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34
한국사회 제 12 2 (2011 ): pp.3-25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 - 1) 김혜영 선보영 · . , , - , . , , . , - , . , . 주제어: 본고는 필자가 수행한 여성의 만혼화와 저출산에 관한 연구 김혜영 외 한국여 ( , 성정책연구원 가운데 일부를 수정 및 재구성한 것이다 , 2010) . 숙명여자대학교 교신저자 ( , [email protected]) 한국여성정책연구원

Upload: others

Post on 19-May-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한국사회 제 집 호 년12 2 (2011 ): pp.3-25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결정요인을 중심으로- -

1)

김혜영 선보영·

요 약

.

, , - ,. ,

,

. ,

- ,.

,

.

주제어:

본고는 필자가 수행한 여성의 만혼화와 저출산에 관한 연구 김혜영 외 한국여( ,성정책연구원 가운데 일부를 수정 및 재구성한 것이다, 2010) .숙명여자대학교 교신저자( , [email protected])한국여성정책연구원

Page 2: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4 한국사회 제 집 호 년12 2 (2011 )

들어가는 말.Ⅰ

새로운 세기로의 진입과 함께 우리에게 다가온 최저출산과 고령화의 쇼크

는 아직도 그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우리사회의 주요한 위험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더욱이 현재와 같은 최저출산 현상은 결혼과 가족 자녀가치 등 가족의. ,

식의 변화로부터 정보기술의 발달 및 세계 시장주의에 따른 노동환경의 변화

에 이르는 복합적인 사회변동의 결과라는 점에서 해법마련 또한 쉽지 않다.

최근 저출산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사회현상 가운데 하나가 바로 만혼의 경향

이다 주지하듯 평균혼인연령이 지속적으로 늦어지고 있으며 이같은 결혼의. , ,

지체와 회피가 결과적으로 최근 출산율 약화의 주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실제로 년대를 기점으로 청년세대에게 있어 결혼 및 출산이 갖는 의미와90

우선성이 약화되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혼인연령의 증가 혼인율 감소와 비혼,

인구의 증가 양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일찍 결혼한 여성. ,

에 비해 늦게 결혼한 여성의 첫 출산간격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년간의 합계출산율과 평균 초혼 연령의 추이는 정확한 부의 상10

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통계청 또한 년도 인구센서스 결과분석( , 2009). 2005

에 따르면 평균 결혼연령을 초과하는 대 이상 세 이하 남녀집단의 미혼, 30 49

비율은 지난 년간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

지속적인 혼인연령의 상승과 결혼에 대한 기피는 결혼 및 가족생활에 대한

개인들의 인식과 평가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현재 우리사회의 가

족형태 및 생활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필요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다면 최근 빠르게 확산되는 젊은 세대의 만혼 및 비혼 사,

유 그리고 이들의 결혼 및 가족의식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향후 저출산 정책,

에 중요한 함의를 갖는 것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점에서 저출산 정책은 비단.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출산율 조절이나 출산장려 차원의 인구정책에 머

무는 것이 아니라 오늘을 사는 청년세대의 섹슈얼리티와 결혼 및 출산의 의

미 나아가 이들을 둘러싼 노동환경의 변화 모두를 포괄하는 것이어야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위 결혼적령기를 넘어선 미혼여성 즉 평균 결혼연령,

Page 3: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5

이상의 미혼여성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결혼 및 가족관과 더불어 결혼을 미루

거나 회피하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 향후 이들의 결혼 의향과,

함께 구체적인 계획 등을 통해 이들의 결혼진입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특.

히 이들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무엇인가를 살

펴보고 미혼여성들의 결혼지원과 관련된 유관정책의 선호도 및 욕구분석을,

통해 향후 효과적인 가족정책 및 저출산 정책의 방향과 내용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론적 논의.Ⅱ

만혼화의 개념과 추이1.

한국사회의 평균초혼연령은 지난 년마다 세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10 2

고 있으며 향후에도 평균결혼연령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

다 세간에서는 결혼연령이 늦어지는 사회현상을 만혼화로 지칭하고 있는데. ,

이는 곧 초혼 연령이 높아지는 사회적 경향성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

나 만혼화는 결혼규정에 관한 사회적 규범과 긴밀히 연동되어 있다는 점에서

대단히 사회적이고 상대적인 의미를 갖는 개념이 아닐 수 없다 즉 대다수의.

사회에서는 주요한 생애사건 이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인식되는 규(life events)

범적 시간표가 연령기대 나 연령규범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age expectation)

다 따라서 결혼을 둘러싼 사회적 규범과 기대 역시 사회적 구성물의 성격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한 시기와 사회 환경에 강한 구속을 받으면서 개

인들의 행위와 선택에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한경혜( , 1990).

이런 의미에서 결혼하기에 적절한 나이를 지칭하는 적령기나 자녀출산시,

기 은퇴시기 등은 사회구성들의 암묵적인 동의나 합의를 통해 형성된 기대연,

령으로의 성격이 부과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는 곧 개인행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행위규범의 준거 틀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 우리의 삶에서.

Page 4: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6 한국사회 제 집 호 년12 2 (2011 )

조우하는 주요한 생애사건과 연관된 소위 적절한 연령 에 대한 기대는 단순‘ ’

히 물리적이며 일차적인 시간 개념이기 보다는 오히려 특정한 의미가 부여되

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Modell, 1980).

그러나 후기 산업사회에 들어서면서 점차 기대연령운 그 효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 과거에 비해 사람들의 행위양식.

이 사회적 규범에 따른 보편적 행위유형에 동조하기 보다는 개인의 내적 욕구

와 취향에 따른 개인화된 행위유형이 보편적인 문화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

다 특히 정보통신매체의 발달과 글로벌 문화의 급속한 확장으로 과거에 비해.

더욱 다양한 부분문화가 빠르게 보급되면서 표준화된 사회적 규범의 구속력

은 더욱 약화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결혼적령기를 둘러싼 연령기대는.

더욱 그러하다 결혼이 갖는 사회적 의미가 크게 변화함은 물론 결혼 및 가족.

을 바라보는 성별 연령별 계층별 격차 또한 적지 않게 나타나면서 결혼의 동, ,

기와 의미 역시 개별화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과학 및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간행위나 선택동기에 있어 생물

학적 구속력 역시 약화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건강한 신체나이.

를 고려한 결혼과 이를 통한 자녀출산이라는 신체적 생물학적 구속 요인이,

과거에 비해 그 영향력이 감소되고 있는 것이다 그 결과 현대사회에서는 적. ,

령기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부재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준이 갖는 사회적,

함의나 구속력 또한 과거에 비해 약화되고 있다 더욱이 결혼의 방식과 유형.

이 크게 변화하고 있음을 고려한다면 향후 결혼연령규범은 더욱 약화될 수밖,

에 없다.

실제로 한국사회의 경우 더 이상 청년기의 주된 과업은 결혼이 아니다 소.

위 생물학적인 최적의 출산연령대로 평가되는 대들의 최대 관심사는 성공20

적인 노동시장 진입을 위한 스펙쌓기와 취업에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여기.

에 더해 꾸준한 증가세인 이혼과 재혼에 힘입어 결혼연령대는 매유 다양해지

고 있다 따라서 과거와 동일한 의미의 결혼적령기 개념은 그 구속력을 상실.

할 수밖에 없으며 결과적으로 이러한 사회문화적 환경에서 만혼의 기준은 명,

확하지 않을 수 있다.

Page 5: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7

이러한 점에서 만혼화는 지극히 상대적인 개념이 아닐 수 없으며 만혼의,

경향을 확인하는 가장 단순한 방법은 바로 평균혼인연령의 변화추이를 살펴

보는 것이다 즉 한국인들의 평균적인 혼인연령의 변화를 통해 평균혼인연령.

