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180
정책연구보고서 동북아 에너지협력 연구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2006. 11 연구책임자: 이성규

Upload: others

Post on 17-Nov-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정 책 연 구 보 고 서

동북아 에 지 력 연구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 략 연구

2006. 11

연구책임자: 이성규

Page 2: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 총 책임자 : 에 지경제연구원장

□ 연구책임자 : 이성규 책임연구원

□ 원내참여자 : 노남진 연구원

이경화 연구원

이승희 연구원

제 출 문

산업자원부 장 귀하

본 보고서를 정책연구과제『동북아 에 지 력 연구』 세부 과제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 략 연구”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6년 5월

에 지경제연구원장

<참여 연구진>

Page 3: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요 약 1

요 약

제1장 서 론

○ 동북아 에 지 력 사업은 석유, 가스, 석탄 등 주요 에 지원의 상

류부문과 이들 자원을 한국으로 도입하는 데에만 집 되어 있음. 그

러나 러시아 정부는 최근 들어 원유・가스 등 천연자원을 단순히 채

굴해서 이를 수출하는 데에서 이들 자원을 가공하여 더 높은 부가가

치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환하고 있음.

○ 그동안 오랜 투자부진으로 인해서 러시아 정제시설들은 상당히 노후

화되어 있으며, 경질 석유제품 생산의 생산 비 도 상당히 낮은 편임.

이에 따라 러시아 정유기업들은 과잉 생산된 유를 싼 가격에 CIS

와 유럽지역에 수출하고, 국내 필요한 고품질 석유제품을 해외에서

수입해야 했었음.

○ 1999년 이후부터 고유가로 인해 투자여건이 크게 개선되면서 러시아

정제부문에 한 규모 투자 사업이 계획・추진되기 시작하 음.

○ 러시아 동시베리아・극동지역을 사업거 으로 두고 있는 로스네 츠

는 국 석유제품 시장 진출을 겨냥해서 러시아 극동지역에 자사 정

제시설을 크게 확충하는 투자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 정유기업들에 의해서 추진되고 있는 시

설 화 고도화 사업에 한국기업들의 진출방안과 로스네 츠의

극동지역 정제능력 증 에 따른 동북아 석유제품 시장에 미치는

향을 분석함.

Page 4: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2

제2장 러시아 정유산업 황 망

○ 러시아 석유 정제능력은 2005년 재 5.4백만 b/d로 미국(17.3백만

b/d, 세계 정제능력의 20.2%), 국(6.6백만 b/d, 7.7%)에 이어 3

를 차지하고 있음.

○ 러시아 정제능력은 2000년까지 격하게 감소하다가 그 이후부터 서

서히 증 되고 있는 추세임. 1990년 정제능력의 주요 감소 원인은

경기침체에 따른 정유기업들의 투자부진과 러시아 국내의 석유제품

에 한 수요 감소에 있었음.

○ 러시아 정유공장은 내륙지역에 치해 있는 계로 생산된 석유제품

을 소비지까지 수송하는데 상당한 수송비용을 지불하고 있음. 이런

이유로 인해서 러시아 석유제품은 그동안 가격과 품질면에서 해외시

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지 못했음.

- 시설 노후화 정도가 심각하고, 환경부문에 한 시설투자가 제 로

이루어지지 않아 유럽시장에 맞는 친환경 고품질 석유제품을 생

산・수출할 수 없었음.

- 고도화 사업도 제 로 이루어지지 않아 1차 정제과정에서 생산된 다

량의 잉여 유를 아주 싼 가격에 해외로 수출할 수밖에 없었음.

○ 1999년 이후 러시아 경제가 회복되면서 석유제품에 한 수요가 증

되고, 기업들의 투자가 활기를 띠면서 정제량과 석유제품 생산량도

증가하기 시작했음.

- 유럽시장과 국시장을 겨냥해서 러시아 국경지역과 수출터미 인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매입, 그리고 고도화 사업 등이 추진

○ 러시아 정제량은 2020년까지 완만하게 증 되고, 고품질 경질 석유제

품 생산은 비교 빠르게 증 될 것으로 망됨.

Page 5: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요 약 3

○ 석유제품의 외 수출은 장기 으로 정체 내지는 감소할 것으로

상됨. 이는 러시아 국내 석유제품에 한 수요가 소득수 향상으로

빠르게 증 되어 국내 생산량의 부분이 국내시장에 공 되어야 하

기 때문임.

○ 루크오일, 로스네 츠, TNK-BP, 가즈 롬 네 츠, 유코스, 수르구트네

츠가스, 슬라 네 츠, 타트네 츠 등 러시아 수직통합형 석유기업

들은 러시아 체 정제량의 71.6%를 차지

- 루크오일과 유코스가 러시아 체 정제량의 34.4%를 차지하고 있으

며, 이들 기업들의 정제량 증가 속도가 러시아 체 증가율보다 높

은 편임.

○ 정제능력을 기 으로 정제능력이 15백만 톤 이상인 형 정유공장은

옴스크(가즈 롬 네 츠), 앙가르크(유코스), 키리쉬(수르구트네 츠가

스), 랴잔(TNK-BP), 니제고로드(루크오일) 등임.

○ 러시아 정유소들은 다음과 같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음.

- 원유를 원활하게 공 받기 해 서시베리아 유 지 와 인 해 있으

면서 원유 이 라인이 통과하는 지역

- 석유제품에 한 수요가 높은 도시 주변지역

- 생산된 석유제품을 원활하게 수송할 수 있는 철도, 원유제품 이

라인, 내륙수로 등의 수송인 라 시설이 발달된 지역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과 석유제품 수송기업

1. 정유기업 황

○ 2004년 말 재 루크오일의 정제능력은 연간 41.8백만 톤(약 306백만

배럴)으로 러시아 체 정제능력에서 15.4% 차지하며, 거의 모든 석

Page 6: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4

유제품 생산에서 러시아내에서 우 를 차지하고 있음.

- 주요 정유기업은 Nizegorod, Perm, Volgograd, Ukhta, Burgas(불가

리아), Odessa(우크라이나) 등임

- Volgograd 정유소는 1994년부터 고도화 시설을 건설하기 시작하

고, 이후에도 계속된 투자로 고품질 경질 석유제품 생산 비 이 높

은 편임.

- Perm 정유소는 1993-1998년 동안 인 개보수 고도화 사업

을 실행

- Nizenovgorod 정유소와 Ukhta 정유소는 2001년부터 정제시설 확충

고도화 사업 추진

○ 로스네 츠는 정제량 규모에 있어서 하 권에 머물러 있지만, 유럽,

CIS, 아・태시장에 석유제품을 수출할 수 있는 좋은 지리 이 을 갖

고 있음.

- 흑해지역에 있는 투아 세 정유소는 인근에 수출터미 을 이용해 구

소련, 동유럽, 서유럽 지역으로 석유제품 수출

- 극동지역내 콤소몰스크 정유소는 태평양 연안 De-kastri수출터미 과

Nakhodka터미 을 통해 국을 비롯한 아・태지역으로 석유제품 수

- 석유제품 수출 증 를 해 콤소몰스크 정유소와 투아 세 정유소에

인 투자사업을 개 임.

○ 유코스는 최근 ‘유코스 사태’로 회사 존립 자체가 불안정 상황에서도

러시아 국내 석유제품시장의 16%를 유, 루크오일에 이어 2 를 차

지하고 있음. 그러나 유코스의 주요 정제자산은 로스네 츠에 매각될

것으로 러시아 국내외 문가들은 보고 있음.

- 6개의 정유소를 소유하고 있는데 Syzran, Novokuibyshev, Samarsk,

Achinsk, Angarsk, Mazeikiu Nafta(리투아니아) 등임.

Page 7: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요 약 5

- 유코스는 경쟁기업인 루크오일에 비해 가솔린, 경유, 유 등을 더

많이 생산하고 있으나, 항공유는 그 지 못함.

○ 가즈 롬 네 츠는 모스크바, 옴스크, 야로슬라블 등의 정유공장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 3개의 정유공장에서 2003년에 약 1,800만 톤의

석유제품을 생산

- 생산된 원유의 38-40%, 정제된 석유제품의 20-25%를 각각 해외로 수

- 서시베리아 지역에 있는 옴스크 정유소는 러시아내에서 최 의 정제

능력을 갖고 있음. 2000년 이후 계속된 화 사업으로 재 러시

아내에서 가장 기술 으로 앞서 있는 정유공장 에 하나임.

- 가즈 롬 네 츠는 옴스크정유소에 2012년까지 총 850백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임.

○ 수르구트네 츠가스는 키리쉬 정유소를 소유하고 있음. 발틱해 수출

항과 인 해 있어 여기서 생산된 석유제품의 부분은 유럽과 구소

련지역으로 수출

- 유럽시장에 한 석유제품 수출 증 를 해 고품질, 친환경 석유제

품 생산을 해 시설 화 고도화 사업 추진

- 투자 로젝트인 '2004~2008년 단기 석유제품 품질 개선을 한 투

자‘ 사업이 진행 임.

○ TNK-BP는 재 러시아내에 5개, 우크라이나 1개 등 총 6개의 정유소

를 소유하고 있음.

- 러시아내 정유소는 랴잔(RNPK), 사라토 (SNPZ), 니즈네바르토 스

크(NNPO), 크라스노 닌스크(KNPZ), 오르스크(ONOS)이고, 우크라

이나내 정유소는 LINOS임.

- 이들 정유소는 모두 우랄 산맥 서쪽지역의 도시인 모스크바시와

유 지역인 서시베리아지역에 인 해 있음.

Page 8: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6

- 석유제품별 생산 비 은 러시아 다른 정유기업과 마찬가지로 유와

경유 비 이 상 으로 높은 편임.

- 재 TNK-BP 산하 정유기업들은 BP의 지원하에 유럽기 에 합한

석유제품을 생산하기 한 시설 화와 고도화 투자사업을 추진

○ 슬라 네 츠는 재 가즈 롬 네 츠와 TNK-BP에 의해 공동 운

되고 있음.

- 석유・가스 매장지와 매망은 가즈 롬 네 츠와 TNK-BP에 의해

분할되고, 정유소는 양사에 의해서 공동 운

- 야로슬라 정유소는 인 규모 정유소이며, 철도, 도로, 이

라인 등 수송인 라 시설이 발달되어 있으며, 배후지역에 규모

석유제품 소비지를 갖고 있음.

○ 타트네 츠는 NizhneKamsk 정유소를 갖고 있음. 니즈네캄스크 정유

소는 고유황 원유를 정제해야 되기 때문에 탈황시설을 갖추고 있음.

- 시설 화 고도화 사업이 외국기업과 기술에 의해 2005년부터

2010년까지 3단계에 걸쳐서 추진되고 있음.

2. 석유제품 수송기업: ‘Transnefteproduct'

○ Transnefteproduct은 러시아내에서 석유제품 이 라인 수송망을 건

설・운 ・ 리하는 국 기업이며,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음.

- 석유제품 수송 리 조정, 석유제품 이 라인 기업들의 생산

잠재력, 과학기술 ・경제 잠재력의 통합과 조정, 석유제품 이

라인 간선망 구축, 석유제품 이 라인 수송 인 라 통신 시스

템 구축과 련된 투자, 외국기업과의 외 력 등임.

○ 재 국 인 석유제품 수송시스템 구축, 석유제품 수송에 있어 철

도 보다 높은 경쟁력 확보, 수출용 석유제품 이 라인 신규 건설과

기존 노후설비 교체 화 사업, 그리고 이를 한 투자재원 마

Page 9: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요 약 7

련 등이 안과제로 되어 있음.

○ Transnefteproduct은 러시아 연방 요 청(FTS)에서 규정한 한도내에

서 석유제품 수송 이 라인 노선별 수송요 을 책정하고 있음.

○ Transnefteproduct 석유제품 이 라인은 주로 서시베리아지역 서쪽

에 치해 있는 인구 집 도시를 통과하고 있음.

- 간선 이 라인에서 최종 소비지까지 용이하게 수송하기 해 기존

철도망 도로망과 인 해서 이 라인이 건설되어 있음.

- 러시아내 도시 주변에 있는 규모 정유기업들과 연결되어 있음.

- 동시베리아・극동지역에는 석유제품 이 라인 간선 노선이 없음.

○ 유럽과 CIS지역으로 석유제품을 수출하기 한 수출용 이 라인

노선이 존재하고 있음

- 발틱해 연안에 수출터미 과 러시아 부와 북부지역내 정유소들을

연결하는 석유제품 이 라인: 상트 페테르부르그항, Ventspils(라트

비아)

- 흑해 연안에 수출터미 과 러시아 남부 우랄-볼가지역내 정유소

들을 연결하는 석유제품 이 라인: Novorossisk

- 러시아 시베리아지역과 부지역내 정유소에서 헝가리까지 연결하는

석유제품 이 라인

○ Transnefteproduct산하 이 라인 수송 업무를 담당하는 8개 자회사

들은 각자 기업에게 맡겨진 지역에서 업무 수행

- Mostransnefteproduct, Peterburgtransnefteproduct,

Ryazantransnefteproduct, Sibtransnefteproduct, Sredne-Volzhsky

Transnefteproduct, Uraltransnefteproduct, Yugo-Zapad

Transnefteproduct, Severo-Kavkazsky Transnefteproduct

- 석유제품 이 라인의 신규 건설・확장 로젝트로는 다음과 같음.

Page 10: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8

․ Kstovo-Yaroslavl-Kirishi-Primorsk (‘Sever’ project)구간

․ Nikolskoye-Stalnoy Kon-8H (Tambov-Orel-Uniecha) 구간

․ Andreyevka-Cherkassy(Ufa)-Subkhankulovo-Almetyevsk-Kstovo

구간

․ Syzran-Saratov-Volgograd-Novorossiysk (‘Yug’ Project) 구간

3. 철도를 통한 석유제품 수송

○ 원유와 석유제품의 경우 철도 수송량은 2003년에 년 비 15.6% 증

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 2004년 철도에 의한 러시아 체 화물수송량 에서 석유(원유

석유제품) 화물이 차지하는 비 은 17.2% 음. 이 비 은 1990년에

11.5%, 1995년 14.6%에 불과했지만 1999년 이후 고유가 상황에서 계

속 증 되는 추세에 있음.

- 석유제품 이 라인 노선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정유소들은 생산된

석유제품을 주로 철도를 통해서 수송하고 있음.

- 루크오일 산하 정유사의 경우 생산된 석유제품의 반 이상을 철도

를 통해서 수송하고 있음.

- 체 으로 정제능력이 큰 정유소들은 원유 이 라인 노선과 석유

제품 이 라인 노선 그리고 철도노선이 모두 연결되어 있는 지역

에 치하고 있음.

- 이들 정유소들은 원유 이 라인을 통해 원유를 공 받고, 생산된

석유제품 60~70%를 철도를 통해서, 20~25%정도를 석유제품

이 라인을 통해서 수송하고 있음.

제4장 러시아 정유산업 발 략

Page 11: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요 약 9

1. 러시아 정부의 발 정책

○ 러시아 정부의 정유산업 정책은 지 까지 국내 석유제품 수 안정

화에 집 되어 왔음.

- 러시아 정부는 석유제품을 비롯한 기 필수 품목에 해 수출 허

가・할당제와 수출세 도입

- 이외에도 국가안보 국민경제에 요하다고 인식되는 물품을 국가

략물자로 규정하여 이들 상품에 한 수출입을 규제하는 제도를

도입했으며, 석유제품도 략물자로 분류되어 있음.

○ 진 인 시장개 을 추진하 던 러시아 친 정부는 1994년에 IMF

의 권고를 받아 들여 석유제품에 한 자유화를 추진했음.

- 그러나 1998년 융 기를 겪는 과정에서 러시아 정부는 1990년

반에 폐지되었던 각종 규제제도를 다시 부활

○ 러시아 정부는 1992년 진 인 가격자유화 조치를 실시하 고, 이

과정에서 석유제품도 국내시장에서 자유화되었음.

- 석유제품 가격은 석유제품 공 업자와 매업자간에 거래를 통해서

결정

- 석유제품에 한 품질 규격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지역에 따라 석유

제품 품질에 따라 심한 가격차이를 보 음.

- 러시아 정유소들은 원유의 러시아 국내외 가격차이로 인해서 원유

정제마진을 크게 얻을 수 있었음. 물론 정제마진의 상당부분은 세

부과를 통해 재정수입으로 귀속되었음.

- 러시아 정유사들은 정부에 해 국내 석유제품 가격을 해외시장 수

으로 인상해 것을 계속 요구하고 있음. 그러나 러시아 정부는

인 압력, 제조업체들의 생산비용 상승, 교통수단의 운송요 인

상 등의 이유를 들어 정유사들의 가격인상 요구를 들어주지 않고 있

Page 12: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0

음.

○ 러시아 정부는 정유산업 발 을 한 다음과 같은 투자 진책을

장기 으로 도입할 계획으로 있음.

- 정유사들의 정제시설 화, 시설 확충, 고도화 시설 도입 등에 투

자되는 비용에 해 세제혜택 부여

- 장기 으로는 정유사들에 한 과 한 조세부담을 덜어 주기 해

석유제품에 부과되는 세 을 이거나 세율을 인하

- 러시아 정유사들이 러시아 국내 해외 융・자본시장에서 투자자

을 원활하게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책 마련. 를 들면, 국 은행

들에 의한 신용제공, 해외신용 도입시 일정자 에 해 정부보증 제

공 등

○ 러시아 정부는 우선 으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석유제품의 품질을 표

화・규격화시키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음.

- 질의 석유제품이 국내시장에 유통되기 때문에 운송수단과 산업용

기계의 수명이 짧아지고, 심각한 기 오염 상도 나타나고 있음.

- 한 정유소마다 석유제품의 품질이 상이하기 때문에 동일한 석유제

품에 해 정유소마다 각기 상이한 가격이 책정

○ 석유제품 수송인 라 시설을 화하고 확충하는 정부 투자사업을

활발히 추진

2. 정유기업들의 투자 략

○ 석유제품 가격도 원유가격과 마찬가지로 상승하는 추세에 있다면, 석

유기업들은 상류부문과 하류부문 가운데 어떤 부문에 한 투자를

더 으로 할 것인지 선택을 해야 할 것임.

- ‘원유수출지향형’ 략을 취할 경우 상류부문에 한 투자를 우선시

Page 13: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요 약 11

할 것이고, 반면에 ‘국내시장 지향형’ 는 ‘석유제품 수출지향형’

략을 선택하게 되면 하류부문에 한 투자를 우선시할 것임.

○ 러시아 수직통합형 석유기업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하류부문보다는

상류부문에 투자를 집 시키고 있음.

- 정제부문의 투자는 1998년 이후부터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

며, 이러한 증가세가 완만하지만 계속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음.

○ 러시아 정제부문에 한 이러한 투자 증 추세는 석유제품에 한

러시아 국내 해외 시장에서의 빠른 수요 증가와 가격상승에 기인

- 특히 러시아 국내 자동차에 한 빠른 수요 증가세를 감안하여 투자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음.

- 러시아 정부도 국내 석유제품 시장의 수 불안정 상황을 염려하여

정유사들의 정제능력 증 를 한 투자를 장려하고 있음.

○ 러시아 정유사들은 석유제품 수요 증 , 환경규제 강화, 운송수단의

고 화, 석유제품 수송요 인상 등에 비해서 다음과 같은 투자 사

업을 계획・추진하고 있음.

- 증류시설 증설에 따른 정제능력 증 , 설비 가동률 향상, 시설

화, 경질 석유제품 생산 증 를 한 고도화 시설 건설, 친환경 고품

질 석유제품 생산시설 건설

- 석유제품 수송단가를 낮추기 해 고효율 인 간규모의 정유공장

을 석유제품 소비지와 가까운 지역에 건설

- 한 석유제품 수출시 수송단가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 해

수출터미 부근에 정유공장을 건설하거나, 주요 해외 수출지역 인

근에 해외 정유공장을 매입

○ 재 미국계, 유럽계, 그리고 일본과 한국의 랜트 건설 기업과 서비

스 제공 기업들은 러시아 정유사들의 투자사업의 부분에 참여하고

Page 14: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2

있으며, 외국기업들간에 치열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음.

3. 동시베리아・극동지역 정유산업 발 략

○ 동시베리아・극동지역에는 총 4개의 정유공장(앙가르스크, 아친스크,

콤소몰스크, 하바로 스크 등)이 있으며, 이들 정유소들의 총 정제능

력은 3,630.0만 톤으로 러시아 체에서 13.2%를 차지함.

○ 한편, 콤소몰스크 정유소를 소유하고 있는 로스네 츠는 동 지역내

다른 정유공장들을 매입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음. 만약 로스네 츠가

동 지역내 유코스 산하 2개의 정유소들을 매입하게 된다면, 동 지역

내에서 로스네 츠의 정제능력은 3,160만 톤으로 증 되게 됨.

○ 동시베리아・극동지역은 러시아내 다른 지역에 비해서 원유 이 라

인, 석유제품 이 라인, 그리고 철도 등의 수송시설 발달이 가장 부

진한 지역임. 따라서 동 지역의 정유산업을 발달시키기 해서는 무

엇보다 이러한 수송시설을 신규 건설하고, 확충하는 사업이 요구되고

있음.

- 먼 동 지역내에는 시베리아횡단노선(일명 ‘TSR')과 BAM노선 등 2

개의 철도노선이 있음.

- 동시베리아지역내에 있는 앙가르스크 정유소와 아친스크 정유소는

서시베리아지역 유 지역과 연결되는 원유 이 라인이 통과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 원유를 공 받고 있음.

- 극동지역에 있는 콤소몰스크 정유소와 하바로 스크 정유소는 아직

까지 동・서 시베리아지역내 유 지역과 연결되는 원유 이 라인이

없기 때문에 원유 공 을 사할린지역에서 받고 있음. 이들 정유소와

사할린지역과는 원유 이 라인이 연결되어 있음.

- 재 콤소몰스크정유소에서 태평양 연안 수출터미 인 De-Kastri까

지 연결되는 석유제품 이 라인 노선 건설이 추진되고 있음. 동

Page 15: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요 약 13

노선은 해외로 수출되는 석유제품을 수출터미 로 수송하는 역할을

담당할 것임.

○ 동시베리아・극동지역내 정유공장에서 계획・추진되고 있는 투자사업

은 정제능력 증 , 경질 석유제품 생산 증 , 아・태지역 수출을

한 친환경 고품질 석유제품 생산 등의 목 을 달성하기 해서 이루

어지고 있음.

- 주요 투자 상은 증류시설, 탈황시설, 고도화 시설 등의 건설이며,

이들 사업도 부분 외국기업의 시설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음.

○ 로스네 츠는 ・장기 으로 동시베리아・극동지역내 정유시설을 이

용해 성장하고 있는 국과 인도 석유제품 시장에 진출하려고 함.

- 이를 해 자사 소유의 콤소몰스크 정유소의 화 고도화 사업

- 유코스 산하 아친스크 정유소와 앙가르스크 정유소의 매입

- 국기업 CNPC와 합작하여 러- 국경에 정유공장 건설과 국 석

유제품 매시장에 공동 진출

- 극동지역 태평양 연안 코즈미노 원유수출터미 부근에 정유공장 건

- 극동지역내 석유제품 수출용 수송인 라 시설 매입 확장 등

제5장 결 론

○ 2000년에 들어서 활기를 띠기 시작한 러시아 정유기업들의 정제시설

화 고도화 투자 사업은 앞으로도 계속 추진될 것으로 상됨.

- 해외시장은 물론 러시아 국내시장에서도 경질 석유제품에 한 수요

가 빠른 속도로 증

- 러시아 정부와 정유소들의 모기업인 러시아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들

Page 16: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4

은 원유나 유 수출보다는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경질 석유

제품 수출에 을 두는 략으로 환하고 있음.

- 한 러시아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들은 메이 석유기업들과 마찬가

지로 상류부문과 하류부문 모두에서 수출경쟁력을 확보하려고 함.

- 특히 세계 인 메이 기업으로의 성장을 경 목표로 삼고 있는 루

크오일과 로스네 츠는 정유부문에 한 투자에 매우 극 임.

- 러시아 동시베리아・극동지역에 정유공장 거 을 두고 있는 로스네

츠는 국 석유제품 시장을 겨냥해서 규모 투자사업을 계획・추진

하고 있음.

○ 이에 정제시설 건설 서비스 기업, 그리고 정제과정에 사용되는 각

종 첨가제, 매제 등을 생산하는 한국 기업들은 지 과 같은 러

시아 정제시설・서비스 시장 진출 호기를 극 으로 활용해야 할 것

임.

- 러시아 국내 정제시설・서비스 기업들은 아직 세계 인 경쟁력을 갖

추지 못하고 있음.

- 아직까지 러시아 정부도 이들 자국기업을 보호하려는 정책을 추진하

지 않고 있음.

○ 러시아 동시베리아・극동지역의 석유제품 시장은 상당히 소규모이며,

넓은 지역에 걸쳐 떨어져 있음. 따라서 이들 지역에 한 한국 석유

제품 매는 규모 으로 이루어지기 어렵고, 매비용도 상 으

로 많이 들 것임.

- 러시아 유 생산은 과잉 공 상태에 있고, 한 재 러시아 기업

들에 의해서 추진되고 있는 투자 사업이 완료되면 지역내 시장은 물

론 국 동북부지역에까지도 경질 석유제품을 수출할 수 있는 능력

을 갖추게 될 것임.

○ 로스네 츠의 정제시설 확충 사업이 완성되면 한국 기업들은 국

Page 17: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요 약 15

동북부 석유제품 시장을 두고 국기업은 물론이고 메이 석유기업,

일본기업, 그리고 로스네 츠와도 치열한 경쟁을 해야 될 것임.

- 로스네 츠는 이미 국 기업들과 략 제휴를 맺어 국 석유제

품 시장 진출을 한 기반을 마련한 상태임.

○ 러시아 동부지역내 원유 부존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로스네 츠는

국을 비롯한 동북아지역에 원유공 신 석유제품 공 을 극

으로 추진하려고 할 수도 있음.

○ 이에 한국 정유사들은 로스네 츠와 국 동북부 시장을 두고 경쟁

계로 있는 것보다 력 계로 있는 것이 더 효과 일 것으로 사료

됨.

Page 18: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Summary 1

Summary

I. Introduction

○ Northeast energy cooperation projects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upstream sector of main energy sources like oil, gas, coal, etc.

and the introduction of them into Korea. But the Russian

government is shifting its policy from merely exploiting natural

resources like oil and gas to processing them and creating a higher

added value.

○ Russian refining facilities are badly deteriorated because of lack of

investment for long time, and light petroleum products also take a

small part in total production. Therefore, Russian refining

companies had to export overproduced fuel oil to CIS and Europe

at a low price, while importing high-quality petroleum products

from abroad.

○ Given the considerable improvement of investment environment

from 1999 on thanks to high oil price, Russian companies began to

establish and proceed large-scale investment projects related to

refining sector.

○ Rosneft is proceeding investment projects to expand refining

capacity in East Siberia and Russian Far East for the purpose of

entering into the Chinese market of petroleum products.

○ This study aims to analyze Korean companies' entering measures

into modernization and upgrading projects proceeded by Russian

Page 19: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2

refining companies and Rosneft's influence on Northeast Asian

market of petroleum products alongside of expansion of refining

capacity in Russian Far East.

Ⅱ. The Demand and Supply of Petroleum Products

in Russia

○ With the Soviet Union’s disintegration, Russia was left with

refining capacities dating from 1960s and even earlier.

- The Russian oil refining industry now consists of 27 refineries of

the large scale with a total processing capacity of more than 275.5

million tons a year.

- However, many of the refineries are inefficient, aging, and in

need of modernization. Most modern refineries constructed in the

1980s are located in other CIS countries.

- Total output volumes of refined oil and petrochemical products

continue to decline, as they have done for the past decade, with

utilization rate not exceeding 60% in 1997.

- The overall excess capacity of the Russia’s oil refining industry

has become starkly evident

○ Over 70 percent of Russian crude oil production is sent directly

abroad for export, while the remaining 30 percent is refined by

Russian refining companies in Russia.

- With Russian domestic demand of 2.6 million bbl/d in 2004,

refining capacity far outstrips local demand for refined products.

- Because Russian refined product exports have a lower average

Page 20: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Summary 3

price than crude oil, the Russian government reduced export taxes

during the mid 1990s to allow for greater volumes of product

exports.

○ According to the 'Energy Strategy of Russia for the period of up

to 2020' by Ministry of Industry and Energy of the Russian

Federation, the modernization and upgrading of refineries so that

the refineries can convert a higher of crude will be a priority for

future oil refinery development.

- Russian government foresees continued increases in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light petroleum products, catalysts and raw

material for the petrochemical industry.

- As production of fuel oil is reduced, light oil products such as

gasoline and diesel are increased. But Russian refineries can not

meet the country's demand for high octane gasoline because of

fast increase of demand.

․ Growth of motor fuel production from 86 million tons up to

115~135 million tons in 2020.

․ Increase of the share of light oil products production from

49.4% in 2004 up to 66%~68% in 2020.

Ⅲ. Current Situation of the Russian Refinery and

Transnefteproduct

1. Rosneft's refineries

○ Rosneft is a vertically-integrated Russian oil and gas company with

Page 21: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4

upstream and downstream operations. Rosneft owns two

refineries(Komsomolsk refinery, Tuapse refinery)

- Rosneft has an export-oriented downstream infrastructure.

Especially, De-Kastri and Nakhodka terminals can serve fast

growing Asian-Pacific markets, including China, Japan and Korea,

as well as the U.S. west coast.

- In 2005, the Komsomolsk Refinery operated at 100% of capacity,

processing 6.4 million tons of oil. Fuel oil and diesel fuel

represent approximately 76% of the total product yield.

- In 2005, the Tuapse Refinery operated at approximately 99.4% of

capacity, processing 4.1 million tons. The refinery's main products

are fuel oil and diesel fuel, accounting for 77% of the total

product yield.

○ Since 1999, Rosneft have begun an investment program to upgrade

both of its crude oil refineries. After modernization and upgrading

at both refineries is completed, refining capacity is expected to

increase to 19.0 million tons per year and improve the composition

of refined products toward lighter petroleum products.

- Investments in new capacity will focus especially on the

processing of high sulfur crude, the conversion of fuel oil into

higher valued light products, as well as in the production of

clean fuels.

- Especially, the Komsomolsk Refinery's moderniz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refining depth from the current level of 60.1% to 95%

by 2010.

- In addition, Rosneft plans to construct additional storage capacity

Page 22: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Summary 5

at terminals, which will increase the volume of refined products.

2. Lukoil's refineries

○ Overall capacity of Lukoil's oil refineries at the end of 2004 was

41.8 million tons per year (15.4% of total Russian capacities).

- Lukoil owns 4 refineries in Russia (Nizegorod, Lukoil-Perm,

Volgograd, Ukhta).

- Capacity utilization rate was 85.1% compared with the Russian

average of 71.5%

- Depth of refining at refineries is higher than the Russian average

- Refinery throughputs amounted to 35.2 million tons per year in

2004.

- Share of high-octane gasoline in overall production of motor

gasoline is higher than the Russian average.

- Lukoil exported 14.1 million tons of petroleum products in 2004,

or 17.4% of total Russian petroleum product exports.

3. Yukos's refineries

○ Yukos has processed crude oil of 31.5 million tons in 2004.

- Yukos owns 6 refineries in Russia (Syzran, Novokuibyshev,

Kuibyshev, Samarsk, Achinsk, and Angarsk) and Mazeikiu Nafta

in Lithuania.

- The Novokuibyshev Refinery's catalytic cracker modernization

project is one of the few refinery projects currently progressing

with the help of foreign banks financing.

Page 23: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6

- The Achinsk refinery also has an ambitious program for a

technological upgrade to be secured by EBRD loans.

- The Syzran Refinery is currently building its combined AVT-6.

The future for these plans, however, is unclear due to Yukos’

severe financial problems.

4. Gazprom Neft's refineries

○ Gazprom Neft owns 3 refineries (Moscow, Yaroslavl, and Omsk) in

Russia. The main oil processing center of them is the Omsk

Refinery in southwestern Siberia.

- Omsk is now the most technologically advanced refining

enterprise in the Russian Federation.

- In 2001, Gazprom Neft acquired 37% of voting shares in the

Moscow Refinery. The company's entry into the Moscow refining

and retail market cleared the way for Gazprom Neft to enter

retail markets in European Russia.

○ Gazprom Neft's Omsk Refinery is also continuing its

modernization program by upgrading its vacuum distillation

technology to be able to produce close-cut fractions to improve

lubricant quality.

- The company, however, has been reported to face problems in

completing an ongoing upgrade of an alkylation unit.

- Omsk Refinery also pioneered the introduction of an advanced

overall process control system which integrates independent

plants’ control networks.

- Omsk is also installing a computerized accounting system.

Page 24: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Summary 7

5. Surgutneftegaz's refinery

○ Surgutneftegaz relies on its subsidiary "Kirishinefteorgsyntez"

refinery (KINEF)

- KINEF was built in 1966, and currently produces all types of

motor and bunker fuels, basic types of petroleum bitumens,

aromatic hydrocarbons, liquid paraffins and other products.

- Refining volumes increased by 15% to almost 18.5 million tons in

2005. KINEF produced 2.0 million tons of gasoline, 4.3 million

tons of diesel fuel, 1.1 million tons of jet fuel, and 9.0 million

tons of mazut.

○ KINEF is completing its upgrade program for crude distillation

units, which will allow the refinery to meet modern requirement

for refining processes.

- KINEF's capital investments in 2005 increased by 13% to amount

to RUR 3.9 billon a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 The company plans to add a 5-million-ton hydrocracker which

will increase plant’s light product output to 80%.

- Surgutneftegaz is in talks on project financing with U.S.

Eximbank, Japan’s Eximbank, Deutsche Bank, Dresdner Bank, and

France’s Paribas.

6. TNK-BP's refineries

○ TNK-BP owns 5 refineries (Ryazan, Saratov, Krasnoleninsk,

Nizhnevartovsk, and Orsk) in Russia and LINOS Refinery in

Ukraina.

Page 25: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8

- Ryazan refinery produced 2.4 million tons of gasoline, 3.0 million

tons of diesel fuel, and 3.6 million tons of mazut, and 796

thousand tons of jet fuel.

○ Ryazan is continuing its modernization and upgrading program for

refining facilities.

- Ryazan has just completed installation of three catalytic-reforming

units.

- The refinery processed 14.0 million tons of crude in 2005, and

currently is looking for a strategic partner to help increase further

product output. TNK-BP is discussing a possible catalytic cracker

construction with ABB Lummus.

7. Slavneft's refineries

○ Slavneft, vertically integrated oil company, owns 2 refineries

(Yaroslavlnefteorgsyntez, Yaroslavl-Mendeleyev) and Mozyr Refinery

in Belarus.

○ Slavneft continues to pursue its "Program for Modernization and

Upgrading of Oil Refineries." According to this program, the

upgrade of the Mozyr Refinery in Belarus was supposed to be

carried out in four phases.

- Phase one has been completed, enabling the refinery to produce

premium gasoline.

- Phase two was oriented toward deepening refining capacity by

processing vacuum gasoil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diesel

fuel.

○ Yaroslavlnefteorgsyntez is technically superior to the Mozyr

Page 26: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Summary 9

Refinery at present, and is equipped with a 250-thousand-ton base

lube oil plant.

