율을 부여

팔다리의 기능장해 및 손가락발가락의 기능 결손장해의 경우 장해 정

도에 따른 장해율을 설정한 후 장해율을 합산하여 전체 장해율을 결정

- 3대 관절중 1관절 장해의 경우 10 2관절 장해의 경우 20 3관절 장

해의 경우 30의 장해율 인정

용어의 순화

계약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의학용어 및 보험용어를 쉬운 용어로 대체 또는

병기

- 강직(관절굳음) 반흔(흉터) 등

mdash mdash172

(참고자료)

1 장해등급분류표 대비표

현 행 개 선 (안)

제1급(9개 항목)

두 눈의 시력을 완전 영구히 잃었을 때 등

1 눈의 장해(10개 항목)

두 눈이 멀었을 때 등

제2급(6개 항목)

중추신경계 또는 정신에 뚜렷한 장해를 남겨서 평생토록 수시 간호를 받아야 할 때 등

2 귀의 장해(6개 항목)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등

제3급(10개 항목)

한 눈의 시력을 영구히 잃었을 때 등

3 코의 장해(1개 항목)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제4급(16개 항목)

두 눈의 시력에 각각 뚜렷한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 등

4 씹어먹거나 말하는 장해(9개 항목)

씹어먹는 기능과 말하는 기능 모두에 심한 장해가 남았을 때 등

제5급(16개 항목)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상실한 때 등

5 외모의 추상(추한모습)장해(2개 항목)

외모에 뚜렷한 추상(추한모습)을 남긴 때 등

제6급(14개 항목)

한 눈의 시력에 뚜렷한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 등

6 등뼈(흉추)의 장해(9개 항목)

등뼈(흉추)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등

7 체간골의 장해(2개 항목)

어깨뼈나 골반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등

8 팔의 장해(9개 항목)

두 팔의 손목이상을 잃었을 때 등

9 다리의 장해(12개 항목)

두 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을 때 등

10 손가락의 장해(6개 항목)

한 손의 5개 손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등

11 발가락의 장해(7개 항목)

한 발의 리스프랑관절 이상을 잃었을 때 등

12 흉복부 장기 및 비뇨생식기의 장해(3개 항목)

흉복부 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심한 장해가 남았을 때 등

13 신경계정신행동 장해(11개 항목)

신경계에 장해가 남아 일상생활 기본동작에 제한을 남긴 때 등

mdash mdash173

2 CDR 검사방법에 의한 임상 치매척도(반영안)

구 분 기억력 지남력판단 및

문제해결사회활동

가정생활 및

취미개인관리

정 상

(0)

기억력

감퇴가

없거나

경미한

비지속적

건망증

완전히 있음 재정사업과

같은

일상문제 잘

해결

과거일과

관련 판단력

좋음

통상적

수준으로

독립적 기능

수행

(직업 장보기

자원봉사

집단활동)

가정에서의

생활

지적흥미 잘

유지

혼자서

충분히 수행

불확실

(05)

경미한

건망증 지속

및 사건에

대한 부분적

회상

시간에 대한

경미한

어려움

문제점

유사점

차이점을

다루는데

경미한 장애

상기의 활동

약간의 장애

상기의 활동

약간의 장애

혼자서

충분히 수행

경 도

(1)

중증도의

기억력 감퇴

및 최근

사건에 대한

장애 현저

시간에 대한

중등도 장애

문제점

유사점

차이점을

다루는데

중등도장애

상기의 활동

일부를

계속하고

있더라도

독립수행

불가능

확실한

가정에서의

생활기능

장애

암시 및

격려 필요

중등도

(2)

중증의

기억력 감퇴

및 새로운

지식 금방

소실

시간관계에

대한 심각한

장애

문제점

유사점

차이점을

다루는데

심각한 장애

집밖에서의

활동 외관상

독립수행

불가능

단순한

집안일만

가능

착의

위생상태 및

외모유지에

도움필요

중 증

(3)

중증의

기억력 감퇴

및 단편적

기억만 보유

사람에 대한

지남력만

보유

문제해결 및

판단 불가능

집밖에서의

활동 외관상

독립수행

불가능

집안에서의

특별한 활동

전무

개인관리에

많은 도움

필요

심각함

(4)

단편적

기억마저

상실 및

동문서답

자신의

이름에만

가끔 반응

간단한 지시

및 명령

불이행

사회적 모임에

의미있는 참여

불가

취미활동 및

가정내 활동

불가

보행에 도움

필요

말 기

(5)

의미있는

기억력 없음

자신에 대한

의식 불가

주변상황

이해 및

인식불가

활동 불가 활동 불가 혼자

식사불가 및

와상상태

주) 미국의사협회(AMA)의 영구적 신체장해 평가지침 제5판에서 규정

mdash mdash174

3 일상생활 기본동작(ADLs) 제한 장해평가표(개선안)

유 형 제 한 정 도 장해율

이동동작 특별한 보조기구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다른사람의 계속적인 도움이

없이는 방밖을 나올 수 없는 상태40

휠체어 또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방밖을 나올 수 없는 상태 30

목발 또는 walker를 사용하지 않으면 독립적인 보행이 불가능한 상태 20

독립적인 보행은 가능하나 파행이 있는 상태 난간을 잡지 않고는 계

단을 오르고 내리기가 불가능한 상태 계속하여 평지에서 100m 이상

을 걷지 못하는 상태

10

음식물섭취 식사를 전혀할 수 없어 계속적으로 튜브나 경정맥 수액을 통해 부분

혹은 전적인 영양공급을 받는 상태20

수저 사용이 불가능하여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이 없이는 식사를

전혀 할 수 없는 상태15

숟가락 사용은 가능하나 젓가락 사용이 불가능하여 음식물 섭취에 있

어 부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10

독립적인 음식물 섭취는 가능하나 젓가락을 이용하여 생선을 바르거나

음식물을 자르지는 못하는 상태 5

배변배뇨 배설을 돕기 위해 설치한 의료장치나 외과적 시술물을 사용함에 있어

타인의 계속적인 도움이 필요한 상태20

화장실에 가서 변기 위에 앉는 일(요강을 사용하는 일 포함)과 대소변

후에 화장지로 닦고 옷을 입는 일에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이 필

요한 상태

15

배변 배뇨는 독립적으로 가능하나 대소변 후 뒤처리에 있어 다른 사

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10

빈번하고 불규칙한 배변으로 인해 2시간 이상 계속되는 업무(운전 작

업 교육 등)를 수행하는 것이 어려운 상태 5

목 욕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 없이는 샤워 또는 목욕을 할 수 없는 상태 10

샤워는 가능하나 혼자서는 때밀기를 할 수 없는 상태 5

목욕시 신체(등 제외)의 일부 부위만 때를 밀 수 있는 상태 3

옷입고 벗

기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 없이는 전혀 옷을 챙겨 입을 수 없는 상태 10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 없이는 상의 또는 하의 중 하나만을 착용

할 수 있는 상태 5

착용은 가능하나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마무리(단추 잠그고 풀기

지퍼 올리고 내리기 끈 묶고 풀기 등)는 불가능한 상태 3

Activities of Daily Living

mdash mdash

4 팔다리 및 발손가락 장해평가표(개선안)

장해 계열 장 해 내 용 장해율

팔의 장해

두 팔의 손목이상을 잃었을 때 100

한 팔의 손목이상을 잃었을 때 6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3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1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5

한 팔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팔에 가관절이 남아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10

한 팔의 뼈에 기형을 남긴 때 5

다리의 장해

두 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을 때 100

한 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을 때 6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3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1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5

한 다리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다리에 가관절이 남아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10

한 다리의 뼈에 기형을 남긴 때 5

한 다리가 5cm 이상 짧아진 때 30

한 다리가 3cm 이상 짧아진 때 15

한 다리가 1cm 이상 짧아진 때 5

손가락장해

한 손의 5개 손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55

한 손의 첫째손가락의 손가락관절보다 윗쪽에서 잃었을 때 15

한 손의 첫째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을 둘째마디 관절보다 위쪽에서 잃었을 때(1손가락마다)

10

한 손의 5개 손가락 모두의 손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모두의 손가락뼈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30

한 손의 첫째손가락의 손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10

한 손의 첫째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의 손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1손가락마다)

5

발가락장해

한 발의 리스프랑관절 이상을 잃었을 때 40

한 발의 5개 발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30

한 발의 첫째발가락의 발가락관절보다 윗쪽에서 잃었을 때 10

한 발의 첫째발가락 이외의 발가락을 둘째마디 관절보다 윗쪽에서 잃었을 때(1발가락마다)

5

한 발의 5개 발가락 모두의 발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발의 첫째발가락의 발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8

한 발의 첫째발가락 이외의 발가락의 발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1발가락마다)

3

mdash mdash

5 척추에 한 장해평가표(개선안)

현 행개 선 (안)

비 고장 해 내 용 장해율

제3급의9

척추에 고도의 기형 또는 고도의 운동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추간판탈출증

은 제외)

제4급의15

척추에 중도의 기형 또는 중도의 운동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추간판탈출증

은 제외)

제5급의14

척추에 경도의 기형 또는 경도의 운동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추간판탈출증

은 제외)

제4급의16

고도의 추간판탈출증

제5급의16

중도의 추간판탈출증

제6급의14

경도의 추간판탈출증

등뼈(흉추)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40

-장해유형

에 따른

분류

-체간골의

기형장해

보상

등뼈(흉추)에 뚜렷한 운동장해

를 남긴 때30

등뼈(흉추)에 약간의 운동장해

를 남긴 때10

등뼈(흉추)에 심한 기형을 남

긴 때50

등뼈(흉추)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30

등뼈(흉추)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 때15

심한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 20

뚜렷한 추간판탈출증(속칭 디

스크)15

약간의 추간판탈출증(속칭 디

스크)10

어깨뼈나 골반뼈에 뚜렷한 기

형을 남긴 때15

빗장뼈 가슴뼈 갈비뼈에 뚜렷

한 기형을 남긴 때10

주) 심한 rarr 고도의 기형 뚜렷한 rarr 중도의 기형에 해당

mdash mdash

177

6

lsquo054

월 標

準約

款 改

訂에

따른

장해

등급

분류

변경

대비

mdash mdash

178

mdash mdash

179

mdash mdash

180

mdash mdash

181

mdash mdash

182

mdash mdash

183

mdash mdash

184

mdash mdash

185

mdash mdash

186

mdash mdash

187

mdash mdash

188

mdash mdash

189

mdash mdash

190

mdash mdash

191

mdash mdash

192

mdash mdash

193

mdash mdash

194

mdash mdash

195

mdash mdash

196

mdash mdash

197

mdash mdash

198

mdash mdash

199

mdash mdash

200

mdash mdash

201

mdash mdash202

5 대한신경외과학회 제안 장해평가기준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기준(신경계척추)

I 개 요

의료의 사회적 역할이 다양하게 요구되는 가운데 신체상의 손해나 장애를 감정하고

평가하는 업무가 또 다른 형태의 의료인의 중요한 업무로 대두되고 있다

경제 문화적 사회여건의 양적 질적 다양화로 일상생활과 산업현장에서 인과관계가

불분명한 사고와 질병의 발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사고와 질병에 의한 결과로

후유 장애를 보이는 경우 피해자나 환자에 대한 의학적으로 적정한 치료와 장해평가가

이루어지고 법률적으로도 공정한 심판이 있어야 하며 보험회사나 기업 나아가 국가

에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보상이 이루어져 이들을 조속히 사회로 복귀시키는 것은 우리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장애정도 판정은 각 단체나 기관이 일방적으로 정한 장해평가기준에

의하여 내려지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장해평가의 기준은 주로 배상과 보상을

위한 기준(근로기준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McBride식 기준

또는 AMA식 기준 국가배상법 광주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에 관한 법률)과 장애복지

기준(장애인 복지법 국민연금법 군인연금법 생명보험회사 약관 등)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준으로 장애정도를 판정하였을 경우 동일한 장애라도 서로 다른 장애정도의

판정이 내려짐은 물론이고 판정자가 다른 경우나 판정기관이 다른 경우에도 서로

상이한 장애정도의 판정이 내려지게 되어 일부 의료인에 의하여 내려진 장해평가가

사회적으로 적지 않은 불신과 불만을 가져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우리의 현실과 국민정서에 맞는 공정하고 과학적인 그리고 하나로 통합된

한국형 장해평가기준이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모두가 느끼고 있다

대한신경외과학회(이사장 변박장)에서는 2002년 10월에 장해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표준화 적정화 체계화된 신경외과 영역의 장해평가기준을

만들기로 하였다

대한신경외과 장해평가위원회에서 다룬 장해평가기준의 범위는 중추신경계 척추

말초와 통증의 세 분야이며 현재까지 수차례의 워크숍을 통하여 모든 위원들이 열심히

노력하여 새로운 장해평가기준을 만들었으며 다른 전공분야의 전문의와 유관 기관

mdash mdash203

(손해보험업계 및 법조인 단체)들과 여러 차례 공청회를 거쳐 수정 및 보완하였다

향후 이 장해평가기준을 대한의사협회와 다른 기관 및 정부 부처(손해보험협회 법

조인 단체 및 보건복지부 등)들로부터 인준을 받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이 장해평가기준은 대한신경외과학회에서 처음 만든 기준으로 의학의 발전이나 사

회 여건의 변화에 따라 앞으로도 주기적으로 수정 보완을 하여 더욱 더 완벽한 장

해평가기준이 만들어 지는데 초석이 되리라 기대한다

대한신경외과학회의 전 회원들께서는 이 장해평가기준의 내용에 부족함과 미숙함이

있더라도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이 평가기준을 널리 이용해주시고 이용할 때 의문

점이나 문제점이 생기는 경우는 언제라도 지적해 주시기 바란다

머지않은 장래에 대한신경외과학회의 장해평가기준이 국내에서 가장 공신력이 높은

평가기준으로 자리 매김하며 향후 전신에 대한 한국형 장해평가기준의 탄생에 매우

중요한 기폭제가 되리라 확신한다

마지막으로 신체 전반에 대한 우리 고유의 한국형 장해평가기준의 확립이 시급히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서는 해당 전문의학회 대한의사협회 그리고 보건복지부 등에서

앞장서서 제반 문제를 입안하고 시행하여야 하리라 생각된다

II 서 론

1 현 장해평가기준은 크게 중추신경계 척추 말초신경과 통증장애에 대한 장해평가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장해평가 시기는 원칙적으로 의학적 최대 호전(maximal medical improvement

MMI) 시기로 하고 만일 판정시점이 수상일로부터 6개월 이내인 경우는 6개월

이후로 한다 의학적 최대 호전(MMI) 시기란 의학적으로 더 이상 치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없는 시기를 의미하며 장해평가일로부터 12개월이 경과해도 장애율

변화가 3 안팎인 시점으로 한다 그리고 장애 판정을 받기 전까지 충분하고

성실하게 전문적인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하며 만일 그 이전이라도 충분한 치료로

증상의 악화 가능성이 없거나 전문적인 치료 후 호전될 가능성을 감안하여 판정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mdash mdash204

3 장해평가기준은 노동능력이 왕성한 건강한 성인을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노동

능력이 불확실한 소아나 노인의 장애를 평가할 때는 주위의 여러 요인들을 세심

하게 고려하여 현 장해평가기준을 적용함이 타당하리라 본다

4 현 장해평가기준의 핵심은 책자의 앞 부분에 있는 각 분야의 장해평가표이며

이는 해당 장해평가의 세부 영역과 정도를 쉽게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다른 평가

항목과도 비교할 수 있게 하였다

5 현 장해평가기준은 장애인에 대한 개호 사고의 관여도 직업계수 보조구와 여명

등의 개념은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이들에 대하여서는 추후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6 장해평가의 용어를 간소화하였으며 해당 항목의 구분도 간결하게 하였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세부지침을 두어 판정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7 각 분야별로 현 평가기준에 적합한 증례를 첨부하여 장해평가자의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8 용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용어해설을 첨부하였다

9 복합장애에 대한 병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AMA식 복합장애 병산표를 첨부

하였다

mdash mdash205

장해평가기준표

A 중추신경계 장해평가표

항 목 전신 장애율()

I 기능장애

A 기질성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2(05-019)

27(20-034)

42(35-049)

57(50-064)

72(65-079)

90(80-100)

B 비기질성 장애

a 객관적 이상소견이 없는 경우

b 객관적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

3(1-05)

8(6-10)

II 운동 기능장애

A 상지기능장애 잘 쓰는 팔 잘 안쓰는 팔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03(01-04)

10(05-14)

22(15-29)

38(30-45)

B 하지 기능장애(기립 및 보행)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III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

A 배뇨 배변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0(01-19)

30(20-39)

50(40-60)

B 성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5(10-19)

25(20-29)

mdash mdash206

항 목 전신 장애율()

IV 뇌신경 기능장애

A 제 1 뇌신경 장애

a 일측성 03(01-50)

b 양측성 08(06-10)

B 제 2 3 4 6 뇌신경 장애

C 제 5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0(15-24)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30(25-35)

D 제 7 뇌신경 장애

a 미각소실 05(01-90)

b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5(01-90)

c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5(10-19)

d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25(20-29)

E 제 8 뇌신경 장애

F 제 9 10 12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7(15-39)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50(40-60)

각 I II III IV 항에 해당되는 장애율을 서로 병산하도록 한다

안과와 이비인후과의 평가기준을 적용한다(세부 사항 참조)

mdash mdash207

B 척추 장해평가표

II 통증 및 신경장애

A a 명백한 배부증상

b 회복된 신경근병증

B a 보존적 치료로 고착된 신경근병증

b 수술로 회복된 신경근병증

C a 수술 후 고착된 신경근병증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05(01-08)

05(01-08)

11(09-13)

11(09-13)

19(14-23)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두 번이상 수술한 경우 수술 당 3 추가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A 척추불안정이 명백한 경우

B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a 두 분절 이하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b 세 분절 이상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17(10-23)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23(15-28)

32(25-38)

27(20-33)

38(30-45)

C 변형장애

a 척추 측만각25-39도

b 척추 측만각 40도 이상

c 척추 후만각 30-59도

d 척추 후만각 60도 이상

25(20-29)

35(30-40)

25(20-29)

35(30-40)

항 목전신 장애율()

경추부 흉추부 요추부

I 척추의 골절 및 탈구

A 추체의 압박골절

a 25 이하

b 26-49

c 50 이상

B 추체외 골절

a 신경관을 침범하지 않는 경우

b 신경관을 침범한 경우

C 정복된 탈구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10(07-13)

05(01-08)

14(09-18)

21(19-23)

05(01-08)

11(09-13)

09(07-10)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09(07-10)

다발성 골절인 경우 분절 당 3 추가

신경근 손상의 동반 5-15

mdash mdash208

C 말초신경 장해평가표

손 상 신 경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A 가벼운 B 보통의 C 심한

제 5-8 목신경 04 10 20

제 1 가슴신경 03 07 14

팔신경얼기 12 30 60

중간줄기(제 7 목신경) 04 10 20

아래줄기(제 8 목 제 1 가슴) 09 22 45

가슴근신경 01 02 03

겨드랑신경 04 12 24

등쪽어깨신경 01 02 03

긴가슴신경 2 05 10

안쪽아래팔피부신경 01 02 03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윗부분) 08 20 40

정중신경(앞뼈사이신경) 02 05 10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아래부분) 05 14 28

근육피부신경 03 09 18

노신경(삼두근침범) 05 14 28

노신경(삼두근보존) 04 12 24

어깨밑신경 1 02 03

어깨위신경 2 06 12

가슴등신경 1 03 06

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 6 05 30

자신경(아래팔중간 이하) 4 12 24

넙다리신경 3 07 15

폐쇄신경 1 02 03

위볼기신경 5 12 25

아래볼기신경 3 07 15

가쪽넙다리피부신경 1 02 03

궁둥신경 6 15 30

온종아리신경 3 07 15

얕은종아리신경 1 01 02

장딴지신경 1 01 02

안쪽발바닥신경 1 01 02

가쪽발바닥신경 1 01 02

A 가벼운 장애정상 활동이 가능한 경도의 감각감소 또는 저항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B 보통의 장애정상 활동에 제한을 주는 감각감소 또는 중력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C 심한 장애심한 통증을 동반한 감각감소 작열통 또는 운동이 거의 불가능한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

mdash mdash209

D 통증 장해평가표

통증을 평가하는 질환은 아래의 질환군으로 나누어 평가한다

항 목

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잘 쓰지 않는 팔다리

잘 쓰는 팔다리

I 복잡부위 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type I amp II )

A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에 경한 지장이 있는 경우 01-04 01-09

B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이 불가능한 경우05-14 10-24

C통증으로 인해 일상 생활에 현저한 지장을 주는경우 15-29 25-39

D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30-45 40-60

II 의학적으로 명백히 기질적인 손상이 있는 질환에서

통증증후군이 동반되어 통증을 평가할 때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II 통증을 설명할 수있는 명백한 장기의 손상이 없지만

통증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일반적인 통증 증후군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 II III군의 적용과 A B C 항의 적용에 대한 세부지침은 아래에 있는 평가요령을 참고로

한다

mdash mdash210

III 본 론

A 중추신경계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중추신경계 장해평가의 기준은 새로운 평가 방법을 설정한 것이 아니라 기존의 여러

평가기준의 평가방법에 따른 장애 정도를 어느 정도 규합하여 적용하게 한 것으로 볼수

있다 또한 각 평가의 장애정도에 적용범위를 두어 판정자의 판단에 따라 어느 정도의

보정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AMA식이나 맥브라이드 식을 적용하였을 경우나

다른 평가기준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도 장해평가에 대한 판정오차가 크지 않도록 하는

것에 우선적인 중점을 두었다

평가기준은 4분야로 나누어

1)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기질성 및 비기질성 장해평가

2)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운동 기능의 장애(상지 및 하지)평가

3)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배뇨배변 및 성기능의 장해평가

4) 뇌신경기능 장해평가

로 나누었고 이에 해당되는 항을 각각 적용하여 그 장애율을 병산한다

장해평가 시에 장애정도의 구분은 가벼운 경우 보통인 경우 심한 경우 매우 심한

경우 등으로 간결하게 하였고 이에 대한 세부사항을 두어 평가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세부사항 내에 여러 항목에 관련이 있는 경우는(3개항 해당과 그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조정이 가능하게 하였다

mdash mdash211

2 중추신경계 장해평가표

항 목 전신 장애율()

I 기능장애

A 기질성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2(05-019)

27(20-034)

42(35-049)

57(50-064)

72(65-079)

90(80-100)

B 비기질성 장애

a 객관적 이상소견이 없는 경우

b 객관적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

3(1-05)

8(6-10)

II 운동 기능장애

A 상지기능장애 잘 쓰는 팔 잘 안 쓰는 팔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3(01-04)

10(05-14)

22(15-29)

38(30-45)

B 하지 기능장애(기립 및 보행)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III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

A 배뇨 배변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0(01-19)

30(20-39)

50(40-60)

B 성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5(10-19)

25(20-29)

mdash mdash212

항 목 전신 장애율()

IV 뇌신경 기능장애

A 제 1 뇌신경 장애

a 일측성 03(01-50)

b 양측성 08(06-10)

B 제 2 3 4 6 뇌신경 장애

C 제 5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0(15-24)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30(25-35)

D 제 7 뇌신경 장애

a 미각소실 05(01-90)

b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5(01-90)

c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5(10-19)

d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25(20-29)

E 제 8 뇌신경 장애

F 제 9 10 12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7(15-39)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50(40-60)

각 I II III IV 항에 해당되는 장애율을 서로 병산하도록 한다

안과와 이비인후과의 평가기준을 적용한다(세부 사항 참조)

3 세부지침

I 기능장애

A 기질성 장애

1) 이는 대뇌 손상 등으로 인한 신경기능의 장애로 의식장애 언어장애 행동과 정서의

장애 경련증 소견 정신상태의 장애 등을포괄적으로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2) AMA식에서의 중추신경장애 분야와 같은 항으로 볼 수 있으며 맥브라이드 식에서는

두부 손상항목에서의 V VII VIII IX X 항과 관련이 있다

mdash mdash213

3) 세부 항에서 여러 개의 항목에 해당되면 장해평가율의 범위내에서 조정이 가능하다

(특히 3개항 이하에 해당되는 경우와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로 구분한다)

4) 판정시에는 반드시 두부 손상여부에 대한 정밀검사가 필요하다

① CT(혹은 MRI SPECT PET 등)로 뇌실질 손상 및 대사의 기능이상 여부 확인이

필요하다

② 경련증에 대한 장애인 경우 반드시 충분한 약물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경련증이

나타나는 경우에 해당되며 뇌파검사(EEG) 등 정밀검사확인이 필요하다

③ 일상생활 활동의 장애정도 여부 판정은 심리감정 평가를 시행하여 이를 바탕으로

판정을 하여야 한다

5) 일상생활활동이라 함은 사람이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사회활동을 할 수 있는지 여부을

판정하는 것으로 보행여부나 운동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기본적인 활동의

수행여부를 말한다 즉 본인 스스로 외출(보행여부와는 관련없음) 물건사기 책읽기

전화하기 돈 관리하기 대인관계 등을 말한다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5~191) 일상생활활동에는 지장이 없으나 간헐적

으로 인지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경우

2) 부분 경련이 2~3개월 간격으로 있거나 1년에 1회 이상의 전신경련이있는 경우

3) 정밀검사에서 뚜렷한 뇌실질의 이상소견은 보이지 않으나 고의적이 아니며 호전되지

않는 두통 현훈증 불면증 등을 호소하는 경우

4) 정밀검사에서 뇌실질의 이상 소견이 보이며 가벼운 증상(두통 현훈증 불면증 등)을

호소하는 경우

5) 중추신경의 이상으로 정서장애가 있어 일상생활활동에 가벼운 제한이 있는 경우

6) 일상생활활동은 가능하나 간헐적인 적응장애 기억력장애 판단력 제한 등의 소견이

있는 경우

7) 가벼운 언어장애가 있어 어느 정도 알아들을 수는 있으나 충분한 표현은 되지 않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20~49

1) 일상생활 활동을 다소 제한하는 인지기능의 장애가 있는 경우(예 착란상태

confusion)

mdash mdash214

2) 부분 경련이 1개월에 1회 이상 있으며 전신경련이 2~3개월에 1회 정도 있는 경우

3) 정밀검사에서 이상소견이 나타나며 일상생활 활동에 어느 정도의 제한 소견이 있는

경우

4) 최근의 일 등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시간에 대한 지남력에 뚜렷한 제한이 있는 경우

5) 사회 또는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이 있어서 독립적인 생활에 어려움이 따르는 경우

6) 일상생활 활동의 수행에 있어 때때로 타인의 조언이 필요한 경우

7) 보통 정도의 언어장애가 있어 알아듣기는 어려우며 지적 표현이 되지 않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50~79

1) 인지기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이 심하게 있는 경우

2) 1개월에 1회 정도의 전신 경련이나 1주에 2~3회 이상의 부분 경련이 있어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을 주는 경우

3)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이 있어 정서 및 적응에 장애가 심하게 있는 경우

4) 심한 기억력 장애나 판단력에 심한 제한이 있으며 IQ가 70 이하인 경우

5) 모든 일상생활 활동에서 대부분 타인의 지시와 도움이 필요한 경우

6) 본인 단독으로는 업무수행에 지장이 있어 타인의 감독이 필요하며 매우 단순한 일

수행만 가능한 경우

7) 심한 언어장애로 알아듣기나 표현이 불가능한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80~100

1) 다른 사람에 의존하지 않고는 일상생활 활동이 전혀 불가능한 경우

2) 반혼수 및 혼수상태로 타인에게 완전히 의존할 정도인 경우

3) 일상생활 활동에 있어 타인과 생활이 불가능하여 절대 격리가 필요한 경우(정신과적

격리를 말함)

B 비기질성 장애

임상심리검사(psychometry)에서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를 객관적 이상소견이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mdash mdash215

II 중추신경계의 운동 기능장애

1) 이는 중추신경 손상으로 인한 신경기능의 장애로 기립 및 보행 상지의 운동 장애

호흡장애등 운동기능의 장애를 포괄적으로 하여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2) AMA식에서의 기립 보행 운동 장애 분야와 같은 항으로 볼 수 있으며 맥브라이드

식에서는 두부손상 항에서의 III IV VI 항과 관련이 있다

3) 상지 운동장애는 상지의 동작여부를 말하며 양팔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잘 쓰는

팔과 잘 안 쓰는 팔의 장애를 병산한다

4) 상지의 미세한 동작 여부와 일상기본 동작으로 구분한다 상지의 미세한 동작은 상지

혹은 손가락의 장애로 인하여 그릇을 씻거나 돈세는 일 지갑에서 동전을 꺼내는

일 비교적 굵은 끈매기 단추 끼우기 등을 수행하는 정도를 말한다 일상기본동작

이란 상지 혹은 손가락의 장애로 인하여 기본적인 동작 수행을 말하는데 식사 세면

및 양치질 물마시기 목욕 물건 옮기기 대소변 가리기 등을 말한다

5) 하지 운동장애는 기립 및 보행 장애정도를 말하며 평지를 걸을 수가 잇는지 계단

오르내리기가 가능한지 보행시 보조구의 도움이 필요한지 독립보행이 가능한지

등으로 구분하여 판정한다

A 상지 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잘 쓰는 팔 helliphellip 1~9

1) 상지 혹은 손가락의 장애가 있어 미세한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즉 그릇을

씻거나 돈세는 일 지갑에서 동전을 꺼내는 일 비교적 굵은 끈매기 단추 끼우기 등)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10~24

1) 상지의 장애로 미세한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25~39

1) 상지의 장애로 일상생활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즉 식사 세면 양치질 목욕 및 물건 옮기기 등

mdash mdash216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40~60

1) 상지의 장애로 일상 기본동작을 전혀 수행할 수 없는 경우

B 하지 기능장애(기립 및 보행)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1~9

1) 일어설 수는 있으나 멀리 걷기 불편한 경우

2) 독립 보행은 가능하나 장거리 보행에 지장이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10~24

1) 일어설 수 있으나 평지만 걸을 수 있는 경우

2) 독립 보행은 가능한 편이나 계단을 사용하기가 어려운 상태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25~39

1) 일어설 수는 있으나 도움(보조구 등) 없이는 걷기 어려운 상태

2) 고르지 못한 바닥이나 계단을 오르내리기가 심히 어려운 상태

3) 독립 보행은 가능하나 간간히 부축이 필요한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40~60

1) 독립보행이 불가능하며 보행 시 반드시 보조기 사용이 필요하거나 타인의 도움이

절대 필요한 경우

2) 하지 마비로 인하여 휠체어 사용이 필요한 경우

III 중추신경장애로 인한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

1) 이는 중추신경 손상으로 인한 신경기능의 장애로 배뇨 및 배변의 장애와 성기능의

장애를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2) A 항은 배뇨 배변장애 B 항은 성기능 장애로 구분한다

3) 배뇨 배변 장애가 동시에 있어 여러 항목이 관련된 경우에는 장해평가율 분포에서

높은 쪽을 택한다

mdash mdash217

4) AMA식에서의 기립 보행 운동 장애 분야와 같은 항의 방광기능 직장 항문 기능

성기능에 해당되며 맥브라이드 식에서는 비뇨 생식계항과 직장항과 관련이 있다

5) 판정 시에는 비뇨기계 역동학적 검사(Urodynamic study)나 발기부전검사 등 정밀

검사 시행 후 증상과 관련이 있는 경우에 판정한다

6) 요로계통이나 직장계통의 손상 등으로 인한 장애는 관련이 없으며 중추신경계와

관련 있는 장애만을 판정한다

A 배뇨 배변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1~19

1) 배뇨장애가 있으나 혼자서 가릴 수는 있는 경우

2) 배뇨장애가 있어 감염과 통증으로 때때로 치료가 필요한 경우

3) 배뇨의 자가 조절은 다소 어려우나 반사적 배뇨기능이 양호한 경우

4) 항문의 반사적 조절기능은 있으나 조절에 제한이 있는 경우

5) 가끔 실변이 있어 패드착용이 필요한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20~39

1) 배뇨의 자가 조절 기능은 불가하며 반사적 기능도 좋지 않는 경우

2) 항문 기능의 반사적 조절 기능은 있으나 조절이 불가능한 경우

3) 괄약근의 기능저하로 실변 현상이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40~60

1) 배뇨의 자가 조절기능이 불가하며 반사적 배뇨도 불가능한 경우

2) 항시 카테터의 삽입이 필요한 상태

3) 항문의 괄약근 기능이 소실되었고 반사적 조절도 되지 않는 경우

B 성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1~9

1) 반사적 기능은 있으나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

mdash mdash218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10 ~19

1) 반사적 기능은 있으나 느낌이 없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20 ~29

1) 반사적 기능이 없는 경우

IV 뇌신경 기능장애

1) 이는 대부분의 경우 안과적인 사항인 2 3 4 6 뇌신경장애에 한정될 수 있으나

1 5 8 9 10 12 뇌신경인 경우 이비인후과적인 사항에 포함될 수 있다

2) 2 3 4 6 뇌신경장애는 안과의 장해평가기준에 따른다

3) 5 뇌신경장애는 기질적인 장애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한다

4) 안면신경 마비 시 우리나라에서는 외적인 요인으로 사실상 업무 수행에 지장을 초

래할 수 있으나 추후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5) 8 뇌신경장애시 평형감각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중추신경의 기립 보행장해평가에

준하여 평가한다

6) 8 뇌신경장애의 청력장애는 이비인후과적 장해평가에 따른다

A 제 1 뇌신경(후각신경) 장애 냄새를 전혀 맡지 못하는 경우

a 일측성 1~5

b 양측성 6~10

B 제 2 3 4 6 뇌신경

안과의 장해평가기준에 따른다

C 제 5 뇌신경(삼차신경) 장애 삼차신경통 안면통

a 가벼운 장애 1~14

1) 가벼운 정도의 조절이 되지 않는 통증으로 인해 일상동작에 어느 정도 제한이 있는

경우이다 여기에서 일상 동작이란 씹기 웃기 말하기 삼키기 등을 말한다

mdash mdash219

b 보통의 장애 15~24

1) 조절되지 않는 통증으로 인하여 일상동작에 제한이 뚜렷한 경우

c 심한 장애 25~35

1) 전혀 조절이 되지 않는 통증으로 일상동작 수행이 되지 않는 경우

D 제 7 뇌신경(안면신경) 장애 미각 및 안면 마비

a 미각 완전 소실 1~9

b 가벼운 안면신경 마비 1~9

1) 안면 마비 소견이 관찰되나 저작 눈감기 등이 심하지 않은 경우

c 보통의 안면신경마비 10~19

1) 안면마비 소견이 나타나며 저작이나 눈감기에 지장이 있는 경우

d 심한 안면신경 마비 20~29

1) 안면마비 소견이 매우 뚜렷하며 저작 눈감기 등이 불가능한 경우

E 제 8 뇌신경

a 청력 이비인후과의 장해평가기준을 따른다

b 평형기능 중추신경의 운동장애중 특히 하지기능에 적용한다

F 제 9 10 12 뇌신경(연하곤란)

a 가벼운 연하곤란 장애 1~14

1) 액상 반고형 음식 연하시 삼키기가 비교적 곤란한 경우

mdash mdash220

b 보통의 연하곤란 장애 15~39

1) 액상의 반고형 음식연하시 코로 역류되거나 폐로 흡인 되는 경우나 삼키기 곤란한

경우

c 심한 연하곤란 장애 40~60

1) 전혀 음식물을 삼킬 수 없는 상태로 레빈 튜브나 흡입장치가 필요한 경우

A B C D 항을 각각 산정하여 병산(combine) 하도록 한다

4 증 례

42세 남자로 2년 전 교통사고로 인하여 경막하 뇌출혈이 발생하여 응급으로 두개강내

혈종 제거술을 시행받고 추후 성형술을 시행받았다

현재 CT 소견에서 우측 뇌실질의 위축소견이 보이나 뇌파에서는 이상소견 보이지

않았다 경련 소견은 보이지 않으며 좌측 편 부전 마비로 독립 보행은 가능하나 계단

오르내리기 고른 길 걷기 등은 제한이 뚜렷하다 좌측 상지 기능저하로 물컵을 옮기거나

목욕 등에 제한이 따른다 의식은 명료한 편이며 언어 소통에는 불편이 없으나 심리

검사에서 적응장애가 뚜렷이 나타난다 배뇨 배변에는 불편이 없고 뇌신경기능에도

이상이 없다

장해평가

기질성 뇌기능장애

I-A-b-134 정도

운동기능장애

상지 장애II-A-c20하지장애II-B-c30

배뇨배변장애0

뇌신경장애0

이를 합산하면(Combine)63

이 피해자는 50 이상의 장애로 영구적 장애로 판정함이 타당할 것이다

mdash mdash221

B 척추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척추는 신경기능을 전달하는 척수 및 신경근 척주의 형태와 운동을 유지하는 인

대와 골격의 척주(spinal column) 그리고 척주의 다양한 운동을 유발하는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가 유기적이며 체계적일 때 정상적인 척추의 형태

와 기능을 유지하게 된다 정상적인 척추의 형태는 각 척추골의 형태와 전체적인

굽이(curvature)를 말하고 정상적인 기능은 척주의 움직임과 척수와 신경근의 신경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형태와 기능 이상의 대표적인 예로 형태는 변형 골절 전위

골유합 등이며 기능은 척주의 움직임의 제한 척수나 신경근의 손상으로 인한 신경

학적 손상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척추의 매우 복잡한 형태와 기능으로 인해 동일한 평가 방법으로 장해평

가를 하더라도 감정인에 따라 상이한 감정 결과를 보일 수 있다 기존의 제안된 척추

장해평가방법은 과학적이기는 하나 현실성이 부족하거나 간편하기는 하지만 객관

성과 과학성이 부족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척추장해평가방법을 만드

는 일은 매우 난해한 작업일 수밖에 없고 완벽한 장해평가방법을 만드는 데는 한

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로 여기서 제안한 장해평가기준도 장해평가에 관련된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는 없으며 완벽한 지침이라고는 볼 수 없다 하지만 최대한 객

관성과 과학성을 가진 평가기준을 만들고자 하였다

현 척추장해평가기준은 척추질환이나 손상의 진단에 바탕을 두지 않고 치료 후에

남아있는 기능과 형태상의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장애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치료

후에 남아있는 배부 증후 신경근병증으로 기능의 손상(impairment)을 평가하고자

하였고 고정술 변형 골절 등 방사선상에서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형태의 손

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제시되어 있는 장애율은 전신에 대비한 척추의 손상정도의 백분율을 제시하였으며

해당 항목의 장애율에 선택범위를 제시하여 같은 항목 내에서도 손상정도에 따라

장애율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시된 장애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고 다른 조

직이나 기관(organ)과의 형평성이 고려된 AMA 평가기준을 주로 참고하였다

척수 손상에 의한 신경학적 결손은 대한신경외과학회의 장해평가기준의 중추신경계

장해평가기준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mdash mdash222

목보다 허리를 더욱 중요시하는 국내의 정서와 McBride 장해평가기준과 이경석

논문(J Korean Neurosurg Soc 28670~674 1999) 등에 제시된 장애율은 요추

가 높은 경향이 있어 척추 고정술의 경우는 요추를 경추보다 높은 장애율로 결정하

였다

장해평가 항목은

I 척추 골절 및 탈구

II 통증 및 신경장애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로

세 가지 대항목으로 구분하였으며 대항목 내의 제시된 세부항목으로 실제적인 장해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대항목 중에서 하나의 세부항목을 선택하여 가장 높은 장애

율을 최종 장애율로 구하도록 하였다

척수손상이 동반된 경우에는 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기준의 중추신경계 장해평

가를 따르도록 하였다

본문은 척추장해평가 흐름도 장해평가표 장애판정지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가

흐름도는 피감정인의 장애상태에 따라 해당되는 대항목과 척수신경장애 등의 개요

를 평가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흐름도이다

장해평가지침은 장해평가표의 세부항목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평가방법의 예시이다

여기서 제시된 장해평가방법은 척추장해평가에 있어 완벽하지 않으며 장해평가에

관련된 종사자 모두를 만족할 수 있는 기준은 아니다

mdash mdash223

2 척추 장해평가 흐름도

2항목 중 최대 장애율

호전 가능성 여부 판정보류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예

척추 손상 여부

3항목 중 최대 장애율

척수신경손상 동반

척추장애 최대장애율 척추 및 척수장애 병산

1 척추 골절 및 탈구

2 통증 및 신경장애

3 척추운동 및 변형장애

2 통증 및 신경장애 3 척추운동 및 변형장애

중추신경 장애 평가표

3 척추 장해평가표

항 목전신 장애율()

경추부 흉추부 요추부

I 척추의 골절 및 탈구

A 추체의 압박골절

a 25 이하

b 26-49

c 50 이상

B 추체외 골절

a 신경관을 침범하지 않는 경우

b 신경관을 침범한 경우

C 정복된 탈구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10(07-13)

05(01-08)

14(09-18)

21(19-23)

05(01-08)

11(09-13)

09(07-10)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09(07-10)

다발성 골절인 경우 분절 당 3 추가

신경근 손상의 동반 5-15

mdash mdash224

II 통증 및 신경장애

A a 명백한 배부증상

b 회복된 신경근병증

B a 보존적 치료로 고착된 신경근병증

b 수술로 회복된 신경근병증

C a 수술 후 고착된 신경근병증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05(01-08)

05(01-08)

11(09-13)

11(09-13)

19(14-23)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두 번이상 수술한 경우 수술 당 3 추가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A 척추불안정이 명백한 경우

B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a 두 분절 이하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b 세 분절 이상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17(10-23)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23(15-28)

32(25-38)

27(20-33)

38(30-45)

C 변형장애

a 척추 측만각25-39도

b 척추 측만각 40도 이상

c 척추 후만각 30-59도

d 척추 후만각 60도 이상

25(20-29)

35(30-40)

25(20-29)

35(30-40)

4 세부지침

1) 각 척추 부위별(경추 흉추 요추)로 각각 장애를 평가하여 부위별 최대 장애

율을 구한 후 최종 장애율은 각 부위별 장애율을 병산한다 단 다발성 골절일 경우

에는 예외로 한다

2) 장해평가는 대항목인 1 척추의 골절 및 탈구 2 통증 및 신경장애 3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중에서 피감정인에 해당하는 최대의 장애율을 최종 장애율로 정

한다 즉 항목 1 2 3 내의 세부항목으로 장애율을 구하고 최대 장애율에 해당하

는 한 가지 항목만을 선택하여 척추장애의 최종 장애율로 한다

3) 세부항목의 평가내용은 객관적인 증후나 검사(신경생리 방사선 등)로 확인된

경우에만 해당한다

4) 척수손상으로 인해 상지 하지의 신경학적 결손이나 배뇨 배변 성기능의 장

애가 동반된 경우에는 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기준의 중추신경계 장해평가표의

B 중추신경계의 운동기능장애 C 중추신경계의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의 항목

mdash mdash225

을 이용하여 평가한다 척수손상의 장애율과 척추장애의 장애율은 병산하여 척추장

애의 최종 장애율을 산정한다

I 척추의 골절 및 탈구

1 골절 및 탈구는 방사선 검사(단순 촬영 CT MRI 뼈주사 등)으로 증명된 경

우에만 해당한다

2 항목은 추체의 압박골절 추체외 골절 정복된탈구로 구분한다

3 추체의 압박골절은 추체 전방의 정상 추체에 대한 압박의 정도를 나타낸다

4 추체외 골절은 신경관 침범 유무에 따라 판정하며 만일 척수신경이나 신경근

의 손상이 동반되면 상응하는 장애율을 병산하여 최종 장애율를 산정한다

5 이 항목에서 정복된 탈구라 함은 관혈적으로 척추 고정술을 시행하지 않았던

탈구를 의미한다

6 다발성 골절인 경우는 장애율이 가장 높은 골절 부위의 장애율을 구하고 난후

에 다른 골절은 부위 당 3씩 추가한다 즉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는 골절의 장애

율과 그 외의 골절 부위는 부위 당 3씩 합산한다 만일 경추 흉추 요추 등 각각

의척추부에 다발성의 골절이 있는 경우에는 척추 부위에 관계없이 최고 값의장애율

을 구하고 그 외의 척추 골절에 대해서는 부위 당 3씩 추가하여 합산한다 다발

성 골절로 인하여 척추의 후만증이나 측만증이 있는 경우에는 항목 III 척추운동

및 변형장애의 C 변형장애로 평가할 수 있다

예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 C5~50 T12~10

L1~30 인 경우

장애율은 C5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C5는 19~28 T12 L1은

각각 3를 추가한 6이다 척추의 골절과 탈구의 최종 장애율은 25~34로 산정

한다

예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 T12~60 L3~20 인

경우

장애율은 T12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T12는 19~23 L3는 3로

최종 장애율은 22~26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 척추 후만각이 40도 정도가 있다면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장애에서 C 변형장애에 해당하여 장애율은 30~40까

지 산정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장애율이 높은 항목이 최종 장애율이 된다

mdash mdash226

7 신경근 장애는 신경근 손상에 대한 신경학적 검사로 감각과 운동을 측정하여

신경근 손상의 정도에 의한 5~15를A B C 세부항목의 장애율과 합산을 하여 최

종 장애율을 산정한다 해당 신경근의 감각과 운동의 완전한 손상은 15이고 일부

감각과 운동의 소실은 최소 5로 한다 감정인의 재량에 의해 5~ 15로 평가할

수 있다 만일 오른쪽과 왼쪽의 상하지에 동시에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오른쪽 왼

쪽을 각각 평가를 한 후에 평가된 장애율을 병산하여 신경근 손상의 장애율을 평가

한다

8 척추외상에서 분쇄골절 등의 불안정성 골절의 경우에는 수술을 통한 고정술을

시행하므로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의 B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로

평가를 한다 만일 고정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A 추체의 압박골절이나 C

정복된 탈구에 준용하여 평가한다

II 통증 및 신경장애

1 통증 및 신경장애의 평가는 반드시 객관적인 증후 및 신경학적 검사에서 신경

근의 이상을 가지며 이에 대한 이상은 신경생리학적 검사에서 증명되어야 한다

2 평가 대상에는 추간판 질환 염좌 편타손상(whiplash injury) 등이 포함된다

3 명백한 배부증상의 객관적 증후는 근육연축 운동 유연성의 감소 가성 방사통

등이 동반됨을 의미한다

4 회복된 신경근병증이라 함은 치료하기 전의 방사선 소견이나 신경생리학적 검

사에서 신경근병증이 확인되었으나 장애 판정시점에서 신경근병증이 보이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5 고착된 신경근병증이라 함은 치료 전의 진찰 소견과 방사선 검사에서 신경근

병증을 보이고 치료 후에 진찰 소견에서 신경근병증의 증후가 관찰되고 신경생리검

사에서 증명된 경우를 말한다 고착된 신경근병증에는 신경학적 검사에서 반드시

신경학적 결손이 동반되어야 한다

6 두 번 이상 수술한 경우는 수술 방법에는 차이가 없이 두 번이상의 수술에 대

해서 두 번째 수술부터 수술 당 3를 추가한다 장애판정시점에서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평가대상이 되는 경우에 두 번이상의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 A B

C의 항목의 장애율을 결정한 후에 두 번이상의 수술에 대한 3를 추가하여 합산하

여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최종장애율을 산정한다 만일 두 번째 이후의 수술

mdash mdash227

이 고정술을 시행하였다면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장애의 B 척추 고정술을 시

행한 경우로 평가할 수 있다

예제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되어 있으며 세 번의

신경감압술을 시행한 경우

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이후의 수술에 대한

6의 장애율을 합산하여 최종 장애율은 25~34로 산정한다

예제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된 있으며 첫 번째 수술은

신경감압술을 시행하였고 두 번째 수술은 요추 4-5번의 골융합술을 시행한 경우

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수술에 대한 3의

장애율을 합산하여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최종 장애율 22~31이다

이러한 경우는 척추의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이므로 항목 III-A-a-2의 장애율

29~38로 산정할 수도 있다 항목 III으로 평가한 경우에는 시행한 수술에 횟수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아니한다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1 척추 운동 및 변형은 방사선 검사(단순촬영 CT MRI 뼈주사 등)으로 증명된

경우에만 해당한다

2 척추 불안정증이란 방사선 검사에서 다음이 증명된 경우이다

1) 요추부

방사선 굴곡신전 검사상 분절이 45mm 이상 전위된 경우 혹은 각변형이 L1-2

L2-3 L3-4에서 15deg이상 L4-5에서 20deg이상 L5S1에서 25deg이상인 경우

2) 흉추부

방사선 굴곡신전검사상 분절이 25mm 이상 전위된 경우

3) 경추부

방사선 굴곡신전검사상 분절이 35mm 이상 전위된 경우나 각변형이 11deg 이상인

경우

3 척추 고정술이라 함은 골융합에 의한 방법과 나사못 등에 의한 고정술로 운동

분절의 손실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4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에서 신경학적 결손이라 함은 신경학적 검사에서

감각과 운동의 마비가 객관적으로 증명된 경우를 말한다

mdash mdash228

5 만일 척추 분절이 경흉추부 흉요추부가 포함된 다분절의 고정술인 경우에는

고정된 분절이 많은 척추 부위의 장애율을 이용한다 만일 고정된 분절이 동수인

경우에는 높은 장애율에 해당하는 척추부위의 장애율을 이용한다

예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없는 경우흉추부 요추부가 동수의 분절이 고정되어 있

