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성물질운반사고비상대응계획 - kins.re.kr · 초기단계-비상초기대응...

29
방사성물질 운반사고 비상대응 계획 조운갑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제9회 방사선안전 심포지움, 서울교육문화회관, 2010. 8. 31

Upload: others

Post on 01-Nov-2019

7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방사성물질 운반사고 비상대응 계획

조 운 갑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제9회 방사선안전 심포지움, 서울교육문화회관, 2010. 8. 31

내 용

비상대응 계획 및 대책 개요

비상대응 국가계획

비상대응 단계

훈련 및 정보공개

국내 운반 비상대응계획 현황

요 약

2

3

방사성물질 운반 매년 전세계적으로 수천만개의 방

사성물질이 운반됨

과거 50여년간(1960-2010) 방사성물질 운반관련 방사능에 기인한인명의 사망, 상해, 주요한 환경피해는 알려지지 않았음. IAEA 운반 안전기준 고려

운반사고, 방사성물질 누출 사고 사례있으나 B형 용기로부터의 누출 또는방사선 상해사고 사례 없음 미국사례 : 10년간 2500만건 운반,

100번 운반사고, 10번의 방사성물질 누출사고

4

비상대응(Emergency Response) 비상대응의 목적 방사성물질 운반 관련 사고에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응

사고로부터 발생가능한 위험을 최소화 시킴

적절한 대응 ? 인명, 재산, 환경에 대한 잠재적 또는 실제적 손상을 가

능한 정도로 최소화

부상 또는 오염된 사람에 대한 적절한 의료적, 방사선학적 조치, 방사성물질의 적절한 이동, 사고로 확산된 방사성물질의 제거, 사고현장의 정상상태로의 복구

필요 조치에 장기간 소요 시, 초기대응은 최소한 부상자에 대한 적절한 의료적 치료 제공, 재산 및 환경에 대한손상을 완화시켜야 함.

5

비상대응 계획 및 대책

비상대응 요구 시, 시기적절하고 적합하게이루어지기 위해 필요

비상대응계획

운반관련 비상사고 시 취할 즉각적 조치 포함

운반자나 일반 비상대응 담당자(경찰, 소방관등)가 방사성물질의 존재 인지 및 즉각적 사고관련 당사자 또는 관계당국에의 보고 체계와절차 수립

현장에서 준수해야 할 비상대응 지침

간결, 명확, 제한적이어야 함

6

비상대응 계획 및 대책

비상대응 계획 비상사고 발생시 관계당국, 운반자, 송하인이

신속히 대응하도록 준비되어야 함.

운반관련 사고의 잠재적 결과를 고려해야 함.

모든 관련 절차, 규제 및 보고 요건을 준수하도록 하는 규정을 포함해야 함.

방사선방호절차에 대한 전문적 역량을 갖춘 전문가와 즉각적 연락가능 체계를 포함해야 함. 방사성물질 상태 평가 및 조치방법 결정 비 손상 운반물 수송 재개여부 결정, 누출 방사성물질

통제 및 제거, 손상된 운반물 또는 누출 방사성물질의적절한 이동, 관련 작업자 방사선피폭 최소화 조치 등

7

비상대응 : 선택이 아닌 필수요건

방사성물질 운반사고 발생 시, 비상대응 규정들이 인명, 재산,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관련 국가 또는 국제기구에 의해 수립되어져 있어야 함.

비상대응 절차 사고 발생 시 운반내용물과 주변환경

의 반응으로 야기될 수 있는 다른 위험물 생성을 고려해야함

모든 가능한 운반형태를 고려해야 함(육상,해상,항공)

비상대응 역량 확보 법적으로 규정화된 요건이어야 함 책임있는 당국의 운반관련 승인내용

에 포함되어야 함

8

IAEA 안전지침 TS-G-1.2

비상대응 계획 및 대비의 철학적 지침 제공

운반사고 대응과 관련된 잠재적인 문제점들을 대략적으로 제시

회원국의 방사성물질 운반사고 관련 비상대응 계획과 절차 준비 지원

IAEA Safety Guide No. TS-G-1.2(ST-3) “Planning and Preparing for Emergency Response

to Transport Accidents Involving Radioactive Material”

9

최선의 방법

방사성물질을 다른 모든 위험물의 일부로 간주하는 것

위험물 : 폭발, 부식, 화공, 유류, 가스 등...

