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37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LG 화학 리튬이차전지 사업 사례 A Study of the Catch-up Technological Innovation of a Latecomer Chemical Firm: The Case of LG Chem Lithium Secondary Battery Business 2016. 12 이원재 Lee, Won Jae Master’s Program Graduate School of Innovation and Technology Management, College of Business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정재용 Choung, Jaeyong Advisor / Professor School of Business and Technology Management, College of Business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 B S T R A C T Since its foundation in 1947 as a small manufacturer of cosmetics, LG Chem has continued to expand its business portfolio into petrochemicals, IT and electronics materials, batteries, water treatments, and agrochemicals. The success of LG Chem as one of the global leading chemical companies could be attributed to the latecomer catch- up strategy following the innovation paths made by the forerunners. The case study examines the electric vehicl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dustry pioneered by the LG Chem to elucidate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of the latecomer firm to the leading one in the emerging industry. Keywords: Catch-up, Latecomer, Technological innovation, Architecture innovation, Product life cycle, Learning, Organization, LG Chem,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ic vehicle CASE STUDY • I&TM KAIST

Upload: others

Post on 12-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LG화학 리튬이차전지 사업 사례

A Study of the Catch-up Technological Innovation of a Latecomer Chemical Firm:

The Case of LG Chem Lithium Secondary Battery Business

2016. 12

이원재 Lee, Won Jae

Master’s Program

Graduate School of Innovation and Technology Management, College of Business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정재용 Choung, Jaeyong

Advisor / Professor

School of Business and Technology Management, College of Business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 B S T R A C T

Since its foundation in 1947 as a small manufacturer of cosmetics, LG Chem has

continued to expand its business portfolio into petrochemicals, IT and electronics

materials, batteries, water treatments, and agrochemicals. The success of LG Chem as

one of the global leading chemical companies could be attributed to the latecomer catch-

up strategy following the innovation paths made by the forerunners. The case study

examines the electric vehicl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dustry pioneered by the LG

Chem to elucidate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of the latecomer firm to the

leading one in the emerging industry.

Keywords: Catch-up, Latecomer, Technological innovation, Architecture innovation,

Product life cycle, Learning, Organization, LG Chem,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ic vehicle

C

ASE

STU

DY

• I&T

M K

AIST

Page 2: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i

목차

목차 ............................................................................................................................................................................................. i

그림 목차 ................................................................................................................................................................................. ii

1. 서론 ......................................................................................................................................................................................1

2. 이론적 배경 ......................................................................................................................................................................2

3. LG화학 중대형 이차전지 사례연구 ..................................................................................................................... 10

3.1. 리튬 이차전지 기술 ...................................................................................................................................... 10

3.2. 리튬 전지산업 동향 ...................................................................................................................................... 12

3.3. 소형 이차전지 개발 ...................................................................................................................................... 14

3.3.1. 기술추격 ................................................................................................................................................ 14

3.3.2. 위기극복 ................................................................................................................................................ 16

3.4. 중대형 이차전지 개발 ................................................................................................................................. 17

3.4.1. 개발과정 ................................................................................................................................................ 17

3.4.2. 학습 메커니즘 ..................................................................................................................................... 18

3.4.2.1. 내부학습.................................................................................................................................... 18

3.4.2.2. 외부학습.................................................................................................................................... 21

3.4.3. 기술혁신 ................................................................................................................................................ 23

3.4.4. 혁신조직 ................................................................................................................................................ 25

4. 결론 ................................................................................................................................................................................... 26

5. 참고문헌 .......................................................................................................................................................................... 32

Page 3: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ii

그림 목차

그림 1 글로벌 화학회사 순위 .......................................................................................................................................1

그림 2 아키텍처 특성에 따른 산업유형 분류 ......................................................................................................4

그림 3 기술궤도의 통합모델 .........................................................................................................................................5

그림 4 세 가지 기술 추격형 패턴 .............................................................................................................................6

그림 5 후발국의 탈추격형 기술혁신 과정 .............................................................................................................7

그림 6 사례연구를 위한 개념틀 ............................................................................................................................... 10

그림 7 리튬이차전지의 구조 ...................................................................................................................................... 11

그림 8 리튬이차전지 시장 전망 ............................................................................................................................... 12

그림 9 소형이차전지 시장 점유율 .......................................................................................................................... 13

그림 10 LG화학과 삼성SDI 이차전지 매출액 추이 비교 .............................................................................. 15

그림 11 2002년 자동차 경주대회 출전 당시 전기자동차 ............................................................................ 17

그림 12 LG화학기술연구원의 내부 개방형 혁신 제도 ................................................................................... 19

그림 13 플렉시블 와이어 배터리 ............................................................................................................................ 21

그림 14 Stack & Folding 기술 ................................................................................................................................... 23

그림 15 SRS 기술 ............................................................................................................................................................. 24

Page 4: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1

1. 서론

1947년 락희화학공업사 창립과 함께 LG그룹의 역사는 시작되었다. 락희화학공업사는 화장품

사업을 토대로 이후 합성수지, 치약, 비닐 등을 제조, 판매하면서 화학회사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락희화학공업사는 1974년 럭키, 1995년 현재의 LG화학으로 상호를 변경하면서 사업의 규모도 크

게 팽창하였다. 사업 초기 소비재 중심 사업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석유화학 산업에 뛰어들면서

기초 유분을 생산하는 나프타 분해사업과 각종 화학제품 및 합성수지를 생산하는 화성품 제조사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발달로

LCD용 편광판, 감광재, 형광체 등 각종 정보전자 소재산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고, 1990

년대 중반에는 소형이차전지, 2000년대 중반에는 중대형이차전지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최근에는 동부팜한농 인수, LG생명과학 합병을 통해 바이오 및 제약 사업으로 사업 다각화를 적극

전개하고 있다. 국내 경쟁 석유화학사들이 본업인 석유화학에서 다른 영역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반해 LG화학은 지속적인 변신과 혁신을 통해 그림 1과 같이 2015

년 매출액 기준으로 글로벌 11위의 세계적인 화학회사로 성장하였다.

(출처: http://cen.acs.org/articles/94/i30/CENs-Global-Top-50.html)

그림 1 글로벌 화학회사 순위

Page 5: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2

최근 환경, 에너지 이슈로 크게 주목 받고 있는 중대형 이차전지 분야에서 LG화학은 세계시

장을 선도하고 있을 뿐 아니라 기술적으로도 경쟁사들을 앞서고 있다. 석유화학사업과 정보전자소

재사업의 경우 해외 선진 기술과 공정을 도입하여 공정혁신을 통해 세계 일류 사업으로 성장한

전형적인 후발국의 혁신경로를 따랐다고 한다면, 중대형 이차전지 분야는 LG화학의 독자적인 기

술 역량 및 사업전략으로 글로벌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본 연

구에서는 후발 화학회사에서 새로운 혁신사업을 성공적으로 전개가 가능했던 기술적, 조직적 요인

은 무엇이었고, 특히 기술 발전 및 조직 배열상의 주요한 특징은 무엇이었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기술혁신은 혁신의 정도에 따라 점진적 혁신과 급진적 혁신으로 나눈다. 점진적 혁신이 기존

기술을 개선하거나 보완하는데 중점을 둔다면, 급진적 혁신은 기존 기술과 다른 새로운 기술을 발

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기술혁신은 과거와의 연속성 측면에서 연속적 혁신과 불연속적 혁

신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S 커브는 연속적 기술혁신의 패턴과 속성을 잘 나타낸다 (Foster, 1986).

신기술이 등장한 초기에는 기술성능의 향상속도가 느리지만, 투입자원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기술

성능이 급속히 성장하는 패턴을 보인다. 이후에는 점차 기술성능의 성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러 혁

신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게 된다. 기존 기술의 한계로 불연속 기술혁신에 의해 새로운 기술이 출

현하는데, 초기에는 기존 기술보다 성능이 낮을지라도 기술혁신이 급속히 진행되면서 오히려 기존

기술이 차지하고 있던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게 된다.

불연속 혁신 및 급진적 혁신은 연구개발 과정에서 성공할 확률이 매우 낮고, 설사 성공하더라

도 기존 시장에서 받아들여지기 어렵거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연속적이

며 점진적 혁신을 추구하는 기존 기업은 축적된 핵심역량(core competencies)이 도리어 핵심경직

성(core rigidities)으로 작용하여 새로운 시장 환경에 대응하지 못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Leonard-Barton, 1992). Henderson과 Clark (1991)은 기술혁신을 점진적 혁신, 급진적 혁신, 아키텍

Page 6: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3

처 혁신, 모듈러 혁신으로 분류하고, 기술혁신 과정에서 조직구조와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중요

성을 주장한다. 기술변화에 따라 기업 조직의 구조적 변화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경쟁우위를 상실

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혁신조직 관점에서 Tushman과 O’Reilly (1997)는 기존 조직에서 불연속적 혁신이 가능 하려면

벤처 담당부서를 독립적으로 운영하여 기존 조직과 차별화된 자원배분 프로세스가 적용되어야 한

다고 주장한다. 기존 조직 내에 불연속 혁신 조직을 배치할 경우 기존 사업에서 요구되는 역량과

불연속 혁신에 기반한 혁신 사업에서 요청되는 역량이 상이하여 서로 공존하기 어렵다는 주장도

있다 (Burns and Stalker, 1961). 한편 기업 내에 양손잡이(ambidextrous) 조직 체계를 구축하여 연

속적 혁신과 불연속적 혁신을 수행하는 두 조직을 병행 운영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으나, 두 조직

간 충돌의 가능성과 복잡성이 높아 실패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오히려 불연속적 혁신은 외부 벤

처기업에 대한 투자, 기술제휴 등을 통해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Martides

and Geroski, 2005). 그러나 외부 기업을 인수하여 그들의 혁신적 프로세스를 무리하게 통합하려고

하면 오히려 경쟁력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Christensen and Rayno, 2003). 사내 벤

처의 성공은 사회적 자본에 기반한 조직 내부 및 외부 지식의 원활한 교환을 통해 조직 학습이

이루어져야 가능하다는 주장도 있다 (Hayton, 2005).

