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

9

Upload: others

Post on 20-Jul-2020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糞과 糞田의 성격

1)

崔 德 卿 (釜山大)

Ⅰ 머리말

Ⅱ 齊民要術 踏糞法의 출현 배경

과 糞田

1 踏糞의 생산과 재료

2 踏糞의 施肥 작물과 출현 배경

Ⅲ 宋代 糞에 대한 인식 변화와

ldquo地力常新壯rdquo論의 등장

1 陳旉農書의 거름 제조와 糞

屋 糞藥

2 ldquo地力常新壯rdquo論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

를 위한 施肥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Ⅴ 맺음말

Ⅰ 머리말

농업의 백과전서인 齊民要術의 주된 무대는 밭농사 중심지인 華

北이며 이에 반해 陳旉農書는 강남 지역의 논농사가 중심을 이룬다여기에 걸쳐있는 시대는 역사의 전환기라고 부를 정도로 정치 경제적

으로 많은 변화를 겪었다 본고는 旱田에서 水田으로 변하는 시기의

농업상의 변화 그 중에서도 생산력의 토대가 되는 비료와 시비법에

어떠한 변화가 존재했는지를 살펴 그 시대 動因의 일단을 살펴보고자

한다

ldquo이 논문은부산대학교자유과제학술연구비(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2중국사에 있어 농업에 비료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은주시대부터

였으며 춘추전국시대에는 구체적인 모습을 띠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

때에 사용된 lsquo糞rsquo의 의미는 다양하여1) 시비의 실태를 파악하기가 곤란

하다 이에 반해 6세기의 제민요술에는 다양한 糞과 그 제조방법 및시비법이 등장하였으며 이는 시대마다 다소 차이가 있어 唐末의 四時纂要와 남송의 陳旉農書에서도 제각기 다른 모습을 띠고 있다중국의 경우 명말청초 이전에는 현금을 지불하고 구입하는 金肥가

없었기 때문에 비료는 대개 해당 농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을 활

용하여 제조하였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품종이 도입되

기도 하고 기존의 작물이 다른 작물로 대치되기도 하며 게다가 관개

배수시설이 용이해지면서 上 下田을 자유롭게 넘나들게 된다 이로 인

해 자연스럽게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이 발달하면서 해당 지역에 적

합한 비료를 찾게 되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전통시대의 비료는 그 지

역과 시대의 산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

실제 齊民要術과 四時纂要에서 牛糞 羊糞 鷄糞 驢糞 등 다양

한 가축분이 이용되었던 것은 遊牧 문화의 접촉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

다 특히 牛馬猪의 우리를 이용한 踏糞法이 齊民要術에서 등장한 것

은 농업사회에 목축업이 결합되면서 나타난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2)

그런가 하면 강남지역에서는 광범하게 발달된 충적토인 泥糞을 비료로

활용했는가 하면 人糞을 貯溜漚에 모아 腐熟하여 이를 田地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등 화북지역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3) 陳旉農書에는이런 강남지역의 농촌의 분위기를 잘 보여주고 있다 당시 강남의 농

업은 lsquo강남선진론rsquo lsquo송대혁명론rsquo의 견인차 역할을 했으며 이런 농업생

산력의 발전을 도모했던 비료가 어떻게 제조되고 어떤 특징을 띠었는

1)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p67-68

2) 北魏의 토지 소유는 대토지와 소토지 소유가 상호 결합된 형태로서 均田制 실

시 이전의 경우 개별 농민과 牧民은 토지만 점유했지만 황제 관부 및 대지주

와 大牧主는 예속민을 통해 방대한 耕地와 牧地를 점유하고 있었다

3) 五雜俎 卷3 地部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3가를 살피는 것은 흥미로운 주제가 아닐 수 없다

본고에서는 이를 검토하기 위해 그 시대의 요구와 함께 등장한 齊民要術과 陳旉農書를 분석하여 그 속에 나타난 경작법과 재배작물

의 변화에 따라 시비법이 어떻게 변모되었는가를 살펴보려고 한다 특

히 송대에는 지력은 끊임없이 감퇴되는 것이 아니라 비료를 이용하여

보충하면 언제나 새롭게 변한다는 糞藥과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인식이 강하

게 자리 잡게 된다 무엇보다 이같은 地力에 대한 인간의 의지는 糞에

대한 정확한 성질을 파악하였으며 人糞尿조차도 비료자원으로 활용하

고 糞을 위해 별도의 집을 짓게 된 배경이 되었던 것이다 그로 인해

다양한 작물을 윤작복종하게 됨으로써 唐宋代 경제발전의 動力으로 작

용했다는 것을 밝혀보고자 한다

Ⅱ 齊民要術 踏糞法의 출현 배경과 糞田1 踏糞의 생산과 재료

齊民要術의 踏糞은 타작 후 생긴 곡물의 짚과 겨를 가축우리에

매일매일 깔아 퇴비로 만들었다 가축우리에 퇴비를 깔아준 기록이 언

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알 수는 없지만 甲骨文에 이미 가축의 우리와

厠間이 등장하고 각종 諸子書에 다양한 糞土나 糞田의 기록이 보인다

더구나 전국 말 睡虎地秦簡 日書의 ldquo소 우리의 草木 아래에 숨겨두

었다rdquo4)는 기록을 통해 당시 이미 우리에 草木을 깔았음을 알 수 있

가축의 우리 속에 초목을 까는 이유는 가축들이 아무렇게나 배설하

여 질퍽한 똥오줌 위에서 생활하게 되면 여름에는 각종 벌레와 냄새

4)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61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4가 진동하고 겨울에는 추위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 속에 깔개를 깔아주면 가축에게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

다 遊牧民의 경우 우리를 옮기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지

만 가축의 우리가 고정된 농경민은 간혹 방목하여 햇볕에 말려 처리

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정기적으로 짚이나 초목을 교체해주어야 한다

이 때 糞尿에 젖은 쓰레기를 처리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초기에는

분명 퇴비를 끌어내어 우리 근처에 모아두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것이

모여 쌓이게 되면서 썩어서 냄새는 점차 사라지고 부드러워지게 된다

周代부터 널리 행해졌던 糞田이 이 퇴비를 사용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전국시대 중기 이후에는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呂氏春秋 任地 편의 lsquo耕之大方rsquo에는 ldquo棘者欲肥 肥者欲棘rdquo이라고 하여 糞田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고 辯土 편에는 ldquo너무 땅이 비옥하면 가지와

잎이 무성하여 쭉정이가 많아진다rdquo고5) 한 것을 통해 시비에 의한 시

행착오를 살필 수 있다 이러한 경험이 氾勝之書 耕田 편의 ldquo무릇

농경의 기본 원칙은 제 때에 맞추어 토양을 부드럽게 하여 비옥하고

수분을 유지하는데 힘쓰며 일찍 김매고 일찍 수확하는데 있다rdquo는 것

으로6)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糞田은 왜 齊民要術에서 踏糞法을 통해 첫 머리에 구체적

으로 묘사되고 있는 것일까 분명 이 답분법은 이전부터 실시해왔던

방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일 것이다 그리고 당시 가축우리는 그들

의 휴식공간이면서 퇴비생산의 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 공간의

매개물이 바로 우리에 깔아둔 草木인 것이다

踏糞의 생산과정을 통해 퇴비생산의 실태를 살펴보자 우선 ①타작

후의 짚과 겨 확보 rarr ②집 안팎에 저장 rarr ③매일 소 우리에 넣기 rarr

④아침에 수거하여 별도의 장소에 쌓아 腐熟 등 대개 4단계를 거쳐 답

분을 만들고 있다 그리고 사료 중에는 매일 우리에 3寸(1尺≒=28c

5) 呂氏春秋 辯土 ldquo肥而扶疏則多粃rdquo6) 氾勝之書 耕田 ldquo凡耕之本在於趣時和土務糞澤早鋤早獲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5m7)) 즉 약 84cm 두께로 쌓아두어 겨울이 되면 소 한 마리가 ldquo三十車

糞rdquo의 답분을 생산할 수 있다는 사실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만든 퇴비를 시비하는 시기는 봄이 되기 전인 12월에서 1월

사이이며 1小畝 당 5수레의 퇴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연간 6畝의 토지

에 시비할 수 있었다고 한다 踏糞의 施用은 파종 전에 땅에 고르게

펴서 갈이해서 이를 덮되 뒤집어서는 안 된다고 하여 땅속에 묻어 시

비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땅을 갈아 거름을 덮어주고 땅이 마르

면 정오 무렵에 재차 갈아 덮어주고 갈이 후에는 다시 횡으로 한 차

례 더 고무래질하여 덮어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정월과 2월에 또 다시

한 차례 갈아엎는다 그런 후에 토지의 상태를 살펴 조[粟 2월 상순이

上時]나 기장(3월 상순이 上時)을 파종하였다8)

이상과 같은 踏糞法의 사료를 통해 짐작할 수 있는 것은 우선 매일

매일 짚이나 겨를 교체한 것으로 보아 타작한 짚의 대부분을 퇴비로

사용했음은 물론이고 당시에 地力을 위해 요구되는 퇴비량도 매우 많

았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토지 이용도에 따른 養地가 달라졌음을 말

해준다

그런데 이 때 시비로 사용된 짚은 어떤 곡물의 짚이었을까 齊民要術에서 穀[粟]의 파종 때 가장 좋은 토양으로 ldquo대체로 녹두나 팥을

심었던 땅이 가장 좋고 삼 기장 참깨를 심었던 곳이 그 다음이며 순

무[蕪菁]나 콩을 심었던 곳이 가장 나쁘다rdquo9)고 한 점으로 미루어 穀

7) 丘光明 中國歷代度量衡考 (科學出版社 1992) p68에는 남북조시대 北朝의

尺은 南朝보다 길며 漢尺보다 2-3尺 길다고 한다 오늘날 전해지는 北朝의 尺

은 北魏의 경우 전기에서 후기로 가면서 2788cm에서 2959cm로 점차 커지며

後周의 경우 2924cm 玉尺은 267cm이다 그래서 이 책의 520쪽에서는 평균

南朝 247cm 北魏 28cm 北周는 29cm 東魏는 302cm로 계산하여 제시하고

있다

8) 齊民要術 雜說 其踏糞法 ldquo凡人家秋收治田後 場上所有穰穀 等 並須收

貯一處 每日布牛腳下 三寸厚 每平旦收聚堆積之 還依前布之 經宿即堆聚 計

經冬一具牛 踏成三十車糞 至十二月正月之間 即載糞糞地 計小畝畝別用五車

計糞得六畝 勻攤 耕 蓋著 未須轉起 自地亢後 但所耕地 隨餉蓋之 待一段總

轉了 即橫蓋一遍 計正月二月兩箇月 又轉一遍 然後看地宜納粟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6

구분

월별

氾勝之書파종

四民月令 齊民要術 主穀의 파종시기 輪作

前harr後

작물파종 수확 비고 主穀 上時 中時 下時

正月春麥 豍豆

(粟)

2월상순(麻菩楊 生 種者)

3월상순(淸明節桃始花)

4월상순(棗樹 葉生 桑 花落)

菉豆小豆harr黍穄

2月

麻(2월하순-3월상순)

瓜(冬至후90- 100일2월하순-3월초순)

春麥 稙禾 苴麻 大豆 豍豆 胡麻

黍穄 3월상순 4월상순 5월상순大豆harr穀

3月

旋麥(춘맥)

穀(粟)

大豆(高田春大豆)

秔稻

稙禾 秔稻 苴麻大豆 胡豆 胡麻藍

春大豆

2월중순 3월상순 4월상순 麥harr穀

4月秫稻(冬至후 110일4월중순)

禾 黍大小 豆 胡麻

麥廣麥大麥

糴麥廣及大麥

小豆夏至後十日 ( 5 월말)

初 伏 이전(6월중순)

中伏이전(6월말)

麥 穀harr 穀 麻

5月

黍 (先夏至二十日5월상순)

小豆 (椹黑時)

禾 黍( 秔 ) 稻(別) 牡麻 胡麻藍(別)

麥廣麥大小麥

糴麥廣大小麥

麻夏至前十日(5월중순)

夏至夏至後十日(6월초)

小豆harr穀

6月大豆 (夏至후 20일6월중순)

冬藍麥廣麥

小麥糴麥廣小麥

麻子 3월 4월 5월

7月麥 ( 小麥 春麥)

糴麥 大麥8월중戊社前

下戊前8월말9월초

黍harr大豆

lt表1gt 고대 月別 작물의 播種 및 收穫시기

재배 이전의 作物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lt表1gt의 우측을 보면 齊民要術에서는 재배작물의 前 後작물이 다양하게 輪作되었음을 제

시하고 있다 이같은 윤작은 齊民要術 이전부터 토지이용도가 증가

되어 地力 소모가 늘어났음을 말해준다

9) 齊民要術 種穀 凡穀田 綠豆小豆底為上 麻黍胡麻次之 蕪菁大豆

為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7

8月宿麥(하지후 70일 8월중순)

麥廣麥

大小麥黍 糴黍 小麥

8월상戊社前

中戊前 하술전

9月 水稻 3월 4월상순 4월중순

10月

禾(粟)麻 子( 苴 ) 大小豆

糴粟大小豆麻子

旱稻 2月半 3월四月初及半

11月

禾(粟)秔 稻 麻 子 小豆

糴秔稻粟小豆麻子

胡麻 2 3월 4월상순 5월상순

12月 瓜 2월상순 3월상순 4월상순小豆harr穀

別 옮겨 심는다는 뜻 糴 구매시기는 주로 수확기였기 때문에 수확기로 대체했다

그렇다고 이들 곡물의 ldquo穰穀 rdquo 즉 줄기나 껍질을 모두 가축우리의

퇴비생산에 이용했다고 보기는 곤란하다 특히 매일 일정한 두께로 깔

고 교체했다는 것은 가축우리 주위에 쌓아두고 이용했음을 뜻한다 가

축우리의 깔개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분뇨의 흡수력이 좋고 줄기

가 거세지 않아 가축을 따뜻하게 감싸주며 잘 썩는 재질이 좋다 매일

부드러운 초목을 베어 깔아줄 수도 있겠지만 이는 결코 쉬운 일이 아

니며 또한 갓 베어온 초목은 牛馬의 먹이로는 좋을지언정 거름으로

이용하기는 곤란하다 그 때문인지 최근까지도 가축우리의 깔개로 가

장 많이 사용된 것은 마른 볏짚이나 보리짚이다 그렇다면 이것들이

고대의 踏糞의 재료로도 사용되었을까 우선 당시 답분의 재료에 적합

한 農作物부터 살펴보자

齊民要術에서는 답분을 시비하기 위해 겨울에 갈이 했음을 알 수

있다 겨울갈이가 좋다는 것은 四時纂要와 마찬가지로 平時의 갈이

보다 ldquo一當五rdquo의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라고10) 한다

겨울갈이를 했다는 것은 田地가 비어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lt表

1gt의 四民月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맥인 宿麥 麥廣麥 등이 재배되

10) 四時纂要 正月 ldquo齊民要術云 比月耕地一當五rdquo 四時纂要 二月 ldquo耕

地此月耕地一當五也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8고 있는 경지에는 제민요술의 답분법이 적용될 수 없는 것이다 冬

麥을 제외하고 踏糞法을 이용하여 2월 3월에 春播 가능한 작물을 보

면 lt表1gt과 같이 四民月令에는 春麥 稙禾 苴麻 大豆 豍豆 胡麻

秔稻가 있고 氾勝之書에는 麻 瓜 旋麥[春麥] 穀[粟] 및 秔稻 齊民要術에는 穀[粟] 春大豆 旱稻 胡麻 黍穄 麻子 水稻 瓜 등이 있어

주요 곡물이 모두 春播되고 있다 결국 踏糞을 이들 작물에 이용했다

는 말이 된다

lt表1gt의 우측을 보면 작물과 교대한 前年의 재배 작물을 보면 稻

만 보이지 않고 大豆 麥 菉豆 小大豆 등이 보인다 비록 지역차는

있겠지만 춘파작물이 거듭 재배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파

종시기만으로 보면 당시 동일 圃場에서 春播는 물론 4-6월에 하는 夏

播와 冬麥과 같은 秋播작물이 동시에 보이기도 하고 lt表1gt의 좌측에

서 보듯 春冬麥 春夏豆도 있고 早晩稻 早晩黍 早晩禾도 보여 토지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들 작물 중 우리에서 踏糞 가능한 작물을 보자 胡麻나 麻 등은

줄기가 강하여 수확 후 답분으로 사용하기 곤란하다 大小豆의 줄기

역시 수확 시기에는 나무처럼 단단해져 깍지와 마른 잎을 제외하고는

답분하기에 곤란하다 이것은 穀[粟] 黍의 줄기도 마찬가지이다 이것

들은 잎이 푸르고 익지 않았을 때는 줄기가 물러 가축의 먹이로 사용

되고 踏糞의 소재로도 가능하겠지만 수확기에는 잘게 부수지 않으면

잘 썩지도 않아서 태워 재거름[灰糞]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 부숙하여

田地의 시비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결국 답분 가

능한 작물은 大小麥類와 稻類[水旱稻 秔稻]만이 남게 된다

벼는 이미 전국시대 후기 여씨춘추 審時 편에서부터 주곡작물로

분류되었으며 氾勝之書 稻 편에는 3월에 파종하는 秔稻와 4월에

파종하는 秫稻의 품종부터 水田관리와 물을 대고 수온을 조절하는 방

식까지 다양한 부분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이는 사민월령에도 마찬가지로 3-5월에 秔稻를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晩稻를 제시하고

있다 제민요술 단계에 이르면 색 형태와 수확기가 다른 다양한 水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9稻의 종류가 보이고 水田과 旱田으로 구분하여 경지선택과 이앙방식

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화북지역에

도 벼농사가 점차 중시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다만 화북지역은 陂澤地

가 적어 하천의 彎曲 부분이나 샘이 솟는 지역과 물이 잘 고이는 저지

대 등에 稻作이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11) 이처럼 벼는 까다로운 경작

조건으로 인해 華北에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따라서 짚의

생산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볏짚은 가축의 먹이나 貯藏

孔의 재료12) 보온재 땔감 등 다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일부는 芻稾稅로 국가에 납입되기도 하여13) 답분으로 사용되었을 지라도 그 양은

매일매일 일정한 높이로 깔아줄 정도는 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습도가 적은 화북지역의 경우 볏짚의 부숙 속도는 맥류보다 늦

고 썩은 비료도 부드럽게 흩어지지 않아 대표적인 파종구[耬車]와 摩

平熟土작업 도구[勞]를 사용하기가 맥류짚보다는 곤란하다 그런 것을

보면 踏糞의 재료는 麥類가 중심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2 踏糞의 施肥 작물과 출현 배경

그렇다면 답분을 사용하여 春播한 穀物은 어떤 작물이었을까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粟 黍 麻子 春大豆 春麥과 秔稻 早稻 등으로 압

축할 수 있다 이 모두에 踏糞을 시비했다면 ldquo三十車糞rdquo의 양으로 턱

없이 부족하게 된다 사실 大豆는 예부터 lsquo備凶年rsquo 작물로서 區種하지

않는 한 특별한 시비를 하지 않았다

답분을 이용한 농작물이 무엇이었는가를 살피기 위해 제민요술의11) 齊民要術 水稻 旱稻 참조

12) 氾勝之書 瓠 ldquo掘地深一丈 薦以藁 四邊各厚一尺 以實置孔中 令底下向rdquo

이라고 하여 곡식을 구덩이에 저장하기 위해 두텁게 둘러싸 보관 저장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13) 雲夢睡虎地秦簡 倉律 에는 芻稾는 곡물과 더불어 창고에 보관하였다가 출입 시에는 일일이 內史나 縣廷에 보고한 것을 보면 당시 볏짚은 다양한 용도

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0답분법을 천착해보자 답분의 재료인 麥14)은 여씨춘추에서도 중심작

물로서 자리 잡았던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때부터 답분으로 사용

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답분을 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겨울갈이를 통해 뿌린 거름을 덮어주고 1-2월에 다시 翻土

하는 것이 기본인데 이러한 노동은 手노동농구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

다 牛耕을 이용하여 전지를 전면 발토 해야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牛

耕이 민간에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전국중기 이후이지만 代田法이 확

대되면서 우경의 중요성이 커졌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15)

대전법에서는 耬車를 이용하여 作條와 播種을 동시에 했기 때문에

완전히 腐熟되지 않은 답분을 基肥했을 경우 耬車작동시 발에 걸리거

나 비료가 한쪽으로 쏠려 파종하기가 곤란해진다16) 제민요술 旱稻

편에도 ldquo싹눈을 틔운 볍씨를 파종구인 耬犁로 갈면서 條播하고 흙으

로 종자를 덮는다rdquo17)고 하고 大小麥 편에서는 ldquo山地와 단단한 토지

에는 耬車를 이용하여 파종rdquo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당시에는 적

어도 旱稻와 麥은 답분으로 시비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것 때문

인지 전한 말 氾勝之書의 麻田 麥田 瓠의 시비에 모두 蠶矢를 사용

하거나 區田法에서는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에서처럼 종자

와 함께 섞은 부드러운 美糞이나 糞種이 이용되고 있다 蠶矢 시비나

잘 부숙된 熟糞은 耬車로 파종하더라도 경작과정에서 전혀 문제되지는

않는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결국 봄에 답분을 하는 주요 곡물은 粟 黍이었

음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 답분을 이용하여

14) 夏緯瑛의 주석에 의하면 古書 가운데 麥자만 있으면 소맥(小麥 Triticum

aestivum L)을 말한다고 한다

15) 崔德卿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16) 만약 作畝한 땅에 踏糞을 基肥 하여 耬車로 파종하게 된다면 답분이 耬車의

이빨에 걸려 한쪽으로 밀리거나 앞으로 나가기도 힘들기 때문에 踏糞과 같은

시비는 곤란하다 특히 볏짚을 腐熟한 경우에는 이런 현상이 더욱 잘 발생하

며 麥糞의 경우도 완전히 부숙이 되지 않았을 경우는 누거로 파종하기가 곤란

해진다

17) 齊民要術 旱稻 ldquo漬種如法 裛令開口 耬耩䅖種之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1粟을 파종했다는 전술한 내용과도 부합된다 다시말해 粟이 위진 남북

조시기에도 여전히 주곡 중 하나로 중시되었음을 뜻한다 사실 粟[禾]

黍는 범승지서는 물론 제민요술에도 농작물 중 첫머리에 기록될

정도로 당시 화북지역에서 중시되었던 작물이며 범승지서에는 이들

의 생산을 높이기 위해 糞種하거나 區田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

기도 하였다 답분법도 그 일환 중의 하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粟 黍에 답분을 시비할 때 그 비료는 장기간 잘 부숙한 熟糞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 대소맥의 짚은 연하여 가축의 분뇨와 잘 섞이고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 볏짚보다 쉽게 腐熟한다 이렇게 보면 齊民要術 단계의 踏糞은 어떤 곡물에나 적용되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

하지만 粟 黍는 화북지역의 건조지대나 高地 彊土에도 잘 자라고18)

旱地를 전면적으로 발토하기도 쉽지 않았을 것인데 굳이 답분법을 사

용할 필요성이 있었을까 라는 의문이 생긴다 물론 한대 이후 토지이

용도가 증대되면서 지력이 약화되고 그 결과 생산량도 떨어져 척박한

땅의 비력을 유지하기 위한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만약 耬車

를 이용하여 파종하지 않고 손으로 파종한다면 春大小麥나 春大豆와

같은 작물의 基肥에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

당시 春麥은 lt表1gt과 같이 사민월령에는 정월과 2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흥미로운 것은 범승지서 사민월

령의 春麥과 동맥[麥廣麥]과는 달리 제민요술에는 대소맥이 모두 冬

麥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맥의 재배 지역이 따뜻한

남쪽으로 점차 확대되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麥의 越

冬이 가능할 정도의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일 것이다

춘맥과 동맥재배는 대개 氣候帶에 의해 결정된다 寒冷하여 월동할

수 없는 북부지역의 경우 보통 춘맥을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런데 동일한 화북지역에서 春麥이 동맥중심으로 변한 것은 우선 조건

18) 氾勝之書 禾 黍 條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2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竺可禎의 氣候圖에 의하면 氾勝之書 단계는 온난했던 기후가 하강하는 시기이며 사민월령의 2세기 중엽은

한랭한 시기이며 6세기 중엽의 제민요술의 시기는 한랭한 한계점을

지나 점차 기온이 상승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 가장 추위를 느끼는

시점은 기원전 1세기의 범승지서 단계였을 것이다 그 때문인지 범승지서에는 春麥의 파종시기가 사민월령의 1-2월보다 늦은 3월이

었으며 제민요술 단계에는 春麥도 소개되어 있지만 春麥보다 冬麥

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위진남북조시대에는 春麥을 재배하지

못할 정도로 한랭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실제 7세기가 되면 다시 고

온다습한 기후로 변화되었다고 한다19)

경작기술의 변화 또한 冬麥 재배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예컨

대 작물이 얼지 않도록 잘 보호해주거나 地溫을 유지할 수 있는 조치

가 그것이다 蠶矢 가축분 및 踏糞 등을 시비하면 눈과 서리에 의해

푸석푸석해진 토지를 부드럽게 하여 뿌리를 깊게 내리게 할 뿐 아니라

토양을 보온하여 잘 얼지도 않게 해준다20) 게다가 이런 땅에 심경하

여 畎中條播하게 되면 종자가 적당한 습기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

며 특히 踏糞이 조금씩 분해되면서 양분을 공급해 주기 때문에 春麥

이나 春大豆의 생산력이 높아진다

越冬 주곡작물이 화북지역에서 재배된다는 것은 겨울에 비워둔 토

지를 이용하여 土地利用度를 높이고 그로 인해 다른 작물과의 交代도

다양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바로 養地를 위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답분법의 출현은 粟黍의 지력 회

복은 물론이고 화북지역의 豆 麥의 春耕과 越冬 작물의 재배가 구체

화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당시 製粉 공구의

발달과 함께 小麥 大豆의 보급이 급증한 것은21) 답분법의 등장과 무

19) 劉昭民 中國歷史上氣候之變遷 (臺灣商務印書館 1992) pp99-10020)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俾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

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21) 崔德卿 漢唐期 大豆 가공기술의 발달과 製粉業 (中國史硏究 69 2010)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3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이상 답분법의 출현 배경을 살폈는데 답분이 비료로서 효과를 발휘

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조건이 필요하다 바로 踏糞과 파종조건이 맞

아야 한다 전술한 것처럼 답분법의 보급은 기본적으로 牛馬의 보급과

경작방식에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앞서 한대 대전법이 우경

의 확산에 기여했다고 했지만 대전법은 그 단위 경작면적이 5頃이고

노동조직도 lsquo二牛三人rsquo이었기 때문에 소농민이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했다 제민요술에서 제시한 답분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겨울에

쟁기로 답분을 갈아엎고 덮어주어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파종구를 만

드는 耬車[作條犁]가 아니라 볏[鐴]이 부착된 翻土犁이어야 한다 볏은

전한 때부터 보급되고 후한의 畵像石에서 보듯 쟁기의 형태도 lsquo一牛一

犁rsquo로 발전하고 있는 것을 보면 건강한 소농민은 牛耕을 이용했을 것

으로 보인다22) 이렇게 보면 전면발토가 곤란했던 代田法 및 범승지서단계에는 제민요술과 같은 답분법이 시행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보인다

糞田은 이미 周代 이전에도 등장하지만 구체적인 糞제조방식에 대

한 기록은 답분법이 처음이다 이 이후부터 집안의 잡다한 쓰레기를

태워 재로 만들거나 가축의 우리 속에 넣어 분뇨와 결합하면서 1차적

으로 糞肥로 만들어지고 이를 우리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腐熟

시켜 田地의 거름으로 탈바꿈한다23) 초기의 糞은 蠶矢 美糞 灰糞 등

주로 基肥로 사용되었는데 그 중 부드러운 숙분은 누거파종의 기비에

도 사용되고 거친 비료의 경우 區田이나 수전의 밑거름으로 사용되었

을 것으로 보인다

후대의 답분법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었던 이유는 비료효과

그리고 氾勝之書 區田法 에서는 麥 大豆의 대량생산을 위해 區田法도 실시

하고 있다

22) 최덕경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 pp151-15623) 곡물의 짚이 가축분과 결합되면서 미생물의 작용으로 썩게 되며 긴 시간을

썩히면 분에서 열이 발생하여 유해한 해충을 죽이고 속효성 비료의 효과도 크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4가 입증된 것은 물론이고 당시 한 농가에서 생산된 踏糞의 양이 연간

6畝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으로 보유토지의 일부와 재배

작물의 일부밖에 답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후 농가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답분을 제조했던 것 같다

Ⅲ 宋代 糞에 대한 인식 변화와

ldquo地力常新壯rdquo論의 등장

1 陳旉農書의 거름 제조와 糞屋 糞藥남송 程珌의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에는 제민요술시대 이후

답분법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즉 ldquo수집한 糞穰을 집집마다 산처럼

쌓아두고 市井之間에는 (각종 쓰레기를) 깨끗이 수습하여 남아 있는

것이 없었다 덕분에 토지는 기름지고 稻根은 가뭄에 잘 견뎠다rdquo24)고

한다 이것을 보면 남송시대에도 집집마다 답분을 생산했으며 그것을

산처럼 쌓아두었다는 것은 그 전통이 계속 이어졌음을 말해주며 생산

된 답분은 稻田에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송대 대표적인 농서인 陳旉農書(1149년)에는 그 후 답분법의 모습이 잘 남아있다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에는 ldquo때에 순응하여 소

를 잘 키우는 것이 좋다 봄이 시작되면 반드시 외양간에 쌓여있는 지

푸라기와 쇠똥을 모두 걷어낸다 반드시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

소제해야만 더러운 냄새와 축축한 것들로 인해서 역병과 瘡疾이 생기

고 또한 발굽이 오물에 잠겨 질병이 생기는 것을 면한다 또 상스럽지

못한 것은 마땅히 없앰으로써 소가 거처하는 장소를 깨끗하고 상쾌하

게 해주면 좋다rdquo고25) 하여 제민요술의 답분법과는 다소 다른 느낌

24) 程珌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卷19 ldquo每見衢婺之人 收蓄糞壤 家家山積 市

井之間 掃拾無遺 故土膏肥美 稻根耐旱 米粒精壯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5을 준다26) 齊民要術의 경우 답분의 제조방식에 중점을 두었지만 진부농서는 소 외양간의 청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이 역

시 牛廏에서 퇴비를 생산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 廏肥생산방식을 보면 봄이 되어 소 우리에 깔아 쌓인 lsquo積滯蓐糞rsquo

을 모두 걷어내어 대청소를 하지만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은

소제한다고 하여 퇴비를 생산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齊民要術처럼 생산된 퇴비의 처리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다27) 이때 깔개는 稻作

지대였기 때문에 분명 볏짚이 중심을 이루었을 것이며 깔개도 매일이

아니라 최소한 열흘에 한 차례씩 걷었다는 것으로 보아 답분의 양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답분을 쌓아둔 양이 집집마다 엄청났던

것을 보면 여린 나무 잎과 가지도 가축우리에 넣어 밟게 한다거나 구

덩이에 잡다한 쓰레기를 쌓아 외양간 오줌을 끼얹어 비료로 만들기도

했던 것 같다28) 이것은 화북지역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따라서 10일에 한 번 짚을 갈아주었다는 기록은 강남지역의 경우

水牛를 役牛로 이용했기 때문에 열흘에 한 번 쯤은 우리의 짚을 교체

하여 건강에 관심을 보였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집집마다 산처럼 쌓인 糞穰과 市井에 남아도는 쓰레기가 없을 정도로

퇴비생산에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답분

25)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第一 ldquo且四時有溫涼寒暑之異必順時調適之可

也 於春之初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 亦不必春也但旬日一除免穢氣蒸鬱

以成疫癘 且浸漬蹄甲易以生病 又當祓除不祥以淨爽其處乃善rdquo

26) 陳良佐는 이 문장을 lsquo牛廏肥rsquo의 예로 들고 있다( 我國農田施用之堆廐肥 大陸雜誌 52-4 1976) 충분히 존중해야 할 지적이지만 진부농서에는 이러한

구비의 사용법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곳은 없다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lsquo糞rsquo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 lsquo糞田之宜篇rsquo에서 언급한 비료의 원료로 사용

되고 있는 것인지 혹은 다른 뭔가의 이유로 언급하지 않은 것인지는 상세하지

않다

27) 이러한 현상은 송대의 役牛가 水牛였기 때문에 매일 가축우리를 청소할 필요

가 없었다거나 또 水田의 경우 旱田보다 답분의 基肥가 많이 필요치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28)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p56-62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6은 기존의 粟 黍 麥은 물론이고 稻 豆의 퇴비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재료는 주곡작물의 변화로 인해 맥류와 더불어 볏짚도 주도적으로 사

용되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腐熟방법도 달랐을 것이다

이처럼 陳旉農書에서 踏糞에 대한 안내가 구체적이지 않다고 하

여 송대에 糞과 糞田을 소홀히 취급한 것은 아니었다 陳旉農書에는이전과는 다른 강남의 풍부한 흙과 초목을 태워 만든 土糞[燻土] 火

糞29)[焦泥灰]과 泥糞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를 이용한 餠肥 糠糞

草木灰 綠肥 石灰 踏糞 苗糞 草糞 糞尿 및 동물의 털과 뼈 비료 등

이 다양하게 등장한다30)

이것은 唐末에 편찬되었다고 하는 四時纂要와 비교해도 큰 차이

가 있다 四時纂要에 등장하는 비료는 대부분 牛糞 羊糞 驢馬糞 雞糞 蠶沙[矢]등의 가축분과 燒灰 石灰 灰糞 乾鰻鱧魚汁 米泔 熟糞

爛糞 등인데 이 중에서 牛糞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비료의 종류

는 제민요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宋元代에는 餠肥

渣肥 泥土肥 無機肥 등이 추가되고 46종이나 종류도 늘어나고 있

다31) 더구나 진부농서에는 灌漑가 lsquo用糞rsquo보다 낫다고 하여 水田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32) 농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당 지역과 그 작물

의 특색에 맞게 독특한 비료가 개발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주목할 만

한 것은 비료가 토양과 작물에 어떤 작용을 하며 그 효과는 어떠했는

29)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lsquo糞田之宜篇rsquo

에는 ldquo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

다rdquo라고 하며 lsquo六種之宜篇rsquo에서는 ldquo土糞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 lsquo種桑之法篇rsquo에

서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이 土糞이 화분

의 일종인데 화분에는 흙이 함량이 다소 적어서 焦泥灰에 가깝고 토분에 흙

의 함유량이 많아 lsquo燻土rsquo에 가까워 결코 확연하게 구별하기는 곤란하다 실제

中國農業遺産硏究室 編 中國農學史(下) (科學出版社 1984) p43에서는 火糞

을 土糞이라고 하면서 실제적으로는 焦泥灰라고 하여 구분짓지 않고 있다

30)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 1993) pp53-6331)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pp245-246

3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7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인지 陳旉農書에서는 糞田之宜篇 이라는 독립된 糞田의 章이 등장하기에 이

르렀다 이같은 현상은 진부농서 이전 단계에는 볼 수 없었던 특징

이다

陳旉農書에는 周禮 草人 의 ldquo토지를 개량하는 방법은 땅의 형

색을 보고 판단하며 그 적합함을 살펴서 파종해야 한다rdquo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있다 예컨대 흙 중에서 붉고 굳센 토양[騂剛]의 시비에는

소를 이용하고 붉은빛 토양[赤緹]의 시비에는 羊을 이용한다는 것처럼

토양의 성질에 상응하는 동물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동물 중에는 소 양 돼지 및 개와 같은 가축은 물론이고 사슴 오소

리 큰사슴 여우와 같은 짐승도 있다 문제는 위의 사료에서는 소를

이용한다고만 했을 뿐 그 糞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糞種에서처럼 해당

동물의 뼈즙에 종자를 담가 시비한 것인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이다 그러나 들짐승의 뼈즙을 내어 糞種한다는 것은 일일이 실험하지

않는 한 (실험을 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믿기가 곤란하다 그나마 해

당 동물의 糞汁에 종자를 담가 토양을 다스린 것은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lsquo用rsquo은 糞汁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33) 그렇지만 토양의 성질과 짐승을 연결시켰다는 그 자체는 어

떤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인지는 알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糞田之

宜篇 의 지적과 같이 모든 토양은 제 각기 다른 성질을 띠고 있어서

33) 周禮 地官草人 편의 lsquo糞種rsquo에 대해 鄭司農은 ldquo소뼈 삶은 즙에 종자를 담

그는 것rdquo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는 氾勝之書 溲種法 에서 ldquo骨汁糞汁溲種rdquo

법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즉 가축의 뼈를 부수어 눈 물[雪汁]과 섞어 세

번 끓여 즙액을 받아 附子를 넣어 5일동안 담가두었다가 부자는 건저내고 이

속에 羊이나 蠶矢 등을 넣어 저어 종자를 담가 뒤섞고 이후 햇볕에 말려 씨앗

이 즙액을 흡수하도록 하여 파종했다는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하지만 萬國鼎

은 氾勝之書 區田法 편의 ldquo敎民糞種rdquo에 대해 각주에서 ldquo區田以糞氣爲美 非

必須良田也rdquo와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라는 사료를 근거로 lsquo糞種rsquo의

糞은 基肥를 중시한다는 말이지 골즙을 끊여 羊矢나 蠶矢를 섞어 종자 자체에

시비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糞種은 단순히 ldquo시비하고 파종한다rdquo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萬國鼎 輯釋 氾勝之書輯釋 (農業出版社 1980) p62 참조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8그에 합당하게 시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거름은 lsquo糞藥rsquo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농부들이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마

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진단하여 약을 쓰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

울였다는 점을 나타낸다34) 민간에 이미 이러한 인식이 존재했다는 것

은 강남농업에 있어 비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음을 말해준다35)

실제 동물의 糞은 저마다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糞田할 경

우 곡물을 해칠 수도 있다 때문에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리 시비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周禮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陳旉農書에서 이를 재차 강조하여 ldquo토양의 氣와 脈은 그 유형이 하나같이 않아서 비옥하기도 하고 척박하기도 하여 좋고 나쁨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다스리는 데도 각각 적합한 도리가 있다rdquo고36) 한 것은

토양의 氣脈의 조절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그 결과 糞을 토양의 기맥

을 치료하고 곡물의 성장을 담보하는 藥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은 주목

된다 이것은 송대의 분이 제민요술 단계나 그 이전과 같이 단순히

地力을 높여 생산력을 제고한 수준을 넘어 토양과 작물에 있어 필요불

가결한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그 때문에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와 같이 노천에 거름을 쌓아 저

장했던 방식과 함께 일정한 장소를 만들어 거름을 보관 貯溜하는 방식

도 발전하였다 陳旉農書 糞田之宜篇 에 의하면 농가의 곁에 반드

시 헛간[糞屋]을 설치했다 분옥은 처마와 기둥을 낮게 하여 바람에 휘

날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았다 거름을 노천에 쌓아두면 밤의

3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周禮 草人 lsquo掌土化之法以物地相其宜而

為之種rsquo別土之等差而用糞治 且土之騂剛者糞宜用牛赤緹者糞宜用羊以至渴

澤用鹿鹹潟用貆墳壤用麋勃壤用狐埴壚用豕彊㯺用蕡輕爂用犬皆相視其土之性類以所宜糞而糞之斯得其理矣 俚諺謂之糞藥以言用糞猶藥也rdquo

3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7에서 陳旉는구릉지대인 揚州 부근의 西山에만 줄곧 살았던 것은 아니고 일찍이 다른 곳에

서도 살았던 적이 있다 이 농서에서 언급된 농업의 상황은 장강 하류의 비교

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표한다고 한다

36)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土壤氣脈其類不一肥沃磽埆美惡不同

治之各有宜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2: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2중국사에 있어 농업에 비료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은주시대부터

였으며 춘추전국시대에는 구체적인 모습을 띠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

때에 사용된 lsquo糞rsquo의 의미는 다양하여1) 시비의 실태를 파악하기가 곤란

하다 이에 반해 6세기의 제민요술에는 다양한 糞과 그 제조방법 및시비법이 등장하였으며 이는 시대마다 다소 차이가 있어 唐末의 四時纂要와 남송의 陳旉農書에서도 제각기 다른 모습을 띠고 있다중국의 경우 명말청초 이전에는 현금을 지불하고 구입하는 金肥가

없었기 때문에 비료는 대개 해당 농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을 활

용하여 제조하였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품종이 도입되

기도 하고 기존의 작물이 다른 작물로 대치되기도 하며 게다가 관개

배수시설이 용이해지면서 上 下田을 자유롭게 넘나들게 된다 이로 인

해 자연스럽게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이 발달하면서 해당 지역에 적

합한 비료를 찾게 되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전통시대의 비료는 그 지

역과 시대의 산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

실제 齊民要術과 四時纂要에서 牛糞 羊糞 鷄糞 驢糞 등 다양

한 가축분이 이용되었던 것은 遊牧 문화의 접촉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

다 특히 牛馬猪의 우리를 이용한 踏糞法이 齊民要術에서 등장한 것

은 농업사회에 목축업이 결합되면서 나타난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2)

그런가 하면 강남지역에서는 광범하게 발달된 충적토인 泥糞을 비료로

활용했는가 하면 人糞을 貯溜漚에 모아 腐熟하여 이를 田地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등 화북지역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3) 陳旉農書에는이런 강남지역의 농촌의 분위기를 잘 보여주고 있다 당시 강남의 농

업은 lsquo강남선진론rsquo lsquo송대혁명론rsquo의 견인차 역할을 했으며 이런 농업생

산력의 발전을 도모했던 비료가 어떻게 제조되고 어떤 특징을 띠었는

1)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p67-68

2) 北魏의 토지 소유는 대토지와 소토지 소유가 상호 결합된 형태로서 均田制 실

시 이전의 경우 개별 농민과 牧民은 토지만 점유했지만 황제 관부 및 대지주

와 大牧主는 예속민을 통해 방대한 耕地와 牧地를 점유하고 있었다

3) 五雜俎 卷3 地部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3가를 살피는 것은 흥미로운 주제가 아닐 수 없다

본고에서는 이를 검토하기 위해 그 시대의 요구와 함께 등장한 齊民要術과 陳旉農書를 분석하여 그 속에 나타난 경작법과 재배작물

의 변화에 따라 시비법이 어떻게 변모되었는가를 살펴보려고 한다 특

히 송대에는 지력은 끊임없이 감퇴되는 것이 아니라 비료를 이용하여

보충하면 언제나 새롭게 변한다는 糞藥과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인식이 강하

게 자리 잡게 된다 무엇보다 이같은 地力에 대한 인간의 의지는 糞에

대한 정확한 성질을 파악하였으며 人糞尿조차도 비료자원으로 활용하

고 糞을 위해 별도의 집을 짓게 된 배경이 되었던 것이다 그로 인해

다양한 작물을 윤작복종하게 됨으로써 唐宋代 경제발전의 動力으로 작

용했다는 것을 밝혀보고자 한다

Ⅱ 齊民要術 踏糞法의 출현 배경과 糞田1 踏糞의 생산과 재료

齊民要術의 踏糞은 타작 후 생긴 곡물의 짚과 겨를 가축우리에

매일매일 깔아 퇴비로 만들었다 가축우리에 퇴비를 깔아준 기록이 언

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알 수는 없지만 甲骨文에 이미 가축의 우리와

厠間이 등장하고 각종 諸子書에 다양한 糞土나 糞田의 기록이 보인다

더구나 전국 말 睡虎地秦簡 日書의 ldquo소 우리의 草木 아래에 숨겨두

었다rdquo4)는 기록을 통해 당시 이미 우리에 草木을 깔았음을 알 수 있

가축의 우리 속에 초목을 까는 이유는 가축들이 아무렇게나 배설하

여 질퍽한 똥오줌 위에서 생활하게 되면 여름에는 각종 벌레와 냄새

4)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61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4가 진동하고 겨울에는 추위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 속에 깔개를 깔아주면 가축에게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

다 遊牧民의 경우 우리를 옮기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지

만 가축의 우리가 고정된 농경민은 간혹 방목하여 햇볕에 말려 처리

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정기적으로 짚이나 초목을 교체해주어야 한다

이 때 糞尿에 젖은 쓰레기를 처리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초기에는

분명 퇴비를 끌어내어 우리 근처에 모아두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것이

모여 쌓이게 되면서 썩어서 냄새는 점차 사라지고 부드러워지게 된다

周代부터 널리 행해졌던 糞田이 이 퇴비를 사용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전국시대 중기 이후에는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呂氏春秋 任地 편의 lsquo耕之大方rsquo에는 ldquo棘者欲肥 肥者欲棘rdquo이라고 하여 糞田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고 辯土 편에는 ldquo너무 땅이 비옥하면 가지와

잎이 무성하여 쭉정이가 많아진다rdquo고5) 한 것을 통해 시비에 의한 시

행착오를 살필 수 있다 이러한 경험이 氾勝之書 耕田 편의 ldquo무릇

농경의 기본 원칙은 제 때에 맞추어 토양을 부드럽게 하여 비옥하고

수분을 유지하는데 힘쓰며 일찍 김매고 일찍 수확하는데 있다rdquo는 것

으로6)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糞田은 왜 齊民要術에서 踏糞法을 통해 첫 머리에 구체적

으로 묘사되고 있는 것일까 분명 이 답분법은 이전부터 실시해왔던

방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일 것이다 그리고 당시 가축우리는 그들

의 휴식공간이면서 퇴비생산의 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 공간의

매개물이 바로 우리에 깔아둔 草木인 것이다

踏糞의 생산과정을 통해 퇴비생산의 실태를 살펴보자 우선 ①타작

후의 짚과 겨 확보 rarr ②집 안팎에 저장 rarr ③매일 소 우리에 넣기 rarr

④아침에 수거하여 별도의 장소에 쌓아 腐熟 등 대개 4단계를 거쳐 답

분을 만들고 있다 그리고 사료 중에는 매일 우리에 3寸(1尺≒=28c

5) 呂氏春秋 辯土 ldquo肥而扶疏則多粃rdquo6) 氾勝之書 耕田 ldquo凡耕之本在於趣時和土務糞澤早鋤早獲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5m7)) 즉 약 84cm 두께로 쌓아두어 겨울이 되면 소 한 마리가 ldquo三十車

糞rdquo의 답분을 생산할 수 있다는 사실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만든 퇴비를 시비하는 시기는 봄이 되기 전인 12월에서 1월

사이이며 1小畝 당 5수레의 퇴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연간 6畝의 토지

에 시비할 수 있었다고 한다 踏糞의 施用은 파종 전에 땅에 고르게

펴서 갈이해서 이를 덮되 뒤집어서는 안 된다고 하여 땅속에 묻어 시

비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땅을 갈아 거름을 덮어주고 땅이 마르

면 정오 무렵에 재차 갈아 덮어주고 갈이 후에는 다시 횡으로 한 차

례 더 고무래질하여 덮어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정월과 2월에 또 다시

한 차례 갈아엎는다 그런 후에 토지의 상태를 살펴 조[粟 2월 상순이

上時]나 기장(3월 상순이 上時)을 파종하였다8)

이상과 같은 踏糞法의 사료를 통해 짐작할 수 있는 것은 우선 매일

매일 짚이나 겨를 교체한 것으로 보아 타작한 짚의 대부분을 퇴비로

사용했음은 물론이고 당시에 地力을 위해 요구되는 퇴비량도 매우 많

았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토지 이용도에 따른 養地가 달라졌음을 말

해준다

그런데 이 때 시비로 사용된 짚은 어떤 곡물의 짚이었을까 齊民要術에서 穀[粟]의 파종 때 가장 좋은 토양으로 ldquo대체로 녹두나 팥을

심었던 땅이 가장 좋고 삼 기장 참깨를 심었던 곳이 그 다음이며 순

무[蕪菁]나 콩을 심었던 곳이 가장 나쁘다rdquo9)고 한 점으로 미루어 穀

7) 丘光明 中國歷代度量衡考 (科學出版社 1992) p68에는 남북조시대 北朝의

尺은 南朝보다 길며 漢尺보다 2-3尺 길다고 한다 오늘날 전해지는 北朝의 尺

은 北魏의 경우 전기에서 후기로 가면서 2788cm에서 2959cm로 점차 커지며

後周의 경우 2924cm 玉尺은 267cm이다 그래서 이 책의 520쪽에서는 평균

南朝 247cm 北魏 28cm 北周는 29cm 東魏는 302cm로 계산하여 제시하고

있다

8) 齊民要術 雜說 其踏糞法 ldquo凡人家秋收治田後 場上所有穰穀 等 並須收

貯一處 每日布牛腳下 三寸厚 每平旦收聚堆積之 還依前布之 經宿即堆聚 計

經冬一具牛 踏成三十車糞 至十二月正月之間 即載糞糞地 計小畝畝別用五車

計糞得六畝 勻攤 耕 蓋著 未須轉起 自地亢後 但所耕地 隨餉蓋之 待一段總

轉了 即橫蓋一遍 計正月二月兩箇月 又轉一遍 然後看地宜納粟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6

구분

월별

氾勝之書파종

四民月令 齊民要術 主穀의 파종시기 輪作

前harr後

작물파종 수확 비고 主穀 上時 中時 下時

正月春麥 豍豆

(粟)

2월상순(麻菩楊 生 種者)

3월상순(淸明節桃始花)

4월상순(棗樹 葉生 桑 花落)

菉豆小豆harr黍穄

2月

麻(2월하순-3월상순)

瓜(冬至후90- 100일2월하순-3월초순)

春麥 稙禾 苴麻 大豆 豍豆 胡麻

黍穄 3월상순 4월상순 5월상순大豆harr穀

3月

旋麥(춘맥)

穀(粟)

大豆(高田春大豆)

秔稻

稙禾 秔稻 苴麻大豆 胡豆 胡麻藍

春大豆

2월중순 3월상순 4월상순 麥harr穀

4月秫稻(冬至후 110일4월중순)

禾 黍大小 豆 胡麻

麥廣麥大麥

糴麥廣及大麥

小豆夏至後十日 ( 5 월말)

初 伏 이전(6월중순)

中伏이전(6월말)

麥 穀harr 穀 麻

5月

黍 (先夏至二十日5월상순)

小豆 (椹黑時)

禾 黍( 秔 ) 稻(別) 牡麻 胡麻藍(別)

麥廣麥大小麥

糴麥廣大小麥

麻夏至前十日(5월중순)

夏至夏至後十日(6월초)

小豆harr穀

6月大豆 (夏至후 20일6월중순)

冬藍麥廣麥

小麥糴麥廣小麥

麻子 3월 4월 5월

7月麥 ( 小麥 春麥)

糴麥 大麥8월중戊社前

下戊前8월말9월초

黍harr大豆

lt表1gt 고대 月別 작물의 播種 및 收穫시기

재배 이전의 作物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lt表1gt의 우측을 보면 齊民要術에서는 재배작물의 前 後작물이 다양하게 輪作되었음을 제

시하고 있다 이같은 윤작은 齊民要術 이전부터 토지이용도가 증가

되어 地力 소모가 늘어났음을 말해준다

9) 齊民要術 種穀 凡穀田 綠豆小豆底為上 麻黍胡麻次之 蕪菁大豆

為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7

8月宿麥(하지후 70일 8월중순)

麥廣麥

大小麥黍 糴黍 小麥

8월상戊社前

中戊前 하술전

9月 水稻 3월 4월상순 4월중순

10月

禾(粟)麻 子( 苴 ) 大小豆

糴粟大小豆麻子

旱稻 2月半 3월四月初及半

11月

禾(粟)秔 稻 麻 子 小豆

糴秔稻粟小豆麻子

胡麻 2 3월 4월상순 5월상순

12月 瓜 2월상순 3월상순 4월상순小豆harr穀

別 옮겨 심는다는 뜻 糴 구매시기는 주로 수확기였기 때문에 수확기로 대체했다

그렇다고 이들 곡물의 ldquo穰穀 rdquo 즉 줄기나 껍질을 모두 가축우리의

퇴비생산에 이용했다고 보기는 곤란하다 특히 매일 일정한 두께로 깔

고 교체했다는 것은 가축우리 주위에 쌓아두고 이용했음을 뜻한다 가

축우리의 깔개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분뇨의 흡수력이 좋고 줄기

가 거세지 않아 가축을 따뜻하게 감싸주며 잘 썩는 재질이 좋다 매일

부드러운 초목을 베어 깔아줄 수도 있겠지만 이는 결코 쉬운 일이 아

니며 또한 갓 베어온 초목은 牛馬의 먹이로는 좋을지언정 거름으로

이용하기는 곤란하다 그 때문인지 최근까지도 가축우리의 깔개로 가

장 많이 사용된 것은 마른 볏짚이나 보리짚이다 그렇다면 이것들이

고대의 踏糞의 재료로도 사용되었을까 우선 당시 답분의 재료에 적합

한 農作物부터 살펴보자

齊民要術에서는 답분을 시비하기 위해 겨울에 갈이 했음을 알 수

있다 겨울갈이가 좋다는 것은 四時纂要와 마찬가지로 平時의 갈이

보다 ldquo一當五rdquo의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라고10) 한다

겨울갈이를 했다는 것은 田地가 비어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lt表

1gt의 四民月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맥인 宿麥 麥廣麥 등이 재배되

10) 四時纂要 正月 ldquo齊民要術云 比月耕地一當五rdquo 四時纂要 二月 ldquo耕

地此月耕地一當五也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8고 있는 경지에는 제민요술의 답분법이 적용될 수 없는 것이다 冬

麥을 제외하고 踏糞法을 이용하여 2월 3월에 春播 가능한 작물을 보

면 lt表1gt과 같이 四民月令에는 春麥 稙禾 苴麻 大豆 豍豆 胡麻

秔稻가 있고 氾勝之書에는 麻 瓜 旋麥[春麥] 穀[粟] 및 秔稻 齊民要術에는 穀[粟] 春大豆 旱稻 胡麻 黍穄 麻子 水稻 瓜 등이 있어

주요 곡물이 모두 春播되고 있다 결국 踏糞을 이들 작물에 이용했다

는 말이 된다

lt表1gt의 우측을 보면 작물과 교대한 前年의 재배 작물을 보면 稻

만 보이지 않고 大豆 麥 菉豆 小大豆 등이 보인다 비록 지역차는

있겠지만 춘파작물이 거듭 재배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파

종시기만으로 보면 당시 동일 圃場에서 春播는 물론 4-6월에 하는 夏

播와 冬麥과 같은 秋播작물이 동시에 보이기도 하고 lt表1gt의 좌측에

서 보듯 春冬麥 春夏豆도 있고 早晩稻 早晩黍 早晩禾도 보여 토지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들 작물 중 우리에서 踏糞 가능한 작물을 보자 胡麻나 麻 등은

줄기가 강하여 수확 후 답분으로 사용하기 곤란하다 大小豆의 줄기

역시 수확 시기에는 나무처럼 단단해져 깍지와 마른 잎을 제외하고는

답분하기에 곤란하다 이것은 穀[粟] 黍의 줄기도 마찬가지이다 이것

들은 잎이 푸르고 익지 않았을 때는 줄기가 물러 가축의 먹이로 사용

되고 踏糞의 소재로도 가능하겠지만 수확기에는 잘게 부수지 않으면

잘 썩지도 않아서 태워 재거름[灰糞]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 부숙하여

田地의 시비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결국 답분 가

능한 작물은 大小麥類와 稻類[水旱稻 秔稻]만이 남게 된다

벼는 이미 전국시대 후기 여씨춘추 審時 편에서부터 주곡작물로

분류되었으며 氾勝之書 稻 편에는 3월에 파종하는 秔稻와 4월에

파종하는 秫稻의 품종부터 水田관리와 물을 대고 수온을 조절하는 방

식까지 다양한 부분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이는 사민월령에도 마찬가지로 3-5월에 秔稻를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晩稻를 제시하고

있다 제민요술 단계에 이르면 색 형태와 수확기가 다른 다양한 水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9稻의 종류가 보이고 水田과 旱田으로 구분하여 경지선택과 이앙방식

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화북지역에

도 벼농사가 점차 중시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다만 화북지역은 陂澤地

가 적어 하천의 彎曲 부분이나 샘이 솟는 지역과 물이 잘 고이는 저지

대 등에 稻作이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11) 이처럼 벼는 까다로운 경작

조건으로 인해 華北에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따라서 짚의

생산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볏짚은 가축의 먹이나 貯藏

孔의 재료12) 보온재 땔감 등 다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일부는 芻稾稅로 국가에 납입되기도 하여13) 답분으로 사용되었을 지라도 그 양은

