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email protected]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120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_____ 연구보고서 2014-10 _____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_____ Integrating ICT Solutions to Create Sustainable Living _____ 장기복 외

Upload: others

Post on 14-Jan-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현하는세계 일류의 환경정책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환경정책 및 기술의

연구개발과 환경영향평가의 전문성, 공정성 제고를

통하여 환경문제의 예방과 해결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된 국책연구기관으로서 21세기 환경선진국 실

현을 선도하는 세계 속의 환경전문연구 기관으로 발

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장기복

KAIST 경영과학 박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현)

E-mail: [email protected]

주요 논문 및 보고서

「환경보전중기종합계획 수립 연구」

(201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부)

「국가중기재정계획 연구-환경 분야」

(2014.11, 기획재정부, KDI)

An Optimal Tax/Subsidy for Pollution

Control under Asymmetric Information in

an Oligopoly Market(1993, Journal of

Regulatory Economics)

강해나

런던정경대학교 정책학(젠더) 석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현)

E mail : [email protected]

김민준

연세대학교 경제학 석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현)

E-mail : [email protected]

김동우

KAIST 경영과학 박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전자통신공학과 교수(현)

Email : [email protected]

본 책자는 친환경 용지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122-706 서

울특

별시

은평

구 진

흥로

215

Tel 0

2.3

80.7

777 F

ax 0

2.3

80.7

799

http

://ww

w.k

ei.re

.kr

_____

연구

보고

서2014-10

ICT를

통한

녹색

라이

프스

타일

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구보

고서

2014-10 |

장기

복 외

_____

연구보고서 2014-10

_____

ICT를 통한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_____

Integrating ICT Solutions to Create Sustainable Living

_____

장기복 외

ISBN 978-89-8464-881-4

_____

ICT를

통한

녹색

라이

프스

타일

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In

tegra

ting IC

T S

olu

tions to

Cre

ate

Susta

inable

Liv

ing

Page 2: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연구진

연구책임자 장기복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참여연구원 강해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김민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김동우 (한양대학교 교수)

산학연정 연구자문위원

강희찬 (인천대학교 교수)

공성용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병국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창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장정아 (아주대학교 연구교수)

장형일 (SK텔레콤 매니저)

ⓒ 2014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발행인 박광국

발행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흥로 215 (우편번호) 122-706

전화 02)380-7777 팩스 02)380-7799

http://www.kei.re.kr

인쇄 2014년 10월 26일

발행 2014년 10월 31일

출판등록 제17-254호

ISBN 978-89-8464-881-4 93530

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표시해 주십시오.

장기복 외. 2014.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값 7,000원

Page 3: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서 언

ICT의 발달은 산업구조와 생산방식은 물론 개인의 소비행태와 생활양식에도 적

지 않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ICT의 환경적 의미와 영향에 대한 충분한 고려

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개인과 기업의 행태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환경정책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본 연구는 소비자 환경정책의 맥락에서 ICT의

활용에 따른 영향과 잠재력에 대한 종합적 점검과 정책적 대안 모색을 위해 추진되

었습니다. 특히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실증적 확인 과정을 토대로 ICT

의 환경적 의미를 규명함으로써 녹색 라이프스타일 확산을 위한 ICT의 활용 전략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본 연구를 출발점으로 ICT와 환경의 융합 발전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수고하신 장기복 선임연구위원과 한양대학교의 김동우

교수께 감사드리며, 자료 수집 및 정리를 위해 애써 주신 강해나 연구원과 김민준

연구원께도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특히 바쁘신 와중에도 외부 자문위원으로 수

고해 주신 인천대학교 강희찬 교수, 아주대학교 장정아 연구교수, SK 텔레콤 장형

일 매니저, 내부 자문위원으로 수고해 주신 공성용 선임연구위원, 이병국 선임연구

위원, 이창훈 연구위원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2014년 10월

한국환경정책 ・ 평가연구원

원장 박 광 국

Page 4: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Page 5: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국문요약

본 연구에서는 ICT의 활용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의 변화가 환경정책의 관점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해 규명하고 녹색 라이프스타일의 확산을 위한 ICT

의 활용전략을 모색한다.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라는 연구주제의 복합적 특성을 고

려하기 위하여 ICT 활용에 따른 환경적 영향과 의미에 관한 선행연구와 관련 사례에

대한 고찰과 더불어 ICT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의 문제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다면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ICT의 환경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및 사례 검토 결과, ICT 섹터의 환경오염물질

배출량이 타 부문에 비해 작은 규모인 것으로 평가되어 저탄소 섹터로 분류되고

있으나, 이는 생산과정에 한정된 영향으로서(Scope I), ICT의 사용(Scope II)와

폐기(ScopeIII)까지를 감안할 경우 환경부하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상당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직접적인 환경 영향 외에도 비ICT 섹터에의

간접적 영향을 통한 환경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나, 그 효과의 방향과

크기는 ICT의 활용 목적과 방식, 경제·기술적 조건, 소비자의 행태, 사회문화적

특성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콘텐츠의 디지털화

관련 영역에서 물질자원의 디지털자원으로의 대체에 따른 긍정적 환경효과의 실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인터넷쇼핑, 스마트교육 등 소비방식의

디지털화 영역에서는 ICT가 기존의 소비채널에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환경부하 증

가를 유발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ICT를 통한 정보 공유 및 활용의 효율 증진에 따른 효율화 효과는 환경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관리 관점에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잠재적 영역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공유경제(자원의 공유), 소비자의 친환경 행동 유도, 생활환경

모니터링 및 보전활동 참여 등 적극적 관점에서의 녹색 라이프스타일 확산 관점에

도 ICT의 활용에 따른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Page 6: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소비영역별로는, 디지털콘텐츠 소비, 승용차 이용, 자원 공유, 생활환경 관리

등의 분야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되고 있으며, 소비재의 소비, 화물 운송 등의

영역에서는 환경부하의 증가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분야의 경우

ICT를 통한 에너지 이용의 효율 제고 효과와 함께 ICT 기기의 사용에 따른 에너지

사용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폐기물 분야 역시 ICT 관련 폐기물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자원 공유의 활성화, 물질 자원의 디지털자원으로의 대체 등 긍정적 영향

도 동시에 존재하는 영역으로 볼 수 있다.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활용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는 문헌 및 사례

분석을 통해 확인된 내용을 토대로 ICT의 활용에 따른 직접 효과 및 간접 효과(디지

털화 효과, 효율화 효과)의 발생 여부와 ICT 소비자의 환경 관련 라이프스타일

파악에 주안점을 두어 설계하였다. 가계부문의 ICT 기기의 교체· 폐기 행태 등

직접 효과와 관련된 내용과 더불어 가계부문의 소비 활동 중 디지털 기반의 소비가

확대되고 있는 교양·오락서비스(e-book, 디지털 음원 소비, 인터넷 뉴스 소비 등),

교육서비스(스마트교육 등), 교통서비스(디지털 기반의 에코드라이빙, 자동차공

유, 대중교통서비스 등), 소비재 구매(인터넷쇼핑 등), 등을 중심으로 자원·에너지

이용 행태를 파악하였다. ICT 소비자의 환경 관점에서의 라이프스타일은 사회관계

망서비스(SNS),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스마트워크 등 ICT에 기반한 생활양식의

변화와 더불어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에 대한 인식과 태도 문제를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목적의 효과적 달성을 위하여 일반 국민 중 ICT 소비자를 상징적

으로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스마트폰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지역 및 근로형태, 성별,

연령 등의 인구통계학적 요소를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실태조사 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우선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이 비교적 활발

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교양·오락·교육서비스 부문에서의 디지털화에 따른 기존 매

체의 대체효과를 경험하고 있다는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

은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이 활성화되어 있는 음악, 사진, 뉴스 등의 서비스 분야에

Page 7: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서 특히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 오프라인 매체에 대한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도서출판, 교육 등의 서비스 분야에서는 다소 제한적인 것으로 확인된다. 대체효과

의 구현 정도와 디지털콘텐츠 활용의 성숙도가 밀접한 관계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인터넷 쇼핑, 스마트워크, SNS 등 디지털 기반의 생활양식(쇼핑, 근

로, 사회적 교류 등)의 확산에 따른 오프라인에서의 행동 변화는 환경적 관점에서의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쇼핑의 경우 오프라인

에서의 소비를 대체하는 효과도 있지만 총 소비를 증가시키는 경향도 보이고 있으

며, 상품에 대한 환경정보의 접근성과 유용성도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스마트워

크의 도입에 의한 오프라인 여행수요의 감소 효과도 제한적이며 활용도도 매우

낮은 실정이다. SNS의 경우 역시 오프라인에서의 사회적 교류에 양적으로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디지털 기반의 환경이슈 공유

활동도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으로 소극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디지털 기반의 정보서비스의 활용에 따른 효율화 효과에 대해서는 정보의

내용에 따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ICT 기반 자동차 운행정보 제공서비

스의 경우 에코드라이빙 지원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많았으나 자동차의

총 운행거리 및 연료사용량 측면에서의 변화는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유사

하게 나타났다. 최적화 효과 관점에서의 잠재력이 확인되는 한편으로 리바운드 효

과의 우려도 상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중교통, 자동차공유 등 자원의 공동 이용

과 관련한 정보서비스의 경우 해당 교통 서비스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서비스의 활용도가 높은 대중교통서비스와는 달리 자동

차공유정보서비스는 활용 사례가 많지 않아 효과 자체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

다. 환경 관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도 유용성 평가는 긍정적이나 활용

도가 매우 낮은 실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환경보전을 위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실천 활동도 제한적인 범위와 수준에 머무

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8: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정책 방향에 대한 검토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먼저 ICT의 긍정적 환경

효과와 서비스의 활성화 수준과의 관련성에 착안해 볼 때 그린 ICT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ICT의 직접적 환경영향 저감에 초점을

두고 있는 하드웨어 중심의 ‘그린 ICT’ 정책의 범위를 서비스 분야로 확대하여 서비

스의 개발 및 설계 단계에서의 환경성 및 오프라인과의 연계성 검토 확대와 더불어

서비스의 활용·확산을 촉진하기 위한 기반 조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구체적으로, ICT 서비스의 온실가스 감축실적 검·인증 및 배출권 인정체계 구축,

그린 ICT 서비스 시범사업의 추진 및 환경라벨링제도의 도입, 그린 ICT 서비스

인프라의 확충 등의 관점에서 정책 과제와 방안을 모색하였다.

다음으로 디지털 기반의 소비 확대를 지속가능한 소비행태로의 전환을 위한 기회

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환경정보콘텐츠의

적시 제공이 요구되고 있는 인터넷 쇼핑 분야와 공유경제, 대중교통, 생활환경 센싱

및 관리 등 ICT를 통한 실시간 정보서비스의 유용성과 효과가 확인되고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ICT의 활용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제어: ICT, 환경, 라이프스타일, 소비행태, 디지털화

Page 9: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차 례∣제1장 · 서론 ···············································································································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연구의 내용 및 접근 방법 ·········································································4

제2장 ․ ICT의 환경 영향과 잠재력 검토 ······························································51. 개념적 고찰 ································································································ 52. 사례 검토 ···································································································· 7

가. 직접 효과 (1차 효과) ········································································· 7나. 간접 효과 (2차 및 3차 효과) ····························································· 9

3. 소결 ·············································································································34

제3장 ․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 ························································361. 조사 개요 ·································································································· 362. 조사 결과 ···································································································· 37

가. ICT 서비스의 이용 및 폐ICT 장비의 처리 ···································· 37나. 디지털콘텐츠 (교양오락서비스) ························································41다. 스마트교육 (교육서비스) ···································································46라. 인터넷 쇼핑 (디지털 기반의 소비재 구매) ···································· 48마. 교통정보서비스 ··················································································· 52바. 스마트워크제도와 출퇴근패턴의 변화 ············································· 55사. 사회관계망서비스(SNS) ····································································· 57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활용 ························································ 59자. ICT/소비행태/녹색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일반 인식 ···················· 61

3. 소결 ············································································································· 66

Page 10: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4장 · 정책 방향 및 과제 ···················································································691. 정책 방향 ·································································································· 692. 정책 과제 및 제언 ···················································································· 70

가. ICT 서비스의 온실가스 감축실적 검·인증 및 배출권 인정체계 마련 ·· 70나. 그린 ICT 시범사업 추진 및 환경라벨링제도의 도입 ···················· 71다. 인터넷 쇼핑몰 상품환경정보 검색시스템의 개발·보급 ················· 72라. 그린 ICT 서비스의 인프라 구축 ······················································ 73마.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 확산 ············································ 75

제5장 · 결론 ············································································································ 76

참고문헌 ··················································································································· 79

부록 · 설문조사 응답자 특성, 설문 문항 ···························································851. 설문 응답자 특성 ······················································································· 85

가. 결혼여부 ······························································································ 85나. 고용형태 ······························································································ 85다. 월간 평균 소득 ···················································································86라. 학력 ······································································································86마. 거주 지역 ···························································································· 86

2. 설문 문항 ···································································································· 87

Abstract ···················································································································91

Page 11: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표차례∣<표 2-1> e-boks, 일반 은행 입출금 내역, 고지서에 따른 변화 ··········· 10<표 2-2> 대학별 ICT로 인한 전기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 11<표 2-3> 오프라인(기존) 쇼핑 대비 인터넷 쇼핑의 환경영향 ·············· 13<표 2-4> 스마트워크 도입에 따른 환경영향 연구 사례 ·························· 14<표 2-5> 실시간교통정보제공 내비게이션 실험 결과 ···························· 16<표 2-6> ICT를 통한 자원 공유경제 사례 ·················································21<표 2-7> 정보공유 및 행동변화 관련 환경기반 ICT 사례 ······················ 25<표 2-8> 네이버 환경 관련 블로그 현황 ···················································26<표 2-9> 정부 및 공공기관의 환경 관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 27<표 2-10> CPU와 RAM 사용량 ··································································· 31<표 3-1> 설문조사 개요 ················································································ 37<표 3-2> 현재 이용하는 인터넷 및 모바일기기 ······································· 38<표 3-3> 폐ICT 장비의 처리 ······································································· 39<표 3-4> ICT 기기의 교체 이유 ·································································40<표 3-5> ICT 장비의 교체 이유-통신비 규모 구간별 분석 ··················· 41<표 3-6> 최근 1년간의 디지털 콘텐츠 이용도 ········································· 42<표 3-7> 전자책(e-book) 이용에 따른 종이책, 종이 사용량 변화 ·······43<표 3-8> 다운로드, 스트리밍으로 인한 CD, 테이프 사용량 변화 ········ 44<표 3-9> 인터넷 뉴스 이용으로 인한 종이신문 사용량의 변화 ·············45<표 3-10> 디지털 사진 이용으로 인한 사진 인화량의 변화 ·················· 46<표 3-11> 스마트 교육 실시로 인한 오프라인 교육 빈도의 변화 ·········· 47<표 3-12> 인터넷 쇼핑에 따른 쇼핑 빈도, 주행거리 변화 ····················· 49<표 3-13> 인터넷 쇼핑에 따른 총 소비규모의 변화 ································ 50

Page 12: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표 3-14> 인터넷 쇼핑 과정에서의 환경 관련 정보 획득 ······················· 51<표 3-15> 환경 관련 정보가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 ····························· 51<표 3-16> ICT 기기의 에코드라이빙 지원 효과 ······································· 52<표 3-17> 스마트내비게이션, 총 운행거리, 연료사용량 간의 관계 ······ 53<표 3-18> 카풀 어플리케이션의 이용 정도 및 효과 ································ 53<표 3-19> 버스운행정보서비스와 대중교통 이용도 ·································· 54<표 3-20> ICT 기기·서비스 이용에 따른 교통수단의 변화 ···················· 55<표 3-21> 원격근무와 교통량 간의 관계 ··················································· 55<표 3-22> 근로 형태에 따른 스마트워크 이용도 ····································· 56<표 3-23> 거주 지역에 따른 스마트워크 이용도 ····································· 56<표 3-24> SNS 이용으로 인한 인간관계의 변화 ····································· 57<표 3-25> SNS를 통한 환경이슈 공유 활동 ············································· 58<표 3-26> SNS 환경정보 소비의 친환경활동 유인 효과 ························ 59<표 3-27> 환경 관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활용 ·································· 60<표 3-28> 환경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 ···················· 61<표 3-29> ICT 활용에 따른 소비행태 변화 ·············································· 62<표 3-30> 환경보호를 위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의사 ·························· 63<표 3-31> ICT 소비 관련 친환경 행동 실천 ·············································64<표 3-32> 에너지, 환경 관련 현재 실행하는 행동-소득구간별 ············ 65<표 부록 1> 응답자의 결혼여부 ···································································· 85<표 부록 2> 응답자의 고용형태 ··································································· 85<표 부록 3> 응답자의 월간 평균 소득 ······················································· 86<표 부록 4> 응답자의 학력 ·········································································· 86<표 부록 5> 응답자의 거주 지역 ·································································86<표 부록 6> 설문 문항 정보 ········································································· 87

Page 13: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그림차례∣<그림 2-1> ICT 및 비ICT 제품 라이프사이클 (2차효과) ·························· 6<그림 2-2> ICT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 & 2) ······························· 8<그림 2-3> 스마트 내비게이션 사용여부에 따른 CO2 비교 ··················· 17<그림 2-4> Garbage Watch 웹사이트 ·······················································29<그림 2-5> 소음 지도 (오후2:00~3:00), (a) 1인 측정, (b) 2인 측정,

(c) 4인 측정, (d) 6인 측정 ····················································· 31<그림 2-6> PEIR 사용자 인터페이스 ························································· 33<그림 2-7> PEIR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 33<그림 2-8> 참여자의 PEIR 네트워크 순위 ··············································· 34<그림 3-1> 연령대별 스마트-오프라인 교육 간 대체효과 ······················ 47<그림 3-2> 거주 지역별 스마트-오프라인 교육 간 대체효과 ················48<그림 3-3>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친환경 활동 실천 정도 ······················ 66<그림 3-4> 소비영역별 오프라인 대체효과 ··············································· 68

Page 14: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Page 15: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1장 ・ 서론 ∣ 1

∣제1장 · 서론∣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경제사회 발전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예방적 환경정책의 중요성이 강조

되고 있다. 환경자원의 훼손 문제가 임계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는 우려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오염의 원인 행위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장 기반의

규제정책 진화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경제주체의 친환경 행동을 유인하기 위한

지원형 정책수단도 다양한 영역에서 도입되고 있다. 특히 물질자원과 에너지자원의

친환경적 이용을 담보함으로써 자원의 확보와 이용 과정을 통해 유발되는 환경오염

과 자원고갈의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부가가치 창출의 수준 대비 자원·에너지의 이용 수준 즉 ‘부가가치 원단

위’ 또는 ‘자원·에너지 생산성’의 기준으로는 관련 지표의 성과 향상이 일부 확인되

고 있다.1)

그러나 이와 같은 정책적 노력과 효율성 관련 지표의 성과 향상에도 불구하고

자원에너지의 총 소비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경제활동에 따른 총량적

환경부하의 완화로까지는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다.2) 특히 국민경제의 최종수요에

서 핵심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계부문의 소비활동에 따른 환경부하 증가추세는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3) 김용건 외(2012)에 따르면, 가계부문 소비에

1) 우리나라의 GDP 단위(백만원)당 최종에너지 소비규모(TOE; ton of equivalent)는 2003년 0.270에

서 2012년 0.252로 개선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국가에너지통계 종합정보시스템, 2013년 에너

지통계연보 참조), GDP 단위(억 원)당 자원소비량(MT; metric ton)도 2003년 19.065에서 2012년

15.886으로 개선되고 있다(광업·광산물 통계연보, 각 년도 광산물 수급현황, 통계청 실질 GDP 자료

를 이용하여 산정).

2) 우리나라의 최종에너지 소비규모는 2003년 163,995TOE에서 2012년 208,120TOE로 절대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국가에너지통계 종합정보시스템, 2013년 에너지통계연보 참조), 금속 및 비금속

자원의 총 소비규모도 2003년 151,715,718MT에서 2012년 172,074,564MT로 증가하고 있다(광업·광산물 통계연보, 각 년도 광산물 수급현황 참조).

3) 국민경제 최종수요 항목은 민간소비지출(가계소비), 정부소비지출, 민간고정자본투자, 정부고정자

본투자, 수출수요 등으로 구분되며, 2009년 기준 최종수요항목 중 민간소비지출(가계소비)은 최종

Page 16: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2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따른 온실가스 배출 유발은 2009년 기준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37.1%에 달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가계소비의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tCO2e/천 달러)는 0.403로서

OECD 평균 수준인 0.340를 크게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 가계부분의

소비활동에 대한 제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온실가스 감축 등 국가

의 주요 환경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이하 ICT)의 발전으

로 소비행태의 측면에서 중요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5) 인터넷 쇼핑은 소비활동에

따른 시간과 공간의 제약 문제를 완화하면서 새로운 소비문화를 형성하고 있으며,

SNS 등 ICT 기반 소통 공간을 통한 라이프스타일의 공유도 본격화하고 있다. 스마

트그리드 등 ICT의 활용을 통한 에너지 이용체계의 혁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반면 ICT의 소비로 인한 전력 이용의 증가와 폐기물 문제 등은

당장의 환경현안이 되고 있기도 하다. ICT의 발달에 따른 이와 같은 변화에 대해

미래학자인 제러미 리프킨(2012)은 “역사상 거대한 경제혁명은 새로운 커뮤니케이

션 기술이 새로운 에너지체계와 결합할 때 발생한다는 사실이다”라고 언급하면서

ICT가 가져올 소위 ‘3차 산업혁명’에 대해 역설한 바 있다.6) ICT의 확산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그에 따른 환경 영향에 대해 이해가 전제되지 않고는 ‘지속

가능한 소비’의 구현을 위한 정책의 실효성이 담보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수요의 3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김용건 외. 2012. p.73)

4) 김용건 외(2012), p.243

5) 가계부문의 인터넷의 접속률은 선진국의 경우 70%를 상회하며 개발도상국의 보급률은 20%대로

낮지만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더불어 모바일 사용자의 수도 급증 추세인데, 인구 100명당

101명의 무선 브로드밴드 가입률을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를 선두로 스웨덴 98, 필란드 88, 일본

82 등 OECD 국가의 모바일 보급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의 사용은 E-mail, 전화 등

의사소통 목적 비중이 OECD 평균 65%로 나타나고 있으나, 최근 들어 페이스북 등 SNS의 사용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인터넷 쇼핑의 사용 비율도 영국 64% 등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증가 추세로 의류,, 스포츠용품, 여행휴가 숙박시설 소비 등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 외에도 인터넷뱅킹, 스마트러닝 등 금융, 교육, 오락문화 등 다양한 서비스 영역에서의 인터

넷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OECD, 2010; Aebischer and Huser, 2000)

6) 제러미 리프킨(2012), p.10

Page 17: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1장 ・ 서론 ∣ 3

환경정책의 맥락에서 ICT에 대한 연구는 특정 서비스나 제품을 대상으로 ICT의

활용에 따른 물질 및 에너지 자원의 이용 변화에 주목하거나 환경관리 영역에서의

ICT 활용 효과를 검토하는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7) 분석 대상 및

방법에 따라 ICT의 활용에 따른 긍정적 환경효과와 부정적 환경영향을 강조하는

다양한 연구결과가 공존한다. ICT의 긍정적인 측면에 주목하는 연구들의 경우

ICT의 활용을 통한 효율성 증진의 효과 또는 물질 자원의 디지털 자원으로의 대체

효과를 강조한다. 이와는 달리 부정적인 환경영향을 강조하는 연구들은 ICT의 활용

에 따른 전력 사용 또는 폐기물의 증가 또는 연관된 재화와 서비스의 추가적인

소비 증가 등의 환경 문제를 강조한다. ICT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ICT의 활용

분야와 방법은 물론 사회문화적 수용 태도와 경제·기술적 인프라의 구축 정도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환경정책의 관점에서는, ICT의 환경 영향에 대한 낙관론

과 비관론의 시각에서 벗어나, ICT의 활용이 환경 관점에서 긍정적, 부정적 결과를

동시에 가져올 수 있다는 전제 하에 ICT의 긍정적 환경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정적

환경영향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CT의

환경 문제에 대한 보다 종합적 관점에서의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와서야 EU, OECD

등의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EU 주관의 Erdmann et al.(2004)의

연구에서는 ICT의 발전에 따른 EU 지역에서의 주요 환경경제 지표의 변화에 대한

시뮬레이션 분석을 실시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 바 있다. OECD(2010)는 ICT

의 환경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에 대한 종합적인 문헌 분석결과를 토대로 ICT의

환경문제와 잠재력에 대한 정책적인 관심과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의 관련 연구로는 디지털경제의 발전에 따른 환경적 시사점과 정책 과제

를 논의하고 있는 최진석 외(2002)의 연구가 있으나 인터넷 발전의 초기 단계에서

수행된 연구로서 최근의 ICT 발전 경향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7) ICT의 환경영향 및 환경 분야에서의 활용 사례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는 본 연구의 2장에서 논의한다.

Page 18: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4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의 ICT 활용 실태에 대한 환경정책 맥락에서

의 종합적 점검을 토대로, 급변하고 있는 ICT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과제와 대응방안을 모색한다. 구체적으로, 소비 행태의 변화에 대한 실증적

확인 과정을 거쳐 우리나라에서의 ICT 활용이 라이프스타일의 관점에서 갖는 환경

적 의미와 한계를 규명해 봄으로써 녹색 라이프스타일 확산을 위한 ICT의 활용전략

에 대해 논의한다.

2. 연구의 내용 및 접근 방법

‘라이프스타일’8) 관점에서의 ICT의 환경적 의미와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

에서는 가계부문의 소비영역을 중심으로 ICT의 소비에 따른 환경 영향의 문제와

ICT의 활용 잠재력의 이슈를 포괄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라

는 연구주제의 복합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문헌 및 통계자료의 분석과 더불어

ICT 소비자 대상의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소비행태의 변화 문제를 실증적으로 확인

하는 다면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사례 연구 및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ICT 관련

환경정책의 방향을 조명하고 정책 과제와 대안을 모색하였다.

2장에서는 ICT의 환경 영향 및 환경 분야에서의 ICT 활용에 대한 선행 연구

및 문헌 자료를 토대로 ICT의 환경적 의미와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3장에서

는 가계부문 ICT 소비자를 상징적으로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환경정책의 관점에서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및 소비행태에 대한 실태조

사 결과를 분석·제시한다. 4장에서는 문헌 및 사례 연구, 실태조사 등을 통해 확인된

정책적 과제를 검토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5장에서는 연구결과에서 확인된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논의한다.

8) ‘라이프스타일’은 사용되는 맥락에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의

제반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주체의 경제활동에 대한

환경정책 개발이라는 연구의 기본 목적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의 개념을 ‘가계부

문에서의 재화와 서비스의 소비활동 수준과 행태’로 정의한다.

