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ga ohm short test를 이용한 진행성불량 선별 방안 · 2008-07-16 · 한국테스트...

4
한국테스트 학술대회 논문 투고 형식 Abstract I. 최근 반도체 Package 의 특징은 High Density, High Speed 및 Small size 로 나눌수가 있으며 이에 따른 Wafer 대구경화, Multi stack, Thinnin 및 Flip Chip 및 ULGA 와 같은 New Package 의 개발이 主를 이루고 있다. 제품의 고성능, 고밀도, 다기능화 구현 및 차별화 제품 요구증대에 따라 다양한 Package 기술 개발중 특히 Pad Pitch Size 의 미세화(120 ㎛-> 50 ㎛) 및 Multi stack(1Chip -> 4Chip(07 년) -> 8Chip (08 년)의 개발은 기존 Test 상에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든 새로운 형태의 진행성 불량을 유발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Pad Pitch 간격은 50 ㎛까지 줄었지만 EMC 공정상 발생한 전도성 이물질 의 크기는 20 ~40 ㎛까지 존재하여 Short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으며 ‘05 년부터 Test 이후 공정인 FQA입고 검사에서 집중 불량 다발하는 현상에 착안하여 실험을 한 결과 초기 Open/Short 시 양 Pin 간의 저항치가 25 ㏁ 수준의 Device 가 Test 종단부에 가서는 813Ω으로 줄어드는 진행성 Short 불량을 확인하였으며 최종 Decap 결과 그림 1 과 같이 Ball 과 Ball 사이에 EMC 공정에서 발생한 전도성 이물질 발견 및 Carbon 성분의 의한 진행성 불량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1: Pin 간 Carbon 성분에 의한 Short] 그래서 04 년/05 년 FQA, Test 및 Claim 에 발생한 Pin Short 불량에 대한 X-Section/X-Ray 분석을 한 결과 Pin to Pin 간 이물질의 형상은 표 1 과 같이 Carbin 성분, 금속 이물질 및 Wire Sagging,Inner Lead Short 등으로 구분할 수가 있었으며 이는 최근의 Pad Pitch Size, Wire 간격, Inner Lead 간격 및 다층 Layer 와 관계등을 확인하였으며 Package 내부 Short 유발가능인자 (EMC 내부 전도성이물질, 조립공정 Particle)들이 초기 Test 시에는 불완전 불량 조건 상태로 존재하다가 Test 시 Function Test 등 열하조건등을 만남에 따른 활성화로 진행성 Short 불량전이 및 최종 Claim 으로 귀결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진행성 (Potential) Short 불량이라 칭하였으며 본 불량을 선별할 수 있는 Mega Ohm Short Test 을 개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표1: Pin to Pin 이물질 분석 현황(04년/ 05년기준) [Case1: Carbon성분에 의한 Pin to Pin Short] [Case2: 금속이물질에 의한 Pin to Pin Short] Mega Ohm Short Test 를 이용한 진행성불량 선별 방안 이승철 , 황상태, 이상현, 김인철 삼성전자 [email protected]

Upload: hoangdieu

Post on 19-Sep-2018

25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Mega Ohm Short Test를 이용한 진행성불량 선별 방안 · 2008-07-16 · 한국테스트 학술대회 논문 투고 형식 [Case3: 기타 Short현상 Pad침범등] II. 본

한국테스트 학술대회 논문 투고 형식

Abstract

I. 서 론

최근 반도체 Package 의 특징은 High Density, High

Speed 및 Small size 로 나눌수가 있으며 이에 따른

Wafer 대구경화, Multi stack, Thinnin 및 Flip Chip 및

ULGA 와 같은 New Package 의 개발이 主를 이루고

있다. 제품의 고성능, 고밀도, 다기능화 구현 및 차별화

제품 요구증대에 따라 다양한 Package 기술 개발중

특히 Pad Pitch Size 의 미세화(120 -> 50 ) 및

Multi stack(1Chip -> 4Chip(‘07 년) -> 8Chip

(‘08 년)의 개발은 기존 Test 상에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든 새로운 형태의 진행성 불량을 유발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Pad Pitch 간격은 50 까지 줄었지만

EMC 공정상 발생한 전도성 이물질 의 크기는 20

~40 까지 존재하여 Short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으며 ‘05 년부터 Test 이후 공정인 FQA 입고