으므로 높은 장애율을 제시하고있는 요추부 항목 III-B-a-1의 15~28를 이용하

여 장애율을 판정한다

예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0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있는 경우흉추부는 두 분절 요추부는 한 분절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흉추부 항목 III-B-b-2의 25~40를 이용하여 장애율을 판정

한다

6 변형장애는 척추 스캐노그람(spine scanogram)을 촬영하여 변형각을 측정하

여 장애율을 산정한다 변형장애는 골절 탈구 고정술 척추관절의 질환 선천성 변

형 등이 포함된다 변형장애의 장애율이 다른 평가항목의 장애율보다 높을 경우에

는 최종 장애율을 항목 III-C 항을 적용할 수있다

5 증 례

1) 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C5~50 T12~10

L1~30 인 경우장애율은 C5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C5는

19~28 T12 L1은 각각 3를 추가한 6이다 척추의 골절과 탈구의 최종 장애

율은 25~34로 산정한다

2) 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 T12~60 L3~20 인

경우장애율은 T12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T12는 19~23 L3는

3로 최종 장애율은 22~26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 척추 후만각이 40도 정도가

있다면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장애에서 C 변형장애에 해당하여 장애율은

30~40까지 산정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장애율이 높은 항목이 최종 장애율이 된다

3)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되어 있으며 세 번의 신경

감압술을 시행한 경우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이후의 수술에 대한 6의 장애율을 합산하여 최종 장애율은 25~34로 산정한다

4)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된 있으며 첫 번째 수술은

mdash mdash229

신경감압술을 시행하였고 두 번째 수술은 요추 4-5번의 골융합술을 시행한 경우

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수술에 대한 3의 장

애율을 합산하여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최종 장애율 22~31이다

이러한 경우는 척추의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이므로 항목III-A-a-2의 장애율

29~38로 산정할 수도 있다 항목 III으로 평가한 경우에는 시행한 수술에 횟수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아니한다

5) 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없는 경우흉추부 요추부가 동수의 분절이 고정되어 있

으므로 높은 장애율을 제시하고 있는 요추부 항목 III-B-a-1의 15~28를 이용하

여 장애율을 판정한다

6) 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0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있는 경우흉추부는 두 분절 요추부는 한 분절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흉추부 항목 III-B-b-2의 25~ 40를 이용하여 장애율을 판정

한다

C 말초신경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1) 장해평가를 받기 전까지 충분하고 성실하게 전문적 검사와 치료를받아야 하며

특히 말초신경계 장애의 경우 객관적 관찰 및 신경학적 검사시 주관적 개입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필수적인 신경보조검사를 시행한 경우에 한한다

2) 두 신경 이상의 손상의 경우 AMA식 복합장애 병산표를 이용한 병산 또는합

산을 인정한다

3) 다음의 경우는 말초신경 장해평가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a) 중추신경장애로 인한 2차성 말초신경 퇴행 및 이로 인한 동반장애 증상

b) 척추질환으로 인한 신경근 압박으로 초래된 감각 및 운동신경장애 증상

c) 신경전도검사 유발전위검사 또는 근전도 검사등 객관적 검사상ldquo추정적

(suggestive)rdquo이상의 등급으로 인정되지 않는 말초신경 손상

mdash mdash230

2 장해평가 방법론

1) AMA 식의 평가기준 기술방식적 접근에는 동의하나 장황한 서술은 지양한다

2) McBride 식 평가의 간결성을 적용한다

3) 일개 장애에 대하여 여러 항목에 대한 복잡한 분석 후 백분율() 산정 AMA

식 복합장애 병산표를 이용하여 합산하는 AMA 식 접근법은 지양한다

4) 손상의 정도를 가벼운 보통의 심한 장애로 나누어 이의 성립요건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기술한다

a) 신경근(spinal nerve root)의 경우 AMA에서 산정한 C5부터 C8의 최대 장애

율은 30~45로 T1은 20로 나와 있으므로 C5부터 C8은 부위에 상관없이

35를 최대 장애율로 하고 T1만 20를 인정한다

b) 감각과 운동신경장애를 통합하여 경도 중등도 고도의 항목에 모두 통합 기술

한다

- A 가벼운 장애정상 활동이 가능한 경도의 감각감소 또는 저항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 B 보통의 장애정상 활동에 제한을 주는 감각감소 또는 중력에 반하는 운

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 C 심한 장애심한 통증을 동반한 감각감소 또는 작열통(causalgia) 또는

운동이 거의 불가능한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

c) 각 항목에 대하여 AMA 식 평가의 최대치를 산정하여 전신비율로 산정한 값은

McBride 식 평가에서의 완전손상 항목과 상당히 유사한 값을 나타낸다는 점에

착안 시안의ldquo심한rdquo에 해당하는 평가치로 준용하고 AMA 식 평가값의 백분율

을 변형하여 20(15)에 해당하는 것을ldquo가벼운rdquo으로 50(12)에 해당하는 것

을ldquo보통의rdquo로 단일화하여 전신비율로 계산된 값을 각각ldquo가벼운rdquo 및ldquo보통의rdquo 최

종 평가값으로 준용한다 운동 및 감각기능의 손상을 통합적으로 다루었으므로

AMA의 감각 운동신경 복합손상에서 기술한 평가치를 기준으로 한다

mdash mdash231

3 말초신경 장해평가표

손 상 신 경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A 가벼운 B 보통의 C 심한

제 5-8 목신경 04 10 20

제 1 가슴신경 03 07 14

팔신경얼기 12 30 60

중간줄기(제 7 목신경) 04 10 20

아래줄기(제 8 목 제 1 가슴) 09 22 45

가슴근신경 01 02 03

겨드랑신경 04 12 24

등쪽어깨신경 01 02 03

긴가슴신경 2 05 10

안쪽아래팔피부신경 01 02 03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윗부분) 08 20 40

정중신경(앞뼈사이신경) 02 05 10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아래부분) 05 14 28

근육피부신경 03 09 18

노신경(삼두근침범) 05 14 28

노신경(삼두근보존) 04 12 24

어깨밑신경 1 02 03

어깨위신경 2 06 12

가슴등신경 1 03 06

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 6 05 30

자신경(아래팔중간 이하) 4 12 24

넙다리신경 3 07 15

폐쇄신경 1 02 03

위볼기신경 5 12 25

아래볼기신경 3 07 15

가쪽넙다리피부신경 1 02 03

궁둥신경 6 15 30

온종아리신경 3 07 15

얕은종아리신경 1 01 02

장딴지신경 1 01 02

안쪽발바닥신경 1 01 02

가쪽발바닥신경 1 01 02

A 가벼운 장애정상 활동이 가능한 경도의 감각감소 또는 저항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B 보통의 장애정상 활동에 제한을 주는 감각감소 또는 중력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C 심한 장애심한 통증을 동반한 감각감소 작열통 또는 운동이 거의 불가능한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

mdash mdash232

4 증 례

3O 세의 남자(오른손잡이)가 유리작업을 하다가 깨진 유리에 왼쪽 팔꿈치 아래의

심한 자상을 입고 치료를 받았다 당시 근육은 봉합 가능하였으나 신경은 봉합을

하였으나 기능은 회복되지 않았으며 이후 좌측 손 근육의 근 위축이 서서히 생기면

서 전형적인 갈구리 변형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상태로 내인성 근육의 근력저하가

이학적으로 명백하여 왼손으로는 일상생활울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또한 좌측

자신경의 감각소실이 현저하였다 다치고 계속 물리치료와 약물치료를 하다가 수상

후 약 8개월째 장해평가를 받기 원한다

먼저 수상후 최소 6개월이 지났으며 의학적으로 최대한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는 시기(MMI)를 경과하였다고 감정의사가 판단하고 더 이상 호전이 없을 것으로

생각하면 수상후 8개월에 장해평가가 가능하다

먼저 수상부위가 아래팔(forearm)의 중간이상 부위가 감각저하와 근육마비로 확

인이 되므로 일단 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의 항목에 해당된다고 본다 상기 상태는

C심한 장애상태로 판단되며 심한 통증과 작열통이 없지만 운동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ldquo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

의손상-Crdquo로 평가하며 24의 노동력 상실로 장해평가를 한다

D 통증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및 전신장애율()

항 목

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잘 쓰지 않는

팔다리

잘 쓰는

팔다리

I 복잡부위 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type I amp II )

A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에 경한 지장이 있는 경우 01-04 01-09

B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이 불가능한 경우05-14 10-24

C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현저한 지장을 주는

경우 15-29 25-39

D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30-45 40-60

mdash mdash233

항 목

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잘 쓰지 않는

팔다리

잘 쓰는

팔다리

II 의학적으로 명백히 기질적인 손상이 있는 질환에서

통증증후군이 동반되어 통증을 평가할 때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II 통증을 설명할 수있는 명백한 장기의 손상이 없지만

통증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일반적인 통증

증후군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 II III군의 적용과 A B C 항의 적용에 대한 세부지침은 아래에 있는 평가요령을 참고로

한다

2 세부지침

1) I 항 해당질환복잡부위 통증증후군 제 1 2형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I amp IICRPS type I(reflex sympathetic dystrophy RSD

반사교감 이형성증) CRPS type II(causalgia and posttr-aumatic neuralgia

작열통과 말초신경의 외상후성 신경통)

2) 복잡부위 통증증후군의 진단기준(Guide to the evaluation of the permanent

impairment AMA 5th ed p496)

국소 임상 증상

혈관운동계 변화(vasomotor changes)

bull 피부 색깔얼룩덜룩해진다 창백해진다

bull 피부 온도차다

bull 부종

발한성 변화(sudomotor changes)

bull 피부가 건조해 지거나 또는 촉촉해진다

영양성 변화(trophic changes)

bull 피부 결부드럽고 탄력이 떨어지는

mdash mdash234

bull 연부조직 위축특히 손발끝에서

bull 관절 강직과 운동범위 감소

bull 손발톱 변화홈이 나며 구부러지고 부리 같은 변화

bull 털 성장 변화빠지고 가늘고 길어진다

방사선학적 변화

bull 단순방사선검사뼈의 영양성 변화 골다공증

bull 방사성 동위원소 뼈스캔복잡부위 통증증후군에 합당한 소견

해석

=gt8복잡부위 통증증후군

lt8복잡부위 통증증후군이 아님

3) II 항 해당사항

① 의학적으로 확인할수 있는 기관의 장애가 있고 뇌 척추 말초신경과 같은 다른

항목에서 장애율을 매길 수 있는 질환에서 통증평가(다른 항목(뇌 척추 말초신경)

으로 계산한 장애정도가 통증장애를 포함한 모든 장애를 대표한다고 평가하였다고

보기 어려울 때)

예를 들어자기공명영상으로 확인이 되고 임상적으로 근력약화 감가소실을 나타

내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가 수술후 해당 신경뿌리 피부 영역에서 심한 통증을

계속 호소할 때

② 잘 알려진 통증질환이지만 통증증후군의 발생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어

통증의 발생을 미리 예측할 수 없는 경우(해당질환마비후 통증 척수공동증 통증 시

상증후군 상완신경총손상 통증 신경포착성 증후군 말초신경병 중추성 신경통)

4) III 항 해당질환해당질환두통 포진후 신경통 삼차신경통 홍색사지통증과

같은 질환

5) II III 항의 A-C 세부사항

A통증이 있지만 일상생활에 불편이 없음 통증으로 인한 고통이 없거나 미미

함 통증치료를 규칙적으로 할 필요가 없음 진찰중 통증관련 제한이 가볍거나 통증

행동이 거의 없음

B일상생활에 불편이 있고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조정이 필요함 통증으로

인해 다소의 정서적인 고통이 있음 통증 때문에 치료받거나 약을 복용하고 있음

진찰중 통증관련 제한이 상당히 있지만 통증행동은 거의 관찰되지 않음

mdash mdash235

C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움 통증으로 인해 심한 정서적 고통이 있음

통증약을 항상 복용함 진찰중 통증관련 제한이 심하고 통증행동이 많음

3 증 례

42세 오른손잡이 남자(선반공)로 우측 손의 수근관 증후군으로 진단받고 발병 3개월에

인대절제술을 시행하였음 수술후 수술전의 저림은 없어졌으나 수술 약 2주후부터

우측 손의 부종이 점차 발생하면서 우측 손의전반적인 통증이 발생하였다 복잡부

위 통증증후군 제 1형으로 진단받고 수회의 교감신경블록과 정중신경블록 약물치

료와 물리치료를 6개월 이상 시행하였다 현재 통증은 우측손에서 아래팔에서 어깨

까지 진행한 상태로 VAS 7-810상태가 계속된다 통증으로 인해 우측 손과 팔꿈치

어깨의 운동범위가 심하게 제한을 받고 있으며 이학적 소견상 우측손의 부종과 얼룩

덜룩한 색깔변화 손톱이 갈라지고 손이 차며 피부가 건조하다 손가락의 운동범위는

심각하게 감소하였으며 팔꿈치와 어깨는 어느 정도 관절운동 범위가 유지되고 있다

감각저하(hy-pesthesia)와 저림(paresthesia)가 있다 또한 스치면 통증을 느끼는

작열통이 동반되어 있다 검사시 우측 팔을 가능한 움직이지 않으려고 하며 스치면

얼굴을 찡그리면서 약간의 신음소리를 보였다 단순방사선 검사상 골다공 소견을

보이며 방사성 동위원소 뼈주사에서 동위원소의 증가소견을 보인다

장해평가

현 상태로 보아 정중신경의 만성적인 포착에 따르는 수근관 인대 절개술후 발생

한 복잡부위 통증증후군 제 1형(반사교감 이형성증 과거의 용어)으로 진단되며 세

부지침에 있는 복잡부위 통증증후군의 진단기준중 8개 이상을 보이는 전형적인 진

단기준에 합당하다 장애정도는 C 항에 해당한다 이환된 손가락의 운동은 불가하

지만 위의 설명상 우측 팔을 완전히 사용 못하는 상태는 아니라고 판단하기 때문이

다 오른손잡이이므로 25~39의 범위에서 감정의사의 재량에 따라 평가할 수 있

다 현 평가의 환자의 증상이 과장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고 vas 7-810을 보임에

따라 35~37의 장해평가를 내린다 범위가 있는 것은 통증 환자들은 모두 다른

증상을 보이는 다양한 장애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감정의사는 세심하

고 정확한 이학적 검사 및 면담을 통해 통증반응과 같은 상황을 참작하여 허용된

범위 안에서 자신의 판단을 이용하여 개개의 피감정인을 평가할 수 있다

Page 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mdash mdashii

Ⅴ AMA 기 과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Ⅵ 결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제 4 장 특수기능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Ⅱ 산재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Ⅲ AMA 장해평가기 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0

Ⅳ 산재기 과 국내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Ⅴ AMA 기 과 다른 기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Ⅵ 결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제 5 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Ⅱ 문가용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Ⅲ 일반인용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08

mdash mdashiii

- 총 목 차 -

제 1 부 국 내 제 도 제1장 우리나라 장해평가기 의 황과 문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제2장 산재보험 통계자료를 이용한 장해등 련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제 2 부 외 국 제 도 제1장 미국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7

제2장 독일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1

제3장 일본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9

제4장 랑스의 장해평가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0

제 3 부 의료분야(Ⅱ) 제1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제2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

제3장 정신행동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제4장 특수기능 장해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제5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 부 록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5

mdash mdash1

제 3 부 의 료 분 야

제1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제2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

제3장 정신행동 장해평가

제4장 특수기능 장해평가

제5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mdash mdash3

제 1 장 근골격계 장해평가1)

I 서 론

II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III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IV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1 상지 장애

2 하지 장애

3 척추 장애

V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1 상지 장애

2 하지 장애

3 척추 장애

VI 결 론

1) 백광흠(신외) 이승림(정외) 김종문(재활) 도재원(신외) 오성훈(신외) 강윤규(재활) 최재욱(예방) 조경석(신외)

mdash mdash5

제 1 장 근골격계 장해평가

Ⅰ 서 론

근골격계 영역은 미국의학협회의 장해2)평가기준(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ition 이하 AMA라 칭함)에서 제 15장 척추와 골

반 제 16장 상지 그리고 제 17장 하지로 나누어 기술되어 있다 이는 산업재해보

상보험법의 장애등급 판정에서의 장해계열 구분에서는 15(척주) 16(기타 체간골)

17 팔(결손 기형장해) 18 팔(기능장해) 19 팔(흉터장해) 20 손가락(결손 기능

장해) 21 다리(결손 기형장해) 22 다리(기능 장해) 23 다리(단축장해) 24 다리

(흉터장해) 25 발가락(결손 기능장해) 장해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근골격계 장해

평가기준개발팀에서는 해당 AMA 기준 중에서 근골격계에 해당되는 내용을 요약

분석하고 근골격계의 장해평가를 산업재해보상보험법과 AMA의 기준을 비교한 후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 항목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모든 국내법은 장애 정도에 대한 평가 기준을 국가배상법 시행령의 별표로 규정

하고 있다 시행령의 별표를 살펴보면 장해평가는 등급을 나누고 추정 노동력 상

실율의 를 표시하였는데 각 등급에서는 장애항목을 예시하는 예시형 추정

(example-based estimation)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장애등급과 항목은 일본의

1926년 공장법 시행령 제7조 별표의 장애등급과 장애항목을 1947년 노동기준법

시행령의 보상일수에 대한 규정을 국내에서 1953년 근로기준법을 제정할 때에 번

역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공장법 시행령은 14등급 120항목이고 국내의 산업재

해 보상보험법은 14등급 141항목을 두고 있다 이러한 등급표는 너무나 단순하며

장해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규정을 가지고 있지 않다

산업재해 보상보험법에서는 국가배상법 시행령의 장애등급표와 거의 동일한 계열

2) 국내에서는 장애 장해에 대한 용어가 혼용되는데 WHO는 1980년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Disabilities and Handicaps (ICIDH)를 출판하였고 이는 국내에서 각각 순서대로 장해 장애

불구로 번역되었다 따라서 impairment와 disability에 해당되는 용어는 이를 기준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mdash mdash6

분류와 등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좀 더 객관적인 등급 결정을 위해 구체적인 시

행세칙을 마련하여 장해등급판정요령(1984 5 28 예규 101호)을 두고 이에 따라

장애등급을 판정하고 있다 또한 이 시행세칙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이외 자동차배

상법 생명보험사장해등급분류표에서 비슷한 내용의 장해평가기준의 기본이 되었다

산업재해 보상보험법에서는 신체를 해부학적 관점과 기능면의 생리학적인 관점에

서 장애군을 25개의 장애계열로 나누고 장애 등급을 1급에서 14급까지로 구분하

고 있다 만일 계열을 달리하는 신체장해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중한 쪽에 해당하

는 신체장해를 등급으로 인정하거나 1~3 등급을 인상하여 신체장해의 등급을 판

정한다 이렇게 신체장해의 등급을 달리하는 방법을 lsquo조정rsquo이라고 한다 또한 등급표

에 예시된 장해항목 이외의 신체장해가 있을 경우에는 장해의 정도에 따라 주어진

신체등급표의 장해항목에 준하여 등급을 결정하는데 이를 lsquo준용rsquo이라고 한다 산업

재해보상보험법의 장해등급평가 세칙은 장해(impairment)에 해당되는데 내용은 별

표의 해당 장해 항목이나 조정 등으로 정해진 장해등급에 따라서 보상일수가 정해

지므로 장해등급이 신체손상의 정도를 반영하게 된다 반면 동일한 방법의 장해평

가표이면서도 국가배상법에서는 장해등급표 옆에 임의로 노동능력 상실률을 정하고

있어 노동력 상실율과 신체손상율에 대한 개념의 혼동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국

가배상법에서는 제1~3급의 노동능력상실률이 100이며 제4급이 90이고 각 등

급마다 10씩 노동능력상실률이 낮아지도록 하고 있다

국내법에서 장해평가 시기는 증상이 고정됨을 전제로 하고 있다 산업재해 보상

보험법에서 lsquo치유된 때라 함은 부상 또는 질병에 대하여 의학상 일반적으로 승인된

치료방법을 사용하여 요양하였으나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태로서 남게 되는

증상이 자연적 경과로 인하여 도달된다고 인정되는 최종상태(증상의 고정)rsquo로 정의

하고 있다 장애정도의 평가는 원칙적으로 요양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태가 되

어 증상이 고정된 때에 실시한다 그리고 6개월 이내의 기간에 증상이 고정될 가망

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기간이 지난 후에 장해평가를

실시하여 장애 등급을 판정하고 있고 국민연금법에서는 초진일로부터 2년이 경과

한 시점을 장해평가시기로 정하고 있다

등급을 통한 장해평가는 신체장애의 종류에 따라 장애항목이 결정되어 장애에

관한 배상이나 보상의 관련된 업무에 대해 행정적 처리는 편리하다 또 다른 장점

으로는 시행세칙에 따른 평가에 있어 다소 불합리한 부분이 있더라도 조정이 잘되어

mdash mdash7

있고 해당조항이 없더라도 준용함으로써 비슷한 등급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장애항목의 서술이 애매한 형용사 형의 사용이 많아 조잡하며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항목의 분류가 엉성하다 또한 장애등급이 곧바로 신체손상율이나 노동능력상

실이라고도 말할 수 없고 현재의 사회 환경이나 의학수준과 격차가 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 하지의 장애를 주로 관절 장애로 준용하도록 유도되어 있어 신경손상

이나 국소적 근 손상 등의 평가도 관절운동의 제한으로 평가함으로써 적절치 못한

평가가 된다 뿐만 아니라 상 하지의 장애도 ldquo3대 관절 중 2(또는 1)관절rdquo 같은

식으로 각 관절간의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가 없이 단순히 해당 관절의 개수만을 평

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평치 못한 장해평가가 되고 만다 이에 비해 AMA나 맥브

라이드식 장해평가에서는 각 관절별 신체손상율 및 노동력 상실율이 실제 장애로

인한 기능적 제한 정도를 반영할 수 있도록 차등되어 있다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상 지

AMA에서 상지의 장해는 제 16장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제 139에서 상지의

말초신경 손상에 대한 장해평가에 일부 그 내용이 언급되어 있지만 주 내용은 제

16장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 장에서는 근골격계 손상에서의 상지 장해인 제 16장의

내용을 주로 다루고자 한다

AMA 제 5판에서는 근골격계에서 흔히 다루어 지는 장해인 절단 장해 관절 장

해 운동말초신경 장해 외에 뿐 감각신경 손상 혈관질환 복합국소통증증후군 등까

지 다루고 있다 맥브라이드나 이전 제 3판에서와 달리 장해평가에 있어 우성 수

(dominant hand)에 대한 조정을 하지 않고 있다 이는 우성 수를 객관적으로 알아

내기가 쉽지 않고 그 의존의 정도도 사람에 따라 다양하여 양손의 차이가 뚜렷할

수도 있지만 그 차이가 미미하거나 완벽한 양손잡이 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지의 장해평가는 크게 수부와 기타 부위로 나눌 수 있는데 이는 그림 16-1a와

b에 잘 나타나 있다

mdash mdash8

그림16-a 팔 장해 평가 기록 ndash 제1부 (손) 좌우 우 좌

성명 _________________ 연령 ______ 성별 남 여 주손 우좌 일자 ____________

직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진단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비정상 운동 절단 감각 소실 기타 장애 손 장해()

운동 또는 강직 각도 및 손 장해()를 기록한다

절단 위

치 및 장

해()를

표시한다

유형 위

치 및 장

해()를

표시 한다

유형 및

장해 기

록한다

손가락 장해를

병합한다

손 장해로 전환

한다

굴곡 신전 강직 장해()

IP각도

장해

MP각도

장해

운동 강직 장해()

CMC

요 골

외전

각도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내전Cm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대향접

촉운동

Cm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를 합산하면 CMC + MP + IP=

[1]

손 가 락

IMP =

[2]

손 가 락

IMP =

[3]

손 가 락

IMP =

[4]

손 장해

굴곡 신전 강직 장해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

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

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mdash mdash9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DIP각도

비정상 운동

[1]

장해 절단 [2]

PIP각도 감각 소실[3]

장해 기타 장애[4]

MP각도

손가락 장해

총량

1234를

병합한다

장해

손가락 장해 MP PIP DIP를 합산하면 =

[1]

손 가 락

IMP =

[2]

IMP =

IMP =

손 장해 총량 엄지손가락 + 집게손가락 + 가운뎃손가락 + 약손가락 + 새끼손가락 =

손 장해 총량을 팔 장해로 전환한다dagger(엄지중수골에 문제가 없다면 제2부 Ⅱ항에 기재한다) =

Thumb ray upper extremity amputation 장해____ + hand upper extremity 장해 ____ =

손 부위의 장해가 장해의 전부라면 팔 장해를 전신 장해로 전환한다 =

그림16-1b 팔 장해 평가 기록 ndash 제2부 (손목 팔꿈치 어깨) 좌우 우 좌

성명 _________________ 연령 ______ 성별 남 여 주손 우좌 일자 ____________

직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진단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비정상 운동 기타 장애 국소 장해 절단

운동 또는 강직 각도 및 장해를 기록한다유형 및 장해

를 나열한다

병합한다 [1] +

[2]

위치 및 장해

를 표시한다

굴곡 신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RD UD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합산한다 장해 굴곡신전 + RDUD = [1] 장해= [2]

굴곡 신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회내 회외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합산한다 장해 굴곡신전 + 회내회외= [1] 장해= [2]

mdash mdash10

굴곡 신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내전 외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내회전 외회전 강직 장해

각도

장해

합산한다 장해 굴곡신전+ 내전외전+내회

전외회전 = [1]장해= [2] 장해 =

Ⅰ 절단 장해(손가락 외) =

Ⅱ 팔의 국소 장해

(합산한다 손 _____ + 손목 _______ + 팔꿈치 ________ + 어깨 _______ ) =

Ⅲ 말초신경계통 장해 =

Ⅳ 말초혈관계통 장해 =

Ⅴ 기타 장해 (국소 장해에 포함되지 않은 것) =

팔 장해 총량 (Ⅰ Ⅱ Ⅲ Ⅳ Ⅴ를 병합한다) =

전신 장해(표16-3을 활용한다) =

〈표 16-1 16-2 16-3〉을 이용하여 각각 수지 장해를 수부 장해 수부장해를 상지 장해

이를 다시 전신장해율로 전환하여 사용한다 각각의 장해율은 병합(combine) 하는 것이 원

칙인데 다음의 경우 합산(add) 하기도 한다

1 손 장해 총량(100)은 각각의 손가락 장해를 합산하여 구한다 엄지손가락은 40 집게

손가락은 20 가운뎃손가락은 20 약손가락은 10 새끼손가락은 10 이다 (표

16-1 및 표16-4)

2 손에 다른 장해가 있다면 이를 팔 장해로 전환한 후 thumb ray 절단으로 인한 팔 장해와

합산한다

3 Thumb Ray 운동 장해값은 각 관절 운동 장해값을 합산해서 구한다 엄지손가락의 기능

단위(100)는 수근중수골 75 중수수지(MP) 10 지절 사이(IP) 10 등 손가락을 구

성하는 관절의 장해값을 합산한다 그러나 운동 상실에 대한 손가락 관절 장해 등급은

합산하지 않고 병합해야 한다

상지의 관절운동 제한에 의한 장해평가에서 관절의 운동범위에 따라 장해율을 적

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기능적인 위치에서 신체손상율을 최소로 하고 여기에서

부터 가능한 운동 범위에 따라 신체손상율을 다르게 했다 즉 가능한 운동 범위에

따라 신체손상율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범위가 적어도 기능적 위치에 가까우

면 더 적은 신체손상율을 주도록 하고 있다

mdash mdash11

〈표 2-2〉 상지 관절에서 최소 장해율을 보일 때의 관절각도 (AMA 장해평가지침서 제5판)

관절 Ia

총 장해율

Ie

신전장해율

If

굴곡장해율

V

각도

견관절

굴곡 신전 15 5 10 40

15 5 10 30

15 4 11 20

내회전 외회전 6 2 4 내회전 20

6 2 4 내회전 30

6 3 3 내회전 40

6 4 2 내회전 50

주관절

굴곡 신전 21 11 10 80

회내 회외 8 4 4 회외 20

완관절

굴곡 신전 21 8 13 신전 10

21 11 10 0

21 13 8 10

요굴 척굴 9 5 4 0

9 4 5 척굴 5

9 4 5 척굴 10

무지

중수지관절 5 1 4 20

지관절 7 3 4 20

손가락

중수지관절 45 12 33 30

근위지관절 50 14 36 40

원위지관절 30 4 26 20

Ia 총 장해율 Ie 신전 장해율 If 굴곡 장해율 V 관절각도

Ia = Ie + If

이와 같이 AMA에서의 상지 장해평가는 상당히 복잡하고 그 평가에도 상당한 시

간이 소요된다 특히 다발성의 수지 손상이라면 그 평가에 필요한 시간은 엄청나게

증가된다 반면 상당히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므로 운동범위 등의 측정치만 일정

하다면 수학 공식과 같이 대입만하면 어느 누가 장해평가를 하더라도 거의 일치되

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하 지

하지의 장애는 17장에 기술되어 있으며 개인의 일상생활(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수행 여부를 반영하는 영구적인 신체장애율로 표기되며 이를 위해 하

mdash mdash12

지를 6분야로 나누고 있다 족부 후족부 족관절 하퇴 슬관절 고관절 및 골반부

로 나누고 이에 신경계 및 혈액순환계를 포함한다 평가는 하지의 해부학적 변화

진단적 기준 및 기능적 변화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제 5판의 AMA에서는 평가방법

을 명기하고 서로 병합할 수 있는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작열통(causalgia)과

같은 항목에 대해서는 중추신경계를 인용하여 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해부학적인 분류에 따른 평가는 하지부동 근위축 관절강직 절단 관절염 피부

결손 말초신경손상 혈관계손상 및 작열통의 세부항목으로 나뉘고 기능적 분류에

따른 평가는 관절운동범위 보행이상 및 근력으로 나뉘며 진단적 분류에 따른 평

가는 골절 인대손상 반월상연골판 절제술 족부변형 고관절부 및 골반부의 점액낭

염과 인공관절 치환술로 세분되어있다 각각의 평가항목들은 서로 병합할 수 있는

항목과 그렇지 못한 항목들을 구분하여 하지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지와 마찬가지로 한쪽(unilateral)의 하지를 기준으로

장해율이 표기되어 있으며 전(全) 손실의 경우 전신에 대하여 40의 상실률이 책

정되어 있다

3 척 추

제 15장 척추 장해를 살펴보면 다른 장기의 장해 평가 방법과 마찬가지로 장해

의 정도는 등급이 아닌 장해율로 평가를 한다 척추 장해 등급 평가는 진단 관련

평가(Diagnosis-related estimates DRE) 또는 운동 범위평가 (ROM) 중 하나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DRE 방법은 명백한 손상이 있는 환자를 평가할 때 주로 사용

된다 장해 원인을 알 수 없을 경우나 DRE 방법으로 장해의 특성을 잘 나타낼 수

없는 경우 DRE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ROM 방법은 DRE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에 사용한다 DRE 방법은 경추 흉추 요추 등 척추 3부위마다 8개의 DRE 카테고

리로 분류한다 환자를 DRE 카테고리에 정확하게 분류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한다 첫째 방법은 증상 징후 및 적정 진단 검사 결과에 근거한다 둘

째 방법은 골절 및또는 임상적 증상의 유무에 상관없이 탈구에 근거한다 환자의

골절이 확인되어 DRE 카테고리로 분류 되었다면 다른 증명은 필요하지 않다 상지

장해를 평가하는 방법은 근본적으로 해부학적 평가 방법이다 해부학적 부위별로

절단 운동 소실 또는 강직 감각 소실 기타로 인한 장해를 모두 구하여 이를 병합

mdash mdash13

표15-20 척추 장해 평가 요약

성명 ___________________ 주민등록번호 ____________________ 일자 _________________

장해 경추 흉추 요추

1 DRE 방법 (표15-3~표15-5)

2 ROM 방법 (표15-8)

3 신경근 통증이 있거나 없는 감각 소실 근력 소실

한 후 장해율표를 이용하여 장해정도를 평가한다 하지의 장해평가시 다리 평가에

는 13 가지 방법이 있다 표17-1은 13가지 방법을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3개 카

테고리 즉 (1) 해부학적 (2) 기능적 또는 (3) 진단에 근거한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주요 평가 방식을 반영하고 있다 운동 범위 (ROM) 다리 길이 차이 관절염 피부

변화 절단 근육 위축 신경 손상 혈관 장해 등 해부학적 변화는 이학적 검사를 통

해 평가한 후 임상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관절염에는 통증 쇠약 경

직 등으로 인해 손상을 입었으나 기능성 운동 범위를 유지하는 확진 관절염 환자에

게 적용되는 고유의 진단 카테고리가 있다 관절염은 X-선 사진에서 측정된 관절

공간이 좁아진 것을 근거로 평가한다 작열통 및 복합부위통증증후군(반사적 교감신

경성 기능장해)은 ROM 방법 및 말초신경 평가 기법을 병합하여 평가한다 진단에

근거한 평가는 특정 골절 및 변형 인대 불안정 윤활낭염 및 관절 치환 및 반월연

골절제술을 포함하는 여러 외과 처치로 인한 장해를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진단에 근거한 평가 방법을 다른 평가 방법과 병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기능 장해는 해부학적 변화의 분류가 어렵거나 기능적 관련성이 증명되었을 때 선

택된다 기능 장해는 맨 마지막에 평가한다 동일한 질환을 평가한 방법은 서로 병

합하지 않는다 적정 방법을 선택하거나 여러 방법을 병합하려면 판단력과 경험이

있어야 한다 정확하고 일관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입증 자료를 주의 깊게 검토

해야 한다 한 개 이상의 평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보다 높은 장해 등급이

확인되는 등급을 선택한다 상지나 하지의 장해평가에 대한 AMA 기준은 매우 논리

적이며 공신력이 있으며 아주 자세하고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합리적이다 하지만

너무 자세하고 복잡하여(상하지만 137개의 표) 따로 교육을 받지 않으면 평가할 수

없을 정도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점이 있다 특히 직관적이고 포괄적인 평가를 선호

하는 우리나라 의사들에게는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표 1〉 근골격계 장해평가표(AMA 기준 요약)

mdash mdash14

4 기타 (1514절 기준)

5 전체 국소 장해(lsquo병합장해율표를 이용하여 세로줄의 장해를 모두 병합한다)

6 전체 척추 장해(lsquo병합장해율표rsquo를 이용하여 모든 국소 장해 합계를 병합한다)

7 다른 기관 계통의 장해 각각의 장해에 대해 상태 본 지침서의 쪽수 장해율을 기록한다 장해가 발생한 기관 계통 장해율() 본 지침서 쪽수

a

b

c

d

e

8 전신 장해 lsquo병합장해율표rsquo를 이용하여 위 7항의 장해와 척추장해를 병합한다 장해가 여럿인 경우 척추 장해를 가장 큰 장해와 병합한 후 명시된 모든 장해가 반영되도록 기타의 장해값과 병합한다 전신 장해 총량 _______________________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신체장해평가 방법의 기준에 대해서는 각종 법률에 의해

정해져 있다 장해평가와 보상에 관련된 법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국가배상법 장

애인복지법과 각종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및 각종 연금법 등을 망라하여 근 20개가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대표적이고 다른 법규의 평가 기준의 모태가 되는 법은 산업

재해 보상보험법 국가배상법 장애인복지법을 들 수 있다 장해평가기준도 국가배

상법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그 근간을 두고 있으며 그 평가내용은 대개 동일하다

1 상지 장애

상지의 장애는 두 팔을 팔꿈치 관절 이상에서 잃은 사람 또는 두 팔을 영구적으

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1급)부터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

의 손가락의 말(末)관절을 굽히고 펼 수 없게 된 사람(14급)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기술이 구체적이고 비약이나 단절 없이 장해가 나열되어 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하 산재)의 신체장해등급표(시행령 별표 2)와 가장 비슷한

국내 장해평가기준은 국가배상법(이하 국배법)의 신체장해의 등급과 노동력상실율

표(시행령 별표2)이다 이 두 기준은 모두 일본법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장해등

급 분류와 항목이 거의 일치한다 그러나 장애등급 결정을 위한 세부 지침은 산업

mdash mdash15

재해보상법 시행규칙 별표 4의 신체부위별 장해등급결정에는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

나 국배법에는 없고 국배법에 제시되어 있는 노동력 상실율과 별표 3의 2개 부위

이상의 신체장해 종합평가 등급표(즉 장애 병합표)가 산재법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산재와 국배법의 장애등급이 14급까지로 분류되어 있는데 비해 국민연금(총 4급)

장애인복지법(총 6급) 생명보험(이전 총 6급 현 지급율에 따라 총 10-12등급)은

장애등급의 분류가 불명확하고 각 등급간의 차이에 대한 객관적 비교나 설명도 미

흡하다

또한 각 장해 평가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장해 내용은 서로 간에 매우 유사하

지만 해당 장해등급은 상이하다 특히 산재 장해등급의 경우 다른 장애등급표와 달

리 ldquo팔꿈치관절 이상에서의 손실rdquo ldquo손가락 장애의 세분화 된 항목rdquo 등이 설정되어

있어 다른 장해평가기준에 비해 좀 더 세세한 장해 분류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최근 개정된 생명보험사 약관의 장애지급율표와 국배법의 노동력 상실율을

비교해 보면 그 차이는 더욱 커짐을 알 수 있다 (아래 표 참조) 물론 지급율과 노

동력 상실율을 동일시 할 수는 없지만 노동력 상실율이 장애정도를 대변하듯이 지

급율도 마찬가지이므로 이 두 항목은 상당한 유사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럼

에도 국배법의 노동력상실율 생보약관 지급율 장애인복지법상 장애등급에 따른 장

애율 간에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장해의 경중이 유사한 장해끼리도

각 장해평가기준마다 조금씩 다르고 적용 등급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근골격계 장해평가의 근간이 되는 관절운동범위의 측정도 객관성이

거의 없는 능동운동범위를 측정하여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객관적인 장해평가가 매우

어렵다

산재법 시행규칙에 비교적 자세한 평가 가이드라인이 있으나 객관화된 검사법을

이용한 평가법이 거의 사용되지 않고 최신 검사나 검사법등에 대한 언급이 없는 단

점이 있다 또한 신경마비나 근 손상에 의한 장해도 능동운동 제한을 이용한 관절

운동으로 평가하는 등 객관화된 검사를 이용한 평가가 되지 못하는 것은 매우 안

타까운 일이다

mdash mdash16

상지 장애의 국내 장해평가기준 비교

장 애 상 태 국민연금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국배법

노실율()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1급 5 100

두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두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1급

(42)1급 1

2급 3

1급 6100 100

한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급 4 90

한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한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57) 2급 2

5급 2

5급 460 80

두 손의 손가락을 전부 상실하였거나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9 2급 1

3급 5

4급 6

100

90

한 손의 모든 손가락을 잃은 사람 3급 2 6급 8 55 70

한 팔의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3급 5 6급 6 7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4급 5 8급 6 30 50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4급 1 3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손가락을

잃은 사람5급 1 8급 3 25 5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6급 1 9급 10 15 40

결론적으로 산재법의 장해등급분류는 비교적 자세히 분류가 되어 있으나 장해의

경중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필요하고 일부의 경우는 매우 자세히 분류가 되어 있으

나(예 수지) 일부는 해당 항목을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점(예 근력의 정도에

따른 분류 등이 없음)과 좀더 객관화 된 검사를 이용하지 못하고 환자의 진술 능동

운동 등에 의해 평가가 된다는 점에서 장해평가표의 재구성과 객관화를 위한 가이

드라인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 하지 장애

하지의 장애 역시 두 다리를 무릎관절 이상에서 잃은 사람 또는 영구적으로 완전

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1급)부터 한 발의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1개 또는 2개

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14급)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구체적으로 장해가

나열되어 있다

mdash mdash17

장 애 상 태 국민연금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국배법

노실율()

두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두 다리를 무릎 관절 이상에서 상실한자1급 3 1급 2 1급 8 100

두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1급 5 2급 3 2급 4 100 100

한 다리를 무릎 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4급 5 90

한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2급 6 4급 5 5급 3 60 80

한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8 3급 5 5급 5 80

두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2급 10 5급 4급 7 90

한 다리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3급 6 4급~5급 6급 9 70

한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3급 9 6급 4 7급 8 40 60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을 쓸 수 없도록 장

애가 남은 자3급 10 5급 7 7급 11 6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4급 6 4급~6급 8급 8 30 50

한발의 5개발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8급 11 30 50

한발의 첫째발가락을 잃었을 때 10급 11 10 30

하지장애의 국내 장해평가기준 비교

AMA 기준은 팔의 비중이 다리의 비중보다 크다 그러나 한 팔을 팔꿈치관절 이

상에서 잃은 사람이 4급(90) 장해인데 비해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

람의 장해가 1급(100)으로 등급으로는 세 등급이 다르지만 장해율로는 10 차

이 밖에 없다 한편 사지의 관절운동 장해는 대부분의 장해가 운동범위 제한에 따

른 장해인데 운동범위 측정이 환자의 보상 심리 때문에 협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

면 부정확하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의 장해 평가 기준도 상지에서와 마찬가지로 각 장해등급표에서 제시하고 있

는 장해 내용의 유서성에 비해 해당 장해등급과 노동력 상실율 신체손상율 등은

각 장해기준마다 너무나 상이하다 특히 산재 장해등급의 경우 ldquo양측 무릎관절 이

상에서의 상실rdquo은 ldquo양측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rdquo 것과 동일

하게 1급에 해당되나 ldquo한쪽 무릎관절 이상에서의 상실rdquo (4급 5)은 ldquo한쪽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rdquo (5급 5)와 다르고 오히려 ldquo한 다리의 발목

관절 이상에서의 손실rdquo과 동일하다

즉 장해의 경중이 유사한 장해끼리도 각 장해평가기준마다 조금씩 다르고 적용

등급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근거도 알 수 없다

mdash mdash18

3 척추 장애

산업재해 보상보험법 시행령의 별표 2(2002년 6월 27일 개정)인 신체장애등급표

에서 척추의 장애는 변형장애 기능장애로 구분하고 있다 그리고 시행규칙의 별표

4(2000년 7월 29일 개정) 신체부위별 장애등급에서 보면 추간판탈출증에 대한 기

능장애로 장해평가에 대한 조건과 방법 및 준용등급에 대해서 따로 규정하고 있다

(표 2) 장애등급표의 장애항목은 lsquo척주에 뚜렷한 기형이나 뚜렷한 기능장애가 남은

사람(제6급제5호)rsquo lsquo척주에 경도의 기형이나 기능장애가 남은 사람(제8급제2호)rsquo

lsquo척주에 기능장애가 남았으나 보존적 요법으로 치유된 사람(제10급제6호)rsquo lsquo척주에

기형이 남은 사람(제11급제5호)rsquo 등으로 등급 자체가 4개 등급으로 너무 단순하

고 등급을 나누는 기준이 구체적이지 못하다 관례적으로 1분절 유합(fusion)은 8

급 2분절 유합은 6급으로 판정하는데 더 오랜 기간 더 많은 치료를 받은 뒤 더

높은 등급의 장해를 갖게 되는 기이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장애 정도에 대한 lsquo뚜

렷한rsquo lsquo경도의rsquo 등의 애매한 형용사형을 사용하고 있으며 장해평가의 시행세칙에서

각각의 평가 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형용사형의 기술에 의한 기준으

로는 장애의 객관적인 평가가 어렵다

또한 추간판탈출증에 대해서는 동법의 시행규칙에서 별도로 분류하여 평가하며

의학적 임상증상과 특수검사 소견이 일치하는 경우에 인정하고 있다 또한 수술여

부에 관계는 없으며 척추의 운동장애는 인정하지 아니하고 다만 후유신경증상의

유무와 정도에 따라 장애의 정도를 결정한다 장해평가의 기준을 보면 요통과 방사

통 등의 자각증세가 있으나 검사결과에 이상소견은 인정되지 아니하나 단순한 고

의나 과장이 아니라고 의학적으로 추정되는 경우에는 제14급으로 인정하고 자각증

세가 있고 하지직거상검사에 의한 양성소견이 있는 경우에는 제12급 근위축 또는

근력약화와 같은 임상소견이 뚜렷하고 특수보조검사에서 이상이 있으며 척추신경

근의 불완전마비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제10급 신경마비로 인하여 사지에 경도의

단마비가 있을 경우에는 제9급 2개 이상의 추체간에 추간판탈출증에 대한 수술을

하거나 하나의 추간판이라도 재수술을 하여 후유증상이 뚜렷한 경우에는 제8급을

인정한다고 시행세칙에 규정하고 있다

산업재해 보상보험법의 척추 장해평가는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척추의

장애를 크게 형태의 장애로 후만 측만과 골절정도에 의한 변형과 척추 기능의 장

애가 예상이 되는 형태의 변화로 골유합술 골절로 인한 척추운동의 제한으로 구분

mdash mdash19

장 애 상 태 국민연금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척추에 고도의 변형이나 현저한 기능장애가 남은 자 2급 4

척추의 장애로 인하여 앉아 있을 수 없거나 자기

힘으로 일어서기가 곤란한 사람2급 5

척추(등뼈)에 심한 기형을 남긴 때 50

척추(등뼈)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40

척추에 고도의 장애가 있는 사람 5급 8

척추의 기능에 중증도의 장애가 남은 자 3급 4

척추에 현저(뚜렷)한 장애가 있는 사람 6급 5 6급 5 30

척추(등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6급 5 30

척추에 기능장애가 남은 자 4급 4

척추(등뼈)에 약간의 운동장해를 남긴 때 8급 2 10

척추(등뼈)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 때 11급 5 15

하고 있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산업재해에서 많이 부딪히는 문제인 추간

판탈출증에 대해서는 따로 분류하여 이의 장해평가를 제한하고 신중히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추간판탈출증에서 주관적인 통증은 배제하려 노력하였고 방사선 검

사를 통하여 객관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신경근의 손상의 정도에 따른 신경학적

결손에 의해 척추의 장애를 평가하였다 그러나 장애 정도의 평가에 있어 장애등급

에 의한 평가로 여러 장기의 장애가 있는 복합장애를 평가함에 있어 등급의 조정은

매우 불합리하다

척추장애의 국내 기준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AMA기준은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해평가기준 중에서 지속적으로 개정 개선

되어 현재 의학 수준과 비슷한 평가가 가능한 평가방법으로 백분율인 신체장애율

로 신체장애의 정도를 표현하는 평가 기준이다

1 상지 장애

AMA 장해평가지침서의 신체손상율(impairment)과 맥브라이드 장해평가서의 노

동력상실율(disability)을 단순 비교하는 것은 옳지도 않고 그렇게 해서도 안 된다

mdash mdash20

물론 맥브라이드가 인체를 전신 상지 하지로 이를 다시 몇 개의 부분으로 분류하

여 국소부위 손상율을 전신대비 신체손상율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이

개념은 그대로 AMA에서도 사용되고 있지만 맥브라이드 장해평가의 경우 여기에

직업에 따른 장애 가중율(직업가중율 또는 직업계수)을 적용하는 점이 AMA와의 가

장 큰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전 판의 AMA 장해평가서의 신체손상율은 맥브라이드의 기본 장해율 즉 직업

계수가 적용 안 된 전신대비 장해율과 유사한 점이 많았었다 그러나 AMA 제 5판

에 와서는 이전 판에 비해 상당한 변화가 있어 책의 구성 기술뿐 아니라 장해율까

지 많은 변화가 있었다

맥브라이드식 장해평가에서 직업에 따른 노동력 상실율의 차등 적용은 일견 상당

히 일리가 있어 보이기도 한다 즉 손가락이 잘려나간 피아니스트와 축구선수의 노

동력 상실의 정도를 같다고 하는 것은 누구나 공평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의학적 관점에서 본다면 의사는 수순한 신체 손상에 대한 평가만을 하는 것이 옳다

는 주장도 있고 이것이 AMA 신체손상율이다 뿐만 아니라 맥브라이드 장해평가서

의 직업 분류에 대해서도 많은 논란이 있는데 그 당시에 있었던 직업이 현재는 없

기도 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또한 그 당시에는 상당한 육체적 기능이 뒷받침

이 되었던 직업이 현대에 와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따라서 좀더 객관적인

의학적 장애 판정을 위해서는 신체손상율을 판정하는 것이 옳을 것이라 생각된다

아래 표는 산재 보험에 해당되는 내용과 급수를 AMA 신체손상율(장해율)과 맥브

라이드의 직업계수를 적용하지 않은 기본 장애율과 일반 노동자 기준(직업계수 5)의

노동력상실율을 비교한 표이다 또한 이를 산재법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는 국가

배상법에서의 노동력 상실율(실제 내용상은 신체손상율에 가까움)과 비교하였다

AMA 신체손상율과 맥브라이드 노동력 상실율의 비교에서 맥브라이드의 기본 장

애율과는 상지의 근위부 절단과 같이 손상정도가 큰 경우는 그나마 큰 차이가 없었

으나 원위부의 경우는 매우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두 값의 비교가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AMA 신체손상율과 일반노동자 기준(직업계수 5)의 맥브라이드 장애율의