기술혁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아키텍처 이론에 대해 잠시 살펴보면, 아키텍처는 제품 개

발 시 요구되는 기능들의 묶음 및 이 기능들의 묶음을 실현시키는 물리적 컴포넌트의 디자인과

배치를 의미한다 (황혜란, 2006). 후지모토 (2006)는 아키텍처의 유형으로 모듈형(modular)과 통합

형(integral)을 구분하였고, 개방성의 여부로 폐쇄형(closed)과 개방형(open)으로 구분하였다 (그림

2). 모듈형을 조합형 또는 조립형이라고도 일컫는데, 이는 기능과 부품이 일대일 대응하는 관계이

다. 각각의 부품, 즉 모듈이 자기완결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어, 개별적으로 설계한 부품을 나중에

모아서 제품을 만들어도 훌륭한 제품이 완성된다. PC, 자전거 등이 이에 해당된다 (후지모토, 2006).

통합형은 조율형이라고도 말하는데, 모듈형 제품과는 달리 기능과 부품의 대응 관계가 매우 복잡

하다. 자동차의 경우와 같이 기능 대 부품이 일대다 대응 또는 다대일 대응하는 관계이다. 수 많

은 부품 하나하나가 최종 제품을 위해 새롭게 최적 설계되어야 하며, 고급 오토바이, 고급 가전제

Page 7: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4

품, 일부 게임 소프트웨어, 정밀 기계 제품 등이 속한다. 폐쇄형은 한 기업 내에서만 조합 설계된

다는 의미로 부품의 인터페이스가 사내에서만 통용되어 사내 공통 부품 만이 여러 제품에서 공통

적으로 사용된다. 이에 반해 개방형은 부품의 인터페이스가 업계 표준으로 오픈 되어 기업의 벽을

넘어 표준화된 부품이 완성품에 사용된다 (후지모토, 2006).

(출처: 황혜란, 2006)

그림 2 아키텍처 특성에 따른 산업유형 분류

이와 같이 아키텍처 유형은 산업구조와 긴밀한 연관성을 갖고 있을 뿐 아니라 각국의 특정

제품에서의 경쟁 우위를 설명하는 논거를 제시하기도 한다. 즉 일본은 장기고용, 장기거래, 기계

부품 공급업체와의 계열구조를 통한 통합적 기업조직구조에 의해 폐쇄형 통합형 분야에서 경쟁우

위를 보인다. 반면 미국의 경우는 전문기업군의 성장과 전문인력의 이동이 자유로운 특징을 갖는

개방형 모듈형 제품에서 경쟁우위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황혜란, 2006).

후발국의 기술추격에 대한 연구는 기술능력의 축적과정에 대한 연구 (Bell and Pavitt, 1995) 및

제품수명주기론 (Utterback and Abernathy, 1975)에 근거한 기술혁신 과정에 대해 주로 논의되어

왔다. Utterback과 Abernathy의 제품수명주기론(Product Life Cycle)에 의하면 선진국의 기술궤도를

유동기(fluid phase), 과도기(transition phase), 경화기 (specific phase)로 구분하였다. 다양한 산업분

야에서 일어나는 기술변화를 모두 설명하기에 너무 단순화하였다는 지적도 있지만 선진국의 기술

변화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모델이다. 유동기에서는 제품혁신의 정도는 매우 높으며 급진적이

나 아직 개선의 여지가 많다. 과도기에서는 신제품에 대한 지배적 디자인 (dominant design)이 출

현하고 제품 성능 못지않게 대량생산에 의한 가격 경쟁력이 중요해져 공정혁신이 활발히 일어난

Page 8: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5

다. 경화기에 이르면 시장은 더욱 성숙해지고 혁신의 초점은 효율성 향상을 위한 점진적인 공정개

선을 추구하며, 기업은 급진적인 혁신을 목표로 하는 연구개발을 기피하여 점차 경쟁력을 상실하

게 된다.

후발국에서의 기술발전에 대한 연구는 자체 연구개발보다는 외부기술의 획득에 의해 이루어

졌다는 점에서 선진국과는 다른 기술발전 과정을 거친다. 김인수 (2000)에 의하면 후발국은 제품

및 공정혁신이 획득기, 소화기, 개선기의 3단계를 거치면서 선진국과는 정반대의 순서를 따른다고

주장하였다 (그림 3).

(출처: 김인수, 2000)

그림 3 기술궤도의 통합모델

경화기에 이른 기술을 선진국으로부터 도입하여 점차 생산 설비 운영 능력을 습득하여 생산

과 제품설계 기술이 빠르게 확산된다. 선진국으로부터의 기술이전은 경화기에서뿐 아니라 과도기,

유동기 단계의 기술에서도 일어난다. 경화기의 기술을 성공적으로 축적한 후발국은 선진국의 과도

Page 9: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6

기 제품과 기술을 획득하여 고유의 기술능력을 축적, 향상시켜 유동기에 있는 새로운 기술 개발을

통해 선진국과도 경쟁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른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시도가 상당수의 산업에서 지

속적으로 성공한다면 국가의 기술수준도 선진국에 도달한 것으로 볼 수 있고, 20세기 들어 일본

만이 이 단계에 도달한 유일한 국가이다.

Lee와 Lim(2001)은 후발국의 기술추격에 세 가지 유형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림 4와 같이

경로추종형 추격(path-following catch-up), 단계생략형 추격(step-skipping catch-up), 경로창출형 추

격(path-creating catch-up)이 그것으로, 한국과 같은 후발국은 새로운 기술 경로를 적극 활용하여

선진국이 지나온 기술단계를 뛰어넘거나(step-skipping), 새로운 경로를 창출(path-creating) 하는

패턴을 보인다.

(출처: Lee and Lim, 2001)

그림 4 세 가지 기술 추격형 패턴

한편 황혜란(2006), 송위진 등(2006)은 제품수명주기 이론을 발전시켜 한국 기업의 탈추격형

혁신활동을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그림 5), 산업에 따라 혁신진입 전략이 다양하게 나타남을

논하였다. 첫째, 한국의 자본집약적 산업의 성공에서 보듯이 제품 사이클의 성숙기에 진입한 기술

을 도입하여 공정 혁신을 통해 기술을 축적하고 심화시켜 오히려 선진국을 넘어서는 기술심화형

혁신활동(deepening process innovation)으로 기존에 제기된 역제품수명주기 이론과 유사한 패턴이

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낸드 플래시 메모리 기술 개발이나 포스코의 파이넥스 기술 개발이 이

에 해당한다. 둘째, 지배적 설계(dominant design)이 제시된 후 시장에 진입하여 아키텍처 혁신

Page 10: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7

(architecture innovation)을 통해 차별화된 제품을 생산하는 혁신 패턴이다. 아키텍처 혁신은 부품

들의 다양한 결합과 응용을 통해 달성되는 것이므로 각 부품과 응용제품에 전문화된 기업이 풍부

하게 존재해야 하고, 수요기업과 공급기업간의 협업 네트워크가 원활해야 한다. 셋째,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제품 사이클의 유동기에 진입하여 세계 시장에서 표준을 설정하고 선진기업과 유사한

패턴으로 진행되는 신기술 기반형 혁신활동(radical innovation)이다. 예를 들면 한국의 TPEG, T-

DMB, binary CDMA 등이 이에 속한다 (황혜란 외, 2012).

(출처: Choung et al., 2014)

그림 5 후발국의 탈추격형 기술혁신 과정

후발기업 중에서도 어떤 기업들은 효과적인 학습을 통해 다른 기업들보다 강한 경쟁력을 갖

춘다. 선진기업에서의 조직 차원의 학습은 이미 축적된 혁신 역량을 바탕으로 이를 개발하고 증대

시키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반면 후발기업은 혁신 역량이 거의 없거나 매우 낮은 수준에 머

물러 있기 때문에 이를 축적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가장 우선시 되어

야 한다 (Bell and Pavitt, 1993; 김인수, 2000). 기술습득은 개인과 조직 수준에서 발생하는데, 조직

차원에서의 학습은 개인 학습의 단순한 합이라기 보다 개인학습의 결과가 조직차원으로 발전되어

조직의 전략 및 경영 관리상에 통합시킬 수 있는 지식을 창출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김인수,

2000).