매일매일 일정한 높이로 깔아줄 정도는 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습도가 적은 화북지역의 경우 볏짚의 부숙 속도는 맥류보다 늦

고 썩은 비료도 부드럽게 흩어지지 않아 대표적인 파종구[耬車]와 摩

平熟土작업 도구[勞]를 사용하기가 맥류짚보다는 곤란하다 그런 것을

보면 踏糞의 재료는 麥類가 중심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2 踏糞의 施肥 작물과 출현 배경

그렇다면 답분을 사용하여 春播한 穀物은 어떤 작물이었을까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粟 黍 麻子 春大豆 春麥과 秔稻 早稻 등으로 압

축할 수 있다 이 모두에 踏糞을 시비했다면 ldquo三十車糞rdquo의 양으로 턱

없이 부족하게 된다 사실 大豆는 예부터 lsquo備凶年rsquo 작물로서 區種하지

않는 한 특별한 시비를 하지 않았다

답분을 이용한 농작물이 무엇이었는가를 살피기 위해 제민요술의11) 齊民要術 水稻 旱稻 참조

12) 氾勝之書 瓠 ldquo掘地深一丈 薦以藁 四邊各厚一尺 以實置孔中 令底下向rdquo

이라고 하여 곡식을 구덩이에 저장하기 위해 두텁게 둘러싸 보관 저장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13) 雲夢睡虎地秦簡 倉律 에는 芻稾는 곡물과 더불어 창고에 보관하였다가 출입 시에는 일일이 內史나 縣廷에 보고한 것을 보면 당시 볏짚은 다양한 용도

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0답분법을 천착해보자 답분의 재료인 麥14)은 여씨춘추에서도 중심작

물로서 자리 잡았던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때부터 답분으로 사용

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답분을 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겨울갈이를 통해 뿌린 거름을 덮어주고 1-2월에 다시 翻土

하는 것이 기본인데 이러한 노동은 手노동농구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

다 牛耕을 이용하여 전지를 전면 발토 해야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牛

耕이 민간에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전국중기 이후이지만 代田法이 확

대되면서 우경의 중요성이 커졌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15)

대전법에서는 耬車를 이용하여 作條와 播種을 동시에 했기 때문에

완전히 腐熟되지 않은 답분을 基肥했을 경우 耬車작동시 발에 걸리거

나 비료가 한쪽으로 쏠려 파종하기가 곤란해진다16) 제민요술 旱稻

편에도 ldquo싹눈을 틔운 볍씨를 파종구인 耬犁로 갈면서 條播하고 흙으

로 종자를 덮는다rdquo17)고 하고 大小麥 편에서는 ldquo山地와 단단한 토지

에는 耬車를 이용하여 파종rdquo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당시에는 적

어도 旱稻와 麥은 답분으로 시비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것 때문

인지 전한 말 氾勝之書의 麻田 麥田 瓠의 시비에 모두 蠶矢를 사용

하거나 區田法에서는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에서처럼 종자

와 함께 섞은 부드러운 美糞이나 糞種이 이용되고 있다 蠶矢 시비나

잘 부숙된 熟糞은 耬車로 파종하더라도 경작과정에서 전혀 문제되지는

않는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결국 봄에 답분을 하는 주요 곡물은 粟 黍이었

음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 답분을 이용하여

14) 夏緯瑛의 주석에 의하면 古書 가운데 麥자만 있으면 소맥(小麥 Triticum

aestivum L)을 말한다고 한다

15) 崔德卿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16) 만약 作畝한 땅에 踏糞을 基肥 하여 耬車로 파종하게 된다면 답분이 耬車의

이빨에 걸려 한쪽으로 밀리거나 앞으로 나가기도 힘들기 때문에 踏糞과 같은

시비는 곤란하다 특히 볏짚을 腐熟한 경우에는 이런 현상이 더욱 잘 발생하

며 麥糞의 경우도 완전히 부숙이 되지 않았을 경우는 누거로 파종하기가 곤란

해진다

17) 齊民要術 旱稻 ldquo漬種如法 裛令開口 耬耩䅖種之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1粟을 파종했다는 전술한 내용과도 부합된다 다시말해 粟이 위진 남북

조시기에도 여전히 주곡 중 하나로 중시되었음을 뜻한다 사실 粟[禾]

黍는 범승지서는 물론 제민요술에도 농작물 중 첫머리에 기록될

정도로 당시 화북지역에서 중시되었던 작물이며 범승지서에는 이들

의 생산을 높이기 위해 糞種하거나 區田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

기도 하였다 답분법도 그 일환 중의 하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粟 黍에 답분을 시비할 때 그 비료는 장기간 잘 부숙한 熟糞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 대소맥의 짚은 연하여 가축의 분뇨와 잘 섞이고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 볏짚보다 쉽게 腐熟한다 이렇게 보면 齊民要術 단계의 踏糞은 어떤 곡물에나 적용되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

하지만 粟 黍는 화북지역의 건조지대나 高地 彊土에도 잘 자라고18)

旱地를 전면적으로 발토하기도 쉽지 않았을 것인데 굳이 답분법을 사

용할 필요성이 있었을까 라는 의문이 생긴다 물론 한대 이후 토지이

용도가 증대되면서 지력이 약화되고 그 결과 생산량도 떨어져 척박한

땅의 비력을 유지하기 위한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만약 耬車

를 이용하여 파종하지 않고 손으로 파종한다면 春大小麥나 春大豆와

같은 작물의 基肥에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

당시 春麥은 lt表1gt과 같이 사민월령에는 정월과 2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흥미로운 것은 범승지서 사민월

령의 春麥과 동맥[麥廣麥]과는 달리 제민요술에는 대소맥이 모두 冬

麥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맥의 재배 지역이 따뜻한

남쪽으로 점차 확대되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麥의 越

冬이 가능할 정도의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일 것이다

춘맥과 동맥재배는 대개 氣候帶에 의해 결정된다 寒冷하여 월동할

수 없는 북부지역의 경우 보통 춘맥을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런데 동일한 화북지역에서 春麥이 동맥중심으로 변한 것은 우선 조건

18) 氾勝之書 禾 黍 條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2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竺可禎의 氣候圖에 의하면 氾勝之書 단계는 온난했던 기후가 하강하는 시기이며 사민월령의 2세기 중엽은

한랭한 시기이며 6세기 중엽의 제민요술의 시기는 한랭한 한계점을

지나 점차 기온이 상승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 가장 추위를 느끼는

시점은 기원전 1세기의 범승지서 단계였을 것이다 그 때문인지 범승지서에는 春麥의 파종시기가 사민월령의 1-2월보다 늦은 3월이

었으며 제민요술 단계에는 春麥도 소개되어 있지만 春麥보다 冬麥

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위진남북조시대에는 春麥을 재배하지

못할 정도로 한랭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실제 7세기가 되면 다시 고

온다습한 기후로 변화되었다고 한다19)

경작기술의 변화 또한 冬麥 재배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예컨

대 작물이 얼지 않도록 잘 보호해주거나 地溫을 유지할 수 있는 조치

가 그것이다 蠶矢 가축분 및 踏糞 등을 시비하면 눈과 서리에 의해

푸석푸석해진 토지를 부드럽게 하여 뿌리를 깊게 내리게 할 뿐 아니라

토양을 보온하여 잘 얼지도 않게 해준다20) 게다가 이런 땅에 심경하

여 畎中條播하게 되면 종자가 적당한 습기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

며 특히 踏糞이 조금씩 분해되면서 양분을 공급해 주기 때문에 春麥

이나 春大豆의 생산력이 높아진다

越冬 주곡작물이 화북지역에서 재배된다는 것은 겨울에 비워둔 토

지를 이용하여 土地利用度를 높이고 그로 인해 다른 작물과의 交代도

다양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바로 養地를 위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답분법의 출현은 粟黍의 지력 회

복은 물론이고 화북지역의 豆 麥의 春耕과 越冬 작물의 재배가 구체

화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당시 製粉 공구의

발달과 함께 小麥 大豆의 보급이 급증한 것은21) 답분법의 등장과 무

19) 劉昭民 中國歷史上氣候之變遷 (臺灣商務印書館 1992) pp99-10020)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俾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

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21) 崔德卿 漢唐期 大豆 가공기술의 발달과 製粉業 (中國史硏究 69 2010)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3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이상 답분법의 출현 배경을 살폈는데 답분이 비료로서 효과를 발휘

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조건이 필요하다 바로 踏糞과 파종조건이 맞

아야 한다 전술한 것처럼 답분법의 보급은 기본적으로 牛馬의 보급과

경작방식에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앞서 한대 대전법이 우경

의 확산에 기여했다고 했지만 대전법은 그 단위 경작면적이 5頃이고

노동조직도 lsquo二牛三人rsquo이었기 때문에 소농민이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했다 제민요술에서 제시한 답분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겨울에

쟁기로 답분을 갈아엎고 덮어주어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파종구를 만

드는 耬車[作條犁]가 아니라 볏[鐴]이 부착된 翻土犁이어야 한다 볏은

전한 때부터 보급되고 후한의 畵像石에서 보듯 쟁기의 형태도 lsquo一牛一

犁rsquo로 발전하고 있는 것을 보면 건강한 소농민은 牛耕을 이용했을 것

으로 보인다22) 이렇게 보면 전면발토가 곤란했던 代田法 및 범승지서단계에는 제민요술과 같은 답분법이 시행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보인다

糞田은 이미 周代 이전에도 등장하지만 구체적인 糞제조방식에 대

한 기록은 답분법이 처음이다 이 이후부터 집안의 잡다한 쓰레기를

태워 재로 만들거나 가축의 우리 속에 넣어 분뇨와 결합하면서 1차적

으로 糞肥로 만들어지고 이를 우리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腐熟

시켜 田地의 거름으로 탈바꿈한다23) 초기의 糞은 蠶矢 美糞 灰糞 등

주로 基肥로 사용되었는데 그 중 부드러운 숙분은 누거파종의 기비에

도 사용되고 거친 비료의 경우 區田이나 수전의 밑거름으로 사용되었

을 것으로 보인다

후대의 답분법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었던 이유는 비료효과

그리고 氾勝之書 區田法 에서는 麥 大豆의 대량생산을 위해 區田法도 실시

하고 있다

22) 최덕경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 pp151-15623) 곡물의 짚이 가축분과 결합되면서 미생물의 작용으로 썩게 되며 긴 시간을

썩히면 분에서 열이 발생하여 유해한 해충을 죽이고 속효성 비료의 효과도 크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4가 입증된 것은 물론이고 당시 한 농가에서 생산된 踏糞의 양이 연간

6畝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으로 보유토지의 일부와 재배

작물의 일부밖에 답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후 농가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답분을 제조했던 것 같다

Ⅲ 宋代 糞에 대한 인식 변화와

ldquo地力常新壯rdquo論의 등장

1 陳旉農書의 거름 제조와 糞屋 糞藥남송 程珌의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에는 제민요술시대 이후

답분법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즉 ldquo수집한 糞穰을 집집마다 산처럼

쌓아두고 市井之間에는 (각종 쓰레기를) 깨끗이 수습하여 남아 있는

것이 없었다 덕분에 토지는 기름지고 稻根은 가뭄에 잘 견뎠다rdquo24)고

한다 이것을 보면 남송시대에도 집집마다 답분을 생산했으며 그것을

산처럼 쌓아두었다는 것은 그 전통이 계속 이어졌음을 말해주며 생산

된 답분은 稻田에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송대 대표적인 농서인 陳旉農書(1149년)에는 그 후 답분법의 모습이 잘 남아있다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에는 ldquo때에 순응하여 소

를 잘 키우는 것이 좋다 봄이 시작되면 반드시 외양간에 쌓여있는 지

푸라기와 쇠똥을 모두 걷어낸다 반드시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

소제해야만 더러운 냄새와 축축한 것들로 인해서 역병과 瘡疾이 생기

고 또한 발굽이 오물에 잠겨 질병이 생기는 것을 면한다 또 상스럽지

못한 것은 마땅히 없앰으로써 소가 거처하는 장소를 깨끗하고 상쾌하

게 해주면 좋다rdquo고25) 하여 제민요술의 답분법과는 다소 다른 느낌

24) 程珌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卷19 ldquo每見衢婺之人 收蓄糞壤 家家山積 市

井之間 掃拾無遺 故土膏肥美 稻根耐旱 米粒精壯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5을 준다26) 齊民要術의 경우 답분의 제조방식에 중점을 두었지만 진부농서는 소 외양간의 청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이 역

시 牛廏에서 퇴비를 생산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 廏肥생산방식을 보면 봄이 되어 소 우리에 깔아 쌓인 lsquo積滯蓐糞rsquo

을 모두 걷어내어 대청소를 하지만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은

소제한다고 하여 퇴비를 생산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齊民要術처럼 생산된 퇴비의 처리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다27) 이때 깔개는 稻作

지대였기 때문에 분명 볏짚이 중심을 이루었을 것이며 깔개도 매일이

아니라 최소한 열흘에 한 차례씩 걷었다는 것으로 보아 답분의 양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답분을 쌓아둔 양이 집집마다 엄청났던

것을 보면 여린 나무 잎과 가지도 가축우리에 넣어 밟게 한다거나 구

덩이에 잡다한 쓰레기를 쌓아 외양간 오줌을 끼얹어 비료로 만들기도

했던 것 같다28) 이것은 화북지역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따라서 10일에 한 번 짚을 갈아주었다는 기록은 강남지역의 경우

水牛를 役牛로 이용했기 때문에 열흘에 한 번 쯤은 우리의 짚을 교체

하여 건강에 관심을 보였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집집마다 산처럼 쌓인 糞穰과 市井에 남아도는 쓰레기가 없을 정도로

퇴비생산에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답분

25)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第一 ldquo且四時有溫涼寒暑之異必順時調適之可

也 於春之初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 亦不必春也但旬日一除免穢氣蒸鬱

以成疫癘 且浸漬蹄甲易以生病 又當祓除不祥以淨爽其處乃善rdquo

26) 陳良佐는 이 문장을 lsquo牛廏肥rsquo의 예로 들고 있다( 我國農田施用之堆廐肥 大陸雜誌 52-4 1976) 충분히 존중해야 할 지적이지만 진부농서에는 이러한

구비의 사용법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곳은 없다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lsquo糞rsquo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 lsquo糞田之宜篇rsquo에서 언급한 비료의 원료로 사용

되고 있는 것인지 혹은 다른 뭔가의 이유로 언급하지 않은 것인지는 상세하지

않다

27) 이러한 현상은 송대의 役牛가 水牛였기 때문에 매일 가축우리를 청소할 필요

가 없었다거나 또 水田의 경우 旱田보다 답분의 基肥가 많이 필요치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28)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p56-62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6은 기존의 粟 黍 麥은 물론이고 稻 豆의 퇴비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재료는 주곡작물의 변화로 인해 맥류와 더불어 볏짚도 주도적으로 사

용되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腐熟방법도 달랐을 것이다

이처럼 陳旉農書에서 踏糞에 대한 안내가 구체적이지 않다고 하

여 송대에 糞과 糞田을 소홀히 취급한 것은 아니었다 陳旉農書에는이전과는 다른 강남의 풍부한 흙과 초목을 태워 만든 土糞[燻土] 火

糞29)[焦泥灰]과 泥糞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를 이용한 餠肥 糠糞

草木灰 綠肥 石灰 踏糞 苗糞 草糞 糞尿 및 동물의 털과 뼈 비료 등

이 다양하게 등장한다30)

이것은 唐末에 편찬되었다고 하는 四時纂要와 비교해도 큰 차이

가 있다 四時纂要에 등장하는 비료는 대부분 牛糞 羊糞 驢馬糞 雞糞 蠶沙[矢]등의 가축분과 燒灰 石灰 灰糞 乾鰻鱧魚汁 米泔 熟糞

爛糞 등인데 이 중에서 牛糞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비료의 종류

는 제민요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宋元代에는 餠肥

渣肥 泥土肥 無機肥 등이 추가되고 46종이나 종류도 늘어나고 있

다31) 더구나 진부농서에는 灌漑가 lsquo用糞rsquo보다 낫다고 하여 水田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32) 농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당 지역과 그 작물

의 특색에 맞게 독특한 비료가 개발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주목할 만

한 것은 비료가 토양과 작물에 어떤 작용을 하며 그 효과는 어떠했는

29)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lsquo糞田之宜篇rsquo

에는 ldquo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

다rdquo라고 하며 lsquo六種之宜篇rsquo에서는 ldquo土糞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 lsquo種桑之法篇rsquo에

서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이 土糞이 화분

의 일종인데 화분에는 흙이 함량이 다소 적어서 焦泥灰에 가깝고 토분에 흙

의 함유량이 많아 lsquo燻土rsquo에 가까워 결코 확연하게 구별하기는 곤란하다 실제

中國農業遺産硏究室 編 中國農學史(下) (科學出版社 1984) p43에서는 火糞

을 土糞이라고 하면서 실제적으로는 焦泥灰라고 하여 구분짓지 않고 있다

30)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 1993) pp53-6331)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pp245-246

3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7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인지 陳旉農書에서는 糞田之宜篇 이라는 독립된 糞田의 章이 등장하기에 이

르렀다 이같은 현상은 진부농서 이전 단계에는 볼 수 없었던 특징

이다

陳旉農書에는 周禮 草人 의 ldquo토지를 개량하는 방법은 땅의 형

색을 보고 판단하며 그 적합함을 살펴서 파종해야 한다rdquo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있다 예컨대 흙 중에서 붉고 굳센 토양[騂剛]의 시비에는

소를 이용하고 붉은빛 토양[赤緹]의 시비에는 羊을 이용한다는 것처럼

토양의 성질에 상응하는 동물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동물 중에는 소 양 돼지 및 개와 같은 가축은 물론이고 사슴 오소

리 큰사슴 여우와 같은 짐승도 있다 문제는 위의 사료에서는 소를

이용한다고만 했을 뿐 그 糞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糞種에서처럼 해당

동물의 뼈즙에 종자를 담가 시비한 것인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이다 그러나 들짐승의 뼈즙을 내어 糞種한다는 것은 일일이 실험하지

않는 한 (실험을 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믿기가 곤란하다 그나마 해

당 동물의 糞汁에 종자를 담가 토양을 다스린 것은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lsquo用rsquo은 糞汁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33) 그렇지만 토양의 성질과 짐승을 연결시켰다는 그 자체는 어

떤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인지는 알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糞田之

宜篇 의 지적과 같이 모든 토양은 제 각기 다른 성질을 띠고 있어서

33) 周禮 地官草人 편의 lsquo糞種rsquo에 대해 鄭司農은 ldquo소뼈 삶은 즙에 종자를 담

그는 것rdquo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는 氾勝之書 溲種法 에서 ldquo骨汁糞汁溲種rdquo

법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즉 가축의 뼈를 부수어 눈 물[雪汁]과 섞어 세

번 끓여 즙액을 받아 附子를 넣어 5일동안 담가두었다가 부자는 건저내고 이

속에 羊이나 蠶矢 등을 넣어 저어 종자를 담가 뒤섞고 이후 햇볕에 말려 씨앗

이 즙액을 흡수하도록 하여 파종했다는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하지만 萬國鼎

은 氾勝之書 區田法 편의 ldquo敎民糞種rdquo에 대해 각주에서 ldquo區田以糞氣爲美 非

必須良田也rdquo와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라는 사료를 근거로 lsquo糞種rsquo의

糞은 基肥를 중시한다는 말이지 골즙을 끊여 羊矢나 蠶矢를 섞어 종자 자체에

시비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糞種은 단순히 ldquo시비하고 파종한다rdquo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萬國鼎 輯釋 氾勝之書輯釋 (農業出版社 1980) p62 참조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8그에 합당하게 시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거름은 lsquo糞藥rsquo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농부들이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마

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진단하여 약을 쓰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

울였다는 점을 나타낸다34) 민간에 이미 이러한 인식이 존재했다는 것

은 강남농업에 있어 비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음을 말해준다35)

실제 동물의 糞은 저마다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糞田할 경

우 곡물을 해칠 수도 있다 때문에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리 시비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周禮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陳旉農書에서 이를 재차 강조하여 ldquo토양의 氣와 脈은 그 유형이 하나같이 않아서 비옥하기도 하고 척박하기도 하여 좋고 나쁨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다스리는 데도 각각 적합한 도리가 있다rdquo고36) 한 것은

토양의 氣脈의 조절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그 결과 糞을 토양의 기맥

을 치료하고 곡물의 성장을 담보하는 藥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은 주목

된다 이것은 송대의 분이 제민요술 단계나 그 이전과 같이 단순히

地力을 높여 생산력을 제고한 수준을 넘어 토양과 작물에 있어 필요불

가결한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그 때문에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와 같이 노천에 거름을 쌓아 저

장했던 방식과 함께 일정한 장소를 만들어 거름을 보관 貯溜하는 방식

도 발전하였다 陳旉農書 糞田之宜篇 에 의하면 농가의 곁에 반드

시 헛간[糞屋]을 설치했다 분옥은 처마와 기둥을 낮게 하여 바람에 휘

날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았다 거름을 노천에 쌓아두면 밤의

3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周禮 草人 lsquo掌土化之法以物地相其宜而

為之種rsquo別土之等差而用糞治 且土之騂剛者糞宜用牛赤緹者糞宜用羊以至渴

澤用鹿鹹潟用貆墳壤用麋勃壤用狐埴壚用豕彊㯺用蕡輕爂用犬皆相視其土之性類以所宜糞而糞之斯得其理矣 俚諺謂之糞藥以言用糞猶藥也rdquo

3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7에서 陳旉는구릉지대인 揚州 부근의 西山에만 줄곧 살았던 것은 아니고 일찍이 다른 곳에

서도 살았던 적이 있다 이 농서에서 언급된 농업의 상황은 장강 하류의 비교

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표한다고 한다

36)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土壤氣脈其類不一肥沃磽埆美惡不同

治之各有宜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3: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3가를 살피는 것은 흥미로운 주제가 아닐 수 없다

본고에서는 이를 검토하기 위해 그 시대의 요구와 함께 등장한 齊民要術과 陳旉農書를 분석하여 그 속에 나타난 경작법과 재배작물

의 변화에 따라 시비법이 어떻게 변모되었는가를 살펴보려고 한다 특

히 송대에는 지력은 끊임없이 감퇴되는 것이 아니라 비료를 이용하여

보충하면 언제나 새롭게 변한다는 糞藥과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인식이 강하

게 자리 잡게 된다 무엇보다 이같은 地力에 대한 인간의 의지는 糞에

대한 정확한 성질을 파악하였으며 人糞尿조차도 비료자원으로 활용하

고 糞을 위해 별도의 집을 짓게 된 배경이 되었던 것이다 그로 인해

다양한 작물을 윤작복종하게 됨으로써 唐宋代 경제발전의 動力으로 작

용했다는 것을 밝혀보고자 한다

Ⅱ 齊民要術 踏糞法의 출현 배경과 糞田1 踏糞의 생산과 재료

齊民要術의 踏糞은 타작 후 생긴 곡물의 짚과 겨를 가축우리에

매일매일 깔아 퇴비로 만들었다 가축우리에 퇴비를 깔아준 기록이 언

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알 수는 없지만 甲骨文에 이미 가축의 우리와

厠間이 등장하고 각종 諸子書에 다양한 糞土나 糞田의 기록이 보인다

더구나 전국 말 睡虎地秦簡 日書의 ldquo소 우리의 草木 아래에 숨겨두

었다rdquo4)는 기록을 통해 당시 이미 우리에 草木을 깔았음을 알 수 있

가축의 우리 속에 초목을 까는 이유는 가축들이 아무렇게나 배설하

여 질퍽한 똥오줌 위에서 생활하게 되면 여름에는 각종 벌레와 냄새

4)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61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4가 진동하고 겨울에는 추위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 속에 깔개를 깔아주면 가축에게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

다 遊牧民의 경우 우리를 옮기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지

만 가축의 우리가 고정된 농경민은 간혹 방목하여 햇볕에 말려 처리

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정기적으로 짚이나 초목을 교체해주어야 한다

이 때 糞尿에 젖은 쓰레기를 처리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초기에는

분명 퇴비를 끌어내어 우리 근처에 모아두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것이

모여 쌓이게 되면서 썩어서 냄새는 점차 사라지고 부드러워지게 된다

周代부터 널리 행해졌던 糞田이 이 퇴비를 사용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전국시대 중기 이후에는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呂氏春秋 任地 편의 lsquo耕之大方rsquo에는 ldquo棘者欲肥 肥者欲棘rdquo이라고 하여 糞田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고 辯土 편에는 ldquo너무 땅이 비옥하면 가지와

잎이 무성하여 쭉정이가 많아진다rdquo고5) 한 것을 통해 시비에 의한 시

행착오를 살필 수 있다 이러한 경험이 氾勝之書 耕田 편의 ldquo무릇

농경의 기본 원칙은 제 때에 맞추어 토양을 부드럽게 하여 비옥하고

수분을 유지하는데 힘쓰며 일찍 김매고 일찍 수확하는데 있다rdquo는 것

으로6)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糞田은 왜 齊民要術에서 踏糞法을 통해 첫 머리에 구체적

으로 묘사되고 있는 것일까 분명 이 답분법은 이전부터 실시해왔던

방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일 것이다 그리고 당시 가축우리는 그들

의 휴식공간이면서 퇴비생산의 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 공간의

매개물이 바로 우리에 깔아둔 草木인 것이다

踏糞의 생산과정을 통해 퇴비생산의 실태를 살펴보자 우선 ①타작

후의 짚과 겨 확보 rarr ②집 안팎에 저장 rarr ③매일 소 우리에 넣기 rarr

④아침에 수거하여 별도의 장소에 쌓아 腐熟 등 대개 4단계를 거쳐 답

분을 만들고 있다 그리고 사료 중에는 매일 우리에 3寸(1尺≒=28c

5) 呂氏春秋 辯土 ldquo肥而扶疏則多粃rdquo6) 氾勝之書 耕田 ldquo凡耕之本在於趣時和土務糞澤早鋤早獲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5m7)) 즉 약 84cm 두께로 쌓아두어 겨울이 되면 소 한 마리가 ldquo三十車

糞rdquo의 답분을 생산할 수 있다는 사실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만든 퇴비를 시비하는 시기는 봄이 되기 전인 12월에서 1월

사이이며 1小畝 당 5수레의 퇴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연간 6畝의 토지

에 시비할 수 있었다고 한다 踏糞의 施用은 파종 전에 땅에 고르게

펴서 갈이해서 이를 덮되 뒤집어서는 안 된다고 하여 땅속에 묻어 시

비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땅을 갈아 거름을 덮어주고 땅이 마르

면 정오 무렵에 재차 갈아 덮어주고 갈이 후에는 다시 횡으로 한 차

례 더 고무래질하여 덮어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정월과 2월에 또 다시

한 차례 갈아엎는다 그런 후에 토지의 상태를 살펴 조[粟 2월 상순이

上時]나 기장(3월 상순이 上時)을 파종하였다8)

이상과 같은 踏糞法의 사료를 통해 짐작할 수 있는 것은 우선 매일

매일 짚이나 겨를 교체한 것으로 보아 타작한 짚의 대부분을 퇴비로

사용했음은 물론이고 당시에 地力을 위해 요구되는 퇴비량도 매우 많

았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토지 이용도에 따른 養地가 달라졌음을 말

해준다

그런데 이 때 시비로 사용된 짚은 어떤 곡물의 짚이었을까 齊民要術에서 穀[粟]의 파종 때 가장 좋은 토양으로 ldquo대체로 녹두나 팥을

심었던 땅이 가장 좋고 삼 기장 참깨를 심었던 곳이 그 다음이며 순

무[蕪菁]나 콩을 심었던 곳이 가장 나쁘다rdquo9)고 한 점으로 미루어 穀

7) 丘光明 中國歷代度量衡考 (科學出版社 1992) p68에는 남북조시대 北朝의

尺은 南朝보다 길며 漢尺보다 2-3尺 길다고 한다 오늘날 전해지는 北朝의 尺

은 北魏의 경우 전기에서 후기로 가면서 2788cm에서 2959cm로 점차 커지며

後周의 경우 2924cm 玉尺은 267cm이다 그래서 이 책의 520쪽에서는 평균

南朝 247cm 北魏 28cm 北周는 29cm 東魏는 302cm로 계산하여 제시하고

있다

8) 齊民要術 雜說 其踏糞法 ldquo凡人家秋收治田後 場上所有穰穀 等 並須收

貯一處 每日布牛腳下 三寸厚 每平旦收聚堆積之 還依前布之 經宿即堆聚 計

經冬一具牛 踏成三十車糞 至十二月正月之間 即載糞糞地 計小畝畝別用五車

計糞得六畝 勻攤 耕 蓋著 未須轉起 自地亢後 但所耕地 隨餉蓋之 待一段總

轉了 即橫蓋一遍 計正月二月兩箇月 又轉一遍 然後看地宜納粟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6

구분

월별

氾勝之書파종

四民月令 齊民要術 主穀의 파종시기 輪作

前harr後

작물파종 수확 비고 主穀 上時 中時 下時

正月春麥 豍豆

(粟)

2월상순(麻菩楊 生 種者)

3월상순(淸明節桃始花)

4월상순(棗樹 葉生 桑 花落)

菉豆小豆harr黍穄

2月

麻(2월하순-3월상순)

瓜(冬至후90- 100일2월하순-3월초순)

春麥 稙禾 苴麻 大豆 豍豆 胡麻

黍穄 3월상순 4월상순 5월상순大豆harr穀

3月

旋麥(춘맥)

穀(粟)

大豆(高田春大豆)

秔稻

稙禾 秔稻 苴麻大豆 胡豆 胡麻藍

春大豆

2월중순 3월상순 4월상순 麥harr穀

4月秫稻(冬至후 110일4월중순)

禾 黍大小 豆 胡麻

麥廣麥大麥

糴麥廣及大麥

小豆夏至後十日 ( 5 월말)

初 伏 이전(6월중순)

中伏이전(6월말)

麥 穀harr 穀 麻

5月

黍 (先夏至二十日5월상순)

小豆 (椹黑時)

禾 黍( 秔 ) 稻(別) 牡麻 胡麻藍(別)

麥廣麥大小麥

糴麥廣大小麥

麻夏至前十日(5월중순)

夏至夏至後十日(6월초)

小豆harr穀

6月大豆 (夏至후 20일6월중순)

冬藍麥廣麥

小麥糴麥廣小麥

麻子 3월 4월 5월

7月麥 ( 小麥 春麥)

糴麥 大麥8월중戊社前

下戊前8월말9월초

黍harr大豆

lt表1gt 고대 月別 작물의 播種 및 收穫시기

재배 이전의 作物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lt表1gt의 우측을 보면 齊民要術에서는 재배작물의 前 後작물이 다양하게 輪作되었음을 제

시하고 있다 이같은 윤작은 齊民要術 이전부터 토지이용도가 증가

되어 地力 소모가 늘어났음을 말해준다

9) 齊民要術 種穀 凡穀田 綠豆小豆底為上 麻黍胡麻次之 蕪菁大豆

為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7

8月宿麥(하지후 70일 8월중순)

麥廣麥

大小麥黍 糴黍 小麥

8월상戊社前

中戊前 하술전

9月 水稻 3월 4월상순 4월중순

10月

禾(粟)麻 子( 苴 ) 大小豆

糴粟大小豆麻子

旱稻 2月半 3월四月初及半

11月

禾(粟)秔 稻 麻 子 小豆

糴秔稻粟小豆麻子

胡麻 2 3월 4월상순 5월상순

12月 瓜 2월상순 3월상순 4월상순小豆harr穀

別 옮겨 심는다는 뜻 糴 구매시기는 주로 수확기였기 때문에 수확기로 대체했다

그렇다고 이들 곡물의 ldquo穰穀 rdquo 즉 줄기나 껍질을 모두 가축우리의

퇴비생산에 이용했다고 보기는 곤란하다 특히 매일 일정한 두께로 깔

고 교체했다는 것은 가축우리 주위에 쌓아두고 이용했음을 뜻한다 가

축우리의 깔개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분뇨의 흡수력이 좋고 줄기

가 거세지 않아 가축을 따뜻하게 감싸주며 잘 썩는 재질이 좋다 매일

부드러운 초목을 베어 깔아줄 수도 있겠지만 이는 결코 쉬운 일이 아

니며 또한 갓 베어온 초목은 牛馬의 먹이로는 좋을지언정 거름으로

이용하기는 곤란하다 그 때문인지 최근까지도 가축우리의 깔개로 가

장 많이 사용된 것은 마른 볏짚이나 보리짚이다 그렇다면 이것들이

고대의 踏糞의 재료로도 사용되었을까 우선 당시 답분의 재료에 적합

한 農作物부터 살펴보자

齊民要術에서는 답분을 시비하기 위해 겨울에 갈이 했음을 알 수

있다 겨울갈이가 좋다는 것은 四時纂要와 마찬가지로 平時의 갈이

보다 ldquo一當五rdquo의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라고10) 한다

겨울갈이를 했다는 것은 田地가 비어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lt表

1gt의 四民月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맥인 宿麥 麥廣麥 등이 재배되

10) 四時纂要 正月 ldquo齊民要術云 比月耕地一當五rdquo 四時纂要 二月 ldquo耕

地此月耕地一當五也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8고 있는 경지에는 제민요술의 답분법이 적용될 수 없는 것이다 冬

麥을 제외하고 踏糞法을 이용하여 2월 3월에 春播 가능한 작물을 보

면 lt表1gt과 같이 四民月令에는 春麥 稙禾 苴麻 大豆 豍豆 胡麻

秔稻가 있고 氾勝之書에는 麻 瓜 旋麥[春麥] 穀[粟] 및 秔稻 齊民要術에는 穀[粟] 春大豆 旱稻 胡麻 黍穄 麻子 水稻 瓜 등이 있어

주요 곡물이 모두 春播되고 있다 결국 踏糞을 이들 작물에 이용했다

는 말이 된다

lt表1gt의 우측을 보면 작물과 교대한 前年의 재배 작물을 보면 稻

만 보이지 않고 大豆 麥 菉豆 小大豆 등이 보인다 비록 지역차는

있겠지만 춘파작물이 거듭 재배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파

종시기만으로 보면 당시 동일 圃場에서 春播는 물론 4-6월에 하는 夏

播와 冬麥과 같은 秋播작물이 동시에 보이기도 하고 lt表1gt의 좌측에

서 보듯 春冬麥 春夏豆도 있고 早晩稻 早晩黍 早晩禾도 보여 토지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들 작물 중 우리에서 踏糞 가능한 작물을 보자 胡麻나 麻 등은

줄기가 강하여 수확 후 답분으로 사용하기 곤란하다 大小豆의 줄기

역시 수확 시기에는 나무처럼 단단해져 깍지와 마른 잎을 제외하고는

답분하기에 곤란하다 이것은 穀[粟] 黍의 줄기도 마찬가지이다 이것

들은 잎이 푸르고 익지 않았을 때는 줄기가 물러 가축의 먹이로 사용

되고 踏糞의 소재로도 가능하겠지만 수확기에는 잘게 부수지 않으면

잘 썩지도 않아서 태워 재거름[灰糞]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 부숙하여

田地의 시비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결국 답분 가

능한 작물은 大小麥類와 稻類[水旱稻 秔稻]만이 남게 된다

벼는 이미 전국시대 후기 여씨춘추 審時 편에서부터 주곡작물로

분류되었으며 氾勝之書 稻 편에는 3월에 파종하는 秔稻와 4월에

파종하는 秫稻의 품종부터 水田관리와 물을 대고 수온을 조절하는 방

식까지 다양한 부분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이는 사민월령에도 마찬가지로 3-5월에 秔稻를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晩稻를 제시하고

있다 제민요술 단계에 이르면 색 형태와 수확기가 다른 다양한 水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9稻의 종류가 보이고 水田과 旱田으로 구분하여 경지선택과 이앙방식

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화북지역에

도 벼농사가 점차 중시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다만 화북지역은 陂澤地

가 적어 하천의 彎曲 부분이나 샘이 솟는 지역과 물이 잘 고이는 저지

대 등에 稻作이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11) 이처럼 벼는 까다로운 경작

조건으로 인해 華北에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따라서 짚의

생산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볏짚은 가축의 먹이나 貯藏

孔의 재료12) 보온재 땔감 등 다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일부는 芻稾稅로 국가에 납입되기도 하여13) 답분으로 사용되었을 지라도 그 양은

매일매일 일정한 높이로 깔아줄 정도는 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습도가 적은 화북지역의 경우 볏짚의 부숙 속도는 맥류보다 늦

고 썩은 비료도 부드럽게 흩어지지 않아 대표적인 파종구[耬車]와 摩

平熟土작업 도구[勞]를 사용하기가 맥류짚보다는 곤란하다 그런 것을

보면 踏糞의 재료는 麥類가 중심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2 踏糞의 施肥 작물과 출현 배경

그렇다면 답분을 사용하여 春播한 穀物은 어떤 작물이었을까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粟 黍 麻子 春大豆 春麥과 秔稻 早稻 등으로 압

축할 수 있다 이 모두에 踏糞을 시비했다면 ldquo三十車糞rdquo의 양으로 턱

없이 부족하게 된다 사실 大豆는 예부터 lsquo備凶年rsquo 작물로서 區種하지

않는 한 특별한 시비를 하지 않았다

답분을 이용한 농작물이 무엇이었는가를 살피기 위해 제민요술의11) 齊民要術 水稻 旱稻 참조

12) 氾勝之書 瓠 ldquo掘地深一丈 薦以藁 四邊各厚一尺 以實置孔中 令底下向rdquo

이라고 하여 곡식을 구덩이에 저장하기 위해 두텁게 둘러싸 보관 저장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13) 雲夢睡虎地秦簡 倉律 에는 芻稾는 곡물과 더불어 창고에 보관하였다가 출입 시에는 일일이 內史나 縣廷에 보고한 것을 보면 당시 볏짚은 다양한 용도

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0답분법을 천착해보자 답분의 재료인 麥14)은 여씨춘추에서도 중심작

물로서 자리 잡았던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때부터 답분으로 사용

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답분을 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겨울갈이를 통해 뿌린 거름을 덮어주고 1-2월에 다시 翻土

하는 것이 기본인데 이러한 노동은 手노동농구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

다 牛耕을 이용하여 전지를 전면 발토 해야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牛

耕이 민간에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전국중기 이후이지만 代田法이 확

대되면서 우경의 중요성이 커졌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15)

대전법에서는 耬車를 이용하여 作條와 播種을 동시에 했기 때문에

완전히 腐熟되지 않은 답분을 基肥했을 경우 耬車작동시 발에 걸리거

나 비료가 한쪽으로 쏠려 파종하기가 곤란해진다16) 제민요술 旱稻

편에도 ldquo싹눈을 틔운 볍씨를 파종구인 耬犁로 갈면서 條播하고 흙으

로 종자를 덮는다rdquo17)고 하고 大小麥 편에서는 ldquo山地와 단단한 토지

에는 耬車를 이용하여 파종rdquo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당시에는 적

어도 旱稻와 麥은 답분으로 시비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것 때문

인지 전한 말 氾勝之書의 麻田 麥田 瓠의 시비에 모두 蠶矢를 사용

하거나 區田法에서는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에서처럼 종자

와 함께 섞은 부드러운 美糞이나 糞種이 이용되고 있다 蠶矢 시비나

잘 부숙된 熟糞은 耬車로 파종하더라도 경작과정에서 전혀 문제되지는

않는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결국 봄에 답분을 하는 주요 곡물은 粟 黍이었

음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 답분을 이용하여

14) 夏緯瑛의 주석에 의하면 古書 가운데 麥자만 있으면 소맥(小麥 Triticum

aestivum L)을 말한다고 한다

15) 崔德卿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16) 만약 作畝한 땅에 踏糞을 基肥 하여 耬車로 파종하게 된다면 답분이 耬車의

이빨에 걸려 한쪽으로 밀리거나 앞으로 나가기도 힘들기 때문에 踏糞과 같은

시비는 곤란하다 특히 볏짚을 腐熟한 경우에는 이런 현상이 더욱 잘 발생하

며 麥糞의 경우도 완전히 부숙이 되지 않았을 경우는 누거로 파종하기가 곤란

해진다

17) 齊民要術 旱稻 ldquo漬種如法 裛令開口 耬耩䅖種之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1粟을 파종했다는 전술한 내용과도 부합된다 다시말해 粟이 위진 남북

조시기에도 여전히 주곡 중 하나로 중시되었음을 뜻한다 사실 粟[禾]

黍는 범승지서는 물론 제민요술에도 농작물 중 첫머리에 기록될

정도로 당시 화북지역에서 중시되었던 작물이며 범승지서에는 이들

의 생산을 높이기 위해 糞種하거나 區田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

기도 하였다 답분법도 그 일환 중의 하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粟 黍에 답분을 시비할 때 그 비료는 장기간 잘 부숙한 熟糞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 대소맥의 짚은 연하여 가축의 분뇨와 잘 섞이고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 볏짚보다 쉽게 腐熟한다 이렇게 보면 齊民要術 단계의 踏糞은 어떤 곡물에나 적용되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

하지만 粟 黍는 화북지역의 건조지대나 高地 彊土에도 잘 자라고18)

旱地를 전면적으로 발토하기도 쉽지 않았을 것인데 굳이 답분법을 사

용할 필요성이 있었을까 라는 의문이 생긴다 물론 한대 이후 토지이

용도가 증대되면서 지력이 약화되고 그 결과 생산량도 떨어져 척박한

땅의 비력을 유지하기 위한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만약 耬車

를 이용하여 파종하지 않고 손으로 파종한다면 春大小麥나 春大豆와

같은 작물의 基肥에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

당시 春麥은 lt表1gt과 같이 사민월령에는 정월과 2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흥미로운 것은 범승지서 사민월

령의 春麥과 동맥[麥廣麥]과는 달리 제민요술에는 대소맥이 모두 冬

麥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맥의 재배 지역이 따뜻한

남쪽으로 점차 확대되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麥의 越

冬이 가능할 정도의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일 것이다

춘맥과 동맥재배는 대개 氣候帶에 의해 결정된다 寒冷하여 월동할

수 없는 북부지역의 경우 보통 춘맥을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런데 동일한 화북지역에서 春麥이 동맥중심으로 변한 것은 우선 조건

18) 氾勝之書 禾 黍 條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2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竺可禎의 氣候圖에 의하면 氾勝之書 단계는 온난했던 기후가 하강하는 시기이며 사민월령의 2세기 중엽은

한랭한 시기이며 6세기 중엽의 제민요술의 시기는 한랭한 한계점을

지나 점차 기온이 상승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 가장 추위를 느끼는

시점은 기원전 1세기의 범승지서 단계였을 것이다 그 때문인지 범승지서에는 春麥의 파종시기가 사민월령의 1-2월보다 늦은 3월이

었으며 제민요술 단계에는 春麥도 소개되어 있지만 春麥보다 冬麥

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위진남북조시대에는 春麥을 재배하지

못할 정도로 한랭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실제 7세기가 되면 다시 고

온다습한 기후로 변화되었다고 한다19)

경작기술의 변화 또한 冬麥 재배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예컨

대 작물이 얼지 않도록 잘 보호해주거나 地溫을 유지할 수 있는 조치

가 그것이다 蠶矢 가축분 및 踏糞 등을 시비하면 눈과 서리에 의해

푸석푸석해진 토지를 부드럽게 하여 뿌리를 깊게 내리게 할 뿐 아니라

토양을 보온하여 잘 얼지도 않게 해준다20) 게다가 이런 땅에 심경하

여 畎中條播하게 되면 종자가 적당한 습기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

며 특히 踏糞이 조금씩 분해되면서 양분을 공급해 주기 때문에 春麥

이나 春大豆의 생산력이 높아진다

越冬 주곡작물이 화북지역에서 재배된다는 것은 겨울에 비워둔 토

지를 이용하여 土地利用度를 높이고 그로 인해 다른 작물과의 交代도

다양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바로 養地를 위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답분법의 출현은 粟黍의 지력 회

복은 물론이고 화북지역의 豆 麥의 春耕과 越冬 작물의 재배가 구체

화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당시 製粉 공구의

발달과 함께 小麥 大豆의 보급이 급증한 것은21) 답분법의 등장과 무

19) 劉昭民 中國歷史上氣候之變遷 (臺灣商務印書館 1992) pp99-10020)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俾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

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21) 崔德卿 漢唐期 大豆 가공기술의 발달과 製粉業 (中國史硏究 69 2010)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3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이상 답분법의 출현 배경을 살폈는데 답분이 비료로서 효과를 발휘

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조건이 필요하다 바로 踏糞과 파종조건이 맞

아야 한다 전술한 것처럼 답분법의 보급은 기본적으로 牛馬의 보급과

경작방식에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앞서 한대 대전법이 우경

의 확산에 기여했다고 했지만 대전법은 그 단위 경작면적이 5頃이고

노동조직도 lsquo二牛三人rsquo이었기 때문에 소농민이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했다 제민요술에서 제시한 답분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겨울에

쟁기로 답분을 갈아엎고 덮어주어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파종구를 만

드는 耬車[作條犁]가 아니라 볏[鐴]이 부착된 翻土犁이어야 한다 볏은

전한 때부터 보급되고 후한의 畵像石에서 보듯 쟁기의 형태도 lsquo一牛一

犁rsquo로 발전하고 있는 것을 보면 건강한 소농민은 牛耕을 이용했을 것

으로 보인다22) 이렇게 보면 전면발토가 곤란했던 代田法 및 범승지서단계에는 제민요술과 같은 답분법이 시행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보인다

糞田은 이미 周代 이전에도 등장하지만 구체적인 糞제조방식에 대

한 기록은 답분법이 처음이다 이 이후부터 집안의 잡다한 쓰레기를

태워 재로 만들거나 가축의 우리 속에 넣어 분뇨와 결합하면서 1차적

으로 糞肥로 만들어지고 이를 우리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腐熟

시켜 田地의 거름으로 탈바꿈한다23) 초기의 糞은 蠶矢 美糞 灰糞 등

주로 基肥로 사용되었는데 그 중 부드러운 숙분은 누거파종의 기비에

도 사용되고 거친 비료의 경우 區田이나 수전의 밑거름으로 사용되었

을 것으로 보인다

후대의 답분법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었던 이유는 비료효과

그리고 氾勝之書 區田法 에서는 麥 大豆의 대량생산을 위해 區田法도 실시

하고 있다

22) 최덕경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 pp151-15623) 곡물의 짚이 가축분과 결합되면서 미생물의 작용으로 썩게 되며 긴 시간을

썩히면 분에서 열이 발생하여 유해한 해충을 죽이고 속효성 비료의 효과도 크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4가 입증된 것은 물론이고 당시 한 농가에서 생산된 踏糞의 양이 연간

6畝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으로 보유토지의 일부와 재배

작물의 일부밖에 답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후 농가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답분을 제조했던 것 같다

Ⅲ 宋代 糞에 대한 인식 변화와

ldquo地力常新壯rdquo論의 등장

1 陳旉農書의 거름 제조와 糞屋 糞藥남송 程珌의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에는 제민요술시대 이후

답분법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즉 ldquo수집한 糞穰을 집집마다 산처럼

쌓아두고 市井之間에는 (각종 쓰레기를) 깨끗이 수습하여 남아 있는

것이 없었다 덕분에 토지는 기름지고 稻根은 가뭄에 잘 견뎠다rdquo24)고

한다 이것을 보면 남송시대에도 집집마다 답분을 생산했으며 그것을

산처럼 쌓아두었다는 것은 그 전통이 계속 이어졌음을 말해주며 생산

된 답분은 稻田에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송대 대표적인 농서인 陳旉農書(1149년)에는 그 후 답분법의 모습이 잘 남아있다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에는 ldquo때에 순응하여 소

를 잘 키우는 것이 좋다 봄이 시작되면 반드시 외양간에 쌓여있는 지

푸라기와 쇠똥을 모두 걷어낸다 반드시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

소제해야만 더러운 냄새와 축축한 것들로 인해서 역병과 瘡疾이 생기

고 또한 발굽이 오물에 잠겨 질병이 생기는 것을 면한다 또 상스럽지

못한 것은 마땅히 없앰으로써 소가 거처하는 장소를 깨끗하고 상쾌하

게 해주면 좋다rdquo고25) 하여 제민요술의 답분법과는 다소 다른 느낌

24) 程珌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卷19 ldquo每見衢婺之人 收蓄糞壤 家家山積 市

井之間 掃拾無遺 故土膏肥美 稻根耐旱 米粒精壯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5을 준다26) 齊民要術의 경우 답분의 제조방식에 중점을 두었지만 진부농서는 소 외양간의 청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이 역

시 牛廏에서 퇴비를 생산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 廏肥생산방식을 보면 봄이 되어 소 우리에 깔아 쌓인 lsquo積滯蓐糞rsquo

을 모두 걷어내어 대청소를 하지만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은

소제한다고 하여 퇴비를 생산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齊民要術처럼 생산된 퇴비의 처리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다27) 이때 깔개는 稻作

지대였기 때문에 분명 볏짚이 중심을 이루었을 것이며 깔개도 매일이

아니라 최소한 열흘에 한 차례씩 걷었다는 것으로 보아 답분의 양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답분을 쌓아둔 양이 집집마다 엄청났던

것을 보면 여린 나무 잎과 가지도 가축우리에 넣어 밟게 한다거나 구

덩이에 잡다한 쓰레기를 쌓아 외양간 오줌을 끼얹어 비료로 만들기도

했던 것 같다28) 이것은 화북지역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따라서 10일에 한 번 짚을 갈아주었다는 기록은 강남지역의 경우

水牛를 役牛로 이용했기 때문에 열흘에 한 번 쯤은 우리의 짚을 교체

하여 건강에 관심을 보였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집집마다 산처럼 쌓인 糞穰과 市井에 남아도는 쓰레기가 없을 정도로

퇴비생산에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답분

25)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第一 ldquo且四時有溫涼寒暑之異必順時調適之可

也 於春之初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 亦不必春也但旬日一除免穢氣蒸鬱

以成疫癘 且浸漬蹄甲易以生病 又當祓除不祥以淨爽其處乃善rdquo

26) 陳良佐는 이 문장을 lsquo牛廏肥rsquo의 예로 들고 있다( 我國農田施用之堆廐肥 大陸雜誌 52-4 1976) 충분히 존중해야 할 지적이지만 진부농서에는 이러한

구비의 사용법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곳은 없다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lsquo糞rsquo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 lsquo糞田之宜篇rsquo에서 언급한 비료의 원료로 사용

되고 있는 것인지 혹은 다른 뭔가의 이유로 언급하지 않은 것인지는 상세하지

않다

27) 이러한 현상은 송대의 役牛가 水牛였기 때문에 매일 가축우리를 청소할 필요

가 없었다거나 또 水田의 경우 旱田보다 답분의 基肥가 많이 필요치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28)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p56-62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6은 기존의 粟 黍 麥은 물론이고 稻 豆의 퇴비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재료는 주곡작물의 변화로 인해 맥류와 더불어 볏짚도 주도적으로 사

용되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腐熟방법도 달랐을 것이다

이처럼 陳旉農書에서 踏糞에 대한 안내가 구체적이지 않다고 하

여 송대에 糞과 糞田을 소홀히 취급한 것은 아니었다 陳旉農書에는이전과는 다른 강남의 풍부한 흙과 초목을 태워 만든 土糞[燻土] 火

糞29)[焦泥灰]과 泥糞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를 이용한 餠肥 糠糞

草木灰 綠肥 石灰 踏糞 苗糞 草糞 糞尿 및 동물의 털과 뼈 비료 등

이 다양하게 등장한다30)

이것은 唐末에 편찬되었다고 하는 四時纂要와 비교해도 큰 차이

가 있다 四時纂要에 등장하는 비료는 대부분 牛糞 羊糞 驢馬糞 雞糞 蠶沙[矢]등의 가축분과 燒灰 石灰 灰糞 乾鰻鱧魚汁 米泔 熟糞

爛糞 등인데 이 중에서 牛糞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비료의 종류

는 제민요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宋元代에는 餠肥

渣肥 泥土肥 無機肥 등이 추가되고 46종이나 종류도 늘어나고 있

다31) 더구나 진부농서에는 灌漑가 lsquo用糞rsquo보다 낫다고 하여 水田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32) 농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당 지역과 그 작물

의 특색에 맞게 독특한 비료가 개발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주목할 만

한 것은 비료가 토양과 작물에 어떤 작용을 하며 그 효과는 어떠했는

29)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lsquo糞田之宜篇rsquo

에는 ldquo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

다rdquo라고 하며 lsquo六種之宜篇rsquo에서는 ldquo土糞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 lsquo種桑之法篇rsquo에

서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이 土糞이 화분

의 일종인데 화분에는 흙이 함량이 다소 적어서 焦泥灰에 가깝고 토분에 흙

의 함유량이 많아 lsquo燻土rsquo에 가까워 결코 확연하게 구별하기는 곤란하다 실제

中國農業遺産硏究室 編 中國農學史(下) (科學出版社 1984) p43에서는 火糞

을 土糞이라고 하면서 실제적으로는 焦泥灰라고 하여 구분짓지 않고 있다

30)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 1993) pp53-6331)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pp245-246

3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7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인지 陳旉農書에서는 糞田之宜篇 이라는 독립된 糞田의 章이 등장하기에 이

르렀다 이같은 현상은 진부농서 이전 단계에는 볼 수 없었던 특징

이다

陳旉農書에는 周禮 草人 의 ldquo토지를 개량하는 방법은 땅의 형

색을 보고 판단하며 그 적합함을 살펴서 파종해야 한다rdquo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있다 예컨대 흙 중에서 붉고 굳센 토양[騂剛]의 시비에는

소를 이용하고 붉은빛 토양[赤緹]의 시비에는 羊을 이용한다는 것처럼

토양의 성질에 상응하는 동물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동물 중에는 소 양 돼지 및 개와 같은 가축은 물론이고 사슴 오소

리 큰사슴 여우와 같은 짐승도 있다 문제는 위의 사료에서는 소를

이용한다고만 했을 뿐 그 糞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糞種에서처럼 해당

동물의 뼈즙에 종자를 담가 시비한 것인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이다 그러나 들짐승의 뼈즙을 내어 糞種한다는 것은 일일이 실험하지

않는 한 (실험을 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믿기가 곤란하다 그나마 해

당 동물의 糞汁에 종자를 담가 토양을 다스린 것은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lsquo用rsquo은 糞汁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33) 그렇지만 토양의 성질과 짐승을 연결시켰다는 그 자체는 어

떤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인지는 알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糞田之

宜篇 의 지적과 같이 모든 토양은 제 각기 다른 성질을 띠고 있어서

33) 周禮 地官草人 편의 lsquo糞種rsquo에 대해 鄭司農은 ldquo소뼈 삶은 즙에 종자를 담

그는 것rdquo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는 氾勝之書 溲種法 에서 ldquo骨汁糞汁溲種rdquo

법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즉 가축의 뼈를 부수어 눈 물[雪汁]과 섞어 세

번 끓여 즙액을 받아 附子를 넣어 5일동안 담가두었다가 부자는 건저내고 이

속에 羊이나 蠶矢 등을 넣어 저어 종자를 담가 뒤섞고 이후 햇볕에 말려 씨앗

이 즙액을 흡수하도록 하여 파종했다는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하지만 萬國鼎

은 氾勝之書 區田法 편의 ldquo敎民糞種rdquo에 대해 각주에서 ldquo區田以糞氣爲美 非

必須良田也rdquo와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라는 사료를 근거로 lsquo糞種rsquo의

糞은 基肥를 중시한다는 말이지 골즙을 끊여 羊矢나 蠶矢를 섞어 종자 자체에

시비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糞種은 단순히 ldquo시비하고 파종한다rdquo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萬國鼎 輯釋 氾勝之書輯釋 (農業出版社 1980) p62 참조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8그에 합당하게 시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거름은 lsquo糞藥rsquo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농부들이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마

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진단하여 약을 쓰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

울였다는 점을 나타낸다34) 민간에 이미 이러한 인식이 존재했다는 것

은 강남농업에 있어 비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음을 말해준다35)

실제 동물의 糞은 저마다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糞田할 경

우 곡물을 해칠 수도 있다 때문에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리 시비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周禮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陳旉農書에서 이를 재차 강조하여 ldquo토양의 氣와 脈은 그 유형이 하나같이 않아서 비옥하기도 하고 척박하기도 하여 좋고 나쁨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다스리는 데도 각각 적합한 도리가 있다rdquo고36) 한 것은

토양의 氣脈의 조절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그 결과 糞을 토양의 기맥

을 치료하고 곡물의 성장을 담보하는 藥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은 주목

된다 이것은 송대의 분이 제민요술 단계나 그 이전과 같이 단순히

地力을 높여 생산력을 제고한 수준을 넘어 토양과 작물에 있어 필요불

가결한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그 때문에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와 같이 노천에 거름을 쌓아 저

