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32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제9회 방사선안전심포지엄) 2010. 8. 31. 한국비파괴검사협회

Upload: others

Post on 04-Mar-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제9회 방사선안전심포지엄)

2010. 8. 31.

한국비파괴검사협회

Page 2: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검사대상물에검사대상물에검사대상물에검사대상물에 손상을손상을손상을손상을 가하지가하지가하지가하지 않는않는않는않는 방법을방법을방법을방법을 이용해이용해이용해이용해 구조물의구조물의구조물의구조물의 결함유무를결함유무를결함유무를결함유무를

파악하여파악하여파악하여파악하여 대형사고대형사고대형사고대형사고 및및및및 파손을파손을파손을파손을 방지하는방지하는방지하는방지하는 기술기술기술기술

� 계측·검사 기술

� 재료과학

� 일렉트로닉스 기술

� 컴퓨터·정보기술

� 전기·정밀기계장치기술

� 물리학

비파괴검사기술

비파괴검사란?

1

Page 3: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타법 등록

전문검사업체

67915432008년

72916472009년

62811432007년

48

37

RT사용

22

8

RT 미사용

7992010년(3월)

5052006년

합 계구분

(연도말 기준)

NDT법에 의한 비파괴검사업 등록업체 현황NDT법에 의한 비파괴검사업 등록업체 현황

2

※ 최근 열화상 검사업체의 신규 등록이 증가추세 : 현재 총 13개 업체 등록

국내 비파괴검사의 현황-1

Page 4: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NDT검사방법별 매출 현황(2008년)

6,264(1.9)

32,554

(10.0)

33,204

(10.2)

45,682

(14.0)

67,085(20.6)

140,851(43.3)(43.3)(43.3)(43.3)

매출액

(비중, %)

기타ECT/LTPTMTUTRT구분

(단위 : 백만원)

NDT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추세(전년 대비 30.4% 증가)NDT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추세(전년 대비 30.4% 증가)

‘06년

(180,453)

연도별연도별연도별연도별 NDTNDTNDTNDT매출현황매출현황매출현황매출현황 ((((백만원백만원백만원백만원))))

‘07년

(249,692)

‘08년

(325,640)

3※ RT 비중이 감소(전년도 48%)는 하고 있으나 아직 가장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는 기술임

국내 비파괴검사의 현황-2

Page 5: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12.3

769

341

428

사무직

79.6

4,973

9

4,964

기술직

2.2

139

10

129

연구직

합계(명)

상시 종업원(명)

1006,251370

6.138121여자

5.9

349

기타

100

5,870

합계(명)

비율(%)

93.9남자

비율(%)구분

NDTNDTNDTNDT업체업체업체업체 근로자근로자근로자근로자 현황현황현황현황((((‘09090909년년년년 9999월월월월))))NDTNDTNDTNDT업체업체업체업체 근로자근로자근로자근로자 현황현황현황현황((((‘09090909년년년년 9999월월월월))))

△7.5574,365249,6922007년

325,640

180,453

매출액(백만원)

4,973

3,415

검사자(명)

△14652008년

-532006년

전년대비(증가비, %)

1인 생산성(백만원)

구분

NDT NDT NDT NDT 매출액매출액매출액매출액 대비대비대비대비 1111인인인인 생산성생산성생산성생산성NDT NDT NDT NDT 매출액매출액매출액매출액 대비대비대비대비 1111인인인인 생산성생산성생산성생산성

4

국내 비파괴검사의 현황-3

Page 6: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839

175

125

539

PT

150

39

10

101

ECT

95029215201291기 능 사

2,217142557350528기 사

3737기 술 사

659

108

UT

978

159

RT

37

기술사

산업기사 5309119

891

MT

180

LT

3,734합 계

합계구분

책임자책임자책임자책임자(891(891(891(891명명명명))))의의의의 국가기술자격현황국가기술자격현황국가기술자격현황국가기술자격현황 (4.2(4.2(4.2(4.2개개개개////인인인인))))책임자책임자책임자책임자(891(891(891(891명명명명))))의의의의 국가기술자격현황국가기술자격현황국가기술자격현황국가기술자격현황 (4.2(4.2(4.2(4.2개개개개////인인인인))))

