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between engineering ... · 1940년 당시 최신 공법을...

9
50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ol. 17, No. 2, pp. 50~58, March 2014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한경희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between Engineering Educ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TS) Kyong-Hee Han Engineering Education Innovation Center, Yonsei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reviews recently developed perspectives with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TS) and engineering education including engineering ethics and engineering design, focusing on defining why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between those two areas is required and how it can be realized. The disconnection between those areas is closely related to the chronic diseases that has brought the mono-disciplinary, segmented educational system of 20th century: fragmented perception of reality and gradual loss of academic influence. This study consists of two sections: the first section reviews new movements among STS, engineering ethics and engineering design; the second section analyses how their combination is developing and what significance it represents. Recently, some scholars attach more importance to scalable scholarship of STS, that is, strategic expansion of the range of STS. This kind of attempts is gradually producing satisfactory results as it is combined with innovative efforts arising from the field of engineering educ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at, when STS and engineering education are combined and interact more with each other, it will broaden our prospects about engineering and society; it will, particularly, contribute to enhance our engineering education. Keywords: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STS), Engineering Education,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Engineering Design, Engineering Ethics I. 서 1) 미국 워싱톤 주의 타코마 다리(Tacoma Narrows Bridge)1940년 당시 최신 공법을 이용하여 건설된 세계 제 3위의 장 경간(長徑間) 현수교 1) 이다. 하지만 이 교량은 초속 19미터 정 도의 바람에 흔들려 준공 4개월 만에 붕괴되었고 이로 인해 대 표적인 기술적 실패 사례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현수 Received 21 November, 2013; Revised 27 January, 2014 Accepted 11 February, 2014 † Corresponding Author: [email protected] 1) 현수교(懸垂橋, suspension bridge)란 자연스럽게 늘어뜨린 메인 케 이블과 그 케이블에 지지되는 행어로프에 교량 상판이 매달려 있 는 교량형식이며 케이블이 가진 허용 인장력을 모두 발휘할 수 있 으므로 재료의 효과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긴 교량에 유리한 교량 형식이다. 현수교는 다리의 무게를 다리 아래 기둥이 아닌 철 케이 블로 지탱하는 방식이므로 다리 중앙에 기둥이 없다. 이 때문에 다 리를 세우는 조건이 나쁠 때, 즉 해협 등 수심이 깊거나 바닥이 진 흙이어서 다리를 세우기 어려울 때, 지진의 위험이 있을 때 주로 사용한다. 우리나라에는 남해대교, 광안대교, 영종대교 등이 있다. 교는 내풍공학(wind dynamics)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2000610일 영국 런던에서는 밀레니엄을 기념하는 행사 로 엘리자베스 여왕이 참석한 가운데 밀레니엄 다리(Millenium Bridge) 개통식이 열리고 있었다. 이 때, 교량 설계를 담당했던 영국 최고의 건축가 포스터(Sir Norman Foster)는 자신의 설 계 개념에 대해 기본적으로 현수교이지만 거듭되는 시행착오 를 거쳐 이미 확립된 기술을 이용하여 가능한 한 얇고 독특한 모습의 교량을 템즈강에 가설하고자 했다(川田忠樹, 2004)” 고 설명했다. 하지만 행사를 마치고 사람들이 건너가기 시작하 자 다리가 심하게 흔들리기 시작했다. 결국 개통 삼일 만에 전 면 통행금지가 선언되었고 대대적인 보수보강을 마친 후에야 비로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지금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현수교의 발달사는 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공학의 관점에서 현수교의 발달 과정은 전형적인 기술 발전의 특성을 보여준다. 실험 정신이 강

Upload: others

Post on 25-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between Engineering ... · 1940년 당시 최신 공법을 이용하여 건설된 세계 제 3위의 장 ... 한 엔지니어의 열정과 끊임없는

50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Vol 17 No 2 pp 50~58 March 2014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한경희dagger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between Engineering Educ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TS)Kyong-Hee Handagger

Engineering Education Innovation Center Yonsei University

ABSTRACTThis study reviews recently developed perspectives with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TS) and engineering education

including engineering ethics and engineering design focusing on defining why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between those two areas is required and how it can be realized The disconnection between those areas is closely related to the chronic diseases that has brought the mono-disciplinary segmented educational system of 20th century fragmented perception of reality and gradual loss of academic influence This study consists of two sections the first section reviews new movements among STS engineering ethics and engineering design the second section analyses how their combination is developing and what significance it represents Recently some scholars attach more importance to scalable scholarship of STS that is strategic expansion of the range of STS This kind of attempts is gradually producing satisfactory results as it is combined with innovative efforts arising from the field of engineering educ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at when STS and engineering education are combined and interact more with each other it will broaden our prospects about engineering and society it will particularly contribute to enhance our engineering education

Keywords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STS) Engineering Education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Engineering Design Engineering Ethics

I 서 론1)

미국 워싱톤 주의 타코마 다리(Tacoma Narrows Bridge)는

1940년 당시 최신 공법을 이용하여 건설된 세계 제 3위의 장

경간(長徑間) 현수교1)이다 하지만 이 교량은 초속 19미터 정

도의 바람에 흔들려 준공 4개월 만에 붕괴되었고 이로 인해 대

표적인 기술적 실패 사례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현수

Received 21 November 2013 Revised 27 January 2014Accepted 11 February 2014dagger Corresponding Author khan01yonseiackr1) 현수교(懸垂橋 suspension bridge)란 자연스럽게 늘어뜨린 메인 케

이블과 그 케이블에 지지되는 행어로프에 교량 상판이 매달려 있는 교량형식이며 케이블이 가진 허용 인장력을 모두 발휘할 수 있으므로 재료의 효과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긴 교량에 유리한 교량형식이다 현수교는 다리의 무게를 다리 아래 기둥이 아닌 철 케이블로 지탱하는 방식이므로 다리 중앙에 기둥이 없다 이 때문에 다리를 세우는 조건이 나쁠 때 즉 해협 등 수심이 깊거나 바닥이 진흙이어서 다리를 세우기 어려울 때 지진의 위험이 있을 때 주로 사용한다 우리나라에는 남해대교 광안대교 영종대교 등이 있다

교는 내풍공학(wind dynamics)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2000년 6월 10일 영국 런던에서는 밀레니엄을 기념하는 행사

로 엘리자베스 여왕이 참석한 가운데 밀레니엄 다리(Millenium

Bridge) 개통식이 열리고 있었다 이 때 교량 설계를 담당했던

영국 최고의 건축가 포스터(Sir Norman Foster)는 자신의 설

계 개념에 대해 ldquo기본적으로 현수교이지만 거듭되는 시행착오

를 거쳐 이미 확립된 기술을 이용하여 가능한 한 얇고 독특한

모습의 교량을 템즈강에 가설하고자 했다(川田忠樹 2004)rdquo

고 설명했다 하지만 행사를 마치고 사람들이 건너가기 시작하

자 다리가 심하게 흔들리기 시작했다 결국 개통 삼일 만에 전

면 통행금지가 선언되었고 대대적인 보수보강을 마친 후에야

비로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지금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현수교의 발달사는 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공학의 관점에서 현수교의 발달

과정은 전형적인 기술 발전의 특성을 보여준다 실험 정신이 강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1

한 엔지니어의 열정과 끊임없는 도전 시행착오 이론과 실천의

결합 경제적 효율성의 추구 현장설계 등의 다양한 요소가 드

러난다 비록 실패는 있지만 그것은 대개 lsquo가치 있는 실패rsquo로 인

식된다 즉 공학설계에서 실패는 감수해야 할 통과의례이자 성

공의 어머니인 것이다

반면 공학윤리의 관점은 공학적 관점과 다소 차별화된다 전

문가로써의 책임과 의무를 중시하는 공학윤리는 윤리적 고려의

실패와 기술적 실패를 사실상 같은 맥락에서 이해하려는 경향

이 있다 개인 엔지니어의 의도나 가치관이 어떠했든지 결과적

으로 기술적 실패로 인해 공공의 안전이 위험에 빠지는 결과를

초래했다면 그것은 전문가로써 그 책임을 다하지 못한 것 즉

또 다른 공학적 실패로 해석된다(Florman 1987)

다른 한편 과학과 기술의 사회적 구성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과학기술학(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이하 STS로

표기)에도 현수교의 발달사나 기술의 실패 사례는 매우 흥미로

운 연구 대상이 된다(Kranakis 1997)

川田忠樹(2004)의 연구에 따르면 현수교의 발달과정에서

지속적인 관심사 중 하나는 경제성과 강성(stiffness)2)의 확보

라는 모순된 요구를 어떻게 기술적으로 수용할 것인가에 있었

다 현수교 건설의 이점은 경제적 효율성의 확보에 있었던 데

반해 강성은 지속적으로 현수교의 경제성과 안전성을 위협하

는 요인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수교에서 경제성과 강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려는 목적은 미국과 유럽에서 서로 다른 방식

으로 추진되었다고 한다 미국은 강재를 추가하여 교량의 중량

을 늘려 강성(혹은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했던 반면 유럽은 가

볍고 날렵하게 구조를 변경하는 방식의 설계를 선호했다

STS 연구자들은 이와 같은 사례에서 기술적 요인 외에 기술

설계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요

소들 예를 들면 가용 자원 정책 환경 이론과 기술설계의 전통

과 경험 등을 분석하는 데 관심을 둔다 일례로 Kranakis(1997)

는 19세기 프랑스와 미국의 구체적인 사회적 제도적 구조가

현수교와 관련된 지식 및 설계 제작 과정에 미친 영향을 분석

하였다

실제로 현대 사회가 다루는 기술 발전 혹은 기술 설계의 이

슈는 단순히 기술적 요인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와 연관된 사회

적 경제적 문화적 윤리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잘 이해할 필요

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의 공학교육은 기술적 역량뿐만

아니라 사회적 역량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관심을 집중하

고 있다 미국공학한림원에서 발간한 9851722020 엔지니어 교육

(Education the Engineer of 2020)985173에서도 ldquo공학교육기관은

2) 강성(剛性)이란 하중을 받는 구조물이나 부재가 변형에 저항하는 성질을 의미한다(토목용어사전 한국토목학회)

공학교육을 더욱 광범위한 시각에서 바라보고 공학교육에 인문

사회 교육을 포함시켜야 한다(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2009 송성수 2012)rdquo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197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발전해 온 STS의 이

론 및 경험 연구가 공학교육과 소통할 수 있는 흥미로운 개념

적 자원과 방법론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만약 STS

와 공학교육 사이에 학제적 협력이 가능하다면 이를 바탕으로

공학윤리 및 공학설계 등의 교육과정에 질적 발전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분야와 인문사회분야의 학제적 융합

을 통한 교육의 좋은 사례들을 만들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과 유럽의 공학교육에서 학제적 협력이 중요한 주

제로 등장하고 있고 구체적인 교육적 실험들이 다양하게 시도

되고 있다 특히 STS와 공학설계 공학윤리에서 모색되고 있

는 새로운 움직임들은 점점 복잡해지고 있는 기술과 사회의 상

호관계를 효과적으로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

는 다음의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공학설계 공학윤리교육 그리고 STS의 각 분야에

서 일어나고 있는 최근의 발전과 변화에 관해 검토하고 그 특

징을 이해하고자 한다 두 번째는 공학설계 공학윤리 등의 공

학교육에 STS 관점과 방법론이 도입될 때 그것이 기술적 요

인과 사회적 요인 등의 연관성을 다루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그것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공학교육 발전에 어떤 의

미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II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의 최근 동향

이 장은 공학설계 공학윤리 STS 각 영역이 발전해 온 과정

과 특징 그리고 최근의 동향을 검토한다

1 공학설계

설계는 공학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이다(Vincenti

1990) 공학교육의 발전과정과 그 구성요소를 들여다보면 엔

지니어들이 얼마나 설계를 중시해 왔는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과 유럽 등 많은 국가에서 실행

되고 있는 공학교육인증 기준은 일정한 설계 학점의 취득을 요

구한다 또한 보다 나은 설계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지

속적인 교육적 노력과 투자가 이루어진다 엔지니어들에게 설

계는 왜 이렇게 중요한 것일까

첫째 설계 개념의 도입은 근대 과학의 발전과정에서 공학을

과학으로부터 구별하여 독자적인 정체성을 확립하도록 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Vincetni 1990) 설계 개념을 통해 과학적

이론과 개념 외에도 경험과 노하우 시행착오를 통한 실제 현장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2

실무능력과 암묵적 지식의 획득을 공학의 중요한 특성으로 받

아들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과학과 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한 19

세기 초반까지도 과학 이론을 기초로 기술이 개발된 사례는 거

의 없었다 오히려 현수교 발전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기술을

개발하고 개선하는 과정에서 실용적인 개념과 방법론이 개발되

는 경우가 더 흔했다(홍성욱 1999) 연구실과 공장 현장이 혼

합된 현장설계 개념이 미국에서 큰 성공을 거둔 것도 이러한 맥

락에서다

둘째 엔지니어들은 설계 개념과 능력을 바탕으로 과학과 사

회 이론과 실천 노동과 자본을 매개하는 중간자로써의 위치를

점함으로써 전문가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었다 Gary Downey

(2009)의 경계위치(boundary location) Peter Whalley(1991)

의 중간적 위치(intermediary position) 중간집단(intermediate

associations) 등의 개념은 이러한 현대 엔지니어의 사회적 위

치를 잘 표현하고 있다 초기의 선구적 엔지니어들은 이와 같

은 자신들의 중간적 위치를 부각시키고 이를 활용하기 위해 노

력해 왔다(Reynolds 1991) 예를 들어 1880년부터 1945년까

지 미국에서 응용과학 분야가 구축된 과정을 조사한 Kline(1995)

은 당시 수많은 물리학자와 화학자 엔지니어 산업 연구자들

이 lsquo응용과학rsquo이라는 새로운 용어 아래 협력했는데 그 이유는

그들 각자의 사회적 지위와 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확보하는데

그것이 유리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

셋째 공학설계는 불가피하게 기술적 요소 뿐 아니라 기술 외

적 요소도 함께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데 바로 이 부분이 공학

전문성의 핵심을 구성한다 과학의 이념은 외부적 환경 변화에

얽매이거나 굴복하지 않고 보편적 진리를 찾는 것을 소명으로

여기지만 공학은 전통적으로 주어진 환경의 조건과 제약들 가

운데에서 주어진 목적 특히 고용주나 고객이 부여한 목적을 가

장 잘 구현할 수 있는 최선의 해답을 찾고자 노력해 왔다 이것

이야말로 설계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다 급속한 산업화 과정 속

에서 이러한 공학의 소명은 기술혁신을 통한 경제발전의 시대

를 만나 커다란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하지만 공학이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과 삶의 질 향상과 같은

중대한 이슈와 긴밀히 연관되며 발전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일

부에서는 여전히 공학의 역할을 기술 내적 요소에 한정 지으면

서 기술 외적 요소를 부차적인 것으로 여기거나 혹은 다른 학

문 분야에서 다루어야 할 것으로 인식하기도 했다 미국과 유

럽 등에서 20세기 후반에 전개된 공학교육개혁의 주요 목표는

이와 같은 통념에 도전하는 것이었다 공학설계의 목적과 과정

은 한 사회가 지닌 가치와 지향성 동원 가능한 자원과 시장 관

련된 제도적 환경 등과 영향을 주고받게 마련이다 이에 공학

설계는 다양한 기술 외적 요소를 반영하고 다룰 수 있는 실질

적인 방법론을 개발하여 사용해 왔다 최근 캡스톤 디자인 통

합설계 문제중심학습(PBL) 스튜디오 학습 등 다양한 방식의

설계 방법이 모색되고 있는 것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2 공학윤리

공학윤리의 발전을 촉진한 두 개의 모멘텀이 있다 첫 번째는

공학 내부의 관점으로 공학윤리를 공학 전문직의 발전을 위해

그리고 엔지니어의 사회적 역할과 위신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

로 활용하려는 것이다 두 번째는 공학의 사회적 영향력 증대에

따른 사회적 관심과 우려를 반영하여 공학의 사회적 책무를 강

조하려는 경향이다

먼저 공학계 내부에서 진행된 초기 관점에 대해 간략히 살펴

보겠다 민간엔지니어협회3)가 처음 설립된 것은 1771년 영국

이었지만 1800년대 중후반에 와서야 다수의 공학전문학회들이

설립되기 시작했다 이때까지도 공학윤리강령은 만들어지지 않

았지만 전문가들 사이의 유대와 고객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는

활동들은 존재했다(Cooke 1922) 하지만 20세기 초반에 들어

와 전문직으로써 공학의 지위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

면서 공학윤리강령이 제정되기 시작했다(Vesilind 1995) 공학

윤리강령의 제정은 전문직으로서의 의무와 책임을 강조함과 동

시에 엔지니어 리더십을 촉구하는 계기로 작동하였다 즉 사회

의 발전과 진보를 담당하는 전문가로써 엔지니어 집단의 위상

과 정당성을 강조하려는 것이었다

다른 한편 공학의 사회적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그에 대한

합리적 통제가 필요하다는 사회의 인식이 증대하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써 공학윤리가 발전되기 시작했다

공학은 본래 인간의 사용과 편익의 증진을 가장 중요한 목적

으로 삼는다 그런데 이것이 기업 간 경쟁 심화와 이윤의 극대

화라는 경제 논리와 결합되면서 그리고 국가의 정치적 목적에

연관되면서 의도와 무관하게 불특정 다수에게 큰 재앙을 가져

올 수도 있다는 자각이 2차 세계대전 이후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여 1947년에 ECPD (Engineers

Counci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4)는 공공의 안전과

안녕 복지를 최우선으로 삼아야 한다는 공학윤리강령의 기반

을 마련하게 된다(Micham 2009)

3) 영국의 John Smeaton은 군인이 아닌 민간인이라는 의미에서 스스로를 civil engineer로 불렀던 최초의 사람들 중 한 사람이며 1771년 Society for Civil Engineer를 설립했는데 이것은 나중에 ICE(Institute of Civil Engineer)로 발전되었다(Mitcham 2009)

4) 1980년에 ECPD는 미국공학기술인증위원회(ABET Accreditation Board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로 재조직되었다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3

구체적으로 공학윤리의 내용과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지기 시

작한 것은 미국공학기술인증위원회가 공학교육에 윤리를 도입

하기 시작한 1980년대 이후라고 볼 수 있다 1980년대에 이루

어진 연방정부의 지원 공학계와 철학계의 학제간 협력을 통해

출판된 공학윤리교재 및 관련 연구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널리 알려진 기술적 재난과 사고들로 인해 비로소 공학윤리 분

야에 질적인 변화가 가능해졌다

공학을 더 이상 고립된 기술의 영역이 아닌 사회와 산업과의

관계 속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때부터 공학윤리는

조직적 제도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전문성의 형성 직업

적 자율성 공공선의 추구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대

되었다(Martin amp Schinzinger 1983)

그렇지만 공학계와 철학계의 협력관계는 그리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 응용도덕철학을 공학적 실천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엔지니어와 경

영자 사이의 이분법적 대립구도를 설정함으로써 내부고발과 같

은 파국적 결말을 유도하는 데 대한 불편함 윤리 이론을 실제

현실에 적용하는 어려움 엔지니어의 개인적 의사결정과정에만

초점을 맞추는 내부주의적이고 개인주의적인 경향 등으로 인해

과연 철학적 관점과 방법론이 공학적 실천 과정에 의미 있는 영

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들이 제기되었다 많은 공학교

육자들이 공학윤리의 중요성을 인정하게 되었지만 그럼에도 불

구하고 지나치게 추상적이거나 형식적인 혹은 현실로부터 괴

리된 전통 철학의 관점은 공학윤리 영역에서 극복되어야 할 과

제로 인식되었다(Herkert 2001) 1990년대 후반부터 다시 활

성화되기 시작한 공학윤리교육은 이러한 성찰을 기반으로 실질

적이면서 적용 가능성이 높은 교육방법론을 개발하는 데 주력

하고 있다

3 과학기술학(STS)

STS는 1970년대 중반 이후 근대 과학기술의 형성이 사회의

발전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한 철학 사회학 역사 인

류학 등의 학제적 연구 분야이다(Jasanoff et al 1995) STS

는 과학 기술과 사회에 대한 인식을 새로운 방식으로 전환시키

는데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받고 있으며 과학지식이나 기술적 인

공물의 구성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적 개념과 방법

론을 개발하고 활용해 왔다

하지만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STS 연구에 변화가 필요하

다는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Russell 1986 Williams amp

Edge 1991 Law 2004 Woolgar 2004) 왜냐하면 STS가

도덕적 상대주의의 태도를 취하면서 현실 문제와 직결된 규범적

이슈를 다루는데 소극적이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기존의 연구가 과학지식이나 기술이 개발되는 초기 단계

에 대한 분석에는 매우 뛰어났지만 이미 구축된 과학기술 영역

의 분석에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STS

가 기술결정론5)이나 전통적인 과학기술 관점의 오류를 효과적

으로 비판해 온 것은 사실이지만 그들 역시 과도한 사회적 결

정의 요소를 담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다

최근 STS는 이러한 비판을 수용하면서 과학 공학 분야와 소

통하고 이 분야의 실질적 이슈를 다룰 수 있도록 새로운 노력

을 기울이고 있다 일례로 기술철학 분야에서는 공학철학의 새

장을 열었고(2007년 네덜란드 델프트 대학의 워크숍6)) 버지

니어텍의 Gary Downey 교수를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의 연구

자들이 공학에 대한 학제적 접근을 통해 뛰어난 이론적 실천

적 연구성과를 보이고 있다

Downey(2009)는 STS 연구를 통해 개발된 개념과 방법론을

활용하여 그것이 공학교육과 연구에 연결되고 적용될 수 있도록

엔지니어들과 소통하고 구체적인 협력의 영역을 확대해 나갈 것

을 주장한다 STS를 기반으로 성장한 Engineering Studies의

관점과 방법론은 과학과 기술 사회의 연결고리에 대한 인식을

풍부할 뿐 아니라 실천적 함의를 지닌다는 점에서 유익하다(한

경희 2008) 이 분야의 연구는 공학과 엔지니어의 역사 산업현

장의 공학문화 공학교육 공학윤리 공학과 젠더 글로벌 엔지

니어 교육에 이르는 폭 넓은 영역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II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

STS와 공학교육의 접목이 시도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이 장

은 공학설계교육과 공학윤리 분야에서 진전되고 있는 변화와

여기에 STS가 기여할 수 있는 지점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1 STS 관점이 도입된 공학윤리교육의 특징

기존의 전통 철학은 대개 도덕적 딜레마의 상황에서 엔지니

어와 경영자 사이에 발생하는 갈등 그리고 윤리적 원리를 동원

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하지만 이것만

으로는 공학의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한편 STS는 공학 내부의 동학과 기술개발의 일상적 실천에

관심을 갖는다 이들이 볼 때 공학에 도입된 기존의 윤리적 관

5) 기술결정론이란 기술이 사회에 일방향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전제하며 기술의 발전과정 분석에 사회적 요소를 배제시키려는 경향을 의미한다

6) 델프트 대학 2007년 워크숍에서 발표된 논문을 기초로 2010년에는 Philosophy and Engineering (edited by Poel and Goldberg)이라는 책이 출판되었다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4

점은 기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복합적 요소를 보지 고

려하지 못하고 공학의 실제 현실을 제대로 다루지 못한다는 점

에서 문제가 있다(Poel amp Verbeek 2006 224)

예를 들어 1980년대의 공학윤리교재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내부고발 이슈에 대해 살펴보자 내부고발 이슈는 통상 비도덕

적인 고용주와 이들의 사리사욕에 맞서 싸우는 엔지니어의 희

생적 영웅주의를 대비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극단적인 상

황의 설정이 윤리적 판단의 중요성을 드러내는데 효과적인 것

은 사실이다 하지만 실제 현실에서는 이렇게 극단적 상황 보

다는 오히려 일상적인 상황에서 엔지니어가 어떻게 판단하고

행동해야 할지를 다루는 일이 더욱 중요하다 그렇지만 기존의

접근 방식은 이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노하우를 제시하지 못했

다 이 때문에 공대 학생들은 현실에서 만나게 되는 일상적인

직업적 갈등의 상황에서 어떻게 판단하고 행동해야 할지에 대

해 제대로 배우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Johnson and Wetmore

2004)

STS는 문제가 발생하는 그 핵심 과정 자체에 관심을 집중할

것을 촉구한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공학윤리의 관점은 공학

설계과정을 윤리의 적용 대상으로 여기지 않았다 왜냐하면 과

정에 집중하기 보다는 설계가 모두 완료된 이후의 갈등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왔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기술개발의 초기 단

계에서 발생하는 이슈들 즉 관련된 사회집단들의 이해관계가

어떻게 반영되는지 설계와 관련한 복잡한 요인들이 어떻게 조

정되고 협상되는지의 과정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STS

의 주장이다

이에 과학기술학의 관점이 도입된 공학윤리(STS informed

engineering ethics)는 공학설계의 내부 과정에 관심을 집중하

여 설계와 연관된 다양한 요인들을 구체화하고 설계자와 그를

둘러싼 사회적 제도적 환경 사이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도록

의미 있는 개념과 분석틀을 제공하고자 한다(Lynch and Kline

2000)

기존의 공학윤리에 STS 관점을 도입했을 때 나타날 수 있

는 효과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 STS 관점은 파국

적 상황의 윤리가 아닌 일상적 실천으로서의 윤리에 초점을 맞

추도록 한다 응용윤리에서 흔히 전제되었던 격한 상황 즉 고

독한 영웅주의와 비겁한 이기주의의 갈림길이라는 설정에서 관

심을 일상의 경험세계로 전환시키게 된다 일상의 경험세계에

서 엔지니어들이 수행하는 공학의 실제적인 과정들 즉 의사결

정과정과 사회적 관계들 업무 관행과 조직의 이슈들이 윤리의

영역으로 들어오게 된다 그 동안 많은 연구들을 통해 발전된

개념들 예를 들면 실패의 연쇄 고리(Chiles 2000) 구조적 비

밀 일탈의 정상화(Vaughan 1996) 등의 개념들은 공학의 일

상적 과정에서 발생되는 위험의 생산구조를 잘 분석하고 있다

챌린저호 사건을 세밀하게 분석한 본(Vaughan 1996)은 과거

에 행해진 공학적 의사결정과 크고 작은 관행들이 오히려 정직

하지 않은 경영자가 제기하는 위험 보다 더 치명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설득력 있게 보여주었다 초기의 선택이 그 이후의 선택

을 정당화하면서 누적된 변화들이 그렇지 않았다면 결코 수용될

수 없었을 기술적 판단을 lsquo수용할만한 위험(acceptable risk)rsquo

으로 간주하게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이다

둘째 공학 분야의 사고와 위험 재난을 개인적 차원에서 보

다는 조직적 관계적 차원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이끈다 즉 공

공의 이익을 위해 헌신할 준비와 실력 열정을 갖춘 엔지니어가

있을 때조차도 기술적 실패나 재난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효과적으로 드러내 준다 기술적 사고와 위험성 증대의 본질은