장했던 방식과 함께 일정한 장소를 만들어 거름을 보관 貯溜하는 방식

도 발전하였다 陳旉農書 糞田之宜篇 에 의하면 농가의 곁에 반드

시 헛간[糞屋]을 설치했다 분옥은 처마와 기둥을 낮게 하여 바람에 휘

날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았다 거름을 노천에 쌓아두면 밤의

3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周禮 草人 lsquo掌土化之法以物地相其宜而

為之種rsquo別土之等差而用糞治 且土之騂剛者糞宜用牛赤緹者糞宜用羊以至渴

澤用鹿鹹潟用貆墳壤用麋勃壤用狐埴壚用豕彊㯺用蕡輕爂用犬皆相視其土之性類以所宜糞而糞之斯得其理矣 俚諺謂之糞藥以言用糞猶藥也rdquo

3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7에서 陳旉는구릉지대인 揚州 부근의 西山에만 줄곧 살았던 것은 아니고 일찍이 다른 곳에

서도 살았던 적이 있다 이 농서에서 언급된 농업의 상황은 장강 하류의 비교

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표한다고 한다

36)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土壤氣脈其類不一肥沃磽埆美惡不同

治之各有宜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4: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4가 진동하고 겨울에는 추위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 속에 깔개를 깔아주면 가축에게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

다 遊牧民의 경우 우리를 옮기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지

만 가축의 우리가 고정된 농경민은 간혹 방목하여 햇볕에 말려 처리

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정기적으로 짚이나 초목을 교체해주어야 한다

이 때 糞尿에 젖은 쓰레기를 처리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초기에는

분명 퇴비를 끌어내어 우리 근처에 모아두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것이

모여 쌓이게 되면서 썩어서 냄새는 점차 사라지고 부드러워지게 된다

周代부터 널리 행해졌던 糞田이 이 퇴비를 사용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전국시대 중기 이후에는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呂氏春秋 任地 편의 lsquo耕之大方rsquo에는 ldquo棘者欲肥 肥者欲棘rdquo이라고 하여 糞田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고 辯土 편에는 ldquo너무 땅이 비옥하면 가지와

잎이 무성하여 쭉정이가 많아진다rdquo고5) 한 것을 통해 시비에 의한 시

행착오를 살필 수 있다 이러한 경험이 氾勝之書 耕田 편의 ldquo무릇

농경의 기본 원칙은 제 때에 맞추어 토양을 부드럽게 하여 비옥하고

수분을 유지하는데 힘쓰며 일찍 김매고 일찍 수확하는데 있다rdquo는 것

으로6)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糞田은 왜 齊民要術에서 踏糞法을 통해 첫 머리에 구체적

으로 묘사되고 있는 것일까 분명 이 답분법은 이전부터 실시해왔던

방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일 것이다 그리고 당시 가축우리는 그들

의 휴식공간이면서 퇴비생산의 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 공간의

매개물이 바로 우리에 깔아둔 草木인 것이다

踏糞의 생산과정을 통해 퇴비생산의 실태를 살펴보자 우선 ①타작

후의 짚과 겨 확보 rarr ②집 안팎에 저장 rarr ③매일 소 우리에 넣기 rarr

④아침에 수거하여 별도의 장소에 쌓아 腐熟 등 대개 4단계를 거쳐 답

분을 만들고 있다 그리고 사료 중에는 매일 우리에 3寸(1尺≒=28c

5) 呂氏春秋 辯土 ldquo肥而扶疏則多粃rdquo6) 氾勝之書 耕田 ldquo凡耕之本在於趣時和土務糞澤早鋤早獲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5m7)) 즉 약 84cm 두께로 쌓아두어 겨울이 되면 소 한 마리가 ldquo三十車

糞rdquo의 답분을 생산할 수 있다는 사실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만든 퇴비를 시비하는 시기는 봄이 되기 전인 12월에서 1월

사이이며 1小畝 당 5수레의 퇴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연간 6畝의 토지

에 시비할 수 있었다고 한다 踏糞의 施用은 파종 전에 땅에 고르게

펴서 갈이해서 이를 덮되 뒤집어서는 안 된다고 하여 땅속에 묻어 시

비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땅을 갈아 거름을 덮어주고 땅이 마르

면 정오 무렵에 재차 갈아 덮어주고 갈이 후에는 다시 횡으로 한 차

례 더 고무래질하여 덮어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정월과 2월에 또 다시

한 차례 갈아엎는다 그런 후에 토지의 상태를 살펴 조[粟 2월 상순이

上時]나 기장(3월 상순이 上時)을 파종하였다8)

이상과 같은 踏糞法의 사료를 통해 짐작할 수 있는 것은 우선 매일

매일 짚이나 겨를 교체한 것으로 보아 타작한 짚의 대부분을 퇴비로

사용했음은 물론이고 당시에 地力을 위해 요구되는 퇴비량도 매우 많

았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토지 이용도에 따른 養地가 달라졌음을 말

해준다

그런데 이 때 시비로 사용된 짚은 어떤 곡물의 짚이었을까 齊民要術에서 穀[粟]의 파종 때 가장 좋은 토양으로 ldquo대체로 녹두나 팥을

심었던 땅이 가장 좋고 삼 기장 참깨를 심었던 곳이 그 다음이며 순

무[蕪菁]나 콩을 심었던 곳이 가장 나쁘다rdquo9)고 한 점으로 미루어 穀

7) 丘光明 中國歷代度量衡考 (科學出版社 1992) p68에는 남북조시대 北朝의

尺은 南朝보다 길며 漢尺보다 2-3尺 길다고 한다 오늘날 전해지는 北朝의 尺

은 北魏의 경우 전기에서 후기로 가면서 2788cm에서 2959cm로 점차 커지며

後周의 경우 2924cm 玉尺은 267cm이다 그래서 이 책의 520쪽에서는 평균

南朝 247cm 北魏 28cm 北周는 29cm 東魏는 302cm로 계산하여 제시하고

있다

8) 齊民要術 雜說 其踏糞法 ldquo凡人家秋收治田後 場上所有穰穀 等 並須收

貯一處 每日布牛腳下 三寸厚 每平旦收聚堆積之 還依前布之 經宿即堆聚 計

經冬一具牛 踏成三十車糞 至十二月正月之間 即載糞糞地 計小畝畝別用五車

計糞得六畝 勻攤 耕 蓋著 未須轉起 自地亢後 但所耕地 隨餉蓋之 待一段總

轉了 即橫蓋一遍 計正月二月兩箇月 又轉一遍 然後看地宜納粟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6

구분

월별

氾勝之書파종

四民月令 齊民要術 主穀의 파종시기 輪作

前harr後

작물파종 수확 비고 主穀 上時 中時 下時

正月春麥 豍豆

(粟)

2월상순(麻菩楊 生 種者)

3월상순(淸明節桃始花)

4월상순(棗樹 葉生 桑 花落)

菉豆小豆harr黍穄

2月

麻(2월하순-3월상순)

瓜(冬至후90- 100일2월하순-3월초순)

春麥 稙禾 苴麻 大豆 豍豆 胡麻

黍穄 3월상순 4월상순 5월상순大豆harr穀

3月

旋麥(춘맥)

穀(粟)

大豆(高田春大豆)

秔稻

稙禾 秔稻 苴麻大豆 胡豆 胡麻藍

春大豆

2월중순 3월상순 4월상순 麥harr穀

4月秫稻(冬至후 110일4월중순)

禾 黍大小 豆 胡麻

麥廣麥大麥

糴麥廣及大麥

小豆夏至後十日 ( 5 월말)

初 伏 이전(6월중순)

中伏이전(6월말)

麥 穀harr 穀 麻

5月

黍 (先夏至二十日5월상순)

小豆 (椹黑時)

禾 黍( 秔 ) 稻(別) 牡麻 胡麻藍(別)

麥廣麥大小麥

糴麥廣大小麥

麻夏至前十日(5월중순)

夏至夏至後十日(6월초)

小豆harr穀

6月大豆 (夏至후 20일6월중순)

冬藍麥廣麥

小麥糴麥廣小麥

麻子 3월 4월 5월

7月麥 ( 小麥 春麥)

糴麥 大麥8월중戊社前

下戊前8월말9월초

黍harr大豆

lt表1gt 고대 月別 작물의 播種 및 收穫시기

재배 이전의 作物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lt表1gt의 우측을 보면 齊民要術에서는 재배작물의 前 後작물이 다양하게 輪作되었음을 제

시하고 있다 이같은 윤작은 齊民要術 이전부터 토지이용도가 증가

되어 地力 소모가 늘어났음을 말해준다

9) 齊民要術 種穀 凡穀田 綠豆小豆底為上 麻黍胡麻次之 蕪菁大豆

為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7

8月宿麥(하지후 70일 8월중순)

麥廣麥

大小麥黍 糴黍 小麥

8월상戊社前

中戊前 하술전

9月 水稻 3월 4월상순 4월중순

10月

禾(粟)麻 子( 苴 ) 大小豆

糴粟大小豆麻子

旱稻 2月半 3월四月初及半

11月

禾(粟)秔 稻 麻 子 小豆

糴秔稻粟小豆麻子

胡麻 2 3월 4월상순 5월상순

12月 瓜 2월상순 3월상순 4월상순小豆harr穀

別 옮겨 심는다는 뜻 糴 구매시기는 주로 수확기였기 때문에 수확기로 대체했다

그렇다고 이들 곡물의 ldquo穰穀 rdquo 즉 줄기나 껍질을 모두 가축우리의

퇴비생산에 이용했다고 보기는 곤란하다 특히 매일 일정한 두께로 깔

고 교체했다는 것은 가축우리 주위에 쌓아두고 이용했음을 뜻한다 가

축우리의 깔개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분뇨의 흡수력이 좋고 줄기

가 거세지 않아 가축을 따뜻하게 감싸주며 잘 썩는 재질이 좋다 매일

부드러운 초목을 베어 깔아줄 수도 있겠지만 이는 결코 쉬운 일이 아

니며 또한 갓 베어온 초목은 牛馬의 먹이로는 좋을지언정 거름으로

이용하기는 곤란하다 그 때문인지 최근까지도 가축우리의 깔개로 가

장 많이 사용된 것은 마른 볏짚이나 보리짚이다 그렇다면 이것들이

고대의 踏糞의 재료로도 사용되었을까 우선 당시 답분의 재료에 적합

한 農作物부터 살펴보자

齊民要術에서는 답분을 시비하기 위해 겨울에 갈이 했음을 알 수

있다 겨울갈이가 좋다는 것은 四時纂要와 마찬가지로 平時의 갈이

보다 ldquo一當五rdquo의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라고10) 한다

겨울갈이를 했다는 것은 田地가 비어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lt表

1gt의 四民月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맥인 宿麥 麥廣麥 등이 재배되

10) 四時纂要 正月 ldquo齊民要術云 比月耕地一當五rdquo 四時纂要 二月 ldquo耕

地此月耕地一當五也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8고 있는 경지에는 제민요술의 답분법이 적용될 수 없는 것이다 冬

麥을 제외하고 踏糞法을 이용하여 2월 3월에 春播 가능한 작물을 보

면 lt表1gt과 같이 四民月令에는 春麥 稙禾 苴麻 大豆 豍豆 胡麻

秔稻가 있고 氾勝之書에는 麻 瓜 旋麥[春麥] 穀[粟] 및 秔稻 齊民要術에는 穀[粟] 春大豆 旱稻 胡麻 黍穄 麻子 水稻 瓜 등이 있어

주요 곡물이 모두 春播되고 있다 결국 踏糞을 이들 작물에 이용했다

는 말이 된다

lt表1gt의 우측을 보면 작물과 교대한 前年의 재배 작물을 보면 稻

만 보이지 않고 大豆 麥 菉豆 小大豆 등이 보인다 비록 지역차는

있겠지만 춘파작물이 거듭 재배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파

종시기만으로 보면 당시 동일 圃場에서 春播는 물론 4-6월에 하는 夏

播와 冬麥과 같은 秋播작물이 동시에 보이기도 하고 lt表1gt의 좌측에

서 보듯 春冬麥 春夏豆도 있고 早晩稻 早晩黍 早晩禾도 보여 토지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들 작물 중 우리에서 踏糞 가능한 작물을 보자 胡麻나 麻 등은

줄기가 강하여 수확 후 답분으로 사용하기 곤란하다 大小豆의 줄기

역시 수확 시기에는 나무처럼 단단해져 깍지와 마른 잎을 제외하고는

답분하기에 곤란하다 이것은 穀[粟] 黍의 줄기도 마찬가지이다 이것

들은 잎이 푸르고 익지 않았을 때는 줄기가 물러 가축의 먹이로 사용

되고 踏糞의 소재로도 가능하겠지만 수확기에는 잘게 부수지 않으면

잘 썩지도 않아서 태워 재거름[灰糞]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 부숙하여

田地의 시비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결국 답분 가

능한 작물은 大小麥類와 稻類[水旱稻 秔稻]만이 남게 된다

벼는 이미 전국시대 후기 여씨춘추 審時 편에서부터 주곡작물로

분류되었으며 氾勝之書 稻 편에는 3월에 파종하는 秔稻와 4월에

파종하는 秫稻의 품종부터 水田관리와 물을 대고 수온을 조절하는 방

식까지 다양한 부분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이는 사민월령에도 마찬가지로 3-5월에 秔稻를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晩稻를 제시하고

있다 제민요술 단계에 이르면 색 형태와 수확기가 다른 다양한 水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9稻의 종류가 보이고 水田과 旱田으로 구분하여 경지선택과 이앙방식

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화북지역에

도 벼농사가 점차 중시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다만 화북지역은 陂澤地

가 적어 하천의 彎曲 부분이나 샘이 솟는 지역과 물이 잘 고이는 저지

대 등에 稻作이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11) 이처럼 벼는 까다로운 경작

조건으로 인해 華北에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따라서 짚의

생산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볏짚은 가축의 먹이나 貯藏

孔의 재료12) 보온재 땔감 등 다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일부는 芻稾稅로 국가에 납입되기도 하여13) 답분으로 사용되었을 지라도 그 양은

매일매일 일정한 높이로 깔아줄 정도는 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습도가 적은 화북지역의 경우 볏짚의 부숙 속도는 맥류보다 늦

고 썩은 비료도 부드럽게 흩어지지 않아 대표적인 파종구[耬車]와 摩

平熟土작업 도구[勞]를 사용하기가 맥류짚보다는 곤란하다 그런 것을

보면 踏糞의 재료는 麥類가 중심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2 踏糞의 施肥 작물과 출현 배경

그렇다면 답분을 사용하여 春播한 穀物은 어떤 작물이었을까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粟 黍 麻子 春大豆 春麥과 秔稻 早稻 등으로 압

축할 수 있다 이 모두에 踏糞을 시비했다면 ldquo三十車糞rdquo의 양으로 턱

없이 부족하게 된다 사실 大豆는 예부터 lsquo備凶年rsquo 작물로서 區種하지

않는 한 특별한 시비를 하지 않았다

답분을 이용한 농작물이 무엇이었는가를 살피기 위해 제민요술의11) 齊民要術 水稻 旱稻 참조

12) 氾勝之書 瓠 ldquo掘地深一丈 薦以藁 四邊各厚一尺 以實置孔中 令底下向rdquo

이라고 하여 곡식을 구덩이에 저장하기 위해 두텁게 둘러싸 보관 저장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13) 雲夢睡虎地秦簡 倉律 에는 芻稾는 곡물과 더불어 창고에 보관하였다가 출입 시에는 일일이 內史나 縣廷에 보고한 것을 보면 당시 볏짚은 다양한 용도

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0답분법을 천착해보자 답분의 재료인 麥14)은 여씨춘추에서도 중심작

물로서 자리 잡았던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때부터 답분으로 사용

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답분을 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겨울갈이를 통해 뿌린 거름을 덮어주고 1-2월에 다시 翻土

하는 것이 기본인데 이러한 노동은 手노동농구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

다 牛耕을 이용하여 전지를 전면 발토 해야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牛

耕이 민간에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전국중기 이후이지만 代田法이 확

대되면서 우경의 중요성이 커졌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15)

대전법에서는 耬車를 이용하여 作條와 播種을 동시에 했기 때문에

완전히 腐熟되지 않은 답분을 基肥했을 경우 耬車작동시 발에 걸리거

나 비료가 한쪽으로 쏠려 파종하기가 곤란해진다16) 제민요술 旱稻

편에도 ldquo싹눈을 틔운 볍씨를 파종구인 耬犁로 갈면서 條播하고 흙으

로 종자를 덮는다rdquo17)고 하고 大小麥 편에서는 ldquo山地와 단단한 토지

에는 耬車를 이용하여 파종rdquo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당시에는 적

어도 旱稻와 麥은 답분으로 시비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것 때문

인지 전한 말 氾勝之書의 麻田 麥田 瓠의 시비에 모두 蠶矢를 사용

하거나 區田法에서는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에서처럼 종자

와 함께 섞은 부드러운 美糞이나 糞種이 이용되고 있다 蠶矢 시비나

잘 부숙된 熟糞은 耬車로 파종하더라도 경작과정에서 전혀 문제되지는

않는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결국 봄에 답분을 하는 주요 곡물은 粟 黍이었

음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 답분을 이용하여

14) 夏緯瑛의 주석에 의하면 古書 가운데 麥자만 있으면 소맥(小麥 Triticum

aestivum L)을 말한다고 한다

15) 崔德卿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16) 만약 作畝한 땅에 踏糞을 基肥 하여 耬車로 파종하게 된다면 답분이 耬車의

이빨에 걸려 한쪽으로 밀리거나 앞으로 나가기도 힘들기 때문에 踏糞과 같은

시비는 곤란하다 특히 볏짚을 腐熟한 경우에는 이런 현상이 더욱 잘 발생하

며 麥糞의 경우도 완전히 부숙이 되지 않았을 경우는 누거로 파종하기가 곤란

해진다

17) 齊民要術 旱稻 ldquo漬種如法 裛令開口 耬耩䅖種之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1粟을 파종했다는 전술한 내용과도 부합된다 다시말해 粟이 위진 남북

조시기에도 여전히 주곡 중 하나로 중시되었음을 뜻한다 사실 粟[禾]

黍는 범승지서는 물론 제민요술에도 농작물 중 첫머리에 기록될

정도로 당시 화북지역에서 중시되었던 작물이며 범승지서에는 이들

의 생산을 높이기 위해 糞種하거나 區田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

기도 하였다 답분법도 그 일환 중의 하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粟 黍에 답분을 시비할 때 그 비료는 장기간 잘 부숙한 熟糞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 대소맥의 짚은 연하여 가축의 분뇨와 잘 섞이고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 볏짚보다 쉽게 腐熟한다 이렇게 보면 齊民要術 단계의 踏糞은 어떤 곡물에나 적용되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

하지만 粟 黍는 화북지역의 건조지대나 高地 彊土에도 잘 자라고18)

旱地를 전면적으로 발토하기도 쉽지 않았을 것인데 굳이 답분법을 사

용할 필요성이 있었을까 라는 의문이 생긴다 물론 한대 이후 토지이

용도가 증대되면서 지력이 약화되고 그 결과 생산량도 떨어져 척박한

땅의 비력을 유지하기 위한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만약 耬車

를 이용하여 파종하지 않고 손으로 파종한다면 春大小麥나 春大豆와

같은 작물의 基肥에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

당시 春麥은 lt表1gt과 같이 사민월령에는 정월과 2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흥미로운 것은 범승지서 사민월

령의 春麥과 동맥[麥廣麥]과는 달리 제민요술에는 대소맥이 모두 冬

麥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맥의 재배 지역이 따뜻한

남쪽으로 점차 확대되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麥의 越

冬이 가능할 정도의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일 것이다

춘맥과 동맥재배는 대개 氣候帶에 의해 결정된다 寒冷하여 월동할

수 없는 북부지역의 경우 보통 춘맥을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런데 동일한 화북지역에서 春麥이 동맥중심으로 변한 것은 우선 조건

18) 氾勝之書 禾 黍 條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2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竺可禎의 氣候圖에 의하면 氾勝之書 단계는 온난했던 기후가 하강하는 시기이며 사민월령의 2세기 중엽은

한랭한 시기이며 6세기 중엽의 제민요술의 시기는 한랭한 한계점을

지나 점차 기온이 상승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 가장 추위를 느끼는

시점은 기원전 1세기의 범승지서 단계였을 것이다 그 때문인지 범승지서에는 春麥의 파종시기가 사민월령의 1-2월보다 늦은 3월이

었으며 제민요술 단계에는 春麥도 소개되어 있지만 春麥보다 冬麥

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위진남북조시대에는 春麥을 재배하지

못할 정도로 한랭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실제 7세기가 되면 다시 고

온다습한 기후로 변화되었다고 한다19)

경작기술의 변화 또한 冬麥 재배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예컨

대 작물이 얼지 않도록 잘 보호해주거나 地溫을 유지할 수 있는 조치

가 그것이다 蠶矢 가축분 및 踏糞 등을 시비하면 눈과 서리에 의해

푸석푸석해진 토지를 부드럽게 하여 뿌리를 깊게 내리게 할 뿐 아니라

토양을 보온하여 잘 얼지도 않게 해준다20) 게다가 이런 땅에 심경하

여 畎中條播하게 되면 종자가 적당한 습기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

며 특히 踏糞이 조금씩 분해되면서 양분을 공급해 주기 때문에 春麥

이나 春大豆의 생산력이 높아진다

越冬 주곡작물이 화북지역에서 재배된다는 것은 겨울에 비워둔 토

지를 이용하여 土地利用度를 높이고 그로 인해 다른 작물과의 交代도

다양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바로 養地를 위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답분법의 출현은 粟黍의 지력 회

복은 물론이고 화북지역의 豆 麥의 春耕과 越冬 작물의 재배가 구체

화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당시 製粉 공구의

발달과 함께 小麥 大豆의 보급이 급증한 것은21) 답분법의 등장과 무

19) 劉昭民 中國歷史上氣候之變遷 (臺灣商務印書館 1992) pp99-10020)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俾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

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21) 崔德卿 漢唐期 大豆 가공기술의 발달과 製粉業 (中國史硏究 69 2010)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3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이상 답분법의 출현 배경을 살폈는데 답분이 비료로서 효과를 발휘

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조건이 필요하다 바로 踏糞과 파종조건이 맞

아야 한다 전술한 것처럼 답분법의 보급은 기본적으로 牛馬의 보급과

경작방식에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앞서 한대 대전법이 우경

의 확산에 기여했다고 했지만 대전법은 그 단위 경작면적이 5頃이고

노동조직도 lsquo二牛三人rsquo이었기 때문에 소농민이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했다 제민요술에서 제시한 답분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겨울에

쟁기로 답분을 갈아엎고 덮어주어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파종구를 만

드는 耬車[作條犁]가 아니라 볏[鐴]이 부착된 翻土犁이어야 한다 볏은

전한 때부터 보급되고 후한의 畵像石에서 보듯 쟁기의 형태도 lsquo一牛一

犁rsquo로 발전하고 있는 것을 보면 건강한 소농민은 牛耕을 이용했을 것

으로 보인다22) 이렇게 보면 전면발토가 곤란했던 代田法 및 범승지서단계에는 제민요술과 같은 답분법이 시행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보인다

糞田은 이미 周代 이전에도 등장하지만 구체적인 糞제조방식에 대

한 기록은 답분법이 처음이다 이 이후부터 집안의 잡다한 쓰레기를

태워 재로 만들거나 가축의 우리 속에 넣어 분뇨와 결합하면서 1차적

으로 糞肥로 만들어지고 이를 우리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腐熟

시켜 田地의 거름으로 탈바꿈한다23) 초기의 糞은 蠶矢 美糞 灰糞 등

주로 基肥로 사용되었는데 그 중 부드러운 숙분은 누거파종의 기비에

도 사용되고 거친 비료의 경우 區田이나 수전의 밑거름으로 사용되었

을 것으로 보인다

후대의 답분법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었던 이유는 비료효과

그리고 氾勝之書 區田法 에서는 麥 大豆의 대량생산을 위해 區田法도 실시

하고 있다

22) 최덕경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 pp151-15623) 곡물의 짚이 가축분과 결합되면서 미생물의 작용으로 썩게 되며 긴 시간을

썩히면 분에서 열이 발생하여 유해한 해충을 죽이고 속효성 비료의 효과도 크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4가 입증된 것은 물론이고 당시 한 농가에서 생산된 踏糞의 양이 연간

6畝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으로 보유토지의 일부와 재배

작물의 일부밖에 답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후 농가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답분을 제조했던 것 같다

Ⅲ 宋代 糞에 대한 인식 변화와

ldquo地力常新壯rdquo論의 등장

1 陳旉農書의 거름 제조와 糞屋 糞藥남송 程珌의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에는 제민요술시대 이후

답분법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즉 ldquo수집한 糞穰을 집집마다 산처럼

쌓아두고 市井之間에는 (각종 쓰레기를) 깨끗이 수습하여 남아 있는

것이 없었다 덕분에 토지는 기름지고 稻根은 가뭄에 잘 견뎠다rdquo24)고

한다 이것을 보면 남송시대에도 집집마다 답분을 생산했으며 그것을

산처럼 쌓아두었다는 것은 그 전통이 계속 이어졌음을 말해주며 생산

된 답분은 稻田에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송대 대표적인 농서인 陳旉農書(1149년)에는 그 후 답분법의 모습이 잘 남아있다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에는 ldquo때에 순응하여 소

를 잘 키우는 것이 좋다 봄이 시작되면 반드시 외양간에 쌓여있는 지

푸라기와 쇠똥을 모두 걷어낸다 반드시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

소제해야만 더러운 냄새와 축축한 것들로 인해서 역병과 瘡疾이 생기

고 또한 발굽이 오물에 잠겨 질병이 생기는 것을 면한다 또 상스럽지

못한 것은 마땅히 없앰으로써 소가 거처하는 장소를 깨끗하고 상쾌하

게 해주면 좋다rdquo고25) 하여 제민요술의 답분법과는 다소 다른 느낌

24) 程珌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卷19 ldquo每見衢婺之人 收蓄糞壤 家家山積 市

井之間 掃拾無遺 故土膏肥美 稻根耐旱 米粒精壯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5을 준다26) 齊民要術의 경우 답분의 제조방식에 중점을 두었지만 진부농서는 소 외양간의 청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이 역

시 牛廏에서 퇴비를 생산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 廏肥생산방식을 보면 봄이 되어 소 우리에 깔아 쌓인 lsquo積滯蓐糞rsquo

을 모두 걷어내어 대청소를 하지만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은

소제한다고 하여 퇴비를 생산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齊民要術처럼 생산된 퇴비의 처리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다27) 이때 깔개는 稻作

지대였기 때문에 분명 볏짚이 중심을 이루었을 것이며 깔개도 매일이

아니라 최소한 열흘에 한 차례씩 걷었다는 것으로 보아 답분의 양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답분을 쌓아둔 양이 집집마다 엄청났던

것을 보면 여린 나무 잎과 가지도 가축우리에 넣어 밟게 한다거나 구

덩이에 잡다한 쓰레기를 쌓아 외양간 오줌을 끼얹어 비료로 만들기도

했던 것 같다28) 이것은 화북지역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따라서 10일에 한 번 짚을 갈아주었다는 기록은 강남지역의 경우

水牛를 役牛로 이용했기 때문에 열흘에 한 번 쯤은 우리의 짚을 교체

하여 건강에 관심을 보였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집집마다 산처럼 쌓인 糞穰과 市井에 남아도는 쓰레기가 없을 정도로

퇴비생산에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답분

25)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第一 ldquo且四時有溫涼寒暑之異必順時調適之可

也 於春之初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 亦不必春也但旬日一除免穢氣蒸鬱

以成疫癘 且浸漬蹄甲易以生病 又當祓除不祥以淨爽其處乃善rdquo

26) 陳良佐는 이 문장을 lsquo牛廏肥rsquo의 예로 들고 있다( 我國農田施用之堆廐肥 大陸雜誌 52-4 1976) 충분히 존중해야 할 지적이지만 진부농서에는 이러한

구비의 사용법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곳은 없다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lsquo糞rsquo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 lsquo糞田之宜篇rsquo에서 언급한 비료의 원료로 사용

되고 있는 것인지 혹은 다른 뭔가의 이유로 언급하지 않은 것인지는 상세하지

않다

27) 이러한 현상은 송대의 役牛가 水牛였기 때문에 매일 가축우리를 청소할 필요

가 없었다거나 또 水田의 경우 旱田보다 답분의 基肥가 많이 필요치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28)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p56-62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6은 기존의 粟 黍 麥은 물론이고 稻 豆의 퇴비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재료는 주곡작물의 변화로 인해 맥류와 더불어 볏짚도 주도적으로 사

용되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腐熟방법도 달랐을 것이다

이처럼 陳旉農書에서 踏糞에 대한 안내가 구체적이지 않다고 하

여 송대에 糞과 糞田을 소홀히 취급한 것은 아니었다 陳旉農書에는이전과는 다른 강남의 풍부한 흙과 초목을 태워 만든 土糞[燻土] 火

糞29)[焦泥灰]과 泥糞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를 이용한 餠肥 糠糞

草木灰 綠肥 石灰 踏糞 苗糞 草糞 糞尿 및 동물의 털과 뼈 비료 등

이 다양하게 등장한다30)

이것은 唐末에 편찬되었다고 하는 四時纂要와 비교해도 큰 차이

가 있다 四時纂要에 등장하는 비료는 대부분 牛糞 羊糞 驢馬糞 雞糞 蠶沙[矢]등의 가축분과 燒灰 石灰 灰糞 乾鰻鱧魚汁 米泔 熟糞

爛糞 등인데 이 중에서 牛糞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비료의 종류

는 제민요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宋元代에는 餠肥

渣肥 泥土肥 無機肥 등이 추가되고 46종이나 종류도 늘어나고 있

다31) 더구나 진부농서에는 灌漑가 lsquo用糞rsquo보다 낫다고 하여 水田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32) 농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당 지역과 그 작물

의 특색에 맞게 독특한 비료가 개발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주목할 만

한 것은 비료가 토양과 작물에 어떤 작용을 하며 그 효과는 어떠했는

29)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lsquo糞田之宜篇rsquo

에는 ldquo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

다rdquo라고 하며 lsquo六種之宜篇rsquo에서는 ldquo土糞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 lsquo種桑之法篇rsquo에

서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이 土糞이 화분

의 일종인데 화분에는 흙이 함량이 다소 적어서 焦泥灰에 가깝고 토분에 흙

의 함유량이 많아 lsquo燻土rsquo에 가까워 결코 확연하게 구별하기는 곤란하다 실제

中國農業遺産硏究室 編 中國農學史(下) (科學出版社 1984) p43에서는 火糞

을 土糞이라고 하면서 실제적으로는 焦泥灰라고 하여 구분짓지 않고 있다

30)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 1993) pp53-6331)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pp245-246

3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7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인지 陳旉農書에서는 糞田之宜篇 이라는 독립된 糞田의 章이 등장하기에 이

르렀다 이같은 현상은 진부농서 이전 단계에는 볼 수 없었던 특징

이다

陳旉農書에는 周禮 草人 의 ldquo토지를 개량하는 방법은 땅의 형

색을 보고 판단하며 그 적합함을 살펴서 파종해야 한다rdquo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있다 예컨대 흙 중에서 붉고 굳센 토양[騂剛]의 시비에는

소를 이용하고 붉은빛 토양[赤緹]의 시비에는 羊을 이용한다는 것처럼

토양의 성질에 상응하는 동물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동물 중에는 소 양 돼지 및 개와 같은 가축은 물론이고 사슴 오소

리 큰사슴 여우와 같은 짐승도 있다 문제는 위의 사료에서는 소를

이용한다고만 했을 뿐 그 糞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糞種에서처럼 해당

동물의 뼈즙에 종자를 담가 시비한 것인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이다 그러나 들짐승의 뼈즙을 내어 糞種한다는 것은 일일이 실험하지

않는 한 (실험을 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믿기가 곤란하다 그나마 해

당 동물의 糞汁에 종자를 담가 토양을 다스린 것은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lsquo用rsquo은 糞汁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33) 그렇지만 토양의 성질과 짐승을 연결시켰다는 그 자체는 어

떤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인지는 알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糞田之

宜篇 의 지적과 같이 모든 토양은 제 각기 다른 성질을 띠고 있어서

33) 周禮 地官草人 편의 lsquo糞種rsquo에 대해 鄭司農은 ldquo소뼈 삶은 즙에 종자를 담

그는 것rdquo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는 氾勝之書 溲種法 에서 ldquo骨汁糞汁溲種rdquo

법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즉 가축의 뼈를 부수어 눈 물[雪汁]과 섞어 세

번 끓여 즙액을 받아 附子를 넣어 5일동안 담가두었다가 부자는 건저내고 이

속에 羊이나 蠶矢 등을 넣어 저어 종자를 담가 뒤섞고 이후 햇볕에 말려 씨앗

이 즙액을 흡수하도록 하여 파종했다는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하지만 萬國鼎

은 氾勝之書 區田法 편의 ldquo敎民糞種rdquo에 대해 각주에서 ldquo區田以糞氣爲美 非

必須良田也rdquo와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라는 사료를 근거로 lsquo糞種rsquo의

糞은 基肥를 중시한다는 말이지 골즙을 끊여 羊矢나 蠶矢를 섞어 종자 자체에

시비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糞種은 단순히 ldquo시비하고 파종한다rdquo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萬國鼎 輯釋 氾勝之書輯釋 (農業出版社 1980) p62 참조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8그에 합당하게 시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거름은 lsquo糞藥rsquo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농부들이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마

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진단하여 약을 쓰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

울였다는 점을 나타낸다34) 민간에 이미 이러한 인식이 존재했다는 것

은 강남농업에 있어 비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음을 말해준다35)

실제 동물의 糞은 저마다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糞田할 경

우 곡물을 해칠 수도 있다 때문에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리 시비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周禮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陳旉農書에서 이를 재차 강조하여 ldquo토양의 氣와 脈은 그 유형이 하나같이 않아서 비옥하기도 하고 척박하기도 하여 좋고 나쁨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다스리는 데도 각각 적합한 도리가 있다rdquo고36) 한 것은

토양의 氣脈의 조절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그 결과 糞을 토양의 기맥

을 치료하고 곡물의 성장을 담보하는 藥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은 주목

된다 이것은 송대의 분이 제민요술 단계나 그 이전과 같이 단순히

地力을 높여 생산력을 제고한 수준을 넘어 토양과 작물에 있어 필요불

가결한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그 때문에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와 같이 노천에 거름을 쌓아 저

장했던 방식과 함께 일정한 장소를 만들어 거름을 보관 貯溜하는 방식

도 발전하였다 陳旉農書 糞田之宜篇 에 의하면 농가의 곁에 반드

시 헛간[糞屋]을 설치했다 분옥은 처마와 기둥을 낮게 하여 바람에 휘

날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았다 거름을 노천에 쌓아두면 밤의

3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周禮 草人 lsquo掌土化之法以物地相其宜而

為之種rsquo別土之等差而用糞治 且土之騂剛者糞宜用牛赤緹者糞宜用羊以至渴

澤用鹿鹹潟用貆墳壤用麋勃壤用狐埴壚用豕彊㯺用蕡輕爂用犬皆相視其土之性類以所宜糞而糞之斯得其理矣 俚諺謂之糞藥以言用糞猶藥也rdquo

3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7에서 陳旉는구릉지대인 揚州 부근의 西山에만 줄곧 살았던 것은 아니고 일찍이 다른 곳에

서도 살았던 적이 있다 이 농서에서 언급된 농업의 상황은 장강 하류의 비교

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표한다고 한다

36)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土壤氣脈其類不一肥沃磽埆美惡不同

治之各有宜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5: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5m7)) 즉 약 84cm 두께로 쌓아두어 겨울이 되면 소 한 마리가 ldquo三十車

糞rdquo의 답분을 생산할 수 있다는 사실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만든 퇴비를 시비하는 시기는 봄이 되기 전인 12월에서 1월

사이이며 1小畝 당 5수레의 퇴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연간 6畝의 토지

에 시비할 수 있었다고 한다 踏糞의 施用은 파종 전에 땅에 고르게

펴서 갈이해서 이를 덮되 뒤집어서는 안 된다고 하여 땅속에 묻어 시

비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땅을 갈아 거름을 덮어주고 땅이 마르

면 정오 무렵에 재차 갈아 덮어주고 갈이 후에는 다시 횡으로 한 차

례 더 고무래질하여 덮어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정월과 2월에 또 다시

한 차례 갈아엎는다 그런 후에 토지의 상태를 살펴 조[粟 2월 상순이

上時]나 기장(3월 상순이 上時)을 파종하였다8)

이상과 같은 踏糞法의 사료를 통해 짐작할 수 있는 것은 우선 매일

매일 짚이나 겨를 교체한 것으로 보아 타작한 짚의 대부분을 퇴비로

사용했음은 물론이고 당시에 地力을 위해 요구되는 퇴비량도 매우 많

았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토지 이용도에 따른 養地가 달라졌음을 말

해준다

그런데 이 때 시비로 사용된 짚은 어떤 곡물의 짚이었을까 齊民要術에서 穀[粟]의 파종 때 가장 좋은 토양으로 ldquo대체로 녹두나 팥을

심었던 땅이 가장 좋고 삼 기장 참깨를 심었던 곳이 그 다음이며 순

무[蕪菁]나 콩을 심었던 곳이 가장 나쁘다rdquo9)고 한 점으로 미루어 穀

7) 丘光明 中國歷代度量衡考 (科學出版社 1992) p68에는 남북조시대 北朝의

尺은 南朝보다 길며 漢尺보다 2-3尺 길다고 한다 오늘날 전해지는 北朝의 尺

은 北魏의 경우 전기에서 후기로 가면서 2788cm에서 2959cm로 점차 커지며

後周의 경우 2924cm 玉尺은 267cm이다 그래서 이 책의 520쪽에서는 평균

南朝 247cm 北魏 28cm 北周는 29cm 東魏는 302cm로 계산하여 제시하고

있다

8) 齊民要術 雜說 其踏糞法 ldquo凡人家秋收治田後 場上所有穰穀 等 並須收

貯一處 每日布牛腳下 三寸厚 每平旦收聚堆積之 還依前布之 經宿即堆聚 計

經冬一具牛 踏成三十車糞 至十二月正月之間 即載糞糞地 計小畝畝別用五車

計糞得六畝 勻攤 耕 蓋著 未須轉起 自地亢後 但所耕地 隨餉蓋之 待一段總

轉了 即橫蓋一遍 計正月二月兩箇月 又轉一遍 然後看地宜納粟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6

구분

월별

氾勝之書파종

四民月令 齊民要術 主穀의 파종시기 輪作

前harr後

작물파종 수확 비고 主穀 上時 中時 下時

正月春麥 豍豆

(粟)

2월상순(麻菩楊 生 種者)

3월상순(淸明節桃始花)

4월상순(棗樹 葉生 桑 花落)

菉豆小豆harr黍穄

2月

麻(2월하순-3월상순)

瓜(冬至후90- 100일2월하순-3월초순)

春麥 稙禾 苴麻 大豆 豍豆 胡麻

黍穄 3월상순 4월상순 5월상순大豆harr穀

3月

旋麥(춘맥)

穀(粟)

大豆(高田春大豆)

秔稻

稙禾 秔稻 苴麻大豆 胡豆 胡麻藍

春大豆

2월중순 3월상순 4월상순 麥harr穀

4月秫稻(冬至후 110일4월중순)

禾 黍大小 豆 胡麻

麥廣麥大麥

糴麥廣及大麥

小豆夏至後十日 ( 5 월말)

初 伏 이전(6월중순)

中伏이전(6월말)

麥 穀harr 穀 麻

5月

黍 (先夏至二十日5월상순)

小豆 (椹黑時)

禾 黍( 秔 ) 稻(別) 牡麻 胡麻藍(別)

麥廣麥大小麥

糴麥廣大小麥

麻夏至前十日(5월중순)

夏至夏至後十日(6월초)

小豆harr穀

6月大豆 (夏至후 20일6월중순)

冬藍麥廣麥

小麥糴麥廣小麥

麻子 3월 4월 5월

7月麥 ( 小麥 春麥)

糴麥 大麥8월중戊社前

下戊前8월말9월초

黍harr大豆

lt表1gt 고대 月別 작물의 播種 및 收穫시기

재배 이전의 作物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lt表1gt의 우측을 보면 齊民要術에서는 재배작물의 前 後작물이 다양하게 輪作되었음을 제

시하고 있다 이같은 윤작은 齊民要術 이전부터 토지이용도가 증가

되어 地力 소모가 늘어났음을 말해준다

9) 齊民要術 種穀 凡穀田 綠豆小豆底為上 麻黍胡麻次之 蕪菁大豆

為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7

8月宿麥(하지후 70일 8월중순)

麥廣麥

大小麥黍 糴黍 小麥

8월상戊社前

中戊前 하술전

9月 水稻 3월 4월상순 4월중순

10月

禾(粟)麻 子( 苴 ) 大小豆

糴粟大小豆麻子

旱稻 2月半 3월四月初及半

11月

禾(粟)秔 稻 麻 子 小豆

糴秔稻粟小豆麻子

胡麻 2 3월 4월상순 5월상순

12月 瓜 2월상순 3월상순 4월상순小豆harr穀

別 옮겨 심는다는 뜻 糴 구매시기는 주로 수확기였기 때문에 수확기로 대체했다

그렇다고 이들 곡물의 ldquo穰穀 rdquo 즉 줄기나 껍질을 모두 가축우리의

퇴비생산에 이용했다고 보기는 곤란하다 특히 매일 일정한 두께로 깔

고 교체했다는 것은 가축우리 주위에 쌓아두고 이용했음을 뜻한다 가

축우리의 깔개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분뇨의 흡수력이 좋고 줄기

가 거세지 않아 가축을 따뜻하게 감싸주며 잘 썩는 재질이 좋다 매일

부드러운 초목을 베어 깔아줄 수도 있겠지만 이는 결코 쉬운 일이 아

니며 또한 갓 베어온 초목은 牛馬의 먹이로는 좋을지언정 거름으로

이용하기는 곤란하다 그 때문인지 최근까지도 가축우리의 깔개로 가

장 많이 사용된 것은 마른 볏짚이나 보리짚이다 그렇다면 이것들이

고대의 踏糞의 재료로도 사용되었을까 우선 당시 답분의 재료에 적합

한 農作物부터 살펴보자

齊民要術에서는 답분을 시비하기 위해 겨울에 갈이 했음을 알 수

있다 겨울갈이가 좋다는 것은 四時纂要와 마찬가지로 平時의 갈이

보다 ldquo一當五rdquo의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라고10) 한다

겨울갈이를 했다는 것은 田地가 비어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lt表

1gt의 四民月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맥인 宿麥 麥廣麥 등이 재배되

10) 四時纂要 正月 ldquo齊民要術云 比月耕地一當五rdquo 四時纂要 二月 ldquo耕

地此月耕地一當五也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8고 있는 경지에는 제민요술의 답분법이 적용될 수 없는 것이다 冬

麥을 제외하고 踏糞法을 이용하여 2월 3월에 春播 가능한 작물을 보

면 lt表1gt과 같이 四民月令에는 春麥 稙禾 苴麻 大豆 豍豆 胡麻

秔稻가 있고 氾勝之書에는 麻 瓜 旋麥[春麥] 穀[粟] 및 秔稻 齊民要術에는 穀[粟] 春大豆 旱稻 胡麻 黍穄 麻子 水稻 瓜 등이 있어

주요 곡물이 모두 春播되고 있다 결국 踏糞을 이들 작물에 이용했다

는 말이 된다

lt表1gt의 우측을 보면 작물과 교대한 前年의 재배 작물을 보면 稻

만 보이지 않고 大豆 麥 菉豆 小大豆 등이 보인다 비록 지역차는

있겠지만 춘파작물이 거듭 재배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파

종시기만으로 보면 당시 동일 圃場에서 春播는 물론 4-6월에 하는 夏

播와 冬麥과 같은 秋播작물이 동시에 보이기도 하고 lt表1gt의 좌측에

서 보듯 春冬麥 春夏豆도 있고 早晩稻 早晩黍 早晩禾도 보여 토지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들 작물 중 우리에서 踏糞 가능한 작물을 보자 胡麻나 麻 등은

줄기가 강하여 수확 후 답분으로 사용하기 곤란하다 大小豆의 줄기

역시 수확 시기에는 나무처럼 단단해져 깍지와 마른 잎을 제외하고는

답분하기에 곤란하다 이것은 穀[粟] 黍의 줄기도 마찬가지이다 이것

들은 잎이 푸르고 익지 않았을 때는 줄기가 물러 가축의 먹이로 사용

되고 踏糞의 소재로도 가능하겠지만 수확기에는 잘게 부수지 않으면

잘 썩지도 않아서 태워 재거름[灰糞]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 부숙하여

田地의 시비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결국 답분 가

능한 작물은 大小麥類와 稻類[水旱稻 秔稻]만이 남게 된다

벼는 이미 전국시대 후기 여씨춘추 審時 편에서부터 주곡작물로

분류되었으며 氾勝之書 稻 편에는 3월에 파종하는 秔稻와 4월에

파종하는 秫稻의 품종부터 水田관리와 물을 대고 수온을 조절하는 방

식까지 다양한 부분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이는 사민월령에도 마찬가지로 3-5월에 秔稻를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晩稻를 제시하고

있다 제민요술 단계에 이르면 색 형태와 수확기가 다른 다양한 水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9稻의 종류가 보이고 水田과 旱田으로 구분하여 경지선택과 이앙방식

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화북지역에

도 벼농사가 점차 중시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다만 화북지역은 陂澤地

가 적어 하천의 彎曲 부분이나 샘이 솟는 지역과 물이 잘 고이는 저지

대 등에 稻作이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11) 이처럼 벼는 까다로운 경작

조건으로 인해 華北에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따라서 짚의

생산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볏짚은 가축의 먹이나 貯藏

孔의 재료12) 보온재 땔감 등 다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일부는 芻稾稅로 국가에 납입되기도 하여13) 답분으로 사용되었을 지라도 그 양은

매일매일 일정한 높이로 깔아줄 정도는 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습도가 적은 화북지역의 경우 볏짚의 부숙 속도는 맥류보다 늦

고 썩은 비료도 부드럽게 흩어지지 않아 대표적인 파종구[耬車]와 摩

平熟土작업 도구[勞]를 사용하기가 맥류짚보다는 곤란하다 그런 것을

보면 踏糞의 재료는 麥類가 중심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2 踏糞의 施肥 작물과 출현 배경

그렇다면 답분을 사용하여 春播한 穀物은 어떤 작물이었을까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粟 黍 麻子 春大豆 春麥과 秔稻 早稻 등으로 압

축할 수 있다 이 모두에 踏糞을 시비했다면 ldquo三十車糞rdquo의 양으로 턱

없이 부족하게 된다 사실 大豆는 예부터 lsquo備凶年rsquo 작물로서 區種하지

않는 한 특별한 시비를 하지 않았다

답분을 이용한 농작물이 무엇이었는가를 살피기 위해 제민요술의11) 齊民要術 水稻 旱稻 참조

12) 氾勝之書 瓠 ldquo掘地深一丈 薦以藁 四邊各厚一尺 以實置孔中 令底下向rdquo

이라고 하여 곡식을 구덩이에 저장하기 위해 두텁게 둘러싸 보관 저장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13) 雲夢睡虎地秦簡 倉律 에는 芻稾는 곡물과 더불어 창고에 보관하였다가 출입 시에는 일일이 內史나 縣廷에 보고한 것을 보면 당시 볏짚은 다양한 용도

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0답분법을 천착해보자 답분의 재료인 麥14)은 여씨춘추에서도 중심작

물로서 자리 잡았던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때부터 답분으로 사용

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답분을 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겨울갈이를 통해 뿌린 거름을 덮어주고 1-2월에 다시 翻土

하는 것이 기본인데 이러한 노동은 手노동농구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

다 牛耕을 이용하여 전지를 전면 발토 해야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牛

耕이 민간에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전국중기 이후이지만 代田法이 확

대되면서 우경의 중요성이 커졌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15)

대전법에서는 耬車를 이용하여 作條와 播種을 동시에 했기 때문에

완전히 腐熟되지 않은 답분을 基肥했을 경우 耬車작동시 발에 걸리거

나 비료가 한쪽으로 쏠려 파종하기가 곤란해진다16) 제민요술 旱稻

편에도 ldquo싹눈을 틔운 볍씨를 파종구인 耬犁로 갈면서 條播하고 흙으

로 종자를 덮는다rdquo17)고 하고 大小麥 편에서는 ldquo山地와 단단한 토지

에는 耬車를 이용하여 파종rdquo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당시에는 적

어도 旱稻와 麥은 답분으로 시비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것 때문

인지 전한 말 氾勝之書의 麻田 麥田 瓠의 시비에 모두 蠶矢를 사용

하거나 區田法에서는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에서처럼 종자

와 함께 섞은 부드러운 美糞이나 糞種이 이용되고 있다 蠶矢 시비나

잘 부숙된 熟糞은 耬車로 파종하더라도 경작과정에서 전혀 문제되지는

않는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결국 봄에 답분을 하는 주요 곡물은 粟 黍이었

음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 답분을 이용하여

14) 夏緯瑛의 주석에 의하면 古書 가운데 麥자만 있으면 소맥(小麥 Triticum

aestivum L)을 말한다고 한다

15) 崔德卿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16) 만약 作畝한 땅에 踏糞을 基肥 하여 耬車로 파종하게 된다면 답분이 耬車의

이빨에 걸려 한쪽으로 밀리거나 앞으로 나가기도 힘들기 때문에 踏糞과 같은

시비는 곤란하다 특히 볏짚을 腐熟한 경우에는 이런 현상이 더욱 잘 발생하

며 麥糞의 경우도 완전히 부숙이 되지 않았을 경우는 누거로 파종하기가 곤란

해진다

17) 齊民要術 旱稻 ldquo漬種如法 裛令開口 耬耩䅖種之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1粟을 파종했다는 전술한 내용과도 부합된다 다시말해 粟이 위진 남북

조시기에도 여전히 주곡 중 하나로 중시되었음을 뜻한다 사실 粟[禾]

黍는 범승지서는 물론 제민요술에도 농작물 중 첫머리에 기록될

정도로 당시 화북지역에서 중시되었던 작물이며 범승지서에는 이들

의 생산을 높이기 위해 糞種하거나 區田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

기도 하였다 답분법도 그 일환 중의 하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粟 黍에 답분을 시비할 때 그 비료는 장기간 잘 부숙한 熟糞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 대소맥의 짚은 연하여 가축의 분뇨와 잘 섞이고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 볏짚보다 쉽게 腐熟한다 이렇게 보면 齊民要術 단계의 踏糞은 어떤 곡물에나 적용되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

하지만 粟 黍는 화북지역의 건조지대나 高地 彊土에도 잘 자라고18)

旱地를 전면적으로 발토하기도 쉽지 않았을 것인데 굳이 답분법을 사

용할 필요성이 있었을까 라는 의문이 생긴다 물론 한대 이후 토지이

용도가 증대되면서 지력이 약화되고 그 결과 생산량도 떨어져 척박한

땅의 비력을 유지하기 위한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만약 耬車

를 이용하여 파종하지 않고 손으로 파종한다면 春大小麥나 春大豆와

같은 작물의 基肥에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

당시 春麥은 lt表1gt과 같이 사민월령에는 정월과 2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흥미로운 것은 범승지서 사민월

령의 春麥과 동맥[麥廣麥]과는 달리 제민요술에는 대소맥이 모두 冬

麥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맥의 재배 지역이 따뜻한

남쪽으로 점차 확대되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麥의 越

冬이 가능할 정도의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일 것이다

춘맥과 동맥재배는 대개 氣候帶에 의해 결정된다 寒冷하여 월동할

수 없는 북부지역의 경우 보통 춘맥을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런데 동일한 화북지역에서 春麥이 동맥중심으로 변한 것은 우선 조건

18) 氾勝之書 禾 黍 條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2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竺可禎의 氣候圖에 의하면 氾勝之書 단계는 온난했던 기후가 하강하는 시기이며 사민월령의 2세기 중엽은

한랭한 시기이며 6세기 중엽의 제민요술의 시기는 한랭한 한계점을

지나 점차 기온이 상승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 가장 추위를 느끼는

시점은 기원전 1세기의 범승지서 단계였을 것이다 그 때문인지 범승지서에는 春麥의 파종시기가 사민월령의 1-2월보다 늦은 3월이

었으며 제민요술 단계에는 春麥도 소개되어 있지만 春麥보다 冬麥

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위진남북조시대에는 春麥을 재배하지

못할 정도로 한랭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실제 7세기가 되면 다시 고

온다습한 기후로 변화되었다고 한다19)

경작기술의 변화 또한 冬麥 재배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예컨

대 작물이 얼지 않도록 잘 보호해주거나 地溫을 유지할 수 있는 조치

가 그것이다 蠶矢 가축분 및 踏糞 등을 시비하면 눈과 서리에 의해

푸석푸석해진 토지를 부드럽게 하여 뿌리를 깊게 내리게 할 뿐 아니라

토양을 보온하여 잘 얼지도 않게 해준다20) 게다가 이런 땅에 심경하

여 畎中條播하게 되면 종자가 적당한 습기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

며 특히 踏糞이 조금씩 분해되면서 양분을 공급해 주기 때문에 春麥

이나 春大豆의 생산력이 높아진다

越冬 주곡작물이 화북지역에서 재배된다는 것은 겨울에 비워둔 토

지를 이용하여 土地利用度를 높이고 그로 인해 다른 작물과의 交代도

다양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바로 養地를 위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답분법의 출현은 粟黍의 지력 회

복은 물론이고 화북지역의 豆 麥의 春耕과 越冬 작물의 재배가 구체

화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당시 製粉 공구의

발달과 함께 小麥 大豆의 보급이 급증한 것은21) 답분법의 등장과 무

19) 劉昭民 中國歷史上氣候之變遷 (臺灣商務印書館 1992) pp99-10020)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俾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

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21) 崔德卿 漢唐期 大豆 가공기술의 발달과 製粉業 (中國史硏究 69 2010)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3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이상 답분법의 출현 배경을 살폈는데 답분이 비료로서 효과를 발휘

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조건이 필요하다 바로 踏糞과 파종조건이 맞

아야 한다 전술한 것처럼 답분법의 보급은 기본적으로 牛馬의 보급과

경작방식에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앞서 한대 대전법이 우경

의 확산에 기여했다고 했지만 대전법은 그 단위 경작면적이 5頃이고

노동조직도 lsquo二牛三人rsquo이었기 때문에 소농민이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했다 제민요술에서 제시한 답분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겨울에

쟁기로 답분을 갈아엎고 덮어주어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파종구를 만

드는 耬車[作條犁]가 아니라 볏[鐴]이 부착된 翻土犁이어야 한다 볏은

전한 때부터 보급되고 후한의 畵像石에서 보듯 쟁기의 형태도 lsquo一牛一

犁rsquo로 발전하고 있는 것을 보면 건강한 소농민은 牛耕을 이용했을 것

으로 보인다22) 이렇게 보면 전면발토가 곤란했던 代田法 및 범승지서단계에는 제민요술과 같은 답분법이 시행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보인다

糞田은 이미 周代 이전에도 등장하지만 구체적인 糞제조방식에 대

한 기록은 답분법이 처음이다 이 이후부터 집안의 잡다한 쓰레기를

태워 재로 만들거나 가축의 우리 속에 넣어 분뇨와 결합하면서 1차적

으로 糞肥로 만들어지고 이를 우리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腐熟

시켜 田地의 거름으로 탈바꿈한다23) 초기의 糞은 蠶矢 美糞 灰糞 등

주로 基肥로 사용되었는데 그 중 부드러운 숙분은 누거파종의 기비에

도 사용되고 거친 비료의 경우 區田이나 수전의 밑거름으로 사용되었

을 것으로 보인다

후대의 답분법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었던 이유는 비료효과

그리고 氾勝之書 區田法 에서는 麥 大豆의 대량생산을 위해 區田法도 실시

하고 있다

22) 최덕경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 pp151-15623) 곡물의 짚이 가축분과 결합되면서 미생물의 작용으로 썩게 되며 긴 시간을

썩히면 분에서 열이 발생하여 유해한 해충을 죽이고 속효성 비료의 효과도 크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4가 입증된 것은 물론이고 당시 한 농가에서 생산된 踏糞의 양이 연간

6畝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으로 보유토지의 일부와 재배

작물의 일부밖에 답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후 농가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답분을 제조했던 것 같다