- Its motor fuel production is delivering premium and "eurosuper"

gasoline, as well as environmentally-friendly low-sulfur diesel fuel.

- The modernization program started with the construction of

catalytic cracking plant designed by the U.S. firm Stone &

Webster and supported by U.S. Eximbank financing.

- A $200-million Japanese loan for phase two is to support the

plant’s further modernization and will include visbreaking,

catalytic reforming and hydrocracking units.

○ Yaroslavl-Mendeleyev Refinery specializes in producing oils, greases

and lubricants. Construction of a new 10,000-ton plant for the

production of additives has been started.

8. Tatneft's refinery

○ Tatneft's Nizhnekamsk Refinery planed to construct a new complex

of refining and petrochemical plants in the Republic of Tatarstan

in Russia.

- The complex consists of an oil refinery, aimed at processing seven

million tons of crude oil per year, a deep conversion plant and a

petrochemical plant.

- The oil processing part includes aromatics units and deep

conversion section with a fluidized catalytic cracker, a distillate

hydrocracker, a delayed coker and a gasification plant.

- The petrochemical part will include purified terephthalic acid,

polyethylene terephthalate, linear alkylbenzene and polypropylene

Page 27: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0

units, plus the associate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 The expected total investment cost of the complex will be more

than $3 billion, and will be completed in three different phases

between 2008 and 2010.

- LG Co. in Korea takes part in this investment projects.

9. Transnefteproduct

○ Transnefteproduct is included in the List of strategic organizations

and joint-stock companies approved by Decree of the Russian

Federation President № 1009 of August 04, 2004.

○ The main areas of activity are the following.

- coordination and management of the transportation of oil

products,

- unification and coordination of the scientific and technical,

economic, technological and production potentials of enterprises of

the pipeline transportation of oil products,

- complex development of the network of trunk oil product

pipelines.

○ The Company conducts activities in ensuring the reliability of the

system of trunk oil product pipelines, investment activities in

relation to installations of the oil product pipeline transport

infrastructure and communication systems as well as foreign

economic activities.

○ The share of Transnefteproduct on the light oil products

transportation market in Russia as of today is 30.37% from all

plants and 46% from plants connected to the system.

Page 28: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Summary 11

Ⅳ. Modernization and Upgrading Project in Russian

Refining Industry

○ Russian refineries aim to match both the volume and quality of

our product output with the rate of domestic and external product

demand growth.

- The completion of the modernization program will optimize

product yields, position the refinery to meet the growing demand

for cleaner, value-added light products in European market.

- To improve oil refining depth, increase output of premium motor

fuels, replace depreciated equipment, improve environment and

occupational safety, improving and expanding wholesale and retail

networks.

○ Russian refinery equipment and service market could top 300

million dollars in 2000, with imports holding a majority of the

market.

- American and European suppliers have been well-positioned in

the market in recent years, with nearly all of the Russian import

market for these products and services.

○ Russia’s refining technologies are outdated when compared to

Western refining capacities especially in secondary processing.

- For example, in the U.S., the share of catalytic hydrocracking is

about 40%, hydrocracking - 8%, thermocracking and coking - 22%,

hydrogenation of fuel oil - 45%; while Russian capacities are: 9%,

2.3%, 14% and 23.1%, respectively.

Page 29: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2

○ Currently, the depth of oil processing at Russian refineries is

approximately 60-65 percent as opposed to the 80-90 percent

characteristic of refineries in some developed countries.

- This is because the technologies required for deeper oil treatment

are in use in only 10 percent of current Russian refinery capacity.

○ The main objectives for the modernization program include

upgrading existing capacities, lowering power consumption and

addressing ongoing environmental problems.

- Existing outdated and inefficient technologies and processes

consequently lead to insufficient low product quality,

environmental problems, excessive energy consumption during

refining, high real production costs.

○ Russian manufacturers and suppliers produce and offer a wide

range of basic oil refining equipment. Design and engineering

companies generally do have capability, albeit often limited, to

help their customers upgrade existing capacities.

○ The main U.S. and European companies in Russia’s refinery

equipment and service market are the following.

- ABB Lummus Global and Lummus Crest, Baker Hughes, Inc.,

Bechtel International, Dresser Industries, Fluor Daniel Eurasia,

Foster Wheeler International, Halliburton/Kellog-Brown & Root,

and McDermott International.

- Germany’s Lurgi, Schtork-Comprimo SKL Gmbh, Friedrich Krupp,

Grimma and Mannesmann; France’s IFP and Technip; Italy’s

SNAM Projetti and Evrotekhnika; Japan’s Toyo Engineering, JGC

Marubeni, Sumitomo, JGC Itochu, Chyoda and Mitsubishi Heavy

Page 30: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Summary 13

Industry; Korea’s Lucky Engineering; Swiss Sulzer International,

and Danmark’s Haldor Topsoe.

V. Conclusion

○ Refining facilities modernization and upgrading investment projects

activated by Russian refining companies since 2000 are expected

to be continued in the future.

- Demand in light petroleum products is increasing fast at Russian

domestic market as well as at foreign market.

- Russian government and vertically-integrated oil companies,

corporate parents of refineries, are shifting policies from exporting

crude and fuel oil to exporting light petroleum products, which

secures the creation of a high added value.

- In addition, Russian vertically-integrated oil companies, similar to

major oil companies, try to secure export competitiveness not only

in upstream sector but also in downstream sector.

- Lukoil and Rosneft, targeting at growing into global major

companies, are very active in investment in refining sector.

- Rosneft which with a strong foothold of refining factories in East

Siberia and Russian Far East is planning and proceeding

large-scale investment projects targeting Chinese petroleum

products market.

○ Korean companies related to construction of refining facilities,

service, production of additives, catalysts, etc. should take

advantage of such good opportunities in entering into very

promising Russian markets of refining facilities and service.

Page 31: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4

- Russian refining and service companies don't have a global

competitiveness.

- Russian government does not proceed the policy of protecting

domestic related companies.

○ Petroleum products market in East Siberia and Russian Far East is

very small and far remote from large market. So it is not

profitable to sell Korean petroleum products in these regions.

- Fuel oil is in the state of oversupply and if investment projects in

progress now are completed, they will be able to export light

petroleum products not only to regional market but also to

Northeastern region in China.

○ If Rosneft complete its refining facilities expansion projects, Korean

companies cannot but to compete for Northeastern petroleum

products market in China against major oil companies, Japanese

companies, and Rosneft.

- Rosneft established strategic partnerships with Chinese companies

and laid a foundation for entering into Chinese petroleum

products market.

○ In case of lack of crude oil in Eastern part of Russia, on condition

of large margin of profit from refining being secured, Rosneft may

try to supply Northeast Asian region including China with

petroleum products instead of crude oil.

○ As a result, it would be more effective for Korean refining

companies to be on cooperative terms with Rosneft than on

competitive terms with it in entering into Northeastern market in

China.

Page 32: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i

제목 차례

제1장 서 론 ····································································································1

제2장 러시아 정유산업 황 ·········································································3

제1 석유 정제능력 ·····························································································3

제2 석유제품 수 황 ····················································································8

제3 석유제품 생산 수출 망 ····································································15

제4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별 정제 황 ·····························································18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24

제1 루크오일(Lukoil) ·························································································24

1. 석유제품 생산 수출 황 ·······································································24

2. 주요 투자 로젝트 ·······················································································29

3. 정유기업 황 ································································································32

제2 로스네 츠(Rosneft) ····················································································41

1. 석유제품 생산 수출 황 ·········································································41

2. 주요 투자 로젝트 ·······················································································45

3. 정유기업 황 ······························································································47

제3 유코스(Yukos) ·····························································································50

1. 석유제품 생산 수출 황 ·······································································50

2. 정유기업 황 투자 로젝트 ··································································54

제4 가즈 롬 네 츠(Gazprom Neft) ································································60

1. 석유제품 생산 수출 황 ·········································································60

2. 정유기업 황 투자 로젝트 ··································································62

Page 33: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ii제5 수르구트네 츠가스(Surgutneftegas) ··························································65

1. 석유제품 생산 수출 황 ·········································································65

2. 정유기업 황 투자 로젝트 ································································68

제6 TNK-BP ·······································································································70

1. 석유제품 생산 수출 황 ·········································································70

2. 정유기업 황 투자 로젝트 ································································71

제7 슬라 네 츠(Slavneft)와 타트네 츠(Tatneft) ···········································75

1. 슬라 네 츠 정유기업 ·················································································75

2. 타트네 츠 정유기업 ·····················································································78

제4장 석유제품 수송 체계 ···········································································81

제1 석유제품 수송기업: ‘Transnefteproduct' ····················································81

1. 설립 과정 황 ························································································81

2. 주요 조직 업무 ························································································83

3. 수송요 ········································································································87

제2 석유제품 이 라인 수송체계 ···································································88

1. 국내 수출 이 라인망 ··········································································88

2. 장탱크 펌핑시설 ···················································································96

3. 신규 건설 확장 로젝트 ·········································································97

제3 철도를 통한 석유제품 수송 ····································································104

제5장 러시아 정유산업 발 략 ····························································107

제1 러시아 정부의 정유산업 발 정책 ························································107

1. 국내시장 수 안정화 정책 ·······································································107

2. 가격정책 ·······································································································110

3. 장기 발 략 ························································································113

제2 정유기업들의 투자 략 ···········································································115

1.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들의 투자자 배분 ··················································115

Page 34: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iii2. 투자사업 내용 ··························································································117

제3 동시베리아・극동지역 정유산업 발 략 ···············································122

1. 정유시설 황 ····························································································122

2. 투자실 ·····································································································126

3. 주요 투자 로젝트 ·····················································································128

4. 로스네 츠의 투자 략 ··············································································131

제6장 결 론 ·······························································································135

제1 러시아 정제시설 건설・서비스 시장 진출 ·················································135

제2 동북아역내 상・하류부문 진출 확 를 해 로스네 츠와 력 강화 ·····138

1. 국시장을 놓고 동북아지역내 기업들간에 경쟁 ·······································140

2. 로스네 츠와 력 증

참고문헌 ······································································································142

Page 35: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iv

<표차례>

<표 2-1> 메이 와 러시아 기업들의 원유생산과 정제량 비교(2005년) ··················5

<표 2-2> 국가별 석유제품 생산구조 비교 ·····························································11

<표 2-3> 석유제품 CIS역내외 수출량 변화 추이 ····················································14

<표 2-4> 석유제품 수출량 변화 추이 ······································································15

<표 2-5> 석유제품 생산 망 ··················································································17

<표 2-6> 수직통합형 석유기업의 정제량 변화 추이(1999년~2004년) ····················20

<표 2-7> 주요 러시아 정유소들의 정제능력과 정제량 ············································22

<표 3-1> 루크오일 정제량 변화 추이 ······································································25

<표 3-2> 루크오일 석유제품별 생산비 변화 추이 ···············································26

<표 3-3> 루크오일 석유제품 매량 변화 추이 ······················································27

<표 3-4> 루크오일 하류부문(정제, 매, 수송)의 투자 변화 추이 ··························30

<표 3-5> 루크오일 국외 하류부문 로젝트 ··························································31

<표 3-6> 루크오일의 하류부문 자회사 ····································································32

<표 3-7> 페름 정유소의 석유제품별 생산비 변화 추이 ······································36

<표 3-8> 니제고로드 정유소의 석유제품별 생산비 변화 추이 ····························37

<표 3-9> 우흐타 정유소의 석유제품별 생산비 변화 추이 ···································39

<표 3-10> 로스네 츠 석유제품 생산량 변화 추이 ·················································43

<표 3-11> 로스네 츠 매자회사의 매시설 매량(2005년) ··························44

<표 3-12> 로스네 츠의 하류부문 자회사 ·····························································47

<표 3-13> 유코스 정유소들의 정제량 황 ·····························································53

<표 3-14> 유코스 정유소들의 석유제품 생산 구조(2004년) ····································54

<표 3-15> 유코스의 하류부문 자회사 ······································································56

<표 3-16> 가즈 롬 네 츠 정유소들의 정제량 변화 추이 ·····································61

<표 3-17> 가즈 롬 네 츠의 하류부문 자회사 ····················································63

Page 36: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v<표 3-18> 옴스크 정유소의 석유제품 생산량 변화 추이 ········································64

<표 3-19> 수르구트네 츠가스의 하류부문 자회사 ·················································66

<표 3-20> 수르구트네 츠가스 원유 석유제품 생산량(2005년) ························67

<표 3-21> 수르구트네 츠가스 사업분야별 투자액(2005년) ··································69

<표 3-22> TNK-BP의 정유소별 정제량과 경질 석유제품 생산비 변화 추이 ······71

<표 3-23> TNK-BP의 하류부문 자회사 ····································································72

<표 3-24> 슬라 네 츠 정유소별 석유제품 생산량 변화 추이 ····························76

<표 4-1> Transnefteproduct의 투자 사업 실 ·······················································83

<표 4-2> 이 라인을 통한 석유제품 수송 실 변화 추이 ·································90

<표 5-1> 석유회사들에 한 주요 세 의 평균 세율 ··········································109

<표 5-2> 석유제품의 평균 매가격(루크오일) ······················································112

<표 5-3> 최근 시설 화 고도화 투자 사업에 의한 효과 ····························119

<표 5-4> 러시아 정유소들의 주요 투자 사업 내용 ·············································121

<표 5-5> 러시아 동부지역내 정유소 황(2004년 말 재) ·································123

<표 5-6> 하바로 스크 정유소의 정제시설 용량 ·················································129

<표 5-7> 하바로 스크 정유소의 투자사업 추진 이후 석유제품 생산 ·················130

<표 5-8> 러시아 석유의 동북아지역 수출 황(2005년) ··································132

[그림차례]

[그림 2-1] 러시아 원유 생산량과 정제능력 변화 추이 ··············································4

[그림 2-2] 러시아 원유 이 라인망과 정유소 분포 황 ········································6

[그림 2-3] 러시아 지역별 정제능력 비교(2004년) ····················································7

[그림 2-4] 러시아 정제량 변화 추이 ········································································9

[그림 2-5] 석유제품 생산량 변화 추이 ···································································10

[그림 2-6] 석유제품 수 변화 추이 ········································································12

[그림 2-7] 석유 정제량 석유제품 생산 망 ·····················································16

Page 37: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vi[그림 2-8] 수직통합형 석유기업 정제량 비교(2004년) ···········································19

[그림 2-9] 러시아 지역별 수직통합형 기업들의 정유소 분포 황 ··························23

[그림 3-1] 로스네 츠 정제량 변화 추이 ·······························································42

[그림 3-2] 로스네 츠 석유제품 매량 변화 추이 ···············································44

[그림 3-3] 로스네 츠 투자지출 변화 추이 ····························································45

[그림 3-4] 유코스의 러시아내 정제량 변화 추이 ···················································51

[그림 4-1] Transnefteproduct 소유의 간선 이 라인망 ········································91

[그림 4-2] Mostransnefteproduct 소유의 이 라인망 ···········································92

[그림 4-3] Peterburgtransnefteproduct 소유의 이 라인망 ··································93

[그림 4-4] Ryazantransnefteproduct 소유의 이 라인망 ······································93

[그림 4-5] Sibtransnefteproduct 소유의 이 라인망 ·············································94

[그림 4-6] Sredne-Volzhsky Transnefteproduct 소유의 이 라인망 ····················94

[그림 4-7] Uraltransnefteproduct 소유의 이 라인망 ··········································95

[그림 4-8] Yugo-Zapad Transnefteproduct 소유의 간선 이 라인망 ··················95

[그림 4-9] Severo-Kavkazsky Transnefteproduct 소유의 이 라인망 ··················96

[그림 4-10] 러시아의 철도 노선 ············································································105

[그림 5-1]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들의 상・하류부문 투자배분 ·································116

[그림 5-2] 동시베리아・극동지역내 주요 수송시설 ·················································126

[그림 5-3] 러시아 지역별 정유산업 투자 변화 추이(1999년~2004년 평균) ···········128

Page 38: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1장 서 론 1

제1장 서 론

○ 동북아 에 지 력사업은 석유, 가스, 석탄 등 주요 에 지원의 상류

부문과 이들 자원을 한국으로 도입하는 데에만 집 되어 있음. 그러

나 러시아 정부는 최근 들어 원유・가스 등 천연자원을 단순히 채굴・

수출하는 정책에서 이들 자원을 가공・수출하여 더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정책으로 환하고 있음.

- 이런 차원에서 러시아 정유산업은 러시아 정부 수직통합형 석유

기업들에 의해서 미래의 략산업 에 하나로 육성하려는 부문임.

- 1990년 말까지 조한 시설투자로 인해 해외시장에서는 물론이고

러시아 국내시장에서조차 경쟁력을 상실한 러시아 정유산업은 1999

년이후 재까지 고유가 상황 경질 석유제품에 한 러시아 국내

외 수요 증 에 힙 입어 활기를 띠고 있음.

○ 러시아 정유산업은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들의 정유 자회사들에 의해

서 형성되어 있음. 이들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들의 정제량이 러시아

체 정량의 72% 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 그동안 오랜 투자부진으로 인해서 구소련시 건설된 정제시설들은

심하게 노후화 되어 있으며, 단순 정제에 의한 석유제품 생산으로

유 생산 비 이 높음.

- 이에 따라 러시아 정유기업들은 과잉 생산된 유를 싼 가격에 CIS

와 유럽지역에 수출할 수밖에 없었음.

○ 2000년에 들어서서 러시아 경제는 빠른 회복세를 보 고, 국민 소득

수 증 로 운송수단에 한 수요도 빠르게 증가했음. 이에 따라 러

시아 정유사들은 러시아 국내 해외 시장에 경질 석유제품의 공

량을 증 시키기 해 정제시설을 증설하고, 고도화 시설을 도입하는

Page 39: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2

규모 투자 사업을 계획・추진하기 시작하 음.

- 이러한 정제시설 화와 고도화 사업은 부분 외국기업의 시설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음.

- 러시아 정유기업들의 시설투자 사업은 이후에도 계속 활기를 띨 것

으로 보임

○ 한편, 러시아 동시베리아・극동지역의 석유제품 공 을 담당하고 있는

로스네 츠는 국 석유제품 시장 진출을 겨냥한 규모 투자사업을

계획・추진하고 있음.

- 극동지역 태평양 연안 지역과 ・러 국경지역에 정유공장을 신설하

여 여기서 생산된 석유제품을 국을 비롯한 아・태지역으로 수출할

계획

- 기존 정유공장의 정제시설을 확장하고, 경질 석유제품 생산량을 증

시키기 해 고도화 사업 추진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 정유기업들에 의해서 추진되고 있는 시

설 화 고도화 사업에 한국기업들의 진출방안을 알아보고, 그

리고 로스네 츠의 극동지역 정제능력 확장에 따른 동북아 석유제품

시장에 미치는 향을 분석함.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 정유산업 황, 정유기업들의 투자

로젝트, 외국기업들의 진출 황, 러시아 정부와 기업들의 정유산

업 발 략, 그리고 로스네 츠의 국 시장을 겨냥한 투자 략

등을 주요 연구 내용으로 삼음.

Page 40: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2장 러시아 정유산업 황 3

제2장 러시아 정유산업 황

제1 석유 정제능력

○ BP(2006)에 의하면, 러시아 석유 정제능력은 2005년에 5.4백만 b/d(

세계 정제능력의 6.3%)로 미국 17.3백만 b/d(20.2%), 국 6.6백만

b/d(7.7%)에 이어 3 를 차지하고 있음.

- 러시아내 27개의 형 정유공장들이 러시아 체 석유제품 공 의

95.6%를 충족시키고 있음.

- 이들 형 정유공장들은 부분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들의 자회사로

되어 있음.

․ 러시아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들이 러시아 제 정제시설의 70% 이

상을 소유하고 있음.

○ 러시아연방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러시아 정제능력은 1990년

약 720만 b/d에서 2000년까지 격하게 감소하다가 그 이후부터 서

서히 증 되고 있는 추세임.

○ 1990년 러시아 정제능력의 커다란 감소는 다음의 원인에 기인함.

- 정제시설 노후화 상이 극심한 상황에서 러시아 정유기업들의 투자

부진

․ 정제시설의 부분이 1940년~60년 반에 건설된 것이며, 체

시설의 70%가 30년 이상 운 된 것임.

․ 유코스의 자회사이며 동시베리아지역에 치해 있는 아친스키 정

유공장이 1966년 이후 러시아내에서 건설된 유일한 정유소임.

- 러시아 경제침체로 인해서 국내 석유제품에 한 수요가 크게 감소

Page 41: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4

- 운송수단이 크게 낙후되어 있어서 정유사들이 석유제품의 품질 향상

을 한 시설 화와 고도화1)에 한 투자 매력 조

2005년석유생산

955.1만 b/d

2005년정제능력

541.2만 b/d3000

4500

6000

7500

9000

10500

12000

1985 1995 2005

(천 b/d)

석유생산 정제능력

[그림 2-1] 러시아 원유 생산량과 정제능력 변화 추이

자료: BP(2006)

○ 2000년 고유가 상황 지속으로 러시아 경제가 회복되면서 석유제품

에 한 수요가 증 되기 시작하 고, 이에 러시아 정유사들도 정제

능력을 향상시키기 해 극 으로 투자하기 시작

- 여러 정유사들을 자회사로 두고 있는 수직통합형 석유회사들은 원유

수출을 통해 막 한 투자자 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정제

부문에 투자

- 부분의 정유사들이 2000년 부터 정제시설을 확충하고, 시설을

1) 고도화 설비는 값이 상 으로 싼 유(벙커C유)를 이용해 휘발유, 등유, 경유 등 값비싼

제품을 생산해 낼 수 있는 질유분해시설을 말함. 여기다 매를 이용해 나 타를 방향족(BTX)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매개질공정도 고도화 시설로 분류됨. 통상 원유를 들여와 단순

정제해 매할 경우 정제마진이 배럴당 1달러 내외인데, 고도화 설비를 통해 더 비싼 휘발유, 경

유, 등유로 정제해 매할 경우 10달러 이상의 정제마진이 발생할 수 있음.

Page 42: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2장 러시아 정유산업 황 5

화하고, 고도화 시설을 건설 하는 등의 장기 투자 로젝트를 수

립・추진

- 러시아 국내는 물론이고 국제시장에서도 경질 석유제품에 한 수요

가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러시아 정유사들은 특히 유럽시장을 겨냥

한 고도화 시설에 규모 투자

- 이러한 정유사들의 투자효과는 2008년 이후부터 정제능력의 빠른 증

로 나타나기 시작할 것으로 상됨.

○ 한편, 러시아 수직통합형 석유기업의 경우 반 으로 자사 원유 생

산기업에서 생산된 원유 가운데 약 25~65% 정도를 자체 정유소를 통

해 정제하고 있음. 그러나 세계 인 메이 들은 자체 으로 생산한

원유량보다 훨씬 많은 양을 정제하고 있음.

- <표 201>에서처럼 메이 석유기업들의 정제량 비 원유생산량을

보면, 미국계 기업인 ExxonMobil 0.4, ConocoPhillips 0.3, 유럽계 기

업인 Shell 0.7, BP 0.6으로 나타나고 있음.

- 반면 러시아내 상 그룹에 속해 있는 아래 4개 기업들 가운데 수르

구트네 츠가스가 4.0으로 가장 큰 수치를 보이고 있음.

기업명 원유생산(A) 정제(B) A/B

해외

메이

ExxonMobil 121 282 0.4

Shell 111 159 0.7

BP 95 158 0.6

ConocoPhillips 45 130 0.3

러시아

기업

Lukoil 86 57 1.5

TNK-BP 78 43 1.8

Rosneft 75 22 3.4

Surgutneftgaz 64 16 4.0

자료: VNIPIneft (2006.8)

<표 2-1> 메이 와 러시아 기업들의 원유생산과 정제량 비교(2005년)

(단 : 백만 톤)

Page 43: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6

○ 러시아 정유소들은 인구가 집되어 있고, 수송인 라 시설이 발달되

어 있는 서부지역에 치해 있음.

- 서시베리아지역, 우랄지역, 볼가지역에서 생산된 원유는 잘 발달되어

있는 원유 이 라인을 통해서 정유소로 수송되고, 정유공장에서

생산된 석유제품들은 철도, 이 라인, 내륙・해상 수로 등을 통해서

러시아내 도시와 CIS지역, 동유럽, 서유럽, 그리고 동북아지역 등

지로 수송됨.

- 아래 그림에서도 볼 수 있듯이 정유소는 우랄-볼가지역, 모스크바와

상트 페테르부르그 등 도시를 심으로 집되어 분포

[그림 2-2] 러시아 원유 이 라인망과 정유소 분포 황

자료: IEA(2002)

Page 44: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2장 러시아 정유산업 황 7

○ 재 신규 정유소들은 해외 수출을 겨냥해서 국경지 , 수출터미

인근 지역, 그리고 해외 지에 건설되고 있음.

- 유럽 시장을 겨냥해서 발틱해와 흑해 연안 수출터미 주변, 국

시장을 겨냥해서 -러간 국경지역과 태평양 연안 코즈미노

(Kozmino)원유수출터미 주변에 정유소 건설이 계획・추진되고 있

음.

[그림 2-3] 러시아 지역별 정제능력 비교(2004년)

볼가 지역46%

극동 지역4%남부 지역

8%

북서 지역8%

중부 지역17%

시베리아 지역17%

자료: 러시아연방 통계청(2006)

○ 러시아 지역별 정제능력을 보면, 러시아 체 정제능력에서 볼가 지

역이 약 46%, 부지역이 17%, 시베리아지역이 17%를 각각 차지하고

있음. 정제시설이 지역별로 상당히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음.

- 반면, 러시아 동부지역의 석유정제 비 은 동시베리아지역이 7%, 극

동지역이 4%로 매우 낮은 수 임. 이는 동 지역에서 규모로 원유

Page 45: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8

가 생산되고 있지 않고, 지역내 석유제품 소비량도 크지 않기 때문

임.

- 27개 형 정유공장 가운데 볼가지역에 12개, 극동지역에 2개가 존

재하고 있음.

- 볼가지역의 정제능력은 122.4백만 톤, 시베리아지역 45.2백만 톤,

부지역 44.0백만 톤, 북서지역 21.1백만 톤, 남부지역 20.1백만 톤, 극

동지역 10.6백만 톤임.

제2 석유제품 수 황

○ 1990년 러시아 석유제품 생산은 석유제품에 한 국내 수요 감소와

투자 감소로 인해서 크게 감소하 음.

- 1980년 한때 러시아 석유제품 생산량은 325백만 톤까지 증 된 바

있으나 이후 계속 감소하여 2000년에는 그 반수 인 173백만 톤에

이르 음.

- 1996년 이후 러시아 당국의 극 인 석유제품 수출정책과 1999년

이후 국제석유시장에서 고유가로 인한 러시아 경기호황으로 인해서

석유제품 생산량 감소 황은 크게 둔화되었고, 최근에는 빠른 회복

세를 보이고 있음.

○ 2004년에 러시아의 원유 정제량은 195백만 톤으로 2003년보다 2.6%

증가하 음. 정제량은 2000년 이후 2~3%의 증가세를 계속 유지하고

있음.

- 2004년에 생산된 원유 459.0백만 톤 가운데 약 42.5%가 러시아 국내

에서 정제되었음.

- 1999~2004년 동안 원유 정제량의 연평균 증가율은 2.8%, 이는 같은

기간 동안 원유의 연평균 생산 증가율인 8.5%보다 훨씬 낮음.

Page 46: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2장 러시아 정유산업 황 9

- 러시아내 지역별 정제량도 모든 지역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 볼가지역 정제량은 2002년에 77.9백만 톤⇒2004년 81.1백만 톤

․ 시베리아지역 정제량은 2002년에 26.6백만 톤⇒2004년 28.1백만 톤

․ 부지역 정제량은 2002년에 31.1백만 톤⇒2004년 33.0백만 톤

․ 북서지역 정제량은 2002년에 18.4백만 톤⇒2004년 18.9백만 톤

․ 남부지역 정제량은 2002년에 13.6백만 톤⇒2004년 15.6백만 톤

․ 극동지역 정제량은 2002년에 7.1백만 톤⇒2004년 8.1백만 톤

173

179

185

190

195

160

165

170

175

180

185

190

195

200

2000 2001 2002 2003 2004

(백만 톤)

[그림 2-4] 러시아 정제량 변화 추이

자료: 러시아연방 통계청(2006)

○ 2000년 이후 러시아 국내 석유제품 생산의 증가세는 다음과 같은 요

인에 기인함

- 석유제품, 특히 경질 석유제품에 한 러시아 국내 해외 시장에

서 수요 증

- 러시아 국내 해외 시장에서 경질 석유제품 가격의 빠른 상승, 석

Page 47: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0

유제품 가격 상승률이 원유가격 상승률을 상회하고 있음.

․ 이는 정유사들의 정제마진을 증 시켜 정유사들로 하여 원유 수

출을 이고 정제량을 증 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임.

- 러시아 정부의 석유제품 수출 진정책 추진

- 고유가 상황에서 수익구조 개선에 따른 투자 증

․ 정제시설 확충, 시설 화, 해외 정유시설 매입

0

10

20

30

40

50

60

2000 2001 2002 2003 2004

(백만 톤)

가솔린 경유 중유

[그림 2-5] 석유제품 생산량 변화 추이

자료: 러시아연방 통계청(2006)

○ 석유제품별 생산량을 보면, 유, 경유, 가솔린 모두 체 으로 증가

하고 있음.

- 2000~2004년 동안 유의 연평균 증가율은 2.1%, 경유 2.4%, 가솔린

2.3%를 기록

- 2004년에 유는 53.6백만 톤, 경유 55.4백만 톤, 가솔린 30.5백만 톤

각각 생산

Page 48: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2장 러시아 정유산업 황 11

- 최근 들어 유 생산이 정체・감소하는 신 가솔린 생산은 계속 증

가 추세 유지

․ 2000년 이후 정유기업들에 의해서 추진되고 있는 고도화 시설에

한 투자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임.

  휘발유 경유 항공등유 유

러시아 15.6 28.4 3.9 27.3

미   국 43.3 22.4 9.5 5.3

일   본 19.4 27.9 3.9 16.6

독   일 26.6 44.9 4.3 12.9

   국 27.1 32.6 7.5 13.4

랑스 18.9 40.9 7.4 12.2

* 러시아는 2004년, 다른 나라는 2001년 자료임.

자료: InfoLine(2006), Refining Industry in Russia 2004-05.

<표 2-2> 국가별 석유제품 생산구조 비교

(단 : %)

○ 그러나 선진국과 비교해 보면, 석유제품 생산구조에서 유의 비 이

아직까지 상당히 높은 편임.

- 러시아 체 석유제품 생산량 에서 경질 석유제품 비 은 약 60%

수 으로 선진국의 85%보다 상당히 낮은 편임.

- 재 러시아내 유와 경유는 과공 상태에 있으며, 유의 경우

잉여 물량의 부분은 상당히 낮은 가격에 유럽지역과 동북아지역으

로 수출되고 있으며, 나머지 은 물량이 일부 고도화 시설을 갖춘

정유소에서 2차 정제과정을 거쳐 경질 석유제품으로 생산되고 있음.

․ 러시아내에서 유는 산업용 연료와 발 소용 연료로 사용되고 있

음. 그러나 발 연료에서 가스 비 이 높은 계로 러시아내에서

유 소비규모가 상 으로 크지 않은 편임.

- 탈황시설이 제 로 갖추어져 있지 않아 황성분이 국제기 치보다 훨

Page 49: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2

씬 높은 석유제품이 생산되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음.

- 휘발유 비 은 미국의 반수 에도 못 미치고 있음. 한 체 휘

발유 생산에서 고옥탄가 제품 비 이 2004년에 55.3%에 지나지 않

음. 그러나 동 비 은 재 증가하는 추세임.

․ 2004년에 옥탄가 휘발유는 13.6백만 톤, 고옥탄가 휘발유는 16.8

백만 톤 생산

○ 러시아는 1992년 시장경제체제로 환하면서 극심한 경제침체를 경

험하 고, 이에 따라 석유제품에 한 수요도 크게 감소하 음. 2000

년 이후 러시아 경제의 회복으로 수송연료를 심으로 가시 인 수

요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 2004년에 석유제품 수요는 2003년에 비해 1.7% 증가하 으나, 2004

년에 정제량 증가율 2.9%보다 낮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 아래 그림에서처럼 아직까지 석유제품의 과공 량이 존재하고 있

음을 볼 수 있음.

168.9174.4 178.4

183.2188.5

194

126.2 123.5 122.3 123.6 124.4 126.5

50

70

90

110

130

150

170

190

210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백만 톤)

정제량 수요량

[그림 2-6] 석유제품 수 변화 추이

자료: InfoLine(2006)

Page 50: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2장 러시아 정유산업 황 13

○ 러시아 국내에서 석유제품의 최 소비처는 수송부문으로써 체 석

유제품 소비의 55%를 차지하고 있음. 그 다음으로는 산업용이 체

석유소비량의 16%를 차지함.

- 특히 휘발유 수요가 많은데 이는 러시아 화물트럭의 75%, 버스의

90%가 경유가 아닌 휘발유로 운행되고 있기 때문임. 그러나 재

트럭과 버스의 경유 사용이 늘어나고 있어 향후 휘발유와 경유간의

체 상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망

- 그러나 러시아에서 생산되는 자동차들은 낮은 품질의 옥탄가 휘발

유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음. 따라서 많은 러시아 정유기업들이 국내

수요를 충족시키기 해 아직까지 옥탄가 가솔린을 상당부분 생산

하고 있음.

- 이 다 보니 수입자동차에 사용되는 고옥탄가 가솔린은 러시아 국내

생산이 부족하여 해외에서 수입되기도 함.

- 산업부문과 발 부문에서는 러시아 정부의 가스가격 정책으로 상

으로 유보다 가격이 렴한 가스를 연료로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

․ 한편, 러시아 정부는 국내 가스소비를 이기 해 가스가격을 인

상하고, 가스 발 비 을 감소시키려는 정책을 계획․추진하고

있음. 그러나 이 경우에도 유 발 보다는 석탄 발 을 더 선호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 2004년에 러시아는 년 비 6% 증가한 82.4백만 톤의 석유제품을

CIS지역, 동유럽, 서유럽, 그리고 동아시아 지역에 수출했음.

- 석유제품 수출은 1990년 반에 크게 감소하 으나 1993년부터 꾸

히 증가하는 추세임. 1998년 융 기 기간 에는 수출이 크게 감

소하기도 하 음.

Page 51: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4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총 수출 62.7 63.5 75.4 77.7 82.4

CIS역외 59.2 61 72.8 74.2 78.3

CIS역내 3.5 2.5 2.6 3.5 4.1

자료: 러시아연방 통계청(2006)

<표 2-3> 석유제품 CIS역내외 수출량 변화 추이

(단 : 백만 톤)

- 석유제품 수출은 부분 CIS역외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요

수출국은 네덜란드(1,495.9만 톤), 스 스(1,190.2만 톤), 국(929.4만

톤), 국(584.2만 톤)임.

○ 러시아 석유제품의 수출은 높은 수송비용 유 수출 비 으로 특

징지을 수 있음.

- 러시아 정유공장은 부분 수출터미 로부터 원거리에 치하고 있

기 때문에 높은 수송비용 발생

․ 수출항 인 지역에 정유공장을 갖고 있는 동 산유국에 비해 수

송비용 측면에서 수출경쟁력이 월등히 낮음.

