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존과학 초상화 채색 재료 고찰 - 국립민속박물관 · 2018-01-19 · 의 기...

30

Upload: others

Post on 29-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보존과학   

    의기義妓 계월향桂月香 초상화 채색 재료 고찰오준석|국립민속박물관 유물과학과 학예연구사

    1. 머리말

    2. 역사적으로 사용된 채색 재료

    3. 분석 방법

    4. 분석 결과 및 고찰

    5. 맺음말

  • 생활문물연구

    제25호

    130

    머리말

    박물관 소장자료의 재료 기법적인 연구 및 보존처리를 위해서는 소장품

    에 대한 재질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한 정확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현대과학의

    발달로 각종 첨단 분석기기를 이용한 문화재의 재질 분석은 비파괴적인 방법이나

    비파괴에 가까운 극미량의 시료로도 분석이 가능하여 그 정확성이 높아지고 있다

    계월향 桂月香 초상화는 년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구입한 자료이다

    이 초상화는 임진왜란 년 당시 평양성을 함락한 왜장의 목을 베는 데 공헌한

    의기 계월향을 기려 년 순조 년 에 그려서 의열사 義烈祠 장향각 藏香閣

    내에 봉안된 것으로 원본을 후대 년 에 이모 移模 한 것으로 추정된다 오늘

    날 남아있는 초상화는 사대부 중심의 남성 초상화인데 반해 어린 여성의 초상으

    로 희귀한 자료이며 그림의 주인공에 얽힌 일화와 그려진 배경 사용처 제작년도

    등 관련 내용이 함께 기록되어 있어 미술사적으로 가치가 크다

    본고는 조선시대인 세기 초 초상화의 채색 재료의 자연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초상화의 재료 기법적인 기초 연구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지금까지 한국에서 사용되어 온 전통 채색 재료에 대한 부정확한 인식을 바

    로잡고 자연과학적 역사적인 기초 정보 제공과 계월향 초상화의 분석 결과의 정

    확한 해석을 위해 고대에서 근세까지 사용된 채색 재료에 대한 문헌 고찰을 하였

    다 그리고 계월향 초상화에 사용된 채색 재료를 적외선분광광도계

    광학현미경 및 년에 새로 도입된

    이동형 형광 선기 를 이용하여 분석하

    였다

    역사적으로 사용된 채색 재료

    1) 흑색

    흑색에 사용된 안료는 탄소 가 주성분인 그을음이 사용되어 왔다 그을

    음은 소나무를 태운 송연 松烟 이나 기름을 태운 유연 油煙 이 사용되었다 1 조선

    시대 건축물이나 영정 관련 의궤에는 주로 송연이 사용되었다 2

    01

    02

    1 宋應星, 1637, 墨 , 天工開物.2 昌慶宮修理都監儀軌(1633년) ;昌德宮修理都監儀軌(1647년) ; 儲承殿儀軌(1648년) ; 南別殿重建廳儀軌(1677년), 山陵都監儀軌(1725년), 垂恩廟營建廳儀軌(1764년) ;文憘廟營建廳謄錄(1789년) ; 華城城役儀軌(1800년) ; 仁政殿營建都監儀軌(1805년) ; 西闕營建都監儀軌(1832년) ; 昌慶宮營建都監儀軌(1834년) ; 昌德宮營建都監儀軌(1834년) ; 仁政殿重修儀軌(1857년); 景福宮.昌德宮增建都監儀軌(1900년) ; 中和殿營建都監儀軌(1904년) ;慶運宮重建都監儀軌(1906년) ; 影幀修補都監儀軌(1670년) ; 影幀補修都監謄錄(1692년) ; 影幀修補謄錄(1713년) ; 御容圖寫都監儀軌(1713년) ; 影幀摸寫都監儀軌(1735년) ;影幀摸寫都監儀軌(1748년) ; 影幀摸寫都監儀軌(1837년) ; 御眞移摸都監都廳儀軌(1872년) ; 影幀摹寫都監儀軌(1900년) ; 影幀摸寫都監儀軌(1901년) ; 御眞圖寫都監儀軌(1901년)

  • 의기⁀義妓‿계월향⁀桂月香‿초상화

    채색

    재료

    고찰

    1312) 백색

    연백 鉛白 은 염기성탄산납 이 주성분이

    다 고대 중국에서 이 안료가 서아시아지방으로부터 전해진 인조 안료이기 때문에

    호분 胡粉 이라 불렀으며 연백이라는 명칭은 일본의 메이지 明治 시대 영어

    를 일어로 번역하면서 생긴 것이다 3 오주서종박물고변 五洲書種博物攷辨

    에 연분 鉛粉 은 일명 분석 粉石 선석 鮮錫 연화 鉛華 호분 胡粉 정분 定粉 와

    분 瓦粉 광분 光粉 수분 水粉 관분 官粉 소분 韶粉 이라 부르며 당분 唐粉

    동분 東粉 왜분 倭粉 회분 灰粉 활석분 滑石粉 등 다섯 종류가 있다4고 하였

    다 임원십육지에는 중국에서 들여온 호분은 값이 비싸 화가들이 채색하는 도구로

    사용한다고 하여 5 중국에서 수입한 당분은 조선시대 영정 의궤에서만 보이는 안

    료이며 건축물 관련 의궤에서는 당분은 사용되지 않고 연백으로 추정되는 진분

    眞粉 과 정분 丁粉 이 함께 사용되었다 6 연백은 이미 고구려의 안악 호분 덕흥리

    고분 강서대묘 강서중묘에서 확인되어 한국에서 연백의 사용이 오래되었음을 보

    여준다 7 조선시대 초상화와 병풍들의 분석에서 백색 안료는 대부분 연백으로 판

    명되었다 8

    백토 白土 는 한대 후기부터 사용되어 온

    백색 안료로 9 백악 고령토라고도 불렸다 고령토는 중국의 징더전 景德鎭 부근

    가오링산 高嶺山 에서 사출되기 때문에 산지의 이름을 따서 카올린 이라

    고도 한다 10 조선시대에는 백악으로 불렸으며 백토분 白土粉 또는 화분 畵粉 이

    라 불렀으며 속칭 정분 貞粉 이라고도 한다 11 의궤에서 보이는 정분 丁紛 으로 추

    정되며 그림 보다는 주로 기물을 칠하는데 사용되었다 12 석파산장편액 년

    에서는 문양의 백색에는 탄산칼슘 안료와 연백을 사용하였고 바탕 백색에는 백토

    가 사용되었다 13 현대에서는 백악은 석회암에서 유래하는 탄산칼슘 를 가

    리키는 명칭이다

    조개껍질에 유래하는 탄산칼슘 안료는 일본에서는 굴껍질을 풍화시켜 만

    든 호분 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대합조

    개의 껍질을 태워 만든 합분 蛤粉 을 사용하였다 14 의궤 등에는 이 백색 안료가

    보이지 않는다

    3) 적색

    주사 朱砂 는 산지나 품질에 따라 진사 辰砂 주사 朱沙

    단사 丹砂 진주 眞朱 광명주 光明朱 광명사 光明砂 로 불렸다 현대에는 주사나

    주가 회화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주사와 진사라는 명칭은 조선왕조실록에는 약

    3 小口八朗, 1969, 日本画の着色材料に関する科学的研究 , 東京芸術大学美術学部紀要 5, 27~82面.

    4 李圭景, 1834, 鉛粉 , 五洲書種博物攷辨.

    5 徐有榘, 1827, 胡粉 , 林園十六志.

    6 앞의 글

    7 안병찬 홍종욱, 2006, 고구려 고분벽화의 안료분석 , 고구려 벽화고분 보존 실태 조사 보고서 제1

    권 조사보고, 180~218쪽.8 유혜선, 2005, 태조어진 안료 분석 , 왕의 초상, 242~260쪽 ; 임주희 문선영 김정현, 2006, 유

    순정영정 보존처리 , 문화재보존연구 3, 77~111쪽 ; 유혜선, 2006,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록산수화

    의 안료 분석 ,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서화유물도록 제14집, 靑綠山水畵,205~215쪽 ; 문선영, 2007, 유순

    정영정( ) 안료 분석 , 문화재보존연구 4, 96~109쪽 ; 유혜선장연희, 2007, 초상화의 채색 분

    석 ,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서화유물도록 제15집, 조선시대 초상화 , 241~267쪽 ; 김규호 송유나 임

    덕수 송정주, 2007, 해학반도도

    채색안료에 대한 비파괴 특성 분석 ,

    보존과학연구 28, 121~147쪽 ; 문선영, 2008, 영조을유기로연

    경현당수작연도병 채색 재료 및 기

    법 분석 , 문화재보존연구 5, 44~71쪽.

