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38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기후대기연구부 기후변화연구과, * 대기공학연구과, **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 , , , * , * , ** , , , , , 2010

Upload: others

Post on 16-Mar-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발 간 등록 번 호 NIER NO. 2010-99-1274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기후대기연구부 기후변화연구과, *대기공학연구과,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김대곤, 진형아, 이수빈, 유영숙, *이대균, *강경희, **임재현, 홍유덕, 이주형, 이경미, 이승준, 이석조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mission estimate

methods for the air pollutants

Daigon Kim, Hyungah Jin, Subin Lee, Youngsook Ryu, Daegyun Lee,

Kyunghee Kang, Jaehyun Lim, Youdeog Hong, Juhyoung Lee,

Kyungmi Lee, Seungjun Lee, Sukjo Lee

Climate Change Research Division

Climate and Air Quality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0

Page 2: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목 차❚

목 차

목차 ································································································································ⅰ

표목차 ····························································································································ⅲ

그림목차 ························································································································ⅳ

Abstract ··························································································································ⅴ

Ⅰ. 서 론 ·······················································································································1

Ⅱ. 연구내용 및 방법 ··································································································2

1. 연구목표 ·················································································································2

2. 연구내용 및 방법 ·································································································2

가. 연구내용 ·············································································································2

(1) 2008년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2

(2) 배출량 변화추이 분석 ····················································································3

(3) CAPSS 배출량 산정 및 검증 절차 표준화 ···············································3

나. 연구방법 ·············································································································5

(1) 연료 연소 ··········································································································5

(2) 생산 공정 ··········································································································5

(3) 에너지 수송 및 저장 ······················································································6

(4) 유기용제 사용 ··································································································6

(5) 도로 이동 오염원 ····························································································6

(6) 비도로 이동 오염원 ························································································7

(7) 폐기물 처리 ······································································································7

(8) 농업 ····················································································································7

(9) 기타 면오염원 ··································································································7

(10) 비산먼지 ··········································································································7

Page 3: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목 차❚

Ⅲ. 연구결과 및 고찰 ··································································································8

1. 2008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8

가. 배출량 산정시 개선내역 ···············································································8

나. 대분류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분석 ·························································11

다. 시도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분석 ·····························································13

2. 배출량 변화추이 ·································································································17

가. 오염물질별 배출량 변화추이 ·······································································18

(1) CO 배출량 추이 분석 ··················································································18

(2) NOx 배출량 추이 분석 ···············································································19

(3) SOx 배출량 추이 분석 ················································································20

(4) PM10 배출량 추이 분석 ···············································································21

(5) VOC 배출량 추이 분석 ···············································································22

(6) NH3 배출량 추이 분석 ················································································23

나. 시도별 배출량 변화추이 ···············································································24

(1) 시도별 CO 배출량 추이 분석 ····································································24

(2) 시도별 NOx 배출량 추이 분석 ·································································25

(3) 시도별 SOx 배출량 추이 분석 ··································································26

(4) 시도별 PM10 배출량 추이 분석 ·································································27

(5) 시도별 VOC 배출량 추이 분석 ·································································28

(6) 시도별 NH3 배출량 추이 분석 ··································································29

Ⅳ. 결 론 ·····················································································································30

참고문헌 ························································································································31

Page 4: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목 차❚

표 목 차

<표 1> 전년도 대비 배출량 산정 개선사항 ···························································8

<표 2> 대분류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11

<표 3> 시도별 배출량 ································································································14

<표 4> 시도별 오염물질 배출량 ··············································································15

<표 5> 2001-2008년 배출원 대분류별 CO 배출량 ··············································18

<표 6> 2001-2008년 배출원 대분류별 NOx 배출량 ············································19

<표 7> 2001-2008년 배출원 대분류별 SOx 배출량 ·············································20

<표 8> 2001-2008년 배출원 대분류별 PM10 배출량 ············································21

<표 9> 2001-2008년 배출원 대분류별 VOC 배출량 ···········································22

<표 10> 2001-2008년 배출원 대분류별 NH3 배출량 ··········································23

Page 5: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목 차❚

그 림 목 차

<그림 1> 유관기관 입수자료 및 등록 절차 방법 ·················································4

<그림 2> 대기배출사업장 자료 검증 및 절차 방법 ·············································4

<그림 3> GIS를 통한 공간분석 ·················································································4

<그림 4> 대분류별 총 배출량 기여율 ····································································12

<그림 5> 대분류별 오염물질별 배출량 기여율 ····················································13

<그림 6> 시도별 배출량 ····························································································14

<그림 7> 시도별 배출량 분포도 ··············································································16

<그림 8> 연도별 오염물질 배출량 추이 ································································17

<그림 9> 연도별 CO 배출량 추이 ··········································································18

<그림 10> 연도별 NOx 배출량 추이 ·····································································19

<그림 11> 연도별 SOx 배출량 추이 ······································································20

<그림 12> 연도별 PM10 배출량 추이 ·····································································21

<그림 13> 연도별 VOC 배출량 추이 ·····································································22

<그림 14> 연도별 NH3 배출량 추이 ······································································23

<그림 15> 시도별 CO 배출량 추이 ········································································24

<그림 16> 시도별 NOx 배출량 추이 ·····································································25

<그림 17> 시도별 SOx 배출량 추이 ······································································26

<그림 18> 시도별 PM10 배출량 추이 ·····································································27

<그림 19> 시도별 VOC 배출량 추이 ·····································································28

<그림 20> 시도별 NH3 배출량 추이 ······································································29

Page 6: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Abstract❚

Abstract

Air pollutants emission is one of the essential data for policymaker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air pollutions, to establish air pollution

mitigation policies, and to analyze the impacts of implementation of

policies. It is also fundamental data for air quality modelers, since air

quality models require accurate and realistic emissions inputs to determine

the air pollutants concentration through chemical reactions.

In order to estimate air pollutants emissions in Korea, we developed a

Korea Emission Inventory System named as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CAPSS). The CAPSS utilizes various national, regional and local

statistical data, collected from around 150 organizations in Korea.

In this report, we present CAPSS and release National air pollutant emissions

for 2008 and trends since 2001 for seven air pollutants including carbon

monoxide(CO), nitrogen oxides (NOx), sulfur oxides (SOx), total suspended

particles (TSP), fine particulate matters (PM10),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and ammonia (NH3).

The total national emissions for seven pollutants for 2008 was estimated

3,461,924 tons, NOx emissions occupied the largest share with 1,045 thousand

tons (30.2%), followed by VOC emission with 858 thousand tons (24.8%),

followed by CO emission with 704 thousand tons (20.3%), followed by SOx

emission with 418 thousand tons (12.1%) and TSP was emitted 172 thousand

tons (5.0%) including PM10 emissions (111 thousand tons).

In terms of emissions from source categories, for CO and NOx emissions,

road transport was the highest contributors with contribution rate of 68.7%

and 41.0%, respectively. In case of SOx emissions, combustion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energy industries were major sources(25.0% and 23.1%, respectively).

Combustion in manufacturing industry (66.3%) and solvent use (63.5%)

were dominant contributors for PM10 and anthropogenic VOC, respectively.

