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교육과 아이들의 삶 · 2014. 8. 25. · ( 8 evrf g ]9³ 3{6 è ;u 5 gmh^ia *³ e´...

22

Upload: others

Post on 02-Feb-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생태유아교육연구

    2009. 제8권 제3호 , 29 - 50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변화*

    Change of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the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 Level

    황 해 익(Hae-Ik Hwang)**

    요 약

    본 연구는 2008년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실제 참여한 공립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유

    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유치원 평가 실시 후 변화와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유치원 평가 체제가 안정적으로 제도화되기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8년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실제 참여한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 공립유치원 교사 9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평가가 끝난 직

    후 인 2008년 11월과 12월에 걸쳐 유치원 평가에 대한 사후 인식변화를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평가를 받은 공립유치원 교사들은 ‘교육과정’영역을 가장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유치원 평가로 인한 ‘과중한 업무’를 우려하고 있었다. 유치원 평가 결과에 대해

    서는 ‘평가에 참여한 유치원 교원에게만 공개’하기를 가장 희망하고 있으며 유치원 평가 결

    과에 대한 보상은 ‘평가받은 유치원 교원 전체’에게 ‘성과급 지급’을 선호하였으나 평가결과

    를 통해 조력 계획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의견 또한 높게 나타났다. 유치

    원 평가 실시 후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 참여 후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었으며 이러한 변화와 개선에

    대한 의견을 알아봄으로써 유치원 평가 체제의 정착 및 교사들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1)

    주제어 공립유치원(public kindergarten), 유치원 평가(kindergarten assessment)

    인식변화(a change of awareness)

    ※ 논문 접수 : 2009. 07. 30 / 수정본 접수 : 2009. 09. 04 / 게재 승인 : 2009. 09. 10

    * 이 논문은 2008년도 부산대학교 인문사회기금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email protected])

  • Ⅰ. 서 론

    우리나라는 1980년대 유아교육의 기회 확대라는 정부의 정책에 힘입어 유아교육기관의

    양적 팽창을 이루었으며 1980년까지 5%에 지나지 않던 유치원 취원율은 꾸준히 증가하여

    1995년 44.4%로 증가하였고 2007년에는 52.3%의 취원율을 보이고 있다(통계청, 2007).

    이와 같은 양적 팽창은 유아교육의 기회 확대라는 교육적 수혜를 넓히는 효과는 낳았으

    나, 한편으로는 준비 없는 양적 팽창으로 인해 유아교육의 질 관리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제 어느 교육기관에서나 교육의 질 개선은 그 기관의 교육문제의 중요한 관심사

    이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질적 향상을 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의 일환

    으로 보육시설은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를 도입하여 2005년 시범평가를 거쳐 2006년부터

    2008년까지 1주기 평가를 마쳤으며 유치원의 경우, 교육과학기술부의 주관 하에 2007년

    유치원 시범평가를 실시하였고,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전체 유치원을 대상으로 국가수준

    의 유치원 평가를 실시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유치원 평가의 추진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수준의 체계적인 평가시스

    템 구축을 통해 학교로서 유치원의 책무성과 질적 수준을 제고하여 유아교육의 공교육화

    를 조기에 정착시키고자 한다. 둘째, 국가 정책적으로는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효과적인

    유아교육진흥 정책을 개발하고 추진하고자 한다. 셋째, 바람직한 유아교육 특성을 반영한

    체계적 정보제공을 통하여 학부모의 기관선택권을 지원하고자 함이다(교육인적자원부,

    2007). 이러한 추진 배경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유치원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심리적 거부

    감, 기관의 교육환경의 다양성, 기관간의 불필요한 경쟁, 실시 초기 정책의 불안정성 등

    과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일선 교육현장에서는 이를 기피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유치원 교원들은 유치원 교육의 질적 향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유치

    원 평가에 대한 낮은 인식과 평가체제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평가를 받는 것에 대한 막연

    한 불안감을 갖고 있으며(신설주, 2005), 유치원 평가에 참여한 교사와 원장이 느끼는 어

    려움으로 평가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인식부족, 평가지표에 대한 해석의 어려움, 평가 준

    비로 인한 과중한 업무 부담을 들고 있다(김경철․김안나, 2008). 국가수준의 유치원 평

    가가 실시된 2008년에 사립유치원이 희망하여 평가를 받은 일부 광역시․도를 제외하고

    공립학교 체제 속에서 상대적으로 준비가 더 이루어졌다고 간주되는 공립유치원부터 유치

    원 평가를 실시한 것은 유치원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변화 ․ 3

    유치원보다 먼저 기관평가를 실시한 보육시설의 평가인증제의 경우에도 도입 초기에는

    평가인증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많았으며, 평가인증의 필요성이나 운영체제, 지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긍정적인 효과보다는 어려움이 더 많이 부각되었으나 해가 거듭될수록

    평가인증 참여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실제적인 질적

    수준의 향상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김온기, 2008). 이는 제도 시행 초기에 제기되는 문제

    점에 대한 지속적인 보완 및 개선을 위한 노력으로 제도의 성공적 정착을 이루어낼 수 있

    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유치원 평가의 경우에 비추어 본다면, 유아교

    육의 질 제고라는 유치원 평가 본연의 목적을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시행 초기부터 유치원

    평가와 관련된 다각적 측면의 연구를 통해 세심하고 체계적인 준비과정이 선행되어야 함

    을 보여주는 것이다.