2,9802941,8778092008년

2,5592731,5457412007년

891

702

책임자(명)

2,359

1,272

검사자(명)

3,5803302009년

2,2312572006년

합계(명)준하는 자격(명)구분

연도별연도별연도별연도별 비파괴검사자비파괴검사자비파괴검사자비파괴검사자 현황현황현황현황연도별연도별연도별연도별 비파괴검사자비파괴검사자비파괴검사자비파괴검사자 현황현황현황현황

5

국내 비파괴검사의 현황-4

Page 7: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944

120

424

400

PT

103

40

7

56

ECT

2,945199166691,181기 능 사

1,117109309130113기 사

933

134

UT

1,391

97

RT

산업기사 9426274

1,499

MT

134

LT

5,004합 계

합계구분

검사자검사자검사자검사자(2,359(2,359(2,359(2,359명명명명))))의의의의 국가기술자격현황국가기술자격현황국가기술자격현황국가기술자격현황 (2.1(2.1(2.1(2.1개개개개////인인인인))))검사자검사자검사자검사자(2,359(2,359(2,359(2,359명명명명))))의의의의 국가기술자격현황국가기술자격현황국가기술자격현황국가기술자격현황 (2.1(2.1(2.1(2.1개개개개////인인인인))))

6

17

RI감독면허

94

RI일반면허

330236

합계(명)자격교육 이수자

준하는준하는준하는준하는 자격자격자격자격(330(330(330(330명명명명) ) ) ) 자격현황자격현황자격현황자격현황준하는준하는준하는준하는 자격자격자격자격(330(330(330(330명명명명) ) ) ) 자격현황자격현황자격현황자격현황

국내 비파괴검사의 현황-5

※ 비파괴검사자는 전년도 대비 600명 증가 : 입사 601명, 자격취득 852명, 퇴사 929명

Page 8: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100

2,224

176

585

132

144

344

843

합계

1.3

28

1

27

LT

2.2

49

3

46

ECT

17.7

393

37

150

25

34

51

96

PT

5.92343437TUV

6.5113303234EN473

15.518685117ACCP

37.92119206203243ASNT

1.1

25

VT

0

1

AET

10040546523619합계

26.310150128147PED

23.5

41

UT

27.8

41

RT

기타(AWS, DNV) 7.91740

24.6

MT

1.8

기타

비율(%)

비율(%)구분

외국기술자격외국기술자격외국기술자격외국기술자격 보유현황보유현황보유현황보유현황((((명명명명) : ) : ) : ) : ‘09090909년년년년 9999월월월월 기준기준기준기준외국기술자격외국기술자격외국기술자격외국기술자격 보유현황보유현황보유현황보유현황((((명명명명) : ) : ) : ) : ‘09090909년년년년 9999월월월월 기준기준기준기준

7

국내 비파괴검사의 현황-6

Page 9: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문문 제제 점점� 인프라인프라((인력인력, , 장비장비))의의 취약이취약이 기술경쟁이기술경쟁이 아닌아닌 단가경쟁단가경쟁 유발유발

매년 반복되는 양상이며 갈수록 심화되는 부분도 발생

국내국내 NDTNDT의의 개선과제개선과제 ((설문설문 응답응답))

가장 큰 애로사항은? 1위 : 인력수급 문제 (32.4%), 2위 : 단가경쟁력(22.2%)

적용분야의 한계성 : 용접부 검사 의존도가 약 77.1%로 집계(매년 비슷한 추이 유지)

외국기술자격자는 부족(53.9%)하며 가장 필요한 자격종목은 ASNT자격(85%)

영업환경 개선을 위한 선결과제? 1위 검사단가의 정상화(72%)

8

국내 비파괴검사의 현황-7

Page 10: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기본방향기본방향� 인프라의인프라의 취약이취약이 연구개발연구개발 및및 기술능력기술능력 저하로저하로 연결연결

악순환의 고리로 반복되는 현상이 존재

NDTNDT관련관련 연구개발은연구개발은 더욱더욱 취약함취약함

최근 2년간 학회발표 논문 103건 중, 응용기초제외 실용연구 논문은 총 16건(업체 1건)

