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21
생태유아교육연구 2008. 7권제2, 83 - 103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about the Role of Art Teacher in the Pursuit of Aesthetic Art Education (Nam-Jung Choi)* 미술교육의 목표는 유아들이 자연, 사물, 사람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획득한 생각과 감 정을 자발적이고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모든 교육이 그러하듯 미술 교육 역시 교육 실천의 주체가 되는 미술교사의 역할에 따라 미술활동의 질이 결정된다. 즉 심미적 미술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미술교사가 심미적이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고 독창적인 미술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한 어린이집의 미술교사를 선정하여 인터뷰함으로써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의 역할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자 하였다. 그 결과 미술교사는 유년시절을 회상하거나 미술학원 교사시절을 잊음으로써, 새로운 것을 경험함으로써, 유아들을 이해하고 교사들과 의견 및 자료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심미감을 고취시키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심미적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교사 자 신의 인식변화가 필요하며, 가능한 교사도 심미적 경험을 하도록 해야 하고, 유아와 공감 하고자 노력할 뿐만 아니라 동료교사와 학습공동체를 이루어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해 주고 있다. 7) 주제어 심미적 미술교육(aesthetic art education), 미술교사(art teacher), 심미감(aesthetic sensibility) 논문 접수 : 2008. 6. 30 / 수정본 접수 : 2008. 8. 8 / 게재 승인 : 2008. 8. 18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 BK21 참여 대학원생([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02-Ju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생태유아교육연구

2008. 제7권 제2호 , 83 - 103

심미 미술교육을 한 미술교사 역할에

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about the Role of Art Teacher in the

Pursuit of Aesthetic Art Education

최 남 정(Nam-Jung Choi)*

요 약

미술교육의 목표는 유아들이 자연, 사물, 사람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획득한 생각과 감

정을 자발 이고 창의 으로 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모든 교육이 그러하듯 미술

교육 역시 교육 실천의 주체가 되는 미술교사의 역할에 따라 미술활동의 질이 결정된다.

즉 심미 미술교육이 이루어지기 해서는 미술교사가 심미 이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고 독창 인 미술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한 어린이집의 미술교사를

선정하여 인터뷰함으로써 심미 미술교육을 한 미술교사의 역할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자 하 다. 그 결과 미술교사는 유년시 을 회상하거나 미술학원 교사시 을 잊음으로써,

새로운 것을 경험함으로써, 유아들을 이해하고 교사들과 의견 자료를 나 는 과정을

통해 심미감을 고취시키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심미 교사가 되기 해서는 교사 자

신의 인식변화가 필요하며, 가능한 교사도 심미 경험을 하도록 해야 하고, 유아와 공감

하고자 노력할 뿐만 아니라 동료교사와 학습공동체를 이루어 력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해 주고 있다.

7)

주제어 심미 미술교육(aesthetic art education), 미술교사(art teacher),

심미감(aesthetic sensibility)

※ 논문 수 : 2008. 6. 30 / 수정본 수 : 2008. 8. 8 / 게재 승인 : 2008. 8. 18

* 부산 학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 BK21 참여 학원생([email protected])

Page 2: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8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Ⅰ. 서 론

미는 술의 본질로 인간으로 하여 쾌감의 감정을 수반하는 것이다. 인간이라면 구

나 본능 으로 감정을 정화시키고 고무시키는 미를 추구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

한 인간의 욕구는 때때로 술 활동을 통해 충족된다. 즉, 술은 인간생활의 유기 과

정의 일부이며 미를 형성하려는 의지와 감정의 한 표 인 것이다. 술교육은 술 경

험에 의해 지각력, 식별력, 상상력 등의 미 능력을 발달시켜 형 인 지각과 단을 극

복할 수 있게 하거나 술 문해력을 기르는 것이며(김수 , 2002) 주로 음악, 미술, 무

용 등의 술을 매개로 심미 형태와 차원까지 포함한다는 에서 심미 교육(한명희,

2002)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심미 교육의 목표는 Platon 이래로 지 까지 개인과 사회의 이상에 합치하고, 유기

으로 통일되고 조화로운 인간상을 형성하는 것, 다시 말해 심미 요소를 통해 미 인간

을 함양하는 것이었다(황향숙, 2005). 그러나 19세기 이후 두된 기계문명의 발 은 인

류 문화의 발달에 지 한 공헌을 한 과 인간의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었다는 에서

정 인 평가를 받는 것과 동시에 인간조차 하나의 기계로 여기기나 기계 문명의 노 로

락시킬 우려를 낳는 부정 인 결과를 야기시켰고, 이러한 기계 사고는 인간을 바라보

는 교육학 분야에 향을 미치게 되었다. 특히 유아교육분야에서는 유아를 아직

미성숙한 존재로 여길 뿐만 아니라 유아들이 보고, 듣고, 몸으로 느끼는 것에서 얻는 감

정에서 가능한 빨리 벗어나 느낌과 감정을 구체 인 언어로 표 하는 인지 심의 교육을

강조하게 되었다. 그 결과 유아들은 무엇이라고 이름 붙여질 수 없는 것 즉, 말로는 표

할 수 없는 것들을 놓치게 되었으며(Eisner, 1995), 언어 이외의 방식으로 표 되는 미술

과 같은 술교육을 지 발달과 무 한 것으로 여기게 되어 미 감수성을 지닌 인간을

형성하기 한 미술교육은 학교 교육의 주변부에 머물게 되었다(Eisner, 1995).

최근 근 모더니즘 시 에서 이성이 구축한 성, 객 성을 비 하고 보다 다양한

에서 인간과 세계와 교육을 보고자 하는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이성 심․지식 심의

획일화된 주입식 교육과 교과서에 한 지나친 의존도, 획일화된 평가 기 , 이분법 사

고 등을 반성하고, 그 동안 교육 역에서 소외되었던 분야- 를 들면 음악, 미술, 동작

등-에 해 심을 가질 것과 교육방법․내용 교사의 역할에 해 재조명할 것을 이야

기하고 있다.

