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123
디브러리 총서 1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국립중앙도서관

Upload: jinho-park

Post on 15-May-2015

1.008 views

Category:

Education


11 download

DESCRIPTION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총서 시리즈1.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개발

TRANSCRIPT

Page 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디브러리총서1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국립중앙도서관

Page 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제1권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제5장 포털 서비스 기능 및 설문 분석

1. 포털 서비스 기능 분석 | 1302. 이용자 설문조사 | 1403. NDL 포털 모형 개발을 위한 시사점 | 152

제6장 NDL 포털 사이트 모형

1. NDL 포털 사이트 모형 개요 | 1562. NDL 포털 모형의 주요 구성요소 | 1573. NDL 포털 모형 아키텍처 | 162

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1. NDL 포털 서비스 개요 | 1682. NDL 포털 검색 서비스 | 1713. NDL 포털 참여 서비스 | 1944. NDL 포털 활용 서비스 | 2105. NDL 포털 연계 서비스 | 2146. NDL 하위포털 서비스 | 2217. NDL 포털 향후 추진과제 | 226

제8장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233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0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123. 연구의 진행 방법 | 134. 연구의 제한점 | 13

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1. 포털의 정의 및 역할 | 162. 포털의 구성요소 | 173. 포털 이용자 정보과정 | 184. 일반 포털과 도서관 포털 | 27

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1. 도서관 포털의 개요 | 302. 도서관 포털 프로젝트 및 구축 사례 분석 | 433. 도서관 포털의 특징 및 기능 비교 분석 | 504. 도서관 포털의 일반 모형 비교 분석 | 74

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1. 일반 포털의 개요 | 822. 일반 포털의 모형 및 사례 분석 | 953. 일반 포털 분석 종합 및 시사점 | 124

목 차

Page 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제1권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표 Ⅳ-1] 포털 서비스의 구성요소 | 86[표 Ⅳ-2] 국내 포털의 웹2.0 서비스 | 91[표 Ⅳ-3] 도메인별 웹사이트 순위 | 126[표 Ⅴ-1] 포털 서비스 검색 기능 순위 | 132[표 Ⅴ-2] 공공포털 및 민간포털의 검색 기능 비교 | 133[표 Ⅴ-3] 포털 서비스 열람 기능 순위 | 134[표 Ⅴ-4] 공공포털 및 민간포털의 열람 기능 비교 | 135[표 Ⅴ-5] 포털 서비스 참여 기능 순위 | 136[표 Ⅴ-6] 공공포털 및 민간포털의 참여 기능 비교 | 137[표 Ⅴ-7] 포털 서비스 이용 기능 순위 | 138[표 Ⅴ-8] 공공포털 및 민간포털의 이용 기능 비교 | 139[표 Ⅴ-9]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 141[표 Ⅴ-10] NDL 포털에 필요한 서비스 | 143[표 Ⅴ-11] NDL 포털의 서비스 성격 및 방향 | 144[표 Ⅴ-12] NDL 포털 검색방법 | 144[표 Ⅴ-13] NDL 포털 검색요청 자료 | 145[표 Ⅴ-14] NDL 포털 검색결과 | 145[표 Ⅴ-15] NDL 포털 검색 부가기능 | 146[표 Ⅴ-16] NDL 포털 참여서비스 | 146[표 Ⅴ-17] NDL 포털 카페/커뮤니티 이용목적 | 147[표 Ⅴ-18] NDL 포털 블로그/미니홈피 이용목적 | 147[표 Ⅴ-19] NDL 포털 제공콘텐츠 유형 | 148[표 Ⅴ-20] NDL 포털 콘텐츠 제작/공유 혜택 | 149[표 Ⅴ-21] NDL 포털 연계기관의 자료 열람 시 중요사항 | 149[표 Ⅴ-22] NDL 포털의 개인공간 기능 | 150[표 Ⅴ-23] NDL 포털 온라인 교육내용 | 150[표 Ⅴ-24] NDL 포털 홍보방안 | 151