경우는 일부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비슷한 정도의 장애율을 보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손상의 정도가 국가배상법에서는 훨씬더 중하게 다루어짐을 알 수 있다

절단이 아닌 관절 장애의 경우 산재법을 비롯한 국내 장해평가기준들은 3대 관절

중 몇 관절이 포함되었느냐를 판단의 근거로 하였는데 이는 매우 잘못된 판단이다

즉 상지의 3개의 주요 관절 어깨 팔꿈치 손목의 중요성을 모두 동등하게 보고

mdash mdash21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McBride

(기본율)

McBride

(직업5)

국배법

노실율()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1급 5 6060=

84

5050=

75

5959=

8319100

두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두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2급 3

1급 6

5757=

82

4040=

64

4949=

7399100

한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급 4 60 50 59 90

한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한 팔을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5급 2

5급 457 40 49 80

두 손의 손가락을 전부 상실하였거나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3급 5

4급 6

5454=

79

2756

2756=

4758

5439

5439=

7920

100

90

한 손의 모든 손가락을 잃은 사람 6급 8 54 276 5439 70

한 팔의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6급 6 7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8급 6 50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손가락

을 잃은 사람8급 3 5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9급 10 40

있는데 기능적으로도 장애율로도 이는 옳지 않은 평등적 평가이다 AMA뿐 아니

라 맥브라이드에서 관절에 따라 그 가중치를 다르게 하고 있어 산재법 하의 장애정

도를 이들 국외 장애 기준과 비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결론적으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비롯한 국내법의 경우 국외의 장해평가기준에

비해 기준이 모호하고 내용도 세분화 되지 못했으며 실제적인 기능적 사용의 평가

와도 거리가 멀고 외국 장해평가기준에 비해 그 정도가 심하게 평가되고 있는 경향

이 있다

상지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2 하지장애

기존의 장애판정은 해부학적인 절단위치 강직의 정도 관절운동범위 관절의 이완

및 하지 골격구조의 변형에 한정되어 있으나 제5판의 AMA의 제17장에 기술되어있는

하지 장애는 이외에도 보행이상 근력측정에 따른 약화의 정도 하지부동 근위축 관

절염 피부결손 신경계 및 혈관계이상 작열통 점액낭염 및 인공관절 치환술의 경과에

mdash mdash22

따른 장애정도의 판정 등을 첨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하지의 장애를 판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들을 병합하는 기준과 병합되지 못하는 기준도 제시되어

장애판정을 시행할 때 병합에 따른 이견을 미리 제거할 수 있는 근거를 나타낸다

장점은 기존의 기준에 비하여 의학적인 면이 세밀하게 기술되어 있어 과학적이고 객

관적이며 공신력을 가지고 있어 활용의 문제점이 없고 장애를 해부학적인 면과 기능적

인 면 그리고 진단적 방법에 의한 면으로 구별하여 장애를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으

며 시대적 변화에 따른 의학발전과 아울러 장애의 정도가 조정되어 있고 기존에 장애

판정을 시행할 수 없었던 주관적 증상에 따른 판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단점으

로는 이를 판정하는 데에 있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AMA 기준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 기준에 따른 적용방법에 대한 일종의 수련과정이 필요하여 미국

의 경우 자격증을 필요로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그러한 과정이 없는 것이 현실

이다 그러므로 적절한 수련과정 없이 이러한 기준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 기준

이 가지고 있는 객관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여 오히려 더 많은 잘못된 장애판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AMA 기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의 수련

과정이 선행조건이 된다고 판단된다 또한 신체장애율만을 평가하게 되므로 나이나 성

별 혹은 직업에 따른 상실율에 대한 보정의 형식이 없다 그러므로 사회적 환경에 따른

노동능력상실률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보정의 형식이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현

실적 참고문헌을 인용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AMA는 그 내용이 방대하기는 하지만 객

관적 평가 기준만을 원용하기 때문에 장애의 정도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것에 비해 상

대적으로 하향조정 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위해서는 타 항목을 준용하

여 합산하는 경우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장애로 생각되지 않는 경우가 장

애항목으로 예시되어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슬개골의 비전위성골절로 유합이 잘되어

있는 경우에도 진단적 항목으로 전신에 대하여 3의 신체장애율이 표기되어 있어 일

반 상식적으로 생각되어지는 장애의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도 있다 또한 평가방법이

너무 복잡하여 이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드는 단점이 있어 평가자

에 따라 항목을 임의로 정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지 말초신경손상

의 경우 손상된 신경이 지배하는 각각의 근육들에 대하여 근력평가를 시행하고 이의

정도를 다시 평가하여 병합합산하게 되어있으나 이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

므로 보행이상항목이나 근력약화의 항목을 준용하게 되고 이 경우 구체적인 신경손상

의 경우보다 적은 장애율을 나타내게 된다

mdash mdash23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 타

두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1급 8 64

두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2급 4 48~54 51~79

한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5급 3 28~32 30~54

한 다리를 전혀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5급 5 40

두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4급 7 33 51~79

한 다리 3대관절중 2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

은 자6급 9 19~24

한 발을 리스프링관절이상에서 상실한 자 7급 8 18 30~54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 7급 11 17~29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을 쓸 수 없도록 장애가

남은 자8급 8 28~40

한발의 5개발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8급 11 16~18 8~34

한발의 첫째발가락을 잃었을 때 10급 11 2~8 6~22

이러한 단점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AMA방식에 따른 평가는 장애의 정도나 부위

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고 평가 기준이 객관적이며 현실적인 의료의 수준을

반영하고 있다는 가장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 적절한 사회적 보완과 현실 수준에 맞는

보정이 이루어진다면 다른 기준들에 비하여는 과학적이고 공신력 있는 기준으로 활용

될 수 있다고 보여진다

하지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3 척추장애

AMA 기준 5판은 제15장(페이지 373에서 431)에서 척추장해평가를 기술하고 있

다 5판의 척추장애의 평가기준은 이전 판에 비해 많은 변화를 보인다 이전 판에

서는 신경계통의 장애에서 별도로 기술하고 있는 척수손상에 대한 평가를 척추 장

애 장에서 기술을 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가장 큰 변화는 DRE 방법의 강화라고 할

수 있다 고전적으로 AMA 기준은 운동범위에 근거한 평가(range of motion

method 이하 ROM 방법lsquo이라 함)가 척추 장해평가의 가장 중요한 평가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었으나 장해평가에 있어 우선적으로 DRE 방법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

다 또 다른 변화로써 척추운동범위의 평가 방법의 측정기구로 각도기(goniometer)

에서 경사측정기(inclinometer)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경사측정기의 적용은 척추의

mdash mdash24

전범위 운동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 척추부의 기준부위에 정확하게 두 개의

경사측정기를 위치하여 정해진 운동방향의 운동각을 측정하게 함으로써 보다 정밀

하게 척추운동을 측정하고자 고안하였다

척추장해평가 시기는 AMA 기준의 다른 신체장기에서와 같이 의학적 최대호전시

기에 평가하도록 하였다 장애 부위는 경추 흉추 요추을 각각 평가하고 골반과 척

수의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별도로 평가하여 병합하도록 하고 있다

AMA 기준에서 DRE 방법이 척추장해평가의 일차적인 방법이다 DRE 방법은 경

추 흉추 요추 부위별로 장애의 정도를 5 범주로 분류되어 있고 각 범주에 해당

신체장애율이 제시되어 있다 각 범주 내에는 장해평가 항목이 제시되어 있고 장애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신체장애율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장애의 증상을

의학적으로 평가하여 항목을 선택하면 신체장애율을 구할 수 있는 간단 명료한 평

가방법이다 주요 적용대상은 손상(injury)에 의해 장애가 발생하였고 한 분절에 국

한된 경우이다

DRE 방법에서 장해평가에 적합한 항목을 선택하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증상과 진단검사를 통한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임상증상과 무관하게 골절

전위 등이 있는지를 방사선 검사에 근거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증상에서는 객관

적인 배부증상과 신경근병증에 유무와 정도 그리고 척추 운동분절의 소실과 관련

하여 단순방사선 촬영에서 척추의 불안정성이나 고정술 여부로 항목을 결정한다

골절은 방사선 검사에서 추체의 골절과 추체외 골절로 구분하고 있다 같은 범주내

의 장애율의 차이는 3를 두어 평가자가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ROM 방법은 척추는 다관절로 구성된 운동기관으로 신체의 다른 관절기관과 마

찬가지로 척추의 운동을 척추의 중요한 기능으로 판단하는데서 출발한다 ROM 방

법의 평가대상은 적합한 DRE 방법의 항목이 없거나 손상이 아닌 경우 다분절의

손상 재발성 그리고 법정의 요청인 경우에 평가하게 된다 여기에는 세 가지의 평

가요소를 가진다 1) 진단명에 의한 평가(accompanying diagnosis) 2) 운동 범위

의 평가(range of motion of the impaired spine region) 3) 척추신경 손상(spinal

nerve deficits)을 각각 독립적으로 평가하여 전신장애율을 구한 후에 병산(竝算)하

여 ROM 방법에 의한 척추의 최종 장애율을 산정한다

ROM 방법의 평가는 먼저 척추장애를 유발한 원인의 손상과 질환을 결정한다 이

는 진단명에 의한 평가이며 AMA 기준의 404페이지 표15-7에 있다 이 표의 진단

mdash mdash25

명의 분류를 요약하면 I 골절 II 추간판질환 및 연부조직 III 척추분리증 척추전

위증 비수술의 경우 IV 척추협착증 불안정증 척추전위증 골절 수술의 경우로

구분된다

두 번째로 운동 범위의 평가는 손상된 척추부의 운동범위를 경사측정기로 측정한

다 경사측정기는 두 기준점에 각각 경사측정기를 위치하고 수진자의 능동운동을

측정한다 요추는 굴곡신전 좌측굴우측굴의 운동범위를 측정하고 흉추는 굴곡

좌회전우회전을 측정하며 경추는 굴곡신전 좌측굴우측굴 좌회전우회전의 운동

범위를 측정한다 운동범위를 측정함에 있어 AMA 기준의 5판에서의 변화는 전술

한 바와 같이 각도기가 아닌 경사측정기를 이용하여 기준부위 사이에서 일어나는

운동범위를 측정한다 측정한 운동 측정값의 일관성(consistency)과 재현성

(reproducibility)을 담보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운동범위를 측정할 때 최

초 3번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평균값이 50도 이하면 측정값의 편차는 5도

이내여야 하며 평균값이 50도 이상이면 측정값의 편차는 10도 이내이어야만 한다

고 하였다 만일 이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운동범위에 대한 평가는 진행하지 않

도록 하였다 운동범위의 측정은 반드시 6번 이상 측정하여 연속한 3번의 측정값이

위의 편차를 만족해야만 운동범위를 제대로 평가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일관성과 재

현성은 수진자의 거짓 운동이나 평가자의 미숙함을 보완하고 운동측정값의 객관성

을 보장하기 위한 방편이다 또한 위에 기술한 통계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척추부위

별로 환자의 거짓 운동을 찾아내기 위한 타당성 검사(validity test)를 제시하고 있

다 요추에서는 SLR(straight leg raising) 각도는 천추의 굴곡각과 신전각의 합과

비슷해야 하므로 SLR 각도가 천추의 굴곡각과 신전각의 합보다 15도 이상이면

평가된 요추의 운동범위의 타당성은 없다고 하였다 흉추에서는 굴곡 검사에서 앉

은 자세와 선 자세에서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각각의 측정값이 같아야만 한다고

하였고 경추에는 특별한 타당성 검사를 기술하고 있지 않다 이렇게 객관성과 타당

성을 담보하기 위한 검증방법은 척추의 기능을 측정하는데 있어 척추 운동범위의

측정이 이론적으로는 합당하며 척추 기능의 제한을 판단하는 좋은 잣대가 될 수 있

지만 실제로 평가자와 수진자에게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오류가 발생할 가능

성이 높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반증하고 있다

세 번째로 척추신경의 손상은 충분한 신경학적 검사를 통하여 해당 척추신경의

손상부위를 결정한다 해당 척추신경의 감각과 운동에 대한 손상정도를 판단하여

mdash mdash26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 타

척추에 고도의 변형이나 현저한 기능장애가 남은 자

척추의 장애로 인하여 앉아 있을 수 없거나 자기 힘

으로 일어서기가 곤란한 사람

척추(등뼈)에 심한 기형을 남긴 때 17-53

척추(등뼈)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17-53

척추에 고도의 장애가 있는 사람 17-53

척추의 기능에 중증도의 장애가 남은 자 17-53

척추에 현저(뚜렷)한 장애가 있는 사람 6급 5 44-68 17-53

척추(등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6급 5 44-68 17-53

척추에 기능장애가 남은 자

척추(등뼈)에 약간의 운동장해를 남긴 때 8급 2 20-42

척추(등뼈)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 때 11급 5

국소장애율을 구한다 여기에서 구한 국소장애율을 상지에는 06 하지에는 04를

곱하면 전신장애율을 구할 수 있다

척추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척수손상에 대해서는 신경계의 장애에서 별도로 산정한다 AMA기준은 척추장애

를 평가하는데 있어 DRE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대부분의 척추장

애의 평가는 DRE방법으로 평가가 가능하다 평가항목을 예시하거나 평가방법을 제

시하여 해당 범주를 결정하고 그 내에서 장애율을 결정하도록 하였다 DRE방법의

문제점은 대부분의 항목이 치료후의 시점이 평가대상이 되지만 분절의 고정은 수

술전에 이미 장애정도와 장애율을 결정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척추장해평가는

근골격계 평가에 있어 매우 어려운 영역이다 해부학적인 형태학적 변화와 기능적

변화를 동시에 평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형태학적 변화는 반드시 기능적인 변화를

반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평가 기준을 제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보편적인 기준인 맥브라이드 기준을 간단히 살펴본

다 맥브라이드 기준의 척추장해평가의 항목은 I 척수의 손상을 동반하지 않은 1개

또는 2개의 추체의 골절 II 척수손상을 동반한 골절 III 척추체간 인대와 근막의

파열을 동반한 좌상 또는 염좌 IV 천요 또는 요천 증후군(sacroiliac or

lumbosacral syndrome) V 경추 또는 요추의 수핵증후군 VI 만성 류마티즘 혹

은 퇴행성 질환의 6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염좌가 장애의 평가대상이 되는 오류가

있으며 오래된 의학적 판단 기준으로 현재에 장해평가 항목으로 이용하기에는 어

려움을 가진 평가이다 하지만 장애항목을 선택하여 쉽게 노동능력상실률을 구할

mdash mdash27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백분율을 제시하고 있어 복합장애를 평가함에 있어 합리적

인 계산으로 복합 장애율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직업과 연령에 의한 보정이 가능

하다 하지만 노동능력상실률을 구하는데 있어 비의학적인 평가의 부분으로 단지

직업 연령만이 고려되어 있는 문제가 있다

현재까지 개발되어 있는 척추의 장해평가기준도 이상적인 방법은 없다고 보인다

하지만 형태학적인 면과 기능적인 면을 모두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의 개발이 필

요하며 AMA기준이 이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근골격계의 장해평가는 다른 부위에 비해 비교적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팔

다리의 장해는 변형 절단 강직과 마비 등 외적 형태 변화가 뚜렷하고 해부학적으

로도 손상이나 장해의 정도를 비교적 쉽고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감정의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외견상 쉽게 확인되는 변형 절

단을 제외하고는 이학적 신경학적 검사에서 피검자의 솔직한 협조가 없으면 정확

한 장해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예를 들어 관절운동범위의 측정에서

수동적 관절운동범위 측정도 피검자가 통증을 호소하면서 검사하고자 하는 반대 방

향으로 힘을 가하면 정확한 운동범위를 측정하는 것이 어려운데 이를 능동적 관절

운동범위로 평가하는 것은 환자의 솔직한 협조를 담보하지 않고는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한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장해평가기준들은 모두 능동관절운동에 의한 관절운동

범위를 장해평가의 기준으로 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객관적 검사법(예 방사선 검사

근전도 검사 등)에 의한 장해평가방법의 개발 적용에 힘써오지 않고 있었다 이 점

이 동일한 장해 장애인에 대해 검사자에 따라 너무나도 상이한 장해율을 보이게

되는 주요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비해 AMA 장해평가지침은 비교적 객관화된

검사법을 장해평가에 이용하려고 하는데 국내의 장해평가기준도 그 기준의 개선뿐

아니라 평가법의 객관화를 위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비롯한 국내 장해평가기준의 경우 신

체손상의 정도(장해율)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그 분류가 세분화 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체계화 되어 있지도 못하다 또한 국내법 간에도 같은 장해에 대해 비슷

mdash mdash28

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으면서도 서로 다른 장해등급으로 평가되기도 하고 장해의

중한 정도가 서로 간에 역전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 등 조속한 시일내에 이에 대한

전반적인 재조정이 필요하다

맥브라이드 방식과 AMA 방식의 장애(해)평가에 유사성과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

는 근골격계 장해평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절단 강직 근약 등 비교적 다

른 부위보다는 두 장해평가방식의 차이가 적은편이다 현 시점에서 두 평가법을 비

교한다면 AMA 방식이 분명 객관적이고 보다 정확한 장해평가법이라고 생각되나

그 사용의 복잡함이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생각된다

향후 개발 개선되어야 할 국내 장해평가기준은 감정의나 피검자 모두에게 쉽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보다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한국형 장해평가기준

의 확립이 필요하다

mdash mdash29

제 2 장 내부 장기 장해평가3)

I 서 론

1 일반현황

2 산재보험의 내부 장기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II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문제점에 대한 요약

2 음주 및 간질환의 예

3 뇌심혈관질환에서 ldquo과로rdquo 개념의 규정 예

III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IV 산재 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V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VI 결 론

3) 정두신(신경과) 강세훈(일반외과) 김준성(재활의학과) 김형수(산업의학과) 이숭덕(법의학과) 진동규(내과)

mdash mdash31

I 서 론

1 일반현황

산재보험 및 보상 분야중 장해 평가 분야에 있어 업무상재해란 업무상의 사유에

의한 근로자의 부상 질병 신체 장해 또는 사망과 같은 상병 등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재해성 질병과 직업성 질병 (직업병)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림 2-1) 내부 장기 영역

은 재해성 질병 중 부상에 기인하는 이차적 질병이나 직업성 질병 (직업병)중에 직

업 관련성 질환의 항목 들이 주로 해당되고 있다 미국의학협회의 장해평가기준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ition)에서 내과 계

열은 제 3장 심혈관계 심장 및 대동맥 (심장판막 질환 관상동맥 질환 선천성 심

장 질환 심근병증 심막성 심장 질환 부정맥) 제 4장 심혈관계 전신 동맥 및 폐

동맥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 대동맥 질환 팔다리에 영향을 미치는 혈관계 질환

폐동맥 질환) 제 5장 호흡기계 (천식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과민성 폐렴 진폐증

폐암) 제 6장 소화기계 (상부 소화관 결장과 직장 및 항문 장피 누공 간 및 담

도계 헤르니아) 제 9장 조혈기관계 (빈혈 적혈구 증가증 및 골수섬유증 백혈구

질환 또는 백혈구 비정상증 출혈성 및 혈소판 질환 혈전 질환) 제 10장 내분비

계 (시상하부 - 뇌하수체 축 갑상샘 부갑상샘 부신피질 부신수질 췌장 생식샘

젖샘 대사 및 골 질환)에서 다루어진 질환들과 분류를 기초로 현재 우리나라 산재

보험 분류상의 비교와 이를 기초로 한 평가 및 요약으로 우리나라 현실에 합당한

상대 가치 평가를 위한 설문 항목 개발을 위한 사전 조사를 시작 하였다

mdash mdash32

〔그림 2-1〕 업무상 재해

2 산재보험의 내부장기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산재보험에서 장해평가시 신체 기관 또는 체계에 특정한 제한이 생겼다면 이를 정확

하고 일관되게 측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의사들

에게 제공된 지침은 그 내용이 매우 불분명하고 판정하는 사람에 따라 비슷한 상태에

서도 서로 다른 등급이 판정되기도 하여 평가자 보험 사정인 관련 행정기관 모두에게

불신이나 불필요한 추가 비용 부담을 안겨 주기도 하고 비슷한 수준의 장해에서 등급

평가상의 불일치는 평가 대상자들에게 비의학적 요인에 근거를 둔 불필요한 분노 의

심 적대감 소송 행위의 원인이 될 때도 있다 더욱이 기초 질환과 기존 질병에 대한

뚜렷한 정의 없이 업무와 관련이 없는 개인의 질병이 악화된 상태까지 업무상 질병

으로 인정하는 사례가 많이 있어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장해평가 과

정 전반을 더욱 정교하게 개선하여 평가 결과의 통일성을 높임으로써 보다 높은 수준

의 일관성 보편성 그리고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장해평가 과정에

일관성 및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AMA 가이드 의 방법론을 참조하여 우리

나라 현실의 제도를 보완하고 공통의 업무상 상해 및 등급 판정 문제에 관한 명확한 정

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업무상 요인이 기존 질병과 기초 질환을 어느 정

도 악화시켜야 산업재해로 인정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없기 때문에 근로

자 병의원 공단의 산재인정 결정에 혼선을 주고 있다 미국 OSHA의 경우에는 환

경에서 발생된 사고나 근로 환경에 노출로 인하여 기존 (pre-existing)의 재해나

질병이 악화 (aggravated) 되었을 경우 업무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

나 기존 재해나 질병의 ldquo악화 (aggravation)rdquo는 매우 광범위한 용어로서 2001년도

에 ldquo중대하게 악화 (significantly aggravated)rdquo된 경우로 수정하였다 이 규정은 기

mdash mdash33

존 재해와 질병 모두에 적용되고 있다 중대하게 악화된 경우란 응급 치료 이상의

치료 작업의 제한 또는 다른 작업으로 전출된 경우 병가를 받은 경우 의식을 잃

은 경우 사망한 경우 뿐 아니라 담당 의사가 심각한 상태로 진단한 경우로 규정하

고 있다 그리고 업무 요인 (occupational factor)과 개인적 요인 (personal factor)

이 서로 중복되어 재해나 질병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이 있어 업무적 요인이 명백한

경우에도 개인적 요인과 비교하여 ldquo업무 연관성rdquo 여부를 쉽게 판정하지 못하는 경

우가 있다 기존 질병이나 재해가 중대하게 악화되는 데 51 이상 기여한

(contributed) 경우로 추정되는 경우 ldquo업무 연관성rdquo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Ⅱ 산업재해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산업재해에서의 내과계 영역의 장해평가와 등급은 lsquoAMA 가이드rsquo와 같이 따로 일

목 요연 하게 분류 되어 있지는 않다 다음의 표 2-1과 같이 요약 된 자료를 참고

해 볼 수 있으며 그 내용도 흉복부장기의 기능 이란 표현으로 대부분의 내용을 함

축하고 있으며 고환 비장 및 신장이라고 일부 장기가 언급 되어 있다

1 문제점에 대한 요약

기왕증은 업무상 원인에 의하여 중대하게 악화될 때에만 인정되어야 한다 현행 업

무상 질병인정 요건을 규정한 산재보험법 시행규칙 제33조의 제2항제3호에 의하면

ldquo기초 질환 또는 기존 질병이 있는 근로자의 경우 그 질환 또는 질병이 자연 발생

적으로 나타난 증상이 아닐 것rdquo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근골격계 질환과 뇌

심혈관 질환과 같은 작업관련성 업무상 재해의 경우에는 기존 질환의 악화 여부 및

업무상 원인 때문에 기존 질환의 악화되었는지에 대한 의학적 판단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신 질환과 뇌심혈관 질환은 원칙적으로 급작스러운 업무적 쇼크에 의

하여 발생될 경우에만 인정하도록 되어 있다 우리의 생활 전체가 스트레스의 원인

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업무와 업무외 생활 요인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구분하

기가 쉽지 않으며 두 요인들은 서로 상호간에 스트레스를 상승 혹은 완화 시킬 수

도 있다 뇌심혈관 질환은 만성적인 원인에 의하여 발생한 경우 업무 기인성과 생

mdash mdash34

활 요인 및 개체적 요인과의 구별이 매우 곤란하고 또한 만성적 질병은 일상생활

에서 개별 근로자가 건강관리를 소홀하게 한 경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산재

인정을 위해서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만성적 요인에 의한 작업관련성 질환은 매

우 제한적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구체적 기준과 업무 평가성을 판단하기 위한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 준비 되어야 하고 또 이러한 상황이 인정 된다 하더라도 올바른 방법으로

정확하고 객관적이며 우리 현실에 맞는 장해평가 항목과 절차가 준비 되어야 한다

2 음주 및 간장 질환의 예

음주에 관한 업무상 간 질환은 특정 업무 종사자로 한정하고 구체적 사실이 있을

때에만 인정해야 한다 알코올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간 질환을 발생시키거나 악화

시키며 간장 질환 환자가 음주를 하게 되면 기존 간장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가 감

소될 뿐 아니라 음주 자체로 기존의 간장 질환이 더욱 악화된다고 알려져 있다 근

로복지공단이나 법원의 결정에서는 간장 질환을 일으키는 음주 행위와 업무의 상관

성 분석도 매우 중요한 평가 요소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

요하다 업무 수행성의 요건으로 업무상 음주 행위를 할 수밖에 없는 경우는 직업

군을 우선적으로 선별해야 한다 기존 법원의 판례는 업무적 요인에 의한 음주 행

위의 범위를 직업군에 상관없이 주관적이며 포괄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법원의 판례가 더 이상 누적되기 전에 소위 lsquo술 상무rsquo라고 일컬어지는 대

외 영업직을 중심으로 음주가 업무에 반드시 필요한 직업군을 선별해야 한다 B 형 간염

보균자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한 관리 지침을 만들어 만성 B형 간염보유자

에 대한 건강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법원의 업무상 재해인정 판결 여부의 판례 등으로

인한 혼동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여건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3 뇌심혈관질환에서 ldquo과로rdquo 개념의 규정 예

뇌혈관 질환 및 허혈성 심장 질환 등은 원래 노동 장소에서 특정한 위험 유해 인자에 기인하여 생

기는 직업성 질병과는 본질적으로 달리 업무 이외의 원인에 의해 그 많은 수가 발병하는 것이 특징

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ldquo근로자의 업무량과 업무 시간이 발병 전 3일 이상 연속적으로

mdash mdash35

일상 업무보다 30 이상 증가 되거나 발병 전 1주일 이내에 업무의 양시간강도책임

및 작업환경 등이 일반인이 적응하기 어려운 정도로 바뀐 경우를 말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일본은 장기간은 발병 직전 1개월에 100시간 2개월 이상에서는 평균 월 80시

간의 초과 시간을 근무한 경우이며 단기간은 업무량 업무내용 작업환경 등을 고려하

고 동료 노동자 또는 동종 노동자에게도 특히 과중한 신체적 정신적 부하로 인정되

는가의 관점에서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표 2-1〉 산업재해보상보험법시행령 신체장해등급표(제31조제1항 관련)4)

제1급

1 두 눈이 실명된 사람

2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모두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3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4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5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6 두 팔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7 두 다리를 무릎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8 두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제2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2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02이하로 된 사람

3 두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 두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5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제3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6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3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

4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

5 두 손의 손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제4급

1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06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3 고막의 전부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사람

4 한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 [일부개정 20041029 대통령령 18573호][별표 2] lt개정 2000627 200357gt

mdash mdash36

5 한 다리를 무릎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6 두 손의 손가락을 모두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7 두 발을 리스푸랑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제5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2 한 팔을 손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3 한 다리를 발목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

4 한 팔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5 한 다리를 영구적으로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6 두 발의 발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7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8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제6급

1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1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3 고막의 대부분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이 모두 귓바퀴에 대고 말

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4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5 척주에 뚜렷한 기형이나 뚜렷한 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6 한 팔의 3대 관절중 2개 관절이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7 한 다리의 3대 관절중 2개 관절이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손의 5개의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4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제7급

1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2 두 귀의 청력이 모두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3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4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

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

6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이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7 한 손의 5개의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4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 발을 리스푸랑관절 이상에서 잃은 사람

9 한 팔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10 한 다리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11 두 발의 발가락이 모두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외모에 뚜렷한 흉터가 남은 사람

mdash mdash37

13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

제8급

1 한 눈이 실명되거나 한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2 척주에 경도의 기형이나 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3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4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이나 둘째손가

락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5 한 다리가 5센티미터 이상 짧아진 사람

6 한 팔의 3대 관 절중 1개 관절이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7 한 다리의 3대 관 절중 1개 관절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 팔에 가관 절이 남은 사람

9 한 다리에 가관 절이 남은 사람

10 한 발의 5개의 발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11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제9급

1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6이하로 된 사람

2 한 눈의 시력이 006이하로 된 사람

3 두 눈에 모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4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5 코가 결손 되어 그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6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7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8 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9 한 귀의 청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10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3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한 발의 엄지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 이상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3 한 발의 발가락을 모두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4 생식기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15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

1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

제10급

1 한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2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3 14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4 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5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6 척주에 기능장해가 남았으나 보존적 요법으로 치유된 사람

7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2개의 손가락을 잃은 사람

mdash mdash38

8 한손의 엄지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3개의 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9 한 다리가 3센티미터 이상 짧아진 사람

10 한 발의 엄지발가락 또는 그 외의 4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 팔의 3대 관절중 1개 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12 한 다리의 3대 관절중 1개 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은 사람

제11급

1 두 눈이 모두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거나 또는 뚜렷한 운동기능 장해가 남은

사람

2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3 한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4 한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5 척주에 기형이 남은 사람

6 한 손의 가운데손가락 또는 넷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7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2개의 손

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8 한 발의 엄지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 이상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9 흉복부장기에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10 10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11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2급

1 한 눈의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거나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2 한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해가 남은 사람

3 7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4 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 된 사람

5 쇄골 흉골 늑골 견갑골 또는 골반골에 뚜렷한 기형이 남은 사람

6 한 팔의 3대 관절중의 1개 관절의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7 한 다리의 3대 관절중의 1개 관절의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8 장관골에 기형이 남은 사람

9 한 손의 가운데손가락 또는 넷째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0 한 발의 둘째발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둘째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또는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3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 발의 엄지발가락 또는 그 외의 4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국부에 완고한 신경증상이 남은 사람

13 삭제 lt200357gt

14 외모에 흉터가 남은 사람

제13급

1 한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2 한 눈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3 두 눈의 눈꺼풀의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mdash mdash39

질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

심혈관 증상(예 피

로감 심계항진 호

흡곤란 흉통 등)

및 일반 증상이 기

능 및 일상 활동 능

력에 미치는 영향

변화가 예상된다면

그 예후 진료기록

검토

포괄적인 진찰 상

세한 심혈관 체계

평가

관련 검사로부

터 추출한 데이

터(예 ECG 심

장초음파검사

스트레스 테스

트 심장카테터

삽입)

종말기관 손상

및 장애 등 후

유증의 평가를

포함한다

모든 관련 진단을 기록

한다 상태가 치료에 의

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

달했는지 살핀다 아직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상태가 되어야 도달한

것으로 인정되는지 언

제쯤 이런 상태에 도달

할 수 있는지 논의한다

판막성

증상 및 이로 인한

신체 활동의 제한

(예 앙기나)에 관

해 논의한다 심박

출량 폐울혈 및 전

신 울혈을 다룬다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도플러 심장초음

파검사 또는 심장

카테터 삽입

울혈 또는 기능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관련 기관의 평

가(예 폐 신장)

대동맥 또는 승모판 협

착증 승모판 탈출증 대

동맥 또는 승모판 역류

대동맥 및또는 승모판

질환 심실 기능이상

4 5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5 한 손의 새끼손가락을 잃은 사람

6 한 손의 엄지손가락의 지골의 일부를 잃은 사람

7 한 손의 둘째손가락의 지골의 일부를 잃은 사람

8 한 손의 둘째손가락의 말관절을 굽히고 펼 수 없게 된 사람

9 한 다리가 1센티미터 이상 짧아진 사람

10 한 발의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1개 발가락 또는 2개의 발가락을 잃은 사람

11 한발의 둘째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둘째발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또는 가운데 발가락 이하의 3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12 흉부장기에 진폐증의 소견이 있는 사람

제14급

1 한 눈의 눈꺼풀의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2 3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3 팔의 노출된 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4 다리의 노출된 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5 한 손의 새끼손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6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손가락의 지골의 일부를 잃은 사람

7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외의 손가락의 말관절을 굽히고 펼 수 없게 된 사람

8 한 발의 가운데 발가락이하의 1개 또는 2개의 발가락을 제대로 못쓰게 된 사람

9 국부에 신경증상이 남은 사람

10 삭제 lt200357gt

11 한 귀의 청력이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표 2-2〉 심혈관계 장해평가 요약 심장 및 대동맥

mdash mdash40

관상동맥

(CHD)

협심증 심실 기능

저하 피로감으로

인한 신체 활동 제

한 심계항진 호흡

곤란 협심증통

상세 병력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심장 혈관조영

술 흉부X선

ECG EF 휴식

시 또는 운동 전

후에 검사 실시

관련 기관 평

가(예 뇌 폐

신장 눈 말초

혈관계)

MI 협심증 관상동맥 혈

관경련 심실 기능상실

선천성

호흡곤란 피로감

심계항진 종말기관

기능 이상에 따른

증상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ECG 흉부X선

방사선동위원소

검사 심장초음

파검사 혈류역

학 측정 혈관조

영술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판막협착 사이막 결손

판막 기형 팔로씨 사징

엡스타인 기형 혈관 전

위 아이젠멩거 콤플렉스

심근병증

운동호흡곤란 앙기

나 실신 폐 또는 전

신(全身) 기관 울혈

박동율 리듬 심

장음 및 기타 기

관 기능 등에 주

의한다

심장초음파검사

ECG 흉부X선

심실 기능이상 동

적 유출로 폐쇄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확장 또는 울혈 비대

제한적

심막성

흉통

활성 염증 및 ESR

증가에 주의한다

박동율 리듬 심

장음(심막 잡읍

확장초기 노크음)

및 기타 기관 기능

등에 주의한다

ECHO 심막 삼

출 비대 또는

석회화 CT 또는

MRI 스캔상의

심막비대 심장

카테터삽입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협착 또는 특발 심장막

염 눌림증 종양 심막 삼

출 심막 손상

부정맥

실신 무력감 및 피

로감 심계항진 현

기증 가슴을 누르

는 듯한 느낌 숨참

박동율 리듬 심

장음에 주의한다

부정맥을 검사 등

을 통해 확인하고

발생 빈도를 측정

한다

ECG 조기박동

빠른 맥박수

심장초음파상

심방비대

관련 기관 평가

(예 뇌 폐 신

장 말초 혈관계)

실신 VT 심방 잔떨림

완전 심장 차단 조기박

질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

일상 활동에 제한

을 주는 기능 장애

정도를 판정한다

경정맥압 경동맥 및

말초 혈관 맥박에

관한 진찰 소견 심

장 및 폐 검사 복부

검사 안저검사 누

운 자세 앉은 자세

서있는 자세에서 측

정한 혈압

관련 검사(예

ECG 심장초음

파상 부하검사

심장카테터삽입

등)에서 얻은 데

이터

종말기관 손상

및 장애를 포

함한 후유증

평가

모든 관련 진단을 기록한

다 치료에 의한 최대 호

전 상태에 도달했는지

확인한다 도달하지 않았

다면 언제 어떤 조건 하

에서 안정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지 설명한다

고혈압

심장 신장 및 뇌

혈관 제한을 증명

하는 증상을 규명

한다

포괄적 검사 종말

기관 질환을 주의

하여 살핀다

ECG 심장초음

파상 부하검사

카테터삽입 혈

청 BUN 및 크레

아티닌 소변검

사 및 요단백 배

설 크레아티닌

청소 또는 GFR

평가 신장 초음

파 머리 CT 또

는 MRI 스캔 혈

관조영술

심장 눈 신장

뇌 단백뇨 크

레아티닌 상승

크레아티닌 청

소 감소 및 비정

상 요침전물의

감시

silver-wiring

및 동정맥교차

변화를 포함하

는 funduscopic

변화

고혈압 좌심실 비대 고

혈압 비대심근병증 고혈

압 관련 수축기 심장기

능살실 고혈압 관련 확

장기 심장기능상실 고혈

압 콩팥경화증 고혈압뇌

병증 뇌졸중 TIA

대동맥 일상 활동의 장애 포괄적 검사 가슴경유 심장 심장 대동맥 대동맥 동맥류 가슴 또는

〈표 2-3〉 심혈관계 장해평가 요약 전신 동맥 및 폐동맥

mdash mdash41

질 환

심장 및 말초 혈관

기능 장애를 규명

한다

초음파검사 및

식도경유 심장

초음파검사 CT

및또는 MRI 영

상 검사 대동맥

혈관조영술

복부 대동맥 박리 대동맥

축착 대동맥 죽경화증

대동맥 판막 역류 참조

말초혈관

질환

일상 활동의 제한

정도를 포함하는

상세한 병력

포괄적 검사

부하검사 발목-

위팔 압력지수

및 피부통과 산

소측정 말초 혈

관조영술 색소

또는 초음파도

플러 정맥 영상

대조 또는 표지

마커를 이용 림

프관 진단

팔 및 다리

레이노 현상 혈관의 궤

양형성 절뚝거림 대동맥

을 제외한 동맥류 허혈

손발가락 절단 괴저 및

폐쇄성 혈전혈관염 부

종 경화울혈 피부염

연조직염 궤양형성 및

혈전증을 포함하는 정맥

질환 림프부종 림프관

염 및 연조직염을 포함

하는 림프관 질환

폐순환

질환

기능 장애 과거의

치료 상의 문제

투약 또는 직업 환

경 등에 관한 상세

한 병력

포괄적 검사

심장초음파검사

폐동맥 혈관조

영술 CT 또는

MRI 영상

심장 및 폐손

상 평가

일차 및 이차 폐동맥고

혈압 폐동맥색전증 폐정

맥폐쇄증 폐정맥협착

질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반

호흡 증상(예 기

침) 일반 증상 기

능 또는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

는 영향 변화가 예

상된다면 그 예후

진료 기록 검토

포괄적인 이학적

검사 호흡기계통

상세 진단

관련 검사로부

터 도출한 데이

터(예 폐 기능

검사)

종말기관 손상

및 장해를 포함

하는 후유증 평

가를 포함한다

모든 관련 진단을 기록한

다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했는지 확인

한다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조건하에서 언제 안

정될 것인지를 논의한다

폐쇄

질환

호흡곤란 기침 가

래 염증 투약 운동

내성

호흡음 쌕쌕거림

큰 P2 경정맥 확

장 오른쪽 심장

융기

폐 기능 폐활량

검사 폐 용적

확산능 메타콜

린 유발 방사

선 사진

관련 기관(예 심

장기능 폐심장

증)을 평가한다

천식 만성 기관지엽 폐공

기종 기타 폐쇄성 질환

제한

질환

호흡곤란 기침 피

로 가래 운동내성

흉벽 운동 수포음

곤봉증

폐 기능 폐활량

검사 폐 용적 확

산능 영상 검사

심장 기능을 평

가한다

특발 폐섬유증 석면증 진

폐증 흉벽 질환 기타

폐암

운동내성 호흡곤

란 흉통 피로 체중

감소 흡연 유해 환

경 노출

흉벽 운동 수포음

곤봉증 선병증

기관지경술 폐

기능 검사 생검

다른 기관 평가

전이 징후

편평세포 샘세포 소세

포 등

〈표 2-4〉 호흡기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2

질 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반

위장 증상(예 식욕 변화 통증 설사 등)및 전신 증상 증상이 기능 및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 그 예후 진료 기록

전반적 이학적 검사 상세한 위장 계통 평가

관련 검사에서 추출한 데이터(예 바륨삼킴 상부 또는 하부 내시경검사)

종말기관 손상 및 장해를 포함하는 속발증 평가

모든 관련 진단 기록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한다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상태에서 언제 도달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식도 질환

고형식 및또는 유동식 연하곤란 위식도역류 과거 근위 위절제술 또는 간치술확장술 및또는 약물투여 요함 흡인 병력 신체 활동 제한

체중 감소 증가 증상의 지속기간피부경화증 또는 기타 중간엽 질환이완불능증 또는 광범위 연축으로 인한 과거 운동성 검사

협착 부위 및 정도 근위 식도는 확장되었나내시경검사소견 및 생검 결과

운동성 검사 결과 치료에 대한 반응 식도 부목 또는 간치술의 필요성 확장술 빈도

염증성 협착을 수반한 GERD 악성변화가 있거나 없는 Barett 식도피부경화증 속발 협착이완불능증 광범위 연축 Zenker 게실

위 질환

구토 체중감소 과거위절제술 덤핑 증세 궤양 또는 내분비병증 가족력궤양유발 약물(NSAIDS ASA) 사용 경험 신체 활동 제한

체중감소 신경병증이 있는 당뇨병

위 오목 주머니 크기 위-공장 amastomosis 부위 및 기능 내시경에 의한 구조 평가 운동성 검사

음식 조절에 대한 반응 항분비제 위장운동촉진제 시험 투여

위절제술 후 상태당뇨병위마비Zollinger-Ellison 증후군위장염전이 있는 식도곁탈장

소장 질환

설사(빈번하고 야간에 발생) 복부 급통증 및 팽만 장염전 병력 출혈 비열대스프루 및 운동 장애 가족력 체중감소 과거 수술 경험활동 제한

체중감소 확인 복부팽만 덩이 항문 주위 질환 관절병증 포진피부염 있음

바륨 검사 고위관장법 검사 공장 배양 및 점막 생검 항글리아딘 항체 운동성 검사 무손상 소장 길이(200cm 이상 또는 이하인지 추정한다)

철분 B12 흡수 장애 엽산 강직 자라지 못함 글루텐 제한에 대한 반응 비경구적 영양법

비열대스프루 림프종 합병증 발병 가능성 있음국소 장염크론병 허혈 장질환 방사선 장염 만성 가성폐홰 기계적 폐쇄 (유착)

췌장 질환

급성 췌장염 병력(객관적 증거 있음) 빈도 지속 기간 관련 황달 욕지기 식욕부진 음주 통증 관리의 적정성 위장 출혈 (비장 정맥 혈전증) 연관 만성 폐질환 (낭성 섬유증)

복부 덩이 누공 담석 병력 체중감소의 증거 황달

췌장 및 담도 초음파검사 십이지장 통과 초음파촬영술 CT 스캔 ERCP 지방변 측정 석회화를 보여주는 복부 단순촬영사진 등을 고려해 본다 낭성 섬유증을 배제하기 위한 땀 나트륨 검사

지방 소화불량 및 흡수장애의 정도 당뇨병복강신경총 및또는 내장 차단

알코올췌장염만성재발췌장염담도 질환 속발 췌장염낭성 섬유증

대장 질환

결장 수술 병력(잔여 길이 연결술의 성격) 출혈 수혈의 필요성대변 배설 빈도 습관(야간 실금)복통 체중감소 활동 제한

복부 덩이 항문 주위 질환 누공 관절병증

S상 결장경검사 결장내시경술바륨검사 점막 생검 배변검사 운동성 조임근 활동 양성 EMG

통제불능의 설사 처치곤란한 변비 거대결장증

염증장병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회장누공 설치술 및 결장절제술 또는 회장항문낭연결술

〈표 2-5〉 소화기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3

간 질환

음주(과거 현재) 과거 간독성 약물 사용 복수 부종 황달 철분과다증(중복 수혈) 위장 출혈 병력 가려움증 원발담관성간경화증 신체 활동 제한

만성 간 질환의 피부 및 안구 징후 복수 부종 피부 색소침착(혈색소침착증) 과거 간 부위 외과 수술 증거 눈(眼)의 Keyser-Fleischer 고리 궤양성 결장염 증거 황색종증

혈색소단백질 프로트롬빈 시간을 포함하는 영양 상태 혈소판 완전한 간염혈청학적 지표를 포함하는 원인 검사 신장 기능 HIV 검사 혈색소침착증이 있으면 당뇨병 (혈청 철분 및 페리틴 포화 항트립신) AMA 유전 및 침윤 질환은 제외한다 (예 아밀로이드증 사르코이드증 다낭질환) 구리 검사

출혈에 대한 CNS 내성체액 및 염분 과다 췌장 기능부족 이차 발생 간암 처치곤란 프로트롬빈 시간 연장 혈소판 결손 백혈구 감소증

알코올 간 질환 경화증 간암 간염후간경화증(과거 HBV HCV) 혈색소침착증 윌슨병원발 담관성간경화 경화담관염

담도 질환

과거 담도 수술담낭염 삽화 담도급통증 황달 빌리루빈 대사 기능이상 가족력 출혈 가려움증

과거 용해 치료 및또는 쇄석술 황달긁은 자국 비장비대 복부누공

초음파검사ERCP 필요한 경우 담관조영술프로트롬빈 시간

폐쇄증 완화후 지속적 고빌리루빈혈증 수술 소견

담관협착 매복담석 경화담관염 원발 담관성 간경화

헤르니아체위 변화와관련된 불편감 통증 신체 활동 제한

복부 돌출 또는 부기

방사선사진 CT 스캔

장 또는 그물막 꼬임

복벽 헤르니아 배꼽 헤르니아 절개헤르니아 서혜헤르니아 대퇴헤르니아

질 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

종말기관 장애 증상 심혈관(예 피로감 심계항진 흉통) 호흡기(예 숨참) 감염 일반 증상 기능 및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의 예후 진료 기록 재검토

영향을 받는 종말기관을 집중적으로 평가하는 포괄적 진찰

관련 검사 전혈구계산 혈청검사 뼈 림프절 생검

종말기관 손상 및 장애를 포함하는 후유증 평가 포함

모든 관련 진단의 기록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살펴야 함 도달하지 않았다면 어떤 조건에서 언제 도달할 수 있는 지 규명한다

적혈구

증상(예 운동시 숨참 현기증 두통 피로감) 이로 인한 신체 활동 제한 또는 합병증(예 앙기나)

다른 기관 기능이상(예 뇌 심장 신장)

전혈구계산 혈색소 전기이동 등

관련 기관의 울혈 또는 기능이상 평가(예 심장 폐 신장)

빈혈 겸상적혈구 용혈 만성 질환 적혈구증가증

백혈구 피로 빈번한 감염상세한 병력(예 감염 등)

전혈구계산 등

관련 기관 평가(예 심장 폐 신장 림프절)

백혈병 림프종

혈소판잇몸 입 위장관 요로의 비정상 출혈외상 발생시 지혈

코출혈 점상출혈 자색반 잠재 대변혈 비

혈소판 수치를 포함하는 전혈구 계산 출혈 시간

출혈로인한 것

면역혈소판감소자색반(ITP) HIV 또는 약물 관련 저혈소판증 혈전저

〈표 2-6〉 조혈기관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4

불량 비정상 혈액 응고 가족력

장비대 혈전증 증거

관련 혈소판 응집 검사(다른 응고 질환을 배제하기 위한 프로트롬빈 및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수치

혈소판증(TTP) 척수형성이상증 백혈병 혈소판 기능 질환 본태고혈소판증

혈전관련

혈소판 수치 포함하는 전혈구 계산 출혈 시간 프로트롬빈 및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섬유소원 인자 수치

출혈 혈관절증 또는 신경충돌로 인한 것

혈우병 인자 결핍 빌레브란드 병 dysfibinogenimia 파종혈관내응고

질 환 병력 및 관련 증상 검사 기록 기능 평가 종말기관 손상 진 단

일 반성장의 변화 피로 쇠약 욕지기 과민성 등

신장 체중 혈압 맥박 피부온도 피부결 수분 근력 및 질량

아래 해당란참조

종말기관 손상 및 장해를 비롯한 후유증의 평가 포함

관련 진단 모두 기록함 치료에 의한 최대 호전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함 도달하지 않았다면 언제 어떤 조건 하에서 안정 상태를 기대할 수 있는지 설명하여야 함

시상하부-뇌하수체 축

월경 주기 젖분비과다 다뇨 피로 쇠약 두통 등의 증상을 설명함

유방 배출물 확인 시야검사 및아래에 명시한 목표 기관의 평가

프로락틴 성장 호르몬 IGF-1 요(尿)비중 혈청 삼투질 농도 뇌하수체 CT 또는MRI 목표 기관의 기능

난소 고환 갑상샘 부신 골격 및 심장 등과 같은 관련 기관의 기능이상 치료에 대해 정도의 차이가 있더라도 자주 가역 반응을 보이는가

요붕증 프로락틴샘종 말단비대증 쿠싱 병 범뇌하수체저하증 또는 하나 이상의 뇌하수체 호르몬 결핍

갑상선

피로 쇠약 정신 작용 지체 냉(冷) 또는 열(熱) 불내성 불안 체중감소 심계항진 안구돌출 복시와 같은 눈의 변화 갑상샘종 배변 습관 변화

아킬레스건 반사 갑상샘 크기 및 소결절형성 떨림 불안 또는 굼뜬 동작 눈 돌출

혈청 프리 티록신 총 트리요오드티로닌 및 TSH 방사성 요오드 섭취율 및 갑상샘 스캔 갑상샘 초음파 갑상샘 결절 미세침 흡인

안근 및 안와 후부 조직 치료하면 회복되는 기타 종말기관 기능이상

갑상샘과다증 갑상샘저하증 갑상샘 결절 갑상샘종 암종

부갑상선

피로 쇠약 욕지기 다뇨 신장 결석 근육과민성 감각이상 강직 발작

크보스테크 징후 및 트루소 징후

혈청 칼슘 인 부갑상샘 호르몬요중 칼슘 배출 신장 초음파 골밀도 계측 초음파 MRI 부갑상샘 Sestamibi 스캔

신장 골격부갑상샘저하증 부갑상샘 부갑상샘항진증

부신피질

쇠약 쉽게 멍듬 조모증 여드름 체중 증가 우울증 월결불순 진균 감염

혈압 체중 및 체중의 신체 분포 피부 근력 부종

혈장 코르티솔 및 알도스테론 요중 코르티솔 배출 코르티솔 억제 및

골격 골절 여부치료하면 회복되는 기타 종말기관 기능이상

아디슨 병 쿠싱 징후군 성인기 발병 부신 과다형성

〈표 2-7〉 내분비계 장해평가 요약

mdash mdash45

자극 테스트 혈장 ACTH 기타 스테로이드 대사물 혈청 전해질 요중 17-KS 배출 골밀도 계측 복부 CT 또는 MRI 검사

부신수질두통 심계항진 발한 불안 및 쇠약

혈압 맥박

요중 카테콜라민 및 그 대사물 측정 혈장 카테콜라민 및 클로니딘에 대한 억제 반응 부신 CT 또는 MRI 검사

심한 고혈압으로 인한 뇌혈관 사고 여부

갈색세포종

췌장(랑게르한스

섬)