갈수록 증대되는 기술 시스템 자체의 복합성과 상호연관성 그

리고 기술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들 사이의 결합 과정에 존재하

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엔지니어들은 암묵적으로 기술적 요소에 대해서만

책임을 인정할 뿐 제도적 정치적 요소는 국가나 다른 전문가

집단에 속한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실제로 현장에

서 일하는 대부분의 엔지니어들은 계약의 조건을 협상하고 조

직을 관리하며 고객을 설득하고 상사에게 보고하며 시장의 움

직임과 사회적 반응을 예측하며 기술적 설계 요소를 조정해 왔

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공학윤리를 개별 엔지니어의 의사결정이나 그

것을 둘러싼 미시적 맥락에만 주목해서는 많은 한계가 있다

STS는 미시적 차원의 분석과 거시적 차원의 분석을 연계시키

는 풍부한 개념과 이론적 자원을 발전시켜 왔다 예를 들어 행

위자 연결망 이론(actor network theory)이나 사회기술 시스템

(socio-technical system) 개념에서 볼 수 있듯이 기술을 둘

러싼 사회적 실천과 사회적 관계 물질적 인공물 등이 하나의

분석틀 속에서 각기 생명력을 가진 구성요소로 다루어진다 단

순히 기술의 효과나 영향력만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의 설

계 생산 분배 마케팅과 같은 기술개발의 전 주기를 다루며 개

인의 행위와 제도 문화적 차원의 분석도 함께 수행한다

셋째 STS 관점은 공학적 과정 전체에 대한 이해를 높여 미

래의 공학설계에 대한 도덕적 상상력을 높이고 윤리적 민감성

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oeckelbergh

(2006)는 잘못된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는 엔지니어가 본래 악

한 의도를 지니고 있거나 혹은 의지력이 약해서라기보다는 오

히려 지나치게 협소한 시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

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만큼 미래의 기술과 공학의 발전 방향에

대한 엔지니어들의 예측과 상상력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Johnson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5

(1993)은 도덕적 사고가 근본적으로 상상하는 활동이라고 주장

한다 왜냐하면 특정한 상황에서 도덕적으로 적합한 것이 무엇

인지를 끊임없이 상상해야 하고 다른 사람의 경험을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무엇보다 가능한 모든

상황을 예측하도록 돕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개념을 따르게 되면 엔지니어가 갖추어야 할 도덕적 책

임감이란 단순히 기존의 해결방안 중 어느 하나를 단지 선택하

는 문제가 아니라 선택할 수 있는 범위를 상상하고 그러한 조건

을 만들어내는 적극적 의미로 변화된다 Mehalik and Gorman

(2000)이 주장한 적극적 윤리(positive ethics)도 이러한 차원

의 개념이다

지금까지 한국의 공학윤리 교육은 최근의 갈등하는 기술적

논쟁을 거의 다루지 않아왔다 그 이유는 사회적 갈등이 존재

하는 기술 이슈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불편하게 여기거나 혹은

그것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이론적 방법론적 관점과 도구를 충

분히 발전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최근의 사회

적 요구와 부합하지 않는다 지금의 공학교육은 변화를 요구하

고 있다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제적인 역량을 키울 수 있

도록 공학윤리교육의 대상 방법론 등을 변화시켜야 한다

STS 연구와의 학제적 협력이 이런 측면에서 유용할 수 있다

2 STS와 공학설계 분야 방법론의 협력 가능성

놀랍게도 공학설계방법론과 STS의 연구방법론은 매우 유사

한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이 유사성은 서로 다른 학문 영역에

있지만 이들이 서로 소통하고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가능성

을 보여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공학설계는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단순화하고 변형시켜 문제

를 해결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설계과정이 갖는 이러한 특성은

흥미롭게도 STS의 분석과정과 상당히 유사하다 STS에서 중

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행위자 연결망 이론 역시 기술적 인

공물의 안정화와 형식의 구축(예를 들어 전등이나 스마트폰의

보편화)이 이질적인 다양한 요소들로 하여금 기술을 둘러싼 연

결망 속으로 동화되고 서로 연관을 맺게 만드는 과정 속에 존

재하게 됨을 강조한다(Bruno Latour et al 2010)

공학설계와 STS 분석이 갖는 학문의 방법론적 유사성을 이

해하기 위한 예로써 자전거의 변천과정을 연구한 대표적인 두

연구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하나는 과학기술학자인 Pinch and

Bijker(1987)의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공학설계기법에서 자주

사용되는 TRIZ의 분석기법이다 자전거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Pinch and Bijker(1987)의 연구는 Fig 1에서와 같이 자전거

가 등장했던 초기에 이것과 관련된 상이한 사회 집단들의 기술

P 문제점 S 해결책 SG 사회 집단

Fig 1 Pinch and Bijkers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the bicycle

적 요구와 관점 동일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 사이의 대립 도

덕적 갈등 등을 분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자전거 모델이 등장하기까지 자

전거라는 인공물에 대해 어떤 사회적 집단들이 관련되었는지

이들이 자전거를 이해하는 관점 즉 해석적 유연성은 어떻게 존

재했는지 관련된 사회 집단이 요구한 기술적 문제는 무엇이었

고 이를 둘러싼 해결방안들은 서로 어떻게 갈등하고 해결되었

는지를 흥미롭게 분석했다 예를 들면 자전거를 스포츠용 경주

수단으로 생각한 젊은 남성 집단과 교통수단으로 바라 본 여성

집단 및 노인들이 자전거의 속도와 안전성의 문제를 어떻게 요

구했는지(바퀴 크기를 둘러싼 서로 다른 요구) 진동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해 공기타이어가 처음 개발되었을 때에는 전혀 주목

을 받지 못하다가 자전거의 속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인식되면

서 대중화된 과정 등을 상세히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과

논쟁이 종결되는 안정화 과정에 있어서 수사적 종결과 문제의

재정의와 같은 기술 외적 메커니즘이 작동했음을 보여주었다

이번에는 공학설계의 트리즈 기법에 의해 자전거 문제가 해

결되는 방식을 들여다보자 TRIZ는 러시아의 과학자이자 엔지

니어인 Genrich Altshuller가 개발한 창의적 문제해결이론으로

주로 발명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거나 창조적

설계를 위한 원리를 도출할 때 사용된다 트리즈의 핵심 개념은

모순과 자원이다

모순이란 어떤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발생하는 곤

란한 상황을 의미하는데 크게 기술적 모순과 물리적 모순으로

나누어진다 기술적 모순은 두 가지 상황이 존재할 때 한 가지

상황을 개선하려고 하면 다른 상황이 악화되는 경우이고 물리

적 모순은 두 가지의 상반되는 상황이 동시에 요구되는 경우이

다 트리즈에서는 해결하려는 문제에서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6

Fig 2 Improvement cycle of TRIZ 자료 Rantanen and Domb (2007114)

Table 1 Conceptual correspondence of EPOR amp TRIZ

EPOR TRIZ

관련된 사회 집단 harr 기술적 문제의 정의

기술적 요구간 갈등 harr 고유 모순

해결책 사이의 경쟁 harr 자원 동원

안정화를 통한 종결 harr 이상적 최종 결과

한 모순이 무엇인지를 발견하는 일이 중요하다 모순을 개선하

기 위해서는 주어진 자원을 활용해야 하는데 자원은 물질 환

경(시스템) 기능 시간 공간 정보의 여섯 가지로 나누어진다

자원을 활용하여 모순을 극복하고 이상적 최종 결과를 정형화

하게 된다 Altshuller는 모든 시스템의 발전이 그 이상성을 증

가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된다고 가정했다 이 때 이상성이란 원

래 시스템이 지닌 유용한 특성과 기능을 모두 지니면서도 해로

움과 비용이 최소화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트리즈 분석가들에 따르면 자전거의 속도를 증가시킬수록 바

퀴가 커져야 하는데 이것은 안전성의 문제를 악화시킨다 즉

자전거의 바퀴 문제는 자전거의 고유 모순으로 설정된다 이것

은 체인 장치가 도입됨에 따라 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속도 증

가로 인한 진동 문제가 주요한 모순으로 등장하는데 이것은

1845년 발명된 공기 타이어가 등장함에 따라 해결된다 모순

의 해결 과정은 자전거를 구성하고 있는 일부 요소를 변경하거

나 공간의 분리를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모색된다

Table 1은 STS와 공학설계 기법 사이의 주요 개념이 서로 대

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트리즈에 의한 문제해결 방식이 주요

모순의 정의와 극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이

고 가능한 자원들 속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며 심리적 타성

과 습관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설정한다는 점에서 STS 중 하나

인 Empirical Programme of Relativism (EPOR)에서 기술의

구성과정을 다루는 방식과 상당히 유사하다 트리즈 기법이 분

석한 자전거 바퀴나 진동의 이슈 역시 Pinch and Bijker(1987)

연구에서 지적된 가장 중요한 기술적 이슈였다 다만 EPOR은

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집단을 분석의 중심부에 위치시키는 반

면 트리즈는 기술 그 자체를 분석의 중심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행위자는 중립적 관찰자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리

즈가 다루는 대상을 기술에서 행위자와 제도 차원까지 확대시

키게 되면 STS 방법론과 매우 유사해진다

다음으로 우리는 설계과정에서 나타나는 단순화 과정과 이질

적 요소들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어떤 요소가 삭제되고 어떤

요소가 동원되고 있는지를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제품을 설계

하고 개발할 때 발생하는 lsquo단순화rsquo 과정은 불가피하게 특정 요

소의 부각이나 삭제와 같은 활동을 수반하곤 한다 공학설계의

다른 기법인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와 Axiom

Design에서도 이러한 특성이 잘 드러난다 QFD는 연구개발에

있어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최적의 설계를 위해 활용되는

기법이고 공리설계는 새로운 설계를 만들고 기존 설계를 진단

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과정으로 어떤 기술적 인공물에 대한 기

능적 요구와 이와 관련된 물리적 과정적 요인들을 매핑하여 문

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QFD와 공리설계에는 단순화 과정이

매우 중요한데 특히 제품설계를 둘러싼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들이 중요한 단순화의 대상이 된다(Suh 2002 Rantanen

and Domb 2007)

기술적 성공이나 실패가 어떤 특정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보

다는 다양한 범위의 이질적 요소들의 배치와 구성에 의해 좌우

된다고 본다는 점에서 공학설계와 STS의 견해 역시 유사하다

공학에서는 엔지니어의 기술적 전문성이 갖는 중요성과 역할에

관해 매우 명확한 의견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특정 개인의

기술 역량이 완벽하다고 해서 그의 설계가 모두 성공을 거둘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현대 사회에 들어와 개인이 단독으

로 수행하는 공학설계는 매우 드물기 때문이다 최근의 연구들

은 사회적 윤리적 요소 그리고 시스템 차원의 분석이 공학설

계에 도입되어야 할 이유를 여러 측면에서 강조하는 추세이다

종합해 보면 STS와 공학설계 모두 정답이 있는 문제 풀이가

아닌 개방형의 주관식 문제를 푼다는 점에서 유사하며 어떤 문

제를 풀 것인지의 구체화 과정을 중시한다는 점 역시 공통된다

즉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공학설계과정은 STS가

제기하는 기본 개념 및 방법론과 조화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지니고 있다

무엇보다 공학설계의 주요 과정에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

소가 어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lsquo일

상의 실천으로서의 윤리rsquo가 어떻게 개입될 수 있는지를 상상하

게 한다는 점에서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은 의미가 있

을 것이다 STS와 공학설계 사이의 접점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의 문제는 단순히 전문 지식들 사이의 학제적 결합을 어떻게 실

행할 것인지의 기계적 이슈가 아닌 서로 다른 학문 분야들 사

이의 소통을 어떻게 시작하고 진행할 것인가라는 21세기 학제

적 협력의 핵심 과제에 속한다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7

IV 결론 학제적 협력을 위한 실행 방안

STS와 공학교육의 영역들은 왜 소통해야 하고 어떻게 만날

수 있을까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작은

걸음에 속한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많은 엔지니어들이 자신들의 새로

운 사회적 역할과 리더십을 구축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과학기술-인문사회 분야와의 학제적 협력과 융합을 강화

해 공학의 지평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대의 엔지니

어들은 공학이 더 이상 사회로부터 분리된 채 다루어질 수 있는

협소한 기술 영역이 아님을 잘 인식하고 있다 과학적 기술의

도입 공학의 독자적 학문 영역을 구축하며 성장한 20세기의 공

학 전략은 이제 변화하고 있다

지금의 사회는 혼자만의 지식과 노하우에 기대는 전문가 보

다는 전문성에 바탕을 두되 사회와 소통하고 협력하는 전문가

를 요구한다 21세기 사회를 이끌 새로운 이념과 가치를 누가

어떤 집단이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런 면에서 공학교육과 STS의 만남은 지금까지 실행하

지 못했던 과학과 기술 사회의 상호짜임에 대한 새로운 상상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실천적 대안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어떻게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을 발전시킬

수 있을까

이를 위해서는 우선 연구부문에서의 협력이 진행될 필요가 있

다 왜냐하면 연구부문에서 학제적 협력의 성과가 많이 축적되

어야 이를 기반으로 교육 부문의 성과를 이끌 수 있고 무엇보

다 해당 분야에 지식과 노하우를 갖춘 교수자를 양성할 수 있

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공학소양교육과 공학설계교육 분야에서 STS 분

야의 성과를 접목시킨 교육과정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미 많은 공과대학에서 공학과 사회 공학윤리 공학과 문화 등

의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데 특히 이들 과목에 STS 공학학

연구의 성과가 접목된다면 이들 과목의 질적 발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송성수 2012) 또한 최근에는 적지 않은 공학설계

교과목들이 적정기술 이슈를 다루고 있다 적정기술 설계를 통

해 많은 학생들은 단순한 기술적 접근이나 혹은 수요자나 지역

적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설계가 얼마나 실패하기 쉬운지를 배

우고 있다 다양한 사회적 집단의 이해관심과 사회의 경제적 정

치적 문화적 환경이 어떻게 결합되어야 할지에 대한 관점과 방

법론의 학습은 기존의 공학설계교육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 것

이다

이같은 학제적 협력과 만남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 중

하나는 기술개발의 초기 단계에 집중함으로써 공학적 실천에서

기술적 요인과 기술 외적 요인의 연결과 조정 협상 과정을 세

밀하게 다루고 그것이 갖는 사회적 함의를 지속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영역은 모

두 개방형 문제의 정의와 해결에 능숙하기 때문에 새로운 사회

적 상상의 많은 가능성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공학

윤리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구체적인 공학의 과정 특히 기획으

로부터 사용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유연한 사고와 도덕적 상상

력을 키워 좋은 공학 바람직한 엔지니어에 대해 성찰하고 해

결책을 모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공학설계교육은 실제 문제해결의 최전선에 있는 엔지니어들

로 하여금 공학의 사회적 경제적 윤리적 영향을 이해하고 공

학 전문성의 영역을 소통과 토론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실

제적 기회를 갖게 할 것이다 STS 역시 공학의 전문 영역이 다

루어야 할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풍부하고 다양하게 다루며 사

회적 실험장 속에서 과학기술 발전의 방향성을 탐색하고 무엇

보다 STS의 실천적 힘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

이다 앞으로 이와 관련한 풍부한 경험 연구와 구체적인 대안

제시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1 송성수(2012) 통섭교육으로서 공학소양교육의 위상과 과제 공

학교육연구 15(1) 18-25

2 川田忠樹(2004) 근대 현수교의 역사 박수영 이명재 양민수

역 도서출판 과학기술

3 한경희(2008) 공학학의 등장과 그 의미 발전방향에 대한 탐색

담론201 11(1) 99-131

4 홍성욱(1999)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기술 문학과 지성사

5 Bruno Latour(2010) 인간 사물 동맹 이음

6 Coeckelbergh M(2006) Regulation or Responsibility

Autonomy Moral Imagination and Engineering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37-260

7 Cooke Morris Llewellyn(1922) Ethics and the Engineering

Profession Annals of the Association for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101 68-72

8 Downey Gary(2009) What is Engineering Studies For

Dominant Practices and Scalable Scholarship Engineering

Studies 1(1) 55-76

9 Downey Gary(2010) What is Global Engineering Education

For 공학교육 17(2) 16-18

10 Florman C S(1987) The Civilized Engineer St Martins

Press

11 Herkert Joseph R(2001) Future Directions in Engineering

Ethics Research Microethics Macroethics and the Role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8

of Professional Societies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7 403-414

12 Jasanoff S Markle G E Petersen J C amp Pinch T

(1995)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age Publications

13 Johnson D G amp Wetmore J M(2004) Engineering Ethics

Integrating STS and Practical Ethics Annual Meeting of

4S August

14 Kline R(1995) Construing Technology as Applied Science

Public Rhetoric of Scientists and Engineers in the United

States 1880-1945 ISIS 86 194-221

15 Kranakis E(1997) Constructing a Bridge An Exploration

of Engineering Culture Design and Research in Ninteenth

Century France and America The MIT Press

16 Law John(2004) Engineering Naturecultures A Note from

STS httpwwwlansacukfasssociologypaperslaw-ena

cting-natureculturespdf

17 Lynch W T amp Kline R(2000) Engineering Practice and

Engineering Ethics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25(2) 195-225

18 Martin Mike and Roland Schinzinger(1983) Ethics i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3rd ed 1996

19 Mehlik M M and Gorman M E(2006) A Framework

for Strategic Network Design Assessment Decision Making

and Moral Imagination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89-308

20 Mitcham Carl(2009) A Historio-ethical Perspective on

Engineering Education from Use and Convenience to Policy

Engagement Engineering Studies 1(1) 35-54

21 Nam Pyo Suh(2002) 공리적 설계(I) 차성운 박경진 역 동

명사

22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2005) Educating the

Engineer of 2020 Adapting Engineering Education to the

New Century [국역 주우석 외 옮김 2020 엔지니어교육

미래 공학교육에 대한 비전 시그마프레스 2009]

23 Pinch T F and Bijker W E(1987) The Social

Construction of Facts and Artifacts Or How the Sociology

of Science and the Sociology of Technology Might Benefit

Each Other W E Bijker and T P Hughes and T F

Pinch(ed)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ical

Systems The MIT Press

24 Poel I amp Verbeek P(2006) Ethics and Engineering Design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23~236

25 Poel I and Goldberg D E(eds) (2010) Philosophy and

Engineering An Emerging Agenda Springer

26 Rantanen K and Domb E(2007) 알기 쉬운 트리즈 창의

적 문제해결이론 김병재 박성균 역 도서출판 인터비젼

27 Reynolds T S(eds)(1991) The Engineer in America A

Historical Anthology from Technology and Culture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Russell S(1986) The Social Construction of Artefacts

a response to Pinch and Bijker Social Studies of Science

16 London SAGE

29 Vaughan D(1996) The Challenger Launch Decision Risky

Technology Culture and Deviance at NASA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Vesilind P Aarne(1995) Evolution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de of Ethics Journal of Professional

Issu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Practice 121 4-10

31 Vincenti W G(1990) What Engineers Know and How They

Know It Analytical Studies from Aeronautical History

Baltimore and London The Johns Hopkis University Press

32 Whalley P(1991) Negotiating the Boundaries of Engineering

Professionals managers and manual work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Organizations 8 191-215

33 Williams R amp Edge D(1991) ldquoThe Social Shaping of

Technology a review of UK research concepts findings

programmes and centersrdquo Edinburgh PICT Working Papers

34 Woolgar S(2004) What happened to Provo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History and Technology 20(4)

339-349

한경희(Kyong-Hee Han)

2000년 연세대 사회학과 박사학위 취득

2002년 UC Davis 박사 후 과정

2009년~2012년 한국공학교육학회 홍보이사 및 논문집

편집위원

2013년~현재 연세대 공과대학 공학교육혁신센터 조교수

관심분야 공학교육 공학과 엔지니어의 역사 공학윤리

Phone 02-2123-5733

Fax 02-2123-8641

E-mail khan01yonseiackr

Page 2: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between Engineering ... · 1940년 당시 최신 공법을 이용하여 건설된 세계 제 3위의 장 ... 한 엔지니어의 열정과 끊임없는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1

한 엔지니어의 열정과 끊임없는 도전 시행착오 이론과 실천의

결합 경제적 효율성의 추구 현장설계 등의 다양한 요소가 드

러난다 비록 실패는 있지만 그것은 대개 lsquo가치 있는 실패rsquo로 인

식된다 즉 공학설계에서 실패는 감수해야 할 통과의례이자 성

공의 어머니인 것이다

반면 공학윤리의 관점은 공학적 관점과 다소 차별화된다 전

문가로써의 책임과 의무를 중시하는 공학윤리는 윤리적 고려의

실패와 기술적 실패를 사실상 같은 맥락에서 이해하려는 경향

이 있다 개인 엔지니어의 의도나 가치관이 어떠했든지 결과적

으로 기술적 실패로 인해 공공의 안전이 위험에 빠지는 결과를

초래했다면 그것은 전문가로써 그 책임을 다하지 못한 것 즉

또 다른 공학적 실패로 해석된다(Florman 1987)

다른 한편 과학과 기술의 사회적 구성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과학기술학(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이하 STS로

표기)에도 현수교의 발달사나 기술의 실패 사례는 매우 흥미로

운 연구 대상이 된다(Kranakis 1997)

川田忠樹(2004)의 연구에 따르면 현수교의 발달과정에서

지속적인 관심사 중 하나는 경제성과 강성(stiffness)2)의 확보

라는 모순된 요구를 어떻게 기술적으로 수용할 것인가에 있었

다 현수교 건설의 이점은 경제적 효율성의 확보에 있었던 데

반해 강성은 지속적으로 현수교의 경제성과 안전성을 위협하

는 요인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수교에서 경제성과 강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려는 목적은 미국과 유럽에서 서로 다른 방식

으로 추진되었다고 한다 미국은 강재를 추가하여 교량의 중량

을 늘려 강성(혹은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했던 반면 유럽은 가

볍고 날렵하게 구조를 변경하는 방식의 설계를 선호했다

STS 연구자들은 이와 같은 사례에서 기술적 요인 외에 기술

설계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요

소들 예를 들면 가용 자원 정책 환경 이론과 기술설계의 전통

과 경험 등을 분석하는 데 관심을 둔다 일례로 Kranakis(1997)

는 19세기 프랑스와 미국의 구체적인 사회적 제도적 구조가

현수교와 관련된 지식 및 설계 제작 과정에 미친 영향을 분석

하였다

실제로 현대 사회가 다루는 기술 발전 혹은 기술 설계의 이

슈는 단순히 기술적 요인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와 연관된 사회

적 경제적 문화적 윤리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잘 이해할 필요

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의 공학교육은 기술적 역량뿐만

아니라 사회적 역량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관심을 집중하

고 있다 미국공학한림원에서 발간한 9851722020 엔지니어 교육

(Education the Engineer of 2020)985173에서도 ldquo공학교육기관은

2) 강성(剛性)이란 하중을 받는 구조물이나 부재가 변형에 저항하는 성질을 의미한다(토목용어사전 한국토목학회)

공학교육을 더욱 광범위한 시각에서 바라보고 공학교육에 인문

사회 교육을 포함시켜야 한다(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2009 송성수 2012)rdquo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197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발전해 온 STS의 이

론 및 경험 연구가 공학교육과 소통할 수 있는 흥미로운 개념

적 자원과 방법론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만약 STS

와 공학교육 사이에 학제적 협력이 가능하다면 이를 바탕으로

공학윤리 및 공학설계 등의 교육과정에 질적 발전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분야와 인문사회분야의 학제적 융합

을 통한 교육의 좋은 사례들을 만들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과 유럽의 공학교육에서 학제적 협력이 중요한 주

제로 등장하고 있고 구체적인 교육적 실험들이 다양하게 시도

되고 있다 특히 STS와 공학설계 공학윤리에서 모색되고 있

는 새로운 움직임들은 점점 복잡해지고 있는 기술과 사회의 상

호관계를 효과적으로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

는 다음의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공학설계 공학윤리교육 그리고 STS의 각 분야에

서 일어나고 있는 최근의 발전과 변화에 관해 검토하고 그 특

징을 이해하고자 한다 두 번째는 공학설계 공학윤리 등의 공

학교육에 STS 관점과 방법론이 도입될 때 그것이 기술적 요

인과 사회적 요인 등의 연관성을 다루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그것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공학교육 발전에 어떤 의

미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II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의 최근 동향

이 장은 공학설계 공학윤리 STS 각 영역이 발전해 온 과정

과 특징 그리고 최근의 동향을 검토한다

1 공학설계

설계는 공학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이다(Vincenti

1990) 공학교육의 발전과정과 그 구성요소를 들여다보면 엔

지니어들이 얼마나 설계를 중시해 왔는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과 유럽 등 많은 국가에서 실행

되고 있는 공학교육인증 기준은 일정한 설계 학점의 취득을 요

구한다 또한 보다 나은 설계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지

속적인 교육적 노력과 투자가 이루어진다 엔지니어들에게 설

계는 왜 이렇게 중요한 것일까

첫째 설계 개념의 도입은 근대 과학의 발전과정에서 공학을

과학으로부터 구별하여 독자적인 정체성을 확립하도록 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Vincetni 1990) 설계 개념을 통해 과학적

이론과 개념 외에도 경험과 노하우 시행착오를 통한 실제 현장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2

실무능력과 암묵적 지식의 획득을 공학의 중요한 특성으로 받

아들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과학과 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한 19

세기 초반까지도 과학 이론을 기초로 기술이 개발된 사례는 거

의 없었다 오히려 현수교 발전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기술을

개발하고 개선하는 과정에서 실용적인 개념과 방법론이 개발되

는 경우가 더 흔했다(홍성욱 1999) 연구실과 공장 현장이 혼

합된 현장설계 개념이 미국에서 큰 성공을 거둔 것도 이러한 맥

락에서다

둘째 엔지니어들은 설계 개념과 능력을 바탕으로 과학과 사

회 이론과 실천 노동과 자본을 매개하는 중간자로써의 위치를

점함으로써 전문가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었다 Gary Downey

(2009)의 경계위치(boundary location) Peter Whalley(1991)

의 중간적 위치(intermediary position) 중간집단(intermediate

associations) 등의 개념은 이러한 현대 엔지니어의 사회적 위

치를 잘 표현하고 있다 초기의 선구적 엔지니어들은 이와 같

은 자신들의 중간적 위치를 부각시키고 이를 활용하기 위해 노

력해 왔다(Reynolds 1991) 예를 들어 1880년부터 1945년까

지 미국에서 응용과학 분야가 구축된 과정을 조사한 Kline(1995)

은 당시 수많은 물리학자와 화학자 엔지니어 산업 연구자들

이 lsquo응용과학rsquo이라는 새로운 용어 아래 협력했는데 그 이유는

그들 각자의 사회적 지위와 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확보하는데

그것이 유리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

셋째 공학설계는 불가피하게 기술적 요소 뿐 아니라 기술 외

적 요소도 함께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데 바로 이 부분이 공학

전문성의 핵심을 구성한다 과학의 이념은 외부적 환경 변화에

얽매이거나 굴복하지 않고 보편적 진리를 찾는 것을 소명으로

여기지만 공학은 전통적으로 주어진 환경의 조건과 제약들 가

운데에서 주어진 목적 특히 고용주나 고객이 부여한 목적을 가

장 잘 구현할 수 있는 최선의 해답을 찾고자 노력해 왔다 이것

이야말로 설계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다 급속한 산업화 과정 속

에서 이러한 공학의 소명은 기술혁신을 통한 경제발전의 시대

를 만나 커다란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하지만 공학이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과 삶의 질 향상과 같은

