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61
1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과 선진국 사례에서 배우는 정책방향 2014. 12. 이근태·고가영

Upload: others

Post on 17-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1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과

선진국 사례에서 배우는 정책방향

2014. 12.

이근태·고가영

Page 2: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2

본 보고서는 경제연구부문 이근태 수석연구위원과

고가영 선임연구원이 집필한 것입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필자들의 개인적인 견해이며, LG경제연구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혀드립니다.

Page 3: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3

<요 약>

■ 수출주도 성장은 국내시장의 구매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수출확대로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여 산업화를 달성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경제성장 방식으로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됨.

○ 수출주도 성장은 규모의 경제 특화에 따른 분업효과 선진기술 학습효

과 경쟁환경 노출 안정적 외화조달 등의 장점을 통해 경제의 성장 활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

○ 2차대전 이후 독일과 일본, 아시아 NIES국, 중국 등이 수출의 높은 활력을 통해

경제성장을 높인 바 있음.

○ 동남아, 중남미 등 다수의 개도국들이 수출을 통한 경제성장 추구

■ 2000년대 들어 수출주도 성장의 한계가 지적되면서 내수성장으로의 전환 필

요성을 강조하는 흐름

○ 다수의 국가가 성장주도 성장 전략을 택하면서 공급과잉에 따른 부작용이 나타

나고 있음.

○ 개도국들이 유사한 산업부문에 특화하면서 수출단가 하락 및 교역조건 악화 현

상 발생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출중심국 성장세 뚜렷한 저하

○ ADB, IMF, UNCTAD 등 주요 국제기관들은 수출주도 성장전략의 대안으로 내수

주도 성장전략으로의 전환을 제시

■ 수출중심국은 내수중심국에 비해 평균적으로 경제성장률이 높았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역전현상 발생

○ 수출중심국은 물가나 경상수지, 국가부채 측면에서 내수중심국보다 안정적인 모

습이었음.

○ 수출중심국은 제조업 중심의 성장이 이루어지면서 서비스 생산성이나 서비스 소

비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 수출주도 성장을 하다가 내수성장으로 전환을 시도한 사례는 주로 개도국에

많았으며 성과는 불확실함.

Page 4: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4

○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대표적 사례

○ 아시아 외환위기를 계기로 태국과 말레이시아 등이 내수성장 전환을 강조한 바

있음. 성장세 제고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부작용도 함께 확대

○ 소비중심의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을 공표한 중국은 임금상승이 계획대로 진행되

지 못하면서 소비확대가 아직까지는 기대만큼 빠르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

■ 일본은 1980년대 규제완화와 재정지원 등을 통해 거주공간을 개선시키고 여

가문화 시설을 늘려 내수성장으로의 전환을 계획했음. 일본의 입장에서 필요

한 정책이었으나 결과론적으로 볼 때 이는 부동산 거품을 유발시켜 장기침체

의 단초를 제공했음.

○ 북유럽과 캐나다 등은 2000년대 수출둔화에도 불구하고 소비가 꾸준히 늘면서

성장세를 유지한 경우임. 북유럽은 복지제도 정비에 따른 안정적 소비가 가능했

다는 점, 캐나다는 대량 이민유입으로 내수기반이 계속 확대되었다는 점이 긍정

적이었음.

○ 전환사례는 아니지만 미국의 발전사를 살펴보면 19세기 중반 이후 빠른 인구유

입과 수출 부문에서의 소득증대, 소비자 자본주의 확립이 수요기반을 확대시켰

으며 주택편의시설과 내구재라는 뚜렷한 수요 견인 부문이 있었다는 점이 미국

을 세계 최대 내수국으로 만드는 데 기여했음.

■ 우리나라에서도 수출 외끌이 성장이 한계에 이른 것으로 판단. 세계경제 성

장의 방향이나 치열해지는 경쟁여건 등을 고려할 때 우리 경제가 과거와 같

이 수출에만 의존하는 경제성장 구조를 유지할 경우 성장세의 급격한 둔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임

○ 글로벌 무역불균형 조정 과정에서 세계경제 성장에 비해 세계교역 증가율이 낮

은 현상이 향후 수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큼.

○ 내구재 수요가 위축되는 등 교역품목의 구성도 우리나라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작용할 전망임.

○ 금융위기 이후 국가간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대규모 투자를 기반으로 기술

격차를 좁혀오는 중국의 추격과 엔저를 기반으로 하는 일본의 반격이 본격화되

고 있음.

○ 원자재 중심의 수입구조, 높은 수출용 수입 비중, 만성적 내수부진 등으로 인해

Page 5: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5

경상수지 흑자에 따른 원화절상 기조가 이어지면서 수출부진이 장기화될 우려가

있음.

○ 수출과 내수부진이 지속될 경우 이에 따른 생산성 저하, 자본투입 위축으로 잠

재성장력이 급격히 저하될 위험이 있음.

■ 우리나라의 장기적인 성장잠재력 확충 가능성이 내수확대에 있다는 생각으

로 국가의 역량을 집중해 내수확대에 주력할 필요

○ 특히 우리나라는 저물가와 경상수지 흑자가 지속되고 있어 내수성장에 따른 부

작용이 크지 않고 오히려 디플레 리스크와 장기절상 압력을 줄이는 방안이 될

수 있음.

○ 내수형 성장으로의 전환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사례가 뚜렷하지 않은 만큼 새로

운 길을 만들어가야 할 것임.

■ 선진국 사례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바람직한 내수성장 방향을 정리해보았

음.

○ ① 소비자 효용을 높이는 시장창출 : 수요 측면에서의 처방과 공급을 촉진하는

정책을 병행해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시장을 많이 만들어

야 할 것임.

○ ② 내수확대를 견인할 주력산업에 집중 : 우리 국민들이 선호하지만 여건 부족

으로 소비하지 못하는 여가문화나 의료건강 부문을 핵심추진 산업으로 선정해

정책의 힘을 집중

○ ③ 수출과 내수의 동반성장 : 수출주도 성장에서 내수주도 성장으로의 전환을

추구하기보다는 수출과 내수가 균형 있게 성장을 이끌어가는 쌍끌이 경제를 만

들어야 할 것임.

○ ④ 안정적 수요확대 기반 구축 : 소득재분배 강화, 노후보장 확대 등으로 안정적

소비기반을 높이고 수출주도 성장을 장기간 지속하는 과정에서 내수부문에 상대

적으로 불리하게 되어 있는 제도나 경제시스템을 수정할 필요

○ ⑤ 내수성장의 부작용 대비 : 내수확대 과정에서 가계 및 정부부채가 빠르게 확

대되거나 부동산 경기가 과열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것임.

○ ⑥ 국제공조 체제 강화 : 한 나라의 내수확대 정책이 다른 나라의 경기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국제 갈등이 확대될 수 있는 만큼 국가간의 합의와 공

조 노력이 있다면 내수형 성장이 빨라질 수 있음.

Page 6: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6

<목 차>

1. 수출주도 성장의 배경 ...................................................................................................................................... 10

1) 수출주도 성장의 역사 ............................................................................................................................. 10

2) 수출주도 성장 사례 .................................................................................................................................. 11

3) 수출주도 성장의 장점 ............................................................................................................................. 13

2. 내수 주도 성장의 대두 .................................................................................................................................... 14

1) 수출주도 성장의 부작용 ......................................................................................................................... 14

2) 성장효과에 대한 논란 ............................................................................................................................. 15

3) 내수주도 성장 패러다임 확산 ............................................................................................................... 18

3. 수출 및 내수주도 성장국의 경제지표 비교............................................................................................... 19

1) 경제성장 ...................................................................................................................................................... 20

2) 생산 및 소비구조 ...................................................................................................................................... 22

3) 분배 측면 .................................................................................................................................................... 25

4) 경제안정성 .................................................................................................................................................. 27

4. 내수주도 성장 사례 .......................................................................................................................................... 30

1) 개도국의 내수성장 전환 사례 ............................................................................................................... 30

① 중남미 ....................................................................................................................................................... 30

② 태국 ........................................................................................................................................................... 31

③ 말레이시아............................................................................................................................................... 32

④ 중국 ........................................................................................................................................................... 33

2) 일본의 내수주도 성장 전환정책 .......................................................................................................... 36

3) 미국 ............................................................................................................................................................... 39

4) 성장지표로 본 전환사례 ......................................................................................................................... 41

① 북유럽 3개국: 노르웨이, 핀란드, 스웨덴 ...................................................................................... 42

② 캐나다 ....................................................................................................................................................... 43

③ 아일랜드 ................................................................................................................................................... 44

5.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44

1) 최근 경제성장 흐름 .................................................................................................................................. 44

2) 향후 수출환경 ............................................................................................................................................ 46

① 세계교역 트렌드 변화 .......................................................................................................................... 46

② 공급경쟁 심화 ........................................................................................................................................ 48

③ 통화절상과 수출부진의 악순환 가능성 .......................................................................................... 50

3) 장기 저성장 리스크 .................................................................................................................................. 51

Page 7: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7

4) 내수성장 전략의 필요성 ......................................................................................................................... 53

6. 내수형 성장의 기본 방향 ................................................................................................................................ 54

1) 소비자 효용을 높이는 시장창출 .......................................................................................................... 55

2) 내수확대를 견인할 주력산업에 집중 .................................................................................................. 55

3) 수출과 내수의 동반 성장 ....................................................................................................................... 56

4) 안정적 수요확대 기반 구축 ................................................................................................................... 57

5) 내수성장의 부작용 대비 ......................................................................................................................... 58

6) 국제공조 체제 강화 .................................................................................................................................. 59

Page 8: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8

<표그림 목차>

<그림 1> 세계 GDP에서 교역이 차지하는 비중 추이 .............................................................. 10

<그림 2> 1970년대 이후 전세계 수출의 성장기여율 추이 ....................................................... 11

<표 1> 멕시코와 중국의 수출전략 성과 차이 .............................................................................. 16

<그림 3> 수출비중과 경제성장률 간의 상관계수 추이 ............................................................. 18

<표 2> 주요국 수출비중 ...................................................................................................................... 20

<그림 4> 1인당 GDP구간별 성장률 격차 ..................................................................................... 21

<그림 5> 수출중심국, 내수중심국 성장률 추이 ........................................................................... 22

<표 3> 주요국 성장률 변화 ............................................................................................................... 22

<표 4> 1인당 GDP 구간별 제조업, 서비스업 비중 비교 .......................................................... 23

<그림 6> 주요국 제조업/서비스업 생산성 격차 ........................................................................... 24

<그림 7> 투자율, 저축률 비교 .......................................................................................................... 24

<그림 8> 소비 품목별 지출비중 비교 ............................................................................................. 25

<그림 9> 노동소득분배율 비교 ......................................................................................................... 26

<그림 10> 수출비중과 지니계수 분포 ............................................................................................ 27

<그림 11> 실업률 비교 ........................................................................................................................ 28

<그림 12> 물가상승률 비교 ............................................................................................................... 28

<그림 13> 주요국 경상수지 비중 ..................................................................................................... 29

<그림 14> 태국 경제성장률 추이 ..................................................................................................... 32

<그림 15> 말레이시아 지출부문별 증가율 추이 .......................................................................... 33

<그림 16> 중국의 수출증가율 추이 ................................................................................................. 33

<그림 17> 중국 임금증가율 추이 ..................................................................................................... 35

<표 5> 마에가와 리포트 정책 방향과 주요 내용 ........................................................................ 37

<표 6> 미국 내구재 소유비중 추이 ................................................................................................. 40

<표 7> 내수주도 전환국가의 주요 성장률 지표 .......................................................................... 41

<그림 18> 북유럽 3개국과 EU15개국의 성장률 비교 .............................................................. 43

<그림 19>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추이 ............................................................................................ 45

<그림 20> 우리나라 수출 증가율 추이 .......................................................................................... 46

<그림 21> 세계교역 증가율 추이 ..................................................................................................... 47

<그림 22> 미국 내구재 소비 감소 ................................................................................................... 48

<그림 23> 품목별 대중수출 증가율 변화 ...................................................................................... 49

<그림 24> 원자재 수입비중 국제비교 ............................................................................................ 51

<그림 25> 민간소비 증가율 추이 ..................................................................................................... 52

Page 9: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9

<그림 26> 우리나라 노동생산성 추이 ............................................................................................ 52

<그림 27> 우리나라 경상수지 추이 ................................................................................................. 54

Page 10: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10

1. 수출주도 성장의 배경

1) 수출주도 성장의 역사

■ 수출주도 성장은 수출을 통한 해외수요 확대가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

는 것을 의미. 국내시장의 구매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수출확대로 규모의 경

제를 활용하여 산업화를 달성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경제성장 방식

■ 수출이 국가의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 것은 산업혁명으로 공업화

가 진행되고 교통수단이 발전하기 시작한 19세기 중반 이후부터임.

