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146
연 구보고 00-02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2000. 11 책임연구자 : 이만제 한국방송진흥원 책임연구원 보조연구원 : 유혜영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 석사과정 한국방송진흥원 KOREAN BROADCASTING INSTITUTE

Upload: others

Post on 19-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연 구보고 00- 02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2000 . 11

책임연구자 : 이만제 한국방송진흥원 책임연구원

보조연구원 : 유혜영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 석사과정

한국방송진흥원KOREAN BROADCASTING INSTITUTE

Page 2: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보고서를 발간하며

새로운 세기를 맞아 세계 경제질서가 인터넷 또는 디지털이라는 기술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듯한 양상이다. 새천년 들어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 경제포럼에서 가

장 많이 논의된 단어 역시 인터넷이었다. 인터넷은 출발 초기부터 통제나 규제의 대

상밖에 존재하면서 철저하게 시장원리에 따라 자유롭게 경쟁하는 영역이 되었으며

자본의 규모에 상관없이 수많은 업체들이 이윤창출을 목표로 각축을 벌이는 영역이

되었다. 인터넷 관련 기술이 가져다 주는 기회를 활용하여 산업적인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한 경쟁적 노력들이 세계 각 지역에서 경주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 한편에서

는 또한 기술변화에 따른 디지털 격차(digit al devide)를 최소화하고 시장에서 보

장할 수 없는 공익성 또는 보편적 서비스와 같은 전통적인 방송과 통신의 규제목표

를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수반되고 있다.

새롭고 무한한 잠재적 가능성을 갖는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는 인터넷에서 새로운

유형의 서비스 중의 하나인 인터넷 방송에 대한 논의는 이처럼 경제적 수익을 보장

할 수 있는 수단인 동시에 대안적 매체로서의 가치를 실현하고 공익성을 제공할 수

있는 매체라는 상호 배타적인 관점에서 전개되고 있다.

인터넷 방송은 전송기술과 압축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동영상을 쉽게 송수신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과거 지상파 방송국이나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국 설립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적은 비용으로 송출시스템을 갖춘 방송국을 인터넷 공간에서 설립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대중매체의 소비자 위치에 있던 일반

수용자들이 문화생산자로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리게 되었으며 대안매체로

서 인터넷 방송에 대한 사회, 문화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새로운 매체로서 인터넷 방송의 쌍방향성이 주목받고 있기는 하지만 현재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에서 쌍방향성이 구현된 것도 아니며 그 구현에는 아직도 많은 기간

과 비용이 필요한 상태이다. 현재 인터넷 방송은 대중의 흥미를 위주로 하는 대중

문화적 컨텐츠를 주로 서비스하며, 다수의 이용자가 일방적으로 소비하도록 컨텐츠

를 지속적으로 서비스한다는 점에서 대중대체와 유사한 내용, 전달, 소비의 특성을

i

Page 3: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보이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존 대중매체의 폐해라고 할 수 있는 거대 자본에

의한 문화생산 독점의 위험과 문화적 획일성과는 차별화되는 인터넷 방송의 대안매

체적 의미를 복원하고 인터넷 방송 영역에서도 공익적 가치를 추구할 수 있는 제도

적 장치 마련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인터넷 방송은 저렴한 비용으로 송

출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개인이 쉽게 송출시스템을 운영하

기 어려운 특성 때문에 인터넷 방송 공동 송출시스템 운영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

다. 인터넷 방송 사업에 참여한 사람들은 인터넷 방송을 이윤추구 수단으로 활용하

기 때문에 인터넷 방송에서 자율적인 공익적 가치실현을 기대할 수 없으며 공익적

인 목표 실현을 위해서는 오히려 시장 작동 원리 밖에서의 지원방안에 관해 논의하

는 것이 더 현실적일 수 있다.

그 동안 인터넷에 관한 논의가 대부분 인터넷 영역 전체를 대상으로 함으로써 일

반적 논의에 머물게 되는 제한점을 갖고 있던데 비해 본 보고서는 인터넷 방송 공

동 송출시스템이라는 매우 구체적인 현상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논의를 보다 구체적

이고 현실적인 단계로 끌어내리고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보고서는 인터넷 방송에서 공익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라

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인터넷 방송과 기존 방송의

유사한 특성을 살펴보고, 공익성 확보 차원 및 상징생산 도구로서 액세스 채널 운

영, 그리고 공적 영역 확보 차원에서 인터넷 방송 공동 송출시스템 운영방안을 논의

하고 있다.

본 보고서의 연구 결과가 인터넷 방송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보편적 서비스 실현

을 위한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균등한 접근 기회의 보장 그리고 공익성 실

현을 위한 소수문화 보호와 문화적 다원성 실현 등과 같은 정보복지 실현의 수단으

로 활용하고자 하는 정책관련자, 학자, 그리고 인터넷 방송 사업자들에게 유용한 자

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연구책임자인 이만제 박사 그리고 연구자료 수집

부터 원고교정에 이르기까지 많은 도움을 준 유혜영 양에게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바이다.

2000년 11월

한 국 방 송 진 흥 원

원 장 이 경 자

ii

Page 4: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요 약 문

1 . 연구목적

○ 본 보고서의 목적은 크게 두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방송과 통신의 융합

을 통한 새로운 방송의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는 인터넷 방송의 개념적 논

의를 정리하고 인터넷상에서 운영 중인 인터넷 방송국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인터넷 방송을 둘러싼 사회적 담론의 실체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

은 인터넷 방송이라는 새로운 기능이 제공하는 기회를 최대화할 수 있는 사회

적 활동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작업이 될 것이다.

○ 둘째, 방송의 관점에서 인터넷 방송이 추구해야 할 공익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

한 방안으로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터넷 방송에서 시장의 원리가 보장할 수 없는 공익적 요소를

어떤 방법으로 실현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대두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모두가

접근 가능한 액세스 채널로서 비상업적인 양질의 컨텐츠를 전송하는 공동송출

시스템의 설립 운영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하겠다.

2 . 주요 연구내용

○ 본 보고서에서는 인터넷 방송국의 현황을 살펴보기에 앞서 인터넷 방송에 대

한 다양한 개념적 논의와 특성을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인터넷 방송의 유형

을 ① 기존에 생산된 컨텐츠의 2차, 3차 재활용 ②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위

한 프로그램 자체 생산 서비스 ③ 학교, 전자상거래, 포털사이트에서 부수적으

로 운영하는 서비스 ④ 개인이 문화생활 차원에서 제공하는 AOD , VOD 서비

스 등으로 분류하였다.

iii

Page 5: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 인터넷 방송의 유형에 따라 국내외 현황을 살펴본 결과 그 이용은 점차 보편

화되어 가고 있지만 그 경향은 컨텐츠의 오락화, 상업화로 치우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공공영역으로서의 공익적 인터넷 방송 개념 도

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공동체의 유지, 자원의 효율적 배분, 사회적 약자의 보호 및 문화적 다원성 실

현으로 요약되는 방송의 공익성 개념을 토대로 인터넷 방송의 공익적 근거를

검토하였고 이러한 맥락에서 누구나 무료 혹은 저렴한 가격으로 접근 가능한

퍼블릭 액세스 채널로서의 공영 인터넷 방송의 하부체제로서 공동송출시스템

의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 기존 지상파 방송 및 디지털 방송의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의 개요를 살펴보고

새로운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는 국내 웹호스팅 중 인터넷 방송 송출시스템 형

태로 운영되는 사례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 개인이 방송 운영이나 컨텐츠 생산에 참여할 수 있는 인터넷 방송의 공익적

성격, 액세스 채널과 공공영역적 특성을 토대로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의 구체적인 설립계획과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3 . 연구의 함의

1) 인터넷 방송 현황 분석

○ 인터넷 방송에 대한 개념 정의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고 시시각각으로 변화하

는 인터넷 방송 및 그 이용현황 등에 대한 최근의 국내외적인 현황을 정리했

다는 점에서 정책 판단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2) 인터넷 방송의 공익성

○ 인터넷 방송 분석을 통해 인터넷 방송 운영에 거대한 자본이 침투하고 컨텐츠

iv

Page 6: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도 점차 대중매체와 유사한 상업성을 띠게 됨에 따라 공익성 확보를 위해서는

시장 외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논리가 도출되었다.

○ 공익 개념에 기초한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구축은 소수자들의 문화를

보호·육성하고, 이들의 문화 생산 참여기회를 보장함으로써 디지털 격차

(digit a l devide)를 최소화하는 공익적 가치를 실천하고자 하는 시도인 동시

에 인터넷 영역 전반의 운영을 시장논리에 맡겨둘 수 없다는 문제제기의 의미

를 지닌다.

4 . 연구결과의 활용범위

1) 인터넷 방송 운영자의 경우

○ 인터넷 방송국은 기존의 방송국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설립, 운영할 수 있지만

기본적 설비와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여전히 소규모의 업체에게는 부담이

큰 사업이다. 하지만 질 좋은 컨텐츠를 송출할 수 있는 공동시스템 운영을 통

해서 숨은 컨텐츠를 개발하고 접근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할 수 있다.

2 ) 정책입안자의 경우

○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영역인 인터넷 방송에 대해서도 방송의 공영 개념이 적

용될 수 있음을 시사함으로써 향후 인터넷 방송 규제 정책 입안의 근거를 제

공한다.

○ 디지털 격차 해소, 문화 생산 참여, 소수문화 보호 등의 인터넷 방송이 갖는

대안매체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도적 장치 마련의 시사점을 제

공할 수 있다.

v

Page 7: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3 ) 일반 연구자의 경우

○ 본 보고서에 제시된 인터넷 방송에 대한 대략적인 윤곽을 통해 그것이 가지는

사회적 함의 등에 대한 깊이 있는 접근이 가능할 것이다.

○ 인터넷 방송의 대안매체적 기능 수행을 위해 공공지원이 필요하다는 논의는

인터넷 방송의 자리매김을 위한 논의에서 한 단계 발전된 논의가 될 것이다.

5 . 제 언

○ 현재 1000여 개에 달하는 인터넷 방송이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컨텐츠가 업데이트가 안된다든지 운영이 중단된 경우가 많아

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조사가 절실히 요구된다.

○ 인터넷 방송이 발전 초기에 있는 만큼 대중매체와 같이 상업적 특성을 갖는

매체로 정의하기보다는 새로운 문화 채널로 접근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런 맥락에서 인터넷 방송을 기존의 대중매체와 구분하여 소수의 소외된 집단

을 위한 공공 매체로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요구된다. 이것은 인터넷

방송을 한 사회의 문화적 다원성을 실현하는 매체로 정의하는 것으로 인터넷

의 대안매체적인 가능성을 실현할 기초가 될 것이다.

○ 정부기관이나 공적 기금으로 인터넷 방송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이용자들에게

적정한 가격 수준에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문화생산 참여기회를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은 결국 국내 영상 문화의 두께를 두텁게 하는 노력인 동시

에 문화의 질을 높이는 정책적 배려가 될 수 있을 것이다.

vi

Page 8: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목 차

Ⅰ . 서 론 1

1. 문제제기 1

2 . 연구목적과 보고서 구성 4

Ⅱ . 인터넷 방송의 특성 7

1. 인터넷 방송의 개념 7

1) 형식적 차원의 인터넷 방송 개념 9

2) 내용적 차원의 인터넷 방송 개념 10

2 . 인터넷 방송의 대중매체적 특성 13

1) 기존의 방송과 인터넷 방송의 차이점 13

2) 대중매체로서의 인터넷 방송 16

Ⅲ . 인터넷 및 인터넷 방송 현황 2 0

1. 인터넷 이용 현황 20

1) 세계 인터넷 이용 현황 20

2) 국내 인터넷 이용 현황 24

(1) 인터넷 관련 통계 24

(2) 인터넷 전송망 25

① 케이블망 25

② xDSL 26

③ 위성 인터넷 27

④ 무선 인터넷 27

2 . 인터넷 방송 현황 31

vii

Page 9: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1) 세계의 인터넷 방송 현황 31

( 1) 사업자 측면: 수익모델 35

(2) 수용자 측면 43

(3) 규제적 측면 45

2) 국내 인터넷 방송 현황 49

( 1) 인터넷 방송의 역사 49

(2) 국내 인터넷 방송국 현황 개요 51

3) 국내 인터넷 방송국 유형 55

( 1) 운영주체에 따른 인터넷 방송국 유형 55

① 방송사업자가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 55

② 통신사업자가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 58

③ 독립 인터넷 방송국 60

④ 기업, 학교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 62

(2) 컨텐츠 특성에 따른 인터넷 방송 유형 63

(3) 수익모델에 따른 인터넷 방송 유형 66

4) 인터넷 방송의 출현과 이용자 변화 69

Ⅳ . 인터넷 공동송출시스템의 필요성 7 3

1. 인터넷 방송과 공익성 73

2 . 인터넷 방송과 공적 영역 76

3 . 보편적 서비스(Univer sal Ser vice) 80

4 . 액세스 채널 83

1) 액세스 채널의 의미와 운영현황 83

2) 새로운 액세스 채널 매체로서 인터넷 87

Ⅴ . 기존 방송 송출시스템과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9 2

1. 지상파 방송의 송출시스템 92

1) 송출체계시스템 성립의 역사적 배경 92

2) 방송망 통합운영 실례 95

viii

Page 10: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3) 송·중계시스템의 공동운영에 대한 최근의 논의 97

4) 외국의 방송 송출시스템 99

2 . 디지털 방송의 송출시스템 논의 100

3 . 인터넷 방송 송출시스템 102

1) 유사 공영 인터넷 방송 송출시스템 104

2) 민영 방송 송출시스템 106

(1) 한국인터넷데이터센터(Kor ea In t er n et Dat a Cent er ) 106

(2) NGENE (h t t p :/ / www .ngen e .n et ) 106

(3) 드림IB C(In t er n et Bu sin ess Cen t er ) 106

(4) 한국스트리밍센터(h t t p :/ / st r eamingcen t er .co.kr ) 108

4 . 소 결 108

Ⅵ .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구축 및 운영방안 10 9

1. 시스템 구축방안 109

2 . 운영방안 113

1) 재원 114

2) 채널운영과 인터넷방송 호스팅 117

3) 향후 확장방향 118

Ⅶ . 결 론 12 1

<참고문헌> 12 4

<영문요약> 13 1

ix

Page 11: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표 목 차

<표 Ⅱ- 1> 방송기술과 요구조건 13

<표 Ⅱ- 2> 인터넷 방송의 특성 16

<표 Ⅲ- 1> 국가별 인터넷 이용자의 비율 예측(2000년 말) 2 1

<표 Ⅲ- 2> 아시아 국가의 인터넷 이용인구 22

<표 Ⅲ- 3> 세계 인터넷 관련 주요 통계 23

<표 Ⅲ- 4> 국내 인터넷 관련 통계 24

<표 Ⅲ- 5> 주요 xDSL 기술 26

<표 Ⅲ- 6> 초고속 인터넷 종류 27

<표 Ⅲ- 7> 이동전화사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28

<표 Ⅲ- 8> 고속 인터넷 가입자 현황 30

<표 Ⅲ- 9> 세계 각국의 인터넷 방송의 보급현황 31

<표 Ⅲ- 10> 각국의 인터넷 이용요금 비교표 38

<표 Ⅲ- 11> 스트리밍 미디어의 화질 39

<표 Ⅲ- 12> 인터넷 방송 이용자와 비이용자 특성 비교 40

<표 Ⅲ- 13> 일본 지역방송국의 인터넷 방송국 42

<표 Ⅲ- 14> 각국의 웹캐스팅 규제현황 46

<표 Ⅲ- 15> 국내 인터넷방송국 증가추세 51

<표 Ⅲ- 16> 인터넷 방송국 시스템 구축 비용 52

<표 Ⅲ- 17> 인터넷 방송국의 서버 보유 현황 52

<표 Ⅲ- 18> 인터넷 방송 이용자수 54

<표 Ⅲ- 19> 주요 지상파방송국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 56

<표 Ⅲ- 20> 기타 방송국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 57

<표 Ⅲ- 2 1> P C통신 서비스 업체가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 59

x

Page 12: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표 Ⅲ- 22> 컨텐츠 유형에 따른 방송국 비율 64

<표 Ⅲ- 23> 인터넷 방송 청취에 따른 여가시간 감소 70

<표 Ⅲ- 24> 인터넷 이용으로 인한 기존 매체 이용시간 변화 71

<표 Ⅲ- 25> 인터넷 이용자의 주요 이용 서비스 72

<표 Ⅳ- 1> 각국의 액세스 채널 현황 85

<표 Ⅴ- 1> 1984년 송·중계소 위탁운영 사항 95

<표 Ⅴ- 2> 송·중계시스템 설치 운영현황 98

<표 Ⅴ- 3> 방송3사의 송·중계 시설 확장공사 내역( 1993- 1997) 99

<표 Ⅴ- 4> 송·중계시스템 공동운용시 투자절감액 10 1

<표 Ⅴ- 5> 웹캐스팅 전문 IDC 이용과 독자적 서버 운용 비교 104

<표 Ⅴ- 6> 한국통신 인터넷 방송 플랫폼 사업 105

<표 Ⅴ- 7> 드림IB C의 인터넷 방송 호스팅 서비스 107

<표 Ⅵ- 1> 한국방송진흥원 서버 시스템 현황 111

<표 Ⅵ- 2> 국내 A통신사의 전용선 이용요금 표 112

그 림 목 차

<그림 Ⅱ- 1>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서 인터넷 방송 8

<그림 Ⅵ- 1>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111

<그림 Ⅵ- 2>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개념도 119

xi

Page 13: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Ⅰ. 서 론

1 . 문제제기

올해 안에 국내 인터넷 이용자수가 2천만명을 넘어서고 1000여 개의 인터넷 방

송국이 운영되고 있다는 보고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온 사회에 인터넷 열풍이 몰아

치는 듯한 상황이다. 새천년 들어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 경제포럼에서 가장 많이 논

의된 단어 역시 인터넷이었다. 이는 새로운 천년의 경제질서가 인터넷이라는 키워드

를 중심으로 새롭게 배치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새로운 가능성과 무한한 잠재력 공간인 인터넷을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이 모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들의 대부분이 정부의 규

제완화에 힘입어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통한 이윤창출에만 집중되어 있고, 매우 소

수의 참여자들만이 경제적인 목적보다 문화활동의 의미로 인터넷을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터넷은 출발부터 통제나 규제의 대상이 되지 않는 영역을 구축하려는

시도와 맞물려 통제가 필요없는 무정부주의적인 공간으로서의 의미가 주류를 이루

어 왔다. 신자유주의 경향 또는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탈규제 정책의 결과는 AOL

과 Time War n er의 합병과 같은 거대한 미디어 기업의 탄생을 가져왔다.

그러나 미국이 취하고 있는 시장원리에 의한 프로그램의 질 향상이나 공익성 확

보를 기대하는 정책에서조차 교육방송에 해당하는 P BS 방송에 1997년 한해동안

3.7억 달러의 공적 보조를 지원1)하고 있을 뿐더러 최근의 미디어 정책에서 핵심이

라고 할 수 있는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화 전략에서도 700억 달러의 지원효과가 있

는 기존 지상파 전파의 무상지원을 결정하고 있다.2) 뿐만 아니라 미국의 텔레비전

1) IDATE (2000) , "The Wor ld F ilm and Television Mar ket 2000 : In du st r ies andMar ket s Fr ance", IDA TE (Inst it ut de l 'Au diovisuel et des Telecommunicat ion s enEurope) .

2) 강상현(1999a) , 지상파 디지털방송 정책 연구보고서, 서울: 방송위원회.

- 1 -

Page 14: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방송사의 공익봉사 의무가 새로운 디지털 텔레비전 시대에는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

가에 대한 자문위원회 권고안에서 공익성과 방송의 다양성 실현을 강조하고 있는

점3)을 살펴보면 시장에 의해 보장될 수 없는 소수문화 프로그램이나 특수교육 프로

그램 등은 시장 밖에서 지원이 필요한 영역임을 알 수 있다.

무한한 잠재력의 영역인 동시에 국가나 공공기관의 규제나 간섭이 불필요한 자유

공간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인터넷 공간에도 거대자본이 유입되고4 ) 있어 현실공간과

마찬가지로 대자본의 문화독점에 따른 폐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될 수 있

다. 인터넷 이용자들의 특성이 포털(por t al)화된 대형 사이트에 접속하는 경향이

강하고 지속적인 컨텐츠 공급을 위해서는 막대한 저작권료 지급이 불가피하다는 점

등이 거대자본의 독점 가능성을 뒷받침해 주고 있는 것이다.

현재 독립 인터넷 방송5) 형태로 운영되는 인터넷 서비스에서도 아직까지 적절한

비즈니스 모델이 정립되지는 않았지만 이와 같은 우려는 현실화되고 있다.6) 미국의

MS사가 운영하는 대형 포털사이트 운영자와 각국의 음반, 동영상 제작물 등의 컨

텐츠 생산자들이 직접 계약을 체결, 컨텐츠를 제공하여 이용자들에게 서비스하고 적

정한 수준에서 이윤을 나누는 다국적 규모의 인터넷 방송 운영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제시되고 있다.7) 이 모델은 이용자 측면에서는 포털사이트에서 값싸고 편리

3) 한국방송진흥원(1999- 06) , 동향과 분석, 통권 85호.

4 ) 지난해부터 대규모 자본이 유입되어 인터넷 증권거래 또는 인터넷 방송 사이트를 개설, 운영하고있으며 대기업의 출자, 기존 지상파 방송국 또는 통신사업자에 이르기까지 거대한 자본의 침투가 가시화되고 있다. 삼성물산은 국내 최대의 다채널 엔터테인먼트 종합방송 두밥(doobob)을2000년 3월 출범시켰다. 6월 말 현재 회원이 60만명이 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현대종합상사도 SBSi , KMTV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인터넷 방송에 진출했다.

5) 인터넷 방송은 인터넷상에서 음성 또는 동영상의 정보를 주기적 편성에 의해 서비스하는 형태의인터넷 서비스를 말하는 것으로 방송이 심의와 허가제라는 규제 근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거부하는 입장(진보넷에서 운영하는 프리즘에서는 인터넷 방송 대신 웹 캐스팅으로 부를 것을제안하고 있다. h t t p :/ / pr ism .j inbo.net / feat u r 01.h tm)과 방송의 뉘앙스를 선호하여 서비스이름에 아예 방송을 표방하는 대부분의 사이트로 나누어진다.

6) 98년 10월 설립한 채티비(h t t p :/ / ch atv .co.kr )는 자본금이 8 .2억이며, 99년 9월 설립한 캐스트 서비스(ht t p :/ / cast service .com)는 자본금이 20억, 2000년 1월 설립한 와우 TV(ht tp :/ / wowtv .co.kr )는 한국경제, 다우기술 그리고 미래에셋 등의 합자회사로 70억원의 자본금을 갖고 있으며(삼성경제연구소, 2000) 케이블 TV PP 허가를 받아 케이블 TV 서비스를준비 중이다.

7) MS사에서는 이미 55개국의 음반 생산자들과 독점적으로 음악 컨텐츠 제공 협정을 맺었다고 밝

- 2 -

Page 15: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컨텐츠 생산자 측면에서는 자신들의 창작물

이 보호받고 적정한 수준에서 대가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대형 포털사이

트 운영자에게도 이익을 남겨주는 이상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특성을 갖추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는 인터넷 공간 밖에서 대중문화가 생산되고 유통되는 메

커니즘이 그대로 인터넷 안으로 옮겨진 양상을 띤다는 점에서 인터넷 공간을 새로

운 문화공간으로 기대하고 문화적 다원성 실현을 기대하는 입장에서 보면 매우 우

려스러운 모델이 아닐 수 없다. 대형 포털사이트에서 인터넷 방송을 운영할 경우 소

규모의 독립 인터넷 방송국은 운영기반을 상실할 가능성마저 생겨날 수 있다는 것

이다. 물론 시장의 원리에 따라 공익에 해당하는 가치가 실현된다면 이상적이겠지만

이에 대한 기대는 언제나 기대에 그쳐왔다. 시장에서 추구하는 것의 핵심은 이윤이

다. 그러나 대형화된 시장에서 소수자를 위한 상품은 이윤창출에 기여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시장원리의 작동에만 맡겨둔다면 생존할 수 없는 것이다.

인터넷 방송을 규제 영역 밖에 둔다는 것은 시장원리에 맡긴다는 것인데 이는 거

대자본에 의한 독점의 위험을 감수하겠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실제로 독점의 폐해가

현실화되고 또는 현실화 가능성이 매우 큰 현시점에서 규제의 필요성에 대해 이론

적, 현실적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하는 것은 새로운 문화현상을 개개 구성원이 누리

는 문화의 질 향상이라는 목적을 갖고 접근한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

다. 물론 여기서 규제는 정부에서 인터넷 방송에 대해 심의하고 간섭한다는 것을 의

미하지 않는다. 유럽연합에서 방송통신 융합을 우리가 말하는 정보화라는 개념과 동

일한 개념으로 규정하고 그 변화가 주는 기회를 극대화하기 위한 목표달성의 수단

과 동일한 의미로서의 규제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8) 이것은 그동안 우리 사회에서

지속되어 온 방송통신 융합의 규제 근거나 방송 또는 통신의 규제 근거를 따져보거

나 새로운 규제모델을 정비하자는 식의 논의가 별 실효성이 없었음을 말해주고 있

다. 인터넷 방송이라는 형태로 현실화된 서비스를 바라보며 여기서 얻을 수 있는 문

히고 있다.

8) 규제는 그 자체로서는 목표가 될 수 없다. 다만 규제장치는 해당영역에서 일반적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 될 뿐이다. 통신영역에서는 보편적 서비스가 규제의 근거가 되어왔다면 방송영역에서는 공익성 구현이 규제의 근거가 되어 왔다. 이러한 규제의 근거가 새롭게 대두되는 영역에서 계속 구속력을 지닐 수 있을 것인지, 만약 그렇지 않다면 대안은 무엇인지 하는 문제는 앞으로의사회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문제가 아닐 수 없다.

- 3 -

Page 16: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화적, 사회적 더 나아가서는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의 논의가 이 시점

에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논의의 일환으로 공익성 확보를 전제한 인터

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의 필요성을 분석해 보고 그 구체적인 구축방안과 운

영방안을 제시하는 작업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작업이 될 것이다.

2 . 연구목적과 보고서 구성

본 보고서는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인터넷 방송 영역의 현황을 분석하고 인터넷

방송이 가지는 대안매체적인 특성을 근거로 방송의 공익성과 문화적 다원성 실현

방안으로서 공영 인터넷 방송의 필요성을 논의하면서 공영체제하의 인터넷 방송 공

동송출시스템 구축 및 운영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국내에서 이미 주요한 인터넷 방송 편성표가 텔레비전 프로그램 편성표와 나란히

신문에 보도되는 것이 일반화되었지만 인터넷 방송에 대한 정의나 규제방안 등이

구체화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되는 인

터넷 방송국의 많은 수가 운영을 중단하거나 URL을 바꾼 경우가 많아서 인터넷 방

송의 실태에 관한 전체적인 그림을 그리는 것조차 불가능한 실정이다. 심지어 개인

이 스트리밍 서버를 이용하여 몇몇 동영상을 서비스하는 사이트를 만들고 이를 인

터넷 방송이라는 이름으로 검색엔진에 등록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방송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지 않는 것은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갖고

있는 새로운 시장에 대한 기대와 일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갖는 제한점을

극복할 수 있으리라는 새로운 방송 패러다임에 대한 기대가 어우러진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대는 인터넷 초기의 상황과 유사하게 인터넷 방송을 규제영역에

서 제외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여 왔다. 그 결과 현재 규제의 대상 밖에 존재하는 인

터넷 방송을 지배하는 것은 철저한 시장 경제 원칙 이라고 할 수 있다.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와 같은 대중매체의 초기 역사에서 보듯이 시장원리는 소규

모 독립 방송사의 입지를 좁히는 원인이 되어 왔다. 따라서 인터넷 방송을 아무런

제도적 장치없이 시장원리에 맡겨둔다는 것은 개인 방송 매체로까지 확장될 수 있

는 가능성과 문화적 다원성과 대안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동시

- 4 -

Page 17: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에 갖는 인터넷 방송의 활용기회를 사회적으로 포기하는 일이 될 것이다.

이런 우려에서 인터넷 방송의 규제에 대한 논의가 출발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이

러한 맥락에서 인터넷이라고 하는 사이버공간 특히 방송을 표방하는 인터넷 방송들

중 일부는 공영적인 방법으로 운영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

한 접근은 이미 자유로운 공간으로서 의미를 갖는 인터넷 공간 또는 인터넷 방송

전체를 공영적 공간으로 규제하자는 논의와는 매우 다른 논의로써 상업적 성격이

강한 사이버 공간에 부분적으로 공익성을 목표로 하는 청정수역을 갖는 방안을 마

련하는 논의가 사회적으로 필요하다는 사회적 아젠다를 제시하는 것이다. 인터넷 방

송 영역에 공익성, 공공영역으로서의 기능 그리고 대중매체에서 액세스 기능을 구현

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방안으로서 인터넷 방송 공동 송출시스템 구축방안과 운

영방안을 논의하는 것이 본 보고서의 구체적인 목적이다. 상업적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방송국에 대해 철저한 시장원리나 법제도에 의한 규제가 불가피하다는 것이

인터넷 방송에 대한 사회적 논의의 한 축을 이룬다면 자본이나 주류문화에서 소외

된 문화와 컨텐츠를 보호하고 육성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또 다른 축에서 검토될 필

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접근은 대중매체의 공익성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공익적

근거에서 인터넷 방송에도 모두가 접근 가능한 액세스 채널로서 공영 인터넷 방송

국의 설립과 그 하부체제로서 비상업적인 양질의 컨텐츠를 전송하는 공동송출시스

템의 설립 운영을 검토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또 인터넷 방송이 시

작되던 시기에 제기되었던 인터넷 방송 활성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심도있게 논의하

는 후속연구의 성격을 지닌다.9)

이와 같이 현재 1000여 개에 달하고 있는 인터넷 방송이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되

는 국내 인터넷 방송의 현황을 분석하고 인터넷 방송이 추구해야할 공익적 가치를

논의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터넷 방송 공동 송출시스템 구축 및 운영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본 보고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제1장에서는 문제제기와 연구목적을 정리하였고, 제2장에서는 차후에 논의될 인

터넷 방송에 대한 개념적 정의에 대해 정리하였다. 인터넷 방송이 처음 선보인

1994 이후 인터넷 방송에 대한 많은 논의들이 있었지만 아직까지도 세계 각국은 방

9) 이만제(1998a) , 인터넷 방송 현황 및 육성방안 연구, 서울: 한국방송개발원.

- 5 -

Page 18: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송과 통신의 융합을 통한 멀티미디어 환경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에 대해 끊임없

이 논의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인터넷 방송의 발전 방향을 판가름하는 중요한 지

표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구체적으로 인터넷 방송 정의

에 대해 논의된 바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인터넷 방송의 기술적, 내용적인 특성

및 보고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방송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였다.

제 3장에서는 앞서 정리한 인터넷 방송의 개념을 토대로 그 현황을 조사, 분석하

였다. 우선 인터넷 방송의 급속한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in fr a st r u ct ur e)으로

서 인터넷 이용인구 수, 인터넷 호스트 수, 도메인 수 등의 인터넷 관련 기본 데이

터를 통해 인터넷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인터넷 방송에 대한 현황 조사를 위해

2차 조사 자료에 의존하여 국내 인터넷 방송의 개요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인터

넷 방송국 유형별로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인터넷 방송에서 기술

과 자본 면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소수 기업에 의한 독과점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과 프로그램 편성이나 방송사들의 주요 방송내용이 수익성이 높은 연예, 오락, 성

인 컨텐츠에 편중되어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아울러 인터넷 방송이 외

국에서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제 4장에서는 인터넷 방송의 공동송출시스템의 필요성을 공익성 개념, 하버마스

의 공적 영역 이론, 보편적 서비스 개념, 그리고 문화생산 참여로서의 액세스 채널

기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을 위해 기존 지상파 방송 및 디지

털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개요를 살펴보았으며 국내에서 웹호스팅 중 인터넷 방송

송출시스템 형태로 운영되는 사례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6장에서는 구체적으로 공영 인터넷 방송 시스템 구축방안과 운영방안에 관해

논의하였다. 결론에서는 이 논의가 갖는 사회적 함의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였다.

- 6 -

Page 19: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Ⅱ. 인터넷방송의특성

1 . 인터넷 방송의 개념

월드 와이드 웹(Wor ld Wide Web ; WWW)을 초석으로 한 인터넷의 급속한 발

전10)은 방송과 통신의 융합을 통해 기존의 미디어 지형을 멀티미디어 환경으로 변

화시키고 있다.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환경은 방송 환경 변화의 핵심적 사안으로

이를 통해 방송과 통신, 컴퓨터는 디지털이라는 공통 분모를 갖게 된다. 디지털화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 추세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제공한다. 이

제 방송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디지털화의 흐름은 불가피한 상황으로 이러한 방송

의 디지털화가 가지는 가장 핵심적인 의의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있다. 방송과 통

신의 융합으로 동영상 컨텐츠가 전세계를 연결하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

고 있고 시청각 정보의 분배 기능에 쌍방향화가 추가되어 기존의 방송과 통신의 구

분조차 모호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인터넷은 텍스트, 오디오, 영상과 같은 다

양한 컨텐츠를 디지털로 변환시켜 전지구적으로 연결된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함으

로써 방송, 라디오, 신문 등의 미디어 통합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인터넷 방송은 이용자가 클릭만 하면 필요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접근의 용이성과 규격화된 상품인 동영상과 오디오를 대중에게 다량으로

전달하는 방송의 특성을 결합한 융합 서비스로서 멀티미디어 환경과 쌍방향적 커뮤

니케이션을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매체로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0) 월드와이드웹(Wor ld Wide Web ; WWW)은 1989년 스위스 제네바의 유럽 원자핵 공동연구소(CERN)에서 개발되어 연구자가 전문가 그룹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사용되다가 1994년 검색엔진 야후(Yahoo)와 대표적인 웹브라우저 네스케이프(Net scape Navigaor )의 등장으로 일반인에게 빠르게 전파되었다. 월드와이드웹의 그래픽 지향적인 인터페이스와 관련 정보를 비순차적으로 연결하는 하이퍼텍스트(hyper t ext ) 기술은 인터넷의 인터페이스를 이용자 중심으로바꾸었으며 인터넷 발전의 근간이 되었다.

- 7 -

Page 20: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그림 Ⅱ- 1>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서 인터넷 방송

통 신(Telecommunicat ion)

Int ernet

인터넷방송

정보기술(IT)

방 송(Media )

1994년에 처음 등장한 인터넷 방송국은 그 수가 급증하여 현황을 정확하게 집계

하는 것조차 불가능한 실정이다. 2000년 10월 현재 인터넷상에 800여개의 크고 작

은 인터넷 방송국이 이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인

터넷 방송에 대한 개념적 정의조차 명확하지 않은 상태여서 수백억원대의 자본금을

가진 대형 인터넷 방송에서부터 개인이 취미활동으로 운영하는 사이트까지 인터넷

방송으로 분류되고 있다. 인터넷 방송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검색엔진에 인터넷 방

송을 표방하는 모든 사이트가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등록된 사이트의 20%가 3개월

후에 문을 닫거나 URL을 변경하여 운영이 되지 않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인터

넷 방송에 대한 용어도 웹캐스팅(Webca st in g) , 웹 TV(Web TV) , 포인트캐스팅

(P onit ca st ing) , 사이버캐스팅(Cyber ca st in g) , 인터캐스트(In t er ca st ) , 인터넷

TV 방송 등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혼선은 인터넷 방송이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 탄생한 새로운 매체라는데

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현재 인터넷 방송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

지 않다면 다각적인 논의를 수렴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매체의 도입시기에 그 매체

를 정의하는 것이 그 매체의 발전방향을 규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

다. 이런 점에서 현재 인터넷 방송임을 판가름하는 중요한 기술적, 내용적 조건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8 -

Page 21: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1) 형식적 차원의 인터넷 방송 개념

OECD( 1997)는 웹캐스팅을 인터넷을 통해 기존의 미디어 기능을 하는 모든 것

을 포함한다고 광의의 정의를 내리고 있다. 이는 인쇄매체, 전자매체, 통신서비스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크게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11)

① 텍스트와 그래픽 위주의 서비스 : 푸시(pu sh )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인터넷 방송이 협의의 의미로 사용될 때를 지칭한다. 미국의 P oin t ca st 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② 오디오와 비디오의 서비스 : 스트리밍(st r eaming) 기술로 서비스되는 분야

로 동영상 또는 오디오를 포함한 서비스를 포함한다.

③ 인터넷 전화와 화상전화

국제인터넷방송협회(In t er n at ion al Webca st ing Associat ion ; IWA)에 따르면

인터넷 방송은 인터넷을 통해 이용자에게 디지털화된 오디오나 비디오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것으로 컴퓨터와 TV의 결합12)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터넷 방송을 스트리

밍 기술을 통해 제공되는 오디오와 비디오 서비스에 국한한다. 온라인(Onlin e)지에

서도 인터넷 방송을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상에서 오디오, 동영상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푸시, 유니캐스팅, 멀티캐스팅의 방법을 포함한다고 정의하

고 있다.13) 1998년 9월에 발족한 한국인터넷방송협회(Kor ea Webca st Net wor k

; KWN )에서도 인터넷 방송을 스트리밍과 푸시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컨텐

츠 비즈니스14 )로 규정함으로써 기술적 요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이처럼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서비스에 방송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것은 푸시

기술15)이나 스트리밍 기술16)에 힘입은 바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인터넷 방송은

11) 초성운, 김은미, 도준호(1999) , 인터넷을 이용한 영상서비스의 현황과 전망,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 .25.

12) ht tp :/ / www.webcast er s .or g(2000) .

13) Wiley , 1999 .

14) ht tp :/ / www.kor eawebcast .net (2000) .

- 9 -

Page 22: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진보된 기술을 바탕으로 일부 전문가에게만 국한되었던 생산 요건을 기술적으로 극

복함은 물론 프로그램을 디지털 정보로 저장하여 이용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게 하며 시공의 제한을 극복하고 있다. 이는 일방향적 방송과 동시적 시·청취

라는 전통적 방송 개념을 무너뜨리는 새로운 방송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

만 인터넷 방송 기술만으로 인터넷 방송의 개념을 규정하는 것은 일정한 한계가 있

을 수밖에 없다. 인터넷 방송이 말 그대로 방송인 이상 그것을 채우는 다양한 컨텐

츠를 가지는데 내용을 담는 형식만으로 그 개념을 온전히 설명했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형식이라고 할 수 있는 기술은 그 자체로서 목적이 아니라 도구이기

때문에 빠른 변화와 발전 속에서 언제까지 그대로 남아있으리라 보장할 수 없다.

