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 제도 시정이나...

15
특집 ․다문화 시대의 언어 정책 ․ 5 특집다문화 시대의 언어 정책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박정아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 1.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전 지구의 세계화와 함께 진행된 국제 이주의 물결은 한국 사회의 인구 구성과 문화 현상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국제적인 흐름 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경제, 사회, 문화적인 특성이 함께 작용해 한국 사회의 ‘다문화화’는 2000년대에 접어들어 가속화되기 시작하였다. 1997 년 약 39만 명이던 국내 체류 외국인 수가 2007년에는 100만 명이 넘 어 10년 사이에 175.5%나 증가하였으며, 2011년에는 약 126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2.5%나 차지하고 있다. 초기의 체류 외국인은 대부분 단 순 기능 분야에 종사하는 외국인 근로자가 주를 이루었으나, 2000년대 부터는 결혼, 유학, 취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거주하는 외국인이 증가 하면서 체류 외국인의 수적인 증가뿐만 아니라 체류 유형도 다양해지 는 특성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 발맞추어 2000년대 중반부터 정부를 비롯한 학계, 시민사회, 언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 리 사회가 어떻게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진단과 정책 적 대응 방안 등의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Upload: others

Post on 29-Ja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 제도 시정이나 조치를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기술한 조항에 잘 나타나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 5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박정아 ․ 국립국어원 학 연구사

1.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지구의 세계화와 함께 진행된 국제 이주의 물결은 한국 사회의

인구 구성과 문화 상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국제 인 흐름

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경제, 사회, 문화 인 특성이 함께 작용해 한국

사회의 ‘다문화화’는 2000년 에 어들어 가속화되기 시작하 다. 1997

년 약 39만 명이던 국내 체류 외국인 수가 2007년에는 100만 명이 넘

어 10년 사이에 175.5%나 증가하 으며, 2011년에는 약 126만 명으로

체 인구의 2.5%나 차지하고 있다. 기의 체류 외국인은 부분 단

순 기능 분야에 종사하는 외국인 근로자가 주를 이루었으나, 2000년

부터는 결혼, 유학, 취업 등 다양한 목 으로 거주하는 외국인이 증가

하면서 체류 외국인의 수 인 증가뿐만 아니라 체류 유형도 다양해지

는 특성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회 상에 발맞추어 2000년

반부터 정부를 비롯한 학계, 시민사회, 언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

리 사회가 어떻게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고 있는지에 한 진단과 정책

응 방안 등의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Page 2: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 제도 시정이나 조치를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기술한 조항에 잘 나타나 있다

6 ․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언어는 한 나라 문화의 핵심이자, 사회 구성원의 통합에 요한 요

인이다. 한 언어 교육은 이주민이 새로운 나라에 정착하는 기 단계

에 가장 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때문에 우리 정부가 다

문화 정책을 실시하던 기에는 거의 모든 계 부처에서 한국어 교육

을 다문화 정책의 기본 사업으로 다루었다. 체 인구의 2.5%에 해당

하는,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새로운 주민들과 어떻게 한국어로 소통하

고, 이들에게 한국어를 어떻게 가르치고, 이들의 언어를 어떻게 바라보

아야 하는지에 한 언어 정책이 요한 화두가 된 것이다.

이 에서는 지 까지 진행된 다문화에 한 여러 논의와 흐름을 한

국어 교육 정책이라는 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재 정부에

서는 어떠한 방향에서 한국어 교육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지를 소개하

고자 한다.

2. 다문화 시대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

다문화 시 의 한국어 교육 정책을 구체 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정

책 방향을 설정하고 추진하는 데 제가 되는 주요 용어의 개념을 살

펴보고자 한다. 이는 재 정부에서 추진하는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 교

육 정책의 기본 방향을 이해하고, 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2.1. 주요 용어의 개념 검토

2.1.1. 다문화 사회

우리 사회의 다문화 사회화를 논의하던 기에는 한국 사회의 인구

구성이 다민족화, 다인종화되었으므로 한국이 다문화 사회에 진입했다

고 쉽게 결론을 내리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인구학 측면에서 엄

Page 3: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 제도 시정이나 조치를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기술한 조항에 잘 나타나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 7