○ 인류의 오랜 역사기간 중 경제활동의 대부분이 농업의 자급자족 및 자국 내 판

매에 의해 이루어져 왔음. 국가경제의 성장과 경기변동은 대부분 기상여건에 따

른 농작물 작황에 의해 결정

○ 1840년 이후 운하 건설, 철도보급 확대 등으로 운송비가 떨어지고 자유무역을

중시하는 정책흐름도 확대되면서 세계교역 및 국가간 생산요소 이동의 빠른 증

○ 세계GDP에서 교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1870년 5.9%, 1913년대 8.2% 수준으로 상

승(<그림 1> 참조)

<그림 1> 세계 GDP에서 교역이 차지하는 비중 추이

주: 16개국(일본, 미국, 이탈리아, 프랑스, 호주, 덴마크, 벨기에, 독일, 스웨덴,

오스트리아, 노르웨이, 영국, 스위스, 핀란드, 캐나다, 네덜란드)의 가중평균

자료: 세계화의 역사(2005)에서 인용

■ 1차 세계대전과 대공황, 2차대전 기간 중 경제충격과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세

Page 11: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11

계화 추세 주춤했으나 1950년대 이후 다시 교역이 세계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

○ 전후 전쟁 복구수요와 함께 자동차 및 내구재 수요의 확대, 국제기구 설립 등

세계교역에 유리한 여건이 형성되면서 국제무역의 높은 증가세

○ 1950~1970년 기간 중 독일, 이탈리아, 스위스 등 유럽 국가와 일본은 제조업 부

문의 빠른 생산성 확대를 통해 세계교역을 주도

○ 1970년대 이후 NIES 등 동아시아 개도국에 의해 수출주도 성장이 국가적 차원

의 명시적인 전략으로 채택. 이는 중남미 수입대체 전략의 실패에 대한 대안으

로 등장

■ 냉전체제의 종식과 함께 신자유주의 흐름이 확산되고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

하면서 1990년대 이후 세계화 빠른 속도로 전개. 워싱턴 컨센서스 이후 세계

교역 확대와 함께 수출주도 성장전략 더욱 확산(<그림 2> 참조)

○ 워싱턴 컨센서스는 IMF와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가 개도국 경제의 성장방식을

제시한 것으로 무역 및 자본의 자유화, 규제완화 등 정부 개입 축소를 강조하였

으며 이후 신자유주의 흐름을 가져온 중요한 계기가 됨.

○ NIES국의 성공에 자극 받은 아시아, 중남미 국가 국가들을 중심으로 수출중심

성장전략 확산

<그림 2> 1970년대 이후 전세계 수출의 성장기여율 추이

주: 세계 국민계정 상 수출의 성장 기여율

자료: UN

2) 수출주도 성장 사례

■ 2차대전 이후 독일, 일본은 수출확대를 통해 패전의 충격을 극복하고 선진국

Page 12: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12

대열에 재진입하는 성과를 거둠.

○ 자동차, 기계, 전자제품 등 부문에서 빠른 기술혁신, 2차 세계대전을 통해 구축된

중공업 부문의 자본, 숙련된 노동력을 이용해 양질의 공산품들을 값싸게 생산해

서 세계시장에 공급

○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환율 수준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수출의 가격경쟁력을 높이

고 경상수지 흑자를 지속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 NIES로 대표되는 아시아 후발국들은 국가 차원의 수출주도 성장전략을 채택

하여 고성장을 구가하였으며 수출주도 성장의 대표적 성공사례가 됨.

○ 원조 및 외채 등을 통해 조달된 자본을 특정 산업에 집중시키는 산업정책으로

특화도를 높이고 환율의 저평가를 유지해 수출경쟁력 유지

○ 한국은 철강, 석유화학, 자동차, 전기전자 등 중화학 산업에 주력하였고 대만은

컴퓨터장비 등 전자부문에 집중하였음. 싱가포르, 홍콩은 중개무역과 금융중심지

로 성장

○ NIES 국의 수출에 기반한 고성장이 성공 사례로 인식되면서 개도국 정부들이

유사한 전략을 택함.

■ 1980년대 중반 이후 중남미는 수입대체 전략을 포기하고 국가간 자유무역 동

맹을 통한 수출중심 성장전략 시도

○ 1986년 멕시코가 무역개방을 선언한 이후 1994년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가

체결되었는데 이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통합하는 최초의 자유무역 생산기지

였음.

○ 다만 해외 다국적기업의 생산기지로써 역할이 강조되면서 중남미의 자생적인 제

조업 경쟁력 확대는 높지 않았던 것으로 평가

■ 중국은 기술공유, 합작투자를 통해 선진국 자본을 끌어들이고 자본통제를 통

해 환율저평가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면서 수출을 통한 고성장을 이룸.

○ 중국의 수출주도 성장전략은 멕시코의 NAFTA 모델에서 좀 더 진화한 방식. 멕

시코와 달리 단순히 다국적 기업의 생산기지로 전락하지 않고 기술공유, 합작투

자를 통해 국가 기술기반 확대에 성공

○ 초기에 해외기업을 통한 수출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 독일, 일본, NIES국가들의

수출주도 성장방식과는 거리가 있었으나 점차 국내자본과 기술수준을 높여가면

Page 13: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13

서 자국기업을 통한 수출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

3) 수출주도 성장의 장점

■ 수출주도 성장은 ① 규모의 경제 ② 특화에 따른 분업효과 ③ 선진기술 학습

효과 ④ 경쟁환경 노출 ⑤ 안정적 외화조달 등의 장점을 통해 경제의 성장

활력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① 제한된 자국내 수요보다 규모가 큰 해외수요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규

모의 경제를 달성하여 단위당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

○ 대량생산을 통해 생산요소인 노동과 자본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제품 단위당

은 단위당 운임이나 원료구입비를 낮춤으로써 생산성 상승 효과

○ 특히 반도체, 자동차, 철강 등 대규모 고정투자를 필요로 하는 산업일수록 규모

의 경제효과가 크기 때문에 수출주도 성장에 유리

○ World Bank(1993)는 내수시장 규모가 작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성공요인이 해외

시장에 대한 수출을 통해 시장규모를 확대했기 때문이라고 평가

■ ② 각 국가가 자신이 비교우위에 있는 부문에 특화함으로써 세계적으로 자원

배분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교역참가국의 생산성이 상승하는 효과

○ 부존자원이나 국가적 특성에 따라 자국에 유리한 산업에 집중함으로써 생산비용

을 낮추는 이익 발생

○ 규모의 경제 효과는 한 국가에 집중될 경우 다른 국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반면 특화에 따른 분업의 이익은 모든 국가들이 공유할 수 있음.

○ 1950, 60년대 한국과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은 노동집약적인 경공업 제품을 수출

하여 빠르게 성장한 바 있음.

■ ③ 대외교역 과정에서 선진 기술의 습득과 실행을 통한 학습(learning-by-

doing)의 기회 증가

○ 무역의 활성화는 기술 확산과 지식 전파를 동반하게 되고 이는 생산성의 빠른

향상을 야기하여 경제를 성장시킴(Grossman and Helpman, 1991).

○ 특히 개발도상국의 경우 개방을 통해 선진국의 자본재 및 기술을 도입하기 용이

해졌으며 외국과의 교류 과정에서 인적자본 축적 확대

Page 14: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14

■ ④ 대외경쟁에 노출되면서 기업들의 경쟁력 제고 노력이 강화됨. 개방경제에

서는 경제전반의 비효율성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임.

○ 자국내에서는 독과점을 형성하는 기업도 해외시장에서는 완전경쟁과 가까운 환

경에 노출됨.

○ 폐쇄적인 무역구조보다 개방적인 무역구조를 취할 때 기업들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베스트 프랙티스 실천 가능성이 높음.

○ 무역과 자본 개방은 지대추구행위를 감소시켜 정치경제측면에서도 이익을 발생

시킴. 지대추구행위는 수입대체 산업화를 통한 성장과정에서 빈번하게 발생한

바 있음(Krueger, 1974)

■ ⑤ 개도국 성장단계에서 경제발전에 필요한 자본 및 원자재를 구입하기 위한

외화를 안정적으로 조달하는 것이 중요함. 대외부채를 통해 외화를 획득하는

것은 대외신뢰도나 금융시장 안정성 측면에서 불리

○ 외화는 국내생산과 생산확장에 필요한 투입요소를 수입하는 데 사용되어 경제를

성장시키는 중요한 수단인 만큼 개도국 초기 성장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성장수

단이 됨(Chenery and Strout, 1966).

○ 수출로 벌어들이는 외화는 대외부채를 통한 외화획득보다 안정적임. 개도국 성

장단계에서 통화가치가 하락하는 경우가 많은 데 외채가 많은 국가는 부채부담

확대 및 디폴트 우려가 커짐(ADB, 2005)

2. 내수 주도 성장의 대두

1) 수출주도 성장의 부작용

■ 수출중심 국가들은 내수기반이 취약하기 때문에 세계경제 위기 등 대외환경

변화 시 경제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주장

○ 수출비중이 높은 국가는 해외경기와 국내경기의 동조성이 높아짐. 이에 따라 해

외시장 침체 시 국내 경제도 함께 침체되는 경향이 높음(Felipe, 2003).

○ 특화에 따른 이익도 있지만 특정 품목에 치우친 산업구조를 지닐 경우 해당품목

의 수요변동에 따라 국내 경기 변동성이 커질 수 있음.

Page 15: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15

■ 수출 확대를 위한 급격한 외환시장 개방이 경제위기의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도 제기됨.

○ 과도한 외자유입이 경상수지 적자 확대와 결합될 경우 대외신뢰도가 단기간에

급격히 떨어지면서 외환위기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임.

○ 멕시코는 1990년대 들어 개방화, 민영화 등 신자유주의 정책과 NAFTA 발족으로

핫머니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페소화 절상 및 이에 따른 경상수지 적자 심화. 이

과정에서 빠르게 늘어난 외채가 1994년 외환위기로 이어지게 됨.

○ 1997~1998년 동아시아 금융위기 역시 수출고성장에 대한 과도한 기대, 외자유입

으로 인해 높게 평가된 화폐가치 및 과잉투자가 위기를 촉발시킨 원인이 된 측

면이 있음. 외환위기는 이후 러시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터키 등으로 순차적으

로 확산

■ 저소득국가에서는 세계수출 시장 경쟁확대로 노동기준이나 환경기준 등 삶

의 질과 관련된 규제들이 소홀해지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음. 생산기지 유치

를 위해 관련 규제를 완화시키는 밑바닥 경쟁(race to the bottom) 우려

○ 세계시장에서 가격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기업들은 임금수준이 낮고 노동관련 규

제가 크지 않은 국가들로 생산기지를 이전하는 경향

○ 멕시코에서는 NAFTA 가입 이후 임금상승을 억제하고 노동과 환경기준 보호에

소홀해 근로조건을 악화되었다는 분석

○ 파키스탄에서 아동노동을 철폐하자 축구산업 등 생산기지가 곧장 아동노동 규제

가 없는 인도로 이동한 사례(Berik, 2001)

2) 성장효과에 대한 논란

■ 수출주도 성장전략이 여러 개도국들에 의해 채택되었으나 모든 국가가 긍정

적인 성과를 보인 것은 아님.

○ 1970년대 이후 NIES 국가는 ‘동아시아의 기적’이라 불릴 정도로 고성장 하였으

나 말레이시아, 태국 등 동남아 국가들의 성과는 이에 미치지 못함.

○ 1990년대 뒤늦게 수출지향전락으로 전환한 멕시코 등 중남미 국가는 미국 시장

에 인접해 있다는 유리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경제성장률은 이전보다 더 하락하

는 결과(<표 1> 참조)

Page 16: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16

○ 중남미 국가들은 다국적 기업을 통한 수출가공산업에만 의존하여 글로벌 차원에

서 경쟁력 있는 제조기업을 육성하는 데 실패

<표 1> 멕시코와 중국의 수출전략 성과 차이

GDP 증가율 노동생산성 총요소생산성

1950-

1980

1980-

2008

1950-

1980

1980-

2008

1960-

1980

1980-

1989

1990-

2004

멕시코 6.4% 2.6% 3.1% -0.1% 1.6% -2.4% -0.6%

중국 4.9% 8.5% 2.0% 6.7% 0.6% 4.2% 4.7%

주: 연평균 증가율

자료: Palley(2011)

■ 크루그만은 동아시아의 경제발전이 지속불가능하며 다른 후발국가에서 모방

하기 힘든 성장모델임을 지적

○ 폴 크루그만은 ‘아시아 기적의 신화(The Myth of Asian Miracles)’라는 논문을 통해

동아시아의 경제발전은 생산기술의 발전 없이, 노동과 자본의 투입량을 증대시

켜 양적 성장을 이룬 것에 불과하므로 생산요소의 양이 한계에 달하면 성장은

더 이상 지속되지 못할 것이라 주장한 바 있음.

○ 아시아 수출중심국이 1970~90년대 경험한 고도성장은 그들의 독특한 환경에 의

해 가능한 것이었으며 다른 국가에서는 실현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제기됨(Buffie,

1992).

■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은 일부 국가가 성장주도 성장 전략을

택할 때는 성공할 수 있지만 많은 나라가 동시에 유사한 전략을 택할 경우

성장효과가 높지 않거나 오히려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음.

○ 수출주도 성장의 장점 중 특화 및 기술이전에 따른 생산성 증가 효과는 모든 국

가에 공통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규모의 경제 효과는 한 국가의 생산 확대가

다른 국가의 생산을 위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

○ 다수의 국가들이 유사한 산업 부문에서 수출을 확대시키려는 노력을 할 경우 공

급경쟁 확대에 따른 교역조건 악화, 통화약세 경쟁 등 부정적 영향이 발생할 수

있음.

○ 모든 국가가 수출에 의존하여 경제성장을 달성하려 한다면 이는 수요의 이동에

지나지 않는 구성의 오류를 초래(blecker, 2000). 즉, 선진국 수요가 제한된 상황에

Page 17: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17

서 개도국 간의 수출경쟁은 과잉투자와 유휴 생산설비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음.

