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ur cases of rhabdomyosarcoma in the head and neckjournal.kisep.com/pdf/001/1998/0011998206.pdf ·...

5
1208 KISEP Case Reports Korean J Otolaryngol 1998;41( 9) :1208-1212 두경부 영역에 발생한 횡문근육종 4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하승룡·이봉재·박선태·김상윤 Four Cases of Rhabdomyosarcoma in the Head and Neck Seung Lyong Ha, MD, Bong-Jae Lee, MD, Seon Tae Park, MD and Sang Yoon Kim, MD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ABSTRACT Rhabdomyosarcoma is a highly aggressive malignant tumor with an incidence of 1/500,000 children per year. Head and neck is the most common site of the embryonal rhabdomyosarcoma. We experienced four cases of embryonal rhabdomyosarcoma, each case originating from temporalis muscle, nasal cavity, parapharynx and nasopharynx. The median age of four patients was 12.5 years old ( range, 3- 25 years) , and the male and female ratio was 22. Two patients were treated with operation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and irradiation. One patient was treated with induction chemotherapy before operation, and then received postoperative chemotherapy and irradiation. The remaining one patient was incidentally confirmed by excisional bi- opsy and treated with chemotherapy and irradiation.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24 months ( range, 656 months) . Three patients recovered completely with no further evidence of disease. One patient showed breast metastasis after 3 months later. ( Korean J Otolaryngol 1998 ; 41( 9) : 1208-1212) KEY WORDSRhabdomyosarcoma·Embryonal·Head and neck. 횡문근육종은 연부조직에 생기는 악성종양으로서 두경부 영역에선 주로 안와 및 비인강 내에 호발하나 그 외 다른 어떤 연부 조직에서도 생길 수 있다. 성장이 빠르고 침습성 이 강하여 골 침범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초기에 두개강내 로의 전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5 년 생존율이 5~21% 였으나 최근 항암약물요법의 발전 및 수술과 사선치료의 병행으로 60~80%까지 향상되었다. 1) 본 저자들은 서울중앙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지난 8년간 두경부 영역에 발생한 횡문근육종 환자 4례를 경험하였기 에 그 임상양상 및 수술적 소견, 치료 과정과 예후를 서로 비교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증 례 1: 25세 여자 환자로 내원 1개월전 시작된 우측 안구 동통 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임신 20주 상태였으며 2 주전부터는 우측의 시력저하 및 비폐색, 화농성 비루, 잦은 비출혈 등의 증상이 발현하였다. 내원 당시 우측 안구 돌출, 안와주위 부종 및 압통을 동반하고 있었고(Fig. 1), 상 내측 향으로 안구 운동의 장애도 있었다. 비강 검사상 우 측 비강에 색의 종물이 관찰되었고 자기공명영상 소견상 (Fig. 2) 이 종물은 우측 전두동, 상악동, 사골동 및 안와내 로 침범하고 있는 소견을 보였다. 조직 생검 결과 상형 횡 문근육종(embryonal rhabdomyosarcoma)으로 진단되었 으며, 전신 전산화 단층촬영 및 골격계 핵의학영상, 골수 생 검, 간 초음파 검사에선 특별한 전이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 다. 우측 비강에 발생한 상형 횡문근육종 진단하에 두개안 면 절개술 및 우측 안와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종물은 우측 비강내에서 시작되어 우측 전두동, 사골동, 상악동 및 안와 내로 침범하고 있었으며 우측 사상판 부위에서 두개저를 뚫 논문접수일:1998년 3월 16일 / 심사완료일:1998년 7월 9일 교신저자:김상윤, 138-040 서울 송파구 풍납동 388-1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2) 224-3715·전송:(02) 489-2773 E-mail:[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07-Sep-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Four Cases of Rhabdomyosarcoma in the Head and Neckjournal.kisep.com/pdf/001/1998/0011998206.pdf · 2000. 10. 19. · Rhabdomyosarcoma is a highly aggressive malignant tumor with

1208

KISEP Case Reports Korean J Otolaryngol 1998;;;;41((((9))))::::1208-1212

두경부 영역에 발생한 횡문근육종 4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하승룡·이봉재·박선태·김상윤

