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법 - kohma.kr · - 건강관리수첩, 근시간 연장제칁 제 6 장...

58
산업안전보건법 ( 보건관리자 ) 한국산업위생협회 경인지역본부장 기호

Upload: others

Post on 09-Sep-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산업안전보건법 (보건관리자)

한국산업위생협회 경인지역본부장

유 기호

산업안전보건법의 주요내용

1

목 차

2

산업안전보건법의 역사

산업재해발생시 조치사항

1953. 5 : 근로기준법 제정 목적 : 근로자의 기본적 생활 보장∙ 생활향상

제6장 안전과 보건

제64조 (위험방지) 제65조 (안전조치) 제66조 (특히 위험한 작업) 제67조 (유해물) 제68조 (위험작업물의 취업제한) 제69조 (안전위생교육) - 채용시(해당 업무 근로자)

제70조 (병자의 취업금지) 제71조 (건강진단) 제72조 (안전관리자와 보건관리자) 제73조 (감독상의 행정조치)

1974 : 고무신공장 노말헥산중독(다발성 신경염)

(대한산업보건협회 자료) 동아일보 1974. 6. 15

1980년대의 사회적 여건

경향신문,1980. 3. 25.

1980.4.21:사북사태(동원탄좌 사북영업소 ) 동명목재 분규

경향신문,1980. 5. 9.

1981. 12 : 산업안전보건법 제정(48개 조문)

제1장 총칙(11개 조문)

- 목적, 정의, 의무, 위원회, 지식보급, 출석, 게시,

제2장 안전∙보건관리체제(5개 조문)

- 관리책임자, 안전∙보건관리자, 총괄책임, 위원회

제3장 유해위험 예방조치(14개 조문)

- 안전∙보건조치, 교육, 보호구검정, 물질사용제한

제4장 근로자의 보건관리(4개 조문)

- 작업환경측정, 건강진단, 근로금지 및 취업제한

제5장 감독과 명령(3개 조문)

- 감독상 조치, 개선계획, 안전∙보건진단

제6장 보칙 및 제6장 벌칙(11개 조문)

[영 제정 1982. 8. 9.] 제14조 (보건관리자의 자격) 보건관리자는 의료법에 의한 의사로서 산업보건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있는 자

제17조 (보건담당자의 자격등)

(별표5) (영 제정 1982. 8. 9.)

보건담당자의 자격(제17조제1항 관련)

사업 규모 (상시근로자수)

건강관리 보건담당자

산업위생보건담당자

50인이상∼ 100인미만

교육법에 의한 고등학교졸업자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학력이 있는 자

1. 교육법에 의한 전문대학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학교에서 산업보건학·위생공학 또는 위생학을 전공한 자

2.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환경기사2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자

3. 위생사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위생사 또는 위생시험사 2급 이 상의 자격을 취득한 자

4.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화학분석기능사 2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하고 실무에 2년이상 종사한 자

100인이상∼300인미만

의료법에 의한 간호보조원 또는 노동부장관이 이와 동등이상의 자격이 있다고 인정하는 자

300인이상 의료법에 의한 간호원

<영 개정 1986·4·8> 제17조 (보건담당자의 자격등)

[별표11] <개정 1986·4·8>

보건담당자의 자격(제17조제1항 관련)

사업의 규모 (근로자수)

건강관리 보건담당자

산업위생보건담당자

50인이상∼ 100인미만

생략 1.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위생관리기사2급 이상의 자격

을 취득한 자 2.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환경기사2급(대기분야)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자 1.→ 3. 교육법에 의한 대학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학교를 졸업한자로서 산업보건학·위생공학· 환경공학(대기분야) 또는 위생학을 전공한 자 3. 4. 삭제 (위생사 , 분석기사) 4. 교육법에 의한 대학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교를 졸업한 자로서 약학·화학·화학공학·농약화학 또는 농화학을 전공한 자(독물 및 극물에 관한법률 제2조의 규정에 의한 독물 또는극물을 제조·수입 또는 판매하는 사업장에 한함)

100인이상 ∼300인미만

생략

300인이상 생략

○ 업종 : 전자제품 제조업

○ 피해 : 톨루엔 취급자 40명 중 12명 중독 증상

① 톨루엔 중독

1988. 직업병 발생 보도 폭증

○ 업종 : 아연도금 사업장

○ 피해 : 국내 첫 발생

② 카드뮴 중독

○ 업종 : 온도계 제조 공장

형광등 제조 공장

③ 수은 중독

○ 업종 : 연탄 제조 공장

○ 피해 : 근로자 100명 중 22명 집단 진폐증

④ 진폐증

○ 업종 : 서울, 인천 부천 도금 사업장 41개소

○ 피해 : 38명 비중격천공

⑤ 크롬 중독

○ 업종 : 용접공

○ 피해 : 부산지역 근로자 94명 진폐증

○ 업종 : 납 취급사업장 34개소

○ 피해 : 2516명 중 299명 납 중독

⑤ 납 중독

한겨레, 1988. 7. 22.