Page 7: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Ⅰ. 서 론❚

1

Ⅰ. 서 론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대기정책지원시스템(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이하 CAPSS)으로 산정하며, 1999년부터 7개의 대기오염물질(CO, NOx, SOx,

TSP, PM10, VOC, NH3)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CAPSS는 배출원 목록(Emission Inventory)에 근거한 대기질관리 종합시스템

으로, 체계적인 기초자료 수집․관리를 통하여 지역별, 오염원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현황을 파악, 대기오염총량관리제, 대기정책 수립 및 정책시행효과 분석

등 정책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이를 필요로 하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은 대기보전법에서 대기환경관리를 위해 관련

법률로 규정하고 있다. 대기환경보전법「제17조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및 배출량

조사」, 시행규칙 「제16조 배출시설별 배출원과 배출량 조사」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그 외 배출량 산정과 관련한 법률은 아래와 같다.

- 환경보전중기종합계획의 수립·시행(환경정책기본법 제14조의 2)

- 수도권 대기환경관리기본계획의 수립·시행(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제8조)

-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의 수립(대기환경보전법 제11조)

- 대기환경규제지역의 지정(대기환경보전법 제18조)

- 대기오염물질 총량규제(대기환경보전법 제22조)

해마다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현재 150여개 유관기관

으로부터 250여종의 자료를 입수하고 있으며 입수기간이 상이함에 따라 2년의

시간 간격을 두고 산정하고 있다. 배출계수, 활동도, 배출원, 산정방법론 등을

해마다 개선해 오고 있으며(<표 1> 전년도 대비 배출량 산정 개선사항 참조)

이를 통해 자료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장기간 배출량

추이를 분석하기 위해 이력관리를 통해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는 방안, 배출량

산정 및 검증 절차를 표준화하는 방안 마련도 필요하다. 국가 배출량 자료가

대기정책수립, 정책시행 효과분석, 대기오염관련 연구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되고 있는 만큼 정확성과 신뢰도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age 8: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Ⅱ. 연구내용 및 방법❚

2

Ⅱ.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목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자료가 국가 통계자료로서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갖기

위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기초자료 수집 및 분석, 배출원 추가, 배출계수 및

활동도 변경 등을 통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론 개선, 배출량 산정 및

검증 절차 표준화 등이 필요하며 배출량 자료의 질적 향상을 통하여 대기 및

기후변화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내실을 기하고자 한다.

매년 배출량 산정 전 전문가 회의를 통해 배출량 산정방법론을 개선 및 확정

(배출원 분류체계 변경, 대상 오염물질 추가, 신규 배출원 추가, 배출계수 변경,

산정 계산식 변경)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고, 과거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배출량 증감 원인을 분석해 보았다. 또한 활동도, 배출업소 및 GIS

자료의 변환, 등록, 검증 작업에 대한 통일성을 기하고자 표준 절차서를 마련

하였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가. 연구내용(1) 2008년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통계청, 기상청 등 국·공립 기관, 정유사,

도시가스 회사 등 에너지 관련 기관, 교통관련 기관, SEMS(Stack Emission

Management System) 대기 1∼3 및 4∼5종 사업장, CleanSYS 자료 등 150여개

유관기관으로부터 250여종의 자료를 입수하게 되며 유관기관 입수자료 변환·

등록 매뉴얼에 따라 CAPSS DB에 등록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배출계수 위원회

(2010.3.12)를 개최, 이동오염원, VOC, NH3, 비산먼지 배출계수를 변경·확정

지었으며 산정방법에 대한 개선사항을 자문회의(2010.11.22)의 검토를 거쳐

배출량 산정방법론을 확정하였다.

Page 9: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Ⅱ. 연구내용 및 방법❚

3

(2) 배출량 변화추이 분석

CAPSS는 1999년부터 배출량이 산정되어 왔으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

마다 산정방식이 달라지고 있어 과거 자료와의 직접적인 비교·분석이 어려운

점이 예상된다. 특히, 2007년과 2008년 배출량 산정시 그 동안 누적된 무연탄

수입량 추가 및 VOC, NH3 배출계수 변경 등으로 인하여 물질별 큰 폭의 배출량

증감이 나타날 것으로 보이며, 이를 감안하여 2001년부터 2008년까지 배출량

추이·분석을 실시하였다.

(3) CAPSS 배출량 산정 및 검증 절차 표준화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유관기관으로부터 각기 다른 형태의 자료가 입수되며

이 자료들은 파일형태, 직접 키인 하거나 혹은 DB서버에 네트워크 연결하여

가져오는 부분들이 있다. 이들은 변환 작업을 통해 서버에 저장된다. 대기배출

사업장 자료는 배출업소 조사시스템으로 제공받은 배출시설 조사자료 부문과

배출시설 자료에 대해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DB를 구성하는

배출업소관리 자료 부문으로 나뉘며 시스템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변환, 등록과

동시에 검증이 필요하다. 입수된 자료를 통해 실제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격자정보 및 행정구역별 오염원 공간 배분 자료 생성 작업이 필요하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입력 자료들의 변환, 등록, 검증 작업에 필요한 절차서를

마련하여 통일성을 기하고 신뢰도를 높였다. 또한 공간분석을 위한 GIS 기본도

및 주제도 작성을 위한 절차서도 마련하였다.

Page 10: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Ⅱ. 연구내용 및 방법❚

4

<그림 1> 유관기관 입수자료 및 등록 절차 방법

<그림 2> 대기배출사업장 자료 검증 및 절차 방법

<그림 3> GIS를 통한 공간분석

Page 1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Ⅱ. 연구내용 및 방법❚

5

)1( ijkjijijk RFuelEFE -´´=

Eijk : 오염물질i, 연료j, 시설k에서의 오염물질 배출량

EFij : 오염물질i, 연료j에 대한 오염물질 배출계수

Fuelj : 연료j의 사용량

Rijk : 오염물질i, 연료j, 시설k에 적용되는 방지시설의 방지효율

× ×

Eijk : 오염물질i, 제품/원료j, 시설k에서의 오염물질 배출량

EFij : 오염물질i, 제품/원료j 에 대한 오염물질 배출계수

Productjk : 시설 k에서 사용하는 제품/원료j의 사용량

Ri : 오염물질i 적용되는 방지효율

나. 연구방법(1) 연료 연소

에너지산업연소, 비산업 연소, 제조업 연소가 연료 연소에 의한 배출량에 해당

하며 이 중 점오염원은 대기 배출원 관리 시스템(Stack Emission Manage-

ment System, 이하 SEMS)을 기반으로 Bottom Up Approach를 이용하여 배출

량을 산정하며, 점오염원에서 소비되는 연료를 제외한 나머지 연료를 면오염원

으로 분류하며 석유공사, 석탄협회, 도시가스회사 등의 통계자료를 기초로 Top

Down Approach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2) 생산 공정

생산 공정에서의 오염물질 배출량은 기본적으로 제품 생산량이나 원료 투입

량을 기반으로 산출한다. 생산 공정 부문의 배출계수는 CORINAIR, 미국 EPA

및 국내조사에서 검증된 배출계수를 적용하며, 모두 방지효율이 고려된 제어

(controlled) 배출계수를 적용하였다.

Page 12: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Ⅱ. 연구내용 및 방법❚

6

정유공장 출하기지 = 정유공장 휘발유출하량 × 배출계수

수송 및 저유소 = 저유소 휘발유출하량 × 배출계수

주유소 = 주유소 휘발유판매량 × 배출계수

(3) 에너지 수송 및 저장

화석연료, 특히 휘발성이 강한 휘발유의 공급으로 인한 VOC 배출량을 산정

하는 부문이다. 정유공장 및 저유소의 출하기지에서 수송수단(탱크트럭 등)에

적재할 때의 배출 및 저장탱크에서의 배출, 주유소에서의 급유 및 저장탱크

에서의 배출이 고려된다. EU CORINAIR 분류체계에서는 원래 고체 화석연료의

채굴 및 저장이 포함되어 있으나 CAPSS에서는 휘발성이 강한 휘발유에 국한

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4) 유기용제 사용

페인트, 잉크, 세탁소 용매 및 가정용품 등 휘발성이 큰 유기용제의 사용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량을 산정하며 산업시설 도장, 건축물·비산업용

도장, 세정, 세탁, 기타 인쇄, 가정, 아스팔트 포장 등으로 나누어 산정한다.