하게 보면 한국은 외국인이 체 인구의 10%를 차지하지 않으므로 다

문화 사회라고 진단 내리기는 어렵다.1) 다만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나라가 고도의 다문화 사회가

아님에도 흔히 다문화 사회라고 일컬어지는 것은 한경구(2008)의 지

처럼 ‘문화’ 개념의 빈곤으로 인해 다문화 사회와 다민족 사회가 본질

으로 같은 것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달리 말해

한국 사회의 인 구성이 다민족화되는 것이 곧 문화 다양성을 의미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이다. 우리나라가 다문화 사회라고 말할

때에는 인구 구성의 다변화와 함께, 사회 문화 다양성 정도, 사회 구

성원들의 문화 다양성에 한 인식 개선 등이 반 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한 이러한 사항은 다문화 사회 구성원들을 한 한국어 교육

정책을 추진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그 다면 재 우리 사회를 다문화 사회라고 일컬을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일까? 외국의 형 인 다문화 국가와는 그 모습이 다름에도 불구

하고, 최근 여러 분야의 문가뿐만 아니라 정책 입안자, 그리고 일반

국민들도 이제는 우리나라가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는 데에 이

의를 제기하지 않는 것 같다. 그 이유는 우리 사회가 근래 몇 년 동안

격한 인구 변화 추이를 보여 왔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사회 상이

일어나고 있다는 , 한 우리 사회의 문화 다양성도 차 성숙되어

가고 있으며, 정부가 사회 문화 다양성을 보호하고 개인이 평등한 기

회에 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정책을 추진하려고 한다는 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본다.

1) 체 인구에서 이민자의 비율이 어느 정도여야 이민 사회 는 다문화 사

회라고 볼 수 있느냐에 해서는 학계에서 합의된 바가 없다. 다만 이민자

문제가 발생하는 서구 선진국(OECD 회원 국가에 한정하면)들의 이민자

비율이 10%를 넘는 것을 볼 때 이 수 에 이르면 고도 이민 사회 는 다

문화 사회라고 간주해도 무리가 없다(윤인진 2008:74).

Page 4: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 제도 시정이나 조치를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기술한 조항에 잘 나타나 있다

8 ․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2.1.2. 다문화 가정, 다문화 가족, 재한 외국인

국제결혼 증가, 외국인 노동자의 증가 등으로 한국 사회에 들어와

사는 외국인이 늘어나면서 ‘다문화 가정’이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일반

으로 다문화 가정이란 통 인 에서 우리와 다른 민족 , 문화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가정을 통칭하는 말이다. 다문화 가정

이란 말은 2003년 30여 개의 시민 단체로 구성된 ‘건강가정시민연 ’가

‘국제결혼 가정’, ‘혼 아’ 등 인종 차별 인 이미지와 그로 인해 유발되

는 부정 인 정서를 해소하기 해 제안하면서 처음 등장하 다. 이후

2006년 교육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다문화 가정 자녀를 한 지원

책을 발표하 는데, 이때 다문화 가정을 ‘우리와 다른 민족·문화 배

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가정’으로 정의하면서 리 사용되었다. 한

편, 2008년 제정된 ‘다문화가족지원법’에서는 ‘가정’ 신에 ‘다문화 가

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 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다문화 사회 진입과 함께 등장한 ‘이주민’을 가리

키는 용어는 다문화 가정, 다문화 가족 등 통일되어 있지 않으며 그

상도 어느 분야에서 정의 내리느냐에 따라 다르다. 학계에서는 일반

으로 다문화 가정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며, 다문화 가정 범주에 국

제결혼 가정, 외국인 노동자 가정, 새터민 가정을 포함시켜 논의한다.2)

반면에 국가 정책에서는 이들을 ‘다문화 가족’이나 ‘재한 외국인’으로

지칭하며, ‘다문화가족지원법’과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의 두 법률에서

그 정책 상을 규정하고 있다. ‘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에서는 다문화

가족을 ‘결혼이민자와 한민국 국 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

인지․귀화에 의해 한민국 국 을 취득한 외국인과 한민국 국 을

2) 학계에서 정의하는 다문화 가정의 범주와 달리 이주민에 한 국가 정책에

는 새터민이 포함되지 않는다. 한편, 국가 정책에서는 ‘새터민’이라는 용어

신 ‘북한이탈주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에 해서는 ‘북한이탈주

민의 보호 정착지원에 한 법률’에서 다루고 있다.