Page 19: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2장 ・ ICT의 환경적 영향과 잠재력 검토 ∣ 5

∣제2장 ․ ICT의 환경 영향과 잠재력 검토∣1. 개념적 고찰

ICT는 디지털자원을 기반으로 정보의 생산·전달·공유·처리·활용의 측면에서 혁

신적인 도구를 제공하는 기술로 볼 수 있다.9) ICT의 소비에 따른 환경 영향과 잠재

력은 디지털자원의 생산·이용·폐기 등의 과정에서 유발되는 환경오염 배출 및 자원·에너지의 이용 변화와 관련한 직접적인 환경 효과와 ICT의 활용이 타 부문 또는

사회적 행태와 시스템의 변화를 초래하여 나타나는 간접적인 환경 효과로 대별하여

살펴볼 수 있다.10)

ICT의 직접적 환경 효과(1차 효과)는 다시 ICT의 라이프사이클에 따라 ICT의

생산 및 유통단계에서 유발되는 자원 이용 및 훼손에 따른 환경부하 변화(Scope

I), ICT의 사용단계에서의 에너지 이용 및 환경오염 배출에 따른 환경부하 변화

(Scope II), ICT의 폐기단계에서 유발되는 환경오염의 문제(scope III)로 구분된

다.11)12)

ICT의 간접적 환경 효과는 디지털 기반의 소비 확산에 따른 효과(디지털화 효과;

Digitalization Effects)와 정보활동(정보의 생산·전달·활용)의 효율 증진에 따른

효과(효율화 효과; Efficiency Effects)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디지털화 효과

는 기존의 재화와 서비스가 디지털화됨에 따라 디지털자원의 물질자원 대체로 나타

나는 대체효과(Substitution Effects) 또는 ICT의 소비가 다른 재화나 서비스를

보완하여 자원과 에너지의 이용 증가 등 추가적인 환경부하를 유발하는 보완효과

9) 정보경제학의 관점에서 ICT는 정보의 생산·전달·공유·처리·활용에 따른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완화

하고 관련 비용을 저감하는 기술로 정의할 수 있다.

10) Erdmann et al.(2004), OECD(2010), Ahola et al.(2010), Andreopoulou(2012), Hilty et al.(2007),

Hilty and Ruddy(2000), Rattle(2010) GeSI and BCG(2008, 2012) 등을 일부 참고하여 재정리

11) GeSI and BCG(2008, 2012), SK 텔레콤 외(2013) 등의 내용을 일부 참고하여 연구진이 유형

명칭 및 구분

12) 통상 ICT 부문의 환경오염물질 배출 및 자원·에너지의 이용 효과에 대한 분석은 부문 간 비교의

객관성 확보를 위하여 Scope I과 Scope II의 영향에 국한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Page 20: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6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Complement Effects)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게 된다. 효율성 효과 역시

ICT가 의사결정의 최적화 지원도구로 활용되어 자원과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 및

환경오염 관리의 효율화를 가능하게 하는 최적화 효과(Optimization Effects) 또는

효율 증진에 따른 추가적인 자원 소비 유발 등의 리바운드 효과(Rebound Effects)

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게 된다.13) 이와 같은 ICT의 간접적 환경 효과는

비(非) ICT 재화와 서비스의 양적 변화(2차 효과)와 소비행태와 사회시스템의 질적

변화(3차 효과)로 구분하여 검토되기도 한다.14)

자료: OECD(2010, 재인용). p.199.

<그림 2-1> ICT 및 비ICT 제품 라이프사이클 (2차효과)

13) Erdmann et al.(2004), OECD(2010) 등의 내용을 일부 참고하여 연구진이 유형 명칭 및 구분.

14) Erdmann et al.(2004), OECD(2010) 등의 내용을 참고하여 연구진이 유형을 구분.

Page 21: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2장 ・ ICT의 환경적 영향과 잠재력 검토 ∣ 7

2. 사례 검토

가. 직접 효과 (1차 효과)

ICT 기기의 생산 및 유통(Scope I), 소비(Scope II) 과정에서 유발하는 직접적인

온실가스배출량은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약 2.5%에 해당하는 0.83 기가 톤으로

직접 배출량의 측면에서 타 산업에 비해 규모 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는

않다. 가전제품 및 PC 관련 제품으로 인한 영향이 전체의 68%를 차지하고 있으며,

통신네트워크 설비와 서버, 데이터 센터에 의한 배출 비중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나

고 있다. ICT 소비의 확대가 범세계적인 경향이 되면서15) ICT 기기의 국제적 생산

분업에 따른 환경문제도 제기된다. Berkhout and Hertin(2004)는 ICT 기기 제작

으로 인한 유통분야에서의 환경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다국적 기업 주도의

ICT 산업 발전에 따른 국제운송과정에서의 에너지 사용 문제가 심각하다는 점을

제기한다. 예를 들면 Apple의 iPhone의 경우 90%의 부품을 한국, 중국 일본과

같은 미국 외의 국가로부터 공급16)받게 되는데, 이와 같은 부품의 국제운송에 따른

환경부하가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ICT의 소비에 따른 1차 효과와 관련하여 주목해야 할 환경영향의 하나는 ICT기기

의 폐기(scope 3)에 따른 환경 문제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3년 이동전화단말기

와 개인용컴퓨터의 출고는 중량 기준으로 각각 2,854톤, 41,762톤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재활용 실적은 각각 411톤(출고량 대비 14%), 7,764톤(출고량 대비 19%)에

불과한 실정이다.17) 미국 환경청(EPA, 2011)의 보고서에 의하면, 미국의 경우

역시 매일 142,000대의 컴퓨터와 416,000대 이상의 모바일기기가 버려지고 있는

데, 이 가운데 29.2%만이 재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15) “아프리카 시골가구조차도 가축이나 남는 곡물을 팔아 휴대전화를 장만하며, 이를 개인 통신은

물론 상업적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한편 개발도상국의 경우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 전기가

들어오지 않아 배터리 충전을 위해 시내까지 나아가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제러미 리프킨

(2012), pp.252-253.

16) Chosun Ilbo(2012.1.25).

17) 한국환경공단 내부 자료(2014.6.30. 기준).

Page 22: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8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자료: OECD Information Technology Outlook(2010). p.202.

<그림 2-2> ICT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 & 2)

Fuchs(2008)는 소비자들의 최신 기종에 대한 선호 경향으로 ICT 기기의 수명이

2~3년에 불과하다는 것을 지적하면서, 특히 중국과 인도 등 개도국에서의 ICT

폐기물 발생량이 급증하고 있으나 폐기물 관리체계의 미비에 따른 환경영향이 심화

될 우려가 있다는 분석결과를 제시한 바 있다.18) ICT 기기의 폐기에 따른 유해물질

의 국제 이전도 문제가 되고 있다. Elliot(2007)는 ICT 기기의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

는 많은 양의 유해물질이 유럽·미국 지역으로부터 아시아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개발도상국 폐기물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한 바 있다.19)

Lundgren(2012)에 의하면 2009년 기준 ICT 기기의 폐기가 주로 이루어지는 아시

아 지역은 중국, 인도, 파키스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스리랑카, 태국,

베트남 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향후 아시아 지역의 폐기물 관리 강화에 따라 서아

프리카지역 등으로 폐기 거점이 다변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18) Fuchs(2008), p.291.

19) Eliot(2007), p.103.

Page 23: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2장 ・ ICT의 환경적 영향과 잠재력 검토 ∣ 9

나. 간접 효과 (2차 및 3차 효과)

1) 디지털화 효과 (물질자원 이용의 대체 및 보완 효과)

ICT의 활용이 확대되면서 비ICT 부문의 재화와 서비스가 ICT 기반의 디지털

재화와 서비스로 대체되거나 ICT와 융합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비ICT 부문에서의 자원 이용 방식도 디지털자원에 의해 대체되거나(대체효과) 디지

털자원의 이용에 따라 보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보완효과). 가계부문의 소비행태

와 관련하여 디지털화 효과가 주목되는 분야로는 디지털콘텐츠 소비(교육, 금융,

교양·오락 등 지식정보서비스의 디지털화), 인터넷쇼핑(소비재 구매방식의 디지털

화), 스마트워크(통근 및 근로 방식의 디지털화) 등이 대표적이다. 이하에서는 이들

분야의 관련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화 효과를 검토한다.

가) 디지털콘텐츠 소비

인터넷을 통한 뉴스 소비의 경우 기존의 오프라인 뉴스 소비를 위해 요구되었던

인쇄 및 배부, 종이사용 등의 활동이 불필요하게 되어 에너지 및 자원의 이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방사선 정보의 디지털화의 경우, 기존 X-ray필름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물질자원의 대체가 가능하게 된다. Berkhout and Hertin(2004)은 덴마

크의 "e-boks"이란 은행 입출금 내역서 및 고지서 전자시스템의 도입 사례에 대한

분석 결과, 150만 여명 대상의 9,850만 건의 문서가 디지털 방식으로 대체됨에

따라 에너지 사용량이 디지털화 이전의 약 37조 줄에서 약 25조 줄로 감소하였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Page 24: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10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구분 단위 e-bok일반

고지서

종이 life

cycle

봉투 life

cycle

인쇄 및

포장우편서비스

지구온난화 kg CO2-eq. -1,652,496 2,599,701 590,454 1,126,323 399,993 482,931

산성화 kg SO2-eq. -16,415 19,319 7,746 8,188 1,071 2,313

질산화 kg NO3-eq. -21,493 25,251 10,339 10,376 1,086 3,450

광화산

오존생성

kg C2H4-

eq.-1,039 1,174 519 523 38 95

총 에너지 소비 MJ -24,675,481 37,358,088 7,843,422 17,014,454 5,951,864 6,548,348

<표 2-1> e-boks, 일반 은행 입출금 내역, 고지서에 따른 변화

자료: Berkhout and Hertin(2004).

그러나 상품과 서비스의 디지털화에 따른 비물질화(de-materialization) 효과는

매우 제한적일 뿐 아니라 재물질화(re-materialization)의 결과를 야기할 수도 있

다. 빌딩, 음식, 옷 등의 대부분의 상품은 근본적으로 디지털화될 수 없는 특성을

갖고 있다는 점과 ICT의 활용에 따른 물질자원의 보완적 이용이 촉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쇄서적의 활용 추세가 여전할 뿐 아니라 소비자의 70~80%가 PC를

구매할 때 프린터를 함께 구매하여 이용하는 것에서 시사하는 바와 같이 소비자들

은 ICT기기를 기존의 매체와 함께 사용하고 있다는 실증적 분석결과도 있다.20)

스마트교육의 경우 오프라인 교육을 대체하면서 교재의 디지털화, 수업장소로의

이동수요 감소 등을 통해 환경적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오프라인 교육을

효과적으로 대체하지 못할 경우 보완적 매체로 기능하게 되어 자원과 에너지의

사용을 증가시킬 가능성도 높다. James and Hopkinson(2008)의 연구에서는, 영

국 대학 내 ICT를 통한 스마트 교육으로 인하여 직접적으로 추가 소요되는 자원은

1,458,000대의 컴퓨터, 249,000대의 프린터, 240,000의 서버로 나타났다. 또한

ICT와 관련된 전기 사용량은 2009년 기준 매년 512,000MwH로 이를 요금으로

환산할 경우 1억 2,100만 파운드에 달하였다. 또한 수업자료 인쇄로 인해 매주

20) Plepys(2002), p.518.

Page 25: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2장 ・ ICT의 환경적 영향과 잠재력 검토 ∣ 11

224장의 종이를 인쇄하였고, 규모가 큰 영국의 대학에서는 약 100만 파운드를 인쇄

비용으로 소비하였다. 한편 학생 개개인의 ICT 기반 기기로 인해 매년 26kg 이산화

탄소를 배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전기를 사용할 경우 추가적으로 528,000톤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대학

전기사용량

(kWh/매년)

University

of Sheffield

University

of Sheffield

(excl. HPC)

Lowestoft

College

City College

Norwich

FE Average

(% only)

총 ICT

전기량

8,680,806

(100%)

7,472,188

(100%)

453,714

(100%)

1,241,700

(100%)100%

PCs 및

모니터

4,164,477

(48%)

4,164,477

(56%)

197,402

(44%)

510,896

(41%)42%

서버 1,520,736

(18%)

1,520,736

(20%)

135,999

(30%)

226,665

(18%)21%

HPC1,208,617

(14%)0 0 0 0

Imaging835,659

(10%)

835,659

(11%)

42,171

(9%)

236,901

(19%)16%

네트워크687,362

(8%)687,362 (9%) 68,538 (15%)

156,629

(13%)13%

AV 61,598 (1%) 61,598 (1%) 7,482 (2%) 89,936 (7%) 6%

전화

기술

202,356

(2%)202,536 (3%) 2,122 (<1%) 12,790 (1%) 1%

ICT

이산화탄소

배출량

(Tonnes)

244 667 209,575

자료: James and Hopkinson(2008)를 바탕으로 재구성.

<표 2-2> 대학별 ICT로 인한 전기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Page 26: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12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나) 인터넷 쇼핑

인터넷 쇼핑은 ICT의 활용이 가장 활발한 분야 가운데 하나로서 가격비교 등을

통해 소비자의 최적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불필요한 쇼핑을 억제하고 오프라인

쇼핑을 위한 자동차 이용 등의 교통 수요 감소를 기대해 볼 수 있는 분야이다.

Plepys(2002)는 인터넷 쇼핑의 환경영향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토대로, 인터넷 쇼핑

의 오프라인 쇼핑 대체에 따른 환경영향은 인구밀도, 인터넷 주문으로 인한 반품횟

수, 쇼핑몰의 위치 및 이동거리 등에 따라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다

는 결과를 제시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각각 3.5번의 오프라인 쇼핑을 한 번의

인터넷쇼핑으로 대체할 경우, 25개의 상품을 한 번에 인터넷으로 주문할 경우,

쇼핑 목적지까지의 거리가 50km 이상일 경우에 한해 인터넷쇼핑이 오프라인쇼핑

보다 환경친화적일 수 있다고 밝혔다.21) 이 같은 결과는 소비자의 인터넷 쇼핑

행태와 지리적 요건 등에 의해 환경효과가 좌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Matthews and Hendrickson(2001)은 인터넷을 통한 서적 구매 행태에 대한

연구22)를 통해, 구매 서적의 반품 횟수 등에 따라 환경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분석 결과, 판매량 100만 달러 이상인 베스트셀러 서적을 오프라

인 서점을 통해 판매할 경우, 반품이 없다는 전제하에 요구되는 에너지의 양은

28조 줄(J)에 불과한 반면, 인터넷 쇼핑을 위해 요구되는 에너지의 양은 30조 줄로

서, 인터넷 쇼핑이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요구한다. 그러나 서적의 반품률이 35%

수준인 경우 오프라인 쇼핑 시 요구되는 에너지의 양은 33조 줄로 증가하게 되어

인터넷쇼핑이 에너지 효율적일 수 있다는 결과도 동시에 제시한다. 이와 같은 결과

를 토대로 Matthews and Hendrickson(2001)은 뉴욕, 서울, 그리고 도쿄와 같은

대도시의 경우 오프라인쇼핑이 인터넷쇼핑보다 환경 친화적일 수도 있다고 언급하

였다.

21) Plepys(2002), p.519.

22) Matthews and Hendrickson(2001).

Page 27: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2장 ・ ICT의 환경적 영향과 잠재력 검토 ∣ 13

2030년까지 분야별 온실가스배출 감축 잠재량 (단위: MtCO2)

구분 에너지 (TJ)대기오염

(mT)

유해폐기물

(mT)

온실가스배출량

(CO2 Equivalents, mT)

기존 판매

(35% 반품률)33 62 66 2000

기존 판매

(반품 없음)28 57 56 1704

인터넷쇼핑 30 33 58 1963

자료: Matthews and Hendrickson(2001).

<표 2-3> 오프라인(기존) 쇼핑 대비 인터넷 쇼핑의 환경영향

다) 스마트워크

GeSI and BCG(2012)에 의하면 202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화상회의의 도입을

통해 0.08GtCO2e의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하며, 텔레커뮤팅의 도입을 통해서는

0.26GtCO2e의 감축이 각각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 ICT 관련 분야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잠재력이 높은 분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화상회의

및 텔레커뮤팅의 도입에 따른 이와 같은 온실가스 감축 잠재 효과는 이들 서비스의

활용이 충분히 활성화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브라질의

경우 텔레커뮤팅으로 인해 감축할 수 있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ICT 활용을 통한

총 감축 가능량 38MtCO2e 중 20%(7.5MtCO2e)에 해당되는 수준으로 분석하고

있으나, 스마트워크 관련 인프라의 구축 수준이 미흡하여 스마트워크의 활성화 자

체가 다소 어려울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Fuchs(2008)는 재택근무를 이용하는 기업 및 직원의 수가 매우 제한적일 뿐 아니

라 스마트워크 도입에 따른 통근수요의 감소는 또 다른 교통수요의 증가로 상쇄될

수 있어 그 효과가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23)

김유진, 한억수, 김태완(2009)는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스마트워크 도입이 활성

23) Fuchs(2008).

Page 28: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14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화될 경우 연간 45,000달러의 교통비용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 친환경 통신

기술의 도입에 따른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분야로 제시하고 있다. 서기만, 장재현

(2011)은 우리나라의 경우 스마트인프라의 부족과, 대면문화의 중요성 강조, 제도

적 문제 등에 따라 스마트워크의 도입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인력구조상

노동인구의 특정 지역 집중, 스마트폰 보급 활성화, 지식산업의 발전 등에 따라

향후 스마트워크의 국내 보급 가능성을 높게 분석하고 있다.

기업 주요내용

포스코문서관리시스템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메일보고를 통해 문서 인쇄량이

1인 192장(11년 1월)에서 44장으로 감소(11년 9월)

경인지방통계청스마트워크의 도입으로 1인당 54분의 시간단축과 21km의 거리단축의

효과가 있으며, 이는 연간 260,940원의 유류비 절감이 가능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서울 본사와 지방 지사의 월간 회의를 영상으로 대체 할 시 매년 숙박비

3천만 원과 이동거리 600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며, 한 명의 출장을 줄일

시 1.8톤의 온실 가스 배출이 감축 가능

한국수자원공사316대의 데스크탑 가상화는 2.8억 원의 유지비용 감축과 20톤의 온실가스

저감을 가져올 것으로 예측됨

Bell Canada20%의 근로자가 통근시간으로 인해 평균 60~90분의 이동거리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정책은 매년 2만 톤의 온실가스 감축 가능

자료: 한국정보화진흥원(2012)를 토대로 재구성.

<표 2-4> 스마트워크 도입에 따른 환경영향 연구 사례

2) 효율성 효과 (환경자원 이용의 최적화 및 리바운드 효과)

ICT는 다양한 분야에서 정보의 생산, 전달, 활용 등 정보활동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혁신적인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환경자원의 이용과 관련해서도 관련 정보의

신속한 모니터링과 공유 등을 통해 정보의 효과적인 활용을 유도함으로써 자원과

에너지 이용의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환경오염의 효율적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최적화 효과) 그러나 이와 같은 효율성 증진에 의해 결과적으로 환경자원의

Page 29: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2장 ・ ICT의 환경적 영향과 잠재력 검토 ∣ 15

이용 부하를 더욱 증가되는 경우(리바운드 효과)도 나타날 수 있다. 효율 향상에

따른 환경자원의 이용 부담이 완화되면서 환경자원의 소비가 촉진될 수 있기 때문

이다. 가계부문의 환경 관련 소비행태와 관련하여 ICT의 효율화 효과가 주목되는

분야로는 교통서비스(교통정보의 모니터링 및 활용), 공유경제(공유 대상 재화와

서비스 정보의 공유·활용), 스마트미터/스마트그리드(에너지 이용정보 모니터링

및 활용), 환경보전 및 관리(환경정보의 모니터링 및 공유·활용) 등이 대표적이다.

이하에서는 이들 분야의 관련 사례를 중심으로 효율성 효과를 검토한다.

가) 실시간교통정보제공시스템 (교통정보서비스)

교통서비스 분야의 ICT의 활용 사례로서 실시간 내비게이션의 활용을 통해 자동

차의 연료사용량 절감이 가능하다는 주장이 서비스업계 등에 의해 제시되고 있다.

유럽의 실시간 경로안내를 제공하는 TomTom 기술에서는 (1) 기본 지도, (2) 서로간

지도 공유, (3) 최적경로안내(친환경 경로안내), (4) 동적 실시간 교통정보가 제공된

다24). Cohn(2011)는 독일의 다른 내비게이션 솔루션인 falk와 Blaupunkt와 비교

할 때 동일 경로상 3대의 차량을 테스트할 경우의 연료사용량 변화결과를 분석,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할 경우 일반 경로안내의 경우에 비해 약 15%의 연료소모량

감소가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제시하였다.25)

24) Cohn(2011). p.2.

25) Cohn(2011). p.7.

Page 30: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16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Blaupunkt FalkTomTom with HD

traffic & IQ routes

총 운행거리(Total

distance driven) 300km 300km 300km

이동시간/예정시간

(Travel time/device

prediction)

319분/244분 335분/236분 293분/238분

평균속도(Average

speed)56km/시 54km/시 61km/시

평균

연료사용량(Averag

e fuel use)

8.25리터/100km 9.07리터/100km 7.87리터/100km

연료사용량(Total

fuel use)

27.76리터 27.08리터 25.53리터

<표 2-5> 실시간교통정보제공 내비게이션 실험 결과

자료: Cohn(2011).

국내의 경우, 김준형, 엄정섭(2011)이 유사한 내용을 다룬 바 있는데,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내비게이션을 이용할 경우 평균속도의 개선으로 이산화탄소 9.15%,

CH4 18.43%, N2O 18.62% 등의 개선 효과가 각각 나타났다.26) 정체가 심한 상황일

수록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된다.

26) 김준형, 엄정섭(2011), p.443.

Page 31: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2장 ・ ICT의 환경적 영향과 잠재력 검토 ∣ 17

자료: 김준형, 엄정섭(2011).

<그림 2-3> 스마트 내비게이션 사용여부에 따른 CO2 비교

2013년 SK 텔레콤과 부경대는 총 384회에 걸친 운행 실험을 통해 교통 상황을

반영해 길을 안내하는 실시간 내비게이션을 사용하면 최단거리 정보만 제공하는

일반 내비게이션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균 9.9% 줄일 수 있다는 조사결과를

제시한 바 있다. 휘발유 차량을 타고 서울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에서 삼양동 사거리

구간을 최단 거리 방식으로 운행할 경우 약 27분간 7.28㎞ 달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시간 방식으로는 7.66㎞를 달렸지만 걸린 시간은 23분으로 나타났다. 속도

면에서도 최단거리 방식은 시속 15.95㎞로 나타났지만 실시간의 경우 시속 19.79㎞로 나타났다.27)

스마트교통시스템을 통해 교통 지연 및 아이들링(idling)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27) 친환경운전 홈페이지(2014).

Page 32: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18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결과도 제시되고 있다. BSR and CTIA(2011)에 따르면, 대중교통우선신호(Transit

Signal Priority, TSP)의 활용을 통해 19%의 연료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 버스

에 의한 질소산화물 배출 및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나) 간선급행버스체계(Bus Rapid Transit, BRT) (교통정보서비스)

브라질의 쿠리치바는 1974년 간선급행버스체계를 도입하였는데, 이는 승객들이

버스를 승차하기 전에 요금을 미리 지불하는 정류장을 갖춘 직통급행버스, 도착정

보시스템, TSP, 중앙버스전용차선 등의 서비스가 통합되어 제공되는 ICT 기반 버

스전용차로의 개념이다. 쿠리치바의 경우 간선급행버스체계의 도입으로 연간

2,700만 리터의 자동차 연료 절감을 가능하게 했으며, 유사한 규모의 다른 브라질

도시에 비해 화석연료 소비 및 대기오염이 30% 정도 적게 나타나는 데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28)

다) 스마트 주차장 (교통정보서비스)

매일경제 IoT29) 프로젝트팀(2014)은 바르셀로나 본 지구에 있는 주차장을 ICT를

이용한 교통관련 사례로 제시한 바 있다. 이 주차장에서는, 센서가 자동차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전송하여 운전자에게 주차공간의 확인

이 가능하도록 하는 ‘파커(Parker)’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시스코는

이와 같은 서비스를 통해 교통 혼잡을 14% 가량 줄일 수 있으며 주차를 위한 이동시간과

연료를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주차시스템의 도입으

로 바르셀로나 내의 주차수입도 5,000만 달러가량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0)

이와 같은 파커 어플리케이션 방식의 스마트 주차시스템은 미국의 벤처기업 ‘스트리트

28) GeSI and BCG(2012) p.103.

29) Internet of Things의 약자.

30) 매일경제IoT혁명 프로젝트팀(2014), pp.97-100.

Page 33: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2장 ・ ICT의 환경적 영향과 잠재력 검토 ∣ 19

라인’에 의해 북미와 유럽 40여개의 도시로 확산되고 있으며, 주차공간의 효율적

이용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하고 있다.31)

라) 자동차공유정보서비스 (공유경제 정보서비스)

ICT 기반 자동차공유정보서비스의 확대에 따른 불필요한 자동차 운행 억제 효과

가 기대될 수 있다. ICT 기반 자동차공유서비스의 예로서 우리나라에서 활용되고

있는 ‘티클(tikle)’을 들 수 있는데32), 출발지와 도착지가 유사한 사람들의 자동차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ICT 서비스로서, 운전자는 카풀 시, 유류비를 계산하여 이용

가격을 측정함으로 유류비 및 통행료 절감이 가능하며, 탑승자는 대중교통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교통편을 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14년 10월 20일 기준 출발지

가 서울인 곳이 5,135여 곳 이상으로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경기지역이

4,201여 곳 이상으로 다음을 차지하고 있다. 도착지 역시 서울 5,442여 곳, 경기지

역 2,861 곳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성별 지정 및 회원의 학교, 직장 소속 확인을

통해 탑승자 및 운전자의 신원 확인 후 이용이 가능하며, 카풀 이용 전에 메시지를

통해 사전 대화가 가능하다.

Martin and Shaheen(2011)은 6,281 가구의 카 쉐어링 회원을 대상으로 2008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카 쉐어링을 이용한 이후 회원들의 전체 차량 보유수가

줄은 것으로 나타났다(가구 당 0.47대에서 0.24대로 감소). 이는 카 쉐어링이 소비

자들의 차량구매 및 기존 차량 처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카쉐

어링의 가입자 중 80%의 응답자는 카 쉐어링을 이용한 후에 차량을 구매하지 않았

으며, 2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는 가정의 경우 한 대의 차량을 처분하기도 하였

다.33) 카 쉐어링 활성화에 따른 차량구매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조사결과로 볼

수 있다.34)

31) 매일경제IoT혁명 프로젝트팀(2014), pp.120-123.

32) 티클은 2012년 1월 설립된 소셜나눔서비스로서, 2014년 10월 기준 약 2만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3년 상, 하반기 서울시의 공유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다.