NDT업체의 기술연구소는 18개로 조사, 연구전담인력은 약 110명 규모에 불과

연구개발은 대학을 중심으로 활발한 편이나 산업체에서는 투자가 거의 없는 실정

최근 2년간 특허정보원의 NDT관련 특허는 총 2,067건 이중 실무관련 총 25건

9

국내 비파괴검사의 현황-8

Page 11: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10

국내국내 방사선관련방사선관련 인인··허가기관허가기관 현황현황((‘‘0909년도년도 말말 기준기준))

47

47474747

허가

이동사용

4,214

62

465

235

305

2,976

171

3,043

62

421

132

241

2,208

10

신고

이용이관생산판매판매/사용

일반사용

업종

32

2

30

허가

891

31

44

101

60

505

150

허가

3,043

31

421

132

241

2,208

10

신고

1,17152149합계

31군사기관

44공공기관

1032교육기관

642연국기관

76837149산업체

16111의료기관

허가허가허가

※ NDT는 전체 허가기관(1,171개)의 약 4%, 전체 산업체 허기기관(768개)의 6.1%

국내 방사선투과검사의 현황-1

Page 12: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11

연도별연도별 일시적일시적 사용장소사용장소 신고현황신고현황(1,497(1,497건건//’’0909년년))

611

541

526

501

연도말 기준사용장소 수

구분

7

12

18

8

1월 이상

23

22

15

25

3월 이상

147

160

143

152

6월 이상

1,3202009년

1,0162008년

8712007년

1,1262006년

1월 미만

※ 1. 연도말 기준, 사용장소의 수 1월 미만 현장의 수는 포함되지 않음

2. 1월 이상~ 6월 미만 신고는 거의 실적이 없는 편임(실효성 검토 필요)

국내 방사선투과검사의 현황-2

Page 13: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12

검사대상별검사대상별 일시적사용장소일시적사용장소 현황현황((‘‘0909년년 신규기준신규기준))

214314기타 일반제조(단조, 주조 등)

22220저장설비(압력용기, 탱크 등)

1010고정설비(중화학, 플랜트 등)

사용장소 수(개소)구분

7

2

1

1월 이상

23

7

10

1

3월 이상

147

39

52

12

6월 이상

177합 계

48설비제작(배관, 강교박스 등)

63공급배관(가스, 지역난방 등)

13조선/중공업

합계

※ 한국가스공사 신규 공사 일괄 발주 관련 배관현장 신규 신고 급증(전체 대비 약 35.6%)

국내 방사선투과검사의 현황-3

Page 14: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13

지방지방 사업소사업소 및및 저장저장((보관보관))시설시설 현황현황

33

25

전남

32

24

경북

158

119

경남

42

29

충남

9

6

강원

66

57

경기

11

20

서울

10

9

전북

13

12

충북구분

376

302

합계

2

1

제주

저장(보관)시설

지방사업소

※ 평균 Ir-192 4.94개, Co-601 1.75개, X-Ray는 2.02개를 저장(보관)하고 있음

147181481113245보관시설(개소)

32132332저장시설(개소)

56134462신고수량(100Ci)Co-60

3682103331153134196511저장시설(개소)

1,821442170948595016630271135신고수량(50Ci)Ir-192

X-Ray13

전남

19

경북

192

경남

20

충남강원

49

경기

2

서울

1

전북

2

충북구분

298

합계제주

신고수량(SET)

국내 방사선투과검사의 현황-4

Page 15: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14

20092009년도년도 방사선작업종사자방사선작업종사자 개인개인 피폭선량피폭선량 측정현황측정현황((‘‘0909년말년말 현재현재))

※ 1. 판독업무자 변동으로 중복된 인원이 포함된 인원수임2. 개인선량계의 착용변동(필름뱃지↔TLD)으로 중복된 인원이 포함된 인원수임

선량계구분2)판독구분1)