Page 11: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8

Bell (1984)은 후발 기업에서 혁신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학습을 두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우

선 행동기반 학습 (doing-based learning)은 잘 정립된 생산활동으로부터 자동적이고, 비용이 거의

들지 않게 학습할 수 있으며 작은 변화를 실행함으로써 생산효율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험 기반 (experience-based) 학습은 기업의 생산역량을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혁신역

량을 증대시키는 데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기업은 혁신역량 증대를 위해 자본과 인적 자원을

배분하여 적극적이고 명시적인 노력과 투자가 필요한 학습을 수행해야 한다 (Bell and Pavitt, 1993).

Bell과 Figueiredo (2012)는 많은 연구자들이 논의한 학습 프로세스를 내부학습 (internal

learning)과 외부학습 (external learning)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내부학습은 기업 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장비나 기계 설비의 개선활동으로 지식을 축적하거나,

사내 교육프로그램이나 협업을 통해 직원을 교육하거나, 연구개발활동, 설계 및 엔지니어링, 품질

부서의 기술 개발을 통해 이루어진다. 외부학습은 사외에서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고 소화하는 것

을 말한다. 대학 및 연구소들과의 공동연구활동, 타기업과의 실시권 계약, joint venture, 기술협력,

전략적 제휴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다양한 학습 매커니즘이 후발 기업에 동일한 수준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각 기업이 처한 특수한 상황에 맞게 적합한 특정 학습 매커니즘을 발굴하

여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Nonaka (1991)는 학습 조직의 차원에서 지식을 두 가지로 분류한다. 하나는 개인적 지식

과 조직적 지식이고, 다른 하나는 암묵지 (tacit knowledge)와 형식지 (explicit knowledge)이다. 개

인적 지식은 개인에게 체화되어 있거나 보유하고 있는 지식이라고 하면, 조직적 지식은 특허, 경

영기법, 노하우 등과 같이 조직 내에 축적되어 있는 지식을 말한다. 암묵지와 형식지는 지식의 형

태에 따른 분류로, 암묵지는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실습 및 작업 과정을 통해 표현될 수 있는 있는

지식으로 관찰, 모방, 실습을 통해서만 습득할 수 있다. 형식지는 명문화되고 공식적으로 체계화된

언어로 전달이 가능한 지식을 말한다. 학습이 효과적으로 일어나기 위해서는 암묵지와 형식지가

조직 내에서 활발하게 교환되고 개인에게 체화된 암묵지를 형식지로 전환하는 활동이 필요하다.

또한 조직은 개인적 지식을 조직적 지식으로 전환하고 각 지식간의 상호교류를 통한 조직적 지식

의 확산, 갱신, 축적이 활발하게 일어나야 한다. Nonaka가 제안한 지식전환 모드는 다음과 같다.

Page 12: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9

암묵지의 조직 내 확산을 의미하는 사회화 (socialization), 암묵지가 형식지로 전환되는 외부화

(externalization), 기존 형식지를 바탕으로 새로운 형식지를 만드는 결합화 (combination), 형식지

가 암묵지로 전환되는 내부화 (internalization)가 그것이다. 지식전환의 네 가지 모드 (S-E-C-I)가

서로 엮이고 나선형으로 발전하면서 해당조직에서 새로운 지식이 지속적으로 창출된다고 본다.

후발 기업의 기술 추격에 대한 논의는 자동차,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특정 산업에서 선진국

의 기술을 어떻게 추격하였으며, 기업마다 추격의 성과가 왜 차이가 나는가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대기업의 기술 능력 축적 과정과 경영 전략 및 조직 배열의 특징 등을 사례연구를 통해

면밀히 분석하고 있다 (Hobday, 1995; Mathews and Cho, 1999; Lee and Lim, 2001; Choung and

Hwang, 2007; Hwang and Choung, 2014; Choung et al., 2014). 이와 더불어 특정 국가의 성공 요인

을 혁신체제틀 안에서 설명하기 위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Freeman, 1997; Lundvall,

1992; Nelson, 1993). 그러나 성공적인 기술 추격을 통해 선진 기업으로 올라선 후발기업(fast-

follower)들이 내부적으로 축적된 기술능력과 혁신조직을 기반으로 새로운 emerging 시장에서 선

도 기업(first-mover)으로 전환할 수 있는 주요한 기술혁신적 요소는 무엇인지에 대한 미시적 차원

의 사례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기업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계속하려면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따

라 사업 구조와 경영 및 기술 전략을 선제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본 사례

연구의 대상인 LG화학은 창업 당시에는 화장품과 같은 소비재 제품 생산을 시작하여 대규모 장치

산업인 석유화학을 중심으로 하는 기초원료 사업, IT 시장 확대에 따른 정보전자 소재 산업 및 소

형전지 산업을 차례로 전개해왔고, 현재는 각각의 시장에서 글로벌 1등 제품을 보유할 만큼 성공

적인 기술추격 전략을 펼쳤다. 아래에서는 중대형 이차전지라는 신사업 분야에서 글로벌 선두 기

업으로 나서기까지 기술능력 축적 과정과 혁신기술의 개발 및 혁신조직의 특성을 기술혁신이론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사례연구에서 사용한 개념틀 (conceptual framework)는 그림 6과

같다.

Page 13: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10

그림 6 사례연구를 위한 개념틀

3. LG화학 중대형 이차전지 사례연구

3.1. 리튬 이차전지 기술

전지란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전극 물질의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직접 전환하는 시

스템을 일컫는다. 전지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786년 이탈리아의 갈바니(Galvani)가 개구리 해부실

험 중 전기의 존재를 발견한 이래 1800년 볼타(Volta)가 두 금속판 사이에 알칼리 용액으로 적신

천조각을 끼운 것을 여러 겹 쌓아 양끝에 전선을 연결하여 전류를 발생할 수 있는 전지를 발표하

는데, 이것이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 전지의 최초 형태이다.

전지는 일정 수명기간 동안만 한 번 사용할 수 있는 일차전지(primary battery)와 재충전을 통

해 반복 사용이 가능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로 나뉠 수 있다. 최초의 이차전지는 1859년

개발된 납축전지로, 1948년 Ni/Cd 전지가 상용화되었고, 1990년대 들어 친환경적이고 성능이 향상

된 Ni-MH 전지가 등장하였다. 이후 에너지밀도가 크게 향상되고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한 리튬이

차전지가 개발되면서 현재의 이차전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차전지의 성질을 갖기 위해서는 양극과 음극이 충전과 방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Latecomer Firm’s Technological Capabilities

• Technological Dimension

• Organizational Dimension

Latecomer Firm’s Learning Mechanism

Latecomer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 Internal Learning • External Learning

Page 14: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11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전극 내에서의 이온의 삽입과 탈리가 용이하고 이 과정에서 전극

의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양극과 음극 사이에 들어있는 전해질은 전극 사이

의 이온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극의 소재와 이온의 종류가 실제 저장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의 양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가 되는데, 이온의 종류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리튬이

온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차전지라고 한다 (박정기 외, 2010).

(출처: http://cas.umkc.edu/chemistry/chen.asp)

그림 7 리튬이차전지의 구조

리튬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요소는 크게 전극, 전해질, 분리막이 있다. 전극은 다시 양극 활물

질, 음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집천체로 구성되며, 전해질은 전해질 용매, 리튬염, 기타 첨가제

로 구성된다. 리튬 이온전지 내 원가 비중은 대체적으로 양극재 36%, 음극재 13%, 분리막 14%,

전해질 9%, 기타 28%로 파악된다. 양극 활물질은 전지의 출력, 안정성, 수명, 가격 등을 개선하기

위해 코발트 함량을 축소하려는 경향이 확대되고 있고, 니켈, 망간, 인산철 등을 중심으로 다변화

되고 있다. 음극 활물질로는 주로 흑연이 사용된다. 성능 개선을 위해 다양한 대체재가 연구되고

Page 15: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12

있으나, 흑연의 뛰어난 가격 경쟁력으로 인해 새로운 소재로의 전환이 어려운 상황이다. 분리막은

전기적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얇은 막과 높은 기공도가 요구된다. 전지 성능과 분리막 물성 개

선을 위해 현재 다양한 소재의 분리막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해액은 전지

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액상 전해질을 고체 전해질로 대체하기 위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발화의 주요 매개체인 전해액의 안정성 여부가 주요 이슈로 제기되기 때문이다 (NH투자증권,

2015).