33) Martin and Shaheen(2011)

Page 34: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20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마) 재활용자원 정보공유 (공유경제 정보서비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ICT 기반 재활용자원정보 사례로서 ‘중고나라’는 온라인상으

로 중고 및 사용하지 않는 물품을 거래하는 네이버의 대표카페로 2014년 10월 기준

1200만 명 이상의 회원 수를 보유하고 있는 카페이다. 이는 2003년 12월 10일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판매자가 판매하고 싶은 물품을 게시 하거나 구매자가 구매하고

싶은 물품 게시를 통해 거래가 가능하다. 구매자가 구입하고 싶은 물품을 발견하였을

시, 네이버 쪽지, 이메일, 1대1채팅, 답글, 전화 및 문자 연락을 통하여 구매자에게

연락을 할 수 있고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의 택배, 직거래를 통하여 거래가 성사될

수 있다. 인터넷 거래 사기를 예방하기 위해, 에스크로와 같은 안전거래가 활성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중간 기관에서의 중계를 통해 판매자가 중간기관에 물품을

보내고, 구매자는 물품에 대한 값을 중간기관에 지불하고, 거래가 이상 없이 이루어졌

다면 판매자에게 돈을 지불하는 시스템이다. 중고나라에서는 물품, 먹을거리 등과

같이 사용하지 않으면 버려질 물품을 무료 나눔 하고 있다. 또한 중고나라의 회원들은

사용하지 않는 물품을 다른 회원이 가지고 있는 원하는 물품으로 교환 가능하다.

중고나라의 물품은 의류, 수입명품, 패션잡화, 미용용품, 출산 및 유아용품, 전자기기,

악기, 게임용품, 스포츠용품 여행용품, 생활용품, 가구, 예술품, 차량으로 크게 나누어

진다.35) 중고나라는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해 공식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는데

어플을 다운받은 사람은 2014년 10월 기준 100,000-500,000으로 58%는 남성,

42%여성이다. 또한 주 이용자는 30대가 42%로 가장 많으며, 다음은 40대(24%),

그 다음은 20대(21%)이다.36)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재활용자원공유 사례도 확산되고 있다. 헬로마켓

은 중고 물품을 사고팔 수 있도록 도와주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다. 많은 사람

들이 중고 물품을 거래할 때 중고나라를 이용하지만, 이를 좀 더 편리한 스마트폰

34) 티클 홈페이지 (http://www.tikle.co.kr/[2014.10.20])

35) 중고나라 네이버 카페

36) 중고나라 공식 어플리케이션

Page 35: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2장 ・ ICT의 환경적 영향과 잠재력 검토 ∣ 21

어플리케이션으로 개발한 것이 헬로마켓이다. 헬로마켓에는 5,000,000이상 물품

이 등록되었고, 구매자들이 안전하게 구매할 수 있게 모바일 안전결제, 24시간

안전모니터링, 1:1 상담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주변 물품검색을 통해 주변에 있는

회원들과 직거래가 가능하다. 평균 판매일은 3일로 매우 빠른 시간 내에 판매가

가능하고 의류, 잡화, 가구, 가전 등 다양한 물품이 등록되어 있다. 물품의 거래

방법은 직거래 및 택배배송이 있는데, 어플리케이션 내 택배예약 서비스를 제공해

판매자가 편리하게 택배를 보낼 수 있다.37)

아래는 이외의 자원공유경제가 이루어지고 있는 사례를 사이트 및 어플리케이션

명, 국적, 시행년도로 구별하여 정리해 놓은 표이다.

<표 2-6> ICT를 통한 자원 공유경제 사례

분류 이름 자원공유경제 국적 시행년도

재화

중고

나라

중고물품 및 사용하지 않는 상품을 거래 및 기부하는

네이버 카페로 36억 이상의 방문수와 1200만 명 이상의

회원 수 보유. (www.cafe.naver.com/joonggonara)

한국 2003

옥션

중고장터

중고물품을 거래하는 웹사이트

(www.corners.auction.co.kr/corner/usedmarket)한국

1998(설립),

2002

(온라인마켓

플레이스로

변경)

헬로마켓개인 간 중고장터 어플리케이션으로 500만 개의 상품이

등록되어 있음. (www.hellomarket.com)한국 2011

기브

가상화폐로 중고물품을 교환하는 스마트폰 서비스로서

이는 현금으로 전환되지 않는 특징이 있어 중고물품

판매보다는 물물교환에 가까운 서비스 임

(www.givenu.com)

한국 2013

빌리지

물건을 공유하는 개인과 개인 간의 물건 공유

플랫폼으로 빌리는 사람과 빌려주는 사람과의 계약서

작성을 통해 물건 공유가 가능. 공유 후, 물건 후기와

주인, 대여자의 평판작성을 통해 다음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 또한 가능함. (www.biliji.com)

한국 -

37) 헬로마켓 어플리케이션.

Page 36: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22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표 2-6> ICT를 통한 자원 공유경제 사례 (계속)

분류 이름 자원공유경제 국적 시행년도

재화

N마켓

중고 물품 및 재능을 나눌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상품거래, 공간거래, 레슨과 같은 경험거래, 청소 및

심부름과 같은 서비스거래가 가능

(www.blog.nmarket.co.kr)

한국 2012

번개장터

개인 간 중고장터 어플리케이션으로 1,000만개의 상품이

등록되어 있으며 300만이상의 사용자 보유

(www.bunjang.co.kr)

한국 2010

The open

closet

(열린옷장)

취업 후 잘 사용하지 않는 면접용 정장을 기부하고, 이를

사회초년생 및 청년구직자에게 대여해주는 사회적 서비스

를 제공 (www.theopencloset.net).

한국 2014

Kiple

작아진 아이 옷 및 용품을 기증하고, 필요한 이들은 이와

같은 물품을 물려받을 수 있는 아기용품 공유 서비스를

제공(www.kiple.net)

한국 2011

Recrib

아기용품 공유서비스로 구입하기에는 부담이 되며, 아기

가 자란 후엔 필요가 없을 아기침대 및 유모차와 같은

가구의 판매 및 구입 가능. (www.recrib.com)

미국 2011

바) 스마트미터/스마트그리드 (에너지정보 모니터링 및 활용)

스마트미터 등 ICT를 통한 에너지 사용 모티너링 및 제어 시스템의 도입을 통해

소비자의 에너지 사용에 관한 정보를 분석 및 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소비 패턴의

친환경적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그리드시스템의 도입을 통해 단순히

소비자가 공급자로부터 에너지를 받아서 사용하는 관계를 넘어 에너지 공급자-소

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될 경우 에너지시스템의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증진될 수도 있다.

미국의 Griff시는 기존 기계적 전기측정기를 스마트미터기로 변경하여 총

16,000대의 스마트미터를 설치하였다. Griff시의 스마트미터는 소비자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기사용량을 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전기 사용량이 많을 때 자발적

Page 37: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2장 ・ ICT의 환경적 영향과 잠재력 검토 ∣ 23

으로 전력의 이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38) GeSI and BCG(2012)는

일반 가정의 경우 스마트 미터 사용 시 4%의 비용절감39)이 가능하며, 온실가스의

배출량 역시 감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 Trackulous 프로젝트(환경정보 공유)

Trackulous 프로젝트40)는 2007년 10월 처음 시작한 프로젝트로, 정보기술이

사람들의 행동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는 사례이다. 일상생활에 있어

개개인은 본인이 가지고 있는 최소한의 정보를 기반으로 행동결정을 한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가 부족할 경우, 업무수행에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며,

때때로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에 개인이 더 많은 정보를 제공받

고, 본인의 행동이 환경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추적하며, 본인의 행동과

타인과의 행동을 비교할 수 있다면, 녹색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또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상호 의존적 사회에 살고 있다는 전제하에, 사람들은 행동결정에

있어서 남들과 비교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Tomlinson(2010)은 Trackulous 프로젝트가 이용자의

일상생활의 패턴에 대한 정보를 이용자가 직접 알 수 있게 하면서, 이용자의 삶을

고찰하는 계기를 부여하고, 이와 같은 행동으로 인해 발생한 환경적 및 다양한 측면

의 결과를 다른 이용자들과 비교하게 된다고 보았다. 먼저 토양수분, 대기질, 화학

조성과 같은 환경현상, 그리고 사람들의 외출 빈도 및 물품구매와 같은 행동습관의

추적이 가능하며, 축적된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행동은 물론 다른 사용자

들까지의 행동양식도 변화시킬 수 있다.

Tomlinson(2010)에 따르면, Trackulous는 2007년 10월 8일에 처음 시작되었지

만, 2009년 7월까지 총 21개월 동안 86,937의 방문자 수를 기록하였다. 이로 인해

38) GeSI and BCG(2012), p.36.

39) GeSI and BCG(2012), p.147.

40) Tomlinson(2010), pp.136-146.

Page 38: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24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3,391개에 달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였고, 환경적인 측면에서 사람들의 행동변화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먼저 이용한 사람들의 행동패턴에 대한 추적이 가능해지면

서, 본인의 일상생활을 고찰하고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와 더불어 개개인의

환경에 대한 인식 또한 변화하였다.

아) GreenScanner (환경정보 공유)

GreenScanner는 사용자들에게 상품의 환경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들이 환경

친화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우선 기존의 다른 구매자가 작성한 환경

관련 상품 리뷰가 웹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며, 모바일을 통해 UPC(Universal

Product Code)를 통한 환경 정보 또한 확인 가능하다. 또한 상품의 리뷰만이 아닌

회사의 리뷰 또한 작성할 수 있어, 상품 제작 회사가 좀 더 환경 친화적인 상품을

제작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2006년에서 2007년까지 GreenScanner를 통한 ‘Horizon Organic 1% Low Fat

Milk’, ‘Poland Spring Water’, ‘Colorox Disinfecting Wipes’, ‘ZBar-Chocolate

Brownie’와 같은 상품의 스캔 수는 2,203번이며, 위의 상품을 만든 회사의 접속

수는 20,737번으로 소비자들은 상품만이 아닌, 상품을 만든 회사에도 관심을 갖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상품 및 회사를 친환경적 및 기타로 분류하고 이를 평가하여, 다음 구매자가

환경 친화적인 회사의 환경 친화적인 상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한다. 비록 현재 본

사이트는 존재하지 않지만, 유사한 사이트가41) 생겨나고 있으며, 그 증가세 또한

뚜렷하다. 이와 같은 웹사이트들은 환경정보의 수집 및 보급을 통해 구매자가 환경

이슈에 관심을 가지고 친환경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이와 같은 구매자

의 리뷰를 통해 또 다른 데이터를 구축하여 더 큰 환경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42)

41) goodguide.com, greenerchoices.org, montereybayaquarium.org 등

42) Tomlinson(2010), pp.155-169.

Page 39: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2장 ・ ICT의 환경적 영향과 잠재력 검토 ∣ 25

소비자의 환경정보 공유 및 친환경 행동 유도를 위한 그 밖의 ICT 서비스 및

활용사례는 다음의 표에 정리되어 있다.

분류 환경기반 ICT

Kill a wattP3 International에서 제작한 전기소비량 측정 하드웨어로, 소비

자가 원하는 제품의 전기 소비량을 알 수 있음

Happy Meat

온라인매핑시스템으로, ‘sustainable meat’ 상품을 판매하는 상점

및 레스토랑의 정보를 제공하여 육류를 소비하면서도 환경에 미치

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줌

Treehugger

Worldchanging

온라인 웹페이지로,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삶에 대한 방안 및

정보를 환경전문가-커뮤니티 멤버간의 공유

StepGreen

페이스북 플러그인으로, 구성원들이 각각의 환경 친화적 활동 시

환경적 그리고 금전적으로 얼마나 절약이 가능한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

Wikipedia 온라인 전자사전으로서 환경에 관한 다양한 정보 수집 및 제공

Memex(마이크로소프트)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책, 문헌 등의 모든 자료를 모아 원할 때

편히 찾아서 쓸 수 있게 하여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에 도움이 됨

Trackulous

웹 기반의 시스템에서 IT를 통한 정보가 행동변화에 어떻게 기여하

는지 보여주는 사례로, 사용자가 원하는 일상의 활동정보 추적이

가능하며, 이는 공유 또한 가능함

PledgeBank혼자 하기는 꺼려지지만 남들이 한다면 하겠다는 프로그램으로,

IT를 통한 환경친화적 집합행위를 유도함

planetearthsingles.com

greensingles.com

green-passions.com

그린 온라인 데이트 시스템으로, 환경을 생각하는 사람들의 모임

Greenscanner

Greenerchoices.org

montereybayaquarium.org

goodguide.com

사람들이 구매 결정에 있어서 환경 친화적인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각 상품에 대한 환경적 영향 정보 제공

자료: Tomlinson(2010)를 토대로 재구성.

<표 2-7> 정보공유 및 행동변화 관련 환경기반 ICT 사례

Page 40: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26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이름총 방문자수

(2014. 09. 25 현재)

하루 방문자수

(2014. 09. 25 현재)

블로그

이웃

포스트

스크랩

우리집 DIY 리폼 인테리어

생활환경지킴이 에코후레쉬2,707,099 484

홍 기자의 환경나라 418,158 24 312 4,014

창환이의 환경사랑 369,227 25 387 3,554

환경부 블로그 나우의 '자연스

러움'2,362,184 2,043

이승호의 환경이야기 1,354,464 366 597 8,562

중소기업의 국제환경규제

대응. KOTITI와 함께 하세요598,878 227 576 2,073

제주도 사랑, 그리고 환경 사랑 2600,130 1,833 1,141 2,405

환경을 사랑하는 환경재단

Blog3,504 10,132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

블로그1385,804 859

한국원자력환경공단(KORAD) 154,909 171

울산사랑환경지킴이 390,885 79 157

환경매일신문 307,005 986 159

환경, 물, 상하수도 4,044 864

환경재단 도요새출판사 347,557 47 366 1,262

<표 2-8> 네이버 환경 관련 블로그 현황

Page 41: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2장 ・ ICT의 환경적 영향과 잠재력 검토 ∣ 27

기관 분류 어플리케이션 별점 설치 수

환경부 라이프스타일 우리집 냉장고 4.4 10,000 - 50,000

환경부 교통친환경운전

에코드라이브4.9 1,000-5,000

환경부 환경(Travel & local)두바퀴 생태여행

자전거 내비게이션3.7 10,000 - 50,000

환경정책·평가

연구원교육

사이버환경정책교육

원 스마트러닝5 100 - 500

환경산업기술원 라이프스타일 녹색제품 4.6 100 - 500

한국환경공단 환경(날씨) 우리동네대기질 3.5 10,000 - 50,000

한국환경공단 환경(날씨) 대기오염 K-Air 4.5 1,000 - 5,000

한국수자원공사 환경(Travel & local) 4대강도우미 4.1 10,000 - 50,000

한국수자원공사 환경(Travel & local) 댐과 호수여행 4.5 5,000 - 10,000

한국수자원공사 환경 전국수질정보 4 1,000 - 5,000

한국수자원공사환경(Books &

Reference)물 용어 사전 4.8 1,000 - 5,000

한국수자원공사환경(Books &

Reference)물과 생활 4.8 1,000 - 5,000

충청남도 환경(Travel & local)충남환경 인터넷

플랫폼5 50 - 100

제주특별자치도환경(News &

Magazines)환경지식정보 5 100 - 500

제주특별자치도 교통 제주교통정보센터 3.4 10,000 - 50,000

제주특별자치도 교통 제주버스정보 4.1 10,000 - 50,000

제주특별자치도 라이프스타일 길따라떠나는여행 0 500 - 1,000

에너지관리공단 라이프스타일 에너지다이어트 0 1,000 - 5,000

에너지관리공단 라이프스타일 에너지절전 4.2 5,000 - 10,000

안전행정부 환경(Travel & local) 자전거 행복나눔 3.5 10,000 - 50,000

서울특별시 교육 서울시평생학습포털 3.3 10,000 - 50,000

서울특별시 라이프스타일 서울시승용차요일제 2.1 10,000 - 50,000

서울특별시 교통 서울교통포털 3.9 10,000 - 50,000

서울특별시 교통 서울주차정보 4 10,000 - 50,000

교통안전공단 교통 에코드라이브 5 500 - 1,000

교통안전공단 교통그린교통포인트서비

스3.6 10,000 - 50,000

경기도청 환경(Travel & local) 경기산책로 4.2 1,000 - 5,000

경기도청 교육 경기평생학습포털길 4.2 5,000 - 10,000

경기도청 교통 경기버스정보 3.71,000,000 -

5,000,000

경기도청 교통 경기교통정보 3.8 5,000 - 10,000

강원도청 환경(Travel & local) 토스트 강원길 4.2 1,000 - 5,000

<표 2-9> 정부 및 공공기관의 환경 관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Page 42: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28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자) GarbageWatch (스마트폰 이용 생활환경센싱43))

GarbageWatch는 UCLA(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의

CENS(Center for Embedded Networked Sensing)에서 2008년부터 2009년에 수

행한 Participatory Sensing research program의 일부로 환경 캠페인성 프로젝트

이다. GarbageWatch 프로젝트는 개개인의 휴대전화를 사용하여 협조적인 쓰레기

감시를 위해 UCLA 대학 커뮤니티의 구성원들에게 의뢰한 프로젝트이다. 구성원들

은 개개인의 휴대전화를 활용하여 쓰레기통의 내용물의 화상을 <그림 2-4>의 웹

사이트에 업로드 하고, 업로드된 이미지를 통하여 UCLA 기관은 새로운 재활용

쓰레기통을 배치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하였다. 개개인의 휴대전화를 활용하

여 자료를 수집하게 하는 것을 통하여 평소 재활용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개개인이 수집한 자료의 신뢰도 및 이동성을 고려하

여 참가자 모집을 돕는 시스템을 제공하였다.44)

기존의 센서 시스템의 근본적인 문제 중 한 가지는 센서의 배치였다. 스마트폰

센싱방식의 사용자 참여방식(participatory sensing)의 경우에서도 자료를 수집하

는 사용자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유사한 문제가 있었다. 이상적으로는 분석하고자

하는 지역과 시간에 높은 참가율로 자료를 모을 수 있는 참가자를 선택하여야 한다.

따라서 참가자의 참가율, 수집한 자료에 대한 신뢰도 및 자료를 수집하는 데 들어가

는 비용을 고려하여 참가자를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

템은 향후 캠페인의 설계자나 후원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GarbageWatch는 측정자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측정자의 이동성에 대하

여 분석하였다. 이동성에 대한 자료는 GPS의 세부적인 기록이나, 건물에 머무르는

층에 대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전달하거나 주기적으로 제출하

는 방식을 통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자료를 통하여 참가자의 시간에 따른 활용 범위

43) 스마트폰에는 가속계, GPS, 자이로스코프, 지자기계, 근접센서, 마이크, 카메라, 조도 감지기

및 기압계 등의 다양한 감지기들이 설치되어 있다. (Liu, 2013, p.1) 스마트폰의 센서기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IoT)의 환경 분야 활용을 통해 생활환경센싱이 가능할 수 있다.

44) UCLA Center for Embedded Networked Sensing(2009)

Page 43: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2장 ・ ICT의 환경적 영향과 잠재력 검토 ∣ 29

나 관측 범위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정리한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참가자의

신뢰도는 해당 참가자로부터 수집된 자료와 다른 참가자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비교하여 판단된다.

쓰레기 이미지 및 GPS 자료를 모으기 위해서 GarbageWatch는 Nokia N95에

맞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각각의 참가자는 촬영한 이미지를 처리하

고 이를 E-mail을 통하여 전달하였다. GarbageWatch는 UCLA의

ESLP(Education for Sustainable Living Program)학생이 한 달 동안 자료를 모

으는 데 활용되었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향후 연구를 위하여 어떤 자료가 캠페인

에 기여하였는지, 누구의 자료가 기여를 하였는지 등을 기록하였다.

<그림 2-4> Garbage Watch 웹사이트

차) Ear/Phone(스마트폰 이용 생활환경센싱)

Ear-Phone는 스마트 폰을 활용하여 도시의 소음 지도를 제작하기 위하여

Australia Sydney의 New South Wales 대학 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에서 진행된 프로젝트이다. 도시의 소음 지도를 제작하기 위해서

Ear-Phone는 participatory sensing 방법을 활용한다. participatory sensing은

기존의 온라인 추천 시스템이나, Wikipedia, Google image labeler과 같은 일반

사용자의 참여를 활용한 방식의 성공에 고무되어 제시된 감지 방법이다. 스마트

Page 44: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30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폰이 도처에 있는 현대 사회에서 participatory sensing을 활용할 경우 적은 비용으

로 넓은 지역의 소음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소음지도를 제작할

수 있다. Ear-Phone은 크게 스마트 폰과 중앙 서버로 구성된다. 스마트 폰이 해당

지역의 소음 정보를 수집하고, 각각의 측정 결과는 중앙 서버로 보내지게 된다.

중앙서버는 각각의 스마트 폰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소음 지도를 재구성한

다. 각각의 스마트 폰 사용자는 ‘소음 단계 측정기’를 활용하여 소음 정보를 측정하

고 수집한다. 수집된 소음 정보는 GPS를 통하여 알아낸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동봉하여 스마트 폰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스마트 폰이 공개된 WiFi에 접근할 수

있을 경우에는 이전에 저장된 소음 정보를 중앙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중앙서버는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소음 지도를 형성하게 되고 최종사용자에게 전달된다.45)

Rana et al(2010)에서는 Nokia N95 및 HP iPAQ를 활용하여 Ear-Phone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마트 폰 사용자의 수에 따른 소음 정보의 정확도 및

스마트 폰의 자원(CPU부하, 전력 소모 및 메모리 소비)를 관측하였다. <그림 2-5>

는 측정자의 수에 따른 모여진 정보를 토대로 만들어진 소음 지도이다. <그림 2-5>

를 살펴보면 스마트 폰 사용자 수가 4명을 넘어설 경우 소음 지도의 결과가 일정하

게 주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소음 지도의 결과를 신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Ear-Phone을 사용하였을 때의 CPU 및 RAM의 사용

량을 나타낸 아래 표를 살펴보게 되면 40Mbyte이하의 용량으로도 Era-Phone을

구동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소음 지도의 정확도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CPU 부하 및 전력 소비에 관한 충분한 최적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45) Rana et al.(2010), pp.105-116.

Page 45: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2장 ・ ICT의 환경적 영향과 잠재력 검토 ∣ 31

<그림 2-5> 소음 지도 (오후2:00~3:00),

(a) 1인 측정, (b) 2인 측정, (c) 4인 측정, (d) 6인 측정

CPU Load (%) RAM (MB)

Phone Idel 2±0.79 32.86

Ear-phone(signal processing thread only) 5.22±3.03 38.06

Ear-phone(signal processing thread & GPS threads) 98.15±11.40 38.28

<표 2-10> CPU와 RAM 사용량

카) PEIR (스마트폰 이용 생활환경센싱)

PEIR(Personal Environmental Impact Report) 프로젝트는 UCLA(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의 CENS(Center for Embedded Networked Sensing)

와 노키아 연구센터의 공동연구로 개발된 프로젝트이다. PEIR 프로젝트는 CENS의

Urban Sensing research program의 일부로 2008년부터 시작하여 2010년부터는

Participatory Sensing research program으로 변경되어 2011년까지 연구가 진행되

었다.46) PEIR 프로젝트는 모바일 폰에 장착된 센서들을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환경에

46) UCLA Center for Enbedded Networked Sensing(2009)

Page 46: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32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미치는 영향을 알려준다. 즉, 개인이 얼마나 유해환경에 노출되어 있는지 탄소방출과

같은 환경문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보고해 주는 일종의 환경 모니터링

프로젝트이다.

PEIR은 모바일 폰에 장착된 GPS를 이용하여 참여자의 이동경로에 대해 유해환

경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노출되어 있는지를 측정한다. 참여자들에게

두 가지 형태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두 가지 형태의 환경노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 네 가지 측정법은 다음과 같다.47)

- Carbon Impact (탄소 배출에 미치는 영향): 온실가스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은 교통수단과 관련된 측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참여자의 교통수단이

나 경로 등을 파악하여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측정한다.

- Sensitive Site Impact (유해환경 취약지구에 미치는 탄소 배출량): 참여자가

병원이나 학교 밀집지역과 같은 곳에 있을 때 대기 중의 미세물질(PM2.5)을

측정한다.

- Smog Exposure (스모그 환경에의 노출): 참여자가 스모그 환경이나 대기

중의 미세물질에 얼마나 노출되어 있는지 측정한다.

- Fast Food Exposure (유해환경에의 노출): 참여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

여 패스트푸드와 같은 음식점에서 얼마나 지내고 있는지 알려준다.

또한 참여자들은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다른 참여자들의

측정 결과값과 비교 ․ 공유할 수 있다. <그림 2-6>은 모바일 폰으로 PEIR의 정보들

을 수집하고 자동으로 서버로 업로드된 데이터를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보여주는 그림이다. <그림 2-7>의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은 참여자의 측정 결과값

과 그 외 페이스북 참여자들의 평균값을 보여준다. 또한 <그림 2-8>처럼 참여자들

은 네트워크 안에서 그들의 순위를 알 수 있다.

47) Mun et al.(2009), pp.55-68.

Page 47: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2장 ・ ICT의 환경적 영향과 잠재력 검토 ∣ 33

<그림 2-6> PEIR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림 2-7> PEIR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Page 48: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34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그림 2-8> 참여자의 PEIR 네트워크 순위

3. 소결

ICT의 환경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및 사례 검토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우선 ICT의 생산, 유통, 소비, 폐기에 따른 직접적인 환경 효과(1차

효과)의 경우 유해물질의 사용, 생산부문의 국제분업구조에 따른 수송부담 증가,

사용단계에서의 전력 등 에너지 소비, ICT 기기의 폐기에 따른 폐기물 문제 등

부정적 환경영향에 대한 우려가 큰 것으로 확인된다. ICT 섹터의 환경오염물질

배출량이 타 부문에 비해 작은 규모인 것으로 평가되어 저탄소 섹터로 분류되고

있으나, 이는 생산과정에 한정된 영향으로서(Scope I), ICT의 사용(Scope II)와

폐기(ScopeIII)까지를 감안할 경우 환경부하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상당할 수

있다는 것이다.