(5) 도로 이동 오염원

도로에서 주행하는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는 부문이다.

차종에 대한 분류는 국내의 자동차 관리법 규칙에 따라 분류(승용차, 승합차,

화물차, 특수자동차, 이륜차)하며 차종에 따라 경형, 소형, 중형, 대형으로 나누어

차종별 엔진가열(hot-start) 배출량, 엔진 미가열(cold-start) 배출량, 증발 배출량

등으로 분류하여 산정한다. 이륜차, 화물차 대형 등 일부는 엔진가열 배출량만

산정한다. 또한 차종별로 이용되는 연료도 구분하여 산정한다.

배출계수의 경우 자동차 차종별 연식별 모든 차종에 대하여 개발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부 차종에 대해서는 다른 유사 차종의 배출계수를 적용한다.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사용하며 CAPSS 차종에

포함되지 않은 차종의 배출계수, 엔진 미가열 배출 및 증발 배출계수는 EU

CORINAIR에서 제공하는 배출계수를 적용한다.

Page 13: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Ⅱ. 연구내용 및 방법❚

7

(6) 비도로 이동 오염원

비도로 이동 오염원에 의한 배출량은 자동차 이외의 내연기관을 장착한 철도,

선박운송, 선박운항 및 항공기, 건설장비, 농기계 배출량으로 분류하여 산정

한다. 배출계수는 국내 자료와 USEPA에서 개발한 계수를 사용하였으며 항공은

USFAA(미국 연방항공청)에서 개발한 계수를 사용하였다.

(7) 폐기물 처리

폐기물 소각, 폐수처리, 매립, 퇴비화 등의 폐기물 처리로 인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는 부문이다. 배출원은 CORINAIR 분류체계에 국내 현실을

반영하였으며 폐기물 처리에 의한 배출량은 생활폐기물과 사업장폐기물(플레

어링 제외)의 소각에 의한 배출량만을 산정한다.

(8) 농업

농업 부문은 가축의 분뇨관리 및 비료사용으로 인한 암모니아 배출량을 산정

한다. CORINAIR 분류체계와 국내 현실을 반영하여 분류체계를 설정하였는데,

CAPSS에서는 비료사용 및 분뇨관리에 대해서만 배출량을 산정한다.

(9) 기타 면오염원

기타 면오염원은 일반적으로 식생에 의한 오염물질 배출, 습지나 토양에서의

오염물질 배출, 산불 및 화재 등이 포함된다. CAPSS에서는 습지 및 수체에 의한

배출량은 평가하지 않았으며, 동물에 의한 배출량은 암모니아에 대해서만 산정

한다. 배출원 분류체계는 소분류까지는 EU CORINAIR 분류체계를 따르지만,

식생 종류에 따른 세분류 체계는 우리나라 현존식생도에서 제공하는 수종에 따라

구분하였다. 동물 부문에서는 인간과 멧돼지에 의한 배출량을 포함하여 산정한다.

(10) 비산먼지

비산먼지는 도로운행으로 인한 자동차 재비산 먼지와 사업장 또는 공정상에서 일정한

배출구없이 대기로 배출되는 먼지를말한다. 건설공사, 나대지, 하역 및야적으로 인한

비산먼지도 포함된다. 2008년부터는 농업, 축산활동으로 인한 비산먼지도 추가된다.

Page 14: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8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 2008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가. 배출량 산정시 개선내역2008년 배출량 산정시 전년도에 비해 도로이동오염원, 비도로이동오염원, 비산

먼지 부문에서 개선되었으며, 일부 배출원의 배출계수 오류도 정정하였다.

2008년에 덤프트럭, 콘크리트믹서트럭을 비도로이동오염원에서 도로이동

오염원으로 이동하고 산정식도 기존 출력을 반영하던 것을 주행거리를 반영

하는 방법으로 변경하였고, 콘크리트펌프카, 로울러를 건설장비에 추가하여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따라서 도로재비산먼지(비산먼지 부문) 산정시 덤프트럭,

콘크리트믹서 트럭에 대한 발생량을 추가하였으며, 또한 농업, 축산활동으로 인

하여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2008년부터 신규로 추가하여 산정하였다.

1999년 CAPSS을 통해 배출량을 산정한 이후 해마다 배출계수, 활동도, 산정

방식 등을 개선해 오고 있으며 연도별 개선사항은 아래와 같다.

<표 1> 전년도 대비 배출량 산정 개선사항

연도 대분류명 전년도 대비 개선사항

1999년

2000년

분류체계 및

산정방식

- CORINAIR 체계와 국내 현실 고려 11개 대분류

- 대기보전정책수립지원시스템 구축 4차년도 배출량산정방법론

2001년

분류체계 및

산정방식

- 대상물질에 암모니아 추가

- 대기보전정책수립지원시스템 구축 4차년도 배출량산정방법론

생산공정

- 암모니아 소비 추가

- 제철제강업에서 면오염원 분류체계 추가

- 탈질설비 중에서 암모니아 또는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

제품생산량 대신에 연료소비량을 활동도로 적용

도로이동오염원

- 사용연료를 배출원 분류체계에서 제외, 차종 및 배출특성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변경

- 배출계수 EU CORINAIR, 1999.9 적용

- 자동차에서 사용하는 연료를 2차년도 휘발유, 경유, LPG, 기타연료에서

3차년도 경유(0.05%), 무연휘발유, LPG, CNG로 분류를 변경

자연오염원 - 동물(1009) 배출원 분류체계 변경

농업

- 신규 추가

· 비료사용 및 분뇨관리에 대해서만 산정

· 배출계수는 Development and selection of ammonia

emission factors(USEPA, 1994)의 자료를 적용

Page 15: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9

<표 1> (계속)

연도 대분류명 전년도 대비 개선사항

2002년

분류체계 및산정방식

- 제조업연소(03) 면오염원 별도 처리(0303)- 대기보전정책수립지원시스템 구축 4차년도 배출량산정방법론

도로이동오염원

- CNG 시내버스 배출계수 update- 이륜차 배출계수 개발

․ 황산화물과 암모니아는 Emission Inventory Guidebook(EU CORINAIR, 1999. 9)의 자료를 적용

- 열화계수 적용․ 1998년 이후 연식의 차량에 대해서만 적용(1998년 포함)․ 황산화물(IS301), 암모니아(IN404)에 대해서는 적용

2003년분류체계 및산정방식

- 대기보전정책수립지원시스템 구축 5차 배출량산정방법론- 산정방법 개선 내역 없음.