    Bredekamp(1999)는 NAEYC의 기관평가를 시행하면서 효과적인 관리 없이는 훌륭한 교

    육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사실과 운영자의 지식과 기술이 프로그램의 성공을 예측하는 가

    장 중요한 열쇠임을 알 수 있었다고 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황해익(2000)은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 중에 기관평가에 대한 관심이 최근 부각되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보육시설이 평가인증사무국이라는 독립된 평가전담 기관을 통해 국가 차원의 동

    일한 기준에 의해 평가인증을 실시하여 정착 단계에 접어든 것과 달리, 유치원 평가는 시

    도 교육청에서 현행 학교평가와 함께 연계하여 실시토록 되어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

    적인 시행방한에 대한 논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이대균․김선구, 2008; 장명

    림, 2008).

    외국의 경우, 미국은 민간 전문단체인 NAEYC를 중심으로 1986년부터 인준 평가 제도

    를 발전시켜 왔고 최근에는 평가를 담당하는 전문 인력에 대한 연수를 심화하고 있다

    (NAEYC, 1998, 2008). 영국은 평가의 공정성을 최우선시하여 평가만 전담하는 국가기관

    인 교육기준청(OFSTED, 2007)이 주관하는 학교평가를 1993년부터 실시하고 있으며, 호

    주는 1993년부터 국가에서 재정을 지원하나 정부와 독립적인 NCAC(National Childcare

    Accreditation Council, 2007)에서 보육시설 질 관리를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있다(박은혜․

    백혜리․이진우, 2000; 이대균․최희숙․김선구, 2007). 이와 같은 사례들은 국가적 차원

    이나 민간 전문단체에서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많은 긍정적인 결과를 얻

    었음을 보고하고 있다(이대균․김선구, 2008; 신설주, 2005; Goffin, 2002).

    유치원 평가가 그동안 제대로 실시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황해익(2004)은 평가에 대

    한 올바른 개념과 평가를 왜 실시해야 하는 지에 대한 근본적 인식 부족과 결과 활용 방

  • 안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 부족뿐 아니라 그 밖의 산재한 다양한 문제를 들고 있으며, 이

    대균과 이기우(2000)는 국가적 차원의 유아교육기관의 질 관리 소홀, 유치원 평가에 대한

    연구 부족, 유아교육관련 민간 전문단체의 노력 부족 및 유치원 운영자들의 기관평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지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관심을 기울어야 할 부분으로

    남아 있다.

    장명림(2008)은 유아교육기관평가에 대한 개념과 의의, 접근방법과 평가체제에 대한 공

    감대를 형성하지 않고서는 어떠한 평가도 부작용을 피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또한 황해익

    (2000, 2009)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기관평가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제고되지 못하여 기관

    평가 자체가 제대로 시행되어 오지 못했으므로, 기관 평가의 체계적인 접근에 대한 개념

    정립이 우선적으로 필요하고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평가 기준과 구조화된 평

    가과정의 확립이 절실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인식을 뒷받침하는 유치원 평가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는데 국가

    수준의 유치원 평가와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실시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원장의 인

    식을 조사한 연구들의 경우, 평가제도 도입의 필요성이나 실시에 대해서는 대부분 찬성하

    였으나(곽미영, 2002; 김정희, 2004; 김윤경, 2008; 여민진, 2006; 우정숙, 2007; 이나

    영, 2005), 우리나라의 유아교육 현실에 맞는 실질적인 평가지표의 개발과 효과적이고 투

    명한 제도의 실시를 요구하였다(양선영, 2000; 양옥승, 2000; 유희정, 2007).

    또한 평가 제도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육기관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고(이나영, 2005),

    평가 참여 후 유아교육기관이 체계화되고 교사들의 전문성이나 교사효능감이 향상되는 긍

    정적 변화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김경혜․김진숙, 2006; 김향은, 2008; 우연

    희, 2007; 채혜선․현정희, 2008).

    평가지표의 문제점과 만족도 조사에 있어서도 평가지표에 대한 이해에 어려움, 평가로

    인한 과도한 업무량과 재정적인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탁옥경․배지희, 2007),

    유아교육기관 유형별 특성을 반영한 지표 제시의 필요성을 제기(강달금․이영석, 2006;

    신설주, 2005; 유희정, 2007; 이대균․김선구, 2008)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 요구, 어려움에 대한 연구들이 대부분

    이었으며 유치원 평가 경험이 교사들에게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부

    족한 편이다. 따라서 이제 막 실시된 국가수준의 유치원 평가 경험이 평가의 실질적 담당

    자인 교사들에게 어떤 인식의 변화를 일으키는 지를 살펴보는 것은 장 단기적으로 유치원

    평가체제 개선 및 보완을 위해 필요한 과정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8년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실제 참여한 공립유치원 교사를 대

  •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변화 ․ 5

    상으로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유치원 평가 실시 후 변화와 그 효

    과 및 개선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유치원 교사들이 유치원 평가에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돕고 유치원 평가

    가 성공적으로 실시되기 위해 선행되어 파악되어야 할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사립유치원이 2008년에 실시된 국가수준의 유치원 평가에 참여하지 않은

    상황에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에 참여 한 후의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이후 사립유치원의 평가 참여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동기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유치원

    평가의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보다 효율적인 공․사립유치원 평가의 준비를 할 수 있을 것

    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유치원 평가 참여 후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

    떠한가?

