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76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Management Practices Among Home Care Patients with Cancer 2008년 8월 인하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가정전문간호사과정) 문영미

Upload: others

Post on 31-Aug-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간호학 석사학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통증 리 실태

Pain and Pain Management Practices

Among Home Care Patients with Cancer

2008년 8월

인하 학교 학원

간호학과 (가정 문간호사과정)

문 미

Page 2: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간호학 석사학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통증 리 실태

Pain and Pain Management Practices

Among Home Care Patients with Cancer

2008년 8월

지도교수 함 옥 경

이 논문을 석사학 논문으로 제출함

인하 학교 학원

간호학과 (가정 문간호사과정)

문 미

Page 3: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이 논문을 문 미의 석사학 논문으로 인정함

2008년 8월

주심 인

부심 인

원 인

Page 4: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감사의

오늘의 제가 있기까지 힘과 지혜와 건강을 허락해 주신 하느님과 성모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이 논문을 비하고 완성하기까지 부족함이 많은 를 이끌어 주시고 세심하

게 지도해 주신 지도교수님이신 함옥경 교수님과 논문내용을 꼼꼼히 읽고 수정

해주신 김정희 교수님, 임지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학원 공부와 논문을 비하면서 무 힘들어서 포기하고 싶을 때 서로에게

힘이 되어 가정 문간호사과정 동기인 든든한 맏언니 김선정 선생님, 친구 신

경희, 후배 김세라와 권민 , 그리고 자료 수집에 도움을 주신 최 순, 오승은,

이수 선생님과 각 보건소 방문간호 선생님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한

바쁜 업무 에도 에게 공부 할 수 있도록 배려해 주신 김성종 소장님, 유용

석 과장님, 김민순 장님과 보건소 직원 모든 분들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뒤 늦은 공부로 힘들어하는 딸을 해 늘 기도하며 사랑으로 보살펴주신 이

세상에서 제일 사랑하는 엄마, 하늘나라에서 지켜보고 응원해 주고 계실 사랑하

는 아버지, 아낌없는 격려와 사랑으로 지켜 주고 힘이 되어 가족들, 친구

들 모두에게 깊은 감사와 사랑을 합니다.

학원 과정을 마치면서 그리고 논문을 비하면서 세상은 혼자가 아니라 많

은 사람들의 도움을 받으며 더불어 살아가는 것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한

다른 사람들에게 베풀면서 살아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끝으로 이 연구에 도움을 주신 환자분들께도 깊은 감사를 드리며 빠른 쾌유

를 기원합니다.

2008년 8월

문 미 올림

Page 5: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i -

목 차

표 목차 ···························································································································ⅲ

국문요약 ························································································································ⅳ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 ···············································································································3

3. 용어 정의···················································································································4

4. 연구의 제한 ···········································································································5

Ⅱ. 문헌고찰 ··················································································································6

1. 암 환자의 통증·········································································································6

2. 암 환자의 통증 리 ·································································································8

3. 암 환자의 통증 리 장애 ·······················································································9

Ⅲ. 연구방법 ··············································································································· 11

1. 연구설계 ···················································································································11

2. 연구 상 ···················································································································11

3. 연구도구 ···················································································································11

4. 자료수집 방법 기간·························································································13

5. 자료 분석 방법·······································································································14

Ⅳ. 연구결과 ··············································································································· 15

1. 연구 상 암환자의 일반 특성 ········································································· 15

2. 연구 상 암환자의 임상 특성 ········································································· 18

3. 통증경험 ···················································································································20

4. 통증 리 ···················································································································25

Page 6: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ii -

5. 진통제의 사용실태·································································································30

6. 통증 리의 장애정도 ·····························································································36

7. 통증 련 변수간의 계 ·······················································································41

Ⅴ. 논 의 ·····················································································································43

Ⅵ. 결론 제언 ······································································································49

참고문헌 ························································································································52

부 록 ····························································································································· 57

Abstract ························································································································65

Page 7: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iii -

표 목차

<표 1> 연구 상자의 일반 특성 ············································································ 16

<표 2> 일상생활 활동가능(ADL)여부와 빈도························································ 17

<표 3> 상자의 임상 특성 ···················································································· 19

<표 4> 지난 24시간 동안의 통증정도······································································20

<표 5> 일반 특성에 따른 통증정도 ······································································21

<표 6> 임상 련 특성에 따른 통증정도····························································22

<표 7> 통증부 ············································································································23

<표 8>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방해정도··························································24

<표 9> 통증정도와 일상생활 방해 정도와의 상 계 ········································25

<표 10> 통증완화를 해 사용한 방법 ····································································26

<표 11> 가장 효과 인 통증완화 방법 ····································································27

<표 12> 효과 인 통증완화 방법에 따른 통증완화 정도····································27

<표 13> 통증 리 만족도····························································································28

<표 14> 일반 특성에 따른 통증 리 만족도······················································29

<표 15> 임상 특성에 따른 통증 리 만족도······················································ 30

<표 16> 진통제 사용 여부와 종류 ············································································ 31

<표 17> 진통제별 1일 사용량 ···················································································· 32

<표 18> 진통제의 투여간격 ························································································ 33

<표 19> PMI 지수········································································································ 33

<표 20> 일반 특성에 따른 PMI 지수···································································35

<표 21> 임상 특성에 따른 PMI 지수···································································36

<표 22> 통증 리 장애정도 ························································································ 37

<표 23> 일반 특성에 따른 통증 리 장애정도·················································· 39

<표 24> 임상 특성에 따른 통증 리 장애정도·················································· 40

<표 25> 통증 련 변수간의 상 계 ······································································ 42

Page 8: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iv -

국 문 요 약

연구목 : 재가 암 환자를 상으로 상자의 통증과 통증 리 실태를 조사하

고 통증 리에 장애가 되는 요인을 상자 측면에서 악하여 보다 효율 이고

한 통증 리를 한 기 자료를 제공하기 하여 시행한 서술 조사연구

이다.

방법 : 본 연구의 상자는 인천 역시 5개 구 보건소에 등록되어 리를 받고

있는 성인 암 환자와 인천 역시 소재 C 와 I 학병원 가정간호사업소와 S 병

원 호스피스 가정간호를 받고 있으며 본인이 암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성인

100명을 임의표출 하 다. 자료 수집은 2008년 5월 13일부터 5월 30일까지로

암환자 가정 방문 시 통증이 있는 상자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설문조사

참여에 동의한 상자에 한하여 동의서를 작성하도록 한 후 담당 간호사의 면

에 의하여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로그램 SPSS/WIN

12.0 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 편차, t-test, ANOVA, Fisher's

Exact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 다.

결과 :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상자의 연령은 70 가

36.0%로 가장 많았고 암 진단명은 장암이 18.0%로 가장 많았다. (2) 통증정도

는 10 만 에 3.73 으로 간정도의 통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

동이 어려울수록 통증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한 이 여부가 불확

실한 환자의 통증정도(4.48)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

의 방해 정도의 평균은 4 만 에 2.10으로 간 정도로 방해 받고 있었다.

통증정도와 일상생활 방해 정도와의 상 계에서는 식사 방해 정도가 가장 높

게 나타났으며 통증을 많이 느낄수록 일상생활 방해정도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통증완화 방법은 부분 약물복용(91.0%)을 사용하 고 효과 인 방법은 약

물복용 91명 52명(57.1%)이, 주사사용 53명 35명(66.0%)으로 나타났다. (5)

통증 리에 한 만족도는 보통 이상이라는 상자가 81%로 나타났으나 상

자의 일반 특성과 임상 특성에 따른 모든 변인에서 통증 리 만족도에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가장 많이 사용한 진통제 종류는 패치형

Page 9: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v -

태인 듀로제식(30.6%)이었으며 다음으로 옥시콘틴(28.5%), 트리돌(21.6%), 타이

놀(14.8%), 엠에스콘틴(12.5%)순이었다. 규칙 으로 투약한 진통제는 엠에스콘

틴(90.9%)이 가장 많았고 필요시마다 투약한 진통제로는 타이 놀(92.3%)이 가

장 많았다. (7) 진통제의 성을 PMI (통증 리지표)에 의해 분석한 결과

하게 사용된 경우는 88.7%이었으며 진통제 사용의 성을 일반 특성과

임상 특성에 따라 살펴 본 결과 모든 변인에서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8) 통증 리에 한 상자 측면의 장애수 은 5 만 에 3.24 으로 간이

상의 통증 리 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요인은 질병진행에

한 염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9) 상자의 통증정도와 통증 리 만족도간에

는 부 상 계(r=-.367, p<.001)를, 일상생활 방해정도와는 정 상 계를

보 다(r=.722, p<.001).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 방해정도는 통증 리 장애와는

정 상 계(r=.191, p<.05)를, 통증 리 만족도와는 유의한 부 상 계

(r=-.332, p<.001)를 보 다. 통증 리 장애정도와 통증 리 만족도간에는 유의

한 부 계(r=-.188, p<.05)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진통제 사용의 통

증 리지표인 통증 리 성(PMI)은 통증완화 정도와는 유의한 정 상

계(r=227, p<.05)를 보 으며 통증완화 정도와 통증 리 만족도간에는 유의한

정 상 계(r=.523, p<.001)를 보 다.

결론 : 재가 암 환자의 통증은 간정도의 통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아주 높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통증완화 방법 사용에 의한 통증완화 정도는 간 정도로

통증 리가 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으며 통증 리지표에 의한 진통제

사용 성 평가는 88.7%가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통제 사용을 필요시

마다 투약하는 경우가 많아 부분의 재가 암 환자의 통증 리는 부 하게

리되고 있는 상태로 투약 방법, 간격, 용량을 고려한 성의 재평가를 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한 통증 리를 해서 정확한 통

증사정이 요하며 통증 리방법에 한 지속 인 교육과 홍보를 통하여 통증

으로 고통 받고 있는 재가 암 환자들이 통증 리 련 장애요인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하겠다.

주요단어 : 암, 통증, 통증 리, 장애

Page 10: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1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암(cancer)은 미분화된 한 종류의 세포가 무한히 증식해 정상 인 세포의 기

능을 방해하는 질병으로 인들이 가장 두렵게 생각하는 질병 의 하나이다.

한 암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사망원인 1 로, 뇌 질환, 심장질환에 의

한 사망은 지난 10여 년 동안 감소하는 반면 암으로 인한 사망은 지속 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국립암센터, 2004). 최근 속한 산업화와 생활양식의 변화,

인구의 노령화에 따른 험요인의 증가 등으로 암으로 인한 사망이 증가하여

총 사망 원인 암이 차지하는 비율이 2006년에는 27%로 인구 10만 명당 암

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34.8명으로 보고되었다(통계청, 2006).

암은 인간의 건강과 생명을 하는 가장 요한 질병 의 하나로써 우리

사회의 모든 계층, 즉 남녀노소, 빈부귀천을 가리지 않고 고 없이 찾아온다.

암 환자가 경험하는 여러 증상 에 통증은 암 환자에게 죽음의 공포 그 이상

이며, 가장 고통스러운 요인으로 환자의 식사, 휴식, 수면, 활동에 장애를 주게

되어 불안과 죽음에 한 공포를 가 시킨다(윤귀옥, 1996). 한 한국 호스피

스․완화의료학회 조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암 환자 3,245명 60.8%가 수

명연장 보다 통증감소를 더 원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암환자에게 통증완화

가 얼마나 요한지를 단 으로 보여주는 것이다(장재건, 2007). 황규 (1993)은

암 통증을 종양 자체나 치료 는 변비와 련된 문제들로 인해서 환자가 경험

하게 되는 고통으로서 생리 , 감각 , 정서 , 인지 , 행동 , 사회 문화 요

소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차원의 경험이라고 하 다. 암환자의 극심한 통증은 음

식 섭취, 수면, 사고, 인 계와 같은 일상생활을 방해함으로써 환자의 삶의 질

을 손상 시키며(Cleeland, 1984) 한 환자를 불안하거나 우울하게 만들고, 환자

로 하여 통증 제거를 해 집착하게 한다(Lander, 1990).

따라서 암성통증에 한 최상의 치료는 종양 치료에 있어 요한 부분이 되

고 있다. 암 통증 리가 필요하다는 것은 단순히 통증의 고통에서 벗어난다는

Page 11: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2 -

의미가 아니라 환자 심리상태를 안정시키고 면역력을 증가시켜 암을 극복할 수

있게 하기 한 것이다(장재건, 2007). 암 환자의 통증 정도는 암의 종류나 시기

에 따라 다르지만 암으로 진단 받았을 때나 간 정도 단계에 이미 30~50%의

환자들이 통증을 호소하며 암이 진행된 말기 암 환자 70~90%에서 등도 이

상의 통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김훈교, 1995; McCaffery, 1992).

암성통증은 환자의 70~90% 이상에서 통증 리원칙에 따른 한 통증조

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Jacox, Carr & Payne, 1994; Zenz,

Zenz, Tryba & Strumpf, 1995), 실제로 체 암환자의 42%가 부족한 통증 리

로 고통 받고 있으며(Oliver, Kravitsz, Kaplan & Meyers, 2001) 통증조 이 안

되면 암 환자뿐만 아니라 그 가족까지 고통 받게 되고 환자의 일상생활 능력과

식욕이 떨어지며 불면증이 생기고 기분이 하되어 삶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

(김훈교, 1995; Daniel, Charles, Cheland & Reuven, 1985; Kathleen & Foley,

1989).

국내의 선행연구에서 보면 아직도 암환자들의 통증 리는 충분치 않은 것으

로 나타나고 있다(김경희, 2001; 김지윤, 1993; 양명숙, 1995; 윤귀옥, 1996; 윤

호, 허 석, 유태우, 허 렬, 1999; 정정미, 2000; 홍 선 외, 1986). 암에 의한 통

증조 이 제 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의료진의 문제, 환자의 문제, 의료체계

의 문제 때문이다(박 욱, 2005; McCaffery, 1992). 국내 문헌을 보면 암 통증

리에 한 연구는 의사(윤 호, 김철환, 1997), 간호사(박 숙, 신 희, 1994; 서

순림, 서부덕, 이 주, 1995)의 암 통증 리에 한 부정 인 태도나 지식부족을

보고 했고, 김승옥(2006)은 말기 암환자의 통증감소를 한 마약성 진통제 사용

의 제도 개선방안에 한 연구에서 재 의료진의 마약성 진통제 사용에

한 해 요인 련법 개정의 필요성을 지 했다. 윤양란(2002)은 통증조

장애 요인 가운데 환자와 련된 문제에 해 조사 분석하 다.

