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p 종돈 개량 시스템을 통한 한국 양돈산업의 생산성 향상 방안 · 2020. 7....

6
2020. 7월호 230 정책&진단 전문가진단 GSP 종돈 개량 시스템을 통한 한국 양돈산업의 생산성 향상 방안 1. 한국 양돈산업과 선진국과의 양돈 생산성 비교 2017년 기준 덴마크와 한국의 양돈 생산성을 비교해 보면, 번식형질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영국 BPEX(돈육생산관련단체) 발표 복당 총산자수는 덴마크 가 17.0두인 반면, (사)대한한돈협회 발표 2017년 전산기 록 농가의 평균은 12.2두, 덴마크와 한국의 실산자수 차 이는 16.1두와 10.91두, 복당 이유두수는 14.6두와 9.96 두, 모돈 두당 연간 이유두수(PSY)는 33.3두와 20.9두, 모돈 두당 연간 출하두수(MSY)는 31.3두와 17.8두로 한 국의 생산성은 덴마크의 60%로 약 15~20년간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특히 복당 산자수의 지난 과거 실적 기준 유전적 연간 산자수 개량 가능 두수는 0.2~0.3두이고, 모돈 두당 연간 출하두수(MSY)는 0.6~0.7두이지만 현재 한국의 연간 산 정 종 현 박사 (주)정피엔씨연구소 전무이사

Upload: others

Post on 23-Jan-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GSP 종돈 개량 시스템을 통한 한국 양돈산업의 생산성 향상 방안 · 2020. 7. 24. · GSP 참여 종돈장과 덴마크의 두록 산육 성적을 비교하면,

2020. 7월호230 2312020. 7월호

정책&진단

전문가진단

GSP 종돈 개량 시스템을 통한 한국 양돈산업의 생산성 향상 방안

1. 한국 양돈산업과 선진국과의 양돈 생산성 비교

2017년 기준 덴마크와 한국의 양돈 생산성을 비교해

보면, 번식형질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영국

BPEX(돈육생산관련단체) 발표 복당 총산자수는 덴마크

가 17.0두인 반면, (사)대한한돈협회 발표 2017년 전산기

록 농가의 평균은 12.2두, 덴마크와 한국의 실산자수 차

이는 16.1두와 10.91두, 복당 이유두수는 14.6두와 9.96

두, 모돈 두당 연간 이유두수(PSY)는 33.3두와 20.9두,

모돈 두당 연간 출하두수(MSY)는 31.3두와 17.8두로 한

국의 생산성은 덴마크의 60%로 약 15~20년간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특히 복당 산자수의 지난 과거 실적 기준 유전적 연간

산자수 개량 가능 두수는 0.2~0.3두이고, 모돈 두당 연간

출하두수(MSY)는 0.6~0.7두이지만 현재 한국의 연간 산

정 종 현 박사

(주)정피엔씨연구소 전무이사

Page 2: GSP 종돈 개량 시스템을 통한 한국 양돈산업의 생산성 향상 방안 · 2020. 7. 24. · GSP 참여 종돈장과 덴마크의 두록 산육 성적을 비교하면,

2020. 7월호230 2312020. 7월호

자수 개량은 0.1~0.2두, MSY 개량은 0.3~0.4두 수준에 그치고 있다. 실제 덴마크

의 연간 MSY 증가율은 1.41두였으나 한국은 0.6두 전후에 머물고 있어서 갈수록 격

차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표 1). 그러나 한돈팜스의 2017년 일반 농가 상위 10% 성

적을 보면, 복당 총산자수는 12.8두, 실산자수는 11.68두, 이유두수는 10.58두, PSY

는 24.7두, MSY는 22.2두로 평균 농가의 성적보다는 훨씬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

나, 덴마크의 평균성적과는 MSY 기준으로 역시 7.3년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2. 덴마크 종돈의 생산성

(1) 덴마크 종돈의 번식 생산성

덴마크 백색 순종돈의 총산자수를 보면, 랜드레이스는 17.0두, 요크셔는 17.9

두였고, 생후 5일령 산자수(LP5)는 랜드레이스는 13.4두, 요크셔는 15.25두였

다(2018년 기준). 주목할 만한 것은 연간 평균 성적의 초산 모돈 비율은 모두

63~73% 수준이었

다. 즉 GGP 모돈

은 초산 이후에는

GP 모돈으로 기능

을 하게 된다.