Page 5: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 제도 시정이나 조치를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기술한 조항에 잘 나타나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 9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으로 규정한다. 그리고 ‘재한외국인처우기본

법’ 제2조에서는 재한 외국인을 ‘ 한민국의 국 을 가지지 아니한 자

로서 한민국에 거주할 목 을 가지고 합법 으로 체류하고 있는 자’

로 정의 내리고 있으며, 여기에 결혼 이민자를 포함시키고 있다.3)

이처럼 학계와 국가 정책에서 사용하는 이주민에 한 용어가 다르

고, 그 용어가 지칭하는 상도 다르다. 다문화 가정( 는 다문화 가

족)이란 용어는 미혼의 외국인 근로자를 포 하지 못하며, 재한 외국인

이란 용어는 한국에 거주할 목 을 가지고 합법 으로 체류하고 있는

자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다문화 사회에서의 한국어 교육을 논의하

기에는 그 상이 무 넓다. 지 까지 우리가 많이 듣고 사용해 온 일

반 인 용어뿐만 아니라 법률상의 용어가 정책 상별로 근하는 데

에는 문제가 없을지 모르지만, 다변화된 국내 한국어 학습자를 포 하

여 지칭하는 데에는 한계를 갖는 것이다.

이 에서는 법무부, 여성가족부, 교육과학기술부, 문화체육 부,

고용노동부 등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문화 지원 정책의 상을 ‘다

문화 가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여기에는 국제결

혼 가정과 외국인 근로자 가정 구성원이 포함된다.

2.2. 다문화 시 한국어 교육 정책의 기본 방향

2.2.1. 사회 통합을 위한 언어 교육 지원

그동안 다문화 가정을 한 한국어 교육 정책은 주로 여성 결혼 이

민자를 우리 사회의 통합 상으로 보고,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익히도

3) 같은 법 제2조 제3항에 따르면 “결혼 이민자”란 한민국 국민과 혼인한

이 있거나 혼인 계에 있는 재한 외국인을 말한다고 하여 정책 상으

로서의 결혼 이민자에는 한국 국 을 취득한 이주 여성을 포함시키지 않고

있다.

Page 6: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 제도 시정이나 조치를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기술한 조항에 잘 나타나 있다

10 ․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록 하는 동화주의 의 사업이 부분을 차지하 다. 이러한 사업

에는 여성 결혼 이민자들을 한 한국어 교육과 한국 사회 응 교육

한국 통문화 체험 행사 등이 주로 포함된다. 다문화 정책이 실시

되던 기에는 이러한 정책 방향이 한국의 통과 가치를 보호하고, 이

민자가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조속히 응하여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

하는 데 기여하 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다문화 사회화가 진 됨에 따라 사회 구성원 간

이해를 높이고 국민들이 문화 다양성을 존 하는, 궁극 인 사회 통합

이 필요한 시 에 이르 다. 우리의 것만을 하고자 하는 일방 인 동

화주의나 우리 사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외국의 다문화주의 정책

을 용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실에 한 정책이 무엇인지에

한 고민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시 요구에 따라 우리의 다문화

정책도 문화 다양성을 지향하면서 사회 통합을 실 하고, 어떤 집단

이 차별받지 않는 균형 잡힌 방향성을 갖추기 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통합 의 다문화 정책은 다문화 가족 지원 정책의

추진 근거인 련 법률에 잘 드러나 있다. ‘다문화가족지원법’ 제6조에

의하면, 다문화 가족 지원 계획 수립 시, 다문화 가족 구성원이 생활하

는 데 필요한 기본 정보를 제공받고, 사회 응 교육과 직업 교육·훈

련 언어 소통 능력 향상을 한 한국어 교육 등을 받을 수 있도록

생활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을 지원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같은 법 제11조에서는 결혼 이민자 등의 의사소통 어려움을 해소하고

서비스 근성을 제고하기 하여 국가가 다국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다문화 가정을 한 한국어 교육 정책도 이러한 에서 추진되어

야 한다. 즉, 이주민들이 한국 사회에 잘 정착하여 생활할 수 있도록

사회 통합의 측면에서 근하되 이들의 부족한 한국어 실력이나 모어

가 한국어가 아니라는 사실 때문에 차별받지 않도록 교육을 지원하고,

Page 7: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 제도 시정이나 조치를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기술한 조항에 잘 나타나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 11

사회 인식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추진하여야 하는 것이다.