■ 1990년대 이후 수출중심 전략을 채택하는 국가들이 늘어나면서 제조업부문

에서 교역조건 악화 현상 심화

○ 대공황 기간중 수요위축과 중남미 등 자원수출국간 공급경쟁이 확대됨. 1차상품

의 공급이 증가할수록 자원가격이 하락하여 교역조건이 악화되고 이에 대응해

수출을 더 늘릴 경우 다시 가격하락을 초래하는 악순환이 발생한 바 있음

(Prebisch, 1950; Singer, 1950).

○ 1990년대 이후 전기전자 산업부문에 집중하는 아시아 국가들이 늘어나면서 생산

능력이 빠르게 확대되고 수출단가는 저하 추세

○ 2000년대 이후 중국이 대량으로 저가제품을 공급하면서 철강, 화학, 조선 등 대

규모 장치산업 부문에서 과잉공급에 따른 가격하락 현상 심화

■ 수출을 통한 성장효과를 높이기 위한 국가간 경쟁은 통화가치의 경쟁적 절하

로 이어질 우려

○ 1930년대 대공황시기에 각국은 통화가치 절하, 수출보조, 수입억제정책을 통해

자국의 실업을 다른 국가에 전가하려 함(beggar-thy-neighborhood policy). 보복적인

수출정책이 만연하게 되면서 세계교역이 위축되고 글로벌 과잉 생산과 디플레이

션을 더욱 악화시켰음.

○ 2000년대 수출주도 성장을 통해 대규모 경상흑자를 기록한 중국 등 개도국의 인

위적 저환율 유지에 대한 선진국의 비판적 시선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의 양적 완화는 내수부

양과 함께 자국통화의 절하를 유도해 수출을 늘리려는 목적도 작용한 것으로 판

■ 특히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출중심국 성장세 뚜렷한 저하

○ 중국은 10%대 성장에서 7%대로 성장세가 급격히 둔화되었으며 우리나라 등

NIES국, ASEAN 국가들의 성장속도가 뚜렷이 하락

○ 수출비중과 경제성장과의 상관관계는 1990년대 이후 저하 추세를 보인 바 있으

며 금융위기 이후에는 마이너스로 반전(<그림 3> 참조)

○ UNDP(2009)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의 충격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특히 컸으며 이는 아시아의 수출주도성장 모델이 더 이상 지속가능 하지 않다는

Page 18: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18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

<그림 3> 수출비중과 경제성장률 간의 상관계수 추이

주: 각 기간동안 208개국의 수출비중과 경제성장률의 상관계수를 나타냄.

자료: UN

3) 내수주도 성장 패러다임 확산

■ 2000년대 들어 경제학자 및 국제기관들은 수출주도 성장전략의 대안으로 내

수주도 성장전략으로의 전환을 제시

○ Palley(2002)는 워싱턴 컨센서스로 대표되는 수출주도 성장전략은 위기에 취약하

며 노동조건을 악화시키는 등 여러 문제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내수주도성장

으로 성장 패러다임이 변화해야 한다고 주장. 내수주도성장은 수출의 중요성을

경시하는 것이 아니라 FDI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내수부문을 성장시켜 국가의

자생적인 성장동력을 마련하자는 의미

○ ADB(2005)는 급변하는 세계 경제환경 변화로 인해 수출주도성장이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하지 않으며 글로벌 규범 안에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 내수주도성장으

로의 패러다임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

■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내수성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흐름 더욱 빠르

게 확산

○ Deutch Bank(2009) 신흥 6개국(브라질, 중국, 인도, 한국, 멕시코, 러시아)는 이제

내수주도성장을 위한 정책 아젠다를 발전시켜야 할 때라면서 이를 위해 새로운

일련의 정책들이 필요하다고 주장

○ IMF(2012)는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폭 감소는 긍정적인 현상이며 2000년대 유지

Page 19: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19

되었던 글로벌 불균형 완화의 신호라고 평가. 지속적인 리밸런싱을 달성하기 위

해 내수기반을 확대시킬 것을 주문

○ UNCTAD(2013)는 선진국에서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개도국의 주요 수출

시장인 선진국의 수요 둔화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개도국의 자립

적인 성장을 위해 내수확대를 강조

3. 수출 및 내수주도 성장국의 경제지표 비교

■ 수출중심국과 내수중심국의 성과를 성장, 산업, 분배, 경제안정성 측면에서

비교해보았음.

○ UN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208개국의 국민계정 자료를 이용하여 한 국가의 수출

비중이 세계평균을 상회하는 국가를 수출중심국, 하회하는 국가를 내수중심국으

로 분류

○ GDP를 구성하는 각 지출 부문 중 투자와 수입은 내수를 위해 사용된 것인지 수

출을 위해 사용된 것인지에 따라 분해할 필요가 있음. 그러나 GDP계정에는 투

자와 수입이 사용 목적에 따라 구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나머지 지출 부문인

소비와 수출의 상대적인 비율에 따라 분해하는 간접적인 방식을 사용

○ 전 세계 국민계정 상 수출비중의 1970~2012년 전 기간 평균은 21.3%로 나타남.

수출비중은 세계교역이 점차 증가하면서 1970년대 16.4%, 1980년대 18.7%, 1990

년대 21.6%, 2000년대 26.8%로 증가

○ 대표적인 수출중심국가로 중국, 독일, 네덜란드, 스위스, NIES국(한국, 홍콩, 대만,

싱가포르)이 있으며 내수중심국가로는 미국, 일본, 스페인, 인도, 호주 등이 있음.

○ 경제성장 지표는 1970년부터 2012년 기간을 10년 단위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나머지 지표들은 자료의 한계로 2000년대 이후(2000~2012년) 기간에 대해서 분

Page 20: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20

<표 2> 주요국 수출비중

내수중심국 수출중심국

국가 비중(%) 국가 비중(%)

미국 11.7 독일 35.5

일본 15.3 덴마크 39.7

호주 21.4 스위스 41.0

영국 24.6 오스트리아 41.9

프랑스 24.8 네덜란드 49.7

이탈리아 25.2 벨기에 51.3

브라질 13.9 러시아 33.0

콜롬비아 17.0 중국 36.2

인도 21.2 한국 38.8

터키 21.9 태국 49.3

아르헨티나 22.7 홍콩 72.8

멕시코 26.2 싱가포르 80.1

주: 2000~2012년 평균

자료: UN

1) 경제성장

■ 1970년대부터 2012년까지의 전체 분석기간 중 수출중심 국가들의 경제성장

률이 내수중심국들보다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남.

○ 수출중심국의 평균성장률은 3.5%이고 내수중심국가의 평균성장률은 3.1%를 기

○ 수출중심 국가 중에서는 중국, 싱가포르, 한국,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국가들이

평균적으로 6% 이상의 높은 성장을 기록했고 우크라이나, 러시아 등 체제전환국

과 스위스, 덴마크, 이탈리아 등 유럽국가들이 2% 미만의 낮은 성장에 머물렀음.

○ 내수중심 국가 중에서는 이집트, 파키스탄, 터키 등이 평균 4% 이상의 성장을

기록했고 그리스, 아르헨티나, 일본 등이 2%대 성장률로 하위권을 차지

○ 전반적으로 내수중심 국가들에 비해 수출중심 국가들의 성장률 편차가 크게 나

타났음.

■ 일인당 소득 수준별로 나누어 보면 5천달러에서 4만 달러 사이의 국가에서

Page 21: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21

수출중심국과 내수중심국의 성장률 격차가 대부분 높게 나타남.

○ 일인당 GDP 5천~1만달러 사이의 국가에서 성장률 격차가 1.9%p로 높게 나타났

으며 1만~2만달러 국가에서도 1.5%p로 높았음.

○ 반면 1인당 GDP가 4만 달러 이상인 초고소득 국가에서 성장률 격차는 0.5%p로

적었고 5천달러 이하 국가에서는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음(<그림 4> 참조).

<그림 4> 1인당 GDP구간별 성장률 격차

주: 1970~2012년 연평균 성장률

자료: UN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내수중심국과 수출중심국의 경제성장률이 역전되

는 상황 발생

○ 1970년대부터 2007년까지는 수출중심국의 성장률이 내수중심국을 계속 상회했

으나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역전(<그림 5> 참조)

○ 내수주도국은 경제성장률이 2000년대 금융위기 이전 4.1%에서 금융위기 이후

3.4%로 완만하게 감소한 반면 수출주도국은 같은 기간 중 5.0%에서 2.6%로 크

게 감소

○ 위기 이후의 급격한 세계교역 위축으로 수출중심 국가들의 성장차질이 컸던 것

으로 판단

○ 금융위기 이후 성장률 하락이 컸던 수출중심 국가는 아일랜드(-7.2%p), 러시아(-

5.4%p)와 우크라이나(-8.4%), 카자흐스탄(-5.3%) 등 동유럽 국가였으며 아시아 국

가 중에서는 홍콩(-2.8%p), 태국(-2.3%p), 한국(-2.3%p) 등이었음.

Page 22: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22

<그림 5> 수출중심국, 내수중심국 성장률 추이

주: 연평균 성장률

자료: UN

<표 3> 주요국 성장률 변화

내수중심국 수출중심국

(단위:%) 1970~

2012

2000~

2007

2008~

2012 (단위:%)

1970~

2012

2000~

2007

2008~

2012

미국 2.9 2.6 0.8 중국 9.1 10.5 9.3

일본 2.6 1.5 -0.2 독일 2.0 1.6 0.7

브라질 3.9 3.5 3.2 러시아 0.7 7.2 1.8

인도 5.4 7.2 6.5 한국 7.1 5.2 2.9

호주 3.2 3.4 2.5 네덜란드 2.3 2.2 -0.1

스페인 2.7 3.6 -1.0 스위스 1.6 2.2 1.2

멕시코 3.4 2.7 1.9 벨기에 2.2 2.1 0.4

터키 4.3 5.1 3.1 대만 6.6 4.4 3.0

아르헨티나 2.6 3.2 5.4 싱가포르 7.2 6.3 4.3

콜롬비아 4.0 4.3 4.0 홍콩 5.8 5.3 2.5

주: 연평균 성장률

자료: UN

2) 생산 및 소비구조

■ 수출중심국은 제조업 비중이, 내수중심국은 서비스업 비중이 높음.

○ 제조업은 주로 대외 수요를 위한 교역재를 생산하는 부문이므로 수출중심국에서

Page 23: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23

높고 도소매업, 숙박음식업 등 내수시장을 중심으로 하는 서비스업의 비중은 내

수중심국에서 높은 것이 일반적

○ 2000년대 평균 제조업 비중은 중국(34.7%), 한국(27.9%), 태국(29.7%), 말레이시아

(26.6%) 등 아시아 신흥국과 독일(21.9%), 핀란드(21.9%) 등 유럽 수출중심국에서

높았음.

○ 서비스업 비중은 미국(77.7%), 프랑스(77.7%), 영국(75.7%) 등 내수중심국에서 주

로 높게 나타났으나 스위스(72.3%), 네덜란드(74.1%) 등은 일부 소득이 높은 유

럽국가들은 수출중심국이지만 서비스업 비중도 높았음.

<표 4> 1인당 GDP 구간별 제조업, 서비스업 비중 비교

(단위: %) 제조업 서비스업

1 인당

GDP 내수중심국 수출중심국 내수중심국 수출중심국

0~5 천 10.2 12.1 51.3 48.9

5 천~1 만 13.5 14.9 66.5 56.1

1 만~2 만 13.3 13.0 69.2 60.3

2 만~4 만 12.5 13.1 74.5 69.0

4 만 이상 10.0 14.0 76.6 66.9

주: 1인당 GDP구간별 제조업, 서비스업 비중. 2000~2012년 평균

자료: UN

■ 수출비중이 높아질수록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생산성 격차는 증가

○ OECD국가의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성(1인당 부가가치 기준, 2000~2012년 평균)

비율은 수출중심국에서 높게 나타남. 수출중심국은 평균적으로 제조업 생산성이

서비스업 생산성보다 1.2배 높은 반면 내수중심국은 산업간 생산성 차이가 거의

없었음.

○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생산성 격차가 가장 큰 국가는 한국으로 나타남. 2000년대

평균 한국의 제조업 생산성/서비스업 생산성 비율은 2.0배에 달하며 금융위기 이

전 1.8배에서 금융위기 이후 2.1배로 증가 추세를 보임(<그림 6> 참조).

○ 반면 그리스,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등 내수중심의 남유럽 국가들은 서비

스업의 생산성이 제조업보다 높거나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남.

○ 수출중심국가는 세계시장에서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제조업 부문의 생산성 향

상에 주력하고 상대적으로 서비스업 부문에는 소홀했을 것으로 판단됨.

Page 24: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24

<그림 6> 주요국 제조업/서비스업 생산성 격차

주: 2000~2012년 평균 서비스업 대비 제조업 생산성 비율

자료: OECD

■ 제조업 중심의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수출중심국은 내수중심국가에 비해

GDP 대비 투자 비중 및 국내저축률이 높게 나타남.

○ 2000년대 평균 투자비중은 내수중심국이 22.5%, 수출중심국이 23.4%로 수출중심

국이 높게 나타남(<그림 7> 참조).

○ 저축률 역시 수출중심국이 23.9%로 내수중심국의 15.9%보다 높았음.