이 갖는 물리적인 시간변화를 가늠해 보는 것이다 아래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지난 여 년 간의 초혼연령 추이를 살펴보면 년 평균초혼연령, 20 , 1987

은 여성 세 남성 세에서 년에는 여성 세 남성 세로 약24.5 , 27.3 2009 28.7 , 31.6

여 년 동안 세 이상 증가해 왔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년 전 혹은 년20 4 . 20 10

전과 비교해 볼 때 한국사회의 혼인연령은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이른바 만혼

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한국 평균초혼연령의 변화< 1>단위 세( : )

자료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통계연보: , 2010,

만혼의 경향을 확인하는 또 다른 방법의 하나는 바로 동시대에 다른 나라

의 평균혼인연령과 비교해 보는 일이다 초혼연령의 시 공간적인 비교는 만.

혼화의 추이를 확인하는 중요한 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우리나라.

의 평균 초혼연령을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본 결과는 아래의 그림 와 같< 2>

다1)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은 평균혼인연령이 매우 높은 국가로 분류. ,

Page 6: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8 한국사회 제 집 호 년12 2 (2011 )

될 수 있는데 즉 한국남성은 평균결혼연령이 세를 초과하는 스웨덴 아이, 32 ,

슬란드 덴마크의 뒤를 잇고 있으며 한국여성 역시 스웨덴 아이슬란드 덴마, , , ,

크에 이어 네덜란드와 유사한 수준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국내외 평균초혼연령< 2>단위 세( : )

주 평균 초혼연령의 내림차순으로 국가를 배열함1) .주 아이슬란드는 년 이탈리아와 는 년 오스트리아 핀란드 프랑스 그리스 스페2) 1999 , UK 2000 , , , , ,

인은 년 우리나라는 년 멕시코 데이터는 초혼뿐만 아니라 모든 혼인임2002 , 2009 , .자료: Eurostat, 2010; Mexico: Consejo nacional de Poblacio

그러나 스웨덴이나 덴마크 등의 사회에서는 혼전동거가 보편화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제도적 혼인과의 차별 역시 극히 적은 사회라는 점에서 우리의

초혼연령이 갖는 의미와는 사뭇 다를 수 있다 요컨대 유럽의 경우 평균혼인. ,

연령은 제도적인 혼인관계로 등록하는 연령의 의미가 강할 뿐 실제적인 결혼

관계에 진입하는 연령은 우리보다 훨씬 낮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한.

국의 경우에는 동거혼이 일반화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초혼연령은 곧 결혼

1) 현재 다른 나라의 자료들은 에서 발표된 데이터를 가용하였다는 점에서 일OECD부 국가의 경우에는 시간차에 의한 변화가 있을 수 있다.

Page 7: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9

관계나 합법적이고 정규성이 보장된 성적관계로 진입하는 첫 연령임을 의미

한다 이런 점에서 우리나라의 만혼화 경향은 단순한 혼인연령의 이동만이 아.

니라 청년세대의 섹슈얼리티 지연과 포기로 해석될 수 있고 이것의 원인과,

결과는 상당히 중층적일 수 있다.

선행연구 검토2.

만혼화 현상을 본격적으로 연구한 경우는 흔치 않으나 일찍이, Becker

는 결혼의 경제학 이론을 적용하여 초혼연령이 늦어지는 것은(1973, 1977) ‘ ’ “

결혼으로 인한 효용이 감소하고 비용은 증가하기 때문 으로 해석한 바 있다” .

즉 기대소득이 증가하면 남성의 경우 결혼으로 인한 이득이 커지지만 여성들,

의 경우에는 결혼할 경우 포기해야 할 소득이 커지게 되므로 결혼을 미루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베커의 명제를 한국사회에 적용한(Becker, 1973:197).

다면 한국사회의 만혼화 역시 결혼으로 인한 효용가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

고 결혼비용은 상승한 결과로 볼 수 있다 특히 남성에 비해 여성들의 만혼화.

경향과 독신 인구층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결혼의 효용가치가 갖

는 성별적 함의 또한 고려해 볼 수 있다.

세계 개국의 초혼연령에 대한 집계자료를 분석한156 Saardchom &

에 따르면 초혼연령의 상승 남녀의 초혼연령차이 감소 추세는Lemaire(2005) ,

세계적인 현상이다 특히 인당 가 증가하고 여성의 교육수준이 높아질. 1 GDP

수록 평균 초혼연령이 늦어지고 남녀 간 초혼연령의 차이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초혼연령의 지속적인 상승요인은 국가마다 다를 뿐만 아니라 초,

혼연령의 상승이 반드시 출산율 감소로 이어지는 것은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더욱이 결혼이나 자녀출산의 문제가 비단 이처럼 분명한 경제적 효용논리에

의해서만 좌우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문제의 복잡성이 있다 이삼식( ,

모든 개인의 행동이 합리적인 선택을 추구하는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2006).

가치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선택의 과정에는 이미 특정 사회 문화와 가치적인

특성이 포함되어 있으며 나아가 이같은 문화와 가치에는 물질적인 조건이나,

Page 8: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10 한국사회 제 집 호 년12 2 (2011 )

기회구조와는 별개의 논리를 구성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정치한 논의를 요하

는 것이다.

한국사회에서 산업화에 따른 결혼연령의 변화를 가장 먼저 논의한 한경혜

는 초혼연령과 출산연령의 증가를 친족망의 약화 부모 자녀의 상호의(1990) , -

존성 강화 혼인비용의 증대에 기인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제까지의, .

기존 연구들은 대체로 산업사회에서의 혼인연령 상승을 자녀 결혼에 대한 부

모통제력의 약화로 설명해 왔지만 그는 거시 환경변화에 따른 일종의 가족전,

략으로 봄으로써 결혼을 둘러싼 사회구조적 맥락과 가족내 동학을 동시에 고

려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논의는 실증 분석에 의한 귀납적 이론화이기 보.

다는 현재의 혼인연령 상승을 새롭게 해석하는 탐색적 이론화라는 점에서 이

후 다양한 경험적 논의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최새은 옥선화 는 초혼연령이 늦어지는 집단의 특성과 결(2003)

혼지체의 요인을 경험적으로 분석한 바 있다 이들 연구에 따르면 남녀 모두. ,

소득 및 교육수준이 높고 취업연수가 길수록 초혼연령이 늦어지고 있는 것으,

로 밝혀졌다 또한 이들은 여성의 초혼연령과 결혼가치의 관련성을 밝히고 있.

는데 이들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결혼관과 결혼규범과 같은 결혼가치변수는,

여성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나타난다 또한 가족관련 변수를 살펴보면 부모가. ,

사망한 경우 남자의 초혼연령이 늦어짐에 비해 여성의 경우에는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초혼연령이 빨라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이들 연구.

에 의하면 결혼연령에는 개인들의 인구학적 변수 특히 소득과 같은 개인의, ,

사회경제적 특성이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영향요인들은 다,

시 응답자들의 성별 소득 계층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 .

이러한 논의 외에도 가치관이 결혼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한 연구로는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가치관과 결혼행태의 관련성을‘ ’

살펴본 이삼식 의 연구가 있다 그는 자료 분석을 통해 결혼과 성분업적(2006) .

역할에 대해 부정적인 경우 결혼시기를 늦추는 경향이 있으며 이같은 인구사,

회학적 상황 외에도 자녀의 가치 혼전 동거 이혼 자녀 필요성 성분업적 역, , , ,

할 등 가족관련 가치관과 의식은 출생아동수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Page 9: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11

있음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편 박경숙 외 의 연구에서는 최근 남녀 결혼시기의 연장을 한국사, (2005)

회에 있어 결혼이 갖는 계층적 특성과 성역할분리규범 및 경제조정의 우발적

결합의 결과로 봄으로써 결혼의 지연에는 가치관과 경제 및 시장상황요인 등

이 다층적으로 연계되어 있다고 본다 이들 연구에 의하면 남녀 결혼시기에. ,

대한 교육과 취업상태를 상호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 년 이전 결혼 코, 1990

호트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초혼시기가 늦어지지만 년 이후 결혼코호트1990

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초혼시기가 빨라지고 있었다 이는 결국 남성에게 있.