그러나 미술교육이 생명을 존엄시 하고 상호간의 계맺음을 시하는 지․정․의의

인교육이어야 하며(김성숙, 2004), 유아들이 자연, 사물, 사람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느낀

Page 3: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심미 미술교육을 한 미술교사 역할에 한 사례 연구 ․ 85

생각과 감정을 자발 이고 창의 으로 표 (임진형, 2003)할 수 있도록 해야 함에도 불구

하고 기존의 미술교육은 주로 ‘표 ’ 역에만 치 되어 있다. 유치원 교육과정 표 생활

역이 ‘탐색’, ‘표 ’, ‘감상’ ‘표 ’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미술교육에서 유아의 감

수성 개발과 같은 균형잡힌 활동을 제공하지 못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우리

나라 유아교육에서의 미술교육은 미술과 련한 몇 가지 기능이나 기술을 습득한 사람이

라면 구나 유아들을 지도할 수 있다는 좁은 의미의 미술교육에 치 되어 있다. 그 결과

유아들은 미술을 통해서 다양한 체험을 하고 그 속에서 감각 인상을 받고, 감수성을 발

달시킬 수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미술 기법과 기능만을 습득하게 되었다. 그러

나 기능과 기법 주의 단편 인 미술지식을 가진 교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미술수업은 미

술교육의 목표를 제 로 이행하는 지의 여부와 교사가 새로운 형태의 미술교육 방법을 습

득하 다 할지라로 그것이 실제 미술교육 장에서 용되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모든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질이 교육의 질을 가늠하는 가장 큰 열쇠임은 이미 잘 알려

진 사실이다. 특히, 미술과 같은 술교육에 있어서는 그것을 가르치기 한 특별한 기능

과 기술이 있어야 하므로 다른 어떤 교과보다도 교사의 역할이 더욱 요하다. 다시 말해

미술을 가르치는 교사의 교육 이나 교육철학, 교수매체의 소개법이나 교수방법이 어떠한

가에 따라 그 수업의 질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그 로 발도로 교육

에서는 인지교육보다는 다양한 자연 속에서 각 개인의 내 감수성을 발달시킬 것을 강조

하면서 특히 연령이 어린 유아일수록 지시교육이나 교과서에 의존한 수업을 지양하고 있

으며, 지오 에 리아에서는 이탈리아 특유의 아름다움과 미학을 강조하면서 유아들에게

다양한 매체와 장학습 등을 통하여 술 심미감을 고취시키고 있다. 이러한 을 고

려해 볼 때 심미 인 미술교육이 이루어지기 해서는 그 기 의 교육방침이나 물리 환

경 등이 고려되어야 하겠지만 그 에서도 가장 우선 으로 유아 미술을 담당하는 미술교

사가 미 인식을 지닌 사람으로 아름다움에 해 고문 일 필요가 있으며(정은경,

2002), 심미 미술교육을 해 노력하고자 하는 의식의 환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

다. 이와 련하여 포스트모더니즘 술의 에서는 일상 인 우리의 삶 속에서 술

기능을 부활시키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으며, 미 감수성이 풍부한 미술수업

이 이루어지기 해서는 기존의 모더니즘 기능 주이 틀에서 벗어나 미술을 통해 창의

으로 자기표 을 하면서 미 감수성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 일련의 학자들(Green, 1981; 김수 , 2002, 재인용; Shirrmacher, 1997; 김혜

숙, 2007; 이병 , 2006; 임부연, 2007a)은 술 능력을 한 ‘교수와 학습’의 요성을

강조하면서 술 능력이나 자질이 일정부분 타고난 것이라고 하더라도 술 경험이나

Page 4: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8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교육이 없이는 타고난 술 능력조차도 발휘하기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에서 볼 때 심미감이 풍부한 미술교사가 유아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 주는 것은 미

술교육 자체를 심미감이 넘치는 것으로 이끌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으며, 유아들은

교사에 의해 제공되는 심미감을 증진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느낀 바를 표 하게

되고, 미술 행동 발달은 다양한 미술 매체와의 친숙한 만남 속에서 형성될 수 있을 것

이다(임부연, 2005, 2007b).

미술활동은 심미 역이며 유아의 감성의 발달은 조기에 성장시킬 수 있다는 을 고

려한다면 아주 어린 유아기부터 각 매체들에 한 탐색 과정과 더불어 래 혹은 교사와

함께 미술활동과 련된 ‘ 화’를 나 면서 심미 이해를 이룰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한

교육학은 직 으로는 교육실천에 작용할 수 없고, 교육 과제의 실천 주도권을 쥐고

있는 교육자를 통해서만 실천에 옮겨질 수 있으므로(한명희, 2002), 교육의 질 변화를

해서는 국가 차원의 거시수 이나 기 차원의 간수 의 변화보다는 교육의 주체가

되는 교사에 을 둔 미시수 에서 시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기 의 미술교사가 심미 미술 교육을 실행하기 해

어떻게 자신의 심미감을 증진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러나 미술교사의 심미감 증진에

해서는 실증주의 이나 설문지를 통한 양 연구로는 그 구체 인 의미를 악하

는데 한계가 있을 것이므로 구체 으로 심미감 증진을 해 노력하고 있는 미술교사를 선

정하여 인터뷰하는 과정을 통해 실증주의 연구방법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던 미술교사의

역할과 그 의미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상자로 선정된 미술교사의 사

례를 소개함으로써 오늘날 인지교육이 만연하는 유아교육 장에서 교사 각자가 심미

교육 심미 교사가 되기 한 구체 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에 한 시사 을 제공

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본 연구는 연구자의 경험과 기억 속에 존재하는 미술실과 상당히 다른 분 기를 조성하

고 있는 A어린이집 그림터를 방문하게 되면서 시작되었다. 심미감에 하여 심을 가지

고 있던 연구자는 그림터 곳곳을 가득 채우고 있는 각양각색의 미술재료와 유아들의 작품

Page 5: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심미 미술교육을 한 미술교사 역할에 한 사례 연구 ․ 87

을 보면서 아름다움과 경이로움에 빠지게 되었고, 미술활동에 한 동기가 발됨을 느

다. 아름다움이나 경이감, 몰입 등은 심미감을 이루는 요소이다(Beardsley, 1991). 연구

자는 그림터의 담당자인 김교사와 이야기를 나 던 심미감이 넘치는 그림터는 김교사

에 의해 연출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연구자는 김교사야 말로 심미 술교육을 실천

하고 있는 사례를 보여주기에 하다는 생각에 김교사에게 연구의 취지를 설명한 후 승

낙을 받았다.

A어린이집은 생태유아교육을 하는 기 으로 미술수업에 있어서도 생태미술이나 자연친

화 미술 등 다양한 미술교육을 실시하고자 노력하는 곳이다. A어린이집의 미술교사인

김교사는 4년제 학교에서 미술을 공한 후 개인 미술학원을 운 한 경험을 가지고 있

으며, 지 의 어린이집으로 온 이후 4년째 A어린이집에 상주하면서 그림터( 지오에 리

아의 아뜰리에와 유사한 유아들을 한 미술실)를 운 하고 있다. 특히 김교사 자신이 미

술학원에서 지 의 A어린이집으로 온 이후 미술교육에 한 인식이 변화하 다고 하

다. 즉, 미술수업이 흥미롭고 재미가 넘치는 심미 수업이 되기 해서는 미술을 가르치

는 교사 자신이 먼 심미감을 가져야 하며, 미술교사가 심미감을 가지고 미술수업을 진

행할 때 유아들의 심미감 한 증진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A어린이

집 그림터의 김교사가 가지고 있는 개인 배경은 그녀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기에

할 것으로 기 되어 김교사를 만나 연구의 취지를 설명한 후 동의를 구하 다.