표 목차

[그림 Ⅱ-1]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22[그림 Ⅱ-2]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22[그림 Ⅱ-3]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검색 | 23[그림 Ⅱ-4]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열람 | 24[그림 Ⅱ-5]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참여 | 25[그림 Ⅱ-6]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이용 | 26[그림 Ⅲ-1] 도서관 포털의 구성요소 | 38[그림 Ⅲ-2] JISC 포털 명세 | 57[그림 Ⅲ-3] JISC 포털 명세 - 시작 | 57[그림 Ⅲ-4] JISC 포털 명세 - 조사 및 발견 | 59[그림 Ⅲ-5] JISC 포털 명세 - 상세 | 59[그림 Ⅲ-6] JISC 포털 명세 - 레코드의 이용 | 60[그림 Ⅲ-7] JISC 포털 명세 - 원문의 요청과 접근 | 60[그림 Ⅲ-8] JISC 포털 명세 - 자원의 이용 | 61[그림 Ⅲ-9] Edward Lim의 포털 모형 | 75[그림 Ⅲ-10] JISC의 포털 모형 | 76[그림 Ⅲ-11] Maloney & Bracke의 포털 모형 | 78[그림 Ⅲ-12] 이수상의 포털 모형 | 79[그림 Ⅳ-1] 포털 상위권 집중화 | 84[그림 Ⅳ-2] 포털 주요 섹션별 시장점유율 비교 | 87[그림 Ⅳ-3] 웹2.0 인터넷생태계 | 90[그림 Ⅳ-4] 웹2.0 관련 기술 | 93[그림 Ⅳ-5]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125[그림 Ⅵ-1] NDL 포털 사이트 모형 개발방향 | 157[그림 Ⅵ-2] NDL 포털 모형의 주요 구성요소 | 157[그림 Ⅵ-3] NDL 포털 모형 | 162[그림 Ⅶ-1] NDL 포털 서비스 방향 | 168[그림 Ⅶ-2] NDL 포털 서비스 구성도 | 170[그림 Ⅶ-3] NDL 포털 주요 검색서비스 | 173[그림 Ⅶ-4] NDL 포털 주요 참여서비스 | 195[그림 Ⅶ-5] NDL 포털 주요 활용서비스 | 210[그림 Ⅶ-6] NDL 포털 주요 연계서비스 | 216

그림 목차

Page 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7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6 총서 발간사

이러한 국립디지털도서관 건립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2007년도 "국립디지털도서관

운영 시범사업"을 수행하였으며, 도서관 학계와 업계, 도서관 실무진 등 유수의 인력들이 참가하

고 수차례의 자문을 거쳐 수행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

본 총서에는 2007년 수행결과를 5권(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개발,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개

발, 디지털장서 관리 및 연구개발, 디브러리 이용자서비스 공간구축, 정보소외계층 서비스)으로

편찬하였습니다. 디브러리 총서는 2007년도 결과물 발간을 시작으로 계속적으로 편찬될 것이며,

도서관 학계 및 현장에 배포되어 디지털도서관을 선도하는 모범적인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

다.

2009년 개관될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새로운 정보서비스의 혁신과 창조적인 지식 생산으로 대

한민국을 지력강국(知力强國)으로 거듭나게 하는 도약점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권 경 상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디지털 정보자원

의 수집·정리·보존 및 이용에 대한 새로운 도서관 혁신모델

로서 국내외 디지털정보서비스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려고

합니다.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언제 어디서 누구나 디지털정보에 쉽게

접근하고 쌍방향 참여로 원하는 디지털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전문 지식포털 디브러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첨단 시설로 정보 열람과 활용에 새로운 혁신을 더해

주며, 자연과 사람 그리고 정보를 접목한 친환경 도서관을 짓

고 있습니다.

총서발간사

Page 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3. 연구의 진행 방법

4. 연구의 제한점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3. 연구의 진행 방법

4. 연구의 제한점

Page 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1제1장 서론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오늘날 인터넷을 이용하는 인구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유무선 네트워크가 확장되면서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제공, 검색 및 활용은 우리의 일상생활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도서관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 제공기관들은 보다 편리한 환경 하에서 이용자들이 정보

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의 확보는 물론 이용자 친화적인 시스템의 개발에 경쟁

적으로 자신들의 역량을 투입하고 있다.