    둘째,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를 통해 공립유치원 교사가 느끼는 변화에 대한 인식은 어

    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유치원 평가를 받은 후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 변화를 알

    아보기 위하여, 2008년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실제 참여한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 공

    립유치원 교사 9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평가가 끝난 직후 인 2008년 11월과 12월에

    걸쳐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였다. 회수된 82부의 설문지 중에서 충실히 응답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하고 80부를 최종 분석하여, 유치원 평가에 대한 변화된 인식에 대해 알아

    보았다.

    연구의 대상이 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배경변인별 분포는 다음 과 같다.

  • 연구대상의 인적사항

    구 분 N %

    연 령

    20세 - 29세 22 27.5

    30세 - 39세 27 33.8

    40세이상 31 38.8

    학 력

    전문대 졸 12 15.0

    대 졸 49 61.3

    대학원이상 19 23.8

    경 력5년 미만 26 32.5

    5년 이상 54 67.5

    계 80 100.0

    2.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 조사 설문지(사전용과 사후용)’

    으로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들

    (공미자, 2003; 신설주, 2005; 여민진, 2006; 우정숙, 2007; 이나영, 2005; 장명림,

    2008)과 교육과학기술부(2008)의 유치원 평가 매뉴얼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들에 의해

    제작되었다.

    설문지의 내용은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치원 평가 영역 및 내

    용에 대한 중요성, 유치원 평가 실시상의 어려움, 유치원 평가방법의 적절성, 평가 결과

    의 공개 및 활용으로 구성하여 5점 평정형과 선택형으로 제작하였으며 유치원 평가 후 변

    화와 개선점에 대한 내용은 개방형 질문을 추가하여 변화의 정도와 구체적으로 개선되어

    야 할 점들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평정형으로 제작된 문항의 신뢰도는 산출한 결과

    Cronbach α=.93이었다.

    각 제작된 설문지 내용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육을 전공한 교수 5인의 전문

    가 적절성 검토를 거치고, 공립유치원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이해하

    기 어려운 내용을 표시 수정하게 하였으며,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질문지를 재구성하

    였다. 최종적인 설문지의 내용구성은 다음 와 같다.

  •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변화 ․ 7

    유치원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조사를 위한 설문지의 내용 구성(평가 실시 후)

    구 분 내 용 문항수 문항 유형

    유치원 평가

    실시 후 인식

    유치원 평가 영역 및 내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20

    5점 평정형유치원 평가 준비과정에서 느꼈던 어려움 7

    유치원 평가 방법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 4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에 대한 인식 1선택형

    유치원 평가 결과의 활용에 대한 인식 1

    유치원 평가 후 평가 영역 및 내용의 향상 정도 20 5점 평정형

    유치원 평가 실시 후 긍정적 변화(유치원과 교사측면) 1

    개방형유치원 평가 실시 후 부정적 변화(유치원과 교사측면) 1

    유치원 평가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 1

    전 체 56

    3. 자료분석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되어진 설문지의 내용은 제작된 문항의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SPSS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1) 평정형과 선택형

    5점 평정형으로 제작된 문항의 경우 각 문항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선

    택형 문항의 경우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2) 개방형

    개방형 질문에 응답한 내용들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범주화하였다.

    첫째, 유치원 평가 실시 후 변화를 유치원과 교사 측면으로 나누어 응답한 내용을 모두

    정리하여 기록된 응답들을 내용에 따라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범주화

    하였다.

    둘째, 1차로 범주화된 내용들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전문가 2인과 연구자는 기록된 문장

    들을 1차 분류하였다.

    셋째, 1차 분류자 3인의 분류 결과들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은 항목에 대해서는 분류

    자들 간의 조정과 합의의 과정을 거쳤으며 이를 통해 최종 분석을 위한 범주 즉 긍정적 변

  • 화 - 유치원 측면 6개, 교사 측면 5개, 부정적 변화 - 유치원 측면 5개, 교사 측면 6개를

    완성하였다.

    넷째, 최종 완성된 분류 틀을 중심으로 분류자들의 2차 분류가 이루어졌으며, 문항별

    무응답을 제외한 범주별 유효빈도를 이용하여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III. 결과 및 해석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한 질문

    지의 분석결과 및 해석은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평가를 실시하고 난 후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

    1) 유치원 평가 영역 및 내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를 받고 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 영역 및 내용의 중요성에 대

    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 에 제시하였다.

    유치원 평가 영역 및 내용의 중요성 인식

    영 역 문 항 M SD

    교육과정

    교육계획 수립의 적절성 3.90 .63

    일과운영의 적절성 3.93 .63

    교수-학습 방법의 적합성 3.85 .66

    평가의 적절성 3.91 .64

    영역 합계 3.90 .58

    교육환경

    교육환경 구성의 적합성 3.91 1.03

    교재교구의 적합성 3.84 1.10

    시설 설비의 적합성 및 안전성 3.72 .64

    영역 합계 3.83 .78

    건강과 안전

    건강 관리의 적합성 3.78 .57

    영양 관리의 적합성 3.67 .59

    안전 관리의 적합성 3.94 .79

    영역 합계 3.80 .59

  •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변화 ․ 9

    운영관리

    교직원 인사 및 복지의 적절성 3.50 .68

    예산 편성 및 운용의 합리성 3.55 .71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3.64 .60