(2) 덴마크의 산육능력 생산성

덴마크 GGP 농장 검정의 품종별 산육 성적을 보면, 웅돈의 경우 두록은 일당증

체중(30~100kg)은 1,232g, 사료요구율은 2.3, 등지방 두께 7.3mm, 90kg 도달일

령은 123일이었다. 랜드레이스는 일당증체중(30~100kg)은 1,081g, 사료요구율은

(표 2) 덴마크의 품종별 복당 총산자수와 생후 5일 산자수(2018년)

품종 복당 총산자수 생후 5일 산자수(LP5) 초산돈 비율(%)

두록 9.5 - 73.3

랜드레이스 17.0 13.4 67.3

요크셔 17.9 15.25 63.8

(표 1) 덴마크와 한국의 생산성 차이(2017년)

산자수 형질 덴마크(A) 한국 평균(B) 한국 상위 10%(C) 연간 개량도※ A-B(년) A-C(년)

복당 총산자수 17.0 12.2 12.8 0.3 16.0 14.0

복당 실산자수 16.1 10.91 11.68 0.3 17.3 14.7

복당 이유두수 14.6 9.96 10.58 0.3 15.5 13.4

모돈 두당 연간 이유두수(PSY)

33.3 20.9 24.7 1.0 12.4 8.6

모돈 두당 연간출하두수(MSY)

31.3 17.8 22.21.25

(1.0~1.5)25.0 7.3

※ 연간 개량도는 국가적 개량시스템을 갖춘 덴마크의 실적임<자료 : 영국 BPEX, (사)대한한돈협회, 2019>.

Page 3: GSP 종돈 개량 시스템을 통한 한국 양돈산업의 생산성 향상 방안 · 2020. 7. 24. · GSP 참여 종돈장과 덴마크의 두록 산육 성적을 비교하면,

2020. 7월호232 2332020. 7월호

2.4, 등지방 두께는 8.0mm, 90kg 도달일령은 135일이었고, 요크셔의 일당증체중

(30~100kg)은 1,072g, 사료요구율은 2.48, 등지방 두께는 8.5mm, 90kg 도달일

령은 139일이었다.

3. 한국의 GSP 참여 종돈장의 생산성

(1) GSP 종돈의 최근 5년간(2015~2019년) 개량 속도와 2021년 성적 추정

2019년 기준 지난 5년간(2015~2019년)의 개량 속도를 보면, GSP 참여 종돈장

의 평균 백색 품종의 복당 총산자수는 랜드레이스가 1.03두로 연간 0.2두, 요크셔

가 1.56두로 연간 0.31두씩 개선되었고, GSP의 2019년 복당 총산자수는 랜드레이

스가 13.95두, 요크셔가 14.82두였다. 2021년 추정 복당 총산자수는 랜드레이스가

14.43두, 요크셔는 15.63두였다.

GSP 종돈장 두록의 산육성적을 보면, 2019년 기준 등지방 두께는 11.15mm였

고, 평균 90kg 도달일령은 132일이었다. 2021년 추정 등지방 두께는 10.20mm,

90kg 도달일령은 129.4일이었다.

(표 3) 덴마크 GGP 농장 품종별 웅돈의 산육 성적(2018년)

품종 두수일당증체중(g) 정육률

(%)사료요구율(검정기간)

등지방 두께(mm)

검정체중(kg)

90kg*도달일령0~30kg 30~100kg

두록 7,948 404 1,232 61.8 2.3 7.3 95.7 123일

랜드레이스 16,064 378 1,081 63.1 2.4 8 94.6 135일

요크셔 16,203 364 1,072 62.2 2.48 8.5 94.2 139일

* 90kg 도달일령은 일당증체중으로 추정

(표 4) GSP 참여 종돈장의 번식성적(백색계)-복당 총산자수(두)

품종2015년(A, 두)

2019(B, 두)

지난 5년간 개량량 2021년추정(두)B-A(두) 평균(두)