14,11814,11814,11814,11814,118원자력발전소

4,8242484,2323444,8245424,2824,617교육기관

2,0691,9441252,0691,3167532,069연구기관

6435776664323620638공공기관

6,6193,2783,3416,6196,6195,726NDT업체

38,21529332,1675,75538,21516,21322,00236,986합계

1,212451,074931,2121,2121,172판매생산업체

5,2073,4461,7615,2075,2075,123일반산업체산업체

3,5233,498253,5232143,3093,523의료기관

합계OSLTLD합계자체판독전문판독

종사자수필름뱃지

구분

국내 방사선투과검사의 현황-5

Page 16: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15

최근최근 55년간년간 업종별업종별 종사자수종사자수 및및 피폭선량피폭선량 현황현황((mSvmSv, , 명명))

0.95

0.94

0.11

0.09

0.08

1.20

2.71

0.23

1.00

평균선량

32,978

10,855

604

4,645

1,955

1,116

5,323

5,136

3,344

종사자수

2008년

1.08

1.08

0.39

0.27

0.30

0.83

2.80

0.75

1.06

평균선량

30,194

10,154

493

4,372

1,900

862

4,282

5,144

2,987

종사자수

2006년

1.17

1.22

0.39

0.29

0.30

0.80

3.21

0.82

1.03

평균선량

28,576

9,810

323

4,322

1,869

824

3,727

4,752

2,949

종사자수

2005년

1.12

1.13

0.37

0.27

0.25

0.89

2.65

0.76

1.22

평균선량

32,501

11,366

531

4,451

2,024

959

4,976

5,083

3,111

종사자수

2007년 2009년년 도

업종별

0.431,172판매생산업체

2.255,726비파괴검사

0.095,123일반산업체

1.1514,118원자력발전소

0.054,617교육기관

0.052,069연구기관

0.03638공공기관

0.9236,986합계

0.973,523의료기관

평균선량

종사자수

국내 방사선투과검사의 현황-6

Page 17: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16

20092009년도년도 방사선작업종사자방사선작업종사자 피폭선량피폭선량 분포분포((mSvmSv, , 명명))

※ 평균선량이 가장 높으며 선량분포도 다른 업종에 비해 매우 높음

34,026

16,362

19

242

110

509

12,876

482

3,424

집단선량

92

22

0

0

0

1

65

0

4

20~50mSv미만

36,986

14,118

638

4,617

2,069

1,172

5,726

5,123

3,523

종사자수

0.43042082253812판매생산업체

0.090144704724,563일반산업체

2.2522554381,4971,7371,732NDT업체

1.1502817922,2782,8217,924원자력발전소

0.05014117393,862교육기관

0.05002251741,868연구기관

0.03000463571공공기관

0.9226181,4214,3847,33023,139합계

0.970631614171,0711,807의료기관

평균선량

50mSv이상

10~20mSv미만

1~5mSv미만

0.1초과~1mSv미만

0.1mSv이하

5~10mSv미만

업종

국내 방사선투과검사의 현황-7

Page 18: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일반적인일반적인 방사선작업장방사선작업장 ((제조업체제조업체 Shop)Shop)

대부분대부분 중소기업으로중소기업으로 안전설비의안전설비의 설치가설치가 어려운어려운 실정실정

종사자 위치 : 평균 7~9mR/hr, 최대 12~13mR/hr

방사선피폭의방사선피폭의 우려는우려는 작업물량에작업물량에 비례비례 →→ 작업팀작업팀 증가증가))

야간작업에 따른 작업절차의 미준수, 방사선피폭의 증가우려가 높음 → 작업공정의 개선

KINS 정기검사 등을 통해 필요한 현장에는 안전설비 설치 및 활용을 의무화하는 방안 검토

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 및및및및및및및및 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

발주업체의 인식과 협조 및 비용 등 복합적인 문제가 상충

열악한열악한 작업환경작업환경((야간야간, , 협착협착, , 충돌충돌 등등))과과 안전설비안전설비 미비미비

점심시간과 야간에 주로 방사선작업 : 19:00~익일 04:00

국내 방사선작업장의 문제점-1

17

Page 19: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일반적인일반적인 방사선작업장방사선작업장 ((제조업체제조업체 Field)Field)

적합한적합한 시설의시설의 설치기준설치기준 및및 활용방법활용방법 등이등이 미비미비

운반비용의 부담, 작업공정의 지연 등

발주업체는발주업체는 가급적가급적 안전설비안전설비 활용을활용을 기피하는기피하는 경향경향

안전설비의 설치 활용을 의무화 방안 검토 → 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

KINS 정기검사 등을 통해 필요한 현장에는 안전설비 개선 및 활용확대를 권장하는 방안 검토

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 및및및및및및및및 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