    9 小口八朗, 林功, 1981, 唐代におけるトルファン アスタ-ナ出土文

    物の彩色の材料 技法について , 東京芸術大学美術学部紀要 16, 1~40面.

    10 정종미, 2001, 우리그림의 새고가 칠, 서울 : 학고재, 42쪽.11 徐有榘, 전게서 5) 白堊12 신현옥, 2007, 조선시대 채색재료에 관한 연구 , 용인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56쪽.

    13 문선영, 2005, 석파산장 편액 안료 및 섬유 분석 , 문화재보존연구 2, 127~132쪽.14 小口八朗, 앞의 글

  • 생활문물연구

    제25호

    132 재 관련 기사에서만 보이고 의궤의 채색 안료에서는 보이지 않아 15 조선시대에는

    천연의 주사가 광물성 약재로 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주사 진사 는 현대에

    도 광물성 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한반도에서는 주사 주가 고대부터 사용되었으

    며 고구려 고분 벽화 16 고구려 백제 신라의 유물에서 주사 주가 검출되고 있

    다 17 조선시대 의궤에 기록된 적색 안료로 주홍 朱紅 당주홍 唐朱紅 왜주홍 倭

    朱紅 반주홍 磻朱紅 이 있다 은주 銀朱 가 주홍이다 라는 명종실록의 기사18와

    수은을 다시 주로 제련할 수 있어 은주라 부른다 라는 천공개물19의 기사에서 주

    홍은 인조 주사 즉 주 朱 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주홍의 구

    분은 외국 수입품이냐 국내 제조품이냐에 따른 구분이며 당주홍은 어진과 같은

    회화의 채색재료에 사용되고 반주홍은 단청과 같은 칠물에 사용되었다 20 고려사

    에 보이는 주홍장 朱紅匠 으로부터 늦어도 고려시대에는 주를 제조하였음을 알 수

    있다 21

    그 외에 적색 안료로는 연단 연지 臙脂 양홍 洋紅 이 있다 연단은 주황색의 인조 안료로 오늘날 단청 안료인 장단 漳丹 이다 중국에서는 고대부터 황단 黃丹 으로 불렀으며 22 고려사에는 황단장 黃丹匠 이 기록되어

    있어23 늦어도 고려시대에는 제조하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황단을 구광

    명 九光丹 단분 丹粉 주분 朱粉 연단 鉛丹 연화 鉛華 라고도 한다 24 세기 초

    제작된 백률사금동약사여래입상의 붉은색 안료가 연단으로 밝혀졌다 25 연단이나

    연백과 같은 납 함유 안료는 변색되기 쉬운데 돈황 석굴에서 인물의 손과 얼굴이

    검은 까닭이 피부색에 연단이나 연백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26 년대 이후 의궤

    의 안료 목록에서27 황단 대신에 장단이 보인다 장단은 중국 복건 福建 의 장주

    漳州 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장단이라 부르는데 28 왜 명칭이 황단에서 장단으로 바뀌었는지는 알 수 없다

    연지는 臙脂 燕脂 胭脂 燕支 등 여러 가지 한자로 쓰여왔다 연지 燕脂의 연은 중국의 북방의 나라인 연 燕 을 칭한 것에서 유래하여 색료의 생산과 전

    래 경로에 관계되는 색료명이다 유기질 안료로 자광 紫鑛 홍화 紅花 즉 紅濫

    소방목 蘇方木 등에서 색소를 추출한 것이다 29 자광이나 홍화에서 추출한 색소를

    면에 흡수시킨 것을 면연지 綿胭脂 라 한다 이와는 달리 임원십육지에는 연지 燕脂 를 홍남화 산연지 산유화 자광 自鑛 에서 색소를 추출하여 만든다고 하여 30

    연지라는 명칭은 유기질 적색 안료의 총칭이라고 추측된다 편연지 片臙脂 는 중국 中國 에서 들여온 것으로 붉은 물을 솜에 먹이어 말렸다가 끓는 물에 담가서

    그 물을 짜서 쓴다31고 하여 면연지를 말하는 듯하다 자광은 곤충 염료로 랙다이

    와 코치닐 이 있다 랙다이는

    남아시아 원산으로 동남아로부터 적어도 당대에는 수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코치

    닐은 남아메리카 원산으로 세기경부터 동아시아에서 이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32

    15 앞의 책

    16 안병찬 홍종욱, 전게서 7) ; 안병찬, 2007, 진파리 제1호분과 제

    4호분 벽화안료의 특성 비교조사 보

    고 , 고구려 벽화고분 보존연구보고서, 50~68쪽.17 존윈터, 1989, 한국 고대 안료의 성분 분석 , 미술연구 43, 1~ 36쪽.

    18 中宗實錄 16年 7月 6日19 宋應星, 앞의 글 朱

    20 신현옥, 앞의 글, 39~42쪽.

    21 高麗史, 八十 志卷第三十四, 食貨三, 祿俸 諸衙門工匠別賜.

    22 小口八朗, 앞의 글

    23 존윈터, 앞의 글

    24 李圭景, 앞의 책, 黃丹

    25 존윈터, 앞의 글

    26 段修業, 1987, 敦煌莫高窟壁画の顔料 , 仏教美術 175, 90~100쪽.

    27 각주 2번 인용 글 전체와 신현옥, 앞의 글, 46쪽.

    28 小口八朗, , 앞의 글

    29 渡辺明義, 1999, 古代絵画の技術, 東京 : 至文堂, 21~22面.

    30 徐有榘, 앞의 책, 燕脂

    31 네이트 사전(http://handic.nate.com/)

  • 의기⁀義妓‿계월향⁀桂月香‿초상화

    채색

    재료

    고찰

    133의궤에는 연지와 편연지가 구분하여 기록되어 있어 만든 재료나 형태의 차이에

    따른 구분이 아닌가 추정된다 편연지는 영정모사도감의궤 년 에서부터 사용

    되기 시작하였다 33 연지와 같은 유기질 안료들은 회화에서 매우 얇게 채색되어

    샘플 채취가 힘들어 분석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회화 자료에서 실제 연지가 분석

    된 예는 드물다 투르판에서 출토된 당대의 벽화 사녀견화 仕女絹畵 에서 연지로

    추정되는 유기질 안료가 사용되었다고 추정하였다 34 중국의 세기 원대 초상화

    세기 청대 초상화 분석에서 적색에 곤충 염료가 사용된 것으로 분석되었으

    나 어떤 종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35 일본에서는 정창원 正倉院 소장 회화 등에

    서 사용되었으며 36 세기 겐지모노가타리 源氏物語 두루마리에서 곤충 염료와

    소방목 성분이 검출되는 등37 에도시대 江戸時代 자료에서 일부 확인되었다 그러나 아직 한국의 회화 자료 등에서는 연지가 동정된 적은 없다

    양홍은 고종 년 년 에 처음 등장하는 안료로 이때 색깔이 좋지 않

    아 바르지 못하니 엄히 금지해야한다고 하여38 이미 이때에는 양홍이 중국 등을

    통해 들어와 널리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기사이다 양홍은 코치닐에서 용출시

    킨 카르민산39이다

    4) 갈색

    갈색 안료에는 대자 代赭 대자석 적철광 와 석간주 石間朱 가 있다 대자는 중국의 대군 代郡 에서 산출되어 대자라

    부르며40 광물성 한약재로도 사용된다 대자를 분쇄시키든가 자연에서 풍화되어

    토상 土狀 이 된 것을 물로 정선한 후 안료로 사용한다 대자석 즉 지금의 주토

    朱土 라는 기록41에서 조선 후기에는 대자석을 주토로 불렀음을 알 수 있다 조

    선시대 의궤의 단청 안료 이름에서 주토가 많이 보이나 어진 제작에는 거의 사용

    되지 않았다 42

    석간주는 인조 안료로 검금 黔金 즉 녹반 을 화로에 넣

    고 불에 태워서 만든다 43 승정원일기 인조 년 년 에 처음 등장하며 44 의궤

    에서는 문희묘영건청등록 년 에 처음 기록되어있으며 이후에는 주토와 함께

    사용되고 있다 45 일본에서도 세기 경 같은 방법으로 만든 갈색안료

    를 만들었으며 벤가라 辨柄 紅殼 ベンガラ 라 부른다 46

    5) 청색

    청색 안료에서 대표적인 안료는 석청 石靑

    이다 남동광이라는 광물에서 채취한 이 안료를 중국에서는 고대부터 모양이나 색

    32 Jonh Winter, 2008, East AsianPaintings - Materials, Structures

    and Deterioration Mechanism,

    London : Archetype Publications,

    pp.19~20.