비상대응 계획 필요성, 대응 조치, 요구 장비, 개입되는 기관들, 필요한 교육 훈련 등의 내용이 유사

위험물에 대한 종합 대응 체계 필요

대응조치는 포장, 내용물 확인을 통해 결정

표식, 표지, 선적서류 등

RAM

HazMat

10

비상대응 국가계획

비상대응계획의 핵심

지도적 기관의 설립

책임 있는 개인이나 기관이어야 함

상시 가동 및 모든 비상대응조치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함

책임, 법적 권한, 필요한 자원을보유해야 함

11

비상대응 관련기관

잠재적 관련 기관

수송, 인허가, 환경, 비상대응, 송하인 및 운반인, 정보전달, 에너지, 국방 관련 기관들

기관별 책임내용이 명확해야 함

국가기관, 송하인, 운반인, 비상대응 팀

12

비상대응 국가계획 비상대응 국가 계획의 범위

계획의 근거 관련 기관들의 책임, 역량 및 임무들 핵심적인 기관 또는 인력에게 통보 및 경보발령의 절차 일반대중에의 경고 및 권고 방법들 피폭 및 오염에 대한 개입 준위, 보호 조치들 비상대응 조치의 절차 필요 자원 및 의료, 일반보건 지원 사항 훈련, 연습 및 계획 개선 절차, 정보공개

기본 고려 사항 방사성물질에 적용되는 운반체계 선적되는 물질 및 운반용기 형태 운반사고 확률 및 예상 결과

13

비상대응 단계

초기단계

조치사항 : 비상 초기 대응

사고통제 단계

조치사항 : 방사선 방호

비상대응 후속조치 단계

조치사항 : 정리(Clean-up)

14

초기단계 - 비상 초기 대응

방사성물질 포함 사고 발생을 인지하면서시작

방사성물질 포함 사고 여부 인지 경로

운반작업자의 사고 보고, 비상 대응 요원의 관찰, 표식, 표지, 선적서류 들

비상 초기 대응 요원들

경찰관, 소방관, 의료 구급 및 응급수송요원

15

초기단계 - 비상 초기 대응

초기대응자의 임무 (FIRST)

응급조치 및 생명 구조 (First aid and life-saving rescue)

방사성물질 존재를 알리고 통보함(Inform and notify that radioactive material is present)

방사선 및 오염통제를 위한 접근 제한 (Restrict access for radiation and contamination control)

화재진압 및 억제(Stop or suppress any fires)

조치 끝 !! (That's all !!)

16

초기단계 - 비상 초기 대응

초기단계 - F...

응급조치 및 생명 구조 (First aid and life-saving rescue)

응급조치 제공은 도덕적, 법적 의무사항임

비전문가도 의사 또는 훈련받은 의료진 도착 전필요한 응급조치로 생명을 구할 수 있음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중요함

응급조치자는 의사, 숙련된 간호사 또는 응급구호요원만이 할수 있는 조치들을 해서는 안됨.

응급조치 훈련이 필요함

17

초기단계 - 비상 초기 대응 초기단계 - I...

방사성물질 존재를 알리고 통보함(Inform and notify that radioactive material is present) 차량 표지를 확인함

적절한 전문가 지원을 요청함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 – 비상사고 발생지역, 운반물 UN 번호 등

[ 초기단계 - R... ] 방사선 및 오염통제를 위한 접근 제한 (Restrict access for

radiation and contamination control) 방사선위험 통제 방법을 기억해야함.

선량 = 선량율 x 시간

선량 최소화 방법

방사선장에서의 시간 최소화, 선원과의 거리증가, 차폐물질의사용

18

초기단계 - 비상 초기 대응

초기단계 - S... 화재진압 및 억제(Stop or suppress any fires) 사고현장의 가용 시각적 정보(비상대응 지침을 포함한

운반서류, 운반용기상의 표기 및 표식, 화물 컨테이너및 차량의 표지 등)가 취해야할 필요 조치를 결정하는데도움이 될 수 있음.