Ⅲ 宋代 糞에 대한 인식 변화와

ldquo地力常新壯rdquo論의 등장

1 陳旉農書의 거름 제조와 糞屋 糞藥남송 程珌의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에는 제민요술시대 이후

답분법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즉 ldquo수집한 糞穰을 집집마다 산처럼

쌓아두고 市井之間에는 (각종 쓰레기를) 깨끗이 수습하여 남아 있는

것이 없었다 덕분에 토지는 기름지고 稻根은 가뭄에 잘 견뎠다rdquo24)고

한다 이것을 보면 남송시대에도 집집마다 답분을 생산했으며 그것을

산처럼 쌓아두었다는 것은 그 전통이 계속 이어졌음을 말해주며 생산

된 답분은 稻田에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송대 대표적인 농서인 陳旉農書(1149년)에는 그 후 답분법의 모습이 잘 남아있다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에는 ldquo때에 순응하여 소

를 잘 키우는 것이 좋다 봄이 시작되면 반드시 외양간에 쌓여있는 지

푸라기와 쇠똥을 모두 걷어낸다 반드시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

소제해야만 더러운 냄새와 축축한 것들로 인해서 역병과 瘡疾이 생기

고 또한 발굽이 오물에 잠겨 질병이 생기는 것을 면한다 또 상스럽지

못한 것은 마땅히 없앰으로써 소가 거처하는 장소를 깨끗하고 상쾌하

게 해주면 좋다rdquo고25) 하여 제민요술의 답분법과는 다소 다른 느낌

24) 程珌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卷19 ldquo每見衢婺之人 收蓄糞壤 家家山積 市

井之間 掃拾無遺 故土膏肥美 稻根耐旱 米粒精壯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5을 준다26) 齊民要術의 경우 답분의 제조방식에 중점을 두었지만 진부농서는 소 외양간의 청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이 역

시 牛廏에서 퇴비를 생산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 廏肥생산방식을 보면 봄이 되어 소 우리에 깔아 쌓인 lsquo積滯蓐糞rsquo

을 모두 걷어내어 대청소를 하지만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은

소제한다고 하여 퇴비를 생산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齊民要術처럼 생산된 퇴비의 처리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다27) 이때 깔개는 稻作

지대였기 때문에 분명 볏짚이 중심을 이루었을 것이며 깔개도 매일이

아니라 최소한 열흘에 한 차례씩 걷었다는 것으로 보아 답분의 양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답분을 쌓아둔 양이 집집마다 엄청났던

것을 보면 여린 나무 잎과 가지도 가축우리에 넣어 밟게 한다거나 구

덩이에 잡다한 쓰레기를 쌓아 외양간 오줌을 끼얹어 비료로 만들기도

했던 것 같다28) 이것은 화북지역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따라서 10일에 한 번 짚을 갈아주었다는 기록은 강남지역의 경우

水牛를 役牛로 이용했기 때문에 열흘에 한 번 쯤은 우리의 짚을 교체

하여 건강에 관심을 보였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집집마다 산처럼 쌓인 糞穰과 市井에 남아도는 쓰레기가 없을 정도로

퇴비생산에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답분

25)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第一 ldquo且四時有溫涼寒暑之異必順時調適之可

也 於春之初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 亦不必春也但旬日一除免穢氣蒸鬱

以成疫癘 且浸漬蹄甲易以生病 又當祓除不祥以淨爽其處乃善rdquo

26) 陳良佐는 이 문장을 lsquo牛廏肥rsquo의 예로 들고 있다( 我國農田施用之堆廐肥 大陸雜誌 52-4 1976) 충분히 존중해야 할 지적이지만 진부농서에는 이러한

구비의 사용법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곳은 없다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lsquo糞rsquo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 lsquo糞田之宜篇rsquo에서 언급한 비료의 원료로 사용

되고 있는 것인지 혹은 다른 뭔가의 이유로 언급하지 않은 것인지는 상세하지

않다

27) 이러한 현상은 송대의 役牛가 水牛였기 때문에 매일 가축우리를 청소할 필요

가 없었다거나 또 水田의 경우 旱田보다 답분의 基肥가 많이 필요치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28)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p56-62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6은 기존의 粟 黍 麥은 물론이고 稻 豆의 퇴비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재료는 주곡작물의 변화로 인해 맥류와 더불어 볏짚도 주도적으로 사

용되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腐熟방법도 달랐을 것이다

이처럼 陳旉農書에서 踏糞에 대한 안내가 구체적이지 않다고 하

여 송대에 糞과 糞田을 소홀히 취급한 것은 아니었다 陳旉農書에는이전과는 다른 강남의 풍부한 흙과 초목을 태워 만든 土糞[燻土] 火

糞29)[焦泥灰]과 泥糞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를 이용한 餠肥 糠糞

草木灰 綠肥 石灰 踏糞 苗糞 草糞 糞尿 및 동물의 털과 뼈 비료 등

이 다양하게 등장한다30)

이것은 唐末에 편찬되었다고 하는 四時纂要와 비교해도 큰 차이

가 있다 四時纂要에 등장하는 비료는 대부분 牛糞 羊糞 驢馬糞 雞糞 蠶沙[矢]등의 가축분과 燒灰 石灰 灰糞 乾鰻鱧魚汁 米泔 熟糞

爛糞 등인데 이 중에서 牛糞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비료의 종류

는 제민요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宋元代에는 餠肥

渣肥 泥土肥 無機肥 등이 추가되고 46종이나 종류도 늘어나고 있

다31) 더구나 진부농서에는 灌漑가 lsquo用糞rsquo보다 낫다고 하여 水田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32) 농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당 지역과 그 작물

의 특색에 맞게 독특한 비료가 개발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주목할 만

한 것은 비료가 토양과 작물에 어떤 작용을 하며 그 효과는 어떠했는

29)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lsquo糞田之宜篇rsquo

에는 ldquo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

다rdquo라고 하며 lsquo六種之宜篇rsquo에서는 ldquo土糞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 lsquo種桑之法篇rsquo에

서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이 土糞이 화분

의 일종인데 화분에는 흙이 함량이 다소 적어서 焦泥灰에 가깝고 토분에 흙

의 함유량이 많아 lsquo燻土rsquo에 가까워 결코 확연하게 구별하기는 곤란하다 실제

中國農業遺産硏究室 編 中國農學史(下) (科學出版社 1984) p43에서는 火糞

을 土糞이라고 하면서 실제적으로는 焦泥灰라고 하여 구분짓지 않고 있다

30)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 1993) pp53-6331)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pp245-246

3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7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인지 陳旉農書에서는 糞田之宜篇 이라는 독립된 糞田의 章이 등장하기에 이

르렀다 이같은 현상은 진부농서 이전 단계에는 볼 수 없었던 특징

이다

陳旉農書에는 周禮 草人 의 ldquo토지를 개량하는 방법은 땅의 형

색을 보고 판단하며 그 적합함을 살펴서 파종해야 한다rdquo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있다 예컨대 흙 중에서 붉고 굳센 토양[騂剛]의 시비에는

소를 이용하고 붉은빛 토양[赤緹]의 시비에는 羊을 이용한다는 것처럼

토양의 성질에 상응하는 동물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동물 중에는 소 양 돼지 및 개와 같은 가축은 물론이고 사슴 오소

리 큰사슴 여우와 같은 짐승도 있다 문제는 위의 사료에서는 소를

이용한다고만 했을 뿐 그 糞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糞種에서처럼 해당

동물의 뼈즙에 종자를 담가 시비한 것인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이다 그러나 들짐승의 뼈즙을 내어 糞種한다는 것은 일일이 실험하지

않는 한 (실험을 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믿기가 곤란하다 그나마 해

당 동물의 糞汁에 종자를 담가 토양을 다스린 것은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lsquo用rsquo은 糞汁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33) 그렇지만 토양의 성질과 짐승을 연결시켰다는 그 자체는 어

떤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인지는 알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糞田之

宜篇 의 지적과 같이 모든 토양은 제 각기 다른 성질을 띠고 있어서

33) 周禮 地官草人 편의 lsquo糞種rsquo에 대해 鄭司農은 ldquo소뼈 삶은 즙에 종자를 담

그는 것rdquo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는 氾勝之書 溲種法 에서 ldquo骨汁糞汁溲種rdquo

법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즉 가축의 뼈를 부수어 눈 물[雪汁]과 섞어 세

번 끓여 즙액을 받아 附子를 넣어 5일동안 담가두었다가 부자는 건저내고 이

속에 羊이나 蠶矢 등을 넣어 저어 종자를 담가 뒤섞고 이후 햇볕에 말려 씨앗

이 즙액을 흡수하도록 하여 파종했다는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하지만 萬國鼎

은 氾勝之書 區田法 편의 ldquo敎民糞種rdquo에 대해 각주에서 ldquo區田以糞氣爲美 非

必須良田也rdquo와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라는 사료를 근거로 lsquo糞種rsquo의

糞은 基肥를 중시한다는 말이지 골즙을 끊여 羊矢나 蠶矢를 섞어 종자 자체에

시비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糞種은 단순히 ldquo시비하고 파종한다rdquo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萬國鼎 輯釋 氾勝之書輯釋 (農業出版社 1980) p62 참조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8그에 합당하게 시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거름은 lsquo糞藥rsquo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농부들이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마

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진단하여 약을 쓰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

울였다는 점을 나타낸다34) 민간에 이미 이러한 인식이 존재했다는 것

은 강남농업에 있어 비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음을 말해준다35)

실제 동물의 糞은 저마다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糞田할 경

우 곡물을 해칠 수도 있다 때문에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리 시비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周禮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陳旉農書에서 이를 재차 강조하여 ldquo토양의 氣와 脈은 그 유형이 하나같이 않아서 비옥하기도 하고 척박하기도 하여 좋고 나쁨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다스리는 데도 각각 적합한 도리가 있다rdquo고36) 한 것은

토양의 氣脈의 조절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그 결과 糞을 토양의 기맥

을 치료하고 곡물의 성장을 담보하는 藥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은 주목

된다 이것은 송대의 분이 제민요술 단계나 그 이전과 같이 단순히

地力을 높여 생산력을 제고한 수준을 넘어 토양과 작물에 있어 필요불

가결한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그 때문에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와 같이 노천에 거름을 쌓아 저

장했던 방식과 함께 일정한 장소를 만들어 거름을 보관 貯溜하는 방식

도 발전하였다 陳旉農書 糞田之宜篇 에 의하면 농가의 곁에 반드

시 헛간[糞屋]을 설치했다 분옥은 처마와 기둥을 낮게 하여 바람에 휘

날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았다 거름을 노천에 쌓아두면 밤의

3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周禮 草人 lsquo掌土化之法以物地相其宜而

為之種rsquo別土之等差而用糞治 且土之騂剛者糞宜用牛赤緹者糞宜用羊以至渴

澤用鹿鹹潟用貆墳壤用麋勃壤用狐埴壚用豕彊㯺用蕡輕爂用犬皆相視其土之性類以所宜糞而糞之斯得其理矣 俚諺謂之糞藥以言用糞猶藥也rdquo

3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7에서 陳旉는구릉지대인 揚州 부근의 西山에만 줄곧 살았던 것은 아니고 일찍이 다른 곳에

서도 살았던 적이 있다 이 농서에서 언급된 농업의 상황은 장강 하류의 비교

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표한다고 한다

36)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土壤氣脈其類不一肥沃磽埆美惡不同

治之各有宜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6: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6

구분

월별

氾勝之書파종

四民月令 齊民要術 主穀의 파종시기 輪作

前harr後

작물파종 수확 비고 主穀 上時 中時 下時

正月春麥 豍豆

(粟)

2월상순(麻菩楊 生 種者)

3월상순(淸明節桃始花)

4월상순(棗樹 葉生 桑 花落)

菉豆小豆harr黍穄

2月

麻(2월하순-3월상순)

瓜(冬至후90- 100일2월하순-3월초순)

春麥 稙禾 苴麻 大豆 豍豆 胡麻

黍穄 3월상순 4월상순 5월상순大豆harr穀

3月

旋麥(춘맥)

穀(粟)

大豆(高田春大豆)

秔稻

稙禾 秔稻 苴麻大豆 胡豆 胡麻藍

春大豆

2월중순 3월상순 4월상순 麥harr穀

4月秫稻(冬至후 110일4월중순)

禾 黍大小 豆 胡麻

麥廣麥大麥

糴麥廣及大麥

小豆夏至後十日 ( 5 월말)

初 伏 이전(6월중순)

中伏이전(6월말)

麥 穀harr 穀 麻

5月

黍 (先夏至二十日5월상순)

小豆 (椹黑時)

禾 黍( 秔 ) 稻(別) 牡麻 胡麻藍(別)

麥廣麥大小麥

糴麥廣大小麥

麻夏至前十日(5월중순)

夏至夏至後十日(6월초)

小豆harr穀

6月大豆 (夏至후 20일6월중순)

冬藍麥廣麥

小麥糴麥廣小麥

麻子 3월 4월 5월

7月麥 ( 小麥 春麥)

糴麥 大麥8월중戊社前

下戊前8월말9월초

黍harr大豆

lt表1gt 고대 月別 작물의 播種 및 收穫시기

재배 이전의 作物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lt表1gt의 우측을 보면 齊民要術에서는 재배작물의 前 後작물이 다양하게 輪作되었음을 제

시하고 있다 이같은 윤작은 齊民要術 이전부터 토지이용도가 증가

되어 地力 소모가 늘어났음을 말해준다

9) 齊民要術 種穀 凡穀田 綠豆小豆底為上 麻黍胡麻次之 蕪菁大豆

為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7

8月宿麥(하지후 70일 8월중순)

麥廣麥

大小麥黍 糴黍 小麥

8월상戊社前

中戊前 하술전

9月 水稻 3월 4월상순 4월중순

10月

禾(粟)麻 子( 苴 ) 大小豆

糴粟大小豆麻子

旱稻 2月半 3월四月初及半

11月

禾(粟)秔 稻 麻 子 小豆

糴秔稻粟小豆麻子

胡麻 2 3월 4월상순 5월상순

12月 瓜 2월상순 3월상순 4월상순小豆harr穀

別 옮겨 심는다는 뜻 糴 구매시기는 주로 수확기였기 때문에 수확기로 대체했다

그렇다고 이들 곡물의 ldquo穰穀 rdquo 즉 줄기나 껍질을 모두 가축우리의

퇴비생산에 이용했다고 보기는 곤란하다 특히 매일 일정한 두께로 깔

고 교체했다는 것은 가축우리 주위에 쌓아두고 이용했음을 뜻한다 가

축우리의 깔개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분뇨의 흡수력이 좋고 줄기

가 거세지 않아 가축을 따뜻하게 감싸주며 잘 썩는 재질이 좋다 매일

부드러운 초목을 베어 깔아줄 수도 있겠지만 이는 결코 쉬운 일이 아

니며 또한 갓 베어온 초목은 牛馬의 먹이로는 좋을지언정 거름으로

이용하기는 곤란하다 그 때문인지 최근까지도 가축우리의 깔개로 가

장 많이 사용된 것은 마른 볏짚이나 보리짚이다 그렇다면 이것들이

고대의 踏糞의 재료로도 사용되었을까 우선 당시 답분의 재료에 적합

한 農作物부터 살펴보자

齊民要術에서는 답분을 시비하기 위해 겨울에 갈이 했음을 알 수

있다 겨울갈이가 좋다는 것은 四時纂要와 마찬가지로 平時의 갈이

보다 ldquo一當五rdquo의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라고10) 한다

겨울갈이를 했다는 것은 田地가 비어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lt表

1gt의 四民月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맥인 宿麥 麥廣麥 등이 재배되

10) 四時纂要 正月 ldquo齊民要術云 比月耕地一當五rdquo 四時纂要 二月 ldquo耕

地此月耕地一當五也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8고 있는 경지에는 제민요술의 답분법이 적용될 수 없는 것이다 冬

麥을 제외하고 踏糞法을 이용하여 2월 3월에 春播 가능한 작물을 보

면 lt表1gt과 같이 四民月令에는 春麥 稙禾 苴麻 大豆 豍豆 胡麻

秔稻가 있고 氾勝之書에는 麻 瓜 旋麥[春麥] 穀[粟] 및 秔稻 齊民要術에는 穀[粟] 春大豆 旱稻 胡麻 黍穄 麻子 水稻 瓜 등이 있어

주요 곡물이 모두 春播되고 있다 결국 踏糞을 이들 작물에 이용했다

는 말이 된다

lt表1gt의 우측을 보면 작물과 교대한 前年의 재배 작물을 보면 稻

만 보이지 않고 大豆 麥 菉豆 小大豆 등이 보인다 비록 지역차는

있겠지만 춘파작물이 거듭 재배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파

종시기만으로 보면 당시 동일 圃場에서 春播는 물론 4-6월에 하는 夏

播와 冬麥과 같은 秋播작물이 동시에 보이기도 하고 lt表1gt의 좌측에

서 보듯 春冬麥 春夏豆도 있고 早晩稻 早晩黍 早晩禾도 보여 토지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들 작물 중 우리에서 踏糞 가능한 작물을 보자 胡麻나 麻 등은

줄기가 강하여 수확 후 답분으로 사용하기 곤란하다 大小豆의 줄기

역시 수확 시기에는 나무처럼 단단해져 깍지와 마른 잎을 제외하고는

답분하기에 곤란하다 이것은 穀[粟] 黍의 줄기도 마찬가지이다 이것

들은 잎이 푸르고 익지 않았을 때는 줄기가 물러 가축의 먹이로 사용

되고 踏糞의 소재로도 가능하겠지만 수확기에는 잘게 부수지 않으면

잘 썩지도 않아서 태워 재거름[灰糞]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 부숙하여

田地의 시비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결국 답분 가

능한 작물은 大小麥類와 稻類[水旱稻 秔稻]만이 남게 된다

벼는 이미 전국시대 후기 여씨춘추 審時 편에서부터 주곡작물로

분류되었으며 氾勝之書 稻 편에는 3월에 파종하는 秔稻와 4월에

파종하는 秫稻의 품종부터 水田관리와 물을 대고 수온을 조절하는 방

식까지 다양한 부분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이는 사민월령에도 마찬가지로 3-5월에 秔稻를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晩稻를 제시하고

있다 제민요술 단계에 이르면 색 형태와 수확기가 다른 다양한 水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9稻의 종류가 보이고 水田과 旱田으로 구분하여 경지선택과 이앙방식

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화북지역에

도 벼농사가 점차 중시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다만 화북지역은 陂澤地

가 적어 하천의 彎曲 부분이나 샘이 솟는 지역과 물이 잘 고이는 저지

대 등에 稻作이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11) 이처럼 벼는 까다로운 경작

조건으로 인해 華北에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따라서 짚의

생산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볏짚은 가축의 먹이나 貯藏

孔의 재료12) 보온재 땔감 등 다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일부는 芻稾稅로 국가에 납입되기도 하여13) 답분으로 사용되었을 지라도 그 양은

매일매일 일정한 높이로 깔아줄 정도는 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습도가 적은 화북지역의 경우 볏짚의 부숙 속도는 맥류보다 늦

고 썩은 비료도 부드럽게 흩어지지 않아 대표적인 파종구[耬車]와 摩

平熟土작업 도구[勞]를 사용하기가 맥류짚보다는 곤란하다 그런 것을

보면 踏糞의 재료는 麥類가 중심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2 踏糞의 施肥 작물과 출현 배경

그렇다면 답분을 사용하여 春播한 穀物은 어떤 작물이었을까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粟 黍 麻子 春大豆 春麥과 秔稻 早稻 등으로 압

축할 수 있다 이 모두에 踏糞을 시비했다면 ldquo三十車糞rdquo의 양으로 턱

없이 부족하게 된다 사실 大豆는 예부터 lsquo備凶年rsquo 작물로서 區種하지

않는 한 특별한 시비를 하지 않았다

답분을 이용한 농작물이 무엇이었는가를 살피기 위해 제민요술의11) 齊民要術 水稻 旱稻 참조

12) 氾勝之書 瓠 ldquo掘地深一丈 薦以藁 四邊各厚一尺 以實置孔中 令底下向rdquo

이라고 하여 곡식을 구덩이에 저장하기 위해 두텁게 둘러싸 보관 저장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13) 雲夢睡虎地秦簡 倉律 에는 芻稾는 곡물과 더불어 창고에 보관하였다가 출입 시에는 일일이 內史나 縣廷에 보고한 것을 보면 당시 볏짚은 다양한 용도

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0답분법을 천착해보자 답분의 재료인 麥14)은 여씨춘추에서도 중심작

물로서 자리 잡았던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때부터 답분으로 사용

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답분을 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겨울갈이를 통해 뿌린 거름을 덮어주고 1-2월에 다시 翻土

하는 것이 기본인데 이러한 노동은 手노동농구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

다 牛耕을 이용하여 전지를 전면 발토 해야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牛

耕이 민간에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전국중기 이후이지만 代田法이 확

대되면서 우경의 중요성이 커졌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15)

대전법에서는 耬車를 이용하여 作條와 播種을 동시에 했기 때문에

완전히 腐熟되지 않은 답분을 基肥했을 경우 耬車작동시 발에 걸리거

나 비료가 한쪽으로 쏠려 파종하기가 곤란해진다16) 제민요술 旱稻

편에도 ldquo싹눈을 틔운 볍씨를 파종구인 耬犁로 갈면서 條播하고 흙으

로 종자를 덮는다rdquo17)고 하고 大小麥 편에서는 ldquo山地와 단단한 토지

에는 耬車를 이용하여 파종rdquo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당시에는 적

어도 旱稻와 麥은 답분으로 시비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것 때문

인지 전한 말 氾勝之書의 麻田 麥田 瓠의 시비에 모두 蠶矢를 사용

하거나 區田法에서는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에서처럼 종자

와 함께 섞은 부드러운 美糞이나 糞種이 이용되고 있다 蠶矢 시비나

잘 부숙된 熟糞은 耬車로 파종하더라도 경작과정에서 전혀 문제되지는

않는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결국 봄에 답분을 하는 주요 곡물은 粟 黍이었

음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 답분을 이용하여

14) 夏緯瑛의 주석에 의하면 古書 가운데 麥자만 있으면 소맥(小麥 Triticum

aestivum L)을 말한다고 한다

15) 崔德卿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16) 만약 作畝한 땅에 踏糞을 基肥 하여 耬車로 파종하게 된다면 답분이 耬車의

이빨에 걸려 한쪽으로 밀리거나 앞으로 나가기도 힘들기 때문에 踏糞과 같은

시비는 곤란하다 특히 볏짚을 腐熟한 경우에는 이런 현상이 더욱 잘 발생하

며 麥糞의 경우도 완전히 부숙이 되지 않았을 경우는 누거로 파종하기가 곤란

해진다

17) 齊民要術 旱稻 ldquo漬種如法 裛令開口 耬耩䅖種之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1粟을 파종했다는 전술한 내용과도 부합된다 다시말해 粟이 위진 남북

조시기에도 여전히 주곡 중 하나로 중시되었음을 뜻한다 사실 粟[禾]

黍는 범승지서는 물론 제민요술에도 농작물 중 첫머리에 기록될

정도로 당시 화북지역에서 중시되었던 작물이며 범승지서에는 이들

의 생산을 높이기 위해 糞種하거나 區田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

기도 하였다 답분법도 그 일환 중의 하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粟 黍에 답분을 시비할 때 그 비료는 장기간 잘 부숙한 熟糞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 대소맥의 짚은 연하여 가축의 분뇨와 잘 섞이고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 볏짚보다 쉽게 腐熟한다 이렇게 보면 齊民要術 단계의 踏糞은 어떤 곡물에나 적용되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

하지만 粟 黍는 화북지역의 건조지대나 高地 彊土에도 잘 자라고18)

旱地를 전면적으로 발토하기도 쉽지 않았을 것인데 굳이 답분법을 사

용할 필요성이 있었을까 라는 의문이 생긴다 물론 한대 이후 토지이

용도가 증대되면서 지력이 약화되고 그 결과 생산량도 떨어져 척박한

땅의 비력을 유지하기 위한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만약 耬車

를 이용하여 파종하지 않고 손으로 파종한다면 春大小麥나 春大豆와

같은 작물의 基肥에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

당시 春麥은 lt表1gt과 같이 사민월령에는 정월과 2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흥미로운 것은 범승지서 사민월

령의 春麥과 동맥[麥廣麥]과는 달리 제민요술에는 대소맥이 모두 冬

麥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맥의 재배 지역이 따뜻한

남쪽으로 점차 확대되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麥의 越

冬이 가능할 정도의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일 것이다

춘맥과 동맥재배는 대개 氣候帶에 의해 결정된다 寒冷하여 월동할

수 없는 북부지역의 경우 보통 춘맥을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런데 동일한 화북지역에서 春麥이 동맥중심으로 변한 것은 우선 조건

18) 氾勝之書 禾 黍 條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2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竺可禎의 氣候圖에 의하면 氾勝之書 단계는 온난했던 기후가 하강하는 시기이며 사민월령의 2세기 중엽은

한랭한 시기이며 6세기 중엽의 제민요술의 시기는 한랭한 한계점을

지나 점차 기온이 상승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 가장 추위를 느끼는

시점은 기원전 1세기의 범승지서 단계였을 것이다 그 때문인지 범승지서에는 春麥의 파종시기가 사민월령의 1-2월보다 늦은 3월이

었으며 제민요술 단계에는 春麥도 소개되어 있지만 春麥보다 冬麥

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위진남북조시대에는 春麥을 재배하지

못할 정도로 한랭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실제 7세기가 되면 다시 고

온다습한 기후로 변화되었다고 한다19)

경작기술의 변화 또한 冬麥 재배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예컨

대 작물이 얼지 않도록 잘 보호해주거나 地溫을 유지할 수 있는 조치

가 그것이다 蠶矢 가축분 및 踏糞 등을 시비하면 눈과 서리에 의해

푸석푸석해진 토지를 부드럽게 하여 뿌리를 깊게 내리게 할 뿐 아니라

토양을 보온하여 잘 얼지도 않게 해준다20) 게다가 이런 땅에 심경하

여 畎中條播하게 되면 종자가 적당한 습기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

며 특히 踏糞이 조금씩 분해되면서 양분을 공급해 주기 때문에 春麥

이나 春大豆의 생산력이 높아진다

越冬 주곡작물이 화북지역에서 재배된다는 것은 겨울에 비워둔 토

지를 이용하여 土地利用度를 높이고 그로 인해 다른 작물과의 交代도

다양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바로 養地를 위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답분법의 출현은 粟黍의 지력 회

복은 물론이고 화북지역의 豆 麥의 春耕과 越冬 작물의 재배가 구체

화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당시 製粉 공구의

발달과 함께 小麥 大豆의 보급이 급증한 것은21) 답분법의 등장과 무

19) 劉昭民 中國歷史上氣候之變遷 (臺灣商務印書館 1992) pp99-10020)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俾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

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21) 崔德卿 漢唐期 大豆 가공기술의 발달과 製粉業 (中國史硏究 69 2010)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3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이상 답분법의 출현 배경을 살폈는데 답분이 비료로서 효과를 발휘

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조건이 필요하다 바로 踏糞과 파종조건이 맞

아야 한다 전술한 것처럼 답분법의 보급은 기본적으로 牛馬의 보급과

경작방식에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앞서 한대 대전법이 우경

의 확산에 기여했다고 했지만 대전법은 그 단위 경작면적이 5頃이고

노동조직도 lsquo二牛三人rsquo이었기 때문에 소농민이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했다 제민요술에서 제시한 답분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겨울에

쟁기로 답분을 갈아엎고 덮어주어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파종구를 만

드는 耬車[作條犁]가 아니라 볏[鐴]이 부착된 翻土犁이어야 한다 볏은

전한 때부터 보급되고 후한의 畵像石에서 보듯 쟁기의 형태도 lsquo一牛一

犁rsquo로 발전하고 있는 것을 보면 건강한 소농민은 牛耕을 이용했을 것

으로 보인다22) 이렇게 보면 전면발토가 곤란했던 代田法 및 범승지서단계에는 제민요술과 같은 답분법이 시행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보인다

糞田은 이미 周代 이전에도 등장하지만 구체적인 糞제조방식에 대

한 기록은 답분법이 처음이다 이 이후부터 집안의 잡다한 쓰레기를

태워 재로 만들거나 가축의 우리 속에 넣어 분뇨와 결합하면서 1차적

으로 糞肥로 만들어지고 이를 우리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腐熟

시켜 田地의 거름으로 탈바꿈한다23) 초기의 糞은 蠶矢 美糞 灰糞 등

주로 基肥로 사용되었는데 그 중 부드러운 숙분은 누거파종의 기비에

도 사용되고 거친 비료의 경우 區田이나 수전의 밑거름으로 사용되었

을 것으로 보인다

후대의 답분법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었던 이유는 비료효과

그리고 氾勝之書 區田法 에서는 麥 大豆의 대량생산을 위해 區田法도 실시

하고 있다

22) 최덕경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 pp151-15623) 곡물의 짚이 가축분과 결합되면서 미생물의 작용으로 썩게 되며 긴 시간을

썩히면 분에서 열이 발생하여 유해한 해충을 죽이고 속효성 비료의 효과도 크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4가 입증된 것은 물론이고 당시 한 농가에서 생산된 踏糞의 양이 연간

6畝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으로 보유토지의 일부와 재배

작물의 일부밖에 답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후 농가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답분을 제조했던 것 같다

Ⅲ 宋代 糞에 대한 인식 변화와

ldquo地力常新壯rdquo論의 등장

1 陳旉農書의 거름 제조와 糞屋 糞藥남송 程珌의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에는 제민요술시대 이후

답분법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즉 ldquo수집한 糞穰을 집집마다 산처럼

쌓아두고 市井之間에는 (각종 쓰레기를) 깨끗이 수습하여 남아 있는

것이 없었다 덕분에 토지는 기름지고 稻根은 가뭄에 잘 견뎠다rdquo24)고

한다 이것을 보면 남송시대에도 집집마다 답분을 생산했으며 그것을

산처럼 쌓아두었다는 것은 그 전통이 계속 이어졌음을 말해주며 생산

된 답분은 稻田에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송대 대표적인 농서인 陳旉農書(1149년)에는 그 후 답분법의 모습이 잘 남아있다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에는 ldquo때에 순응하여 소

를 잘 키우는 것이 좋다 봄이 시작되면 반드시 외양간에 쌓여있는 지

푸라기와 쇠똥을 모두 걷어낸다 반드시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

소제해야만 더러운 냄새와 축축한 것들로 인해서 역병과 瘡疾이 생기

고 또한 발굽이 오물에 잠겨 질병이 생기는 것을 면한다 또 상스럽지

못한 것은 마땅히 없앰으로써 소가 거처하는 장소를 깨끗하고 상쾌하

게 해주면 좋다rdquo고25) 하여 제민요술의 답분법과는 다소 다른 느낌

24) 程珌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卷19 ldquo每見衢婺之人 收蓄糞壤 家家山積 市

井之間 掃拾無遺 故土膏肥美 稻根耐旱 米粒精壯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5을 준다26) 齊民要術의 경우 답분의 제조방식에 중점을 두었지만 진부농서는 소 외양간의 청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이 역

시 牛廏에서 퇴비를 생산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 廏肥생산방식을 보면 봄이 되어 소 우리에 깔아 쌓인 lsquo積滯蓐糞rsquo

을 모두 걷어내어 대청소를 하지만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은

소제한다고 하여 퇴비를 생산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齊民要術처럼 생산된 퇴비의 처리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다27) 이때 깔개는 稻作

지대였기 때문에 분명 볏짚이 중심을 이루었을 것이며 깔개도 매일이

아니라 최소한 열흘에 한 차례씩 걷었다는 것으로 보아 답분의 양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답분을 쌓아둔 양이 집집마다 엄청났던

것을 보면 여린 나무 잎과 가지도 가축우리에 넣어 밟게 한다거나 구

덩이에 잡다한 쓰레기를 쌓아 외양간 오줌을 끼얹어 비료로 만들기도

했던 것 같다28) 이것은 화북지역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따라서 10일에 한 번 짚을 갈아주었다는 기록은 강남지역의 경우

水牛를 役牛로 이용했기 때문에 열흘에 한 번 쯤은 우리의 짚을 교체

하여 건강에 관심을 보였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집집마다 산처럼 쌓인 糞穰과 市井에 남아도는 쓰레기가 없을 정도로

퇴비생산에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답분

25)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第一 ldquo且四時有溫涼寒暑之異必順時調適之可

也 於春之初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 亦不必春也但旬日一除免穢氣蒸鬱

以成疫癘 且浸漬蹄甲易以生病 又當祓除不祥以淨爽其處乃善rdquo

26) 陳良佐는 이 문장을 lsquo牛廏肥rsquo의 예로 들고 있다( 我國農田施用之堆廐肥 大陸雜誌 52-4 1976) 충분히 존중해야 할 지적이지만 진부농서에는 이러한

구비의 사용법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곳은 없다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lsquo糞rsquo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 lsquo糞田之宜篇rsquo에서 언급한 비료의 원료로 사용

되고 있는 것인지 혹은 다른 뭔가의 이유로 언급하지 않은 것인지는 상세하지

않다

27) 이러한 현상은 송대의 役牛가 水牛였기 때문에 매일 가축우리를 청소할 필요

가 없었다거나 또 水田의 경우 旱田보다 답분의 基肥가 많이 필요치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28)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p56-62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6은 기존의 粟 黍 麥은 물론이고 稻 豆의 퇴비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재료는 주곡작물의 변화로 인해 맥류와 더불어 볏짚도 주도적으로 사

용되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腐熟방법도 달랐을 것이다

이처럼 陳旉農書에서 踏糞에 대한 안내가 구체적이지 않다고 하

여 송대에 糞과 糞田을 소홀히 취급한 것은 아니었다 陳旉農書에는이전과는 다른 강남의 풍부한 흙과 초목을 태워 만든 土糞[燻土] 火

糞29)[焦泥灰]과 泥糞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를 이용한 餠肥 糠糞

草木灰 綠肥 石灰 踏糞 苗糞 草糞 糞尿 및 동물의 털과 뼈 비료 등

이 다양하게 등장한다30)

이것은 唐末에 편찬되었다고 하는 四時纂要와 비교해도 큰 차이

가 있다 四時纂要에 등장하는 비료는 대부분 牛糞 羊糞 驢馬糞 雞糞 蠶沙[矢]등의 가축분과 燒灰 石灰 灰糞 乾鰻鱧魚汁 米泔 熟糞

爛糞 등인데 이 중에서 牛糞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비료의 종류

는 제민요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宋元代에는 餠肥

渣肥 泥土肥 無機肥 등이 추가되고 46종이나 종류도 늘어나고 있

다31) 더구나 진부농서에는 灌漑가 lsquo用糞rsquo보다 낫다고 하여 水田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32) 농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당 지역과 그 작물

의 특색에 맞게 독특한 비료가 개발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주목할 만

한 것은 비료가 토양과 작물에 어떤 작용을 하며 그 효과는 어떠했는

29)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lsquo糞田之宜篇rsquo

에는 ldquo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

다rdquo라고 하며 lsquo六種之宜篇rsquo에서는 ldquo土糞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 lsquo種桑之法篇rsquo에

서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이 土糞이 화분

의 일종인데 화분에는 흙이 함량이 다소 적어서 焦泥灰에 가깝고 토분에 흙

의 함유량이 많아 lsquo燻土rsquo에 가까워 결코 확연하게 구별하기는 곤란하다 실제

中國農業遺産硏究室 編 中國農學史(下) (科學出版社 1984) p43에서는 火糞

을 土糞이라고 하면서 실제적으로는 焦泥灰라고 하여 구분짓지 않고 있다

30)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 1993) pp53-6331)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pp245-246

3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7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인지 陳旉農書에서는 糞田之宜篇 이라는 독립된 糞田의 章이 등장하기에 이

르렀다 이같은 현상은 진부농서 이전 단계에는 볼 수 없었던 특징

이다

陳旉農書에는 周禮 草人 의 ldquo토지를 개량하는 방법은 땅의 형

색을 보고 판단하며 그 적합함을 살펴서 파종해야 한다rdquo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있다 예컨대 흙 중에서 붉고 굳센 토양[騂剛]의 시비에는

소를 이용하고 붉은빛 토양[赤緹]의 시비에는 羊을 이용한다는 것처럼

토양의 성질에 상응하는 동물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동물 중에는 소 양 돼지 및 개와 같은 가축은 물론이고 사슴 오소

리 큰사슴 여우와 같은 짐승도 있다 문제는 위의 사료에서는 소를

이용한다고만 했을 뿐 그 糞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糞種에서처럼 해당

동물의 뼈즙에 종자를 담가 시비한 것인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이다 그러나 들짐승의 뼈즙을 내어 糞種한다는 것은 일일이 실험하지

않는 한 (실험을 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믿기가 곤란하다 그나마 해

당 동물의 糞汁에 종자를 담가 토양을 다스린 것은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lsquo用rsquo은 糞汁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33) 그렇지만 토양의 성질과 짐승을 연결시켰다는 그 자체는 어

떤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인지는 알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糞田之

宜篇 의 지적과 같이 모든 토양은 제 각기 다른 성질을 띠고 있어서

33) 周禮 地官草人 편의 lsquo糞種rsquo에 대해 鄭司農은 ldquo소뼈 삶은 즙에 종자를 담

그는 것rdquo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는 氾勝之書 溲種法 에서 ldquo骨汁糞汁溲種rdquo

법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즉 가축의 뼈를 부수어 눈 물[雪汁]과 섞어 세

번 끓여 즙액을 받아 附子를 넣어 5일동안 담가두었다가 부자는 건저내고 이

속에 羊이나 蠶矢 등을 넣어 저어 종자를 담가 뒤섞고 이후 햇볕에 말려 씨앗

이 즙액을 흡수하도록 하여 파종했다는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하지만 萬國鼎

은 氾勝之書 區田法 편의 ldquo敎民糞種rdquo에 대해 각주에서 ldquo區田以糞氣爲美 非

必須良田也rdquo와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라는 사료를 근거로 lsquo糞種rsquo의

糞은 基肥를 중시한다는 말이지 골즙을 끊여 羊矢나 蠶矢를 섞어 종자 자체에

시비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糞種은 단순히 ldquo시비하고 파종한다rdquo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萬國鼎 輯釋 氾勝之書輯釋 (農業出版社 1980) p62 참조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8그에 합당하게 시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거름은 lsquo糞藥rsquo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농부들이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마

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진단하여 약을 쓰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

울였다는 점을 나타낸다34) 민간에 이미 이러한 인식이 존재했다는 것

은 강남농업에 있어 비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음을 말해준다35)

실제 동물의 糞은 저마다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糞田할 경

우 곡물을 해칠 수도 있다 때문에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리 시비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周禮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陳旉農書에서 이를 재차 강조하여 ldquo토양의 氣와 脈은 그 유형이 하나같이 않아서 비옥하기도 하고 척박하기도 하여 좋고 나쁨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다스리는 데도 각각 적합한 도리가 있다rdquo고36) 한 것은

토양의 氣脈의 조절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그 결과 糞을 토양의 기맥

을 치료하고 곡물의 성장을 담보하는 藥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은 주목

된다 이것은 송대의 분이 제민요술 단계나 그 이전과 같이 단순히

地力을 높여 생산력을 제고한 수준을 넘어 토양과 작물에 있어 필요불

가결한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그 때문에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와 같이 노천에 거름을 쌓아 저

장했던 방식과 함께 일정한 장소를 만들어 거름을 보관 貯溜하는 방식

도 발전하였다 陳旉農書 糞田之宜篇 에 의하면 농가의 곁에 반드

시 헛간[糞屋]을 설치했다 분옥은 처마와 기둥을 낮게 하여 바람에 휘

날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았다 거름을 노천에 쌓아두면 밤의

3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周禮 草人 lsquo掌土化之法以物地相其宜而

為之種rsquo別土之等差而用糞治 且土之騂剛者糞宜用牛赤緹者糞宜用羊以至渴

澤用鹿鹹潟用貆墳壤用麋勃壤用狐埴壚用豕彊㯺用蕡輕爂用犬皆相視其土之性類以所宜糞而糞之斯得其理矣 俚諺謂之糞藥以言用糞猶藥也rdquo

3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7에서 陳旉는구릉지대인 揚州 부근의 西山에만 줄곧 살았던 것은 아니고 일찍이 다른 곳에

서도 살았던 적이 있다 이 농서에서 언급된 농업의 상황은 장강 하류의 비교

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표한다고 한다

36)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土壤氣脈其類不一肥沃磽埆美惡不同

治之各有宜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7: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7

8月宿麥(하지후 70일 8월중순)

麥廣麥

大小麥黍 糴黍 小麥

8월상戊社前

中戊前 하술전

9月 水稻 3월 4월상순 4월중순

10月

禾(粟)麻 子( 苴 ) 大小豆

糴粟大小豆麻子

旱稻 2月半 3월四月初及半

11月

禾(粟)秔 稻 麻 子 小豆

糴秔稻粟小豆麻子

胡麻 2 3월 4월상순 5월상순

12月 瓜 2월상순 3월상순 4월상순小豆harr穀

別 옮겨 심는다는 뜻 糴 구매시기는 주로 수확기였기 때문에 수확기로 대체했다

그렇다고 이들 곡물의 ldquo穰穀 rdquo 즉 줄기나 껍질을 모두 가축우리의

퇴비생산에 이용했다고 보기는 곤란하다 특히 매일 일정한 두께로 깔

고 교체했다는 것은 가축우리 주위에 쌓아두고 이용했음을 뜻한다 가

축우리의 깔개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분뇨의 흡수력이 좋고 줄기

가 거세지 않아 가축을 따뜻하게 감싸주며 잘 썩는 재질이 좋다 매일

부드러운 초목을 베어 깔아줄 수도 있겠지만 이는 결코 쉬운 일이 아

니며 또한 갓 베어온 초목은 牛馬의 먹이로는 좋을지언정 거름으로

이용하기는 곤란하다 그 때문인지 최근까지도 가축우리의 깔개로 가

장 많이 사용된 것은 마른 볏짚이나 보리짚이다 그렇다면 이것들이

고대의 踏糞의 재료로도 사용되었을까 우선 당시 답분의 재료에 적합

한 農作物부터 살펴보자

齊民要術에서는 답분을 시비하기 위해 겨울에 갈이 했음을 알 수

있다 겨울갈이가 좋다는 것은 四時纂要와 마찬가지로 平時의 갈이

보다 ldquo一當五rdquo의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라고10) 한다

겨울갈이를 했다는 것은 田地가 비어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lt表

1gt의 四民月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맥인 宿麥 麥廣麥 등이 재배되

10) 四時纂要 正月 ldquo齊民要術云 比月耕地一當五rdquo 四時纂要 二月 ldquo耕

地此月耕地一當五也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8고 있는 경지에는 제민요술의 답분법이 적용될 수 없는 것이다 冬

麥을 제외하고 踏糞法을 이용하여 2월 3월에 春播 가능한 작물을 보

면 lt表1gt과 같이 四民月令에는 春麥 稙禾 苴麻 大豆 豍豆 胡麻

秔稻가 있고 氾勝之書에는 麻 瓜 旋麥[春麥] 穀[粟] 및 秔稻 齊民要術에는 穀[粟] 春大豆 旱稻 胡麻 黍穄 麻子 水稻 瓜 등이 있어

주요 곡물이 모두 春播되고 있다 결국 踏糞을 이들 작물에 이용했다

는 말이 된다

lt表1gt의 우측을 보면 작물과 교대한 前年의 재배 작물을 보면 稻

만 보이지 않고 大豆 麥 菉豆 小大豆 등이 보인다 비록 지역차는

있겠지만 춘파작물이 거듭 재배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파

종시기만으로 보면 당시 동일 圃場에서 春播는 물론 4-6월에 하는 夏

播와 冬麥과 같은 秋播작물이 동시에 보이기도 하고 lt表1gt의 좌측에

서 보듯 春冬麥 春夏豆도 있고 早晩稻 早晩黍 早晩禾도 보여 토지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들 작물 중 우리에서 踏糞 가능한 작물을 보자 胡麻나 麻 등은

줄기가 강하여 수확 후 답분으로 사용하기 곤란하다 大小豆의 줄기

역시 수확 시기에는 나무처럼 단단해져 깍지와 마른 잎을 제외하고는

답분하기에 곤란하다 이것은 穀[粟] 黍의 줄기도 마찬가지이다 이것

들은 잎이 푸르고 익지 않았을 때는 줄기가 물러 가축의 먹이로 사용

되고 踏糞의 소재로도 가능하겠지만 수확기에는 잘게 부수지 않으면

잘 썩지도 않아서 태워 재거름[灰糞]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 부숙하여

田地의 시비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결국 답분 가

능한 작물은 大小麥類와 稻類[水旱稻 秔稻]만이 남게 된다

벼는 이미 전국시대 후기 여씨춘추 審時 편에서부터 주곡작물로

분류되었으며 氾勝之書 稻 편에는 3월에 파종하는 秔稻와 4월에

파종하는 秫稻의 품종부터 水田관리와 물을 대고 수온을 조절하는 방

식까지 다양한 부분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이는 사민월령에도 마찬가지로 3-5월에 秔稻를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晩稻를 제시하고

있다 제민요술 단계에 이르면 색 형태와 수확기가 다른 다양한 水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9稻의 종류가 보이고 水田과 旱田으로 구분하여 경지선택과 이앙방식

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화북지역에

도 벼농사가 점차 중시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다만 화북지역은 陂澤地

가 적어 하천의 彎曲 부분이나 샘이 솟는 지역과 물이 잘 고이는 저지

대 등에 稻作이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11) 이처럼 벼는 까다로운 경작

조건으로 인해 華北에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따라서 짚의

생산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볏짚은 가축의 먹이나 貯藏

孔의 재료12) 보온재 땔감 등 다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일부는 芻稾稅로 국가에 납입되기도 하여13) 답분으로 사용되었을 지라도 그 양은

매일매일 일정한 높이로 깔아줄 정도는 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습도가 적은 화북지역의 경우 볏짚의 부숙 속도는 맥류보다 늦

고 썩은 비료도 부드럽게 흩어지지 않아 대표적인 파종구[耬車]와 摩

平熟土작업 도구[勞]를 사용하기가 맥류짚보다는 곤란하다 그런 것을

보면 踏糞의 재료는 麥類가 중심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2 踏糞의 施肥 작물과 출현 배경

그렇다면 답분을 사용하여 春播한 穀物은 어떤 작물이었을까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粟 黍 麻子 春大豆 春麥과 秔稻 早稻 등으로 압

축할 수 있다 이 모두에 踏糞을 시비했다면 ldquo三十車糞rdquo의 양으로 턱

없이 부족하게 된다 사실 大豆는 예부터 lsquo備凶年rsquo 작물로서 區種하지

않는 한 특별한 시비를 하지 않았다

답분을 이용한 농작물이 무엇이었는가를 살피기 위해 제민요술의11) 齊民要術 水稻 旱稻 참조

12) 氾勝之書 瓠 ldquo掘地深一丈 薦以藁 四邊各厚一尺 以實置孔中 令底下向rdquo

이라고 하여 곡식을 구덩이에 저장하기 위해 두텁게 둘러싸 보관 저장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13) 雲夢睡虎地秦簡 倉律 에는 芻稾는 곡물과 더불어 창고에 보관하였다가 출입 시에는 일일이 內史나 縣廷에 보고한 것을 보면 당시 볏짚은 다양한 용도

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0답분법을 천착해보자 답분의 재료인 麥14)은 여씨춘추에서도 중심작

물로서 자리 잡았던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때부터 답분으로 사용

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답분을 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겨울갈이를 통해 뿌린 거름을 덮어주고 1-2월에 다시 翻土

하는 것이 기본인데 이러한 노동은 手노동농구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

다 牛耕을 이용하여 전지를 전면 발토 해야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牛

耕이 민간에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전국중기 이후이지만 代田法이 확

대되면서 우경의 중요성이 커졌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15)

대전법에서는 耬車를 이용하여 作條와 播種을 동시에 했기 때문에

완전히 腐熟되지 않은 답분을 基肥했을 경우 耬車작동시 발에 걸리거

나 비료가 한쪽으로 쏠려 파종하기가 곤란해진다16) 제민요술 旱稻

편에도 ldquo싹눈을 틔운 볍씨를 파종구인 耬犁로 갈면서 條播하고 흙으

로 종자를 덮는다rdquo17)고 하고 大小麥 편에서는 ldquo山地와 단단한 토지

에는 耬車를 이용하여 파종rdquo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당시에는 적

어도 旱稻와 麥은 답분으로 시비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것 때문

인지 전한 말 氾勝之書의 麻田 麥田 瓠의 시비에 모두 蠶矢를 사용

하거나 區田法에서는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에서처럼 종자

와 함께 섞은 부드러운 美糞이나 糞種이 이용되고 있다 蠶矢 시비나

잘 부숙된 熟糞은 耬車로 파종하더라도 경작과정에서 전혀 문제되지는

않는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결국 봄에 답분을 하는 주요 곡물은 粟 黍이었

음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 답분을 이용하여

14) 夏緯瑛의 주석에 의하면 古書 가운데 麥자만 있으면 소맥(小麥 Triticum

aestivum L)을 말한다고 한다

15) 崔德卿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16) 만약 作畝한 땅에 踏糞을 基肥 하여 耬車로 파종하게 된다면 답분이 耬車의

이빨에 걸려 한쪽으로 밀리거나 앞으로 나가기도 힘들기 때문에 踏糞과 같은

시비는 곤란하다 특히 볏짚을 腐熟한 경우에는 이런 현상이 더욱 잘 발생하

며 麥糞의 경우도 완전히 부숙이 되지 않았을 경우는 누거로 파종하기가 곤란

해진다

17) 齊民要術 旱稻 ldquo漬種如法 裛令開口 耬耩䅖種之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1粟을 파종했다는 전술한 내용과도 부합된다 다시말해 粟이 위진 남북

조시기에도 여전히 주곡 중 하나로 중시되었음을 뜻한다 사실 粟[禾]

黍는 범승지서는 물론 제민요술에도 농작물 중 첫머리에 기록될

정도로 당시 화북지역에서 중시되었던 작물이며 범승지서에는 이들

의 생산을 높이기 위해 糞種하거나 區田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

기도 하였다 답분법도 그 일환 중의 하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粟 黍에 답분을 시비할 때 그 비료는 장기간 잘 부숙한 熟糞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 대소맥의 짚은 연하여 가축의 분뇨와 잘 섞이고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 볏짚보다 쉽게 腐熟한다 이렇게 보면 齊民要術 단계의 踏糞은 어떤 곡물에나 적용되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

하지만 粟 黍는 화북지역의 건조지대나 高地 彊土에도 잘 자라고18)

旱地를 전면적으로 발토하기도 쉽지 않았을 것인데 굳이 답분법을 사

용할 필요성이 있었을까 라는 의문이 생긴다 물론 한대 이후 토지이

용도가 증대되면서 지력이 약화되고 그 결과 생산량도 떨어져 척박한

땅의 비력을 유지하기 위한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만약 耬車

를 이용하여 파종하지 않고 손으로 파종한다면 春大小麥나 春大豆와

같은 작물의 基肥에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

당시 春麥은 lt表1gt과 같이 사민월령에는 정월과 2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흥미로운 것은 범승지서 사민월

령의 春麥과 동맥[麥廣麥]과는 달리 제민요술에는 대소맥이 모두 冬

麥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맥의 재배 지역이 따뜻한

남쪽으로 점차 확대되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麥의 越

冬이 가능할 정도의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일 것이다

춘맥과 동맥재배는 대개 氣候帶에 의해 결정된다 寒冷하여 월동할

수 없는 북부지역의 경우 보통 춘맥을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런데 동일한 화북지역에서 春麥이 동맥중심으로 변한 것은 우선 조건

18) 氾勝之書 禾 黍 條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2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竺可禎의 氣候圖에 의하면 氾勝之書 단계는 온난했던 기후가 하강하는 시기이며 사민월령의 2세기 중엽은

한랭한 시기이며 6세기 중엽의 제민요술의 시기는 한랭한 한계점을

지나 점차 기온이 상승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 가장 추위를 느끼는

시점은 기원전 1세기의 범승지서 단계였을 것이다 그 때문인지 범승지서에는 春麥의 파종시기가 사민월령의 1-2월보다 늦은 3월이

었으며 제민요술 단계에는 春麥도 소개되어 있지만 春麥보다 冬麥

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위진남북조시대에는 春麥을 재배하지

못할 정도로 한랭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실제 7세기가 되면 다시 고

온다습한 기후로 변화되었다고 한다19)

경작기술의 변화 또한 冬麥 재배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예컨

대 작물이 얼지 않도록 잘 보호해주거나 地溫을 유지할 수 있는 조치

가 그것이다 蠶矢 가축분 및 踏糞 등을 시비하면 눈과 서리에 의해

푸석푸석해진 토지를 부드럽게 하여 뿌리를 깊게 내리게 할 뿐 아니라

토양을 보온하여 잘 얼지도 않게 해준다20) 게다가 이런 땅에 심경하

여 畎中條播하게 되면 종자가 적당한 습기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

며 특히 踏糞이 조금씩 분해되면서 양분을 공급해 주기 때문에 春麥

이나 春大豆의 생산력이 높아진다

越冬 주곡작물이 화북지역에서 재배된다는 것은 겨울에 비워둔 토

지를 이용하여 土地利用度를 높이고 그로 인해 다른 작물과의 交代도

다양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바로 養地를 위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답분법의 출현은 粟黍의 지력 회

복은 물론이고 화북지역의 豆 麥의 春耕과 越冬 작물의 재배가 구체

화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당시 製粉 공구의

발달과 함께 小麥 大豆의 보급이 급증한 것은21) 답분법의 등장과 무

19) 劉昭民 中國歷史上氣候之變遷 (臺灣商務印書館 1992) pp99-10020)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俾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

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21) 崔德卿 漢唐期 大豆 가공기술의 발달과 製粉業 (中國史硏究 69 2010)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3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이상 답분법의 출현 배경을 살폈는데 답분이 비료로서 효과를 발휘

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조건이 필요하다 바로 踏糞과 파종조건이 맞

아야 한다 전술한 것처럼 답분법의 보급은 기본적으로 牛馬의 보급과

경작방식에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앞서 한대 대전법이 우경

의 확산에 기여했다고 했지만 대전법은 그 단위 경작면적이 5頃이고

노동조직도 lsquo二牛三人rsquo이었기 때문에 소농민이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했다 제민요술에서 제시한 답분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겨울에

쟁기로 답분을 갈아엎고 덮어주어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파종구를 만

드는 耬車[作條犁]가 아니라 볏[鐴]이 부착된 翻土犁이어야 한다 볏은

전한 때부터 보급되고 후한의 畵像石에서 보듯 쟁기의 형태도 lsquo一牛一

犁rsquo로 발전하고 있는 것을 보면 건강한 소농민은 牛耕을 이용했을 것

으로 보인다22) 이렇게 보면 전면발토가 곤란했던 代田法 및 범승지서단계에는 제민요술과 같은 답분법이 시행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보인다

糞田은 이미 周代 이전에도 등장하지만 구체적인 糞제조방식에 대

한 기록은 답분법이 처음이다 이 이후부터 집안의 잡다한 쓰레기를

태워 재로 만들거나 가축의 우리 속에 넣어 분뇨와 결합하면서 1차적

으로 糞肥로 만들어지고 이를 우리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腐熟

시켜 田地의 거름으로 탈바꿈한다23) 초기의 糞은 蠶矢 美糞 灰糞 등

주로 基肥로 사용되었는데 그 중 부드러운 숙분은 누거파종의 기비에

도 사용되고 거친 비료의 경우 區田이나 수전의 밑거름으로 사용되었

을 것으로 보인다

후대의 답분법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었던 이유는 비료효과

그리고 氾勝之書 區田法 에서는 麥 大豆의 대량생산을 위해 區田法도 실시

하고 있다

22) 최덕경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 pp151-15623) 곡물의 짚이 가축분과 결합되면서 미생물의 작용으로 썩게 되며 긴 시간을

썩히면 분에서 열이 발생하여 유해한 해충을 죽이고 속효성 비료의 효과도 크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4가 입증된 것은 물론이고 당시 한 농가에서 생산된 踏糞의 양이 연간

6畝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으로 보유토지의 일부와 재배

작물의 일부밖에 답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후 농가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답분을 제조했던 것 같다

Ⅲ 宋代 糞에 대한 인식 변화와

ldquo地力常新壯rdquo論의 등장

1 陳旉農書의 거름 제조와 糞屋 糞藥남송 程珌의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에는 제민요술시대 이후

