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수계통별 수질검사 절차 및 방법 등 수립 연구 -...

228
급수계통별 수질검사 절차 및 방법 등 수립 연구 2005. 10.

Upload: others

Post on 27-Ja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급수계통별 수질검사 절차 및 방법 등 수립 연구

    2005. 10.

  • 제 출 문

    환경부 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급수계통별 수질검사 절차 및 방법 등 수립연

    구”의 최종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5년 10월

    한국상하수도협회장

  • 연 구 진

    한국상하수도협회

    최태용 (기술지원처 상하수도 연구개발팀)

    단국대학교

    책 임 연 구 원 : 현인환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연 구 원 : 독고석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이제인 (단국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박사)

    보 조 연 구 원 : 손창호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석사과정)

    장동진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석사과정)

    자문위원

    최용철 (환경부 수도정책과)

    강선호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구자용 (서울시립대학교)

    권지향 (건국대학교)

    임규호 (동양파이프라이닝)

    이상홍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

    조성천 (SK케미칼)

    최승일 (고려대학교)

    이목영 (서울시 상수도연구소)

    장 호 (서울시 상수도연구소)

    홍성호 (숭실대학교)

    김주환 (한국수자원공사)

  • 목 차제 1 장 서 론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1.1 연구의 배경 ······································································································· 1

    1.1.2 연구의 목적 ······································································································· 2

    1.2 연구의 내용 및 대상 ······························································································ 3

    1.2.1 연구범위 및 내용 ····························································································· 3

    1.2.2 분석항목 ············································································································· 4

    제 2 장 국내외 기준 분석2.1 수질검사 지점 선정 기준에 대한 고찰 ······························································ 6

    2.1.1 우리나라의 수질검사 ······················································································· 6

    2.1.2 외국의 수질검사 기준 ··················································································· 11

    2.2 급수계통별 수질검사 지점 선정 기준에 대한 검토 ······································ 41

    2.2.1 국내 기준 검토 ······························································································· 41

    2.2.2 국외 기준 검토결과 ······················································································· 43

    2.2.3 국내외 기준의 비교 검토 ············································································· 44

    제 3 장 국내외의 수질검사 사례 분석3.1 국내의 수질검사 사례 ·························································································· 49

    3.1.1 서울시의 수질조사 ························································································· 49

    3.2 외국의 수질검사 사례 ·························································································· 52

    3.2.1 일본의 수질검사체계 ····················································································· 52

    3.2.2 일본의 수질검사계획 및 수질검사 관련 사례 ········································· 54

    3.2.3 미국의 수질조사 사례 ··················································································· 64

    3.3 국내외 사례조사 결과 ·························································································· 67

  • 제 4 장 기존의 연구성과 검토4.1 급수관 및 급수장치의 영향 ················································································ 68

    4.1.1 옥내 급수관 수질조사 결과 분석 ······························································· 68

    4.1.2 건축물내의 수질변화 ····················································································· 70

    4.2 배급수과정의 수질변화 ························································································ 81

    4.2.1 배급수과정에서의 수질변화 조사 ······························································· 81

    4.3 법적 제도적 문제 ·································································································· 83

    4.3.1 급수장치와 수도법 개정방향 ······································································· 83

    4.3.2 옥내급수관의 갱생 ························································································· 86

    4.4 기존 연구성과의 고찰결과 ·················································································· 87

    제 5 장 우리나라의 현황 및 전문가 의견조사5.1 지자체 수질검사 현황조사 ·················································································· 88

    5.1.1 지자체 서면조사 ····························································································· 88

    5.1.2 지자체 수질검사 자료 및 현황 분석 ······················································· 111

    5.2 전문가 의견조사 ·································································································· 138

    5.2.1 전문가 의견조사 개요 ················································································· 138

    5.2.2 전문가 의견조사 분석결과 ········································································· 139

    5.3 현황 및 전문가 의견 조사결과 요약 ······························································ 151

    5.3.1 지자체 서면조사 결과 ················································································· 151

    5.3.2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 155

    제 6 장 수질모델링과 수질모니터링6.1 수질모델링의 필요성 ·························································································· 157

    6.1.1 수질모델링과 수질검사의 관계 ································································· 157

    6.1.2 잔류염소 모델링 ··························································································· 160

    6.1.3 소독부산물의 수질모델링 ··········································································· 162

  • 6.2 A지역의 수질모델링 분석결과 ········································································ 163

    6.2.1 A지역의 수질모델링 자료 현황 ······························································· 163

    6.2.2 A지역의 선정과 자료 수집 ······································································· 164

    6.2.3 A지역의 수질모델링의 수행결과 ····························································· 167

    6.3 B지역의 수질모델링 분석결과 ········································································· 173

    6.3.1 B지역의 수질모델링 자료 및 결과 ························································· 173

    제 7 장 개선방안7.1 급수계통별 수질검사 지점 선정 개선방안 ···················································· 177

    7.2 수돗물 수질검사기준에 관한 규정 변경(안) ················································ 184

    7.3 향후 과제 ·············································································································· 191

    참고문헌 ··························································································································· 193

    부 록 ··························································································································· 197

  • - 1 -

    제 1 장 서 론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1 연구의 배경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수돗물의 공급체계 개선 및 수질관리 강화로 국민들이

    마음 놓고 마실 수 있는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을 생산‧공급해야 하는 의무를 가지고 있다. 수도법 제2조에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모든 국민이 양질의 물

    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이라고 하고 있으며, 먹는물관리법 제2조에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모든 국민이 질 좋은 먹는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노

    력해야 하며, 먹는물 관련 영업자는 질 좋은 먹는 물을 안전하고 알맞게 공급하도

    록 하여야 함”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정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수돗물 수질관리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물

    관리종합대책 실천계획 2004년도, 환경부, 2003).

    - 바이러스 외에 병원성 원생동물에 대한 수질관리 추진

    - 먹는물 수질기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강화

    - 소비자 위주의 수돗물 수질관리체계 마련

    - 저수조 및 옥내급수관에 관한 관리체계 정비

    - 수질검사 결과의 공표방법 개선 및 민‧관합동 수질확인검사 강화

    수돗물에 대한 소비자 위주의 정책 및 수질검사결과의 지속적 공표는 수돗물

    수질에 대한 국민의 감시기능의 확대와 소비자 권리의 신장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향후에도 계속적으로 강화될 예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추세 속에서 현재의

    수질검사의 제반 여건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수질검사의 신뢰성을

    보다 명확하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

    수돗물의 수질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정부에서는 정수장, 배수관, 수도꼭

    지에서 각각 시료를 채취하여 이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공표하도록 하고 있다. 이

  • - 2 -

    러한 정부방침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도 급수과정에 따른 공급수질을 측정하고 있

    으며 수질검사결과의 신뢰성향상을 위하여, 시료의 채취, 채취된 시료의 수질검사

    기관을 전문기관 또는 수질평가위원회와 공동으로 수행하여 오고 있다.

    검사기관의 선정과 더불어, 수질검사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

    료 채취지점의 합리적 선정도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수질검사지점으로서 정수장이나 배수지 등은 그 위치가 확정되어 있다. 그러나,

    수도꼭지 수질검사는 도시의 인구규모별 검체수만을 규정하고 있고, 시료의 채취

    지점에 관해서는 정확한 규정이 없어 이들 시료가 해당 도시의 최저수질을 나타

    내고 있는지에 대한 확신을 줄 수 없는 실정이다.

    1.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각 지자체 등에서 수행하고 있는 수질검사 지점의 대표성

    을 검토하고, 합리적인 대표지점의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의 확보여부, 잠정적인

    대표지점 선정방법 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수돗물 불신 원인의 해소방

    안 도출에 기초 자료가 될 것이며, 서울시 수도정책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든 상수도사업과는 “먹는물수질기준및검사등에관한규칙” 및 “먹는물 수질관

    리지침”에 근거하여 급수계통별 시설(정수장, 배수지, 가압장, 급․배수관, 저수조, 수도꼭지)에 대한 수질검사(12개 항목)를 정수장별로 1곳 이상씩 매분기 1회이

    상 실시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수질검사 표본수가 적어 대표성이 부족하고, 수도

    꼭지 수질검사를 위한 검체추출방법은 급수인구규모별 검체수만을 규정하고 있는

    등 시료의 채취지점에 관해 정확한 규정이 없어 검사지점 선정의 객관성이 미흡

    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급수계통별 수질을 대표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수질검

    사 지점 선정 절차 및 방법 등을 마련함으로써 수돗물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해소

    에 기여하고자 한다.

  • - 3 -

    1.2 연구의 내용 및 대상

    1.2.1 연구범위 및 내용

    본 연구의 목표는 수도꼭지 수질채취지점의 선정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검

    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점적으로

    검토한다.

    (1) 급수계통별 수질검사지점 선정기준에 대한 고찰

    ‘먹는물 수질관리지침(2004년도, 환경부)’에서는 수도꼭지 수질검사를 위해서 일

    반지역과 노후지역으로 구분하여 채취지점을 선정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지역의

    경우 검체수는 급수인구에 따라 다르며, 대도시의 경우에는 25,000명당 1개소 이

    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노후지역은 정수장별로 2개소 이상 검체수를 확보하

    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노후지역의 판단은 급수관의 매설 년도, 재질, 기타특성

    등을 고려하여 지역별 수도사업자가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의 관련법과 기준에 대한 개선방안을 추가적으로 마련하기 위하여,

    외국의 관련 기준을 조사하고 현재 수질검사지점 선정상황을 조사 분석한다.

    우리나라의 실태 조사의 주요사항은 다음과 같다.

    - 국내의 실태조사는 각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다.