ICT의 활용에 따른 간접적인 환경 효과는 ICT의 활용 목적과 방식, 경제기술적

조건, 소비자의 행태, 사회문화적 요인 등에 따라 다양한 결과로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된다. 특히 ICT 기반의 재화와 서비스 소비 확산에 따른 디지털 효과와 관련해

Page 49: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2장 ・ ICT의 환경적 영향과 잠재력 검토 ∣ 35

서, 정보 콘텐츠의 디지털화 관련 영역에서 물질자원의 디지털자원으로의 대체에

따른 긍정적 환경효과의 실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인터넷쇼핑,

스마트교육 등 소비방식의 디지털화 영역에서는 ICT가 기존의 소비채널에 보완적

으로 작용하여 환경부하 증가를 유발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인터넷

쇼핑, 스마트교육, 스마트워크 등의 생활양식의 ICT 융합 문제는 경제·기술적 조건

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성숙 정도에 따라 긍정적 효과의 실현 여부가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ICT를 통한 정보 공유 및 활용의 효율 증진에 따른 효율화 효과는 환경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관리 관점에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잠재적 영역인 것으로

확인된다. ICT 서비스가 환경자원 관리의 관점에서 설계되어 적용될 경우 교통서비

스 및 에너지 이용 등의 분야에서 자원 이용의 효율 제고 효과가 상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자원 관련 정보의 적기 생산 및 공유 관점에서 ICT의 활용이

활성화될 경우 자원의 공유, 소비자의 친환경 행동 유도, 생활환경 모니터링 및

보전활동 참여 등 적극적 관점에서의 녹색 라이프스타일 확산에도 적지 않은 기여

를 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소비영역별로는, 디지털콘텐츠 소비, 승용차 이용, 자원 공유, 생활환경 관리

등의 분야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되고 있으며, 소비재의 소비, 화물 운송 등의

영역에서는 환경부하의 증가 우려가 있다. 에너지 분야의 경우 ICT를 통한 에너지

이용의 효율 제고 효과와 함께 ICT 기기의 사용에 따른 에너지 사용 문제가 복합적

으로 작용하며, 폐기물 분야 역시 ICT 관련 폐기물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자원 공유

의 활성화, 물질 자원의 디지털자원으로의 대체 등 긍정적 영향도 동시에 존재하는

영역으로 볼 수 있다.48)

48) 이와 같은 결과는 EU 주관의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는데, ICT의 발전에 따른

유럽연합 지역의 2020년 주요 환경지표 변화에 대한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화물수송 지표는

부정적 영향, 에너지 소비, 여객 운송, 승용차 증가율 등의 지표는 긍정적 영향이 각각 나타났으며,

폐기물 분야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Erdmann et al. 2004, pp.23-24).

Page 50: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36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제3장 ․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1. 조사 개요

2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ICT의 환경 영향 및 잠재력은 ICT의 기술적 특성과

더불어 ICT의 수용 조건과 태도, 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녹색

라이프스타일 확산의 관점에서 ICT 활용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ICT 활용 라이

프스타일에 대한 환경·에너지 관점에서의 실태 파악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

나 ICT 관련 기존의 실태 조사는 인터넷, 전자상거래 등 ICT 서비스의 일반적인

활용실태 파악을 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49) 녹색 라이프스타일의 맥락에서 요구

되는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활용 실태를 조사하고 시사점을 정리한다.

조사 내용은 ICT의 활용에 따른 직접 효과 및 간접 효과(디지털화 효과, 효율화

효과)의 발생 여부와 ICT 소비자의 환경 관련 라이프스타일 파악에 주안점을 두어

설계하였다. ICT 활용의 소비 및 폐기단계에서의 직접적 환경 효과 확인을 위하여

가계부문의 ICT 기기의 교체·폐기 행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간접효과의 발생 여

부는 2장의 분석결과를 고려하여 가계부문의 소비 활동 중 디지털 기반의 소비가

확대되고 있는 교양·오락서비스(e-book, 디지털 음원 소비, 인터넷 뉴스 소비 등),

교육서비스(스마트교육 등), 교통정보서비스(에코드라이빙 정보, 자동차공유 정

보, 대중교통 정보 등), 디지털 기반의 소비재 구입(인터넷쇼핑 등) 등과 관련한

소비행태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ICT 소비자의 환경 관점에서의 라이프스타일

과 관련해서는 스마트워크,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활용

등 ICT 기반의 생활양식 변화와 더불어 ICT-소비행태-녹색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49) ICT 서비스의 활용 실태에 대한 조사는 주로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 등 ICT 관련

전문기관에 의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ICT 서비스 관련 기관에 의한 조사도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고 있다.

Page 51: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3장 ・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 ∣ 37

소비자들의 일반 인식에 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확인하였다.

조사 목적의 효과적 달성을 위하여 일반 국민 중 ICT 소비자를 상징적으로 대표한

다고 볼 수 있는 스마트폰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50). 조사 대상은 지역 및 근로형태, 성별, 연령, 등의 인구

통계학적 요소를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조사는 ICT 서베이 전문기관인 ‘오픈서베

이’에 의해 수행되었다.

설문제목 2014 ICT 활용 및 자원에너지 이용행태 조사

설문기간2014년 9월 25일 오후 3시 8분 22초

~ 2014년 9월 25일 오후 6시 13분 8초

문항수 40

조사대상 1,000명

조사방법 스마트폰 앱을 통한 조사

조사기관 오픈서베이

<표 3-1> 설문조사 개요

2. 조사 결과

가. ICT 서비스의 이용 및 폐ICT 장비의 처리

ICT의 소비 활동에 서비스 유형별 이용 실태에 대한 조사 결과, 이메일 송수신

및 전화/SMS, 인터넷쇼핑, 인터넷 뱅킹, 대중교통 어플리케이션 등의 이용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남성층의 경우 이메일 송수신 서비스의 이용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인터넷쇼핑은 여성층의 이용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서비스의 이용 비중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50) 본 연구의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실태조사의 목적은 ICT 소비자의 소비행태에서 비롯되는

환경·에너지 관점에서의 영향과 잠재력을 파악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사 대상을 ICT를 소비하고

있는 일반 국민으로 한정하여 ICT 비소비자의 응답에 따른 분석결과의 왜곡 요인을 제거하였다.

ICT 비소비자의 ICT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등에 대해서는 통계청(각 년도), 한국인터넷진흥원(각

년도) 등 기존의 설문조사결과 참고.

Page 52: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38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질문: 아래의 인터넷 및 모바일기기 이용 중 귀하가 이용하고 있는 활동은 무엇인지 해당되는

것에 모두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복수응답 가능)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이메일(e-mail) 송・수신84.4%

(843명)

89.1%

(456명)

79.5%

(387명)

87.6%

(177명)

88.8%

(221명)

85.1%

(239명)

77.3%

(198명)

전화/SMS 송․수신90.7%

(906명)

90.4%

(463명)

91%

(443명)

92.1%

(186명)

94.8%

(236명)

91.8%

(258명)

84%

(215명)

인터넷쇼핑79.3%

(792명)

74.6%

(382명)

84.2%

(410명)

83.7%

(169명)

87.6%

(218명)

75.8%

(213명)

71.9%

(184명)

정부/공공기관으로부터

정보 검색 및 수집

32.4%

(324명)

34.2%

(175명)

30.6%

(149명)

31.7%

(64명)

34.9%

(87명)

32.7%

(92명)

29.3%

(75명)

기타 정보 검색과 연구35.1%

(351명)

35.7%

(183명)

34.5%

(168명)

38.1%

(77명)

39%

(97명)

35.9%

(101명)

28.5%

(73명)

인터넷 뱅킹73.8%

(737명)

74.4%

(381명)

73.1%

(356명)

80.2%

(162명)

83.9%

(209명)

69.8%

(196명)

63.3%

(162명)

기타 금융 서비스 접근23%

(230명)

26.2%

(134명)

19.7%

(96명)

16.8%

(34명)

26.1%

(65명)

25.3%

(71명)

23.4%

(60명)

스마트 내비게이션57%

(569명)

63.1%

(323명)

50.5%

(246명)

45%

(91명)

69.1%

(172명)

59.4%

(167명)

52.7%

(135명)

대중교통 관련 어플리케

이션

61.8%

(617명)

62.3%

(319명)

61.2%

(298명)

75.2%

(152명)

61.4%

(153명)

59.4%

(167명)

53.5%

(137명)

디지털 콘텐츠 제품이나

서비스의 구입

39.3%

(393명)

42.6%

(218명)

35.9%

(175명)

49.5%

(100명)

47.4%

(118명)

35.2%

(99명)

27.3%

(70명)

인터넷 전화(IP 전화) 또

는 화상회의 이용

25%

(250명)

26%

(133명)

24%

(117명)

21.3%

(43명)

24.5%

(61명)

29.2%

(82명)

23.8%

(61명)

스마트교육 19%

(190명)

19.9%

(102명)

18.1%

(88명)

24.3%

(49명)

22.1%

(55명)

18.5%

(52명)

12.1%

(31명)

스마트워크5.1%

(51명)

6.3%

(32명)

3.9%

(19명)

4.5%

(9명)

6.4%

(16명)

4.3%

(12명)

5.5%

(14명)

<표 3-2> 현재 이용하는 인터넷 및 모바일기기

Page 53: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3장 ・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 ∣ 39

폐ICT 장비의 처리 행태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환경적인 요소에 대한

고려를 적극적으로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적정 처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가정 내에 보관하거나, 쓰레기 및 재활용품과 혼합 배출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폐ICT 장비의 기부 또는 회수처리서비스의 이용 비중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질문: 귀하는 사용한 ICT 장비(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 등)를 주로 어떻게 폐기 하십니까?

다음 중 3가지 이내로 선택해 주십시오. (복수응답 가능)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폐기하지 않고 집

에 비축

47.4%

(474명)

49%

(251명)

45.8%

(223명)

62.4%

(126명)

51%

(127명)

37%

(104명)

42.6%

(109명)

다른 쓰레기들과

함께 폐기

10.8%

(108명)

11.3%

(58명)

10.3%

(50명)

8.4%

(17명)

11.2%

(28명)

12.8%

(36명)

9.8%

(25명)

중고마켓에 가져

다 줌

24.7%

(247명)

26.2%

(134명)

23.2%

(113명)

26.7%

(54명)

25.3%

(63명)

21.7%

(61명)

25.8%

(66명)

ICT장비 폐기 서

비스 이용

8.2%

(82명)

8.2%

(42명)

8.2%

(40명)

8.9%

(18명)

7.6%

(19명)

7.1%

(20명)

9.4%

(24명)

필요 재단이나 단

체에 기부

12.3%

(123명)

12.1%

(62명)

12.5%

(61명)

10.9%

(22명)

8%

(20명)

14.2%

(40명)

15.6%

(40명)

다른 재활용 물품

과 함께 폐기

22.2%

(222명)

19.7%

(101명)

24.8%

(121명)

12.4%

(25명)

18.9%

(47명)

28.5%

(80명)

27%

(69명)

기타 2% (20명)2.1%

(11명)

1.8%

(9명)

3.5%

(7명)

0.8%

(2명)

2.8%

(8명)

0.4%

(1명)

<표 3-3> 폐ICT 장비의 처리

한편 ICT 장비의 교체 및 폐기 이유에 대한 조사 결과, ‘제품의 파손 및 고장’으로

인한 교체 비중이 37.4%로 낮은 수준일 뿐 아니라 2년 이상 장비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응답 비율도 16.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의 파손 및

고장’ 이외의 장비 교체 이유로는 신제품의 출시에 따른 새로운 기능 및 트렌드,

Page 54: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40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디자인 등 신제품 구입에 따른 교체 비중(32.7%)이 높게 나타났으며 요금 할인

등에 의한 제품 교체의 비중도 12.1%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별로는,

‘2년 이상 지속 사용’의 응답 비중을 보면 여성의 교체 주기가 남성에 비해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비의 교체 이유도 남성의 경우 신제품 요인 등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한 반면 여성의 경우 ‘제품의 파손 및 고장’ 등의 불가피한 요인에 의한 교체

경향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연령별로는 연령층이 낮아질수록 신제품 요인에

의한 제품 교체 경향이 확인된다.

질문: 귀하가 최근 2년 이내에 ICT 기기 및 스마트폰을 교체하셨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다음 중 한 가지만 선택해 주십시오.

구분 전체성별

***연령

***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제품의 파손 및

고장

37.4%

(374명)

32.2%

(165명)

42.9%

(209명)

34.7%

(70명)

36.9%

(92명)

39.9%

(112명)

35.9%

(92명)

신제품의 새로운

기능으로 인해

16.8%

(168명)

17.8%

(91명)

15.8%

(77명)

16.3%

(33명)

14.9%

(37명)

16.4%

(46명)

20.3%

(52명)

신제품의 새로운

트렌드 및 디자인

으로 인해

15.9%

(159명)

19.7%

(101명)

11.9%

(58명)

18.8%

(38명)

20.9%

(52명)

11.7%

(33명)

13.3%

(34명)

할부 및 통신사

이동시 추가 혜택

으로 인해

12.1%

(121명)

13.3%

(68명)

10.9%

(53명)

7.4%

(15명)

13.3%

(33명)

15.7%

(44명)

11.3%

(29명)

교체 안함16.6%

(166명)

15.8%

(81명)

17.5%

(85명)

20.3%

(41명)

13.3%

(33명)

15.3%

(43명)

18.8%

(48명)

기타1.1%

(11명)

1.2%

(6명)

1%

(5명)

2.5%

(5명)

0.8%

(2명)

1.1%

(3명)

0.4%

(1명)

<표 3-4> ICT 기기의 교체 이유

주: 성별과 연령 계층별로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정함. *: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 **: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편 장비 교체와 통신비 지출 규모의 교차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통신비

지출 구간에서 ‘제품의 파손 및 고장’이 장비 교체의 이유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신비 지출규모가 클수록 신제품 요인이 크게 작용하

Page 55: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3장 ・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 ∣ 41

는 경향을 보였으며, 2년 이상 지속 사용의 응답 비중은 통신비 지출규모가 높을수

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소비의 규모가 큰 소비자일수록 ICT 장비의

교체 빈도가 높으며 신제품 요인이 장비 교체의 이유로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질문: 귀하가 최근 2년 이내에 ICT 기기 및 스마트폰을 교체하셨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다음 중 한 가지만 선택해 주십시오.

구분3만 원

미만

3~5

만 원

5~7

만 원

7~9

만 원

9~11

만 원11

제품의 파손 및 고장 29.7% 36.8% 38.7% 39.2% 32.7% 41.8%

신제품 출시(새로운 기능, 트렌드, 디자인) 18.9% 26.0% 34.3% 35.4% 35.8% 39.1%

할부 및 통신사 이동시 추가 혜택으로 인해 8.1% 11.8% 10% 12.9% 18.2% 10%

교체 안함 43.2% 25.5% 15.5% 12% 10.7% 7.3%

기타 0% 0% 1.5% 0.5% 2.50% 1.8%

계(빈도수) 37 204 271 209 159 110

<표 3-5> ICT 장비의 교체 이유-통신비 규모 구간별 분석

주: 교차분석 결과 p값이 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

나. 디지털콘텐츠 (교양오락서비스)

최근 1년 동안의 교양·오락서비스 분야에서의 디지털콘텐츠(e-book, 디지털음

악, 인터넷 뉴스 소비 등)의 이용 정도를 ‘매우 자주 이용’(5점)에서 ‘전혀 이용하지

않음’(1점)의 5점 척도를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 평균 점수는 ‘보통’(3점)으로 나타났

다. 성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별로는 연령층

이 낮을수록 디지털콘텐츠를 통한 교양·오락서비스의 소비 경향이 높은 것으로 조

사되었다.

Page 56: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42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질문: 귀하는 최근 1년간 디지털 콘텐츠(e-book, 디지털음악 등)를 얼마나 자주 이용 하십니까?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매우 자주 이용 5점12.2%

(122명)

11.9%

(61명)

12.5%

(61명)

27.7%

(56명)

12.4%

(31명)

8.9%

(25명)

2%

(5명)

4점17.7%

(177명)

18%

(92명)

17.5%

(85명)

23.8%

(48명)

17.3%

(43명)

15.7%

(44명)

15.6%

(40명)

보통 3점38.1%

(381명)

38.5%

(197명)

37.8%

(184명)

31.7%

(64명)

39.8%

(99명)

40.9%

(115명)

39.8%

(102명)

2점19.2%

(192명)

20.3%

(104명)

18.1%

(88명)

8.9%

(18명)

17.7%

(44명)

23.5%

(66명)

23.8%

(61명)

전혀 이용하지

않음1점

12.7%

(127명)

11.3%

(58명)

14.2%

(69명)

7.9%

(16명)

12.9%

(32명)

11%

(31명)

18.8%

(48명)

<표 3-6> 최근 1년간의 디지털 콘텐츠 이용도

주: 성별과 연령 계층별로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정함. *: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 **: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디지털 콘텐츠의 소비 행태 및 디지털화에 따른 대체효과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 결과를 보면, 먼저 전자책의 경우 전체 응답자의 37.3%가 전자책의 소비

에 따라 기존 매체(종이)의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고 응답하고 있으나 기존 매체의

사용량이 늘었거나 변화가 없다는 응답 비율도 29.4%로 나타나 디지털화에 따른

대체효과는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연령별로는 30대에서 기존 매체의

대체효과가 크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나 40대에서는 대체효과의 정도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57: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3장 ・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 ∣ 43

질문: 귀하는 e-book의 사용으로 인해 종이책 및 종이사용량에 어떠한 변화가 있다고 생각하십

니까?

구분 전체연령*

20대 30대 40대 50대

종이책 및 종이사용량이 크게

줄었다.

17%

(170명)

10.4%

(21명)

20.9%

(52명)

19.9%

(56명)

15.6%

(40명)

종이책 및 종이사용량이 조금

줄었다.

20.3%

(203명)

19.3%

(39명)

18.9%

(47명)

22.4%

(63명)

19.9%

(51명)

종이책 및 종이사용량이 오히

려 조금 늘었다.

3%

(30명)

4.5%

(9명)

3.6%

(9명)

2.1%

(6명)

2%

(5명)

종이책 및 종이사용량이 오히

려 많이 늘었다.

2.3%

(23명)

2%

(4명)

2.4%

(6명)

2.8%

(8명)

2%

(5명)

종이책 및 종이사용량 변화가

없었다

24.1%

(241명)

30.2%

(61명)

24.9%

(62명)21% (59명)

21.5%

(55명)

해당없음-사용하지 않음33.2%

(332명)

33.7%

(68명)

29.3%

(73명)

31.7%

(89명)

39.1%

(100명)

<표 3-7> 전자책(e-book) 이용에 따른 종이책, 종이 사용량 변화

주: 성별과 연령 계층별로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정함. *: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 **: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음악 다운로드와 스트리밍으로 인한 오프라인 매체의 소비행태 변화에 대해서는,

기존 매체(CD 및 음악테이프)의 대체효과가 있다는 응답 비율이 61.9%에 달해 대체

효과가 없거나 보완효과가 있다는 응답 비율(20.9%)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전자책의 경우와는 달리 디지털 음악 소비에 따른 기존 매체의 대체효과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연령별 응답 경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고 있으나 연령층이 낮을수록 대체효과가 크다는 응답

비율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Page 58: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44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질문: 귀하는 음악다운로드 및 스트리밍으로 인해 CD 및 음악테이프의 사용량에 어떠한 변화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구분 전체연령

20대 30대 40대 50대

CD 및 음악테이프의 사용량이

크게 줄었다.

49.8%

(498명)

65.8%

(133명)

55.8%

(139명)

44.8%

(126명)

35.9%

(92명)

CD 및 음악테이프의 사용량이

조금 줄었다.

12.1%

(121명)

8.4%

(17명)

8%

(20명)

13.9%

(39명)

17.6%

(45명)

CD 및 음악테이프의 사용량이

오히려 조금 늘었다.

4.3%

(43명)

5.9%

(12명)4.4% (11명)

6%

(17명)

1.2%

(3명)

CD 및 음악테이프의 사용량이

오히려 많이 늘었다.

4.5%

(45명)

5.9%

(12명)

7.2%

(18명)2.5% (7명)

3.1%

(8명)

CD 및 음악테이프의 사용량 변

화가 없었다.

12.1%

(121명)5.4% (11명)

10.4%

(26명)

15.7%

(44명)

15.2%

(39명)

해당없음-사용하지 않음17.1%

(171명)

8.4%

(17명)

14.1%

(35명)

17.1%

(48명)

27%

(69명)

<표 3-8> 다운로드, 스트리밍으로 인한 CD, 테이프 사용량 변화

인터넷을 통한 뉴스 소비에 따른 기존 매체(종이신문)의 대체 효과 여부와 관련해

서는, 대체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응답 비율이 전체 응답자의 64.2%를 차지한

반면 대체효과가 없거나 보완효과가 있다는 응답비율은 21.2%로 나타나 디지털화

에 따른 대체효과 경향이 뚜렷한 것으로 확인된다. 연령층별로는, 30대의 경우

대체효과가 크다는 응답이 많은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대체효과가 없거나 보완효과

가 나타난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된다.

Page 59: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3장 ・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 ∣ 45

질문: 귀하의 인터넷에서의 뉴스 소비로 인해 종이 신문 사용량에 어떠한 변화가 있다고 생각하십

니까?

구분 전체연령***

20대 30대 40대 50대

종이 신문 사용량이 크게 줄었다.48.9%

(489명)

52%

(105명)

55.4%

(138명)

52.3%

(147명)

37.1%

(95명)

종이 신문 사용량이 조금 줄었다.15.3%

(153명)

16.3%

(33명)

10.4%

(26명)

13.2%

(37명)

21.5%

(55명)

종이 신문 사용량이 오히려 조금

늘었다.

2.6%

(26명)

3%

(6명)

2.4%

(6명)

3.6%

(10명)

1.6%

(4명)

종이 신문 사용량이 오히려 많이

늘었다.

4.6%

(46명)

4.5%

(9명)

5.2%

(13명)

1.8%

(5명)

7.4%

(19명)

종이 신문 사용량이 변화가 없

었다.

14%

(140명)

11.9%

(24명)

10.4%

(26명)

15.7%

(44명)

16.8%

(43명)

해당없음-사용하지 않음14.5%

(145명)

12.4%

(25명)

16.1%

(40명)

13.5%

(38명)

15.6%

(40명)

<표 3-9> 인터넷 뉴스 이용으로 인한 종이신문 사용량의 변화

주: 성별과 연령 계층별로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정함. *: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 **: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디지털 사진의 이용에 따른 기존 매체(사진 인화량 등)의 소비 변화 및 대체효과

여부와 관련해서는, 대체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응답 비율이 전체 응답자의 62.7%

를 차지한 반면 대체효과가 없거나 보완효과가 있다는 응답비율은 20.5%로 나타나

디지털화에 따른 대체효과 경향이 뚜렷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든 연령층에서 대

체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 응답하고 있으며, 연령층 등에 따른 응답 경향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Page 60: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46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질문: 귀하의 디지털사진의 사용으로 인해 사진 인화량에 어떠한 변화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구분 전체연령

20대 30대 40대 50대

사진 인화량이 크게 줄었다.51.5%

(514명)

47%

(95명)

50.2%

(125명)

58.4%

(164명)

49.6%

(127명)

사진 인화량이 조금 줄었다.11.2%

(112명)

14.9%

(30명)

11.6%

(29명)6.4% (18명)

12.5%

(32명)

사진 인화량이 오히려 조금 늘

었다.

5.7%

(57명)

6.4%

(13명)

6.4%

(16명)

5.7%

(16명)

4.7%

(12명)

사진 인화량이 오히려 많이 늘

었다.4.1% (41명)

4%

(8명)

3.6%

(9명)

4.6%

(13명)4.3% (11명)

사진 인화량 변화가 없었다.10.7%

(107명)

12.9%

(26명)

11.2%

(28명)

9.6%

(27명)8.2% (21명)

해당없음-사용하지 않음16.8%

(168명)

14.9%

(30명)

16.9%

(42명)

15.3%

(43명)

20.7%

(53명)

<표 3-10> 디지털 사진 이용으로 인한 사진 인화량의 변화

다. 스마트교육 (교육서비스)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기반의 교육서비스(스마트교육)에 따른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서비스 소비의 대체효과가 나타났다는 응답자의 비율(23.1%)과 반면 대체효과

가 없거나 보완효과가 나타났다는 응답자의 비율(21.6%)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연령층이 낮을수록 대체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높은 연령층에서는 보완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스마트 교육을 받지 않고 있다는 응답자의 비율은 55.3%로서 성별 및 연령과

무관하게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교육 서비스의 활성화 정도는 낮은 것으

로 조사되었다. 한편 거주 지역별로는 대도시 및 중소도시 등의 도시지역에 비해

농어촌 및 도서지역에서의 기존 교육서비스 대체효과가 더욱 높게 나타나는 것이

확인된다.

Page 61: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3장 ・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 ∣ 47

질문: 귀하는 스마트교육의 수강으로 인해, 기존 학원 및 과외와 같은 오프라인수강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습니까?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오프라인 수강이 크

게 줄었다.

10.9%

(109명)

10.7%

(55명)

11.1%

(54명)

13.9%

(28명)

12%

(30명)

10%

(28명)

9%

(23명)

오프라인 수강이 조

금 줄었다.

12.2%

(122명)

13.7%

(70명)

10.7%

(52명)

14.9%

(30명)

12%

(30명)

13.2%

(37명)

9.4%

(24명)

오프라인 수강이 오

히려 조금 늘었다.

3.8%

(38명)

3.9%

(20명)

3.7%

(18명)

2.5%

(5명)

2.4%

(6명)5% (14명)

5.1%

(13명)

오프라인 수강이 오

히려 많이 늘었다.

4.9%

(49명)

4.5%

(23명)

5.3%

(26명)

6.4%

(13명)

5.6%

(14명)

4.3%

(12명)

3.9%

(10명)

오프라인 수강에는

변화가 없었다

12.9%

(129명)

14.8%

(76명)

10.9%

(53명)

11.4%

(23명)

12%

(30명)

14.2%

(40명)

12.5%

(32명)

해당없음-사용하지

않음

55.3%

(552명)

52.3%

(268명)

58.3%

(284명)

51%

(103명)

55.8%

(139명)

53.4%

(150명)

60.2%

(154명)

<표 3-11> 스마트 교육 실시로 인한 오프라인 교육 빈도의 변화

주: ‘오프라인 감소’의 경우, <표 3-26>의 문항에서 ‘크게 줄었다’와 ‘조금 줄었다’라고 응답한 사람의

합이며, ‘오프라인 증가 및 변화없음’은 ‘조금 증가했다’와 ‘크게 증가했다’, ‘변화없다’라고 응답한

사람의 합임

<그림 3-1> 연령대별 스마트-오프라인 교육 간 대체효과

Page 62: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48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주: ‘오프라인 감소’의 경우, <표 3-26>의 문항에서 ‘크게 줄었다’와 ‘조금 줄었다’라고 응답한 사람의

합이며, ‘오프라인 증가 및 변화없음’은 ‘조금 증가했다’와 ‘크게 증가했다’, ‘변화없다’라고 응답한

사람의 합임.