    33 신현옥, 앞의 글, 43~44쪽.

    34 李圭景, 앞의 책, 黃丹

    35 Jennifer Giaccai, John Winter, 2005, “Chinese Painting Colors :History and Reality” in ScientificResearch on the Pictorial Arts of

    Asia, Proceedings of the Second

    Forbes Symposium at the Freer

    Gallery of Art(P. Jett, J. Winter

    and B. McCarthy eds.), London :

    Archetype Publications, pp.99~108.

    36 山崎一雄, 1968, 正倉院絵画の技法と材質 , 正倉院の絵画, 奈良 : 正倉院事務所, 155~162面.

    37 田口栄一, 田口マミ子, 1977, 分光学的方法による顔料、特に有機色料及びその調合色の判定について

    近世初期狩野派粉本 源氏物語五

    十四帖絵巻 を例として , 古文化財の科学 20 21, 18~37面.38 高宗實錄 11年 5月 5日39 小口八朗, 앞의 글

    40 段修業, 앞의 글

    41 徐有榘, 앞의 책, 代赭石

    42 각주 2번 인용 글 전체

    43 徐有榘, 앞의 책, 石間朱44 承政院日記, 仁祖 12年 5月 18日

    45 전게서 2) 文憘廟營建廳謄錄46 小口八朗, 앞의 글

  • 생활문물연구

    제25호

    134

    석청의 입자 크기별 색상 비교

    상에 따라 증청 曾靑 층청 層靑 벽청 碧靑 백청 白靑 대청 大靑 공청 空靑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어 왔다 명청대에 들어 일괄해서 석청이라 칭하고 두청

    頭靑 이청 二靑 삼청 三靑 으로 분류하였고 47 조선에서도 동일한 명칭을 사용

    하였다 이와 같은 명칭의 분류는 광석을 채취하여 수비 水飛 하여 만들 때 입자

    크기의 차이에 따른 발색의 차이 때문이다 사진 년 고구려 고

    분 벽화 조사에서는 청색 안료가 발견되지 않아 잠정적으로 염료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48 조선시대 의궤에서는 청색 안료로 대청 이청 삼청이 보

    이는데 49 중국에서 수입된 고가의 안료이기에 다른 안료에 비해 사용양이 매우

    적었다 조선시대 초상화나 병풍 등 회화 자료의 분석에서 청색에 석청이 널리 사

    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50

    석청 이외에 광물성 청색 안료에는 라피스라즈리 가 있다 라

    피스라즈리는 천연 울트라마린블루 즉 청금석 靑金石 이다 라

    피스라즈리라는 광물에서 라즈라이트 를 추출하여 만든다 세기 운강석

    굴의 채색 조각품 세기 키질의 벽화 명대의 사찰 벽화에서 발견되었지만 51

    한국에서는 아직 회화 자료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유기질 청색 안료에는 쪽으로 만든 안료가 있으며 전화 靛花 청화 靑花남전 藍澱 남전 藍靛 청대 靑黛 니람 泥藍 등으로 불린다 쪽의 줄기와 잎을 물에 담가 두면 쪽의 즙이 우러나고 이 즙에 석회를 넣어 저어주면 남전 藍澱 으

    로 엉긴다 52 즉 니람이다 남전을 만들 때 떠있는 거품을 걷어내고 햇볕에 말린

    것을 전화라 한다 53 본초강목 本草綱目 에서는 이 전화를 취하여 단환 團丸 으로

    만든 것을 청화라고 하는데 이는 전화의 음이 변한 것이라고 하였다 54 청대는 눈

    썹을 청색으로 그릴 때 사용하는 화장품으로 남전을 만들 때 생긴 거품을 말린

    것 55 즉 청화이다 의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청색 안료는 청화로 56 아마 청화가

    국내에서 생산되고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정묘호란 년 과 병자

    호란 년 직후에는 중국과의 무역이 어렵기 때문인지 창경궁수리도감의궤

    년 창덕궁수리도감의궤 년 저승전의궤 년 등에서는 석청이 보

    이지 않고 청화만 기록되어 있다 57 북관수창록 北關詶唱錄 의 성벽을 표현한 옅은

    47 小口八朗, 앞의 글

    48 한경순, 2009, 고구려 벽화고분 보존 분야의 연구 성과와 과제 ,

    동북아역사재단 기회연구 25. 고구려 벽화 연구의 현황과 콘텐츠 개

    발, 145~181쪽.49 각주 2번 인용 글 전체50 안병찬 홍종욱, 앞의 글

    51 Jonh Winter, 앞의 글, pp.30~31.

    52 宋應星, 앞의 책, 藍澱

    53 위의 책, 藍澱

    54 신현옥, 앞의 글, 52쪽.

    55 김영재, 1998, 漢代婦女眉黛-靑黛를 중심으로- , 한국의류학회22(2), 250~256쪽.

    56 각주 2번 인용 전체 글

    57 각주 2번 인용 전체 글

  • 의기⁀義妓‿계월향⁀桂月香‿초상화

    채색

    재료

    고찰

    135청색에 청화가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지만 58 아직 국내에서는 유기질 안료 분석이

    확립되지 않아 한국화에서 청화가 분석된 예는 드물다 안료 분석에서 석청이나

    다른 무기질 안료가 검출되지 않은 청색은 청화와 같은 유기질 안료로 추정된다

    세기 중국 초상화에서는 청색에 석청과 청화가 함께 사용되었다 59

    인조 청색 안료로써 스몰트 프러시안블루

    년 발명 와 울트라마린블루

    년 발명 가 조선시대 회화 자료에서 나타나고 있다 스몰트는 유리에

    적절한 색상을 내기 위해 산화코발트를 첨가한 인조 안료이다 세기 몽골

    카라코토의 벽화 조각에서 발견된 스몰트가 가장 이르며 세기 일본 불화

    및 세기 일본 회화 작품 몇 점에서도 발견되었다 60 조선시대 자료 중에서

    는 금괘도 金櫃圖 趙涑 북관별과도 北關別科圖 년 등

    세기 몇 작품에서 스몰트가 확인되었다 61 세기에 들어 유럽이나 일본에서는 새

    로운 안료인 프러시안블루의 출현으로 사용이 감소하게 되었다

    프러시안블루는 베를린에서 처음 만들었기에 베를린블루 라고

    도 부른다 중국이나 한국에서는 관련 문헌이 거의 없어 언제 들어왔는지 알 수

    없다 일본에는 세기 년 추정 에 중국에서 처음 수입된 후 중국과 네덜란드

    에서 대량을 수입되어 세기에는 고가의 석청을 대신하여 우끼요에 浮世絵 등에 널리 사용되어 청색 혁명 이라고 할 정도였다 62 조선시대 회화 자료에서는

    쌍계사의 삼세불화 년 지장보살도 년 산신도 연도 미상 63에서 사용이

    확인되어 세기 조선에도 유입되어 회화제작에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세기 말부터 불화에는 청색의 사용이 늘어나기 시작하여 일부 불화에서는 청색

    을 남용하는 경향까지 보이는데64 세기 조선 불화에 청색의 사용 빈도의

    급격한 증가는 값싼 프러시안블루의 유입이 아닐까 추정된다 세기 중국

    초상화에서도 석청과 함께 프러시안블루가 사용되었음이 분석되었다 65

    합성 울트라마린블루 는 구한말부터 사용

    된 양청 洋靑 이다 중국에서는 돈황 막고굴의 청대 말 벽화에서 울트라마린블루

    가 발견되어 유럽에서 수입된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년에는 중국에서 울트라

    마린블루가 제조되었다 66 일본에서는 신사에 봉안된 에마 絵馬 의 조사를 통해 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그동안 사용되어 온 쪽과 프러시안블루를 대체

    하게 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67 조선에서는 영정모사도감의궤 경복궁

    창덕궁증건도감의궤 년 에서 양청이 처음 등장하지만 68 울트라마린블루가 분

    석된 가장 이른 시기의 유물은 석파산장 편액 년 으로 석청을 대신하여 사용

    되어 69 일본과 마찬가지로 이 시기를 전후하여 조선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 구한말로 추정되는 일월오악도에서도 청색에는 울트라마린블루만이 사용되었

    다 70 따라서 이미 개항 전에 프러시안블루나 울트라마린블루가 중국 등에서 수입

    58 유혜선, 2006, 앞의 글

    59 Jennifer Giaccai, John Winter, 앞의 글

    60 Jonh Winter, 앞의 글, pp. 31~32.

    61 유혜선, 2006, 앞의 글

    62 Henry D. Smith II, 2005, “Hokusai and the Bkue Revolutionin Edo Prints” in Hokusai and his age : Ukiyo-e painting,

    printmaking and book illustration

    in late Edo Japan(J. D. Carpenter

    ed.) Amsterdam : Holei Publishing,

    pp.234~269.