2) 내용적 차원의 인터넷 방송 개념

인터넷 방송을 푸시 기술 및 스트리밍 기술을 활용해 인터넷이라는 채널을 통해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17)이라고 정의한다면 인터넷망을 통해 전달되

15) 푸시 기술은 1997년 말에 부상한 기술로 사용자가 미리 정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푸시는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아다니는 풀(pu ll) 방식을 전환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해 주는 기술로 윈도우 첫 화면에 나타나는 다채널 화면이라든지 갑자기 화면에 나타나는 인포팩(infopak) 등을 일컫는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이용자는 정보를선택적으로 받을 수 있고 정보창을 원하는 위치로 옮기거나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또한 이용자들은 인터넷 방송을 시청 또는 청취하면서 P C상에서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다. 푸시기술의 원조라 할 수 있는 포인트캐스트사의 포인트캐스트(PCN) 서비스는 서비스를 제공한지1년만에 이용자수가 1백만 명이 넘을 정도로 급속히 확산되었다.

16) 스트리밍은 어원적으로 흐름이나 연속을 뜻하는 것과 같이 동영상 파일을 조금씩 흘려서 연속되어 나오게 함으로써 파일 용량이 큰 동영상 컨텐츠의 실시간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인터넷 방송에서 동영상을 원활하게 보기 위한 기술로 스트리밍 외에 버퍼링(buffer ing) 기술이 있다. 버퍼링은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하는 중간장치로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해서 다음 데이터와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로써 3∼4초 정도의 버퍼링 시간만을 제외하면 기존 지상파 방송처럼 지속적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스트리밍 기술은VXTREME사가 개발한 Web Theat er , Real Media사의 Real Video , Xing Technology사의 St reaming Wor ks , VDONet사의 VDOLive 그리고 Apple사의 Qiuck Time이 주로 사용되다가 최근에는 Real Media사의 Real Play G2( .rm , .r a ) Micr osoft사의 Win dowMedia player ( .a sf , .a sx) 양대 구도로 압축되고 있다.

17) 윤석민(2000.6) , 지상파 방송사의 인터넷 방송 사업의 의의 , 방송문화, 제 228호, p .7.

- 10 -

Page 23: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는 모든 음성이나 영상서비스를 방송이라고 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현

행 방송법 제 2조에 따르면 방송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시사 등에 관한 보도,

논평 및 여론과 교양, 음악, 오락, 연예 등을 공중에게 전파함을 목적으로 방송국이

행하는 무선통신의 송신을 말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것은 방송이란 송신자와 수

신자가 존재해야 하고 방송물로 제작, 편성된 컨텐츠가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

서 인터넷 방송이 방송서비스의 일종으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기술적 조건뿐만 아니

라 인터넷을 통해 특정 혹은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정기적 편성에 의해 프로그

램을 제공해야 한다는 내용적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편성은 엄격한 의미에서 인터넷 방송을 정의하는 중요한 판단기준이 될 수 있다.

동영상을 서비스하는 모든 사이트를 인터넷 방송으로 규정하기는 어렵지만 편성의

개념을 갖고 서비스하는 사이트는 방송 서비스로서 구분할 수 있다.18) 물론 지상파

방송이 매일매일 새로운 프로그램을 방송하는데 비해 인터넷 방송의 프로그램 편성

은 하루 단위나 일주일, 한달 또는 분기를 단위로 하고 있어서 불규칙적인 편성단위

를 갖기도 한다. 하지만 이것은 마치 정규적인 발행주기를 갖는 잡지의 형태와 발행

주기를 갖지 않는 무크지 또는 단행본과 같은 인쇄매체를 구분하는 것과 유사한 의

미를 갖는다.

이에 덧붙여 인터넷을 통해 유통되는 다양한 정보들과 인터넷 방송을 구별짓는

중요한 요건으로 내용상의 사회적 공익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익명의 이용자가 거

리의 풍경을 담은 동영상을 자신의 홈페이지에 올린 것과 천리안 인터넷 방송국에

서 민주당의 최고위원 후보의 사이버 토론회를 생중계19)하는 것에는 개념적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인터넷 자체의 속성이 중앙집중적이라기보다 분산적이기 때문에 개

인의 파워를 강화하고 새로운 개인주의에 근거한 무한한 다양성의 장을 마련하여

현대 사회를 새로운 차원의 익명성의 세계로 재편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의 사회문화

적 영향력은 여전히 유효하다.20) 인터넷 방송이 여론 형성, 환경 감시, 의제 설정

18) 방송법 시행령 제 21조에서는 방송 사업자, 중계유선방송 사업자 및 전광판방송사업자가 전기통신 회선을 통하여 방송 , TV 또는 라디오 등의 명칭을 사용하면서 일정한 편성계획에 따라유통시키는 정보를 심의 대상에 포함한다고 밝히면서 간접적으로 인터넷 방송을 정의하고 있다.

19) 천리안 인터넷 방송국(ht t p :/ / cfocu s .chollian .net )은 2000년 8월 25일 새천년 민주당 최고위원 후보자 사이버 토론회를 생중계하였다.

20) 박성호(1999) , 인터넷 방송의 방송학적 의미와 전망 , 한국방송학보, 제 13호, p .230.

- 11 -

Page 24: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과 같은 방송의 고유한 역할을 일정부분 담당하게 될 것이라는 예측도 가능하다. 이

런 연유에서 세계 각국은 새로운 방송서비스에 대한 개념 규정에 공공성을 하나의

축으로 설정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텔레서비스와 구별되는 미디어 서비스를 여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편성을 통해 일반성을 지향한다고 규정하며, 프랑스의 경우에

는 내용 전달 방식에서 공공전달을 취하는 것을 방송서비스로 구별한다.21) 이러한

현상은 인터넷 방송의 사회문화적 영향력이 현상적으로 드러나는 것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방송에 준하여 사회적 공

공성의 최소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는 것이

다.22)

따라서 인터넷 방송의 개념을 명확히 규정하는 일이 아직까지 섣부른 작업이기도

하지만 인터넷 방송을 방송이 갖는 전통적인 기능을 가지고 인터넷의 웹사이트를

통해 디지털화된 프로그램을 정기적 편성에 의해 제공하는 서비스로 규정할 수 있

다. 이런 개념적 틀 안에서 구체적으로 서비스 유형을 ① 기존에 생산된 컨텐츠의 2

차, 3차 재활용 ②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자체 생산 서비스 ③ 학교,

전자상거래, 포털사이트에서 부수적으로 운영하는 서비스 ④ 개인이 문화생활 차원

에서 제공하는 AOD, VOD 서비스 등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2 1)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2000) , 뉴미디어 방송서비스 정책에 대한 연구, 서울: 정보통신부,p . 154 .

22) 최영묵(1999a) , 방송서비스 영역 확대에 따른 합리적 규제방안 연구, 서울: 한국방송진흥원,p .87.

- 12 -

Page 25: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2 . 인터넷 방송의 대중매체적 특성

1) 기존의 방송과 인터넷 방송의 차이점

현재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의 상당 부분이 공중파 방송을 모방하는데서

시작했으므로 시스템이나 컨텐츠의 구성면에서 기존의 방송과 유사한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존의 방송과 인터넷 방송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 자체가 완

연히 다르다. 다음은 방송기술 및 요구조건에 따라 기존의 방송과 인터넷 방송을 비

교한 표이다.

<표 Ⅱ- 1> 방송기술과 요구조건23 )

TV 방송 제작단계 인터넷 방송 제작단계

1. 신호생성2 . TV 방송국으로 신호 전송3 . TV 방송국에 의한 신호 방송

1. 신호생성2 . 신호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encoding)3 . 전화선이나 인터넷 연결선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신호 압축(compr ession )4 . 압축되고 인코딩된 신호를 ISP (In t er net

Service Pr ovider )에게로 전송 및 복제5 . ISP에 의한 신호의 재생( = St r eam) 및

인터넷을 통한 방송

요구조건 요구조건

방송장비방송시간프로그램 컨텐츠송신 단위

웹케스팅 장비ISP와 연결프로그램 컨텐츠대역폭(ISP로부터 임대)

기존의 모든 방송 시스템은 소수의 전문 제작자가 다수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일

방향적(on e- way)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방송을 송신하는

방송국, 이를 중계하는 매체, 그리고 방송을 받아들이는 수신기로 구성되어 있다.

23) Miles , P .(1998) , Guide t o Webcast ing , New York : J ohn & Son s , Inc. , 손인석 옮김(2000) , 웹캐스팅, 서울: 대청, p .59.

- 13 -

Page 26: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인터넷 방송과 비교해서 전달하는 매체가 각각 공중파와 인터넷이라는 점과 수신기

가 텔레비전과 컴퓨터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다.24 ) 그렇지만

인터넷 방송은 통신과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쌍방향적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몇

가지 면에서 기존의 방송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특성들을 나타낸다.

첫째, 인터넷 방송은 양방향(in t er act ive) 커뮤니케이션의 구현이 가능하다. TV

나 라디오와 같은 기존의 방송이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하고 시청자는 여과없이

그것을 받아들인다는 부정적인 특성 때문에 소위 바보상자라는 별칭으로 불렸다면

인터넷 방송은 이러한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다. 흔히 일반적인 사

이트에서도 제공되는 BB S (자유게시판)를 통해 캐티즌들은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와 소감이나 불만 등을 직접적으로 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드라마가 진행되는 동안 출연자가 입고 있는 의상을 전자상거래를 통

해 구매한다거나 전체적인 드라마의 진행과정을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된다. 기존의 방송이 ARS 등의 이벤트를 통해 제한적으로나마 시청자의 참여

를 도모하려고 했던 것에 비하면 인터넷 방송은 이용자의 능동적 참여와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을 보장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인터넷 방송은 초시간적, 탈공간적인 방송이 가능하다. 메시지의 보존성이

뛰어난 인터넷 방송은 인터넷에만 접속할 수 있다면 어느 장소, 어느 시간에나 서비

스에 접근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인터넷상에서 제공되는 주문형 방송서

비스(VOD 또는 AOD)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항상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

을 수 있다. 물론 컨텐츠가 생중계(live) 형태로도 서비스될 수 있으며 생중계로 방

영된 프로그램은 파일로 DB화하여 지속적으로 방송할 수도 있다. 인터넷 방송의

비동시성(a syn ch r o nicit y) 은 기존의 방송과 차별화되는 또다른 지점이며 수용자

에게 능동적인 채널선택의 자유를 보장한다. 또한 전세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인 인

터넷을 통해 국내외 구분없이 전세계인을 대상으로 방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탈공

간적이다.

셋째, 인터넷 방송국의 설립이 용이하다. 과거에 방송국을 설립하기 위해서는 많

은 자본과 인력이 필요하였지만 인터넷 방송국은 인터넷에 대한 개념을 알고 있는

24) h t t p :/ / www.kbs .co .kr/ t echcen ter/ t ext / t ext 04 .ht m .

- 14 -

Page 27: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정도라면 적은 자본으로 쉽게 방송국 운영이 가능하다. 특히 라디오 방송국의 경우

는 음성을 녹음할 수 있는 녹음기 한대와 디지털 파일을 만들 수 있는 컴퓨터 한

대만 있으면 호스팅 서비스를 통해 월 몇십만원 정도의 비용으로 인터넷 방송을 개

국할 수 있다. 동영상의 경우에도 6mm 디지털 카메라가 저렴하게 보급됨으로써 일

반인들도 손쉽게 방송 장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전문 제작자의 전유물이었던 영상 채널을 청소년이나 시민들까지 공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대안 매체로 각광받았던 이른바 일인 비디오 저널리스트의 탄생을

가져오기도 했다. 이렇듯 소수의 거대 방송국에 의해서가 아니라 독립 방송국이나

개인에 의해 제작되고 서비스되는 컨텐츠는 다양한 사회와 문화영역을 개척함은 물

론 다원화된 문화를 표출하는 기본적인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방송은 기존 공중파나 케이블 TV에서 방송하지 않았거나 방

송할 수 없었던 수많은 컨텐츠들을 활용할 수 있다. 즉 시장원리에 의해 상업적으로

오염된 기존의 방송 프로그램에 비해 인터넷 방송 서비스는 다양한 계층의 목소리

를 담아냄으로써 다양한 문화공동체를 형성한다. 이해와 요구가 다른 다양한 사회계

층의 목소리를 수렴하고 또 여론화하는 인터넷 방송의 가능성은 전자 민주주의를

향한 잠재력의 다른 표현이다. 더욱이 인터넷 방송을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활용한

네트워크 공동체의 등장은 전통적인 어떠한 매체보다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

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25)

이상의 특성들을 종합해 볼 때 인터넷 방송은 <표 Ⅱ-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

존의 지상파 방송과는 새로운 매체 환경을 제공한다. 즉 컴퓨터가 텔레비전을 대체

한다는 의미에서 한 단계 발전하여 양방향적 가능성을 구현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방송 환경의 판도를 바꾸어 놓고 있

는 것이다.

25) Schuler , D. (1996) , New Com municty Net work s : Wired for Change , New York :ACM Press , p .25.

- 15 -

Page 28: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표 Ⅱ- 2 > 인터넷 방송의 특성26 )

구분/ 미디어별 공중파 방송 케이블TV 인터넷 방송

방송의 범위 Br oadcast ing Nar r owcast ing Br oa d/ Nar r ow/ Poin t ca st ing

전송망 지상 무선망(Hz) 케이블 망(광케이블) 전화망(동축케이블)

커뮤니케이션 유형 일방향 부분적 쌍방향 완전 쌍방향

방송 서비스 형태 오락지향 오락 및 정보지향 업무 및 정보 지향

사업 진입 가능성 엄격한 허가 허가 제한 없음

시간적 제약성 제약 약간 제약 제약 없음

타미디어와의 호환성 없음 약간 가능 가능

운영재원 광고수입(95%) 시청료 수입(70%) 광고+ 이용료

방송의 공익성 아주 높음 낮음 아주 낮음

사회적 통제 정도 강함 낮음 아주 낮음

내용 통제 근거전파의 희소성,

공익성청소년 위해(危害) 청소년 위해(危害)

관련 법률 통합방송법 통합방송법 전기통신사업법

2) 대중매체로서의 인터넷 방송

인터넷 방송이 기술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방송 패러다임을 구성해 갈 제4의 방송

매체임을 부정하기는 힘들지만 인터넷 방송이란 인터넷 환경에 브로드캐스팅의 의

미를 접목시킨 것이기 때문에 기존의 대중매체와 완전히 단절된 개념으로 보기 어

렵다. 인터넷 방송의 대중매체적 특성으로 첫째, 다수의 이용자들이 동시에 규격화

된 컨텐츠를 이용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물론 인터넷 방송은 그 범위에 있어서 공

중파 방송과 차이가 있지만 특정 인터넷 방송국을 선택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같

은 내용을 시청한다는 의미에서는 동일하다. 즉 인터넷 방송의 대부분이 회원제로

운영되더라도 누구나 회원으로 가입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모리스

(Mor r i s)와 오건(Ogan )도 인터넷이 대인적(in t er per son al ) 특성 뿐만 아니라 매

스 커뮤니케이션적인 특성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이용자의 집

26) 최영묵(1999a) , 앞의 책, p .89.

- 16 -

Page 29: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단적 특성을 제시하였다. 이들에 따르면 인터넷은 전자우편처럼 전통적 대인 커뮤니

케이션 모델인 송신자-매체-수용자의 일반적 과정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유

즈넷이나 웹과 같이 그 과정을 탄력적이고 집단적으로 보여주는 매체이기 때문에

대중매체로 다루어야 한다는 것이다.27)

더구나 인터넷 방송국이 급속히 확산되는 추세이고 이용자수도 급증하여 인터넷

방송의 대중화가 예견되는 상황에서 대부분의 컨텐츠가 불특정 다수를 타겟으로 하

고 있다는 사실은 그것의 사회적 영향력을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예를 들어 1998년

인터넷 웹사이트에 제공된 클린턴 스캔들 사건28)은 인터넷 방송이 비단 차별화된

특정 집단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님과 동시에 사회적 의제를 설정하는 등의 대

중매체로서의 위력을 발휘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국내에서도 이미 2만 명의 이

용자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고, 주요 지상파 방송사를 중심

으로 다수의 이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두 번째로는 인터넷 방송 컨텐츠 그 자체가 대중매체적 특성을 띤다는 점을 지적

할 수 있다. 최근 인터넷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과

같은 전통적인 대중매체를 네트워크상에 재현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컨텐츠

면에서도 기존의 매체와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인터넷 방송의 도입 초기부터 주요

방송사들은 인터넷 방송을 단순히 자사 프로그램들의 시청률을 높이기 위한 일종의

부가 서비스 정도로 생각했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자를 위해 별도로 동영상 컨텐츠

를 제공하지 않았다. 그후 갑자기 성장하기 시작한 독립 인터넷 방송국에서 주요 지

상파 방송국의 컨텐츠와 경쟁하기 위해 이용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거나 기존 매체

에서 접할 수 없는 컨텐츠를 개발하여 제공하고는 있으나 소수의 인터넷 방송국을

제외하고는 여전히 기존의 방식을 따르고 있다. 대중매체와는 다른 새로운 프로그램

형식도 정착되지 않은 상태여서 과거 텔레비전 드라마를 짧은 시간 편성하는 형식

이 실험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주류를 이룬다고 볼 수 없다. 컨텐츠 제작도 대중매

27) Mor r is , M. & M. Ogan (1996) , The In t er net as Mass Media , J ournal ofComm unicat ion , Vol . 46 , No. 1, p .486.

28) 인터넷 웹사이트에 클린턴 스캔들 보고서가 제공되자 미국 CNN 방송의 인터넷 사이트에는 분당 최고 34만 건의 접속이 폭주했으며 미국의 MSNBC 뉴스 사이트에는 1백13만 건이 접속되

어 사상 최고의 접속치를 기록했다. 중앙일보, 1998. 9 . 15.

- 17 -

Page 30: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체의 제작방식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기존 방송사 조직과 유사한 규모의 인

터넷 방송 설립재원이 투자되어 거대한 조직으로 운영되는 인터넷 방송국의 경우

지상파 방송국의 운영체제와 같이 체계화된 조직에 의한 분업화된 생산체계를 갖는

다.

인터넷 방송을 대중매체로 볼 수 있는 마지막 근거는 인터넷 방송 산업이 운영,

유지되는 메커니즘이 대중매체와 유사하다는데 있다. 현재 우리 사회가 유지되는 중

요한 메커니즘의 하나로 대중매체를 들 수 있는데 대중매체는 문화를 상품화하여

판매함으로써 팔리지 않는 문화를 위축시킨다. 문화의 상품화를 위해 대중매체는 대

규모 자본을 끌어들이고 대량복제가 가능한 규격화된 컨텐츠를 생산하게 된다. 또

이윤창출을 위한 분업화된 문화생산이 조직 내에서 이루어지며 불특정 다수를 대상

으로 상품화된 컨텐츠를 판매한다. 대중매체는 우리에게 적당한 오락을 제공하면서

세계를 이해하는 창구가 되기도 하고 지배적 의미체계 형성을 위해 한 사회를 유기

체적으로 연결하는 문화적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대중매체는 단지 대중문화 상품

을 생산 유통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징생산을 통하여 그 사회의 지배적 의미

체계를 생성하여 사회구조의 재생산에 기여한다.

이러한 대중매체의 메커니즘을 한마디로 요약하기는 쉽지 않지만 그 핵심적인 운

영 원리가 자유 시장 경쟁에 따른 시장원리라는 것은 대중매체의 역사적 발전과정

을 통해 증명된 바 있다. 일례로 미국의 라디오 방송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초기 10

여년간 아마츄어를 중심으로 민주적이고 다원적인 문화매체로 규정되어 운영되던

라디오 방송이 이후 사업자들에 의해 사업성이 높은 매체로 인식되면서 상업매체로

정의되었다. 1920년대 후반 사업자들은 라디오 방송이 이윤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됨에 따라 이들이 연방라디오위원회(F eder al Ra dio Commission )

를 장악하였고 공중파 채널이 이들에게로 넘어가게 되었다. 이후 미국에서 방송사업

에 대한 비판은 방송 전파 운영의 주체에 관한 논의보다 채널수가 희소한 방송에

대한 규제 수준에 머물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으로 인해 미국사회는 라디오

방송의 상업화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되었으며 다른 나라에 비해 방송의 상

업적 전통이 강해지게 되었다.29)

29) McChesney , R. W. (1996) , The In t er net and U .S . Communicat ion Policy-Makingin Hist or ical and Cr it ical Per spect ive , J ournal of Comm unicat ion , Vol . 46, No. 1,

- 18 -

Page 31: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인터넷 방송 영역에서도 이미 상업화가 가시화되어 지상파 텔레비전이나 케이블

TV에서 일반적으로 방송하기 어려운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내용들이 주로 유통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인기있는 한 인터넷 방송국은 프로레슬링 경기 장면을 케

이블 TV보다 훨씬 자극적인 내용으로 제작하여 회원들에게 유료로 방영함으로써

수익을 올리고 있다. 인터넷 방송에서 상당수의 컨텐츠를 차지하는 음악 프로그램의

경우도 기존의 대중매체에서 생산하거나 유통되던 음악을 저작권료를 지불하거나

아니면 불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현시점에서 서비스되고 소비되는 인터넷 방송은 새로운 매체적 가능성뿐

아니라 대중매체와 유사한 특성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인터넷 방송은 기존의 대

중매체와 완전히 단절된 개념이 아니라는 이러한 몇가지 근거를 바탕으로 정보제공

및 교육기능, 오락기능, 여론형성, 환경감시 그리고 의제설정과 같은 방송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일정부분 담당하게 될 것30)이라는 예측까지 가능하다. 따라서 인터

넷 방송의 개념 규정에 있어서 기술적, 내용적 특성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는 신중

한 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Winter , pp .98- 124 .

30) 박성호(1999) , 앞의 논문, p .230 .

- 19 -

Page 32: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Ⅲ.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1 . 인터넷 이용 현황

1) 세계 인터넷 이용 현황

인터넷 이용자수는 연령, 접속방법, 기간 등 인터넷 이용자를 어떻게 정의하느냐

에 따라 실제 그 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조사하는 일이 어려울 뿐만 아

니라 산출하는 기관마다 많은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여러 기관이 실시한 조사자료

를 토대로 전반적인 흐름을 살펴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조사에 따르면 전세계적

으로 인터넷 이용자수의 증가율은 점차 완화되고 있지만 인터넷 이용자수는 증가

추세에 있다. Nu a In t er n et Sur vey는 1995년 4 ,500만 명이었던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 수가 2000년 9월 현재 377 .65백만 명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31)

Commer ceNet이 실시한 통계 조사 역시 세계 인터넷 사용자수의 꾸준한 증가 추

세를 확인해 주고 있다.32) 한편 유럽정보기술연구소(EITO)는 1997년의 약 2 ,900

만 명이었던 유럽 인터넷 이용자수가 2002년에는 9 ,000만 명을 상회할 것으로 전

망하고 있고, eTF or eca st s는 2000년 말이면 미국과 캐나다에 15 ,000만 명, 유럽

에 8 ,300만 명, 아시아에 250만 명의 사람들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세계 인터넷 이

용자수는 35 ,4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3 1) h t t p :/ / www.nu a .ie/ su rveys (2000) .

32) CommerceNet (2000) , h t t p :/ / www.commer ce .net / r esearch/ st at s/ wwst at s .ht ml .

- 20 -

Page 33: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표 Ⅲ- 1> 국가별 인터넷 이용자의 비율 예측(20 00년 말)(단위 : 백만)

순위 국 가 인터넷 이용자수 비율 순위 국 가 인터넷 이용자수 비율

1 미국 135 .7 36 .2 6 캐나다 15 .2 4 .05

2 일본 26.9 7 .18 7 한국 14 .8 4 .05

3 독일 19.1 5 .10 8 이탈리아 11.6 3.08

4 영국 17.9 4 .77 9 브라질 10 .6 2.84

5 중국 15.8 4 .20 10 프랑스 9.0 2.39

자료 : eTF or eca st s (2000.6) , h t t p :/ / st a t .n ic.or .k r .

인터넷 이용자수의 전세계적인 증가 추세에서 특이할 만한 사실 하나는 절대적인

인터넷 이용인구는 미국이 압도적으로 많지만 인터넷 이용인구 밀도는 아이스랜드

(320/ 1000명) , 핀란드(305/ 1000명) , 노르웨이(304/ 1000명) , 스웨덴(290/ 1000

명) 등이 오히려 미국을 앞서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아이스랜드의 경우에는 전체

인구의 약 32%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인터넷을 일상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33) 이는 이들 국가들이 섬이거나 고립적인 지리적 조건을 가졌기

때문에 인터넷을 상호간 연락이나 정보교류에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생

각해 볼 수 있다.

주목할 만한 또 다른 현상은 선진국의 이용자 증가율은 둔화하는데 비해 동유럽

이나 중국 등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는 그 증가율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중

국의 경우 2005년에는 미국 다음으로 인터넷 이용자수가 많은 국가가 될 것으로 예

상되며, 상대적으로 전세계 이용자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6년 55%에서

1998년 46%로 점차 떨어져 2000년 말에는 36%가 될 전망이다. 한편 eAsia 보

고서에 따르면 아시아의 인터넷 이용자는 현재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 중 16 .6%만

을 차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비율은 몇 년 이내에 상당히 증가해서 2000년 말

3,800만 명에 이르고, 2003년까지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의 25.7%에 해당하는

9 ,583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아시아에서도 중국이나 우리나라

인터넷 이용자수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월등한 우위를 차지하였던 일본의 비중

이 같은 기간 48%에서 32%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34)

33) Computer In du st r y Alman ac Inc(1999) , ht t p :/ / www.c- i- a .com .

- 21 -

Page 34: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표 Ⅲ- 2 > 아시아 국가의 인터넷 이용인구

자료 : Delat t e Tou che (2000) , h t t p :/ / www.Mar ker t er .com .

이들 조사결과들이 의미하는 바는 한마디로 인터넷의 대중화로 요약할 수 있다.

국가간 정보화 격차라든지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문제 등을 아직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지만 여하튼 전세계적으로 인터넷은 우편과 전화를 능가할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독자적인 입지를 확보해 가고 있다.

한편 인터넷의 양적 팽창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인터넷 호스트 수, 도메인

수 역시 증가추세에 있다(<표 Ⅲ- 3> 참고) . 인터넷에 연결된 IP 주소를 가지고 있

는 컴퓨터의 수를 의미하는 호스트 수는 1997년 1,954만 개에서 1999년에는

5 ,622만 개로 세 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도메인 수 역시 1997년 1,30 1만 개에서

현재 72 ,398만 개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전세계적인 인터넷 사용률

의 증가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더욱이 최근 Alt avist a , Excit e @Home ,

Lycos 등의 유명 포털사이트들과 영국 NTL의 무료 인터넷 접속서비스35)의 제공

은 이러한 추세를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36)

34) h t t p :/ / www.emar ket er .com (2000) .

35) 무료 인터넷 접속서비스(Free Access Service)는 1999년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것으로, 인터넷의 광고를 보는 조건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 무료 인터넷 접속서비스의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지만 인터넷 이용의 확산에 긍정적인 영향을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00) , 정보통신정책, 통권 251호, p .54- 57.

36) Alt avist a는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약 200만의 가입자에게 광고를 보는 조건으로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영국의 케이블 업체인 NTL도 영국 전역에 걸쳐 P C와 모뎀만 있으면NTL의 케이블망 밖에 있는 사람이라도 무료로 자사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 22 -

Page 35: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표 Ⅲ- 3 > 세계 인터넷 관련 주요 통계(단위 : 1,000개)

연 도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호스트 수 1,776 3 ,212 6 ,642 12 ,881 19 ,540 36 ,739 56,218 72 ,398

WWW서버 수

623(개) 10 23 .5 603 1,681 3,689 9 ,560 -

도메인 수 26 46 120 488 1,301 36 ,739 56,218 72 ,398

자료 : In t er net Softwar e Con sor t iu m (2000) .

인터넷의 대중화와 인터넷 이용자의 증가는 단순한 수적 증가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라이프스타일을 포함한 문화적 변화와 더불어 기존의 매체 질서의 지배력을

위협할 수 있는 인터넷의 잠재력을 가시화해 나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인터넷이 전

세계 정치, 사회, 문화, 경제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조사한 자료에 따르

면 정보 원천으로서 인터넷은 TV나 라디오와 같은 다른 대중매체보다 중요한 정보

원천으로 인식되고 있다. 인터넷 이용자가 꼽은 가장 중요한 정보 원천 매체는 도서

(73 .1%) , 신문(69 .3%) , 인터넷(67 .3%) , TV(53. 1%) , 라디오(46 .88%) , 잡지

(44 .3%) 순으로 인터넷이 도서와 신문에 이어 3번째로 중요한 정보 원천으로 인식

되고 있었다.37) 인터넷이 대중화된지 몇 년 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앞으로

그 영향력이 급격히 확대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하겠다.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욱(2000) , 영국 NTL, 무료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발표 , W ise on DB .

37) UCLA(2000 . 8) ,“Surveying the Digit al F ut ur e .

- 23 -

Page 36: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2) 국내 인터넷 이용 현황

( 1) 인터넷 관련 통계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터넷 인구는 1999년 1,000만

명을 넘어섰고, 2000년 7월 말 기준으로 1,603만명에 이른다고 한다.38) 인터넷 도

메인 등록수도 1994년 192개였던 것이 2000년 7월에는 494 ,074개로 급증하였다

(<표 Ⅲ- 4> 참조) . 미국의 도메인 등록기관인 NSI가 2000년 3월에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도메인 등록건수를 기록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39) 또한 세계에서 가장 많은 네티즌이 방문한 1,000대 사이트 중에

서 우리나라의 사이트가 1월 37개, 2월 45개, 3월 54개에서 4월에는 76개로 증가

했을 정도로 매우 빠른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표 Ⅲ- 4 > 국내 인터넷 관련 통계(단위: 1,000명, 개)

구 분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7

인터넷이용자수 139 366 732 1,635 3,103 10,860 16,030

ISP수 6 11 16 21 26 35* 75

Kr호스트수 14 ,681 38,644 73,194 131,005 177 ,299 460 ,974* -

Kr 도메인수 192 563 2 ,664 8,045 15 ,266 207 ,023 494 ,074

*1999년 8월 기준자료: 한국전산원(2000 .7) .

우리나라에서 인터넷 이용자수가 급격히 증가한 것은 정보화 정책의 효과 측면도

있지만 사이버증권 거래의 증가 , P C 게임방의 급증 , 그리고 벤쳐 기업 육성 등

에 따른 사회적인 분위기 형성 등을 주요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 다른 중요한

38) h t t p :/ / st at .n ic.or .kr/ public_ht ml/ iuser .h tml (2000) .

39) NSI의 조사에 따르면 국가별 도메인 등록 순위는 미국, 한국, 캐나다, 영국, 이태리, 프랑스,일본, 스페인, 독일, 홍콩, 네덜란드 순이었으며 도시별 순위는 미국 이외에서 서울, 홍콩, 런던,파리, 토론토, 벤쿠버, 도쿄, 싱가포르, 마드리드, 밀라노 등이었다. 우리나라는 지난 98년 도메인 등록 순위에서 29위였다가 지난해 5위로 급상승하였다. 연합뉴스, 2000. 5 . 31.

- 24 -

Page 37: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요인으로 고속인터넷 전송망의 대중화를 꼽을 수 있다. 초고속 인터넷 사용자의 증

가는 동영상 정보를 주고 받는데 어려움이 없을 정도의 인터넷 환경을 가지고 있는

이용자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인터넷 방송의 대중화를 위한 선결조건이기도 하

다. 이런 맥락에서 인터넷 전송망에 대한 현황을 간략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2) 인터넷 전송망

전송망이란 정보 컨텐츠를 필요에 따라 이동시키는 네트워크망을 일컫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전화선(P STN , P SDN )이 이용되고 있다. 초기 2 ,400bps에서 시작해

현재 56 ,000bps까지 속도가 향상되어 있으나 영상정보, 음성정보, 동영상정보 등

정보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성능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또 전화선 이용시 인터넷

접속을 위해서는 별도의 ISP에 접속해야 한다는 불편함과 경제적 비용이 발생한다.

국내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수가 2000년 8월말 현재 220만명을 넘어섰다는 조사결

과가 보여주는 것처럼 이용자들은 보다 빠른 속도의 접속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고

속의 인터넷 접속방법 및 전송망의 종류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유선(케이블, xDSL,

ISDN 등) , 위성, 무선 등의 방법이 있다.

① 케이블망

케이블의 경우에는 케이블 TV 프로그램을 송출하기 위해 구축된 네트워크를 인

터넷 전송 네트워크로 사용하는 것으로 xDSL과는 달리 거리의 제한을 받지 않고

동축케이블을 이용하기 때문에 서비스 장애를 받지 않으며 투자비가 적게 들어 이

용료가 저렴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이용자는 LAN 환경에서 전용회선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항상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으며, 통신료에 대한 부담이 정액제

로 처리되기 때문에 장시간 이용자도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한 회선을

여러 사람이 공유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많을 경우 자연히 통신속도가 떨어지며 속

도의 언밸런스가 생긴다. 현재 케이블모뎀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의 불평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 발생한 끊김 현상 때문이다.

- 25 -

Page 38: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② xDSL

xDSL은 음성전송을 위해 구축된 전화용 동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수백 Mbit / s∼

수천 Mbit / s의 고속통신을 실현하는 장치를 말한다. 보통 모뎀은 음성 전송에 사용

하는 4k HZ 이하의 저주파수 대역밖에 이용하지 못하지만 xDSL 모뎀은 20k∼

1. 1MHz까지의 고주파수 대역을 이용한다. 이 경우 대역폭은 보통 모뎀에 비해

250배 이상 되기 때문에 수백 Mbit / s의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xDSL에는

통신속도와 전송거리, 이용자의 집에서 수용국(u p st r eam )으로, 수용국에서 이용

자의 집(down st r eam)으로의 속도가 동일(대칭)한지 동일하지 않은지(비대칭) 등

에 따라서 HDSL(High bit r at e DSL) , SDSL (Symmet r ic DSL) , ADSL

(Asymmet r ic DSL) , RADSL(Ra t e Ada pt ive DSL) , VDSL (Ver y high bit

r at e DSL)의 5가지 방식이 있다.

<표 Ⅲ- 5 > 주요 x DS L 기술

명칭 이용케이블up/ down

스트림 통신속도통신속도 최대전송거리

HDSL 2 pair 대칭 1.5M∼2Mbit / s 7km 정도

SDSL 1 pair 대칭 16M∼2Mbit / s 7km 정도

ADSL 1 pair 비대칭16M∼1Mbit / s (upst r eam)1.5M∼9Mbit / s (down st r eam ) 5 .5km 정도

RADS 1 pair 비대칭 128M∼1Mbit / s (u pst r eam)1M∼12Mbit / s (down st r eam)

5 .5km 정도

VDSL 1 pair 대칭/ 비대칭 1.8M∼2 .3Mbit / s (upst r eam)13M∼52Mbit / s (down st r eam )

1.5km 정도

자료: 한국전자통신연구원(2000) .

HDSL과 SDSL은 업다운 스트림 속도가 대칭인 DSL 기술이다. HDSL은 2쌍의

케이블을 사용하여 주로 기업용 서비스의 일부로 이용되며, SDSL은 HDSL의 개량

판으로 한쌍의 케이블을 사용한다. ADSL은 업다운 스트림 속도가 비대칭인 형태로

서 다운스트림 방향의 통신이 고속이므로 다운스트림 방향의 통신량이 많은 인터넷

(Web 접속)에 최적인 기술이다. RADSL은 ADSL에서 발전한 기술로 선로조건 등

에 따라서 전송속도를 조정한다. VDSL은 통신국사에서 아파트나 빌딩까지 광케이

- 26 -

Page 39: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블을 사용하고 가입자 장비까지는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해 속도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이다. 즉 VDSL은 접속거리를 짧게 제한하는 대신에 ADSL보다도 고

속으로 통신할 수 있다.40) 이런 연유로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따른 종합 멀티미디

어 시대를 이끌어 갈 혁신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③ 위성 인터넷

위성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식은 위성이 가지고 있는 기술특성상 신호 전달에

시간적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무선방식의 고속 인터

넷 접속방식의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위성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경우

송신은 유선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최대속도가 56Kbp s에 불과하지만 수신은 무궁화

2호 위성에서 보내주는 자료를 위성 수신기를 통해 최대 3Mbps의 속도로 받을 수

있다. 이렇듯 다운스트림의 속도가 빨라서 웹 접속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위성을 이

용하는 만큼 통신 사각지대가 없이 산간이나 도서 벽지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장점

을 가지고 있다.

<표 Ⅲ- 6 > 초고속 인터넷 종류

종 류 서비스 업체 속 도

VDSL 한국통신(시범) , 하나로통신(시범) 최고 26Mbps

HDSL 스피드로, 데이콤 등 2Mbps

ADSL 한국통신, 하나로통신, 온세통신 등 최고 8Mbps

CATV 드림라인, 두루넷, 데이콤, 온세통신 2Mbps

위성 인터넷이래온라인(9월) , 애니셋(9월)GCT코리아(11월) 등

2Mbps∼512Kbps최고 1Mbps

④ 무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은 이동통신과 인터넷 서비스의 결합으로 파생된 것으로 이동 중에

무선으로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로 개념지을 수

40) 한국전자통신연구원(2000) , 정보통신강좌- xDSL 모뎀 , 주간기술동향, 00- 37, pp .45- 46 .

- 27 -

Page 40: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있다. 즉 P CS와 셀룰러 폰, P DA 스마트 폰 등을 통해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이

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동통신 가입자수가 P C의 보급대수를 훨씬 능가하고 이를 이

용한 새로운 서비스가 늘어남에 따라 2002년에는 무선 인터넷 이용자수가 유선 인

터넷 이용자수를 앞설 것이라는 예측까지 나오고 있다.4 1)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무

선 단말기의 빠른 확산을 바탕으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새로운 시장영역으로 급

부상하고 있다. 이를테면 이동성이라는 이동통신 고유의 상품가치를 토대로 300여

개 컨텐츠 제공업체가 이동통신업체와 제휴하여 주식거래, 은행계좌, 전자우편, 검

색서비스, 게임/ 방송, 모바일 쇼핑, 위치 정보 서비스 등 다양한 컨텐츠를 개발, 제

공하고 있다.