    - 주요 조사내용

    ․채수지점 결정의 담당 주체 및 결정과정 ․채수지점 총 개수 및 경년변화 ․검체수의 현황(배수지, 계통별) ․최적 검사지점의 건축물 유형 ․배수관망내의 위치 ․배수지별 검체수 분포현황 ․직수 및 저수조수의 비율 ․수질기준 위반비율 ․지점의 변경 이유 및 빈도 또한, 수질검사의 기준 및 방법 설정에 있어서의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

  • - 4 -

    해 전문가 의견조사도 실시한다.

    (2) 현행 수질검사 검체수 결정방법에 대한 적정성 검토

    수질검사지점의 선점에 대한 개선안을 합리적으로 마련하기 위해서는, 현행 우

    리나라의 급수계통별 수돗물 수질검사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급수계통별 수질검사

    검체의 적정 추출방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조사

    분석한다.

    - 국내⋅외 급수계통별 수질검사 사례분석 ․국내⋅외 수질검사의 사례분석을 통한 문제점 검토 ․국내⋅외 수질검사의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검토 - 현행 수질검사 검체수 결정방법의 적정성 여부 검토

    ․ 현행 급수계통별 수돗물 수질검사지점 결정에 대한 문제점 검토 ․ 급수계통별 수질검사 검체수 결정 방법 마련 - 급수계통별 수질검사 적정위치 선정방법 및 절차 마련

    ․수질모니터링 등을 통한 대상지점 선정방법의 적정성 검토 ․수질검사 대상건축물 선정방법 마련 ․대상지점의 건축물(용도, 옥내배관, 사용량 등) 선정방법 마련

    ․객관적이고 투명한 대상지점 선정절차 마련 ․전문가, 시민대표, 수질평가위원회 등의 참여방안 검토

    (3) 급수계통별 수질검사 적정위치 결정방법 마련

    본 연구에서는 급수계통별 수질검사의 적정위치를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결정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절차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절차와 과정에는 수질

    모니터링 및 모델링을 통한 필수검사지점 선정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수질모니터

    링과 수질 모델링은 정확한 자료를 바탕으로 수질모델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즉,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모델링의 수행에 필요한 자료가 확보되

    어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지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자료를 분석하여, 어느 정도 신뢰

    성이 있는 수질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는지 분석한다. 또한, 신뢰성 있는 수질모델

    링이 가능하지 않을 경우, 이를 위한 개선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 - 5 -

    1.2.2 분석항목

    본 연구의 내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연구항목별로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하여 추진한다.

    (1) 수도꼭지 수질검사지점 현황 분석 수도꼭지 수질검사지점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자료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 수집대상자료

    - 지자체 법정수도꼭지 수질검사 샘플자료(2004년도)

    - 주요 도시 급수계통별 수질검사 지점 자료

    나) 채수위치와 수질과의 상관성 분석

    - 지자체별 법정검사의 적정성 검토

    - 지자체별 법정검사의 결정기준 검토

    (2) 관망수질모델링에 관한 기초자료 조사 가) 문헌조사

    - 국내외 수질조사 기준 및 법령

    - 국내외 수질조사 사례

    나) 배수관망 수질모델링에 관한 보유자료 수집

    - 지자체 수질모델링 관련보고서 수집 검토

    - 주요도시의 대배수지 배수구역의 배수관망 자료

    다) 표본 배수관망을 2개소 이상 선정, 기초자료의 확보여부가 수질모델링에 미

    치는 영향 검토

    (3) 수질검사지점 선정방법에 대한 개선안 검토 가) 공공관리부분과 사설관리 부분의 구분 필요성

    - 저수조수 및 직수의 수질검사 결과 비교검토

    - 배관년령 및 관종에 대한 검토

    나) 대상 건축물의 선정 방법

    - 기존 연구결과에서의 대상건축물별 수질검사결과의 상관성 검토

  • - 6 -

    제 2 장 국내외 기준 분석

    2.1 수질검사 지점 선정 기준에 대한 고찰

    2.1.1. 우리나라의 수질검사 기준

    우리나라의 수돗물 수질검사에 대해서는 ‘수도법 및 먹는물수질기준및검사등에

    관한규칙’(환경부, 2005)에 제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법 및 규칙, 지침 등

    에서의 수돗물 수질검사에 관한 기준을 검토하였다.

    (1) 수도법

    수도법 제19조에 따르면 수질검사는 반드시 실시해야 하며, 이를 기록 보존할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전문은 다음과 같다.

    수도법 제19조 (수질검사)

    ① 일반수도사업자는 환경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원수 및 정수에 대한 수

    질검사를 실시하여야 하며, 취수량·정수량 및 공급량 등에 대한 수량분석을

    실시하여야 함.

    ② 일반수도사업자는 수질검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검사시설을 설치하여야 함.

    ③ 일반수도사업자가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질검사 및 수량분석을 실시한

    경우에는 환경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이에 관한 기록을 작성·보존하여

    야 함.

    (2) 먹는물수질기준및검사등에관한규칙

    ‘먹는물수질기준및검사등에관한규칙’의 경우에는 수질검사의 횟수, 지점수 등을

  • - 7 -

    제시하고 있다. 수질검사에 대한 규정은 다음과 같다.

    제4조 (수질검사 횟수)

    ① 수도법 제19조제1항․제37조 및 제38조의2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일반수도사업자․전용상수도설치자 및 소규모급수시설을 관할하는 시장․군수․구청장(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함. 이하 같음)은 다음 각호의 구분에 따라

    수질검사를 실시하여야 함. [개정 98․2․28, 2000․7․1, 2002․6․21] 가. 정수장에서의 검사

    1) 냄새․맛․색도․탁도․수소이온농도 및 잔류염소에 관한 검사 : 매일 1회 이상

    2) 일반세균․총대장균군․대장균(또는 분원성대장균군)․암모니아성질소․질산 성질소․과망간산칼륨소비량 및 증발잔류물에 관한 검사 : 매주 1회 이상. [개정 2002․6․21]

    3) 제1호(미생물에 관한 기준) 내지 제3호(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에 관

    한 기준) 및 제5호(심미적 영향물질에 관한 기준)에 관한 검사 : 매월 1

    회 이상. [개정 2001. 12. 19, 2002․6․21] 4) 제4호(소독제 및 소독부산물질에 관한 기준)에 관한 검사 : 매분기 1회

    이상. 다만, 총트리할로메탄 및 클로로포름은 매월 1회 이상 [신설 200

    2․6․21]

    정수장 수질검사항목을 제외하고 수도꼭지 수질검사와 급수과정별 수질검세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면 표 2-1과 2-2와 같다.

    표 2.1 수도꼭지 및 급수과정 검사내용과 횟수

    지 점 대상시설 검사항목 검사회수

    수도꼭지

    수도꼭지일반세균 ․ 총대장균군 ․대장균(또는 분원성대장균군) 및 잔류염소

    월 1회 이상

    노후관

    일반세균 ․ 총대장균군 ․대장균(또는 분원성대장균군)․암모니아성질소 ․ 동 ․ 아 연 ․ 철 ․ 망 간 ․ 염 소 이 온 및 잔류염소

    월 1회 이상

    급수과정별

    급수과정별 시설(정수장, 배수지, 가압장, 급․배수관, 저수조, 수도꼭지)

    일반세균 ․ 총대장균군 ․대장균(또는 분원성대장균군)․암모니아성질소 ․ 총 트 리 할 로 메 탄 ․ 동 ․ 수 소 이 온농도․아연․철․탁도 및 잔류염소

    매분기 1회 이상

    (자료 : 먹는물수질기준및검사등에관한규칙, 2002)

  • - 8 -

    표 2.2 수도꼭지 수질검사의 검체추출기준(제4조제3항관련)

    급수인구(명) 검 체 수

    5,000 미만 1

    5,000 이상 - 50,000 미만 급수인구 5,000명당 1

    50,000 이상 - 100,000 미만 급수인구 6,000명당 1

    100,000 이상 - 500,000 미만 급수인구 8,000명당 1

    500,000 이상 - 1,000,000 미만 급수인구 10,000명당 1

    1,000,000 이상 - 2,000,000 미만 급수인구 15,000명당 1

    2,000,000 이상 - 4,000,000 미만 급수인구 20,000명당 1

    4,000,000 이상 급수인구 25,000명당 1

    (자료 : 먹는물수질기준및검사등에관한규칙, 환경부, 2002)

    (3) 먹는물수질관리지침

    본 연구에서는 먹는물수질관리지침(환경부, 2003)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먹는

    물에 대한 수질검사 기준을 검토하였다. 현재 먹는물수질관리지침에서 제시한 주

    요 검사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정수장과 수도꼭지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채취는 가급적 동일 날짜에 실시하여

    검사결과의 연계성 유지

    - 특히, 잔류염소의 경우 체류시간에 따라 측정농도가 변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현장측정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활용

    - 시료채취 및 분석과정에서 오류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확인실험 절

    차를 거쳐 수질 적합여부 결정

    - 수도관 수도꼭지 수질검사 실시

    ․ 국민이 직접 이용하는 수도꼭지 수돗물을 대상으로 수질이상여부를 검사하여 수돗물에 대한 주민의 막연한 불신을 해소

  • - 9 -

    표 2.3 먹는물수질관리지침에서 제시한 수도꼭지 수질검사 주요 항목

    미생물관련 항목 급수관재질 관련 항목 하수유입 관련 항목

    일반세균,총대장균군,분원성대장

    균군 대장균, 잔류염소철, 동, 아연, 망간 암모니아성질소,염소이온

    ※ 상기 검사항목중 일반지역은 미생물관련 항목(5항목)에 대하여만 검사하고 노

    후지역은 전항목(11항목)검사 실시

    - 검사대상 선정기준

    ․ 일반지역 : 먹는물수질기준및검사등에관한규칙 제4조제3항의 규정에 의한 “수도꼭지의 검체추출기준에 의거 급수인구별 수도꼭지 검체수 이상을 선정

    ․ 노후지역 : 특․광역시는 정수장별로 2개이상, 일반 시․군은 정수장별로 1개 이상의 대표지역에 대한 수도꼭지 수질검사 실시

    ※ 노후지역 판단기준은 급수관의 매설 년도, 재질, 기타특성 등을 고려하

    여 지역별 수도사업자가 판단

    ※ 정수장을 직접 운영하지 않는 자치단체(광역상수도 수수 등)의 경우에도

    위 기준에 의거 관내지역에 대하여 수질검사 대상 수도꼭지 선정

    ※ 일반가정에서는 대부분 저수조를 경유한 수돗물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

    을 감안, 가급적 저수조 전․후 지점의 수질검사를 동시에 실시하여 저수조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계몽