다뇨 다음증 체중감소 쇠약 발한 빈맥 흐린 시력 착란 의식불명 경련 당뇨병 종말기관 기능이상 관련 증상(예 눈 신장 신경계 심장 혈관계통)

혈압 맥박 체중 피부 눈 신경계 심장 맥박

혈장 포도당 인슐린 또는 C-펩티드 HbA1c 지질 요검사 췌장 CT 또는 MRI 검사

눈 신장 신경계통 심혈관 피부

당뇨병 인슐린종 반응 저혈당증

생식선

이차 성발달 결여 불규칙한 월결 주기 또는 무월경 불임 이차 성징 조발 조모증 및 남성화 지구력 및 원기 결핍

생식샘 2차 성징 신장

혈장 생식샘자극호르몬 테스토스테론 난포호르몬 프로게스테론 정액검사 골반 포음파 골격연령 측정을 위한 X-선 검사

생식샘 피부골격

생식샘 발생장애 조기 난소 기능상실 성조발증 다낭 난소 징후군 정세관 발생장애 고환염

젖선

부적절한 모유 생산 남성에게서의 발달 여성에게서의 발달 결여 질료 기록

유방난포호르몬 테스토스테론 프리 티록신 간 기능검사

유방젖분비과다 형성 저하증 여성형 유방증

대사 및 골

골절 약물처치 암 신장 질환

골격 이상

DEXA 등 골밀도계측 요중 칼슘 배출 골격 대사 마커(marker)

골격 골다공증 골연화증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1 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법상의 내부 장기 관련 장애 분류

보건복지부가 주무부서가 되어 만든 장애등급 판정기준 (2003-7)상에 내부 장기

관련 장해평가기준은 9 신장장애 (2 5급) 10 심장장애 (1 2 3 5급) 11 호흡

기장애 (1 2 3급) 12 간장애 (1 2 3 5급) 14 장루 요루장애 (2 3 4 5급)

mdash mdash46

로 구분 되어 있다 복지부 장애 분류는 2개의 대분류 (신체적 장애 정신적 장애)

속에 신체장애는 다시 2개의 중분류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로 나

누고 각각의 중분류는 6개의 소분류 체계로 구분 하였다 더욱이 복지부의 내부 장

기 장해평가기준은 그 법의 목적 취지가 산업재해 보상 및 보험과는 차이가 있으므

로 이를 그대로 준용하여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으나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에

서 매우 참고 할 만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표 2-8〉 장애인복지법시행규칙 장애인의 장애등급표 (제2조 제1항 관련)5)

9 신장장애인

제2급

만성신부전증으로 인하여 1개월 이상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사람

제5급

신장을 이식 받은 사람

10 심장장애인

제1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안정시에도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 증상 등이 일어나서 운동

능력을 완전히 상실하여 상시적으로 개호인이 필요한 사람 (심장질환을 진단 받은지 1년 이상

경과한 사람에 한한다 이하 같다)

제2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신체주위의 일은 어느 정도 할 수 있지만 그 이상의 활동으로는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 증상 등이 일어나서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사람

제3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가정 내에서의 가벼운 활동은 상관없지만 그 이상의 활동에는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 증상 등이 일어나서 가벼운 일상생활은 가능하나 정상적인 사회활동을

영위하기 어려운 사람

제5급

심장을 이식받은 사람

11 호흡기장애인

제1급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부전으로 안정 시에도 산소요법을 받아야 할 정도의

호흡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 호기량)이 정상 예측치의 25 이하이거나

안정시의 자연 호흡 상태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55Hg 이하인 사람

제2급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부전으로 집안에서의 이동시에도 호흡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 호기량)이 정상예측치의 30 이하이거나 안정시 자연 호흡

5) [일부개정 2003613 보건복지부령 250호] [별표 1] lt개정 2001630 2003613gt

mdash mdash47

상태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60Hg 이하인 사람

제3급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부전으로 평지에서의 보행에도 호흡 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 호기량)이 정상예측치의 40 이하이거나 안정시 자연 호흡

상태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65mHg 이하인 사람

12 간장애인

제1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잔여 간기능이 Child- Pugh 평

가상 등급 C이면서 만성 간성뇌증 내과적 치료로 조절되지 아니하는 난치성 복수 등의 합병증

이 있는 사람

제2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잔여 간기능 평가상

Child-Pugh 등급 C이면서 간성뇌증의 병력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등의 병력이 있는 사람

제3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잔여 간기능이 Child- Pugh 평

가상 등급 C인 사람

제5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간이식을 시술받은 사람

14 장루 및 요루 장애인

제2급

1 요루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요루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가 현저한 변형이 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2 고도의 배뇨장애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가 현저한 변형이 있거나 장루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3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공장middot회장middot상행 또는 횡행결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

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으로부터 장(腸)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와 수술 등에 의하여서도 치

유될 가능성이 없으며 구멍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제3급

1 요루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는 사람

2 요루와 함께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에 현저한 변

형이 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3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고도의 배뇨기능장애가 있는 사람

4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공장middot회장middot상행 또는 횡행결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

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으로부터 장 내용물이 대부분 흘러나오며 수술 등에 의하여서도 치유될

가능성이 없는 사람

제4급

1 요루를 가진 사람

2 회장루middot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진 사람

3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배뇨기능장애가 있는 경우 또는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가 변형되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헐었기 때문에 장루보조용품을 1일 1회 이상 교체하

거나 장세척을 필요로 하는 사람

mdash mdash48

장 애 상 태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1급 4 100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2급 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3급 3급 4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5급 7

장기를 이식받은 사람 5급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7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5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50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8급 11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9급 16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20

흉복부장기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11급 9

4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하행 또는 에스결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에서 장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오며 수술 등에 의하여서도 치유될 가능성이

없는 사람

제5급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는 사람

〈표 2-9〉 심 폐 간 장애의 국내 기준 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AMA 가이드에서 사용하는 전신장해 백분율로 표시되는 척도상에 100가 되기 위

해서 신체 기관 또는 신체 계통이 어느 정도 손상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일치된 견해

를 얻는 일은 매우 어렵다 AMA 가이드는 사망에 근접한 상태를 전신 장해율

95~100의 표준으로 보고 있다 또한 장해율 0의 의미에 대해서도 완전한 합의는

아니지만 거의 장해가 없이 회복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상적 기능이란

mdash mdash49

무엇인가 정상적 기능이란 것도 근로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예측 가능한 차이에 근

거해서 조정이 필요한 사항은 아닌지에 대한 고려도 필요할 것으로 예상 되며 기존 병

태를 반영하기 위해 기능의 기준선을 어떻게 조정해야 하는가도 과제 사항이다 표준

장해 등급율 표에서 임의의 연속성 상실율이 0이면 잔존 상실이 없는 것으로 전

신장해율이 100이면 죽음이나 식물 상태에 가까운 것으로 받아들인다 예를 들면

새끼 손가락의 완전 절단은 전신 장해율 6에 해당한다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

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된다 장해등급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면 장해와 능력 상실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 장해등급은 정해진

일련의 관측으로부터 찾아내는 등급으로 그 자체가 근로자의 능력에 미치는 해부학

적 또는 기능적 손상의 영향을 밝혀주는 것은 아니다 lsquoAMA 가이드rsquo는 능력 상실

이란 장해로 인해 개인적 사회적 또는 직업적 요구 또는 법률적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이 변경된 상태라고 규정하고 있다 백분율로 표시한 장해율은

평가 대상자의 완전한 상태 대비 해부학적 또는 기능적 손실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다 장해평가는 능력 상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첫 번째 단계

라 할 수 있다 예를 든다면 의사가 팔 장해에 대하여 평가 할 수 있는 등급의 최

대치는 100 (팔의 절단 또는 어깨 관절 이단술)이며 이것은 곧 전신 장해 60에

해당한다 의사가 다리 장해에 대하여 평가 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의

다리 절단 (엉덩이 관절 이단술)에 부여하는 등급이며 이것은 곧 전신 장해 40에

해당한다(표 2-11) 이와 같은 방법으로 lsquoAMA 가이드는 내부 장기에 있어 내과계

질환들로 인한 인체의 기능 제한을 전신 장해율의 등급과 로 표시하고 있으며 각

질환에 따른 에는 표 2-11과 같이 다소 차등이 있다 우리의 현재 기준과 직접적

으로 대입하여 비교하기가 어려운 체계이나 굳이 비교를 해본다면 표 2-10과 같

이 나타내 볼 수 있다 성공적인 신장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이 대폭 개선된 경우

에는 상부 요로 질환으로 인한 장해 평가 2급으로 전신 장해율 15~34로 평가 한

다 비장의 경우 상실한 경우 Mcbride에서는 10~26로 한쪽 신장의 기능 상실은

Mcbride에서 25~40로 평가하고 있다 의사가 팔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

의 최대치는 100 (팔의 절단 또는 어깨 관절이단술)이나 전신 장해는 60에 해당하

고 다리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의 다리 절단 (엉덩이 관절

이단술)에 부여하는 등급이며 이것은 전신 장해 40에 해당 한다(표 2-11)

mdash mdash50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4 ~100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6 ~9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3급 4 ~75 50~75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5급 7

장기를 이식받은 사람 15~34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56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5 ~50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40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8급 11 ~14

비장10~

26

신장25~

40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9급 16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9 ~10

흉복부장기 기능에 장해가 남은 사람 11급 9 0~5 ~4

장애구분 1급 2급 3급 4급 5급

심혈관계

(심장판막 관상동맥 심

근병증 선천성 심막성

부정맥 고혈압 심혈관

대동맥 및 심장) 질환

0~9 10~29 30~49 50~100 -

말초혈관계

팔 및 다리 0~9 10~39 40~69 70~89 90~100

호흡계

폐동맥 고혈압

천식 폐기능

및 운동검사

결과에 의한 기준

0~9

0~9

10~29

10~25

30~49

26~50

50~100

51~100

-

-

〈표 2-10〉 심 폐 간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표 2-11〉 각 질환별 급수 및 전신 장애율 비교

mdash mdash51

소화계

상부소화관(식도

위 12지장 소장

췌장) 결장 및

직장 질환

0~9 10~24 25~49 50~75 -

항문질환 0~9 10~19 20~35 - -

간 및 담도 질환 0~14 15~29 30~49 50~95 -

헤르니아 0~9 10~19 20~30 - -

혈액 조혈계

빈혈

백혈구혈소판출혈병

0~10

0~15

11~30

16~30

31~70

31~55

71~100

56~100

-

내분비계

시상하부뇌하수체축

갑상선 질환

부갑상선 항진증

부갑상선 저하증

부신피질 항진증

부신피질 저하증

부신수질질환

당뇨질환

저혈당증

0~15

0~15

0~14

0~9

0~14

0~14

0~14

0~5

0~5

16~25

16~25

14~29

10~20

15~39

15~29

15~29

6~10

6~50

26~50

-

30~90

-

-

30~90

30~90

11~20

-

-

-

-

-

-

-

-

21~40

-

-

-

-

-

-

-

-

-

-

외과적 처치

식도 및 위 조루술

공장 및 회장 조루술

회장 항문 연결술

결장 조루술

10~15

15~20

15~20

5~10

-

-

-

-

-

-

-

-

-

-

-

-

-

-

-

-

등급 내 용

0 활동에 전혀 지장 없음 발병 전처럼 활동에 지장을 받지 않음

1힘을 쓰는 신체 활동에는 약간 지장이 있으나 보행이나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의 가벼운 일은

할 수 있음

2 대부분의 활동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며 자주 치료를 요한다

3스스로를 돌보는 일을 제한적으로 할 수 있을 뿐이며 깨어있는 시간의 절반 이상을 침대 또는 의자에서 보내는 경우

4 거의 대부분이 손상되어 스스로를 돌볼 여력이 없음 침대에 누워 있거나 의자를 떠날 수 없음

팔 및 다리의 장애율

〈표 2-12〉 폐암의 능력 판정 척도

mdash mdash52

Ⅴ 결 론

산업재해보상보험법시행령[일부개정 20041029 대통령령 18573호] lt개정 2000

627 200357gt 상에 신체장해등급표 (제31조제1항 관련)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행

산재보상 제도상으로는 내부 장기 및 내과 영역의 장애에 대한 고려는 그 비중이 낮은

상태로 기존 장애인 복지법상의 내부 장기 장해평가기준을 참조하여 상대 가치 평가

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설문 문항을 만들어 사전 조사 후에 의료 및 이 분야의 전문

가 집단을 대상으로 최종 검증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lsquoAMA 가이드rsquo는 미국의사협

회의 협회지에 수록된 기사를 모아 발간된 것이지만 그 동안 주기적으로 개정을 거듭

하여 제 5판을 발행하게 되었다 미국의 40개 주에서 산업재해보상제도는 lsquoAMA 가이

드rsquo를 사용하여 장해등급을 산정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lsquoAMA 가이드rsquo는 영구 손상에

관한 의학적 정보를 수치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유용한 도구이고 이렇게 전

환된 수치를 이용하여 법정 급여금의 금액을 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켈리포니아주 및

9개의 다른 관할 지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모든 관할 지역에서 사용되지는

않지만 장해의 합리적 평가 방법을 제공하고 평가자간에 발생하는 동일 등급에 대한

평가 차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어 미국의 거의 모든 주와 캐나다 호주

등 외국에서도 이용하고 있다 신체장애율은 의학적인 기준이므로 우리나라에서도

lsquoAMA 가이드rsquo 방식을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내과계열의 장해평

가에는 새로운 방법을 만든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오랜 시간과 수고를 필요로

하고 우리나라 현실에서 의사들에게 익숙한 장애인 복지법상의 제도를 참조하고 수

정 보완 한다면 좋은 결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의학적 측면에서

공유하고 있는 공통점은 있으나 산재보험이 지향하고 있는 법적 취지에 있어 사회

적 기대와 해결 목적에는 그 취지가 다르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

되고 내과적 기왕력이 있는 환자의 외상성 장해평가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라고 생각된다

mdash mdash53

제 3 장 정신행동 장해평가6)

Ⅰ 서 론

1 일반현황

2 산재보험의 정신 및 신경행동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3 조사방법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Ⅵ 결 론

6) 안동현(정신) 고용(신외) 김종문(재활) 조강희(재활) 유찬종(신외)

mdash mdash55

I 서 론

1 일반현황

보건복지부가 주무부서가 되어 만든 장애등급 판정기준 (2003-7)상에는 정신지

체 (1 2 3급) 정신장애 (1 2 3급) 발달장애(자폐증) (1 2 3급)로 분류되어 있

으며 이는 외상 스트레스 혹은 통증 등의 상황에 따른 impairement의 rating이나

evaluation이 고려되지 않았고 Psychological impairment와 functional somatic

syndrome에 대한 고려가 없는 상태로 산업재해 분야의 장애에 이용하기에는 많은

부분에서 미흡한 점이 있으며 중복 장애 형태시에 기존 장애에 미치는 negative

effect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며 기능 평가에 보정의 필요성 여부와 보상 체계에서

의 보정 합리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인간의 의식과 사고 및 정신 체계를 유지하고

이러한 기능에 이상을 야기 시킬 수 있는 기타의 다른 질환들이나 그와 관련된 질

환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현실을 뇌심혈관계의 경우와 같이 살펴보면 뇌심혈관계질

환 발생자는 lsquo04년 2285(사망788명) lsquo03년 2358(사망 820명)으로 사망재해원인

가운데 1위이다 이웃 나라 일본의 경우 뇌middot심장질환의 발생건수는 lsquo01년 143건

lsquo02년 317건 lsquo03년 312건으로 증가하였으며 정신질환의의 발생건수는 lsquo01년 70

건 lsquo02년 100건 lsquo03년 108건으로 소폭 증가하는 추세이다 뇌심혈관계질환의 산재

승인률은 lsquo96년 219에서 lsquo01년 715로 크게 증가하였다가 rsquo04년은 628 lsquo05년

6월 현재 949명이 발생하여 526의 인정률을 보였으며 지난 4년간 정신질환으로

업무상 재해를 신청한 자들은 모두 479명인데 그 중 559인 268명이 업무상재해로

인정받았다 일본의 뇌심장질환의 산재승인률은 각 207(01년) 387(02년)

445(03년)를 보이며 정신질환의 경우 산재승인률은 각 264(01년) 293(02년)

247(lsquo03년)를 보이고 있다 독일은 뇌심혈관계 및 간질환으로 1963년부터 2004년

까지 23건이 신청되었으나 산업재해로 인정받은 건수는 없다고 한다 (심근경색

10건 심장질환 고혈압 10건 뇌졸중 3건 신청 직무스트레스 및 정신질환 산재

인정 건수가 없음) 미국 캐나다는 갑작스런 업무적 정신적 쇼크이외에는 직무스트

레스 및 정신재해는 인정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즉 우리나라의 뇌심혈관계 및

정신 질환에 대한 구체적이고 상세한 산재인정기준이 없다는 것이 현실이며 문제점이다

mdash mdash56

2 산재보험의 정신 및 신경행동 장해평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정신질환에 대한 인정기준은 마련하지 못하고 있으며 뇌심혈관질환

인정기준에 대하여 ldquo현저한 생리적인 변화rdquo ldquo만성적으로 육체적정신적인 과로를

유발rdquo ldquo자연발생적으로 악화되었음이 의학적으로 명백하게 증명되지 아니함rdquo 등

지극히 주관적인 해석이 가능한 기준을 갖고 있다 특히 ldquo만성적인 과로rdquo의 정의를 발

병 전 3일 이상 연속적으로 일상 업무보다 30 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규정하여 지나치게

근로자에게 유리한 조항으로 되어 있다 일본은 뇌심혈관질환과 ldquo발병직전부터 전날까

지의 사이에 발생 상태를 시간적 및 장소적으로 명확히 할 수 있는 이상사건에 조

우한 것rdquo ldquo병에 근접한 시기에서 특히 과중한 업무에 취로한 것rdquo ldquo발병 전의 장기

간에 걸쳐서 현저하게 피로의 축적을 시키는 특히 과중한 업무에 종사한 것rdquo 등으

로 구분하고 이상사건 장단기 과로의 정의를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어 우리나라

도 이러한 부분에 대한 참고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더욱이 정신질환에 대하여도

1999년 정신장애 관련 지침 설정 후 ① 정신장해 발병의 유무 발병 시기 및 질환명의

확인 ② 업무에 의한 심리적 부하의 강도 평가 ③ 업무 이외의 심리적 부하의 강도 평

가 ④ 개 체측 요인의 평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검토한 후에 일

정 요건 하에서만 인정하고 있다 독일은 뇌심혈관 및 정신질환의 산재인정건수가 없

으며 미국캐나다는 정신질환에 대하여 단기적 쇼크에 의한 질환이외에는 산재인정

이 되지 않는 다고 규정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의 산재보상 목록을 살펴보면 원칙적

으로 직장 업무의 변경 상사와의 갈등 직장 상실 강등 또는 징계조치의 실제적인 또는

인지적인 위협 상사대중들과의 관계 특정한 또는 일반적인 직무 불만 작업부하 압력

근무 조건 또는 환경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 어떤 이유에서든 직장 상실 또는 강등 화학

물질방사능생물학적 위험기타 인식되는 위험에 대한 노출의 두려움 등 일반적인 스

트레스에 의한 정신장애는 산재급여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지하철

자살사건의 경험으로 인한 기관사의 공황장애나 직장내 성희롱에 의한 정신장애가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mdash mdash57

장애상태 산재등급 장애율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

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3 10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

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5 10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 할 수 없는 사람3급 3 10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

쉬운 노무 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5급 8 8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 외에

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4 6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

도로 제한된 사람9급 15 40

3 조사방법

기존 장해평가자들에 대한 장애정도 평가시에 고려여부를 조사하고 장해평가 대

상자들의 장애 정도와 그 영향을 평가한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만들고 중

복 장애시의 보정 방법과 장애정도에 미치는 영향 평가를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

으로 추진할 근거를 마련하며 특히 신체화 장애 부분에 대한 사전 조사항목에 중

점을 두고 질병 및 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에 객관화된 점수화 도입이나 예후 및 예

후 인자에 대한 조사와 확인에 중점을 두어 조사 하여야 할 것이다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표 1〉 정신행동 장해평가기준비교

장애인 복지법상 장애등급 판정기준 (2003-7)에는 정신지체 (1 2 3급) 정신장애

(1 2 3급) 발달장애(자폐증) (1 2 3급)로 분류되어 있다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신경계장애에 대해서는 제 13장에서 뇌 뇌신경 척수 신경근과 말초신경 그리고

근육 기능이상으로 인한 영구 장해 평가 기준을 제공하고 있다 크게 보면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기질성 및 비기질성 장해평가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운동 기능의 장애

mdash mdash58

기능 부위

또는 양상

1등급

장해 없음

2등급

가벼운 장해

3등급

심하지 않은 장해

4등급

뚜렷한 장해

5등급

심한 장해

일상 활동

사회적 기능

집중력 적응

장해 없음장해가 대부분의 유용

한 기능과 공존하함

장해가 일부의 유용

한 기능과 공존함

장해가 유용한 기능

을 심하게 방해함

장해가 유용한

기능을 배제함

장 애 상 태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1급 1급 3 100

극심한 치매 CDR 척도 5점 100

심한 치매 CDR 척도 4점 80

(상지와 하지)평가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배뇨 배변 및 성기능의 장해평가 그리고

뇌신경기능 장해평가로 나눌 수 있다 다른 장기의 장해평가 방법과 마찬가지로 장애

의 정도는 등급이 아닌 장애율로 평가를 한다 장애율은 일률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닌 장애 범위를 제시함으로써 평가자가 증상의 정도에 따라 구분 항목 내에서 결

정하도록 하고 있다

정신(행동)장애는 제 14장에 그 내용을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으나 AMA 기준에

서는 정신행동장애에 대해서는 신체장애율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다른 장해계열과

달리 정신 질환의 정확한 장해 평가 기준은 없는데 백분율을 사용하면 존재하지 않는

확실성을 암시하게 되고 백분율은 정신 및 행동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검토할 가능성이 적은 심판관들에 의해 융통성 없이 사용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미

국정신의학협회장해 재활위원회(Committee 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of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는 이와 같은 어려운 문제를 숙고한 후 제4판의

정신 및 행동 장애 해당 장(章)에서 백분율 표시를 삼가 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이러한

권유를 제 5판에서 그대로 적용하여 장애율을 이용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다음의 표와 같이 간략하게 비교하여 볼 수 있다

〈표 2〉 AMA상 정신 및 행동장애로 인한 등급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정신신경 장애의 국내 기준 비교

mdash mdash59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

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2급 2급 5 7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3급 3급 3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5급 8

심한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5급 7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운 노무외

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7급 4

정신행동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 장

보기 등의 기본적 사회 활동을 혼자서 할 수 없는 상태40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9급 15

약간의 치매 CDR 척도 2점 40

약간의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10

장애상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타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항상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극심한 치매 CDR 척도 5점

심한 치매 CDR 척도 4점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수시로 간병을 받아야 하는 사람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특별히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할 수 없는

사람

심한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손쉬

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

정신행동에 뚜렷한 장해가 남아 대중교통을 이용

한 이동 장보기 등의 기본적 사회 활동을 혼자서

할 수 없는 상태

신경계통의 기능 또는 정신기능에 장해가 남아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

약간의 치매 CDR 척도 2점

약간의 간질발작이 남았을 때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정신신경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신경계는 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위원회에서 AMA 기준을 근간으로 하여 우리

나라 여건에 맞도록 만들어 놓은 기준이 있다 이 기준의 타당성을 전문가의 자문을 통

mdash mdash60

하여 검토하고 개선 사항이 발견되면 이를 수정함이 좋을 것으로 본다 한편 정신행동

계 장해평가에 대해서는 노동부에서 2004년도에 정책 연구 용역사업으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를 시도 한 적이 있다

Ⅵ 결 론

AMA기준에서는 신경계와 정신행동계를 각각 구분하여 평가한다 신경계 장애의

장애율은 최소값과 최고값 사이에서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며 구별점을 비교적 구체

적이고 자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정신행동계의 장애는 백분율로 표현된 장

애율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산재보험법에서는 불과 6개 등급으로 포괄적이고 개념

적인 정의만 언급하고 있다

mdash mdash61

제 4 장 특수기능 장해평가7)

Ⅰ 서 론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안과 영역

2 이비인후과 영역

3 비뇨생식기계

4 흉터 장애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안과 영역

2 이비인후과 영역

3 비뇨생식기계

4 흉터 장애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Ⅵ 결 론

7) 정한용(정신) 이상원(신외) 황선철(신외) 정헌종(산업) 조경석(신외)

mdash mdash63

I 서 론

특수 기능 분야는 근골격계 내부 장기 정신신경계통을 제외한 부분들의 영역을

조사한다 이 분야는 미국의학협회의 장해평가기준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ition 이하 lsquoAMA기준rsquo 이라고 함)의 제7장 비뇨생

식기계 제8장 피부 제11장 귀 코 구강 (이비인후과 영역) 그리고 제12장 시각

계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장애등급판정(이하 lsquo산재기준rsquo

이라고 함)에서 장애부위 구분상 눈 귀 코 입의 전 부위와 두부middot안면부middot경부의 흉

터 장애 흉복부장기의 비뇨기 장애 생식기 장애를 포함하는 영역이 이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해당 장기의 영역을 안과 영역 이비인후과 영역 비뇨 생식기계 흉터(안면부)로

구분하고 현재 산재기준을 나열하고 의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해당

영역의 AMA기준을 분석하여 산재기준과 장단점을 열거하고자 한다

이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장애에 대한 국내에서의 인지도 분석을 위한 설문지 항

목의 초안을 만들어 보았다

Ⅱ 산재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산업기준에서 해당 영역의 장해평가와 등급 분석을 요약하고자 한다

1 안과 영역

눈의 장애는 안구와 눈꺼풀의 장애로 구분되어 있다 안구의 장애는 기능적인 장

애를 평가하여 시력 조절기능 안구운동 시야의 영역을 평가하고 눈꺼풀의 장애는

기질적 손상인 결손 장애 기능적 손상인 운동 장애에 대하여 평가한다 시력장애는

11단계로 국제시력표를 이용하여 교정시력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장애 등급

상 최고 등급은 두 눈이 실명된 사람으로 1급이며 한눈의 시력이 06이하인 사람

은 13등급의 최저등급으로 구분되어 있다(표1)

시력측정은 원칙적으로 국제시력표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시력이라 함은

mdash mdash64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안구의 장애

기능적 장애

시력 장애

제1급제1호

제2급제1호

제2급제2호

제3급제1호

제4급제1호

제5급제1호

제6급제1호

제7급제1호

제8급제1호

제9급제1호

제9급제2호

제10급제1호

제13급제2호

두 눈이 실명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02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06이하로 된 사람

두 분의 시력이 각각 006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1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이 실명되거나 한 눈의 시력이 002이하로 된 사람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6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의 시력이 01이하로 된 사람

한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

조절기

능 장애

제11급제1호

제12급제1호

두 눈이 모두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한 준의 안구의 조절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운동

장애

제11급제1호

제12급제1호

두 눈이 모두 안구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한 눈의 안구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시야

장애

제9급제3호

제13급제2호

두눈에 모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한눈에 반맹증 시야협착 또는 시야변상이 남은 사람

눈꺼풀의 장애

기질적

장애

결손

장애

제9급제4호

제11급제3호

제13급제3호

제14급제1호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한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이 남은 사람

두 눈의 눈꺼풀에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또는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한 눈의 눈꺼풀에 일부에 결손이 남거나 또는 속눈썹에 결손이 남은 사람

기능적

장애운동장애

제11급제2호

제12급제2호

두 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한 준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

〈표 26〉 눈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교정시력을 말하는 것으로 안경에 의하여 교정한 시력에 의거 측정한다 다만 시

력의 교정으로 부등상증(不等像症)이 생겨서 양안시가 곤란하게 되는 것이 의학적

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나안(裸眼)으로 시력을 측정한다 두 눈의 시력장애에 대해

서 등급표상 정해져 있는 해당 등급을 인정하며 한 눈마다의 등급을 정아여 조정

준용등급 방법은 인정하지 않고 있다

조절기능 장애는 제11급과 제12급 두 가지 등급을 결정하고 있다 lsquo안구에 뚜렷

한 조절기능장애가 남은 사람rsquo은 조절력이 통상의 2분의 1이하로 감소된 사람을 말

한다 예를 들어 한쪽의 눈에 인공수정체를 이식하여 교정한 시력이 06이상인 경

우는 시력장애는 해당되지 않으나 무수정체이기 때문에 원근의 조절작용이 전혀 없

으므로 장애등급 제12급제1호를 인정한다

안구의 운동장애는 안구의 운동을 담당하는 6개의 외안근(外眼筋)의 일부 혹은

전부 마비가 되어 안구 운동의 제한을 보이는 경우이다 양안시가 있는 사람은 복

시(複視)가 나타나게 된다 lsquo안구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가 남은 사람rsquo이란 안구의

mdash mdash65

주시야의 넓이가 2분의 1이하로 감소된 사람을 말한다 주시야의 넓이는 상당한 개인

차가 있지만 평균치는 단안시에서 각방면 약 50도 양안시에서는 각방면 약 45도이다

시야장애에서 시야란 눈앞의 한 점을 응시하면서 동시에 볼 수 있는 시계(視界)

의 넓이를 말하는 것이다 시야협착(視野狹窄)은 시야 주변의 협착으로 동심성협착

과 불규칙협착이 있다 시신경의 손상으로도 시야의 협착이 발생한다 만일 고도의

동심성 협착이 있는 경우 시력이 양호해도 뚜렷하게 시기능을 방해하여 주위의 상

황을 살필 수 없기 때문에 보행 기타 여러 가지 동작이 곤란하게 된다 시야변상는

반맹증 시야의 결손 시야 협착 및 암점이 포함되지만 반맹증 및 시야협착에 대해

서는 등급표에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암점과 시야결손을 말한다

눈꺼풀의 장애는 기질적 장애인 결손과 기능적 장애인 운동장애로 구분된다 눈

꺼풀의 결손 장애는 9급에서 14급으로 4단계로 운동 장애는 11급과 12급 2단계로

되어 있다 눈꺼풀의 뚜렷한 결손은 눈을 감았을 때 각막을 완전히 덮을 수 없는

정도를 말하고 일부에 결손이 남은 경우는 눈을 감았을 때 각막을 완전히 덮을 수

는 있지만 결막이 노출되어 있는 정도를 말한다

산재기준에서 예시한 항목이 없거나 여러 개의 항목이 중복이 되는 경우에는 준

용(準用)과 조정(調整)을 한다 시행령의 제31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해 조정하여 등

급을 인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 눈의 눈꺼풀에 두렷한 결손으로 제11급제3호의

장애가 있고 다른 눈에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기능장애로 제12급제2호가 인정되는

경우는 등급을 조정하여 10급을 인정하게 된다 준용의 경우는 정면시에서 복시가

발생하여 양안시로 고도의 두통 현기증이 발생하여 노동에 뚜렷한 지장을 초래한는

경우는 제12급을 준용한다 만일 정면시에는 복시가 생기지 않지만 좌우상하시에서

복시가 발생하여 노동에 뚜렷한 지장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경도의 두통을 호소하면

제14급을 준용한다 대광반사가 뚜렷하게 장애를 입은 경우는 제12급을 준용한다

2 이비인후과 영역

1) 귀의 장애

귀의 장애는 기능적 장애인 청력 장애와 기질적 장애인 귓바퀴의 결손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청력 장애는 두 귀와 한 귀로 구분하고 있으며 청력의 측정

mdash mdash66

은 순음청력 검사의 기도청력 역치를 기준으로 6분법에 의하여 판정하고 있다 판

정 기준에는 검사 항목을 제시하여 필수 검사 항목으로 이비인후과 의사의 이학적

검사 순음청력검사 언어청력검사 임피던스 청력검사를 시행하고 보완검사 (의학

적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로 뇌간유발반응청력검사 자기청력계검사 이음향방사

검사 이명도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및 기타 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검사를 시

행하고 인력기준과 시설 기준에 대해서도 정해져 있다 비교적 평가 및 검사의 질

적 상태 유지를 위한 정도 관리가 시행되고 있다 장애 판정의 의료기관의 시설기

준에서 검사장비로 순음 및 언어청력검사기 임피던스청력검사기 뇌간유발반응청력

검사기 이음향방사검사기 자기청력검사기를 갖추도록 하고 있다

청력 장애에서 두 귀와 한 귀의 장애를 각각 평가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두 귀

장애는 고막의 전부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

은 사람을 최상위 등급은 4급으로 정하고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 이상의 거리

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을 11급으로 정하여 6 단계 (9개

구분)로 장애 정도의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한 귀의 청력장애는 9급에서 14급의 4

단계로 정하고 있다 귓바퀴 장애는 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 된 사람을 12

급으로 1개 등급을 정하고 있다(표2)

등급표에서는 청력장애의 등급의 예시항목이 추상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장해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에서는 순음청력과 언어명료도에 대한 구체적인 기

준을 제시하고 있다 청력의 측정은 24시간 이상 소음작업을 중단한 후 500

1000 2000 4000 Hz의 주파수음에 대한 청력치를 측정하여 6분법으로 판정한다

이러한 측정은 3-7일 간격으로 3회 이상 실시하여 검사의 유의차가 없는 경우 그

중 최소가청력치를 청력장애로 인정하고 있다 장애의 등급 구체적인 지침을 예로

들면 두 귀의 평균청력손실치가 80dB이상인 사람 또는 두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50dB이상 80dB 미만이고 최고 명료도가 30이하인 사람은 제6급3호로 판정하도

록 하고 있다 순음청력과 언어명료에 대한 측정치를 이용하여 청력장애를 판단하

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청력의 검사는 보청기 등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

하도록 하고 있다

mdash mdash67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귀 의 장 애

기 능 적 장 애

청 력 장 애

두 귀

제4급제3호고막의 전부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려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사람

제6급제3호

고막의 대부분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

의 청력이 모두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

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6급제4호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40

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

하게 된 사람

제7급제2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

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7급제3호

한 쉬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

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9급제7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9급제8호

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

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

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0급제5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1급제11호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

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한 귀

제9급제9호 한 귀의 청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제10급제4호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는 큰 말 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1급제4호한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

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14급제11호한 귀의 청력이 1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

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귓바퀴

제12급제4호 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된 사람

〈표 27〉 귀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귓바퀴의 대부분의 결손은 이개의 연골부의 2분의 1이상이 결손된 것을 말한다

귓바퀴의 결손의 경우 외모의 흉터장애로 인정되는 경우의 등급 중에서 어느 것이

든 상위의 등급을 인정한다 예를 들면 여자의 경우 귓바퀴의 대부분의 결손이 있

는 경우는 제12급제4호에 해당하지만 흉터장애로서는 제7급제12호에 해당하기 때

문에 상위등급은 제7급제12호를 인정한다

귀의 장애에서도 산재기준에 예시한 항목이 없거나 여러 개의 항목이 중복이 되

는 경우에는 준용(準用)과 조정(調整)을 한다

mdash mdash68

2) 코의 장애

코의 장애는 기질 및 기능적 장애에 대해 한 가지의 등급을 정하고 있다 그 내

용은 코가 결손 되어 그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을 9급으로 한다 결손은

코 연골부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잃은 경우를 말하고 기능에 뚜렷한 장애는 코로

숨쉬기가 곤란한 사람 또는 후각이 상실된 사람을 말한다 코의 결손이 외모의 흉

터에 해당하는 경우는 두부middot안면부middot경부의 흉터 장애를 준용하여 남자는 14급 여자

는 12급으로 평가하도록 정하고 있다

3) 입의 장애

입의 장애는 기능적 장애로 말하는 기능 및 씹는 기능과 기질적 장애로 치아의

보철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말하는 기능은 구강에서 자음이 만들어지는 조음위치

(調音位置)에 따라 4 종류로 구분하여 ① 구순음(ㅁ ㅂ v) ② 치설음(ㄴ ㄷ ㅌ)

③ 구개음(ㅈ ㅊ) ④후두음(ㅇ ㅎ)으로 정하고 있다 말하는 기능의 장애는 위 4

종의 음성 중 3종 이상의 발음을 할 수 없는 경우를 3급으로 정하고 있고 1종의

발음을 할 수 없는 사람을 10급으로 정하고 있다 음식물을 씹는 기능 장애는 상하

교합(上下咬合)과 배열 상태 및 하악의 개패운동 등에 따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을 3급으로 정하고 있다(표3)

이러한 씹는 기능의 장애는 주관적인 판단기준으로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나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치아 장애는 보철이 된 치아의 개수에 따라 10급에서 14급

으로 5단계 구분을 제시하고 있다 식도의 협착 등의 삼키는 기능의 장애는 씹는

기능장애에 관한 등급을 준용하고 있으며 미각상실은 12급을 준용하도록 정하고 있다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입의 장애

기능적 장애

말하는

기능 및

음식물을

씹는

기능장애

제1급제2호

제3급제2호

제4급제2호

제6급제2호

제9급제6호

제10급제2호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모두 영구적으로 잃은 사람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

기질적 장애

결손

장애

제10급제3호

제11급제10호

제12급제2호

제13급제4호

제14급제2호

14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10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7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5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3개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치과보철을 한 사람

〈표 28〉 입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mdash mdash69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흉 복부

장기 장애

제7급제13호

제8급제11호

제9급제14호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

비장 또는 한 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

생식기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표 29〉 비뇨생식기계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3 비뇨생식기계

비뇨생식기계에 대해서는 흉복부의 장애에 일부로 포함되어 있다 제시된 장애등

급 표에 의하면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은 7급 한 쪽의 신장을 잃은 사람은 8급

생식기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은 9급으로 정하고 있다 상세 장애등급 인정기

준을 살펴보면 비뇨기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로 구분하여 그에 해당하는 예를 제

시하고 있다(표4) 해당 예시항목이 없는 경우에는 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

애가 남아 일생동안 노무에 종사할 수 없는 사람(제3급제4호) 손쉬운 노무외에는

종사하지 못하는 사람(제7급제5호) 노무가 상당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제9급제16

호) 흉복부 장기의 기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제11급제9호)의 항목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신장은 요로변경술 시행으로 신루 신우루 요관피부문합 요관장문합을 남긴 채

로 치유된 상태나 만성 신우신염 수신증인 사람을 제7급제5호로 정하고 있다 방

광 장애는 방광 기능이 완전히 없어진 사람은 제3급제4호로 위축방광(50cc이하)인

사람은 제7급제5호로 인정하고 있다 요도 협착은 11급과 14급으로 2 단계 구분을

제시하고 있다 생식기의 장애는 외부성기의 결손이나 협착 고환의 위축 등에 대해

9급 11급의 장애를 인정하고 있다

4 흉터 장애

두부middot안면부middot경부에서 흉터의 장애에 대해 정하고 있다 외모의 흉터에 대하여 남

자와 여자로 구별하여 2단계로 등급이 정해져 있고 팔다리의 노출면의 흉터에 대하

여는 남여의 차이 없이 1등급만을 인정하고 있다 외모란 두부 안면부 경부와 같

이 일상 생황에서 노출되는 부분을 말하며 팔 다리는 제외되어 있다 외모에 lsquo뚜렷

mdash mdash70

구 분 등 급 장애의 정도

흉터 장애

외모

여자제7급제12호

제12급제14호

외모에 뚜렷한 흉터가 남은 여자

외모에 흉터가 남은 여자

남자제12급제13호

제14급제10호

외모에 뚜렷한 흉터가 남은 남자

외모에 흉터가 남은 남자

팔다리팔 제14급제3호 팔의 노출된 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다리 제14급제4호 다리의 노출면에 손바닥 크기의 흉터가 남은 사람

〈표 30〉 흉터장애의 산재기준의 장애등급

한 흉터rsquo란 두부에 있어서는 손바닥 크기 이상의 반흔 또는 두개골의 손바닥 크기

이상의 결손 안면부에 있어서는 계란 크기 이상의 반흔 길이 5 센티미터 이상의

선상흔 또는 10원짜리 동전 크기 이상의 조직함몰 경부에 있어서는 손바닥 크기

이상의 반흔을 말한다 lsquo단순한 흉터rsquo란 두부에 있어서는 계란 크기 이상의 반흔 또

는 두개골의 계란 크기 이상의 결손 안면부에 있어서는 10원짜리 동전 크기 이상

의 반흔 또는 길이 3센티미터 이상의 선상흔 경부에 있어서는 계란 크기 이상의

반흔을 말한다

외모의 장애는 여자는 뚜렷한 흉터가 남은 경우 7급 그 외는 12급으로 정하고

남자는 12급과 14급의 2단계로 등급을 정하고 있다 같은 정도의 흉터라 하더라도

여자가 남자에 비해 상위의 등급을 판정하도록 하였다

Ⅲ AMA 장해평가기준의 특징

1 안과영역

AMA기준은 제12장의 시각계(Visual System)에서 평가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평가방법은 1936년 맥브라이드 평가법으로부터 시작하여 1995년 AMA기

준 4판가지 이르도록 내용상 큰 변화가 없이 시각장애를 평가했을 정도로 비교적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방법이다 AMA기준의 4판에서는 시력 시야 안구운동의

3가지 시각요소를 평가였으나 5판에서는 시력장애와 시야장애로 구분된다

저시력에 관련된 국제 전문가들이 관여하여 AMA기준 4판과는 완전히 달라진 평가

방법이다 이전의 기준에 사용하던 시효율(Visual Efficiency VE)의 개념이 없어지고

mdash mdash71

장애 등급

(ICD-9-CM 기준)

시력 시력점수

(VAS)시력장애율()

미국식 표기 1m 표기

정상

시력

정상

2025

2016

2020

2025

1063

108

11

1125

110

105

100

95

0

5

준정상

2032

2040

2050

2063

116

12

125

132

90

85

80

75

10

15

20

25

〈표 31〉 AMA Table 12-2 시력 점수(VAS)

시기능점수(Functional Vision Score FVS)로 대치되었다 시기능점수는 시력 및 시

야의 평가에 기초하고 있고 복시 및 무수정체증에 대한 여분의 측정계수 및 손실은 삭

제한 대신 필요한 경우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하였다 시력과 시야소실에 반영되

지 dskg는 대비감도 눈부심(현휘) 민감도 색각 양안시 입체시 억제 복시 등과 같은

기타 기능장애는 개별조정을 허용하고 있다

시력에 대한 시력기능점수(Functional Acuity Score FAS)와 시야기능점수

(Functional Field Score FFS)를 각각 구한 후에 FAS와 FFS를 이용하여 FVS를 구한다

1) 시력장애

시력의 측정은 원거리와 근거리를 시력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데 굴절이상이 있을

때는 안경으로 교정한 교정시력을 측정한다 눈에 들어온 평행한 빛이 망막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는 즉 보려고 하는 물체를 선명하게 보기 위해서는 굴절이 필요하고 이

것은 각막과 수정체의 굴절력 안축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며 여기에 이상이 있을 경우

굴절이상이라고 하여 굴절이상의 도수에 맞는 안경으로 교정하면 잘 보이게 되며 여

기에는 근시 원시 난시가 들어간다

시각장애율을 이전의 공식인 (3보다 좋은 눈 + 1보다 나쁜 눈)4 대신에 (3두

눈 + 오른쪽 눈 + 왼쪽 눈)5 공식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공식은 두 눈

의 기능이 보다 좋은 눈이 기능과 같지 않은 경우에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최

종적인 시각장애율은 100-시기능점수(FVS)로 구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시력이 01(VA 20200)인 경우에 AAM 4판의 시준으로 시력 상실률은

80였으나 5판의 기준으로 시력 장애율은 50(Table 12-2에 의함)으로 산정한다

mdash mdash72

가벼운

2080

20100

20125

20160

14

15

163

18

70

65

60

55

30

35

40

45

저시력

심한

20200

20250

20320

20400

110

1125

116

120

50

45

40

35

50

55

60

65

극심한

20500

20630

20800

201000

125

132

140

150

30

25

20

15

70

75

80

85

시력

상실

준시력

상실

201250

201600

202000 미만

163

180

1100 미만

10

5

0

90

95

0

완전시력상실 빛 식별 못함 0 0

Class 1

시력장애 0-9

Class 2

시력장애 10-29

Class 3

시력장애 30-49

Class 4

시력장애 50-69

Class 5

시력장애 70-89

Class 6

시력장애 90-100

FAS 98304491 FAS 90-71 FAS 70-51 FAS 50-31 FAS 30-11 FAS 98304310

정상 준정상 가벼운 심한 극심한 시력상실

〈표 32〉 AMA Table 12-4 시력장애율 분류

위의 표를 이용하여 시력점수(Visual Acuity Score VAS)를 각각 눈에 대해서 구한

후에 제시된 공식인 (VAS두 눈3 + VAS오른쪽 눈1 + VAS왼쪽 눈1)5로 시력기능점수

(FVS)를 구한다 시력기능점수를 구한 후에 Table 12-4의 표를 이용하여 시력 장애율

을 구한다

2) 시야장애

시야(visual field)란 한 눈은 가리고 검사하고자 하는 눈을 움직이지 않고 눈앞

의 한 점을 응시하면서 동시에 볼 수 있는 외계의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주변시력

(peripheral vision) 또는 주변시에 해당하며 이것에 의해 사람은 외계의 물체를 발견

하고 그 상호위치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중요한 시기능의 하나로 주변망막의 자

극에 의한다 시야는 골드만주변시야계(Goldmann perimetry)와 여러 가지 형태의 자

동시야계(automated perimetry)로 측정할 수 있다

mdash mdash73

장애 등급

(ICD-9-CM 기준)특별 조건

동심소실인

경우의 평균반경

시야점수

(VFS)시야장애율()

정상

시력

정상 60o

11010510095

05

준정상 한 눈의 상실

50o

40o

90858075

10152025

가벼운 상부 시야 상실

30o

20o

70656055

30354045

저시력

심한

반측 시야 상실

하부 시야 상실

10o

8o

50454035

50556065

극심한

6o

4o

30252015

70758085

시력

상실

준시력 상실

2o 미만

0

1050

90950

완전시력상실 시야 없음 0 0

〈표 33〉 AMA Table 12-5 시야 점수(VFS)

위의 표를 이용하여 시야점수(Visual Field Score VFS)를 각각 눈에 대해서 구한

후에 제시된 공식인 (VFS두 눈3 + VFS오른쪽 눈1 + VFS왼쪽 눈1)5로 시야기능점수

(FFS)를 구한다 시력기능점수를 구한 후에 Table 12-7의 표를 이용하여 시야 장애

율을 구한다(Table 12-7의 장애율은 Table12-4의 장애율과 동일하여 표는 생략한다)

시기능점수(FVS)은 FAS와 FFS의 곱의 백분율로 구한다(FVS=(FASFFS)100) 예

를 들면 FAS는 80(장애율은 20)이고 FFS는 75(장애율은 25)이면 FVS는

(8075)100인 60(장애율은 40)이다

2 이비인후과 영역

AMA기준은 제11장 코 귀 구강 및 관련 구조물로 설명하고 있다

1) 귀

귀의 장애는 청력장애(hearing loss)와 평형장애(equilibrium)에 대해 평가한다

청력은 순은 청력계를 이용하여 500 1000 2000 3000Hzd에서 청력 수준을 기록

mdash mdash74

Class 1 (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은 없음

및 도움을 받지 않고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Class 2 (1-1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복잡한 활동(예 자전거 타기) 또는 엄격한 주의가 요구되는 특정 업무 활동(예 대

들보 또는 비계 위를 걷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 없이 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Class 3 (11-3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단순한 활동(자신을 돌보는 일 집안 일 보행 다른 사람이 운전하는 자동차에 타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 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표 35〉 AMA Table 11-4 전정질환으로 인한 신체 장애 기준

양쪽 귀의 장애율() 전신장애율() 양쪽 귀의 장애율() 전신장애율()

