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143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Upload: others

Post on 28-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저 시-비 리- 경 지 2.0 한민

는 아래 조건 르는 경 에 한하여 게

l 저 물 복제, 포, 전송, 전시, 공연 송할 수 습니다.

다 과 같 조건 라야 합니다:

l 하는, 저 물 나 포 경 , 저 물에 적 된 허락조건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 터 허가를 면 러한 조건들 적 되지 않습니다.

저 에 른 리는 내 에 하여 향 지 않습니다.

것 허락규약(Legal Code) 해하 쉽게 약한 것 니다.

Disclaimer

저 시. 하는 원저 를 시하여야 합니다.

비 리. 하는 저 물 리 목적 할 수 없습니다.

경 지. 하는 저 물 개 , 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Page 2: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교육학석사 학위논문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

2020년 2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공학전공

이 지 연

Page 3: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Page 4: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Page 5: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Page 6: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i -

국문 록

학교 교육의 변화와 신을 해 교사의 문성, 특히 수업 문성이

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특히 교사의 실천 인 수업 문성을 효과 으

로 향상시키기 한 하나의 방안으로 수업에 한 성찰의 필요성이 강조

된다. 수업성찰은 자신 는 다른 교사의 수업에서 교수 행동을 분석하

고 평가하며, 수업에서 더 나은 의사결정을 모색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

해 수업 문성 향상이 가능하도록 한다.

기존 수업성찰을 해 활용된 매체는 비디오, e-티칭 포트폴리오 등의

형태로 련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나, 새로운 테크놀로지인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여 수업 분석 성찰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제한 이다.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면 일반 비디오와는 다르게 교사가

실제 수업 장면 찰시 몰입하여 반 인 학생들의 상호작용과 수업 분

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360도 비디오가 지닌 특성과 잠재성을

활용하여 보다 효과 인 수업성찰이 지원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한 종합 이고 체계 인 활용 방법을 제시한 연구는 미흡하다.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여 교사의 지속 이고 체계 인 수업성찰을 지원하기

해서는 360도 비디오의 특성을 충분히 활용하여 수업성찰 과정에 하

게 개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시스템은 이를 지원하는데 합한 환경

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계·개발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360도 비디

오를 활용한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의 설계 략을 개발하고, 해당 설계

략을 용한 시스템 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이를 활용한 ( 비) 교사의

반응을 살펴보는 것을 목 으로 한다. 본 연구의 구체 인 문제는 다음

과 같다. 첫째,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여 교사의 수업성찰을 효과 으로

지원하기 한 시스템의 설계 략은 무엇인가? 둘째, 개발된 설계 략은

내 으로 타당한가? 셋째, 개발된 설계 략을 용한 시스템 로토타입

과 그에 한 ( 비) 교사의 반응은 어떠한가?

Page 7: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ii -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해 설계·개발 연구 방법론의 차에

따라 설계 략을 개발하 다. 먼 선행 문헌을 검토하고 사례 연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을 실시하여 기 구성요소와 설계 략 세

부지침을 도출하 다. 다음으로 도출된 기 설계 략에 해 해당 분야

의 연구 경험이나 연구 실 을 지닌 연구자를 상으로 문가 타당화를

실시하여 수정 보완이 이루어졌다. 이후 외 타당화를 해 수정된

설계 략을 용한 시스템 로토타입을 개발하 다. 그리고 해당 시스

템의 사용자인 비 교사의 수업 실습 장면을 360도 카메라를 활용하여

촬 하고, 비 교사와 직 교사를 상으로 360도 비디오와 시스템

로토타입에 한 반응을 확인하 다.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의 최종 구성요소

와 설계 략은 다음과 같다. 구성요소는 총 5개로 ‘수업설계 자료 개

발’, ‘360도 수업 비디오 비’, ‘수업 찰 분석’, ‘수업성찰’, ‘도움말

안내’이다.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12개의 설계 략과 28개의 세부지침

이 구성되어 있다. 설계 략은 1) ‘수업설계 자료 개발’과 련하여

사례 피드백 제공에 한 2개의 설계 략, 2) ‘360도 수업 비디오

비’와 련하여 360도 카메라 촬 , 비디오 업로드 방법에 한 2개의 설

계 략, 3) ‘수업 찰 분석’과 련하여 360도 비디오 찰, 수업 분

석 평가에 한 4개의 설계 략, 4) ‘수업성찰’과 련하여 수업성찰

활동 지원, 성찰 수 에 한 2개의 설계 략, 5) ‘도움말 안내’와

련하여 시스템 활용 방법 안내에 한 2개의 설계 략으로 이루어져 있

다.

그리고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 략을 용하여

시스템 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이를 사용한 ( 비) 교사의 반응을 살펴

보았다. 시스템은 ‘Case Library’, ‘수업분석’, ‘수업성찰’, ‘My dashboard’

를 메인 메뉴로 제시하고 세부 기능을 설계하 다. 이에 한 비 교사

반응을 살펴본 결과, 강 으로는 360도 수업 비디오 찰을 통해 학생들

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다는 , 다양한 사례를 통한 수업의 실천 방

법을 학습할 수 있다는 , 수업의 문제 상황에 해 재확인해보며 원인

Page 8: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iii -

을 탐색해볼 수 있다는 , 다양한 피드백 방법을 통해 여러 에서

수업의 개선 방향을 이해해볼 수 있다는 , 시보드 활용을 통해 수업

성찰에 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이 확인되었다. 약 으로는 수업

성찰 방법에 한 이해가 어렵다는 , 수업 비디오 찰 평가가 어

렵다는 을 확인하 다. 이와 같은 약 을 고려하여 개선 으로 수업성

찰 활동에 한 구체 인 방법을 안내하도록 하고, 실제 평가 과정을

시스템 설계에서 반 하도록 설계 략을 수정하 다. 직 교사의 반응

강 으로는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할 수 있다는 , 학생

의 시선에서 수업의 개선 방향을 확인해볼 수 있다는 이 확인되었다.

약 으로는 시스템 내에서 360도 수업 비디오 특징이 반 된 기능의 부

족을 확인하 다. 이에 한 개선 으로 360도 수업 비디오의 용이한

찰을 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체계 수업 분석 방법을 설

계 략에 추가 반 하 다.

본 연구는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여 교사가 시스템 환경에서 효과 인

수업성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 략을 제시하 다. 따라서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여 교사의 수업 문성 향상을 한 성찰 지원 시스템

는 이러닝 로그램을 설계 개발하는 데 실제 이고 구체 인 안내를

제공하 다는 에서 의의를 지닌다.

주요 어 : 3 6 0 도 비 디 오 , 수 업 성 찰 , 지 원 시 스 템 , 수 업 문성 , 교 사 교 육

학 번 : 2 0 1 8 - 2 8 6 5 2

Page 9: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Page 10: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iv -

목 차

I. 서 론 ··················································································· 1

1 . 연 구 의 필 요 성 목 ························································· 1

2 . 연 구 문제 ···················································································· 7

3 . 용 어 의 정 의 ·············································································· 8

가. 360도 비디오 ························································································· 8

나. 수업성찰 ································································································· 8

다.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 8

Ⅱ. 이 론 배경 ·································································· 9

1 . 교 사 교 육 과 수 업 성 찰 ························································· 9

가. 교사 교육에서 성찰 사고 성찰의 요성 ····························· 9

나. 수업성찰의 이론 기 ··································································· 11

다. 수업성찰 차 ····················································································· 13

라. 성찰 사고 수 분류 ····································································· 14

2 . 수 업 성 찰 지 원 도 구 략 ·········································· 1 8

가. 수업성찰 지원 도구 ··········································································· 18

나. 수업성찰 지원 략 ··········································································· 19

다. 기존 수업성찰 지원의 한계 ························································· 21

3 . 3 6 0 도 비 디 오 활 용 수 업 성 찰 ········································ 2 2

가. 360도 비디오의 의미와 특성 ··························································· 22

나.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 략 ················· 23

다. 사례연구 ······························································································· 24

Ⅲ. 연 구 방 법 ······································································ 3 3

1 . 설 계 략 개 발 ····································································· 3 5

가. 선행문헌 고찰 ····················································································· 35

Page 11: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v -

나. 사례연구 ······························································································· 35

2 . 내 타 당 화 ········································································· 3 6

가. 연구 참여자 ························································································· 36

나. 자료 수집 ····························································································· 37

다. 자료 분석 ····························································································· 38

3 . 외 타 당 화 ········································································· 3 9

가. 시스템 로토타입(prototype) 개발: 로토타입 개발 도구

충실도(fidelity) 수 ··································································· 39

나. 시스템 로토타입에 한 문가 검토 ······································· 40

다. 사용자 반응 평가 ··············································································· 41

Ⅳ. 연 구 결 과 ······································································ 4 5

1 . 기 설 계 략 개 발 ··························································· 4 5

2 . 내 타 당 화 ······································································· 5 1

가. 1차 문가 타당화 ············································································· 51

나. 2차 문가 타당화 ············································································· 62

3 . 외 타 당 화 ······································································· 72

가. 시스템 로토타입 개발 ··································································· 72

나. 시스템 체 흐름도 기능 ··························································· 76

다. 사용자 반응 평가 ··············································································· 78

4 . 최 종 설 계 략 ··································································· 8 8

Ⅴ. 논의 결 론 ····························································· 95

1 . 논의 ························································································ 95

가. 360도 비디오 활용에 한 이론 논의 ······································· 95

나. 360도 비디오 활용에 한 실천 논의 ······································· 96

2 . 결 론 제 언 ······································································· 99

가. 요약 결론 ······················································································· 99

나. 연구의 한계 추후 연구를 한 제언 ····································· 100

Page 12: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vi -

참 고 문헌 ··········································································· 1 0 3

부록 ··················································································· 1 1 3

Ab s t r a ct ·········································································· 1 2 6

Page 13: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vii -

표 목 차

<표 Ⅱ-1> Hatton과 Smith(1995)의 성찰 수 ·························· 16

<표 Ⅱ-2> 사례 연구 목록 ·································································· 25

<표 Ⅲ-1> 연구 차별 연구 활동 ···················································· 34

<표 Ⅲ-2> 문가 타당화에 참여한 문가 로필 ·················· 37

<표 Ⅲ-3> 문가 타당도 검토 문항 ·············································· 38

<표 Ⅲ-4> 로토타입 검토에 참여한 문가 로필 ················ 41

<표 Ⅲ-5> 사용자 반응 평가에 참여한 사용자 로필 ·············· 42

<표 Ⅲ-6> 사용자 반응 평가 차 ·················································· 42

<표 Ⅳ-1> 기 설계 략 세부지침 ············································ 46

<표 Ⅳ-2> 설계 략 반에 한 1차 문가 타당화 결과 ········ 51

<표 Ⅳ-3> 설계 략 세부지침에 한 1차 문가 검토 결과 53

<표 Ⅳ-4> 1차 문가 검토 의견 수정 사항 ···························· 57

<표 Ⅳ-5> 2차 설계 략 세부지침 ·············································· 59

<표 Ⅳ-6> 설계 략 반에 한 2차 문가 타당화 결과 ········ 62

<표 Ⅳ-7> 설계 략 세부지침에 한 2차 문가 검토 결과 63

<표 Ⅳ-8> 2차 문가 검토 의견 수정 사항 ···························· 67

<표 Ⅳ-9> 3차 설계 략 세부지침 ············································ 68

<표 Ⅳ-10> 설계 략에 따른 시스템의 기능 ·································· 72

<표 Ⅳ-11> 시스템 로토타입에 한 비 교사 반응 ·············· 79

<표 Ⅳ-12> 시스템 로토타입에 한 직 교사 반응 ·············· 83

<표 Ⅳ-13> ( 비) 교사 반응에 따른 설계 략 수정 사항 ········· 87

<표 Ⅳ-14> 최종 설계 략 세부지침 ········································ 88

Page 14: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viii -

그 림 목 차

[그림 Ⅱ-1] ALACT 모형 ·································································· 10

[그림 Ⅱ-2] SESS: 수업실행 시 ···················································· 26

[그림 Ⅱ-3] 에듀슈가: AF 분석 과정 ·············································· 28

[그림 Ⅱ-4] 에듀슈가: AF 분석 결과 ·············································· 28

[그림 Ⅱ-5] 에듀슈가: ACE 분석 과정 ··········································· 29

[그림 Ⅱ-6] 에듀슈가: ACE 분석 결과 ··········································· 30

[그림 Ⅱ-7] 에듀슈가: 학생과업집 분석 과정 결과 ············· 31

[그림 Ⅱ-8] Swivl 로 촬 시 ··················································· 32

[그림 Ⅲ-1] Axure를 활용한 개발 결과 시 ································ 40

[그림 Ⅲ-2] 360도 카메라 설치 모습 ··············································· 43

[그림 Ⅳ-1] 지원 시스템 설계 략 구성요소 ································· 58

[그림 Ⅳ-2] Case Library 시 ························································· 74

[그림 Ⅳ-3] 수업분석 시: 360도 수업 비디오 모드 기능 ········ 74

[그림 Ⅳ-4] 수업분석 시: 수업계획서 동시 확인 ······················ 75

[그림 Ⅳ-5] 수업성찰 시: 구조화된 성찰일지 작성 ·················· 75

[그림 Ⅳ-6] My dashboard 시 ······················································ 76

[그림 Ⅳ-7] 시스템 체 흐름도 ····················································· 77

Page 15: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Page 16: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 -

I. 서 론

1 . 연 구 의 필 요 성 목

학교 교육의 신을 해 교사의 역할은 요하다. 특히 교사에게 가

장 요한 문성 하나는 수업 문성으로, 교사의 수업 문성 신장에

한 문제가 요하게 다루어져왔다. 교사 임용 단계에서부터 수업 장

에 필요한 문성을 평가하여 ‘잘 가르치는 교사’를 선발하기 하여 수

업 문성에 한 평가 비 을 강화해왔다(교육부, 2009, 2011). 이러한 임

용의 정책을 반 하여 교사 양성 기 은 기존의 교과 지식 문성 주

의 교사 양성뿐만 아니라 수업 문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

수업 문성이란 수업 기술을 기반으로 수업의 실제에 해 이해하는

역으로, 수업에 한 비, 문 지식, 수업방법 기술, 평가 등을 포함

하여 구성된다(손승남, 2005).

수업 문성을 기르기 해 비 교사들은 교직 과정으로 교육 실습 과

정을 거치고 있다. 비 교사들에게 교육 실습 과정은 직 교육의 장

에 나가 교사로서 지식, 기술, 태도를 기르고 교육자 인 자질을 검토해

보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교육 실습 과정에서 비 교사들은 수

업 실행에 한 기본 인 지식과 기술의 부족으로 인해 수업에서 다양한

문제 들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허창수, 2007). 이는 교직 과정에서

수업 문성을 향상하는데 필요한 실제 인 지식과 기술에 한 내용을

다루고 있지 않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비 교사 교육에서부

터 수업 문성을 향상시키기 해 학교 장 실습 이 에 모의 실습, 마

이크로티칭 등 다양한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김민

정, 2010; 박성혜, 2007; 서윤경, 2009; Koross, 2016).

수업을 개선하고 문성을 증진시키기 해 다수의 선행 연구에서 주

목받고 있는 개념 하나는 성찰 실천가(reflective practitioner)

(Schön, 2017)이다. 교사는 스스로 장에서 실천 지식을 구성해나가

는 문가로서, 이러한 실천 지식의 구성에 있어서 성찰(reflection)이

Page 17: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2 -

요함이 강조되어 왔다(조덕주, 2006, 2009). 교사는 수업에 한 이론과

실제 사이의 차이를 다루기 해 성찰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손지 ,

2006; Hatton & Smith, 1995; Moon, 2013). 한 성찰은 탈 맥락 으로

일어날 수 없으며 실제 수업을 진행하는 장에서 생기는 문제를 심으

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한다(Dewey, 1933; Schön, 2017). 따라서 실제 수

업 장과 분리되어 성찰을 하기 보다는 수업 맥락 내에서 성찰이 진행

되도록 하는 것이 성찰의 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처럼 효과 인 성찰을 지원하기 해서 실제 인 실천 경험을 제공

해주는 것이 가장 이상 이나 사범 학에서 교직 과정으로 교생 실습을

경험할 수 있는 기간은 약 한 달이다. 따라서 한 달간의 실제 장 경

험으로는 충분한 교수 경험을 하기 어렵기에 실제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

해주어 성찰을 해보는 활동, 매체를 통해 다양한 수업 자료를 참고하고

상을 토 로 간 경험해보면서 성찰해보는 활동들을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필요가 있다(조덕주, 2009).

한편, 교사 교육에서 최신 테크놀로지 도구를 활용하여 효과 으로

교사의 문성을 향상시키기 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서경혜, 2011; 이

주, 2016). 교사 간의 온·오 라인 소통과 연계를 가능하게 하는 e-포

트폴리오, e-멘토링, 온라인 교사 학습 공동체, 마이크로티칭 등의 테크

놀로지 용은 수업에 한 성찰 사고를 한 지원을 효과 으로 강화

하 다(김민정, 2010; 김상경, 2012; 서희 , 변윤희, 2013; 손성호, 2013;

이 주, 2016). 온라인 시스템 구 은 지속 으로 수업 문성을 개발하기

해 비 교사, 직 교사, 학 교수자와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한 소통

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교사 교육의 효과성과 련하여 요하게 다루어

지고 있다(임철일 외, 2016). 이와 같은 시스템은 온라인 환경에서 자료

의 공유와 의사소통, 력을 한 인지 어포던스를 제공하고, 련 기

술의 발 으로 인해 사용자 편의성이 높아짐에 따라 교사 교육 분야에서

확산되어 활용되고 있다(이 주, 2016).

특히, 교사 양성 기 에서는 교육 실습 수업 찰 분석을 통해

수업 실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해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수업에 한

Page 18: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3 -

실질 인 실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마이크로티칭이 진행되어 왔다.

마이크로티칭은 수업 시간과 규모 등을 축소하여 모의 수업을 진행하고,

과정을 비디오로 기록하여 피드백을 제공받음으로써 교수 기술을 향상시

키기 한 목 으로 실시되었다(Allen, Cooper, & Poliakoff, 1972). 마이

크로티칭은 기에는 행동주의를 기반으로 교사의 수업 행동, 수업 기술

개선에 을 두었으나 차 수업에 한 구성주의 근으로 성찰이

강조되고 있다(서윤경, 2009; 조 남, 2011). 마이크로티칭은 실제 수업과

같이 수업을 진행하며 수업 기술, 교수학습 방법 등 이론을 용해보는

경험을 실시해볼 수 있다는 장 이 있다.

마이크로티칭의 주된 피드백 형태는 비디오를 활용한 피드백이다(박성

익, 임철일, 이재경, 최정임, 2015). 수업 장면을 촬 한 비디오는 수업

행동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여, 언어 표 뿐만 아니라 비언어 행

동에 한 다양한 단서를 확인하여 세 한 분석이 가능하다. 한 비디

오는 객 인 기록물로써 수업이 촬 된 장면을 되돌아보면서 문제 을

발견하고 개선 방법에 해 되돌아보도록 한다. 더불어, 비디오를 온라인

시스템에 공유할시 수업에서 발생된 문제 에 해 동료, 문가의 피드

백을 제공받아 교수 역에서 더 개선할 수 있는 사항들을 발견할 수 있

도록 해 다(임철일 외, 2016). 객 인 수업 촬 물에 기반한 피드백은

교사들에게 더 정확하고 신뢰가 높은 피드백을 제공해 수 있다. 이는

수업 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수 학습 방법 등과 같은 실천 지식을 습

득하는데 정 인 향을 수 있다(박정 , 최의창, 2010).

효과 인 온라인 지원 시스템의 설계 개발 련 연구에서 교사의

수업 운 역량을 한 다양한 활동들이 지속 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교사들과의 비 논의, 지속 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 한 환경을

제공해왔다(권숙진, 정효정, 조항철, 2013; 김민정, 2010; Perlberg, 1989).

온라인 지원 시스템을 통해 련 자료를 공유하고 피드백 과정을 거쳐

성찰 활동을 지원하고 리할 수 있다. 수업 비디오를 직 촬 하고 시

스템에 업로드하여 스스로 는 동료들과 함께 찰하면서 잘못된 교수·

학습 방법에 해 논의를 통해 성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온라인 지원

Page 19: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4 -

시스템은 촬 한 비디오를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 랫폼이자 문가

동료 피드백을 지원할 수 있는 환경으로 활용이 가능하다(임철일 외

2016).

이와 같은 기술의 발 과 교육 요구를 바탕으로 비디오 기반 수업

성찰에 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련 연구는 다음과 같은 특징과

제한 을 보이고 있다.

첫째, 수업에 한 경험이 부족한 교사의 경우 수업에 한 성찰을 할

때 교수·학습의 문제 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수업 실행에

한 올바른 이해 없이 성찰을 시행하게 되면 어떤 을 으로 확인

하고 성찰해야할 지에 해 포착하기 어렵다. 특히 비 교사의 경우, 성

찰을 하게 되면 주로 언어 는 신체 행동 등 외 인 측면에만 주목

하고 수업의 본질 문제를 확인하기 어려워한다는 을 확인하 다(조

남, 2011). 한 본인의 수업에 해 체계 인 성찰의 과정을 따르지

않으면 찰 후 일반 이고 포 인 의견으로 마무리 짓는 경향을 보이

거나 자신의 주 이 개입되어 객 인 분석과 성찰을 어려워하 다. 이

와 같이 교사의 역량 는 경험 한계에 따라 수업 분석과 성찰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한계 을 가지고 있다(이상수, 2016). 교사 교육 맥락

에서 체계 인 수업 성찰 과정에 한 지원과 리 없이는 수업 실천 향

상에 한 효과 인 향력을 가지기 어렵다(Beauchamp, 2015). 따라서

교사가 수업에 한 효과 인 성찰을 실시하기 해서는 체계 인 지원

방법 략과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둘째, 체계 인 자기 수업 분석 성찰과 더불어 요한 것은 동료

와 문가의 피드백이다. 수업성찰을 해서는 수업에 한 객 인 피

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가 필요하다(김성종, 이 주,

2015; 이 , 소 순, 2017). 동료 비 교사가 피드백을 주는 경우 피상

인 수 으로 간단한 의견만 제시하는 피드백을 수 있기 때문에 보

다 구체 이고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해 수 있도록 가이드해 필요가

있다(조 남, 2011). 이를 해 수업 촬 물을 업로드하고 그에 한 피

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과 체계 인 피드백 지원 도구가

Page 20: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5 -

필요하다. 그를 통해 교사가 지속 이고 체계 인 수업 개선 을 확인하

며 수업 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셋째, 기존의 수업성찰을 해 수업 분석 도구로 수업 장면을 비디오

촬 한다. 한 치에 고정된 비디오는 일반 으로 교사의 수업 장면을

촬 하기 해 교실 뒤에 설치된다. 하지만 만일 교사가 카메라 촬 의

반경을 벗어날 경우 그를 촬 하기 어렵고, 수업 활동에 따라 카메라를

조작하는 조작자가 있을 경우 오히려 촬 물에 한 찰자의 주의가 산

만해질 것이다. 수업을 하는 시간동안 별도의 조작 없이도 반 인 수

업 상황을 찰하고, 풍부한 맥락 정보를 제공하여 교사의 수업성찰을

효과 으로 지원할 도구가 필요하며, 그를 효과 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비디오 기반 수업성찰의 제한 을 극복하기 해 새

로운 테크놀로지로써 360도 비디오가 활용될 수 있다.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여 수업성찰을 하게 될시 기존 비디오의 한계 을 보완할 수 있

다. 먼 반 인 모든 수업 상황에 한 찰이 가능하여 높은 실재감

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Feurstein, 2018). 한 자율 인 조작을

통해 수업을 찰할 수 있다. 를 들어 하나의 은 교사의 시선으로

수업 상황에 몰입하여 자신의 행동에 따른 결과들(학습자 반응 등)을 확

인하며 문제 상황들을 확인해볼 수 있다(Walshe & Driver, 2019). 다

른 은 본인의 수업을 제 3자(학습자)의 입장에서 찰 가능하다. 이

는 학생의 시선에서 수업의 계획과는 다른 상황들을 찰하도록 하여 수

업에서 발생된 문제에 한 인과 계를 확인해볼 수 있다. 성찰을 해

서는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에서(Van Es & Sherin,

2002) 360도 비디오는 성찰을 해 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

성을 지니고 있다.

다음으로, 수업 촬 물을 공유하고 체계 인 동료 피드백을 제공받으

며 수업에 한 분석 성찰을 실시할 수 있는 지원 환경이 필요하며,

이를 해 온라인 지원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이는 교사의 수업 문

성 향상을 해 수행되어야 할 주요 활동에 한 도움을 제공한다(김민

Page 21: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6 -

정, 2010; 이혜정, 최명숙, 2010; 임철일 외, 2016; Jonassen, 1991). 이를

통해 교사는 온라인 환경에서 수업성찰을 체계 으로 경험해볼 수 있고

동료와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지 까지 교사 교육에서 수업 문성을 향상시키기 한 다양한 방법이

실행되어왔지만 새로운 360도 비디오 기술과 온라인 지원 시스템을 통합

활용하여 효과 으로 수업성찰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략을 제공한

련 연구는 제한 이었다. 효과 으로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여 교사가

수업을 성찰할 수 있기 해서는 어떠한 순서와 차로 구성되어야 하는

지, 각 단계마다 수행해야하는 활동들은 무엇인지에 한 체 인 과정

과 개별 과정에 따른 지원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론 , 실천 필요성에 기반하여 360도 비디

오를 활용하여 효과 으로 수업성찰을 지원하기 한 시스템의 설계 략

을 개발하 다. 최종 도출된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성찰 지원 시스

템 설계 략은 비슷한 맥락의 교사 교육에서 성찰을 한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하는 설계자, 는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안내 가이드라인

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360도 비디오라는 새로운 기술과

수업성찰에 한 종합 이고 처방 인 설계 략을 제안하는 연구를 통해

국내외의 교사 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일반 인 지침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를 하여 련 주제에 한 선행연구 검토를 토 로 기 설계 략

을 개발한 다음, 련 분야의 문가 검토를 토 로 개발된 략의 타당

성을 검토하여 개선하 다. 한 본 략을 용한 시스템 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실제 사용자인 비 교사와 직 교사가 사용해 으로써 반응

을 확인하고 분석하여 장에 실천 으로 용할 수 있는 시스템 설계

략을 개발하 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360도 비디오 지원 수업성찰 지

원 시스템 설계 략에 하여 논의해보고,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

방향에 해 제언하 다.

Page 22: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7 -

2 . 연 구 문제

본 연구는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 략’을 개발

하고 해당 설계 략을 용한 시스템 로토타입(prototype)을 개발하여

사용자인 교사의 반응을 살펴보는데 목 이 있다. 본 연구의 목 에 따

른 연구 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여 교사의 수업성찰을 효과 으로 지원하

기 한 시스템의 설계 략은 무엇인가?

둘째, 개발된 설계 략은 내 으로 타당한가?

셋째, 개발된 설계 략을 용한 시스템 로토타입(prototype)과 사용

자인 ( 비) 교사의 반응은 어떠한가?

Page 23: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8 -

3 . 용 어 의 정 의

가. 360도 비디오

360도 비디오이란 새로운 상정보 달방식으로, 한 는 몇 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60도 방 를 촬 한 상을 의미한다. 일반 인

상과의 차이 은 기존에는 카메라 한 로 면부만 촬 이 가능했다

면 360도 비디오는 실을 360도로 촬 한 상이라는 이다(정동훈,

2017).

나. 수업성찰

교사의 수업성찰과 련하여 Van Manen(1991)은 성찰을 “수업을 개

선시키고자 교사들이 지속 으로 의사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Schulman

(1987)은 “교사가 자신의 수업을 되돌아보고 수업에서 발생한 여러 가지

요인을 재구성하여 이를 재실행하는 성찰의 과정”이라고 정의한다(고호

경, 남가 , 맹은경, 2013). 즉 교사에게 성찰은 수업 , , 후에 발생하

는 사고 과정의 한 유형으로, 교사는 이러한 사고 과정을 통해 문제 상

황에 합한 의사결정을 하고 행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

업성찰은 자신 는 다른 교사의 수업 상황에서의 교수 행동을 분석하고

평가하며 더 나은 의사결정을 모색하는 일련의 자기성찰과 향상의 과정

으로 정의한다.