○ 수출중심국 중에서는 산유국들의 저축률이 높았으며 중국, 싱가포르, 노르웨이

역시 높은 저축률을 기록

○ 반면 내수중심국 중 그리스, 포르투갈, 영국 등이 낮은 저축률을 기록

<그림 7> 투자율, 저축률 비교

주: 명목 GDP대비 투자, 저축 비중을 뜻함. 2000~2012년 평균

자료: UN

Page 25: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25

■ 소비구조 측면에서도 수출중심 국가들은 재화 관련 소비 비중이 높은 반면

내수중심 국가들은 서비스 소비 비중이 높게 나타남.

○ 수출중심국가는 의류 및 신발, 식료품 및 담배, 가사용품 등 1, 2차 산업 제품 소

비를 많이 하는 반면 내수중심 국가들은 여가문화, 보건의료, 교육 등 서비스 관

련 지출 비중이 높았음(<그림 8> 참조).

○ 의료나 교육 관련 지출은 공공제도 측면에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단순하게 판단

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나 여가문화 부문은 내수중심 국가가 상대적으로 더 많

이 하는 것으로 판단됨.

○ 수출중심국가들은 제조업 생산성이 높아 상대적으로 재화의 소비 여건이 더 나

을 것으로 볼 수 있음. 반면 내수중심 국가들은 국민들의 소비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서비스 산업이 발전했을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음.

<그림 8> 소비 품목별 지출비중 비교

주: 전체 소비에서 각 지출부문이 차지하는 비중. 2005~2012 평균

자료: Euromonitor

3) 분배 측면

■ 노동소득분배율은 평균적으로 내수중심국에서 높게 나타나며 수출비중이 증

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 노동소득분배율(2000~2011년 평균)은 수출중심국에서 52.7%로 내수중심국의

51.5%보다 소폭 높았음. 경제규모가 크거나 1인당 GDP 수준이 높은 국가군에서

이러한 경향은 더 심화됨(<그림 9> 참조).

Page 26: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26

○ 이는 제조업 부문이 자본집약적이고 서비스업이 노동집약적인 특징에 기인한 것

으로 판단됨.

○ 수출비중과 노동소득분배율 간의 산포도를 살펴보면 수출비중이 증가할수록 노

동투입에 분배되는 소득이 더 낮은 현상이 뚜렷이 나타남.

<그림 9> 노동소득분배율 비교

주: 2000년대 평균

자료: Penn World Table

■ 수출비중이 높은 국가가 소득불평등 정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출비

중이 일정 수준 이상을 넘어서면 다시 소득불평등도가 커지는 경향이 나타남.

○ 2000~2012년 평균 수출중심국의 지니계수는 0.38로 내수중심국의 지니계수 0.43

보다 낮았음. 이는 수출중심국이 내수중심국보다 상대적으로 소득이 평등하다는

것을 의미

○ 그러나 수출비중과 지니계수의 관계를 산포도로 그려보면 수출비중이 50% 이하

인 구간에서는 수출비중이 높을수록 지니계수가 낮아지는 모습을 보이지만 50%

를 상회하는 구간에서는 수출비중이 높을수록 지니계수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

남(<그림 10> 참조).

○ 수출중심 국가 중에서는 노르웨이, 핀란드 등 북유럽국가와 체크, 슬로바키아 등

동유럽 국가의 소득분배가 평등하게 나타났으며 홍콩, 중국, 싱가포르, 태국 등

아시아 국가들이 상대적으로 소득불평등도가 높았음.

○ 내수중심 국가 중에서는 프랑스, 스페인, 영국, 일본 등이 소득평등도가 높았으

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브라질, 멕시코, 미국은 소득불평등이 높았음.

○ 수출비중과 소득분배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설명하기는 어려움. 유럽국가 중 수

Page 27: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27

출비중이 높고 복지제도 발달로 소득분배도 잘 이루어지는 강소국들이 많은 데

따른 것으로 보임.

<그림 10> 수출비중과 지니계수 분포

주: 2004~2011평균

자료: Euromonitor

4) 경제안정성

■ 실업 및 물가, 경상수지, 국가부채 등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 중요한 지표들을

비교해보았음.

■ 내수중심국은 노동집약적 산업인 서비스 비중이 높았지만 평균적인 실업률

은 경제성장률이 높은 수출중심국보다 높았음.

○ 2000~2012년 평균 실업률은 내수중심국이 10.9%로 수출중심국의 8.1%보다 더

높았음.

○ 고용창출 효과가 큰 서비스업 중심인 내수중심국에서 실업률이 더 낮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수출중심국에서 높은 경제성장을 통해 고용을 더 많

이 창출한 것으로 나타남.

○ 금융위기 이후 세계적인 성장 저하에도 불구하고 내수중심국과 수출중심국 모두

실업률이 평균적으로 하락하였음. 이는 금융위기 이후 노동집약도가 높은 서비

스업 중심의 성장으로 인해 세계 주요국에서 성장 없이 고용이 늘어나는 현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임(<그림 11> 참조).

Page 28: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28

<그림 11> 실업률 비교

자료: IMF

■ 물가상승률은 평균적으로 내수중심국에서 높았음.

○ 물가상승률은 내수중심국이 10.2%, 수출중심국이 7.5%를 기록

○ 다만 1인당 소득 2만달러 이상의 국가군에서는 내수중심국의 물가상승률이 수출

중심국 물가를 소폭 하회함. 선진국 수준에서는 수출 및 내수주도 여부가 소비

자물가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판단(<그림 12> 참조)

<그림 12> 물가상승률 비교

주: 2000~2012년 평균

자료: WDI

■ 수출중심국은 경상수지 흑자국이 많았으며 내수중심국은 적자를 기록하는

국가가 많았음.

○ 저소득 국가의 경상수지 적자폭이 매우 커서 전체 평균을 왜곡시키는 효과가 있

Page 29: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29

음. GDP 백억 달러 이상 국가에 한정하여 살펴보면 수출중심국의 GDP 대비 경

상수지 비중 2.6% 흑자를 기록한 반면 내수중심국은 -4.5% 적자

○ 2000년대 내수중심국 중 경상수지 적자가 컸던 나라는 포르투갈, 그리스, 스페인

등 남유럽 국가와 미국, 영국 등이었음.

○ 반면 자원부국들은 자원을 수출하여 10%를 상회하는 경상수지 흑자가 발생. 아

시아 수출중심국들도 국내 수요를 초과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수출함으로써 상당

히 높은 경상수지 흑자폭을 보임. 2000년대 기준 싱가포르의 경상수지는 18.9%,

홍콩은 8.9%, 대만은 7.8%, 한국은 1.8%를 기록

<그림 13> 주요국 경상수지 비중

주: 2000~2012년 평균

자료: IMF

■ 내수중심국은 높은 정부지출과 해외차입으로 인해 국가부채 비중이 높은 편.

○ 내수중심국의 평균적인 국가부채 비중(GDP대비)은 72.7%로 수출중심국의 48.3%

에 비해 월등히 높음.

○ 내수중심국가중 일본은 고령화로 인한 사회보장지출 증가로 2000년대 기준 국가

부채 비중이 188.6%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임. 미국 역시 국가부채 비중이

73.3%로 GDP규모가 백억 달러 이상인 국가의 평균인 48.8%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리스, 이탈리아, 포르투갈 등 남유럽 국가들도 높은 국가부채 수준

○ 내수중심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국가 전체의 외화자산 부족을 야기해 해외차입을

늘리는 원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 또한 내수비중이 높은 국가에서는 경기

부진 시 정부지출 증가를 통해 내수부양을 하려는 유인이 컸을 것으로 생각됨.

Page 30: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30

4. 내수주도 성장 사례

■ 수출주도 성장에서 내수주도 성장으로의 전환을 계획한 사례는 주로 개도국

에서 나타남.

○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태국, 말레이시아의 내

수성장 전략,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한 중국의 소비중심 성장전략 등이 대표적

○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경제성장 측면에서 실패사례로 지목되고 있으며 태국,

말레이시아의 내수성장 전략도 부작용 등으로 성공여부가 불확실. 중국의 소비

확대도 아직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한 상황

■ 선진국 중 국가 차원에서 내수성장으로의 전환을 계획한 사례는 1980년대 일

본이었음. 북유럽 3개국과 캐나다 등은 명시적으로 내수중심 성장으로의 전

환을 계획하지는 않았으나 2000년대 들어 수출의 활력 저하된 가운데 내수가

꾸준히 성장하면서 성장을 유지한 경우임.

○ 성장방식을 바꾸지는 않았지만 미국이 대표적인 내수중심국으로 성장하게 된 경

과도 살펴보고자 함.

1) 개도국의 내수성장 전환 사례

① 중남미

■ 1930년대 중남미 국가들은 보호무역주의를 바탕으로 수입을 제한하고 국내

생산으로 대체하여 산업화를 이루는 수입대체 성장 방식 채택

○ 대공황 이후 기간 중 자원가격 하락에 따른 경제충격 경험으로 대외의존도를 줄

이는 전략을 1980년대까지 지속

○ 수출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원자재, 기계설비 등 수입 확대로 만성적인 국제수

지 적자와 저성장 경험

○ 통화가치 하락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면서 경제불안정성 확대. 실패한 정책 사

례로 자주 인용됨

Page 31: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31

② 태국

■ 태국은 외환위기 충격을 극복하기 위해 대외의존도를 낮추고 내수중심 경제

로 전환하려는 노력 강화

○ 2001년 당선된 탁신 총리는 동아시아 외환위기의 원인이 외국인투자, 다국적기

업 중심의 공업화에 따른 대외의존도 심화에 있다고 판단

○ 탁시니즘(Thaksinism) 혹은 탁시노믹스(Thaksinomics)는 민간소비를 부양하고 전

통적인 산업(농업)을 발전시켜 수출과 더불어 내수를 확대시키는 정책기조를 일

컬음.

○ 농민서민 진흥책, 주요 전통산업 진흥, 경제 효율성과 장기적인 경쟁력 함양, 안

정적인 규제환경 제공, 대외부문 진작과 대외협력을 통한 금융 안정성 조성 등

추구

○ 공무원 임금 상승, 노인 연금 지급액 인상 등 가계 소득기반 확충 노력

○ 국영은행의 대출 확대, 중소기업 자금 지원 확대 등 금융완화 지속

■ 2000년대 전반기까지는 경제성장 제고, 주식시장 활기, 빈곤 축소 등 상당히

긍정적인 성과를 보임.

○ 농가 부채 유예와 저리의 농자금 대출, 농촌 기반시설 확충 등 농민들의 생활을

개선시키는 경제정책들이 농민의 열렬한 지지를 이끌어냈으며 태국 국민들의 빈

곤을 줄이는 데 일조한 것으로 평가됨.

○ 2002~2004년 평균 경제성장률은 6%를 넘어섰으며 주가지수도 높은 상승세 기록

(<그림 14> 참조)

■ 그러나 2000년대 중반부터 인플레이션, 환율, 부채 등 경제지표가 악화되는

등 과도한 경기부양책의 부작용이 나타나기 시작

○ 2005년부터 바트화 가치가 폭락하기 시작하였고 인플레이션이 6년 만에 최고치

를 기록하는 등 공격적인 부양정책의 부작용이 나타나기 시작. 가계부채 및 정

부부채도 증가하며 거시 안정성을 위협

○ 집권 초기부터 재산은닉 혐의에 시달리던 탁신은 2006년 면세혜택까지 추가로

드러나 쿠테타에 의해 실각하게 됨. 이로써 탁신의 정치경제 실험은 막을 내리

게 됨.

Page 32: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32

<그림 14> 태국 경제성장률 추이

주: 3개년 이동평균

자료: UN

③ 말레이시아

■ 말레이시아는 NIES국가들의 수출주도 성장모델을 그대로 답습하여 고도성장

을 구가. 그러나 90년대 말 외환위기의 직격탄을 맞고 내수주도성장으로 선

○ 외환위기를 겪은 대부분 동아시아 국가들이 IMF의 권고에 따라 강력한 구조개

혁, 개방정책 등을 펼친 반면 말레이시아는 자본유출입을 통제하고 내수에 의한

성장전략을 시도

○ 말레이시아 수출 증가율은 1990년대 12.5%에서 2000년대 4.4%로 크게 둔화되었

으나 소비성장률이 1990년대 5.5%에서 2000년대 7.3%로 증가하며 GDP성장률이

5%대를 유지(<그림 15> 참조)

○ 저금리 유지, 가계소득 확대 노력 등으로 내수서비스 부문의 성장세가 높아졌고

건설부문도 고성장하면서 수출둔화 효과를 상쇄시키는 역할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 수요 급감에 따른 충격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았다

는 평가

○ 다만 최근 들어 민간부문의 부채증가, 공공구분의 재정적자 확대 등 부작용이

커지면서 수출을 통한 성장동력을 확충하고 투자여건을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다시 부각되고 있음.

Page 33: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33

<그림 15> 말레이시아 지출부문별 증가율 추이

주: 실질기준. 3개년 이동평균

자료: UN

④ 중국

■ 중국은 2000년대 수출과 투자가 주도하는 성장의 한계에 봉착

○ 수출은 2000년대 중국의 고속성장에 중요한 기여를 했으나 금융위기 이후 세계

교역 둔화로 중국의 수출은 뚜렷한 저하 추세(<그림 16> 참조)

<그림 16> 중국의 수출증가율 추이

주: 실질 기준. 3개년 이동평균

자료: UN

Page 34: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34

○ 위기 극복을 위한 정부의 SOC 투자와 부동산 붐에 따른 주택투자가 중국경기를

이끌었으나 과잉투자 우려, 지방정부 부채문제, 부동산 거품 논란 등으로 투자가

주도하는 성장은 지속되기 어려운 것으로 중국정부는 판단하고 있음.