    - 수돗물 급수과정별 시설에서의 수질검사 실시

    ․ 수도사업자가 정수장에서 수도꼭지까지 급수과정별 수질상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하여 수질기준 초과시 초과지점 및 초과원인을 신속하게 규명․대처

    ․ 검사항목 : 일반세균․총대장균군․분원성대장균군 또는 대장균․암모니아성질소․동․pH․아연․총트리할로메탄․철․탁도 및 잔류염소(12개 항목)

    ※ 수질검사결과 초과항목이 있을 경우 전항목 검사실시

    ․ 수도사업자는 정수장별로 급수구역내 계통별 수질검사가 가능한 대상지점(배수지 전․후, 가압장, 급․배수관, 저수조 전․후, 수도꼭지)을 1개소 이상씩 선정, 분기별 수질검사 실시

  • - 10 -

    ※ 계통별 관련시설이 없을 경우 수질검사 생략이 가능하나, 동 제도는

    급․배수과정에서의 수질분석 및 분석결과 공표를 통해 수돗물의 대국민 신뢰성 증진 및 저수조 청소 등 유지관리 중요성에 대한 주민홍보

    차원에서 가급적 많은 지점 선정실시

    ․ 정수장 등 수도시설의 수질검사결과 수질기준을 초과할 때에는 검사주기를 단축하여 검사를 실시하고 초과원인 분석 및 시설개선 등 필요한 조치

    강구

    ※ 주1회 검사항목 → 매일검사, 월1회 검사항목 → 주1회 검사 실시

    ※ 검사주기를 단축하여 5회 이상 검사한 결과, 먹는물 수질기준을 계속

    준수한 경우에는 당초 규정된 검사주기로 복귀

    ․ 정수장은 수질기준에 적합하였으나 수도꼭지에서 수질기준을 초과한 경우에는 해당 지역의 급수관망도 등을 활용, 급수과정 단계별 추적을 통한 초

    과원인 분석 및 개선조치

  • - 11 -

    2.1.2. 외국의 수질검사 기준

    (1) WHO

    세계보건기구(WHO)의 Guidelines for drinking-water quality(1993, WHO)에는

    먹는물의 감시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 음용수의 수질을 감시하는데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

    ・ 정수처리와 급배수가 주어진 목표와 규제에 맞게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일상적이며 계속적인 수질관리

    ・ 수원에서 소비자까지의 수도 시스템 전체에 대한 정기적인 미생물학적 및 공중위생상의 감독

    1) 채수지점

    채수지점의 선정에 있어서, WHO 가이드라인에서는 여러 가지 수돗물 오염물

    질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주로 크게 미생물학적 측면과 화학적 측면, 방사선학

    적 측면을 고려하고 있다.

    화학적 측면에서는 크게 2가지로 구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Type 1 : 배수 시스템내에서 농도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물질

    ・ 비소, 염화물, 불화물, 경도, 농약, 나트륨, 그리고 총 증발잔류물 등. 일반적으로 배수시스템의 유입부에서 채취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만, 농도가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물이 같은 배수시스템으로 공급되는 곳에서는, 그 시

    스템 안의 몇 군데에서 더 채취해야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고 하고 있다.

    - Type 2 : 배수 시스템내에서 농도가 변화하는 물질

    ・ 배수 시스템중 물질의 농도는 주로 배수 시스템으로 유입하는 물에 포함된 물질의 농도에 의존하지만, 배수 시스템내의 반응(농도를 변화시키는 반응)

    에도 관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chloroform, 철, 망간, 그리고

    pH 등이다.

    ・ 배수 시스템 자체가 주요 방출원으로 되는 benzo[a]pyrene, 구리, 납, 아연 등과 같은 물질도 포함. 급․배수시스템의 내부요인들에 의해(예를 들면, 배수관의 부식, 고형물의 토적, 물 안의 물질사이의 반응) 많은 상호작용이

  • - 12 -

    일어나므로, 소비자의 급수전에서 채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고 있다. 급

    수전의 선정은 일반적인 판단기준에 의해 정해질 수 없으며, 대상이 되는

    지역의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특징

    적인 채취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1) 완전히 무작위로 선정하는 방법

    (2) 대상물질에 영향을 미칠 요인을 고려하여 계획적으로 선정하는 방법

    2) 채수빈도

    채수빈도(sampling frequency)에 대해서는 가용한 인력과 비용에 근거하여 이를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 주목하여야 할 두 가지의 중요한 관점

    ・ 첫째 : 만약 주중의 서로 다른 날이나 하루 중의 서로 다른 시간에 시료를 채취하였다면, 무작위로 발생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검

    출할 기회가 더욱 많아지게 된다.

    ・ 둘째 : 복잡한 시험법을 사용하여 빈도를 적게 시험하는 것보다는 단순한 방법을 사용하여 자주 시험을 하는 것이 더욱 가치가 있다.

    WHO가이드라인에서는 위험도의 가능성(likelihood)과 심각도(severity)를 5단계로

    구분하여 이에 따른 수질감시대상에 대한 지표로서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표 2.4 가능성 및 심각도 목록에 표시(정의)에 대한 예

    항목 정의Likelihood categories

    거의 확신 가능한

    가능한

    적당히 가능한

    거의 없음

    전혀 없음

    하루에 한번

    한주에 한번

    한달에 한번

    일년에 한번

    매 5년에 한번Severity categories

    영향이 절대적(Catastrophic) 많은 인구에 잠재적 치명성영향이 큼(Major) 적은 인구에 잠재적 치명성

    영향이 상당히 있음(Moderate) 많은 인구에 해로울 정도의 영향영향이 적음(Minor) 적은 인구에 해로울 정도의 영향

    영향이 거의 없음(Insignificant) 피해가 없거나 감지할 수 없는 정도

    (자료 : Guidelines for drinking-water quality, WHO, 2004)

  • - 13 -

    표 2.5 2004년 개정 WHO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최소 채수빈도

    인구 년당 샘플의 총수(1) 월당 샘플의 총수(2)

    100,000~500,000 인구 10,000명당 12개 + 120개 10,000명당 1+10개

    >500,000 인구 100,000명당 12개 + 180개 100,000당 1+15개(1) : 잔류염소, 탁도, pH 등은 이 빈도보다 자주 검사되어야 한다.(2) : 1년당샘플수/12

    (자료 : Guidelines for drinking-water quality, WHO, 2004)

    표 2.6 1993년 개정이전 WHO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최소 채수빈도

    인구 년당 샘플의 총수(1) 월당 샘플의 총수(2)

    5,000명 이하 1개 1개

    5,000~100,000 인구 5,000명당 1개 5,000명당 1개

    100,000명 이상 인구 10,000명당 1개 + 10개 10,000명당 1+10개(1) : 잔류염소, 탁도, pH 등은 이 빈도보다 자주 검사되어야 한다.(2) : 1년당샘플수/12

    (자료 : Guidelines for drinking-water quality, WHO, 1993)

    표 2.7 음용수 시스템의 안정도 목표(WHO가이드라인)

    배수시스템의 수준

    E. coli에 대한 음성 샘플의 비율(%)

    급수인구

    100,000

    아주 좋음(Excellent) 90 95 99

    좋음(Good) 80 90 95

    적당함(Fair) 70 85 90

    나쁨(Poor) 60 80 85

    (자료 : Guidelines for drinking-water quality, WHO, 2004)

    ISO standard no. 5667-1:1980의 Guidance on the design of sampling

    programmes에서는 시료 채취시 특히 고려할 사항으로 다음과 같은 것을 제시하

    고 있다.

    - 샘플링 프로그램의 설계

    - 채수지역의 특성

    - 흐름의 형태

  • - 14 -

    - 시간에 따른 흐름특성의 변화

    - 시간에 따른 용해물질의 변화

    - 수도관에서 채수

    - 물의 상태

    - 샘플링 시스템에 따른 온도변화

    표 2.8 국제 표준화기구(ISO)의 채수 지침에 관한 수질기준 목록

    ISO standard no. Title(water quality)

    5667-1:1980Sampling-Part 1: Guidance on the design of sampling

    programmes5667-2:1991 Sampling-Part 2: Guidance on sampling techniques

    5667-3:1994Sampling-Part 3: Guidance on the preservation and

    handling of samples

    5667-14:1998Sampling-Part 14: Guidance on quality assurance of

    environmental water sampling and handling

    5667-16:1998 Sampling-Part 16: Guidance on biotesting of samplies

    (자료 : Guidelines for drinking-water quality, WHO, 2004)

    ISO standard에서는 채수에 있어서의 통계학적 고려사항을 언급하고 있으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채수 프로그램의 수립

    - 신뢰구간 수립

    - 신뢰수준 설정

    - 신뢰구간과 채수시료 수의 결정 : n(검체수)과 X (실평균값), 표준편차 σ,

    산술평균 x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S=∑

    n

    i = 1( x i- x )

    2

    n - 1= 1

    n - 1[ ∑

    n

    i = 1x

    2 i -1n

    ( ∑n

    i = 1x i)

    2]

    표 2.9 신뢰수준에 따른 k값

    신뢰수준(%) 99 98 95 90 80 68 50

    k 2.58 2.33 1.96 1.64 1.28 1.00 0.67

    (자료 : ISO standard no. 5667-1:1980)

  • - 15 -

    3) 채수 방법

    수원의 종류, 정수장, 배수계통, 수도꼭지 등에서 샘플링하는 순서에 대한 자세

    한 권고는 다음의 일반적 사항을 주의해야 한다.

