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 체계적 문헌 ... ·...

14
© 2013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www.kan.or.kr ISSN (Print) 2005- 3673 ISSN (Online) 2093- 758X ORIGINAL ARTICLE 1. 연구의 필요성 체온은 환자상태를 평가하거나 문제를 확인하고 질병의 유무와 진행정도를 반영하는 민감하고 신뢰할만한 지표로, 질병의 진단과 치료 간호에 중요한 정보가 되므로(Sohng et al., 2009) 몸의 실제 적인 체온인 심부체온을 가장 반영하는 체온 측정은 무엇보다 중요하다(Jeong & Yoo, 1997). 보통 체온은 신체의 일부분에서 측정 온도로 인식하지만 신체부위마다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중심체온을 대표하기 어렵다(Lee & Kim, 2007). 체온은 침습적, 비침습적 방법으로 측정할 있다 . 식도, 방광,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 박영주 1 ·박성희 2 ·강창범 3 1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2 배재대학교 간호학과, 3 한국건강증진재단 연구개발팀 J Korean Acad Nurs Vol.43 No.6, 746-759 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6호, 2013년 12월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46 Systematic Review and Meta - Analyses of Diagnostic Accuracy of Infrared ermometer when Identifying Fever in Children Park, Young Joo 1 · Park, Seong - Hi 2 · Kang, Chang - Bum 3 1 College of Nursing, Korea University, Seoul 2 School of Nursing, Pai Chai University, Daejeon 3 Research Development Team,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Seoul, Korea Purpose: Infrared thermometers are increasingly used as a convenient, non- invasive assessment method for febrile children. However, the diagnostic accuracy of the infrared thermometer for children has been questioned, particularly in relation to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agnostic accuracy of infrared thermometers in febrile children. Methods: Articles published be- tween 1966 and 2012 from periodicals indexed in the Ovid Medline, Embase, CINAHL, Cochrane, KoreaMed, NDSL, KERIS and other databases were selected, using the following keywords: ‘infrared thermometer’. The QUADAS-was applied to assess the internal va- lidity of the diagnostic studies.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using meta- analysis with MetaDisc 1.4. Results: Nineteen diagnostic studies with high methodological quality, involving 4,304 children, were included. The results of meta- analysis showed that the pooled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UC (Area Under the Curve) of infrared tympanic thermometers in children over 1 year were 0.80 (95% CI 0.78, 0.81), 0.94 (95% CI 0.93, 0.95) and 0.95 respectively. However the diagnostic accuracy of infrared tympanic thermometers in children with hyperthermia was low. Conclusion: The diagnostic accuracy of infrared tympanic thermometer was similar to axillary and rectal thermometers indicating a need for further research to substantiate these findings in children with hyperthermia. Key words: Thermometer, Sensitivity, Specificity, Meta - analysis, Child 주요어: 체온계, 민감도, 특이도, 메타분석, 아동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Park, Seong- Hi School of Nursing, Pai Chai University, 155-40 Baejae -ro, Seo - gu, Daejeon 302-735, Korea Tel: + 82-42-520 -5104 Fax: + 82-70 -4362- 6291 E-mail: [email protected] 투고일: 2013 88심사의뢰일: 2013 822 게재확정일: 2013 11 1 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Derivs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d/4.0) If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nd retained without any modification or reproduction, it can be used and re-distributed in any format and medium.

Upload: others

Post on 14-Apr-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 체계적 문헌 ... · 2014-02-06 · 왔다(Kozier, Erb, Blais, & Wilkinson, 1997). 가장 이상적인 체온

© 2013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www.kan.or.kr

ISSN (Print) 2005-3673ISSN (Online) 2093-758X

ORIGINAL ARTICLE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체온은 환자상태를 평가하거나 문제를 확인하고 질병의 유무와

진행정도를 반영하는 민감하고 신뢰할만한 지표로, 질병의 진단과

치료 및 간호에 중요한 정보가 되므로(Sohng et al., 2009) 몸의 실제

적인 체온인 심부체온을 가장 잘 반영하는 체온 측정은 무엇보다

중요하다(Jeong & Yoo, 1997). 보통 체온은 신체의 일부분에서 측정

한 온도로 인식하지만 신체부위마다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중심체온을 대표하기 어렵다(Lee & Kim, 2007).

체온은 침습적, 비침습적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식도, 방광, 폐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

박영주1·박성희2·강창범3

1고려대학교 간호대학, 2배재대학교 간호학과, 3한국건강증진재단 연구개발팀

J Korean Acad Nurs Vol.43 No.6, 746-759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6호, 2013년 12월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46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of Diagnostic Accuracy of Infrared Thermometer when Identifying Fever in Children

Park, Young Joo1 · Park, Seong-Hi2 · Kang, Chang-Bum3

1College of Nursing, Korea University, Seoul2School of Nursing, Pai Chai University, Daejeon3Research Development Team,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Seoul, Korea

Purpose: Infrared thermometers are increasingly used as a convenient, non- invasive assessment method for febrile children. However, the diagnostic accuracy of the infrared thermometer for children has been questioned, particularly in relation to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agnostic accuracy of infrared thermometers in febrile children. Methods: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66 and 2012 from periodicals indexed in the Ovid Medline, Embase, CINAHL, Cochrane, KoreaMed, NDSL, KERIS and other databases were selected, using the following keywords: ‘infrared thermometer’. The QUADAS-Ⅱ was applied to assess the internal va-lidity of the diagnostic studies.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using meta-analysis with MetaDisc 1.4. Results: Nineteen diagnostic studies with high methodological quality, involving 4,304 children, were included. The results of meta-analysis showed that the pooled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UC (Area Under the Curve) of infrared tympanic thermometers in children over 1 year were 0.80 (95% CI 0.78, 0.81), 0.94 (95% CI 0.93, 0.95) and 0.95 respectively. However the diagnostic accuracy of infrared tympanic thermometers in children with hyperthermia was low. Conclusion: The diagnostic accuracy of infrared tympanic thermometer was similar to axillary and rectal thermometers indicating a need for further research to substantiate these findings in children with hyperthermia.

Key words: Thermometer, Sensitivity, Specificity, Meta-analysis, Child

주요어: 체온계, 민감도, 특이도, 메타분석, 아동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Park, Seong-HiSchool of Nursing, Pai Chai University, 155-40 Baejae-ro, Seo-gu, Daejeon 302-735, KoreaTel: +82-42-520-5104 Fax: +82-70-4362-6291 E-mail: [email protected]

투고일: 2013년 8월 8일 심사의뢰일: 2013년 8월 22일 게재확정일: 2013년 11월 1일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Derivs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d/4.0) If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nd retained without any modification or reproduction, it can be used and re-distributed in any format and medium.

Page 2: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 체계적 문헌 ... · 2014-02-06 · 왔다(Kozier, Erb, Blais, & Wilkinson, 1997). 가장 이상적인 체온

747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46 www.kan.or.kr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

동맥을 이용하는 침습적 체온 측정은 중심체온을 잘 반영하기 때

문에 표준이 될 수 있지만(Robinson, Seal, Spady, & Joffres, 1998) 임상

현장에서 이를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오랜 기간 중심

체온을 추정하기 위해 직장, 액와 및 구강 등의 부위를 이용하는 비

침습적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왔다(Edelu, Ojinnaka, & Ikefuna, 2011).

사실 직장체온은 안정된 상태에서만 중심체온과 일치하며, 신생아

는 쇼크 등이 없어도 중심체온과 잘 일치하지 않는다(Lee et al., 2011;

Lee & Kim, 2007). 또한, 신생아나 어린 영아에서는 직장에 체온계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천공이나 감염의 위험성이 존재하게 된다. 구강

체온은 혀 밑에 외경동맥의 분지가 분포하기 때문에 중심체온을 반

영한다고 할 수 있으나 어린 소아나 인공 삽관 상태 등의 경우는 적

용이 제한되며, 액와체온의 경우 신생아에서는 직장체온과 일치하

지만 연장아나 성인의 경우 그렇지 못하다(El-Radhi & Barry, 2006).

뿐만 아니라 수은 체온계는 깨지기 쉬워 독성에 대한 잠재적 위험이

있으며, 부위에 따라 적게는 3분에서 10분 이상의 많은 측정시간이

소요되므로 간호업무에 부담을 주는 문제 등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Kozier, Erb, Blais, & Wilkinson, 1997).

가장 이상적인 체온 측정방법은 정확하고 신속하게 중심체온을

반영하면서 비침습적이고 비외상적이며 사용자와 피사용자에게 모

두 친숙하고 청결성이 있는 것이다(van Staaij, Rovers, Schilder, & Hoes,

2003). 이에 기존 체온 측정방법에 따른 여러 단점을 보완하고 중심

체온을 보다 잘 반영하는 적외선 체온 측정법이 개발되어 1980년대

이후 병원 뿐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고

막을 이용하는 경우 체온 조절 중추가 있는 시상하부와 동일한 동

맥으로부터 혈액공급을 받고 있어 중심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가장

좋은 부위로 여겨지고 있으며(Childs, Harrison, & Hodkinson, 1999),

누구나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어 측정상의 문제는 보완되었으나

대기 온도에 의한 영향(Yun & Lim, 2005), 외이도의 급만성 염증 등의

상태(Burke, 1996) 및 고체온 측정 시 직장 체온에 비해 낮게 나올 수

있어(Wells, King, Hedstrom, & Youngkins, 1995) 진단정확도가 떨어진

다는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었다.

일반적으로 아동의 정상체온은 성인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알려

져 있으며(Lee & Kim, 2007), 성인에 비해 발열 및 열 소실 기전이 성

인과 달라 자주 체온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세균성 질환 뿐 아니라

감기나 독감과 같은 고체온증을 유발하는 바이러스 감염에 자주

노출되는 경향을 갖는다(Jeong & Kim, 2010). 모든 발열을 사전에 감

지하고 반드시 치료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심각한 질환을 가진

아동에게 열은 질병을 악화시켜 위험에 빠트릴 수 있으며, 고체온증

은 발열과 체온상승 기전이 다르므로(Kim, 2004; Lee, Kim, Lee, Yu,

& Lee, 1998) 정확한 체온측정은 아동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다양한 요소에 의해 중심체온보다 낮게 측정되는 적외선

체온을 소아에 적용할 때 심각한 문제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단법 평가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한 체계

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아동을 대상으로 발열여부를 감

별하는 적외선 체온측정의 진단정확도에 대해 확인하고, 간호진단

도구로서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에게 시행된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를 검증

한다.