중대한 이슈와 긴밀히 연관되며 발전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일

부에서는 여전히 공학의 역할을 기술 내적 요소에 한정 지으면

서 기술 외적 요소를 부차적인 것으로 여기거나 혹은 다른 학

문 분야에서 다루어야 할 것으로 인식하기도 했다 미국과 유

럽 등에서 20세기 후반에 전개된 공학교육개혁의 주요 목표는

이와 같은 통념에 도전하는 것이었다 공학설계의 목적과 과정

은 한 사회가 지닌 가치와 지향성 동원 가능한 자원과 시장 관

련된 제도적 환경 등과 영향을 주고받게 마련이다 이에 공학

설계는 다양한 기술 외적 요소를 반영하고 다룰 수 있는 실질

적인 방법론을 개발하여 사용해 왔다 최근 캡스톤 디자인 통

합설계 문제중심학습(PBL) 스튜디오 학습 등 다양한 방식의

설계 방법이 모색되고 있는 것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2 공학윤리

공학윤리의 발전을 촉진한 두 개의 모멘텀이 있다 첫 번째는

공학 내부의 관점으로 공학윤리를 공학 전문직의 발전을 위해

그리고 엔지니어의 사회적 역할과 위신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

로 활용하려는 것이다 두 번째는 공학의 사회적 영향력 증대에

따른 사회적 관심과 우려를 반영하여 공학의 사회적 책무를 강

조하려는 경향이다

먼저 공학계 내부에서 진행된 초기 관점에 대해 간략히 살펴

보겠다 민간엔지니어협회3)가 처음 설립된 것은 1771년 영국

이었지만 1800년대 중후반에 와서야 다수의 공학전문학회들이

설립되기 시작했다 이때까지도 공학윤리강령은 만들어지지 않

았지만 전문가들 사이의 유대와 고객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는

활동들은 존재했다(Cooke 1922) 하지만 20세기 초반에 들어

와 전문직으로써 공학의 지위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

면서 공학윤리강령이 제정되기 시작했다(Vesilind 1995) 공학

윤리강령의 제정은 전문직으로서의 의무와 책임을 강조함과 동

시에 엔지니어 리더십을 촉구하는 계기로 작동하였다 즉 사회

의 발전과 진보를 담당하는 전문가로써 엔지니어 집단의 위상

과 정당성을 강조하려는 것이었다

다른 한편 공학의 사회적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그에 대한

합리적 통제가 필요하다는 사회의 인식이 증대하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써 공학윤리가 발전되기 시작했다

공학은 본래 인간의 사용과 편익의 증진을 가장 중요한 목적

으로 삼는다 그런데 이것이 기업 간 경쟁 심화와 이윤의 극대

화라는 경제 논리와 결합되면서 그리고 국가의 정치적 목적에

연관되면서 의도와 무관하게 불특정 다수에게 큰 재앙을 가져

올 수도 있다는 자각이 2차 세계대전 이후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여 1947년에 ECPD (Engineers

Counci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4)는 공공의 안전과

안녕 복지를 최우선으로 삼아야 한다는 공학윤리강령의 기반

을 마련하게 된다(Micham 2009)

3) 영국의 John Smeaton은 군인이 아닌 민간인이라는 의미에서 스스로를 civil engineer로 불렀던 최초의 사람들 중 한 사람이며 1771년 Society for Civil Engineer를 설립했는데 이것은 나중에 ICE(Institute of Civil Engineer)로 발전되었다(Mitcham 2009)

4) 1980년에 ECPD는 미국공학기술인증위원회(ABET Accreditation Board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로 재조직되었다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3

구체적으로 공학윤리의 내용과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지기 시

작한 것은 미국공학기술인증위원회가 공학교육에 윤리를 도입

하기 시작한 1980년대 이후라고 볼 수 있다 1980년대에 이루

어진 연방정부의 지원 공학계와 철학계의 학제간 협력을 통해

출판된 공학윤리교재 및 관련 연구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널리 알려진 기술적 재난과 사고들로 인해 비로소 공학윤리 분

야에 질적인 변화가 가능해졌다

공학을 더 이상 고립된 기술의 영역이 아닌 사회와 산업과의

관계 속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때부터 공학윤리는

조직적 제도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전문성의 형성 직업

적 자율성 공공선의 추구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대

되었다(Martin amp Schinzinger 1983)

그렇지만 공학계와 철학계의 협력관계는 그리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 응용도덕철학을 공학적 실천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엔지니어와 경

영자 사이의 이분법적 대립구도를 설정함으로써 내부고발과 같

은 파국적 결말을 유도하는 데 대한 불편함 윤리 이론을 실제

현실에 적용하는 어려움 엔지니어의 개인적 의사결정과정에만

초점을 맞추는 내부주의적이고 개인주의적인 경향 등으로 인해

과연 철학적 관점과 방법론이 공학적 실천 과정에 의미 있는 영

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들이 제기되었다 많은 공학교

육자들이 공학윤리의 중요성을 인정하게 되었지만 그럼에도 불

구하고 지나치게 추상적이거나 형식적인 혹은 현실로부터 괴

리된 전통 철학의 관점은 공학윤리 영역에서 극복되어야 할 과

제로 인식되었다(Herkert 2001) 1990년대 후반부터 다시 활

성화되기 시작한 공학윤리교육은 이러한 성찰을 기반으로 실질

적이면서 적용 가능성이 높은 교육방법론을 개발하는 데 주력

하고 있다

3 과학기술학(STS)

STS는 1970년대 중반 이후 근대 과학기술의 형성이 사회의

발전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한 철학 사회학 역사 인

류학 등의 학제적 연구 분야이다(Jasanoff et al 1995) STS

는 과학 기술과 사회에 대한 인식을 새로운 방식으로 전환시키

는데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받고 있으며 과학지식이나 기술적 인

공물의 구성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적 개념과 방법

론을 개발하고 활용해 왔다

하지만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STS 연구에 변화가 필요하

다는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Russell 1986 Williams amp

Edge 1991 Law 2004 Woolgar 2004) 왜냐하면 STS가

도덕적 상대주의의 태도를 취하면서 현실 문제와 직결된 규범적

이슈를 다루는데 소극적이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기존의 연구가 과학지식이나 기술이 개발되는 초기 단계

에 대한 분석에는 매우 뛰어났지만 이미 구축된 과학기술 영역

의 분석에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STS

가 기술결정론5)이나 전통적인 과학기술 관점의 오류를 효과적

으로 비판해 온 것은 사실이지만 그들 역시 과도한 사회적 결

정의 요소를 담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다

최근 STS는 이러한 비판을 수용하면서 과학 공학 분야와 소

통하고 이 분야의 실질적 이슈를 다룰 수 있도록 새로운 노력

을 기울이고 있다 일례로 기술철학 분야에서는 공학철학의 새

장을 열었고(2007년 네덜란드 델프트 대학의 워크숍6)) 버지

니어텍의 Gary Downey 교수를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의 연구

자들이 공학에 대한 학제적 접근을 통해 뛰어난 이론적 실천

적 연구성과를 보이고 있다

Downey(2009)는 STS 연구를 통해 개발된 개념과 방법론을

활용하여 그것이 공학교육과 연구에 연결되고 적용될 수 있도록

엔지니어들과 소통하고 구체적인 협력의 영역을 확대해 나갈 것

을 주장한다 STS를 기반으로 성장한 Engineering Studies의

관점과 방법론은 과학과 기술 사회의 연결고리에 대한 인식을

풍부할 뿐 아니라 실천적 함의를 지닌다는 점에서 유익하다(한

경희 2008) 이 분야의 연구는 공학과 엔지니어의 역사 산업현

장의 공학문화 공학교육 공학윤리 공학과 젠더 글로벌 엔지

니어 교육에 이르는 폭 넓은 영역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II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

STS와 공학교육의 접목이 시도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이 장

은 공학설계교육과 공학윤리 분야에서 진전되고 있는 변화와

여기에 STS가 기여할 수 있는 지점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1 STS 관점이 도입된 공학윤리교육의 특징

기존의 전통 철학은 대개 도덕적 딜레마의 상황에서 엔지니

어와 경영자 사이에 발생하는 갈등 그리고 윤리적 원리를 동원

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하지만 이것만

으로는 공학의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한편 STS는 공학 내부의 동학과 기술개발의 일상적 실천에

관심을 갖는다 이들이 볼 때 공학에 도입된 기존의 윤리적 관

5) 기술결정론이란 기술이 사회에 일방향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전제하며 기술의 발전과정 분석에 사회적 요소를 배제시키려는 경향을 의미한다

6) 델프트 대학 2007년 워크숍에서 발표된 논문을 기초로 2010년에는 Philosophy and Engineering (edited by Poel and Goldberg)이라는 책이 출판되었다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4

점은 기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복합적 요소를 보지 고

려하지 못하고 공학의 실제 현실을 제대로 다루지 못한다는 점

에서 문제가 있다(Poel amp Verbeek 2006 224)

예를 들어 1980년대의 공학윤리교재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내부고발 이슈에 대해 살펴보자 내부고발 이슈는 통상 비도덕

적인 고용주와 이들의 사리사욕에 맞서 싸우는 엔지니어의 희

생적 영웅주의를 대비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극단적인 상

황의 설정이 윤리적 판단의 중요성을 드러내는데 효과적인 것

은 사실이다 하지만 실제 현실에서는 이렇게 극단적 상황 보

다는 오히려 일상적인 상황에서 엔지니어가 어떻게 판단하고

행동해야 할지를 다루는 일이 더욱 중요하다 그렇지만 기존의

접근 방식은 이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노하우를 제시하지 못했

다 이 때문에 공대 학생들은 현실에서 만나게 되는 일상적인

직업적 갈등의 상황에서 어떻게 판단하고 행동해야 할지에 대

해 제대로 배우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Johnson and Wetmore

2004)

STS는 문제가 발생하는 그 핵심 과정 자체에 관심을 집중할

것을 촉구한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공학윤리의 관점은 공학

설계과정을 윤리의 적용 대상으로 여기지 않았다 왜냐하면 과

정에 집중하기 보다는 설계가 모두 완료된 이후의 갈등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왔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기술개발의 초기 단

계에서 발생하는 이슈들 즉 관련된 사회집단들의 이해관계가

어떻게 반영되는지 설계와 관련한 복잡한 요인들이 어떻게 조

정되고 협상되는지의 과정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STS

의 주장이다

이에 과학기술학의 관점이 도입된 공학윤리(STS informed

engineering ethics)는 공학설계의 내부 과정에 관심을 집중하

여 설계와 연관된 다양한 요인들을 구체화하고 설계자와 그를

둘러싼 사회적 제도적 환경 사이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도록

의미 있는 개념과 분석틀을 제공하고자 한다(Lynch and Kline

2000)

기존의 공학윤리에 STS 관점을 도입했을 때 나타날 수 있

는 효과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 STS 관점은 파국

적 상황의 윤리가 아닌 일상적 실천으로서의 윤리에 초점을 맞

추도록 한다 응용윤리에서 흔히 전제되었던 격한 상황 즉 고

독한 영웅주의와 비겁한 이기주의의 갈림길이라는 설정에서 관

심을 일상의 경험세계로 전환시키게 된다 일상의 경험세계에

서 엔지니어들이 수행하는 공학의 실제적인 과정들 즉 의사결

정과정과 사회적 관계들 업무 관행과 조직의 이슈들이 윤리의

영역으로 들어오게 된다 그 동안 많은 연구들을 통해 발전된

개념들 예를 들면 실패의 연쇄 고리(Chiles 2000) 구조적 비

밀 일탈의 정상화(Vaughan 1996) 등의 개념들은 공학의 일

상적 과정에서 발생되는 위험의 생산구조를 잘 분석하고 있다

챌린저호 사건을 세밀하게 분석한 본(Vaughan 1996)은 과거

에 행해진 공학적 의사결정과 크고 작은 관행들이 오히려 정직

하지 않은 경영자가 제기하는 위험 보다 더 치명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설득력 있게 보여주었다 초기의 선택이 그 이후의 선택

을 정당화하면서 누적된 변화들이 그렇지 않았다면 결코 수용될

수 없었을 기술적 판단을 lsquo수용할만한 위험(acceptable risk)rsquo

으로 간주하게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이다

둘째 공학 분야의 사고와 위험 재난을 개인적 차원에서 보

다는 조직적 관계적 차원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이끈다 즉 공

공의 이익을 위해 헌신할 준비와 실력 열정을 갖춘 엔지니어가

있을 때조차도 기술적 실패나 재난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효과적으로 드러내 준다 기술적 사고와 위험성 증대의 본질은

갈수록 증대되는 기술 시스템 자체의 복합성과 상호연관성 그

리고 기술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들 사이의 결합 과정에 존재하

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엔지니어들은 암묵적으로 기술적 요소에 대해서만

책임을 인정할 뿐 제도적 정치적 요소는 국가나 다른 전문가

집단에 속한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실제로 현장에

서 일하는 대부분의 엔지니어들은 계약의 조건을 협상하고 조

직을 관리하며 고객을 설득하고 상사에게 보고하며 시장의 움

직임과 사회적 반응을 예측하며 기술적 설계 요소를 조정해 왔

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공학윤리를 개별 엔지니어의 의사결정이나 그

것을 둘러싼 미시적 맥락에만 주목해서는 많은 한계가 있다

STS는 미시적 차원의 분석과 거시적 차원의 분석을 연계시키

는 풍부한 개념과 이론적 자원을 발전시켜 왔다 예를 들어 행

위자 연결망 이론(actor network theory)이나 사회기술 시스템

(socio-technical system) 개념에서 볼 수 있듯이 기술을 둘

러싼 사회적 실천과 사회적 관계 물질적 인공물 등이 하나의

분석틀 속에서 각기 생명력을 가진 구성요소로 다루어진다 단

순히 기술의 효과나 영향력만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의 설

계 생산 분배 마케팅과 같은 기술개발의 전 주기를 다루며 개

인의 행위와 제도 문화적 차원의 분석도 함께 수행한다

셋째 STS 관점은 공학적 과정 전체에 대한 이해를 높여 미

래의 공학설계에 대한 도덕적 상상력을 높이고 윤리적 민감성

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oeckelbergh

(2006)는 잘못된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는 엔지니어가 본래 악

한 의도를 지니고 있거나 혹은 의지력이 약해서라기보다는 오

히려 지나치게 협소한 시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

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만큼 미래의 기술과 공학의 발전 방향에

대한 엔지니어들의 예측과 상상력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Johnson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5

(1993)은 도덕적 사고가 근본적으로 상상하는 활동이라고 주장

한다 왜냐하면 특정한 상황에서 도덕적으로 적합한 것이 무엇

인지를 끊임없이 상상해야 하고 다른 사람의 경험을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무엇보다 가능한 모든

상황을 예측하도록 돕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개념을 따르게 되면 엔지니어가 갖추어야 할 도덕적 책

임감이란 단순히 기존의 해결방안 중 어느 하나를 단지 선택하

는 문제가 아니라 선택할 수 있는 범위를 상상하고 그러한 조건

을 만들어내는 적극적 의미로 변화된다 Mehalik and Gorman

(2000)이 주장한 적극적 윤리(positive ethics)도 이러한 차원

의 개념이다

지금까지 한국의 공학윤리 교육은 최근의 갈등하는 기술적

논쟁을 거의 다루지 않아왔다 그 이유는 사회적 갈등이 존재

하는 기술 이슈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불편하게 여기거나 혹은

그것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이론적 방법론적 관점과 도구를 충

분히 발전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최근의 사회

적 요구와 부합하지 않는다 지금의 공학교육은 변화를 요구하

고 있다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제적인 역량을 키울 수 있

도록 공학윤리교육의 대상 방법론 등을 변화시켜야 한다

STS 연구와의 학제적 협력이 이런 측면에서 유용할 수 있다

2 STS와 공학설계 분야 방법론의 협력 가능성

놀랍게도 공학설계방법론과 STS의 연구방법론은 매우 유사

한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이 유사성은 서로 다른 학문 영역에

있지만 이들이 서로 소통하고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가능성

을 보여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공학설계는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단순화하고 변형시켜 문제

를 해결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설계과정이 갖는 이러한 특성은

흥미롭게도 STS의 분석과정과 상당히 유사하다 STS에서 중

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행위자 연결망 이론 역시 기술적 인

공물의 안정화와 형식의 구축(예를 들어 전등이나 스마트폰의

보편화)이 이질적인 다양한 요소들로 하여금 기술을 둘러싼 연

결망 속으로 동화되고 서로 연관을 맺게 만드는 과정 속에 존

재하게 됨을 강조한다(Bruno Latour et al 2010)

공학설계와 STS 분석이 갖는 학문의 방법론적 유사성을 이

해하기 위한 예로써 자전거의 변천과정을 연구한 대표적인 두

연구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하나는 과학기술학자인 Pinch and

Bijker(1987)의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공학설계기법에서 자주

사용되는 TRIZ의 분석기법이다 자전거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Pinch and Bijker(1987)의 연구는 Fig 1에서와 같이 자전거

가 등장했던 초기에 이것과 관련된 상이한 사회 집단들의 기술

P 문제점 S 해결책 SG 사회 집단

Fig 1 Pinch and Bijkers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the bicycle

적 요구와 관점 동일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 사이의 대립 도

덕적 갈등 등을 분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자전거 모델이 등장하기까지 자

전거라는 인공물에 대해 어떤 사회적 집단들이 관련되었는지

이들이 자전거를 이해하는 관점 즉 해석적 유연성은 어떻게 존

재했는지 관련된 사회 집단이 요구한 기술적 문제는 무엇이었

고 이를 둘러싼 해결방안들은 서로 어떻게 갈등하고 해결되었

는지를 흥미롭게 분석했다 예를 들면 자전거를 스포츠용 경주

수단으로 생각한 젊은 남성 집단과 교통수단으로 바라 본 여성

집단 및 노인들이 자전거의 속도와 안전성의 문제를 어떻게 요

구했는지(바퀴 크기를 둘러싼 서로 다른 요구) 진동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해 공기타이어가 처음 개발되었을 때에는 전혀 주목

을 받지 못하다가 자전거의 속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인식되면

서 대중화된 과정 등을 상세히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과

논쟁이 종결되는 안정화 과정에 있어서 수사적 종결과 문제의

재정의와 같은 기술 외적 메커니즘이 작동했음을 보여주었다

이번에는 공학설계의 트리즈 기법에 의해 자전거 문제가 해

결되는 방식을 들여다보자 TRIZ는 러시아의 과학자이자 엔지

니어인 Genrich Altshuller가 개발한 창의적 문제해결이론으로

주로 발명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거나 창조적

설계를 위한 원리를 도출할 때 사용된다 트리즈의 핵심 개념은

모순과 자원이다

모순이란 어떤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발생하는 곤

란한 상황을 의미하는데 크게 기술적 모순과 물리적 모순으로

나누어진다 기술적 모순은 두 가지 상황이 존재할 때 한 가지

상황을 개선하려고 하면 다른 상황이 악화되는 경우이고 물리

적 모순은 두 가지의 상반되는 상황이 동시에 요구되는 경우이

다 트리즈에서는 해결하려는 문제에서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6

Fig 2 Improvement cycle of TRIZ 자료 Rantanen and Domb (2007114)

Table 1 Conceptual correspondence of EPOR amp TRIZ

EPOR TRIZ

관련된 사회 집단 harr 기술적 문제의 정의

기술적 요구간 갈등 harr 고유 모순

해결책 사이의 경쟁 harr 자원 동원

안정화를 통한 종결 harr 이상적 최종 결과

한 모순이 무엇인지를 발견하는 일이 중요하다 모순을 개선하

기 위해서는 주어진 자원을 활용해야 하는데 자원은 물질 환

경(시스템) 기능 시간 공간 정보의 여섯 가지로 나누어진다

자원을 활용하여 모순을 극복하고 이상적 최종 결과를 정형화

하게 된다 Altshuller는 모든 시스템의 발전이 그 이상성을 증

가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된다고 가정했다 이 때 이상성이란 원

래 시스템이 지닌 유용한 특성과 기능을 모두 지니면서도 해로

움과 비용이 최소화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트리즈 분석가들에 따르면 자전거의 속도를 증가시킬수록 바

퀴가 커져야 하는데 이것은 안전성의 문제를 악화시킨다 즉

자전거의 바퀴 문제는 자전거의 고유 모순으로 설정된다 이것

은 체인 장치가 도입됨에 따라 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속도 증

가로 인한 진동 문제가 주요한 모순으로 등장하는데 이것은

1845년 발명된 공기 타이어가 등장함에 따라 해결된다 모순

의 해결 과정은 자전거를 구성하고 있는 일부 요소를 변경하거

나 공간의 분리를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모색된다

Table 1은 STS와 공학설계 기법 사이의 주요 개념이 서로 대

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트리즈에 의한 문제해결 방식이 주요

모순의 정의와 극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이

고 가능한 자원들 속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며 심리적 타성

과 습관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설정한다는 점에서 STS 중 하나

인 Empirical Programme of Relativism (EPOR)에서 기술의

구성과정을 다루는 방식과 상당히 유사하다 트리즈 기법이 분

석한 자전거 바퀴나 진동의 이슈 역시 Pinch and Bijker(1987)

연구에서 지적된 가장 중요한 기술적 이슈였다 다만 EPOR은

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집단을 분석의 중심부에 위치시키는 반

면 트리즈는 기술 그 자체를 분석의 중심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행위자는 중립적 관찰자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리

즈가 다루는 대상을 기술에서 행위자와 제도 차원까지 확대시

키게 되면 STS 방법론과 매우 유사해진다

다음으로 우리는 설계과정에서 나타나는 단순화 과정과 이질

적 요소들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어떤 요소가 삭제되고 어떤

요소가 동원되고 있는지를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제품을 설계

하고 개발할 때 발생하는 lsquo단순화rsquo 과정은 불가피하게 특정 요

소의 부각이나 삭제와 같은 활동을 수반하곤 한다 공학설계의

다른 기법인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와 Axiom

Design에서도 이러한 특성이 잘 드러난다 QFD는 연구개발에

있어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최적의 설계를 위해 활용되는

기법이고 공리설계는 새로운 설계를 만들고 기존 설계를 진단

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과정으로 어떤 기술적 인공물에 대한 기

능적 요구와 이와 관련된 물리적 과정적 요인들을 매핑하여 문

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QFD와 공리설계에는 단순화 과정이

매우 중요한데 특히 제품설계를 둘러싼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들이 중요한 단순화의 대상이 된다(Suh 2002 Rantanen

and Domb 2007)

기술적 성공이나 실패가 어떤 특정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보

다는 다양한 범위의 이질적 요소들의 배치와 구성에 의해 좌우

된다고 본다는 점에서 공학설계와 STS의 견해 역시 유사하다

공학에서는 엔지니어의 기술적 전문성이 갖는 중요성과 역할에

관해 매우 명확한 의견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특정 개인의

기술 역량이 완벽하다고 해서 그의 설계가 모두 성공을 거둘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현대 사회에 들어와 개인이 단독으

로 수행하는 공학설계는 매우 드물기 때문이다 최근의 연구들

은 사회적 윤리적 요소 그리고 시스템 차원의 분석이 공학설

계에 도입되어야 할 이유를 여러 측면에서 강조하는 추세이다

종합해 보면 STS와 공학설계 모두 정답이 있는 문제 풀이가

아닌 개방형의 주관식 문제를 푼다는 점에서 유사하며 어떤 문

제를 풀 것인지의 구체화 과정을 중시한다는 점 역시 공통된다

즉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공학설계과정은 STS가

제기하는 기본 개념 및 방법론과 조화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지니고 있다

무엇보다 공학설계의 주요 과정에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

소가 어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lsquo일

상의 실천으로서의 윤리rsquo가 어떻게 개입될 수 있는지를 상상하

게 한다는 점에서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은 의미가 있

을 것이다 STS와 공학설계 사이의 접점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의 문제는 단순히 전문 지식들 사이의 학제적 결합을 어떻게 실

행할 것인지의 기계적 이슈가 아닌 서로 다른 학문 분야들 사

이의 소통을 어떻게 시작하고 진행할 것인가라는 21세기 학제

적 협력의 핵심 과제에 속한다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7

IV 결론 학제적 협력을 위한 실행 방안

STS와 공학교육의 영역들은 왜 소통해야 하고 어떻게 만날

수 있을까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작은

걸음에 속한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많은 엔지니어들이 자신들의 새로

운 사회적 역할과 리더십을 구축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과학기술-인문사회 분야와의 학제적 협력과 융합을 강화

해 공학의 지평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대의 엔지니

어들은 공학이 더 이상 사회로부터 분리된 채 다루어질 수 있는

협소한 기술 영역이 아님을 잘 인식하고 있다 과학적 기술의

도입 공학의 독자적 학문 영역을 구축하며 성장한 20세기의 공

학 전략은 이제 변화하고 있다

지금의 사회는 혼자만의 지식과 노하우에 기대는 전문가 보

다는 전문성에 바탕을 두되 사회와 소통하고 협력하는 전문가

를 요구한다 21세기 사회를 이끌 새로운 이념과 가치를 누가

어떤 집단이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런 면에서 공학교육과 STS의 만남은 지금까지 실행하

지 못했던 과학과 기술 사회의 상호짜임에 대한 새로운 상상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실천적 대안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어떻게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을 발전시킬

수 있을까

이를 위해서는 우선 연구부문에서의 협력이 진행될 필요가 있

다 왜냐하면 연구부문에서 학제적 협력의 성과가 많이 축적되

어야 이를 기반으로 교육 부문의 성과를 이끌 수 있고 무엇보

다 해당 분야에 지식과 노하우를 갖춘 교수자를 양성할 수 있

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공학소양교육과 공학설계교육 분야에서 STS 분

야의 성과를 접목시킨 교육과정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미 많은 공과대학에서 공학과 사회 공학윤리 공학과 문화 등

의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데 특히 이들 과목에 STS 공학학

연구의 성과가 접목된다면 이들 과목의 질적 발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송성수 2012) 또한 최근에는 적지 않은 공학설계

교과목들이 적정기술 이슈를 다루고 있다 적정기술 설계를 통

해 많은 학생들은 단순한 기술적 접근이나 혹은 수요자나 지역

적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설계가 얼마나 실패하기 쉬운지를 배

우고 있다 다양한 사회적 집단의 이해관심과 사회의 경제적 정

치적 문화적 환경이 어떻게 결합되어야 할지에 대한 관점과 방

법론의 학습은 기존의 공학설계교육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 것

이다

이같은 학제적 협력과 만남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 중

하나는 기술개발의 초기 단계에 집중함으로써 공학적 실천에서

기술적 요인과 기술 외적 요인의 연결과 조정 협상 과정을 세

밀하게 다루고 그것이 갖는 사회적 함의를 지속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영역은 모

두 개방형 문제의 정의와 해결에 능숙하기 때문에 새로운 사회

적 상상의 많은 가능성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공학

윤리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구체적인 공학의 과정 특히 기획으

로부터 사용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유연한 사고와 도덕적 상상

력을 키워 좋은 공학 바람직한 엔지니어에 대해 성찰하고 해

결책을 모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공학설계교육은 실제 문제해결의 최전선에 있는 엔지니어들