- 1960년 후반~1980년 후반에 구소련 지역내 6개 도시에 7개 정

유공장을 건설하 는데, 소연방 해체 이후 지국의 소유로 귀속되

었음.

․ 재 루크오일, 로스네 츠, 가즈 롬 네 츠 등 표 인 러시아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들은 이들 구소련 지역내 정유공장을 매입하

기 해 노력 임.

- 체 석유제품 수출에서 유 비 은 47.9% 으며, 39.5백만 톤이 해

외로 수출되었음.

․ 러시아 국내에서 소비되지 못하고 남은 유가 아주 싼 가격으로

유럽지역으로 수출되고 있음.

Page 52: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2장 러시아 정유산업 황 15

․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경질 석유제품과 고옥탄가 가솔린의

수출비 은 매우 낮은 상황임.

․ 자동차용 휘발유 수출 비 은 체 석유제품 수출에서 6%정도에

지나지 않음.

○ 유럽의 환경기 에 맞는 고옥탄가 석유제품을 수출하기 한 러시아

정유사들의 투자활동이 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 러시아 정부도 원유 수출보다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경질 석

유제품의 수출 증 를 진하기 한 정책을 수립・추진하고 있음.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유 28.3 30.7 36.9 35.6 39.5

경 유 23.9 24.5 28.8 30.0 30.0

가솔린 4.2 3.2 3.3 3.9 4.2

자료: 러시아연방 통계청(2006)

<표 2-4> 석유제품별 수출량 변화 추이

(단 : 백만 톤)

제3 석유제품 생산 수출 망

○ 2003년 러시아 정부에 의해서 발표된 「러시아연방 에 지 략 2020」

에 의하면, 석유 정제량은 2020년까지 상당히 완만하게 증 될 것으

로 망됨.

- 2004년에 정제량 1.95억 톤에서 2010년까지 1억 9,000만~2억 톤, 그

리고 2020년에 1억 9,000만~2억 1,500만 톤으로 증 망

- 설비 가동률은 2005년에 72%에서 2010년에 75% 수 , 2020년에

80% 수 까지 상승할 것으로 망

○ 고품질, 경질 석유제품 생산이 빠르게 증 될 것으로 망

- 운송수단 연료(가솔린, 경유, 항공유)의 생산량은 2004년에 86백만

Page 53: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6

[그림 2-7] 원유 정제량 석유제품 생산 망

톤에서 2010년에 1억~1억 1,000만 톤, 2020년에 1억 1,500만~1억

3,500만 톤으로 증가 망

- 경질 석유제품 생산 비 은 2004년에 49.4%에서 2020년에 66%~68%

에 이를 망

- 경질 석유제품의 생산 증 요인은 다음과 같음.

․ 러시아 국내와 해외에서 경질 석유제품 수요의 높은 증가세

․ 러시아 국내와 유럽에서 석유제품에 한 환경규제 강화

․ 러시아 국내 운송수단 고 화에 따른 고품질 석유제품 수요 증가

․ 러시아 정유기업들의 활발한 투자활동

자료: 러시아 정부(2003), 「러시아연방 에 지 략 2020」

Page 54: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2장 러시아 정유산업 황 17

1990년 1995년 2000년2005년 2010년 2015년 2020년

낙 기 낙 기 낙 기 낙 기

정제량 298 182 174 195 190 200 190 205 190 215 190

운송수단연료 130 90 83 100 95 111 101 125 110 136 117

유 97 62 51 52 51 45 45 37 36 30 29

가동률 65 63 71 72 75 80 84

자료: 러시아 정부(2003), 「러시아연방 에 지 략 2020」

<표 2-5> 석유제품 생산 망

(단 : 백만 톤)

○ 장기 으로 러시아의 석유제품 수출은 정체 내지는 감소할 것으로

망됨.

- 석유제품 수출은 2004년에 82백만 톤에서 2020년에 30~40백만 톤으

로 감소할 것으로 망

- 석유제품 수출 감소는 석유제품에 한 러시아 국내 수요의 빠른 증

가에 기인함.

- 러시아 기업들의 고도화 시설 도입으로 인해서 잉여 물량의 유가

해외로 수출되지 않고 국내에서 다시 정제되어 경질 석유제품으로

환될 것임.

- 유럽지역 석유제품 수출은 상당부분 러시아 기업 소유의 구소련

지역내 정유공장에서 이루어질 것임.

- 러시아 내륙지역에 있는 정유소에서 생산된 경질 석유제품은 높은

수송비용을 감수하면서까지 유럽시장에 수출하는 것보다 러시아 국

내 시장에 공 하는 것이 더 경제 일 것임.

○ 한편, 재 로스네 츠에 의해서 추진되고 있는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내 정유공장 시설 화와 고도화 시설 투자사업의 결과로

Page 55: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8

장기 으로 동북아지역을 포함한 아・태지역으로의 석유제품 수출이

증 될 것으로 상

- 로스네 츠는 일단 국 석유제품 시장을 겨냥해서 ・러 국경지역

에 국기업과 합작으로 정유공장을 건설하고 있음.

○ 러시아 의회내 에 지・수송・통신 원회 발 리 야제 원장은 2015

년 정도면 러시아 국내시장에서 석유제품의 수 차질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망2)

- 만약 러시아 정유기업들의 시설 화와 고도화 시설 투자가 지속

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특히 고옥탄가 가솔린을 심으로 해

외에서 고품질 석유제품 약 8백만 톤을 수입해야 될 것임.

- 고품질 석유제품의 러시아 국내 공 부족 사태를 막기 해서는 정

유공장에 해 150~200억 달러의 투자 필요

- 그러나 재 러시아 정유기업들의 투자 계획 규모는 40~45억 달러

에 불과함.

- 그는 극 인 문제해결 방안으로 정유부문에 한 정부의 인

지원책 마련을 주장

제4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별 정제 황

○ 루크오일, 로스네 츠, TNK-BP, 가즈 롬 네 츠, 유코스, 수르구트네

츠가스, 슬라 네 츠, 타트네 츠 등 러시아 수직통합형 석유기업

들은 러시아 체 정제량의 71.6%를 차지

- 이들 석유기업들은 평균 3~4개씩의 정유소를 러시아 국내는 물론

구소련 지역에 소유하고 있음.

- 이 루크오일과 유코스가 러시아 체 정제량의 34.4%를 차지하고

2) Interfax 2006.03.23.

Page 56: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2장 러시아 정유산업 황 19

있으며, 이들 기업들의 정제량 증가 속도가 러시아 체 증가율보다

높은 편임.

․ 러시아 체 정제량에서 차지하는 루크오일의 비 은 1999년에

12.1%에서 2004년에 18.2%(35.2백만 톤)로 크게 증

․ 같은 기간 동안 유코스, 로스네 츠, 슬라 네 츠 등의 정제량 비

은 조 증가하 으나, 수르구트네 츠가스, TNK-BP, 기타 독립

계 정유기업들의 비 은 감소

- 1999년~2004년 동안 연평균 정제량 증가율은 루크오일 12.8%, 유코

스 9.8%를 기록했음.

- 한 가즈 롬 네 츠, 유코스, 수르구트네 츠가스의 정제시설 가동

률은 러시아 체 평균치보다 높음.

Lukoil18.2%

Yukos16.3%

TNK-BP10.4%

Surgutneftgaz8.2%

Sibneft7.4%

Slavneft6.4%

Rosneft4.8%

기타28.4%

[그림 2-8] 수직통합형 석유기업 정제량 비교(2004년)

자료: InfoLine(2006)

Page 57: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20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비 2004년 비

루크오일 20,509 23,176 22,730 33,744 34,024 18.1% 35,249 18.2%

유코스 25,542 23,056 16,543 30,871 30,633 16.3% 31,542 16.3%

수르구트네 츠가스 17,152 15,967 15,868 14,752 15,212 8.1% 15,965 8.2%

TNK-BP 21,966 22,466 11,801 14,057 18,955 10.1% 20,185 10.4%

시 네 츠 12,459 12,555 13,258 13,263 13,832 7.3% 14,308 7.4%

로스네 츠 7,342 8,381 7,753 8,347 9,529 5.1% 9,295 4.8%

슬라 네 츠 9,776 10,826 11,476 11,801 11,709 6.2% 12,430 6.4%

기타 54,140 58,004 78,951 56,374 54,584 29.0% 55,060 28.4%

러시아 체 168,886 174,431 178,380 183,209 188,478 100% 194,034 100%

자료: InfoLine(2006)

<표 2-6> 수직통합형 석유기업의 정제량 변화 추이(1999~2004년)

(단 : 천 톤)

○ 2006년 1~9월 동안 주요 기업들의 정제량은 다음과 같았음.

- 루크오일(28.8백만 톤), 유코스(25.6백만 톤), TNK-BP(16.1백만 톤),

수르구트네 츠가스(14.7백만 톤), 가즈 롬 네 츠(12.1백만 톤) 등

임.

○ 원유 정제능력이 15백만 톤 이상인 형 정유공장은 다음과 같음.

- 옴스크 정유소: 정제량은 19.5백만 톤, 치는 서시베리아지역, 모회

사는 가즈 롬 네 츠

- 앙가르크 정유소: 19.2백만 톤, 동시베리아 지역, 유코스

- 키리쉬 정유소: 17.3백만 톤, 북서지역, 수르구트네 츠가스

- 랴잔정 유소: 17.0백만 톤, 부지역, TNK-BP

- 니제고로드 정유소: 15.0백만 톤, 볼가지역, 루크오일

○ 러시아 정유소들은 구소련시 몇 가지 기 에 의해서 지역 으로

분포되어 있음.

Page 58: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2장 러시아 정유산업 황 21

- 원유를 원활하게 공 받기 해 서시베리아 유 지 와 인 해 있으

면서 원유 이 라인이 통과하는 지역

- 석유제품에 한 수요가 높은 도시 주변지역

- 생산된 석유제품을 원활하게 수송할 수 있는 철도, 원유제품 이

라인, 내륙수로 등의 수송인 라 시설이 발달된 지역

- [그림 2-9]는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들의 정유소들이 치해 있는 지역

들을 나타낸 것임. 상 으로 모스크바를 심으로 한 부지역에

정유소들이 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음.

○ 러시아 지역별 정제능력과 해당 지역내 연간 1백만 톤 이상의 정제

능력을 갖춘 정유소는 다음과 같음.

- 볼가지역의 총 정제능력은 연간 122.9백만 톤, 주요 정유소는 루크오

일-페름, 루크오일-니제고로드, 스즈란, 우핌스크, 우 , 노 오일, 살

라바트 등임.

- 시베리아지역의 정제능력은 45.2백만 톤이며, 주요 정유소는 앙가르

스크와 옴스크 등임.

- 부지역의 정제능력은 44.0백만 톤이며, 주요 정유소는 랴잔, 야로

슬라 , 모스크바 등임.

- 북서지역의 정제능력은 21.1백만 톤이며, 주요 정유소는 키리쉬 임.

- 남부지역의 정제능력은 20.1백만 톤이며, 주요 정유소는 루크오일-볼

고그라드 임.

- 극동지역 정제능력은 10.6백만 톤이며, 정제능력이 1백만 톤 이상인

정유소는 없음.

Page 59: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22

정유소 정제능력정제량

2002년 2003년 2004년

볼가지역 합계 122,900 77,938.4 79,771.2 81,142.2

루크오일-페름 12,045 10,995.4 11,033.9 11,098.7

루크오일-니제고로드 15,000 10,683.1 11,751.4 12,296.6

사마르 7,000 5,837.1 5,452.2 5,608.4

노보쿠이비세 9,600 6,994.4 6,846.1 6,594.6

스즈란 10,700 4,654.5 4,968.2 5,511.2

크 킨그 7,000 4,636.1 4,637.0 5,508.5

오르스크 7,000 3,839.2 3,620.0 3,508.2

우핌스크 10,000 7,480.2 7,435.3 6,332.6

우 12,500 6,495.8 6,000.8 6,192.9

노 오일 13,000 5,427.7 5,714.8 5,789.2

니즈네캄스크 7,000 5,086.4 6,091.5 6,442.7

살라바트 12,000 5,808.5 6,218.0 6,258.6

시베리아지역 합계 45,200 26,648.6 27,197.0 28,135.7

아친스크 6,500 5,128.6 5,004.0 5,031.4

앙가르스크 19,200 8,256.8 8,360.8 8,796.1

옴스크 19,500 13,263.2 13,832.2 14,308.2

부지역 합계 44,000 31,146.7 31,838.4 32,995.9

랴잔 17,000 10,216.7 10,697.9 11,168.1

야로슬라 14,000 11,601.9 11,520.7 12,187.2

야로슬라 -멘델 500 198.3 187.8 242.7

모스크바 12,500 9,129.8 9,432.0 9,397.9

북서지역 합계 21,100 18,393.0 18,831.5 18,860.3

루크오일-우흐타 3,800 3,641.3 3,619.5 2,895.6

키리쉬 17,300 14,751.7 15,212.0 15,964.7

남부지역 합계 20,100 13,572.8 13,415.6 15,581.0

루크오일-볼고그라드 10,200 8,424.1 7,619.6 8,958.3

투아 세 3,900 3,939.2 4,035.7 4,072.1

크라스노다르에코 4,500 1,141.2 1,474.9 1,637.9

아피 스크 1,500 68.3 325.4 912.7

극동지역 합계 10,600 7107.5 8,530.8 8,127.0

하바로 스크 4,700 2,699.4 3,037.9 2,903.9

콤소몰스크 5,900 4,408.1 5,492.9 5,223.1

자료: InfoLine(2006)

<표 2-7> 주요 러시아 정유소들의 정제능력과 정제량

(단 : 천 톤)

Page 60: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2장 러시아 정유산업 황 23

[그림 2-9] 러시아 지역별 수직통합형 기업들의 정유소 분포 황

Lukoil Surgutneftegas

Rosneft Slavneft

TNK-BP Gazprom-neft

Yukos Tatneft

Page 61: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24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제1 루크오일(Lukoil)

1. 석유제품 생산 수출 황

가. 석유제품 생산 황

○ 루크오일의 정제능력은 세계 1.4%, 정제량은 세계 1.2% 차지

- 해외 3개국에 정유공장, 3개국에 석유화학공장, 17개국에 석유제품

매망을 가지고 있음.

○ 루크오일 발표자료에 의하면, 2004년 말 재 루크오일의 정제능력은

연간 41.8백만 톤(약 306백만 배럴)으로 러시아 체 정제능력에서

15.4% 차지

- 총 정제능력 에서 러시아 국내 정유공장이 차지하는 비 은

71.5%, 루크오일 소유 해외 정유공장 비 은 28.5%임.

- 러시아내 정유공장에서 35.55백만 톤의 원유가 정제되었고, 이는 러

시아 체 정제량의 18.3%에 해당되며, 이는 2000년보다 1.4배 증가

한 것임.

- 총 정제량에서 러시아 국내 정유공장이 차지하는 비 은 80.7%, 루

크오일 소유 해외 정유공장 비 은 19.3%

- 설비 가동률은 2004년에 85.1%로 러시아 체 평균치인 71.5% 상회

○ 루크오일은 러시아내에 거의 모든 석유제품 생산에서 우 확보

- 2004년 기 , 고옥탄가 가솔린 생산 1 , 가솔린 생산 3 , 코크스

Page 62: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25

생산 1 , 감압가스오일 생산 1 , 아스팔트 생산 1 , 항공유 생산

1 , 윤활유생산 1 , 경유 생산 2 .

- 한 석유제품별 시장 유율의 경우, oil coke 46.6%, 윤활유 45.8%,

감압가스오일 42.7%, 고품질 가솔린 33.7%, 아스팔트 31.3%, 항공유

26.2%, 경유 17.4%, 가솔린 14.8%

- 러시아내 루크오일 산하 정유소들의 체 가솔린 생산에서 고옥탄가

가솔린 생산 비 은 2004년에 약 60%로 러시아 평균치인 56%를 상

<표 3-1> 루크오일 정제량 변화 추이

(단 :백만 톤)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총 정제량 32.37 38.05 41.06 42.33 44.03

러시아내 정유소 23.42 29.45 33.95 34.31 35.55

소형 정유소 0.20 0.20 0.20 0.21 0.22

해외 정유소 8.95 8.6 7.65 8.02 8.48

일일 정제량(천b/d) 648 764 835 850 880

가동률(%) 72.9 60.7 83.0 83.7 NA

석유제품 생산량 29.58 35.44 38.88 39.44 41.05

러시아내 정유소 22.18 28.00 32.32 32.65 33.66

소형 정유소 0.19 0.20 0.19 0.21 0.22

해외 정유소 7.40 7.44 6.56 6.79 7.39

자료: Lukoil(2005), Lukoil Analyst Databook, 루크오일 홈페이지 (www.lukoil.ru)

○ 루크오일 산하 정유소들의 정제량 비 은 다음과 같음.

- Nizegorod 28%, Perm 25.3%, Volgograd 20.4%, Burgas 12.9%(해외),

Ukhta(6.5%), Odessa 5.6%(해외), 소형정유소 0.5%임.

○ 루크오일은 다른 러시아내 석유기업에 비해서 경질 석유제품 생산

비 이 상 으로 높은 편이며, 이 비 은 2000년 이후 지속 인 시

설 화 사업 추진으로 계속 증 되고 있는 추세임.

- 루크오일의 총 경유 생산량 에서 청정경유 생산 비 은 2000년에

Page 63: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26

13.5%에서 2004년에 42.0%로 크게 증가

- 자동차용 가솔린 총생산에서 고옥탄가 가솔린 비 은 2000년에

57.6%에서 2004년에 72.2%로 증가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가솔린 18.2 16.1 14.7 13.8 14.7

경유 31.4 29.3 29.4 29.3 28.6

항공유 4.2 5.4 4.5 4.6 5.4

선박유 0.7 1.8 2.8 3.1 3.9

Heating Oil 2.0 1.9 1.7 1.6 1.1

감압가스오일 3.3 2.9 3.6 4.1 5.2

나 타 2.3 2.0 2.8 3.1 2.7

유 25.1 28.0 29.9 29.4 26.7

아스팔트 3.7 4.3 3.3 3.7 3.9

윤활유 3.1 3.1 2.8 2.8 3.1

코크스 2.2 1.5 1.2 1.1 1.3

기타 3.8 3.7 3.3 3.4 3.4

<표 3-2> 루크오일 석유제품별 생산비 변화 추이

(단 : %)

자료: Lukoil(2005), Lukoil Analyst Databook, 루크오일 홈페이지 (www.lukoil.ru)

나. 석유제품의 국내외 매 황

○ 루크오일 산하 정유소에서 생산된 석유제품은 러시아 국내는 물론

해외 루크오일 매망을 통해서 매되거나 다른 나라 기업에 수출

되고 있음.

- 2004년에 러시아 국내 매는 19.7백만 톤으로 년 비 3.6% 감소

하 고, 반면 해외 매 수출은 41.4백만 톤으로 년 비 21.9%

증가하 음. 이 해외에 수출된 석유제품량은 14.1백만 톤이었음.

- 평균 석유제품 국내 매가격은 2000년에 톤당 135.2달러에서 2004

년에 236.5달러로, 해외 매가격은 2000년에 219.8달러에서 2004년

Page 64: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27

2003년 2004년

수 량 액 수 량 액

해외 매・수출 33,995 9,480 41,426 15,317

- 도 매 30,193 7,214 35,946 11,403

- 소 매 3,802 2,266 5,480 3,914

국내 매 20,473 3,450 19,724 4,665

- 도 매 17,967 2,608 16,981 3,429

- 소 매 2,506 842 2,743 1,236

합 계 54,468 12,930 61,150 19,982

- 해외수출 13.5백만 톤 - 14.1백만 톤 -

<표 3-3> 루크오일 석유제품 매량 변화 추이

(단 : 천 톤, 백만 달러)

에 369.7달러로 각각 상승했음.

자료: Lukoil(2005), Lukoil Analyst Databook, 루크오일 홈페이지 (www.lukoil.ru)

○ 2004년 루크오일 정유소들에 의해서 도소매시장으로 매된 석유제

품별 비 은 다음과 같음.

- 도매시장의 경우, 유 매가 체 석유제품 매의 32.7%로 가장

큰 비 을 차지하 고, 다음이 경유 21.2%, 가솔린 17.6%, 윤활유

5.1%순 이었음.

○ 루크오일의 석유제품 매망은 주로 러시아 우랄산맥 서쪽지역에 발

달되어 있음.

- 2004년 러시아 국내 지역별 시장 유율을 보면, 우랄지역 석유제품

시장의 23.6%, 북서지역 21.3%, 남부지역 16.5%, 볼가지역 11.0%,

부지역 5.4% 등을 유.

- 반면, 루크오일은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에는 극 으로 진출하고

있지 않음.

- 소매시장의 경우, 가솔린 78.4%, 경유 20.0%, 윤활유 0.7%, 기타

0.9% 음.

Page 65: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28

○ 루크오일은 러시아 국내는 물론 해외에 총 5,405개의 주유소를 운

하고 있음.

- 2004년 재 러시아내 1,711개, 유럽지역( 부분 동유럽)에 1,171개,

발틱지역 178개, CIS지역에 310개, 그리고 미국에 2.035개 주유소를

갖고 있음.

- CIS와 유럽지역내 국가별 수출 비 을 보면, 루크오일 산하 정제 자

회사가 있는 국가들의 수출비 이 높게 나타났음. 즉, 동 지역에

한 석유제품 수출 에 불가리아에 32%, 루마니아 11%, 우크라이나

10%, 터키 9%, 리투아니아 9%, 세르비아 5%, 벨로루시에 4%를 각

각 매

- 특히 미국시장에서는 Conocophillips와 략 제휴를 통해 활발하

게 진출하고 있는데, 2000년에 1,260개 던 주유소가 2004년에 2,035

개로 62% 증가

- 장탱크는 러시아에 153개, 유럽지역에 21개, CIS지역에 17개, 그리

고 미국과 발틱지역에 각각 4개씩 갖고 있음.

- 석유제품의 해외 수출은 주로 철도를 통해서 64.6% 수송되고, 해상

을 통해 22.3%, 이 라인을 통해 13.1% 수송

○ 루크오일은 원유수출 보다는 석유정제량을 늘려 석유제품의 해외수

출을 증 시키려 하고 있음.

- 러시아 정부는 국제 원유가격 상승에 맞춰서 원유 수출세를 인상

- 석유제품의 러시아 국내외 가격차 존재

- 러시아 석유기업들의 정제마진 증

- 이러한 이유로 루크오일은 생산자회사에서 생산된 원유를 가능한 한

많이 자사 소유의 정유공장에서 정제하고, 부족한 양은 다른 기업의

정유공장에 탁하여 정제

Page 66: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29

○ 2004년에 14.1백만 톤의 석유제품을 해외에 수출하 는데, 이는 러시

아 체 석유제품 수출량의 17.4%에 해당

- 이러한 석유수출 비 은 2000년에 12%에서 2002년에 18.5%까지 상

승했다가 2004년 17.4%로 주춤

○ 지속 인 투자를 통해 EU의 자동차 배출가스허용기 (Euro-3,

Euro-4, Euro-5)에 맞는 고품질 경질 석유제품의 생산 증

- 2005년에 유럽기 에 맞는 경유 생산량은 5.2백만 톤으로 이는 루크

오일 체 경유 생산량의 50.7%에 해당

- 2005년에 루크오일은 Euro-4기 에 맞는 경유를 러시아내에서 가장

많이 생산・ 매3)

․ Euro-4 경유는 Perm 정유소, Nizegorod 정유소, 그리고 Ukhta 정

유소 등에서 생산되었는데, 2005년에 이들 3개 정유소에서 총 3.97

백만 톤 생산

․ Euro-4 경유의 생산증 를 해 Bolgograd정유소에 시설 화 2

단계 사업과 Nizegorod정유소에 화 사업 추진

2. 주요 투자 로젝트

○ 루크오일의 투자지출은 반 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음.

- 2000년에 하류부문에 한 투자지출은 922백만 달러에서 2004년에

1,158백만 달러로 2000년 비 25.6% 증 되었음.

- 2004년 국내 하류부문에 749백만 달러( 체 하류부문에서 차지하는

비 64.7%), 해외 하류부문에 409백만 달러 투자(35.3%)

- 한편, 2005년에 정제시설 화 사업에 412백만 달러 투자한 것으

로 나타났음.

3) Euro-4 승용차 허용기 의 경우(2005년 1월 기 ), CO 0.50g/km, HC+NOx 0.30g/km, Nox

0.25g/km, PM 0.025g/km이고, 경유의 황 함유량은 50ppm임.

Page 67: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30

- 한 외 매망을 확충하기 해 미국, 헝가리, 루마니아 등에 주

유소 매망 확충

<표 3-4> 루크오일 하류부문(정제, 매, 수송)의 투자 변화 추이

(단 : 백만 달러)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총자본지출1,867

(100.0)

2,617

(100.0)

2,204

(100.0)

3,018

(100.0)

3,447

(100.0)

상류부문945

(50.6)

1,789

(68.4)

1,411

(68.4)

1,784

(59.1)

2,289

(66.4)

하류부문922

(49.4)

828

(31.6)

793

(36.0)

1,234

(40.9)

1,158

(33.6)

국 내 738 645 683 960 749

해 외 184 183 110 274 409

자료: Lukoil(2005), Lukoil Analyst Databook, 루크오일 홈페이지 (www.lukoil.ru)

○ 루크오일은 정유소들의 운 비용을 감하고, 가동율을 높이고, 재무

구조를 개선시키는 작업을 지속 으로 추진

- 이러한 결과로 2005년에 정유소들의 평균 노동자수는 년 비 6.3%

- 비용 감 효과는 37백만 달러를 상회

- 한 시설 화 사업에 307백만 달러 투자

○ 루크오일은 해외 정제, 매, 수송 등 하류부문에도 활발한 투자를 하

고 있음.

- 1998년∼2000년 동안 루마니아의 페트로텔 정유회사, 불가리아의 네

토힘 정유회사, 우크라이나의 오뎃사 정유회사 등의 주식을 취득

함.

- 이들 정유소들은 루크오일 산하 원유생산 자회사들로부터 원유를 공

받아 이를 가공하여 인근 동유럽 CIS 국가에 석유제품을 매

○ 한 루크오일은 재 베네수엘라내에 유 개발과 신규 정유소 건설

Page 68: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31

로젝트 개 요

정유 부문

Odessa 정유소

(우크라이나)

- 2000년 5월 주식 97% 취득. 2001년 정제능력은 연간 380만 톤,

정유량은 230만 톤(가동률 60%). 생산된 석유제품은 트럭, 철도,

이 라인을 통해 오뎃사항까지 운송

Neftokhim 정유소

(불가리아)

- 1999년 10월 주식 58% 취득. 2003년 정제능력은 연간 575만 톤.

불가리아의 유일한 정유소

Petrotel 정유소

(루마니아)

- 1999년 주식 87.3%를 1억100만 달러에 취득한 이후 차 으로

늘려 2005년 1월 93.16% 취득. 2004년 정제능력은 연간 1,070만

톤. 2007년 EU시장에 수출할 수 있는 'EURO-3' 규제와 2009년

까지의 'EURO-4' 규제에 합한 고품질 석유제품이 제조 가능할

망. 재까지 총 투자액은 4억 달러

매 부문

Gettty Petroleum

(미국)

- 2000년 11월, 미국 북동부 서부 12개 주에서 1,263개의 주

유소를 운 하는 Gettty Petroleum을 7,100만 달러에 매수

- 2005년 년 비 22% 증가한 23억 갤런(약 5,500만 배럴)의 석

유제품을 매할 정

우크라이나 주유소- 2011년까지 5억 달러를 투자하여 2005년에 210개, 최종 으로

350개의 주유소 설립 정

헝가리 주유소

- 2005년 3월 호주 AVA로부터 주유소 15개 인수. 재 루크오일

의 헝가리 국내 주유소는 총 26개. 루마니아 Petrotel 정유소의

석유제품을 헝가리 주유소로 공 할 정

에 진출을 추진 에 있음.

- 베네수엘라에 설립될 정유소에서 생산될 석유제품은 미국내 루크오

일 석유제품 매망을 통해 미국 시장에 매될 정

○ 루크오일은 2000년 11월에 미국 북동부· 서부 12개 주에 1,263개의

주유소를 보유하고 있는 Gettty Petroleum을 7,100만 달러에 매입

○ 한편, 루크오일은 터키의 정유산업부문 진출을 추진하고 있으나 알

페로 사장은 터키의 정유소 건설은 아직 최종 결정되지 않았으며

재 사업타당성 조사가 진행 이라 밝힘.

<표 3-5> 루크오일 국외 하류부문 로젝트

자료: Interfax Oil & Gas Weekly(2004-2005), Lukoil 홈페이지 (www.lukoil.ru)

Page 69: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32

3. 정유기업 황

○ 루크오일은 러시아내 최 수직통합형 민간석유회사임. 루크오일 산

하에 생산자회사 7개, 정유자회사 4개, 매자회사 16개를 보유하고

있음.

- 1996년 수직통합형 석유기업인 코미테크를 인수하면서 우흐타 정유

기업과 코미네 츠 로덕트 매기업을 자회사로 확보

- 2001년에 ‘루크오일-니제고르드네 츠오르그신테즈’을 인수

- 상기 2건의 기업 인수를 통해 루크오일은 국내 정제능력을 1995년

연간 2,339만 톤에서 2004년 4,824만 톤으로 약 2.1배 증

<표 3-6> 루크오일의 하류부문 자회사

정유자회사

(4개)

(볼 가) 볼고그라드, 니제고르드네 츠오르그신테즈

(우 랄) 페름

(북 부) 우흐타

*(서시베리아) 우라이 소형정유소, 코갈림 소형정유소

매자회사

(16개)

(볼 가) 니쥬네볼쥐스크네 츠 로덕트, 볼가 네 츠 로덕트,

키로 네 츠 로덕트

(우 랄) 페름 네 츠 로덕트, 체랴 네 츠 로덕트,

우랄 네 츠 로덕트

(북 부) 코미네 츠 로덕트, 보로그다 네 츠 로덕트

(북코카서스) 루크오일 아디게, 북코카서스 네 츠 로덕트,

유그 네 츠 로덕트

(티만페 라) 세베르 네 츠 로덕트, 세베로작 드 네 츠 로덕트

( 앙) 보라지 네 츠 로덕트, 츠엔트랄 네 츠 로덕트,

니제고로드 네 츠 로덕트

(발 트 해) 칼리린그라드 네 츠 로덕트

자료: Energy Intelligence Research(2004), The Almanac of Russian and Caspian Petroleum, Lukoil 홈

페이지(www.lukoil.ru)

○ 루크오일은 러시아 국내에 페름(정제능력 연간 1,396만 톤), 볼고그라

Page 70: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33

드(정제능력 연간 1,000만 톤), 우흐타(정제능력 연간 633만 톤), 니제

고르드네 츠오르그신테즈( 놀시오일: 정제능력 연간 1,796만 톤)

등 4개 정유소를 보유

가. LUKOIL-Volgogradneftepererabotka('Volgograd'정유소)

○ Volgograd 정유소는 1957년에 설립되어 1991년에 Lukoil 산하 자회

사로 통합되었으며, 러시아 남부지역 볼고그라드주의 볼가강 인근에

- 1994년에 가솔린 개질(reforming) 시설 건설

- 1997~1998년에 자동정제설비가 도입되었고, 철도하역 시설이 갖추어

짐.

- 1998~-2001년에 수소화분해시설 가동

- 2002~2003년에 고품질 윤활유 생산 시설 도입

- 2004년에 고옥탄가 생산량을 증 시키기 한 개질시설 확장

○ 향후에도 고품질 경질 석유제품 생산 비 을 증 시키기 한 투자

지속

- 연간 1백만 톤의 생산능력을 갖춘 개질(catalytic reforming) 시

설과 이성화(isomerization) 시설 건설

○ 서시베리아지역에서 채굴된 경질 랜드 원유를 Samara-Tikhoretsk

원유 이 라인을 통해 공 받아 정제

- 증류방식은 상압증류와 감압증류, 그리고 화공정(conversion

process)은 코킹법(연간 1.2백만 톤)과 열분해법(연간 0.75백만 톤)을

사용

- 정제능력은 연간 10.5백만 톤

- 정제량은 2000년 8.50백만 톤, 2001년 8.28백만 톤, 2004년에 8.98백

만 톤

Page 71: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34

- 석유제품 생산량은 2002년 8.07백만 톤, 2001년 7.83백만 톤에서

2004년에 8.46백만 톤

- 체 석유제품 생산 에서 가솔린 비 은 29.2%, 유 17.7%, 경유

8.9%, 나 타 8.4%, 감압가스오일 6.1%, 윤활유 5.7%, heating oil

4.1%임.