⑤ 1988. 7 : 원진레이온 직업병 특종보도

제1장 총칙(12개 조문) - 정부의 책무, 안전표식

제2장 안전∙보건관리체제(7개 조문) : - 관리감독자, 산업보건의

제3장 안전보건관리규정(3개 조문) - 작성, 신고, 변경절차, 준수

제4장 유해위험 예방조치(19개 조문) - 도급금지, 안전관리비, 검사, 제조허가, 유해성조사

제5장 근로자의 보건관리(6개 조문) - 건강관리수첩, 근로시간 연장제한

제6장 감독과 명령(5개 조문) -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개선계획, 안전∙보건진단, 감독상 조치

제7장 산업재해예방기금(3개 조문) - 설치, 운용, 용도, 회계

제6장 보칙 및 제6장 벌칙(12개 조문)

1990. 1 : 산업안전보건법 전문개정(72개 조문)

1990년대의 산업안전보건 제도

[영 개정 1990. 7. 14] 제18조 (보건관리자의 자격)

[별표6]<신설 1990.7.14>

보건관리자의 자격(제18조 관련)

1. 의료법에 의한 의사

2. 의료법에 의한 간호사

3.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산업위생관리기사 1급 또는 환경관리

기사 1급(대기분야에 한한다)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자

4.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산업위생관리기사 2급 또는 환경관리

기사 2급(대기분야에 한한다)의 자격을 취득한 자

5. 교육법에 의한 4년제 대학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학교에서 산

업보건 또는 환경위생관련학과를 졸업한 자

6. 교육법에 의한 전문대학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학교에서 산업

보건 또는 위생관련학과를 졸업하고 산업보건업무를 3년이상

담당한 자로서 노동부장관이 지정하는 기관의 교육을 받고 소정

의 시험에 합격한 자

○ 사고일시 : 1993.03.28 ○ 원인 : 한전 지하 전력구 발파작업에 지하용출수 유출 ○ 피해 : 사망 78명 부상 198명

1993 : 부산 구포역 열차 전복 사고

1993 : 아시아나항공 여객기 추락

○ 사고일시 : 1993. 7.26 ○ 원인 : 악천후로 시계불량 및 무리한 착륙시도 ○ 장소 : 전남 해남군 화원면 마천마을 뒷산 ○ 피해 : 사망 66명, 부상 44명

1993 : 서해 훼리호 침몰

○ 사고일시 : 1993. 10. 10 ○ 원인 : 정원초과(승선정원 221명: 362명 탑승) ○ 장소 : 위도 파장금항 ☞ 부안군 격포항 운항 ○ 피해 : 승선 인원 363명 중 223명 사망, 70명 구조

1994 : 화학공장 독성가스 누출

1994 : 인조피혁공장 전격성 간괴사 ○ 사고일시 : 1994. 3. 27

○ 원인 :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다량 흡입

○ 피해 : 입사 2 ~ 3개월만에 간 괴사 사망

○ 사고일시 : 1994. 9. 10

○ 업종 : 우레탄 생산공장

○ 원인 : 포스겐 (COCL2) 가스 누출

○ 피해 : 3명 사망, 2명 가료

○ 장소 : 서울시 성동구 ○ 날짜 : 1994.10.21 ○ 원인 : 5번째와 6번째 교각사이 상판 48미터가 연결 이음새 부실로 꺼지면서 붕괴 ○ 피해 : 사망 32명, 부상17명, 차량 6대 추락

1994 : 성수대교 붕괴

1994 : 충주호 유람선 화재 ○ 장소 : 충북 단양군 충주5호 유람선 ○ 날짜 : 1994.10.24 ○ 원인 : 정원초과 및 기관엔진 과열로 화재발생 ○ 피해 : 사망 29명, 부상 33명, 재산 2억6천만원

1994 : 아현동 도시가스 화재폭발

○ 장소 : 서울시 마포구 도시가스 아현공급기지 ○ 날짜 : 1994.12.7 ○ 원인 : 안전조치미흡(배관, 계량기 점검 중 가스 누출) ○ 피해 : 사망 13명, 부상 65명, 6억원(가옥90,차량17 전소)

O 화학물질의 유해정보 자료 작성,비치

■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의 작성비치

1)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2) 구성 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3) 위험 • 유해성

4) 응급조치 요령

5) 폭발 • 화재 시 대처 방법

6) 누출 사고 시 대처 방법

7) 취급 및 저장 방법

8) 노출방지 및 개인 보호구

9) 물리 화학적 특성

10) 안정성 및 반응성

11) 독성에 관한 정보

12) 환경에 미치는 영향

13) 폐기시 주의사항

14) 운송에 필요한 정보

15) 법적 규제 현황

16) 기타 참고사항

1995 . 1: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O 용기나 포장에 경고표시 (위험성과 유해성)