<표 Ⅲ- 7 > 이동전화사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구분 SK텔레콤 신세기통신 한국통신프리텔 한솔엔닷컴 LG텔레콤

방식 WAP WAP ME ME WAP

구축시스템 에릭슨 폰닷컴 MS MS 폰닷컴

컨텐츠수

무료 2 ,771 582 410 973 1,035

유료 500 없음 없음 11 없음

계 3 ,721 582 410 984 1,005

주요서비스

전자상거래,전자복권,

항공권예약,CNN뉴스,위치정보

신용카드조회,주식정보,원격구매

인터넷쇼핑,교통정보,

예약·예매,주식정보,위치정보

모바일쇼핑,티멧팅, 뱅킹,

카드결제

교통폰,주식정보,전자메일,

게임

자료 : 주간기술동향(2000) , 통권 36호, p .20 .

정보통신부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표 Ⅲ-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0년 8월 현

재 국내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수는 220만7천17명으로 가파른 상승곡선을 타고 있

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한국광고단체연합회와 IMResear ch42)는 인터넷 접속방

4 1) inews24(2000 . 4) , 2002년 무선인터넷이 유선 앞지른다 .

42) 한국광고단체연합회와 IMResearch는 체계적이고 신뢰성 있는 국내 인터넷 사용자에 대한 통계자료를 정기적으로 수집, 분석할 목적으로 지난 3월 22일부터 4월 20일까지 국내 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2000년 상반기 KNP (Korea Net izen Pr ofile) 인터넷 사용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PC Week (2000.6) , 인터넷 쇼핑몰 사업 시험은 끝났다 , pp .52- 54 .

- 28 -

Page 41: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법에 있어서 ISDN/ ADSL , 케이블 모뎀 등 초고속 인터넷 접속서비스 이용률이 99

년 하반기(11.3%)보다 13% 증가한 24%를 기록하였고, 이에 따라 인터넷 이용장

소도 자택이용률이 42 .8%로 99년 하반기(31.7%)에 비해 상당히 높아졌다고 보고

하였다. 인터넷 사용비용은 ISDN/ ADSL , 케이블 모뎀 등 초고속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로 지난해 하반기와 비교하여 3∼5만원대의 유료 사용자가 12 .4% 증가한 반면

무료 사용자의 비율은 9 .8% 감소하였다. 이러한 조사 자료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

리나라는 본격적인 인터넷 시대를 맞이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인터넷 방송의 대중

화를 위한 기술적 조건을 점점 갖춰 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초고속 인터넷 전

송망은 스트리밍 서비스가 제 기능을 하기 위한 기술적 선결조건이기 때문이다.

- 29 -

Page 42: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표 Ⅲ- 8 > 고속 인터넷 가입자 현황

서비스 업 체 속 도 요 금실

가입자수예약

가입자수

ADSL인터넷

한국통신 256K∼8M 월 4만원 장비임대료 월1만원설치비 3만원

550 ,000 300 ,000

하나로통신 256K∼8M월2만9천∼3만9천원장비임대료 월1만원설치비 8만원

381,840 104 ,283

드림라인 256K∼8M월 2만9천∼3만8천원장비임대료 월1만원설치비 4만원

95,000 15,000

LAN인터넷

한국통신B &A 512K∼2M 월 28 ,000원

설치비 30 ,000원 269 ,000 20,000

기타 LAN사업자

1.5M∼10M월 15 :000∼35 ,000원(평균 24 ,800원)설치비무료∼50 ,000원

152 ,500 65,000

CATV인터넷

두루넷 256K∼10M월 4 1,800원모뎀임대료 월1만원설치비 4만원

510 ,317 66,942

하나로통신 256K∼10M 월 3만4천원 설치비 3 .6만원장비임대료 5천원

167 ,056 108 ,603

드림라인 256K∼10M월 2만9천∼3만8천원장비임대료 월1만원설치비 4만원

35,000 5 ,000

데이콤 256K∼3M월 2만9천∼3만4천원장비임대료월2만원∼5천원설치비 4만원

28,006 6 ,390

위성인터넷

한국통신 1M장비설치 49만원 기본료2만원 전화요금 및인터넷 요금 별도 (종량제)

7 ,748 ID -

삼성SDC(dir ect P C) 200∼400K

장비가 50만원 (월1만원에임대가능) 월정 2∼5만원전화요금 별도

8 ,400 ID -

B- WLL 한국통신,하나로통신

2M 월 28 ,000원∼29 ,000원설치비 30 ,000원∼36 ,000원 2 ,150 -

합 계 2 ,2 0 7 ,0 17 691,218

*2000 . 8. 25 기준.자료 : 정보통신부(2000) .

- 30 -

Page 43: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2 . 인터넷 방송 현황

1) 세계의 인터넷 방송 현황

인터넷 방송의 특성상 인터넷 방송의 현황을 정확하게 조사, 분석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인터넷 방송의 개념 규정에 따라 그 수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인

터넷 방송국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가 적절한 수익모델을 찾지 못한 채 짧은 생

애를 마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인터넷이라는 공간 자체가 자유로운 접근과 엄

청난 규모의 실시간적인 변화를 그 특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사회과학

적인 혹은 통계학적인 조사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인터넷 방송국의 수를 정

확하게 집계하는 것은 어렵겠지만 앞서 살펴본 인터넷의 성장세와 함께 그 현황을

종합적으로 추정해 봄으로써 대체적으로 그 윤곽을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Mediain fo는 1997년 9월에 700여 개였던 세계 인터넷 방송국의 수가 1999년

9월에 3 ,388개로 집계되었다고 보고하였다(<표 Ⅲ- 9> 참조) . 이중 라디오 방송국은

2 , 180개로 62 .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동영상 방송은 1,280개(37 .8%)로 나타나

라디오 방송이 두배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 9 > 세계 각국의 인터넷 방송의 보급현황(단위: 개, %)

지역별 인터넷 라디오 인터넷 TV 합계

아프리카 33 11 44( 1.3)

아시아 162 72 234(7.0)

캐나다 149 1 150(4 .4)

유럽 251 197 448(13.2)

라틴아메리카 31 35 66( 1.9)

카리브지역 5 6 11(0.3)

오세아니아 81 43 124(3.7)

중동 8 13 21(0.6)

미국 1388 902 2 ,290(67.6)

합계 2,108(62 .2) 1,280(37 .8) 3 ,388(100)

자료 : Media in fo, Da t abase st at ist ics ( 1999. 9) .

- 31 -

Page 44: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BRS Ra dio, Ult imat e TV, In t er vox Communicat ion의 연구에 따르면 인터

넷 방송국의 수는 1997년동안 1천 퍼센트 이상 증가했고, 8백 개 이상의 방송국들

이 인터넷을 통해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한다. 즉 현재 인터넷 사이트를 통

해 매주 9만 시간이 넘는 방송 콘텐츠가 서비스되고 있으며 매주 1,500시간 이상의

동영상 컨텐츠가 인터넷을 통해 유통되고 있는 것이다.4 3) 이용의 측면에서도 2억

명 정도로 추산되는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 중 인터넷 방송 이용인구는 8000만명을

상회하며 이 가운데 미국이 5000만 명, 일본이 600만 명을 차지한다. 인터넷 방송

국과 캐티즌의 수가 이처럼 늘어남에 따라 인터넷 방송의 매체 영향력도 점차 강화

되어 2000년에는 160억 달러대의 광고시장이 형성돼 전체 인터넷 광고시장의 30%

를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더군다나 인터넷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소위 스

트리미즈라고 표현되는 집단은 네트워크에 머무르는 시간이 더 많을 뿐만 아니라

더 높은 구매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44 ) 미국의 경우 인터넷의 발상지

라는 명성에 걸맞게 인터넷 방송국이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다양한 음악과 방

대한 뉴스를 생방송으로 서비스하고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현재 미국에

는 약 3 ,500여 개의 인터넷 방송 사업자가 서비스 중인 것으로 추정되는데 지상파

방송이 그렇듯이 인터넷에서도 대규모 언론 기업의 활동이 두드러진 특성을 보이고

있다. 메이저 언론기업의 인터넷 방송 서비스로는 MS사가 NB C와 연합해서 설립

한 MSNBC , CNET 및 대규모 컴퓨터 회사가 공동으로 투자하고 있는 CNET 온

라인 방송사의 인터넷 방송, ABCNews 등이 있다. 지상파 네트워크인 NBC와 소

프트웨어 전문업체인 MS가 제휴하여 설립한 MSNB C(ht t p :/ / www .msnbc.com )

는 Sci- Tech , Life , Opin ion , Commer ce , Spor t s , Wor ld 등의 채널을 통해 동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자가 방송 프로그램 제작에 직접 참여하는 쌍방향

제작방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등 컴퓨터 관련 업체들이 지

분을 투자하여 구축한 인터넷 방송국, CNET 온라인(h t t p :/ / www .cn et .com )은

43) 박성호(1999) , 앞의 논문, p .235.

44) 아비트론 사는 인터넷 방송의 수용자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를 하고 있다. 특히 위와 관련해서는1999년 9월 2일의 Int ernet Stu dy III : Br oadcast er s vs Webcast er s : Which Bu sinessModel Will Win? 과 2000년 2월 17일의 In t er net Stu dy IV : The Buying Power ofSt r eamies 보고서를 참조(ht t p :/ / www.arbit ron .com/ st udies .ht m) .

- 32 -

Page 45: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1996년 4월부터 컴퓨터 및 인터넷 관련 전문 정보를 제공하는 CNET Television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이 서비스는 CNET News .com , CNET Radio ,

CNET TV.com , Mor e Video F r om Our Sh ows , Tech Ch eck 등의 채널을

통해서 공중파 및 케이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와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

한다. 또한 지상파 네트워크 ABC와 스타 웨이브사의 합작으로 설립된 AB CNews

(h t t p :/ / abc.go.com )는 프로그래시브 네트워크사의 오디오·비디오 스트리밍 기술

을 사용하여 24시간 뉴스를 생중계하고 있고, 포인트캐스트사와 론치패드사가 합작

하여 설립한 En t r ypoin t는 푸시 기술을 이용하여 P C의 초기화면에 뉴스나 오락

등의 주문형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이 서비스는 전세계 700개 이상의 정

보원에서 뉴스와 정보를 수집하여 1백만명의 고정 가입자에게 푸시 서비스함으로써

5천만 시간의 시청시간을 기록하였다.45)

AOD 서비스 분야에서 대표적인 인터넷 방송국으로 알려져 있는 Au dioNet

(h t t p :/ / www .Au dioNet .com)은 야후에 의해 합병된 후 미국 내 50여개 대학 방

송국으로부터 프로그램을 공급받아 각 학교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웹

사이트는 미국내 각 라디오 방송국을 링크시켜 원하는 주제에 따라 방송국을 선택

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인터넷 라디오 방송 가이드 기능까지 수행하고 있다.

그밖의 크고 작은 미국의 인터넷 독립 방송국은 타임캐스트(h t t p :/ / r ealgu ide .

r ea l .com )나 야후에 합병된 Br oa dca st .com과 같은 인터넷 방송 안내사이트를 통

해서 접속할 수 있다. 이 사이트에서는 독립된 여러 채널을 두고 자체 서비스를 제

공할 뿐만 아니라 링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미국 내 거의 모든 인터넷 방송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가운데 타임캐스트에서 제공하는 채널은 크게 라이브,

오디오, 비디오 사이트, 라디오/ TV 사이트들로 나누어져 있는데 라이브 사이트는

다시 생방송, 오늘의 방송, 이달의 방송 등으로 구분된다. 생방송은 선라이즈온 5 ,

WFAA채널 8시뉴스 , WP TZ채널 5시뉴스 , YLE 라디오 파인랜드- WRN 등 7

개 사이트가 연결돼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미국의 인터넷 방송 사이트를 보았는

데 이들은 최근 종합미디어 서비스를 하나의 사이트에 제공한다는 취지 아래 각종

제휴에 의한 확장 전략을 세우고 있다. 예를 들어 Viacom은 CBS를 인수하여 케이

45) 삼성경제연구소(2000) , 인터넷 방송의 현황 및 전개방향, 삼성경제연구소, 내부자료, p .18.

- 33 -

Page 46: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블 텔레비전과 네트워크 텔레비전을 결합하고 인터넷 방송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MSNB C.Com은 워싱턴 포스트, 뉴스위크, 범죄보도 사이트인 AP Bn ews , 기술관

련 뉴스를 제공하는 ZDNet , 그리고 암질환 관련 뉴스 전문 사이트인

on cology .com 등과 제휴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 방송의 동향을 단순히 인터넷 방송 사용자의 확대와 사업자들간의 합종연

횡 또는 서비스 종류로만 알아보는 것은 일정한 한계를 지닌다고 할 수 있지만 서

버 수나 사용자의 확대, 거대 사업자의 인수 합병과 같은 변화는 일반적으로 인터넷

방송이 급속히 확산되어 대중매체와 유사한 성격을 띠게 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수익에 대한 불확실성과 경쟁의 과다는 앞으로 인터넷 방송의

내용이 어떤 성격을 띠게 될 것인가 하는 점을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지금과 같이 사회적으로 하나의 매체가 자리잡아 가는 시기에는 그 매체가 갖는

현상을 정확한 데이터로 제시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인터넷 방송이라는 영역을 파

악할 수 있는 실증적인 데이터를 취합할 수 있는 어떤 객관적인 방법론이 자리잡지

못한 상태에서 세계 인터넷 방송 현황을 분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지만 이 절

에서는 공익적인 인터넷 공동송출시스템 구축방안 마련을 위해 세계적으로 인터넷

방송이 정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와 그것의 해결을 위한 세계 인터넷 방송 사

업자들의 동향과 사례를 통해서 인터넷 방송의 흐름을 분석, 정리하였다.

새로운 기술의 도입에 따른 기존 미디어 질서의 재편과 인터넷 방송이 하나의 매

체로 자리잡는 문제는 인터넷 방송 수익모델과 그 나라의 규제정책 그리고 새로운

매체를 이용하게 될 이용자의 특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넷

방송의 사업자 측면, 이용자 측면, 그리고 규제적 측면의 문제로 정리할 수 있다.

사업자 측면은 인터넷 방송이 시장에서 새로운 매체로 자리잡는 과정에 대한 논

의로 수익모델에 따른 이윤창출의 문제와 이와 연관된 컨텐츠 확보가 중요한 이슈

가 될 수 있다. 이용자 측면은 이용자들이 인터넷 방송을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의

조건에 대한 논의이다. 여기에는 이용의 편의성, 이용에의 의지, 접속가능성 등의

문제가 논의될 수 있다. 끝으로 규제 측면은 인터넷 방송과 기존 방송 사이의 중첩

되는 영역의 문제를 각 국가별로 어떤 규제적인 틀로 해결하려고 하는지에 대한 논

의이다. 여기에서는 인터넷 방송의 영향력에 대한 고려와 인터넷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가 중요한 틀이 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결국 사업자, 이용자 그리고 규제정

- 34 -

Page 47: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책의 분석을 통해 인터넷 방송의 공익성 실현방안을 모색하는 보다 구체적인 작업

이 될 것이다.

( 1) 사업자 측면: 수익모델

사업자 측면의 문제를 둘러싼 흐름에서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는 것은 바로 수익

성의 문제이다. 많은 인터넷 방송 사업자들이 수익모델의 부재로 인해 심각한 경영

난을 겪고 있거나 그 서비스를 진행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로서는 광고

이외의 다른 수익모델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 단계이다.

아직은 정착단계로 볼 수 없는 몇몇 유료방송을 논외로 한다면 현재 지배적인 형

태인 광고를 통한 인터넷 방송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와 이견이 존재한다.

가장 중요하고도 직접적인 문제는 인터넷 방송이 광고매체로서 의미가 있는가 하는

점이다. 다시 말해 인터넷 방송 이용자가 비용지불 의사가 있고 또 그 컨텐츠는 비

용을 지불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에 대해서는 많은 조사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인터넷 방송이 광고매체로서 지니는 의미는 몇가지의 문제점에

직면해 있다.

우선 인터넷 방송 자체에 대한 사용자 조사에 대한 도구들이 아직은 완벽하게 마

련되어 있지 않음으로 해서 생기는 문제이다. 즉 누가 듣고/ 보고 있는지 모른다는

것의 어려움은 인터넷 방송을 통한 광고가 의미있는 것이 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

한 첫 번째 장애물인 것이다. 광고주는 이용자의 수, 시청률, 시청행태 등에 대한

어떠한 자료도 없는 상태에서 광고시간을 구매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인터넷

방송은 매체를 더욱 흥미롭게 만들고 , 수용자들의 더 높은 관여를 이끌어내며 ,

개인화할 수 있고 , 수용자들의 관심을 사로잡으며 , 수용자의 스케줄에 따른 자유

로운(on- deman d) 접근성을 보장하는 등의 매체적 강점을 가지기 때문에 많은 관

심을 끌고 있다는 점은 사실이다. 더불어 도달성에 있어서도 메시지를 특정 개인에

게 전달할 수 있고 , 10대를 사로잡을 수 있으며 ,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더욱 쉽게 다가갈 뿐만 아니라 TV나 라디오를 잘 보거나 듣지 않는 사람에게 접

근을 도와준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더욱 중요한 사실은 객관적인 제3자에 의한

광고 이용행태 측정이 가능해진다면 인터넷 방송 광고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겠

- 35 -

Page 48: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다는 광고주들의 응답이 84%에 달했고, 인터넷 방송의 이용자들에 대한 광고노출

및 효과에 대한 측정결과가 전통적인 방송매체 측정치와 쉽게 비교될 수 있어야 한

다는 의견 역시 광고주 응답자의 6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6)

하지만 프로그램을 보는 사람의 인구학적인 속성을 추적하는 것은 그리 쉬운 문

제로 보이지는 않는다. 웹 라디오의 청취자를 어떻게 추적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들

과 관련된 논란은 Abit r on사가 지난 여름 조사방법을 바꾸었던 것에서도 드러난

바이다. Abit r on은 시청률 조사 방법에 있어서 방문자의 수를 세는 방법에서 총 접

속시간(Aggr egat e Tun ing Hour s , ATH ) 측정방법으로 바꾼 것이다. 여기에서

이 총 접속시간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냥

몇 시간 보았다는 것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인지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는

것이다. 예컨대 Niel son/ Net r a t ings에 의하면 3 ,300만의 사용자들이 지난 7월에

스트리밍 컨텐츠를 보았다는 것은 알고 있는데 그 사실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분석

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8개 정도의 회사가 현재 수용자 조사를 실시하고 있는데

어떠한 접근도 광고대행사가 찾고 있는 세부적이고도 구체적인 사항을 제시해 주지

못하고 있다.4 7)

인터넷 방송 수익과 관련하여 인터넷 방송이 넘어야 할 또 하나의 장벽으로는 광

대역 회선 및 인터넷 접속 비용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인터넷 기술이 가장 발달한

미국에서도 단 8%의 미국인만이 집에서 광대역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48) 유럽

의 경우에도 대용량 대역폭의 부재와 이용자의 부재라는 문제는 닭이 먼저냐 달걀

이 먼저냐하는 고전적인 딜레마 양상을 보이고 있다. 사용자가 있어야 대용량 회선

46) Abit r on , Adver t ising Agencies Speak Out About Webcast ing , 2000. 3. 22,ht t p :/ / www.arbit ron .com/ st u dies/ agencies .pdf.

47) Pint ak , Lawrence , Will t he Ad In du st r y Buy St r eaming Radio? , 2000. 10 . 25,h t t p :/ / www.turboads .com/ r ichmedia_news/ 2000rmn/ r mn 20001025.sht ml .

48) Ibid .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예외적인 현상으로 바라볼 만 하다. 정보통신부에 의하면10월 말 현재 초고속인터넷 가입 가구가 300만명을 넘어섰으며 올해 말쯤이면 350만명을 넘을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이같은 수치는 가입자 대부분이 가정 가입가구임을 감안해서 집마다 2명넘게 고속인터넷을 이용한다고 할 때 600만명 이상이 집에서 고속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전체 인터넷 이용자 1,600만명의 37.5%에 해당하는 것이다(ht t p :/ / www.n ic.or .kr/ kr nic/home/ st at / cgi-bin/ st at_boar d/ announ/ view_u se .h tml?id = 120&code = announ &st art = 0) . 우리나라에서의 급속한 인터네 발전의 요인에 관해서는 ht tp :/ / www.n ic.or .kr/krn ic/ home/ st at/ cgi-bin/ st at_boar d/ mon/ fact or -kor .PDF 참조.

- 36 -

Page 49: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을 증설하고, 광대역 서비스가 되어야 사용자가 생긴다는 딜레마가 그것이다. 물론

잠재력은 높다고 평가받고 있는데 비해 아직은 광대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

람이 많지 않은 형편이다. F or r est er Resea r ch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유럽에서 광

대역을 이용할 수 있는 이용자는 2000년 8월 현재 67만 가구 정도로 추정된다.49)

인터넷에 접속하는 비용 역시 중요한 문제 가운데 하나이다. 아래 <표 Ⅲ- 10>은

OE CD 국가들에서의 인터넷 접속 비용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월 20시간 인터넷

을 이용할 경우 선이용료 및 ISP 이용료를 포함하여 평균 30달러 정도의 비용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도 20달러에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보

고되었는데 이는 ADSL을 이용하지 않고 전화선을 이용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ADSL을 이용할 경우 두배 정도의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수치는 케이블 TV 이

용료보다 훨씬 높은 비용이 소요됨을 보여주고 있어 인터넷 방송의 경쟁력을 의심

케 하는 결과이다.

저화질에 관한 문제 역시 인터넷 방송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점이다. 다매체 다채

널과 디지털 상황, 그리고 광대역의 확산은 디지털 전송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영상

의 질적인 측면의 향상을 의미하는 것인데, 인터넷 방송은 아직 만족할 만한 수준의

화질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더군다나 차세대의 동영상 저장 매체의 표준으로 인

식되고 있는 DVD나 디지털 TV의 화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화질 수준은 여

전히 문제로 남아있다. 이와 관련해서 미국의 Keyn ot e사는 키노트 스트리밍 인덱

스(Keyn ot e St r eaming In dex) 서비스를 시작했다. 키노트 스트리밍 인덱스는 통

계적으로 양화가 가능한 기준인데, 이는 스트리밍 미디어의 질적인 측면과 서비스

제공자의 성능에 대한 표준을 만든 것이다. 척도는 0에서 10까지인데, DVD가 10

정도의 화질을 지니고 있다.

49) 이 보고서에 의하면 유럽에서의 인터넷 접속 인구는 2005년경에 2,700만에 이를 것이며, 광대역 서비스의 보급은 1999년 0.2%에서 2005년에는 18%로 증가할 것이라 추정된다. MelBern st ine & Alex Czetwet ynsk i , St r eaming Media in Eur ope : Challenges an dHope , ht t p :/ / www.st r eamingmedia .com/ ar t icle .asp?id = 6289.

- 37 -

Page 50: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표 Ⅲ- 10 > 각국의 인터넷 이용요금 비교표

출처: h t t p :/ / www.n ic.or .k r/ k r n ic/ home/ st a t / cgi-bin/ st a t_boar d/ mon/ comp- st a .PDF

전반적인 스트리밍 미디어의 질에 대한 평균 점수는 2000년 10월 8일- 14일 사이

에 조사된 바에 의하면 1.87이었고, 10월 15- 22일의 조사치는 1. 19로 매우 열악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인터넷 기술에 의하면 최고값은 대략 6 .0 정도인데, 이

는 300kbps , 20fps (초당 프레임 수)의 영상물이 스트리밍되는 이상적인 상태라 할

수 있다.50)

이러한 기술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인터넷 방송의 영향력이

크게 확대되리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전망의 중요한 기술적 이유중의 하

나로 스트리밍이라는 동영상 전송기술의 발전을 들 수 있다.51)

50) ht t p :/ / cyber a t la s .int er net .com/ big_pict ur e/ ha r dwa r e/ a r t icle/ 0 ,5921_495161,00.h tml.

5 1) BBC 월드와이드 사장 루퍼트 가빈은 2015년에는 인터넷 방송의 시청률이 지상파 방송의 시청률과 같아질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중앙일보, 1999 . 10. 30.

- 38 -

Page 51: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표 Ⅲ- 1 1> 스트리밍 미디어의 화질

자료 :h t t p :/ / cyber a t la s .in t er n et .com/ big_pict u r e/ h a r dwa r e/ pr int / 0 , 1323 ,5921_49516 1,00 .h t ml

스트리밍 미디어의 기술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방송의 가능성에 대한 동인은 다

음의 6가지 정도로 정리해 볼 수 있다. ① 상호작용성에 대한 요구 : 스트리밍 미디

어 기술은 향상된 상호작용적인 컨텐츠를 전달해 줄 수 있음, ② 더 효과적인 광고:

광고주로 하여금 클릭 한번에 상품구매로 이어질 수 있는 맞춤광고를 할 수 있게

해줌, ③ B 2B 방송, ④ 향상된 컨텐츠 배급: 컨텐츠의 소유자가 전자적으로 배급

할 수 있는 상황은 전통적인 방식에 비해 저렴함, ⑤ 컨텐츠의 가용성

(ava ilabilit y ) , ⑥ 혁신적인 응용프로그램: 이용자들이 상거래, 컨텐츠와 광고 등

과 보다 향상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52)이 그것이다.

몇몇 시장조사의 결과들은 인터넷 방송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전자상거래에 더 적

극적이며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매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덜하다는 점을 보고하고

52) J affr ay , Piper , St r eaming Media May Dr ive Future Net Gr owth , 2000 . 10 . 25 ,h t t p :/ / cyber at la s .in t er net .com/ big_pictu re/ h ar dwar e/ pr int / 0 ,1323 ,5921_495161,00.ht ml .

- 39 -

Page 52: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있다. 아래의 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Abit r on사의 조사결과 인터넷을 더 많

이 이용한 사람일수록 인터넷 방송에 친숙하며, 인터넷의 광고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 12> 인터넷 방송 이용자와 비이용자 특성 비교

접속 시간 이용자 비이용자

지난 해에 처음으로 인터넷에 접속온라인 이용 경력이 3년 이상이다하루 미디어 이용 총 시간일일 인터넷 이용시간비율(미디어 이용시간 중)온라인 이용 시간

27%42%8 :0219%1:32

41%27%6 :449%

0 :37

광고에 대한 이미지(인터넷이라고 대답한 사람) 이용자 비이용자

물건을 빨리 살 수 있도록 해주는 광고구입하려고 생각하는 물건에 대한 광고가장 좋은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광고

57%23%22%

37%9%10%

수용자 구성 이용자 비이용자

남 / 녀12- 24세25- 44세45세 이상

55%/ 45%35%40%25%

39%/ 61%21%39%40%

배너광고 이용자 비이용자

배너광고로부터 자주 새로운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배너광고에 얼마나 관심을 보이는가(자주/ 때때로라고 응답)어떤 웹 광고도 클릭한 적이 없다지난 달에 웹 광고를 클릭했다

24%50%68%44%

8%30%34%16%

전자상거래 이용자 비이용자

웹사이트에서 물건구매 경험이 있다지난 달에 물건을 구매했다웹사이트에서 물건을 구매한 평균횟수지난 해에 온라인에 사용한 평균액수

56%27%6.6회$768

33%14%3.5회$598

출처 : Abit r on , In t er net St u dy V : St ar t ling New In sigh t s About t he In t er netan d St r eaming , pp .6- 7 ,h t t p :/ / www .arbit r on .com/ st u dies/ in t er net_st u dy_v .pdf .

특히 조사대상이었던 인터넷 이용자의 대부분은 웹캐스트 광고와 배너광고가 그

들이 웹사이트로부터 얻는 무료 정보에 대한 정당한 가격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

들은 배너광고보다는 스트리밍된 온라인 광고가 더 많은 주의를 끈다고 대답하고

있다.53) 따라서 인터넷 방송에 대한 사업적인 측면에서는 매체의 잠재력을 제약조

53) Abit ron , In t er net St udy V : St ar t ling New In sight s About t he Int ernet an d

- 40 -

Page 53: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건들 속에서 어떻게 발현시킬 것인가가 관건이라고 하겠다.

수익성의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바로 방송되는 컨텐츠이다. 기존의 방송에서와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새로운 컨텐츠로 도입되고 있으며 인터넷의 상호작용성

을 십분 발휘할 수 있는 것들도 새로운 컨텐츠로 만들어지고 있다. 지상파나 케이

블, 그리고 위성 등에서 선보였던 대중적인 TV 게임 쇼가 상호작용성을 더해 인터

넷 방송에 도입되고 있는 것이다.54) 이메진 라디오 닷컴(h t t p :/ / www .

imagin er adio .com , 현재 r adio.son icn et .com )은 20만의 이용자를 기반으로 개

인화된 쌍방향 미디어의 한 형식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각각의 이용자는 프로그

램 책임자처럼 자신의 음악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데, 이미 5천 명 이상의 이용

자가 자신의 방송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다양한 시도

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인터넷 방송은 특히 광고가 수익모델인 까닭에 많은 수의

가입자나 고객이 필요하며 따라서 인터넷 공간에 돌아다니며 한 자리에 머무르기를

거부하는 수많은 이용자들을 붙잡기 위한 노력들이 수반될 수밖에 없다.

여기에서 주요하게 채택되고 있는 것이 바로 커뮤니티의 형성이다. 이는 온라인

이 아니더라도 가상적인 정체성과 동질감을 형성시켜 준다는 이유로 마케팅에서 자

주 사용되었던 방식이다. 어떤 커뮤니티는 가상적인 정체성과 소속감을 부여하고,

이는 계속적인 방문과 관심을 이끌어낸다. 즉 기존의 방송국이 자체적으로 제작한

프로그램을 일방향적으로 송신하는데 치중했다면 인터넷 방송국은 웹상에 있는 수

많은 사용자들의 프로그램을 커뮤니티 형태로 발전시킴으로써 기존의 방송국과는

전혀 다른 또 하나의 독특한 매체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물론 커뮤니티에는 특정한

사이트를 중심으로 모이게 되는 가상공동체적 성격의 커뮤니티뿐만 아니라 실제 사

회에서의 커뮤니티가 온라인을 통해 이합집산한다거나 더 강화되는 성격의 커뮤니

티도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특별하게 얘기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일본의 지역 커뮤니티 방송국의 인

터넷으로의 성공적인 진입이다. 적극적으로 홈페이지를 활용하는 커뮤니티 방송국의

수는 일본 행정구역 단위인 현단위 FM국의 숫자를 추월했고, 인터넷이 생활화되기

St reaming , pp .8- 9, h t t p :/ / www.arbit r on .com/ stu dies/ int ernet_st udy_v .pdf.

54) ht tp :/ / www.t urboads .com/ r ichmedia_news/ 2000r mn/ r mn 200002018.sh tml .

- 41 -

Page 54: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시작한 1996년부터 활발해져 2000년 5월 현재 99개 방송국이 운영되고 있다. 이

들은 지역정보의 교차점으로서 적극 활용하는 방송국과 동화상 등을 포함한 인터넷

프로그램을 점점 더 강화해 가는 방송국으로 분화되어 가고 있고 지역 정보 교차점

으로서 지역 포털사이트화 되고 있다.55)

이러한 현상은 일본이 미국에 비해 네트워크 리터러시(lit er acy)가 크게 뒤떨어

지고 집단주의(gr ou pism)와 같은 문화적 특수성 때문에 개인의 의견 개진보다는

침묵을 선호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함으로써 인터넷 활용을 극대화시키지 못할

것이라는 예측56)을 깨는 것으로 오히려 인터넷 방송을 문화적 특수성에 잘 접목시

켜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표 Ⅲ- 13 > 일본 지역방송국의 인터넷 방송국

방송 대상 지역 방 송 국 명 홈페이지(h t t p :/ / www .)

홋카이도 하코다테시

홋카이도 삿포르시 중앙구

홋카이도 삿포르시 서구

홋카이도 왓카나이시

도쿄도 시부야구

토쿄도 가쓰시카구

가나카와현 가나사키시가나카와현 이즈시하야마정

효고현 미키시

효고현 도요오카시

가카와현 다카마쓰시

오키나와현 오키나와시

하코다테 F M방송

삿포르커뮤니티방송

산기쿠다케방송

F M왓카나이도쿄커뮤니케이션방송가쓰시키F M방송

카와사키시민방송

이즈·하야마커뮤니티방송

F M미키F M다지마F M다카마쓰커뮤니티방송

오키나와시FM커뮤니테방송

hotweb .or .j p/ j r uk a807k ar os .mar imo.or .j psank akuyama .co .j psouyanet .ne .j p/ wapoypar co- cit y .co.j p/ shobuya- fmkfm789.co.j pk sp .co.j p/ comet/ k- cit ybeachfm .co .j pfm- moki .comfm-j ongie .co.j pan abuki .co.j p/ man deganfm- ch ampia .co .j p

출처 : 해외언론동향(2000 .8) .

55) 한국언론재단(2000. 8) , 작은 미디어의 큰 변화, 일본-커뮤니티 방송국의 인터넷 방송 성공,해외언론동향, 제22호.

56) Rosen , Dan (1997) , Sur fing the Sen to , B erk ely Techology Law J ourn al , Vo . 12,No. 1, p .219.

- 42 -

Page 55: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2) 수용자 측면

인터넷방송의 보급에 있어서 수용자 측면의 문제는 수용자의 접근(가능)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Abit r on의 최근 조사에 의하면 온라인에 접속하는 많은 사람

(75%)이 인터넷을 통해 라디오를 들을 수 있는 것을 알고 있으며, 이보다 더 많은

사람(80%)이 인터넷을 통해 비디오를 볼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있다. 그러나 여전

히 적지 않은 사람들이 인터넷상에서 라디오를 듣거나(36%) 비디오를 보는 것

(38%)이 쉽지 않다고 얘기하고 있다.57) 물론 주소를 입력한 후 클릭만 하면 되는

것이기는 하지만 인터넷 방송국에 따라 사용하는 플랫폼이 다를 경우(r eal media

vs . win dows media player ) , 그리고 특별한 종류의 플러그인이 필요할 경우는

몇 번의 클릭을 더 요구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 몇 번 더 클릭하는 숫자는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그만큼의 어려움으로 다가올 수도 있는 것이다.

인터넷 방송이 매스 미디어로서 가지는 문제점은 대역폭에서도 드러난다. 예컨대

중요한 스포츠 중계나 훌륭한 이벤트 등 상당히 많은 사람이 동시에 웹사이트에 접

속할 때의 경우를 생각해 보자. 실제로 지난 98년 9월 빌 클린턴 미대통령의 성추

문 위증혐의에 관한 케네스 스타 특별검사의 보고서가 인터넷에 공개되었을 때 의

회 웹사이트는 예상대로 접속건수가 폭주하여 웹사이트 접속 검색업체인 키노트 시

스템사는 하원사이트 접속을 시도한 사람들 중 단 10%만이 성공했다고 전했다. 국

내에서도 지난 2000년 1월 새롬기술과 하나로통신이 Dialpad 서비스를 개시하면

서도 비슷한 사례가 발생했는데, 네티즌들의 폭발적인 접속시도로 당일 통화서비스

는 물론이고 가입자 등록조차 하기가 어려웠다.58) 또한 야후나 아마존 같은 사이트

의 다운 사례에서도 보듯이 유명한 사이트들을 무력화시키는 가장 쉬우면서도 효과

적인 방법 가운데 하나가 DOS (Den ial Of Ser vice) 공격이고 보면 인터넷 트래픽

의 증가는 인터넷 방송을 기존의 매스 미디어와 비교해 보았을 때 매우 취약하게

만들어 버리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접속에도 안정성을 지니는 웹서버를 운용하고 보다 많은 회선을 유지하여야 한다.

57) Abit r on , In t er net Stu dy V : St ar t ling New In sigh t s About the In t er net an d

St r eaming , p .6 , ht t p :/ / www.arbit ron .com/ st udies/ in t er net_st u dy_v .pdf.

58) ht tp :/ / www.i-biznet .com/ news/ viewNews .asp?id = news20000329041326 .

- 43 -

Page 56: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이는 곧 비용의 문제와 직결된다. 인터넷 방송은 이용자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더

많은 시설장비 투자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는 인터넷 방송이라는 매체 자체가

지니는 취약점이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해결방법들이 모색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IP 멀티캐스팅과 (대용량) 컨텐츠 배달 서비스를 들 수 있

다.

먼저 IP 멀티캐스팅은 모든 수용자들에게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피하는 방법

이다. 예컨대 A지역에서 B지역의 10곳으로 영상을 보낼 경우 보통은 10개의 데이

터 스트리밍이 필요하다. 하지만 IP 멀티캐스팅은 하나의 데이터만을 보냄으로써

10곳에 동일한 내용을 보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로써 전송에 필요한 대역

폭을 줄이며, 이는 수신자가 많을수록 더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akama i .com , digisle .n et , mir r or - image .com , ader o.com 등이 제

공하는 컨텐츠 배달 서비스는 많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캐시서버를 이용한다. 이

들은 다수의 캐시서버를 전세계 각 지역의 ISP 업체의 네트워크에 설치하고, 접속

용량이 많아 고심하는 웹사이트와 계약을 체결하여 이들 웹사이트의 자료를 이들

캐시서버에 미리 저장한다. 어떤 이용자로부터 해당 사이트 접속 요청이 들어오게

되면 이용자가 있는 곳에서 가장 가까운 캐시서버에서 이용자에게 자료를 전송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한국에 있는 사용자가 뉴욕에 위치한 사이트의 자료를 요청

했을 때 뉴욕이 아닌 가장 가까운 한국에 위치한 캐시서버에서 자료를 전송받는 원

리이다. 여러 라우터를 경유하지 않고 가까운 곳에서 자료를 전송받기 때문에 당연

히 전송속도가 빠를 수밖에 없다. 물론 캐시서버들은 서로간의 주기적인 자료전송을

통해 항상 뉴욕에 위치한 사이트와 동일한 자료를 유지하게 된다. 이들 업체 중에서

선발업체에 해당하는 ak amai .com사의 경우 전세계 40개국의 100여개 ISP 업체

에 약 2000대의 캐시서버를 구축하고 CNN , NB C, Yah oo , Lycos 등의 유수

200여 사이트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iBeam사의 경우에는 비슷한 구현

원리를 이용하지만 인터넷 라디오방송국 및 인터넷 방송국용으로 위성을 이용해 이

들 캐시서버들의 자료를 갱신해 주는 업체도 등장했다.59)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

는 일단은 효과적인 것으로 보이는데, Abit r on사에서 제공하는 이용자 조사에서 아

59) h t t p :/ / www.i-biznet .com/ news/ viewNews .asp?id = news20000329041326.