2.2.2. 문화 상호주의 원칙에 입각한 자료 개발 및 교육 실시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 제5조에는 외국인 정책 기본 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상호주의 원칙을 고려해야 한다는 조항이 있다. 이러한 상호주

의 원칙에 입각한 정책 방향은 같은 법 제18조와 다문화가족지원법 제

5조 제2항의 다문화에 한 이해 증진을 하여 교육, 홍보, 불합리한

제도 시정이나 조치를 하기 해 노력해야 한다고 기술한 조항에 잘

나타나 있다.

이러한 정책 방향은 다문화 가정을 한 한국어 교육의 기본 방향인

‘문화 상호주의’에도 부합한다. 국립국어원에서는 문화 상호주의

에서 학습자의 요구와 목표를 고려하고, 학습자의 동기를 부여하는 방

향으로 한국어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교원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한국

어 학습자에게 일방 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소개하는 것이 아니

라 학습자의 언어와 문화 변인을 고려하고, 이를 인정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다. 최근 국내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언어

배경이 다양해지고, 그만큼 학습 목표와 동기도 다양해지고 있어 이 부

분의 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2.3. 국어 정책을 고려한 한국어 교육 정책 추진

지 까지 다문화 가정을 한 한국어 교육 정책은 다문화 정책의 일

환으로 계 부처에서 정책 상별로 추진하여 왔다. 즉, 계 부처와

지방 자치 단체 련 기 에서는 한국어 교육 사업을 다문화 정책

의 한 부분으로 추진해 온 것이다. 그러나 이들을 한 한국어 교육 정

책은 국가 차원의 언어 정책 한 부분이므로 우리나라의 국어 정책

과의 상 계를 고려하여 추진해야 한다. 이러한 에서 국립국어원에

서는 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과 교원 양성 등의 한국어 교육 정책을 동

Page 8: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 제도 시정이나 조치를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기술한 조항에 잘 나타나 있다

12 ․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기 에서 진행하고 있는 언어 실태 조사와 언어 자료 구축 정보화,

사 편찬 등의 국어 정책과의 련성을 고려하여 추진하고 있다. 즉,

국립국어원에서는 언어 정책이라는 큰 틀에서 한국어 교육 정책을 수

립하고 련 연구와 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3.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추진 경과

3.1. 다문화 가정을 한 정책 추진 경과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다문화 가정을 한 정책은 2000년 이후

국내 이주민이 증가하면서 나타난 인구 구성의 변화와 함께 진행되어

왔다. 2000년 반부터 국내 이주민의 수와 유형이 다양해짐에 따라

정부에서도 이들이 한국에서 안정 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

하는 사회 통합 정책의 일환으로 다문화 가정 지원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하 다.

정부에서는 2006년 계 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여성 결혼 이민자

가족 혼 인․이주자 사회 통합 지원 방안’ 발표를 시작으로, 2007

년에는 재한 외국인에 한 정책의 기본 방향과 추진 제계를 규정한

‘재한 외국인 처우 기본법’을 제정하 다. 한 2008년에는 다문화 가족

을 지원하기 한 법 근거가 되는 ‘다문화 가족 지원법’을 제정하여

다문화 가족 지원 정책을 수행하기 한 법 ․제도 기반을 구축하

다. 이를 바탕으로 정부에서는 법무부, 여성가족부, 교육과학기술부,

문화체육 부, 행정안 부 등 계 부처 합동으로 ‘제1차 외국인 정

책 기본 계획(2008~2012)’4)과 ‘다문화 가족 지원 정책(2010~2012)’을

4) 외국인 정책이란 한민국으로 이주하고자 하는 외국인에 하여 일시 ․

Page 9: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 제도 시정이나 조치를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기술한 조항에 잘 나타나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 13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지 까지 정부에서 추진해 온 다문화 가정을