다.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시스템은 이러닝 환경으로, 학습자의 학습 활동을 지원하기 한 시스

템이다(이혜정, 최명숙, 2010; 홍미 , 2012).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수업

성찰 지원 시스템은 교사가 수업에 한 성찰을 해 본인 는 동료 교

사의 수업을 찰, 분석하고 성찰하는 일련의 과정을 온라인 환경에서

지원하는 학습 시스템을 의미한다.

Page 24: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9 -

II. 이 론 배경

1 . 교 사 교 육 과 수 업 성 찰

가. 교사 교육에서 성찰 사고 성찰의 요성

교사의 문성 발달과 련된 연구들은 수업성찰이 교육 장에서 부

딪히는 복잡한 문제들을 교사가 합리 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고 주장한다(강정찬, 2016; 곽덕주, 진석언, 조덕주, 2007; 이진향,

2002; Adler, 1991; Colton & Sparks-Langer, 1993; Emery, 1996). 기존

의 수업 기술 심의 교사 교육에서는 일반 인 교육 원리를 장에 그

로 용하여 교사의 수업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을 맞추었다. 이

는 교육 장의 복잡한 상황에 용하는데 한계를 지니기에 교사의 지속

인 문성 신장에 도움을 주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한 안으로, 교사의 성찰 사고 능력을 발달시켜 교사가 수

업 장에서 직면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들을 효과 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교수 행동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한 사고 심의 교사 교육이

이루어져왔다(Zeichner & Liston, 1987). 이들에 의해 시도된 다양한 교

사 교육 로그램들은 장의 연계성을 높이고 교사들의 장 경험에

한 실천 성찰을 구조화하는데 을 두었다(강정찬, 2016; 임철일 외,

2016; 조덕주, 2009; Zeichner, 1994). 비 교사 교육의 경우 일반 으로

도제식 장 실습 형태로써 지정된 지도 교사에게 으로 비 교사를

맡겼으나, 장에 자주 나가 수업 경험을 쌓는 것만으로 비 교사의 교

수 능력이 로 향상되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보다 요하게 고

려되어야할 은 경험을 통해 자신의 교수 활동과 실천을 스스로 개선시

켜나갈 아는 실천 지식의 형성이고, 이러한 실천 지식은 실천

경험에 한 성찰에 의해 향상된다고 본다(곽덕주 외, 2007).

성찰은 차 으로 진행되어 교사로서 자신의 정체성에 한 인식을

목 으로 둔다. 이를 해 실제 혹은 유사한 수업 맥락 안에서 성찰을

Page 25: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0 -

효과 으로 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Kothagen은 성찰을 한 차로,

ALACT(Action-Looking back-Awareness-Creating alternative-Trial)라

는 순환모형을 제안하 다(Korthagen & Kessels, 1999). 이후 모형을 수

정하여 자신에 한 인식을 한 핵심 성찰(core reflection)을 제안하

다. 이는 단순한 순환으로 이루어진 성찰 차가 아닌 차 안에서 정체

성을 인식하는 측면을 더하게 된 것을 의미한다(Korthagen & Vasalos,

2005). Korthagen과 Vasalos(2005)의 연구에서 핵심 성찰을 제안하게 된

이유는 교사가 기존 성찰의 순환 모형에 한 단계를 모두 거쳐 안

인 행동을 하게 되더라도 그에 해 불만족을 느끼거나 성취감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기 때문이다. 한 일부 교사는

특정 문제에 해 성찰을 하며 가능한 안을 지속 으로 생각하고 개선

할지라도 실제로 다시 수업을 실행할 때는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

기 때문이다(조덕주, 2009).

단순 순환 인 성찰의 차에서 더 나아가 핵심 성찰의 단계 모형을

활용하게 되면 보다 심도 깊은 자기 성찰이 시작될 수 있다. 해당 단계

2단계에서 문제 상황에 한 반 인 분석보다는 보다 깊은 수 으

로 나에 해 경험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3단계에서는 문제

해결을 한 핵심을 인식하게 되며 실제 인 실천 방법을 생각하는 과정

에서 보다 교사로서의 문 인 정체성이 확립될 것으로 본다. 이에

한 일련의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의 [그림 Ⅱ-1]과 같다.

[그림 Ⅱ-1] ALACT 모형

(Korthagen & Vasalos, 2005)

Page 26: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1 -

하지만 교사 양성 기 에서 수업에 한 직 인 경험인 교육실습기

간 동안 비 교사가 실제 무엇을 어떻게 경험했고 배웠는지에 해 거

의 알지 못함을 발견하 다. 곽덕주 외(2007) 연구에서 부분의 비

교사들이 4주간의 수업 실습 기간 동안 교육 실습 경험을 통해 무엇인가

새로 배웠다고 했지만, 구체 으로 무엇을 배웠는지, 왜 그런 의미가 있

었는지에 한 답변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수 있었음을 확인하 다.

한 비 교사들 간에 각자 수업 실습 경험을 통해 학습한 내용이나 학

습의 질에는 개인 인 차이가 상당히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 교

사들이 각각 장에서 실천 지식을 성공 으로 습득하는지의 여부는

형식 인 실습 일지를 작성하는 것 외에는 어떤 방법으로도 리되거나

지도되지 않기에, 비 교사 스스로 실천 지식을 얻는 노력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비 교사는 스스로 장 실습 동안에 성찰을 하고

자 하더라도 어떻게 성찰의 과정을 거쳐야하는지 몰라 어려움을 겪곤 한

다. 이를 해 교사 양성 기 에서 비 교사들이 교수 경험에 해 제

로 성찰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지원이 필요하다.

비 교사를 포함한 교사들의 실천 인 수업 경험에 한 성찰 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기 해서는 어떻게 성찰을 해야 하는지에 한 구체 인

상황과 맥락을 제공하고 그를 제 로 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어

야 한다. 더 나은 수 의 성찰을 단계로 나아가 깊이 있는 성찰을 하도

록 하기 해 구체 수업 맥락을 기반으로 하여 성찰 수 을 개선시킬

수 있는 교육 인 방법 제시가 필요하다.

나. 수업성찰의 이론 기

교사 교육 분야에서 수업성찰 개념의 이론 기 를 제시한 표 인

학자는 Dewey와 Schön이다. 먼 , Dewey(1997)는 우리의 사고를 일상

인 의식의 흐름과 문제 심 인 사고로 구분할 수 있는데, 여기서 문

제 심 사고가 성찰 사고(reflective thought)라 하 다. 성찰 사

고는 하나의 결론에 도달하기 한 의도를 지닌 문제 해결 과정이며, 어

떤 문제 상황에서 출발하여 그 문제를 구성하는 여러 논리 이고 경험

Page 27: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2 -

인 근거에 따라 본질 인 의미를 추구하는 과정이라 정의를 내릴 수 있

다(김수천, 1982; 이진향, 2002; Rodgers, 2002). Dewey의 성찰 사고와

련된 연구가 지속되어 오면서 개념과 련된 논쟁이 이루어져왔다. 이

에 해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성찰이 일어나는

시간으로, Dewey의 연구에서 시사하는 것과 같이 즉시 인지, 단기 인

지, 아니면 장기 으로 이루어지는지에 한 내용이다(Schön, 1983). 두

번째는 성찰이 본질 으로 문제 심인지, 아닌지와 련이 있다(Adler,

1991; Schön, 1987). 마지막으로는 비 성찰(critical reflection)과 련

된 내용으로, 성찰하는 사람이 어떻게 의식 으로 역사 , 문화 , 정치

가치 는 신념을 고려하여 성찰을 하는지에 한 내용이다(Gore &

Zeichner, 1991).

Schön(1983, 1987)은 Dewey의 성찰 사고를 근거로, 성찰 실천가

(reflective practitioner)에 한 개념을 정립하 다. 그는 문가가 자연

스럽게 사고하고 행동하는 방식을 성찰 사고라고 주장하 다. 문가

는 상황 속에서 실천, 불확실 인 상황에 한 처, 문제 해결 등에

해 성찰 으로 사고하면서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이다. Schön(1987)은 실

천하는 행동에 그의 지식이 직 으로 향을 미치는데, 일상 인 행동

을 이끄는 지식의 흐름에 한 방해가 생겼을 경우에 의식 인 성찰이

일어난다고 주장하 다. 이와 같은 의식 인 성찰을 두 가지 방식, 행

후 성찰(reflection on action)과 행 성찰(reflection in action)로 구

분한다. 행 후 성찰(reflection on action)은 행 를 하고 나서 그에

해 다시 돌이켜 생각해보는 것을 의미하는데, 그 때의 상황과 거리를 두

어 평가하며, 비 으로 그 상황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도록 한다. 행

성찰(reflection in action)은 행 가 일어나는 동안 문제를 구조화하

고, 상황을 이해하며, 문제를 발생시키는 원인에 해 비 으로 평가하

여 안 인 해결 방법을 생각해내도록 하는 과정이다. Schön(1983)은

문가가 행 후의 성찰보다는 행 의 성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

이 요하다고 주장하 다.

이와 같은 Dewey(1997), Schön(1983, 1987)의 성찰 사고에 한 개

Page 28: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3 -

념은 교사의 문성 신장을 한 하나의 방안으로써 요하게 다루어지

고 있다. 교사는 문가이자 성찰 실천가로서, 수업과 련된 실제 인

지식을 수업에 실천하면서 느끼게 되는 갈등, 딜 마의 과정에 해 수

업성찰을 통해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다.

다. 수업성찰 차

수업성찰의 차로는 표 으로 Korthagen과 Vasalos(2005)가 제시

한 핵심 성찰 모형을 통해 제안한 성찰의 차 5단계가 있다. 그가 제시

한 단계별 성찰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첫 번째 단계는 수업을 통해 문제 상황을 경험하는 단계이다. 교사는

학교에서 실제로 수업을 실시하거나 혹은 동료 교사들을 상으로 모의

수업을 할 수 있다. 는 비디오와 같은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데 자신

이 하는 수업을 촬 하여 찰하거나, 다른 동료가 하는 수업을 비디오

로 찰하여 실제 수업을 경험하지는 않았지만 실제와 같은 상황을 경험

하게 된다. 다른 동료들이 하는 수업을 통해서 자신의 수업성찰을 하기

해서는 자신이 해당 동료 교사가 된 것처럼 감정 이입을 하며 생각해

야 한다. 성찰의 과정에서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으로 두고 있기에

다른 사람의 수업 문제 상황도 자신이 그와 같이 행동했던 것처럼 생각

하고 찰, 분석해야 자신에 한 성찰의 과정으로 연결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는 교사의 수업 행동에 해 되돌아보는 단계로, 특히 수

업을 계획했던 본래 이상 상황과 문제 상황의 차이를 인식하는 단계이

다. 이 단계에서는 수업 에 교사로서 원래 계획했었던 상황은 어떠한

상황이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업은 실제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본

래 계획했던 수업과 같이 진행되기 해서는 어떠한 제한 이 있는지에

해 확인하고 인식하는 단계라 볼 수 있다. 왜 계획과 실제가 차이가

있었는지, 그리고 실제 수업 상황에서 발생된 문제가 왜 문제가 되었는

지에 해 원인을 생각하도록 한다. 그리고 그에 한 원인을 외부 환경

인 측면으로만 보지 않고, 자기 자신의 행동으로 생각해볼 수 있도록

하는 이 요하다.

Page 29: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4 -

세 번째 단계는 핵심 본질에 해 인식하는 단계이다. 핵심 본질은 교

사로서의 문 인 정체성이라 볼 수 있다. 교사는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막연하게 생각해볼 수는 있다. 하지만 실제 수업 상황에 한 문제 인식

을 한 이후에 교사에 한 정체성을 인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실제

자신의 모습을 고려한 이상 인 교사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다. 실제를

기반으로 확립한 정체성은 실 인 부분을 고려하 기에 보다 자신에게

이상 인 교사상을 생각해볼 수 있다. 비 교사의 경우 자신의 교사로

서의 정체성을 찾는데 어려움을 지니기에 교사 교육자가 정체성을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필요가 있다(Korthagen & Verkuyl, 2007). 비 교

사가 교사로서의 역할에 해 고민해볼 수 있도록 하고 이후 직 교사

가 되었을 때 이상 으로 생각했던 정체성을 실 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네 번째 단계는 핵심 인 본질을 실 하기 한 안 인 행동 방법을

찾는 단계이다. 즉 3단계에서 생각한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실천하기

해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에 한 방법을 찾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요한 은 의식 인 변화에 따라 행동을 변화시키는 에 있

다. 교사가 과거 겪었던 문제 상황들에 해 좌 감을 경험하 으나 새

로운 행동 안을 찾고 그를 실천하 을 때 만족감과 성취감, 자기효능

감을 느끼게 된다는 을 고려하여 인지 인 변화와 함께 정서 인 측면

을 함께 생각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 단계는 4단계에서 생각한 안 인 행동을 실천하는 단계이다.

마지막 단계에서 실천을 하면 다시 1단계인 문제를 인식하는 단계로 넘

어가 순차 으로 성찰의 차를 거친다. 교사는 이와 같은 순환 인 성

찰 과정 5단계를 거치며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재구조화하고 이에 따른

교수·학습방법과 교수 행 를 재구성하며 다시 실천하며 지속 으로 수

업 문성을 개발한다.

라. 성찰 사고 수 분류

성찰 사고 수 을 분류하면 성찰이 언제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행

Page 30: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5 -

후 성찰(reflection on action)과 행 성찰(reflection in action)로 구

분될 수 있다(Schön, 1983, 1987). 행 성찰(reflection in action)은

교사가 수업을 하는 에 학생들의 반응을 보고 즉각 으로 의사 결정을

하여 교수 내용이나 방법을 변경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행 후 성찰

(reflection on action)은 이미 일어난 수업 상황에 해 다시 돌이켜 생

각해보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성찰을 하는 시간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하는 것은 교사의 역량과 문성 수 에 따라 성찰 수 이 달라지는

것과 연결할 수 있다. 비교사나 수업 경험이 부족한 보 교사의 경우

수업에 한 역량 부족으로 인해 행 성찰을 통해 이상 인 수업 상

황을 한 즉각 인 의사결정을 실시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교사

교육에서 비 교사나 보 교사가 문가로서 행 성찰을 할 수 있

도록 지원하는 것이 요하다(강 심, 황순 , 2004).

한편, 성찰의 수 을 Mezirow(1990)는 내용 성찰(content reflection),

과정 성찰(process reflection), 제 성찰(premise reflection)으로 구분하

다. 제 성찰은 비 성찰(critical reflection)으로 가장 수 이 높은

성찰이다. 내용 성찰과 과정 성찰은 성찰을 하는 내용만 다를 뿐 같은

수 의 성찰이며, 제 성찰보다 낮은 수 의 성찰이다. 내용 성찰은 인

식하고 실행하는 ‘무엇’에 해 성찰하는 것이다. 과정 성찰은 문제 해결

략을 확인하여 ‘어떻게’와 련된 부분을 성찰한다. 마지막으로 제

성찰은 ‘왜’라는 질문을 통해 문제해결에 향을 미치는 신념과 가치를

인식하고 다시 생각해보는 경우이다(이 경, 2017; 장선 , 박인우, 기창

원, 2010).

다른 성찰의 수 으로 Hatton과 Smith(1995)의 성찰의 수 을 들

수 있다. 이는 성찰의 특징에 따라 4단계의 수 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기술 작문(descriptive writing), 기술 성찰(descriptive writing), 화

성찰(dialogical reflection), 비 성찰(critical reflection)로 이루어져

있다. 기술 작문은 성찰 인 내용은 포함되지 않고 어떠한 사건이나

행동의 이유에 하여 인식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기술 성찰은 사건이나 행동의 기술되어 있고 단순하고 간단하게 자신

Page 31: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6 -

의 의견이 제시되어 있는 수 을 뜻한다. 다음으로, 화 성찰은 사건

이나 행동에 한 구체 인 이유를 스스로 생각해 보며 기술할 경우이

다. 마지막으로 비 성찰은 행동과 사건에 련하여 다수의 역사 ,

사회·정치 인 맥락이 향을 다는 것을 인식하는 수 이다.

성찰의

수설명

기술

작문

사건이나 행동에 하여 이유나 정당화를 제공하려는 시도

가 포함되지 않은, 성찰 인 내용이 없는 것

기술

성찰

부분 사건이나 행동에 해 기술되어 있고 단순한 자기생

각과 간단한 코멘트, 간단한 분석 등이 제시되어 있는 것,

사건이나 행동에 하여 기술하되 원리의 제시 그에

한 구체 이유 등이 제시되어 있는 것

성찰

기존의 자기 생각에 한 성찰이 드러나 있으나 의식 으로

자각하여 기술하고 있지는 않은 것,

기존의 자기 생각에 한 성찰을 의식 수 에서 논리 이

고 명료하게 기술하고 있는 것

성찰

행동과 사건이 다수의 역사 그리고 사회정치 맥락에 의

해 향을 받거나 치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표 Ⅱ-1> Hatton과 Smith(1995)의 성찰 수 (곽덕주 외, 2007)

이와 같은 수 에 따라 곽덕주 외(2007) 연구에서 교사들의 실천 경

험에 한 성찰 수 을 분류했을 때 성찰 수 이 낮을수록 교사들은 성

찰 을 자신에게 맞추고, 주로 자기 자신의 느낌에 몰두한다는 을

확인하 다. 다음으로 성찰하는 내용과 련해서 성찰의 수 이 높을수

록 보다 자기 자신의 문제에서 수업에서의 교수 활동과 련된 문제로

나아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수업에서 발생되는 한 가지 문제에

해 단순히 자신의 느낌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측면들을 인

지하고 문제에 해 고민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Page 32: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7 -

비 교사들의 성찰 수 을 분석해보았을 때 체로 인지 측면에서

하 수 에 머물러 있었다(곽덕주 외, 2007; Bain, Ballantyne, Packer,

& Mills, 1999). 즉 부분의 비 교사들은 기술 작문 수 에 머물러

있으며 내용 으로는 자기 자신에 한 느낌에 해서만 성찰하 다. 이

에 따라 교사 교육에서 하 성찰 수 에서 보다 화 성찰 수 으로

향상시키기 해 요구되는 교육 인 지원 략을 으로 다룰 필요

가 있다. 한 성찰의 수 이 높은 교사들은 수업 상황에서 발생한 하나

의 문제에 해 다양한 측면을 확인하고 분석하 다는 에서 비 교사

들이 문제 상황의 다양한 측면에 확인하고 주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수업 사례들을 교사들에게 제공하여 문제를 발견하고 여러

측면을 성찰해볼 수 있도록 연습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성찰 사고 수 에 한 부분의 련 연구들은 교사가 자신의 교수

행동에 한 근거로 고려하는 내용들을 분석하고 이에 하여 질 ,

계 으로 수 을 분류한 Van Manen(1977)의 연구를 수정 보완함으

로써 성찰 사고 수 을 확인하 다(이진향, 2002). 이와 같이 수정

보완되어온 성찰 수 은 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하 수 의 성찰

사고는 이 좁고 상 수 으로 갈수록 폭넓은 사고를 나타내고 있

다. 이와 같이 성찰 사고 수 을 분류하여 비교사의 성찰 수 을 고

찰할 수 있는 일종을 틀로 활용되며, 교사의 문성 발달을 한 교사

교육 로그램에서 주로 이용되어 왔다. 교사들에게는 세 가지 성찰 수

이 수업 문성을 해 필요하지만 일반 으로 비 교사들은 첫 번째

수 인 기술 수 의 성찰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강 심, 황순

, 2004). 이는 교사들이 다양한 수업 경험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사고

의 폭이 좁거나, 사고를 제 로 표 하여 성찰해볼 수 있는 기회가 었

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사 교육 분야에서는 교사가 단순히

수업 경험의 양을 늘리도록 하기 보다는 좀 더 상 인 수 의 성찰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수업 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양

한 교육 장에서 일어나는 실제와 이론의 련성을 탐색해보며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이고 이에

Page 33: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8 -

한 계를 분석하는 성찰 과정을 통해 교사들은 수업에 한 문가로

서 성장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2 . 수 업 성 찰 지 원 도 구 략

가. 수업성찰 지원 도구

교사의 수업성찰을 지원하기 한 하나의 도구로 비디오를 활용하 으

며, 비디오 기반 수업성찰의 한 형태로 마이크로티칭(microteaching)이

이루어져왔다. 마이크로티칭은 단어 그 로 수업의 시간과 내용, 학습자

의 규모 등을 축소하여 모의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수업 과정에서

는 실제 수업 진행의 3단계를 그 로 따르게 되며, 반 인 수업 기술

을 용해보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료의 수업을 찰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학생의 입장도 경험하기 때문에 보다 포 인 측면

에서의 수업성찰이 가능하다(Du Toit, 1990). 따라서 임찬빈과 이화진

2006)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업 문성 일반 기 내용 지식,

내용 교수법, 학생 이해, 수업 설계, 수업실행, 수업성찰 문성 발달

등 부분의 세부 기 요소를 경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비디오

는 수업 상을 반복 으로 찰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하고, 자신의 수

업 행동을 객 화하여 평가할 수 있어 유용한 도구로써 인정받아왔다(박

수경, 김상달, 조주환, 1992; 서윤경, 2009; Cho & Huang, 2014;

Perlberg, 1989; Rogers & Tucker, 1993; Trent-Wilson, 1991)

다음으로, 교사의 수업 문성 증진을 해 e-티칭 포트폴리오

(e-teaching portfolio)가 활용되었다. e-티칭 포트폴리오는 수업 활동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와 결과물들을 수집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성취도

를 디지털 환경에서 구조화하는 활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김민정,

2010; 심미자, 설양환, 2007; 이정은, 차 진, 2016). e-티칭 포트폴리오는

통 인 포트폴리오와 달리 웹 기반으로 활용되고 멀티미디어와 하이퍼

링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근, 수정, 리가 용이하다. 련 연구에서 이

Page 34: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9 -

와 같은 e-티칭 포트폴리오가 교사 교육 맥락에서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기 해서는 단순한 문서들을 수집하는 것 이상으로 교사로서의 변

화와 성장에 한 성찰의 기회가 동반되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김민

정, 2010; 김상경, 2012; 심미자, 설양환, 2007). 따라서 e-티칭 포트폴리

오를 수업성찰에 한 지원 도구로 활용하기 해서는 체계 인 성찰

차를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지원 시스템이 있다. 온라인 지원 시스템은 주로

비 교사 교육에서 활용되며 오 라인 교육 로그램에 맞추어 다양한

학습 활동을 온라인으로 병행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련 구성원

들의 의사소통에 요한 역할을 한다. 표 으로 임철일 외(2016) 연구

에서 비 교사의 스마트 교육 역량 향상을 한 온라인 지원 시스템

(Smart Education Support System, SESS)을 개발하여 사범 학 교육

로그램으로 활용되고 있다. 해당 시스템 상에서 기존 련 교육 자료를

공유할 뿐만 아니라 비 교사가 수행한 수업 는 마이크로티칭에 한

상 자료에 한 분석과 피드백이 이루어지도록 활용되었다. 더불어 해

당 시스템에서 비 교사인 동료들, 직 교사, 학 교수자의 피드백도

제공받을 수 있어 교사 실천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

다.

나. 수업성찰 지원 략

수업성찰을 효과 으로 지원하기 해 교사 교육 로그램에서 활용한

략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직 교사, 동료 교사의 모범

인 수업 설계안(교수·학습 과정안)을 살펴보며 해당되는 교과와 수업 방

법을 고려한 수업 설계 사례를 확인하도록 한다. 이러한 수업 설계의 직

작성하기 에 해당 수업과 련된 교수·학습 방법과 같은 이론 인

지식에 한 충분한 이해를 돕고 련 수업 자료까지 제공하면 수업 설

계를 한 실제 인 실천력을 높일 수 있다(박기용, 2013). 특히, 비 교

사의 경우 수업설계에 해 수업설계 모형과 련된 이론 인 이해 수

에만 머물러 있고 이론과 실제간의 차이를 이기 어려워 실제 수업을

Page 35: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20 -

설계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한다(박기용, 배 직, 강이철, 2009; 이 주,

2012). 이에 수업 설계안을 확인하여 수업설계에서 이루어지는 차를

확인하고 각 단계별 결과들이 어떻게 기술되는지를 분석해보는 학습 활

동을 진행해볼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수업 설계를 한 활

동은 수업을 설계하는 교사가 수업 설계안의 구성요소에 한 정확한 이

해를 돕고 이후 본인의 수업 설계에서 분석, 설계, 개발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져야하는지에 해 이해를 돕는다.

두 번째는 교사가 수업을 설계하는 단계로 수업목표 진술, 수업방법의

설계, 수업 매체 설계 등과 련된 사항들을 고려하여 수업설계안을 작

성하도록 한다. 작성한 수업설계안 안을 동료 비교사들간에 공유하

여 상호 피드백이 오고 갈 수 있도록 하여 자기 성찰과 동료 성찰이 이

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서윤경, 2009; 정가윤, 배성아, 2011). 동료 피드

백을 통해 수업설계안 안을 수정하고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 수업설

계안을 실제로 작성해보고 수정해보는 활동을 통해 보다 나은 수업을 설

계할 수 있도록 하며 동료 피드백을 통해 수업 설계에 한 성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성찰 , 진단도구 등을 제시할 수

있다(강정찬, 2016). 성찰 을 작성할 경우 수업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지침에 해 이해한 부분을 정리해보고 이론 인 부분을 작성한 수업

설계안과 함께 확인해보도록 한다. 한 진단도구를 활용하면 수업 설계

와 련된 지식을 이해했는지에 한 여부에 한 자기 진단을 통해 성

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지원 략은 수업 설계에 한 동료

교사나 교수자로부터 피드백을 받도록 하여 성찰을 효과 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수업의 실제에 한 분석과 평가 과정을 통해 성찰이 이루어

진다. 먼 수업 설계안, 수업 자료를 활용하여 실제 수업을 실시해본다.

그리고 그 수업에 한 동료 교사 는 문 교사의 찰과 분석이 이루

어지도록 하여 동료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불어 비디오를 통해

자신의 수업에 한 자기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수업 분석을

실시할 때 다양한 련 분석, 평가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

Page 36: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21 -

석 결과에 해서는 수업 의회, 시스템 등과 같은 형태로 공유할 수 있

는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석 평가 과정에서는 수업에

서 일어난 사건에 한 원인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고 복합 인 수

업 문제에 한 해결방안을 다양한 에서 찾을 수 있도록 한다(이상

수, 강정찬, 이유나, 오 범, 2012; 장경원, 2012).

마지막으로 수업에 한 분석 결과를 통해 체 인 수업 설계, 과정,

결과에 한 정리를 지원한다. 수업의 과정과 결과에 한 평가는 앞서

이루어진 수업 찰, 분석의 결과를 토 로 성찰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여

체 인 과정을 정리하도록 할 수 있다. 수업에서 발생되었던 문제를

확인하고 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정리해보며 다음 수업에서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해결방안을 반 하도록 한다(강정찬, 2016; 정가윤, 배

성아, 2011).

다. 기존 수업성찰 지원의 한계

비디오와 같은 도구를 활용한 수업성찰은 교사들로 하여 수업에

한 새로운 을 가지도록 하고, 수업을 할 때 미처 고려하지 못했던

부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Bryan & Recesso, 2006; Griswold, 2005;

Miller, 2009). 교사들은 비디오를 통해 수업성찰을 하게 될 때 일반 인

수업 찰 평가를 할 때나, 비디오 없이 자기 성찰을 하는 것보다는 도

움이 된다고 느낀다. 이는 비디오가 수업에 한 온 하지 않은 기억에

의존하지 않도록 증거 자료로 역할을 해주기 때문이다. 결과 으로 비디

오 기반 수업성찰은 비디오와 같은 기록물 없이 진행하는 것보다 더 정

확한 증거를 기반으로 수업에 한 행 후 성찰을 하도록 하여 수업을

개선하도록 도움을 다(Shepherd & Hannafin, 2009).