로 하여금 공학의 사회적 경제적 윤리적 영향을 이해하고 공

학 전문성의 영역을 소통과 토론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실

제적 기회를 갖게 할 것이다 STS 역시 공학의 전문 영역이 다

루어야 할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풍부하고 다양하게 다루며 사

회적 실험장 속에서 과학기술 발전의 방향성을 탐색하고 무엇

보다 STS의 실천적 힘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

이다 앞으로 이와 관련한 풍부한 경험 연구와 구체적인 대안

제시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1 송성수(2012) 통섭교육으로서 공학소양교육의 위상과 과제 공

학교육연구 15(1) 18-25

2 川田忠樹(2004) 근대 현수교의 역사 박수영 이명재 양민수

역 도서출판 과학기술

3 한경희(2008) 공학학의 등장과 그 의미 발전방향에 대한 탐색

담론201 11(1) 99-131

4 홍성욱(1999)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기술 문학과 지성사

5 Bruno Latour(2010) 인간 사물 동맹 이음

6 Coeckelbergh M(2006) Regulation or Responsibility

Autonomy Moral Imagination and Engineering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37-260

7 Cooke Morris Llewellyn(1922) Ethics and the Engineering

Profession Annals of the Association for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101 68-72

8 Downey Gary(2009) What is Engineering Studies For

Dominant Practices and Scalable Scholarship Engineering

Studies 1(1) 55-76

9 Downey Gary(2010) What is Global Engineering Education

For 공학교육 17(2) 16-18

10 Florman C S(1987) The Civilized Engineer St Martins

Press

11 Herkert Joseph R(2001) Future Directions in Engineering

Ethics Research Microethics Macroethics and the Role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8

of Professional Societies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7 403-414

12 Jasanoff S Markle G E Petersen J C amp Pinch T

(1995)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age Publications

13 Johnson D G amp Wetmore J M(2004) Engineering Ethics

Integrating STS and Practical Ethics Annual Meeting of

4S August

14 Kline R(1995) Construing Technology as Applied Science

Public Rhetoric of Scientists and Engineers in the United

States 1880-1945 ISIS 86 194-221

15 Kranakis E(1997) Constructing a Bridge An Exploration

of Engineering Culture Design and Research in Ninteenth

Century France and America The MIT Press

16 Law John(2004) Engineering Naturecultures A Note from

STS httpwwwlansacukfasssociologypaperslaw-ena

cting-natureculturespdf

17 Lynch W T amp Kline R(2000) Engineering Practice and

Engineering Ethics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25(2) 195-225

18 Martin Mike and Roland Schinzinger(1983) Ethics i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3rd ed 1996

19 Mehlik M M and Gorman M E(2006) A Framework

for Strategic Network Design Assessment Decision Making

and Moral Imagination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89-308

20 Mitcham Carl(2009) A Historio-ethical Perspective on

Engineering Education from Use and Convenience to Policy

Engagement Engineering Studies 1(1) 35-54

21 Nam Pyo Suh(2002) 공리적 설계(I) 차성운 박경진 역 동

명사

22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2005) Educating the

Engineer of 2020 Adapting Engineering Education to the

New Century [국역 주우석 외 옮김 2020 엔지니어교육

미래 공학교육에 대한 비전 시그마프레스 2009]

23 Pinch T F and Bijker W E(1987) The Social

Construction of Facts and Artifacts Or How the Sociology

of Science and the Sociology of Technology Might Benefit

Each Other W E Bijker and T P Hughes and T F

Pinch(ed)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ical

Systems The MIT Press

24 Poel I amp Verbeek P(2006) Ethics and Engineering Design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23~236

25 Poel I and Goldberg D E(eds) (2010) Philosophy and

Engineering An Emerging Agenda Springer

26 Rantanen K and Domb E(2007) 알기 쉬운 트리즈 창의

적 문제해결이론 김병재 박성균 역 도서출판 인터비젼

27 Reynolds T S(eds)(1991) The Engineer in America A

Historical Anthology from Technology and Culture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Russell S(1986) The Social Construction of Artefacts

a response to Pinch and Bijker Social Studies of Science

16 London SAGE

29 Vaughan D(1996) The Challenger Launch Decision Risky

Technology Culture and Deviance at NASA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Vesilind P Aarne(1995) Evolution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de of Ethics Journal of Professional

Issu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Practice 121 4-10

31 Vincenti W G(1990) What Engineers Know and How They

Know It Analytical Studies from Aeronautical History

Baltimore and London The Johns Hopkis University Press

32 Whalley P(1991) Negotiating the Boundaries of Engineering

Professionals managers and manual work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Organizations 8 191-215

33 Williams R amp Edge D(1991) ldquoThe Social Shaping of

Technology a review of UK research concepts findings

programmes and centersrdquo Edinburgh PICT Working Papers

34 Woolgar S(2004) What happened to Provo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History and Technology 20(4)

339-349

한경희(Kyong-Hee Han)

2000년 연세대 사회학과 박사학위 취득

2002년 UC Davis 박사 후 과정

2009년~2012년 한국공학교육학회 홍보이사 및 논문집

편집위원

2013년~현재 연세대 공과대학 공학교육혁신센터 조교수

관심분야 공학교육 공학과 엔지니어의 역사 공학윤리

Phone 02-2123-5733

Fax 02-2123-8641

E-mail khan01yonseiackr

Page 3: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between Engineering ... · 1940년 당시 최신 공법을 이용하여 건설된 세계 제 3위의 장 ... 한 엔지니어의 열정과 끊임없는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2

실무능력과 암묵적 지식의 획득을 공학의 중요한 특성으로 받

아들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과학과 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한 19

세기 초반까지도 과학 이론을 기초로 기술이 개발된 사례는 거

의 없었다 오히려 현수교 발전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기술을

개발하고 개선하는 과정에서 실용적인 개념과 방법론이 개발되

는 경우가 더 흔했다(홍성욱 1999) 연구실과 공장 현장이 혼

합된 현장설계 개념이 미국에서 큰 성공을 거둔 것도 이러한 맥

락에서다

둘째 엔지니어들은 설계 개념과 능력을 바탕으로 과학과 사

회 이론과 실천 노동과 자본을 매개하는 중간자로써의 위치를

점함으로써 전문가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었다 Gary Downey

(2009)의 경계위치(boundary location) Peter Whalley(1991)

의 중간적 위치(intermediary position) 중간집단(intermediate

associations) 등의 개념은 이러한 현대 엔지니어의 사회적 위

치를 잘 표현하고 있다 초기의 선구적 엔지니어들은 이와 같

은 자신들의 중간적 위치를 부각시키고 이를 활용하기 위해 노

력해 왔다(Reynolds 1991) 예를 들어 1880년부터 1945년까

지 미국에서 응용과학 분야가 구축된 과정을 조사한 Kline(1995)

은 당시 수많은 물리학자와 화학자 엔지니어 산업 연구자들

이 lsquo응용과학rsquo이라는 새로운 용어 아래 협력했는데 그 이유는

그들 각자의 사회적 지위와 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확보하는데

그것이 유리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

셋째 공학설계는 불가피하게 기술적 요소 뿐 아니라 기술 외

적 요소도 함께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데 바로 이 부분이 공학

전문성의 핵심을 구성한다 과학의 이념은 외부적 환경 변화에

얽매이거나 굴복하지 않고 보편적 진리를 찾는 것을 소명으로

여기지만 공학은 전통적으로 주어진 환경의 조건과 제약들 가

운데에서 주어진 목적 특히 고용주나 고객이 부여한 목적을 가

장 잘 구현할 수 있는 최선의 해답을 찾고자 노력해 왔다 이것

이야말로 설계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다 급속한 산업화 과정 속

에서 이러한 공학의 소명은 기술혁신을 통한 경제발전의 시대

를 만나 커다란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하지만 공학이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과 삶의 질 향상과 같은

중대한 이슈와 긴밀히 연관되며 발전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일

부에서는 여전히 공학의 역할을 기술 내적 요소에 한정 지으면

서 기술 외적 요소를 부차적인 것으로 여기거나 혹은 다른 학

문 분야에서 다루어야 할 것으로 인식하기도 했다 미국과 유

럽 등에서 20세기 후반에 전개된 공학교육개혁의 주요 목표는

이와 같은 통념에 도전하는 것이었다 공학설계의 목적과 과정

은 한 사회가 지닌 가치와 지향성 동원 가능한 자원과 시장 관

련된 제도적 환경 등과 영향을 주고받게 마련이다 이에 공학

설계는 다양한 기술 외적 요소를 반영하고 다룰 수 있는 실질

적인 방법론을 개발하여 사용해 왔다 최근 캡스톤 디자인 통

합설계 문제중심학습(PBL) 스튜디오 학습 등 다양한 방식의

설계 방법이 모색되고 있는 것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2 공학윤리

공학윤리의 발전을 촉진한 두 개의 모멘텀이 있다 첫 번째는

공학 내부의 관점으로 공학윤리를 공학 전문직의 발전을 위해

그리고 엔지니어의 사회적 역할과 위신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

로 활용하려는 것이다 두 번째는 공학의 사회적 영향력 증대에

따른 사회적 관심과 우려를 반영하여 공학의 사회적 책무를 강

조하려는 경향이다

먼저 공학계 내부에서 진행된 초기 관점에 대해 간략히 살펴

보겠다 민간엔지니어협회3)가 처음 설립된 것은 1771년 영국

이었지만 1800년대 중후반에 와서야 다수의 공학전문학회들이

설립되기 시작했다 이때까지도 공학윤리강령은 만들어지지 않

았지만 전문가들 사이의 유대와 고객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는

활동들은 존재했다(Cooke 1922) 하지만 20세기 초반에 들어

와 전문직으로써 공학의 지위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

면서 공학윤리강령이 제정되기 시작했다(Vesilind 1995) 공학

윤리강령의 제정은 전문직으로서의 의무와 책임을 강조함과 동

시에 엔지니어 리더십을 촉구하는 계기로 작동하였다 즉 사회

의 발전과 진보를 담당하는 전문가로써 엔지니어 집단의 위상

과 정당성을 강조하려는 것이었다

다른 한편 공학의 사회적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그에 대한

합리적 통제가 필요하다는 사회의 인식이 증대하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써 공학윤리가 발전되기 시작했다

공학은 본래 인간의 사용과 편익의 증진을 가장 중요한 목적

으로 삼는다 그런데 이것이 기업 간 경쟁 심화와 이윤의 극대

화라는 경제 논리와 결합되면서 그리고 국가의 정치적 목적에

연관되면서 의도와 무관하게 불특정 다수에게 큰 재앙을 가져

올 수도 있다는 자각이 2차 세계대전 이후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여 1947년에 ECPD (Engineers

Counci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4)는 공공의 안전과

안녕 복지를 최우선으로 삼아야 한다는 공학윤리강령의 기반

을 마련하게 된다(Micham 2009)

3) 영국의 John Smeaton은 군인이 아닌 민간인이라는 의미에서 스스로를 civil engineer로 불렀던 최초의 사람들 중 한 사람이며 1771년 Society for Civil Engineer를 설립했는데 이것은 나중에 ICE(Institute of Civil Engineer)로 발전되었다(Mitcham 2009)

4) 1980년에 ECPD는 미국공학기술인증위원회(ABET Accreditation Board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로 재조직되었다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3

구체적으로 공학윤리의 내용과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지기 시

작한 것은 미국공학기술인증위원회가 공학교육에 윤리를 도입

하기 시작한 1980년대 이후라고 볼 수 있다 1980년대에 이루

어진 연방정부의 지원 공학계와 철학계의 학제간 협력을 통해

출판된 공학윤리교재 및 관련 연구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널리 알려진 기술적 재난과 사고들로 인해 비로소 공학윤리 분

야에 질적인 변화가 가능해졌다

공학을 더 이상 고립된 기술의 영역이 아닌 사회와 산업과의

관계 속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때부터 공학윤리는

조직적 제도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전문성의 형성 직업

적 자율성 공공선의 추구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대

되었다(Martin amp Schinzinger 1983)

그렇지만 공학계와 철학계의 협력관계는 그리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 응용도덕철학을 공학적 실천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엔지니어와 경

영자 사이의 이분법적 대립구도를 설정함으로써 내부고발과 같

은 파국적 결말을 유도하는 데 대한 불편함 윤리 이론을 실제

현실에 적용하는 어려움 엔지니어의 개인적 의사결정과정에만

초점을 맞추는 내부주의적이고 개인주의적인 경향 등으로 인해

과연 철학적 관점과 방법론이 공학적 실천 과정에 의미 있는 영

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들이 제기되었다 많은 공학교

육자들이 공학윤리의 중요성을 인정하게 되었지만 그럼에도 불

구하고 지나치게 추상적이거나 형식적인 혹은 현실로부터 괴

리된 전통 철학의 관점은 공학윤리 영역에서 극복되어야 할 과

제로 인식되었다(Herkert 2001) 1990년대 후반부터 다시 활

성화되기 시작한 공학윤리교육은 이러한 성찰을 기반으로 실질

적이면서 적용 가능성이 높은 교육방법론을 개발하는 데 주력

하고 있다

3 과학기술학(STS)

STS는 1970년대 중반 이후 근대 과학기술의 형성이 사회의

발전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한 철학 사회학 역사 인

류학 등의 학제적 연구 분야이다(Jasanoff et al 1995) STS

는 과학 기술과 사회에 대한 인식을 새로운 방식으로 전환시키

는데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받고 있으며 과학지식이나 기술적 인

공물의 구성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적 개념과 방법

론을 개발하고 활용해 왔다

하지만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STS 연구에 변화가 필요하

다는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Russell 1986 Williams amp

Edge 1991 Law 2004 Woolgar 2004) 왜냐하면 STS가

도덕적 상대주의의 태도를 취하면서 현실 문제와 직결된 규범적

이슈를 다루는데 소극적이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기존의 연구가 과학지식이나 기술이 개발되는 초기 단계

에 대한 분석에는 매우 뛰어났지만 이미 구축된 과학기술 영역

의 분석에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STS

가 기술결정론5)이나 전통적인 과학기술 관점의 오류를 효과적

으로 비판해 온 것은 사실이지만 그들 역시 과도한 사회적 결

정의 요소를 담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다

최근 STS는 이러한 비판을 수용하면서 과학 공학 분야와 소

통하고 이 분야의 실질적 이슈를 다룰 수 있도록 새로운 노력

을 기울이고 있다 일례로 기술철학 분야에서는 공학철학의 새

장을 열었고(2007년 네덜란드 델프트 대학의 워크숍6)) 버지

니어텍의 Gary Downey 교수를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의 연구

자들이 공학에 대한 학제적 접근을 통해 뛰어난 이론적 실천

적 연구성과를 보이고 있다

Downey(2009)는 STS 연구를 통해 개발된 개념과 방법론을

활용하여 그것이 공학교육과 연구에 연결되고 적용될 수 있도록

엔지니어들과 소통하고 구체적인 협력의 영역을 확대해 나갈 것

을 주장한다 STS를 기반으로 성장한 Engineering Studies의

관점과 방법론은 과학과 기술 사회의 연결고리에 대한 인식을

풍부할 뿐 아니라 실천적 함의를 지닌다는 점에서 유익하다(한

경희 2008) 이 분야의 연구는 공학과 엔지니어의 역사 산업현

장의 공학문화 공학교육 공학윤리 공학과 젠더 글로벌 엔지

니어 교육에 이르는 폭 넓은 영역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II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

STS와 공학교육의 접목이 시도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이 장

은 공학설계교육과 공학윤리 분야에서 진전되고 있는 변화와

여기에 STS가 기여할 수 있는 지점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1 STS 관점이 도입된 공학윤리교육의 특징

기존의 전통 철학은 대개 도덕적 딜레마의 상황에서 엔지니

어와 경영자 사이에 발생하는 갈등 그리고 윤리적 원리를 동원

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하지만 이것만

으로는 공학의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한편 STS는 공학 내부의 동학과 기술개발의 일상적 실천에

관심을 갖는다 이들이 볼 때 공학에 도입된 기존의 윤리적 관

5) 기술결정론이란 기술이 사회에 일방향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전제하며 기술의 발전과정 분석에 사회적 요소를 배제시키려는 경향을 의미한다

6) 델프트 대학 2007년 워크숍에서 발표된 논문을 기초로 2010년에는 Philosophy and Engineering (edited by Poel and Goldberg)이라는 책이 출판되었다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4

점은 기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복합적 요소를 보지 고

려하지 못하고 공학의 실제 현실을 제대로 다루지 못한다는 점

에서 문제가 있다(Poel amp Verbeek 2006 224)

예를 들어 1980년대의 공학윤리교재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내부고발 이슈에 대해 살펴보자 내부고발 이슈는 통상 비도덕

적인 고용주와 이들의 사리사욕에 맞서 싸우는 엔지니어의 희

생적 영웅주의를 대비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극단적인 상

황의 설정이 윤리적 판단의 중요성을 드러내는데 효과적인 것

은 사실이다 하지만 실제 현실에서는 이렇게 극단적 상황 보

다는 오히려 일상적인 상황에서 엔지니어가 어떻게 판단하고

행동해야 할지를 다루는 일이 더욱 중요하다 그렇지만 기존의

접근 방식은 이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노하우를 제시하지 못했

다 이 때문에 공대 학생들은 현실에서 만나게 되는 일상적인

직업적 갈등의 상황에서 어떻게 판단하고 행동해야 할지에 대

해 제대로 배우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Johnson and Wetmore

2004)

STS는 문제가 발생하는 그 핵심 과정 자체에 관심을 집중할

것을 촉구한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공학윤리의 관점은 공학

설계과정을 윤리의 적용 대상으로 여기지 않았다 왜냐하면 과

정에 집중하기 보다는 설계가 모두 완료된 이후의 갈등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왔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기술개발의 초기 단

계에서 발생하는 이슈들 즉 관련된 사회집단들의 이해관계가

어떻게 반영되는지 설계와 관련한 복잡한 요인들이 어떻게 조

정되고 협상되는지의 과정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STS

의 주장이다

이에 과학기술학의 관점이 도입된 공학윤리(STS informed

engineering ethics)는 공학설계의 내부 과정에 관심을 집중하

여 설계와 연관된 다양한 요인들을 구체화하고 설계자와 그를

둘러싼 사회적 제도적 환경 사이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도록

의미 있는 개념과 분석틀을 제공하고자 한다(Lynch and Kline

2000)

기존의 공학윤리에 STS 관점을 도입했을 때 나타날 수 있

는 효과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 STS 관점은 파국

적 상황의 윤리가 아닌 일상적 실천으로서의 윤리에 초점을 맞

추도록 한다 응용윤리에서 흔히 전제되었던 격한 상황 즉 고

독한 영웅주의와 비겁한 이기주의의 갈림길이라는 설정에서 관

심을 일상의 경험세계로 전환시키게 된다 일상의 경험세계에

서 엔지니어들이 수행하는 공학의 실제적인 과정들 즉 의사결

정과정과 사회적 관계들 업무 관행과 조직의 이슈들이 윤리의

영역으로 들어오게 된다 그 동안 많은 연구들을 통해 발전된

개념들 예를 들면 실패의 연쇄 고리(Chiles 2000) 구조적 비

밀 일탈의 정상화(Vaughan 1996) 등의 개념들은 공학의 일

상적 과정에서 발생되는 위험의 생산구조를 잘 분석하고 있다

챌린저호 사건을 세밀하게 분석한 본(Vaughan 1996)은 과거

에 행해진 공학적 의사결정과 크고 작은 관행들이 오히려 정직

하지 않은 경영자가 제기하는 위험 보다 더 치명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설득력 있게 보여주었다 초기의 선택이 그 이후의 선택

을 정당화하면서 누적된 변화들이 그렇지 않았다면 결코 수용될

수 없었을 기술적 판단을 lsquo수용할만한 위험(acceptable risk)rsquo

으로 간주하게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이다

둘째 공학 분야의 사고와 위험 재난을 개인적 차원에서 보

다는 조직적 관계적 차원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이끈다 즉 공

공의 이익을 위해 헌신할 준비와 실력 열정을 갖춘 엔지니어가

있을 때조차도 기술적 실패나 재난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효과적으로 드러내 준다 기술적 사고와 위험성 증대의 본질은

갈수록 증대되는 기술 시스템 자체의 복합성과 상호연관성 그

리고 기술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들 사이의 결합 과정에 존재하

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엔지니어들은 암묵적으로 기술적 요소에 대해서만

책임을 인정할 뿐 제도적 정치적 요소는 국가나 다른 전문가

집단에 속한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실제로 현장에

서 일하는 대부분의 엔지니어들은 계약의 조건을 협상하고 조

직을 관리하며 고객을 설득하고 상사에게 보고하며 시장의 움

직임과 사회적 반응을 예측하며 기술적 설계 요소를 조정해 왔

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공학윤리를 개별 엔지니어의 의사결정이나 그

것을 둘러싼 미시적 맥락에만 주목해서는 많은 한계가 있다

STS는 미시적 차원의 분석과 거시적 차원의 분석을 연계시키

는 풍부한 개념과 이론적 자원을 발전시켜 왔다 예를 들어 행

위자 연결망 이론(actor network theory)이나 사회기술 시스템

(socio-technical system) 개념에서 볼 수 있듯이 기술을 둘

러싼 사회적 실천과 사회적 관계 물질적 인공물 등이 하나의

분석틀 속에서 각기 생명력을 가진 구성요소로 다루어진다 단

순히 기술의 효과나 영향력만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의 설

계 생산 분배 마케팅과 같은 기술개발의 전 주기를 다루며 개

인의 행위와 제도 문화적 차원의 분석도 함께 수행한다

셋째 STS 관점은 공학적 과정 전체에 대한 이해를 높여 미

래의 공학설계에 대한 도덕적 상상력을 높이고 윤리적 민감성

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oeckelbergh

(2006)는 잘못된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는 엔지니어가 본래 악

한 의도를 지니고 있거나 혹은 의지력이 약해서라기보다는 오

히려 지나치게 협소한 시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

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만큼 미래의 기술과 공학의 발전 방향에

대한 엔지니어들의 예측과 상상력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Johnson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5

(1993)은 도덕적 사고가 근본적으로 상상하는 활동이라고 주장

한다 왜냐하면 특정한 상황에서 도덕적으로 적합한 것이 무엇

인지를 끊임없이 상상해야 하고 다른 사람의 경험을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무엇보다 가능한 모든

상황을 예측하도록 돕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개념을 따르게 되면 엔지니어가 갖추어야 할 도덕적 책

임감이란 단순히 기존의 해결방안 중 어느 하나를 단지 선택하

는 문제가 아니라 선택할 수 있는 범위를 상상하고 그러한 조건

을 만들어내는 적극적 의미로 변화된다 Mehalik and Gorman

(2000)이 주장한 적극적 윤리(positive ethics)도 이러한 차원

의 개념이다

지금까지 한국의 공학윤리 교육은 최근의 갈등하는 기술적

논쟁을 거의 다루지 않아왔다 그 이유는 사회적 갈등이 존재

하는 기술 이슈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불편하게 여기거나 혹은

그것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이론적 방법론적 관점과 도구를 충

분히 발전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최근의 사회

적 요구와 부합하지 않는다 지금의 공학교육은 변화를 요구하

고 있다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제적인 역량을 키울 수 있

도록 공학윤리교육의 대상 방법론 등을 변화시켜야 한다

STS 연구와의 학제적 협력이 이런 측면에서 유용할 수 있다

2 STS와 공학설계 분야 방법론의 협력 가능성

놀랍게도 공학설계방법론과 STS의 연구방법론은 매우 유사

한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이 유사성은 서로 다른 학문 영역에

있지만 이들이 서로 소통하고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가능성

을 보여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공학설계는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단순화하고 변형시켜 문제

를 해결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설계과정이 갖는 이러한 특성은

흥미롭게도 STS의 분석과정과 상당히 유사하다 STS에서 중

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행위자 연결망 이론 역시 기술적 인

공물의 안정화와 형식의 구축(예를 들어 전등이나 스마트폰의

보편화)이 이질적인 다양한 요소들로 하여금 기술을 둘러싼 연

결망 속으로 동화되고 서로 연관을 맺게 만드는 과정 속에 존

재하게 됨을 강조한다(Bruno Latour et al 2010)

공학설계와 STS 분석이 갖는 학문의 방법론적 유사성을 이

해하기 위한 예로써 자전거의 변천과정을 연구한 대표적인 두

연구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하나는 과학기술학자인 Pinch and

Bijker(1987)의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공학설계기법에서 자주

사용되는 TRIZ의 분석기법이다 자전거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Pinch and Bijker(1987)의 연구는 Fig 1에서와 같이 자전거

가 등장했던 초기에 이것과 관련된 상이한 사회 집단들의 기술

P 문제점 S 해결책 SG 사회 집단

Fig 1 Pinch and Bijkers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the bicycle

적 요구와 관점 동일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 사이의 대립 도

덕적 갈등 등을 분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자전거 모델이 등장하기까지 자

전거라는 인공물에 대해 어떤 사회적 집단들이 관련되었는지

이들이 자전거를 이해하는 관점 즉 해석적 유연성은 어떻게 존

재했는지 관련된 사회 집단이 요구한 기술적 문제는 무엇이었

고 이를 둘러싼 해결방안들은 서로 어떻게 갈등하고 해결되었

는지를 흥미롭게 분석했다 예를 들면 자전거를 스포츠용 경주

수단으로 생각한 젊은 남성 집단과 교통수단으로 바라 본 여성

집단 및 노인들이 자전거의 속도와 안전성의 문제를 어떻게 요

구했는지(바퀴 크기를 둘러싼 서로 다른 요구) 진동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해 공기타이어가 처음 개발되었을 때에는 전혀 주목

을 받지 못하다가 자전거의 속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인식되면

서 대중화된 과정 등을 상세히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과

논쟁이 종결되는 안정화 과정에 있어서 수사적 종결과 문제의

재정의와 같은 기술 외적 메커니즘이 작동했음을 보여주었다

이번에는 공학설계의 트리즈 기법에 의해 자전거 문제가 해

결되는 방식을 들여다보자 TRIZ는 러시아의 과학자이자 엔지

니어인 Genrich Altshuller가 개발한 창의적 문제해결이론으로

주로 발명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거나 창조적

설계를 위한 원리를 도출할 때 사용된다 트리즈의 핵심 개념은

모순과 자원이다

모순이란 어떤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발생하는 곤

란한 상황을 의미하는데 크게 기술적 모순과 물리적 모순으로

나누어진다 기술적 모순은 두 가지 상황이 존재할 때 한 가지

상황을 개선하려고 하면 다른 상황이 악화되는 경우이고 물리

적 모순은 두 가지의 상반되는 상황이 동시에 요구되는 경우이

다 트리즈에서는 해결하려는 문제에서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6

Fig 2 Improvement cycle of TRIZ 자료 Rantanen and Domb (2007114)

Table 1 Conceptual correspondence of EPOR amp TRIZ

EPOR TRIZ

관련된 사회 집단 harr 기술적 문제의 정의

기술적 요구간 갈등 harr 고유 모순

해결책 사이의 경쟁 harr 자원 동원

안정화를 통한 종결 harr 이상적 최종 결과

한 모순이 무엇인지를 발견하는 일이 중요하다 모순을 개선하

기 위해서는 주어진 자원을 활용해야 하는데 자원은 물질 환

경(시스템) 기능 시간 공간 정보의 여섯 가지로 나누어진다

자원을 활용하여 모순을 극복하고 이상적 최종 결과를 정형화

하게 된다 Altshuller는 모든 시스템의 발전이 그 이상성을 증

가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된다고 가정했다 이 때 이상성이란 원

래 시스템이 지닌 유용한 특성과 기능을 모두 지니면서도 해로

움과 비용이 최소화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트리즈 분석가들에 따르면 자전거의 속도를 증가시킬수록 바