    63 문환석 홍종욱 한민수 황진주, 2004, 괘불 안료의 과학적 분

    석 연구 , 괘불조사보고서 제 집 경상남 북도, 187~210쪽.64 김정희, 2007, 조선후기의 불화-특징과 양식, 그리고 연구과제- ,

    불교미술사학 5, 325~347쪽.65 Jennifer Giaccai, John Winter, 앞의 글

    66 Jonh Winter, 앞의 글, pp. 30~31.

    67 朽津信明, 霜村紀子, 2002, 幕末期の絵馬に観察される青色顔料の変化について-岩手県中部地方に伝わる供養絵額の例- , 保存科学41, 121~129面.

    68 각주 2번 인용 전체 글69 문선영, 앞의 글

    70 한민수 홍종욱, 2002, 일월오악도 안료에 대한 과학적 분석 , 보존과학연구 26, 165~188쪽.

  • 생활문물연구

    제25호

    136

    석록의 입자 크기별 색상 비교

    되었음이 추정된다

    6) 녹색

    석록 石綠 은 대록 大綠 이라고도 하며 공작

    석 孔雀石 이라는 광물에서 얻은 안료이다 광석을 채취하여 수비할 때 입자의 크

    기에 따라 두록 頭綠 이록 二綠 삼록 三綠 지조록 枝條綠 녹화 綠花 로 구분

    하며 71 입자 크기의 차이에 따라 발색이 다르다 사진 고구려의 벽화고분

    중 강서대묘 진파리 호분 안악 호분 고분벽화에서는 석록이 확인되었고72 조선

    시대의 청록산수화를 포함해 대부분 회화의 녹색 안료에는 석록이 사용되었다 73

    의궤에서는 단청에는 삼록이 영정에는 대록과 삼록이 사용되었지만 74 두록이나

    이록의 사용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석록 이외에 천연 광물성 녹색 안료로 뇌록 磊綠 이 있다 뇌록은 운모점토광

    물인 녹토 綠土 로 글로코나이트 海綠石 와

    셀라도나이트 두 종류가 있다 75 경상북도

    장기현 뇌성산과 황해도 풍천군에서 산출된다 76 신라의 호분 출토 물레바퀴 77

    고구려의 덕흥리 고분 벽화와 진파리 호 고분 벽화78에서 뇌록의 사용이 확인되

    어 이들 자료의 인근에서 산출되는 뇌록의 존재가 이미 고대부터 알려졌음을 알

    수 있다 부석사 무량수전 단청 봉정사 대웅전 후불 벽화 경복궁 근정전 내부 단

    청에서 녹색 안료로 사용된 것이 확인되었지만 79 회화 자료에서는 사용예가 보이

    지 않는다 뇌록은 단청의 가칠 안료로써 일제강점기까지 대량으로 사용되었다

    일본에서는 북큐슈지방의 장식벽화고분와 정창원 보물에서 뇌록의 사용이 확인되

    었지만80 널리 사용된 녹색 안료는 아니다

    아타카마이트 는 녹염동광 綠鹽銅鑛 에서 산출되

    며 파라타카마이트 와 동질다형으로 옅은 녹색을 띤다 이 물질의 정

    확한 한국의 전통 명칭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나 조선왕조실록이나 의궤에 보이

    는 하엽 荷葉 하엽록 荷葉綠 으로 추정된다 중국 돈황 막고굴에서는 북량 北涼 시

    71 정종미, 앞의 글, 92쪽.

    72 안병찬 홍종욱, 앞의 글 ; 안병찬, 앞의 글

    73 위의 글

    74 각주 2번 인용 전체 글

    75 존윈터, 앞의 글

    76 世宗實錄 地理志

    77 존윈터, 앞의 글78 안병찬 홍종욱, 앞의 글 ; 안병찬, 앞의 글

    79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단청 , 부석사 무량수전 실측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365~402쪽 ; 문환석

    홍종욱 조남철, 2002, 고대 벽화

    안료 재질분석 연구-봉정사 후불벽화

    및 고아동 고분벽화를 중심으로- ,

    문화재 35, 160~184쪽 ; 조남철문환석 홍종욱 황진주, 2001, 경

    복궁 근정전 단청안료의 성분분석 ,

    보존과학연구 22, 93~114쪽.80 成瀨正和, 2004, 正倉院寶物に用いられた無機顔料 , 正倉院紀要26, 13~61面.

  • 의기⁀義妓‿계월향⁀桂月香‿초상화

    채색

    재료

    고찰

    137대부터 청대 세기 세기 에 걸쳐 오랜기간 석록과 함께 사용되었지만 81 일본

    에서는 정창원 보물과 평등원 平等院 봉황당 鳳凰堂 등 일부에서만 사용이 확인

    되었다 82 고성 옥천사 괘불 년 하동 쌍계사 명부전 지장보살도 년

    등 83 부석사 무량수전 단청 경복궁 근정전 내부 단청84에서 아타카마이트 파라타

    카마이트가 사용되었지만 석록보다 사용 빈도가 크게 떨어진다

    녹색 인조 안료로 동록 銅綠 과 에메랄드그린

    첫 상업 생산 이 있다 동록은 중국의 당대부터 사

    용된 인조 안료로 황동판에 초 酢 아세트산 를 발라 만든다 85 임원십육지에 언급

    된 동청 銅靑 제조법과 비슷하여 동청은 동록으로 추정되며 색이 흐리고 선명하

    지 않아 중국에서 들여온 삼록의 아름다움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 86 동록과 당동

    록은 주로 잔치관련 의궤에 많이 보이며 가장 확실하게 동록이 사용이 된 곳은

    촉 燭 87과 같은 기물이며 영정이나 건축물 관련 의궤에는 사용이 기록되어 있지

    않아 하급품질의 녹색 안료로 판단된다

    에메랄드그린은 구한말 의궤에서 보이는 양록이다 진찬의궤 進饌儀軌

    년 에서 양록의 사용이 처음 보이며 병풍과 영정 제작 의궤나 건축물 관련

    의궤에서 점점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88 제작시기가 구한말로 추정되는 일월오악

    도의 녹색에는 에메랄드그린만 검출되었고 89 세기 청나라 초상화에서는 석록

    대신에 에메랄드그린이 사용되어 90 이 합성 안료의 유입으로 값비싼 석록을 대체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에메랄드그린에는 비소 가 포함되어 그 독성 때

    문에 현재에는 사용하고 있지 않고 있다

    7) 황색

    고대부터 사용되어 온 무기질 황색 안료에는 자황 雌黃

    이 있다 중국에서는 자황과 웅황 雄黃 이 신농본초경 神農本草經 에

    언급되어 있어 한대부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91 비소를 함유한 황색 물질에

    는 자황 웅황 석황 石黃 이 있는데 용어를 혼동하여 사용하고 있어 정확한 구분

    이 필요하다 자황은 산의 음지쪽에서 난다고 하여 자황이라 부르며 웅황과 같은

    산에서 산출된다 얇게 쪼갤 수 있으며 연하고 금처럼 빛나는 것이 좋다 92 조선시

    대에는 전라도 진산 珍山 에서 산출되었다 93 변색의 우려가 있어 연백과 함께 사

    용해서는 안된다 웅황은 석황 계관석 鷄冠石 이라고도 부르며 산의 양지쪽에 산

    출되고 붉은 것이 웅 雄 이므로 웅황이라 이름을 지었고 94 개자원화전 芥子園畵

    專 에 의하면 웅황은 계관석을 가늘게 갈아 수비하여 만든다고 하였다 95 건축물과

    영정 관련 의궤에는 석자황 石雌黃 석웅황 石雄黃 이 전시기에 걸쳐 나타나지만

    석자황의 사용량이 훨씬 많다 96 탁지준절에서는 석자황은 채색 항목에 있고 석

    81 成瀬正和, 1994, 日本と韓半島の古代無機顔料 , 日韓における考古遺物の材質 技法に関する分析の比較研究, 165~175面.82 成瀨正和, 2004, 앞의 글83 문환석 홍종욱 한민수 황진주, 앞의 글

    84 안병찬 홍종욱, 앞의 글 ; 안병찬, 앞의 글

    85 宋應星, 앞의 책, 銅綠

    86 신현옥, 앞의 글, 49쪽.