어 교육수준은 좋은 직장을 보장해주는 요인으로 작용함과 아울러 중요한 결

혼의 자원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년 경제위기 이후에도 동일하게, 1998

나타나고 있어 결과적으로는 년 이후 교육수준과 취업 상황에 따라 남성1990

의 결혼기회가 크게 계층화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비해 여성의 경우에는 년 이전 결혼 코호트는 교육수준이 높을, 1990

수록 초혼시기가 늦어지지만 년 년에 결혼한 여성들은 교육수준, 1990 1997

이 높을수록 초혼시기가 빨라지고 있어 남성과 마찬가지로 교육이 주요한 자

원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년 이후에는 여성들의 교육효과가 약화. 1998

되고 있음이 발견되는데 이는 결혼을 통한 대리 지위의 확보 즉 여성에게 있, ,

어 고학력은 유능한 남성을 배우자로 선택할 수 있는 자원으로의 기능이 약화

되는 상황에서 고학력 여성들이 결혼을 유보한 결과라고 해석한다 또한 비취.

업자에 비해 취업자의 초혼시기가 더 늦어지고 있으며 전문직 여성의 결혼시,

기가 매우 유의미하게 늦춰지고 있었다 이는 곧 년대 후반 이후 심화되는. 90

만혼화 현상은 지위획득의 메커니즘으로서 결혼이 고도로 계층화되는 동시에

경제조정에 따라 성역할 분리규범이 강한 구조에 제약이 가해져 우발적으로

나타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즉 미래의 배우자가 될 수 있는 미혼 남성들의 시장력이 약화되면서 여성,

들이 결혼을 통해 대리적 지위를 획득할 수 있는 기회가 크게 제약되고 그,

결과 여성들 스스로 경제활동 참여의 동기가 증가하여 결혼에 대한 규범적 태

도가 약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변화는 고학력 전문직 여성 등 노. ,

Page 10: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12 한국사회 제 집 호 년12 2 (2011 )

동시장에서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여성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나 여전,

히 여성들의 경제활동의 기회가 크게 제약되어 있는 상황에서 여성의 가족중

심적인 정체성이나 결혼규범이 과연 구조적으로 변화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고 보았다 박경숙 외( , 2005).

이와는 다르게 정창무 는 초혼연령에 영향을 주는 사회경제적 변인을(2008)

살펴보고 있다 그는 년부터 년까지 년간 우리나라 개 광역시도. 1990 2006 17 15

의 시계열자료를 토대로 남녀의 초혼연령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추출한 바

있다 즉 남자의 초혼연령은 전년도 남편의 초혼연령 여자의 경제활동참가율. , ,

년 전 주거용 건축허가면적과 음 의 관계 처의 초혼연령 소비자물가지수2 (-) , , ,

인당 전년도 일반이혼율과 양 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1 GDP, (+) .

이에 비해 여자의 초혼연령은 전년도 처의 초혼연령과 함께 전년도 연평균 종

합주가지수 전년도 일반 이혼율과 음 의 관계 남편의 초혼연령 남녀성비, (-) , , ,

전년도 금리와 양 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은(+) .

평균혼인연령과 사회구조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보여주는 것에 불과하다는 점

에서 도출된 주요변수들의 이론적 논거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한편 결혼연령규범은 남녀 모두의 결혼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지만, ,

특히 여성에게 있어 연령의 영향력은 다른 어떤 변인보다도 강력함을 보여준

논의가 있다 저출산 논의의 중심이 출산 기피와 출생아수의 감소 등에서 이.

제는 미혼화 만혼화 비혼화 등으로 인한 혼인율 감소로 이동하고 있는데 일, , ,

례로 이수진 은 최근 혼인율 감소의 원인은 취업의 어려움과 불안정성(2005)

에 기인한다는 점에서 차 차 노동패널 자료 분석을 통해 취업여부는 남성1 6

의 결혼선택에만 커다란 영향을 미칠 뿐 여성의 결혼선택에는 유의한 영향력

이 없음을 밝히고 있다 이는 곧 남성에 비해 여성들은 여전히 연령규범의식.

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령규범의 효과는 은기수 의 연구에 의해서도 확인 가능(1995)

하다 비교적 오래된 자료인 년 전국인구이동조사 자료 가운데 개인사자. 1983

료를 분석한 결과 결혼적령기까지 남자와 여자 모두 연령규범과 순서규범을,

지키면서 결혼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자의 경우 결혼하기.

Page 11: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13

전까지 안정된 직장을 확보해야 하는 순서규범이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만 여,

성의 경우에는 결혼직전 경제활동상태와 관계없이 연령규범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성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연령규범과 순서규범.

에 따른 결혼결정 과정에 대한 이같은 논의가 기본적으로 가족안팎의 변화가

본격화되기 전의 자료분석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부분 유용성이 떨

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보면 여성의 결혼시기 결정은 여성이 경험한 생애과,

정은 물론 특정한 사회가 여성에게 부과하는 성 연령규범 및 가족가치관으

로 부터 개인의 교육수준 및 취업경력 나아가 특정 시기의 사회경제적 상황,

등 대단히 복잡한 매트릭스에 의해 결정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

한 다양한 변수들의 영향력은 자료의 특성은 물론 여성들의 출생 및 결혼코호

트 등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일반화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은 것

도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들의 결혼의향을 결정짓는 요인들로.

서 이들의 인구학적 특성은 물론 가족관련 가치관과 일종의 결혼기회를 구조,

화하는 요인으로서 일가정양립의 기대와 미혼자에 대한 인식 직업 만족도, ,

나아가 결혼지원정책 등과 같은 사회구조적 특성을 모두 살펴볼 것이다 그리.

고 결혼이행요인으로서 다차원적인 변인들의 영향력들을 상호 비교하고 이를,

통해 여성들의 결혼의향을 결정하는 주요한 변인의 규명과 나아가 이러한 논

의를 근거로 하여 여성의 결혼이행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수단이 무엇인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및 조사대상자 특성.Ⅲ

미혼여성들이 평균혼인연령을 넘기도록 결혼하지 않는 이유와 이들의 향후

결혼 및 출산계획 등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년 현재 평균혼인, 2010

연령을 넘긴 미혼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이들의 결.

혼 및 출산의향에 대한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응답을 받아내기 위해 본,

Page 12: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14 한국사회 제 집 호 년12 2 (2011 )

조사는 여성들의 평균혼인연령인 세를 넘기고 출산이 현실적으로 가능한28.7

가임기 연령대의 여성 즉 현재 세 이상 세 이하의 여성들을 연구대상, 29 44

으로 제한하였다.

설문조사는 일대일 면접에 의한 대면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최종분,

석은 미 기혼여성 각 명으로 총 명의 응답결과가 사용되었는데 이750 1,500 ,

는 미혼여성들의 의식 및 가치관과 생활세계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해 이들

과 동일연령대에 있는 기혼여성들을 비교집단으로 조사대상자에 포함하였기

때문이다 기혼여성과 미혼여성을 동일비율로 할당 표집 하였는데 이는 미혼. ,

여성의 비율은 세 이상에서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임의 표집할 경우35

세 이상 미혼여성 표집이 기대한 만큼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기35

때문이다 그 결과 최종분석에는 미혼 여성 명 기혼 여성 명의 응답. 750 , 750

자료가 사용되었다.

조사는 년 월 중순 예비조사를 거쳐 월 초부터 말까지 한 달여 동안2010 7 8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대 광역시도에 거주하는 세 미 기. 7 29 44

혼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물론 이들의 결혼 및 가족가

치관 결혼적령기에 대한 태도 결혼의 조건 일하는 유자녀여성에 대한 사회, , ,

적 차별 자녀에 대한 가치관 등을 공통으로 질문하였으며 미혼자들에게는, ,

향후 결혼 및 출산의향 현재의 직장경험 및 향후 직업전망 등을 추가로 질문,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인 를 이용하여 기술. SPSS

통계 평균비교 상관관계 로지스틱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 , .