00-1718-4243-7475-99

100-131

01234

500-531532-557558-588589-614615-645

1819202122

132-159160-188189-214215-245246-271

56789

646-671672-700701-7287209-759760-785

2324252627

272-300301-328329-359360-385386-417

1011121314

786-817818-842843-874875-899900-931

2829303132

418-442443-474475-499

151617

932-957958-988989-1000

333435

〈표 34〉 AMA Table 11-3 양쪽 귀의 장애율과 전신장애율의 비교

하고 만일 100dB을 초과하는 경우는 100dB로 기록한다 각 4개 영역의 청력수준

을 더하여 총합을 구한다(DSHL decibel sum of the hearing loss) 측정값에 대

해서 양쪽귀로 청력의 환산하는 표를 제시하고 있다 table 11-2는 양쪽 귀에서 측

정된 DSHL을 각각 대입하여 청력에 의한 장애율을 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장애율

은 0-35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 표에서 구한 청각 장애율의 공식은 장애율()

는 (5밝은 귀의 청각 장애율 + 어두운 귀의 장애율)6 으로 산출한다 이 공식의

특징은 한쪽 귀의 청력이 좋은 경우면 장애가 적게 산출이 된다는 것이다 양쪽 귀

에 대한 장애율을 구한 후에 표(Table 11-3)을 이용하여 전신장애율을 구한다

청력 이외의 귀의 기능인 평형에 대한 장애 기준은 표10과 같다

mdash mdash75

Class 4 (30-60)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외에는 도움이 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Class 5 (61-95)

전정 평형감각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및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중 보행을 요하지 않는 행위를 제외하고 도움 없이 일상 활

동을할 수 없음 및 집안에 머물러 있어야만 함

Class 1 (0-5)

눈에 띄는 흉터 또는 비정상 색소침착(제8장 피부질환 참조) 등과 같이 피부 구조 장애

에 한정된 얼굴 이상

또는 가벼운 한쪽 또는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외모에 영향을 주는 코의 변형

Class 2 (6-10)

피부 장애(예 함몰된 뺨 비골 또는 전두골)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은 얼굴 장애로

서 얼굴 일부의 지지 구조의 상실을 초래한 경우

Class 3 (11-15)

눈 또는 코의 일부 상실 등과 같이 얼굴의 해부학적 부분 또는 부위의 결여 때문에 발

생한 얼굴 이상으로서 얼굴 변형을 초래한 경우 이 경우 기능 소실(예 시력)이 수반되

면 이를 병함한다(제12장)

또는 심한 한쪽 전체 얼굴 마비

또는 가벼운 양쪽 전체 얼굴 마비

Class 4 (15-50)

얼굴 해부학적 구조의극심한 또는 완전한 변형으로서 변형 정도가 극심해서 사회 적응

이 불가능할 정도인 경우 정신 및 행동 장애로 인한 장해 등급을 병합한다(제14장)

또는 심한 양쪽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코의 주요 부위 또는 전체 상실

〈표 36〉 AMA Table 11-5 얼굴 질환 및 변형으로 인한 신체 장애 기준

2) 안 면

안면장애는 얼굴의 질환 또는 변형으로 인한 영구 장애를 평가하기 위해서 해부

학적 변화 및 기능 변화를 평가한다 얼굴의 구조적 완전성과 관련되는 장애를 다

루고 있다 얼굴 변형의 원인은 화상 외상 수술 감염 또는 형성이상 등이 주요 원

인이 된다 안면신경의 마비에 의한 형태의 변형을 포함한다(표11)

3) 후각 및 미각 장애

장애율은 1-5을 정하고 있다

mdash mdash76

Class 1 (0-14)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대부분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이를 위해 간혹 노력해야

하고 때로 개인의 능력에 부치는 일일 수도 있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대부분의 조음 행위를 할 수 있다 그러나 간혹 다시 한번 말해 줄것을

요청 받거나 어떤 발성 단위는 발음하기 어려워하거나 불가능하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대부분의 요구를 층족 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

하게 해 낼 수 있으나 가끔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Class 2 (15-34)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많은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으며 평균적인 환경에서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승용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잘 들을 수 없다

일상 회회에 필요한 많은 조음 행위를 할 수 있으며 타인이 이를 알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오류가 있으며 간혹 조음이 어려울 경우가 있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많은 요구를 충족 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가끔 어려움을 겪으며 때때로 끊어지거나 중단되고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Class 3 (35-59)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특정 필요 즉 인접한 상대와의 대화가 가능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

나 목소리가 쉬 피로해지고 수초가 지나면 잘 들리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떨어지거나 승용

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과 같은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일부 조음 행위를 할 수 있으며 가족 및 친구들과 대화할 수 있으나 타

인은 말소리를 알아 듣기 어려워하며 자주 다시 한번 말해달라는 요청을 받는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일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지속적으로 말할 수 있으며 상대방에게 쉬 피곤해

한다는 인상을 준다

Class 4 (60-84)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한정된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나 가까이서 주의를 기

울여야 겨우 들을 수 있으며 또한 귀에 들릴 정도로 속삭일 수 있으나 크게 말할 수는 없

일상 회화에 필요한 제한된 조음 행위를 할 수 있으며 일부의 발성 단위를 발음할 수 있다

자기 가족의 이름 등 몇 단어는 비슷하게 발음하나 관련 없는 단어를 발음하면 알아 들을

수 없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제한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

게 말할 수 있으나(한 단어 ㄸ는 짧은 구절) 말이 자주 끊기고 아주 힘들어한다 속도가 대

단히 느리다

Class 5 (85-100)

가청도

가해성

기 능 적

효율성

일상 회화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전혀 낼 수 없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행위를 전혀 할 수 없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는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요구를 전혀 충족

시킬 수 없다

〈표 37〉 음성언어로 인한 신체 장애 기준

4) 음성 언어 장애

조음장애 유창성 장애 음성장애(후두이상) 언어장애로 구분하고 있다 가청도

(audibility) 가해성(intelligence) 기능적 효율성(functional efficiency)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mdash mdash77

언어 및 음성 장애는 분리해서 평가하지 않으면 장애등급은 3개 부문(가청도 가

해성 기능적 효율성)의 백분율 중 가장 큰 것을 장애율로 한다

3 비뇨생식기계

AMA기준 5판의 7장에서 비뇨 생식기계의 장해평가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다른

장기의 장해평가 방법과 마찬가지로 장애의 정도는 등급이 아닌 장애율로 평가를

한다 장애율은 일률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고 장애 범위를 제시함으로써 평가자

가 증상의 정도에 따른 구분항목 내에서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비뇨기계는 신장 요로 치환 방광 요도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생식기계는 남자는

음경 음낭 고환과 부속기 전립선으로 구분하고 여자는 외성기(질) 자궁 난소와

나팔관으로 구분하여 각각을 평가한다(각 기관별의 장애율은 표 13 참고)

신장은 크레아티닌 청소율(CCr)을 구하여 신장 기능을 평가하여 4개로 구분하였

다 최고의 장애율은 95로 한다 대표적으로 class 4는 장애율 60-95로 CCr lt

40Lday이며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을 가지는 경우로 투석이 요하는 경우이다

만성신부전으로 투석을 지속적으로 하는 경우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신장이

식 후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가 요하는 경우는 class 2로 장애율 15-34에 해당한

다 요로 치환술을 시행한 경우에도 각 시술에 따라서 요관-장루 10 피부 요관

창냄술 10 콩팥창냄술 15로 정하고 있다

방광은 빈뇨 야간뇨 등의 증상과 반사적 배뇨 활동을 구분하여 class 3으로 구

분을 하고 있으며 최고 장애율은 70이다 class 3는 41-70의 장애율을 제시하

고 있으며 배뇨의 반사적 활동이 없거나 자발적인 조절이 전혀 없는 경우이다 요

도의 장애는 요도 협착 요실금으로 3 단계로 구분을 하고 있다 최고 장애율은

40로 요도 이상으로 소변의 누출이있고 자발적인 조절이 되지 않는 경우가 평가

기준이다

생식계에서 제시된 장애율은 40-65세를 기준으로 하여 40세 미만은 50의 장

애율을 합산하고 65세 이상인 경우에는 50 장애율을 감산하도록 되어 있다 남

자의 경우 음경은 발기 사정 감각 등의 성기능을 평가하고 외상후 섬유증 탈구 등

에 해당하여 3단계로 구분 하였다 최고 장애율은 20고 성기능이 전혀 없음이다

mdash mdash78

신 장

Class 1 (0-14)

CCr 75-90Lday 증상은 있으나 치료 필요하지 않음 하나의 신장

Class 2 (15-34)

CCr 60-75Lday 증상이 있고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가 요함 신장이식 후

Class 3 (35-58)

CCr 40-60Lday 치료에도 완전히 조절되지 않는 증상을 가짐

Class 4 (60-95)

CCr lt 40Lday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증상을 가짐 투석이 요함

〈표 38〉 비뇨 생식기계의 평가표(AMA 기준 요약)

방 광

Class 1 (0-15)

방광이상 증상이 있고 간헐적인 치료가 요함 정상적인 기능이 남아 있음

Class 2 (16-40)

방광이상 증상이 있고 지속적인 치료가 요함

Class 3 (41-70)

배뇨의 반사적 활동이 없거나 자발적인 조절이 전혀 없음

음낭의 장애는 고환 기능에 이상은 없으나 음낭의 소실 통증 등으로 평가하며 3

단계 구분을 하였다 고환과 부속기는 해부학적 이상과 정액과 호르몬의 기능을 평

가하며 여기에는 부고환염 정자부족증 고환절제술 상태가 해당한다 장애는 3 단

계 구분으로 최고 장애율은 양측 고환이 없고 정액과 호르몬 기능이 없는 경우는

class 3으로 장애율은 16-20이다 최고 장애율은 음경의 장애에 의한 최고 장애

율과 같다 전립선의 경우는 3단계 구분으로 최고 장애율은 20이다

여자는 외성기의 장애는 변형으로 인하여 성행위와 질식 분만 가능성에 대하여

평가를 하고 3단계 분류로 class 3은 장애율이 26-35로 치료에도 조절되지 않는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성행위와 질식분만이 불가능한 경우로 정의하고 있

다 자궁에 관한 장애는 자궁절제술 자궁경부 협착 등이 해당하며 폐경기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장해평가를 하고 있다 3단계로 분류하고 최고 장애율은 35이

다 난소와 나팔관의 기능이나 변형에 대한 평가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폐경기 이

전에 나팔관의 개방성이 없거나 난자의 생성이 불가능하거나 해부학적 소실이 있는

경우가 장애율은 26-35에 해당한다 만일 관련된 호르몬의 기능 이상이 있는 경

우 내분비계에서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여자의 생식기계는 해부학적 부위별로 공

통적으로 3 단계 구분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동일한 정도의 장애율을 제시하고 있다

mdash mdash79

요 도

Class 1 (0-10)

요도이상 증상이 있고 간헐적인 치료가 요함

Class 2 (11-20)

요도이상 증상이 있고 치료에 효과적이지 못함

Class 3 (21-40)

요도이상으로 소변이 새고 자발적인 조절이 되지 않음

음 경(남자)

Class 1 (0-10)

성행위는 가능하나 발기 사정 감각이 어느 정도 불편

Class 2 (11-19)

발기로 성행위는 가능하나 사정과 감각에 결손

Class 3 (20)

성기능이 없음

음 낭(남자)

Class 1 (0-10)

음낭의 일부소실 고환의 기능이상은 없음 고환 위치이상이 있음

Class 2 (11-20)

음낭의 구조적 변형 고환을 음낭 이외에 위치하고 활동시 통증이 있음

음낭의 완전 소실

Class 3 (21-35)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음낭질환으로 신체적 활동에 제약

고 환(남자)

Class 1 (0-10)

고환 부고환 정삭의 해부학적 이상이 있고 지속적인 치료는 필요하지 않고 정액과 호

르몬의 이상은 없음 고환이 하나

Class 2 (11-15)

고환 부고환 정삭의 해부학적 이상이 있고 지속적인 치료가 요하거나 치료가 불가능

하고 정액과 호르몬의 이상이 있음

Class 3 (16-20)

양측 고환이 없음 정액화 호르몬의 기능이 없음

전립선(남자)

Class 1 (0-10)

전립선과 정낭의 이상증상과 해부학적 변형과 지속적인 치료는 필요하지 않음

Class 2 (11-15)

빈번한 전립선과 정낭의 이상 증상과 해부학적 변형과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

Class 3 (16-20)

전립선과 정낭이 없음

mdash mdash80

외성기(여자)

Class 1 (0-15)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이 있으나 치료는 요하지 않고 성행위가 가능하고 출산이 가

Class 2 (16-25)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치료가 요하고 성행위는 가능하나 어려움이 있고 질식

분만에 제한이 있음

Class 3 (26-35)

치료에도 조절되지 않는 음순 질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성행위와 질식분만이 불가능함

자 궁(여자)

Class 1 (0-15)

자궁과 경부의 이상과 변형이 있으나 지속적인 치료는 요하지 않음

치료가 요하지 않는 경부협착 폐경기의 자궁과 경부의 소실

Class 2 (16-25)

자궁과 경부의 이상과 변형으로 지속적인 치료가 요함

주기적인 치료가 요하는 경부협착

Class 3 (26-35)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자궁과 경부의 이상과 변형

완전한 경부 협착

폐경기 이전에 자궁과 경부의 해부학적 기능적 소실

난 소(여자)

Class 1 (0-15)

자궁관 난소의 이상이나 변형이 있으나 치료가 요하지 않음

폐경기 이전에 단일 자궁관과 난소

폐경기 이후에 양측 자궁관과 난소의 기능이 없음

Class 2 (16-25)

자궁관 난소의 이상이나 변형으로 지속적인 치료가 요하나 자궁관의 개방성은유지되

어 배란이 가능함

Class 3 (26-35)

자궁관 난소의 이상이나 변형이 있고 폐경기 이전에 자궁관의 개방성이 없거나 난자

의 생성이 불가능하거나 양측의 해부학적 소실

4 피 부

AMA 5판에서 피부에 대한 평가기준은 8장에서 기술하고 있다 치료 후 회복 단

계를 거친 다음 지속되는 피부의 기능 이상 또는 상실을 말하며 치료의 지속 여부를

mdash mdash81

Class 1

장애율 0-9

Class 2

장애율 10-24

Class 3

장애율 25-54

Class 4

장애율 55-84

Class 1

장애율 85-95

피부질환 징후 및 증상

이 있거나 가끔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상

이 있거나 가끔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상

이 있거나 가끔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

상 항상 있음

피부질환 징후 및 증

상 항상 있음

일상 활동 수행에 전

혀 지장이 없거나 약

간 있음 특정 물리

화학적 발생원에 노

출되면 일시적으로

활동 제한 폭이 커짐

일상 활동 중 일부

제한 있음

일상 활동 중 많은

부분 제한 있음

일상 활동 중 많은

부분 제한 있으며 이

따금 집 또는 기타

장소에 들어 박혀 활

동을 자제해야 함

일상 활동 중 대부분

제한 있으며 이따금

집 또는 기타 장소에

들어 박혀 활동을 자

제해야 함

치료가 필요 없거나

간헐적 치료를 요함

간헐적 치료 또는 지

속적 치료 요함

간헐적 치료 또는 지

속적 치료 요함

간헐적 치료 또는 지

속적 치료 요함

간헐적 또는 지속적

치료 요함

〈표 14〉 AMA Table 8-2 피부질환으로 인한 장해평가기준

막론하고 더 이상의 중대한 변화가 예상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임상적인 평가는

병력과 진찰 진단기법을 이용하여 판단한다 실험실 검사는 부착포 검사 개방검사

단자 검사 피부내 검사 혈청 알레르기 검사 우드등 검사 배양 세균 진균 및 바

이러스 검사 그리고 생검 등이 있다

해당이 되는 영역은 추상(醜相 변형 disfigurement) 흉터 및 피부이식 접촉성

피부염 라텍스 알레르기 피부암 등을 포함하고 있다 장애 판정기준은 AMA기준

5판의 Table 8-2에 제시하고 있다(표 14)

Ⅳ 산재기준과 국내 다른 기준 비교

국내의 장해평가기준은 예시형 등급제도이다 예시형은 장애에 해당하는 참고항

목을 제시하고 그에 해당하는 항목에 따라서 장애의 경중을 나누고 등급을 결정하

도록 하고 있다 예시형은 모든 장애항목의 예를 제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제

시된 항목이 없으면 다른 항목에 준용을 할 수 밖에 없다 장애의 정도는 연속선상

에 위치한 것이지 계단형의 높고 낮음의 비교라고 할 수 없다 산재기준의 장애 등

급표는 1-14급으로 등급이 되어 있다

안과 영역에서 산재 기준은 장애등급이 연속적이지 못하고 단절과 비약이 심하

다 예를 들면 시력장애의 경우 장애등급의 범위는 1-13급이지만 11 12 14 등급

mdash mdash82

은 정해지지 않았다 임상에서 01 이하에서의 시력은 심각한 장애등급에 해당하여

신준을 기해야 한다 하지만 여기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그 차이가 구별하는데 어

려움이 많고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대표적인 예인 두눈이 먼 경우와 한쪽 눈만 먼

경우를 산재기준 장애인복지법 생명보험의 기준을 비교하면 장애 정도나 장애 등

급은 대동소이하다(표 15) 두 눈을 먼 경우는 국내의 모든 평가기준에서 1급이나

100의 장애를 인정하고 있다

산재 기준에서와 같이 시야장애를 단순히 반맹협착 등으로만 판정하기에는 부족

하다 한쪽 눈에만 국한된 시야 장애의 경우에는 등급이 너무 저평가되어 있다 시

야장애의 경우는 외국의 기준인 AMA기준 맥브라이드 평가법과 같은 결손범위 위

치에 따른 산정방법이 필요하다 다른 장애 부분에서도 제시된 항목이 애매한 형용

사형으로 표현되어 그 장애의 정도가 명확하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보면 청력을 잃었을 때의 장애 정도는 매우 상이하다 두

귀의 청력을 잃었을 때는 산재기준에서는 4급이고 장애인복지법에서는 2급으로 정

하고 있다 생명보험약관에서는 80의 장애율을 제시하고 있다 산재기준의 귀의

기능적 장애인 청력에 대해서는 평가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하지

만 평가방법이 피평가자의 주관성에 너무 의존하고 있으며 예시된 항목이 너무 구

체적이다 청력을 두 귀의 장애와 한 귀의 장애를 다르게 분류하여 항목을 제시하

고 있다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예시된 항목

의 분류는 구분이 애매하여 과학적이 못하다

비뇨기계의 장애 항목을 비교하면 양쪽 고환의 상실의 경우 국내 기준의 장애 정

도는 비슷한 정도로 평가되어 있다 하지만 외모에 대한 추상 장애의 경우는 장애

인 복지법에서는 2급의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어 있으나 생명보험약과에서는 15

의 낮은 장애로 평가되어 있다

국내의 장해평가기준의 모태는 산재기준이다 산재기준에서 제시되어 있는 장애

등급의 구분을 다른 평가기준에서 대부분을 받아들이고 있다 등급은 1급에서 14급

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장애항목은 산재기준에서의 항목을 많은 부분을 활용하고

있다 이렇기에 장애상태에 대한 장애정도나 등급은 비슷하다 하지만 추상장애의

경우와 같이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는 평가기준을 만든 주체가 따라 달라지는 것으

로 판단된다 국내의 장해평가기준은 보상이나 배상으로 위한 장애등급이기 때문에

지급의 주체에 의해 변경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의학적인 기준이

mdash mdash83

장 애 상 태 장애복지 산재보험 생보약관

두 눈이 멀었을 때 1급1호 1급1호 100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 X 7급13호 50

한눈이 멀었을 때 6급 7급1호 50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2급 4급3호 80

한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X 9급9호 25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X 12급12 15외모에 뚜렷한 추상(추한 모습)을 남긴 때 2급1호 7급12호 15

〈표 15〉 특수기능 장애의 국내기준 비교

기보다는 단순한 주체의 이익이나 배상의 편익만을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국내 기준에서의 예시형 평가기준은 제시된 항목의 장애 정도를 표기하는데 있어

lsquo뚜렷한rsquo lsquo현저한rsquo lsquo경도의rsquo의 등의 형용사 어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형용사형

표현을 통해 장애의 등급을 결정하는 지표가 된다 예를 들면 입의 장애에 대한 장

애 정도로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모두 영구적으로 잃은 사람 말하

는 기능 또는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영구적으로 완전히 잃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 말하는 기능과 음식물을 씹는 기

능에 장애가 남은 사람 등으로 그 표현이 구체적이질 못하다

이러한 형용사형은 평가자 피평가자가 생각하는 개인차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

일 수 있다 이를 줄이기 위해 산재기준에서는 별도의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평가

자는 예시되어 있는 장애항목을 찾고 이에 대한 장애정도를 다시 지침에서 확인해

야하는 부담이 있다 평가지침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평가자의

주관에 따라서 등급이 결정되어 버리는 편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평가방식은 장해

평가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뇨기계의 장애항목은 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 비장 또는 한 쪽의 신

장을 잃은 사람 생식기에 뚜렷한 장애가 남은 사람의 3가지 항목만 제시하고 있

고 각각의 해당 장애등급은 7 8 9급이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항목은 흉복부 장

기에 장애의 정도에 따라서 준용하도록 하고 있다 준용의 예로 방광기능이 완전히

소실된 경우는 3급 신장의 이상으로 신우루를 낸 경우는 7급으로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제시된 항목의 예가 너무 제한적이다

주 표의 장애상태는 아래를 기준으로 하였음

장애복지법의 장애등급은 다음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음

외모에 뚜렷한 추상을 남긴 때는 lsquo노출된 안면부의 90 이상의 변형이 있는 사람rsquo으로

기준함

산재 보험의 장애등급은 다음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음

mdash mdash84

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는 lsquo양쪽 고환을 잃은 사람rsquo으로 기준함

한눈이 멀었을 때는 lsquo한 눈이 실명되고 다른 눈의 시력이 06이하로 된 사람rsquo으로 기준함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는 lsquo후각상실 또는 코로 숨쉬기가 곤란한 사람rsquo을 기준으

로 하여 준용함

외모에 뚜렷한 추상을 남긴 때는 여자가 기준임

Ⅴ AMA 기준과 다른 기준 비교

AMA 기준과 산재 기준을 비교하면 복잡하고 상위의 장애항목의 장애 정도는 비

슷하다 예를 들어 두 눈이 먼 경우는 산재기준은 1급이고 AMA기준과 맥브라이드

기준도 동일하게 100 장애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하위의 장애를 보

이는 장애 항목의 장애 정도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대표적인 예가 한 귀가 들리

지 않는 경우이다 산재기준에서는 9급의 장애이지만 AMA기준에서는 최대 6의

장애율로 평가가되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표 16)

AMA기준은 상대적으로 과학적이지만 복잡하다 AMA기준은 예시형 백분율제도

라고 할 수 있다 복잡해보이지만 잘 정리된 표를 제시하여 이에 해당하는 장애 급

간(class 1-5)을 선택한다 급간을 선택하고 제시된 장애율 범위에 따라서 급간 내

에서 경중을 결정하여 최종 장애율을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안과영역에 있어 AMA기준은 국내 안과의사에게 인지도가 전혀 없고 시각요소

는 간단해졌지만 계산과정이 복잡하고 시야 측정시간이 매우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시력과 시야를 동시에 평가하여 눈의 보는 일에 대한 평가에 대해 충

실하고 있다 두 눈이 먼 경우에 산재기준과 AMA기준은 최고의 장애 등급으로 평

가하고 있다 하지만 한 눈만 기능이 없는 경우에 대해서는 산재기준은 7급이지만

AMA기준은 35 정도의 장애율로 평가된다 서로 차이는 상당한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청력장애에 있어 AMA기준은 산재기준에 비해 구체적이면서 과학적이다 장애가

일상생활능력의 제한의 정도라고 한다면 한쪽 귀의 청력이상이 있다고 하더라도 반

대쪽 귀가 청력이 명료하다면 일상생활에 큰 제약이 따르지 않는다 산재기준에서

는 한쪽의 청력을 완전히 소실한 경우는 9급으로 평가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를

AMA 기준으로 평가한다면 장애율을 약 5에 해당한다 산재기준과 AMA 기준이

mdash mdash85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일상생활능력에 대한 제약으로 볼 때 한쪽 귀의 청력의 소

실은 AMA기준의 장애율이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AMA 기준에서 비뇨 생식기계는 국소장기 별로 구분하여 장애를 평가한다 장애

율은 국소 장기별로 대동소이하게 평가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산업재해에서는 흉복

부장기의 내에서 아주 작은 항목만 언급하고 있다 AMA 기준과 비교할 때 산업재

해에서 신장과 방광의 기능 장애 정도가 보다 높게 평가되어 있다 그 예로 산업재

해에서는 한쪽 신장을 잃은 사람은 8급(50) 방광 기능이 상실은 3급(장애율

100)으로 평가하고 있다 AMA 기준에서는 같은 평가 항목이라고 할 수 있는 한

쪽 신장만 기능하는 경우는 class 1(0-14) 배뇨의 반사적 활동이 없거나 자발적

인 조절이 전혀 없음은 class 3(41-70)으로 평가하고 있다 산업재해의 장애는

등급으로 제시되어 있어 장애율은 단지 추정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고 장애율이 노

동상실률이라고 할 수 있기에 장기의 전신 대비한 손상율(impairment)인 AMA 기

준과의 비교가 절대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다른 항목을 비교했을 경우도

남자의 경우 양측 고환의 소실은 산업재해에서는 7급(장애율 60)이나 AMA 기준

에서는 class 3(16-20)이다 또 다른 예로 음경의 소실은 산업재해에서는 9급

(40)이나 AMA기준에서는 class 3(20)이다 산업재해의 장애정도가 AMA 기준

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고 할 수 있다

AMA 기준상 비뇨기계 평가는 신장 기능의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크레아

티닌 청소율을 제시하여 객관화 할 수 있으나 다른 항목의 장해평가는 주관적인 증

상에 의한 기능 평가로 객관화 하기 어렵고 모호 한 점들이 존재한다 비뇨기계는

해부학적 부위별로 기능이 다르므로 각각을 평가하는 방법이 타당할 것으로 보이고

생식기계의 해부학적 구분별로 비슷한 장애 구간 (구분)과 장애율를 제시하고 있다

복잡한 다수의 구분 없이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평가 항목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

로도 예상된다

mdash mdash86

장 애 상 태 산재보험 AMA McBride 기타

두 눈이 멀었을 때 1급1호 85 85

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 7급13호20(남)

35(여)40

한눈이 멀었을 때 7급1호 36 24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4급3호 35 100

한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9급9호 6 10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12급12호 29 7외모에 뚜렷한 추상(추한 모습)을 남긴 때 7급12호 15-50

〈표 16〉 특수기능 장애의 외국 기준 비교

주 표의 장애상태는 아래를 기준으로 하였음

AMA 에서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는 lsquo코의 완전 폐색rsquo이 기준임

McBride 에서

장애율은 lsquo전신기능에 대한 장애비율rsquo이 기준임

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는 lsquo고환의 양쪽 소실rsquo이 기준임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는 lsquo호흡장애를 일으키는 비의 손상rsquo이 기준임

장애는 신체 기관이 본래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정신 능력에 결함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장애의 정도는 계단식 구분의 등급보다는 백분율로 표현되어야 한

다고 할 수 있다 14 분류 단계의 장애 정도의 산출은 각 등급에 따라서 보상의 편

리를 위한 행정 편의주의이라고 할 수 있다 주관적인 불편함이나 일상적인 활동

사회적인 참여 노동의 제약의 정도는 구분선이 있다기 보다는 연속선에 있는 정도

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장애 등급에 의한 판정 보다는 백분율의 장애율에 의한

판정이 장애에 대한 개념을 접근하기 위해 적합하다고 할 것이다

Ⅵ 결 론

특수 기능이 담당하는 영역은 특수 감각을 평가하는 부분으로 전문가가 아니면

진단하기 어려운 분야이다 또한 각 병원별로 진단에 따르는 장비나 기구가 구비되

어 있는 면에서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 여건에 비교적 간단한 장비나 기구를 이용

하여 장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기준을 개발하여야할 것이다

국내에는 많은 장해평가기준이 있다 국내에서 개발된 기준은 예시형 등급제도로

평가자에 따라 등급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개발된 장해평가는 보상이나

배상을 위한 평가 기준이었다 이렇게 개발된 장해평가기준은 개발자(보험회사 공

mdash mdash87

단 행정부)의 주관이 많이 개입할 수밖에 없는 태생적인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장애에 대해서 의학적인 관점에서 객관적인 기준이 개발되어야 한다 순순한 의

미의 신체장애율을 구할 수 있는 장해평가기준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의학은 과학이다 과학은 진보한다 과학을 바탕으로 한 의학도 진보하고 발전하

다 진단 기술뿐만 아니라 치료에 필요한 약물 수술기법 재활치료법 등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에 따라서 신체기관의 중요도가 달라졌다 정량적인 수

치로 인체의 기관을 나열하여 등급을 매길 수는 없다 하지만 동시대 의사나 일반

인이 느끼는 중요도는 순위를 정하거나 정량화할 수 있다 또한 시대가 변화하면서

발전하는 복지 제도에 따라 신체적인 결함에 따른 불편함의 정도가 변화할 수 있

다 그리고 사회문화적인 차이에 따라서 신체 결함에 대한 불편함은 다를 수 있다

위에서 각 장애 기준의 비교에서와 같이 장애등급이나 장애율이 서로 상이한 경

우가 많다 의학적이 관점에서 장애를 평가하는 기준을 만들고 국내 정서와 현실을

반영하는 장애정도나 장애율을 제정해야 할 것이다 AMA 기준방식의 장해평가 방

법은 과학적이며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고 의학적인 관점에서 개발된 평가기준이

다 하지만 AMA기준은 외국의 기준으로 국내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 장애에

대한 문화환경적 차이 의학적 수준의 차이로 인해 인지되는 장애의 정도는 다르다

또한 평가자가 어렵게 생각되고 모호성이 있다면 평가기준으로 합당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객관적인 의학적 지식으로 개발되었고 최근까지 개정된 기준이므

로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 현실을 반영하는 장해평가 항목과 그 장애 정도에 따

른 장애율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mdash mdash89

제 5 장 장애인지도 조사 설문

I 서 론

장애는 그 특성상 주관적인 면이 강하다 이를 객관화해야만 다른 사람들의 공감

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주관과 객관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주관과

객관을 어우르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접근 방법에 의한 특정 작업 특히 일상생활을

수행함에 따른 어려움의 정도에 대한 측정과 사회나 문화가 주는 편견이나 스트레

스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한 사회의 장애에 대한 인지도가 장해평가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에 이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현재의 여건과 문화적 여건에

합당한 장해평가기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근본 목적은 장해인지도

조사를 위한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이차년도에 시행할 설문지를 만드는 것이다 이

를 위해서는 매우 다양한 장애의 종류와 정도를 비교적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

록 설문을 만들어야 한다 한편 의학적 지식이나 상식이 부족한 국민들에게 심도

있는 질문과 답변을 구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어려움과 문외한인 일반 대중의 적

극적인 답변만으로 실제 우리나라 국민들의 장애 인지도를 평가할 때에는 현실과

동떨어진 편향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신체

와 신체 여러 부위의 구조나 기능에 대한 지식이 갖추어진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해

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장해평가나 의료 감정에 관심이 있는 의사들을 대상으로

주사를 수행하고 여기에서 얻은 자료를 취합하여 이중에서 대표적인 장애를 선정하

여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 이용함이 더 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40~50문항에 해당하는 전문가용 설문을 마련하고 이를 연내에 100명 이상의 전문

의를 대상으로 하여 의견을 취합함이 더 적절하다고 본다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성

인의 평균적인 상식에 의해 쉽게 파악하고 답변할 수 있는 뚜렷하며 대표적인 장애

를 기준으로 하여 설문에 답하는 국민들이 비교적 성실하게 답할 수 있도록 쉽고

간단한 문항을 개발해야만 한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합리적인 기준으로 미국

의학협회가 2000년에 발행한 AMA Guide 5판을 선택하였다 한편 장해평가제도

나 기준에 대한 문헌 조사와 고찰을 통해 이 기준을 선택한 이론적 근거와 타당성도 충

분히 밝히고자 한다 이 기준은 가장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공인된 기준이다 또한

mdash mdash90

이 기준은 자세하고 객관적이며 구체적이어야 한다는 조건도 만족한다 다만 우

리나라 현실에도 맞고 되도록 간편해야 한다는 기준에는 맞지 않다 우리나라 현

실에 맞도록 변형을 해야 하며 방대하고 복잡한 평가 기준과 방법을 간략하게 압

축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간편하여 이용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 동안 많이 이

용해 왔던 맥브라이드나 우리나라 산재 기준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장애

를 평가할 의사들에게 익숙한 방법이 아니면 의사들에게 외면을 당할 수 있다 그

렇게 되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장해평가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1 장애계열과 계열별 중요도

〔그림 1〕 운동 및 감각 축소 모형 인간과 뇌 피질 분포

대뇌의 피질에는 운동 축소인간(motor homunculus)과 감각 축소인간이 있다 이

는 신체 각 부위를 담당하는 대뇌 피질 영역을 그림으로 표시한 것으로 감각과 운

동에 대한 생리적 중요도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왼쪽의 운동 축소

mdash mdash91

인간의 중요도는 운동 부분에 한정된 것이며 윗 그림의 왼쪽 운동 축소인간의 손

크기에 비해 오른쪽 감각 축소 인간의 손 크기는 작다 또한 감각 중에서도 시각은

감각 축소 인간에서도 제외되어 있으며 대뇌피질 중 후두엽이 통째로 시각을 맡고

있음을 고려하면 ldquo몸이 천 냥이면 눈이 구백 냥rdquo이란 속담을 어느 정도는 수긍할

수 있다 다만 시각 소실이 인체 능력 중 90를 차지한다고 평가할 수는 없으며

생리적 중요도는 환경적 요인이나 문화적 요인 등이 배제된 것이므로 장애의 중요

도를 평가할 때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 구체적인 중요도는 설문조사를 통해 구해야

할 것이다

2 설문 조사를 위한 초안

15개 장해계열 중 심혈관계 호흡기계 소화기계 비뇨생식기계 피부 조혈계 내

분비계 등은 모두 인체의 특정 부위의 기능에만 장애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전신

적인 기능 장애를 가져와서 각 계열별로 0부터 100까지 장애가 발생할 수 있

다 또한 이들 장기의 기능은 생존에 모두 필수적인 요소들로 사실상 우열을 평가

할 기준이나 근거가 거의 없고 구태여 우열을 가려야 할 필요도 크지 않다 AMA

기준에 제시된 방법과 원칙에 따라 그대로 준용해도 큰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예상

되나 우리나라 현실에서 유용한 진단 방법에 의해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방법

에 따른 평가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이비인후과계 시계(視界

visual system) 신경계 정신(행동)계 척추 상지 하지의 경우에는 한 부위의 기능

완전 소실이 사람의 기능 완전 소실이 되지는 않기 때문에 이 경우에 신체 부위의 중요

도를 설문을 통해 조사할 필요가 있다 통증의 경우에는 객관적으로 표시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 해당하여 장해평가시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것이다

3 요 약

인체 모든 장기에 각기 다른 종류의 장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장해평가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이 매우 낮아 연구자도 적고 연구할 수 있는 여건도

매우 열악하다 그 동안 이 분야에 대한 관심과 연구들은 주로 산업재해나 교통사

고와 관련하여 외상을 다루는 전문과목 전문의들에 의하여 많이 시도 되었다 실무

mdash mdash92

상에도 이들 분야의 장해평가 빈도나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활용 면에서 보면 이

분야의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적절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보험 상품의 개발로 외상성 손상만이 아니라 질환이나

암까지도 장해여부나 정도 또는 인과관계 등에 대한 검토가 많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가장 공인된 기준을 도입하여 충분히 논리적인 근거에 의해 우리나라 여건에

맡도록 다듬어서 활용하면 가장 좋은 방법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되지만 아무리

좋은 기준을 개발하더라도 그 기준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지 못하면 쓸모가 없게 된

다 이를 위해 장해평가시 합당한 대우가 주어져야 할 것이며 장해평가기준과 실습

의 기회가 적절히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국공립 의료기관 보건소 또는 산재

자문의가 되기 위해서는 장해평가에 대한 지식을 갖추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미

국 영국 캐나다 및 호주 등과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장해평가에 대한 지식과 수련

을 체계적으로 마친 사람들에 대한 전문의 또는 인정의 제도의 도입에 대해서도 장

기적으로 검토해 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mdash mdash93

Ⅱ 전문가용 설문

설문 1)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은 경우(팔은 견관절 이단 다리는 고관절 이

단을 말함) 100 장애율이라고 할 때 다음 장애는 상대적 장애율은 어느 정도에

해당된다고 생각됩니까

100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음------------------------(100)

(1) 2 팔과 1 다리 잃음--------------------------( )

(2) 1 팔과 2 다리 잃음 -------------------------( )

(3) 1 팔 1 다리 잃음 ---------------------------( )

50

(4) 두 팔만 잃음-------------------------------( )

(5) 한 팔만 잃음-------------------------------( )

0 장애 없음-------------------------------------( 0 )

(6) 잘 모르겠다 ------------------------------( )

설문 2) 두 팔을 모두 잃은 사람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은 사람의 장애정도는

(1)두 팔을 잃은 사람이 크다( )

(2)두 다리를 잃은 사람이 크다( )

(3)서로 같다( )

(4)잘 모르겠다( )

설문 3) 생활 여건의 변화에 따라 발이나 다리의 기능에 비해 팔과 손의 기능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특히 전산화의 영향으로 뇌와 손가락의 기능이 다른

mdash mdash94

장기의 기능 보다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장애인의 이

동권이 보장되지 않아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다 목숨을 잃는 장애인도 있습니다

팔과 다리의 기능을 비교하면 다음 중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1) 팔 다리 = 40 60( )

(2) 팔 다리 = 45 55( )

(3) 팔 다리 = 50 50( )

(4) 팔 다리 = 55 45( )

(5) 팔 다리 = 60 40( )

(6) 잘 모르겠다( )

설문 4) 한쪽 팔을 잃었을 때에는 다른 쪽 팔로 어느 정도의 일은 할 수 있습니다 그

러나 양쪽 팔을 잃었을 때에는 할 수 없는 일이 훨씬 더 많아집니다 한쪽 팔을 잃었을

때 노동력 상실을 10으로 할 때 양쪽 팔을 잃었을 경우의 노동력 상실은 어느 정도라

고 생각 하십니까

(1)10+10 = 20( )

(2)10+15 = 25( )

(3)10+20 = 30( )

(4)10+25 = 35( )

(5)20+20 = 40( )

(6)잘 모르겠다( )

설문 5) 한쪽 다리를 잃었을 때에는 다른 쪽 다리만으로는 보행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습니다 물론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걸을 수도 있으나 양쪽 다리를 잃었을 때에는 한

쪽 다리만 잃었을 때 보다 불편이 훨씬 더 커집니다 한쪽 다리를 잃었을 때 노동력 상

실을 10으로 할 때 양쪽 다리를 잃었을 경우의 노동력 상실은 얼마나 된다고 보십니

(1) 10+10 = 20( )

(2) 10+15 = 25( )

(3) 10+20 = 30( )

(4) 10+25 = 35( )

mdash mdash95

(5) 20+20 = 40( )

(6) 잘 모르겠다( )

설문 6) 경추나 요추 염좌가 있었던 환자한테도 후유 장해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습

니까

(1) 있다( )

(2) 없다( )

(3)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 )(설문 7로 간다)

(4) 잘 모르겠다( )

설문 7) 설문 6에서 3번을 택하셨다면 어떤 경우에 장해가 있다고 평가하고 장애율

은 어느 정도가 적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후유장해라고 평가할 수 있는 조건은 답 ( )

(2) 장애율 답 ( )

설문 8) 관절 강직은 인공 관절을 이용하여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교정 할 수 있게 되

었습니다 그러나 인공 관절이 모두 성공하는 것은 아니며 영구적이지도 않습니다 관

절 완전 강직을 100으로 볼 때 인공 관절을 이용하는 경우 장해평가에서 어느 정도로

평가 하시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결과가 좋으면 75 결과가 나쁘면 100( )

(2) 결과가 좋으면 50 결과가 나쁘면 75( )

(3) 결과가 좋으면 25 결과가 나쁘면 50( )

(4) 결과가 좋으면 0 결과가 나쁘면 100( )

(5) 기타 결과가 좋으면 ( ) 결과가 나쁘면 ( )

(6) 잘 모르겠다( )

설문 9) 강직성 척추염처럼 모든 척추분절이 고정된 경우 아래 항목 중에서 어느 항

목과 비슷한 정도의 장해로 평가할 수 있습니까

(1) 완전한 시력의 소실( )

(2) 완전한 청력의 소실( )

mdash mdash96

(3) 양쪽 하지의 완전마비( )

(4) 양쪽 상지의 완전마비( )

(5) 성기의 소실로 인한 성기능의 소실( )

(6) 잘 모르겠다( )

설문 10) 다음 각 항목에서 둘 중 하나의 장애를 택해야 한다면 더 낫다고 생각

되는 장애에 표시하고 그 비율을 표시하세요 (나은 쪽의 숫자가 작도록 하여 비율

은 그 합이 10이 되도록 하세요)

예 한 팔 잃음 ( V )- 두 다리 잃음 ( ) = 3 7

(1) 1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 ( ) ( )

(2) 1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 ( ) ( )

(3) 2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 ( ) ( )

(4) 2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 ( ) ( )

설문 11) 상지에서 동일 부위의 장애 중 절단을 100라 했을 때 강직 마비의

상대적 장애는 어느 정도로 생각하십니까 기능이 없는

(1) 어깨 관절 절단 - 어깨 강직 - 견관절 이하 마비

( ) - ( ) - ( )

(2) 팔꿈치 관절 절단 - 팔꿈치 관절 강직 - 주관절 이하 마비

( ) - ( ) - ( )

(3) 손목 관절 절단 - 손목 관절 강직 - 손목관절 이하 마비

( ) - ( ) - ( )

(4) 전체 손가락 절단 - 전체 손가락 강직 - 전체 손가락 마비

( ) - ( ) - ( )

설문 12)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설문입니다 제 1지 절단(중수지

관절 절단)을 100 이라 설정했을 때 다른 손가락의 학습된 시각이 아닌 한국인의

일상생활을 감안하여 상대적 중요성을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1) 제 2지 절단 --- ( )

mdash mdash97

(2) 제 3지 절단 --- ( )

(3) 제 4지 절단 --- ( )

(4) 제 5지 절단 --- ( )

설문 13) 현재 사지에 대한 장해의 판정은 해당되는 부분의 전체 기능상실이 정

해져 있으며 병합 합산한 기능장해가 그 범위를 넘을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습니

다 예를 들어 비정상적인 위치에서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 및 족부가 강직되어 있

더라도 고관절 이단에 해당되는 40가 최대치로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병합합산

의 한계치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기능적인 장해가 절단을 초과할 수는 없다( )

(2) 기능적인 장해가 절단을 초과할 수 있다( )

2를 선택하신 경우 그 최대치가 너무 높은 경우를 만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1) 병합 합산한 그대로 인정되어야 한다

(2) 기능적인 평가의 한계치를 따로 설정해야한다

2를 선택하신 경우 그 최대치의 한계를 설정한다면

(1) 절단 최대치의 110( )

(2) 절단 최대치의 120( )

(3) 절단 최대치의 150( )

(4) 절단 최대치의 ( )

설문 14) 장해의 판정은 치료가 종결되고 증상이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합니

다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치료의 종결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예

를 들어 골이식술 및 수차례의 수술적 요법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경골 불유합의

경우) 장해판정의 적절한 시기는 언제로 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1) 치료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시간에 관계없다( )

(2) 치료가 가능하더라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의 상태에는 판정하는 것이 옳

다( )

(3) 치료 횟수나 기간에 상관없이 환자가 원하는 경우에 판정한다( )

(4) 몇 차례의 치료와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가능하다( )

mdash mdash98

상기문항 중 2나 4를 선택하신 경우 치료의 횟수나 기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됩니까

(1) 1회의 치료 1년 이상( )

(2) 2회의 치료 2년 이상( )

(3) 3회 이상의 치료 3년 이상( )

(4) ( )회 이상의 치료 ( )년 이상

설문 15) 장해의 판정은 치료가 종결되고 증상이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합니

다 말초신경손상 중 총비골신경손상의 경우 족하수가 발생하며 이 경우에는 최소

15 최대 19의 신체능력상실율이 있습니다 그러나 하지의 관절 중 족관절의

경우 적절한 범위에서 강직된 경우 전신체에 대하여 4의 신체능력상실이 있으며

최대치는 25로 기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치료의 종결시점을 어느 때로 보

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신경에 대한 치료가 종결되고 족하수 증상이 고정된 시점( )

(2)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족관절 고정술을 시행한 시점( )

(3) (1)(2) 모두 가능하다( )

설문 16) 장애판정은 현재의 상태뿐 아니라 보상적인 측면도 생각하는 경우가 있

습니다 복합 장애 판정의 경우 산술적으로 계산하다보면 범위로 판정하게 되는 경

우가 생기는데 이 경우 적절한 판정의 선택은 어떻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십니까

(1) 상위의 범위를 선택한다( )그 이유( )

(2) 평균적인 중간을 선택한다( )

(3) 하위의 범위를 선택한다( )그 이유( )

(4) 범위를 모두 기술한다( )

설문 17) 인공관절 치환술에 대한 장해판정의 경우 재치환술 여부에 상관없이 일

률적인 판정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재치환술의 경우 그 예후나 경과가 최초와

다른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장해의 판정에 대한 견해는 어떻습니까

(1) 기능적 평가보다는 관절운동범위로 판정하는 것이 옳다( )

(2) 현재의 기준대로 기능적 평가만을 시행하는 것이 옳다( )

(3) 재치환술의 경우 일정비율로 가중치를 산정하는 것이 옳다( )

(4) 현재의 기능적 평가에 추가로 나타나는 증상을 병합 합산하는 것이 옳다( )

mdash mdash99

설문 18) 슬관절 인대손상 중 십자인대 손상의 경우 현재는 이완정도와 관절운동

범위로 판정하도록 되어 있는데 현대의학적인 견지에서 인대재건술을 시행한 경우

이 항목에 대한 판정의 적절성은 어떠합니까

(1) 현재의 기준이 타당하다( )

(2) 인대재건술의 경우 인공관절 항목처럼 기능적 평가가 적용되어야 한다( )

(3) 다른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 )

설문 19) 장해를 판정하는 경우 객관성과 재현성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예를 들

어 근력손상의 정도나 보행이상을 판정하는 경우 주관적 증상이 판정의 인자로 작

용하여 범위를 선택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 장해를 판정하는 입장에

서 수용할 수 있는 오차의 범위는 최종적으로 어느 정도로 보십니까

(1) 오차 없이 완벽한 재현성이 있어야한다( )

(2) 3이내는 수용 가능하다( )

(3) 5이내는 수용 가능하다( )

(4) ( )이내는 수용 가능하다( )

설문 20) 44세 남자(기계공)가 연하곤란(음식물 삼키는 것이 힘듦) 증상을 호소

하여 진찰결과 이상소견을 발견 못하였고 위내시경과 위투시검사에서 위하수 진단

을 받았습니다 상기 환자는 현재 증상은 없습니다 이런 경우 장애율의 판정시 몇

에 해당될까요 (참고 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

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

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설문 21) 40세 여성(바텐더)이 3년동안 10여회의 간헐적 심와부 통증(주로 식사

후 발생)을 호소합니다 상기인은 2년전 담낭절제술을 시행받았고 이학적 검사상

특이소견이 없고 혈액검사상 아밀라제(췌장효소)가 상승되어 재발성 급성췌장염의

진단을 받았습니다 상기환자에게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

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5 다 10 라 15 마 기타 ( )

mdash mdash100

설문 22) 40세 남자로 10년간 간헐적인 궤양증상이 있었으며 3차례 수혈이 요구

되는 출혈이 있었습니다 또한 한차례 소장폐색증상으로 입원치료 받은 병력이 있

습니다 상기인은 수술적 치료를 거부하고 있으며 이 경우 지속적인 내과적 약물치

료가 요구됩니다 178cm크기로 59Kg이며 이상 체중보다 7 부족한 상태입니다

또한 상부소화관 투시검사상 상당한 십이지장궤양소견(변형)이 발견되어 재발성 활

동성 십이지장궤양으로 진단되었습니다 상기환자에게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

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설문 23) 38세의 남자로 지속적인 설사가 있으며 3년전 크론씨병으로 소장(회

장)부분 절제및 문합수술을 받았습니다 수술 후에도 재발되어 설사와 복통이 반복

되는 상태입니다 소장투시검사 결과 부분적으로 소장의 폐쇄가 있어 재발된 크론

씨병으로 진단되었으나 내과적 치료로 완치가 힘들고 무한정 수술을 받을 수 없는

상태입니다 상기환자의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

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

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20 나 40 다 60 라 80 마기타 ( )

설문 24) 여러 가지 원인으로(질병 사고등) 소장의 대량절제술후 서로 문합하면

소장이 거의 남지 않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소장이 없으면 음식물을 섭취해도 흡수

가 되지 않아 영양결핍상태가 되므로 경구영양공급만으로 부족하여 혈관내로 영양

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합니다 즉 환자는 평생 정맥주사를 통한 영양공급을 받

