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발성 두개 강내출혈의 전산화단층소견 - koreamed › ... › 1016jkrs ›...

8
:k l iX 23 5 pp. 685 - 692, 1987 Journal 01 Korean Radi ological Society, 23(5) 685-692 , 1987 - Abstract - Computed Tomographic Findings of Spontaneous Intracranial Hemorrhage Seung Sook Ko, M.D. , Young Sook Kim, M.D. , Young Chul Kim, M.D. Department of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Computed (0) was a technique to evaluate the exact size and location 01 spontane ous intracranial hemorrhage and to predict it' s prognosis. Filty-nine cases 01 spontaneous intracranial hemorrhage we re evaluated and reviewed by CT scan. The l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sex ratio 01 male to lemale was 1 to 1.4‘ The highest incidence was in 6th and 7th decades 2. The most common cause 01 spontaneous intracranial hemorrhage was hypertension (74.6%) , lo llowed by the aneurysm (13.5%) , mallormation (5.1 %), occ\ usive vascu lar disease (3 .4%), and blood dysc rasi a (3 .4%) 3. The most common location was basal ganglia and thalamic hemorrhage(37.3%), lollowed by '0bar hemor- rhage (27.1 %) , cerebellar hemorrhage (13 .5%), and subarachnoid hemorrh age (11.9%) 4. Primary intraventricular hemorrhage carried the highest mortality 5. The larger volume 01 hematoma, the higher the mortality rate I . 17 9 - 685-

Upload: others

Post on 24-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자발성 두개 강내출혈의 전산화단층소견 - KoreaMed › ... › 1016JKRS › jkrs-23-685.pdf · 2016-12-27 · - 685--:kr.U,(M짜책작'~1~ 誌 : iJí\ 23!{t 1:j}

:k 함 liX ij‘Hμ 샘 젠 썩 감‘ 찌 23 천 짜 5 싸 pp. 685 - 692, 1987 Journal 01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3(5) 685-692, 1987

자발성 두개 강내출혈의 전산화단층소견

조선대학교 의파대학 방사선과학교실

고승숙·김영숙·김영철

- Abstract -

Computed Tomographic Findings of Spontaneous Intracranial Hemorrhage

Seung Sook Ko, M.D., Young Sook Kim, M.D., Young Chul Kim, M.D.

Department of Radiologκ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Computed tomog때,y (0) was a 떼iable technique to evaluate the exact size and location 01 spontane

ous intracranial hemorrhage and to predict it's prognosis.

Filty-nine cases 01 spontaneous intracranial hemorrhage were evaluated and reviewed by CT scan.

The l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sex ratio 01 male to lemale was 1 to 1.4‘

The highest incidence was in 6th and 7th decades

2. The most common cause 01 spontaneous intracranial hemorrhage was hypertension (74.6%), lollowed

by the aneurysm (13.5%), a때riovenous mallormation (5.1 %), occ\ usive vascular disease (3 .4%), and blood

dyscrasia (3 .4%)

3. The most common location was basal ganglia and thalamic hemorrhage(37.3%), lollowed by '0bar hemor­

rhage (27.1%), cerebellar hemorrhage (13 .5%), and subarachnoid hemorrhage (11.9%)

4. Primary intraventricular hemorrhage carried the highest mortality

5. The larger volume 01 hematoma, the higher the mortality rate

I . 서 트르 」

자발성 두개강내출혈은 보펀적요로 발뱅이 급성적이

고 경파가 매우 빠르며 대부분에서 치영척이므로 응급

을요하는 질환이다.

전산화단층촬영기가 개딸되기 천에는 자딸성 우개강

내출혈의 진얀은 임상소견이냐 뇌혈판조영울/뱅l 서 뇌

혈판의 천위 및 무혈판영역에 의존하여 진단하였기에 특

히 소량의 출혈은 진단이 거의 불가능하였으며 비혈곡

성인 공간을 점유하는 마른 철환파 구옐이 어려웠다.

1972 년 천산화단충촬영기의 엄상적 유용성이 강조되

면서부터 자말성 두개강내출혈 환자에서 위험부담 없이

출혈의 발생부위, 혈종의 크기, 혈종주위의 부종 및 뇌

실내로 파급여 부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이 가능한

영상촬영엽으로 엄상자들의 치료방침의 결정 및 예후판

정의 지침우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저지는 자발성 두개강내출혈에서 천산화 단층촬

영상의 중요성 및 의의를 문현고철과 함께 보고하는 바

이 논운은 1987 년 8 월 17 일에 접수하여 1987 년 9 이다.

