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gazette d'agora 9월호

4
2014년 9월 29일 - 제 7호 - Monnaie : voici le nouveau billet de 10 euros 새로운 10유로 Un nouveau billet de 10 euros de la série «Europe» est mis en circulation ce mardi. Cette nouvelle coupure est dotée d’un certain nombre de signes de sécurité perfectionnés. Au sein de l’Union européenne, 18 États membres utilisent à présent l’euro. Actuellement, plus de 15 milliards de billets en euros sont en circulation, pour une valeur nominale supérieure à 900 milliards d’euros. L'arrivée de nouveaux billets a essentiellement pour but de lutter contre la contrefaçon. Au total, 317 000 faux billets en euros ont été saisis au cours du premier semestre 2013. Néanmoins, la Banque centrale européenne et les banques centrales nationales ont investi dans de nouvelles technologies améliorant la résistance des billets, et donc leur durée de vie, grâce à un enduit spécial et modernisant leurs signes de sécurité. Un premier billet de 5 euros de cette série Europe a déjà été mis en circulation le 2 mai 2013. Son hologramme et son filigrane comportent un portrait d’Europe, personnage de la mythologie grecque. Lorsqu'il est incliné, le nombre brillant produit un effet de lumière qui se déplace de haut en bas et de bas en haut. De plus, sa couleur varie, passant du vert émeraude au bleu profond. Grâce à ces éléments et à d’autres signes de sécurité, le nouveau billet de 10 euros est très facile à vérifier avec la méthode consistant à « toucher, regarder et incliner ». 새 10유로 지폐가 23일 화요일부터 통용되었다. 이 신 권은 구권에 비해 보안 문양들을 더 갖추었다. 유럽연합 내 18개 국가는 현재 유로화를 사용하고 있는데 사실상 150억이 넘는 유로화가 명목상으로 9,000억 이상의 가치 로 통용되고 있다. 2013년 상반기에 총 31만 7천장의 위 조 화폐를 적발했고, 이에 따라 새로운 화폐는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그러나 유럽중앙은행과 각국의 중앙은행들은 화폐의 지속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였고 특 별한 도료와 현대화된 문양 덕분에 지폐의 수명은 연장 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화폐시리즈 중 새로운 5유로는 이미 2013년 5월 2일부터 통용되고 있다. 이 지폐의 홀로그램과 투명무늬는 유럽의 모습과 그리 스 신화 속 인물을 담고 있다. 또한 지폐를 기울여보면 위에서부터 아래로, 아래서부터 위로 반짝이는 숫자가 보인다. 이 숫자들은 에메랄드빛 초록색에서부터 어두운 파란색까지 다양한 색깔로 나타난다. 이러한 요소들과 다른 보안 문양들을 통해 새로운 10유로는 만지거나 보 거나 기울이는 방법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12 강선희 <[email protected] > LeParisien “Monnaie : voici le nouveau billet de 10 euros” La Gazette d’Agora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내 프랑스학술학회 아고라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입니다. 바쁜 일상 중에 접하기 쉽지 않은 프랑스어권의 시사 및 생활문화 소식을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정리하여 학과 내 구성원들이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발행 목적입니다. Qui Sommes-Nous ? La Gazette d’Agora est un petit journal d’Agora(un groupe qui se réunit pour connaître la culture française). Notre but est de classer et de résumer l’actualité francophone pour que les étudiants puissent comprendre mieux la situation de la francophonie et ses cultures. la Gazette d’Agora Sapin annonce moins de croissance et plus de déficit cette année 프랑스 성장 정체·재정난 이중고올해 성장률 전망치 또 낮춰 Le ministre des Finances, Michel Sapin a en effet revu une nouvelle fois les objectifs de croissance et de déficit de la France. Désormais, le gouvernement estime que la croissance ne sera que de 0,4% cette année (contre 1% officiellement mais en août le ministre avait évoqué un chiffre plus proche de 0,5%) mais table toujours sur un rebond en 2015. Elle serait en effet de 1% l'an prochain. Les 3% de déficit à la fin de 2017 uniquement Côté maîtrise des déficits publics, ceux-ci vont continuer de plonger. Le déficit public devrait en effet atteindre 4,4% cette année et son amélioration sera lente. En 2015 en effet, le déficit public devrait être à peine moins important et représenter 4,3% du PIB. Et le retour aux 3% ne se ferait qu'en 2017, au lieu de 2015 comme prévu initialement, suite au délai obtenu auprès de Bruxelles. Le déficit public de la France a atteint 4,2% en 2013. S'adressant à ceux qui voudraient que les règles du jeu soient changées en Europe, Michel Sapin a tenté de calmer les choses. "Nous ne demandons aucune modification des règles européennes mais la prise en compte des réalités économiques", a en effet affirmé le ministre. 프랑스가 성장 정체와 재정난으로 고전하고 있다. 미 셸 사팽 프랑스 재무장관(사진)은 이달 10일 기자회견을 통해 올해 GDP 대비 적자비율이 4.4%에 육박해 유럽연 합(EU)의 재정적자 기준인 3%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 인다고 밝히며 EU에 시한을 2년 더 연장해 줄 것을 요 구했다. 앞서 EU는 지난해 6월 프랑스에 재정 적자 감축 시한을 2년 연장해준 바 있다. EU의 재정 규정에 따르면 각국 정부의 재정 적자는 GDP의 3%를 넘지 말아야 하며 정부부채는 GDP의 60% 이내를 유지해야 한다. 이 규정을 어기면 회원국들은 EU 집행위원회와 유럽중앙은행(ECB) 등으로부터 제재를 받 게 된다. 경제 사정이 나쁜 프랑스와 이탈리아 등은 재정 규정 을 지키느라 실업률이 높아지는 등 경기 회복이 늦어지 고 있다면서 경제 상황을 고려한 규정 완화를 주장하고 있으나 EU와 독일 등은 재정 적자 충족 시한을 연장할 수 없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사팽 장관은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의 1.0%에서 0.4%로 하향 조정했고 내년 성장률도 1.7% 에서 1.0%로 낮춰 잡았다. 이러한 경제 정체는 저성장과 세수 부족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10 강현정 <[email protected] > 참고 : LesEchos "Sapin annonce moins de croissance et plus de déficit cette année"