통증 리과정에서 무엇보다 가장 요한 것은 주 인 경험인 통증에 한

암 환자의 자발 인 통증보고이며 이것은 통증 리의 요한 첫 단계이고, 효과

인 통증 리는 통증의 발생부 , 정도 지속시간에 한 환자의 보고와 처

방된 통증 리 계획에 따르는 환자의 이행에 으로 의존한다(김홍수, 서문

자, 2000). 따라서 암성 통증 리의 주체는 암 환자(정성희, 2006)로 암환자의

통증 리에 있어 상자 측면의 장애요인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Page 12: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3 -

통증 리에 한 상자 측면의 장애요인들로는 진통제 사용에 따른 부작용

과 독에 한 두려움, 통증을 질병 악화로 인식하는 데서 오는 두려움, 통증

호소로 의사의 심을 분산시키지 않으려고 통증보고를 회피하는 것, 암에 한

운명론 인 수용태도 등 그 밖에 여러가지 이유로 통증의 호소나 진통제 요구

를 주 하게 된다는 보고가 있다(Ward et al, 1993). 이러한 장애요인으로 인해

아직도 많은 암 환자들이 암이라는 질병 자체보다도 임종하는 순간까지 암성

통증으로 고통 받고 있다.

암환자의 통증과 통증 리 진통제 투여실태와 효과 등에 한 연구는

부분 학병원에 입원치료 인 암환자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최

근 지역사회 내에 병상회 율, 경제 문제 등 기타 여러가지 문제로 조기 퇴원

하여 가정에서 리 받고 있는 재가 암환자의 수는 지속 으로 증가하여 암 환

자 41만여 명 재가 암 환자는 25만여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7). 이 게 가정에서 치료 요양 인 재가 암환자는 꾸 히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을 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리

받고 있는 암환자의 통증 통증 리와 통증 리 장애정도를 통증 리의 첫

단계이며 주체인 암환자 즉 상자 측면에서 악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

본 연구는 재가 암 환자를 상으로 상자의 통증과 통증 리 실태를 조사

하고 통증 리에 장애가 되는 요인을 상자 측면에서 악하여 보다 효율 이

고 한 통증 리를 한 기 자료를 제공하기 함이며 구체 인 목 은 다

음과 같다.

1) 상자의 통증정도를 악한다.

2) 상자의 통증 리 실태를 악한다.

3) 상자의 통증 리 장애정도를 악한다.

4) 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통증정도, 통증 리 실태 통증 리 장애정도를

악한다.

5) 통증정도, 통증 리 실태, 통증 리 장애정도 간의 련성을 악한다.

Page 13: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4 -

3. 용어 정의

1) 재가 암 환자

이론 정의 : 가정에서 치료 는 요양 인 암 환자를 의미한다(암

리법 제11조).

조작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암 진단 후 보건소 방문건강 리 는 호스피

스, 가정간호 사업소에 등록하여 가정에서 치료 는 요양

인 환자로 통증이 있는 만18세 이상의 성인을 의미한다.

2) 통증

이론 정의 : 통증이란 조직손상에 연 된 불쾌한 감각과 감정 인 경

험으로 경험하는 사람이 ‘통증이 있다’라고 말하면 존

재하는 것이다(McCaffery & Ferrell, 1986). 통증의 정도는

매우 주 인 것으로 환자가 아 다고 느끼는 것을 의

미한다.

조작 정의 : 본 연구에서는 Daut, Cleeland와 Flanery (1983)가 개발한

Wisconsin Brief Pain 설문지를 윤양란(2002)이 번역하여

사용한 도구로 측정한 수를 의미하며 면담 시 을 기

으로 지난 24시간 동안 경험한 통증정도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방해받은 정도를 의미한다.

3) 통증 리

이론 정의 : 통증의 제거 는 완화를 한 진통제 투여, 마사지, 열과 냉

의 용 등 생리 방법과 이완술, 정보제공 등의 재와 평

가 방법을 말한다(McCaffery & Beebe, 1989).

조작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토 로 윤양란

(2002)이 개발하고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도구로 측정

Page 14: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5 -

한 통증완화방법, 통증완화정도, 진통제 사용 성, 주

만족도를 의미한다.

4) 통증 리 장애정도

이론 정의 : 통증조 이 제 로 되지 않는 원인은 의료인, 상자, 의

료체계 측면의 요인 마약성 진통제의 엄격한 규정 때

문이며(McCaffery, 1992; Twycross & Lack, 1983), 상자

측면에서의 통증 리 장애는 통증 리의 주체가 되는 환

자 자신이 통증보고와 진통제 사용에 한 염려와 걱정,

두려움을 가지고 있어 이로 인해 진통제를 사용하지 못하

여 심한 통증을 경험하게 되는 정도를 말한다(김홍수, 1998).

조작 정의 : 본 연구에서는 Ward 등 (1993)이 개발한 Barriers

Questionnaire를 윤양란(2002)이 번역하여 사용한 도구로

독․주사․내성․부작용에 한 염려, 좋은 환자로 보이

려는 태도, 의사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에 한 걱정, 통

증에 한 운명론 인 태도, 질병진행에 한 공포 등 16

문항으로 측정한 수를 의미한다.

4. 연구의 제한

본 연구는 인천 역시의 5개 구 보건소에 등록되어 리를 받고 있는 성인

암 환자와 인천 역시 소재 C 와 I 학병원 가정간호사업소와 S 병원 호스피

스 가정간호를 받고 있는 성인 암 환자를 상으로 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모든

재가 암 환자에게 일반화하기 어렵다.

Page 15: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6 -

Ⅱ. 문헌고찰

1. 암 환자의 통증

통증은 실제 는 잠재 인 조직손상과 련되어 나타나는 감각 이고 정

서 인 경험으로 정의되어 왔으며 이 말은 즉 통증은 조직의 손상이 동반된 지

각과 감정의 불유쾌한 경험을 의미한다. 통증은 통증을 느끼는 개인마다의 독특

하고 복합 인 상으로써 통증을 피하게 하거나 건강 리를 하게 한다(이은옥,

이선옥, 2002). 통증은 암 환자가 경험하는 다양한 증상 증후 가장 많이

겪는 고통스러운 증상으로 극심한 통증은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들을 최악의 상

태로 만든다. 이러한 암 환자의 통증을 단순한 조직 손상에 의한 반응으로 설명

하기는 어려우며 세계보건기구(WHO)와 Clark (1999)는 통합통증(total pain)이

란 개념으로 환자의 통증을 설명하 다. 즉, 단순히 육체 통증 이외에도 정신

, 사회 , , 문화 요인들이 환자의 통증에 여한다고 설명하 다. 부

분의 통증은 신체 , 정신 자극이 혼합된 결과이며, 유발된 통증은 신 인

신체 반응을 일으킨다(황경희, 2005).

암 환자에게서 통증이 있다면 병 인 것이며, 여러가지 기 에 의해 분류되는

데 흔히 발생되는 시기에 따라 성통증과 만성통증으로 분류된다(Foley, 1985;

Kodler, 1990). 성통증은 명확히 순간 으로 일어나는 통증을 말하는데, 병의

시 부터 나타날 수도 있고 는 진행된 암에서 에 이됨으로써 통증이 나

타나기도 한다. 특히 성통증은 진단과정이나 항암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만성통증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통증으로 시작된 시간은 개 명확하지

않다. 만성통증은 약물치료에 반응하는 경우도 있지만 정신과 치료로 더 효과

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장석원, 2001). 한 병태생리학 원인에 의해서 암

환자의 통증은 암의 진행과 련된 통증, 암의 치료와 련된 통증, 쇠약에 의

한 통증, 암의 진행이나 치료에 계없이 일어나는 통증과 같이 4가지로 분류된

다(Bonica, 1982; Foley, 1985). 이러한 통증은 65-70%가 암 자체에 의한 통증이

며 5% 정도는 암의 이에 의한 합병증으로 발생한다. 방사선 치료, 항암치

Page 16: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7 -

료 수술 후 흉터 등 치료에 의해 나타나는 통증이 5% 가량이다. 나머지

20%는 암과 계없이 환자가 갖고 있던 질환이나 혹은 아 서 나쁜 자세를 지

속할 경우 생기는 통증 등이다. 암 환자의 통증을 유발하는 원인 가장 흔한

원인은 암세포에 의한 골 이, 신경압박이나 침범, 임 장기침윤이나

도 폐색, 폐색이다(이경식, 1995; Portenoy, 1989).

암성 통증의 발생빈도를 살펴보면 암 진단 당시에 35%가, 진행된 암 환자의

70%가, 말기 암 환자의 경우는 80-90%에서 통증이 주 증상으로 나타나며(김훈

교, 1995; McCaffery, 1992) 암 치료환자의 50%가 통증을 경험하고 25% 정도는

통증으로 고통 받으며 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성자 등, 1997).

심각한 통증은 암 환자의 3차 의료기 입원의 가장 큰 이유가 되기 때문에

(윤 호, 허 석, 1996) 통증조 과 암의 치료를 해 암 환자들은 입원을 하여

한 치료와 리를 받게 되나 입원한 암 환자들 69-83%가 여 히 통증

을 경험하고 있으며 통증을 느끼는 상자 38-49%가 통증 리를 받지 못하

고 있고 10-45%의 환자가 진통제 투여 후 통증완화가 거의 안 되었다(윤귀옥,

1996). 이 게 암과 련해 입원한 많은 환자들은 통증 리를 잘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 암 환자는 통증으로 인해 여러가지 향을 받게 되는데 이경식(1995)의

연구에서 통증은 환자의 안 를 해하며 집안일의 수행, 일상 활동, 여가생활,

수면, 식사 가족 계 유지에 어려움을 주어 삶의 질을 크게 하시키며, 우

울, 무기력, 좌 감, 고립감 등의 부정 인 감정을 가지게 하므로 암 환자의 통

증은 조 되어야 한다고 하 으며 Bonica (1982)와 Cleeland (1984)도 암 환자

는 통증으로 인해 수면장애, 식욕 하, 오심, 구토 등의 신체 증상이 야기될

뿐 아니라 불안, 우울, 건강염려증 신경증 등과 같은 정의 변화 등이 래

된다고 하 다. 정정미(2000)도 통증은 환자의 휴식, 수면과 활동에 지장을 래

하여 불안과 공포를 가 시키므로 통증조 의 요성을 강조하 다.

에 살펴 본 것과 같이 암 환자의 통증은 신체 . 심리 부분에 직 으로

많은 향을 미치며 일상생활에도 향을 주어 결국에는 암 환자의 삶의 질을

하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age 17: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8 -

2. 암 환자의 통증 리

통증을 폭넓게 정의하면 통증을 경험하는 사람이 통증이라고 말하는 모든 것

으로 통증이 있다고 말할 때는 언제나 존재하며 언어 이고 비언어 인 행 를

포함하는 것이다(McCaffery & Ferrell, 1986). 통증은 환자의 병의 진행정도와

상태에 따라 주 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통증조 을 효과 으로 하기 해서

는 환자가 호소하는 통증에 한 정확한 평가와 환자의 개별화된 건강 리가

필요하다(박애령 등, 1998). 그러므로 환자들의 자발 인 통증보고가 통증조 의

요한 첫 단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통증 리의 목 은 통증을 제거하여 암 환자의 가정과 사회의 복귀를 증가하

게 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과 더불어 가족의 고통과 경제 ․사회 손

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며(WHO, 1986), 통증 리의 목표는 첫째 고통 없이 잠을

잘 자게하고 둘째 안정 시 통증이 없게 하고 마지막으로 활동 시에도 통증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암 환자의 통증조 방법으로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가 있으나

재까지 암 환자의 통증조 을 해서는 진통제 사용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

고 있으며 통증치료의 주축이 되고 있다(이경식, 1995; 이은옥, 최명옥, 2005).

이러한 진통제를 사용하는 약물요법은 WHO에서 권장하고 있는 단계 통증

리법으로 통상 3단계로 치료한다. 1단계는 통증이 생기기 시작한 단계이며, 환

자는 약간의 불편함을 느끼는 시기로 이 단계에서는 단순한 진통제로 통증완화

가 가능하다. 2단계는 등도의 통증에서 사용되며 마약성제제, 비마약성제제,

보조제를 혼합하여 투여한다. 3단계에서는 보조제와 비마약성 진통제, 강한 마

약성 진통제가 사용된다. 이외에 통증 리법으로는 마사지, 열․냉의 용, 지시

심상요법, 정보제공, 이완요법, 치료 , 간호, 심 환 운동 로그

램 등이 있으며 기타 문가나 기계의 도움이 필요한 최면술, 경피 신경자극,

생리 회환법 등이 있다(이은옥, 최명애, 1996).

세계보건기구의 통증조 을 한 단계 진통제 사용으로 홍 선 등(1986)의

연구결과 입원한 36명 암 환자에게서 94.7%가 통증이 거의 없는 상태로 조 되

었다. 통증치료의 주축이 되고 있는 진통제를 규칙 인 투여간격으로 한 시

간에 한 용량을 규칙 으로 투약하는 경우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33%로

Page 18: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9 -

(김 조, 2007) 다수의 환자들에게서 효과 인 통증완화를 기 할 수 있으며

WHO 단계별 진통제 사용 시 통증조 이 효과 인 것으로 나타났다(김성자 등

, 1997). 그러나 암 환자의 통증 조 을 한 효과 인 진통제 사용법이 있는데

도 부분의 환자는 한 통증 리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 만족도 한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김 조, 2007). 심지어 사망 시까지도 통증이 조 되지 않

는 경우도 50-75%에 이른다는 보고가 있으며(Portenoy, 1989) 통증치료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도의 심한 통증을 경험하는 환자도 62%나 된다고 한다

(Cleeland et al, 1994). 세계보건기구 보고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통증조 의료

행 가 열악한 나라로 인구 100만 명 당 의료용 마약성진통제의 사용량이 선진

국의 10% 미만이라고 한다(윤양란, 2002).

3. 암 환자의 통증 리 장애

암 환자에게 통증은 여러가지 증상 가장 흔하게 경험하는 증상이면서

(Levy, 1996) 한 죽음 그 이상의 공포로 암 환자들을 가장 고통스럽게 하는

증상이다(백승완, 2001). 말기 암 환자의 생존기간에 가장 결정 인 향을 미치

는 것이 통증이라는 연구보고가 있다. 즉 통증이 심할수록 빨리 사망한다는 것

이다(박 욱, 2005). 그러므로 암 환자에게 있어 통증 리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요 간호 재이다. 이를 해 WHO (1986)에서는 암성통증 리를 우선 으

로 수행해야 할 요과제로 보고 3단계 진통제 사다리 (Three-Step Analgesic

Laddr)의 통증 리 원칙을 권장하고 있다. 환자의 70-90%이상에서 한 통증

리 원칙으로 통증조 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60-70%의 환자는 한 통증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고(최소 , 2004), 38%의 말기 암 환자도 불충분한 통증

리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윤 호 등, 1998).

암 통증 리가 제 로 되지 않는 이유는 환자와 의료인, 의료체계와 련된

여러가지 요인이 있기 때문이다(박 욱, 2005; McCaffery, 1992). 이러한 원인을

의사의 측면과 환자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의사들은 암을 치료하기 해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에만 심을 기울여 왔고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

Page 19: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10 -

는 데에는 등한시하며 생명연장을 한 치료만 제공할 뿐 환자의 통증은 해결

해 주지 못했다. 한 환자들은 부분 마약성 진통제를 쓰면 내성과 독이 생

겨 병이 악화된다고 생각하여 진통제를 아껴 두었다가 통증이 심할 때 마지막

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잘못 생각하고 있다(장석원, 2001). 이러한 통증조 에

한 인식부족과 부정 인 태도, 마약성 약물 독에 한 환자의 염려와 더불어

마약 사용에 한 사회 반 인 부정 인식과 마약남용 방을 한 엄격한

규정 등으로 통증 리가 효과 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김시 ,

2001).