■공정안전보고서(PSM)의 제출(49조의2)

건강장해물질

물리적위험물질

환경유해물질

인간이 경영중심

목표에 집중(’95)

1999. 2 :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O 안전보건관리위원회의 정당한 직무수행시 불이익 처우금지 (자율적 안전관리가 제도적으로 정착) O 위험 기계·기구의 유자격 검사원에 대한 교육제도 폐지 O 질병발생 원인규명을 위한 역학조사 근거 신설 O 이직자 건강관리수첩 발급을 재직중인 근로자에게도 발급

2000년대

• 사업주의 의무사항에 뇌심혈관질환 예방 추가 • 재해율 공표제도 시행 • 산업재해 기록, 보존 의무 신설 • 검정대상 보호구 확대 • 근골격계질환 예방의무 신설 - 단순반복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에 의한 건강장해예방

• 유해인자의 체계적 분류, 관리 신설 • 신규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 평가 개정 • 작업환경측정대상, 주기, 측정횟수 개정 - 측정 대상 유해인자를 116종에서 191종으로 확대하였고 옥

외작업도 측정대상에 추가 하였으며, 신규 작업장 또는 신규공정의 경우 30일 이내에 측정을 실시하고 그 후 6월에 1회 실시

2002. 12 :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1. 총칙 2. 분진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3. 밀폐공간 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 4. 사무실오염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 5. 소음·진동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6. 이상기압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7. 온·습도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8. 방사선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9. 근골격계 부담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 10. 병원체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11. 관리대상유해물질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12. 허가대상유해물질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13. 금지유해물질에 의한 건강 장해 예방 14. 그 밖의 유해인자 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 단말기조작, 농약사용, 스트레스, 잔재물처리

2003 : 산업보건기준에관한 규칙 전면개정

2005.1 : 전자제품 제조업 노말헥산 중독 (다발성 신경염 : 앉은뱅이병)

1974 : 고무신공장에 노말헥산 중독

1년 6개월간의 치료를 마치고 후유 장해 없이 귀국

① 외국어로 된 안전·보건표지 및 작업안전수칙 부착 노력 ② 중대재해발생시 현장보존의무 ③ 작업환경측정의 신뢰성평가제도 도입 ④ 산업재해예방시설 자금 지원 관리·감독 강화 ③ 위험 기계․기구․설비 등에 대한 검사․검정제도의 개편 (인증제도) ④ 사용단계의 정기 및 자체검사를 안전검사로 일원화

2007. 5 :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2007. 7 :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관리책임자 · 안전관리자 · 보건관리자에 대하여 실시

하는 안전·보건에 관한 직무교육을 복원 ※ 기업활동규제완화에 관한 특별조치법 개정

▣ 정부주도의 지도감독 재해감소 한계 - 2013년 재해자수는 91,824명(재해율 0.59%), 사망자수는 1,929명(만인율1.25)으로 답보상태

2010년대

2013. 6 :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

① 정부의 책무 : 자율안전·보건경영체제 확립 지원 - 자율적인 안전·보건 경영체제 운영기법 연구·보급 - 장관은 안전관리 및 보건관리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책을 마련 ② 화학물질을 제조·취급하는 작업을 도급할 경우에는 수

급인에게 안전·보건에 관한 정보를 제공 의무 부과. ③ 중대한 건강장해를 일으키는 화학물질을 제조·수입하

는 자는 유해성·위험성을 조사하여 제출하게 하고, 이를 검토하여 필요한 조치를 명함.

④ 건설물, 기계·기구, 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등

에 의하거나 작업행동, 그 밖에 업무에 기인하는 유해·위험요인에 대하여 위험성평가를 실시하도록 함.

(제 41조의2 신설) ⑤ 근로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시설을 설치∙운영할 수 있

는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함(제61조제3호 신설).

산업안전보건법령의 체계 및 특징

환노위 ⇒ 법사위 ⇒ 본회의

법제처심의⇒차관회의 ⇒국무회의

부처

법무관

심의 기술상의

지침

작업환경

표준

고시 예규 훈령

안전보건기준에 관한규칙

유해·위험작업의 취업 제

한 규칙

시행령

법률

대통령

고용노동부장관

국회

시행

규칙 법제처심의

법 령

(형사처벌 및

경제력 제재 병행)

국민투표

행정규칙

헌법

산업안전보건법의 구성

본칙사항

총칙사항

실칙적사항

보칙적사항

벌칙사항

제1장 총칙(제1조~제12조)

제2장 안전보건관리체제(제13조~제19조)

제3장 안전보건관리규정(제20조~제22조)

제4장 유해·위험예방조치(제23조~제41조의2)

제5장 근로자보건관리 (제42조~제47조)