2. 자료수집

본 연구를 한 자료 수집은 2006년 11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총 24회에 걸쳐 미술교사

의 하루 일과가 끝난 후 30~50분간 비구조 ․비형식 ․개방 인 형태로 면담하 고,

그 이후 2007년 12월까지 수시로 연구 참여자를 만나 면담을 가졌다. 면담 시 면담 내용을

녹음한 후 사하 고, 연구자는 면담이 끝난 후 면담 시 느 던 느낌이나 특이 사항을

연구일지로 기록하 다.

미술교사와의 면담 이외에 미술교사의 미술 활동의 연간계획서 미술 수업을 찰하

고, 다양한 사진(그림터의 경사진, 재료보 함 사진, 재료 사진 등)과 유아들의 활동

자료, 각 반의 시물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 결과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기 한 보

조자료로 사용하 다.

Page 6: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8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3. 자료 분석

미술교사의 심미감을 어떻게 증진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하여 면담에 극 으로 참여

하 으며, 그 결과 수집된 면담자료를 지속 으로 주의 깊게 읽었다. 한 면담자료와

련한 연구자 일지를 여러 차례 읽으면서 면담자료와 연구자 일지에서 요하거나 의미 있

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표시하 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는 에 반복 으로 등장하는 상

황이나 핵심어를 기록하고, 각 상황별로 소주제를 기입하여 분류한 후 몇 개의 심주제

로 범주화하여 유목화하 다(Spradley, 1988). 연구자는 유목화한 자료를 반복해서 읽으

면서 유목화 된 내용에 따라 제목을 붙 으며, 그 의미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작업을 하

다. 유목화 과정에서 도출된 주제어에 한 검증을 해 면담자료와 연구자 일지 사진

자료와 유아들의 작품 등 보조 자료들 간의 일치도를 검토하 으며, 연구자 유아교육

공자와 유아교육 문가들이 함께 검토하는 삼각측정법(Mathison, 1988) 실시하여 자료

분석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 다.

Ⅲ. 변화하는 교사, 즐거운 미술

처음 김교사가 근무하는 A어린이집의 그림터를 창문 머로 봤을 때는 여느 다른 유아

교육기 의 미술실과 그다지 다른 을 느끼지 못하 다. 그 이후 우연한 기회에 김교사

를 직 만나게 되었고, 그림터를 방문하면서 김교사의 그림터가 다른 미술실과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선 김교사의 그림터에는 일반 인 유아교육기 에서 흔히 볼 수 없

는 다양한 미술재료-여러 가지 씨앗이나 열매 등의 자연물, 유화 물감, 다양한 종류의 흙

과 토들, 그리고 미술 공자가 아니면 이름을 알 수 없는 다양한 종류의 미술재료들과

여러 가지 폐품들-가 비되어 있었다. 한 그림터 곳곳에는 유아들의 작품들이 시되

어 있었는데, 그 어느 것 하나 같은 모양이 없다는 것 한 연구자로 하여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러한 그림터의 풍경은 미술을 썩 좋아하지 않는 연구자에게조차도 작품 활동을

하고 싶다는 동기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 다.

이처럼 그림터를 방문하는 이들로 하여 그림터에서 작업하고 싶다는 생각을 불러일으

키는 그림터를 가꾸고 꾸미는 그림터의 주인은 김교사 다. 김교사는 그림터에 오기 에

미술학원을 운 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는데, 김교사 스스로 미술학원을 운 하던 시 보

Page 7: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심미 미술교육을 한 미술교사 역할에 한 사례 연구 ․ 89

다 이곳 그림터에 온 이후 심미감에 해 더 많이 생각하게 되었고, 아름다운 그림터, 아

름다운 미술 수업, 즐거운 미술 수업을 진행하기 해 스스로 노력하게 되었으며, 4년이

지난 지 처음 이곳에 왔을 때와 비교하여 상당히 변화된 자신의 모습을 본다고 하면서

이야기 보따리를 풀기 시작하 다.

1. 회상하기 그리고 잊기

그림터를 흥미롭고 재미있는 경험을 할 수 있는 곳으로 꾸미고, 그림터를 방문하는 유

아들에게 아름다움을 인식하고 느낄 수 있도록 해 주는 김교사는 미술교사로서의 자신에

해 진솔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김교사는 학부에서 미술을 공하 고, 졸업 후 이곳 그림터에 오기 까지 미술학원

을 직 경 하 다고 한다. 미술학원을 경 하던 시 에는 ‘인기있는 미술학원’의 ‘인기있

는 선생님’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심미 인 미술수업에 해 고민을 해 본 도 실천한 덕도

없었다고 하 다. 그러나 우연한 기회에 A어린이집 미술교사로 부임하여 그림터에서 미술

교사로 상주하면서 미술교육과 미술교사에 해 다시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제가 사는 곳이 부산 시내가 아니라 시골이에요.

두구동 좀 지나서인데, 희 마을에는 이장님도 있어요.

집이 근교이다 보니 도시에서는 하지 못했던 것들을 할 기회가 많아요.

문만 열면 온통 록색 천지고 이름 모를 여러 가지 풀이나 꽃, 나무들도 많아요.

이런 것들을 보면 어릴 때가 생각나요.

시골 외할머니 에서 지냈던 기억들을 떠올리게 되요.

풀들로 소꿉놀이하면서 밥 해먹던 기억들, 산으로 들로 놀러 다니던 기억들...

그러면 맘이 평안해지고, 기분도 좋아져요. 때론 고요함까지 느껴요.

(2006. 12. 14, 면담자료)

흙을 보면 어릴 때 생각이 나요. 어릴 때 흙공 하나가지고 얼마나 재미있게 놀았

는지...

그리고 주 에 린 호박꽃들, 쁜 돌멩이, 작은 나뭇잎들을 가지고 소꿉놀이를

했거든요.

(2006. 12. 26, 면담자료)

유년기의 많은 시 을 시골에서 보낸 김교사는 성인이 된 지 도 가끔 유년시 을 떠

올린다고 한다. 재 김교사가 살고 있는 곳이 시내를 벗어난 근교이기 때문에 출퇴근길

Page 8: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9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에 하는 다양한 풍경이 자연스럽게 김교사로 하여 유년시 을 회상시킨다고 하 다.