둘째, 적외선 체온 측정과 다른 체온 측정방법과의 진단정확도를

비교 분석한다.

셋째,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

석한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외래 내원 또는 입원한 아동에게 시행한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를 검증한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

타분석 연구이다.

2. 문헌 검색 전략

본 연구는 코크란 연합의 진단법 정확도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

찰 핸드북(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Diagnostic

Test Accuracy) (Macaskill, Gatsonis, Deeks, Harbord, & Takwoingi,

2010) 및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그룹이 제시한 체계적 문헌 고찰 보고지침(Mo-

her, Liberati, Tetzlaff, & Altman, 2009)에 따라 수행되었다.

1) 핵심질문

(1) 연구대상: 외래 내원 또는 입원한 18세 미만 아동

(2) 시험 진단법: 적외선 체온 측정

(3) 비교 진단법: 액와, 직장, 구강 및 중심체온 측정

(4) 진단정확도 결과: 진양성(true positive [TP]), 위양성(false positive

[FP]), 위음성(false negative [FN]), 진음성(true negative [TN])

(5) 참고표준기준: 액와, 직장, 구강 및 중심체온 측정

(6) 연구유형: 진단법 평가연구

Page 3: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 체계적 문헌 ... · 2014-02-06 · 왔다(Kozier, Erb, Blais, & Wilkinson, 1997). 가장 이상적인 체온

748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46www.kan.or.kr

박영주·박성희·강창범

2) 문헌 검색 및 선택과정

전자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한 검색은 2012년 3월 16일에 시행되

었다. 국내는 KoreaMed와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및 한국교

육학술정보원(KERIS)을, 국외는 Ovid-Medline, Embase와 Co-

chrane Library 및 CINAHL Plus with Full Text를 이용하였다. 또한,

관련분야의 학술지가 빠짐없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한국간호과학회,

기본간호학회, 아동간호학회, 기초간호자연과학회, 한국보건간호

학회, 대한소아과학회, 대한신생아학회, 한국소아감염병학회 및 대

한가정의학회의 홈페이지를 통해 학술지 검색을 추가하였다. 학술

지 검색범위는 한국간호과학회의 대한간호학회지는 1970년, 기본

간호학회지는 1994년, 아동간호학회지는 1995년, 한국보건간호학

회지는 1987년, Korean Journal of Pediatrics는 1992년, 대한신생아학

회지는 1994년, 한국소아감염병학회지는 1999년부터 2012년 6월

7일 검색 당일 학회 홈페이지에 게시된 전체 문헌을 대상으로 하

였다.

핵심질문의 구성요소인 연구 대상 및 진단법으로부터 주요 개념

어를 도출하여 검색전략을 구성하였다. 국내 DB는 ‘체온 및 체온계’

와 ‘thermometer’를 이용하였다. 국외 DB는 효율적 검색을 위해

MeSH 용어를 확인하였으나 ‘thermometers’로만 되어 있어 이를 활

용하기에는 검색범위가 너무 넓어 ‘infrared’, ‘forehead’, ‘tympanic’,

‘ear’ 단어를 포함하여 논문제목, 초록 및 부주제어 등의 프리 텍스

트 검색이 가능하도록 검색전략을 구성하였으며, ‘thermometer’와

‘thermometers’ 모두 검색이 가능하도록 만능문자를 활용하여 검색

하였다. 진단법 평가연구에 대한 검색필터는 SIGN (Scottish Intercol-

legiate Guidelines Network)의 웹 사이트에 제시한 검색전략을 활용

하였다.

국내 DB에서는 모두 93개 문헌이 검색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

면 KoreaMed 5개, NDSL 58개, KERIS 30개였다. 국외 DB는 Ovid-

Medline 204개, Embase 103개, Cochrane Library 42개 및 CINAHL 71

개로 총 420개 문헌이 검색되었다. 관련분야 학술지에서는 총 29개

문헌이 검색되었다. 대한간호학회지 9개, 기본간호학회지 7개, 대한

가정의학회지 4개, 아동간호학회지,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대한소

아과학회지와 대한신생아학회지에서 각 2개씩 및 한국소아감염병

학회지에서 1개 문헌이 검색되었으며, 한국보건간호학회지에서는

관련 문헌이 검색되지 않았다.

우선 검색된 총 542개 문헌 중 중복된 문헌은 150개이었다. 따라

서, 이를 제외한 392개 문헌을 토대로 제목 및 초록을 검토하여 핵심

질문을 중심으로 구성된 선택 및 배제기준에 따라 선정하였으며, 남

은 문헌은 원문을 찾아 선별하였다. 문헌 선택 기준은 적외선 체온계

가 주 진단법으로 시행된 연구로서 18세 미만 아동을 대상으로 진양

성, 위양성, 진음성, 위음성 결과를 보고한 진단법 평가 연구로 한국

어와 영어로 출판된 문헌이었다. 배제기준은 적외선 체온계를 이용

한 진단법 평가 연구가 아닌 경우, 참조표준검사와 비교한 진단법 평

가 연구가 아니거나 연구 대상자가 18세 이상 성인인 경우, 진단정확

도를 계산할 수 없는 연구, 원저가 아니거나 기타 임상에서 사용하

는 체온 측정도구가 아닌 경우, 동물 또는 카데바 연구 등이었다.

최종적으로 중복검색이 제거된 문헌 392개 중 373개(95.2%) 문헌

이 배제되고, 19개 문헌이 최종 선택되었다. 문헌 선택 과정은 3차

까지는 2명의 연구자, 최종 단계는 3명의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었

다. 의견의 불일치가 있는 경우는 논의하여 수렴하였으며, 합의되

지 않는 경우는 제 3자 개입의 원칙을 정하였으나 연구자간 이견

없이 진행되었다. 자세한 문헌 선택 과정은 흐름도로 제시하였다

(Figure 1).

3. 문헌의 질 평가

문헌의 질은 ‘QUADAS-Ⅱ (Quality Assessment of Diagnostic Ac-

curacy Studies-Ⅱ)’ 도구를 활용하였다(Whiting et al., 2011). QUA-

Eligibility

Included

Screening

Identification

513 of records identified through electronic da-tabase searching (Ovid-Medline, Em-base, CINAHL, Kore-aMed, NDSL and KERIS)

29 additional records identified through related Korean Jour-nal sources

45 of full-text articles as-sessed for eligibility by two reviewers inde-pendently

19 studies included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ynthesis

(meta-analysis)

Abstract screened (n=542) in duplicate by two reviewers (150 records were duplica-tions)

392 records screened by Abstract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by two re-viewers independently

373 records excluded as follows;

Infrared thermometer is not main interven-tion (n=102)

Not designed diag-nostic test for accu-racy (n=93)

Irrelevant participants (n=85)

Irrelevant outcomes (n=55)

Non original articles (n=27)

Others (n= 11)

Figure 1. Flow diagram of article selection.

Page 4: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 체계적 문헌 ... · 2014-02-06 · 왔다(Kozier, Erb, Blais, & Wilkinson, 1997). 가장 이상적인 체온

749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46 www.kan.or.kr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

DAS-Ⅱ는 진단법 평가 연구에 대한 질 평가 도구로 ‘편중의 위험’과

‘적용’을 평가하게 되며, 평가항목은 대상자 선택, 시험 진단법, 참고

표준검사와 과정과 시점으로 크게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각 항목은 문헌에 기술된 내용에 따라 편중(bias)의 위험이 있

음(yes), 없음(no), 불명확(unclear)의 3가지 수준으로 판정된다. 이를

바탕으로 질 평가 결과는 각 영역별로 평가한 수준 중 빈도가 많은

것을 기준으로 정하였다. 문헌의 질 평가 과정은 2명의 연구자에 의

해 수행되었으며, 의견의 불일치가 있는 경우는 논의 및 제 3자 개입

의 원칙을 정하였으나 연구자간 이견은 없었다.

4. 자료 분석 방법

자료 분석은 우선 근거표 기본 서식을 작성하여 시범적으로 서

식 적절성을 검토한 후 사용되었다. 근거표는 문헌에 기술된 결과

를 정확히 기술하기 위해 2명의 연구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작성한

후 그 결과를 서로 교차 확인하였고, 이 과정은 3차례 반복되었다.

근거표는 연구 대상의 특성, 연령과 선택기준, 사용된 체온계 모델

과 참조표준검사와 발열 기준과 아울러 적외선 체온계의 발열여

부 진단결과인 진양성, 위양성, 위음성, 진음성을 기술하였다. 이는

선택된 문헌의 내용을 토대로 2×2 이원분류표로 작성하였고,

‘2-way Contingency Table Analys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민감도,

특이도, 양성우도비, 음성우도비 및 진단정확도와 각 항목의 95%

신뢰구간(95% confidence interval [95% CI])을 재계산하였다.