제6장 감독과 명령(제48조~제52조)

제6장의2 산업안전지도사 및 산업위생지도사 (제52조의2~제52조의15)

제8장 보칙(제61조~제66조)

제9장 벌칙(제66조의2~제72조)

부칙사항 부칙

※ 제7장 산업재해예방기금(제53조~제60조):삭제

※ 법률 전체의 원칙적, 기본적, 총괄적 사항

※ 법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세부적인 규정

※ 총칙 규정에 두기에는 부적합한 절차적·기술적·보완적 내용

※ 법령위반 행위에 대하여 처벌을 정하는 내용

※ 본칙에 규정된 사항의 시행일정을 정하는 내용

산업안전보건법의 주요내용

제1장 총칙 (제1장 ~ 제12장) 제1조 (목적) ○ 산업안전보건 기준의 확립하고 책임의 소재 명확화 ○ 산업재해예방 쾌적한 작업환경조성 ○ 근로자 안전·보건 유지 증진

제2조 (정의) ○ 산업재해 · 근로자 · 사업주 · 근로자 대표 · 작업환경 측정 · 안전보건진단 · 중대재해 용어의 정의

제3조 (적용 범위) ○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에 적용 - 유해·위험 정도, 사업의 종류·규모 등에 따라 법의 일부를 적용제외

대상 사업 적용 제외 규정

1.광산보안법, 원자력법, 항공법, 선박안전법 적용사업

법 제13조, 제14조, 제15조, 제15조의2, 제15조의3, 제16조의2, 제18조, 제19조, 제3장, 제23조, 제26조(보건 사항 제외), 제28조, 제29조제1항부터 제7항까지, 제29조제9항, 제29조의2, 제30조, 제31조(보건 사항 제외), 제31조의2, 제34조의5, 제36조의4, 제39조, 제39조의2 (동일)

2.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전문서비스업, 건축기술, 엔지니어링 및 기타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사진 처리업 제외), 사업지원 서비스업, 사회복지 서비스업

법 제31조(같은 조 제3항에 따른 유해․위험한 작업의 안전·보건 특별교육은 제외한다) ※ 정기적인 안전·보건교육, 채용시와 작업내용 변경 안전·보건 교육만

제외됨

3. 상시근로자 50명 미만 사업장 농업, 어업, 환경 정화 및 복원업,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영화, 비디오물,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 녹음시설운영업, 방송업, 부동산업(부동산관리업 제외) 및 임대업, 연구개발업,보건업(병원 제외),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협회 및 단체, 개인 서비스업(세탁업 제외)

4.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교육 서비스업, 국제 및 외국기관 법 제2장, 제3장, 제29조제1항부터 제7항까지, 제29조제9항, 제31조,

제31조의2, 제32조, 제32조의2, 제32조의3(금융,보건업 강화) ※ 제34조의5 제36조의4 보완 적용됨 5. 사무직만 사용하는 사업장(사업장이 분리되

어 사무직에 종사 사업장 포함)

6. 상시 근로자 5명 미만을 사용하는 사업장 법 제2장,제3장,제31조(제3항 특별교육 제외),제31조의2,제32조,제32조의2,제32조의3,제49조,제50조, 제51조의2

시행령 제2조의2 [별표 1]개정 2013. 8.6 (2014년 1월 1일부터 시행)

제4조 (정부의 책무) ○ 이 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항을 성실히 이행할 책무를 짐

제5조 (사업주 등의 의무) ○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유지·증진 및 국가의 산업재해 예방 시

책을 따름

제6조 (근로자의 의무) ○ 산업재해 예방에 필요한 사항을 지켜야 함

제7조 (산업안전보건정책심의위원회) : 삭제<2009.10.9> 제8조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공표) ○ 산업재해 예방에 관한 중ㆍ장기 기본계획 수립, 공표

제9조 (협조의 요청 등)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해예방계획 협조 ○ 사업주단체 · 관계인에 필요사항 권고 · 협조

제9조의2 (사업장의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 공표) ○ 산업재해 발생건수, 재해율 또는 그 순위 등을 공표

제10조 (산업재해 발생 기록 및 보고 등) ○ 재해발생원인 등을 기록·보존 ○ 발생 개요·원인 및 보고 시기, 재발방지 계획보고 (산업재해보상 신청 시에도 적용함)

제10조의2 (산업재해기록) : 삭제 <2009.2.6>

제11조 (법령 요지의 게시 등)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의결사항, 안전보건관리규정, 도급

사업의 안전보건 조치, MSDS, 작업환경측정 , 안전보건

진단 결과, 안전보건개선계획 시행내용 등

제12조 (안전·보건표지의 부착 등)

○ 금지표지, 경고표지, 지시표지, 안내표지

제2장 안전·보건 관리체제(13조~19조)