과거 찾아오는 고객들에 대한 정보서비스에 초점을 맞추던 기존의 도서관들도 유사 정보제공

기관들의 등장과 더불어 치열한 경쟁 가운데 살아남기 위하여 정보기술의 신속한 도입을 통하여

이용자들에게 찾아가는 적극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도서관들의 이러한 노력은 자관 소장

정보자원의 디지털화를 통한 서비스는 물론 타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의 자료 또한 연계하여 방문

하는 이용자들로 하여금 원하는 정보를 한 번에, 한 곳에서 제공할 수 있는 웹기반 정보서비스,

즉 포털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경쟁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포털 형태의 정보서비스 기관들은 지식정보의 체계적 관리

및 효율적인 서비스라는 도서관 고유의 정체성을 지키지 못하고 일반 포털과 혼재되는 양상을 보

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일반 포털들은 정보기술의 우위를 바탕으로 인쇄매체 기반의 지

식정보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도서관들과 비교하여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합되는 다양한 멀티미디

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식정보 제공처로서 도서관의 입지를 위협하고 있다. 도서관을 둘러싼

복잡한 주변 환경은 도서관들로 하여금 위기의식을 불러일으키고 자신의 역할을 재점검함으로써

제1장 서론 이용자에게 보다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국가를 대표하는 도서관인 국립중앙도서관은 도서관 본연의 사명인 이용

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수집, 관리, 제공하는 정보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기존의 웹을 통한 자관의 소장정보를 제공하는 소극적인 서비스에서 벗어나 모든 양질의 장서와

콘텐츠를 대상으로 모든 계층의 이용자들에게 인터넷 기반의 정보서비스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른 선택의 여지

가 있다면 정보 제공처가 어디든 상관없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곳을 선호하는 것

은 당연할 것이다. 현재 건립중인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지식정보의 제공이라는 기존의 도서관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이용자의 요구변화에 민첩하게 대처하는 일반포털의 장점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환경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의 결과로 볼 수 있다.

국립디지털도서관(NDL; The National Digital Library)은 양질의 장서와 콘텐츠를 대상으로

모든계층의이용자에게인터넷기반의정보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환경으로'NDL 포털서비스' 체

제 구축을 위한 모든 노력을 기울여 왔다. 'NDL 포털' 다양한 지적 배경과 정보요구를 가진 이용

자들을 위하여 존재함을 전제할 때 무엇보다 정보환경의 변화 및 이용자의 요구에 대한 심도 깊

은 이해로부터 출발하여야 한다.

보다 성공적인 'NDL 포털' 구축되기 위해서는 첫째, NDL이 소장하고 있는 장서 및 콘텐츠에

대한 통합적이고 이용자 친화적인 검색 플랫폼을 구현하여야 하고, 둘째, 개방과 공유와 참여를

통한 정보의 생산 공유 재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용자 참여 플랫폼이 구현되어야 하

고, 셋째,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로벌 지식정보 유통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하고, 마지막으로 인포메이션 코먼스 및 NDL 포털을 통한 정보 리터

러시 및 정보 레퍼런스 교육 기반을 마련하여 정보취약계층의 정보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정보

복지를 실현하는 활용 플랫폼이 구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디지털도서관에서 구축, 운영할 대규모 장서, 다양한 정보서비스, 각종

첨단정보기술로 구성되는 정보시스템인 'NDL 포털'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잠재 이용자

의 정보요구 및 이용형태를 예측함으로써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포털 모형을 개발하

고, 이용자 친화적인 정보서비스 방안들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1장 서론

Page 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연계 서비스

- 국내외 디지털 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한 글로벌 지식정

보 유통체제의 구축을 위한 연계서비스 방안의 도출

● 활용 서비스

- 이용자 친화적인 서비스, 서비스 내용 및 범위의 강화, 정보취약 계층의 정보이용

지원, 그리고 오프라인 공간인 인포메이션 코먼스와 포털의 상호보완을 위한 다양

한 활용 방안 제안

3. 연구의 진행 방법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중심의 사용성, 유용성,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는 NDL 포털의 구현을

위한 모형의 개발'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 문헌조사를 통한 포털 서비스의 다양한 구성 요소 및 기능에 대한 정의 도출