- 44 -

Page 57: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카마이와 아이빔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

다.60)

(3) 규제적 측면

인터넷 방송의 규제와 관련해서는 크게 정부의 전면적인 개입과 통제, 부분적인

통제, 그리고 시민의 자율규제라는 3가지 정도의 입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음란물 등에 대해서 제재를 가하는 것으로 여

기에서 정부는 인터넷의 내용을 엄격하게 통제하기 위해 정부기관의 인터넷 포털

서비스 또는 정부통제하에 있는 인터넷 포털 서비스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게 한

다. 미얀마, 중국, 이란,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국가들이 이에 해당한다. 다

음으로 캐나다, 일본, 말레이시아, 영국, 미국 등에서와 같이 자율규제를 표방하고

있는 나라를 들 수 있다. 그리고 끝으로 내용물에 따라 정부가 부분적으로 개입하는

규제를 들 수 있는데, 호주가 대표적인 국가이다.6 1) 각국의 인터넷 방송 관련 규제

현황은 <표 Ⅲ- 14>에 잘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규제의 흐름들은 인터넷 방송에 대한 규제라기보다는 인터넷 전반

에 걸친 규제의 성격이 강하다. 부분적인 통제를 가하는 호주와 몇몇 나라를 제외하

고는 대부분이 인터넷 방송에 대한 법적인 규정조차 정비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인터넷 방송을 기존의 방송 범주에서 접근할 것인지, 통신의 범주에서 접근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융합의 향방을 결정하는 중요한

척도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해서 OECD 국가들에서의 인터넷 방송에 대한 규정을

정리하고 있는 아래의 표는 인터넷 방송의 위상을 어떻게 설정할지 고민하고 있는

60) ht tp :/ / www.arbit ron .com/ ar t icle 1.ht m .

61) 호주의회는 1999년 6월 30일에 방송 및 인터넷 서비스 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는데 여기에서는시민들의 불만에 따른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으로 호주 방송위원회가 금지된 내용물proh ibit ed cont ent 혹은 잠재적으로 금지된 내용물 poten t ially pr ohibit ed con ten t 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이 있을 때 조사할 권한을 부여받는다. 이는 일종의 등급제인데, RC(RefusedClassificat ion ; 거부등급) 혹은 X등급 판정을 받으면 금지된 내용물이 되고, 방송위원회는 철거 지시를 할 수 있는 것이다. KBS(2000. 1) , 호주, 인터넷 컨텐츠 규제방안 마련 , 해외방송정보, pp .65- 71.

- 45 -

Page 58: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흐름을 볼 수 있는 대목이다.

<표 Ⅲ- 14 > 각국의 웹캐스팅 규제현황

국 가 규 제 내 용

오스트리아 규제사항 없음

벨기에

현재의 규제는 인터넷과 같은 교환 네트워크에서의 오디오나비디오 서비스에 관한 규정을 다루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규제에 필요한 수정을 할 수 있는 법안이 만들어지고 있다.

캐나다현재 방송법을 그러한 서비스에 대해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대한 산업전반의 동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체코 현재로서는 특별한 규제가 없다

덴마크 통신서비스로 정의되고 다루어지고 있다

프랑스이러한 서비스가 공공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면 방송의 영역으로, 사적인 통신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통신으로 정의되고있다. 공공 전달 vs 사적 접속

독일그러한 서비스가 방송으로 정의되면 면허가 필요하고 또는 미디어 서비스로 정의되면 면허가 필요없는데 이는 기본적으로서비스의 내용에 의존한다(여론형성적)

이탈리아 현재로서는 특별한 규정이 없다

룩셈부르크이러한 서비스는 공공커뮤니케이션으로 간주되고 그러한 서비스는 일반법에 준한다.

네덜란드 통신서비스로 정의되고 다루어진다

뉴질랜드서비스가 아직 정의되지는 않았지만 법령에 명시된 정의에 의해 다루어진다면 방송으로 간주될 것이다

노르웨이 아직 정의되어 있지 않다

스페인 현재로서는 특별한 법령이 없다

스웨덴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방송은 아마도 케이블 방송으로 정의되고 다루어질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웹사이트에서 오디오나비디오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게 제공하는 것은 현재의 법령에서는 방송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영국IT C와 Radio Authority는 그러한 서비스에 대해 실제적으로개입할 필요가 없다고 보고 있다.

터키 없다

자료 : OECD (1999 . 3) , Communicat ioon Out look .

- 46 -

Page 59: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규제는 그러나 제약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의 혜택

을 고르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조건을 만들어 주는 것 역시 인터넷과 관련된

정책적 고려의 핵심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는 전통적으로 공공성에 대

한 개념이 발달해 온 유럽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마디로 인터넷과 공공성

을 어떻게 조화시키는가 하는 문제가 그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EU의 녹서62)는 시

사하는 바가 크다. EU는 녹서에서 시장에서의 자유 경쟁을 보장하는 것과 서비스

의 공익성을 요구하는 것 사이에서 균형잡힌 규제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

다. 자유 경쟁을 보장하는 것은 보편적 접속 서비스, 적절한 가격, 다원성, 다양성

등의 공익 목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는 반면 자유 경쟁을

보장하는 것이 미성년자 보호, 인권 보호, 소수문화 보호 등과 같은 공익 목적을 달

성하는데는 기여하지 못한다는 사실도 직시하고 있다. 시장에서의 자유 경쟁을 보장

하기 위해 규제를 최소화하면서 기술, 경제, 사회의 발달과정에 적합한 보편적 서비

스와 공익 개념을 재규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 역시 논의되고 있다.63)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인터넷이라는 기술의 발전과 상업적인 자본의 욕구를 어떻

게 공공성과 조화시킬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위에서도 지적하듯이 기술의 발전에

는 자유경쟁이 도움이 되지만 그것만으로는 문화, 공공의 가치, 소수자 보호 등의

가치들을 보장할 수 없으며 보편적 접속 서비스, 적절한 가격, 문화적 다원성, 다양

성의 확보, 소수자 보호 등의 공익성 또한 그러하다. 그래서 자율규제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자유경쟁과 자율규제의 조화라는 쉽지 않은 목표가 논의되고 있는

것이다. 자율경쟁과 자율규제의 방안으로 인터넷이 주는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는 모

든 방안을 만들어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인터넷 안에서 공익성 보장을 위한 공공의

개입방안을 논의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EU의 경우 어느 정도의 컨텐츠와 서비스에 있어서 공익성과 다원성을 보장하기

위해 일정한 인프라의 공적 소유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방송서비

62) 1997년 12월, EU-집행위원회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정보 기술 분야의 융합 에 대한녹서를 발간하였고, 1997년 11월부터 1998년 5월, 1998년 7월부터 1998년 11월 두 차례에걸쳐 녹서에 대한 각계의 의견 수렴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들을 요약하여 1999년 3월 10일의 EU-집행위원회 보고서로 발표한 바 있다. h t t p :/ / www.ispo.cec .be/ conver gencegp .

63) 정보통신부(2000. 3) , 뉴미디어 방송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 정보통신부.

- 47 -

Page 60: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스와 관련해서는 망과 관련없이 서비스 사업자와 소비자를 보호하고 공공 방송 서

비스를 모두에게 보장하기 위해 규제가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기존의 미디어적 사고의 연장선상에 서있다. 왜냐하면 새로운 미디어

는 수신자가 일방적인 수용자로 머물지 않으며 나아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 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런

의미에서 공공 인터넷 회선의 확보 및 내용의 공공성 등에 대한 문제는 중요한 부

분이지만 상호작용성을 고려한 가운데 보충될 필요가 있다. 그것은 바로 누구나 저

렴한 비용으로 송신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맥

락에서 일반인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공영적 성격의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구축방안을 논의하는 것의 중요성이 재확인된다. 한 조사에 의하면 다섯명 가운데

한명(21%)은 자신만의 방송을 프로그램할 수 있게 해주는 웹사이트에 관심이 있

다는 것이다.64)

인터넷상에서 문화생산에 참여하고자 하는 욕구는 다양한 맹아적 형태로 존재하

고 있다. 작게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는 개인 홈페이지에서부터 다양한 동영상

물, 플래시 애니메이션, MP 3 음악파일 등으로 인터넷 사용자들을 매혹시키는 소규

모의 개인 방송국65)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태로 존재하고 있다. 공간을 대여해 주

는 방송국인 Fr eespeech TV(ht t p :/ / www .fr eespeech .or g)의 경우 무료 또는

명목뿐인 요금을 받고 프로그램을 방송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회원들은

자신이 제작한 프로그램들을 사이트를 통해 대중에게 공개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소수의 목소리를 제시하고 정치·사회·문화적 다원성을 실현할 수 있다는 가능성

이 시험되고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정확한 수적인 데이터 분석은 아니지만 인터넷 방송이 처한 다양한 측

64) Abit ron , In t er net Stu dy V : St ar t ling New Insigh t s About t he Int ernet andSt r eaming , p .13 , ht t p :/ / www.arbit ron .com/ st udies/ in t er net_st u dy_v .pdf.

65) 소규모의 개인방송국이 2만 달러에 채 못미치는 비용으로 인터넷상에서 오디오, 비디오 자료들을 제공할 수 있는 사이트를 제작할 수 있고 거대 자본에 의해 운영되는 기존의 방송사들과는 달리 개인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특수한 주제와 소재 그리고 소수의 목소리를 담은 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멀티 서버를 가진 사업자의 도움 없이는동시에 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접속할 수 없고, 프로그램 제작비 등의 문제로 기존의 대형 미디어 회사가 프로그램의 주 공급원이 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정보통신부(2000) , 뉴미디어 방송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 정보통신부, p .61.

- 48 -

Page 61: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면을 사업자, 이용자 그리고 규제측면 세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여기에

서 우리는 인터넷 방송이 비록 매체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그 잠재력

을 발현하지 못하게 만드는 조건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단은 수익을

내고 생존해야 한다는 점이 그러하고, 그러기 위해서 다양한 컨텐츠, 특히 커뮤니티

에 기반한 컨텐츠 개발이 관건이 문제가 된다. 수용의 측면에 있어서도 보다 많은

사람에게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는 가능성을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

터넷 방송이 방송과 유사한 섹터를 공유함으로써 생기는 규제의 문제들에 대해 살

펴 보았다. 이와 같은 논의의 결과로서 공공 부문에서 시설장비를 구축하여 소수의

일반 이용자들이 생산한 소수문화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집합적으로 서비스하는 인

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논의를 토대

로 국내의 인터넷 방송의 현황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2 ) 국내 인터넷 방송 현황

( 1) 인터넷 방송의 역사

97년 처음 등장한 국내 인터넷 방송국은 폭발적인 증가 추세를 보여 2000년 8월

현재 700여개 남짓 되는 것으로 보도되었다.66) 또한 인터넷 이용자 중에 인터넷

방송을 애청하는 캐티즌(cat izen )이라든지 스트리미스(st r eamies)이라는 신조

어67)가 생겨날 정도로 인터넷 방송의 열풍은 대단할 뿐만 아니라 수년 안에 인터넷

방송이 기존의 지상파 방송을 앞지를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국내에서 인터넷 방송 개념이 나오기 시작한 것은 기존의 공중파 방송국이 인터

넷을 통해 시나리오를 공개한다든지 뉴스를 제공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부

터이다. 95년 10월 KBS가 처음으로 이런 방법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개시하였고,

66) 인터넷 방송국 700개 돌파 , 연합뉴스, 2000. 8 . 17.

67) 캐티즌(cat izen ) 또는 스트리미스(st r eamies)란 말은 장안의 화제가 되고 있는 인터넷 방송을 즐기는 층을 지칭하는 신조어다. 캐티즌은 방송을 뜻하는 캐스트와 시티즌의 합성어이고 스트리미스란 인터넷 방송이 주로 스트리밍 기술로 구현되는 데서 따온 말이다.

- 49 -

Page 62: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그 후 MBC , SBS , EB S가 가세하였다. 이들은 제한적이던 서비스를 TV 프로그램

실시간 방송이나 VOD 서비스, 라디오 방송 서비스로 확대해 갔고 여기에 케이블

TV, 지역 민방 등의 메이저급 방송국들이 뛰어들면서 그 영향력이 확산되어 갔다.

초기부터 기존의 방송국 위주로 인터넷 방송이 시작된 데에는 컨텐츠가 생명인 인

터넷 방송 시장에서 공중파 방송국들이 동영상 컨텐츠를 많이 확보하고 있는 유리

한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중파 방송사들이 제공했던 초기의 인터

넷 서비스를 엄밀한 의미에서 인터넷 방송이라고 하기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각 방송사들이 인터넷 사용자를 위해 별도로 동영상 컨텐츠를 제작해서 방송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자사 프로그램들의 시청률을 높이기 위한 일종의 부가 서비스

정도로 생각했기 때문이다.68)

이러한 국내 상황에서 96년 12월 (주)컴퓨터출판69)이 가수 양희은의 송년 콘서

트를 인터넷 생중계함으로써 독립 인터넷 방송 출현의 기폭제가 되었다. 그후 몇몇

교육, 종교적인 내용의 컨텐츠가 단발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다가 1997년 7월

최초의 전문 인터넷 방송국이라고 할 수 있는 메가미디어의 M2st a t ion 70)이 개국

하였다. 애니메이션과 문화예술, 공연, 엔터테인먼트에 중점을 두었던 M2st a t ion은

자금 사정과 IMF의 영향으로 곧 폐업했지만 전문 인터넷 방송국 구축에 기여하고

독립 인터넷 방송국 확산의 분위기를 조성했다는 점에서 평가를 받는다. 아울러 전

문 인터넷 방송국의 시험모델이자 시행착오 모델로 기록되었다.71) 그 후 정보통신

뉴스로 시작한 Qn et을 비롯하여 종교적 컨셉의 C3t v , 동영상 뉴스를 제공하는 씨

네스프리스 등의 인터넷 방송국이 개국하였고, 인터넷 방송이 유망한 웹비즈니스로

주목받으면서 독립 혹은 개인 인터넷 방송국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

68) 이만제(1998a) , 앞의 책, p .41.

69) h t t p :/ / www.hit ech .co.kr .

70) 사실 Net alk라는 오디오 형태의 인터넷 서비스가 97년 4월에 등장했지만, 이를 인터넷 방송으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디지털 미디어 업계의 벤처기업인 메가미디어 커뮤니케이션즈(ht t p :/ / www.m2st at ion .co .kr )는 1997년 7월 가정용 비디오 캠코더로 취재한 내용을 인터넷 동영상으로 송출하면서 본격적인 멀티미디어 형태의 방송을 선보였다. 즉 종합 엔터테인먼트방송을 지향하면서 저예산 독립방송국의 형태를 유지했다.

7 1) 김용섭(1999) , 인터넷 방송, 서울: 현암사, p .64 .

- 50 -

Page 63: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2) 국내 인터넷 방송국 현황 개요

인터넷 방송국은 별도의 송출기구가 없어도 비디오카메라(6mm , 8mm , VHS ,

Bet a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함) , 영상편집 프로그램(Adobe Pr emier e 등) , 웹 제

작도구(나모, F r on t P age , 등) , 그래픽 제작도구(Ph ot oSh op , Illu st r a t or 등) ,

웹 서버(일반 P C로도 가능) , 플러그인(Plu g- In ) 프로그램(RealP layer , MS

Media Player , Apple Quick Time , St r eamWor k s 등) , 편집된 영상을 해당 플

러그인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En coder ) 정도만 있으면 인터넷상에서 방송이 가능

하다. 이런 연유로 그 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렵지만 인터넷 방송 종합

서비스 업체인 캐스트 서비스72)에 의하면 97년 10개 안팎에 불과했던 국내 인터넷

방송국은 98년 50여 개, 99년 173개, 2000년 5월 500여 개로 괄목할 만한 성장

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 15 > 국내 인터넷방송국 증가추세

자료: Ca st service (h t t p :/ / www .cast service .com) .

D2B와 IT Resear ch에서 84개의 인터넷 방송국을 대상으로 전화 및 방문조사

한 결과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의 인터넷 방송 시장에서 종업원 수가 10명 미만인

인터넷 방송국이 과반수 이상(57%)을 차지하며, 일부 선도업체를 제외하고는 시스

72) ht tp :/ / www.cast service .com .

- 51 -

Page 64: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템 구축비용이 1억 미만인 소규모의 독립 인터넷 방송국이 난립하는 상황이다. 이

러한 사실은 인터넷 방송용 서버 보유현황 자료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인터넷

방송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서버의 보유상황을 보면 조사대상 업체의 64%가 3대 미

만을 보유하고 있으며, 단지 13개( 19%) 업체만이 6대 이상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표 Ⅲ- 16 > 인터넷 방송국 시스템 구축 비용

자료 : D2B와 IT Resea r ch (2000) .

<표 Ⅲ- 17 > 인터넷 방송국의 서버 보유 현황

자료 : D2B와 IT Resea r ch (2000) .

- 52 -

Page 65: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한편 방송 시스템의 회선 운영방식과 서버 이용방식에서도 외부 호스팅 업체를

이용하고 있는 업체들의 비중(6 1%)이 자체 운영의 비중(39%)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정황으로 미루어보았을 때 인터넷 방송국의 설립비용이 지상파 방송국에 비

해서는 매우 적은 것이 사실이지만 여전히 소규모 업체나 개인이 부담하기에는 다

소 무리가 있는 수준임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비용 절감의 차원에서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와 같이 서버나 회선 등을 대여하는 호스팅 서비스 제공 업체에 대한 수

요가 급증하고 있다.

인터넷 방송의 수익을 보장하는 평균 동시 접속자수는 500명 이하가 전체의

7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료 광고 유치나 수익모델 실현을 위해서 적어

도 1000명 이상의 동시접속자가 필요하다는 업계의 주장을 감안하면 상당수의 독립

인터넷 방송국들이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요컨대 국내 인터넷

방송국의 산업구도는 자본과 기술에 있어 우위를 차지하는 소수의 거대 방송국과

다수의 소규모 방송국으로 양분되며,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소규모의 독립 인터넷

방송국은 나름대로의 수익모델을 완성하기도 전에 시장 밖으로 밀려나고 있는 실정

이다. 이는 인터넷 검색엔진에서 인터넷 방송국을 검색하는 것을 통해 어렵지않게

확인할 수 있다. 검색된 인터넷 방송국 사이트들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거나 서비스

를 중단했거나 혹은 소재를 변경해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

다. 따라서 실재 인터넷 방송국 수는 보도된 내용보다는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러한 상황에서 인터넷 방송의 전체적인 산업구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조사가 절실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조사된 인터넷 방송국 수에서 대략 15∼20% 정도의 방

송국을 제외시키더라도 인터넷 방송국 수의 증가는 주목할 만하다. 현재 지상파 방

송국이 30여개 된다는 사실을 상기하면 더욱 뚜렷한 증가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캐티즌이라고 불리는 국내 인터넷 방송 이용인구도 급격히 증가하여 9월 말

300만명 정도로 추정되는 전체 네티즌 가운데 50만 명 정도에서 내년에는 200만

명을 상회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73)

73) Bu siness Kor ea (2000. 7) , Korea Logs on t o Webcast ing Boom , p .40.

- 53 -

Page 66: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표 Ⅲ- 18 > 인터넷 방송 이용자수

자료: Arb it r on Co. of US (2000) .

- 54 -

단위: 백만

Page 67: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3 ) 국내 인터넷 방송국 유형

서로 다른 편성주기와 다양한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700여 개의 인터넷 방송국을

하나의 기준으로 완전히 분류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더욱이 하나의 잣대

만으로 분류하게 되면 그 안에 존재하는 다양한 차이들이 드러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인터넷 방송국의 현황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인터넷 방

송의 현황에 대한 보다 실질적인 접근을 위해 운영주체, 컨텐츠 유형, 수익모델에

따라 인터넷 방송 유형을 구분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 1) 운영주체에 따른 인터넷 방송국 유형

운영주체에 따른 인터넷 방송국 유형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방송사

업자가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 통신사업자가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 독립 인터

넷 방송국, 기업이나 학교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이 그것이다. 이들 네가지 유

형의 인터넷 방송국들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방송사업자가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

방송사업자는 인터넷 방송국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제작시설이나 컨텐츠에 있어서

절대적인 우위에 있기 때문에 가장 활발한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방

송국 형태에 따라 크게 주요 지상파 방송국(KBS , MBC, SBS)의 인터넷 방송과

지역 방송국이나 케이블 방송국의 인터넷 방송으로 대별된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무

료로 운영되며 지상파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그렇듯이 특정 장르의 컨텐

츠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종합편성을 지향한다는 공통점을 보이지만 그 내용 구

성면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주요 지상파 방송에서 운영하는 경우에는 자체 프로그램

을 편성하거나 방송내용을 프로그램 단위로 저장해 두고 이용자가 언제든지 그것을

재생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주문형 방송서비스(VOD) 를 제공한다. 지상파 방송사나

케이블 TV에서 운영하는 경우에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중계(AOD)하거나 프로그램을 재전송하는 중계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지역

방송국이나 케이블 방송국은 인터넷 방송을 위한 사이트를 운영하고는 있으나 동영

- 55 -

Page 68: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못한 경우가 많으며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더

라도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프로그램에 제한된다. 반면 주요 지상파 방송국은 실시

간 중계서비스(r eal t ime t r an smission ) 를 비롯하여 과거의 프로그램까지도

VOD 형태로 제공한다. 이는 대규모의 자본과 기술을 소유하고 있는 방송국과 그렇

지 않은 방송국의 대조적인 현실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를 통해 인터넷 방송의 영역

에도 이미 시장경제의 원칙이 적용되고 있음을 목도할 수 있다.

<표 Ⅲ-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요 지상파 방송국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은

대규모의 자본과 기술, 다양한 컨텐츠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인터넷 방송에 비

해 비교우위에 있다. 이들은 첫째, 기존의 제작 인력과 장비, 프로그램 소스들을 활

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인터넷 방송국에 비해 다양하고 안정적이면서도 규모가

큰 동영상 프로그램을 많이 제공하고 있으며 둘째, 지상파 채널의 프로그램과 인터

넷 방송국의 프로그램 혼합편성을 통해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때문에

캐티즌을 쉽게 사로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표 Ⅲ- 19 > 주요 지상파방송국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

크레지오

(www .cr ezio.com)iMBC

(www.imbc.com) SBS

개국 99년 11월 25일 2000년 3월 11일 99년 8월 21일

자본금 147억원 100억원 36억원

주주구성 KB S 51% , 한국통신 49% (주)MBC 100% (주)SBS 100%임직원수(계약직) 80명(55명) 57명(12명) 130명(40명)

서비스방식

56K/ 300K/ 1MLive , VOD

56K/ 300KLive , VOD

238K 이상Live , VOD

공중파컨텐츠

각 프로그램별 VOD한달간 보유

6개채널 30여개 프로그램

뉴스/ 시사, 교양/ 다큐,드라마 프로그램 VOD

드라마/ 영화, 음악/ 오락프로그램 VOD

인터넷

방송용

자체컨텐츠

뉴스, 음악, 드라마,

게임, 생활문화

6개채널 30여개 프로그램

NETOP매거진(동영상 + 웹진)4개채널 17개 프로그램

드라마/ 영화, 음악/ 오락,문화/ 정보, 스포츠/ 특집4개채널 18개 프로그램

※ 2000년 10월 현재 내용 기준

- 56 -

Page 69: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표 Ⅲ- 20 > 기타 방송국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

운영사 방송국명(사이트) 서비스 내용

E BS EB S (www.ebs .co .k r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의 생중계,VOD (웹클래스) , CD- Rom (유료)

P BCTV 카톨릭인터넷(www.pbc .co .k r )P BC 뉴스 생중계,P BC영상물 비디오 판매

YTN YTN (www.yt n .co .kr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 생중계, VOD,700서비스

KMTV KMTV(www .kmtv .co .k r )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 (생)중계

MNet MNet (www .mnet 27 .com)지상파 방송 프로그램 (생)중계, 인터넷전용방송 Mydio, VOD , mp3 파일판매(900원/ 곡) ,

Tooniver se 투니버스(www.ontoon iver se .com)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 중계,케이블 방송 위주의 편성(편성표 제공)

동아TVCh 34

동아TV(www.dongah 34 .co.kr )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의 VOD,패션하우스와 인터넷 투데이 프로그램의웹서비스

아리랑TV Ar ir angTV.Com(www2.ar ir angtv .com)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 생중계, 영상물판매, VOD , News On Deman d

대구방송 TBC(tbc .co.k r )텔레비전 프로그램 생중계, Dr eamF M라디오 생중계

부산방송 P SB (www.psb .co .k r )라디오와 텔레비전 프로그램 생중계, 4개채널(스포츠·음악·지역·건강) 독립프로그램 제공

대전방송 TJ B (www .tjb .co.k r )라디오와 텔레비전 프로그램 생중계,SBS , 일본의 UMK, 중국의 허베이 방송서비스 제공

경인방송 iTV(www.itv .co .k r )지상파 방송 실시간 생중계, VOD , 무료회원제 운영

광주방송 KBC(kbc.k isc.net )라디오와 텔레비전 프로그램 생중계, KBS영상자료 VOD

울산방송 UB C(www.ubc .co .k r ) 영상자료 VOD, 넷 교통방송 준비중

청주방송 CJ B (www .cjb .co.kr ) 이벤트 실시간 중계 준비중

전주방송 J TV(www .j tv .co .kr )Net Plu s (전통 문화 예술정보 서비스)동영상 서비스는 없음

※ 2000년 10월 현재 내용 기준

- 57 -

Page 70: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그러나 아직까지 주요 지상파 방송국이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도 이러한 강점을

완벽하게 소화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여기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의 대부분이 자체 프

로그램이며 인터넷 방송만을 위해 기획되거나 편성된 컨텐츠는 음악방송, 이벤트방

송 정도가 있을 뿐이다. 하지만 참신한 소재를 통해 캐티즌에게 어필하는 인터넷 방

송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과거에 방영하였던 지상파 프로그램을 단순히 VOD ,

AOD로 서비스하는 방식으로는 경쟁적 우위를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기존의 방송

국과는 차별화된 독립된 컨텐츠 제작 및 새로운 서비스 영역의 개척에 대한 필요성

이 제기된다.

② 통신사업자가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

천리안, 하이텔, 채널 I , 유니텔, 넷츠고 등의 P C통신 업체들이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은 방송사업자가 운영하는 경우와는 다소 다른 특성을 보인다. 우선 프로그램

의 편성이 독립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자체 웹P D와 제작인력을 통해서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주로 방송하는데 아마추어 웹DJ , 음악인 등이 주요 출연진이

다. 인기 가수나 탤런트의 출연보다 비연예인의 활동비중이 크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내용도 오락 중심이기는 하지만 기존의 방송사가 커버하지 못한 다양한 장르의 컨

텐츠들이 다루어진다. 이것이 지상파 방송국의 경우와 대별되는 점이며, 이러한 채

널 구성은 전체적으로 웹진의 성격을 내포한다. 단지 웹진과 다른 점은 정기적 혹은

부정기적 편성 형태로 실시간 프로그램을 방송한다는 것이다.74) 예를 들어 천리안

인터넷 방송국75)은 YTN , 교통방송, 아리랑 TV와 제휴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음

악, 영화, 세계문화, 공연 등의 채널을 두고 독립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하이

텔 인터넷 방송국76)은 독립영화를 제공하는 인디TV , 스타와의 인터뷰 등을 담은

스타TV 등의 5개 채널을 운영하면서 인터넷 방송 뉴스라든지 인터넷 방송을 자체

적으로 평가해서 추천하는 코너를 부정기적이기는 하지만 지속적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또한 유니텔에서 운영하고 있는 유니키즈 방송국77)은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74) 이은미, 이동훈(2000) , 인터넷 방송 컨텐츠 연구, 방송연구, 제 50호, pp .313- 314 .

75) h t t p :/ / cfocus .chollian .net/ main .ht m .

76) h t t p :/ / webcast .h it el .net .

77) h t t p :/ / un ikids .un it el .co .kr .

- 58 -

Page 71: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제작하지는 않지만 대학생 방송국 연합회 소속 6개 대학이 제작한 30분 분량의 어

린이 프로그램을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한편 기술적, 자본적 우위에 있는

기존의 방송국과 전략적 제휴를 꾀하고 있는 방송국도 있다. 예를 들어 넷츠고는

KB S와의 협력 아래 인터넷 방송국 DDS (Dan cing Du ck St at ion ) 78)를 운영하고

있다.

방송이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미래 산업으로 주목받고 인터넷의 컨텐

츠 형태가 동영상과 음성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형태로 넘어가면서 인터넷 방송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지만 방송 컨텐츠를 제작, 서비스할 수 있는 기술 및 제작 인력

이 이를 뒷받침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일정 수준의 자본과 회원을 확보하고

있는 통신 서비스 업체와 제작기술과 장비, 제작인력 그리고 기존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기존 방송사의 전략적 제휴 현상은 필연적 결과라고 할 수 있다.79) 하지만 인

터넷 방송 영역이 점점 대규모화, 상업화되어 갈수록 소규모 독립업체의 입지 확보

가 어려워지고 다양한 취향의 문화를 실현시킬 수 없다는 측면에서 사이버 공간에

서의 불공정거래에 관한 문제제기가 사회적으로 필요하다.

<표 Ⅲ- 2 1> PC통신 서비스 업체가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

운영주체 방송국명(사이트) 서비스 내용

천리안천리안 인터넷 방송국

(cfocu s .chollian .net / m ain .h t m)

음악, 영화, 세계문화, 공연, 소식,게임·스포츠, 창고의 채널을 두고독립프로그램 제공YTN , 교통방송, 아리랑TV와 제휴

하이텔하이텔 인터넷 방송

(webcast .h it el .net )

스타TV, 박찬호 Live , 인디TV,Shut - up , 쿨사이트 5개 채널인터넷방송국 추천 및 링크

유니텔유니키즈

(un ikids .un it el .co.k r )

꾸러기랜드, 꾸러기방송, 멀티미디어극장등의 채널 운영꾸러기 방송 채널을 통해 요일별로 각대학이 제작한 프로그램 제공

넷츠고DDS (Dancing Duck St a t ion )

(www.net sgo.com/ dds )

손은아의 오리지널 show , Cyber DateHot Line , 김우석의 Pop On Deman d ,Duck s Ta lk , All 퀴방 5개의 채널 운영

※ 2000년 10월 현재 내용 기준

78) www.net sgo.com/ dds .

79) 인터넷 방송 다윗에서 골리앗 시대로 , 전자신문, 2000. 9. 18.

- 59 -

Page 72: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③ 독립 인터넷 방송국

인터넷 방송 산업구도에서 자유롭고 새로운 차원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는 독

립 인터넷 방송국의 경우이다. 독립 인터넷 방송국은 지상파 방송이나 케이블 TV의

보조적인 서비스 수단이 아닌 독립적인 방송국에서 프로그램을 독립적으로 기획하

고 제작하여 제공하는 형태로서 기존의 방송국에서 운영하는 몇 개의 인터넷 방송

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방송국이 여기에 속한다. 다양한 계층의 독립 방송국이 포함

되다보니 인터넷 방송이 가진 문화 민주주의 측면의 대안적 가능성을 지닌다. 하지

만 인터넷 방송국의 현황 개요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경쟁력있는 컨텐츠를 제작해

서 주기적으로 방송의 형태로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자본(h idden cost )과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특성은 독립 인터넷 방송사들이 이윤이 보장되는 오락 프

로그램을 전략 컨텐츠로 집중 생산하고 서비스하는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이런 연

유에서 문화적 관심, 취향, 취미가 동일한 집단이 정보를 나누고 웹이용자들에게 소

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소규모 독립 인터넷 방송은 매우 적은 수가 운영되고

있다.

우선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인터넷 방송국은 지상파 방송국과 P C통신 서비스 업

체가 운영하는 방송국에 비해 빈약하지만 소규모 인터넷 방송국보다는 좋은 제작인

력과 시설을 토대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다양하고 우수한 컨

텐츠를 가진 기존의 방송업체와 경쟁해야 하기 때문에 토크쇼, 음악방송, 이벤트 방

송 등 프로그램 편성에 있어서 차별화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투루캠이

운영하는 애완견 전문사이트 트루멍(h t t p :/ / www .t r umong .com )의 경우에는 강아

지 트루멍의 24시간을 라이브로 생중계한다. 이 사이트는 네티즌들이 직접 스토리

를 쓰고 촬영한 내용을 방영하며 본 방송에 나갈 강아지를 네티즌의 투표로 선출하

는 등 개를 좋아하는 네티즌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내고 있다. 이밖에도 가족

을 아이템으로 가정에서 보낸 홈비디오를 상영하고 홈비디오를 쉽게 찍을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는 가티비(h t t p :/ / www .gat v .co.kr ) , 정치·경제·사회·문화별로

이슈가 되는 뉴스를 패러디 풍자하는 인터넷 풍자방송 엑스뉴스(h t t p :/ / www .

xn ews .co .kr ) , CF·영화·뮤직비디오 등 NG 모음이 제공되는 엔지티비(h t t p :/ /

www .n gt v .co.kr ) , 인터넷 미술 방송국 아트빌, 요리전문 방송국 채널F , 힙합 전

문 인터넷 방송과 쇼핑몰을 결합한 채널500 1 등이 특이한 아이템으로 네티즌들의

- 60 -

Page 73: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관심을 모으면서 새로운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업적인 성격을 갖는 이러한 독립 인터넷 방송국의 수익모델 정착을 위한 최근

의 움직임은 크게 두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그동안 중소업체 위주로 운영되

던 인터넷 방송 시장이 대기업의 적극적인 진출로 인해 대기업 위주로 재편되고 있

다. 거대 자본을 가지고 있는 대기업이 브랜드 인지도와 자본을 이용해 손쉽게 회원

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소규모 독립 인터넷 방송국의 인수합병을 꾀하고

있다. 삼성물산과 제일제당은 엔터테인먼트 채널인 두밥과 종합 방송 포털사이트인

드림엑스, 음악방송 채널인 드림뮤직을 개국했고 나래앤컴퍼니도 음악전문 방송채널

인 겟뮤직을 오픈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세종그룹도 시사, 금융, 경제, 재테

크, 레저 포털 방송국인 SDN을 개국했으며, 한화는 교육과 여행, 쇼핑 등의 컨텐

츠를 제공할 인터넷 방송국인 굿앤TV를 개국할 예정이다.

둘째, 이제까지 무료로 제공되던 컨텐츠의 유료화 현상이다. 인터넷 성인방송과

교육방송을 중심으로 컨텐츠의 유료화 현상이 크게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

한 현상은 수익모델 부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닷컴기업(인터넷 방송 포함)의 위기

를 조기에 극복하고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는 단초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

에서 의미가 있다.80)

반면 일정 수준의 자본과 기술을 가지고 있는 독립 인터넷 방송국과는 달리 개인

또는 동호회가 운영하는 소규모 독립 인터넷 방송의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컨텐츠가

비주류 음악이나 독립영화에 한정되며 프로그램수가 적고 정기적인 편성이 없거나

있더라도 편성주기가 길다. 예를 들면 락과 헤비메탈을 전문적으로 방송하는 퓨어다

크(Pur e Dar k )와 IBC , Age of Rock , 재즈와 흑인음악을 주로 방송하는 블루노

이즈, 인디밴드의 음악을 방송하는 렛츠그루브 등의 인터넷 방송국8 1)과 시민영화

축제와 관련된 단편영화와 인권영화 출품작을 볼 수 있는 아름영화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방송 소재는 다분히 소수문화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방송 이용자들

역시 특정문화의 매니아들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10대와 20대 초반의 젊은 층을

대상으로 사회 비판적이고 풍자적인 내용을 방송하는 사가라디오, 무차별 등의 방송

80) 유료컨텐츠 급진전 , 전자신문, 2000 . 9. 15 .

81) 이은미, 이동훈(2000) , 앞의 논문, p .316 .

- 61 -

Page 74: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국도 여기에 속하지만 방송 이용자의 측면에서 앞의 인터넷 방송과는 구별된다. 이

를테면 이 방송의 이용자들은 특정문화에 대한 매니아들보다는 이런 종류의 프로그

램을 즐기는 네티즌이 다수를 이룬다.

④ 기업, 학교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

마지막으로 앞서 논의한 유형에 포함되지 않은 인터넷 방송국으로 기업이 직원을

대상으로 각종 전문정보나 사내 소식을 알리기 위해 운영되는 기업용 인터넷 방송

국, 대학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 사회단체나 기관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

국이 존재한다.

첫째, 기업용 인터넷 방송국의 경우에는 일반 인터넷망을 이용하지 않고 기업 내

에 구축된 인트라넷(In t r an et ) 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인터넷을 통해 일반인들

도 시청이 가능하다. 이것은 기업의 홈페이지 하위 요소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그 기능도 방문자에게 즐거움을 주고 자사의 인터넷 관련 정보를 홍보하려

는 소극적 목적으로 운영되는 인터넷 방송이다. 하지만 독립 인터넷 방송국의 현황

에서 보았듯이 기업들이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앞

으로 많은 기업용 인터넷 방송국이 상업적인 독립 인터넷 방송국으로 전환될 것이

라는 전망이 가능하다.

둘째, 대학에서 학내 소식이나 학생들의 작품 등을 방송하는 인터넷 방송, 해외교

포들이 지역 내 정보 교환 및 소식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해외교포방송 등이 있다.

이 방송국들은 소규모로 운영되기는 하지만 인터넷 방송을 커뮤니케이션 통로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상업적인 독립 인터넷 방송과는 내용의 차이를 보인다. 인터넷 대

학 방송의 경우에는 각 대학별로 운영되고 있는 교내 방송국이 주체가 되어서 프로

그램을 제작하고 방송한다는 특징은 지닌다. 따라서 각 학교의 특색에 따라 제공하

는 내용의 차별화를 꾀하거나 지역 방송이나 학술 행사를 중계하는 방법으로 그 영

역을 확장해 가고 있다. 예를 들어 홍익대학교의 넷미디어(h t t p :/ / n et media .

h ongik .ac.k r )는 조형대학 학생들이 제작한 단편영화, 뮤직비디오, 애니메이션, 다

큐멘터리, 실험영상 등을 서비스하고 있고, 경성대학교의 교내 인터넷 방송국 경성

닷 TV(kyun gsu ng .t v )는 비록 지방대학이 출자한 소규모 방송국이지만 세계 42개

국이 참여하는 2000 세계 디자인대회를 중계82)하는 등 컨텐츠 차별화를 꾀하고

- 62 -

Page 75: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있다.