3.2. 리튬 전지산업 동향

시장조사 기관인 SNE리서치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세계 리튬 이차전지 시장은 2015년 212억

달러에서 2020년 630억 달러로 연평균 2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8). 전체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IT용 소형이차전지의 성장세는 둔화되고 있는 반면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시

스템(ESS) 등 중대형 이차전지의 성장세에 힘입어 이차전지 시장규모는 점점 확대될 것으로 예상

되며, 2018년을 기점으로 중대형 이차전지 시장이 소형 이차전지 시장을 앞지르면서 시장은 급속

히 팽창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미래에셋증권 리서치 센터)

그림 8 리튬이차전지 시장 전망

Page 16: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13

소형 이차전지 시장은 LG화학, 삼성SDI 등 한국업체들이 2015년 2분기 43.4%를 차지하며 일

본을 제치고 글로벌 1위에 올랐다 (그림 9). 전기차 이차전지에서는 2015년 파나소닉, PEVE, AESC,

LEJ 등 일본 업체들이 전체 시장의 60.8%를 차지하여 압도적으로 1위에 올랐으며, 한국의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은 14.7%를 기록하며 중국에 이어 3위를 차지하고 있다. 파나소닉은 테슬러

전기차에, PEVE는 도요타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이차전지를 각각 독점공급하고 있는 시장 상황을

감안하면, 전 세계 자동차 업체를 대상으로 이차전지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있는 LG화학, 삼성SDI

의 향후 성장세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LG화학은 네비건트리서치가 조사한 세계 전기차

배터리 기업 평가에서 1위를 차지한 바 있고, 고품질 전기차 이차전지로 자동차 업계에서 명성이

높아 GM, 포드, 르노, 아우디, 닛산 등 20여개 자동차 업체에 이차전지 공급 계약을 체결하면서

가장 많은 전기차 공급 계약에 성공하여 높은 성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Sanyo는 2010년 Panasonic과 합병 (출처: 각사 IR 자료, B3 report)

그림 9 소형이차전지 시장 점유율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To

tal S

ale

s,

bil

lio

n K

RW

Year

Samsung SDI

LG Chem

0

5

10

15

20

25

3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Mark

et

Share

, %

Year

SDI

LG Chem

Panosonic

Sony

Sanyo

Page 17: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14

3.3. 소형 이차전지 개발

3.3.1. 기술추격

아래에서는 LG화학의 이차전지 개발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1990년 대에 들어서면서 LG그

룹은 리튬전지를 비롯한 이차전지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휴대폰, 노트북 등 모바

일 기기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핵심부품인 이차전지의 수요도 함께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차전지는 일본, 미국, 유럽 등 일부 선진국에서만 생산이

가능하여, 국내 기술개발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1990년 대 초 소련 및 동유럽 공산정권의 몰락으

로 군사용도로 연구개발이 진행되었던 이차전지 기술이 민간으로 이전되기 시작하면서 LG그룹의

기술협의회는 이에 대한 정보를 입수한다. 곧이어 LG그룹에서는 핵심소재인 리튬 금속을 당시 LG

금속에 개발을 맡겼다. LG금속은 1993년 7월 기술연구소 전지연구실을 신설하고 차세대 전지 개

발을 위해 영국 AEA테크놀로지사와 공동연구를 수행하였다. 1995년 1월 전지사업팀이 신설되었고,

1995년 12월부터는 상업화 계획을 단축하기 위해 리튬 이차전지의 성능향상과 제품화 연구에 주

력하였다. 기술도입과 사업화를 추진하던 중 그룹에서는 연관기술의 시너지 창출 면에서 LG화학

으로 사업 및 연구개발을 이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 1996년부터 LG화학에서 개발에 착수했

다. 일본으로부터의 기술도입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에서 일본보다 20년 이상 늦게 연구개발

을 시작한 셈이다. 1996년 실험실에서 원통형(용량 1,300mAh)설비를 구축하여 개발을 시작한 이래

1997년 파일럿 라인 (원통형 용량 1,600mAh)을 설치하였고 이듬해에는 청주공장에 원통형 용량

1,800mAh를 설치하여 양산을 개시하였으며 1999년에 독자적인 자체기술로 개발한 이차전지팩을

국내 최초로 판매를 하게 되었다.

삼성과 반도체 및 전자분야에서 치열한 경쟁을 한 것과 마찬가지로 이차전지 분야에서도 시

장에서 충돌하였다. 1999년 LG화학의 성공 후 삼성은 이듬해 월 220만셀 규모의 양산라인을 가동

하기 시작한다. 이후 삼성이 2003년 3월 천억원 이상을 투자하여 월720만셀에서 1,410만셀 규모

로 증설한다고 발표하자, 같은 해 8월 LG는 "올해 말까지 700억원을 투입하여 생산능력은 1,800

만셀로 늘릴 계획'이라고 대응하였다. 이후에도 기술 경쟁은 계속되는데 2002년 LG가 2200mAh의

노트북용 원통형 리튬이온전지 개발에 성공하자, 곧이어 삼성도 동일한 용량의 제품을 시장에 출

Page 18: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15

시하고, 2003년에도 거의 비슷한 시기에 2,400mAh 노트북형 원통형 개발을 마치고, 2600mAh,

3000mAh 에 순차적으로 도전하게 된다. 2004년까지 두 회사의 실적 차이는 거의 없었고, 10% 내

외의 시장점유율로 세계 5위권 수준으로 도약했다. 일본보다 후발주자였지만 사업 착수 후 단기간

내 글로벌 시장에서 상위권에 올라선 것이다.

2006년 8월, 소니에서 제조한 노트북 배터리가 미국에서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델, 애

플, 도시바, 레노버 등 PC회사들은 소니의 이차전지를 대거 리콜한다. 소니는 막대한 비용 부담을

지고 노트북 배터리 교체 단행할 수 밖에 없었고, 2006년에만 소니는 800만개이상의 이차 전지를

리콜하여 3천억원 이상의 손실을 입었다. 이차전지 시장의 또 다른 강자인 산요마저 대규모 리콜

사태를 맞게 되면서 이차전지 시장이 급속히 냉각되는 상황을 맞는다. 이차전지 시장에서 일본업

체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기 시작하는 이 시기에, 2006년 9월 삼성SDI는 충남 천안에서 생산하는

리튬 이차전지가 단일공장으로는 세계 최초로 월 3,400만셀을 달성했다고 발표한다. 2003년부터

꾸준히 생산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이어오다 2006년에는 생산량을 50%이상 증가시킨 것인데, 이

를 계기로 삼성SDI는 LG화학과 일본 업체를 누르고 소형전지 시장의 강자로 나서게 된다 (그림 9,

그림 10 참조).

그림 10 LG화학과 삼성SDI 이차전지 매출액 추이 비교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To

tal S

ale

s,

bil

lio

n K

RW

Year

Samsung SDI

LG Chem

0

5

10

15

20

25

3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Mark

et

Share

, %

Year

SDI

LG Chem

Panosonic

Sony

Sanyo

Page 19: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16

3.3.2. 위기극복

LG화학은 1999년부터 이차전지를 독자기술로 개발하여 양산을 시작하였으나, 생산 초기에 경

험 부족으로 양산 품질을 확보하지 못해 많은 시행착오를 거쳤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과 생

산, 영업이 긴밀한 협력이 필요함을 인식하여 2001년 BTC (Battery Tech Center)를 설립하였다. 품

질뿐 아니라 영업 및 판매에도 문제도 많았다. 신생 소규모 전지회사로 대형 고객 확보에 어려움

이 있어 초기에는 그룹 내 고객사인 LG전자에 대한 의존이 매우 클 수 밖에 없었다. 이 후 국내

중소 고객부터 공략하여 차츰 대형고객 및 수출 거래선을 확보할 수 있었다. LG화학은 대규모 장

치 산업위주로 사업을 전개하였기 때문에 조립산업인 이차 전지 사업과는 생산 문화에 많은 차이

가 있었다.

소형 이차전지 사업이 본궤도에 올라가던 2004년, 애플에 납품하던 이차전지의 충, 방전 불량

으로 과열 신고가 접수되고 이에 구매 업체들은 LG화학의 이차전지 구입을 중단하면서 대외 신뢰

도에 큰 타격 입게 된다. 2005년 5월 노기호 당시 LG화학 사장은 이차전지 생산라인을 전면 중단

시키고 서울 본사에 근무하는 전지사업부 직원 100여명을 충남 오창 공장으로 내려 보내 문제해

결을 지시한다. 2개월동안 전 직원들이 품질개선 대책을 연구한 결과,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비로

소 공장을 재가동할 수 있었다. 이후 애플, HP, 소니와 전지공급 계약을 체결하기에 이른다. 리콜

사태로 삼성과의 경쟁에서 뒤처지긴 했으나, LG화학은 이차전지 사업을 포기할 수 도 있었던 절체

절명의 위기 순간을 극복하고 이후 품질에 최우선을 두고 전지생산에 신중을 기하게 된다. 삼성

SDI도 LG화학의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품질 및 제품의 안정성을 사업부의 경영방침으로 설정

하였다. 두 회사의 치열한 경쟁과 노력 덕분에 국내 이차 전지사업의 위상이 높아지는 계기가 되

었다.

이차 전지의 잦은 품질 문제로 고객으로부터 수많은 품질 클레임을 받았고 이로 인해 적자가

누적되면서 사업을 중단하거나 그룹 내 다른 회사로 이관해야 한다는 의견이 팽배하였다. 그러나

다행히 LG화학은 사업의 포트폴리오가 다양하고 다른 사업에서 흑자를 보고 있어 전지 사업의 적

자를 감내할 수 있었다. 최고경영진은 현재 사업 실적이 매우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미래

신사업 추진에 확고한 의지를 천명하며 오히려 중대형전지로의 개발을 확대하게 된다.