Upload: hufsfrance

Post on 07-Aug-2015

127 views

Category:

Education


7 download

TRANSCRIPT

Page 1: La Gazette d'Agora 9월호

2014년 9월 29일 - 제 7호 -

Monnaie : voici le nouveau billet de 10 euros새로운 10유로

Un nouveau billet de 10 euros de la série «Europe»

est mis en circulation ce mardi. Cette nouvelle coupure

est dotée d’un certain nombre de signes de sécurité

perfectionnés. Au sein de l’Union européenne, 18 États

membres utilisent à présent l’euro. Actuellement, plus

de 15 milliards de billets en euros sont en circulation,

pour une valeur nominale supérieure à 900 milliards

d’euros. L'arrivée de nouveaux billets a essentiellement

pour but de lutter contre la contrefaçon. Au total, 317

000 faux billets en euros ont été saisis au cours du

premier semestre 2013. Néanmoins, la Banque centrale

européenne et les banques centrales nationales ont

investi dans de nouvelles technologies améliorant la

résistance des billets, et donc leur durée de vie, grâce

à un enduit spécial et modernisant leurs signes de

sécurité. Un premier billet de 5 euros de cette série

Europe a déjà été mis en circulation le 2 mai 2013.

Son hologramme et son filigrane comportent un

portrait d’Europe, personnage de la mythologie

grecque. Lorsqu'il est incliné, le nombre brillant produit

un effet de lumière qui se déplace de haut en bas et

de bas en haut. De plus, sa couleur varie, passant du

vert émeraude au bleu profond. Grâce à ces éléments

et à d’autres signes de sécurité, le nouveau billet de

10 euros est très facile à vérifier avec la méthode

consistant à « toucher, regarder et incliner ».

새 10유로 지폐가 23일 화요일부터 통용되었다. 이 신

권은 구권에 비해 보안 문양들을 더 갖추었다. 유럽연합

내 18개 국가는 현재 유로화를 사용하고 있는데 사실상

150억이 넘는 유로화가 명목상으로 9,000억 이상의 가치

로 통용되고 있다. 2013년 상반기에 총 31만 7천장의 위

조 화폐를 적발했고, 이에 따라 새로운 화폐는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그러나 유럽중앙은행과 각국의 중앙은행들은 화폐의

지속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였고 특

별한 도료와 현대화된 문양 덕분에 지폐의 수명은 연장

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화폐시리즈 중 새로운 5유로는

이미 2013년 5월 2일부터 통용되고 있다.