한 지원 정책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06년: 계 부처 합동으로 ‘여성 결혼 이민자 가족 혼 인․

이주자 사회 통합 지원 방안’ 발표

∙ 2007년: ‘재한 외국인 처우 기본법’ 제정

∙ 2008년: ‘다문화 가족 지원법’ 제정

∙ 2008년: ‘제1차 외국인 정책 기본 계획’ 수립․발표

∙ 2010년: ‘다문화 가족 지원 정책’ 수립․발표

3.2. 다문화 가정을 한 한국어 교육 정책 추진 경과

다문화 가정을 한 한국어 교육 정책은 에서 기술한 외국인 정책

과 다문화 가족 지원 정책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사업으로 다루어졌다.

이는 한 나라가 다문화 사회로 진입함과 동시에 가장 먼 두되는

것이 이주민들의 언어 문제라는 사실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2009년 국 다문화 가족 실태 조사 연구’(김승원 외 2010)에 의하면,

여성 결혼 이민자들은 한국 생활에서 가장 힘든 으로 ‘언어 문

제’(22.5%)를 지 하 으며, 복지 욕구 한 한국어 교육(79%)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로 다문화 가정 지원 정책을 시작한 기에는 여

성가족부, 농림수산식품부, 문화체육 부, 법무부 등 련 부처에서

정책 상별로 한국어 교육 사업을 실시하 다. 이 게 여러 부처에서

정책 상별로 한국어 교육 사업을 지원함에 따라 사업의 복성과 효

구 사회 구성원 자격을 부여하거나, 국내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제

반 환경의 조성에 한 사항을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종합 에

서 다루는 정책을 말한다. 이를 실행하기 하여 앙 행정 기 의 장

지방 자치 단체는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이하 “기본법”) 제5조에 따라

외국인 정책에 한 5년 단 국가 계획인 ‘외국인 정책 기본 계획’을 수립

하고, 세부 정책 방안을 담은 연도별 시행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Page 10: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 제도 시정이나 조치를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기술한 조항에 잘 나타나 있다

14 ․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율성이 문제가 되었다. 이에 정부에서는 2007년부터 다문화 련 사업

평가와 부처 의를 통해 부처별 특성에 맞게 다문화 가정 상 한국

어 교육 사업을 조정하기 시작하 다. 한 2010년에는 결혼 이민자 한

국어 교육 사업의 효율화를 하여 법무부와 문화체육 부 등 4개

부처가 공동 력 약서(MOU)5)를 체결하여 사업의 복 추진을 지

양하고, 력을 강화하여 한국어 교육 지원의 효율성과 문성을 높이

기로 하 다. 한 국무총리실 사회통합 원회를 통해 부처별 업무

황을 공유하고, 업무 조정과 의를 통해 부처 간 력을 강화하고 있

다. 이러한 의와 조정에 따라 국립국어원에서 추진해 온 다문화 가정

을 한 한국어 교육 정책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6)

다문화 가정을 한 한국어 교육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한 기에는

한국어 교육의 내용과 체계가 지역별․기 별로 표 화되어 있지 않아

문 이고 효율 인 한국어 교육 실시에 한계를 보 다. 그래서 국립

국어원에서는 여성가족부와 업무 의를 통해 2007년부터 여성 결혼

이민자를 상으로 한 ‘여성 결혼 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교육 과

정과 교재를 개발하여 보 하 다. 2011년까지 총 6권이 개발된 본 교

재는 재 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여성 결혼 이민자를 한 한

5) 결혼 이민자 한국어 교육 효율화를 한 공동 력 약서(2010. 6. 7.)에

따른 부처별 업무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문화체육 부: 표 교재의 개발, 한국어 교원 자격에 한 사항, 한국어

강사 양성과 수 향상을 한 재교육, 표 한국어 강좌의 개발 보

- 법무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지방 자치 단체 등에 사회 통합 로그램

의 표 화된 체계, 평가 시스템 등 지원

-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사회 통합 로그램이 정착될 수 있

도록 법무부와 함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지도․감독에 참여

- 행정안 부: 지방 자치 단체를 통해 사회 통합 로그램에 근할 수 있

도록 지원

6) 3장에서도 기술하 듯이 다문화 가정에는 미혼의 외국인 근로자는 포함되

지 않는다. 그러나 국립국어원의 정책 상에는 다문화 가정 구성원뿐만

아니라 외국인 근로자도 포함되므로 국립국어원에서 추진하는 다문화 가정

을 한 한국어 교육 정책에는 이들을 포함시켜 기술하고자 한다.