인간의 발달 단계 감수성이 풍부한 유년시 에 미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자연

속에서 놀이했던 김교사의 기억은 지 유아들과 미술수업을 진행해야 하는 미술교사로서

의 김교사를 연상시키는데, 자신의 유년 시 을 회상하면서 유아들과 함께 할 미술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할 때에는 유아들이 보고 느낀 것을 심미 으로 표 하며, 유아뿐만 아니라

교사 자신도 즐겁게 미술활동에 몰입하는 미 체험을 한다고 하 다.

한 김교사는 자신이 계획한 미술활동에 사용될 재료들을 보면서도 문득 어린 시 을

회상한다고 하 다. 의 사례에서와 같이 미술 재료인 흙은 김교사가 가지고 놀았던 흙

공이 되어 김교사를 어린 시 로 데려다 놓았고, 김교사는 어느새 흙으로 공을 만들고,

호박꽃과 돌멩이와 나뭇잎들로 소꿉놀이를 하던 유아가 되었다. 이와 같이 김교사의 유년

시 에 한 기억들은 지 그녀와 함께 하는 어린이집의 유아들을 떠올리게 되었고, 자

신의 즐거웠던 어린 시 의 경험을 그림터에 오는 유아들과 함께 나 고자 노력하고 있었

다.

심미감이란 미 상에 한 미 체험이고, 우리가 미 지각을 가질 때 우리 주 의

거의 모든 사물들을 통해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고 한 것과 같이(하은경, 2006) 김교사의

유년시 에 한 회상들은 자신 뿐 아니라 자신의 미술수업과 수업에 참여하는 부분의

유아들로 하여 심미감을 경험하도록 하고 있었다.

한편 김교사는 그녀의 유년시 을 회상하는 것과는 반 로 그녀가 미술학원을 경 할

때 가졌던 생각이나 교수법은 잊으려고 노력한다는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여기 와서는 미술학원에서 사용했던 교재는 거의 보지 않게 되었어요.

미술교재에 나와 있는 미술기법들은 미술교사가 아니라도 구나 조 만 연습하

면 가르칠 수 있는 것이고, 어디서나 어렵지 않게 해 볼 수 있는 것들이라는 생

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는 미술책에는 나와 있지 않는 것, 그림터에 와야 경험해 볼 수 있는

수업들을 하려고 노력해요. 그러면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는 미술수업이 될 수 있

을 거라 믿어요.

지 와서 생각해 보니 미술학원을 경 하던 시 의 는 교육자는 아니었던 것

같아요.

단순한 장사꾼이 아니었나 생각해요.

선생님이라고 아무나 ‘교육자’가 되는 건 아닌 것 같아요.

학원이 꽤 잘 되기도 했고, 우리 학원에 있던 친구들이 미술 회에 나가서 상도

많이 받아왔거든요. 그래도 그때는 별로 기쁘지 않았던 것 같아요.

그 때 나에게 미술을 배웠던 친구들에게는 미안하다는 생각을 해요.

(2007. 12. 1, 면담자료)

Page 9: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심미 미술교육을 한 미술교사 역할에 한 사례 연구 ․ 91

김교사가 지 의 어린이집으로 온 이후 가장 먼 한 일은 미술학원에서 사용하던 교재

를 없애는 것이었다고 한다. A어린이집에서 생활하기 시작하면서 미술교재에 나와 있는

미술 기법들은 미술 공자이자 미술교육 문가인 김교사가 아니라 다른 어느 구라도

조 만 연습하면 가르칠 수 있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한 교재에 따른 미술

수업을 진행했던 미술학원 시 을 떠올려 볼 때 그 시간들이 즐겁지 않았음을 알았고, 의

식 으로 미술학원에서 사용했던 교수법을 잊고자 노력하 다고 한다. 신 김교사는 다

양한 열매로 염색을 해 보거나 목공 나 지공 를 해 보는 것과 같이 유아미술교재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유아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새롭고 다양한 미술체험을 미술수업으로 계

획하게 되었고, 이 게 변화된 수업시간은 그 어느 구보다 김교사 자신에게 가장 즐겁

고 신나는 시간이 되었으며, 흥미로운 경험을 하게 되었다고 수 게 이야기하 다. 김교

사가 즐겁고 흥미진진한 수업을 계획한 이후로 유아들은 그 보다 그림터를 방문하는 시

간을 더 많이 기다리고 그림터 활동을 즐거워한다고 한다. 이러한 미술수업 내용과 방법

의 변화는 유아들 뿐만 아니라 동료 교사들의 발길을 그림터로 안내하여 교사와 유아가

함께 작업에 참여하는 시간을 늘리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한 김교사는 자신에 하여 미술학원을 경 하던 시 에는 ‘선생님’이 아니라 ‘장사꾼’

에 불가했다는 것을 이 곳 그림터에 와서 실히 느 다고 한다. 실제 미술학원 선생님으

로 재직하고 있을 당시에는 미술수업을 통해 미 경험을 한다는 것은 미 상에 해

느낀 바를 창의 으로 표 해 낼 때라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고, 단지 학원의 모든 학생들

이 교재에 나와 있는 것과 가장 유사하게 표 하는 것만 강조했다고 한다. 이러한 수업에

서는 경제 소득은 있었을지 모르나 수업에 한 즐거움이나 재미를 느낄 수 없었으며,

더욱이 교육자로서 가질 수 있는 자부심은 거의 느껴보지 못했다고 하 다. A어린이집에

온 이후 김교사는 미술학원 시 본인이 가르쳤던 학생들에게 진정한 의미에서의 미를 가

르치는 미술교육을 실시하지 못했던 것에 해 반성하는 시간을 갖게 되었으며, 가능한

그 때의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해 시간이 나는 데로 자신의 수업을 되돌아보고, 수정

하기 해 노력한다고 하 다.

2. 경험하기 그리고 배우기

김교사는 미술학원에서 사용했던 것과 같은 보편 인 미술수업을 하지 않기 해 항상

새로운 것을 경험하거나 배우기는 것에 열의를 보이고 있었다. 이 게 교사 자신에게 축

된 경험과 다양한 자료에서 수집된 생각들을 결합하는 것은 미술수업을 한 실제 인

Page 10: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9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지식을 창출하게 되는 것이다(양윤정, 2005). 실제로 지난 8월에 연구자가 학회에 참석하

기 해 H 와 S 를 방문했을 때 학회장에서 김교사를 만났으며, 학회까지 어떻게 오게

되었냐는 연구자의 질문에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아서 방문했다는 김교사의

답변을 듣고 그녀의 열정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지난 번 여행을 갔을 때 물 를 돌리면서 흙을 빚는 모습을 가만히 살펴보았어요.

도 어깨 머로 배워서 그림터에서 할려구요.

굳이 직 해보지는 않더라도 과 가슴으로 배우면 여기 와서 얼마든지 해 볼

수 있거든요.