이 지폐의 홀로그램과 투명무늬는 유럽의 모습과 그리

스 신화 속 인물을 담고 있다. 또한 지폐를 기울여보면

위에서부터 아래로, 아래서부터 위로 반짝이는 숫자가

보인다. 이 숫자들은 에메랄드빛 초록색에서부터 어두운

파란색까지 다양한 색깔로 나타난다. 이러한 요소들과

다른 보안 문양들을 통해 새로운 10유로는 만지거나 보

거나 기울이는 방법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12 강선희 <[email protected]>

LeParisien “Monnaie : voici le nouveau billet de 10 euros”

La Gazette d’Agora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내 프랑스학술학회 아고라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입니다.

바쁜 일상 중에 접하기 쉽지 않은 프랑스어권의 시사 및 생활문화 소식을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정리하여 학과 내

구성원들이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발행 목적입니다.

Qui Sommes-Nous ?

La Gazette d’Agora est un petit journal d’Agora(un groupe qui se réunit pour connaître la culture française).

Notre but est de classer et de résumer l’actualité francophone pour que les étudiants puissent comprendre

mieux la situation de la francophonie et ses cultures.

la Gazette d’AgoraSapin annonce moins de croissance et plus de déficit cette année

프랑스 성장 정체·재정난 이중고⋯ 올해 성장률 전망치 또 낮춰

Le ministre des Finances, Michel Sapin a en effet

revu une nouvelle fois les objectifs de croissance et

de déficit de la France. Désormais, le gouvernement

estime que la croissance ne sera que de 0,4% cette

année (contre 1% officiellement mais en août le

ministre avait évoqué un chiffre plus proche de 0,5%)

mais table toujours sur un rebond en 2015. Elle serait

en effet de 1% l'an prochain.

Les 3% de déficit à la fin de 2017 uniquement

Côté maîtrise des déficits publics, ceux-ci vont

continuer de plonger. Le déficit public devrait en effet

atteindre 4,4% cette année et son amélioration sera

lente. En 2015 en effet, le déficit public devrait être à

peine moins important et représenter 4,3% du PIB. Et

le retour aux 3% ne se ferait qu'en 2017, au lieu de

2015 comme prévu initialement, suite au délai obtenu

auprès de Bruxelles. Le déficit public de la France a

atteint 4,2% en 2013.

S'adressant à ceux qui voudraient que les règles du

jeu soient changées en Europe, Michel Sapin a tenté

de calmer les choses. "Nous ne demandons aucune

modification des règles européennes mais la prise en

compte des réalités économiques", a en effet affirmé

le ministre.

프랑스가 성장 정체와 재정난으로 고전하고 있다. 미

셸 사팽 프랑스 재무장관(사진)은 이달 10일 기자회견을

통해 올해 GDP 대비 적자비율이 4.4%에 육박해 유럽연

합(EU)의 재정적자 기준인 3%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

인다고 밝히며 EU에 시한을 2년 더 연장해 줄 것을 요

구했다. 앞서 EU는 지난해 6월 프랑스에 재정 적자 감축

시한을 2년 연장해준 바 있다.

EU의 재정 규정에 따르면 각국 정부의 재정 적자는

GDP의 3%를 넘지 말아야 하며 정부부채는 GDP의 60%

이내를 유지해야 한다. 이 규정을 어기면 회원국들은 EU

집행위원회와 유럽중앙은행(ECB) 등으로부터 제재를 받

게 된다.

경제 사정이 나쁜 프랑스와 이탈리아 등은 재정 규정

을 지키느라 실업률이 높아지는 등 경기 회복이 늦어지

고 있다면서 경제 상황을 고려한 규정 완화를 주장하고

있으나 EU와 독일 등은 재정 적자 충족 시한을 연장할

수 없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사팽 장관은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의 1.0%에서 0.4%로 하향 조정했고 내년 성장률도 1.7%

에서 1.0%로 낮춰 잡았다. 이러한 경제 정체는 저성장과

세수 부족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10 강현정 <[email protected]>

참고 : LesEchos "Sapin annonce moins de croissance et plus

de déficit cette année"

Page 2: La Gazette d'Agora 9월호

2014년 9월 29일 - 제 7호 -

Pauvreté : le regard des Français se durcit, les solidarités s'affaiblissent가난에 대해 강경해진 프랑스인들의 시각, 약해진 연대의식

Le constat est terrible, les Français portent un regard

de plus en plus dur sur les pauvres.