Page 20: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17

3.4. 중대형 이차전지 개발

3.4.1. 개발과정

LG화학이 중대형전지 사업을 시작할 당시만 해도 기술과 시장의 전망은 매우 불투명했다. 중

대형전지에 대한 필요성과 관심은 꾸준했으나, 성능과 안전성, 제품 양산에 대한 확신이 없었고,

막대하게 지출되는 연구개발비로 인해 투자를 지속할지에 대한 이견도 많았다. 이런 상황에서

2001년 미국 콜로라도에 자본금 300만 달러를 투자해 전지 연구개발법인인 LG CPI(Compact

Power Inc.)를 설립한다. 국내 연구진과 LG CPI 연구진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2002년부터 미국 콜

로라도에서 열린 세계 자동차 경주대회인 '파익스 피크 인터내셔널 힐 클라임(Pikes Peak

International Hill Climb)' 전기차 부문에서 2년 연속 우승을 하며 뛰어난 전지 기술을 전세계에 선

보였다. 이를 발판으로 LG화학은 미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으며 사업에 탄력을 받게 된다.

그림 11 2002년 자동차 경주대회 출전 당시 전기자동차

LG화학은 2004년 미국 에너지성과 GM, 포드, 크라이슬러 등 미국 3대 자동차 업체의 컨소시

엄인 USABC (US Advanced Battery Consortium)으로부터 460만 달러 규모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개발 프로젝트 수주에 성공하였다. 이를 계기로 2007년에는 현대자동차와 아반떼 하이브리드 배

터리 공급 계약을, 2008년에는 소나타 하이브리드 배터리 계약을 연이어 체결하였다. 드디어 2009

년 세계 첫 순수 전기자동차인 GM 볼트용 배터리 공급업체로 단독 선정됨으로써 그 기술력을 널

Page 21: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18

리 인정받기에 이르렀다. 당시 최초, 최고의 전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던 일본은 중대형 배터리

용으로 니켈수소배터리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었기에 LG화학으로서는 리튬 이차전지분야에 글로

벌 절대강자로 떠오를 수 있는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되었다. 이후 LG화학은 2016년 현재 28개

글로벌 자동차 업체로부터 82개 프로젝트를 수주해 누적 금액 36조원을 넘어섰다. 이를 기반으로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 2016년 1조2천억원의 매출에서 2018년 3조 7천억원, 2020년 7조원의 매

출로 연평균 55% 이상 성장을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3.4.2. 학습 메커니즘

3.4.2.1. 내부학습

2000년 중반 무렵, LG화학은 매출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영업이익률이 점점 감

소하는 등 경영상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같은 시기 R&D 투자율은 2~3%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었

는데 연구 성과물이 고부가 신제품 매출로 이어지지 않는 문제도 함께 대두되었다. 한편 그 동안

LG화학의 주 성장 동력 이었던 석유화학사업이 성숙기에 진입하여 더 이상의 성장이 어려울 것으

로 예상되어 새로운 성장 동력의 발굴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LG화학은 기존 성숙한 시장에서의

R&D투자에서 벗어나 미래 성장을 이끌 수 있는 혁신 사업에 R&D 역량을 집중하기로 전략을 설

정하였다. 또한 R&D 투자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내부 연구자간의 협력을 촉진하는

내부 개방형 혁신 활동을 2007년부터 기술연구원이 주체가 되어 추진하였다. 개방형 혁신의 중심

개념은 외부 조직과의 협업이나 공동개발이지만, LG화학 기술연구원과 같이 연구 조직이 크고, 다

양한 기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조직에서는 내부 협업이 더 필요하다는 인식이 크게 작용했다

(양희승, 2010).

내부 개방형 혁신(internal open innovation) 도입에 따른 전략적 자원배분, 개방형 혁신활동 지

원, 내부 협력 프로그램 확대, TRM/PRM 도입 등이 이에 포함되었다. 개방형 혁신 운영체제가 구

축되면서 개인과 프로젝트 차원, 내부에서 외부 차원으로의 다양한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작동되기

시작하였다 (그림 12). 우선 지식 공유 포탈인 기존 지식관리시스템(KMS)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ASK(Advanced System for Knowledge management)로 개선하여, Q&A 등을 통해 기술적 문제를 빠

Page 22: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19

르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든 질문과 답변에 대해 기술연구원 구내에서 사용이 가능한 마

일리지를 제공하였다. 매년 12월에 실시하는 Tech Fair의 운영 방식도 바꾸었다. 각 프로젝트 별

연구 성과를 발표하는 데서 더 나아가 구성원들이 서로 토론할 수 있는 컨퍼런스 형태로 전환하

여, Tech Fair가 개최되는 날에는 모든 구성원들이 현업에서 벗어나 서로 교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출처: 양희승, 2010 재구성)

그림 12 LG화학기술연구원의 내부 개방형 혁신 제도

본격적으로 개방형 혁신에 대한 연구자들의 의식을 변화시키고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전문가

검색’과 ‘Open Innovation Award’를 신설하였다. ‘Open Innovation Award’는 기술연구원 내, 외부간

의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일 년 동안 개방형 혁신을 통해 가장 우수한 성과를 달성

한 팀 또는 개별 연구자에게 시상하는 제도이다. 또한 연구책임자들의 모임인 ‘PL workshop’을 개

최하고, 기술연구원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나 기술적 이슈를 제안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

하고자 ASK상에 i-Plaza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i-Plaza는 구체화되지 않은 신규 과제 아이디어

나 기타 기술적 이슈를 제안할 수 있는 공간이다. 연구 이슈가 제기되면 토론이 활발히 이루어지

기는 하지만, 이슈 자체가 자주 제시되지 않는 문제점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Page 23: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20

연구과정 중 문제점 해결을 위해 프로젝트 차원에서 i-Forum, i-Challenge를 적극 활용하고 있

다. i-Forum은 매달 1~2개의 프로젝트에서 과제에 대한 간략한 소개 후, 현재 당면하고 있는 기술

적 문제점을 상세히 설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 구성원들의 조언 및 협력을 구하는 활동

을 말한다. 발표자가 수행 중인 프로젝트의 기술적 문제를 제시하면 즉석에서 토론이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공개적인 논의를 통해 새로운 접근을 시도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모색하게 된다. 전

구성원이 참여할 수 있고, off-line 뿐 아니라 on-line에서도 제안 활동이 전개된다. i-Challenge는 i-

Forum 보다는 기술적 난이도가 더 높고 시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내부 공모 제도이다. 아이

디어 차원의 해결 방안인 ‘paper solution’과 실험 결과를 포함하는 ‘wet solution’으로 나눌 수 있

으며, 해결 방안의 완성도에 따라 상금이 지급된다.

내부 개방형 혁신은 주로 연구개발 수행 중 부딪히는 해결하기 어려운 기술적 이슈에 대해

관련 지식과 경험을 보유한 연구자들과 토론하면서 해결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최근 개발

된 플렉시블 와이어 배터리는 단기적인 문제 해결 수준을 넘어 오랜 기간 연구원들이 자발적 협

력과 연구 개발을 통해 그 동안 시장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낸 사례이다. 이 제

품은 정식 프로젝트가 아닌 RI(Research Informal) 즉 사내 연구 동아리 활동을 통해 추진되었다.

2008년부터 연구를 시작하여 Tech Fair 등을 통해 연구활동 중에 부딪힌 문제들을 동료 연구원들

과 공유하고 조언을 구한 결과, 2013년 용수철 모양의 구부러지는 배터리를 개발하는데 성공하였

다 (동아비즈니즈리뷰, 2016). 이 제품은 LG화학 만의 독창적인 기술력을 토대로 방수는 물론 매듭

을 묶어도 문제가 없고, 저전력 설계를 통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그 동안의 연

구 결과 국내특허 93건 해외특허 57건을 출원하였고, 재료 에너지 분야의 세계적 저널의 cover

paper로 연속 선정되는 성과를 이루었다 (그림 13).

Page 24: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21

(출처: LG화학 홈페이지)

그림 13 플렉시블 와이어 배터리

개방형 혁신의 대표 사례로 P&G의 C&D(Connect & Develop) 활동이 꼽힌다. P&G와 같이 제

품 수명이 짧은 소비재 제품을 주로 생산하고 급변하는 시장환경과 소비자의 취향을 면밀하게 모

니텅링해야 하는 경우 개방형 혁신을 통한 외부 조직과의 개발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 LG화학은

전형적인 B2B 기업으로 P&G와 상이한 사업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개방형 혁신을 적용

한다고 해도 같은 사업적 성과를 이룰 것이라는 보장이 없다. LG화학은 사업이 범위가 석유화학으

로부터 정보전자소재, 전지소재 등 매우 넓고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팀 조직이 400여 개에 이르기

때문에 팀 조직 별로 축적된 기술을 적시에 잘 활용할 때 성공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형적인 성과물 외에 가장 큰 소득은 연구원들의 인식 변화이다. 자신이 소속된 팀 목표만

바라보고 연구를 하는 것보다, 보다 넓은 시각에서 타 연구원들의 도움을 받고, 도움을 줄 때 결

국 서로 win-win할 수 있음을 인식하게 된 것이다.

3.4.2.2. 외부학습

LG화학이 중대형 이차전지에서 경쟁사들보다 한 발 앞설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으로 LG CPI

설립을 들 수 있다. 이로써 LG화학은 휴대폰, 노트북 등에 사용되는 소형전지 위주의 사업구조를

자동차용 대형전지로 확대해 종합 전지메이커로 도약하는 발판을 만들었고, 해외 시장으로 눈을

돌려 미국의 유수 자동차 업체와의 파트너십 관계를 강화하여 전지셀 자체의 기술뿐 아니라 전지

팩 및 시스템 전체의 설계, 제조 기술을 획득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로 인해 경쟁업체들보다

Page 25: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22

연구개발의 방향 설정에 유리한 입장에 설 수 있었다.

