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당뇨병등록관리사업의성과 ... - kncd.org · 질병관리본부로이관...

23
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사업의 성과 및 과제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Upload: others

Post on 13-Sep-2019

7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사업의 성과 및 과제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말씀드릴 순

사업모형2

3 사업 과 및 과제

사업개요1

사 업 개

사업목적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지속치료율 제고 및 자가관리 능력 향상으로

심근경색증 및 뇌졸증 발생 지연

사업대상

주민등록상 사업지역 거주 30세 이상 고혈압 당뇨병 환자, 지역사회 주민 전체

참여기관

일차의료기관, 약국, 보건소, 고혈압 당뇨병 등록교육센터

연 도 내 용

2006년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수립

2007년 대구광역시에서 등록관리 시범사업 시작

2009년 경기도 광명시로 등록관리 시범지역 확대

2010년 경기도 3개시로 시범지역 확대

2011년

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관리과 신설 되면서 심뇌혈관질환관리사업이 복지부에서질병관리본부로 이관

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 시범사업 전국확대 계획 수립

2012년 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 사업 신규지역 선정 및 총 25개 보건소 사업시작

2013년 사업의 체계적 지원을 위한 중앙만성질환예방관리사업지원단 신설

사업 추진경과

사업참여지역

‘15년 현재 19개 자치단체, 25개 보건소 참여

사 업 모 형

사업모형의 근거

WHO 혁신적 만성질환 관리 모형

WHO에서 개발한 모형으로

만성질환 관리모델(CCM)을

확장시켜 재구조화

보건의료체계를 거시적 영역(정

책 및 재정), 중간영역(보건의료

조직 및 지역사회), 미시적 영역

(환자 및 가족)으로 구분하여

상호협력하는 모형

사업의 비전 및 목적

사업조직체계

등록관리서비스 제공절차 도식도

서비스 제공전략

서비스 내용

교육 , 상담 서비스

전문인력(예방의학 전문의, 간호사, 영양사, 운동치료사 등)이 교육 및 상담 제공

질환의 이해, 영양관리, 신체활동 분야의 지식향상 및 실습

기초, 심화학습등 단계별 교과과정 운영

이론, 실습, 체험학습등 다양한교수방법

교육의 표준화를 위한 표준교재 개발을 통한 교육운영

리콜, 리마인드 서비스

치료일정 및 치료누락 일정알림서비스

병의원 방문일 알림서비스

의료비 지원

병의원 환자 등록비 지원- 65세이상 : 1인당 1,000원/연- 30-64세 : 1인당 5,000원/연

등록환자 본인부담금 지원- 진료비 1500원/월- 약제비 2000원/질환별/월- 합병증 검사비 10000원/연

(안저검사, 당화혈색소검사, 요단백검사)

지역사회 주민참여 프로그램

주민 참여형 상설교육 운영, 직장순회 보건교육 운영, 당뇨환자 걷기대회 개최

건강한 음식 만들기 체험학습 프로그램 운영, 자기혈관 숫자 알기 레드써클 캠페인 등

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 정보시스템

평가지표 체계

과 및 과제

환자 등록 현황

More 65 aged Under 30~64 aged

등록자 수 377,763 44,557

등록율 73.0% 8.2%

병의원 등록현황

병 의원 약국

참여 기관 수 1,395 2,133

참여율 98.0% 97.6%

교육이수현황

고혈압 교육 당뇨 교육 영양 교육

교육 이수자 수 97,282 69,950 13,151

(단위) 개, %(기준) 사업시작일 ~ ‘15.8.31

(단위) No. of cases, (기준)’13.1.1~’14.12.31

통계기준일 : 사업시작일~2015년 8월 31일. 건보공단 외래실인원, 심사평가원 병의원신고기관수, 고혈압당뇨병등록관리정보시스템 자료

(단위) 명, %(기준) 사업시작일 ~ ‘15.8.31

사업 만족도

‘10년 광명시 사업참여 의사, 약사, 환자 90% 이상이 사업에 만족 표현

’10년 광명시 사업참여 의사, 약사 80% 이상이 타 지역 사업확산 지지. 참여환자 95% 이상이 다른 환자에

사업추천 의사 표시

등록환자의 일차 의료기관 이용

혈압 조절

Registrationpoint

After registration

After 1 year After 2 years After 3 years

Control rate 71.8 78.7 81.1 83.9

등록환자들의 등록시점 대비 71.8%에서 등록 후 3년차에는 12.1% 의 혈압이 개선(2014년)

*조절기준 : systolic BP ≥140mmHg or Diastolic BP ≥ 90mmHg

2014년 중앙만성질환예방관리사업지원단 결과보고서

지속치료율

’09년 광명시 65세 이상 등록자의 등록 전 1년, 등록 후 1년, 2년 후 지속치료율 비교

(고혈압) 등록 전 1년 47.3%, 등록 후 1년 65.9%, 등록 후 2년 69.3% 상승

(당뇨병) 등록 전 1년 42.8%, 등록 후 1년 57.6%, 등록 후 2년 60.8% 상승

* 지속치료율 : 1년 평균처방일의 80%(290일 이상) 이상 복용한 환자의 분율

고혈압 당뇨병

등록환자의 건강행태 개선

’10년 광명시 65세 이상 등록환자 자가혈당검사 증가(45.5% -> 51.5%)

당뇨병 관리교육 경험 증가(12.55 -> 23.5%)

과제

1. 30-64세 미만 환자의 참여율 저조

2. 진료비 지원이 서비스 내용을 변화시키거나 생활 습관 개선의 강화로 작용

하지 못하고 소액 감면 혜택으로 그치고 있는 상황

3. 생활습관 개선 및 자가관리 능력 향상은 미흡

4. 의료기관, 약국 등 전문가 참여로 인한 시너지 효과 부족

5. 사업수행지역이 25개 시군구 지역에 불과하여 지역적 형평성 문제제기

6. 지역 자율성을 고려하지 않은 중앙 집중운영으로 지역의 다양성 및 특화성

반영 미흡

그럼에도 불구하고

1. 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사업 등 현장경험이 존재

2. 현장의사, 일차의료기관의 위기의식

3. 예방급여에 대한 필요성 증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