- 경질 석유제품 비 은 2000년 59.6%에서 2004년에 60.5%로 약간 증

- 총 가솔린 생산에서 고옥탄가 생산비 은 2000년 35.2%에서 2004년

에 51.7%로 증가

- 총 경유 생산에서 청정 경유 생산 비 은 2000년에 0.0%, 2001년에

3.0%, 2004년에 8.9%로 증가

○ 생산된 석유제품은 철도, 도로, 그리고 내륙수로를 통해서 러시아내

로 수송

- 2004년에 체 석유제품의 81.3%가 철도를 통해서, 17.9%가 볼가강

내륙수로를 통해, 그리고 나머지 0.8%가 도로를 통해 수송

나. LUKOIL-Permnefteorgsintez('Perm'정유소)

○ Perm은 1958년에 러시아 북서지역 페름주 페름시에서 9km 떨어진

곳에 설립되었으며, 1991년에 루크오일에 합병

- 1993~1998년 동안 인 개보수 작업이 실행되었는데, 이 과정에

서 코킹시설, 상압증류시설과 감압증류시설, 고품질 윤활유생산시설,

친환경 제품 생산시설, 환경오염방지 시설 등이 건설

- 1999년에 황화수소, 황산 생산시설 건설

- 2004년에 연간 생산능력 3.5백만 톤을 갖춘 수소화분해 시설, 수소화

분해시설, 분해, 황함유 경유생산 시설 등이 개보수 확충

○ 서시베리아지역과 페름주 북서지역에서 채굴된 랜드 원유를 정제

Page 72: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35

- Surgut-Polotsk원유 이 라인과 Kholmogory-Klin원유 이 라인을

통해서 원유가 공 됨

- 여기서 생산된 석유제품 73.3%가 철도를 통해서 수송되고, 22.3%

가 Perm-Andreyevka-Ufa석유제품 이 라인을 통해, 2.8%가 내륙

수로를 통해, 1.6%가 도로를 통해서 각각 수송

○ Perm정유소의 증류방식은 상압증류와 감압증류, 그리고 화공정

(conversion process)은 수소화분해(T-Star, 연간 3.5백만 톤), 분해

(연간 0.95백만 톤), 코킹법(연간 1.0백만 톤), 그리고 열분해법(연간

0.54백만 톤) 등을 주로 사용

- 정제능력은 연간 12.1백만 톤

- 정제량은 2000년 11.15백만 톤, 2001년 10.73백만 톤에서 2004년에

11.13백만 톤으로 정체

- 석유제품 생산량은 2000년 10.49백만 톤, 2001년 10.14백만 톤에서

2004년에 10.49백만 톤으로 정체

- 경질 석유제품 생산 비 은 2000년 82.2%, 2001년 81.8%에서 2004년

에 84.6%로 증가

- 총 가솔린 생산에서 고옥탄가 가솔린 비 은 2000년 49.6%에서 2004

년에 63.5%로 증가

- 총 경유 생산에서 청정경유 비 은 2000년 31.2%에서 2004년에

46.8%로 증가

․ 2004년부터 황함유량이 10ppm~50ppm이하(Euro-4, Euro-5 기 )

인 경유 생산 개시

Page 73: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36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가솔린 17.8 16.8 16.1 14.8 14.7

경유 29.8 26.0 27.2 27.1 28.5

항공유 4.4 5.1 4.8 5.2 5.3

선박유 2.1 3.9 3.8 3.2 4.8

Heating Oil 1.0 1.4 0.7 0.8 0.3

감압가스오일 2.7 1.9 3.4 4.9 6.0

나 타 0.9 1.4 2.6 2.2 2.2

유 23.0 23.5 23.7 24.2 19.4

아스팔트 6.2 5.7 4.5 5.2 5.5

윤활유 4.3 4.7 3.9 4.0 4.2

코크스 2.4 2.2 2.0 2.0 2.3

기타 5.4 7.4 7.3 6.4 6.8

자료: Lukoil(2005), Lukoil Analyst Databook, 루크오일 홈페이지 (www.lukoil.ru)

<표 3-7> 페름 정유소의 석유제품별 생산비 변화 추이

(단 : %)

다. LUKOIL-Nizegorodnefteorgsintez('Nizegorod'정유소)

○ Nizegorod 정유소는 1958년에 러시아 북서지역 니즈니 노 고로드주

크스토보(Kstovo)시에 설립되었으며, 2001년에 루크오일에 합병

- 2002년에 증류시설 개보수

- 2003년에 러시아에서 유일한 규모 라핀 생산시설 설치

- 2004년에 연간 3백만 톤의 생산능력을 갖춘 증류시설 건설, 연간 1

백만 톤의 개질 시설 건설, 그리고 Lukoil EN590 경유와 Jet

A-1항공유 생산 개시

○ 서시베리아지역 유 지 에서 채굴된 랜드 원유를 정제

- Almetyevsk-Nizhny Novgorod원유 이 라인과 Surgut-Polotsk원유

이 라인을 통해서 원유가 공 됨

- 여기서 생산된 석유제품 67.2%가 철도를 통해서 수송되고, 21.9%

가 석유제품 이 라인을 통해, 8.9%가 내륙수로를 통해, 그리고

Page 74: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37

나머지 2.0%가 도로를 통해서 수송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가솔린 13.3 12.2 11.3 12.3

경유 25.9 28.1 27.9 24.5

항공유 8.0 4.2 4.1 5.7

선박유 0.0 1.1 3.0 5.7

Heating Oil 0.3 0.1 0.1 0.1

감압가스오일 1.3 2.4 2.9 5.0

나 타 0.0 2.2 2.4 0.4

유 40.1 42.4 40.3 37.7

아스팔트 7.4 4.2 4.1 4.5

윤활유 2.7 2.4 2.4 2.4

코크스 0.0 0.0 0.0 0.0

기타 1.0 0.7 1.5 1.7

자료: Lukoil(2005), Lukoil Analyst Databook, 루크오일 홈페이지 (www.lukoil.ru)

<표 3-8> 니제고로드 정유소의 석유제품별 생산비 변화 추이

(단 : %)

○ Nizegorod의 증류방식은 상압증류와 감압증류이며, 화공정

(conversion process) 설비는 갖추어져 있지 않음.

- 정제능력은 연간 15.1백만 톤

- 정제량은 2001년 6.73백만 톤, 2002년 10.65백만 톤에서 2004년에

12.33백만 톤으로 증가

- 석유제품 생산량은 2001년 6.44백만 톤, 2002년 10.25백만 톤에서

2004년에 11.69백만 톤으로 증가

- 경질 석유제품 생산 비 은 2001년 43.4%, 2002년 44.7%에서 2004년

에 43.2%로 증가

- 총 가솔린 생산에서 고옥탄가 가솔린 비 은 2001년 51.4%에서 2004

년에 66.5%로 증가

- 총 경유 생산에서 청정경유 비 은 2001년 1.7%, 2002년 15.7%에서

2004년에 29.9%로 증가

Page 75: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38

․ 2004년부터 황함유량이 50ppm이하(Euro-4 기 )인 경유 생산 개

시. 재 Euro-3기 의 가솔린을 생산할 수 있는 이성화 설비와

분해 설비 등이 건설 에 있음.

라. LUKOIL-Ukhtaneftepererabotka('Ukhta'정유소)

○ Ukhta는 1934년에 러시아 북서지역 코미 공화국 우흐타(Ukhta)시에

설립되었으며, 1999년에 루크오일에 합병

- 2001~2002년에 증류시설 개보수

- 2003년에 라핀 제거 설비 건설

- 2004년에 연간 35,000톤의 생산능력을 갖춘 개질 시설 1단계 공

사 완료

○ Komi와 Yareg 유 에서 생산된 질 랜드 원유를 정제

- Usa-Ukhta원유 이 라인을 통해서 원유가 공 됨

- 여기서 생산된 석유제품 98.0%가 철도를 통해서 수송되고, 나머

지 2.0%가 도로를 통해서 수송

○ Ukhta의 증류방식은 상압증유와 감압증류이며, 그리고 화공정

(conversion process) 설비는 갖추어져 있지 않음.

- 정제능력은 연간 3.7백만 톤

- 정제량은 2000년 3.57백만 톤, 2001년 3.31백만 톤에서 2004년에 2.89

백만 톤으로 감소

- 석유제품 생산량은 2000년 3.43백만 톤, 2001년 3.39백만 톤에서

2004년에 2.80백만 톤으로 감소

- 경질 석유제품 생산 비 은 2000년 36.2%, 2001년 36.8%에서 2004년

에 39.4%로 증가

- 총 가솔린 생산에서 고옥탄가 가솔린 비 은 2000년 31.5%에서 2004

Page 76: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39

년에 55.4%로 증가

- 총 경유 생산에서 청정경유 비 은 2000년 3.7%, 2001년 0.5%에서

2004년에 70.7%로 증

- 2005년부터 황함유량이 50ppm이하의 경유 생산 개시. 재 원유를

공 받고 석유제품을 수송하는 새로운 노선 건설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가솔린 10.3 9.6 9.7 9.6 9.8

경유 18.4 25.0 26.2 26.7 27.3

항공유 0.0 0.0 0.1 0.5 0.9

선박유 0.0 7.0 14.8 13.4 12.1

Heating Oil 0.5 1.0 0.3 0.7 0.0

감압가스오일 6.7 6.3 6.9 9.1 10.8

나 타 3.6 2.6 2.1 2.7 2.6

유 56.2 43.9 36.1 34.2 33.4

아스팔트 3.4 4.0 3.2 2.5 3.0

기타 0.9 0.6 0.6 0.6 0.1

자료: Lukoil(2005), Lukoil Analyst Databook, 루크오일 홈페이지 (www.lukoil.ru)

<표 3-9> 우흐타 정유소의 석유제품별 생산비 변화 추이

(단 : %)

마. 루크오일 산하 해외 정유소

○ 루크오일은 해외에 Petrotel-LUKOIL(루마니아), LUKOIL Neftokhim

Burgas(불가리아), LUKOIL-Odesssa NPZ(우크라이나) 등 3개의 정유

공장을 갖고 있음.

- 루크오일은 구소련지역과 유럽지역에 한 석유제품 수출을 증 시

키기 해 이들 정유소에 한 투자사업을 극 으로 추진하고 있

음.

○ Petrotel은 1927년에 설립, 1999년에 루크오일에 통합되었으며, 루마니

아 Bucharest에서 55km 떨어진 곳에 치

Page 77: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40

- 우랄원유가 철도와 흑해 Contanta항구에서 이 라인을 통해서 공

되며, 생산된 석유제품 83.2%가 내륙수로, 15.4%가 철도, 1.4%가

도로를 통해서 수송

- 정제능력은 연간 3.5백만 톤, 증류방식은 상압증류와 감압증류 방식

사용, 그리고 화공정은 분해(연간 1.0백만 톤), 코킹법(연간 0.6

백만 톤) 사용

- 2004년부터 고품질 가솔린과 Euro-4기 에 맞는 경유 생산하고 있으

며, 한 재 고옥탄가 가솔린 제품 생산설비 건설 임.

- 2004년에 석유제품 생산량은 0.36백만 톤, 이 가솔린 생산비

35.7%, 유 4.8%, 윤활유 14.8%, 코크스 5.8%, 기타 3.8%

- 총 가솔린 생산에서 고옥탄가 가솔린 비 100.0%, 총 경유생산에서

청정경유 비 100.0%

○ Neftokhim Burgas는 1964년 설립, 1999년에 루크오일에 통합되었으

며, 불가리아 Burgas에서 15km 떨어진 흑해연안에 치

- 흑해를 통해 공 된 우랄원유와 우크라이나 Odessa정유소로부터 공

된 유가 이곳에서 정제됨.

- 여기서 생산된 석유제품의 42.1%는 수로를 통해, 28.1%는 도로,

22.0%는 철도, 나머지 7.8%는 이 라인을 통해 수송

- 정제능력은 연간 10.7백만 톤이며, 상압증류와 감압증류 방식과

분해(연간 1.8백만 톤) 방식 사용

- 2004년부터 Euro-4기 에 맞는 가솔린과 경유 생산 개시

- 2004년에 정제량은 5.67백만 톤, 석유제품 생산량은 4.72백만 톤, 석

유화학제품 351.6천 톤

- 체 석유제품 생산에서 가솔린 비 30.6%, 경유 38.3%, 유

20.4%, 항공유 3.0%, 아스팔트 2.8%, heating oil 1.7%, 기타 3.2%

Page 78: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41

- 총 가솔린 생산에서 고옥탄가 가솔린 비 100.0%, 총 경유생산에서

청정경유 비 84.7%

○ Odessa는 1937년 설립, 2000년에 루크오일에 통합되었으며, 우크라이

나 Odessa항에 치

- 러시아로부터 이 라인을 통해 우랄유가 공 되고, 여기서 생산된

석유제품은 선박을 통해 61.5%, 철도를 통해 27.6%, 도로를 통해

10.9% 각각 수송

- 정제능력은 연간 3.6백만 톤, 상압증류와 감압증류 방식, 그리고

개질과 이성화 방식 사용

- 2004년에 정제량 2.45백만 톤, 석유제품 생산량은 2.34백만 톤, 체

석유제품 생산에서 가솔린 비 12.0%, 경유 28.1%, 유 44.3%, 항

공유 3.2%, 감압가스오일 4.8%, 나 타 1.7%, 아스팔트 5.1%, 기타

0.8% 등임.

- 총 가솔린 생산에서 고옥탄가 가솔린 비 82.5%, 총 경유생산에서

청정경유 비 35.7%

- 루크오일은 2006년에 동 정유소에 한 투자를 2005년보다 무려

15.8백만 달러 많은 24.0백만 달러를 지출했음.

․ 루크오일은 2005년부터 동 정유소에 한 투자 로젝트를 시작하

으며 2007년 말까지 1단계 사업을 완료시킬 정

제2 로스네 츠(Rosneft)

1. 석유제품 생산 수출 황

○ 로스네 츠는 Komsomolsk와 Tuapse 등 두 개의 정제소를 가지고

있음

Page 79: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42

- 연간 총 정제능력은 약 10백만 톤이며, 거의 100%에 달하는 가동률

로 운 됨.

- 극동지역에 있는 콤소몰스크 정유소의 정제능력은 5.9백만 톤이며,

남부지역에 있는 투아 세 정유소의 정제능력은 3.9백만 톤임.

○ 로스네 츠는 원유 생산에서 러시아내 2 를 차지하고 있지만, 정제

규모에 있어서는 하 권에 머물러 있음.

- 로스네 츠는 유럽, CIS, 아・태시장으로 원유 석유제품을 수출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음.

․ 흑해지역에 있는 투아 세 정유소 수출터미 을 이용해 구소

련, 동유럽, 서유럽 지역으로 석유제품 수출

․ 극동지역내 콤소몰스크 정유소와 태평양 연안 De-kastri수출터미

과 Nakhodka터미 을 통해 국을 비롯한 아・태지역으로 석유제

품 수출

- 석유제품 수출 증 를 해 콤소몰스크 정유소와 투아 세 정유소에

규모 투자 사업을 추진 임.

3.5

6.47.1

7.78.3

9.5 9.3

10.5

0

2

4

6

8

10

12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백만 톤)

[그림 3-1] 로스네 츠 정제량 변화 추이

자료: 로스네 츠 홈페이지 (www.rosneft.ru)

Page 80: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43

○ 2005년 정제량은 년 비 13% 증가한 10.5백만 톤이었으며, 1999년

이후부터 계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 로스네 츠는 재 자체 정제능력보다 훨씬 많은 양의 석유제품을

생산・ 매하고 있음. 즉, 로스네 츠는 생산된 원유의 일부를 다른 정

유기업, 주로 유코스에 탁해 정제하고 있음.

- 2005년 석유제품 매량은 26.5백만 톤으로 년 비 8% 증가

- 2005년에 약 1,330만 톤의 석유제품들이 해외로 수출되었는데, 이는

체 석유제품 매량의 63.6%에 해당

- 러시아 국내시장에는 체 매량의 36.4%인 약 570만 톤의 석유제

품이 로스네 츠 산하의 도소매망을 통해 매

2002년 2003년 2004년

콤소몰스크

정제량 4,408.1 5,492.9 5,223.1

가솔린 176.2 489.2 442.1

경 유 815.7 1,329.2 1,291.2

유 1,708.9 2,147.0 2,034.9

항공유 233.0 239.3 231.1

투아 세

정제량 3,939.2 4,035.7 4,072.1

가솔린 186.0 244.6 262.6

경 유 1,309.1 1,337.8 1,334.8

유 1,740.3 1,790.4 1,791.9

항공유 - - -

자료: InfoLine(2006), Refining Industry in Russia 2004-05.

<표 3-10> 로스네 츠 석유제품 생산량 변화 추이

(단 : 천 톤)

○ 로스네 츠는 러시아 국내와 주요 수출시장에 석유제품을 공 하기

한 14개의 매지사망을 갖고 있음.

- 러시아 남부지역에서 극동지역에 걸친 지역에 매망을 갖고 있

으며, 국 으로 약 600개의 주유소를 운

Page 81: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44

매자회사 주유소 개수 장시설 개수 국내 매량

Arkhangelsknefteprodukt 49 18 0.3730

Nakhodkanefteprodukt - 1 0.3679

Tuapsenefteprodukt 11 1 0.1459

ARTAG 13 2 0.0719

Altainefteprodukt 89 21 0.2969

Kabardino Balkarskaya Fuel Co. 49 7 0.4442

Kubannefteprodukt 160 23 1.0583

Karachaevo-Cherkessknefteprodukt 31 2 0.1412

Kurgannefteprodukt 47 7 0.1228

Murmansknefteprodukt 33 4 0.2108

Smolensknefteprodukt 90 14 0.3585

Yamalnefteprodukt 6 4 0.0416

Stavropolye 16 1 0.3943

Vostoknefteprodukt 55 6 1.6509

자료: 로스네 츠 홈페이지 (www.rosneft.ru)

<표 3-11> 로스네 츠 매자회사의 매시설 매량(2005년)

(단 : 백만 톤)

- 로스네 츠는 계속 인 매망 확 를 통해서 2010년까지 러시아 국

내 석유제품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 을 약 11%까지 증 시킬 계획

11.613.1 13.7

19.2 20

24.526.5

0

5

10

15

20

25

30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백만 톤)

[그림 3-2] 로스네 츠 석유제품 매량 변화 추이

자료: 로스네 츠 홈페이지 (www.rosneft.ru)

Page 82: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45

2. 주요 투자 로젝트

○ 2005년 투자 지출액은 603억 루블로 년 비 1.5배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

- 다른 러시아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1990년 에는 조한 투자실 을

기록하 고, 2000년부터 뚜렷한 증가세를 볼 수 있음.

- 특히 2005년에 높은 투자지출은 로스네 츠에 한 러시아 정부의

지원정책 유코스 자회사인 유간스크네 츠가스의 매입에 따른 것

임.

24.7

13.717.3 17.8

24.3 23.9

60.3

0

10

20

30

40

50

60

70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10억 루블)

[그림 3-3] 로스네 츠 투자지출 변화 추이

자료: 로스네 츠 홈페이지 (www.rosneft.ru)

○ 재 로스네 츠는 러시아 국내외의 높은 석유제품 수요 증 를 바

탕으로 정제능력 확충에 노력하고 있음.

- 1999년 이후부터 정유소의 설비 화와 고도화 시설에 한 투자

로그램을 추진하고 있음.

- 투자 사업의 주요 목표는 정제능력 확충, 고품질・친환경 석유제품

Page 83: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46

생산, 고옥탄가 가솔린 생산, 경질 석유제품 생산비 증 등임.

- 한편, 투자 사업은 러시아 다른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외국기업들로

부터의 설비와 기술 도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

- 이들 정유소에 한 투자사업이 완료되면 정제능력은 재 연간

10.5백만 톤에서 19백만 톤으로 증 될 것으로 상

○ 로스네 츠는 2006년 러시아 유럽내 정유공장 매입을 선언, 정유

산업을 폭 확장시키려 하고 있음.

- 재 연간 1,050만 톤 수 의 정제능력을 향후 15배 증가시킨 1억

5,000만 톤까지 끌어올릴 계획

- 이를 해 재 소유하고 있는 두개의 정유공장 정제능력을 연간

1,900만 톤으로 증가시키고, 유코스가 소유하고 있는 정제자산을 매

입할 계획임.

- 유코스 소유의 모든 정제자산을 매입할 경우 로스네 츠는 5,320만

톤을 추가로 확보하게 됨.

․ 2006년 7월 14일 투자자 마련을 해 IPO를 실시하여 13억 상

당의 주식( 체 주식의 14.5%)을 매각

․ 로스네 츠는 외부차입으로 98.4억 달러, 단기차입으로 39억 달러

를 갖고 있음.

○ 최근에 로스네 츠는 동북아지역, 특히 국 석유제품시장 진출에

극 임.

- 2006년 3월 ・러 정상회담을 계기로 로스네 츠는 국기업(CNPC,

Sinopec)들과 러시아 상류부문 국 하류부문에 한 공동투자

사업 추진

- 최근 로스네 츠는 국 CNPC와 ‘Vostok Energy’합작기업을 모스

크바에 설립하 으며, 로스네 츠가 51% 주식을 소유하고 있음. 동

Page 84: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47

정유자회사

(3개사)

(극 동) 콤소몰스크

(북카 카스) 투아 세

매자회사

(14개사)

( 앙) 스몰 스크네 츠 로덕트

(북 부) 아르한겔스크네 츠 로덕트, 무르만스크네 츠 로덕트,

(우 랄) 쿠르간네 츠 로덕트

(북카 카스) 카라차 보・체르 스크네 츠 로덕트, 아르타그,

쿠반네 츠 로덕트, 스타 로폴리에,

투아 세네 츠 로덕트, 카바르디노발카르스카야,

(시 베 리 아) 알타이네 츠 로덕트, 메 보네 츠 로덕트,

야말네 츠 로덕트

(극 동) 보스톡네 츠 로덕트

회사는 향후 양국 상・하류부문에 투자 사업을 개할 것임.

․ 러시아- 국 국경지역에 정유공장 건설

․ 블라디보스톡 인근지역에 규모 정유공장 건설

․ 콤소몰스크 정유소의 시설 확장 고도화 사업 추진

3. 정유기업 황

○ 2005년 5월 재 로스네 츠는 하류부문에 2개 정유소와 14개의 석유

매자회사를 두고 있음.

- 러시아 남부지역에서 극동지역에 이르기까지 러시아 지역에 걸쳐

도・소매망을 갖고 있으며, 재 610개의 주유소를 운 하고 있음.

<표 3-12> 로스네 츠 하류부문 자회사

자료: Energy Intelligence Research(2004), The Almanac of Russian and Caspian Petroleum, p193 등,

로스네 츠 홈페이지 (www.rosneft.ru)

○ 한편, 러시아 남부지역에 치해 있는 투아 세 정유소는 로스네 츠

의 주요 석유 생산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다른 기업들의 원유를

정제하고 있기도 함.

- 2005년에 로스네 츠 정유자회사의 정제능력은 총 10.5백만 톤이었

으며, 가동율은 1998년 37.2%에서 2001년 이후 계속 80% 수 을 유

Page 85: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48

지하고 있음.

가. 콤소몰스크(Komsomolsk) 정유소

○ 콤소몰스크 정유소는 러시아 극동지역 하바로 스크(Khabarovsk)지

방의 콤소몰스크 나 아무 (Komsomolsk-on-Amur) 에 치해 있으

며, 1993년에 로스네 츠에 통합되었음.

- 2005년에 640만 톤(로스네 츠 체 정제량의 61%에 해당)의 원유를

정제하여 100%의 가동률 기록

○ 원유를 공 받고 생산된 석유제품을 국내외로 공 하기 한 수송인

라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음.

- 원유공 지인 사할린지역과 콤소몰스크 정유소간에 원유 이 라인

(Okha-Komsomolsk-on-Amur노선)으로 연결

․ 로스네 츠는 동 이 라인 노선을 소유하고 있음.

- 여기서 생산된 석유제품은 극동지역 태평양 연안 데-카스트리

(De-Kastri)수출터미 과 나호트카(Nakhodka)수출터미 을 통해 아・

태지역으로 수출

․ 콤소몰스크 정유소에서 데-카스트리터미 까지는 석유제품 이

라인을 통해서, 나호트카터미 까지는 시베리아횡단열차를 통해서

각각 수송됨.

- 나호트카터미 은 주로 아・태지역에 한 원유수출을 담당하고 있는

데 재 아․태지역에서의 높은 석유제품 수요를 감안하여 석유제품

선 능력을 증 시키기 한 투자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

․ 로스네 츠가 터미 지분의 40.62%를 보유하고 있음.

․ 선 용량은 연간 700만 톤에 달함.

- 데-카스트리터미 은 사할린지역에서 생산된 원유와 콤소몰스크정유

소에 생산된 석유제품을 수출하는 역할 담당

Page 86: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49

- 한 콤소몰스크 정유소는 하바로 스크 정유소와 함께 극동지역에

석유제품을 독 으로 공

○ 체 석유제품 생산 에서 유와 경유 비 이 약 76%에 이름.

- 생산된 제품의 부분은 극동지역, 국, 일본, 한국, 베트남 등지에

수출

- 이들 매업무는 로스네 츠의 매자회사인 Nakhodkanefteprodukt

가 담당

○ 콤소몰스크 정유소의 안과제는 경질 석유제품 생산 비 을 높이고,

정제능력을 확충하는 것임.

- 증류시설을 증설하여 재 640만 톤의 정제능력을 700만 톤 규모로

증 시킴.

- 2010년까지 화 사업을 완료시킴.

나. 투아 세(Tuapse) 정유소

○ 투아 세 정유소는 러시아 남부지역의 흑해와 해 있는 크라스노다

르지방의 투아 세(Tuapse) 에 치해 있으며, 1992년에 로스네 츠

에 통합

- 러시아 흑해연안 투아 세 수출터미 과 인 해 있어 석유제품 수출

에 유리함.

- 러시아 남부지역 우랄-볼가 지역내 유 지역과 원유 이 라인으

로 연결되어 있음.

․ 주요 원유공 기업은 로스네 츠 생산 자회사인 Yuganskneftegaz,

Purneftegaz, Stavropolneftegaz, Grozneftegaz 등임.

○ 투아 세터미 은 로스네 츠의 매자회사인 Tuapsenefteprodukt의

소유임.

Page 87: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50

- 원유와 석유제품을 수출하기 한 터미 로써 석유 처리능력은 연간

1,020만 톤에 이름.

- 재 시설 확충 화 사업이 진행 에 있는데 동 사업이 완료

되면, 처리량은 재 연간 1,000만 톤에서 1,700만 톤 수 으로 증

될 것으로 상

○ 2005년에 410만 톤(로스네 츠 총 정제량의 39%에 해당)의 원유를 정

제하여, 약 99.4%의 가동률을 기록하 음.

- 여기서 생산되는 체 석유제품 가운데 유와 경유 생산 비 은

77%임.

- 석유제품은 로스네 츠의 매자회사인 Tuapsenefteprodukt에 의해

서 러시아 국내와 CIS, 동유럽, 서유럽 지역으로 매

○ 투아 세 정유소도 정제능력 확충, 경질 석유제품 생산 증 를 해

설비 증설과 시설 화, 고도화 등의 투자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

고 있음.

- 연간 정제능력을 재 410만 톤에서 1,200만 톤 수 으로 증

- 석유제품 생산품을 경질 석유제품 주로 개선

- 투자사업은 1,2단계로 나뉘어서 추진되는 2단계 사업은 2012년에 완

료될 정

제3 유코스(Yukos)

1. 석유제품 생산 수출 황

○ 유코스는 최근 ‘유코스 사태’로 회사 존립 자체가 불안정 상황에서도

러시아 국내 석유제품시장의 16%를 유, 루크오일에 이어 2 를 차

지하기도 하 음.

Page 88: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51

- 2003년 유코스의 국내 총 정제량은 30.6백만 톤으로 년 비 1% 감

소했으나 2004년에 31.5백만 톤(러시아 체 정제량의 16.3% 차지)으

로 년 비 약 3% 정도 증가

․ 2003년 리투아니아내 마제이키우 나 타(Mazeikiu Nafta)4)정유소

에서는 7.2백만 톤 정제

25.1 25.5

23.1

16.5

30.9 30.631.5

0

5

10

15

20

25

30

35

40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백만 톤)

[그림 3-4] 유코스의 러시아내 정제량 변화 추이

자료: InfoLine(2006)

○ Mazeikiu Nafta 정유소를 포함해서 유코스 산하 정유기업들의 경질

석유제품 생산 비 은 1998년 54%, 2000년 56.8%에서 2004년에

60.6%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

- Mazeikiu Nafta 정유소를 제외한 경우 경질 석유제품 비 은 2003

4) 유코스는 마제이키우 나 타의 지분을 매각하여 체납된 세 을 납부하려 하고 있음. 로스네 츠

와 폴란드 정부간에 유코스 지분 매입을 한 경쟁을 벌이고 있음. 최근에는 마제이키우 정유소

에 원유를 공 하는 러시아 드루쥐바 송유 에서 사고가 발생하여 한동안 동 정유소에 한 원유

공 이 단되기도 하 음. 이 과정에서 러시아 정부가 로스네 츠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려

고 한다고 폴란드 정부가 주장하고 있음.

Page 89: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52

년에 57.84%

- 유코스는 가솔린과 경유 생산에서 선두자리 차지

○ 러시아 국내 도소매시장 다른 정유소에 한 유코스의 석유제품

매량은 2003년 17.9백만 톤( 년 비 4%감소), 2004년 17.1백만 톤

(4% 감소)이었고, 해외시장에 한 매량은 2003년 18.1백만 톤( 년

비 47% 증가), 2004년에 19.7백만 톤(8.8% 증가)이었음.

- 유코스는 생산된 원유의 61%를 해외에 수출하고, 나머지 39%를 국

내외 정유소를 통해서 정제

- 석유제품의 약 반 정도가 러시아 국내에 매되고 있는데 최근 들

어 해외수출 증가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

- 석유제품의 수출국은 CIS지역, 동유럽, 서유럽, 그리고 동아시아 지

역으로 특히 국, 싱가폴, 일본 등임.

- 유코스는 러시아 국내에 1,400개의 직 주유소를 운 하고 있음.

○ 유코스는 1990년 말부터 고품질 석유제품 생산 증 를 해 정제시

설 화 사업을 극 으로 추진하고 있음.

- 2002년에 동 부문에 한 투자지출은 246백만 톤에서 2003년에 270

백만 톤으로 증가

- 외국기업과의 력을 통해 첨단 석유정제 시설 기술 도입

- 유럽시장에 석유제품 수출을 증 시키기 해 유럽기 에 합한 석

유제품 생산

- 유럽지역에 해 있는 구소련 지역내 정유공장 매입

- 자체 석유제품 랜드 'U-tech' 개발 소매 매망 확 운

○ 유코스는 산하에 7개의 규모 정유소를 소유하고 있는데 Samara시

Volga 강 유역에 Syzran, Novokuibyshev, Kuibyshev, Samarsk, 동시

베리아지역에 Achinsk과 Angarsk, 그리고 리투아니아에 Mazeikiu

Page 90: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53

Nafta 등임.

- 정제량 기 으로 앙가르크, 마제이키우 나 타, 노보쿠이비세 , 쿠

이비세 , 사마르스크, 아친스크, 시즈란 순임.

 정유소 2002년 2003년 2004년년 비

증가율(%)

사마르스크 5,837.1 5,454.2 5,608.4 2.8

노보쿠이비세 6,994.4 6,846.1 6,594.6 -3.7

스즈란 4,654.5 4,968.2 5,511.2 10.9

아친스크 5,128.6 5,004.0 5,031.4 0.6

앙가르스크 8,256.8 8,360.8 8,796.1 5.2

Mazeikiu Nafta - 7,144.0 - -

자료: InfoLine(2006), 유코스 홈페이지 (www.yukos.ru)

<표 3-13> 유코스 정유소들의 정제량 황

(단 : 천 톤)

○ 경질 석유제품 생산비 이 가장 높은 정유소는 마제이키우 나 타

(72.5%)임. 러시아 국내에서는 아친스크, 사마르스크, 스즈란, 노보쿠

이비세 , 앙가르스크 순임.

- 가솔린 생산의 경우, 앙가스르크 정유소가 2004년에 1.3백만 톤( 년

비 17.7% 증가)으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이 사마르스크 정유소로

1.0백만 톤(5.0% 증가)임.

- 유코스는 러시아에서 가장 많은 경유를 생산하고 있음. 앙가르스크

정유소가 2004년에 년 비 8.2% 증가한 2.5백만 톤의 경유를 생산

했음. 2004년에 가장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인 곳은 스즈란으로 년

비 16.4% 증가했음.

- 유의 경우, 아친스크 정유소가 체 석유제품 생산 에서 유비

이 제일 크고, 앙가르스크 정유소가 제일 작음. 한 유도 유코

스가 러시아내에서 가장 많이 생산하고 있음.

Page 91: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54

- 항공유도 앙가르스크 정유소가 가장 많이 생산하고 있는데 2004년에

년 비 9.6% 감소한 59만 톤을 생산했음.

- 한편, 유코스는 경쟁기업인 루크오일에 비해 가솔린, 경유, 유 등

을 더 많이 생산하고 있으나 항공유의 경우는 그 지 못함. 2004년

에 유코스는 1.4백만 톤의 항공유를 생산했는데, 루크오일은 이보다

더 많은 2.0백만 톤을 생산했음.

 정유소 가솔린 경유 유 항공유

사마르스크 1,027.5 1,921.7 1,969.2 92.2

노보쿠이비세 990.6 1,947.8 1,736.6 336.4

스즈란 947.5 1,295.9 1,372.8 191.4

아친스크 996.7 1,568.9 1,955.0 231.6

앙가르스크 1,313.6 2,540.0 2,227.7 590.6

유코스 체 합계 5,275.9 9,274.3 9,261.3 1,442.2

자료: InfoLine(2006), Refining Industry in Russia 2004-05

<표 3-14> 유코스 정유소들의 석유제품 생산 구조(2004년)

(단 : 천 톤)

2. 정유기업 황 투자 로젝트

○ 유코스는 사업 확장 석유・가스 자산 증 를 해 독립계 석유기

업들의 인수・합병에 매우 극 이었음.

- 1999년 EastOIL을 인수하면서 정제 자회사인 아친스크정유소와

매회사인 노 시비르스크네 츠 로덕트, 톰스크네 츠 로덕트, 하

카스네 츠 로덕트 등도 함께 인수

- 2000년 시단코의 자회사 던 앙가르스크 정유소를 자회사로 편입함

으로써 동시베리아 지역내 석유제품 시장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음.

- 2001년 발틱3국에 유일한 정유소인 리투아니아 마제이키우 나 타

(Mazeikiu Nafta)의 주식 26.9%를 1,700만 달러에 취득

․ 그러나 동 정유소의 주식은 유코스 사태 이후 러시아 정부에 한

Page 92: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55

체납세 납부를 해 매각 에 있음.

- 2002년 1월에 슬로바키아의 석유 이 라인 리기업인 트랜스패트

롤의 주식 49%를 취득

○ 1998년에 유코스는 하류부문을 종합 ・체계 으로 리・운 하기

해 100% 자회사 형태의 Yukos RM (Refining & Marketing)을 설립

- 동 회사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음.

․ 하류부문 자회사들 리

․ 원유 정제, petroleum gas 가공

․ 석유제품, 석유화학제품, 기타 제품 제조

․ 원유 석유제품 매, 수출

- Yukos RM에는 다음과 같은 정유자회사들이 포함

․ 6개의 정유자회사: Angarsk Petrochemical Company, Achinsk Oil

Refinery, Mazeikiu Nafta, Novokuibyshevsk Oil Refinery, Syzran

Oil Refinery, Samarsk Oil Refinery.

․ 7개의 소형정유소・석유화학・가스가공 자회사: Angarsk Polymer

Plant, Neftegorsk Gas Processing Plant, Angarsknefteorgsintez,

Novokuibyshevsk Catalysts Plant, Novokuibyshevsk Oil and

Additivies Plant, Otradny Gas Processing Plant, Strezhevoy Oil

Refining

․ 그리고 매부문에 종사하는 18개의 자회사 등이 포함

○ 유코스 사태 이후 최근까지 유코스는 독자 으로 생존하기 해 많

은 노력을 기울 음. 그러나 푸틴정권은 유코스의 청산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 문가들은 유코스 산하 부분의 자회사들은 러시아 국 기업인 로

스네 츠에 매각될 것으로 상하고 있으며, 실제로 로스네 츠는

Page 93: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56

정유 자회사

(6개)

(볼가 - 우랄) 노보쿠이비세 , 쿠이비세 , 시즈란, 사마르스크

(동 시베리아) 아친스크, 앙가르스크

*소형 정유소: 스트 제보이

매 자회사

(19개)

(서 시베리아) 사마라네 츠 로덕트, 노보시비르스크네 츠 로덕트,

톰스크네 츠 로덕트, 한티만시크네 츠 로덕트

(볼가 - 우랄) 울리야노 네 츠 로덕트, 펜자네 츠 로덕트

( 앙) 오리올네 츠 로덕트, 랸스크네 츠 로덕트

( 앙 흑 토) 벨고르드네 츠 로덕트, 리페츠크네 츠 로덕트,

보로네즈네 츠 로덕트, 탐보 네 츠 로덕트

(북 카 카스) 스타 로폴리네 츠 로덕트, 유-쿠반

(동 시베리아) 앙가르스크네 츠 로덕트, 이르쿠츠크네 츠 로덕트,

하카스네 츠 로덕트, 라츠크네 츠 로덕트,

부랴트네 츠 로덕트

공개 으로 유코스 자회사들 가운데 일부 정유회사와 매회사들의

매입의사를 밝히기도 하 음.

○ 한편, 2005년 말 재 유코스는 그 산하에 주요 정유소 6개, 매 자

회사 19개를 두고 있음.