2004년

연소- 배출계수 변경· 대기환경보전법 고시에 제시된 배출계수 적용

생산공정- 배출계수 변경· NEFInfo에 의한 배출계수 반영· 대상:유기/무기화학제품 제조업, 제철제강업, 목재/펄프제조업

자연오염원- 식생 배출계수 변경· NEFInfo에 의한 배출계수 반영· 대상:낙엽활렵수림, 침엽수림, 식재림

도로이동오염원

- 자동차 등록대수 구축방법 변경· 전년도 등록비율 → 연료별 등록대수

- 자동차 엔진가열부문 배출계수 변경· 중대형 버스, 중대형 트럭의 배출계수 추가· 그 외 차종에 대한 연식별 계수 일부 갱신· 대상물질 : NOx, PM10, CO, HC

- 열화율 비적용· 교통환경연구소 계수 개발 과정에 기적용

유기용제사용

- 페인트 생산량 재구축․ 2000년 이후 비조합사 물량 : 추정→ 재입수 및 재등록

- 석탄공급량 공간해상도 조정․ 자료등록 시점부터 시군구로 배분

2005년

유기용제사용

- 수도권 VOC 배출계수(도장시설) 변경· 환경친화형 도료 보급, ‘수도권대기환경개선에관한특별법’에 의한 VOC 배출허용기준 적용

- 세탁 배출계수 610.368 kg/년

도로이동오염원

- 경유 승용차 등록대수의 구축, 배출계수 변경· 교통환경연구소 개발 계수 적용

- 경유자동차 산정방법론 변경· 배출가스저감장치 부착차량 대수 및 삭감량 적용· 대상물질 : PM10, VOC, CO

- 열화계수 적용(2001년 이후 생산된 자동차)- 엔진미가열 배출량 산정 방법 변경· 대상 차종에서 화물차(소형)를 제외

- 승용차 1회 주행거리 14.26km→12.35km(2002년 기준)· 전 도로구간→시도지역 도로구간(도심구간 통과 도로 포함)

- 도로재비산먼지 silt loading 0.36 → 0.077g/m3

2006년

연소 생산공정폐기물처리

- PM10분율 변경· SPECIATE ver.1.5('96.10)→4.0('07.01)

도로이동오염원

- 자동차 배출계수변경· 교통환경연구소 차종별 배출계수 적용· 대상차종 : 승용차, 택시, 소형승합차· 대상물질 : CO, VOC, NOx, PM10

- 경유자동차 연료 황함유량 0.043%→0.003%

Page 16: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0

연도 대분류명 전년도 대비 개선사항

2007년

분류체계 및

산정방식

- 대분류 체계 변경

· 11개 → 12개, 비산먼지 추가

에너지수송

및 저장

- 주유소

· stageⅠ 배출계수 : 2,102→2,391kg/㎘

유기용제사용

-금속 세정공정

· 배출계수 : 39.463→223.1kg/종업원수

· 금속열처리업, 도금업만으로 대상 축소

- 인쇄업

· 인쇄방식, 공정에 따라 4개 하위분류, 각각 배출계수 적용

- 가정

· 가정및상업용유기용제사용으로 명칭변경

· 배출계수 : 0.57→2.64kg/인구수

- 아스팔트도로포장

· 컷백 아스팔트 비율 5%→0.1%

도로이동오염원

- 자동차 등록 대수 구축방법 개선

· RV, 승합 경형, 화물 경형 분리, 배출원에 추가

- 도로재비산먼지→비산먼지로 이동(대분류체계변경)

- 배출계수 변경

· 건설기계, 이륜자동차, 다목적자동차

· CO, THC, NOx, PM

비도로이동

오염원

- 항공

· 배출계수 : US FAA EDMS 3.0→5.1 적용

· 국내항공, 국제항공으로 구분

· 항공기 50종 세분류, B737-200 등 9종 추가

- 건설장비

· 덤프트럭, 콘크리트믹서트럭 추가

폐기물처리- 산업폐수처리, 주거와 상업폐수처리 부문 추가

· 암모니아 배출량 산정

농업

- 대분류코드 11→10

- 비료사용농경지를 비료종류에 따라 세분

- 가축분뇨관리를 축종에 따라 세분

기타면오염원

- 기타면오염원에 기존 자연오염원을 포함

- 자연오염원 VOC 배출계수 개선

·BEI2.3→BEI3.0, 알부 낙엽수립과 침엽수림은 국내 배출계수

- 농경지, 도시림, 산불 및 화재 추가

비산먼지

- 대분류체계에 비산먼지 추가, 코드 12

- 도로이동오염원의 도로재비산먼지, 타이어마모, 나대지, 건설공사, 하역 및

야적 추가

- 도로재비산먼지 silt loding값 : 단일화→도로유형별 적용

기타- 수입 무연탄 자료 추가

- CleanSYS 배출량 적용

2008년

비도로이동

오염원

- 건설장비에서 도로이동오염원으로 분류체계, 산정방식 변경

· 대상 : 덤프트럭, 콘크리트믹서트럭

· 산정방식 : 출력 → 주행거리 반영

- 콘크리트펌프카, 로울러 추가

비산먼지

- 도로 재비산먼지 배출계수

· 덤프트럭과 콘크리트 믹서 트럭에 대한 추가 발생량 산정

- 농업, 축산활동으로 인한 비산먼지 추가

<표 1> (계속)

Page 17: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1

나. 대분류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분석2008년도 대기오염물질 대분류별 배출량은 표 2와 같다. 대기오염물질 총 배출

량은 도로이동오염원이 1,029,816톤(29.7%)으로 가장 많고 유기용제 사용 545,813톤

(15.8%), 제조업 연소 402,203톤(11.6%)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배출원 대분류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도로이동오염원에서 주로 배출

되는 물질은 CO로서 483,446톤(46.9%)으로 가장 많고, NOx가 428,204톤

(41.6%), VOC가 91,089톤(8.8%)으로 나타나고 있다. 유기용제 사용부문은 VOC가

높은 배출기여도를 보이며, 제조업 연소의 경우에는 NOx가 155,535톤(38.7%)

으로 가장 많고, TSP가 125,616톤(31.2%), SOx가 104,529톤(26.0%) 순이며, 배출

원대분류별 총 배출량 기여율은 그림 4와 같다.

배출원

대분류CO NOx SOx TSP(PM10) VOC NH3 합계

에너지산업 연소 39,878 163,678 96,670 4,912(3,080) 5,751 1,198 312,087

비산업 연소 86,387 82,584 60,845 2,711(2,307) 2,860 1,263 236,650

제조업 연소 13,025 155,535 104,529 125,616(73,441) 2,754 743 402,203

생산공정 18,377 44,820 82,720 10,764(5,971) 120,087 30,681 307,449

에너지수송/저장 0 0 0 0 30,660 0 30,660

유기용제 사용 0 0 0 0 545,813 0 545,813

도로이동오염원 483,446 428,204 690 17,937(17,937) 91,089 8,449 1,029,816

비도로이동오염원 52,396 154,784 69,663 8,688(7,400) 13,290 518 299,339

폐기물처리 2,621 15,319 2,863 470(340) 44,900 21 66,195

농업 0 0 0 0 0 210,509 210,509

기타 면오염원 7,531 179 0 505(321) 651 12,338 21,204

합계 703,661 1,045,104 417,980 171,603(110,797) 857,856 265,720 3,461,924

* 비산먼지 및 식생 제외

<표 2> 대분류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단위 : 톤)

Page 18: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2

<그림 4> 대분류별 총 배출량 기여율

그림 5와 같이 배출원대분류별 오염물질별 총 배출량 기여율을 살펴보면

CO, NOx의 경우 도로이동오염원이 각각 68.7%, 41.0%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며, CO는 비산업연소가 12.3%, NOx는 에너지 산업연소가 15.7%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SOx는 제조업 연소가 25.0%, 에너지산업 연소가 23.1%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며, TSP의 경우 제조업 연소가 73.2%, 도로이동오염원이 10.5%로

높은 기여도를 보였다. VOC는 유기용제 사용이 63.6%, 생산공정이 14.0%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며, NH3의 경우 농업이 79.2%, 생산공정이 11.5%로 높은

기여도를 보였다.