Co-60 사용 시, 산란선의 영향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함

이동식이동식 안전설비안전설비 설치현장이설치현장이 증가하는증가하는 추세추세

안전측면보다는 긴급, 주간작업을 위한 발주자의 입장

국내 방사선작업장의 문제점-2

18

Page 20: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 및및및및및및및및 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

일부를일부를 제외하고는제외하고는 안전설비의안전설비의 보강보강 필요필요

방사선안전은 자기 책임이 아님, 어차피 불가능함 등

안전설비안전설비 설치에설치에 대한대한 발주업체의발주업체의 무관심무관심

대부분의 조선, 해양 및 플랜트 현장에 적용

열악한열악한 작업환경작업환경 (100% (100% 야간야간))과과 안전설비안전설비 미비미비

대체로 안전설비가 미비한 현상 (대형 검사부재 요인)

일반적인일반적인 조선조선//해양해양 및및 화학플랜트화학플랜트 현장현장

작업환경 개선 및 효과적인 차폐방법 개발을 위한 발주업체와 협의 필요(담당자 마인드 개선)

공장 부지 등 여러 상황에서 방사선 차폐 확보 방안 추진 필요(지금까지 노력을 하지 않았음)

국내 방사선작업장의 문제점-3

19

Page 21: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적합한적합한 설계기준설계기준 및및 적극적적극적 활용을활용을 위한위한 개선방안개선방안 필요필요

이동이 불가한 대형 검사대상물에는 적용 불가

압력용기압력용기 등등 운반이운반이 가능한가능한 검사대상에검사대상에 주로주로 활용활용

일부 중공업(3~4개) 현장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무한 실정

안전설비안전설비 활용도에활용도에 따라따라 방사선피폭도방사선피폭도 저감화저감화

Co-60, 주간작업을 위한 발주업체 입장의 자구책

고정식고정식 안전설비안전설비 설치현장설치현장 : : 일부일부 중공업중공업 현장현장

작업공정과 연계하는 체계적인 안전설비 설치활용 방안에 대한 발주업체와 협조체계 필요

우수사례를 발굴 및 문제점 개선 등을 통해 관련 업종으로의 확대 추진(가장 효과적인 분야)

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 및및및및및및및및 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개선방안

국내 방사선작업장의 문제점-4

20

Page 22: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참고-자체 차폐시설 설치운영 (사례)

21

Page 23: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고정고정고정고정((((안정안정안정안정))))되지되지되지되지

않는않는않는않는 사업장사업장사업장사업장

이동사용에 따른 복잡한 양상 : 다양한 사용장소가 각 지역에 분산

집중화된 안전관리가 곤란함 : RI 저장실, 사용장소 관리의 지방 분권화

다양한다양한다양한다양한 대상물대상물대상물대상물 ----

작업조건의작업조건의작업조건의작업조건의 가변성가변성가변성가변성

다양한 검사대상물로 입지조건 등이 비정형적 (야외, 해상, 도로 등)

작업공간의 비대칭성 : 관로, 탱크 등 협소, 고소 등 불안한 환경

표준적표준적표준적표준적 절차절차절차절차 및및및및

계획적계획적계획적계획적 관리관리관리관리 곤란곤란곤란곤란

제조공정에 검사공정 미포함 : 집중화된 안전관리의 어려움

발주자의 안전마인드 부족 : 공정단축 요구, 형식적·요식적 검사 등

안전작업안전작업안전작업안전작업 보장의보장의보장의보장의

한계성한계성한계성한계성

열악한 작업환경 : 야외현장, 야간작업, 고소작업

대형물, 구조물의 야외 현장 출장검사에 따른 한계를 극복해야 함

발주자와발주자와발주자와발주자와 안전안전안전안전

협조체계협조체계협조체계협조체계 불균형불균형불균형불균형

검사 발주자의 다양성과 대형업체 등의 방사선 안전의식의 다양성

발주자의 안전마인드에 따라 방사선안전도에 차이를 보임

방호최적화방호최적화방호최적화방호최적화 기준기준기준기준

설정의설정의설정의설정의 이중성이중성이중성이중성

발주자에게 방사선안전조건을 규정하는 규제행정의 부재(不在不在不在不在)