<그림 3-2> 거주 지역별 스마트-오프라인 교육 간 대체효과

라. 인터넷 쇼핑 (디지털 기반의 소비재 구매)

인터넷 쇼핑을 통한 소비재 구매에 따른 쇼핑 행태의 변화에 대한 조사 결과,

인터넷 쇼핑이 오프라인 쇼핑을 대체한다는 응답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49.5%인

반면 오프라인 쇼핑을 증가시키거나 별다른 효과가 없다는 응답자의 비율은 21.4%

로 나타나 디지털화에 따른 대체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별

로는 30대 이하의 젊은 층에서의 대체효과가 40대 이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Page 63: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3장 ・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 ∣ 49

질문: 귀하는 최근 1년간 인터넷쇼핑(모바일 전자거래 포함)으로 인해 오프라인 쇼핑 빈도수

및 쇼핑으로 인한 총 주행거리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었습니까?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크게 감소하였다.22.2%

(222명)

20.7%

(106명)

23.8%

(116명)

25.2%

(51명)

26.5%

(66명)

20.3%

(57명)

18.4%

(47명)

조금 감소하였다.27.3%

(273명)

28.3%

(145명)

26.3%

(128명)

25.7%

(52명)

28.5%

(71명)

29.5%

(83명)

26.2%

(67명)

조금 증가하였다.9%

(90명)

8%

(41명)

10.1%

(49명)

10.4%

(21명)

10.4%

(26명)

8.2%

(23명)

6.6%

(17명)

크게 증가하였다.4.9%

(49명)

3.3%

(17명)

6.6%

(32명)

5%

(10명)

4.8%

(12명)

4.3%

(12명)

5.5%

(14명)

변화가 없다.21.4%

(214명)

24%

(123명)

18.7%

(91명)

19.8%

(40명)

21.3%

(53명)

24.6%

(69명)

19.5%

(50명)

해당없음 15.1%

(151명)

15.6%

(80명)

14.6%

(71명)

13.9%

(28명)

8.4%

(21명)

13.2%

(37명)

23.8%

(61명)

<표 3-12> 인터넷 쇼핑에 따른 쇼핑 빈도, 주행거리 변화

인터넷 쇼핑의 확대에 따른 소비재 소비규모의 변화 측면에서는, 총 소비규모의

변화가 없다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비규모가 증가했다는 응답 비율

(33.7%)이 소비규모가 감소했다는 응답 비율(25.8%)에 비해 다소 크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남성의 경우 소비규모가 감소했다는 응답비율이 여성에 비해 높은 것으

로 나타난 반면 여성의 경우 소비규모가 크게 증가했다는 응답 비율이 남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64: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50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질문: 귀하는 인터넷쇼핑으로 인해 총 소비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었습니까?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총 소비량은 매우

감소하였다.

8.6%

(73명)

10.6%

(46명)

6.5%

(27명)

8.6%

(15명)

9.2%

(21명)

9%

(22명)

6.7%

(13명)

총 소비량은 조금

감소하였다.

17.2%

(146명)

17.4%

(75명)

17.1%

(71명)

13.8%

(24명)

18.4%

(42명)

18.9%

(46명)

17.4%

(34명)

총 소비량은 조금

증가하였다.

23.9%

(203명)

24.8%

(107명)

23.1%

(96명)

17.8%

(31명)

27.2%

(62명)

26.6%

(65명)

22.6%

(44명)

총 소비량은 매우

증가하였다.

9.8%

(83명)

7.2%

(31명)

12.5%

(52명)

15.5%

(27명)

9.2%

(21명)

8.2%

(20명)

6.2%

(12명)

총 소비량에는 큰

변화가 없다.

30.1%

(255명)

28%

(121명)

32.2%

(134명)

32.8%

(57명)

26.3%

(60명)

29.1%

(71명)

34.4%

(67명)

모르겠다.10.4%

(88명)

12%

(52명)

8.7%

(36명)

11.5%

(20명)

9.6%

(22명)

8.2%

(20명)

12.8%

(25명)

<표 3-13> 인터넷 쇼핑에 따른 총 소비규모의 변화

주: 성별과 연령 계층별로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정함. *: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 **: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인터넷 쇼핑과 관련하여 상품에 대한 환경정보를 충분히 제공받고 있는가에 대한

조사에서는,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고 있다는 응답 비율이 전체의 10%를 밑도는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43.3%는 관련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보 제공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을 연령별로 비교해 보면,

40대 이상의 높은 연령층보다는 30대 이하의 낮은 연령층에서 상대적으로 부정적

인 의견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Page 65: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3장 ・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 ∣ 51

질문: 귀하는 인터넷쇼핑을 하는 과정 에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환경정보(에너지효율등급,

환경표지제품, 우수재활용(GR)제품, 친환경농산물 등)를 어떻게 제공 받으셨습니까?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충분한 정보를 제

공받는다.

9.8%

(83명)

10.2%

(44명)

9.4%

(39명)

8.6%

(15명)

9.6%

(22명)

9.8%

(24명)

10.8%

(21명)

다소 부족하지만

최소한의 정보를

제공받는다.

46.8%

(397명)

45.4%

(196명)

48.3%

(201명)

40.8%

(71명)

39.9%

(91명)

53.7%

(131명)

50.8%

(99명)

제공받지 못한다.43.4%

(368명)

44.4%

(192명)

42.3%

(176명)

50.6%

(88명)

50.4%

(115명)

36.5%

(89명)

38.5%

(75명)

<표 3-14> 인터넷 쇼핑 과정에서의 환경 관련 정보 획득

주: 성별과 연령 계층별로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정함. *: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 **: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편 인터넷 쇼핑의 과정에서 환경 관련 정보를 받아 본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만

을 대상으로 환경 관련 정보의 구매 의사결정에의 반영 정도를 5점 척도(‘영향을

매우 미침’ 5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음’ 1점)를 기준으로 확인해 본 결과, 전체

응답자 평균 3.3점으로 ‘보통’ 수준을 약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문: 제공받으신 환경정보(에너지효율등급, 환경표지제품, 우수재활용(GR)제품, 친환경농산물

등)가 귀하의 구매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습니까?

구분 빈도 수 백분율

영향을 매우 미침 5점 25 5.2%

4점 151 31.5%

보통 3점 251 52.3%

2점 42 8.8%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음 1점 11 2.3%

계 480 100%

<표 3-15> 환경 관련 정보가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

Page 66: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52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마. 교통정보서비스

스마트내비게이션의 활용에 따른 에코드라이빙 유도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응답 비율이 41.4%로 나타나 부정적 응답 비율 22.6%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가 여성에 비해 긍정적 응답과 부정적 응답 모든 측면에서

응답 비율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질문: 귀하는 스마트내비게이션과 같은 ICT 기기가 에코드라이빙을 유도한다고 생각하십니까?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매우 유도가 됨5.3%

(20명)

6.8%

(16명)

2.9%

(4명)

13.3%

(4명)

5.8%

(6명)

5.6%

(7명)

2.6%

(3명)

유도가 됨36.1%

(135명)

37.9%

(89명)

33.1%

(46명)

30%

(9명)

31.1%

(32명)

38.7%

(48명)

39.7%

(46명)

보통46%

(172명)

40.9%

(96명)

54.7%

(76명)

50%

(15명)

46.6%

(48명)

44.4%

(55명)

45.7%

(53명)

유도가 안 됨10.2%

(38명)

11.5%

(27명)

7.9%

(11명)

3.3%

(1명)

11.7%

(12명)

9.7%

(12명)

11.2%

(13명)

전혀 유도가 안됨2.4%

(9명)

3%

(7명)

1.4%

(2명)

3.3%

(1명)

4.9%

(5명)

1.6%

(2명)

0.9%

(1명)

<표 3-16> ICT 기기의 에코드라이빙 지원 효과

실시간 스마트내비게이션의 사용에 따른 자동차 운행량(운행거리, 연료사용량)

의 변화에 대해서는 ICT 정보서비스의 활용을 통해 총 운행거리 및 연료 사용량이

감소했다는 응답 비율이 40%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운행량을 증가시켰거나 변화가

없다는 응답 비율 역시 50%를 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성의 경우 운행량 증가에

기여했다는 응답 비율이 남성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고 있다.

Page 67: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3장 ・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 ∣ 53

질문: 귀하의 실시간 스마트내비게이션의 사용으로 인해 월 총 운행거리 및 연료의 사용에는

변화가 있었습니까?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매우 줄어들었다 9.2%

(13명)

7.8%

(8명)

12.8%

(5명)0% (0명)

9.7%

(3명)

8.9%

(5명)

11.6%

(5명)

조금 줄어들었다34.8%

(49명)

37.3%

(38명)

28.2%

(11명)

63.6%

(7명)

25.8%

(8명)

35.7%

(20명)

32.6%

(14명)

조금 늘어났다8.5%

(12명)

6.9%

(7명)

12.8%

(5명)

9.1%

(1명)

9.7%

(3명)

8.9%

(5명)

7%

(3명)

매우 늘어났다 6.4%

(9명)

4.9%

(5명)

10.3%

(4명)

0%

(0명)

3.2%

(1명)

7.1%

(4명)

9.3%

(4명)

변화가 없다38.3%

(54명)

41.2%

(42명)

30.8%

(12명)

27.3%

(3명)

41.9%

(13명)

37.5%

(21명)

39.5%

(17명)

해당 없음 2.8%

(4명)

2%

(2명)

5.1%

(2명)0% (0명)

9.7%

(3명)

1.8%

(1명)

0%

(0명)

<표 3-17> 스마트내비게이션, 총 운행거리, 연료사용량 간의 관계

카풀 어플리케이션 등 ICT 기반 자동차공유서비스에 대한 카풀 경험자에 대한

조사에서는 ICT 서비스 이용자의 경우 ICT 서비스가 카풀 장려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60% 수준으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체 카풀 경험자

의 30% 이상은 ICT 서비스 이용 경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질문: 귀하는 카풀 어플리케이션이 카풀의 이용을 장려하였다고 생각하십니까?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매우 도움이 된다.19.5%

(16명)

21.6%

(8명)

17.8%

(8명)

21.7%

(5명)

21.4%

(6명)

18.8%

(3명)

13.3%

(2명)

약간 도움이 된다.40.2%

(33명)

43.2%

(16명)

37.8%

(17명)

52.2%

(12명)

35.7%

(10명)

31.3%

(5명)

40%

(6명)

도움이 되지 않는다.7.3%

(6명)

8.1%

(3명)

6.7%

(3명)

8.7%

(2명)

3.6%

(1명)

12.5%

(2명)

6.7%

(1명)

카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고 있다.

32.9%

(27명)

27%

(10명)

37.8%

(17명)

17.4%

(4명)

39.3%

(11명)

37.5%

(6명)

40%

(6명)

<표 3-18> 카풀 어플리케이션의 이용 정도 및 효과

주: <표 3-11>의 문항에서 카풀을 이용한다고 응답한 자가용 운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임.

Page 68: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54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대중교통 이용자에 대한 버스운행 정보서비스의 효과 여부에 대한 조사에서는,

경우, 버스운행 정보 서비스가 대중교통 이용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 비율이 9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매우 도움이 된다’는 응답의 경우 남성에 비해 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경향은 젊은 층에서도 동일한 경향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질문: 귀하는 버스운행 관련 정보 서비스가 대중교통 이용 장려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 하십니까?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음

0.3%

(1명)

0.6%

(1명)

0%

(0명)

0.8%

(1명)

0%

(0명)

0%

(0명)

0%

(0명)

도움이 되지 않음5.6%

(22명)

2.3%

(4명)

8%

(18명)

3.9%

(5명)

1.1%

(1명)

7.8%

(7명)

10.8%

(8명)

도움이 됨43.3%

(171명)

42.7%

(73명)

43.8%

(98명)

34.9%

(45명)

51.1%

(47명)

50%

(45명)

43.2%

(32명)

매우 도움이 됨46.8%

(185명)

51.5%

(88명)

43.3%

(97명)

56.6%

(73명)

43.5%

(40명)

38.9%

(35명)

41.9%

(31명)

해당 없음4.1%

(16명)

2.9%

(5명)

4.9%

(11명)

3.9%

(5명)

4.3%

(4명)

3.3%

(3명)

4.1%

(3명)

<표 3-19> 버스운행정보서비스와 대중교통 이용도

주: 성별과 연령 계층별로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정함. *: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 **: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편 ICT 기기 및 서비스의 이용 이후 출퇴근 등 주요 교통수단의 변화 여부에

대한 조사에서는 전체의 56.5%가 변화가 없다고 응답하여 변화가 있었다는(기존

교통수단의 적극적 이용 또는 감소) 응답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69: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3장 ・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 ∣ 55

질문: ICT 기기 및 서비스의 이용으로 인해 출퇴근 교통수단에 변화가 있습니까?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기존의 교통수단을 더 적

극적으로 이용

37.1%

(365명)

33.6%

(170명)

40.9%

(195명)

49.3%

(99명)

37.4%

(92명)

32.7%

(90명)

31.2%

(78명)

기존 교통수단 이용을

감소

6.4%

(63명)

7.1%

(36명)

5.7%

(27명)

4.5%

(9명)

4.9%

(12명)

5.5%

(15명)

10.8%

(27명)

변화 없음56.5%

(555명)

59.3%

(300명)

53.5%

(255명)

46.3%

(93명)

57.7%

(142명)

61.8%

(170명)

58%

(145명)

<표 3-20> ICT 기기·서비스 이용에 따른 교통수단의 변화

주: 성별과 연령 계층별로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정함. *: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 **: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바. 스마트워크제도와 출퇴근패턴의 변화

재택근무와 스마트워크센터 근무, 모바일 근무 등의 스마트워크 제도의 이용자에

대한 출퇴근 교통량의 변화에 대한 조사에서는 총 교통량이 감소했다는 응답이

54.1%로 나타났으나 교통량에 변화가 없거나 증가하는 영향을 미쳤다는 의견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문: 귀하의 원격근무로 인해 총 교통량에는 변화가 있었습니까?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교통량이 매우 줄어

들었다

16.5%

(22명)

13.7%

(10명)

20%

(12명)

15.8%

(3명)

5.7%

(2명)

15.4%

(6명)

27.5%

(11명)

교통량이 조금 줄어

들었다

37.6%

(50명)

43.8%

(32명)

30%

(18명)

31.6%

(6명)

37.1%

(13명)

46.2%

(18명)

32.5%

(13명)

교통량이 조금 늘어

났다

6%

(8명)

2.7%

(2명)

10%

(6명)

15.8%

(3명)

5.7%

(2명)

2.6%

(1명)

5%

(2명)

교통량이 매우 늘어

났다

3.8%

(5명)

1.4%

(1명)

6.7%

(4명)

5.3%

(1명)

5.7%

(2명)

5.1%

(2명)

0%

(0명)

변화 없음36.1%

(48명)

38.4%

(28명)

33.3%

(20명)

31.6%

(6명)

45.7%

(16명)

30.8%

(12명)

35%

(14명)

<표 3-21> 원격근무와 교통량 간의 관계

주: 성별과 연령 계층별로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정함. *: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 **: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Page 70: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56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한편 스마트워크제도의 이용 여부에 대한 조사에서는 자영업자의 이용 비율이

임금근로자(정규직/비정규직)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도시지역 보다는

농어촌 및 도서지역에서의 활용 비율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51).

구분 스마트워크 이용자 수 백분율 근로자 수

자영업 49 34.8% 141

정규직및비정규직 104 19.0% 547

퇴직 3 42.9% 7

전업주부 26 16.6% 157

구직중 2 6.7% 30

학생 8 7.8% 103

노동이 불가능한 상태 3 21.4% 14

<표 3-22> 근로 형태에 따른 스마트워크 이용도

주: 백분율은 한 근로형태 내에서의 스마트워크 이용자가 차지하는 비중임.

구분 스마트워크 이용자 수 백분율 근로자 수

대도시 109 19.1% 572

중소도시 63 17.9% 351

농어촌 16 25.0% 64

도서지역 7 58.3% 12

<표 3-23> 거주 지역에 따른 스마트워크 이용도

주: 백분율은 한 거주 지역 내에서의 스마트워크 이용자가 차지하는 비중임.

51) 거주지역 비교와 관련해서는 전체 표본 중 농어촌과 도서지역 거주자가 다른 곳에 비해 적기 때문에

해석에 있어 주의를 요한다.

Page 71: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3장 ・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 ∣ 57

사. 사회관계망서비스(SNS)

SNS는 사회적 교류를 지원하는 디지털 서비스로서,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교류에 미치는 영향과 환경 관련 이슈와 관련된 활동이 SNS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반응하는가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먼저 SNS 이용에 따른 대인관계의

변화 양상은, 변화가 거의 없었다는 응답이 42%로 나타나 해당 없음으로 응답한

비율 17.2%를 제외할 경우 응답자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오프라인 교류가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율(20.5%)과 감소했다고 응답한

비율(20.1%) 역시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어 SNS 활동은 오프라인에서의

만남·교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질문: 귀하가 현재 SNS 계정(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의 SNS 포함)을 보유하고 있다면, 이와

같은 SNS의 활동으로 인해 사람들을 대면하고 만날 수 있는 기회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었습니까?

다음 중 한 가지만 선택해 주십시오.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많이 증가하였다7.5%

(75명)

8.4%

(43명)

6.6%

(32명)

4%

(8명)

6.8%

(17명)

10%

(28명)

7.8%

(20명)

약간 증가하였다13%

(130명)

15.6%

(80명)

10.3%

(50명)

11.9%

(24명)

13.3%

(33명)

13.9%

(39명)

12.1%

(31명)

많이 감소하였다8.1%

(81명)

7.6%

(39명)

8.6%

(42명)

10.4%

(21명)

9.6%

(24명)

5.3%

(15명)

7.8%

(20명)

약간 감소하였다12.1%

(121명)

12.1%

(62명)

12.1%

(59명)

11.4%

(23명)

14.5%

(36명)

10%

(28명)

12.9%

(33명)

큰 변화가 없었다.42%

(420명)

43%

(220명)

41.1%

(200명)

45%

(91명)

42.6%

(106명)

44.8%

(126명)

36.7%

(94명)

해당없음 17.2%

(172명)

13.3%

(68명)

21.4%

(104명)

17.3%

(35명)

13.3%

(33명)

16%

(45명)

22.7%

(58명)

<표 3-24> SNS 이용으로 인한 인간관계의 변화

주: 성별과 연령 계층별로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정함. *: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 **: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Page 72: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58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SNS를 통해 사회 교류를 하고 있는 응답자만을 상으로 SNS를 통해 환경

이슈에 근하고 응하는 정도에 한 조사 결과, 환경이슈의 직접 게재 및 공유

하거나 공유·호감을 접할 경우 를 SNS 내에서 이를 직접 게재하거나, 이를 공유하는

적극적 활동을 하는 경우는 14.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예 접한 적이

없다’는 응답이 38.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SNS를 통해 환경이슈에

접근하는 기회 자체가 제한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연령별로는 40대 이상의

장년층에서 ‘공유한다’의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호감을 보인다’

의 응답 비율은 2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0대의 경우 ‘무시한다’, ‘접한 적이

없다’는 응답 비율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질문: 귀하는 SNS활동을 통해 환경관련(대기, 수질, 폐기물, 기후변화대응, 온실가스, 자원순환촉

진, 생태계 등) 정보 및 이슈를 공유하는 활동을 하고 계십니까? 다음 중 한 가지만 선택해

주십시오.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직접 게재한다.2.3%

(19명)

2.7%

(12명)

1.8%

(7명)

1.8%

(3명)

0.5%

(1명)

3%

(7명)

4%

(8명)

공유한다. 12.2%

(101명)

11.7%

(52명)

12.8%

(49명)

9%

(15명)

8.8%

(19명)

14.4%

(34명)

16.2%

(32명)

호감을 보인다.

(좋아요 클릭)

32.3%

(267명)

30.4%

(135명)

34.5%

(132명)

39.5%

(66명)

28.2%

(61명)

29.2%

(69명)

32.8%

(65명)

무시한다.10.9%

(90명)

11.9%

(53명)

9.7%

(37명)

8.4%

(14명)

13.4%

(29명)

10.6%

(25명)

11.1%

(22명)

수신 거부한다. 3.7%

(31명)

4.7%

(21명)

2.6%

(10명)

3%

(5명)

7.9%

(17명)

2.1%

(5명)

2%

(4명)

접한 적이 없다.38.6%

(319명)

38.5%

(171명)

38.6%

(148명)

38.3%

(64명)

41.2%

(89명)

40.7%

(96명)

33.8%

(67명)

<표 3-25> SNS를 통한 환경이슈 공유 활동

주: 성별과 연령 계층별로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정함. *: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 **: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Page 73: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3장 ・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 ∣ 59

SNS를 통한 환경정보의 소비에 따른 친환경활동 유인 효과에 대해서는 영향이

없었다는 응답 비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유인 효과가 있는 경우에도 행동 변화

의 수준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별로는 연령대가 낮을수록 ‘변화가 없었다’

는 응답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환경정보의 소비가 젊은 층의 행동 변화를 유인

하는 정도가 특히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질문: 귀하는 SNS를 통해 환경관련 게재 글을 접한 후 실질적으로 얼마나 환경 친화적인 활동(에너

지절약, 친환경상품소비, 재활용, 대중교통이용, 천연자원의 사용 줄임 등)을 합니까?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아주 큰 변화가 있었다.5.6%

(46명)

4.7%

(21명)

6.5%

(25명)

3.6%

(6명)

6%

(13명)

5.9%

(14명)

6.6%

(13명)

큰 변화가 있었다. 8.1%

(67명)

8.6%

(38명)

7.6%

(29명)

8.4%

(14명)

4.2%

(9명)

8.1%

(19명)

12.1%

(24명)

조금의 변화가 있었다. 29.3%

(242명)

28.6%

(127명)

30%

(115명)

32.3%

(54명)

27.8%

(60명)

25.8%

(61명)

32.3%

(64명)

아주 조금의 변화가 있

었다.

23.5%

(194명)

23.4%

(104명)

23.5%

(90명)

18.6%

(31명)

24.1%

(52명)

27.1%

(64명)

21.7%

(43명)

변화가 전혀 없었다. 33.6%

(278명)

34.7%

(154명)

32.4%

(124명)

37.1%

(62명)

38%

(82명)

33.1%

(78명)

27.3%

(54명)

<표 3-26> SNS 환경정보 소비의 친환경활동 유인 효과

주: 성별과 연령 계층별로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정함. *: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 **: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활용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에 대한 조사 결과,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등

정부 부문에서 제공하고 있는 환경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용하지 않고 있다

는 비중이 전체 조사 대상자의 78%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활용 수준 자체

가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Page 74: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60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질문: 귀하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환경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합니까?

해당하는 것에 모두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환경부10.8%

(108명)

9.6%

(49명)

12.1%

(59명)

4.5%

(9명)

9.2%

(23명)

14.2%

(40명)

14.1%

(36명)

기타중앙정부4.9%

(49명)

5.9%

(30명)

3.9%

(19명)

3.5%

(7명)

5.6%

(14명)

5.7%

(16명)

4.7%

(12명)

지방자체단체6.2%

(62명)

7.8%

(40명)

4.5%

(22명)

5%

(10명)

6%

(15명)

5%

(14명)

9%

(23명)

사용안함78.1%

(780명)

76.8%

(393명)

79.5%

(387명)

87.1%

(176명)

79.1%

(197명)

75.1%

(211명)

72.3%

(185명)

<표 3-27> 환경 관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활용

주: 환경부의 경우 ‘우리 집 냉장고’, ‘미세먼지 예보’ 어플리케이션 등을 의미하며, 기타 중앙정부의

경우 산업부의 ‘에너지다이어트’ 등을 의미함

환경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고 있다는 응답자 대상의 유용성에 대한 조사에

서는 5점 척도를 기준으로 할 때 3.4점으로 ‘보통’ 수준을 약간 상회하고 있으며,

4점 이상의 긍정적 평가 비율이 44.3%로서 부정적 평가 비율(9.2%)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75: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3장 ・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 ∣ 61

질문: 귀하는 이와 같은 어플이 생활에 얼마나 유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매우 도움이 됨 5점7.8%

(17명)

7.6%

(9명)8% (8명)

11.5%

(3명)

5.8%

(3명)

8.6%

(6명)

7%

(5명)

4점36.5%

(80명)

31.9%

(38명)

42%

(42명)

30.8%

(8명)

28.8%

(15명)

37.1%

(26명)

43.7%

(31명)

보통 3점46.6%

(102명)

52.1%

(62명)

40%

(40명)

42.3%

(11명)

53.8%

(28명)

47.1%

(33명)

42.3%

(30명)

2점7.8%

(17명)

8.4%

(10명)

7%

(7명)

15.4%

(4명)

11.5%

(6명)

5.7%

(4명)

4.2%

(3명)

전혀 도움이 되

지 않음1점

1.4%

(3명)0% (0명) 3% (3명) 0% (0명) 0% (0명)

1.4%

(1명)

2.8%

(2명)

<표 3-28> 환경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

자. ICT/소비행태/녹색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일반 인식

ICT 기기 및 서비스의 활용에 따른 소비행태의 변화에 대한 종합적 평가 측면에서

는, 5점 척도(‘소비 유도’ 5점, ‘절약 유도’ 1점) 기준으로 평균 2.9점으로 나타나

소비를 유발하거나 절약을 유도한다는 관점에서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다만, 30대 이하의 젊은 층에서는 ‘소비 유도’ 효과를 4점 이상으로 평가하는

응답 비율이 40대 이상의 장년층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20대의 경우

4점 이상(소비 유도)로 평가하고 있는 응답 비율(33.6%)이 2점 이하(절약 유도)로

평가하는 응답 비율(22.1%)을 상당 정도 앞서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76: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62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질문: ICT 기기의 활용이 귀하의 소비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습니까?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소비유도 5점3.7%

(37명)

2.5%

(13명)

4.9%

(24명)

5.4%

(11명)

5.6%

(14명)

1.4%

(4명)

2.7%

(7명)

4점21%

(210명)

19.7%

(101명)

22.4%

(109명)

28.2%

(57명)

24.1%

(60명)

17.8%

(50명)

16%

(41명)

3점46.8%

(468명)

49.8%

(255명)

43.7%

(213명)

44.1%

(89명)

41.4%

(103명)

49.1%

(138명)

52%

(133명)

2점22.8%

(228명)

23.6%

(121명)

22%

(107명)

18.8%

(38명)

23.3%

(58명)

25.6%

(72명)

22.3%

(57명)

절약유도 1점5.6%

(56명)

4.3%

(22명)

7%

(34명)

3.5%

(7명)

5.6%

(14명)

6%

(17명)

7%

(18명)

<표 3-29> ICT 활용에 따른 소비행태 변화

주: 1) 소비유도- ICT기기로 인해 온라인을 통해 쉽고 빠르게 물품구매가 가능해 지면서, 해외로부터

더 많은 물건을 구매하는 경우도 빈번해지고, 스마트 내비게이션의 빠른 길 안내를

통해 이동시 자가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가 더 많아짐으로 인해 더 많은 소비를 유도하

였다.

2) 절약유도- ICT기기로 인해 인터넷쇼핑 시 가격 및 품질 비교가 가능해 지면서 합리적인 소비를

하게 되고, 오프라인 쇼핑에 필요한 거리를 단축시켜 이동거리의 감축을 유도하였다.

또한 카쉐어링 및 대중교통어플의 사용을 통해 자가 운전 대신 대중교통을 활용하게

되고 같은 목적지를 가진 사람과 차량을 공유하게 되면서 연료 및 비용면에서의

절약을 하게 되었다.