Page 19: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3

<그림 5> 대분류별 오염물질별 배출량 기여율

다. 시도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분석시도별 배출량을 살펴보면, 경기 551,263톤, 전남 379,034톤, 경북 308,004톤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시도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표 3과 같다.

Page 20: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4

시도 2008년 시도 2008년

서울특별시 279,351 강원도 212,256

부산광역시 167,228 충청북도 161,228

대구광역시 94,895 충청남도 318,358

인천광역시 171,297 전라북도 130,582

광주광역시 44,012 전라남도 379,034

대전광역시 60,925 경상북도 308,004

울산광역시 263,174 경상남도 286,214

경기도 551,263 제주도 34,105

시도 합계 3,461,924

* 비산먼지 및 식생 제외

<표 3> 시도별 배출량

(단위 : 톤)

그림 6은 각 시도별 총 배출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대기오염물질별 배출량은

총 배출량과 달리 물질별 배출량 순위에 차이를 보인다. 표 4는 시도별 오염

물질별 배출량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6> 시도별 배출량

Page 2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5

시도 CO NOx SOx TSP(PM10) VOC NH3 합계

서울특별시 114,550 71,493 5,533 2,194(2,116) 80,855 4,725 279,351

부산광역시 41,449 48,552 36,917 2,574(2,043) 35,641 2,095 167,228

대구광역시 33,081 26,253 5,052 1,736(1,399) 26,709 2,064 94,895

인천광역시 47,727 46,432 15,429 2,237(1,793) 54,637 4,835 171,297

광주광역시 14,870 10,746 1,222 486(465) 15,530 1,158 44,012

대전광역시 21,784 17,582 2,729 710(676) 17,121 1,000 60,925

울산광역시 28,737 52,119 57,124 12,862(7,701) 96,626 15,707 263,174

경기도 127,037 174,227 22,245 7,440(6,827) 176,946 43,366 551,263

강원도 29,959 82,970 34,791 34,018(19,892) 19,035 11,685 212,256

충청북도 31,434 61,721 15,180 9,538(6,106) 28,774 14,581 161,228

충청남도 43,532 114,308 57,710 4,806(3,654) 57,368 40,635 318,358

전라북도 25,832 36,591 9,299 1,662(1,580) 30,501 26,697 130,582

전라남도 33,054 94,433 83,488 54,875(32,847) 77,244 35,940 379,034

경상북도 56,355 97,455 37,905 31,793(19,780) 53,393 31,103 308,004

경상남도 46,089 100,654 30,679 4,269(3,547) 81,448 23,074 286,214

제주도 8,373 9,568 2,676 404(370) 6,029 7,055 34,105

합 계 703,661 1,045,104 417,980 171,603(110,797) 857,856 265,720 3,461,924

* 비산먼지 및 식생 제외

<표 4> 시도별 오염물질 배출량

(단위 : 톤)

그림 7은 주요 대기오염물질의 시도별 배출량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대부분

의 오염물질에서 인구, 자동차가 밀집한 수도권과 발전소, 제철제강, 연소시설

등의 대형사업장이 위치한 충남, 전남, 경북 등 일부지역에서 오염물질의 배출

량이 높았다. 특히 무연탄 등의 연료를 사용하는 시멘트공장 등이 밀집한 강원

지역에서의 NOx와 먼지 배출량이 높게 나타났고, 석유화학공장이 밀집해있는

울산, 광양만권(여수)지역에서는 SOx와 VOC가 타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

석되었다.

Page 22: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6

<그림 7> 시도별 배출량 분포도

Page 23: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7

2. 배출량 변화추이

자동차의 주요 배출원인 CO, NOx 배출량은 2004년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

추이에 있으며, 2008년에는 전년도 대비 CO 15.0%, NOx 13.7% 감소하였다. 이는

연료사용량 감소, 대체연료 전환 및 자동차 주행거리(VKT) 감소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CO는 2006년을 기점으로 소폭 감소하는 추이를 나타내며, VOC는

유기용제 사용량이 전년도 대비 2.7% 증가하였으나 비도로이동오염원이 전년도

대비 47.3% 감소로 인하여 2008년 전년도 대비 1.9%로 소폭 감소하였다. SOx는

저황유 공급정책으로 특정지역(경남 등)이 큰 폭으로 감소함에 따라 2001년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연소 부문의 B-C유 평균 황함량이 전년 대비

3.8% 증가로 인하여 2008년 전년도 대비 3.8% 증가하였다. TSP와 PM10의 경우

무연탄의 수입량 증가로 인하여 2008년 전년도 대비 각각 18.7%, 12.9%로 크게

증가하였다. NH3의 경우 증감을 반복하다가 2008년에는 전년도 대비 13.9% 감소

하였다.

<그림 8> 연도별 오염물질 배출량 추이

Page 24: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8

가. 오염물질별 배출량 변화추이(1) CO 배출량 추이 분석

연도별 CO 배출량 추이는 그림 8과 같으며, 2006년 소폭 증가하다가 2007년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그림 9> 연도별 CO 배출량 추이

배출량이 꾸준히 감소하는 추이를 보이는 부문은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으로

CO 총 배출량의 약 74%(2004년~2008년, 5년평균)를 차지하며,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의 배출량이 자동차 주행거리(VKT) 감소 및 자동차 배출개선 등의 영향으

로 2004년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또한 에너지산업 연소, 제조업 연

소, 생산공정 부문의 연료사용량 및 제품생산량의 동반 감소로 인하여 2008년

CO 배출량이 전년도 대비 15.0% 감소하였다.

배출원 대분류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에너지산업 연소 26,732 27,524 28,134 32,522 35,889 39,290 40,360 39,878

비산업 연소 56,470 54,791 55,009 60,050 79,759 88,522 80,155 86,387

제조업 연소 14,300 15,099 14,912 13,867 14,342 13,786 15,424 13,025

생산공정 21,765 21,751 22,022 20,077 22,882 21,702 21,771 18,377

도로이동오염원 677,180 647,091 625,812 636,938 584,485 610,762 546,493 483,446

비도로이동오염원 46,895 54,530 57,399 51,415 49,613 53,611 95,559 52,396

폐기물처리 1,734 1,980 2,126 2,085 1,948 2,265 2,231 2,621

기타 면오염원 0 0 0 0 0 0 6,870 7,531

합 계 845,076 822,767 805,414 816,954 788,917 829,938 808,862 703,661

<표 5> 2001-2008년 배출원 대분류별 CO 배출량

(단위 : 톤)

Page 25: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9

(2) NOx 배출량 추이 분석

연도별 NOx의 총배출량 추이는 그림 10과 같으며, 2004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그림 10> 연도별 NOx 배출량 추이

배출원 대분류별 NOx의 배출량추이는 표 6과 같다. NOx의 주요 배출원인

에너지산업연소 및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은 연도별 NOx의 총 배출량 추이와

유사하게 큰 폭의 감소 추이를 보인다. 2007년 이후 수입무연탄 공급량 적용에

따라 제조업 연소 부분 배출량이 증가하였으나, 도로이동오염원 배출량이 자동차

주행거리(VKT) 감소 및 자동차 배출개선 등의 영향으로 2008년은 전년도 대비

66,880톤 감소하여 2008년도 전체 NOx 총 배출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그 외

2007년 이후 CleanSYS 배출량 적용으로 인하여 에너지산업 부문이 상당부분

감소하여 배출량 감소추이에 영향을 주었다.