    기관장의 원 운영의 전문성 3.56 .63

    학부모 만족도 3.54 .67

    영역 합계 3.57 .52

    종일반

    운영

    종일반 운영을 위한 기본시설 및 설비구비 3.75 .61

    종일반 프로그램의 적절성 3.77 .62

    종일반 교사 확보 3.61 .77

    영역 합계 3.71 .58

    특색사업유치원 특색사업 운영 3.75 .74

    단위교육청 특색사업 운영 3.67 .73

    영역 합계 3.71 .71

    에서와 같이 유치원 평가를 받은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 영역 및 내용

    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교육과정(M=3.90, SD=.58)’이 가장 높았으며, ‘교육환경

    (M=3.83, SD=.78)’, ‘건강과 안전(M=3.80, SD=.59)’, ‘종일반 운영(M=3.71, SD=.58)’,

    ‘특색사업(M=3.71, SD=.71)’, ‘운영관리(M=3.57, SD=.52)’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내용영역 별로 중요성 정도를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일과운영

    의 적절성’, ‘평가의 적절성’, ‘교육계획 수립의 적절성’, ‘교수-학습 방법의 적절성’의 순으

    로 ‘일과운영의 적절성’, ‘평가의 적절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

    환경’ 영역에서는 ‘교육환경 구성의 적합성’ ‘교재교구의 적합성’, ‘시설 설비의 적합성 및

    안전성’이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운영관리’ 영역의 평가 항목들은 상대적으로 교사들

    이 직접적으로 관여하기 어려운 문항들이 많으므로 그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났

    으며 ‘종일반 운영’ 영역에서도 ‘종일반 교사 확보’보다는 ‘종일반 프로그램의 적절성’이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써 나타났다. 또한 특색사업 영역에서는 ‘단위교육청 특색사업

    을 운영’보다 ‘유치원의 특색사업 운영’을 보다 중요한 내용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2) 유치원 평가 준비과정에서 느꼈던 어려움

    유치원 평가에 참여했던 공립유치원 교사들이 유치원 평가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실제적

    으로 느꼈던 어려움에 대해 알아본 결과는 다음 에 제시하였다.

  • 유치원 평가 준비과정에서 느꼈던 어려움

    문항 M SD

    인식, 홍보부족으로 인한 준비과정의 혼란 3.90 1.00

    과중한 업무 4.73 .53

    적절한 시기와 기관선정 문제 4.11 .86

    교사의 지식, 이해 부족 3.93 .90

    조력기관 부재 4.04 .99

    결과를 의식한 과열준비 4.25 .80

    교직원간 의견 조정 3.61 .83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유치원 평가에 직접적으로 참여한 교사들이 느끼는 어려움

    은 ‘과중한 업무(M=4.73, SD=.53)’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결과를 의식한 과열 준비

    (M=4.25, SD=.80)’, ‘적절한 시기와 기관선정 문제(M=4.11, SD=.86)’, ‘조력기관 부재

    (M=4.04, SD=.99)’, ‘교사의 지식, 이해 부족(M=3.93, SD=.90)’, ‘인식, 홍보부족으로

    인한 준비과정의 혼란(M=3.90, SD=1.00)등의 순이었으며 ‘교직원간 의견 조정(M=3.61,

    SD=.83)’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치원 평가 방법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에 참여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방법에 대한 적절성에 대한 인

    식을 알아본 결과는 에 제시하였다.

    유치원 평가 방법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

    문항 M SD

    유치원 자체 평가 3.61 .86

    서면 평가 3.49 .73

    현장 평가 3.43 .85

    학부모 만족도 조사 3.06 .85

    에서와 같이 공립유치원 교사들은 적절한 평가방법으로 ‘유치원 자체 평가

    (M=3.61, SD=.86)’가 가장 높았으며, ‘서면 평가(M=3.49, SD=.73)’, ‘현장 평가(M=3.43,

    SD=.85)’, ‘학부모 만족도 조사(M=3.06, SD=.85)’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

    다.

  •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변화 ․ 11

    4)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에 참여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평가결과 공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는 과 같다.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에 대한 인식

    내용 기관 N %

    비공개 27 33.8

    평가대상 유치원 교직원 전체에게만 공개 37 46.3

    교육청 홈페이지를 통한 전체 공개 5 6.3

    평가대상 유치원 원장에게 통보 7 8.8

    기 타 4 5.0

    전 체 80 100.0

    에서와 같이 유치원 평가에 참여한 공립유치원 교사들은 ‘평가대상 유치원 교직원

    전체에게만 공개’가 37명(46.3%)로 가장 많았으며, ‘비공개’가 27명(33.8%), ‘평가대상

    유치원 원장에게 통보’, ‘교육청 홈페이지를 통한 전체 공개’의 순으로 나타났다.

    5) 유치원 평가 결과의 활용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 결과를 통한 보상이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공립

    유치원 교사들의 의견을 살펴보면 다음 와 같다.

    유치원 평가 결과의 활용에 대한 인식

    내용 기관 N %

    평가대상 유치원으로 성과급 지급 13 16.3

    평가대상 유치원 교원에게 성과급 지급 25 31.3

    평가 후 우수 유치원 포상 10 12.5

    평가 후 우수 유치원 교사들에게 포상 7 8.8

    교사 전보 시 가산점 부여 9 11.3

    평가 후 평가 조력 계획 수립 자료로 활용 16 20.0

    합 계 80 100.0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평가대상 유치원 교원에게 성과급 지급’이 25명(31.3%)로

  • 가장 많았으며, ‘평가 후 평가 조력 계획 수립 자료로 활용’이 16명(20.0%), ‘평가대상 유

    치원으로 성과급 지급’이 13명(16.3%), ‘평가 후 우수 유치원 포상’이 10명(12.5%), ‘교사

    전보 시 가산점 부여’가 9명(11.3%), ‘평가 후 우수 유치원 교사들에게 포상’이 7명

    (8.8%)의 순으로 나타났다.