아야하는데 이 경우 장애율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

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10 나 20 다 30 라 40 마기타 ( )

mdash mdash101

설문 25) 45세 남자로 항문주위 농양이 있어 5년전 수술을 시행받았고 이후 재

발되어 1년전 치루절개술을 시행받았습니다 현재는 항문주위 감염소견이 없고 항

문괄약근 기능도 정상입니다 직장경검사상 항문주변을 수술한 흔적이 있는 것 외

에는 정상입니다 상기환자의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

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5 다 10 라 15 마 기타 ( )

설문 26) 56세 남자로 항문주위 농양이 있으며 3년동안 수차례 재발되었다 이

학적 검사결과 치루 외공이 4개가 각각 항문주위에서 발견되었고 2차례 수술적 치

료를 시행한 병력이 있었습니다 현재 항문괄약근 조절기능이 소실되어 배변실금현

상이 있어 속내의에 변이 뭍습니다 따라서 반복된 치루수술로 항문괄약근 기능이

상실된 배변실금으로 진단받았습니다

상기환자의 적절한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10 나 20 다 30 라 40 마 기타 ( )

설문 27) 장루환자는 장루로 인하여 개인적 활동 가정생활및 사회생활 그리고

직업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목욕 수영 성행위 등 개인생활 뿐만아니라 사

회생활이나 직장생활 등에서 냄새가 나고 장루백을 수시로 갈아야하는 불편함이 있

습니다 육체적 노동자라면 무거운 것을 드는 행위는 장루주위 탈장을 유발하므로

작업환경을 바꾸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장기간 여행시 장루주위를 위생적으로 처

리할 물품의 준비 등이 요구됩니다 이런 장루환자의 장애률은 다음준 어느 것과

동일한 장애정도로 생각됩니까

가 한 쪽 청력의 마비

나 양 쪽 청력의 마비

다 한 쪽 시력의 마비

mdash mdash102

라 양 쪽 시력의 마비

마 한 쪽 상지의 마비

바 양 쪽 상지의 마비

설문 28) 35세 남자로 황달 복수 식도 정맥류 출혈이 없고 영양결핍도 없으나

간기능 검사상 AST가 70UL으로 상승되어 있고 황달수치인 총 빌리루빈이

21mgdl로 상승되었습니다 또한 B형간염항원이 양성으로 판정되어 만성 B형간염

으로 진단되었습니다 상기 환자의 장애율 판정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

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설문 29) 55세 여자환자로 5년간 담낭염을 앓았습니다만 종교적 이유로 치료를

거부합니다 상기 환자는 우상복부 통증과 오심 구토 발열 황달 짙은 소변 색깔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있으며 혈액검사상 황달수치가 상승되고 간기능이 악화된 소

견을 보이며 간생검소견상 심한 간경화 소견을 보입니다 따라서 진단은 폐쇄성 황

달을 동반한 간경화입니다 상기환자의 장애율은 (참고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

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니다)

가 20 나 40 다 60 라 80 마 기타 ( )

설문 30) 50세 남자로 우측 사타구니의 반복적 돌출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지

않았습니다 상기 탈장은 복압의 상승시 쉽게 튀어나오지만 자세를 누우면 통증없

이 다시 복강내로 들어갑니다 진단은 복구가능한 우측 서혜부 탈장입니다 (참고

미국 의사협회의 기준장애율 판정시 양쪽 청력 완전 소실인 경우 35 양안실명은

85 눈 한쪽을 완전히 상실했다면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

가 적용됩니다)

가 0 나 10 다 20 라 30 마 기타 ( )

mdash mdash103

장 애 구 분 1급 2급 3급 4급 5급

심혈관계

(심장판막 관상동맥

심근병증 선천성 심

막성 부정맥 고혈압

심혈관 대동맥 및 심

장) 질환

0~( ) ~( ) ~( ) ~100 -

말초혈관계

팔 및 다리

0~9 10~39 40~69 70~89 90~100

팔 60

다리 40

호흡계

폐동맥 고혈압

천식 및 COPD

0~( )

0~( )

~( )

~( )

~( )

~( )

~100

~100

-

-

소화계

상부소화관결장직장 0~( ) ~( ) ~( ) ~75 -

항문질환 0~( ) ~( ) ~( ) - -

간 및 담도 질환 0~( ) ~( ) ~( ) ~95 -

헤르니아 0~( ) ~( ) ~( ) - -

혈액 조혈계

빈혈

백혈구혈소판출혈병

0~( )

0~( )

~( )

~( )

~( )

~( )

~100

~100

-

전문가용 설문 31) 다음의 표는 각 질환에 의한 장애로 인한 전신 장애율을 표시

한 것 입니다 3급 이상인 경우가 중증 장애에 해당하는 경우 입니다 ( )의 전신

장애율 를 적어보시오 lsquoAMA 가이드rsquo는 한 팔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이고 이에 해당하는 전신 장해는 60 한 다리 장해에 대해 부여할 수

있는 등급의 최대치는 100이고 전신 장해 40에 해당 합니다(참고사항 lsquoAMA 가

이드rsquo의 장애율 판정시 양측 청력의 와전 소실은 전신 장애율 35 양측 시력 상실은

85 일측 시력 상실은 24 다리 한쪽을 엉덩이 부분까지 잃었다면 40가 적용됩

니다)

mdash mdash104

내분비계

시상하부뇌하수체축

갑상선 질환

부갑상선 항진증

부갑상선 저하증

부신피질 항진증

부신피질 저하증

당뇨질환

저혈당증

0~( )

0~( )

0~( )

0~( )

0~( )

0~( )

0~( )

0~( )

~( )

~25

~( )

~20

~39

~29

~( )

~50

~50

-

~90

-

-

~90

~( )

-

-

-

-

-

-

-

~40

-

-

-

-

-

-

-

-

-

외과적 처치

식도 및 위 조루술

공장 및 회장 조루술

회장 항문 연결술

결장 조루술

( )~15

( )~20

( )~20

( )~10

-

-

-

-

-

-

-

-

-

-

-

-

-

-

-

-

설문 32) AMA 기준에 따르면 정신(행동)장애에 대해서는 장애의 내용과 정도를 구

체적인 서술로 적고 구태여 백분율로 표현된 장애율을 구하지 않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다음 중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1) 가볍다(13) 보통이다(23) 심하다(33) 등 세 단계 정도로 구분한다

(2) 가벼움(14) 보통(24) 심함(34) 매우 심함(44) 4단계로 구분한다

(3) 5단계 이상으로 구분하여 등급을 제시한다

(4) 백분율을 정하고 백분율로 표현한다

(5) 장애내용을 자세히 기록하고 백분율은 구하지 않는다

설문 33) 중추신경계 기질성 장애의 장애율을 구할 때 이론상 기질성 장애는 0부

터 100까지 가능하지만 실제로 구체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특징적 소견이 한정되어

가벼움 보통임 심함 매우 심함 등의 4 단계로 구분하였을 때 그 장애율을 어떻게 정

하는 게 좋겠습니까

(1) 25 50 75 100 등 고정 값이 좋다

(2) 25 50 75 100로 정하고 5 가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mdash mdash105

(3) 20 45 70 95로 정하고 5 가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4) 15 40 65 90로 정하고 10 가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5) 0~25 25~50 50~75 75~100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한다

설문 34) 두 귀 중에서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이 완전한 청력이 상실된 경우입

니다 산재 기준의 장애등급은 9급(장애율로 환산하면 40)이고 AMA기준으로 평

가하면 장애율은 6입니다 어느 기준이 더 합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산재 기준이 합당하다( )

(2) AMA기준이 합당하다( )

(3) 두 기준 모두 합당하지 않다( )

위 문항에서 3) 두 기준 모두 합당하지 않다고 답하신 경우만 해당합니다 두 귀

중에서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이 완전한 청력이 상실된 경우에 어느 정도의 장애

율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0( ) (2) 5( ) (3) 10( ) (4) 20( )

(5) 30( ) (6) 기타 ( )

설문 35) 양쪽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경우 AMA기준에서 장애율은 35입니

다 같은 경우에 산재 기준은 4급(장애율로는 90)입니다 어느 정도의 장애율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25( ) (2) 35( ) (3) 50( ) (4) 65

(5) 기타 ( )

설문 36) AMA기준에서 청력장애의 평가 공식은 (5밝은 귀의 청각 장애율 +

어두운 귀의 장애율)6입니다 이 공식으로 평가하면 청력 장애의 장애율은 0에서

35(양쪽 귀의 청력을 완전히 소실된 경우)입니다 밝은 귀의 청력에 더 비중을 두

어 평가하여 장애율을 구하는 방식은 합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AMA기준은 합당하다( )

(2) 밝은 귀와 어두운 귀의 비중을 같이 두어야 한다( )

mdash mdash106

(3) 밝은 귀의 장애에 AMA기준보다 더 비중을 두어야 한다(가산숫자인 5보다

커야 한다)( )

(4) 밝은 귀의 장애에 비중을 두어야 하지만 AMA기준보다 적게 비중을 두어야

한다(가산숫자인 5보다 작아야 한다)( )

(5) 잘 모르겠다( )

설문 37) AMA기준(5판)에서 눈의 기능적 평가는 시력검사와 시야검사로 평가합니

다 시력점수(Visual Acuity Score VAS)를 각각 눈에 대해서 평가하여 제시된 점수를

이용하여 주어진 공식인 (VAS두 눈3 + VAS오른쪽 눈1 + VAS왼쪽 눈1)5로 시력기능점

수(Functional Visual Score FVS)를 구합니다 두 눈에 의한 시력에 더 비중을 두는

공식입니다 시력기능점수를 환산하는 공식이 합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이전 판(4판)까지는 (3보다 좋은 눈 + 1보다 나쁜 눈)4로 기능점수를 환산하였

습니다)

(1) 합당하다( )

(2) 합당하지 않다( )

(3) 잘 모르겠다( )

설문 38) 벨마비(Bells palsy)로 인해 얼굴 한 쪽의 완전한 운동마비가 있다 이

경우에 적합한 장애율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AMA기준은 약 15 정도의 장애율입니다)

(1) 10( ) (2) 15( ) (3) 20( ) (4) 25( )

(5) 30( )

설문 39) 비뇨기계 (신장 요관 방광 및 요도)의 장애에 의한 일상생활 능력의 제약

은 다음 어느 신체기관의 장애에 의한 제약의 정도와 같다고 생각하십니까

(1) 한쪽 시력의 장애( ) (2) 양쪽 시력의 장애( )

(3) 한쪽 청력의 장애( ) (4) 양쪽 청력의 장애( )

(5) 한쪽 하지의 장애( ) (6) 양쪽 하지의 장애( )

(7) 한쪽 상지의 장애 (오른쪽)( ) (8) 한쪽 상지의 장애 (오른쪽)( )

(9) 양쪽 하지의 장애( )

mdash mdash107

설문 40) 설문 6)의 9개의 항목에서 장애율이 크다고 생각하는 순서대로 나열해 보

세요 (장애율이 높은 항목에서 작은 항목 순으로)

( )

설문 41) 만성 방광염으로 빈뇨가 있는 경우 장애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까

(1) 있다( ) (2) 없다( )

(3) 빈뇨의 정도에 따라서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 )

만일 3으로 답하였다면 어느 정도의 빈뇨가 있으면 장애가 있다고 평가하고 장애율

은 어느 정도가 적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빈뇨의 정도 답 ( )시간마다

(2) 장애율은 답 ( )

설문 42) 폐경기 이전의 여성에서 다음의 항목 중에서 장애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

세요 (장애율이 높은 항목에서 작은 항목 순으로)

(1) 자궁이 없다( )

(2) 양쪽의 난소와 자궁관이 없다( )

(3) 질의 기형으로 성행위가 불가능하다( )

(4) 위 3가지 항목 모두 같은 정도의 장애이다( )

설문 43) 비뇨기계의 장해평가를 신장 및 요관 방광 요도의 세 가지로 분류하는 것

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 합리적이다( )

(2) 불합리하다 (비뇨기계 하나로 평가하도록 해야 한다)( )

(3) 불합리하다 (신장 및 요관 방광 및 요도의 두 가지로 분류해야 한다)( )

(4) 기타 ( )

mdash mdash108

Ⅲ 일반인용 설문

설문 1) 양쪽 팔과 양쪽 다리를 모두 잃은 경우(팔은 어깨에서 다리는 엉덩이에

서 잘려나감) 100 장애율이라고 할 때 다음 장애는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의 장애

로 봐야 하나

100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잃음------------------------(100)

(1) 2 팔과 1 다리 잃음---------------------( )

(2) 1 팔과 양쪽 다리 잃음 -------------( )

(3) 1 팔 1 다리 잃음 -------------( )

50

(4) 양쪽 팔만 잃음---------------------( )

(5) 한 팔만 잃음----------------------( )

0 장애 없음---------------------------------( 0 )

[목적] 상지와 하지의 비중을 알고자 함

[배경] 현재 산재에서는 두 팔을 팔꿈치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과 두 다리를 무

릎관절이상에서 잃은 사람이 모두 장애율 100로 5050이지만 AMA기준에 따르

면 상지하지가 6040으로 상지의 비중이 큼 장애인 이동권이 보장된 경우라면 상

지의 비중이 크지만 이동권이 심하게 제한될 경우에는 하지의 비중이 더 클 수 있음

설문 2) 다음 각 항목에서 장애가 덜 심하다고 생각되는 장애에 표시하고 그 비

율을 표시하세요 (나은 쪽의 숫자가 작도록 하여 비율은 그 합이 10이 되도록 하

세요)

예 한 팔 잃음 ( V )- 두 다리 잃음

mdash mdash109

(1) 1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2) 1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3) 2 팔 잃음 ( )- 2 다리 잃음 ( )

(4) 2 팔 잃음 ( )- 1 다리 잃음 ( )

설문 3)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설문입니다 첫 번째 손가락을 잃

었을 때를 100 장애라고 하면 다른 손가락을 잃었을 때는 몇 로 봐야 합니까

1) 제 2지 절단 --- ( )

2) 제 3지 절단 --- ( )

3) 제 4지 절단 --- ( )

4) 제 5지 절단 --- ( )

[목적] 상지와 하지의 비중과 함께 동반 손상시의 비중 변화를 알고자 함

[배경] 상지와 하지에 대한 비중을 파악한 후 일측 또는 양측 손상시 느끼는 비

중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하지와 상지의 비중을 감안하여 판단하도록 한다 현

재는 맥브라이드에서 상지 장해평가에서만 열성 상지에 대한 장애율 감소(90)를

적용하고 있으며 AMA와 국내법에서는 이에 대한 가감 없음

설문 4) 상지에서 동일 부위의 장애 중 절단을 100라 했을 때 강직 마비의

상대적 장애는 어느 정도로 생각하십니까 기능이 없는

(1) 어깨 관절 절단 - 어깨 강직 - 견관절 이하 마비

( ) - ( ) - ( )

(2) 팔꿈치 관절 절단 - 팔꿈치 관절 강직 - 주관절 이하 마비

( ) - ( ) - ( )

(3) 손목 관절 절단 - 손목 관절 강직 - 손목관절 이하 마비

( ) - ( ) - ( )

(4) 전체 손가락 절단 - 전체 손가락 강직 - 전체 손가락 마비

( ) - ( ) - ( )

[목적] 장애의 종류에 대한 비중을 설정하고자 함

mdash mdash110

[배경] 절단과 기능 전폐가 기능만으로 보면 거의 차이가 없고 국내법의 경우

대부분 동일한 장애등급으로 평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비중 재조정이 필요할 것임

설문 5)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설문입니다 제 1지 절단(중수지

관절 절단)을 100 이라 설정했을 때 다른 손가락의 학습된 시각이 아닌 한국인의

일상 생활을 감안하여 상대적 중요성을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1) 제 2지 절단 --- ( )

2) 제 3지 절단 --- ( )

3) 제 4지 절단 --- ( )

4) 제 5지 절단 --- ( )

[목적] 수지의 기능 소실에 대한 비중 평가

[배경] 일반적으로 제 1지의 기능을 50라고 하지만 AMA에서는 1지-40 2 3

지-각 20 4 5지-각 10의 장해율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한국인의 평가를

위함

설문 6) 다음의 질환에 의한 장애들을 문항과 같은 관점에서 불편이 심한 순서대

로 적어보시오

심혈관계 질환 - 1) 고혈압 및 심장 질환 2) 상하지의 말초혈관질환

호흡기계 질환 - 3) 천식 및 폐기능 질환 4) 폐암

소화기계 질환 - 5) 소화 장기(위 장 질환) 6) 간담도 및 췌장 효소 질환

조혈계 질환 - 7) 빈혈 및 혈소판 질환 8) 백혈병 등의 혈액암

내분비계 질환 - 9) 당뇨 질환 10) 감상선 호르몬 및 대사 조절계 질환

6-1) 일반인의 일상적 가정 생활상에 우선적으로 불편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질

환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mdash mdash111

6-2) 일반적인 직장인의 직장 생활상에 우선적으로 불편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질환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6-3) 경미한 질환이나 장애로도 직장 생활을 하기 어려울 상태가 잘 생길 것으로

예상되는 질환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6-4) 일반적인 사회 생활상에 상당한 어려움과 고통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질환

을 순서대로 적어보시오

( )

설문 7) 두 눈 중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은 완전한 시력 상실인 경우와 두 귀

중에서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쪽은 완전한 청력을 상실한 경우 어느 쪽이 더 장애

가 높다고 생각하십니까

(1) 한쪽의 눈의 시력이 상실한 경우가 높다( )

(2) 한쪽의 귀의 청력이 상실한 경우가 높다( )

(3) 서로 장애율은 같다( )

(4) 잘 모르겠다( )

설문 8) 52세 남자로 여러 차례 성대(聲帶)에 낭종(물혹)으로 낭종을 절개한 병력이

있다 쉰 목소리를 가지고 소리를 지르면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도 있으며 쉽게 목이

잠겨 목소리가 잘 나지 않는다고 한다 검사소견에서 좌측 성대에 수술로 인한 흉터가

보이고 후두염이 관찰된다 이러한 경우의 장애 정도는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미국의학협회의 기준에 의하면 장애율은 20 정도입니다)

(1) 10( ) (2) 20( ) (3) 25( ) (4) 30( )

(5) 40( ) (6) 잘 모르겠다( )

mdash mdash112

설문 9) 50세 여자로 미로염(속귀의 구조물로 소리를 뇌로 전달하는 세반고리관에

발생하는 염증)으로 인해 어지러움증을 가지고 있다 증상의 조절을 위해 약물투여를

해야 하며 밤에서 혼자서 다니기가 어렵다고 한다 청력은 정상이다 이 경우는 아래의

보기의 장애와 가장 비슷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한쪽 귀의 완전한 청력 소실( )

(2) 한쪽 눈의 완전한 시력 소실( )

(3) 우측 엄지손가락의 절단( )

(4) 우측의 새끼손가락의 절단( )

(5) 얼굴 한 쪽의 운동 마비( )

(6) 잘 모르겠다( )

설문 10) 25세 남자가 목 팔과 다리의 피부에 아토피 피부염이 있다 가려움증

으로 수면에 불편함이 있는 경우가 있고 가끔씩 연고를 바르고 항히스타민과 스테

로이드 등의 약물을 투약해야만 한다 이 경우 장애의 정도는 어느 정도라고 생각

하십니까

(1) 0( ) (2) 5( ) (3) 10( ) (4) 15( )

(5) 20( ) (6) 잘 모르겠다( )

설문 11) 교통사고 인해 좌측 코가 함몰되어 있고 근처에 약 4cm의 흉터가 있습

니다 미국의학협회의 기준에 의하면 장애의 정도는 15입니다 이러한 경우에 남

자와 여자의 장애 정도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 남자나 여자의 장애 정도는 같다( )

(2) 여자가 남자보다 약 5 정도 장애가 높다( )

(3) 여자가 남자보다 약 10 정도 장애가 높다( )

(4) 여자가 남자보다 약 15 정도 장애가 높다( )

(5) 잘 모르겠다( )

설문 12) 신장기능의 완전한 소실(예를 들면 일주일에 3회의 혈액 투석을 요하는 만성

신부전)의 경우입니다 이 경우는 아래의 보기의 장애와 가장 비슷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양쪽 눈의 완전한 시력 소실( )

mdash mdash113

(2) 양쪽 귀의 완전한 청력 소실( )

(3) 양쪽 하지의 완전 마비( )

(4) 양쪽 상지의 완전 마비( )

(5) 한쪽 눈의 시력 상실( )

설문 13) 설문 12의 5개의 항목에서 장애율이 크다고 생각하는 순서대로 나열해 보

세요 (장애율이 높은 항목에서 작은 항목 순으로)

( )

mdash mdash115

부 록

1 시각장해평가기준 2 이비인후과 장해평가기준3 맥브라이드 장해평가기준4 생명middot손해보험 장해분류표 개정내용5 대한신경외과학회 제안 장해평가기준

mdash mdash117

1 시각장해평가기준8)

용어(Terminology)

눈의 기능 시각(Vision)

1 시력 (Visual Acuity)

2 시야 (Visual Field)

3 색각 (Color Vision)

4 입체시(Stereoacuity)

5 대비감도(Contrast Sensitivity)

용어(Terminology)

시각장애(장해) Vision impairment

실명 맹 Blind ICD lt360

저시력 Low vision

시력(Visual AcuityVA) lt618

시야(Visual FieldVF) lt10deg

광각(+)이상의 시력을 가지며 이 시력을 사용할 수 있음

시각을 연습과 훈련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시력의 변화-)

약시 Amblyopia

시각장애의 일련 결과

시력 lt 612 (critical level to cause functional limitation)

1 Risk of falls doubles

2 Difficulties with daily living increase x2

3 Ease of social functioning reduced by half

4 Use of community services increase 12 with each line of vision lost

8)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안과학교실 교수 박성희

mdash mdash118

저시력의 영향

1 Work education amp leisure

2 Social isolation ndashfriends family amp religious activities

3 Emotional ndash depression

4 Sonsumer activities- shopping banking

5 Activities of daily living ndash personal amp household

시각장애에 의한 신체장해평가기준

lt국 외gt

1 McBrides Disability Evaluation and Principles of Treatment of

Compensable Injuries 6th Ed 1963

2 AMAs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4th Ed 3rd

printing 1995 (1st Ed 1971) 5th Ed 2001

lt국 내gt

3 새로운 신체장해평가법 ltAMA 장해평가지침gt 임광세편저 1995 (AMAs

3rd Ed 1990 revised)

4 보건복지부 장애등급판정기준 2003

국가배상법시행령 1998

산업재해보상보호법 2000

(근로복지공단 장해등급판정기준해설 1999)

근로기준법 1998

5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1999

산업재해보상보호법 - 국가배상법시행령(별표2)

mdash mdash119

신체장해의 등급과 노동력상실률표[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9)

계열번호(장해내용) 장해등급범위 없는 등급

1(시력장해) 1~13 11 12 14

9) lt의료분야 중간보고서 2005 08 17gt p8

mdash mdash120

2(안구운동장해) 11 12 13 14

3(눈조절기능장해) 11 12 13 14

4(시야장해) 9~13 10 11 12 14

5(눈꺼풀) 9~14 10

산재보험법 맥브라이드(amp AMA 4th ed 1995) AMA(5th ed 2001)

1(시력장해) 시력장해 시력장해

2(안구운동장해)

3(눈조절기능장해) 안구운동장해

4(시야장해) 시야장해 시야장해

5(눈꺼풀장해)

산재보험법의 문제점 장해등급이 연속적이지 못하고 단절과 비약이 심함

1 시력에 의한 등급판정이 대부분을 차지하나 이는 상당히 주관적임

특히 01이하의 시력을 측정하고 객관화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안전수동안전수지 등과 같은 시력평가는 어떻게

2 안구운동장해에서도 좀 더 세분화된 판정기준이 필요함

즉 복시의 범위와 부위 등에 대한 평가가 있어야 함

3 조절기능장해에서 홍채이상(손상 무홍채증 긴장성동공 등)

나이(노시안)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함

4 시야장해를 단순히 반맹협착 등으로만 판정하기에는 부족하며

결손범위를 산정하는 것이 필요함

단안시야결손의 등급이 너무 저평가되어 있음

5 눈꺼풀장해 ldquo현저한rdquo 과 같이 너무 모호한 판정 기준임

6 손상(외안부 각공막열상 망막손상 등)

인공수정체삽입술 등 수술 후 상태에 대한 평가도 있어야 함

mdash mdash121

맥브라이드(amp AMA 4th ed 1995)기준의 문제점

1 직업계수(안과는 없음)

2 시력 시야 안구운동 등 모든 검사가 환자의 말에 의해 결정됨

3 시야 안구운동검사 자동시야계만 있는 병원서는 기준이 모호함

4 사고 후 굴절부등(부등시)이 생겼지만 교정시력이 정상일 때

맥브라이드 amp AMA 4th ed (1995) 장해평가법

1 각 눈의 시각요소를 측정 후 소실율로 환산

1) 시력(VACV)

교정시력(원근거리) Table 23

2) 시야(VF) Fig 1 Table 145

3) 안구운동(OM) Fig 3

- 시각장애판정은 일차요소인 세 요소에 의해 결정함

- 여기에 반영되지 않은 안과장애는 정확히 검사한 의사의 판단으로 세 요소에

의해 이미 계산된 해당 눈의 시각장애에 5~10 정도를 combined 할 수 있음

- Ocular function에 영향을 주지 않는 orbit deformity scarring 등 cosmetic

defect도 전신 노동력상실율에 10까지 병합할 수 있음 단 성형외과장애와

중복시키지 않음

2 단안 시각장애율

1) 한 눈의 2 시각요소(CV amp VF)의 소실율을 병합함

2) 한 눈의 시각소실율 계산 (p478-479 Combined Table을 이용)

- 다른 계산법

우안 시효율 044 x 068 x 075 = 22 rarr 시각소실율은 78

좌안 시효율 054 x 068 = 37 rarr 시각소실율은 63

- 다른 계산법

우안 시효율 044 x 068 x 075 = 22 rarr 시각 소실율은 78

좌안 시효율 054 x 068 = rarr 시각 소실율은 63

mdash mdash122

3 양안시각장애율을 계산 (Table 7)

우안 78 좌안 63 rarr 67가 됨

- 다른 계산법

3 x better eye value + worse eye value

4 양안 시각장애율을 전신 노동력상실율로 전환 (Table 6)

AMA(5th ed 2001) 기준의 문제점

1 국내 안과의사에게 아직까지 인지도가 없다

2 계산 과정이 매우 매우 복잡하다

AMAs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 2001

- 저시력에 관련된 국제전문가들이 관여함

- 이전의 1925년 Snell의 lsquoVisual Efficiencyrsquo 개념이 없어지고 lsquoFunctional Vision

Score(FVS)rsquo로 대치됨

시력은 Visual Acuity Score인 (FAS)로 바뀜

예) VA 20200 -gt VA loss in VE 80

VA Impairment rating(ability loss) 50 (Table 12-2)

시야는 새로운 Visual Field Score인 (FFS)로 재계산됨

FVS = (FAS x FFS)100

- 복시와 무수정체안에 대한 항목이 없어짐 근거리시력은 선택사항임

- 시력 시야에 대한 시각장애(Visual impairment ratings)는 새로운 공식을 적용

(3 x OU + OD + OS)5 (이전 3 x better eye + 1 x lesser eye)4

- Visual system의 Impairment rating은 100-the FVS임

mdash mdash123

시각계통의 장해율 계산과정(flow chart)

시력검사(시력표)

mdash mdash124

시력장애

시력장애율의 계산

mdash mdash125

시력장애의 분류

시야장애의 검사- Goldmann주변시야계

자동시야계-Humphrey autofield analyzer

mdash mdash126

- 총 10개의 경선

25deg 65deg 115deg 155deg

195deg 225deg 155deg 285deg 315deg 345deg

중심 10deg내에서는 5점(2deg간격) 10deg밖에서는 10deg간격

정상시야에서 한 눈 당 총 100곳을 검사하게 됨

정상시야

mdash mdash127

Overlay Grid에 의한 정상시야

시야장애

mdash mdash128

시야 장애율 계산

시야장애의 분류

시야반경거리를 시야점수로 전환

mdash mdash129

중심 암점의 보정

시각장애과 전신장애의 분류

mdash mdash130

글씨크기와 시표거리에 따른 근거리시력과 장애율계산

mdash mdash131

2 이비인후과 영역의 장해평가기준10)

I 이비인후과 영역의 장애판정

1 이과분야

- 난청

- 안면신경마비

- 어지러움(현훈)

2 비과분야

- 후각장애

- 호흡장애

- 안면손상

3 두경부 분야

- 음성 언어장애

- 저작 및 연하기능장애

- 상부 호흡기손상 및 호흡장애

- 안면손상

1) 귀의 구조

외이 연골로 형성된 이개와 외이도로 이루어짐

외이도는 바깥 13의 연골부 안쪽 23의 골부로 형성되어 있음

중이

고막 외이와 중이의 경계 부위에 위치

중이에 대한 방어벽인 동시에 음전도 역할

이소골 3개의 뼈가 있어 외이를 통해 들어온 소리가 고막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이로 전달하는 역할

내이 소리를 감지하는 달팽이관과 몸의 균형을 담당하는 세반고리관이 있음

10) 한양대학병원 이비인후과 박철원

mdash mdash132

(1) 외이의 구조

이개 울퉁불퉁한 얇은 탄성연골로 골격을 이루며 피부로 덮여 있다 음파를 모

아서 외이도내로 도입하는 역할

외이도 외이도의 외측 13은 연골부 내측 23는 골부로 구성

협부 연골부와 골부의 경계부에서 약간 내측에 외이도에서 가장 좁은 부위

미주신경과 삼차신경이 지배 외이도를 자극했을 때 미주신경반사로 기침이 일어

날 수 있으며 후두 질환이 있을 때 방사통으로 인한 이통을 호소하게 된다

(2) 중이의 구조

중이 측두골내에서 점막으로 덮여 있고 공기로 채워진 공간 (6면체 구조)

외측 고막 내측 와우

고막 타원형의 진주양회백색(pearly gray color)

제(umbo) 고막중심에 내측으로 약간 함몰 되어 있는 곳 (추골병의 하단에 해당)

광추(cone of light) umbo에서 전방으로 있는 광반사

추골병의 상부전방에 있는 백색돌기가 단돌기(short process)이며 여기에서 전후

로 추골추벽(malleolar fold)가 있으며 이것이 경계가 되어 그 상부를 고막의 이완부

하부를 긴장부로 나눈다

이소골

고막 ndash lsquo추골 침골 등골rsquo ndash 난원창 과 연결되어 소리를 전달

추골(malleus) 이소골 중 가장 커서 약 75-80mm이며 3개의 인대로서 공간에 고

정되어 있다

침골(incus) 추골의 내후방에 위치하며 추골 및 등골과 연결

등골(stapes) 신체중 가장 작은 뼈이며 전체 높이는 약 33mm

(3) 내이의 구조

내이는 형태와 구조가 복잡하여 미로(labyrinth)라고도 한다

미로는 내부의 막미로(membranous labyrinth)와 이를 둘러싼 골미로(bony

labyrinth)로 구분하고 앞쪽에서부터 와우 전정 반규관의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골미로 안에 외림프(perilymph)가 들어 있고 그 안에 막미로가 있으며 막미로는 내

림프(endolymph)를 담고 있다

mdash mdash133

와우 달팽이관(cochlea) 청각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두바퀴 반의 나사형 모양을 하

고 있으며 각 회전의 공간에는 림프액으로 차 있다

전정 구형낭(saccule) 난형낭(utricle) 반고리관과 함께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전

정미로를 형성

반규관 수평반규관 후반규관 상반규관

2) 청각 기능

(1) 가청음역 16~20000 Hz사이 회화음역 250~2000 Hz사이

음의 전도 공기전도와 골전도

음압증강작용

면적비 171=25dB 지렛대비 131=25 dB

Shearing effect(buckling effect) 2~3배=4~9dB =gt 315~365dB

(2) 난청의 종류와 증상 및 검사

0 dB HL 이란 정상 청년 연령층에서 각 주파수의 가청역치의 평균치

가 일상생활 중 소리강도

0 dB 매우 희미하게 들리는 소리

30dB 도서관 속삭이는 소리

40dB 저음으로 대화할 때

50~60dB 일상적인 대화

60dB 정상적인 대화 타자기 또는 재봉틀 소리

90dB 트럭 달리는 소리 기계로 잔디 깎을 때 나는 소리

115dB 자동차 경적 소리 록 콘서트

130dB 제트기 소리

140dB 총소리

나 순음 청력 검사

순음청력계기의 구성

음을 발생시키는 진동기

mdash mdash134

발생된 음을 증폭시키는 증폭기

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감쇄기

이어폰

골전도 진동기

음 차폐기

다 순음청력검사의 임상적 적용

청력장애의 유형 및 정도에 따라 이에 맞는 치료방법 선택

청력장애의 유형 및 정도에 따라 재활 치료 시 타검사소견과 함께 보청기 선택

등의 기초자료 제공

누가현상 검사 및 피로검사 등을 이용한 병변 부위 진단에 보조적인 자료 제공

사청검사 등을 이용한 기능성 난청의 진단에 보조적인 자료 제공

라 청력도

횡축 주파수를 대수척도(logarithm) 좌측 125Hz 우측 8000Hz

종축 강도를 decibel척도(dBHL)로 하여 top -10dBHL bottom 120dBHL

가) 청력장애의 유형판별

(가) 전음성 난청 기도 역치는 나빠도

골도 역치가 정상범위이면서 기도

골도 차가 10sim15 dB 이상일 때

외이 및 중이 질환 의심되고 내이는

정상인 경우

(나) 감각 신경성 난청 기도 역치와

골도 역치가 같은 정도로 나빠진

경우로 기도 골도 차가 없는 경우

내이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mdash mdash135

(다) 혼합성 난청 기도와 골도 역치가 나쁘면

서 기도 골도 차가 10sim15dB 이상일 때

기도와 골도의 청력이 모두 장애가 있으나

기도 청력의 손실이 더 심한 경우

(3) 선천성 감각신경성 난청

유 전 성 비 유 전 성

비증후군성

DFNA DFNB

증후군성

Waardenburg 증후군

Usher 증후군

Pendred 증후군

백피증

조갑이영양증

Jevel 증후군

Trisomy(13151821)

산전감염

바이러스성 (예 모성풍진)

세균성

이독성 약물

기형유발 약물 (thalidomide)

대사이상 (cretinism)

주산기 외상 저산소증

방사능피폭

미숙아

(4) 후천성 감각신경성 난청

유 전 성 비 유 전 성

비증후군성

증후군성

Alport 증후군

Lysosomal storage 병

Kippel-Feil 증후군

Alstrom병

Refsum병

신경섬유종증

Crouzon병

Cockayne 증후군

염증성 질환

세균성 (예 미로염 수막염)

바이러스성 (예 유행성이하선염 미로염)

Spirochetal (예 매독)

이독성 약물

외상 (예 소음 측두골 골절)

노인성 난청

돌발성 난청

Meniere 병

종양 (예 청신경 종양)

기타 대상이상 (갑상선 기능저하)

허혈성질환 (VBI)

신경학적 이상

면역이상 골질환

mdash mdash136

(5) 소음성 난청

음향외상 갑작스러운 폭발음에 노출시 심한 고음성 감각신경성 난청 및 이명이 돌

발적으로 나타남

손상 정도에 따라 수일에서 수개월이 경과하면 회복되기도 하나 심한 손상시 영구적

인 난청을 초래함

안정을 취하며 반복적인 음향외상을 피해야하며 심한 난청시 보청기 등이 도움

음의 압력이 85dB이상의 장소에서 장시간 노출되면 내이 손상을 일으킬 수 있음

난청의 정도는 소음 폭로 시간 소음의 강도 주파수와 연관

청력검사상 초기에는 4000Hz에서의 청력소실인 C5 dip을 나타냄

소음성 난청의 예방

소음방지기를 착용하여 35dB까지 소음을 감소

작업장이나 소음이 심한 기계에 방음시설

소음성 난청의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안정과 재활교육 실시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소음성 작업장에서의 작업시간을 규정

(6) 이독성 약물에 의한 난청

증상 이명이 난청보다 먼저 출현하며 고음역의 난청이 가장 심각한 증상

현훈은 전정계를 침범하는 약제에 의해 발생

발생약물

Aminoglycoside 계열의 항생제 Streptomycin Neomycin Kanamycin

Gentamicin Tobramycin Amikacin 등

중이국소약제(귀에 넣는 약) Chloramphenicol Streptomycin Neomycin

Polymyxin Gentamicin Erythromycin 등

이뇨제 Loop diuretics인 ethacrinic acid와 furosemide 등

기타 Salicylate(aspirin) quinine 항암제 중 nitrogen mustard cisplatinum 등

이독성 약물에 의한 난청의 주의사항

이독성 약제를 사용 시 투여 전에 청력검사 신장검사 전정기능 검사 등을 시행

약물 투여시 청력검사는 주 1회 임상적 검사는 매일 이명은 매일 확인

이독성 약물에 의한 난청은 예방 가능하므로 더욱 주의를 요함

mdash mdash137

(7) 돌발성 난청

정의 순음청력 검사에서 3개 이상의 연속된 주파수에서 30dB이상의 감각신경성

청력 손실이 3일 이내에 발생한 경우

증상 감기 과로한 업무 술 마신 후 등 아침에 일어나 보니 갑자기 한 쪽 귀가 안

들림

간혹 잘 모르다가 전화를 받을 때 한 쪽 귀가 안 들린다는 사실을 발견

갑자기 안 들이는 것과 동반되는 증상으로는 이명 어지럼증 등이 동반될 수 있음

빨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비인후과적 응급질환

원인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바이러스 감염 혈액순환 장애 내이 임파

액병리설

자가 면역장애 자율신경기능 장애 외임파누공 청신경 종양 등

치료 급성기에 절대안정 부신피질호르몬제 (스테로이드) 혈류개선제 (혈액순환

개선제) 대사개선제 (고분자성 수액) 비타민제제 등

예후가 나쁜 경우

청력소실이 심한 경우 (가장 중요)

청력도상 저음보다 고음의 청력 소실이 심한경우

치료 시작 시기가 늦은 경우

어지럼증이 동반

당뇨 고혈압 등 동반 질환

대개 약물요법으로 치료를 하게 되면

30에서는 완전회복

30에서는 부분 회복

30에서 회복이 안 되거나 더 심해지는 경우도 있음

(8) 노인성 난청

노인성 난청의 조건

청력검사상 양측 귀에 대칭적 형태

외상 이독성 약물 귀의 질환 소음에의 노출 귀 수술 등의 과거력이 없고

최소한의 전음성 난청 (10dB 이하)

검사 결과가 신뢰성이 있을 것

mdash mdash138

65세 이상의 연령

가족력이 없을 것

원인 노화현상으로 인하여 내이유모세포의 퇴행성 병변 청신경의 신경세포의 감

소 중추신경세포의 소실

증상 30대에서 시작하여 70대에서 현저

양측 고주파 영역에 경도 혹은 중등도의 청력 감소

어음 명료도의 감소 대게 소리는 들리나 의미를 알아듣지 못하는 증세

방향 감지 능력의 저하

이명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 다른 감각신경성 난청과 같이 약물요법을 시행하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

우며 대게 영구적으로 남게 된다

조기에 보청기를 사용하여 사회적응을 도움

(9) 외상성 귀질환

외이도 골절 하악골에 가해지는 외상에 의해 하악골의 과상돌기(condyle)를 외

이도 내로 밀게 되어 외이도 전벽의 골절 발생

외이도 골절은 측두골 골절의 일부이므로 고막 중이 내이의 골절을 확인해야 한다

골편과 피부를 원래의 자리로 돌려놓고 제자리에 고정시키기 위해 항생제를 도포

한 거즈를 외이도에 유치시킨다

골절이 회복되고 외이도의 내경이 충분히 유지되었을 때 청력검사 시행한다

고막천공

원인 외상 기압변화 이물

치료 손상의 정도를 파악

수술을 고려해야하는 경우 고막후상방에 천공이 있으면서 현훈 안면신경마비

이소골 탈구 동반되거나 중이내 이물이 있는 경우

합병증 이차적인 감염 진주종 전음성 난청 감각신경성 난청 안면신경마비

측두골 골절

mdash mdash139

증상 난청 어지럼증 안면신경마비 뇌척수액 이루 비루 뇌막염

종 골 절 횡 골 절

골절선

빈도

외이도

고막

난청

안면마비

뇌척수액

안진

추체축에 평행

측두골 골절의 80

골절선

천공-고실출혈

전음성 난청

20

이루(otorrhea)

없다

추체축에 직각

측두골 골절의 80

정상

정상 또는 고실출혈

감각신경성 난청 전농

50

비루(rhinorrhea)

반대측

외이도 골절과 고막 천공

원인 외상 기압변화 이물

치료 손상의 정도를 파악

수술을 고려해야하는 경우

고막 후상방에 천공이 있으면서

현훈 안면신경마비 이소골 탈구

동반되거나 중이내 이물이 있는 경우

합병증 이차적인 감염 진주종 전음성 난청 감각신경성 난청 안면신경마비

(10) 청력 장애의 정도

dB HL (ASA 1951)

dB HL (ISO 1964)

표현법 사회적 핸디캡

15 이하 25 이하 정상

16 ~ 29 26 ~ 40 경도난청학교에서 앞 좌석으로 이동 및 구순 구독법(lip reading) 필요

30 ~ 44 41 ~ 55 중등도난청10-15m 이내의 회화음은 청취 학교에서 앞 좌석 이동 보청기 착용 청각 훈련 구순 구독법

45 ~ 59 56 ~ 70 중등고도난청10-15m 에서도 큰소리로 말해야 청취 군중이나 강의실 청취 곤란 특수 교육이 필요

60 ~ 79 71 ~ 90 고도난청30cm 이내에서도 큰 소리로 말해야 들리나 말의 분별이 곤란 특수 교육이 필요

80 이상 91 이상 농 언어 청취가 불가능 농아 교육이 필요

mdash mdash140

청력장애 판정기준(보건복지부)

장애등급 장 애 정 도

2급 두 귀의 청력 손실이 각각 90데시벨 이상인 사람

3급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80데시벨 이상인 사람

4급 1호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70데시벨 이상인 사람

4급 1호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최대의 명료도가 50 퍼센트 이하인 사람

5급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60데시벨 이상인 사람

6급한 귀의 청력손실이 80데시벨 이상 다른 귀의 청력 손실이 40 데시벨

이상인 사람

청각 장해 평가(미국의학협회)

순음 청력계로 각각의 귀를 500 1000 2000 및 3000 Hz에서의 청력 수준을 기록

한다

100dB을 초과하면 100dB로 한다

청력수준이 음의 값(예-5dB)인 경우 0dB로 한다

한쪽 귀 청각 장해() = 15x(편측청력역치-25dB)

양쪽 귀 청각 장해() = [5 x (보다 밝은 귀 청각 장해 ) + (보다 어두운 귀 청각

장해 )]6

양쪽 귀 청각 장해의 전신 장해와의 관계(미국의학협회)

mdash mdash141

3) 안면신경 마비

원인 특발성 안면신경 마비

Bellrsquos palsy

외상성 안면신경 마비

감염

Ramsay-Hunt 증후군

중이염 악성 외이도염

종양

안면신경초종

청신경종

이하선 종양

(1) 외상성 안면신경 마비

의인성 중이 이하선 청신경종양 수술 후 발생

비의인성

측두골외 손상 안면부 외상 또는 총상으로 인한 관통상

측두골내 손상 안면 두부에 대한 교통사고 또는 외상

기타

뇌진탕 중추신경 외상 관통상 안면열상

mdash mdash142

(2) 안면신경마비의 평가(H-B)

(3) 안면신경마비 검사

병변부위검사

누액배출검사 등골반사검사 전기미각검사

타액유량검사 전기신경전도검사

신경흥분성검사(nerve excitability test)

최대자극검사(maximum stimulation test)

신경전도검사(electroneuronography)

근전도검사(electromyography)

안면마비(미국의학협회)

안면 신경 장애와 연관된 감각소실은 일상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으므로 미각

상실은 주요 장해로 간주하지 않는다

mdash mdash143

〈표 13-12〉 제7뇌신경 (얼굴신경) 장해 평가 기

1등급

전신 장해 1~4

2등급

전신 장해 5~19

3등급

전신 장해 20~45

앞혀 미각 완전 상실 또는

가벼운 한쪽 얼굴 쇠약

가벼운 또는 심하지 않은 양

쪽 얼굴 쇠약 또는 심한 한

쪽 얼굴마비 75 이상의

얼굴이 연루되고 눈감기 통

제 안됨

심한 양쪽 얼굴마비 75

이상의 얼굴이 연루되고 눈

감기 통제 안됨

4) 어지러움의 종류와 원인 증상

어지럼증의 성질

회전성 어지러움증(Vertigo)

비회전성 어지러움증

부동감

안전 암흑감 가성 어지러움증

평형장애 보행장애등

말초전정기관 및 전정신경질환 회전성

중추전정질환 비회전성 부동감 안전암흑감 또는 평형장애

어지럼증의 발작양상과 경과

자발성 발작성

단발발작 돌발성 난청

전정신경염

뇌혈관 부전증

반복발작 메니에르병

유발성 발작성 양성 발작성 체위변환성 현기증

지속성 중추전정장애

진행성 중추전정장애

mdash mdash144

원인 인자로서의 과거병력

두경부외상

소음폭로병력

이독성항생제 사용여부 특히 SM KM GM

만성중이염 특히 진주종성 중이염 병력

심장질환여부

고혈압 저혈압 각종 빈혈 여부

동요병(멀미)

생리주기와 현기증의 상관관계

문진에 의한 감별진단

말초성 어지러움증 중추성 어지러움증

회전성인 경우가 많다

난청 이명 등을 수반

뇌신경 증상수반(-)

체위 두위에 따라 어지러움증이 변동된다

어지러움증 감각이 오심구토와 비례한다

수일에서 십수일내에 보상되는 것이 많다

의식장애를 수반하지 않는다

자율신경증상은 어지러움의 강도에 비례한다

보행 평형장애(-)

회전성도 있으나 비회전성이 많다

난청 이명등을 수반하지 않는다

뇌신경 증상을 동반한다

체위 두위에 따라 어지러움증이 변동되지 않는다

어지러움증감각이 오심구토와 비례하지 않는다

지속적이며 잘 보상되지 않는다

의식장애를 수반하는 수가 있다

일치하지 않는다

보행 평형장애(+)~(++)

전정기능검사

자세의 불안정을 보는 검사

지시검사(past-pointing)

직립반사검사

Tandem walking

mdash mdash145

안구운동의 이상을 보는 검사

자발안진

주시성 안진

두위안진

두위변환안진

Head-shaking nystagmus

Head-thrust test

Dollrsquos eye test

직립반사검사

Romberg 검사

Mann 검사

단각직립검사

회전성 어지러움증이 급성 발작적으로 나타난 후 지속되는 경우

(acute prolonged attack of vertigo)

mdash mdash146

회전성 어지러움증이 재발성으로 나타나는 경우

(recurrent spontaneous attack of vertigo)

두위변환성 어지러움증이 재발성으로 나타나는 경우

(recurrent episode of positional vertigo)

mdash mdash147

어지러움 평형장애의 시기별 치료방침

어지러움증 발작기(급성기)

병태설명 안정 diazepam 7 NaHCO3 atropine antihistamine corticosteroid

간헐기(만성기)

혈관확장제 순환개선제 대사부활제 진정제 정신신경안정제

내림프수종 탈수이뇨제(glycerol isosorbide urea)

부신피질 호르몬제

국소전신요인의 치료 혈압의 관리 경추증치료 뇌혈관장애 뇌종양의 수술요법

내이누공의 수술 치아의 치료 자율신경조정약

어지러움 발잘의 재발예방책

생활지도 스트레스 대책 자율신경 혈압조절제 혈관확장 순환의 개선

수술요법 내림프낭 감압술 내이누공 PLF폐쇄 뇌종양 뇌혈관장애의 수술

비가역적 장애에 대한 대책

중추성 보상 평형기능훈련 보청기 보청기의 정비 추적관찰(2주~1개월간격)

전정기능장애 장애판정

현기증 수평면에서 본인이 회전하는 느낌 또는 본인에 대해 사물이 회전하는 느낌

어지럼 또는 몽롱함 움직이는 느낌이 없다는 점에서 현기증과 구분된다

전정기능장애는 현기증이 있으면 확진할 수 있고 몽롱함이나 보행 이상은 전정기능

장애로 보지 않는다

전정 질환은 역동적이기 때문에 영구 장해 평가는 환자의 질환이 안정 상태에 도달

한 후에 실시해야 한다

mdash mdash148

평형장애 판정기준(미국의학협회)

〈표 11-4〉 전정 질활으로 인한 신체 장해 평가 기준

1등급 전신 장해

0

2등급 전신 장해

1~10

3등급 전신 장해

11~30

4등급 전신 장해

31~60

5등급 전신 장해

61`95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은

없음

도움을 받지

않고 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복잡한 활동(예

자전거 타기)