마지막으로 공공기관이나 시민단체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은 아직 그 수가

적지만 오락과 흥미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 인터넷 방송 구도에서 유일하게 공공적

인 특성을 지닌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들 방송국은 관광홍보 영

상물, 통계자료, 행정정보, 도정보고 등의 공공자료를 인터넷을 통해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일례로 부산시의 경우에는 디지털 시정의 일환으로 각종 시

책과 통계자료, 행정정보를 인터넷 방송을 통해 영상으로 제공한다는 방침 아래 동

시에 500명 이상의 네티즌이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을 구축하여 서비

스를 제공하고 있다.83)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는 시정정책, 주요 행사, 의회실황 및

교통상황 등의 컨텐츠이며 전체 프로그램의 50% 이상이 공익방송으로 편성되고 있

다. 또한 청소년이 컨텐츠를 제작하고 운영하도록 지원하고 있는 청소년 인터넷 방

송84 ) 도 운영하고 있다. 제주도(h t t p :/ / www .ch eju .go .kr )도 매주 1회 제작되는

삼다도 소식과 관광홍보 영상물, 보정보고 등을 웹호스팅 방식으로 서비스하고 있

는데, 200 1년 3월부터는 자체 시스템을 구축하고 주요 현안, 홍보 영상물, 기자회

견 등 다양한 동영상을 본격적으로 방송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85) 그러나 아직까지

공공 영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인터넷 방송은 그 내용이나 이용자 측면에서 큰 영향

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2) 컨텐츠 특성에 따른 인터넷 방송 유형

컨텐츠란 인터넷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형

적인 컨텐츠 위주의 사업이라고 불리는 인터넷 방송에서 어떠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가 하는 것은 한 방송국의 흥망을 결정할 정도로 중요한 이슈가 된다.86) 이미

82) <화제> 지방대학이 국제행사 인터넷 생중계 , 연합뉴스, 2000. 9. 26.

83) 부산시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국 바다 TV(ht tp :/ / www.badatv .com)는 도정소식 외에 교통방송, 라디오 방송, 엔터테인먼트, 교육, 관광의 5개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84) 부산 사상구청은 청소년수련관에 국비와 시비 2억원을 들여 스튜디오와 편집실, 녹음실 등 인터넷 방송에 필요한 모든 장비를 갖춘 청소년 인터넷 방송국을 개국할 예정이다. 연합뉴스,2000. 9 . 5.

85) 제주도, 도정 소식 인터넷 방송 , 전자신문, 2000. 8 . 2.

- 63 -

Page 76: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살펴본 바와 같이 독립 인터넷 방송의 경우에는 독특한 컨텐츠 하나만으로 독자적

인 입지를 확보하는 사례도 있을 정도이다. 인터넷 방송 종합 서비스 업체인 캐스트

서비스(h t t p :/ / www .ca st ser vice .com)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인터넷 방송

국은 컨텐츠 유형별로 보았을 때 2000년 7월 현재 음악이 차지하는 비율(15 .5%)

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종합 방송국 13 .2% , 교육 12 .7% , 영화 9 .6% 순으로 나

타났다. 여기에 최근 성인 방송이 가세하여 엔터테인먼트 위주의 컨텐츠가 다수를

이룬다.

<표 Ⅲ- 2 2 > 컨텐츠 유형에 따른 방송국 비율

(단위 : %)

장르 2000년 5월 2000년 7월 장르 2000년 5월 2000년 7월

음악 16 .3 15.5 종합 16 .5 13 .2

교육 12 .4 12.7 영화 10 .9 9 .6

생활* 7.5 8 .1 개인 7 .4 7 .8

엔터테인먼트 6.4 6 .5 종교 3 .8 3 .8

정치·경제 3.8 3 .4 성인 미분류 3 .4

가이드 2.0 2 .9 문화 1.8 2 .9

스포츠 1.9 2 .3 건강·의학 1.2 1.1

게임 미분류 1.2 컴퓨터·인터넷 미분류 0 .4

기타 8.1 5 .2 방송국 수 507개 664개

*생활 : 가족, 동물, 어린이, 요리 패션, 여행 포함자료 : Cast Service (2000) .

컨텐츠 유형별로 살펴보았을 때 인터넷 방송의 문제점은 우선 각 방송국이 인터

넷 고유의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기존 방송국과 유사한 종합 엔터테인먼트 위주로

편성되어 가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인터넷 방송국은 자사의 페이지에 이용자를 묶

어 두기 위한 전략으로서 음악, 게임, 동영상, 채팅 등의 종합적인 엔터테인먼트 위

주로 컨텐츠를 편성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대기업들의 인터넷 방송 참여가 두드

86) 정보통신부의 발표에 따르면 오는 2005년의 정보산업 매출액은 6,460조원 규모가 되는데 이분야의 62 .6%에 해당하는 1,832조원이 컨텐츠 산업 매출액이 될 것이라고 한다. 정보기기 분야(9 .7%)나 정보전달 분야(27.7%)에 비해 컨텐츠의 비중이 이렇게 높은 것은 미디어 사업 분야에서 컨텐츠의 중요성을 확인시키는 중요한 지표이다. 김선진, 권만우(1999) , 인터넷 방송 제작론, 서울: 나남, p .42 .

- 64 -

Page 77: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러지면서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현상이 가시화되면 다양한 문화그룹

으로 구성된 네티즌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 방송이 대중의 시청자를 캐티즌으로 바

꾸었을 뿐 기존 방송과는 차별적인 특성을 살리지 못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다

양한 계층의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는 독립매체로서의 의미가 퇴색하게 될 것이다.

두 번째 문제점은 인터넷에서 컨텐츠를 무단복제하거나 기술을 도용하는 등의 저

작권 위반 행위가 성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저작권법에 의하면 저작물의 종류

에는 어문, 연극, 미술, 건축, 사진, 영상, 음악, 도형, 컴퓨터 프로그램 등이 있으

나 인터넷 관련 저작물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없다. 특히 컨텐츠 유형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인터넷 음악방송의 경우 MP 3 형태의 파일에 대한 음반 저작권 문제가

심각하지만 현재 기본적인 저작권 문제조차 해결되지 않은 상황이다.87) 디지털 음

악 서비스는 크게 스트리밍 방식과 다운로딩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Rea lAu dio를 통한 스트리밍 방식을 이용해 방송을 할 경우 음악이 중간에 끊기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며 음질도 떨어진다. 따라서 전송속도의 제한으로 인한 음질 저

하를 막을 수 있는 다운로딩 방식의 MP 3가 개인이나 소규모 인터넷 방송국에서 많

이 사용된다. 이렇게 하면 음악 한 곡을 4∼5M로 압축된 파일로 저장할 수 있고,

파일을 전송받은 이용자는 언제든지 그것을 재생해서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음반산

업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88) 풍부한 컨텐츠가

인터넷 방송 발전의 근간이 된다고 했을 때 비단 음반뿐만 아니라 독립 프로그램

제작업체가 제작한 컨텐츠를 보호할 수 있는 법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셋째, 방송 운영 수익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성인 컨텐츠가 인터넷 방송국 설립 임

의신고제라는 제도적인 약점을 이용해 우후죽순격으로 등장하고 있다. 아직까지 인

터넷 방송 영역에서 이렇다 할 수익모델이 제시되지 않은 상황에서 소위 성인방송

이라고 불리는 장르는 새로운 수익모델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110여 개의 멀티미디

어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드림라인은 성인 컨텐츠가 전체 컨텐츠 서비스 수입의

40%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예상치를 발표하기도 했다.89) 특히 일반 컨텐츠 업체

87) 인터넷 컨텐츠·기술 도용 잇따라 판결 , 전자신문, 2000 . 9. 5.

88) 유선실(2000) , MP3 서비스로 살펴본 인터넷 음악산업의 현황과 전망 , KISDI IT FOCUS ,

p .5.

89) 성인 인터넷 방송 귀하신 몸 . . 대형포털 러브콜 쇄도 , 디지털타임스, 2000. 8 . 29.

- 65 -

Page 78: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가 포털업체와 제휴할 경우 수익금을 반씩 나누는데 반해 성인 컨텐츠 업체는 수익

금의 70%나 80% , 경우에 따라서는 최고 90%까지도 배당받기 때문에 자체 사이

트 운영 수익 외에 포털업체로부터 들어오는 부가수익까지 보장받을 수 있다.

성인방송의 증가로 인터넷 방송이 점점 상업화됨으로써 컨텐츠의 전반적인 저질

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정부는

인터넷 방송 설립 절차를 임의신고제에서 의무신고제로 바꾸고 청소년보호법 등을

통해 심의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으며, 인터넷 내용등급제를 통한 사업자의 자

율규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3) 수익모델에 따른 인터넷 방송 유형

많은 업체들이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통한 이윤창출의 모색이라는 강력한 동인을

가지고 새로운 가능성과 무한한 잠재력의 공간인 인터넷에서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

고는 있지만 실질적으로 성공적인 수익모델로 꼽을 수 있는 사례가 아직까지도 부

재한 실정이다. 이런 이유에서 인터넷은 퇴출되는 기업과 신생하는 기업의 희비가

가장 많이 교차하는 산업 분야라고도 할 수 있다.90) 인터넷 방송의 경우에도 기존

매체와 같이 광고와 접속료(유료 사용료)가 가장 중요한 수익 원천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이렇다 할 수익모델이 정착되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현재 운영되고 있는

인터넷 방송의 수익모델 현황을 살펴보고 현재 많은 업체들이 시도하고 있는 새로

운 수익모델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그것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고찰할 필요가 있

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인터넷 방송의 수익 원천은 크게 무료 회원제와 광고, 컨텐츠

사용료로 나누어진다. 아직까지도 인터넷 방송에 대한 인지도가 낮고 제공하는 컨텐

츠도 빈약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이용자 확보라는 측면에서 무료회원제로 운영되는

인터넷 방송국이 다수를 차지한다. 예를 들어 크레지오(h t t p :/ / www .cr ezio .

co .kr ) , 8mm넷(www .8mmn et .com) , 두밥(h t t p :/ / www .doobob .com ) , J oyfu l

90) 인터넷 기업협회의 자료에 따르면 2000년 6월 인터넷 신설법인 수가 전년 동월 대비 46 .6%증가했고, 이 중 인터넷 방송이 포함되는 서비스업이 39.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신설법인 수의 부도법인 대비 비율이 17.7%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66 -

Page 79: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TV(ht t p :/ / www .j oyfu l .com ) , 프랑캔슈타인(h t t p :/ / www .fr an ken st ein .co .kr ) ,

GOTV (h t t p :/ / www .got v .co.kr )와 같은 대부분의 독립 인터넷 방송국은 인터넷

사이트에 배너 광고 등을 걸어두고 광고주로부터 광고료를 받아 운영하고 있다. 하

지만 인지도가 높거나 많은 투자 자본으로 설립된 대규모 인터넷 방송국은 평일 이

용자수가 제법 많기 때문에 그런대로 유지가 되지만 독립방송의 경우에는 사실상

인터넷 광고 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경영상의 커다란 문제

를 안고 있다. 인터넷 광고 시장규모는 98년 433억 원에서 지난해 800억 원으로

두배 가까이 커졌고, 올해는 1,350억 원으로 전망되지만 이 시장의 80%를 야후코

리아(h t t p :/ / www .yah oo.co .kr )나 다음(h t t p :/ / www .daum .n et ) 등과 같이 회

원수나 접속자수가 많은 상위 20개 업체가 차지한다.9 1)

그렇기 때문에 많은 인터넷 방송국들이 새로운 수익창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런 시도의 하나가 인터넷 방송의 아이템과 쇼핑 채널을 연계한 전자상거래를 통

해 이익을 도모하는 모델이다. 예를 들어 반찬나라(h t t p :/ / www .ban ch an .co.kr )

는 요리정보와 조리방법 등의 동영상을 제공하는 동시에 김치나 김 등의 반찬을 판

매한다. 또한 의료상담이나 건강상식, 건강이야기쇼 등을 제공하는 메디컬 인터넷

방송(h t t p :/ / www .medt v2 1.n et ) 역시 건강보조용품, 건강관리용품 등을 판매하

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함께 운영하고 있다.

또 하나의 모델은 방송국 자체를 포털사이트화 하는 것이다. 미국 MS사의 대형

포털사이트의 경우에는 이미 각국의 음반, 동영상 등 컨텐츠 생산자들과 직접 계약

을 체결하여 컨텐츠를 충당하고 적정한 수준에서 서로 이윤을 나누는 다국적 규모

의 인터넷 방송 운영을 구상하고 있다.92) 이 모델은 이용자 측면에서는 포털사이트

에서 값싸고 편리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컨텐츠 생산자 측면에서는

자신들의 창작물이 보호받고 적정한 수준에서 대가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

며, 대형 포털사이트 운영자에게도 이익을 남겨주는 이상적인 비즈니스 모델처럼 보

인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양질의 컨텐츠 공급을 위해서는 막대한 제작비, 저작권료

부담이 불가피하다는 등의 이유로 다수의 컨텐츠 제공업체(CP )들이 소수의 대형

91) 인터넷 광고단가도 초고속 상승. . .종량제 바꿔 최고 40배 , 동아일보, 2000. 2. 28.

92) MS사에서는 이미 55개국의 음반 생산자들과 독점적으로 음악 컨텐츠 제공 협정을 맺었다고 밝혔다. <창간특집1-대통합시대> 미디어 통합 , 전자신문, 2000. 9 . 20.

- 67 -

Page 80: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포털사이트와 제휴하게 되면 몇 개의 방송국이 독점적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지

상파 방송국 운영체제와 유사한 독과점 현상이 초래될 수 있다. 대중매체의 역사에

서 보듯이 인터넷 방송 영역도 거대 자본의 유입으로 인한 상업화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에 문화적 다원성 실현과 공정경쟁을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에 대한 신

중한 검토가 요구된다.

마지막 모델은 컨텐츠를 유료화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이다. 현재 인터넷

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정보는 무료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지만 실질적인 인터넷 이용

자인 네티즌의 절반 이상(51.8%)이 서비스가 유료화되더라도 이용할 의사가 있다

고 밝혀93) 컨텐츠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이용자의 인식 변화에 힘

입어 증권(St ock ) , 성(Sex) , 교육(St u dy) , 영화(Scr een ) 등 4S를 중심으로 컨텐

츠 유료화가 하나의 모델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94)

예를 들어 완전 유료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인터넷 성인방송 바나나

TV(h t t p :/ / www .ban an at v .co .kr )는 방송국을 개국하자마자 유료 회원수가 2만

명을 넘어섰고 9월 말 현재 4만명을 확보하고 있다. 바나나TV의 주요 컨텐츠는 인

터넷자키(IJ )들의 생방송, 토크쇼, 게이쇼, 외국인 쇼걸 등이며, 컨텐츠 이용료는

월 1만원이다. 영화 컨텐츠를 유료 서비스하고 있는 아이씨네(h t t p :/ / www

.icin e .com )의 경우에는 영화 배급시장 상당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시네마서비스,

제일제당과 협력을 맺어 다양한 영화 컨텐츠를 확보하고 외국영화, 한국영화, 단편

영화, 성인영화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아이씨네에서는 극장에서 개봉하고 있는 영

화를 동시에 제공하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약 32만명의 회원을 확보하였다.

이처럼 인터넷 방송이 컨텐츠를 유료화함으로써 확실한 수익 기반을 토대로 컨텐

츠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는 하지만 유료화된 컨텐츠가 4S , 특히 성(sex)적

인 것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특성은 인터넷 방송의 모든 부분을 시장의

작동원리에 따라 운영되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 아님을 보여준다.

93) P C통신 업체 유니텔이 전국 네티즌 1만3백8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넷 서비스의 유료화및 사용실태 설문조사, 2000 . 6.

94) 소액결제 솔루션 업체인 이코인이 8월 말 1백50개 컨텐츠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MP 3,영화, 만화, 성인방송, 인터넷 모의고사, 교육, 게임 등의 컨텐츠를 유료화했던 업체들의 월평균매출이 5천만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비즈니스, 제 252호, 2000. 10. 2.

- 68 -

Page 81: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4 ) 인터넷 방송의 출현과 이용자 변화

새로운 미디어로서의 웹방송 또는 인터넷 방송이 사용자 입에 오르내리기 시작한

것은 최초의 인터넷 방송국이 출현한 95년부터이다. 하지만 5년이라는 짧은 역사에

도 불구하고 인터넷 방송이 기존 TV의 영역을 침범하는 경쟁자가 되고 있다는 것

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미 인터넷 방송에 열광하는 네티즌을 의미하는 캐티즌, 혹은

스트리미즈라는 단어까지 생겨났으며, 이는 인터넷 방송이 영향력있는 미디어로서

자리 굳히기에 들어갔음을 의미한다. 새로운 매체의 등장과 경험은 단지 산업적인

측면의 변화만을 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여가시간의 증대와 여가활용패턴이 포함된

수용자들의 생활스타일(lifest yle)의 변화를 초래할 것이다. 왜냐하면 수용자들이

여가시간으로 쓸 수 있는 하루의 시간은 한정되어 있어 다른 매체를 이용하거나 다

른 활동을 하는 시간을 할애하여 새로운 매체를 이용하게 될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

다. 이러한 맥락에서 새로운 매체 도입에 따른 대중매체 이용시간과 여가시간, 여가

활용패턴의 변화 등에 대한 조사결과 및 변화추세를 분석하는 작업이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 라디오 방송을 실제로 청취하는 캐티즌을 대상으로 Ar bit r on과 E dsion

Media Resear ch가 공동으로 조사한 자료95)는 캐티즌의 대중매체 이용시간 및 여

가활용패턴의 변화를 함축하고 있다. 미국 인터넷 사용자 중 63%는 인터넷을 통해

라디오 청취가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고, 전체 미국인의 30%는 인터넷 방송

국을 통해 프로그램을 청취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또한 지난 1년동안 인

터넷 라디오 방송국에 접속한 네티즌의 수는 전체 18%에서 30%로 증가했으며, 인

터넷 라디오 청취자들은 비청취자보다 상호작용적(in t er act ive) 성향이 더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터넷 방송 시청과 기존 매체의 이용 정도는 부정적으로 나타

났는데, <표 Ⅲ-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터넷 라디오를 청취함으로써 텔레비전의

시청이 현저하게 떨어졌으며(35%) , 그외의 대중매체 이용시간도 줄어들었을 뿐만

아니라 외출이나 가족과의 대화도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95) Arbit r on (1999 . 9) , Edison Media Research In t er net Stu dy Ⅲ .

- 69 -

Page 82: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표 Ⅲ- 23 > 인터넷 방송 청취에 따른 여가시간 감소단위 : %

자료: Arbit r on (1999) .

국내에서도 초고속 인터넷 접속 서비스 이용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인터넷 사용이

대중화되면서 비단 산업적인 측면에서만이 아니라 생활, 문화 영역에까지도 적지 않

은 변화가 예측되고 있다. 서울시가 15∼64세의 시민 1,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한 결과 서울시민의 47%가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인터넷 이용시간은 하루

평균 1시간18분이었다.96) 또한 인터넷 검색엔진 업체인 심마니(h t t p :/ / www .

simmani .com)가 네티즌 16 ,38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네티즌은 생

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네트워크로 인터넷(50 .3%)을 뽑았으며, 휴먼네트워

크(33 .8%) , 통신( 11.6%) , 방송(3 .9%)의 순을 보였다.

또한 한국광고주협회가 전국 인터넷 이용자 15 ,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넷

이용자 실태조사는 인터넷 이용과 기존 매체 이용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결

과에 따르면 매체별로 텔레비전은 46 .1% , 신문은 19 .9% , 라디오는 24 .9% , 독서

는 35 .5%의 이용자가 인터넷 이용으로 인해 매체 이용시간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

났다.97) 이는 앞서 살펴본 미국의 조사와 유사한 결과이며 인터넷 사용과 신문 열

96) 중앙일보, 2000. 6 . 7.

97) 이 자료는 한국광고주협회와 이트렌드(E- Tren d)가 공동으로 만 7세 이상의 전국 15,000명을다단계 층화 무작위추출법(st r at ified r andom sampling)으로 표본 추출하여 조사하였다.

- 70 -

Page 83: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독 사이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방송 시청 사이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난

다98)는 최근의 연구결과와도 부합된다.

<표 Ⅲ- 24 > 인터넷 이용으로 인한 기존 매체 이용시간 변화

자료 : 한국광고주협회(2000 . 10) .

한편 인터넷에서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는 한국광고단체연합회에서 실시한 2000

년 봄 인터넷 사용자 행태 조사 결과(<표 Ⅲ- 25> 참고) 아직도 전자메일이나 검색

등의 서비스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조사는 학습·교육, 음

악, 쇼핑, 동호회, 무료전화, 인터넷 영화감상 등 주요 사용 서비스가 점점 다양해

지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특히 이용률이 현저하게 증가한 10대를 중심으로 음악

(54 .4%) , 연예(42 . 1%) 등의 오락 서비스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이를 통해 인터넷이 단지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창고로서 뿐만 아니라 기존의 대

중매체와 같이 오락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여가활용의 주요한 매체로 기능할 것이

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조사 자료들은 인터넷 방송의 도입에 따른 이용자 생활스타일

의 변화나 매체 이용행태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아니지만 수용자들의

98) 강미은(2000) , 인터넷과 기존 매체 이용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 방송연구, 제50호,

pp .179- 203.

- 71 -

Page 84: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인터넷에 대한 인식 변화나 매체이용패턴, 생활스타일 등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해준다. 이처럼 인터넷과 인터넷 방송의 이용이 점차 보편화되어 가고 있

지만 그 경향은 컨텐츠의 오락화, 상업화로 흐르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근거해 볼

때 인터넷 방송에도 소수문화자, 소외계층을 위한 공익 인터넷 방송 개념이 도입되

어야 하며, 그러한 작업의 일환으로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의 운영이 필요하

다.

<표 Ⅲ- 25 > 인터넷 이용자의 주요 이용 서비스

서비스 유형 비 율 서비스 유형 비 율

전자메일 73.0 검색 68 .0

뉴스 53.3 음악 40 .7

학습·교육 39.8 경품·쿠폰 39 .4

쇼핑 35.1 컴퓨터 활용정보 35 .1

SW 다운로드 31.4 연예 28 .5

채팅 27.3 업무관련정보 25 .7

동호회 25.2 휴대폰메일 24 .4

학술정보 24 .1 무료전화 20 .6

구인·구직 19.7 생활정보 19 .0

증권투자 17.4 디켓 17 .4

레저여행 16.4 인터넷영화감상 16 .4

경매 13.5 건강·의료 10 .9

자료: KNP (2000 ; h t t p :/ / knp .adic.co.kr ) .

- 72 -

Page 85: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Ⅳ. 인터넷공동송출시스템의필요성

1 . 인터넷 방송과 공익성

현실적으로 인터넷 방송은 새로운 매체로서의 기술적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그 운

영상에서는 대중매체적인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인터넷이 담고 있는 서비스의

영역은 매우 다양하여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수단에서부터 집단내 조직 커뮤니케이

션 그리고 매스 커뮤니케이션 영역까지 확대될 수 있다99)는 주장에 근거하면 인터

넷 방송을 대중매체로 규정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이러한 근거로 인터넷 방송을

대중매체적인 특성을 갖는 미디어로 규정하면 그것의 사회적 영향력이나 기능에 대

한 심도있는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십대들의 인터넷 사

용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지만 이용 서비스는 연예와 오락에 치우치는 경향을 보

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 규제의 대상이 아니라는 인터넷에서 상업적 목적에서

운영되는 인터넷 성인 방송의 범람에 대응할 수 있는 대안이 현재로서는 구체화되

지 않은 상태이다.

기존 미디어에서조차 산업적 특성의 강조로 공익성의 실현이 퇴색하고 있는 현실

에서 인터넷 방송의 공익성을 논의한다는 것이 시대에 뒤떨어진 감이 있으나 동영

상 인터넷 방송의 경우에도 거대한 인터넷 방송국이 독점하게 되고 그 영향력 또한

점차 확대되는 상황에서 기존 미디어에서의 공익성 보장 못지않게 인터넷 방송에서

의 공익성 실현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탈규제화로 대표되는 1980년대의 새로운 매체정책의 조류에 의해 전세계적인 규

모에서의 방송구조 재편 움직임이 가시화되면서 공익성에 대한 논의는 크게 위축되

어 왔다. 국내에서도 뉴미디어 정책이 산업육성 정책 드라이브로 전개되는 양상을

보여왔다. 특히 인터넷은 사적 영역으로 규정되어 인터넷 방송 영역에서 공익성 보

장이라는 정책 목표를 위한 정책개입이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져 온 것이 사실

99) Mor r is , M., Chr ist ine Ogan (1996) , 앞의 논문.

- 73 -

Page 86: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이다. 그러나 탈규제 정책, 영상산업 육성정책, 그리고 시장방임 정책에서 공익성을

기대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공익성은 그동안 매체정책의 중요한 목표가 되었던 개념으로 공공성을 갖는 매체

는 사적 이익의 추구 수단이 될 수 없고 공공의 이익, 전체사회의 이익에 봉사해야

함을 의미한다. 전통적 의미에서 지상파 방송에서는 방송 전파의 공공재적 특성, 방

송의 강력한 문화적 영향력,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를 논의하는 열린 공간으로서

공적 영역 기능 수행, 그리고 방송의 주인은 시청자 또는 사용자인 국민전체라는 점

에서 시청자 주권 또는 사용자 주권 차원의 공익성이 강조되어 왔다.

유럽연합은 방송통신 융합을 준비하는 녹서에서 방송에서의 공익은 통신에서의

보편적 서비스뿐만 아니라 가격과 내용적 측면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라고 밝히고, 이

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그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여 사업자들이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100) 방송의 공익성 개념의 핵심요소는

공동체의 유지, 자원의 효율적 배분, 사회적 약자의 보호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이러

한 요소는 정책의 목표이자 평가틀로서 기능하기도 한다. 탈규제, 거대 복합미디어

정책 기조 가운데 이미 방송은 공공 서비스 방송(public ser vice br oadca st ing)

의 위기 상황을 맞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현실10 1)에서 인터넷 방송이 이러

한 공익적인 요소를 스스로 실현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인터넷 방송을 통해 공동체 유지라는 공익적 가치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우선 누

구나 무료 또는 저렴한 가격으로 접근 가능한 채널운영이 보장되어야 한다. 수많은

사이버 커뮤니티를 연결하고 그 사회내의 기본적인 문화를 전수하는 기능을 수행하

는 인터넷 공영 방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인터넷 방송에서 자원의 효율적 배

분이라는 공익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음성이나 동영상 형태의 문화생산이나 유통

을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그것에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방송 채널의 마

련이 필요하다. 과거 방송에서의 공익성은 전파의 유한성에서 도출되었지만 인터넷

방송의 생산영역과 소비영역에서 평등한 접근 기회 보장은 보편적 서비스 개념에서

도출할 수 있는 기회균등 또는 정보복지102) 개념에 근거한다. 사회적 약자의 보호

100) 이만제외 역(1998b) , 방송통신 융합과 규제방안: 유럽연합보고서, 서울: 한국방송개발원,pp .73- 74 .

101) 최영묵(1997) , 방송 공익성에 관한 연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74 -

Page 87: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를 위해서는 인터넷 방송이 문화적 다원성 실현과 소수문화의 보호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장에서 보장할 수 없는, 즉 다수결의 원리로 환원될 수

없는 소수의 작은 문화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공익성

실현을 위해서는 인터넷 방송이 공적 영역으로서 민주적인 토론장 역할을 수행하여

야 한다.

하지만 인터넷 방송의 기술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이러한 공익성이 자율적으로 실

현되기는 쉽지 않다. 아직도 방송국 개국에 많은 비용이 필요함으로 자본을 소유한

사람들만이 인터넷 방송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서버 시스템, 송출 시스템, 네

트워크 시설 그리고 생방송 제작장비 등이 갖추어져야 하며 동영상 프로그램을 방

송하기 위해서는 억대의 비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인터넷 방송은 기존의 지상파 방

송이나 뉴미디어에 비해 진입장벽이 낮은 것은 사실이지만 개인이나 사회운동단체

들이 운영하기에는 여전히 무리한 수준의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인터넷 방송의 수익 모델과 관련하여 인터넷 방송은 기술적 한계를 갖는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인터넷 방송은 그 이용자수가 커야만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는데, 이용자수가 커지기 위해서는 이에 적절한 서버의 용량 증

대, 네트워크 확장과 같은 기술적 비용 증대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103) 결

국 이러한 제한점들이 인터넷 방송이 대형화, 독점화되는 이유인 동시에 인터넷 방

송을 통한 문화생산, 유통의 기회균등 가치를 실현하는데 제한이 되는 결정적 요소

이며 공영 인터넷 방송 운영방안을 검토해야 하는 근거이기도 하다.

방송은 어떠한 다른 대중매체보다 강력한 사회,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한다. 이 자

명한 사실은 공익성 차원에서 적절한 규제나 관리가 필요하고 합당하다는 논리를

제공해 준다. 인터넷 방송이 기존의 지상파 방송과 유사한 여러가지 특성을 공유하

102) 강명구(1995) , 시민사회 발전을 위한 시청자운동과 뉴미디어 , 서울YMCA.

103) 이용자수가 늘어남에 따라 그 비용 역시 증대하여 운영자에게 손실을 입히게 되는 상황은 커란의 글에 나타나 있는데, 랜스버리의 발행부수의 증가가 우리를 파멸시켰다. 더 많은 신문을팔수록 더 많은 손해를 보았다 는 글을 인용하고 있다. 이는 미디어사에서 정치적 통제에서 경제적 통제로의 역사적 전환을 설명하는 것으로 영국에서의 신문 발행부수의 증대가 신문에 대한광고주의 통제로 이행되는 부분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인터넷 방송의 거대한 이용자 증가는자본에 의한 통제와 유사한 새로운 형태의 통제를 가져오리라는 우려를 낳게 한다. Lansbury ,Geor ge (1925) , The Miracle of Fleet St reet , Vitor ia Hous . , p 160.

- 75 -

Page 88: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고 있다면 인터넷 방송 역시 공익성에 근거한 방송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2 . 인터넷 방송과 공적 영역

인터넷이 갖는 쌍방향적 특성, 접근의 용이성, 그리고 상징생산에의 참여가능성

등의 기술적, 문화적 특성은 사용자들의 개방적 이용, 토론 주제의 다양성 실현, 그

리고 익명성에 근거한 사용자들의 평등성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특성은 인

터넷상에서 공적 영역104) 실현이 가능할 것인가, 즉 인터넷 공간이 자유의 공간으

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의 출발점이 된다. 이와 같은 논의는

대안적 공적 영역의 가능성을 인터넷에서 찾고자 하는 시도105)와 시민이 직접 참여

하는 매체를 확보하고자 하는 전략 논의106)로 구분된다. 이들 논의는 인터넷 전체

를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인터넷 방송에 대한 별도의 분석을 시도하고 있

지는 않다. 일부 논의에서는 인터넷 커뮤니티의 일환으로 P C통신 내 토론방의 분석

을 통해 공적 영역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107)

인터넷의 탈중심성과 개방적 네트워크 특성, 소통되는 정보의 무검열적 특성, 그

리고 수많은 개인이나 집단이 쉽게 매체를 소유할 수 있다는 특성 등은 인터넷이

기존의 대중매체에 비해 보다 민주적인 이용이 가능하다는 기대를 갖게 한다. 실제

104) 하버마스가 체계화한 공적 영역(public spher e)을 말하는 것이며(Habermas , 1989) 국가,정치사회, 시민사회를 연결짓는 고리로서 공적 영역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하는 것이 논란의대상이 되겠지만(강명구, 앞의 논문, p .9) 본고에서는 시민사회와 국가 사이를 중재하는 영역으로 여론이 형성되는 사회생활의 영역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쓰였다. 대중매체를 주요한 공적 영역의 하나로 규정할 수 있지만 대중매체의 자본화에 따라 기존의 매체는 부르주아 공적 영역으로 전락하고 말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인터넷에서 공적 영역을 실현하고자 하는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강상현, 1999b) .

105) 강상현(1999b) , 대안매체로서의 사이버스페이스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언론정보학회 세미나 발제문.

106) 한국방송진흥원(1999. 6) , 동향과 분석, 통권 85호; 최영묵 외(1999b) , 시민미디어의 정착방안 연구,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107) 김경희(1998) , 인터넷의 공론장으로서의 가능성 , 방송연구, 겨울호; 윤영철(1998) , 대안적매체로서의 PC통신: 한총련에 관한 토론실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언론학보, 제24- 1호.

- 76 -

Page 89: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로 인터넷은 기술적 특성상 접근과 참여의 개방성, 수평적 상호작용, 자유로운 정보

의 교류와 의견 개진, 그리고 매체 소유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

징들은 외부의 권력이나 자본에 의한 지배와 통제가 실현되기 이전의 상태에서 가

능한 일이며 기존 지배집단의 통제가 구체화된다면 인터넷의 잠재력은 새로운 국면

을 맞이할 수 있는 것이다.108) 실제로 이미 거대한 자본이 인터넷 안에 유입되고

있으며 특히 인터넷 방송 영역에서도 저작권 비용 문제, 과다한 제작비 지출의 어려

움 때문에 대형화, 포털화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인터넷 방송에서 공적 영역이라는

대안매체적 가능성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미 자본주의의 발전은 대중매체 영역의 부르주아 공론장마저도 사적 영역으로

재봉건화시켜 버리고 있다. 자본주의 시장논리의 보편화는 방송이라는 공론장에 사

유재산의 침투가 가능하게 하였고, 이로써 방송은 자본과 권력의 이해관계에 다시

지배당하는 운명에 처하게 되었다. 이미 인터넷 방송도 인터넷 자체가 사적 영역으

로 규정됨에 따라 출발부터 자본의 지배 아래 놓이는 운명을 갖게 된 것이다.

하버마스의 공적 영역 관점에서 보면 네트워크로서 일반화된 의사소통형태(매스

미디어)와 일반화된 의사소통의 내용(매스 커뮤니케이션) 사이의 개념적 구별이 이

루어지고 있지 않다. 사회 내에서 체계와 생활세계를 매개하는 일반화된 매개체로

권력과 화폐만을 인정하고 있으며 또 다른 주요 매개체의 하나인 대중매체는 미디

어 기술과 내용 사이의 구분을 전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생활세계의 한 하부영역으

로만 간주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같은 관점은 공적 영역에 구축된 공영방송의 틀이 지배적이었던 1980년대까지

의 유럽의 미디어 구조하에서 미디어의 발전을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변증법으

로 파악하고 생활세계 내부로부터 공적 영역의 해방적 잠재력을 확보하려는 전략

은 나름대로 타당성이 있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유럽의 미디어 전통에서 방송은 경

제적인 체계의 논리보다 우위에 서는 공공적 관점에 입각한 생활세계적인 구조물로

파악되어 왔으며 이러한 근거에서 유럽의 공영방송이 운영되었던 것이다.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미디어 영역과 관련된 공적 영역은 세 단계의 발전과정을

거쳐왔다. 그 첫 단계로는 17∼18세기 유럽의 각 국가들이 혁명을 통해 전제권력에

108) 강상현(1999b) , 앞의 논문.

- 77 -

Page 90: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도전하여 공공, 공공선, 또는 공공여론을 제기하면서이다. 두 번째로는 산업화에 의

한 독점자본의 횡포, 언론기업의 전횡과 독점화 폐해로부터의 방어로써 공공영역의

제기를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영국의 상황에서 더욱 잘 보여지는 것으로 공공서

비스 방송의 극대화가 있다.109)

그러나 인터넷 시대를 맞아 공적 영역의 하부구조가 달라지고 있고 탈규제와 상

업화의 경향에 따른 상업방송의 도입과 이로 인한 이원적 방송구조하에서의 상업주

의와 경쟁주의의 도입으로 이제 더 이상 미디어를 공적 영역의 일부로 규정하는데

는 일정한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로써 대중매체로 대표되어지는 공적

영역은 국가라는 정치체계의 관점에서는 스스로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환경으

로 간주되는 한편 경제체계의 관점에서는 교환의 원칙이 지배되는 또 다른 시장이

자 사적 영역의 하나로 파악되게 되었다.

이같은 인식의 변화가 뉴미디어라는 새로운 의사소통 테크놀로지의 도입과 맞물

려서 이제 의사소통의 대리인으로서 미디어 영역은 하나의 독립된 사회체계로 분화

되어 발전하는 양상을 보이기에 이르렀다. 다시 말해 전자 대중매체의 급상승, 광고

의 괄목할 만한 증대, 정보와 오락 사이의 경계의 붕괴와 융합현상, 방송과 통신의

융합 등과 같은 의사소통망의 복잡화와 상업화, 공시제도의 조직화 정도와 자본집약

성이 증대되는 변화로 인해 권력이나 화폐와 같은 기존의 일반화된 매개체와 나란

히 의사소통의 미디어도 제3의 일반화된 매개체의 역할과 기능을 확대,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발전되기에 이른 것이다.

근대 시민사회의 삼권분립처럼 오늘날 국가와 경제에 이어 제3의 권력으로 자리

잡은 미디어체계의 분화과정으로 인해 뉴미디어를 포함한 의사소통의 매개체를 단

순히 생활세계적인 맥락에 머무르는 것으로 해석하고 이에 따라 규범적이고 문화적

인 정책을 미디어 정책의 유일한 지향가치로 간주하는 하버마스의 일차원적인 미디

어 정책 논의에서 벗어나서 인터넷 방송 자체의 경제적 속성과 문화적 속성의 이중

적 구조를 감안하여 인터넷 방송을 체계적 관점(뉴미디어)과 생활세계적 관점(의사

소통)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변화된 미디어 구조에 부응하는 새로운 정책적 대

안을 모색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110) 체계적 관점에서 살펴볼 때 공영 인

109) Keane , J . (1995) , St ruct ur e Tr an sformat ion s of t he Public Sphere , TheCom municat ion Rev iew , Vol . 1, No.1, p .22.