    2.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를 받은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변화에 대한 인식

    1) 유치원 평가를 받은 후 긍정적 변화

    유치원 평가를 받은 공립유치원 교사들에게 평가를 받은 후 느끼는 긍정적인 변화에 대

    해 개방형으로 응답하도록 한 결과를 유치원의 측면과 교사의 측면에서 정리해 보면 다음

    과 같다.

    (1) 유치원 평가를 받은 후 긍정적 변화(유치원 측면)

    2008년 시행된 국가수준의 유치원 평가를 받고 난 공립유치원 교사들에게 유치원의 측

    면에서 긍정적 변화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에 대해 알아본 결과는 과 같다.

    유치원 평가를 받은 후 긍정적 변화(유치원 측면)

    반응범주 내 용 N(%)

    시설 설비 및

    환경 개선

    교육환경(시설설비) 점검 및 개선, 보완

    자료실의 체계화, 환경 재정비, 시설 안전점검 강화26(44.8)

    유치원 운영 재점검유치원 운영의 전반을 점검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장단점 파악을 통해 재정비되고 보다 체계화 됨12(20.7)

    교육과정 운영

    내실화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 정상화, 계획에 따른 실행과

    평가12(20.7)

    교직원 관계 개선 평가에 참여한 교원 상호간 친목도모, 유대감 증진 3( 5.2)

    교내 동료 간

    인식변화

    유치원도 평가를 받는 독립적 교육기관임을 알림으로써

    동료교사들과 상사에게 유치원 교육에 대한 인식 전환2( 3.4)

    기 타 유치원 홍보에 도움, 유치원 평가의 중요성 및 인식 증대 3( 5.2)

    전 체 58(100.0)

    과 같이 유치원 평가로 인한 긍정적 변화에 대해 개방형으로 응답한 교사들의 의

    견을 종합하여 정리한 결과 유치원의 측면에서 바람직하게 변화된 점은 ‘시설 설비 및 환

    경 개선(44.8%)’에 대한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유치원 운영 재점검(20.7%)’, ‘교육과정

  •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변화 ․ 13

    운영 내실화(20.7%)’, ‘교직원 관계 개선(5.2%)’, ‘교내 동료 간 인식변화(3.4%)’등의 순

    으로 나타났다. 기타 의견으로는 유치원 평가를 통해 유치원 홍보에 도움이 되었다는 의

    견과 유치원 평가의 중요성 및 인식이 증대되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2) 유치원 평가를 받은 후 긍정적 변화(교사 측면)

    유치원 평가를 받은 후 긍정적인 변화를 교사 자신들의 입장에서 응답한 결과를

    에 제시하였다.

    유치원 평가를 받은 후 긍정적 변화(교사 측면)

    반응범주 내 용 N(%)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지식 증가

    교육과정 계획, 교수-학습 기술향상, 교육과정의

    중요성 인식22(36.1)

    교사의 전문성 신장

    반성적 사고 통해 되돌아볼 기회, 유아교육에 대한

    자기 계발의 계기, 교사 자신의 전문성에 대한 평

    가, 책무성 인식

    19(31.1)

    업무파악 및

    수행능력 향상

    전체 운영에 대한 안목 생김, 담당 업무에 대한 전

    문성 확보, 체계적 일처리 및 업무처리능력 향상,

    조직적 체계적 업무관리, 책임감 향상

    15(24.6)

    평가에 대한

    인식전환

    평가의 중요성, 평가의 활용에 대한 인식 전환, 긍

    정적 입장으로 바뀜4( 6.6)

    기 타 안전관리의 체계화 1( 1.6)

    전 체 61(100.0)

    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교사들에게 나타난 긍정적 변화는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지식 증가’가 36.1%로 가장 많았으며, ‘교사의 전문성 신장(31.1%)’, ‘업무파악 및 수행

    능력 향상(24.6%)’의 순이었으며 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었다는

    의견도 4명(6.6%)이 있었으며, ‘안전관리의 체계화’도 1명(1.6%)이 있었다.

    2) 유치원 평가를 받은 후 부정적 변화

    유치원 평가를 받은 공립유치원 교사들에게 평가를 받은 후 느끼는 부정적인 변화에 대

    해 개방형으로 응답하도록 한 결과를 유치원의 측면과 교사의 측면에서 정리해 보면 다음

    과 같다.

  • (1) 유치원 평가를 받은 후 부정적 변화(유치원 측면)

    다음으로 유치원 평가를 받고 난 후의 부정적 변화를 유치원의 측면에서 기술한 내용들

    을 정리하여 에 제시하였다.