● 설문조사를 통한 이용자의 정보 요구 및 이용 실태 파악

● 포털에 포함되어야 할 기능 명세를 위하여 일반 종합포털, 지식정보포털, 대학포

털, 도서관포털, 그리고 웹 2.0 서비스 등 33개 사이트에 대한 기능 분석

● 대표적 포털사이트에 대한 기능 분석을 통하여 검색, 참여, 연계, 활용 등 NDL

포털의 4가지 기본 기능의 명세 작성

● 33개 사이트의 성공과 실패 요인을 분석하여 NDL 포털에 적합한 기본 기능별 서

비스 방안의 작성

4.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NDL 포털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하여 이용자의 정보 요구 및 정보 접근 형태의 분석

과 다양한 사이트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바탕으로 수행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연구의 제한점을 가

지고 있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3제1장 서론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본 연구는 국립디지털도서관이 이용자에게 양질의 정보자원에 대한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제공

하기 위하여 NDL 포털을 둘러싼 정보환경을 구조화하고 개념화하는 작업을 선행함으로써 성공

적인 NDL 포털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

용은 다음과 같다.

| 이용자 정보요구에 기반한 이용자별 이용목적 및 정보탐색 유형도출 |

● 이용자의 포털 이용 목적 분석

● 포털에 대한 이용자 기대치 분석

● 이용자들의 필요한 정보에 대한 접근 형태 분석

| NDL 포털사이트 모형 조사 및 연구 |

● 국내외 유사 포털 서비스 사례를 조사, 분석

●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NDL 포털을 개념화하기 위한 아키텍처 개발

● 유형화를 통한 NDL 포털의 개념적 모형 개발

| 이용자별 시나리오 분석에 기반한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

● 이용자 중심의 사용성과 유용성을 제공하기 위한 NDL 포털 모형

● 활용성과 편리성을 보장하며, 적응성이 높은 시스템 모형 구현

| NDL 포털사이트의 기능별 서비스 방안 도출 |

● NDL 포털은 검색, 참여, 연계, 그리고 활용 서비스로 구성

● 검색 서비스

- NDL 포털의 핵심적인 정보서비스로 NDL에서 통합관리 하는 디지털 장서를 기

반으로 각종 검색 기능을 제공

● 참여 서비스

- 공지서비스, 지식서비스 등 NDL 포털을 통해 이용자의 참여와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정보서비스 기능을 제공

12

Page 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1. 포털의 정의 및 역할

2. 포털의 구성요소

3.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4. 일반 포털과 도서관 포털

● 전문 포털이나 일반 포털과는 달리 NDL의 성격상 대상 이용자 (target user: 양질의

장서와 콘텐츠를 대상으로 모든 계층의 이용자)를 정확하게 정의하기 어렵다. 따라서

특정 집단의 이용자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불특정 다수를 위한 포털로 가능한 다양

한 기능을 모두 포함시켜야 하는 시스템으로 특정성에 한계를 가질 수도 있다.

● 국가 차원에서 모든 계층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NDL 포털의 경우 세계적으

로도 성공사례나 표적 대상 도서관이나 포털이 존재하지 않아 민간포털, 대학포

털, 지식정보포털 등 유사 형태의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NDL의

성격에 부합되도록 최적화하였다. 따라서 NDL 포털 모형은 전통적 기능 중심의

도서관개념에 반드시 부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 NDL 포털은 국가나 국립중앙도서관의 정보 서비스 정책과 독립적으로 개발, 운

영될 수 없는 것이나 현재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어서 서비스 정책이 충분

히 반영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점이나 예상되는 여러 가지 문제에도 불구하고 NDL 포털은 이용자의 정보

요구나 이용형태에 대한 조사와 분석에 기반하여 품질 좋은 콘텐츠의 제공, 콘텐츠에 대한 검색

및 접근 용이성, 그리고 이용자 참여의 활성화 및 효율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최적의 정보서비

스 시스템이 될 것이다.

14

Page 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제2 장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7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2006)에서는 검색 서비스를 이용자가 필요로 할 때, 데이터베이스

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접근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포털 서비스가 차별화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정의하였다. 이는 각 포털 서비스 기업들이 다양한 정보들이 산재한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 보여주는 것이 바로 이

들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 밖에도 포털사이트에서는 전자우편 서비스, 커

뮤니티 서비스, 전자상거래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 포털의 구성요소

일반포털 및 도서관포털이 핵심 요소로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구성요소들을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2006)의 2006년도 데이터베이스 산업 동향 분석 사업 '포털사이트

시장 분석'에서는 포털 서비스의 내용을 4C, 다시 말해, 콘텐츠 (Content), 커뮤니티

(Community),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커머스(Commerce)로 정리하고, 4C는 포털 서

비스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할 요건으로 각 포털들은 웹사이트에서 4C를 대표하는 서비스들을

구축하고 있다고 하였다.