조사대상자들의 간략한 인구사회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체 조.

사대상자 가운데 세 는 명 세 는 명‘29 34 ’ 650 (43.3%), ‘35 39 ’ 500 (33.3%),

세 는 명 이며 설문에 응답한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40 44 ’ 350 (23.3) ,

세이다 그 밖에 조사대상자들의 주요 특성인 교육수준을 살펴보면 전35.58 . ,

문대학이나 년제 대학을 졸업한 대상자가 명 으로 가장 많았고4 932 (62.1%) ,

고졸 이하 가 명 대학원 졸 이상 명 순으로 나타났다‘ ’ 515 (34.3%), ‘ ’ 53 (3.5%) .

조사대상자의 직종은 현재 일하고 있는 직업에 대한 질문을 바탕으로 화‘

이트 칼라 블루 칼라 전업주부 기타무직 으로 구분하였다 전문 경영’, ‘ ’, ‘ ’, ‘ / ’ .

Page 13: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15

이나 일반관리 사무직이라고 응답한 경우 화이트 칼라 기술 기능 판매 서‘ ’, ,

비스 기능 서비스의 경우 블루 칼라 농림 어업 단순 노무 학생기타로 응, ‘ ’, , , , /

답한 경우는 기타무직 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화이트 칼라 가 명‘ / ’ . , ‘ ’ 632

으로 가장 많았으며 블루 칼라 는 명 전업주부 는(42.1%) , ‘ ’ 449 (29.9%), ‘ ’ 384

명 기타무직 명 순으로 나타났다(25.6%), ‘ / ’ 35 (2.3%) .

이들의 가구 월평균 소득 은 무응답을 제외하여 개 범주로 재분류하여 살‘ ’ 5

펴보았다 그 결과 만원 미만 이라는 응답이 명 으로 가. , ‘300 400 ’ 393 (26.2%)

장 많았고 만원 미만 은 명 만원 미만 은, ‘400 500 ’ 333 (22.2%), ‘500 600 ’

명 만원 이상 은 명 이며 전체 조사대상자의 가구331 (22.1%), ‘600 ’ 149 (10.0%)

월평균 소득 평균은 약 만원인 것으로 밝혀졌다412 .

미혼여성의 결혼관과 결혼적령기에 대한 인식.Ⅳ

결혼의 의미와 태도1.

만혼은 특정한 기준이 존재할 때에 비로소 그 의미가 명확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결혼적령기 개념이나 대다수의 사람들이 선호하

는 평균 결혼연령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평균결혼연령은 그야말로 대.

다수 사회성원들이 결혼하는 평균적인 나이일 뿐 이것이 사회적으로 바람직‘

한 것 으로 수용되거나 결혼하기에 합당한 시기로 인식하는 연령과 반드시 일’

치하는 것은 아니다.

통상 결혼하기에 적합한 나이는 그 사회의 결혼에 대한 가치와 기능 등에

대한 규범적 판단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특정사회의 결혼 가치와

의미 방식 등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동시대 여성들이, .

결혼 및 가정생활에 부여하는 의미 및 중요도를 살펴보는 일은 매우 중요하

다 미혼여성들의 결혼관 을 살펴보기 위해 결혼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 ‘ ’ , ‘

니다 라는 진술에 대한 동의정도를 살펴본 바 미혼여성들의 절반가량은 이러‘ ,

Page 14: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16 한국사회 제 집 호 년12 2 (2011 )

한 진술에 대해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혼여성들의 결혼인.

식을 동일연령대에 속한 기혼여성들과 비교하면 결혼필요의 불가피성을 부정,

하는 견해는 미혼여성이 높은 반면 결혼의 필요성을 수용하는 태도는 상대적,

으로 기혼자 집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χ2=28.537*** 미혼여성들의 이러한).

결혼관은 소위 결혼할만한 사회적인 평균연령을 넘긴 여성들이라는 점에서

자기 합리화의 일면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다른 한편에서는 결혼필요성에 대,

한 동의도가 낮기 때문에 아직 결혼을 결정하지 않았다는 해석 모두 가능하

다.

그림 미 기혼여성의 결혼태도 결혼을 꼭 해야 할 필요는 없다< 3> :단위( : %)

5 0

2 4

3 6 . 9

1 6 . 5

0

2 0

4 0

6 0

동 의 하 는 편 부 정 하 는 편

미 혼 여 성

기 혼 여 성

그림 결혼의 의미 미혼여성< 4> :단위 점( : )

Page 15: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17

4.28 4.294.06

3.793.52 3.72 3.73

0

1

2

3

4

5

평생의 동반자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하는 것

정서전인 안정 합법적인

성파트너

경제적 부양 완전한 독립 가장 좋은

자녀출산방법

주 점수가 높을수록 동의정도가 높음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다1) (1: , 5: )

그렇다면 이들 미혼여성들이 생각하는 결혼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아래의 표 은 미혼여성들이 결혼에 대해 낭만적인 기대와 중. < 1>

요한 의미를 함께 부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결혼은 평생의 동반자를 만.

나는 것인 동시에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정서적 안

정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결혼이 갖는 도구적.

기능 즉 부모로부터의 독립 합법적인 성생활 경제적 부양 자녀출산 등에 대, , , ,

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어 결혼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

결혼이 갖는 긍정적 의미와 기능은 부정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긍정적인 의미부여는 미혼여성의 연령이나 교육 및 소득수준에 따른 유의한

차이도 나타나지 않는다.

나아가 이들의 평소 결혼을 둘러싼 생각을 질문한 결과 이들은 결혼결정에,

있어 누구보다 자기 자신의 생각 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 ’

났다 또한 결혼보다 일이 더 중요 하고 결혼보다는 지금의 생활이 좋다 고. ‘ ’ , ‘ ’

표 미 기혼 여성의 미혼 여성의 삶에 대한 인식< 1>단위 점( : )

Page 16: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18 한국사회 제 집 호 년12 2 (2011 )

구분

기혼여성보다는생각과행동에

주관이 더뚜렷하고자유롭다

기혼여성보다는직장이나자신의분야에서능력을더 잘

발휘한다

기혼여성보다는취미생활이나

여가생활을 더누린다

기혼여성보다는가족이

없어서 더외롭고쓸쓸하다

기혼여성보다는정서적으로 더

불안하다

기혼여성보다는성적

갈증이 더심하다

기혼여성보다는주변에서차별과

무시를 더당한다

전체평균(N=750) 3.85 3.79 4.12 3.33 2.88 2.86 2.69

혼인지위

기혼

미혼

3.703.85

3.733.85

4.134.12

3.413.24

2.992.78

2.982.75

2.762.63

F 17.326*** 6.789** .110 12.582*** 17.281*** 19.494*** 7.099***

주 점수가 높을수록 동의정도가 높음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다1) (1: , 5: )주2) * p < .05, ** p < .01, *** p < .001

Page 17: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19

생각하는 경향도 나타나는데 이러한 태도는 대 접어든 미혼여성들에게 있, 40

어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더욱이 미혼여성들은 혼자서도 경제적으로. ‘

독립할 수 있다 는 진술에 높은 동의 정도를 보여줌으로써 경제적 독립에 대’

한 자신감을 보여준다.

결혼에 대한 낭만적인 의미부여와 결혼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긍정적인 태

도에도 불구하고 세 세의 미혼여성들은 결혼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생, 29 44 ‘ ’

각에는 크게 동조하지 않고 있음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이같은 미혼자들.