○ 중국의 소득수준 향상과 함께 임금, 지가 등 생산비가 높아지면서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하는 것이 점차 어려워짐. 반면 13억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내수 소비시

장의 성장여지는 매우 크다는 점에서 소비주도 성장으로의 전환은 불가피한 것

으로 판단됨.

■ 2000년대 중반부터 내수확대를 중장기 국정과제로 채택한 바 있으며 2011년

부터 내수소비를 중심으로 한 성장전략의 전환을 본격적으로 추진

○ 2006년 11차 경제개발 5개년 규획에서 후진타오 당시 신임국가주석이 ‘내수확대

를 통한 안정적이고 빠른 경제발전’을 첫번째 총괄지도원칙으로 제시

○ 2011년 3월 발표된 12차 경제개발 5개년 규획에서는 투자구조의 개선이 필요하

며 내수확대의 전략적 중점은 소비라고 밝힘.

○ 최근 시진핑 주석이 제시한 중국경제의 ‘신창타이(新常態)’에서 수출과 투자중심

의 양적 성장에서 소비중심의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을 강조

■ 중국 내수확대 정책의 기본 방향은 임금의 높은 상승을 유도하고 소득격차를

줄여 가계의 소득기반을 확대함과 동시에 저임금에 의존하는 단순가공무역에

서 보다 고부가가치 부문으로의 산업구조 전환을 꾀하는 것임.

○ 12차 5개년계획(2011~2015년)에서 가계소득과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높인다

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으며 이 기간 중 평균임금을 2배로 끌어올릴 계획

○ 정부가 제시하는 임금상승률인 임금가이드 라인을 10%대 중반까지 높이고 주요

도시지역의 최저임금을 큰 폭으로 인상

○ 양적∙질적 측면에서 도시화를 촉진함으로써 도시화 관련 수요확대를 유도하고

소득격차 축소

■ 세제개편, 사회보장 확대 및 재정지원 등으로 소비여력을 확충하고 금융자율

성을 높여 환율, 금리를 소비에 유리한 방향으로 유도

○ 개인소득세 개편으로 중산층의 가처분소득을 늘리고, 의료보험, 양로보험 등 5대

사회보험 확대로 사회보장 시스템 개혁을 강화하여 노후 대비 목적으로 인해 과

도하게 높은 저축률을 낮추는 효과 기대

Page 35: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35

○ 가전제품과 자동차에 대한 구매보조금 지급 등 적극적인 소비부양책 실시

○ 위안화 변동폭 확대 등 위안화의 완만한 절상을 유도하고 생산활동을 위해 인위

적으로 낮게 유지되었던 예금금리도 정상화시키는 방향. 그동안 기업활동, 수출

지원형 금융정책을 점차 내수장려쪽으로 전환

■ 아직까지는 중국의 소비주도 성장 전환 노력의 성과가 잘 나타나지 않는 것

으로 판단됨.

○ 중국경제 성장에서 소비가 기여하는 정도는 2010년 4.5%p에서 소비주도의 성장

을 추진하기 시작한 2011년에 5.3%p로 상승한 바 있으나 지난해에는 3.9%p로 감

소.

○ 배기가스의 환경오염문제, 주요 내구재 보급률 포화,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내구재가 둔화되는 가운데 헬스케어, 여가문화 등 부문의 소비확대 속도도 빠르

지 않음.

○ 수출부진, 과잉설비 문제 등으로 기업수익성이 낮아지면서 최근 들어 중국정부

는 임금가이드라인을 낮추고 최저임금 인상폭도 빠르게 둔화되고 있음(<그림

17> 참조). 주요 도시의 임금가이드 라인은 지난해 14%에서 올해 12.4%로 하락

<그림 17> 중국 임금증가율 추이

주: 최저임금 증가율은 2011년 22개지역, 2012년 25개지역, 2013년

27개지역 평균. 평균임금 증가율은 도시 국유기업 임금증가율을 의미

자료: CEIC, 기사 참조

■ 수출과 투자활력 저하로 경제의 소득창출이 둔화되면서 임금인상이나 소득

재분배를 통한 가계소득 확대가 아직 여의치 않았던 것으로 판단됨. 중국의

가계소비가 수출과 투자를 대신해 수요를 이끌어 가면서 경제의 선순환을 창

출하기 위해 좀더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임.

Page 36: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36

○ 소비주도 성장으로의 전환 성공여부가 향후 중국경제가 최근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7%대 중고성장을 지속할 것인지 아니면 서구전망기관들이 예상하는 대로

성장률이 급격히 떨어질 것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임.

2) 일본의 내수주도 성장 전환정책

■ 일본은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에 대한 미국과 유럽 등 교역대상국의 흑자삭감

압력이 커지고 엔화가치가 빠르게 절상되면서 1980년대 중반 내수주도 성장

으로의 전환을 추진

○ 1980년대 이후 일본의 대미무역흑자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미국의 시장개방 요구

확대. 미국은 개별 품목의 시장개방뿐 아니라 내수확대 정책과 거래관행 개선

등 유통구조 변화를 통한 실질적 수입증대를 요구

○ 플라자 합의 이후 엔화절상이 가속되면서 수출주도 성장 지속 어려움

■ 일본은 정부와 학자, 기업인들로 구성된 ‘국제 공조를 위한 경제 구조 조정

연구회’를 설립하고 경상 수지 불균형 축소를 위해 일본경제의 성장방식 전

환을 전환하고 글로벌 경제협력을 높이는 방안을 정리한 ‘마에가와(前川) 리

포트’ 발표(1986.4월) (<표 5> 참조)

○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 지속을 위기상황으로 인식하고 기존 경제정책 및 국민생

활 방식을 역사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판단

○ 국제 협조형 경제를 실현하고 국제 국가 일본을 지향해 나가기 위해 내수 주도

형 경제 성장을 도모하는 동시에 수출입·산업 구조의 근본적 전환을 추진

○ 단순히 대외압력을 줄여 제조업의 국제경쟁력을 유지하려는 수단이 아니라 국민

들이 풍요를 실감할 수 있도록 성장의 방식 자체를 바꾸려는 시도

○ 내수확대와 산업구조 조정, 유통시장 개혁과 통화가치 안정을 주요 정책방향으

로 제시

Page 37: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37

<표 5> 마에가와 리포트 정책 방향과 주요 내용

정책 방향 주요 내용

내수 확대

민간중심 주택사업, 규제완화, 도시재개발

임금상승, 소득세 감세, 근로시간 단축

지방채 활용 등에 의한 지방 사회자본 정비

국제적으로 조화로운

산업구조 전환

석탄광업생산 감소, 서비스업발전 촉진

국내고용을 배려하며 해외 직접투자 촉진

대내외 가격차가 큰 농산물 수입 확대

해외시장접근 개선

현지생산, 중간재 수입 확대, 유통구조 합리화

기업의 해외시장 마찰 지양

(점유율 확대 제일주의 탈피)

국제통화 가치 안정화

및 금융자유화

적절한 국제 통화가치의 안정과 유지

금융 자본시장 자유화와 엔화 국제화

국제협력 추진과

국제적 위상 제고

개발도상국으로부터 수입 확대

누적 채무문제 해소

경제기술 협력 추진

과학기술문화적국제교류추진

뉴라운드 적극적 추진, GATT 체제 강화

자료: 마에가와(前川) 리포트, 국제공조를 위한 경제 구조조정 연구회(1986.4.7)

■ 내수확대를 위해 주거시설 개혁, 사회간접자본 정비 등 승수 효과를 통한 소

비진작 효과가 큰 부문에 대한 공급확대 정책에 중점을 둠.

○ 규제완화와 재정지원 등을 통해 대도시 시가지를 재개발하고 신도시 건설 등 근

접 거주공간 창출

○ 지방 사회자본의 정비를 통해 내수확대 효과를 전국적으로 확산시킴.

○ 수요 측면에서는 주 40시간 근무제 도입, 시간외 근로 상한선 설정, 유급휴가 활

용 장려 등의 소비유인책 실시

○ 소매점법, 주세법 개선, 운송업 규제의 재검토, 농산물 가격 정책 개선 등 유통

시장 개혁을 통해 수입확대 촉진

■ 민활법 제정, 리조트법, 도쿄만 임해부 개발계획 등을 통해 대규모 건설투자

를 계획하고 민간의 참여를 유도

Page 38: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38

○ 국가공유지의 토지신탁제도 도입으로 각종 개발 사업에서 국유지 이용을 원활하

게 하였고 민간사업자에게 세제혜택과 일본개발은행의 대출 및 출자 확대, 채무

보증과 보조금 등의 지원 제공

○ 매립지였던 도쿄만 해안지역에 정보통신 인프라를 강화한 첨단 인텔리전스 비즈

니스 센터를 설립하는 임해부 개발 프로젝트 등 도쿄 주변지구의 대형 재개발

사업 추진

○ 1987년 종합보양지역정비법(리조트법) 제정으로 민간 및 지방자치 단체의 여가

시설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도

○ 민간기업과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 호응으로 대규모 리조트 개발 계획 추진. 총

41개 도도부현(都道府縣)이 참여하고 중점정비지구의 면적이 국토면적의 2%에

달하며 투자규모가 10조엔에 이르는 대규모 리조트 개발계획 수립

■ 내수확대와 경제구조조정의 추진을 위해 통화, 재정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

○ 경제구조 변화를 위해 재정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것이라는 의지 표명.

1990년대 경기침체시 내수확대 위해 대규모 적자재정 편성

○ 엔고로 인한 수출경쟁력 저하를 막고 내수확대 유인을 높이기 위해 1980년대 중

반 이후 저금리 기조 유지(기준금리 1985년 5%에서 1987년 2.5%로 인하)

■ 일본은 1990년대 이후 장기침체를 겪음으로써 내수성장 전환의 결실을 맺지

못했음.

○ 주거와 여가문화 부문에서 적극적으로 공급을 촉진함으로써 시장을 만들려고 했

던 시도 자체는 의미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됨.

○ 그러나 엔고에 따른 수출 위축으로 소득창출이 어려워지고 고령화 및 인구감소

로 잠재성장력이 떨어지면서 소비와 투자심리 저하

○ 유통시장을 실질적으로 개혁하는 데 실패함으로써 수입을 늘리지 못하고 경상흑

자와 엔고 상당기간 지속

○ 특히 저금리가 지속되는 가운데 부동산 개발에 민간자본의 참여를 유도하는 과

정에서 부동산 가격의 거품이 발생했다는 점이 치명적이었음.

○ 리조트법의 경우 계획기간에 시간이 오래 걸려 버블붕괴가 시작된 이후 본격적

으로 추진되었다는 점, 수요를 고려하지 않고 고급레저 시설에 집중해 중산층

이하의 수요를 끌어내지 못했다는 점, 지자체 간의 공급경쟁으로 인해 국가 전

체적으로 과잉공급이 발생했다는 점 등이 지적되고 있음.

Page 39: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39

3) 미국

■ 미국은 수출주도 성장을 하다가 내수성장으로 전환한 사례는 아니지만 짧은

기간에 세계 최대의 내수주도 국가로 성장하게 된 요인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임.

■ 유럽 선진국들에 비해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는 미국이 고도성장을 기록하면

서 세계경제의 중심 국가로 발돋움하게 된 계기는 19세기 중반 남북전쟁 이

후의 공업화 시기인 것으로 생각됨.

○ Maddison 통계에 따르면 미국의 GDP는 1870~1920년 기간 중 연평균 3.7%의 높

은 성장세 기록

○ 산업혁명에 따른 기술혁신으로 제조업 생산성이 높아지면서 농업에서 제조업으

로의 산업구조 전환이 빠르게 진전. 이는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를 가능케 한 요

인이 되었음.

○ 유럽으로부터의 생산가능 연령의 대량 이민으로 인해 급격히 늘어난 노동인구가

생산에 기여. 같은 기간 중 인구증가율은 2.0%에 달해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

을 차지

○ 유전개발 붐에 따른 석유산업의 발전은 에너지 공급가격을 크게 떨어뜨리면서

생산성 증대와 가계 실질소득 증가에 기여

■ 미국의 높은 생산능력을 내수소비 시장 확대로 연결시킬 수 있었던 것은 가

계의 소비기반 역시 빠르게 확대되었기 때문임.

○ 대량이민 등에 따른 인구증가는 생산능력을 높이는 요인이었지만 동시에 미국의

내수소비 시장규모를 급격하게 확대시키는 역할을 하였음. 생산연령인 젊은 층

인구 유입의 확대는 출산률 증가 등으로 이어지면서 소비인구의 급증을 가져옴.

○ 철도 건설에 따른 물류혁신과 백화점 및 통신판매 등 유통구조의 발전, 할부신

용의 보급 등 금융시스템 발전으로 제조업 부문의 대량생산이 대량소비로 이어

질 수 있었음.

■ 주거 관련 내구시설과 자동차, 가전 등 내구재 등이 소비를 견인하는 주도산

업의 역할을 했음.