시설, 설비 등 유형화된 차폐설비가 필요하나 현장적용의 어려움

기술적인기술적인기술적인기술적인 행위행위행위행위

시설투자시설투자시설투자시설투자 한계한계한계한계

검사용역 업체의 시설투자에는 한계가 있음 (계약기간 중 한시적 사용)

현장의 전용이용시설의 설치는 공익성 측면에서 검토되어야 함

국내 방사선작업장의 문제점 (종합)

22

Page 24: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NDT악순환의연계고리

NDTNDT악순환의악순환의

연계고리연계고리

업체간 경쟁구조

- 검사단가 저하

업체간 경쟁구조

- 검사단가 저하

첨단기술의 도입지연

- RT의존도 심화

첨단기술의 도입지연

- RT의존도 심화

작업환경의 열악

- 방사선안전성 저하

작업환경의 열악

- 방사선안전성 저하

경영수지 악화

- 투자의욕 저하

23

문제점 : 다양한 원인이 상호복합적으로 연계

Page 25: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NDT검사방법별 매출 현황(2008년)

비중(%)

구분

19.35.513.413.124.224.5

기타ECT/LTPTMTUTRT

수주단가보다는 검사업무량의 증가로 꾸준히 증가수주단가보다는 검사업무량의 증가로 꾸준히 증가

‘05년

(125,000)

연도별연도별연도별연도별 NDTNDTNDTNDT매출현황매출현황매출현황매출현황((((백만엔백만엔백만엔백만엔))))

‘06년

(140,000)

‘07년

(160,000)

24

참고 : 일본 비파괴검사의 현황-1

※ RT가 저조 원인 : 규제강도↑(26Ci이상 사용시 안전설비 설치 및 활용 의무화 등)

Page 26: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기업현황기업현황일본 비파괴검사공업회 가맹기업 : 120개사(실제는 수백개)

=> 종업원 수 8,530명 (기술자격자 14,545명 : 협회 통계)

전체개황전체개황

� 비파괴검사㈜의 매출액 25,500백만엔(시장점유율 12.8%)

� 상위기업의 위치는 수년간 불변이고 더욱더 실정을 독파

� 대기업 외에는 수억엔 이하의 소규모 기업이 다수 존재

장래전망장래전망

1.석유플랜트 시장의 견실한 수요 -> 성장의 요인

2. 사용자 편의 -> UT점유율 증가 전망 -> 결국 50%를 초과할 것

3. 높은 검사 정밀도 요구 -> 디지털화, 고속화

25

참고 : 일본 비파괴검사의 현황-2

Page 27: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개선과제개선과제� 시대적시대적 요구에요구에 부응하는부응하는 업계업계 스스로의스스로의 개혁이나개혁이나 개선개선

참여업체의 기업 간 M&A 등

일본의일본의 기업동향기업동향 ((국내와도국내와도 비슷비슷?)?)