퀴가 커져야 하는데 이것은 안전성의 문제를 악화시킨다 즉

자전거의 바퀴 문제는 자전거의 고유 모순으로 설정된다 이것

은 체인 장치가 도입됨에 따라 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속도 증

가로 인한 진동 문제가 주요한 모순으로 등장하는데 이것은

1845년 발명된 공기 타이어가 등장함에 따라 해결된다 모순

의 해결 과정은 자전거를 구성하고 있는 일부 요소를 변경하거

나 공간의 분리를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모색된다

Table 1은 STS와 공학설계 기법 사이의 주요 개념이 서로 대

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트리즈에 의한 문제해결 방식이 주요

모순의 정의와 극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이

고 가능한 자원들 속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며 심리적 타성

과 습관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설정한다는 점에서 STS 중 하나

인 Empirical Programme of Relativism (EPOR)에서 기술의

구성과정을 다루는 방식과 상당히 유사하다 트리즈 기법이 분

석한 자전거 바퀴나 진동의 이슈 역시 Pinch and Bijker(1987)

연구에서 지적된 가장 중요한 기술적 이슈였다 다만 EPOR은

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집단을 분석의 중심부에 위치시키는 반

면 트리즈는 기술 그 자체를 분석의 중심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행위자는 중립적 관찰자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리

즈가 다루는 대상을 기술에서 행위자와 제도 차원까지 확대시

키게 되면 STS 방법론과 매우 유사해진다

다음으로 우리는 설계과정에서 나타나는 단순화 과정과 이질

적 요소들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어떤 요소가 삭제되고 어떤

요소가 동원되고 있는지를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제품을 설계

하고 개발할 때 발생하는 lsquo단순화rsquo 과정은 불가피하게 특정 요

소의 부각이나 삭제와 같은 활동을 수반하곤 한다 공학설계의

다른 기법인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와 Axiom

Design에서도 이러한 특성이 잘 드러난다 QFD는 연구개발에

있어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최적의 설계를 위해 활용되는

기법이고 공리설계는 새로운 설계를 만들고 기존 설계를 진단

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과정으로 어떤 기술적 인공물에 대한 기

능적 요구와 이와 관련된 물리적 과정적 요인들을 매핑하여 문

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QFD와 공리설계에는 단순화 과정이

매우 중요한데 특히 제품설계를 둘러싼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들이 중요한 단순화의 대상이 된다(Suh 2002 Rantanen

and Domb 2007)

기술적 성공이나 실패가 어떤 특정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보

다는 다양한 범위의 이질적 요소들의 배치와 구성에 의해 좌우

된다고 본다는 점에서 공학설계와 STS의 견해 역시 유사하다

공학에서는 엔지니어의 기술적 전문성이 갖는 중요성과 역할에

관해 매우 명확한 의견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특정 개인의

기술 역량이 완벽하다고 해서 그의 설계가 모두 성공을 거둘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현대 사회에 들어와 개인이 단독으

로 수행하는 공학설계는 매우 드물기 때문이다 최근의 연구들

은 사회적 윤리적 요소 그리고 시스템 차원의 분석이 공학설

계에 도입되어야 할 이유를 여러 측면에서 강조하는 추세이다

종합해 보면 STS와 공학설계 모두 정답이 있는 문제 풀이가

아닌 개방형의 주관식 문제를 푼다는 점에서 유사하며 어떤 문

제를 풀 것인지의 구체화 과정을 중시한다는 점 역시 공통된다

즉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공학설계과정은 STS가

제기하는 기본 개념 및 방법론과 조화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지니고 있다

무엇보다 공학설계의 주요 과정에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

소가 어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lsquo일

상의 실천으로서의 윤리rsquo가 어떻게 개입될 수 있는지를 상상하

게 한다는 점에서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은 의미가 있

을 것이다 STS와 공학설계 사이의 접점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의 문제는 단순히 전문 지식들 사이의 학제적 결합을 어떻게 실

행할 것인지의 기계적 이슈가 아닌 서로 다른 학문 분야들 사

이의 소통을 어떻게 시작하고 진행할 것인가라는 21세기 학제

적 협력의 핵심 과제에 속한다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7

IV 결론 학제적 협력을 위한 실행 방안

STS와 공학교육의 영역들은 왜 소통해야 하고 어떻게 만날

수 있을까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작은

걸음에 속한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많은 엔지니어들이 자신들의 새로

운 사회적 역할과 리더십을 구축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과학기술-인문사회 분야와의 학제적 협력과 융합을 강화

해 공학의 지평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대의 엔지니

어들은 공학이 더 이상 사회로부터 분리된 채 다루어질 수 있는

협소한 기술 영역이 아님을 잘 인식하고 있다 과학적 기술의

도입 공학의 독자적 학문 영역을 구축하며 성장한 20세기의 공

학 전략은 이제 변화하고 있다

지금의 사회는 혼자만의 지식과 노하우에 기대는 전문가 보

다는 전문성에 바탕을 두되 사회와 소통하고 협력하는 전문가

를 요구한다 21세기 사회를 이끌 새로운 이념과 가치를 누가

어떤 집단이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런 면에서 공학교육과 STS의 만남은 지금까지 실행하

지 못했던 과학과 기술 사회의 상호짜임에 대한 새로운 상상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실천적 대안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어떻게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을 발전시킬

수 있을까

이를 위해서는 우선 연구부문에서의 협력이 진행될 필요가 있

다 왜냐하면 연구부문에서 학제적 협력의 성과가 많이 축적되

어야 이를 기반으로 교육 부문의 성과를 이끌 수 있고 무엇보

다 해당 분야에 지식과 노하우를 갖춘 교수자를 양성할 수 있

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공학소양교육과 공학설계교육 분야에서 STS 분

야의 성과를 접목시킨 교육과정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미 많은 공과대학에서 공학과 사회 공학윤리 공학과 문화 등

의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데 특히 이들 과목에 STS 공학학

연구의 성과가 접목된다면 이들 과목의 질적 발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송성수 2012) 또한 최근에는 적지 않은 공학설계

교과목들이 적정기술 이슈를 다루고 있다 적정기술 설계를 통

해 많은 학생들은 단순한 기술적 접근이나 혹은 수요자나 지역

적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설계가 얼마나 실패하기 쉬운지를 배

우고 있다 다양한 사회적 집단의 이해관심과 사회의 경제적 정

치적 문화적 환경이 어떻게 결합되어야 할지에 대한 관점과 방

법론의 학습은 기존의 공학설계교육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 것

이다

이같은 학제적 협력과 만남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 중

하나는 기술개발의 초기 단계에 집중함으로써 공학적 실천에서

기술적 요인과 기술 외적 요인의 연결과 조정 협상 과정을 세

밀하게 다루고 그것이 갖는 사회적 함의를 지속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영역은 모

두 개방형 문제의 정의와 해결에 능숙하기 때문에 새로운 사회

적 상상의 많은 가능성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공학

윤리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구체적인 공학의 과정 특히 기획으

로부터 사용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유연한 사고와 도덕적 상상

력을 키워 좋은 공학 바람직한 엔지니어에 대해 성찰하고 해

결책을 모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공학설계교육은 실제 문제해결의 최전선에 있는 엔지니어들

로 하여금 공학의 사회적 경제적 윤리적 영향을 이해하고 공

학 전문성의 영역을 소통과 토론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실

제적 기회를 갖게 할 것이다 STS 역시 공학의 전문 영역이 다

루어야 할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풍부하고 다양하게 다루며 사

회적 실험장 속에서 과학기술 발전의 방향성을 탐색하고 무엇

보다 STS의 실천적 힘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

이다 앞으로 이와 관련한 풍부한 경험 연구와 구체적인 대안

제시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1 송성수(2012) 통섭교육으로서 공학소양교육의 위상과 과제 공

학교육연구 15(1) 18-25

2 川田忠樹(2004) 근대 현수교의 역사 박수영 이명재 양민수

역 도서출판 과학기술

3 한경희(2008) 공학학의 등장과 그 의미 발전방향에 대한 탐색

담론201 11(1) 99-131

4 홍성욱(1999)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기술 문학과 지성사

5 Bruno Latour(2010) 인간 사물 동맹 이음

6 Coeckelbergh M(2006) Regulation or Responsibility

Autonomy Moral Imagination and Engineering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37-260

7 Cooke Morris Llewellyn(1922) Ethics and the Engineering

Profession Annals of the Association for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101 68-72

8 Downey Gary(2009) What is Engineering Studies For

Dominant Practices and Scalable Scholarship Engineering

Studies 1(1) 55-76

9 Downey Gary(2010) What is Global Engineering Education

For 공학교육 17(2) 16-18

10 Florman C S(1987) The Civilized Engineer St Martins

Press

11 Herkert Joseph R(2001) Future Directions in Engineering

Ethics Research Microethics Macroethics and the Role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8

of Professional Societies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7 403-414

12 Jasanoff S Markle G E Petersen J C amp Pinch T

(1995)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age Publications

13 Johnson D G amp Wetmore J M(2004) Engineering Ethics

Integrating STS and Practical Ethics Annual Meeting of

4S August

14 Kline R(1995) Construing Technology as Applied Science

Public Rhetoric of Scientists and Engineers in the United

States 1880-1945 ISIS 86 194-221

15 Kranakis E(1997) Constructing a Bridge An Exploration

of Engineering Culture Design and Research in Ninteenth

Century France and America The MIT Press

16 Law John(2004) Engineering Naturecultures A Note from

STS httpwwwlansacukfasssociologypaperslaw-ena

cting-natureculturespdf

17 Lynch W T amp Kline R(2000) Engineering Practice and

Engineering Ethics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25(2) 195-225

18 Martin Mike and Roland Schinzinger(1983) Ethics i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3rd ed 1996

19 Mehlik M M and Gorman M E(2006) A Framework

for Strategic Network Design Assessment Decision Making

and Moral Imagination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89-308

20 Mitcham Carl(2009) A Historio-ethical Perspective on

Engineering Education from Use and Convenience to Policy

Engagement Engineering Studies 1(1) 35-54

21 Nam Pyo Suh(2002) 공리적 설계(I) 차성운 박경진 역 동

명사

22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2005) Educating the

Engineer of 2020 Adapting Engineering Education to the

New Century [국역 주우석 외 옮김 2020 엔지니어교육

미래 공학교육에 대한 비전 시그마프레스 2009]

23 Pinch T F and Bijker W E(1987) The Social

Construction of Facts and Artifacts Or How the Sociology

of Science and the Sociology of Technology Might Benefit

Each Other W E Bijker and T P Hughes and T F

Pinch(ed)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ical

Systems The MIT Press

24 Poel I amp Verbeek P(2006) Ethics and Engineering Design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23~236

25 Poel I and Goldberg D E(eds) (2010) Philosophy and

Engineering An Emerging Agenda Springer

26 Rantanen K and Domb E(2007) 알기 쉬운 트리즈 창의

적 문제해결이론 김병재 박성균 역 도서출판 인터비젼

27 Reynolds T S(eds)(1991) The Engineer in America A

Historical Anthology from Technology and Culture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Russell S(1986) The Social Construction of Artefacts

a response to Pinch and Bijker Social Studies of Science

16 London SAGE

29 Vaughan D(1996) The Challenger Launch Decision Risky

Technology Culture and Deviance at NASA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Vesilind P Aarne(1995) Evolution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de of Ethics Journal of Professional

Issu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Practice 121 4-10

31 Vincenti W G(1990) What Engineers Know and How They

Know It Analytical Studies from Aeronautical History

Baltimore and London The Johns Hopkis University Press

32 Whalley P(1991) Negotiating the Boundaries of Engineering

Professionals managers and manual work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Organizations 8 191-215

33 Williams R amp Edge D(1991) ldquoThe Social Shaping of

Technology a review of UK research concepts findings

programmes and centersrdquo Edinburgh PICT Working Papers

34 Woolgar S(2004) What happened to Provo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History and Technology 20(4)

339-349

한경희(Kyong-Hee Han)

2000년 연세대 사회학과 박사학위 취득

2002년 UC Davis 박사 후 과정

2009년~2012년 한국공학교육학회 홍보이사 및 논문집

편집위원

2013년~현재 연세대 공과대학 공학교육혁신센터 조교수

관심분야 공학교육 공학과 엔지니어의 역사 공학윤리

Phone 02-2123-5733

Fax 02-2123-8641

E-mail khan01yonseiackr

Page 4: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between Engineering ... · 1940년 당시 최신 공법을 이용하여 건설된 세계 제 3위의 장 ... 한 엔지니어의 열정과 끊임없는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3

구체적으로 공학윤리의 내용과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지기 시

작한 것은 미국공학기술인증위원회가 공학교육에 윤리를 도입

하기 시작한 1980년대 이후라고 볼 수 있다 1980년대에 이루

어진 연방정부의 지원 공학계와 철학계의 학제간 협력을 통해

출판된 공학윤리교재 및 관련 연구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널리 알려진 기술적 재난과 사고들로 인해 비로소 공학윤리 분

야에 질적인 변화가 가능해졌다

공학을 더 이상 고립된 기술의 영역이 아닌 사회와 산업과의

관계 속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때부터 공학윤리는

조직적 제도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전문성의 형성 직업

적 자율성 공공선의 추구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대

되었다(Martin amp Schinzinger 1983)

그렇지만 공학계와 철학계의 협력관계는 그리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 응용도덕철학을 공학적 실천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엔지니어와 경

영자 사이의 이분법적 대립구도를 설정함으로써 내부고발과 같

은 파국적 결말을 유도하는 데 대한 불편함 윤리 이론을 실제

현실에 적용하는 어려움 엔지니어의 개인적 의사결정과정에만

초점을 맞추는 내부주의적이고 개인주의적인 경향 등으로 인해

과연 철학적 관점과 방법론이 공학적 실천 과정에 의미 있는 영

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들이 제기되었다 많은 공학교

육자들이 공학윤리의 중요성을 인정하게 되었지만 그럼에도 불

구하고 지나치게 추상적이거나 형식적인 혹은 현실로부터 괴

리된 전통 철학의 관점은 공학윤리 영역에서 극복되어야 할 과

제로 인식되었다(Herkert 2001) 1990년대 후반부터 다시 활

성화되기 시작한 공학윤리교육은 이러한 성찰을 기반으로 실질

적이면서 적용 가능성이 높은 교육방법론을 개발하는 데 주력

하고 있다

3 과학기술학(STS)

STS는 1970년대 중반 이후 근대 과학기술의 형성이 사회의

발전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한 철학 사회학 역사 인

류학 등의 학제적 연구 분야이다(Jasanoff et al 1995) STS

는 과학 기술과 사회에 대한 인식을 새로운 방식으로 전환시키

는데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받고 있으며 과학지식이나 기술적 인

공물의 구성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적 개념과 방법

론을 개발하고 활용해 왔다

하지만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STS 연구에 변화가 필요하

다는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Russell 1986 Williams amp

Edge 1991 Law 2004 Woolgar 2004) 왜냐하면 STS가

도덕적 상대주의의 태도를 취하면서 현실 문제와 직결된 규범적

이슈를 다루는데 소극적이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기존의 연구가 과학지식이나 기술이 개발되는 초기 단계

에 대한 분석에는 매우 뛰어났지만 이미 구축된 과학기술 영역

의 분석에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STS

가 기술결정론5)이나 전통적인 과학기술 관점의 오류를 효과적

으로 비판해 온 것은 사실이지만 그들 역시 과도한 사회적 결

정의 요소를 담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다

최근 STS는 이러한 비판을 수용하면서 과학 공학 분야와 소

통하고 이 분야의 실질적 이슈를 다룰 수 있도록 새로운 노력

을 기울이고 있다 일례로 기술철학 분야에서는 공학철학의 새

장을 열었고(2007년 네덜란드 델프트 대학의 워크숍6)) 버지

니어텍의 Gary Downey 교수를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의 연구

자들이 공학에 대한 학제적 접근을 통해 뛰어난 이론적 실천

적 연구성과를 보이고 있다

Downey(2009)는 STS 연구를 통해 개발된 개념과 방법론을

활용하여 그것이 공학교육과 연구에 연결되고 적용될 수 있도록

엔지니어들과 소통하고 구체적인 협력의 영역을 확대해 나갈 것

을 주장한다 STS를 기반으로 성장한 Engineering Studies의

관점과 방법론은 과학과 기술 사회의 연결고리에 대한 인식을

풍부할 뿐 아니라 실천적 함의를 지닌다는 점에서 유익하다(한

경희 2008) 이 분야의 연구는 공학과 엔지니어의 역사 산업현

장의 공학문화 공학교육 공학윤리 공학과 젠더 글로벌 엔지

니어 교육에 이르는 폭 넓은 영역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II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

STS와 공학교육의 접목이 시도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이 장

은 공학설계교육과 공학윤리 분야에서 진전되고 있는 변화와

여기에 STS가 기여할 수 있는 지점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1 STS 관점이 도입된 공학윤리교육의 특징

기존의 전통 철학은 대개 도덕적 딜레마의 상황에서 엔지니

어와 경영자 사이에 발생하는 갈등 그리고 윤리적 원리를 동원

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하지만 이것만

으로는 공학의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한편 STS는 공학 내부의 동학과 기술개발의 일상적 실천에

관심을 갖는다 이들이 볼 때 공학에 도입된 기존의 윤리적 관

5) 기술결정론이란 기술이 사회에 일방향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전제하며 기술의 발전과정 분석에 사회적 요소를 배제시키려는 경향을 의미한다

6) 델프트 대학 2007년 워크숍에서 발표된 논문을 기초로 2010년에는 Philosophy and Engineering (edited by Poel and Goldberg)이라는 책이 출판되었다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4

점은 기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복합적 요소를 보지 고

려하지 못하고 공학의 실제 현실을 제대로 다루지 못한다는 점

에서 문제가 있다(Poel amp Verbeek 2006 224)

예를 들어 1980년대의 공학윤리교재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내부고발 이슈에 대해 살펴보자 내부고발 이슈는 통상 비도덕

적인 고용주와 이들의 사리사욕에 맞서 싸우는 엔지니어의 희

생적 영웅주의를 대비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극단적인 상

황의 설정이 윤리적 판단의 중요성을 드러내는데 효과적인 것

은 사실이다 하지만 실제 현실에서는 이렇게 극단적 상황 보

다는 오히려 일상적인 상황에서 엔지니어가 어떻게 판단하고

행동해야 할지를 다루는 일이 더욱 중요하다 그렇지만 기존의

접근 방식은 이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노하우를 제시하지 못했

다 이 때문에 공대 학생들은 현실에서 만나게 되는 일상적인

직업적 갈등의 상황에서 어떻게 판단하고 행동해야 할지에 대

해 제대로 배우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Johnson and Wetmore

2004)

STS는 문제가 발생하는 그 핵심 과정 자체에 관심을 집중할

것을 촉구한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공학윤리의 관점은 공학

설계과정을 윤리의 적용 대상으로 여기지 않았다 왜냐하면 과

정에 집중하기 보다는 설계가 모두 완료된 이후의 갈등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왔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기술개발의 초기 단

계에서 발생하는 이슈들 즉 관련된 사회집단들의 이해관계가

어떻게 반영되는지 설계와 관련한 복잡한 요인들이 어떻게 조

정되고 협상되는지의 과정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STS

의 주장이다

이에 과학기술학의 관점이 도입된 공학윤리(STS informed

engineering ethics)는 공학설계의 내부 과정에 관심을 집중하

여 설계와 연관된 다양한 요인들을 구체화하고 설계자와 그를

둘러싼 사회적 제도적 환경 사이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도록

의미 있는 개념과 분석틀을 제공하고자 한다(Lynch and Kline

2000)

기존의 공학윤리에 STS 관점을 도입했을 때 나타날 수 있

는 효과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 STS 관점은 파국

적 상황의 윤리가 아닌 일상적 실천으로서의 윤리에 초점을 맞

추도록 한다 응용윤리에서 흔히 전제되었던 격한 상황 즉 고

독한 영웅주의와 비겁한 이기주의의 갈림길이라는 설정에서 관

심을 일상의 경험세계로 전환시키게 된다 일상의 경험세계에

서 엔지니어들이 수행하는 공학의 실제적인 과정들 즉 의사결

정과정과 사회적 관계들 업무 관행과 조직의 이슈들이 윤리의

영역으로 들어오게 된다 그 동안 많은 연구들을 통해 발전된

개념들 예를 들면 실패의 연쇄 고리(Chiles 2000) 구조적 비

밀 일탈의 정상화(Vaughan 1996) 등의 개념들은 공학의 일

상적 과정에서 발생되는 위험의 생산구조를 잘 분석하고 있다

챌린저호 사건을 세밀하게 분석한 본(Vaughan 1996)은 과거

에 행해진 공학적 의사결정과 크고 작은 관행들이 오히려 정직

하지 않은 경영자가 제기하는 위험 보다 더 치명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설득력 있게 보여주었다 초기의 선택이 그 이후의 선택

을 정당화하면서 누적된 변화들이 그렇지 않았다면 결코 수용될

수 없었을 기술적 판단을 lsquo수용할만한 위험(acceptable risk)rsquo

으로 간주하게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이다

둘째 공학 분야의 사고와 위험 재난을 개인적 차원에서 보

다는 조직적 관계적 차원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이끈다 즉 공

공의 이익을 위해 헌신할 준비와 실력 열정을 갖춘 엔지니어가

있을 때조차도 기술적 실패나 재난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효과적으로 드러내 준다 기술적 사고와 위험성 증대의 본질은

갈수록 증대되는 기술 시스템 자체의 복합성과 상호연관성 그

리고 기술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들 사이의 결합 과정에 존재하

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엔지니어들은 암묵적으로 기술적 요소에 대해서만

책임을 인정할 뿐 제도적 정치적 요소는 국가나 다른 전문가

집단에 속한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실제로 현장에

서 일하는 대부분의 엔지니어들은 계약의 조건을 협상하고 조

직을 관리하며 고객을 설득하고 상사에게 보고하며 시장의 움

직임과 사회적 반응을 예측하며 기술적 설계 요소를 조정해 왔

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공학윤리를 개별 엔지니어의 의사결정이나 그

것을 둘러싼 미시적 맥락에만 주목해서는 많은 한계가 있다

STS는 미시적 차원의 분석과 거시적 차원의 분석을 연계시키

는 풍부한 개념과 이론적 자원을 발전시켜 왔다 예를 들어 행

위자 연결망 이론(actor network theory)이나 사회기술 시스템

(socio-technical system) 개념에서 볼 수 있듯이 기술을 둘

러싼 사회적 실천과 사회적 관계 물질적 인공물 등이 하나의

분석틀 속에서 각기 생명력을 가진 구성요소로 다루어진다 단

순히 기술의 효과나 영향력만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의 설

계 생산 분배 마케팅과 같은 기술개발의 전 주기를 다루며 개

인의 행위와 제도 문화적 차원의 분석도 함께 수행한다

셋째 STS 관점은 공학적 과정 전체에 대한 이해를 높여 미

래의 공학설계에 대한 도덕적 상상력을 높이고 윤리적 민감성

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oeckelbergh

(2006)는 잘못된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는 엔지니어가 본래 악

한 의도를 지니고 있거나 혹은 의지력이 약해서라기보다는 오

히려 지나치게 협소한 시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

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만큼 미래의 기술과 공학의 발전 방향에

대한 엔지니어들의 예측과 상상력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Johnson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5

(1993)은 도덕적 사고가 근본적으로 상상하는 활동이라고 주장

한다 왜냐하면 특정한 상황에서 도덕적으로 적합한 것이 무엇

인지를 끊임없이 상상해야 하고 다른 사람의 경험을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무엇보다 가능한 모든

상황을 예측하도록 돕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개념을 따르게 되면 엔지니어가 갖추어야 할 도덕적 책

임감이란 단순히 기존의 해결방안 중 어느 하나를 단지 선택하

는 문제가 아니라 선택할 수 있는 범위를 상상하고 그러한 조건

을 만들어내는 적극적 의미로 변화된다 Mehalik and Gorman

(2000)이 주장한 적극적 윤리(positive ethics)도 이러한 차원

의 개념이다

지금까지 한국의 공학윤리 교육은 최근의 갈등하는 기술적

논쟁을 거의 다루지 않아왔다 그 이유는 사회적 갈등이 존재

하는 기술 이슈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불편하게 여기거나 혹은

그것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이론적 방법론적 관점과 도구를 충

분히 발전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최근의 사회

적 요구와 부합하지 않는다 지금의 공학교육은 변화를 요구하

고 있다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제적인 역량을 키울 수 있

도록 공학윤리교육의 대상 방법론 등을 변화시켜야 한다

STS 연구와의 학제적 협력이 이런 측면에서 유용할 수 있다

2 STS와 공학설계 분야 방법론의 협력 가능성

놀랍게도 공학설계방법론과 STS의 연구방법론은 매우 유사

한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이 유사성은 서로 다른 학문 영역에

있지만 이들이 서로 소통하고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가능성

을 보여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공학설계는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단순화하고 변형시켜 문제

를 해결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설계과정이 갖는 이러한 특성은

흥미롭게도 STS의 분석과정과 상당히 유사하다 STS에서 중

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행위자 연결망 이론 역시 기술적 인

공물의 안정화와 형식의 구축(예를 들어 전등이나 스마트폰의

보편화)이 이질적인 다양한 요소들로 하여금 기술을 둘러싼 연

결망 속으로 동화되고 서로 연관을 맺게 만드는 과정 속에 존

재하게 됨을 강조한다(Bruno Latour et al 2010)

공학설계와 STS 분석이 갖는 학문의 방법론적 유사성을 이

해하기 위한 예로써 자전거의 변천과정을 연구한 대표적인 두

연구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하나는 과학기술학자인 Pinch and

Bijker(1987)의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공학설계기법에서 자주

사용되는 TRIZ의 분석기법이다 자전거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Pinch and Bijker(1987)의 연구는 Fig 1에서와 같이 자전거

가 등장했던 초기에 이것과 관련된 상이한 사회 집단들의 기술

P 문제점 S 해결책 SG 사회 집단

Fig 1 Pinch and Bijkers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the bicycle

적 요구와 관점 동일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 사이의 대립 도

덕적 갈등 등을 분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자전거 모델이 등장하기까지 자

전거라는 인공물에 대해 어떤 사회적 집단들이 관련되었는지

이들이 자전거를 이해하는 관점 즉 해석적 유연성은 어떻게 존

재했는지 관련된 사회 집단이 요구한 기술적 문제는 무엇이었

고 이를 둘러싼 해결방안들은 서로 어떻게 갈등하고 해결되었

는지를 흥미롭게 분석했다 예를 들면 자전거를 스포츠용 경주

수단으로 생각한 젊은 남성 집단과 교통수단으로 바라 본 여성

집단 및 노인들이 자전거의 속도와 안전성의 문제를 어떻게 요

구했는지(바퀴 크기를 둘러싼 서로 다른 요구) 진동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해 공기타이어가 처음 개발되었을 때에는 전혀 주목