Page 40: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40

○ 20세기 초반 전등, 수세식 변기, 중앙난방 시스템 등 주거환경을 편하게 하는 시

설들에 대한 소비 확산(<표 6> 참조)

○ 1920년대 이후 미국은 자동차, 냉장고, 라디오 등 내구재가 발명되면서 ‘내구재

소비혁명’을 경험(Martha Olney). 기술혁신으로 내구재 가격이 오르지 않고 가계

소득은 꾸준히 늘면서 보급률 급격하게 확대

<표 6> 미국 내구재 소유비중 추이

(단위: %) 전등 수세식

변기 중앙난방 전기냉장고

1900 3 15 0 -

1910 15 - 0 -

1920 35 20 1 -

1930 68 51 - 8

1940 79 60 42 44

주: 각 내구재를 소유한 가구의 비중

자료: Lebergott, The American Economy, 1976

■ 소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소비자 자본주의(consumer capitalism)’가 형성되면

서 생산성향상에 따른 빠른 공급확대를 소비수요가 따라갈 수 있었음.

○ 1920년대를 계기로 ‘소비자 자본주의’가 소비시장의 주류를 이루는 이념으로 자

리잡은 것으로 평가

○ 자원 부족 시기 근검절약을 강조하는 청교도 윤리를 바탕으로 생산과 축적을 우

선시한 ‘생산자 자본주의’이념이 중시되었으나 점차 개인과 가족의 풍요로운 소

비생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소비자 자본주의’ 이념으로 변모

○ 오래 되었더라도 사용 가능한 제품을 계속 쓰기보다는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

면서 풍요로운 소비를 향유하는 경향 확산

○ 이름없는 대량생산품보다 코닥, 코카콜라, 캠벨 등 브랜드 가치를 선호하는 경향

이 이 기간 중 정착되었으며 제품의 본질적인 기능 외에 패션과 디자인, 이미지

등이 제품 선택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시작했음.

○ 잡지와 미디어를 통한 지속적인 상품광고가 새로운 소비자 윤리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였음.

■ 수출도 빠르게 확대되면서 내수와 수출의 동반성장 경험

Page 41: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41

○ 19세기 중반부터 1차세계 대전 이전 시기까지 수출이 빠르게 늘면서 기업 및 가

계소득 확대에 중요한 역할. 미국의 수출이 GN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850년대

5.6%에서 1910년대 8.1%까지 빠르게 상승

○ 1920년대 이후에도 냉장고, 라디오 등 가전과 자동차 수출이 크게 확대되면서

made in USA 제품을 세계에 널리 보급

4) 성장지표로 본 전환사례

■ 수출주도 성장을 했던 국가들 중 내수주도 성장으로 전환하거나 내수의 성장

기여율이 크게 높아진 국가들이 있는지 살펴보았음.

○ 1970년대 이후 10년 단위 경제성장률을 기준으로 수출의 기여율이 더 높았던 국

가 중에서 이후 내수의 성장기여율이 20%p 이상 높아진 국가를 선정. 단 내수의

기여율이 높아진 원인이 수출의 급감 때문인 경우를 배제하기 위해 내수의 평균

성장률이 유지된 경우만을 살펴봄.

<표 7> 내수주도 전환국가의 주요 성장률 지표

(단위: %) 내수기여율 GDP 증가율 내수증가율 수출증가율

1990 년대 2000 년대 '90 '00 '90 '00 '90 '00

스웨덴 0.3 38.8 1.7 2.3 0.0 1.4 5.6 3.7

노르웨이 42.8 97.4 3.6 1.7 2.8 2.7 5.3 0.1

핀란드 -7.9 47.5 1.6 1.9 -0.2 1.3 6.8 2.7

캐나다 21.9 90.6 2.4 2.2 0.8 2.8 6.9 0.6

아일랜드 -23.7 24.0 2.4 4.7 -0.4 2.2 6.6 7.5

말레이시아 18.1 49.0 7.1 5.0 3.6 7.0 10.4 4.1

베네수엘라 16.2 149.8 2.4 3.4 0.6 5.0 4.5 -3.0

주: 2000년대는 2000~2012년을 의미

자료: UN

■ 선진국 중 수출주도 성장을 하던 국가가 이후 내수주도 성장으로 전환하면서

기존의 성장세를 유지한 사례는 많지 않았음.

○ GDP가 천만달러 이상이고 1인당 소득은 2만달러 이상인 선진국 중에서 내수성

장이 강화된 국가는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등 북유럽 국가와 캐나다, 아일랜

드 등 5개국이었으며 모두 1990년대에 비해 2000년대(2000~2012년) 기간에 나타

Page 42: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42

났음.

○ 1인당 소득 1만 달러 이상 국가 중에는 말레이시아, 베네수엘라 등 포함

① 북유럽 3개국: 노르웨이, 핀란드, 스웨덴

■ 북유럽 국가인 노르웨이, 핀란드, 스웨덴은 소규모 개방경제로서 역사적으로

수출을 통해 경제부국으로 성장한 바 있음.

○ 1,000만명이 넘지 않는 인구이지만 1차산업(핀란드, 스웨덴은 임산업, 광산업, 노

르웨이는 수산업, 원유) 수출과 이를 토대로 한 철강, 제지, 기계 등 제조업 수출

이 성장의 주된 원동력이었음.

○ 1980년대말의 북유럽 금융위기를 극복하고 첨단산업 육성과 기술혁신을 통해

1990년대까지 수출강국의 지위를 유지했음. 스웨덴은 전자, 금속 등 엔지니어링

과 화학 분야에서, 핀란드는 정보통신산업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

■ 2000년대 들어 주력 수출제조업 부문에서의 경쟁력 저하로 수출증가세가 뚜

렷이 저하되었으나 가계소비 등 내수성장이 꾸준히 유지되면서 성장의 급격

한 저하를 막았음.

○ 2000년대 3개 국가의 연평균 수출증가율은 핀란드 3.5%(90년대 8.0%), 노르웨이

0.4%(90년대 5.7%), 스웨덴 4.1%(90년대 6.8%)로 둔화.

○ 핀란드는 2000년대 후반 주력 성장산업이었던 휴대폰과 제지산업의 성장세가 둔

화되면서 수출 부진. 스웨덴은 2000년대 이후 자동차와 통신장비 분야의 세계시

장점유율이 뚜렷이 감소한 바 있음.

○ 2000년대 내수는 2% 이상의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북유럽 3국의 성장세 급락을

막는 요인으로 작용했음. 가계소비가 견고하게 늘어나고 주택투자도 증가하면서

성장기여도를 높임.

○ 내수가 받쳐주면서 2000년대 북유럽 3개국의 성장률은 핀란드는 1.9%, 노르웨이

1.7%, 스웨덴 2.3%로 유럽연합 15개국의 평균성장률인 1.3%에 비해 상대적으로

견고한 성장세 유지. 금융위기 이후에도 EU 15개국의 내수성장률은 -1.5%를 기

록한 반면 노르웨이(0.6%)와 스웨덴(0.9%)은 플러스 성장세를 유지했으며 핀란드

(-0.7%)도 완만한 둔화에 그침(<그림 18> 참조).

Page 43: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43

<그림 18> 북유럽 3개국과 EU15개국의 성장률 비교

주: 연평균 성장률

자료: Eurostat, UN

■ 북유럽 3개국의 내수가 꾸준히 성장할 수 있었던 요인으로 스톡홀름대 에릭

슨(Lennart Erixon) 교수는 높은 복지수준과 소득평등으로 내수기반이 높았다

는 점, 개혁을 통한 복지제도의 지속가능성을 높여 가계가 안심하고 소비에

나설 수 있었다는 점을 지적

○ 스웨덴은 1990년대 후반 실업수당과 연금지급을 삭감하는 복지개혁을 추진하여

높은 복지수준에도 불구하고 재정여력이 충분한 편이었음.

○ 북유럽 금융위기 후유증으로 1990년대 내수경기가 위축되어 있었던 데 따른 반

등효과도 작용

○ 부동산 경기 호조로 주택투자가 확대되면서 내수증대에 기여했지만 부동산 가격

을 적정 수준으로 통제할 수 있었다는 점도 내수경기가 꾸준하게 확대될 수 있

었던 요인임. 북유럽국가 중 덴마크의 경우 2000년대 금융위기 이후 주택버블이

붕괴하면서 큰 폭의 내수 위축을 경험

■ 다만 북유럽 국가들은 수출주도 성장에서 내수주도 성장으로 전환했다기보

다는 수출과 내수 기반이 모두 강했던 국가였으며 2000년대 상대적으로 수출

의 힘이 낮아지면서 내수가 부각된 것으로 판단됨.

② 캐나다

■ 캐나다는 이민장려 정책에 따른 대규모 인구 및 자본유입이 2000년대 소비와

Page 44: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44

건설투자를 견인한 것으로 판단

○ 캐나다는 1994년 NAFTA 도입으로 수출이 90년대 연평균 8.0%에 달했으나 2000

년대 들어 0.7%로 크게 둔화. 반면 내수성장률은 90년대 1.8%에서 2000년대

3.1%로 성장

○ 대규모 이민 유입으로 연 1% 이상의 인구와 투자자본이 유입되면서 내수기반

확보. 소비와 건설투자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내수가 성장을 주도

○ 주택가격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 경상수지 적자 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최

근 수출에 의한 성장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상황

○ IMF와 캐나다 중앙은행은 캐나다의 지나친 내수의존 경향을 우려하며 더 높은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수출에 의한 성장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주장

③ 아일랜드

■ 아일랜드는 1990년대 수출경쟁력을 빠르게 높이면서 제조업 강국으로 등장

했으나 2000년대에는 부동산 붐으로 건설과 금융부문이 내수를 주도. 주택거

품 붕괴로 금융 및 재정위기가 발생한 사례

○ 개방정책에 따른 대규모 직접투자 유치와 사회협약을 통한 노사갈등 조정으로

제조업 경쟁력이 높아지면서 1990년대 수출을 통한 고성장 시현.

○ 2000년대 주택 및 상업용 부동산 경기 호황으로 건설투자 급증. 건설업 비중은

1998년 6.5%에서 2006년 11.0%로 확대. 2000년대초 신규일자리의 80%가 건설부

문에서 창출. 저금리와 부동산붐으로 은행 대출이 크게 늘면서 민간부채 급증

○ 2008년 이후 부동산 거품 붕괴로 금융위기를 맞았으며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국가부채가 급등해 결국 국가신뢰 위기로 이어짐.

5.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1) 최근 경제성장 흐름

■ 우리나라는 2000년대 들어 경제의 성장활력이 급격하게 둔화되었음.

○ 우리나라의 평균 경제성장률은 1970년대 10%대에서 1990년대 외환위기 이전까

지 8%대로 완만하게 낮아졌으나 위기 이후 빠른 둔화추세

Page 45: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45

○ 2000년대에는 4%대로 급격히 하락했고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이한 2010년대에는

3%대 성장에 머물고 있음(<그림 19> 참조).

<그림 19>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추이

주: 연평균 성장률

자료: 한국은행

■ 성장세가 크게 낮아진 것은 그동안 우리 경제를 이끌어오던 수출의 증가세가

약화된 데 따른 측면이 큼.

○ 그동안 국내경기의 상승기에는 수출수요가 회복을 선도하면서 설비투자가 늘어

나고 기업수익성 증대에 따른 임금 및 고용확대가 소비를 견인하는 모습이 일반

적이었음.

○ 그러나 국민계정상 재화와 서비스 수출증가율은 1990년대 13.6%에서 2000년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까지 11.4%로 낮아졌으며 위기 이후는 6.2%로 뚜렷한 저하

추세를 보였음(<그림 20> 참조).

○ 수출액 측면에서 보더라도 통관기준 수출은 2000년대 위기 이전까지 평균

12.6%를 기록했으나 최근 3년간은 1% 내외 증가에 그침

■ 금융위기에 따른 경기 급등락 이후 지난해부터 세계경기가 완만하게 회복기

조를 보이고 있지만 국내경제의 회복속도는 과거에 비해 크게 낮아져 있는

상황임.

○ 수출과 내수부진이 이어지면서 생산 증가속도는 2000년대 회복기의 절반 수준에

머물고 있음.

○ 소비위축이 지속되고 기업수익성도 크게 떨어지면서 가계와 기업들은 경기회복

Page 46: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46

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음.

<그림 20> 우리나라 수출 증가율 추이

주: 국민계정상 재화와 서비스 수출의 실질증가율. 연평균 증가율

자료: 한국은행

2) 향후 수출환경

① 세계교역 트렌드 변화

■ 2003~2007년의 세계경제 초호황기 중 세계교역이 급격하게 성장하면서 개도

국의 고성장에 기여한 바 있음.

○ 세계교역은 연평균 16.7%의 높은 증가세를 보였으며 세계 GDP에서 교역이 차

지하는 비중은 2002년 19.2%에서 2008년 26.1%로 급등

○ 중국이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하면서 중국을 생산거점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구축

○ 내구재 수요 확대로 관련 중간부품 교역이 크게 늘고 생산시설을 늘리기 위한

자본재 교역 급증

■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 성장세가 낮아지는 가운데 세계교역

은 더 급격하게 위축

○ 2000년대 후반 이후 세계교역은 2000년대 이전 추세에도 미치지 못하는 부진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

○ 세계교역금액 증가율은 2008~2013년 평균 2.6%로 1990년대 평균 6.5%에도 미치

Page 47: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47

지 못하며 2013~2014년에는 1% 내외의 성장에 머물고 있음(<그림 21> 참조).