(2007. 4. 10, 면담)

남이섬에 갔을 때는 움막 지어 놓은 것을 봤는데, 새로운 감흥이 느껴졌어요.

그리고 짚과 조롱박도 재미있게 변형되어 있었구요..

이 게 여행에서 새로운 것을 보고 오면 그 경험을 살려 제가 다시 재창조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요. 이런 생각들을 하고 있으면 즐겁고, 막 힘(?)이 생기는 것

같아요.

(면담자료, 2007. 4. 3)

김교사는 시간이 나거나 여러 가지 여건이 되는 데로 여행을 자주 다닌다고 하 다. 원

래 성격이 새로운 것을 찾아다니거나 모험하는 것을 좋아하기도 하지만, 그림터에 온 이

후로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아서 의식 으로 더 자

주 다닌다고 하 다. 김교사는 여행 에 인상에 남는 것은 사진을 거나 으로 익

기억하고, 체험해 볼 수 있는 것은 직 체험한다고 하 다. 그러나 이 게 김교사가 경

험한 것들은 단순히 김교사의 개인 인 경험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었다. 김교사는 연수나

여행이 끝나면 반드시 그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미술수업을 계획하여 유아들과 함께 공

유하고자 하 다. 김교사는 유아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야말로 심미 인 수

업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사가 무언가를 알고 있을 때 유아들에게 경험을 안

내할 수 있으며, 유아들이 실제로 행해 볼 수 있는 직 경험 뿐만 아니라 사진이나 VTR

자료, 화, 컴퓨터 등 다양한 매체와 방법을 이용하여 간 경험을 제공하는 것 역시 교

사의 역할이라고 하면서 이러한 교사야말로 아름다운 수업을 하는 심미 교사가 아니겠

냐는 이야기를 해 주었다.

어떤 경험이 심미감을 발달시킬 수 있는 미 경험이 되기 해서는 감각 경험의 결

과로써 어떤 상이나 성질, 혹은 어떤 계에 하여 알게 되는 지각의 과정을 거치고,

이 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인식을 도출하고, 감정을 수반할 뿐 아니라 심을 집

Page 11: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심미 미술교육을 한 미술교사 역할에 한 사례 연구 ․ 93

하는 직 체험이어야 한다는 것을 제(탁형수, 2004)로 할 때 김교사는 여행이라는 미

체험을 통해 심미감을 발달시키고 있었고, 유아들은 그녀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롭게

구성된 다른 미 체험을 제공받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김교사는 여행과 더불어 다양한 연수나 학회에도 꾸 히 참석하고 있었다.

얼마 지오 학회가 있어서 다녀왔어요. 다양한 연구들을 자꾸 듣고 공부하고

제 나름 로 만들어야 할 것 같아서요. 거기 가서 교사발표회를 들었는데 아이들

에게 참 유익할 것 같았어요. 우리 그림터에서 미술활동을 할 때 이런 연구들을

통해 다양하게 목하면 상첨화겠구나라고 생각했어요.

(면담자료, 2007. 3. 15)

면담자료를 사하던 궁 한 이 생각나서 김교사에게 화를 했다.

한 참의 신호가 가고 수화기 건 편에서 들려오는 김교사의 한 마디!

‘선생님! 연수 이 요’ 뚜뚜뚜...

한시도 쉴새 없이 오늘은 어디로 연수를 가셨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연구자 , 2007. 2. 20)

김교사가 A어린이집에 근무하면서 처음부터 자발 으로 연수를 간 것은 아니었다고 하

다. 처음 연수를 갈 때에는 원장선생님의 권유에 의한 것이었다고 하 다. 완 히 자발

이진 않았지만 이 게 한 번 두 번 연수에 참석하는 횟수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지식

의 확장과 더불어 김교사 자신의 내면에서부터 유아에 한 생각과 유아미술교육에 한

생각이 변화하는 소리를 듣게 되었고, 자신의 미술수업에도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느 다

고 한다.

한 김교사는 자신에게 있어서 연수는 그 동안 주먹구구식으로 진행하던 교수방법이나

수업내용에 해 반성하게 되는 기회이자, 나태해지는 자신을 채 질하는 계기이며, 미술

교사로서의 자신의 모습을 다듬어 가는 기회가 된다고 하 다. 김교사는 가능한 연수에서

듣고 배웠던 것을 바탕으로 유아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주고자 노력한다고 하 는데, 김교

사가 참석하는 연수는 단지 미술과 련된 것뿐만 아니라 유아교육을 비롯하여 문화 술

과 련된 여러 분야에 걸쳐 있었으며, 비엔날 나 모래 축제 등 다양한 시회나 축제에

도 참여하 다. 이 게 김교사의 몸과 가슴에 새겨진 경험들은 듀이의 견해처럼 독립 으

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 의 경험과 연 되고, 앞으로 유아들과 함께 할 경험을 연결

짓는 것으로 갈수록 경험의 폭을 확 하여 하나의 경험 즉, 심미 경험을 만들어 가고

있었다.

Page 12: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9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Ⅳ. 나 는 교사, 함께하는 미술

인간은 사회 동물로 본질 으로 타인과 함께 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특히

미술교육과 같이 수업을 한 다양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는 ‘나’와 ‘ ’에게 허락된 상황

에 따라 ‘내 것’을 알려 주기도 하고 ‘남의 것’을 배우기도 하면서 정보를 나 고, 지식의

폭을 넓 나간다.

심미 경험은 각 매체들에 한 탐색 과정에서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

니라 동료나 유아들과 함께 재 진행되고 있는 작업과 련한 ‘ 화’를 나 면서 심미

이해가 이루어진다(정은경, 2002). 따라서 심미 교사가 되기 해서는 수업을 계획하

고, 진행하고, 마무리하는 과정을 통해 동료 교사 유아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의

하는 과정을 필요로 할 것이다. 이처럼 타인에 해 열린 마음으로 함께 한다는 것은 생

활에 활력을 더하고 풍요롭게 하는 미 체험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1. 유아들과 함께하기

유아들과 함께 한다는 것은 교사와 유아가 단지 물리 공간 안에 함께 한다는 것을 의

미하지는 않는다. 진정한 의미에서 유아와 함께 하기는 Manen(1986)이 ‘가르침은 교육

바라 이다’라고 한 것과 같이 유아가 무엇을 원하는지 들으려고 하고, 유아의 체험을 공

감하고자하는 교사의 태도가 요한 것이다(양윤정, 2005, 재인용). 즉, 미술은 유아들에

게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유아들과 소통하는 것이며, 유아들과 연 의 계를 형성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김교사 역시 가능한 유아들과 함께 하는 시간을 늘리고자 노력하고

있었으며, 유아들과 함께 하는 동안 유아들의 발달 특성이나 흥미 혹은 욕구를 이해하

여 단순히 미술 기능을 기계 으로 습득하는 미술수업이 아니라 유아들이 미술활동에

자발 으로 참여하고 몰입하는 아름다운 수업을 이끌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아이들이 하는 손짓놀이 조차도 미술활동으로 할 수 있어요.