- 러시아 국내 소매 주유소로 약 1,400개를 운

<표 3-15> 유코스의 하류부문 자회사

자료: Energy Intelligence Research(2004), The Almanac of Russian and Caspian Petroleum, 유코스 홈

페이지 (www.yukos.ru)

○ 아친스크(Achinsk) 정유소는 1981년에 동시베리아지역 크라스노야르

스크지방에 설립

- 정제능력은 650만 톤에 달하며, 2004년에 503.14만 톤의 원유를 정제

했음.

- 원유는 주로 유코스 소유의 톰스크주내 매장지에서 공 받고, 나머

지는 다른 기업의 원유를 매입해서 공

- 주요 시설로 기 탈수・탈염, 개질, 탈황, 개질, 분해, 코킹,

합 등의 시설이 있음.

Page 94: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57

- 동 정유소에서 생산되는 주요 석유제품은 유, 경유, 가솔린, 항공

유, 아스팔트, 액화가스 등임.

○ 앙가르크(Angarsk) 정유소는 1953년 설립, 2001년 7월에 유코스에

통합되었으며, 구소련 시 에 가장 큰 석유화학 공장이었음.

- 정제능력은 19.2백만 톤이며, 이는 러시아에서 옴스크정유소에 이어

2번째에 해당

- 2004년 정제량은 14.3백만 톤이었으며, 계속 증가하는 추세임.

- 주요 원유 공 원은 톰스크주내 유코스 산하 유

- 주요 석유제품 생산품은 가솔린, 항공유, 유, 그리고 석유화학제품

등임.

- 주요 투자 계획은 Euro-3, Euro-4 기 의 석유제품 생산을 한 시

설 화, 화(conversion)시설 증설, 친환경제품 생산시설, 환경오

염방지시설 건설 등임.

○ 쿠이비세 (Kuibyshev) 정유소는 볼가지역에서 1945년에 설립되었

으며, 정제능력은 일일 139,891배럴(19,137톤)임.

- 2003년에 일일 평균 정제량은 109,570배럴(14,989톤)

- 주요 원유 공 지는 네 테유간스크지역과 사마라지역임

- 주요 시설로 기 탈수・탈염, 개질, 분해, 알킬화 등의 시설

- 주요 석유제품은 가솔린, 항공유, 경유, 유, 아스팔트 등임

- 경질 석유제품, Euro-3, Euro-4 기 의 고품질 석유제품, 친환경

석유제품 생산의 비 을 확 시키기 한 투자 사업

○ 노보쿠이비세 스크(Novokuibyshevsk) 정유소는 볼가지역에서

1951년에 건설되었으며, 정제능력은 9.6백만 톤임.

- 2004년 정제량은 659.5만 톤이었음.

Page 95: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58

- 원유는 네 테유간스크지역과 오 부르그 지역내 유코스 소유 유

에서 공 됨.

- 주요 시설: 기 탈수・탈염, 수소화정제, 개질, 분해, 코킹,

상압증류와 감압증류, 아스팔트 생산시설 등

- 주요 석유제품은 가솔린, 항공유, 경유, 유, 아스팔트, 첨가제, 코크

스 등임.

- 주요 투자계획: Euro-3과 Euro-4 기 의 고품질 석유제품 경질

석유제품 생산 증 시설, 환경오염방지 시설 건설임.

○ 시즈란(Syzran)정유소는 1942년 설립되었으며, 정제능력은 10.7백만

톤임.

- 2004년 정제량은 551.1만 톤으로 상 으로 설비 가동율이 낮은 편

임.

- 원유는 부분 네 테유간스크지역과 사마라지역내 유 에서 공

- 주요 시설: 기 탈수・탈염, 1차 정제, 유압세척, 개질, 분해

- 주요 석유제품은 고옥탄가 가솔린, 항공유, 경유, 선박유, 액화가스,

아스팔트

- 시즈란 정유소는 시장여건에 잘 응하고 있음. 지난 몇 년 동안 비

용 감, 고품질 경질 석유제품 생산 증 를 한 고도화 사업 추진

- 시즈란 정유소는 유코스 산하 정유소에서 생산된 고옥탄가 가솔린의

반 정도 담당

○ 노보쿠이비세 스크 오일・첨가제 공장(Novokuibyshevsk Oils And

Additives) 정유소는 1951년에 설립되어 1998년에 유코스에 합병

- 주요 생산품은 63종의 산업용, 선박용, 특수용 오일(이 28종은 러

시아 기 에 합, 19종은 국제기 에 합한 오일임)

- 2000년부터 유럽기 에 합한 품질 경쟁력을 확보하기 한 규모

Page 96: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59

투자 로그램을 실행 임.

○ 스트 제보이(Strezhevoy) 정유소는 1999년에 미국기업 Petrofac사에

의해서 설계된 소형 정유공장임.

- 정제능력은 일일 4,200배럴(575톤)

- 2003년에 일일 평균 정제량은 4,189배럴(573톤)

- 완 자동화 시스템으로 운

- 공 되는 원유는 톰스크주에서 채굴되는 유황 원유임.

- 주요 시설: 기 탐수・탈염, 1차 정제시설

- 주요 석유제품은 경유임.

○ 마제이키우 나 타(Mazeikiu Nafta) 정유소는 리투아니아에 있는

하류부문의 수직통합형 석유기업임. 유코스는 Mazeikiu Nafta의 지분

을 2002년 9월 19일에 인수하 음.

- 마제이키우 나 타 산하에는 리투아니아 북서지역 Mazeikiai시에

치해 있는 Mazeikiu정유소가 있음.

- 마제이키우정유소는 발틱 3국 지역내 유일한 정유소로써 1980년에

설립되었음.

- 정제능력은 일일 160,221배럴(21,918톤)

- 2003년에 일일 평균 정제량은 143,079배럴(19,573톤)

- 주요 시설: 상압증류와 감압증류, 개질, 수소화정제, 분해,

용제탈황, 용제탈랍, 아스팔트 생산시설, 황산생산시설, MTBE생산시

설 등임.

- 주요 제품은 고품질 가솔린

- 주요 투자 사업으로 이성화 시설, 개질시설, 분해시설, 친환경상

품 생산시설, 환경오염방지시설 건설과 생산품의 랜드화 등임.

Page 97: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60

- 한 재 Euro-4기 에 부합되는 석유제품 생산을 해 시설

화 고도화 사업 추진

- 재 유코스는 자사소유의 마제이키우 나 타 주식을 폴란드의

PKN Orlen에게 매각하려 하고 있음. 그러나 동 거래는 러시아 정부

의 극 인 개입으로 무산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 2006년 10월에 화재가 발생하여 조업이 단된 상태임.

․ 동 정유소에 원유를 공 하는 드루쥐바 송유 에 문제가 발생하여

한동안 이 라인을 통한 원유공 이 단되기도 하 음.

제4 가즈 롬 네 츠(Gazprom Neft)

1. 석유제품 생산 수출 황

○ 2005년 10월 가즈 롬이 시 네 츠의 주식 75%를 인수하 고5),

2006년 5월에 Gazprom Neft로 사명 변경

- 가즈 롬 네 츠는 수직통합형 석유기업으로 계속 회사 규모를 확장

시키고 있음.

- 2005년 10월 이후 재까지 키르기즈스탄에 매망을 구축했고, 상

트 페테르부르그에 30개의 주유소를 개설

- 2003년에 TNK-BP와 공동출자하여 슬라 네 츠 인수

․ 슬라 네 츠는 야로슬라블에 야로슬라 정유소, 야로슬라 -멘

델 정유소와 벨로루시에 Mozyr정유소, 그리고 550개의 주

유소를 갖고 있음.

․ 가즈 롬 네 츠와 TNK-BP는 슬라 네 츠의 상류부문 자산과

5) 시 네 츠 주식의 남은 20%는 원래 유코스 소유이지만 재 유코스가 거의 청산과정에 있기 때

문에 러시아 검찰청에 의해 차압된 상태임.

Page 98: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61

매망을 분할하기로 했고, 정유소는 공동 운 하기로 합의

○ 가즈 롬 네 츠는 모스크바, 옴스크, 야로슬라블 정유공장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 3개의 정유공장에서 2003년에 약 1,800만 톤의 석유제품

을 생산

- 2001년에 정제능력은 1,890만 톤, 가동률은 70.1%이었음.

- 2003년에 가솔린 생산량은 4.4백만 톤, 경유 5.7백만 톤, 유 3.2백

만 톤이었음. 다른 러시아내 정유기업들과 마찬가지로 경유 생산비

이 높은 편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합계 16,127 13,106 12,457 12,555 13,258 15,817 17,957 17,558

Omsk 16,127 13,106 12,457 12,555 13,258 13,264 13,832 14,308

Moscow - - - - - 2,550 2,980 3,250

Yaroslavl - - - - - - 1,145 -

자료: 가즈 롬 네 츠 홈페이지(www.gazprom-neft.ru)

<표 3-16> 가즈 롬 네 츠 정유소들의 정제량 변화 추이

(단 : 백만 톤/연)

○ 가즈 롬 네 츠의 핵심 인 석유제품 매지역은 러시아 남부지역

과 서시베리아지역임. 여기에는 경유, 가솔린, 윤활유 등을 매하는

소규모의 매자회사들이 존재

- 가즈 롬 네 츠 체 석유제품의 30%~60%정도가 서시베리아지역

에서 매되는데, 이는 옴스크 정유공장이 서시베리아지역에 있기

때문임.

- 옴스크주의 석유제품 매를 담당하고 있는 옴스크네 츠 로덕트가

최 의 매회사임.

- 서시베리아지역 석유제품 시장을 두고 아친스크정유소(유코스), 바쉬

네 츠힘자보디정유소, 페름정유소(루크오일) 등의 회사들과 경쟁

Page 99: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62

- 2004년말 재 12개의 소매 자회사들과 이들에 의해 운 되고 있는

800개의 주유소, 60개 장탱크 소유

- 석유제품 이 라인을 이용할 경우, 수송과정에서 석유제품들이 혼

합될 수 있기 때문에 고품질 석유제품은 철도를 이용해 수송

○ 가즈 롬 네 츠는 새로운 략 매시장으로 모스크바시와 모스

크바주, 상트 페쩨르부르그, 그리고 니즈니 노보고로드 등에 활발히

진출

- 2002년에 모스크바시에 소매망 개설

- 2002년에 가솔린과 경유 매실 이 년 비 18% 증가

- 모스크바시 모스크바주내 슬라 네 츠 소유의 주유소를 가즈

롬 네 츠가 운 하게 되었음. 슬라 네 츠의 자산 분할을 통해 러

시아 서부 지역에 있는 100개의 주유소를 보유하게 될 것임.

○ 가즈 롬 네 츠는 생산된 원유의 38-40%를 수출하고, 정제된 석유제

품의 20-25%를 해외로 수출

- 수출업무는 100% 자회사인 Sibneft Oil Trade (‘Siboil’)에 의해서 이

루어지고 있음. 시 오일은 2000년에 설립되었고, 가즈 롬 네 츠의

원유와 석유제품은 물론 타사의 제품도 수출

○ 가즈 롬 네 츠는 SibiMotor 랜드로 러시아 국내 엔진오일 시장을

공략

- 매월 2만 톤의 엔진오일을 생산하는 러시아내 규모 생산기업 에

하나임.

- 엔진오일은 주로 옴스크 정유공장에서 다른 경쟁기업에 비해

20-30% 낮은 생산비용으로 생산

2. 정유회사 황 투자 로젝트

Page 100: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63

○ 가즈 롬 네 츠는 정유자회사 3개, 매자회사 11개를 소유하고 있

으며, 러시아 역에 1,183개의 주유소를 운

<표 3-17> 가즈 롬 네 츠의 하류부문 자회사

정유자회사

(3개사)

( 부) 모스크바, 야로슬라블

(서시베리아) 옴스크

매자회사

(11개사)

( 부) 모스네 츠 로덕트, 시 네 츠-상트 페쩨르부르그,

시 네 츠-AZS서비스

(우 랄) 카테린부르그네 츠 로덕트, 스베들로 스크 로덕트

(서시베리아) 옴스크네 츠 로덕트, 쿠즈바스네 츠 로덕트,

튜멘네 츠 로덕트, 노야 르스크네 츠 로덕트,

시 네 츠-니즈니 노보고로드

(동시베리아) 크라스노야르스크네 츠 로덕트

자료: Energy Intelligence Research(2004), The Almanac of Russian and Caspian Petroleum, 가즈 롬

네 츠 홈페이지(www.gazprom-neft.ru)

○ 옴스크(Omsk) 정유소는 가즈 롬 네 츠의 표 인 정유소로써

1955년에 서시베리아지역 옴스크주에 설립됨.

- 모스크바 정유소의 지분 38.5%를 소유하고 있으며, 슬라 네 츠 소

유의 모지르(벨로루시) 정유소, 야로슬라 -멘델 정유소, 야로

슬라 정유소 등의 운 에도 참여

- 재 매년 19.5백만 톤의 원유를 정제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28.3백

만 톤까지 정제하기도 했음.

- 2003년에 설비 가동률은 73.4%로 러시아 평균치보다 높음.

- 러시아에서 가장 인 정유공장이며, 세계에서 가장 큰 정유공

장 에 하나이기도 함.

- 치상으로 서시베리아지역에 치해 같은 서시베리아지역내 유 지

에서 원유를 규모로 공 받을 수 있어 원유 수송비용을 크게

감시킬 수 있음.

Page 101: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64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가솔린 4,24 3,40 2,63 2,94 3,02 3,15 3,14 3,18

경 유 5,66 4,66 4,31 4,28 4,53 4,61 4,60 4,64

항공유 0,69 0,56 0,69 0,63 0,62 0,55 0,60 0,76

유 3,04 2,22 2,19 1,98 2,28 2,07 2,16 2,07

자료: 가즈 롬 네 츠 홈페이지(www.gazprom-neft.ru)

<표 3-18> 옴스크 정유소의 석유제품 생산량 변화 추이

(단 : 백만 톤/연)

○ 한 옴스크 정유소는 2000년 이후 계속된 화 사업으로 재 러

시아내에서 가장 기술 으로 앞서 있는 정유공장 에 하나임. 가즈

롬 네 츠는 옴스크정유소에 2012년까지 총 850백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임.

- 1995년에 화(conversion)공정시설로 분해 시설 건설

- 2001년에 랑스 Technip기업의 알키화 시설과 이탈리아

‘Eurotechnica Contractors and Engineers’기업의 개질 시설을

도입

- 한 스 스 SIG Blowtec기업의 설비를 도입해서 분해 시설을

- 2001년 10월에 알킬화 시설 건설

- 재 고옥탄가 가솔린을 최 12,000톤/월 생산하며, 무연휘발유도

생산

○ 옴스크 정유공장에서 생산된 석유제품의 20~25%정도가 해외로 수출

- 석유제품별 수출 비 : 경유 62%, 가솔린 32%, 유 2%, 기타 4%

- 체 경유 생산량의 40-45%을 해외로 수출

- 석유제품은 주로 석유제품 이 라인망을 통해서 수송, 그러나 고

Page 102: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65

품질 석유제품과 석유화학제품은 철도를 통해서 수송

○ 가즈 롬 네 츠는 2001년에 모스크바(Moscow) 정유소의 주식 37%

를 매입하 고, 재는 38.5%까지 지분 보유량을 확

- 가즈 롬 네 츠는 모스크바 정유소의 지분매입을 통해 러시아내

・북부지역에 있는 도시(모스크바, 상트 페테르부르그, 니즈니 노

보고로드 등)의 석유제품 시장 진출 기반 마련

- 2002년부터 석유제품을 수출하기 시작

․ 석유제품별 수출 비 : 경유 50%, 유 44%, 가솔린 6%

․ 체 경유 생산량의 74%를 해외로 수출. 이는 모스크바 정유공장

체 수출의 50%에 해당.

․ 체 유 생산량의 39%를 해외로 수출

제5 수르구트네 츠가스(Surgutneftegas)

1. 석유제품 생산 수출 황

○ 수르구트네 츠가스는 1993년 국 석유지주회사로 설립되었으며,

1997년에 민 화되었으며, 그 산하에 유일한 정유기업으로

Kirishinefteorgsintez('KINEF' 는 키리쉬 정유소)를 소유

- KINEF는 러시아 북서지역 닌그라드주 Kirishi시에 치해 있으며,

1965년부터 조업을 개시

- 1972년에 구소련지역내 정유소 가운데 정제능력(17.3백만 톤) 기 으

로 5 차지

- 발틱해 수출항과 인 해 있어 여기서 생산된 석유제품의 부분은

유럽과 구소련지역으로 수출

- 러시아 국내에는 상트 페쩨르부르그를 비롯해서 러시아 북서지역내

Page 103: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66

주요 도시에 석유제품을 공

- 1974년에 석유화학제품 생산이 시작되었음.

○ 2005년 재 수르구트네 츠가스는 키리쉬 정유소와 매 자회사 6개

를 보유

- 키리쉬 정유소는 정제능력 규모에서 러시아내에서 가즈 롬 네 츠

의 옴스크 정유소, 유코스의 앙가르스크 정유소에 이어 3 를 차지

하고 있음.

- 한 300개의 주유소와 24개의 석유 장탱크를 운 하고 있으며,

장기 으로 200개의 주유소를 더 건설할 계획

- 유럽지역과 구소련지역 등을 포함해서 세계 50여개국에 석유와

석유제품을 매

<표 3-19> 수르구트네 츠가스의 하류부문 자회사

정유 자회사

(1개) (북 서) 키리쉬네 츠오일신텍즈

매 자회사

(6개)

(북 부) 스코 네 츠 로덕트, 네네 츠 로덕트,

노보고로드네 츠 로덕트, 키리쉬네 츠 로덕트

( 앙) 도 리네 츠 로덕트

(기 타) 칼리닌그라드네 츠 로덕트

자료: Energy Intelligence Research(2004), The Almanac of Russian and Caspian Petroleum, 수르구트네

츠가스 홈페이지(www.surguneftegas.ru)

○ 2005년에 정제량은 년 비 15% 증가한 18.5백만 톤(러시아 체 정

제량의 9% 차지), 2006년에는 19.7백만 톤에 이를 것으로 상

- 가동률은 거의 90% 수 에 육박

- 석유제품별 생산량을 보면, 가솔린 2.0백만 톤, 경유 4.3백만 톤, 항

공유 1.1백만 톤, 유 9.0백만 톤 생산

- 아직까지 시설 화 고도화 사업이 본격 으로 추진되지 않아

Page 104: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67

상 으로 유 생산 비 이 높은 편임.

- 1996년에 황성분 500ppm의 경유 생산을 개시했고, 재는 350ppm

의 경유를 생산하고 있음. 이러한 경유는 KINEF 체 경유 생산량

의 60%정도에 이름.

․ 2009년까지 투자 로그램이 성공 으로 마무리되면 황성분 10ppm

이하의 경유생산도 가능할 것으로 상

- 화 1단계 사업 추진으로 경질 석유제품의 생산 비 이 75%에

이르며 2단계 사업이 끝나는 2007년에는 96%에 이를 망

수 량

원유생산량 63.9

1차 정제량 18.5

가솔린 생산량 2.0

경유 생산량 4.3

항공유 생산량 1.1

유 생산량 9.0

기 타 1.0

자료: Surguneftegas(2005), Annual Report, 수르구트네 츠가스 홈페이지 (www.surguneftegas.ru)

<표 3-20> 수르구트네 츠가스 원유 석유제품 생산량 (2005년)

(단 : 백만 톤)

○ 반 으로 석유제품에 한 러시아 국내외의 수요 증가와 석유제품

에 상 으로 유리한 조세체계로 인해 러시아 국내 석유제품 시장

에서 정제마진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로 인해 KINEF를 비롯

한 러시아 정유기업들은 석유제품 생산량 증 를 해 노력

- 2005년에 경유 매가격은 15.8%, 가솔린 가격은 9.2% 각각 상승했

고, 유 가격은 두배 상승했음.

Page 105: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68

2. 정유기업 황 투자 로젝트

○ 유럽시장에 한 석유제품 수출 증 를 해 고품질, 친환경 석유제

품 생산을 해 시설 화 고도화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음. 하

류부문에 주요 투자 분야는 다음과 같음.

- 석유 정제능력 증

- 화(conversion)비율을 높이고, 생산품의 품질 개선

․ 수소화분해 시설 도입

․ 유를 재가공하여 고품질 경질 석유제품(가솔린, 경유, 항공유)의

연간 생산량을 3백만 톤까지 증 시킬 계획

- 수출능력 증

․ Euro-3기 에 맞는 고옥탄가 가솔린 생산

․ Jet A-1 항공유 생산

․ 아태지역으로 새로운 매시장 개척

○ 2005년 화 사업 1단계 완료 이후, 경질제품의 생산이 재 50%

에서 75%로 증가할 것으로 상되며 2007년 2단계 완료 이후에는

96%까지 증가할 것임. 이 게 되면 추가 인 운 비용 없이 매 수

익이 증가할 것으로 망됨.

- 특히 키리쉬(KINEF)는 러시아 정유기업들 가운데 양호한 재무구조

를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키리쉬 정유소의 순수입은

2000년에 58.2억 달러에서 2004년에 100억 달러로 72.1% 증가

○ 2005년에 자본투자는 년 비 13% 증가한 554억 루블이었고, 아직

까지 부분의 투자지출은 상류부문에 집 되고 있음.

- 정제부문에 한 투자는 2001년 29.6억 루블에서 2004년 34.5억 루

블, 2005년 39.2억 루블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

Page 106: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69

투자 액 구성비(%)

생산부문

정유부문

매부문

51,147

3,916

336

92.3

7.1

0.6

합 계 55,399 100.0

- 2005년에 매 부문에 한 투자는 336백만 루블

<표 3-21> 수르구트네 츠가스 사업분야별 투자액(2005년)

(단 : 백만 루블)

자료: 수르구트네 츠가스 홈페이지(www.surguneftegas.ru)

○ 키리쉬(KINEF)의 투자 로젝트인 '2004~2008년 ・단기 석유제품 품

질 개선을 한 투자 략‘를 수행 임.

- 2006년에 유황 경유 생산을 한 LG-24/6 시설 화를 추진했

고, Euro-4기 에 맞는 가솔린의 상업 생산 개시

- 재 Jet A-1항공유의 상업 생산을 비하고 있음.

- 2006년에 정제부문에 44억 루블의 투자지출을 상하고 있으며, 수

소화분해 시설 구입을 해 추가 으로 160억 루블을 지출할 계획

○ 한편, 수르구트네 츠가스는 로스네 츠와 각각 50%씩 출자하여

KINEFT 정유소의 인근에 설립 정인 리모르스크 정유소 건설을

한 합작기업을 설립하기로 합의

- 정제능력은 연간 1,000만 톤이며, 투자액은 약 20억 달러로 추정

- 수르구트네 츠가스에서 생산된 원유를 정제하며, 생산된 석유제품

의 25%를 해외로 수출할 계획

- 유럽시장을 겨냥하기 때문에 고품질, 친환경 석유제품 생산

○ 수르구트네 츠가스는 당 외국기업과의 력에 소극 이었으나 최

근 들어 Marathon, Shell 등과 같은 외국기업과 력을 증

Page 107: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70

제6 TNK-BP

1. 석유제품 생산 수출 황

○ 2005년 재 TNK-BP는 러시아내에 5개, 우크라이나 1개 등 총 6개의

정유소를 소유하고 있음.

- 러시아내 정유소는 랴잔(RNPK), 사라토 (SNPZ), 니즈네바르토 스

크(NNPO), 크라스노 닌스크(KNPZ), 오르스크(ONOS)이고, 우크라

이나내 정유소는 LINOS임.

- ONSO정유소는 TNK가 2000년에 Onako석유기업을 인수하면서 확보

된 자회사임.

- 그 외 가즈 롬 네 츠와 슬라 네 츠 산하 정유소들을 공동으로

운 하고 있음.

- 정유소는 모두 우랄 산맥 서쪽지역의 도시인 모스크바시와 유 지

역인 서시베리아지역에 인 해 있음.

○ 총 정제량은 2005년에 30.89백만 톤(약 632,000b/d), 가동률은 78%

음.

- 석유제품별 생산 비 은 러시아 다른 정유기업과 마찬가지로 유와

경유 비 이 상 으로 높은 편임.

- 2005년 석유제품 총 생산량 에서 경질 석유제품 비 은 53.4%

음. 상 으로 랴잔정유소와 우크라이나에 있는 LINOS정유소의 경

질 석유제품 비 이 높은 편임.

- TNK-BP 산하 6개 정유소 가운데 랴잔정유소가 TNK-BP 체 석유

제품 생산량의 반가량을 차지

- 2005년에 195,000b/d의 석유제품을 수출

Page 108: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71

2003년 2004년 2005년

합계정제량 27,018 28,546 30,887

경질제품 생산비 52.3% 55.58 53.4%

RNPK정제량 11,000 11,391 14,038

경질제품 생산비 54.2% 55.67 55.2%

SNPZ정제량 4,650 5,535 5,704

경질제품 생산비 48.8% 47.17 47.6%

ONOS정제량 3,750 3,579 3,590

경질제품 생산비 46.25 52.73 50.5%

KNPZ정제량 - - 142

경질제품 생산비 - - -

NNPO정제량 1,288 1,298 1,367

경질제품 생산비 96.2% - -

LINOS정제량 6,330 6,744 6,046

경질제품 생산비 55.8% 55.21 56.5%

자료: TNK-BP 홈페이지 (www.tnk-bp.ru)

<표 3-22> TNK-BP의 정유소별 정제량과 경질 석유제품 생산비 변화 추이

(단 : 천 톤)

○ 재 TNK-BP 산하 정유기업들은 BP의 지원하에 유럽기 에 합한

석유제품을 생산하기 한 시설 화와 고도화 투자 사업을 추진

하고 있음.

- 6개 정유소 가운데 랴잔 정유소를 심으로 투자 사업이 추진되고

있음.

- 랴잔 정제소의 2005년 정제량은 1,400만~1,450만 톤 수 인데 이를

향후 3~5년 내에 1,700만 톤으로 증 시킬 계획

2. 정유기업 황 투자 로젝트

○ TNK-BP는 5개 러시아내 정유외사 이외에 매자회사 9개를 소유하

고 있음.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BP와 TNK 랜드로 1,600개의 주유소를 운

하고 있음.

Page 109: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72

정유자회사

(5개)

( 앙) 랴잔(RNPK)

(볼 가) 사라토 (SNPZ), 오르스크(ONOS)

(서시베리아) 니즈네바르토 스크(NNPO), 크라스노 닌스크(KNPZ)

매자회사

(9개)

(북 부) 카 리아네 츠 로덕트

( 앙) 툴라네 츠 로덕트, 랴잔네 츠 로덕트

( 앙 흑토) 쿠르스크네 츠 로덕트

(볼 가) 사라토 네 츠 로덕트

(우 랄) 카르가네 츠가스, 올 부르그네 츠 로덕트

(동시베리아) 자 시 네 츠 로덕트, TNK-스탈리짜

<표 3-23> TNK-BP의 하류부문 자회사

자료: Energy Intelligence Group(2004), The Almanac of Russian and Caspian Petroleum, TNK-BP 홈

페이지 (www.tnk-bp.ru)

가. 랴잔(Ryazan) 정유소(RNPK)

○ 랴잔 정유소는 1960년에 연료 윤활유 생산을 목 으로 모스크바시

남서쪽으로 200km 지 에 설립되었고, 1995년에 TNK에 인수됨.

- 주요 생산품은 가솔린, 경유, 항공유, 유, 아스팔트, 윤활유 등임.

․ 2004년에 가솔린 2.4백만 톤, 경유 3.0백만 톤, 윤활유 3.6백만 톤,

항공유 79.6만 톤을 각각 생산했음.

- 생산품은 모스크바시를 비롯한 주변지역과 유럽 북서지역에 공

- 정제능력은 연간 13백만 톤

- 주요 시설은 상압증류와 감압증류, 분해, 이성화 시설, 황산생산

공장, 알킬화 시설 등임

○ 고옥탄가 가솔린 생산 증 를 해 시설 화, 고도화 사업을 추진

임.

- 2001년에 분해 시설이 건설되어 900,000톤의 원료로부터 2.5백만

톤의 제품 생산

- 환산생산시설을 화하여 공해물질 방출 감소

- 재 연간 3백만 톤의 생산능력을 갖춘 감압가스오일 공장 건설

Page 110: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73

○ 1999년에 랴잔 정유소에 공업용 매제 생산기업 설립

- 석유화학, 화학, 질소, 가스가공 산업에 매제 생산

- 재 러시아 국내 이외에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벨로루시, 그리

고 동유럽지역내 30개 이상의 석유기업에게 매제 수출

나. 사라토 (Saratov) 정유소(SNPZ)

○ 사라토 정유소는 2차 세계 기간 에 연료를 공 하기 해

1934년 4월 설립,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정유소 에 하나임.

- 이후 1950년 와 1980년 에 화 사업이 추진되었고, 1980년

말에 정제능력은 연간 10백만 톤이었음.

○ 2004년에 국제 수 의 생산 리 환경 리 시설을 갖춘 화

사업이 완료되었음.

- 2004년에 러시아내 1,000개 기업들 가운데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

○ 2005년에 5.7백만 톤의 원유를 정제했고, 가동율을 83%까지 끌어 올

렸음.

○ 정유소 발 5개년 로그램이 추진 에 있으며 동 사업이 완료되

면, 정제능력이 연간 7백만 톤, 황성분이 10ppm이하인 항공유와 경

유 가 생산되고, Euro-3에 합한 고옥탄가 가솔린이 생산될 정임.

- 2005년에 화 사업에 366.2백만 루블이 투자되었음.

다. 크라스노 닌스크(Krasnoleninsk) 정유소(KNPZ)

○ 크라스노 닌스크 정유소는 한티-만시 자치구에 치해 있으며, 1996

년 7월부터 생산 개시

- 상압증류 방식을 통해 크라스노 닌스크 유 에서 생산된 원유를 1

차 정제하고 있음.

․ 설비는 미국 텍사스에 있는 'Ventech Engineering, Pasadena'으로

Page 111: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74

부터 구입

- 정제능력은 연간 275,000톤

○ 2003년에 석유제품 장탱크 시설을 확충하는 투자 로젝트 추진

- 이를 통해 석유제품들을 제품별로 독립 으로 장・수송할 수 있게

되었음.

라. 니즈네바르토 스크(Nizhnevartovsk) 정유소(NNPO)

○ NNPO는 2000년에 설립되었음.

- 정제능력은 연간 4백만 톤

- 매월 약 60,000톤의 가솔린, 30,000톤의 경유, 12,000톤의 항공유 등

을 생산

- 서시베리아지역내 품질 가솔린과 경유에 한 수요를 부분 충족

시키고 있음.

마. LINOS 정유소(우크라이나)

○ LINOS는 우크라이나 리시찬스크(Lisichansk)지역에 있는 정유소로써

우크라이나와 흑해를 통해 유럽지역에 석유제품을 공

- 1976년 10월에 설립되었고, 1990년 말까지 구소련지역의 경기침체

로 인해서 공장운 에 어려움을 겪었음.

- 이러한 상황에서 2000년 7월 TNK가 LINOS의 경 권을 인수하게

되었음.

- TNK 인수이후 LINOS는 빠르게 정상화되었고, 이후 우크라이나에서

주요한 정유기업으로 성장

○ 2004년에 우크라이나와 주변국가들의 시장상황을 고려해 5개년 발

계획을 수립

- 2003년에 총 25.3백만 달러의 투자지출이 이루어졌고, 이 에는

Page 112: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75

17.08백만 달러의 아스팔트 생산공장 건설과 19.86백만 달러의 이성

화 설비 공사가 포함

- 2003년에 분해 설비의 화 사업이 완성

- 2004년에 27.4백만 달러의 투자지출이 이루어졌음. 2004년에도 2003

년에 이어서 아스팔트 공장 건설과 이성화 설비 공사에 투자가 이루

어졌으며, 이 두개 사업이 2004년에 모두 완료되었음.

- 한 2004년에 오염방지시설 건설에 2.8백만 달러 지출

○ 2003년에 공 된 원유량은 7백만 톤(2002년 비 21.1% 증가)이었고,

6.2백만 톤(6.4% 증가)이 정제되었음.

- 경유 1.6백만 톤(4% 증가), 유 1.9백만 톤(4.7% 증가), 그리고 벤젠

1.8백만 톤(5.7% 증가) 등이 생산

- 주요 정유공장의 가동율은 2002년에 73%에서 2003년에 78%로 증가

․ 분해시설의 경우 2002년에 71%에서 2003년에 76%로 증가

․ 개질시설은 2002년에 74%에서 2003년에 80%로 증가

․ 폴리 로필 생산시설은 2002년에 64%에서 2003년에 79%로 증

제7 슬라 네 츠(Slavneft)와 타트네 츠(Tatneft)

1. 슬라 네 츠(Slavneft) 정유기업

○ 슬라 네 츠는 재 가즈 롬 네 츠와 TNK-BP에 의해 공동 운

되고 있음.

- 석유・가스 매장지와 매망은 가즈 롬 네 츠와 TNK-BP에 의해

분할되고, 정유소는 양사에 의해서 공동 운

Page 113: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76

- 재 슬라 네 츠는 생산 자회사 10개, 정유소 3개(러시아 국내에 2

개, 벨로루시에 1개), 그리고 러시아내 주유소 200개를 소유하고 있

음.

- 벨로루시에는 매자회사인 ‘슬라 네 츠-스타르트’를 통해서 석유

제품을 매하고 있는데, 66개의 주유소를 운 하고 있음.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정제량 7,216 7,625 9,598 10,876 9,510 11,800 11,709

-야로슬라 7,018 7,455 9,371 10,632 8,995 11,602 11,521

-야로슬라 -멘델 198 170 227 244 514 198 188

가동률 39.2 41.4 52.1 72.8 63.7 81.2 78.4

-야로슬라 39.0 41.5 52.1 73.3 62.0 - 82.3

-야로슬라 -멘델 45.5 39.1 52.2 56.1 118.2 - 37.6

가솔린 1,100 200 1,500 1,547 1,806 1,700 1,900

-야로슬라 1,100 200 1,500 1,547 1,806 1,700 1,900

-야로슬라 -멘델 0 0 0 0 0 0 0

경유 1,800 2,040 2,660 3,068 3,470 3,180 3,210

-야로슬라 1,700 200 2,600 3,000 3,000 3,170 3,200

-야로슬라 -멘델 100 40 60 68 470 10 10

유 2,500 2,800 3,300 4,129 4,234 4,450 4,240

-야로슬라 2,500 2,800 3,300 4,066 4,190 4,400 4,200

-야로슬라 -멘델 0 0 0 63 44 50 40

자료:Energy Intelligence Group(2004), The Almanac of Russian and Caspian Petroleum, 슬라 네

츠 홈페이지 (www.slavneft.ru)

<표 3-24> 슬라 네 츠 정유소별 석유제품 생산량 변화 추이

(단 : 천 톤, %)

○ 슬라 네 츠의 정제량은 2004년에 22.1백만 톤, 2005년에 22.9백만

톤으로 계속 증가 추세에 있음.

- 경유 생산량은 2005년에 4.1백만 톤( 년 비 10.3% 증가), 2004년에

3.67백만 톤(26% 증가)

- 2004년에 윤활유 생산량은 269.7천 톤

○ 야로슬라 정유소는 1992년에 슬라 네 츠에 통합된 러시아 부

지역 야로슬라블 에 있는 규모 인 정유소임.

- 슬라 네 츠가 정유소 지분의 76.29%를 소유

Page 114: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77

- 정제능력은 연간 14백만 톤으로 러시아내에서 6 임.