Page 11: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 제도 시정이나 조치를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기술한 조항에 잘 나타나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 15

국어 표 교재로 활용되고 있다. 2009년에는 ‘다문화 가정 미취학 아

동을 한 한국어 학습 로그램’ 개발을 착수하 으며, 국 다문화가

족지원센터 201곳을 비롯하여, 다문화 도서 , 어린이 도서 등에 보

하 다. 한 이 게 책자로 개발한 교재를 방송사와 력하여 교육

방송을 제작․방 하고, 일반인들이 교재를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다. 2010년도에는 결혼 이민자 등 다문화 가족에 한 한국어 교육

사업 추진을 하여 체결한 부처 간 업무 약을 바탕으로 여성가족부

와 함께 ‘다문화 가정을 한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을 운 하기 시작

하 다. 2009년과 2011년도에는 외국인 노동자를 한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여 련 기 에 보 하 다. 2012년에는 부처 간 업무 약과 국

무총리실 사회통합 원회의 업무 의에 따라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학교에서 사용할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고 있다. 한 법무부와 함께 사

회 통합 로그램에서 활동하는 한국어 강사를 상으로 재연수 로

그램을 운 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여성가족부, 법무부, 교육과학기술부 등의

앙 부처와 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련 산하 기 에서는 다문

화 지원 정책의 여러 사업 하나로 한국어 교육 장의 운 을 지원하

고 있다. 반면에, 국립국어원에서는 련 부처와 기 들이 한국어 교육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인력을 양성하여 장에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교육 장의 내용 측면을 담당하고 있다.

4.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어 교육 정책 추진 현황

재 다문화 가정을 한 한국어 교육 지원 사업은 국무총리실 사회

통합 원회의 조정과 계 기 의 의를 통해 부처 간 복을 지양하

고 서로 력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각 부처에서 추진하고 있는

Page 12: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 제도 시정이나 조치를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기술한 조항에 잘 나타나 있다

16 ․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한국어 교육 사업 황과 국립국어원에서 담당하고 있는 부처별 련

사항을 정리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표 1> 부처별 다문화 가정 상 한국어 교육 련 법령 사업 황

구분 여성부 교과부 노동부 법무부

법률다문화가족지원법 교육기본법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 등에 한 법

재한 외국인 처우

기본법

정책

▪여성 결혼 이민

▪다문화 가족

취학 자녀

▪다문화 가족

취학 아동▪외국인 노동자

▪여성 결혼 이민

▪귀화 희망자

교육

▪다문화가족지원

센터 201개소

▪ 국 ․ ․

고등학교

▪다문화 학생을

한 안 학교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

▪사회 통합 로그

램 지정 기

주요

사업

▪한국어 집합

교육 방문

교육

▪자녀 상 언어

발달 교육

▪한국어 과정

도입․운

▪다문화 가정

학생 한국어․

기 학력 지도

▪한국어 교육

지원

▪취업 지

한국어 교육

▪국 취득을 한

사회 통합 로그

램 운

사항

(국립

국어원)

▪표 교재

개발․보

▪교원 양성과정

개발

▪방문지도사 상

한국어 교원 양

성과정 운 (유

자격화 지원)

▪한국어 교재

개발

▪한국어 교재

개발․보

▪표 교재 개발

지원

▪교원 연수 과정

개발

▪사회 통합 로그

램 한국어 강사

연수

Page 13: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 제도 시정이나 조치를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기술한 조항에 잘 나타나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 17

국립국어원에서는 ‘국어기본법’ 제19조7)와 부처 간 업무 의

약을 토 로 한국어 교육 이론 연구․개발 한국어 교육 기 연구

수행, 교육 과정․교육 자료 등 한국어 교육 내용 개발과 보 , 한국어

교원 양성․교육 자격 리, 맞춤형 한국어 교육 지원 체계 구축 등

내용 인 측면을 담당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의 문성을 강

화하고, 유 기 과의 조를 긴 히 하여 한국어 교육과 보 의 추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재 다문화 가정 한국어 교육 사업을 추