- 78 -

Page 91: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터넷 방송은 국가 권력으로부터의 독립과 동시에 자본으로부터의 독립을 제도화하

는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생활세계 관점에서 공영 인터넷 방송은 소비자로서의

이용자들을 문화생산 참여자로 동등하게 대우하는 문제, 주제와 상관없이 모든 주제

의 컨텐츠를 편성할 수 있는 편성의 개방성, 그리고 보편적 서비스 개념에 입각한

모든 사람들이 이용자, 문화생산자로 참여할 수 있도록 채널을 확보하는 문제와 관

련된다. 공적 영역으로 공영 인터넷 방송은 사이버 커뮤니티나 토론장 기능을 수행

하는 것은 물론이고 개인이 생산한 영상물을 소통하는 채널로 기능하여야 한다. 운

영자들이 정보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분야별 편성과 게이트키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존 방송의 공적 방송 서비스는 공공기금을 투입하여 공공이 운영주체가 되는

모델이었다면 공영 인터넷 방송은 공공기금의 지원은 동일하게 이루어지지만 이는

주로 기술비용 또는 장비운영에 필요한 경비 그리고 별도의 공익 컨텐츠를 제작하

는데 소요되며 인터넷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주체는 과거 소비자였던 이용자 일반이

협의체 또는 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인터넷

방송은 편성으로 인해 메시지가 일회적으로 전달되는 한계를 극복하고 과거의 정보

를 체계적으로 보관, 관리 서비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용자들이 문화생산자로 참

여하기가 훨씬 용이한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편성의 제한에서 오

는 참여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가능하다. 공동송출시스템을 통해 송출

되는 컨텐츠를 분야별로 구분하고 이러한 구분에 분류되기를 거부하는 컨텐츠에 대

해서는 별도의 채널을 운영할 수 있다. 이때 이용자들은 웹사이트 게시판에 글쓰기

를 수행하는 것처럼 직접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게 하여 이용자의 자유로운 참여

를 보장한다.

이와 같이 공영 인터넷 방송 운영을 제도화하려는 시도는 대안매체로서의 가능성

을 갖고 있는 인터넷을 구체적이고 대안적인 공적 영역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

술적 요건과 함께 민주적 제도화가 필요하다는 주장111)과도 일맥상통하며 정부를

대상으로 미디어 정책에 대한 비판과 정책을 통한 미디어 제도 바로잡기 운동112)으

110) 강태완 외(1997) , 뉴미디어 종합발전을 위한 매체별 정책연구, 서울: 한국방송개발원.

111) 강상현(1999b) , 앞의 논문.

112) 강명구(1994) , 신사회운동과 언론시민운동의 재검토, 방송연구, 38호.

- 79 -

Page 92: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로 인터넷 방송에서 공적 영역적 특성을 지켜내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3 . 보편적 서비스 ( U n iv e rs a l S e rv ic e )

기존의 지상파 방송은 공공재113)인 전파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송신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만 있으면 누구나 방송을 시

청할 수 있다. 현재 국내 거의 모든 가구가 하나 이상의 텔레비전 수상기를 가지고

있고 49 .2%가 2대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114 ) 이러한 사실은 거의 모든 국민이 방

송서비스 혜택을 보편적으로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반해 인터넷 방송 서비스는 통신, 정보기술(IT)과 융합된 새로운 개념이기

때문에 그것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컴퓨터, 플러그인 프로그램

(RealP layer , Win dow Media P layer , Apple Qu ick Time , St r eamWor k s ,

VDO P layer , Vivo Act ive P layer 등) ,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망 등의

기본적인 설비가 필요하다. 특히 통신망은 인터넷의 보편화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일 뿐만 아니라 인터넷 방송 실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 ISDN이나

ADSL , 케이블 모뎀과 같은 초고속 인터넷 접속 서비스 이용률의 증가는 인터넷 방

송에 대한 수요를 창출함으로써 인터넷 방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했다. 그러나 초고속 인터넷 접속 서비스의 사용료가 저렴하지 않기 때문에 오

히려 정보풍요층(in for ma t ion h aves)과 정보소외층(in for mat ion h ave- n ot s)을

계층화하고 정보 불평등을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미국 상무부가 지

난해 발표한 F alling Thr ou gh t h e Net : Defin ing t h e Digit a l Divide 라는 보

고서에 의하면 소득 수준이 $75 ,000 이상인 가정은 최저 소득계층보다 인터넷 접

속률이 20배 이상 높으며,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초등학교 학력의

113) 공유의 대상이 되는 공공재는 경제적 의미에서 물, 공기와 같이 자유로운 접근이 허용되는 자유재와 대비되는 의미를 가지나 배타적인 소유나 사용의 권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조은기(1995) , 방송의 공익성과 시장에 관한 연구: 사유성, 외부성, 장르 효용, 서강대 박사학위논문, p .93.

114) 이만제(1999) , 수용자 매체이용행태 및 의식조사 연구,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p .ⅸ.

- 80 -

Page 93: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사람들보다 가정에서 인터넷을 접속하는 비율이 16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지역간, 계층간의 정보격차가 크며 시간이 지날수록 그 격차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115) 이런 문제의식에서 정보빈곤 퇴치에 보편적 서비스 정책이 하나의

대안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보편적 서비스는 누구에게나 무료 혹은 저렴한 가격으로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회를 보장하는 정책적 선택116)을 말한다. 미국

전기통신정보부(NTIA : Nat ion a l Telecommun icat ion s an d Infor mat ion

Admini st r at ion )에 따르면 보편적 서비스란 Ava ilabilit y (어디에 살고 있건 이용

가능한 것)와 Affor dabilit y (전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경제적으로 가능할 것)

의 요소를 갖춘 것을 의미하며 OECD는 여기에 양질의 서비스 조건과 요금의 무차

별 원칙을 포함시킨다.117) 요컨대 보편적 서비스 개념의 등장은 현대의 중요한 통

신 채널의 하나인 전화서비스의 대중화와 직결되는 것으로 통신분야에서 보편적 서

비스란 합당한 가격으로 원하는 누구나와 교신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는 정책118)

을 일컫는다고 하겠다.

초기 보편적 서비스의 개념은 19세기 미국에서 곡물의 운송을 위한 철도 서비스

이용의 균등한 접근을 위한 논의에서부터 비롯되었다. 그러다가 AT&T가 독점체제

를 확고히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보편적 서비스 개념을 정보통신 분야에 도입하였

다.119) 그후 1934년 통신법(Telecommunicat ion Act )에서 전화 서비스 접근이

불가능한 계층에 대한 언급에서 보편적 서비스 개념을 부분적으로 다루었고, 1993

년 클린턴 정권이 발표한 정보고속도로 구축을 위한 위대한 청사진인 Agen da for

Act ion 에서 정보풍요층과 정보소외층을 양극화하지 않고 모든 사람들이 정보사회

115) 김희수(2000) , 고도 보편적 서비스 정책, 과연 필요한가 , 통신시장, 31호, p .52 .

116) 강명구(1995) , 정보통신혁명과 정보 민주주의 , 계간 사상, 가을호, p .202.

117) Koich iro, H . & T. Tagawa (1994) , Univesal Serv ice , Tokyo : ChuoKoron- Sh a Inc.한국전자통신연구소 역(1995) , 유니버설 서비스, pp .24- 25.

118) Schement J . R.(1995) , Beyond Univer sal Service ,h t t p :/ / www.ben ton .org/ cgi-bin/ lit e / Cat alog/ Work ing1/ working1.h tml .

119) AT&T의 데오도로 베일(Theodore Vail)이 1910년 AT&T의 독점권을 유지하기 위한 대가로 적정한 전화요금을 책정하여 보다 많은 사람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보편적 서비스 개념을제기하였다. Koich iro , H . & T. Tagawa (1994) , op . cit . , pp . 47- 77 .

- 81 -

Page 94: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의 과실을 동등하게 향유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철학적 근거로 사용함으로써 다시

금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이는 물리적 네트워크에의 접속을 확보하기 위한 통신사업

자의 내부 상호 보조(in t er n al cr oss- subsidy)에 의해 제공되던 보편적 전화 서비

스 개념을 정보화시대의 기반으로 확대하고자 하는 선수작업이 되었고, 정보고속도

로(in for ma t ion highway)라고 불리는 초고속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해 언

제 어디에서 누구든지 적절한 요금으로 통신서비스에 접속하고 이용할 수 있는 정

책적 지원의 이론적 기초로 이용되었다.

기존의 보편적 서비스를 인터넷 등 온라인 정보 서비스로 확대하는 고도 보편적

서비스에 대한 논의는 총론적으로 필요하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회의론과 옹호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담론 영역이다. 회의론적인 입장에서는 네트워크가 연예오락

모형(en t er t ain men t - ba sed model )으로 변화할 것이라는 예측 아래 정보 빈곤

계층이 보편적 서비스 명목으로 정책적 보조를 받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한

다.120) 반면 옹호론자들은 미래의 네트워크 모형으로 공익 모형(pu blic

in t er e st - ba sed model )을 제시하고 모든 사람의 평등한 접속을 위하여 기본권 차

원에서 정보복지를 확보하기 위한 보편적 서비스 정책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한다. 빈곤과 사회적 소요를 종식시키기 위해서 보편적 교육이 실시된 것이나

농촌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고 도시로의 인구 유동을 막기 위하여 실시된 농촌의 전

력화 사례에서와 같이 고도 보편적 서비스는 정보빈곤의 퇴치를 통해 공동체의 복

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대안이라는 것이다.12 1)

이들 주장에 힘입어 미국은 학교 및 도서관과 같은 공공기관의 초고속 인터넷 접

속을 보장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E- r at e 122) 정책을 통해 고도 보편적 서비스

정책의 선두에 나서고 있고, 영국, 캐나다,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도 이를 제도화하

120) Mills , Mike (1994) , Cont r ast ing Models : Tow St at es Blaze Tr ails on High- t echFront ier , Congressional Qut erly , pp .19- 22.

121) Tit ch , St even (1993) , Univer sal Access : It is not Beavis and But thead ,Telephony , Vol . 22, p . 40 . ; Democr acy and Media , h t t p :/ / www.j mk .su .se/ global/

global98/ pr ivat e/ j ens/ globalisat ion/ in dex 1.h tm#Democ(2000) .

122) E- r at e 정책은 공공기관에 대해 인터넷을 포함한 모든 전기통신서비스와 구내회선에 관하여20- 90%의 할인된 요금을 적용한다는 것을 골자로 한다. 여기에서 공공기관은 교육법에 규정된학교, 도서관 서비스 및 기술법(LSTA)에 명시된 공공도서관을 포괄한다.

- 82 -

Page 95: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인 분위기 속에서 국가 경쟁력 제고라는

전략적 정책 목표 아래 보편적 서비스를 제한된 범위에서나마 유연하게 추진하는

것이 정당하게 받아들여지고는 있으나 정책 개발과 집행에 있어서 범위 설정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왜냐하면 하루가 다르게 변화, 발전하고 있는 통신기술에 대한

중립적인 판단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서비스 측면에서도 E- mail이나 인터넷 검색,

VOD, 인터넷 방송에 이르기까지 무수히 많은 서비스 가운데 어느 수준까지 국민

삶에 필수적이며 보편화되어야 하는가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

단계에서는 보편적 서비스 정책의 실현가능한 방안으로 지리적인 접근성이나 적절

한 요금 보장으로 음영지역을 해소할 수 있는 퍼블릭 액세스 채널의 운영이 현실적

인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4 . 액세스 채널

1) 액세스 채널의 의미와 운영현황

퍼블릭 액세스 채널(public access ch an n el) 또는 커뮤니티 채널(commu nit y

ch an n el )은 미디어 액세스권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미디어 액세스권

이란 미디어로부터 소외된 공중이 자기의 의견을 표명하기 위하여 미디어에 필요한

지면이나 시간을 요구하여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123) 따라서 액세스 채널

은 우리가 알고 있는 국용, 공영 혹은 상업 텔레비전의 제도에 대한 일종의 대안으

로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매체로 인식되고 있다.

미디어 액세스권을 주장한 제롬 바론(J er ome A. Bar r on )은 매스 미디어가 독

점화됨으로써 언론의 자유가 미디어를 소유하거나 지배하는 소수의 계층이나 집단

의 자유로 전락했기 때문에 일반 시민들의 언론자유를 보장하기 위해서 반론권 등

의 법률적 장치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124) 즉 방송의 자유가 방송 채널을 허가받

123) 통신개발연구원(1990) , 방송정책 발전에 관한 연구, 서울: 통신개발연구원, p .97.

124) Bar r on , J . A.(1973) , Freedom of t he Press t o Whom ? The R ight of A ccess t o t he

- 83 -

Page 96: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은 사람이나 방송인에 의해서만 향유되어서는 안되고 일반 대중이나 시민도 자유롭

게 접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1947년 언론의 사회적 책

임을 촉구하던 허친스위원회의 보고서 이후 공공 교육채널을 설립하려는 적극적인

움직임은 퍼블릭 액세스 채널을 두고 케이블 텔레비전이나 특정 재벌, 혹은 소수의

프로그램 제작자에 의해 프로그램이 결정되고 제작, 방송되는 폐해를 시정해야 한다

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미국에서 케이블 액세스 채널 도입은 1970년 뉴욕

맨하튼 지역에서 두 개의 케이블 회사가 뉴욕시와 20년간 프랜차이즈 계약을 맺는

것에 반대한 여러 시민운동단체들이 운동에서 비롯되었다. 이 운동은 장기 계약에

반대하고 한걸음 나아가 비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채널 할당을 요구하였

고 그 결과 1971년에 퍼블릭 액세스 채널이 성립되었다. 그 후 미국 연방통신위원

회는 채널수 30개 이상인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국은 공중(Pu blic) , 교육

(Edu cat ion ) , 정부(Gover nmen t ) 이용을 위한 채널, 즉 퍼블릭 액세스 채널을 두

어야 하고 이를 이용자에게 무료로 제공해야 한다는 의무전송 규정을 둠으로써 퍼

블릭 액세스 채널을 제도화하였다.

미국에서 퍼블릭 액세스 채널의 도입이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활성화되자 다른 많

은 국가에서도 시민채널로서 액세스 채널을 도입하여 제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그 운영방식은 각 국가의 방송환경이나 제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미국의 경

우 케이블 텔레비전을 통한 액세스 채널이 정착되었다면 <표 Ⅳ-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럽, 남미 등의 많은 국가들은 각각 길고 짧은 역사를 지닌 독특한 액세스 채

널을 소유하고 있다.

Mass Media , Bloomington : In dian a Univ . Pr ess .

- 84 -

Page 97: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표 Ⅳ- 1> 각국의 액세스 채널 현황

국 가액세스채널수

전송수단 전송재원 프로그램 재원광고,스폰서허용여부

호 주 11 UHF(Ch . 6)

self self 광고 불가스폰서 가능

벨기에 1 독일의 open ch annel 참조 -

브라질 106 cable - - -

캐나다 170 cable cable 사업자 자율 cable 사업자 자율 불 가

덴마크 23 UHF , cable 자율, 의무전송수신료,

상업 방송 요금불 가

핀란드 18 UHFcable 자율, 의무전송 자율, 수신료

가능(이용안함)

독 일 72 cable 자율, 의무전송 수신료 일부 불 가

네덜란드 110 cable commu nit y self 가능*

이스라엘 9 cable commu nit y 지역정부 -

뉴질랜드 5 UHF 논의중 - -

노르웨이 신설UHF (NRK2)

+ cable 정부 self 불 가

스웨덴 28 cable cable 사업자의무전송

self 스폰서 가능

영 국 10 cable/ UHF 의무전송 self -

미 국 약 2 ,600 cable ,micr owave

cable 사업자의무전송, 대학

cable 사업자에 대한지역정부 면허세

불 가

* 광고를 허용하되 수익금이 제작투자로 사용될 경우에 한함.자료: ht t p :/ / www.openchannel .se/ cat / overview.h tm .

각 나라의 액세스 채널 운영 형태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액세스

채널을 초기에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미국의 액세스 채널은 네가지 유형으로 나

누어진다. 공중 액세스(public a ccess) , 교육 액세스(edu ca t ion a ccess) , 정부 액

세스(gover n ment access) , 그리고 임대 액세스(lea sed access)가 그것이다. 이

중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임대 액세스를 제외한 3가지 액세스는 소위

PEG (public , edu cat ion al , gover nment a l)로 미국 퍼블릭 액세스 채널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현재 미국 내 케이블 텔레비전의 16 .5%가 퍼블릭 액세스 채널을 소

- 85 -

Page 98: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유하고 있고, 12 .9%가 교육 채널을, 10 .7%가 정보 채널을 소유하고 있다. 이는

P EG 센터를 통해 수천개의 지역단체와 1백만 이상의 개인들이 매주 2만여 시간에

달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방영함을 의미한다. 이들 액세스 채널의 운영재원은 지

역통신위원회의 프랜차이즈 협정에서 결정된 면허료와 케이블 운영자로부터 받은

기금인데 대체로 전체 액세스 채널의 약 50%가 프랜차이즈 면허료이고, 약 35%

가량이 케이블 사업자로부터 받은 기금으로 구성된다. 한편 액세스 채널의 운영규칙

에 의하면 일반인의 액세스 이용은 무차별 선착순(fir st - come , fir st - ser ve ,

n on- discr imin at or y)이며 상업적 목적의 상품, 서비스 광고는 금지된다. 또한 복

권관련 내용, 음란물, 점잖치 못한 내용은 방송될 수 없고 액세스 시간을 요구하는

모든 개인과 집단의 이름 및 주소에 관한 정보는 2년간 보관되며 필요시 공중에게

공개해야 한다.

독일의 경우에는 세계적으로 독특한 개방채널을 가지고 있는데 그 설립배경은 다

음과 같다. 1974년 2월 기술커뮤니케이션 시스템구축위원회(Kt K)가 체신부에 의해

설치되면서 미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이 위원회에서 보고서를

통해 1975년 광역 케이블 시스템의 시범적 실시를 제안하였다. 이 제안이 받아들여

져 1978년 당시 11개 주에서 케이블 시험을 결정하였고, 이와 더불어 새로운 방송

형태인 개방채널(Offen er Kan al )이 성립되었다. 독일의 개방채널은 면허료 2%의

정부 보조와 주의 재정 지원 형태로 운영된다. 이 개방채널의 기본적인 성격은 정치

적이고 개혁적이며 참여적인 시민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직접 전달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이에 대해 책임지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현재 독일의 개방채널의 수는 전

국적으로 65개에 이르며, 방송시간은 각 주에 따라 일주일에 하루에서 7일까지, 일

일 1시간에서 17시간까지 기폭이 심하지만 국가의 지원과 법적, 제도적 보완이 잘

이루어져 성공한 사례로 평가된다.125)

현재 170여개의 액세스 채널이 운영하고 있는 캐나다의 경우에는 케이블 사업자

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특징을 갖는다. 케이블 사업자는 사업면허권을 갖는 대신 커

뮤니티 채널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함으로써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책임을 지닌다.

예컨대 케이블 사업자는 커뮤니티 채널의 시민참여를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훈련 프

125) 안정임(1999a) , 액세스채널 도입의 제문제- 각 국가별 특성 따라 다양한 형태로 운영 중 ,뉴미디어 저널, 71호, pp .16- 17.

- 86 -

Page 99: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로그램을 홍보하여야 하며, 지역사회의 언어 및 인종 구성을 고려하여 케이블 텔레

비전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액세스 프로그램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126)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 등의 유럽 국가들도 케이블이나 공중파 방송 사업자가 액

세스 채널을 의무적 혹은 자율적으로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즉 캐나다의 경우와 같

이 방송 사업자는 지역사회의 공익에 기여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액세스 채널의 운

영을 권장한다. 액세스 채널의 운영 재원으로는 액세스 채널의 특성상 상업적인 광

고나 스폰서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료나 정부 지원에 의존하고 있다.

2 ) 새로운 액세스 채널 매체로서 인터넷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 나라의 액세스 채널의 운용은 대개의 경우 케이블

텔레비전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127) 케이블 텔레비전은 다른 매체에 비해 많은

채널을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동축케이블(coaxial cable )로 전

송할 경우 50여개의 안정된 채널을 확보할 수 있으며 광케이블(fiber opt ic cable)

을 이용할 경우에는 디지털 영상 압축기술의 발달로 이론적으로는 약 500여 개 채

널의 송·수신이 가능하다.128) 이용가능한 채널의 수가 많다는 것은 액세스 채널을

위한 물리적 공간의 확보를 의미하며, 따라서 양적으로 확대된 물리적 기반 위에 액

세스 채널도 다양한 채널의 하나로 자연스럽게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케이블

텔레비전은 지역을 기반으로 성립, 운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액세스 채널과 일맥상통

하는 측면이 있다. 예컨대 케이블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공공시설이나

지역주민들의 토지를 이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일종의 사용료로서 지역 사업권료

를 지방자치단체에 지불해야 하는데 이를 지역주민을 위한 방송 공공 서비스의 차

원으로 환원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매체가 등장하고 인터넷이 대중화됨으로써 액

126) 안정임(1999b) , 우리나라 액세스 채널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종합유선방송위원회.

127) 물론 케이블 텔레비전이 액세스 채널을 운용하는 유일한 매체는 아니다. 호주, 노르웨이, 뉴질랜드 등은 UHF를 통해 커뮤니티 방송이 운영되며 영국, 덴마크, 핀란드 등은 케이블과 지상파텔레비전을 통해 액세스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128) 이수영(1999) , 시민미디어 정착 방안 연구,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p .56 .

- 87 -

Page 100: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세스 채널의 송출방식도 위성을 이용한 딥디쉬(Deep Dish TV) , 마이크로웨이브

등으로 다양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인터넷 등 새로운 매체를 통한 액세스 채널

의 실현은 기존의 액세스 채널이 가지고 있었던 자원제한, 참여계층의 제한성, 선착

순 등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커뮤니케이

션과 컴퓨터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함께 생겨난 인터넷 문화129)는 텔레비전이 자본

주의 사회가 성숙하기 이전에 생성되어 자본주의 사회를 유지하는데 기여했던 것과

는 달리 자본주의 사회가 성숙한 이후에 발생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오랫동안 지

속되어 온 자본주의 사회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새로운 가치가 실현되는 사회로의

이행을 촉진하리라는 기대에 부합한다. 인터넷 이용자 역시 자신의 P C를 이용하여

정보를 검색하고 수신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적극적으로 메시지 생산에 참여하는

쌍방향적 문화실천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액세스 채널의 실질적인 토대가 될 수 있

다.

이처럼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매체를 통해 문화생산에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것은 탈근대 혹은 정보사회 논의가 본격화되는 현실에서 경제적 불평등 논의

를 넘어서서 문화영역에서의 불평등을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문화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불평등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인간의 행위를

문화와의 연관성 속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프랑스 사회학자 부르디외(Bou r dieu )는

대중문화가 중심적 문화가 된 시대의 특성을 노동분업의 발달을 통해 이미 집단구

성원들 모두가 상징생산의 도구를 공유하는 일이 불가능해진 역사적 변화의 특성에

서 찾고 있다. 그는 상징체계들이 집단 전체에 의해 생산되고 소유되는지 또는 정

반대로 몇몇 전문가들에 의해 생산되는지에 따라 그 시대의 문화적 특성을 구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서구사회에서 중세에 종교가 중심적 세계관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종교지도자들이 상징생산 수단, 즉 읽고 쓰는 수단을 독점하였기 때문이라는 것이

다.130) 마찬가지로 중세 이후 근대사회의 중심적 사상은 대중매체 종사자나 지식인

129) 산업, 민주주의, 그리고 계급의 변화들이 그 나름의 방식으로 재현해낸 역사적 변화들, 그리고이와 밀접하게 연관된 반응으로서 예술의 변화를 낳는 커다란 변화들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기된문제들이 문화라는 말에 모두 집중된다고 보고 있는 윌리엄즈의 문화 정의에 근거하면 인터넷을하나의 문화로 정의할 수 있다. Williams , R .(1961) , The Long Revolut ion , London :Penguin . p .16.

130) 신화가 종교(이데올로기)로 변화되는 역사는 종교의식과 담론을 특별히 생산해내는 일군의 생

- 88 -

Page 101: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을 중심으로 하는 문화 또는 상징생산자들의 독점으로 가능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이용자 입장에서 보면 인터넷 문화와 대중문화의 차이는 상징생산의 도구를

공유하는가 아니면 공유하지 못하는가에 따라 결정되며, 이러한 차이에 의해 한 사

회내의 문화적 불평등 극복, 문화적 다원성 보장과 문화의 질 향상의 가능성이 결정

되는 것이다.131) 이러한 의미에서 주류 방송사나 전문 제작자들에 의해 방송 커뮤

니케이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일반 시청자들이 자신들의 사회적·정치적 관심사를

매체를 통해 표현하고 중요한 정보를 나눌 수 있는 액세스 채널과 인터넷의 매체적

특성을 접목한 새로운 액세스 채널이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의 페이

퍼 타이거 TV(PTTV, ht t p :/ / www .paper t iger .or g)는 250여편의 비디오물을 제

작, 인터넷과 위성의 액세스 채널을 통해 방송하고 있다. 재정은 뉴욕주 예술원의

지원, 즉 공공기금에 의존하고 있지만 그 내용은 미디어 비판, 뉴미디어에 대한 교

육 등이 주류를 이룬다.132) 국내에서도 90년대 후반 이후 시청자 시민운동에서 미

디어 제작이 중요한 분야로 자리잡고 있으며 노동자뉴스제작단(h t t p :/ / ln p89 .or g)

과 같이 스스로 영상물을 제작하고 유통하는 사회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133)

특히 새 방송법에서 액세스 채널 운영이 제도화됨134)에 따라 22개의 시민단체들

산자 집단이 형성된 역사와 불가분하다. 예컨대 종교적 노동분업의 발달 그 자체는 사회적 노동분업이 발전하는 한 측면인데 이것은 계급분화로 곧장 이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종교적 분업은다른 무엇보다도 평신도계급 성원들로부터 상징생산의 도구를 박탈시켜 버리는 결과를 가져온다(Bour dieu , P ier r e (1995) , 정일준 역,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서울: 물결, p .99) . 그러나 부르디외는 이러한 논의가 상징사용에 대한 이론의 역사 또는 학문적 역사로 읽혀서는 안된다고밝히고 있다(위의 책, p . 91) .

131) 상징생산 수단을 공유하는 상황에서는 상징투쟁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 있게 되나그렇지 못한 상황에서는 의미로서의 문화가 긴장이 없는 억견(doxa)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것이다. 부르디외는 기술 발전으로 인해 특화된 생산의 장의 존재가 정설(or t hodoxy)과 이설(het erodoxy) 사이의 상징투쟁이 나타날 수 있는 전제조건이라고 파악하고 있다. 이러한 상징투쟁을 통해 문화적 다원성이 보장되며 문화향수자들의 문화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위의

책, pp .57- 58.

132) 최영묵 외(1999c) , 국민참여 방송의 이론과 실천, 서울: 언론개혁시민연대, p .85 .

133) 주요 액세스 채널 관련 조직은 최영묵, 위의 책 pp .83- 92 참조.

134) 현행 방송법 69조는 ⑥ 한국방송공사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시청자가 직접 제작한 시청자 참여 프로그램을 편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70조는 ⑦ 종합유선방송사업자 및 위성방송사업자는 방송위원회규칙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시청자가 자체 제작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를 지역채널 또는 공공채널을 통하여 방송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동법 시행령 제51조는 법 제69조 6항의 규정에 의하여 한국방

- 89 -

Page 102: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이 지난 2월 시청자 참여프로그램 시민단체협의회(h t t p :/ / www .pcmr .or .k r /

a ccess/ a cc_in dex .h t ml) 를 조직하여 시청자 프로그램 공동제작과 시청자 참여프

로그램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참여단체들 중에서 유일하게 민주언론운동시민

연합이 자유롭고 독립적인 시민사회 언론을 지향하고 보수 언론의 획일적, 일방적

시각에 대한 대안매체를 추구한다는 정신으로 대안 TV 라는 인터넷 방송을 지난 2

월부터 운영하고 있다(h t t p :/ / www .daean .or g) . 이 방송국은 이용자가 소재나 형

식에 제한이 없이 다큐, 영화, 애니메이션 등의 컨텐츠를 직접 촬영하고 편집하도록

참여의 길을 열어 놓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참여가 활발하지는 않은 형편이다. 또

오마이뉴스 라는 사이트는 회원들이 직접 기자로 등록하여 주변에서 발생하는 뉴스

와 기존 매체에 실리지 않은 뉴스 등을 직접 서비스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h t t p :/ / www .ohmyn ews .com ) . 이 사이트는 이용자 다수를 차지하는 현역기자를

중심으로 활발한 참여를 보이고 있지만 대부분이 문자형태의 정보서비스에 머물고

있다. 이처럼 인터넷상에서의 이용자 참여 사이트들은 이용자들이 직접 정보나 상징

의 생산자로 역할하는 인터넷 저널리즘의 특성을 갖고 운영되지만 현재로선 문자정

보 생산, 유통에 머무는 수준이며 그 영향력 또한 기존 매체에 비해서는 매우 미약

한 수준이다.

현재 인터넷에 대한 대부분의 관심은 새로운 시장으로서의 가능성에만 집중되어

있어서 문화 민주주의나 다원주의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축소되고 있다. 더욱이

인터넷이 정보통신의 신기술을 사용하는 영역인 만큼 시스템 구축에 상당한 자본이

소요된다는 사실은 저예산으로 운영되는 시민단체의 방송국 존립에 대한 위협적 요

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기존의 매체가 주목하지 않는 영상물을 액세스 채널이나 인

터넷 방송을 통해 생산하고 유통시킴으로써 문화적 약자를 보호하는 문화운동을 하

고 있는 시민단체나 문화운동가들의 활동을 보호하고 육성하는 차원에서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인터넷 방송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인 방송시대를 주도

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올 장도로 생산의 영역이 개방되어 있다. 비디오 저널리스

트들이 컨텐츠를 유통시킬 수 있는 채널 확보로 인한 장애로 활성화되지 못했다면

송공사는 매월 100시간 이상의 시청자가 직접 제작한 시청자 참여 프로그램을 편성하여야 한다

고 규정하고 있다.

- 90 -

Page 103: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인터넷 방송은 제작에서 유통에 이르는 방송의 전과정이 비교적 개방적이다. 따라서

인터넷 방송이 기존의 대중매체와는 다른 특성을 갖는 대안매체로 자리잡기 위해서

는 기존 방송사에서 시간을 할애하여 액세스 프로그램을 방영하던 시스템과는 전혀

다른 새롭고 훨씬 강력한 액세스 채널 확보와 운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이 하나의 대안적 방법이 될 수 있다. 즉 공영 인터넷 방

송안에서 운영되는 퍼블릭 액세스 채널로서의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은 이용

자들이 직접 생산한 문화생산물이 유통되는 창구로서 문화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

는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91 -

Page 104: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Ⅴ. 기존방송송출시스템과인터넷방송공동송출시스템

1 . 지상파 방송의 송출시스템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현재 우리 방송은 1927년 경성 방송국의 개국

이후 가장 큰 변화의 한복판에 놓여 있다. 특히 기존의 6MHz주파수 대역의 지상파

채널로도 HDTV 방송이 가능할 정도의 디지털 압축 기법의 획기적인 발전은 다매

체, 다채널 시대의 지표가 되고 있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 컨텐츠의 디지털화로 요

약되는 새로운 방송 패러다임이 인터넷 방송, 부가방송, 유료방송, VOD 등 다양한

매체를 활성화한다면 이 매체를 통해 소비되는 컨텐츠를 보다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최적 구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많은 양의 방송 정

보처리를 위한 전송의 효율성은 화질의 품질을 보장하는 필수조건이기 때문이다. 또

한 방송 기술적인 측면에서 기존의 아날로그 서비스를 디지털화하면 종전의 채널에

4∼6개의 다채널 운영이 가능해지는데, 이때 전파의 효율적인 운용은 사회적 부가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중대한 토대가 된다. 아직 새로운 방송에 대한 개념이나 법이

제도화되기 이전 상태이기 때문에 효율적인 네트워크 운용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더욱 요구된다. 이에 대한 사전 논의로서 기존의 방송 전파 운용의 역사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논의는 새로운 방송 환경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인터넷 방송

의 전송 효율성을 재고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

1) 송출체계시스템 성립의 역사적 배경

우리나라의 방송 역사를 돌이켜보면 방송전파의 확산 발전 과정에서 그 시대적

배경과 급격한 사회환경의 변화, 특정 집단들의 이해관계 및 갈등, 경쟁 등으로 말

미암아 방송 전파의 균형적 보급을 가로막는 착오가 적지 않았다. 우선 방송망 확대

- 92 -

Page 105: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초기 단계에서 고지대 고출력 방식을 채택할 수밖에 없었던 기술적 한계를 지적할

수 있다. 196 1년 12월 31일 KBS- TV가 개국되었으나 당시는 현재와 같은 TV 전

송을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가 없었기 때문에 지방에 TV를 중계하기 위해서 지

방도시 근처의 높은 산에서 TV 전파를 받아서 그 지방도시에 배정된 TV 채널로 변

환시켜 재발사하는 릴레이식 중계방식을 써야만 했다. 따라서 모든 TV 중계소는 높

은 산에 자리를 잡았고 멀리 떨어져 있는 도심까지 TV 전파를 보내야 했기 때문에

고출력의 전파를 발사해야만 했다. 즉 고지대 고출력 방식을 채택하게 되었고, 그

결과 12개로 한정된 VHF TV 채널을 효율적으로 할당할 수 없었다.

둘째, 방송사간의 이해관계와 경쟁이 효율적인 전파 전송 체계의 성립을 가로막았

다. 대도시 중심의 송신시설을 하게 되면 인접 채널의 손실이 없기 때문에 TV 수신

상태는 자연히 양호해지고, 장차 TV 채널의 배분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기대 아래 1967년 말부터 TV 중계용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가 전국 주요 도시로 확

장되었고 고지대에서 운용되던 TV 중계소들이 저지대인 도심지로 이전하였다.135)

하지만 1969년에 개국한 5·16재단의 문화방송 TV에서는 20개국을 목표로 한 지

방망을 건설하면서 비교적 적은 투자로 보다 광활한 지역을 서비스한다는 이유로

KB S- TV가 저지대로 이설하고 난 뒤의 그 고지에 다시 송신시설 설치를 강행하였

다. 이때부터 양 방송국의 편협한 명분론과 비타협적인 방송망 확장은 고지대 대출

력을 초래하고 합리적인 채널 배정과 전파 분포의 균일성에 장애요소로 작용하였

다. 즉 KBS와 MBC가 국내 TV 방송망을 건설하면서 각사의 입장만 고려했지 장

차 시청자의 방송시청 불편과 경제적 부담, TV 채널간의 품질 불균형 현상을 도외

시하였고, 허가권을 가진 정책당국의 무력한 통제가 TV 방송전파의 불균형에서 오

는 시청불편과 품질저하를 초래하였다.136) 이러한 문제 때문에 1980년대에 들어서

면서부터 MBC- TV와 KB S- 2TV망을 KBS- 1TV망과 같은 수준으로 확장하는 정부

방침이 세워지고 문공부와 체신부 등 방송관계 주관부처가 합리적인 송출방안을 촉

구하여 비교적 고른 전파분포를 제공하고 있으나 아직도 같은 지역에 국내 4개의

TV가 공존하면서도 송신시설은 경쟁적으로 운용되고 있어 국민의 시청 편익 도모

135) 대구 팔공산에 있던 중계소는 범어동으로, 광주 무등산에 있던 중계소는 사직동으로 이사하였다.

136) 송재극(1999) , 방송전파의 현황과 효율적 이용방안, 방송연구, 제32호, p .204 .

- 93 -

Page 106: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를 외면하고 있다.

셋째, 남북의 대치상황으로 정상적인 전파행정이 불가능하였다. 북에서 라디오의

대남도발은 물론이고 개성 남산에 TV 방송시설을 설치하여 고의적으로 방해전파

(j amming)를 내보냄으로써 그 피해가 막심하였다. 게다가 수도권이 급격히 광역화

되기 시작하여 남산의 송신시설만으로 수도권을 커버할 수 없었기 때문에 북에 대

한 대응과 아울러 국내방송의 난시청 해소를 위해 새로운 송신소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그 결과 제2송신시설로 관악산에 채널 5를 설치, 수도권에서 국가 기간방

송인 KB S- TV를 복수채널화함으로써 북한의 대남 전파 침투를 봉쇄하는 한편 광역

화된 수도권의 TV 전파 보급 촉진을 시도하게 되었다.

라디오 방송의 경우는 북한의 대남 전파 도발이 더욱 극심하였다. 국가 기간방송

채널인 KBS 제1라디오(71MHZ)와 제2라디오(603KHz) , 사회교육방송(972KHz)

등이 북한의 강력한 방해 전파를 받았으며, 북은 소위 통일혁명당의 목소리라는 방

송을 해주에서 방송하면서 이를 남한 내의 지하방송으로 위장하였다. 따라서 북한의

방해전파에서 벗어나고 유사시 우리의 중파방송을 전면 차단시켰을 경우와 북한측

의 위장방송 전개시에도 국내 방송의 안전한 기능 유지를 위해서 KB S- 1 라디오와

동일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F M망을 1976년 구축하게 되었다. 때를 같이하여 국내

에서 생산되는 모든 라디오 수신기가 FM과 AM 겸용으로 되어 중파는 항상 방해

전파로 인해 라디오 방송 청취가 곤란하더라도 FM은 항상 깨끗한 방송을 청취할

수 있게 되었다. 1987년 MBC 라디오 역시 표준 F M망을 확충해 나갔고, 최근에

는 교통방송, 불교방송, 평화 방송 등이 FM에 의해 전국망을 확충하고 있다.

그 결과 F M 채널도 머지않아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는 바 라디오 방송

채널의 효율적인 활용에 대한 중장기 계획이 필요한 실정이다. 더욱이 라디오 방송

도 TV 방송과 마찬가지로 일부 도시에서 송신소의 위치가 도시 중심에서 각기 다

른 방향과 거리를 두고 있어 전파분포와 도래 방향이 달라 방향성이 예민한 트랜지

스터 라디오는 방송청취에 큰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채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

해서 비슷한 출력을 가진 지방에서는 안테나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방안이 정책적으

로 추진되어야 한다.