김성언(2004)은 포털사업의 핵심요소를 콘텐츠, 커뮤니티, 커뮤니케이션, 상거래 및 고객화로

보고 이 요소들의 세부요인들이 특정 포털 사이트로 이용자들을 유인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들의 우선순위를 보여주었다. 포털 사이트 이용자들을 유인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로는 콘텐츠 검색 및 접근용이성, 커뮤니티 활성화 수준, 제품/서비스 판매 및 콘텐츠 내용의 충

실도 등으로 분석하였다.

Ward and Hiller(2005)는 도서관 포털의 3요소로 웹 인터페이스의 맞춤화와 콘텐츠 표현의

개인화, 강력한 교차검색 기능을 중요하게 보았다.

16

1. 포털의 정의 및 역할

세계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인구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유무선 네트워크가 확장되

면서 인터넷을 이용해 단순 정보검색 외에 이메일, 커뮤니티, 인터넷뱅킹, 뉴스,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포털(Portal)은 인터넷의 발전과정에서 인터넷

서비스의 한 유형으로서 정보의 관문, 혹은 시작점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콘텐츠

의 최종 목적지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대되어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라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포털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하

게 제공하기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의미한다고 하겠다.

포털사이트의 대표적인 역할은 다양한 정보에 대한 접근 경로라 할 수 있다. 포털사이트는 사

이트 내에서 뉴스, 날씨, 증권, 주식거래, 전화번호, 지도 등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타 사이트 정보의 중개를 통해 전문정보 제공까지 포괄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각 포털서비스 기업은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더욱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해 검색 서비스를 지속

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포털(Portal)은 정보의 관문, 혹은 시작점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콘

텐츠의 최종 목적지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대되어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의미함

●포털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한 종합적인 서

비스로 다양한 정보에 대한 접근 경로 역할을 수행함

●포털 서비스를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는 콘텐츠(Content), 커뮤니티(Community),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커머스(Commerce)임

포털과정보서비스

Page 1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37.1%)’, ‘일상생활 정보 습득(36.2%)’ 등을 위해 이용한다고 하였다. 또한 인터넷 이용자의

40.0%가 본인 블로그·미니홈피 운영자이며, 유형별로는 ‘미니홈피’ 운영이 23.7%, ‘블로그’

12.4%, ‘블로그 및 미니홈피 모두’ 3.9%로 나타났다. 여성(42.1%)의 블로그·미니홈피 운영률이 남

성(38.2%)보다 다소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68.2%로 가장 높고, 6-19세 45.9%, 30대

38.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블로그·미니홈피 운영자의 과반수가 ‘친교·교제(66.3%)’, ‘일상생활

에 대한 기록(58.1%)’, ‘취미·여가활동 또는 개인적 관심사 공유(56.9%)’를 위해 블로그·미니홈피를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웹2.0의 개념이 확산되면서 이용자들의 참여와 공유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한국인터넷

진흥원(2006)이 2006년 5월에 만 12세~49세 인터넷 이용자 2,45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2.0

시대의 네티즌 인터넷 이용 현황’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자의 90.9%는 카페/커뮤니티,

블로그/미니홈피, 댓글달기, 퍼나르기(펌) 등의 이용자 참여수단 가운데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수단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도 21.2%에 달했다. 이 중 카

페/커뮤니티 활동을 하는 경우가 77.8%로 가장 높고, 52.4%는 본인의 블로그/미니홈피를 운영

하고 있으며, 인터넷에 게시된 글, 뉴스를 퍼나르기 한 경험이 있는 경우가 62.0%, 인터넷 게시

물, 뉴스 등에 댓글을 다는 경우가 45.6%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의 참여 형태를 살펴보면, 카페/커뮤니티를 이용하는 주된 이유는 ‘취미·관심사 공유