    87 위의 글, 48쪽.

    88 각주 2번 인용 전체 글과 신현옥, 위의 글, 50쪽.

    89 한민수 홍종욱, 앞의 글90 Jennifer Giaccai, John Winter, 앞의 글

    91 小口八朗, 앞의 글

    92 이홍초 엄수학 유만 이대경장아민, 1998, 東醫鑛物藥, 부산:부산대학교 출판부, 309~313쪽.

    93 世宗實錄 29年 4月 23日, 新增東國輿地勝覽 第33券 全羅道 珍山郡

    94 이홍초 엄수학 유만 이대경장아민, 전게서 92) 257~264쪽.

    95 小口八朗, 앞의 글

    96 각주 2번 인용 전체 글

  • 생활문물연구

    제25호

    138 웅황은 약재 항목에 들어 있으며 97 성종 명종 순조실록에 보이는 석웅황 기사도

    주로 의약관련 내용98인 반면 광해군일기99에 보이는 석자황 기사는 건축 관련 기

    사이다 이는 채색에 주로 자황이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 옥천사 괘불 100

    신임초상 申銋肖像 년 태조 어진 년 등과 같은 초상화101의 황색에서 비소가 검출되어 자황의 사용이 확인되었다

    그 외 무기질 황색 안료에는 밀타승 密陀僧 가 있다 몰다승 沒多僧

    이라고도 하며 황단재 黃丹滓 와 금은로저 金銀罏底 두 종류가 있다 102 또 몰다승 노저 爐底 밀타 密陀 몰다 沒多 밀타승 密陀曾 리문석 理文石 은노저 銀

    爐底 라고도 부른다 103 연단보다 산화도가 낮은 일산화납으로 황색의 금밀타와 백

    색의 은밀타로 구분하기도 한다 104 금밀타는 α형 로 정방정계결정이며 저온

    에서 안정하며 를 가리키며 은밀타는 β형 로써 사방정계결정이며

    에 해당된다 α형 가 에서 전이를 하면 β형 가 된다 밀타

    승은 한국에서는 아직 안료로써 사용된 예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일본에서는 법륭

    사 法隆寺 금당벽화 평등원 봉황당 등에서 발견되었다 105

    황색의 유기질 안료로써 등황 藤黃 이 있다 등황은 동황 同黃

    동황 銅黃 이라고도 불리었으며 한국과 일본에서는 등황보다는 동황이라는 용어

    가 통용되었다 개자원화전에 의하면 등황은 해등 海藤 이라는 식물의 나무가지를

    잘라 떨어진 액을 고화시켜 만든 수지를 채집한 것으로 당나라 이전에 중국으로

    건너갔다고 한다 106 건축이나 영정 관련 의궤에서는 동황 同黃 이 자황보다 더 많

    이 사용된 황색 안료였다 107 그러나 조선시대 초상화나 병풍의 황색에 대한 분석

    108에서 무기질 성분이 검출되지 않아 유기질 안료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자

    료들이 많지만 아직 등황의 사용이 확인된 자료는 없다

    분석 방법

    1) 분석 위치

    계월향 초상화의 채색 재료 분석 위치는 사진 과 표 과 같다

    2) XRF 분석

    계월향 초상화의 채색재료의 원소분석을 위해 비파괴분석 장비인 이동형

    03

    97 신현옥, 앞의 글, 48쪽.

    98 成宗實錄 24年 5月 12日, 燕山君日記, 1年 1月 20日, 明宗實錄 3

    年 6月 27日, 宣祖實錄 36년 6月

    14日, 純祖實錄 14年 12月 3日

    99 光海君日記 10年 4月 28日, 11年 4月 24日

    100 문환석 홍종욱 한민수 황진주, 앞의 글

    101 안병찬 홍종욱, 앞의 글

    102 李圭景, 앞의 책, 密陀僧

    103 이홍초 엄수학 유만 이대경장아민, 전게서 92) 439~444쪽.

    104 小口八朗, 앞의 글

    105 小瀬戸恵美, 1997, ホルムアルデヒドの美術材料におよぼす影響 ,

    東京芸術大学大学院 修士論文

    106 小口八朗, 앞의 글

    107 각주 2번 인용 전체 글

    108 안병찬 홍종욱, 앞의 글

  • 의기⁀義妓‿계월향⁀桂月香‿초상화

    채색

    재료

    고찰

    139형광 선기 μ 를 이용하여 전압

    측정시간 초의 조건에서 측정하여 스펙트럼을 얻었다

    3) FT-IR 분석

    초상화에서 박락된 채색편을

    부착 적외선분광광도계 를 이용하여 재질분석을 하였다 채색편을

    크리스털 미러에 올려놓고 적외선분광광도계 의 현미

    경 에 장착된 을 이용하여 스캔수 해상도

    조건에서 측정하여 스펙트럼을 얻었고 재료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채색 재료를 분석하였다

    4) 현미경 분석

    박락된 채색편을 실체현미경 을 이용하여 반사광에서 관

    찰하였다

    분석 결과 및 고찰

    1) 채색 재료 분석 결과

    계월향 초상화의 채색 재료의 분석 위치는 사진 과 같으며

    및 분석 결과는 표 과 같다

    04

  • 생활문물연구

    제25호

    140

    계월향 초상화 채색 재료 분석 위치

  • 의기⁀義妓‿계월향⁀桂月香‿초상화

    채색

    재료

    고찰

    141

    분석 위치 XRF FT-IR채색 재료

    연번 위치 색상 주성분 화합물

    1 종이 황갈색 Ca 호분

    2 화기 흑색 - 탄소

    3머리

    가채 흑색 - 연백 탄소, 연백

    4 머리카락 흑색 - 탄소

    5

    얼굴

    눈동자 흑색 - 탄소

    6 흰자위 백색 Pb 연백

    7 눈꺼풀 적갈색 Fe, Pb 석간주

    8 뺨 흰분홍색 Pb, Hg 연백, 주

    9 코 윤곽선 갈색 Fe, Pb 석간주

    10 턱 윤곽선 갈색 Fe 석간주

    11 입술 적색 Pb, Hg 연백, 주

    12 손 손등 흰분홍색 Pb, Hg 연백, 주

    13

    저고리

    동정 백색 Pb 연백

    14 깃 보라색 Hg, Pb 쪽, 연백 쪽, 주, 연백

    15 몸판 녹색 Cu 석록 석록

    16 소매 청록색 Cu, Pb 석청, 석록, 연백 석청, 석록, 연백

    17 속고름 밝은 적색 Hg, Pb 주, 연단 주, 연단

    18 속고름 적색 Hg, Pb 주, 연단

    19

    향낭

    바탕 적색 Hg, Pb 주, 연백

    20 문양 백색 Pb 연백

    21 문양 녹색 Cu 석록

    22 문양 황색 As, Pb 자황, 연백 자황, 연백

    23 문양 청색 Pb 유기질 청색 안료, 연백

    24 문양 갈색 Fe 석간주

    25 술 진한 청색 Cu, Pb 석청 석청, 연백

    26 술 옅은 청색 Cu 석청

    27 술 황색 Pb 유기질 황색 안료, 연백

    28치마

    말기 백색 Pb 연백, 백토 연백, 백토

    29 치마폭 옅은 하늘색 Pb 연백 유기질 청색 안료, 연백

    30비녀

    테두리 녹색 Cu 석록

    31 본체 옅은 녹색 Cu, Pb 석록, 연백

    32 직물 흑색 - 탄소

    33

    돗자리

    가운데 황색 -유기질 황색 안료 ?