하지만 비디오가 수업성찰 도구로 활용하는데 일반 으로 가지는 한계

과 문제 들이 있다. 첫 번째로 수업을 하나의 카메라로 촬 할 경우

사각지 에 놓인 학생들의 학습 활동 모습까지 찰하기 어렵다(김혜림,

이미자, 2017). 만일 사각지 문제를 해결하기 해 여러 의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에는 추후 여러 비디오를 맞추어 확인하기 해 보다 많은

Page 37: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22 -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한다. 두 번째, 교사들, 특히 비교사나 보 교

사의 경우 교수·학습에 한 문제 을 인지하고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

다는 이다. 비 교사들은 수업에 한 이해가 아직 부족하기 되었기

때문에 수업의 문제 을 포착하고 그에 한 해결 방안을 도출해내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한 교사들은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찰하며 자기

성찰을 하는데 거부감을 가지고 있으며, 오직 정 인 면만을 보려고

한다(Abell, Bryan, & Anderson, 1998). 세 번째, 실제 수업을 한 경우가

아니라 비디오와 같이 간 으로 경험을 하도록 자료를 제공해주는 경

우에는 수업과 련하여 자신의 수업에 해 성찰하는 것과 같이 성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어야 한다(조덕주, 2009). 이를 해서 수업을

실행한 교사가 수업 비디오를 공유할 때 수업 계획과 실제 행 간 불일

치가 드러난 경우 등에 한 내용을 함께 공유하여 문제를 확인하고 해

결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일반 으로 수업성찰을 실시할 때 활용했던 비디오는 부분 이

고 제한된 만을 가지고 교사들이 성찰을 하도록 한다. 신에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게 되면 수업 상황에 더 몰입감 있는 근을 기반으로

성찰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성찰에 한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3 . 3 6 0 도 비 디 오 활 용 수 업 성 찰

가. 360도 비디오의 의미와 특성

360도 비디오의 활용은 가상 실(Virtual Reality, VR) 는 증강 실

(Augmented Reality, AR)과 같은 맥락에서 증가하고 있다(Argyriou,

Economou, & Bouki, 2017). 360도 비디오는 비디오의 몰입형 형태로써

시청자가 모든 에서 상황을 볼 수 있도록 하며, 보고자 하는 장면을

자율 인 으로 볼 수 있도록 한다.

360도 비디오를 통한 찰은 기존 비디오를 활용한 찰보다 맥락 인

형태의 참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는 직 수업 상황 내

Page 38: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23 -

에서 찰하는 을 제공하며 수업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

해 이 비디오를 통해서는 찰할 수 없었던 부분까지 구체 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Ibrahim-Didi, 2015). 교사는 수업 상황 내에서 몰입

한 채로 찰함으로써 마치 그 수업 상황에 있는 듯한 육체 감각을 느

낄 수 있다. 한 에 한 사용자 통제가 가능하여 녹화된 비디오에

서 자율 으로 을 바꾸며 어떤 방향이든 수업 상황을 둘러볼 수 있

도록 한다.

비디오 찰 도구로 가상 실 찰을 한 도구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

이(Head-mounted display), 를 들어 오큘러스 리 트(Oculus

Rift), 구 카드보드(Google Cardboard), 삼성 기어 VR 등을 활용한다

면 훨씬 더 몰입하여 상황에 한 찰이 가능하며 자유롭게 을 변

경이 가능하다.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 환이 이루어져 완

히 몰입 인 1인 찰의 을 만들 수 있다(Tse et al., 2017).

한 360도 비디오는 편집 소 트웨어를 활용할 경우 상호작용이 가능

한 형태로 바꾸어 가상 실 콘텐츠로써 활용이 가능하다(Pulijala, Ma, &

Ayoub, 2017). Unity 등과 같은 소 트웨어를 활용하여 360도 비디오 편

집을 통해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시뮬 이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여 효과 인 수업성찰을 지원할 수 있는 가능성

과 잠재성이 확인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 히 경험 이고 방법론

인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어떻게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여 효과

으로 수업성찰을 하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인지에 한 고려가 필요하

다.

나.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 략

교사의 수업성찰을 지원하기 해 360도 비디오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

지에 해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고려해볼 수 있다.

첫 번째로, 교사가 360도 카메라로 어떻게 수업을 촬 하고 그를 활용

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표 인 Walshe와 Driver(2019)의 연구에서는

Page 39: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24 -

등학교 비 교사가 등학교에서 10분간의 마이크로티칭을 실시하도

록 하고 그 장면을 360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 하 다. 카메라는 교실

앙 책상 에 모노포드(monopod)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교사와 학생들

간의 교수·학습 장면을 모두 촬 할 수 있도록 하 다. 이후 수업 촬

물에 해 VR 헤드셋을 활용하여 찰하고 소리 내어 생각하기(Think

Aloud) 기법을 활용하여 수업에 한 성찰을 하 다. 마지막으로 개별

인 인터뷰를 통해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여 성찰을 경험한 내용을 확인

하 다. 하지만 이와 같이 360도를 활용한 선행 연구들은 사례 연구로써

진행되었으며, 구체 인 활용 방법은 제시되지 않았다. 교사가 스스로

360도 비디오를 통해 본인의 수업 성찰을 실시하고자 하 을 때 어떻게

수업 카메라 촬 을 한 비를 하고, 수업 후 촬 물에 한 성찰

을 할지에 한 구체 인 지원 방법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두 번째로, 교사가 촬 한 360도 비디오를 가지고 어떻게 수업성찰을

효과 으로 실시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기존의 2D 비디오와는 다르게

360도 비디오는 수업의 모든 장면들을 촬 하기에 수업 장면에 몰입한

채 성찰을 한 다양한 면들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의 비디오 기반 수

업 성찰과는 다르게 교사의 실천 교수 행동, 학습자들의 다양한 반응

들 찰할 수 있기에 그에 한 내용을 기반으로 수업을 성찰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서는 교사가 360도 비디오를 통해 포착한 다양한 들을

기반으로 수업성찰을 할 수 있는 효과 인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

며, 아직 이 부분에 해서는 련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다. 사례연구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의 설계 략을 개발하기

하여 기존 수업분석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운 방식

을 살펴보았다. 교사를 한 표 인 지원 시스템으로, SESS, 에듀트

인, 에듀슈가, 스 블(Swivl)를 선택하고, 메뉴 세부 내용을 표로 분

석하 다. 이후 네 시스템에서 공통 으로 나타나는 주요 특징과 한계

Page 40: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25 -

을 종합 으로 확인하 다.

시 스 템 명 주요 기 능 운 기 홈페이 지

SESS

(Smart Education

Support System)

수업 자료 공유,

마이크로티칭

서울 학교

사범 학

(임철일 교수)

sess.snu.ac.kr

에듀트 인

(Edutrain)수업 분석

이노유엔아이www.edutrain.kr

에듀슈가

(edusugar)수업 분석

원 학교

사범 학

(김경 교수)

www.edusugar.com

스 블

(Swivl)

수업 촬 지원,

분석swivl www.swivl.com

<표 Ⅱ-2> 사례 연구 목록

1) SESS(Smart Education Support System)

SESS(Smart Education Support System)는 비교사의 스마트 교육

역량 향상을 한 온라인 지원 시스템으로, 임철일 외(2016) 연구를 통해

개발되었다. 본 지원 시스템에는 스마트 교육과 련하여 다양한 자료가

제공되는 ‘교육지원 자료실’, 비교사가 각 교과에 합한 수업 설계 산

출물인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자료로 구성되는 ‘수업 설계’, ‘수업 자료

개발’, 학 내 수업 실행으로서 마이크로 티칭과 학교 장의 수업 실행

에 한 자료인 ‘수업 실행’, 시스템, 련 학습 내용 등을 포함한 반

인 질의응답 게시 인 ‘질문과 답변’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

련 링크’는 스마트 교육과 련된 주요 외부 사이트 안내가 이루어지고

있다.

Page 41: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26 -

[그림 Ⅱ-2] SESS: 수업실행 시

(출처: sess.snu.ac.kr)

2) 에듀트 인(Edutrain)

에듀트 인(Edutrain)은 교사의 수업 능력 개선을 돕는 소 트웨어로

서, 교사의 수업 능력을 분석하고 측정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수업 능

력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수업 비디오를 촬 하여 비디오 분

석을 실시하고, 수업 분석 이론을 이용한 평가 요소를 용하여 수업의

언어, 발문, 이동 등 정량 평가와 교과 사용 등 정성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사의 자기 수업 능력 개선뿐만 아니라 장학 업무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수업 분석 과정은 수업을 촬 한 비디오를 열고 분석 필터에서 항목을

선택한다. 수업 분석은 수업 흐름별 분석, 수업 요소별 분석, 언어 상호

작용 분석, 수업 분 기 분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후 본인 는 동료

교사가 수업 비디오를 시청하며 분석 방법을 선택하여 분석 기 에 한

수(1 : 미흡, 2 : 보통, 3 : 우수, 4 : 탁월)를 선택하고 완료하면

분석 결과를 보고서의 형태로 장 가능하다. 분석 결과는 분석 확인 모

드에서 분석 항목별 수를 해당 분석 시 의 수(빈도수)로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분석 시 의 비디오 결과도 함께 확인 가능하다. 종합 인

분석 결과 수는 그래 의 형태로 제공되어 확인할 수 있다.

Page 42: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27 -

교사는 에듀트 인을 통해 자신의 수업을 녹화하여 자기 수업을 자기

가 분석하거나, 동료 교사의 분석을 통해 수업 개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한 수업을 잘하는 교사의 수업 비디오를 받아 세 한 분석을 실

시하여 우수한 사례 기반 학습을 통해 자신의 수업 개선 방향을 찾아 나

아갈 수 있다.

3) 에듀슈가(edusugar)

에듀슈가(edusugar)는 교사의 수업 찰과 분석을 지원하기 해 개발

된 로그램이다. 본 로그램은 체계 인 수업 분석을 지원하기 해

AF(Advanced Flanders) 분석, ACE 분석, 학생 선호 분석, 학생 과업집

분석, 학생 행동요소별 분석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 로그램을 통

해 체계 인 수업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교사 스스로 자신의 수업 능력

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 AF(Advanced Flanders) 분석

먼 , AF(Advanced Flanders) 분석은 랜더즈(Flanders) 교수에 의해

소개되어 변 계와 김경 (2005)이 사례와 경험을 통해 분석해나간 수업

언어 상호 작용 분석법이다. 이는 교사와 학생간의 언어 행동에

을 맞추어, 일정한 분류 체계에 따라 체계 으로 기록하고 분석하는 방

향을 제시하 다. 수업 언어는 10가지(1: 감정수용, 2: 칭찬, 3: 의견수용,

4: 질문, 5: 강의, 6: 지시, 7: 비난비평, 8: 좁은 답변, 9: 넓은 답변, 0: 기

타)로 분류되어 비디오 찰 해당 언어 행동 찰시 해당 숫자 버

튼을 르면 기록된다.

Page 43: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28 -

[그림 Ⅱ-3] 에듀슈가: AF 분석 과정(출처: 백제은(2015). Easy

수업분석 Ver 3.54 학습 길라잡이. Retrieved from

http://www.edusugar.com/post/2005)

AF 분석 결과를 통해 수업의 흐름, 10가지 분류 항목별 빈도수 비율,

교사의 질문에 한 정보(4번 항목), 학생의 발언에 한 정보(9번 항

목), 언어 이외의 시간 활용(0번 항목)에 한 정보, 교사의 질문에 한

학생 사고 기 시간, 교사의 자문자답 비율, 수업 단계별 분석 결과 정

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면

국 평균값과 본인의 결과 수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림 Ⅱ-4] 에듀슈가: AF 분석 결과(출처:

백제은(2015). Easy 수업분석 Ver

3.54 학습 길라잡이. Retrieved from

http://www.edusugar.com/post/2005)

Page 44: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29 -

AF 분석 이후 수업 단계 설정하기, 자막 만들기 등을 통해 찰자 입

장인 교사들의 용이한 수업 찰 분석을 지원한다.

나) ACE 분석

수업 분 기 분석을 한 ACE(Ability to promote positive Classroom

Environment, 수업분 기 조성 능력) 분석 방법은 기존 터크먼 분석의

아이디어를 개선한 분석법이다. 이는 교사가 수업분 기를 얼마나 잘 조

성할 수 있는지에 한 능력을 분석하는 것으로, 28개의 문항이 제시된

다. 문항은 수업분 기를 묘사하는 형용사들 한 으로, 5단계 평정 척도

해당하는 칸에 표시한다. 찰자 의견 입력이 필요한 경우 해당 문항

에 작성 가능하다.

[그림 Ⅱ-5] 에듀슈가: ACE 분석 과정(출처:

백제은(2015). Easy 수업분석 Ver

3.54 학습 길라잡이. Retrieved from

http://www.edusugar.com/post/2005)

해당 분석 결과는 창의성, 활기성, 온화성, 치 성의 4가지 역으로

나 수업 분 기 결과가 그래 로 제시된다. 개별 찰자에 한 결과

와 체 찰자에 한 평균 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Page 45: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30 -

[그림 Ⅱ-6] 에듀슈가: ACE 분석 결과(출처:

백제은(2015). Easy 수업분석 Ver

3.54 학습 길라잡이. Retrieved from

http://www.edusugar.com/post/2005)

다) 학생선호 분석법

수업 에 발생되는 교사의 학생들에 한 선호 정보를 체계 으로 분

석하기 하여 고안된 분석 방법이다. 교사가 특정 학생에게 정

는 부정 으로 어떤 형태의 언어와 행동을 취하는지, 교사가 학생을 지

원하거나 학습 정도를 확인하기 해 어떻게 자리 이동을 하는지에 한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한다.

이와 같은 정보를 기반으로 성별, 수 , 학생 성향(외향 , 일반 , 내

향 )의 학생 특성에 따른 선호 정보를 기본 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라) 학생과업집 분석법

학생과업집 분석법은 학생이 학습 활동에 어느 정도 념했는지에

한 정보를 제공하는 분석 방법이다. 찰 간격을 설정하여 일정 간격

의 시간동안 학생의 특정 행동을 분석한다. 행동은 혼자 과업 , 친구와

과업 , 교사와 과업 , 친구와 잡담, 공상, 자리이탈, 기타로 구분되어

표시할 수 있다. 결과는 체 요약표와 개인별 요약표로 제시되며, 시간

단 로 결과를 확인할 수도 있다. 분석 결과에 따라 교사의 수업 계획에

Page 46: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31 -

따라 과업에 한 집 도를 확인하고, 과업에 비 집 하는 경향이 높을

경우 학생의 수업 참여율을 높이는 방안을 반 한 수업 개선 계획을 할

수 있다.

[그림 Ⅱ-7] 에듀슈가: 학생과업집 분석 과정 결과

(출처: 백제은(2015). Easy 수업분석 Ver 3.54 학습

길라잡이. Retrieved from

http://www.edusugar.com/post/2005)

마) 학생 행동요소별 분석법

학생 행동요소별 분석법은 수업시간 학생의 행동을 일정한 분류로

나 고 그에 해 심층 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실제 수업 장면을 반

하여 가상으로 학생을 배치시킨 후 수업 진행에 따라 학생의 과업 집

상태를 기록한다. 결과는 체 행동 요소의 분석 종합표와 학생 개인

별 요소 분석 종합표로 확인할 수 있다.

4) 스 블(Swivl)

스 블(Swivl)은 Swivl 로 (iPAD 설치하여 촬 ), 어 , 클라우드 서

비스를 제공하며 학교 교육과 고등 교육 맥락에서 교수자의 수업 상

촬 과 분석을 지원한다. 교수자의 수업 촬 은 Swivl 로 과 모바일 어

Page 47: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32 -

과의 연결을 통해 교수자의 이동을 트래킹(tracking)하며 촬 할 수 있

다. 이후 Swivl 클라우드에 상이 업로드되어 상에 한 메모를 하며

자기 수업을 확인하거나, 상을 공유하여 동료로부터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그림 Ⅱ-8] Swivl 로 촬 시

(출처: www.swivl.com)

Page 48: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33 -

III. 연 구 방 법

본 연구는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여 교사의 수업성찰을 지원하기 한

온라인 시스템의 설계 략을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데 목 이 있

다. 이와 같은 목 을 달성하기 해 본 연구에서는 Richey와

Klein(2007)이 제안한 설계·개발 연구방법론 Type 2 모형 연구

(Model Research)를 용하 다. 모형 연구는 설계 모형 련 이론을

개발하기 한 연구 방법으로, 크게 세 가지 유형인 모형 개발(Model

Development), 모형 타당화(Model Validation), 모형 사용(Model Use)으

로 구분될 수 있다(Richey & Klein, 2007). 모형 개발은 설계 개발에

한 구성요소와 차를 모형화하는 연구이고, 모형 타당화는 모형에

한 내 타당화 는 모형이 용된 산출물에 한 외 타당화를 보는

연구이다. 모형 사용 연구의 경우 모형을 사용하는데 향을 주는 조건,

설계자의 문성 등을 살펴보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Richey와 Klein(2007)이 제시한 세 가지 유형의 모형

연구 모형 개발 모형 타당화 방법을 사용하여 설계 략을 개발하

고, 이를 용한 시스템 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사용자인 교사의 평가

반응을 수집, 분석하 다. 본 연구의 차는 크게 ‘설계 략의 개발’과

‘설계 략의 내 타당화’, ‘설계 략의 외 타당화’ 세 단계로 구성된다.

먼 설계 략의 개발 단계에서는 Richey와 Klein(2007)의 모형 개발

방법으로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기반으로 기 설계 략을 개발하

다. 다음으로 모형 타당화 내 타당화에 해당하는 문가 타당화를

통해 문가의 이론 , 논리 검토를 실시하여 수정 보완된 설계

략을 개발하 다. 설계 략의 외 타당화 단계에서는 개발된 설계 략

을 용하여 온라인 지원 시스템 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시스템 로토

타입에 한 사용자인 교사를 상으로 반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여 설

계 략을 확인하 다.

다음 <표 Ⅲ-1>은 본 연구의 단계와 그에 따른 연구 차별 연구 활

동을 제시한 것이다.

Page 49: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34 -

연 구 차 세 부 연 구 차 연 구 활 동

설계 략

개발

선행 문헌 검토 360도 비디오,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련 선행문헌 탐색

사례 연구

기존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의

시사 도출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 성

찰 지원 시스템 기 설계 략

도출

타당화

1차 문가

타당화

기 설계 략 검토

설계 략 수정

2차 문가

타당화

수정된 설계 략에 한 2차

문가 검토

설계 략 수정

타당화

시스템 개발

설계 략을 용한 온라인 지

원 시스템 로토타입 개발

시스템 로토타입에 한 문

가 검토

사용자 반응 평가

개발된 로토타입에 한 사용

자(교사) 반응 평가

최종 시스템 설계 략 도출

<표 Ⅲ-1> 연구 차별 연구 활동

Page 50: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35 -

1 . 설 계 략 개 발

가. 선행문헌 고찰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기 설계 략 개발을

한 선행문헌 고찰은 Reigeluth(1983)의 모형 개발을 한 방법론에 기

하 다. 첫째, 자료, 경험, 직 에 의해 형성 가설을 개발하 다. 둘

째,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과 련된 구성요소들을 찾아 분류하고, 셋째,

구조화를 통해서 지원 시스템 설계 략 지침을 개발하는 순서로 이루

어졌다.

선행 문헌 검토는 Creswell(2009)이 제안한 다음의 네 단계에 따라 진

행되었다. 첫째, 선행 문헌을 통해서 교사 교육, 수업성찰, 비디오 기반

수업 분석, 360도 비디오 등과 같은 키워드를 확인하 다. 둘째, 학술연

구정보서비스(http://www.riss.kr), 구 학술검색(scholar.google.co.kr)

등을 활용하여 키워드와 련된 문헌을 탐색하 다. 셋째, 탐색된 문헌들

련성이 높은 문헌들에 한하여 합한 문헌을 선택하고, 마지막으로

선택한 문헌에서 인용한 참고문헌을 확인하여 본 연구와 련된 문헌을

선정하 다. 반복 으로 문헌들을 탐색하고 분석 검토를 실시하 다.

선행문헌을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에 한 구성 요소를 개발하고, 기 설계 략을 개발하 다.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비디오 기반 수업성찰, 온라인 지원 시스템에서의

수업성찰과 련된 설계 략 지침을 도출하고, 구성요소를 기 으로

분류하 다. 그리고 구성요소 별로 분류된 설계 략 지침을 분석하여

내용 계에 따라 일반 설계 략과 세부 지침을 개발하 다. 마지막

으로 구성요소에 따라 일반 설계 략과 세부 지침을 계 으로 정리하

여 기 설계 략을 개발하 다.

나. 사례 연구

다음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하여 교사의 수업 분석 성찰을 지원하는

Page 51: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36 -

기존의 시스템들의 기능과 특성들을 분석하고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

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 략 개발을 한 시사 을 도출하 다. 분석

상으로 선정된 지원 시스템은 SESS, 에듀트 인, 에듀슈가, 스 블

(Swivl)과 같은 교사를 한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다. 분석 상은 교사

의 성찰을 지원하기 한 방법이 상이하고 다양한 형태로 자료를 제공하

고 있으며, 직 교사로부터 교사들이 수업 분석 성찰을 해 장에

서 활용하고 있는 시스템으로 추천을 받았다는 에서 선정되었다. 각

지원 시스템의 운 방식을 분석하기 하여 개별 시스템의 웹페이지에

공개된 기능과 그에 따른 세부 내용을 정리하 다.

2 . 내 타 당 화

개발된 기 설계 략을 수정 보완하기 하여 문가의 이론 ,

논리 검토를 통한 타당화를 실시하 다. 문가 타당화는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하여 개발된 기 설계 략의 반, 설계 략을 구성하고 있는

일반 설계 략과 세부 지침을 상으로 수행되었다. 문가 검토에 참

여한 참가자와 연구 도구, 연구 차는 다음과 같다.

가. 연구 참여자

타당화를 한 문가의 선정은 Davis(1992)에 따라 문 분야의 자격

소지, 연구 주제와 련된 논문 게재 발표 실 등을 고려하 다. 따

라서 교육 공학 공의 박사 학 소지자, 교사 교육, 온라인 지원 시스

템 설계와 련된 연구 는 로젝트를 수행한 자 에서 문가를 선

정하여, 두 차례 타당화를 받았다. 타당화를 해 필요한 문가의 수는

최소 3명에서 10명 정도가 하므로(Rubio, Berg-Weger, Tebb, Lee,

& Rauch, 2003), 5명의 문가 풀을 모집했다. 문가들에게 연구에

한 간략한 소개와 함께 타당화 참여 의사를 묻는 개별 인 메일을 보내

고, 참여 의사를 밝힌 문가를 상으로 타당화를 진행하 다.

2차 타당화는 1차 타당도 검사에 참여한 문가 5명을 상으로 동일

Page 52: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37 -

하게 진행하 다. 이는 2차 타당화를 한 설계 략이 1차 타당화의 검

토 결과를 반 하여 수정한 것이므로, 1차 타당화 내용에 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1, 2차 문가 검토에 참여한 문가의

로필은 다음 <표 Ⅲ-2>와 같다.

나. 자료 수집

문가 검토를 한 타당화 검사 도구는 설계 략의 개발 차 내

용에 한 설명 자료와 해당 설계 략의 개발 차와 내용, 구성에 한

타당성을 평가하기 한 설문지로 구성되었다. 설문지는 [부록 1]에 첨부

하 다.

타당화 평가 문항은 나일주와 정 미(2001)와 박태정(2015)의 평가 문

항을 토 로 이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진행하 다. 이는 논리 으

로 한지를 보는 타당성, 구성요소를 잘 설명하는지에 한 설명력,

문가 직 업최 종

학 력경 력 문 분 야

참여한 타당화

단계

1 차 2 차

AG 등학교

교사박사 11년

교사 교육, 교수설계,

온라인 지원 시스템

설계

√ √

BD 등학교

교사박사 14년

교사 교육, 교수설계,

이러닝√ √

CK 학교

조교수박사 12년

온라인 지원 시스템

설계√ √

DS

비 임교원박사 5년

교수설계, 온라인

지원 시스템 설계,

설계모형 개발

√ √

ES

교육학과박사 9년

교수설계, 설계모형

개발√ √

<표 Ⅲ-2> 문가 타당화에 참여한 문가 로필

Page 53: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38 -

구성 요소가 유기 으로 련 있게 분류되었는지를 보는 성, 보편

으로 용될 수 있는 보편성, 그리고 쉽게 이해될 수 있게 표 되었는지

를 보는 이해도로 구성되어 있다. 한, 구체 으로 구성요소들이 보완해

야 할 이 무엇인지 작성할 수 있는 기타 의견란을 포함하 다. 구체

인 문항 구성은 다음 <표 Ⅲ-3>과 같다.

설계 략 지침에 한 타당화 문항은 각 역별로 제시된 문항에

4 척도(4: 매우 그 다., 3: 그 다., 2: 그 지 않다., 1: 매우 그 지 않

다.)로 응답하는 선택형 문항과 추가 인 의견을 작성할 수 있는 개방형

문항으로 개발하 다.

다. 자료 분석

타당도 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 양 자료인 타당도 검사 결과

는 각 역별, 문항별 문가의 응답을 코딩하고, 평균과 표 편차, ‘타당

화 지수(Content Validity Indes, CVI)와 평가자간 일치도 지수

역 문항

타당성본 설계 략은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여 교사의 수업성찰을

효과 으로 지원하기 한 시스템의 설계 략으로 타당하다.

설명력

본 설계 략은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여 교사의 수업성찰

을 지원하기 해 시스템에서 고려해야 할 략을 잘 설명

하고 있다.

유용성본 설계 략은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성찰 지원 시스

템을 설계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보편성본 설계 략은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성찰 지원 시스

템을 설계할 때 보편 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해도

본 설계 략은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여 교사의 수업성찰

을 효과 으로 지원하기 해 고려해야 할 략을 이해하기

쉽게 표 하고 있다.

<표 Ⅲ-3> 문가 타당도 검토 문항

Page 54: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39 -

(Inter-Rate Agreement, IRA)를 사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

다(Rubio et al., 2003).

내용 타당도 지수(CVI)는 각 설문 항목에 한 문가들의 평가가 어

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항목의 타당성 정도를 나타내고, 평가자

간 일치도 지수(IRA)는 문가 평가에 한 신뢰도를 보여 다. 정

인 응답(3과 4인 경우)을 한 문가 수를 체 문가 수로 나 값을

내용 타당도 지수(CVI)라 하며, 0.80 이상이면 타당하다고 해석한다

(Grant & Davis, 1997). 한 평가자간 일치도 지수(IRA)는 평가자 간

정 으로 평가한 항목 수를 체 항목 수로 나 값으로, 마찬가지로

0.80 이상이면 문가의 평가를 신뢰할 수 있다고 단한다(Rubio et al.,

2003).

질 자료인 개방형 질문에 한 응답과 면담 결과는 주제 분석

(thematic analysis) 차에 따라 분석이 이루어졌다(Braun & Clarke,

2006). 먼 녹음 자료를 코딩 템 릿에 사하고 데이터를 여러 번 반

복 으로 읽고 검토하 다. 다음으로 설계 략의 반의 개선사항, 개별

세부 지침의 개선사항으로 범주를 구분하여 기 코드를 생성하 다. 이

후 분류된 코드를 분석하여 반복 으로 확인되는 주제를 도출하고 각 주

제에 따른 데이터를 확인하 다.