    시료에는 채취 지점명, 일자, 시간, 업무의 성질 그리고 관련된 정보를 분명하게

    라벨로 붙이고, 지체 없이 시험실에 송부하여 분석하여야 하며, 만약 시험수안에

    염소, chloramine, 이산화염소, 또는 오존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sodium thiosulfate 용액을 첨가하여 잔류소독제를 중화시켜야 한다.

    소독한 물을 채수할 때에는, 그 지점에서 채수시의 잔류소독제의 농도와 pH를

    측정해 두어야 한다. 동일 장소에서 서로 다른 목적에 의해 많은 수의 시료를 채

    취할 경우에는, 그 지점이 오염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세균시험용의 시료를 가

    장 먼저 채수하여야 한다.

    배수 시스템 전체를 대상으로 한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서 배수 시스템의 다

    른 여러 장소에서 시료를 채취하여야 한다. 하천, 호수, 저수조에서 채수할 때는

    물가, 저수조의 측면 및 정체부분을 피해서 침전물을 교란시키지 않도록 수면의

    바로 밑에서 채수하여야 한다. 정수처리공정이나 수도본관의 채수 지점은 시료가

    대표성을 가지도록 주의 깊게 배치하여야 하며, 수도꼭지까지의 관로 길이는 될

    수 있는 한 짧게 하여야 한다.

    시료를 냉암소(바람직한 것은 냉동하지 말고 4~10℃)에 보존하면 저장중인 물에

    서 세균수의 변화가 최소가 되도록 할 수가 있다. 시험은 채수 후 가능한 빨리,

    적어도 24시간 이내에 시작해야 한다. 시료를 차게 보관할 수가 없는 경우에는,

    채수 후 2시간 이내에 시험하여야 한다(Guidelines for drinking-water quality,

    WHO, 1993).

  • - 16 -

    (2) 일본

    1) 관련법령

    일본의 경우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수도법 및 수도법시행규칙으로 수질검사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수질기준에 관한 성령」(1992년 후생노동성령 제69호)에서

    미생물, 화학물질, pH, 악취, 색도, 탁도 등의 46항목 각자에게 적합해야 할 기준

    및 그 검사 방법을 정하고 있다.

    일본의 수질검사 기준(일본의 수도법 20조, 수도법 시행규칙 15조)을 우리나라

    와 비교하여 제시하면 표 2.10과 같다.

    표 2.10 일본에서 시행되는 주요한 수질검사

    구 분 내 용

    정기 수질검사 우리나라의 법정 수질검사에 해당

    임시 수질검사 수질에 현저한 문제 발생시, 전염병 발생시 등

    공급개시전 수질검사 공급개시 전에 실시

    일본의 수도법시행규칙 제15조의 경우에는 정기 수질검사는 급수전을 표준으

    로 해서, 상수도에 의해 공급된 물이 수질기준에 적합한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

    는 장소에서 채취 한 물에 대해서 다음의 각 항에 해당하는 검사를 실시하는 것

    으로 하고 있다.

  • - 17 -

    표 2.11 일본 수질기준항목의 검사빈도

    항목번호 항목 기준치(mg/L) 검사 빈도1 일반 세균 100개/mL 이하 1개월당 1회

    2 대장균 검출되지 않는 것 1개월당 1회

    3 카드늄 및 그 화합물 0.01 이하 3개월당 1회

    4 수은 및 그 화합물 0.0005 이하 3개월당 1회

    5 셀렌(Selen) 및 그 화합물 0.01 이하 3개월당 1회

    6 납 및 그 화합물 0.01 이하 3개월당 1회

    7 비소 및 그 화합물 0.01 이하 3개월당 1회

    8 육가크롬 화합물 0.05 이하 3개월당 1회

    9 시안화물이온 및 염화시안 0.01 이하 3개월당 1회

    10 질산성질소 및 아질산성질소 10 이하 3개월당 1회

    11 불소 및 그 화합물 0.8 이하 3개월당 1회

    12 붕소 및 그 화합물 1.0 이하 3개월당 1회

    13 4염화탄소 0.002 이하 3개월당 1회

    14 1,4-디옥산 0.05 이하 3개월당 1회

    15 1,1-디클로로에틸렌 0.02 이하 3개월당 1회

    16 시스-1,2-디클로로에틸렌 0.04 이하 3개월당 1회

    17 디클로로메탄 0.02 이하 3개월당 1회

    18 사염화에틸 0.01 이하 3개월당 1회

    19 트리클로에틸렌 0.03 이하 3개월당 1회

    20 벤젠 0.01 이하 3개월당 1회

    21 클로로질산 0.02 이하 3개월당 1회

    22 클로로포름 0.06 이하 3개월당 1회

    23 디클로로질산 0.04 이하 3개월당 1회

    24 디브롬클로로메탄 0.1 이하 3개월당 1회

    25 브롬산 0.01 이하 3개월당 1회

    26 총 트리할로메탄 0.1 이하 3개월당 1회

    27 트리클로로질산 0.2 이하 3개월당 1회

    28 브로모디클로로메탄 0.03 이하 3개월당 1회

    29 브로모포름 0.09 이하 3개월당 1회

    30 포름알데히드 0.08 이하 3개월당 1회

    31 아연 및 그 화합물 1.0 이하 3개월당 1회

    32 알루미늄 및 그 화합물 0.2 이하 3개월당 1회

    33 철 및 그 화합물 0.3 이하 3개월당 1회

    34 동 및 그 화합물 1.0 이하 3개월당 1회

    35 나트륨 및 그 화합물 200 이하 3개월당 1회

    36 망간 및 그 화합물 0.05 이하 3개월당 1회

    37 염화물 이온 200 이하 1개월당 1회

    38 칼슘, 마그네슘 등(경도) 300 이하 3개월당 1회

    39 증발잔류물 500 이하 3개월당 1회

    40 음이온계면활성제 0.2 이하 3개월당 1회

    41 geosmin 0.00001 이하 원수 수질 상황에 따라 월1 회42 2-메칠이소보르네올(MIB) 0.00001 이하

    43 비이온계면활성제 0.02 이하 3개월당 1회

    44 페놀류 0.005 이하 3개월당 1회

    45 유기물(총유기탄소량) 5 이하 1개월당 1회

    46 pH 5.8-8.6 1일당 1회

    47 맛 이상한 맛이 없다. 1개월당 1회

    48 냄새 이상한 냄새가 없다. 1개월당 1회

    49 색도 5도 이하 1일당 1회

    50 탁도 2도 이하 1일당 1회

    (자료 : 일본수도법시행규칙, 일본후생노동성, 2004)

  • - 18 -

    임시 수질검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실시하는 것으로서 어떠한 원인에 의해

    수돗물의 수질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 수원의 수질이 현저하게 악화된 때

    - 수원에 이상이 있을 때

    - 수원 부근, 급수 구역 및 그 주변 등에 있어 소화기계 전염병이 유행하고 있을 때

    - 정수 과정에 이상이 있을 때

    - 배수관의 대규모 공사 그 밖에 수도 시설이 현저하게 오염된 우려가 있을 때.

    - 그 밖에 특히 필요가 있다고 인정될 때

    일본의 경우 채수지점수에 대해서 현행의「수도의 규모에 따라, 수원 종류별,

    정수장·배수시스템(system)마다 합리적으로 채수지점수 설정이 행해지도록 유의할

    것」으로 되어 있을 뿐으로 구체적인 수치 목표는 설정되고 있지 않고 있다. 최근

    에는 어느 정도의 채수지점수의 설정 필요에 따라 수치 목표를 나타내기 위해 검

    토가 이루어지고 있는 단계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2) 일본 수도유지관리지침

    일본의 수도유지관리지침(일본수도협회, 1998)에서는 송배수 및 급수과정의 수

    질감시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수도법에서는 급수전수의 유리잔류염소를 위생상

    의 조치로서 0.1mg/L이상(결합염소 0.4mg/L이상) 유지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또

    쾌적수질항목으로서 잔류염소는 소독의 확실한 실시를 전제로 하여 1mg/L 정도

    이하가 제시되고 있다.

    이를 위한 수질감시지점은 수질변화를 고려하여 가장 효과적인 장소를 선정하

    여 수질검사를 정기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고 있다. 이러한 곳 즉, 송

    수관, 배수지 입구, 출구, 배수관에 잔류염소, pH값, 전기전도율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자동수질계기를 설치하여 연속감시를 하는 것도 매우 유효한 방법으로 제시

    하고 있다.

    송배수과정에서의 수질관리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지만 다음 사항을 고려하도록 하

    고 있다.

    - 송수시설은 평상의 유지관리에 있어서도 이상의 원인이 되는 것은 배제하도록 노

  • - 19 -

    력할 필요가 있다.

    - 배수의 수질관리는 항상 배수지 입구, 출구, 배수관의 도중, 말단의 적정한 장소에

    서 수질조사를 시행하여 배수구역의 수질의 상황을 파악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질기준항목, 쾌적수질항목이나 감시항목의 중에서 그 농도가 배수시스템 내에

    서 변화할 가능성이 있는 항목은 다음과 같다.