    자황 ?

    34 테두리 보라색 Pb 쪽, 연백 쪽, 주, 연백

    35 문양 적색 Pb 연백 유기질 적색 안료, 연백

    36 문양 흑색 - 탄소

    37 문양 백색 Pb 연백

    (* XRF : -은 유의미한 성분 불검출, FT-IR : 공란은 분석 미실시)

    계월향 초상화 채색 재료 재질 분석 결과

  • 생활문물연구

    제25호

    142

    1. 종이 표면 현미경 이미지(33배) 1. 종이 표면 XRF 스펙트럼

    2. 흑색(화기) 현미경 이미지(33배) 2. 흑색(화기) XRF 스펙트럼

    2) 종이

    종이 표면은 평활한 상태 사진 이며 분석에서 칼슘 이 소

    량 검출 사진 되었다 이는 그림을 그릴 때 발색을 좋게 하고 평활도를 높이

    기 위하여 종이에 호분 을 얇게 도포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전 색상

    의 원소 분석에서는 호분의 칼슘이 검출되고 있다

    3) 흑색

    화기의 먹과 가채 머리카락 눈동자 돗자리 문양 손에 들고 있는 직물에

    흑색이 사용되었다 분석에서 화기의 먹에서는 유의미한 원소가 검출되지 않

    았고 사진 가채에서 납이 검출되었다 사진 이외에는 흑색에서는 화

    기의 먹과 같이 유의미한 원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이 검은색은 탄소가 주성분인

    그을음으로 추정되며 가채에서는 연백과 그을음의 혼합물로 추정된다 그을음의

    주성분인 탄소는 나 에서는 판단할 수 있는 스펙트럼이 검출되지 않는

    다 그을음은 의궤에서 주로 보이는 송연109으로 추정된다 109 각주 2번 인용 전체 글

  • 의기⁀義妓‿계월향⁀桂月香‿초상화

    채색

    재료

    고찰

    143

    3. 흑색(가채) 현미경 이미지(33배) 3. 흑색(가채) XRF 스펙트럼

    13. 백색(저고리 동정) 현미경 이미지(33배)

    28. 백색(치마 말기) 현미경 이미지(33배) 28. 백색(치마 말기) XRF 스펙트럼

    13. 백색(저고리 동정) XRF 스펙트럼

    4) 백색

    백색은 눈의 흰자위 저고리의 동정 치마의 말기 향낭 문양 돗자리 문양

    에서 사용되었으며 분석에서 모두 납이 검출되었고 사진 치마

    말기의 분석에서는 연백과 함께 백토가 검출되었다 사진 따라서

    계월향 초상화에는 백색 안료로써 연백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치마

    말기의 백색에 연백과 백토의 혼합은 연백이 발현하지 못하는 표현을 위해 사용

    된 것으로 추정된다

  • 생활문물연구

    제25호

    144

    28. 백색(치마 말기) FT-IR 스펙트럼

    11. 적색(입술) 현미경 이미지(33배) 11. 적색(입술) XRF 스펙트럼

    19. 적색(향낭) 현미경 이미지(33배) 19. 적색(향낭) XRF 스펙트럼

    5) 적색

    입술과 향낭에 사용된 적색에서는 현미경 관찰에서 천연 광물성 안료의

    불규칙한 다각형 입자가 관찰되지 않고 채색면이 평활하여 사진 인조

    안료의 특성을 보여준다 분석에서 모두 수은과 함께 납이 검출되었다 사

    진 수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적색 안료에는 천연 광물성 안료 주사 와

    인조 안료 주 가 있는데 분석 결과로부터 입술과 향낭의 채색에 사용된 안료는 주

    와 연백의 혼합물이다

  • 의기⁀義妓‿계월향⁀桂月香‿초상화

    채색

    재료

    고찰

    145

    17. 적색(속고름) 현미경 이미지(33배) 17. 적색(속고름) XRF 스펙트럼

    8. 흰분홍색(뺨) XRF 스펙트럼 8. 흰분홍색(뺨) 현미경 이미지(33배)

    17. 적색(속고름) FT-IR 스펙트럼

    속고름은 분석에서 수은과 납이 검출되었으며 사진

    분석에서는 주와 연단이 동정되었다 사진 따라서 속고름에 사용된 안료

    는 주와 연단의 혼합물이다

    흰분홍색의 얼굴과 손등은 분석에서 납이 주성분으로 검출되었으며 수

    은은 소량만 검출되어 사진 연백에 소량의 주를 혼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돗자리의 적색 문양은 현미경 관찰에서 적색 안료가 표면에 얇게 채색되

    어 종이의 섬유가 드러난 상태이다 사진 분석에서 납만 소량 검출

    되었고 주사나 주의 수은이 검출되지 않았다 사진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돗자리 적색 문양에는 무기질 안료인 주를 사용하지 않고 유기질 적색

  • 생활문물연구

    제25호

    146

    35. 적색(돗자리 문양) 현미경 이미지(33배) 35. 적색(돗자리 문양) XRF 스펙트럼

    24. 갈색(향낭 문양) 현미경 이미지(33배)

    9. 갈색(코 윤곽선) 현미경 이미지(33배)

    24. 갈색(향낭 문양) XRF 스펙트럼

    9. 갈색(코 윤곽선) XRF 스펙트럼

    안료와 연백 혼합물이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6) 갈색

    갈색은 눈꺼풀 턱 윤곽선 코 윤곽선 향낭의 술에 사용된 색상이다 현미

    경 관찰에서 천연 광물성 안료의 특징인 불규칙한 다각형 입자들은 관찰되지 않

    고 안료 입자가 매우 미세하고 채색면이 평활하여 사진 인조 안료의

    특징을 보여준다 분석에서는 모두 철이 검출되었다 사진 철을

    포함하는 갈색 안료로는 천연 광물성 안료인 대자와 인조 안료인 석간주가 있다

    따라서 갈색의 채색에는 산화철 안료인 석간주가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 의기⁀義妓‿계월향⁀桂月香‿초상화

    채색

    재료

    고찰

    147

    25. 청색(향낭 술) FT-IR 스펙트럼

    16. 청록색(저고리 소매) XRF 스펙트럼

    25. 청색(향낭 술) 현미경 이미지(33배)

    16. 청록색(저고리 소매) 현미경 이미지(33배)

    25. 청색(향낭 술) XRF 스펙트럼

    7) 청색

    청색은 향낭의 문양과 술 등 일부에만 사용되었으며 소매는 청록색이며

    치마는 옅은 하늘색을 띄고 있다 향낭의 술에 대한 분석에서 구리가 검출되

    었고 사진 에서는 석청으로 판명되었다 사진 따라서 술에

    사용된 청색 안료는 석청임을 알 수 있다

    청록색의 소매는 현미경에서 녹색 안료 입자 사이에 청색 안료 입자가 관

    찰되어 사진 청색 안료와 녹색 안료의 혼합물임을 알 수 있다 분석

    에서는 구리와 납의 검출되었으며 사진 분석에서는 석청과 석록

    연백의 혼합물로 동정되었다 사진 따라서 소매는 석청 석록 연백을 혼

    합하여 색채를 표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 생활문물연구

    제25호

    148

    16. 청록색(저고리 소매) FT-IR 스펙트럼

    29. 하늘색(치마) XRF 스펙트럼 29. 하늘색(치마) 현미경 이미지(33배)

    29. 하늘색(치마) FT-IR 스펙트럼

    치마의 옅은 하늘색 표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무기질 안료인 석청에

    서 보이는 불규칙한 안료 입자는 관찰되지 않았다 사진 분석에서는

    납만 검출되었으며 사진 분석에서도 연백만 검출되었다 사진

    따라서 옅은 하늘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소량의 유기질 청색 안료를 연백과

    혼합한 것으로 추정되나 워낙 소량이어서 로는 유기질 물질의 동정이 불가

    능하였다

    8) 보라색

    보라색은 저고리의 깃 고름 곁마기 그리고 돗자리의 테두리에 표현되었

  • 의기⁀義妓‿계월향⁀桂月香‿초상화

    채색

    재료

    고찰

    149

    14. 보라색(저고리 깃) FT-IR 스펙트럼

    14. 보라색(저고리 깃) XRF 스펙트럼 14. 보라색(저고리 깃) 현미경 이미지(33배)