월 8 일에 채택되었읍.

- 685-

Page 2: 자발성 두개 강내출혈의 전산화단층소견 - KoreaMed › ... › 1016JKRS › jkrs-23-685.pdf · 2016-12-27 · - 685--:kr.U,(M짜책작'~1~ 誌 : iJí\ 23!{t 1:j}

-:kr.U,(M짜책작'~1~誌 : iJí\ 23!{t 1:j} 5 싸 1987

연령분포를 보연 50 대가 22 예로 가장 않았고 60 대

가 1 6 예. 40 대가 11 예의 순이었다.

40 대에서 60 대 사이 가 49 예로 전체의 83%를

지하였다.

성별 분포는 59예의 환자중 낭자가 25 예,여자가 34

예로 약 1 : 1 .4 의 닝l율로 여자에 서 더 많이 볼 수 있

었다 (Tab l e 1).

켜 i크

1. 연령 및 성별 분포

m 띠

Table 1. Age and Sex Distribution

Total

1

4

n

껑 m

4

1

Female

1

7

엽 n

2

Mele

1l

qJ

A9

Q“

다U

Under 30

31-40

41-50

51-60

61-70

71-80

Over 81

Age

본 조선대학교 부속병원에 서 1 986 년 6월부터 1987

년 7월까지 시행된 CT scan 중에 뇌혈판촬영숭이 냐

수숭로서 추석검사가 가능하였던 외상을 제외한 자말성

둔개강내출혈환자 59 예를 대상A로 이들의 연령 및 성

열 분포, 원인, 원인옐 연 령분포, 출혈부우l 멸 빈도, 출혈

부우1 와 원인과의 관계 , 출혈부우1 와 예후와의 판계, 혈종

의 크기와 예후와의 관계를 비교 관찰하였다.

예후는 3 부류 즉 의식이 양호하며 신경장애가 없거

나 약간 있는 경우 (group 1). 생존이 불확실하고 심한

전신적 혹은 국소석 신경정해 가 있는 경우 (group 2 ).

사망한 경우 (group 3)로 분류하였A며, 혈종의 크기측

정은 각 단연의 CT상 나타난 혈피의 연척을 측정하고

각 단연의 두께로 각각 곱한 것을 합계하여 용적을 계

산하는 방식1l과 E}원형 용척을 계산하는 방뱅 (V = 웅 XA x B x C cm 3 의 공식 y>이 있는데 저자는전자의 경

우로 측정하였마 (Fig . l) .

ll. 연구대상 및 방법

1

원인은 고혈앙성이 천체 59 예중 44예로 74.6%였

고, 이중 여자가 29 예로 고혈양성으로 인한 경우의 낭

녀비율은 1 : 1. 9 로 여자에서 않았다.

뇌동맥류파열은 8 예로 천체의 13 .5 %.뇌동정액기형

은 3 예로 5. 1 %. 폐쇄성 뇌혈관질환이 2 예로 3.4%.

혈액칠환도 2 예로 3.4%였마 (Tab l e 2) .

원인에 따른 연령분포를 보면 고혈압성의 경우에는 40

세 이$벼1 서 44 예중 41 예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뇌동맥류파열의 경우는 8 예중 4예가 50 대였고 폐쇄

성 뇌혈관질환은 2 예 전부가 40대였다 (Tab l e 3).

59

2 ‘ 원인별 운류

3 원인별 연령문포

34 25 Total

4. 출혈부위별 빈도

출혈부위는 시상부, 파악, 뇌기저핵부위에서 (Fi g. 2)

22 예로 전체의 37.3 %로 가장 많은 바율이었으며 , 대

686 -

Fig. 1. Measurement of hematoma size

본 영원에서 사용하는 CT는 HITACHI CT - W 500

형A로 scan 방법은 OM (orbitomeatal) line에 100~

1 5。정도 각도를 주어서 10mm slice thickness로 약

12 개 정도의 단층연을 냐누었고 scan time은 6.0초,

120 KV. 250 ~300 m A의 조건£로 촬영하였다.

Page 3: 자발성 두개 강내출혈의 전산화단층소견 - KoreaMed › ... › 1016JKRS › jkrs-23-685.pdf · 2016-12-27 · - 685--:kr.U,(M짜책작'~1~ 誌 : iJí\ 23!{t 1:j}