    - 배수 시스템에서 변화할 가능성이 있는 항목

    ․ TTHM, 클로로포름, 브롬디클로로메탄, 디브롬클로로메탄, 브로모포름(CHBr3), 과망간산칼륨소비량, 철, 망간, pH, 냄새, 맛, 색도, 탁도(수질기준항

    목), 잔류염소, 디클로로질산, 트리클로롤로질산, chloral hydrate

    - 배수 시스템 자체가 그 발생원이 되는 항목

    ․ 납, 철, 아연(수질항목기준)

    급수과정에서의 잔류염소를 필요량 유지하도록 정한 것을 확인하기 위해 관말

    등 물이 정체하기 쉬운 장소에서도 수질을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배려위해 수돗물

    이 수질기준에 적합한지 어떤지 판단할 수 있은 장소를 선정하고 있다.

    저수조의 유효용량이 10m3을 넘는 것은 설치자의 책임하에 관리기준에 따라서

    유지관리를 함과 동시에 정기적인 검사를 받을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10m3 이하

    의 것에 대하여도 같은 관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수도

    법 제34조의 2, 시행규칙 제23조 및 제24조에 근거하는 관리기준은 다음과 같다.

    ․ 저수조의 점검 등에 의해 유해물, 오수 등에 의한 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강구함

    ․ 급수전에서의 물의 색깔, 흐림, 냄새, 맛, 기타 상태에 이상이 인지될 때는 필요한 수질검사를 함

    ․ 공급수가 사람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것을 알았을 때는 바로 급수를 정지하여 그 취지를 이용자 등에게 주지시키는 조치를 강구함

    면적 3,000m2(학교는 8000m2) 이상의 특정 건축물의 경우는 빌딩관리법에 의해서

    건축물 환경위생관리기술자를 선임 후 소유자는 다음과 같은 검사 등도 실시한다.

    ․ 유리잔류염소의 검사 : 7일 이내에 1회 ․ 수질검사 : 6 개월 이내에 1회

  • - 20 -

    ․ 저수조의 청소 : 1년 이내에 1회 급․배수 과정에서 수질 계장 설비를 수질감시는 급․배수관(시설)내에서 다음과 같은 수질변화를 감시할 목적으로 적용된다.

    ① 관내 퇴적물의 유출이나 관의 파손, 사고 등에 의한 탁도, 색도의 상승

    ② 장시간 체류나 라이닝제의 영향에 의한 pH값의 상승

    ③ 망간의 유입에 의한 흑수의 발생

    ④ 철관의 부식 등에 의한 적수의 발생

    ⑤ 잔류염소의 관내에서의 소비, 소멸(관내체류시간이 긴 경우, 여름철 고온기

    에 녹 등에 의한 소비, 크로스커넥션이나 역류작용으로 수돗물 이외의 물을

    빨아들인 경우 등)

    3) 최근의 논의점

    다음은 제7회 후생과학심의회 생활환경수도부회 수질관리전문위원회 회의록

    (2003년 2월)에 수록된 내용이다.

    ① 수질 검사에 있어서 오염물질의 거동

    수도 오염물질의 거동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소독부산물의 경우 배수지로부터 급수전에 가까워질수록 그 농도가 높아지

    는 경향이 있음

    - 납 등은 급배수관에서의 용출이 주된 오염원으로 되어 있음

    - 유기 염소계 화합물의 경우 기본적으로 정수 과정 이후 그 농도가 상승하지

    않음

    - 농약은 그 병해충의 발생시기에 따라 다르고, 살포된 시기가 한정되고 있고,

    기본적으로 살포 시기 이외에 검출되기 힘듬

    - 납과 같은 급배수관에서의 용출이 주된 물질에 관해서는 체류수를 측정한

    경우와 유수를 측정한 경우 그 결과가 크게 다름

    ② 채수 지점

     수도법시행규칙에서는 채수 지점에 대해「수질기준에 적합한지 아닌지를 판단

    할 수 있는 장소」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것을 기초로 하여 채수 장소로서는 급수

    전수를 기본으로 하여, 수도 시설의 구조, 배관의 상태 등을 고려하고 가장 효과

  • - 21 -

    적인 장소를 선택할 것이고, 필요에 따라 수원, 배수지, 정수지 등에 있어서 수질

    에 대해서도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채수지점은 급수전을 기본으로 하여, 수도 시설의 구조, 배관 상태 등을 고

    려하고 가장 효과적인 장소를 선택할 것, 또한, 송 배수시스템 안에서 농도

    가 상승하지 않는 것이 분명한 항목에 관해서는 급수전외에도 정수장의 출

    구 등 송․배수시스템에의 유입점을 채수지점으로서 선정할 수 있음 - 채수지점은 배수 계통마다 1 지점 이상, 이때 배수지도 채수지점에 포함시키

    는 것이 바람직함

    - 채수지점인 급수전의 선정에 있어서는 배수관의 말단 등 물이 정체하기 쉬

    운 장소도 선정해야 함

    - 채수지점인 급수전의 선정에 있어서는 검사항목마다 다른 급수전이 선정되

    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함

    - 수도 용수 공급사업자의 경우에는 채수지점으로서 수수지점을 포함.

    일본의 경우, 수돗물의 정기 수질 검사를 실시하는 수도꼭지의 개수에

    관하여서는 현재 법령에 의해 특별히 규제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이에 관해 이후에는 어떠한 형태로든 규제해야 하지 않을까하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각도에서 이러한 점을 검토하여, 최종적

    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

    2003년 3월 3일에 개최된 제8회 후생과학심의회 생활환경수도부회 수질관리전

    문위원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논의가 있었다.

    「정기 수질검사를 실시하는 수도꼭지는 배수지(배수계통)마다 적어도 1곳을

    선택한 것을 기본으로 한다.」

      즉, 일본의 현재의 논의는 배수계통마다의 1개소 이상을 요구하는 쪽으로 방

    향을 잡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론을 얻는 것에 이르기까지의

    현재 우리나라의 최소검체수, 위치 등에 대한 논의가 동일하게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주요 검토 내용에 대해 그 개요는 다음과 같다.

  • - 22 -

    1. 검사 개소수 설정의 현재 상황

      수도 사업체에 의한 검사 개소수의 설정에 있어서 배수 계통마다 1개로 하

    고, 그 밖에 행정구역의 차이 등을 고려하여 1개를 더하는 식의 방식이 채용

    되고 있다. 이 결과 현재 검사개소수가 몇 개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도 사업

    체의 검사 개소수와 급수 인구 관계를 나타내면, 그림 2.1과 같다. 그림 2.1에서

    알 수 있듯이 양자의 사이에 반드시 명확한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림 2.1 현재의 일본의 검사 개소수와 급수 인구의 관계

    주)상수도 약100 사업체의 일반 세균에 관한 급수전 검사개소수

    2. 외국 등에 있어서 검사 개소수의 규제 상황

      WHO 음료수 수질 가이드라인에서는 배수관망 미생물학적 수질의 검사 부

    분이나 개소수에 관해, 모두가 인구에 비례하여 개소수가 비례하며, 수원 계통

    마다 수질검사 부분을 배치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특히, 시료수에 관해서는

    표 2.12와 같은 값을 지침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시료수란 검사 개소

    수과 1개월 해당하고 검사 회수와 검사 개소수의 곱이다.

    표 2.12 WHO 음료수 수질 가이드라인에 있어서 최소 채수 빈도

    급수인구 1개월 시료수

    5,000인 미만 1 시료

    5,000인 ∼100,000인 인구 5,000인에 대해 1 시료

    100,000인 초과인구 10,000인에 대해 1 시료,

    또한 10 시료를 더한다

  • - 23 -

      또한, 미국의 경우 대장균군에 관한 제1종 음료수 규칙에 근거하고 최소 검체

    수를 급수 인구에 의해 표 2.13과 같이 정하고 있다

    표 2.13 미국(USEPA) TCR에 있어서 최소 채수 개소수(발췌)

    인구수 월별샘플수 인구수 월별샘플수

    25 ~ 1,000 1* 59,001 ~ 70,000 70

    1,001 ~ 2,500 2 70,001 ~ 83,000 80

    2,501 ~ 3,300 3 83,001 ~ 96,000 90

    3,301 ~ 4,100 4 96,001 ~ 130,000 100

    4,101 ~ 4,900 5 130,001 ~ 220,000 120

    4,901 ~ 5,800 6 220,001 ~ 320,000 150

    5,801 ~ 6,700 7 320,001 ~ 450,000 180

    6,701 ~ 7,600 8 450,001 ~ 600,000 210

    7,601 ~ 8,500 9 600,001 ~ 780,000 240

    8,501 ~ 12,900 10 780,001 ~ 970,000 270

    12,901 ~ 17,200 15 970,001 ~ 1,230,000 300

    17,201 ~ 21,500 20 1,230,001 ~ 1,520,000 330

    21,501 ~ 25,000 25 1,520,001 ~ 1,850,000 360

    25,001 ~ 33,000 30 1,850,001 ~ 2,270,000 390

    33,001 ~ 41,000 40 2,270,001 ~ 3,020,000 420

    41,001 ~ 50,000 50 3,020,001 ~ 3,960,000 450

    50,001 ~ 59,000 60 3,960,001 or more 480

      이 밖에 EU에 있어도 연간의 시료수에 관하고 규정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시료수의 설정에 관한 명확한 근거는 나타나고 있지 않다.

    3. 최소 검사 개소수 설정에 있어 통계학적 사고방식을 도입할 수 있는가의

    여부

      정기 수질 검사에 있어서 최소 검사 개소수을 통계학적인 사고방식에 근거하

    여고 산출해 내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전제는 수질기준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이다. 일본의 수질 기

    준은, 한 번일지라도 초과해서는 안되는 값으로서 정해져 있고, 기준을 초과한

    확률이 어느 일정 값 이하인 것으로서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즉, 무조건 넘

  • - 24 -

    어서는 안되며, 이를 확률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 때문에, 급수 구역에 있

    어서 최소 시료수이나 최소 검사 개소수을 설정할 때에 그 것을 위해 통계학적

    인 사고방식을 도입하는 것은 원래 익숙하지 않다.