답분법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즉 ldquo수집한 糞穰을 집집마다 산처럼

쌓아두고 市井之間에는 (각종 쓰레기를) 깨끗이 수습하여 남아 있는

것이 없었다 덕분에 토지는 기름지고 稻根은 가뭄에 잘 견뎠다rdquo24)고

한다 이것을 보면 남송시대에도 집집마다 답분을 생산했으며 그것을

산처럼 쌓아두었다는 것은 그 전통이 계속 이어졌음을 말해주며 생산

된 답분은 稻田에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송대 대표적인 농서인 陳旉農書(1149년)에는 그 후 답분법의 모습이 잘 남아있다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에는 ldquo때에 순응하여 소

를 잘 키우는 것이 좋다 봄이 시작되면 반드시 외양간에 쌓여있는 지

푸라기와 쇠똥을 모두 걷어낸다 반드시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

소제해야만 더러운 냄새와 축축한 것들로 인해서 역병과 瘡疾이 생기

고 또한 발굽이 오물에 잠겨 질병이 생기는 것을 면한다 또 상스럽지

못한 것은 마땅히 없앰으로써 소가 거처하는 장소를 깨끗하고 상쾌하

게 해주면 좋다rdquo고25) 하여 제민요술의 답분법과는 다소 다른 느낌

24) 程珌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卷19 ldquo每見衢婺之人 收蓄糞壤 家家山積 市

井之間 掃拾無遺 故土膏肥美 稻根耐旱 米粒精壯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5을 준다26) 齊民要術의 경우 답분의 제조방식에 중점을 두었지만 진부농서는 소 외양간의 청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이 역

시 牛廏에서 퇴비를 생산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 廏肥생산방식을 보면 봄이 되어 소 우리에 깔아 쌓인 lsquo積滯蓐糞rsquo

을 모두 걷어내어 대청소를 하지만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은

소제한다고 하여 퇴비를 생산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齊民要術처럼 생산된 퇴비의 처리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다27) 이때 깔개는 稻作

지대였기 때문에 분명 볏짚이 중심을 이루었을 것이며 깔개도 매일이

아니라 최소한 열흘에 한 차례씩 걷었다는 것으로 보아 답분의 양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답분을 쌓아둔 양이 집집마다 엄청났던

것을 보면 여린 나무 잎과 가지도 가축우리에 넣어 밟게 한다거나 구

덩이에 잡다한 쓰레기를 쌓아 외양간 오줌을 끼얹어 비료로 만들기도

했던 것 같다28) 이것은 화북지역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따라서 10일에 한 번 짚을 갈아주었다는 기록은 강남지역의 경우

水牛를 役牛로 이용했기 때문에 열흘에 한 번 쯤은 우리의 짚을 교체

하여 건강에 관심을 보였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집집마다 산처럼 쌓인 糞穰과 市井에 남아도는 쓰레기가 없을 정도로

퇴비생산에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답분

25)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第一 ldquo且四時有溫涼寒暑之異必順時調適之可

也 於春之初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 亦不必春也但旬日一除免穢氣蒸鬱

以成疫癘 且浸漬蹄甲易以生病 又當祓除不祥以淨爽其處乃善rdquo

26) 陳良佐는 이 문장을 lsquo牛廏肥rsquo의 예로 들고 있다( 我國農田施用之堆廐肥 大陸雜誌 52-4 1976) 충분히 존중해야 할 지적이지만 진부농서에는 이러한

구비의 사용법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곳은 없다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lsquo糞rsquo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 lsquo糞田之宜篇rsquo에서 언급한 비료의 원료로 사용

되고 있는 것인지 혹은 다른 뭔가의 이유로 언급하지 않은 것인지는 상세하지

않다

27) 이러한 현상은 송대의 役牛가 水牛였기 때문에 매일 가축우리를 청소할 필요

가 없었다거나 또 水田의 경우 旱田보다 답분의 基肥가 많이 필요치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28)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p56-62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6은 기존의 粟 黍 麥은 물론이고 稻 豆의 퇴비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재료는 주곡작물의 변화로 인해 맥류와 더불어 볏짚도 주도적으로 사

용되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腐熟방법도 달랐을 것이다

이처럼 陳旉農書에서 踏糞에 대한 안내가 구체적이지 않다고 하

여 송대에 糞과 糞田을 소홀히 취급한 것은 아니었다 陳旉農書에는이전과는 다른 강남의 풍부한 흙과 초목을 태워 만든 土糞[燻土] 火

糞29)[焦泥灰]과 泥糞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를 이용한 餠肥 糠糞

草木灰 綠肥 石灰 踏糞 苗糞 草糞 糞尿 및 동물의 털과 뼈 비료 등

이 다양하게 등장한다30)

이것은 唐末에 편찬되었다고 하는 四時纂要와 비교해도 큰 차이

가 있다 四時纂要에 등장하는 비료는 대부분 牛糞 羊糞 驢馬糞 雞糞 蠶沙[矢]등의 가축분과 燒灰 石灰 灰糞 乾鰻鱧魚汁 米泔 熟糞

爛糞 등인데 이 중에서 牛糞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비료의 종류

는 제민요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宋元代에는 餠肥

渣肥 泥土肥 無機肥 등이 추가되고 46종이나 종류도 늘어나고 있

다31) 더구나 진부농서에는 灌漑가 lsquo用糞rsquo보다 낫다고 하여 水田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32) 농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당 지역과 그 작물

의 특색에 맞게 독특한 비료가 개발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주목할 만

한 것은 비료가 토양과 작물에 어떤 작용을 하며 그 효과는 어떠했는

29)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lsquo糞田之宜篇rsquo

에는 ldquo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

다rdquo라고 하며 lsquo六種之宜篇rsquo에서는 ldquo土糞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 lsquo種桑之法篇rsquo에

서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이 土糞이 화분

의 일종인데 화분에는 흙이 함량이 다소 적어서 焦泥灰에 가깝고 토분에 흙

의 함유량이 많아 lsquo燻土rsquo에 가까워 결코 확연하게 구별하기는 곤란하다 실제

中國農業遺産硏究室 編 中國農學史(下) (科學出版社 1984) p43에서는 火糞

을 土糞이라고 하면서 실제적으로는 焦泥灰라고 하여 구분짓지 않고 있다

30)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 1993) pp53-6331)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pp245-246

3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7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인지 陳旉農書에서는 糞田之宜篇 이라는 독립된 糞田의 章이 등장하기에 이

르렀다 이같은 현상은 진부농서 이전 단계에는 볼 수 없었던 특징

이다

陳旉農書에는 周禮 草人 의 ldquo토지를 개량하는 방법은 땅의 형

색을 보고 판단하며 그 적합함을 살펴서 파종해야 한다rdquo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있다 예컨대 흙 중에서 붉고 굳센 토양[騂剛]의 시비에는

소를 이용하고 붉은빛 토양[赤緹]의 시비에는 羊을 이용한다는 것처럼

토양의 성질에 상응하는 동물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동물 중에는 소 양 돼지 및 개와 같은 가축은 물론이고 사슴 오소

리 큰사슴 여우와 같은 짐승도 있다 문제는 위의 사료에서는 소를

이용한다고만 했을 뿐 그 糞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糞種에서처럼 해당

동물의 뼈즙에 종자를 담가 시비한 것인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이다 그러나 들짐승의 뼈즙을 내어 糞種한다는 것은 일일이 실험하지

않는 한 (실험을 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믿기가 곤란하다 그나마 해

당 동물의 糞汁에 종자를 담가 토양을 다스린 것은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lsquo用rsquo은 糞汁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33) 그렇지만 토양의 성질과 짐승을 연결시켰다는 그 자체는 어

떤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인지는 알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糞田之

宜篇 의 지적과 같이 모든 토양은 제 각기 다른 성질을 띠고 있어서

33) 周禮 地官草人 편의 lsquo糞種rsquo에 대해 鄭司農은 ldquo소뼈 삶은 즙에 종자를 담

그는 것rdquo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는 氾勝之書 溲種法 에서 ldquo骨汁糞汁溲種rdquo

법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즉 가축의 뼈를 부수어 눈 물[雪汁]과 섞어 세

번 끓여 즙액을 받아 附子를 넣어 5일동안 담가두었다가 부자는 건저내고 이

속에 羊이나 蠶矢 등을 넣어 저어 종자를 담가 뒤섞고 이후 햇볕에 말려 씨앗

이 즙액을 흡수하도록 하여 파종했다는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하지만 萬國鼎

은 氾勝之書 區田法 편의 ldquo敎民糞種rdquo에 대해 각주에서 ldquo區田以糞氣爲美 非

必須良田也rdquo와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라는 사료를 근거로 lsquo糞種rsquo의

糞은 基肥를 중시한다는 말이지 골즙을 끊여 羊矢나 蠶矢를 섞어 종자 자체에

시비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糞種은 단순히 ldquo시비하고 파종한다rdquo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萬國鼎 輯釋 氾勝之書輯釋 (農業出版社 1980) p62 참조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8그에 합당하게 시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거름은 lsquo糞藥rsquo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농부들이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마

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진단하여 약을 쓰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

울였다는 점을 나타낸다34) 민간에 이미 이러한 인식이 존재했다는 것

은 강남농업에 있어 비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음을 말해준다35)

실제 동물의 糞은 저마다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糞田할 경

우 곡물을 해칠 수도 있다 때문에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리 시비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周禮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陳旉農書에서 이를 재차 강조하여 ldquo토양의 氣와 脈은 그 유형이 하나같이 않아서 비옥하기도 하고 척박하기도 하여 좋고 나쁨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다스리는 데도 각각 적합한 도리가 있다rdquo고36) 한 것은

토양의 氣脈의 조절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그 결과 糞을 토양의 기맥

을 치료하고 곡물의 성장을 담보하는 藥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은 주목

된다 이것은 송대의 분이 제민요술 단계나 그 이전과 같이 단순히

地力을 높여 생산력을 제고한 수준을 넘어 토양과 작물에 있어 필요불

가결한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그 때문에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와 같이 노천에 거름을 쌓아 저

장했던 방식과 함께 일정한 장소를 만들어 거름을 보관 貯溜하는 방식

도 발전하였다 陳旉農書 糞田之宜篇 에 의하면 농가의 곁에 반드

시 헛간[糞屋]을 설치했다 분옥은 처마와 기둥을 낮게 하여 바람에 휘

날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았다 거름을 노천에 쌓아두면 밤의

3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周禮 草人 lsquo掌土化之法以物地相其宜而

為之種rsquo別土之等差而用糞治 且土之騂剛者糞宜用牛赤緹者糞宜用羊以至渴

澤用鹿鹹潟用貆墳壤用麋勃壤用狐埴壚用豕彊㯺用蕡輕爂用犬皆相視其土之性類以所宜糞而糞之斯得其理矣 俚諺謂之糞藥以言用糞猶藥也rdquo

3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7에서 陳旉는구릉지대인 揚州 부근의 西山에만 줄곧 살았던 것은 아니고 일찍이 다른 곳에

서도 살았던 적이 있다 이 농서에서 언급된 농업의 상황은 장강 하류의 비교

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표한다고 한다

36)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土壤氣脈其類不一肥沃磽埆美惡不同

治之各有宜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8: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88고 있는 경지에는 제민요술의 답분법이 적용될 수 없는 것이다 冬

麥을 제외하고 踏糞法을 이용하여 2월 3월에 春播 가능한 작물을 보

면 lt表1gt과 같이 四民月令에는 春麥 稙禾 苴麻 大豆 豍豆 胡麻

秔稻가 있고 氾勝之書에는 麻 瓜 旋麥[春麥] 穀[粟] 및 秔稻 齊民要術에는 穀[粟] 春大豆 旱稻 胡麻 黍穄 麻子 水稻 瓜 등이 있어

주요 곡물이 모두 春播되고 있다 결국 踏糞을 이들 작물에 이용했다

는 말이 된다

lt表1gt의 우측을 보면 작물과 교대한 前年의 재배 작물을 보면 稻

만 보이지 않고 大豆 麥 菉豆 小大豆 등이 보인다 비록 지역차는

있겠지만 춘파작물이 거듭 재배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파

종시기만으로 보면 당시 동일 圃場에서 春播는 물론 4-6월에 하는 夏

播와 冬麥과 같은 秋播작물이 동시에 보이기도 하고 lt表1gt의 좌측에

서 보듯 春冬麥 春夏豆도 있고 早晩稻 早晩黍 早晩禾도 보여 토지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들 작물 중 우리에서 踏糞 가능한 작물을 보자 胡麻나 麻 등은

줄기가 강하여 수확 후 답분으로 사용하기 곤란하다 大小豆의 줄기

역시 수확 시기에는 나무처럼 단단해져 깍지와 마른 잎을 제외하고는

답분하기에 곤란하다 이것은 穀[粟] 黍의 줄기도 마찬가지이다 이것

들은 잎이 푸르고 익지 않았을 때는 줄기가 물러 가축의 먹이로 사용

되고 踏糞의 소재로도 가능하겠지만 수확기에는 잘게 부수지 않으면

잘 썩지도 않아서 태워 재거름[灰糞]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 부숙하여

田地의 시비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결국 답분 가

능한 작물은 大小麥類와 稻類[水旱稻 秔稻]만이 남게 된다

벼는 이미 전국시대 후기 여씨춘추 審時 편에서부터 주곡작물로

분류되었으며 氾勝之書 稻 편에는 3월에 파종하는 秔稻와 4월에

파종하는 秫稻의 품종부터 水田관리와 물을 대고 수온을 조절하는 방

식까지 다양한 부분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이는 사민월령에도 마찬가지로 3-5월에 秔稻를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晩稻를 제시하고

있다 제민요술 단계에 이르면 색 형태와 수확기가 다른 다양한 水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9稻의 종류가 보이고 水田과 旱田으로 구분하여 경지선택과 이앙방식

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화북지역에

도 벼농사가 점차 중시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다만 화북지역은 陂澤地

가 적어 하천의 彎曲 부분이나 샘이 솟는 지역과 물이 잘 고이는 저지

대 등에 稻作이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11) 이처럼 벼는 까다로운 경작

조건으로 인해 華北에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따라서 짚의

생산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볏짚은 가축의 먹이나 貯藏

孔의 재료12) 보온재 땔감 등 다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일부는 芻稾稅로 국가에 납입되기도 하여13) 답분으로 사용되었을 지라도 그 양은

매일매일 일정한 높이로 깔아줄 정도는 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습도가 적은 화북지역의 경우 볏짚의 부숙 속도는 맥류보다 늦

고 썩은 비료도 부드럽게 흩어지지 않아 대표적인 파종구[耬車]와 摩

平熟土작업 도구[勞]를 사용하기가 맥류짚보다는 곤란하다 그런 것을

보면 踏糞의 재료는 麥類가 중심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2 踏糞의 施肥 작물과 출현 배경

그렇다면 답분을 사용하여 春播한 穀物은 어떤 작물이었을까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粟 黍 麻子 春大豆 春麥과 秔稻 早稻 등으로 압

축할 수 있다 이 모두에 踏糞을 시비했다면 ldquo三十車糞rdquo의 양으로 턱

없이 부족하게 된다 사실 大豆는 예부터 lsquo備凶年rsquo 작물로서 區種하지

않는 한 특별한 시비를 하지 않았다

답분을 이용한 농작물이 무엇이었는가를 살피기 위해 제민요술의11) 齊民要術 水稻 旱稻 참조

12) 氾勝之書 瓠 ldquo掘地深一丈 薦以藁 四邊各厚一尺 以實置孔中 令底下向rdquo

이라고 하여 곡식을 구덩이에 저장하기 위해 두텁게 둘러싸 보관 저장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13) 雲夢睡虎地秦簡 倉律 에는 芻稾는 곡물과 더불어 창고에 보관하였다가 출입 시에는 일일이 內史나 縣廷에 보고한 것을 보면 당시 볏짚은 다양한 용도

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0답분법을 천착해보자 답분의 재료인 麥14)은 여씨춘추에서도 중심작

물로서 자리 잡았던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때부터 답분으로 사용

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답분을 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겨울갈이를 통해 뿌린 거름을 덮어주고 1-2월에 다시 翻土

하는 것이 기본인데 이러한 노동은 手노동농구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

다 牛耕을 이용하여 전지를 전면 발토 해야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牛

耕이 민간에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전국중기 이후이지만 代田法이 확

대되면서 우경의 중요성이 커졌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15)

대전법에서는 耬車를 이용하여 作條와 播種을 동시에 했기 때문에

완전히 腐熟되지 않은 답분을 基肥했을 경우 耬車작동시 발에 걸리거

나 비료가 한쪽으로 쏠려 파종하기가 곤란해진다16) 제민요술 旱稻

편에도 ldquo싹눈을 틔운 볍씨를 파종구인 耬犁로 갈면서 條播하고 흙으

로 종자를 덮는다rdquo17)고 하고 大小麥 편에서는 ldquo山地와 단단한 토지

에는 耬車를 이용하여 파종rdquo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당시에는 적

어도 旱稻와 麥은 답분으로 시비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것 때문

인지 전한 말 氾勝之書의 麻田 麥田 瓠의 시비에 모두 蠶矢를 사용

하거나 區田法에서는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에서처럼 종자

와 함께 섞은 부드러운 美糞이나 糞種이 이용되고 있다 蠶矢 시비나

잘 부숙된 熟糞은 耬車로 파종하더라도 경작과정에서 전혀 문제되지는

않는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결국 봄에 답분을 하는 주요 곡물은 粟 黍이었

음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 답분을 이용하여

14) 夏緯瑛의 주석에 의하면 古書 가운데 麥자만 있으면 소맥(小麥 Triticum

aestivum L)을 말한다고 한다

15) 崔德卿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16) 만약 作畝한 땅에 踏糞을 基肥 하여 耬車로 파종하게 된다면 답분이 耬車의

이빨에 걸려 한쪽으로 밀리거나 앞으로 나가기도 힘들기 때문에 踏糞과 같은

시비는 곤란하다 특히 볏짚을 腐熟한 경우에는 이런 현상이 더욱 잘 발생하

며 麥糞의 경우도 완전히 부숙이 되지 않았을 경우는 누거로 파종하기가 곤란

해진다

17) 齊民要術 旱稻 ldquo漬種如法 裛令開口 耬耩䅖種之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1粟을 파종했다는 전술한 내용과도 부합된다 다시말해 粟이 위진 남북

조시기에도 여전히 주곡 중 하나로 중시되었음을 뜻한다 사실 粟[禾]

黍는 범승지서는 물론 제민요술에도 농작물 중 첫머리에 기록될

정도로 당시 화북지역에서 중시되었던 작물이며 범승지서에는 이들

의 생산을 높이기 위해 糞種하거나 區田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

기도 하였다 답분법도 그 일환 중의 하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粟 黍에 답분을 시비할 때 그 비료는 장기간 잘 부숙한 熟糞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 대소맥의 짚은 연하여 가축의 분뇨와 잘 섞이고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 볏짚보다 쉽게 腐熟한다 이렇게 보면 齊民要術 단계의 踏糞은 어떤 곡물에나 적용되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

하지만 粟 黍는 화북지역의 건조지대나 高地 彊土에도 잘 자라고18)

旱地를 전면적으로 발토하기도 쉽지 않았을 것인데 굳이 답분법을 사

용할 필요성이 있었을까 라는 의문이 생긴다 물론 한대 이후 토지이

용도가 증대되면서 지력이 약화되고 그 결과 생산량도 떨어져 척박한

땅의 비력을 유지하기 위한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만약 耬車

를 이용하여 파종하지 않고 손으로 파종한다면 春大小麥나 春大豆와

같은 작물의 基肥에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

당시 春麥은 lt表1gt과 같이 사민월령에는 정월과 2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흥미로운 것은 범승지서 사민월

령의 春麥과 동맥[麥廣麥]과는 달리 제민요술에는 대소맥이 모두 冬

麥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맥의 재배 지역이 따뜻한

남쪽으로 점차 확대되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麥의 越

冬이 가능할 정도의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일 것이다

춘맥과 동맥재배는 대개 氣候帶에 의해 결정된다 寒冷하여 월동할

수 없는 북부지역의 경우 보통 춘맥을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런데 동일한 화북지역에서 春麥이 동맥중심으로 변한 것은 우선 조건

18) 氾勝之書 禾 黍 條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2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竺可禎의 氣候圖에 의하면 氾勝之書 단계는 온난했던 기후가 하강하는 시기이며 사민월령의 2세기 중엽은

한랭한 시기이며 6세기 중엽의 제민요술의 시기는 한랭한 한계점을

지나 점차 기온이 상승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 가장 추위를 느끼는

시점은 기원전 1세기의 범승지서 단계였을 것이다 그 때문인지 범승지서에는 春麥의 파종시기가 사민월령의 1-2월보다 늦은 3월이

었으며 제민요술 단계에는 春麥도 소개되어 있지만 春麥보다 冬麥

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위진남북조시대에는 春麥을 재배하지

못할 정도로 한랭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실제 7세기가 되면 다시 고

온다습한 기후로 변화되었다고 한다19)

경작기술의 변화 또한 冬麥 재배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예컨

대 작물이 얼지 않도록 잘 보호해주거나 地溫을 유지할 수 있는 조치

가 그것이다 蠶矢 가축분 및 踏糞 등을 시비하면 눈과 서리에 의해

푸석푸석해진 토지를 부드럽게 하여 뿌리를 깊게 내리게 할 뿐 아니라

토양을 보온하여 잘 얼지도 않게 해준다20) 게다가 이런 땅에 심경하

여 畎中條播하게 되면 종자가 적당한 습기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

며 특히 踏糞이 조금씩 분해되면서 양분을 공급해 주기 때문에 春麥

이나 春大豆의 생산력이 높아진다

越冬 주곡작물이 화북지역에서 재배된다는 것은 겨울에 비워둔 토

지를 이용하여 土地利用度를 높이고 그로 인해 다른 작물과의 交代도

다양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바로 養地를 위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답분법의 출현은 粟黍의 지력 회

복은 물론이고 화북지역의 豆 麥의 春耕과 越冬 작물의 재배가 구체

화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당시 製粉 공구의

발달과 함께 小麥 大豆의 보급이 급증한 것은21) 답분법의 등장과 무

19) 劉昭民 中國歷史上氣候之變遷 (臺灣商務印書館 1992) pp99-10020)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俾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

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21) 崔德卿 漢唐期 大豆 가공기술의 발달과 製粉業 (中國史硏究 69 2010)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3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이상 답분법의 출현 배경을 살폈는데 답분이 비료로서 효과를 발휘

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조건이 필요하다 바로 踏糞과 파종조건이 맞

아야 한다 전술한 것처럼 답분법의 보급은 기본적으로 牛馬의 보급과

경작방식에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앞서 한대 대전법이 우경

의 확산에 기여했다고 했지만 대전법은 그 단위 경작면적이 5頃이고

노동조직도 lsquo二牛三人rsquo이었기 때문에 소농민이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했다 제민요술에서 제시한 답분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겨울에

쟁기로 답분을 갈아엎고 덮어주어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파종구를 만

드는 耬車[作條犁]가 아니라 볏[鐴]이 부착된 翻土犁이어야 한다 볏은

전한 때부터 보급되고 후한의 畵像石에서 보듯 쟁기의 형태도 lsquo一牛一

犁rsquo로 발전하고 있는 것을 보면 건강한 소농민은 牛耕을 이용했을 것

으로 보인다22) 이렇게 보면 전면발토가 곤란했던 代田法 및 범승지서단계에는 제민요술과 같은 답분법이 시행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보인다

糞田은 이미 周代 이전에도 등장하지만 구체적인 糞제조방식에 대

한 기록은 답분법이 처음이다 이 이후부터 집안의 잡다한 쓰레기를

태워 재로 만들거나 가축의 우리 속에 넣어 분뇨와 결합하면서 1차적

으로 糞肥로 만들어지고 이를 우리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腐熟

시켜 田地의 거름으로 탈바꿈한다23) 초기의 糞은 蠶矢 美糞 灰糞 등

주로 基肥로 사용되었는데 그 중 부드러운 숙분은 누거파종의 기비에

도 사용되고 거친 비료의 경우 區田이나 수전의 밑거름으로 사용되었

을 것으로 보인다

후대의 답분법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었던 이유는 비료효과

그리고 氾勝之書 區田法 에서는 麥 大豆의 대량생산을 위해 區田法도 실시

하고 있다

22) 최덕경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 pp151-15623) 곡물의 짚이 가축분과 결합되면서 미생물의 작용으로 썩게 되며 긴 시간을

썩히면 분에서 열이 발생하여 유해한 해충을 죽이고 속효성 비료의 효과도 크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4가 입증된 것은 물론이고 당시 한 농가에서 생산된 踏糞의 양이 연간

6畝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으로 보유토지의 일부와 재배

작물의 일부밖에 답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후 농가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답분을 제조했던 것 같다

Ⅲ 宋代 糞에 대한 인식 변화와

ldquo地力常新壯rdquo論의 등장

1 陳旉農書의 거름 제조와 糞屋 糞藥남송 程珌의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에는 제민요술시대 이후

답분법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즉 ldquo수집한 糞穰을 집집마다 산처럼

쌓아두고 市井之間에는 (각종 쓰레기를) 깨끗이 수습하여 남아 있는

것이 없었다 덕분에 토지는 기름지고 稻根은 가뭄에 잘 견뎠다rdquo24)고

한다 이것을 보면 남송시대에도 집집마다 답분을 생산했으며 그것을

산처럼 쌓아두었다는 것은 그 전통이 계속 이어졌음을 말해주며 생산

된 답분은 稻田에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송대 대표적인 농서인 陳旉農書(1149년)에는 그 후 답분법의 모습이 잘 남아있다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에는 ldquo때에 순응하여 소

를 잘 키우는 것이 좋다 봄이 시작되면 반드시 외양간에 쌓여있는 지

푸라기와 쇠똥을 모두 걷어낸다 반드시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

소제해야만 더러운 냄새와 축축한 것들로 인해서 역병과 瘡疾이 생기

고 또한 발굽이 오물에 잠겨 질병이 생기는 것을 면한다 또 상스럽지

못한 것은 마땅히 없앰으로써 소가 거처하는 장소를 깨끗하고 상쾌하

게 해주면 좋다rdquo고25) 하여 제민요술의 답분법과는 다소 다른 느낌

24) 程珌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卷19 ldquo每見衢婺之人 收蓄糞壤 家家山積 市

井之間 掃拾無遺 故土膏肥美 稻根耐旱 米粒精壯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5을 준다26) 齊民要術의 경우 답분의 제조방식에 중점을 두었지만 진부농서는 소 외양간의 청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이 역

시 牛廏에서 퇴비를 생산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 廏肥생산방식을 보면 봄이 되어 소 우리에 깔아 쌓인 lsquo積滯蓐糞rsquo

을 모두 걷어내어 대청소를 하지만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은

소제한다고 하여 퇴비를 생산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齊民要術처럼 생산된 퇴비의 처리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다27) 이때 깔개는 稻作

지대였기 때문에 분명 볏짚이 중심을 이루었을 것이며 깔개도 매일이

아니라 최소한 열흘에 한 차례씩 걷었다는 것으로 보아 답분의 양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답분을 쌓아둔 양이 집집마다 엄청났던

것을 보면 여린 나무 잎과 가지도 가축우리에 넣어 밟게 한다거나 구

덩이에 잡다한 쓰레기를 쌓아 외양간 오줌을 끼얹어 비료로 만들기도

했던 것 같다28) 이것은 화북지역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따라서 10일에 한 번 짚을 갈아주었다는 기록은 강남지역의 경우

水牛를 役牛로 이용했기 때문에 열흘에 한 번 쯤은 우리의 짚을 교체

하여 건강에 관심을 보였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집집마다 산처럼 쌓인 糞穰과 市井에 남아도는 쓰레기가 없을 정도로

퇴비생산에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답분

25)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第一 ldquo且四時有溫涼寒暑之異必順時調適之可

也 於春之初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 亦不必春也但旬日一除免穢氣蒸鬱

以成疫癘 且浸漬蹄甲易以生病 又當祓除不祥以淨爽其處乃善rdquo

26) 陳良佐는 이 문장을 lsquo牛廏肥rsquo의 예로 들고 있다( 我國農田施用之堆廐肥 大陸雜誌 52-4 1976) 충분히 존중해야 할 지적이지만 진부농서에는 이러한

구비의 사용법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곳은 없다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lsquo糞rsquo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 lsquo糞田之宜篇rsquo에서 언급한 비료의 원료로 사용

되고 있는 것인지 혹은 다른 뭔가의 이유로 언급하지 않은 것인지는 상세하지

않다

27) 이러한 현상은 송대의 役牛가 水牛였기 때문에 매일 가축우리를 청소할 필요

가 없었다거나 또 水田의 경우 旱田보다 답분의 基肥가 많이 필요치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28)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p56-62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6은 기존의 粟 黍 麥은 물론이고 稻 豆의 퇴비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재료는 주곡작물의 변화로 인해 맥류와 더불어 볏짚도 주도적으로 사

용되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腐熟방법도 달랐을 것이다

이처럼 陳旉農書에서 踏糞에 대한 안내가 구체적이지 않다고 하

여 송대에 糞과 糞田을 소홀히 취급한 것은 아니었다 陳旉農書에는이전과는 다른 강남의 풍부한 흙과 초목을 태워 만든 土糞[燻土] 火

糞29)[焦泥灰]과 泥糞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를 이용한 餠肥 糠糞

草木灰 綠肥 石灰 踏糞 苗糞 草糞 糞尿 및 동물의 털과 뼈 비료 등

이 다양하게 등장한다30)

이것은 唐末에 편찬되었다고 하는 四時纂要와 비교해도 큰 차이

가 있다 四時纂要에 등장하는 비료는 대부분 牛糞 羊糞 驢馬糞 雞糞 蠶沙[矢]등의 가축분과 燒灰 石灰 灰糞 乾鰻鱧魚汁 米泔 熟糞

爛糞 등인데 이 중에서 牛糞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비료의 종류

는 제민요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宋元代에는 餠肥

渣肥 泥土肥 無機肥 등이 추가되고 46종이나 종류도 늘어나고 있

다31) 더구나 진부농서에는 灌漑가 lsquo用糞rsquo보다 낫다고 하여 水田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32) 농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당 지역과 그 작물

의 특색에 맞게 독특한 비료가 개발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주목할 만

한 것은 비료가 토양과 작물에 어떤 작용을 하며 그 효과는 어떠했는

29)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lsquo糞田之宜篇rsquo

에는 ldquo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

다rdquo라고 하며 lsquo六種之宜篇rsquo에서는 ldquo土糞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 lsquo種桑之法篇rsquo에

서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이 土糞이 화분

의 일종인데 화분에는 흙이 함량이 다소 적어서 焦泥灰에 가깝고 토분에 흙

의 함유량이 많아 lsquo燻土rsquo에 가까워 결코 확연하게 구별하기는 곤란하다 실제

中國農業遺産硏究室 編 中國農學史(下) (科學出版社 1984) p43에서는 火糞

을 土糞이라고 하면서 실제적으로는 焦泥灰라고 하여 구분짓지 않고 있다

30)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 1993) pp53-6331)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pp245-246

3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7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인지 陳旉農書에서는 糞田之宜篇 이라는 독립된 糞田의 章이 등장하기에 이

르렀다 이같은 현상은 진부농서 이전 단계에는 볼 수 없었던 특징

이다

陳旉農書에는 周禮 草人 의 ldquo토지를 개량하는 방법은 땅의 형

색을 보고 판단하며 그 적합함을 살펴서 파종해야 한다rdquo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있다 예컨대 흙 중에서 붉고 굳센 토양[騂剛]의 시비에는

소를 이용하고 붉은빛 토양[赤緹]의 시비에는 羊을 이용한다는 것처럼

토양의 성질에 상응하는 동물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동물 중에는 소 양 돼지 및 개와 같은 가축은 물론이고 사슴 오소

리 큰사슴 여우와 같은 짐승도 있다 문제는 위의 사료에서는 소를

이용한다고만 했을 뿐 그 糞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糞種에서처럼 해당

동물의 뼈즙에 종자를 담가 시비한 것인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이다 그러나 들짐승의 뼈즙을 내어 糞種한다는 것은 일일이 실험하지

않는 한 (실험을 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믿기가 곤란하다 그나마 해

당 동물의 糞汁에 종자를 담가 토양을 다스린 것은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lsquo用rsquo은 糞汁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33) 그렇지만 토양의 성질과 짐승을 연결시켰다는 그 자체는 어

떤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인지는 알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糞田之

宜篇 의 지적과 같이 모든 토양은 제 각기 다른 성질을 띠고 있어서

33) 周禮 地官草人 편의 lsquo糞種rsquo에 대해 鄭司農은 ldquo소뼈 삶은 즙에 종자를 담

그는 것rdquo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는 氾勝之書 溲種法 에서 ldquo骨汁糞汁溲種rdquo

법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즉 가축의 뼈를 부수어 눈 물[雪汁]과 섞어 세

번 끓여 즙액을 받아 附子를 넣어 5일동안 담가두었다가 부자는 건저내고 이

속에 羊이나 蠶矢 등을 넣어 저어 종자를 담가 뒤섞고 이후 햇볕에 말려 씨앗

이 즙액을 흡수하도록 하여 파종했다는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하지만 萬國鼎

은 氾勝之書 區田法 편의 ldquo敎民糞種rdquo에 대해 각주에서 ldquo區田以糞氣爲美 非

必須良田也rdquo와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라는 사료를 근거로 lsquo糞種rsquo의

糞은 基肥를 중시한다는 말이지 골즙을 끊여 羊矢나 蠶矢를 섞어 종자 자체에

시비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糞種은 단순히 ldquo시비하고 파종한다rdquo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萬國鼎 輯釋 氾勝之書輯釋 (農業出版社 1980) p62 참조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8그에 합당하게 시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거름은 lsquo糞藥rsquo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농부들이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마

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진단하여 약을 쓰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

울였다는 점을 나타낸다34) 민간에 이미 이러한 인식이 존재했다는 것

은 강남농업에 있어 비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음을 말해준다35)

실제 동물의 糞은 저마다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糞田할 경

우 곡물을 해칠 수도 있다 때문에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리 시비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周禮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陳旉農書에서 이를 재차 강조하여 ldquo토양의 氣와 脈은 그 유형이 하나같이 않아서 비옥하기도 하고 척박하기도 하여 좋고 나쁨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다스리는 데도 각각 적합한 도리가 있다rdquo고36) 한 것은

토양의 氣脈의 조절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그 결과 糞을 토양의 기맥

을 치료하고 곡물의 성장을 담보하는 藥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은 주목

된다 이것은 송대의 분이 제민요술 단계나 그 이전과 같이 단순히

地力을 높여 생산력을 제고한 수준을 넘어 토양과 작물에 있어 필요불

가결한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그 때문에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와 같이 노천에 거름을 쌓아 저

장했던 방식과 함께 일정한 장소를 만들어 거름을 보관 貯溜하는 방식

도 발전하였다 陳旉農書 糞田之宜篇 에 의하면 농가의 곁에 반드

시 헛간[糞屋]을 설치했다 분옥은 처마와 기둥을 낮게 하여 바람에 휘

날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았다 거름을 노천에 쌓아두면 밤의

3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周禮 草人 lsquo掌土化之法以物地相其宜而

為之種rsquo別土之等差而用糞治 且土之騂剛者糞宜用牛赤緹者糞宜用羊以至渴

澤用鹿鹹潟用貆墳壤用麋勃壤用狐埴壚用豕彊㯺用蕡輕爂用犬皆相視其土之性類以所宜糞而糞之斯得其理矣 俚諺謂之糞藥以言用糞猶藥也rdquo

3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7에서 陳旉는구릉지대인 揚州 부근의 西山에만 줄곧 살았던 것은 아니고 일찍이 다른 곳에

서도 살았던 적이 있다 이 농서에서 언급된 농업의 상황은 장강 하류의 비교

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표한다고 한다

36)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土壤氣脈其類不一肥沃磽埆美惡不同

治之各有宜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9: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89稻의 종류가 보이고 水田과 旱田으로 구분하여 경지선택과 이앙방식

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화북지역에

도 벼농사가 점차 중시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다만 화북지역은 陂澤地

가 적어 하천의 彎曲 부분이나 샘이 솟는 지역과 물이 잘 고이는 저지

대 등에 稻作이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11) 이처럼 벼는 까다로운 경작

조건으로 인해 華北에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따라서 짚의

생산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볏짚은 가축의 먹이나 貯藏

孔의 재료12) 보온재 땔감 등 다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일부는 芻稾稅로 국가에 납입되기도 하여13) 답분으로 사용되었을 지라도 그 양은

매일매일 일정한 높이로 깔아줄 정도는 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습도가 적은 화북지역의 경우 볏짚의 부숙 속도는 맥류보다 늦

고 썩은 비료도 부드럽게 흩어지지 않아 대표적인 파종구[耬車]와 摩

平熟土작업 도구[勞]를 사용하기가 맥류짚보다는 곤란하다 그런 것을

보면 踏糞의 재료는 麥類가 중심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2 踏糞의 施肥 작물과 출현 배경

그렇다면 답분을 사용하여 春播한 穀物은 어떤 작물이었을까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粟 黍 麻子 春大豆 春麥과 秔稻 早稻 등으로 압

축할 수 있다 이 모두에 踏糞을 시비했다면 ldquo三十車糞rdquo의 양으로 턱

없이 부족하게 된다 사실 大豆는 예부터 lsquo備凶年rsquo 작물로서 區種하지

않는 한 특별한 시비를 하지 않았다

답분을 이용한 농작물이 무엇이었는가를 살피기 위해 제민요술의11) 齊民要術 水稻 旱稻 참조

12) 氾勝之書 瓠 ldquo掘地深一丈 薦以藁 四邊各厚一尺 以實置孔中 令底下向rdquo

이라고 하여 곡식을 구덩이에 저장하기 위해 두텁게 둘러싸 보관 저장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13) 雲夢睡虎地秦簡 倉律 에는 芻稾는 곡물과 더불어 창고에 보관하였다가 출입 시에는 일일이 內史나 縣廷에 보고한 것을 보면 당시 볏짚은 다양한 용도

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0답분법을 천착해보자 답분의 재료인 麥14)은 여씨춘추에서도 중심작

물로서 자리 잡았던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때부터 답분으로 사용

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답분을 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겨울갈이를 통해 뿌린 거름을 덮어주고 1-2월에 다시 翻土

하는 것이 기본인데 이러한 노동은 手노동농구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

다 牛耕을 이용하여 전지를 전면 발토 해야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牛

耕이 민간에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전국중기 이후이지만 代田法이 확

대되면서 우경의 중요성이 커졌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15)

대전법에서는 耬車를 이용하여 作條와 播種을 동시에 했기 때문에

완전히 腐熟되지 않은 답분을 基肥했을 경우 耬車작동시 발에 걸리거

나 비료가 한쪽으로 쏠려 파종하기가 곤란해진다16) 제민요술 旱稻

편에도 ldquo싹눈을 틔운 볍씨를 파종구인 耬犁로 갈면서 條播하고 흙으

로 종자를 덮는다rdquo17)고 하고 大小麥 편에서는 ldquo山地와 단단한 토지

에는 耬車를 이용하여 파종rdquo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당시에는 적

어도 旱稻와 麥은 답분으로 시비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것 때문

인지 전한 말 氾勝之書의 麻田 麥田 瓠의 시비에 모두 蠶矢를 사용

하거나 區田法에서는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에서처럼 종자

와 함께 섞은 부드러운 美糞이나 糞種이 이용되고 있다 蠶矢 시비나

잘 부숙된 熟糞은 耬車로 파종하더라도 경작과정에서 전혀 문제되지는

않는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결국 봄에 답분을 하는 주요 곡물은 粟 黍이었

음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 답분을 이용하여

14) 夏緯瑛의 주석에 의하면 古書 가운데 麥자만 있으면 소맥(小麥 Triticum

aestivum L)을 말한다고 한다

15) 崔德卿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16) 만약 作畝한 땅에 踏糞을 基肥 하여 耬車로 파종하게 된다면 답분이 耬車의

이빨에 걸려 한쪽으로 밀리거나 앞으로 나가기도 힘들기 때문에 踏糞과 같은

시비는 곤란하다 특히 볏짚을 腐熟한 경우에는 이런 현상이 더욱 잘 발생하

며 麥糞의 경우도 완전히 부숙이 되지 않았을 경우는 누거로 파종하기가 곤란

해진다

17) 齊民要術 旱稻 ldquo漬種如法 裛令開口 耬耩䅖種之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1粟을 파종했다는 전술한 내용과도 부합된다 다시말해 粟이 위진 남북

조시기에도 여전히 주곡 중 하나로 중시되었음을 뜻한다 사실 粟[禾]

黍는 범승지서는 물론 제민요술에도 농작물 중 첫머리에 기록될

정도로 당시 화북지역에서 중시되었던 작물이며 범승지서에는 이들

의 생산을 높이기 위해 糞種하거나 區田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

기도 하였다 답분법도 그 일환 중의 하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粟 黍에 답분을 시비할 때 그 비료는 장기간 잘 부숙한 熟糞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 대소맥의 짚은 연하여 가축의 분뇨와 잘 섞이고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 볏짚보다 쉽게 腐熟한다 이렇게 보면 齊民要術 단계의 踏糞은 어떤 곡물에나 적용되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

하지만 粟 黍는 화북지역의 건조지대나 高地 彊土에도 잘 자라고18)

旱地를 전면적으로 발토하기도 쉽지 않았을 것인데 굳이 답분법을 사

용할 필요성이 있었을까 라는 의문이 생긴다 물론 한대 이후 토지이

용도가 증대되면서 지력이 약화되고 그 결과 생산량도 떨어져 척박한

땅의 비력을 유지하기 위한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만약 耬車

를 이용하여 파종하지 않고 손으로 파종한다면 春大小麥나 春大豆와

같은 작물의 基肥에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

당시 春麥은 lt表1gt과 같이 사민월령에는 정월과 2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흥미로운 것은 범승지서 사민월

령의 春麥과 동맥[麥廣麥]과는 달리 제민요술에는 대소맥이 모두 冬

麥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맥의 재배 지역이 따뜻한

남쪽으로 점차 확대되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麥의 越

冬이 가능할 정도의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일 것이다

춘맥과 동맥재배는 대개 氣候帶에 의해 결정된다 寒冷하여 월동할

수 없는 북부지역의 경우 보통 춘맥을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런데 동일한 화북지역에서 春麥이 동맥중심으로 변한 것은 우선 조건

18) 氾勝之書 禾 黍 條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2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竺可禎의 氣候圖에 의하면 氾勝之書 단계는 온난했던 기후가 하강하는 시기이며 사민월령의 2세기 중엽은

한랭한 시기이며 6세기 중엽의 제민요술의 시기는 한랭한 한계점을

지나 점차 기온이 상승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 가장 추위를 느끼는

시점은 기원전 1세기의 범승지서 단계였을 것이다 그 때문인지 범승지서에는 春麥의 파종시기가 사민월령의 1-2월보다 늦은 3월이

었으며 제민요술 단계에는 春麥도 소개되어 있지만 春麥보다 冬麥

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위진남북조시대에는 春麥을 재배하지

못할 정도로 한랭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실제 7세기가 되면 다시 고

온다습한 기후로 변화되었다고 한다19)

경작기술의 변화 또한 冬麥 재배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예컨

대 작물이 얼지 않도록 잘 보호해주거나 地溫을 유지할 수 있는 조치

가 그것이다 蠶矢 가축분 및 踏糞 등을 시비하면 눈과 서리에 의해

푸석푸석해진 토지를 부드럽게 하여 뿌리를 깊게 내리게 할 뿐 아니라

토양을 보온하여 잘 얼지도 않게 해준다20) 게다가 이런 땅에 심경하

여 畎中條播하게 되면 종자가 적당한 습기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

며 특히 踏糞이 조금씩 분해되면서 양분을 공급해 주기 때문에 春麥

이나 春大豆의 생산력이 높아진다

越冬 주곡작물이 화북지역에서 재배된다는 것은 겨울에 비워둔 토

지를 이용하여 土地利用度를 높이고 그로 인해 다른 작물과의 交代도

다양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바로 養地를 위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답분법의 출현은 粟黍의 지력 회

복은 물론이고 화북지역의 豆 麥의 春耕과 越冬 작물의 재배가 구체

화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당시 製粉 공구의

발달과 함께 小麥 大豆의 보급이 급증한 것은21) 답분법의 등장과 무

19) 劉昭民 中國歷史上氣候之變遷 (臺灣商務印書館 1992) pp99-10020)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俾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

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21) 崔德卿 漢唐期 大豆 가공기술의 발달과 製粉業 (中國史硏究 69 2010)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3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이상 답분법의 출현 배경을 살폈는데 답분이 비료로서 효과를 발휘

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조건이 필요하다 바로 踏糞과 파종조건이 맞

아야 한다 전술한 것처럼 답분법의 보급은 기본적으로 牛馬의 보급과

경작방식에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앞서 한대 대전법이 우경

의 확산에 기여했다고 했지만 대전법은 그 단위 경작면적이 5頃이고

노동조직도 lsquo二牛三人rsquo이었기 때문에 소농민이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했다 제민요술에서 제시한 답분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겨울에

쟁기로 답분을 갈아엎고 덮어주어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파종구를 만

드는 耬車[作條犁]가 아니라 볏[鐴]이 부착된 翻土犁이어야 한다 볏은

전한 때부터 보급되고 후한의 畵像石에서 보듯 쟁기의 형태도 lsquo一牛一

犁rsquo로 발전하고 있는 것을 보면 건강한 소농민은 牛耕을 이용했을 것

으로 보인다22) 이렇게 보면 전면발토가 곤란했던 代田法 및 범승지서단계에는 제민요술과 같은 답분법이 시행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보인다

糞田은 이미 周代 이전에도 등장하지만 구체적인 糞제조방식에 대

한 기록은 답분법이 처음이다 이 이후부터 집안의 잡다한 쓰레기를

태워 재로 만들거나 가축의 우리 속에 넣어 분뇨와 결합하면서 1차적

으로 糞肥로 만들어지고 이를 우리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腐熟

시켜 田地의 거름으로 탈바꿈한다23) 초기의 糞은 蠶矢 美糞 灰糞 등

주로 基肥로 사용되었는데 그 중 부드러운 숙분은 누거파종의 기비에

도 사용되고 거친 비료의 경우 區田이나 수전의 밑거름으로 사용되었

을 것으로 보인다

후대의 답분법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었던 이유는 비료효과

그리고 氾勝之書 區田法 에서는 麥 大豆의 대량생산을 위해 區田法도 실시

하고 있다

22) 최덕경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 pp151-15623) 곡물의 짚이 가축분과 결합되면서 미생물의 작용으로 썩게 되며 긴 시간을

썩히면 분에서 열이 발생하여 유해한 해충을 죽이고 속효성 비료의 효과도 크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4가 입증된 것은 물론이고 당시 한 농가에서 생산된 踏糞의 양이 연간

6畝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으로 보유토지의 일부와 재배

작물의 일부밖에 답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후 농가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답분을 제조했던 것 같다

Ⅲ 宋代 糞에 대한 인식 변화와

ldquo地力常新壯rdquo論의 등장

1 陳旉農書의 거름 제조와 糞屋 糞藥남송 程珌의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에는 제민요술시대 이후

답분법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즉 ldquo수집한 糞穰을 집집마다 산처럼

쌓아두고 市井之間에는 (각종 쓰레기를) 깨끗이 수습하여 남아 있는

것이 없었다 덕분에 토지는 기름지고 稻根은 가뭄에 잘 견뎠다rdquo24)고

한다 이것을 보면 남송시대에도 집집마다 답분을 생산했으며 그것을

산처럼 쌓아두었다는 것은 그 전통이 계속 이어졌음을 말해주며 생산

된 답분은 稻田에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송대 대표적인 농서인 陳旉農書(1149년)에는 그 후 답분법의 모습이 잘 남아있다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에는 ldquo때에 순응하여 소

를 잘 키우는 것이 좋다 봄이 시작되면 반드시 외양간에 쌓여있는 지

푸라기와 쇠똥을 모두 걷어낸다 반드시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

소제해야만 더러운 냄새와 축축한 것들로 인해서 역병과 瘡疾이 생기

고 또한 발굽이 오물에 잠겨 질병이 생기는 것을 면한다 또 상스럽지

못한 것은 마땅히 없앰으로써 소가 거처하는 장소를 깨끗하고 상쾌하

게 해주면 좋다rdquo고25) 하여 제민요술의 답분법과는 다소 다른 느낌

24) 程珌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卷19 ldquo每見衢婺之人 收蓄糞壤 家家山積 市

井之間 掃拾無遺 故土膏肥美 稻根耐旱 米粒精壯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5을 준다26) 齊民要術의 경우 답분의 제조방식에 중점을 두었지만 진부농서는 소 외양간의 청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이 역

시 牛廏에서 퇴비를 생산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 廏肥생산방식을 보면 봄이 되어 소 우리에 깔아 쌓인 lsquo積滯蓐糞rsquo

을 모두 걷어내어 대청소를 하지만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은

소제한다고 하여 퇴비를 생산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齊民要術처럼 생산된 퇴비의 처리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다27) 이때 깔개는 稻作

지대였기 때문에 분명 볏짚이 중심을 이루었을 것이며 깔개도 매일이

아니라 최소한 열흘에 한 차례씩 걷었다는 것으로 보아 답분의 양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답분을 쌓아둔 양이 집집마다 엄청났던

것을 보면 여린 나무 잎과 가지도 가축우리에 넣어 밟게 한다거나 구

덩이에 잡다한 쓰레기를 쌓아 외양간 오줌을 끼얹어 비료로 만들기도

했던 것 같다28) 이것은 화북지역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따라서 10일에 한 번 짚을 갈아주었다는 기록은 강남지역의 경우

水牛를 役牛로 이용했기 때문에 열흘에 한 번 쯤은 우리의 짚을 교체

하여 건강에 관심을 보였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집집마다 산처럼 쌓인 糞穰과 市井에 남아도는 쓰레기가 없을 정도로

퇴비생산에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답분

25)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第一 ldquo且四時有溫涼寒暑之異必順時調適之可

也 於春之初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 亦不必春也但旬日一除免穢氣蒸鬱

以成疫癘 且浸漬蹄甲易以生病 又當祓除不祥以淨爽其處乃善rdquo

26) 陳良佐는 이 문장을 lsquo牛廏肥rsquo의 예로 들고 있다( 我國農田施用之堆廐肥 大陸雜誌 52-4 1976) 충분히 존중해야 할 지적이지만 진부농서에는 이러한

구비의 사용법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곳은 없다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lsquo糞rsquo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 lsquo糞田之宜篇rsquo에서 언급한 비료의 원료로 사용

되고 있는 것인지 혹은 다른 뭔가의 이유로 언급하지 않은 것인지는 상세하지

않다

27) 이러한 현상은 송대의 役牛가 水牛였기 때문에 매일 가축우리를 청소할 필요

가 없었다거나 또 水田의 경우 旱田보다 답분의 基肥가 많이 필요치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28)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p56-62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6은 기존의 粟 黍 麥은 물론이고 稻 豆의 퇴비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재료는 주곡작물의 변화로 인해 맥류와 더불어 볏짚도 주도적으로 사

용되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腐熟방법도 달랐을 것이다

이처럼 陳旉農書에서 踏糞에 대한 안내가 구체적이지 않다고 하

여 송대에 糞과 糞田을 소홀히 취급한 것은 아니었다 陳旉農書에는이전과는 다른 강남의 풍부한 흙과 초목을 태워 만든 土糞[燻土] 火

糞29)[焦泥灰]과 泥糞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를 이용한 餠肥 糠糞

草木灰 綠肥 石灰 踏糞 苗糞 草糞 糞尿 및 동물의 털과 뼈 비료 등

이 다양하게 등장한다30)

이것은 唐末에 편찬되었다고 하는 四時纂要와 비교해도 큰 차이

가 있다 四時纂要에 등장하는 비료는 대부분 牛糞 羊糞 驢馬糞 雞糞 蠶沙[矢]등의 가축분과 燒灰 石灰 灰糞 乾鰻鱧魚汁 米泔 熟糞

爛糞 등인데 이 중에서 牛糞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비료의 종류

는 제민요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宋元代에는 餠肥

渣肥 泥土肥 無機肥 등이 추가되고 46종이나 종류도 늘어나고 있

다31) 더구나 진부농서에는 灌漑가 lsquo用糞rsquo보다 낫다고 하여 水田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32) 농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당 지역과 그 작물

의 특색에 맞게 독특한 비료가 개발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주목할 만

한 것은 비료가 토양과 작물에 어떤 작용을 하며 그 효과는 어떠했는

29)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lsquo糞田之宜篇rsquo

에는 ldquo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

다rdquo라고 하며 lsquo六種之宜篇rsquo에서는 ldquo土糞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 lsquo種桑之法篇rsquo에

서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이 土糞이 화분

의 일종인데 화분에는 흙이 함량이 다소 적어서 焦泥灰에 가깝고 토분에 흙

의 함유량이 많아 lsquo燻土rsquo에 가까워 결코 확연하게 구별하기는 곤란하다 실제

中國農業遺産硏究室 編 中國農學史(下) (科學出版社 1984) p43에서는 火糞

을 土糞이라고 하면서 실제적으로는 焦泥灰라고 하여 구분짓지 않고 있다

30)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 1993) pp53-6331)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pp245-246

3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7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인지 陳旉農書에서는 糞田之宜篇 이라는 독립된 糞田의 章이 등장하기에 이

르렀다 이같은 현상은 진부농서 이전 단계에는 볼 수 없었던 특징

이다

陳旉農書에는 周禮 草人 의 ldquo토지를 개량하는 방법은 땅의 형

색을 보고 판단하며 그 적합함을 살펴서 파종해야 한다rdquo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있다 예컨대 흙 중에서 붉고 굳센 토양[騂剛]의 시비에는

소를 이용하고 붉은빛 토양[赤緹]의 시비에는 羊을 이용한다는 것처럼

토양의 성질에 상응하는 동물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동물 중에는 소 양 돼지 및 개와 같은 가축은 물론이고 사슴 오소

리 큰사슴 여우와 같은 짐승도 있다 문제는 위의 사료에서는 소를

이용한다고만 했을 뿐 그 糞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糞種에서처럼 해당

동물의 뼈즙에 종자를 담가 시비한 것인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이다 그러나 들짐승의 뼈즙을 내어 糞種한다는 것은 일일이 실험하지

않는 한 (실험을 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믿기가 곤란하다 그나마 해

당 동물의 糞汁에 종자를 담가 토양을 다스린 것은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lsquo用rsquo은 糞汁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33) 그렇지만 토양의 성질과 짐승을 연결시켰다는 그 자체는 어

떤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인지는 알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糞田之

宜篇 의 지적과 같이 모든 토양은 제 각기 다른 성질을 띠고 있어서

33) 周禮 地官草人 편의 lsquo糞種rsquo에 대해 鄭司農은 ldquo소뼈 삶은 즙에 종자를 담

그는 것rdquo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는 氾勝之書 溲種法 에서 ldquo骨汁糞汁溲種rdquo

법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즉 가축의 뼈를 부수어 눈 물[雪汁]과 섞어 세

번 끓여 즙액을 받아 附子를 넣어 5일동안 담가두었다가 부자는 건저내고 이

속에 羊이나 蠶矢 등을 넣어 저어 종자를 담가 뒤섞고 이후 햇볕에 말려 씨앗

이 즙액을 흡수하도록 하여 파종했다는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하지만 萬國鼎

은 氾勝之書 區田法 편의 ldquo敎民糞種rdquo에 대해 각주에서 ldquo區田以糞氣爲美 非

必須良田也rdquo와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라는 사료를 근거로 lsquo糞種rsquo의

糞은 基肥를 중시한다는 말이지 골즙을 끊여 羊矢나 蠶矢를 섞어 종자 자체에

시비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糞種은 단순히 ldquo시비하고 파종한다rdquo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萬國鼎 輯釋 氾勝之書輯釋 (農業出版社 1980) p62 참조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8그에 합당하게 시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거름은 lsquo糞藥rsquo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농부들이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마

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진단하여 약을 쓰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

울였다는 점을 나타낸다34) 민간에 이미 이러한 인식이 존재했다는 것

은 강남농업에 있어 비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음을 말해준다35)

실제 동물의 糞은 저마다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糞田할 경

우 곡물을 해칠 수도 있다 때문에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리 시비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周禮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陳旉農書에서 이를 재차 강조하여 ldquo토양의 氣와 脈은 그 유형이 하나같이 않아서 비옥하기도 하고 척박하기도 하여 좋고 나쁨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다스리는 데도 각각 적합한 도리가 있다rdquo고36) 한 것은