배출원대분류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에너지산업 연소 334,425 296,004 396,070 421,861 390,895 364,310 156,304 163,678

비산업 연소 94,791 95,148 94,602 90,781 93,658 89,127 82,396 82,584

제조업 연소 124,545 127,676 123,221 110,470 108,186 101,197 155,053 155,535

생산공정 50,029 52,780 53,664 53,145 55,327 56,577 48,725 44,820

도로이동오염원 437,341 462,108 472,245 490,481 455,217 450,080 495,084 428,204

비도로이동오염원 162,900 190,644 203,583 191,008 188,631 196,441 237,101 154,784

폐기물처리 14,990 17,904 18,755 19,780 14,811 17,237 13,097 15,319

기타 면오염원 0 0 0 0 0 0 163 179

합 계 1,219,020 1,242,265 1,362,141 1,377,526 1,306,724 1,274,969 1,187,923 1,045,104

<표 6> 2001-2008년 배출원 대분류별 NOx 배출량

(단위 : 톤)

Page 26: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0

(3) SOx 배출량 추이 분석

연료 황함량의 영향이 큰 SOx 배출량은 그림 11 및 표 7과 같이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2008년은 전년도 대비 배출량이 3.8% 증가하였다.

<그림 11> 연도별 SOx 배출량 추이

배출원 분류별 SOx의 배출량 추이를 살펴보면, 가장 주요한 SOx 배출원인

에너지 산업연소 부문은 정부의 저유황유 공급정책 및 청정연료 사용확대 시행에

따라 2001년 197,579톤에 비해 2008년도는 96,670톤으로 대폭(51.1%) 감소하였다.

반면에 2007년 이후 제조업연소부문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연료의 황함량 감소

폭보다 연료사용량(특히, 무연탄) 증가폭이 더 큰 요인으로 보인다. 도로이동

오염원 부문의 경우 2001년 이후 감소추이를 보이며, 특히 2005년 10월부터

저황경유(0.043%)에서 초저황경유(0.003%)로 전환되어 그 이후의 배출량은 대폭

감소하였다. 비도로이동오염원의 경우 선박 부문의 항만별 운송실적 증가로

2007년도 대비하여 2008년 배출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출원대분류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에너지산업 연소 197,579 191,750 194,516 194,309 139,064 152,263 94,317 96,670

비산업 연소 56,529 54,748 56,087 54,797 58,706 77,504 64,083 60,845

제조업 연소 110,171 100,834 90,324 65,681 68,181 74,966 102,172 104,529

생산공정 73,449 74,807 74,028 75,210 82,371 84,937 85,709 82,720

도로이동오염원 7,209 6,309 6,654 6,600 5,190 1,213 856 690

비도로이동오염원 41,537 44,210 45,998 48,718 53,506 53,926 52,814 69,663

폐기물처리 1,259 1,426 1,538 1,489 1,444 1,679 2,574 2,863

합 계 487,734 474,084 469,145 446,804 408,462 446,488 402,525 417,980

<표 7> 2001-2008년 배출원 대분류별 SOx 배출량

(단위 : 톤)

Page 27: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1

(4) PM10 배출량 추이 분석

2001년부터 2008년 사이 PM10 배출량 추이는 TSP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2006년까지 증감을 반복하였으나, 2007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림 12> 연도별 PM10 배출량 추이

2007년 이후 배출량이 급격히 증가한 것은 PM10의 주요배출원인 제조업 연소

부문의 경우, TSP와 마찬가지로 2007년 이후 누락된 수입무연탄 통계자료가

확보됨에 따라 배출량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이동오염원은 자동차

주행거리(VKT) 및 수도권 저감장치 부착 등의 정책 시행에 따라 2004년 이후

꾸준히 감소추이를 나타내며, 전년도에 비해 2008년 배출량이 4,757톤 감소하였다.

에너지산업연소 부문은 에너지산업연소 부문은 CleanSYS를 적용한 2007년부터는

감소하였다가 2008년 소폭 증가하였다.

배출원대분류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에너지산업 연소 7,263 5,196 5,433 5,032 8,229 7,701 2,951 3,080

비산업 연소 2,800 2,665 2,718 2,861 2,978 3,577 2,208 2,307

제조업 연소 16,687 14,881 14,704 10,903 16,000 14,349 53,144 73,441

생산공정 6,129 6,378 6,486 6,738 6,888 6,370 6,074 5,971

도로이동오염원 26,795 27,225 27,903 28,898 25,312 23,911 22,694 17,937

비도로이동오염원 7,630 8,679 9,033 7,977 7,870 8,604 10,477 7,400

폐기물처리 63 75 79 82 64 284 302 340

기타 면오염원 294 321

합 계 67,368 65,100 66,357 62,491 67,343 64,795 98,143 110,797* 비산먼지 제외

<표 8> 2001-2008년 배출원 대분류별 PM10 배출량

(단위 : 톤)

Page 28: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2

(5) VOC 배출량 추이 분석

VOC 배출량은 그림 13과같이 2001년이후꾸준히 증가하다가, 2005년 감소하였다가

2007년이후배출목록 추가 및배출계수 개선(외국배출계수→국내배출계수적용)에따라

크게 증가하였다. 다만 2008년 배출량(859,856톤)에는 전년도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그림 13> 연도별 VOC 배출량 추이

2008년은전년도대비유기용제사용량증가로인하여유기용제사용부문이소폭증가

하였으나 도로이동오염원은 자동차 주행거리(VKT) 및 자동차 배출개선 등의 영향으로

2005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생산공정 부문도 2008년 배출량 산정시 배출계수

오류 정정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다. VOC 주 배출원인 유기용제 사용부문 배출량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2008년도 전체 총 배출량은 전년도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배출원대분류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에너지산업 연소 4,235 4,299 4,398 4,885 5,326 5,763 5,870 5,751

비산업 연소 2,709 2,851 2,933 2,898 3,041 3,046 2,910 2,860

제조업 연소 2,536 2,654 2,568 2,378 2,426 2,298 2,941 2,754

생산공정 125,728 128,105 129,498 117,053 134,493 137,123 140,357 120,087

에너지수송 및 저장 26,559 27,169 26,098 25,641 25,933 26,124 29,752 30,660

유기용제 사용 399,294 396,139 415,559 464,364 432,828 463,219 531,282 545,813

도로이동오염원 120,845 116,732 111,474 112,435 102,198 101,973 95,404 91,089

비도로이동오염원 16,723 19,836 21,043 19,092 18,461 19,658 25,206 13,290

폐기물처리 36,186 43,862 44,883 48,494 31,715 34,953 40,379 44,900

기타 면오염원 597 651

합 계 734,814 741,647 758,455 797,240 756,421 794,158 874,699 857,856* 식생 VOC 제외

<표 9> 2001-2008년 배출원 대분류별 VOC 배출량

(단위 : 톤)

Page 29: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3

(6) NH3 배출량 추이 분석

NH3의 연도별 추이는 그림 14와 같다. 2007년에 배출계수 개선 및 배출목록

추가로 인하여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2008년에 다시 감소로 돌아섰다.