    유치원 평가를 받은 후 부정적 변화(유치원 측면)

    반응범주 내 용 N(%)

    정상적 교육과정

    운영 어려움

    평가준비로 인한 업무과중, 질 높은 수업을 충실히 준비

    하지 못함, 결과중심 교육과정 운영, 평가를 위한 평가,

    유아들에게 소홀해짐

    21(43.8)

    업무증가

    과중한 일회성 업무 증가, 문서화를 위한 업무량 증가,

    일과 중 평가와 관련한 준비로 인한 업무 과중, 시간적 체

    력적 소모에 대한 보상 없음, 인력의 소모

    13(27.1)

    평가준비로 인한

    예산낭비

    준비를 위해 예산 낭비, 수업을 위해 사용할 경비를 환경

    적인 부분에 투자7(14.6)

    평가결과에 대한

    부담감

    상대평가에 따른 부담감, 평가유치원의 서열화에 따른 심

    리적 부담감6(12.5)

    기타 부정적 변화보다는 긍정적 영향이 더 많음 1( 2.1)

    전 체 48(100.0)

    에서와 같이 유치원 평가로 인한 부정적 변화를 유치원의 측면에서 알아본 결과

    ‘평가로 인한 업무증가로 인해 정상적 교육과정의 운영이 어렵다(43%)’가 가장 많은 의견

    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평가로 인해 증가되는 업무량 증가(27%)’가 다음으로 높았으며 ‘평

    가준비로 인한 예산 낭비(14.6%)’, ‘평가결과에 대한 부담감(12.5%)’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유치원 평가로 인한 부정적 변화 중 가장 많은 내용은 유치원 평가 준비로 인

    한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많고 이로 인해 유아에게 소홀해지거나 교육과정 운영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는 것들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 유치원 평가를 받은 후 부정적 변화(교사 측면)

    유치원 평가를 받은 후 부정적 변화를 교사의 측면에서 기술하도록 한 내용들을 정리하

    여 에 제시하였다.

  •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변화 ․ 15

    유치원 평가를 받은 후 부정적 변화(교사 측면)

    반응범주 내 용 N(%)

    신체적 심리적 측면

    유치원 평가 준비로 인한 과중한 업무 부담, 과중한 업

    무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문제, 체력저하, 정신적 스

    트레스, 건강상태 문제

    31(52.5)

    수업지장 과중한 업무로 인한 수업지장 초래, 원아 관리 소홀 15(25.4)

    개인 생활 어려움평가준비로 인한 과중한 업무량으로 인한 개인 생활

    어려움, 육아의 어려움5( 8.5)

    평가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

    평가결과에 대한 심리적 스트레스, 서열화 상대평가에

    대한 부담3( 5.1)

    자료 관리의 어려움모든 활동에 대한 근거자료 남기는 것의 어려움, 실제

    교육을 하고 있으나 자료가 없는 경우 어려움3( 5.1)

    기타업무과중으로 교사 간 불협화음, 긍정적인 면 많고 나

    쁜 점은 없음2( 3.4)

    전 체 59(100.0)

    에 제시된 내용을 살펴보면 평가로 인한 부정적 결과는 과중한 업무로 인한 심

    리적 스트레스 및 신체적 피로와 건강상의 문제를 언급한 ‘신체적 심리적 측면(52.5%)’과

    업무과중으로 인한 ‘수업지장(25.4%)’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업무량이

    과중됨으로 인한 ‘개인생활의 어려움(8.5%)’, ‘평가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5.1%)’, ‘자

    료 관리의 어려움(5.1%)’등의 의견들도 있었다. 대부분의 의견이 유치원 평가를 준비하

    기 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게 됨으로 인해 나타나는 업무 과중을 지적하고 있었으며

    업무과중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다른 문제점들과 관련된 내용들이었다.

    IV. 논의 및 제언

    본 연구는 2008년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가 실시되고 난 다음 실제 평가에 참여한 공립

    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유치원 평가 실시 후

    인식의 변화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유치원 평가 체제가 안정적으로 제도화되기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의 순서에 따라 먼저 각 문항별로 유치원 평가를 받은 교사들의 인식에 대해

    논의하고, 다음으로 유치원 평가를 받은 교사들이 느끼는 긍정적 변화와 부정적 변화에

  • 대한 의견을 중심으로 향후 유치원 평가의 개선방안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첫째, 유치원 평가를 받은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 영역 및 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은 ‘교육과정’ 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교육환경’, ‘건강과 안전’, ‘종일반 운영’,

    ‘특색사업’, ‘운영관리’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황해익, 최혜진과 배인숙(2009)의 연구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유치원 평가로 인해 예상되는 가장 큰 어려움은 ‘과중한 업무’가 가장 높게 나

    타났으며, ‘기관 간 과열 경쟁 문제’, ‘객관성 및 공정성 문제’, ‘평가의 시기와 기관 선정

    문제’, ‘준비과정의 혼란’, ‘교사의 지식 및 이해 부족’의 순으로 나타나 공립유치원 교사들

    은 유치원 평가로 인한 업무 증가에 대한 우려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제로 김

    경철과 김안나(2008, 2009), 송연숙과 유수경(2008)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유치원

    평가에 참여한 교사들이 느낀 어려움과 요구 중에는 유치원 평가에 대한 정확한 인식 결

    여뿐만 아니라 유치원 평가계획을 정확하게 알려주지 않아 평가준비를 체계적으로 하지

    못한 점, 업무의 과중한 점 등이 있었다고 지적하고 있다.