랜드레이스 12.92 13.95 1.031.295

14.43

요크셔 13.26 14.82 1.56 15.63

(표 5) GSP 참여 종돈장의 산육성적(두록)-등지방 두께, 90kg 도달일령

형질 2015년(A) 2019년(B)지난 5년간 개량량 2021년

추정B-A

등지방 두께 13.23mm 11.15mm -2.08mm 10.20mm

90kg 일령 138일 132일 -6일 129.4일

Page 4: GSP 종돈 개량 시스템을 통한 한국 양돈산업의 생산성 향상 방안 · 2020. 7. 24. · GSP 참여 종돈장과 덴마크의 두록 산육 성적을 비교하면,

2020. 7월호232 2332020. 7월호

4. 한국 GSP 종돈장과 덴마크와의

생산성적 비교

GSP 참여 종돈장의 2019년 성적과

덴마크와의 성적을 비교하면, 백색돈 번

식 성적의 경우 랜드레이스의 복당 총산

자수 차이는 3.05두, 복당 실산자수 차

이는 2.73두였다.

GSP 참여 종돈장과 덴마크의 두록

산육 성적을 비교하면, 등지방 두께는

GSP가 4.15mm 두꺼웠고, 90kg 도달

인 경우 9일이 늦었다.

5. GSP 통합 유전평가로 선발된 유전자 공유용 핵돈 웅돈 성적 비교

GSP 통합 유전평가로 지난해 3분기에 선발된 유전자 공유용 핵돈 웅돈의 성적

을 덴마크 AI센터용 웅돈과 능력을 비교했다. 덴마크 AI 웅돈 성적은 덴마크 GGP

농장의 농장 검정성적을 평균 수치(선발지수=100)로 가정하고, 통상 상위 5% 이내

의 성적으로 선발되는 AI 웅돈의 선발지수(요크셔는 129, 두록은 118)를 적용하여

추산했다. 한국의 GSP 공유 웅돈은 GSP 참여 종돈장의 유전능력을 통합 평가해

(표 6) GSP 참여 종돈장과 덴마크의 백색 품종 번식성적 비교

품종

덴마크(2018년) GSP(2019년) 덴마크-GSP 차이

복당총산자수

LP5복당

실산자수복당

총산자수복당

실산자수복당

총산자수복당

실산자수

랜드레이스 17.0 13.4 15.2 13.95 12.47 3.05 2.73

요크셔 17.9 15.25 16.6 14.28 12.95 3.62 3.65

주) 덴마크 연구 자료에 따라서 복당 실산자수는 (복당 총산자수-LP5)/2 수준으로 추정

(표 7) GSP 참여 종돈장과 덴마크 두록의 산육 성적 비교

형질 덴마크(2018년) GSP(2019년) 덴마크-GSP 차이

등지방 두께 7.3mm 11.15mm -4.15mm

90kg 도달일령 123일 132일 -9일

Page 5: GSP 종돈 개량 시스템을 통한 한국 양돈산업의 생산성 향상 방안 · 2020. 7. 24. · GSP 참여 종돈장과 덴마크의 두록 산육 성적을 비교하면,

2020. 7월호234 2352020. 7월호

그중 가장 우수한 웅돈 4두(요크셔 2두, 두록 2두)를 선발했다. 비교 결과 요크셔

의 복당 총산자수는 덴마크가 1.0~1.6두 많았으나 요크셔와 두록의 90kg 도달일

령은 덴마크와 GSP 공유 웅돈과의 차이가 없었다.

6. 한국 양돈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GSP 참여 종돈장의 전략

이론적으로 통계적 육종가 계산(BLLUP) 방식으로 연간 개량 가능한 복당 산

자수는 0.4두이다(Sorensen 등(2000)). 이것은 대규모 단일 종돈장 또는 국가

내에서의 선발과 교배를 실시했을 경우이지만, 아예 외부에서 우수한 유전자를

직접 도입하는 경우와 국가적 육종 피라미드 운용 방식의 개선 시에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실제 덴마크의 2012년 MSY는 21.2에 불과했다. 2017년까지 5년간 연간 MSY가

2.0두씩 증가했다. 이러한 생산성 향상은 유전적인 개량과 더불어 국가 육종 시스

템의 역할이 컸다. 덴마크는 2010년부터 GSP+GP+PS 통합분석 개시, 2013년부

터 유전체 육종가를 이용하면서 유전적 개량 속도가 빨라졌다.