사 업 주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안 전 보 건 관

리 책 임 자

각 부 서 장

공 장 장

안 전 보 건 총괄책임자

각 과 장

각 직ㆍ조ㆍ반장

작 업 자

관 리 감 독 자

안 전 관리자

산 업 보건의

보 건 관리자

(법 제18조)

(법 제13조)

(법 제19조)

전문적ㆍ기술적 보좌

(법 제14조)

지도ㆍ조언

(법 제15조) (법 제16조) (법 제17조)

제13조 (안전보건관리책임자) ○ 안전보건관리책임자(관리책임자)를 두어 업무를 총괄관리

제14조 (관리감독자) ○ 경영조직에서 생산과 관련되는 업무와 그 소속 직원을 직접

지휘·감독하는 부서의 장 또는 그 직위를 담당하는 자를 관리감독자로 선임

- 안전·보건점검 등의 업무를 수행 - 위험방지가 특히 필요한 작업은 특별교육 추가 수행

제15조 (안전관리자 등) ○ 사업주나 관리책임자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 지도·조언 - 상시 근로자 300인 이하 : 안전관리전문기관에 위탁

제16조 (보건관리자 등) ○ 사업주나 관리책임자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 지도·조언 - 상시 근로자 300인 이하 : 보건관리전문기관에 위탁

1) 안전보건위원회에서 의결한 직무와 안전보건관리규정에 정한 직무 2) 안전인증대상 및 자율안전 확인대상 중 보건에 관련된 보호구 적격품 구입 3) 물질안전보건자료의 게시 또는 비치 4) 위험성평가에 관한 보좌 및 조언·지도 5) 산업보건의의 직무 6) 근로자 건강관리, 보건교육, 건강증진 지도 7) 의료행위 (의사, 간호사) 8) 환기설비 점검과 공학적 개선지도 9) 사업장 순회 점검·지도 및 조치 건의 10) 직업병 발생 원인조사와 대책수립 11) 보건분야 재해통계의 유지관리 조언 12) 안전보건관리규정 위반근로자 조치.건의 13) 업무수행내용의 기록·유지

보건관리자의 직무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17조)

사업의 종류 규모 보건관리자 보건관리자의 선임방법

22. 농업, 임업 및 어업 23.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24. 하수ㆍ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제18호 사업은 제외)

21. → 25. 운수업(육상운송, 파이프라인 운송업 제외)

26. 도시철도 운송업 27. 도매 및 소매업 28. 숙박 및 음식점업 29. 서적, 잡지 및 기타 인쇄물 출판업 30. 방송업, 31. 통신업

32. 부동산업, 33. 연구개발업 34. 사진 처리업 35. 사업시설 관리 및 조경 서비스업 36. 보건업, 7. 골프장 운영업 38. 수리업(제19호 해당 사업제외) 39. 세탁업

상시 근로자 5,000명 이상

2명 이상 별표 6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을 선임하되, 별표 6 제1호에 해당하는 사람 1명 이상이 포함되어야 함. (신설)

상시 근로자 50명 이상 5,000명 미만

1명 이상 별표 6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을 선임. (25호이외 신설)

40. 건설업 신설

공사금액 800억원 이상(「건설산업기본법 에 따른 토목공사는 1천억 이상) 또는 상시 근로자 600명 이상

1명 이상[공사금액 800억원(토목공사는 1,000억원)을 기준으로 1,400억원이 증가할 때마다 또는 상시 근로자 600명을 기준으로 600명이 추가될 때마다 1명씩 추가]

별표 6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을 선임하여야 한다. (신설)

시행령 제16조(보건관리자의 선임 등) [별표 5] (2015년 1월 1일부터 시행)

제17조 ((산업보건의) ○ 근로자의 건강관리 ○ 보건관리자의 업무 지도

제18조 (안전보건총괄책임자) ○ 동일 장소에서 도급을 주는 사업주는 관리책임자를 안전보

건총괄책임자로 지정하여 수급인 근로자 관리 - 수급인과 하수급인에게 고용된 상시 근로자가 100명이상인 사업

( 선박 및 보트 건조업, 1차 금속 제조업 및 토사석 광업의 경우에는 50명) : 시행령

- 총 공사금액 20억 이상인 건설업 : 시행령

※ 위험성평가의 실시에 관한 사항 업무 추가

제19조 (산업안전보건위원회) ○ 노·사 동수로 구성되는 위원회를 설치ㆍ운영 - 근로자 대표, 명예산업안전감독관 - 사업자대표,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사업의 종류 규모

1. 토사석 광업 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가구제외 3.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세제, 화장품, 광택제, 화학섬유 제외)

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5. 1차 금속 제조업 6. 금속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 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8. 기타 기계, 장비 제조업(사무용 기계, 장비 제외) 9.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전투용 차량 제외)