3 . 외 타 당 화

가. 시스템 로토타입(prototype) 개발: 로토타입 개발 도구

충실도(fidelity) 수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 략을 용하여 시

스템의 개발은 로토타입 수 으로 개발되었다. 로토타입(prototype)

은 실제 개발이 이루어질 시스템의 특징과 기능을 반 한 시제품으로 충

실도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충실도(fidelity)란 사용자

의 사용에 있어 얼마나 실제 이고 사실 인지에 한 정도를 의미한다

Page 55: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40 -

(Virzi, 1992). 높은 충실도를 지닌 로토타입의 경우 실제와 동일한 수

으로 시스템이 완벽히 구 되어야 하기에 다소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실제 로그래 문가가 필요하다(Engelberg & Seffah, 2002). 따라서

낮은 충실도와 높은 충실도 가운데 치하는 간 수 의 충실도 정도의

목업(Mock-up)이 이루어진 형태로 실제의 주요 기능과 특성을 반 하여

개발하 다.

이상의 특징을 지닌 간 수 의 충실도 수 에 하여 연구자는 로

토타입 설계 개발 소 트웨어인 Axure RP 9를 활용하여 스토리보드

겸 시스템의 형태를 지닌 로토타입을 개발하 다. 이는 네비게이션, 기

능, 콘텐츠, 이아웃 등 상호작용 측면 설계 평가에 최 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충실도 수 의 로토타입이다.

[그림 Ⅲ-1] Axure를 활용한 개발 결과 시

나. 시스템 로토타입에 한 문가 검토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로토타입이 설계 략에 따

라 설계, 개발되었는지를 확인하기 하여 직 교사이자 교육공학 공

석사 2명이 문가 검토에 참여하 다. 다음 <표 Ⅲ-4>는 문가의

로필을 정리한 내용이다.

Page 56: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41 -

시스템 로토타입에 한 문가 검토에서는 설계 략과 세부지침이

시스템 로토타입에 반 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반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 다. 문가에게 설계 략과 세부지침에 해당하는 시스템

로토타입의 화면과 기능을 직 시연해주고 반 여부를 검토하 다.

다. 사용자 반응 평가

1) 연구 참여자

개발된 수업성찰 온라인 지원 시스템 로토타입에 해 사용자인

비 교사와 직 교사를 상으로 사용자 반응 평가를 실시하 다. 인터

페이스에 한 사용성 평가자의 합한 수는 5명 내외이기에(Nielsen,

1995), 총 5명의 사용자를 모집했다. 2019년도 S 교육 학교에서 교육실

습 인 비 교사 3명과 직 교사 2명, 총 5명을 상으로 사용자 반

응 평가를 실시하 다. 사용자 반응 평가에 참여한 교사 로필은 다음

의 <표 Ⅲ-5>와 같다. 본 연구에 참여하는 사용자를 비 교사와 직

교사로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비 교사의 경우 수업 실행에 한

경험이 부족하고 수업 문성이 낮아 성찰을 통해 실천 지식을 쌓으며

수업 문성을 높일 필요와 요구가 높았기 때문이다. 직 교사의 경우

수업 분석 성찰 지원 시스템에 해 사용 경험과 심이 있으며, 특

히 360도 비디오의 활용 방안에 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를 실제로 활

용하는 것에 한 필요성과 요구를 가지고 있었기에 선정하게 되었다.

상 구 분 경 력 최 종 학 력 비 고

A 직 교사 6년교육공학

공 석사

교수설계, 이러닝, 모바일

로토타입 설계 개발 경험

B 직 교사 7년교육공학

공 석사

교수설계, 이러닝, 모바일

로토타입 설계 개발 경험

<표 Ⅲ-4> 로토타입 검토에 참여한 문가 로필

Page 57: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42 -

상 구 분 소 속 학 년 / 경 력

A 비 교사 S 교육 학교 학부 3학년

B 비 교사 S 교육 학교 학부 3학년

C 비 교사 S 교육 학교 학부 3학년

D 직 교사 C 등학교 6년

E 직 교사 G 등학교 7년

<표 Ⅲ-5> 사용자 반응 평가에 참여한 사용자 로필

2) 자료 수집

본 연구에서 진행된 사용자 반응 평가의 주요 차를 정리하면 다음

<표 Ⅲ-6>와 같다.

360도

비디오

수업

개발된

로토타입

제시

내용 설명

→개별 면담

설문→

로토타입에

한 반응 확인

<표 Ⅲ-6> 사용자 반응 평가 차

사용자 반응 평가에 참여하는 비 교사 3명은 본인의 수업 당일 360

도 카메라를 활용하여 수업을 촬 하 다. 수업 촬 도구로 샤오미 360

도 카메라와 삼각 를 활용하여 교실 앙에 설치하 다. 카메라의 높이

는 이후 교사가 수업을 찰할 때 학생의 시선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학

생의 높이에 맞추어 카메라를 설치하 다.

Page 58: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43 -

[그림 Ⅲ-2] 360도 카메라 설치 모습

촬 후 시스템 로토타입을 사용해보도록 하 다. 연구자는 로토

타입에서 개발된 시스템의 기능들을 설명한 후, 개발된 시스템을 활용하

여 수업 분석 성찰을 진행하는 가상의 상황을 통해 시뮬 이션을 통

한 사용자 반응 평가를 실시하 다. 반응 평가는 반 구조화된 면담을 통

해 심층 인 반응을 살펴보고자 하 다.

면담의 경우 반 구조화된 면담지를 활용하여 설계 략이 용된 시스

템 로토타입에 한 강 , 약 , 개선 에 한 의견을 수집하 다. 면

담은 각 30분에서 1시간 정도로 소요되었으며 면담 시 연구 참여자의 사

동의가 이루어진 경우에 한해 녹음을 진행하 다. 직 교사 2명의

경우, 별도의 수업 촬 없이 시스템 로토타입 사용과 사용 후 면담을

동일하게 실시하 다.

3) 자료 분석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Braun과 Clarke(2006)가 제시한 주제 분석

(thematic analysis)의 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먼 면담 녹음 일을

설계 략의 강 , 약 , 개선 으로 범주를 구분한 코딩 템 릿에 따라

사한 후 반복 으로 데이터를 읽고 검토하 다. 이 후 설계 략이

용된 시스템 로토타입 기능에 한 사용자의 주요 반응을 분류하여

Page 59: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44 -

기 코드를 생성하 다. 마지막으로 코드에서 반복 인 주제를 도출하고

범주화하 다. 주제별로 데이터를 확인해본 결과 반복 으로 언 된 시

스템 설계 략의 강 , 약 , 개선 에 해 정리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Page 60: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45 -

IV . 연 구 결 과

1 . 기 설 계 략 개 발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의 설계 략을 도출하기

해 선행문헌에서 공통 으로 언 되는 교사 교육에서의 수업성찰 차

방법, 360도 비디오의 특징, 수업 분석 성찰을 한 온라인 지원

시스템의 특징을 심으로 정리, 분석하 다. 더불어, 사례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고 기존 시스템의 한계 에 한 시사 을 도출하여 그를 반 한

세부 설계지침을 도출하 다. 이와 같이 도출된 세부지침은 연 성이 강

하다고 단되는 것들끼리 연구자가 임의 으로 유형화하고 각각을 하나

의 설계 략으로 분류하 다.

설계 략은 본 연구의 심이 되는 수업성찰의 단계에 따라 구분된다.

성찰 단계는 교사로서 문 정체성 자각을 지향하면서 실제 인 수업

맥락 안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성찰을 하도록 할 것인지를 고려해야한

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Korthagen의 단순하게 순환 인 성찰의

차에서 더 나아간 핵심 성찰의 단계 모형을 활용하고자 한다(Korthagen

& Vasalos, 2005). 핵심 성찰 단계 모형은 모형의 2단계인 이상 상황

의 자각에서부터 보다 근본 인 자기 성찰이 시작될 수 있다고 본다. 문

제 상황에 한 범 한 분석보다는 교사로서 나를 체험하고 이를 기

로 문제 상황 해결을 한 핵심 본질을 깨닫게 되며 실제 인 실천 방

법을 생각하는 과정에서 교사로서 문 정체성 확립이 이루어질 것으

로 볼 수 있다(조덕주, 2009).

1단계 문제 상황 경험 단계는 수업을 실제로 하거나 수업 비디오를 시

청하여 수업에 해 명료하게 인식하고 문제가 되는 사항에 해 스스로

자각하는 단계이다. 2단계 이상 상황을 자각하는 단계에서는 수업에서

계획하고 원했던 상황과 실제 수업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원했던 수업

이 진행되기 해서는 어떤 제한 이 있는지를 인식하는 단계이다. 3단

계는 핵심 본질에 한 자각 단계로, 실제 수업 행 를 고려한 교사로

Page 61: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46 -

서 자신의 정체성을 생각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4단계는 3단계에서 찾

은 핵심 본질을 어떻게 실 할 것인지 구체 인 방법을 찾는 단계이

다. 마지막으로 5단계에서는 4단계에서 찾은 방법을 직 실 하여 구체

인 행동을 실천하는 단계이다. 실천의 단계에서는 다시 1단계인 문제

의 인식 단계로 넘어가며 순차 으로 성찰의 차를 거치게 된다.

차별 수업성찰을 지원하기 해 시스템은 어떻게 설계되어야 하는지

에 한 일반 설계 략과 세부 지침을 도출하기 하여, 설계 략을

차에 따라 ‘문제 상황 경험을 한 비’, ‘문제 상황 경험’, ‘이상 상

황 제한 인식’, ‘핵심 본질에 한 자각’, ‘핵심 본질의 실 방

법 찾기/새로운 행동의 경험’으로 구분하 다. 일반 설계 략은 11개이고

세부 지침은 33개로, 구체 인 설계 략 세부지침은 아래의 <표 Ⅳ

-1>과 같다.

차 일 반 설 계 략 상 세 지 침 선 행 연 구

문제

상황

경험

1. 성찰의 단계에 따라 순차 인 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사 가이드를 제공하라.

1.1. 수업 문성 향상을 한 성찰 단계 과정을

시각화하여 제공하라.

서윤경, 2009;

이진향, 2002;

임철일, 윤순경,

박경선, 홍미 ,

2009; 조덕주,

2006, 2009

1.2. 성찰 단계별 세부 활동을 제시하라.

김민정, 2010;

임철일 외, 2016;

조덕주, 2009

2. 수업 설계를 지원하기 한 자료를 제공하라.

2.1. 문가 수 의 교사(수석 교사)의 수업

상을 찰 분석하도록 하라.

권숙진, 정효정,

조항철, 2013;

임철일 외, 2016

2.2. 수석교사, 동료 ( 비)교사 수업 설계안을

공유하도록 하라.

강정찬, 2016;

임철일 외, 2016

2.3. 수업 설계안을 분석 후 상호피드백을 할 수 강정찬, 2016;

<표 Ⅳ-1> 기 설계 략 세부지침

Page 62: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47 -

있도록 설계하라.

박수경, 김상달,

조주환, 1992;

서경혜, 2012

3.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 촬 분석의

목 과 필요성에 한 안내를 설계하라.

3.1. 교수 문성 향상을 한 수업성찰의 요

성, 성찰 사고 진 효과를 안내하라.

강 심, 황순 ,

2004;

Bryan &

Recesso, 2006;

Walshe &

Driver, 2019

3.2. 360도 카메라를 활용한 촬 목표를 다른

교사와 공유하도록 설계하라.

서경혜, 2011,

2012

4. 개별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성찰을 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라.

4.1. 자기성찰동기 사 검사를 진행하도록 학습

자 특성 사 검사 질문지를 제공하라.

곽덕주, 진석언,

조덕주, 2007;

신민희, 1998;

Hatton & Smith,

1995

4.2. 성찰 동기가 낮은 학습자에게는 수업 문성

향상을 한 성찰의 요성을 안내하라.

신민희, 1998;

Hatton & Smith,

1995

4.3. 성찰 동기가 높은 학습자에게는 효과 인

성찰 방안을 안내하라.

곽덕주 외, 2007;

임철일 외, 2016;

조덕주, 2009

문제

상황

경험

5. 도입- 개-결과가 모두 포함된 수업계획서가

작성되도록 안내를 제공하라.

5.1. 도입- 개-결과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시

스템이 안내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하라.

권숙진 외, 2013;

박상옥, 오 숙,

2012

5.2. 수업계획서에 한 문가/동료 교사로부터

구체 인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

조화된 답 창을 설계하라.

이은철, 2017

5.3. 수업계획서 분석 평가를 한 기 을 제 강정찬, 2016;

Page 63: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48 -

시하라. 길양숙, 2010

6. 360도 카메라 촬 을 한 사 계획을 실시

하도록 설계하라.

6.1. 360도 비디오 촬 을 한 사 계획서 양

식 샘 을 제공하라.

Ibrahim-Didi,

2015; Walshe &

Driver, 2019

6.2. 촬 가능한 정 시간 용량에 해 안

내하라.

Ibrahim-Didi,

2015; Walshe &

Driver, 2019

6.3. 360도 카메라 촬 을 한 사 비물(카

메라, 삼각 , SD카드 등)을 안내하라.

Argyriou,

Economou &

Bouki, 2017

6.4. 360도 카메라를 촬 하는 이상 인 치( :

교사와 학생 체 확인: 정 앙)를 시 사

진과 비디오를 활용하여 안내하라.

Argyriou,

Economou &

Bouki, 2017

이상

상황

제한

인식

7. 수업 계획과 실제를 비교하여 문제를 확인

하도록 설계하라.

7.1. 온라인 지원 시스템에 360도 비디오 촬 본

을 업로드하도록 설계하라.임철일 외, 2016

7.2. 비디오 찰시 일반 PC 화면과 VR 헤드셋

모드를 제공하여 선택 으로 찰할 수 있

도록 설계하라.

Ibrahim-Didi,

2015; Walshe &

Driver, 2019

7.3. 360도 비디오 찰시 주의 집 을 한 팝

업 메시지를 설계하라.

- 시: 학생이 상치 못한 질문을 할 때 본인

이 어떤 행동(표정,제스처)을 보이는지 확인

- 시: 본인의 답변에 한 학생들의 반응을 확

Van Manen,

1991; Walshe &

Driver, 2019

7.4. 수업계획서와 비디오를 비교, 조하며 확

인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를 제공하라.

이재열, 2017;

조 남, 2011

7.5. 본인의 수업을 객 으로 평가하도록 온라

인 루 릭 평가지를 제공하라.

서윤경, 2009;

Perlberg, 1989;

Page 64: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49 -

Pultorak, 1996

8. 동료의 수업을 분석하고 상호간의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설계하라.

8.1. 동료 수업 찰시 수업 분석 기 을 제공하

라.

이재열, 2017;

조 남, 2011

8.2. 온라인 루 릭 평가지를 제공하여 동료 수

업을 객 으로 평가하도록 설계하라.

황은희, 백순근,

2008; Wright,

2008

8.3. 구체 인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조화된 답

창을 설계하라.임철일 외, 2016

9. 교수자, 문가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설계하

라.

9.1. 수석교사, 경력교사 등도 지원 시스템을 활

용하도록 설계하라.

서경혜, 2011,

2012

9.2. 문가가 다양한 형태(텍스트, 음성 피드백

등)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설계하라.

황은희, 백순근,

2008; 임철일 외,

2016

핵심

본질

자각

10. 교사로서 문 정체성을 확인하도록 설계

하라.

10.1. 자기, (동료)교사, 문가의 수업 평가 결

과를 종합하여 제공하라.박수경 외, 1992

10.2. 수업 활동에 한 맥락화된 성찰일지를 작

성할 수 있도록 성찰 로토콜을 설계하

라.

김민정, 2010;

조덕주, 2009

10.3. 작성된 성찰일지에 한 자동화된 평가 시

스템을 활용하여 팝업 안내 메시지를 제공

하라.

김민정, 2010;

박선희, 최미나,

이승기, 2008;

Zeichner, 1987

핵심

본질

방법

찾기/

11. 성찰의 결과가 실천에 반 되고 다시 이에

해 성찰하는 순환 과정이 일어나도록

설계하라.

11.1. 성찰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설계안을 수

정 작성하도록 설계하라.

조덕주, 2009,

Korthagen, 2001

11.2. 수정된 수업설계안을 (동료)교사, 문가

와 공유하도록 설계하라.

서윤경, 2009;

조덕주, 2009;

Page 65: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50 -

새로

행동

경험

Korthagen, 2001

11.3. 수정된 수업설계안에 한 (동료)교사,

문가의 평가를 한 피드백 창을 설계하

라.

임철일 외, 2016;

Bryan &

Recesso, 2006

Page 66: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51 -

2 . 내 타 당 화

가. 1차 문가 타당화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개발된 기 설계 략과 세부 지침의 내 타당

성을 검증하기 해 1차 문가 타당화를 실시하 다. 교육공학 문가

5인이 문가 타당화에 참여하 으며, 설계 략 반과 개별 설계 략의

타당도를 묻는 4 척도 문항(1 : 그 지 않다, 2 : 그 지 않다,

3 : 그 다, 4 : 매우 그 다)에 응답하고, 자유롭게 의견을 주었다.

문가 타당화 결과는 아래의 <표 Ⅳ-2>, <표 Ⅳ-3>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가들은 설계 략 반의 타당성, 설명력, 유용성, 보편성, 이해도에

해 평균 으로 2.2에서 2.8 의 평가를 내렸다. 2 이 ‘그 지 않다’, 3

이 ‘그 다’를 의미하는 것을 고려하 을 때, 문가들은 본 설계 략

에 해 반 으로 정 이지도 부정 이지도 않은 입장을 가지고 있

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타당성, 설명력, 유용성, 보편성, 이해도의 CVI가

모두 .8 이하인 과 IRA 값 역시 .8에 히 미치지 못하는 을 고려

해 보았을 때, 설계 략이 반 으로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에 해 하게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으며, 실제

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유용성과 보편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고, 사용된

용어와 표 을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역문가 응 답 결 과

평 균 S D C V I IR AA B C D E

타당성 3 2 3 3 2 2.6 .55 .60

0

설명력 2 2 2 3 2 2.2 .45 .20

유용성 3 2 3 4 2 2.8 .84 .60

보편성 3 2 3 4 2 2.8 .84 .60

이해도 2 3 2 3 2 2.4 .55 .40

<표 Ⅳ-2> 설계 략 반에 한 1차 문가 타당화 결과

Page 67: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52 -

이와 련하여 문가들은 공통 으로 반 인 설계 략의 구체성과

명료성이 향상될 필요성이 있음을 지 하 다.

첫 번째, 설계 략의 가정과 활용하는 맥락, 주체를 정리하여 추가할 필요

성이 있음이 언 되었다. 문가 D는 설계 략 자체에 한 이해도 필요하

지만 본 설계 략이 어떠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설계 략인지, 사용하는 주

체가 구이며, 설계 략을 통해 개발되는 결과물이 무엇인지 등을 포함한

설계 략이 사용 반에 한 가정을 정리하여 세부 략 에 제시하면

이해도의 향상이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고 언 하 다. 일종의 시스템을

설계, 개발하기 한 근이라면 재 도출된 략 일부는 교사가 사용하

는 략으로 혼용되어 있기에 그에 한 수정이 필요함을 지 하 다.

두 번째, 기 설계 략을 구분하는 기 에 한 수정이 필요함이 지

되었다. 문가 E는 성찰 차로 략을 구분하여 성찰을 지원하는

략인지,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는 략인지 이해하기 모호한 부분이 있다

고 언 하 다. 성찰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는 략으로 활용되기 해서

는 구성요소에서 시스템 설계를 반 하는 방향으로 수정될 필요가 있음

이 확인되었다.

세 번째,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는 이 기존 지원시스템과의 차별

인데 그에 한 내용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다고 하 다. 문가 A는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게 된다면 교수-학습의 과정의 구체 인 부분을

확인하는 것이 장 일 것이라 생각되는데 이와 련된 구체 인 략이

부족하고 일반 인 내용만 다루어지고 있는 것 같다고 언 하 다.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기존의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한 연구가 되기 해서는 그와 련된 내용에 집 된 략들이 명확하

게 드러나야 할 것 같다고 언 하 다. 기존 온라인 지원 시스템과 차별

화가 되는 략을 세부 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 다.

다음으로 세부 지침에 한 문가 검토 결과는 아래의 <표 Ⅳ-4>에

서 확인할 수 있다. 각 세부 지침에 한 평균은 1.8과 3.6 사이에 분포

하 다. 세부지침 반의 CVI 값이 .8 이하이고 IRA 값도 마찬가지로 .8

이하로 설계 략에 한 문가들의 부정 인 응답을 받은 문항들이 다

Page 68: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53 -

수 있었기에 해당 문항을 심으로 세부 지침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었

다.

차 일 반 설 계 략 세 부지 침 평균 SD CVI IRA

문제

상황

경험을

1. 성찰의 단계에 따라 순차 인 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사 가이드를 제공

하라.

3.2 0.84 0.8

.11

1.1. 수업 문성 향상을 한 성찰 단계 과

정을 시각화하여 제공하라.3 0.71 0.8

1.2. 성찰 단계별 세부 활동을 제시하라. 2.8 0.84 0.6

2. 수업 설계를 지원하기 한 자료를 제공

하라.2.4 1.14 0.4

2.1. 문가 수 의 교사(수석 교사)의 수

업 상을 찰 분석하도록 하라.2.2 0.84 0.4

2.2. 수석교사, 동료 ( 비)교사 수업 설계

안을 공유하도록 하라.2.2 0.84 0.4

2.3. 수업 설계안을 분석 후 상호피드백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하라.2.4 1.14 0.4

3.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 촬

분석의 목 과 필요성에 한 안내를

설계하라.

2.6 0.55 0.6

3.1. 교수 문성 향상을 한 수업성찰의

요성, 성찰 사고 진 효과를 안

내하라.

2.6 0.55 0.6

3.2. 360도 카메라를 활용한 촬 목표를

다른 교사와 공유하도록 설계하라.2 0 0

4. 개별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성찰을

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라.2.6 1.14 0.6

4.1. 자기성찰동기 사 검사를 진행하도록

학습자 특성 사 검사 질문지를 제

공하라.

2.4 1.14 0.4

4.2. 성찰 동기가 낮은 학습자에게는 수업

문성 향상을 한 성찰의 요성을

안내하라.

1.8 0.45 0

<표 Ⅳ-3> 설계 략 세부지침에 한 1차 문가 검토 결과

Page 69: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54 -

4.3. 성찰 동기가 높은 학습자에게는 효과

인 성찰 방안을 안내하라.1.8 0.45 0

문제

상황

경험

5, 도입- 개-결과가 모두 포함된 수업계

획서가 작성되도록 안내를 제공하라.2 1 0.4

5.1. 도입- 개-결과가 포함되었는지 여부

를 시스템이 안내메시지를 제공하도

록 하라.

2.6 1.14 0.6

5.2. 수업계획서에 한 문가/동료 교사

로부터 구체 인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조화된 답 창을 설계

하라.

3.2 0.84 0.8

5.3. 수업계획서 분석 평가를 한 기

을 제시하라.3 0.71 0.8

6. 360도 카메라 촬 을 한 사 계획을

실시하도록 설계하라.3.4 0.55 1

6.1. 360도 비디오 촬 을 한 사 계획

서 양식 샘 을 제공하라.3 1 0.6

6.2. 촬 가능한 정 시간 용량에

해 안내하라.2.8 0.45 0.8

6.3. 360도 카메라 촬 을 한 사 비

물(카메라, 삼각 , SD카드 등)을 안내

하라.

3.6 0.55 1

6.4. 360도 카메라를 촬 하는 이상 인

치( : 교사와 학생 체 확인: 정

앙)를 시 사진과 비디오를 활용하여

안내하라.

3 1 0.6

이상

상황

제한

인식

7. 수업 계획과 실제를 비교하여 문제를

확인하도록 설계하라.3.4 0.55 1

7.1. 온라인 지원 시스템에 360도 비디오

촬 본을 업로드하도록 설계하라.2.6 0.55 0.6

7.2. 비디오 찰시 일반 PC 화면과 VR

헤드셋 모드를 제공하여 선택 으로

찰할 수 있도록 설계하라.

3.4 0.89 0.8

7.3. 360도 비디오 찰시 주의 집 을

한 팝업 메시지를 설계하라.

- 시: 학생이 상치 못한 질문을 할 때

본인이 어떤 행동(표정,제스처)을

3.4 0.55 1

Page 70: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55 -

보이는지 확인

- 시: 본인의 답변에 한 학생들의 반응

을 확인

7.4. 수업계획서와 비디오를 비교, 조하

며 확인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를

제공하라.

3.2 0.84 0.8

7.5. 본인의 수업을 객 으로 평가하도록

온라인 루 릭 평가지를 제공하라.3 0.71 0.8

8. 동료의 수업을 분석하고 상호간의 피드

백을 제공하도록 설계하라.2.8 0.84 0.6

8.1. 동료 수업 찰시 수업 분석 기 을

제공하라.2.8 0.45 0.8

8.2. 온라인 루 릭 평가지를 제공하여 동

료 수업을 객 으로 평가하도록 설

계하라.

2.8 0.45 0.8

8.3. 구체 인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조화

된 답 창을 설계하라.2.8 0.45 0.8

9. 교수자, 문가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설

계하라.2.8 0.45 0.8

9.1. 수석교사, 경력교사 등도 지원 시스템

을 활용하도록 설계하라.2.8 0.45 0.8

9.2. 문가가 다양한 형태(텍스트, 음성 피

드백 등)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설

계하라.

2.8 0.45 0.8

핵심

본질에

자각

10. 교사로서 문 정체성을 확인하도

록 설계하라.2.8 0.84 0.6

10.1. 자기, (동료)교사, 문가의 수업 평

가 결과를 종합하여 제공하라.2.8 0.84 0.6

10.2. 수업 활동에 한 맥락화된 성찰일지

를 작성할 수 있도록 성찰 로토콜

을 설계하라.

2.4 0.89 0.6

10.3. 작성된 성찰일지에 한 자동화된 평

가 시스템을 활용하여 팝업 안내 메

시지를 제공하라.

2.6 0.55 0.6

핵심

본질의

11. 성찰의 결과가 실천에 반 되고 다시

이에 해 성찰하는 순환 과정이 일어나

도록 설계하라.

3.6 0.55 1

Page 71: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56 -

1차 문가 검토 결과에서 세부 지침에 해 주로 지 된 부분은 내용

의 성 문제와 표 상의 문제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 인 내용은 다

음과 같다.

첫 번째, 일반 설계 략과 세부 지침의 수 과 계가 명확하게 부합

되지 않는다고 하 다. 를 들어, 문가 A와 E는 Korthagen(2001)이

제시한 핵심 본질 추구를 한 성찰의 차 5단계가 본 연구의 요한

틀이 되는 것 같은데 설계 략이 핵심 본질에 잘 부합하고 있는지 확

인할 필요성이 있음을 언 하 다. 이를 해 본 성찰 지원 략에서 의

미하는 핵심 본질이란 무엇인지에 해 구체 으로 서술될 필요성이

있음을 지 하 다.

두 번째, 세부 지침에서 설계 략에 포함되어야 하는 구체 인 내용을

더 제시할 필요가 있음이 지 되었다. 특히, 본 연구 주제인 360도 카메

라를 활용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설계 략에 어떠한 내용이 포함되어

야 하는지의 지침을 추가할 필요가 있음이 언 하 다.

세 번째, 세부지침들이 복되는 부분이 있음이 지 되었다. 를 들

어, 세부 지침 2.2와 2.3에서 수석교사, 동료 ( 비)교사 수업 설계안을

상호피드백하기 해서는 당연히 기본 으로 공유가 이루어져야하는 부

분이기에 구분되어 제시될 필요성이 없음이 지 되었고, 통합하여 기술

하도록 제안하 다.

네 번째, 반 인 용어의 일 성 문제가 지 되었다. 일례로, 문가

C는 성찰과 련된 용어 성찰일지, 성찰 로토콜 등 용어의 일 성

이 다소 떨어진다고 지 하 다. 유사한 의미를 가진 여러 용어가 사용

되고 있기에 하나의 용어로 통일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음이 언 되었다.