(32.5%)’와 ‘친교·교제(29.6%)’를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카페/커뮤니티 이용자의 79.9%는

카페/커뮤니티 이용시 ‘타인의 글에 댓글을 달아주고’, ‘직접 쓴 글이나 스크랩한 글을 올리고

(66.6%)’있으며, ‘일반 검색보다 카페/커뮤니티의 정보가 더 유용하다고 느끼고(77%)’, ‘습관적으

로 카페/커뮤니티를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의 콘텐츠 생산 및 소비 경험을 살펴보면, 조사대상자의 43.2%는 본인이 직접 제작한

글, 그림, 동영상 등의 콘텐츠(UCC, User Created Contents)를 인터넷에 게시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76.2%는 다른 이용자가 제작한 콘텐츠(UCC)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으며, 이 가운데 35.6%가 하루 1번 이상 이용한다고 응답함으로써 인터넷 상에서 사용

자 제작 콘텐츠를 접하는 것이 매우 보편화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용자들이 직접 제작한 콘텐츠는 주로 ‘본인의 블로그/미니홈피(58.6%)에 게시하고 있으며,

그 외에 ’본인이 활동하는 카페/커뮤니티(24.3%), 타인의 블로그/미니홈피(8.2%) 등의 순으로 나

타난 결과에서 보듯이 블로그/미니홈피와 카페/커뮤니티가 사용자 참여 수단뿐만 아니라, 사용

자 제작 콘텐츠의 주요 유통 경로로도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9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3.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가. 인터넷 이용형태 분석

한국인터넷진흥원(2007)에서 실시한 ‘2007년 상반기 정보화실태조사’에 따르면, 2007년 6월

현재 만6세 이상 인구의 인터넷이용률(최근 1개월 이내 인터넷 이용자의 비율)은 75.5%이며, 인

터넷 이용자수는 34,430천명으로 추정된다고 보았다. 이는 2006년 6월 대비 인터넷이용률은

73.5%에서 2.0%p, 이용자수는 33,580천명에서 850천명이 증가한 수치다.

또한 인터넷의 이용목적으로는 인터넷 이용자의 대부분(80% 이상)이 ‘자료 및 정보 습득

(88.7%)’, ‘음악, 게임, 영화 등 여가활동(86.0%)’ 및 ‘이메일, 채팅 등 커뮤니케이션(84.7%)’을 위

해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 쇼핑(49.9%)’, ‘교육·학습(46.9%)’, ‘블로그·미니홈피 등 개인홈페이지

(41.8%)’ 등을 이용하는 경우도 40% 이상이었다.

카페·커뮤니티 이용률을 살펴보면, 인터넷 이용자의 39.9%는 ‘최근 1년 이내’에 본인이 가입한

카페·커뮤니티를 이용(카페·커뮤니티 이용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1개월 이내’에 이용한 경

우도 29.4%로 조사되었다. 카페·커뮤니티 이용률은 성별(남성 40.2%, 여성 39.6%)에 따른 차이

가 크지 않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67.9%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30대(43.3%), 6-19세(36.3%)

등의 순이었다. 카페·커뮤니티 이용자가 월 1회 이상 이용하는 카페·커뮤니티 개수는 평균 2.2개

이며, ‘1개 이하’의 카페·커뮤니티를 이용하는 경우가 44.2%로 가장 많고, ‘3개 이상’ 이용하는 경

우도 25.8%로 나타났다.

카페·커뮤니티 이용 목적은 주로 ‘친교·교제(73.6%)’ 및 ‘취미·여가(67.5%)’를 위해 카페·커뮤니티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업무·학업 관련 정보 습득(45.9%)’, ‘개인적 관심사 공유

18

●우리나라 만6세 이상 인구의 인터넷이용률은 75.5%, 인터넷 이용자수는 34,430천

명임(2007년 6월 현재)

●웹2.0의 개념이 확산되면서 인터넷 상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접하는 것이 매우

보편화되고, 이용자들의 참여와 공유가 급속히 증가함

●블로그/미니홈피와 카페/커뮤니티가 사용자 참여 수단뿐만 아니라, 사용자 제작 콘

텐츠의 주요 유통 경로로도 활용되고 있음

Page 1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나. NDL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국립중앙디지털도서관에서는 미래의 정보 환경 변화를 예측하고 감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하