<그림 21> 세계교역 증가율 추이

주: 금액기준. 3년 이동평균

자료: KITA

■ 2000년대 교역확대는 선진국들이 부채확대를 통해 수요를 크게 늘린 데 따른

것이며 글로벌 금융위기는 이와 같은 현상이 지속가능하지 않음을 입증한 셈

○ 선진국 가계 및 정부부채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과거와 같이 선진국이 수요를 견

인하는 역할을 하지 못할 것임.

○ 개도국 고성장에 대한 기대로 선진국 자본이 일방적으로 유입되던 현상도 멈춘

상황임.

○ 글로벌 무역불균형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선진국들의 수요를 수입에 의존하기보

다는 자체 생산하는 경향이 강화되는 모습

■ 세계경제 성장에 비해서도 교역증가율이 낮은 현상이 향후 수년간 지속될 가

능성이 큼.

○ 세계경제 성장에서 교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추세에 비해 과도하게 높아진 것으

로 판단되며 이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교역부진 현상 지속될 전망

■ 교역규모가 둔화될 뿐 아니라 내구재 수요가 위축되는 등 교역품목의 구성도

우리나라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작용할 전망임.

○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 소비 중 내구재 수요 둔화가 뚜렷한 모습임. 전기전자 및

자동차 등의 내구재 뿐만 아니라 의류 등 준내구재 수요도 둔화

○ 미국의 경우 전체 소비에서 내구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대 위기 이전까지

Page 48: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48

약 13.0%에 달했으나 금융위기 이후에는 평균 10%대로 낮아졌음. 유럽의 내구

재 소비 비중도 금융위기 이전인 2007년 11.6%에서 2012년에는 10.3%로 하락(<

그림 22> 참조)

○ 가계부채 위기를 겪는 과정에서 내구재 등 사치성 소비를 줄이고 필수소비와 서

비스 소비를 중시하는 경향 확산

○ 2000년대 스마트폰 혁명 등과 같이 가계의 소비를 주도할만한 새로운 제품이 나

타나지 않는 것도 내구재 소비 둔화 요인

<그림 22> 미국 내구재 소비 감소

주: 전체소비지출에서 내구재, 헬스케어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

자료: BEA

② 공급경쟁 심화

■ 금융위기 이후 국가간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대규모 투자를 기반으로 기

술격차를 좁혀오는 중국의 추격과 엔저를 기반으로 하는 일본의 반격이 본격

화되고 있음.

○ 세계수요가 빠르게 늘어나는 시기에는 모든 국가들이 수출을 늘릴 수 있었지만

금융위기 이후에는 제한된 수요를 차지하기 위한 공급경쟁이 심화되면서 국가간

차별화현상이 나타날 것임.

■ 중국은 대규모 투자와 기술개발 노력으로 우리와의 기술격차를 축소시키면

서 최근 들어 소재, 첨단부품, 고부가가치 소비재 부문에서도 우리 시장을 빠

르게 잠식해가고 있음.

○ 1990년대 이후 중국은 장치산업 부문의 대규모 투자확대로 생산능력을 크게 늘

Page 49: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49

린 바 있으며 이러한 설비들을 바탕으로 2010년대 들어 생산을 본격적으로 늘리

면서 수입을 대체하는 상황. 철강, 화학 부문에서 우리나라의 대중수출이 급격히

감소(<그림 23> 참조)

○ 디스플레이의 중국산 생산 비중도 빠르게 높아지고 있으며 반도체 등으로 생산

영역 확장 계획

○ 샤오미가 세계 스마트폰 생산 3위를 차지하는 등 첨단 정보기기 분야에서도 거

대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중국기업이 약진하고 있음.

<그림 23> 품목별 대중수출 증가율 변화

주: 해당기간 연평균 증가율

자료: KITA

■ 주요 장치산업의 세계적 공급과잉으로 수출단가 저하, 수출기업 수익성 악화

현상 당분간 이어질 전망

○ 세계철강협회에 따르면 올해 철강공급 과잉규모는 5억 8천만톤으로 전체 수요의

30%에 달함. 개도국의 치열한 물량공세 등으로 공급과잉 추세는 장기적으로 지

속될 것으로 예상

○ 조선업종도 중국발 공급과잉이 심한 상황임. 지난 4년간 중국 내 조선소 2700

곳이 문을 닫을 정도로 구조조정이 일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일감이 없는 조선소

가 전체조선소의 76%에 달할 정도로 과도

○ 석유화학 산업의 경우 2010년 이후 중국의 석유화학 기업들이 신증설에 나선 바

있으며 지난해부터 공급물량이 늘면서 과잉공급 지속

Page 50: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50

■ 엔화약세 현상이 지속되면서 가격경쟁력이 회복된 일본기업들의 공세가 본

격화될 전망

○ 아베 정부는 인플레 경제로의 진입을 위해 과감한 통화확장 기조를 상당 기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엔 약세기조 장기화 전망

○ 그동안 진행된 엔화약세로 일본 기업들의 수익성이 크게 높아진 상황. 아직까지

는 떨어졌던 수익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지만 점차 투자확대 및 가격경쟁에

나설 것으로 예상

○ 일본과 경합관계가 높은 자동차 부문의 충격이 클 것으로 예상되며 철강, 화학,

조선 등 장치산업과 미래 첨단 산업 부문도 부정적 영향 전망

③ 통화절상과 수출부진의 악순환 가능성

■ 원자재 중심의 수입구조, 높은 수출용 수입 비중, 만성적 내수부진 등으로 인

해 경상수지 흑자에 따른 원화절상 기조가 이어지면서 수출부진이 장기화될

우려가 있음.

○ 세계경제를 제조업보다 서비스업 부문이 주도하면서 원자재수요가 둔화되는 반

면 셰일오일 등 비전통석유 생산이 늘면서 원자재가격은 하향세를 지속할 전망

○ 우리나라 전체 수입에서 원자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75.5%에 달함. 원자재 가격

하락에 따른 수입둔화 추세가 지속되면서 수출부진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경상수

지 흑자가 지속될 전망(<그림 24> 참조)

○ 고령층의 노후대비 불안에 따른 소비성향 저하, 과도한 건설투자 비중 등 구조

적 요인으로 인해 특별한 정책적 노력이 없다면 내수부진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큼. 내수부문의 수입유발이 높지 않을 전망

○ 최근 미국 금리인상 우려로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서 원화가치가 낮아지고 있지

만 이에 따른 불안감이 진정될 경우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에 따른 영향으로 원

화가 절상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

■ 80년대 중반 이후 일본은 엔고에도 불구하고 원자재가격 하락 등으로 경상흑

자가 지속되면서 수출의 충격이 장기화되었던 경험이 있음. 우리나라의 현재

상황과 상당히 유사

○ 1985년 플라자 합의 이후 엔고가 빠르게 진행되었지만 2차 오일쇼크 충격이 완

화되는 데 따른 원유가격 하락으로 수입이 줄어들면서 대규모 경상흑자가 이어

Page 51: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51

진 바 있음.

○ 경상흑자가 다시 엔고의 원인이 되면서 일본기업들의 가격경쟁력이 크게 낮아졌

으며 독일, 미국과 우리나라, 대만 등이 일본기업을 대체해간 바 있음.

○ 엔고를 피하기 위한 해외진출 확대 등이 제조업 공동화로 이어지는 등 엔고는

‘잃어버린 20년’의 중요한 원인이 됨.

<그림 24> 원자재 수입비중 국제비교

자료: UN Comtrade 2012

3) 장기 저성장 리스크

■ 국내 내수부문은 자체적인 성장 확대 여력이 부족해 수출부진이 지속될 경우

내수경기에도 부정적 영향이 지속될 것임.

○ 국민들의 삶의 질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는 소비수요는 2000년대 장기적인 부

진을 경험하고 있음. 민간소비 증가율은 1990년대 5.9%에서 2000년대 이후 현재

까지 3.5%에 머무는 상황(<그림 25> 참조)

○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과도하게 높은 건설투자는 금융위기 이후 평균 마이

너스 성장을 기록하는 등 심한 침체를 보이고 있음.

Page 52: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52

<그림 25> 민간소비 증가율 추이

주: 실질기준

자료: 한국은행

■ 잠재성장률 측면에서도 수출부진의 충격이 클 것임. 생산인구 감소가 본격화

될 경우 성장세의 급격한 저하 리스크가 있음.

○ 수출제조업 부문이 위축되고 상대적으로 서비스 성장이 빨라지면서 우리 경제의

생산성 증가세가 크게 떨어지고 있음(<그림 26> 참조).

<그림 26> 우리나라 노동생산성 추이

주: 연평균 증가율

자료: 한국은행

○ 주력 장치산업의 세계적 공급과잉, 건설투자의 구조적 부진 등으로 자본투입도

계속 둔화되는 상황

○ 서비스 부문의 고용증가로 노동투입이 늘어나고 있지만 고용이 도소매, 음식숙

박 등 전통적인 부분이 집중되어 부가가치 창출이 높지 않음.

Page 53: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53

○ 2017년 이후 생산가능인구 감소 등을 고려할 때 고용확대를 통한 성장이 지속되

기 어려움. 국내경제의 성장 저하 추세가 급격해질 가능성

4) 내수성장 전략의 필요성

■ 세계경제 성장의 방향이나 치열해지는 경쟁여건 등을 고려할 때 우리 경제가

과거와 같이 수출에만 의존하는 경제성장 구조를 유지할 경우 성장세의 급격

한 둔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임

■ 우리나라 수출은 규모 등 양적인 측면이나 주력제품의 시장지배력 등 질적

측면에서 상당한 수준의 발전을 이룬 바 있지만 수출주도형 성장을 장기간

지속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내수 기반은 취약한 상황

○ 수출주도형 성장에서는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투자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소비보다 저축이 강조되는 사회적 분위기 형성

○ 가계소비 지출구조 상 교육, 교통 등 사실상 투자목적의 지출 비중이 높으며 여

가문화, 의료 등 국민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지출부문의 비중이 낮음.

○ 2000년대 평균 우리나라 여가문화 소비비중은 7.9%로 선진국(IMF기준) 평균

9.3%에 비해 낮은 수준

○ GDP 대비 의료비 지출 비중도 선진국보다 크게 낮은 수준임.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점을 감안할 때 의료비부문의 소비도 확대여지가 큼.

■ 내수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내수를 늘릴 여지가 그

만큼 크다는 것을 의미

○ 부족한 내수기반을 확대시킴으로써 생산과 고용이 늘어나고 다시 소득이 늘어나

는 선순환을 만들어 낸다면 내수가 주도하는 경제성장이 가능할 것임.

■ 특히 우리나라는 저물가와 경상수지 흑자가 지속되고 있어 내수성장에 따른

부작용이 크지 않고 오히려 디플레 리스크와 장기절상 압력을 줄이는 방안이

될 수 있음.

○ 내수경기의 빠른 성장에 따른 부작용으로 수입증가에 따른 경상수지 악화 및 부

채 증가, 물가상승 압력 증가 등이 지적됨.

○ 현재 우리나라는 경상수지 흑자가 GDP의 6.1%를 차지할 정도로 커서 원화절상

Page 54: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54

및 대외적 견제의 우려가 큼(<그림 27> 참조).

○ 국제원자재 가격의 하향으로 국내적으로도 당분간 저물가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디플레이션에 빠질 우려도 제기되는 상황.

○ 내수확대는 단순히 수요증가에 따른 직접적인 성장견인 효과뿐 아니라 원화절상

압력 완화, 디플레 리스크 해소 등을 통해 경제리스크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

음.

■ 수출주도 성장 방식을 오랫동안 지속하다가 내수형 성장을 추진하는 것은 쉽

지 않은 작업일 것임. 단순한 수요부양 정책으로는 내수부문의 본격적인 성

장이 어려움.

○ 수출주도 성장을 지속하는 과정에서 자원배분이나 제도, 경제시스템 등이 수출

중심으로 고착화되어 내수성장의 제약요인이 될 것임.

■ 우리나라의 장기적인 성장잠재력 확충 가능성이 내수확대에 있다는 생각으

로 국가의 역량을 집중해 내수확대에 주력할 필요

○ 내수형 성장으로의 전환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사례가 희소한 만큼 새로운 길을

만들어가야 할 것임.

<그림 27> 우리나라 경상수지 추이

주: GDP 대비 비중

자료: IMF

6. 내수형 성장의 기본 방향

Page 55: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55

1) 소비자 효용을 높이는 시장창출

■ 일반적으로 내수형 성장으로의 전환 방법으로서 수요 측면에서의 변화가 주

로 강조되는 경향이 있음.

○ 임금상승 및 소득분배 확대 등을 통해 가계의 구매력을 높이게 되면 소비가 늘

어나면서 생산 및 소득이 확대되는 경제성장의 선순환을 이끌 수 있다는 것임.

○ 수요가 공급을 창출하고 공급이 다시 수요를 창출하는 케인지언 접근방식 강조

■ 그러나 수요 측면에서의 처방으로는 내수확대가 일시적이 될 우려가 있으며

공급을 촉진하는 정책을 병행해 시장을 만들어가는 방안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임.

○ 가계가 원하고 소비하고 싶은 시장이 만들어지지 않는다면 수요확대가 생산 및

고용증가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수요확대는 일시적이 될 것임.

○ 중국의 내수전환 정책이 기대만큼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것도 주택경기 부진,

내구재 보급 포화 등으로 수요를 주도할 부문이 없는 데 기인한 바 큰 것으로

판단

○ 비록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주거 및 관광 부문에서 시장을 만들어내려고 했던 일

본의 경험을 좀더 연구해볼 필요가 있을 것임.