암성 통증 리의 장애요인에 한 선행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먼 의사 측

요인으로는 통증 리에 한 의사들의 불충분한 지식이 66.3%, 부 한 통증

평가가 50.5%, 마약성 진통제 처방의 주 가 42.7%로 나타났으며 의료체계와

련해서는 문 인 방법에 한 근성 부족, 진통제에 한 지나친 규제, 다

양한 진통제의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윤 호 등, 2005). 통증 리의 주체인 환자

측 련 장애요인으로는 환자들은 부분 통증 리에 하여 정도의 염려를

가지고 있으며(권인각, 1999; 김홍수, 서문자, 2000; 윤양란, 2002) ‘통증이 심해

졌다는 것은 질병의 악화를 의미한다’ 의 염려정도가 가장 높게 나온 항목으로

통증경험을 질병의 진행과 동일시하고 있으며 내성이나 독에 련된 장애요

인도 높게 나타났다(권인각, 1999; 김홍수, 1998; 윤양란, 2002). 한 유양숙, 이

원희, 조옥희와 이소우(2005)의 연구결과에서는 진통제 사용에 따른 독에

한 장애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외 장애요인으로는 의사의 주의를 분산시킬

것에 한 걱정, 주사에 한 공포, 좋은 환자로 보이려는 것, 통증에 한 운명

론 인 태도, 부작용에 한 걱정 등은 상 으로 낮은 장애요인으로 나타났

다.

앞에서 살펴본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통증 리 염려정도가 높을수록 통증보고

나 진통제 투약 주 행 가 증가하고 그로 인한 진통제 과소 투약으로 (이춘남,

2006) 암 환자들은 진통제를 하게 사용하지 못하여 심한 통증을 경험하고

일상생활에도 방해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김홍수, 서문자, 2000).

Page 20: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11 -

Ⅲ.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가정에서 치료 는 요양 인 암 환자의 통증과 통증 리 실태를

조사하고 상자의 통증 리 장애정도를 악하기 한 서술 조사연구이다.

2. 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인천 역시 10개 보건소 본 연구에 조하기로 동의

한 5개 구 보건소에 등록되어 리를 받고 있는 성인 암 환자와 인천 역시 소

재 C 와 I 학병원 가정간호사업소와 S 병원 호스피스 가정간호를 받고 있는

암환자 본인이 암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는 성인 100명을 임의표출 하

다. 상자 선정기 은 다음과 같다.

1) 재가 암 환자로서 만18세 이상인 자

2) 통증이 있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3)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자

3. 연구도구

1) 통증

통증정도의 측정은 Daut, Cleeland와 Flanery (1983)가 개발한 타당도 신

뢰도가 검증된 Wisconsin Brief Pain Questionnaire를 윤양란(2002)이 번역한

도구에서 통증정도에 한 문항 심한 통증, 약한 통증, 평상시 통증, 재 통

증, 통증 부 5문항과 방해받은 정도에서는 식사, 기분, 인 계, 수면 4문항

Page 21: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12 -

을 선정하여 사용한 도구로 측정한다. 통증은 24시간 내에 상자가 느끼는 통

증정도를 표시한 값으로 0 (통증없음)에서 10 (최악의 통증) 범 로, 방해받은

정도는 0 ( 없음)에서 4 (매우 많이 방해 받음) 범 로 측정하며 수가

높을수록 통증정도와 통증으로 인해 생활이 방해받은 정도가 큰 것을 의미한다.

윤양란(2002)의 연구에서 통증정도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이 .93

이었고, 방해정도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이 .86이었으며, 본 연구

에서는 Cronbach's α값이 각각 .85와 .93으로 나타났다.

2) 통증 리

통증 리 실태를 악하기 해서 통증완화방법, 완화정도, 통증 리에 한

상자의 만족도 진통제 사용의 성을 조사하며, 윤양란(2002)이 개발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8문항으로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 다.

통증완화방법은 통증을 완화하기 해 사용한 약물요법, 물리치료, 마사지, 이

완요법 등의 방법과 효과가 있었던 방법을 조사하 다. 통증완화정도는 통증완

화방법으로 어느 정도 통증이 완화되었는지를 4 척도로 측정한 수를 의미

하며 0 ( 지 않음)에서 4 (완 히 사라짐) 범 에서 상자가 표시한

값으로 측정하 다. 통증 리 만족도는 통증 리에 만족하는 정도를 매우 불만

족 1 에서 매우 만족 5 의 5 척도로 측정하 다.

3) PMI (통증 리지표)

진통제 사용의 성은 상자가 표 한 통증정도에 한 단계의 진통제

가 사용되었는지를 악하기 해 Ventafridda, Tamburini, Caraceni, Decenno

와 Naldi (1987)의 연구에서 타당도가 검정된 도구인 통증 리지표(PMI : Pain

Management Index)를 사용하 다. 진통제 사용의 성을 평가하기 하여,

WHO(1986)에서 제시한 단계 진통제 사용법(analgesic ladder)에 근거하여 진

통제 사용 단계를 구분하며, 지난 1주일 동안 사용한 가장 강한 진통제의 단계

에서 상자가 표 한 지난 24시간 동안 경험한 가장 심한 통증정도를 뺀 수

로 단하며, 0 이상의 양의 수는 을, 음의 수는 부 을 의미한다.

Page 22: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13 -

4) 통증 리 장애

마약성 진통제에 한 상자의 통증 리 장애정도를 알아보기 해 Ward

등(1993)이 개발한 Barriers Questionnaire를 윤양란(2002)이 번역하여 사용한

27문항 16문항(질병, 독, 내성, 주사, 부작용에 한 염려, 주사효과에 한

확신, 좋은 환자로 보이려는 태도)을 선택하여 사용한 도구로 측정하 으며 각

문항은 1 ( 그 지 않다)에서 5 (매우 그 다) 범 로 측정하 고 수가

높을수록 통증 리에 한 장애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Ward 등(1993)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이 .89로 보고 되

었고 윤양란(2002)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값이 .74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값이 .81로 나타났다.

4. 자료수집 방법 기간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하여 인천 역시 5개 구 보건소는 방문간호 소속

간호 장에게, 인천 역시에 소재한 C 와 I 학병원 가정간호사업소와 S 병원

호스피스 가정간호실은 간호부장에게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자료수집에 한

허락을 받은 후 실시하 다.

자료 수집은 2008년 5월 13일부터 5월 30일까지로 담당 간호사에게 설문지

조사 방법을 설명하여 암환자 가정 방문 시 통증이 있는 상자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설문조사 참여에 동의한 상자에 한하여 동의서를 작성하도록

한 후 담당 간호사의 면 에 의하여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수집에는 상

자 1인당 약 15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설문지는 150부를 배부하고 123부

를 회수하여 부 한 23부를 제외한 최종 100부(66.7%)를 분석에 활용하 다.

Page 23: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14 -

5.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해 통계 로그램 SPSS/WIN 12.0 을 이용하여 분

석하 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자의 일반 특성과 통증 리 실태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 고, 통증

정도와 통증 리 장애정도는 평균과 표 편차를 산출하 다. 상자의 일반

특성과 임상 특성에 따른 통증정도, 만족도, 통증 리 장애정도의 차이를 살

펴보기 해 t-test, ANOVA를 실시하 고 사후검정을 하여 Duncan test를

실시하 다. 상자의 일반 특성과 임상 특성에 따른 PMI 지수의 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해 Fisher's Exact Test를 실시하 으며 통증 련 변수간의

계를 살펴보기 해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 다.

Page 24: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15 -

Ⅳ. 연구결과

1. 연구 상자의 일반 특성

연구 상자의 일반 특성은 <표1>에서 보는 바와 같다. 먼 성별은 남성이

50.0%, 여성이 50.0%로 동일하게 분포하 으며, 연령층은 70 가 36.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60 가 25.0%, 50 가 22.0%, 40 가 13.0%, 40세 미만이

4.0%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55.0%로 가장 많았고, 사별이 27.0%,

별거 이혼이 11.0% 미혼이 7.0% 순으로 나타났다. 환자들의 가족 수는 2명

이 35.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4명이 22.0%, 3명이 20.0%, 1명이 18.0%, 5

명이 5.0% 으며, 학력은 고졸 이하가 35.0%, 등졸 이하가 27.0%, 무학이

17.0%, 졸이하가 16.0%, 학재학 이상이 5.0%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종교는 종교가 없는 상자가 38.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기독교가

36.0%, 천주교가 14.0%, 불교가 12.0% 비율을 보 으며, 월평균 소득은 50만원

미만이 44.0%로 가장 많았고, 100-150만원 미만이 33.0%, 150-250만원 미만이

12.0%, 250-350만원 미만이 8.0%, 350만원 이상이 3.0%로 각각 나타났다. 환자

들의 거동상태는 거동이 가능한 상자가 78.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불가

능한 환자가 12.0%,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거동이 가능한 상자가 10.0% 다.

상자를 돌 주는 사람은 배우자가 45.0%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고, 자녀가

28.0%, 기타가 11.0%, 사자가 7.0%, 부모가 5.0%, 간병인이 4.0% 순으로 나타

났다.

Page 25: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16 -

<표1> 연구 상자의 일반 특성 (N=100)

구 분 n (%) M ± SD Range

성별 남성 50 50.0

여성 50 50.0

연령 40세 미만 4 4.0

62.77 12.78 23-87

40 13 13.0

50 22 22.0 ±

60 25 25.0

70 36 36.0

결혼상태 미혼 7 7.0

기혼 55 55.0

사별 27 27.0

별거 이혼 11 11.0

가족수 1명 18 18.0

2명 35 35.0

3명 20 20.0 2.61 ± 1.16 1-5

4명 22 22.0

5명 5 5.0

학력 무학 17 17.0

등졸 이하 27 27.0

졸이하 16 16.0

고졸 이하 35 35.0

학재학 이상 5 5.0

종교 천주교 14 14.0

기독교 36 36.0

불교 12 12.0

없음 38 38.0

월평균소득 50만원 미만 44 44.0

100-150만원 미만 33 33.0

150-250만원 미만 12 12.0

250-350만원 미만 8 8.0

350만원 이상 3 3.0

거동상태 가능 78 78.0

불가능 12 12.0

보조기구 이용 가능 10 10.0

돌 주는 사람 배우자 45 45.0

부모 5 5.0

자녀 28 28.0

간병인 4 4.0

사자 7 7.0

기타 11 11.0

Page 26: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17 -

다음으로 연구 상 암 환자들의 일상생활 활동가능 여부와 빈도는 <표2>에

서 보듯이, 식사가 가능한 상자가 82.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혼자서 옷

을 입을 수 있는 상자가 78.0%, 소변을 한 화장실 출입이 가능한 상자

가 77.0%, 세수나 양치질, 머리감기 등을 혼자서 할 수 있는 상자가 75.0%,

혼자서 웠다가 일어나 밖으로 나갈 수 있는 상자가 72.0% 으며, 혼자서

목욕을 할 수 있는 상자는 55.0%로 나타났다. 일상생활 활동가능 빈도는 6가

지 활동이 모두 가능한 상자들이 53.0%로 과반수 이상 이었고, 5가지 활동이

가능한 상자는 15.0% 으며, 6가지 활동이 모두 불가능한 상자도 14.0%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2> 일상생활 활동가능(ADL) 여부와 빈도 (N=100)

구 분가능 불가능

n (%) n (%)

일상생활 활동

가능(ADL) 여부

옷 입기 78 (78.0) 22 (22.0)

세수나 양치질, 머리감기 75 (75.0) 25 (25.0)

목욕 55 (55.0) 45 (45.0)

식사 82 (82.0) 18 (18.0)

웠다가 일어나 밖으로 나가기 72 (72.0) 28 (28.0)

소변을 한 화장실 출입 77 (77.0) 23 (23.0)

일상생활 활동

가능(ADL) 빈도

n (%) M± SD Range

모두 불가능 14 (14.0)

4.39 ± 2.24 0-6

1개 가능 4 (4.0)

2개 가능 5 (5.0)

3개 가능 4 (4.0)

4개 가능 5 (5.0)

5개 가능 15 (15.0)

모두 가능 53 (53.0)

Page 27: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18 -

2. 연구 상자의 임상 특성

연구 상자의 임상 특성에 한 분석결과는 <표3>에서 보는 바와 같다. 먼

암의 다른 부 로의 이 여부는 다른 부 로 이되지 않은 상자가

49.0% 고, 다른 부 로 이된 상자가 30.0%, 잘 알지 못하는 상자가

21.0% 다. 상자들의 진단명은 장암이 18.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암

이 14.0%, 간암이 13.0%, 유방암이 10.0%, 폐암이 9.0%, 자궁경부암과 자궁암,

직장암, 액암이 각각 3.0%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로는 췌장암, 방 암, 담도암,

갑상선암 등이 있었다.