진단정확도에 대한 메타분석은 MetaDiSc 1.4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숲그림(forest plot)을 작성하였다. 진단법 메타분석에서 통합 추

정치를 분석하고자 하는 경우, 연구간 이질성을 반영하기 위해 랜

덤효과모형 사용을 권고하므로(Macaskill et al., 2010), 통계적 모델

에 대한 일반적 원칙은 임의효과모형(random effect model)으로 분

석하였으며, 통합 민감도와 특이도, 양성 및 음성우도비와 진단교

차비 및 SROC 곡선(summar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SROC] curve)로 분석하였다. SROC 곡선의 통계량은 곡선아래면적

(Area under the curve [AUC])과 index Q*값을 통해 검사 정확도를 기

술하였다. AUC의 수치는 AUC = 0.5인 경우 비정보적인 검사,

0.5<AUC≤0.7은 덜 정확한, 0.7<AUC≤0.9는 중등도, 0.9<AUC<1

는 매우 정확한 및 AUC=1은 완벽한 검사로 판단하였고(Greiner,

Pfeiffer, & Smith, 2000), ROC 곡선에서 민감도와 특이도의 동등점을

반영하는 index Q*는 100% 정확할 때 이를 ‘1’로 기준하여 판단하였

다(Walter, 2002). 연구들간 이질성의 존재여부는 우선 숲그림을 통

해 신뢰구간 및 효과 추정치에 공통적인 부분이 있는지 시각적으

로 확인하였다. 또한, 유의수준 5% 미만으로 하여 Higgins (Higgins

& Thompson, 2002)의 I2 동질성 검사(I2 test)로 평가하였으며, I2의 판

단기준은 I2 ≤25.0%이면 이질성이 낮은 것으로, 25.0%<I2 ≤75.0%는

중간정도의 이질성이 있는 것으로, I2 >75.0% 이상은 이질성이 있다

고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

1. 체계적 문헌 고찰 대상 문헌의 일반적 특성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법 평가에 선택된 문헌은 총 19편으로

총 대상자는 4,304명(5,960회 측정)이었으며, 국내·외적으로 모두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연구되어온 경향을 보였다. 미국이

9편으로 가장 많았고 한국 4편, 영국이 2편이었으며 캐나다, 이탈리

아, 나이지리아 및 터키가 각각 1편으로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

경향을 보였다. 미국에서 발표된 연구는 주로 1990년 초반에서부터

2000년 초반까지였는데, 이는 적외선 체온계의 주요 제조회사가 미

국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초기에 집중되었던 것

으로 해석된다.

연구 대상은 주로 외래와 응급실을 내원하거나 입원한 환아로,

신생아(Hwang & Sohng, 1997; Sohng, Kang, Hwang, & Kim, 1998)나

영아(Greenes & Fleisher, 2001; Wilshaw, Beckstrand, Waid, & Schaalje,

1999)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각 2편이었으며, Edelu, Ojinnaka와

Ikefuna (2011)의 연구에서는 5세 이하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신생아와 영아 및 연령대를 구분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외에는 15-18세까지 청소년까지 연령범위가 확대되었으나 대개 평

균 연령은 5세 이하의 소아였다. 연구 대상자 수는 적게는 18명(El-

Radhi & Patel, 2007)에서 많게는 1,050명(Yun & Lim, 2005)으로 다양

하였지만 14편이 100명을 넘는 대규모 연구였으며, 300명을 넘은 경

우도 4편(Brennan, Falk, Rothrock, & Kerr, 1995; Edelu et al.; Greenes &

Fleisher; Yun & Lim)이나 있었다. 비록 대상자 수가 100명 이내의 소

규모 연구 중에서도 El-Radhi와 Patel과 Nimah, Bshesh, Callahan과

Jacobs (2006)의 경우는 각각 102건과 902건의 체온 측정회수로 진

단정확도를 판별하였다. 연구 유형은 대개 내원 및 입원한 환아를

대상으로 참조표준기준을 통해 적외선 체온의 발열여부를 확인하

는 진단법 평가연구였으며, 발열 아동과 건강한 아동과를 구별하

여 비교한 환자-대조군 연구는 3편(Edelu et al.; Jean-Mary, Dicanzio,

Shaw, & Bernstein, 2002; Wilshaw et al.)이었다.

체온 측정은 모두 간호사에 의해 수행되었고, 체온 측정에 대한

기본 원칙을 충실히 지켰다. 18개 문헌에서 적외선 체온계를 이용하

여 고막체온을 측정하였으며, 이마체온을 측정한 연구는 3편

(Chiappini et al., 2011; Nimah et al., 2006; Yun & Lim, 2005)이었다. 참

조표준기준은 직장체온이 11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액와체온이 4

Page 5: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 체계적 문헌 ... · 2014-02-06 · 왔다(Kozier, Erb, Blais, & Wilkinson, 1997). 가장 이상적인 체온

750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46www.kan.or.kr

박영주·박성희·강창범

편(Chiappini et al.; Devrim et al., 2007; Hay, Peters, Wilson, & Fahey,

2004; Yun & Lim), 구강(El-Radhi & Patel, 2007; Shenep et al., 1991)과

중심(방광)체온(Erickson & Woo, 1994; Nimah et al.)이 각각 2편씩이

었다. 고막체온은 다른 체온 측정방법과 동시에 비교한 연구는 8편

이었고, 이 중 7편(El-Radhi & Patel; Erickson & Woo; Hwang & Sohng,

1997; Jean-Mary et al., 2002; Nimah et al.; Shenep et al.; Sohng et al.,

1998)이 주로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액와체온과 비교되었으며, 이

외에도 중심체온으로 폐동맥이 2편(El-Radhi & Patel; Greenes &

Fleisher, 2001)이었고 직장체온이 2편(Erickson & Woo; Nimah et al.),

구강(설하)체온이 1편(Shenep et al.)에서 비교되었다. 또한, 일부 문헌

에서 고막체온을 체온계 제조회사를 구분하거나(El-Radhi & Patel;

Erickson & Woo) 가정용과 병원용(Devrim et al.) 또는 좌우 귀를 달

리하여(Yun & Lim) 비교하였다. 발열의 기준은 참조표준기준 등을

고려하여 연구마다 약간씩 달랐으나 일반적으로 37.6°C에서 38.5°C

를 기준으로 하였고, 39.0°C 이상의 고체온을 비교한 경우도 2편

(Brennan et al., 1995; Chamberlain et al., 1991) 있었으며, 발열기준에

따라 진단정확도를 세부 분석한 연구(Wilshaw et al., 1999)도 있었다

(Table 1).

2. 선택된 문헌의 질 평가 결과

진단정확성 연구의 질 평가 도구인 QUADAS-Ⅱ를 활용하여 최

종 선택된 19편의 문헌의 질을 평가한 결과, 전체적으로 각 영역에

대해 편중의 위험이 ‘높음’으로 평가된 문헌은 하나도 없었다. 일부

연구에서 대상자 선정 시 임의표집하였으나 체온측정 빈도에 따라

체온 측정값을 비교(Edelu et al., 2011)하였거나 진단법 평가연구였

기 때문에 환자 선택에 따른 문제는 적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만,

연구 유형이 환자대조군 연구인 3편(Edelu et al.; Jean-Mary et al.,

2002; Wilshaw et al., 1999)에서만 전체 환자선택 영역에서 불확실로

평가되었다. 또한 체온은 동시에 또는 대상자의 측정 편이를 고려하

여 사전 기준을 정하여 측정되었고 참조표준기준은 이론적 기준에

따라 설정되었으며, 체온 측정과정에서 배제되는 경우는 없었기 때

문에 해당 검사나 참조표준기준에 따른 편중의 위험이나 적용의 문

제는 없었다. 따라서, 선택된 문헌은 모두 질 평가 영역을 충족하는

고품질의 문헌이었다.

3.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평가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평가는 측정부위에 따라 고막과

이마체온으로 구분하고 이를 참조표준기준과 비교한 검사정확도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또한, 액와 및 직장체온과 중심체온과의 비

교를 통해 발열에 대한 진단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비교값

들에 대한 통합 민감도, 특이도, 양성과 음성우도비와 진단교차비

및 SROC 통계량을 기술하였다(Table 2).

1) 적외선 체온의 진단정확도

⑴ 적외선 고막체온

적외선 고막체온은 1개 문헌(Chiappini et al., 2011)을 제외한 모든

문헌에서 보고되었다. 이 중 1세 이상 아동의 경우는 13개 문헌에서

측정되었다. 아동의 개별 연구들의 적외선 고막 체온의 민감도는

0.15에서 0.97로 분포되어 있으며, 특이도는 0.81에서 1.00으로 민감

도에 비해 범위가 좁게 나타났다. 메타분석 결과, 통합 민감도는

0.80 (95% CI 0.78, 0.81)이었고(Figure 2-A), 통합 특이도는 0.94 (95%

CI 0.93, 0.95)이었으며(Figure 2-B), 문헌들 간 이질성은 모두 90%이

상으로 높았다. SROC AUC는 0.95이었고 Q*값은 0.89이었다.

신생아를 대상으로 측정한 적외선 고막체온은 3개 문헌(Edelu et

al., 2011; Hwang & Sohng, 1997; Sohng et al., 1998)에서 보고되었다. 개

별 연구들의 민감도는 0.73에서 1.00이었고, 특이도는 0.80에서 0.91

이었다. 메타분석 결과, 통합 민감도는 0.80 (0.70, 0.88)(Figure 2-C),

통합 특이도는 0.87 (95% CI 0.82, 0.91)이었으며(Figure 2-D) 문헌들

간 이질성은 각각 53.6% (p = .120), 54.5% (p = .110)로 중간정도였다.

SROC AUC와 Q*값은 각각 0.94와 0.88이었다.

영아를 대상으로 측정한 적외선 고막체온은 4개 문헌(Edelu et

al., 2011; Greenes & Fleisher, 2001; Selfridge & Shea, 1993; Wilshaw et

al., 1999)에서 보고되었다. 개별 연구들의 민감도는 0.49에서 1.00이

었고, 특이도는 0.20에서 0.99로 민감도에 비해 분포가 넓었다. 메타

분석 결과, 통합 민감도는 0.78 (0.73, 0.82) (Figure 2-E), 통합 특이도

는 0.84 (95% CI 0.81, 0.87)이었으며(Figure 2-F) 문헌들 간 이질성은

90%이상으로 모두 높았다. SROC AUC는 0.93이었고 Q*값은 0.87이

었다.