<그림 14> 연도별 NH3 배출량 추이

NH3 주요 배출원은 농경지의 비료사용량과 가축의 분뇨발생량에 의해 배출되는 농

업부문으로 2008년도 기준 전체 배출량의 79%이다. 2008년도 배출량은 전년도 비해

13.9% 감소하였고, 이는농업부문의배출량감소(전년도대비 5.5%)외에도폐수처리부문

배출계수 단위오류로 인한 것이다. 이에 2008년에 정정하여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농업

부문 다음으로 기여도가 높은 생산공정은 암모니아 소비량 증가로 소폭 증가하였으며,

그 외 도로이동오염원, 연료 연소 부문에서 NH3 배출량이 전년도 비해 소폭 감소하였다.

배출원대분류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에너지산업 연소 1,224 1,184 1,207 1,265 1,335 1,404 1,399 1,198

비산업 연소 2,091 2,051 1,978 1,810 1,706 1,401 1,287 1,263

제조업 연소 1,236 1,245 1,139 1,047 1,048 924 917 743

생산공정 31,245 27,077 29,155 34,009 44,701 31,859 30,403 30,681

도로이동오염원 10,304 10,566 10,673 11,332 10,946 10,985 10,348 8,449

비도로이동오염원 408 489 526 491 481 507 522 518

폐기물처리 28,711 21

농업 172,939 167,911 178,526 181,561 174,738 176,432 222,851 210,509

기타 면오염원 12,006 12,057 12,097 12,146 12,196 12,192 12,270 12,338

합 계 231,453 222,581 235,301 243,661 247,149 235,703 308,707 264,720* 식생 NH3 제외

<표 10> 2001-2008년 배출원 대분류별 NH3 배출량

(단위 : 톤)

Page 30: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4

나. 시도별 배출량 변화추이(1) 시도별 CO 배출량 추이 분석

2001년부터 2008년까지 CO의 시도별 배출량 추이를 살펴보면, 2001년 이후 인천,

충남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도에서 감소하거나 정체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림 15> 시도별 CO 배출량 추이

대부분의 시도는 CO의 주요배출원인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의 배출량 감소 영향

으로 인하여 2001년 이후 총 배출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나 일부 시도의 경우

생산공정 및 연소부문의 영향에 기인하기도 한다. 인구밀도가 높아 자동차 주행

거리가 짧아진 서울의 경우 그 감소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자동차

주행거리(VKT)의 감소로 인하여 경기, 부산, 대구, 광주, 강원, 제주, 전북, 전남,

경남이 2004년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울산은 상기의

시도와 달리 자동차와 함께 사업장 등의 제품생산량(생산공정 부문) 영향으로

인하여 배출량 증감을 반복하고 있으며, 강원, 충북, 경북 또한 자동차와 함께

비산업 연소 부문의 배출량 영향으로 인하여 배출량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Page 3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5

(2) 시도별 NOx 배출량 추이 분석

도로이동오염원과 에너지산업연소가 주요 배출원인 NOx의 2001년부터 2008

년까지 배출 추이를 살펴보면, 강원, 충북 및 경북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도에서

연도별로 뚜렷한 감소 추이를 나타내었다.

<그림 16> 시도별 NOx 배출량 추이

NOx의 주요 배출원은 전반적으로 자동차 및 발전소 영향이 크다. 따라서 사업장 연료

사용량 감소, 대체연료 전환 및 CleanSYS 적용 그리고 연도별 자동차 주행거리(VKT)

감소 등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시도에서 배출량 감소추이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강원과

충북은 무연탄 수입량을 적용한 2007년부터 뚜렷한 증가추이로 돌아섰다. 도로이동오

염원 부문의 배출 기여도가 높은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경기, 제주는 지속적으로

NOx 배출량이감소하고있으며, 에너지산업연소부문의배출기여도가높은인천, 울산,

충남, 경남도 배출량이 전반적으로 감소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에 2007년부터

기존에 누락된 무연탄 수입량을 포함하여 배출량을 산정하기 시작했고 결과적으로

무연탄 사용량이 많은 강원과 충북의 제조업 연소부문은 크게 증가하였다.

Page 32: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6

(3) 시도별 SOx 배출량 추이 분석

SOx는 대부분 연료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므로 연도별 연료 내 황함량 변화, 청정

연료 확대 및 연료사용량 증감 등 복합적 요인에 따라 증감 추이를 달리하고 있다.

<그림 17> 시도별 SOx 배출량 추이

시도별 SOx의 증감 추이를살펴보면, 부산, 인천은 상업 및 공공시설 확대 및 연료사

용량 증가(비산업연소부문 증가)로배출량증가추이를 보이며, 강원은 제조업연소시설의

연료사용량 증가(특히, 2008년 수입 무연탄 큰 폭의 증가로 제조업 연소부문 증가)가

배출량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반면에 SOx 배출 기여도가 높은 경남은발전시설의 청정

연료 전환 및 연료 내 황함량 감소 등으로 배출량 감소추이를 나타내었고, 서울과 전북

또한각각자동차주행거리감소및제조업연소부문연료사용량감소로인하여배출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그 외 시도는 복합적 요인(연료 내 황함량, 사업장의 대체연료

전환 및 연료사용량 등)으로 증감추이가 뚜렷하지않아 정부 저유황 정책 시행에 따른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향후 배출량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Page 33: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7

(4) 시도별 PM10 배출량 추이 분석

도로이동오염원과 연료 연소가 주요한 배출원인 PM10은 대부분의 시도에서

연도별로 전반적으로 감소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반면에 수입 무연탄 공급량을

적용한 2007년부터 강원, 충북, 전남, 경북은 큰 폭의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18> 시도별 PM10 배출량 추이

PM10의 시도별 배출량 추이를 살펴보면,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은 자동차

주행거리 감소(VKT) 및 경유 자동차의 저감장치 부착율 증가 등의 영향으로

배출량이 전반적으로 감소추이에 있으며, 그 외 대부분 지역도 도로이동오염원

부문(자동차) 배출량 감소와 연료사용량 감소, 청정연료 전환 및 방지시설 확대

등으로 인한 연료 연소 부문 배출량 감소로 총 배출량이 감소하는 추이이다.

반면에 시멘트 공장 등이 밀집한 강원과 충북, 그리고 제철제강업 시설이 있는

전남과 경북은 무연탄 수입량 및 사용량 증가(2007년부터 적용)로 인하여 제조업

부문의 배출량이 증가하였고 PM10 배출량 증가로 이어졌다.

Page 34: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8

(5) 시도별 VOC 배출량 추이 분석

VOC의 2001년부터 2008년 사이 시도별 배출량 추이를 살펴보면, 서울은

전반적으로 감소추이 보이는 반면에 경기, 울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은 전반적으로 증가추이에 있다. 그 외 지역은 증감을 반복하고 있거나

뚜렷한 변화가 없는 상태이다.

<그림 19> 시도별 VOC 배출량 추이

정부의 수도권 친환경도료 공급정책 시행으로 인하여 서울은 전반적으로 감소

추이를 보이고 있지만 인천은 증감을 반복하고 있고, 경기는 신축건물 증가에 따른

유기용제 사용량 증가로 인하여 배출량이 꾸준히 증가하였다. 석유화학단지가 있는

울산은 유기화학제품 생산량 증가와 선박 제조시 사용하는 유기용제 사용량 증가로

인하여 꾸준히 배출량 증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남, 경남은 선박 제조, 강원,

경북은 건축물 신축과정에서 사용하는 유기용제 사용량이 전반적으로 높아 소폭

증가하였다.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추이를 보이는 충남은 유기화학물질 제품생산량

(특히, HDPE, LDPE)증가가 생산공정 부문 배출량 증가로 이어졌다.