또는 엄격한

주의가요구되는

특정 업무

활동(예 대들보

또는 비계위를

걷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없이 일상

활동 수행

가능함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단순한

활동(자신을

돌보는 일 집안

일 보행 다른

사람이 운전하는

자동차에 타는

일)을

제외하고는

도움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외에는 도움이

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전정 평형감각

장애의 증상 및

징후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소견

있음

자기 자신을

돌보는 일 중

보행을 요하지

않는 행위를

제외하고

도움없이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집안에 머물러

있어야만 함

후각 및 미각장애

후각 장애의 원인

폐쇄성 비부비동 질환

상기도 감염

두부외상

노령

내분비대사 이상 당뇨

신경퇴행성 질환 Alzheimer Parkinson

종양 후각신경아세포종

의인성 원인 후두전적출술

정신질환

mdash mdash149

미각장애의 원인

전도성 장애

구내건조증

감각신경성 장애

약물 항류마티즘약제 항암제

외상 측두골골절 중이수술시 고삭신경손상

대상상 장애 당뇨병 갑상선기능저하증

감염 대상포진

영양실조 비타민 B 아연 결핍

악성종양 수술 방사선치료

검사 항목

병력

이학적검사

영상진단

후각기능검사

역치검사 CCCRC test TampT olfactometer

인지검사 CCCRC test UPSIT

미각기능검사

미각 감지역치검사

미각 역치상검사

전기미각검사

후각 및 미각 장애(AMA)

후각과 미각의 완전 소실이 일상 활동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그러므로 말초 환부에서 기인한 후각 또는 미각의 부분 또는 완전 소실은 전신 장해

1~5 범위의 등급 부여를 권장한다 그리고 나서 이를 환자의 다른 장해와 병합하여

야 한다

mdash mdash150

안면 손상

안면부 열상 구강내 열상 치아 손상

안면부 골절(비골 안와 협부 하악 상악)

원인 교통사고 추락사고 스포츠 사고 폭력사고 작업중 사고 등

범위 치아 안면골 연부 조직(피부 치은) 안구 타액선안면 신경

안면손상 검사 항목

이학적 검사

PNS x-ray

구강 비강 내시경 검사

안면 사진

PNS CT

안면부외상시 처치

생명구조

기도확보

혀를 잡아당긴다

혈액이나 점액질 토사물을 제거한다

체위 환자의 자세는 의식이 없는 경우는 머리를 한쪽으로 돌린 엎드린 자세가

좋고 의식이 있는 경우는 앉은 자세가 좋다

기관내 삽관이나 기관절개술을 신속히 시행한다

연관 손상부위 확인 대뇌 손상 경부 골절 흉부

복강내 손상( 간 장)

기능 회복

변형의 최소화

mdash mdash151

안면손상 판정(미국의학협회)

〈표 11-5〉 얼굴 질환 는 변형으로 인한 장해 평가 기

1등급 전신 장해 0~5

2등급 전신 장해 6~10

3등급 전신 장해 11~15

4등급 전신 장해 16~50

눈에 띄는 흉터 또는 비정상 색소침착 등과 같이 피부 구조 장애에 한정된 얼굴이상 또는 가벼운 한쪽 또는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외모에 영향을 주는 코의 변형

피부 장애(예 함몰된 뺨 비골 또는 전두골)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은 얼굴 장애로서 얼굴 일부의 지지 구조의 상실을 초래한 경우

눈 또는 코의 일부 상실 등과 같이 얼굴의 해부학적 부분 또는 부위의 결여 때문에 발생한 얼굴 이상으로서 얼굴 변형을 초래한 경우 또는 심한 한쪽 전체 얼굴마비 또는 가벼운 양쪽 전체 얼굴 마비

얼굴 해부학적 구조의 극심한 또는 완전한 변형으로서 변형 정도가 극심해서 사회 적응이 불가능할 정도인 경우 또는 심한 양쪽 전체 얼굴 마비 또는 코의 주요 부위 또는 전체 상실

음성 언어 장애

후두의 기능

기도 보호

호흡

발성

연하기능

언어장애의 원인

신체발달지체

청각장애

지적능력의 지체

조음기관의 장애

언어장애의 분류

조음장애

발음이 부정확한 것

청력손실 입술이나 구개의 파열 소대의 이상 신경 운동장애로 인한 마비성 조음장애

실행증 등의 문제로 나타날 수 있는 기질적 조음장애

mdash mdash152

신체적 구조상의 이상이 없더라도 연령 지능 성격 사회경제적 위치 문화적 영향

학업 성취도 습관 등에 따라 자신의 독특한 패턴으로 나타날 수 있는 기능적인 조음장애

유창성장애

말더듬

음이나 음절 또는 조음 포즈 등의 반복이나 연장 혹은 투쟁행동 등으로 구어의 흐름

이 비정상적으로 방해를 받을 때 말더듬이 발생

언어장애의 분류

음성장애

후두 특히 성대의 이상으로 인한 성대 혹이나 성대 결절 성대부종 스트레스 등으로

목소리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작은 소리(강도장애)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소리(음도장애)

목 쉰 소리 숨찬 소리 거친 소리 과비성(음질장애)

목소리의 강도나 음도에 의도적으로 변화를 주지 못하는 경우

기호장애(언어장애)

언어종속행동 즉 말하기 이해하기 읽기 쓰기 등에 문제

언어발달 지체 교통사고나 중풍으로 인한 대뇌손상이나 신경계 이상으로 인한 실어

증이나 구어실행증 지능이 낮은 결과로 인한 언어지체

음성재활(인공후두)

mdash mdash153

음성재활(식도발성)

검사 항목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Aerodynamic study

Electroglottography

음성언어치료사의 평가

MRI CT

객관적 검사

유창성 장애(말더듬) 말더듬 심도 검사

조음장애 그림자음검사 3위치 조음검사 한국어 발음검사

언어능력

20세 이상의 성인 보스톤 이름대기검사 K-WAB 검사

아동 그림어휘력검사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 영

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 문장이해력검사 언어이해인지력검사 언어문제해결력 검

사 한국-노스웨슨턴 구문선별검사

판정 기준(미국의학협회)

음성은 후두의 성대 주름의 진동으로 발생된 가청 범위 내의 소리를 말한다 가성대

주름 또는 식도는 제외한다

음성장애의 원인을 따지지 않고 비정상 음량 비정상 조절 비정상 음질 등의 분명한

증상을 평가 한다

평가 항목

가청도(可聽度) 들을수 있을 만큼 큰 소리로 말할 수 있는 능력

가해성(可解性) 분명히 발음하고 어음의 음성 단위를 정확하게 연결하여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드는 능력

기능적 효율성 충분히 빠른 속도로 말하며 일정 시간 그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

mdash mdash154

음성 언어장애 판정기준(가청도)

〈표 11-8〉 음성언어 장해 분류

1등급0~14

2등급15~34

3등급35~59

4등급60~84

5등급 85~100

일상 회화의 대부분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이를 위해 간혹 노력해야 하고 때로 개인의 능력에 부치는 일일 수도 있다

일상 회화의 많은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으며 평균적인 환경에서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승용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잘 들을 수 없다

일상 회화의 특정 필요 즉 인접한 상대와의 대화가 가능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나 목소리가 쉬 피로해지고 수초가 지나면 잘 들리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떨어지거나 승용차 버스 열차 기차역 식당 등과 같은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일상 회화의 한정된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낼 수 있다

그러나 가까이서 주의를 기울여야 겨우 들을 수 있으며 또한 귀에 들릴 정도로 속삭일 수 있으나 크게 말할 수는 없다

일상 회화의 필요에 충분한 강도의 어음을 전혀 낼 수 없다

음성 언어장애 판정기준(가해성)

〈표 11-8〉 음성언어 장해 분류

1등급0~14

2등급15~34

3등급35~59

4등급60~84

5등급 85~100

일상 회화에 필요

한 대부분의 조음

행위를 할 수 있

그러나 간혹 다시

한번 말해 줄것을

요청 받거나 어떤

발성 단위는 발음

하기 어려워하거

나 불가능하다

일상 회회에 필요

한 많은 조음 행

위를 할 수 있으

며 타인이 이를

알아 들을 수 있

그러나 많은 오류

가 있으며 간혹

조음이 어려울 경

우가 있다

일상 회화에 필요

한 일부 조음 행

위를 할 수 있으

며 가족 및 친구

들과 대화할 수

있으나 타인은 말

소리를 알아 듣기

어려워하며 자주

다시 한번 말해달

라는 요청을 받는

일상 회화에 필요

한 제한된 조음

행위를 할 수 있

으며 일부의 발성

단위를 발음할 수

있다

자기 가족의 이름

등 몇 단어는 비

슷하게 발음하나

관련 없는 단어를

발음하면 알아들

을 수 없다

일상 회화에 필요

한 조음 행위를

전혀 할 수 없다

mdash mdash155

음성 언어장애 판정기준(기능적 효율성)

〈표 11-8〉 음성언어 장해 분류

1등급0~14

2등급15~34

3등급35~59

4등급60~84

5등급85~100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대부분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해 낼 수 있으나 가끔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많은 요구를 충족 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가끔 어려움을 겪으며 때때로 끊어지거나 중단되고 머뭇거리거나 천천히 말한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일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지속적으로 말할 수 있으며 상대방에게 쉬 피곤해 한다는 인상을 준다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제한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으나(한 단어 또는 짧은 구절) 말이 자주 끊기고 아주 힘들어한다 속도가 대단히 느리다

적정 속도로 용이하게 말할 수 있는 일상 회화에 필요한 조음 및 발성의 요구를 전혀 충족시킬 수 없다

저작 및 연하기능 장애

구강 및 구인두의 해부

음식물의 섭취작용

저작 하악의 운동과 치아의 작용과 아울러 볼 혀 구순의 협동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소화 타액에 있는 전분소화효소가 녹말을 분해한다

연하의 작용

구강 준비기

구강기

인두기

식도기

저작 및 연하기능의 손실

구강암 인두암 후두암 식도암 등의 치료후

구강 인두 후두 식도 등의 신경마비

전치의 상실

턱뼈의 골절로 인한 부정교합

혀 13 이상의 부분 상실

mdash mdash156

검사 항목

인두식도조영술

Videofluoroscopy

치과적 검사

Fiberoptic endoscopic swallowing

저작 및 연하 장애(미국의학협회)

저작 및 연하기능의 평가는 식사 능력이 안정적이고 최대한의 재활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실시해야 한다

〈표 11-7〉 식사 제한과 구 장해의 계

제한 종류 전신 장해율

식사는 반고형 또는 부드러운 음식에 한정한다

식사는 유동식만 허용한다

튜브 또는 위루 설치를 통해 음식을 섭취한다

5~19

20~39

40~60

상부 호흡기 손상 및 호흡 장애

Anatomy

Trachea

16-20 complete cartilage rings of hyaline cartilage from cricoid to

carina(9-12cm)

Tracheal wall

Mucous layer pseudostriated ciliated columner epithelium

Submucous layer

mucous and serous gland

Fibrous and muscular layer

vessels nerves lymphatics

mdash mdash157

상부 호흡기 호흡곤란

완전폐쇄

외상성 혹은 iatrogenic 완전후두협착으로 평생동안 영구기관절개술 혹은 영구기관

개방술을 받은 경우

심한 음식물 흡인으로 인하여 후두 혹은 기관분리 수술을 받은 경우

불완전폐쇄

성문하부협착 기도 협착으로 인하여 기관절개술을 받은 상태이며 T-tube

tracheal cannula의 삽관 상태이면서 tube을 막으면 호흡은 상당히 곤란하나 음성은

정상에 가까게 낼 수 있는 경우

양측 성대마비 혹은 양측 성대고정으로 인하여 상당한 호흡곤란이 있으나 기관절개

술은 필요치 않고 목소리도 비교적 양호한 상태 등

검사 항목

이학적 검사

내시경 검사

경부 방사선 검사

Neck CT or MRI

Chest Pleomorphic adenoma

Pulmonary function test

Rhinomanometry

Bronchoscopy

Acoustic rhinometry

mdash mdash158

호흡 장애(미국의학협회)

〈표 11-6〉 공기 통로 결함으로 인한 신체 장해 평가 기

1등급 전신 장해 0~10

2등급 전신 장해 11~29

3등급 전신 장해 30~49

4등급 전신 장해 50~89

5등급 전신 장해 90+

안정시 호흡곤란

없음 및

보행 계단 오르

기 또는 일상 활

동 중 호흡곤란

없음 및

스트레스 지속적

인 힘든 운동 급

히 서두름 언덕

오르기 오락 또

는 이와 유사한

기타 활동으로서

집중적인 노력을

요하는 행위 및

검사 결과 구강인

두 후두인두 후

두 상부기관(제4

연골고리까지)

하부기관 기관지

등의 부분 폐쇄

또는 코 또는 비

인강의 완전(양

쪽) 폐쇄

안정시 호흡곤란

없음 및 평탄한

길 보행시 계단

한번 오르기(층과

층을 연결하는 계

단) 기타 일상

활동 수행시 호흡

곤란 없음 그러나

스트레스 지속적

인 힘든 운동 급

히 서두름 언덕

오르기 오락 또

는 이와 유사한

기타 활동(앉아서

하는 활동 제외)

시 호흡곤란 있음

및 검사 결과 구

강인두 후두인

두 후두 상부기

관(제4 연골고리

까지) 하부기관

기관지 등의 부분

폐쇄 또는 코 또

는 비인강의 완전

(양쪽) 폐쇄

안정시 호흡곤란

없음 및 한 구획

이상 걷기 평상

시 계단 한번 오

르기(층과 층을

연결하는 계단)

또는 기타 일상

활동 등을 하면

호흡곤란 발생 및

스트레스 지속족

인 힘든 운동 급

히 서두름 언덕

오르기 오락 또

는 이와 유사한

기타 활동시 호흡

곤란 있음 및 검

사 결과 구강인

두 후두인두 후

두 상부기관(제4

연골고리까지)

하부기관 또는 기

관지의 부분 폐쇄

안정시 호흡곤란

있음 반드시 환

자가 침대에 누워

지내는 경우만 해

당되는 것은 아님

및 일상 활동을

하면 호흡곤란 악

화됨(손을 씻는

일 옷 입기 또는

빗질하기 등 자기

몸을 돌보는 일

이상의 것) 및 검

사 결과 구강인

두 후두인두 후

두 상부기관(제4

연골고리까지)

하부기관 및또는

기관지의 부분 폐

안정시 심한 호흡

곤란 있음 자발

호흡 충분하지 못

함 및 호흡 환기

요함 및 검사 결

과 구강인두 후

두인두 후두 상

부기관(제4 연골

고리까지) 하부

기관 및또는 기

관지의 부분 폐쇄

mdash mdash159

3 맥브라이드 장해평가기준Mc Bride식 노동능력상실평가11)

순 서

Ⅰ 자동차보험의 특성

Ⅱ 자동차보험 약관

Ⅲ 자동차보험 통계

Ⅳ Mc bride 노동능력상실 평가

Ⅰ 자동차보험의 특성

1 보험이란

동질의 우발적인 위험하에 있는 다수인이 위험단체를 구성하고 그 단체의

구성원이 일정한 기금 (=보험료 )을 갹출 기금을 형성하여 우연한 사고

(=보험사고)를 당한 구성원에게 재산적 급여(보험금)를 함으로써 경제적 불안을

제거하고자하는 제도임

2 보험의 분류(상법상)

손해보험 ndash 우연한 사고(보험사고)로 인하여 생긴 피보험자의 재산상의 손해를

보상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보험으로 이득금지의 원칙 등이 적용되며 상법상

화재 운송 해상 책임 자동차보험이 있음

인보험 ndash 사람의 생명 신체에 관하여 보험사고가 생길 경우 일정한 금액

(=보험금액) 을 지급하기로 하는 보험으로 상법상 생명보험과 상해보험이 있음

11) 교보자동차보험 의료팀장 이수재

mdash mdash160

Ⅱ 자동차보험 ( 약관 )

1 자동차보험의 구성

대인배상Ⅰ 대인배상Ⅱ 대물배상 자기신체사고 ( 자동차상해 또는 plus보험)

자기차량손해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등의 담보종목과 특별약관으로 구성됨

2 담보종목별 보상내용

자동차사고로 인한 타인의 피해를 보상하는 담보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의 재물을 파손하는 경우에 보상대물배상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그손해가

대인배상Ⅰ에서 지급하는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 그 초과손해 를 보상

-대인배상Ⅰ로 지급되는 금액 또는 대인배상Ⅰ미가입시 대인배상 Ⅰ

으로 지급될 수 있는 금액을 공제후 보상

대인배상Ⅱ

-자동차소유자에게는 강제되어있는 보험으로 책임보험이라고도 함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자동차

손해배상보장법(=자배법)에서 정한 한도 내에서 보상

-현행 한도(2005222부터) 사망부상장해 = 1억원 2000만원 1억원

대인배상Ⅰ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의 재물을 파손하는 경우에 보상대물배상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그손해가

대인배상Ⅰ에서 지급하는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 그 초과손해 를 보상

-대인배상Ⅰ로 지급되는 금액 또는 대인배상Ⅰ미가입시 대인배상 Ⅰ

으로 지급될 수 있는 금액을 공제후 보상

대인배상Ⅱ

-자동차소유자에게는 강제되어있는 보험으로 책임보험이라고도 함

-자동차사고로 다른 사람을 죽게 하거나 다치게 한 경우에 자동차

손해배상보장법(=자배법)에서 정한 한도 내에서 보상

-현행 한도(2005222부터) 사망부상장해 = 1억원 2000만원 1억원

대인배상Ⅰ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자동차사고로 인한 피보험자등의 피해 를 보상하는 담보

무보험자동차에 의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자동차사고로 피보험자동차에 생긴 손해액 보상자기차량손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高보장상품 )

-대인배상보험처럼 적용하나 한도가 있음

자동차상해

또는 Plus보험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자배법에 의한 등급을 적용하며 한도가 있음

자기신체사고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무보험자동차에 의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자동차사고로 피보험자동차에 생긴 손해액 보상자기차량손해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高보장상품 )

-대인배상보험처럼 적용하나 한도가 있음

자동차상해

또는 Plus보험

-피보험자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 보상

-자배법에 의한 등급을 적용하며 한도가 있음

자기신체사고

보상하는 내용담보종목

mdash mdash161

3 보험금 지급기준 (사람이 죽거나 다친 경우)

대인배상 자동차상해 또는 plus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적극손해(구조수색비 치료관계비) 위자료 휴업손해 기타손해배상금

치료관계비 의사의 진단기간내에서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

휴업손해 1일수입감소액 X 휴업일수 x 80

기타손해배상금입원 11580월(식대공제)통원 5000원(실통원일수)

대인배상Ⅰ 자배법 상해급별 한도액 (1급 2000만원~14급 80만원)

부 상

장례비 위자료 상실수익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액-생활비)x 취업가능월수(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1억원 한도 (최저 2000만원)

사 망

지 급 기 준분 류

적극손해(구조수색비 치료관계비) 위자료 휴업손해 기타손해배상금

치료관계비 의사의 진단기간내에서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

휴업손해 1일수입감소액 X 휴업일수 x 80

기타손해배상금입원 11580월(식대공제)통원 5000원(실통원일수)

대인배상Ⅰ 자배법 상해급별 한도액 (1급 2000만원~14급 80만원)

부 상

장례비 위자료 상실수익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액-생활비)x 취업가능월수(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1억원 한도 (최저 2000만원)

사 망

지 급 기 준분 류

대인배상 자동차상해 또는 plus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위자료 상실수익액 가정간호비

위자료 부상위자료와 중복시 양자 중 많은 금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x 노동능력상실률 x 취업가능월수

(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자배법 장해급별 한도금액내 (1급 1억원~14급 630만원)

가정간호100노동능력상실식물인간과 척수마비환자 퇴원후 매월지급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위자료 상실수익액 가정간호비

위자료 부상위자료와 중복시 양자 중 많은 금액

상실수익액월평균현실소득x 노동능력상실률 x 취업가능월수

(중간이자공제)

대인배상Ⅰ 자배법 장해급별 한도금액내 (1급 1억원~14급 630만원)

가정간호100노동능력상실식물인간과 척수마비환자 퇴원후 매월지급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자기신체사고

보험가입금액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사 망

보험가입금액 한도 (1급 1500만원~14급 20만원)

자배법시행령 별표1에서 정한 상해구분에 의함

의료수가는 건교부고시에 의함

부 상

보험가입금액 한도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자배법시행령 별표2에서 정한 후유장해구분에 의함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보험가입금액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사 망

보험가입금액 한도 (1급 1500만원~14급 20만원)

자배법시행령 별표1에서 정한 상해구분에 의함

의료수가는 건교부고시에 의함

부 상

보험가입금액 한도 (1500만원3000만원5000만원1억 등)

자배법시행령 별표2에서 정한 후유장해구분에 의함

후유장해

지 급 기 준분 류

mdash mdash162

Ⅲ 자동차보험 통계

1 담보종목별 지급보험금 (FY 2004)

100425079222320074174849지급보험금

구성비

528242018945341958117424910952052203402561215지급보험금

43099338924712450140556316522191099211040533인원건

합계기타무보차량대물자손대인

100425079222320074174849지급보험금

구성비

528242018945341958117424910952052203402561215지급보험금

43099338924712450140556316522191099211040533인원건

합계기타무보차량대물자손대인

2 담보종목별 지급보험금 구성비 (FY 2004)

48

4

21

22

1 4

대인

자손

대물

차량

무보

기타

3 상해급별 지급보험금 (FY 2004)

8652215071996 1036564소 계

4991277041953 9915588급이하

1002561215100 1040504합 계

12131113229 304604-7급

24562689814 145461-3급부 상

135 346144043940사 망

구성비보험금구성비인원

8652215071996 1036564소 계

4991277041953 9915588급이하

1002561215100 1040504합 계

12131113229 304604-7급

24562689814 145461-3급부 상

135 346144043940사 망

구성비보험금구성비인원

mdash mdash163

4 상해급별 인원 (FY 2004)

1 3

96

0

사망

1-3급

4-7급

8급이하

5 상해급별 지급보험금 구성비 (FY 2004)

245

121

499

135

사망

1-3급

4-7급

8급이하

mdash mdash164

6 부상 지급보험금 (FY 2004)

2215071860460468914809369지급금액

계기 타후유장해치료비

2215071860460468914809369지급금액

계기 타후유장해치료비

365

212

423치료비

후유장해

기 타

Ⅳ Mc bride 노동능력상실 평가

용어정의

WHO 국제장해분류

질환은 신체장해 능력감퇴(저하) 사회적불이익 등의 순으로 확대

신체장해 (Physical impairment)

심리학적 및 생리학적 또는 해부학적 구조나 기능의 결손(loss)이나 이상을

말함

신체장해에는 일시적장해와 영구적장해의 두 가지가 있음

신체장해율 신체장해 정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

능력감퇴 (disability)

사람으로서 활동하는 능력에 제한이나 결손이 있는 것

개인적 숙련도 교육 직업적 경력 적응능력 연령 주위의 요구와 수정(AMA)

불이익 (handicap)

신체장해나 능력감퇴의 결과로 발생하는 개인의 불이익

mdash mdash165

나이 성별 사회문화적 견지에서 정상적 활동을 하는데 제한을 받거나 방해를

받는 것

노동능력상실률

손해배상 입장에서 본 능력감퇴

1 Mc bride 평가기준

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 정형외과 교수 Earl D Mc bride가 1936년 저술한

compensible injuries에 대해 ldquo노동능력상실평가와 치료원칙 (Disability

evaluation and principles of treatment of compensible injuries)이라는 책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제6판(1963년) 사용

2 자동차보험의 Mc bride 기준 적용

198698 개정된 자동차종합보험약관에서 채택

약관에서는 Mc bride 원서 279개 직종 중 1개인 일반근로자(common labor)

옥내 옥외 노동력상실률만 적용

현재 약관은 책임보험(대인Ⅰ)과 종합보험(대인Ⅱ) 모두에 적용

적용배경 소송시 McBride 노동능력상실률로 적용해 당시 적용약관(자동차손

해배상보장법시행령 별표2)과의 gap이 컸기 때문

소송시에는 Mc bride 노동능력상실률 원본에 충실 적용

3 평가방법

1) 국소장해율(specific part) 전신장해율(body as a whole)의 구분

국소장해율 사지의 비교적 큰 부위(예 상지나 하지)의 장해율을 100로

해서 그보다 작은 부위(예 손이나 발)의 장해율(표준부위표시)

mdash mdash166

전신장해율 전신기능(전신 100)에 대한 해당 부위의 장해율

Mc bride 책 중 Table 14의 윗단에 有

2) 노동능력상실율의 판정절차

- Table 15 에서

피해자의 직업 및 직업장해계수 확인 해당 직업란에서 신체장해 부위별

손상변수 (1-9)확인

- Table 14에서

해당 신체장해란에서 확인된 손상변수에 합치되는 노동능력상실률 확인

- 잘 쓰지 않는 손은 10 감산

3) 복수장해의 평가방법

A B 의 복합장해율 = A + B (1-A)

예 A=79 B=67가 복합된 경우의 장해율은

79 + 67 x (100-79) = 93

4) 연령별 노동능력상실률

McBride 책에 의하면 노동능력상실률이 1년에 05~1씩

기준연령인 30세 이하면 감소하고 30세 이상 60세까지는 증가

4 장 점

1) 세밀한 신체장해 평가가능

- 직업별 신체장해부위별 노동능력상실률()

- 국내법은 대부분 14등급으로만 분류되어 있으나 279개 직종별 14개의

신체부위에 따라 직업장해계수가 달라지면서 노동능력상실률이 표시됨

2) 운동범위 및 각도측정의 합리성

예) 슬관절의 경우

완전신전(180도)~90도까지 굴곡시 일반근로자 옥외 10

mdash mdash167

완전신전 ndash20도(160도) ~90도까지 굴곡시 ldquo 27

cf 국내법등은 관절운동범위를 단순 ROM을 측정해 14(장해가 남은 것) 12

(뚜렷한 장해가 남은 것) 34(제대로 못쓰게 된 것) 이상을 상실한 경우로

적용하고 있음

3) 복합장해 평가방법의 합리성

여러 개의 신체장해가 병합되어도 그 합이 100를 초과하지 않음

병합공식 A + B(100-A) --gt 신체장해가 3개면 먼저 2개의

병합치를 구한 후 그 병합치와 나머지 장해와의 병합치를 공식에 적용 도출

4) 잘 쓰는 손(팔)과 잘 안 쓰는 손(팔)의 구분평가 가능

McBride Table 14의 말초신경항목을 보면 잘 쓰는 손(팔)과 잘 안 쓰는 손(팔)

에 대한 노동능력상실율이 10가 적음

예) 잘 쓰는 팔의 신체장해율(전신)은 50 잘 쓰지 않는 팔의 장해율은

50-5= 45

5) 연령보정의 가능

30세 전과후의 05~1 노동능력상실률 가감

5 단 점

1) 일부 신체장해율의 부적절성(Table 14)

① 절단 - 견관절절단 85 견관절과 주관절사이 50

- 양측 견관절과 주관절사이 절단 50+50(100-50)=75

② 관절강직

- 장해정도가 가벼운 쪽이 무거운 쪽보다 더 많은 경우가 종종 있음

③ 다축관절의 평가문제

- 고관절 견관절 등의 다축관절의 경우 각축의 장해율 총합산이 관절절단이나

완전강직보다 장해율이 높음

mdash mdash168

④ 골절 후 변형문제

- 가용성변형 변형 중에는 장해로 볼 수 없는 가용성변형도

노동능력상실이 있는 것으로 표기 -- 상완골 15도 대퇴골 20도 등

- 단축변형 특별한 장해가 없는 경골1cm 상완골 2cm 등

- 불유합장해 상완골 불유합 74는 절단 65보다 높음

2) 직종의 편중

Table 15에 있는 직업은 거의 전부가 노무직이며 사무직 기술직이 별로 없음

3) 신체장해의 분야별 편중

McBride가 정형외과 의사였으므로 정형외과 영역은 자세하나 기타분야는 너무

간단

- 말초신경 완전마비 불완전마비로만 언급 등

4) 일시적 장해와 영구적 장해의 혼재

치료 가능한 기관지염 탈장 위궤양 골절 등도 영구적 장해로 오인

5) 시행세칙이 없음

- 평가자의 판단이 절대적

- 하나의 신체장해로부터 파생된 두개이상의 장해에 대한 평가규정 등이 없음

6) 의학수준의 발달

- 용어의 차이 외측 슬와지ext popliteal peronialn---gt 총비골신경

common peronialn 등

- 검사방법 발달 청력 사람말소리에 따른 feet---gt 청력계 ASO ISO측정법

mdash mdash169

6 문제점

1) 전문과별전문의별 병원별지역별로 평가결과가 다르다

2) 직업장해계수 결정을 위한 신체부위의 한계가 명확하지 않다

- Table 15 -

5

5

4

엄지손가락

5

5

5

5

5

5

아래팔

5

5

6

위팔

5

5

3

3

3

3

옥외

옥내

부위

직업

일반

탄광

3

5

6

복부및흉부

5

5

7

척추및골반

6

5

6

머리

3

3

3

신경계통및심장

발다리

둔부무릎넓적다리

손가락

6664

5554

7774노무자

5

5

4

엄지손가락

5

5

5

5

5

5

아래팔

5

5

6

위팔

5

5

3

3

3

3

옥외

옥내

부위

직업

일반

탄광

3

5

6

복부및흉부

5

5

7

척추및골반

6

5

6

머리

3

3

3

신경계통및심장

발다리

둔부무릎넓적다리

손가락

6664

5554

7774노무자

7 종합평가표

- Table 14 -

비뇨생식기계의 손상과 질병

직장

여성생식기

복부

관절염

두부뇌척수관절강직

흉곽의손상과 질병절단

결핵

시력장해말초신경

귀척주손상

안면골절

비뇨생식기계의 손상과 질병

직장

여성생식기

복부

관절염

두부뇌척수관절강직

흉곽의손상과 질병절단

결핵

시력장해말초신경

귀척주손상

안면골절

mdash mdash170

4 생명middot손해보험 장해분류표 개정내용(rsquo054월)1)

Ⅰ 추진배경

피보험자에게 보험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장해등급 적용의 곤란 등으로 분쟁이 지

속적으로 발생

동일한 장해에 대해 생손보사간 상이한 등급 적용으로 계약자 혼란 야기

장해등급분류 해설내용도 대부분 의학전문 용어 등을 사용작성되어 일반인이

이해하기 매우 어려운 실정

rArr 장해등급 적용과 관련된 분쟁 예방 보험소비자의 권익확대 및 전문 의학

및 보험용어의 순화를 통한 보험소비자의 이해 도모

Ⅱ 주요 개선내용

장해지급률에 의한 보험금 산정방식 도입

신체부위의 장해 및 손실정도에 따라 보험금이 합리적으로 차등지급될 수

있도록 장해율(3~100)에 의한 보험금 산정방식 도입

1급sim제6급 rarr 신체 부위별 장해 정도에 따라 3sim100

장해분류 세분화

신체 부위별 지급율 체계로 개선세분화

생명보험 6등급 71개 항목 rarr 13개 신체부위 87개 항목

장기손해보험 11개 신체부위 rarr 13개 신체부위 87개 항목

한시장해 인정 등 장해인정범위 확대

한시장해에 대해서도 보상

- 영구장해와의 형평성을 고려 영구장해율의 일정부분(20)을 인정하여 지급

1) 삼성생명 보험심사 김진구과장

mdash mdash171

장해평가 방법의 다양화

운동범위(기능) 측정에 의한 장해평가 방법 이외에도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평가 방법을 반영한 다양한 장해평가 방법을 인정

- 척추의 기능장해 손실모형에 의한 장해판정 인정

- 팔다리장해 근력 검사(근력약화 여부 측정)결과 인정

- 치매 일상적인 기본동작 제한이외 기억력 판단 및 문제해결 사회활동

능력 등을 감안 종합평가

개호가 필요한 기본동작제한에 대한 개념 명확화

일상생활의 기본동작에 대하여 중요도별로 가중치 부여하고 구체적으로 설명

- 이동동작 40 음식물 섭취 및 배변배뇨 각각 20 옷 입고 벗기

및 목욕 각각 10

팔다리 손발가락의 장해평가 방법 개선

가관절이 남아 장해를 남긴 때나 뼈에 기형을 남긴 경우 장해율을 부여

팔다리의 기능장해 및 손가락발가락의 기능 결손장해의 경우 장해 정

도에 따른 장해율을 설정한 후 장해율을 합산하여 전체 장해율을 결정

- 3대 관절중 1관절 장해의 경우 10 2관절 장해의 경우 20 3관절 장

해의 경우 30의 장해율 인정

용어의 순화

계약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의학용어 및 보험용어를 쉬운 용어로 대체 또는

병기

- 강직(관절굳음) 반흔(흉터) 등

mdash mdash172

(참고자료)

1 장해등급분류표 대비표

현 행 개 선 (안)

제1급(9개 항목)

두 눈의 시력을 완전 영구히 잃었을 때 등

1 눈의 장해(10개 항목)

두 눈이 멀었을 때 등

제2급(6개 항목)

중추신경계 또는 정신에 뚜렷한 장해를 남겨서 평생토록 수시 간호를 받아야 할 때 등

2 귀의 장해(6개 항목)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등

제3급(10개 항목)

한 눈의 시력을 영구히 잃었을 때 등

3 코의 장해(1개 항목)

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제4급(16개 항목)

두 눈의 시력에 각각 뚜렷한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 등

4 씹어먹거나 말하는 장해(9개 항목)

씹어먹는 기능과 말하는 기능 모두에 심한 장해가 남았을 때 등

제5급(16개 항목)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을 상실한 때 등

5 외모의 추상(추한모습)장해(2개 항목)

외모에 뚜렷한 추상(추한모습)을 남긴 때 등

제6급(14개 항목)

한 눈의 시력에 뚜렷한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 등

6 등뼈(흉추)의 장해(9개 항목)

등뼈(흉추)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등

7 체간골의 장해(2개 항목)

어깨뼈나 골반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등

8 팔의 장해(9개 항목)

두 팔의 손목이상을 잃었을 때 등

9 다리의 장해(12개 항목)

두 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을 때 등

10 손가락의 장해(6개 항목)

한 손의 5개 손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등

11 발가락의 장해(7개 항목)

한 발의 리스프랑관절 이상을 잃었을 때 등

12 흉복부 장기 및 비뇨생식기의 장해(3개 항목)

흉복부 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심한 장해가 남았을 때 등

13 신경계정신행동 장해(11개 항목)

신경계에 장해가 남아 일상생활 기본동작에 제한을 남긴 때 등

mdash mdash173

2 CDR 검사방법에 의한 임상 치매척도(반영안)

구 분 기억력 지남력판단 및

문제해결사회활동

가정생활 및

취미개인관리

정 상

(0)

기억력

감퇴가

없거나

경미한

비지속적

건망증

완전히 있음 재정사업과

같은

일상문제 잘

해결

과거일과

관련 판단력

좋음

통상적

수준으로

독립적 기능

수행

(직업 장보기

자원봉사

집단활동)

가정에서의

생활

지적흥미 잘

유지

혼자서

충분히 수행

불확실

(05)

경미한

건망증 지속

및 사건에

대한 부분적

회상

시간에 대한

경미한

어려움

문제점

유사점

차이점을

다루는데

경미한 장애

상기의 활동

약간의 장애

상기의 활동

약간의 장애

혼자서

충분히 수행

경 도

(1)

중증도의

기억력 감퇴

및 최근

사건에 대한

장애 현저

시간에 대한

중등도 장애

문제점

유사점

차이점을

다루는데

중등도장애

상기의 활동

일부를

계속하고

있더라도

독립수행

불가능

확실한

가정에서의

생활기능

장애

암시 및

격려 필요

중등도

(2)

중증의

기억력 감퇴

및 새로운

지식 금방

소실

시간관계에

대한 심각한

장애

문제점

유사점

차이점을

다루는데

심각한 장애

집밖에서의

활동 외관상

독립수행

불가능

단순한

집안일만

가능

착의

위생상태 및

외모유지에

도움필요

중 증

(3)

중증의

기억력 감퇴

및 단편적

기억만 보유

사람에 대한

지남력만

보유

문제해결 및

판단 불가능

집밖에서의

활동 외관상

독립수행

불가능

집안에서의

특별한 활동

전무

개인관리에

많은 도움

필요

심각함

(4)

단편적

기억마저

상실 및

동문서답

자신의

이름에만

가끔 반응

간단한 지시

및 명령

불이행

사회적 모임에

의미있는 참여

불가

취미활동 및

가정내 활동

불가

보행에 도움

필요

말 기

(5)

의미있는

기억력 없음

자신에 대한

의식 불가

주변상황

이해 및

인식불가

활동 불가 활동 불가 혼자

식사불가 및

와상상태

주) 미국의사협회(AMA)의 영구적 신체장해 평가지침 제5판에서 규정

mdash mdash174

3 일상생활 기본동작(ADLs) 제한 장해평가표(개선안)

유 형 제 한 정 도 장해율

이동동작 특별한 보조기구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다른사람의 계속적인 도움이

없이는 방밖을 나올 수 없는 상태40

휠체어 또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방밖을 나올 수 없는 상태 30

목발 또는 walker를 사용하지 않으면 독립적인 보행이 불가능한 상태 20

독립적인 보행은 가능하나 파행이 있는 상태 난간을 잡지 않고는 계

단을 오르고 내리기가 불가능한 상태 계속하여 평지에서 100m 이상

을 걷지 못하는 상태

10

음식물섭취 식사를 전혀할 수 없어 계속적으로 튜브나 경정맥 수액을 통해 부분

혹은 전적인 영양공급을 받는 상태20

수저 사용이 불가능하여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이 없이는 식사를

전혀 할 수 없는 상태15

숟가락 사용은 가능하나 젓가락 사용이 불가능하여 음식물 섭취에 있

어 부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10

독립적인 음식물 섭취는 가능하나 젓가락을 이용하여 생선을 바르거나

음식물을 자르지는 못하는 상태 5

배변배뇨 배설을 돕기 위해 설치한 의료장치나 외과적 시술물을 사용함에 있어

타인의 계속적인 도움이 필요한 상태20

화장실에 가서 변기 위에 앉는 일(요강을 사용하는 일 포함)과 대소변

후에 화장지로 닦고 옷을 입는 일에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이 필

요한 상태

15

배변 배뇨는 독립적으로 가능하나 대소변 후 뒤처리에 있어 다른 사

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10

빈번하고 불규칙한 배변으로 인해 2시간 이상 계속되는 업무(운전 작

업 교육 등)를 수행하는 것이 어려운 상태 5

목 욕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 없이는 샤워 또는 목욕을 할 수 없는 상태 10

샤워는 가능하나 혼자서는 때밀기를 할 수 없는 상태 5

목욕시 신체(등 제외)의 일부 부위만 때를 밀 수 있는 상태 3

옷입고 벗

기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 없이는 전혀 옷을 챙겨 입을 수 없는 상태 10

다른 사람의 계속적인 도움 없이는 상의 또는 하의 중 하나만을 착용

할 수 있는 상태 5

착용은 가능하나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마무리(단추 잠그고 풀기

지퍼 올리고 내리기 끈 묶고 풀기 등)는 불가능한 상태 3

Activities of Daily Living

mdash mdash

4 팔다리 및 발손가락 장해평가표(개선안)

장해 계열 장 해 내 용 장해율

팔의 장해

두 팔의 손목이상을 잃었을 때 100

한 팔의 손목이상을 잃었을 때 6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3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10

한 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5

한 팔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팔에 가관절이 남아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10

한 팔의 뼈에 기형을 남긴 때 5

다리의 장해

두 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을 때 100

한 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을 때 6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3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10

한 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5

한 다리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다리에 가관절이 남아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10

한 다리의 뼈에 기형을 남긴 때 5

한 다리가 5cm 이상 짧아진 때 30

한 다리가 3cm 이상 짧아진 때 15

한 다리가 1cm 이상 짧아진 때 5

손가락장해

한 손의 5개 손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55

한 손의 첫째손가락의 손가락관절보다 윗쪽에서 잃었을 때 15

한 손의 첫째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을 둘째마디 관절보다 위쪽에서 잃었을 때(1손가락마다)

10

한 손의 5개 손가락 모두의 손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모두의 손가락뼈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30

한 손의 첫째손가락의 손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10

한 손의 첫째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의 손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1손가락마다)

5

발가락장해

한 발의 리스프랑관절 이상을 잃었을 때 40

한 발의 5개 발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30

한 발의 첫째발가락의 발가락관절보다 윗쪽에서 잃었을 때 10

한 발의 첫째발가락 이외의 발가락을 둘째마디 관절보다 윗쪽에서 잃었을 때(1발가락마다)

5

한 발의 5개 발가락 모두의 발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20

한 발의 첫째발가락의 발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8

한 발의 첫째발가락 이외의 발가락의 발가락뼈의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1발가락마다)

3

mdash mdash

5 척추에 한 장해평가표(개선안)

현 행개 선 (안)

비 고장 해 내 용 장해율

제3급의9

척추에 고도의 기형 또는 고도의 운동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추간판탈출증

은 제외)

제4급의15

척추에 중도의 기형 또는 중도의 운동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추간판탈출증

은 제외)

제5급의14

척추에 경도의 기형 또는 경도의 운동

장해를 영구히 남겼을 때(추간판탈출증

은 제외)

제4급의16

고도의 추간판탈출증

제5급의16

중도의 추간판탈출증

제6급의14

경도의 추간판탈출증

등뼈(흉추)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40

-장해유형

에 따른

분류

-체간골의

기형장해

보상

등뼈(흉추)에 뚜렷한 운동장해

를 남긴 때30

등뼈(흉추)에 약간의 운동장해

를 남긴 때10

등뼈(흉추)에 심한 기형을 남

긴 때50

등뼈(흉추)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30

등뼈(흉추)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 때15

심한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 20

뚜렷한 추간판탈출증(속칭 디

스크)15

약간의 추간판탈출증(속칭 디

스크)10

어깨뼈나 골반뼈에 뚜렷한 기

형을 남긴 때15

빗장뼈 가슴뼈 갈비뼈에 뚜렷

한 기형을 남긴 때10

주) 심한 rarr 고도의 기형 뚜렷한 rarr 중도의 기형에 해당

mdash mdash

177

6

lsquo054

월 標

準約

款 改

訂에

따른

장해

등급

분류

변경

대비

mdash mdash

178

mdash mdash

179

mdash mdash

180

mdash mdash

181

mdash mdash

182

mdash mdash

183

mdash mdash

184

mdash mdash

185

mdash mdash

186

mdash mdash

187

mdash mdash

188

mdash mdash

189

mdash mdash

190

mdash mdash

191

mdash mdash

192

mdash mdash

193

mdash mdash

194

mdash mdash

195

mdash mdash

196

mdash mdash

197

mdash mdash

198

mdash mdash

199

mdash mdash

200

mdash mdash

201

mdash mdash202

5 대한신경외과학회 제안 장해평가기준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기준(신경계척추)

I 개 요

의료의 사회적 역할이 다양하게 요구되는 가운데 신체상의 손해나 장애를 감정하고

평가하는 업무가 또 다른 형태의 의료인의 중요한 업무로 대두되고 있다

경제 문화적 사회여건의 양적 질적 다양화로 일상생활과 산업현장에서 인과관계가

불분명한 사고와 질병의 발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사고와 질병에 의한 결과로

후유 장애를 보이는 경우 피해자나 환자에 대한 의학적으로 적정한 치료와 장해평가가

이루어지고 법률적으로도 공정한 심판이 있어야 하며 보험회사나 기업 나아가 국가

에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보상이 이루어져 이들을 조속히 사회로 복귀시키는 것은 우리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장애정도 판정은 각 단체나 기관이 일방적으로 정한 장해평가기준에

의하여 내려지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장해평가의 기준은 주로 배상과 보상을

위한 기준(근로기준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McBride식 기준

또는 AMA식 기준 국가배상법 광주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에 관한 법률)과 장애복지

기준(장애인 복지법 국민연금법 군인연금법 생명보험회사 약관 등)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준으로 장애정도를 판정하였을 경우 동일한 장애라도 서로 다른 장애정도의

판정이 내려짐은 물론이고 판정자가 다른 경우나 판정기관이 다른 경우에도 서로

상이한 장애정도의 판정이 내려지게 되어 일부 의료인에 의하여 내려진 장해평가가

사회적으로 적지 않은 불신과 불만을 가져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우리의 현실과 국민정서에 맞는 공정하고 과학적인 그리고 하나로 통합된

한국형 장해평가기준이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모두가 느끼고 있다

대한신경외과학회(이사장 변박장)에서는 2002년 10월에 장해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표준화 적정화 체계화된 신경외과 영역의 장해평가기준을

만들기로 하였다

대한신경외과 장해평가위원회에서 다룬 장해평가기준의 범위는 중추신경계 척추

말초와 통증의 세 분야이며 현재까지 수차례의 워크숍을 통하여 모든 위원들이 열심히

노력하여 새로운 장해평가기준을 만들었으며 다른 전공분야의 전문의와 유관 기관

mdash mdash203

(손해보험업계 및 법조인 단체)들과 여러 차례 공청회를 거쳐 수정 및 보완하였다

향후 이 장해평가기준을 대한의사협회와 다른 기관 및 정부 부처(손해보험협회 법

조인 단체 및 보건복지부 등)들로부터 인준을 받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이 장해평가기준은 대한신경외과학회에서 처음 만든 기준으로 의학의 발전이나 사

회 여건의 변화에 따라 앞으로도 주기적으로 수정 보완을 하여 더욱 더 완벽한 장

해평가기준이 만들어 지는데 초석이 되리라 기대한다

대한신경외과학회의 전 회원들께서는 이 장해평가기준의 내용에 부족함과 미숙함이

있더라도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이 평가기준을 널리 이용해주시고 이용할 때 의문

점이나 문제점이 생기는 경우는 언제라도 지적해 주시기 바란다

머지않은 장래에 대한신경외과학회의 장해평가기준이 국내에서 가장 공신력이 높은

평가기준으로 자리 매김하며 향후 전신에 대한 한국형 장해평가기준의 탄생에 매우

중요한 기폭제가 되리라 확신한다

마지막으로 신체 전반에 대한 우리 고유의 한국형 장해평가기준의 확립이 시급히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서는 해당 전문의학회 대한의사협회 그리고 보건복지부 등에서

앞장서서 제반 문제를 입안하고 시행하여야 하리라 생각된다

II 서 론

1 현 장해평가기준은 크게 중추신경계 척추 말초신경과 통증장애에 대한 장해평가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장해평가 시기는 원칙적으로 의학적 최대 호전(maximal medical improvement

MMI) 시기로 하고 만일 판정시점이 수상일로부터 6개월 이내인 경우는 6개월

이후로 한다 의학적 최대 호전(MMI) 시기란 의학적으로 더 이상 치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없는 시기를 의미하며 장해평가일로부터 12개월이 경과해도 장애율

변화가 3 안팎인 시점으로 한다 그리고 장애 판정을 받기 전까지 충분하고

성실하게 전문적인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하며 만일 그 이전이라도 충분한 치료로

증상의 악화 가능성이 없거나 전문적인 치료 후 호전될 가능성을 감안하여 판정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mdash mdash204

3 장해평가기준은 노동능력이 왕성한 건강한 성인을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노동

능력이 불확실한 소아나 노인의 장애를 평가할 때는 주위의 여러 요인들을 세심

하게 고려하여 현 장해평가기준을 적용함이 타당하리라 본다

4 현 장해평가기준의 핵심은 책자의 앞 부분에 있는 각 분야의 장해평가표이며

이는 해당 장해평가의 세부 영역과 정도를 쉽게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다른 평가

항목과도 비교할 수 있게 하였다

5 현 장해평가기준은 장애인에 대한 개호 사고의 관여도 직업계수 보조구와 여명

등의 개념은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이들에 대하여서는 추후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6 장해평가의 용어를 간소화하였으며 해당 항목의 구분도 간결하게 하였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세부지침을 두어 판정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7 각 분야별로 현 평가기준에 적합한 증례를 첨부하여 장해평가자의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8 용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용어해설을 첨부하였다

9 복합장애에 대한 병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AMA식 복합장애 병산표를 첨부

하였다

mdash mdash205

장해평가기준표

A 중추신경계 장해평가표

항 목 전신 장애율()

I 기능장애

A 기질성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2(05-019)

27(20-034)

42(35-049)

57(50-064)

72(65-079)

90(80-100)

B 비기질성 장애

a 객관적 이상소견이 없는 경우

b 객관적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

3(1-05)

8(6-10)

II 운동 기능장애

A 상지기능장애 잘 쓰는 팔 잘 안쓰는 팔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03(01-04)

10(05-14)

22(15-29)

38(30-45)

B 하지 기능장애(기립 및 보행)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III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

A 배뇨 배변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0(01-19)

30(20-39)

50(40-60)

B 성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5(10-19)

25(20-29)

mdash mdash206

항 목 전신 장애율()

IV 뇌신경 기능장애

A 제 1 뇌신경 장애

a 일측성 03(01-50)

b 양측성 08(06-10)

B 제 2 3 4 6 뇌신경 장애

C 제 5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0(15-24)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30(25-35)

D 제 7 뇌신경 장애

a 미각소실 05(01-90)

b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5(01-90)

c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5(10-19)

d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25(20-29)

E 제 8 뇌신경 장애

F 제 9 10 12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7(15-39)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50(40-60)