미술활동이라고 해서 꼭 도화지 에 크 스나 물감으로 그림을 그릴 필요는

없어요.

어떤 활동이든지 간에 아이들이 즐거워하고 완성된 것에 하여 자부심을 느

끼면 되죠.

결과물이 요하지는 않아요. 놀이할 때처럼 재미있어 하면 그게 미술활동이지요.

(면담자료, 2007. 12. 26)

Page 13: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심미 미술교육을 한 미술교사 역할에 한 사례 연구 ․ 95

김교사는 진정한 의미에서 미술교육이 심미 교육이 되기 해서는 기법을 가르치는

수업이 되어서는 안 되고, 유아들의 능력을 발휘시켜 과 동시에 감성을 살리는 교육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 다. 실제 연구자가 그녀의 수업을 찰한 결과 김교사와 같이 미술

수업을 하는 아이들은 기존의 미술수업처럼 기법을 심으로 일률 인 작품을 만들어 내

는 것이 아니라 그림터에서의 활동을 재미있는 놀이로 즐기면서 세상에 하나뿐인 자기만

의 작품을 만들고 있었다.

는 아이들과 함께 있는 걸 좋아해요. 그래서 가끔 아이들이 낮잠 자는 시간엔

도 아이들 곁에서 같이 자기도 하죠.

그리고, 미술교사라고 잠깐 들러 활동 한 두 가지 해 주고 가는 건 아닌 것 같아요.

가능하면 다른 교사들처럼 원에 쭉 머물려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래야 그림터에 오는 아이들의 특성을 악하기도 수월하고, 그래서 가 무엇

을 원하는지 잘 알 수 있잖아요.

아이들이 원하는 수업이 정말 아름다운 수업 아닐까요?

(2007. 12. 1, 면담자료)

완 한 의미에서의 놀이는 놀이 그 자체가 목 이 되며, 즐거움과 재미를 내포하고 있

는 것이라고 한 것(한경애, 2007)과 같이 김교사는 유아들과 함께 하는 시간을 놀이로 즐

기고 있었다. 즉, 그림터와 어린이집 곳곳에서 유아들과 같이 시간을 보내는 동안 다른

것에 목 을 두는 것이 아니라 ‘유아들과 함께 한다’는 그 자체에 목 을 두고 함께 하는

시간과 공간에 몰입하여 즐거움과 재미를 느끼면서 심미감을 높이고 있었다.

한편 김교사는 미술교사가 그 기 에 늘 상주할 것을 강조하고 있었다. 그 이유로 담임

교사는 한 반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 반에서 그 반에 속한 유아들의 특성만을 알면

되므로 유아를 이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 반면 기 의 체 유아를 담당하는

미술교사의 경우에는 각 연령과 반에 속해 있는 기 체 유아의 특성을 이해하기 한

시간이 상당히 많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미술을 담당하는 특별교사가 1주일에 한

두 번, 한 두 시간 방문하는 것과 같이 재 유아교육기 에서 보편 으로 이루어지고 있

는 미술수업에서는 미술교사가 각 개별 유아의 특성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유아 개개

인이 가진 능력이나 특성을 살려주는 미술교육을 진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미술교

사는 미술수업에 참여하는 모든 유아의 개별 인 특성을 이해하기 해 노력할 필요가 있

으며, 이를 해결하기 한 방법 의 하나가 유아들과 함께 지내는 시간을 자주 가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유아들과 함께 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과 더불어 개별 유아를 담

당하고 있는 기 의 다른 교사들과 긴 한 계를 유지하는 것 은 유아들을 이해하는데

Page 14: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9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필수 요소이자 새로운 정보를 나 는 장이 된다고 하 다.

2. 교사들과 소통하기

심미감 넘치는 미술수업이 이루어지기 해서는 자신의 경험을 타인과 나 면서 미술에

하여 탐구해 나가는 과정이 되어야 하며(김선아, 2005), 다양한 체험에 해서 토론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교사가 유아들과 함께 한 경험이나 그 때의 느낌을 다른 교사와 나

는 것은 자신의 경험을 객 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양윤정, 2005). 한

다른 교사들과 유의미한 계를 유지하면서 서로가 가진 정보를 나 기 해 소통하는 것

은 심미 수업을 해 교사들이 가져야 할 자세라고 할 수 있는데, 김교사와 면담을 나

는 기간 동안 이러한 김교사의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었다.

는 주로 공동작업을 많이 하는 편이에요. 각 반에 들어가서 간단한 작업을 하

기도 하구요.

반에는 담임선생님도 계셔서 편해요.

그리고 어린이집의 다른 선생님들이 미술작업에 해서 에게 의뢰도 많이 하

시죠.

그럼 는 제가 도울 수 있는 만큼 함께 의논하죠.

그림터에만 있지는 않아요.

각 반에도 가도, 텃밭도 따라가고, 산책도 따라가죠.

다른 교사들과 같이 호흡하고, 교사들 속에 같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면담자료, 2007. 2. 8)

미는 각자의 삶에서 자신이 느낀 생각이나 느낌을 조직화하여 다른 사람의 것과 교감하

는 표 의 하나로(이부연, 2000), 타인과의 조화로운 삶을 이루어 나갈 때 미 여유를

갖게 될 수 있다.

유아들의 다양한 발달 특성은 알고 있으나, 미술 기술이 부족한 유아교육 공자나

이와 반 로 미술 기술은 풍부하지만 유아에 한 지식이 부족한 미술교육 공자가 유

아미술교육을 실시하고자 할 때 서로의 공에서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악하는 것은 유

아들의 발달 상황 흥미와 욕구에 부합하고, 가장 한 미술교육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게 해 다. 이 게 될 때 유아들은 즐거움과 기쁨이 넘치는 심미 미술수업을 경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 김교사는 자신의 공간인 그림터에만 머물러 있지 않고 시간이 허락하는 데로 각반

Page 15: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심미 미술교육을 한 미술교사 역할에 한 사례 연구 ․ 97

교실이나 놀이터, 식당 등 어린이집 곳곳을 분주하게 다닌다고 하 다. 그 이유 의 하

나는 김교사가 유아교육을 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유아들의 특성을 제 로 이해하지 못

해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 유아교육을 공한 다른 교사들에게

도움을 청하기 해서라고 하 다. 즉, 동료 교사들과 담화를 나 는 에 자신에게 부족

한 부분인 유아의 발달 특성과 같은 이론 지식이나 유아 각 개인에 한 정보를 수집

하고, 유아들이 흥미 있어 하고 좋아하는 것에 한 정보를 얻음으로써 미술수업을 계획

할 때 참고자료로 사용하여 재미와 흥미가 넘쳐나는 미술활동을 진행해 나가고 있다고 하

다. 한편, 각 반의 교사들이 김교사에게 작업에 한 계획이나 도움을 의뢰해 오면 언

제나 열린 자세로 그녀가 알고 있는 모든 지식과 정보를 나 고 활용하여 동료들을 지원

해 주고 있다고 하 다.