Four Cases of Rhabdomyosarcoma in the Head and Neck

Seung Lyong Ha, MD, Bong-Jae Lee, MD, Seon Tae Park, MD and Sang Yoon Kim, MD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ABSTRACT

Rhabdomyosarcoma is a highly aggressive malignant tumor with an incidence of 1/500,000 children per year. Head and neck is the most common site of the embryonal rhabdomyosarcoma. We experienced four cases of embryonal rhabdomyosarcoma, each case originating from temporalis muscle, nasal cavity, parapharynx and nasopharynx. The median age of four patients was 12.5 years old (range, 3-25 years), and the male and female ratio was 2:2. Two patients were treated with operation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and irradiation. One patient was treated with induction chemotherapy before operation, and then received postoperative chemotherapy and irradiation. The remaining one patient was incidentally confirmed by excisional bi-opsy and treated with chemotherapy and irradiation.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24 months (range, 6–56 months). Three patients recovered completely with no further evidence of disease. One patient showed breast metastasis after 3 months later. ((((Korean J Otolaryngol 1998;41((((9)))):1208-1212)))) KEY WORDS:Rhabdomyosarcoma·Embryonal·Head and neck.

서 론

횡문근육종은 연부조직에 생기는 악성종양으로서 두경부

영역에선 주로 안와 및 비인강 내에 호발하나 그 외 다른

어떤 연부 조직에서도 생길 수 있다. 성장이 빠르고 침습성

이 강하여 골 침범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초기에 두개강내

로의 전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5

년 생존율이 5~21% 였으나 최근 항암약물요법의 발전 및

수술과 방사선치료의 병행으로 60~80%까지 향상되었다.1)

본 저자들은 서울중앙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지난 8년간

두경부 영역에 발생한 횡문근육종 환자 4례를 경험하였기

에 그 임상양상 및 수술적 소견, 치료 과정과 예후를 서로

비교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증 례

증 례 1:

25세 여자 환자로 내원 1개월전 시작된 우측 안구 동통

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임신 20주 상태였으며 2

주전부터는 우측의 시력저하 및 비폐색, 화농성 비루, 잦은

비출혈 등의 증상이 발현하였다. 내원 당시 우측 안구 돌출,

안와주위 부종 및 압통을 동반하고 있었고(Fig. 1), 상방 및

내측 방향으로 안구 운동의 장애도 있었다. 비강 검사상 우

측 비강에 백색의 종물이 관찰되었고 자기공명영상 소견상

(Fig. 2) 이 종물은 우측 전두동, 상악동, 사골동 및 안와내

로 침범하고 있는 소견을 보였다. 조직 생검 결과 배상형 횡

문근육종(embryonal rhabdomyosarcoma)으로 진단되었

으며, 전신 전산화 단층촬영 및 골격계 핵의학영상, 골수 생

검, 간 초음파 검사에선 특별한 전이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

다. 우측 비강에 발생한 배상형 횡문근육종 진단하에 두개안

면 절개술 및 우측 안와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종물은 우측

비강내에서 시작되어 우측 전두동, 사골동, 상악동 및 안와

내로 침범하고 있었으며 우측 사상판 부위에서 두개저를 뚫

논문접수일:1998년 3월 16일 / 심사완료일:1998년 7월 9일

교신저자:김상윤, 138-040 서울 송파구 풍납동 388-1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2) 224-3715·전송:(02) 489-2773

E-mail:[email protected]

Page 2: Four Cases of Rhabdomyosarcoma in the Head and Neckjournal.kisep.com/pdf/001/1998/0011998206.pdf · 2000. 10. 19. · Rhabdomyosarcoma is a highly aggressive malignant tumor with