검사에서 집중 불량 다발하는 현상에 착안하여 실험을 한 결과

초기 Open/Short시 양 Pin간의 저항치가 25 수준의

Device가 Test종단부에 가서는 813Ω으로 줄어드는 진행성

Short불량을 확인하였으며 최종 Decap 결과 그림1 과 같이

Ball과 Ball사이에 EMC공정에서 발생한 전도성 이물질 발견

및 Carbon성분의 의한 진행성 불량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1: Pin간 Carbon성분에 의한 Short]

그래서 ‘04 년/’05 년 FQA, Test 및 Claim 에 발생한

Pin Short 불량에 대한 X-Section/X-Ray 분석을 한

결과 Pin to Pin 간 이물질의 형상은 표 1 과 같이

Carbin 성분, 금속 이물질 및 Wire Sagging,Inner

Lead Short 등으로 구분할 수가 있었으며 이는 최근의

Pad Pitch Size, Wire 간격, Inner Lead 간격 및 다층

Layer 와 관계등을 확인하였으며 Package 내부 Short

유발가능인자 (EMC 내부 전도성이물질, 조립공정

Particle)들이 초기 Test 시에는 불완전 불량 조건

상태로 존재하다가 Test 시 Function Test 등

열하조건등을 만남에 따른 활성화로 진행성 Short

불량전이 및 최종 Claim 으로 귀결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진행성 (Potential) Short 불량이라 칭하였으며 본

불량을 선별할 수 있는 Mega Ohm Short Test 을

개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표1: Pin to Pin 이물질 분석 현황(‘04년/’05년기준)

[Case1: Carbon성분에 의한 Pin to Pin Short]

[Case2: 금속이물질에 의한 Pin to Pin Short]

Mega Ohm Short Test 를 이용한 진행성불량 선별 방안

이승철, 황상태, 이상현, 김인철

삼성전자 [email protected]

Page 2: Mega Ohm Short Test를 이용한 진행성불량 선별 방안 · 2008-07-16 · 한국테스트 학술대회 논문 투고 형식 [Case3: 기타 Short현상 Pad침범등] II. 본

한국테스트 학술대회 논문 투고 형식

[Case3: 기타 Short현상 Pad침범등]

II. 본 론

1. Mega Ohm Short Test 방법 개발

일반적인 Test 의 Open/Short 선별 개념은 아래 표와

같으며 Current Forcing(200uA)에 의한 전압측정시

Short Limit(0.2v)를 환산시 양 Pin간 1까지 선별 이

가능하지만 최근 진행성으로 발전한 Short불량 Pin to Pin간

저항값은 1 ~ 500 수준은 기존 PGM으로는 선별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Package Resistive Short모델을 다음과 같이 7가지로

해본 결과 Resistance of malfunction시 선별할 수 없는 유형

이 ②,③,⑥⑦번 발생하며 이런 유형들이 Function불량에서

충분히 선별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더 우려되는

유형은 초기 ∞상태에서 수 으로 전이되는 진행성

불량이 더 큰 품질 Issue 를 내포하고 있어 다음과

같은 5 까지 Mega Ohm Short Test 방법을

개발하였다.

기존 Short Test 방법이 Protection Diode 를 이용

하였다면 본 Mega Ohm Short Test 방법은 Protection

Diode 가 Turn On 이 되지 않는 조건 즉, 내부 Pin

Impedance 성분을 ≒∞로 만들어 주는 방법으로

그림 2 의 Signal Pin to Signal Pin 간의 Short

Test 방법은 우선 Pin 내부 Impedance 를 ≒∞로

만들기 위하여 비 측정 Pin 들에 0.3V 를 Set 하였으며

측정 Pin 에는 0V 를 인가하여 Pin by Pin Scan

방식으로 순수하게 Pin 간 Pin 사이의 저항성을 측정

수~까지 측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Power Pin 과 Ground Pin 에 대한 Short

방법으로 우선 Power 단에 0V 전위를 set 하고 나머지

Signal Pin 들에는 +0.1v 를 인가하여 측정시

Parallel 하게 측정하는 방식으로 Signal Pin 대 Power

및 Ground Pin 간의 이물질에 대한 저항성을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림 2] Mega Ohm Short 방법 1

마지막으로 PGM Sequence 측면에서는 PGM 종단에

위치 진행성으로 전도되는 불량 선별가능하도록 하였다.