39도 이상의 고체온 여부를 측정한 적외선 고막체온은 2개 문헌

(Brennan et al., 1995; Chamberlain et al., 1991)에서 보고되었다. 개별 연

구들의 민감도는 0.57에서 0.64였고, 특이도는 0.98에서 0.99였다. 메

타분석 결과, 통합 민감도는 0.57 (0.46, 0.68) (Figure 2-G), 통합 특이

도는 0.98 (95% CI 0.97, 0.99)이었으며(Figure 2-H) 문헌들 간 이질성은

모두 0.0%로 없었다. SROC AUC는 0.50이었고 Q*값은 0.50이었다.

⑵ 적외선 이마체온

적외선 이마 체온은 3개 문헌에서 측정되었다(Chiappini et al.,

2011; Nimah et al., 2006; Yun & Lim, 2005). 개별 연구들의 적외선 이

마체온의 민감도는 0.57에서 0.89로 분포되어 있으며, 특이도는 0.87

에서 0.97로 민감도에 비해 범위가 좁게 나타났다. 메타분석 결과, 통

Page 6: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 체계적 문헌 ... · 2014-02-06 · 왔다(Kozier, Erb, Blais, & Wilkinson, 1997). 가장 이상적인 체온

751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46 www.kan.or.kr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

Tabl

e 1.

Cha

ract

eris

tics

of S

elec

ted

Stud

ies

Year

of

publ

i-ca

tion

Auth

ors

Loca

tion

Parti

cipa

nts

Inde

x te

stC

om-

paris

ons

Ref

er-

ence

sta

n-da

rds

Feve

r cr

iteria

( ℃)

Type

TP

FPFN

TNSN

SPPL

RN

LRD

OR

Type

Age

(yea

r)To

tal

(n)

2 Ta

ble

Valu

e (9

5% C

onfid

ence

inte

rval

)

2011

Chi

appi

ni

et a

l.Ita

lyC

hild

ren

who

vis-

ited

a cl

inic

/ED

<18

251

FA

>38

.0IT

T47

206

178

0.89

(0.8

7 -0.

92)

0.90

(0.8

7 -0.

92)

8.78

(6.1

0 -11

.32)

0.13

(0.0

5 -0.

25)

69.7

2(2

4.58

-209

.01)

2011

Edel

u

et a

l.N

iger

iaFe

brile

/afe

brile

ch

ildre

n at

a

clin

ic/E

D

<5

800

TR

37.6

ITT

(tota

l)34

914

5138

60.

87(0

.85 -

0.89

)0.

97(0

.95 -

0.98

)24

.93

(15.

49-4

2.30

)0.

13(0

.12 -

0.16

)18

8.68

(99.

17-3

65.0

4)

≥37

.6IT

T (n

eona

te)

334

1241

0.73

(0.6

3 -0.

79)

0.91

(0.8

1 -0.

97)

8.25

(3.3

6 -25

.42)

0.29

(0.2

2 -0.

45)

28.1

9(7

.43 -

117.

90)

≥38

.0IT

T( <

1yr)

137

422

155

0.86

(0.8

3 -0.

88)

0.98

(0.9

4 -0.

99)

34.2

5(1

3.91

-104

.94)

0.14

(0.1

2 -0.

18)

241.

31(7

5.79

-855

.88)

2007

Dev

rim

et

al.

Turk

eyU

nsta

ble

cond

i-tio

n pa

tient

s

on w

ards

<16

102

(886

)T

A≥

38.3

ITT

(clin

ic)

332

2118

515

0.95

(0.9

3 -0.

96)

0.96

(0.9

5 -0.

97)

24.2

1(1

7.47

-22.

48)

0.05

(0.0

4 -0.

08)

452.

32(2

27.4

7 -91

4.86

)

ITT

(hom

e)24

280

108

456

0.69

(0.6

6 -0.

73)

0.85

(0.8

3 -0.

87)

4.63

(3.7

9 -5.

68)

0.36

(0.3

2 -0.

42)

12.7

7(9

.08 -

17.9

9)

2007

El-R

adhi

et

al.

UK

Can

cer p

atie

nts

with

feve

r4 -

16

18 (108

)T

A TAO

37.6

IT

T135

11

710.

97(0

.88 -

1.00

)0.

99(0

.94 -

1.00

)70

.00

(15.

08-8

12.7

0)0.

03(0

.00 -

0.12

)24

85.0

0(1

21.1

7 -33

0647

.33)

ITT2

339

363

0.92

(0.8

0 -0.

98)

0.88

(0.8

2 -0.

91)

7.33

(4.3

1 -10

.29)

0.10

(0.0

3 -0.

25)

77.0

0(1

7.27

-401

.16)

A20

016

720.

56(0

.46 -

0.56

)1.

00(0

.95 -

1.00

)-

0.44

(0.4

4 -0.

57)

-

TA7

129

710.

19(0

.11 -

0.22

)0.

99(0

.94 -

1.00

)14

.00

(1.8

5 -30

2.24

)0.

82(0

.78 -

0.95

)17

.14

(1.9

6 -38

7.58

)

2006

Nim

ah

et

al.

Can

ada

Crit

ical

ly ill

pa-

tient

s w

ith in

-dw

ellin

g bl

ad-

der c

athe

ter

adm

itted

to

ICU

/war

d

<7

36 (902

)T F

A C (B

)≥

38.0

ITT

368

8492

358

0.80

(0.7

7 -0.

83)

0.81

(0.7

8 -0.

84)

4.21

(3.5

3 -5.

03)

0.25

(0.2

1 -0.

29)

17.0

5(1

2.10

-24.

05)

IFT

262

5719

838

50.

57(0

.54 -

0.59

)0.

87(0

.84 -

0.90

)4.

42(3

.44 -

5.74

)0.

49(0

.45 -

0.54

)8.

94(6

.32 -

12.6

6)

A14

49

316

433

0.31

(0.2

9 -03

2)0.

98(0

.96 -

0.99

)15

.37

(7.8

0 -31

.95)

0.70

(0.6

8 -0.

73)

21.9

2(1

0.66

-46.

72)

R30

831

152

411

0.67

(0.6

5 -0.

69)

0.93

(0.9

1 -0.

95)

9.55

(6.8

2 -13

.64)

0.36

(0.3

3 -0.

39)

26.8

7(1

7.45

-41.

56)

2005

Yun

et a

l.Ko

rea

Chi

ldre

n w

ho

visite

d a

clin

ic<

151,

050

T FA

≥37

.8IT

T(R

t. ea

r)90

2021

919

0.81

(0.7

5 -0.

86)

0.98

(0.9

7 -0.

99)

38.0

7(2

5.74

-56.

28)

0.19

(0.1

4 -0.

26)

196.

93(9

8.36

-400

.15)

ITT

(Lt.

ear)

8932

1991

00.

82(0

.75 -

0.88

)0.

97(0

.96 -

0.97

)24

.26

(17.

93-3

1.87

)0.

18(0

.12 -

0.26

)13

3.21

(69.

74-2

57.4

5)

IFT

9332

1890

70.

84(0

.77 -

0.89

)0.

97(0

.96 -

0.97

)24

.59

(18.

28-3

2.04

)0.

17(0

.11 -

0.24

)14

6.44

(76.

04-2

85.6

0)

TP=

True

pos

itive;

FP

=Fa

lse p

ositiv

e; F

N=

False

neg

ative

; TN

=Tr

ue n

egat

ive; S

N=

Sens

itivity

; SP

=Sp

ecific

ity; P

LR=

Posit

ive lik

eliho

od ra

tio; N

LR=

Neg

ative

likeli

hood

ratio

; DO

R=

Diag

nosis

odd

s ra

tio; E

D=

Emer

genc

y de

partm

ent;

IFT =

Infra

red

fore

head

ther

mom

eter

; A=

Axilla

ry th

erm

omet

er; I

CU=

Inte

nsive

car

e un

it; IT

T =In

frare

d ty

mpa

nic

ther

mom

eter

; R=

Rect

al th

erm

omet

er; T

C=

Clin

ical In

frare

d ty

mpa

nic

ther

mom

eter

; TH

=H

ome-

use

Infra

red

tym

pani

c th

erm

omet

er;

TA=

Tem

pora

l arte

ry th

erm

omet

er; O

=O

ral t

herm

omet

er; C

=C

ore

ther

mom

eter

; B=

Blad

der;

SL=

Sub-

lingu

al.

Page 7: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 체계적 문헌 ... · 2014-02-06 · 왔다(Kozier, Erb, Blais, & Wilkinson, 1997). 가장 이상적인 체온

752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46www.kan.or.kr

박영주·박성희·강창범

Tabl

e 1.

Cha

ract

eris

tics

of S

elec

ted

Stud

ies

(Con

tinue

d)

Year

of

publ

ica -

tio

nAu

thor

sLo

catio

nPa

rtici

pant

sIn

dex

test

Com

-pa

rison

s

Ref

er-

ence

sta

n-da

rds

Feve

r cr

iteria

( ℃)

Type

TP

FPFN

TNSN

SPPL

RN

LRD

OR

Type

Age

(yea

r)To

tal

(n)

2 Ta

ble

Valu

e (9

5% C

onfid

ence

inte

rval

)

2004

Hay

et

al.

UK

Chi

ldre

n w

ith

acut

e co

ugh

at

a cl

inic

94T

A ≥

37.0

ITT

31

1773

0.15

(0.0

5 -0.

20)

0.99

(0.9

6 -1.

00)

11.1

0(1

.07 -

275.

89)

0.86

(0.8

0 -1.

00)

12.8

8(1

.08 -

343.

47)

2002

Jean

-

Mar

y

et a

l.

USA

Wel

l -ch

ild o

r ac

ute

illnes

s at

a

clin

ic

<3

198

T TA

R

≥38

.0IT

T40

1013

125

0.76

(0.6

5 -0.

83)

0.93

(0.8

9 -0.

96)

10.1

9(5

.69 -

18.7

7)0.

27(0

.18 -

0.39

)38

.46

(14.

47-1

05.9

1)

A43

720

128

0.68

(0.6

0 -0.

74)

0.95

(0.9

1 -0.

98)

13.1

6(6

.43 -

29.8

0)0.

34(0

.27 -

0.45

)39

.31

(14.

43-1

11.9

3)

2001

Gre

enes

et

al.