    유치원 평가에 직접적으로 참여한 교사들 역시 가장 큰 어려움이나 부정적 변화라고 느

    끼는 것은 ‘과중한 업무’와 ‘결과를 의식한 과열 준비’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제적으로 느끼

    는 가장 큰 어려움은 ‘과중한 업무’로 그 정도에 대한 인식이 유치원 평가에 참여하기 전

    교사들이 평정한 것보다 더 크게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은 유치원 평가 결과의 공개에 대한 의견에서 유치원 평가에 참여한 공립유치원 교

    사들은 ‘평가대상 유치원 교직원 전체에게만 공개’가 많았으나 다음으로 ‘비공개’가 에 대

    한 의견도 매우 높아 평가결과의 공개에 대한 부담과 스트레스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또 이는 평가결과의 공개에 대하여 부담을 느끼는 많은 유치원의 입장을 고려하여 이

    대균과 김선구(2008)가 제안한 평가결과의 세분화나 평가결과보고서의 전문 공개 등과 함

    께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 유치원 평가의 결과에 대한 보상대상에 대한 의견은 ‘평가 대상 원 교사 모두 보상’

    이 가장 많았으며, 평가를 받은 교사 전원에게 보상이 돌아가거나 평가대상 기관 전체에

    보상이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평가를 받고 난 교사들은 유치원 평가 결과에 대한 보상의 내용으로 ‘평가대상

    유치원 교원에게 성과급 지급’이 가장 많았으며, ‘평가 후 평가 조력 계획 수립 자료로 활

    용’, ‘평가대상 유치원으로 성과급 지급’, ‘평가 후 우수 유치원 포상’, ‘교사 전보 시 가산

    점 부여’, ‘평가 후 우수 유치원 교사들에게 포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공립유치원 교사들

    은 평가결과의 활용이 교사들에게 직접적인 성과급의 형태로 지급되는 것을 선호하기는

  •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변화 ․ 17

    하였으나 평가결과를 통해 조력 계획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의견 또한 높

    게 나타나 조력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송연숙과 유수경

    (2008)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유치원 평가를 받은 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치원 평가를 받고 난 후 실제로 향상된

    정도에 대해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사들의 평정 결과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고 느끼는 영역은 ‘교육과정’과 ‘특색사

    업’영역이었으며, ‘교육환경’, ‘건강과 안전’, ‘종일반 운영’, ‘운영관리’의 순으로 전체적으

    로 모든 영역에서 평가를 받기 전보다 향상이 이루어졌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다음으로 유치원 평가로 인한 긍정적인 변화에 대해 유치원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

    라고 생각되는 점이라고 가장 많은 수가 응답한 내용은 ‘시설 설비 및 환경 개선’이었으

    며, ‘유치원 운영 전반의 재점검’, ‘교육과정 운영 내실화’, ‘교직원 관계 개선’, ‘교내 동료

    간 인식변화’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공립교사들의 경우 초등학교 교사들이나 상사들에게

    유치원 평가를 받는 독립적 기관이라는 것을 인정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 의

    의를 두는 것도 긍정적 변화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사들 측면에서 긍정적 변화라고 인식하는 내용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지식 증

    가’가 가장 많았으며, ‘교사의 전문성 신장’, ‘업무파악 및 수행능력 향상’의 순으로 기관평

    가의 경험이 교사의 전문성 향상의 기회가 된다는 김향은(2008)과 유희정(2007)의 연구와

    일치한다.

    다음은 유치원 평가로 인한 부정적 변화를 유치원의 측면에서 알아본 결과 가장 많은

    내용은 유치원 평가 준비로 인한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많고 이로 인해 유아에게 소홀해

    지거나 교육과정 운영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는 것들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하나의 큰 어려움으로 지적한 것이 유치원 평가를 준비하는 과

    정에서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조력기관의 부재였다. 유치원 평가가 원활하게 이루

    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력활동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을 나타내 주는 결과로,

    이는 송연숙과 유수경(2008)이나 이대균과 김선구(2008)의 연구와도 일치하며 많은 유치

    원 교사들이 유치원 평가를 위한 조력활동에 대하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음을 보여준

    다.

    유치원 평가로 인한 부정적 변화를 유치원 교사의 측면에서 알아본 결과 과중한 업무로

    인한 심리적 스트레스 및 신체적 피로와 건강상의 문제를 언급한 ‘신체적 심리적 측면’과

    업무과중으로 인한 ‘수업지장’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업무량이 과중됨

  • 으로 인한 ‘개인생활의 어려움’, ‘평가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 ‘자료 관리의 어려움’등의

    의견들도 있었다. 대부분의 의견이 유치원 평가를 준비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게

    됨으로 인해 나타나는 업무 과중을 지적하고 있었으며 업무과중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다

    른 문제점들과 관련된 내용들이었다. 이런 점은 보육시설에 종사하는 보육교사들이 업무

    와 과중함으로 이직률이 높다는 연구들(이경채, 2003; 이나영, 2005)처럼 유치원 현장에

    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으며, 사립유치원 평가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2010년 이

    전에 과중한 업무 부담과 심리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적절한 개선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현장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의 제도적 정착을

    위하여 유치원 평가의 이해를 돕는 사전교육과 유치원 평가를 준비하고 지원하는 조력활

    동이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력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

    며, 이를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국가수준의 유치원 평가 결과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반영하여 궁극적으

    로 유치원 현장의 질적 개선을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유치원 평가결과의 공개, 인센티브의 제공방법 등이 구체적으로 잘 반영된 유치원

    평가결과의 활용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국가수준의 유치원 평가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전문가를 확보하고

    육성하는 일이 시급하므로, 유치원 평가위원을 체계적으로 선발하고, 전문적으로 훈련시

    킬 수 있는 제도의 마련과 이들 대상의 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질 필

    요가 있을 것이다.