각 I II III IV 항에 해당되는 장애율을 서로 병산하도록 한다

안과와 이비인후과의 평가기준을 적용한다(세부 사항 참조)

mdash mdash207

B 척추 장해평가표

II 통증 및 신경장애

A a 명백한 배부증상

b 회복된 신경근병증

B a 보존적 치료로 고착된 신경근병증

b 수술로 회복된 신경근병증

C a 수술 후 고착된 신경근병증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05(01-08)

05(01-08)

11(09-13)

11(09-13)

19(14-23)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두 번이상 수술한 경우 수술 당 3 추가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A 척추불안정이 명백한 경우

B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a 두 분절 이하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b 세 분절 이상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17(10-23)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23(15-28)

32(25-38)

27(20-33)

38(30-45)

C 변형장애

a 척추 측만각25-39도

b 척추 측만각 40도 이상

c 척추 후만각 30-59도

d 척추 후만각 60도 이상

25(20-29)

35(30-40)

25(20-29)

35(30-40)

항 목전신 장애율()

경추부 흉추부 요추부

I 척추의 골절 및 탈구

A 추체의 압박골절

a 25 이하

b 26-49

c 50 이상

B 추체외 골절

a 신경관을 침범하지 않는 경우

b 신경관을 침범한 경우

C 정복된 탈구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10(07-13)

05(01-08)

14(09-18)

21(19-23)

05(01-08)

11(09-13)

09(07-10)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09(07-10)

다발성 골절인 경우 분절 당 3 추가

신경근 손상의 동반 5-15

mdash mdash208

C 말초신경 장해평가표

손 상 신 경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A 가벼운 B 보통의 C 심한

제 5-8 목신경 04 10 20

제 1 가슴신경 03 07 14

팔신경얼기 12 30 60

중간줄기(제 7 목신경) 04 10 20

아래줄기(제 8 목 제 1 가슴) 09 22 45

가슴근신경 01 02 03

겨드랑신경 04 12 24

등쪽어깨신경 01 02 03

긴가슴신경 2 05 10

안쪽아래팔피부신경 01 02 03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윗부분) 08 20 40

정중신경(앞뼈사이신경) 02 05 10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아래부분) 05 14 28

근육피부신경 03 09 18

노신경(삼두근침범) 05 14 28

노신경(삼두근보존) 04 12 24

어깨밑신경 1 02 03

어깨위신경 2 06 12

가슴등신경 1 03 06

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 6 05 30

자신경(아래팔중간 이하) 4 12 24

넙다리신경 3 07 15

폐쇄신경 1 02 03

위볼기신경 5 12 25

아래볼기신경 3 07 15

가쪽넙다리피부신경 1 02 03

궁둥신경 6 15 30

온종아리신경 3 07 15

얕은종아리신경 1 01 02

장딴지신경 1 01 02

안쪽발바닥신경 1 01 02

가쪽발바닥신경 1 01 02

A 가벼운 장애정상 활동이 가능한 경도의 감각감소 또는 저항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B 보통의 장애정상 활동에 제한을 주는 감각감소 또는 중력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C 심한 장애심한 통증을 동반한 감각감소 작열통 또는 운동이 거의 불가능한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

mdash mdash209

D 통증 장해평가표

통증을 평가하는 질환은 아래의 질환군으로 나누어 평가한다

항 목

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잘 쓰지 않는 팔다리

잘 쓰는 팔다리

I 복잡부위 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type I amp II )

A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에 경한 지장이 있는 경우 01-04 01-09

B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이 불가능한 경우05-14 10-24

C통증으로 인해 일상 생활에 현저한 지장을 주는경우 15-29 25-39

D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30-45 40-60

II 의학적으로 명백히 기질적인 손상이 있는 질환에서

통증증후군이 동반되어 통증을 평가할 때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II 통증을 설명할 수있는 명백한 장기의 손상이 없지만

통증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일반적인 통증 증후군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 II III군의 적용과 A B C 항의 적용에 대한 세부지침은 아래에 있는 평가요령을 참고로

한다

mdash mdash210

III 본 론

A 중추신경계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중추신경계 장해평가의 기준은 새로운 평가 방법을 설정한 것이 아니라 기존의 여러

평가기준의 평가방법에 따른 장애 정도를 어느 정도 규합하여 적용하게 한 것으로 볼수

있다 또한 각 평가의 장애정도에 적용범위를 두어 판정자의 판단에 따라 어느 정도의

보정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AMA식이나 맥브라이드 식을 적용하였을 경우나

다른 평가기준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도 장해평가에 대한 판정오차가 크지 않도록 하는

것에 우선적인 중점을 두었다

평가기준은 4분야로 나누어

1)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기질성 및 비기질성 장해평가

2)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운동 기능의 장애(상지 및 하지)평가

3)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한 배뇨배변 및 성기능의 장해평가

4) 뇌신경기능 장해평가

로 나누었고 이에 해당되는 항을 각각 적용하여 그 장애율을 병산한다

장해평가 시에 장애정도의 구분은 가벼운 경우 보통인 경우 심한 경우 매우 심한

경우 등으로 간결하게 하였고 이에 대한 세부사항을 두어 평가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세부사항 내에 여러 항목에 관련이 있는 경우는(3개항 해당과 그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조정이 가능하게 하였다

mdash mdash211

2 중추신경계 장해평가표

항 목 전신 장애율()

I 기능장애

A 기질성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 3개항 이하 해당되는 경우

2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2(05-019)

27(20-034)

42(35-049)

57(50-064)

72(65-079)

90(80-100)

B 비기질성 장애

a 객관적 이상소견이 없는 경우

b 객관적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

3(1-05)

8(6-10)

II 운동 기능장애

A 상지기능장애 잘 쓰는 팔 잘 안 쓰는 팔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3(01-04)

10(05-14)

22(15-29)

38(30-45)

B 하지 기능장애(기립 및 보행)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7(10-24)

32(25-39)

50(40-60)

III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

A 배뇨 배변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10(01-19)

30(20-39)

50(40-60)

B 성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05(01-09)

15(10-19)

25(20-29)

mdash mdash212

항 목 전신 장애율()

IV 뇌신경 기능장애

A 제 1 뇌신경 장애

a 일측성 03(01-50)

b 양측성 08(06-10)

B 제 2 3 4 6 뇌신경 장애

C 제 5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0(15-24)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30(25-35)

D 제 7 뇌신경 장애

a 미각소실 05(01-90)

b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5(01-90)

c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15(10-19)

d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25(20-29)

E 제 8 뇌신경 장애

F 제 9 10 12 뇌신경 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08(01-14)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27(15-39)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50(40-60)

각 I II III IV 항에 해당되는 장애율을 서로 병산하도록 한다

안과와 이비인후과의 평가기준을 적용한다(세부 사항 참조)

3 세부지침

I 기능장애

A 기질성 장애

1) 이는 대뇌 손상 등으로 인한 신경기능의 장애로 의식장애 언어장애 행동과 정서의

장애 경련증 소견 정신상태의 장애 등을포괄적으로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2) AMA식에서의 중추신경장애 분야와 같은 항으로 볼 수 있으며 맥브라이드 식에서는

두부 손상항목에서의 V VII VIII IX X 항과 관련이 있다

mdash mdash213

3) 세부 항에서 여러 개의 항목에 해당되면 장해평가율의 범위내에서 조정이 가능하다

(특히 3개항 이하에 해당되는 경우와 4개항 이상 해당되는 경우로 구분한다)

4) 판정시에는 반드시 두부 손상여부에 대한 정밀검사가 필요하다

① CT(혹은 MRI SPECT PET 등)로 뇌실질 손상 및 대사의 기능이상 여부 확인이

필요하다

② 경련증에 대한 장애인 경우 반드시 충분한 약물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경련증이

나타나는 경우에 해당되며 뇌파검사(EEG) 등 정밀검사확인이 필요하다

③ 일상생활 활동의 장애정도 여부 판정은 심리감정 평가를 시행하여 이를 바탕으로

판정을 하여야 한다

5) 일상생활활동이라 함은 사람이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사회활동을 할 수 있는지 여부을

판정하는 것으로 보행여부나 운동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기본적인 활동의

수행여부를 말한다 즉 본인 스스로 외출(보행여부와는 관련없음) 물건사기 책읽기

전화하기 돈 관리하기 대인관계 등을 말한다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5~191) 일상생활활동에는 지장이 없으나 간헐적

으로 인지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경우

2) 부분 경련이 2~3개월 간격으로 있거나 1년에 1회 이상의 전신경련이있는 경우

3) 정밀검사에서 뚜렷한 뇌실질의 이상소견은 보이지 않으나 고의적이 아니며 호전되지

않는 두통 현훈증 불면증 등을 호소하는 경우

4) 정밀검사에서 뇌실질의 이상 소견이 보이며 가벼운 증상(두통 현훈증 불면증 등)을

호소하는 경우

5) 중추신경의 이상으로 정서장애가 있어 일상생활활동에 가벼운 제한이 있는 경우

6) 일상생활활동은 가능하나 간헐적인 적응장애 기억력장애 판단력 제한 등의 소견이

있는 경우

7) 가벼운 언어장애가 있어 어느 정도 알아들을 수는 있으나 충분한 표현은 되지 않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20~49

1) 일상생활 활동을 다소 제한하는 인지기능의 장애가 있는 경우(예 착란상태

confusion)

mdash mdash214

2) 부분 경련이 1개월에 1회 이상 있으며 전신경련이 2~3개월에 1회 정도 있는 경우

3) 정밀검사에서 이상소견이 나타나며 일상생활 활동에 어느 정도의 제한 소견이 있는

경우

4) 최근의 일 등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시간에 대한 지남력에 뚜렷한 제한이 있는 경우

5) 사회 또는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이 있어서 독립적인 생활에 어려움이 따르는 경우

6) 일상생활 활동의 수행에 있어 때때로 타인의 조언이 필요한 경우

7) 보통 정도의 언어장애가 있어 알아듣기는 어려우며 지적 표현이 되지 않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50~79

1) 인지기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이 심하게 있는 경우

2) 1개월에 1회 정도의 전신 경련이나 1주에 2~3회 이상의 부분 경련이 있어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을 주는 경우

3)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이 있어 정서 및 적응에 장애가 심하게 있는 경우

4) 심한 기억력 장애나 판단력에 심한 제한이 있으며 IQ가 70 이하인 경우

5) 모든 일상생활 활동에서 대부분 타인의 지시와 도움이 필요한 경우

6) 본인 단독으로는 업무수행에 지장이 있어 타인의 감독이 필요하며 매우 단순한 일

수행만 가능한 경우

7) 심한 언어장애로 알아듣기나 표현이 불가능한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80~100

1) 다른 사람에 의존하지 않고는 일상생활 활동이 전혀 불가능한 경우

2) 반혼수 및 혼수상태로 타인에게 완전히 의존할 정도인 경우

3) 일상생활 활동에 있어 타인과 생활이 불가능하여 절대 격리가 필요한 경우(정신과적

격리를 말함)

B 비기질성 장애

임상심리검사(psychometry)에서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를 객관적 이상소견이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mdash mdash215

II 중추신경계의 운동 기능장애

1) 이는 중추신경 손상으로 인한 신경기능의 장애로 기립 및 보행 상지의 운동 장애

호흡장애등 운동기능의 장애를 포괄적으로 하여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2) AMA식에서의 기립 보행 운동 장애 분야와 같은 항으로 볼 수 있으며 맥브라이드

식에서는 두부손상 항에서의 III IV VI 항과 관련이 있다

3) 상지 운동장애는 상지의 동작여부를 말하며 양팔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잘 쓰는

팔과 잘 안 쓰는 팔의 장애를 병산한다

4) 상지의 미세한 동작 여부와 일상기본 동작으로 구분한다 상지의 미세한 동작은 상지

혹은 손가락의 장애로 인하여 그릇을 씻거나 돈세는 일 지갑에서 동전을 꺼내는

일 비교적 굵은 끈매기 단추 끼우기 등을 수행하는 정도를 말한다 일상기본동작

이란 상지 혹은 손가락의 장애로 인하여 기본적인 동작 수행을 말하는데 식사 세면

및 양치질 물마시기 목욕 물건 옮기기 대소변 가리기 등을 말한다

5) 하지 운동장애는 기립 및 보행 장애정도를 말하며 평지를 걸을 수가 잇는지 계단

오르내리기가 가능한지 보행시 보조구의 도움이 필요한지 독립보행이 가능한지

등으로 구분하여 판정한다

A 상지 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 잘 쓰는 팔 helliphellip 1~9

1) 상지 혹은 손가락의 장애가 있어 미세한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즉 그릇을

씻거나 돈세는 일 지갑에서 동전을 꺼내는 일 비교적 굵은 끈매기 단추 끼우기 등)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10~24

1) 상지의 장애로 미세한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25~39

1) 상지의 장애로 일상생활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즉 식사 세면 양치질 목욕 및 물건 옮기기 등

mdash mdash216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 helliphellip 40~60

1) 상지의 장애로 일상 기본동작을 전혀 수행할 수 없는 경우

B 하지 기능장애(기립 및 보행)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1~9

1) 일어설 수는 있으나 멀리 걷기 불편한 경우

2) 독립 보행은 가능하나 장거리 보행에 지장이 있는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10~24

1) 일어설 수 있으나 평지만 걸을 수 있는 경우

2) 독립 보행은 가능한 편이나 계단을 사용하기가 어려운 상태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25~39

1) 일어설 수는 있으나 도움(보조구 등) 없이는 걷기 어려운 상태

2) 고르지 못한 바닥이나 계단을 오르내리기가 심히 어려운 상태

3) 독립 보행은 가능하나 간간히 부축이 필요한 경우

d 매우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40~60

1) 독립보행이 불가능하며 보행 시 반드시 보조기 사용이 필요하거나 타인의 도움이

절대 필요한 경우

2) 하지 마비로 인하여 휠체어 사용이 필요한 경우

III 중추신경장애로 인한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

1) 이는 중추신경 손상으로 인한 신경기능의 장애로 배뇨 및 배변의 장애와 성기능의

장애를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2) A 항은 배뇨 배변장애 B 항은 성기능 장애로 구분한다

3) 배뇨 배변 장애가 동시에 있어 여러 항목이 관련된 경우에는 장해평가율 분포에서

높은 쪽을 택한다

mdash mdash217

4) AMA식에서의 기립 보행 운동 장애 분야와 같은 항의 방광기능 직장 항문 기능

성기능에 해당되며 맥브라이드 식에서는 비뇨 생식계항과 직장항과 관련이 있다

5) 판정 시에는 비뇨기계 역동학적 검사(Urodynamic study)나 발기부전검사 등 정밀

검사 시행 후 증상과 관련이 있는 경우에 판정한다

6) 요로계통이나 직장계통의 손상 등으로 인한 장애는 관련이 없으며 중추신경계와

관련 있는 장애만을 판정한다

A 배뇨 배변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1~19

1) 배뇨장애가 있으나 혼자서 가릴 수는 있는 경우

2) 배뇨장애가 있어 감염과 통증으로 때때로 치료가 필요한 경우

3) 배뇨의 자가 조절은 다소 어려우나 반사적 배뇨기능이 양호한 경우

4) 항문의 반사적 조절기능은 있으나 조절에 제한이 있는 경우

5) 가끔 실변이 있어 패드착용이 필요한 경우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20~39

1) 배뇨의 자가 조절 기능은 불가하며 반사적 기능도 좋지 않는 경우

2) 항문 기능의 반사적 조절 기능은 있으나 조절이 불가능한 경우

3) 괄약근의 기능저하로 실변 현상이 있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40~60

1) 배뇨의 자가 조절기능이 불가하며 반사적 배뇨도 불가능한 경우

2) 항시 카테터의 삽입이 필요한 상태

3) 항문의 괄약근 기능이 소실되었고 반사적 조절도 되지 않는 경우

B 성기능장애

a 가벼운 장애가 있는 경우1~9

1) 반사적 기능은 있으나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

mdash mdash218

b 보통의 장애가 있는 경우10 ~19

1) 반사적 기능은 있으나 느낌이 없는 경우

c 심한 장애가 있는 경우20 ~29

1) 반사적 기능이 없는 경우

IV 뇌신경 기능장애

1) 이는 대부분의 경우 안과적인 사항인 2 3 4 6 뇌신경장애에 한정될 수 있으나

1 5 8 9 10 12 뇌신경인 경우 이비인후과적인 사항에 포함될 수 있다

2) 2 3 4 6 뇌신경장애는 안과의 장해평가기준에 따른다

3) 5 뇌신경장애는 기질적인 장애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한다

4) 안면신경 마비 시 우리나라에서는 외적인 요인으로 사실상 업무 수행에 지장을 초

래할 수 있으나 추후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5) 8 뇌신경장애시 평형감각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중추신경의 기립 보행장해평가에

준하여 평가한다

6) 8 뇌신경장애의 청력장애는 이비인후과적 장해평가에 따른다

A 제 1 뇌신경(후각신경) 장애 냄새를 전혀 맡지 못하는 경우

a 일측성 1~5

b 양측성 6~10

B 제 2 3 4 6 뇌신경

안과의 장해평가기준에 따른다

C 제 5 뇌신경(삼차신경) 장애 삼차신경통 안면통

a 가벼운 장애 1~14

1) 가벼운 정도의 조절이 되지 않는 통증으로 인해 일상동작에 어느 정도 제한이 있는

경우이다 여기에서 일상 동작이란 씹기 웃기 말하기 삼키기 등을 말한다

mdash mdash219

b 보통의 장애 15~24

1) 조절되지 않는 통증으로 인하여 일상동작에 제한이 뚜렷한 경우

c 심한 장애 25~35

1) 전혀 조절이 되지 않는 통증으로 일상동작 수행이 되지 않는 경우

D 제 7 뇌신경(안면신경) 장애 미각 및 안면 마비

a 미각 완전 소실 1~9

b 가벼운 안면신경 마비 1~9

1) 안면 마비 소견이 관찰되나 저작 눈감기 등이 심하지 않은 경우

c 보통의 안면신경마비 10~19

1) 안면마비 소견이 나타나며 저작이나 눈감기에 지장이 있는 경우

d 심한 안면신경 마비 20~29

1) 안면마비 소견이 매우 뚜렷하며 저작 눈감기 등이 불가능한 경우

E 제 8 뇌신경

a 청력 이비인후과의 장해평가기준을 따른다

b 평형기능 중추신경의 운동장애중 특히 하지기능에 적용한다

F 제 9 10 12 뇌신경(연하곤란)

a 가벼운 연하곤란 장애 1~14

1) 액상 반고형 음식 연하시 삼키기가 비교적 곤란한 경우

mdash mdash220

b 보통의 연하곤란 장애 15~39

1) 액상의 반고형 음식연하시 코로 역류되거나 폐로 흡인 되는 경우나 삼키기 곤란한

경우

c 심한 연하곤란 장애 40~60

1) 전혀 음식물을 삼킬 수 없는 상태로 레빈 튜브나 흡입장치가 필요한 경우

A B C D 항을 각각 산정하여 병산(combine) 하도록 한다

4 증 례

42세 남자로 2년 전 교통사고로 인하여 경막하 뇌출혈이 발생하여 응급으로 두개강내

혈종 제거술을 시행받고 추후 성형술을 시행받았다

현재 CT 소견에서 우측 뇌실질의 위축소견이 보이나 뇌파에서는 이상소견 보이지

않았다 경련 소견은 보이지 않으며 좌측 편 부전 마비로 독립 보행은 가능하나 계단

오르내리기 고른 길 걷기 등은 제한이 뚜렷하다 좌측 상지 기능저하로 물컵을 옮기거나

목욕 등에 제한이 따른다 의식은 명료한 편이며 언어 소통에는 불편이 없으나 심리

검사에서 적응장애가 뚜렷이 나타난다 배뇨 배변에는 불편이 없고 뇌신경기능에도

이상이 없다

장해평가

기질성 뇌기능장애

I-A-b-134 정도

운동기능장애

상지 장애II-A-c20하지장애II-B-c30

배뇨배변장애0

뇌신경장애0

이를 합산하면(Combine)63

이 피해자는 50 이상의 장애로 영구적 장애로 판정함이 타당할 것이다

mdash mdash221

B 척추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척추는 신경기능을 전달하는 척수 및 신경근 척주의 형태와 운동을 유지하는 인

대와 골격의 척주(spinal column) 그리고 척주의 다양한 운동을 유발하는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가 유기적이며 체계적일 때 정상적인 척추의 형태

와 기능을 유지하게 된다 정상적인 척추의 형태는 각 척추골의 형태와 전체적인

굽이(curvature)를 말하고 정상적인 기능은 척주의 움직임과 척수와 신경근의 신경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형태와 기능 이상의 대표적인 예로 형태는 변형 골절 전위

골유합 등이며 기능은 척주의 움직임의 제한 척수나 신경근의 손상으로 인한 신경

학적 손상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척추의 매우 복잡한 형태와 기능으로 인해 동일한 평가 방법으로 장해평

가를 하더라도 감정인에 따라 상이한 감정 결과를 보일 수 있다 기존의 제안된 척추

장해평가방법은 과학적이기는 하나 현실성이 부족하거나 간편하기는 하지만 객관

성과 과학성이 부족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척추장해평가방법을 만드

는 일은 매우 난해한 작업일 수밖에 없고 완벽한 장해평가방법을 만드는 데는 한

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로 여기서 제안한 장해평가기준도 장해평가에 관련된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는 없으며 완벽한 지침이라고는 볼 수 없다 하지만 최대한 객

관성과 과학성을 가진 평가기준을 만들고자 하였다

현 척추장해평가기준은 척추질환이나 손상의 진단에 바탕을 두지 않고 치료 후에

남아있는 기능과 형태상의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장애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치료

후에 남아있는 배부 증후 신경근병증으로 기능의 손상(impairment)을 평가하고자

하였고 고정술 변형 골절 등 방사선상에서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형태의 손

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제시되어 있는 장애율은 전신에 대비한 척추의 손상정도의 백분율을 제시하였으며

해당 항목의 장애율에 선택범위를 제시하여 같은 항목 내에서도 손상정도에 따라

장애율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시된 장애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고 다른 조

직이나 기관(organ)과의 형평성이 고려된 AMA 평가기준을 주로 참고하였다

척수 손상에 의한 신경학적 결손은 대한신경외과학회의 장해평가기준의 중추신경계

장해평가기준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mdash mdash222

목보다 허리를 더욱 중요시하는 국내의 정서와 McBride 장해평가기준과 이경석

논문(J Korean Neurosurg Soc 28670~674 1999) 등에 제시된 장애율은 요추

가 높은 경향이 있어 척추 고정술의 경우는 요추를 경추보다 높은 장애율로 결정하

였다

장해평가 항목은

I 척추 골절 및 탈구

II 통증 및 신경장애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로

세 가지 대항목으로 구분하였으며 대항목 내의 제시된 세부항목으로 실제적인 장해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대항목 중에서 하나의 세부항목을 선택하여 가장 높은 장애

율을 최종 장애율로 구하도록 하였다

척수손상이 동반된 경우에는 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기준의 중추신경계 장해평

가를 따르도록 하였다

본문은 척추장해평가 흐름도 장해평가표 장애판정지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가

흐름도는 피감정인의 장애상태에 따라 해당되는 대항목과 척수신경장애 등의 개요

를 평가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흐름도이다

장해평가지침은 장해평가표의 세부항목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평가방법의 예시이다

여기서 제시된 장해평가방법은 척추장해평가에 있어 완벽하지 않으며 장해평가에

관련된 종사자 모두를 만족할 수 있는 기준은 아니다

mdash mdash223

2 척추 장해평가 흐름도

2항목 중 최대 장애율

호전 가능성 여부 판정보류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예

척추 손상 여부

3항목 중 최대 장애율

척수신경손상 동반

척추장애 최대장애율 척추 및 척수장애 병산

1 척추 골절 및 탈구

2 통증 및 신경장애

3 척추운동 및 변형장애

2 통증 및 신경장애 3 척추운동 및 변형장애

중추신경 장애 평가표

3 척추 장해평가표

항 목전신 장애율()

경추부 흉추부 요추부

I 척추의 골절 및 탈구

A 추체의 압박골절

a 25 이하

b 26-49

c 50 이상

B 추체외 골절

a 신경관을 침범하지 않는 경우

b 신경관을 침범한 경우

C 정복된 탈구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10(07-13)

05(01-08)

14(09-18)

21(19-23)

05(01-08)

11(09-13)

09(07-10)

05(01-08)

14(09-18)

24(19-28)

05(01-08)

14(09-18)

09(07-10)

다발성 골절인 경우 분절 당 3 추가

신경근 손상의 동반 5-15

mdash mdash224

II 통증 및 신경장애

A a 명백한 배부증상

b 회복된 신경근병증

B a 보존적 치료로 고착된 신경근병증

b 수술로 회복된 신경근병증

C a 수술 후 고착된 신경근병증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05(01-08)

05(01-08)

11(09-13)

11(09-13)

19(14-23)

05(01-08)

05(01-08)

14(09-18)

14(09-18)

24(19-28)

두 번이상 수술한 경우 수술 당 3 추가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A 척추불안정이 명백한 경우

B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a 두 분절 이하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b 세 분절 이상

1 신경학적 결손 없음

2 신경학적 결손 있음

17(10-23)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17(10-23)

27(20-33)

23(15-28)

33(25-40)

23(15-28)

23(15-28)

32(25-38)

27(20-33)

38(30-45)

C 변형장애

a 척추 측만각25-39도

b 척추 측만각 40도 이상

c 척추 후만각 30-59도

d 척추 후만각 60도 이상

25(20-29)

35(30-40)

25(20-29)

35(30-40)

4 세부지침

1) 각 척추 부위별(경추 흉추 요추)로 각각 장애를 평가하여 부위별 최대 장애

율을 구한 후 최종 장애율은 각 부위별 장애율을 병산한다 단 다발성 골절일 경우

에는 예외로 한다

2) 장해평가는 대항목인 1 척추의 골절 및 탈구 2 통증 및 신경장애 3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중에서 피감정인에 해당하는 최대의 장애율을 최종 장애율로 정

한다 즉 항목 1 2 3 내의 세부항목으로 장애율을 구하고 최대 장애율에 해당하

는 한 가지 항목만을 선택하여 척추장애의 최종 장애율로 한다

3) 세부항목의 평가내용은 객관적인 증후나 검사(신경생리 방사선 등)로 확인된

경우에만 해당한다

4) 척수손상으로 인해 상지 하지의 신경학적 결손이나 배뇨 배변 성기능의 장

애가 동반된 경우에는 대한신경외과학회 장해평가기준의 중추신경계 장해평가표의

B 중추신경계의 운동기능장애 C 중추신경계의 배뇨 배변 및 성기능장애의 항목

mdash mdash225

을 이용하여 평가한다 척수손상의 장애율과 척추장애의 장애율은 병산하여 척추장

애의 최종 장애율을 산정한다

I 척추의 골절 및 탈구

1 골절 및 탈구는 방사선 검사(단순 촬영 CT MRI 뼈주사 등)으로 증명된 경

우에만 해당한다

2 항목은 추체의 압박골절 추체외 골절 정복된탈구로 구분한다

3 추체의 압박골절은 추체 전방의 정상 추체에 대한 압박의 정도를 나타낸다

4 추체외 골절은 신경관 침범 유무에 따라 판정하며 만일 척수신경이나 신경근

의 손상이 동반되면 상응하는 장애율을 병산하여 최종 장애율를 산정한다

5 이 항목에서 정복된 탈구라 함은 관혈적으로 척추 고정술을 시행하지 않았던

탈구를 의미한다

6 다발성 골절인 경우는 장애율이 가장 높은 골절 부위의 장애율을 구하고 난후

에 다른 골절은 부위 당 3씩 추가한다 즉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는 골절의 장애

율과 그 외의 골절 부위는 부위 당 3씩 합산한다 만일 경추 흉추 요추 등 각각

의척추부에 다발성의 골절이 있는 경우에는 척추 부위에 관계없이 최고 값의장애율

을 구하고 그 외의 척추 골절에 대해서는 부위 당 3씩 추가하여 합산한다 다발

성 골절로 인하여 척추의 후만증이나 측만증이 있는 경우에는 항목 III 척추운동

및 변형장애의 C 변형장애로 평가할 수 있다

예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 C5~50 T12~10

L1~30 인 경우

장애율은 C5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C5는 19~28 T12 L1은

각각 3를 추가한 6이다 척추의 골절과 탈구의 최종 장애율은 25~34로 산정

한다

예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 T12~60 L3~20 인

경우

장애율은 T12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T12는 19~23 L3는 3로

최종 장애율은 22~26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 척추 후만각이 40도 정도가 있다면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장애에서 C 변형장애에 해당하여 장애율은 30~40까

지 산정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장애율이 높은 항목이 최종 장애율이 된다

mdash mdash226

7 신경근 장애는 신경근 손상에 대한 신경학적 검사로 감각과 운동을 측정하여

신경근 손상의 정도에 의한 5~15를A B C 세부항목의 장애율과 합산을 하여 최

종 장애율을 산정한다 해당 신경근의 감각과 운동의 완전한 손상은 15이고 일부

감각과 운동의 소실은 최소 5로 한다 감정인의 재량에 의해 5~ 15로 평가할

수 있다 만일 오른쪽과 왼쪽의 상하지에 동시에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오른쪽 왼

쪽을 각각 평가를 한 후에 평가된 장애율을 병산하여 신경근 손상의 장애율을 평가

한다

8 척추외상에서 분쇄골절 등의 불안정성 골절의 경우에는 수술을 통한 고정술을

시행하므로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의 B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로

평가를 한다 만일 고정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A 추체의 압박골절이나 C

정복된 탈구에 준용하여 평가한다

II 통증 및 신경장애

1 통증 및 신경장애의 평가는 반드시 객관적인 증후 및 신경학적 검사에서 신경

근의 이상을 가지며 이에 대한 이상은 신경생리학적 검사에서 증명되어야 한다

2 평가 대상에는 추간판 질환 염좌 편타손상(whiplash injury) 등이 포함된다

3 명백한 배부증상의 객관적 증후는 근육연축 운동 유연성의 감소 가성 방사통

등이 동반됨을 의미한다

4 회복된 신경근병증이라 함은 치료하기 전의 방사선 소견이나 신경생리학적 검

사에서 신경근병증이 확인되었으나 장애 판정시점에서 신경근병증이 보이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5 고착된 신경근병증이라 함은 치료 전의 진찰 소견과 방사선 검사에서 신경근

병증을 보이고 치료 후에 진찰 소견에서 신경근병증의 증후가 관찰되고 신경생리검

사에서 증명된 경우를 말한다 고착된 신경근병증에는 신경학적 검사에서 반드시

신경학적 결손이 동반되어야 한다

6 두 번 이상 수술한 경우는 수술 방법에는 차이가 없이 두 번이상의 수술에 대

해서 두 번째 수술부터 수술 당 3를 추가한다 장애판정시점에서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평가대상이 되는 경우에 두 번이상의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 A B

C의 항목의 장애율을 결정한 후에 두 번이상의 수술에 대한 3를 추가하여 합산하

여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최종장애율을 산정한다 만일 두 번째 이후의 수술

mdash mdash227

이 고정술을 시행하였다면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장애의 B 척추 고정술을 시

행한 경우로 평가할 수 있다

예제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되어 있으며 세 번의

신경감압술을 시행한 경우

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이후의 수술에 대한

6의 장애율을 합산하여 최종 장애율은 25~34로 산정한다

예제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된 있으며 첫 번째 수술은

신경감압술을 시행하였고 두 번째 수술은 요추 4-5번의 골융합술을 시행한 경우

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수술에 대한 3의

장애율을 합산하여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최종 장애율 22~31이다

이러한 경우는 척추의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이므로 항목 III-A-a-2의 장애율

29~38로 산정할 수도 있다 항목 III으로 평가한 경우에는 시행한 수술에 횟수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아니한다

III 척추 운동 및 변형 장애

1 척추 운동 및 변형은 방사선 검사(단순촬영 CT MRI 뼈주사 등)으로 증명된

경우에만 해당한다

2 척추 불안정증이란 방사선 검사에서 다음이 증명된 경우이다

1) 요추부

방사선 굴곡신전 검사상 분절이 45mm 이상 전위된 경우 혹은 각변형이 L1-2

L2-3 L3-4에서 15deg이상 L4-5에서 20deg이상 L5S1에서 25deg이상인 경우

2) 흉추부

방사선 굴곡신전검사상 분절이 25mm 이상 전위된 경우

3) 경추부

방사선 굴곡신전검사상 분절이 35mm 이상 전위된 경우나 각변형이 11deg 이상인

경우

3 척추 고정술이라 함은 골융합에 의한 방법과 나사못 등에 의한 고정술로 운동

분절의 손실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4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에서 신경학적 결손이라 함은 신경학적 검사에서

감각과 운동의 마비가 객관적으로 증명된 경우를 말한다

mdash mdash228

5 만일 척추 분절이 경흉추부 흉요추부가 포함된 다분절의 고정술인 경우에는

고정된 분절이 많은 척추 부위의 장애율을 이용한다 만일 고정된 분절이 동수인

경우에는 높은 장애율에 해당하는 척추부위의 장애율을 이용한다

예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없는 경우흉추부 요추부가 동수의 분절이 고정되어 있

으므로 높은 장애율을 제시하고있는 요추부 항목 III-B-a-1의 15~28를 이용하

여 장애율을 판정한다

예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0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있는 경우흉추부는 두 분절 요추부는 한 분절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흉추부 항목 III-B-b-2의 25~40를 이용하여 장애율을 판정

한다

6 변형장애는 척추 스캐노그람(spine scanogram)을 촬영하여 변형각을 측정하

여 장애율을 산정한다 변형장애는 골절 탈구 고정술 척추관절의 질환 선천성 변

형 등이 포함된다 변형장애의 장애율이 다른 평가항목의 장애율보다 높을 경우에

는 최종 장애율을 항목 III-C 항을 적용할 수있다

5 증 례

1) 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C5~50 T12~10

L1~30 인 경우장애율은 C5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C5는

19~28 T12 L1은 각각 3를 추가한 6이다 척추의 골절과 탈구의 최종 장애

율은 25~34로 산정한다

2) 다발성 압박골절(multiple compression fracture)이 T12~60 L3~20 인

경우장애율은 T12의 장애율이 최고 장애율에 해당하므로 T12는 19~23 L3는

3로 최종 장애율은 22~26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 척추 후만각이 40도 정도가

있다면 항목 III 척추 운동 및 변형장애에서 C 변형장애에 해당하여 장애율은

30~40까지 산정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장애율이 높은 항목이 최종 장애율이 된다

3)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되어 있으며 세 번의 신경

감압술을 시행한 경우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이후의 수술에 대한 6의 장애율을 합산하여 최종 장애율은 25~34로 산정한다

4) 4-5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하지의 운동마비가 동반된 있으며 첫 번째 수술은

mdash mdash229

신경감압술을 시행하였고 두 번째 수술은 요추 4-5번의 골융합술을 시행한 경우

항목 II-A-a의 19~28의 신경근에 대한 장애율에 두 번째 수술에 대한 3의 장

애율을 합산하여 항목 II 통증 및 신경장애의 최종 장애율 22~31이다

이러한 경우는 척추의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이므로 항목III-A-a-2의 장애율

29~38로 산정할 수도 있다 항목 III으로 평가한 경우에는 시행한 수술에 횟수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아니한다

5) 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없는 경우흉추부 요추부가 동수의 분절이 고정되어 있

으므로 높은 장애율을 제시하고 있는 요추부 항목 III-B-a-1의 15~28를 이용하

여 장애율을 판정한다

6) 제 12흉추 파열골절(T12 burst fracture)로 T10 T11 T12 L1에 고정술이

되어 있으며 신경학적 결손이 있는 경우흉추부는 두 분절 요추부는 한 분절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흉추부 항목 III-B-b-2의 25~ 40를 이용하여 장애율을 판정

한다

C 말초신경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1) 장해평가를 받기 전까지 충분하고 성실하게 전문적 검사와 치료를받아야 하며

특히 말초신경계 장애의 경우 객관적 관찰 및 신경학적 검사시 주관적 개입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필수적인 신경보조검사를 시행한 경우에 한한다

2) 두 신경 이상의 손상의 경우 AMA식 복합장애 병산표를 이용한 병산 또는합

산을 인정한다

3) 다음의 경우는 말초신경 장해평가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a) 중추신경장애로 인한 2차성 말초신경 퇴행 및 이로 인한 동반장애 증상

b) 척추질환으로 인한 신경근 압박으로 초래된 감각 및 운동신경장애 증상

c) 신경전도검사 유발전위검사 또는 근전도 검사등 객관적 검사상ldquo추정적

(suggestive)rdquo이상의 등급으로 인정되지 않는 말초신경 손상

mdash mdash230

2 장해평가 방법론

1) AMA 식의 평가기준 기술방식적 접근에는 동의하나 장황한 서술은 지양한다

2) McBride 식 평가의 간결성을 적용한다

3) 일개 장애에 대하여 여러 항목에 대한 복잡한 분석 후 백분율() 산정 AMA

식 복합장애 병산표를 이용하여 합산하는 AMA 식 접근법은 지양한다

4) 손상의 정도를 가벼운 보통의 심한 장애로 나누어 이의 성립요건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기술한다

a) 신경근(spinal nerve root)의 경우 AMA에서 산정한 C5부터 C8의 최대 장애

율은 30~45로 T1은 20로 나와 있으므로 C5부터 C8은 부위에 상관없이

35를 최대 장애율로 하고 T1만 20를 인정한다

b) 감각과 운동신경장애를 통합하여 경도 중등도 고도의 항목에 모두 통합 기술

한다

- A 가벼운 장애정상 활동이 가능한 경도의 감각감소 또는 저항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 B 보통의 장애정상 활동에 제한을 주는 감각감소 또는 중력에 반하는 운

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 C 심한 장애심한 통증을 동반한 감각감소 또는 작열통(causalgia) 또는

운동이 거의 불가능한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

c) 각 항목에 대하여 AMA 식 평가의 최대치를 산정하여 전신비율로 산정한 값은

McBride 식 평가에서의 완전손상 항목과 상당히 유사한 값을 나타낸다는 점에

착안 시안의ldquo심한rdquo에 해당하는 평가치로 준용하고 AMA 식 평가값의 백분율

을 변형하여 20(15)에 해당하는 것을ldquo가벼운rdquo으로 50(12)에 해당하는 것

을ldquo보통의rdquo로 단일화하여 전신비율로 계산된 값을 각각ldquo가벼운rdquo 및ldquo보통의rdquo 최

종 평가값으로 준용한다 운동 및 감각기능의 손상을 통합적으로 다루었으므로

AMA의 감각 운동신경 복합손상에서 기술한 평가치를 기준으로 한다

mdash mdash231

3 말초신경 장해평가표

손 상 신 경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A 가벼운 B 보통의 C 심한

제 5-8 목신경 04 10 20

제 1 가슴신경 03 07 14

팔신경얼기 12 30 60

중간줄기(제 7 목신경) 04 10 20

아래줄기(제 8 목 제 1 가슴) 09 22 45

가슴근신경 01 02 03

겨드랑신경 04 12 24

등쪽어깨신경 01 02 03

긴가슴신경 2 05 10

안쪽아래팔피부신경 01 02 03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윗부분) 08 20 40

정중신경(앞뼈사이신경) 02 05 10

정중신경(아래팔중간 아래부분) 05 14 28

근육피부신경 03 09 18

노신경(삼두근침범) 05 14 28

노신경(삼두근보존) 04 12 24

어깨밑신경 1 02 03

어깨위신경 2 06 12

가슴등신경 1 03 06

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 6 05 30

자신경(아래팔중간 이하) 4 12 24

넙다리신경 3 07 15

폐쇄신경 1 02 03

위볼기신경 5 12 25

아래볼기신경 3 07 15

가쪽넙다리피부신경 1 02 03

궁둥신경 6 15 30

온종아리신경 3 07 15

얕은종아리신경 1 01 02

장딴지신경 1 01 02

안쪽발바닥신경 1 01 02

가쪽발바닥신경 1 01 02

A 가벼운 장애정상 활동이 가능한 경도의 감각감소 또는 저항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B 보통의 장애정상 활동에 제한을 주는 감각감소 또는 중력에 반하는 운동에 제한을

보이는 근력저하

C 심한 장애심한 통증을 동반한 감각감소 작열통 또는 운동이 거의 불가능한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

mdash mdash232

4 증 례

3O 세의 남자(오른손잡이)가 유리작업을 하다가 깨진 유리에 왼쪽 팔꿈치 아래의

심한 자상을 입고 치료를 받았다 당시 근육은 봉합 가능하였으나 신경은 봉합을

하였으나 기능은 회복되지 않았으며 이후 좌측 손 근육의 근 위축이 서서히 생기면

서 전형적인 갈구리 변형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상태로 내인성 근육의 근력저하가

이학적으로 명백하여 왼손으로는 일상생활울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또한 좌측

자신경의 감각소실이 현저하였다 다치고 계속 물리치료와 약물치료를 하다가 수상

후 약 8개월째 장해평가를 받기 원한다

먼저 수상후 최소 6개월이 지났으며 의학적으로 최대한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는 시기(MMI)를 경과하였다고 감정의사가 판단하고 더 이상 호전이 없을 것으로

생각하면 수상후 8개월에 장해평가가 가능하다

먼저 수상부위가 아래팔(forearm)의 중간이상 부위가 감각저하와 근육마비로 확

인이 되므로 일단 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의 항목에 해당된다고 본다 상기 상태는

C심한 장애상태로 판단되며 심한 통증과 작열통이 없지만 운동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의 심각한 근력저하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ldquo자신경(아래팔중간 이상)

의손상-Crdquo로 평가하며 24의 노동력 상실로 장해평가를 한다

D 통증 장해평가

1 평가 기준 및 전신장애율()

항 목

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잘 쓰지 않는

팔다리

잘 쓰는

팔다리

I 복잡부위 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type I amp II )

A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에 경한 지장이 있는 경우 01-04 01-09

B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의 미세한 손발가락의

운동이 불가능한 경우05-14 10-24

C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현저한 지장을 주는

경우 15-29 25-39

D통증으로 인해 이환된 상하지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30-45 40-60

mdash mdash233

항 목

손상정도(전신 장애율 )

잘 쓰지 않는

팔다리

잘 쓰는

팔다리

II 의학적으로 명백히 기질적인 손상이 있는 질환에서

통증증후군이 동반되어 통증을 평가할 때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II 통증을 설명할 수있는 명백한 장기의 손상이 없지만

통증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일반적인 통증

증후군

A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가벼움 1

B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중등도 2

C통증의 강도와 빈도가 심함 3

I II III군의 적용과 A B C 항의 적용에 대한 세부지침은 아래에 있는 평가요령을 참고로

한다

2 세부지침

1) I 항 해당질환복잡부위 통증증후군 제 1 2형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I amp IICRPS type I(reflex sympathetic dystrophy RSD

반사교감 이형성증) CRPS type II(causalgia and posttr-aumatic neuralgia

작열통과 말초신경의 외상후성 신경통)

2) 복잡부위 통증증후군의 진단기준(Guide to the evaluation of the permanent

impairment AMA 5th ed p496)

국소 임상 증상

혈관운동계 변화(vasomotor changes)

bull 피부 색깔얼룩덜룩해진다 창백해진다

bull 피부 온도차다

bull 부종

발한성 변화(sudomotor changes)

bull 피부가 건조해 지거나 또는 촉촉해진다

영양성 변화(trophic changes)

bull 피부 결부드럽고 탄력이 떨어지는

mdash mdash234

bull 연부조직 위축특히 손발끝에서

bull 관절 강직과 운동범위 감소

bull 손발톱 변화홈이 나며 구부러지고 부리 같은 변화

bull 털 성장 변화빠지고 가늘고 길어진다

방사선학적 변화

bull 단순방사선검사뼈의 영양성 변화 골다공증

bull 방사성 동위원소 뼈스캔복잡부위 통증증후군에 합당한 소견

해석

=gt8복잡부위 통증증후군

lt8복잡부위 통증증후군이 아님

3) II 항 해당사항

① 의학적으로 확인할수 있는 기관의 장애가 있고 뇌 척추 말초신경과 같은 다른

항목에서 장애율을 매길 수 있는 질환에서 통증평가(다른 항목(뇌 척추 말초신경)

으로 계산한 장애정도가 통증장애를 포함한 모든 장애를 대표한다고 평가하였다고

보기 어려울 때)

예를 들어자기공명영상으로 확인이 되고 임상적으로 근력약화 감가소실을 나타

내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가 수술후 해당 신경뿌리 피부 영역에서 심한 통증을

계속 호소할 때

② 잘 알려진 통증질환이지만 통증증후군의 발생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어

통증의 발생을 미리 예측할 수 없는 경우(해당질환마비후 통증 척수공동증 통증 시

상증후군 상완신경총손상 통증 신경포착성 증후군 말초신경병 중추성 신경통)

4) III 항 해당질환해당질환두통 포진후 신경통 삼차신경통 홍색사지통증과

같은 질환

5) II III 항의 A-C 세부사항

A통증이 있지만 일상생활에 불편이 없음 통증으로 인한 고통이 없거나 미미

함 통증치료를 규칙적으로 할 필요가 없음 진찰중 통증관련 제한이 가볍거나 통증

행동이 거의 없음

B일상생활에 불편이 있고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조정이 필요함 통증으로

인해 다소의 정서적인 고통이 있음 통증 때문에 치료받거나 약을 복용하고 있음

진찰중 통증관련 제한이 상당히 있지만 통증행동은 거의 관찰되지 않음

mdash mdash235

C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움 통증으로 인해 심한 정서적 고통이 있음

통증약을 항상 복용함 진찰중 통증관련 제한이 심하고 통증행동이 많음

3 증 례

42세 오른손잡이 남자(선반공)로 우측 손의 수근관 증후군으로 진단받고 발병 3개월에

인대절제술을 시행하였음 수술후 수술전의 저림은 없어졌으나 수술 약 2주후부터

우측 손의 부종이 점차 발생하면서 우측 손의전반적인 통증이 발생하였다 복잡부

위 통증증후군 제 1형으로 진단받고 수회의 교감신경블록과 정중신경블록 약물치

료와 물리치료를 6개월 이상 시행하였다 현재 통증은 우측손에서 아래팔에서 어깨

까지 진행한 상태로 VAS 7-810상태가 계속된다 통증으로 인해 우측 손과 팔꿈치

어깨의 운동범위가 심하게 제한을 받고 있으며 이학적 소견상 우측손의 부종과 얼룩

덜룩한 색깔변화 손톱이 갈라지고 손이 차며 피부가 건조하다 손가락의 운동범위는

심각하게 감소하였으며 팔꿈치와 어깨는 어느 정도 관절운동 범위가 유지되고 있다

감각저하(hy-pesthesia)와 저림(paresthesia)가 있다 또한 스치면 통증을 느끼는

작열통이 동반되어 있다 검사시 우측 팔을 가능한 움직이지 않으려고 하며 스치면

얼굴을 찡그리면서 약간의 신음소리를 보였다 단순방사선 검사상 골다공 소견을

보이며 방사성 동위원소 뼈주사에서 동위원소의 증가소견을 보인다

장해평가

현 상태로 보아 정중신경의 만성적인 포착에 따르는 수근관 인대 절개술후 발생

한 복잡부위 통증증후군 제 1형(반사교감 이형성증 과거의 용어)으로 진단되며 세

부지침에 있는 복잡부위 통증증후군의 진단기준중 8개 이상을 보이는 전형적인 진

단기준에 합당하다 장애정도는 C 항에 해당한다 이환된 손가락의 운동은 불가하

지만 위의 설명상 우측 팔을 완전히 사용 못하는 상태는 아니라고 판단하기 때문이

다 오른손잡이이므로 25~39의 범위에서 감정의사의 재량에 따라 평가할 수 있

다 현 평가의 환자의 증상이 과장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고 vas 7-810을 보임에

따라 35~37의 장해평가를 내린다 범위가 있는 것은 통증 환자들은 모두 다른

증상을 보이는 다양한 장애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감정의사는 세심하

고 정확한 이학적 검사 및 면담을 통해 통증반응과 같은 상황을 참작하여 허용된

범위 안에서 자신의 판단을 이용하여 개개의 피감정인을 평가할 수 있다

Page 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3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3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3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3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3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3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3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3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3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3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4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4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4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4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4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4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4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4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4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4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5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5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5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5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5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5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5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5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5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5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6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6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6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6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6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6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6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6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6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6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7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7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7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7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7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7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7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7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7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7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8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8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8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8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8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8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8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8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8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8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9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9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9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9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9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9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9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9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9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9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0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0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0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0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0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0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0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0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0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0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1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1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1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1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1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1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1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1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1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1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2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2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2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2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2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2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2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2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2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2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3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3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3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3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3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3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3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3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3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3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4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4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4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4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4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4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4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4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4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4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5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5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5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5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5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5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5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5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5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5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6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6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6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6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6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6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6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6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6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6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7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7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7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7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7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7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7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7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7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7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8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8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8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8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8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8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8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8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8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8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9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9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9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9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9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9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9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9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9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19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0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0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0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0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0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0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0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0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0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0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1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1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1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1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1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1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1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1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1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1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2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2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2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2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24: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25: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26: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27: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28: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29: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30: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31: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32: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
Page 233: 산재보험 장해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Ⅱ · 2017. 11. 22. · 정한용(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안동현(한양의대 정신과학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