USA

Infa

nts

in a

n ED

<1

304

T TTA

R

≥38

.0IT

T53

256

193

0.49

(0.4

4 -0.

50)

0.99

(0.9

6 -1.

00)

47.4

1(1

2.13

-279

.69)

0.52

(0.5

0 -0.

58)

91.3

3(2

0.87

-559

.91)

TA72

837

187

0.66

(0.6

0 -0.

70)

0.96

(0.9

3 -0.

98)

16.1

0(8

.21 -

34.5

6)0.

35(0

.31 -

0.43

)45

.49

(19.

15-1

12.0

5)

1999

Lanh

am

et a

l.U

SAC

hild

ren

who

vis-

ited

ED<

617

8T

R

≥38

.0IT

T44

143

900.

51(0

.45 -

0.52

)0.

99(0

.94 -

1.00

)46

.02

(7.5

1 -89

8.47

)0.

50(0

.48 -

0.58

)92

.09

(12.

92-1

857.

73)

1999

Wils

haw

et

al.

USA

Infa

nts

at a

clin

ic<

1 12

0T

R≥

37.6

ITT

4949

1012

0.83

(0.7

6 -0.

90)

0.20

(0.1

2 -0.

27)

1.03

(0.8

6 -1.

23)

0.86

(0.3

7 -1.

99)

1.20

(0.4

3 -3.

35)

A48

4211

190.

81(0

.73 -

0.89

)0.

31( -

.23 -

0.39

)1.

18(0

.94 -

1.45

)0.

60(0

.29 -

1.20

)1.

97(0

.78 -

5.04

)

≥38

.0IT

T59

260

351.

00(0

.93 -

1.00

)0.

57(0

.51 -

0.57

)2.

35(1

.91 -

2.35

)0.

00(0

.00 -

0.13

)-

A44

2215

390.

75(0

.65 -

0.83

)0.

64(0

.55 -

0.72

)2.

07(1

.43 -

2.95

)0.

40(0

.24 -

0.64

)5.

20(2

.22 -

12.3

7)

1998

Sohn

g

et a

l.Ko

rea

Pret

erm

(3

0-42

wks

)

in

fant

s in

in

cuba

tors

086

T

AR

37.6

ITT

516

065

1.00

(0.4

8 -1.

00)

0.80

(0.7

7 -0.

80)

5.06

(2.0

9 -5.

06)

0.00

(0.0

0 -0.

68)

-

A0

15

800.

00(0

.00 -

0.19

)0.

99(0

.99 -

1.00

)0.

00(0

.00 -

277.

06)

1.01

(0.8

1 -1.

01)

0.00

(0.0

0 -34

1.37

)

1997

Bren

nan

et a

l.U

SAPa

tient

s w

ith

traum

a in

the

ED

<6

370

TR

38.0

ITT

155

1348

154

0.76

(0.7

3 -0.

79)

0.92

(0.8

8 -0.

95)

9.81

(5.9

5 -17

.15)

0.26

(0.2

2 -0.

31)

38.2

5(1

9.15

-77.

80)

≥39

.4IT

T43

533

289

0.57

(0.4

9 -0.

61)

0.98

(0.9

6 -0.

99)

33.2

7(1

3.74

-92.

68)

0.44

(0.4

0 -0.

53)

75.3

2(2

6.13

-233

.86)

TP=

True

pos

itive;

FP

=Fa

lse p

ositiv

e; F

N=

False

neg

ative

; TN

=Tr

ue n

egat

ive; S

N=

Sens

itivity

; SP

=Sp

ecific

ity; P

LR=

Posit

ive lik

eliho

od ra

tio; N

LR=

Neg

ative

likeli

hood

ratio

; DO

R=

Diag

nosis

odd

s ra

tio; E

D=

Emer

genc

y de

partm

ent;

IFT =

Infra

red

fore

head

ther

mom

eter

; A=

Axilla

ry th

erm

omet

er; I

CU=

Inte

nsive

car

e un

it; IT

T =In

frare

d ty

mpa

nic

ther

mom

eter

; R=

Rect

al th

erm

omet

er; T

C=

Clin

ical In

frare

d ty

mpa

nic

ther

mom

eter

; TH

=H

ome-

use

Infra

red

tym

pani

c th

erm

omet

er;

TA=

Tem

pora

l arte

ry th

erm

omet

er; O

=O

ral t

herm

omet

er; C

=C

ore

ther

mom

eter

; B=

Blad

der;

SL=

Sub-

lingu

al.

Page 8: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 체계적 문헌 ... · 2014-02-06 · 왔다(Kozier, Erb, Blais, & Wilkinson, 1997). 가장 이상적인 체온

753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46 www.kan.or.kr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

Tabl

e 1.

Cha

ract

eris

tics

of S

elec

ted

Stud

ies

(Con

tinue

d)

Year

of

publ

i-ca

tion

Auth

ors

Loca

tion

Parti

cipa

nts

Inde

x te

stC

om-p

ari-

sons

Ref

er-

ence

sta

n-da

rds

Feve

r cr

iteria

( ℃)

Type

TP

FPFN

TNSN

SPPL

RN

LRD

OR

Type

Age

(yea

r)To

tal

(n)

2 Ta

ble

Valu

e (9

5% C

onfid

ence

inte

rval

)

1997

Hw

ang

et

al.

Kore

aN

orm

al n

eo-

nate

s in

a

nurs

ery

012

9T

A

R≥

37.6

ITT

2610

489

0.87

(0.7

2 -0.

95)

0.90

(0.8

5 -0.

93)

8.58

(4.9

2 -12

.72)

0.15

(0.0

5 -0.

33)

57.8

5(1

4.91

-248

.90)

A12

018

990.

40(0

.29 -

0.40

)1.

00(0

.97 -

1.00

)-

0.60

(0.6

0 -0.

74)

-

1995

Lee

et

al.

Kore

aC

hild

ren

who

vis

ited

a cl

inic

<10

101

TR

37.5

ITT

534

1232

0.82

(0.7

5 -0.

86)

0.89

(0.7

6 -0.

96)

7.34

(3.1

4 -22

.04)

0.21

(0.1

5 -0.

33)

35.3

3(9

.40 -

146.

51)

1994

Eric

kson

et

al.

USA

Patie

nts

with

a

blad

der c

athe

-te

r

<4

30T

A RC (B

)≥

38.0

ITT1

173

931

0.65

(0.5

1 -0.

74)

0.91

(0.8

0 -0.

98)

7.41

(2.4

9 -29

.53)

0.38

(0.2

7 -0.

62)

19.5

2(4

.01 -

109.

33)

ITT2

206

628

0.77

(0.6

1 -0.

88)

0.82

(0.7

0 -0.

91)

4.36

(2.0

7 -9.

42)

0.28

(0.1

2 -0.

55)

15.5

6(3

.77 -

70.0

7)

ITT3

245

229

0.92

(0.7

8 -0.

99)

0.85

(0.7

5 -0.

90)

6.28

(3.0

6 -9.

93)

0.90

(0.0

2 -0.

29)

69.6

0(1

0.44

-620

.15)

A46

3532

670.

59(0

.50 -

0.67

)0.

66(0

.59 -

0.72

)1.

72(1

.22 -

2.41

)0.

63(0

.45 -

0.85

)2.

75(1

.43 -

5.31

)

R66

40

981.

00(0

.95 -

1.00

)0.

96(0

.93 -

0.96

)25

.50

(13.

07-2

5.50

)0.

00(0

.00 -

0.57

)-

1993

Selfr

idge

et

al.

USA

Chi

ldre

n w

ho

visite

d th

e ED

<0.

510

2T

R≥

38.1

ITT

169

275

0.89

(0.6

8 -09

8)0.

89(0

.85 -

0.91

)8.

30(4

.42 -

11.1

8)0.

12(0

.02 -

0.38

)66

.67

(11.

56-5

07.0

1)

1991

Cha

mbe

r-la

in

et

al.

USA

Chi

ldre

n w

ithou

t pu

rule

nt d

rain

-ag

e w

ho v

isit-

ed th

e ED

<17

184

(100

)T

R≥

38.5

ITT

204

571

0.80

(0.6

4 -0.

90)

0.95

(0.8

9 -0.

98)

15.0

0(6

.00 -

41.9

4)0.

21(0

.11 -

0.40

)71

.00

(14.

89-3

94.2

7)

≥39

.0IT

T7

14

880.

64(0

.37 -

0.72

)0.

99(0

.86 -

1.00

)56

.64

(8.4

3 -12

07.6

1)0.

37

(0.2

8 -0.

66)

154.

00(2

.81 -

4348

.09)

1991

Shen

ep

et a

l.U

SAIn

/out

pat

ient

s w

ith c

ance

r or

bloo

d di

sord

er

<4

151

TA SL

O

≥38

.3IT

T143

08

100

0.84

(0.7

7 -0.

84)

1.00

(0.9

6 -1.

00)

-0.

16(0

.16 -

0.24

)-

ITT2

431

899

0.84

(0.7

7 -0.

86)

0.99

(0.9

5 -1.

00)

84.3

1(1

5.45

-163

8.60

)0.

16(0

.14 -

0.25

)53

2.13

(62.

62-1

1843

.11)

A44

07

100

0.86

(0.7

9 -0.

86)

1.00

(0.9

6 -1.

00)

-0.

14(0

.14 -

0.22

)-

SL42

09

100

0.82

(0.7

5 -0.

82)

1.00

(0.9

6 -1.