Les chiffres de l'enquête du Centre de recherche

pour l'étude et l'observation des conditions de vie

(Crédoc), réalisée sur un échantillon représentatif de 2

000 personnes interrogées en face à face entre

décembre 2013 et janvier 2014 et publiée le 12

septembre, le prouvent. De fait, 37% des Français

pensent que les personnes qui vivent dans la pauvreté

n'ont pas fait d'effort pour s'en sortir. En 2009, au

lendemain du déclenchement de la crise, ils n'étaient

que 25%.

« C'EST INÉDIT »

Autre indicateur, 64% pensent que, s'ils le voulaient,

les chômeurs pourraient retrouver un emploi et 44%

estiment que l'aide de la collectivité aux familles aux

ressources insuffisantes les déresponsabilisent. « C'est

inédit, les crises économiques ont par le passé

renforcé la compassion des Français envers les

pauvres, depuis 2008, c'est l'inverse les liens de

solidarité s'affaiblissent », observe Jorg Muller chargé

de recherche au Crédoc et à Sciences Po. Les

politiques sociales sont de plus en plus remises en

causes, les craintes que les aides sociales soient

déresponsabilisantes n'ont jamais été aussi fortes.

Ainsi, 76% des personnes interrogées estiment qu'il

est parfois plus avantageux de percevoir des minima

sociaux que de travailler, 53% considèrent que le RSA

incite les gens à ne pas travailler. Ils n'étaient que

31% en 2009.

SCEPTICISME SUR LES AIDES SOCIALES

Le scepticisme sur l'efficacité des aides sociales et

leur acceptabilité se répandent parmi les classes

moyennes dont le pouvoir d'achat a baissé comme l'a

annoncé l'Insee dans une étude publiée le 9

septembre. Le niveau de vie médian a fléchi de 1% en

2012 en euros constant et même 2% pour les 20% de

population la plus modeste.

현실은 가혹했다. 프랑스인들이 점점 더 가난을 냉혹한

시선으로 본다. 9월 12일에 발표된 2013년 12월과 2014

년 1월 사이의 2,000명의 대면 응답자를 대상으로 한

Crédoc(삶의 조건에 대한 탐구와 관찰을 위한 연구센터)

의 조사 수치가 이를 보여준다. 그 중 실제로, 37%의 프

랑스인들이 ‘가난한 사람들은 가난에서 벗어나려는 노력

을 하지 않았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2009년, 경제위기 직

후 시행한 연구에서 동일한 대답을 한 사람이 25%뿐이었

던 것과 대비된다.

또 다른 통계 자료에 따르면, 64%의 응답자는 ‘만약 실

업자들이 의지만 있다면, 그들은 다시 일자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44%는 무능한 가족들에 대한

공동체의 도움이 그들의 책임감을 약화시킨다고 답하였

다. “이것은 새로운 현상이다. 과거엔 경제위기들이 가난

한 사람들에 대한 프랑스인들의 연민을 가져온 것과는 반

대로, 2008년 이후로 그들의 연대의 관계가 약화되고 있

다.” 라고 Sciences Po의 조교수이자 Crédoc의 연구원인

Jorg Muller는 말한다. 사회복지정책들은 점점 더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사회적인 도움들이 책임감을 낮춘다는

우려가 이렇게 강한 적이 없었다. 이처럼, 응답자의 76%

는 ‘때때로, 최소실업수당을 받는 것이 일하는 것 보다 더

유리하다’고 생각하고, 53%는 ‘RSA(사회연대수입)가 사람

들이 일하지 않도록 부추긴다고 생각한다‘고 응답했다.

2009년도엔 이러한 의견이 겨우 31% 뿐이었다.

사회적 원조에 대한 회의적인 태도. 사회적 원조의 실

효성에 대한 회의와 그것의 허용범위는 국립통계경제연구

소가 9월 9일에 발표한 연구에서 말한 것처럼, 구매력이

낮아진 중산층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중산층의 수준은 유

로가 일정할 때 2012년에 1% 하락했고 동시에 최하위 빈

곤층 20%에 대해서도 2% 하락했다.

13 김세경 <[email protected]>

참고 : LeMonde “Pauvreté : le regard des Français se durcit,

les solidarités s'affaiblissent”

Elle paie ses impôts avec 30 kg de pièces jaunes30kg의 동전으로 세금을 낸 프랑스 여성

Une jeune saisonnière de Sallanches (Haute-Savoie) a annoncé mardi avoir payé le solde de son impôt sur le

revenu en apportant 30 kilos de pièces jaunes au Trésor public pour protester contre la pression fiscale.