LG CPI 설립 후 이듬해 미국 콜로라도에서 열린 세계 자동차 경주대회인 '파익스 피크 인터내

셔널 힐 클라임 (Pikes Peak International Hill Climb)' 전기차 부문에서 LG화학은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한다. 이 경주 대회에서 15마일 길이의 경주장을 15분 18.64초에 주파함으로써 1999년 일본

혼다가 니켈수소 전지를 이용해 수립했던 기록을 1.27초 단축하였다. 그 동안 전지업계에서 기술

적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온 리튬이차전지를 이용하여 가파른 오르막과 급커브로 이루어진

가혹한 레이스 구간을 평균시속 100km로 완주하는데 성공함으로써 전기자동차 시장에서 지금까

지 사용되던 니켈수소전지를 리튬이차전지로 대체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이를 계기로 LG화학은 LG CPI를 통해 2004년 미국 USABC로부터 460만 달러 규모의 전기자

동차용 배터리 개발 프로젝트 수주에 성공하였다. USABC는 리튬이차전지 개발 프로젝트 선정을

위해 2001년부터 3년간 미국의 4개 국립연구소를 통해 국내업체와 함께 일본, 독일, 프랑스 선진

업체의 중대형 전지기술을 평가해오고 있었다. LG화학은 프로젝트 수주로 중대형 전지 분야에서

기술력의 우수성을 아시아 최초로 미국 공인기관으로부터 입증 받았다. 한편 자동차용 전지 시장

에서 가장 큰 수요처인 GM, 포드, 다임러 크라이슬러를 동시에 공급처로 확보할 수 있는 유리한

고지를 확보하게 된 것이다.

미국 연구 법인을 설립한 이후 실제 사업을 진행시키고, 수익 창출을 위해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도 추진되었다. 당시 GM은 도요타의 PHEV 자동차인 프리우스 인기에 크게 당황하고 있

었다. GM은 프리우스의 대항마로 쉐보레 볼트를 내세웠다. 이러한 정보를 입수한 LG화학은 볼트

의 개발 초기부터 참여해 가장 최적화된 중대형 전지를 개발하고 공급하기 위한 전략을 세웠다.

이를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을 GM의 입장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가치가 무엇인가를 도출하고 실

천하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디자인-팸 (Design-FAM, 고장-분석-대응)을 들 수 있다. 소

형전지의 경우 문제가 발생해도 그 피해가 작지만 자동차의 경우 전지의 작은 결함에도 사람의

목숨이 좌지우지 된다. 따라서 GM의 입장에서는 철저하고 집요하게 디자인-팸에 대한 점검을 요

구했다. 이에 대한 경험이 없던 LG화학은 GM의 요구사항을 이해하지 못해 견해 차이가 발생했으

나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동차 업체와의 관계가 더욱 긴밀해지고 개발 목표가 좀 더 명확해

Page 26: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23

졌고, 고객의 요구사항에 대응하면서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축적하는 효과가 더해져 중대형전지

분야에서 경쟁사들보다 앞서는 계기가 되었다 (이남훈, 2011).

3.4.3. 기술혁신

LG화학이 오랜 기간의 연구개발 끝에 성공한 Stack & Folding 기술은 안전성, 가격, 공정 유연

성이 우수한 LG화학 고유의 파우치 타입 리튬 이차전지 제조 공정이다. 일반적인 배터리 제조사

의 와인딩(winding) 기술은 두루마리 휴지를 마는 것과 같이 젤리롤(Jelly roll) 구조이므로 제조 공

정은 간단하지만 다양한 모양으로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반면 LG화학의 Stack & Folding 기

술은 전극을 셀 단위로 잘라 쌓고, 접음으로써 매우 얇은 배터리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림 14). 특

히 전극을 나누어 쌓고 접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양한 모양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구조상 물리

적 안정성이 뛰어나 충방전 시 생기는 뒤틀림 현상 등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성능을 일정하기 유

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에너지 밀도가 높고 안전한 계단식 구조의 스

텝(step) 배터리, 휘어지는 커브(curve) 배터리를 개발하였고, 모서리가 둥근 라운드(round)형 배터

리 및 육각형 모양의 헥사곤(hexagon) 등 원하는 모양을 자유자재로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

삼성 캘럭시 노트 7 발화 사고로 인해 파우치 타입의 전지 제조 공정의 기술 수준 및 품질 관리

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출처: LG화학 홈페이지)

그림 14 Stack & Folding 기술

Page 27: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24

LG화학 고유의 소재 기술인 SRS (Safety Reinforced Polymer Separator)는 안전성이 강화된 폴

리머 분리막 소재이다 (그림 15). 분리막 표면에 세라믹 입자와 고분자 바인더를 코팅하는 dip 코

팅 방식을 적용하였다. SRS 기술은 나노 세라믹 코팅을 적용해 배터리의 내구성과 내열성을 강화

하고 이온이 잘 통하는 다공성 폴리올레핀 소재로 배터리 내부의 전기적 단락을 감소시켜 주기

때문에 특히 안전 문제가 중요한 중대형 배터리의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지의 핵심소재로

전세계 자동차용 전지 시장을 선도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고 일본 Ube Maxell, 중신 Senior

Technology사에 기술 실시권을 판매하였다.

(출처: LG화학 홈페이지)

그림 15 SRS 기술

또한 이차전지의 주요 소재의 하나인 양극재에서 LG화학은 3성분계 양극재 활물질을 독자 개

발한 바 있다. 이 물질은 대용량성, 원가경쟁력, 안정성을 모두 구현한 획기적인 소재이다.

LG화학은 중대형 배터리 소재 분야의 중소 협력회사들을 발굴해 공동 연구개발 등을 통해 근

본적인 기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했다. 리켐의 경우 전해액 첨가제, 전극 활물질 점착

고정제 등을 국산화했고, 나라엠텍도 배터리 모듈 케이스 생산에 필요한 금속 소재를 플라스틱으

Page 28: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25

로 대체하는데 성공하였다.

LG화학이 수 십 년간 화학소재 분야에서 축적한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개발에 성공한 파우

치 타입 전지 제조 기술, Stack & Folding 기술, SRS 소재, 양극재 소재는 주요 경쟁업체를 따돌리

고 소형 이차전지에서 중대형 이차전지로 사업구조를 성공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었던 주요한 요

인이다. 이러한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PHEV 전기자동차용 전지는 2007년 개발하여 2009년 상업화

에 성공하였고, 1세대 순수전기자동차용 전지 (항속거리 160km)는 2009년 개발하여 2011년 상업

화하였으며, 2세대 순수전기자동차용 전지 (항속거리 320km)는 2014년 개발하여 2016년 상업화에

성공함으로써 중대형 이차전지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3.4.4. 혁신조직

중대형 이차전지라는 새로운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기술능력을 축적하였을 뿐 아니라 이에

조응하여 조직 구조에도 변화가 있었다. 우선 고객과 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미국

에 LG CPI를 설립하였다. 이는 추후 GM Volt 수주와 미국 홀랜드 전지 공장 설립으로 이어지고 경

쟁사보다 앞서 중대형 전지시장을 선점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둘째, LG화학은 화학소재 개발에 강점이 있어 이차전지 관련 연구도 초기에는 주로 양극재, 음

극재, 분리막, 전해질 등 주요 핵심 소재개발에 역량을 집중하였다. 그 결과 소재 분야에서 원천기

술을 확보하는 성과를 올렸으나, 전지제조 공정기술, 팩설계 기술, 전지관리시스템 기술 등 주요

요소 기술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가 매우 부족하였다. 이를 보완하고자 설계와 양산기술 개발에 특

화된 개발센터 조직을 신설하여 고객 맞춤형 기술 개발에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

었다.

셋째, LG화학은 전통적으로 석유화학으로 대표되는 대규모 장치 산업에 특화된 기업이었기 때

문에 부품 조립 산업에 대한 이해가 많지 않았다. 중대형 전지개발에서 야기된 품질문제를 LG전

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등 그룹사로부터 품질지도 및 경험 전수, 임직원 이동을 통해 해결했

다. 개별기업 혹은 그룹사의 지원을 기대하기 어려운 대기업 이었다면 이 사업에서 성공할 수 없

었을 것이다.

Page 29: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26

넷째, 2000년대 중 후반 당시 LG화학 경영진은 이차전지 사업의 실적악화로 사업포기 및 매각

을 심각하게 고려했다. 그러나 수익이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인 투자를

그룹 차원에서 결정하였다. 또한 신사업에 대한 계열사간 경쟁보다는 합리적인 사업 배분과 협업

을 유도하고 개발력을 집중하는 전략을 취하였다.