토양의 氣脈의 조절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그 결과 糞을 토양의 기맥

을 치료하고 곡물의 성장을 담보하는 藥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은 주목

된다 이것은 송대의 분이 제민요술 단계나 그 이전과 같이 단순히

地力을 높여 생산력을 제고한 수준을 넘어 토양과 작물에 있어 필요불

가결한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그 때문에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와 같이 노천에 거름을 쌓아 저

장했던 방식과 함께 일정한 장소를 만들어 거름을 보관 貯溜하는 방식

도 발전하였다 陳旉農書 糞田之宜篇 에 의하면 농가의 곁에 반드

시 헛간[糞屋]을 설치했다 분옥은 처마와 기둥을 낮게 하여 바람에 휘

날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았다 거름을 노천에 쌓아두면 밤의

3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周禮 草人 lsquo掌土化之法以物地相其宜而

為之種rsquo別土之等差而用糞治 且土之騂剛者糞宜用牛赤緹者糞宜用羊以至渴

澤用鹿鹹潟用貆墳壤用麋勃壤用狐埴壚用豕彊㯺用蕡輕爂用犬皆相視其土之性類以所宜糞而糞之斯得其理矣 俚諺謂之糞藥以言用糞猶藥也rdquo

3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7에서 陳旉는구릉지대인 揚州 부근의 西山에만 줄곧 살았던 것은 아니고 일찍이 다른 곳에

서도 살았던 적이 있다 이 농서에서 언급된 농업의 상황은 장강 하류의 비교

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표한다고 한다

36)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土壤氣脈其類不一肥沃磽埆美惡不同

治之各有宜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10: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0답분법을 천착해보자 답분의 재료인 麥14)은 여씨춘추에서도 중심작

물로서 자리 잡았던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때부터 답분으로 사용

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답분을 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겨울갈이를 통해 뿌린 거름을 덮어주고 1-2월에 다시 翻土

하는 것이 기본인데 이러한 노동은 手노동농구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

다 牛耕을 이용하여 전지를 전면 발토 해야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牛

耕이 민간에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전국중기 이후이지만 代田法이 확

대되면서 우경의 중요성이 커졌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15)

대전법에서는 耬車를 이용하여 作條와 播種을 동시에 했기 때문에

완전히 腐熟되지 않은 답분을 基肥했을 경우 耬車작동시 발에 걸리거

나 비료가 한쪽으로 쏠려 파종하기가 곤란해진다16) 제민요술 旱稻

편에도 ldquo싹눈을 틔운 볍씨를 파종구인 耬犁로 갈면서 條播하고 흙으

로 종자를 덮는다rdquo17)고 하고 大小麥 편에서는 ldquo山地와 단단한 토지

에는 耬車를 이용하여 파종rdquo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당시에는 적

어도 旱稻와 麥은 답분으로 시비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것 때문

인지 전한 말 氾勝之書의 麻田 麥田 瓠의 시비에 모두 蠶矢를 사용

하거나 區田法에서는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에서처럼 종자

와 함께 섞은 부드러운 美糞이나 糞種이 이용되고 있다 蠶矢 시비나

잘 부숙된 熟糞은 耬車로 파종하더라도 경작과정에서 전혀 문제되지는

않는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결국 봄에 답분을 하는 주요 곡물은 粟 黍이었

음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 답분을 이용하여

14) 夏緯瑛의 주석에 의하면 古書 가운데 麥자만 있으면 소맥(小麥 Triticum

aestivum L)을 말한다고 한다

15) 崔德卿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16) 만약 作畝한 땅에 踏糞을 基肥 하여 耬車로 파종하게 된다면 답분이 耬車의

이빨에 걸려 한쪽으로 밀리거나 앞으로 나가기도 힘들기 때문에 踏糞과 같은

시비는 곤란하다 특히 볏짚을 腐熟한 경우에는 이런 현상이 더욱 잘 발생하

며 麥糞의 경우도 완전히 부숙이 되지 않았을 경우는 누거로 파종하기가 곤란

해진다

17) 齊民要術 旱稻 ldquo漬種如法 裛令開口 耬耩䅖種之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1粟을 파종했다는 전술한 내용과도 부합된다 다시말해 粟이 위진 남북

조시기에도 여전히 주곡 중 하나로 중시되었음을 뜻한다 사실 粟[禾]

黍는 범승지서는 물론 제민요술에도 농작물 중 첫머리에 기록될

정도로 당시 화북지역에서 중시되었던 작물이며 범승지서에는 이들

의 생산을 높이기 위해 糞種하거나 區田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

기도 하였다 답분법도 그 일환 중의 하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粟 黍에 답분을 시비할 때 그 비료는 장기간 잘 부숙한 熟糞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 대소맥의 짚은 연하여 가축의 분뇨와 잘 섞이고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 볏짚보다 쉽게 腐熟한다 이렇게 보면 齊民要術 단계의 踏糞은 어떤 곡물에나 적용되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

하지만 粟 黍는 화북지역의 건조지대나 高地 彊土에도 잘 자라고18)

旱地를 전면적으로 발토하기도 쉽지 않았을 것인데 굳이 답분법을 사

용할 필요성이 있었을까 라는 의문이 생긴다 물론 한대 이후 토지이

용도가 증대되면서 지력이 약화되고 그 결과 생산량도 떨어져 척박한

땅의 비력을 유지하기 위한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만약 耬車

를 이용하여 파종하지 않고 손으로 파종한다면 春大小麥나 春大豆와

같은 작물의 基肥에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

당시 春麥은 lt表1gt과 같이 사민월령에는 정월과 2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흥미로운 것은 범승지서 사민월

령의 春麥과 동맥[麥廣麥]과는 달리 제민요술에는 대소맥이 모두 冬

麥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맥의 재배 지역이 따뜻한

남쪽으로 점차 확대되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麥의 越

冬이 가능할 정도의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일 것이다

춘맥과 동맥재배는 대개 氣候帶에 의해 결정된다 寒冷하여 월동할

수 없는 북부지역의 경우 보통 춘맥을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런데 동일한 화북지역에서 春麥이 동맥중심으로 변한 것은 우선 조건

18) 氾勝之書 禾 黍 條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2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竺可禎의 氣候圖에 의하면 氾勝之書 단계는 온난했던 기후가 하강하는 시기이며 사민월령의 2세기 중엽은

한랭한 시기이며 6세기 중엽의 제민요술의 시기는 한랭한 한계점을

지나 점차 기온이 상승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 가장 추위를 느끼는

시점은 기원전 1세기의 범승지서 단계였을 것이다 그 때문인지 범승지서에는 春麥의 파종시기가 사민월령의 1-2월보다 늦은 3월이

었으며 제민요술 단계에는 春麥도 소개되어 있지만 春麥보다 冬麥

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위진남북조시대에는 春麥을 재배하지

못할 정도로 한랭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실제 7세기가 되면 다시 고

온다습한 기후로 변화되었다고 한다19)

경작기술의 변화 또한 冬麥 재배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예컨

대 작물이 얼지 않도록 잘 보호해주거나 地溫을 유지할 수 있는 조치

가 그것이다 蠶矢 가축분 및 踏糞 등을 시비하면 눈과 서리에 의해

푸석푸석해진 토지를 부드럽게 하여 뿌리를 깊게 내리게 할 뿐 아니라

토양을 보온하여 잘 얼지도 않게 해준다20) 게다가 이런 땅에 심경하

여 畎中條播하게 되면 종자가 적당한 습기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

며 특히 踏糞이 조금씩 분해되면서 양분을 공급해 주기 때문에 春麥

이나 春大豆의 생산력이 높아진다

越冬 주곡작물이 화북지역에서 재배된다는 것은 겨울에 비워둔 토

지를 이용하여 土地利用度를 높이고 그로 인해 다른 작물과의 交代도

다양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바로 養地를 위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답분법의 출현은 粟黍의 지력 회

복은 물론이고 화북지역의 豆 麥의 春耕과 越冬 작물의 재배가 구체

화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당시 製粉 공구의

발달과 함께 小麥 大豆의 보급이 급증한 것은21) 답분법의 등장과 무

19) 劉昭民 中國歷史上氣候之變遷 (臺灣商務印書館 1992) pp99-10020)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俾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

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21) 崔德卿 漢唐期 大豆 가공기술의 발달과 製粉業 (中國史硏究 69 2010)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3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이상 답분법의 출현 배경을 살폈는데 답분이 비료로서 효과를 발휘

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조건이 필요하다 바로 踏糞과 파종조건이 맞

아야 한다 전술한 것처럼 답분법의 보급은 기본적으로 牛馬의 보급과

경작방식에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앞서 한대 대전법이 우경

의 확산에 기여했다고 했지만 대전법은 그 단위 경작면적이 5頃이고

노동조직도 lsquo二牛三人rsquo이었기 때문에 소농민이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했다 제민요술에서 제시한 답분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겨울에

쟁기로 답분을 갈아엎고 덮어주어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파종구를 만

드는 耬車[作條犁]가 아니라 볏[鐴]이 부착된 翻土犁이어야 한다 볏은

전한 때부터 보급되고 후한의 畵像石에서 보듯 쟁기의 형태도 lsquo一牛一

犁rsquo로 발전하고 있는 것을 보면 건강한 소농민은 牛耕을 이용했을 것

으로 보인다22) 이렇게 보면 전면발토가 곤란했던 代田法 및 범승지서단계에는 제민요술과 같은 답분법이 시행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보인다

糞田은 이미 周代 이전에도 등장하지만 구체적인 糞제조방식에 대

한 기록은 답분법이 처음이다 이 이후부터 집안의 잡다한 쓰레기를

태워 재로 만들거나 가축의 우리 속에 넣어 분뇨와 결합하면서 1차적

으로 糞肥로 만들어지고 이를 우리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腐熟

시켜 田地의 거름으로 탈바꿈한다23) 초기의 糞은 蠶矢 美糞 灰糞 등

주로 基肥로 사용되었는데 그 중 부드러운 숙분은 누거파종의 기비에

도 사용되고 거친 비료의 경우 區田이나 수전의 밑거름으로 사용되었

을 것으로 보인다

후대의 답분법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었던 이유는 비료효과

그리고 氾勝之書 區田法 에서는 麥 大豆의 대량생산을 위해 區田法도 실시

하고 있다

22) 최덕경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 pp151-15623) 곡물의 짚이 가축분과 결합되면서 미생물의 작용으로 썩게 되며 긴 시간을

썩히면 분에서 열이 발생하여 유해한 해충을 죽이고 속효성 비료의 효과도 크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4가 입증된 것은 물론이고 당시 한 농가에서 생산된 踏糞의 양이 연간

6畝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으로 보유토지의 일부와 재배

작물의 일부밖에 답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후 농가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답분을 제조했던 것 같다

Ⅲ 宋代 糞에 대한 인식 변화와

ldquo地力常新壯rdquo論의 등장

1 陳旉農書의 거름 제조와 糞屋 糞藥남송 程珌의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에는 제민요술시대 이후

답분법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즉 ldquo수집한 糞穰을 집집마다 산처럼

쌓아두고 市井之間에는 (각종 쓰레기를) 깨끗이 수습하여 남아 있는

것이 없었다 덕분에 토지는 기름지고 稻根은 가뭄에 잘 견뎠다rdquo24)고

한다 이것을 보면 남송시대에도 집집마다 답분을 생산했으며 그것을

산처럼 쌓아두었다는 것은 그 전통이 계속 이어졌음을 말해주며 생산

된 답분은 稻田에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송대 대표적인 농서인 陳旉農書(1149년)에는 그 후 답분법의 모습이 잘 남아있다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에는 ldquo때에 순응하여 소

를 잘 키우는 것이 좋다 봄이 시작되면 반드시 외양간에 쌓여있는 지

푸라기와 쇠똥을 모두 걷어낸다 반드시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

소제해야만 더러운 냄새와 축축한 것들로 인해서 역병과 瘡疾이 생기

고 또한 발굽이 오물에 잠겨 질병이 생기는 것을 면한다 또 상스럽지

못한 것은 마땅히 없앰으로써 소가 거처하는 장소를 깨끗하고 상쾌하

게 해주면 좋다rdquo고25) 하여 제민요술의 답분법과는 다소 다른 느낌

24) 程珌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卷19 ldquo每見衢婺之人 收蓄糞壤 家家山積 市

井之間 掃拾無遺 故土膏肥美 稻根耐旱 米粒精壯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5을 준다26) 齊民要術의 경우 답분의 제조방식에 중점을 두었지만 진부농서는 소 외양간의 청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이 역

시 牛廏에서 퇴비를 생산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 廏肥생산방식을 보면 봄이 되어 소 우리에 깔아 쌓인 lsquo積滯蓐糞rsquo

을 모두 걷어내어 대청소를 하지만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은

소제한다고 하여 퇴비를 생산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齊民要術처럼 생산된 퇴비의 처리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다27) 이때 깔개는 稻作

지대였기 때문에 분명 볏짚이 중심을 이루었을 것이며 깔개도 매일이

아니라 최소한 열흘에 한 차례씩 걷었다는 것으로 보아 답분의 양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답분을 쌓아둔 양이 집집마다 엄청났던

것을 보면 여린 나무 잎과 가지도 가축우리에 넣어 밟게 한다거나 구

덩이에 잡다한 쓰레기를 쌓아 외양간 오줌을 끼얹어 비료로 만들기도

했던 것 같다28) 이것은 화북지역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따라서 10일에 한 번 짚을 갈아주었다는 기록은 강남지역의 경우

水牛를 役牛로 이용했기 때문에 열흘에 한 번 쯤은 우리의 짚을 교체

하여 건강에 관심을 보였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집집마다 산처럼 쌓인 糞穰과 市井에 남아도는 쓰레기가 없을 정도로

퇴비생산에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답분

25)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第一 ldquo且四時有溫涼寒暑之異必順時調適之可

也 於春之初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 亦不必春也但旬日一除免穢氣蒸鬱

以成疫癘 且浸漬蹄甲易以生病 又當祓除不祥以淨爽其處乃善rdquo

26) 陳良佐는 이 문장을 lsquo牛廏肥rsquo의 예로 들고 있다( 我國農田施用之堆廐肥 大陸雜誌 52-4 1976) 충분히 존중해야 할 지적이지만 진부농서에는 이러한

구비의 사용법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곳은 없다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lsquo糞rsquo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 lsquo糞田之宜篇rsquo에서 언급한 비료의 원료로 사용

되고 있는 것인지 혹은 다른 뭔가의 이유로 언급하지 않은 것인지는 상세하지

않다

27) 이러한 현상은 송대의 役牛가 水牛였기 때문에 매일 가축우리를 청소할 필요

가 없었다거나 또 水田의 경우 旱田보다 답분의 基肥가 많이 필요치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28)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p56-62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6은 기존의 粟 黍 麥은 물론이고 稻 豆의 퇴비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재료는 주곡작물의 변화로 인해 맥류와 더불어 볏짚도 주도적으로 사

용되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腐熟방법도 달랐을 것이다

이처럼 陳旉農書에서 踏糞에 대한 안내가 구체적이지 않다고 하

여 송대에 糞과 糞田을 소홀히 취급한 것은 아니었다 陳旉農書에는이전과는 다른 강남의 풍부한 흙과 초목을 태워 만든 土糞[燻土] 火

糞29)[焦泥灰]과 泥糞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를 이용한 餠肥 糠糞

草木灰 綠肥 石灰 踏糞 苗糞 草糞 糞尿 및 동물의 털과 뼈 비료 등

이 다양하게 등장한다30)

이것은 唐末에 편찬되었다고 하는 四時纂要와 비교해도 큰 차이

가 있다 四時纂要에 등장하는 비료는 대부분 牛糞 羊糞 驢馬糞 雞糞 蠶沙[矢]등의 가축분과 燒灰 石灰 灰糞 乾鰻鱧魚汁 米泔 熟糞

爛糞 등인데 이 중에서 牛糞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비료의 종류

는 제민요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宋元代에는 餠肥

渣肥 泥土肥 無機肥 등이 추가되고 46종이나 종류도 늘어나고 있

다31) 더구나 진부농서에는 灌漑가 lsquo用糞rsquo보다 낫다고 하여 水田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32) 농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당 지역과 그 작물

의 특색에 맞게 독특한 비료가 개발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주목할 만

한 것은 비료가 토양과 작물에 어떤 작용을 하며 그 효과는 어떠했는

29)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lsquo糞田之宜篇rsquo

에는 ldquo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

다rdquo라고 하며 lsquo六種之宜篇rsquo에서는 ldquo土糞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 lsquo種桑之法篇rsquo에

서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이 土糞이 화분

의 일종인데 화분에는 흙이 함량이 다소 적어서 焦泥灰에 가깝고 토분에 흙

의 함유량이 많아 lsquo燻土rsquo에 가까워 결코 확연하게 구별하기는 곤란하다 실제

中國農業遺産硏究室 編 中國農學史(下) (科學出版社 1984) p43에서는 火糞

을 土糞이라고 하면서 실제적으로는 焦泥灰라고 하여 구분짓지 않고 있다

30)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 1993) pp53-6331)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pp245-246

3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7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인지 陳旉農書에서는 糞田之宜篇 이라는 독립된 糞田의 章이 등장하기에 이

르렀다 이같은 현상은 진부농서 이전 단계에는 볼 수 없었던 특징

이다

陳旉農書에는 周禮 草人 의 ldquo토지를 개량하는 방법은 땅의 형

색을 보고 판단하며 그 적합함을 살펴서 파종해야 한다rdquo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있다 예컨대 흙 중에서 붉고 굳센 토양[騂剛]의 시비에는

소를 이용하고 붉은빛 토양[赤緹]의 시비에는 羊을 이용한다는 것처럼

토양의 성질에 상응하는 동물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동물 중에는 소 양 돼지 및 개와 같은 가축은 물론이고 사슴 오소

리 큰사슴 여우와 같은 짐승도 있다 문제는 위의 사료에서는 소를

이용한다고만 했을 뿐 그 糞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糞種에서처럼 해당

동물의 뼈즙에 종자를 담가 시비한 것인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이다 그러나 들짐승의 뼈즙을 내어 糞種한다는 것은 일일이 실험하지

않는 한 (실험을 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믿기가 곤란하다 그나마 해

당 동물의 糞汁에 종자를 담가 토양을 다스린 것은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lsquo用rsquo은 糞汁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33) 그렇지만 토양의 성질과 짐승을 연결시켰다는 그 자체는 어

떤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인지는 알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糞田之

宜篇 의 지적과 같이 모든 토양은 제 각기 다른 성질을 띠고 있어서

33) 周禮 地官草人 편의 lsquo糞種rsquo에 대해 鄭司農은 ldquo소뼈 삶은 즙에 종자를 담

그는 것rdquo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는 氾勝之書 溲種法 에서 ldquo骨汁糞汁溲種rdquo

법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즉 가축의 뼈를 부수어 눈 물[雪汁]과 섞어 세

번 끓여 즙액을 받아 附子를 넣어 5일동안 담가두었다가 부자는 건저내고 이

속에 羊이나 蠶矢 등을 넣어 저어 종자를 담가 뒤섞고 이후 햇볕에 말려 씨앗

이 즙액을 흡수하도록 하여 파종했다는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하지만 萬國鼎

은 氾勝之書 區田法 편의 ldquo敎民糞種rdquo에 대해 각주에서 ldquo區田以糞氣爲美 非

必須良田也rdquo와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라는 사료를 근거로 lsquo糞種rsquo의

糞은 基肥를 중시한다는 말이지 골즙을 끊여 羊矢나 蠶矢를 섞어 종자 자체에

시비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糞種은 단순히 ldquo시비하고 파종한다rdquo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萬國鼎 輯釋 氾勝之書輯釋 (農業出版社 1980) p62 참조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8그에 합당하게 시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거름은 lsquo糞藥rsquo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농부들이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마

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진단하여 약을 쓰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

울였다는 점을 나타낸다34) 민간에 이미 이러한 인식이 존재했다는 것

은 강남농업에 있어 비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음을 말해준다35)

실제 동물의 糞은 저마다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糞田할 경

우 곡물을 해칠 수도 있다 때문에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리 시비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周禮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陳旉農書에서 이를 재차 강조하여 ldquo토양의 氣와 脈은 그 유형이 하나같이 않아서 비옥하기도 하고 척박하기도 하여 좋고 나쁨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다스리는 데도 각각 적합한 도리가 있다rdquo고36) 한 것은

토양의 氣脈의 조절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그 결과 糞을 토양의 기맥

을 치료하고 곡물의 성장을 담보하는 藥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은 주목

된다 이것은 송대의 분이 제민요술 단계나 그 이전과 같이 단순히

地力을 높여 생산력을 제고한 수준을 넘어 토양과 작물에 있어 필요불

가결한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그 때문에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와 같이 노천에 거름을 쌓아 저

장했던 방식과 함께 일정한 장소를 만들어 거름을 보관 貯溜하는 방식

도 발전하였다 陳旉農書 糞田之宜篇 에 의하면 농가의 곁에 반드

시 헛간[糞屋]을 설치했다 분옥은 처마와 기둥을 낮게 하여 바람에 휘

날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았다 거름을 노천에 쌓아두면 밤의

3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周禮 草人 lsquo掌土化之法以物地相其宜而

為之種rsquo別土之等差而用糞治 且土之騂剛者糞宜用牛赤緹者糞宜用羊以至渴

澤用鹿鹹潟用貆墳壤用麋勃壤用狐埴壚用豕彊㯺用蕡輕爂用犬皆相視其土之性類以所宜糞而糞之斯得其理矣 俚諺謂之糞藥以言用糞猶藥也rdquo

3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7에서 陳旉는구릉지대인 揚州 부근의 西山에만 줄곧 살았던 것은 아니고 일찍이 다른 곳에

서도 살았던 적이 있다 이 농서에서 언급된 농업의 상황은 장강 하류의 비교

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표한다고 한다

36)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土壤氣脈其類不一肥沃磽埆美惡不同

治之各有宜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11: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1粟을 파종했다는 전술한 내용과도 부합된다 다시말해 粟이 위진 남북

조시기에도 여전히 주곡 중 하나로 중시되었음을 뜻한다 사실 粟[禾]

黍는 범승지서는 물론 제민요술에도 농작물 중 첫머리에 기록될

정도로 당시 화북지역에서 중시되었던 작물이며 범승지서에는 이들

의 생산을 높이기 위해 糞種하거나 區田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

기도 하였다 답분법도 그 일환 중의 하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粟 黍에 답분을 시비할 때 그 비료는 장기간 잘 부숙한 熟糞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 대소맥의 짚은 연하여 가축의 분뇨와 잘 섞이고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 볏짚보다 쉽게 腐熟한다 이렇게 보면 齊民要術 단계의 踏糞은 어떤 곡물에나 적용되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

하지만 粟 黍는 화북지역의 건조지대나 高地 彊土에도 잘 자라고18)

旱地를 전면적으로 발토하기도 쉽지 않았을 것인데 굳이 답분법을 사

용할 필요성이 있었을까 라는 의문이 생긴다 물론 한대 이후 토지이

용도가 증대되면서 지력이 약화되고 그 결과 생산량도 떨어져 척박한

땅의 비력을 유지하기 위한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만약 耬車

를 이용하여 파종하지 않고 손으로 파종한다면 春大小麥나 春大豆와

같은 작물의 基肥에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

당시 春麥은 lt表1gt과 같이 사민월령에는 정월과 2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흥미로운 것은 범승지서 사민월

령의 春麥과 동맥[麥廣麥]과는 달리 제민요술에는 대소맥이 모두 冬

麥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맥의 재배 지역이 따뜻한

남쪽으로 점차 확대되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麥의 越

冬이 가능할 정도의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일 것이다

춘맥과 동맥재배는 대개 氣候帶에 의해 결정된다 寒冷하여 월동할

수 없는 북부지역의 경우 보통 춘맥을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런데 동일한 화북지역에서 春麥이 동맥중심으로 변한 것은 우선 조건

18) 氾勝之書 禾 黍 條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2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竺可禎의 氣候圖에 의하면 氾勝之書 단계는 온난했던 기후가 하강하는 시기이며 사민월령의 2세기 중엽은

한랭한 시기이며 6세기 중엽의 제민요술의 시기는 한랭한 한계점을

지나 점차 기온이 상승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 가장 추위를 느끼는

시점은 기원전 1세기의 범승지서 단계였을 것이다 그 때문인지 범승지서에는 春麥의 파종시기가 사민월령의 1-2월보다 늦은 3월이

었으며 제민요술 단계에는 春麥도 소개되어 있지만 春麥보다 冬麥

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위진남북조시대에는 春麥을 재배하지

못할 정도로 한랭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실제 7세기가 되면 다시 고

온다습한 기후로 변화되었다고 한다19)

경작기술의 변화 또한 冬麥 재배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예컨

대 작물이 얼지 않도록 잘 보호해주거나 地溫을 유지할 수 있는 조치

가 그것이다 蠶矢 가축분 및 踏糞 등을 시비하면 눈과 서리에 의해

푸석푸석해진 토지를 부드럽게 하여 뿌리를 깊게 내리게 할 뿐 아니라

토양을 보온하여 잘 얼지도 않게 해준다20) 게다가 이런 땅에 심경하

여 畎中條播하게 되면 종자가 적당한 습기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

며 특히 踏糞이 조금씩 분해되면서 양분을 공급해 주기 때문에 春麥

이나 春大豆의 생산력이 높아진다

越冬 주곡작물이 화북지역에서 재배된다는 것은 겨울에 비워둔 토

지를 이용하여 土地利用度를 높이고 그로 인해 다른 작물과의 交代도

다양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바로 養地를 위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답분법의 출현은 粟黍의 지력 회

복은 물론이고 화북지역의 豆 麥의 春耕과 越冬 작물의 재배가 구체

화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당시 製粉 공구의

발달과 함께 小麥 大豆의 보급이 급증한 것은21) 답분법의 등장과 무

19) 劉昭民 中國歷史上氣候之變遷 (臺灣商務印書館 1992) pp99-10020)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俾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

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21) 崔德卿 漢唐期 大豆 가공기술의 발달과 製粉業 (中國史硏究 69 2010)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3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이상 답분법의 출현 배경을 살폈는데 답분이 비료로서 효과를 발휘

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조건이 필요하다 바로 踏糞과 파종조건이 맞

아야 한다 전술한 것처럼 답분법의 보급은 기본적으로 牛馬의 보급과

경작방식에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앞서 한대 대전법이 우경

의 확산에 기여했다고 했지만 대전법은 그 단위 경작면적이 5頃이고

노동조직도 lsquo二牛三人rsquo이었기 때문에 소농민이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했다 제민요술에서 제시한 답분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겨울에

쟁기로 답분을 갈아엎고 덮어주어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파종구를 만

드는 耬車[作條犁]가 아니라 볏[鐴]이 부착된 翻土犁이어야 한다 볏은

전한 때부터 보급되고 후한의 畵像石에서 보듯 쟁기의 형태도 lsquo一牛一

犁rsquo로 발전하고 있는 것을 보면 건강한 소농민은 牛耕을 이용했을 것

으로 보인다22) 이렇게 보면 전면발토가 곤란했던 代田法 및 범승지서단계에는 제민요술과 같은 답분법이 시행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보인다

糞田은 이미 周代 이전에도 등장하지만 구체적인 糞제조방식에 대

한 기록은 답분법이 처음이다 이 이후부터 집안의 잡다한 쓰레기를

태워 재로 만들거나 가축의 우리 속에 넣어 분뇨와 결합하면서 1차적

으로 糞肥로 만들어지고 이를 우리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腐熟

시켜 田地의 거름으로 탈바꿈한다23) 초기의 糞은 蠶矢 美糞 灰糞 등

주로 基肥로 사용되었는데 그 중 부드러운 숙분은 누거파종의 기비에

도 사용되고 거친 비료의 경우 區田이나 수전의 밑거름으로 사용되었

을 것으로 보인다

후대의 답분법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었던 이유는 비료효과

그리고 氾勝之書 區田法 에서는 麥 大豆의 대량생산을 위해 區田法도 실시

하고 있다

22) 최덕경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 pp151-15623) 곡물의 짚이 가축분과 결합되면서 미생물의 작용으로 썩게 되며 긴 시간을

썩히면 분에서 열이 발생하여 유해한 해충을 죽이고 속효성 비료의 효과도 크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4가 입증된 것은 물론이고 당시 한 농가에서 생산된 踏糞의 양이 연간

6畝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으로 보유토지의 일부와 재배

작물의 일부밖에 답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후 농가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답분을 제조했던 것 같다

Ⅲ 宋代 糞에 대한 인식 변화와

ldquo地力常新壯rdquo論의 등장

1 陳旉農書의 거름 제조와 糞屋 糞藥남송 程珌의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에는 제민요술시대 이후

답분법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즉 ldquo수집한 糞穰을 집집마다 산처럼

쌓아두고 市井之間에는 (각종 쓰레기를) 깨끗이 수습하여 남아 있는

것이 없었다 덕분에 토지는 기름지고 稻根은 가뭄에 잘 견뎠다rdquo24)고

한다 이것을 보면 남송시대에도 집집마다 답분을 생산했으며 그것을

산처럼 쌓아두었다는 것은 그 전통이 계속 이어졌음을 말해주며 생산

된 답분은 稻田에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송대 대표적인 농서인 陳旉農書(1149년)에는 그 후 답분법의 모습이 잘 남아있다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에는 ldquo때에 순응하여 소

를 잘 키우는 것이 좋다 봄이 시작되면 반드시 외양간에 쌓여있는 지

푸라기와 쇠똥을 모두 걷어낸다 반드시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

소제해야만 더러운 냄새와 축축한 것들로 인해서 역병과 瘡疾이 생기

고 또한 발굽이 오물에 잠겨 질병이 생기는 것을 면한다 또 상스럽지

못한 것은 마땅히 없앰으로써 소가 거처하는 장소를 깨끗하고 상쾌하

게 해주면 좋다rdquo고25) 하여 제민요술의 답분법과는 다소 다른 느낌

24) 程珌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卷19 ldquo每見衢婺之人 收蓄糞壤 家家山積 市

井之間 掃拾無遺 故土膏肥美 稻根耐旱 米粒精壯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5을 준다26) 齊民要術의 경우 답분의 제조방식에 중점을 두었지만 진부농서는 소 외양간의 청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이 역

시 牛廏에서 퇴비를 생산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 廏肥생산방식을 보면 봄이 되어 소 우리에 깔아 쌓인 lsquo積滯蓐糞rsquo

을 모두 걷어내어 대청소를 하지만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은

소제한다고 하여 퇴비를 생산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齊民要術처럼 생산된 퇴비의 처리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다27) 이때 깔개는 稻作

지대였기 때문에 분명 볏짚이 중심을 이루었을 것이며 깔개도 매일이

아니라 최소한 열흘에 한 차례씩 걷었다는 것으로 보아 답분의 양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답분을 쌓아둔 양이 집집마다 엄청났던

것을 보면 여린 나무 잎과 가지도 가축우리에 넣어 밟게 한다거나 구

덩이에 잡다한 쓰레기를 쌓아 외양간 오줌을 끼얹어 비료로 만들기도

했던 것 같다28) 이것은 화북지역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따라서 10일에 한 번 짚을 갈아주었다는 기록은 강남지역의 경우

水牛를 役牛로 이용했기 때문에 열흘에 한 번 쯤은 우리의 짚을 교체

하여 건강에 관심을 보였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집집마다 산처럼 쌓인 糞穰과 市井에 남아도는 쓰레기가 없을 정도로

퇴비생산에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답분

25)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第一 ldquo且四時有溫涼寒暑之異必順時調適之可

也 於春之初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 亦不必春也但旬日一除免穢氣蒸鬱

以成疫癘 且浸漬蹄甲易以生病 又當祓除不祥以淨爽其處乃善rdquo

26) 陳良佐는 이 문장을 lsquo牛廏肥rsquo의 예로 들고 있다( 我國農田施用之堆廐肥 大陸雜誌 52-4 1976) 충분히 존중해야 할 지적이지만 진부농서에는 이러한

구비의 사용법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곳은 없다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lsquo糞rsquo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 lsquo糞田之宜篇rsquo에서 언급한 비료의 원료로 사용

되고 있는 것인지 혹은 다른 뭔가의 이유로 언급하지 않은 것인지는 상세하지

않다

27) 이러한 현상은 송대의 役牛가 水牛였기 때문에 매일 가축우리를 청소할 필요

가 없었다거나 또 水田의 경우 旱田보다 답분의 基肥가 많이 필요치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28)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p56-62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6은 기존의 粟 黍 麥은 물론이고 稻 豆의 퇴비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재료는 주곡작물의 변화로 인해 맥류와 더불어 볏짚도 주도적으로 사

용되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腐熟방법도 달랐을 것이다

이처럼 陳旉農書에서 踏糞에 대한 안내가 구체적이지 않다고 하

여 송대에 糞과 糞田을 소홀히 취급한 것은 아니었다 陳旉農書에는이전과는 다른 강남의 풍부한 흙과 초목을 태워 만든 土糞[燻土] 火

糞29)[焦泥灰]과 泥糞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를 이용한 餠肥 糠糞

草木灰 綠肥 石灰 踏糞 苗糞 草糞 糞尿 및 동물의 털과 뼈 비료 등

이 다양하게 등장한다30)

이것은 唐末에 편찬되었다고 하는 四時纂要와 비교해도 큰 차이

가 있다 四時纂要에 등장하는 비료는 대부분 牛糞 羊糞 驢馬糞 雞糞 蠶沙[矢]등의 가축분과 燒灰 石灰 灰糞 乾鰻鱧魚汁 米泔 熟糞

爛糞 등인데 이 중에서 牛糞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비료의 종류

는 제민요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宋元代에는 餠肥

渣肥 泥土肥 無機肥 등이 추가되고 46종이나 종류도 늘어나고 있

다31) 더구나 진부농서에는 灌漑가 lsquo用糞rsquo보다 낫다고 하여 水田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32) 농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당 지역과 그 작물

의 특색에 맞게 독특한 비료가 개발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주목할 만

한 것은 비료가 토양과 작물에 어떤 작용을 하며 그 효과는 어떠했는

29)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lsquo糞田之宜篇rsquo

에는 ldquo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

다rdquo라고 하며 lsquo六種之宜篇rsquo에서는 ldquo土糞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 lsquo種桑之法篇rsquo에

서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이 土糞이 화분

의 일종인데 화분에는 흙이 함량이 다소 적어서 焦泥灰에 가깝고 토분에 흙

의 함유량이 많아 lsquo燻土rsquo에 가까워 결코 확연하게 구별하기는 곤란하다 실제

中國農業遺産硏究室 編 中國農學史(下) (科學出版社 1984) p43에서는 火糞

을 土糞이라고 하면서 실제적으로는 焦泥灰라고 하여 구분짓지 않고 있다

30)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 1993) pp53-6331)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pp245-246

3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7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인지 陳旉農書에서는 糞田之宜篇 이라는 독립된 糞田의 章이 등장하기에 이

르렀다 이같은 현상은 진부농서 이전 단계에는 볼 수 없었던 특징

이다

陳旉農書에는 周禮 草人 의 ldquo토지를 개량하는 방법은 땅의 형

색을 보고 판단하며 그 적합함을 살펴서 파종해야 한다rdquo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있다 예컨대 흙 중에서 붉고 굳센 토양[騂剛]의 시비에는

소를 이용하고 붉은빛 토양[赤緹]의 시비에는 羊을 이용한다는 것처럼

토양의 성질에 상응하는 동물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동물 중에는 소 양 돼지 및 개와 같은 가축은 물론이고 사슴 오소

리 큰사슴 여우와 같은 짐승도 있다 문제는 위의 사료에서는 소를

이용한다고만 했을 뿐 그 糞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糞種에서처럼 해당

동물의 뼈즙에 종자를 담가 시비한 것인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이다 그러나 들짐승의 뼈즙을 내어 糞種한다는 것은 일일이 실험하지

않는 한 (실험을 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믿기가 곤란하다 그나마 해

당 동물의 糞汁에 종자를 담가 토양을 다스린 것은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lsquo用rsquo은 糞汁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33) 그렇지만 토양의 성질과 짐승을 연결시켰다는 그 자체는 어

떤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인지는 알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糞田之

宜篇 의 지적과 같이 모든 토양은 제 각기 다른 성질을 띠고 있어서

33) 周禮 地官草人 편의 lsquo糞種rsquo에 대해 鄭司農은 ldquo소뼈 삶은 즙에 종자를 담

그는 것rdquo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는 氾勝之書 溲種法 에서 ldquo骨汁糞汁溲種rdquo

법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즉 가축의 뼈를 부수어 눈 물[雪汁]과 섞어 세

번 끓여 즙액을 받아 附子를 넣어 5일동안 담가두었다가 부자는 건저내고 이

속에 羊이나 蠶矢 등을 넣어 저어 종자를 담가 뒤섞고 이후 햇볕에 말려 씨앗

이 즙액을 흡수하도록 하여 파종했다는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하지만 萬國鼎

은 氾勝之書 區田法 편의 ldquo敎民糞種rdquo에 대해 각주에서 ldquo區田以糞氣爲美 非

必須良田也rdquo와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라는 사료를 근거로 lsquo糞種rsquo의

糞은 基肥를 중시한다는 말이지 골즙을 끊여 羊矢나 蠶矢를 섞어 종자 자체에

시비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糞種은 단순히 ldquo시비하고 파종한다rdquo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萬國鼎 輯釋 氾勝之書輯釋 (農業出版社 1980) p62 참조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8그에 합당하게 시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거름은 lsquo糞藥rsquo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농부들이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마

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진단하여 약을 쓰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

울였다는 점을 나타낸다34) 민간에 이미 이러한 인식이 존재했다는 것

은 강남농업에 있어 비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음을 말해준다35)

실제 동물의 糞은 저마다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糞田할 경

우 곡물을 해칠 수도 있다 때문에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리 시비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周禮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陳旉農書에서 이를 재차 강조하여 ldquo토양의 氣와 脈은 그 유형이 하나같이 않아서 비옥하기도 하고 척박하기도 하여 좋고 나쁨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다스리는 데도 각각 적합한 도리가 있다rdquo고36) 한 것은

토양의 氣脈의 조절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그 결과 糞을 토양의 기맥

을 치료하고 곡물의 성장을 담보하는 藥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은 주목

된다 이것은 송대의 분이 제민요술 단계나 그 이전과 같이 단순히

地力을 높여 생산력을 제고한 수준을 넘어 토양과 작물에 있어 필요불

가결한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그 때문에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와 같이 노천에 거름을 쌓아 저

장했던 방식과 함께 일정한 장소를 만들어 거름을 보관 貯溜하는 방식

도 발전하였다 陳旉農書 糞田之宜篇 에 의하면 농가의 곁에 반드

시 헛간[糞屋]을 설치했다 분옥은 처마와 기둥을 낮게 하여 바람에 휘

날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았다 거름을 노천에 쌓아두면 밤의

3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周禮 草人 lsquo掌土化之法以物地相其宜而

為之種rsquo別土之等差而用糞治 且土之騂剛者糞宜用牛赤緹者糞宜用羊以至渴

澤用鹿鹹潟用貆墳壤用麋勃壤用狐埴壚用豕彊㯺用蕡輕爂用犬皆相視其土之性類以所宜糞而糞之斯得其理矣 俚諺謂之糞藥以言用糞猶藥也rdquo

3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7에서 陳旉는구릉지대인 揚州 부근의 西山에만 줄곧 살았던 것은 아니고 일찍이 다른 곳에

서도 살았던 적이 있다 이 농서에서 언급된 농업의 상황은 장강 하류의 비교

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표한다고 한다

36)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土壤氣脈其類不一肥沃磽埆美惡不同

治之各有宜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12: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2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竺可禎의 氣候圖에 의하면 氾勝之書 단계는 온난했던 기후가 하강하는 시기이며 사민월령의 2세기 중엽은

한랭한 시기이며 6세기 중엽의 제민요술의 시기는 한랭한 한계점을

지나 점차 기온이 상승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 가장 추위를 느끼는

시점은 기원전 1세기의 범승지서 단계였을 것이다 그 때문인지 범승지서에는 春麥의 파종시기가 사민월령의 1-2월보다 늦은 3월이

었으며 제민요술 단계에는 春麥도 소개되어 있지만 春麥보다 冬麥

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위진남북조시대에는 春麥을 재배하지

못할 정도로 한랭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실제 7세기가 되면 다시 고

온다습한 기후로 변화되었다고 한다19)

경작기술의 변화 또한 冬麥 재배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예컨

대 작물이 얼지 않도록 잘 보호해주거나 地溫을 유지할 수 있는 조치

가 그것이다 蠶矢 가축분 및 踏糞 등을 시비하면 눈과 서리에 의해

푸석푸석해진 토지를 부드럽게 하여 뿌리를 깊게 내리게 할 뿐 아니라

토양을 보온하여 잘 얼지도 않게 해준다20) 게다가 이런 땅에 심경하

여 畎中條播하게 되면 종자가 적당한 습기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

며 특히 踏糞이 조금씩 분해되면서 양분을 공급해 주기 때문에 春麥

이나 春大豆의 생산력이 높아진다

越冬 주곡작물이 화북지역에서 재배된다는 것은 겨울에 비워둔 토

지를 이용하여 土地利用度를 높이고 그로 인해 다른 작물과의 交代도

다양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바로 養地를 위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답분법의 출현은 粟黍의 지력 회

복은 물론이고 화북지역의 豆 麥의 春耕과 越冬 작물의 재배가 구체

화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당시 製粉 공구의

발달과 함께 小麥 大豆의 보급이 급증한 것은21) 답분법의 등장과 무

19) 劉昭民 中國歷史上氣候之變遷 (臺灣商務印書館 1992) pp99-10020)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俾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

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21) 崔德卿 漢唐期 大豆 가공기술의 발달과 製粉業 (中國史硏究 69 2010)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3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이상 답분법의 출현 배경을 살폈는데 답분이 비료로서 효과를 발휘

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조건이 필요하다 바로 踏糞과 파종조건이 맞

아야 한다 전술한 것처럼 답분법의 보급은 기본적으로 牛馬의 보급과

경작방식에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앞서 한대 대전법이 우경

의 확산에 기여했다고 했지만 대전법은 그 단위 경작면적이 5頃이고

노동조직도 lsquo二牛三人rsquo이었기 때문에 소농민이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했다 제민요술에서 제시한 답분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겨울에

쟁기로 답분을 갈아엎고 덮어주어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파종구를 만

드는 耬車[作條犁]가 아니라 볏[鐴]이 부착된 翻土犁이어야 한다 볏은

전한 때부터 보급되고 후한의 畵像石에서 보듯 쟁기의 형태도 lsquo一牛一

犁rsquo로 발전하고 있는 것을 보면 건강한 소농민은 牛耕을 이용했을 것

으로 보인다22) 이렇게 보면 전면발토가 곤란했던 代田法 및 범승지서단계에는 제민요술과 같은 답분법이 시행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보인다

糞田은 이미 周代 이전에도 등장하지만 구체적인 糞제조방식에 대

한 기록은 답분법이 처음이다 이 이후부터 집안의 잡다한 쓰레기를

태워 재로 만들거나 가축의 우리 속에 넣어 분뇨와 결합하면서 1차적

으로 糞肥로 만들어지고 이를 우리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腐熟

시켜 田地의 거름으로 탈바꿈한다23) 초기의 糞은 蠶矢 美糞 灰糞 등

주로 基肥로 사용되었는데 그 중 부드러운 숙분은 누거파종의 기비에

도 사용되고 거친 비료의 경우 區田이나 수전의 밑거름으로 사용되었

을 것으로 보인다

후대의 답분법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었던 이유는 비료효과

그리고 氾勝之書 區田法 에서는 麥 大豆의 대량생산을 위해 區田法도 실시

하고 있다

22) 최덕경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 pp151-15623) 곡물의 짚이 가축분과 결합되면서 미생물의 작용으로 썩게 되며 긴 시간을

썩히면 분에서 열이 발생하여 유해한 해충을 죽이고 속효성 비료의 효과도 크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4가 입증된 것은 물론이고 당시 한 농가에서 생산된 踏糞의 양이 연간

6畝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으로 보유토지의 일부와 재배

작물의 일부밖에 답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후 농가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답분을 제조했던 것 같다

Ⅲ 宋代 糞에 대한 인식 변화와

ldquo地力常新壯rdquo論의 등장

1 陳旉農書의 거름 제조와 糞屋 糞藥남송 程珌의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에는 제민요술시대 이후

답분법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즉 ldquo수집한 糞穰을 집집마다 산처럼

쌓아두고 市井之間에는 (각종 쓰레기를) 깨끗이 수습하여 남아 있는

것이 없었다 덕분에 토지는 기름지고 稻根은 가뭄에 잘 견뎠다rdquo24)고

한다 이것을 보면 남송시대에도 집집마다 답분을 생산했으며 그것을

산처럼 쌓아두었다는 것은 그 전통이 계속 이어졌음을 말해주며 생산

된 답분은 稻田에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송대 대표적인 농서인 陳旉農書(1149년)에는 그 후 답분법의 모습이 잘 남아있다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에는 ldquo때에 순응하여 소

를 잘 키우는 것이 좋다 봄이 시작되면 반드시 외양간에 쌓여있는 지

푸라기와 쇠똥을 모두 걷어낸다 반드시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

소제해야만 더러운 냄새와 축축한 것들로 인해서 역병과 瘡疾이 생기

고 또한 발굽이 오물에 잠겨 질병이 생기는 것을 면한다 또 상스럽지

못한 것은 마땅히 없앰으로써 소가 거처하는 장소를 깨끗하고 상쾌하

게 해주면 좋다rdquo고25) 하여 제민요술의 답분법과는 다소 다른 느낌

24) 程珌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卷19 ldquo每見衢婺之人 收蓄糞壤 家家山積 市

井之間 掃拾無遺 故土膏肥美 稻根耐旱 米粒精壯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5을 준다26) 齊民要術의 경우 답분의 제조방식에 중점을 두었지만 진부농서는 소 외양간의 청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이 역

시 牛廏에서 퇴비를 생산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 廏肥생산방식을 보면 봄이 되어 소 우리에 깔아 쌓인 lsquo積滯蓐糞rsquo

을 모두 걷어내어 대청소를 하지만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은

소제한다고 하여 퇴비를 생산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齊民要術처럼 생산된 퇴비의 처리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다27) 이때 깔개는 稻作

지대였기 때문에 분명 볏짚이 중심을 이루었을 것이며 깔개도 매일이

아니라 최소한 열흘에 한 차례씩 걷었다는 것으로 보아 답분의 양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답분을 쌓아둔 양이 집집마다 엄청났던

것을 보면 여린 나무 잎과 가지도 가축우리에 넣어 밟게 한다거나 구

덩이에 잡다한 쓰레기를 쌓아 외양간 오줌을 끼얹어 비료로 만들기도

했던 것 같다28) 이것은 화북지역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따라서 10일에 한 번 짚을 갈아주었다는 기록은 강남지역의 경우

水牛를 役牛로 이용했기 때문에 열흘에 한 번 쯤은 우리의 짚을 교체

하여 건강에 관심을 보였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집집마다 산처럼 쌓인 糞穰과 市井에 남아도는 쓰레기가 없을 정도로

퇴비생산에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답분

25)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第一 ldquo且四時有溫涼寒暑之異必順時調適之可

也 於春之初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 亦不必春也但旬日一除免穢氣蒸鬱

以成疫癘 且浸漬蹄甲易以生病 又當祓除不祥以淨爽其處乃善rdquo

26) 陳良佐는 이 문장을 lsquo牛廏肥rsquo의 예로 들고 있다( 我國農田施用之堆廐肥 大陸雜誌 52-4 1976) 충분히 존중해야 할 지적이지만 진부농서에는 이러한

구비의 사용법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곳은 없다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lsquo糞rsquo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 lsquo糞田之宜篇rsquo에서 언급한 비료의 원료로 사용

되고 있는 것인지 혹은 다른 뭔가의 이유로 언급하지 않은 것인지는 상세하지

않다

27) 이러한 현상은 송대의 役牛가 水牛였기 때문에 매일 가축우리를 청소할 필요

가 없었다거나 또 水田의 경우 旱田보다 답분의 基肥가 많이 필요치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28)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p56-62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6은 기존의 粟 黍 麥은 물론이고 稻 豆의 퇴비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재료는 주곡작물의 변화로 인해 맥류와 더불어 볏짚도 주도적으로 사

용되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腐熟방법도 달랐을 것이다

이처럼 陳旉農書에서 踏糞에 대한 안내가 구체적이지 않다고 하

여 송대에 糞과 糞田을 소홀히 취급한 것은 아니었다 陳旉農書에는이전과는 다른 강남의 풍부한 흙과 초목을 태워 만든 土糞[燻土] 火

糞29)[焦泥灰]과 泥糞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를 이용한 餠肥 糠糞

草木灰 綠肥 石灰 踏糞 苗糞 草糞 糞尿 및 동물의 털과 뼈 비료 등

이 다양하게 등장한다30)

이것은 唐末에 편찬되었다고 하는 四時纂要와 비교해도 큰 차이

가 있다 四時纂要에 등장하는 비료는 대부분 牛糞 羊糞 驢馬糞 雞糞 蠶沙[矢]등의 가축분과 燒灰 石灰 灰糞 乾鰻鱧魚汁 米泔 熟糞

爛糞 등인데 이 중에서 牛糞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비료의 종류

는 제민요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宋元代에는 餠肥

渣肥 泥土肥 無機肥 등이 추가되고 46종이나 종류도 늘어나고 있

다31) 더구나 진부농서에는 灌漑가 lsquo用糞rsquo보다 낫다고 하여 水田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32) 농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당 지역과 그 작물

의 특색에 맞게 독특한 비료가 개발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주목할 만

한 것은 비료가 토양과 작물에 어떤 작용을 하며 그 효과는 어떠했는

29)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lsquo糞田之宜篇rsquo

에는 ldquo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

다rdquo라고 하며 lsquo六種之宜篇rsquo에서는 ldquo土糞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 lsquo種桑之法篇rsquo에

서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이 土糞이 화분

의 일종인데 화분에는 흙이 함량이 다소 적어서 焦泥灰에 가깝고 토분에 흙

의 함유량이 많아 lsquo燻土rsquo에 가까워 결코 확연하게 구별하기는 곤란하다 실제

中國農業遺産硏究室 編 中國農學史(下) (科學出版社 1984) p43에서는 火糞

을 土糞이라고 하면서 실제적으로는 焦泥灰라고 하여 구분짓지 않고 있다

30)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 1993) pp53-6331)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pp245-246

3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7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인지 陳旉農書에서는 糞田之宜篇 이라는 독립된 糞田의 章이 등장하기에 이

르렀다 이같은 현상은 진부농서 이전 단계에는 볼 수 없었던 특징

이다

陳旉農書에는 周禮 草人 의 ldquo토지를 개량하는 방법은 땅의 형

색을 보고 판단하며 그 적합함을 살펴서 파종해야 한다rdquo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있다 예컨대 흙 중에서 붉고 굳센 토양[騂剛]의 시비에는

소를 이용하고 붉은빛 토양[赤緹]의 시비에는 羊을 이용한다는 것처럼

토양의 성질에 상응하는 동물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동물 중에는 소 양 돼지 및 개와 같은 가축은 물론이고 사슴 오소

리 큰사슴 여우와 같은 짐승도 있다 문제는 위의 사료에서는 소를

이용한다고만 했을 뿐 그 糞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糞種에서처럼 해당

동물의 뼈즙에 종자를 담가 시비한 것인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이다 그러나 들짐승의 뼈즙을 내어 糞種한다는 것은 일일이 실험하지

않는 한 (실험을 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믿기가 곤란하다 그나마 해

당 동물의 糞汁에 종자를 담가 토양을 다스린 것은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lsquo用rsquo은 糞汁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33) 그렇지만 토양의 성질과 짐승을 연결시켰다는 그 자체는 어

떤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인지는 알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糞田之

宜篇 의 지적과 같이 모든 토양은 제 각기 다른 성질을 띠고 있어서

33) 周禮 地官草人 편의 lsquo糞種rsquo에 대해 鄭司農은 ldquo소뼈 삶은 즙에 종자를 담

그는 것rdquo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는 氾勝之書 溲種法 에서 ldquo骨汁糞汁溲種rdquo

법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즉 가축의 뼈를 부수어 눈 물[雪汁]과 섞어 세

번 끓여 즙액을 받아 附子를 넣어 5일동안 담가두었다가 부자는 건저내고 이

속에 羊이나 蠶矢 등을 넣어 저어 종자를 담가 뒤섞고 이후 햇볕에 말려 씨앗

이 즙액을 흡수하도록 하여 파종했다는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하지만 萬國鼎

은 氾勝之書 區田法 편의 ldquo敎民糞種rdquo에 대해 각주에서 ldquo區田以糞氣爲美 非

必須良田也rdquo와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라는 사료를 근거로 lsquo糞種rsquo의

糞은 基肥를 중시한다는 말이지 골즙을 끊여 羊矢나 蠶矢를 섞어 종자 자체에

시비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糞種은 단순히 ldquo시비하고 파종한다rdquo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萬國鼎 輯釋 氾勝之書輯釋 (農業出版社 1980) p62 참조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8그에 합당하게 시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거름은 lsquo糞藥rsquo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농부들이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마

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진단하여 약을 쓰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

울였다는 점을 나타낸다34) 민간에 이미 이러한 인식이 존재했다는 것

은 강남농업에 있어 비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음을 말해준다35)

실제 동물의 糞은 저마다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糞田할 경

우 곡물을 해칠 수도 있다 때문에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리 시비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周禮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陳旉農書에서 이를 재차 강조하여 ldquo토양의 氣와 脈은 그 유형이 하나같이 않아서 비옥하기도 하고 척박하기도 하여 좋고 나쁨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다스리는 데도 각각 적합한 도리가 있다rdquo고36) 한 것은

토양의 氣脈의 조절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그 결과 糞을 토양의 기맥

을 치료하고 곡물의 성장을 담보하는 藥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은 주목

된다 이것은 송대의 분이 제민요술 단계나 그 이전과 같이 단순히

地力을 높여 생산력을 제고한 수준을 넘어 토양과 작물에 있어 필요불

가결한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그 때문에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와 같이 노천에 거름을 쌓아 저

장했던 방식과 함께 일정한 장소를 만들어 거름을 보관 貯溜하는 방식

도 발전하였다 陳旉農書 糞田之宜篇 에 의하면 농가의 곁에 반드

시 헛간[糞屋]을 설치했다 분옥은 처마와 기둥을 낮게 하여 바람에 휘

날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았다 거름을 노천에 쌓아두면 밤의

3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周禮 草人 lsquo掌土化之法以物地相其宜而

為之種rsquo別土之等差而用糞治 且土之騂剛者糞宜用牛赤緹者糞宜用羊以至渴

澤用鹿鹹潟用貆墳壤用麋勃壤用狐埴壚用豕彊㯺用蕡輕爂用犬皆相視其土之性類以所宜糞而糞之斯得其理矣 俚諺謂之糞藥以言用糞猶藥也rdquo

3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7에서 陳旉는구릉지대인 揚州 부근의 西山에만 줄곧 살았던 것은 아니고 일찍이 다른 곳에

서도 살았던 적이 있다 이 농서에서 언급된 농업의 상황은 장강 하류의 비교

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표한다고 한다

36)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土壤氣脈其類不一肥沃磽埆美惡不同

治之各有宜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13: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3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이상 답분법의 출현 배경을 살폈는데 답분이 비료로서 효과를 발휘

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조건이 필요하다 바로 踏糞과 파종조건이 맞

아야 한다 전술한 것처럼 답분법의 보급은 기본적으로 牛馬의 보급과

경작방식에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앞서 한대 대전법이 우경

의 확산에 기여했다고 했지만 대전법은 그 단위 경작면적이 5頃이고

노동조직도 lsquo二牛三人rsquo이었기 때문에 소농민이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했다 제민요술에서 제시한 답분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겨울에

쟁기로 답분을 갈아엎고 덮어주어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파종구를 만

드는 耬車[作條犁]가 아니라 볏[鐴]이 부착된 翻土犁이어야 한다 볏은

전한 때부터 보급되고 후한의 畵像石에서 보듯 쟁기의 형태도 lsquo一牛一

犁rsquo로 발전하고 있는 것을 보면 건강한 소농민은 牛耕을 이용했을 것

으로 보인다22) 이렇게 보면 전면발토가 곤란했던 代田法 및 범승지서단계에는 제민요술과 같은 답분법이 시행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보인다