Etiology

Hypertension

Aneurysm

Arteriovenous malformation

Vascular occlusive disease

Blood dyscrasia

Total

-고송숙 외 • 자발성 두개강내 출혈의 전산화단층소견-

Table 2. Causes of Spontaneous lntracranial Hemorrhage

Male Female

15 29

4 4

3 0

1

2 0

25 34

No. of patients (%)

44 (74.6%)

8 (13.50/u l

3 (5.1 %)

2 (3.4%)

2 (3.4%)

59 (100.0%)

Table 3. Relationship of Age and Causes in Spontaneous lntracranial Hemorhage

Etiology Age Under 30 31-40 41-50 51-60 61-70 71-80 Over 81 Total

Hypertension 3 7 17 14 3 44

Aneurysm 1 4 2 8

Vascular occlusive disease 2

Arteriovenous malformation 1 3

Blood dyscrasia 1 2

Total 2 4 10 22 16 4 1 59

Fig. 2. Hemorrhage in left thalamic and basal ganglia with Fig. 3. Lobar hemorrhage in the right parietal region with small amount of surrounding edema. surrounding edema.

뇌엽출혈이 16 예로 27.1 % CFig. 3 ) , 소뇌출혈이 8 예 시상부, 펴막, 뇌기저핵부위의 출혈 22 예중 그곳에만

로 13.5 %, 지주악하출혈이 7 예로 11 .9 %CFig. 4), 국한된 경우가 8 예였으며 뇌실까지 파급된 경우 CFig.

뇌교출혈이 3 예호 5. 1 %CFig. 5) 였다 CTable 4). 6)는 14 예였다.

- 687-

Page 4: 자발성 두개 강내출혈의 전산화단층소견 - KoreaMed › ... › 1016JKRS › jkrs-23-685.pdf · 2016-12-27 · - 685--:kr.U,(M짜책작'~1~ 誌 : iJí\ 23!{t 1:j}

-大함放Mt;Çl염젠1'r감 ~23~ 핑 5 號 1987-

Fig. 4. Subarachnoid hemorrhage in basilar cisterns ex­tending into both sylvian fissure .

Fig. 5. Hemorrhage in the pons.

5. 출혈부위와 원인과의 관계

시상부와 피악, 뇌기저핵부위의 출혈에서는 22 예 중

고혈앙성 이 20 예 (91 %)로 대부분이었으며, 대뇌엽출혈

에서는 1 7예중 고혈압성이 10 예 (58 .8 %), 뇌동액류파

열이 3 예 (1 7.6%)의 순이었다.

뇌교출혈과 소뇌출혈에 서는 천부 고혈압성이었고, 지

주악하출혈은 6예중 4 예 (66.7 %) 가 뇌동맥 류 파열。1

Table 4. Locations of Spontaneous lntracranial

Hemorrhage

Sites No. of Patients (%)

Thalamus 9 (15.2Z%)

Basal ganglia 10 (17 .0%)

Internal capsule 3 (5 .1%)

Lobar 16 (27.1 %)

Pons 3 (5 .1 %)

Ventricle (primary) 2 (3 .4%)

Cerebellum 8 (13.5%)

Subarachnoid 7 (11.9%)

Subarachnoid + Ventricle 1 (1.7%)

Total 59 (100.0%)

Fig. 6. Hemorrhage in the left basal ganglill with rupture into the lateral ventricle

었냐.

고혈압성으로 인한 출혈환자 44 예중 20예 (45.5 % )

가 시상부와 파악, 뇌기저핵의 출혈로 가장 높은 비율이

었다 (Tab l e 5) .

6 . 출혈부위와 예후와의 관계

시상부와 파악, 뇌 기저핵출혈 22예중 13 예 (59.1 %)

에서 사망하였는데, 출혈이 피막, 시상부,뇌기저핵에 국

한된 경우는 8예중 2 예 (25 %), 뇌실까지 파급된 경우

는 14 예중 11 예 (78. 6%)에서 사망하였다.