Célibataire, sans enfants et actuellement au chômage, Audrey D., 28 ans, devait régler avant la mi-septembre 1.107

euros d'impôt sur le revenu pour un salaire moyen de 1.400 euros nets en 2013, a-t-elle expliqué, confirmant une

information du Dauphiné Libéré. "Pour payer mes impôts en temps et en heure, j'ai dû vendre ma voiture",

précise-t-elle.

Ne disposant pas de chéquier et s'étant vu refuser une demande d'échelonnement, elle s'est d'abord présentée au

centre de finances publiques pour payer en espèces en une seule fois, car, dit-elle "ça fait moins mal". Mais on lui a

alors expliqué qu'elle ne pouvait pas payer plus de 300 euros par dépôt. Après trois paiements successifs, Audrey a

donc décidé "en signe de protestation" de payer le solde de 207 euros en pièces de 1, 2 et 5 centimes.

Venue avec des rouleaux de pièces et un cochon rose qu'elle a cassé sur le guichet, Audrey a d'abord reçu un

accueil un peu froid. Puis l'ambiance s'est détendue, des fonctionnaires ont pris des photos.

"Je ne suis pas contre le fait de payer des impôts. Ce que je ne trouve pas normal, c'est d'en payer autant. On

n'est pas des tiroirs-caisses", ajoute-t-elle.

Audrey a rédigé une lettre ouverte à François Hollande et au ministre des Finances Michel Sapin.

"Je proteste contre les hausses des taxes, des impôts (...) contre cette administration qui nous prend pour des cons,

et tout simplement parce que je suis Française et que j'aime râler!" écrit-elle.

프랑스 동부 살랑슈 지방의 한 단기 노동자가 조세 압력에 항의하기 위해 소득세를 30kg 상당의 동전으로 지불했다.

이 사건의 주인공은 28세의 아이가 없는 미혼 여성 오드리 D라고 알려졌다. 현재 무직 상태인 이 여성은 작년 소득에서

산출된 소득세로 1,107유로(약 150만원)를 납부하라는 통지서를 받았다. 지난해에는 평균 월 1,400유로(약 190만원)를 벌었

으나 현재는 무직 상태이기 때문에 그녀는 “기한 내에 세금을 납부하기 위해 차를 팔아야만 했다”고 말했다.

프랑스에서는 매년 9월, 전년 소득에 대해 부과하는 소득세가 통지된다.

오드리는 분할 납부보다 일괄 납부가 “덜 속상할 것”이라고 생각하여 세금을 한 번에 현금으로 납부할 생각이었다. 그러

나 현금 납부는 한 번에 최대 300유로(약 45만원)까지 가능하다는 세무서 직원의 설명에 그녀는 1,107유로를 세 번에 걸

쳐 300유로씩 납부한 뒤 항의의 의미로 나머지 207유로를 1, 2, 5 썽팀으로 납부하기로 결심했다.

원통형 저금통과 분홍색 돼지 저금통을 들고 온 오드리는 접수처에서 저금통을 깨고 그 안에 들어있던 동전 더미를 내

밀었다. 세무서의 첫 반응은 냉정했으나 이내 풀어진 분위기에서 직원들은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

오드리는 “세금을 내는 것 자체에는 전혀 불만이 없다. 그러나 세액이 너무 높다”며 “우리는 국가를 위한 ATM기기가 이

나다”라고 불만을 호소했다.

또한 그녀는 “높은 세액에 반대하며, 우리를 바보 취급하는 이 행정에 반대한다. 반대하는 이유는 내가 프랑스인이고 나

는 불평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과 미셸 사팽 재무부 장관에게 공개 서한을 보냈다.

11 김하정 <[email protected]>

참고 : LeFigaro "Elle paie ses impôts avec 30kg de pièces jaunes"

Page 3: La Gazette d'Agora 9월호

2014년 9월 29일 - 제 7호 -

Qu-est ce que la classe moyenne?프랑스 중산층의 기준

Comme à chaque réforme fiscale, politiques de tout bord, mais aussi lecteurs et commentateurs s'écharpent autour

de la notion floue de « classe moyenne ». Et tout le monde cherche à savoir si la réforme profitera aux classes

moyennes où si elles en seront les « sacrifiées ». Mais finalement, c'est quoi, la « classe moyenne » ? Et qui en fait

partie ?

1. Un concept flou

Ce concept de « classes moyennes » ne date pas d'aujourd'hui, mais des « Trente Glorieuses ». Il correspond à

l'émergence, entre classes populaires (ouvriers, employés, agriculteurs) et classes aisées (patronat et cadres supérieurs),

d'une catégorie de la population ni riche ni pauvre : cadres intermédiaires, techniciens, fonctionnaires, etc.