- 철도, 도로, 이 라인 등 수송인 라 시설이 발달되어 있으며, 배

후지역에 규모 석유제품 소비지를 갖고 있음.

- 2000년 이후부터 러시아내 다른 정유소와 마찬가지로 정제시설

화 고도화 사업 투자 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음.

- 2005년에 년 비 3.6% 감소한 1.1백만 톤의 석유제품을 매했음.

․ 가솔린 49.8만 톤( 년 비 3.2% 증가), 경유 30.8만 톤(3.2% 증가),

유 15.9만 톤(14.9% 감소), 윤활유 1.0만 톤(8.4% 감소), 기타

12.9만 톤(21.2% 감소)

- 직 주유소를 통해서 37.9만 톤( 년 비 6.6% 증가)의 석유제품이

매되었고, 도매망을 통해서 72.5만 톤이 매되었음.

○ 야로슬라 -멘델 정유소도 러시아 야로슬라블 에 치해 있으

며, 2002년에 슬라 네 츠로 통합되었음.

- 2005년에 정제능력은 연간 50만 톤이며, 정제량은 26.1만 톤이었음.

- 약 50종의 석유제품과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고 있는데, 2005년에

총 38.9만 톤 생산하여 년에 비해 8.5% 증가했음.

- 체 석유제품 생산량 에서 유 비 은 29.9%로 가장 크고, 그

다음이 경유 28.8%, 윤활유 2.3% 음.

○ 한편, 슬라 네 츠는 벨로루시 남부지역에 모지르 정유소를 소유하

고 있음.

- 여기서 생산된 석유제품은 우크라이나 북부지역, 러시아 서부지역,

벨로루시 남부지역, 그리고 폴란드와 체코에도 공 되고 있음.

- 동 정유소에서는 가솔린, 경유와 같은 경질 석유제품들이 생산되는

데 이들 제품은 동유럽으로 수출되고 있음.

- 한편, 2001년에 BP는 슬라 네 츠와 모지르 정유소로부터 5년 동안

Page 115: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78

항공유를 구입하는 정서를 체결했음. 이에 따라 슬라 네 츠는

유럽기 의 친환경, 고품질의 항공유를 생산하기 한 투자를 추진

하고 있음.

2. 타트네 츠(Tatneft) 정유기업

○ 타트네 츠는 러시아내 타타르스탄자치공화국을 거 으로 활동을 하

고 있으며, NizhneKamsk 정유소를 갖고 있음.

- 타타르스탄공화국이 타트네 츠의 최 주주로써 주식 31.3%를 소유

하고 있음.

- 타타르스탄공화국내 유 들이 성숙단계에 있어 재 원유생산이 정

체 는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며, 한 원유에 물과 유황이 많이 포

함되어 있음.

○ 타트네 츠의 원유생산지와 정유소가 타타르스탄공화국에 있기 때문

에 원유와 석유제품을 상 으로 낮은 수송비용으로 유럽지역으로

수출할 수 있음.

- 다른 러시아 정제소보다 50% 정도 낮은 수송비용으로 석유제품을

수출

- 니즈네캄스크 정유소는 2002년 12월에 본격 으로 가동되기 시작하

고, 정제능력은 연간 700만 톤이며, 가동률은 86.8%임.

- 타타르스탄공화국에서 생산되는 고유황 원유를 정제해야 되기 때문

에 탈황시설을 갖추고 있음.

․ 그동안 타타르스탄 공화국에서 생산된 고유황 원유는 유황 원유

인 우랄유와 혼합되어 수출되었는데 이 때문에 우랄유가 해외로

수출될 때 상 으로 낮은 가격으로 수출되었음. 그래서 타타르

스탄 원유를 그 로 수출하지 않고 지 정제시설에서 정제하는

사업의 필요성이 크게 제기되어 왔었음.

Page 116: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3장 러시아 정유기업 황 79

○ 2005년에 7.5만 b/d를 니즈네캄스크 정유소에 정제하여 7.4만 b/d의

석유제품을 생산했음.

- 생산된 석유제품은 다른 기업으로부터 구입한 0.3만 b/d와 합해져서

러시아 국내시장에 4.0만 b/d, CIS지역에 0.1만 b/d, 그리고 CIS역

외지역에 36만 b/d 각각 공 되었음.

- 2006년 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553개의 주유소를 운 하고

있음.

․ 모스크바지역에 124개 주유소, 타타르스탄공화국에 140개 주유소,

기타 러시아내 지역에 144개 주유소가 있음.

․ 우크라이나에는 145개

․ 2004년에 33개 주유소가 신설되었음.

○ 타트네 츠는 2005년에 56.9만 b/d 약 13%인 7.5만 b/d를 정제하

고, 나머지는 원유형태로 러시아 국내외로 공

- 이에 타트네 츠는 자사 소유의 정유소에서 원유정제 비율을 높이기

해 기존 니즈네캄스크 정유소의 정제능력 증 , 러시아 국내

해외에 있는 정유소 지분 확보 는 매입 등을 추진하고 있음.

․ 체코의 Unipetrol정유소와 터키 Tupras정유사의 지분 매입 추진

․ 우크라이나 우크르타트나 타의 소유지분을 8.6%에서 58.6%로 증

추진

- 2008년까지 고도화 시설 투자를 하여 경질 석유제품 생산량을 증

시킬 계획

- 한 타트네 츠는 니즈네캄스크 정유소내에 석유화학시설 투자를

추진하고 있음. 향후 폴리에틸 , 폴리 로필 , 에틸 , 윤활유 등이

생산될 정

․ 한편, 니즈네캄스크 정유소는 러시아내에 타이어 생산업체로 유명

Page 117: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80

한데 러시아 체 타이어 시장의 29%를 차지하고 있음.

○ 니즈네캄스크 정유소 신규 시설 투자사업이 2005년에 추진되었음.

- 투자 액은 1,300억 루블, 이 165억 루블은 인 라시설 건설을

해 정부 산에서 지원된 것임.

- 1단계 사업은 2009년 7월에 완료되며, 동 기간동안 정제능력이 14.0

만 b/d 만큼 증설

- 2단계 사업은 2009년 12월에 완료되며 정제능력은 4.4만 b/d 만큼

증가됨.

- 3단계 사업은 2010년 11월에 완료될 정임.

Page 118: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4장 석유제품 수송체계 81

제4장 석유제품 수송 체계

제1 석유제품 수송기업: ‘Transnefteproduct'

1. 설립 과정과 황

○ 러시아내에서 석유제품 이 라인 수송망을 건설・운 ・ 리하는 국

기업인 ‘Transnefteproduct’은 소연방 해체 이후 설립된 국 기업인

’Rosnefteprodukt’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설립

- 1993년 러시아 정부 명령 No.871 「석유제품 수송 회사

‘Transnefteproduct' 설립에 한」(1993년 8월 30일)에 의거 국 기

업으로 등록6)

- 2004년 8월 4일 러시아연방 통령령 No.1009에 의해서

‘Transnefteproduct'은 국가 략기업으로 등록

- 설립당시 8개 석유제품 이 라인 자회사가 존재하 고7), 설립자본

마련 과정에서 커다란 어려움을 경험

○ 한편, 1990년 반 사유화 과정에서 Rosnefteprodukt산하 석유제품

매부분을 담당했던 기 들은 앙통제로부터 벗어나 여러 개의 독

립된 는 지방 정부 산하에 매기업들로 설립

○ Transnefteproduct의 설립 기에는 낮은 생산성, 수송시설 노후화 등

여러 가지 과제들을 갖고 있었음.

6) 그 외 러시아연방 통령 명령 No 1403 "On the Particularities of Privatization and

Re-Organization of Alliances in the Oil, Oil Processing Industry and Oil Product Supply"(1992

년 11월 17일)에 근거

7) 사장으로 I.T.Ishmukhametov, 부사장으로 S.L.Isayev와 S.P.Makarov가 임명

Page 119: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82

- 국 인 석유제품 수송시스템 구축

- 석유제품 수송에 있어 철도에 한 경쟁력 확보

- Sokur-Kemerovo구간, Belgorod-Suma구간 석유제품 이 라인 건

설 공사 완료를 한 재원 마련

- 기존 노후설비 교체 화: 기존 이 라인의 평균 수송능력은

1980에 89.6%에서 1990년에 25%로 크게 감소

○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해 다음과 같은 노력들을 개하

여 왔음.

- 석유채굴기업, 정유기업, 매기업들과의 력 확 강화

- 탄력 인 이 라인 수송요 책정

- 소비지까지 수송시간 단축을 통한 경쟁력 증

- 석유제품 수송 장 기술 향상

○ Transnefteproduct의 석유제품 수송 서비스 증 를 한 신규 이

라인 노선 건설, 기존 노선 재정비 확충, 설비 교체 화 등

과 같은 로젝트 수행

- 동 회사가 소유한 석유제품 이 라인을 통한 수송량은 1994년에

17.6백만 톤에서 2000년에 23.1백만 톤으로 증가

- 이러한 투자사업을 계회하고 담당하는 곳은 Transnefteproduct내

1993년에 설립된 MCOD(Major Construction and Overhaul

Department)임.

- MCOD에 의한 건설계획이 1994년에 마련되어 러시아 연료에 지부

의 조정을 거쳐 완성

- 투자재원은 정부재정, 국내외 융기 으로부터의 신용 등으로 충당

Page 120: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4장 석유제품 수송체계 83

투자사업 내용

1996~2001년

까지 주요

투자 사업

- 러시아연방 연료에 지부의 석유제품 수송과 련된 주요 기능이

Transnefteproduct에게 이

- Belgorod-Suma석유제품 송유 에 Belgorod-국경까지 148km 구간이

완공

- Unecha-Disna구간의 수송능력을 증 시키는 로그램 완료

- Belgorod-Krasnopolye구간에 통신 이블 부설 작업 완료

- Unecha-Disna 이 라인과 Stalnoy Kon-Western direction 이 라

인의 1단계 교체 작업 완료

- Soku-Kemerovo 이 라인의 195km간선 운 개시

- Kemerovo 석유제품 장지까지 지선 이 라인 연결

- Plotnikovo 석유제품 장지까지 2개 지선 이 라인 연결

- Belgorod-Krasnopolye구간에 통신 이블 부설

- Unecha-Disna.의 LDPS '8H'에 20,000m3 장능력을 갖춘 탱크에 펌

핑시설 건설

재 진행

투자사업

- Kirishi 정유공장의 장탱크 건설 사업

- Krasny Bor 펌핑 station 건설 사업

- 원격 통제 시스템 구축 사업

- Kirishi-Leningrad의 Lyuban 펌핑 station 건설 사업

- 자회사들간의 통합통신망(United Corporate Communications

Network with Integrated Services: UCCNIS) 구축 사업

- Uneche-헝가리 국경 이 라인의 LDPS '5C'와 Salavat-Ufa 이

라인의 LDPS 'Salavat'에 설비용량 20,000m3 장탱크 사업 완료

자료: Transnefteproduct 홈페이지 (www.transnefteproduct.ru)

<표 4-1> Transnefteproduct의 투자 사업 실

2. 주요 조직 업무

가. 자회사

○ Transnefteproduct는 러시아 정부가 지분 100%를 소유하고 있는 국

기업임.8)

8) 러시아정부는 국가 략기업에 한 일정한 경 권 행사를 가능 하는 정부명령 No.738

“Managing Shares of Open Joint-Stock Companies in Federal Ownership and Using the Special

Right of the Russian Federation for Participation in the Management of Open Joint-Stock

Companies("Golden Share")”을 2004년 12월 3일에 발표

Page 121: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84

- Transnefteproduct와 그 산하 자회사들은 러시아 국내 석유제품 수

송시장에서 자연독 기업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러시아연방 반독

청(Federal Antimonopoly Service: FAS)의 리・통제를 받음.

- 이 라인 수송요 은 러시아 연방 요 청(Federal Tariff Service:

FTS)의 리・통제를 받음.

○ Transnefteproduct는 15개의 자회사와 독립회사인 LatRosTrans로 구

- 15개 자회사는 석유제품 수송을 담당하는 8개 자회사와 특별업무를

담당하는 7개 기업으로 구분

․ 수송기업: Mostransnefteproduct, Peterburgtransnefteproduct,

Ryazantransnefteproduct, Sibtransnefteproduct, Sredne-Volzhsky

Transnefteproduct, Uraltransnefteproduct, Yugo-Zapad

Transnefteproduct, Severo-Kavkazsky Transnefteproduct 등 8개

․ 기타 특별업무 담당 기업: Institute Nefteproduktproyekt,

Podvodspetstransnefteproduct, Spetstransnefteproduct,

Telecomnefteproduct, SOT-TRANS, Trade House

Transnefteproduct, Baltransnefteproduct 등 7개

나. 주요 업무

○ Transnefteproduct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음.

- 석유제품 수송 리 조정: 2006년 재 러시아 국내 경질 석

유제품 수송시장의 30.37% 유

- 석유제품 이 라인 기업들의 생산 잠재력, 과학기술 ・경제 잠

재력의 통합과 조정

- 석유제품 이 라인 간선망 구축: 상업 목표를 추구하는 경제주

체로써 석유제품 이 라인 간선 시스템에 한 통합 인 투자, 운

Page 122: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4장 석유제품 수송체계 85

, 재원조달, 리

- 석유제품 이 라인 수송 인 라 통신 시스템 구축과 련된 투

- 외국기업과의 외 력

○ Transnefteproduct는 석유제품(경유, 유)을 수송하는 러시아 국내에

서 유일한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기업

- 러시아 국내 14개 정유기업과 벨로루시 2개 정유기업으로부터 생산

된 석유제품을 러시아 국내(러시아 연방내 38개 연방구성주체), 우크

라이나, 벨로루시, 라트비아, 카자흐스탄 그리고 비CIS국가들에 석유

제품 이 라인 간선망을 통해서 공

○ Transnefteproduct 소유 이 라인을 통해 석유제품을 수송하는 러

시아 정유기업은 다음과 같음

- 재 석유제품을 이 라인을 이용해서 수송하는 러시아 기업들은

총 26개 정유기업과 여러 개의 가스가공기업인데 이

Transnefteproduct의 석유제품 수송망을 이용하는 기업은 16개임.

- 러시아내 부분의 정유기업들은 수직통합형 석유기업의 자회사 형

태로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 정유기업의 평균 원유 가공처리능력은

약 320백만 톤 정도이며, 그리고 가솔린과 경유 120백만 톤 정도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음.

- Transnefteproduct의 이 라인을 이용하는 러시아 수직통합형 석

유기업은 Yukos, Gazprom Neft, Lukoil, TNK-BP, Tatneft, MNK,

Surgutneftegaz, Bashneft, Bashneftehim 등임

- 구체 인 정유기업은 Omsk(Gazprom Neft의 자회사),

Ufaneftekhim(Bashneftekhim), Novo-Ufim(Bashneftekhim),

Ufim(Bashneftekhim), Salavatnefteorgsyntez, Kuybishevsky(Yukos),

Novokuybishev(Yukos), Syzran(Yukos),

Page 123: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86

Nizhnekamskneftekhim(Tatneft), Nizegorodnefteorgsyntez(Lukoil),

Premiernefteorgsyntez(Lukoil) Ryazan(TNK-BP),

Kirishinefteorgsyntez(Surgutneftegas), Moskov(MNGK) 등임

- 벨로루시 내 정유기업

․ Mozyrk(Slavneft), Novopolot(Belneftekhim)

○ 정유기업들로부터 받은 석유제품은 간선 이 라인을 통해 장시

설, 도매업자 장탱크에 직 수송되거나, 간선 이 라인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는 이 라인, 철도, 내륙수로 등을 통해 최종 소비

지까지 수송됨.

- 수출용 석유제품의 부분은 발틱해에 있는 수출터미 로 수송되는

데 이때 Unecha-Disna-Ilukste-Ventspils(러시아⇒벨로루스⇒라트비

아) 간선망과 Kirishi-St. Petersburg(러시아 국내) 간선망이 이용됨.

- 한 1994년에 운 단되었던 러시아에서 헝가리까지 연결되어 있

는 Sodruzhestvo-Rovno-Hungary 석유제품 이 라인 간선망이

2000년에 운 이 재개되었음.

- Transnefteproduct은 이 라인에서 기차 는 탱크로 운반하는데

요구되는 제반 서비스를 제공

○ 이 라인과 철도 도로를 이용한 석유제품 수송시스템의 경우

석유제품은 다음과 같은 Transnefteproduct 소유 이 라인, 선 장,

장지역을 이용해서 수출됨.

- 선 시설이 있는 곳은 다음과 같음.

․ Bryansk, Nikolskoye, Gomel, Novograd Volynsky, Petropavlovsk

- Transnefteproduct 소유의 석유제품 이 라인, 장시설, 하역시설

을 통해서 석유제품을 공 받는 러시아 지역은 다음과 같음.

․ Novosibirsk, Omsk, Kemerov, Tymen, Kurgan, Sverdlov,

Page 124: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4장 석유제품 수송체계 87

Chelyabinsk, Orenburg, Samara, Ulyanovsk, Penza, Lipetsk,

Voronezh, Tambov, Rostov, Kursk, Orlov, Bryansk, Nizegorod,

Ryazan, Tula, Kaluga, Moscow, Leningrad, Bashkiria, Tataria,

Mordovia, Chuvashia, Mariy El 등임

- 항공유 TS-1 수송은 모스크바, 상트 페쩨르부르그, 우 등에 있는

민간 공항과 군용 공항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항공유의 약 40%는 Novoufimsk, Ryazan, Moscow, Nizegorod,

Kirishi 등의 정유기업에서 생산된 항공유가 공

3. 수송요

○ Transnefteproduct은 러시아연방 요 청(FTS)에서 규정한 한도내에서

석유제품 수송 이 라인 노선별 수송요 책정

○ Transnefteproduct에서 사용되는 수송요 유형은 다음과 같음.

- 석유제품 수송 서비스 요

․ 석유제품 펌핑 서비스 요 : 수송노선별 석유제품 1톤당 루블화로

책정되며, 단 철도수송과의 가격경쟁력 유지를 해 동일 노선에

동일 석유제품의 철도 수송요 보다 낮게 책정(7/10수 )

․ 국내외 시장에 석유제품을 수송하는 서비스 요

․ 모든 석유제품의 하역 서비스 요 : 하역되는 석유제품 톤당 루블

화로 책정

- 석유제품 장 서비스 요 : 장되는 석유제품 톤당 루블화로 책정

○ 러시아 정부 요 청에서 규정하는 수송요 은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해서 책정하고 있음.

- 자본비용

- 석유제품 수송서비스 시장에서 다른 수송수단에 한 이 라인 수

Page 125: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88

송의 경쟁력

- 해외 국내 시장에 석유제품 공 을 한 모든 수송노선에 한

구간별 동일한 수송요율 유지

- 해외 수출에 있어서 석유제품 수송 상황

○ Transnefteproduct은 필요에 따라 다음과 같은 요인들을 감안하여 수

송요 을 변경함.

- 석유제품 수송기업의 비용에 향을 미치는 항목의 가격변화

- 상 인 이션율

- 경쟁자인 철도 수송요 변화

- 해외 국내 석유제품 시장에서 가격 변동

제2 석유제품 이 라인 수송체계

1. 국내 수출 이 라인망

○ 2005년 1월 1일 재 Transnefteproduct 산하 자회사들이 소유하고

있는 석유제품 간선 이 라인 (Trunk oil product pipelines: TOPP)

의 총길이는 19,300km

- 간선 총 길이는 15,255km, 지선 총 길이는 4,075km

- 1990년 이후 석유제품 이 라인 총연장은 2000년 까지 투자부

진으로 인해 계속 같은 수 에 머물러 있었음.

○ 이 라인을 통한 석유제품 수송은 체 석유제품 수송의 55%를 담

당하고 있음. 나머지는 철도, 내륙수로, 그리고 도로를 통해서 이루어

지고 있으며, 기후와 지형 인 여건으로 인해 도로에 의한 석유제품

수송 수 은 미미한 실정임.

Page 126: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4장 석유제품 수송체계 89

- 러시아 국내 정유소에서 최종 소비지까지 수송된 체 수송량은

2000년 23.1백만 톤에서 2003년에 26.9백만 톤으로 고유가 상황에서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 있음.

- 2002년 체 석유제품 생산량 에서 정유공장에서 이 라인을 통

해서 수송된 석유제품 비 은 24.6%로 나타났음.

- 한 이 라인에서 철도로의 석유제품 환 량은 2002년에 11.6백

만 톤이었음.

- 재 Transneftepruduct는 철도 도로와 연계된 64개의 환 터미

을 보유하고 있음.

○ 이 라인을 통한 석유제품 수송량 가운데 러시아 국내 수송량보다

해외 수출 수송량이 훨씬 많은 편이며, 증가하는 속도도 더 빠름. 이

러한 상은 단기 으로 계속 유지되겠지만 장기 으로 러시아 국내

수송연료에 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게 되면 역 될 것으로 망

되고 있음.

- 이 라인을 통한 석유제품 수출은 주로 발틱해와 흑해에 있는 환

터미 유럽과 연결된 이 라인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

․ 러시아 키리쉬에서 상트 페쩨르부르그간 이 라인과 상트 페쩨

르부르그 환 터미 을 통해서 해외로 수출된 석유제품량은 240만

․ 흑해 니콜스코 환 터미 에서 흑해를 통해 해외로 수출된 석유

제품량은 250만 톤

․ 한 발틱해 연안 항구를 통해 수출된 러시아 석유제품량은 950만

톤이었음.

Page 127: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90

<표 4-2> 이 라인을 통한 석유제품 수송실

(단 : 백만 톤)

구 분 1990년 1995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체 수송량 60.2 20.9 23.1 24.9 25.6 26.9

- 러시아 국내 - - 8 9 9.5 9.3

- 해외 수출 - - 15.1 15.9 16.1 17.6

자료 : Росстат, Основные показатели транспортн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в России. 2004: Стат. сб., Росста

т, 2004, p. 93; Госкомстат России, Транспорт в России. 2003: Стат. сб., Госкомстат России,

2003, p. 151. 성원용(2005) 참조.

○ 2005년 1월 1일 재 Transnefteproduct 소유의 간선 이 라인의

평균 수명은 27.7년(고정자산의 마모율이 약 70%정도로 추산)으로 나

타나 있음. 이에 따라 간선 이 라인의 신규 교체가 주요 안으로

되어 있음.

- 재 운 인 이 라인 유지를 해 필요한 연간 투자액은 약

120~130백만 달러로 추산됨

- Transnefteproduct은 매년 이 라인의 손상여부를 여러 가지 방법

을 통해서 검사하고 있는데, 2004년에 3,995km의 이 라인을 검사

하 음.

- 최근 몇 년 동안 매년 300km 이 라인이 부식방지용 이 라인

으로 교체되고 있음.

Page 128: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4장

석유

제품

수송

체계

91

[그림

4-1

] T

rans

nefte

prod

uct

소유

의 간

이라

인망

자료

: T

ran

snef

tep

rod

uct

홈페

이지

(w

ww

.tra

nsn

efte

pro

du

ct.r

u)

Page 129: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92

○ Transnefteproduct 석유제품 이 라인은 주로 서시베리아지역 서쪽

에 치해 있는 인구 집 도시를 통과하고 있음.

- 간선 이 라인에서 최종 소비지까지 용이하게 수송하기 해 기존

철도망 도로망과 인 해서 이 라인이 건설되어 있음.

- 러시아내 도시 주변에 있는 규모 정유기업들과 연결되어 있음.

○ 유럽과 CIS지역으로 석유제품을 수출하기 한 수출용 이 라인

노선이 존재하고 있음

- 발틱해 연안에 수출터미 : 상트 페쩨르부르그항, Ventspils(라트비아)

- 흑해 연안에 수출터미 : Novorossisk

- 러시아⇒헝가리 육상 석유제품 이 라인 노선

○ Transnefteproduct산하 이 라인 수송 업무를 담당하는 8개 자회사

들은 각자 기업에게 맡겨진 지역에서 업무 수행

- Mostransnefteproduct: 모스크바시를 심으로 환상형으로 모스크바

주에 부설되어 있는 이 라인을 리・운

[그림 4-2] Mostransnefteproduct 소유의 이 라인망

자료: Transnefteproduct 홈페이지 (www.transnefteproduct.ru)

Page 130: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4장 석유제품 수송체계 93

- Peterburgtransnefteproduct: Kirishi에서 닌그라드주, 상트 페테르

부르그시, 그리고 발틱해 연안 석유제품 수출터미 까지 부설되어

있는 이 라인을 리・운

[그림 4-3] Peterburgtransnefteproduct 소유의 이 라인망

자료: Transnefteproduct 홈페이지 (www.transnefteproduct.ru)

- Ryazantransnefteproduct: 니즈니 노 고로드(Nizhny Novgorod)에서

랴잔(Ryazan), 툴라(Tula), 오룔(Oryol) 그리고 모스크바주까지 연결

된 이 라인을 리・운

[그림 4-4] Ryazantransnefteproduct 소유의 이 라인망

자료: Transnefteproduct 홈페이지 (www.transnefteproduct.ru)

Page 131: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94

- Sibtransnefteproduct: 서시베리아지역내 메로보에서 노보시비르스

크, 그리고 옴스크까지 연결된 이 라인을 리・운

[그림 4-5] Sibtransnefteproduct 소유의 이 라인망

자료: Transnefteproduct 홈페이지 (www.transnefteproduct.ru)

- Sredne-Volzhsky Transnefteproduct: 볼가지역내 니즈네캄스크

(Nizhnekamsk)에서 카잔(Kazan), 니즈니 노 고로드(Kstovo)까지 연

결된 이 라인을 리・운

[그림 4-6] Sredne-Volzhsky Transnefteproduct 소유의 이 라인망

자료: Transnefteproduct 홈페이지 (www.transnefteproduct.ru)

Page 132: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4장 석유제품 수송체계 95

- Uraltransnefteproduct: 우랄지역내 옴스크에서 튜멘, 첼랴빈스크, 그

리고 사마라(Samara)까지 연결된 이 라인을 리・운

[그림 4-7] Uraltransnefteproduct 소유의 이 라인망

자료: Transnefteproduct 홈페이지 (www.transnefteproduct.ru)

- Yugo-Zapad Transnefteproduct: 러시아 남서지역 사마라(Samara)에

서 리페츠크(Lipetsk), 벨고로드(Belgorod), 그리고 벨로루스의 민스

크와 우크라이나와 헝가리 슬로바키아 국경까지 연결된 이 라

인을 리・운

[그림 4-8] Yugo-Zapad Transnefteproduct 소유의 간선 이 라인망

자료: Transnefteproduct 홈페이지 (www.transnefteproduct.ru)

Page 133: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96

- Severo-Kavkazsky Transnefteproduct: 북카 카즈 지역내 게오르그

히에 스크(Georghievsk), 로스토 (Rostov)로 연결되는 이 라인

리・운

-

[그림 4-9] Severo-Kavkazsky Transnefteproduct 소유의 이 라인망

자료: Transnefteproduct 홈페이지 (www.transnefteproduct.ru)

2. 장탱크와 펌핑시설

○ 석유제품 장을 해 Transnefteproduct은 900개의 탱크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탱크의 총 장능력은 4.6백만 m3임.

- 최근 몇 년동안 총 탱크의 20% 정도가 안정성 진단을 받았음.

- 2004년에 262개 탱크들이 진단되었으며, 이들 탱크들의 총 장능력

은 1,161,000m3

음.

- 한 2004년에 14개 탱크, 장능력 82,000m3이 진단검사 결과 수선

되었음.

○ 한 Transnefteproduct는 펌핑 station에 472개 펌 를 소유하고 있

음.

Page 134: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4장 석유제품 수송체계 97

- 정기 인 진단에 의해서 펌핑 시설이 화, 교체, 수선됨.

- 2004년에 25개 펌핑시설이 교체되었음.

3. 신규 건설 확장 로젝트

가. Kstovo-Yaroslavl-Kirishi-Primorsk(‘Sever’ project)

1) 사업 의의

○ 동 로젝트는 2002년 6월 24일 러시아연방 정부명령 No.853-p에 의

해서 승인

- 동 로젝트는 러시아 정부의 ‘Energy-Efficient Economy' 로그램

에 포함

○ 러시아 정부는 유럽시장 수출 출구인 발틱해로 연결되는 석유제품

이 라인의 신규 건설 확장 사업 추진 필요성 인식

- 최근 발틱해를 통한 석유제품 수출량은 매년 11-12백만 톤에 이르며,

2010년에 연간 20~30백만 톤에 이를 것으로 망.

- 수출용 이 라인 부족으로 인해 매년 약 200백만 달러의 경제

손실을 입고 있음.

- 이에 러시아 정부는 석유제품 수출용 신규 이 라인 건설, 경질류

석유제품 하 시설 확충 등을 략 목표로 삼고 있음.

○ 재 경질류 석유제품의 러시아 수출비 의 상당부분은 라트비아 발

틱해 연안의 Ventspil항구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음.

- 유럽시장으로 향하는 동 간선 이 라인은 매년 러시아 체 석유

제품 수출의 40~50%를 담당

- 그러나 Ventspil항으로 연결되는 노선은 벨로루시를 통과하고 라트

비아 수출 항구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제약을 가짐

Page 135: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98

○ 이에 러시아 정부는 다른 국가를 통과하지 않고 러시아내에서 직

유럽시장으로 수출할 수 있는 수출노선을 개발하려고 함. 재 러시

아 국내에서 경질 석유제품을 수출할 수 있는 유일한 터미 은 상트

페테르부르그 인근 발틱해 연안 항구임.

- 이를 통해 수출증 , CIS 비CIS국가들에 한 의존 감소 가능

- 이에 닌그라드주내 리모르스크 항구와 연결되는

‘Kstovo-Yaroslavl-Kirishi-Primorsk’ 석유제품 이 라인 건설 정

○ 재 석유제품의 유럽지역 러시아 북서지역에 수송 수요가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동 지역내 석유제품 이 라인 확충과 수출항구 설비용량 증 는

Transnefteproduct뿐만 아니라 석유정제 회사의 이익 증 에도 크게

기여할 것임.

- 한 철도나 도로와 같은 다른 석유제품 수송수단과의 경쟁에서도

계속 우 를 지킬 수 있게 할 것임.

2) 사업 개요

○ 동 노선은 러시아 북서지역에 있는 Kstovo에서 야로블라블, 키리쉬를

거처 발틱해 연안 리모르스크항까지 연결하는 석유제품 이 라

인 노선

- 최근 높은 석유제품 수요를 보이고 있는 북서지역과 유럽지역에

한 석유제품 공 증 를 목

- 석유제품을 러시아 지역내에서 직 유럽시장으로 수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송상의 안 성을 확보할 수 있고, 타 국가에 의존하지 않

아도 됨.

- 한편, 이 라인 시발지 인 Kstovo은 Ryazantransnefteproduct 자

회사가 리하고 있는 Kstovo⇒Ryazan⇒Tula⇒Oryol 노선과도 연결

Page 136: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4장 석유제품 수송체계 99

○ Kstovo-Yaroslavl-Kirishi-Primorsk의 노선은 다음과 같음.

- 동 이 라인은 러시아내에 7개 지역을 통과: Nizhniy Novgorod,

Vladimir, Ivanov, Yaroslavl, Tver, Novgorod, Leningrad, 그리고 St.

Petersburg임.

- 동 노선의 수송능력은 연간 총 24.6백만 톤, 1단계에 17백만 톤의 수

송능력 건설

- 1단계에서 1,056km 이 라인 건설, 리모르스크항에 석유제품을

장하고, 선 할 수 있는 시설 건설

․ Vtorovo(Vladimir 지역)-Kirishi구간: 750km

․ Kirishi-Primorsk( 닌그라드 지역)구간: 306km

○ 동 노선을 이용해서 석유제품을 러시아 북서지역과 유럽시장으로 수

출할 수 있는 잠재 인 정유기업은 다음과 같음.

- Omsk사, Ufaneftehim사, Novo-Ufimsky사(Novoil), Ufa사,

Permnefteorgsintez(Lukoil)사, Salavatnefteorgsintez사,

Nizhnekamskneftekhim(TAIF)사, Nizhegorodnefteorgsintez(Lukoil)

사, Slavneft-Yaroslavnefteorgsintez사, Kirishinefteorgsintez사 등임.

나. Nikolskoye-Stalnoy Kon-8H (Tambov-Orel-Uniecha)의 수송능

력 확충

○ 러시아 서부지역 유럽시장으로 석유제품 수송 증 를 해서

Nikolskoye-Stalnoy Kon-Russia’s Western border (LDPS "8H") 이

라인의 수송능력 확충 필요

- 동 지역은 Yugo-Zapad Transnefteproduct 자회사가 리하는 노선

으로 러시아 남서지역내 사마라(Samara)에서 벨로루시를 경유해서

우크라이나와 헝가리 슬로바키아 국경까지 연결되는 노선임.

Page 137: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00

- 재 동 송유 노선은 100% 사용되고 있음.

- 재 Stalnoy Kon-8H구간에서 펌핑 설비용량은 연간 10.5백만 톤

- 이에 유럽지역에 한 수출증 를 해 동 노선의 수송능력 확충 사

업을 추진

○ 2003년 8월 동 노선의 수송능력 확충 로젝트가 러시아 정부에 의해

서 승인됨.

- 건설업자는 Chelyabinsky Pipe Plant

- 건설자 은 EBRD 신용

- 2003년 9월부터 작업 개시

- 이 라인 직경은 53mm

○ Nikolskoye-Stalnoy Kon-Russia’s 서부국경 노선을 재 이용하고 있

거나 향후 이용하게 될 잠재 인 석유정제회사는 다음과 같음.

- Omsk사, Ufaneftekhim사, Novoufimsky(NOVOIL)사, Ufa사,

Permnefteorgsintez(Lukoil)사, Slavatnefteorgsintez사, Samara Ors (3

ORs: Kuybyshevksy사, Novokuybyshevsky사, Syzransky사),

Nizhnekamskneftekhim사(TAIF), Nizhegorodnefteorgsintez사

(Lukoil), Ryazan사, Moscow사 등임.

○ 노선 총 길이는 560.6km임.

- 1구간은 Nikolskoye-Stalnoy Kon 길이 306.3km

- 2구간은 Stalnoy Kon–8H 길이 254.3km

다. Andreyevka-Cherkassy(Ufa)-Subkhankulovo-Almetyevsk-Kstovo

○ 동 사업은 볼가지역내 석유제품을 발틱해 연안 수출터미 로 수송하

기 한 사업임.

- 재 발틱해 방향의 석유제품 수송 수요는 지속 으로 증 되고 있

Page 138: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4장 석유제품 수송체계 101

는 상황임.

- 동 로젝트도 2002년 6월 24일 승인된 러시아연방 정부명령

No.853-p에 의해서 추진

- 장기 으로 동 노선은 Kstovo-Yaroslavl-Kirishi-Primorsk노선과 연결

되어 유럽시장으로 수출 증 에 기여

○ 동 노선은 러시아내 다음과 같은 지역을 통과함.

- Bashkortostan, Tatarstan, Chuvashiya, Nizhniy Novgrod

○ 여러 지역을 통과하기 때문에 Transnefteproduct내 여러 자회사들이

운 을 담당하게 됨.

- Uraltransnefteproduct, Sredne-Volzhsky Transnefteproduct,

Ryazantransnefteproduct.