을 받지 못하다가 자전거의 속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인식되면

서 대중화된 과정 등을 상세히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과

논쟁이 종결되는 안정화 과정에 있어서 수사적 종결과 문제의

재정의와 같은 기술 외적 메커니즘이 작동했음을 보여주었다

이번에는 공학설계의 트리즈 기법에 의해 자전거 문제가 해

결되는 방식을 들여다보자 TRIZ는 러시아의 과학자이자 엔지

니어인 Genrich Altshuller가 개발한 창의적 문제해결이론으로

주로 발명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거나 창조적

설계를 위한 원리를 도출할 때 사용된다 트리즈의 핵심 개념은

모순과 자원이다

모순이란 어떤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발생하는 곤

란한 상황을 의미하는데 크게 기술적 모순과 물리적 모순으로

나누어진다 기술적 모순은 두 가지 상황이 존재할 때 한 가지

상황을 개선하려고 하면 다른 상황이 악화되는 경우이고 물리

적 모순은 두 가지의 상반되는 상황이 동시에 요구되는 경우이

다 트리즈에서는 해결하려는 문제에서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6

Fig 2 Improvement cycle of TRIZ 자료 Rantanen and Domb (2007114)

Table 1 Conceptual correspondence of EPOR amp TRIZ

EPOR TRIZ

관련된 사회 집단 harr 기술적 문제의 정의

기술적 요구간 갈등 harr 고유 모순

해결책 사이의 경쟁 harr 자원 동원

안정화를 통한 종결 harr 이상적 최종 결과

한 모순이 무엇인지를 발견하는 일이 중요하다 모순을 개선하

기 위해서는 주어진 자원을 활용해야 하는데 자원은 물질 환

경(시스템) 기능 시간 공간 정보의 여섯 가지로 나누어진다

자원을 활용하여 모순을 극복하고 이상적 최종 결과를 정형화

하게 된다 Altshuller는 모든 시스템의 발전이 그 이상성을 증

가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된다고 가정했다 이 때 이상성이란 원

래 시스템이 지닌 유용한 특성과 기능을 모두 지니면서도 해로

움과 비용이 최소화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트리즈 분석가들에 따르면 자전거의 속도를 증가시킬수록 바

퀴가 커져야 하는데 이것은 안전성의 문제를 악화시킨다 즉

자전거의 바퀴 문제는 자전거의 고유 모순으로 설정된다 이것

은 체인 장치가 도입됨에 따라 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속도 증

가로 인한 진동 문제가 주요한 모순으로 등장하는데 이것은

1845년 발명된 공기 타이어가 등장함에 따라 해결된다 모순

의 해결 과정은 자전거를 구성하고 있는 일부 요소를 변경하거

나 공간의 분리를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모색된다

Table 1은 STS와 공학설계 기법 사이의 주요 개념이 서로 대

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트리즈에 의한 문제해결 방식이 주요

모순의 정의와 극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이

고 가능한 자원들 속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며 심리적 타성

과 습관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설정한다는 점에서 STS 중 하나

인 Empirical Programme of Relativism (EPOR)에서 기술의

구성과정을 다루는 방식과 상당히 유사하다 트리즈 기법이 분

석한 자전거 바퀴나 진동의 이슈 역시 Pinch and Bijker(1987)

연구에서 지적된 가장 중요한 기술적 이슈였다 다만 EPOR은

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집단을 분석의 중심부에 위치시키는 반

면 트리즈는 기술 그 자체를 분석의 중심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행위자는 중립적 관찰자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리

즈가 다루는 대상을 기술에서 행위자와 제도 차원까지 확대시

키게 되면 STS 방법론과 매우 유사해진다

다음으로 우리는 설계과정에서 나타나는 단순화 과정과 이질

적 요소들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어떤 요소가 삭제되고 어떤

요소가 동원되고 있는지를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제품을 설계

하고 개발할 때 발생하는 lsquo단순화rsquo 과정은 불가피하게 특정 요

소의 부각이나 삭제와 같은 활동을 수반하곤 한다 공학설계의

다른 기법인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와 Axiom

Design에서도 이러한 특성이 잘 드러난다 QFD는 연구개발에

있어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최적의 설계를 위해 활용되는

기법이고 공리설계는 새로운 설계를 만들고 기존 설계를 진단

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과정으로 어떤 기술적 인공물에 대한 기

능적 요구와 이와 관련된 물리적 과정적 요인들을 매핑하여 문

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QFD와 공리설계에는 단순화 과정이

매우 중요한데 특히 제품설계를 둘러싼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들이 중요한 단순화의 대상이 된다(Suh 2002 Rantanen

and Domb 2007)

기술적 성공이나 실패가 어떤 특정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보

다는 다양한 범위의 이질적 요소들의 배치와 구성에 의해 좌우

된다고 본다는 점에서 공학설계와 STS의 견해 역시 유사하다

공학에서는 엔지니어의 기술적 전문성이 갖는 중요성과 역할에

관해 매우 명확한 의견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특정 개인의

기술 역량이 완벽하다고 해서 그의 설계가 모두 성공을 거둘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현대 사회에 들어와 개인이 단독으

로 수행하는 공학설계는 매우 드물기 때문이다 최근의 연구들

은 사회적 윤리적 요소 그리고 시스템 차원의 분석이 공학설

계에 도입되어야 할 이유를 여러 측면에서 강조하는 추세이다

종합해 보면 STS와 공학설계 모두 정답이 있는 문제 풀이가

아닌 개방형의 주관식 문제를 푼다는 점에서 유사하며 어떤 문

제를 풀 것인지의 구체화 과정을 중시한다는 점 역시 공통된다

즉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공학설계과정은 STS가

제기하는 기본 개념 및 방법론과 조화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지니고 있다

무엇보다 공학설계의 주요 과정에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

소가 어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lsquo일

상의 실천으로서의 윤리rsquo가 어떻게 개입될 수 있는지를 상상하

게 한다는 점에서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은 의미가 있

을 것이다 STS와 공학설계 사이의 접점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의 문제는 단순히 전문 지식들 사이의 학제적 결합을 어떻게 실

행할 것인지의 기계적 이슈가 아닌 서로 다른 학문 분야들 사

이의 소통을 어떻게 시작하고 진행할 것인가라는 21세기 학제

적 협력의 핵심 과제에 속한다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7

IV 결론 학제적 협력을 위한 실행 방안

STS와 공학교육의 영역들은 왜 소통해야 하고 어떻게 만날

수 있을까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작은

걸음에 속한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많은 엔지니어들이 자신들의 새로

운 사회적 역할과 리더십을 구축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과학기술-인문사회 분야와의 학제적 협력과 융합을 강화

해 공학의 지평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대의 엔지니

어들은 공학이 더 이상 사회로부터 분리된 채 다루어질 수 있는

협소한 기술 영역이 아님을 잘 인식하고 있다 과학적 기술의

도입 공학의 독자적 학문 영역을 구축하며 성장한 20세기의 공

학 전략은 이제 변화하고 있다

지금의 사회는 혼자만의 지식과 노하우에 기대는 전문가 보

다는 전문성에 바탕을 두되 사회와 소통하고 협력하는 전문가

를 요구한다 21세기 사회를 이끌 새로운 이념과 가치를 누가

어떤 집단이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런 면에서 공학교육과 STS의 만남은 지금까지 실행하

지 못했던 과학과 기술 사회의 상호짜임에 대한 새로운 상상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실천적 대안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어떻게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을 발전시킬

수 있을까

이를 위해서는 우선 연구부문에서의 협력이 진행될 필요가 있

다 왜냐하면 연구부문에서 학제적 협력의 성과가 많이 축적되

어야 이를 기반으로 교육 부문의 성과를 이끌 수 있고 무엇보

다 해당 분야에 지식과 노하우를 갖춘 교수자를 양성할 수 있

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공학소양교육과 공학설계교육 분야에서 STS 분

야의 성과를 접목시킨 교육과정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미 많은 공과대학에서 공학과 사회 공학윤리 공학과 문화 등

의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데 특히 이들 과목에 STS 공학학

연구의 성과가 접목된다면 이들 과목의 질적 발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송성수 2012) 또한 최근에는 적지 않은 공학설계

교과목들이 적정기술 이슈를 다루고 있다 적정기술 설계를 통

해 많은 학생들은 단순한 기술적 접근이나 혹은 수요자나 지역

적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설계가 얼마나 실패하기 쉬운지를 배

우고 있다 다양한 사회적 집단의 이해관심과 사회의 경제적 정

치적 문화적 환경이 어떻게 결합되어야 할지에 대한 관점과 방

법론의 학습은 기존의 공학설계교육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 것

이다

이같은 학제적 협력과 만남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 중

하나는 기술개발의 초기 단계에 집중함으로써 공학적 실천에서

기술적 요인과 기술 외적 요인의 연결과 조정 협상 과정을 세

밀하게 다루고 그것이 갖는 사회적 함의를 지속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영역은 모

두 개방형 문제의 정의와 해결에 능숙하기 때문에 새로운 사회

적 상상의 많은 가능성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공학

윤리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구체적인 공학의 과정 특히 기획으

로부터 사용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유연한 사고와 도덕적 상상

력을 키워 좋은 공학 바람직한 엔지니어에 대해 성찰하고 해

결책을 모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공학설계교육은 실제 문제해결의 최전선에 있는 엔지니어들

로 하여금 공학의 사회적 경제적 윤리적 영향을 이해하고 공

학 전문성의 영역을 소통과 토론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실

제적 기회를 갖게 할 것이다 STS 역시 공학의 전문 영역이 다

루어야 할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풍부하고 다양하게 다루며 사

회적 실험장 속에서 과학기술 발전의 방향성을 탐색하고 무엇

보다 STS의 실천적 힘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

이다 앞으로 이와 관련한 풍부한 경험 연구와 구체적인 대안

제시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1 송성수(2012) 통섭교육으로서 공학소양교육의 위상과 과제 공

학교육연구 15(1) 18-25

2 川田忠樹(2004) 근대 현수교의 역사 박수영 이명재 양민수

역 도서출판 과학기술

3 한경희(2008) 공학학의 등장과 그 의미 발전방향에 대한 탐색

담론201 11(1) 99-131

4 홍성욱(1999)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기술 문학과 지성사

5 Bruno Latour(2010) 인간 사물 동맹 이음

6 Coeckelbergh M(2006) Regulation or Responsibility

Autonomy Moral Imagination and Engineering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37-260

7 Cooke Morris Llewellyn(1922) Ethics and the Engineering

Profession Annals of the Association for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101 68-72

8 Downey Gary(2009) What is Engineering Studies For

Dominant Practices and Scalable Scholarship Engineering

Studies 1(1) 55-76

9 Downey Gary(2010) What is Global Engineering Education

For 공학교육 17(2) 16-18

10 Florman C S(1987) The Civilized Engineer St Martins

Press

11 Herkert Joseph R(2001) Future Directions in Engineering

Ethics Research Microethics Macroethics and the Role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8

of Professional Societies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7 403-414

12 Jasanoff S Markle G E Petersen J C amp Pinch T

(1995)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age Publications

13 Johnson D G amp Wetmore J M(2004) Engineering Ethics

Integrating STS and Practical Ethics Annual Meeting of

4S August

14 Kline R(1995) Construing Technology as Applied Science

Public Rhetoric of Scientists and Engineers in the United

States 1880-1945 ISIS 86 194-221

15 Kranakis E(1997) Constructing a Bridge An Exploration

of Engineering Culture Design and Research in Ninteenth

Century France and America The MIT Press

16 Law John(2004) Engineering Naturecultures A Note from

STS httpwwwlansacukfasssociologypaperslaw-ena

cting-natureculturespdf

17 Lynch W T amp Kline R(2000) Engineering Practice and

Engineering Ethics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25(2) 195-225

18 Martin Mike and Roland Schinzinger(1983) Ethics i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3rd ed 1996

19 Mehlik M M and Gorman M E(2006) A Framework

for Strategic Network Design Assessment Decision Making

and Moral Imagination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89-308

20 Mitcham Carl(2009) A Historio-ethical Perspective on

Engineering Education from Use and Convenience to Policy

Engagement Engineering Studies 1(1) 35-54

21 Nam Pyo Suh(2002) 공리적 설계(I) 차성운 박경진 역 동

명사

22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2005) Educating the

Engineer of 2020 Adapting Engineering Education to the

New Century [국역 주우석 외 옮김 2020 엔지니어교육

미래 공학교육에 대한 비전 시그마프레스 2009]

23 Pinch T F and Bijker W E(1987) The Social

Construction of Facts and Artifacts Or How the Sociology

of Science and the Sociology of Technology Might Benefit

Each Other W E Bijker and T P Hughes and T F

Pinch(ed)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ical

Systems The MIT Press

24 Poel I amp Verbeek P(2006) Ethics and Engineering Design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23~236

25 Poel I and Goldberg D E(eds) (2010) Philosophy and

Engineering An Emerging Agenda Springer

26 Rantanen K and Domb E(2007) 알기 쉬운 트리즈 창의

적 문제해결이론 김병재 박성균 역 도서출판 인터비젼

27 Reynolds T S(eds)(1991) The Engineer in America A

Historical Anthology from Technology and Culture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Russell S(1986) The Social Construction of Artefacts

a response to Pinch and Bijker Social Studies of Science

16 London SAGE

29 Vaughan D(1996) The Challenger Launch Decision Risky

Technology Culture and Deviance at NASA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Vesilind P Aarne(1995) Evolution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de of Ethics Journal of Professional

Issu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Practice 121 4-10

31 Vincenti W G(1990) What Engineers Know and How They

Know It Analytical Studies from Aeronautical History

Baltimore and London The Johns Hopkis University Press

32 Whalley P(1991) Negotiating the Boundaries of Engineering

Professionals managers and manual work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Organizations 8 191-215

33 Williams R amp Edge D(1991) ldquoThe Social Shaping of

Technology a review of UK research concepts findings

programmes and centersrdquo Edinburgh PICT Working Papers

34 Woolgar S(2004) What happened to Provo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History and Technology 20(4)

339-349

한경희(Kyong-Hee Han)

2000년 연세대 사회학과 박사학위 취득

2002년 UC Davis 박사 후 과정

2009년~2012년 한국공학교육학회 홍보이사 및 논문집

편집위원

2013년~현재 연세대 공과대학 공학교육혁신센터 조교수

관심분야 공학교육 공학과 엔지니어의 역사 공학윤리

Phone 02-2123-5733

Fax 02-2123-8641

E-mail khan01yonseiackr

Page 5: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between Engineering ... · 1940년 당시 최신 공법을 이용하여 건설된 세계 제 3위의 장 ... 한 엔지니어의 열정과 끊임없는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4

점은 기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복합적 요소를 보지 고

려하지 못하고 공학의 실제 현실을 제대로 다루지 못한다는 점

에서 문제가 있다(Poel amp Verbeek 2006 224)

예를 들어 1980년대의 공학윤리교재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내부고발 이슈에 대해 살펴보자 내부고발 이슈는 통상 비도덕

적인 고용주와 이들의 사리사욕에 맞서 싸우는 엔지니어의 희

생적 영웅주의를 대비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극단적인 상

황의 설정이 윤리적 판단의 중요성을 드러내는데 효과적인 것

은 사실이다 하지만 실제 현실에서는 이렇게 극단적 상황 보

다는 오히려 일상적인 상황에서 엔지니어가 어떻게 판단하고

행동해야 할지를 다루는 일이 더욱 중요하다 그렇지만 기존의

접근 방식은 이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노하우를 제시하지 못했

다 이 때문에 공대 학생들은 현실에서 만나게 되는 일상적인

직업적 갈등의 상황에서 어떻게 판단하고 행동해야 할지에 대

해 제대로 배우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Johnson and Wetmore

2004)

STS는 문제가 발생하는 그 핵심 과정 자체에 관심을 집중할

것을 촉구한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공학윤리의 관점은 공학

설계과정을 윤리의 적용 대상으로 여기지 않았다 왜냐하면 과

정에 집중하기 보다는 설계가 모두 완료된 이후의 갈등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왔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기술개발의 초기 단

계에서 발생하는 이슈들 즉 관련된 사회집단들의 이해관계가

어떻게 반영되는지 설계와 관련한 복잡한 요인들이 어떻게 조

정되고 협상되는지의 과정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STS

의 주장이다

이에 과학기술학의 관점이 도입된 공학윤리(STS informed

engineering ethics)는 공학설계의 내부 과정에 관심을 집중하

여 설계와 연관된 다양한 요인들을 구체화하고 설계자와 그를

둘러싼 사회적 제도적 환경 사이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도록

의미 있는 개념과 분석틀을 제공하고자 한다(Lynch and Kline

2000)

기존의 공학윤리에 STS 관점을 도입했을 때 나타날 수 있

는 효과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 STS 관점은 파국

적 상황의 윤리가 아닌 일상적 실천으로서의 윤리에 초점을 맞

추도록 한다 응용윤리에서 흔히 전제되었던 격한 상황 즉 고

독한 영웅주의와 비겁한 이기주의의 갈림길이라는 설정에서 관

심을 일상의 경험세계로 전환시키게 된다 일상의 경험세계에

서 엔지니어들이 수행하는 공학의 실제적인 과정들 즉 의사결

정과정과 사회적 관계들 업무 관행과 조직의 이슈들이 윤리의

영역으로 들어오게 된다 그 동안 많은 연구들을 통해 발전된

개념들 예를 들면 실패의 연쇄 고리(Chiles 2000) 구조적 비

밀 일탈의 정상화(Vaughan 1996) 등의 개념들은 공학의 일

상적 과정에서 발생되는 위험의 생산구조를 잘 분석하고 있다

챌린저호 사건을 세밀하게 분석한 본(Vaughan 1996)은 과거

에 행해진 공학적 의사결정과 크고 작은 관행들이 오히려 정직

하지 않은 경영자가 제기하는 위험 보다 더 치명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설득력 있게 보여주었다 초기의 선택이 그 이후의 선택

을 정당화하면서 누적된 변화들이 그렇지 않았다면 결코 수용될

수 없었을 기술적 판단을 lsquo수용할만한 위험(acceptable risk)rsquo

으로 간주하게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이다

둘째 공학 분야의 사고와 위험 재난을 개인적 차원에서 보

다는 조직적 관계적 차원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이끈다 즉 공

공의 이익을 위해 헌신할 준비와 실력 열정을 갖춘 엔지니어가

있을 때조차도 기술적 실패나 재난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효과적으로 드러내 준다 기술적 사고와 위험성 증대의 본질은

갈수록 증대되는 기술 시스템 자체의 복합성과 상호연관성 그

리고 기술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들 사이의 결합 과정에 존재하

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엔지니어들은 암묵적으로 기술적 요소에 대해서만

책임을 인정할 뿐 제도적 정치적 요소는 국가나 다른 전문가

집단에 속한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실제로 현장에

서 일하는 대부분의 엔지니어들은 계약의 조건을 협상하고 조

직을 관리하며 고객을 설득하고 상사에게 보고하며 시장의 움

직임과 사회적 반응을 예측하며 기술적 설계 요소를 조정해 왔

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공학윤리를 개별 엔지니어의 의사결정이나 그

것을 둘러싼 미시적 맥락에만 주목해서는 많은 한계가 있다

STS는 미시적 차원의 분석과 거시적 차원의 분석을 연계시키

는 풍부한 개념과 이론적 자원을 발전시켜 왔다 예를 들어 행

위자 연결망 이론(actor network theory)이나 사회기술 시스템

(socio-technical system) 개념에서 볼 수 있듯이 기술을 둘

러싼 사회적 실천과 사회적 관계 물질적 인공물 등이 하나의

분석틀 속에서 각기 생명력을 가진 구성요소로 다루어진다 단

순히 기술의 효과나 영향력만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의 설

계 생산 분배 마케팅과 같은 기술개발의 전 주기를 다루며 개

인의 행위와 제도 문화적 차원의 분석도 함께 수행한다

셋째 STS 관점은 공학적 과정 전체에 대한 이해를 높여 미

래의 공학설계에 대한 도덕적 상상력을 높이고 윤리적 민감성

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oeckelbergh

(2006)는 잘못된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는 엔지니어가 본래 악

한 의도를 지니고 있거나 혹은 의지력이 약해서라기보다는 오

히려 지나치게 협소한 시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

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만큼 미래의 기술과 공학의 발전 방향에

대한 엔지니어들의 예측과 상상력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Johnson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5

(1993)은 도덕적 사고가 근본적으로 상상하는 활동이라고 주장

한다 왜냐하면 특정한 상황에서 도덕적으로 적합한 것이 무엇

인지를 끊임없이 상상해야 하고 다른 사람의 경험을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무엇보다 가능한 모든

상황을 예측하도록 돕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개념을 따르게 되면 엔지니어가 갖추어야 할 도덕적 책

임감이란 단순히 기존의 해결방안 중 어느 하나를 단지 선택하

는 문제가 아니라 선택할 수 있는 범위를 상상하고 그러한 조건

을 만들어내는 적극적 의미로 변화된다 Mehalik and Gorman

(2000)이 주장한 적극적 윤리(positive ethics)도 이러한 차원

의 개념이다

지금까지 한국의 공학윤리 교육은 최근의 갈등하는 기술적

논쟁을 거의 다루지 않아왔다 그 이유는 사회적 갈등이 존재

하는 기술 이슈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불편하게 여기거나 혹은

그것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이론적 방법론적 관점과 도구를 충

분히 발전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최근의 사회

적 요구와 부합하지 않는다 지금의 공학교육은 변화를 요구하

고 있다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제적인 역량을 키울 수 있

도록 공학윤리교육의 대상 방법론 등을 변화시켜야 한다

STS 연구와의 학제적 협력이 이런 측면에서 유용할 수 있다

2 STS와 공학설계 분야 방법론의 협력 가능성

놀랍게도 공학설계방법론과 STS의 연구방법론은 매우 유사

한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이 유사성은 서로 다른 학문 영역에

있지만 이들이 서로 소통하고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가능성

을 보여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공학설계는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단순화하고 변형시켜 문제

를 해결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설계과정이 갖는 이러한 특성은

흥미롭게도 STS의 분석과정과 상당히 유사하다 STS에서 중

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행위자 연결망 이론 역시 기술적 인

공물의 안정화와 형식의 구축(예를 들어 전등이나 스마트폰의

보편화)이 이질적인 다양한 요소들로 하여금 기술을 둘러싼 연

결망 속으로 동화되고 서로 연관을 맺게 만드는 과정 속에 존

재하게 됨을 강조한다(Bruno Latour et al 2010)

공학설계와 STS 분석이 갖는 학문의 방법론적 유사성을 이

해하기 위한 예로써 자전거의 변천과정을 연구한 대표적인 두

연구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하나는 과학기술학자인 Pinch and

Bijker(1987)의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공학설계기법에서 자주

사용되는 TRIZ의 분석기법이다 자전거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Pinch and Bijker(1987)의 연구는 Fig 1에서와 같이 자전거

가 등장했던 초기에 이것과 관련된 상이한 사회 집단들의 기술

P 문제점 S 해결책 SG 사회 집단

Fig 1 Pinch and Bijkers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the bicycle

적 요구와 관점 동일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 사이의 대립 도

덕적 갈등 등을 분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자전거 모델이 등장하기까지 자

전거라는 인공물에 대해 어떤 사회적 집단들이 관련되었는지

이들이 자전거를 이해하는 관점 즉 해석적 유연성은 어떻게 존

재했는지 관련된 사회 집단이 요구한 기술적 문제는 무엇이었

고 이를 둘러싼 해결방안들은 서로 어떻게 갈등하고 해결되었

는지를 흥미롭게 분석했다 예를 들면 자전거를 스포츠용 경주

수단으로 생각한 젊은 남성 집단과 교통수단으로 바라 본 여성

집단 및 노인들이 자전거의 속도와 안전성의 문제를 어떻게 요

구했는지(바퀴 크기를 둘러싼 서로 다른 요구) 진동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해 공기타이어가 처음 개발되었을 때에는 전혀 주목

을 받지 못하다가 자전거의 속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인식되면

서 대중화된 과정 등을 상세히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과

논쟁이 종결되는 안정화 과정에 있어서 수사적 종결과 문제의

재정의와 같은 기술 외적 메커니즘이 작동했음을 보여주었다

이번에는 공학설계의 트리즈 기법에 의해 자전거 문제가 해

결되는 방식을 들여다보자 TRIZ는 러시아의 과학자이자 엔지

니어인 Genrich Altshuller가 개발한 창의적 문제해결이론으로

주로 발명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거나 창조적

설계를 위한 원리를 도출할 때 사용된다 트리즈의 핵심 개념은

모순과 자원이다

모순이란 어떤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발생하는 곤

란한 상황을 의미하는데 크게 기술적 모순과 물리적 모순으로

나누어진다 기술적 모순은 두 가지 상황이 존재할 때 한 가지

상황을 개선하려고 하면 다른 상황이 악화되는 경우이고 물리

적 모순은 두 가지의 상반되는 상황이 동시에 요구되는 경우이

다 트리즈에서는 해결하려는 문제에서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6

Fig 2 Improvement cycle of TRIZ 자료 Rantanen and Domb (2007114)

Table 1 Conceptual correspondence of EPOR amp TRIZ

EPOR TRIZ

관련된 사회 집단 harr 기술적 문제의 정의

기술적 요구간 갈등 harr 고유 모순

해결책 사이의 경쟁 harr 자원 동원

안정화를 통한 종결 harr 이상적 최종 결과

한 모순이 무엇인지를 발견하는 일이 중요하다 모순을 개선하

기 위해서는 주어진 자원을 활용해야 하는데 자원은 물질 환

경(시스템) 기능 시간 공간 정보의 여섯 가지로 나누어진다

자원을 활용하여 모순을 극복하고 이상적 최종 결과를 정형화

하게 된다 Altshuller는 모든 시스템의 발전이 그 이상성을 증

가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된다고 가정했다 이 때 이상성이란 원

래 시스템이 지닌 유용한 특성과 기능을 모두 지니면서도 해로

움과 비용이 최소화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트리즈 분석가들에 따르면 자전거의 속도를 증가시킬수록 바

퀴가 커져야 하는데 이것은 안전성의 문제를 악화시킨다 즉

자전거의 바퀴 문제는 자전거의 고유 모순으로 설정된다 이것

은 체인 장치가 도입됨에 따라 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속도 증

가로 인한 진동 문제가 주요한 모순으로 등장하는데 이것은

1845년 발명된 공기 타이어가 등장함에 따라 해결된다 모순

의 해결 과정은 자전거를 구성하고 있는 일부 요소를 변경하거

나 공간의 분리를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모색된다

Table 1은 STS와 공학설계 기법 사이의 주요 개념이 서로 대

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트리즈에 의한 문제해결 방식이 주요

모순의 정의와 극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이

고 가능한 자원들 속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며 심리적 타성

과 습관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설정한다는 점에서 STS 중 하나

인 Empirical Programme of Relativism (EPOR)에서 기술의

구성과정을 다루는 방식과 상당히 유사하다 트리즈 기법이 분

석한 자전거 바퀴나 진동의 이슈 역시 Pinch and Bijker(1987)

연구에서 지적된 가장 중요한 기술적 이슈였다 다만 EPOR은

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집단을 분석의 중심부에 위치시키는 반

면 트리즈는 기술 그 자체를 분석의 중심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행위자는 중립적 관찰자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리