- 94 -

Page 107: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2 ) 방송망 통합운영 실례

방송 송출 부문의 중복투자로 인한 국가적 낭비를 막고 상호경쟁적인 시설의 증

설과 운용의 개선뿐 아니라 전파분포의 균형과 자연경관의 보전 등 국가차원의 합

리적인 보전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송·중계소 위탁 운영계획이 수립되었

다. 1984년 10월 KBS , MBC, KTA 3사는 방송송신·중계소 위탁 운영에 관한

협정을 체결하였고, 여기에서 채택된 위탁근거에 따라 1984년 12월 KBS와 MBC

의 송신시설, 장거리 전송시설 및 비상 송신시설의 운영과 관리 일부가 한국통신공

사(KTA)로 이전되고 양 방송사의 송·중계 운영요원이 한국통신공사 직원으로 전

환되었다. 그러나 위탁 운용 결과, 운영상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여 운영의 개선

방안이 다각도로 논의되었다. 그 결과 재산까지 완전히 이관하는 것이 좋다는 결론

이 도출되어 기존의 위탁 운영 중인 송·중계시설을 위시하여 미위탁 송·중계시설

을 한국통신공사에 완전히 이관하는데 합의하였다.137)

<표 Ⅴ- 1> 19 84년 송·중계소 위탁운영 사항

이관 인원KB S 759명

MBC 379명

운 영 비 자영 경비 순준

운영협의체 각사 집행 간부급으로 위원회 구성

위탁 시설

KB S

고지(TV/ F M) 83개소 159개 시설간이 TVR 314개소평지(중·단파) 32개소 37개 시설M/ W 시설라디오 링크시설이동 송신 차량 10대이동 발전 차량 10대

MBC

고지(TV/ F M) 24개소 44개 시설간이 TVR 49개소평지(중·단파) 20개소 20개 시설M/ W 시설 14구간

137) 단, 자체 방송을 실시하고 있는 40개소의 라디오 중계소는 제외되었다.

- 95 -

Page 108: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통합 후 협정서에 의거 아래의 운영세칙이 1987년 9월 29일 체결되었다.

방송망의 효율적 관리운영

- 통신공사에 집행간부급을 책임자로 하는 방송전담기구를 신설한다.

- 통신공사와 방송사는 방송사고 분쟁조정위원회 및 지역별 협의체를 구성한

다.

- 비능률적인 고지 송신·중계소의 통폐합 및 시설의 현대화를 추진한다.

- 송신 기종의 표준화 및 장비·물품·자재관리의 합리화 운영으로 운용 효율

을 향상시킨다.

방송품질 향상을 위한 개선사항 시행

- 방송품질을 전파관리법, CCIR , CCITT 기준 이상으로 유지한다.

- 예비송신기를 확보하고 노후시설은 대체한다.

- 난시청해소를 위한 장·단기 방송망 확장사업을 수립·시행한다.

- 비상사태시 송신·중계소의 운영은 충무계획에 반영하여 시행한다.

시설자산의 이관계획

- 통합대상 전산목록 작성 및 현물조사 : 1987년 1월∼4월

- 감정평가 및 가격결정 : 1987년 5월∼8월

- 매매계약체결 : 1987년 9월

- 소유권 이전 등기 : 1987년 10월∼12월138)

하지만 통합에 관한 운영세칙이 체결된 후에도 방송3사의 주장이 여전히 일치를

보지 못하는 등 문제점이 노정되었다. 이를테면 시설사용료 수준 설정에 관한 합의

를 도출하지 못하였으며 자산감정작업 추진이 부진했다. 또한 6 . 29 선언 이후 각

계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높여가는 등 의사표현의 자유화가 이루어지면서 방송사측

일부에서는 방송망 통합의 의견을 재론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방송직군의 집단서

명이 일어나게 되었다.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 부진은 방송직군의 방속국으로의 환원요구운동이 여

138) 방송문화진흥회(1991) , 한국방송총람, 서울: 나남, p .1600 .

- 96 -

Page 109: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론과 맞아떨어지는 등 시류와 맞물려 급기야 방송사에서 통신공사로 통합된 시설

및 자산과 인원을 방송사로 이관하기 위한 방송 송신·중계소 이관에 관한 협정서

가 1988년 5월 19일 체결되었다. 이에 따라 1984년 12월 1일부터 시작된 방송 송

신·중계소의 통합 운영은 1988년 5월 31일 막을 내리고 1988년 6월 1일부터 다

시 각 방송사로 이관 운영하게 되었다.

3 ) 송·중계시스템의 공동운영에 대한 최근의 논의

방송의 송·중계시스템의 공동운영은 앞서 살펴보았듯이 각 방송사 및 특정집단

의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복잡한 문제이다. 하지만 각 방송사별로 제작, 편성, 송출

시스템을 보유, 운영하고 있는 문제점이 이미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방송사 송출

부문 독립 운영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그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 방송의 송·중계시

스템의 공동운영을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방송사의 송출기능 분리는 방송에 대한 분

할통치라고 주장하며 방송사들의 대화와 협력을 통해서도 충분히 기존 방송송출시

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송·중계시스템의 공동운영을 찬

성하는 입장에서는 시설의 중복투자로 인한 장비와 인력의 낭비를 막고 운영의 효

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방송송출시설의 분리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한다.139)

방송의 송·중계시스템의 공동운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으로 ① 방송 장비

및 인력의 효율적 운영, ② 자연경관의 보존, ③ 방송의 디지털화에 따른 동시방송

송신소의 해결, ④ 디지털화에 따른 신규 방송국을 위한 전송망 및 주파수의 효율적

활용, ⑤ 네트워크의 효율적 관리로 국가 재난 등 유사시 대처가 용이하다는 점이

있다. 특히 방송의 디지털화를 앞두고 송신시설에 대한 충분한 논의와 합리적인 대

처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송·중계시스템의 공동운영을 그 효율성 측면에서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송·중계시설 운영현황은 <표 Ⅴ- 2>에서 보는 바

와 같이 AM송신시설은 104개, 기간국에 353명이 종사한다.

139) 방송 송출부문 분리에 대한 논의는 방송사 송출부문 분리(송출공사설립설) 논란의 문제점 ,방송과 기술, 제61호, pp .122- 128 참조.

- 97 -

Page 110: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표 Ⅴ- 2 > 송·중계시스템 설치 운영현황

방송국 구분 기간국 간이국 매체수 인원수 비고

KBS

AM 76 - 4 302 1R , 사회교육2R , 국제방송(4)

TV/ F M 33 331 9 234TV1,2 ,3(3)

F M1,2, 교육,음악F M1,2, 군(6)

운용부 - - - 186

소계 109 331 13 722

MB C

AM 20 - 1 22

TV/ F M 31 159 3 81

운용부 - - - 47

소계 51 159 4 150

민방기타

AM 8 - 4 29

TV/ F M 11 31 15 58

운용부 - - - -

소계 19 31 19 58

합계

AM 104 - 9 353

TV/ F M 75 521 27 373

운용부 - - - 233

합계 179 521 36 959

TV/ FM 송신시설은 75개, 기간국 중 39개 유인시설에서 373명이 종사하고 나머

지 36개 기간국과 52 1개 간이중계시설은 무인자동화시스템으로 각 지역 방송국에

서 233명이 원격제어를 통해 운영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는 있지만,140) 각 방송

사들은 공익자금이나 전파사용료 외에 별도의 재원을 투입하여 송·중계시설 사업

을 전개하고 있는 실정이다. 1993년부터 1997년까지 5년동안 방송3사가 총 205개

의 송·중계시설 확장을 위해 488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자 하였으나 감사원의 감

사결과 예산낭비를 가져올 것으로 우려되어 정책추진이 중단되기도 하였다.14 1)

140) 방송개혁위원회, 방송개혁의 방향과 과제 , 방송개혁위원회 최종보고서, p .89.

14 1) 이승선(1998) , 전파자원의 관리체계와 공공성에 관한 연구: 방송 전파관련 법제와 정책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59.

- 98 -

Page 111: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표 Ⅴ- 3 > 방송3사의 송·중계 시설 확장공사 내역( 19 9 3- 19 9 7 )

방송사 대상 소유예산

KBS 157개 433억원

MBC 43개 51억원

SBS 5개 14억원

합계 205개 488억원

자료: 공보처, 1996년 국정감사 요구자료(Ⅰ) , pp .633- 634 .

송신소가 같은 장소나 인접 지역에 존재하면서 각각 주파수와 출력 등 다른 방송

신호를 방송사별로 송출한다는 것은 시설 및 운용인력의 낭비를 초래할 수밖에 없

다. 하지만 방송사가 공동으로 송신소를 운영할 경우 방송시설을 공유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보다 적은 인원으로도 운영이 가능해진다. 또한 비좁은 고지의 자연경관을

보존하는 방송 외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방송의 소프트웨어 분야인 프로그램은

상호경쟁과 자율성이 최대한 보장되어야 하겠지만 하드웨어 분야인 기본 방송시설

의 설립은 국민편익에 관한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에 시청자 편익 위주의 정책입안

이 요구된다.

4 ) 외국의 방송 송출시스템

미국의 경우에는 넓은 국토로 인해 방송 서비스 지역이 광대할 뿐만 아니라 상업

방송이 주류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각각 필요한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송출하는 시

스템을 가지고 있고 경우에 따라서 방송사들간에 공동으로 송신소를 운영함으로써

경비 절감을 도모한다.

유럽의 경우에는 국토가 비교적 작고 인접 국가간의 간섭 문제와 유럽의 문화적

인 특성 등으로 별도의 송출업무만 전담하는 전문회사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영국의 B BC는 Ca st le Tr an smission In t er n a t ion a l에, ITV는 NTL(Nat ion a l

Tr an scommunicat ion s Limit ed)에 송출기능을 의뢰하고 있다. 프랑스는 모든 공

공방송과 상업방송이 프로그램의 제작 및 공급기능만 갖고 송출기능은 방송송출회

- 99 -

Page 112: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사인 TDF (TeleDiffu ssion de Fr an ce)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독일은 제1

방송인 ARD(Ar beir sgemein sh aft der Offen t lich- r ech t lich en )에 소속된 방송

사들이 각각 자체의 송신설비를 운영해 오다가 196 1년 이후 새로 설립된 방송사의

송신설비는 연방정부의 통신공사인 DBP- T (Deut sch e Bun despost Telekom)에

서 운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미국이나 우리나라와 같이 NHK 방송사와 민방 등에서 프로그

램을 제작하고 이를 각 방송사가 직접 송출하고 있다.

2 . 디지털 방송의 송출시스템 논의

디지털 방송은 프로그램의 송출 및 전송, 수신과정을 디지털화하는 것으로 각 채

널의 영상신호를 송출센터에서 MP EG- 2 형식으로 압축하여 여러 채널을 다중화

(mult iplexing)한 다음 각각의 변조방식(QP SK나 VSB )으로 변조한 신호를 위성

이나 지상파를 통해 전송한다. 일반시청자들은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전환기가 내장

된 셋탑박스를 통해 다시 복조, 다중화, 디코딩하여 특정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

다. 디지털 방송은 고화질의 방송과 함께 현재 한계에 이르고 있는 주파수 대역의

활용도를 높여 다채널 방송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본격적

인 출발이 예고됨에 따라 디지털 전환 비용, 동시방송 등의 문제가 논의 중이다. 그

중에서도 방송 송·중계시스템의 공동운영이 방송의 디지털화 과정에서도 중요한

정책적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방송의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방송 송·중계시스템의 공동운영이 제기되는 첫 번

째 이유는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방송의 제작에서 송출에 이르는

전과정이 디지털화되면 제작, 편성, 송출의 전과정을 운영해 오던 기존의 방송사는

컨텐츠 제작에 필요한 장비와 스튜디오뿐만 아니라 그것을 송출하기 위한 송신시설

의 설비와 운영까지 부담해야 한다. 또한 향후 디지털 방송이 시작되면 일정기간 동

안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에 같은 프로그램을 동시에 내보내는 동시방송을

시작해야 한다.142) 방송3사의 프로그램을 동시 방송할 경우 아날로그 방송과 동일

한 송신소가 필요하게 되는데 1997년 4월 현재 송신소는 무려 1,164개에 이른

- 100 -

Page 113: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다.14 3)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장비와 디지털 방송장비를 같이 사용한다 할지라도 일

부 송신소에서는 새로운 디지털 방송장비를 설치하기 위해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할

것이며, 일부 방송사는 공간의 확장뿐만 아니라 별도의 송신소 부지도 확보해야 한

다. 부지 문제 외에도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의 방송서비스 영역의 차이로 인

하여 일부 방송사의 경우는 별도의 송신소를 추가로 설치하는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공용 송신소를 설치하면 송신시설이나 동시방송에 소용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송신시설이나 동시방송를 위해 필요한 비용은 전체 디지털 방송의 전환 비

용 2조 2 ,422억 원의 4 1%인 9 ,057억 원으로 예측되며, 공동 송·중계시설의 운영

으로 절감할 수 있는 비용은 4 ,484억 원으로 추정된다(<표 Ⅴ- 4> 참조) .

<표 Ⅴ- 4 > 송·중계시스템 공동운용시 투자절감액(단위:억원)

구 분 절감액

KBS 2,601

MBC 1,545

SBS 338

합 계 4 ,484

* EB S와 기타 지역민방은 포함하지 않은 효과

둘째, 전송망의 효율적인 운영과 주파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시작할 경우 방송사마다 주파수 대역을 별도로 할당해야 하는데, 할당받은

주파수 중 일부는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공영 송·중계시스템을 운영하

면 주파수 대역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방송사들의 채널을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주파수 대역으로도 방송망의 구축 및 운영이 가능해진다.

셋째, 공영 송·중계시스템을 운영하지 않으면 새로운 사업자가 고부가가치 상품

인 방송 사업에 뛰어들 경우 그때마다 별도의 송신소를 구축해야 하는 문제에 부딪

142) 동시방송 기간이 최대로 2010년까지 예정되어 있다.

143) 이 수치는 기간국과 간이군을 합한 수치이다. 방송과 기술, 제61호, p .127.

- 101 -

Page 114: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히게 되는데 우리의 국토 현실을 고려해 볼 때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

도적인 송출체계가 필연적으로 요구되며, 이는 경영적인 측면에서 방송 장비 구매

및 부지 구입 비용 등의 중복 투자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3 . 인터넷 방송 송출시스템

최근 웹캐스팅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인터넷 방송 업체가 잇따라 설립되고 있다.

소규모 사업체뿐 아니라 대기업들이 인터넷 방송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고

있으며 기업 PR을 인터넷 방송을 통해 제공하는 곳도 있다. 특히 소규모 사업체들

은 공중파 방송이 제공하기 어려운 각종 이벤트를 생중계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

해 인기를 끌고 있다. 이는 실시간 서비스,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등 인터넷이 기존

매체가 갖지 못하는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하지만 이런 장점에도 불구

하고 인터넷 방송을 준비하는 업체는 인터넷 방송을 위한 방송설비, 스트리밍 관련

기술이나 장비 배치 및 회선사용과 관련한 적절한 노하우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

다. 예를 들어 m2st at ion , Ready- Q, 바운드, TV21, csca st , bit z 등과 같은 초

기의 인터넷 방송국들이 개국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문을 닫았으며, 그 후에도 많

은 소규모 인터넷 방송국들이 나타났다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도 급격히 증가하는 인터넷 방송 사업자를 수용하고 멀티미

디어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유통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유

에서 최근 대용량의 하드디스크 공간과 빠른 회선속도를 제공함으로써

CP (Cont en t s Pr ovider )들이 고품질의 인터넷 방송 컨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제공하는 웹캐스팅 전문 IDC(In t er n et Da t a Cent er )가 설립 러시를 이

루고 있고,144 ) 이들 사업은 정보통신산업의 부가가치 중 30% 이상을 보장받고 있

다.145)

웹캐스팅 전문 IDC는 기존 방송 시스템으로 보자면 제작, 편성, 송출 중에서 송

144) 웹캐스팅 전문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설립 러시 , 전자신문, 2000 . 9. 7.

145) EU (1999) , The Fut ure of Cont ent .

- 102 -

Page 115: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출 부분을 따로 떼내어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개념이다. 이를 통해 인터넷 방송의 가

장 중요한 특성인 동영상 파일을 이용자에게 데이터 손실없이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인터넷 방송 산업의 측면에서는 서비스 관련장비를 IDC 내에 위

치시킴으로써 서비스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 운영비용 절감 등의 혜택을 동

시에 누릴 수 있어 과잉 및 중복 투자를 막고 인터넷 방송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

다. 예컨대 인터넷 방송을 할 경우 대역폭은 평균 10MB 이상이고 피크 타임시에는

90MB에 이른다. 이를 전용회선으로 운영할 경우(90MB 기준) E 1 전용회선이 약

45회선이 필요하며, 이를 비용으로 환산하면 월 1억여 원146)의 비용이 소요되는데

다가 1억 원 정도의 장비 구입비가 추가적으로 소요된다.

한편 인터넷서비스제공자(ISP )가 제공하는 전용선을 이용할 경우 T 1급은 초당

1.544Mbps 정도이고 T3급이라 하더라도 45Mbps 수준인데도 불구하고 소규모 인

터넷 방송 업체들이 T3급 이상의 광대역 전송로를 확보하는 것은 현실상 무리가 있

다. 그러나 웹캐스팅 전문 IDC는 통상 100Mbps에서 수Gbps급의 백본망을 구축

해 놓고 있기 때문에 개별기업이 이러한 IDC를 이용한다면 저렴한 가격으로 속도

가 빠른 전용선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부분 소규모인 인터넷 서비

스 업체들은 전산실에 필요한 공간 확보에서부터 서버구입, 장비운용, 인력 등 관련

비용이 턱없이 높기 때문에 별도의 전산실을 운영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웹캐스팅

전문 IDC가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의 사업에 필요한 설비 및 운영을 담당하는 대안

으로서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웹캐스팅 전문 IDC는 몇몇의 인터넷 방송 업체가 이제까지 축적한 인터넷

방송국 운영 노하우를 공유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한국통신, 드림라

인, 두루넷 등 초고속망 제공업체들을 위시하여 인터넷 방송 업체들이 대규모 컨소

시엄을 구성하는 형태로 설립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스트리밍, 코로케이션147) , 인

터넷 방송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성황리에 설립되고 있는 웹캐스팅 송출

전문 민, 공영 회사들의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46) 약 월 280만원(E 1 전용회선 중소기업 할인가) X 45회선 = 1억3천만원

147) 코-로케이션(Co- locat ion ) 서비스란 고객의 인터넷 서버에 최단 인터넷 경로를 제공함으로써인터넷 서비스의 속도 및 안정성을 보장하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관련 서버 및 장비를 데이터센터 내의 기가비트 인터넷 백본에 연결해 주고 관리를 대행해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 103 -

Page 116: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표 Ⅴ- 5 > 웹캐스팅 전문 IDC 이용과 독자적 서버 운용 비교

구 분 웹캐스팅 전문 IDC이용 독자 서버 운영

전산실(설치공간) 불필요 필요

공조시설 불필요 필요

무정전 전원장치 (UPS) 불필요 필요

월 전기료 불필요 필요

망 관리 체제(NMS) 불필요 필요

서버운영 인력 불필요 필요

서비스용 인터넷 전용회선 불필요 필요

최대 이용가능 대역폭 Gigabit T3(45 Mbps)

자료 전송용 전용회선 불필요 불필요

1) 유사 공영 인터넷 방송 송출시스템

한국통신은 동영상 위주의 인터넷 방송 사업이 인터넷 서비스의 핵심분야로 부각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넷망의 과부하로 인해 컨텐츠의 멀티미디어화 및 인터

넷 방송 사업자 증가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지 못하다는 판단 아래 인터넷 방송 사

업자가 컨텐츠 개발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기반인 인터넷 방송 플랫폼을 10월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준비 중에 있다. 한국통신이 준비 중인 시스템의

기본 개념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지원을 위해 10개 지역노드를 통한 분산망을

구축하고 주노드와 위성 및 전용회선을 통해 컨텐츠 분배 인프라(CDN :Cont en t s

Deliver y Net wor k )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즉 인터넷 방송 컨텐츠 업체들이 제작

한 컨텐츠를 주노드의 웹서버에 전송하면 이를 지역노드에 분산, 전송함으로써 부하

를 줄여 엔드유저가 쉽게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품질 좋은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

록 한다는 개념이다.

한국통신의 인터넷 방송 플랫폼 사업은 고속백본 접속회선 및 스트리밍 서버 등

을 구비하고 운용 및 관리를 대행해 주는 인터넷 방송 인프라 호스팅 서비스, 영상

정보 등을 대용량 스토리지의 일정공간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보여주

는 VOD 스트리밍 서비스, 컨텐츠에 부가가치를 높이는 컨텐츠 패키징 서비스로

구분된다. 이를 위해 한국통신은 동시에 2만명 이상이 접속할 수 있는 테라급의 스

- 104 -

Page 117: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토리지를 구축했다. 운영방식에 있어서는 독자적인 인터넷 방송 사업을 추진하는

CP에게는 스트리밍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료를 징수하는 한편 우수 컨텐

츠를 보유하고 있는 인터넷 방송 사업자들에게는 무상으로 플랫폼을 사용하도록 하

여 발생하는 수익을 적정비율로 분배하는 원칙을 세우고 있다.148)

<표 Ⅴ- 6 > 한국통신 인터넷 방송 플랫폼 사업

기획

Web P age 제작 ← 컨텐츠 주문제작

Encoding ← 동영상/ 컨텐츠 제작자

Web Server ← Web 미보유 컨텐츠 사업자(CP )

St r eaming Server← 크레지오

자체 Web Server 보유 CP

IB B ack bone

Local Server ← 지역 CP

Access Net wor k

이러한 한국통신의 인터넷 방송 플랫폼 서비스는 전국 인터넷 방송 사업자들에게

고품질의 영상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막대한 초기 투자

비용 없이도 인터넷 방송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인프라를 마련해 준다는 점에 가

장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인터넷 방송 업체에게는 안정적인

인터넷 방송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여 투자비용을 절감하고 우수한 컨텐츠 제작에만

전념하게 하여 빠른 시간 내 수익 사업화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한편 이용자

들은 지역노드를 통해 컨텐츠를 전송받음으로써 기존 중앙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전

송받는 것보다 훨씬 고품질의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지역 컨텐츠 사업

자들을 유치해 중앙 컨텐츠와 함께 지역 컨텐츠에 대한 이용자의 인터넷 방송 수요

충족, 지역간 정보격차 해소, 정보화 촉진 등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통신의

송출시스템은 방송의 공익성 확보를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는 것은 아니다.

148) 사이버프론티어, 인터넷의 꽃, 인터넷 방송, 한국통신 사보, 2000. 8 , h t t p :/ / www.kt . co.kr .

- 105 -

Page 118: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2) 민영 방송 송출시스템

( 1) 한국인터넷데이터센터(Kor ea In t er n et Da t a Cen t er )

한국인터넷데이터센터(Kor ea In t er n et Da t a Cent er )는 1996년에 보라넷과 천

리안의 다이얼업 서비스 중복으로 인해 천리안이 개인 사용자 중심, 보라넷이 기업

사용자 중심으로 개편되면서부터 움직임을 보이다가 MB C의 대선 인터넷 방송을

계기로 그 필요성이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득표 집계를 인터넷상에서도 실시간으

로 내보내려고 했던 MBC의 대선 인터넷 방송 계획이 트래픽 장애의 해결을 위한

엄청난 비용의 문제에 봉착하였으나 데이콤의 코-로케이션(Co- locat ion ) 서비스를

이용, 50% 이상 절감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후 대형 서버, 고가의 방송·통신

장비를 제공해 주는 대규모 데이터센터의 설립 등이 지속적으로 논의되다가 99년

10월 한국인터넷데이터센터가 발족하고 인터넷 방송 컨텐츠를 호스팅하고 있다.

(2) NGENE (ht t p :/ / www .n gen e .n et )

NGENE (ht t p :/ / www .ngen e .n et )은 하나로통신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바탕으로

웹서버 및 라우터, 통신장비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 운영해 주는 인터넷 데이터센터

의 일종이다. 인터넷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와 인터넷 컨텐츠 산업의 급속한 성장으

로 인한 인터넷 관련 비즈니스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99년부터 인터넷 데이터센터

사업을 준비해 오다가 2000년 2월부터 본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현

재 내외경제, 조선일보, 서울경제신문 등의 언론사와 웹시네마(h t t p :/ / www .

webcin ema .co.kr ) , 아이씨넷( h t t p :/ / www .icin e .co.kr ) 등의 인터넷 방송 업체

가 NGENE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3) 드림IBC(In t er n et Bu sin ess Cent er ; h t t p :/ / www .dr eamlin e .co .kr )

기가급 백본망을 기반으로 인터넷 방송 사업자를 대상으로 방송 호스팅 서비스를

하고 있는 드림라인의 인터넷데이터센터인 드림IB C(In t er n et Bu sin ess Cent er ;

- 106 -

Page 119: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ht t p :/ / www .dr eamlin e .co.kr )의 설립은 드림라인이 보유하고 있는 브로드밴드

미디어 드림엑스(h t t p :/ / www .dr eamx .n et )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드림엑스

는 인터넷 사업에 대해 전략적 제휴를 맺은 컨텐츠 업체들의 중심축을 이루면서 이

들에게 웹서버나 네트워크 인프라 등 하드웨어와 광케이블을 지원해 시설과 회선에

대한 부담없이 컨텐츠 개발에만 주력할 수 있도록 하는 협력 사업모델로 운영되고

있는데, 협력 관계에 있는 컨텐츠 업체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대규모 인터넷 방송 송출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즉 100여개가 넘는 드

림엑스의 제휴 업체들의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유에서 드림

IBC가 출발한 셈이다. 드림IBC 설비운영 방식은 한 개 서비스 업체에 고가모델의

서버가 적게는 한대에서부터 많게는 20여대까지 뒷받침돼야 하기 때문에 드림IB C

의 80% 가량이 협력 패밀리 업체들을 지원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영화, 음악, 교

육, 연예, 게임, 뉴스 등 다양한 분야의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 제공하고 있는

인터넷 사업자들이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신라호텔, 순복음교회

등 40여 개 업체들이 드림IBC의 방송호스팅이나 코로케이션 서비스를 유료로 이용

하고 있으며, 송강흠어학원, m .n et , 5cu t , 프랑켄슈타인, ICBN , 와일즈넷 등 80

여 개 인터넷 방송 업체가 드림엑스의 협력업체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표 Ⅴ- 7 > 드림IBC의 인터넷 방송 호스팅 서비스

기 능 Sliver Gold Ligh t

서버환경 MS WMT4.1기반 MS WMT4.1기반 MS WMT4.1기반

HDD 500M 1G 1채널

동시이용자수 50명 100명 50명

이용료/ 월 500,000 800,000 300,000

설치비(1회) 100,000 100,000 100,000

교육비(1회) 200 ,000(1인당) 200,000(1인당) 200 ,000(1인당)

출처: h t t p :/ / www.dr eamline .co.k r/

- 107 -

Page 120: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4) 한국스트리밍센터(h t t p :/ / st r eamingcent er .co .kr )

한국스트리밍센터(h t t p :/ / st r eamin gcent er .co.kr )는 국내 최초로 인터넷 독립

방송국들이(인터넷 종합방송 채티비, 인터넷 음악방송 나인포유, 기독교 인터넷 방

송 C3TV디지털 미디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설립한 것으로 한국통신 목동 인터넷

데이터센터(KT- IDC) 내에 스트리밍 전문 서비스를 제공할 독립적인 데이터센터를

가지고 있다. 운영방식은 각 사에서 파견된 4명의 스트리밍 서비스 및 네트워크 전

문가가 공동으로 작업하는 형식이며, 설비는 KT- IDC 내의 1Gbps의 백본망을 사

용한다.

한국스트리밍센터는 실질적인 회선트래픽을 지닌 인터넷 독립 방송이 주축이 되

어 설립되었다는 점과 인터넷 방송 전문 웹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

존의 IDC와는 차별성을 가진다. 여기에는 초기의 3개사 외에도 축구방송, NGTV,

유아교육방송, 서울음반 등 20여 개의 독립 인터넷 방송국이 참여하고 있다.

4 . 소 결

국내의 기존 지상파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의 공동송출시스템은 효율적으로 운

영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디지털 텔레비전의 공동송출시스템 구축이 하나

의 과제로 남게 된다. 인터넷 방송의 공동송출시스템은 서버시스템과 전용선 이용이

라는 기술적 이유로 인하여 초기부터 활발한 운용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들 송출

시스템 운영은 인터넷 방송의 활성화를 위한 목적을 갖고 있으며 방송의 공익성 실

현을 위한 목적으로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소수문화, 소외된 문화가 참여하여 다원성을 실현하고 컨텐츠상의 공익성과 문화생

산의 참여를 동시에 보장하는 장치로서 앞서 논의된 운영시스템 외에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을 검토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 108 -

Page 121: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Ⅵ. 인터넷방송공동송출시스템구축및운영방안

인터넷 영역은 이미 상업적 영역, 공공적 영역 그리고 지극히 개인적인 영역이 병

존하는 새로운 가능성의 공간이기 때문에 인터넷 전체를 하나의 성격으로 규정하려

는 시도는 무리가 따르는 일이다.

인터넷 방송의 경우도 지상파 방송처럼 상업적 이윤추구 성격을 갖는 상업방송,

공공이익을 강조하는 공영방송, 그리고 특정 집단의 이익을 대변하는 특수방송처럼

다양한 이해를 갖는 사람들이 운영하는 수많은 인터넷 방송 중 공익적 목적을 갖고

운영되는 사이트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인이 방송

운영이나 컨텐츠 생산에 참여할 수 있는 인터넷 방송의 공익적 성격, 액세스 채널과

공공영역적 특성은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설립, 운영방안은 시스템 구축방안과 운영방법으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다.

1 . 시스템 구축방안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은 인터넷상에 송출시설을 갖추고 아마추어 제작자,

군소 제작자 또는 소수문화 향수자들이 제작한 영상물을 인터넷상의 네트워크로 연

결하여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는 또 단순한 기계장비를 넘

어서 서버시스템, 전용선 시스템 그리고 관리와 송출을 위한 S/ W 시스템이 포함된

종합 송출시스템의 의미를 갖는다. 현재 수백 개의 인터넷 방송들이 개성을 갖고 제

각기 운영되고 있으며 그중 일부는 잠시동안 서비스를 하다가 문을 닫기도 하고 일

부 방송사는 수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컨텐츠를 만들어 서비스함으로써 유료화 수

익모델의 성공사례로 주목받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방송사들은 아직 적절한 수

익모델을 찾지 못하고 있으며 인터넷 방송이 오히려 포털사이트, 전자상거래 사이트

또는 사이버 증권거래 사이트 등과 같이 대형사이트의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 109 -

Page 122: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정도로 그 기능이 제한된 채 운영되기도 한다. 이처럼 수많은 인터넷 방송사 들이

자기자리 찾기를 시도하는 지금 공공재원을 확보하고 공익적인 목적으로 운영되는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을 검토하는 일은 방송이 전통적으로 갖는 공

익성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사회적으로 중복투자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재원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사회적 비용절감을 꾀하는 동시에 사이버 공간 안에서 문화적

약자를 보호하여 문화적 다원성을 실현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이미 상업적인 공동송출시스템이 인터넷 방송 웹캐스팅의 형태로 서비스되고 있

고, 공기업인 한국통신에서도 공동송출시스템과 유사한 서비스를 시작하고 있는 점

을 감안하여 이들과 차별화된 공영적인 시스템 구축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이와

함께 동영상 송출과 VOD (Video On Deman d) 서비스를 고려한 대용량의 하드웨

어 서버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여기에는 많은 비용이 수반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초기 운영은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시스템과 공동 운영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현실적이 될 것이다. 초기단계의 겸용서버를 이용하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마련

한 후 본격적인 독자 서버시스템을 구축하거나 겸용운영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

직한 단계가 될 것이다.

현실적인 대안의 하나로서 한국방송진흥원의 디지털 아카이브 서버시스템이나 사

이버정보센터 서버시스템을 이용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비영리 공익기관인

한국방송진흥원에서 운영하는 두개의 정보서비스 시스템은 공익을 목적으로 공공서

비스를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터넷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에 적절한 특성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아카이브에서 수집, 저장, 관리하고 있는 영

상정보와 사이버방송정보센터에서 수집, 가공, 서비스하고 있는 정보를 연계하여 공

동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 또한 그 가능성을 잘 보여주는 특성이라 하겠다.

아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국방송진흥원에서 현재 운영하고 있는 서버 시스

템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하며 동시접속 이용자 100인을 감당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아울러 저장장치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므로 공동송

출시스템으로 활용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갖고 있다.

- 110 -

Page 123: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표 Ⅵ- 1> 한국방송진흥원 서버 시스템 현황

서버시스템 기종 현 주요 기능 비고

아카이브시스템

Compaq 1600Compaq 7000Compaq 8500Sun Enter pr ise 450썬더

Backup 서버

VOD ,Web 서버

In dexing 서버

DB 서버

Video서버

-

사이버정보센터시스템

Sun Enter pr ise 250Sun Enter pr ise 450Sun Enter pr ise 3500

웹호스팅,웹서버, DNS 서버

DB 서버

웹, 웹호스팅,메일 서버-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본적인 하드웨어 서버시스템으로는

VOD서버, WEB서버, 스트리밍서버, 그리고 DB서버가 필요하다. 이외에 다양한

매체로 제작된 컨텐츠를 디지털로 전환하여 인터넷 방송으로 송출이 가능한 컨텐츠

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인코딩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들 장비는 이용자수와

이용 컨텐츠 증가에 따라 점차 확장이 가능한 장비이다. 이외에 많은 양의 정보를

저장, 검색, 그리고 서비스할 수 있는 대용량 저장장치와 백업장치가 필수적으로 필

요한 장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장비들을 다음 시스템 구성도와 같은 방법으로 연

결하여 공동송출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그림 Ⅵ- 1> 참조) .

<그림 Ⅵ- 1>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 111 -

Page 124: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을 위해서는 적정 수준의 전용선이 필요하다. 한국방송진흥원

의 네트워크 시스템과 동영상 데이터의 원활한 전송을 위해 10 Mbp s급의 네트워크

구축 시스템을 정비하였다. 이에 따라 동영상 이용자들은 전송 장애없이 서비스 이

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아래 표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전용선 이용요금이 T3

전체 서비스(45Mbp s)의 경우 월 3000만원을 넘어서고 있어 소규모 인터넷 방송이

나 개인이 부담하기에는 큰 비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도 인터넷

방송의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표 Ⅵ- 2 > 국내 A통신사의 전용선 이용요금 표

전용선 종류(용량/ bps ) 표준 월이용료(원) 비고

56K 716 ,000

128K 972 ,000

256K 1,315,000

512K 1,820,000

T 1(1.544M) 3 ,272,000 이하 일부 감면요금 적용

E 1(2 .048M) 4 ,228,000

T3(10M) 10 ,000 ,000 표준이용료 미공시

T3(45M) 30 ,000 ,000 표준이용료 미공시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은 단순한 송출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송출

이전의 제작에 필요한 장비를 지원하는 기능과 함께 운영되는 것이 필요하다.

공동송출시스템의 제작을 지원하는 장비로는 오프라인에서 동영상물을 가공, 편집

할 수 있는 부조시설과 편집기 등의 장비 그리고 촬영장비 등을 충분히 갖추는 것

이 성공적인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왜냐하

면 공동송출시스템 구축의 목표가 인터넷에서 다양한 정보들이 유통되도록 지원한

다는 것인데 유통을 위한 컨텐츠의 생산지원 역시 중요한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과거 지상파 방송의 공익 개념이 컨텐츠의 내용면에 중점을 두고 정립되었다면

인터넷 방송에서의 공익 개념은 컨텐츠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컨텐츠 생산과 전달

에의 직접 참여라는 컨텐츠 생산 측면에서 검토되어야 한다는 새로운 관점의 필요

- 112 -

Page 125: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컨텐츠 제작에 필요한 기술, 장비 및

네트워크 지원사업은 공동송출 시스템 안에서 자율적으로 동시에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은 기존 공중파 방송과 케이블 TV에서 시행되는 액

세스 채널과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은

채널이나 시간의 제한없이 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많은 정보를 체계적으

로 분류 관리하는 공영 DB와 같은 기능을 시행한다는 점에서 또 다른 역할을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2 . 운영방안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은 인터넷 시대 문화적 다원성을 보장하고 과거

문화 소비자의 위치에 있던 이용자들이 문화생산자로 참여하게 된 매체적 특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음 몇가지 기본전제가 충족되어야 한다.

첫째, 초기에는 이용자 확보, 시설장비의 효율적 이용 등의 필요에 따라 공익기관

또는 단체에서 운영하는 기존시스템과 공동으로 운영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방안은

공동송출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하드웨어 부문의 비용과 홍보관련 비용의 절감효과

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일반 이용자 측면에서는 공동송출시스템에서 서비스하는 정보

이외에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는 포털사이트적인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

다.

둘째, 잡지식 편성의 개념의 도입이다. 운영자가 수집한 컨텐츠를 게이트키핑하여

분야별로 재배치하여 이용자들에게 이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한편에서는 일정수준

의 프로그램 질을 유지하는 선별기능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와 병행하여 편성이 개

입되지 않고 순수한 웹 캐스팅의 기능만을 수행하여 시스템 이용자들이 아무런 여

과장치 없이 자신들이 생산한 컨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편성개념

안에 포함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주체가 공익성이 높은 고급 컨텐츠를 직접생산하고 서

- 113 -

Page 126: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비스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점은 공동송출시스템 전반의 프로그램

질 향상을 위해서도 필요하며 정보복지 차원에서 고급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여

건을 마련한다는 점에서도 의미있는 일이다.

넷째, 시스템 구축방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작시설로서 촬영장비, 편집장비

그리고 디코딩 장비 등을 갖추고 이용자들이 불편없이 송출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안정적인 재원 지원 확보가 필요하며 설립 목적에 비추어 볼 때 그 재원

은 공익적 성격을 띠어야 한다. 여러 가지 기금에서 지원받는 형태의 재원을 검토해

볼 수 있으며 점차 안정적인 운영이 확보되면 수혜자 부담 원칙에 따라 최소 경비

는 이용자들이 부담하는 형태로 운영경비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

여섯째, 공동송출시스템 이용자들은 상업적 목적이 없는 아마츄어 컨텐츠 생산자

즉, 제작 예비인력으로 볼 수 있는 학생 소외계층으로 분류할 수 있는 노인, 장애인

그리고 기타 소수문화 생산자를 우선 이용대상자로 선정하는 등의 기준설립이 필요

하다.