○ 규제완화와 함께 필요시 세제 및 금융지원, 인프라 지원 등 적극적인 산업정책

수단이 활용될 수 있을 것임.

■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시장을 만들어야 할 것임.

○ 기존의 시장에서 수요가 늘어나는 것은 한계가 있을 것임. 소비자들에게 가치를

줄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이 많이 생겨야 내수부문에서 성장활력을 높이는 동력이

마련될 수 있을 것임.

○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이 새로운 산업과 시장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변화를 적

극적으로 수용하는 유연한 정책적 자세 필요

2) 내수확대를 견인할 주력산업에 집중

■ 경제의 성장을 주도할 수 있는 내수산업 부문을 선정해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산업정책 필요

Page 56: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56

○ 내수서비스 확대를 위해 7대 서비스산업이 선정된 바 있으나 모두가 내수시장의

성장을 이끌어가기는 쉽지 않을 것임.

○ 교육, 금융, 물류 등은 우리 경제의 잠재적인 성장능력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서비스 부문으로 생산성 증대가 절실하지만 이들 부문에서의 내수시장의 양적

성장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는 불투명

○ 우리 국민들의 잠재적인 수요가 크지만 여러 제약요인 때문에 충분히 소비하지

못하는 부문을 핵심산업을 선정해 정책의 힘을 집중시킬 필요

■ 우리 국민들이 선호하지만 여건 부족으로 소비하지 못하는 여가문화나 의료

건강 부문을 핵심추진 산업으로 선정해 정책의 힘을 집중시키는 방안을 검토

해볼 필요가 있음.

○ 우리 국민들은 여행이나 공연관람 등 문화생활에 대한 요구가 크지만 여러 가지

제약요인들 때문에 여가생활을 제대로 향유하지 못하는 상황

○ 국민여가 활동조사에 따르면 우리 국민들이 희망하는 여가는 해외여행, 영화보

기, 등산 등 활동적인 여가가 대부분이나 실제로는 TV시청, 인터넷 사용 등으로

질적인 측면에서 비활동적이고 저비용의 여가가 많았음.

○ 장시간 노동으로 휴식의 필요성이 크고, 높은 교육비, 주거비 등으로 경제적 여

유가 적다는 점, 인프라 부족 등으로 여가활동에 따른 비용이 높은 점 등이 원인

으로 지적됨.

○ 고령화의 빠른 진행으로 헬스케어 수요도 확대 여지가 큰 만큼 여가문화 산업과

연계해 지원할 필요

○ 토지이용 규제의 대폭 완화, 국유지 이용시 세제지원과 시설 건립에 필요한 인

프라 지원 등 과감한 정책 고려해야

3) 수출과 내수의 동반 성장

■ 수출주도 성장에서 내수주도 성장으로의 전환을 추구하기보다는 수출과 내

수가 균형 있게 성장을 이끌어가는 쌍끌이 경제를 만들어야 할 것임.

○ 수출이 과거처럼 혼자 경제성장을 선도하기는 어렵더라도 일정 수준의 성장세를

유지해야 수출에서 창출된 소득이 내수확대에 기여할 수 있음. 아직 내수기반이

취약한 상황에서 수출이 크게 위축될 경우 내수산업 성장도 불가능할 것임.

Page 57: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57

○ 미국, 일본, 중국의 사례를 보더라도 수출부문에서의 소득유입이 내수확대에 중

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과학기술의 토대를 높이기 위한 원천기술 R&D 투자 확대, 민간부문의 제조업

혁신을 유도하는 환경 조성 등으로 수출제조업 경쟁력 확대노력은 더욱 강화되

어야 할 것임.

■ 내수산업 육성이 내수산업 보호로 이어져서는 안될 것임. 내수확대가 적정한

규모의 수입을 유발할 수 있도록 자유무역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음.

○ 장기적으로 수출과 수입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해야 원화절상 및 무역제재 등의

압력을 피하면서 수출이 꾸준히 성장할 수 있음. 수입과 수출이 동시에 위축되

는 축소균형이 되지 않도록 하려면 시장개방을 통해 수입이 확대되어야 함.

해외직구나 병행수입 등 유통채널의 다양화를 격려하는 등 소비시장 개방을 확

대하여 소비자의 효용을 늘리고 국내 생산요소가 비교우위가 있는 부분에 특화

될 있도록 해야 할 것임.

4) 안정적 수요확대 기반 구축

■ 수요기반 확대는 단기적 부양보다는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변화를 통해 이루

어져야 할 것임.

○ 인위적인 임금인상은 수출경쟁력을 떨어뜨려 수출을 통한 소득창출을 어렵게 할

수 있는 만큼 소득재분배 기능 강화 등을 통해 소비성향이 높은 저소득층의 소

비기반이 높아질 필요가 있음.

○ 공적 연금제도의 보장규모를 점진적으로 확대시키고 정년 연장 등으로 고령층의

소득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

○ 복지기능을 선진국 수준으로 점차 확대시켜 사회안전망을 강화함으로써 안정적

인 소비심리 유지

■ 인구의 급격한 감소추세 완화

○ 미국, 캐나다의 사례에서 보듯이 인구증가는 내수확대의 중요한 기반이 됨.

○ 출산과 보육에 대한 지원 규모를 선진국 수준으로 확대하여 세계적으로 낮은 수

준의 출산율을 제고하는 것이 시급

Page 58: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58

○ 출산율 제고 효과가 나타나기 이전까지 생산가능 연령 인구 증가를 위해 해외이

민유입 완화정책을 고려할 필요

■ 수출주도 성장을 장기간 지속하는 과정에서 내수부문에 상대적으로 불리하

게 되어 있는 제도나 경제시스템을 수정할 필요

○ 세제혜택이나 금융지원 시스템 등에서 수출산업에 비해 내수서비스 산업이 상대

적으로 불리한 만큼 관련 제도 개선

○ 수출산업이 국가경제의 장기적 성장력을 결정하는 핵심부문이고 소비관련 산업

은 향략이나 낭비 등 부정적 개념과 결부시키는 경향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임.

대국민 홍보와 소비산업의 중요성에 대한 홍보를 통해 국민적 인식을 바꿔나가

는 노력 기울여야 할 것

○ 생산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소비자 권리가 과도하게 제한되지 않도록 소비자 주

권 강화

■ 내수확대 정책과 서비스산업 육성 정책을 분리시켜 생각해야 할 것임.

○ 내수확대 정책의 프레임 하에 서비스부문의 수출을 늘리려는 정책기조가 자주

제시되고 있음.

○ 내수산업 확대가 서비스산업 부문의 수출경쟁력 확대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가게

될 경우 상대적으로 국제 비교우위가 낮은 산업을 육성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

○ 내수확대는 우리 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소비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시장을 만들어

가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임.

5) 내수성장의 부작용 대비

■ 내수확대 시 부작용으로 가계부채 증가와 자산가격 상승, 경상수지 적자 등

이 지적됨.

○ 우리나라에서도 과소비가 우려되던 80년대말과 90년대초반 경상수지의 적자 전

환 및 부동산 가격 급등을 경험한 바 있으며 2000년대 초반의 카드거품 시기중

에도 경상수지 흑자 축소와 함께 주택가격의 급등을 수반한 바 있음.

○ 이는 일반적으로 주택가격 상승이 자산효과에 의한 소비증가를 가져오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수입유발 증대로 경상수지도 악화되는 효과를 가져오

Page 59: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59

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 내수확대 과정에서 가계 및 정부부채가 빠르게 확대되지 않도록 대비할 필요

○ 가계의 부채규모가 과도하게 높아질 경우 대출규제와 신용심사기능 확대 등을

통해 이를 제어할 필요

○ 재정기능을 통한 수요확대는 경기의 순환적 조정을 위해 필요하지만 장기 성장

활력 증대에는 도움이 되지 못함. 장기 재정건전화 계획을 수립하고 준수할 필

요가 있음.

○ 내수확대의 초기 수요견인에 부동산 시장이 중요할 수 있으나 이로 인해서 내수

경기가 계속 이끌어지는 것은 결국 거품붕괴를 통해 경제가 급락할 우려가 있음.

내수성장이 경제의 과열이나 부채증가로 연결되지 않도록 과도한 부동산 열풍이

동반되는 것은 경계해야 할 것임

6) 국제공조 체제 강화

■ 한 나라의 내수확대 정책이 다른 나라의 경기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국제 갈등이 확대될 수 있는 만큼 국가간의 합의와 공조 노력이 있다면 내수

형 성장이 빨라질 수 있음.

○ 일반적으로 내수형 성장 추진시 우려되는 점은 임금인상 등 가계의 소득기반을

높이는 과정에서 생산비용이 올라 수출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이었음.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내수부양을 위한 대규모 통화완화 정책이 인위적으로

자국 화폐가치를 떨어뜨려 수출경쟁력을 높이는 인근궁핍화 정책으로 지목되어

국가간 갈등을 높인 바 있음.

○ 내수성장의 필요성이 대부분 국가에서 높은 만큼 정책수단이나 강도 측면에서

국가간 합의를 통해 정책의 공조가 이루어진다면 정책의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

을 것임.

Page 60: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60

<참고문헌>

문화관광부, “일본 리조트개발 정책평가 및 관광레저도시 정책방향”, 2007

아끼모토 에이치, 『미국 경제의 역사』, 합동국제문화센터, 2005

윤상하, “내수주도형 성장의 의미와 한계,” 「LG Business Insight」 제 1040호, LG경제연구원,

2009

이걸재, 김성진, “일본 종합보양지역정비법의 전개 특징과 우리나라 관광레저도시 개발방안,”

「관광, 레저연구」 제 20권 제 1호(통권 제 42호), 2008, pp. 27~46

이철용, “2012년은 중국 소비주도 성장의 원년,” 「LG Business Insight」 제 1186호, LG경제연

구원, 2012

이철용, “신창타이 중국 경제, 소비시장 커지지만 사업환경은 더 팍팍해진다,” 「LG Business

Insight」 제 1325호, LG경제연구원, 2014

Teague, P., “아일랜드의 경제위기”, 「국제노동브리프」 2011년 6월호, 2011, pp. 5~12

石井晋, “国際収支不均衡と内需拡大政策,” 日本経済の記録-第2次石油危機への対応からバブル崩

壊まで-, 第 2部, 内閣府経済社会総合研究所, 2011

国際協調のための経済構造調整研究会, “前川レポート,” 国際協調のための経済構造調整研究会報告

書(経構研報告), 1986

Ahuja, A. et al, “An End to China’s Imbalances?,” Working Paper, IMF, April 2012

Asia Development Bank, “Export-led growth strategy,” Asian Development Outlook, 2005

Bank of Canada, “Transitioning to More Balanced and Sustainable Growth,” Paper presented at a conference at

Federal Reserve Bank of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lifornia, November 2013

Beder, S., “Consumerism – an Historical Perspective,” Pacific Ecologist, Vol. 9, 2004, pp. 42~48

Berik, G., “What Happened after Pakistan’s Soccer Ball Industry Went Child Free,” Paper presented at a

conference on Child labor held at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Work, University of Utah, Salt Lake

City, UT, May 2001

Blecker, R.A., “The Diminishing Returns to Export-Led Growth,” paper prepared for the Council of Foreign

Relations Working Group on Development, New York, 2000

Chenery, H. B. and A. Strout., “Foreign Assistance and Economic Development,” American Economic Review,

1966, pp. 679~732

Chhiber, A. et al,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Asia-Pacific Region: A Synthesis Study Incorporating

Evidence from Country Case Studies,” Regional Centre for Asia and the Pacific, UNDP, Nov 2009

Erixon, L., “Lessons from the Swedish/Nordic Model,” OECD

Felipe, J., “Is Export Led-Growth Pass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sia,” Economic Research Department

Working Paper, No. 48, ADB, 2003

Page 61: 우리나라 내수성장의 필요성 · 4 1930년대 중남미의 수입대체 전략은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저성장, 통화위 기를 불러오면서 실패한

61

Felipe, J. and J. Lim, “Export or Domestic-Led Growth in Asia?,” Economics and Research Department

Working Paper Series, No. 69, ADB, May 2005

Grossman, G. M. and E. Helpman, “Trade, Knowledge Spillovers and Growth,” European Economic Review,

Vol. 35, May 1991, pp. 517~526

Krueger, A. O., “The Political Economy of Rent-seeking Society,”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64, 1974,

pp. 291~303

Lebergott, S., The American Economy: Income, Wealth, and Wa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6

Palley, T. I., “A New Development Paradigm: Domestic Demand-Led Growth,” Foreign Policy in Focus

Discussion Paper, 2002

________, “The Rise and Fall of Export-led Growth,” Working paper, No. 675, Levy Economics Institute, 2011

Prebisch, R., “The Economic Development of Latin America and its Principle Problem,” UNECLA, Santiago,

1950

Rosenberg, E. S., “Consumer capitalism and the end of the Cold War,”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Cold War,

Volume 3: Endings, ch.23,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pp. 489~512

Singer, H., “The Distribution of Gains between Investing and Borrowing Countries,”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40, 1950, pp. 473~485

The World Bank, “The East Asian Miracle: Economic Growth and Public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Sep

1993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Toward More Balanced Growth: A Greater Role for

Domestic,” Trade and Development Report, Ch. 2,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