암의 진단 시기는 1-2년 미만이 29.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5년-10년 미

만이 28.0%, 1년 미만과 2-3년, 3-4년 미만이 각각 10.0% 4-5년 미만이 7.0%,

10년 이상이 6.0%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암 진단을 받은 지 4.29(SD=3.44)년

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상자

는 86.0%고, 암으로 입원경험이 있는 상자가 92.0%로 거의 부분이었다. 입

원경험이 있는 상자의 입원횟수는 1회가 22.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5-10회 미만이 20.0%, 2회가 17.0%, 10회 이상이 15.0%, 3회가 10.0%, 4회가

8.0% 으며, 평균 5.73(SD=7.26)회 정도 입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자의

66.0%는 암으로 인한 수술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28: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19 -

<표3> 상자의 임상 특성 (N=100)

구 분 n % M ± SD Range

암의 다른 부 로의

이 여부

30 30.0

아니오 49 49.0

잘모름 21 21.0

진단명 장암 18 18.0

암 14 14.0

간암 13 13.0

유방암 10 10.0

폐암 9 9.0

자궁경부암 3 3.0

자궁암 3 3.0

직장암 3 3.0

액암 3 3.0

기타 24 24.0

암의 진단 시기 1년 미만 10 10.0

1-2년 미만 29 29.0

2-3년 미만 10 10.0

3-4년 미만 10 10.0 4.29 ± 3.44 1-19

4-5년 미만 7 7.0

5년-10년 미만 28 28.0

10년 이상 6 6.0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험

있음 86 86.0

없음 14 14.0

입원경험 있음 92 92.0

없음 8 8.0

입원경험 환자의

입원횟수

없음 8 8.0

1회 22 22.0

2회 17 17.0

3회 10 10.0 5.73 ± 7.26 1-40

4회 8 8.0

5-10회 미만 20 20.0

10회 이상 15 15.0

암 수술경험 있음 66 66.0

없음 34 34.0

Page 29: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20 -

3. 통증 경험

(1) 통증 정도

상자들이 느끼는 통증정도가 조사 당일을 기 으로 24시간 동안 어느 정도

는지를 10 만 으로 살펴본 결과는 <표4>와 같다. 통증이 가장 심했을 때

는 평균 6.02 으로 심한 통증이었고 가장 약했을 때는 2.20 으로 약한 통증으

로 나타나 통증의 차이가 상당히 컸으며, 평상시에는 3.43 정도의 통증을, 조

사 당시 재에는 3.26 정도로 약한 통증과 간정도 통증 사이의 통증을 느

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4> 지난 24시간 동안의 통증 정도 (N=100)

구 분 M ± SD Range

통증이 가장 심했을 때 6.02 ± 2.32 2-10

통증이 가장 약했을 때 2.20 ± 1.61 0-7

평상시 3.43 ± 1.88 0-9

재 3.26 ± 2.36 0-10

체 3.73 ± 1.72 0-10

상자들의 지난 24시간 동안의 통증 정도를 일반 특성과 임상 련 특

성에 따라 살펴 본 결과는 다음 <표5>과 <표6>에서 보는 바와 같다. 먼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라서는 상자들의 거동 상태에 따라 통증정도에 유의

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 으로 거동이 불가능한 상자들

의 통증 정도가 평균 5.10으로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보조기

구를 이용해서 거동이 가능한 상자(4.10), 거동이 가능한 상자(3.47) 등의 순

으로 나타나, 반 으로 거동이 어려운 상자들일수록 통증이 심한 것으로 나

타났다(p<.01). 이에 한 사후검정 결과 특히 거동이 가능한 상자군과 불가

능한 상자군 간의 통증 정도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군별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p>.05), 연령층이 낮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통증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Page 30: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21 -

<표5> 일반 특성에 따른 통증정도 (N=100)

구 분 n M ± SD t/F p

성별 남성 50 3.76 ± 1.84.188 .851

여성 50 3.70 ± 1.60

연령 40 미만 17 3.97 ± 1.35

.787 .45850-60 47 3.86 ± 1.94

70 이상 36 3.44 ± 1.56

결혼상태 기혼 55 3.96 ± 1.801.499 .137

기타(미혼/사별/별거/이혼) 45 3.44 ± 1.59

동거가족 유 82 3.76 ± 1.71.429 .669

무 18 3.57 ± 1.79

학력 무학 17 3.72 ± 1.61

1.100 .337졸 43 3.46 ± 1.74

고졸 이상 40 4.02 ± 1.73

종교 유 62 3.83 ± 1.79.765 .446

무 38 3.56 ± 1.60

월평균소득 50만원 미만 44 3.63 ± 1.76

.235 .79150-150만원 미만 33 3.71 ± 1.73

150만원 이상 23 3.93 ± 1.69

거동상태 가능 78 3.47 ± 1.60b

5.419 .006불가능 12 5.10 ± 2.03a

보조기구 이용 가능 10 4.10 ± 1.49ab

다음으로 임상 련 특성별로는 암의 다른 부 로의 이여부에 따라 통증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 으로 이여부를 잘

모르는 상자들의 통증 정도가 평균 4.48로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

음으로 다른 부 로 이된 상자(3.96), 이되지 않은 상자(3.27)의 순으로

통증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 비교 결과 이들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

다. 이여부를 잘 모르는 상자를 제외하면, 다른 부 로 암이 이된 상

자들이 이되지 않은 상자들에 비해 통증 정도가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Page 31: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22 -

(p<.05).

진단명별로는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자궁경부암/자궁암 상자가

통증이 평균 4.17로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방암 상자(3.35)의 통증

수 이 상 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6> 임상 련 특성에 따른 통증정도 (N=100)

구 분 n M ± SD t/F p

이여부 30 3.96 ± 1.69b

4.305 .016아니오 49 3.27 ± 1.58c

잘모름 21 4.48 ± 1.81a

진단명 장암/직장암 21 3.60 ± 1.47

.309 .948

암 14 3.75 ± 1.61

간암 13 3.56 ± 2.22

유방암 10 3.35 ± 1.72

폐암 9 3.53 ± 2.10

자궁경부암/자궁암 6 4.17 ± 1.93

액암 3 3.50 ± .50

기타 24 4.07 ± 1.72

암의 진단 시기 2년 미만 39 3.79 ± 1.77

.653 .5232-5년 미만 27 3.96 ± 2.09

5년 이상 34 3.47 ± 1.30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험

있음 86 3.65 ± 1.64-1.060 .292

없음 14 4.18 ± 2.14

입원경험 있음 92 3.67 ± 1.70-1.112 .269

없음 8 4.38 ± 1.92

수술경험 있음 92 3.77 ± 1.74.365 .716

없음 8 3.64 ± 1.70

진통제 사용의

78 3.95 ± 1.71.786 .434

부 22 3.50 ± 1.70

Page 32: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23 -

(2) 통증부

상자들이 어느 부 에 통증을 많이 느끼는 지를 살펴본 결과는 <표7>에서

보는 바와 같다. 연구 상자들의 가장 많은 54.0%가 복부에 통증을 많이 느끼

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가슴 24.0%, 등 17.0%, 다리 12.0%, 어깨와 팔과 다리

가 각각 8.0%, 온몸과 목, 얼굴이 각각 3.0%, 무릎과 머리가 각각 2.0% 순으로

통증을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7> 통증부

구 분* n (%) 구 분* n (%)

복부 54 54.0 온몸 5 5.0

가슴 24 24.0 목 3 3.0

등 17 17.0 얼굴 3 3.0

다리 12 12.0 손 3 3.0

어깨 8 8.0 발 3 3.0

팔 8 8.0 무릎 2 2.0

허리 8 8.0 머리 2 2.0

*복응답

(3)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방해 정도

상자들이 느끼는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방해 정도가 조사 당일을 기

으로 일주일 동안 어느 정도 는지를 4 만 으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 <표8>

와 같다. 체 인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방해정도는 평균 2.10 으로 간

정도로 방해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으로 인한 기분유지의 방해정도가

평균 2.20 으로 상 으로 높았으며, 인 계 방해정도가 2.20 , 식사(일상

활동)의 방해정도가 2.07 , 수면의 방해 정도가 2.02 의 순으로 나타나 반

으로 일상생활에 간정도로 방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age 33: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24 -

<표8>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방해 정도 (N=100)

구 분 M± SD Range

식사(일상활동) 2.07 ± 1.01 0.00-4.00

기 분 유 지 2.20 ± 1.04 0.00-4.00

인 계 2.10 ± 1.11 0.00-4.00

수 면 2.02 ± 1.16 0.00-4.00

일 상 생 활 2.10 ± 0.99 0.25-4.00

(4) 통증정도와 일상생활 방해 정도와의 계

상자들이 느끼는 통증 정도와 일상생활의 방해정도 간에 어떠한 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해 상 분석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는 <표9>와 같다.

상자들이 느끼는 통증이 가장 심했을 때의 통증 정도는 일상생활의 방해 정

도와 유의한 정 상 계(r=.702, p<.001)를 보 으며, 특히 하 변인 수면

방해와 상 으로 높은 상 계(r=.625, p<.001)를 보 다. 통증이 가장 약했

을 때의 통증 정도 역시 일상생활의 방해 정도와 유의한 정 상 계(r=.682,

p<.001)를 보 으며, 특히 식사방해와 상 으로 높은 상 계(r=.620, p<.001)

를 보 다. 평상시(r=.621, p<.001)와 재의 통증 정도(r=.644, p<.001) 한 일

상생활의 방해 정도와 유의한 정 상 계를 보 으며, 특히 식사방해와 상

으로 높은 상 계를 보 다(r=.569, p<.001).

따라서 상자들이 통증을 많이 느끼고 있을수록 일상생활의 방해 정도가 크

며, 특히 통증이 심했을 때의 통증 정도가 일상생활 방해 정도와 가장 한

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Page 34: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25 -

<표9> 통증정도와 일상생활 방해 정도와의 상 계 (N=100)

구 분식사

(일상활동)

기분

유지

계수면 일상생활

통증이 가장 심했을 때 .596** .527** .598** .625** .702**

통증이 가장 약했을 때 .620** .481** .569** .598** .682**

평상시 .574** .479** .515** .508** .621**

재 .569** .484** .551** .550** .644**

**p<.001

4. 통증 리

(1) 통증완화 방법

상자들이 통증완화를 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살

펴본 결과는 <표10>에서 보는 바와 같다. 분석결과 상자들은 부분인

91.0%가 약물복용방법을 사용하 으며, 그 다음으로 주사를 통한 완화방법이

53.0%, 온찜질 34.0%, 패취 사용 27.0%, 마사지를 통해서 29.0%, 기도와 한방사

용이 각각 19.0%, 물리치료 18.0%, 냉찜질 14.0%, 이완요법 9.0%, 지압 8.0%,

한약복용과 신경차단이 각각 1.0% 순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35: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26 -

<표10> 통증완화를 해 사용한 방법

구 분* n % 구 분* n %

약물복용 91 91.0 냉 찜 질 14 14.0

주 사 53 53.0 이완요법 9 9.0

온 찜 질 34 34.0 지 압 8 8.0

마 사 지 29 29.0 안 마 4 4.0

패 취 27 27.0 기 타 2 2.0

기 도 19 19.0 한약복용 1 1.0

한방사용 19 19.0 신경차단 1 1.0

물리치료 18 18.0

*복응답

(2) 효과 인 통증완화 방법

상자들이 사용한 통증완화 방법 가장 효과 인 통증완화 방법에 한

분석결과는 <표11>에서와 같이, 약물복용을 통한 완화방법을 사용한 환자 91명

52명(57.1%)이 약물복용이 통증완화에 효과 이라는 반응을 보 고, 주사를

이용한 통증 완화방법을 사용한 환자 53명 35명(66.0%)은 주사가 통증완화

에 효과 이라는 반응을 보 다. 반면에 마사지와 한방, 이완요법, 온찜질을 사

용한 환자들은 각각 11.1%, 10.5% 10.3%, 8.8%만이 각각 효과 이었다는 반응

을 보 으며, 냉찜질은 14명의 이용환자 단 1명(0.7%)만이 통증완화에 효과

이라는 반응을 보 다.

Page 36: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27 -

<표11> 가장 효과 인 통증완화 방법 (N=100)

구 분 사용인원 n %

약물복용 91 52 57.1

주 사 53 35 66.0

물리치료 18 2 11.0

냉 찜 질 14 1 0.7

온 찜 질 34 3 8.8

마 사 지 29 3 10.3

이완요법 9 1 11.1

한방사용 19 2 10.5

(3) 효과 인 통증완화 방법에 따른 통증완화 정도

통증완화 방법 상자들이 가장 효과 이라고 선택한 통증완화 방법의 통

증완화 정도를 살펴본 결과는 <표12>에서와 같다. 먼 체 인 통증완화 수

은 4 만 에 2.12 으로 간 정도 어들었다는 반응을 보 으며, 통증완

화 효과는 주사가 평균 2.46으로 물리치료/냉․온찜질/마사지(1.70)와 한방/기타

방법(1.60)에 비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p<.05)

<표12> 효과 인 통증완화 방법에 따른 통증완화 정도 (N=100)

구 분 n M ± SD F p

약물복용 52 2.00 ± .93b

3.470 .021주사 35 2.46 ± .70

a

물리치료/냉․온찜질/마사지 10 1.70 ± .89c

한방/기타 3 1.60 ± .55c

합 계 100 2.12 ± .87

Page 37: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28 -

(4) 통증 리 만족도

상자들의 통증 리에 한 만족도 수 이 어느 정도인지를 살펴본 결과는

<표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우 만족한다(1.0%)와 만족한다(34.0%) 등 만족

스럽다는 상자가 35.0% 으며, 보통이 46.0%, 매우 불만족(2.0%)과 불만족하

다(17.0%) 등 불만족스럽다는 상자가 19.0%로 나타나 보통이상이라는 상자

가 81%로 나타났다.

<표13> 통증 리 만족도 (N=100)

구 분 n (%) M ± SD Range

매우만족 1 1.0

3.15 ± 0.78 1-5

만 족 34 34.0

보 통 46 46.0

불만족 17 17.0

매우 불만족 2 2.0

합 계 100 100.0

상자들의 통증 리 만족도를 일반 특성과 임상 특성에 따라 살펴 본

결과는 <표14>와 <표15>에서 보는 바와 같다. 상자의 일반 특성 변인별로

통증 리 만족도에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령층이 높

을수록, 동거가족이 있는 상자가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통증 리 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 다(p>.05).

임상 특성에 따라서도 모든 변인에서 통증 리 만족도에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진단명별로는 장암/직장암 환자의 통증 리 만족

도 평균이 3.33으로 가장 높았고, 자궁경부암/자궁암(2.67)과 유방암 환자들

(2.70)의 통증 리 만족도가 상 으로 낮았다(p>.05).

Page 38: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29 -

<표14> 일반 특성에 따른 통증 리 만족도 (N=100)

구 분 n M ± SD t/F p

성별 남성 50 3.20 ± 0.76.636 .526

여성 50 3.10 ± 0.81

연령 40 미만 17 3.00 ± 0.79

1.187 .30950-60 47 3.09 ± 0.78

70 이상 36 3.31 ± 0.79

결혼상태 기혼 55 3.15 ± 0.73-.064 .949

기타(미혼/사별/별거/이혼) 45 3.16 ± 0.85

동거가족 있음 82 3.20 ± 0.741.233 .221

없음 18 2.94 ± 0.94

학력 무학 17 2.88 ± 0.86

1.258 .289졸 43 3.23 ± 0.75

고졸 이상 40 3.18 ± 0.78

종교 있음 62 3.11 ± 0.79-.603 .548

없음 38 3.21 ± 0.78

월평균소득 50만원 미만 44 2.98 ± 0.82

2.325 .10350-150만원 미만 33 3.21 ± 0.74

150만원 이상 23 3.39 ± 0.72

거동상태 가능 78 3.12 ± 0.79

.353 .704불가능 12 3.25 ± 0.97

보조기구 이용 가능 10 3.30 ± 0.48

Page 39: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30 -

<표15> 임상 특성에 따른 통증 리 만족도 (N=100)

구 분 n M ± SD t/F p

이여부 30 2.97 ± 0.76

1.214 .301아니오 49 3.24 ± 0.75

잘모름 21 3.19 ± 0.87

진단명 장암/직장암 21 3.33 ± 0.66

1.184 .320

암 14 3.14 ± 0.77

간암 13 3.15 ± 0.80

유방암 10 2.70 ± 0.67

폐암 9 3.11 ± 1.05

자궁경부암/자궁암 6 2.67 ± 1.21

액암 3 3.00 ± 1.00

기타 24 3.33 ± 0.64

암의 진단 시기 2년 미만 39 3.33 ± 0.66

1.982 .1432-5년 미만 27 2.96 ± 0.90

5년 이상 34 3.09 ± 0.79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험

있음 86 3.16 ± 0.78.403 .688

없음 14 3.07 ± 0.83

입원경험 있음 92 3.15 ± 0.78.094 .926

없음 8 3.13 ± 0.83

수술경험 있음 66 3.08 ± 0.79-1.326 .188

없음 34 3.29 ± 0.76

진통제 사용의

78 3.17 ± 0.80.399 .691

부 22 3.09 ± 0.75

5. 진통제의 사용실태

(1) 진통제 사용 여부와 종류

상자들의 진통제 사용 실태에 한 분석결과는 <표16>에서 보는 바와 같

다. 먼 진통제 사용여부는 진통제를 사용한 상자가 88.0%로 거의 부분의

Page 40: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31 -

상자들이 지난 일주일 동안 진통제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일 동안

진통제를 사용한 상자들의 진통제 종류는 듀로제식이 30.6%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옥시콘틴 28.5%, 트리돌 21.6%, 타이 놀 14.8%, 엠에스콘틴이 12.5%,

모르핀 11.4%, 페치딘 9.1%, 아이알코돈과 코데인이 각각 5.7%, 하이코돈 3.4%

순으로 나타났다.