糞田은 이미 周代 이전에도 등장하지만 구체적인 糞제조방식에 대

한 기록은 답분법이 처음이다 이 이후부터 집안의 잡다한 쓰레기를

태워 재로 만들거나 가축의 우리 속에 넣어 분뇨와 결합하면서 1차적

으로 糞肥로 만들어지고 이를 우리 밖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腐熟

시켜 田地의 거름으로 탈바꿈한다23) 초기의 糞은 蠶矢 美糞 灰糞 등

주로 基肥로 사용되었는데 그 중 부드러운 숙분은 누거파종의 기비에

도 사용되고 거친 비료의 경우 區田이나 수전의 밑거름으로 사용되었

을 것으로 보인다

후대의 답분법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었던 이유는 비료효과

그리고 氾勝之書 區田法 에서는 麥 大豆의 대량생산을 위해 區田法도 실시

하고 있다

22) 최덕경 中國古代農業史硏究 (백산서당 1994) pp151-15623) 곡물의 짚이 가축분과 결합되면서 미생물의 작용으로 썩게 되며 긴 시간을

썩히면 분에서 열이 발생하여 유해한 해충을 죽이고 속효성 비료의 효과도 크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4가 입증된 것은 물론이고 당시 한 농가에서 생산된 踏糞의 양이 연간

6畝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으로 보유토지의 일부와 재배

작물의 일부밖에 답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후 농가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답분을 제조했던 것 같다

Ⅲ 宋代 糞에 대한 인식 변화와

ldquo地力常新壯rdquo論의 등장

1 陳旉農書의 거름 제조와 糞屋 糞藥남송 程珌의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에는 제민요술시대 이후

답분법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즉 ldquo수집한 糞穰을 집집마다 산처럼

쌓아두고 市井之間에는 (각종 쓰레기를) 깨끗이 수습하여 남아 있는

것이 없었다 덕분에 토지는 기름지고 稻根은 가뭄에 잘 견뎠다rdquo24)고

한다 이것을 보면 남송시대에도 집집마다 답분을 생산했으며 그것을

산처럼 쌓아두었다는 것은 그 전통이 계속 이어졌음을 말해주며 생산

된 답분은 稻田에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송대 대표적인 농서인 陳旉農書(1149년)에는 그 후 답분법의 모습이 잘 남아있다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에는 ldquo때에 순응하여 소

를 잘 키우는 것이 좋다 봄이 시작되면 반드시 외양간에 쌓여있는 지

푸라기와 쇠똥을 모두 걷어낸다 반드시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

소제해야만 더러운 냄새와 축축한 것들로 인해서 역병과 瘡疾이 생기

고 또한 발굽이 오물에 잠겨 질병이 생기는 것을 면한다 또 상스럽지

못한 것은 마땅히 없앰으로써 소가 거처하는 장소를 깨끗하고 상쾌하

게 해주면 좋다rdquo고25) 하여 제민요술의 답분법과는 다소 다른 느낌

24) 程珌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卷19 ldquo每見衢婺之人 收蓄糞壤 家家山積 市

井之間 掃拾無遺 故土膏肥美 稻根耐旱 米粒精壯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5을 준다26) 齊民要術의 경우 답분의 제조방식에 중점을 두었지만 진부농서는 소 외양간의 청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이 역

시 牛廏에서 퇴비를 생산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 廏肥생산방식을 보면 봄이 되어 소 우리에 깔아 쌓인 lsquo積滯蓐糞rsquo

을 모두 걷어내어 대청소를 하지만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은

소제한다고 하여 퇴비를 생산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齊民要術처럼 생산된 퇴비의 처리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다27) 이때 깔개는 稻作

지대였기 때문에 분명 볏짚이 중심을 이루었을 것이며 깔개도 매일이

아니라 최소한 열흘에 한 차례씩 걷었다는 것으로 보아 답분의 양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답분을 쌓아둔 양이 집집마다 엄청났던

것을 보면 여린 나무 잎과 가지도 가축우리에 넣어 밟게 한다거나 구

덩이에 잡다한 쓰레기를 쌓아 외양간 오줌을 끼얹어 비료로 만들기도

했던 것 같다28) 이것은 화북지역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따라서 10일에 한 번 짚을 갈아주었다는 기록은 강남지역의 경우

水牛를 役牛로 이용했기 때문에 열흘에 한 번 쯤은 우리의 짚을 교체

하여 건강에 관심을 보였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집집마다 산처럼 쌓인 糞穰과 市井에 남아도는 쓰레기가 없을 정도로

퇴비생산에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답분

25)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第一 ldquo且四時有溫涼寒暑之異必順時調適之可

也 於春之初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 亦不必春也但旬日一除免穢氣蒸鬱

以成疫癘 且浸漬蹄甲易以生病 又當祓除不祥以淨爽其處乃善rdquo

26) 陳良佐는 이 문장을 lsquo牛廏肥rsquo의 예로 들고 있다( 我國農田施用之堆廐肥 大陸雜誌 52-4 1976) 충분히 존중해야 할 지적이지만 진부농서에는 이러한

구비의 사용법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곳은 없다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lsquo糞rsquo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 lsquo糞田之宜篇rsquo에서 언급한 비료의 원료로 사용

되고 있는 것인지 혹은 다른 뭔가의 이유로 언급하지 않은 것인지는 상세하지

않다

27) 이러한 현상은 송대의 役牛가 水牛였기 때문에 매일 가축우리를 청소할 필요

가 없었다거나 또 水田의 경우 旱田보다 답분의 基肥가 많이 필요치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28)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p56-62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6은 기존의 粟 黍 麥은 물론이고 稻 豆의 퇴비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재료는 주곡작물의 변화로 인해 맥류와 더불어 볏짚도 주도적으로 사

용되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腐熟방법도 달랐을 것이다

이처럼 陳旉農書에서 踏糞에 대한 안내가 구체적이지 않다고 하

여 송대에 糞과 糞田을 소홀히 취급한 것은 아니었다 陳旉農書에는이전과는 다른 강남의 풍부한 흙과 초목을 태워 만든 土糞[燻土] 火

糞29)[焦泥灰]과 泥糞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를 이용한 餠肥 糠糞

草木灰 綠肥 石灰 踏糞 苗糞 草糞 糞尿 및 동물의 털과 뼈 비료 등

이 다양하게 등장한다30)

이것은 唐末에 편찬되었다고 하는 四時纂要와 비교해도 큰 차이

가 있다 四時纂要에 등장하는 비료는 대부분 牛糞 羊糞 驢馬糞 雞糞 蠶沙[矢]등의 가축분과 燒灰 石灰 灰糞 乾鰻鱧魚汁 米泔 熟糞

爛糞 등인데 이 중에서 牛糞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비료의 종류

는 제민요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宋元代에는 餠肥

渣肥 泥土肥 無機肥 등이 추가되고 46종이나 종류도 늘어나고 있

다31) 더구나 진부농서에는 灌漑가 lsquo用糞rsquo보다 낫다고 하여 水田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32) 농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당 지역과 그 작물

의 특색에 맞게 독특한 비료가 개발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주목할 만

한 것은 비료가 토양과 작물에 어떤 작용을 하며 그 효과는 어떠했는

29)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lsquo糞田之宜篇rsquo

에는 ldquo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

다rdquo라고 하며 lsquo六種之宜篇rsquo에서는 ldquo土糞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 lsquo種桑之法篇rsquo에

서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이 土糞이 화분

의 일종인데 화분에는 흙이 함량이 다소 적어서 焦泥灰에 가깝고 토분에 흙

의 함유량이 많아 lsquo燻土rsquo에 가까워 결코 확연하게 구별하기는 곤란하다 실제

中國農業遺産硏究室 編 中國農學史(下) (科學出版社 1984) p43에서는 火糞

을 土糞이라고 하면서 실제적으로는 焦泥灰라고 하여 구분짓지 않고 있다

30)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 1993) pp53-6331)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pp245-246

3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7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인지 陳旉農書에서는 糞田之宜篇 이라는 독립된 糞田의 章이 등장하기에 이

르렀다 이같은 현상은 진부농서 이전 단계에는 볼 수 없었던 특징

이다

陳旉農書에는 周禮 草人 의 ldquo토지를 개량하는 방법은 땅의 형

색을 보고 판단하며 그 적합함을 살펴서 파종해야 한다rdquo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있다 예컨대 흙 중에서 붉고 굳센 토양[騂剛]의 시비에는

소를 이용하고 붉은빛 토양[赤緹]의 시비에는 羊을 이용한다는 것처럼

토양의 성질에 상응하는 동물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동물 중에는 소 양 돼지 및 개와 같은 가축은 물론이고 사슴 오소

리 큰사슴 여우와 같은 짐승도 있다 문제는 위의 사료에서는 소를

이용한다고만 했을 뿐 그 糞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糞種에서처럼 해당

동물의 뼈즙에 종자를 담가 시비한 것인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이다 그러나 들짐승의 뼈즙을 내어 糞種한다는 것은 일일이 실험하지

않는 한 (실험을 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믿기가 곤란하다 그나마 해

당 동물의 糞汁에 종자를 담가 토양을 다스린 것은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lsquo用rsquo은 糞汁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33) 그렇지만 토양의 성질과 짐승을 연결시켰다는 그 자체는 어

떤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인지는 알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糞田之

宜篇 의 지적과 같이 모든 토양은 제 각기 다른 성질을 띠고 있어서

33) 周禮 地官草人 편의 lsquo糞種rsquo에 대해 鄭司農은 ldquo소뼈 삶은 즙에 종자를 담

그는 것rdquo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는 氾勝之書 溲種法 에서 ldquo骨汁糞汁溲種rdquo

법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즉 가축의 뼈를 부수어 눈 물[雪汁]과 섞어 세

번 끓여 즙액을 받아 附子를 넣어 5일동안 담가두었다가 부자는 건저내고 이

속에 羊이나 蠶矢 등을 넣어 저어 종자를 담가 뒤섞고 이후 햇볕에 말려 씨앗

이 즙액을 흡수하도록 하여 파종했다는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하지만 萬國鼎

은 氾勝之書 區田法 편의 ldquo敎民糞種rdquo에 대해 각주에서 ldquo區田以糞氣爲美 非

必須良田也rdquo와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라는 사료를 근거로 lsquo糞種rsquo의

糞은 基肥를 중시한다는 말이지 골즙을 끊여 羊矢나 蠶矢를 섞어 종자 자체에

시비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糞種은 단순히 ldquo시비하고 파종한다rdquo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萬國鼎 輯釋 氾勝之書輯釋 (農業出版社 1980) p62 참조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8그에 합당하게 시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거름은 lsquo糞藥rsquo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농부들이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마

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진단하여 약을 쓰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

울였다는 점을 나타낸다34) 민간에 이미 이러한 인식이 존재했다는 것

은 강남농업에 있어 비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음을 말해준다35)

실제 동물의 糞은 저마다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糞田할 경

우 곡물을 해칠 수도 있다 때문에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리 시비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周禮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陳旉農書에서 이를 재차 강조하여 ldquo토양의 氣와 脈은 그 유형이 하나같이 않아서 비옥하기도 하고 척박하기도 하여 좋고 나쁨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다스리는 데도 각각 적합한 도리가 있다rdquo고36) 한 것은

토양의 氣脈의 조절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그 결과 糞을 토양의 기맥

을 치료하고 곡물의 성장을 담보하는 藥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은 주목

된다 이것은 송대의 분이 제민요술 단계나 그 이전과 같이 단순히

地力을 높여 생산력을 제고한 수준을 넘어 토양과 작물에 있어 필요불

가결한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그 때문에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와 같이 노천에 거름을 쌓아 저

장했던 방식과 함께 일정한 장소를 만들어 거름을 보관 貯溜하는 방식

도 발전하였다 陳旉農書 糞田之宜篇 에 의하면 농가의 곁에 반드

시 헛간[糞屋]을 설치했다 분옥은 처마와 기둥을 낮게 하여 바람에 휘

날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았다 거름을 노천에 쌓아두면 밤의

3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周禮 草人 lsquo掌土化之法以物地相其宜而

為之種rsquo別土之等差而用糞治 且土之騂剛者糞宜用牛赤緹者糞宜用羊以至渴

澤用鹿鹹潟用貆墳壤用麋勃壤用狐埴壚用豕彊㯺用蕡輕爂用犬皆相視其土之性類以所宜糞而糞之斯得其理矣 俚諺謂之糞藥以言用糞猶藥也rdquo

3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7에서 陳旉는구릉지대인 揚州 부근의 西山에만 줄곧 살았던 것은 아니고 일찍이 다른 곳에

서도 살았던 적이 있다 이 농서에서 언급된 농업의 상황은 장강 하류의 비교

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표한다고 한다

36)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土壤氣脈其類不一肥沃磽埆美惡不同

治之各有宜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14: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4가 입증된 것은 물론이고 당시 한 농가에서 생산된 踏糞의 양이 연간

6畝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으로 보유토지의 일부와 재배

작물의 일부밖에 답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후 농가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답분을 제조했던 것 같다

Ⅲ 宋代 糞에 대한 인식 변화와

ldquo地力常新壯rdquo論의 등장

1 陳旉農書의 거름 제조와 糞屋 糞藥남송 程珌의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에는 제민요술시대 이후

답분법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즉 ldquo수집한 糞穰을 집집마다 산처럼

쌓아두고 市井之間에는 (각종 쓰레기를) 깨끗이 수습하여 남아 있는

것이 없었다 덕분에 토지는 기름지고 稻根은 가뭄에 잘 견뎠다rdquo24)고

한다 이것을 보면 남송시대에도 집집마다 답분을 생산했으며 그것을

산처럼 쌓아두었다는 것은 그 전통이 계속 이어졌음을 말해주며 생산

된 답분은 稻田에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송대 대표적인 농서인 陳旉農書(1149년)에는 그 후 답분법의 모습이 잘 남아있다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에는 ldquo때에 순응하여 소

를 잘 키우는 것이 좋다 봄이 시작되면 반드시 외양간에 쌓여있는 지

푸라기와 쇠똥을 모두 걷어낸다 반드시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

소제해야만 더러운 냄새와 축축한 것들로 인해서 역병과 瘡疾이 생기

고 또한 발굽이 오물에 잠겨 질병이 생기는 것을 면한다 또 상스럽지

못한 것은 마땅히 없앰으로써 소가 거처하는 장소를 깨끗하고 상쾌하

게 해주면 좋다rdquo고25) 하여 제민요술의 답분법과는 다소 다른 느낌

24) 程珌 銘水集(1215年) 集部別集 卷19 ldquo每見衢婺之人 收蓄糞壤 家家山積 市

井之間 掃拾無遺 故土膏肥美 稻根耐旱 米粒精壯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5을 준다26) 齊民要術의 경우 답분의 제조방식에 중점을 두었지만 진부농서는 소 외양간의 청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이 역

시 牛廏에서 퇴비를 생산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 廏肥생산방식을 보면 봄이 되어 소 우리에 깔아 쌓인 lsquo積滯蓐糞rsquo

을 모두 걷어내어 대청소를 하지만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은

소제한다고 하여 퇴비를 생산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齊民要術처럼 생산된 퇴비의 처리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다27) 이때 깔개는 稻作

지대였기 때문에 분명 볏짚이 중심을 이루었을 것이며 깔개도 매일이

아니라 최소한 열흘에 한 차례씩 걷었다는 것으로 보아 답분의 양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답분을 쌓아둔 양이 집집마다 엄청났던

것을 보면 여린 나무 잎과 가지도 가축우리에 넣어 밟게 한다거나 구

덩이에 잡다한 쓰레기를 쌓아 외양간 오줌을 끼얹어 비료로 만들기도

했던 것 같다28) 이것은 화북지역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따라서 10일에 한 번 짚을 갈아주었다는 기록은 강남지역의 경우

水牛를 役牛로 이용했기 때문에 열흘에 한 번 쯤은 우리의 짚을 교체

하여 건강에 관심을 보였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집집마다 산처럼 쌓인 糞穰과 市井에 남아도는 쓰레기가 없을 정도로

퇴비생산에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답분

25)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第一 ldquo且四時有溫涼寒暑之異必順時調適之可

也 於春之初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 亦不必春也但旬日一除免穢氣蒸鬱

以成疫癘 且浸漬蹄甲易以生病 又當祓除不祥以淨爽其處乃善rdquo

26) 陳良佐는 이 문장을 lsquo牛廏肥rsquo의 예로 들고 있다( 我國農田施用之堆廐肥 大陸雜誌 52-4 1976) 충분히 존중해야 할 지적이지만 진부농서에는 이러한

구비의 사용법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곳은 없다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lsquo糞rsquo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 lsquo糞田之宜篇rsquo에서 언급한 비료의 원료로 사용

되고 있는 것인지 혹은 다른 뭔가의 이유로 언급하지 않은 것인지는 상세하지

않다

27) 이러한 현상은 송대의 役牛가 水牛였기 때문에 매일 가축우리를 청소할 필요

가 없었다거나 또 水田의 경우 旱田보다 답분의 基肥가 많이 필요치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28)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p56-62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6은 기존의 粟 黍 麥은 물론이고 稻 豆의 퇴비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재료는 주곡작물의 변화로 인해 맥류와 더불어 볏짚도 주도적으로 사

용되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腐熟방법도 달랐을 것이다

이처럼 陳旉農書에서 踏糞에 대한 안내가 구체적이지 않다고 하

여 송대에 糞과 糞田을 소홀히 취급한 것은 아니었다 陳旉農書에는이전과는 다른 강남의 풍부한 흙과 초목을 태워 만든 土糞[燻土] 火

糞29)[焦泥灰]과 泥糞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를 이용한 餠肥 糠糞

草木灰 綠肥 石灰 踏糞 苗糞 草糞 糞尿 및 동물의 털과 뼈 비료 등

이 다양하게 등장한다30)

이것은 唐末에 편찬되었다고 하는 四時纂要와 비교해도 큰 차이

가 있다 四時纂要에 등장하는 비료는 대부분 牛糞 羊糞 驢馬糞 雞糞 蠶沙[矢]등의 가축분과 燒灰 石灰 灰糞 乾鰻鱧魚汁 米泔 熟糞

爛糞 등인데 이 중에서 牛糞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비료의 종류

는 제민요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宋元代에는 餠肥

渣肥 泥土肥 無機肥 등이 추가되고 46종이나 종류도 늘어나고 있

다31) 더구나 진부농서에는 灌漑가 lsquo用糞rsquo보다 낫다고 하여 水田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32) 농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당 지역과 그 작물

의 특색에 맞게 독특한 비료가 개발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주목할 만

한 것은 비료가 토양과 작물에 어떤 작용을 하며 그 효과는 어떠했는

29)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lsquo糞田之宜篇rsquo

에는 ldquo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

다rdquo라고 하며 lsquo六種之宜篇rsquo에서는 ldquo土糞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 lsquo種桑之法篇rsquo에

서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이 土糞이 화분

의 일종인데 화분에는 흙이 함량이 다소 적어서 焦泥灰에 가깝고 토분에 흙

의 함유량이 많아 lsquo燻土rsquo에 가까워 결코 확연하게 구별하기는 곤란하다 실제

中國農業遺産硏究室 編 中國農學史(下) (科學出版社 1984) p43에서는 火糞

을 土糞이라고 하면서 실제적으로는 焦泥灰라고 하여 구분짓지 않고 있다

30)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 1993) pp53-6331)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pp245-246

3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7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인지 陳旉農書에서는 糞田之宜篇 이라는 독립된 糞田의 章이 등장하기에 이

르렀다 이같은 현상은 진부농서 이전 단계에는 볼 수 없었던 특징

이다

陳旉農書에는 周禮 草人 의 ldquo토지를 개량하는 방법은 땅의 형

색을 보고 판단하며 그 적합함을 살펴서 파종해야 한다rdquo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있다 예컨대 흙 중에서 붉고 굳센 토양[騂剛]의 시비에는

소를 이용하고 붉은빛 토양[赤緹]의 시비에는 羊을 이용한다는 것처럼

토양의 성질에 상응하는 동물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동물 중에는 소 양 돼지 및 개와 같은 가축은 물론이고 사슴 오소

리 큰사슴 여우와 같은 짐승도 있다 문제는 위의 사료에서는 소를

이용한다고만 했을 뿐 그 糞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糞種에서처럼 해당

동물의 뼈즙에 종자를 담가 시비한 것인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이다 그러나 들짐승의 뼈즙을 내어 糞種한다는 것은 일일이 실험하지

않는 한 (실험을 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믿기가 곤란하다 그나마 해

당 동물의 糞汁에 종자를 담가 토양을 다스린 것은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lsquo用rsquo은 糞汁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33) 그렇지만 토양의 성질과 짐승을 연결시켰다는 그 자체는 어

떤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인지는 알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糞田之

宜篇 의 지적과 같이 모든 토양은 제 각기 다른 성질을 띠고 있어서

33) 周禮 地官草人 편의 lsquo糞種rsquo에 대해 鄭司農은 ldquo소뼈 삶은 즙에 종자를 담

그는 것rdquo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는 氾勝之書 溲種法 에서 ldquo骨汁糞汁溲種rdquo

법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즉 가축의 뼈를 부수어 눈 물[雪汁]과 섞어 세

번 끓여 즙액을 받아 附子를 넣어 5일동안 담가두었다가 부자는 건저내고 이

속에 羊이나 蠶矢 등을 넣어 저어 종자를 담가 뒤섞고 이후 햇볕에 말려 씨앗

이 즙액을 흡수하도록 하여 파종했다는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하지만 萬國鼎

은 氾勝之書 區田法 편의 ldquo敎民糞種rdquo에 대해 각주에서 ldquo區田以糞氣爲美 非

必須良田也rdquo와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라는 사료를 근거로 lsquo糞種rsquo의

糞은 基肥를 중시한다는 말이지 골즙을 끊여 羊矢나 蠶矢를 섞어 종자 자체에

시비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糞種은 단순히 ldquo시비하고 파종한다rdquo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萬國鼎 輯釋 氾勝之書輯釋 (農業出版社 1980) p62 참조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8그에 합당하게 시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거름은 lsquo糞藥rsquo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농부들이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마

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진단하여 약을 쓰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

울였다는 점을 나타낸다34) 민간에 이미 이러한 인식이 존재했다는 것

은 강남농업에 있어 비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음을 말해준다35)

실제 동물의 糞은 저마다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糞田할 경

우 곡물을 해칠 수도 있다 때문에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리 시비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周禮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陳旉農書에서 이를 재차 강조하여 ldquo토양의 氣와 脈은 그 유형이 하나같이 않아서 비옥하기도 하고 척박하기도 하여 좋고 나쁨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다스리는 데도 각각 적합한 도리가 있다rdquo고36) 한 것은

토양의 氣脈의 조절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그 결과 糞을 토양의 기맥

을 치료하고 곡물의 성장을 담보하는 藥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은 주목

된다 이것은 송대의 분이 제민요술 단계나 그 이전과 같이 단순히

地力을 높여 생산력을 제고한 수준을 넘어 토양과 작물에 있어 필요불

가결한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그 때문에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와 같이 노천에 거름을 쌓아 저

장했던 방식과 함께 일정한 장소를 만들어 거름을 보관 貯溜하는 방식

도 발전하였다 陳旉農書 糞田之宜篇 에 의하면 농가의 곁에 반드

시 헛간[糞屋]을 설치했다 분옥은 처마와 기둥을 낮게 하여 바람에 휘

날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았다 거름을 노천에 쌓아두면 밤의

3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周禮 草人 lsquo掌土化之法以物地相其宜而

為之種rsquo別土之等差而用糞治 且土之騂剛者糞宜用牛赤緹者糞宜用羊以至渴

澤用鹿鹹潟用貆墳壤用麋勃壤用狐埴壚用豕彊㯺用蕡輕爂用犬皆相視其土之性類以所宜糞而糞之斯得其理矣 俚諺謂之糞藥以言用糞猶藥也rdquo

3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7에서 陳旉는구릉지대인 揚州 부근의 西山에만 줄곧 살았던 것은 아니고 일찍이 다른 곳에

서도 살았던 적이 있다 이 농서에서 언급된 농업의 상황은 장강 하류의 비교

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표한다고 한다

36)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土壤氣脈其類不一肥沃磽埆美惡不同

治之各有宜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15: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5을 준다26) 齊民要術의 경우 답분의 제조방식에 중점을 두었지만 진부농서는 소 외양간의 청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이 역

시 牛廏에서 퇴비를 생산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 廏肥생산방식을 보면 봄이 되어 소 우리에 깔아 쌓인 lsquo積滯蓐糞rsquo

을 모두 걷어내어 대청소를 하지만 봄이 아닐지라도 10일에 한번은

소제한다고 하여 퇴비를 생산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齊民要術처럼 생산된 퇴비의 처리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다27) 이때 깔개는 稻作

지대였기 때문에 분명 볏짚이 중심을 이루었을 것이며 깔개도 매일이

아니라 최소한 열흘에 한 차례씩 걷었다는 것으로 보아 답분의 양도

많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답분을 쌓아둔 양이 집집마다 엄청났던

것을 보면 여린 나무 잎과 가지도 가축우리에 넣어 밟게 한다거나 구

덩이에 잡다한 쓰레기를 쌓아 외양간 오줌을 끼얹어 비료로 만들기도

했던 것 같다28) 이것은 화북지역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따라서 10일에 한 번 짚을 갈아주었다는 기록은 강남지역의 경우

水牛를 役牛로 이용했기 때문에 열흘에 한 번 쯤은 우리의 짚을 교체

하여 건강에 관심을 보였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집집마다 산처럼 쌓인 糞穰과 市井에 남아도는 쓰레기가 없을 정도로

퇴비생산에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답분

25)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第一 ldquo且四時有溫涼寒暑之異必順時調適之可

也 於春之初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 亦不必春也但旬日一除免穢氣蒸鬱

以成疫癘 且浸漬蹄甲易以生病 又當祓除不祥以淨爽其處乃善rdquo

26) 陳良佐는 이 문장을 lsquo牛廏肥rsquo의 예로 들고 있다( 我國農田施用之堆廐肥 大陸雜誌 52-4 1976) 충분히 존중해야 할 지적이지만 진부농서에는 이러한

구비의 사용법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곳은 없다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lsquo糞rsquo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 lsquo糞田之宜篇rsquo에서 언급한 비료의 원료로 사용

되고 있는 것인지 혹은 다른 뭔가의 이유로 언급하지 않은 것인지는 상세하지

않다

27) 이러한 현상은 송대의 役牛가 水牛였기 때문에 매일 가축우리를 청소할 필요

가 없었다거나 또 水田의 경우 旱田보다 답분의 基肥가 많이 필요치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28)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p56-62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6은 기존의 粟 黍 麥은 물론이고 稻 豆의 퇴비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재료는 주곡작물의 변화로 인해 맥류와 더불어 볏짚도 주도적으로 사

용되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腐熟방법도 달랐을 것이다

이처럼 陳旉農書에서 踏糞에 대한 안내가 구체적이지 않다고 하

여 송대에 糞과 糞田을 소홀히 취급한 것은 아니었다 陳旉農書에는이전과는 다른 강남의 풍부한 흙과 초목을 태워 만든 土糞[燻土] 火

糞29)[焦泥灰]과 泥糞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를 이용한 餠肥 糠糞

草木灰 綠肥 石灰 踏糞 苗糞 草糞 糞尿 및 동물의 털과 뼈 비료 등

이 다양하게 등장한다30)

이것은 唐末에 편찬되었다고 하는 四時纂要와 비교해도 큰 차이

가 있다 四時纂要에 등장하는 비료는 대부분 牛糞 羊糞 驢馬糞 雞糞 蠶沙[矢]등의 가축분과 燒灰 石灰 灰糞 乾鰻鱧魚汁 米泔 熟糞

爛糞 등인데 이 중에서 牛糞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비료의 종류

는 제민요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宋元代에는 餠肥

渣肥 泥土肥 無機肥 등이 추가되고 46종이나 종류도 늘어나고 있

다31) 더구나 진부농서에는 灌漑가 lsquo用糞rsquo보다 낫다고 하여 水田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32) 농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당 지역과 그 작물

의 특색에 맞게 독특한 비료가 개발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주목할 만

한 것은 비료가 토양과 작물에 어떤 작용을 하며 그 효과는 어떠했는

29)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lsquo糞田之宜篇rsquo

에는 ldquo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

다rdquo라고 하며 lsquo六種之宜篇rsquo에서는 ldquo土糞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 lsquo種桑之法篇rsquo에

서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이 土糞이 화분

의 일종인데 화분에는 흙이 함량이 다소 적어서 焦泥灰에 가깝고 토분에 흙

의 함유량이 많아 lsquo燻土rsquo에 가까워 결코 확연하게 구별하기는 곤란하다 실제

中國農業遺産硏究室 編 中國農學史(下) (科學出版社 1984) p43에서는 火糞

을 土糞이라고 하면서 실제적으로는 焦泥灰라고 하여 구분짓지 않고 있다

30)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 1993) pp53-6331)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pp245-246

3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7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인지 陳旉農書에서는 糞田之宜篇 이라는 독립된 糞田의 章이 등장하기에 이

르렀다 이같은 현상은 진부농서 이전 단계에는 볼 수 없었던 특징

이다

陳旉農書에는 周禮 草人 의 ldquo토지를 개량하는 방법은 땅의 형

색을 보고 판단하며 그 적합함을 살펴서 파종해야 한다rdquo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있다 예컨대 흙 중에서 붉고 굳센 토양[騂剛]의 시비에는

소를 이용하고 붉은빛 토양[赤緹]의 시비에는 羊을 이용한다는 것처럼

토양의 성질에 상응하는 동물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동물 중에는 소 양 돼지 및 개와 같은 가축은 물론이고 사슴 오소

리 큰사슴 여우와 같은 짐승도 있다 문제는 위의 사료에서는 소를

이용한다고만 했을 뿐 그 糞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糞種에서처럼 해당

동물의 뼈즙에 종자를 담가 시비한 것인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이다 그러나 들짐승의 뼈즙을 내어 糞種한다는 것은 일일이 실험하지

않는 한 (실험을 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믿기가 곤란하다 그나마 해

당 동물의 糞汁에 종자를 담가 토양을 다스린 것은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lsquo用rsquo은 糞汁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33) 그렇지만 토양의 성질과 짐승을 연결시켰다는 그 자체는 어

떤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인지는 알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糞田之

宜篇 의 지적과 같이 모든 토양은 제 각기 다른 성질을 띠고 있어서

33) 周禮 地官草人 편의 lsquo糞種rsquo에 대해 鄭司農은 ldquo소뼈 삶은 즙에 종자를 담

그는 것rdquo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는 氾勝之書 溲種法 에서 ldquo骨汁糞汁溲種rdquo

법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즉 가축의 뼈를 부수어 눈 물[雪汁]과 섞어 세

번 끓여 즙액을 받아 附子를 넣어 5일동안 담가두었다가 부자는 건저내고 이

속에 羊이나 蠶矢 등을 넣어 저어 종자를 담가 뒤섞고 이후 햇볕에 말려 씨앗

이 즙액을 흡수하도록 하여 파종했다는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하지만 萬國鼎

은 氾勝之書 區田法 편의 ldquo敎民糞種rdquo에 대해 각주에서 ldquo區田以糞氣爲美 非

必須良田也rdquo와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라는 사료를 근거로 lsquo糞種rsquo의

糞은 基肥를 중시한다는 말이지 골즙을 끊여 羊矢나 蠶矢를 섞어 종자 자체에

시비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糞種은 단순히 ldquo시비하고 파종한다rdquo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萬國鼎 輯釋 氾勝之書輯釋 (農業出版社 1980) p62 참조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8그에 합당하게 시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거름은 lsquo糞藥rsquo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농부들이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마

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진단하여 약을 쓰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

울였다는 점을 나타낸다34) 민간에 이미 이러한 인식이 존재했다는 것

은 강남농업에 있어 비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음을 말해준다35)

실제 동물의 糞은 저마다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糞田할 경

우 곡물을 해칠 수도 있다 때문에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리 시비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周禮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陳旉農書에서 이를 재차 강조하여 ldquo토양의 氣와 脈은 그 유형이 하나같이 않아서 비옥하기도 하고 척박하기도 하여 좋고 나쁨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다스리는 데도 각각 적합한 도리가 있다rdquo고36) 한 것은

토양의 氣脈의 조절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그 결과 糞을 토양의 기맥

을 치료하고 곡물의 성장을 담보하는 藥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은 주목

된다 이것은 송대의 분이 제민요술 단계나 그 이전과 같이 단순히

地力을 높여 생산력을 제고한 수준을 넘어 토양과 작물에 있어 필요불

가결한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그 때문에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와 같이 노천에 거름을 쌓아 저

장했던 방식과 함께 일정한 장소를 만들어 거름을 보관 貯溜하는 방식

도 발전하였다 陳旉農書 糞田之宜篇 에 의하면 농가의 곁에 반드

시 헛간[糞屋]을 설치했다 분옥은 처마와 기둥을 낮게 하여 바람에 휘

날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았다 거름을 노천에 쌓아두면 밤의

3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周禮 草人 lsquo掌土化之法以物地相其宜而

為之種rsquo別土之等差而用糞治 且土之騂剛者糞宜用牛赤緹者糞宜用羊以至渴

澤用鹿鹹潟用貆墳壤用麋勃壤用狐埴壚用豕彊㯺用蕡輕爂用犬皆相視其土之性類以所宜糞而糞之斯得其理矣 俚諺謂之糞藥以言用糞猶藥也rdquo

3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7에서 陳旉는구릉지대인 揚州 부근의 西山에만 줄곧 살았던 것은 아니고 일찍이 다른 곳에

서도 살았던 적이 있다 이 농서에서 언급된 농업의 상황은 장강 하류의 비교

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표한다고 한다

36)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土壤氣脈其類不一肥沃磽埆美惡不同

治之各有宜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16: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6은 기존의 粟 黍 麥은 물론이고 稻 豆의 퇴비로 사용되었을 것이며

재료는 주곡작물의 변화로 인해 맥류와 더불어 볏짚도 주도적으로 사

용되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腐熟방법도 달랐을 것이다

이처럼 陳旉農書에서 踏糞에 대한 안내가 구체적이지 않다고 하

여 송대에 糞과 糞田을 소홀히 취급한 것은 아니었다 陳旉農書에는이전과는 다른 강남의 풍부한 흙과 초목을 태워 만든 土糞[燻土] 火

糞29)[焦泥灰]과 泥糞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를 이용한 餠肥 糠糞

草木灰 綠肥 石灰 踏糞 苗糞 草糞 糞尿 및 동물의 털과 뼈 비료 등

이 다양하게 등장한다30)

이것은 唐末에 편찬되었다고 하는 四時纂要와 비교해도 큰 차이

가 있다 四時纂要에 등장하는 비료는 대부분 牛糞 羊糞 驢馬糞 雞糞 蠶沙[矢]등의 가축분과 燒灰 石灰 灰糞 乾鰻鱧魚汁 米泔 熟糞

爛糞 등인데 이 중에서 牛糞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비료의 종류

는 제민요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宋元代에는 餠肥

渣肥 泥土肥 無機肥 등이 추가되고 46종이나 종류도 늘어나고 있

다31) 더구나 진부농서에는 灌漑가 lsquo用糞rsquo보다 낫다고 하여 水田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32) 농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당 지역과 그 작물

의 특색에 맞게 독특한 비료가 개발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주목할 만

한 것은 비료가 토양과 작물에 어떤 작용을 하며 그 효과는 어떠했는

29)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lsquo糞田之宜篇rsquo

에는 ldquo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

다rdquo라고 하며 lsquo六種之宜篇rsquo에서는 ldquo土糞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 lsquo種桑之法篇rsquo에

서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이 土糞이 화분

의 일종인데 화분에는 흙이 함량이 다소 적어서 焦泥灰에 가깝고 토분에 흙

의 함유량이 많아 lsquo燻土rsquo에 가까워 결코 확연하게 구별하기는 곤란하다 실제

中國農業遺産硏究室 編 中國農學史(下) (科學出版社 1984) p43에서는 火糞

을 土糞이라고 하면서 실제적으로는 焦泥灰라고 하여 구분짓지 않고 있다

30)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 1993) pp53-6331)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pp245-246

3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7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인지 陳旉農書에서는 糞田之宜篇 이라는 독립된 糞田의 章이 등장하기에 이

르렀다 이같은 현상은 진부농서 이전 단계에는 볼 수 없었던 특징

이다

陳旉農書에는 周禮 草人 의 ldquo토지를 개량하는 방법은 땅의 형

색을 보고 판단하며 그 적합함을 살펴서 파종해야 한다rdquo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있다 예컨대 흙 중에서 붉고 굳센 토양[騂剛]의 시비에는

소를 이용하고 붉은빛 토양[赤緹]의 시비에는 羊을 이용한다는 것처럼

토양의 성질에 상응하는 동물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동물 중에는 소 양 돼지 및 개와 같은 가축은 물론이고 사슴 오소

리 큰사슴 여우와 같은 짐승도 있다 문제는 위의 사료에서는 소를

이용한다고만 했을 뿐 그 糞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糞種에서처럼 해당

동물의 뼈즙에 종자를 담가 시비한 것인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이다 그러나 들짐승의 뼈즙을 내어 糞種한다는 것은 일일이 실험하지

않는 한 (실험을 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믿기가 곤란하다 그나마 해

당 동물의 糞汁에 종자를 담가 토양을 다스린 것은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lsquo用rsquo은 糞汁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33) 그렇지만 토양의 성질과 짐승을 연결시켰다는 그 자체는 어

떤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인지는 알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糞田之

宜篇 의 지적과 같이 모든 토양은 제 각기 다른 성질을 띠고 있어서

33) 周禮 地官草人 편의 lsquo糞種rsquo에 대해 鄭司農은 ldquo소뼈 삶은 즙에 종자를 담

그는 것rdquo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는 氾勝之書 溲種法 에서 ldquo骨汁糞汁溲種rdquo

법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즉 가축의 뼈를 부수어 눈 물[雪汁]과 섞어 세

번 끓여 즙액을 받아 附子를 넣어 5일동안 담가두었다가 부자는 건저내고 이

속에 羊이나 蠶矢 등을 넣어 저어 종자를 담가 뒤섞고 이후 햇볕에 말려 씨앗

이 즙액을 흡수하도록 하여 파종했다는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하지만 萬國鼎

은 氾勝之書 區田法 편의 ldquo敎民糞種rdquo에 대해 각주에서 ldquo區田以糞氣爲美 非

必須良田也rdquo와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라는 사료를 근거로 lsquo糞種rsquo의

糞은 基肥를 중시한다는 말이지 골즙을 끊여 羊矢나 蠶矢를 섞어 종자 자체에

시비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糞種은 단순히 ldquo시비하고 파종한다rdquo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萬國鼎 輯釋 氾勝之書輯釋 (農業出版社 1980) p62 참조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8그에 합당하게 시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거름은 lsquo糞藥rsquo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농부들이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마

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진단하여 약을 쓰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

울였다는 점을 나타낸다34) 민간에 이미 이러한 인식이 존재했다는 것

은 강남농업에 있어 비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음을 말해준다35)

실제 동물의 糞은 저마다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糞田할 경

우 곡물을 해칠 수도 있다 때문에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리 시비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周禮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陳旉農書에서 이를 재차 강조하여 ldquo토양의 氣와 脈은 그 유형이 하나같이 않아서 비옥하기도 하고 척박하기도 하여 좋고 나쁨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다스리는 데도 각각 적합한 도리가 있다rdquo고36) 한 것은

토양의 氣脈의 조절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그 결과 糞을 토양의 기맥

을 치료하고 곡물의 성장을 담보하는 藥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은 주목

된다 이것은 송대의 분이 제민요술 단계나 그 이전과 같이 단순히

地力을 높여 생산력을 제고한 수준을 넘어 토양과 작물에 있어 필요불

가결한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그 때문에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와 같이 노천에 거름을 쌓아 저

장했던 방식과 함께 일정한 장소를 만들어 거름을 보관 貯溜하는 방식

도 발전하였다 陳旉農書 糞田之宜篇 에 의하면 농가의 곁에 반드

시 헛간[糞屋]을 설치했다 분옥은 처마와 기둥을 낮게 하여 바람에 휘

날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았다 거름을 노천에 쌓아두면 밤의

3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周禮 草人 lsquo掌土化之法以物地相其宜而

為之種rsquo別土之等差而用糞治 且土之騂剛者糞宜用牛赤緹者糞宜用羊以至渴

澤用鹿鹹潟用貆墳壤用麋勃壤用狐埴壚用豕彊㯺用蕡輕爂用犬皆相視其土之性類以所宜糞而糞之斯得其理矣 俚諺謂之糞藥以言用糞猶藥也rdquo

3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7에서 陳旉는구릉지대인 揚州 부근의 西山에만 줄곧 살았던 것은 아니고 일찍이 다른 곳에

서도 살았던 적이 있다 이 농서에서 언급된 농업의 상황은 장강 하류의 비교

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표한다고 한다

36)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土壤氣脈其類不一肥沃磽埆美惡不同

治之各有宜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17: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7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인지 陳旉農書에서는 糞田之宜篇 이라는 독립된 糞田의 章이 등장하기에 이

르렀다 이같은 현상은 진부농서 이전 단계에는 볼 수 없었던 특징

이다

陳旉農書에는 周禮 草人 의 ldquo토지를 개량하는 방법은 땅의 형

색을 보고 판단하며 그 적합함을 살펴서 파종해야 한다rdquo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있다 예컨대 흙 중에서 붉고 굳센 토양[騂剛]의 시비에는

소를 이용하고 붉은빛 토양[赤緹]의 시비에는 羊을 이용한다는 것처럼

토양의 성질에 상응하는 동물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동물 중에는 소 양 돼지 및 개와 같은 가축은 물론이고 사슴 오소

리 큰사슴 여우와 같은 짐승도 있다 문제는 위의 사료에서는 소를

이용한다고만 했을 뿐 그 糞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糞種에서처럼 해당

동물의 뼈즙에 종자를 담가 시비한 것인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

이다 그러나 들짐승의 뼈즙을 내어 糞種한다는 것은 일일이 실험하지

않는 한 (실험을 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믿기가 곤란하다 그나마 해

당 동물의 糞汁에 종자를 담가 토양을 다스린 것은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lsquo用rsquo은 糞汁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33) 그렇지만 토양의 성질과 짐승을 연결시켰다는 그 자체는 어

떤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인지는 알 수가 없다 중요한 것은 糞田之

宜篇 의 지적과 같이 모든 토양은 제 각기 다른 성질을 띠고 있어서

33) 周禮 地官草人 편의 lsquo糞種rsquo에 대해 鄭司農은 ldquo소뼈 삶은 즙에 종자를 담

그는 것rdquo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는 氾勝之書 溲種法 에서 ldquo骨汁糞汁溲種rdquo

법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즉 가축의 뼈를 부수어 눈 물[雪汁]과 섞어 세

번 끓여 즙액을 받아 附子를 넣어 5일동안 담가두었다가 부자는 건저내고 이

속에 羊이나 蠶矢 등을 넣어 저어 종자를 담가 뒤섞고 이후 햇볕에 말려 씨앗

이 즙액을 흡수하도록 하여 파종했다는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하지만 萬國鼎

은 氾勝之書 區田法 편의 ldquo敎民糞種rdquo에 대해 각주에서 ldquo區田以糞氣爲美 非

必須良田也rdquo와 ldquo區種粟二十粒 美糞一升 合土和之rdquo라는 사료를 근거로 lsquo糞種rsquo의

糞은 基肥를 중시한다는 말이지 골즙을 끊여 羊矢나 蠶矢를 섞어 종자 자체에

시비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糞種은 단순히 ldquo시비하고 파종한다rdquo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萬國鼎 輯釋 氾勝之書輯釋 (農業出版社 1980) p62 참조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8그에 합당하게 시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거름은 lsquo糞藥rsquo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농부들이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마

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진단하여 약을 쓰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

울였다는 점을 나타낸다34) 민간에 이미 이러한 인식이 존재했다는 것

은 강남농업에 있어 비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음을 말해준다35)

실제 동물의 糞은 저마다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糞田할 경

우 곡물을 해칠 수도 있다 때문에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리 시비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周禮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陳旉農書에서 이를 재차 강조하여 ldquo토양의 氣와 脈은 그 유형이 하나같이 않아서 비옥하기도 하고 척박하기도 하여 좋고 나쁨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다스리는 데도 각각 적합한 도리가 있다rdquo고36) 한 것은

토양의 氣脈의 조절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그 결과 糞을 토양의 기맥

을 치료하고 곡물의 성장을 담보하는 藥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은 주목

된다 이것은 송대의 분이 제민요술 단계나 그 이전과 같이 단순히

地力을 높여 생산력을 제고한 수준을 넘어 토양과 작물에 있어 필요불

가결한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그 때문에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와 같이 노천에 거름을 쌓아 저

장했던 방식과 함께 일정한 장소를 만들어 거름을 보관 貯溜하는 방식

도 발전하였다 陳旉農書 糞田之宜篇 에 의하면 농가의 곁에 반드

시 헛간[糞屋]을 설치했다 분옥은 처마와 기둥을 낮게 하여 바람에 휘

날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았다 거름을 노천에 쌓아두면 밤의

3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周禮 草人 lsquo掌土化之法以物地相其宜而

為之種rsquo別土之等差而用糞治 且土之騂剛者糞宜用牛赤緹者糞宜用羊以至渴

澤用鹿鹹潟用貆墳壤用麋勃壤用狐埴壚用豕彊㯺用蕡輕爂用犬皆相視其土之性類以所宜糞而糞之斯得其理矣 俚諺謂之糞藥以言用糞猶藥也rdquo

3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7에서 陳旉는구릉지대인 揚州 부근의 西山에만 줄곧 살았던 것은 아니고 일찍이 다른 곳에

서도 살았던 적이 있다 이 농서에서 언급된 농업의 상황은 장강 하류의 비교

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표한다고 한다

36)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土壤氣脈其類不一肥沃磽埆美惡不同

治之各有宜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18: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98그에 합당하게 시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거름은 lsquo糞藥rsquo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당시 농부들이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마

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진단하여 약을 쓰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

울였다는 점을 나타낸다34) 민간에 이미 이러한 인식이 존재했다는 것

은 강남농업에 있어 비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음을 말해준다35)

실제 동물의 糞은 저마다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糞田할 경

우 곡물을 해칠 수도 있다 때문에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리 시비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周禮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陳旉農書에서 이를 재차 강조하여 ldquo토양의 氣와 脈은 그 유형이 하나같이 않아서 비옥하기도 하고 척박하기도 하여 좋고 나쁨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다스리는 데도 각각 적합한 도리가 있다rdquo고36) 한 것은

토양의 氣脈의 조절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그 결과 糞을 토양의 기맥

을 치료하고 곡물의 성장을 담보하는 藥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은 주목

된다 이것은 송대의 분이 제민요술 단계나 그 이전과 같이 단순히

地力을 높여 생산력을 제고한 수준을 넘어 토양과 작물에 있어 필요불

가결한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그 때문에 제민요술의 답분법에서와 같이 노천에 거름을 쌓아 저

장했던 방식과 함께 일정한 장소를 만들어 거름을 보관 貯溜하는 방식

도 발전하였다 陳旉農書 糞田之宜篇 에 의하면 농가의 곁에 반드

시 헛간[糞屋]을 설치했다 분옥은 처마와 기둥을 낮게 하여 바람에 휘

날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았다 거름을 노천에 쌓아두면 밤의

3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周禮 草人 lsquo掌土化之法以物地相其宜而

為之種rsquo別土之等差而用糞治 且土之騂剛者糞宜用牛赤緹者糞宜用羊以至渴

澤用鹿鹹潟用貆墳壤用麋勃壤用狐埴壚用豕彊㯺用蕡輕爂用犬皆相視其土之性類以所宜糞而糞之斯得其理矣 俚諺謂之糞藥以言用糞猶藥也rdquo

3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7에서 陳旉는구릉지대인 揚州 부근의 西山에만 줄곧 살았던 것은 아니고 일찍이 다른 곳에

서도 살았던 적이 있다 이 농서에서 언급된 농업의 상황은 장강 하류의 비교

적 광범위한 지역을 대표한다고 한다

36)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土壤氣脈其類不一肥沃磽埆美惡不同

治之各有宜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19: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99이슬과 음기[星月]에 노출되어 거름기가 손실된다는 사실을 알고37) 糞

屋 속에 깊은 구덩이를 파서 그 주변에 벽돌로 담을 쌓아서 거름기가

새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38) 한 방울의 거름물도 아끼려고 했다

그러면 이때 보관한 거름은 어떤 것이었을까 바람에 휘날리지 않

게 한다는 것을 보면 불에 때운 灰糞 종류도 있었고 거름기가 빠져나

가지 못하게 한 것을 보면 부숙 과정에서 물이나 분뇨를 끼얹어 부식

을 촉진한 거름도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진부농서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면서 생긴 흙 불에 태운 재 탈곡 후에 까불러서 생긴 곡물의

쭉정이 흐트러진 볏짚과 떨어진 낙엽은 쌓아두었다가 태워서 똥오줌

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하게 되면 腐熟하면서 풀이 죽어 그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는39) 지적에서 볼 때40) 이 분옥 속에는 이미

잘 부숙된 熟糞 뿐만 아니라 재거름을 주로 보관한 듯하다 그리고 이

런 부드럽고 농도 짙은 비료를 분약으로 사용한 재배작물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41)

이 외 구덩이를 이용한 거름 제조방식은 種桑之法篇 의 漚漬法에

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부엌에서 생긴 부산물을 모아 거름으로 활용

하기 위해 부엌의 모퉁이에 거름웅덩이를 파서 벽돌을 쌓아 물이 스며

들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쌀을 찧을 때마다 등겨와 왕겨를 모

37) 이것은 露天에서 비료를 생산하거나 저장하면 거름이 햇볕에 쬐고 비에 적

시고 바람에 노출되어 비료의 효과를 잃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8)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農居之側必置糞屋低為簷楹以避風雨

飄浸 且糞露星月亦不肥矣 糞屋之中鑿為深池甃以磚甓勿使滲漏rdquo

39)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rdquo

40) 이러한 비료의 제조 방법은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퇴비생산의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陳祖槼 中國文獻上的水稻栽培 (農史硏究集刊 二 1960

에서 재와 분뇨의 혼합은 비료 중의 질소분을 상실하게 하여 비력을 저하시킨

다는 지적도 있지만 분뇨에 재를 섞으면 비료효과도 오래가며 엉긴 토질이 풀

려 흙을 부드럽게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최덕경 朝鮮시대 糞尿施肥와 人

糞 古代中國의 糞尿利用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 40 2010) p82 참조

41) 이것은 量이 많지 않아 瓜菜類나 區田의 基肥나 追肥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20: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0으고 썩은 볏짚과 나뭇잎 등과 함께 웅덩이 속에 넣고 또 그릇을 씻

고 난 구정물[肥水]과 쌀뜨물[泔水] 등을 구덩이 속에 넣어 자연스럽게

부패시키는42) 방식이다 善其根苗篇 에 보이는 lsquo窖爛麤穀殼rsquo이나 lsquo糠

糞rsquo은 바로 이런 거름웅덩이에서 썩힌 거름이었을 것이다43)

그런가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大糞 즉 生糞을 사용하면 작물과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火糞과 섞어서 오랫동안 거름구덩이 속에서 부

숙시켰던 것으로 보아44) 부엌밖에도 大糞이나 잡다한 쓰레기를 부숙

하는 구덩이가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善其根苗篇 에는 깻묵을 잘게

부수어 火糞과 섞어 누룩처럼 만들어서 구덩이 속에 넣고 발효시키기

도 하였다45) 이처럼 당시에는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물을

부숙시켰으며 漚漬法을 통해 액체거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

은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 송대 製糞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송대에는 비료를 시비할 때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컨대 뽕나

무를 옮겨 심을 때 구덩이를 파고 基肥한 후 뽕나무 주위에 뾰족하게

깍은 나무로 못을 박듯이 구멍을 내어 오줌이나 물이 바로 뿌리까지

미치도록 追肥하고 있다46) 그런가 하면 뽕나무밭에 모시를 심고 거름

을 줄 때도 왕겨 등겨 볏짚이 구덩이 속에서 서로 배합되어 반쯤 썩

게 된 상태가 좋다고 하며47) 木棉을 재배할 때도 파종 후에 牛糞을

42)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聚糠稾法於廚棧下深闊鑿一池結甃使不滲漏每舂米卽聚礱簸穀殼及腐稾敗葉漚漬其中以收滌器肥水與滲漉泔淀

沤久自然腐爛浮泛rdquo

4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4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4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rdquo

46)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於次年正月上旬乃徙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然後於穴中央

植一株下土平填緊築免風搖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仍以棘刺絆縛遶護免牛羊挨拶損動也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大木斫槧周迴釘穴搖動為十數穴穴可深三四尺 又四圍略高作塘塍貴

得澆灌時不流走了糞且蔭注四傍直從穴中下至根底卽易發旺而歲久難摧也rdquo

47)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糞苧宜瓮爛穀殼糠稾rdquo 이 사료 중 lsquo瓮rsquo자를 知不足齋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21: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1덮지 않고 먼저 우분을 시비하여 갈이하면 2 3년간은 지력이 쇠퇴한

다고 한다48) 이처럼 비료를 시비할 때도 작물의 성질과 토양을 고려

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施用한 것을 보면 생태자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비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시비의 경험이 많이 축적된 결

과이기도 하지만 비료에 대한 수요가 이전보다 늘어났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당시 민간에서 糞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糞과 糞

汁의 가치와 효용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때문에

糞屋과 漚漬를 설치하여 糞藥을 만들어 田地를 관리했던 농민의 심정

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숙분과 漚漬法을 통해 부숙된 거름물은

작물에 速效性이 크기 때문에 밑거름보다 덧거름[追肥]에 탁월한 효과

가 있다 진부농서 단계에 갑자기 덧거름이 확대된 것은49) 이같은

漚漬法의 출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lsquo地力常新壯rsquo論

앞에서 송대 비료는 토양의 糞藥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했

다 토양은 대개 3년이나 5년을 파종하면 그 地力이 바닥나서 초목이

자라지 않고 곡물은 충분한 결실을 맺지 못한다 진부는 이같은 지적

은 합당하지 않으며 깊이 생각하여 나온 결론도 아니라고 단언하고

있다 그는 ldquo時加新沃之土壤以糞治之rdquo라고 하여 수시로 시비하여 관

리한다면 토양은 더욱 부드럽고 비옥해져서 지력은 항상 새롭게 된다

고 하는 lsquo地力常新壯rsquo論을 제시하였다50) 문제가 되는 것은 땅이 아니

本에서는 lsquo麤rsquo로 쓰고 있는데 반해 函海本에서는 lsquo瓮rsquo자로 쓰고 있다

48)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綿種雜以溺

灰 兩足十分揉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 若先以牛糞糞之 而

後耕之 則厥田二三歲內土虛矣rdquo

49)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p75

50)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22: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2고 인간의 경작방법에 달렸음을 지적한 말이다

陳旉農書의 서술 상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기존의 잘못된 인

식을 지금까지 지니고 있거나 과거의 정신을 소홀히 여기거나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을 陳旉가 직접 지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lsquo地力常新壯rsquo論도 그 중 하나에 속한다 糞田之宜篇 에서 진부

는 기존의 土地漸減論을 부인하고 糞을 통한 시비야말로 땅이 쇠퇴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때 陳旉가 비교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좁게는 당시의 현실만을 뜻

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그 이전의 시점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니까 南宋 이전에는 糞田을 하지만 농작물 재배에 따라 지력이

점차 감소한다고 인식했지만 진부는 그런 인식을 잘못된 것으로 파악

하고 지력은 언제나 시비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던 것

이다 진부농서의 서문에서 제민요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남방의 진부는 제민요술과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이 분명하

다51) 사실 이런 인식은 萬國鼎도 지적했듯이 과거 중국의 오랜 역사

에서 없었던 생각이었다 게다가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경작과 파종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지력이 소모되거나 점진적으로 퇴화하지

않았다 당시 진부가 이미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이같이 실용적인 원칙

을 제시했던 것은 평소 糞田을 통한 토지관찰과 더불어 시비의 효용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52)

그런가 하면 陳旉는 糞田之宜篇 에서 시비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시비를 많이 하여 토지가 지나치게 비옥하면 싹

은 무성하나 열매는 견실하지 못해 새로 캐낸 흙을 가져다 섞어 비력

을 조절해 부드럽고 굳센 것이 적당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53)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51) 陳旉農書 陳旉自序 ldquo齊民要術四時纂要迂疎不適用之比也rdquo

52)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p11-12

53) 補農書 運田地法 에 의하면 만약 비옥한 땅에 퇴비를 시용하면 토양이 너무 부풀려져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꺼리고 가뭄도 이기지 못하고 간혹 열매

를 맺지도 못한다고 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23: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3그리고 척박한 땅은 메마르고 좋지 않아 하지만 거름을 두 배로 늘리