방법

찾기/

새로운

행동의

경험

11.1. 성찰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설계안

을 수정 작성하도록 설계하라.3.4 0.89 0.8

11.2. 수정된 수업설계안을 (동료)교사,

문가와 공유하도록 설계하라.3 0.71 0.8

11.3. 수정된 수업설계안에 한 (동료)교

사, 문가의 평가를 한 피드백 창

을 설계하라.

3 0.71 0.8

Page 72: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57 -

1차 문가 타당화 의견을 반 하여 아래 <표 Ⅳ-4>와 같이 설계 략

의 수정사항을 정리하 다.

먼 ,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는 략으로 설명력과 이해도를 높이기

하여 략을 구분하는 기 으로 시스템 설계를 한 구성요소를 다음

[그림 Ⅳ-1]과 같이 개발하 다.

구 분 검 토 의 견 수 정 사 항

설계 략

활용 주체, 맥락의

불분명함

설계 략에 한 활용 주체와 맥락

별도의 란에 서술

성찰 차의 구분이

시스템 설계 략을

반 하지 못함

지원 시스템 설계 략을 명확하게 구

분하는 구성요소 도출

360도 비디오 활용과

련된 특징 인

설계 략 부족

360도 비디오 활용을 반 한 특징

인 설계 략 추가

개별

설계 략

설계 략의 수

계가 부합되지

않음

수 과 계가 부합되도록 재 서술하

여 분류

세부지침의 상세화

세부지침의 구체성 보강

의미가 명확하지 않는 세부 략 표

수정 삭제

구체 인 시 추가

세부지침의 복 핵심이 되는 세부지침만 남기거나 통

합하여 재진술

용어의 일 성 부족 통일된 용어 사용

<표 Ⅳ-4> 1차 문가 검토 의견 수정 사항

Page 73: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58 -

[그림 Ⅳ-1] 지원 시스템 설계 략

구성요소

각 구성요소에 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 수업 설계

자료 개발은 철 한 수업 비와 계획이 이루어지기 해 교사 간의 수

업 계획안과 자료를 공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유된 수업 련 자료를

통해 실제 수업계획과 자료를 개발하는 방법에 한 지식을 습득하고 그

에 한 문가 수 의 교사의 피드백을 통해 개선해나갈 수 있다. 다음

으로, 360도 수업 비디오 비는 360도 카메라를 활용하는 목 과 어떻

게 활용하여 수업 찰을 실시하고 분석할 수 있을지에 한 안내를 제

공하는 요소이다. 세 번째로, 수업 찰은 360도 카메라를 활용하여 촬

한 수업 비디오를 찰하기 한 설계 요소이다. 360도 카메라를 활용한

만큼 실재감 높은 수업 찰을 해서 고려해야할 특성을 반 한 설계

요소이다. 네 번째로, 수업분석은 수업계획과 실제를 비교하여 문제를 확

인하고 개선하기 한 방향을 검하는 요소이다. 다섯 번째, 수업 성찰

은 수업 찰과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성찰을 실시하는 요소이다. 일반

인 성찰일지 작성이 아닌 교사의 심도 깊은 성찰을 지원하기 한 기

능을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도움말 안내는 시스템의 반 인

안내와 기능의 사용을 한 도움을 제공하는 설계 요소를 의미한다.

구성요소를 도출한 후에는, 설계 략과 세부지침을 수정하 다. 우선

구성요소에 따라 설계 략을 재분류하고 표 을 명확하게 수정하 다.

Page 74: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59 -

이 게 함으로써 1차 문가 타당화에서 지 받았던 활용 주체와 맥락을

분명하게 하고 시스템 설계에 을 일 되게 하여 설명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 다. 한 구성요소 수업 찰 분석에서 360도 비디오

활용에 한 특징 인 설계 략이 포함될 수 있도록 략을 새롭게 추가

구성하 다.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설계 략의 반 인 수정을 한 후 개별 세부지

침을 수정하 다. 먼 설계 략을 재분류하면서 설계 략과 지침 간 수

과 계가 맞지 않는다는 지 사항을 반 하여 수정하 다. 개별 세

부지침의 이해를 높이기 해 구체 인 시를 포함하 다. 한 롬

트, 성찰 스크립트와 같이 용어가 일 되지 않은 설계 략으로 지 받은

지침의 경우 용어를 통일하여 수정하 다.

1차 문가 타당화 결과를 반 하여 수정된 설계 략 세부지침은

다음과 같다.

구 성 요 소 일 반 설 계 략 세 부지 침

수업 설계

자료

개발

1. 수업 련 다양한 자료를 사례로 제공하는 공간을 설계하라.

1.1. 자기, (동료)교사, 문교사의 교수학습과정안, 수업자료, 수

업 비디오 등 수업 련 자료를 공유하는 공간을 설계하라.

- 시: 시스템 사용자간 수업 련 자료 공유, 외부 사이트 연

1.2. 자료에 한 검색이 용이하도록 검색 필터와 검색창을 설계

하라.

- 시: 학교 , 학년, 교과, 단원, 차시 구분 필터 구성

1.3. 수업분석을 한 자기 수업 비디오 업로드시 사례도서 에

공유하도록 하여 풍부한 사례를 축 하도록 하라.

2. 공유된 자료에 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설계하라.

2.1. 교수학습과정안, 수업자료, 수업 상에 한 상호 피드백을

한 공간을 설계하라.

- 시: 좋아요, Time stamp, Note 기능

2.2. 수업 비디오에 한 구조화된 평가를 한 기능을 설계하

<표 Ⅳ-5> 2차 설계 략 세부지침

Page 75: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60 -

라.

- 시: 실천 교수역량 평가 도구 추가

2.3. 문가 수 의 교사와 비교사의 피드백이 구분되어 제공

받을 수 있도록 설계하라.

- 시: 등 제도 구 , 문가의 경우, 피드백 형태(음성, 텍스

등) 다양화(외부 tool 턴잇인 연계 가능)

360도

수업

비디오

3. 360도 카메라를 활용한 수업 촬 분석의 목 과 필요성

에 해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하라.

3.1 360도 카메라 극 활용을 한 360도 활용 수업 성찰의

장 과 효과에 한 안내를 제공하라

- 시: 360도 비디오에 한 잠재성 안내 자료 제공

3.2 360도 카메라를 활용 방법에 한 안내를 제공하라.

- 시: 수업 촬 상 편집에 한 안내(유튜 연계)

4. 수업 비디오의 용이한 찰을 한 공간을 설계하라.

4.1 비디오의 용이한 찰을 해 비디오를 분 화하여 업로드

하도록 설계하라.

- 시: 비디오 clip(약 10분)별 구분하여 순서 로 제공

4.2 교수학습과정안과 비디오의 시간 별 비교를 해 교수학습

과정안을 시간 별로 구분하여 업로드하도록 설계하라.

수업

5. 수업 상에 한 실재감 높은 수업 찰을 한 공간을 설

계하라.

5.1. 실재감 높은 찰을 한 360도 비디오 모드를 제공하라.

- 시: 일반 PC 화면과 VR 헤드셋(HMD) 모드 제공

5.2. 360도 비디오 찰시 교사-학습자 상호작용,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확인 상에 한 주의 집 을 한 메시지를

제공하라.

- 시: 상 팝업 메시지 제공

수업 분석

6. 수업 계획과 실제를 비교하여 문제를 확인하도록 설계하라.

6.1. 교수학습과정안과 비디오를 비교, 조하며 찰할 수 있도

록 시간에 따라 교수학습과정안이 확인되도록 설계하라.

- 시: 교수학습과정안 동시 비교

6.2. 본인의 수업에 해 스스로 객 인 평가를 한 온라인

Page 76: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61 -

루 릭 평가 기능을 제공하라.

- 시: 실천 교수역량 평가 도구 추가

수업 성찰

7. 수 별 수업성찰을 지원하라.

7.1. 단원별 수업 활동에 한 구조화된 성찰을 할 수 있도록 성

찰 롬 트를 제공하라.

- 시: 성찰 련 질문에 답변하는 형식의 구조화된 성찰일지 작

7.2. 성찰 수 이 올라갈 때마다 심도 깊은 성찰 교수방법을 지

원하기 한 공간을 설계하라.

- 시: 벽쌓기 학습활동을 통한 비 수 의 수업성찰 지원

8. 본인의 객 인 성찰 수 을 확인하도록 설계하라.

8.1. 참여도, 분석 결과를 자동 계산하여 개인의 성찰 수 을 즉

각 으로 확인하도록 하라.

- 시: 수 결과 그래 형태로 시각화하여 제공

8.2. 자기, (동료)교사, 문가의 수업 평가 결과를 시보드, 시

각화 형태로 제공하라.

8.3. 필요한 경우, 수 결과에 한 추가 인 피드백을 확인하

도록 설계하라.

도움말

안내

9. 지원시스템을 통한 수업성찰을 해 반 인 안내를 제공하

라.

9.1. 지원시스템 사용에 한 반 인 안내를 제공하라.

- 시: 안내 매뉴얼 제공

9.2.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성찰 단계 과정 세부 활동을 시

각화하여 제공하라.

- 시: 시스템 설명 구성요소 시각화

9.3. 지원시스템 구성요소별 활동에 한 안내를 제공하라.

- 시: Case Library, 수업분석, 수업성찰 활동 단계 시작시 안

내 제공

10. 필요할 때마다 정보를 제공하기 한 응 인 안내를 설계

하라.

10.1. 기능별 세부 안내가 필요한 경우 팝업 메시지 형태로 도움

말을 제공하라.

- 시: 마우스 근시 도움말 팝업 형태로 제공

Page 77: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62 -

나. 2차 문가 타당화

1차 문가 타당화 결과를 반 하여 수정된 설계 략 세부지침에

해 2차 문가 타당화를 시행하 다. 2차 문가 타당화의 경우 1차

타당화에 참여한 문가를 상으로 동일하게 실시되었으며, 2차 문가

타당화 결과를 종합하면 아래의 <표 Ⅳ-6>, <표 Ⅳ-7>과 같다.

설계 략 반의 타당성, 설명력, 유용성, 보편성, 이해도에 해 문

가는 평균 3.4에서 4 으로 정 인 평가를 내렸다. 특히, 문가

정 인 응답을 한 수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는 CVI 값이 모든 문항

에 해 1이고, IRA 값 한 1로 나타나 설계 략이 반 으로 문가

에게 정 인 평가를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해도의 경우 상

으로 낮은 수를 받았다는 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서술

되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역문가 응 답 결 과

평 균 S D C V I IR AA B C D E

타당성 4 4 4 4 4 4 0 1

1

설명력 3 4 4 4 4 3.8 .45 1

유용성 4 4 4 4 4 4 0 1

보편성 4 4 4 4 4 4 0 1

이해도 3 4 4 3 3 3.4 .55 1

<표 Ⅳ-6> 설계 략 반에 한 2차 문가 타당화 결과

설계 략 반에 한 이해도와 련하여, 문가 E는 설계 략과 세

부지침의 계 내용이 맞지 않거나 구성요소와 설계 략이 부합되지 않

10.2. 시스템 버그 사용법 안내를 한 Q&A 게시 공간을

설계하라.

Page 78: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63 -

는 부분이 있음을 지 하 다. 체 으로 구성요소와 설계 략, 세부지

침에 사용된 표 을 수정하거나 계에 한 재정리가 필요함을 언 하

다.

세부 지침에 한 문가 검토 결과는 <표 Ⅳ-7>에서 확인할 수 있

다. 각 세부 지침에 한 평균은 3.4와 4 사이에 분포하고 있어 반 으

로 정 인 평가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CVI 값은 세부지침

2.2를 제외한 모든 지침이 1로 확인되어 개별 설계 략의 타당성이 입증

되었다고 단할 수 있다. IRA 값도 마찬가지로 .97로 나타나 문가 간

의 정 인 응답에 한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 성

요 소일 반 설 계 략 세 부지 침 평균 SD CVI IRA

수업

설계

자료

개발

1. 수업 련 다양한 자료를 사례로 제공

하는 공간을 설계하라.3.8 0.45 1

.97

1.1. 자기, (동료)교사, 문교사의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자료, 수업 비디오 등 수

업 련 자료를 공유하는 공간을 설계

하라.

- 시: 시스템 사용자간 수업 련 자료

공유, 외부 사이트 연계

3.8 0.45 1

1.2. 자료에 한 검색이 용이하도록 검색

필터와 검색창을 설계하라.

- 시: 학교 , 학년, 교과, 단원, 차시 구분

필터 구성

4 0 1

1.3. 수업분석을 한 자기 수업 비디오 업

로드시 사례도서 에 공유하도록 하여

풍부한 사례를 축 하도록 하라.

3.8 0.45 1

2. 공유된 자료에 한 피드백을 제공하도

록 설계하라.3.8 0.45 1

2.1. 교수학습과정안, 수업자료, 수업 상에

한 상호 피드백을 한 공간을 설계

하라.

- 시: 좋아요, Time stamp, Note 기능

3.6 0.55 1

<표 Ⅳ-7> 설계 략 세부지침에 한 2차 문가 검토 결과

Page 79: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64 -

2.2. 수업 비디오에 한 구조화된 평가를

한 기능을 설계하라.

- 시: 실천 교수역량 평가 도구 추가

3.6 0.89 0.8

2.3. 문가 수 의 교사와 비교사의 피

드백이 구분되어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계하라.

- 시: 등 제도 구 , 문가의 경우, 피

드백 형태(음성, 텍스트 등) 다양화(외

부 tool 턴잇인 연계 가능)

3.6 0.55 1

360도

수업

비디

3. 360도 카메라를 활용한 수업 촬

분석의 목 과 필요성에 해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하라.

4 0 1

3.1 360도 카메라 극 활용을 한 360

도 활용 수업 성찰의 장 과 효과에

한 안내를 제공하라

- 시: 360도 비디오에 한 잠재성 안내

자료 제공

3.8 0.45 1

3.2 360도 카메라를 활용 방법에 한 안

내를 제공하라.

- 시: 수업 촬 상 편집에 한

안내(유튜 연계)

3.6 0.55 1

4. 수업 비디오의 용이한 찰을 한 공

간을 설계하라.3.8 0.45 1

4.1 비디오의 용이한 찰을 해 비디오

를 분 화하여 업로드하도록 설계하라.

- 시: 비디오 clip(약 10분)별 구분하여

순서 로 제공

3.8 0.45 1

4.2 교수학습과정안과 비디오의 시간 별

비교를 해 교수학습과정안을 시간

별로 구분하여 업로드하도록 설계하라.

3.6 0.55 1

수업

5. 수업 상에 한 실재감 높은 수업

찰을 한 공간을 설계하라.3.6 0.55 1

5.1. 실재감 높은 찰을 한 360도 비디

오 모드를 제공하라.

- 시: 일반 PC 화면과 VR 헤드셋

4 0 1

Page 80: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65 -

(HMD) 모드 제공

5.2. 360도 비디오 찰시 교사-학습자 상

호작용,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확인

상에 한 주의 집 을 한 메

시지를 제공하라.

- 시: 상 팝업 메시지 제공

4 0 1

수업

분석

6. 수업 계획과 실제를 비교하여 문제를

확인하도록 설계하라.3.6 0.55 1

6.1. 교수학습과정안과 비디오를 비교, 조

하며 찰할 수 있도록 시간에 따라

교수학습과정안이 확인되도록 설계하

라.

- 시: 교수학습과정안 동시 비교

3.6 0.55 1

6.2. 본인의 수업에 해 스스로 객 인

평가를 한 온라인 루 릭 평가 기능

을 제공하라.

- 시: 실천 교수역량 평가 도구 추가

4 0 1

수업

성찰

7. 수 별 수업성찰을 지원하라. 3.8 0.45 1

7.1. 단원별 수업 활동에 한 구조화된 성

찰을 할 수 있도록 성찰 롬 트를

제공하라.

- 시: 성찰 련 질문에 답변하는 형식의

구조화된 성찰일지 작성

3.8 0.45 1

7.2. 성찰 수 이 올라갈 때마다 심도 깊은

성찰 교수방법을 지원하기 한 공간

을 설계하라.

- 시: 벽쌓기 학습활동을 통한 비

수 의 수업성찰 지원

3.4 0.55 1

8. 본인의 객 인 성찰 수 을 확인하도

록 설계하라.3.8 0.45 1

8.1. 참여도, 분석 결과를 자동 계산하여 개

인의 성찰 수 을 즉각 으로 확인하

도록 하라.

- 시: 수 결과 그래 형태로 시각화

하여 제공

4 0 1

Page 81: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66 -

세부지침에 한 2차 문가 검토에서는 불분명한 용어 사용과 표 의

간결성, 주로 문제 이 지 되었다. 먼 , 의미가 불분명한 세부지침을

수정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세부 지침 진술이 모호한 경우 해당 구

성요소와 설계 략의 특성을 부각하여 재 진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문가 E는 세부지침 4.2.에서 교수·학습 과정안과 수업 비디오에 한

비교가 용이하게 하기 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한 내용이 포함

8.2. 자기, (동료)교사, 문가의 수업 평가

결과를 시보드, 시각화 형태로 제공

하라.

3.8 0.45 1

8.3. 필요한 경우, 수 결과에 한 추가

인 피드백을 확인하도록 설계하라.3.8 0.45 1

도움

안내

9. 지원시스템을 통한 수업성찰을 해

반 인 안내를 제공하라.4 0.00 1

9.1. 지원시스템 사용에 한 반 인 안

내를 제공하라.

- 시: 안내 매뉴얼 제공

3.8 0.45 1

9.2.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성찰 단계 과

정 세부 활동을 시각화하여 제공하

라.

- 시: 시스템 설명 구성요소 시각화

4 0 1

9.3. 지원시스템 구성요소별 활동에 한

안내를 제공하라.

- 시: Case Library, 수업분석, 수업성찰

활동 단계 시작시 안내 제공

4 0 1

10. 필요할 때마다 정보를 제공하기 한

응 인 안내를 설계하라.3.8 0.45 1

10.1. 기능별 세부 안내가 필요한 경우 팝

업 메시지 형태로 도움말을 제공하

라.

- 시: 마우스 근시 도움말 팝업 형태

로 제공

3.8 0.45 1

10.2. 시스템 버그 사용법 안내를 한

Q&A 게시 공간을 설계하라.3.8 0.45 1

Page 82: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67 -

되기 해 진술을 더 명확하게 수정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

다. 다음으로 어색한 표 들을 삭제하고 문장을 간결하게 수정할 필요성

이 언 되었다. 를 들어, 문가 C는 세부 지침 ‘공간’이라는 용어

는 어색한 표 으로 공간이라는 용어를 삭제하고 다른 명확한 표 (게시

등)을 사용할 필요가 있음을 지 하 다.

이와 같은 2차 문가 타당화 의견을 반 하여 아래 <표 Ⅳ-8>과 같

이 설계 략의 수정사항을 정리하 다.

먼 설계 략 반의 이해도를 개선하기 해 구성요소와 설계 략,

세부지침에 사용된 표 을 수정하거나 계를 재정리하 다.

다음으로 개별 세부지침 문제 으로 지 된 내용들을 수정 보완

하 다. 첫 번째, 세부지침을 설명하는 말들이 조 어색하거나 의미가 모

호한 부분들을 구성요소와 설계 략의 특성을 부각하여 구체 으로 재 진술

하 다. 컨 , 설계지침 5.1.에서 ‘실재감 높은 찰을 한’을 ‘직 교실에

서 수업을 찰하는 것처럼 자신이 원하는 부분을 찰할 수 있도록’으로 구

체 으로 재 진술하여 설명력을 높 다. 두 번째, 어색한 표 의 문장의 경

우 불필요하게 사용된 용어(공간 등)를 삭제하고 간결하고 명확하게 수정하

다.

2차 문가 타당화 결과를 반 한 3차 설계 략 세부지침은 다음의

<표 Ⅳ-9>와 같다.

구 분 검 토 의 견 수 정 사 항

설계 략

반이해하기 어려움

구성요소와 설계 략, 세부지침에 사

용된 표 을 수정하거나 계를 재정

개별

세부지침

의미가 모호한 진술 해당 구성요소와 설계 략의 특성을

부각하여 재 진술

어색한 표 불필요한 용어 삭제 수정

문장을 간결하게 수정

<표 Ⅳ-8> 2차 문가 검토 의견 수정 사항

Page 83: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68 -

구 성 요 소 일 반 설 계 략 세 부지 침

수업 설계

자료 개발

1. 수업 설계 시, 수업과 련된 다양한 사례를 참고할 수 있도

록 설계하라.

1.1. 본인, (동료)교사, 문교사의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자료,

수업 비디오 등 수업과 련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설

계하라.

해설

시스템 사용자간 수업 련 자료 공유

외부 사이트 연계

Case Library: 경험이 부족한 보자를 해서 다

른 사람들의 경험을 사례의 형태로 장하고 학습

자가 필요한 사례를 검색할 수 있도록 만든 데이터

베이스

1.2. 원하는 자료에 쉽게 근할 수 있도록 검색 필터와 검색창

을 설계하라.

해설

학교 , 학년, 교과, 단원, 차시 구분 필터 구성

1.3. 시스템에 업로드되는 수업과 련된 자료는 사례도서 에

공유하도록 하여 풍부한 사례를 축 하도록 하라.

2. 공유된 자료에 해 피드백 활동이 이루어지고 상시 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하라.

2.1. 수업과 련된 자료와 함께 상호 피드백 지원 기능을 제공

하라.

해설

좋아요, Time stamp, Note 기능

2.2. 수업과 련된 자료에 한 피드백 결과를 기반으로 본인의

수업 설계에 반 할 수 있도록 하라.

해설

수업 교수·학습 과정안 수정하기

360도 3. 360도 비디오를 효과 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360도 카메라

<표 Ⅳ-9> 3차 설계 략 세부지침

Page 84: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69 -

수업

비디오

를 활용한 수업 촬 분석에 한 안내를 제공하라.

3.1.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 성찰의 장 과 효과에 한 안

내를 제공하라.

해설

360도 비디오에 한 잠재성 안내 자료 제공

3.2. 360도 카메라를 활용하여 수업 비디오를 비하는 방법에

해 문서, 비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형태로 안내를 제

공하라.

해설

수업 촬 상 편집에 한 안내(유튜 연계)

4. 수업 비디오의 용이한 찰이 가능하도록 업로드 방법을 제

시하라.

4.1. 수업 단계별 주요 특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수업

비디오를 분 화하여 업로드할 수 있도록 설계하라.

해설

수업 비디오 clip(약 10분)별 구분하여 순서 로 제

4.2. 교수·학습과정안과 비디오의 시간 별 비교를 해 교수·학

습과정안을 시간 별로 구분하여 업로드하도록 설계하라.

수업 찰

분석

5. 수업 비디오에 한 실재감 높은 수업 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라.

5.1. 직 교실에서 수업을 찰하는 것처럼 원하는 부분을 찰

할 수 있는 360도 비디오 모드를 제공하라.

해설

일반 PC 화면과 VR 헤드셋(Google Cardboard,

HMD) 모드 제공

5.2. 상에 한 주의 집 을 한 메시지를 제공하라.

시 팝업 메시지 제공

Page 85: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70 -

해설

6. 수업 계획과 실제를 비교하여 문제를 확인하도록 설계하라.

6.1. 교수·학습과정안과 수업 비디오를 비교, 조하며 찰할

수 있도록 수업 비디오 시간 진행에 따라 교수·학습과정안

의 해당 부분이 확인되도록 설계하라.

해설

시간 별 체크리스트 제공

6.2. 수업 비디오에 한 객 인 평가를 해 정량 평가도구

를 함께 제공하라.

해설

실천 교수역량 평가 도구

6.3. 문성 수 에 따라 피드백의 형태와 종류를 다양하게 하라

해설

수 별 교사 등 제도 구

문가의 경우, 피드백 형태(음성, 텍스트 등) 다양

화(외부 tool 턴잇인 연계 가능)

수업 성찰

7. 심도 깊은 수업성찰을 한 활동을 제공하라.

7.1. 단원별 수업 활동에 한 성찰이 체계 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단계별 특성을 확인하게 하는 구조화된 성찰

롬 트를 제공하라.

해설

성찰 련 질문에 답변하는 형식의 구조화된 성찰일지

작성

7.2. 성찰 수 이 향상될 때마다 다양한 유형의 성찰 활동을 선

택 으로 제공하라.

해설

벽쌓기 학습활동을 통한 비 수 의 수업성찰 지원

8. 본인의 성찰 수 을 객 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하라.

8.1. 참여도, 분석 결과를 자동 계산하여 개인의 성찰 수 을 즉

Page 86: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71 -

각 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라.

해설

수 결과 그래 형태로 시각화하여 제공

8.2. 수업 평가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인, (동료)교사,

문가의 수업 평가 결과를 시각화하여 시보드 형태로 제

공하라.

8.3. 필요한 경우, 시각화한 평가 결과에 한 추가 인 피드백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하라.

도움말

안내

9. 지원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성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를

제공하라.

9.1. 지원시스템 사용방법을 안내하라.

해설

안내 매뉴얼 제공

9.2.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성찰 단계 과정 세부 활동을 시

각화하여 제공하라.

해설

시스템 설명 구성요소 시각화

9.3. 지원시스템 구성요소별 활동에 한 안내를 제공하라.

해설

Case Library, 수업분석, 수업성찰 활동 단계 시작

시 안내 제공

10.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라.

10.1. 기능별 세부 안내가 필요한 경우 팝업 메시지 형태로 도움

말을 제공하라.

해설

마우스 근시 도움말 팝업 형태로 제공

10.2. 시스템 버그 사용법 안내를 한 Q&A 게시 을 설계

하라.

Page 87: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72 -

3 . 외 타 당 화

본 연구에서는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

략’에 한 사용자 반응을 살펴보았다. 이를 하여 개발된 설계 략을

용하여 지원 시스템 로토타입을 개발하고, 해당 로토타입을 사용

한 사용자의 반응을 수집, 분석하 다.

가. 시스템 로토타입 개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의 이름은 RTSS(Reflective Teaching

Support System)이다. 본 시스템은 기존의 교사 교육으로 활용되는 수

업 분석 성찰 지원 시스템의 기능을 개선하여 수업을 체계 으로 분

석하고 성찰을 진시킬 수 있는 기능으로 구 되어 있다. 시스템의 상

메뉴는 교사가 수업 계획부터 360도 카메라를 활용하여 수업을 촬 ,

촬 후 찰 분석, 수업성찰을 실시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나뉘어서

개발되었다.

구 된 시스템의 기능들은 본 연구에서 도출된 설계 략에 근거하여

만들어졌으며, <표 Ⅳ-10>은 설계 략을 반 한 각각의 기능들을 보여

주고 있다.

상 메 뉴 기 능 설 계 략

Case Library

교수학습 과정안 등 수업

비 자료1.1., 1.2., 1.3.

수업 비디오 1.1., 1.2., 1.3.

외부 련 참고 사이트 연계 1.1.

댓 창 2.1., 2.2., 6.3.

<표 Ⅳ-10> 설계 략에 따른 시스템의 기능

Page 88: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73 -

이와 같은 시스템 로토타입의 수업 성찰 활동 흐름을 기 으로 상

메뉴별 사례 화면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Case Library

Case Library에서는 교사의 수업 설계를 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한

다. 다른 동료 교사의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 자료, 수업 사례 비디오

공유를 통해 다양한 사례를 데이터베이스에 축 가능하다. 자료에 한

용이한 검색을 하여 학교 , 과목에 한 검색 필터를 설계하 다. 자

료에 해서 댓 기능을 통해 피드백을 하며 온라인 교사공동체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다. 한 외부 사이트와의 연계 링크를 통해 수업설계를

한 풍부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 다.

수업 분석

360도 수업 비디오 찰 모드 4.1., 5.1., 5.2.

Time stamp 2.1.

Note 2.1.

교수학습 과정안 동시 비교 4.2., 6.1.

실천 교수역량 평가 6.2.

수업성찰

구조화된 성찰 롬 트 7.1.

구조화된 피드백 지원 6.3.

심화된 성찰 7.2.