00)

-9,

18(0

.18 -

0.26

)-

TP=

True

pos

itive;

FP

=Fa

lse p

ositiv

e; F

N=

False

neg

ative

; TN

=Tr

ue n

egat

ive; S

N=

Sens

itivity

; SP

=Sp

ecific

ity; P

LR=

Posit

ive lik

eliho

od ra

tio; N

LR=

Neg

ative

likeli

hood

ratio

; DO

R=

Diag

nosis

odd

s ra

tio; E

D=

Emer

genc

y de

partm

ent;

IFT =

Infra

red

fore

head

ther

mom

eter

; A=

Axilla

ry th

erm

omet

er; I

CU=

Inte

nsive

car

e un

it; IT

T =In

frare

d ty

mpa

nic

ther

mom

eter

; R=

Rect

al th

erm

omet

er; T

C=

Clin

ical In

frare

d ty

mpa

nic

ther

mom

eter

; TH

=H

ome-

use

Infra

red

tym

pani

c th

erm

omet

er;

TA=

Tem

pora

l arte

ry th

erm

omet

er; O

=O

ral t

herm

omet

er; C

=C

ore

ther

mom

eter

; B=

Blad

der;

SL=

Sub-

lingu

al.

Page 9: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 체계적 문헌 ... · 2014-02-06 · 왔다(Kozier, Erb, Blais, & Wilkinson, 1997). 가장 이상적인 체온

754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46www.kan.or.kr

박영주·박성희·강창범

합 민감도는 0.64 (95% CI 0.61, 0.68)이었고(Figure 2-I), 통합 특이도

는 0.93 (95% CI 0.92, 0.94)이었으며(Figure 2-J), 문헌들 간 이질성은

모두 90% 이상으로 높았다. SROC AUC와 Q*값은 각각 0.95와 0.89였

다(Figure 2-E).

2) 다른 체온측정방법의 진단정확도

⑴ 액와체온

액와체온의 진단정확도는 8개 문헌에서 측정되었다(El-Radhi &

Patel, 2007; Erickson & Woo, 1994; Hwang & Sohng, 1997; Jean-Mary

et al., 2002; Nimah et al., 2006; Shenep et al., 1991; Sohng et al., 1998;

Wilshaw et al., 1999). 개별 연구들의 액와체온의 민감도는 0.00에서

0.86이었고, 특이도는 0.31에서 1.00이었다. 메타분석 결과, 통합 민감

도는 0.48 (95% CI 0.44, 0.51)(Figure 2-K)이었고, 통합 특이도는 0.90

(95% CI 0.88, 0.92)이었으며(Figure 2-L), 문헌들 간 이질성은 모두

90% 이상이었다. SROC AUC는 0.77이었고 Q*값은 0.71이었다.

⑵ 직장체온

직장체온의 진단정확도는 2개 문헌에서 측정되었다(Erickson &

Woo, 1994; Nimah et al., 2006). 개별 연구들의 직장체온의 민감도는

0.67에서 1.00이었고, 특이도는 0.93에서 0.96이었다. 메타분석 결과,

통합 민감도는 0.71 (95% CI 0.67, 0.75)(Figure 2-M)이었고, 통합 특이

도는 0.94 (95% CI 0.91, 0.95)였으며(Figure 2-N), 문헌들 간 이질성은

민감도에서는 97.9%로 높았으나 특이도(I2 =32.1%, p = .220)에서는

없었다. SROC AUC는 0.50이었고 Q*값은 0.50이었다.

⑶ 중심체온

중심체온의 진단정확도는 2개 문헌에서 측정되었다(El-Radhi &

Patel, 2007; Greenes & Fleisher, 2001). 개별 연구들의 직장체온의 민감

도는 0.19에서 1.66이었고, 특이도는 0.96에서 0.99이었다. 메타분석

결과, 통합 민감도는 0.54 (95% CI 0.46, 0.63) (Figure 2-O)이었고, 통합

특이도는 0.97 (95% CI 0.94, 0.98)였으며(Figure 2-P), 문헌들 간 이질

Table 2. Summary Results of Meta-analysis

A. Results of Diagnostic Test Accuracy

Thermometer Study No. Sensitivity SpecificityPositive

likelihood ratioNegative

likelihood ratioDiagnostic odds ratio

Infra-red tympanic

Children>1 year 13 (21) 0.80(0.78, 0.81)

0.94(0.93, 0.95)

14.44(9.62, 22.50)

0.23(0.16, 0.32)

75.11(40.38, 139.71)

Neonate 3 0.80 (0.70, 0.88)

0.87(0.82, 0.91)

6.53(3.74, 11.39)

0.23(0.13, 0.41)

40.44(17.56, 93.11)

Infant 4 (5) 0.78(0.73, 0.82)

0.84 (0.81, 0.87)

7.45(1.46, 37.87)

0.24(0.09, 0.66)

45.94(3.89, 543.18)

≥39℃ Fever 2 0.58(0.46, 0.68)

0.98(0.97, 0.99)

36.34(16.10, 82.00)

0.43(0.34, 0.55)

84.13(33.74, 209.75)

Infrared forehead 3 0.64(0.61, 0.68)

0.93(0.92, 0.94)

9.81(3.25, 29.63)

0.23(0.07, 0.71)

44.20(5.81, 336.32)

Axillary 8 (9) 0.48(0.44, 0.51)

0.90(0.88, 0.92)

7.83(2.75, 22.32)

0.50(0.37, 0.68)

16.75(5.58, 50.21)

Rectal 2 0.71(0.67, 0.75)

0.94(0.91, 0.96)

13.27(5.81, 30.33)

0.06(0.00, 8.41)

223.71(2.05, 24368.90)

Core 2 0.54(0.46, 0.63)

0.97(0.94, 0.98)

15.87(8.24, 30.58)

0.54(0.19, 1.57)

40.24(18.85, 85.90)

B. Results of Summar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Thermometer Study No. AUC SE (AUC) Q* SE (Q*)

Infra-red tympanic

Children>1 year 13 (21) 0.95 0.02 0.89 0.02

Neonate 3 0.94 0.03 0.88 0.03

Infant 4 (5) 0.93 0.05 0.87 0.06

≥39℃ Fever 2 0.50 0.00 0.50 0.00

Infrared forehead 3 0.95 0.08 0.89 0.11

Axillary 8 (9) 0.77 0.06 0.71 0.05

Rectal 2 0.50 0.00 0.50 0.00

Core 2 0.50 0.00 0.50 0.00

AUC=Area under the curve; SE=Standard error.

Page 10: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 체계적 문헌 ... · 2014-02-06 · 왔다(Kozier, Erb, Blais, & Wilkinson, 1997). 가장 이상적인 체온

755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46 www.kan.or.kr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

A. Sensitivity of ITT in children over 1yr.

C. Sensitivity of ITT in neonate.

E. Sensitivity of ITT in infant.

G. Sensitivity of ITT in ≥39℃ fever.

I. Sensitivity of IFT.

K. Sensitivity of axillary.

M. Sensitivity of rectal.

O. Sensitivity of core.

B. Specificity of ITT in children over 1yr.

D. Specificity of ITT in neonate.

F. Specificity of ITT in infant.

H. Specificity of ITT in ≥39℃ fever.

J. Specificity of IFT.

L. Specificity of axillary.

N. Specificity of rectal.

P. Specificity of core.

ITT= Infrared tympanic thermometer; IFT= Infrared forehead thermometer.

Figure 2. Diagnosis test accuracy of thermometers.

Page 11: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 체계적 문헌 ... · 2014-02-06 · 왔다(Kozier, Erb, Blais, & Wilkinson, 1997). 가장 이상적인 체온

756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46www.kan.or.kr

박영주·박성희·강창범

성은 민감도에서는 96.0%로 높았으나 특이도(I2 =29.1%, X2 =1.41,

p= .240)에서는 없었다. SROC AUC는 0.50이었고 Q*값은 0.50이었다.

논 의

진단정확도란 질환 또는 상태의 유무를 판단해 내는 검사의 능력

을 설명하는 것으로, 참조표준기준의 결과에 따라 질환(또는 상태)

양성과 음성으로 나누고 평가대상 검사의 결과를 양성과 음성으

로 이분하여 분할표를 작성한 후 민감도, 특이도, 예측도, 우도비와

진단교차비 및 곡선아래면적 등의 진단정확도 지표로 나타내는 것

이다(Lee & Lee, 2011). 본 연구는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를

규명하기 위해 19편의 진단법 평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총 4,304명

(5,960회 측정)의 연구 대상자를 토대로 체온측정 방법을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한 후 메타분석을 통해 간호진단법으로서 적외선

체온의 진단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체온은 활력징후의 필수적인 요소로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를 빠

르게 나타내주지만 간호사는 일상의 업무에서 가장 흔히 이를 반

복 측정하고, 또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많은 부담을 호소한다. 액와

체온의 경우 10분 정도의 측정시간이 필요하지만 실제로는 3분 이

하로 보고되고 있어 정확한 체온측정에 대한 현실적 어려움이 있

다(Hong & Lee, 1975; Jeong & Yoo, 1997). 체온의 변화가 인체에 미치

는 영향과 중요성이 더 강조되고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990

년대 이후 적외선 체온계가 임상에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기존 수은체온계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지적과 임상에서의

사용에 충분한 과학적 합의가 부족하다는 분석(Craig, Lancaster,

Taylor, Williamson, & Smyth, 2002; Liu, Chang, & Chang, 2004) 및 실

제 임상에서도 체온측정값의 변화가 크다는 경험적 의견이 제기되

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외선 체온측정은 편리성 때문에 현재

국내외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확한 체온측정 결과

를 보장해야 하는 간호업무의 중요성과 함께 이에 대한 과학적 근거

가 요구되고 있다.