3) 성별과 연령 계층별로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정함. *: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 **: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환경보전을 위해 라이

프스타일의 변화를 감당할 의향이 있는가에 대해 확인한 결과, 조사 대상의 46.3%

가 동의한다는 의견을 보인 반면 소극적 태도(‘보통’) 또는 부정적 의견을 갖고 있는

응답 비율이 50%를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77: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3장 ・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 ∣ 63

질문: 귀하는 다음 중 ‘환경보호를 위하여 내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감당할 의향이 있다.’ 라는

의견에 어느 정도 동의하십니까?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매우 동의함7.3%

(73명)

8.2%

(42명)

6.4%

(31명)

8.9%

(18명)

5.6%

(14명)

6.8%

(19명)

8.6%

(22명)

동의함39%

(390명)

39.6%

(203명)

38.4%

(187명)

41.1%

(83명)

32.1%

(80명)

43.1%

(121명)

39.1%

(100명)

보통48.9%

(489명)

46.5%

(238명)

51.5%

(251명)

45%

(91명)

56.6%

(141명)

46.3%

(130명)

47.7%

(122명)

동의하지 않음3.7%

(37명)

4.9%

(25명)

2.5%

(12명)

4%

(8명)

4%

(10명)

3.2%

(9명)

3.9%

(10명)

전혀 동의하지 않음1%

(10명)

0.8%

(4명)

1.2%

(6명)

1%

(2명)

1.6%

(4명)

0.7%

(2명)

0.8%

(2명)

<표 3-30> 환경보호를 위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의사

주: 성별과 연령 계층별로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정함. *: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 **: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또한 ICT의 소비와 관련하여 환경보호 또는 에너지 절약 등을 위해 실행하고

있는 행동에 대한 조사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전자기기를 끔’ 등의 다소

소극적인 방식의 실천 비중이 높게 나타난 반면 에너지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제품 및 서비스의 활용, 전자제품의 사용 억제 등과 같은 적극적인 방식의 실천

노력은 낮은 수준인 것으로 확인된다.

Page 78: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64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질문: 다음 중 귀하가 자주 하는 행동은 무엇입니까? 해당하는 것에 모두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복수응답 가능)

구분 전체성별 연령

남자 여자 20대 30대 40대 50대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전자

기기를 끔

60.3%

(602명)

57.6%

(295명)

63%

(307명)

54%

(109명)

59.8%

(149명)

60.5%

(170명)

65.2%

(167명)

절전기능이 있는 기기 사

용, 자동 센서등 이용, 디지

털콘텐츠 이용

27%

(270명)

25%

(128명)

29.2%

(142명)

21.8%

(44명)

20.9%

(52명)

28.8%

(81명)

35.2%

(90명)

에너지효율이 높은 에코 전

자기기 사용, ICT 기기의

재사용

17.2%

(172명)

18.2%

(93명)

16.2%

(79명)

7.4%

(15명)

14.5%

(36명)

20.6%

(58명)

24.6%

(63명)

전기·전자제품의 사용을

자제

25.8%

(258명)

23%

(118명)

28.7%

(140명)

13.9%

(28명)

23.3%

(58명)

27%

(76명)

37.1%

(95명)

<표 3-31> ICT 소비 관련 친환경 행동 실천

한편 ‘절전기능이 있는 기기 사용, 자동 센서등 이용, 디지털 콘텐츠 이용’, ‘에너

지효율이 높은 에코 전자기기 사용 및 ICT 기기의 재사용’ 등의 항목에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응답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응답 비율의 절대적

수준은 여전히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Page 79: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3장 ・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 ∣ 65

구분 전체100만 원

이하

101-150

만 원

151-200

만 원

201-250

만 원

251-300

만 원

301-400

만 원

401만 원

이상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전자기기를 끔60.3% 60.4% 52% 65% 60.2% 64.0% 60% 60.5%

절전기능이 있는 기기

사용, 자동 센서등 이

용, 디지털콘텐츠 이용

27% 21.3% 23.5% 22.9% 29.8% 28.8% 29.7% 31.3%

에너지효율이 높은 에

코 전자기기 사용, ICT

기기의 재사용

17.2% 9.5% 9.2% 16.5% 14.3% 22.5% 28.3% 24.5%

전기·전자제품의 사용

을 자제25.8% 22% 17.3% 24.8% 25.5% 31.5% 27.6% 32.0%

<표 3-32> 에너지, 환경 관련 현재 실행하는 행동-소득구간별

또한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소비지향적인 유형과 절약지향적인 유형으로 구분하

여 친환경 활동의 실천 관점에서 유형별 차이가 존재하는가에 대해 검토한 결과,

절약지향적인 유형의 라이프스타일을 갖고 있는 응답자의 친환경 활동 실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80: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66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주: 자신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보통’이라고 응답한 소비자는 제외.

표시된 비율은 각 유형별 해당 실천활동에 대한 응답 비율을 의미.

<그림 3-3>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친환경 활동 실천 정도

3. 소결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실태 조사의 결과와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이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교양·오락·교육서비스 부문에서의 디지털화에 따른 기존 매체의 대체효과를 경험하고 있다는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은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이 활성화

되어 있는 음악, 사진, 뉴스 등의 서비스 분야에서 특히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 오프라인 매체에 대한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도서출판, 교육 등의 서비스 분야

에서는 다소 제한적인 것으로 확인된다. 대체효과의 구현 정도와 디지털콘텐츠 활

용의 성숙도가 밀접한 관계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인터넷 쇼핑, 스마트워크, SNS 등 디지털 기반의 생활양식(쇼핑, 출퇴근패

턴, 사회적 교류 등)의 확산에 따른 오프라인에서의 행동 변화는 환경적 관점에서의

Page 81: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3장 ・ ICT 활용 라이프스타일 조사·분석 ∣ 67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기반의 생활양식과

오프라인 기반의 생활양식이 대체와 보완 관계로의 역할을 복합적으로 지속하면서

공존하고 있는 형태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인터넷 쇼핑의 경우 오프라인에서의 소비

를 대체하는 효과도 있지만 총 소비를 증가시키는 경향도 보이고 있으며, 상품에

대한 환경정보의 접근성과 유용성도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스마트워크의 도입에

의한 오프라인 여행수요의 감소 효과도 제한적이며 활용도도 매우 낮은 실정이다.

SNS의 경우 역시 오프라인에서의 사회적 교류에 양적으로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디지털 기반의 환경이슈 공유 활동도 양적으

로는 물론 질적으로 소극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끝으로, 디지털 기반의 정보서비스의 활용에 따른 효율화 효과에 대해서는 정보

의 내용에 따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ICT 기반 자동차 운행정보 제공서

비스의 경우 에코드라이빙 지원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많았으나 자동차

의 총 운행거리 및 연료사용량 측면에서의 변화는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최적화 효과 관점에서의 잠재력이 확인되는 한편으로 리바운드

효과의 우려도 상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중교통, 자동차공유 등 자원의 공동

이용과 관련한 정보서비스의 경우 해당 교통 서비스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서비스의 활용도가 높은 대중교통서비스와는 달리

자동차공유정보서비스는 활용 사례가 많지 않아 효과 자체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

났다. 환경 관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도 유용성 평가는 긍정적이나 활

용도가 매우 낮은 실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환경보전을 위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실천 활동도 제한적인 범위와 수준에 머무

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할 때, 녹색 라이프스타일 경험

및 정보의 공유·확산 관점에서 ICT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age 82: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68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그림 3-4> 소비영역별 오프라인 대체효과

Page 83: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4장 ・ 정책방향 및 과제 ∣ 69

∣제4장 · 정책 방향 및 과제∣1. 정책 방향

ICT에 활용에 의한 대체효과와 최적화 효과는 교양·오락서비스 등 서비스 자체의

디지털화가 기술적으로 용이한 분야와 자원 공유, 대중교통, 에너지 이용 등 자원이

용에 대한 정보서비스 분야에서 비교적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자책,

스마트교육, 스마트워트 등의 경우와 같이 서비스가 활성화되지 못한 영역에서는

효과 자체가 제한적이거나 역효과의 발생 우려도 큰 것으로 확인된다. ICT의 환경

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활성화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

한다. 하드웨어 중심의 ‘그린 ICT’52) 정책에 대한 서비스 관점에서의 보완, 특히

‘그린 ICT 서비스’의 활성화 기반 조성을 위한 정부의 역할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인터넷 쇼핑, 스마트내비게이션, SNS,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의 ICT를 매개

로 하는 라이프스타일의 확산은 가계부문의 소비와 여가 활동의 시·공간적 제약

완화와 편의성 증진 등 소비활동의 효율성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기반의 생활양식이 오프라인에서의 활동을 대체하기보다는 상호 보완적 관계로

발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CT의 활용 확대에 따른 부정적 환경영향의 위험

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디지털 기반의 소비활동 확대와 생활양식의

확산은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의 확산이라는 관점에서는 중요한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라이프스타일의 디지털화를 녹색 라이프스타일 확산의 계기로 활용하기

위한 환경정책 관점에서의 ICT 활용전략이 요구된다 하겠다.

52) 국내외적으로 ‘그린 ICT’ 관련 정책은 기후변화 대응의 맥락에서 ICT 섹터의 온실가스 배출(1차

효과)의 저감 관점에서 추진되고 있다. 우리나라를 포함안 주요 국가의 정책을 분석한 결과,

‘그린 ICT’ 정책의 주요 내용은 에너지 효율적 ICT 기기 및 시스템의 연구개발, 에너지 고효율

제품의 보급 활성화를 위한 라벨링제도 운영 등 정보 제공 등 하드웨어 관련 정책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SK 텔레콤 외, 2013, pp.9-10)

Page 84: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70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2. 정책 과제 및 제언

가. ICT 서비스의 온실가스 감축실적 검·인증 및 배출권 인정체계 마련

그린 ICT 서비스의 활성화 관점에서 ICT 서비스에 의한 가계부문에서의 온실가

스 감축실적이 시장(배출권거래시장)을 통해 보상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53). 특히 가계부문의 온실가스 유발 정도가 큰 것으로 확인되는

가정에서의 냉난방 에너지 이용의 최적화, 정보 매체의 디지털화 등과 관련한 ICT

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사업장 외부에서의 온실가스 감축실적을 인정해주는 제도

적 보완을 통해 서비스사업자들에게 실질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기업의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배출권거래제에서의 ‘상쇄

(Offset)’의 대상 범위에 정보통신사업자의 사업장 이외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감축실적 중 객관적 측정이 가능한 가계부문에서의 감축실적이 포함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ICT 서비스에 의한 가계부문에서의 온실가스 감축실적에 대한

모니터링 및 검·인증체계의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하며54) 사업장 외부에서의 감축

실적에 대한 ‘상쇄’ 인정 비중 확대 및 기준 완화 등의 보완조치도 온실가스 감축효과

의 관점에서는 물론 ICT 융합 녹색창조산업의 활성화의 맥락에서 적극적으로 고려

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55)

53) 산업계 대상의 온실가스 감축정책과는 달리 가계부문의 소비활동 즉 라이프스타일의 전환 관점에

서 추진되고 있는 온실가스 감축정책은 매우 제한적이다. 대표적인 가계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정책

으로는 탄소포인트제, 온실가스 감축 프로그램(그린터치 및 그린프린터 등)의 보급 등이 시행되고

있으나, 가계부문 소비활동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유발규모를 고려할 때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감축대책이 요구된다.

54) 최근 들어 ICT서비스에 의한 비ICT 섹터에서의 온실가스 감축실적 산정 방법의 객관화 및 표준화를

위한 노력이 ITU, GeSI 등 국제 통신관련 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 정보통신업체

들의 참여도 활발하다.(SK 텔레콤 외, 2013)

55) 2015년 시행 예정인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에서는 ‘상쇄’ 인정의 비중은 할당된 온실가스 배출권의

10% 이내의 범위로 제한되며 외부사업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실적은 상쇄배출권 한도의 50%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온실가스배출권의할당및거래에관한법률」 시행령 제 382조) ICT

융합 녹색창조산업의 활성화 관점에서 볼 때 국내에서의 가계부문 온실가스 감축실적 외에 해외

부문에서의 감축실적 인정 범위에 확대 문제도 서비스업의 해외 진출 관점에서 보다 전향적인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Page 85: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4장 ・ 정책방향 및 과제 ∣ 71

나. 그린 ICT 시범사업 추진 및 환경라벨링제도의 도입

그린 ICT 서비스의 시장기반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높거나

환경영향이 적은 그린 ICT 서비스에 대한 공적 인증을 토대로 환경라벨링 등을

통해 관련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방안도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56)

다만 ICT 서비스의 경우 간접적인 온실가스 감축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산정,

인증체계도 갖추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잠재력이 높은

그린 ICT 서비스사업을 선정하여57) 소지역 단위에서 시범사업 형태로 서비스의

전 과정 동안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변화 실적을 과학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산정하는 중앙정부/지방자치단체/민간서비스기업/주민 협업형태의 정부주도의

환경실증형 R&D 사업을 추진해 볼 필요가 있다. 실증 결과를 토대로 1단계 형태의

확장된58) 탄소성적표시제도(탄소배출량 인증59))을 도입, 중장기적으로 2단계 형

태의 탄소성적표시제도(저탄소서비스 인증60))으로 발전시키는 R&D-제도화 연계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56) 환경라벨링제도는 제품의 환경성에 대한 정보를 제품에 표시함으로써 소비자가 녹색제품을 선택·사용하게 하여 환경보전에 스스로 참여하게 하고 기업들로 하여금 환경친화적 제품의 개발 및

생산을 유도하기 위한 제도로서, 우리나라는 1992년 환경표지제도(type I)의 도입을 시작으로

1996년 환경성적표지제도(type III), 2009년 탄소성적표지제도(type III) 등을 각각 도입하여 시행

하고 있다. 환경부(2014), pp.486-490.

57) 이와 관련하여 정보재 성격 재화의 디지털콘텐츠로의 전환(전자책 등), 유형의 소비방식의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스마트러닝 등), 교통물류의 최적화에 의한 자원에너지 이용 절약(스마트 에코드라

이빙 내비게이션 등) 등 환경적 잠재력이 큰 사업분야를 설정하여 세부사업을 공모하는 방식 등이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

58) 서비스의 소비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가계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실적을 포함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식의 확장된 산정방식 적용

59) 제품 또는 서비스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한 제품이나 서비스

에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

60) 탄소배출량 인증을 받은 제품 중 그 배출량이 동종 제품군의 평균배출량보다 낮거나 국가 중기

온실가스 감축목표(3년간 2.4%)보다 높은 감축률을 달성한 것으로 인증된 제품. 환경부(2014),

p.490.

Page 86: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72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다. 인터넷 쇼핑몰 상품환경정보 검색시스템의 개발·보급

ICT는 소비매체의 다양화를 주도하고 있다. 4장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

폰 사용자의 79.3%가 인터넷 쇼핑을 이용하여 상품 소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인터넷 쇼핑으로 인해 개인의 총 소비량이 증가하였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33.7%로

서 총 소비량이 감소하였다는 응답 비율 25.8%를 상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소비활동에 있어 ICT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ICT 기반의 소비활동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고는 지속가능한

소비의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인터넷 쇼핑의 확대에 따른 상품 배송에 따른 자원과 에너지의 소비도 지속

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4장의 설문조사 결과 분석에 따르면 인터넷 쇼핑의 확대에

따라 오프라인 쇼핑의 빈도 및 이동거리는 다소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원격지 쇼핑이 가능한 인터넷 쇼핑의 특성을 감안할 때 상품의 배송 횟수 및 이동거

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배송의 효율성 및 환경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61) 특히 최근 들어서는 해외 인터넷쇼핑몰을 이용하여 상품을 직접

구입하는 소위 ‘해외 직구’가 증가하는 추세로서62) 에너지 이용 부하가 높은 항공운

송의 증가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디지털 기반의 소비활동과 관련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의 환경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유용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4장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인터넷 쇼핑과정에서 환경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24.8%(충분한 정보를 제공받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3.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

61) Erdmann et al.(2004), p.23의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에서도, ICT의 발달이 여객수송은 감소시키

는 방향으로 작용하지만 화물수송은 증가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2) 2001년 전체 소비재 수입액의 0.07%에 불과하던 해외직구(해외로부터 직접 구매) 금액이 2013년

전체 소비재 수입액의 1.8%에 달하는 10억 달러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송화물 및

우편화물로 반입된 전자상거래 물품 중 세관장에 수입 신고하여 통관된 물품의 통계로서, 100달러

이하 목록 통관 및 600달러 미만 간이통관 물품은 제외된 수치이다. 의류 등 목록통관 품목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실제 해외직구 규모를 합산할 경우 해외직구의 수치는 이를 훨씬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중구,이혜림(2014), p.3.

Page 87: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4장 ・ 정책방향 및 과제 ∣ 73

으며, 제공받은 정보의 내용 역시 구매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터넷 쇼핑은 환경정책의 관점에서 보면 상품 환경정보에 대한 실시간 정보

검색 및 비교를 통해 소비자 의사결정의 환경적 최적화를 달성할 수 있는 소비영역

일 수 있다. 따라서 소비매체로서 인터넷 쇼핑의 역할과 비중 확대는 과학적인 정보

에 기반한 소비자 의사결정의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현재 대형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품 선택과정에서 소비자는 동종 상품

의 가격비교가 실시간으로 가능하다.

이에 착안하여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품 환경성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실시간

검색에 의해 환경적 목적에서 상품의 비교를 가능하도록 하는 상품환경정보 검색시

스템의 활용을 유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63) 이를 위해서는 인터넷 쇼핑

몰 사업자, 소비자 단체 등이 참여하는 방식의 정부 주도 R&D사업 형태의 개발

및 활용 연계전략을 추진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되는 친환경 인증제품의 검색 및 친환경 위장제품 선별 시스템

의 개발에 초점을 두는 시범사업 형태의 사업화를 추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라. 그린 ICT 서비스의 인프라 구축

그린 ICT 서비스의 확산을 위해서는 인센티브 부여 등을 통한 진작 정책과 병행

하여 서비스 활성화의 기반을 조성하고 장애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정책적 고려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스마트워크와 스마트러닝

등과 같이 오프라인 대체효과가 구체화될 경우 환경개선 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63) 정부는 친환경 소비 촉진을 위한 다양한 환경정책 수단을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정부의 친환경

소비 촉진 정책은 친환경 인증제품의 소비 촉진을 위한 (인증)정보의 제공, 우선/의무 구매, 유통망

확충 등의 지원 및 규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최근 들어서는 제품의 친환경 위장(그린

워싱)에 대한 세부 기준을 마련하고 감시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의

개정(2014. 9. 25 발효)이 이루어져 친환경위장 제품에 대한 환경정책 차원의 관리기반이 마련되고

있다. ICT 기반의 소비활동과 관련해서도 친환경 소비 촉진 정책은 친환경 인증제품의 인터넷

쇼핑몰 개설·운영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Page 88: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74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예상되는 서비스의 활용 촉진을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스마트워크의 경우 설문조사 및 사례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자원

및 에너지의 이용 절감 측면에서 상당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일부 기업에서

의 제한적 활용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의 특성에 따라 스마트워크의 도입

자체가 제한될 수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다른 ICT 서비스와 비교할

때 확산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기업의 스마트워크 확산을 위해서는

공공기관의 스마트워크 도입 촉진을 통해 우수 사례를 확산시키는 방안 등 정부의

시범적 역할이 중요해 보이며, 스마트워크의 유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지방

소재 기업을 위한 스마트워크 가이드라인의 마련·보급, 지역 거점별 공용 스마트워

크센터의 설치 등의 인프라 확충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스마트교육서비스 분야 역시 민간 사이버교육기관과 더불어 정부 및 공공기관에

서의 사이버교육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전문 교육기관에서의 활용은 본격

화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 유발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64) 민간 교육기관의 스마트러닝시스템 도입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적

고려도 필요할 것이다.65) 스마트러닝 방식의 학원 운영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설치·운영을 확대해 나가는 방안과 더불어 기존 교육기관에서의 교육방식을

스마트러닝 방식으로 전환하도록 유인하기 위한 서비스시스템의 개발 및 보급 확

대, 설치·운영 또는 인증 요건에의 스마트러닝시스템 도입 수준 반영 등 범부처

차원의 통합적 접근이 요구되는 과제라 할 수 있다.

64) 김용건 외(2012)는 가계분문 소비에 따른 온실가스 유발 정도에 의한 분석을 통해 민간부문 교육서

비스 분야의 온실가스 유발효과가 높은 수준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서비스 분야에서

의 스마트러닝 도입이 친환경적으로 설계·활성화될 경우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는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65) 민간 교육기관 특히 초·중·고등 교육을 위한 사설 학원학교에서의 스마트러닝 활성화는 사교육비

절감 측면에서도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Page 89: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4장 ・ 정책방향 및 과제 ∣ 75

마.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 확산

라이프스타일의 전환을 위해서는 소비자의 인식과 태도의 변화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SNS 등 디지털 기반의 환경이슈와 정보의 공유는 일방적 정보 제공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기존의 환경교육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환경교

육 매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녹색 라이프스타일 경험 등과 같은

소비자 관점에서의 유용성이 높은 콘텐츠의 발굴을 통한 공유 정보의 가치 제고

노력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스마트 폰 기반의 센서네트워크를 활용한 녹색 라이프스타일 확산 방안에 대해서

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스마트폰 센싱은 사용자의 주거 환경 및 에너지 사용

행태 등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의 실시간 확인 및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

로서, 2장의 사례 분석을 통해서도 확인된 바와 같이, 친환경 소비, 환경보전활동

실천, 생활환경 관리 참여 등의 적극적 관점에서의 녹색 라이프스타일 확산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age 90: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76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제5장 · 결론∣ICT는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을 위한 중요한 매개가 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디지털화에 따른 물질자원 이용 감소(대체효과), 의사결정지원도구로서

의 자원·에너지 효율성 증진(최적화 효과) 등의 긍정적 효과 창출이 가능할 뿐 아니

라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련 경험과 정보의 공유·확산을 촉진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ICT의 잠재력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ICT의 소비에 따른 부정적인 환경 영향도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날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ICT의 생산·유통을 위한 환경자원의 훼손 문제와

더불어 ICT의 소비·폐기에 따른 에너지의 이용과 환경오염물질 배출도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화에 따른 물질자원의 이용 촉진(보완효과), 효율 향상에 따른 추가적

소비 유발(리바운드 효과) 등의 역효과 발생 우려도 상존한다.

선행 연구 및 사례에 대한 검토결과를 종합해 볼 때 ICT의 환경 영향과 잠재력은

ICT의 경제·기술적 특성과 더불어 ICT의 확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의

행태와 사회문화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정리될 수 있다. ICT의

적용 대상과 방법에 따라 효과의 내용과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ICT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ICT를

통한 대체효과와 최적화 효과는 서비스의 디지털화가 기술적으로 용이한 분야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서비스의 활성화가 충분하지 못할 경우 오히려 자원의

추가적 이용을 유발한다는 응답 비율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서비스의

활성화 수준이 낮을수록 오프라인 서비스와의 비효율적 공존에 따른 역효과의 부작

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책적으로는 그린 ICT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기반 조성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디지털 기반의 소비활동에 대한 환경관리의 실효

성 담보 노력과 더불어 녹색 라이프스타일 정보와 경험의 공유·확산을 위한 ICT의

Page 91: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제5장 ・ 결론 ∣ 77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ICT

서비스의 라이프사이클 전 과정과 관련한 직·간접적 환경효과에 대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측정체계의 구축과 더불어 정량적 평가모형의 개발을 위한 후속 연

구의 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age 92: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Page 93: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참고문헌 ∣ 79

∣참고문헌∣<국문 자료>

강중구, 이혜림. 2014. “해외직구 규모 아직 작지만 소비시장 장벽 허물어지고 있다”. 「LG

Business Insight」. 2: 26.김용건 외. 2012. 「저탄소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소비행태 조사 및 분석모형 개발·운용 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김유진, 한억수, 김태완. 2009. “그린 IT를 위한 친환경 통신 기술 동향 및 전망”. 「주간기술

동향통권」09(1412): 25-35.

김준형, 엄정섭. 2011. “실시간 교통정보 이용에 따른 가솔린 차량의 온실가스 저감효과

평가”.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7(4): 443-453.

매일경제 IoT 혁명 프로젝트팀. 2014. 「사물인터넷 클라우드와 빅데이터를 뛰어넘는 거대한

연결」.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2013년 에너지 통계연보」.서기만, 장재현. 2011. “스마트 워크, 외부 효과에 주목해야”. 「LG Business Insight」

5(4): 17-26.

제러미 리프킨. 2012. 「3차 산업혁명(안진환 역)」. 서울: 민음사(원저 2011 출판).

최진석 외. 2002. 「디지털경제의 발전에 따른 환경정책 과제와 대응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통계청. 각 년도. 「전자상거래 및 사이버쇼핑 동향」.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인터넷이용실태조사요약보고서」.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스마트워크우수사례집」.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각 년도. 「광업・광산물 통계연보」.______. 각 년도. 「무선인터넷이용실태조사」.환경부. 2014. 「환경백서」.SK 텔레콤.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국립전파연구원. 2013. 「정보통신 기반의 사회적 온실

가스 감축 잠재량 산정 연구」.

Page 94: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80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영문 자료>

Aebischer, B., A. Huser. 2000. “Networking in private households: Impacts on

electricity consumption”. Swiss Federal Office of Energy.

Ahola, Jussi. et al. 2010. ICT for Environmental Substantiality, Green ICT Roadmap.

Andreopoulou, Zacharoula. 2012. “Green Informatics: ICT for Green and

Substantiality”. Agricultural Informatics, 3(2): 1-8.

Berkhout, Frans. and J. Hertin, 2004. “De-materialising and re-materialising:

digital technologies and the environment”. Futures, 36(8) 903-920.

BSR and CTIA. 2011. Wireless and the Environment: A review of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Chosun Ilbo. 2012.1.25. “90% of iPhone Parts Made Overseas”.

http://english.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1/25/2012012500724.html. Accessed

Oct, 15, 2014.

Cohn, N. 2011. “The power of navigation and realtime traffic: reduced congestion

+ reduced CO2 emissions = smart cities”. Texas Transportation Institute Urban

Mobility Report. p.2, 7.

Elliot, Steve. 2007. “Environmentally Sustainable ICT: A Critical Topic for IS

Research?” PACIS 2007 Proceedings, 114: 100-112.

EPA. 2014. Municipal Solid Waste Generation, Recycling, and Disposal in the United

States Tables and Figures for 2012

Erdmann, L et al. 2004. “The Future Impact of ICTs on Environmental

Substantiality”. European Commission.

Fuchs, Christian, 2008. “The implications of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substantiality”. Environ Dev Sustain, 10: 291-309

GeSI, and BCG. 2008. SMART 2020: Enabling the low carbon Economy in the

Information Age.

GeSI, and BCG. 2012. GeSI SMARTer 2020: The Role of ICT in Driving a Sustainable

Future.

Page 95: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참고문헌 ∣ 81

Hilty, Lorenz et al. 2007. “The Role of ICT in Energy Consumption and Energy

Efficiency”. EMPA.

Hilty, Lorenz and T. Ruddy. 2000. “Towards a sustainable information society”.

Informatique, 2-9.

James, P, and L. Hopkinson. 2008. “Sustainable ICT in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A Report for the Joint Information Service Committee.

Liu, M. 2013. “A Study of Mobile Sensing Using Smartpones”. International journal

of distributed sensor, vol. 2013.

Lundgren, K. 2012. "The global impact of e-waste: Addressing the challenge" ILO.

Martin, E, and S. Shaheen. 2011. “The Impact of Carsharing on Household Vehicle

Ownership”. ACCESS: the Magazine of UCTC. 38: 22-27.