- 688-

Page 5: 자발성 두개 강내출혈의 전산화단층소견 - KoreaMed › ... › 1016JKRS › jkrs-23-685.pdf · 2016-12-27 · - 685--:kr.U,(M짜책작'~1~ 誌 : iJí\ 23!{t 1:j}

-고송숙 외 : 자발성 두개강내 출혈의 전산화단층소견-

Table 5. Relationship of Locations and Causes in Spontaneous Intracranial Hemorrhage

Site Thalamus

Etiology Internal capsule Pons Lobar VentricJe Cerebellum Subarachnoid Total

Basal ganglia (primary)

Hypertension 20 3 10 2 8 1 44

Aneurysm 3 4 8

Arteriovenous 2 3

malformation

Vascular occJusive

disease 1 2

Blood dyscrasia 1 2

Total 22 3 17 3 8 6 59

Table 6. Location and Outcome of Spontaneous Intracranial Hemorrhage

Site No. of Patients

Thalamus , Basal ganglia

and/or In:ernal capsule 8

Thalamus, Basal ganglia

and/or Internal capsule + VentricJe 14

Lobar 16

Pons 3

VentricJe (only) 2

Cerebellum 8

VentricJe + Subrarachnoid 1

Subarachnoid 7

Group 1: Good recovery and moderately disabled. Group 2: Severly disable and vegetative. Group 3: Expired

대뇌엽출혈은 16예중 3 예(1 8 . 6 %)에서,원발성 뇌실

내출혈은 2 예 모우(1 00 %), 소뇌출혈응 8예중 2 예

(25 %), 뇌교출혈은 3 예중 2 예 (66.7%) , 지주악하출

혈은 7 예중 1 예(1 4 . 3 %)에서 사망하였마 (Table 1).

7. 헐종의 크기와 예후와의 관계

뇌실과 지주악하출혈을 제외한 뇌실질내출혈 44예에

서 혈종의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50 cc 이상 출혈한 12

예중 8 예 (66.7 %), 21~50 cc 출혈시는 1 4 예중 5예

(35.7 %), 20 cc 내의 출혈은 18 예중 4 예 (22.2 %)에

Outcome

Group 1 Group 2 Group 3

1 5 2

3 11

1 12 3

1 2

2

3 3 2

6

서 사망하였다 (Tab le 7).

lV. 고 안

자발생 두개강내출혈이란 외상으로 인한출혈을 제외

한 넓은 의마의 뇌출혈로 뇌내출혈과 지주익히출혈로분 류한다3)

두개캉내출혈은 임상증%에냐 뇌혈판촬영술등으로 진

단을 예측할 수 있으냐 천산화단층촬영기 가 임상에 도

입된 후 출혈의 위치, 정도, 예후측정 등의 형가가 훨씬

신속 정확하거l 되었다.

- 689-

Page 6: 자발성 두개 강내출혈의 전산화단층소견 - KoreaMed › ... › 1016JKRS › jkrs-23-685.pdf · 2016-12-27 · - 685--:kr.U,(M짜책작'~1~ 誌 : iJí\ 23!{t 1:j}

-人까Ul{~‘H~~',~~F}~ ~깐ι 짜23장 짜 5 짜 1987

Table 7. Size of hematoma and Outcome

Size Group 1

Under 10 cc 4

ll-20 cc 2

21-30 cc 2

31-40 cc

41-50 cc

Over 50 cc

Total 8

Hayward 등4)은 엄상증상을 무시하고라도 전산화단

층촬영£로 비외상성 뇌내출혈의 원인을 예견하는 것은

90%의 정확성이 있으며 또 임상증상이 놔내출혈이 의

성될 경우에 응급으로서 환자에 위헝부담강없이 뇌혈관

조영술전에 시행할 수 있는 중요한 구실을 한마고 했다.

두개 강내 출혈환자의 연령분포를 보연 40 대 이후에

Cuatico S )는 90 %. Kaneko 6 )는 92 %. Luessenh op71

는 75 %였는데 저자의 경우는 92%로 이들 보고와 1I]

슷한결과였다.

성별분포를 보연 남녀비율이 Cuatico5 )는 2.3 : 1.

Luessenhop7 )는 1. 5 : 1. Paillas 등8)은 2 : 1 로남자

에 흔하였으나 저자의 경우에는 1 : 4 로 여자가 더 않

았다.