My dashboard 종합 결과 확인 8.1., 8.2., 8.3.

Page 89: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74 -

[그림 Ⅳ-2] Case Library 시

2) 수업 분석

수업 분석 메뉴에서는 360도 수업 비디오를 찰할 수 있다. 수업 비

디오에 한 찰 Time stamp와 Note 기능을 통해 찰 시 에

한 메모가 가능하도록 하 다.

[그림 Ⅳ-3] 수업분석 시: 360도 수업

비디오 모드 기능

더불어 수업 비디오와 수업 계획서를 동시 비교 확인하도록 하여, 계

획과 실제 수업의 차이에 한 용이한 비교를 도모하 다. 체계 분석

을 해 실천 교수역량 평가 체크리스트를 함께 첨부하여 찰에 한

Page 90: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75 -

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 다.

[그림 Ⅳ-4] 수업분석 시: 수업계획서

동시 확인

3) 수업성찰

수업성찰에서는 수업 분석을 기반으로 비 수업성찰을 지원한다.

먼 성찰을 한 롬 트를 제공하여 구조화된 성찰일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 다.

[그림 Ⅳ-5] 수업성찰 시: 구조화된

성찰일지 작성

Page 91: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76 -

성찰일지에 한 구조화된 피드백을 제공하여 문가 수 의 교사가

비, 보교사의 성찰일지에 한 구체 인 피드백을 작성할 수 있도록

설계하 다. 시로, 턴잇인(turnitin, www.turnitin.com)과 같은 외부 툴

(third party tool)과의 연계를 통한 피드백 지원 방법을 설계하 다.

성찰일지 작성뿐만 아니라 교사로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심화된

성찰을 지원하기 하여 교사양성기 에서 활용되는 교수방법을 온라인

의 형태로 구 하 다.

4) My dashboard

마지막으로 본인의 수업분석과 성찰 결과를 시각화된 형태의 시보드

로 확인하여 앞으로의 수업 계획과 개선 방향에 해 정리해볼 수 있도

록 하 다.

[그림 Ⅳ-6] My dashboard 시

나. 시스템의 체 흐름도 기능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의 사용자 체 흐름도는

[그림 Ⅳ-7]과 같다. 체 흐름도에 따라 시스템의 메뉴와 기능을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Page 92: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77 -

[그림 Ⅳ-7] 시스템 체 흐름도

첫째, 교사가 지원 시스템에 처음 방문할 경우 교사 경력에 따라 회원

가입을 한 후에 로그인을 할 수 있다. 둘째, 로그인을 하면 메인 화면에

지원 시스템에 한 안내가 제공되고 Case Library, 수업분석, 수업성찰,

My dashboard가 메인 메뉴로 제시된다. 셋째, Case Library를 클릭하면

수업 설계 개발을 할 때 참고할 수 있는 다른 교사들의 다양한 수업

련 자료인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 자료, 수업 비디오를 확인할 수 있

다. 넷째, 수업 분석 메뉴에서 자기 수업 는 Case Library에 공유된 다

른 교사의 수업 비디오를 찰 분석할 수 있다. 수업 분석 Time

stamp와 노트 기능을 활용하여 시간 별 메모를 기록할 수 있으며, 체계

수업분석을 한 분석 방법(학생 과업 집 법 등)과 정량 평가표

(실천 교수 역량 평가표) 제공한다. 다섯째, 수업 성찰에서 단원별 수

업 활동에 한 수업 비디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성찰일지를 작성한

다. 성찰 롬 트와 다양한 성찰 방법을 제공하여 구조화된 비 성

찰을 지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My dashboard에서는 시스템을 활용한

빈도, 분석 결과, 성찰 결과 등을 시각화 형태로 구 하여 정리된 결과를

Page 93: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78 -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 문가 수 의 교사, 학 교수자와 질의응

답을 할 수 있는 Q&A 방도 구성되어 있다.

다. 사용자 반응 평가

최종 설계 략이 용된 시스템 로토타입에 한 사용자 반응을 살

펴보기 하여 사용자 반응 평가를 실시하 다. 사용자 반응 평가에 참

여한 상은 비교사 3명, 직 교사 2명으로 총 5명이었다. 본 시스템

의 사용자를 상으로 로토타입에 한 주요 기능의 강 , 약 , 개선

을 묻는 심층 면담으로 이루어졌다. 비 교사와 직 교사 간에 사용

자 반응 평가 과정과 결과가 다르기에 구분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비 교사 반응

가) 360도 촬 에 한 반응

360도 카메라를 활용하여 수업 촬 을 실시한 것에 한 면담을 비

교사 3명을 상으로 실시하 다. 카메라로 수업을 촬 하는 것에 한

부담을 느끼거나 불편하게 여겨지지는 않았으나, 교실 앙에 치하여

교사 본인과 학생들이 교실 내에서 이동하며 활동해야하는 경우 동선에

방해가 되었다는 의견이 있었다. 교사, 학생들이 이동하는 동선을 고려하

여 카메라의 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 다.

360도 카메라로 촬 하는 것은 특별히 신경쓰이거나 하지 않았어요.

그런데 학생에게 다가가서 반응을 하려고 할 때 이동하는 동선에 카

메라가 치해서 불편했어요. ( 비 교사 A)

수업 촬 은 기본 으로 40분 동안 촬 되기에 360도 카메라의 배터리

문제와 발열 문제가 있었으며, 배터리를 충 하기 한 충 기의 선과

삼각 가 상물에 나와 방해가 된다는 의견이 있었다.

Page 94: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79 -

나) 로토타입에 한 반응

시스템 로토타입의 각 기능에 한 비교사의 반응을 살펴보기

해 시스템의 강 , 약 , 개선 에 해 묻는 개방형 문항의 설문을 실시

하 다. 한 필요한 경우 비 교사의 응답에 한 추가 인 질문을 통

해 구체 인 응답을 듣고 해당 결과를 분석하 다. 시스템 반의 강 ,

약 , 개선 에 한 비 교사의 반응을 정리하면 다음의 <표 Ⅳ-12>

과 같다.

비 교사들의 반응을 통한 시스템 로토타입의 강 으로 360도 수업

비디오를 찰 가능하여 학생들의 반 인 학습 활동들을 한 에 확인

할 수 있다는 이다. 일반 으로 교사의 언어, 행동에 을 맞추어 비

디오를 촬 하기에 학생들의 행동을 자세히 찰하기는 어려웠다고 하

다. 반면 360도 비디오는 학생들의 행동과 표정까지 확인할 수 있기에

수업 분석 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응답하 다.

범 주 기 능 빈 도

360도 수업 비디오 찰을 통한 학생 반응 확인 3

다양한 사례를 통한 수업 실천 방법 학습 3

수업의 문제 상황에 한 재확인 이유 탐색 3

다양한 피드백 방법을 통한 개선 방향 이해 2

시보드 활용으로 수업 성찰 지원 2

약수업 성찰 방법 이해하기 어려움 3

수업 비디오 찰 평가 어려움 2

개선실제 평가 과정 반 필요 2

수업 성찰을 한 방법 구체 안내 제공 1

<표 Ⅳ-11> 시스템 로토타입에 한 비 교사 반응

Page 95: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80 -

360도 비디오가 훨씬 더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생각해요. 기존 비디오

는 교사 심으로 촬 되는데 360도 비디오는 교실에 있는 모든 학생

들의 행동과 반응이 찰되기에 훨씬 더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요. 학생들의 다양한 반응에 따라 수업 참여도나 학업 수 이 낮은지

를 체크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이를 통해 학생들 개인 평가까지도

가능할 것 같아요. ( 비 교사 C)

다음으로 온라인 지원 시스템을 통한 다양한 수업 자료 제공이 비

교사들은 수업을 계획할 때 도움이 된다는 을 확인하 다. 비 교사

도 활용 가능한 지원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다양한 수

업 계획과 자료, 비디오가 사례로 공유된다면 수업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 다.

시스템 내에서 다양한 자료를 제공받는 것은 유용할 것 같아요. 교생

수업 하면서도 시 사례를 보기 어려워 수업을 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어요. 교사들이 사용하는 사이트에 근하기 어려워, 교사가 활용

하는 공개된 자료가 있으면 유용할 것 같아요. 공개된 자료 에는

옛날 자료가 많기에, 최신 자료를 많이 할 수 있으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 비 교사 A)

다른 교사의 수업 상을 사례로 확인할 수 있는 도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아요. 다른 교사의 교수·학습 과정안만 보아서는 어떻게 수업

을 실제로 그를 소화하여 진행했는지를 알기 어렵기 때문에 비디오를

통해 어떤 식으로 학생들과 수업이 진행되었는지를 알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 비 교사 C)

한 자기의 수업 비디오를 분석하거나 동료 교사의 수업 비디오를 분

석할 때 해당 시간에 메모를 기록하는 기능에 한 강 을 확인하 다.

해당 기능을 통해 수업 계획안과 비교를 해보며 어떤 상황에서 문제가

발생하 는지, 왜 그런 상황이 발생하 는지를 다시 확인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하 다.

Page 96: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81 -

직 수업을 찰하고 오 라인에서만 분석을 할 때는 과정안에 메모

를 하면서 기록을 해요. 온라인으로 찰 결과 기록을 하면 해당 시

간에 어떻게 행동했는지를 확인하면서 메모를 확인할 수 있어서 도움

이 될 것 같아요. ( 비 교사 B)

수업 활동에서 학생들의 반응이 있을 때와 그 지 않을 때는 교사의

발문 차이라고 생각해요. 그 상황에 정확하게 어떻게 얘기했고, 그에

따른 학생들 반응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요. ( 비 교사 C)

다른 강 으로 특히 비 교사들은 다양한 형태로 피드백을 제공받

으면 개선 방향에 해 상세하게 이해할 수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하 다.

피드백을 받을 때 텍스트가 일반 이지만 음성으로 받게 되는 것도

피드백을 받으면 좋을 것 같아요. 일반 으로 지도 선생님이나 동료

비 교사들로부터 교수·학습 과정안에 피드백을 작성해주거나 문자

로 달받는데 의도가 다 달이 안 되는 경우가 많이 있었어요. 문

자로 간단하게 쓰면 무슨 뜻인지 모르겠던 이 있어서 음성으로 주

면 보다 잘 이해가 될 것 같아요. ( 비 교사 A)

마지막으로 비 교사들에게 확인된 강 은 자기 수업 분석 결과와

동료 교사, 문 교사로부터 피드백 받은 결과를 종합 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보드가 성찰을 실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을 확인하

다.

Page 97: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82 -

시보드는 정말 도움이 될 것 같아요. 피드백을 받은 것들을 매번

확인하기는 어려우니까.. 평가 결과를 한 에 확인해서 어떤 역량이

부족했는지를 확인하기에 좋을 것 같아요. 일일이 모든 피드백을 다

보면서 성찰하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니까.. 다른 교사들의 수업 분

석 결과들을 한 번에 확인해서 성찰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 비 교

사 C)

개발된 로토타입에 한 약 으로 수업 성찰 방법에 해 이해하기

어렵다는 을 확인하 다. 비 교사의 경우 수업에 한 성찰을 실시

해본 경험이 많이 없기에 시스템에서 안내된 수업 성찰 방법을 스스로

이해하고 실천하기에 어렵다는 을 약 으로 제시하 다.

심화된 성찰 방법으로 제시된 벽 쌓기의 경우는 지 의 수 으로

는 스스로 해보기 어려울 것 같아요. 아직 수업 경험이 많지 않아서

교사로서의 정체성에 해 생각해보는 것도 어렵고... ( 비 교사 B)

경력이 있는 교사들은 교육의 가치 이 정해져 있지만 와 같은

비 교사는 부분 가치 이 정해져 있지 않아요. 가치 을 가지고 수

업을 하면 좋지만, 경력이 얼마 안 되기에 가치를 가진다는 것이 이

상 이라고 생각해요. 비 교사일 경우나 수업 경력이 낮을 경우 가

치 까지 생각하는 것은 어려울 것 같아요. ( 비 교사 C)

다른 약 으로 실천 교수역량에 한 평가는 수업 비디오 찰

함께 진행하는 것이 어렵다는 을 확인하 다.

수업 비디오를 찰하면서 평가표를 작성하는 것은 어려워요. 만약에

교사의 발문에 문제가 있었다면 그에 한 질문이 어디에 있는지 평

가표에서 찾아 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 평가표 작성을 상을 찰하

면서 동시에 할 수는 없는 것 같아요. 평가표에 체크만 하면 구체

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할 것으로 보여요. ( 비 교사 C)

Page 98: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83 -

개선 은 약 을 보완하는 측면을 심으로 의견이 제시되었다. 먼

수업을 분석할 때 평가의 과정은 수업 계획안에 메모를 할 수 있도록 하

고 수업 비디오 찰을 모두 끝마친 이후에 종합 으로 평가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일련의 실제 인 평가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고 하 다.

평가는 수업계획안에 메모로 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그럼에도 평

가 결과로 수가 필요하다면 수업 비디오를 모두 찰하고 분석한

이후에 최종 으로 이 지면 좋을 것 같아요. ( 비 교사 C)

다음으로 수업 성찰 방법에 한 스스로 이해를 하고 실천할 수 있도

록 하기 해서 그와 련된 안내를 상세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확

인하 다.

심화된 성찰 방법에 한 설명이 구체 으로 필요할 것 같아요. 그리

고 그를 실천해야하는 한 시기를 고려해주시 것이 좋을 것 같아

요. ( 비 교사 B)

2) 직 교사 반응

범 주 기 능 빈 도

강교사와 학생 상호작용 확인 2

학생 시선에서 수업의 개선 방향 확인 1

360도 수업 비디오 특징 부족 2

비 성찰 방법에 한 이해 어려움 1

360도 수업 비디오의 용이한 찰을 한 기능 제공 2

개선

체계 수업 분석 방법 추가 2

사례에 한 검색 필터, 메타데이터 상세화 1

성찰을 실천하기 한 안내 제공 1

<표 Ⅳ-12> 시스템 로토타입에 한 직 교사 반응

Page 99: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84 -

개발된 시스템 로토타입에 한 직 교사 반응 강 으로 360도

수업 비디오 찰을 통해 학생들의 행동과 수업 분 기를 반 으로 한

에 확인할 수 있다는 을 확인하 다. 한 실시간으로 교사의 발문

과 행동에 따라 학생이 어떤 반응을 했는지 확인함으로써 수업 성찰에

도움을 수 있음을 확인하 다.

일반 으로 교실에서 수업 촬 을 할 때 교실 뒤편에 한 의 카메라

를 설치하기에 교사들의 언어, 행동에 을 맞추거나, 두 의 카메

라를 설치할 경우 한 는 교수자만 고, 다른 한 는 학생만 어

요. 두 의 카메라는 한 번에 싱크를 맞추어서 확인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반 인 학습자 활동들을 확인하기 한 360도 수업 비디오

로 찰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 ( 직 교사 A)

기존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 분석에서는 교사가 어떤 발문이나 행동을

했을 때 학습자가 무슨 반응을 했었는데 실시간으로 매칭하기 어려웠

어요. 그런 면에서는 360도 비디오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의 질과

양을 실시간으로 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 직 교사 B)

다음으로 학생의 시선에서 교사의 수업을 찰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

공한다는 이다. 이를 통해 수업에 한 개선 방향을 학생의 입장에서

고려해볼 수 있다는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을 듣는 학생 입장에서 수업 자료를 보여주거나 할 때 PPT 씨

가 작았구나..를 생각해볼 수 있고, 자료 제시를 어떻게 해야 되는지

를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수업 방법을 수정해서 수업을 개선해 나가

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 직 교사 B)

약 으로는 시스템 로토타입에서 360도 비디오를 통해 활용할 수 있

는 기능이 부족하다는 이다. 기존의 비디오가 아닌 360도 비디오를 활

용하 을 때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 학생-학생간의 상호작용 반응을

Page 100: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85 -

확인할 수 있지만 교사가 그를 찰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의 기

능이 구 되지 않았다는 을 약 으로 제시하 다.

수업의 모든 상황을 찰할 수 있는 만큼 어떤 에 집 을 해서

야하는지에 한 기능과 안내가 부족해서 상을 40분 동안 계속

찰하는게 어려울 것 같아요. ( 직 교사 B)

다음으로 비 성찰 방법을 이해하는 측면에서 약 이 언 되었다.

일반 으로 성찰일지를 작성하는 것 외에 벽 쌓기 등의 수업성찰을 실시

해본 경험이 없기에 이에 한 이해가 어렵다고 하 다. 심화된 성찰을

지속 으로 해나가는 것은 요하지만 그를 한 상세한 안내가 제시되

지 않았다는 이 약 으로 제시되었다.

성찰을 한 다양한 방법들이 있고 그를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제시된 것은 좋지만 련하여 상세한 설명이 부족해서 이해하

기 어려워요. ( 직 교사 A)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는데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기능의 개선 방향

으로 비디오 찰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추가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

다. 360도 비디오는 찰을 할 수 있는 요소들이 많은 만큼 찰의 피

로도가 생길 수 있기에 그를 여 수 있는 시스템의 자동 결과 산출

기능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고 하 다.

교사가 보고 싶을 때는 교사를 보고, 학생을 보고 싶을 때는 학생을

볼 수 있게 화면 환이 버튼을 러서 바로 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는 교사나 문제가 있는 학생에 을 맞추면 비디오의 시

선이 그를 따라다니면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구 되면 좋을 것 같

아요. ( 직 교사 A)

Page 101: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86 -

미네르바 스쿨에서 온라인 토론을 할 때 상호작용 빈도를 색깔로 표

시해주듯이 교사가 보고 일일이 확인하기 에 학생들의 상호작용 정

도를 알려 수 있는 지표를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색깔로 표시해

수 있다면 좋을 것 같아요. ( 직 교사 B)

한 360도 비디오에서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확인할 수 있는 만큼 그

를 활용한 분석 방법이 추가될 필요성을 제시하 다.

수업에서 학생의 행동을 찰하고 분석하는 컨설 에서 컨설턴트가

일일이 떠드는 학생, 자는 학생 등을 확인해서 시간 별로 체크하는

방법이 있어요. 그를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면 직 수업을 찰하지

않고도 온라인 시스템에서도 학생들 행동에 한 체계 분석 방법이

가능할 것 같아요. ( 직 교사 B)

다양한 사례를 제공하고 그에 한 검색 기능에 해서는 검색 필터가

상세하게 구분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한 검색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

기 해서 사례를 공유할 때 메타데이터의 입력이 요하다는 것을 확인

하 다.

사례에 한 검색이 보다 잘 되기 해서는 검색 필터가 상세하게 구

분될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그를 해서는 학교 , 학년, 과목, 출

사, 추천순, 최신순에 한 필터는 기본 으로 제공되어야 해요. 그리

고 사례를 공유할 때 메타 데이터가 제 로 구성되서 검색이 용이하

도록 해야 할 것 같아요... 세부 설명을 입력할 때 수업 활동에 한

질문과 고민을 제시하면 분석하는 사람 입장에서 그에 한 안내를

제 로 제공해 수 있을 것 같아요. ( 직 교사 A)

마지막으로 비교사의 반응과 동일하게 성찰 방법에 한 안내가 세

부 으로 제시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기본 인 수업 단원에 한 성찰

일지가 아닌 교사의 정체성까지 생각해보는 심화된 성찰의 경우 그에

한 상세한 안내와 교수 략이 필요하다는 을 확인하 다.

Page 102: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87 -

심화된 성찰 방법으로 제시된 벽쌓기의 경우 교사의 정체성에 해

고민해 야 하는 것이어서 수업에 한 경험이 있을지라도 작성하기

어려울 것 같아요. 심화된 성찰에 한 상세한 안내와 략들이 제공

될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 직 교사 A)

이상의 사용자인 비 교사, 직 교사의 로토타입에 한 반응에

따라 설계 략의 수정 사항을 제시하면 다음 <표 Ⅳ-13>과 같다.

구 분 ( 비 ) 교 사 반 응 수 정 사 항

설계 략

1.2.검색 필터 추가

학교 , 학년, 과목, 출 사, 추천순,

최신순에 한 검색 필터 추가

수업 사례 공유할시 메타데이터 입력

방법 제시

설계 략

5.2.,

7.2.

360도 비디오 용이한

찰을 한 시스템

기능 필요

학생 상호작용에 한 시스템 자동

결과 산출

교사와 학생 이동 트래킹(tracking)

기능 추가

설계 략

7.1.

학생들 반응에 한

체계 분석 방법

필요

학습자 활동 심 수업에 한 분석

방법(학생과업집 분석법 등) 추가

설계 략

9.2.

심화된 성찰 실천을

한 상세한 안내

제공

성찰일지 작성, 벽쌓기 방법 등을 활

용하기 한 상세한 안내 세부

략 제공

설계 략

10.3.

반 시스템

사용에 한 종합

정리

내가 최근에 좋아요한 자료, 댓 단

자료 등 시스템 활용에 한 반

결과 정리하여 제시

<표 Ⅳ-13> ( 비) 교사 반응에 따른 설계 략 수정 사항

Page 103: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88 -

4 . 최 종 설 계 략 개 발

이상의 두 차례의 문가 검토를 통한 내 타당화, 사용자인 교사의

반응 평가를 통한 외 타당화 과정을 거쳐 최종 으로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를 한 설계 략과 지침을 도출하

다. 최종 설계 략은 다음의 <표 Ⅳ-14>와 같다.

구 성 요 소 일 반 설 계 략 세 부지 침

수업 설계

자료 개발

1. 수업 설계 시, 수업과 련된 다양한 사례를 참고할 수 있도

록 설계하라.

1.1. 본인, (동료)교사, 문교사의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자료와

같은 수업과 련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하라.

해설

시스템에서 다른 교사들의 다양한 자료들을 확인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수업 련 자료를 공유하며 데이터

베이스를 축 하도록 해야 함

Case Library 제공: 경험이 부족한 보자를 해

서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사례의 형태로 장하고

학습자가 필요한 사례를 검색할 수 있도록 만든 데

이터베이스

외부 사이트 연계

1.2. 원하는 자료에 쉽게 근할 수 있도록 검색 필터와 검색창

을 설계하라.

해설

원하는 자료에 근할 때 구분되는 항목을 검색 필터

와 메타데이터를 제시하여 용이한 검색을 지원해야 함

학교 , 학년, 과목, 수업 방법, 활용 테크놀로지(디

지털교과서, VR, AR 등), 출 사, 추천순, 최신순

구분 필터 구성

자료 업로드시 메타데이터 구성: 수업자, 장소, 교과

명, 단원명, 상세 설명(수업 활동에 한 문제 해결

방안 질문) 등

<표 Ⅳ-14> 최종 설계 략 세부지침

Page 104: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89 -

1.3. 시스템에 업로드되는 수업 분석을 한 비디오는 사례로 공

유하도록 하여 풍부한 비디오 사례를 축 하도록 하라.

해설

수업 분석을 해 업로드한 수업 비디오도 하나의 사

례로 제공될 수 있도록 연결하여 다른 교사들로부터

찰 분석되도록 해야 함

2. 공유된 자료에 해 피드백 활동이 이루어지고 상시 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하라.

2.1. 수업과 련된 자료에 한 상호 피드백 지원 기능을 제공

하라.

해설

공유된 수업 련 자료에 한 교사들 간의 피드백을

하여 개선 방향을 함께 고려할 수 있도록 해야 함

좋아요 기능

Time stamp, Note 기능: 비디오 찰 Time

stamp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시간이 기록되고 그에

한 메모를 기록할 수 있음

2.2. 수업과 련된 자료에 한 피드백 결과를 기반으로 본인의

수업 설계에 반 할 수 있도록 하라.

해설

피드백 결과를 반 하여 수업을 재설계할 수 있도록

안내할 필요가 있음

피드백 결과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안 수정 연계

360도

수업

비디오

3. 360도 비디오를 효과 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360도 카메라

를 활용한 수업 촬 분석에 한 안내를 제공하라.

3.1.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 성찰의 장 과 효과에 한 안

내를 제공하라.

해설

360도 비디오에 한 효과 안내 자료 제공

3.2. 360도 카메라를 활용하여 수업 비디오를 비하는 방법에

해 문서, 비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형태로 안내를 제

공하라.

해설

360도 카메라를 활용해본 이 없는 교사들을 상으

로 활용하기 한 방안을 안내하는 자료를 제공할 필

요가 있음

Page 105: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90 -

360도 카메라 활용 수업 촬 을 한 비물: 360도

카메라 종류 소개, 삼각 , SD카드, 충 기 등

상 편집에 한 안내(유튜 안내 비디오 연계)

4. 수업 비디오의 용이한 찰이 가능하도록 업로드 방법을 제

시하라.

4.1. 수업 단계별 주요 특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수업

비디오를 분 화하여 업로드할 수 있도록 설계하라.

해설

360도 비디오는 VR 멀미로 인한 피로도 때문에 오랜

시간동안 집 하여 보기 어렵기 때문에 약 10분 내외

로 구분하여 상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

수업 비디오 clip(약 10분)별 구분하여 순서 로 제

공(도입-활동 1-활동 2-정리)

4.2. 교수·학습 과정안과 수업 비디오를 동시 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과정안에 세부 인 시간을 명기하여 업로

드하도록 안내하라.

해설

수업 비디오를 찰 분석할 때 교수·학습 과정안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간 별로 교수·학습 과정

안을 구분하여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해야함

자막 스크립트를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시간

별 업로드

수업 찰

분석

5. 360도 수업 비디오에 한 실재감 높은 수업 찰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라.

5.1. 직 교실에서 수업을 찰하는 것처럼 원하는 부분을 찰

할 수 있는 360도 비디오 모드를 제공하라.

해설

360도 비디오를 몰입감 있게 찰할 수 있는 VR 헤드

셋 모드를 제공하도록 하여야 함

일반 PC 화면과 VR 헤드셋(Google Cardboard,

Head-Mounted Display(HMD)) 모드 제공

5.2. 360도 비디오 찰시 교사-학습자 상호작용,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확인하기 한 찰 변경 모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라.

해설

360도 비디오의 찰자의 피로도를 이기 해 찰

의 용이한 변화를 한 기능을 제공할 필요가 있

정면 찰하기(교사의 모습), 후면 찰하기(학생의

모습) 버튼 추가

Page 106: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91 -

교사 는 문제 학생 이동 동선 트래킹(tracking)

5.3. 상에 한 주의 집 을 한 메시지를 제공하라.

해설

360도 비디오에 한 찰자의 집 도를 높이기 해

시스템에서 자동화된 팝업 메시지를 제공할 필요가 있

팝업 메시지 제공( 시: 학생들 재 과업에 집

하고 있지 않은 학생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6. 수업 계획과 실제를 비교하여 문제를 확인하도록 설계하라.

6.1. 교수·학습과정안과 수업 비디오를 비교, 조하며 찰할

수 있도록 수업 비디오 시간 진행에 따라 교수·학습과정안

의 해당 부분이 확인되도록 설계하라.

해설

수업이 계획에 따라 실행되었는지 확인을 해 수업

비디오를 확인하며 진행 순서에 따라 체크를 할 수 있

도록 해야 함

수업 계획 무엇을 여겨 야하는지도 평가표를

제공( 시: 도입-학습 목표가 잘 달이 되었나요?

등)

6.2. 수업에 한 객 인 평가를 한 정량 평가도구를 제공

하라.

해설

수업 비디오를 찰한 이후에 정량 평가도구를 활용

하여 평가를 실시하여 양 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

록 해야 함

실천 교수역량 평가 도구(이재열, 2017) 활용

7. 360도 비디오 찰시 학생의 학습 활동과 참여도를 분석하도

록 설계하라.

7.1. 학생의 활동에 을 맞추어 수업 분석을 한 분석 도구

를 제공하라.

해설

360도 수업 비디오는 학생들의 행동과 반응이 용이하

게 찰되기에 교사가 계획했던 로 학생의 반응과

활동이 어떠했는지에 을 맞추어 수업 분석을 실시

할 수 있도록 련 도구를 제공해야 함

학생 과업 집 분석법 등

7.2. 학생의 수업 참여도에 한 결과를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제

Page 107: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92 -

공하라.