    다 저고리 깃의 보라색 표면은 현미경 관찰에서 미세한 안료 입자가 관찰되었으

    며 사진 분석에서는 저고리의 깃에서는 납과 미량의 수은이 검출되

    었고 사진 돗자리 테두리에서는 납만 검출되었다 분석에서는 연백

    과 함께 미량의 쪽이 동정되었다 사진 이상의 분석 결과로부터 계월향

    초상화의 보라색에 사용된 안료는 유기질의 쪽 무기질인 주와 연백의 혼합물임이

    판명되었다 세기 청나라 초상화의 보라색에는 적색은 곤충 염료 청색은 프러

    시안블루 석청 쪽이 사용되어 110 보라색을 표현하기위해서는 적색과 청색 안료

    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9) 녹색

    녹색은 저고리의 몸판 향낭 문양 그리고 비녀에 채색하였다 채색 표면의

    현미경 관찰에서 저고리 몸판 사진 과 향낭의 녹색 문양에서는 광물성 안

    료 특유의 불규칙한 형태의 다각형 녹색 안료 입자가 관찰되었고 비녀의 옅은 녹

    색에서는 백색의 안료 속에 녹색 안료 입자들이 분포된 것이 보인다 사진

    분석에서 저고리 몸판 사진 비녀 사진 향낭의 녹색 문양에

    서 모두 구리가 강하게 검출되었으며 저고리 몸판의 분석에서는 석록이

    동정되었다 사진 녹색의 안료 중 구리를 함유한 안료는 석록과 아타카마

    이트 파라타카마이트 동록 에메랄드그린이 있으나 분석에서는 아타카마이

    110 渡辺明義, 1999, 앞의 책

  • 생활문물연구

    제25호

    150

    31. 옅은 녹색(비녀) 현미경 이미지(33배) 31. 옅은 녹색(비녀) XRF 스펙트럼

    15. 녹색(저고리 몸판) FT-IR 스펙트럼

    15. 녹색(저고리 몸판) XRF 스펙트럼 15. 녹색(저고리 몸판) 현미경 이미지(33배)

    트 파라타카마이트의 염소나 에메랄드그린의 비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저

    고리 몸판 향낭 문양 비녀 테두리에는 석록을 비녀는 석록과 연백을 혼합하여

    색상을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10) 황색

    황색은 향낭의 문양과 술 돗자리에서 사용되었다 향낭의 황색 문양을 현

    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매우 두껍게 채색된 상태이며 채색층에서는 균열이 일어나

    고 있었다 사진 분석 결과 비소와 납 사진 이 검출되었고

    분석에서는 자황과 연백 사진 이 동정되었으며 이와 같은 분석을

    종합하면 향낭 문양의 황색 안료는 자황과 연백 혼합물로 판단된다

  • 의기⁀義妓‿계월향⁀桂月香‿초상화

    채색

    재료

    고찰

    151

    22. 황색(향낭 문양) FT-IR 스펙트럼

    22. 황색(향낭 문양) XRF 스펙트럼 22. 황색(향낭 문 양) 현미경 이미지(33배)

    33. 황색(돗자리) XRF 스펙트럼 33. 황색(돗자리) 현미경 이미지(33배)

    향낭의 술과 돗자리의 황색은 현미경 관찰에서는 얇게 채색되어 종이의 섬

    유가 드러난 상태로 사진 향낭의 문양 사진 과는 채색의 형태가 다

    름을 알 수 있다 분석에서는 향난의 술에서는 납이 검출되었지만 돗자리에서

    는 극미량 비소가 검출되었다 사진 분석에서 향낭의 술에서는 연백

    만 동정되었고 자황이나 등황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돗자리 문양에서도 황색 안료

    를 동정할 수 없었다 아마 황색 안료를 소량 사용하여 얇게 채색하여 모두 종이에

    스며들었기에 분석에서 황색 안료 성분의 스펙트럼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부터 향낭 술의 황색은 연백과 유기질 황색 안료의 혼

    합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유기질 황색 안료의 동정은 불가능하였다 돗자

    리에서 극미량 검출된 비소가 자황의 사용된 증거인지 오염물질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

  • 생활문물연구

    제25호

    152

    맺음말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년에 구입한 의기 계월향 초상화는 화기 畵記 에

    그림의 주인공에 얽힌 일화와 그려진 배경 사용처 제작년도 등 관련 내용이 함

    께 기록되어 있어 미술사적으로 가치가 큰 자료이다 제작연도가 확실한 회화 자

    료의 채색 재료 분석을 통해 세기 초반 초상화에 사용된 채색 재료에 관한 재

    료 기법 연구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계월향 초상화에서는 석록 석청 주사 주 대자 석간주 연백 백토 황단

    자황 등의 무기질계 안료와 함께 청화 그을음 탄소 과 같은 유기질계 안료의 사

    용을 확인하였다 그 외 황색 적색 청색의 유기질계 안료의 사용이 확인되었으나

    정확한 물질 동정 同定 은 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들은 조선시대에 사

    용된 전형적인 채색 재료들과 일치한다 한편 청색 안료인 석청은 매우 고가로 조

    선시대의 문헌이나 회화의 분석에서 그 사용량이 적었는데 계월향 초상화에서도

    향낭의 문양이나 저고리와 같이 일부분에서만 사용되었고 치마와 같이 넓은 부분

    에는 사용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또 세기 회화 자료에서 보이는 서구에

    서 발명된 인조 안료인 프러시안블루나 스몰트 등은 계월향 초상화에서는 사용되

    지 않았다

    형광 선기는 비파괴방식으로 채색 재료의 무기질 원소를 동정하는데 매

    우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였지만 유기질 채색 재료를 분석할 수 없으며 같은 색

    상이며 주 원소가 같은 안료들을 식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분석

    과의 교차 점검을 통해 분석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분석은 극미

    량이라도 샘플 채취가 필요한 파괴분석 장치로 분석을 위해서는 박락된 채색편

    등이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며 미량 성분이 혼합된 혼합물의 동정에도 한계가 있

    다 따라서 채색 재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장착 자외선 가시광선 분광기

    나 이동형 선 회절기 같은 여러 가지 비파괴분석 기기의 도입으로 다양한

    기기에 의한 교차분석을 함으로써 정확한 물질 분석이 가능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정밀 분석기기가 속속 도입되면서 채색 자료의 분석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이 축적되어 집대성되면 시대별로 회화

    자료나 기물 또는 건축물 단청의 채색에 사용된 채색 재료의 동정과 역사적인 변

    천 과정을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05

  • 의기⁀義妓‿계월향⁀桂月香‿초상화

    채색

    재료

    고찰

    153참고문헌

    高麗史世宗實錄成宗實錄中宗實錄明宗實錄宣祖實錄光海君日記純祖實錄高宗實錄承政院日記昌慶宮修理都監儀軌(1633년)昌德宮修理都監儀軌(1647년)儲承殿儀軌(1648년)影幀修補都監儀軌(1670년)南別殿重建廳儀軌(1677년)影幀補修都監謄錄(1692년)影幀修補謄錄(1713년)御容圖寫都監儀軌(1713년)山陵都監儀軌(1725년)影幀摸寫都監儀軌(1735년)影幀摸寫都監儀軌(1748년)垂恩廟營建廳儀軌(1764년)文憘廟營建廳謄錄(1789년)華城城役儀軌(1800년)仁政殿營建都監儀軌(1805년)西闕營建都監儀軌(1832년)昌慶宮營建都監儀軌(1834년)昌德宮營建都監儀軌(1834년)影幀摸寫都監儀軌(1837년)仁政殿重修儀軌(1857년)御眞移摸都監都廳儀軌(1872년)景福宮 昌德宮增建都監儀軌(1900년)影幀摹寫都監儀軌(1900년)中和殿營建都監儀軌(1904년)影幀摸寫都監儀軌(1901년)御眞圖寫都監儀軌(1901년)慶運宮重建都監儀軌(1906년)

    憑虛閣李氏, 1810, 閨閤叢書.徐有榘, 1827, 林園十六志.

  • 생활문물연구

    제25호

    154 宋應星, 1637, 天工開物.李圭景, 1834, 五洲書種博物攷辨.