원인을 보변 Kaneko 6 )는 고혈압성이 46%.뇌 동팩류

파열이 32 %. 뇌동정맥기 형 이 3%였고. Luessenhop71

는 혈관에 이상이 없는 경우가 50 %. 뇌동맥류 파열이

37 %. 뇌동정액기형이 10 %. 종양의 경우가 1. 5 % 였

으며 Paillas 등8)은 고혈압성 이 75%. 뇌동정액기형이

10 %. 원안을 알 수 없는 경우가 13 %였다.

또 Furlan9 )은 고혈앙성이 79 %.뇌동맥류파열이 11

%. 뇌동정액기 형 이 4 %. 혈액질환이 2 %의 순이었는

데 이는 자발성 두개 강내출혈의 가장 큰원인인 고혈압

을 마 리 효고}적 으로 치 료함A로써 두개 강내 출혈의 발생

반도를 줄일 수 있다고 하였다.

옥 10 )등은 고혈압성 이 63 %. 뇌동정 액기 형이 18 .5 % .

뇌동맥류파열이 9.8 % 순이었으며 서 11 )도 고혈앙성 이

42.7 %로 가장 않았다.

저자의 경우는 고혈압성이 74.6 %로 가장 않았고뇌

동맥류파열이 13.5 %. 뇌동정액기형이 5. 1 %의순으로

이들의 보고와 비슷한결과였다.

Outcome

Group2 Group 3 Total

3 2 9

5 2 9

4 3 9

3 4

1 l

4 8 12

19 17 44

뇌동액류는 천산화단층소견상 조영제를 주업천 뇌동

맥류내에 석회화냐 혈전을 보일 수 있고 조영제 투업후

는 경계가 잘 되고 짙은 둥근 종괴로서 보이는데 12) Bu

tzer등 1 3)은 작응 통액류나 뇌동정맥기형을 알기 위해

서는 천산화단층촬영술보마 뇌혈판촬영술이 좋다고 하

였으며 저자의 경우도 뇌동액류파열로 인한 출혈 8예중

전산화단층촬영솔로 뇌동맥류를 6예에서 찾을 수 있었

고 뇌혈관촬영술로는 8 예 천부헤서 확진할 수 있었다.

그러나 뇌출혈의 위치 정도를 알기 위해서는 천산화

단충촬영 이 좋마고 하였 다.

또 뇌동맥류파열시 지주되F하출혈, 뇌살내출혈, 뇌살정

내출혈 등에 있어서도 전산화단층촬영울에서 명확히 알

수있었다.

두개강내출혈의 원인에 짜른 호발연령을 보연 고혈압

두개캉내출혈에 서는 Cuatico5 )는 가장 호말연령이 %대,

서 11 )는 40세 이상이 98 % (50 대가 가장 호딸) 였으며

저자에서도 40세 이상이 93%로 이들파 비슷한 결과

였고, 뇌동액류파옐로 인한 출혈에서는 Pakari nen 14l은

50 대가 28 %. 40 대가 26 %. 60 대 가 16 %의 순이었

고 저자의 경우셰는 50 대가 50 %. 60 대가 25 %였다.

출혈부위를 보면 Paillas 8 )는 45%에서 대뇌엽출혈 ,

46 %에서 파각 파박 시상부출혈이었으며 Walshe1S) 는

피각이 55 %로 가장 않았고 시상부 소놔 대뇌 뇌교의

순이었마.

또 C rompton 1 6)은 사후소견에 서 뇌기저핵중 외피막

(50 %). 시상부 (18 %). 미상핵의 순이었으며 저지위 경

우 시상부와 펴악, 뇌기저핵부위가 37 .3 %로가장 않았

무며 대뇌엽출혈 소뇌 지주막하출혈의 순이었고 시상부

와 피막 뇌기저핵중에서는 펴각출혈 (37 %).시 상부출혈 ,

피막출혈의 순이었다

- 690

Page 7: 자발성 두개 강내출혈의 전산화단층소견 - KoreaMed › ... › 1016JKRS › jkrs-23-685.pdf · 2016-12-27 · - 685--:kr.U,(M짜책작'~1~ 誌 : iJí\ 23!{t 1:j}

-고승숙 외 자발성 두개강내 출혈의 전산화단층소견

S cott 17)는 시상부출혈 6 예중 5 예에서 동측 뇌실내

출혈이 동반되었고 파각출혈 6예중 2 예가 측두엽까지

파급되었지만 뇌살내출혈은 동반되지 않았는데 저지에

서는 시상부출혈 9 예좋 7예에서 뇌실로 파급되었고,

파각출혈 10예중 6 예에서 측두엽으로.3예에서 뇌실로

파급되였다.