하승룡 외

1209

고 뇌경막과 유착을 보이고 있었다. 종물은 안와와 함께 제

거되었으며 사상판 부위의 유착된 뇌경막도 같이 제거하고

측두근막으로 결손 부위를 재건하였다. 술후 특별한 합병

증은 없었으며 수술 20일후에 인공 유산을 시행하고 항암

약물요법과 5060 cGy의 방사선치료를 병행하였다. VAC

(vincristine, actinomycin D, cyclophosphamide) 1주 사

용후 CyAD1C(cyclophosphamide, adriamycin, D1C)로

바꿔 4주 시행하였으나 백혈구 및 혈소판 저하 등의 합병증

이 심하고 환자가 거부하여 방사선치료만을 지속하였다. 술

후 3개월에 양측 유방에 다발성 종물이 만져져 시행한 조직

검사상 전이성 횡문근육종 소견을 보여 이후 보존적 항암약

물요법(CDDP+Ifosfamide 1주, High dose methotrexate

1주)을 시행하였다. 술후 6개월에 환자가 원하여 연고지 병

원으로 전원하였고 이후 추적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증 례 2:

14세 여자 환자로 내원 2개월전 발견된 우측 측두부 종

물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이 종물은 2개월사이에 크기가 6

cm 정도로 증가하였으며 통증은 없었으나 약간의 압통을

동반하였고 불규칙한 변연부를 가지고 있었으며 고정되어

있는 상태였다. 자기공명영상(Fig. 3) 소견상 우측 측두부

에 불규칙하게 조영되는 5.5 cm 크기의 종물이 관찰되었

고 골막의 침범이나 뇌 및 주변 조직으로의 전이는 관찰되

지 않았다. 생검절제술 결과 배상형 횡문근육종으로 확진

되었으며(Fig. 4) 골격계 핵의학 영상 및 간초음파 검사, 골

수 생검, 전신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상 특별한 전이 소견은 보

Fig. 3. MRI T1 enhanced view (A:axial view, B:coronal view). A diffuse enhancing mass is occupying at right temporal areaand is not invading to surrounding bony structure (Case 2).

Fig. 1. The patient is showing right exophthalmosis and perior-bital swelling (Case 1).

Fig. 2. In MRI T2 axial view, a high signal mass is observed atright nasal cavity, and invades to right orbit (Case 1).

AAAA BBBB

Page 3: Four Cases of Rhabdomyosarcoma in the Head and Neckjournal.kisep.com/pdf/001/1998/0011998206.pdf · 2000. 10. 19. · Rhabdomyosarcoma is a highly aggressive malignant tumor with

횡문근육종

Korean J Otolaryngol 1998;41(9):1208-1212 1210

이지 않았다. 우측 측두부의 배상형 횡문근육종 진단하에 종

물 전적출술과 이하선 전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안면신

경 측두분지의 마비가 발생하였으며 그외에 수술과 관계된

특별한 합병증은 없었다. 수술 후 4140 cGy의 방사선치료

및 항암약물요법 VAC를 50주 시행받았으며 17개월이 지

난 지금까지 재발의 증거는 없다.

증 례 3:

남자 8세 환자로 내원 2개월전 발견된 좌측 이하부 종

물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이 종물은 이후 점점 커지는 양상

을 보였으며 내원당시 비폐색을 호소하였다. 좌측 이하부의

종물은 4~5 cm 정도로 비교적 단단한 편이었으며 압통은

호소하지 않았다. 비강 검사상 별다른 이상 소견 보이지 않

았으나 구강내에서 좌측 인후의 후벽이 돌출되어 있는 소견

을 보였다. 자기공명영상 촬영 소견상(Fig. 5A) 좌측 부인

강에 8 cm 이상되는 불규칙한 경계를 가지는 종물이 관찰

되었고 이 종물은 경동맥초를 감싸고 있었다. 구강내로 시

행한 조직검사 소견상 배상형 횡문근육종의 진단되었고, 골

격계 핵의학영상 및 간초음파 검사, 골수 생검, 전신전산화

단층촬영상 특별한 전이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수술전 항암

약물요법(VAC)을 9주간 시행하였고 자기공명영상을 이용

한 추적 검사상에서(Fig. 5B) 종물이 크기가 5 cm 정도로

Fig. 5. MRI T2 axial view (Case 3). A:Pre-chemotherapy. A high signal and huge mass is occupying at left parapharyngeal area.It encircles the carotid sheath (arrow). B:Post-chemotherapy. The size of the mass is reduced and only in touch with the carotidsheath (arrow).