수년간 경기 전체의 호조에 비해 큰 신장은 보이지 않고 있음

일부 경쟁 상태에서 가격저하 경향도 발견 -> 구조적 특징에 의한 시장확대의 족쇄

플랜트 분야의 안정적 증가 및 설비 갱신이나 경년 열화검사 등의 수요 증가

노동조건에 의한 젊은 일손의 부족 : 기술자격의 취득을 위해서 더욱 필요

26

참고 : 일본 비파괴검사의 현황-3

Page 28: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주주요요시시책책

� 열화요인의열화요인의 규명규명

�� 장기간장기간 축적보유하고축적보유하고 있는있는 기술과기술과 노하우노하우

�� 삼차원삼차원 계측기술의계측기술의 도입도입

�� 검사요원에검사요원에 대한대한 높은높은 수준의수준의 계속적인계속적인 연수연수, , 교육교육 실시실시

�� 검사뿐만검사뿐만 아니라아니라 사후사후 서비스나서비스나 상담까지상담까지 완결형완결형 업무전개업무전개

∴ 결국 고객과의 장시간 거래에 의한 독자 검사방법이나

이를 위한 주변기기의 충실을 기하는 개발이 차별화 포인트

발전을발전을 위한위한 기업간기업간 차별화차별화 대책대책

기업기업기업기업 브랜드브랜드브랜드브랜드의의의의 어필과어필과어필과어필과 자부자부자부자부

자동화자동화자동화자동화, , , , 온라인화온라인화온라인화온라인화 대응대응대응대응

복잡복잡복잡복잡한한한한 고도고도고도고도의의의의 사용자사용자사용자사용자 요구요구요구요구에의에의에의에의 대응대응대응대응

복합재료복합재료복합재료복합재료에의에의에의에의 대응대응대응대응

27

참고 : 일본 비파괴검사의 현황-4

Page 29: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 RT를 대체하는 첨단 UT장비(TOFD) 활용 추진

� 첨단기술 도입을 위한 규격화 작업 추진 필요

� 발주자가 방사선안전 관련 사항을 잘 알지 못함(교육)

� 산업안전보건법과 연계하여 현장안전관리 통합 검토

� NDT 인력의 전문화, 고급화(신뢰성) 필요

� 국가기술자격의 ISO상호인증 제도의 도입(추진 중)

� 업체난립, 검사 수임료 하락 방지 및 재하청 금지 등

� 첨단 검사기술 및 장비도입, 활용을 위한 지원책 마련

안전안전

NDT기술

NDT기술

NDT인력

NDT인력

정부역할

정부역할

국내 방사선작업의 개선방안-1

28

Page 30: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안전설비안전설비NDT 기술진흥법 제16조 (근로자의 안전 보호조치)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은 비파괴검사 시 발생하는 방사선으로 인한 위해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발주자에게 다음 각 호의 안전설비의 설치를 명할 수 있다.

1. 방사선 장해방지조치에 적합한 전용 이용시설

2. 방사선방호를 위해 설치하는 차폐시설 또는 차폐물

안전설비안전설비 설치대상설치대상 및및 기준기준 ((시행령시행령 제제1414조조))

방사선비파괴검사를 5년 이상 계속하여 이용하는 발주자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발주자의 사업장 (공장을 포함)

1. 「중소기업기본법」제3조의 규정에 따른 중소기업의 기준을 초과하는 발주자

2.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제5조의 규정에 따른 상시 근로자가 300인(=>100인) 이상인 발주자

설치설치 대상대상

1. 전용 이용시설 ; 원자력법 시행령」제2조제5항의 규정에 따른 선량한도에 적합한 상시 고정 시설

2. 차폐시설 또는 차폐물 ;

사업장 내에서 일정한 기간 동안 한시적으로 설치한 차단벽차단벽차단벽차단벽 등등등등 임시 간이시설로써 방사선 방호의

기능을 갖춘 시설

설치설치 기준기준

국내 방사선작업의 개선방안-2

29

Page 31: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산업현장의 방사선 안전성 확보- 발주업체의 책임의식 + NDT업체의 규정 준수

산업현장의산업현장의 방사선방사선 안전성안전성 확보확보-- 발주업체의발주업체의 책임의식책임의식 + NDT+ NDT업체의업체의 규정규정 준수준수

NDT NDT NDT NDT 업체업체업체업체 ((((행위행위행위행위 주체주체주체주체))))

- 안전관리규정, 작업절차 준수

- 일반인 및 종사자 피폭방지

행위규제행위규제

제도개선제도개선

시설규제시설규제

구조개선구조개선

정부역할정부역할� 산업현장의 안전확보를 위한 규제정책 재검토 및 수정 필요

� 규제개혁 중점 ; NDT업체와 발주업체의 안전의 공동책임 부여 등

발주업체발주업체발주업체발주업체 ((((관리관리관리관리 주체주체주체주체))))

- 시설 확보 (안전설비, 작업공간)

- 작업조건 개선(별도의 작업공정)

상호상호 협조협조

국내 방사선작업의 개선방안-3

30

Page 32: 비파괴검사분야의 방사선안전현황 및 개선방안 · 비파괴검사 5,726 2.25 일반산업체 5,123 0.09 원자력발전소 14,118 1.15 교육기관 4,617 0.05 연구기관

감사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