    이홍초 엄수학 유만 이대경 장아민, 1998, 東醫鑛物藥, 부산 :부산대학교 출판부.정종미, 2001, 우리 그림의 색과 칠, 서울 :학고재.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단청 , 부석사 무량수전 실측조사 보고서, 문화재청.김규호 송유나 임덕수 송정주, 2007, 해학반도도 채색안료에 대한 비파괴 특성 분석 , 보존과학

    연구.김영재, 1998, 漢代婦女眉黛-靑黛를 중심으로- , 한국의류학회.김정희, 2007, 조선후기의 불화-특징과 양식, 그리고 연구과제- , 불교미술사학.문선영, 2005, 석파산장 편액 안료 및 섬유 분석 , 문화재보존연구.문선영, 2007, 유순정영정( ) 안료 분석 , 문화재보존연구.문선영, 2008, 영조을유기로연 경현당수작연도병 채색 재료 및 기법 분석 , 문화재보존연구.문환석 홍종욱 조남철, 2002, 고대 벽화안료 재질분석 연구-봉정사 후불벽화 및 고아동 고분벽화

    를 중심으로- , 문화재.신현옥, 2007, 조선시대 채색재료에 관한 연구 ,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안병찬 홍종욱, 2006, 고구려 고분벽화의 안료분석 , 고구려 벽화고분 보존 실태 조사 보고서 제1권 조사보고, 180~218쪽.

    안병찬, 2007, 진파리 제1호분과 제4호분 벽화안료의 특성 비교조사 보고 , 고구려 벽화고분 보존연구보고서.

    유혜선, 2005, 태조어진 안료 분석 , 왕의 초상.유혜선, 2006,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록산수화의 안료 분석 ,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서화유물도록

    제14집, 靑綠山水畵.유혜선 장연희, 2007, 초상화의 채색 분석 ,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서화유물도록 제15집, 조선시대

    초상화 .임주희 문선영 김정현, 2006, 유순정영정 보존처리 , 문화재보존연구.조남철 문환석 홍종욱 황진주, 2001, 경복궁 근정전 단청안료의 성분분석 , 보존과학연구.존윈터, 1989, 한국 고대 안료의 성분 분석 , 미술연구.한경순, 2009, 고구려 벽화고분 보존 분야의 연구 성과와 과제 , 동북아역사재단 기회연구 25. 고구

    려 벽화 연구의 현황과 콘텐츠 개발.한민수 홍종욱, 2002, 일월오악도 안료에 대한 과학적 분석 , 보존과학연구.네이트 사전(http://handic.nate.com/)

    渡辺明義, 1999, 古代絵画の技術, 東京:至文堂.朽津信明, 霜村紀子, 2002, 幕末期の絵馬に観察される青色顔料の変化について-岩手県中部地方に伝

    わる供養絵額の例- , 保存科学.小口八朗, 1969, 日本画の着色材料に関する科学的研究 , 東京芸術大学美術学部紀要.小口八朗, 林功, 1981, 唐代におけるトルファン アスタ-ナ出土文物の彩色の材料 技法について , 東

    京芸術大学美術学部紀要.小瀬戸恵美, 1997, ホルムアルデヒドの美術材料におよぼす影響 , 東京芸術大学大学院 修士論文.段修業, 1987, 敦煌莫高窟壁画の顔料 , 仏教美術.田口栄一, 田口マミ子, 1977, 分光学的方法による顔料, 特に有機色料及びその調合色の判定について

    近世初期狩野派粉本 源氏物語五十四帖絵巻 を例として , 古文化財の科学.成瀬正和, 1994, 日本と韓半島の古代無機顔料 , 日韓における考古遺物の材質 技法に関する分析の

  • 의기⁀義妓‿계월향⁀桂月香‿초상화

    채색

    재료

    고찰

    155比較研究.成瀨正和, 2004, 正倉院寶物に用いられた無機顔料 , 正倉院紀要.田口栄一, 田口マミ子, 1977, 分光学的方法による顔料、特に有機色料及びその調合色の判定について

    近世初期狩野派粉本 源氏物語五十四帖絵巻 を例として , 古文化財の科学.山崎一雄, 1985, 密陀絵と法隆寺玉虫廚子 , 古文化財の科学.山崎一雄, 1968, 正倉院絵画の技法と材質 , 正倉院の絵画, 奈良:正倉院事務所.

    Jonh Winter, 2008, East Asian Paintings - Materials, Structures and Deterioration Mechanism,

    London:Archetype Publications.

    Henry D. Smith II, 2005, “Hokusai and the Bkue Revolution in Edo Prints” in Hokusai and his age : Ukiyo-e painting, printmaking and book illustration in late Edo Japan(J. D.

    Carpenter ed.) Amsterdam:Holei Publishing.

    Jennifer Giaccai, John Winter, 2005, “Chinese Painting Colors : History and Reality” in Scientific Research on the Pictorial Arts of Asia, Proceedings of the Second Forbes

    Symposium at the Freer Gallery of Art(P. Jett, J. Winter and B. McCarthy eds.),

    London:Archetype Publications.

  • 생활문물연구

    제25호

    156의기義妓 계월향桂月香 초상화채색 재료 고찰

    오준석|국립민속박물관 유물과학과 학예연구사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년에 구입한 의기 계월향 초상화는 화기 畵記 에

    그림의 주인공에 얽힌 일화와 그려진 배경 사용처 제작년도 등 관련 내용이 함

    께 기록되어 있어 미술사적으로 가치가 큰 자료이다 세기 회화 자료의 채색 재

    료 기법에 대한 기초 연구 자료의 제공을 위해 제작연도가 확실한 계월향 초상

    화의 채색 재료를 분석하였다

    계월향 초상화에서는 석록 石綠 석청 石靑 주 朱

    석간주 石間朱 연백 鉛白 백토 白土

    연단 黃丹 자황 雌黃 등의 무기질계 안료와

    함께 청화 靑花 그을음 탄소 과 같은 유기질계 안료의 사용을 확인

    하였다 그 외 황색 적색 청색의 유기질계 안료의 사용이 확인되었으나 정확한

    물질 동정 同定 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들은 조선시대에 사용된 전형적

    인 채색 재료들과 일치한다 한편 청색 안료인 석청은 매우 고가로 조선시대의 문

    헌이나 회화의 분석에서 그 사용량이 적었는데 계월향 초상화에서도 향낭의 문양

    이나 저고리와 같이 일부분에서만 사용되었고 치마와 같이 넓은 부분에는 사용되

    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또 세기 회화 자료에서 보이는 서구에서 발명된 인

    조 안료인 프러시안블루 나 스몰트 등은 계월

    향 초상화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주제어 계월향(桂月香), 초상화, 안료, 형광X-선기(XRF), 적외선분광광도계(FT-IR)

    국문초록

  • 의기⁀義妓‿계월향⁀桂月香‿초상화

    채색

    재료

    고찰

    157A Study on the ColoringMaterials of the Portrait of Righteous Gisaeng, Gyewolhyang

    Oh, Joon Suk Curator,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e portrait of Gyewolhyang, known as a righteous gisaeng (a singing

    and dancing female entertainer), which was purchased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in 2008, contains an episode of the character in

    the picture, the background, the place for use, and the year of

    production in its picture book, so it is very valuable in the aspect of the

    history of fine arts.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research materials for

    the coloring materials and techniques of the paintings in the 19th

    century, this study analyzed the coloring materials of the portrait of

    Gyewolhyang whose year of production is clear.

    In the Gyewolhyang portrait, inorganic paints, such as

    malachite, azurite, vermilion, iron oxide red, lead white, China clay,

    lead red, and orpiment, and organic paints, such as indigo and

    soot, are found. Besides, the use of other organic paints of yellow,

    red, and blue is also found, but it is impossible to identify them

    accurately. This analytical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typical

    coloring materials used in Joseon Period. On the other hand,

    azurite, which is a blue paint, is very expensive so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s or paintings in Joseon Period shows that its use was

    very small. Therefore, in the Gyewolhyang portrait, it was used just

    for the pattern of a scent bag or a Korean jacket. It was not used

    for a wide part, like a skirt. In addition, Prussian blue, Fe4(Fe(CN)6)

    or smalt, which are artificial paints invented in the West, were not

    used in the Gyewolhyang portrait.

    Key words Gyewolhyang, Portrait, Paint, Fluorescent X‐Ray (XRF), Infrared spectrophotometer (FT‐IR)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