      또한, 급수 구역에 있어서 최소 시료수이나 최소 검사 개소수를 통계학적인

    근거로 의하여, 급수 인구 등 수도의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와 관련짓는 것도

    불가능하다. 예를 들면, (평균치+2×표준 편차)의 값의 95%신뢰 구간을 검사 개

    소수이라고 관련짓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것과 급수 인구 등을 관계짓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4. 검사 개소수 설정에 관한 상기 이외의 사고방식

      이상과 같이, 최소 검사 개소수을 통계학적인 사고방식에 근거하여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와는 다른 사고방식에 관하여 검토하고 있다.

      기본적인 사고방식으로서 수도 이용자 개별적 사람의 건강 리스크(risk) 등의

    측면에서 보았던 수도물질의 신뢰도는, 급수 서비스(service)를 행하는 수도 사

    업의 규모와 관계없이 공평해야 한다. 따라서 다른 조건이 완전히 동일하다면,

    수도 사업의 규모와 관계없이 급수 인구에 해당하는 최소 검사 개소수는 동일

    한 것이 당연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소규모 수도의 경우와 비교하여 대규

    모 수도인 경우에는 시설의 단위가 커지고 게다가 기술력이나 조직력이 충분히

    확보되고 운전·유지 관리나 수질 관리가 월등하기 때문에 단위의 공급 수량에

    해당하는 신뢰도는 보다 높아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의미에 있어서 공평성을 확보하다고 하면, 급수 구역에 있어서 정기

    의 수질 검사 부분의 밀도는, 수도 사업의 규모가 작아지는 정도에 따라 높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사고방식은 WHO 등에 의한 최소 시료수의

    설정에 있어도 인정된 점이다.

      또한 일본의 경우, 현재의 상황에서 수도 시설의 정비나 그 운전·유지 관리의

    수준이 충분히 높기 때문에 WHO나 USEPA가 정하는 것과 같은 정도까지 최

    소 시료수를 많이 확보할 필요는 반드시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 - 25 -

      그러나, 앞에서의 논의와 같은 상수도의 규모와 수도물질의 신뢰도와의 관련

    성은 어디까지나 정성적인 것에 그치며, 양자를 정량적으로 결부시키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검사 부분 설정의 1개의 명확한 근

    거가 될 수 있는 것은 배수지(배수 계통)에 있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배수지

    (배수 계통)를 기점으로서 각 급수전까지 공급되기 때문에 배수지(배수 계통)마

    다 적어도 1곳의 급수전을 선택하고 정기의 수질 검사를 실시하는 것은 과학적

    으로 극히 타당하다. 또한, 현재 일본의 경우, 일반적으로 배수 시설의 정비 수

    준이 높을 뿐만 아니라 누수률도 낮기 때문에 배수과정에 있어서 수질의 변화

    는 최소한의 수준에 억제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상의 내용에 따른 결론으로 정기의 수질 검사에 있어서 최소 검사 개소수

    를 급수 인구 등에 따라 전국 일률적으로 정하지 않고, 오히려 배수지(배수 계

    통)마다 적어도 1곳의 급수전을 선택하는 것을 기본으로 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5. 장래에 있어서 정기 수질 검사 결과의 정리와 평가 방법

    장래 각 수도 사업자 자체에서 수질 검사 계획의 작성이나 검사 결과의 종합

    정리를 통하여 급수 구역의 각회 측정치의 분포 등에 관한 자료(data)의 정리와

    평가를 실시하고 과학적인 정보를 축적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배수 과정

    에 있어서 수질 관리상의 문제점을 명확하게 한 후에도 유용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 - 26 -

    (3) 미국

    미국의 모든 음용수의 경우 안전음용수법(The Safe Drinking Water Act ;

    SDWA)과 관련되어 있다(Guidance Manual for Maintaining Distribution System

    Water Quality, 2000, AWWA).

    ․원수의 종류 (예를 들면, 지표수, 지하수 또는 지표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지하수)

    ․시스템의 등급 (예를 들면, 공공상수도 또는 비공공상수도) ․월별 공급인구 또는 급수전 (둘 중 큰 쪽) ․처리방식의 종류 (예를 들면 여과 대 비여과 지표수)

    현재 미국의 배수시스템 내 수질과 관련된 법적기준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Guidance Manual for Maintaining Distribution System Water Quality, 2000,

    AWWA).

    ① 현재 적용되고 있는 법적기준

    - 지표수 처리기준 (Surface Water Treatment Rule)

    - 지표수 처리강화기준 (Interim Enhanced Surface Water Treatment Rule )

    - 대장균 기준 (Total Coliform Rule)

    - 소독/소독부산물 기준 (Disinfectant / Disinfection By - Product Rule)

    - 납/구리 기준 (Lead and Copper Rule)

    - 2차 기준 (Secondary Standards)

    ② 향후 법적기준

    - 지하수 기준 잠정안(Draft Proposed Groundwater Rule)

  • - 27 -

    표 2.14 소비자 기대에 대한 수질요소별 규정치

    수질분야 소비자 기대치 수질요소 미국의 규정치

    미생물

    안정성

    마시기에 안전하고 연방

    및 주기준에 적합

    총대장균박테리아(2)

    분변성대장균박테리아(2)

    지아디아 클립토스포리디움HPC 박테리아(2)

    월별샘플에서 95%이상 불검출없음TTTT

    < 500 cfu/mL

    소독잔류물(

    염소) 관리

    잔류염소의 냄새 또는

    맛이 없기를 바람

    잔류염소(1)(2)

    잔류클로라민(1)(2)

    POE, SW시스템에서 최소 0.2mg/LPOE에서 4.0mg/L이하POE에서 4.0mg/L이하

    맛과 냄새맛과 냄새가 없기를

    바람

    아연(1)

    구리(1)

    철(1)

    망간(1)

    냄새(1)

    염소(1)

    산(corrosivity)(1)

    발포성 약품(1)

    황화수소(1)

    sulfat (1)

    pH(1)

    총용존성고형물(TDS)(1)

    향/맛(1)

    < 5mg/L (2nd)< 1.0mg/L (2nd)< 0.3mg/L (2nd)< 0.05mg/L (2nd)< 3 TON (2nd)

    < 250mg/L (2nd)Noncorrosive

    < 0.5mg/L (2nd)< 0.5mg/L

    < 250mg/L (2nd)6.5-8.5

    < 500mg/L (2nd)-

    겉보기

    (Appearance)

    투명하고 색깔이 없어야

    색도(1)

    탁도(1)

    철(1)

    망간(1)

    알류미늄(1)

    구리(1)

    산(corrosivity)(1)

    발포성 약품(1)

    총용존성고형물(TDS)(1)

    3 units 5NTU 이하

  • - 28 -

    표 2.15 배수시스템에 대한 수질 평가 인자들과 관련 규제

    인자 샘플링 위치 규제치 관련 자료

    소독잔류물배수시스템

    전지점연속 조사시 0.2mg/L US SWTR

    HPC

    박테리아

    배수시스템

    전지역

    두달 연속적으로 채취된 샘플의

    95%에서 500cfu/mL 이하의 HPC

    박테리아 또는 소독잔류물이 감지 됨

    US SWTR

    TTHMs배수시스템

    전지역

    샘플의 1/4에서 년 평균 80ug/L

    3개월 평균 100ug/L

    D/DBPR,

    Stage1

    할로아세틱

    배수시스템

    전지역샘플의 1/4에서 년 평균 60ug/L

    D/DBPR,

    Stage1

    총 또는

    분변성대장

    균 박테리아

    배수시스템

    전지역

    5%의 샘플이 총 대장균 박테리아

    판별/ 재 실험을 통해 분변성

    대장균으로 판별

    US

    Total Coliform

    Rule

    (자료 : 저수조에서의 수질악화 방지를 위한 연구 - Preventing water quality deterioration in

    finished water storage facilities, AWWA저널, 2002년 4월)

    SWTR - 지표수 처리 규정

    HPC - Heterotrophic Plate Count

    TTHMs - 총 트리할로메탄

    D/DBPR- 소독/소독부산물 규정

    (자료 : Guidance Manual for Maintaining Distribution System Water Quality, 2000, AWWA)

    그림 2.2 유입지점, 배수시스템, 수도꼭지에서의 샘플링지점의 개요도

  • - 29 -

    수질감시계획의 개발에 있어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수원의 수질 ․수원의 오염우려와 취약성 ․수원수질의 계절적 변동 ․처리방법과 성능 ․배수시스템의 크기와 상황 ․배수시스템의 구성형태 ․준수 모니터링 요구조건 ․비상시 모니터링과 보고절차 ․소비자 불만사항 ․실험실 능력 ․샘플수집자의 숙련도와 훈련 ․시스템의 수질목표

    수질과 배수시스템 모니터링지점 선정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시스템내의 여러 지점에서의 물의 체류시간 ․다른 수원의 물이 혼합되는 지점 또는 중간지점 ․저류시설이 있는 곳 ․배수본관의 유형과 상황 ․추가염소투입시설이 있는 곳(만약 있다면) ․중요한 시설이 있는 곳(예를 들면, 병원)

    배수시스템 내에서의 검사빈도는 일상적인 미생물학적 검사규정인 TCR의 규

    정을 따르도록 되어 있음.