Hayward 등4)은 천산화단충촬영요로 뇌동맥 류의 위

치을 분류하였는데 전뇌동액류의 경우는 정확성이 100

%였다.

출혈부위 와 원인과의 관계를 보연 Weisbergl8 )는 지

주악하출혈의 50 %는 뇌동액류에 의한 것이었고 시상

부와 놔기저핵출혈의 81 %가 고혈압성이었고 대뇌엽출

혈도 원안중 고혈압성 이 18 %로 가장 높은 비율이었다.

저자의 경우는 파악과 시상부, 뇌기저핵출혈의 91 %.

대뇌엽출혈의 58.8 %가 고혈압성이었으며, 지주악하출

혈은 66.7 %가 뇌동맥류파옐로 이들파 바슷하였다.

뇌실내출혈을 보연 원발성의 경우 Butler l9 )는 뇌동

정액기형, 뇌동액류, 종양에서 기인한마고 하였£냐 저

자에 있어서는 뇌동액류파열파 고혈앙성이었으며 , 이차

성 뇌실내출혈응 거 의가 고혈압성이었다.

고혈압환자에서 두개장내출혈의 호말부위는뇌기저핵

이며 20) 기천은 고혈압이 지속시에 퇴행성 변화로 뇌내

동액의 벽에 섬유소같은 물질이 침윤하고 마세동맥류를

형성하여 이 동맥류파열로 출혈이 일어 냐며 이 변화는

중뇌동액의 분지인 le nticul ostriate a rtery 에 잘 침

범하므로 뇌기저핵에 호발한다고 한마2시

자발성 두개강내출렬의 발생부위 역시 예후에 밀접한

영향을 주는 요소로써 Luessenhop7 )는 다l 뇌 엽보다 뇌

기저핵부위의 출혈이 예후가 좋지 않음을 보고하였는데

이는 뇌실내로의 파급효과와 뇌간압빅」증상이 마른 부위

와는 달리 빨리 병딸함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마.

저자의 경우 원발성 뇌실내출혈이 가장 예후가 좋지

않았고 그 마음3로 시상부와 뇌기저핵출혈이 뇌실까지

파급된 경우였다.

혈종의 크기와 예후와의 관계를 보연 Cuati co ó)는 혈

종이 클 때 예 후가 불량하다고 했으며 Walshe 1ó) 는 시

상출혈시 3.3 cm보마 클 얘 모두 사망하였고. 2.7 cm

보마 석을 얘 모두 살 수 있었마고 했는데 저자외 경우

에서도 대체적으로 혈종의 크기가 클 때 예후가나쁜 것

을 볼 수있었다.

V. 결 론

자발성 두개강내출혈에서 천산화단층촬영상은 출혈의

말생부위 및 놔실내로의 파급여부 혈종의 크기을 정확

히 판벨할 수 있었고 예후추정도 가능하였다.

A. 연령 및 성옐분포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 않았고

50 대와 60 대에서 호말하였다.

B. 출혈원인무로는 고혈압성。 1 74.6 %로 가장 않았

고 뇌동액류파열 , 뇌동정액기형 , 폐쇄성 뇌혈판질환, 혈

액질환의 순이었다.

C. 출혈원인옐 연령분포는 고혈압성 출혈의 경우 대 부분이 40세 이상이었고, 뇌동맥류파열의 경우는 50 대

가 타연령군에 비해 않았고 폐쇄성 뇌혈관질환은 40 대

에서 호말하였 다.

D. 출혈부위와 빈도는 시상부와 피막, 뇌기저핵부우l

의 출혈이 가장 않았고 마음은 대뇌 엽출혈。1 었 다.

E. 출혈부위와 원인피외 판계는 고헬압성이 시상부

와파악뇌기저핵부위에 가장 않았으여 대뇌엽,소뇌,뇌

교의 순이었 마.