Mais, au final, personne ne prend le temps de rappeler quelles sont les bornes qui définissent la « classe moyenne ».

Il existe plusieurs définitions de ce concept : par catégories socioprofessionnelles ou par écarts de revenus.

2. 50% des salaires se situent entre 1,560 et 2,569 euros net par mois

Premier moyen d'approcher la réalité de la « classe moyenne » : le salaire.

Voici ce que cela donne en termes de salaires net. 30% de la population gagne moins de 1,428 euros net par mois,

et 80% moins de 2,569 euros par mois. Ces deux bornes situent donc la « classe moyenne » en termes salariaux. En

deça, on est dans les 30% les plus pauvres ; au-delà, dans les 20% les plus riches.

3. Salaires et « niveau de vie »

L'Insee utilise en général la notion de déciles appliquée non au simple revenu mais au « niveau de vie ». Celui-ci

se calcule comme suit : On définit le revenu disponible d'un ménage, c'est-à-dire l'ensemble de ses revenus (activité,

patrimoine, aides sociales), moins les impôts directs (sur le revenu, l'habitation, le patrimoine, CSG, CRDS). Nous

travaillons à vous proposer une calculatrice interactive pour vous permettre d'estimer dans quelle part de la

population vous vous situez.

4. Une « hyper classe moyenne » ?

Les économistes Eric Maurin et Dominique Goux donnent une autre définition : pour eux, la France verrait

aujourd'hui l'émergence d'une « hyper classe moyenne », située au carrefour de la bourgeoisie et du prolétariat, une

sorte de passage obligé vers l'ascension sociale.

Globalement, la classe moyenne recruterait de plus en plus parmi ces rangs depuis les années 1980. Surtout, les

auteurs notent que le nombre de personnes proches du revenu médian s'accroît, parallèlement au sentiment

d'appartenance à une classe moyenne dont les contours restent malgré tout flous.

5. Les « 40% du milieu » ?

Encore d'autres classifications existent. Selon les économistes, qui se basent sur la répartition des revenus en 2010, les

classes moyennes représenteraient 20 millions de personnes touchant un revenu mensuel brut de 3,000 euros en

moyenne, et de 35,000 euros annuels. D'après cette étude, les classes populaires représenteraient de leur côté 50%

des plus pauvres gagnant 1,500 euros par mois en moyenne, soit 25 millions de personnes. Les classes aisées, enfin,

seraient les 10% les plus riches (5 millions de personnes) touchant en moyenne 8,600 euros par mois.

모든 세제·정책 개혁과 마찬가지로 “중산층”이라는 애매한 개념에 대해 독자와 해설자는 의견이 분분하다. 모두들 개혁이

중산층에게 이익일지 희생일지 궁금해 한다. 도대체 무엇이 “중산층”이고 어떤 사람들이 그에 포함되는가?

1. 애매모호한 개념

이 “중산층” 이라는 개념은 최근 생겨난 것이 아니라 2차 세계대전 이후 눈부신 경제발전이 이루어진 « 영광의 30년 »

에 등장했다. 이는 서민층과 부유층의 중간 범주인 부유하지도 가난하지도 않은 인구를 뜻하고 일반 회사원, 기술자, 공무

원 등이 해당된다. 하지만 그 누구도 중산층의 정확한 경계에 대해서는 생각해보지 않았다. “중산층”이라는 개념은 사회직

능이나 수입의 차이에 의해 여러 가지로 정의될 수 있다.

2. 직장인의 50%가 첫 월급으로 1,560~2,569 유로(약 200~340만원)를 받는다

“중산층”이라는 개념에 다가가기 위한 첫 번째 방법은 임금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다. 아래 그래프는 Insee(국립 통계 경

제 연구소)에서 발표한 2011년 직장인 첫 월급 통계이다. 그래프에 따르면 인구의 30%는 한 달에 세금 공제 후 1,428유로

이하를 받고 80%는 한 달에 2,569유로 이하를 받는다. 임금에 따라 분류하자면 중산층은 이 둘 사이에 있게 된다. 즉, 중

산층은 하위 30%의 가난한 사람들과 상위 20%의 부유한 사람들 사이에 속하는 것이다.