진단법 평가는 민감도, 특이도 등의 진단정확도에 대한 수학적

절대기준이 존재하지만 본 연구에서 적외선 체온의 메타분석 결과

는 기존 임상에서 흔히 사용하여 왔던 액와나 직장체온과의 비교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참조표준기준에 따라 진단정

확도를 판별하였으나 체온의 특성을 고려할 때 체온에 영향하는

각종 요인들을 배제한 황금기준이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간

호지침(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07;

Royal College of Nursing, 2011)에서 수은체온계의 사용은 위험성 때

문에 아동에서의 사용을 금하고, 대체하는 다른 방법으로의 체온

측정을 권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1세 이상 아동의 적외선 고막체온의 통합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0.80 (95% CI 0.78, 0.81), 0.94 (95% CI 0.93, 0.95)로 현재

아동에서 황금기준으로 인정받고 있는 직장체온(0.71, 95% CI 0.67,

0.75)에 비해 통합 민감도가 떨어지지 않았고, 통합 특이도(0.94, 95%

CI 0.91, 0.95)는 유사하였다. 이는 통합 민감도 0.64 (95% CI 0.56, 0.72),

특이도 0.95 (95% CI 0.94, 0.97)를 보고한 Dodd, Lancaster, Craig,

Smyth와 Williamson (2006)의 연구와 비교할 때 민감도는 다소 높아

진 경향을 보였고, 특이도는 유사하였다. 따라서, 적외선 체온측정

은 고막체온의 경우 기존의 액와나 직장체온 등에 비해 검사정확

도는 상대적으로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현재 사

용되고 있는 체온측정방법은 측정부위나 사용도구에 관계없이 열

이 없는 사람을 구분하는 능력은 뛰어나지만 37.6°C 이상의 발열여

부를 진단하는 능력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적외선

고막과 액와, 직장 및 중심체온의 통합 특이도는 모두 90% 이상으

로 보고되었으며, 이는 신생아나 영아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이에 반해 적외선 이마체온의 통합 민감도는 0.64 (95% CI 0.61, 0.68)

로 직장체온보다 낮았으며, 액와체온(0.48, 95% CI 0.44, 0.51)보다는

약간 높았으나 이는 신생아와 영아 때문에 나타난 경향일 뿐 1세 이

상의 아동에서 액와체온의 통합 민감도는 0.77 (95% CI 0.74, 0.80)로

더 높았다. 적외선 이마체온의 경우 비교적 적은 3개 문헌에 대한 결

과이어서 아직은 이에 대한 충분한 근거를 제시하기에는 한계가 있

다고 생각된다.

메타분석 결과에서 일부의 경우를 제외하면 문헌들 간 이질성은

특히 민감도에서 90% 이상으로 높았고, 개별연구들의 분포가 매우

넓은 것을 발견하였다. Dodd 등(2006)의 연구에서도 연구들 간 이

질성이 높았다고 보고하였으며, 이를 명확히 설명하기 어려우나 이

질성을 보이는 잠재적 이유는 체온측정 시 외이도 비틀림을 보정하

기 위해 후하방으로 귓바퀴를 당김 여부, 신생아의 특성, 중이염 등

의 질병, 질적으로 낮은 방법론적 문제, 기기별 기초화(calibration)

문제 등으로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연구 방법에서 체온측정에

영향하는 요인들을 기술하고 있지 않아 이를 명확히 설명할 수 없

으나 참조표준기준이 직장체온으로 동일하고, 39°C 이상의 고체온

증을 가진 특정대상의 경우에서는 문헌들 간 이질성이 없었던 점과

1세 이상의 아동(91.1%)과 같은 연령범위가 넓은 대상보다 신생아에

서 이질성이 53.6%로 낮아진 점, 동일 대상이라도 적외선 고막체온

기기별 민감도와 특이도가 다른 점 등을 통해 볼 때 연구 대상자와

참조표준기준의 현실적 한계(가장 정확한 중심체온의 진단정확도

가 낮게 보고된 점) 등이 연구들 간 이질성을 나타낸 주된 원인으로

생각된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연구들 간의 이질성은 발열여부를

진단하는데 체온측정의 현실적인 문제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우리

가 일상에서 너무 자주 체온을 측정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실을 간

Page 12: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 체계적 문헌 ... · 2014-02-06 · 왔다(Kozier, Erb, Blais, & Wilkinson, 1997). 가장 이상적인 체온

757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46 www.kan.or.kr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

과하고 있었을 뿐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 39°C 이상의 고체온 여부를 판별하는데 적외선 고

막체온의 진단정확도는 상당히 낮았다. 2개 문헌만의 결과이며, 기

존 다른 체온측정방법과의 비교가 없어 충분한 근거로 설명하기 어

려우나 문헌들 간 이질성이 없고(0.0%, p>.05), SROC AUC와 Q*값은

0.50인 결과는 고체온 여부를 판별하는데 적외선 고막체온은 전혀

유익성이 없는 진단방법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체온의 특성과 모든

체온측정방법에서 특이도에 비해 낮은 민감도를 보이는 상기 메타

분석 결과와 종합해보면, 현재 활용되는 체온측정은 한 가지 방법

만으로는 정확한 발열진단이 어려운 것으로 해석된다. 37.6°C 이상

의 발열을 보이는 아동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야

정확한 체온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적외선 고막체온의

경우 숲그림을 보면(Figure 2), 전반적으로 최근 보고된 문헌에서 민

감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적외선을 이용한 고막 체온

계의 기술적 문제가 보완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적외선 체온

의 진단정확도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은 향후에도 반복 연구되어

야 할 과제로 생각된다.

참고로, 중심체온의 경우 의외로 진단정확도는 낮게 보고되었다.

이는 표준참조기준이 체표면 체온이기 때문에 실제 체온이 더 낮

게 측정되는 문제 때문에 야기된 것으로 보인다. 비록 2편의 연구 결

과만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정확히 언급할 수는 없지만 동일한 시

점에서 측정된 적외선 고막체온의 경우보다 중심체온의 경우 위양

성이 높음을 통해 이를 추정할 수 있다.

결 론

본 연구는 19편의 잘 설계된 진단법 평가 문헌을 토대로 한 체계

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적외선 체온의 진단정확도를 분

석하였다. 적외선 체온측정 중 고막체온은 기존 임상에서 사용하

던 액와 및 직장체온에 비해 진단정확도가 떨어지지 않았으며, 또

한, 최근에 발표된 연구에서 진단정확도가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

이므로 발열여부를 감별하는 진단도구로서의 문제는 없다고 해석

된다. 다만, 신생아 및 영아의 경우와 39.0°C 이상의 고체온 아동에

서 적외선 고막체온의 진단정확도가 낮으며, 체온은 본질적으로

측정부위마다 온도가 다른 특성이 있으므로 37.6°C 이상의 발열이

관찰될 경우 두 가지 이상의 방법을 활용하여 정확한 체온을 측정

할 필요가 있다. 체온측정에 대한 간호지침은 아직 국내 임상에서

표준화되어 있지 않지만 이러한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과학적 근

거를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간호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간호지침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REFERENCES

Brennan, D. F., Falk, J. L., Rothrock, S. G., & Kerr, R. B. (1995). Reliability of infrared tympanic thermometry in the detection of rectal fever in chil-dren.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5(1), 21-30.

Burke, K. (1996). The tympanic membrane thermometer in paediatric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4(4), 190-193.

Chamberlain, J. M., Grandner, J., Rubinoff, J. L., Klein, B. L., Waisman, Y., & Huey, M. (1991). Comparison of a tympanic thermometer to rectal and oral thermometers in a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Clinical Pediatrics (Phila), 30(4 Suppl), 24-29.

Chiappini, E., Sollai, S., Longhi, R., Morandini, L., Laghi, A., Osio, C. E., et al. (2011). Performance of non-contact infrared thermometer for de-tecting febrile children in hospital and ambulatory setting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9-10), 1311-1318.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0.03565.x

Childs, C., Harrison, R., & Hodkinson, C. (1999). Tympanic membrane temperature as a measure of core temperature.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80(3), 262-266.

Craig, J. V., Lancaster, G. A., Taylor, S., Williamson, P. R., & Smyth, R. L. (2002). Infrared ear thermometry compared with rectal thermometry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Lancet, 360(9333), 603-609. http://dx.doi.org/10.1016/s0140-6736(02)09783-0

Devrim, I., Kara, A., Ceyhan, M., Tezer, H., Uluda, A. K., Cengiz, A. B., et al. (2007). Measurement accuracy of fever by tympanic and axillary ther-mometry. Pediatric Emergency Care, 23(1), 16-19. http://dx.doi.org/10. 1097/PEC.0b013e31802c61e6

Dodd, S. R., Lancaster, G. A., Craig, J. V., Smyth, R. L., & Williamson, P. R. (2006). In a systematic review, infrared ear thermometry for fever di-agnosis in children finds poor sensitivity.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9(4), 354-357. http://dx.doi.org/10.1016/j.jclinepi.2005.10.004

Edelu, B. O., Ojinnaka, N. C., & Ikefuna, A. N. (2011). Fever detection in under 5 children in a tertiary health facility using the infrared tym-panic thermometer in the oral mode. Italian Journal of Pediatrics, 37, 8. http://dx.doi.org/10.1186/18Arch Dis Child. 2006 Apr;91(4):351-6.

El-Radhi, A. S., & Barry, W. Thermometry in paediatric practice.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91(4), 351-356.

El-Radhi, A. S., & Patel, S. P. (2007). Temperature measurement in children with cancer: An evaluation. British Journal of Nursing, 16(21), 1313-1316.

Erickson, R. S., & Woo, T. M. (1994). Accuracy of infrared ear thermometry and traditional temperature methods in young children. Heart & Lung, 23(3), 181-195.

Greenes, D. S., & Fleisher, G. R. (2001). Accuracy of a noninvasive temporal artery thermometer for use in infants.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5(3), 376-381.

Greiner, M., Pfeiffer, D., & Smith, R. D. (2000). Principles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for diagnostic tests.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45(1-2), 23-41.

Hay, A. D., Peters, T. J., Wilson, A., & Fahey, T. (2004). The use of infrared thermometry for the detection of fever. The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54(503), 448-450.

Higgins, J. P., & Thompson, S. G. (2002). Quantifying heterogeneity in a meta-analysis. Statistics in Medicine, 21(11), 1539-1558. http://dx.doi.

Page 13: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 체계적 문헌 ... · 2014-02-06 · 왔다(Kozier, Erb, Blais, & Wilkinson, 1997). 가장 이상적인 체온

758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46www.kan.or.kr

박영주·박성희·강창범

org/10.1002/sim.1186Hong, Y. S., & Lee, S. O. (1975).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hortest opti-

mum time for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5(2), 38-50.