<표16> 진통제 사용 여부와 종류 (N=100)

구 분 n %

진통제 사용여부 88 88.0

아니오 12 12.0

진통제 종류*

듀로제식 27 30.6

옥시콘틴 25 28.5

트리돌 19 21.6

타이 놀 13 14.8

엠에스콘틴 11 12.5

모르핀 10 11.4

페치딘 8 9.1

아이알코돈 5 5.7

코데인 5 5.7

하이코돈 3 3.4

기타 5 5.7

*복응답

(2) 진통제별 1일 사용량

진통제별로 1일 사용 평균용량은 <표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듀로제식은

54.15mcg, 옥시콘틴은 39.20㎎, 트리돌은 150.00㎎, 타이 놀은 1215.38㎎, 엠에

스콘틴은 51.82㎎, 모르핀은 10.50㎎, 페치딘은 28.13㎎, 아이알코돈은 13.00㎎,

코데인은 28.00㎎, 하이코돈은 7.50㎎ 정도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Page 41: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32 -

<표17> 진통제별 1일 사용량

구 분 n Range M ± SD

듀로제식(mcg) 27 113.00 54.15 ± 32.36

옥시콘틴(㎎) 25 70.00 39.20 ± 21.39

트리돌(㎎) 19 250.00 150.00 ± 97.18

타이 놀(㎎) 13 2100.00 1215.38 ± 658.72

엠에스콘틴(㎎) 11 70.00 51.82 ± 24.83

모르핀(㎎) 10 15.00 10.50 ± 3.69

페치딘(㎎) 8 25.00 28.13 ± 8.84

아이알코돈(㎎) 5 25.00 13.00 ± 11.51

코데인(㎎) 5 40.00 28.00 ± 17.89

하이코돈(㎎) 3 0.00 7.50 ± .00

(3) 진통제의 투여간격

진통제의 투여간격에 한 분석결과는 <표18>에서 보는 바와 같다. 규칙 으

로 투여한 진통제의 경우 엠에스콘틴이 90.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듀로제

식이 77.8%, 옥시콘틴이 76.0%, 하이코돈이 66.7% 등의 순이었으며, 타이 놀은

거의 필요시마다(92.3%) 투약하 고 페치딘(87.5%)과 모르핀(80.05), 아이알코돈

(80.0%), 코데인(80.0%) 등의 진통제 역시 부분 필요할 때마다 투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42: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33 -

<표18> 진통제의 투여간격

구 분규칙 으로 필요시마다 합계

n (%) n (%) n (%)

듀로제식 21 (77.8) 6 (22.2) 27 (100.0)

옥시콘틴 19 (76.0) 6 (24.0) 25 (100.0)

트리돌 7 (36.8) 12 (63.2) 19 (100.0)

타이 놀 1 ( 7.7) 12 (92.3) 13 (100.0)

엠에스콘틴 10 (90.9) 1 ( 9.1) 11 (100.0)

모르핀 2 (20.0) 8 (80.0) 10 (100.0)

페치딘 1 (12.5) 7 (87.5) 8 (100.0)

아이알코돈 1 (20.0) 4 (80.0) 5 (100.0)

코데인 1 (20.0) 4 (80.0) 5 (100.0)

하이코돈 2 (66.7) 1 (33.3) 3 (100.0)

(4) 진통제 사용의 성 평가

상자들이 통증 리를 해 사용한 진통제가 했는지를 평가한 결과는

<표19>에서와 같이, 88.7%의 상자들이 하게 진통제를 사용한 것으로 나

타났으며, PMI 값이 음수로 나타나 부 하게 사용한 상자는 11.3% 다.

<표19> PMI 지수

PMI*

n %

0 미만(부 ) 10 11.3

0 이상( ) 78 88.7

합계 88 100.0

*PMI : pain management index

상자들의 진통제 사용의 성 평가를 일반 특성과 임상 특성에 따라

살펴 본 결과는 <표20>와 <표21>에서 보는 바와 같다. 먼 상자의 일반

특성별로는 연령층의 경우 연령층이 높을수록 하게 사용된 비율이 상

으로 높았고, 거동상태별로는 특히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거동하는 상자들은

Page 43: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34 -

모두 하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든 변인에서 통계 으로 유

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5).

다음으로 임상 특성에 따라서도 모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p>.05), 암의 이여부별로는 암이 다른 부 로 이된 상자는 89.3%, 이

되지 않은 상자는 82.1%가 진통제를 하게 사용하 으며, 이 여부를 잘

모르는 상자들은 모두 하게 진통제를 사용하 다. 진단명에 따라서는 간

암 상자의 27.3%가 부 하게 진통제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폐암 상자는

16.7%, 암 상자는 15.4%, 유방암 상자는 12.5%가 진통제를 부 하게 사

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44: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35 -

<표20> 일반 특성에 따른 PMI 지수 (N=88)

구 분부

t p*

n (%) n (%)

성별 남성 38 (88.4) 5 (11.6)- 1.000

여성 40 (88.9) 5 (11.1)

연령 M±SD 63.31 ±12.28 62.00 ±11.70 .319 .751

결혼상태 기혼 44 (91.7) 4 ( 8.3)- .520

기타(미혼/사별/별거/이혼) 34 (85.0) 6 (15.0)

동거가족 있음 65 (90.3) 7 ( 9.7)-

.380없음 13 (81.3) 3 (18.8)

학력 무학 16 (94.1) 1 ( 5.9)

-.452

등졸 이하 34 (91.9) 3 ( 8.1)

고졸 이상 28 (82.4) 6 (17.6)

종교 있음 48 (90.6) 5 ( 9.4)-

.510없음 30 (85.7) 5 (14.3)

월평균

소득

50만원 미만 34 (91.9) 3 ( 8.1)

-.510

100-150만원 미만 25 (83.3) 5 (16.7)

150만원 이상 19 (90.5) 2 ( 9.5)

거동상태 가능 58 (86.6) 9 (13.4)

-.735

불가능 10 (90.9) 1 ( 9.1)

보조기구 이용 가능 10 (100.0) 0 ( 0.0)

합 계 78 (88.7) 10 (11.3)

*Fisher's exact test (연령제외)

Page 45: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36 -

<표21> 임상 특성에 따른 PMI 지수 (N=88)

구 분부

t p*

n (%) n (%)

이여부 25 ( 89.3) 3 (10.7)

- .104아니오 32 ( 82.1) 7 (17.9)

잘모름 21 (100.0) 0 ( 0.0)

진단명 장암/직장암 19 (100.0) 0 ( 0.0)

- .332

암 11 ( 84.6) 2 (15.4)

간암 8 ( 72.7) 3 (27.3)

유방암 7 ( 87.5) 1 (12.5)

폐암 5 ( 83.3) 1 (16.7)

자궁경부암/자궁암 6 (100.0) 0 ( 0.0)

액암 2 (100.0) 0 ( 0.0)

기타 20 ( 87.0) 3 (13.0)

암 진단 시기 M±SD 3.92 ±2.59 4.60 ±2.63 -.777 .439

항암치료나 방사

선 치료를 받은

경험

있음 68 ( 89.5) 8 (10.5)- .624

없음 10 ( 83.3) 2 (16.7)

입원경험 있음 70 ( 87.5) 10 (12.5)- .589

없음 8 (100.0) 0 ( 0.0)

수술경험 있음 52 ( 89.7) 6 (10.3)- .730

없음 26 ( 86.7) 4 (13.3)

합 계 78 ( 88.6) 10 (11.4)

*Fisher's exact test (암 진단 시기 제외)

6. 통증 리의 장애 정도

상자들의 통증 리 장애 수 이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한 결과는 <표22>에

제시된 것과 같다.

분석결과 체 인 통증 리 장애 정도는 5 만 에 3.24 으로 어느 정도

통증 리 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 리 장애 항목별로는 ‘통증

이 있다는 것은 질병이 더 나빠지는 것을 의미한다’와 ‘통증경험은 질병이

Page 46: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37 -

악화되었다는 신호다’라는 문항의 평균이 각각 3.89와 3.87로 가장 높았으며, 다

음으로 진통제 때문에 메스꺼움을 느끼면 많이 괴로워하 으며(3.63), 진통제는

매우 독성이 강하다(3.59), 주사 맞는 것이 싫다(3.57), 통증이 약할 때 진통제

를 사용한다면 통증이 더욱 심해졌을 때 진통제가 잘 듣지 않을 수 있다(3.50)

와 진통제는 주사가 가장 효과 이다(3.5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진통제로 인한 부작용을 참는 것보다 통증을 참는 것이 쉽다는 생각

(2.39)과 진통제를 사용해도 실제로 통증을 조 할 수 없다(2.47), 의료인(의사,

간호사)들은 환자가 통증에 해 말하는 것을 듣기 귀찮아한다(2.50)의 문항 평

균이 가장 낮았다.

<표22> 통증 리 장애 정도 (N=100)

구 분 M ± SD

1. 진통제를 사용하면 쉽게 독된다 3.41 ± 0.96

2. 진통제는 매우 독성이 강하다 3.59 ± 0.99

3. 통증에 해 호소하지 않고 인내력을 갖고 참는 것이 요하다 2.90 ± 1.09

4. 의료인(의사, 간호사)들은 환자가 통증에 해 말하는 것을 듣기 귀찮아

한다2.50 ± 1.00

5. 진통제를 사용해도 실제로 통증을 조 할 수 없다 2.47 ± 0.93

6. 주사 맞는 것은 고통스럽다 3.28 ± 1.09

7. 주사 맞는 것이 싫다 3.57 ± 1.05

8. 통증이 있다는 것은 질병이 더 나빠지는 것을 의미한다 3.89 ± 0.98

9. 통증경험은 질병이 악화되었다는 신호다 3.87 ± 0.95

10.진통제로 인해 정신이 몽롱해지는 것은 견디기 힘들다 3.18 ± 1.06

11. 진통제 때문에 메스꺼움을 느끼면 많이 괴롭다 3.63 ± 1.16

12. 진통제 때문에 변비가 생기는 것은 짜증난다 3.28 ± 1.03

13. 진통제로 인한 부작용을 참는 것보다 통증을 참는 것이 쉽다 2.39 ± 0.92

14. 통증이 심해질 경우를 비하여 진통제를 아껴 두어야만 한다 2.92 ± 1.18

15. 통증이 약할 때 진통제를 사용한다면 통증이 더욱 심해졌을 때 진통제

가 잘 듣지 않을 수 있다3.50 ± 1.05

16. 진통제는 주사가 가장 효과 이다. 3.50 ± 1.02

체 3.24 ± 0.52

Page 47: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38 -

상자들의 지난 일주일 동안의 체 인 통증 리 장애정도를 일반 특성

과 임상 련 특성에 따라 살펴 본 결과는 <표23>와 <표24>에서 보는 바와 같

다. 일반 특성별로는 모든 변인에서 통증 리 장애 정도에 한 인식에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월평균소득별로는 월평균소득이 낮을

수록 통증 리 장애를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임상 특성 련 모든 변인에서 통증 리 장애 정도에 한 인식에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진단암별로는 액암 상자들(3.52)이

통증 리 장애를 가장 많이 느끼고 있었고, 다음으로 장암/직장암(3.42), 자궁

경부암/자궁암(3.41) 상자들이 장애를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상 으로 암

(3.10)과 유방암(3.13) 상자들이 통증 리 장애를 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p>.05).

Page 48: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39 -

<표23> 일반 특성에 따른 통증 리 장애 정도 (N=100)

구 분 n M ± SD t/F p

성별 남성 50 3.23 ± 0.56-.234 .815

여성 50 3.25 ± 0.49

연령 40 미만 17 3.18 ± 0.47

.562 .57250-60 47 3.20 ± 0.53

70 이상 36 3.31 ± 0.54

결혼상태 기혼 55 3.22 ± 0.56-.407 .685

기타(미혼/사별/별거/이혼) 45 3.26 ± 0.48

동거가족 있음 82 3.23 ± 0.51-.513 .609

없음 18 3.30 ± 0.60

학력 무학 17 3.40 ± 0.54

.961 .386졸 43 3.21 ± 0.49

고졸 이상 40 3.20 ± 0.55

종교 있음 62 3.22 ± 0.53-.356 .723

없음 38 3.26 ± 0.51

월평균소득 50만원 미만 44 3.33 ± 0.49

1.799 .17150-150만원 미만 33 3.24 ± 0.53

150만원 이상 23 3.07 ± 0.55

거동상태 가능 78 3.23 ± 0.53

.482 .619불가능 12 3.36 ± 0.57

보조기구 이용 가능 10 3.16 ± 0.45

Page 49: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40 -

<표24> 임상 특성에 따른 통증 리 장애 정도 (N=100)

구 분 n M ± SD t/F p

이여부 30 3.13 ± 0.48

.926 .400아니오 49 3.29 ± 0.57

잘모름 21 3.26 ± 0.45

진단명 장암/직장암 21 3.42 ± 0.47

1.034 .413

암 14 3.10 ± 0.60

간암 13 3.31 ± 0.65

유방암 10 3.13 ± 0.60

폐암 9 3.20 ± 0.33

자궁경부암/자궁암 6 3.41 ± 0.29

액암 3 3.52 ± 0.07

기타 24 3.10 ± 0.53

암의 진단 시기 2년 미만 39 3.22 ± 0.51

1.035 .3592-5년 미만 27 3.14 ± 0.56

5년 이상 34 3.33 ± 0.50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험

있음 86 3.24 ± 0.53.290 .772

없음 14 3.20 ± 0.52

입원경험 있음 92 3.24 ± 0.53.313 .755

없음 8 3.18 ± 0.50

수술경험 있음 66 3.26 ± 0.54.478 .634

없음 34 3.20 ± 0.89

진통제 사용의

78 3.23 ± 0.48-.173 .863

부 22 3.26 ± 0.65

Page 50: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41 -

7. 통증 련 변수간의 계

상자들의 통증정도, 일상생활 방해정도, 통증 리 장애, 진통제를 통한 통증

리 성, 통증완화 정도, 통증 리 만족도간에 어떠한 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는 <표25>에서 보는 바와 같다.