의 태도는 기혼여성들에 비해 미혼여성의 삶을 더 낫게 평가하는 경향으로 이

어지고 있다 예컨대 미혼여성들은 기혼자들에 비해 여가나 취미생활을 확실. ,

하게 향유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각과 행동에 있어서도

주관이 뚜렷하고 행동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직장생활에서도 더 많은 능력

을 발휘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자유로운 생활의 반대급부로 수. ,

반될 수 있는 외롭고 쓸쓸하다 는 진술에 대해서는 약한 동의 미혼자이기 때‘ ’ ,

문에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거나 사회적으로 차별받는다 는 생각 역시 동의의“ ”

정도가 높지 않아 나름 현재 미혼 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

한편 미혼자와 기혼자 삶에 대한 평가는 기혼자들 역시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미혼자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미혼자 스스로의 평가,

가 기혼자의 평가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고 미혼자들에게서 발견되는 부정적,

인 속성에 대해서는 기혼자들의 평가가 미혼자들보다 더 높게 나타난다는 차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기혼여성들 역시 미혼자로서.

향유하는 긍정적인 특성들을 상당히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로써.

여성들은 결혼여부를 떠나 혼인으로 인한 여성 삶의 변화에 대해 부정적이거

나 적어도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혼의 시기와 연령규범2.

만혼에 대한 세간의 관심은 무엇보다 최근의 저출산 문제와 연관되어 있음

에 기인한다 실제로 본 연구에서 주출산 연령대를 년 간격으로 묶어서 각. 5

Page 18: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20 한국사회 제 집 호 년12 2 (2011 )

연령대별 인생의 주된 과업이 무엇인가를 질문한 결과 혼인지위와 무관하게,

대부분의 여성들은 대 초반은 학업의 시기 대 후반은 취업 을 인생의20 ‘ ’, 20 ‘ ’

주된 과업으로 꼽고 있으며 대 초반은 결혼 대 후반과 대 초반은 자, 30 ‘ ’ 30 40 ‘

녀양육 의 시기라고 생각하는 응답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어 전반적으’

로 혼인 및 출산연령은 대로 이동하는 경향이 확인되고 있다30 .

다만 그림 에서 보듯이 이러한 응답자들의 태도는 대 후반 연령대, < 5> , 20

에서 미 기혼여성의 태도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즉 미 기혼 여성모두 대. 20

그림 미 기혼 여성의 연령대별 주요 과업 대 초반 대 초반< 5> : 20 -30단위( : %)

그림 미 기혼 여성의 연령대별 주요 과업 대 후반 대 후반< 5-1> : 30 -40단위( : %)

Page 19: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21

후반의 주요 과업은 취업 이라고 응답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미혼여성에‘ ’ ,

비해 기혼여성들은 결혼 이라고 답한 비중이 적지 않다 그러나 미혼자들은‘ ’ .

약 가 대 후반의 주요 과업은 취업 이라고 응답하고 있어 대의 결69% 20 ‘ ’ , 20

혼은 취업 의 우선성에 의해 밀려나고 있다‘ ’ .

그렇다면 본 조사대상자들은 결혼함에 있어 적령기가 있다고 생각하는지, ,

있다면 적령기의 기준은 무엇이고 언제인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과연 결혼.

에 있어 적령기가 있는가에 대해 질문한 결과 미혼여성의 약 는 여성들, 62% ‘

에게 있어 결혼의 적령기는 없다 고 응답하고 있으며 이러한 태도는 미혼여’ ,

성들의 연령이나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뿐만 아니.

라 미혼여성들은 남성들 역시 특별한 적령기는 없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미혼여성들의 이러한 태도와는 달리 기혼 여성들은 여성에게.

있어 적령기가 있다 는 응답이 없다 는 응답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나며 미혼‘ ’ ‘ ’ ,

남성의 결혼적령기에 대한 질문에서는 없다 는 응답과 적령기는 있다 는 응‘ ’ ‘ ’

답이 반반으로 나타났다 즉 동일한 연령대이지만 이미 결혼한 여성들은 결. ‘

혼에는 적절한 시기가 있다 는 의견이 다소 높게 나타나 연령규범에 대한 수’

용도가 미혼여성에 비해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림 미 기혼 여성의 남녀 결혼 적령기 인식< 6>단위( : %)

Page 20: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22 한국사회 제 집 호 년12 2 (2011 )

한편 미혼여성들 가운데 적령기가 있다 고 답한 사람들에 한해 이들이 생, ‘ ’ ,

각하는 적령기의 기준은 무엇인가를 살펴본 결과 미혼여성들은 사랑에 대한, ‘

확신 임신과 출산에 적합한 신체적 나이 정신적인 성숙’(29.0%), ‘ ’(19.2%), ‘ ’

과 안정된 직장확보 가 각각 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미혼여성들‘ ’ 16.1% .

의 경우에는 결혼의 적정 시기를 곧 자신의 사랑에 대한 확신을 갖을 때 로‘ ’

규정하는 비율이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는 정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안정된,

시기로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미혼여성들은 여성들의 결혼적령기는 사랑에 대한 확신과 좌우되

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요건들이 가능해지는 물리적인 연령은 몇 세인가를,

살펴본 결과 여성들은 세부터 세 남성들은 세부터 세 정도가27.5 32.5 , 29.7 35

적령기라는 응답을 보여주고 있다 즉 미혼여성들이 생각하는 특정한 적령기.

는 없지만 주요한 기준에 의거하여 물리적인 연령으로 표현하자면 대략 여, ,

성은 세 남성은 세로 규정짓고 있는 것이다 이들의 중간 값을28-33 , 30 35 .

보면 여성은 대략 세 남성은 세로 남성의 경우에는 현재 한국사회의, 30 , 32.4

평균혼인연령과 거의 유사하고 여성들은 불과 세 정도의 차이가 있어 평, 1.3

균결혼연령의 시기와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미혼여성의 결혼의향 및 결혼의향 결정요인.Ⅴ

결혼의향 및 결혼 결심 계기1.

미혼여성들의 결혼의향 및 계획을 살펴본 결과 전체 응답자의 가 결, 71.3%

혼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결혼 의향이 있는 경우에는 향후 년 안에, 3

결혼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에 달해 상당수의 미혼여성들이60.4%

근래에 결혼의향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은.

응답자의 연령 및 직종 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연령이, ,

많을수록 결혼 의향이 크게 감소하여 세 이상 미혼여성들의 가 결혼, 40 68.0%

Page 21: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23

의향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직종별로는 블루칼라 계층에서 결혼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 이(33.9%)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무직 기타 여성들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의 결혼,

의향에 해당한다 또한 블루칼라 계층 여성의 경우 결혼의향이 있는 경우에. ,

도 상대적으로 먼 미래에 결혼을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나 결혼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블루칼라 집단을 제외한 나.

머지 직종 집단에서는 상대적으로 결혼에 대한 의향이 높을 뿐만 아니라 향후

년 이내에 결혼을 계획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 또한 상대적으로 높게 나1-2

타났다.