초기단계 - T... : 조치 끝 !! 현장이 적절한 거리까지 깨끗하게 정리된 것을 확인 사고지점에 일반인의 출입을 통제 방사선준위 평가결과에 따른 추가적 조치를 조언할 전

문가를 기다림 후속 조치를 위한 예비 조사를 수행

19

초기단계 - 비상 초기 대응

예비조사 사항 손해, 손상 내용들, 표식, 표지 또는 서류들

용기 근처 화재

인화성 액체 또는 기체 존재 여부

폭발, 유독성, 부식성 물질 존재 여부

오염물질의 누설 전파 여부

방사선적 또는 기타 위험요인들, 기상조건

지역인구, 유수의 예상 경로, 사고지점 근접성, 대체 도로등에 관한 정보

예상 가능한 주요한 피폭 형태, 예측 선량

20

사고통제 단계 - 방사선 방호

최우선 기능 : 적합하고 시기를놓치지 않는 방사성 방호의 확실한 달성 위험 평가, 회복 조치, 보호 조치

이행

위험 평가 방사선준위 측정 공기중 또는 지표면 오염준위의

측정 개인피폭선량 평가

LIMITEDACCESS

CORDONEDOFFCHECKPOINT

WIND

ACCIDENTSITE

21

사고통제 단계 - 방사선 방호

회복조치 방사성물질 누출 차단

운반용기 차폐

누설된 방사성물질 회수, 용기내수용

보호조치 접근 통제, 통제구역내 보호조치

개인 방호 조치

대피 및 소개, 개인 제염

음식 및 물 공급 통제

사고지역 배수계통 보호

22

후속조치 단계 - 정리

비상상황 종료

정리 및 제염

사고지점 복원

장기적 음식 및 물공급 통제

23

훈련 및 연습 훈련

계획에 포함된 모든 개인들이 대상 적절한 수준의 훈련 연습과 심화훈련이 필요 계획의 지속적 개선 요함

연습과 심화훈련(drills) 계획을 시험해 볼 수 있어야 함 참여개인의 훈련, 사용장비의 평가, 연락기능의 작동을 시험해 볼 수 있

어야 함 비상대응 계획에서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알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줌 연습은 비상대응 계획의 전 범위를 포함 심화훈련은 비상대응 계획의 일부분을 포함 세심한 관찰과 비평 필요 결과를 활용하여 비상대응 계획을 개선 비상대응 장비 및 연락기능 점검

24

정보공개

대중을 고려한 비상대응 계획수립

대중매체 대표기관 선정 필요

정확한 정보 전달

25

국내 운반 비상대응계획

방사성물질등의 운반 또는 포장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비하기 위하여 비상대응계획을 수립. 시행하도록 원자력법이 개정(2005.12.30)됨

원자력법에 따른 운반신고 대상 방사성물질등을 운반하는 자는 2006년 7월부터 비상대응계획을 수립, 시행하도록 함

법 제86조제1항 및 시행규칙 제90조제1항

26

국내 운반 비상대응계획

관련규정 원자력법 제86조(운반신고)제1항

원자력법 제89조(사고의 조치 등)제1항

시행규칙 제90조(운반신고)

시행규칙 제90조의3(비상대응계획 수립. 시행)

비상대응계획 수립. 시행 대상 시행규칙 제90조제1항에서 규정된 방사성물질등을 운

반하는자 B(U)형 운반물, B(M)형 운반물, C형 운반물, 핵분열성물

질운반물, 방사성물질에 의해 오염된 대형기계장치로서 운반용기로 포장하기에 부적합한 것

27

국내 운반 비상대응계획

비상대응계획에 포함되어야할 사항 비상대응 조직, 권한 및 임무

사고보고절차

사고유형에 따른 조치계획

비상대응계획 관련 이행 현황 원자력관계사업자 방사성물질 운반 및 포장에 대한 비상대응계획 수립 및

시행 운반신고시 “비상대응계획서” 제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운반신고 심사 시 “비상대응계획” 적합성 심사

28

운반 비상대응 연구개발 현황

방사성물질 운반사고 비상대응 매뉴얼 개발

대용량 RI 운반 비상대응매뉴얼

핵물질운반 비상대응매뉴얼

방사성폐기물운반 비상대응매뉴얼

29

요약

방사성물질 운반사고 발생 시, 인명, 재산,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비상대응 계획이 수립, 이행되어야 함

역사적으로 심각한 방사선 피해를 야기한 방사성물질 관련 운반사고 발생 사례 없음

방사성물질 운반사고 비상대응 관련 국제규정 및 기준들이 꾸준히 개발, 개선되어 왔음 방사성물질 관련 운반사고 시 적절한 비상대응역량의 확보를 보다

확실히 하기위함

국내에서도 방사성물질 운반사고 대비 비상대응계획 제도가 수립 시행되고 있으나, 실효성 미흡 및 관련 규정, 기준등이 국제기준에 미치지 못함 운반 현장에서 실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비상대응계

획 수립, 시행을 위해 꾸준한 연구 개발, 운반유형별 비상대응매뉴얼등의 개발 보급 필요

국제적 기준에 따른 관련 국내 규정의 지속적 개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