먼 통증 정도는 통증 련 장애 정도, 통증 리 성 등과 정 인 련성

을 보 으나, 통계 으로 유의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증완화 정도와

는 부 인 련성을 보 으나 역시 통계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통증정도는

통증 리 만족도와 통계 으로 유의한 부 상 계(r=-.367, p<.001)를 보이고

일상생활 방해정도와는 유의한 정 인 상 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r=.722, p<.001).

다음으로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 방해정도는 통증 리 장애와는 유의한 정

상 계(r=.191, p<.05)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일상생활 방해정도

는 통증 리 만족도와 유의한 부 상 계(r=-.332, p<.001)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 리 장애 정도와 통증 리 만족도간에는 유의한 부 인 상

계(r=-.188, p<.05)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통제 사용의 통증 리지표인

PMI는 통증 완화 정도와는 유의한 정 상 계(r=.217, p<.05)를 보이는 것으

로 나타났다. 진통제에 의한 PMI는 통증 리 만족도와는 정 상 계를 보

으나, 통계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5). 마지막으로 통증완화 정도와 통증

리 만족도간에는 유의한 정 상 계(r=.523, p<.001)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

났다.

Page 51: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42 -

<표25> 통증 련 변수간의 상 계 (N=100)

구 분 통증정도일상생활

방해정도

통증 리

장애PMI

통증완화

정도

통증 리

만족도

통증정도 r 1.000

일상생활 방해정도 r .722*** 1.000

통증 리 장애 r .148 .191*

1.000

PMI r -.082 .066 -.025 1.000

통증완화 정도 r -.166 -.055 -.032 .217* 1.000

통증 리 만족도 r -.367***

-.332***

-.188*

.095 .523***

1.000

*p<.05

***p<.001

Page 52: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43 -

Ⅴ. 논 의

본 연구는 가정에서 치료 는 요양 인 암 환자 100명을 상으로 통증과

통증 리 실태를 조사하고 통증 리에 장애가 되는 요인을 상자 측면에서

악하기 하여 실시하 으며 연구결과에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상자의 일반 특성은 연령이 70 가 36.0%로 가장 많았고 40세 미만은

4.0%로 가장 낮았는데 이는 암 발생의 증가가 인구의 노령화와 한 계가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 55.0%로 가장 많았으며 환자 동

거 가족 수는 2명이 35.0%로 가장 많았고 5명이상이 5.0%로 가장 낮았다. 이는

의 심각한 핵가족화 상으로 노인 부부만 생활하는 가족 단 가 많아 환

자를 돌 주는 주수발자가 배우자(45.0%)임과 련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월평균 소득은 50만원미만이 44.0%로 가장 많았는데 이는 소득층을 우선으로

리하는 보건소에 등록된 재가 암 환자가 연구 상의 부분이고 소득이 없

는 노인 부부 세 가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옷 입기, 개인 생, 식사 등과

같은 6가지 일상생활 활동 모두 가능은 53.0%로 과반수이상의 상자들이 가능

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6가지 일상생활 활동 모두 불가능한 상자도 14.0%로

나타났다.

상자의 임상 특성에서는 장암이 18.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암이

14.0%이었다. 암이 23.7%로 가장 많았다는 윤양란(2002)의 연구결과와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두 연구 모두 상자의 연령은 70 가 각각 36%, 25.8%로 가

장 많았다. 최근 식생활 문화의 서구화로 장암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장

암 방을 한 식생활 개선과 암 조기 검진의 요성이 강조되어야 하겠다.

통증정도는 10 만 에 3.73 으로 윤양란(2002)의 2.92 보다는 높고, 정정

미(2000)의 4.0 과는 거의 비슷한 수 이었다. 윤양란(2002)의 2.92 보다 높게

나온 것은 윤양란(2002)의 연구 상자는 호스피스기 에 입원해 있는 말기 암

환자로서 가정에서 치료․요양하는 암 환자들보다 통증조 이 무엇보다 요하

게 리되고 해결해야 할 시 한 간호문제로 통증 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통증의 정도는 매우 주 이므로 다양한

Page 53: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44 -

방법을 이용한 통증사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재가 암 환자의 체계 이고 개별화

된 통증 리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리라고 본다.

한 거동여부에 따른 통증정도는 거동이 불가능한 상자의 통증정도가 가

장 심했으며 반 으로 거동이 어려울수록 통증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p<.01). 특히 사후 검정 결과 거동이 가능한 상자와 불가능한 상자간의 통

증정도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암 환자에서 운동은 피로감소, 신체활동

도 증가, 삶의 질 향상 등 정 인 효과가 이미 입증되어 있다(김윤옥 등,

2007).이러한 사실에 입각하여 암 환자 운동지침에 따라 개개인의 거동 능력에

합한 운동 독려로 환자들의 고통을 조 이라도 덜어 주어 삶의 질 향상을 도

모함이 필요하리라고 본다.

암의 다른 부 로의 이 여부에 따른 통증정도에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

는데 본 연구에서 이 여부가 불확실한 환자(4.48), 이된 환자(3.96), 이

되지 않은 환자(3.27)의 순으로 통증정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정정미(2000)의 연

구결과와는 일치함을 보 고 윤귀옥(1996)의 연구에서는 이된 상자, 이가

불확실한 상자, 이가 없는 상자 순으로 나타나 순서에서는 차이가 있었으

나 이가 있는 상자의 통증정도가 이가 없는 상자의 통증정도보다 높다

는 데에는 모두 일치하 다. 따라서 암 환자의 통증조 을 해 진행된 암에서

에 이됨으로써 통증이 나타나기도 한다(장석원, 2001)는 사실을 고려하여

상자의 암 진행 정도와 통증정도를 사정하여 개별화된 통증 완화방법을 선택

하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암 환자가 통증을 가장 많이 느끼는 부

로는 복부(54.0%) 고 그 다음은 가슴(24.0%), 등(17.0%), 다리(12.0%) 등의

순으로 박명희, 백선희, 김남 , 와 송혜향(2002)의 복부 39.2%, 사지 19.2%, 어

깨와 등 16.9%의 결과와 유사하며 통증을 가장 많이 느끼는 부 로 복부가 가

장 많았는데 이는 장암, 암 등의 소화기암 상자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생

각된다.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방해 정도의 평균은 4 만 에 2.10으로 반 으

로 크게 심하지 않았고 방해정도는 기분유지(2.20), 인 계(2.10), 식사와 련

된 일상활동(2.07), 수면(2.02)의 순으로 모두 간정도의 방해를 받고 있었으며

문항별로 방해정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통증정도와 일상생활의

방해 정도간의 련성을 알아보기 한 상 분석 결과 통증이 가장 심했을 때

Page 54: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45 -

의 통증정도가 일상생활의 방해 정도와 매우 유의하게 높은 정 인 상 계

(r=.702, p<.001)를 보여 통증을 많이 느낄수록 일상생활의 방해정도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식사와 련된 일상활동과 가장 한 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윤양란(2002)과 윤귀옥(1996)의 연구에서 식사가 통증과 가장 많은 련

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와 일치하 다. 정정미(2000)의 연구에서는 수면

이 가장 많은 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선행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상자 모두 반 으로 일상생활에 통증으로 간정도의 방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방해를 받는 암 환자의 식이와 양에 심을 가져야하

며 암 환자의 통증에 따른 일상생활 방해정도를 최소화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

키기 한 다양한 간호 재 개발 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통증완화 방법은 부분 약물복용(91.0%)을 사용하 고 주사(53.0%), 온찜질

(34.0%), 마사지(29.0%), 패취(27.0%) 순으로 나타났다. 효과 인 방법은 약물복

용 91명 52명(57.1%)이, 주사사용 53명 35명(66.0%)이 통증완화에 효과 이

라고 답하 으며 반면 마사지와 한방, 이완요법, 온찜질은 각각 11.1%, 10.5%,

10.3%, 8.8%로 상 으로 낮게 나타났다. 통증완화에 효과 인 방법에서도 윤

양란(2002)의 약물복용 46.4%, 물리치료 26.8%, 주사 22.7%의 결과와 다소 차이

를 보 다. 이는 암의 진행정도와 효과 인 통증완화 방법에 한 개인차가 있

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며 질병 상태의 정확한 사정과 개별화된 통증완화 방법

사용에 의한 통증 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가장 효과 인 통증완화 방법의 통증완화 정도는 먼 체 인 통증완화 수

4 만 에 2.12 으로 간정도로 통증이 완화되었고 통증완화 정도가 보통

이상인 상자는 72%이었으며 주사(2.46)가 통증완화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정미(2002)의 연구에서 통증완화 정도가 보통이상인 상자는

69.2%, 신 희(1999)의 53.6%, 윤귀옥(1996)의 89.3%의 결과에서 보듯이 통증완

화 정도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은 통증 리의 부 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통

증은 육체 , 정신 , 사회 , , 문화 요인들의 통합통증 개념으로 설명되

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증을 단순히 육체 인 통증으로만 보고 그것에

을 맞춘 부분의 통증 리로 효율 인 통증 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더 많은 암 환자를 상으로 진통제의 사용실태와 효과에

한 심층 인 연구뿐만 아니라 통합통증 차원에서의 보다 극 인 통증 리에

Page 55: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46 -

한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통증 리에 한 만족도는 매우 만족 1.0%와 만족 34.0%로 만족스럽다가

35.0% 으며 보통이 46.0%, 매우 불만족 2.0%와 불만족 17.0%로 보통이상으로

만족스럽다가 81%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증 리 만족도를 상자의 일반 특

성과 임상 특성에 따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통증 리 만족도에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연령층이 높을수록, 동거가족이 있는

상자가,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통증 리 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 다.

진통제 사용에 있어서 진통제를 사용 하지 않고 있는 환자도 12%나 되었으

며 암 환자들이 사용한 진통제 종류는 패치형태인 듀로제식(30.6%)을 가장 많

이 사용하 고 다음으로 옥시콘틴(28.5%), 트리돌(21.6%), 타이 놀(14.8%), 엠

에스콘틴(12.5%) 순이었고 그 외에 모르핀, 페치딘, 아이알코돈, 코데인 기타

약제(부스코 , 울트라셋, 아스피린, 펜잘)를 사용하 다.

규칙 으로 투약한 진통제의 경우 엠에스콘틴(90.9%)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듀로제식(77.8%), 옥시콘틴(76.0%), 하이코돈(66.7%) 등의 순이었으며 타이 놀

(92.3%)은 부분 필요시마다 투약하 고 페치딘, 모르핀, 아이알코돈, 코데인

등의 진통제 역시 필요할 때마다 투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양란(2002)

의 경구약 엠에스콘틴이 32.4%, 패치는 펜타닐 17.6%, 주사약으로는 모르핀이

12.9%로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난 결과와 비교해 볼 때 본 연구에서는

경구약으로 옥시콘틴(28.5%)이 가장 많이 사용 되었는데 엠에스콘틴의 성분이

모르핀이고 옥시콘틴의 성분은 옥시코돈으로 성분명은 다르지만 같은 강한 마

약성 진통제이다. 패치 듀로제식의 성분도 펜타닐로써 윤양란(2002)의 펜타닐

패치와 같으므로 동일시해도 무리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주사로 모르핀을 가

장 많이 사용한 결과와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윤귀옥(1996)과 정정미(2000)의 연

구에서는 비 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인 valentac을 가장 많이 사용하 으며 윤

양란(2002)의 연구에선 강한 마약성제제인 엠에스콘틴을 가장 많이 사용하 고

본 연구에서도 강한 마약성제제인 듀로제식을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

다. 본 연구결과에서 엠에스콘틴, 듀로제식, 옥시콘틴의 경우 9.1~24.0%정도의

상자가 필요시마다 투약하고 있었는데, 규칙 으로 가장 많이 투약한 진통제

라고는 하지만 이들 약제들은 규칙 으로 복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는 진통제로

상자가 필요시마다 투약하는 것은 부 한 투여방법으로 상자들에게 올바

Page 56: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47 -

른 진통제 사용에 한 교육이 필요하리라고 본다.

본 연구에서 통증 리를 해 사용한 진통제의 성을 PMI로 분석한 결과

하게 사용된 경우는 88.7%이었고 호스피스 기 의 말기암 환자를 상으로

한 윤양란(2002)의 연구에서는 93.7%, 김경희(2001)의 연구에서는 87%, 입원환

자를 상으로 한 윤 호 등(1998)의 연구에서는 62%가 진통제를 하게 사

용하 다는 결과와 비교해 볼 때 말기암 환자를 상자로 한 선행 연구들과의

PMI의 차이가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병원마다 통증조 에 한 신념이 다

를 수도 있을 것이며 환자 개개인도 마약성 진통제 독에 한 염려로 통증보

고를 제 로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진통제 사용의 성 평가를

상자의 일반 특성과 임상 특성에 따라 살펴 본 결과 일반 특성에 따라서

는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임상 특성에 따라서는

암이 이된 환자들과 이 여부를 잘 모르는 환자들에 비해 이되지 않은 환

자들이 상 으로 진통제를 부 하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암이 이되지 않은 환자들이 이된 환자들보다 통증정도가 심하지 않다고 나

온 앞에서 살펴본 결과와 련이 있으며 그런 이유로 통증 리에 소홀하기 때

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통증 리에 한 상자 측면의 장애수 은 5 만 에 3.24 으로 간이상

의 통증 리 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윤양란(2002)의 2.55와 Ward

와 Hernandez (1994)의 2.82, 김수진(1998)의 2.59의 결과보다 다소 높은 장애정

도를 보 다. 이는 상자 측면의 통증 리 장애정도가 아직도 높은 수 이며

본 연구의 상자는 가정에서 치료 요양 인 암 환자로 병원이나 호스피스기

에 입원하여 치료 받는 선행연구의 상자보다 통증 리 장애정도가 더 높은

수 으로 암 환자에게 통증 리와 련된 교육이 제 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을 단 으로 보여주는 결과로 상자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장애요인은 질병

진행에 한 염려, 독염려, 주사 공포, 내성염려 순으로 질병진행에 한 염려

가 가장 높았으며 윤양란(2002)의 결과와 동일한데 반해 내성염려가 가장 높게

나온 김수진(1998)과 Ward 와 Hernandez (1994)의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한

편 ‘진통제를 사용해도 실제로 통증을 조 할 수 없다’ 와 ‘의료인들은 환자가

통증에 해 말하는 것을 듣기 귀찮아한다’ 등과 같은 장애정도는 낮게 나타났

다. 이러한 결과는 환자와 의료진과의 계가 통증보고에 큰 장애가 되지 않고

Page 57: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48 -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본다. 한 상자의 일반 특성과 임상 특성에

따른 통증 련 장애 정도는 모든 변인에서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 상 암 환자들의 통증정도, 일상생활 방해정도, 통증 리 장애, 진통제

사용에 의한 통증 리 성, 통증완화 정도, 통증 리 만족도간에 어떠한

련성이 있는지를 살펴 본 결과 통증 리 만족도는 환자들이 통증을 심하게 느

낄수록, 일상생활 방해를 많이 받을수록, 그리고 통증 리에 한 장애를 많이

느낄수록 만족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통증이 많이 완화 될수록 통증

리 만족도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 방해를

많이 받을수록 통증 리 련 장애를 많이 느끼고 있으며 진통제를 하게

사용할수록 통증완화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환자들의 통증정도, 일상생활 방해정도, 통증 리 장애, 진통제

사용에 의한 통증 리 성, 통증완화 정도, 통증 리 만족도간에 어떠한

련성이 있는지를 살펴 본 결과 진통제를 하게 사용할수록 통증 리 만족도

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암 환자 통증의 효과 인 리는 의료인과 사회의

윤리 인 의무이다(김 조, 2007). 암 환자에게 병의 회복뿐만 아니라 최악의 경

우 편안한 죽음을 해서도 극 인 통증 리가 필요하며 이를 해 암 환자

의 통증은 여러 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정확하게 사정되어야 하고 통증정도에

따른 한 진통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증 리의 주체인 환자들의

통증보고가 무엇보다 요하다. 통증 리는 의료진의 주 인 평가가 아닌

상자 자신이 호소하는 통증표 에 맞추어 통증에 한 정확한 사정을 할 수 있

는 객 이고 체계 인 기 마련과 환자교육을 통한 통증 리 장애의 극복으

로 효과 인 통증 리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통증

리 장애요인 환자 측면만을 조사하 고 의료인과 의료체계 측면에 한 조

사는 이루어지지 않아 통증 리 장애요인을 포 으로 악하지 못하 다. 향

후 연구에서는 재가 암환자의 통증 리 장애요인의 여러 측면을 고려한 다각

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age 58: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49 -

Ⅵ. 결론 제언

본 연구는 재가 암 환자를 상으로 상자의 통증과 통증 리 실태를 조사

하고 통증 리에 장애가 되는 요인을 상자 측면에서 악하여 보다 효율 이

고 한 통증 리를 한 기 자료를 제공하기 한 서술 조사연구이다.