상시 근로자 50명 이상 ※시행규칙 제25조가 시행령으로 이동

10. 농업 11. 어업 12.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13.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14. 정보서비스업 15. 금융 및 보험업 16. 임대업(부동산 제외) 17.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연구개발업 제외) 18. 사업지원 서비스업 19. 사회복지 서비스업

상시 근로자 300명 이상 (신설)

20. 건설업 공사금액 120억원 이상(토목공사는 150억원 이상)

21. 제1호부터 제20호까지의 사업을 제외한 사업 상시 근로자 100명 이상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설치 대상(시행령 제25조) [별표 6의2]

제20조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등)

제21조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변경 절차) 제22조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준수 등)

사업의 종류 규모

1. 농업 2. 어업 3.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4.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5. 정보서비스업 6. 금융 및 보험업 7. 임대업;부동산 제외 8.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9. 사업지원 서비스업 10. 사회복지 서비스업

상시 근로자 300명 이상 사업장 (신설)

11. 제1호~제10호를 제외한 사업 상시 근로자 100명 이상 사업장

제3장 안전보건 관리규정(20조~22조)

제23조 (안전조치) ○ 다음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 1) 기계· 기구 · 설비의 위험 2) 폭발성· 발화성· 인화성물질의 위험 3) 전기· 열· 기타 에너지의 위험 ○ 굴착, 채석, 하역 벌목 등 작업방법에 기인한 위험방지 조치 ○ 추락, 붕괴, 낙하, 비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

제24조 (보건조치) ○ 다음 건강장해 예방을 위한 조치 실시 1) 원재료,가스,분진,흄,미스트,산소결핍, 병원체 등 건강장해 2) 방사선,광선,고온·저온,초음파, 소음·진동, 이상기압 등 건강장해 3) 기체, 액체, 찌꺼기에 의한 건강장해 4) 계측감시, 컴퓨터 단말기조작, 정밀 공작 등의 건강장해 5) 단순반복, 인체 부담작업의 건강장해 6) 환기,채광, 조명,보온,방습,청결로 인한 건강장해

제4장유해·위험 예방조치(23조~41조의2)

제25조 (근로자의 준수 사항) ○ 안전조치 준수 및 보건조치 준수 ○ 석면 해체·제거 작업기준의 준수

제26조 (작업중지 등) ○ 급박한 위험 또는 중대재해 발생 시 작업 중지 및 대피 조치

제27조 (기술상의 지침 및 작업환경의 표준) ○ 지침과 표준을 정하여 사업주에게 지도 · 권고

제28조 (유해작업 도급 금지) ○ 장관의 인가 없이 유해·위험 작업만 분리 도급금지

제29조 (도급사업 시의 안전·보건조치) ① 같은장소에서 행하는 도급사업 수급인 근로자의 산업재해 예방조치. ④ 정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작업장에 대한 안전·보건점검 ⑤ 화학물질 제조·사용·운반·저장 설비를 개조하거나, 위험한 작업 도급

하는 자는 수급인 근로자에게 안전·보건에 관한 정보 제공

제29조의2 (안전·보건에 관한 협의체의 구성·운영에 관한 특례)

제29조의3 (설계변경의 요청) <신설 2013.6.12> 제30조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계상 등) 제30조의2(재해예방 전문지도기관)<신설 2013.6.12>

제31조 (안전·보건교육) ① 정기적인 안전·보건 교육 ② 채용(건설 일용직 제외)시, 작업내용 변경시 안전·보건 교육 ③ 유해․위험한 작업에는 안전·보건 특별교육

제31조의2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 건설 일용근로자를 채용할 때에는 교육 이수

제32조 (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교육) ○ 직무교육 (관리책임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재해예방 전

문지도기관의 종사자)

제32조의2 (등록기관의 평가) 제32조의3 (준용)

제33조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기구 등의 방호조치 등) ① 위험한 작업이 필요하거나 동력으로 작동하는 기계∙기구의

유해·위험 방지를 위한 방호조치 ② 물림점(동력전달,속도조절,회전기계) 방호조치 ③ 기계·기구·설비· 건축물의 대여시 유해·위험 방지조치

제34조 (안전인증) ○ 성능,제조자 기술능력, 생산 체계 안전인증(3년 주기 확인)

제34조의2 (안전인증의 표시 등)

제34조의3 (안전인증의 취소 등) 제34조의4 (안전인증대상 기계·기구등의 제조·수입·사용 등의 금지 등) 제34조의5 (안전인증기관의 지정) [신설 2011.7.25]

제35조 (자율안전확인의 신고) ○ 의무안전인증 대상이 아닌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ㆍ기구

의 제조(설치)· 수입자는 성능이 고시하는’안전기준’에 맞는지 확인하여 장관에게 신고

제35조의2 (자율안전확인의 표시 등) 제35조의3 (자율안전확인표시의 사용 금지 등) 제35조의4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기구등의 제조·수입·사용 등의 금지 등)