3. 임금과 « 생활 수준 »

INSEE는 중산층 개념을 단지 임금만이 아니라 생활수준으로도 구분한다. 한 가구 당 사용 가능한 돈, 즉 가족 구성원 모

두의 소득(임금, 유산, 보조금)에서 세금(소득세, 주거세, 상속세, 사회보장세, 사회부채상환세)을 뺀 나머지로 계산된다. 자

신이 어떤 범주에 해당되는지 알기 위해서는 단순히 임금만이 아닌 여러 지표를 이용한 상호작용적 계산이 필요하다.

4. « 최고 중상층 » ?

Eric Maurin과 Dominique Goux라는 두 경제학자는 중산층에 대해 다른 정의를 제시한다. 이 둘에 따르면 오늘날 프랑

스에는 부르주아와 노동자 계층 사이에 위치한, 소위 « 최고 중상층 »이라는 새로운 계급이 등장했다.

전반적으로, 중산층은 1980년대 이후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Maurin과 Goux는 특히 중산층이라는 애매한 개념에도

불구하고, 어쨌거나 평균 정도의 임금을 받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5. 중산층은 « 가운데 40% » ?

이 외에도 다양한 분류방법이 존재한다. 경제학자들은 2010년 소득 분배를 토대로 중산층을 월 평균 3,000유로, 연 평균

35,000유로를 버는 2,000만 명이라고 정의한다. 한편 작가들은 정규근로시간대로 (혹은 정규근로시간의 80%) 일하는 18세

부터 65세까지의 소득 분배를 토대로 서민층을 월 평균 1,500유로(약 200만원)를 버는 하위 50%로 정의하고 (약 2,500만

명), 부유층을 월 평균 8,600유로(약 1,150만원)를 버는 상위 10%로 정의한다. (약 500만 명)

11 우도경 <[email protected]>

참고 : LeMonde "Qu-est ce que la classe moyenne?"

Page 4: La Gazette d'Agora 9월호

2014년 9월 29일 - 제 7호 -

Grève des pilotes : la moitié des vols d'Air France annulés에어프랑스 조종사 파업으로 항공편 절반 운항 취소

Le Syndicat national des pilotes de ligne (SNPL),

majoritaire, a appelé à la grève reconductible du 15

au 22 septembre en raison du contre du

développement de sa low cost Transavia. Une grève

d'une semaine serait le plus long conflit mené par

des pilotes d'Air France depuis 1998. La compagnie

aérienne a légèrement revu à la hausse ses prévisions

de trafic pour ce premier jour de grève, qui doit

entraîner l'annulation de plus d'un vol sur deux.

« Nous prévoyons d'assurer 48% de nos vols » avec

quelque 60% des pilotes s'étant déclarés grévistes, ce

qui constitue une « légère amélioration par rapport à

nos prévisions de samedi soir », a souligné Catherine

Jude, directrice du centre de contrôle des opérations.

Air France tablait alors sur 40% de vols assurés.

DES PERTURBATIONS À PRÉVOIR

La compagnie, qui a envoyé 65,000 SMS à ses

passagers et va s’efforcer de faire voler des avions «

de plus grosse capacité », conseille « à ses clients

ayant résevé un vol entre le 15 et le 22 septembre

de reporter leur voyage, de changer leur billet sans

frais » ou de « se faire rembourser ». Air France

évoque aussi des possibilités de « dédommagement »

et prévient qu’il y aura en outre « des retards et des

perturbations ».

« Si le mouvement social se poursuivait au-delà du

15 septembre, le programme de vols sera adapté en

conséquence. Les répercussions éventuelles seront

communiquées aux clinets concernés la veille du

départ », indique la compagnie.

La compagnie régionale Air Corsica a annoncé

qu’elle ne serait pas touchée par la grève et qu’elle

renforçait dès lundi sa ligne Ajaccio-Paris Orly, avec

une rotation supplémentaire à la mi-journée. Tous ses

vols seront par ailleurs assurés normalement sur son

réseau de service public.

에어프랑스의 조종사 노동조합인 ‘SNPL'의 대다수가

에어프랑스의 자회사인 Transavia 저가항공 사업 확장에

대한 반대를 이유로 9월 15일부터 22일까지 파업을 단

행하기로 했다. 이번 파업은 지난 1998년 이후 에어프랑

스의 최장기 분쟁이다.

항공사측은 비행기의 절반이 결항되는 파업 첫날을 대

비해 항공편 예상 운항수를 상향조정했다. 이는 지난 토

요일 저녁에 예상했던 바와 비교하여 약간의 개선을 한

것이라고 운항관제센터 간부인 Catherin Jude는 밝혔다.