    1) 대장균 기준 (Total Coliform Rule)

    Community Water Systems (CWSs)의 샘플수는 표 2.18과 같이 최소 채수수를

    규정하고 있다

  • - 30 -

    표 2.16 Community Water Systems(CWSs) 월별샘플수

    인구수 월별샘플수 인구수 월별샘플수

    25 ~ 1,000 1* 59,001 ~ 70,000 70

    1,001 ~ 2,500 2 70,001 ~ 83,000 80

    2,501 ~ 3,300 3 83,001 ~ 96,000 90

    3,301 ~ 4,100 4 96,001 ~ 130,000 100

    4,101 ~ 4,900 5 130,001 ~ 220,000 120

    4,901 ~ 5,800 6 220,001 ~ 320,000 150

    5,801 ~ 6,700 7 320,001 ~ 450,000 180

    6,701 ~ 7,600 8 450,001 ~ 600,000 210

    7,601 ~ 8,500 9 600,001 ~ 780,000 240

    8,501 ~ 12,900 10 780,001 ~ 970,000 270

    12,901 ~ 17,200 15 970,001 ~ 1,230,000 300

    17,201 ~ 21,500 20 1,230,001 ~ 1,520,000 330

    21,501 ~ 25,000 25 1,520,001 ~ 1,850,000 360

    25,001 ~ 33,000 30 1,850,001 ~ 2,270,000 390

    33,001 ~ 41,000 40 2,270,001 ~ 3,020,000 420

    41,001 ~ 50,000 50 3,020,001 ~ 3,960,000 450

    50,001 ~ 59,000 60 3,960,001 or more 480

    * 1개는 최소의 15개소의 급수연결을 가지는 공공수도시스템을 포함하지만 25명보다는 작다.

    * 단독으로 지표수 수원에 의해 공급되는 시스템과 위생점검에서 자유로운 25에서 1000명사이의

    CWS 시스템의 경우 총대장균오염과 과거 5년간에 수행된 위생검사의 이력이 없는 경우에는

    모니터링 횟수를 줄인다.(이 경우 분기당 1회이하로 줄여서는 안된다.)

    그림 2.3 미국 TCR규정에서의 인구당 검체수

  • - 31 -

    2) 소독/소독부산물 규정(D/DBP Rule Stage 1&2)

    현재 적용되고 있는 Stage 1 D/DBP Rule은 소독부산물에 대한 노출을 감소시켜

    공중보건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현재 이를 개정하여 잠정기준으로 Stage 2가

    제안된 상태이다(2004년).

    표 2.17 Stage 1 DBPR의 일상적인 수질감시 항목

    규정된 오염물질/소독제 범위 수질감시 빈도

    TTHM/HAA5

    10,000명 이상의 지표수와 GWUDI 시스템 4/plant/분기

    500-9,999명의 지표수와 GWUDI 시스템 1/plant/분기

    500명 미만의 지표수와 GWUDI 시스템

    물의 온도가 가장 높은 달의 1/plant/년1

    10,000명 이상의 지하수시스템 1/plant/분기

    10,000명 미만의 지하수시스템 물의 온도가 가장 높은 달의 1/plant/년(1)

    브롬산염(bromate)(2) 오존 처리 시설 배수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곳에서 매달

    chlorite 이산화염소처리 시설 배수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곳에서 매일(배수시스템에서는 매달)

    chlorine/chloramines 모든 시스템 TCR과 같은 지점에서 같은 빈도

    chlorine dioxide 이산화염소처리 시설 배수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곳에서 매일

    DBP 전구물질 (TOC/알카리도/SUV

    A)일반적인 여과 시스템 총유기탄소와 알카리도 또는 SUVA에 대해 매달

    (1) : 시스템은 MCL이 초과되면 정수장당 분기별 1개의 샘플로 반드시 증가시킨다.(2) : 감소된 Bromate 모니터링은 Optional Bromate 모니터링의 결과에 기초할 수 있다.(Stage 1

    DBPR 참조)

  • - 32 -

    표 2.18 Stage 1 DBPR의 항목별 수질기준

    규정된 오염물질/소독제 MCL(mg/L)MCLG(mg/L)

    MRDL*

    (mg/L)MRDLG*

    (mg/L)

    TTHM(아래 물질의 총합)(1) 0.08

    Chloroform -

    Bromodichlorometahne 0

    Dibromochloromethane 0.06

    Bromoform 0

    HAA5(아래물질의 총합)(1) 0.06

    Monochloracetic acid -

    Dichloroacetic acid 0

    Trichroroacetic acid 0.3

    Bromoacetic acid -

    Dibromoacetic acid -

    Bromate(1) 0.01 0

    Bromide(2)

    Chlorite(2)

    (배수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곳에서 매일)

    1.0

    Chlorite(1)(배수시스템 내에서 월별) 1.0

    Chlorine(2) 4.0 as Cl2 4

    Chloramines(2) 4.0 as Cl2 4

    Chlorine Dioxides(2) 0.8 as ClO20.8

    pH(2)

    DBP 전구물질((TOC/알카리도/SUVA)2

    처리기술 : 전형적인 여과처리 또는 lime 연수법을 사용하는 지표수 시스템에 대한 DBP 전구물질강화 응집/강화연수법

    (1) : Indicates the laboratory must be certified to analyze the sample.(2) : Indicates the analysis must be performed by a party approved by the state.* : Stage 1 DBPR includes maximum residual disinfectant levels (MRDLs) and maximum

    residual disinfectant level goals (MRDLGs) which are similar to MCLs and MCLGs, but for

    disinfectants.

  • - 33 -

    최근 Stage 2 D/DBP Rule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향후 적용 예

    정이다.

    표 2.19 IDSE 모니터링 제안사항

    시스템 및 인구수 배수시스템 소독제모니터링

    횟수

    배수시스템 샘플위치

    계 유입점근처

    잔류시간

    (평균)

    최고 TTHM위치

    최고 HAA5위치

    subpart H≥10,000명 chloramineschlorine6(60일)6(60일)

    88

    21

    22

    23

    22

    subpart H 500-9,999명 or 지하수≥10,000명 any 4(90일) 2 0 0 1 1

    subpart any H〈500명or 지하수〈10,000명 any 4(90일) 2 0 0 1 1

    연속시스템 any

    - 연속시스템 연간에 걸쳐 100% 구매수를 구입하는 경우는 표 2.22 참조- 연속시스템은 정수를 만들기 위해 수원지를 취급한다.(정수장에 따른 모니터링 위치와 횟수는 비연속시스템의 인구수와 수원형태와 같다)

    표 2.20 년간 100% 구매수 사용시스템의 인구수에 따른 모니터링 빈도와 위치

    (IDSE 연속시스템에 의한)

    수원지 인구(명)모니터링 기간와 횟수

    배수 시스템 샘플 위치

    계 유입점 근처

    잔류시간

    (평균)

    최고 TTHM위치

    최고 HAA5위치

    subpart H

    0~499500~4,999

    5,000~9,99910,000~24,99925,000~49,99950,000~99,999

    100,000~499,999500,000~1,499,0001,500,000~4,999,999

    ≥500,000

    2회(180일)4회(90일)

    6회(60일)

    2248121624324048

    12346810

    1234681012

    1123458101214

    111234681012

    지하수

    0~499500~9,999

    10,000~99,999100,000~499,999

    ≥500,000

    2회(180일)

    4회(90일)

    226812

    112

    112

    11234

    11234

  • - 34 -

    표 2.21 100% 구매수 사용 연속/비연속 시스템 2B단계 일정과 축소 모니터링

    요구사항(잠정안)

    시스템 크기

    및 수원지

    일상모니터링

    (정수장당)

    dual sample

    (TTHM, HAA5)

    축소모니터링을 만족하는

    조건

    축소모니터링

    (정수장당)

    dual sample

    (TTHM, HAA5)

    일상모니터링으로

    회귀하는 경우

    10,000명 이상

    subpart H

    system

    분기당 4회

    모든 TTHM과 HAA5

    LRAAs 는 각각

    0.040mg/L

    와0.003mg/L를

    넘지못하며, TOC 는 연간

    평균 4.0mg/L를초과할수

    없다.

    분기당 2회

    TOC>4.0mg/L

    TTHM

    LRAA.>0.040mg/L

    또는

    HAA5

    LRAA>0.030mg/L

    500~9,999명

    subpart H

    system

    분기당 2회

    모든 TTHM과 HAA5

    LRAAs 는 각각

    0.040mg/L

    와0.003mg/L를

    넘지못하며, TOC 는 연간

    평균 4.0mg/L를초과할수

    없다.

    연간 2회

    TOC>4.0mg/L

    TTHM

    LRAA.>0.060mg/L

    또는

    HAA5

    LRAA>0.045mg/L

    500명 이하

    subpart H

    system

    분기당 1회모니터링이 감소되지

    않는다.NA NA

    10,000이상

    지하수

    시스템

    분기당 2회

    모든 TTHM과 HAA5

    LRAAs 는 각각

    0.040mg/L

    와0.003mg/L를

    넘지못하며, TOC 는 연간

    평균 4.0mg/L를초과할수

    없다.

    연간 2회

    TTHM

    LRAA.>0.060mg/L

    또는

    HAA5

    LRAA>0.045mg/L

    500~9999명

    지하수

    시스템

    연간 2회

    모든 TTHM과 HAA5

    LRAAs 는 각각

    0.040mg/L

    와0.003mg/L를

    넘지못하며, TOC 는 연간

    평균 4.0mg/L를초과할수

    없다.

    3년간 2회

    TTHM

    LRAA.>0.040mg/L

    또는

    HAA5

    LRAA>0.030mg/L

    500명 이하

    지하수

    시스템

    연간 1회

    모든 TTHM과 HAA5

    LRAAs 는 각각

    0.040mg/L

    와0.003mg/L를

    넘지못하며, TOC 는 연간

    평균 4.0mg/L를초과할수

    없다.

    3년간 2회

    TTHM

    LRAA.>0.040mg/L

    또는

    HAA5

    LRAA>0.030mg/L

    연속시스템

    (수원취급)

    시스템은 비연속 시스템의 동일인구수와 수원지형태의 일련과정과 감소된

    모니터링 요구사항을 따라야 한다. 비연속시템의 모니터링 요구수준은 감소 될

    것이다.