F. 출혈부위와 예후와외 판계는 원발성 뇌실내출혈

이 가장 예후가 좋지 않았고 시상부와 피 막 뇌기저핵부

위의 출혈이 놔실까지 파급된 경우에도 예후가 좋지 않

았마.

G. 혈종의 크기와 예후와의 관계는 혈종의 크기가 클

예 예후가 좋지 않았마.

REFERENCES

1 서정호 : 고혈압성 뇌출혈의 방사선학적 진단. 대한

신경외과학회지 제 12 권 제 1 호 : 7-15.1985.

2. Miu ra N, Nakanara A, Kagawa M et al: A Study of hyperten

sive intracranial hemorrhage (11) ’ Sequential CT examina

tion and classification. Neurological surg 6:635-645, 7978

3. Bag!ey CJ: Spontaneous cerebral hemorrhage; Discussioh

of four types, with surgical consideration. Arch Neurol

Psychiatry 27:7733-7774, 7932

4. Hayward RD, 0 Reill y GVA: Intracerebral hemorrhage

Lancet 7:7, }an. 7976

5. Cuatico W, Adib S, Gaston P: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atomas. } Neurosu땅 22:569-575, 7965

6. Kaneko M, Kaba T, Yokoyama T: Early surgical treatment

- 691 -

Page 8: 자발성 두개 강내출혈의 전산화단층소견 - KoreaMed › ... › 1016JKRS › jkrs-23-685.pdf · 2016-12-27 · - 685--:kr.U,(M짜책작'~1~ 誌 : iJí\ 23!{t 1:j}

-人짜}j!<:q、H~l펙f}~{~ ,나‘ ’ 찌23장 찌 5 싸 1987-

for hypertensive intracerebral hemorrhage. J Neurosurg primary subarachnoid haemorrhage‘ A study based on 589

46:579-583, 197 cases diagnosed in a defined urbran popll/ation during a

7. Luessenhop Aj, Shevlin WA, Ferrero AA, McCullough DC, defined period. Acta Neurol Scand 29:1-128, 1967

Barone BM: Surgical management of primary intracerbral 15. Walshe TM, Davis KR, Fisher CM: Thalamic hemorrhage

hemorrhage. J Neurosurg 27:419-427, 1967 A computed tomographic clinical correlation. Neurology

8. Paillas jE, All iez B: Surgical treatment of spontaneous in- 27:217-222, 1977

tracerebral hemorrhage. J Nellrosurg 39:145-151, 1973 16. Crompton MR: J Neurol Neurosurg Psychiat 25:378, 1962

9. Furlan Aj, Whisnant JP, Elveback LR: The decreasing in- 17. Scott WR, New PFj, Oavis KR, Schnur jA: Computerized

cidence of primary intracerebral hemorrhage; A popula- axial tomography of intracerebral and intra ventricular

tion study. Ann Nellrol 5:367-3737, 1979 hemorrhage. Radiology 112:73-79, 1974

11 옥일석, 김현집, 조영규, 섬보성 :CT로확안된 원발 18. Weisberg LA: Compllted tomography in intracerebral

성 뇌실질내 혈종에 대한 연구. 대한신경외과학회지 hemorrhage. Arch Neurol 36:422-426, 1979

제 1 2 권 제 3 호 : 381 -389 . 1983. 19. Butler AB, Partain RA, Netsky MG: Primary intrventricular

10. 서정호 자말성 두개강내출혈의 computed tom o- hemorrhage: A mild and remediable Form. Neurology

gram에 의 한 방사선학적 고찰. 대 한방사선의학회 22:675-687, 1972

지 제 15 권 제 1 호 : 7 -1 5. 1979. 20. Dolinska CA, Bilaniuk LT, Zimmerman RA, Kahl DE: Com

12. Weisberg LA: CT in the evaluation of intracranial puterized tomography of intracerebral hematomas;

aneurysms. Neurology 28:361-369, 1978 Transmission CTobservation on hematoma resolution. Am

13. Butzer jF, Cancilla PA, Cornel l SH: Computerized axial J Roentgenol 129:691-688, 1977

tomography of intracerebral hematoma. Arch Neurol 21. Charcot jM, Bouchard C: Nuovelle recherches sur la

33:206-210, 1976 pathogenie de rhemorrhagic cerebale Arch Physiol (Pa ris)

14. Pakarinen S: Incidence, aetriologκ and prognosis of 1:110, 643-725, 1869

- 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