Hwang, J. S., & Sohng, K. Y. (1997). Comparison of rectal temperature with axillary and tympanic temperat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4(2), 351-358.

Jean-Mary, M. B., Dicanzio, J., Shaw, J., & Bernstein, H. H. (2002). Limited accuracy and reliability of infrared axillary and aural thermometers in a pediatric outpatient population. The Journal of Pediatrics, 141(5), 671-676. http://dx.doi.org/10.1067/mpd.2002.127664

Jeong, I. S., & Yoo, E. J. (1997). Study on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time and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ympanic thermome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4(1), 19-30.

Jeong, Y. S., & Kim, J. S. (2010). Fever and fever management in children: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1), 30-40. http://dx.doi.org/10.4094/jkachn.2010.16.1.30

Kim, J. S. (2004). Anesthesia and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7(5), 609-616.

Kozier, B., Erb, G., Blais, K., & Wilkinson, J. M. (1997). Fundamentals of nursing: Concepts, process, and practice (5th ed.). Redwood City, CA: Addison-Wesley.

Lee, G., Flannery-Bergey, D., Randall-Rollins, K., Curry, D., Rowe, S., Teague, M., et al. (2011). Accuracy of temporal artery thermometry in neonatal intensive care infants. Advances in Neonatal Care, 11(1), 62-70. http://dx.doi.org/10.1097/ANC.0b013e3182087d2b

Lee, J. K., Kim, E. J., Lee, H. K., Yu, Y. H., & Lee, H. S. (1998). The effect of bundling on neonatal body temp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41(1), 26-32.

Lee, T. J., & Kim, D. S. (2007). Fever.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50(2), 121-126. http://dx.doi.org/10.3345/kjp.2007.50.2.121

Lee, Y. K., & Lee, S. M. (2011). Clinical trials and accuracy of diagnostic tests. Journal of Genetic Medicine, 8(1), 28-34. http://dx.doi.org/10. 5734/jgm.2011.8.1.28

Liu, C. C., Chang, R. E., & Chang, W. C. (2004). Limitations of forehead in-frared body temperature detection for fever screening for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5(12), 1109-1111. http://dx.doi.org/10.1086/502351

Macaskill, P., Gatsonis, C., Deeks, J. J., Harbord, R. M., & Takwoingi, Y. (2010). Chapter 10: Analysing and presenting results. In J. J. Deeks, P. M. Bossuyt & C. Gatsonis (Ed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diagnostic test accuracy version 1.0 (pp. 1-47). Oxford, UK: The Cochrane Collaboration.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 Altman, D. G.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1(4), 264-269, W264.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07). Feverish illness in children: NICE guideline. London, UK: Author.

Nimah, M. M., Bshesh, K., Callahan, J. D., & Jacobs, B. R. (2006). Infrared tympanic thermometry in comparison with other temperature mea-surement techniques in febrile children.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7(1), 48-55.

Robinson, J. L., Seal, R. F., Spady, D. W., & Joffres, M. R. (1998). Comparison of esophageal, rectal, axillary, bladder, tympanic, and pulmonary artery temperatures in children. The Journal of Pediatrics, 133(4), 553-556.

Royal College of Nursing. (2011). Standards for assessing, measuring and monitoring vital signs in infants, children and young people: RCN guid-ance for children’s nurses and nurses working with children. London, UK: Author.

Selfridge, J., & Shea, S. S. (1993). The accuracy of the tympanic membrane thermometer in detecting fever in infants aged 3 months and younger in the emergency department setting.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19(2), 127-130.

Shenep, J. L., Adair, J. R., Hughes, W. T., Roberson, P. K., Flynn, P. M., Brod-key, T. O., et al. (1991). Infrared, thermistor, and glass-mercury ther-mometry for measurement of body temperature in children with can-cer. Clinical Pediatrics (Phila), 30(4 Suppl), 36-41; discussion 49.

Sohng, K. Y., Kang, S. S., Hwang, J. S., & Kim, M. J. (1998). Accuracy of tem-perature measurements, nursing time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the validity of fever dete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5(1), 33-45.

Sohng, K. Y., Park, H. S., Hong, Y. H., Yoon, E. J., Lee, K. Y., Cho, B. H., et al. (2009). Fundamentals of nursing (2nd ed.). Paju: Soomoonsa.

van Staaij, B. K., Rovers, M. M., Schilder, A. G., & Hoes, A. W. (2003). Accu-racy and feasibility of daily infrared tympanic membrane temperature measurements in the identification of fever in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67(10), 1091-1097.

Walter, S. D. (2002). Properties of the summar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SROC) curve for diagnostic test data. Statistics in Medicine, 21(9), 1237-1256. http://dx.doi.org/10.1002/sim.1099

Wells, N., King, J., Hedstrom, C., & Youngkins, J. (1995). Does tympanic temperature measure up? MCN.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20(2), 95-100.

Whiting, P. F., Rutjes, A. W., Westwood, M. E., Mallett, S., Deeks, J. J., Re-itsma, J. B., et al. (2011). QUADAS-2: A revised tool for the quality as-sessment of diagnostic accuracy studie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5(8), 529-536. http://dx.doi.org/10.7326/0003-4819-155-8-201110 180-00009

Wilshaw, R., Beckstrand, R., Waid, D., & Schaalje, G. B. (1999). A compari-son of the use of tympanic, axillary, and rectal thermometers in infant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14(2), 88-93. http://dx.doi.org/10.1016/s0882-5963(99)80042-6

Yun, K. W., & Lim, I. S. (2005). A study for accuracy and usefulness of tym-panic membrane and forehead thermometer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8(8), 820-825.

Page 14: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 체계적 문헌 ... · 2014-02-06 · 왔다(Kozier, Erb, Blais, & Wilkinson, 1997). 가장 이상적인 체온

759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46 www.kan.or.kr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

APPENDIXBrennan, D. F., Falk, J. L., Rothrock, S. G., & Kerr, R. B. (1995). Reliability of

infrared tympanic thermometry in the detection of rectal fever in chil-dren.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5(1), 21-30.

Chamberlain, J. M., Grandner, J., Rubinoff, J. L., Klein, B. L., Waisman, Y., & Huey, M. (1991). Comparison of a tympanic thermometer to rectal and oral thermometers in a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Clinical Pediatrics (Phila), 30(4 Suppl), 24-29.

Chiappini, E., Sollai, S., Longhi, R., Morandini, L., Laghi, A., Osio, C. E., et al. (2011). Performance of non-contact infrared thermometer for de-tecting febrile children in hospital and ambulatory setting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9-10), 1311-1318. http://dx.doi.org/10.1111/j.1365 -2702.2010.03565.x

Devrim, I., Kara, A., Ceyhan, M., Tezer, H., Uluda, A. K., Cengiz, A. B., et al. (2007). Measurement accuracy of fever by tympanic and axillary ther-mometry. Pediatric Emergency Care, 23(1), 16-19. http://dx.doi.org/10. 1097/PEC.0b013e31802c61e6

Edelu, B. O., Ojinnaka, N. C., & Ikefuna, A. N. (2011). Fever detection in under 5 children in a tertiary health facility using the infrared tym-panic thermometer in the oral mode. Italian Journal of Pediatrics, 37, 8. http://dx.doi.org/10.1186/1824-7288-37-8

El-Radhi, A. S., & Patel, S. P. (2007). Temperature measurement in children with cancer: An evaluation. British Journal of Nursing, 16(21), 1313-1316.

Erickson, R. S., & Woo, T. M. (1994). Accuracy of infrared ear thermometry and traditional temperature methods in young children. Heart & Lung, 23(3), 181-195.

Greenes, D. S., & Fleisher, G. R. (2001). Accuracy of a noninvasive temporal artery thermometer for use in infants.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5(3), 376-381.

Hay, A. D., Peters, T. J., Wilson, A., & Fahey, T. (2004). The use of infrared thermometry for the detection of fever. The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54(503), 448-450.

Hwang, J. S., & Sohng, K. Y. (1997). Comparison of rectal temperature with axillary and tympanic temperat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

damentals of Nursing, 4(2), 351-358. Jean-Mary, M. B., Dicanzio, J., Shaw, J., & Bernstein, H. H. (2002). Limited

accuracy and reliability of infrared axillary and aural thermometers in a pediatric outpatient population. The Journal of Pediatrics, 141(5), 671-676. http://dx.doi.org/10.1067/mpd.2002.127664

Lanham, D. M., Walker, B., Klocke, E., & Jennings, M. (1999). Accuracy of tympanic temperature readings in children under 6 years of age. Pedi-atric Nursing, 25(1), 39-42.

Lee, W. H., & Jung, S. P. (1995). The validity of the tympanic membrane thermometer in detecting fever of the children.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6(8), 531-536.

Nimah, M. M., Bshesh, K., Callahan, J. D., & Jacobs, B. R. (2006). Infrared tympanic thermometry in comparison with other temperature mea-surement techniques in febrile children.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7(1), 48-55.

Selfridge, J., & Shea, S. S. (1993). The accuracy of the tympanic membrane thermometer in detecting fever in infants aged 3 months and younger in the emergency department setting.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19(2), 127-130.

Shenep, J. L., Adair, J. R., Hughes, W. T., Roberson, P. K., Flynn, P. M., Brod-key, T. O., et al. (1991). Infrared, thermistor, and glass-mercury ther-mometry for measurement of body temperature in children with can-cer. Clinical Pediatrics (Phila), 30(4 Suppl), 36-41; discussion 49.

Sohng, K. Y., Kang, S. S., Hwang, J. S., & Kim, M. J. (1998). Accuracy of tem-perature measurements, nursing time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the validity of fever dete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5(1), 33-45.

Wilshaw, R., Beckstrand, R., Waid, D., & Schaalje, G. B. (1999). A compari-son of the use of tympanic, axillary, and rectal thermometers in infant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14(2), 88-93. http://dx.doi.org/10.1016/s0882-5963(99)80042-6

Yun, K. W., & Lim, I. S. (2005). A study for accuracy and usefulness of tym-panic membrane and forehead thermometer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8(8), 82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