진하고 있는 부처와 기 단체 등과 국립국어원의 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유관 부처>

교육과학기술부

고용노동부

법무부

여성가족부

행정안전부

지방 자치 단체

사회통합위원회 <유관 기관>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산업인력관리공단

사회 통합

프로그램 운영

기관 등

▲ ▼

국립국어원

(기초 연구, 콘텐츠 개발,

교원 양성)

▶◀

▲ ▼

대학

한국어학과

국내외

한국어 양성 기관

주요 학회,

협․단체

기타 한국어 관련

단체

<그림 1> 다문화 가정을 한 한국어 교육 련 업무 추진 계

7) 국어기본법 제19조

① 국가는 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과 재외 동포의 ‘출입국과법 지

에 한법률’에 의한 재외동포(이하 “재외동포”라 한다)를 하여 교육 과

정과 교재를 개발하고 문가를 양성하는 등 국어의 보 에 필요한 사

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② 문화체육 부 장 은 재외동포나 외국인을 상으로 국어를 가르치고

자 하는 자에게 자격을 부여할 수 있다.

Page 14: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 제도 시정이나 조치를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기술한 조항에 잘 나타나 있다

18 ․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5. 다문화 가정을 위한 앞으로의 한국어 교육 정책 추진 방향

올해는 정부에서 추진하는 표 인 다문화 정책인 ‘제1차 다문화

가족 기본 계획’과 ‘제1차 외국인 정책 기본 계획’이 마무리되는 해이

다. 한국의 다문화 사회 논의가 정책에 반 되어 국내 이주민들이 한국

에 잘 정착해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한 우리 정부의 기 다문화 정

책이 얼마나 잘 추진되었는지를 검하고, 다음 방향을 설정해야 하는

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이에 이 에서는 다문화 사회의 언어 정책

한국어 교육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추진되어 왔는지를 간단히 살펴

보았다.

지 까지 정부에서 추진한 1단계 다문화 정책에서는 이주민 1세 들

의 한국 정착 지원에 을 맞춘 동화주의 이 강했다면, 2단계 다

문화 정책은 일반 시민의 다문화 인식을 제고하고 사회 문화 다양성

을 존 하는, 균형 잡힌 사회 통합 에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정

부에서 올해부터 국민의 다문화 인식을 제고하고, 이 언어 교육 차원

에서 다문화 가정 자녀의 언어 교육 지원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도 이러한 을 반 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련 부처에서 한국어 교육 사업을 잘 추진할 수

있도록 내용 인 측면을 지속 으로 지원할 뿐만 아니라, 국어 정책과

의 유기 인 련하에 다문화 가정 구성원을 한 한국어 교육이 추진

될 수 있도록 련 연구와 정책을 수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Page 15: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 제도 시정이나 조치를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기술한 조항에 잘 나타나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 19

참고 문헌

김승권 외(2010),《2009년 국 다문화 가족 실태 조사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박정아(2012), 국내 학습자 상 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 성과 과제,《이 언어학

회 제27차 국 학술 회 발표집》, 이 언어학회.

박창원(2011), 국어 정책을 한 제언,《새국어생활》 21-1, 국립국어원.

법무부(2008),《제1차 외국인 정책 기본 계획(2008~2012)》, 법무부.

법무부(2012),《2012년 외국인 정책 시행 계획》, 법무부.

여성가족부(2010),《다문화 가족 지원 정책 기본 계획(2010~2012)》, 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2012),《2012년 다문화 가족 지원 정책》, 여성가족부.

유네스코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원(2008),《다문화 사회의 이해》, 동녘.

윤인진(2008), 한국 다문화주의의 개와 특성-국가와 시민사회의 계를 심으

로,《한국사회학》 42-2, 한국사회학회.

Andrea Semprini(1997), Le Multiculturalisme, 이산호․김휘택 역(2010),《다문화

주의: 인문학을 통한 다문화주의의 비 해석》, 도서출 경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