연구 상자는 인천 역시 10개 보건소 본 연구에 조하기로 동의한 5개

구 보건소에 등록되어 리를 받고 있는 성인 암 환자와 인천 역시 소재 C 와

I 학병원 가정간호사업소와 S 병원 호스피스 가정간호를 받고 있는 성인 암

환자이다. 자료 수집은 2008년 5월 13일부터 5월 30일까지로 담당 간호사에게

설문지 조사 방법을 설명하여 가정 방문 시 통증이 있는 상자에게 연구목

을 설명한 후 연구에 동의한 100명이 응답한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 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연령은 70 가 36.0%로 가장 많았고 암 진단명은 장암이 18.0%

로 가장 많았으며 일상생활 활동은 과반수이상(53.0%)에서 모두 가능하

다.

2) 통증정도는 10 만 에 3.73 으로 간정도의 통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거동이 어려울수록 통증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한

이 여부가 불확실한 환자(4.48)의 통증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방해 정도의 평균은 4 만 에 2.10으로 간 정

도로 방해 받고 있었으며 방해정도는 기분유지(2.20), 인 계(2.10), 식사

일상생활(2.07), 수면(2.02)의 순이었다. 통증정도와 일상생활 방해 정도와

의 상 계에서는 식사 방해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증을 많이 느

낄수록 일상생활 방해정도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통증완화 방법은 부분 약물복용(91.0%)을 사용하 고 효과 인 방법은 약

물복용 91명 52명(57.1%)이, 주사사용 53명 35명(66.0%)으로 나타났다.

5) 통증 리에 한 만족도는 보통 이상이라는 상자가 81%로 나타났으나

Page 59: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50 -

상자의 일반 특성과 임상 특성에 따른 모든 변인에서 통증 리 만족도

에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6) 가장 많이 사용한 진통제 종류는 패치형태인 듀로제식(30.6%)이었으며 다음

으로 옥시콘틴(28.5%), 트리돌(21.6%), 타이 놀(14.8%), 엠에스콘틴(12.5%)

순이었다. 진통제의 1일 평균 사용량은 듀로제식이 54.15mcg, 옥시콘틴이

39.20mg, 트리돌 150.00mg, 타이 놀 1251.38mg, 엠에스콘틴 51.82mg이었으

며 규칙 으로 투약한 진통제는 엠에스콘틴(90.9%)이 가장 많았고 필요시마

다 투약한 진통제로는 타이 놀(92.3%)이 가장 많았다.

7) 진통제의 성을 PMI에 의해 분석한 결과 하게 사용된 경우는 88.7%

이었으며 진통제 사용의 성을 일반 특성과 임상 특성에 따라 살펴

본 결과 모든 변인에서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8) 통증 리에 한 상자 측면의 장애수 은 5 만 에 3.24 으로

간이상의 통증 리 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요인은 질병

진행에 한 염려, 독염려, 주사 공포, 내성염려 순으로 질병진행에 한

염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9) 상자의 통증정도와 통증 리 만족도간에는 부 상 계(r=-.367,

p<.01)를, 일상생활 방해정도와는 정 상 계를 보 다. 통증으로 인한 일

상생활 방해정도는 통증 리 장애와는 정 상 계(r=.191, p<.05)를, 통

증 리 만족도와는 유의한 부 상 계 (r=-.332, p<.001)를 보 다. 통증

리 장애정도와 통증 리 만족도간에는 유의한 부 계(r=-.188, p<.05)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진통제 사용의 통증 리지표인 통증 리

성은 통증완화 정도와는 유의한 정 상 계(r=.217, p<.05)를 보 으며

통증완화 정도와 통증 리 만족도간에는 유의한 정 상 계(r=.523,

p<.001)를 보 다.

결론 으로 재가 암 환자의 통증은 간정도의 통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아주

높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통증완화 방법 사용에 의한 통증완화 정도는 간 정

도로 통증 리가 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으며 PMI에 의한 진통제 사

용 성 평가는 88.7%가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통제 사용을 필요시마

다 투약하는 경우가 많아 부분의 재가 암 환자의 통증은 부 하게 리되

Page 60: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51 -

고 있는 상태로 투약 방법, 간격, 용량을 고려한 성의 재평가를 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한 통증 리를 해서 통증 리에

한 교육과 정확한 통증사정의 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면서 본 연구가 통증

으로 고통 받고 있는 재가 암 환자들을 한 효과 인 통증 리의 기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길 바란다.

본 연구 결과를 토 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본 연구 상자가 일개 시에 있는 재가 암 환자로 한정되어 있어 표본크기

와 표본의 다양성이 제한 이어서 연구결과를 일반화화기 어렵다. 연구지역

확 다양한 표본 확보로 일반화 할 수 있는 결과를 얻기 한 연구노력

이 필요하리라고 본다.

2) 본 연구에서는 진통제 종류와 통증 두변수의 련성만으로 PMI에 의한 진통

제 사용의 성을 평가하 으나 향후에는 투여 방법, 용량, 투약 간격을

추가하여 보완한 진통제 사용의 성을 재평가하기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 암 통증조 을 하여 환자를 상으로 하는 교육 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4) 재가 암 환자의 통증 리 장애요인을 환자 측면 요인뿐 아니라 의료인 측면,

사회제도 인 측면 등 여러 측면의 장애요인에 한 다각 인 연구가 필요

하겠다.

5) 입원 암 환자와 재가 암 환자의 통증정도, 통증 리 통증 리 장애요인을

비교 연구하여 다른 시각에서 이해하고 차별화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도

록 깊이 있는 질 연구가 시도되었으면 한다.

Page 61: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52 -

참 고 문 헌

국립암센터 (2004). 암정보. 서울: 국립암센터.

권인각 (1999). 의료인과 환자에게 제공된 통증교육이 암환자 통증 리에 미치

는 효과. 서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경희 (2001). 말기 암환자의 마약성 진통제 사용 평가 복약 상담이 통증

조 에 미치는 향. 숙명여 임상 약학 학원 석사학 논문.

김성자, 홍승함, 성리나, 김은실, 홍은희, 염미라 등 (1997). 간호사 주도의 단계

통증 리법 용이 종양환자의 통증 리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

회지, 9(1), 148-161.

김수진 (1998). 통증에 한 간호 재 효과의 메타분석. 고려 학교 간호학과

석사학 논문.

김승옥 (2006). 말기암 환자의 통증감소를 한 마약성 진통제 사용의 제도

개선방안. 연세 학교 보건 학원 석사학 논문.

김시 (2001). 말기암환자; 말기암환자의 통증조 충분한가?. 한의사 회지,

44(9), 948-955.

김 조 (2007). 입원 암 환자의 통증실태 통증조 만족도. 고신 학교 학

원 석사학 논문.

김윤옥, 서 숙, 임 민, 표경자, 백미경, 박학 등 (2007). 서울아산병원 가정간

호 지침서. 서울: 고려의학.

김지윤 (1993). 악성 종양 환자의 통증과 진통제 투여 실태. 서울 학교 간호학

과 석사학 논문.

김홍수 (1998). 종양 퉁증 리를 방해하는 환자의 염려와 련요인 연구. 서울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김홍수, 서문자 (2000). 종양 통증 리를 방해하는 환자의 염려와 련요인 연

구. 재활간호학회지, 3(1). 43-58.

김훈교 (1995). 암환자의 통증조 <약물요법>. 한의사 회지, 37(7), 846-851.

박명희, 백선희, 김남 , 송혜향 (2002).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의

Page 62: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53 -

암성통증 표 양상. 임상간호연구, 8(1), 147-161.

박애령, 박지원, 강진숙, 김옥녀 (1998). 암통증 리에 한 환자 만족도 조사.

병원약사회지, 15(2), 198-202.

박 숙, 신 희 (1994). 통증 리에 한 간호사의 지식. 성인간호학회지, 6(2),

299-309.

박 욱 (2005). 암 아는 만큼 이긴다. 서울: 넥서스BOOKS.

백승완 (2001). 암성통증 리. 한의사 회지, 44(12), 1299-1310.

보건복지부 (2007). 재가암환자 리사업. 서울: 보건복지부.

서순림, 서부덕, 이 주 (1995). 통증 환자의 사정과 재에 한 간호사의 지식

과 태도. 성인간호학회지, 7(1), 61-70.

신 희 (1999). Assessment of pain and adequacy of pain management i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성인간호학회지, 29(5), 1113-1122.

양명숙 (1995). 암환자의 통증 리 과정에 한 연구. 연세 학교 간호학과 석사

학 논문.

유양숙, 이원희, 조옥희, 이소우 (2005). 암 환자와 간호사의 통증 리 장애정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8(2), 224-233.

윤귀옥 (1996). 악성 종양 환자의 통증 통증 리에 한 연구. 부산 학교 간

호학과 석사학 논문.

윤양란 (2002). 말기 암 환자의 통증 양상 리에 한 연구(호스피스기

상자를 심으로). 인제 학교 간호 학원 석사논문.

윤 호, 허 석 (1996). 말기 암 환자의 3차 의료기 입원의 문제 . 가정의학

학회지, 17(5), 294-304.

윤 호, 김철환 (1997). 암성통증 리에 한 공의들의 지식 태도. 가정의

학회지, 18(6), 591-600.

윤 호, 허 석, 김홍수, 오상우, 유태우, 김유 등 (1998). 말기 암 환자의

통증 통증 리에 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4(1), 82-89.

윤 호, 허 석, 유태우, 허 렬 (1999). 한국형 암 통증 평가 도구 개발 : 한국

형 간이통증 조사지 타당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2(2), 182.

윤 호, 박상미, 이기헌, 손기 , 정소연, 허 석 등 (2005). 가정의학 문의와

Page 63: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54 -

암 문의의 암성통증 리에 한 지식과 태도. 가정의학학회지, 26,

397-403.

이경식 (1995). 암환자의 통증조 : 개요. 한의사 회지, 38(7), 839-845.

이은옥, 최명애 (1996). 통증이론 재. 서울: 청구출 사.

이은옥, 이선옥 (2002). 성인간호학. 서울: 신 출 사.

이은옥, 최명옥 (2005). 통증이론과 재 5 . 서울: 신 출 사.

이춘남 (2006). 암환자의 통증 련 특성과 간호요구도 만족도. 고려 학교 교

육 학원 석사논문.

장석원 (2001). 희망을 주는 암 치료법. 서울: 백산서당.

장재건 (2007, 7월 14일). 암 환자의 통증조 가능한가. 국제신문.

정성희 (2006). 입원 암환자의 암성통증 리에 한 지식과 태도의 계. 고신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정정미 (2000). 암환자의 통증 양상에 한 연구. 북 학교 간호학과 석사학

논문.

최소 (2004). 간호사의 암환자 통증 리 통증지식에 한 연구. 종양학회

지, 4(1), 82-89.

통계청 (2006). 사망 원인 통계 연보. 서울: 통계청.

황규 (1993). 암환자를 한 통증 리. 한통증학회지, 3(1), 11-14.

황경희 (2005). 통증 리에 한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에 한 연구. 앙 학교

사회개발 학원 석사 학 논문.

홍 선, 문한림, 승석, 유덕기, 윤명진, 김훈교 (1986). 암환자의 통증 조 .

한내과학회지, 29(3), 335-341.

Bonica, J. J. (1982). Management of cancer pain. Acta Anaesthesiology

Scandinavica, (Suppl) 74, 75-82.

Clark, D. (1999). ‘Total pain’, disciplinary power and the body in the work of

Cicely Saunders, 1958-1967. Social Science & Medicine, 49, 727-736.

Cleeland, C. S. (1984). The impact of pain on the patient with cancer.

Cancer, 54, 2635-2641.

Cleeland, C. S., Gonin, R., Hatfield, A. K., Edmonson, J. H., Blum, R. H.,

Stewart, J. A., et al. (1994). Pain and its treatment in outpatient with

Page 64: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55 -

metastatic cancer.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0,

592-596.

Daut, R. L., Cleeland, C. S., & Flanery, R. C. (1983). Develpment of

the Wiscosin Brief Pain Questionnaire to asses pain in cancer and

other disease. Pain, 17(2), 197-210.

Daniel, N. L., Charles, S., Cleeland, C. S., & Reuven Dar, M. S. (1985).

Public attitudes toward cancer pain. Cancer, 56, 2337-2339.

Foley, K. M. (1985). The treatment of cancer pai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13, 84-95.

Jacox, A., Carr, D. B., Payne, R. (1994). New clinic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in in patients with cancer.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0(9), 651-655.

Kathleen, M., & Foley, M. D.(1989). Controversies cancer pain. Cancer,

63, 2257-2265.

Kodler, J. M. (1990). Understanding cancer pain. American Journal of

Hospital Pharmacy, 47, 3-6.

Lander, J. (1990). Clinical jugements in pain management. Pain, 42, 15-22

Levy, M. H. (1996). Phamacologic treatment of cancer pai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5(15), 1124-1132.

McCaffery, M. (1992). Pain control : Barriers to the use of available

information. Cancer, 70, 1438-1449.

McCaffery, M., & Ferrell, B. R. (1986). Nurses's knowledge about

cancer pain: A survey of five countries. Journal of Pain Symptom

Management , 10(5), 365-369.

McCaffery, M., & Beebe, A. (1989). Managing your patients adverse

reactions to narcotics. Nursing, 19(10), 166-168.