2. Mega Ohm Short Test 실험 결과 및 고찰

진행성 Short 불량에 대한 Mega Ohm Short Test

PGM 개발후 Short 불량이 다발하고 있는 A(社) 조립

제품인 448FBGA S4LF098X01 제품 적용한 결과

Page 3: Mega Ohm Short Test를 이용한 진행성불량 선별 방안 · 2008-07-16 · 한국테스트 학술대회 논문 투고 형식 [Case3: 기타 Short현상 Pad침범등] II. 본

한국테스트 학술대회 논문 투고 형식

조립 공정 중, 발생된 인접 Wire 사이의 간격 감소에

의해 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Wire

sweeping, sagging, Loop height 관리 부적합 현상이

존재함) 불량 현상은 특정 2pin 에서 Metallic Short 가

아닌 수백Ω ~ 수 저항을 갖으며, 전류 Leak 를

유발하는 현상으로 두 Wire 중간에 EMC 가 (최소

81nm ~ 수백 nm)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나 절연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해 일정전류가 Leak 되면서

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저항성 Short 을

방지하기 위한 Wire to Wire 간격. 두 Wire 사이에

600nm ~ 80nm Gap 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두 Wire 간

전류 Leak 현상이 확인되었으며, Wire 사이에 전도성을

갖는 이물질 없는 경우 최소 2um 이상의 wire gap 이

있을 경우 저항성 Short 현상이 없어짐 ( 최소 2um

이상의 Gap 이 확보되어야 함)을 확인하였음.

본 제품의 경우 3 단 Bonding 을 함에 따른 Wire

Sagging 및 Sweeping 등이 Pin to Pin 간 저항성으로

~0.5 이하의 특성을 가지며 발생하여 본 Mega

Ohm 을 적용한 결과 수율 94.5%에서 98.9%로 개선

및 이상처리 LRR 또한 급격 개선됨을 최종 확인하였다.

본 MegaOhm Short Test 적용 방식은 Scan 방식과

Block 방식으로 나누어 졌으며 초기에는 Scan 방식으로

Test 를 하였으나 Test Time Issue 제품에 대해서는

Block 방식으로 적용하고 있다.

III. 결 론

Test 단 반도체 PKG 내부 전도성 이물질에 의한

진행성 Short 초기 불량 선별을 위해서는 Burn In 등

막대한 투자 보완이 필요하지만 S-LSI 다품종 소량

양산 특성상 옳은 방법이 아니며 조립측면에서는

전도성 이물질 유발 인자 (Carbon, 금속류, Particle)

관리를 100% 완비해야 하나 Package 개발

Trend 대비 제조공정기술이 따라 가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이에 본 Test 부문에서는 기존 GO/NOGO 선별

Test 개념을 벗어난 진행성 불량 선별을 위하여 Mega

Ohm Short PGM 개발을 통하여 Signal Pin to Signal

Pin 간 및 Signal Pin 대비 Power 및 Ground

Pin 간의 Mega Ohm Short Test Program 을 개발

‘04 년도부터 양산 적용을 하고 있다. 아울러 신제품

개발 DR2 단계부터 본 Mega Ohm Short 가능 여부

Pin 을 판단하여 진행성 Short 불량 선별을 Test

PGM 개발 단계부터 적용중이며 앞으로 L13 공정뿐만

L06 공정으로 갈수록 새로운 형태의 불량에도 Test

선별력 강화노력을 위하여 본 MegaOhm Short

Test 는 지속 Update 및 지속되어야 할 것 이다.

IV. 참고 문헌

Page 4: Mega Ohm Short Test를 이용한 진행성불량 선별 방안 · 2008-07-16 · 한국테스트 학술대회 논문 투고 형식 [Case3: 기타 Short현상 Pad침범등] II. 본

한국테스트 학술대회 논문 투고 형식

[1] 유홍범 "출력 Pin-to-Pin Short Test 기법",

사내논문, 2002 년

[2] Test 기술 " The Fundamental of Test

Engineering", 2001 년

[3] 김태훈 "45um find pad pitch 의 wire bonding

technolodgy", 사내논문, 2003 년

[4] 품질대학 " Taguchi DOE(다구치 실험계획법)"

[5] SDS "TRIZ 기본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