  • - 35 -

    표 2.22 Stage 2B에서의 년간 모든 물을 구매하는 연속시스템의 인구에 따른 일상

    모니터링 횟수와 위치

    수원지 인 구(명) 모니터링 횟수

    배수 시스템 샘플 위치

    계최고

    TTHM위치

    최고 HAA5위치

    현존 Stage 1의 위치

    subpart H

    0~499500~4,999

    5,000~9,99910,000~24,99925,000~49,99950,000~99,999

    100,000~499,999500,000~1,499,000

    1,500,000~4,999,999≥5,000,000

    1년분기별

    〃〃〃〃〃〃〃〃

    22246812162024

    111234681012

    1111223456

    1123456

    지하수

    0~499500~9,999

    10,000~99,999100,000~499,999

    ≥500,000

    1년분기별

    〃〃〃

    22468

    11234

    11122

    112

    표 2.23 IDSE하에서의 정수장당 인구에 따른 시스템당 모니터링 지역의 비교

    수원의 종류 인구의 크기

    샘플링

    기간의

    정수장당 인구당

    정수장당

    모니터링

    지역의 수

    시스템당 모니터링

    지역의 수시스템당

    모니터링

    지역의 수

    시스템당

    중간

    정수장의

    수에 따른

    시스템당

    평균

    정수장의

    수에 따른

    Subpart H

    0-499

    500-4,999

    5,000-9,999

    10,000-24,999

    25,000-49,999

    50,000-99,999

    100,000-499,999

    500,000-1,499,999

    1,500,000-4,999,999

    ≥5,000,000

    2

    4

    4

    6

    6

    6

    6

    6

    2

    2

    2

    8

    8

    8

    8

    8

    2

    2

    2

    8

    8

    16

    16

    32

    3

    3

    3

    16

    18

    27

    24

    46

    2

    2

    4

    8

    12

    16

    24

    32

    40

    48

    지하수

    0-499

    500-9,999

    10,000-99,999

    100,000-499,999

    ≥500,000

    2

    2

    4

    4

    2

    2

    2

    2

    2

    2

    8

    6

    2

    4

    9

    20

    2

    2

    6

    8

    12

  • - 36 -

    표 2.24 Stage 2B하에서의 정수장당 인구에 따른 시스템당 모니터링 지역의 비교

    수원의

    종류인구의 크기

    모니터링

    빈도

    정수장당 인구당

    정수장당

    모니터링

    지역의 수

    시스템당 모니터링

    지역의 수시스템당

    모니터링

    지역의 수

    시스템당

    중간

    정수장의

    수에 따른

    시스템당

    평균

    정수장의

    수에 따른

    Subpart H

    0-499

    500-4,999

    5,000-9,999

    10,000-24,999

    25,000-49,999

    50,000-99,999

    100,000-499,999

    500,000-1,499,999

    1,500,000-4,999,999

    ≥5,000,000

    1

    4

    4

    4

    4

    4

    4

    4

    1

    2

    2

    4

    4

    4

    4

    4

    1

    2

    2

    4

    4

    8

    8

    16

    2

    3

    3

    8

    9

    14

    12

    23

    2

    2

    2

    4

    6

    8

    12

    16

    20

    24

    지하수

    0-499

    500-9,999

    10,000-99,999

    100,000-499,999

    ≥500,000

    1

    1

    4

    4

    1

    2

    2

    2

    1

    2

    8

    6

    1

    4

    9

    20

    2

    2

    4

    6

    8

    3) Lead and Copper Rule

    Lead and Copper Rule(LCR)은 음용수에서 물의 부식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납(Pb)과 구리(Cu)의 수치를 최소화함으로써 공중보건을 보호하고자 하기 위해

    수립되었다. 샘플의 지역과 시스템의 크기 등은 표 2.26에 제시된 것과 같다.

  • - 37 -

    표 2.25 납/구리 규정과 WQP의 수도꼭지 모니터링

    시스템 분류 시스템 크기(급수인구)

    납/구리 수도꼭지 샘플 지역의 수

    WQP 수도꼭지 샘플링 지역의 수

    표준 축소 표준 축소

    대(Large)>100K 100 50 25 10

    50,001~100K 60 30 10 7

    중(Medium)10,001~50K 60 30 10 7

    3,301~10K 40 20 3 3

    소(Small)

    501~3,300 20 10 2 2

    101~500 10 5 1 1

    ≤100 5 5 1 1

    표 2.26 납과 구리의 수도꼭지 축소 모니터링의 조건

    모니터링 기간 시스템의 상태

    1년마다

    1. 50,000명이하에 공급하고 AL가 2번의 6개월 연속 모니터링 기간동안 모두 기준 이하이거나,

    2. 2개의 6개월 연속 모니터링 기간동안 Optimal WQP(최적수질인자) 규정에 일치하는 경우.

    3년마다

    1. 50,000명이하에 공급하고 AL가 3년 연속 모니터링 기간동안 모두 기준 이하이거나,

    2. 3개년 연속 모니터링 기간동안 Optimal WQP(최적수질인자) 규정에 일치하는 경우이거나

    3. 90th% 납수치가 0.005mg/L이하이고, 90th% 구리수치가 0.65mg/L이하를 2번의 6개월 연속기간동안을 유지하는 경우이거나,

    4. 40 CFR 141.81(b)(3) 조항과 일치하는 경우.

    9년에 한번씩 1. 3,300명 이하에 공급하고 40 CFR 141.86(g)의 모니터링 취소 조항에 해당함.

    4) 저수시설에 대한 사항

    미연방 음용 수질 규제들은 수도공급자에게 저수시설의 수질상태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는 않다. 또한, 대부분의 주에서도 저수시설 모니터링을

    특별히 요구하고 있지 않고 있다.

  • - 38 -

    표 2.27 저수 시설에 대한 수질 평가 인자들과 관련 규제 (미국의 경우)

    인자 샘플링 위치 규제치 관련 자료

    소독 잔류물 배수시스템의모든 지점 연속 조사시 0.2mg/L US SWTR

    소독 잔류물 또는

    HPC 박테리아

    배수시스템전지역

    두달 연속적으로 채취된 샘플의 95%에서 500cfu/mL 이하의

    HPC 박테리아 또는 소독잔류물이 감지 됨

    US SWTR

    저수 시설 미발견 United Kingdom

    TTHMS 배수시스템전지역샘플의 1/4에서 년 평균 80ug/L

    3개월 평균 100ug/LD/DBPR, Stage1United Kingdom

    할로아세틱 산 배수시스템전지역 샘플의 1/4에서 년 평균 60ug/L D/DBPR, Stage1

    총 또는 분변성대장균 박테리아

    배수시스템전지역

    5%의 샘플이 총 대장균 박테리아 판별/ 재 실험을 통해

    분변성 대장균으로 판별

    US TotalColiform Rule

    저수 시설 United Kingdom

    SWTR - 지표수 처리 규정HPC - Hetetotrophic Plate CountsTTHMS - 총 트리할로메탄D/DBPR- 소독/소독부산물 규정

    표 2.28 최종 처리수 저수시설에 대한 수질 항목

    인 자 목 적

    알칼리도 완충능 평가 지표

    알루미늄 응집제 과대 투입 가능성 지표

    암모니아(총/유리) 질산화 가능성 지표

    잔류 염소 농도(총/유리)

    수질 악화와 박테리아 재증식을 방지를 위한 지표/ 모니터링은 출구와 입구쪽에서 실시

    대장균(총/유리) 지표 박테리아의 존재 유무

    전도도 총 용존 고형물(알칼리도)량의 상대적인 변화 지표

    DBPS DBP 생성과 진행중인 화학반응에 대한 지료

    종속 영양 박테리아 수질 악화에 대한 조기 경보 제공

    철 가능한 부식 반응 지표

    질산성 질소 질산화 지표

    아질산성 질소 질산화 지표

    pH 수원의 수질변화 지표(콘크리트 재질과 비코팅 시설의 부식)

    맛, 냄새 수질 문제의 평가

    수온 저수시설 내부에서의 수온 차이는 수역의 정체와 성층을 의미함미생물 재증식의 가능성 지표

    탁도 수질 악화 지표

  • - 39 -

    표 2.29 침전물 모니터링시의 고려 인자

    인 자 내 용

    산화철 송․배수 시스템 부식수산화 알루미늄 응집과정후 과다한 알루미늄 존재

    탄산 칼슘 과다한 미네랄이 포함된 경수

    망간 원수의 수질 문제

    종속 영양 평판 박테리아 맛 냄새 원인 물질이며, 박테리아의 재증식 가능성

    침전물 깊이 축적율, 침전물의 재부상에의한 소독 잔류물의 분해

    조대 미생물 실험 시설의 부적합한 접합, 스크린 시설의 불량 및 고장

    (자료 : Preventing water quality deterioration in finished water storage facilities, 2004. 4,

    Journal of AWWA)

    표 2.30 수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지 관리 방안

    수질문제 점검 항목 유지 관리 방안

    맛 과 냄새

    침전물 생성 유무 점검저수 시설 내벽의 코팅 상태 점검만약 새로 코팅했다면 휘발성 및 합성 유기 화학물질 점검외부로부터의 오염 유입 점검

    침전물 제거코팅 상태 개선추가적인 치료스크린과 뚜껑을 개선

    소독 잔류물의 감소

    침전물 생성 유무 점검저수 시설 내벽의 코팅 상태 점검스크린과 부속시설을 점검외부로부터의 오염 유입 점검

    침전물 제거코팅 상태 개선추가적인 치료스크린과 뚜껑을 개선

    적수 및 부식

    음극 방지 시스템 점검코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