표 향후 결혼의향< 2>단위 명( : , %)

구분 년 이내1 년 이내2 년 이내3 년 후3 의향없음

전체χ2

(df)전체 87(11.6) 197(26.3) 169(22.5) 82(10.9) 215(28.7) 750(100.0)

연령

118.354(8)***

세29 34 50(12.5) 120(30.0) 110(27.5) 58(14.5) 62(15.5) 400(100.0)세35 39 32(12.8) 66(26.4) 49(19.6) 18(7.2) 85(34.0) 250(100.0)세40 44 5(5.0) 11(11.0) 10(10.0) 6(6.0) 68(68.0) 100(100.0)

교육수준

5.807(8)

고졸 이하 14(8.1) 43(24.9) 38(22.0) 24(13.9) 54(31.2) 173(100.0)전문대졸( ) 68(12.6) 146(27.0) 121(22.4) 54(10.0) 152(28.1) 541(100.0)대학원졸 이상 5(13.9) 8(22.2) 10(27.8) 4(11.1) 9(25.0) 36(100.0)

직종

19.043(8)*

화이트 칼라 57(12.1) 138(29.2) 106(22.5) 46(9.7) 125(26.5) 472(100.0)블루 칼라 24(9.7) 55(22.2) 51(20.6) 34(13.7) 84(33.9) 248(100.0)무직기타/ 6(20.0) 4(13.3) 12(40.0) 2(6.7) 6(20.0) 30(100.0)

가구 월평균소득

43.678(16)***

만원 미만300 17(11.5) 18(12.2) 34(23.0) 17(11.5) 62(41.9) 148(100.0)만원 미만300 400 20(15.7) 29(22.8) 21(16.5) 15(11.8) 42(33.1) 127(100.0)만원 미만400 500 16(10.2) 44(28.0) 39(24.8) 21(13.4) 37(23.6) 157(100.0)만원 미만500 600 13(7.7) 62(36.7) 41(24.3) 16(9.5) 37(21.9) 169(100.0)

만원 이상600 21(14.1) 44(29.5) 34(22.8) 13(8.7) 37(24.8) 149(100.0)

주: * p < .05, ** p < .01, *** p < .001

Page 22: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24 한국사회 제 집 호 년12 2 (2011 )

소득수준에 따라서는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은 집단에서 결혼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상대적으로 연령이 낮은 집단과 화이트.

칼라 집단 소득수준이 높은 집단에 속한 미혼여성들이 상대적으로 결혼에 대,

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는 것은 곧 미혼여성들의 결혼에 대한 여성의

태도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지위나 경제적 능력과 같은 개인의 결혼자원이

크게 작용하며 나아가 우리 사회에서 결혼이 점차 계층화 되어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무직의 여성에게서 가장 높은 결혼 의. ,

향이 나타났던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독립적인 사회경제적 지위,

를 획득하지 못한 여성들에게 결혼이 여전히 유효한 선택지로 기대되는 우리

사회의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다음으로 미혼여성들이 결혼을 결심하게 되는 계기를 살펴보면 상대방을, “

사랑하기 때문에 라는 응답이 로 가장 많았고 경제적으로 안정될 수” 48.3% , “

있을 것 같아서 와 혼자 사는 것이 외로울 것 같아서 등이”(19.7%) “ ”(13.6%)

뒤를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이나 교육수준 직종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 ,

성에 따라서도 뚜렷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아 상당수의 여성들이 결혼의 낭만

적 정서적 측면에 대해 큰 기대감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월평균가, . ,

구소득이 만원 미만 집단의 경우 경제적으로 안정될 수 있을 것 같아서300 , “ ”

에 대한 응답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경제적으로 취약한 집단(30.4%)

의 경우 결혼의 도구적 측면이 결혼을 결심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p < .05).

그럼에도 이들이 지금까지 결혼을 늦춘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제시된 상황

에 대한 동의 정도를 통해 살펴본 결과 가장 높은 동의정도를 나타낸 항목,

은 결혼하고 싶은 상대를 만나지 못했기 때문에 였으며 꼭 결혼을“ ”(87.0%) , “

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 나 공부 일 를 계속하다보니 결혼”(73.6%) “ ( )

할 시기를 놓쳐서 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곧 미혼”(57.1%) .

여성들이 느끼는 결혼의 중요성이나 매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보

여준다 결혼을 늦추는 또 다른 이유로는 결혼보다 직장생활의 중요성을 강.

조하거나 교제 실패 경험 등이 있었으며 결혼 및 가족 형성(25.5%), (22.4%) ,

Page 23: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25

에 대한 부담감 또한 상당한 비율 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23.9%) .

조사에서는 가족내 부양 및 경제적 상황 손위 형제들과의 순서관계 등과 같,

은 전통적 요인들은 미혼여성들의 결혼 지연에 중요한 이유로 작용하고 있지

는 않았다.

한편 정부에서 제공할 수 있는 결혼지원정책에 대한 미혼여성의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미혼여성들이 가장 선호했던 결혼지원 정책은 결혼준비를 위한, “

유급 휴가제도 평균 점 였으며 신혼부부 주택마련 지원 평균 점”( 3.59 ) , “ ”( 3.55 )

과 결혼자금 융자 평균 점 직장 가정 양립을 위한 기업 및 가족문화“ ”( 3.49 ), “ -

개선 평균 점 이 이루어질 경우에도 결혼을 고려할 의향이 높은 것으로”( 3.40 )

분석되었다 그러나 미혼여성들이 선호하는 결혼지원정책은 응답자의 인구사.

회학적 특성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를 미혼여성들의 선호도.

가 높았던 개 항목 주택마련지원 유급휴가제도 결혼자금 융자 기업 및 가4 ( , , ,

족문화개선 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연령이 낮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이와) , ,

같은 결혼 지원 정책이 제공될 때 결혼을 고려해 볼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는

정도가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의 몇 가지 정책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는데 먼저 향후,

미혼여성들에 대한 결혼지원정책은 결혼관련 정보제공이나 상담 만남의 장,

제공 결혼준비 교육프로그램 제공과 같은 간접적 지원보다는 결혼에 수반되,

는 경제적 부담들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지원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함의는 직장 가정 양립을 위한 기업 및 가족문화 개선. -

이 이루어질 경우 결혼을 고려해 볼 의향이 높았다는 점과 관련되는 것으로, ,

결혼 및 출산 이후에도 직장생활을 유지하길 원하는 미혼 여성들의 욕구를 적

극 수용하여 직접적인 혜택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 구조의 변환을 위한 정책

적 지원 또한 병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Page 24: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26 한국사회 제 집 호 년12 2 (2011 )

표 결혼지원 정책에 대한 선호도< 3>단위 점( : )

구분

결혼관련정보

제공 및상담

이성간의만남의장 제공

결혼준비교육프로그램제공

신혼부부주택마련지원

결혼준비를 위한유급

휴가제도

결혼자금융자

직장 가정양립을

위한 기업및

가족문화개선

전체평균(N=750) 2.72 2.75 2.91 3.55 3.59 3.49 3.40연령

세29 34 2.74 2.75 3.00 3.71 3.76 3.65 3.55세35 39 2.74 2.74 2.87 3.44 3.44 3.35 3.27세40 44 2.58 2.73 2.69 3.20 3.28 3.17 3.15

F 1.117(2)

0.014(2)

4.048(2)*

13.248(2)***

13.924(2)***

14.076(2)***

11.226(2)***

교육수준

고졸 이하 2.60 2.60 2.68 3.51 3.51 3.44 3.26전문대졸( ) 2.75 2.78 2.98 3.56 3.62 3.50 3.45대학원졸 이상 2.89 2.94 3.06 3.56 3.56 3.53 3.47

F 2.056(2)

2.450(2)

5.970(2)**

0.203(2)

0.799(2)

0.280(2)

2.657(2)

직종

화이트 칼라 2.73 2.76 2.95 3.59 3.64 3.51 3.43블루 칼라 2.69 2.72 2.85 3.51 3.53 3.47 3.41무직기타/ 2.83 2.70 2.90 3.30 3.20 3.17 2.90

F 0.286(2)

0.134(2)

0.823(2)

1.464(2)

3.422(2)*

1.847(2)

4.570(2)*

가구월평균소득

만원 미만300 2.83 2.82 2.86 3.34 3.43 3.25 3.25만원300 400

미만2.70 2.69 2.83 3.34 3.37 3.33 3.20

만원400 500미만

2.75 2.72 2.91 3.72 3.61 3.66 3.47

만원500 600미만

2.61 2.76 2.98 3.62 3.66 3.55 3.50

만원 이상600 2.72 2.73 2.97 3.68 3.83 3.60 3.55

F 0.960(4) 0.314 0.575 5.147

(4)***5.022(4)**

4.990(4)**

4.186(4)**

주 점수가 높을수록 선호도가 높음 전혀 없다 매우 많다1) (1: , 5: )주2) * p < .05, ** p < .01, *** p < .001

Page 25: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27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에 관한 로지스틱 분석2.