제36조 (안전검사) ○ 사업주 또는 소유자는 유해ㆍ위험기계 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고시하는 ‘검사기준’에 맞는지 검사 - 안전검사기관을 지정 위탁

제36조의2 (자율검사프로그램에 따른 안전검사) 제36조의3 (의무안전인증대상 기계·기구등 제조사업

등의 지원) 제36조의4 (유해·위험기계등의 안전 관련 정보의

종합관리)

제37조 (제조 등의 금지) ○ 직업성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물질 ○ 중대한 건강장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물질

제38조 (제조 등의 허가) ○ 허가대상물질을 제조하거나 사용하려는 자는 미리

고용노동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함

제38조의2 (석면조사) ○ 건축물이나 설비를 철거하거나 해체하려는 경우에

석면조사

제38조의3 (석면 해체·제거 작업기준의 준수) 제38조의4 (석면해체·제거업자를 통한 석면의

해체·제거) 제38조의5 (석면농도기준의 준수)

제39조 (유해인자의 관리 등) ○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 관리하고 노출기준을 정하여 고시

제39조의2 (유해인자 허용기준의 준수) ○ 중대한 건강장해를 유발 우려 인자는 허용기준 이하로 유지

제40조 (신규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조사) ○ 신규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을 조사하고 보고서를

장관에게 제출

제41조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비치 등) ○ 화학물질 또는 이를 함유한 제제를 양도하거나 제공하는 자

는 이를 양도받거나 제공받는 자에게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작성하여 제공

- 화학물질의 명칭 -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 안전∙보건상 취급 시 주의사항 - 건강 유해성 및 물리적 위험성

제41조의2 (위험성평가) <신설 2013.6.12> ○ 건설물, 기계·기구, 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등, 작업

행동,그 밖에 업무에 기인하는 유해·위험요인을 찾아내어 위

험성을 결정하고, 그 결과에 따른 법적조치를 함.

- 근로자의 위험 또는 건강장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

우에는 추가적인 조치를 함.

위험성평가 실시내용 및 결과의 기록·보존

(시행규칙 제92조의11)

1. 위험성평가 대상의 유해·위험요인

2. 위험성 결정의 내용

3. 위험성 결정에 따른 조치의 내용

4. 위험성평가 실시내용 확인에 필요한 사항

※ 자료는 3년간 보존

제42조 (작업환경측정 등) ○ 자격을 가진 자가 작업환경측정을 하고 기록·보존 - 지정측정기관에 위탁

제42조의2 (작업환경측정 신뢰성평가) ○ 작업환경측정 결과의 정확성과 정밀성을 평가 [신설 2007.5.17]

제43조 (건강진단) ○ 장관이 지정하는 기관이나 “국민건강보험법” 에 따라 건강진

단기관에서 근로자 건강검진 실시

제43조의2 (역학조사) ○ 직업성질환의 진단 및 예방, 발생원인의 규명

제44조 (건강관리수첩) ○ 건강장해 발생우려가 있는 업무에 일정 기간이상 종사한 근로

자에 대해 건강관리수첩을 교부

제45조 (질병자의 근로 금지·제한) 제46조 (근로시간 연장의 제한) 제47조 (자격 등에 의한 취업 제한)

제5장 근로자의 보건관리 (42조~47조)

제48조 (유해·위험 방지 계획서의 제출 등) 제49조 (안전·보건진단 등) 제49조의2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제50조 (안전보건개선계획) 제51조 (감독상의 조치) 제51조의2 (영업정지의 요청 등) 제52조 (감독기관에 대한 신고)

제6장 감독과 명령(48조~52조)

제6장의2 산업안전지도사 및 산업위생지도사 제52조의2 (지도사의 직무) 제52조의3 (지도사의 자격 및 시험) 제52조의4 (지도사의 등록) 제52조의5 (지도사에 대한 지도 등) 제52조의6 (비밀 유지) 제52조의7 (손해배상의 책임) 제52조의8 (유사명칭의 사용 금지) 제52조의9 (부정행위자에 대한 제재) 제52조의10 (지도사의 교육) <신설 2013.6.12> 제52조의11 (품위유지와 성실의무 등) <신설 2013.6.12> 제52조의12 (금지 행위) <신설 2013.6.12> 제52조의13 (관계 장부 등의 열람 신청) <신설 2013.6.12> 제52조의14 (자격대여행위 등의 금지) <신설 2013.6.12> 제52조의15 (등록의 취소 등) <신설 2013.6.12.>

제48조 (유해·위험 방지 계획서의 제출 등) ○ 건설물ㆍ기계ㆍ기구 및 설비 등 설치ㆍ이전하거나 변경할

때에는 유해ㆍ위험 방지 계획서 작성하여 제출

제49조 (안전·보건진단 등) ○ 장관은 안전·보건진단을 받을 것을 명령

제49조의2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 화재, 폭발, 누출 등으로 사업장 또는 인근지역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사고 예방을 위하여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고, 사업장 비치