Fig. 4. Pathologic findings of embry-onal rhabdomyosarcoma. Small ro-und malignant cells and spindle type cell (arrow, resembles chabdomyo-blast) are observed (H-E stain, ×400) (Case 2).

AAAA BBBB

Page 4: Four Cases of Rhabdomyosarcoma in the Head and Neckjournal.kisep.com/pdf/001/1998/0011998206.pdf · 2000. 10. 19. · Rhabdomyosarcoma is a highly aggressive malignant tumor with

하승룡 외

1211

감소되어 경동맥초에서 분리된 것을 확인한 뒤에 좌측 이하

선 및 악하선 전절제술을 시행하고 하악골을 앞쪽으로 당

기면서 부인강 종물 전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에 특

별한 합병증은 보이지 않았고 4040 cGy의 방사선치료 및

항암약물요법으로 VAC를 50주 시행하였고 15개월이 지

난 지금까지 재발의 증거는 보이지 않고 있다.

증 례 4:

3세 남자 환자로 2개월전부터 시작된 비폐색을 주소로 내

원하였다. 내원 당시 화농성 비루를 함께 호소하였고 비강

검사상 양측 후비공을 막고있는 용종성 종물이 관찰되었다.

전신마취하에 비강 및 구강을 통해 종물을 가능한한 모두 제

거하였고 조직검사상에서 배상형 횡문근육종으로 진단되었

다. 수술후 시행한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상 비인두 후벽 부

위에 약간의 종물이 남아있는 것이 의심되었고 여러 검사

상 타장기의 전이는 없었다. 이후 항암약물요법 VAC 50주

및 5940 cGy의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았고 현재까지 재발

의 증거 없이 지내고 있다.

고 찰

횡문근육종은 연부조직에 생기는 다양한 병리조직학적 소

견을 갖는 미성숙된 악성종양으로 1854년 Weber에 의해 최

초로 보고되었다.1-3) 소아 50만명중 1명의 빈도로 주로 젊은

연령층에서 발생하며 호발 부위는 두경부(38%), 비뇨기계

(21%), 사지(18%) 순으로 두경부에서의 발생 부위는 안구,

비강, 부비동, 측두골 및 경부 등이다.4)5) 지금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이비인후과 영역의 횡문근육종은 모두 11례로서 중이

강및 유양동 부위가 4례,1)6-8) 협부가 2례,2)9) 그리고 경구

개,3) 부비동,10) 측두근,11) 후두,12) 비구순구13) 각 1례씩이다.

병리조직학적으로 종양 세포가 태생기의 횡문근 조직세

포(rhabdomyoblast)와 유사해 횡문근육종(rhabdomyos-

arcoma)이라 불리며 배상형(embryonal), 포도상형(bot-

ryoid), 포상형(alveolar) 및 다양형(pleomorphic)으로 분

류된다.14-16) 이중 배상형이 안면 및 두경부 영역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며 유아 및 소아에서 가장 흔하고 방사선 치료

와 항암약물요법에 잘 반응하여 예후도 좋은 편이다. 다양형

은 성인에 호발하고 방사선요법이나 항암약물요법에 잘 반

응하지 않는 편이며 포상형은 사춘기에 많이 발생하며 사지

및 두경부에 호발하고 방사선 치료와 항암약물요법에 잘 반

응하는 편이다.2)

Intergroup Rhabdomyosarcoma Study Group(IRSG)

에 따르면 횡문근육종은 전체 소아에서 발생하는 종양의

Table 1. The surgical-pathologic grouping system used in IRSG* trials Group Criteria

Ⅰ Localized disease, completely resected A. Confined to the organ or muscle of origin

B. Infiltration outside organ or muscle of origin;reg-ional lymph nodes not involve

Ⅱ Compromised or regional resection of three types, in-cluding:

A. Grossly resected tumors with microscopic residual

B. Regional disease, completely resected, in which ly-

nph nodes may be involved and/or extension oftumor into an adjacent organ may be present

C. Regional disease with involved lymph nodes, ma-

croscopically resected but with evidence of mic-roscopic residual

Ⅲ Incomplete resection or biopsy with macroscopic re-sidual disease

Ⅳ Distant metastases present at onset *IRSG:Intergroup rhabdomyosarcoma study group.