앞서 미혼여성의 결혼 및 출산 의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러나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미혼여성 자신의 개인적 특성은 물론 결혼 및

가족생활에 대한 의식이나 태도 결혼에 대해 기대하는 가치 결혼으로 인한, ,

기회구조 등과 같은 다양한 차원에 대한 종합적 검토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

절에서는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차원의 요인들을 살

펴보는 한편 이들 요인이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분,

석하고 있다.

먼저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활용된 주요변수와 그에 따른 표본의 분포를 살

펴보면 표 와 같다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은 없음을 있음을 로 하는 이< 4> . 0, 1

분변수로 구성하였으며 미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연령과 교육수준, ,

직종 월평균 소득을 가치관 요소로는 결혼관과 결혼에 대한 연령규범 양성, , ,

평등의식 자녀가치관을 포함하였다 결혼기회구조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 .

는 변수로는 미혼자에 대한 평가와 일 가정양립에 대한 인식 직장만족도를- ,

포함하고 있다 결혼지원정책의 특성은 결혼지원정책을 간접적 직접적 차원. ,

의 가지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는데 간접적 지원정책에는 결혼정보 제공 및2 ,

상담 이성간의 만남의 장 제공 결혼준비 교육프로그램 제공이 직접적 지원, , ,

정책에는 신혼부부 주택마련 결혼준비를 위한 유급휴가제도 결혼자금 융자, , ,

직장 가정양립을 위한 기업 및 가족문화 개선이 포함되었다- .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들의 효과를 살펴보면 표(<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는 연령 교육수준 직종이 가치관 특성에서는5>), , , ,

결혼연령규범과 자녀관이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즉 연령이 어릴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블루칼라집단에. , , ,

비해 화이트칼라 집단의 결혼의향이 높으며 결혼은 적당한 시기 가 있다고, ‘ ’

생각할수록 자녀의 필요성이나 효용성과 같은 전통적 자녀관을 가진 미혼여,

성일수록 결혼의향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이.

전통적인 가족 및 결혼가치관을 지닌 집단과 현실적으로 결혼을 가능하게 하

Page 26: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28 한국사회 제 집 호 년12 2 (2011 )

표 주요변수와 표본의 분포< 4>

변수 및 범주 사례 수 비율

결혼의향없음(=0) 215 28.7있음(=1) 535 71.3

인구사회학적 특성

연령 평균 세( ) 33.96교육수준 고졸이하 173 23.1

대졸이상 577 76.9직종 화이트칼라 472 65.6

블루칼라 248 34.4월평균소득 평균 만원( ) 204.85

가치관 특성

결혼관낭만적 결혼관 점 점척도 문항 합산4.09 (5 . 4 )도구적 결혼관 점 점척도 문항 합산3.65 (5 , 3 )

결혼연령규범 점 점척도 문항 합산9.45 (5 , 3 )양성평등의식 점 점척도 문항 합산11.43 (5 , 3 )자녀관 점 점척도 문항 합산21.20 (5 , 6 )

결혼기회구조 인식 특성

미혼자에 대한 인식긍정적 시각 점 점척도 문항 합산3.94 (5 , 3 )부정적 시각 점 점척도 문항 합산2.85 (5 , 4 )

일가정양립에 대한 인식- 점 점척도 문항 합산15.15 (5 , 4 )직장만족도 점 점척도 문항 합산23.20 (5 , 7 )

지원정책 특성

지원정책간접적 지원정책 점 점척도 문항 합산8.38 (5 , 3 )직접적 지원정책 점 점척도 문항 합산14.03 (5 , 4 )

는 경제적 요건을 갖춘 집단에서 높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미혼여성의 결혼의,

향에 두 가지 요인 즉 가치관의 요인과 사회경제적인 요소가 함께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혼기회구조 특성과 관련해서는 결혼 후 일 가정 양립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높고 자신의 직장 만족도가 높은 여성일수록 결혼의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어 결혼으로 인해 포기하거나 부담해야 하는 여러 가지 기회비

Page 27: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29

용들이 미혼여성의 결혼이행에 적지 않은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

었다 따라서 향후 미혼여성의 결혼이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결혼을.

통해 여성들이 경험하게 되는 부담과 차별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에 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5>

b b b b Exp(b)인구사회학적 특성

연령 -.222 *** -.222 *** -.230 *** -.224 *** .799교육수준 대졸이상(ref. ) .606 * .627 * .620 * .661 * 1.936직종 블루칼라(ref. ) .593 ** .587 ** .766 ** .727 ** 2.068월평균소득 -.019 -.032 .591 .642 1.900

가치관 특성

낭만적 결혼관 .059 .067 .040 1.041

도구적 결혼관 .048 .087 .050 1.051

결혼연령규범 .125 * .135 * .120 * 1.128

양성평등의식 -.025 .000 .001 1.001

자녀관 .075 * .103 * .104 * 1.110

결혼기회구조 인식 특성

미혼자에 대한 긍정적 시각 -.098 -.087 .917

미혼자에 대한 부정적 시각 -.056 -.067 .935

일가정 양립에 대한부정적태도- -.068 -.108 * .897

직장만족도 -.110 *** -.103 ** .902

정책개입 효과

간접적 지원정책 .088 1.092

직접적 지원정책 .091 * 1.095상수 8.140 4.293 5.071 3.982카이제곱 111.501 132.531 153.879 172.789자유도 4 9 13 15사례수 750 750 750 750

주: * p < .05, ** p < .01, *** p < .001

Page 28: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30 한국사회 제 집 호 년12 2 (2011 )

결혼지원정책의 특성에 따라서는 결혼정보 제공이나 상담 이성간의 만남,

의 장 제공 결혼준비 교육 프로그램과 같은 간접적 지원 정책보다는 신혼부,

부 주택마련 결혼준비를 위한 유급휴가제도 결혼자금 융자 직장 가정양립을, , , -

위한 기업 및 가족문화 개선과 같은 실질적인 지원들이 미혼여성의 결혼의향

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미혼여성들이 결혼을 이행할 때 발.

생하는 현실적인 여건들과 관련된 어려움을 더 크게 경험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여건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으로 관련 지원정책이 설계될 필요가 있음

을 의미한다.

맺음말.Ⅵ

이 연구의 주요목적은 최근 최저출산의 주요인으로 지목되어온 만혼화에

주목하여 미혼여성들의 결혼연령규범 결혼 및 가족가치관 직업세계와 향후, ,

전망 일 가족양립에 대한 기대에 이르기까지의 생활세계는 물론 평균혼인연, -

령을 넘기도록 이들이 결혼하지 않은 주된 이유와 이들의 현재 결혼의향에 영

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과반수이상의 미혼여. ,

성들이 결혼에 있어 적령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여 결혼에 대한 연령

규범이 크게 변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이들이 결혼이나 출산.

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여주지는 않는데 특히 상대적으로 연령이 젊은 대, 30

초반의 여성집단과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그렇지 않은 집

단에 비해 결혼의향과 출산의향이 모두 높게 나타나고 있음은 특기할 만한다.

이처럼 높은 수준의 결혼 및 출산의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들이 결혼을,

하지 않는 것은 일면 특정 시기에만 결혼이나 자녀출산을 할 수 있다는 연령

규범의 약화로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결혼을 둘러싼 사회경제적 요건에 대한 이들의

경험과 판단이 이들의 결혼 및 가족가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간과

할 수 없다 즉 본 연구에서는 적지 않은 미혼여성들이 자녀 출산과 양육의.

Page 29: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31

부담은 물론 기혼자들에 대한 직장내 차별 나아가 향후 이들의 직장 가정생, , -

활양립에 대한 부담감 등에 강하게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결혼.