제50조 (안전보건개선계획) ○ 종합적인 개선조치가 필요한 경우 그 사업장, 시설 등에 관한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수립·시행을 명령

제51조 (감독상의 조치) 제51조의2 (영업정지의 요청 등) 제52조 (감독기관에 대한 신고)

제6장 감독과 명령(48조~52조)

제53조 (기금의 설치) ~ 제60조 (기금계정의 설치) : 삭제

제8장 보칙 제61조 (산업재해 예방시설) 제61조의2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61조의3 (재해 예방의 재원) 제62조 (산업재해 예방활동의 촉진) 제63조 (비밀 유지) 제63조의2 (청문 및 처분기준) 제64조 (서류의 보존) 제65조 (권한 등의 위임·위탁) 제66조 (수수료 등)

제9장 벌칙 제66조의2 (벌칙) 제67조 (벌칙) 제67조의2 (벌칙) 제68조 (벌칙) 제69조 (벌칙) 제70조 (벌칙) 제71조 (양벌규정) 제72조 (과태료)

제7장 산업재해예방기금 : 삭제 <2001.12.31.>

과태료(1-1) (단위 : 만원)

근로자대표 알리지 않음(안전보건위원회, 안전보건관리규정, 도급

조치, MSDS사항, 작업환경측정) : 30, 150, 300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미 선임 : 500, 500, 500 총괄관리토록 안함 : 300, 400, 500 관리감독자 업무 수행토록 하지 않은경우 : 300, 400, 500 안전관리자 미선임 : 500, 500, 500 업무 수행토록 안한 경우 : 300, 400, 500 보건관리자 미선임 : 500, 500, 500 업무 수행토록 안한 경우 : 300, 400, 500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미설치 : 500,500,500 정기회의 위반 : 1회당 50, 250, 500 의결사항 미 이행 사업주 : 50, 250, 500 의결사항 미 이행 근로자 : 10, 20, 30 안전보건관리규정 미 작성 : 150, 300, 500 미 게시 : 30, 150, 300 도급사업 안전보건 조치 : 생략 관리책임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교육위반 : 5, 20, 30

과태료(1-2)

석면관련 조치 : 생략 작업환경측정

측정방법을 준수하지 않음 : 100, 300, 500,

결과 미 보고 : 30, 120, 300,

거짓보고 300, 300, 300,

입회요구 위반 500, 500, 500,

설명회개최요구 위반 : 50, 250, 500

건강진단

입회요구 위반 : 500, 500, 500,

근로자, 사업주에게 통보하지 않음 : 30, 100, 200,

거짓 통보, 보고 함 : 300, 300, 300,

설명요구 위반 : 50, 250, 500

안전보건진단 : 명령위반 1,000, 거부∙기피 150, 750, 1,500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작성,제출 위반 : 300, 600, 1,000, 위원회의 심의 없음 : 50, 250, 500, 비치하지 않은경우 : 100, 250, 500, 사업주 내용위반 1건당 10, 20, 30, 근로자 내용위반 1건당 5, 10, 15

안전보건개선계획수립, 감독상의조치 : 생략

과태료(2) 산업재해 발생 미 보고 : 300, 600, 1,000 법령요지 미 게시, 비치(전부) : 50, 250, 500 (일부) : 30, 150, 300 안전∙보건표지의 미 부착 : 1개소당 3, 15, 30 안전보건 교육 : 정기교육 : 근로자 매분기 1명당 3, 5, 10 관리감독자 : 연간 1명당 3, 5, 10 채용∙작업변경 교육 : : 1명당 5, 10, 15 특별교육 : 1명당 5, 10, 15 안전검사 받지 않음 : 1대당 : 20, 60, 100, 합격표지 미부착 : 1대당 5, 25, 50 미 검사, 불합격품 사용 : 50, 100, 200 물질안전자료의 작성 비치 제공받고 미게시 : 1종 당ⅹ작업장 당 10, 20, 50 제공받지 못하여 미 게시 : 1종 당ⅹ작업장 당 5, 10, 20 사업주 용기 경고표시 안함 , 제거, 훼손 : 1종 당 5, 10, 20 교육을 안함 : 근로자 1명당 5, 10, 15 작업환경측정을 하지 않음 : 대상작업 근로자 1명당 5, 20, 50 허용기준을 유지하지 못함 : 1,000, 1,000, 1,000 건강진단을 실시하지 않음 : 근로자 1명 당 5, 10, 15, 근로자가 받지않은 경우 : 5, 10, 15 유해위험방지계획서 300Kw 이상(13개제조업) 미제출 : 1,000, 1,000, 1,000, 용해,화학,건조,용접,환기 미제출 : 300, 600, 1,000, 서류 보존 위반 : 각 서류의 종류별 30, 150,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