Matthews, H., and C. Hendrickson. 2001.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online retailing in the United States”. 15th International Symposium

Informatic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Zurich, pp.65-72.

Mun, M. et al. 2009. “Peir, the Personal Environmental Impact Report, as a Platform

for Participatory Sensing Systems Research”. Proc. 7th ACM MobiSys, 55–68.OECD. 2010. OECD Information Technology Outlook.

Plepys, A. 2002. “The grey side of ICT”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Review,

22: 509-523

Rana, R. et al. 2010. “Ear-Phone: An end-to-End participatory Urban Noise

Mapping”. Proc. 9th ACM/IEEE IPSN.

Rattle, R. 2010. Computing our way to paradise? AltaMira Press.

Tomlinson, B. 2010. Greening through ICT. Cambridge, MA: MIT Press.

Page 96: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82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홈페이지>

CENS/UCLA. 「Participatory Sensing/ Urban Sensing Projects」.

http://research.cens.ucla.edu

Good Guide 홈페이지. http://goodguide.com greenerchoices.org, montereybayaquarium.org

[2014.09.01.]

Greener Choices 홈페이지. http://greenerchoices.org [2014.09.01.]

Monterey bay aquarium 홈페이지. http://montereybayaquarium.org [2014.09.01.]

Personal Environmental Impact Report(PEIR).

http://www.cens.ucla.edu/urbansensing [2014.09.29].

Recrib. www.recrib.com [2014.09.18]

UCLA Center for Embedded Network Sensing 홈페이지. http://cens.ucla.edu/

[2014.09.01.]

국가에너지통계종합정보시스템, 2014. http://www.kesis.net/index1.jsp

국가통계포털, 2014. http://kosis.kr/

기브 홈페이지. www.givenu.com [2014.09.18]

번개장터. www.bunjang.co.kr [2014.09.29]

법률 12154호,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 2014. 1. 1.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49353&efYd=20140101#0000

[2014.09.01.]

빌리지. www.biliji.com [2014.09.29]

에어비앤비. www.airbnb.co.kr [2014.09.18]

엔(N)마켓. www.blog.nmarket.co.kr [2014.09.18]

열린옷장. www.theopencloset.net [2014.09.18]

옥션 중고장터. www.corners.auction.co.kr/corner/usedmarket [2014.09.18]

중고나라 공식 어플리케이션.

http://nstore.naver.com/appstore/web/detail.nhn?productNo=1538886

[2014.09.28]

중고나라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joonggonara/234394149

Page 97: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참고문헌 ∣ 83

친환경운전 홈페이지. 「자동차 연료 절감, 실시간 내비게이션도 큰 몫 한다」. http://www.eco-drive.or.kr/2011/data/data05_view.php?proc=v&find=&search=

&board_idx=12&pidx=&idx=92282&board_idx=12&pidx= [2014.09.01.]

키플. www.kiple.net [2014.09.18]

티클 홈페이지. http://www.tikle.co.kr/ [2014.10.20]

헬로마켓 어플리케이션.

http://nstore.naver.com/appstore/web/detail.nhn?productNo=421550&sr=ps

[2014.09.18]

헬로마켓 홈페이지. www.hellomarket.com [2014.09.18]

Page 98: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Page 99: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부록 ∣ 85

∣부록 · 설문조사 응답자 특성, 설문 문항∣1. 설문 응답자 특성

가. 결혼여부

구분 전체

1. 미혼 35.1% (351명)

2. 기혼 64.9% (648명)

<표 부록 1> 응답자의 결혼여부

나. 고용형태

구분 전체

1. 자영업 14.1% (141명)

2. 정규직 및 비정규직

(계약직, 임시직, 파견용역, 기간제, 시간제,

일일근로, 특수형태근로 등 포함)

54.8% (547명)

3. 퇴직 0.7% (7명)

4. 전업주부 15.7% (157명)

5. 구직 중 (학생 제외) 3% (30명)

6. 학생 10.3% (103명)

7. 노동이 불가능한 상태 1.4% (14명)

<표 부록 2> 응답자의 고용형태

Page 100: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86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다. 월간 평균 소득

구분 전체

1. 100만 원 이하 16.9% (169명)

2. 101-150만 원 9.8% (98명)

3. 151-200만 원 10.9% (109명)

4. 201-250만 원 16.1% (161명)

5. 251-300만 원 11.1% (111명)

6. 301-400만 원 14.5% (145명)

7. 401만 원 이상 14.7% (147명)

8. 모름/무응답 5.9% (59명)

<표 부록 3> 응답자의 월간 평균 소득

라. 학력

구분 전체

1. 중학교 졸업 이하 1.7% (17명)

2. 고등학교 졸업 및 재학 24.4% (244명)

3. 대학교 졸업 및 재학 (2년제 포함) 57% (569명)

4. 대학원 졸업 및 재학 이상 16.9% (169명)

<표 부록 4> 응답자의 학력

마. 거주 지역

구분 전체

1. 대도시 57.3% (572명)

2. 중/소도시 35.1% (351명)

3. 농어촌 (군 이하 지역 거주) 6.4% (64명)

4. 도서지역 1.2% (12명)

<표 부록 5> 응답자의 거주 지역

Page 101: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부록 ∣ 87

2. 설문 문항

번호 문항 유형 문항 정보

1 단일 선택 [응답자 기본 정보] 귀하의 결혼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

2 단일 선택 [응답자 기본 정보] 귀하의 고용형태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됩니까?

3 단일 선택 [응답자 기본 정보] 귀하의 한달 평균소득은 얼마인가요? 보너스, 은행이자

등을 모두 포함하여 말씀해 주세요.

4 단일 선택 [응답자 기본 정보] 귀하의 학력은?

5 단일 선택 [응답자 기본 정보] 귀하께서 현재 살고 있는 지역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십

니까?

6 복수 선택 [인터넷 및 모바일 기기 사용관련 질문] 아래의 인터넷 및 모바일기기

이용 중 귀하가 이용하고 있는 활동은 무엇인지 해당되는 것에 모두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7 단일 선택 [인터넷 및 모바일 기기 사용관련 질문] 귀하의 한 달 평균 정보통신 이용(휴

대폰, 무선단말기, 인터넷 등)과 관련된 요금은 얼마입니까?

8 단일 선택 [교통관련 질문] 귀하가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출퇴근, 등·하교, 개인업무

등)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한 가지만 선택해주십시오.

9 단일 선택 [교통관련 질문] 귀하의 한 달 평균 유류비는 얼마입니까?

10 복수 선택 [교통관련 질문] 귀하는 최근 1년간 아래 활동 중 어떠한 활동을 수행하셨습

니까? 해당하는 것에 모두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11 단일 선택 [교통관련 질문] 귀하는 카풀 어플리케이션이 카풀의 이용을 장려하였다고

생각하십니까?

12 평가 문항 [교통관련 질문] 귀하는 스마트내비게이션과 같은 ICT 기기가 에코드라이

빙을 유도한다고 생각하십니까?

13 단일 선택 [교통관련 질문] 귀하의 실시간 스마트내비게이션의 사용으로 인해 월 총

운행거리 및 연료의 사용에는 변화가 있었습니까?

14 단일 선택 [교통관련 질문] 귀하는 버스운행 관련 정보 서비스가 대중교통 이용 장려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 하십니까?(이용 장려에 따라 0부터 10 으로 표기)

15 단일 선택 [교통관련 질문] ICT 기기 및 서비스의 이용으로 인해 출퇴근 교통수단에

변화가 있습니까?

16 복수 선택 [스마트워크] 귀하는 현재 시행하고 있는 스마트워크 제도를 얼마나 이용하

고 있습니까? 해당하는 것에 모두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17 단일 선택 [스마트워크] 귀하의 원격 근무로 인해 총 교통량에는 변화가 있었습니까?

18 단일 선택 [인터넷쇼핑 관련 질문] 귀하는 최근 1년간 인터넷쇼핑(모바일 전자거래

포함)으로 인해 오프라인 쇼핑 빈도수 및 쇼핑으로 인한 총 주행거리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었습니까?

<표 부록 6> 설문 문항 정보

Page 102: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88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표 부록 6> 설문 문항 정보 (계속)

번호 문항 유형 문항 정보

19 단일 선택[인터넷쇼핑 관련 질문] 귀하는 인터넷 쇼핑으로 인해 총소비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었습니까?

20 단일 선택 [인터넷쇼핑 관련 질문] 귀하는 인터넷쇼핑을 하는 과정에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환경정보(에너지효율등급, 환경표지제품, 우수재활용(GR)제품, 친환경농

산물 등)를 어떻게 제공 받으셨습니까?

- 환경표지인증제품은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제17조에 따라 전과정적으

로 환경성이 우수한 제품입니다.

- GR마크인증제품은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33조 및

「산업 기술 혁신 촉진법」 제15조에 따라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제조한 제품

가운데 품질이 우수한 제품입니다.

21 평가 문항 [인터넷쇼핑 관련 질문] 제공받으신 환경정보(에너지효율등급, 환경표지제품,

우수재활용(GR)제품, 친환경농산물 등)가 귀하의 구매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습니까?

22 단일 선택 [스마트 교육 관련 질문] 귀하는 스마트 교육의 수강으로 인해, 기존 학원 및

과외와 같은 오프라인 수강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습니까?

23 평가 문항 [디지털콘텐츠 관련 질문] 귀하는 최근 1년간 디지털 콘텐츠(e-book, 디지털음악

등)를 얼마나 자주 이용하십니까?

24 단일 선택 [디지털콘텐츠 관련 질문] 귀하는 e-book의 사용으로 인해 종이책 및 종이사용량

에 어떠한 변화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25 단일 선택 [디지털콘텐츠 관련 질문] 귀하는 음악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으로 인해 CD 및

음악테이프의 사용량에 어떠한 변화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26 단일 선택 [디지털콘텐츠 관련 질문] 귀하의 인터넷에서의 뉴스 소비로 인해 종이 신문

사용량에 어떠한 변화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27 단일 선택 [디지털콘텐츠 관련 질문] 귀하의 디지털사진의 사용으로 인해 사진인화량에

어떠한 변화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28 단일 선택 [SNS페이지 사용 관련 질문] 귀하가 현재 SNS 계정(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의

SNS 포함)을 보유하고 있다면, 이와 같은 SNS의 활동으로 인해 사람들을 대면하고

만날 수 있는 기회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었습니까? 다음 중 한 가지만 선택해

주십시오.

29 단일 선택 [SNS페이지 사용 관련 질문] 귀하는 SNS활동을 통해 환경관련(대기, 수질,

폐기물, 기후변화대응, 온실가스, 자원순환촉진, 생태계 등) 정보 및 이슈를

공유하는 활동을 하고 계십니까? 다음 중 한 가지만 선택해 주십시오.

30 단일 선택 [SNS페이지 사용 관련 질문] 귀하는 SNS를 통해 환경 관련 게재글을 접한 후

실질적으로 얼마나 환경친화적인 활동(에너지절약, 친환경상품소비, 재활용,

대중교통이용, 천연자원의 사용줄임 등)을 합니까?

31 단일 선택 [어플 사용 관련 질문] 귀하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환경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합니까? 해당하는 것에 모두 선택해주시기 바랍니다.

32 평가 문항 [어플 사용 관련 질문]귀하는 이와 같은 어플이 생활에 얼마나 유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Page 103: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부록 ∣ 89

<표 부록 6> 설문 문항 정보 (계속)

번호 문항 유형 문항 정보

33 복수 선택 [ICT 장비 폐기관련 질문] 귀하는 사용한 ICT 장비(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

등)를 주로 어떻게 폐기 하십니까? 다음 중 3가지 이내로 선택해 주십시오.

34 단일 선택 [ICT 장비 폐기관련 질문] 귀하가 최근 2년 이내에 ICT 기기 및 스마트폰을

교체하셨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다음 중 한 가지만 선택해 주십시오.

35 평가 문항 [소비행태 관련 질문] 귀하의 소비행태는 어떠합니까?- 절약: 꼭 필요한

물건만 소비, 저축(미래의 소비)를 위한 노력- 소비: 충분한 소비를 통해

욕구 충족, 현재의 소비 중요

36 평가 문항 [소비행태 관련 질문] ICT 기기의 활용이 귀하의 소비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습니까?

- 절약유도: ICT 기기로 인해 인터넷쇼핑 시 가격 및 품질 비교가 가능해지면

서 합리적인 소비를 하게 되고, 오프라인 쇼핑에 필요한 거리를 단축시켜

이동거리의 감축을 유도하였다. 또한 카쉐어링 및 대중교통 어플의 사용을

통해 자가 운전 대신 대중교통을 활용하게 되고 같은 목적지를 가진 사람과

차량을 공유하게 되면서 연료 및 비용면에서의 절약을 하게 되었다.

- 소비유도: ICT 기기로 인해 온라인을 통해 쉽고 빠르게 물품구매가 가능해

지면서, 해외로부터 더 많은 물건을 구매하는 경우도 빈번해지고, 스마트

내비게이션의 빠른 길 안내를 통해 이동시 자가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가

더 많아 짐으로 인해 더 많은 소비를 유도하였다.

37 복수 선택 [소비행태 관련 질문] 다음 중 귀하가 자주 하는 행동은 무엇입니까? 해당하는

것에 모두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38 복수 선택 [정책관련 질문] 다음의 자동차 에너지소비(탄소배출량) 절감을 위한 정부의

역할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세 가지만 선택해 주십시오.

39 복수 선택 [정책관련 질문] 다음의 가정 내 에너지 사용의 절감을 위한 정부의 역할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세 가지만 선택해 주십시오.

40 평가 문항 [정책관련 질문] 귀하는 다음 중 ‘환경보호를 위하여 내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를 감당할 의향이 있다.’라는 의견에 어느 정도 동의하십니까?

Page 104: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Page 105: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Abstract ∣ 91

Abstract

Integrating ICT Solutions to Create Sustainable Living

This research reviews potential impacts of ICT on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people’s behavior chang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survey

targeting ICT users and policy assessment, this paper explores people’s

changing behaviors follow by increased ICT consumption and how these

changes could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aper also suggests

policy and strategies with an environmental policy perspective. Focusing

people’s lifestyle changes in household, this paper argues positive and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s due to increased ICT consumption and consumers’

behaviors.

The findings reveal that both of technic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resources and the environment through the development

of ICT and consuming behaviors. As ICT consumption increases, measuring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ICT are highlighted. This research gives more

weight to the indirect impact by carefully looking through consumers’

behaviors along with case studies. Even though ICT could be a useful tool

to considerable reductions in energy consumption through providing and

sharing information, consumers’ behavior concerning the environment is highly

required to achieve the goal.

Even though ICT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n the environment,

people’s behavior can lead positive impacts such as dematerialization,

Page 106: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92 ∣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transportation reduction, and greater energy efficiency. However negative

impacts such as ICT production, energy consumption in use and rebound effect

still exist. Therefore, consumers’ behavior and policies are the factors to cause

these different impacts. As consumers’ behavior takes an important part to

promote the sustainable lifestyle, the role of government could be an effective

method to encourage people to make decisions with environmental concerns.

Therefore, ICT sustainability plan suggested by policy makers would be a way

to promote eco-friendly consumption and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In order to promote Green ICT service, policy on demand management,

which minimizes rebound effects of ICT, is needed to be proposed. To do this,

further researches on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model including indirect

and systemic impact along with the scientific analysis of the environment effects

are required to be conducted. Impacts of ICT can be various depend on

consumers’ ICT usage with eco-friendly perspective.

Key words: ICT, Environment, Lifestyle, Sustainable, Consumers' behavior,

Digitalization

Page 107: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 저자 약력 |

장기복

KAIST 경영과학박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현)

E-mail: [email protected]

주요 논문 및 보고서

「환경보전중기종합계획 수립 연구」(201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부)

「국가중기재정계획 연구-환경 분야」(2014.11, 기획재정부, KDI)

An Optimal Tax/Subsidy for Pollution Control under Asymmetric Information in an Oligopoly

Market,(1993,Journal of Regulatory Economics)

강해나

런던정경대학교 정책학(젠더) 석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현)

E mail : [email protected]

김민준

연세대학교 경제학 석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현)

E-mail : [email protected]

김동우

한국과학기술원 경영과학과 박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전자통신공학과 교수(현)

Email : [email protected]

Page 108: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Page 109: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KEI 연구보고서 목록∣2009~2014

연구보고서/기본연구

2014년 2014-01 빅데이터를 활용한 환경분야 정책수요 분석 (이미숙, 이창훈)

2014-02 도시하천의 물환경서비스 제고를 위한 물인프라 자산관리 방안 연구 (강형식)

2014-03 폐금속자원 재활용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중소기업 상생 방안 (이희선)

2014-04 위해성 평가의 정책 활용도 제고를 위한 화학물질 Action Plan 수립 연구 (Ⅱ)

(서양원, 박정규)

2014-05 전략환경평가제도의 실효적 운용 방안 연구 (Ⅱ) - 정책계획의 평가 실무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이영준)

2014-06 기후변화 적응형 공간계획방법의 개발과 모의적용 연구 (Ⅱ) (김동현)

2014-07 동북아 환경재난대응 지역협력 방안 연구 (추장민)

2014-08 환경복지 지표 및 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김종호, 추장민)

2014-09 사업장배출허용기준 강화가 환경기술 개발 및 배출량 저감에 미친 영향 (공성용)

2014-10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촉진 정책 연구 (장기복)

2014-11 비점오염원 관리 실효성 제고를 위한 토지 소유・이용자의 합리적 책임부여 방안

연구 (김호정)

2014-12 물환경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유해녹조 대응체계 및 정책 개선방안 연구 (한혜진)

2014-13 지속가능한 상하수도 재정체계구축 및 운용방안 연구 (Ⅱ) (문현주)

2014-14 지속가능한 지표수-지하수 혼합대 관리방안 (현윤정)

2014-15 자원순환형 사회를 위한 법체계 정비 방안 연구 (한상운)

2014-16 코호트 자료를 이용한 대기오염의 만성건강영향 평가체계 구축 (배현주)

2014-17 층간소음 분쟁 완화를 위한 관리방안 연구 (박영민)

2014-18 저영향개발(LID) 기법의 환경영향평가 적용 방안 (이진희)

2014-19 기후변화 폭염 대응을 위한 중장기적 적응대책 수립 연구 (하종식, 정휘철)

2014-20 지표 기반 접근법을 이용한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 분석 및 전망 (Ⅰ) (채여라)

2014-21 SDGs 관점의 물인권 지원을 위한 한국의 ODA 전략방향 연구 (조을생)

2014-22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미래 대기질 영향과 대응을 위한 국제공동연구 (Ⅰ) (심창섭)

2014-23 [협동] 생물자원에 대한 접근과 이익공유 실행을 위한 지역모델 개발 Ⅱ (이현우)

2013년 2013-01 환경재정 DB 및 성과분석모형 구축 (장기복)

2013-02 미래지향적 물환경 목표와 관리체계 연구 (이병국)

2013-03 위해성 평가의 정책 활용도 제고를 위한 화학물질 Action Plan 수립 연구(Ⅰ) (서양원)

2013-04 전략환경평가제도의 실효적 운용방안 연구(Ⅰ) - 정책계획의 수립절차 및 특성을

중심으로 (유헌석)

2013-05 기후변화 적응형 공간계획방법의 개발과 모의적용 연구(Ⅰ) (김동현)

Page 110: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2013-06 해외 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강화에 관한 연구 (정우현)

2013-07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이행 및 평가를 위한 지수체계 개발 (안소은)

2013-08 자원・환경위기 시대에 대비한 에너지가격 개편 추진전략 연구(Ⅱ) (강만옥)

2013-09 초미세먼지(PM2.5)의 건강영향평가 및 관리정책 연구(Ⅱ) (공성용)

2013-10 물환경 관리여건 변화를 고려한 수질오염 총량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김호정)

2013-11 지속가능한 상하수도 재정체계 구축 및 운용방안 연구 (문현주)

2013-12 지표수-지하수 혼합대의 환경측면 및 관리범주 연구 (현윤정)

2013-13 희토류자석의 자원순환 활성화를 위한 폐자원흐름의 분석 (조지혜)

2013-14 종량제 생활폐기물 처리의 배출자부담원칙 확대 적용 방안 (이희선)

2013-15 환경보건 감시체계를 활용한 지역 특성별 환경정책수립 연구 (배현주)

2013-16 산업단지 환경영향평가의 건강 사회분야 평가강화 방안 (이영수)

2013-17 대규모 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선방안 (조공장)

2013-18 기후변화 적응정책 이행의 효과성 제고 방안 (명수정)

2013-19 가뭄 유형별 기후변화 적응정책 연구 (김연주)

2013-20 해외 생물자원 전통지식의 지속가능한 활용전략 연구 (오일찬)

2013-21 [협동] 한반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남북협력기반 구축 연구(Ⅲ) (명수정)

2013-22 [협동] 국가 해수면 상승 사회・경제적 영향평가(Ⅲ) (조광우)

2013-23 [협동] 생물자원에 대한 접근과 이익공유 실행을 위한 지역모델 개발 (이현우)

2012년 2012-01 부문별 기후변화 적응대책 우선순위 평가 연구 (채여라 외)

2012-02 온실가스 목표관리제와의 연계를 고려한 국내 배출권거래제 세부운영방안 연구 (이상엽 외)

2012-03 초미세먼지(PM2.5)의 건강영향평가 및 관리정책 연구Ⅰ(공성용 외)

2012-04 4대강 물환경 개선 중심의 수량 및 수질 통합관리 정책 연구 (이병국 외)

2012-05 Rio+20 녹색경제 논의 대응 국가비전 및 발전방안 연구 (강상인 외)

2012-06 국가 환경보건지표로서 환경성질병부담 도입방안 (신용승 외)

2012-07 국제환경협력사업 내실화를 위한 국가전략 개발 (이 윤 외)

2012-08 기후변화 적응 정보 통합지원 체계구축에 관한 연구 (전성우 외)

2012-09 기후변화를 고려한 지류하천 관리 및 수생태 복원 방향 (강형식 외)

2012-10 기후변화에 따른 화학물질 위해성 관리방안 Ⅱ (박정규, 서양원)

2012-11 기후변화 적응형 도시구현을 위한 그린인프라 전략 연구 (강정은 외)

2012-12 물발자국 개념의 정책적 도입과 활용방안 (노태호 외)

2012-13 상하수도시스템의 기후변화 적응전략 및 적응비용 추정 연구 (안종호 외)

2012-14 자원・환경위기 시대에 대비한 에너지가격 개편 추진전략 연구 (강만옥 외)

2012-15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정우현 외)

2012-16 환경정책 파급효과 분석을 위한 일반균형 모형 개발 (강성원 외)

2012-17 중장기 생물다양성 전략 추진체계 연구 (이현우 외)

2012-18 [협동] 한반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남북협력 기반 구축 연구 Ⅱ (명수정 외)

2012-19 [협동] 국가 해수면 상승 사회・경제적 영향평가 Ⅱ (조광우 외)

Page 111: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2011년 2011-01 기후변화 통합영향평가모형 체계 개발: 정책연계모형개발을 중심으로 Ⅱ (전성우 외)

2011-02 지역성장과 연계한 수변지역의 친환경적 개발 방향 (김익재, 최희선 외)

2011-03 탄소세와 배출권거래제 연계를 통한 효율적 기후변화 대응 방안 (신상철, 박현주)

2011-04 국가적색목록 생물종의 보호를 위한 관리정책 연구 (이현우 외)

2011-0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토지이용예측 모델 개발 Ⅰ (한혜진)

2011-06 기후변화 적응대책 우선순위 평가 방법론 분석 (채여라, 조현주)

2011-07 기후변화 적응형 도시 리뉴얼 전략 수립: 그린인프라의 방재효과 및 적용방안 (강정은 외)

2011-08 기후변화에 따른 화학물질 위해성 관리방안 Ⅰ (박정규, 신용승)

2011-09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 연구: 사회경제적 변수에 따른 사망영향 (배현주 외)

2011-10 나노 물질의 안전관리를 위한 제도화방안 (홍용석 외)

2011-11 녹색기술 적용촉진을 위한 제도개선방안: 하수슬러지 및 고농도 액상폐기물을 중심으로

(최지용, 김창덕)

2011-12 물 재이용을 통한 도시하천 물순환개선 정책방안 (안종호 외)

2011-13 사회영향평가 지표 개발 및 운영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조공장 외)

2011-14 산업단지 공급계획의 대기분야 전략환경평가 기반구축 (문난경 외)

2011-15 저소득계층의 기후변화 적응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Ⅱ (추장민 외)

2011-16 특정대기유해물질 관리체계 정비방안 (공성용 외)

2011-17 폐금속자원 희유금속 자원순환 활성화를 위한 기술적・제도적 지원 방안 (이희선 외)

2011-18 하수처리장의 에너지 효율성 개선 방안 연구 (조을생 외)

2011-19 하천 정비사업의 수질 및 수생태계 분야 사후모니터링 방안에 관한 연구 (전동준 외)

2011-20 환경책임과 환경피해보험의 제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Ⅱ (한상운 외)

2011-21 [협동] 해양 유류유출사고의 중장기적 영향분석 및 제도개선 방안 Ⅲ (신용승 외)

2011-22 [협동] 한반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남북협력 기반 구축 연구Ⅰ(명수정 외)

2011-23 [협동] 국가 해수면 상승 사회・경제적 영향평가Ⅰ(조광우 외)

2011-24 개발사업의 종합환경영향평가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Ⅱ (유헌석 외)

2010년 2010-0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물산업 육성 정책방안 (김종호 외)

2010-02 기후변화 통합영향평가모형 체계 개발 : 정책연계모형개발을 중심으로 (전성우 외)

2010-03 녹색 생활양식 확산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방안 연구 (명수정 외)

2010-04 택지 및 산업단지 개발사업의 환경평가 단계별 성과분석 (신경희 외)

2010-05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폐기물 관리방안 연구 - 폐기물 부문의 온실가스 전과정 평가

(주현수 외)

2010-06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이 환경 관련 질환에 미치는 영향 - 기온상승과 오존농도 증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배현주 외)

2010-07 공유하천 물안보 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방안 (김익재 외)

2010-08 도서지역의 친환경적 용수공급계획 수립방안 (문유리 외)

2010-09 도시기본계획의 전략환경평가 방법론 연구 (조공장 외)

2010-10 폐금속자원 재활용 촉진을 위한 제도・기술적 방안 : 폐전자제품을 중심으로 (김광임 외)

2010-11 미래 녹색도시 구현을 위한 복합기능 도시습지의 복원 및 조성 방안 연구Ⅱ (방상원 외)

Page 112: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2010-12 물환경 거버넌스를 위한 의사결정체제 구축Ⅰ (이진희 외)

2010-13 법정보호 야생조류의 서식환경 평가방안 (노백호 외)

2010-14 식생과 토양의 역할을 고려한 저탄소 토지이용계획 수립 방안 Ⅱ (황상일 외)

2010-15 세대간 생체전이성 화학물질 현황 및 관리방향 (박정규)

2010-16 수변지역 도시재생에 있어 저영향개발기법(LID) 의 적용 방안 및 효과 (최희선 외)