이나 출산을 통해 여성이 포기하게 되거나 떠안게 되는 부담이 미혼여성의 결

혼의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에 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

의해서도 뒷받침되고 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에. ,

는 결혼 및 가족가치 및 여성개인의 결혼자원이나 일 가정양립에 대한 인식- ,

직장만족도와 같은 결혼비용구조에 대한 인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는 결혼으로 인해 여성이 포기하거나 부담해야 하는 여러 가지 기.

회비용이 미혼여성의 결혼이행이 진입장벽이 되고 있다 따라서 미혼여성들은.

결혼과 출산 그 자체를 회피하는 것이기 보다는 주저하고 망설이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여성들의 결혼 및 가족의식의 변화와 함께 사회구조적 환경,

이 여성들의 결혼생활에 결코 우호적이지 않은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더욱이 한국사회에서 여성에게 전적으로 부과되고 있는 가사나 자녀 돌봄

의 책임 기혼여성에 대한 차별적인 기업문화 등은 상대적으로 안정된 직업지,

위를 지닌 미혼여성들에게 일과 결혼생활의 병행보다는 이 둘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도록 강요하는 측면 또한 없지 않다 실제로 미 기혼여성들은 모두 유.

자녀 기혼여성에 대한 직장생활에서의 차별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회활동이나 직업성취에 있어서도 미혼여성이 기혼보다 훨씬 유리하다는 평

가를 내리고 있는데 결과적으로 이러한 사회환경은 곧 상당수의 여성들로 하,

여금 결혼을 회피하거나 지연시키는 구조적 요인이 아닐 수 없다.

년 월 일 접수2011년 월 일 게재 확정2011

Page 30: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32 한국사회 제 집 호 년12 2 (2011 )

참고문헌

김정석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비교분석 한국인구학. 2006. “ .” 29(1): 57-70.

김종해 저출산 고령화 대책 월간복지동향. 2007. “ .” 100: 37-39.

김태헌 가치관 변화와 저출산 보건복지포럼. 2005. “ .” 102: 16-24.

김한곤 여성의 지위와 출산력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인구학. 1994. “ .” 12:

21-43.

김홍배 최준석 오동훈 여성의 출산율 결정요인과 출산장려정책의. 2008. “

방향 지역연구.” 24(1): 23-37.

도미향 저출산시대 가족복지정책의 현황과 과제 부모의 자녀양육기. 2006. “ -

능 강화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 11(1): 93-112.

류기철 박영화 한국여성의 출산율 변화와 출산간격 영향요인 한. 2009. “ .”

국인구학 32(1): 1-23.

민희철 임금 및 소득이 출산 간격에 미치는 효과의 분석 재정학. 2008. “ .”

연구 56: 41-61.

박경숙 김영혜 김현숙 남녀 결혼시기 연장의 주요 원인 계층혼. 2005. “ : ,

성역할분리규범 경제조정의 우발적 결합 한국인구학, .” 28(2): 33-62.

박경애 최근의 출산력과 정책적 함의 한국인구학회. 2007. “ .” 30(3):

137-156.

손승영 저출산 고령화 사회와 가족관계의 변화 동덕 여성연구. 2005. “ .”

10: 5-25.

한국사회 저출산의 단계별 분석과 젠더논의 한국사회역사______. 2007. “ .”

학회 10(1): 207-243.

송다영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수림을 위한 방향과 원칙에 관한 탐. 2005. “

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7(4): 225-251.

신효영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치관과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2009.

사회적 인식 한서대학교 대학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

은기수 결혼으로 이행에 있어서 연령규범과 순서규범 한국인구학. 1995. “ .”

Page 31: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33

회지 18(1): 89-117.

______. 1999. 생애과정이 결혼시기에 미치는 영향 생애사건연쇄분석“ : .”

한국인구학 22(2): 47-71.

결혼연령 및 결혼코호트와 첫 출산간격의 관계 최근의 낮은______. 2001. “ :

출산력 수준에 미치는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5(6): 105-

139.

미혼에서 결혼으로의 이행 최근 우리나라에서 저출산이 갖______. 2005. “ :

는 의미 보건복지포럼.” 102: 25-35.

이삼식 외 미래세대의 결혼 출산 친화적 가치관 정립을 위한 종합. 2006.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삼식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 2006. “ .”

회연구 26(2): 95-140.

이수진 젠더관점에서 본 결혼선택의 규정요인 노동정책연구. 2005. “ .”

한국노동연구원5(1): 131-156. .

이인숙 저출산의 요인분석과 사회복지적 함의 한국사회복지학. 2005. “ .”

57(4): 67-90.

전광희 한국의 저출산 추이와 전망 사회과학연구. 2002. “ : .” 13: 305-323.

유럽 선진국의 인구 가족정책의 전개과정 프랑스와 독일의______. 2005. “ :

경우 사회과학연구.” 16: 211-236.

정성호 산업국가에서의 제 차 인구변천 한국인구학. 2009. “ 2 .” 32(1):

139-164.

정우진 이경애 이선미 우리나라 여성의 만혼 이 첫 출산간격. 2006. “ ( )晩婚

에 미치는 영향 예방의학회지.” 39(3): 213-220.

정창무. 초혼연령에 영향을 주는 사회경제적 변인 국토계획2008. “ .” 43(4):

105-118.

조병구 외 출산지원정책의 타당성 및 지원효과 분석. 2007. . KDI.

최새은 옥선화 대 기혼남녀의 초혼연령 결정요인 연구 한국. 2003. “30 .”

가족관계학회지 8(1): 53-73.

Page 32: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34 한국사회 제 집 호 년12 2 (2011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09. .

저출산 및 인구정책 세미나 자료집______. 2010. .

한경혜 산업화와 결혼 연령 변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사회학. 1990. “ .”

24: 103-120.

Becker, Gray S., Elizabeth Landes & Robert Michael. 1977. “An Economic

Analysis of Marital Instability”,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5(6):

1141-1187.

Becker, Gray S. 1973. “A Theory of Marriage: Part ”, Th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1(4): 813-846.

Modell, John. 1980. “Normative aspects of American marriage timing since

World War ”, Journal of Family History 5(2): 210-234.

OECD. 2010. Eurostat.

Saardchom, Narumon & Jean Lemaire. 2005. “Causes of Increasing Ages at

Marriage An International Regression Study”, Marriage & Family

Review 37(3): 73-97.

Page 33: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35

Women’s late marriage and Marriage Intention

Kim, HyeyoungSookmyung Women’s University

Sun Boyoung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ion

Abstract

This study, giving attention to the late marriages of women(the main causeof low birth rate), aims to explore the living world of unmarried womensalong with the reason behind late marriages while looking at the maindeterminants of marriage decision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notonly what single females think of marriage and their value and attitude offamily, but also the living world around them, future prospects andexpectations of labor environment and one’s occupation, perception onwork-family balance, and the order of priority regarding work, marriage,and childbirth.More than half of single women responded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amarriageable age. But, unmarried women in general are showing positiveinclination and attitude toward marriage and childbirth, The reason they arenot married yet despite such high inclination of marriage and childbirth canbe attributed to their awareness of change in occupational status related tomarriage. In other words, more than few single females are mentioning theburdensome nature of giving birth and nurturing while recognizing thedifficulty of balancing work-family balance, workplace discrimination, andthe pressure of becoming a parent. This explanation is also supported by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clination of marriage. That is, forunmarried females, the sense and attitude toward family and marriage, howthey perceive of marital resources and work-family balance, and theperception of marital opportunity costs are all affecting the inclination on

Page 34: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결정요인을중심으로isrku.org/adm/data/1550285635_Rqby7zOr_EAB980ED989CEC... · 2013-07-18 · 여성의만혼화와결혼의향 5 이상의미혼여성들을대상으로이들의결혼및가족관과더불어결혼을미루

36 한국사회 제 집 호 년12 2 (2011 )

getting married negatively. This result shows how opportunity costs womenhave to either give up or be burdened with are making single females bemore hesitant of getting married.

Key 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