PIC의 발표에 의하면, GGP-GP-PS 통합 유전능력평가 방식은 GGP만의 평가

방식보다 유전적 개량이 20~30% 빨라졌다고 했다. 더구나 통합 육종시스템을 이

용해 GGP의 최우수 품종을 GP와 PS에 직접 공급하면서 획기적인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진 것이다.

다행히 한국은 GSP 종돈 프로젝트로 국내 최우수 종돈장의 유전능력을 통합 평

가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사)대한한돈협회의

비육농장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GSP-GP-PS 통합 유전능력평가 시스템을 통한

최우수 종돈을 선발할 수 있게 되었다. GSP 종돈 통합 유전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한국 양돈산업의 생산성을 단기간에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은 다음과 같다.

(표 8) 덴마크의 AI 웅돈과 GSP 유전자 공유 웅돈의 성적 비교

품종덴마크(상위 5%)* 한국 GSP 선발 공유 웅돈

복당 총산자수 90kg 도달일령 복당 총산자수 90kg 도달일령

요크셔 19.0 119일18.0두(모)

121일17.4두(모)

두록 - 110일선발두록 1 106일

선발두록 2 117일

* 덴마크의 성적은 GGP 농장의 검정 성적을 AI 센터에서 사용중인 품종별 선발지수로 추정한 성적임.

Page 6: GSP 종돈 개량 시스템을 통한 한국 양돈산업의 생산성 향상 방안 · 2020. 7. 24. · GSP 참여 종돈장과 덴마크의 두록 산육 성적을 비교하면,

2020. 7월호234 2352020. 7월호

첫째, 최우수 유전자의 공유 시스템 확대

GSP 참여 종돈장의 혈연 연결도는 사실

상 완성되었으므로 참여 종돈장의 통합 유

전평가를 통해 선발된 최우수 종돈을 GSP

참여 종돈장은 물론, 네트워크 참여 농장,

국내 인공 수정센터에 공급함으로써 단시간

에 복당 산자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유전체 육종가 이용 선발(Genomic Selection) 확대

기존의 통계 육종가와 함께 유전체 육종가를 이용하면 개량 속도가 15% 이상 빨라

진다. 더구나 복당 산자수가 늘어나면서 치명적으로 자돈 생시체중이 줄어드는 것(1두

등, 두당 20 감소)을 유전체 육종가로, 오히려 산자수 증가와 함께 생시체중을 늘릴

수 있어서 빠른 시간에 MSY를 늘릴 수 있다.

셋째, GSP 참여 종돈장의 선발 강도를 높인다.

덴마크의 경우 랜드레이스와 요크셔는 1산차만 GGP로 사용하고, 두록 웅돈의 연

간 교체율을 높이고 있다는 것을 GSP 참여 농장은 참고할 만하다. 나아가서 GSP 참

여 종돈장을 PRRS 음성농장 외 PRRS 양성농장을 준참여 농장으로, 또 신규 참여 종

돈장까지 참여시킴으로써 유전적풀(Gene Pool) 확대를 통한 선발 강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GSP-GP-PS 통합 유전능력평가 시스템을 조속히 구축하고 적용

현재 GSP에서 2021년까지 구축하고자 하는 GSP-GP-PS 통합 유전능력 평가 시

스템을 (사)대한한돈협회와 공조하여 조기에 달성한다. 만일 이러한 전략을 수행하게

된다면 한국 양돈의 복당 이유두수는 연간 1.5~2.0두씩 개량할 수 있어서 GSP 종돈

장은 덴마크의 현재 성적을 3~4년 내에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서

한국 양돈장의 생산성도 6~7년 내에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보인다.

■ 참고문헌

(1) SEGES 2015-2019 DANISH PIG RESEARCH CENTER

(2) The ethical and welfare implications

of large ligger size in the domestic pig

2011(Rutherford, Kenneth Et.al.) 상기 원고에 대한 궁금한 사항은

글쓴이에게 문의바랍니다.

☎ 글쓴이 연락처 : 010-8704-2853

문의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