○ Andreyevka-Cherkassy (Ufa)-Subkhankulovo-Almetyevsk- Kstovo

체 노선에서 구간별 수송능력은 다음과 같음.

- Subkhankulovo-Almetyevsk구간의 수송능력: 연간 8백만 톤

- Cherkassy-Subkhankulovo구간의 수송능력: 연간 17.9백만 톤

- Subkhankulovo-Almetyevsk구간의 수송능력: 10백만 톤

○ 구간별 길이는 다음과 같음.

- 동 노선의 시작지 은 Andreyevka 펌핑 station이고, 종착지 은

Nizhny Novgorod에 있는 Kstovo 펌핑 station임.

- Andreyevka-Cherkassy구간: 175km(재건축)

- Cherkassy (Ufa)-Subkhankulovo구간: 174.4km(재건축)

- Subkhankulovo-Almetyevsk구간: 167km(신규 건축)

- Nizhnekamsk-Almetyevsk-Kstov구간: 578km(재건축)

- 결과 으로 Nizhnekamsk - Almetyevsk구간을 고려한

Page 139: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02

Andreyevka-Cherkassy(Ufa) - Subkhankulovo -

Almetyevsk-Kstovo노선의 체 길이는 1,094.4km임.

○ 재 Andreyevka-Cherkassy (Ufa)구간 공사는 완료단계에 있으며,

Subkhankulovo-Almetyevsk구간의 설계작업은 완료되어 러시아 정부

기 (Head State Examination Service)에 제출된 상태임.

- Cherkassy (Ufa)-Subkhankulovo구간과 Almetyevsk-Kstovo구간의 공

사 도면이 2004년 말경에 완성되었음.

○ 기존 신규 건설되는 Andreyevka-Cherkassy

(Ufa)-Subkhankulovo-Almetyevsk- Kstovo구간을 이용해서 석유제품

을 수송하게 될 잠재 정유기업들은 다음과 같음.

- Omsk사, Ufaneftehim사, Novo-Ufimsky사, Ufa사,

Permnefteorgsintez(Lukoil), Salavatnefteorgsintez사,

Nizhnekamskneftekhim(TAIF)

라. Syzran-Saratov-Volgograd-Novorossiysk (‘Yug’ Project)

1) 사업 의의

○ 신규 건설되는 Syzran-Saratov-Volgograd-Novorossiysk석유제품 이

라인 노선은 10백만 톤의 수출용 석유제품과 2.3백만 톤의 국내시

장 공 용 석유제품을 수송

- 유럽시장으로 향하는 주요 간선 이 라인은 연간 체 수출의

45-50% 담당

- 재 부분의 수출용 석유제품은 발틱해를 이용해서 수출되고, 흑

해를 이용한 남쪽방향으로 향하는 경질류 석유제품은 체 석유제품

수출의 약 30%정도 됨.

- 그러나 석유제품에 한 해외수출을 증 시키기 해서는 유럽방향

의 신규노선 건설 확충 필요

Page 140: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4장 석유제품 수송체계 103

○ 향후 신규로 석유제품 이 라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한 유망한

수출지역은 흑해임. 흑해지역을 통해서 수출되는 석유제품량은 연간

10백만 톤에 이를 것임.

- 재 흑해에 주요 수출터미 은 Tuapse, Novorossiysk임.

- Novorossiysk터미 에는 석유제품 장지 Shesharis이 존재하며,

2000년에 수출용 경유 2백만 톤이 장되었음.

․ 동 터미 로의 석유제품 수송은 주로 이 라인과 철도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음.

․ 동 터미 은 연간 10백만 톤의 석유제품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음.

○ 북카 카즈 지역의 석유제품 수요의 30% 정도를 Krasnodar정유공장

과 Tuapse정유공장이 담당하고 있음. 동 지역에 석유제품 이 라인

건설은 고품질 석유제품 수송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

- 가장 유망한 석유제품 이 라인 건설 사업은 신규 석유제품 이

라인 Syzran-Saratov-Volgograd-Novorossiysk노선 건설사업임.

- 동 노선은 기존에 원유 경질유 수출 터미 , 석유제품 장시설

Grushevaya과 Shesharis과 연결될 것임.

- 흑해 연안에 Novorossiysk터미 을 통한 경질유 선 을 한 수출

인 라 시설 건설은 러시아 정유기업들의 상업 이익 증 에도 크

게 기여할 것임.

2) 사업 개요

○ 동 노선을 통해 석유제품을 수송하는 잠재 인 기업

- Omsk사, Ufaneftekhim사, Novoufimsky(NOVOIL), Ufa사,

Permnefteorgsintez(LUKOIL)사, Slavatnefteorgsintez사, Samara정제

Page 141: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04

회사 3개사(Kuybyshevksy, Novokuybyshevsky, Syzransky),

CRACKING (Saratov), LUKOIL-Volgogradneftepererabotka 등임

○ Syzran-Saratov-Volgograd-Novorossiysk의 석유제품 이 라인 노선

은 다음과 같은 러시아 지역을 통과

- Samara(40km), Ulyanov(30km), Saratov(375km), Volgograd(456km),

Rostov(269km), Krasnodar kray(353km) 등임.

- 동 노선의 체길이는 1,523km임.

- 동 노선의 시작지 은 Zhuravlinskaya 펌핑 station, 종착지 은

Grushevaya 석유제품 장지임.

- 동 노선은 Transnefteproduct자회사인 Severo-Kavkazsky

transnefteproduct이 담당

○ 동 노선의 건설 제안은 Institute Nefteproductproyect에서 이루어졌

고, 이 라인이 통과하는 지역들간에 조정이 이루어진 상태임.

- 그러나 재 러시아 정부내 담당부서 차원에서 동 노선 건설사업과

Kstovo-Yaroslavl-Kirishi-Primorsk노선 건설사업간의 투자 우선순

결정에 있어서 검토작업이 진행 에 있음.

제3 철도를 통한 석유제품 수송1)

○ 러시아 철도망은 인구 도가 상 으로 높은 서부지역에 발달되어

있으며, 철도의 총연장은 85,500km임.

- 넓은 토에 비해서 철도노선 도는 그 게 높은 편이 아니며, 특

히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에 노선 도가 매우 낮은 편임.

- 상 으로 장거리 화물수송이 큰 비 을 차지

- 새로운 철도 노선 건설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철도 운송 물동

1) 성원용(2005), 『러시아 교통물류정보조사』에서 일부 인용

Page 142: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4장 석유제품 수송체계 105

량이 지속 으로 증가하고 있음.

○ 경기호조세가 지속되고, 외 수출이 크게 증 되면서 특히, 수출품

의 철도수송 수요가 빠르게 증 되고 있음.

- 이러한 화물수송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화물처리 속도는 평균 15%

정도 단축되어 철도수송서비스가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음.

[그림 4-10] 러시아의 철도 노선

자료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JSCo 《RZD》, PRESENTATION JSCo 《RUSSIAN

RAILWAYS》(brochure), 성원용(2005), 『러시아교통물류정보조사』, 한국교통연구원

○ 원유와 석유제품의 경우 철도 수송량은 2003년에 년 비 15.6% 증

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 2004년 철도의 화물수송량에서 화물종류별 유율에서 석유는 17.2%

를 차지했음. 이 비 은 1990년에 11.5%, 1995년 14.6%에 불과했지

만 1999년 이후 고유가 상황에서 계속 증 되는 추세에 있음.

- 석유제품 이 라인 노선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정유소들은 생산된

석유제품을 주로 철도를 통해서 수송하고 있음. 한 큰 강을 끼고

Page 143: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06

있는 정유사들은 내륙수로를 통해 석유제품을 수송하고 있기도 함.

- 석유회사들은 신속하고 안정 인 수송을 해 유조철도차량을 소유

하고 있는데, 체 유조차의 58.4%정도가 석유회사의 소유로 되어

있음.

- 한 석유회사들은 이 라인을 통한 수송시에 성질이 다른 석유제

품들간의 혼합으로 품질이 하되는 것을 막기 해 고품질 석유제

품의 경우 주로 철도를 이용함.

○ 루크오일 산하 정유사의 경우 생산된 석유제품의 반 이상을 철도

를 통해서 수송하고 있음.

- 정제량이 12.3백만 톤인 니제고로드 정유소의 경우 2004년에 생산된

석유제품의 67.2%를 철도를 통해서 수송했음.

- 정제량이 11.1백만 톤이며, 석유제품 이 라인 노선과 연결되어 있

는 페름 정유소의 경우에도 체 석유제품의 73.3%를 철도를 통해

서 그리고 22.3%를 이 라인을 통해서 수송했음.

○ 체 으로 정제능력이 큰 정유소들은 원유 이 라인 노선과 석유

제품 이 라인 노선 그리고 철도노선이 모두 연결되어 있는 지역

에 치하고 있음.

- 이들 정유소들은 원유 이 라인을 통해 원유를 공 받고, 생산된

석유제품 60~70%를 철도를 통해서, 20~25%정도를 석유제품

이 라인을 통해서 수송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Page 144: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5장 러시아 정유산업 발 략 107

제5장 러시아 정유산업 발 략

제1 러시아 정부의 정유산업 발 정책

1. 국내시장 수 안정화 정책

○ 러시아 정부의 정유산업 정책은 지 까지 국내 석유제품 수 안정

화에 집 되어 왔음.

- 러시아는 세계 2 를 차지하는 원유생산국이며, 세계 3 의 정제능

력을 자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990년 반에 극심한 석유제품

수 불안정 상황에 처해 있었음.2)

- 러시아 정부는 국내 석유제품 수 안정을 해 시장경제체제로

진 인 자유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1992년부터 수

출 허가 쿼터제를 운 하 음. 즉, 러시아 정부는 국내시장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는 해외시장으로 원유나 석유제품이 수

출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국내 석유시장을 안정시키려고 했음.

○ 러시아 정부는 석유제품을 비롯한 기 필수 품목에 해 수출 허가

는 수출할당 권한을 받은 기업만이 해외수출을 할 수 있도록 했으

며, 수출되는 원유 석유제품에 해 수출세를 부과했음.

- 심각한 재정 자를 겪고 있던 러시아 정부로서는 수출세 부과를 통

해 막 한 재정수입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음.

- 러시아 석유기업들은 원유 석유제품의 러시아 국내시장과 해외시

장간의 가격차이로 인해 해외시장에 수출하는 것을 더 원했음.

2) 1990년 반까지 자동차 소유자들은 주유소에서 기름 구하기가 어려워 여러 곳을 돌아다니거나

긴 을 서야 했음. 한 여분의 기름통을 자동차 트 크에 항상 싣고 다녔음.

Page 145: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08

○ 수출 허가・할당제와 수출세 도입 이외에도 러시아 정부는 국가안보

국민경제에 요하다고 단되는 물품을 국가 략물자로 규정하

여 이들 상품에 한 수출입을 규제하는 제도를 도입

- 이는 국가의 필요에 따라 일부 품목을 의무 으로 수입 는 수출하

도록 하는 제도임.

- 략물품과 수출 허가・할당제 용 품목이 상당부분 일치

○ 1990년 진 인 시장개 을 추진하 던 러시아 친 정부는 차

으로 교역자유화 품목을 확 시켜 나갔으며, 1994년에 들어서 러시

아에 자 을 제공한 IMF의 권고를 받아 들여 석유제품에 한 자유

화를 추진했음.

- 1994년에 들어서 수출 허가・할당제는 일부 소수 품목을 제외하고는

철폐되었음. 석유 석유제품에 한 수출 허가・할당제도도 이때

철폐되었음.

- 한 략물자 수출입 규제 제도도 사실상 폐지되었음.

○ 그러나 1998년 융 기를 겪는 과정에서 러시아 정부는 1990년 반

에 폐지되었던 각종 규제제도를 부활시켰음.

- 1990년 말 러시아 정부는 국내 석유제품 시장 안정화를 해 다시

러시아 석유기업들에게 석유제품의 일정부분을 국내시장에 의무 으

로 공 하도록 하는 제도를 도입

․ 러시아 정부결정 1999년 7월 30일 정부명령 No. 866, 2003년 7월

15일 정부명령 No.426에 의한 조치임.

- 1990년 용되었던 수출세 부과 상 품목을 심으로 석유제

품에 한 수출세도 다시 부활

․ 1999년 1월 11일 정부명령 No.45에 의해서 다시 도입3)

3) 석유제품 수출세 이외에 원유 수출세는 1999년 1월 23일자 정부명령 No.83, 그리고 천연가스 수

출세는 1999년 7월 12일 정부명령 No.798에 의해서 다시 도입. 그리고 원유 수출세는 재도입되면

Page 146: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5장 러시아 정유산업 발 략 109

단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법인세 % 35 24 24 24

재산세 % 2.0 2.0 2.0 2.2

VAT % 20 20 20 18

통합사회보장세 % 35.6 35.6 35.6 35.6

지하자원채굴세 루블/톤 - 667.1 801.4 1,052.8

원유수출세 미달러/톤 26.3 18.6 30.4 55.8

석유제품수출세

-경질 석유제품 미달러/톤 34.95 28.41 27.37 37.93

- 유 미달러/톤 34.95 28.41 27.37 37.93

-liquid fuels 미달러/톤 22.06 14.31 27.37 36.64

석유제품 물품세

-고옥탄가 가솔린 루블/톤 1,850 2,072 3,000 3,360

- 옥탄가 가솔린 루블/톤 1,350 1,512 2,190 2,460

-경 유 루블/톤 550 616 890 1,000

-윤활유 루블/톤 1,500 1,680 2,440 2,732

자료: Lukoil(2005), Analyst Databook

<표 5-1> 석유회사들에 한 주요 세 의 평균 세율

○ 수출세 이외에 러시아 정유사들은 법인세, 물품세, 재산세, 통합사회

보장세, 부가가치세 등을 납부해야 됨.4)

- 루크오일의 경우 세 소득에서 총 세 기부 이 차지하는 비

은 2000년에 45.4%에서 2002년에 71.9%로 크게 증 되었으며, 2004

년 재 71.2%임.

- 경질 석유제품과 유에 한 수출세는 동일하게 부과되었음. 그러

나 물품세는 석유제품 종류와 품질마다 상이하게 부과되었음.

․ 를 들면 고옥탄가 가솔린은 톤당 3,360루블, 옥탄가 가솔린은

톤당 2,460루블의 물품세가 부과되었음. 경유는 톤당 1,000루블로

가솔린 제품보다 훨씬 낮은 세 이 부과되었음.

서 종가세로 부과방식이 변경되었음.

4) 원유의 경우에는 원유수출세와 지하자원채굴세가 추가됨. 원유채굴기업에 있어서 지하자원채굴세

와 원유수출세가 납세부분의 가장 커다란 부분을 차지함.

Page 147: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10

- 수직통합형 석유기업의 경우, 생산자회사에서 생산된 원유를 정유자

회사가 공 받아 석유제품을 생산・ 매하게 되면 VAT가 부과됨.

○ 푸틴 정부는 과거 진 인 시장 심의 개발방식에서 정부주도의 경

제개발방식으로 환하 으며, 이와 더불어 석유기업들의 해외수출을

통해 벌어들인 소득에 해 과 한 세 을 부과했음.

2. 가격정책

○ 러시아 정부는 1992년 진 인 가격자유화 조치를 실시하 고, 이

과정에서 석유제품도 국내시장에서 자유화되었음.

- 석유제품 가격은 석유제품 공 업자와 매업자간에 거래를 통해서

결정

-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들이 석유제품 매 자회사를 가지고 있지만 넓

은 토의 러시아 국내 시장을 충족시킬 수 없었음. 그래서 도시

를 제외한 부분의 지역들은 소매 매업자들에 의해 부분의 석

유제품이 매되었음.

- 석유제품에 한 품질 규격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유소마다 상이한

품질의 석유제품을 생산

- 이 다 보니 지역에 따라 석유제품 품질에 따라 심한 가격차이를 보

음.

○ 석유제품에 부과되는 세 이 제품 가격에 커다란 향을 미치고 있

음.

- 한 러시아 국내 석유제품 시장이 통합되어 있지 않고 지역마다,

정유소 마다 분리되어 있는 계로 석유제품에 해 독 가격이 형

성되었음.

○ 러시아 정유소들은 원유의 러시아국내외 가격차이로 인해서 원유 정

제마진을 크게 얻을 수 있었음. 한 수직통합형 석유기업의 경우 그

Page 148: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5장 러시아 정유산업 발 략 111

산하에 원유생산 자회사와 정유사를 모두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더

큰 이득을 확보할 수 있었음.

- 러시아 정유기업들은 해외시장에서보다 훨씬 싼 가격으로 원유를 구

입하여 이를 석유제품으로 가공하여 해외시장보다 높은 가격으로 국

내 시장에 공 하여 막 한 이익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음.

- 물론 커다란 정제마진은 상당부분 세 부과를 통해 재정수입으로

귀속되었음.5)

○ 러시아 정유사들은 정부에 해 국내 석유제품 가격을 해외 시장 수

으로 인상해 것을 계속 요구하고 있음.

- 그러나 러시아 정부는 인 압력, 제조업체들의 생산비용 상승, 수

송요 인상 등의 이유를 들어 정유사들의 가격인상 요구를 들어주

지 못하고 있음.

- 한 2007년 12월 총선, 2008년 3월 선을 앞두고 푸틴 정부는 석

유제품 가격 인상에 따른 국민들의 불만을 의식해 가격인상을 최

한 자제시키고 있음.

- 러시아 정부는 국내 석유제품 가격의 단계 인상안을 정유사들에게

제시하고 있는 상황임.

○ <표 5-2>는 루크오일에서 생산된 석유제품들의 평균 가격 변화추이

를 나타낸 것임.

- 2004년에 러시아 국내에 매된 석유제품 평균가격은 236.5달러 고,

해외에 수출된 석유제품 가격은 369.7달러로 133.2달러의 가격차이를

보이고 있음.

5) 그러나 체제 환과정에서 제 로 완비되어 있지 않은 조세제도와 불투명하고 비효율 인 조세행

정으로 석유기업들은 탈세를 통해 막 한 이익을 확보할 수 있었음. 친시 에는 기업들의 탈세

가 거의 일반화되었으나 푸틴시 에서는 기업의 탈세행 에 해 엄격하게 사법조치를 취했음.

유코스 사태는 푸틴 정부가 석유기업들의 탈세행 에 해 엄격히 처벌한 본보기라고 할 수 있

음.

Page 149: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12

- 이러한 러시아 국내외 가격차는 소매부문에서 더 큰 것을 볼 수 있

는데, 도매부문에서 국내외 가격차는 115.3달러, 소매부문에서 가격

차는 263.6달러에 이름. 소매부문에서 이 게 가격차가 큰 것은 앞에

서도 설명했듯이 러시아 국내 석유시장이 지역마다 분리되어 있기

때문임.

- 한편, 가격 변동추이를 보면, 2000년에 비해 2004년에 러시아 국내

가격은 약 74.9% 상승하 고, 해외 매 는 수출가격은 68.2% 상

승한 것으로 나타났음. 이는 국내외 가격차를 이기 한 러시아

정부의 계속된 노력에 의한 것으로 보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러시아 국내 매가격 135.2 142.0 146.1 168.5 236.5

- 도매가격 - - - 145.2 201.9

- 소매가격 - - - 335.9 450.6

해외 매・수출가격 219.8 226.3 236.8 278.9 369.7

- 도매가격 238.9 317.2

- 소매가격 596.0 714.2

체 평 균 179.4 186.8 198.0 237.4 326.8

* 루크오일에서 생산된 석유제품 기

자료: Lukoil(2005), Analyst Databook

<표 5-2> 석유제품의 평균 매가격(루크오일)

(단 : 달러/톤)

○ 한편, 러시아는 2007년에 WTO 최종 가입 상 체결을 목표로 WTO

회원국과 개별 상을 진행 에 있음. 최근 러시아는 가장 힘든 상

국이었던 미국과의 WTO 상을 체결하 음.

- 러시아가 WTO에 정식으로 가입하게 되면 러시아 국내 석유시장

석유제품 시장은 단계 으로 자유화될 것임.

- 석유 석유제품에 한 국내외 가격차가 해소되고, 수출세 수

출할당제 등을 포함한 외활동을 규제하는 각종 규제들이 철폐될

것임.

- 메이 기업들이 러시아 석유제품 도소매 시장에도 자유롭게 진출할

Page 150: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5장 러시아 정유산업 발 략 113

수 있게 될 것임.

- 러시아 석유제품의 국내시장 공 의무가 WTO가입을 한 양자

상시 요한 쟁 사항으로 거론되지 않은 것으로 보임.

3. 장기 발 략

○ 러시아 정부는 2003년에 발표한 「러시아 연방 에 지 략 2020」6)에

서 러시아 정유산업에 한 장기 발 략을 제시하고 있음. 정유

산업 발 을 한 인 정책과제는 다음과 같음.

- 향후 석유제품에 한 러시아 국내 해외의 경질 석유제품 수요

증 에 따른 정유기업들의 정제능력 확

- 세계 인 추세로 되고 있는 석유제품에 한 환경규제에 비하여

친환경 고품질 석유제품 생산

- 상기 과제를 실 시킬 수 있는 정유시설 화 증설과 고도화

시설을 한 규모 투자

- 정제시설, 정제기술, 첨가제, 매제 등에 한 러시아 국내기업들의

기술수 향상

- 석유제품 수송비용을 감시키기 한 수송인 라 시설 확충과 소비

지와 인 한 곳에 새로운 정유공장의 신규 건설

- 러시아 국내 석유제품시장을 통합시키기 한 제도 기반 마련. 이

를 해 우선 으로 석유제품의 규격화 제도 마련

○ 상기와 같은 정책과제를 성공 으로 달성하기 해서는 정유산업에

한 규모 투자가 이루어져야 됨. 이에 러시아 정부는 동 부문에

한 투자 진책을 비・추진하고 있음.

- 정유사들의 정제시설 화, 시설 확충, 고도화 시설 도입 등에 투

6) 재 러시아 정부는 「러시아연방 에 지 략 2030」을 비 임.

Page 151: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14

자되는 비용에 해 세제혜택 부여

- 장기 으로는 정유사들에 한 과 한 조세부담을 덜어 주기 해

석유제품에 부과되는 세 을 이거나 세율을 낮춤. 특히 경질 석유

제품에 부과되는 수출세의 경우 세율을 단계 으로 낮추고 나 에

가서는 이를 완 히 폐지시킴.

- 러시아 정유사들이 러시아 국내 해외 융・자본시장에서 투자자

을 원활하게 조달할 수 있도록 국 은행에 의한 신용제공과 같은

정부지원책을 마련함.

○ 러시아 국내 정유시설 랜트 기업과 정제기술을 제공하는 서비스

회사들은 러시아 정부에 해 시장보호정책 추진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음.

- 러시아 기업들의 정제시설과 서비스는 외국기업들에 비해 품질면에

서 크게 뒤떨어지지만 가격경쟁력을 갖고 있음.

- 그래서 러시아 기업들의 기술수 이 일정수 에 도달하기까지 외국

기업들의 진출을 제한하는 정책 추진을 요구

○ 러시아 정부는 우선 으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석유제품의 품질을 표

화・규격화 시키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음.

- 질의 석유제품이 국내시장에 유통되기 때문에 운송수단과 산업용

기계의 수명이 짧아지고, 심각한 기 오염 상도 나타나고 있음.

- 한 정유소마다 석유제품의 품질이 상이하기 때문에 동일한 석유제

품에 해 정유소마다 각기 상이한 가격이 책정

- 이에 러시아 정부는 외국에서 일반 으로 사용되고 있는 석유제품

규격제도를 받아 들여 이를 법・제도화 하는 작업을 추진 에 있음.

- 차 으로 유럽수 의 환경규제를 러시아 국내 석유제품에도 용

시켜 나감. 이를 해 러시아 정유사들이 친환경 인 석유제품을 생

산하기 한 시설을 도입할 시에 정부에서 지원함.

Page 152: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5장 러시아 정유산업 발 략 115

○ 석유제품 수송인 라 시설을 화하고 확충하는 정부 투자사업을

활발히 추진

- 재 석유제품 수송은 부분 철도와 이 라인을 통해서 이루어지

고 있음. 그러나 러시아 경제의 빠른 성장으로 인해 철도 화물수송

에 한 수요가 크게 증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석유제품의 철도

수송 비용이 계속 증 되고 있음.

- 러시아 국내 석유제품 이 라인망은 빠르게 증 되고 있는 석유제

품 수송 수요에 비해 크게 부족한 실정임. 이에 정부투자사업으로

이 라인 화, 시설 확충, 신규노선 건설, 장시설 확충 등이

계획・추진되고 있음.

제2 정유기업들의 투자 략

1.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들의 투자자 배분

○ 통상 으로 원유가격이 상승하면 상류부문 사업의 수익은 증가하지

만, 고가의 원유를 구입하여 정제해야 하는 정제부문의 수익은 감소

하게 됨.

- 석유제품 가격이나 수요가 변화하지 않는다면 수직통합형 석유기업

들은 상류부문에 한 투자를 증가시켜 원유생산량을 증 시키려 할

것임.

○ 석유제품 가격도 원유가격과 마찬가지로 상승하는 추세에 있다면, 석

유기업들은 상류부문과 하류부문 가운데 어떤 부문에 한 투자를

더 으로 할 것인지 선택을 해야 할 것임.

- ‘원유수출지향형’ 략을 취할 경우 상류부문에 한 투자를 우선시

할 것이고, 반면에 ‘국내시장 지향형’ 는 ‘석유제품 수출지향형’

략을 선택하게 되면 하류부문에 한 투자를 우선시할 것임.

Page 153: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16

○ 러시아 수직통합형 석유기업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하류부문보다는

상류부문에 투자를 집 시키고 있음.

- 원유채굴부문에 한 투자는 정제부문의 투자보다 일반 으로 규모

면에서 클 수밖에 없음.

- 그러나 원유채굴부문의 투자는 1998년 이후부터 격히 증가하다가

2001년에 들어서 정체 내지는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음.

- 정제부문의 투자도 1998년 이후부터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

며, 이러한 증가세가 완만하지만 계속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음.

[그림 5-1]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들의 상・하류부문 투자배분

자료: InfoLine(2006)

○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들은 정제부문에 2001년 9억 달러, 2004년에 10

억 달러를 투자지출 했음.

- 2005년~2009년 동안 연평균 투자규모는 11.6억~12억 달러로 상되

고 있음.

Page 154: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5장 러시아 정유산업 발 략 117

- 정제부문의 투자사업도 높은 험이 따르는 장치산업이기 때문에 정

유사들은 단계별 투자계획(1단계, 2단계)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음.

○ 러시아 정제부문에 한 이러한 투자 증 추세는 석유제품에 한

러시아 국내 해외 시장에서의 빠른 수요 증가와 가격상승에 기인

- 특히 러시아 국내 자동차에 한 빠른 수요 증가세를 감안하여 투자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음.

- 러시아 정부도 국내 석유제품 시장의 수 불안정 상황을 염려하여

정유사들의 정제능력 증 를 한 투자를 장려하고 있음.

○ 러시아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들은 이번 기회를 이용해 메이 석유기

업처럼 상류부문과 하류부문 모두에서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려 하고

있음.

- 이는 유가 상황시 상류부문의 수익하락을 하류부문에서 보 할 수

있게 함. 즉, 원유가격이 하락하면 정유사들의 원유도입 비용이 감소

하여 정제마진이 상승하게 됨.

- 정유사들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고품질 석유제품을 러시아

국내 해외에 수출함으로써 이익을 증 시킬 수 있음.

2. 투자사업 내용

○ 러시아 정유사들은 석유제품 수요 증 , 환경규제 강화, 운송수단의

고 화, 수송요 인상 등에 비해서 다음과 같은 투자 사업을 계

획・추진하고 있음.

- 증류시설 증설에 따른 정제능력 증 , 설비 가동률 향상, 시설

화, 경질 석유제품 생산 증 를 한 고도화 시설 건설, 친환경 고품

질 석유제품 생산시설 건설

․ 분해공정, 수소화분해공정, 코킹법, 비스 이킹법 도입

Page 155: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18

․ 휘발유 개질공정, 경유・항공유 hydrofining, 이성화, 알킬화,

탈방향족화

․ 탈황시설과 탈염시설 건설

․ 질유분해시설과 질유분해탈황시설 건설

- 석유제품 수송단가를 낮추기 해 고효율 인 간규모의 정유공장

을 석유제품 소비지와 가까운 지역에 건설

- 한 석유제품 수출시 수송단가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 해

수출터미 부근에 정유공장을 건설하거나, 주요 해외 수출지역 인

근에 해외 정유공장을 매입

- 기존 정유공장으로부터 먼 거리에 있으면서 수송인 라 시설도 발달

되어 있지 않은 지역에는 완 한 정제공정(full cycle of refining)을

갖춘 소규모 정유공장을 건설함.

○ 최근 5년 동안 정유산업에서의 투자로 러시아 체 으로 정제량이

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7)

- 2004년 루크오일-페름 정유소에 감압증류 시설, 2005년 슬라 네 츠

야로슬르 정유소에 상압증류 시설, 2005년 TNK-BP의 랴잔 정유소

에서 감압증류시설이 증설되어 가동되기 시작

- 2005년에 타트네 츠의 니즈네캄스크 정유소에서는 분해 시설이

건설되어 가동되기 시작

- 재 수르구트네 츠가스의 키리쉬 정유소에서는 감압증류 시설이

건설 에 있음.

- 이러한 정제시설 확충 고도화 사업으로 석유제품의 경우 가솔린

160만 톤, 경유 250만 톤 이상 증가되었고, 유 생산량은 600만 톤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7) Vladimir Kapustin(2006, 8), "Problem of Refining Industry's Development in Russia", Technolgy

TEK

Page 156: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5장 러시아 정유산업 발 략 119

원유 가솔린 경유 유

루크오일-페름 365 - 1,382 -1,850

슬라 네 츠-야로슬라 400 - 665 -1,448

TNK-BP-랴잔 151 1,234 504 -2,034

타트네 츠-니즈네캄스크 - 431 - -636

합계 916 1,665 2,551 -5,968

자료: Vladimir Kapustin(2006, 8), "Problem of Refining Industry's Development in Russia",

Technolgy TEK

<표 5-3> 최근 시설 화 고도화 투자 사업에 의한 효과

(단 : 천 톤)

○ 러시아 정유기업들의 상기와 같은 투자사업에 있어서 정제시설을 건

설하고, 기술서비스를 제공하는 러시아 기업과 해외 기업간에 경쟁이

치열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러시아 기업들은 가격 경쟁력, 인 network, 그리고 러시아 정부의

직간 인 지원 등의 이 을 갖고 있지만, 품질면에서 외국기업에

크게 뒤떨어지고 있음.

- 러시아 기업에 의해서 생산된 설비들은 규격화되어 있지 않고, 효율

성도 크게 떨어지며, 첨단화되어 있지도 않음.

- 이에 따라 규모 정유공장들은 외국의 시설과 기술을 도입하여 투

자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에 있는 소규모 정유공장들은 러시

아 시설과 기술을 이용하고 있음.

○ 재 러시아내에서 정제시설을 건설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업

체들은 다음과 같음.

- VNIPINeft(소재지: 모스크바), Neftekhimproyekt (상트 페쩨르부르

그), Samaraneftekhimproyekt (사마라), Rostovneftekhimproyekt (로

스노 온 돈) Giprokauchuk (모스크바), Lengiproneftekhim (상트

페쩨르부르그), Omskneftekhimproyect (옴스크), Bashgiproneftekhim

(우 ), Angarskneftekhimproyekt (앙가르스크) 등임.

Page 157: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20

- 러시아 기업에 의해서 건설되고 있는 주요 사업은 VNINP와

VNIPIneft에 의해서 추진되고 있는 니즈네캄스크 분해 시설물

건설 로젝트임.

○ 재 미국계, 유럽계, 그리고 일본과 한국의 랜트 건설 기업과 서비

스 제공 기업들은 러시아 정유사들의 투자사업을 확보하기 해 치

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음.

- 미국계, 유럽계, 일본계 기업들은 러시아 투자사업 진출시 해당정

부의 융지원을 받고 있으며, 한 자국 융기 들은 러시아 정유

기업들에게 신용을 제공하고 있음.

- 재 미국계 기업들이 러시아 정유부문 투자시장의 50%를 유하고

있음. 이들 미국기업은 다음과 같음.

․ ABB Lummus Global and Lummus Crest, Baker Hughes, Inc.,

Bechtel International, Dresser Industries, Fluor Daniel Eurasia,

Foster Wheeler International, Halliburton/Kellog-Brown & Root,

and McDermott International 등임.

- 유럽계 기업들도 러시아와의 인 성과 오랜 교역 계를 바탕으로 러

시아 시장에 극 으로 진출하고 있음. 러시아에 진출해 있는 유럽

계 주요 기업들은 다음과 같음.

․ 독일의 Lurgi, Schtork-Comprimo SKL Gmbh, Friedrich Krupp,

Grimma, Mannesmann

․ 랑스의 IFP and Technip; Italy’s SNAM Projetti, Evrotekhnika

․ 그밖에 스 스 Sulzer International와 덴마크 Haldor Topsoe 등

임.

- 일본기업으로는 Toyo Engineering, JGC Marubeni, Sumitomo, JGC

Itochu, Chyoda, Mitsubishi Heavy Industry 등이 러시아내에서 활

동하고 있음.

Page 158: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5장 러시아 정유산업 발 략 121

- 한국에서는 LG와 삼성이 러시아 정유부문 투자 사업에 참여하고 있

음.

○ 한편, 외국에서 수입되는 정제시설들은 러시아 정부기 인

Gosstandardt로부터 수입인증을 받아야 함.

- Gosstandardt로부터 허가를 받은 많은 러시아 민간 개기업들이 이

러한 수입인증 서비스 업무를 행해 주고 있음.

정유소 투자 상 생산능력 건설회사

랴잔 정유소

(TNK-BP)

수소화

분해

알킬화

수소생산

기타

2,952

2,500

455

47

2,080

ABB Lummus Global

ABB Lummus Global

ABB Lummus Global, ExxonMobil

ABB Lummus Global

ABB Lummus Global

야로슬라 정유소

(슬라 네 츠)

수소화분해

분해

수소생산

기타

2,140

1,300

32.8

25.4

UPO Services Limited

Stone & Webster

UPO Services Limited

UPO Services Limited

페름 정유소

(루크오일)

수소화분해

수소생산

황생산

기타

3,500

49

107

1,101

ChevronTexaco Corp.

ABB Lummus Global

Comprimo Sulfur Solutions

VNIIGAS

니즈네캄스크 정유소

(타트네 츠)

분해

수소화정제

880

500

VNIINP, VNIPIneft

VNIINP, VNIPIneft

키리쉬 정유소

(수르구트네 츠가스)

감압증류

수소화분해

Visbreaking

황생산

4,860

2,930

1,922

75

ABB Lummus Global

Chevron

Shell, ABB Lummus Global

Parsons E&C

자료: Vladimir Kapustin(2006, 8), "Problem of Refining Industry's Development in Russia",

Technolgy TEK

<표 5-4> 러시아 정유소들의 주요 투자 사업 내용

(단 : 천 톤)

Page 159: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22

제3 동시베리아・극동지역 정유산업 발 략

1. 정유시설 황

가. 정유공장

○ 동시베리아・극동지역에는 총 4개의 정유공장(앙가르스크, 아친스크,

콤소몰스크, 하바로 스크 등)이 있으며, 이들 정유소들의 총 정제능

력은 3,630.0만 톤으로 러시아 체에서 13.2%를 차지함.