Table 2. Summary of four cases

Case 1 Case 2 Case 3 Case 4

Sex/age F/25 F/14 M/8 M/3 Chief complaint Periorbital swelling, right Temporal area mass, right Infraauricular mass, left Nasal obstruction Primary site Nasal cavity Temporalis m. Parapharynx Nasopharynx Operation Craniofacial resection Wide excision Wide excision Excisional biopsy Group* II II II III Type Embryonal Embryonal Embryonal Embryonal

ChemoTx VAC**, CyAD1C, CDDP+Ifosfamide VAC #50wks VAC #50wks VAC #50wks

RT 5060cGY 4140cGY 4040cGY 5940cGY F/U*** (months) 6 (F/U loss) 17 15 56 Metastasis +, breast - - - Alive ? + + +

*IRSG (Intergroup rhabdomyosarcoma studies group) grouping system **VAC:vincristine, actinomycin D, cyclophosphamide ***F/U:follow-up

Page 5: Four Cases of Rhabdomyosarcoma in the Head and Neckjournal.kisep.com/pdf/001/1998/0011998206.pdf · 2000. 10. 19. · Rhabdomyosarcoma is a highly aggressive malignant tumor with

횡문근육종

Korean J Otolaryngol 1998;41(9):1208-1212 1212

6%에 해당되며 두경부 영역에서의 횡문근육종은 전체 횡

문근육종의 37% 가량을 차지하며 대부분 배상형이라고 한

다. 반면 성인에서 발생하는 횡문근육종은 전체 연부조직 종

양의 10% 정도로 두경부 영역에 생기는 종양의 1% 미만

이며 다양형인 경우가 많다.17-19)

임상증상은 발생부위에 따라 다르나 두경부 영역에선 주

로 빠르게 성장하는 무통성의 종물에 의한 증상 -종물의 촉

진, 안구 돌출, 비페색, 호흡곤란-으로 나타나며 침습성이

강하여 초기에 중추신경계로 전이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경우 뇌신경마비, 뇌압상승 등이 초기에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은 주로 MRI, CT 등의 방사선학적 검사에 의존하며

반드시 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원격전이에 대한

검사로는 두개강을 포함한 전신 전산화 단층촬영 및 골수

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뼈에 대한 전이 여부도 전신 골격계

일반촬영 및 핵의학영상 등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치료로는 원발병소, 조직학적 분류, IRSG group(Table

1)에 따라 다르나 최근에는 대개 수술적 종양제거와 항암

약물요법, 방사선치료를 병행한다. 수술은 종양의 부위, 크

기 및 전파범위에 따라 결정하며 가능한 완전적출을 하여

야 하지만 두경부에 발생한 경우 완전 적출이 곤란하면 항

암약물요법과 방사선치료만을 사용하기도 한다.16) 방사선

치료는 근래 일반적으로 3세이하에서는 4000~4500 cGy

를 3세이상에서는 5000~6000 cGy를 5~6주에 걸쳐서

준다.17) 항암약물요법은 actinomycin-D, vincristine, do-

xorubicin, cyclophosphamide, bleomycin, adriamycin,

methotrexate, BCNU, cis-platinum, mitomycin-D, DIC,

5-FU 등이 사용되어 왔고 근래에는 VAC(vincristine, ac-

tinomycin-D, cyclophosphamide)가 가장 많이 쓰이며 권

장되고 있다.20)

예후는 1960년대까지 5년 생존율이 5~21%로 극히 불

량하였으나 최근 수술및 항암 약물요법, 방사선치료의 병행

으로 크게 향상되었다. IRSG에 따르면 3년간 재발 없이 생

존율은 Group I:82~83%, II:63~72%, III:54~61%,

IV:17~23%라 한다.1)

본 저자들이 진료한 4명의 환자는(Table 2) 내원 당시

3~25세, 평균 12.5세로 남자 2명, 여자 2명이며 모두 조

직학적으로 배상형으로서 IRSG 분류상 Group II가 3명,

Group III가 1명이었다. 2명의 환자에서 종물 전 적출술을

시행후 항암약물요법 및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으며 1명의

환자에선 항암약물요법후에 종물 전적출술을 시행하고 다

시 항암약물요법과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다. 다른 1명의

환자에선 부분적출술로 조직검사후 항암약물요법 및 방사

선치료를 시행했다. 평균 추적 관찰기간은 24개월(6~56개

월)로 현재 3명은 재발의 증거없이 생존해 있으나 1명의 환

자(25세, 증례 1)에서 수술후 3개월에 양측 유방 전이를 보

였고 현재 추적 관찰이 끊긴 상태이다.