즈가 다루는 대상을 기술에서 행위자와 제도 차원까지 확대시

키게 되면 STS 방법론과 매우 유사해진다

다음으로 우리는 설계과정에서 나타나는 단순화 과정과 이질

적 요소들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어떤 요소가 삭제되고 어떤

요소가 동원되고 있는지를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제품을 설계

하고 개발할 때 발생하는 lsquo단순화rsquo 과정은 불가피하게 특정 요

소의 부각이나 삭제와 같은 활동을 수반하곤 한다 공학설계의

다른 기법인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와 Axiom

Design에서도 이러한 특성이 잘 드러난다 QFD는 연구개발에

있어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최적의 설계를 위해 활용되는

기법이고 공리설계는 새로운 설계를 만들고 기존 설계를 진단

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과정으로 어떤 기술적 인공물에 대한 기

능적 요구와 이와 관련된 물리적 과정적 요인들을 매핑하여 문

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QFD와 공리설계에는 단순화 과정이

매우 중요한데 특히 제품설계를 둘러싼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들이 중요한 단순화의 대상이 된다(Suh 2002 Rantanen

and Domb 2007)

기술적 성공이나 실패가 어떤 특정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보

다는 다양한 범위의 이질적 요소들의 배치와 구성에 의해 좌우

된다고 본다는 점에서 공학설계와 STS의 견해 역시 유사하다

공학에서는 엔지니어의 기술적 전문성이 갖는 중요성과 역할에

관해 매우 명확한 의견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특정 개인의

기술 역량이 완벽하다고 해서 그의 설계가 모두 성공을 거둘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현대 사회에 들어와 개인이 단독으

로 수행하는 공학설계는 매우 드물기 때문이다 최근의 연구들

은 사회적 윤리적 요소 그리고 시스템 차원의 분석이 공학설

계에 도입되어야 할 이유를 여러 측면에서 강조하는 추세이다

종합해 보면 STS와 공학설계 모두 정답이 있는 문제 풀이가

아닌 개방형의 주관식 문제를 푼다는 점에서 유사하며 어떤 문

제를 풀 것인지의 구체화 과정을 중시한다는 점 역시 공통된다

즉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공학설계과정은 STS가

제기하는 기본 개념 및 방법론과 조화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지니고 있다

무엇보다 공학설계의 주요 과정에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

소가 어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lsquo일

상의 실천으로서의 윤리rsquo가 어떻게 개입될 수 있는지를 상상하

게 한다는 점에서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은 의미가 있

을 것이다 STS와 공학설계 사이의 접점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의 문제는 단순히 전문 지식들 사이의 학제적 결합을 어떻게 실

행할 것인지의 기계적 이슈가 아닌 서로 다른 학문 분야들 사

이의 소통을 어떻게 시작하고 진행할 것인가라는 21세기 학제

적 협력의 핵심 과제에 속한다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7

IV 결론 학제적 협력을 위한 실행 방안

STS와 공학교육의 영역들은 왜 소통해야 하고 어떻게 만날

수 있을까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작은

걸음에 속한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많은 엔지니어들이 자신들의 새로

운 사회적 역할과 리더십을 구축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과학기술-인문사회 분야와의 학제적 협력과 융합을 강화

해 공학의 지평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대의 엔지니

어들은 공학이 더 이상 사회로부터 분리된 채 다루어질 수 있는

협소한 기술 영역이 아님을 잘 인식하고 있다 과학적 기술의

도입 공학의 독자적 학문 영역을 구축하며 성장한 20세기의 공

학 전략은 이제 변화하고 있다

지금의 사회는 혼자만의 지식과 노하우에 기대는 전문가 보

다는 전문성에 바탕을 두되 사회와 소통하고 협력하는 전문가

를 요구한다 21세기 사회를 이끌 새로운 이념과 가치를 누가

어떤 집단이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런 면에서 공학교육과 STS의 만남은 지금까지 실행하

지 못했던 과학과 기술 사회의 상호짜임에 대한 새로운 상상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실천적 대안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어떻게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을 발전시킬

수 있을까

이를 위해서는 우선 연구부문에서의 협력이 진행될 필요가 있

다 왜냐하면 연구부문에서 학제적 협력의 성과가 많이 축적되

어야 이를 기반으로 교육 부문의 성과를 이끌 수 있고 무엇보

다 해당 분야에 지식과 노하우를 갖춘 교수자를 양성할 수 있

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공학소양교육과 공학설계교육 분야에서 STS 분

야의 성과를 접목시킨 교육과정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미 많은 공과대학에서 공학과 사회 공학윤리 공학과 문화 등

의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데 특히 이들 과목에 STS 공학학

연구의 성과가 접목된다면 이들 과목의 질적 발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송성수 2012) 또한 최근에는 적지 않은 공학설계

교과목들이 적정기술 이슈를 다루고 있다 적정기술 설계를 통

해 많은 학생들은 단순한 기술적 접근이나 혹은 수요자나 지역

적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설계가 얼마나 실패하기 쉬운지를 배

우고 있다 다양한 사회적 집단의 이해관심과 사회의 경제적 정

치적 문화적 환경이 어떻게 결합되어야 할지에 대한 관점과 방

법론의 학습은 기존의 공학설계교육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 것

이다

이같은 학제적 협력과 만남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 중

하나는 기술개발의 초기 단계에 집중함으로써 공학적 실천에서

기술적 요인과 기술 외적 요인의 연결과 조정 협상 과정을 세

밀하게 다루고 그것이 갖는 사회적 함의를 지속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영역은 모

두 개방형 문제의 정의와 해결에 능숙하기 때문에 새로운 사회

적 상상의 많은 가능성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공학

윤리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구체적인 공학의 과정 특히 기획으

로부터 사용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유연한 사고와 도덕적 상상

력을 키워 좋은 공학 바람직한 엔지니어에 대해 성찰하고 해

결책을 모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공학설계교육은 실제 문제해결의 최전선에 있는 엔지니어들

로 하여금 공학의 사회적 경제적 윤리적 영향을 이해하고 공

학 전문성의 영역을 소통과 토론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실

제적 기회를 갖게 할 것이다 STS 역시 공학의 전문 영역이 다

루어야 할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풍부하고 다양하게 다루며 사

회적 실험장 속에서 과학기술 발전의 방향성을 탐색하고 무엇

보다 STS의 실천적 힘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

이다 앞으로 이와 관련한 풍부한 경험 연구와 구체적인 대안

제시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1 송성수(2012) 통섭교육으로서 공학소양교육의 위상과 과제 공

학교육연구 15(1) 18-25

2 川田忠樹(2004) 근대 현수교의 역사 박수영 이명재 양민수

역 도서출판 과학기술

3 한경희(2008) 공학학의 등장과 그 의미 발전방향에 대한 탐색

담론201 11(1) 99-131

4 홍성욱(1999)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기술 문학과 지성사

5 Bruno Latour(2010) 인간 사물 동맹 이음

6 Coeckelbergh M(2006) Regulation or Responsibility

Autonomy Moral Imagination and Engineering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37-260

7 Cooke Morris Llewellyn(1922) Ethics and the Engineering

Profession Annals of the Association for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101 68-72

8 Downey Gary(2009) What is Engineering Studies For

Dominant Practices and Scalable Scholarship Engineering

Studies 1(1) 55-76

9 Downey Gary(2010) What is Global Engineering Education

For 공학교육 17(2) 16-18

10 Florman C S(1987) The Civilized Engineer St Martins

Press

11 Herkert Joseph R(2001) Future Directions in Engineering

Ethics Research Microethics Macroethics and the Role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8

of Professional Societies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7 403-414

12 Jasanoff S Markle G E Petersen J C amp Pinch T

(1995)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age Publications

13 Johnson D G amp Wetmore J M(2004) Engineering Ethics

Integrating STS and Practical Ethics Annual Meeting of

4S August

14 Kline R(1995) Construing Technology as Applied Science

Public Rhetoric of Scientists and Engineers in the United

States 1880-1945 ISIS 86 194-221

15 Kranakis E(1997) Constructing a Bridge An Exploration

of Engineering Culture Design and Research in Ninteenth

Century France and America The MIT Press

16 Law John(2004) Engineering Naturecultures A Note from

STS httpwwwlansacukfasssociologypaperslaw-ena

cting-natureculturespdf

17 Lynch W T amp Kline R(2000) Engineering Practice and

Engineering Ethics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25(2) 195-225

18 Martin Mike and Roland Schinzinger(1983) Ethics i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3rd ed 1996

19 Mehlik M M and Gorman M E(2006) A Framework

for Strategic Network Design Assessment Decision Making

and Moral Imagination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89-308

20 Mitcham Carl(2009) A Historio-ethical Perspective on

Engineering Education from Use and Convenience to Policy

Engagement Engineering Studies 1(1) 35-54

21 Nam Pyo Suh(2002) 공리적 설계(I) 차성운 박경진 역 동

명사

22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2005) Educating the

Engineer of 2020 Adapting Engineering Education to the

New Century [국역 주우석 외 옮김 2020 엔지니어교육

미래 공학교육에 대한 비전 시그마프레스 2009]

23 Pinch T F and Bijker W E(1987) The Social

Construction of Facts and Artifacts Or How the Sociology

of Science and the Sociology of Technology Might Benefit

Each Other W E Bijker and T P Hughes and T F

Pinch(ed)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ical

Systems The MIT Press

24 Poel I amp Verbeek P(2006) Ethics and Engineering Design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23~236

25 Poel I and Goldberg D E(eds) (2010) Philosophy and

Engineering An Emerging Agenda Springer

26 Rantanen K and Domb E(2007) 알기 쉬운 트리즈 창의

적 문제해결이론 김병재 박성균 역 도서출판 인터비젼

27 Reynolds T S(eds)(1991) The Engineer in America A

Historical Anthology from Technology and Culture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Russell S(1986) The Social Construction of Artefacts

a response to Pinch and Bijker Social Studies of Science

16 London SAGE

29 Vaughan D(1996) The Challenger Launch Decision Risky

Technology Culture and Deviance at NASA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Vesilind P Aarne(1995) Evolution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de of Ethics Journal of Professional

Issu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Practice 121 4-10

31 Vincenti W G(1990) What Engineers Know and How They

Know It Analytical Studies from Aeronautical History

Baltimore and London The Johns Hopkis University Press

32 Whalley P(1991) Negotiating the Boundaries of Engineering

Professionals managers and manual work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Organizations 8 191-215

33 Williams R amp Edge D(1991) ldquoThe Social Shaping of

Technology a review of UK research concepts findings

programmes and centersrdquo Edinburgh PICT Working Papers

34 Woolgar S(2004) What happened to Provo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History and Technology 20(4)

339-349

한경희(Kyong-Hee Han)

2000년 연세대 사회학과 박사학위 취득

2002년 UC Davis 박사 후 과정

2009년~2012년 한국공학교육학회 홍보이사 및 논문집

편집위원

2013년~현재 연세대 공과대학 공학교육혁신센터 조교수

관심분야 공학교육 공학과 엔지니어의 역사 공학윤리

Phone 02-2123-5733

Fax 02-2123-8641

E-mail khan01yonseiackr

Page 6: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between Engineering ... · 1940년 당시 최신 공법을 이용하여 건설된 세계 제 3위의 장 ... 한 엔지니어의 열정과 끊임없는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5

(1993)은 도덕적 사고가 근본적으로 상상하는 활동이라고 주장

한다 왜냐하면 특정한 상황에서 도덕적으로 적합한 것이 무엇

인지를 끊임없이 상상해야 하고 다른 사람의 경험을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무엇보다 가능한 모든

상황을 예측하도록 돕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개념을 따르게 되면 엔지니어가 갖추어야 할 도덕적 책

임감이란 단순히 기존의 해결방안 중 어느 하나를 단지 선택하

는 문제가 아니라 선택할 수 있는 범위를 상상하고 그러한 조건

을 만들어내는 적극적 의미로 변화된다 Mehalik and Gorman

(2000)이 주장한 적극적 윤리(positive ethics)도 이러한 차원

의 개념이다

지금까지 한국의 공학윤리 교육은 최근의 갈등하는 기술적

논쟁을 거의 다루지 않아왔다 그 이유는 사회적 갈등이 존재

하는 기술 이슈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불편하게 여기거나 혹은

그것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이론적 방법론적 관점과 도구를 충

분히 발전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최근의 사회

적 요구와 부합하지 않는다 지금의 공학교육은 변화를 요구하

고 있다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제적인 역량을 키울 수 있

도록 공학윤리교육의 대상 방법론 등을 변화시켜야 한다

STS 연구와의 학제적 협력이 이런 측면에서 유용할 수 있다

2 STS와 공학설계 분야 방법론의 협력 가능성

놀랍게도 공학설계방법론과 STS의 연구방법론은 매우 유사

한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이 유사성은 서로 다른 학문 영역에

있지만 이들이 서로 소통하고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가능성

을 보여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공학설계는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단순화하고 변형시켜 문제

를 해결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설계과정이 갖는 이러한 특성은

흥미롭게도 STS의 분석과정과 상당히 유사하다 STS에서 중

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행위자 연결망 이론 역시 기술적 인

공물의 안정화와 형식의 구축(예를 들어 전등이나 스마트폰의

보편화)이 이질적인 다양한 요소들로 하여금 기술을 둘러싼 연

결망 속으로 동화되고 서로 연관을 맺게 만드는 과정 속에 존

재하게 됨을 강조한다(Bruno Latour et al 2010)

공학설계와 STS 분석이 갖는 학문의 방법론적 유사성을 이

해하기 위한 예로써 자전거의 변천과정을 연구한 대표적인 두

연구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하나는 과학기술학자인 Pinch and

Bijker(1987)의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공학설계기법에서 자주

사용되는 TRIZ의 분석기법이다 자전거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Pinch and Bijker(1987)의 연구는 Fig 1에서와 같이 자전거

가 등장했던 초기에 이것과 관련된 상이한 사회 집단들의 기술

P 문제점 S 해결책 SG 사회 집단

Fig 1 Pinch and Bijkers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the bicycle

적 요구와 관점 동일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 사이의 대립 도

덕적 갈등 등을 분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자전거 모델이 등장하기까지 자

전거라는 인공물에 대해 어떤 사회적 집단들이 관련되었는지

이들이 자전거를 이해하는 관점 즉 해석적 유연성은 어떻게 존

재했는지 관련된 사회 집단이 요구한 기술적 문제는 무엇이었

고 이를 둘러싼 해결방안들은 서로 어떻게 갈등하고 해결되었

는지를 흥미롭게 분석했다 예를 들면 자전거를 스포츠용 경주

수단으로 생각한 젊은 남성 집단과 교통수단으로 바라 본 여성

집단 및 노인들이 자전거의 속도와 안전성의 문제를 어떻게 요

구했는지(바퀴 크기를 둘러싼 서로 다른 요구) 진동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해 공기타이어가 처음 개발되었을 때에는 전혀 주목

을 받지 못하다가 자전거의 속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인식되면

서 대중화된 과정 등을 상세히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과

논쟁이 종결되는 안정화 과정에 있어서 수사적 종결과 문제의

재정의와 같은 기술 외적 메커니즘이 작동했음을 보여주었다

이번에는 공학설계의 트리즈 기법에 의해 자전거 문제가 해

결되는 방식을 들여다보자 TRIZ는 러시아의 과학자이자 엔지

니어인 Genrich Altshuller가 개발한 창의적 문제해결이론으로

주로 발명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거나 창조적

설계를 위한 원리를 도출할 때 사용된다 트리즈의 핵심 개념은

모순과 자원이다

모순이란 어떤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발생하는 곤

란한 상황을 의미하는데 크게 기술적 모순과 물리적 모순으로

나누어진다 기술적 모순은 두 가지 상황이 존재할 때 한 가지

상황을 개선하려고 하면 다른 상황이 악화되는 경우이고 물리

적 모순은 두 가지의 상반되는 상황이 동시에 요구되는 경우이

다 트리즈에서는 해결하려는 문제에서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6

Fig 2 Improvement cycle of TRIZ 자료 Rantanen and Domb (2007114)

Table 1 Conceptual correspondence of EPOR amp TRIZ

EPOR TRIZ

관련된 사회 집단 harr 기술적 문제의 정의

기술적 요구간 갈등 harr 고유 모순

해결책 사이의 경쟁 harr 자원 동원

안정화를 통한 종결 harr 이상적 최종 결과

한 모순이 무엇인지를 발견하는 일이 중요하다 모순을 개선하

기 위해서는 주어진 자원을 활용해야 하는데 자원은 물질 환

경(시스템) 기능 시간 공간 정보의 여섯 가지로 나누어진다

자원을 활용하여 모순을 극복하고 이상적 최종 결과를 정형화

하게 된다 Altshuller는 모든 시스템의 발전이 그 이상성을 증

가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된다고 가정했다 이 때 이상성이란 원

래 시스템이 지닌 유용한 특성과 기능을 모두 지니면서도 해로

움과 비용이 최소화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트리즈 분석가들에 따르면 자전거의 속도를 증가시킬수록 바

퀴가 커져야 하는데 이것은 안전성의 문제를 악화시킨다 즉

자전거의 바퀴 문제는 자전거의 고유 모순으로 설정된다 이것

은 체인 장치가 도입됨에 따라 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속도 증

가로 인한 진동 문제가 주요한 모순으로 등장하는데 이것은

1845년 발명된 공기 타이어가 등장함에 따라 해결된다 모순

의 해결 과정은 자전거를 구성하고 있는 일부 요소를 변경하거

나 공간의 분리를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모색된다

Table 1은 STS와 공학설계 기법 사이의 주요 개념이 서로 대

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트리즈에 의한 문제해결 방식이 주요

모순의 정의와 극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이

고 가능한 자원들 속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며 심리적 타성

과 습관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설정한다는 점에서 STS 중 하나

인 Empirical Programme of Relativism (EPOR)에서 기술의

구성과정을 다루는 방식과 상당히 유사하다 트리즈 기법이 분

석한 자전거 바퀴나 진동의 이슈 역시 Pinch and Bijker(1987)

연구에서 지적된 가장 중요한 기술적 이슈였다 다만 EPOR은

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집단을 분석의 중심부에 위치시키는 반

면 트리즈는 기술 그 자체를 분석의 중심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행위자는 중립적 관찰자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리

즈가 다루는 대상을 기술에서 행위자와 제도 차원까지 확대시

키게 되면 STS 방법론과 매우 유사해진다

다음으로 우리는 설계과정에서 나타나는 단순화 과정과 이질

적 요소들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어떤 요소가 삭제되고 어떤

요소가 동원되고 있는지를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제품을 설계

하고 개발할 때 발생하는 lsquo단순화rsquo 과정은 불가피하게 특정 요

소의 부각이나 삭제와 같은 활동을 수반하곤 한다 공학설계의

다른 기법인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와 Axiom

Design에서도 이러한 특성이 잘 드러난다 QFD는 연구개발에

있어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최적의 설계를 위해 활용되는

기법이고 공리설계는 새로운 설계를 만들고 기존 설계를 진단

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과정으로 어떤 기술적 인공물에 대한 기

능적 요구와 이와 관련된 물리적 과정적 요인들을 매핑하여 문

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QFD와 공리설계에는 단순화 과정이

매우 중요한데 특히 제품설계를 둘러싼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들이 중요한 단순화의 대상이 된다(Suh 2002 Rantanen

and Domb 2007)

기술적 성공이나 실패가 어떤 특정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보

다는 다양한 범위의 이질적 요소들의 배치와 구성에 의해 좌우

된다고 본다는 점에서 공학설계와 STS의 견해 역시 유사하다

공학에서는 엔지니어의 기술적 전문성이 갖는 중요성과 역할에

관해 매우 명확한 의견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특정 개인의

기술 역량이 완벽하다고 해서 그의 설계가 모두 성공을 거둘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현대 사회에 들어와 개인이 단독으

로 수행하는 공학설계는 매우 드물기 때문이다 최근의 연구들

은 사회적 윤리적 요소 그리고 시스템 차원의 분석이 공학설

계에 도입되어야 할 이유를 여러 측면에서 강조하는 추세이다

종합해 보면 STS와 공학설계 모두 정답이 있는 문제 풀이가

아닌 개방형의 주관식 문제를 푼다는 점에서 유사하며 어떤 문

제를 풀 것인지의 구체화 과정을 중시한다는 점 역시 공통된다

즉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공학설계과정은 STS가

제기하는 기본 개념 및 방법론과 조화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지니고 있다

무엇보다 공학설계의 주요 과정에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

소가 어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lsquo일

상의 실천으로서의 윤리rsquo가 어떻게 개입될 수 있는지를 상상하

게 한다는 점에서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은 의미가 있

을 것이다 STS와 공학설계 사이의 접점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의 문제는 단순히 전문 지식들 사이의 학제적 결합을 어떻게 실

행할 것인지의 기계적 이슈가 아닌 서로 다른 학문 분야들 사

이의 소통을 어떻게 시작하고 진행할 것인가라는 21세기 학제

적 협력의 핵심 과제에 속한다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7

IV 결론 학제적 협력을 위한 실행 방안

STS와 공학교육의 영역들은 왜 소통해야 하고 어떻게 만날

수 있을까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작은

걸음에 속한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많은 엔지니어들이 자신들의 새로

운 사회적 역할과 리더십을 구축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과학기술-인문사회 분야와의 학제적 협력과 융합을 강화

해 공학의 지평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대의 엔지니

어들은 공학이 더 이상 사회로부터 분리된 채 다루어질 수 있는

협소한 기술 영역이 아님을 잘 인식하고 있다 과학적 기술의

도입 공학의 독자적 학문 영역을 구축하며 성장한 20세기의 공

학 전략은 이제 변화하고 있다

지금의 사회는 혼자만의 지식과 노하우에 기대는 전문가 보

다는 전문성에 바탕을 두되 사회와 소통하고 협력하는 전문가

를 요구한다 21세기 사회를 이끌 새로운 이념과 가치를 누가

어떤 집단이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런 면에서 공학교육과 STS의 만남은 지금까지 실행하

지 못했던 과학과 기술 사회의 상호짜임에 대한 새로운 상상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실천적 대안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어떻게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을 발전시킬

수 있을까

이를 위해서는 우선 연구부문에서의 협력이 진행될 필요가 있

다 왜냐하면 연구부문에서 학제적 협력의 성과가 많이 축적되

어야 이를 기반으로 교육 부문의 성과를 이끌 수 있고 무엇보

다 해당 분야에 지식과 노하우를 갖춘 교수자를 양성할 수 있

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공학소양교육과 공학설계교육 분야에서 STS 분

야의 성과를 접목시킨 교육과정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미 많은 공과대학에서 공학과 사회 공학윤리 공학과 문화 등

의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데 특히 이들 과목에 STS 공학학

연구의 성과가 접목된다면 이들 과목의 질적 발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송성수 2012) 또한 최근에는 적지 않은 공학설계

교과목들이 적정기술 이슈를 다루고 있다 적정기술 설계를 통

해 많은 학생들은 단순한 기술적 접근이나 혹은 수요자나 지역

적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설계가 얼마나 실패하기 쉬운지를 배

우고 있다 다양한 사회적 집단의 이해관심과 사회의 경제적 정

치적 문화적 환경이 어떻게 결합되어야 할지에 대한 관점과 방

법론의 학습은 기존의 공학설계교육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 것

이다

이같은 학제적 협력과 만남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 중

하나는 기술개발의 초기 단계에 집중함으로써 공학적 실천에서

기술적 요인과 기술 외적 요인의 연결과 조정 협상 과정을 세

밀하게 다루고 그것이 갖는 사회적 함의를 지속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영역은 모

두 개방형 문제의 정의와 해결에 능숙하기 때문에 새로운 사회

적 상상의 많은 가능성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공학

윤리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구체적인 공학의 과정 특히 기획으

로부터 사용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유연한 사고와 도덕적 상상

력을 키워 좋은 공학 바람직한 엔지니어에 대해 성찰하고 해

결책을 모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공학설계교육은 실제 문제해결의 최전선에 있는 엔지니어들

로 하여금 공학의 사회적 경제적 윤리적 영향을 이해하고 공

학 전문성의 영역을 소통과 토론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실

제적 기회를 갖게 할 것이다 STS 역시 공학의 전문 영역이 다

루어야 할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풍부하고 다양하게 다루며 사

회적 실험장 속에서 과학기술 발전의 방향성을 탐색하고 무엇

보다 STS의 실천적 힘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

이다 앞으로 이와 관련한 풍부한 경험 연구와 구체적인 대안

제시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1 송성수(2012) 통섭교육으로서 공학소양교육의 위상과 과제 공

학교육연구 15(1) 18-25

2 川田忠樹(2004) 근대 현수교의 역사 박수영 이명재 양민수

역 도서출판 과학기술

3 한경희(2008) 공학학의 등장과 그 의미 발전방향에 대한 탐색

담론201 11(1) 99-131

4 홍성욱(1999)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기술 문학과 지성사

5 Bruno Latour(2010) 인간 사물 동맹 이음

6 Coeckelbergh M(2006) Regulation or Responsibility

Autonomy Moral Imagination and Engineering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37-260

7 Cooke Morris Llewellyn(1922) Ethics and the Engineering

Profession Annals of the Association for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101 68-72

8 Downey Gary(2009) What is Engineering Studies For

Dominant Practices and Scalable Scholarship Engineering

Studies 1(1) 55-76

9 Downey Gary(2010) What is Global Engineering Education

For 공학교육 17(2) 16-18

10 Florman C S(1987) The Civilized Engineer St Martins

Press

11 Herkert Joseph R(2001) Future Directions in Engineering

Ethics Research Microethics Macroethics and the Role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8

of Professional Societies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7 403-414

12 Jasanoff S Markle G E Petersen J C amp Pinch T

(1995)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age Publications

13 Johnson D G amp Wetmore J M(2004) Engineering Ethics

Integrating STS and Practical Ethics Annual Meeting of

4S August

14 Kline R(1995) Construing Technology as Applied Science

Public Rhetoric of Scientists and Engineers in the United

States 1880-1945 ISIS 86 194-221

15 Kranakis E(1997) Constructing a Bridge An Exploration

of Engineering Culture Design and Research in Ninteenth

Century France and America The MIT Press

16 Law John(2004) Engineering Naturecultures A Note from

STS httpwwwlansacukfasssociologypaperslaw-ena

cting-natureculturespdf

17 Lynch W T amp Kline R(2000) Engineering Practice and

Engineering Ethics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25(2) 195-225

18 Martin Mike and Roland Schinzinger(1983) Ethics i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3rd ed 1996

19 Mehlik M M and Gorman M E(2006) A Framework

for Strategic Network Design Assessment Decision Making

and Moral Imagination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89-308

20 Mitcham Carl(2009) A Historio-ethical Perspective on

Engineering Education from Use and Convenience to Policy

Engagement Engineering Studies 1(1) 35-54

21 Nam Pyo Suh(2002) 공리적 설계(I) 차성운 박경진 역 동

명사

22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2005) Educating the

Engineer of 2020 Adapting Engineering Education to the

New Century [국역 주우석 외 옮김 2020 엔지니어교육

미래 공학교육에 대한 비전 시그마프레스 2009]