면 그 토양이 비옥해져 싹이 무성해지고 열매도 견실해진다고 하였다

무조건 비료를 많이 준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토양의 성질에 따라 합

당하게 관리해야 만이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54) 한다

비록 당시 진부가 제시한 이론은 명청대에서 보듯 物性의 조건에

따라 시비하는 三宜觀이나 비료원소의 생리작용에까지 발전하지는 못

했지만55) 그가 제기한 시비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기본원칙은 탁월

한 것이다 이같은 기본 원칙은 중국농민의 풍부한 토양관리와 개량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 축적의 기초위에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원칙 속에는 사람의 힘으로 地力을 재생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 내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6) 즉 갈이하고 시비를 하여 땅을 잘 관리

하면 지력은 언제나 새롭게 갱생한다는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57) 땅은 消耗品이 아니라 肥料라는 기름을 넣어주면 또

다시 생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生産工場이라는 인식을 지녔던 것으

로 결국 토지에 대한 인간의 노력이야말로 생산력의 향상에 직결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진부농서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비료공급원을 찾아내고 비

료를 축적했으며 비료의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지력의 손실을 막았

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ldquo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또한 부드러워진다rdquo거나 ldquo깻묵은 사용

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공이로써 잘게 부수어서 火糞과 섞어서 구덩이

에 넣고 덮어서 누룩과 같이 만들어 비료로 사용한다rdquo 등의58) 기술과

54)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且黑壤之地信美矣然肥沃之過或苗茂而實

不堅當取生新之土以解利之卽疏爽得宜也 蹺埆之土信瘠惡矣然糞壤滋培

卽其苗茂盛而實堅栗也 雖土壤異宜顧治之如何耳治之得宜皆可成就rdquo

55)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pp249-250

56) 萬國鼎 앞의 논문 陳旉農書評介 p11에서는 시비야말로 사람의 힘으로 자연을 개조할 수 있다는 강력한 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57)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或謂土敝則草木不長氣衰則生物不遂凡田

土種三五年其力已乏 斯語殆不然也是未深思也 若能時加新沃之土壤以糞

治之則益精熟肥美其力常新壯矣抑何敝何衰之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24: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4지천에 널려있는 흙으로 火糞과 土糞을 만들었던 것은 결코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방식은 아니었다 이러한 창조적인 제분법은 송대 농

민이 주어진 상황에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강남지역의 특성을 이용하

여 그 한계를 극복하여 상당한 수준의 시비기술을 만들어 낸 것을 뚜

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59)

이처럼 송대에는 제민요술 단계와는 다른 토지에 대한 비료의 가

치와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비료와 거름기를 보전하는 것을 중요시하였

다 糞屋이나 각종 거름구덩이를 이용하여 製糞했던 방식은 齊民要術의 屋外에 거름을 쌓아 보관했던 방식보다 부숙이나 거름기를 잘 보

존한다는 측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그대

로 농업에 적용되어 糞藥이란 인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명청시대를 거

치면서 지역에서 생산된 산물로 그 지역에 적합한 비료를 더욱 많이

개발하게 되면서 비료의 종류는 크게 증대되었고 그 결과가 補農書에 잘 담겨져 이어지고 있다60)

Ⅳ 唐宋代 시비의 발달과 稻麥 윤작

1 基肥에서 追肥의 확대

陳旉農書에는 施肥方法에도 변화가 보인다 氾勝之書에서 種子

에 직접 시비하던 糞種法은 齊民要術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

만 陳旉農書에서는 이를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은 시비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58)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rdquo ldquo但麻枯難

使須細杵碎和火糞窖罨如作麴樣rdquo

59)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p14-1560) 崔德卿 補農書를 통해본 明末淸初 江南農業의 施肥法 (中國史硏究 74201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25: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5한대 代田法과 區田法에서 보듯 기존의 파종 방식은 대개 播種處의

확보에 치중한 경작방식이었으며 시비 방법도 밑거름[基肥]을 하거나

糞種과 같이 종자에 직접 骨汁 등을 시비하여 出苗에 대비하였다 제민요술에는 骨汁 이외에 牛糞이나 누에똥[蠶沙]속에 瓜子 瓠子 熟桃

를 넣어 糞種했으며 이같은 基肥방식은 南宋代에도 여전히 유용했다

예컨대 부엌 가에 만들어 둔 거름웅덩이에서 생산된 糠糞61)은 기비로

도 사용되었다 그 방식은 파종직전에 밟아 진흙 속에 넣고 田盪으

로62) 잘 골라 평평하게 하여 파종한 것을 보면 분명 基肥로 사용된 것

이다 하지만 陳旉는 분종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지는 않고

있다

그런데 牛耕이 발달하여 토지의 全面 發土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강

남 수전의 경우 벼를 移秧한 후 着根을 위해 일정한 조치가 필요했다

이 경우 시비도 出苗를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

전하는 것을 위해 중요시되었다

주지하듯 덧거름[追肥]은 基肥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追肥

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氾勝之書 種麻 의 기록으로 苗가 한 尺정

도 자랐을 때 蠶矢를 시비했다는 것이63) 그것이다 追肥는 액체 상태

로 시비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당말에 찬술된 사시찬요 2월조에도山藥과 茶나무에 분뇨를 물을 타거나 오줌에 분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덧거름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진부농서 種桑

之法篇 에는 구정물이나 쌀뜨물을 한해에 3 4차례 퍼내서 뽕밭에 심

은 모시밭에 시비하여 기력을 보충함으로써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작물을 무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陳旉가 실제 이 같은 일을 실천하

61) lsquo糠糞rsquo은 곡물의 껍질을 물에 담가서 만든 비료이며 만드는 법은 種桑之法

篇 에서 보인다

62) lsquo盪rsquo에 관해서는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에 설명되어 있고 거

기서 農書種植篇云으로 이 문장이 인용되어 있다63) 齊民要術 種麻子 ldquo氾勝之書曰 種麻 豫調和田 二月下旬 三月上旬 傍雨種

之 麻生布葉 鋤之 率九尺一樹 樹高一尺 以蠶矢糞之 樹三升 無蠶矢 以溷中

熟糞糞之亦善 樹一升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26: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6자 이웃은 특이한 것에 감탄하여 서로서로 본받지 않음이 없었다는64)

것으로 미루어 당시 모든 작물에 추비가 보편화된 것은 아닌 듯하지

만 송대부터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 것은 분명하다 다만 齊民要術단계까지의 追肥는 주로 葵 韭와 같은 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행하지 않았지만 陳旉農書에는 麥 稻에까지 분뇨 및 綠肥 등으로

추비하고 있다65)

追肥기술은 기비처럼 단순하지가 않았던 것 같다 후대 補農書의運田地法 에 의하면 ldquo추비를 할 때는 반드시 계절 기후를 고려하고

苗의 색깔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농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가난한 농가는 적게 시비하여 낮은 생산 때문에 고생하였고 거름이

많은 농가에서는 거름을 많이 주어 이삭이 웃자라 쭉정이가 많은 것을

근심하였다rdquo66)고 하였는데 이것은 追肥를 위해서는 세심한 농작물의

관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 것이다

송대의 追肥사례를 보면 ldquo정월에는 麻枲를 파종하고 열흘 간격으로

한 번씩 거름을 준다rdquo ldquo冬麥을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여러 차

례 거름을 준다rdquo67) ldquo호미로 (뽕나무) 뿌리아래를 파서 거름을 주는

것을 lsquo開根糞rsquo이라고 하며 해마다 2차례씩 호미로 파내어 거름을 준

다rdquo68) ldquo(옮겨 심은 뽕나무) 사방에 구멍을 내어 거름[澆]이나 물을 주

입[灌]하면 바로 구멍을 통해서 뿌리아래까지 미치게 되어 나무가 왕

성해진다rdquo ldquo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얻

게 되어서 상호이익이 된다rdquo69) 그리고 ldquo물을 대면 진흙이 부풀어져

64)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一歲三四次出以糞苧因以肥桑愈久而愈

茂寧有荒廢枯摧者 作一事而兩得誠用力少而見功多也 僕每如此為之此鄰

莫不歎異而胥效也rdquo

65) 崔德卿 東아시아에서의 糞의 의미와 人糞의 實效性 (中國史硏究 682010) p75

66) 沈氏農書 運田地法 ldquo蓋田上生活 百凡容易 只有接力一壅 須相其時候

察其顏色 爲農家最緊要機關 無力之家 既苦少壅薄收 糞多之家 患過肥穀秕

究其根源 總爲壅嫩苗之故rdquo

67)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6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27: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7부서지게 되어 벼의 모는 무성해져서 특별히 거름을 주는 것보다 좋

다rdquo70) 등이 있다 마지막 사례는 직접 벼 모에 시비한 것은 아니지만

문장의 내용으로 미루어 벼에도 덧거름을 뿌렸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송대에는 다양한 작물에 추비를 하였다 앞에서 살폈듯

이 송대 거름 제조 방식은 대개 糞屋 漚漬法 및 거름구덩이 속에서

숙분과 거름물을 많이 생산하였다 이들 거름은 肥力이 높아 速效性

비료에 아주 적합하다 또한 이런 비료는 基肥보다 작물의 상황에 따

라 분약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種桑之法篇 에서 ldquo싹이

3-5寸 자라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내지 7일에 한번 물에 소변을 타서 거름을 주면

비옥해져서 잘 자란다rdquo는 것처럼 追肥의 효용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생산된 거름물 등이 추비에 보다 적합했

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비료 저장 시설이 송대 크게 늘어났던 것은 당

시 시비법이 基肥에서 점차 追肥 방향으로 전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瓜菜 중심에서 稻麥桑 재배를 위한 施肥

그러면 唐宋시대 糞은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우선 齊民要術의 糞田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ldquo加糞糞之rdquo 糞種

熟糞 糞澤 羊糞 美糞 糞氣 糞疇 蠶矢糞 ldquo溷中熟糞糞之rdquo 蠶糞 牛

糞 土糞 惡草生糞 生糞 糞地 糞土 ldquo驢馬糞及人溺rdquo71) (馬)糞溺 등이

보인다 그런가 하면 南宋 때 편찬된 陳旉農書(1149年)에 보이는 糞

의 용례를 보면 ldquo篩細糞和種子rdquo72) 土糞73) 糞壤 糞汁 糞田疇 糞土

田 大糞 火糞[燒土草木灰]74) 糠糞75)(곡물껍질로 만든 비료) ldquo燒土糞

6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70)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71) 齊民要術 種紫草 ldquo其棚下勿使驢馬糞及人溺 又忌煙 皆令草失色rdquo

72)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ldquo篩細糞和種子 打壟撮放 唯疏為妙rdquo

73)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75)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28: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08以糞之rdquo76) 糞苧 草木灰 草糞 苗糞 蓐糞[踏糞]77) 등이 있다 兩者의

차이를 보면 제민요술에는 주로 家畜糞 蠶矢 및 踏糞이 중심이었지

만 陳旉農書에는 土糞 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이 製糞의 소

재와 방식이 확대되었던 것이 주목된다

제민요술에서 이들 비료가 사용된 용례를 보면 粟黍 穄粱秫 大

小豆 및 大小麥 水稻 등의 禾穀작물에도 사용되었지만 農書 상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는 않다 반면 瓜 瓠 芋 葵 韭 蘭香 薑 蘘荷 芹

椒와 桃柰 梨 등 瓜菜類와 果實樹 등에는 적극적으로 시비가 행해졌

음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제민요술에 熟糞 生糞이 동시에 등장하

는 것을 보면 腐熟하여 사용하거나 가축과 인분의 生糞도 이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사시찬요에도 마찬가지이다 lt表2gt와

같이 사시찬요에는 봄에 파종하는 다양한 瓜菜類가 이전의 어떤 농

서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시비도 잘 소개하고 있다

예컨대 1월에 파종한 작물은 薤 瓜 冬瓜 葵이며 2월에는 葱 蒜 瓜

瓠 葵 蓼 苜蓿 芋 韭 署預와 薔薇類 3월에는 胡麻 麻子 瓜 薑 薏

苡 등을 볼 수 있으며 파종 때 사용한 거름을 보면 lsquo下水加糞rsquo lsquo糞水

灌之rsquo 漬麥種 牛糞 蠶沙 人糞 糞土 糞種 등을 볼 수 있다 이 糞의

명칭만으로는 거름의 성질을 모두 알 수 없지만 흥미로운 것은 踏糞

을 제외하고 牛糞이 많이 등장하며 봄이 지나면 거의 시비 기록이 보

이지 않는다는 점이다78) 심지어 8월의 大小麥의 파종 때에도 시비 기

록이 (누락되었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봄에 지력 유지를 위해

基肥를 집중적으로 시비했거나 종자에 직접 파종했음을 알 수 있다

76) 陳旉農書 六種之宜篇

77) 陳旉農書 牧養役用之宜篇 ldquo於春之初 必盡去牢欄中積滯蓐糞rdquo에서 lsquo蓐糞rsquo

이 곧 踏糞이 아닐까 생각된다

78) 四時纂要에 의하면 1-3월 사이에 파종하는 과채류나 곡물에는 대부분 시

비를 했지만 그 이후에는 6월에 種蘿蔔에 lsquo上糞rsquo 7월에 開荒田하면서 lsquo放火燒rsquo

하고 種苜蓿에 lsquo加糞 爬起水澆rsquo했으며 8월에 漬麥種 種蒜 때에 lsquo上糞水澆之rsquo

한 것뿐으로 lt表2gt에서 보듯 4-12월까지는 파종한 작물 수에 비해 시비가 매

우 적다 이것은 단순한 누락인지 알 수 없지만 주로 봄에 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29: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09어쨌든 lt表1gt의 좌측 漢代 파종작물과 비교해 보면 唐代에는 瓜菜

類 香油 染色 작물은 물론이고 種麻子 種桑 및 種木棉 등의 纖維작

물과 果樹類의 재배가 크게 늘어난 것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제민요술에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이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그

수요가 늘어나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즉 栽培 작물이 다양

해지면 地力소모 속도가 빨라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養地가 필요불가

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곧 새로운 비료의 소재 발견과

製糞法을 낳게 된 것이다 게다가 사시찬요의 작물 구성 파종 및 시비방식도 제민요술과는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농업환경과 그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다만 水糞과 같은 追肥와 人糞의 이

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이후 토양과 작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송대가 되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製糞 방식과 비료 소재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송대에는 단순한 糞田의 확대만이

아니라 시비에 대한 인식이 체계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陳旉農書는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와는 달리 저자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토대로 당시 안타까운 심정으로 농업의 문제점을 읽어내고 그 해결방

법도 마치 농작물을 치료하듯 정황을 살펴 어루만지며 비료를 통해 치

료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ldquo7월에는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을 해 주며 8월 社日79)전

에 맥류[冬麥]를 파종하고 여러 차례 김매고 거름을 주어야 한다rdquo에

서 볼 수 있듯이80) 陳旉는 특히 6월에 풀을 제거하여 진흙 속에 묻어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미 詩經81)에도 제시되어 있음에도 지금

의 농부들은 뿌리나 씨로 번식하는 잡초를 잘 몰라 피해가 두려워 모

79) 萬國鼎은 lsquo社rsquo는 lsquo社日rsquo을 가리킨다 입춘 후 다섯 번째 戊일을 lsquo春社rsquo라고 하

고 입추 후 다섯 번째 무일을 lsquo秋社rsquo라고 한다

80) 陳旉農書 六種之宜篇第五 ldquo七月治地屢加糞鉏轉 八月社前即可種麥 宜

屢耘而屢糞 麥經兩社卽倍收而子顆堅實rdquo

81) 詩經 周頌良耜 ldquo以薅荼蓼荼蓼朽止黍稷茂止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30: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0든 잡초를 폐기하고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82) 안타까워했다 그

런가 하면 쌓아둔 썩은 볏짚과 나뭇잎 그리고 베어낸 마른 풀뿌리를

잘라서 모판에 두루 깔아 태우면 흙이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는 점

도 제시하면서 잡초는 물론 각종 쓰레기조차 적극적으로 비료로 이용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冬麥 재배를 위한 시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善其根苗篇 에서는 벼를 모판에 파종하기 전 가을과 겨울에 두 세

차례 깊이 갈아 엎어주고 월동하면서 푸석푸석해진 토양에 시비하여

부드럽게 한 후 초봄이 되면 다시 두 차례 갈아엎고 써레질 하여 부

드럽게 평탄 작업을 한 뒤 거름을 주어 배토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때 절대 大糞을 바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83) 잘 부숙 발효시킨 麻

枯84)나 돼지 털85) 및 구덩이에 넣어서 썩힌 왕겨[糠糞]를 사용하는 것

82)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春秋傳曰農夫之務去草也芟夷蘊崇之絕

其本根勿使能殖則善者信矣以言盡去稂莠卽可以望嘉穀茂盛也 古人留意

如此而今人忽之其可乎rdquo

83)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今夫種穀必先脩治秧田 於秋冬卽再三深耕之 俾

霜雪凍冱土壤蘇碎 又積腐稾敗葉剗薙枯朽根荄徧鋪燒治卽土暖且爽 於

始春又再耕耙轉以糞壅之若用麻枯尤善 但麻枯難使須細杵碎和火糞窖

罨如作麴樣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

糞與燖豬毛及窖爛麤穀殼最佳 亦必渥漉田精熟了乃下糠糞踏入泥中盪平田

面乃可撒穀種rdquo

84) 앞에서 제시한 萬國鼎의 교주에 의하면 lsquo麻枯rsquo는 깨를 짠 후의 깻묵이며 함

유된 기름을 다 짜고 말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사용방법은 깻묵을 화분

과 섞어 발효시켜 사용했다 lsquo火糞rsquo은 쌓은 흙과 초목을 함께 섞어 불 질러서

만든 거름이다 糞田之宜篇 에는 ldquo무릇 소재한 흙 태운 재 키질한 쭉정이

자른 볏짚과 떨어진 낙엽을 쌓아서 태운다rdquo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浙東지

역의 lsquo焦泥灰rsquo를 태워서 만드는 방법과 유사하며 아마도 진부가 말하는 화분은

바로 이같이 태워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울 때는 단지 연기를 무릅쓰고

그것에 불꽃을 나지 않도록 하여 태워서 검게 변할 때 그만두어서 재로 만들

지는 않는다 그 속에는 흙이 있으며 흙의 함량은 적지 않아서 이 때문에 土糞

이라고 일컫는다 六種之宜篇 에서 말하는 ldquo토분을 태워서 시비한다rdquo라고 하

는 것과 種桑之法篇 에서 말하는 ldquo거름 구덩이에서 태운 토분을 시비한다rdquo라

고 하는데 여기서의 土糞은 대개 火糞이다

85) 만국정의 교주에 의하면 지금의 풍속에서는 물을 끓여서 돼지 양 털과 닭

오리의 털을 뽑는 것을 lsquo燖毛rsquo라고 한다 lsquo燖豬毛rsquo는 끓인 물을 이용하여 뽑은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31: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1이 좋으며 시비 후에는 발로 밟아 진흙 속에 넣고 고무래[田盪]86)로서

지면을 평평하게 한 후 파종한다는 사실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水田

의 모판에서도 비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또 水田을 관리할 때는 시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灌漑라는 사실

을 전제하면서 관개는 토양을 부풀리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고 제초에

도 용이하며87) 필요시 논을 말리고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벼

만 단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하면 토양을 부

드럽게 하며 비옥해진다고88) 하여 수전의 지력보전을 위해 灌漑와 豆

麥 등과의 윤작을 강조하고 있다 진부농서에서는 채소麻麥

粟콩과식물을 심을 수 있는 땅으로89) 고개나 비탈진 땅을 들고 있

다90) 바꾸어 말하면 稻作의 후작물로 豆 麥을 윤작할 수 있는 早田이

대개 이런 땅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稻와 豆麥과 같은 주곡 작물의 윤작은 이전의 농서에서는 볼 수 없

었던 특징이다 진부는 윤작은 단순히 지력 유지의 차원을 넘어 토양

을 개량하고 노동력을 절약하고 가계 수입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점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禾穀 작물의 윤작

은 지력을 많이 소모하는데 이는 시비법의 발달과도 깊게 연관되어

돼지털을 가리킨다고 한다

86) lsquo盪rsquo은 王禎農書 農器圖譜集之六杷朳門 참조

87) 陳旉農書 薅耘之宜篇第八 ldquo然後作起溝缺次第灌溉 夫已乾燥之泥驟得

雨卽蘇碎不三五日間稻苗蔚然殊勝於用糞也 又次第從下放上耘之卽無鹵

莽滅裂之病 田乾水暖草死土肥浸灌有漸卽水不走失 如此思患預防何為

而不得乎rdquo

88) 陳旉農書 耕耨之宜篇第三 ldquo早田穫刈纔畢隨卽耕治晒暴加糞壅培而

種豆麥蔬茹 因以熟土壤而肥沃之以省來歲功役且其收又足以助歲計也rdquo

89)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0) 이 부분의 lsquo下地rsquo 즉 낮은 지대의 땅은 침수되기가 쉽기 때문에 반드시 제방

을 높게 쌓아서 토지를 감싸 돌도록 한 것을 보면 배수 및 관개시설이 쉽지만

은 않은 듯하다 하지만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

爲中心的討論 (歷史硏究 2002-5) pp9-11과 같이 저지대에서 稻麥을 윤작

한 많은 사료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진부농서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일일이 기술하지는 않은 듯하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32: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2있다

하지만 稻麥의 윤작이 동일한 포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상호 수확과 파종 시기가 맞아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제민요술의 輪作작물을 보면 lt表1gt과 같이 주로 豆와 黍穄 혹은 豆와 麥穀으

로 이루어져 있다 稻와 豆 麥간의 윤작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

은 사민월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대 강남지역의 稻麥 윤작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

다91) 그 稻麥 윤작의 실체를 알기 위해 사민월령에 보이는 곡물의

생장기를 살펴보자 秔稻의 파종 시기는 3-5월이고 수확 시기는 11월

이며 麥의 경우 春麥이 1-2월이고 수확이 7월이다 冬麥은 8월에 파

종하여 이듬해 4-6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豆科 작물은 2-4

월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稻와 豆麥의 윤작은

곤란하고 麥과 豆의 윤작도 시기가 겹쳐있다

唐代 편찬된 사시찬요를 보면 lt表2gt와 같이 春麥의 파종 시기는

1월 수확 시기는 7월이며 冬麥의 파종은 8월이며 수확 시기는 이듬

해 4-5월이다 春大豆는 1-3월에 파종하며 5-7월에 수확했으며 夏大

小豆는 5-6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윤작할 대상인 稻를 보면 旱稻의 경우 파종 시기가 2월 4-5월이

며 5-6월에 이앙하여 11월에 粳稻를 수확했다 水稻는 3월에 파종했다

91) 宋代 江南지역 稻麥輪作에 대한 주된 논쟁점은 동일 圃場에서의 윤작인가

강남 低田에서 도맥을 윤작할 수 있을 정도의 배수와 관개의 기술수준이 갖추

어졌는가 冬麥과 윤작한 稻의 품종이 早稻인가 晩稻인가 다양한 사료문제와

이론과 실제의 문제 보급의 안정성과 국한성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를 둘

러싸고 일본 및 중국에서는 지금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은 다

음과 같다 加藤繁 支那に於ける稻作特にその品種の發達に就いて (支那經

濟史考證(下) (東洋文庫 1974)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アヅア稻作

文化の發展 多樣と統一 小學館 1987) 大澤正昭 陳旉農書の硏究 (農文協1993) pp74-78 李根蟠 長江下流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以唐宋時代爲中心

的討論 (歷史硏究 2002-5) 曾雄生 析宋代lsquo稻麥二熟rsquo說 (歷史硏究2005-1) 李根蟠 再論宋代南方稻麥復種制的形成和發展 兼與曾雄生先生商榷

(歷史硏究 2006-2) 李伯重 宋末至明初江南農業技術的變化 十三十四世紀

江南農業變化探討之二 (中國農史 1998-1)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33: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3

월별구분

四時纂要 陳旉農書파종작물 수확 파종 수확 시비방법

1월

治薤畦 春麥播種瓜播種 種冬瓜 種葵 秧薤 雜種(豍豆葱芋蒜瓜瓠葵蓼苜蓿薔薇之類) 種桑 種藕

정월에는 麻枲를 파종[種麻枲]

열흘 간격으로한 번씩 거름을준다

2월

種穀(粟) 種大豆大豆區種法 種早稻種瓜 種胡麻 種韭種薤 種茄 種蜀芥芸薹 種署預

2월에 粟를파종[種粟]

高田의 早稻는파종에서 수확까지 5 6개월소요 (地勢之宜)

3월種穀 種大豆 種麻子 種黍穄 種瓜種水稻 種胡麻 種

조생종 깨를파종[種早麻]

물 또한 거름이된다(耕耨之宜)

糞種 糞汁 火

고만 할 뿐 수확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파종시기의 폭이 넓

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적어도 早稻와 晩稻가 있었던 것 같다 만약

사시찬요 9월조에 수확하는 lsquo五穀rsquo 속에 벼가 포함되어있다고 한다면

水稻의 수확 시기는 9-10월이 된다92) 이것은 당대 兩稅法의 규정에서

수확한 후 夏稅는 6월 秋稅는 11월을 넘겨는 안 되는 것과도 수확시

기가 일치한다 이 경우 旱稻는 생장기가 5-6개월 이상이 되며 水稻의

경우도 6개월 이상이 되는 셈이다 이런 조건으로는 稻와 豆麥의 윤작

은 제민요술처럼 불가능하다 사민월령과 사시찬요를 대조해서

살펴보아도 지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粟 黍와 8

월에 파종하는 冬麥이 시간상 윤작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圃場

에서의 윤작은 쉽지 않다

lt表2gt 四時纂要와 陳旉農書의 월별 파종 및 수확 시기

92) 명대 초 편찬된 蘇州 지방지에서 인용하고 있는 吳門事類의 벼 파종시기도

四時纂要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확시기가 명시되어 早稻는 3월

중순에 파종하여 7월 후반기에 수확 中稻는 6월 초순에 파종하여 9월 초순에

수확 晩稻는 6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 稻品 역시 8월에 種麥을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는 시

기를 맞추지 못한다 足立啓二 宋代以降の江南稻作 p214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34: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4

冬瓜萵苣 種薑 種石榴 栽杏 種薏苡 種木綿法

糞 腐稾 糠糞大糞

4월

種穀

種黍 稻 胡麻

移椒

deg剪冬葵

deg麥수확(種子用麥저장)

deg수확- 收蔓菁子

deg茶수확

4월이 되면두류를 파종[種豆]

5월

種小豆 種苴麻種麻 種胡麻

種晚越瓜 밭벼 이앙(栽早稻)

뽕나무 씨파종-種桑椹

種諸果種

deg麥地건조

deg收蚕種 豌豆 蜀芥 胡荽子

5월 중순 이후에는 만생종 깨를 파종[種晚油麻]

망종절(양력6월5일)이 지나 黄綠穀(생장기 짧은 며벼)을 湖田에파종

5 6월에는삼을 수확

黄綠 穀은파종에서수확에 이르기까지6 70일밖에 걸리지않음(침수우려 없음)

깨를 수확할 때는 하루 이틀밤 쌓아서 덮어준 이후에 시렁을 세워서 햇볕에 말려서 다시거꾸로 세워 털어낸다

6월

種小豆 種晚瓜와早稻이식(並同五月)種秋葵 宿根蔓菁種蕎麥 種蘿蔔 種小蒜 種柳

deg수확[雜事] 芥子【中秋後種】 收苜蓿 hellip 糶蕎麥

7월

耕茅田 開荒田煞穀地 種苜蓿 種葱薤 種蔓菁 種燭芥芸薹 種桃柳造豉 種小蒜蜀芥分薤

deg收瓜子

deg雜事(麥 晩麻수확) 糶大小豆糴麥 hellip 刈蒿草 hellip漚晚麻 耕菜地

사일(社日)전에 맥류[冬麥]을 파종

7 8월이면조생종[早麻] 깨를수확

7월에 豆를 수확

7월에 땅을 다스리고 거듭 거름을 주고 호미질 해준다

8월

種大麥 種小麥 漬麥種 種苜蓿 葱薤葱同五月法 薤同二月法 種蒜 種薤種諸菜[채소파종 ] 萵苣芸薹胡荽 並良時

deg수확 地黃 牛膝子

deg수확[雜事] 薏苡蒺藜子 角蒿 韮花 胡桃 棗 開蜜 hellip 收油麻 秫豇豆

칠월칠석[음력7월 7일]이후에 무와 배추를 파종[種蘿蔔菘菜]

8월이 되어서社日전에 冬麥을 파종[種冬麥]

가는 거름을 채에 쳐서 종자와섞어서 이랑에흩어 뿌리되드문드문하게뿌려주는 것이가장 중요

土糞을 태워 시비

장어 머리뼈를삶은 즙에 담가파종

9월채소의 겨울철 저장준비備冬藏

deg수확[收五穀種]是月 五穀擇好穗刈之

deg收菜子 韭子 茄子의 종자 거둠

早田에 벼의수확을 마치면 즉시 갈이하여 햇볕에말려 거름을

早田에 벼의 수확

물 또한 거름이된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35: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5

deg밤수확 收栗種

주고 배토하여 豆 麥 蔬茹를 파종(耕耨之宜)

10월翻區瓜田 種冬葵種豌豆 區種瓠 種麻 區種茄

deg수확[覆胡荽]

deg수확 冬瓜 枸杞子

deg雜事(수확-粟及大小豆麻子五穀)粟及大小豆麻子五穀等 hellip 收槐實梓實 收牛膝地黃造牛衣 hellip 收諸穀種大小豆種

詩經 에이르기를ldquo 1 0 월 에禾 穀 類를수확하는데 黍 稷의 만생종조생종이 있고禾 麻 菽麥과 같은품종도 있다

10월이 되어 禾穀類를 수확하면 한 해의 일이 끝난다

11월이듬해 종자선별試穀種

deg雜事(수확물 粳稻 粟 大小豆麻子 胡麻) 糴粳稻粟大小豆麻子胡麻等

늦게 벼를 수확하고자 하는 晩田은 봄에 갈이

12월

[장 담그는 법造醬] 魚醬 免醬

[농기구제작손질造農器] 收連加犂耬磨鏵鑿鋤鎌刀斧 向春人忙 宜先備之

[잡다한 일雜事]造車 貯雪 收臘糟造竹器 碓磑 糞地造餳糵 刈棘屯墻貯草 貯皂莢 縳笤箒 祀竈

하지만 제민요술이나 사시찬요를 보면 冬麥이 재배되어 겨울

에도 토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 동맥을 8월에 파종하여 이듬해 4월에

수확하고 바로 5월에 旱稻를 재배하면 시간적으로 별 문제가 없지만

벼의 수확시기가 11월이기 때문에 그 해 동맥의 파종 시기를 놓치게

되어 지속적인 稻麥의 윤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시찬요시대까지는 주곡작물은 상호 윤작하는 것보다 봄여름과 가을에 집중 재

배된 다양한 瓜菜類와 윤작하거나 다른 공간에서 同時에 재배했을 것

으로 짐작된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36: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6그런데 진부농서에서는 어째서 稻作 이후에 豆 麥 蔬茹와 상호

輪作 재배하도록 유도했을까 주곡 작물의 윤작은 단순한 농업생산력

을 넘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핀 바와 같이 윤작이 불가능한 주된 원인은

水 旱稻의 생장 기간이 5-6개월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부농서의 ldquo高田早稻自種至收不過五六月rdquo93)이라 하는 것과도 부합되

며 그 이전 早稻가 아닌 품종의 경우 이보다 길었다는 것이 된다 이

런 종류의 벼는 현실적으로 다른 곡물과의 지속적인 윤작은 곤란하다

그런데 진부농서에는 또 다른 벼 품종이 등장한다 이른바 黃綠穀이

다 황록곡은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 6 7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고 한다 생장기간이 두 달 약간 넘어 그 전의 早稻보다 3-4개월이나

짧다 그렇다면 3-5월에 벼를 파종하여 수확한 후에도 충분히 8월에

冬麥을 파종할 수 있으며 이듬해 4월에 동맥을 수확하고도 또다시 벼

를 심을 수 있어 稻 麥의 윤작에 시간적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

는다

이 황록곡은 王禎農書에는 黃穋穀이라고 쓰여 있으며94) 생장기가

매우 짧은 메벼 종류라고 소개되어 있다 齊民要術 水稻 편에는 다

양한 논벼 종류가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메벼 찰벼와 줄기 색깔

이 다른 것도 있고 5 6 7월에 각각 수확하는 품종도 있으며 한 해에

두 번 수확하는 菰灰稻도 있지만 黃穋穀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모

두 麥豆와 윤작하기에는 모두 생장기간이 조금씩 중첩된다 실제 氾勝之書 稻 조에는 ldquo冬至 후 110일이 지나면 稻를 파종할 수 있다rdquo

고 하면서 ldquo三月種粳稻四月種秫稻rdquo라고 하여 파종 시기에 따라 粳

稻[메벼]와 秫稻[찰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에 抄寫한 것으로 보이는 農家述占經驗要訣 稻品

論 에 의하면 糯[찰벼]에는 까끄라기가 없고 粳에는 있으며 粳의 작

93) 陳旉農書 地勢之宜篇第二

94) 萬國鼎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26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37: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7은 품종을 秈이라 하고 秈이 早熟하기 때문에 早稻라고 하며 粳은 늦

게 익기 때문에 稻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제시된 稻品 중에 60日稻

80일도 100일도와 60日秈 80일선 100일선의 품종이 있는데 모두 占

城에서 왔다는 것이다 占城稻는 까끄라기가 없고 粒子가 가는데 그

중에는 4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金城稻라는 것도 있었다고95)

한다 송대 강남의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稻麥 윤작이 이루어질 수 있

었던 것은 분명 남쪽에서 이같은 새로운 품종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

능했던 것 같다 이는 宋 眞宗 때 兩浙에 가뭄이 들었을 때 福建에서

점성도 3만 斛을 들어와 浙西에 나누어 보급했으며 심는 법은 轉運司

를 내려 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처럼 점성도의 도입으로 점차 도맥 윤작이 확대되었을 것이지만 당시

강남지역의 底 高田에까지 안정적으로 보편화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었던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진부농서 薅耘之宜篇第八 에서는 관개

와 배수 가능하여 도맥을 재배할 수 있는 곳으로 山坡지역의 梯田을

들고 있다 게다가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작물을 지속적으로 동일 圃

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비료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동시에

低田에서 冬麥이 高田에서 水稻를 재배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졌어

야 한다

진부농서에서 이런 稻 麥윤작과 더불어 주목했던 것이 바로 蠶桑業의 발달이다 陳旉는 단일 항목으로는 잠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기

할 정도로 중요시하고 있다 물론 秦漢시대에도 물론 양잠업은 중시되

었으며 소농가의 대문 앞 울타리 주변에까지 뽕나무를 심었다는 기록

이 있다96) 진부농서에는 蠶桑의 중요성을 더욱 현실적으로 역설하

고 있다 즉 담장에 뽕나무를 드물게 심고 이랑을 다소 넓게 하여 그

아래에 두루 모시를 옮겨 심는다 뽕나무 뿌리는 깊게 심기고 모시 뿌

95) 陳玉琢 農家述占經驗要訣 이 책의 대강은 최덕경 占候를 通해 본 17

18세기 東아시아의 農業 읽기 (比較民俗學 32 2006) pp323-324 참조 바

96) 睡虎地秦墓竹簡 封珍式封守 ldquo門桑十木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38: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18리는 얕게 심겨 상호 방해를 받지 않으며 모시에 거름을 주게 되면

뽕나무 또한 거름의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서 이익은 25배가 된다

고 한다 또 모시에 거름을 줄 때는 왕겨 등겨 볏짚이 반쯤 썩은 것

이 좋다고 하여 모시와 뽕나무에 효과적인 배합 거름까지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蠶桑에 土糞97)을 시비하면 흙의 기운이 잘 소통되어서 진

흙탕이 되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도

땅이 굳거나 메마르지 않게 될 뿐더러 비록 서리와 눈이 많이 내리더

라도 얼어붙지 않는다고98) 하여 오랜 시비경험에 입각하여 잠상업에

주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이렇게 부지런히 뽕나무밭에 거름을

주어 관리하면 1년에 3번 수확할 수 있어서 중소의 가정에는 이 한 가

지의 농사일만으로도 세금을 내고 비단옷을 마련할 수 있다고99) 한다

주목되는 것은 陳旉가 이처럼 적은 노력으로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두

가지의 작물의 이득을 얻는 방식을 실천하면서 이웃에게 그 방식을 직

접 보급했다는데 있으며 그 수입의 중심에는 작물에 따른 맞춤형 시

비법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민요술과 진부농서에서 보듯이 초기에는 다양한

거름의 개발로 단일 작물이나 瓜菜業이 크게 발달했지만 송대 이후에

강남지역에 새로운 稻麥의 輪作과 蠶桑業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田地

의 이용도가 증가된 것은 물론이고 그에 걸맞은 糞屋을 중심으로 새

로운 糞汁과 거름물 중심의 거름 제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던 것이

다 水田과 잠상업이 발달하면서 陳旉農書에서 보는 바와 같은 土糞97) 이 土糞은 똥거름을 모아 태워 끈적한 재를 만들어 시비하는 것이라고도 한

98)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至當年八月上旬擇陽顯滋潤肥沃之地深鉏

以肥窖燒過土糞以糞之則雖久雨亦疎爽不作泥淤沮洳久乾亦不致堅硬硗埆

也雖甚霜雪亦不凝凜凍冱 治溝壟町畦須疎密得宜rdquo

99) 陳旉農書 種桑之法篇第一 ldquo若桑圃近家卽可作牆籬仍更疎植桑令畦

壟差闊其下徧栽苧 因糞苧卽桑亦獲肥益矣是兩得之也 桑根植深苧根植

淺竝不相妨而利倍差 且苧有數種唯延苧最勝其皮薄白細軟宜緝績非

麤澀赤硬比也 糞苧宜瓮爛穀殼糠稾 若能勤糞治卽一歲三收中小之家只此

一件自可了納賦稅充足布帛也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39: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19糞汁 大糞 火糞 糠糞 등과 같은 강남지역 특유의 재료로 만든 비료

가 등장하게 된다 糞尿를 이용한 시비법이 송대에 크게 확산된 것도

송대 농업이 지닌 특성과 무관하지는 않을 듯하다

3 人糞尿 시비의 확대

人糞이 언제부터 田地의 시비로 활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실

제 孟子 萬章下 의 lsquo百畝之糞rsquo 荀子 富國 lsquo多糞肥田rsquo 속의 lsquo糞rsquo

은 어떤 형태의 비료를 시비했는지 분명하지 않다 보다 분명한 기록

은 氾勝之書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齊民要術의 ldquo以溷中熟糞糞

之rdquo로서 麻子재배할 때에 厠間의 熟糞을 사용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한대 畵像石에는 厠間과 猪圈이 하나로 결합된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

때 溷中에서 생산된 熟糞은 猪糞과 人糞이 결합된 형태의 비료였을 것

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것이 직접 비료로 田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

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했듯이 四時纂要 2월조에는 人糞이란 단어와 함께 시

비로 사용된 기록이 보인다 즉 ldquo2월 초 山藥[署預]의 종자를 꺼내 파

종한다 그러나 人糞(의 직접적인 시비)은 꺼린다 만약 가물면 (인분

에) 물을 타서 뿌려주는데[忌人糞 如旱 放水澆] 또 너무 습하면 좋지

않다 牛糞에 흙을 섞어 파종하면 좋다rdquo100)고 한다 여기서 lsquo放水澆rsquo

에서 lsquo澆rsquo는 보통 거름물을 뿌릴 때 사용되는데 단순히 lsquo澆水rsquo가 아니

라 lsquo放水澆rsquo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인분의 존재로 미루어 lsquo人糞에 물을

부어 뿌린다rsquo로 해석할 수 있다 그냥 물을 뿌릴 때는 보통 lsquo灌rsquo을 쓰

는데101) 이런 사례는 補農書에 자주 등장한다102) 비록 lsquo忌人糞rsquo하여100) 四時纂要 二月種署預 ldquo二月初 取出便種 忌人糞 如旱 放水澆 又不

宜苦濕 須是牛糞和土種 即易成rdquo

101)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p53에는 lsquo澆水rsquo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수긍하기

어렵다

102) 補農書 逐月事宜 正月 lsquo澆菜麥rsquo 二月 lsquo澆菜秧rsquo 三月 lsquo澆桑秧rsquo 四月 lsquo澆

桑秧rsquo lsquo澆瓜茄rsquo 五月 lsquo澆桑秧 澆瓜rsquo 등 거의 매월마다 이런 사례가 등장하는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40: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0곡물에 직접 인분을 施用하지는 아니했겠지만 (人)糞을 물이나 小便에

타서 모두 덧거름으로 시용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같은 2월의 lsquo種茶rsquo조에는 茶나무를 구덩이에 파종한 후

가물면 쌀뜨물[米泔]을 뿌려준다고 한다 차나무는 햇볕을 싫어하기 때

문에 뽕나무나 대나무 그늘 아래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2년이 지나

김매기를 할 때에는 小便에 糞이나 蠶沙를 희석하여 뿌려주고 흙을 북

돋아준다고103) 한다 種木綿法에도 소변에 재[溺灰104)]를 섞어 목면종

자를 파종하며 파종 후에도 牛糞을 덮어주면 잘 자라고 열매도 많아

진다고 한다105)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8월의 種蒜 조에 보인다 蒜을

파종한 후 lsquo똥오줌을 뿌려주고[上糞水澆之]rsquo 가물면 거름물을 주어야

하니 해마다 거름(물)을 만들었다 다음번 파종 시에 (거름물이 없어)

줄 수 없으면 안 된다고106) 한다 lsquo收牛膝子rsquo조에도 봄에 파종하여 가

을에 거두면서 채소재배와 같이 lsquo上糞澆水rsquo한 것을 보면107) 항상 똥오

줌을 저류하여 준비해두었음을 알 수 있다

비슷한 현상은 곡물이나 나무재배에도 보이는데 사시찬요의 區田

法에는 大豆를 재배하면서 四方에 깊이 6寸의 구덩이를 파서 牛糞과

물을 13의 비율로 섞어 기비한 후 3알의 콩을 파종하여 복토하고108)

데 모두 거름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四時纂要에도 lsquo水澆rsquo lsquo井水澆之rsquo lsquo以水澆之rsquo 등은 물을 뿌려준 것이 분명하다

103) 四時纂要 二月種茶 ldquo旱即以米泔澆 此物畏日 桑下 竹陰地種之皆可

二年外 方可耘治 以小便 稀糞蚕沙澆擁之rdquo104) 渡部武 四時纂要譯注稿 (安田學園 1882) p84에서 lsquo溺灰rsquo는 尿와 灰를 혼

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5) 四時纂要 三月種木棉法 ldquo種木綿法 節進則穀雨前一二日種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以

綿種雜以溺灰 兩足十分揉之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又種之後 覆以牛糞 木易長而多實rdquo

106) 四時纂要 八月種蒜 ldquo種蒜良軟地耕三遍 以耬耩 逐壠下之 五寸一株

二月半鋤之 滿三遍止 無草亦須鋤 不鋤即不作窠 作行 上糞水澆之 一年後看

稀稠更移 苗鹿如大筯 三月中 即折頭上糞 當年如雞子 旱即澆 年年須作糞 次

種不可令絕矣rdquo

107) 四時纂要 八月收牛膝子 ldquo要術云 秋間收子 春間種之 如生菜法 宜下

濕地 上糞澆水 苗生剪食之rdquo

108) 四時纂要 二月區種法 ldquo坎方深各六寸 相去二尺許 坎內好牛糞一升 攪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41: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12월 오동나무[種桐]를 심을 때도 熟糞에 흙을 덮어 싹이 나면 자주 거

름물을 주어 모종을 윤택하게 했다고 한 것을 보면109) 唐末에는 인분

뇨뿐 아니라 가축분도 거름물을 만들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여 두었

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唐代 초중기에는 인분을 비료로 이용한 다른 사례를 찾기

가 쉽지 않다 다만 武后 때 장안에서 人糞을 청소하여 巨富가 되었다

거나 唐律疏議에서 함부로 人畜배설물을 투기하면 엄벌했던 것을 보면 대도시의 인분처리가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110) 그러던 것이 唐末

에 이르러 인분을 山藥과 차나무에 비료로 사용하면서 家畜糞의 부족

을 일정부분 대신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남방지역의 농서인 陳旉農書 단계에 이르면 人糞을 糞田

에 활용한 사례는 적지 않게 등장한다 우선 糞田之宜篇 에는 청소하

면서 생긴 흙과 각종 쓰레기와 낙엽 등을 태워 糞汁을 뿌려 오랫동안

저장해두었다가 그 중 가늘고 부드러운 것을 취하여 種子와 잘 섞어

파종하면 수확이 배로 된다고 한다111)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처럼 각

종 농업부산물과 재 등을 태운 것에 똥오줌[糞汁]을 뿌려 발효 저장하

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방식 등은 최근까지 한국의 농촌에

일반적으로 존재했던 製糞法이다

桑田에도 인분뇨의 시비가 많이 등장한다 種桑之法篇 에 따르면

뽕나무 밭에 苧麻를 심고 그것들에 糞을 시비를 하면 뽕나무도 비료

의 효과를 보게 된다 middotmiddotmiddot 만약 부지런히 糞治 한다면 1년에 3번 수확

할 수 있어서 납세는 물론 삼베옷과 비단옷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었

和 注水三升 下豆三粒 覆土 勿令厚 以掌輕抑之 令土 種相親rdquo

109) 四時纂要 二月種桐 ldquo九月收子 二月三月作畦種之 治畦下水 種如葵

法 五寸一子 熟糞和土覆 生則數數澆令潤性rdquo

110)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역사민속학 352011) p265

111) 陳旉農書 糞田之宜篇第七 ldquo凡掃除之土燒燃之灰簸揚之糠粃斷稿落

葉積而焚之沃以糞汁積之既久不覺其多 凡欲播種篩去瓦石取其細

者和勻種子疎把撮之 待其苗長又撒以壅之 何患收成不倍厚也哉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42: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2다고112) 한다 이것은 송대 뽕나무 재배가 가정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

중을 잘 말해주며 그 생산력을 높이는 것이 바로 lsquo糞治rsquo였던 것이다

여기서 lsquo糞治rsquo는 단순한 시비의 의미라기보다는 전술한 뽕나무밭의 시

비의 사례로 미루어 人糞이나 人尿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볼 때 唐末에서 비롯된 인분뇨의 시비는 주

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서 비롯되었지만 송대에는 중심 작물인 水

田과 桑田에 분뇨가 施用되면서 그 보급이 급작스럽게 확대되었을 것

이다 실제 宋版 耕織圖 에는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人糞에 물을 탄

淸水糞을 뿌리는 장면이 잘 묘사되어 있다113)

그런가 하면 善其根苗篇 에는 人糞을 직접 시비하는 경우도 보인

다 인분은 腐熟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이 직접 접촉하면

그 열에 의해 타 죽게 되며 사람도 그 毒에 의해 손발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만약 大糞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大糞[生糞]을 火糞과 섞

어 糞屋과 같은 구덩이에 넣어 오랫동안 腐熟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小便도 그대로 사용하면 작물이 손상이 입게 된다고114) 하여 大糞 小

便의 비료 활용 시 주의 사항과 더불어 각각 별도로 활용했을 가능성

을 陳旉農書에서 제시하고 있다 陳旉가 농서를 통해 강조한 것은

인분뇨는 반드시 숙성시킨 후에 사용하라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일찍

이 범승지서와 제민요술에서 熟糞을 사용할 것을 강조한 바와 유

사하다115)

112) 모시로 짠 布는 가치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는 약간 내려가 원나

라의 농상집요 권2 저마 의 항목에는 ldquo此麻 一歲三割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目今陳middot蔡間

每斤價鈔三百文 已過常麻數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其布 柔靭潔白 比之常布 又價高一二倍rdquo

라고 되어 있고 보통의 마나 포와 비교해서 2배에서 몇 배의 가격이었다고 한

113) 최덕경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p279

114) 陳旉農書 善其根苗篇 ldquo候其發熱生鼠毛卽攤開中閒熱者置四傍收斂

四傍冷者置中閒又堆窖罨如此三四次直待不發熱乃可用不然卽燒殺物矣

切勿用大糞 以其瓮腐芽蘖又損人腳手成瘡痍難療 唯火糞與燖豬毛及窖爛麤

穀殼最佳 helliphellip 若不得已而用大糞必先以火糞久窖罨乃可用 多見人用小便生澆

灌立見損壞rdquo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43: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3사람의 분뇨는 원래 남방의 농가에서는 일찍부터 광범위하게 비료

로 사용했는데116) 그때에도 논머리에 潭이나117) 糞窖와 같은 똥이나

거름구덩이를 만들어 腐熟한 후에 논밭에 시비하였다 北方에서는 이

를 모방하여 큰 이익을 거두었다고 한 王禎農書 糞壤 篇의 지적으

로 미루어118) 田地에서의 인분 활용은 南方 지역에서부터 비롯된 듯하

다 인분뇨의 시비는 명청시대가 되면 水田과 桑田에서 그 비중이 더

욱 증가되는데 이것은 補農書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보

면 인간의 배설물까지 資源으로 還元시켜 糞田에 활용한 것은 唐宋代

에 비로소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齊民要術 단계를 거처 南宋의 陳旉農書에 이르면 비료와 시비

법의 변화에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우선 家畜糞을 주로 糞種 區田法

의 형태로 파종처나 種子에 직접 시비하던 방식에서 제민요술 시대에는 점차 퇴비를 이용하여 田地의 전면에 시비하는 형태로 발전하였

다 이것은 토양 개량이나 熟土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답분의 보급은 有床有鐴犁의 등장으로 인한 全面 發土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南宋시대에 집집마다 답분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었다

는 것은 越冬작물의 재배가 확대되면서 踏糞 비료의 가치와 효용성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송대 製糞法의 특징은 바로 糞屋이나 거름구덩이 속에서 거름을 부

115)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陳旉農書校注 農業出版社 1965) p15

116) 萬國鼎 陳旉農書評介 p15117) 補農書 運田地法 pp58-59의 lsquo第九段rsquo에는 남방에는 거름이나 물을 저

장하는 大潭과 深潭이 존재했으며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판 구덩이는 小潭과

淺潭으로 불렀다고 한다

118) 王禎農書 糞壤 ldquo大糞力狀 南方治田之家 常於田頭置磚檻 窖熟而後用

之 其田甚美 北方農家 亦宜效此 利可十倍rdquo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44: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4숙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이 비료는 속효성이 컸기 때문에 각종 농

작물과 瓜菜類 및 桑樹木에 많이 뿌렸다 때문에 송대 이후에는 자

연스럽게 속효성이 있는 追肥의 발달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중국 고대

의 시비는 基肥가 기본이었는데 범승지서에 처음 추비가 등장했지

만 齊民要術의 追肥는 瓜蔬類에 국한되고 穀類에는 잘 施用되지 않

았다 그러다 사시찬요 단계에 추비가 樹木에까지 폭넓게 시용되다

가 陳旉農書 단계에는 麥 稻에까지 追肥가 자연스럽게 확대되었다

추비는 건강한 작물을 지속적으로 보전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주

로 흡수력이 빠른 거름물 형태로 시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

서 糞汁을 많이 생산했던 진부농서시대에 추비가 일반화되었다고 볼수 있다119) 이 시기에 토양 성질에 따른 맞춤형 糞藥이 등장했던 것

은 한 방울의 거름물도 소중하게 여겼음을 의미한다

人糞 역시 당송시대부터 적극적으로 비료로 사용되었다 인분이 비

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한대 화상석의 측간 구조나 제민요술의lsquo溷中熟糞糞之rsquo의 기록에서는 추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실제 사용된

것은 사시찬요의 여러 기록에서 실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唐末까지의 인분뇨는 주로 樹種 약재 및 밭작물에 주로 施用되었지만

송대에는 水田과 桑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인분뇨 비료는 인간의 배

설물까지 田地에 시비하여 지력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lsquo地力常新壯rsquo의

終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천지인의 순환의 생태 관념도 唐宋 전환기

에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료의 발달과 관련해서 등장한 송대의 큰 변화 중의 하나가 稻 麥

의 輪作이다 당송대 稻麥復種 윤작과 그 출현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

한 논의가 있다 하지만 60-70일 만에 수확할 수 있는 占城稻의 등장

과 지력 소모가 많은 禾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基肥 追

肥가 존재했던 것은 稻麥 輪作의 조건이 성숙되었음을 말해준다 이것

119) 다만 陳旉農書 種桑之法篇 에는 뽕밭에 심은 모시밭에서 추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신기하게 생각한 것을 보면 그 까다로움 때문에 여전히 追肥가 모든

작물에 일반화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45: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5은 본격적인 주곡 작물의 변화와 토지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음을 말

해준다 다만 低高田에서 稻 麥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폭넓은 지역

에 윤작하기 위해서는 排水 灌漑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강

남의 構造的이고 工學的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시간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120)

120) 앞서 제시한 中日의 연구자 가운데 李根蟠은 강남의 稻麥輪作復種制가 당대

에 비롯되었다고 하는가 하면 曾雄生과 李伯重은 宋代에도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라고 한데 반해 일본학자들은 명청시대에 가서야 주도적 지위를 점했다고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46: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中國史硏究 第81輯 (201212)126(中文提要)

齊民要術和 陳旉農書中出現的粪和粪田的性格

崔 德 卿

通过农书 齊民要術 和 陳旉農書可以得知农业的中心在从华北地

区移往南部地方的同时 农业结构也在发生着变化 栽培作物在变化的同

时 肥料在制作方面也发生了某种形式的变化

从齊民要術阶段到南宋的陳旉農書 肥料和施肥法的变化呈现了几

种特征首先 以家畜粪为主要成份的糞種 區田法的形态在播種處或者種

子处直接施肥的方法 是在齊民要術时代开始逐步的利用堆肥 田地的全

面施肥形态上发展的 这是比起土壤改良或者熟土更深层次的关心 踏糞

的普及也和有床有鐴犁的登场有着全面發土和相关关系

宋代制粪法的特征是在类似于粪屋的堆肥貯藏庫内培育制成 因为这个

肥料的速效性很高所以经常在各种农作物和瓜菜类以及桑 树木等作物上

施用 宋代以后富有速效性的追肥就自然而然的发展起来 基于这方面的

原因 在生产很多粪汁的陳旉農書时代 能够发现追肥变成了一般化的肥

料 这个时期土壤的性质成份中 随着其它相对应的糞藥的登场每一滴粪

汁都是在珍贵的节约使用着

人粪的历史是从唐宋时期开始 作为一种建设性的肥料开始使用 人粪作

为肥料来使用的这种可能性虽然在汉代书画石的厕间结构或者齊民要術的lsquo溷中熟糞糞之rsquo的记录中可以推断出来但实际使用的肥料 在四時纂要的数个记录中也可以查找的到 只是 到唐末为止人粪尿主要施用在 樹種

藥材和旱田作物中宋代又扩大到水田和桑田中 人粪尿肥料是把人类的排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

Page 47: KNUchina/CHR/chr2012/chr81pdf/chr81-03... *ø EF83 uX Gg Hà îdAu Iéãx *PgmXJ zYpD H+ Ω1KL:;,  XM yD =*ø % %& /0*ì HI m *ç/¼ guX N ,x Ø+*gj OPãmQR

齊民要術과 陳旉農書에 나타난 糞과 糞田의 성격 (崔德卿) 127泄物施肥到田地中 来改变土地的肥力 对于这一点叫做lsquo地力常新壯rsquo的终

结 天地人的循环的生态观念也是在唐宋转换期中关于现实性的具体化表

陳旉農書阶段肥料的发展以及和其相关联的大的变化中的其中一项是

同一圃場的稻麥的輪作唐宋时期 针对稻麥復種輪作以及它出现的时期有

着多种多样的论议 但是随着只需要60-70天就能收获的占城稻的登场和很

耗地力的禾穀作物的栽培 需要多样的基肥追肥的 稻麥輪作的条件已经

成熟了 只是 为了低高田的 稻麥能够安全地 快速地轮作 排水灌漑是要

先決的问题 为了解决像这样的工学条件 又需要等待其他的时间

주제어 답분 분옥 기비 추비 인분뇨 진부농서 도맥윤작

關鍵詞 踏糞 糞屋 基肥 追肥 人糞尿 陳旉農書 稻麥輪作Keywords Compost Compost storage Based fertilizer Add fertilizer manure

Chenfunongshu Barley and rice crop rotation

(원고접수 2012년 11월 6일 심사완료 12월 11일 심사결과 통보 1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12월 16일 게재 확정 12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