뿐만 아니라 김교사는 어린이집 곳곳을 다니면서 다른 교사들 간의 교량 역할을 하기

도 한다고 하 다. 이와 같이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도와주는 상호지원 인 동료 계를

김교사는 선호하고 있었는데, 교사들과 다양한 방법으로 소통하는 것은 그녀가 가끔 심리

으로 불안정하거나 축되어 있거나 자신이 하는 일에 하여 자신감과 의욕을 상실했

을 때 큰 힘이 되어 슬럼 를 빨리 빠져나올 수 있도록 도와 다고 하 다. 이처럼 동료

교사와 함께 하고자 하는 생각은 때로는 그녀를 지치게 하기도 하지만 자신의 것을 나

수 있다는 즐거움과 기쁨을 빼앗아 가지 못한다고 하 다. 이처럼 그림터 주인인 김교사

가 항상 즐겁고 기쁘게 생활한다는 것은 그림터를 방문하는 모든 이들에게도 달되어 그

들도 즐겁고 기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하 다.

Ⅴ. 논의 결론

본 연구에서는 부분의 미술교육이 심미 인간을 형성한다는 근본 목 과 괴리

되어 단순하게 미술기법이나 미술교재에 나와 있는 보편 인 활동에 치우침으로써 재미없

고 지루한 반심미 인 활동이 되어가고 있음을 반성하고, 심미 교육으로 나아가기 교사

의 역할에 해 고찰해 보았다. 특히, 가장 미시 차원에서 교육의 주체이자 교육의 질

을 결정하는 교사가 어떻게 심미감을 증진할 수 있는지에 하여 한 미술교사의 사례를

살펴 으로써 심미 미술교육을 한 교사의 역할에 한 교육 함의를 드러내고자 하

다.

Page 16: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9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첫째, 본 연구에서 드러난 논의 의 하나는 심미 교사가 되기 해서는 교사 자신

이 심미 교육과 심미 교사에 한 인식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즉, 과거 술교사

는 각 교과에 한 문 인 기술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고, 술 교과에 해 문성을

가진 교사는 당연히 심미 교육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는 안일한 사고에서 벗어나 문

인 기술을 가진 교사와 심미 교사의 차별화를 시도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

구 상자인 김교사 역시 처음 미술학원을 운 하 을 때에는 미술 기술을 가르치기에

한 문 기술을 가진 교사 고, 미술과 련한 기능과 기술을 가르치는 것 자체가

미술교육의 부라고 생각하기도 하 다. 그러나 A어린이집으로 근무지를 옮긴 후 미술수

업을 즐겁고 재미있는 심미 경험을 제공하는 수업으로 이끌기 해서는 무엇보다 미술

을 담당하는 교사 자신의 의식의 변화와 교사 스스로 심미 이고자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으며, 그에 따른 실천 노력을 하 다. 즉, 본 연구에서 드러난 것과 같이

교사가 재 자신이 처한 일상생활 속에서 그것 자체가 목 이며, 즐거움이 되었던 어린

시 의 놀이를 의식 혹은 무의식 으로 회상해 보는 것은 교사가 자신의 유년시 에 느

던 감수성을 되살리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유년기 혹은 즐겁고 흥미진

진했던 순간에 해 회상하는 것은 심미 교사가 되기 한 노력의 시작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 심미 수업을 진행하는데 방해되는 요소- 를 들면 미술학원에서 사용했던

교재나 기법 등-를 의식 으로 지양하는 것 한 심미 교사가 가져야 할 자세라고 할

수 있다(임부연, 2007b). 미술교사가 이미 알고 있는 교재에 수록된 기법과 기능에서 벗

어나지 못할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유아들로 하여 지루하고 재미없는 미술시간이라는

인상을 남기게 되므로 심미 수업과는 멀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미술에 한 교사의

제한된 생각은 유아들로 하여 다양한 경험을 제한하게 하여 유아의 경험이 심미 경험

으로 확장해 나갈 수 있는 길을 방해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새롭고 다양한 미술교육을

방해하는 기존의 선입견과 사고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교사의 의도 노력은 심미 교사

가 되기 한 첫걸음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유아들은 발달 특성 상 분 된 경험을 통해서 보다는 통합 체 경험 속에

서 주변 세계에 해 더욱 효율 으로 학습할 수 있으며(Krough, 1990; 임진형, 2003, 재

인용), 진정한 의미에서의 술은 ‘ 술을 한 술’이 아니라 ‘삶을 한 술’이어야 한

다는 것이다. 이러한 을 고려한다면 미술교육의 주체가 되는 교사의 삶이 술 이며,

심미 경험이 될 때 그 교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미술교육 역시 보다 심미 일 수 있다.

즉, 심미 교육을 해서는 교육 경험 자체가 즐거움과 기쁨을 수반하는 심미 경험이

어야 하므로(한명희, 2002), 김교사의 경우처럼 여행이나 연수 등 일상을 벗어난 특별한

Page 17: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심미 미술교육을 한 미술교사 역할에 한 사례 연구 ․ 99

경험을 한다는 것은 교사의 삶을 술로 채우는 좋은 경우라 하겠다. 따라서 교사 개인이

다양한 심미 경험을 하기 해 노력하는 것과 함께 기 차원에서 교사 자신의 내면에

숨겨져 있는 미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허락하고, 다양한 경험과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 뒷받침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교사의 노력이 있을 때

유아들은 ‘다양한 미 체험을 할 수 있는 환경’ 속에서 심미감 넘치는 미술교육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교사는 끊임없는 배움과 가르침의 순환 작용 속에(허 주, 1997) 이루

어진 삶의 연속선상에 있는 교육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에서 미 교육이라 할 수 있을 것

이다.