Oliver, J. W., Kravitz, R. L., Kaplan, S. H., & Meyers, F. J. (2001).

Individualized patient education and coaching to improve pain control

among cancer outpatient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19(8), 2206-2212.

Page 65: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56 -

Portenoy, R. K. (1989). Cancer pain: Eodemiology and syndromes. Cancer, 63,

2298-2307.

Twycross, R. G., & Lack, S. A. (1983). Symptom control in far advanced

cancer pain relief. London; Pitman Books.

Ventafridda, V.,Tamburini, M., Caraceni, A., Decenno, F., & Naldi, F. (1987).

A validation study of the WHO method for cancer relief. Cancer, 59,

850-856.

Ward, S. E., Goldberg, N,, Miller-MmcCauley, V., Mueller, C., Nolan,

A., Stormoen, D., et al. (1993). Patient-related barriers to

management of cancer pain. Pain, 52(3), 319-324.

Ward, S. E. & Hernandez, L. (1994). Patient-related barriers to management

of cancer pain in Puerto Rico. Pain, 58, 233-238.

WHO (1986). Cancer pain relief. Geneva: WHO.

Zenz, M., Zenz, T., Tryba, M., & Strumpf, M. (1995). Severe under

treatment of cancer pain; a 3-year survey of the German situation.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10(3), 187-191.

Page 66: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57 -

부탁의 말

안녕하십니까?

는 인하 학교 간호 학원에서 가정 문간호사과정 석사과정에 재학 인

문 미입니다. 가정에서 치료 는 요양 인 암 환자 분의 통증 리 실태를 조

사하여 통증 리에 장애가 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설문지는 환자 분의 통증정도, 통증 리 실태, 통증 리에 한 상자 련

장애 정도를 악하기 한 내용입니다.

본 자료는 순수한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이며, 무기명으로 통계처리 되기

때문에 응답자의 비 이 철 히 보장 될 것입니다.

귀하께서 성의 있게 응답해 주시는 모든 자료는 암 환자 분의 효율 이고

한 통증 리를 한 귀 한 기 자료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귀한 시간 내주시어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귀하의 쾌유를 빕니다.

2008년 5월

연구자 문 미 올림

본인은 연구의 목 과 설문조사의 내용 취지에 하여 충분히 설명을 들었

으며, 이를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합니다.

2008 년 _______월 _______일

이 름 ____________________ (서 명)

Page 67: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58 -

문 항 아니오

① 옷을 챙겨 입을 때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 하십니까?

② 세수나 양치질을 하고 머리를 감을 때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 하십

니까?

③ 목욕할 때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혼자서 하십니까?

④ 음식을 차려주면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 식사를 하십니까?

⑤ 이부자리에 웠다가 일어나 밖으로 나올 때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

하십니까?

⑥ 소변을 보기 해 화장실 출입 할 때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 하십

니까?

〈 설 문 지 〉

I. 일반 특성

1. 귀하의 성별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남 ② 여

2. 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 )세

3. 귀하의 결혼상태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 미혼 ② 기혼 ③ 사별 ④ 별거 이혼 ⑤ 기타( )

4. 귀하와 함께 동거하고 있는 가족은 모두 몇 명 입니까?(본인포함) ( )명

5. 귀하의 최종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무학 ② 등졸 이하 ③ 졸 이하 ④ 고졸 이하

⑤ 학재학 이상 ⑥ 기타( )

6. 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 천주교 ② 기독교 ③ 불교 ④ 원불교 ⑤ 기타( ) ⑥ 없음

7. 귀하 가족의 평균 월수입은 얼마나 되십니까?

① 50만원 미만 ② 50~150만원 미만 ③ 150~250만원 미만

④ 250~350만원 미만 ⑤ 350~450만원 미만 ⑥ 450만원 이상

8. 귀하께서는 재 거동 가능한 상태입니까?

① 가능 ② 불가능 ③ 보조기구 의지 가능

9. 귀하의 일상생활 활동 가능 여부를 알아보기 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상태와 일치하

는 답을 선택하여 주십시오.

Page 68: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59 -

10. 주로 돌보아 주시는 분은 구입니까?(하나만 선택)

① 배우자 ② 부모님 ③ 자녀 ④ 간병인 ⑤ 사자 ⑥ 기타( )

11. 귀하께서는 본인의 병명을 알고 계십니까?

① (12번으로) ② 아니오 (II. 통증경험으로 이동)

12. 귀하의 암이 다른 부 로 이가 되었습니까?

① ② 아니오 ③ 잘 모름

13. 만역 이되었다면 어느 부 로 이되었습니까? ( )

14. 귀하의 암이 처음 발생한 부 와 발생연도는 어떻게 되십니까?

처음 진단명( 암), 처음 진단받은 연도( 년)

15. 과거 는 재에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를 받으신 경험이 있으십니까?

① 있다 ② 없다

16. 암으로 인한 입원 경험이 있으십니까? ① 있다( 회) ② 없다

17. 귀하께서는 암 수술 경험이 있으십니까?

① 있다 ② 없다

II. 통증경험

1. 지난 24시간 동안 통증이 가장 심했을 때 귀하의 통증정도를 나타내는 숫자를

말 해 주십시오.

통증 약한 간정도 심한 극심한 최악의

없음 통증 통증 통증 통증 통증

0 1 2 3 4 5 6 7 8 9 10

2. 지난 24시간 동안 통증이 가장 약했을 때 귀하의 통증정도를 나타내는 숫자를

말 해 주십시오.

통증 약한 간정도 심한 극심한 최악의

없음 통증 통증 통증 통증 통증

0 1 2 3 4 5 6 7 8 9 10

Page 69: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60 -

3. 지난 24시간 동안 귀하의 평상시 통증정도를 나타내는 숫자를 말 해 주십시오.

통증 약한 간정도 심한 극심한 최악의

없음 통증 통증 통증 통증 통증

0 1 2 3 4 5 6 7 8 9 10

4. 귀하의 지 재 느끼는 통증정도를 나타내는 숫자를 말 해 주십시오.

통증 약한 간정도 심한 극심한 최악의

없음 통증 통증 통증 통증 통증

0 1 2 3 4 5 6 7 8 9 10

5. 다음 그림에 귀하께서 통증을 느끼는 부 에 빗 을 칠해 주십시오. 그 에서

가장 아 곳에 ○표를 하십시오.

Page 70: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61 -

6. 지난 일주일 동안 통증 때문에 식사와 같은 일상활동에 지장을 받은 정도를 나타내

는 숫자를 말 해 주십시오.

방해 조 간정도 많 이 매우 많이

받지 않음 방해받음 방해받음 방해받음 방해 받음

0 1 2 3 4

7. 지난 일주일 동안 통증 때문에 기분 유지에 방해받은(기분이 나빴던) 정도를 나타내

는 숫자를 말 해 주십시오.

방해 조 간정도 많 이 매우 많이

받지 않음 방해받음 방해받음 방해받음 방해 받음

0 1 2 3 4

8. 지난 일주일 동안 통증 때문에 주 사람들과의 계를 유지하는 데에 방해받

은 정도를 나타내는 숫자를 말 해 주십시오.

방해 조 간정도 많 이 매우 많이

받지 않음 방해받음 방해받음 방해받음 방해 받음

0 1 2 3 4

9. 지난 일주일 동안 통증 때문에 잠자는 데에 방해받은 정도를 나타내는 숫자를

말 해 주십시오.

방해 조 간정도 많 이 매우 많이

받지 않음 방해받음 방해받음 방해받음 방해 받음

0 1 2 3 4

Page 71: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62 -

약 품 명 1일 용량 투 여 방 법 투 여 간 격

①주사 ②경구 ③패취 ④기타( ) ①규칙 ②필요시마다

①주사 ②경구 ③패취 ④기타( ) ①규칙 ②필요시마다

①주사 ②경구 ③패취 ④기타( ) ①규칙 ②필요시마다

①주사 ②경구 ③패취 ④기타( ) ①규칙 ②필요시마다

①주사 ②경구 ③패취 ④기타( ) ①규칙 ②필요시마다

III. 통증 리

1. 통증완화를 하여 사용해 본 방법들을 있는 데로 모두 표시해주십시오.

① 약물복용( ) ② 주사( ) ③ 물리치료( ) ④ 한약복용( )

⑤ 지압( ) ⑥ 냉찜질( ) ⑦ 온찜질( ) ⑧ 안마( )

⑨ 마사지( ) ⑩ 이완요법( ) ⑪ 기도( ) ⑫ 신경차단술( )

⑬ 한방사용(침, 뜸) ( ) ⑭ 기타( )

2. 에서 선택한 방법 에서 통증완화에 가장 효과 이었던 방법은 무엇입

니까?

(하나만 번호로 선택하시오) ( )

3. 통증완화에 가장 효과 이었던 방법으로 통증이 얼마나 어 들었습니까?

통증이 어든 정도에 가깝다고 생각되는 숫자를 말 해 주십시오.

전 혀 조 금 중간정도 많 이 전히

줄지않음 줄어듬 줄 어 듬 줄어듬 사라짐

0 1 2 3 4

4. 귀하께서는 통증 리에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① 매우 불만족 ② 불만족 ③ 보통 ④ 만족 ⑤ 매우 만족

5. 귀하께서는 지난 일주일 동안 진통제를 사용한 이 있으십니까?

① (6번으로 이동) ② 없다 (IV. 통증 리 련 장애로 이동)

6. 사용한 진통제의 종류를 모두 어 주시고 진통제의 1일 사용 용량, 투여 방법,

투여간격에 해 기재해 주십시오.

Page 72: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63 -

※ 7번 ~ 8번은 연구자가 기재하는 부분입니다.

7. 통증 리지표(Pain Management Index (PMI))

진통제(pain medication) 통증정도(pain severity)

0 (사용안함) 0 ( 0 , no pain)

1 (비 마약성진통제) 1 (1-3 , mild pain)

2 (약한 마약성진통제) 2 (4-7 , moderate pain)

3 (강한 마약성진통제) 3 (8-10 , severe pain)

** 진통제 pain medication ( ) - 통증정도 pain severity ( ) = ( )

- 진통제 : 지난 일주일 동안 사용한 가장 강한 진통제의 종류를 수로 환산

- 통증정도 : 지난 24시간 동안 경험한 가장 심한 통증정도를 측정한 0~10 을

0~3 으로 환산한 수

8. 진통제 사용 성

① ( 0 이상) ② 부 (-1 이하)

Page 73: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64 -

IV. 통증 리 련 장애

※ 다음 질문을 읽고 귀하의 생각과 가까운 답을 선택하시오.

질 문 그 지

않다(1)

그 지

않다

(2)

그 다

(3)

그 다

(4)

매 우

그 다

(5)

해당

사항

없음

1. 진통제를 사용하면 쉽게 독된다고 생각

합니까?

2. 진통제는 매우 독성이 강하다고 생각

합니까?

3. 통증에 해 호소하지 않고 인내력을 갖고

참는 것이 요하다고 생각합니까?

4. 의료인(의사, 간호사)들은 환자가 통증에

해 말하는 것을 듣기 귀찮아 한다고

생각합니까?

5. 진통제를 사용해도 실제로 통증을 조 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까?

6. 주사 맞는 것은 고통스럽습니까?

7. 주사 맞는 것이 싫습니까?

8. 통증이 있다는 것은 질병이 더 나빠

지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까?

9. 통증경험은 질병이 악화되었다는 신호라고

생각합니까?

10. 진통제로 인해 정신이 몽롱해지는 것은

견디기 힘듭니까?

11. 진통제 때문에 메스꺼움을 느끼면 많이

괴롭습니까?

12. 진통제 때문에 변비가 생기는 것은 짜증

나는 일입니까?

13. 진통제로 인한 부작용을 참는 것보다

통증을 참는 것이 쉽습니까?

14. 통증이 심해질 경우를 비하여 진통제를

아껴 두어야만 한다고 생각합니까?

15. 통증이 약할 때 진통제를 사용한다면

통증이 더욱 심해졌을 때 진통제가 잘 듣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까?

16. 진통제는 주사가 가장 효과 이라고 생각

합니까?

Page 74: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65 -

Abstract

Pain and Pain Management Practices

Among Home Care Patients with Cancer

Young Me Moon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Inha University

Directed by Prof. Ok Kyung Ham

Purpose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pain and pain management practices of cancer patients, and to identify

barriers regarding pain management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proper pain management.

Method: A total of 100 cancer patients who were cared at home and

registered in 5 public health centers, the home care centers of C and I

university hospitals, and the hospice center of S hospital in Incheon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y nurses using a

face-to-face interview method, between May 13, 2008 and May 30, 2008.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12.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Fisher's Exact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Page 75: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66 -

Finding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irty six percent of the participants were in their 70’s and 18.0% of the

participants had large intestine cancer, which constituted the largest

proportion.

(2) Degree of pain was 3.73 out of 10 points, which means they had mild to

moderate degree of pains. Also, the patient who had limitations in daily

activities had more severe pains (p<.01). In addition, the patients who had

uncertainty on cancer metastasis showed the biggest pain (4.48).

(3) Degree of impediment in daily life caused by pains was 2.10 out of 4

points. Difficulty in eating was most high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pain. The patients who had severe pain showed more impediment in daily

life.

(4) Most of the patients (91.0%) used oral medications to release pains.

Fifty-seven percent of the patients who used oral medications and 66% of

those who used injection drugs responded that the use of drugs were

effective in pain relief, and 81% of the pati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moderately or more satisfied with their pain management.

(5) The most frequently used painkillers were Durogesic (30.6%), Oxycontin

(28.5%), Tridol (21.6%), Tylenol (14.8%), and Ms Contin (12.5%). Most

(90.9%) of Ms Contins were administered on a regular basis, while most

(92.3%) of Tyrenols were administered p.r.n. The pain medications were

properly used in 88.7% of the cases according to pain management index

(PMI).

Page 76: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Pain … · 간호학 석사학위 청구 논문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Pain and

- 67 -

(6) The mean score of barriers regarding pain management was 3.24 (range

1-5), and concerns about the progress of cancer was the most highly

evaluated barrier among the patients.

(7)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pain and

satisfaction to pain management (r=-.367, p<.001), a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pain and degree of impediment in daily life

(r=.722, p<.001). Degree of impediment in daily life caused by pains was

positively related to barriers (r=.191, p<.05), and negatively correlated to

satisfaction to pain management (r=-.332,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barriers and satisfaction to pain

management (r=-.188, p<.05). In addition, PMI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degree of pain relief (r=227, p<.05).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pain relief and satisfaction to pain

management (r=.523,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show that cancer patients obtaining home care

nursing at homes are suffering from mild to moderated degree of pains.

Although 88.7% of painkillers were properly used according to PMI, some of

the painkillers were mostly used when it is required. Therefore,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include medication methods, medication intervals, and

minimum dose as the previous studies did not include these variables. The

study results also indicate that precise evaluation of pains is very important

to manage pains properly. Therefore, education and promotion of proper pain

management practices may help to overcome barriers regarding pain

management among patients who suffer from cancer pains.

Key words: cancer, pain, pain management, barri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