- 설비 가동율은 60%로 러시아 평균치(70%)보다 낮은 수 임.

- 정제량은 2,195.5만 톤으로 러시아 체에서 11.3% 차지

- 석유제품별 생산량은 가솔린 301.2만 톤(러시아 체에서 9.9% 차

지), 경유 588.0만 톤(10.6% 차지), 유 732.1만 톤(13.7% 차지), 그리

고 항공유 125.0만 톤(16.2% 차지)

- 4개의 정유소 앙가르스크 정유소는 러시아내에서 정제능력이 두

번째로 큼.

○ 한편, 콤소몰스크 정유소를 소유하고 있는 로스네 츠는 동 지역내

다른 정유공장들을 매입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음. 만약 로스네 츠가

동 지역내 유코스 산하 2개의 정유소들을 매입하게 된다면, 동 지역

내에서 로스네 츠의 정제능력은 3,160만 톤으로 증 되게 됨.

- 재 유코스는 러시아 세무당국의 계속된 세무조사로 인해 사실상

청산 차를 밟고 있음. 부분의 러시아 문가들은 유코스의 러시

아 국내외 자산이 러시아 국 기업인 로스네 츠에게 넘어갈 것으로

보고 있음.

- 최근 로스네 츠는 투자자 마련을 해 국제 자본시장에서 IPO를

추진했으며, 한 러시아 국내외 융기 으로부터 규모 신용 조

Page 160: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5장 러시아 정유산업 발 략 123

달도 계획하고 있음. 로스네 츠는 이 게 조달된 자 으로 유코스

자산을 포함한 러시아 국내외에서 석유・가스 자산을 매입할 계획이

라고 발표한 바 있음.

- 러시아 정부도 이러한 로스네 츠의 계획을 직간 으로 지원하고

있는데, 푸틴 통령은 유럽 방문 에 로스네 츠의 IPO에 투자자

들의 참여를 부탁했으며, 정부 소유의 로스네 츠 주식 일부를 매각

할 계획으로 있음.

앙가르스크 아친스크 콤소몰스크 하바로 스크

치 이르쿠츠크주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하바로 스크

지방

하바로 스크

지방

모회사 Yukos Yukos Rosneft 독립기업*

정제능력 19.2 6.5 5.9 4.7

정제량 8.8 5.0 5.2 2.9

휘발유 1.31 0.99 0.44 0.26

경 유 2.54 1.57 1.29 0.48

유 2.23 1.96 2.03 1.10

항공유 0.59 0.23 0.23 0.19

* 주주는 Dalinevostochnii Aliyans社임.

자료: InfoLine(2006), Refining Industry in Russia 2004-05

<표 5-5> 러시아 동부지역내 정유소 황(2004년 말 재)

(단 : 백만 톤)

나. 수송시설

○ 동시베리아・극동지역은 러시아내 다른 지역에 비해서 원유 이 라

인, 석유제품 이 라인, 그리고 철도 등의 수송시설 발달이 가장 부

진한 지역임. 따라서 동 지역의 정유산업을 발달시키기 해서는 무

엇보다 이러한 수송시설을 신규 건설하고, 확충하는 사업이 요구되고

있음.

Page 161: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24

- 먼 동 지역내에는 시베리아횡단노선(일명 ‘TSR')과 BAM노선 등 2

개의 철도노선이 있음.

․ TSR은 러시아 토를 동서로 통하는 노선으로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주요 도시를 통과함. 따라서 TSR은 지역내 부분의

승객과 일반화물의 운송을 담당하고 있음.

․ 최근 러시아 경제의 성장세 지속과 동북아 국가들과의 교역량 증

로 TSR의 운송량이 격히 증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송요

인상, 화물 체 상 등이 나타나고 있음.

․ BAM철도는 러시아 동부지역 북쪽에 있는 매장지들에서 생산된

천연자원을 운송하기 한 목 으로 건설된 것이며, 재 복선화

사업과 지선 확장 사업이 진행 에 있음.

․ 동 지역내 정유소에서 생산되는 석유제품은 부분 이 두개의 철

도노선을 통해서 지역내 소비지로 수송되고 있음.

- 동시베리아지역내에 있는 앙가르스크 정유소와 아친스크 정유소는

서시베리아지역 유 지역과 연결되는 원유 이 라인이 통과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 원유를 공 받고 있음.

- 극동지역에 있는 콤소몰스크 정유소와 하바로 스크 정유소는 아직

까지 동・서 시베리아지역내 유 지역과 연결되는 원유 이 라인이

없기 때문에 원유 공 을 사할린지역에서 받고 있음. 이들 정유소와

사할린지역과는 원유 이 라인이 연결되어 있음.

․ 러시아 국 기업인 트란스네 츠는 동・서시베리아지역과 극동지역

을 연결하는 원유 이 라인(‘동시베리아-태평양 송유 노선)을

건설 에 있음.

- 재 콤소몰스크정유소에 태평양 연안 수출터미 인 De-Kastri까지

연결되는 노선 건설이 추진되고 있음. 동 노선은 수출용 석유제품을

De-Kastri 수출터미 로 수송하는 역할을 담당할 것임.

Page 162: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5장 러시아 정유산업 발 략 125

○ 그래서 지역내 4개의 정유소에서 생산된 석유제품 에 러시아 국내

로 공 되는 석유제품은 부분 철도를 통해서 수송

- 콤소몰스크 정유소 이외의 3개 정유소에서 생산된 석유제품은 철도

를 이용해서 국과 몽골 등지로 수송

○ 러시아내 원유 이 라인 수송망을 리・운 하는 트란스네 츠는

동시베리아-태평양 송유 (ESPO)노선을 총 1,2단계로 나 어서 재

건설 에 있음.

- 1단계 사업은 타이쉐트-스코보로디노 구간까지 이 라인을 2008년

까지 건설하며, 동시에 나호트카 부근 코즈미노만에 원유수출 터미

을 건설

- 1단계 사업이후 스코보로디노에서 국 다칭까지 지선 건설

- 2단계 사업은 스코보로디노에서 하바로 스크을 거쳐 코즈미노 원유

수출터미 까지 이 라인을 건설

- 그러나 아직까지 2단계 사업의 구체 인 추진일정은 발표되지 않은

상태

- 동시베리아-태평양 송유 1,2단계 사업이 모두 완료되면 동・서 시

베리아 지역에서 생산된 원유가 동 이 라인을 통해 하바로 스크

정유소와 콤소몰스크 정유소로 공 될 것임.

○ 로스네 츠는 장기 으로 다음과 같은 투자 사업을 계획하고 있음.

- 코즈미노 원유수출터미 부근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을 계획하고

있음.

- 극동지역에서는 데 카스트리터미 과 나호트카터미 에서 석유제품

을 아・태지역으로 수출

- 원유는 데 카스트리터미 , 코즈미노터미 , 그리고 유즈노 사할린스

크터미 에서 아・태지역으로 수출

Page 163: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26

[그림 5-2] 동시베리아・극동지역내 주요 수송시설

자료: 로스네 츠(2006)

2. 투자실

○ 동시베리아・극동지역내 정유산업에 한 투자는 정유소들의 모기업

인 유코스, 로스네 츠에 의해서 주로 이루어졌음.

- 이들 기업은 세계 인 메이 석유기업들처럼 국제시장에서 원유가

격과 석유가격의 격한 변동에 따른 험을 이기 해 원유와 석

유제품 모두를 수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려고 함.

- 특히, 재와 같이 러시아 국내 해외 시장에서 정제마진이 증

되는 상황에서는 원유 수출보다 석유제품 수출을 통해서 더 큰 이익

을 얻을 수 있음.

Page 164: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5장 러시아 정유산업 발 략 127

- 동시베리아・극동지역에 규모 정유자산을 갖고 있는 유코스와 로스

네 츠는 1999년 이후부터 정유부문에 한 규모 투자사업을 계

획・추진하고 있음.

○ 2004년에 러시아 체 정유부문에 총 292억 루블(약 11억 달러)이 투

자되었는데, 러시아 에 지청에서는 2005년~2009년 동안 매년 연평균

320억~330억 루블(약 12억 달러)씩 투자되어 총 1,300억 루블(49억 달

러)정도가 정유산업에 투자될 것으로 망하고 있음.

- 극동지역 정유산업에는 2004년에 약 23억 루블(약 0.9억 달러)이 투

자되었는데, 2005~2009년에는 매년 약 25억~26억 루블(약 1억 달러)

투자될 것으로 망

- 정제능력을 기 으로 아친스크와 앙가르스크에 투자된 액을 산출

해 보면, 2004년에 약 17억 루블(약 0.6억 달러) 투자되었고, 2005

년~2009년에는 매년 18억~19억 루블(약 0.7억 달러) 투자될 것으로

망8)

- 결과 으로 2004년에 동시베리아・극동지역내 정유부문에 투자된

액은 약 40억 루블(약 1.5억 달러) 정도로 추산되며, 2005~2009년 동

안에는 연평균 약 43억~45억 루블(약 1.7억 달러)정도 투자될 것으로

망됨.

- 한편, 1999~2004년 동안 지역별 투자 액을 정제능력 톤당 투자 액

으로 환산하면 극동지역이 가장 크게 나타남.

․ 러시아 체 정제능력 톤당 투자 액은 18.8달러이며, 지역별로 극

동지역 37.7달러, 시베리아지역 11.1달러, 그리고 북서지역 33.2달

러, 부지역 28.4달러, 남부지역 19.9달러, 볼가지역 13.8달러

8) 시베리아지역에는 아친스크 정유소, 앙가르스크 정유소(동시베리아지역에 소재)와 옴스크 정유소

(서시베리아지역에 소재) 등 3개 정유소가 존재함.

Page 165: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28

중부 연방관구

25%

북서 연방관구14%

시베리아

연방관구

10%

남부 연방관구8%

극동 연방관구8% 볼가 연방관구

35%

[그림 5-3] 러시아 지역별 정유산업 투자 황(1999~2004년 평균)

자료: InfoLine(2006)

○ 동시베리아・극동지역내 정유공장에서 계획・추진되고 있는 투자사업

은 정제능력 증 , 경질 석유제품 생산 증 , 아・태지역 수출을

한 친환경 고품질 석유제품 생산 등의 목 을 달성하기 해서 이루

어지고 있음.

- 주요 투자 상은 증류시설, 탈황시설, 고도화 시설 등의 건설이며,

이들 사업은 부분 외국기업의 시설과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음.

3. 주요 투자 로젝트

가. 하바로 스크 정유소의 투자 로젝트9)

○ 하바로 스크 정유소의 황

- 1935년에 설립되었으며, 1990년 개보수 화 필요성이 두

9) 삼성물산(2006), “Khabarovsk Refinery Project" 자료 인용

Page 166: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5장 러시아 정유산업 발 략 129

되었고, 2000년부터 정제능력을 증 시키고, 유를 경질 석유제품으

로 만드는 고도화 사업을 추진

- 2005년 기 정제용량은 4.3백만 톤/연, 실제 정제량은 3백만 톤/연

주유 시설 설비 용량

상압증류 시설 No.1

상압증류 시설 No. 2

감압증류 시설

개질(Reforming) 시설

가스분리시설

LPG Amine Treating 시설

이성화(Isomerisation) 시설

2,950

1,400

1,200

300

225

100

100

<표 5-6> 하바로 스크 정유소의 정제시설 용량(2005년)

(단 : 1,000TPT)

○ 2006년에 2단계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기 해 지난 7월에 투자사업

실행을 한 입찰 공고를 했으며, 최종 으로 삼성과

EPC(Engineering-Procurement-Construction) 계약을 2007년 2월내로

체결할 정

- 투자사업 내용: 향후 2~3년후에 친환경 석유제품에 한 높은 수요

증 에 응하여 유황 경유를 생산하기 한 시설 개보수, 화

- 사업 상

․ Reformer: 연간 300,000톤에서 450,000톤으로 증

․ 가수소 정제(Hydrofining)시설: 등유, 경유, 경질감압경유 등을 정

제하기 해 연간 1,180,000톤의 생산시설 건설

․ 수소화분해(Hydrocracking)시설: 질감압경유를 정제하기 해

80% 화율(conversion rate)을 가진 연간 501,000톤의 시설 건설

․ 수소발생 장치와 유황처리 시설 등과 같은 시설 건설

Page 167: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30

- 사업비용: 5~6억 달러

재 사업추진 이후

투입물

원 유 3,000 3,000

MTBE(첨가제) 10 2

생산물

납 사 225 296

가솔린 321 390

등 유 235 255

경 유 877 1,083 (ULSD)

유 1,167 655

역 청 60 60

유 황 0 11

<표 5-7> 하바로 스크 정유소의 투자사업 추진 이후 석유제품 생산

(단 : 천 톤)

나. 콤소몰스크 정유소의 투자 로젝트

○ 러시아 국 석유회사인 '로스네 츠'사는 2010년까지 콤소몰스크 정

유공장 2단계 투자사업에 약 3.5억 달러를 투입

- 주요 사업 내용은 유생산을 이고, 수송연료 경유 생산 증

- 콤소몰스크 정유공장에서는 2005년 재 연간 650만 톤의 원유 정제

능력(정제율 60%)을 갖고 있으며, 2010년부터 연간 7백만 톤의 원유

능력 (정제율 95%) 망

○ 단계별 고도화 사업 추진

- 2010년까지 2단계 고도화 사업에 약 3.5억 달러 투자

○ 정유공장 가동률 향상, 정제능력 증

- 2005년 재 정제능력 연간 650만 톤 ⇒ 2010년부터 연간 7백만 톤

- 2005년 재 가동률 60% ⇒ 2010년부터 95% 향상

- 노후화된 시설 교체

Page 168: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5장 러시아 정유산업 발 략 131

○ 2005년 추진 계획

- 용량이 800천 톤인 휘발유 처리 시설 건설 완료

- 용량이 5,500톤인 유황 생산 시설 건설 완료

- 진공 시설 화

다. 앙가르스크 정유소와 아친스크 정유소의 투자 로젝트

○ 앙가르스크 정유소의 투자사업

- 2005년에 1차 정제시설 재건축 화 완료 계획

- 2006년에 경질 석유제품의 고도화 시설 건설 완료 계획

․ 투자규모는 3,000만 달러

- 재 정제능력 33천 톤을 55천 톤으로 증

․ 투자규모는 1,300만 달러

- 시설 화는 ‘Halder Topsoe’사에 의해 이루어질 정임.

○ 아친스크 정유소에는 2006년까지 경질 석유제품의 고도화 시설 건설

을 완료

4. 로스네 츠의 투자 략

○ 로스네 츠는 ・장기 으로 동시베리아・극동지역내 정유시설을 이

용해 성장하고 있는 국과 인도 석유제품 시장에 진출하려고 함.

- 이를 한 구체 인 략은 다음과 같음.

․ 자사 소유의 콤소몰스크 정유소의 화 고도화 사업 추진

․ 유코스 산하 아친스크 정유소와 앙가르스크 정유소의 매입 추진

․ 국기업 CNPC와 합작하여 러- 국경에 정유공장을 건설하고,

국 석유제품 매시장에 진출

Page 169: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32

  한국 국 일본

원  유 165.3(5.7) 205(8.1) 28(0.6)

석유제품 11.3(1.6) 62.1(2.4) 7.2(0.5)

* ( )는 총 원유수입에서 차지하는 비

자료: World Oil Trade (2005)

<표 5-8> 러시아 석유의 동북아지역 수출 황(2005년)

(단 : 천 b/d, %)

․ 극동지역 태평양 연안 코즈미노 원유수출터미 부근에 정유공장

건설

․ 극동지역내 석유제품 수출용 수송인 라 시설 매입 확장

○ 재 한국, 국, 일본 3국은 아직 은 규모이지만 러시아 시베리아・

극동지역으로부터 원유와 석유제품을 수입하고 있음.

- 원유의 경우 한국과 일본은 사할린 지역에서 생산된 원유를 수입하

고 있으며, 국은 시베리아지역에서 생산된 로스네 츠 원유를 수

입하고 있음.

․ 동북아 3국에 한 원유수출은 동시베리아-태평양 송유 사업이

완공되면 크게 증 될 것으로 상

- 석유제품의 경우 동시베리아・극동지역내 4개의 정유소에서 생산된

유가 동북아 3국에 주로 수출되고 있음.

가. 신규 정유공장 건설

○ 로스네 츠는 2006년 3월 베이징에서 개최되었던 러- 간 정상회담

기간 에 국 CNPC와 략 제휴를 체결하여 석유부문에서 양기

업간에 포 인 력을 하기로 합의10)

- 양기업이 합작기업을 설립하여 러시아 동부지역 석유 매장지 탐사・

10) 국은 러시아 정유산업에 한 투자에도 커다란 심을 보이고 있음. 국의 Runchin사는 러시

아 튜멘주 북부에 신규 석유정유공장 건설에 1억 2,000만 달러의 투자 의향서를 러시아 정부에

제출

Page 170: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5장 러시아 정유산업 발 략 133

개발 사업과 국내 하류부문(정유, 석유제품 매)에 공동 진출하기

로 합의

․ 러- 국경지역에 정유공장 건설

․ 국 석유제품 소매부문에 공동 진출

○ 동시베리아-태평양 송유 종착지 인 코즈미노 원유수출터미 인근

지역에 규모 정유공장 건설 계획

- 정제능력: 연간 150백만 배럴(약 2,000만 톤)

- 투자비용: 약 50억 달러

- 원유공 원: 동시베리아지역과 사하공화국내 유

- 매지역: 러시아 극동지역과 국 동북부 지역

- 재 랑스 기업과 합작회사 설립을 한 상

○ 동남아 시장을 겨냥해서 코즈미노(Kozmino)터미 인근 지역에 석유

화학공장 건설 계획

- 투자비용: 10억 달러 추정

- 매지역: 러시아 극동지역과 동남아지역(생산품의 60% 정도)

나. 석유제품 수송시설 확충

○ 사할린 원유 수송과 석유제품 수출을 한 수송망 확충

- 로스네 츠 소유의 사할린지역에서 콤소몰스크 정유공장까지 원유

이 라인의 수송능력 확충

․ 재 사할린-Ⅰ,Ⅱ 사업이 본격 인 생산단계에 어들었기 때문

에 원유생산이 계속 증 되고 있는 상황

- 콤소몰스크 정유공장에서 De-Kastri 수출터미 까지 석유제품 이

라인 건설

․ 연간 수송능력 500~600만 톤

Page 171: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34

․ 2008년에 착공하여 2011년부터 운

○ 나호트카(Nakhodka) 석유제품수출터미 의 운 권 확보

- 나호트카 수출터미 을 운 하고 있는 Nakhodka Oil Port社의 지

분 97.51%을 매입(약 19.5백만 달러 상당)

․ 연간 6백만 톤의 석유제품 선 가능

- 보스토치니(Vostochny)석유터미 의 지분 100% 소유

․ 연간 4백만 톤의 석유제품 선 시설 건설 계획

․ 향후 코즈미노 수출터미 인근에 건설될 정유공장에서 생산될 석

유제품을 처리

Page 172: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6장 결론 135

제6장 결 론

제1 러시아 정제시설 건설・서비스 시장 진출

○ 2000년에 들어서 활기를 띠기 시작한 러시아 정유기업들의 정제시설

화 고도화 투자 사업은 앞으로도 계속 추진될 것으로 상됨.

- 해외시장은 물론 러시아 국내시장에서도 경질 석유제품에 한 수요

가 빠른 속도로 증

- 러시아 정부와 정유소들의 모기업인 러시아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들

은 원유나 유 수출보다는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경질 석유

제품 수출에 을 두는 략으로 환

- 한 러시아 수직통합형 석유기업들은 메이 석유기업들과 마찬가

지로 상・하류부문 모두에서 수출경쟁력을 확보하려는 략 추진

- 특히 세계 인 메이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루

크오일과 로스네 츠의 경우, 정유산업에 국제경쟁력을 하루 빨리

확보하기 해 동 부분에 한 투자에 매우 극 으로 임하고 있

음.

○ 러시아 동시베리아・극동지역에 정유공장 거 을 두고 있는 로스네

츠는 국 석유제품 시장을 겨냥해서 규모 투자사업을 계획・추진

하고 있음.

- 자사 소유의 콤소몰스크 정유소의 화 고도화 사업

- 유코스 산하 아친스크 정유소와 앙가르스크 정유소 매입

- 국 CNPC와 합작하여 러- 국경에 정유공장 건설과 국 석유제

품 매시장에 공동 진출

Page 173: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36

- 극동지역 태평양 연안 코즈미노(Kozmino) 원유수출터미 부근에

신규 정유공장 건설

- 극동지역내 석유제품 수출용 수송인 라 시설 매입 확장 등

○ 재 이러한 러시아 정유기업들의 정유부문 투자사업은 부분 외국

기업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음. 특히, 첨가제, 매제의 90% 이상은

외국에서 수입되고 있는 상황임.

- 러시아 서부지역에 있는 정유소들의 투자사업은 부분 미국계 기업

과 유럽계 기업에 의해서 추진되고 있음.

- 이들 미국・유럽계 기업들은 지리 인 성, 기술 우 , 기업규모

등에 있어서 러시아내 련 기업들보다 월등한 우 를 하고 있음.

- 재 외국기업들은 러시아 정제시설・서비스 시장을 장악하기 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음.

- 융기 들의 러시아 정유기업들에 한 신용제공을 동반한 미국과

유럽 기업들의 러시아 정제시설・서비스 시장 진출은 상당히 성공

이었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향후 1~2년이내 러시아도 WTO에 가입하게 될 것이며 그러면 러시

아 랜트 건설 시장도 단계 으로 완 하게 자유화될 것임.

- 물론 아직까지 외국기업의 석유정제・석유화학 랜트 시장 진입을

강하게 제한하는 러시아 정부의 보호주의 정책은 추진되고 있지 않

지만 러시아 국내 기업들이 러시아 정부에 해 계속 강하게 국내산

업 보호정책 추진을 요구하고 있음.

․ 수입 세율을 높이고, 라이선스 발 자격 요건 강화

○ 이에 재와 같은 러시아 정제시설・서비스 시장 진출 호기를 한

국기업들은 극 으로 활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됨.

- 정제시설 건설과 서비스 기업, 그리고 정제과정에 사용되는 각종 첨

Page 174: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6장 결론 137

가제, 매제 등을 생산하는 한국 기업들은 좀더 극 으로 러시아

시장에 진출하려고 노력해야 할 것임.

- 한국은 2004년 9월 한-러 정상회담에서 LG상사와 타트네 츠 산하

니즈네캄스크 정유사간에 사업비용 30억 달러 규모의 정제시설

석유화학 랜트 공사 MOU를 체결하 고, 한 삼성물산은 하바로

스크 정유소와 사업비용 5~6억 달러규모의 개보수 고도화 사

업 MOU를 체결

- 러시아 석유정제・석유화학 랜트 시장 진출시 러시아 기업들에

한 융지원을 좀 더 확 시켜야 필요가 있음.11)

- 한 정제과정에 필요한 각종 첨가제와 매제에 한 러시아 국내

시장에서의 빠른 수요 증가에 해 한국기업들의 극 인 시장진출

노력이 요구됨. 한국 기업들은 러시아 서부지역 시장보다 동시베리

아・극동지역 시장 진출에 집 해야 할 것임.

- 이미 러시아 서부지역 시장은 유럽과 미국기업에 의해서 장악된 상

태이기 때문에 비록 소규모이지만 로스네 츠의 극 인 투자사업

계획・추진으로 빠른 성장이 상되는 러시아 동부지역 시장 진출에

우선을 두어야 할 것으로 단됨.

- 한국 석유화학 랜트 사업의 경우 동지역과 국에서 활발히 진

행 인데, 동정세가 불안정할 때 러시아 시장이 체시장 에

하나로 될 수 있을 것임.12)

11) 한국 수출입은행은 LG와 니즈네캄스크정유소간의 투자사업에 해 2004년 9월 타타르스탄 정부

와 최 6억 달러의 융지원 약정(MOU)을 체결. 수출입은행은 1단계 투자사업 원유 정제설

비의 조기 건설을 해 코메르츠은행을 비롯한 국제상업은행과 조융자로 5억 5,000만 달러를

제공 계획

12) 재 한국의 정제시설을 포함한 석유화학 랜트는 국의 복건 에틸 랜트 시설 정유공장

증설, 이란의 에틸 벤젠 생산공장, 베트남의 DONG QUIT 정유공장, 쿠웨이트의 미나 아하마디

원유 출하기지 증강 랜트, 말 이시아의 페르로나스 가스분리 랜트, 인도네시아의 블루 스카

이 정유공장 화 로젝트, 바 인의 시트라 정유공장 화 로젝트, 오만의 소하르 정유

랜트 비료 랜트, 멕시코의 미나티르 정유공장 화 로젝트 등에 참여하고 있음. 박 순,

“ 랜트산업의 국내외 여건변화 일본의 시사 ”,「산업경제정보」, 제199호, 산업연구원,

Page 175: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38

제2 동북아역내 상・하류부문 진출 확 를 해 로스

네 츠와 력 강화

1. 국시장을 놓고 동북아지역내 기업들간에 경쟁

○ 일단, 러시아 동시베리아・극동지역의 석유제품 시장은 상당히 소규모

이며, 넓은 지역에 산재해 있어 한국 정유사들이 동 지역의 매시장

에 진출하는 것은 효과 이지 못함.

- 러시아 국내의 유 수 상황은 과잉 공 상태에 있고, 재 추진

되고 있는 투자 사업이 완료되면 지역내 시장은 물론 국 동북부지

역에도 경질 석유제품을 수출할 수 있게 됨.

- 재 시설확충 고도화 투자 사업이 완료되기 까지 러시아 동부

지역 시장에 경질 석유제품을 매할 수 있겠지만 단기 인 사업에

그칠 것임.

- 이에 한국 기업들도 러시아 동부시장보다는 국 동북부 시장 진출

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음.

○ 그러나 국의 동북부 시장은 재 국기업, 메이 (BP, Shell,

ExxonMobil, Total, Caltex 등), 동북아역내 기업(한국, 일본, 러시아)

들의 치열한 각축장으로 되고 있음.

- 메이 들은 1990년 반부터 국기업과 합작형태로 정유공장을

건설하 으며, 이어서 2000년 들어서는 석유제품 소매부문에 진출

했음.

․ ExxonMobil, Shell, BP 등은 국국 기업과 공동으로 재 40 여

개 주유소를 운 에 있음.13)

2004.5.28.

13) 주간한국, “거 석유시장을 선 하라, 국내정유사 국진출 러시” 2006.02.28 참조

Page 176: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6장 결론 139

- 2012년까지 연평균 8%의 경제성장과 연평균 13%의 자동차 수요의

증으로 국의 석유제품 수요는 연평균 5.4%의 성장이 상됨. 특

히 경질 석유제품의 수요증가가 히 나타날 것으로 망14)

․ 경유 5.4%, 가솔린 6.6%, LPG 4.5%, 유 2.3%의 성장세 망

- 국의 WTO가입에 따른 석유제품 시장 개방과 더불어 국 시장을

선 하기 해 메이 들은 국 기업들과 합작회사를 설립하여 규

모 투자사업을 개하고 있음.

․ 2004년 12월 국 소매시장 개방과 더불어 외국기업들은 국내에

서 주유소 30개 이내에 한해 100% 지분율로 설치할 수 있으며, 30

개 이상 설치시 국 국내기업과 합작을 해야 됨. 단, 이 경우에

외국기업의 지분율은 50% 이상을 넘을 수 없게 되어 있음.

․ 2007년부터는 도매시장도 개방되어 외국기업은 리 을 설치해

원유와 석유제품을 자유롭게 매할 수 있음. 그러나 국 당국은

자국기업에게 우선권을 주고 외국기업들에게는 각종 제약을 가하

고 있음.

- 러시아 로스네 츠도 이미 국기업 CNPC와 략 제휴를 맺어

국 석유제품 시장 진출을 한 기반을 마련한 상태임.

○ 국의 석유제품 시장구조 개편이 완료되면 시장진입 기회가 축소될

것으로 상되는바,15) 신속하고 기의 시장진출이 무엇보다 요구됨.

- 재 한국은 2006년 들어 SK와 GS칼텍스가 2~3개의 주유소 확보를

추진하고 있음. 한국 정유사들은 장기 으로 국 석유제품 도・소

매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음.

- 하지만 국 석유제품 시장에 규모로 진출하기 해서는 국기업

과 합작기업을 설립해야 하는데 이것도 여의치 않은 것 같음.

14) Facts(2006. spring), 정 천(2006) 참조

15) 정 천(2006) 참조

Page 177: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40

○ 단기 으로 국 동북부 석유제품 시장을 두고 한국, 일본, 러시아

기업들간의 경쟁이 상됨.

- 로스네 츠는 앞서 살펴 보았듯이 국 진출을 한 기반을 비

에 있으며 향후 5년이내에 모두 끝낼 것으로 상됨.

․ 코즈미노원유수출터미 은 2008년말까지 완공

․ -러국경에 정유공장과 코즈미노 부근에 정유공장 건설도 5년이

내에 완료될 것으로 단됨.

․ 유코스 산하 아친스크, 앙가르스크 등 2개 정유소 매입 추진도 유

코스의 정식 산 차와 함께 곧 이루어질 것으로 상됨.

- 이 게 되면 로스네 츠는 국 국경지역 부근에 단기 으로 약

3,000만 톤의 정제능력(앙가르스크, 아친스크, 콤소몰스크 정제능력)

갖게 되고, 장기 으로 신규로 건설되는 정유공장의 정제능력까지

합하게 되면 최소 5,500만 톤을 소유하게 됨.

- 이후 로스네 츠는 국 동북부 석유제품 시장을 극 으로 공략하

려고 할 것이며, 이를 해 국에 한 원유수출을 이고 이를

석유제품 수출로 체하려고 할 수도 있을 것임.

․ 러시아 동부지역내 원유 부존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지에서

생산된 원유를 자사 소유의 정유공장에서 정제하여 석유제품 형태

로 동북아지역에 수출하면 더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음.

- 우리나라는 재 잉여 생산능력을 갖고 있으며, 그리고 정유사들의

규모 고도화 사업 추진으로 잉여능력은 향후에 계속 증 될 것으

로 상됨. 이에 국내 잉여물량은 국을 심으로한 해외시장에

매되어야 할 것임.

2. 로스네 츠와 력 증

○ 한국기업 단독으로 국 시장에 진출하게 되면 국 국 기업과 합

Page 178: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제6장 결론 141

작하여 규모로 진출하고 있는 메이 석유기업들과 비교해서 상당

히 소규모일 수밖에 없을 것임. 장기 으로 국 석유제품 시장진

출을 크게 확 시키기 해서는 국 국 기업과의 합작이 요구될

것임.

○ 따라서 한국기업들은 동북아지역에서 요한 새로운 력 트 로

부상하고 있는 로스네 츠와의 력에 좀 더 극 으로 임해야 할

것으로 단됨. 이를 통해 한국기업들은 국 동북부지역과 러시아

동부지역을 포함하는 동북아지역 체를 상으로 하는 종합 인

상・하류부문 진출 략을 수립・추진해야 할 것임.

- 이미 로스네 츠는 국 시장 진출에 있어서 CNPC와 략 제

휴를 맺어 국 석유제품 도・소매시장 진출을 한 교두보를 확보한

상태인 바, 한국기업들은 로스네 츠와 력 계를 이용해서 CNPC

와도 력을 증 시킬 수 있을 것임.

- 로스네 츠와 력을 강화하게 되면 한국기업들은 국 하류부문 진

출과 러시아 상류부문 진출을 동시에 확 시킬 수 있으며, 러시아로

부터의 석유・가스 도입도 안정 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임.

․ 로스네 츠는 코즈미노(Kozmino)원유수출 터미 건설과 동 지역

인근에 정제공장 건설 사업에 한국기업의 투자참여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음.

- 멀지 않은 장래에 로스네 츠는 세계 인 메이 기업으로 성장하

게 될 것이 확실시됨. 그 때가 되면 한국기업들은 로스네 츠와

등한 치에서 력 계를 맺기 어려울 것임.

- 이에 아직 상・하류부문에서 외국기업과의 력을 필요로 하는 때를

이용해서 로스네 츠와 석유 상・하류부문에 포 인 략 력을

추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됨.

Page 179: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142

참고문헌

김창규, “동북아 석유물류 허 화, 왜 지 인가”, KNOC

박 순, “ 랜트산업의 국내외 여건변화 일본의 시사 ”,「산업경제정

보」, 제199호, 산업연구원, 2004.5.28.

성원용,『러시아교통물류정보조사』, 한국교통연구원, 2005

에 지경제연구원 동북아에 지연구센터, 「동북아에 지시장」, 각호

양의석, 『러시아 동북아지역 석유 수출시장 확장과 역내 국가의 동시베리아

석유자원 도입・활용 략』, 에 지경제연구원 동북아에 지 력연구,

2006.4

이달석, 『 국의 석유시장 개방이 동북아석유제품 교역에 미치는 향』,

에 지경제연구원 동북아에 지 력연구, 2006.4

정 천, “SK의 국 석유사업 진출 략”, 「2006 동북아에 지 력 문가

컨퍼런스 발표집」, 2006.12.27.

한국석유공사 홈페이지 (http://www.knoc.co.kr/)

한국수출입은행,『러시아의 석유가스 개발 황과 망』, 2004.

황상철, “동북아 석유시장 변화에 따른 Oil Hub 구축의 필요성”, 「2006 동

북아에 지 력 문가 컨퍼런스 발표집」, 2006.12.27.

BP, Static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06, 2006.

EIA, Country Analysis Brief, Russia, 2006

Energy Intelligence Group, The Almanac of Russian and Caspian Petroleum,

2004

FSS, Industry in Russia, 2006

IEA, World Energy Outlook, 2004

IEA, Russia Energy Survey, 2002

InfoLine, Refining Industry in Russia 2004-05, 2006

Page 180: 러시아 석유정제시장 진출전략 연구 - keei.re.kr · 근 지역에 새로운 정유공장 건설, 탈황시설 도입, 기존 정제시설 증 설, 해외 정제시설

참고문헌 143

InfoLine, Refining Industry in Russia Nov. 2006, 2006

Interfax Oil & Gas Weekly, 각 호

PRESENTATION JSCo, RUSSIAN RAILWAYS, (brochure)

Public Relations Department, JSCo, RZD,

Vladimir Kapustin, "Problem of Refining Industry's Development in

Russia", Technolgy TEK, 2006.8.

World Oil Trade, 2005

러시아 산업에 지부, 「러시아 에 지 략 2020」, 2003

가즈 롬 네 츠 홈페이지 (www.sibneft.com)

러시아 에 지 략연구소 홈페이지 (www.energystrategy.ru)

로스네 츠 홈페이지 (www.rosneft.ru)

루크오일 홈페이지 (www.lukoil.ru)

수르구트네 츠가스 홈페이지 (www.surguneftegas.ru).

슬라 네 츠 홈페이지 (www.slavneft.ru)

유코스 홈페이지 (www.yukos.ru)

타트네 츠 홈페이지 (www.tatneft.ru)

Sakhalin Energy Investment Company 홈페이지 (www.sakhalinenergy.com)

TNK-BP 홈페이지 (www.tnk-bp.ru)

트란스네 츠 홈페이지 (www.trasneft.ru)

트란스네 츠 로덕트 홈페이지 (www.transnefteproduct.ru)

VNIPIneft 홈페이지 (http://www.vnipineft.r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