중심 단어:횡문근육종·배상형·두경부.

REFERENCES

1) Lim DM, Oh SS, Kim GW, Doh NY. A case of rhabdomyosar-coma of the middle ear and mastoid with intracranial extension. Korean J Otolaryngol 1989;32:1164-70.

2) Kim YB, Park MS. A case of rhabdomyosarcoma of the cheek. Korean J Otolaryngol 1993;36:1065-70.

3) Song KJ, Lee HS, Chu KC. A case of rhabdomyosarcoma of the palate. Korean J Otolaryngol 1983;26:182-6.

4) Maurer HM. Rhabdomyosarcoma. Pediatr Ann 1979;8:35-48. 5) Maurer HM. Rhabdomyosarcoma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Curr Probl Cancer 1978;2:3-36. 6) Kim JH, Jun BD, Kim CS, Kim JY. A case of rhabdomyosa-

rcoma of the middle ear. Korean J Otolaryngol 1970;13:77-80. 7) Kim GW, Kim SK, Ra DJ, Yang HD, Lee DH, Lee YH. A case of

rhabdomyosarcoma of the middle ear. Korean J Otolaryngol 197 3;16:127-31.

8) Rhim K, Kim KS, Kang JW. Rhabdomyosarcoma of the middle ear. Korean J Otolaryngol 1976;19:43-51.

9) Wang CS, Sohn SK. A case of rhabdomyosarcoma of the left che-ek. Korean J Otolaryngol 1978;21:111-4.

10) Lim YK, Lee JC. A case of pleomorphic rhabdomyosarcoma of the left maxillary sinus. Korean J Otolaryngol 1981;24:699-703.

11) Moon IK, Pa가 HY, Kim KR, Lee HS, Ahn KS. Rhabdomyosa-rcoma of auricle and temporal muscle. Korean J Otolaryngol 198 4;27:408-14.

12) Kim SD, Kim SW, Lee SC, Kim HS, Lee YK. A case of rhabdo-myosarcoma of larynx. Korean J Otolaryngol 1981;24:426-31.

13) Kim CS, Kim CG, Moon IY. A case of rhabdomyosarcoma of the nasolabial fold. Korean J Otolaryngol 1969;12:31-6.

14) Mamalis N. Embryonal rhabdomyosarcoma of the orbit in a 35-year-old man. Ophthalmic Surg 1994;25:332-5.

15) Burrows NP, Ramavel RC, Grunt JW, Cormack GC, Pye RJ. Aur-icular embryonal rhabdomyosarcoma. Dermatology 1994;189:301-3.

16) Callender TA, Weber RS, Janjan N, Benjamin R, Zaher M, Wolf P, et al. Rhabdomyosarcoma of the nose and paranasal sinuses in adults and children.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5;112:252-7.

17) Feldman VA. Rhabdomyosarcoma of the head and neck. Laryng-oscope 1982;92:424-40.

18) Yoshihara T, Naeshima M, Ishii T. Embryonal rhabdomyosarcoma arising in the buccal mucosa: A case report with immunohistoc-hemical and electromicroscopic findings.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1994;28:247-55.

19) Lawrence W, Anderson JR, Gehan EA, Maurer H. Pretreatment TNM staging of childhood rhabdomyosarcoma: A report of the Intergroup Rhabdomyosarcoma Study Group. Cancer 1997;80:11 65-70.

20) Herowitz ME, Etcubanas E, Christensen M. Phase II testing of melphalan in children with newly diagnosed rhabdomyosarcoma: A model for anticancer drug development. J Clin Oncol 1988;6: 3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