일곱째,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은 공영 인터넷 방송과 공영 ISP를 지향점으

로 운영되어야 한다. 다양한 운영주체에 의해 다양한 컨텐츠들이 생산, 유통 그리고

소비되는 사이버 공간 안에서 공익을 목적으로, 문화생산 참여를 보장하는 공영적

운영틀을 갖는 인터넷 방송의 운영을 준비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1) 재원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의 운영에 필요한 공공성격의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

보하는 것은 이 사업의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재원은 무엇보다 공동송

출시스템이 공익과 문화적 다원성 확보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공공기금에서 충당

하고 비영리 목적으로 운영되는 원칙을 수립하여야 한다. 향후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정착된 이후에 합리적 운영을 위해 공동송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출하는 이

용자들에게 최소한의 이용경비를 부과하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확보 가능성이 높은 재원으로 방송발전기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현행 방송

- 114 -

Page 127: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법에서는 방송진흥사업 및 문화·예술진흥사업을 위하여 방송발전기금을 설치 운영

하고 있다. 기금의 조성은 현행 지상파 방송사와 향후 위성방송 광고매출의 100분

의 6내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여 조성하도록 한 것이 주요 재원이며, 이외에 케이

블 방송의 지역사업권료 , 방송사업자의 방송발전지원계획에 의한 출연금 , 그리고

방송사에 대한 과징금 징수액이 기금 조성 재원에 포함된다. 방송발전기금은 방송

사업에서 발생하는 수익금의 일부를 방송진흥을 위해 준조세 성격으로 사회에 환원

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지상파 방송의 경우 전파 사용료를 별도로 징수

하지 않는 점을 고려하면 방송발전기금의 공공적 성격이 더욱 분명해진다.

현재 시행 중인 방송법 38조에서는 방송발전기금의 용도를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

로 명시하고 있다.

1. 교육방송 및 기타 공공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방송

2 . 공공의 목적을 위한 방송사업자의 설립 및 방송프로그램 제작

3 . 방송프로그램 및 영상물 제작 지원

4 . 시청자가 직접 제작한 방송프로그램

5 . 미디어 교육 및 시청자단체의 활동

6 . 방송광고 발전을 위한 단체 및 사업 지원

7 . 방송기술 연구 및 개발

8 . 장애인 등 방송 소외계층의 방송접근을 위한 지원

9 . 문화·예술진흥사업

10 . 언론공익사업

11. 기타 방송의 공공성 제고와 방송발전에 필요하다고 위원회가 의결한 사업

위에서 제시한 각호 중 2 . 공공의 목적을 위한 방송사업자의 설립 및 방송프로그

램 제작 , 3 . 방송프로그램 및 영상물 제작 지원 , 4 . 시청자가 직접 제작한 방송프

로그램 , 8 . 장애인 등 방송 소외계층의 방송접근을 위한 지원 그리고 9 . 문화·

예술진흥사업 등의 항목이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지원과 직접 관련이 있

는 조항이라고 할 수 있다.

방송발전기금에서의 지원은 매체의 성격상 지상파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 또는 위

- 115 -

Page 128: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성방송에서 조성되었거나 조성될 기금을 성격이 다른 매체의 발전을 위해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하는 점에서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방송발전기금이 앞에

서도 지적하였듯이 준조세의 성격을 띠고 있으므로 방송분야에 제한되어 활용되는

것은 올바르지 못하며 법에서도 기금의 용도를 문화예술의 발전과 언론발전을 위해

서 사용할 수 있음을 명시하고 있기 때문에 큰 문제 없이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

인다. 다만 지원여부를 결정함에 있어 그 사업의 사회적 기여와 운영주체의 사업추

진 능력 등이 별도의 판단기준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러나 만일 책임있는 공익기관

에서 맡아 추진하는 방안을 제시한다면 해결이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정보화 촉진기금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정보화 촉진기

금은 통신영역에서 보편적 서비스의 실현을 위해 조성되는 성격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정보화촉진기본법에서는 정부가 정보화 촉진을 지원하기 위하여 기금을 설치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기금의 재원은 정부의 출연금 또는 융자금 , 전기통신기본

법 제7조의 규정에 의한 기간통신사업자 및 정부 외의 자의 출연금 , 정부가 소유

하는 한국전기통신공사 주식의 배당금의 일부 또는 전부 , 전파법 제11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주파수할당대금 및 동법 제17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산정된 금액 ,

그리고 기금운영 수익금 차입금 및 기타 수입금으로 명시하고 있다.

기금의 운용은 다음 사업의 지원을 위하여 사용된다고 밝히고 있다.

1. 초고속정보통신기반의 구축 및 이용활성화사업

2 . 공공·지역·산업·생활·장애인을 포함한 사회적 약자의 복지 등 각 분야의

정보화촉진사업

3 . 정보통신에 관한 연구개발사업

3의2 . 전파방송의 연구개발 및 지원사업

4 . 정보통신관련 표준의 개발·제정 및 보급사업

5 . 정보통신기술인력의 양성사업

6 . 제1호 내지 제5호에 규정된 사업의 부대사업

7 . 기타 정보화촉진 등을 위하여 위원회에서 필요하다고 인정한 사업

- 116 -

Page 129: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제2호의 공공·지역·산업·생활·장애인을 포함한 사회적 약자의 복지 등 각

분야의 정보화촉진사업을 지원할 수 있다는 법적인 조항에 근거해 볼 때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재원의 지원이 합당하다고 볼 수 있다.

이외에도 문화산업진흥기금 등 다양한 공공기금의 지원방안 검토가 가능하다.

2 ) 채널운영과 인터넷방송 호스팅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은 운영자가 수집된 프로그램을 임의로 편성하여 채널을 운

영하는 형태와 송출을 원하는 개인 및 사회단체들이 자신들이 제작한 프로그램을

편성이나 선별없이 그대로 업로드하는 웹호스팅 형태로 구분하여 운영되어야 한다.

이 둘을 구분하는 것은 문화소비자를 문화생산자의 위치로 전환하는 인터넷 방송의

장점을 그대로 살리는 동시에 일정수준의 컨텐츠 질을 확보하여 이용자들에게 양질

의 정보를 서비스하고 그 사이트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렇게 운영되는 채널과는 별도로 공동송출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자가 직접 제작한 다양하고 질 높은 정보가 함께 서비스되어야만 채널 또는 웹

사이트 자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자체제작 프로그램의 편성이 필요하

다.

채널운영과 인터넷 방송 호스팅을 위한 컨텐츠 또는 운영주체 선별을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중심으로 선정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널운영을 위한

컨텐츠 수집에서는 게이트키핑 과정이 게재되는데 여기서는 엄격한 기준을 갖고 컨

텐츠를 수집하여 편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인터넷에서의 컨텐츠 질 향상이 중

요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일정수준 이상의 컨텐츠를 선별하

는 작업이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초기

에는 아마츄어 영상제 또는 컨텐츠 제공자에게 특정한 대가를 지불하는 등의 형태

로 아마추어 작품을 공모하는 방안을 시행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채널운영은 채널

대부분을 독립제작사들로 구매한 컨텐츠로 채우면서 마치 잡지와 유사한 프로그램

편성으로 소수문화를 보호하는 동시에 문화적 다원성을 실현하고 사회적으로는 프

로그램 제작 기반 산업을 공고히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는 영국 채널4의 편성이 많

은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117 -

Page 130: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프로그램을 선정할 때는 우선 사회문화적으로 자료적 가치가 높아 보존이 필요한

내용, 환경보호적인 내용, 산업 사회적인 특성 또는 농업 사회적인 내용을 담고 있

는 작품, 창작성이 높은 실험작품, 소수문화 또는 지역 문화적인 특성이 강한 프로

그램 등에 우선권을 주는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웹 캐스팅 업체 선정에서도 이와 유사한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한

국사회에서 소수 문화 집단으로 분류되는 장애인, 노인, 농어업 종사자 그리고 특수

한 형태의 소수문화 향수자들에게 우선적으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웹캐

스팅을 위한 개인이나 집단이 선정된 이후에는 생산, 서비스 그리고 편성과 그 책임

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사항을 모두 그 채널 운영자에게 모두 이관하여 자율성을 보

장하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액세스 채널과 공공영역의 의미를 최대한 살리는 필

수적인 조치가 될 것이다.

자체 제작 프로그램에도 앞에서 언급한 기준의 적용이 필요하며, 인터넷상에서 기

본권리를 보장하는 컨텐츠를 정보복지 실현차원에서 생산, 서비스하는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기본적으로 서비스되는 기본 정보성격의 컨텐츠 서비스와 특히 부분적으

로 인터넷 매체의 글로벌한 성격을 고려하여 전통문화의 특성을 담은 영상물을 서

비스하는 방안도 마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 향후 확장방향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은 공영 인터넷 방송과 공영 ISP를 지향점으로 운영

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운영주체에 의해 다양한 컨텐츠들이 생산, 유통 그리고 소

비되는 사이버 공간 안에서 공익을 목적으로 문화생산 참여를 보장하는 공영적 운

영틀을 갖는 인터넷 방송의 운영을 준비하는 것은 인터넷 영역을 규제영역 밖에 존

재하는 자유로운 공간으로 규정해 왔던 그동안의 묵시적 관행에 근거해서 살펴보면

낯선 주장일 수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 규제가 없는 공간에는 자본의 논리에 따라

질서가 세워지게 되며 자본의 논리로는 보장할 수 없는 문화적 공익부분이 존재한

다는 점에 비추어 보면 인터넷 방송의 공영적 운영방안 모색의 필요성이 공감을 얻

게 될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인터넷 방송 전체를 공영으로 규정하자는 주장이 아니

- 118 -

Page 131: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라 많은 인터넷 방송들 가운데 공영적 운영주체를 갖고 공익을 우선시하여 문화적

다원성 보장에 힘쓰는 공영 인터넷 방송이 일부 운영되는 것이 필요하지 않겠는가

하는 논의인 것이다. 인터넷 전체에 반드시 하나의 공영 인터넷 방송이 운영될 필요

는 없다. 서로 다른 재원으로 공익을 위해 운영되는 몇개의 공영 인터넷 방송이 존

재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 그림은 디지털아카이브 시스템 그리고 사이버정보센터

시스템과 연계하여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을 운영하는 방안과 향후 발전방안

을 담은 개념도이다.

<그림 Ⅵ- 2 >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개념도

또한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을 운영하면서 노하우를 축적하여 공영 인터넷

방송운영 계획을 구체화하는 것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이 일반 이용자의 컨텐츠 발표의 장, 즉 문화생산 참여의 장으

로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면 공영 인터넷 방송은 공공의 재원으로 운영되는 인

터넷 방송으로 정보격차 해소, 공공정보의 전달, 정보복지 실현 및 인터넷 공간에서

의 문화적 다원성 실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발전방안의 하나로서 공영 ISP (In t er n et Ser vice P r ovider ) 설립은 무료 또는

인터넷방송공동송출시스템 디지털아카이브사이버정보센터

송출시스템 제작지원시스템 향후발전계획

편성 : 게이트키핑- 문화다원성 실현액세스 채널운영

- 완전 참여보장자체제작 : 기본정보

- 문화컨텐츠- 대외홍보

촬영장비지원- 생중계장비편집장비 지원

- 아날로그 편집- 디지털 편집- 부조기능지원포스트제작 장비지원디코딩 장비지원

공공DB연계향후확장 방향

- 공영 인터넷 방송- 공영 ISP

- 119 -

Page 132: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아주 저렴한 비용으로 누구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창구를 공공에서 마련한다

는 개념이다. 현재 전용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ISP가 필요없지만 전화선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ISP에 접속하여야 하며 대부분의

ISP는 유료로 운영되고 있다. 공영 ISP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유일한 ISP 개

념이 아니라 여러 종류의 다양한 공영 ISP가 필요하며 그중에 하나로 공영 인터넷

방송에서 운영하는 공영 ISP를 설립하는 쪽으로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을 확장해 나

가는 것이 필요하다.

- 120 -

Page 133: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Ⅶ. 결 론

인터넷 방송은 인터넷 서비스의 하나로 대안적 공적 영역의 가능성을 갖는 매체

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의 기술적 특성이나 사회문화적 여건을 고려해

볼 때 인터넷 방송이 스스로 공적 영역의 몫을 찾아가는 것은 몇가지 측면에서 어

려움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첫째, 인터넷 방송의 동영상 컨텐츠를 제작하고 그것을 송출하는데 여전히 많은

비용이 요구된다. 제대로 된 양질의 서비스를 많은 이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송출 네트워크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인터넷 방송을 운영하기 위

해서는 많은 양의 컨텐츠가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자본, 인력, 그리고 시설을 필요

로 한다. 유통되는 컨텐츠의 저작권료를 지불하기 위해서도 많은 자본이 필요하기

때문에 소규모의 인터넷 방송 운영은 발붙일 곳이 없어져 가는 추세이다. 셋째, 인

터넷 서비스의 포털 사이트화(por t a l sit e) 변화에서 보는 것처럼 인터넷 방송의

비즈니스 모델은 대형화되고 독점화되는 쪽으로 나가고 있다. 일부 대형화된 방송국

들에서 선정적이고 오락적인 컨텐츠를 운영하여 수익을 올리고 있고 나머지는 적절

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지 못해 대부분 정상운영 궤도에 오르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채널별로 액세스 채널이나 문화적 다원성 실현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가 있

어 보인다. 국내 전체 인터넷 방송의 20%에 해당하는 방송사들이 3개월 이내에 문

을 닫거나 URL을 변경하는 현실이 이러한 상황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넷째, 한국사회가 갖는 언어적 특수성은 소수문화 생산자들이 스스로 세계적인 공

적 영역으로 연대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다섯째, 이미 동영상 또는 비디오가 새

로운 예술의 장르 또는 사회적 소통의 수단으로 그 기능을 확보하고 있지만 이를

유통하는 체계로서 인터넷 방송은 기술적, 경제적 제한점이 따르고 있다. 여섯째,

현재의 인터넷 방송은 지상파 방송과는 달리 그 내용면에서 큰 규제가 없으며 심지

어 저작권 침해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 지상파 방송이나 신문의 복수소유 또는 대

기업의 소유제한 등의 규제로부터도 자유롭다. 규제없는 자유로운 영역은 자본의 논

리가 관철되는 영역이기도 하다. 인터넷 방송 서비스 영역을 거대한 자본이 독점한

- 121 -

Page 134: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다면 오프라인의 독점적 폐해와 같은 현상이 인터넷 안에서 재현될 것이며 이는 인

터넷이 제공하는 기회를 이용자 스스로 포기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인터넷 방송이 갖고 있는 현실적 문제점149)과 앞에서 살펴본 인터넷 방송의 공익

성, 대중문화와는 다른 문화생산에의 참여 가능성, 그리고 공적 영역으로서의 가능

성은 공영 인터넷 방송이 필요함을 잘 보여주고 있다. 공영 인터넷 방송 운영의 주

체가 누가 될 것인가 하는 문제는 과거의 방송국 운영과는 다른 맥락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거의 방송국이 스스로 정보를 생산하고 유통하는데 중심적 역할을

수행했다면 공영 인터넷 방송은 생산된 정보를 보관, 관리하고 서비스하는 역할이

더욱 강조된다는 점에서 공영 도서관 운영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다.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은 공영적 성격으로 운영되며 기존의 매체와는 매우

다른 몇가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첫째,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은 인터넷상

에 송출시스템을 갖추고 아마추어 제작자, 군소 제작자 또는 소수문화 향수자들이

제작한 영상물을 인터넷상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인터넷상에서 문화적 다원성 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 이에 필요한 운영재원, 기술,

장비 및 네트워크를 공공기금에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이것은 기존 공중파 방송과 케이블 TV에서 시행되는 액세스 채널과도 유사한 기

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 될 것이다. 또한 채널이나 시간의 제한없이 운영이 가능하

다는 장점이 있으며 많은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 관리하는 공영 DB와 같은 역할

을 공영 인터넷 방송이 담당하게 된다. 공영 DB 관리자 입장에서 공영 인터넷 방

송 운영자는 편성개념이 개입된 게이트키핑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전

통적인 의미에서 편성할 컨텐츠를 선별하는 기능은 매우 약화될 것이며 분야별로

분류가 어려운 컨텐츠, 그리고 일정 수준에 못미치는 컨텐츠 등은 별도의 채널에 편

성하여 심의없는 액세스 채널 운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액세스 채널을 통

해 인터넷 방송에 문화의 생산자로서 참여한다는 것은 상징생산과 상징투쟁에 참여

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150)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은 공적

149) 인터넷 방송의 한계로는 낮은 접근성, 기술적 한계, 컨텐츠 부족, 그리고 취약한 배급구조 등이 주로 지적되고 있다. 최영묵 외(1999a) , 앞의 책, pp .269- 270.

150) 비디오 영상물의 생산은 영상이 갖는 손쉬운 조작과 저장, 전송 그리고 무한 복제 가능성 때문에 상업문화와 전혀 다른 영상물을 만들어 유통시킴으로써 대중의 원활한 미적 소통을 수행하고

- 122 -

Page 135: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영역보다 공적인 이미지가 더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될 수도 있다는 논의15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공적 영역이 의견의 활발한 소통 기능뿐만 아니라 의미체계의 생산

이라는 측면에서 공적인 이미지를 생성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인터넷 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자가 공익적인 컨텐츠를 직접 제작하여 서

비스할 수 있다. 자본의 시장 메카니즘에서 생산하기 어려운 소수 문화 향유자를 위

한 컨텐츠를 직접 제작하여 서비스할 수 있다. 셋째, 컨텐츠 제작이 어려운 이용자

들에게 스스로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과 장비를 지원하여 제작 지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넷째, 전지구적 공적 영역152) 기능 수행을 위한 다국어 서비스를

통해 소수의 문화를 향유하는 사람들간의 국제적 소통을 지원할 수 있다. 이는 인터

넷이 갖는 국제 매체적인 특성을 제대로 살리는 운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신자유

주의 흐름에서 사회운동의 국제적 연대가 강조되고 있으며 AP C (국제진보통신연합)

를 중심으로 국가별 네트워크의 연대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153) NGO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글로벌 공적 영역을 지원하는 형태로도 운영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이다.

끝으로, 무료 이용 또는 최소한의 실비로 이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터넷에서 발

생하는 정보 격차를 줄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운영방법으로 많은 사람

이 이용하는 포털 사이트로 공영 인터넷 방송 운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

도가 인터넷에서의 공적 영역 붕괴에 따른 민주정치의 위기154 )에 대처하는 한 방안

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문화적 위치를 차지하고자 했던 것이 초기 아티스트들이 싱글 채널 비디오(SingleCh annel Video)라는 장르에서 추구하던 바이며(조선령, 2000) 요사이는 VJ (VideoJ our nalist )의 증가 및 영상제작에 대한 참여 증대로 새로운 매체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났다고 볼 수 있다.

151) Vir ilio, P (1994) , The Thir d Int erval : A Cr it ical Tr an sit ion , In Ver ena Conley ,Ret hink ing Technologies , Univer sit y of Minnesot a Press .

152) 스팍스는 소수의 부유하고 교육정도가 높으며 영어를 말할 수 있는 계층이 글로벌 미디어를통해 국제 정치에 관해 논의하고 그러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현실에서는 새로운 전지구적 공적 영역의 가능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글로벌 미디어가 제국주의 사적 영역으로 기능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Sparks (1998) , op . cit . , p .121.

153) 최영묵 외(1999a) , 앞의 책, pp .262- 263 .

154) Haber mas (1989) , op . cit . .

- 123 -

Page 136: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참 고 문 헌

Ar bit r on (1999.9) , Edison Media Resear ch Int er net St udy Ⅲ .

Ar bit r on (2000) , Adver t ising Agencies Speak Out About

Webca st ing , ht t p :/ / www.ar bit r on .com/ st u dies/ agencies .

pdf .

Ar bit r on , Int er net St u dy III : Br oadca st er s v Webca st er s : Which

Bu siness Model Will Win? .

Ar bit r on , Int er net St u dy IV : The Buying Power of St r eamies .

Ar bit r on , Int er net St udy V : St a r t ling New Insight s About t h e

Int er net a nd St r eaming , h t t p :/ / www.ar bit r on .com/

st udies/ int er net_st udy_v .pdf .

Bar r on , J er ome A. (1973) , Freed om of t h e Press t o Wh om ? Th e

Right of A ccess t o t h e Mass Media , Bloomingt on :

Indiana Univ . Pr ess .

Ber nst ine , Mel & Alex Czet wet yn ski (2000) , St r eaming Media in

Eur ope : Challenges a nd Hope , ht t p :/ / www.st r eaming

media .com/ ar t icle .a sp?id = 6289 .

Cur r a n , J ames (1979) , Ca pit a lism and Cont r ol of t h e Pr ess ,

1880- 1975, In J . Cur r an , M. Gur evit ch and J .

Woollacot t (eds .) , Mass Com m u nicat ion and S ociet y , New

Yor k : SAGE .

Haber ma s , Jür gen (1989) , Th e St ru ct u ral Transform at ion of t h e

Public Sp h ere , t r an s . Th oma s Bur ger , Cambr idge : MIT

Pr ess .

- 124 -

Page 137: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EU (1999) , Th e Fut u re of Cont ent .

IDATE (2000) , The Wor ld Film and Television Mar ket 2000 :

Indu st r ies a nd Mar ket s Fr a nce , IDA T E (In st it u t de

l ' Audiovisuel et des Telecommunicat ions en Eur ope) .

J a ffr ay , Piper (2000) , St r eaming Media May Dr ive Fut u r e Net

Gr owt h , ht t p :/ / cyber at la s .int er net .com/ big_pict u r e/

har dwar e/ pr int / 0 ,1323,5921_495161,00.ht ml .

Keane , J . (1995) , St r uct ur e Tr a nsfor mat ion s of t he Public

Spher e , Th e Com m u nicat ion R ev iew , Vol . 1, No. 1.

Koich ir o, H . & T . Tagawa (1994) , Univ esal S ervice , Tokyo :

ChuoKor on- Sha Inc.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역(1995) , 유니버설

서비스.

La nsbur y , Geor ge (1925) , Th e Miracle of Fleet St reet , Vit or ia

Hou s .

McChesney , R. W. (1996) , Th e Int er net a nd U .S . Commu nica t ion

Policy- Making in Hist or ica l a nd Cr it ical Per spect ive ,

J ournal of Com m u nicat ion , Vol . 46 , No. 1,

Mor r is , M. & M. Ogan (1996) , The Int er net a s Ma ss Media ,

J ournal of Com m u nicat ion , Vol . 46 , No. 1.

Miles , P . (1998) , Guid e t o W ebcast ing , NY : J oh n & Sons , Inc. ,

손인석 옮김(2000) , 웹캐스팅, 서울 : 대청.

Mills , Mike (1994) , Cont r a st ing Models : Tow St at es Blaze Tr a ils

on High- t ech Fr ont ier , Congressional Qut erly .

Pint ak , Lawr ence (2000) , Will t he Ad Indu st r y Buy St r eaming

Ra dio? , h t t p :/ / www.t u r boa ds .com/ r ichmedia_news/ 2000

r mn/ r mn20001025.sht ml .

Rosen , Dan (1997) , Su r fing t he Sent o , B erk ely Tech ology Law

- 125 -

Page 138: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J ou rn al , Vol . 12 , No. 1.

Schement J . R . (1995) , B ey ond Univ ersal S erv ice .

Schu ler , D. (1996) , N ew Com m u nict y N et work s : Wired for

Ch ange , New Yor k : ACM Pr ess .

Spar k s , Colin s (1998) , Is Th er e a Globa l Public Spher e? , In

Daya Kish an Thu ssu (ed .) , Elect ronic Em pires : Global

Media and Local R esist ance .

Tit ch , St even (1993) , Univer sa l Access : It is not Beavis and

But t h ea d , T eleph ony , Vol .22.

UCLA(2000 .8) , Su rv ey ing t h e Digit al Fut u re .

Vir ilio, P (1994) , The Th ir d Int er va l : A Cr it ica l Tr an sit ion , In

Ver ena Conley (ed .) , R et h ink ing T ech n ologies , Univer sit y

of Minnesot a Pr ess .

William s , R. (1961) , Th e Long R ev olut ion , London : Pengu in .

강상현(1999a ) , 지상파 디지털방송 정책 연구보고서, 서울: 방송위원회.

강상현(1999b) , 대안매체로서의 사이버스페이스의 가능성과 한계 , 한국언

론정보학회 세미나 발제문.

강명구(1994) , 신사회운동과 언론시민운동의 재검토 , 방송연구, 제38호.

강명구(1995) , 시민사회발전을 위한 시청자운동과 뉴미디어 , 서울YMCA.

세미나 발제문

강명구(1995) , 정보통신혁명과 정보 민주주의 , 계간 사상, 가을호.

강미은(2000) , 인터넷과 기존 매체 이용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 방송연

구, 제50호.

강태완 외(1997) , 뉴미디어 종합발전을 위한 매체별 정책연구 , 서울: 한

국방송개발원.

공보처(1996) , 1996년 국정감사 요구자료(Ⅰ) .

- 126 -

Page 139: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김선진, 권만우(1999) , 인터넷 방송 제작론, 서울: 나남.

김경희(1998) , 인터넷의 공론장으로서의 가능성 , 방송연구, 제47호.

김용섭(1999) , 인터넷 방송, 현암사: 서울.

김희수(2000) , 고도 보편적 서비스 정책, 과연 필요한가 , 통신시장, 31호.

삼성경제연구소(2000) , 인터넷 방송의 현황 및 전개방향, 서울: 삼성경제

연구소.

박성호(1999) , 인터넷 방송의 방송학적 의미와 전망 , 한국방송학보.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2000) , 뉴미디어 방송서비스 정책에 대한 연

구, 서울: 정보통신부.

송재극(1999) , 방송전파의 현황과 효율적 이용방안, 방송연구, 제32호.

안정임(1999a ) , 액세스채널 도입의 제문제 - 각 국가별 특성따라 다양한

형태로 운영 중 , 뉴미디어 저널, 제71호.

안정임(1999b) , 우리나라 액세스 채널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종합

유선방송위원회.

유선실(2000. 3) , MP 3 서비스로 살펴본 인터넷 음악산업의 현황과 전망 ,

KIS DI IT FOCU S ,

윤석민(2000. 6) , 지상파 방송사의 인터넷 방송사업의 의의 , 방송문화,

228호.

윤영철(1998) , 대안적 매체로서의 PC통신 : 한총련에 관한 토론실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언론학보, 제24- 1호.

이만제(1998) , 인터넷 방송 현황 및 육성방안 연구, 서울 : 한국방송개발원.

이만제외 역(1998b) , 방송통신 융합과 규제방안 : 유럽연합보고서, 서울:

한국방송개발원.

이만제(1999) , 수용자 매체이용행태 및 의식조사 연구, 서울: 한국방송진

흥원.

이수영(1999) , 시민미디어 정착 방안 연구, 서울 : 한국방송진흥원.

이승선(1998) , 전파자원의 관리체계와 공공성에 관한 연구 : 방송 전파관련

- 127 -

Page 140: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법제와 정책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이은미, 이동훈(2000) , 인터넷방송 컨텐츠 연구, 방송연구, 제50호.

정일준 역(1995) ,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서울: 물결.

조은기(1995) , 방송의 공익성과 시장에 관한 연구 : 사유성, 외부성, 장르

효용,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초성운, 김은미, 도준호(1999) , 인터넷을 이용한 영상서비스의 현황과 전

망, 서울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최영(1999) , 인터넷 방송,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영묵(1997) , 방송 공익성에 관한 연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영묵(1999a ) , 방송서비스 영역 확대에 따른 합리적 규제방안 연구, 서

울: 한국방송진흥원.

최영묵 외(1999b) , 시민미디어의 정착방안 연구, 서울 : 한국방송진흥원.

최욱(2000) , 영국 NTL, 무료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발표 , Wise on DB .

방송문화진흥회(1991) , 한국방송총람, 서울 : 나남.

통신개발연구원(1990) , 방송정책 발전에 관한 연구, 서울 : 통신개발연구원.

한국방송진흥원(1999. 6) , 동향과 분석, 85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2000) , 정보통신강좌- xDSL 모뎀 , 주간기술동향, 제

37호.

Bu siness Kor ea (2000 .7) , Kor ea Logs on t o Webca st ing Boom .

inews24 (2000 .4) , 2002년 무선인터넷이 유선 앞지른다 .

KBS (2000.1) , 호주, 인터넷 콘텐츠 규제방안 마련 , 해외방송정보, 617호

PC Week (2000.6) . 인터넷 쇼핑몰 사업 시험은 끝났다

동아일보(2000.2 .28) , 인터넷 광고단가도 초고속 상승. . .종량제 바꿔 최고

40배 .

디지털타임스(2000 .8.29) , 성인 인터넷방송 귀하신 몸 . . 대형포털 러브

- 128 -

Page 141: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콜 쇄도 .

사이버프론티어(2000 .8) , 인터넷의 꽃, 인터넷 방송, 한국통신 사보.

시사컴퓨터(2000 . 1) .

연합뉴스(2000 .5.31)

연합뉴스(2000 .8 .17) , 인터넷 방송국 700개 돌파 .

연합뉴스(2000 .9 .5) .

연합뉴스(2000 .9 .26) , <화제> 지방대학이 국제행사 인터넷 생중계 .

전자신문(2000 .9 .5) , 인터넷 컨텐츠·기술 도용 잇따라 판결 .

전자신문(2000 .9 .7) , 웹캐스팅 전문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설립 러시 .

전자신문(2000 .9 .15) , 유료컨텐츠 급진전 .

전자신문(2000 .9 .18) , 인터넷 방송 다윗에서 골리앗 시대로 .

전자신문(2000 .9 .21) , 창간특집 2-디지털문화 대혁명 : 인터넷 방송-방송

독립군이 몰려온다 .

주간기술동향(2000) , 제 36호.

중앙일보(1998 .9 .15) .

중앙일보(1999 .10 .30) .

한경비즈니스(2000. 10.2) , 제 252호.

해외언론동향(2000.8) , 작은 미디어의 큰 변화, 일본-커뮤니티 방송국의

인터넷 방송 성공 , 제22호.

h t t p :/ / www.webca st er s .or g(2000) .

h t t p :/ / www.kor eawebca st .net (2000) .

h t t p :/ / www.kbs .co.kr / t echcent er / t ext / t ext 04 .ht m .

h t t p :/ / www.nua .ie/ su r veys (2000) .

h t t p :/ / www.emar ket er .com (2000) .

h t t p :/ / st at .nic.or .kr/ public_ht ml/ iu ser .ht ml (2000) .

h t t p :/ / www.jmk .su .se/ globa l/ globa l98/ pr ivat e/ j ens/ globalisat ion/ i

- 129 -

Page 142: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ndex 1.ht m#Democ(2000) .

Commer ceNet (2000) , h t t p :/ / www.commer ce .net / r esear ch/ st at s .

Compu t er Indu st r y Alma na c Inc(1999) , ht t p :/ / www.c- i- a .com .

ht t p :/ / www.ar bit r on .com/ ar t icle 1.ht m .

h t t p :/ / www .nic .or .k r / k r n ic/ h om e/ st a t / cgi- bin/ st a t_boa r d/ m on/

fa ct or - kor .PDF .

ht t p :/ / www.nic.or .kr/ kr nic/ h ome/ st at / cgi- bin/ st a t_boar d/ a nnou n/

view_u se .ht ml?id = 120&code = a nnou n & st ar t = 0.

h t t p :/ / www .nic .or .kr / kr nic/ h ome/ st a t / cgi- bin/ st a t_boar d/ mon/ co

mp- st a .PDF .

ht t p :/ / cyber a t la s .int er net .com/ big_pict ur e/ har dwar e/ a r t icle/ 0 ,592

1_495161,00 .h t ml .

h t t p :/ / www.t u r boa ds .com/ r ichmedia_news/ 2000r mn/ r mn20000201

8.sht ml .

h t t p :/ / www .i- biznet .com/ news/ viewNews .a sp?id = news200003290

41326 .

ht t p :/ / www.ispo.cec .be/ conver gencegp .

- 130 -

Page 143: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A Study of Webcasting and Public broadcaster :

Building a public hosting system for webcasting

By Le e Ma n- je

T he rapid expan sion in the u se of the int ernet in Korean society ov er the

past few year s has also seriou sly affected the cultural production and practice

of the int ernet u ser s .

Webca st ing (In t er n et Br oadca st ing) is a r ela t ively n ew , yet fa st

gr owing media ph en omen on in Kor ea , an d h a s at t r act ed a wide r an ge

of r e sear ch at t en t ion . Th e gr eat con cer n s about webca st in g a r e

su mmar ized by t wo in t er pr et at ion s .

F ir st , Th e development of t h e t r an smit t ing an d compr essing

t echn ology cut s down on expen ses for oper a t ing br oadca st ing st at ion

an d mak es t r an smit t in g an d r eceivin g t h e movies ea sily . On e of t h e

feat ur es of webca st ing is t h at anyon e given t h e r igh t soft war e a lon g

wit h t h e h ar dwar e an d a micr oph on e can open u p a webca st ing st at ion

at low cost . F or t h ese r ea son s , t h e gr owt h of in t er n et webca st er s h a s

been in cr ea sed in cr edibly for t wo year s . Wh en webca st in g wa s fir st

in t r odu ced t o Kor ea in 1997 , t h er e wer e only five st at ion s accessible ,

bu t t h ese days , mor e t h an 1,000 webca st er s ar e oper at in g t h eir own

st a t ion in t h e cyber space .

Secon d , Th e au dien ces wh o wer e t h e con su mer of ma ss media , ar e

able t o t ake pa r t in t h e cont en t s cr eat in g pr ocess a s t h e pr odu ct ion of

cu lt u r e . As video j our n a list s , man y in dividu a l webca st er s pr odu ce an d

t r an smit au dio an d video files t h r ough in t er n et . F r om t h is poin t of

- 131 -

Page 144: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view , webca st in g wa s t h ought t o be a fu n ct ion al alt er n at ive medium t o

t h e main st r eam of ma ss media .

However , most st u dies of webca st ing h ave focu sed on t echn ological

a spect s an d it s bu sin ess models r a t h er t h an on cu lt u r al a spect s an d

pu blic in t er est s . Th is st u dy at t empt s t o an alyze webca st ing fr om t h e

t h eor et ical per spect ive of pu blic br oa dca st er model .

Th is st u dy an alyzes t h e st at e of webca st in g st a t ion in Kor ea .

Webca st ing h a s t h e following ch ar act er ist ics : open n ess , par t icipat ion ,

cr eat ivit y , t h e r esu lt s sh ow some pr oblem s .

1) Alt h ough t r adit ion a l br oadca st ing st at ion s h ave ser ved t h eir

pr ogr am r egula r ly , many webca st er s don ' t h ave per iodic

pr ogr amin g t able . In some ca ses , t h ey don ' t u pgr ade cont en t s by

mont h or discon t inu e t h eir ser vice .

2) F ew webca st er s pr odu ce t h eir own pr ogr am . In addit ion t o t h at ,

most of cont en t s webca st er s ser ve ar e occu pied wit h t oo mu ch

ent er t ainment - or ien t ed , simila r an d unifor med cont en t s . Th ey al so

focu s on excessively t r ivial an d sh allow subj ect , an d so a r e

infer ior t o aver age qu alit y in t h e cyber spa ce .

3) Most in depen den t webca st ing st at ion s ar e st r u ggling wit h fin an cial

pr oblem . To mak e mat t er s wor se , maj or media compan ies t h at

h old hu ge in du st r ial capit al , good cont en t capabilit y an d gr eat

h uman r esour ces t h at h ave a mon opoly posit ion in t h e mar k et

move in t o webca st ing in du st r y . Wit h r espect t h at t h e pr in ciple of

a fr ee compet it ive mar k et is a pplied t o webca st ing in du st r y , it is

u n qu est ion able t h a t t h e huge ca pit al s lead t o mon opoly an d

cu lt u r al commer cializat ion a s ma ss cu lt u r e mech an ism . Webca st ing

st ill h a s a bot h pr oper t y of ma ss media a s well a s n ew media ,

which r eveal s dilemma for webca st ing in ea r lier st age of

developemen t . In or der t o h elp webca st ing t o gr ow a s a

- 132 -

Page 145: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compet it ive an d va lu able media , t h e st u dy di scu ssed fr om

Haber ma s' public sph er e t h eor y t o deba t e abou t people ' s r igh t t o

access t o elect r on ic media . Th e con cept of public sph er e su pplied

t h eor et ica l un der pinn ings r oot ed in pa r t icipat ion an d cult u r al

democr acy .

Th e alt er n at ion of cu lt u r a l pr efer en ces is a fact or beh in d t h e u psur ge

of t h e webca st in g in du st r y . Th e wh ole socia l pr efer en ce for

en t er t ain men t is ch anging , especially wit h t h e you nger gen er at ion . As

u ser become mor e u niqu e an d cr eat ive , t h ey h ave a t en den cy t o desir e

a per son al mediu m . Hen ce wh en an yon e wh o wan t t o u se media can be

accessible , webca st ing can r ealize cu lt u r a l democr acy a s a public access

ch an n el . It is also accor dingly n ot fr ee fr om h ar mful in flu en ces of

mon opoly an d cult u r al commer cializat ion , a socia l syst em wh ich

pr eser ves t h e public in t er est an d r est or es t h e valu e of alt er n at ive

media is r equ ir ed .

An d some of t h e fin dings su ggest t h e n eed for a webca st ing

su ppor t ed by pu blic fu n ds a s public br oa dca st er model ar e a s follows :

1) Th e in t er n et is a ver y plea san t space t o ser ve public in t er est s ,

pr ot ect min or it y cu lt u r e an d t o par t icipa t e cu lt u r a l pr a ct ice .

2) Webca st ing which i s a public access ch an n el h a s an a lt er n at ive

pot en t ia l t o lea d u ser s t o t h e field of symbolic pr odu ct ion an d

solve t h e pr oblem of cu lt u r al mon opoly .

3) To maximize t h e oppor t un it y of t h e in t er n et , it is essen t ial t o

en cour age for webca st in g t o fu lfill t h e r ole of ' pu blic sph er e ' .

In con clu sion , it h a s an impor t an t implicat ion for r ealizing t h e

cu lt u r a l plur alism in an in for mat ion societ y t h a t we discu ss t h e

est abli sh ment of t h e public h ost ing syst em for webca st ing which is

in depen den t of t h e n at ion al power an d t h e h uge commer cial capit al .

- 133 -

Page 146: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인터넷및인터넷방송현황 2 0 1. 인터넷이용현황 20 1) 세계인터넷이용현황 20 2)

연구보고 00- 02

인터넷방송 공동송출시스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2 000년 11월 일 인쇄2 000년 11월 일 발행

발행인 이 경 자발행처 한국방송진흥원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923- 5전화: 32 19- 5400 F AX : 2649- 7312

이 책은 방송위원회가 조성 및 관리·운영하는 방송발전기금을 지원받아펴낸 책입니다.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연구진과 한국방송진흥원을 밝혀주시기 바랍니다.본 보고서 내용은 본원이 운영하는 인터넷 홈페이지(h t t p :/ / www .kbi .r e .k r )를 통해서 온라인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발간물 관리번호 R5000- E00- 00020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