2010-17 대기 중 이산화탄소 분포에 대한 이해 : 위성관측과 GEOS-Chem 결과를 중심으로

(심창섭)

2010-18 온실가스 배출권 초기할당 방식에 관한 연구 (김용건 외)

2010-19 저소득계층의 기후변화 적응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Ⅰ (추장민 외)

2010-20 지구온난화에 따른 지역규모 대기질 영향평가 Ⅱ (문난경 외)

2010-21 환경가치를 고려한 통합정책평가연구 Ⅱ (안소은 외)

2010-22 환경책임과 환경피해보험제도의 제도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상운, 박시원)

2010-23 [협동] 해양유류유출사고의 중장기적 영향분석 및 제도개선 방안 Ⅱ (신용승 외)

2010-24 개발사업의 종합환경영향 평가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유헌석 외)

2009년 2009-01 [협동] 도시지역 저소득계층 보호를 위한 환경정책연구 Ⅲ (추장민 외)

2009-02 [협동] 해양 유류유출사고의 중장기적 영향분석 및 제도개선 방안 (신용승 외)

2009-03 환경가치를 고려한 통합정책평가 연구 Ⅰ (안소은)

2009-04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배출권거래제 적용방안 연구 (문현주)

2009-05 하천 건전성 평가모델 LOCOPEM을 적용한 환경평가 예측기법 (노태호 외)

2009-06 환경평가를 활용한 토지이용계획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 도시 및 택지개발을 중심으로

(정주철 외)

2009-07 관광개발 다양화에 따른 친환경적 계획수립 및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사공희 외)

2009-08 Noise map을 활용한 환경소음의 관리방안 마련 (선효성 외)

2009-09 제품분류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직・간접 배출량 추정과 변화요인 분석 (공성용 외)

2009-10 기후변화 대응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가할당방안 연구 Ⅱ (이상엽 외)

2009-11 식생과 토양의 역할을 고려한 저탄소 토지이용계획 수립방안 Ⅰ (황상일 외)

2009-12 북한의 가뭄재해 취약지 분석 및 대응에 관한 연구 (명수정 외)

2009-1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물환경 관리 전략 및 정책방향 Ⅰ (김익재 외)

2009-14 지구온난화에 따른 지역규모 대기질 영향평가 Ⅰ (문난경 외)

2009-15 미래 녹색도시 구현을 위한 복합기능 도시습지의 복원 및 조성 방안 연구 Ⅰ (방상원 외)

2009-16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구축과 계획적 관리방안 Ⅱ (박창석 외)

2009-17 환경시장의 구조 변화와 정책 과제 (김종호 외)

2009-18 그린화학제도 활성화 및 산업체 지원방안 (박정규)

Page 113: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정책보고서/수시연구

2014년 2014-01 국내 살생물제(Biocide) 관리법 제정 방안 연구 (박정규)

2014-02 인구센서스를 활용한 사회적 약자 배려 환경영향평가방법론 개발 연구 (이상윤)

2014-03 기존시설 활용을 통한 효율적 도시 비점관리방안 연구: 산업단지, 공업지역 및

개별사업장을 중심으로 (한혜진)

2014-04 국가지질탐방로 도입 방안 연구 (이수재)

2014-05 오염정화토양의 재활용 촉진 및 반출정화 관리체계 개선 방안 연구 (황상일)

2014-06 자연환경보전 기본방침 수립을 위한 연구 (이현우)

2014-07 폐전기.전자제품 및 폐자동차의 자원순환 고도화 방안 마련 (신상철)

2014-08 육상풍력 개발사업 지형변화지수 연구 (김지영)

2014-09 초미세먼지로 인한 어린이 환경성 질환 영향 연구 (배현주)

2014-10 정책계획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위한 지표개발 (권영한)

2014-11 한반도 통합철도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전략)환경영향평가 방안 (전동준)

2014-12 라돈의 실내 공기질 규제에 따른 위해저감 효과 및 건강편익 산정 (신용승)

2014-13 가뭄재난 관리를 위한 용수공급 피해 분석 및 대응 연구 (김연주)

2014-14 법정관리 생태계교란식물의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한 환경영향평가 방안 (방상원)

2013년 2013-01 화학물질 사고대응을 위한 제도개선 연구 (박정규)

2013-02 국가환경지리정보의 환경영향평가 활용현황 및 개선방안 (이상범)

2013-03 환경감리제도 도입에 대한 타당성 분석 (전동준)

2013-04 제도 홍보 및 성과확산을 위한 ‘환경영향평가 연차보고서’ 발간 기획 연구 (박하늘)

2013-05 기후변화적응 홍보정책 전략 마련 연구 (하종식, 김동현)

2013-06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 평가 체계 및 자료 구축 방안 연구 (채여라)

2013-07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이미숙)

2013-08 자원순환정책 실효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과제 (한상운)

2013-09 수변지역 소규모 개발사업의 친환경적 관리방안 연구 (주용준)

2013-10 개도국 물인권 확립을 위한 Green ODA 활성화 방안 (이 윤)

2013-11 한-아세안 환경협력 전략 마련을 위한 사전연구 (강택구)

2013-12 석산개발지 입지유형별 복구 및 활용방안 (사공희)

2013-13 개도국 지속가능발전 역량강화사업의 발전방향 (조을생)

2013-14 동북아 대기오염 전망을 고려한 국내 석탄화력 발전 증설의 대기질 영향 분석 (심창섭)

2013-15 기후변화협약의 적응부문 논의동향과 우리나라의 대응방향 (명수정)

2013-16 도심지역 대심도 지하공간 개발의 환경영향과 정책 제언 (현윤정)

2013-17 온실가스 감축 관련 국가 계획 현황 및 개선방향 연구 (김이진)

2013-18 새만금 수질개선 방안 연구 - 용담댐 방류량을 중심으로 (김연주)

2013-19 한반도 「그린 데탕트」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추장민)

2013-20 국내 환경기술 수준과 EU BREFs 비교 및 BAT 도입시 비용사례분석 (공성용)

Page 114: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2012년 2012-01 Cities and Green Economy : Comparative Study of Korea, China and Japan (정우현 외)

2012-02 생물자원의 유용성 판단을 위한 기준 연구 (이현우, 김동욱)

2012-03 환경영향평가에 적용되는 3차원 소음예측모델의 가이드라인 마련 (선효성 외)

2012-04 환경갈등 예방을 위한 환경평가제도 개선 연구 - 환경영향평가 관련 소송 사례 분석을

통한 접근 (이영수 외)

2012-05 민간 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명수정 외)

2012-06 내륙 유도선 운항에 따른 수질관리 제도개선 방안 연구 (안종호 외)

2012-07 영흥화력 7,8호기 증설 환경영향 및 경제성 분석 (강광규. 김종원)

2012-08 오염지하수 관리 강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방안 (현윤정 외)

2012-09 간접방류 산업폐수 관리 개선방안 연구 (조을생 외)

2012-10 토양생태계의 지속성 관리를 위한 토양환경보전정책 방향 (박용하, 최현아)

2012-11 백두대간 기맥에 대한 환경성평가 방안 연구 (이수재 외)

2012-12 기후변화 적응 정책 연구 로드맵 및 추진 전략 (권영한 외)

2012-13 중국의 對아세안 환경협력 현황 분석 (강택구 외)

2012-14 국토개발정책 변화와 공간환경정책의 발전방향 (최희선 외)

2011년 2011-01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 평가・적응 정책 방향 (신용승 외)

2011-02 ODA사업의 환경평가 관리방안 연구 (조공장 외)

2011-03 풍력발전단지 환경평가 방안 연구: Ⅰ. 육상, Ⅱ. 해상 (권영한, 이상범 외)

2011-04 자연재해 발생 시 환경부문의 대응체계 개선방안 연구 (명수정 외)

2011-05 교통환경 소음관리를 위한 소음측정망 system 개선 (박영민)

2011-06 지속가능 발전교육(ESD) 강화방안 (김호석 외)

2011-07 개발사업 환경평가의 중장기 모니터링 방안 (신경희 외)

2011-08 재난성 원전사고에 따른 방사성오염의 토양・지하수관리 방향 마련 (황상일 외)

2011-09 선보전 후개발 원칙의 실현방안 연구: 제주특별자치도 사례 중심 (권영한 외)

2010년 2010-01 기후변화에 대한 생물종의 민감성 평가방안 연구 (이현우)

2010-02 Integrated Water Management Model on the Selenge River Basin Phase Ⅲ

(추장민 외)

2010-03 녹색생활 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명수정, 강민수)

2010-04 지하수자원의 합리적 이용・관리를 위한 비용 분담체계 및 지하수재정 운영방안 연구

(문현주)

2010-05 낙동강 조류발생 특성분석 및 관리 정책방안 (정유진 외)

2010-06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가를 위한 지표체계 개발 및 시범적용 (이정호 외)

2010-07 수용성 향상을 위한 조력발전의 환경친화적 건설방안 (이희선 외)

2010-08 환경성평가에 있어서 서식지 조사 및 보전방안 (노백호, 이현우)

2010-09 기후변화와 사회통합에 관한 정책과제 개발 연구 (추장민 외)

2010-10 하천・호소 퇴적물 관리 및 준설물질 활용방안 (김익재 외)

Page 115: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2010-11 국가 온실가스 배출정보 작성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김호석)

2010-12 외국의 배출권거래제 시행에 따른 법적 쟁점 분석 (한상운, 박시원)

2010-13 상수원지역의 친환경 토지관리방안 (최지용)

2010-14 기후변화 취약성 지수분석을 통한 국가적응역량 제고방안 모색 (김연주 외)

2010-15 도시농업의 온실가스 저감효과 및 정책방안 (이현우 외)

2010-16 물자원 이용과 관리를 위한 비용분담체계와 가격정책 연구 (문현주)

2010-17 대기질개선 특별대책 추진 경험 및 성과 평가 (강광규 외)

2009년 2009-01 저탄소・자원순환형 사회 구축을 위한 환경정책 (장기복 외)

2009-02 Integrated Water Management Model on the Selenge River Basin Ⅱ (추장민 외)

2009-03 4대강 살리기 사업지역의 하천 환경현황 분석 방안 연구 (이수재)

2009-04 합리적인 수리권 및 수자원에의 기여와 보상체계 연구 (문현주)

2009-05 지속가능발전 관점에서의 녹색성장 의미와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김호석 외)

2009-06 남・북한 공유하천의 관리 현황과 물안보 확보방향 (김익재 외)

2009-07 미세먼지의 농도 변화를 이용한 다중 이용시설의 흡연으로 인한 실내공기질 관리 정책

평가 (김성렬 외)

2009-08 유네스코 지질공원의 특성과 시사점 연구 (이수재 외)

2009-09 4대강 살리기 사업을 위한 필요 전문기술인력 추정 (안종호 외)

Working Paper

2014년 2014-01 국내 지하수의 자원・환경적 가치 확립을 위한 기초연구 (현윤정)

2014-02 층간소음의 건강영향에 대한 기초연구 (박영민)

2014-03 소음원 종류에 따른 3차원 소음예측모델 적용방안 마련 (선효성)

2014-04 개발사업 입지 및 계획기준의 조사・분석에 관한 연구 (주용준)

2014-05 기후변화 취약 근로 직종 파악을 위한 기초 연구 (김동현)

2014-06 불확실성을 고려한 수질오염총량관리 안전율 산정 기초연구 (정선희)

2014-07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공간계획 수립 시 도시/환경/방재분야 공간정보 연계・활용방안

연구 (김태현)

2014-08 기후변화를 반영한 내수침수 리스크 평가 방법론 고찰 (류재나)

2014-09 SEA 사후관리를 위한 해외 사례연구 (조한나)

2014-10 농어촌 관련 정책 및 계획에서의 기후변화 적응 고려 방안 (임영신)

2014-11 소음・진동 사후관리를 위한 기초연구 (선효성)

2014-12 2014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이미숙)

2013년 2013-01 토양자원 유실 최소화를 위한 국내외 환경영향평가 사례 연구 (신경희)

2013-02 PM-2.5 환경영향평가 방안 연구 (이영수)

Page 116: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2013-03 지자체 적응대책 수립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 활용 방안 (정휘철)

2013-04 기후변화에 따른 도심지역 지질재해 리스크 체계 마련 (이명진)

2013-05 비전통가스 개발의 환경영향평가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 (조한나)

2013-06 모니터링을 통한 친환경 계획기법의 적절성 검증 기초연구 - 도시공간에서의 Stepping Stone

을 중심으로 (최희선)

2013-07 국가와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대책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계강화 방안 (임영신)

2013-08 KEI 환경정보체계 발전방안 (전성우)

2013-09 도시하천 유역의 환경평가 방법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홍현정)

2013-10 제조업 환경비용의 국제비교 (조일현)

2013-11 바이오가스의 재생연료의무혼합제도에 관한 해외사례 분석 (조지혜)

2013-12 자연경관심의제도의 현황분석 및 제도 개선방안 (주용준)

2013-13 층간소음 관리를 위한 기초연구 (박영민)

2013-14 지속가능성 관점에서의 산업구조 변화 분석 (이미숙)

2013-15 KEI 중국환경 중장기 연구계획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 (추장민)

2013-16 기후변화 적응관련 취약계층 지원 대책 현황조사 및 분석 연구 (신지영)

2013-17 한국 ODA사업의 환경평가 모니터링 현황과 해외사례 비교 연구 - 사업 종료 후 모니터링

사례를 중심으로 (김태형)

2013-18 국내 전략환경평가의 사회・경제성 부문 기능 확립을 위한 기초연구 (이상윤)

2013-19 환경영향평가시의 시설별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을 위한 기초연구 (주현수)

2013-20 지형장애물 분석을 통한 환경현황 자료 작성방안 (김지영)

2013-21 상수원보호구역 상・하류의 수변지역 관리방안 연구 - 잠실상수원보호구역과 팔당상수원

보호구역 구간 중심으로 (김태윤)

2013-22 2013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이미숙)

2012년 2012-01 기후변화를 고려한 농업 가뭄지수 활용 및 적용 기초 연구 (이진영)

2012-02 산림경영 기반시설의 주요 환경영향 - 선형사업(임도) 중심으로 (천영진 외)

2012-03 방조제 건설에 따른 연안환경의 중장기 변화 평가 연구 - 아산만 수치모델링 중심으로

(김태윤)

2012-04 지속가능한 지하수자원 확보를 위한 지하수보전구역 지정 연구 - 외국의 지하수보전

구역 사례 분석 (현윤정)

2012-05 공공부문의 지역별 환경보호지출 및 수입(EPER) 통계 추계 (조일현, 김종호)

2012-06 누적영향평가 적용의 사례 분석 및 시사점 연구 (김진오)

2012-07 유해성에 따른「폐기물 종료기준」의 해외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조지혜 외)

2012-08 도시 지하공간 조성에 따른 환경영향 관리 방향 연구 (김윤승)

2012-09 폐기물 처리관련 업종의 여건변화가 여타 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신상철)

2012-10 미래 건강부담 추정의 영향요인 고찰 - 기후변화에 따른 폭염 증가를 중심으로 (하종식,

신용승)

2012-11 셰일가스 국내 도입에 따른 에너지・환경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주현수, 조한나)

Page 117: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2011년 2011-01 수자원 현황 및 영향요인: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김연주, 정은성)

2011-02 도시계획의 전략환경평가를 위한 기후요소 평가기법의 해외사례 분석 (엄정희, 유승헌)

2011-03 임진강 유역의 저수지 지리정보 구축과 수질평가 기초연구 (홍현정, 김익재)

2011-04 방사능 재해에 따른 환경 및 인체 영향 분석 (심창섭, 홍지연)

2011-05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연료의 환경 친화적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조지혜, 이희선)

2011-06 토양・지하수 오염부지의 종합적위해성평가를 위한 생태위해성평가체계 구축 (김윤승,

이주연)

2011-07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의장(국)의 역할 기초연구 (김이진)

2011-08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의 효율적 이행방안을 위한 제도적 고찰 (최상기 외)

2011-09 지하수오염의 평가 및 정화 규제 정책 방향 제시를 위한 연구: 염소계유기용제 오염

중심으로 (김호정 외)

2011-10 조력발전소 건설사업에 의한 해양 생물상 영향 사례 고찰 (천영진 외)

2010년 2010-01 주요 교역국의 화학물질 규제동향 분석 (박정규, 김용성)

2010-02 국내 자원순환지표 변화 추이 (김광임 외)

2010-03 나노물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환경・사회안전망 구축방안 연구 (홍용석)

2010-04 수문・식생 모사를 위한 지표모델의 동아시아 적용 타당성 분석 (김연주)

2010-05 어류의 물리서식처 적합도 지수 산정 방안 고찰 (강형식 외)

2010-06 북한의 탄소시장 잠재력 추정 연구 - 에너지부문을 중심으로 (강광규, 이우평)

2010-07 야간조명으로 인한 생태계 영향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이상범)

2010-08 고령화 사회의 생활패턴 변화 및 환경이슈 조사 연구 (공성용)

2010-09 고온으로 인한 사망 누적효과 분석 방법론 연구 (하종식, 신용승)

2010-10 CMAQ을 적용한 환경영향평가서 작성에 대한 매뉴얼 (문난경)

2010-11 해안개발사업 환경평가 영향예측 결과에 근거한 해양동・식물상 조사정점 선정방안

(맹준호, 조범준)

2010-12 산업단지 사업에서의 수질오염 영향범위 설정방안 (조한나, 송영일)

2010-13 개발사업 생태계훼손사고 대응 매뉴얼 구축 (박하늘, 전동준)

2010-14 지형 특성을 고려한 지형변화의 적정량 평가방안 (사공희, 정재현)

2010-15 소음지도를 활용한 소음평가 개선 방안 연구 : 택지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선효성)

2010-16 CCS 관련 해외 환경관리 제도 및 연구동향 분석 (신경희)

기초연구

2009년 2009-01 다목적댐 상류 폐광산 등 비점오염원 관리방안 (최지용 외)

2009-02 도서지역 용수공급체계에 관한 고찰 (문유리 외)

2009-03 폐기물 재활용 규제 선진화 방안 - 포장 및 가전폐기물을 중심으로 (김광임)

Page 118: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2009-04 유해물질 관리를 위한 SFA(물질흐름분석) 방법론 적용 연구 (주현수)

2009-05 녹색정화(Green Remediation) 최적관리기법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황상일, 조한나)

2009-06 물환경 기준의 통합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대호, 최지용)

2009-07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고찰 - 습지식물상을 중심으로 (권영한, 최홍근)

2009-08 도시지역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열섬효과 완화방안 연구 (명수정)

2009-09 4대강 관련 법률 및 제도의 현황분석과 효율적 개선방안 (김태형 외)

2009-10 지역단위 하수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조을생)

2009-11 기후변화 관련 환경보건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김성렬)

2009-12 환경책임과 환경피해보험제도의 제도화방안에 관한 기초 연구 (한상운)

2009-13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및 모델링 체계에 관한 고찰 (정유진)

2009-14 수질보전을 위한 새만금호 배수갑문 운영 대안에 관한 연구 (이진희)

2009-15 식물생태계가 대기 중 오존농도에 미치는 영향 -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심창섭)

2009-16 풍력발전시설에서 발생하는 환경소음 및 저주파음의 영향 (박영민, 정태량)

2009-17 신도시의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그린인프라 조성 기준에 대한 연구 (장수환)

2009-18 저탄소 생태관광지표 개발 및 평가 (배민기, 박창석)

2009-19 기후변화에 따른 연안역의 해역-육역 통합 범람 예측 방안에 관한 기초 연구 -

해석 모형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김경준 외)

2009-20 기업 환경보호지출과 오염배출량의 상관관계 분석 - 대기분야를 중심으로 (하종식 외)

기후환경정책연구

2014년 2014-01 중장기 환경전망 및 대응전략-KEI 통합환경모형(Integrated Assessment Model) 연구

(강성원)

2014-02 생태계서비스 측정체계 기반구축(1): 하천생태계를 중심으로 (안소은)

2014-03 화석연료 대체에너지원의 환경경제성평가(Ⅱ) - 재생에너지 발전원을 중심으로 (이창훈)

2014-04 폐자원 및 바이오에너지의 용도별 적정 배분방안 (Ⅰ) - 바이오가스를 중심으로 (조지혜)

2014-05 온실가스 감축정책 현황 및 개선방안연구(Ⅱ) (이상엽)

2014-06 국제기후변화 협상동향과 대응전략 (Ⅰ) (이상윤, 이승준)

2014-07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생태계 환경안보 강화 방안(Ⅱ) : 기후변화 취약생태계 분석

및 전망을 중심으로 (권영한)

2014-08 [협동] 지속가능한 물이용을 위한 지표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 (Ⅰ) (김연주)

2013년 2013-01 중장기 환경전망 연구 (강성원)

2013-02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Ⅳ) (안소은)

2013-03 유기성 폐자원의 효율적 에너지화를 위한 관리체계 구축 방안 연구 (한상운)

2013-04 기후환경 취약계층의 환경복지 정책연구(Ⅰ) (박정규)

2013-05 온실가스감축정책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Ⅰ) - 감축목표달성을 위한 비용효과적 정책혼합

(강희찬)

Page 119: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2013-06 화석연료 대체에너지원의 환경경제성 평가(Ⅰ) (이창훈 외)

2013-07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생태계 환경안보 강화 방안(Ⅰ) (이수재)

2013-08 국토환경관리정책 변화와 개발제한구역의 지속가능한 관리 방안 (전성우)

2013-09 국가 물안보 체계 구축을 위한 중장기 정책방안 연구 (강형식)

녹색성장정책연구

2012년 2012-01 중장기 환경전망 및 대응전략(Ⅰ) (강성원 외)

2012-02 보호지역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관리 - 지역의 생태・경제・사회적 특이성을 기반으로한

접근 (박용하 외)

2012-03 산업계 유기성폐기물의 자원화 촉진방안 연구 (신상철 외)

2012-04 도서지역 친환경 관광계획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이상범 외)

2012-05 온실가스 감축의무 협상동향 및 대응방향 연구(Ⅳ) (이정석 외)

2012-06 주요국 온실가스 감축정책 동향 및 시사점 (김용건 외)

2012-07 지열에너지의 환경성 평가 및 환경친화적 이용 방안 (이희선 외)

2012-08 기후변화 대응 물안보 위기관리 정책 연구 (김호정 외)

2012-09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상하수도 선진화 방안 (조을생 외)

2011년 2011-01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Ⅲ (안소은 외)

2011-02 국토자연자원의 현명한 이용전략 수립 Ⅲ (박창석 외)

2011-03 공간환경계획에 기반한 광역계획의 전략환경평가 방안 (최희선 외)

2011-04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환경문제 및 정책과제 (이정석, 손원익)

2011-05 온실가스 감축의무 협상동향 및 대응방향 연구 Ⅲ (이정석 외)

2011-06 한・중・일 탄소시장 연계의 파급효과 분석 (김용건, 공현숙)

2011-07 탄소세 도입 및 에너지세제 개편방안 연구 (강만옥 외)

2011-08 해양에너지의 환경성 평가 및 환경친화적 국토이용방안 (이희선 외)

2011-09 물관리 취약성과 물안보 전략 Ⅲ (김익재 외)

2011-10 물자원의 가치 변화와 물산업 선진화 전략 (문현주)

2011-1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적정 하천공간 확보방안 Ⅲ: 극한홍수 대응책을 중심으로 (강형식 외)

2011-1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수자원 네트워크 구축방안 연구 Ⅱ (이진희 외)

2011-1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수질제어 및 관리방안 Ⅱ (안종호 외)

2010년 2010-01 녹색성장 촉진을 위한 환경규제 선진화 방안 (김종호 외)

2010-02 녹색성장 평가를 위한 지표체계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김종호 외)

2010-03 환경정보체계에 기반한 공간환경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마련 Ⅱ (최희선 외)

2010-04 연접개발에 대한 사전환경성검토 개선 방안 (선효성 외)

Page 120: E-mail: kbchang@kei.re.kr ICT를 통한 녹색 라이프스타일로의 전환 …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593106.pdf · 녹색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ict의

2010-05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Ⅱ (안소은 외)

2010-06 국토자연자원의 현명한 이용전략 수립 Ⅱ (박창석 외)

2010-07 환경문제를 둘러싼 지역갈등 해소 및 거버넌스 강화 방안 (이정석 외)

2010-08 온실가스 감축의무 협상동향 및 대응방향 연구 Ⅱ (박시원 외)

2010-09 국제 탄소시장 동향 및 전망 (이윤, 손원익)

2010-10 국내 에너지 시장구조를 고려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설계 방안-발전부문 참여방안

을 중심으로 (신상철 외)

2010-1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세 도입방안 (신상철 외)

2010-12 재생에너지의 환경성 평가 및 활성화 방안 - 폐자원을 중심으로 (이희선 외)

2010-13 기후변화 적응 강화를 위한 사회기반시설의 취약성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Ⅱ) (명수정 외)

2010-14 물관리 취약성과 물안보 전략 Ⅱ (김익재 외)

2010-15 해수면 상승에 따른 취약성 분석 및 효과적인 대응정책 수립 Ⅱ : 연안역 범람평가

및 대응방향 (조광우 외)

2010-1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적정 하천공간 확보방안 Ⅱ (강형식 외)

2010-1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수자원 네트워크 구축 방안Ⅰ (이진희 외)

2010-18 기후변화 연동 4대강 유역 지하수 함양량 예측 및 이용 가능량 산정 Ⅱ (이정호 외)

2010-1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수질 제어 및 관리방안Ⅰ (안종호 외)

2009년 2009-01 국내 대기오염규제의 온실가스 저감효과 제고방안 (김호석 외)

2009-02 환경정보와 가이드라인 제공에 의한 자율적 환경평가 지원 (이영준 외)

2009-03 환경정보체계에 기반한 공간환경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마련 (최희선 외)

2009-04 환경평가 절차 효율화를 위한 스크리닝의 단계별 도입방안 (신경희 외)

2009-05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 Ⅰ (안소은 외)

2009-06 국토자연자원의 현명한 이용전략 수립 Ⅰ (박창석 외)

2009-07 온실가스 감축의무 협상동향 및 대응방향 연구 Ⅰ(김용건 외)

2009-08 온실가스 저감잠재성 분석 및 감축정책 연구 - 수송 및 건물부문 (강만옥 외)

2009-09 재생에너지의 환경성 평가 및 환경친화적 개발 Ⅰ - 태양광 및 풍력에너지를 중심으로

(이희선 외)

2009-10 기후변화 적응 강화를 위한 사회기반시설의 취약성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Ⅰ (명수정 외)

2009-11 물관리 취약성과 물안보 전략 Ⅰ (안종호 외)

2009-12 해수면 상승에 따른 취약성 분석 및 효과적인 대응정책 수립 Ⅰ - 해안침식 영향평가

(조광우 외)

2009-1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적정 하천공간 확보방안 연구 (정주철 외)

2009-14 기후변화 연동 4대강 유역 지하수 함양 및 이용가능량 산정 기법 개발 Ⅰ (이정호 외)

※ KEI 설립 이후 현재까지의 보고서 원문은 KEI 홈페이지(www.kei.re.kr)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