해설

학생의 발화, 상호작용 정도를 알려 수 있는 지표를

색깔로 표시

학생의 참여도를 시스템에서 자동 계산하여 빨간색

-노란색-녹색으로 표시

8. 시스템 사용자를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도록 설계하라.

8.1. 문성 수 을 구분하라.

해설

비교사, 보교사, 수석교사, 교사 교육자( 학 교수)

가 모두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문성 수 에 따

라 구분될 필요가 있음

교사 경력 문성 수 에 따라 회원가입 구분

( 시: 비교사: 알, 보교사: 병아리, 수석교사,

교사 교육자: 닭)

8.2. 문성 수 에 따라 피드백의 형태와 종류를 다양하게 하라

해설

교사의 문성 수 에 따라 피드백이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함

문가의 경우, 피드백 형태(음성, 텍스트, 서면으로

작성하여 사진으로 업로드 등) 다양화(외부 도구 턴

잇인 연계 고려)

수업 성찰

9. 심도 깊은 수업성찰을 한 활동을 제공하라.

9.1. 단원별 수업 활동에 한 성찰이 체계 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화된 성찰 롬 트를 제공하라.

해설

수업 활동의 각 단계별 특성을 확인하게 하는 질문을

제공하여 구체 인 성찰일지를 작성하도록 할 필요가

있음

성찰 련 질문에 답변하는 형식의 구조화된 성찰일지

작성

9.2. 성찰 수 이 향상될 때마다 다양한 유형의 성찰 활동을 선

택 으로 제공하라.

해설

심화된 수업 성찰을 실시하도록 하기 해 성찰을 한

다양한 활동 제공과 지원 략 활용

벽 쌓기 등 성찰 활동을 통한 비 수 의 수업 성

Page 108: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93 -

찰 지원

10. 본인의 수업 문성에 해 객 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설

계하라.

10.1. 체 인 시스템 활용도, 분석 결과를 자동 계산하여 개별

수 을 즉각 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라.

해설

시스템을 활용한 결과(수업 분석 성찰 참여 횟수, 다

른 교사의 수업 평가 등)를 종합하여 제공하도록 해서

재 본인의 수 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함

등 제도 구 ( 시: 시스템 활용도에 따라 메달 색

깔(동-은- ) 변경)

10.2. 수업 평가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인, (동료) 교

사, 문가의 수업 평가 결과를 시각화하여 시보드 형태

로 제공하라.

해설

수 결과 그래 형태로 시각화하여 제공

10.3. 필요한 경우, 시각화한 평가 결과에 한 추가 인 피드백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하라.

도움말

안내

11. 지원 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성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

를 제공하라.

11.1. 지원 시스템 사용방법을 안내하라.

해설

시스템을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상으로 사용방법에

한 안내가 제공될 필요가 있음

안내 매뉴얼 제공

11.2.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성찰 단계 과정 세부 활동을 시

각화하여 제공하라.

해설

수업 비디오를 분석하고 성찰하기 한 일련의 과정과

세부 활동들에 한 안내를 시각화하여 제공하여 사용

자의 이해를 지원할 수 있음

시스템 구성요소 시각화 설명 제공

11.3. 지원시스템 구성요소별 활동에 한 안내를 제공하라.

해설

Case Library, 수업분석, 수업성찰 활동 단계 시작

시 안내 제공

Page 109: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94 -

12.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라.

12.1. 기능별 세부 안내가 필요한 경우 팝업 메시지 형태로 도움

말을 제공하라.

해설

마우스 근시 도움말 팝업 형태로 제공

12.2. 시스템 버그 사용법 안내를 한 Q&A 게시 을 설계

하라.

Page 110: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95 -

V . 논의 결 론

본 연구는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여 교사의 수업성찰을 지원하는 시스

템의 효과 설계를 한 략과 세부지침을 개발하고 이의 타당성을 확

인하는데 목 을 지닌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최 화된 교사의 수

업 문성을 한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의 설계를

한 내용 이론 , 실천 측면에서 함의가 무엇인지에 해 논의하고

자 한다. 이상의 논의와 함께 본 연구의 한계 과 추후 연구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1 . 논의

가. 360도 비디오 활용에 한 이론 논의

지 까지는 교사의 수업 분석과 성찰을 한 논의는 기본 비디오의 효

과 활용에 한 연구를 통해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본 연구와 같이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성찰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가 지속 이고 확

산 으로 수행되기 해서 이를 뒷받침하는 이론 근거에 한 논의가

필요하다.

연구 결과에 제시된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 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

략 개발 과정과 결과를 통해 시스템 내에서 360도 비디오를 찰하고 분

석하여 수업 성찰에 한 이론 토 로 상황 학습(Situated Learning)

을 들 수 있다(Gibson, 1977; Ibrahim-Didi, 2015; Lave & Wenger,

1991). 360도 비디오를 통해 수업 성찰을 한 실제 인 환경을 제시하

여 보다 몰입감있는 상황에 한 경험을 제시하여 가능성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경험을 통해 찰자는 교사의 행동과 학습자의 반응

등 수업의 반 인 상황에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어 성찰을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360도 비디오 활용은 사회 인지 이론에 따라 교수에

한 자기 효능감(Bandura, 2010)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실제

Page 111: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96 -

인 숙달 경험을 발달시키는 기회를 제공한다(Nicola & Paul, 2019). 이

와 같이 Nicola와 Paul(2019)은 360도 비디오 활용을 통해 상황 학습, 체

화된 인지와 사회 인지 이론의 개념 임워크가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하 으며, 이는 교사의 수업성찰과 실천을 지원하는 방안

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하 다.

나. 360도 비디오 활용에 한 실천 논의

360도 비디오는 교육 활용에 한 잠재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360

도 비디오를 실제로 사용하여 수업성찰을 실천하기 해서는 교사의 철

한 사 비가 필요함을 확인하 다. 먼 , 360도 카메라에 한 선택

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 촬 에 한 방해가 되지 않고 비교 가성비

가 높은 샤오미 노라마 액션캠을 사용하 다. 하지만 본 카메라는 배

터리가 충 없이 40분 동안 촬 가능하나 발열의 문제가 있었고, 용량

에 한 문제로 인해 카메라에 별도의 SD 카드를 비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안 한 촬 을 해 충 을 하며 카메라 촬 을 실시할시 추출

한 동 상에서 스티칭(stitching) 문제로 인해 충 기 선이 보이는 문제

가 발생하 다. 이와 같은 배터리, 용량, 화질 등의 문제를 고려하여 카

메라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비디오를 찰하기 한 랫폼의

선택이다. 본 연구에서는 AXURE RP 9에서 연동이 가능한 유튜 360

도 동 상 뷰를 사용하 다. 유튜 에 업로드시 동 상의 용량 문제로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 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 을 해결하고

360도 비디오에 한 용이한 조작을 해서는 별도의 랫폼과 클라우드

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360도 비디오를 사례로 활용할 경우

수정(edit)의 가능성이다. 360도 비디오를 편집 없이 그 로 보여주면

찰자의 입장에서 찰해야할 요소들이 많기 때문에 인지 부담과 사이

버 멀미를 느낄 수 있다. 이에 한 문제를 해결하기 하여 본 연구에

서는 용이한 찰을 한 앞, 뒤 화면 환 버튼, 학생 상호작용 빈도 측

정 등에 한 기능을 설계 략으로 구성하 다. 그럼에도 수업 촬 자가

동 상에 한 추가해야할 정보를 자막으로 삽입하거나 비디오의 일부분

Page 112: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97 -

에 수정 후 업로드가 있을 수 있기에 이에 한 개발 가능한 범 를

문가와의 면담을 통해 정하고 설계 략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설계 략이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시

된 략 처방과 구분되는 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설계 략은 체계 인 수업 분석을 통한 수

업 성찰 지원에 한 처방성에 을 맞추고 있다. 기존 비디오 기반

수업 분석 시스템 설계와 련된 연구와 시스템 개발 사례에서는 교사의

체계 인 수업 성찰을 지원하지 않고 수업 비디오 분석하는 것 자체에

을 둔 경우가 많다(임철일 외, 2016). 성찰에 다른 별도의 지원 없이

교사가 자발 으로 성찰을 지속 으로 실시하는데 실 인 실천의 어려

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 설계 략을 통해 구 된 시스

템 기능으로 수업 분석과 성찰 방법에 한 안내와 기능 활용을 포함함

으로써 실제 교사가 수업성찰을 비 인 수 으로 실시하고 지속 으로

성찰활동을 수행해나갈 수 있다는 에서 설계 략의 처방성이 높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즉 수업성찰을 한 교수 방법이나 질문으로 교사

교육자가 제공하는 지원이 시스템에 구 된 양상이라 확인할 수 있다.

한 교사가 성찰을 한 수업 실행-성찰-재계획의 순환 인 과정(Kolb,

1984; Korthagen, 2001)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한 지원 방법을 제

시하 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설계 략은 360도 비디오를 어떻게 효과

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에 한 탐색을 실시하 다. 를 들어, 비디오의

용이한 찰을 한 Time stamp, 노트 기능, 동료 교사의 수업 비디오

찰, 력 성찰 기회 제공에 한 기능을 제시하 다.

셋째, 체계 수업 분석 방법을 지원하고 있다. 360도 동 상에서는 학

생들의 수업 활동과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용이한 만큼 그에 한 분석을

통해 수업에 한 개선 방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를 들어, 학생 과

업 집 분석법 도구를 시스템 내에서 활용 가능하여 학생들이 과업에

집 하는지, 딴 짓을 하고 있는지를 체크하여 분석하고 그에 한 결과

를 바탕으로 교사의 수업 발문과 행동에 문제가 있었는지를 확인해볼 수

Page 113: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98 -

있다.

마지막으로, 시스템 설계 략을 효과 으로 용하여 로토타입을 개

발하기 해 고려해야할 사항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 , 시스템 개발, HCI 등 외부 문가가 설계 략을 용하는 과정

에서 제 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로토타입 개발자인 연구자 본인과 사용자와의 논의를 통해 설계 략

용에 한 확인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실제 시스템을 개발하는 문가

의 에서 설계 략을 기반으로 로토타입에 용하는 과정과 결과가

하게 반 되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한 시스템 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 반응 평가

를 한 로토타입의 개발 수 에 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과거의 어

리 이션, 이러닝, 시스템 개발 연구에서는 페이퍼 로토타입, 는

목업(Mock-up) 형태로 로토타입 개발이 이루어졌다(김 지, 김춘화,

이상수, 2017).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의 상호작용 기능을 고려하여 간

수 의 충실도(mid level fidelity)를 지닌 로토타입을 개발하 다. 이는

핵심 인 기능에 해 부분 으로 목업(Mock-up) 도구를 활용하여 구

한 것이다. 각 기능에 한 설명은 스토리보드 형태로 개발하여 사용자

에게 제시하 으며 기능의 일부 상호작용은 공유하는 기능을 사용하여

연구자가 시뮬 이션과 안내를 실시하며 보여주었다. 개발의 한계 인

측면을 지니고 있지만 간 수 의 로토타입 개발 정도로도 사용자 반

응 평가가 이루어져 사용자의 실제 인 요구와 개선 방향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완벽한 기능 구 이 가능한 높은 수 의 로토타입 개발이 이

루어지지 않더라도 주요 특성과 기능을 반 한 간 수 의 충실도를 지

닌 로토타입의 활용은 개선 이나 문제 등에 한 발견에 효과 으

로 이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Sauer, Seibel, & Rüttinger, 2010).

이는 360도 비디오와 같은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활용하고자하는 연구들

을 상으로 실제 으로 근할 수 있는 방법 에 하나로 고려해볼 수

있다.

Page 114: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99 -

2 . 결 론 제 언

가. 요약 결론

본 연구에서는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교사의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의

설계 략을 개발하기 해 360도 비디오, 수업 분석 성찰 지원 시스

템에 한 선행문헌 고찰과 기존 시스템에 한 사례 연구를 통해 기

설계 략을 도출하 다. 이후 두 차례에 걸쳐 문가 타당화를 실시하여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 략 수정의 과정을 통해 내 타당성을 확인

하 다. 다음으로 설계 략을 용한 시스템 로토타입을 개발하 다.

개발한 로토타입에 한 사용자 반응 평가를 해 S 교육 학교 사범

학 부설 등학교의 비교사 3명을 상으로 360도 카메라를 활용하여

수업 촬 을 실시하고, 촬 한 비디오와 시스템 로토타입에 한 비

교사와 직 교사의 반응을 살펴 으로써 설계 략의 외 타당성을 확

인하 다.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의 최종 구성요소와 설계 략

은 다음과 같다. 구성요소는 총 5개로 수업설계 자료 개발, 360도 수

업 비디오 비, 수업 찰 분석, 수업성찰, 도움말 안내이다. 구성

요소로 구분된 설계 략 12개, 세부지침 28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의 설계를

한 최 화된 략을 탐색하 다는 에서 의의를 지닌다. 기존의 연구

에서는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 분석과 성찰이 별도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설계 연구가 존재하 고(김민정, 2010; 권숙진 외, 2013; 변 계, 김경 ,

2005; 임철일 외, 2016; Cho & Huang, 2014; Fadde & Zhou, 2014), 360

도 비디오와 같은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활용 방안에 한 탐색이 제한

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360도 비디오를 교사의 수업성찰을

한 교육 활용 방안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체 인 처방을 제안했다

는 에서 의의를 지닌다.

둘째, 360도 비디오의 기술 인 특성을 반 하여 교육 효과성을 향

Page 115: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00 -

상시키기 한 근 방안을 제시하 다. 특히, 360도 비디오의 반 인

찰 가능성에 한 특징을 반 하여 수업성찰을 지원하기 해 학생들

의 행동 반응을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 다는 에서

의미를 지닌다. 효과 인 학습자의 활동 심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해서는 교사의 역량으로 교수 활동에 한 성찰 사고가 요하다고

하 다(장경원, 김희정, 2012; Tigelaar, Dolmans, Wolfhagen, & Van

Der Vleuten, 2004).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실

재감 높은 환경에서 찰하며 성찰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교사의 역량 향

상의 지원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셋째, 수업성찰을 한 교수 지원 략이 시스템에서 구 될 수 있도

록 하 다. 교사의 수업 문성을 기르기 한 성찰 활동은 자신들의 교

수 활동을 지속 으로 찰하고 성찰하며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Lee &

Lee, 2015; Lim, Bhang, & Lee, 2011). 그럼에도 기존의 수업성찰 지원

을 한 시스템은 수업 찰과 분석 방법이 제한 이고, 시스템에서의

성찰 활동을 한 교수 지원이 성찰일지를 작성하는 것 외 어떠한 교수

지원을 할 수 있는지 제안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김민정, 2010; 권

숙진 외, 2013; 변 계, 김경 , 2005; 임철일 외, 2016; Rich &

Hannafin, 2009; Van Es & Sherin, 200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발 으

로 자기 성찰을 실천하기 한 일련의 과정과 안내가 지원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동료 교사와의 력 인 방안을 마련한 기능도 구 하여 력

이고 지속 인 성찰을 한 학습 환경을 제시하는 설계 략을 제안하

고 있다.

나. 연구의 한계 추후 연구를 한 제언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한계 이 있으며, 이에 따라 추후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로토타입 형태로 시스템을 설계하는

단계까지만 수행되어 실제 장에서 사용 후 효과성과 타당성을 검증하

지 못하 다. 재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 분석 성찰 지원 시스템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지만 360도 비디오를 활용하지 않는다는 , 체계

Page 116: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01 -

으로 수업성찰이 지원되지 않는다는 등 여러 한계 이 있었다. 후

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 을 보완한 지원 시스템을 실제로 개발하여

장에서의 효과성과 타당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한 6개월 이상의

기간을 두고 시스템을 활용하는 기간을 두어 실제 교사의 수업 문성 향

상을 한 성찰 지원이 되었는지를 확인해보고 그에 한 사용자의 반응

과 효과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의 사용자를 등학교 교사에 국한하여 제

한 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시스템의 사용자가

학교 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등 교육의 교

사 5명만을 상으로 수업 성찰 지원 시스템의 사용자 반응 평가를 확인

하 고 그에 한 결과를 반 하여 최종 설계 략을 도출하 다. 따라서

연구결과로 도출된 최종 설계 략은 일반화의 한계 을 지니고 있다. 후

속 연구에서는 사용자를 학교 별로 다양하게 모집하고 반응을 수집하

여 학교 에 따른 차이 은 없는지, 비 교사와 보 교사, 수석 교사

등 교사 경력별로 요구하는 기능의 차이는 없는지를 보다 상세하게 분석

해야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도출된 설계 략의 용을 통해 개발된 로토타입 개발 과정에

한 타당화 과정이 외부 문가를 통해 객 으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시스템 개발은 내 타당화를 거쳐 수정

보완된 설계 략을 용하여 연구자가 로토타입을 개발하 다. 그

러나 설계 략에 따라 개발된 시스템의 실제 활용성과 실 가능성에

한 객 인 평가를 확인하고 시스템의 직 인 인터페이스 설계를

해 메뉴와 아이콘 등에 한 검토를 확인받을 필요성이 있다. 향후 연구

에서는 외부 문가인 실제 개발하는 개발자, HCI 문가, 련 연구를

수행한 교육공학 연구자를 상으로 설계 략의 용을 통한 로토타입

등의 산출물을 개발하는 과정에 한 객 인 타당화 검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넷째, 문가 검토와 사용자 반응 평가로 시스템에 한 다양한 시사

을 도출할 수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의 기능으로 구

Page 117: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02 -

하지 못한 것들이 있었다. 를 들어, 360도 비디오를 찰할 때 시스템

에서 자동 으로 학생들의 유형화된 문제 행동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할

지에 한 사용자 반응 평가가 있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능이 실제로

구 될 수 있는지에 해서는 360도 카메라와 시스템 개발 문가와의

면담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60도 비디오를 가장 효과

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 무엇인지 지속 으로 연구하며 실제 학교

장에 합한 시스템을 후속 연구를 통해 개발할 필요가 있다.

Page 118: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03 -

[ 참 고 문 헌 ]

강 심, 황순 (2004). 모의수업을 통한 비특수교사의 반성 사고 유형과 수

. 아 시 아 교 육 연 구 , 5 (4), 55-80.

강정찬 (2016). 반성 성찰기법 활용을 통한 비교사의 수업설계 능력 향상

략 탐색. 학 습 자 심 교 과 교 육 연 구 , 1 6 , 231-261.

고호경, 남가 , 맹은경 (2013). 교사의 반성 수업 평가의 요소 수 에

한 사례 연구. 교 과 교 육 학 연 구 , 1 7(3), 839-868.

곽덕주, 진석언, 조덕주 (2007). 우리나라 비교사들의 ‘실천 경험에 한 반

성’의 특징. 교 육 학 연 구 , 4 5 , 195-223.

교육부 (2009). 학 교 교 육 내 실 화 를 한 교 원의 수 업 문성 제 고 방 안 . 세종:

교육부.

교육부 (2011). 임 용 시 험 사 고 제 도 입 등 교 사 신 규 채 용 제 도 개 선 방 안

발 표. 세종: 교육부.

권숙진, 정효정, 조항철 (2013). 웹 기반 마이크로티칭 시스템 개발. 한 국콘 텐 츠

학 회 논문지 , 1 3 (9), 467-475.

길양숙 (2010). 소집단별 수업계획과 반성 쓰기가 비교사의 수업에 한

반성 정도에 미치는 향. 교 원교 육 , 2 6 (4), 163-179.

김민정 (2010). 비교사 교육을 한 e-포트폴리오 시스템 개발 설계기반 연구.

교 육 정 보 미 디 어 연 구 , 1 6 (4), 525-552.

김상경 (2012). 디지털포트폴리오를 용한 비 어교사 수업의 학습효과. 멀

티 미 디 어 어 교 육 , 1 5 (3), 35-6.

김성종, 이 주 (2015). 교사의 수업 성찰 지원도구로서 태블릿의 가능성 탐색.

교 원교 육 , 3 1 (4), 55–75.

김수천 (1982). Dewey의 교육 과 반성 사고. 춘 천 교 육 학 논문집 , 2 2 ,

235-254.

김 지, 진춘화, 이상수 (2017). 응 수업을 한 상호작용 어 리 이션

로토타입 개발. 교 육 정 보 미 디 어 연 구 , 2 3 (1), 139–168.

김혜림 이미자. (2017). 임교사의 자기 수업성찰 실행연구. 학 습 자 심 교 과 교

육 연 구 , 1 7, 333-358.

나일주, 정 미 (2001). 웹기반 가상교육 로그램 설계를 한 활동모형 개발.

교 육 공 학 연 구 , 1 7(2), 27-52.

Page 119: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04 -

박기용 (2013). 교사의 수업설계 문성 개발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연구. 교

육 공 학 연 구 , 2 9(4), 783-814.

박기용, 배 직, 강이철 (2009). 교육실습에서 비교사의 수업설계 과정에 한

사례연구. 한 국교 원교 육 연 구 , 2 6 , 169–197.

박상옥, 오 숙 (2012). 비 등 어교사 교육에서 마이크로티칭의 효과- 비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교 사 교 육 연 구 , 5 1 (1), 59-74.

박선희, 최미나, 이승기 (2008). 구조화된 인지 성찰일지가 메타인지와 학업성

취에 미치는 향에 환 연구. 공 학 교 육 연 구 , 1 1 (1), 5-13.

박성익, 임철일, 이재경, 최정임 (2015). 교 육 방 법 의 교 육 공 학 이 해 . 주: 교

육과학사.

박성혜 (2007). 교육 실습을 통한 등 비 교사들의 개인 교수효능감과 결

과기 감의 변화. 한 국교 원교 육 연 구 , 2 4 (1), 271-297.

박수경, 김상달, 조주환 (1992). 마이크로티칭 방식의 수업장학이 지구과학과 교

육실습생의 수업기술에 미치는 효과: 질문기술과 피이드백 기술을 심으

로. 한 국지 구 과 학 회 지 , 1 3 (3), 269-282.

박정 , 최의창 (2010). 반성 마이크로티칭에 나타난 비 체육교사의 실천

지식 내용과 수 분석. 체 육 과 학 연 구 , 2 1 (4), 1595–1614.

박태정 (2015). 이 러 닝 환 경 에 서 의 감 성 어 포 던 스 설 계 원리 개 발 . 서울 학

교 학원 박사학 논문.

백순근, 함은혜, 이재열, 신효정, 유 림 (2007). 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구성

요인에 한 이론 고찰. 아 시 아 교 육 연 구 , 8 (1), 47-69.

변 계, 김경 (2005). 수 업 장학 과 수 업 분 석 . 서울: 학지사.

서경혜 (2011). 온라인 교사공동체의 력 문성 개발 : 인디스쿨 사례연구.

한 국교 원교 육 연 구 , 2 8 (1), 133-161.

서경혜 (2012). 비교사들의 력 수업연구에 한 실행연구 한 국교 원교 육

연 구 , 2 9(2), 49-78.

서윤경 (2009). 비 교사를 상으로 한 마이크로티칭의 효과와 운 략 탐

색. 한 국교 원교 육 연 구 , 2 6 (4), 271-297.

서희 , 변윤희 (2013). 비유아교사를 한 u-멘토링 교육실습 지도 방안 연

구. 교 육 정 보 미 디 어 연 구 , 1 9(2), 283-13.

소경희 (2006). 교사 문성으로서의 ‘연계 문성’ 논의가 등교사양성 교육

과정에 주는 함의. 교 육 과 정 연 구 , 2 4 (2), 277-297.

Page 120: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05 -

손성호 (2014). SNS기반 교사공동체를 통한 실천 지식 형성과정 탐색. 한 국

교 원교 육 연 구 , 3 1 (2), 18-201.

손승남 (2005). 교사의 수업 문성 에서 본 교사교육의 발 방향. 한 국교 원

교 육 연 구 , 2 2 , 89-108.

손지 (2006). 학과 교실 장이 연계된 교육실습: 미국의 미술 교사 교육 사

례 심으로. 미 술 교 육 연 구 논총 , 1 9, 77–98.

신민희 (1998). 자기조 학습이론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의미, 구

성요소, 설계원리. 교 육 공 학 연 구 , 1 4 (1), 143-156.

심미자, 설양환 (2007). 비교사의 교육정보화 능력 향상을 한 e-티칭 포트폴

리오 활용 방안. 교 육 정 보 미 디 어 연 구 , 1 3 (1), 309-329.

오정숙, 백상수, 차정호 (2013). 교실응답시스템 활용에 한 비교사의 인식.

한 국교 육 문제 연 구 , 3 1 (2), 137-155.

이상수 (2016). 지속 수업개선을 한 자기수업컨설 모형 탐색. 교 육 신 연

구 , 2 6 , 17-42.

이상수, 강정찬, 이유나, 오 범 (2012). 체 계 수 업 분 석 을 통 한 수 업 컨 설 .

서울: 학지사.

이 주 (2012). 동료피드백 활동을 통한 비교사들의 수업설계능력 향상에

한 연구: ASSURE 모형활용 수업지도안 작성을 심으로. 교 육 공 학 연

구 , 2 8 (4), 687–706.

이 주 (2016). 교사의 수업 문성 향상을 한 테크놀로지 활용 동향 분석. 한

국교 원교 육 연 구 , 3 3 (4): 23-43.

이은철 (2017). 온라인 력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 학업성취 수 에 한

력스크립트 형태의 토론 성찰일지 작성의 효과성 검증. 교 육 공 학 연 구 ,

3 3 (2), 239-267.

이재열 (2017). 행 동 기 술 평 정 척 도 를 활 용 한 비 교 사 의 실 천 교 수 역 량 평

가 도 구 개 발 타 당 화 연 구 . 서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정은, 차 진 (2016). 비교사의 e-티칭포트폴리오 활용에서 성찰 지원을

한 루 릭 모바일 어 리 이션 로토타입 개발에 한 연구. 교 육 정 보

미 디 어 연 구 , 2 2 (3), 533–559.

이진향 (2002). 교사의 수업개선을 한 반성 사고의 의미 고찰. 한 국교 원교

육 연 구 , 1 9(3), 169-18.

이 경 (2017). 컴퓨터 기 반 력 문제 해 결 에 서 성 찰 스 캐폴 딩 설 계 원리 개

Page 121: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06 -

발 연 구 . 서울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이 , 소 순 (2017). 력 성찰을 통한 어 교사의 문성 향상에 한 사

례연구. T h e S N U J o u r n a l o f E d u ca t i o n R e s e a r ch , 2 6 (3), 117–147.

이혜정, 최명숙 (2010). 등학교 교사를 한 웹기반 수업설계지원시스템

(WIDSS) 의 개발 용. 교 육 정 보 미 디 어 연 구 , 1 6 (2), 223–248.

임찬빈, 이화진 (2006). 수 업 문성 일 반 기 과 활 용 방 안 . 진천: 한국교육과

정평가원.

임철일, 윤순경, 박경선, 홍미 (2009). 온라인 지원 시스템 기반의 “창의 문

제해결 모형” 을 활용하는 통합형 학 수업 모형의 개발. 교 육 공 학 연 구 ,

2 5 (1), 171–203.

임철일, 한형종, 홍 일, 이선연, 이은 , 장수 (2016). 스마트 교육의 효과 운

을 한 비교사 역량 향상 교육 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교 육 정 보

미 디 어 연 구 , 2 2 (2), 351-380.

장경원 (2012). AI (Appreciative Inquiry) 기반 수업 역량 향상 로그램 개발

연구. 열 린 교 육 연 구 , 2 0 , 157–186.

장경원, 김희정 (2012). 학습자 심교육을 한 교사역량요소 도출 비교사

와 직교사의 인식 비교. 학 습 자 심 교 과 교 육 연 구 , 1 2 , 285-310.

장선 , 박인우, 기창원 (2010). 의과 학 문제 심학습에서 성찰 유형 문제

심학습 경험수 에 따른 성찰의 수 분석-비 성찰을 심으로.