약 60%의 조종사들의 파업으로 인해 항공사측은 "예정

된 항공편 가운데 48%만 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항공사는 확정된 항공편 40%를 기대하고 결정

하였다.

많은 승객들에 혼란 예상

에어프랑스는 승객들에게 65,000개의 SMS를 보냈고,

« 더 많은 수 »의 비행기들을 운행시키도록 노력하고 있

다. 에어프랑스는 9월 15일과 22일 사이에 비행기를 예

약한 그들의 승객들에게 그들의 여행을 연기하고, 무료

로 그들의 표를 바꾸거나 환불받을 것을 권했다. 에어프

랑스는 또한 « 손해배상 »의 가능성을 시사했고, 더한 «

지연과 혼란 »이 있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 만약 이 파업이 9월 15일 이후로도 지속된다면, 비

행스케줄은 그에 상응하여 조정될 것이다. 잠재적인 영

향들은 출발전날에 영향을 받는 고객들에게 통지될 것 »

이라고 회사는 말했다.

지역항공사 에어 코르시코는 파업에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월요일부터 운행 빈도를 보충하여 그

들의 Ajaccio-Paris Orly 라인을 강화시켰다고 발표했다.

또한 모든 비행들은 에어프랑스의 공공서비스 네트워크

망을 통해 정상적으로 운행되어질 것이다.

13 김지수 <[email protected]>

13 조난영 <[email protected]>

참고 : LeMonde "Grève des pilotes : la moitié des vols d'Air

France annulés"

Mode : Jean-Paul Gaultier arrête le prêt-à-porter프랑스 디자이너 장 폴 고티에, 기성복 사업 접는다

Jean Paul Gaultier a décidé d'arrêter le prêt-à-porter hommes et femmes, afin de se concentrer sur la haute

couture, les parfums et d'autres projets, a indiqué ce lundi la maison, confirmant une information du quotidien

spécialisé Women's Wear Daily (WWD). Sa dernière collection de prêt-à-porter féminin sera présentée le 27 septembre

à la Semaine de la mode parisienne.

La maison Jean Paul Gaultier a confirmé à l'AFP la décision du couturier, "en accord avec son actionnaire", le

groupe espagnol Puig, d'arrêter le prêt-à-porter, sans fournir plus de précisions. Le WWD cite une lettre de Jean Paul

Gaultier, qui justifie sa décision par des "contraintes commerciales" et le "rythme frénétique des collections" qui "ne

laissent aucune liberté, pas plus que le temps nécessaire pour trouver des idées et innover".

"Après plus de 38 ans passés à produire des collections de prêt-à-porter hommes et femmes, il nous a semblé que

l'heure était venue d'arrêter certaines de nos activités et de se concentrer principalement sur le développement de la

haute couture, des parfums et de certaines collaborations que je n'ai pas encore eu le temps d'explorer", explique le

couturier selon ses propos retranscrits en anglais par le WWD. Selon le journal, l'arrêt des activités de prêt-à-porter

"pourrait affecter plusieurs dizaines d'employés".

프랑스의 유명 디자이너 장 폴 고티에(62)가 오트 쿠튀르(고급 주문복), 향수와 다른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기성복 사업

에서 철수한다고 15일 보도했다.

고티에는 미국 패션전문지 WWD(Women's Wear Daily)와의 인터뷰에서 의류산업의 변화에 따라 남성과 여성 기성복 사

업을 모두 접기로 했다고 말했다. 고티에의 마지막 기성복 봄-여름 컬렉션은 이달 말 파리 패션위크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고티에 의상실도 이날 성명에서 고티에가 오트 쿠튀르와 향수 브랜드 '르 말' 등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에 집중할 계획이

라고 밝혔다. 그는 "상업적인 제약과 정신없는 속도로 쏟아지는 신상품 때문에 새로운 아이디어와 혁신을 이뤄 낼 시간이

없었다"며 "우리 사업 중 일부를 중단하고 오트 쿠튀르 개발에 집중할 시간이 온 것 같다"며 이 같은 결정을 내린 이유를

설명했다.

고티에는 38년간 남성과 여성 기성복을 디자인했으며, 영화 제5원소의 의상과 세계적인 팝 가수 마돈나의 '원뿔형 브라

(Con Bra)‘ 무대의상 디자이너로도 유명하다. 그는 1978년 첫 의상컬렉션을 선보인 이후 쿠튀르와 기성복, 향수 등으로 사

업을 확장해왔다.

11 김우정 <[email protected]>

참고 : Lemonde "Jean-Paul Gaultier arrête le prêt-à-por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