  •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변화 ․ 19

    참 고 문 헌

    곽미영(2002). 평가인증제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국공립보육시설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 논문.

    강달금․이영석(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에 관한 문제점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185-216.

    공미자(2003). 유아교육기관 평가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인식에 관한 연구. 원광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08). 유치원 평가 매뉴얼.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2007). 유치원 시범평가 계획. 교육인적자원부.

    김경철․김안나(2008). 국가 수준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교사와 원장이 느끼는 혜택과 어

    려움.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41-67.

    김경혜․김진숙(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시설장과 교사의 반응 분석. 열린유

    아교육연구, 11(6), 85-112.

    김온기(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의 현황과 발전방안. 보육정책과 보육의 질. 한국보육지

    원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김윤경(2008). 유치원 평가에 대한 사립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개선의지에 관한 연구. 울

    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정희(2004).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도입에 대한 의식 조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향은(2008). 평가인증에 참여한 보육시설 종사들의 경험을 통해 본 보육시설 평가인증

    제도의 효과. 아동학회지, 29(1), 169-188.

    박은혜․백혜리․이진우(2000). 미국, 영국, 호주의 유아교육 평가제도 비교. 한국유아교

    육기관의 질적 향상을 위한 인준평가체제 방향모색. 이화여자대학교 제2차 BK21

    핵심사업 전문가협의회, pp 17-33.

    송연숙․유수경(2008). 국가수준의 유치원 평가를 위한 조력활동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 및 요구도.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19-40.

    신설주(2005). 유치원 평가 인증에 관한 교원의 인식에 대한 조사연구. 성균관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선영(2000). 보육시설 인준에 대한 학부모와 보육시설 종사자의 인식. 인하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양옥승(2000). 유아교육․보육기관 평가인증제 개발 연구. 아동학회지, 21(4), 117-196.

    여민진(2006). 유치원 기관평가에 대한 원장의 인식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 논문.

    우연희(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 여부가 보육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카톨릭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우정숙(2007). 유치원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유희정(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평가 및 발전방안 모색. 세미나자료 2007-03.

    KICCE 육아정책개발센터.

    이경채(2003).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기숙(2001). 유아교육기관 인정제에 관한 개념화 연구. 교육과학연구, 32(2), 23-35.

    이나영(2005).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보육종사자들의 인식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이대균․김선구(2008). 보육시설과 유치원 평가제도의 개선을 위한 논의. 열린유아교육연

    구, 13(3), 165-180.

    ______________(2000). 학회주관 유치원 및 보육시설 인준 체제개발의 방향. 21세기 유

    아교육평가의 실제. 열린유아교육학회 2000년 추계학술대회자료집, 7-36,

    이대균․김안나(2009).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의 참여여부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발달에 관

    한 인식조사. 열린유아교육연구, 14(1), 1-16.

    이대균․이기우(2000). 민간 전문 단체 주관의 유아 교육 및 보육 기관 평가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5(2), 1-21.

    이대균․최희숙․김선구(2007). 교육부 주관 유치원 평가에 대한 분석적 고찰. 열린유아

    교육연구, 12(5), 1-21.

    장명림(2008). 유치원 평가체계와 평가의 실제. 영유아교원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

    집. p.61-93.

    채혜선․현정희(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유무에 따른 보육교사의 자기평가 전문성

    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52, 63-84.

    탁옥경․배지희(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 과정에 참여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

    연구, 27(4), 327-353.

    통계청(2007). 한국의 사회지표. http://www.nso.go.kr/

  •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변화 ․ 21

    황해익(2000). 유아교육기관평가에 관한 고찰. 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pp.129-152.

    황해익(2004). 유아교육평가. 서울: 양서원.

    황해익(2009).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유아교육기관평가. 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 103-126.

    황해익․최혜진․배인숙(2009).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공․사립유치원교사의 인

    식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1-24.

    Bredekamp(1999). When new solutions create new problems: Lessons learned from

    NAEYC accreditation. Young Children, 54(1), 58-63.

    Goffin, S. G.(2002). Succeeding with accreditation. 영유아교육기관의 평가인증제. 2002

    년 제10회 국제학술대회자료집. 삼성복지재단.

    NAEYC(1998). Accreditation criteria & procedures. Washington, DC: NAEYC.

    NAEYC(2008). Accreditation. http://www.naeyc.org/accreditation/

    NCAC(2007). Recommended changes to the QIAS.

    OFSTED(2007). OFSTED plan for training and developing inspectors.

  • Abstract

    Change of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the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 Level

    Hae-Ik Hwa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change in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 level and to try and find ways of

    improving the kindergarten assessment syst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80 in-servic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cities of Busan and Ulsan. This study examined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the kindergarten assessment after the assessment and the degree of changed

    awareness after the assess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after the assessment, the teachers thoughtcurriculumpart andeducationenvironmentpart more important than before. Second, the teachers agreed that themost expecting difficulty wasoverworked shiftsbecause of the assessment. Actually theteachers felt theoverworked shifts' than before. Third,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appropriate assessment methods, ways to

    open and to reward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There were also some changes in awareness of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The teachers asked how to improve the assessment. These findings and points should be

    considered to assist teachers who will be taking the kindergarten assessment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