교 육 공 학 연 구 , 2 6 (1), 145-185.

정가윤, 배성아 (2011). 비교사의 과학수업개발을 한 동 수업연구

(Lesson Study) 의 효과. 교 과 교 육 학 연 구 , 1 5 (4), 1061–1080.

정동훈 (2017). 가상 실에 한 사용자 의 이론과 실제. 정 보 화 정 책 ,

2 4 (1), 3-29.

조덕주 (2006). 교사의 반성 교육실천을 한 이론 기 탐구. 교 육 학 연 구 ,

4 4 , 105-133.

조덕주 (2009). 반성 사고 심 비교사 교육 로그램 개발을 한 기 연

구. 한 국교 원교 육 연 구 , 2 6 , 411-436.

조 남 (2011). 마이크로티칭과 등 비교사교육 등 비교사들의 인식과

자기평가를 심으로. 등 교 육 연 구 , 2 4 (1), 65-84.

허창수 (2007). 교육지식을 재구성하는 장으로서 교육실습: 다섯 교육실습생 경

험을 심으로. 교 육 과 정 연 구 , 2 5 (1), 95-127.

Page 122: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07 -

홍미 (2012). 창 의 문제 해 결 을 한 이 러 닝 지 원시 스 템 설 계 원리 개 발 연

구 : C P S 모 형 을 심 으 로 . 서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황은희, 백순근 (2008). 등교사의 실천 교수역량에 한 자기평가와 문가

평가의 비교연구. 교 육 평 가 연 구 , 2 1 , 53-74.

Abell, S. K., Bryan, L. A., & Anderson, M. A. (1998). Investigating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 reflective thinking using

integrated media case‐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Science education, 82(4), 491-509.

Adler, S. (1991). The reflective practitioner and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17(2), 139-150.

Allen, D. W., Cooper, J. M., & Poliakoff, L. (1972). Microteaching (No. 17).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Office of Education,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

Argyriou, L., Economou, D., & Bouki, V. (2017). 360-degree interactive video

application for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3rd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mmersive Learning Research Network. Verlag der

Technischen Universität Graz.

Bain, J. D., Ballantyne, R., Packer, J., & Mills, C. (1999). Using journal

writing to enhance student teachers’ reflectivity during field experience

placements. Teachers and Teaching, 5(1), 51-73.

Bandura, A. (2010). Self‐efficacy. The Corsini encyclopedia of psychology,

1-3.

Beauchamp, C. (2015).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issues emerging from

a review of current literature. Reflective Practice, 16(1), 123-141.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Bryan, L. A., & Recesso, A. (2006). Promoting reflection among science

student teachers using a web-based video analysis tool. Journal of

Computing in Teacher Education, 23(1), 31-39.

Cho, Y. H., & Huang, Y. (2014). Exploring the link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nd video-based reflection in wiki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5, 39-53.

Page 123: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08 -

Colton, A. B., & Sparks-Langer, G. M. (1993). A conceptual framework to

guide the development of teacher reflection and decision making.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4(1), 45-54.

Creswell, J. W. (2009).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Thousand Oak, CA: Sage.

Davis, L. L. (1992). Instrument review: Getting the most from a panel of

experts. Applied Nursing Research, 5(4), 194-197.

Dewey, J. (1933). How we think: A restatement of the relation of reflective

thinking to the educative process. New York: D.C. Heath and

Company.

Du Toit, P. H.(1990). Microteaching as meta-learning opportunity for

lecturers in teaching. Di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1(6), 1920.

Emery, W. G. (1996). Teachers' critical reflection through expert talk.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7(2), 110-119.

Engelberg, D., & Seffah, A. (2002). A framework for rapid mid-fidelity

prototyping of web sites. IFIP World Computer Congress, TC 13(pp.

203–215). Springer, Boston, MA.

Fadde, P. J., & Zhou, T. (2014). Technical considerations and issues in

recording and producing classroom video. Digital video for teacher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201-216.

Gibson, J. J. (1977). The theory of affordances. Hilldale, USA, 1(2).

Gore, J. M., & Zeichner, K. M. (1991). Action research and reflective

teaching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 case study from the United

Stat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7(2), 119-136.

Grant, J. S., & Davis, L. L. (1997). Selection and use of content experts for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3),

269-274.

Griswold, S. L. (2005). Videotaped performances: Guiding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in a competency-based framework.

Doctoral dissertation, Capella University.

Hatton, N., & Smith, D. (1995).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Towards

definition and implement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1(1),

Page 124: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09 -

33-49.

Ibrahim-Didi, K. (2015). Immersion within 360 video settings: Capitalising on

embodied perspectives to develop reflection-in-action with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Learning for life and work in a complex world. 38, 235-245.

Jonassen, D. H. (1991). Hypertext as instructional desig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39(1), 83–92.

Kolb, D. A. (2014).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FT press.

Koross, R. (2016). Micro teaching an efficient technique for learning effective

teaching skills: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 IRA-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 Multidisciplinary Studies, 4(2), 289–299.

Korthagen, F, A. J. (2001). Linking Practice and Theory: The Pedagogy of

Realistic Teacher Educa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Korthagen, F, A. J., Kessels, & JPAM. (1999). Linking theory and practice:

changing the pedagogy of teacher education. Educational Researcher,

28(4), 4–17.

Korthagen, F., & Vasalos, A. (2005). Levels in reflection: Core reflection as

a means to enhance professional growth. Teachers and Teaching, 11(1),

47–71.

Korthagen, F., & Verkuyl, H. S. (2007). Do you encounter your students or

yourself? The search for inspiration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teacher education. In Enacting a Pedagogy of Teacher Education (pp.

116–133). Routledge.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Lee, J. Y., & Lee, J. Y. (2015). An Experiential Analysis of Self-Reflection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2), 219-241.

Lim, J. H., Bhang, S. H., & Lee, J. (2011). A Study of Teaching Critique

Using Video for Enhancing Teaching Expertise for Pre-Service

Teacher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7(4), 141-163.

Page 125: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10 -

Mezirow, J. (1990). How critical reflection triggers transformative learning.

Fostering critical reflection in adulthood, 1(20), 1-6.

Miller, M. J. (2009). Talking about our troubles: using video‐based dialogue

to build preservice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The Teacher

Educator, 44, 3, 143–163.

Moon, J. A. (2013). Reflection in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Routledge

Nielsen, J. (1995). How to conduct a heuristic evaluation. Nielsen Norman

Group, 1, 1–8.

Perlberg, A.(1989). Conceptual and theoretical bases of microteaching. In

Eraut, M.(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al technology.

Oxford: Pergamon.

Pulijala, Y., Ma, M., & Ayoub, A. (2017). VR surgery: Interactiv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for training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using

oculus rift and leap motion. In Serious Games and Edutainment

Applications (pp. 187–202). Springer.

Pultorak, E. G. (1996). Follow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reflection in

novice teachers Three years of investig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7(4), 283-291.

Reigeluth, C. M. (1983).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Routledge.

Rich, P. J., & Hannafin, M. (2009). Video annotation tools: Technologies to

scaffold, structure, and transform teacher reflec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0(1), 52-67.

Richey, R. C., & Klein, J. D. (2007).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 strategies and issu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 Publishers.

Rodgers, C. (2002). Defining reflection: Another look at John Dewey and

reflective thinking. Teachers College Record, 104(4), 842–866.

Rogers, S. F., & Tucker, B. H. (1993). Video Portfolios: Collaborations in

Literacy Teaching Assessmen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College Reading Association, Richmond, VA.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364879)

Page 126: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11 -

Rubio, D. M., Berg-Weger, M., Tebb, S. S., Lee, E. S., & Rauch, S. (2003).

Objectifying content validity: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tudy in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ork research, 27(2), 94-104.

Schö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London: Temple Smith.

Schön, D. A. (1987).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San Francisco:

Jossey-Bass.

Shepherd, C., & Hannafin, M. (2009). Beyond recollection: Reexamining

preservice teacher practices using structured evidence, analysis, and

reflection.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17(2),

229-251.

Schluman, L.S.(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a new 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Tigelaar, D. E., Dolmans, D. H., Wolfhagen, I. H., & Van der Vleuten, C. P.

(2004).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rame work for teaching

competences in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48, 253-268.

Trent-Wilson, V. (1991). The effects of a microteaching program upon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preservice teacher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1(9), 2676-2677.

Tse, A., Jennett, C., Moore, J., Watson, Z., Rigby, J., & Cox, A. L. (2017).

Was I there? Impact of platform and headphones on 360 video

immersion. In Proceedings of the 2017 CHI conference 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2967-2974).

Van Es, E. A., & Sherin, M. G. (2008). Mathematics teachers’ “learning to

notice” in the context of a video club.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2), 244-276.

Van Manen, M. (1977). Linking ways of knowing with ways of being

practical. Curriculum Inquiry, 6(3), 205–228.

Van Manen, M. (1991). Reflectivity and the pedagogical moment: The

normativity of pedagogical thinking and acting. J. Curriculum Studies,

23(6), 507-536.

Virzi, R. A. (1992). Refining the test phase of usability evaluation: How

many subjects is enough?. Human factors, 34(4), 457-468.

Page 127: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12 -

Walshe, N., & Driver, P. (2019). Developing reflective trainee teacher practice

with 360-degree video.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78, 97-105.

Wright, G. A. (2008). How does video analysis impact teacher reflection

for-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righam Young

University, Provo, UT. Retrieved from https://scholarsarchive.byu.edu/

cgi/viewcontent.cgi?article=2361&context=etd

Zeichner, K. M. (1994). Research on teacher thinking and different views of

reflective practice i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Teachers’ minds

and actions: Research on teachers’ thinking and practice, 9-27.

Zeichner, K.M. & Liston, D. P. (1987). Teaching student teachers to reflect.

Harvard Educational Review. 56(1), 23-4.

Page 128: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13 -

부 록

[부록 1] 내 타당화를 한 문가 타당화 설문지

[부록 2] 연구 참여자용 설명문

[부록 3] 설계 략을 용한 시스템 로토타입 주요 화면 설명 시

Page 129: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14 -

[부록 1] 내 타당화를 한 문가 타당화 설문지(타당도 검토 부분)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 략 개발’에

한 2차 문가 타당화

안녕하십니까? 는 서울 학교 교육학과 교육공학 공 석사과정 4학기

에 재학 인 이지연입니다.

본 설문지는 3 6 0 도 비 디 오 를 활 용 하 여 교 사 의 수 업 성 찰 을 지 원하 는

시 스 템 설 계 략 개 발 을 해 도출된 략에 한 타당화를 받기 해 제

작되었습니다. 문가로서 검토해주신 의견은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 략 타당화에 요하게 활용될 것입니다.

본 설문지는 1 ) 문가 인 사 항 , 2 ) 연 구 의 소 개 , 3 ) 설 계 략 에 한

타 당 화 설 문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설문에 응답하시는 의견은 자유롭게 기술해주시기 바라며, 이해가 되

지 않는 부분, 는 추가 인 설명이 필요한 부분은 문의해주시기 바랍니

다. 본 질문의 응답과정 시 소요될 상 시간은 약 3 0 분 정도입니다.

문가 인 사항으로 기재된 사항 이름은 자료 식별용으로만 사용되

어 논문에는 언 되지 않을 정이며 공분야, 최종학력, 소속, 경력만 논

문에 제시될 정입니다.

바쁘신 와 에 설문에 참여해 주시면 단히 감사하겠습니다.

이지연 드림

서울 학교 교육학과 교육공학 공

Page 130: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15 -

[ 문가 타당화 설문]

다음은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수업성찰 지원 설계 략에 한 타당화 설

문입니다. 해당하는 곳에 체크(√)표시 해주시기 바랍니다.

* 용어 표 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 용어)로 표시하여 주시면 이에

한 의견도 최 한 반 하도록 하겠습니다. 시) 성찰(-> 반성)

1) 설계 략 반에 한 문가 검토

역 문항

매 우

그 다

(4 )

그 다

(3 )

그 지

않 다

(2 )

매 우

그 지

않 다

(1 )

타당성

본 설계 략은 360도 비디오

를 활용하여 교사의 수업성찰

을 효과 으로 지원하기 한

시스템의 설계 략으로 타당

하다.

□4 □3 □2 □1

설명력

본 설계 략은 360도 비디오

를 활용하여 교사의 수업성찰

을 지원하기 해 시스템에서

고려해야 할 략을 잘 설명

하고 있다.

□4 □3 □2 □1

유용성

본 설계 략은 360도 비디오

를 활용한 수업성찰 지원 시

스템을 설계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4 □3 □2 □1

보편성

본 설계 략은 360도 비디오

를 활용한 수업성찰 지원 시

스템을 설계할 때 보편 으로

활용될 수 있다.

□4 □3 □2 □1

Page 131: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16 -

이해도

본 설계 략은 360도 비디오

를 활용하여 교사의 수업성찰

을 효과 으로 지원하기 해

고려해야 할 략을 이해하기

쉽게 표 하고 있다.

□4 □3 □2 □1

기타

의견

* 해당 략에 한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Page 132: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17 -

개별 설계 략 지침에 한 타당화

구 성 요 소 일 반 설 계 략 세 부지 침

매 우

(4 )

(3 )

지 않

(2 )

매 우

지 않

(1 )

수업 설계

자료

개발

1. 수업 련 다양한 자료를 사례로 제공하

는 공간을 설계하라.□4 □3 □2 □1

1.1. 자기, (동료)교사, 문교사의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자료, 수업 동 상 등 수업

련 자료를 공유하는 공간을 설계하라.

- 시: 시스템 사용자간 수업 련 자료

공유, 외부 사이트 연계

□4 □3 □2 □1

1.2. 자료에 한 검색이 용이하도록 검색

필터와 검색창을 설계하라.

- 시: 학교 , 학년, 교과, 단원, 차시 구분

필터 구성

□4 □3 □2 □1

1.3. 수업분석을 한 자기 수업 동 상 업

로드시 사례도서 에 공유하도록 하여 풍부

한 사례를 축 하도록 하라.

□4 □3 □2 □1

2. 공유된 자료에 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설계하라.□4 □3 □2 □1

2.1. 교수학습과정안, 수업자료, 수업 상에

한 상호 피드백을 한 공간을 설계하라.

- 시: 좋아요, Time stamp, Note 기능

□4 □3 □2 □1

2.2 수업 동 상에 한 구조화된 평가를

한 기능을 설계하라.

- 시: 실천 교수역량 평가 도구 추가

□4 □3 □2 □1

2.3. 문가 수 의 교사와 비교사의 피드

백이 구분되어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계하

라.

- 시: 등 제도 구 , 문가의 경우, 피드

백 형태(음성, 텍스트 등) 다양화

ex) 외부 tool 턴잇인 연계 가능

□4 □3 □2 □1

3. 360도 카메라를 활용한 수업 촬 분 □4 □3 □2 □1

Page 133: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18 -

구 성 요 소 일 반 설 계 략 세 부지 침

매 우

(4 )

(3 )

지 않

(2 )

매 우

지 않

(1 )

360도 수업

동 상

석의 목 과 필요성에 해 인식할 수 있도

록 설계하라.

3.1 360도 카메라 극 활용을 한 360도

활용 수업 성찰의 장 과 효과에 한 안내

를 제공하라

- 시: 360도 비디오에 한 잠재성 안내 자

료 제공

□4 □3 □2 □1

3.2 360도 카메라를 활용 방법에 한 안내

를 제공하라.

- 시: 수업 촬 상 편집에 한 안내

(유튜 연계)

□4 □3 □2 □1

4. 수업 동 상의 용이한 찰을 한 공간

을 설계하라.□4 □3 □2 □1

4.1 동 상의 용이한 찰을 해 동 상을

분 화하여 업로드하도록 설계하라.

- 시: 동 상 clip(약 10분)별 구분하여 순

서 로 제공

□4 □3 □2 □1

4.2 교수학습과정안과 동 상의 시간 별 비

교를 해 교수학습과정안을 시간 별로 구

분하여 업로드하도록 설계하라.

□4 □3 □2 □1

수업 찰

5. 수업 상에 한 실재감 높은 수업 찰

을 한 공간을 설계하라.□4 □3 □2 □1

5.1. 실재감 높은 찰을 한 360도 비디오

모드를 제공하라.

- 시: 일반 PC 화면과 VR 헤드셋(HMD)

모드 제공

□4 □3 □2 □1

5.2. 360도 비디오 찰시 교사-학습자 상호

작용,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확인

상에 한 주의 집 을 한 메시지를 제공

하라.

- 시: 상 팝업 메시지 제공

□4 □3 □2 □1

수업분석6. 수업 계획과 실제를 비교하여 문제를 확

인하도록 설계하라.□4 □3 □2 □1

Page 134: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19 -

구 성 요 소 일 반 설 계 략 세 부지 침

매 우

(4 )

(3 )

지 않

(2 )

매 우

지 않

(1 )

6.1 교수학습과정안과 동 상을 비교, 조

하며 찰할 수 있도록 시간에 따라 교수학

습과정안이 확인되도록 설계하라.

- 시: 교수학습과정안 동시 비교

□4 □3 □2 □1

6.2 본인의 수업에 해 스스로 객 인 평

가를 한 온라인 루 릭 평가 기능을 제공

하라.

- 시: 실천 교수역량 평가 도구 추가

□4 □3 □2 □1

수업성찰

7. 수 별 수업성찰을 지원하라. □4 □3 □2 □1

7.1 단원별 수업 활동에 한 구조화된 성찰

을 할 수 있도록 성찰 롬 트를 제공하라.

- 시: 성찰 련 질문에 답변하는 형식의

구조화된 성찰일지 작성

□4 □3 □2 □1

7.2 성찰 수 이 올라갈 때마다 심도 깊은

성찰 교수방법을 지원하기 한 공간을 설

계하라.

- 시: 벽쌓기 학습활동을 통한 비 수

의 수업성찰 지원

□4 □3 □2 □1

8. 본인의 객 인 성찰 수 을 확인하도록

설계하라.□4 □3 □2 □1

8.1. 참여도, 분석 결과를 자동 계산하여 개

인의 성찰 수 을 즉각 으로 확인하도록

하라.

- 시: 수 결과 그래 형태로 시각화하

여 제공

□4 □3 □2 □1

8.2. 자기, (동료)교사, 문가의 수업 평가 결

과를 시보드, 시각화 형태로 제공하라.□4 □3 □2 □1

8.3 필요한 경우, 수 결과에 한 추가

인 피드백을 확인하도록 설계하라.□4 □3 □2 □1

도움말

안내

9. 지원시스템을 통한 수업성찰을 해 반

인 안내를 제공하라.□4 □3 □2 □1

9.1 지원시스템 사용에 한 반 인 안내

를 제공하라.□4 □3 □2 □1

Page 135: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20 -

마지막으로 본 연구 설계 략 반에 해 의견이 있으신 경우 자유롭게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설문에 응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구 성 요 소 일 반 설 계 략 세 부지 침

매 우

(4 )

(3 )

지 않

(2 )

매 우

지 않

(1 )

- 시: 안내 매뉴얼 제공

9.2 360도 비디오를 활용한 성찰 단계 과정

세부 활동을 시각화하여 제공하라.

- 시: 시스템 설명 구성요소 시각화

□4 □3 □2 □1

9.3. 지원시스템 구성요소별 활동에 한 안

내를 제공하라.

- 시: 사례도서 , 수업분석, 수업성찰 활

동 단계 시작시 안내 제공

□4 □3 □2 □1

10. 필요할 때마다 정보를 제공하기 한

응 인 안내를 설계하라.□4 □3 □2 □1

10.1 기능별 세부 안내가 필요한 경우 팝업

메시지 형태로 도움말을 제공하라.

- 시: 마우스 근시 도움말 팝업 형태로

제공

□4 □3 □2 □1

10.2 시스템 버그 사용법 안내를 한

Q&A 게시 공간을 설계하라.□4 □3 □2 □1

Page 136: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21 -

[부록 2] 연구 참여자용 설명문

연 구 참 여 자 용 설 명 문

논문명 : 3 6 0 도 비 디 오 활 용 수 업 성 찰 지 원 설 계 략 개 발

연 구 자 : 서 울 학 교 교 육 학 과 교 육 공 학 공 이 지 연

안녕하세요? 는 재 석사학 논문으로, 교사의 수업 문성 향상을 한 수업성찰을 보다

효과 으로 지원하기 한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설계 략 개발 연구>를 수행

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S 교 부설 등학교 교육실습생으로서, 본 연구에 참여하도록 추천받았습니다.

연구에 한 간단한 내용을 설명해드릴 정이며, 여러분들 스스로 참여하겠다고 결정한

학생만 연구에 참여하게 될 것입니다. 다음 내용을 읽어본 후 연구에 참여할 것인지를 결정

해주시기 바라며, 만일 질문이 있다면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1. 이 연구는 왜 실시합니까?

이 연구는 교사의 수업 문성을 향상하기 하여 효과 으로 수업 성찰을 지원하는 시스템

을 설계하기 해 무엇을 고려해야하는지를 알기 한 것입니다.

2. 만일 연구에 참여하면 어떤 과정이 진행됩니까?

만일 여러분이 연구에 참여하겠다고 결정하면 여러분의 수업 실습 장면을 360도 카메라로

촬 하고, 연구자가 설계한 시스템 로토타입 내에서 촬 된 상물을 찰하며 수업성찰

을 실시할 정입니다. 이후 시스템의 장 과 단 , 개선 에 한 설문 면담이 이루어질

정이며, 면담 내용은 녹음될 정입니다.

3. 면담 소요 시간은 얼마나 됩니까?

면담은 30분에서 1시간 정도 소요될 정입니다.

동 의 서

1. 나는 이 설명서를 읽었습니다.

2. 나의 모든 궁 한 을 완 히 이해할 수 있도록 연구원에게 설명 받았습니다.

3. 나는 이 연구에 참여할 것을 동의합니다.

4. 나는 수업이 촬 되고, 면담 진행 녹음이 진행되는 것에 동의합니다.

□ 동 의 함 (5 번으 로 이 동 ) □ 동 의 하 지 않 음

5. 동의한다면, 수업 촬 가능일과 면담 가능일을 작성해주세요.

수업 촬 일 ( ), 면담 가능일 ( )

연구 참여자 성명 서명 날짜(년/월/일)

Page 137: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22 -

[부록 3] 설계 략을 용한 시스템 로토타입 주요 화면 설명 시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로토타입]

▷ 수업 설계 자료 개발’ 일반 설계 략 : Case Library

1. 수업 설계시 수업과 련된 다양한 사례를 참고할 수 있도록 설계하라.

- 1.1.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 자료, 수업 비디오 공유

2. 공유된 자료에 해 피드백 활동이 이루어지고 상시 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하라.

- 2.1. 상호 피드백 지원 기능 제공

Page 138: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23 -

▷ ‘수업 찰 분석’ 일반 설계 략 : 수업분석

5. 360도 수업 비디오에 한 실재감 높은 수업 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라.

- 5.1. 360도 비디오 모드 제공

6. 수업 계획과 실제를 비교하여 문제를 확인하도록 설계하라.

- 6.1. 교수학습과정안과 수업 비디오 비교, 조

Page 139: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24 -

▷ ‘수업성찰’ 일반 설계 략 : 수업성찰, My dashboard

9. 심도 깊은 수업성찰을 한 활동을 제공하라.

- 9.1. 구조화된 성찰 롬 트 제공

10. 본인의 수업성찰 수 에 해 객 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라.

- 10.1. 체 인 시스템 활용도, 분석 결과 자동 계산하여 개별 수 확인

Page 140: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25 -

▷ ‘도움말 안내’ 일반 설계 략

11. 지원 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성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를 제공하라.

- 11.3. 지원 시스템 구성요소별 활동에 한 안내 제공

Page 141: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26 -

Ab s t r a ct

D e v e l o p m e n t o f D e s i g n S t r a t e g i e s

f o r a R e f l e ct i v e T e a ch i n g S u p p o r t

S y s t e m

U s i n g 3 6 0 ° V i d e o

Jiyeon Lee

Department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 change and innovation to occur within education at the K-12 level, the

expertise of teachers, especially instructional expertise, is important. One

methodology that helps teachers improve their practical instructional expertise is

reflective teaching. Reflective teaching enables the improvement of teachers’

instructional expertise through a series of procedures that allow them to analyze

and evaluate their own and each other’s teaching strategies and behaviors,

leading them to make better decisions in their classroom.

As much of the recent studies regarding class analysis and reflection focus

on doing so through video and e-teaching portfolios, there is a limited number

of studies that utilize new technologies such as 360° videos. 360° videos are

immersive and possess the potential to perceive both the classroom atmosphere

and overall student interactions that occur within the classroom. Despite this

potential, there is a lack of research in the technology’s comprehensive and

Page 142: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27 -

systematic use and utilization. In order to support teachers’ continuous and

systematic reflective teaching through 360° videos, an online support system is

deemed suit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sign strategies for a reflective

teaching support system using 360° videos. This will be done through utilizing

the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design strategies for the system

to effectively support reflective teaching using 360° videos? Second, are the

developed design strategies intrinsically valid? Third, what are the reactions of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the developed design strategies and the system

prototype?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the design strategie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eps and procedures of the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Literature and case studies were first reviewed and

analyzed to derive the research’s preliminary components, design strategies, and

detailed guidelines. Following this, experts with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who have had extensive research experience and abundant research

performance were asked to evaluate the created initial design strategies. After

revising the design strategies from the acquired feedback, a system prototype

was developed and subjected to external validation. Finally, (preservice) teachers’

responses in regards to implementing the system prototype with 360° video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for the design strategies are the inclusion of 5 components, 12

design strategies, and 28 detailed guidelines. The components consist of “class

design and material development”, “360° video preparation”, “class observation

and analysis”, “reflective teaching”, and “help and guidance”. The design

strategies are composed of: 1) two design strategies for providing case studies

and feedback related to class design and material development; 2) two design

strategies for methodologies regarding video uploading and 360° camera usage

and preparation; 3) four design strategies for 360° video observation, class

analysis, and evaluation in regards to class observation and analysis; 4) two

design strategies for reflective teaching support and the level of reflection

needed for reflective teaching; and 5) two design strategies for guidance on how

to use the support system for help and guidance.

A reflective teaching support system prototype was developed by applying

Page 143: 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지원 시스템 설계전략 개발s-space.snu.ac.kr/bitstream/10371/166851/1/000000160432.pdf · 연구 결과, 360도 비디오 활용 수업성찰

- 128 -

the design strategies. The support system’s menu and detailed functions consist

of “Case Library, “Class Analysis”, “Reflective Teaching”, and “My Dashboard”.

The responses of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given a hands-on-experience

with the support system were investigated. The strengths and advantages of the

support system according to preservice teachers are that it allows the

monitoring of student reactions through 360° class observation, that practical

ways of teaching are accessible through provided case studies, that they could

explore and investigate any classroom issues, that they could discover and

understand different directions to improve their class through multiple

perspectives and various feedback methods, and that they could receive support

for reflective teaching through the dashboard. The weaknesses of the support

system prototype are that the method of reflection wa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that it was difficult to evaluate the class during video observation.

Considering these weaknesses, the design strategies were revised to provide

specific methodologies for reflective teaching activities as well as having the

design strategies reflect the actual evaluation process. Also, inservic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strengths of the support system were the ability to notice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seeing directions and

possibilities of class impr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The

mentioned weakness of the support system was that it did not effectively utilize

the functions of 360° videos. In order to address this weakness, the design

strategies were accommodated to allow observation using 360° videos to occur

more easily and to analyze the class more systematically.

This study presented design strategies to enable teachers to conduct effective

reflective teaching in a systematic environment.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hat

360° videos were used to provide practical and specific guidance in designing

and developing a reflective teaching support system or e-learning program to

enhance teachers’ instructional expertise.

k e y w o r d s : 3 6 0 ° v i d e o , r e f l e ct i v e t e a ch i n g , o n l i n e s u p p o r t s y s t e m ,

i n s t r u ct i o n a l e x p e r t i s e , t e a ch e r e d u ca t i o n

Student Number : 2 0 1 8 - 2 8 6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