다섯째, 연구개발 부문에서는 중앙연구소에서 기반기술 업무를 담당하던 팀을 기반기술연구센

터 조직 하에 배치함으로써 조직의 목표와 책임을 명확히 했다. 기반기술연구센터는 코팅, 점착,

시뮬레이션, 분석, 프린팅, 공정기술 등 사업부 연구소에서 공통으로 필요로 하는 기반기술에 특화

된 조직으로 특정 ‘제품’ 개발 연구를 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기술’ 개발 연구를 한다. 예를 들어

사업부 연구소에서 코팅 관련 기술이 급하게 필요하다면 해당 연구소에서 이 기술을 처음부터 새

롭게 익힐 필요 없이 기반기술연구센터 내 코팅 담당 조직에 협업을 요청하면 곧장 전문가가 투

입되어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매년 이차전지 개발 관련하여 수 많은 연구 프로젝트가

기반기술연구센터와의 협업을 통해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4. 결론

송위진 등 (2006)은 제품수명주기이론을 확장해 후발국의 진입전략을 분석하고 다양한 진화방

향을 제시하였다. LG화학의 중대형 이차전지의 혁신 활동을 이 틀에서 분석하면, 우선 아키텍처 혁

신을 통한 차별화된 제품을 생산하는 패턴을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아키텍처 혁신, architecture

innovation). 중대형 이차전지의 핵심소재기술 및 공정기술은 기본적으로 소형 이차전지와 매우 유

사하다. 그러나 중대형 이차전지 개발에 필요한 전지관리시스템 설계 및 전지팩 설계 능력과 전지

성능 향상, 안정성 확보, 충방전 효율과 관련한 셀 개발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 요소기술의

혁신이 수반되어야 하고 이들을 새롭게 통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소형 이차전지 개발에 성공했

다고 해서 바로 중대형 이차전지 개발에도 성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소형 이차전지 시장에서

선도기업이었던 일본의 소니, 샤프가 중대형 이차전지에서 성공하지 못했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한편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지배적 디자인(dominant design)이 설정되기 이전 제품수명주기에

Page 30: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27

서 유동기에 진입하는 패턴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신기술 기반 혁신, radical innovation). 기존 전지

업체들은 소형 이차전지 제조에 지배적 디자인인 와인딩(winding) 기술을 사용하였다. 물론 LG화

학도 일부 제품에는 이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와인딩 기술은 제조원가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

나 전지성능이 떨어지고 장시간 충방전을 할수록 구조적 결함으로 안전성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

이 있으나, 이를 중대형 이차전지에도 적용하는 것이 대체적인 추세였다. LG화학은 이런 단점을 극

복하고자 파우치 타입의 Stack & Folding 기술을 개발하고 양산에 성공함으로써 새로운 지배적 디

자인을 설정하여 신사업에 성공적으로 진입할 수 있었다. 그러나 Stack & Folding 기술이 중대형

이차전지 제조에서 지배적 디자인으로 완전히 자리잡았다고 단정짓기는 어렵다. 현재 테슬러를 비

롯한 몇몇 전기자동차 모델에 탑재된 이차전지는 와인딩 기술로 제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Stack &

Folding 기술이 점차 확산되고 있기는 하지만 지배적 디자인으로 등장할지 여부는 좀 더 지켜봐

야 할 것이다.

LG화학의 신사업으로의 전환 과정을 미시적으로 분석한 결과, 기존 사업과의 연계성을 고려

하여 아키텍처 혁신형과 신기술 기반 혁신형을 적절히 혼합하는 혁신 전략을 추구하였고, 이 두

가지 전략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융합하여 복합화된 형태를 취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저자는 이와 같은 혁신 패턴을 복합화 혁신 (conjugated innovation)으로 정의하고자 하며, 송

위진 등 (2006)이 제시한 틀이 단일 제품의 혁신 패턴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반면, 기업 단위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혁신 패턴을 해석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복합화 혁신은 Henderson과 Clark (1991)의 기술혁신분류와 Lee와 Lim (2001)이 제시한 기술추격

론의 이론적 확장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LG화학의 연구개발 부문의 기술능력 축적 과정에서 추진된 내부 개방형 혁신 제도는 다른 기

업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협업 문화를 만들어냈다. 대기업 조직 문화의 병폐로 지목되는 사

일로 효과(Silo Effect)를 제거함과 동시에 협업을 통해 사업적 성과를 창출하는 연구 문화를 만들

었기 때문이다. 앞으로 이 체계를 성공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점도 있다. 우선 성

과 배분 문제이다. 협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이것이 사업화로 연결되었을 때 참여 팀들간의

Page 31: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28

공정한 성과 배분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한다. 협업 성과에 대한 포상 및 보상 제도가 없지

는 않지만, 기존 업무 시간을 쪼개어 보다 적극적인 협업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성과

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와 보상 시스템이 명확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둘째, 아직은 LG화학 기술연구원 내부의 개방적 혁신에 치중하고 있고, 학교, 연구소, 타 기업

과의 협업을 통한 개방적 혁신은 미진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국내 유명 이공계 대학의 화학, 화

공, 재료 관련 학과와의 워크샵을 꾸준히 실시하고 있다. 대학 연구실에서 수행하는 최신 연구 동

향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이고, 여기서 더 나아가 관련 기술이나 노하우가 필요한 회사 내

팀과 협업도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국내 및 해외 유명 연구소와도 기술 교류회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는데, 실질적인 사업적 성과로 창출되기 위해서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다.

셋째, 기술 중개 기업을 통한 외부 기술 협력에 대해서는 아직 뚜렷한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일부 활용 사례가 있긴 하지만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여 사업적 성과로 이어진 예는 아직

보고되고 있지 않다. 이는 LG화학의 사업 특성과 연계하여 생각해볼 문제이다. LG화학은 화학 및

소재 분야에 특화된 기업으로 기술의 특성상 재료 합성 및 공정기술의 노하우와 암묵지 때문에

쉽게 모방이 어렵다. 즉 기술의 전유성이 다른 분야보다 높고, 가치사슬상 상위 upstream에 존재

하기 때문에 기술적 선도기업이 독점적 이익을 향유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때문에 화학 및 소

재 분야의 글로벌 기업들은 오래 전부터 자체 기술개발 역량을 키우기 위해 R&D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LG화학은 LG하우시스, LG전자, LG디스플레이 등 그룹 내 관련분야의

수직계열화가 거의 완벽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아웃소싱보다는 자체 개발에 더 큰 비중을 두

고 있다.

마지막으로, LG화학에서 추진한 개방형 혁신은 R&D 생산성 향상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

해 도입되었는데, 도입 초기에는 내부 조직간, 외부 조직과의 효과적인 기술협력 체계 구축이 주

요 과제였다면, 이제는 조직의 변화 관리를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원

들간의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한 조직 내 외부 간의 원활한 지식 교환과 협업 문화의 구축은 신규

사업을 성공시키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이다 (Nonaka, 1994; Hayton, 2005).

Page 32: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29

다양한 외부학습 메커니즘 중에서 현재 LG화학이 중대형 이차전지 시장에서 선도기업이 될

수 있었던 가장 주요한 것은 미국에 연구법인인 LG CPI를 설립한 것이다. 당시 자동차용 이차전지

는 아직 시장이 형성되어 있지 않았고 기술적으로도 선도기업이 출현하지 않은 상태였다. LG화학

이 소형 이차전지 사업을 처음 시작한 1990년 초에는 LG전자를 비롯한 국내 IT 기업들이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제품을 시장에 출시하면서 해외로 시장을 확장하고 있었다. 기술과 영

업, 마케팅 능력이 부족했던 LG화학은 사업 초기에 그룹사인 LG전자와 국내 중소형 IT 업체를 고

객으로 설정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대기업, 해외 업체로 시장을 확장하는 전략을 취했다. 반

면에 자동차용 중대형이차전지는 사업초기 국내 자동차 업체들은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사업기회

를 창출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국내 시장보다 해외 시장 특히 미국으로 일찍 눈을 돌린 이유다.

미국은 과거 GM이 전기자동차를 개발한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관련분야에 경력이 있는 연구개발

인력을 채용하기 유리했고, 실제 사업으로 진행하기에도 여타 지역보다 매우 유리한 환경이었다.