23 Pinch T F and Bijker W E(1987) The Social

Construction of Facts and Artifacts Or How the Sociology

of Science and the Sociology of Technology Might Benefit

Each Other W E Bijker and T P Hughes and T F

Pinch(ed)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ical

Systems The MIT Press

24 Poel I amp Verbeek P(2006) Ethics and Engineering Design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23~236

25 Poel I and Goldberg D E(eds) (2010) Philosophy and

Engineering An Emerging Agenda Springer

26 Rantanen K and Domb E(2007) 알기 쉬운 트리즈 창의

적 문제해결이론 김병재 박성균 역 도서출판 인터비젼

27 Reynolds T S(eds)(1991) The Engineer in America A

Historical Anthology from Technology and Culture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Russell S(1986) The Social Construction of Artefacts

a response to Pinch and Bijker Social Studies of Science

16 London SAGE

29 Vaughan D(1996) The Challenger Launch Decision Risky

Technology Culture and Deviance at NASA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Vesilind P Aarne(1995) Evolution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de of Ethics Journal of Professional

Issu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Practice 121 4-10

31 Vincenti W G(1990) What Engineers Know and How They

Know It Analytical Studies from Aeronautical History

Baltimore and London The Johns Hopkis University Press

32 Whalley P(1991) Negotiating the Boundaries of Engineering

Professionals managers and manual work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Organizations 8 191-215

33 Williams R amp Edge D(1991) ldquoThe Social Shaping of

Technology a review of UK research concepts findings

programmes and centersrdquo Edinburgh PICT Working Papers

34 Woolgar S(2004) What happened to Provo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History and Technology 20(4)

339-349

한경희(Kyong-Hee Han)

2000년 연세대 사회학과 박사학위 취득

2002년 UC Davis 박사 후 과정

2009년~2012년 한국공학교육학회 홍보이사 및 논문집

편집위원

2013년~현재 연세대 공과대학 공학교육혁신센터 조교수

관심분야 공학교육 공학과 엔지니어의 역사 공학윤리

Phone 02-2123-5733

Fax 02-2123-8641

E-mail khan01yonseiackr

Page 7: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between Engineering ... · 1940년 당시 최신 공법을 이용하여 건설된 세계 제 3위의 장 ... 한 엔지니어의 열정과 끊임없는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6

Fig 2 Improvement cycle of TRIZ 자료 Rantanen and Domb (2007114)

Table 1 Conceptual correspondence of EPOR amp TRIZ

EPOR TRIZ

관련된 사회 집단 harr 기술적 문제의 정의

기술적 요구간 갈등 harr 고유 모순

해결책 사이의 경쟁 harr 자원 동원

안정화를 통한 종결 harr 이상적 최종 결과

한 모순이 무엇인지를 발견하는 일이 중요하다 모순을 개선하

기 위해서는 주어진 자원을 활용해야 하는데 자원은 물질 환

경(시스템) 기능 시간 공간 정보의 여섯 가지로 나누어진다

자원을 활용하여 모순을 극복하고 이상적 최종 결과를 정형화

하게 된다 Altshuller는 모든 시스템의 발전이 그 이상성을 증

가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된다고 가정했다 이 때 이상성이란 원

래 시스템이 지닌 유용한 특성과 기능을 모두 지니면서도 해로

움과 비용이 최소화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트리즈 분석가들에 따르면 자전거의 속도를 증가시킬수록 바

퀴가 커져야 하는데 이것은 안전성의 문제를 악화시킨다 즉

자전거의 바퀴 문제는 자전거의 고유 모순으로 설정된다 이것

은 체인 장치가 도입됨에 따라 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속도 증

가로 인한 진동 문제가 주요한 모순으로 등장하는데 이것은

1845년 발명된 공기 타이어가 등장함에 따라 해결된다 모순

의 해결 과정은 자전거를 구성하고 있는 일부 요소를 변경하거

나 공간의 분리를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모색된다

Table 1은 STS와 공학설계 기법 사이의 주요 개념이 서로 대

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트리즈에 의한 문제해결 방식이 주요

모순의 정의와 극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이

고 가능한 자원들 속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며 심리적 타성

과 습관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설정한다는 점에서 STS 중 하나

인 Empirical Programme of Relativism (EPOR)에서 기술의

구성과정을 다루는 방식과 상당히 유사하다 트리즈 기법이 분

석한 자전거 바퀴나 진동의 이슈 역시 Pinch and Bijker(1987)

연구에서 지적된 가장 중요한 기술적 이슈였다 다만 EPOR은

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집단을 분석의 중심부에 위치시키는 반

면 트리즈는 기술 그 자체를 분석의 중심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행위자는 중립적 관찰자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리

즈가 다루는 대상을 기술에서 행위자와 제도 차원까지 확대시

키게 되면 STS 방법론과 매우 유사해진다

다음으로 우리는 설계과정에서 나타나는 단순화 과정과 이질

적 요소들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어떤 요소가 삭제되고 어떤

요소가 동원되고 있는지를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제품을 설계

하고 개발할 때 발생하는 lsquo단순화rsquo 과정은 불가피하게 특정 요

소의 부각이나 삭제와 같은 활동을 수반하곤 한다 공학설계의

다른 기법인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와 Axiom

Design에서도 이러한 특성이 잘 드러난다 QFD는 연구개발에

있어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최적의 설계를 위해 활용되는

기법이고 공리설계는 새로운 설계를 만들고 기존 설계를 진단

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과정으로 어떤 기술적 인공물에 대한 기

능적 요구와 이와 관련된 물리적 과정적 요인들을 매핑하여 문

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QFD와 공리설계에는 단순화 과정이

매우 중요한데 특히 제품설계를 둘러싼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들이 중요한 단순화의 대상이 된다(Suh 2002 Rantanen

and Domb 2007)

기술적 성공이나 실패가 어떤 특정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보

다는 다양한 범위의 이질적 요소들의 배치와 구성에 의해 좌우

된다고 본다는 점에서 공학설계와 STS의 견해 역시 유사하다

공학에서는 엔지니어의 기술적 전문성이 갖는 중요성과 역할에

관해 매우 명확한 의견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특정 개인의

기술 역량이 완벽하다고 해서 그의 설계가 모두 성공을 거둘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현대 사회에 들어와 개인이 단독으

로 수행하는 공학설계는 매우 드물기 때문이다 최근의 연구들

은 사회적 윤리적 요소 그리고 시스템 차원의 분석이 공학설

계에 도입되어야 할 이유를 여러 측면에서 강조하는 추세이다

종합해 보면 STS와 공학설계 모두 정답이 있는 문제 풀이가

아닌 개방형의 주관식 문제를 푼다는 점에서 유사하며 어떤 문

제를 풀 것인지의 구체화 과정을 중시한다는 점 역시 공통된다

즉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공학설계과정은 STS가

제기하는 기본 개념 및 방법론과 조화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지니고 있다

무엇보다 공학설계의 주요 과정에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

소가 어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lsquo일

상의 실천으로서의 윤리rsquo가 어떻게 개입될 수 있는지를 상상하

게 한다는 점에서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은 의미가 있

을 것이다 STS와 공학설계 사이의 접점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의 문제는 단순히 전문 지식들 사이의 학제적 결합을 어떻게 실

행할 것인지의 기계적 이슈가 아닌 서로 다른 학문 분야들 사

이의 소통을 어떻게 시작하고 진행할 것인가라는 21세기 학제

적 협력의 핵심 과제에 속한다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7

IV 결론 학제적 협력을 위한 실행 방안

STS와 공학교육의 영역들은 왜 소통해야 하고 어떻게 만날

수 있을까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작은

걸음에 속한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많은 엔지니어들이 자신들의 새로

운 사회적 역할과 리더십을 구축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과학기술-인문사회 분야와의 학제적 협력과 융합을 강화

해 공학의 지평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대의 엔지니

어들은 공학이 더 이상 사회로부터 분리된 채 다루어질 수 있는

협소한 기술 영역이 아님을 잘 인식하고 있다 과학적 기술의

도입 공학의 독자적 학문 영역을 구축하며 성장한 20세기의 공

학 전략은 이제 변화하고 있다

지금의 사회는 혼자만의 지식과 노하우에 기대는 전문가 보

다는 전문성에 바탕을 두되 사회와 소통하고 협력하는 전문가

를 요구한다 21세기 사회를 이끌 새로운 이념과 가치를 누가

어떤 집단이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런 면에서 공학교육과 STS의 만남은 지금까지 실행하

지 못했던 과학과 기술 사회의 상호짜임에 대한 새로운 상상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실천적 대안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어떻게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을 발전시킬

수 있을까

이를 위해서는 우선 연구부문에서의 협력이 진행될 필요가 있

다 왜냐하면 연구부문에서 학제적 협력의 성과가 많이 축적되

어야 이를 기반으로 교육 부문의 성과를 이끌 수 있고 무엇보

다 해당 분야에 지식과 노하우를 갖춘 교수자를 양성할 수 있

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공학소양교육과 공학설계교육 분야에서 STS 분

야의 성과를 접목시킨 교육과정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미 많은 공과대학에서 공학과 사회 공학윤리 공학과 문화 등

의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데 특히 이들 과목에 STS 공학학

연구의 성과가 접목된다면 이들 과목의 질적 발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송성수 2012) 또한 최근에는 적지 않은 공학설계

교과목들이 적정기술 이슈를 다루고 있다 적정기술 설계를 통

해 많은 학생들은 단순한 기술적 접근이나 혹은 수요자나 지역

적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설계가 얼마나 실패하기 쉬운지를 배

우고 있다 다양한 사회적 집단의 이해관심과 사회의 경제적 정

치적 문화적 환경이 어떻게 결합되어야 할지에 대한 관점과 방

법론의 학습은 기존의 공학설계교육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 것

이다

이같은 학제적 협력과 만남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 중

하나는 기술개발의 초기 단계에 집중함으로써 공학적 실천에서

기술적 요인과 기술 외적 요인의 연결과 조정 협상 과정을 세

밀하게 다루고 그것이 갖는 사회적 함의를 지속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영역은 모

두 개방형 문제의 정의와 해결에 능숙하기 때문에 새로운 사회

적 상상의 많은 가능성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공학

윤리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구체적인 공학의 과정 특히 기획으

로부터 사용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유연한 사고와 도덕적 상상

력을 키워 좋은 공학 바람직한 엔지니어에 대해 성찰하고 해

결책을 모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공학설계교육은 실제 문제해결의 최전선에 있는 엔지니어들

로 하여금 공학의 사회적 경제적 윤리적 영향을 이해하고 공

학 전문성의 영역을 소통과 토론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실

제적 기회를 갖게 할 것이다 STS 역시 공학의 전문 영역이 다

루어야 할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풍부하고 다양하게 다루며 사

회적 실험장 속에서 과학기술 발전의 방향성을 탐색하고 무엇

보다 STS의 실천적 힘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

이다 앞으로 이와 관련한 풍부한 경험 연구와 구체적인 대안

제시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1 송성수(2012) 통섭교육으로서 공학소양교육의 위상과 과제 공

학교육연구 15(1) 18-25

2 川田忠樹(2004) 근대 현수교의 역사 박수영 이명재 양민수

역 도서출판 과학기술

3 한경희(2008) 공학학의 등장과 그 의미 발전방향에 대한 탐색

담론201 11(1) 99-131

4 홍성욱(1999)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기술 문학과 지성사

5 Bruno Latour(2010) 인간 사물 동맹 이음

6 Coeckelbergh M(2006) Regulation or Responsibility

Autonomy Moral Imagination and Engineering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37-260

7 Cooke Morris Llewellyn(1922) Ethics and the Engineering

Profession Annals of the Association for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101 68-72

8 Downey Gary(2009) What is Engineering Studies For

Dominant Practices and Scalable Scholarship Engineering

Studies 1(1) 55-76

9 Downey Gary(2010) What is Global Engineering Education

For 공학교육 17(2) 16-18

10 Florman C S(1987) The Civilized Engineer St Martins

Press

11 Herkert Joseph R(2001) Future Directions in Engineering

Ethics Research Microethics Macroethics and the Role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8

of Professional Societies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7 403-414

12 Jasanoff S Markle G E Petersen J C amp Pinch T

(1995)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age Publications

13 Johnson D G amp Wetmore J M(2004) Engineering Ethics

Integrating STS and Practical Ethics Annual Meeting of

4S August

14 Kline R(1995) Construing Technology as Applied Science

Public Rhetoric of Scientists and Engineers in the United

States 1880-1945 ISIS 86 194-221

15 Kranakis E(1997) Constructing a Bridge An Exploration

of Engineering Culture Design and Research in Ninteenth

Century France and America The MIT Press

16 Law John(2004) Engineering Naturecultures A Note from

STS httpwwwlansacukfasssociologypaperslaw-ena

cting-natureculturespdf

17 Lynch W T amp Kline R(2000) Engineering Practice and

Engineering Ethics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25(2) 195-225

18 Martin Mike and Roland Schinzinger(1983) Ethics i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3rd ed 1996

19 Mehlik M M and Gorman M E(2006) A Framework

for Strategic Network Design Assessment Decision Making

and Moral Imagination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89-308

20 Mitcham Carl(2009) A Historio-ethical Perspective on

Engineering Education from Use and Convenience to Policy

Engagement Engineering Studies 1(1) 35-54

21 Nam Pyo Suh(2002) 공리적 설계(I) 차성운 박경진 역 동

명사

22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2005) Educating the

Engineer of 2020 Adapting Engineering Education to the

New Century [국역 주우석 외 옮김 2020 엔지니어교육

미래 공학교육에 대한 비전 시그마프레스 2009]

23 Pinch T F and Bijker W E(1987) The Social

Construction of Facts and Artifacts Or How the Sociology

of Science and the Sociology of Technology Might Benefit

Each Other W E Bijker and T P Hughes and T F

Pinch(ed)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ical

Systems The MIT Press

24 Poel I amp Verbeek P(2006) Ethics and Engineering Design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23~236

25 Poel I and Goldberg D E(eds) (2010) Philosophy and

Engineering An Emerging Agenda Springer

26 Rantanen K and Domb E(2007) 알기 쉬운 트리즈 창의

적 문제해결이론 김병재 박성균 역 도서출판 인터비젼

27 Reynolds T S(eds)(1991) The Engineer in America A

Historical Anthology from Technology and Culture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Russell S(1986) The Social Construction of Artefacts

a response to Pinch and Bijker Social Studies of Science

16 London SAGE

29 Vaughan D(1996) The Challenger Launch Decision Risky

Technology Culture and Deviance at NASA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Vesilind P Aarne(1995) Evolution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de of Ethics Journal of Professional

Issu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Practice 121 4-10

31 Vincenti W G(1990) What Engineers Know and How They

Know It Analytical Studies from Aeronautical History

Baltimore and London The Johns Hopkis University Press

32 Whalley P(1991) Negotiating the Boundaries of Engineering

Professionals managers and manual work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Organizations 8 191-215

33 Williams R amp Edge D(1991) ldquoThe Social Shaping of

Technology a review of UK research concepts findings

programmes and centersrdquo Edinburgh PICT Working Papers

34 Woolgar S(2004) What happened to Provo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History and Technology 20(4)

339-349

한경희(Kyong-Hee Han)

2000년 연세대 사회학과 박사학위 취득

2002년 UC Davis 박사 후 과정

2009년~2012년 한국공학교육학회 홍보이사 및 논문집

편집위원

2013년~현재 연세대 공과대학 공학교육혁신센터 조교수

관심분야 공학교육 공학과 엔지니어의 역사 공학윤리

Phone 02-2123-5733

Fax 02-2123-8641

E-mail khan01yonseiackr

Page 8: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between Engineering ... · 1940년 당시 최신 공법을 이용하여 건설된 세계 제 3위의 장 ... 한 엔지니어의 열정과 끊임없는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57

IV 결론 학제적 협력을 위한 실행 방안

STS와 공학교육의 영역들은 왜 소통해야 하고 어떻게 만날

수 있을까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작은

걸음에 속한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많은 엔지니어들이 자신들의 새로

운 사회적 역할과 리더십을 구축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과학기술-인문사회 분야와의 학제적 협력과 융합을 강화

해 공학의 지평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대의 엔지니

어들은 공학이 더 이상 사회로부터 분리된 채 다루어질 수 있는

협소한 기술 영역이 아님을 잘 인식하고 있다 과학적 기술의

도입 공학의 독자적 학문 영역을 구축하며 성장한 20세기의 공

학 전략은 이제 변화하고 있다

지금의 사회는 혼자만의 지식과 노하우에 기대는 전문가 보

다는 전문성에 바탕을 두되 사회와 소통하고 협력하는 전문가

를 요구한다 21세기 사회를 이끌 새로운 이념과 가치를 누가

어떤 집단이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런 면에서 공학교육과 STS의 만남은 지금까지 실행하

지 못했던 과학과 기술 사회의 상호짜임에 대한 새로운 상상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실천적 대안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어떻게 공학교육과 STS의 학제적 협력을 발전시킬

수 있을까

이를 위해서는 우선 연구부문에서의 협력이 진행될 필요가 있

다 왜냐하면 연구부문에서 학제적 협력의 성과가 많이 축적되

어야 이를 기반으로 교육 부문의 성과를 이끌 수 있고 무엇보

다 해당 분야에 지식과 노하우를 갖춘 교수자를 양성할 수 있

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공학소양교육과 공학설계교육 분야에서 STS 분

야의 성과를 접목시킨 교육과정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미 많은 공과대학에서 공학과 사회 공학윤리 공학과 문화 등

의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데 특히 이들 과목에 STS 공학학

연구의 성과가 접목된다면 이들 과목의 질적 발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송성수 2012) 또한 최근에는 적지 않은 공학설계

교과목들이 적정기술 이슈를 다루고 있다 적정기술 설계를 통

해 많은 학생들은 단순한 기술적 접근이나 혹은 수요자나 지역

적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설계가 얼마나 실패하기 쉬운지를 배

우고 있다 다양한 사회적 집단의 이해관심과 사회의 경제적 정

치적 문화적 환경이 어떻게 결합되어야 할지에 대한 관점과 방

법론의 학습은 기존의 공학설계교육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 것

이다

이같은 학제적 협력과 만남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 중

하나는 기술개발의 초기 단계에 집중함으로써 공학적 실천에서

기술적 요인과 기술 외적 요인의 연결과 조정 협상 과정을 세

밀하게 다루고 그것이 갖는 사회적 함의를 지속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영역은 모

두 개방형 문제의 정의와 해결에 능숙하기 때문에 새로운 사회

적 상상의 많은 가능성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공학

윤리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구체적인 공학의 과정 특히 기획으

로부터 사용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유연한 사고와 도덕적 상상

력을 키워 좋은 공학 바람직한 엔지니어에 대해 성찰하고 해

결책을 모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공학설계교육은 실제 문제해결의 최전선에 있는 엔지니어들

로 하여금 공학의 사회적 경제적 윤리적 영향을 이해하고 공

학 전문성의 영역을 소통과 토론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실

제적 기회를 갖게 할 것이다 STS 역시 공학의 전문 영역이 다

루어야 할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풍부하고 다양하게 다루며 사

회적 실험장 속에서 과학기술 발전의 방향성을 탐색하고 무엇

보다 STS의 실천적 힘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

이다 앞으로 이와 관련한 풍부한 경험 연구와 구체적인 대안

제시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1 송성수(2012) 통섭교육으로서 공학소양교육의 위상과 과제 공

학교육연구 15(1) 18-25

2 川田忠樹(2004) 근대 현수교의 역사 박수영 이명재 양민수

역 도서출판 과학기술

3 한경희(2008) 공학학의 등장과 그 의미 발전방향에 대한 탐색

담론201 11(1) 99-131

4 홍성욱(1999)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기술 문학과 지성사

5 Bruno Latour(2010) 인간 사물 동맹 이음

6 Coeckelbergh M(2006) Regulation or Responsibility

Autonomy Moral Imagination and Engineering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37-260

7 Cooke Morris Llewellyn(1922) Ethics and the Engineering

Profession Annals of the Association for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101 68-72

8 Downey Gary(2009) What is Engineering Studies For

Dominant Practices and Scalable Scholarship Engineering

Studies 1(1) 55-76

9 Downey Gary(2010) What is Global Engineering Education

For 공학교육 17(2) 16-18

10 Florman C S(1987) The Civilized Engineer St Martins

Press

11 Herkert Joseph R(2001) Future Directions in Engineering

Ethics Research Microethics Macroethics and the Role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8

of Professional Societies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7 403-414

12 Jasanoff S Markle G E Petersen J C amp Pinch T

(1995)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age Publications

13 Johnson D G amp Wetmore J M(2004) Engineering Ethics

Integrating STS and Practical Ethics Annual Meeting of

4S August

14 Kline R(1995) Construing Technology as Applied Science

Public Rhetoric of Scientists and Engineers in the United

States 1880-1945 ISIS 86 194-221

15 Kranakis E(1997) Constructing a Bridge An Exploration

of Engineering Culture Design and Research in Ninteenth

Century France and America The MIT Press

16 Law John(2004) Engineering Naturecultures A Note from

STS httpwwwlansacukfasssociologypaperslaw-ena

cting-natureculturespdf

17 Lynch W T amp Kline R(2000) Engineering Practice and

Engineering Ethics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25(2) 195-225

18 Martin Mike and Roland Schinzinger(1983) Ethics i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3rd ed 1996

19 Mehlik M M and Gorman M E(2006) A Framework

for Strategic Network Design Assessment Decision Making

and Moral Imagination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89-308

20 Mitcham Carl(2009) A Historio-ethical Perspective on

Engineering Education from Use and Convenience to Policy

Engagement Engineering Studies 1(1) 35-54

21 Nam Pyo Suh(2002) 공리적 설계(I) 차성운 박경진 역 동

명사

22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2005) Educating the

Engineer of 2020 Adapting Engineering Education to the

New Century [국역 주우석 외 옮김 2020 엔지니어교육

미래 공학교육에 대한 비전 시그마프레스 2009]

23 Pinch T F and Bijker W E(1987) The Social

Construction of Facts and Artifacts Or How the Sociology

of Science and the Sociology of Technology Might Benefit

Each Other W E Bijker and T P Hughes and T F

Pinch(ed)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ical

Systems The MIT Press

24 Poel I amp Verbeek P(2006) Ethics and Engineering Design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23~236

25 Poel I and Goldberg D E(eds) (2010) Philosophy and

Engineering An Emerging Agenda Springer

26 Rantanen K and Domb E(2007) 알기 쉬운 트리즈 창의

적 문제해결이론 김병재 박성균 역 도서출판 인터비젼

27 Reynolds T S(eds)(1991) The Engineer in America A

Historical Anthology from Technology and Culture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Russell S(1986) The Social Construction of Artefacts

a response to Pinch and Bijker Social Studies of Science

16 London SAGE

29 Vaughan D(1996) The Challenger Launch Decision Risky

Technology Culture and Deviance at NASA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Vesilind P Aarne(1995) Evolution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de of Ethics Journal of Professional

Issu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Practice 121 4-10

31 Vincenti W G(1990) What Engineers Know and How They

Know It Analytical Studies from Aeronautical History

Baltimore and London The Johns Hopkis University Press

32 Whalley P(1991) Negotiating the Boundaries of Engineering

Professionals managers and manual work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Organizations 8 191-215

33 Williams R amp Edge D(1991) ldquoThe Social Shaping of

Technology a review of UK research concepts findings

programmes and centersrdquo Edinburgh PICT Working Papers

34 Woolgar S(2004) What happened to Provo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History and Technology 20(4)

339-349

한경희(Kyong-Hee Han)

2000년 연세대 사회학과 박사학위 취득

2002년 UC Davis 박사 후 과정

2009년~2012년 한국공학교육학회 홍보이사 및 논문집

편집위원

2013년~현재 연세대 공과대학 공학교육혁신센터 조교수

관심분야 공학교육 공학과 엔지니어의 역사 공학윤리

Phone 02-2123-5733

Fax 02-2123-8641

E-mail khan01yonseiackr

Page 9: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between Engineering ... · 1940년 당시 최신 공법을 이용하여 건설된 세계 제 3위의 장 ... 한 엔지니어의 열정과 끊임없는

한경희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58

of Professional Societies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7 403-414

12 Jasanoff S Markle G E Petersen J C amp Pinch T

(1995)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age Publications

13 Johnson D G amp Wetmore J M(2004) Engineering Ethics

Integrating STS and Practical Ethics Annual Meeting of

4S August

14 Kline R(1995) Construing Technology as Applied Science

Public Rhetoric of Scientists and Engineers in the United

States 1880-1945 ISIS 86 194-221

15 Kranakis E(1997) Constructing a Bridge An Exploration

of Engineering Culture Design and Research in Ninteenth

Century France and America The MIT Press

16 Law John(2004) Engineering Naturecultures A Note from

STS httpwwwlansacukfasssociologypaperslaw-ena

cting-natureculturespdf

17 Lynch W T amp Kline R(2000) Engineering Practice and

Engineering Ethics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25(2) 195-225

18 Martin Mike and Roland Schinzinger(1983) Ethics i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3rd ed 1996

19 Mehlik M M and Gorman M E(2006) A Framework

for Strategic Network Design Assessment Decision Making

and Moral Imagination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89-308

20 Mitcham Carl(2009) A Historio-ethical Perspective on

Engineering Education from Use and Convenience to Policy

Engagement Engineering Studies 1(1) 35-54

21 Nam Pyo Suh(2002) 공리적 설계(I) 차성운 박경진 역 동

명사

22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2005) Educating the

Engineer of 2020 Adapting Engineering Education to the

New Century [국역 주우석 외 옮김 2020 엔지니어교육

미래 공학교육에 대한 비전 시그마프레스 2009]

23 Pinch T F and Bijker W E(1987) The Social

Construction of Facts and Artifacts Or How the Sociology

of Science and the Sociology of Technology Might Benefit

Each Other W E Bijker and T P Hughes and T F

Pinch(ed)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ical

Systems The MIT Press

24 Poel I amp Verbeek P(2006) Ethics and Engineering Design

Science Technology amp Human Values 31(3) 223~236

25 Poel I and Goldberg D E(eds) (2010) Philosophy and

Engineering An Emerging Agenda Springer

26 Rantanen K and Domb E(2007) 알기 쉬운 트리즈 창의

적 문제해결이론 김병재 박성균 역 도서출판 인터비젼

27 Reynolds T S(eds)(1991) The Engineer in America A

Historical Anthology from Technology and Culture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Russell S(1986) The Social Construction of Artefacts

a response to Pinch and Bijker Social Studies of Science

16 London SAGE

29 Vaughan D(1996) The Challenger Launch Decision Risky

Technology Culture and Deviance at NASA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Vesilind P Aarne(1995) Evolution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de of Ethics Journal of Professional

Issu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Practice 121 4-10

31 Vincenti W G(1990) What Engineers Know and How They

Know It Analytical Studies from Aeronautical History

Baltimore and London The Johns Hopkis University Press

32 Whalley P(1991) Negotiating the Boundaries of Engineering

Professionals managers and manual work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Organizations 8 191-215

33 Williams R amp Edge D(1991) ldquoThe Social Shaping of

Technology a review of UK research concepts findings

programmes and centersrdquo Edinburgh PICT Working Papers

34 Woolgar S(2004) What happened to Provo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History and Technology 20(4)

339-349

한경희(Kyong-Hee Han)

2000년 연세대 사회학과 박사학위 취득

2002년 UC Davis 박사 후 과정

2009년~2012년 한국공학교육학회 홍보이사 및 논문집

편집위원

2013년~현재 연세대 공과대학 공학교육혁신센터 조교수

관심분야 공학교육 공학과 엔지니어의 역사 공학윤리

Phone 02-2123-5733

Fax 02-2123-8641

E-mail khan01yonsei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