Page 35: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9

(6) 시도별 NH3 배출량 추이 분석

각 시도의 NH3 연도별 배출량을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2007년에 크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폐기물 처리 부문의 폐수 처리에 따른 배출량 증가로

인한 것이며, 배출계수 단위오류이다. 따라서 이를 감안하여 배출량 추이를 살펴

본 결과, 2007년 배출량 산정시 배출계수 개선 및 배출목록 추가에 따른 증가

외에는 뚜렷한 증감추이를 보여주고 있지 않은 상황이기에 향후 추가적인 추이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림 20> 시도별 NH3 배출량 추이

NH3의 주요 배출원은 농경지의 비료사용량과 가축의 분뇨 발생량에 의해 배출되는

농업부문이다. 그러나 인구밀도가 높은 특광역시는 농업부문 외에 인간의 분뇨에 의한

배출원(기타면오염원)과자동차연소과정에서의배출도주요배출원으로작용하고있다.

NH3 배출량추이는 활동도에 따라 달리하고 있으며, 현재 2007년 배출량 산정시

배출계수 변경 및 오류 그리고 배출목록 추가로 인하여 추이분석에 어려움이

있어 향후 추가적인 배출량 산정 및 재산정후 추이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Page 36: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Ⅳ. 결 론❚

30

Ⅳ. 결 론

산정방법 개선을 통한 자료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2008년 대기오염물질을

산정, 전년도(2007년)와 비교․분석하였으며, 1999년부터 개선되거나 변경,

추가된 산정방법론을 바탕으로 2001년부터 2008년 배출량을 추이를 분석하였다.

(1) 2008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결과, CO, NOx는 도로이동오염원이

각각 68.7%, 41.0%로 가장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었으며, SOx는 제조업 연소가

25.0%로 높았으며, PM10은 제조업 연소가 66.3%를 나타내었고, VOC와 NH3는

각각 유기용제 사용(63.5%)과 농업 (79.2%)부문에서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었다.

(2) 2008년 시도별 배출량 산정결과, 대부분의 오염물질은 인구, 자동차가 밀집한

수도권과 발전소, 제철제강, 연소시설 등의 대형사업장이 위치한 충남, 전남, 경북 등

일부지역에서 배출량이 높았다. 특히 무연탄 등의 연료를 사용하는 시멘트공장 등이

밀집한강원은 NOx와먼지 배출량이 높게 나타났고, 석유화학공장이밀집해 있는울산,

광양만권(여수)지역에서는 SOx와 VOC가 타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3) 2001년부터 2008년까지의 배출량 추이분석 결과, 자동차가 주요 배출원인

CO, NOx 배출량은 2004년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 추이에 있으며, 2008년에는

전년도 대비 CO 15.0%, NOx 13.7% 감소하였다. 이는 연료사용량 감소, 대체연료

전환 및 자동차 주행거리(VKT) 감소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VOC는 유기용제

사용량이 전년도 대비 2.7% 증가하였으나 비도로이동오염원이 전년도 대비

47.3% 감소하여 2008년 전년도 대비 1.9%로 소폭 감소하였다. SOx는 저황유 공급

정책으로 특정지역(경남 등)이 큰 폭으로 감소함에 따라 2001년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연소 부문의 B-C유 평균 황함량이 전년 대비 3.8% 증가로

인하여 2008년 전년도 대비 3.8% 증가하였다. TSP와 PM10의 경우 무연탄의 수입량

증가로 인하여 2008년 전년도 대비 각각 18.7%, 12.9% 증가하였다. NH3의 경우

증감을 반복하다가 2008년에는 전년도 대비 13.9% 감소하였다.

Page 37: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참 고 문 헌❚

31

참 고 문 헌

1) http://www.epa.gov/ttn/chief/software/speciate.

2) http://www.airemiss.nier.go.kr.

3) 김대곤 외,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시스템 고도화, 국립환

경과학원, 2010.

4) 김종춘외, 대기오염물질및온실가스배출량산정시스템개선, 국립환경과학원, 2010.

5) 홍지형 외, 2단계 대기정책지원시스템(CAPSS)개선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09.

6) 김종춘 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2007, 국립환경과학원, 2009.

7) 김종춘 외,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편람(Ⅱ), 국립환경과학원, 2010

8) 홍지형 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2006, 국립환경과학원, 2008.

9) 홍지형 외, 비점오염원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편람(Ⅰ), 국립환

경과학원, 2008.

10) 홍지형 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2005, 국립환경과학원, 2007.

11) 홍지형 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편람, 국립환경과학원, 2007.

12) 홍지형 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2004, 국립환경과학원, 2006.

13) 홍지형 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1999~2003, 국립환경과학원, 2005.

14) 김종춘 외, 자동차 오염물질 배출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Ⅴ), 국립환경과

학원 교통환경연구소, 2007.

15) 김종춘 외, 교통수단별 대기오염물질 국가배출통계구축 연구(I), 국립환경과

학원 교통환경연구소, 2008.

16) 김종춘 외, 교통수단별 대기오염물질 국가배출통계구축 연구(Ⅱ), 국립환경과

학원 교통환경연구소, 2009.

17) 류정호 외, 자동차 오염물질 배출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Ⅰ), 중·대형버

스의 오염물질 배출계수 산정,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 연구보고서

2003-24-696, 2003.

18) 류정호 외, 자동차 오염물질 배출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Ⅱ), 경유트럭의

오염물질 배출계수 산정,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 연구보고서

2004-26-732, 2004.

Page 38: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7/5265482.pdf · 2016-02-24 · 11-1480523-000783-0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참 고 문 헌❚

32

19) 류정호 외, 자동차 오염물질 배출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Ⅲ), 소형승합차

오염물질 배출계수 산정, 국립환경과학원, 연구보고서 2005-32-777, 2005.

20) 엄명도 외, 경유엔진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저감대책에 관한 연구(Ⅲ), 국

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 연구보고서 99-20-557, 1999.

21) 정우성 외, 디젤기관의 배출가스 대기오염 현황 및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철도청,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최종보고서 1997-0005, 1997.

22) 정일록 외, 경유엔진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저감대책에 관한 연구(Ⅰ), 연구

건설용 엔진에 사용되는 경유엔진의 오염물질 배출실태조사, 국립환경과

학원 교통환경연구소, 연구보고서 97-19-519, 1997.

23) U.S. EPA, Emission Factor Documentation for AP-42, Office of Air

Quality Planning and Standards: North Carolina, 1997.

24) European Environment Agency, EMEP/CORINAIR Emission Guidebook -

second edition, 2000.

25) European Environment Agency, EMEP/CORINAIR Emission Guidebook -

3rd edition, 2002.

26) European Environment Agency, EMEP/CORINAIR Emission Guidebook - 2006, 2006.

27) European Environment Agency, EMEP/EEA air pollutant emission

inventory guidebook - 2009, 2009.

28) California 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ARB's Emissions Inventory, 2010.

29) Ntziachristos, L., Z. Samaras, COPERT III Computer program to

calculate emissions from road transport, Technical Report 49, European

Environment Agency, Copenhagen, Denmark, 2000.

30) U.S. EPA, Nonroad engine and vehicle emission study report,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21A-2001, 1991.

31) U.S. EPA, 2002 National emissions inventory data & documentation,

http://www.epa.gov/ttn/chief/net/2002inventory.html, 2007.

32) U.S. EPA, Technology Transfer Network, Clearinghouse for inventories

& emission factor, 2007.

33) U.S. FAA, Emission and Dispersion Modelling System (EDMS 5.1),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