LG CPI는 초대 CEO로 GM에서 전기자동차 설계 책임자를 영입했고, 당시 LG화학이 취약했던 전지

팩 및 전지관리시스템 설계 전문 인력을 채용하였다. 소형 이차전지와는 전혀 다른 외부학습 메커

니즘을 실행함으로써 사업을 성공적으로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기업이 새로운 기술경로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불연속적 기술 혁신 활동을 전개함과 동시에

기술 변화에 따라 조직도 변화해야 한다. 불연속적 기술혁신은 시장과 기술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

지 않기 때문에 실패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시장과 기술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혁신을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기업은 연구개발, 기획, 생산 프로세스를 확실한 틀 안에서 운영이 불가능하고 상황

변화를 예의주시하며 상호 조정해가면서 전략과 운영 프로세스를 정해가야 한다 (Tidd and

Bessant, 2009). 이러한 총체적인 관리의 중요성은 Christensen이 주장한 파괴적 혁신에서도 중요

하게 논의되고 있다. 불연속적 기술변화로 인해 파괴적 혁신이 출현할 경우, 기존 기업은 혁신 프

로세스를 총체적으로 전환하도록 자원배분을 할 수 없으므로 이에 적극 대응할 수 없다는 지적이

다. 혁신조직의 기존조직과의 연계성 및 조직 배열에는 상이한 접근방법이 있는데,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점은 불연속적 혁신의 기술적 특성 및 사업 전략과 기존 사업과의 연계성 문제이다. LG화

Page 33: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30

학의 중대형이차전지 사업은 기존 소형이차전지 사업과 비교할 때 전지 제조 기술 및 대상 고객

이 상이한 불연속적인 혁신특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일부 전지 소재 및 공정 기술은 소형이차전

지 사업 전개와 연구개발 과정에서 축적한 경험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

문에 일부 연속적 혁신 특성도 있다. 이러한 다소 이질적인 (heterogeneous) 혁신 특성은 중대형

전지사업을 신규 추진하기 위한 조직 배열과도 연계되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전지사업

본부 산하에 소형전지사업부와 별도로 중대형전지사업부를 신설하여 기존 조직과의 차별성과 연

속성을 동시에 꾀하였다. 한편 2001년 미국에 설립한 연구법인 LG CPI는 전지사업본부 내 조직이

긴 하나 미국 현지 법인이고 현지인을 CEO로 임명함으로써 한국 본사로부터의 독립성을 어느 정

도 보장받고 있다는 점에서 LG CPI 역시 내부 조직이면서 외부 조직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LG CPI

가 보유하고 있던 중대형전지 관련 기술은 향후 미국 전기자동차 시장 진입에 중요한 역할을 하

게 되고, 본사 및 연구소와의 연구개발 및 인적 교류를 통해 상호보완적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

한 조직 배열의 특성은 조직 내부 및 외부 지식의 원활한 교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 조직

내에서 신규 사업을 성공시킬 수 있는 원인이 되었다 (Hayton, 2005).

개발(exploitation)을 담당하는 기존 조직에서 탐색(exploration)을 지향하는 혁신조직을 효율적

으로 운영하는 방안에 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두 조직을 구조적으로 분리하는 방법

(structural separation), 일시적으로 분리하는 방법 (temporal separation), 외부 조직과의 연계

(inter-organizational specialization), 혹은 개인이 두 가지 성격을 업무를 함께 수행하도록 장려

(creation of a supportive organization context) 하는 방법들이 이에 포함된다 (Hill and Birkinshaw,

2014). 위의 LG화학의 사례에서 보듯이 혁신조직의 역할과 책임, 기존 사업구조 및 조직과의 연계

성 및 조직 프로세스의 통합 가능성, 조직 문화의 차이 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장점은 최대화하고

단점은 최소화할 수 있는 조직 운영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한 함의를 바탕으로 후발기업이 선도기업으로 전환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혁신적 요소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Page 34: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31

- 사업구조에 적합한 개방형 혁신 전략의 수립과 실행

- 다양한 지식 창출 경로의 확보

- 구성원들간의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한 지식교환과 협업 문화의 구축

- 기존 사업 조직과 유기적으로 연계된 혁신 조직의 운영

- 복합적 혁신 (conjugated innovation) 전략

- 중소 협력회사와의 네트워크 강화 (연구개발 지원, 시장 정보 공유 등)

- 시스템 통합자로서의 역량 확보

- 위기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contingency plan (타 조직으로부터 지원 가능성, 경영층의 혁

신 사업 추진 의지)

본 사례연구를 마치며 다음 문제를 함께 생각해보고자 한다.

1. 후발 추격기업(catch-up)이 탈추격(post catch-up)으로 성공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혁

신적 요소는 무엇인가?

2. 기존 기업에서 혁신 사업(혹은 사내벤처)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사례를 통해 기술전략 및

조직배열의 특징에 대해 논의해 보자.

3. 내부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협업 문화를 만들기 위해 조직 관점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Page 35: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32

5. 참고문헌

김인수, (2000), 모방에서 혁신으로, 시그마인사이트컴, 서울.

동아비즈니스리뷰 (2016) 9월호.

박승영, 박원규, (2007), 삼성 vs LG 그들의 전쟁은 계속된다, 미래의 창, 서울.

박정기 외, (2010) 리튬이차전지의 원리 및 응용, 홍릉과학출판사, 서울.

송위진, (2004) “추격에서 선도로: 탈추격체제의 기술혁신 특성,” 기술혁신학회지, 제7권, 2호, 351-

372쪽.

송위진 외, (2006), “탈추격형 기술혁신체제의 모색,”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양희승, (2010), LG화학의 개방형 혁신 도입과정과 우리나라 기업에의 적용에 관한 고찰, 기술혁신

연구, 18권, 1호, 123p.

이남훈, (2011), 고객이 생각하지 못한 가치를 제안하라, 가디언, 서울.

임채성, (2008), “기술경로 창출능력의 이론적 해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승철, (2005), 글로벌 리더를 향하여-LG화학 그 변화의 여정, LG화학, 서울.

황혜란, (2006), “한국의 탈추격형 기업기술혁신의 패턴 분석,” 과학기술학연구, 제 6권, 2호, 1-22.

황혜란, 정재용, 송위진, (2012), 탈추격 연구의 이론적 지향성 및 과제, 기술혁신연구, 제 20권, 1호,

75-114.

후지모토 다카히로, 박정규 역, (2006), 모노즈쿠리, 월간조선사, 서울.

LG금속 60년사, (1997), 주식회사 LG금속, 서울.

LG화학 50년사, (1997), 주식회사 LG화학, 서울.

LG 60년사, (2007), 주식회사 LG, 서울.

2차전지 산업, NH투자증권 리서치 센터, 2015년 9월.

2015 ICT Spot Issue,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5.

Bell, M., (1984), “Learning and the accumulation of industrial technological capacity in developing

countries,” In: K. King and M. Fransman, eds. Technological capability in the third world. London:

Page 36: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33

Macmillan.

Bell, M. and Figueiredo, P. N., (2012), “Innovation capability building and learning mechanisms in

latecomer firms: recent empirical contributions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Canadian Journal

of Development Studies, 33, 14-40.

Bell, M. and Pavitt, K., (1993), “Technological accumulation and industrial growth: contrasts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2, 157-211.

Burns, T. and Stalker, G., (1961), The Management of innovation,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Choung, J.-Y. and Hwang, H.-R., (2007), “Developing the complex system in Korea: the case study of

TDX and CDMA telecom system,” Int. J. Technological Learning, Innovation and Development, 1,

204-224.

Choung, J.-Y., Hwang, H.-R., and Song, W., (2014), “Transitions of innovation activities in latecomer

countries: an exploratory case study of South Korea,” World Development, 54, 156-167.

Christensen, C. M. and Raynor, M. E., (2003), The Innovator’s solution: Creating and sustaining

successful growth,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Cohen, W. M. and Levinthal, D. A., (1990),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5, 128-152.

Foster, R., (1986), Innovation: The attacker’s advantage, New York: Summit Books.

Freeman, C. and Soete, L., (1997), The economics of industrial innovation, 3rd edition, The MIT Press.

Hayton, J. C., (2005), “Promoti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through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A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5, 21-41.

Henderson, R. and Clark, K., (1990), “Architectural innovation: the reconfiguration of existing product

technologies and the failure of established firm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5, 9-30.

Hill, S. A. and Birkinshaw, J., (2014), “Ambidexterity and survival in corporate venture units,” Journal

of Management, 40, 1899-1931.

Hobday, M., (1995), Innovation in east-Asia: the challenge to Japan, Edward Elgar.

Page 37: 후발 화학기업의 추격 기술혁신 연구 - KAIST · 업을 영위하는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회사로 발전하였다. 석유화학 소재 외에도 it산업의

34

Hwang, H.-R. and Choung, J.-Y., (2014), “The co-evolution of technology and institutions in the catch-

up process: the case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in Korea and Taiwan,” The Journal of

Development Studies, 50, 1240-1260.

Lee, K. and Lim, C., (2001), “Technological regimes, catch-up and leapfrogging: findings from the

Korean industries,” Research Policy, 30, 459-483.

Leonard-Barton, D., (1992), “Core capabilities and core rigidities: a paradox in managing new product

development,”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3, 111-125.

Lundvall, B., (1992),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towards a theory of interactive learning, Pinter.

Martides, C. and Geroski, P., (2005), Fast second, Jossey-Bass: San Francisco.

Mathews, J. A. and Cho, D.-S., (1999), “Combinative capabilities and organizational learning in

latecomer firms: the case of the Korean semiconductor industry,” Journal of World Business, 34,

139-156.

Mathews, J. A., Hu, M.-C., and Wu, C.-Y., (2011), “Fast-follower industrial dynamics: the case of Taiwan’s

emergent solar photovoltaic industry”, Industry and Innovation, 18, 177-202.

Nelson, R., (1993), National Innovation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Nonaka, I., (1991), The knowledge-creating company, Harvard Business Review, 96-104.

Nonaka, I., (1994), “A dynamic theory of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Organization Science,

5, 14-37.

Tidd, J. and Bessant, J., (2009), Managing Innovation, 4th ed. John Wiley & Sons.

Tushman, M. and O’Reilly III C., (2002), Winning through innovation: A Practical guide to leading

organizational change and renewal,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Utterback, J. M. and Abernathy, W. J., (1975), “A dynamic model of process and product innovation,”

Omega, 33, 639-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