세 번째 심미 교사가 되기 해서는 유아와 공감하고자 하는 교사의 실천 능력이

요시된다. 심미 교육의 근본 목 은 술을 통한 인간형성이며, 그 인간형성의 문

제는 타인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 속에서 나의 생각과 느낌과 감정을 표 하는 것은 심미

경험의 한 부분이며, 심미 수업을 한 조건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김교사 한

어린이집의 유아들과 정서를 교환하면서 심미 교육에 가깝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유아

를 한 심미 교육이 필요한 것은 ‘유아를 이해하고 그들의 내 능력을 개발’해 수

있어야 하는 것인데, 김교사와 같이 유아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그들과 공감하고자 노

력하는 것은 유아들의 능력을 개발해 주기 한 교사 자신의 작은 개 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유아들을 이해하려는 열린 자세와 유아들의 생활세계와 련하여 미술에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한 체 인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 부분의

기 에서 특별활동으로 진행되고 있는 미술교과의 담당교사는 외부에서 출강하는 교사보

다는 기 에 상주하는 교사이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에서 보

듯이 한 반을 담당하는 하는 것이 아니라 기 의 체 유아를 담당하는 미술교사의 경우

유아들과 함께 하는 시간을 가져 각 유아의 특성을 개별 으로 이해할 필요성이 있다. 이

러한 과정은 미술교사가 유아기의 기본 특성을 고려하면서 각 개별 유아가 가진 특성을

발휘하게 하여 유아들 스스로 그들 내면으로부터 미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미술수업

을 계획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미술을 창작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

소통 가능한 형태로 환하는 것은 심미 미술교사의 주요한 일 가운데 하나이며(김선

아, 2005), 유아에 한 배려와 심에 기 하여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Noddings,

1999; 김수동, 2002, 재인용) 교사야말로 심미 교사이며, 이러한 교사의 의해 이루어지

는 모든 수업은 심미 수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의 변화를 해서는 교사간의 공동체를 형성하여 공동의 실천에 해

반성 으로 의사결정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학습 공동체를 통한 문 력이 강조

Page 18: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100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된다는 에서 미술교사가 기 의 다른 교사들과 의사소통하고 력하는 시간을 갖는다는

것은 심미 수업을 해 매우 필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교사들이 력하면서 심미

경험을 할 수 있는 방안으로 하나의 수업을 해 교사들이 티칭 방법을 사용하거나 교

사들이 각각 연수에 참여한 다음 다른 교사들에게 달 연수를 하거나 각 교사 개인이 가

진 특기를 다른 교사들에게 연수해 으로써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들 수 있을 것이다.

한 교사들끼리 MT를 가거나 여행 등 함께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가짐으로써 교사로

서 뿐만 아니라 한 개인으로서 서로를 이해하고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는 것을 통해 와

내가 하나라는 공동체 의식을 강조할 수 있게 된다. 교사들의 이러한 경험들은 유아들에

게 암암리에 달되어 유아들 역시 매 순간 함께 하는 즐거움과 타인을 배려하고 타인을

존 하는 심미 능력을 갖출 수 있게 될 것이다.

Page 19: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심미 미술교육을 한 미술교사 역할에 한 사례 연구 ․ 101

참 고 문 헌

김선아(2005). 미술교육에 있어서 문성의 의미 -교사의 시각을 심으로-. 미술교육논

총, 19(2), 227-246.

김성숙(2004). 홀리스틱 미술교육의 제안. 미술교육논총, 18(3), 155-176.

김수동(2002). 배려의 교육 개념. 교육철학, 22, 25-41.

김수 (2002). 미 교육의 의미. 미학, 32, 201-226.

김혜숙(2007). 미의식과 미 체험에 한 담론 연구. 미술교육논총, 21(2), 1-28.

양윤정(2005). 정보화 사회의 미술교사의 역할과 자질. 미술교육논총, 19(2), 247-268.

이병 (2006). 술교육에 한 교육학 성찰. 미술교육논총, 20(2), 1-22.

이부연(2000). 21세기 미술교육의 방향 -유아미술교육을 심으로-. 한국조형교육학회 학

술 회 발표논문 요약, 245-251.

임부연(2005). 유아기 심미감 발달과 연계한 물감수업의 탐구. 미술교육논총, 19(3),

297-326.

______(2007a). 술과 미학교육에 한 비교학 고찰: 뱅크스트리트, 발도르 , 지오

에 리아 유아교육을 심으로. 비교교육연구, 17(1), 1-27.

______(2007b). 지오 에 리아 근법의 아룸다움에 한 미학 탐색. 미래유아교육학

회지, 14(1), 77-101.

임진형(2003). 유아교사 양성 학의 유아 미술교육과정 분석: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과

최근 유아 미술교육 경향을 근거로. 제주한라 학 논문집, 27, 221-235.

정은경(2002). 유아기 술교육의 재이해를 한 고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3),

129-148.

탁형수(2004). 미 체험 활동을 한 통합 인 미술과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하은경(2006). 미 체험 활동을 통한 창의 발상지도 - 등학교 3, 4학년을 심으로-.

경성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한경애(2007). 놀이의 달인. 서울: 그린비.

한명희(2002). 교육의 미학 탐구. 서울: 집문당.

허 주(1997). 교사 자질로서의 교육 사랑에 한 고찰. 동국 학교 학원 연구논집,

27, 153-168.

Page 20: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102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황향숙(2005). 미술교육의 확장 -치유 기능으로서의 미술교육-. 미술교육논총, 19(2),

415-438.

Beardsley, M. C.(1991). Aesthetics experience. In R. A. Smith & A.

Dewey, J.(2003). 경험으로서의 술. (이재언 역). 서울 : 책 세상. (원 1934 출 )

Eisner, E. W.(1995). 표상형식의 개발과 교육과정. (김 , 이 만 역). 서울 : 교육

과학사.

Mathison, S.(1988). Why triangulate?. Educational Researcher, 17, 13-17.

Shirrmacher(1997).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Delmar Publishers.

Spradley, J. D.(1988). 문화탐구를 한 찰법. (이희 역). 서울: 한교과서 주식회

사. (원 1980년)

Page 21: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2014-08-14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87 을

심미 미술교육을 한 미술교사 역할에 한 사례 연구 ․ 103

Abstract

A Case Study about the Role of Art Teacher in the

Pursuit of Aesthetic Art Education

Nam-Jung Choi

Art education aims at encouraging children to represent their ideas and feelings through

interaction with nature, things and people around them in a spontaneous and creative

manner. Like any other sorts of education, the quality of art education hinges on the

roles of teachers who provide that education. This means that art teachers should be

aesthetic enough to provide aesthetic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due roles of art teachers for the sake of the realizing of aesthetic art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n art teacher from a

daycare center offering diverse, aesthetic art education. The art teacher bolstered her

aesthetic feelings by looking back on her early childhood days, putting aside her

memories of teaching at an art academy, having new experiences, trying to understand

preschoolers and sharing opinions and data with other teachers. The conclusion was that

in order to be an aesthetic teacher, teachers need a change their mind-set and should

enrich their aesthetic experiences.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try to sympathize with

young children, to create a learning community with their colleagues and to fortify mutual

collab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