기 위하여 정보 환경변화의 여러 가능성들을 정리한 다음, 각 환경에서 이용자들의 정보와 관련

된 행위를 예측하고 방문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용자들이 요구하는 것들을 반영한 이용자

중심의 이용자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새롭게 변화된 정보환경에 적합한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도출

된 이용자 시나리오는 다음의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첫째, 디지털 도서관 환경에서

이용자의 다양한 정보요구형태 및 정보이용형태를 분석하여 새로운 정보 환경에 적합한 이용자

중심의 정보서비스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둘째, 이용자를 다양한 유형(성별, 연령, 주제 등)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이용자 유형별 요구사항을 관찰하여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반영하고

자 하였다. 셋째, 최근 변화된 유무형의 IT 환경 및 정보서비스 기술을 파악하여 디지털도서관의

인포메이션 코먼스 및 포털 서비스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의 결과로 도출된 다양한 유형의 NDL 포털 이용

자 정보 요구 및 정보탐색 행위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용자가 웹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어떻게 정

보를 찾아가는지 정보탐색 행위의 특성 및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이용자중심적인 NDL 포털 모형

을 개발하고 포털 서비스 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 이용자의 속성에 대한 가정 |

이용자 시나리오에서는 미래의 디지털도서관을 이용하는 모든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속성을

갖고 있다고 전제하였다.

① 이용자는 성별, 연령, 지적수준, 도구이용능력 등 분류 가능한 어떤 속성을 갖고 있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1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콘텐츠 제작의 유형을 살펴보면, 콘텐츠를 직접 제작해 본 경험이 있는 경우, 주로 ‘개인의 일상

적인 일(45.9%)’, ‘취미, 여가 등 개인의 관심분야(22.7%), 전문분야의 정보, 지식(14.8%) 등에 관

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작한 콘텐츠의 형태는 주로 사진·이미지가 91.0%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텍스트형 글(85.0%), 동영상(30.4%), 음악(28,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랭키닷컴(www.rankey.com)에서 2007년 8월, 국내 네티즌의 웹서핑 활용도를 조사한 바에

따르면 한 달간 여성 네티즌의 1인당 평균 페이지뷰는 지난해 2,945페이지보다 약 9% 증가한

3,233페이지였으며, 한 달 평균 15개 사이트를 방문, 1인당 평균 20시간 18분 이상 인터넷을 이

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성의 경우는 평균적으로 2,910페이지뷰로 17개 사이트를 방문하였

으며 1인당 18시간 11분가량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자의 이용 현황 외에 이용자의 정보탐색행위를 분석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곽병

희(2004)는 이용자 중심의 정보탐색과정의 모델로 Meho & Tibbo가 제안한 탐색, 처리, 접근,

종결 등 서로 관련 있는 4개의 단계로 그룹화 모델을 제시하였다. 김성진(2006)은 ‘웹 이용자의

정보탐색행위 패턴 분석연구’에서 이용자의 웹 정보탐색행위는 시작(starting), 검색하기

(searching), 결과보기/둘러보기(viewing/browsing), 조사하기/비교하기(examining/com-

paring), 정보발견/종합하기(finding/compiling), 결정하기/행동하기(deciding/acting), 종료

(exiting)의 7가지 유형으로 구성된다고 분석하였다. 또한 응답자별로 매우 다양한 행위 패턴을

보였으며 특히 브라우징 단계를 중심으로 반복적으로 순환되면서 웹 정보탐색행위의 다방향적이

고 비선형특징을 보였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

이용자들은 각자 다양한 목적과 정보욕구를 가지고 인터넷을 활용하고 하나의 포털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탐색과정을 거쳐 접속을 종료하기까지 나타나는 정보탐색 행위는 단계적으

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복잡한 경로로 이루어지며 반복 순환되기도 하고, 이용자 개

별 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기도 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 국립디지털도서관에서 구축 운영할 NDL 포털에 대한 이용자의 정보요구 및 이용

형태를 예측함으로써 이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포털 모형을 개발하고, 사용성과 유

용성이 높은 이용자 중심적인 NDL 포털 정보서비스 방안들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20

●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의 결과로 도출된 다양한 유형의 NDL 포털 이

용자 정보 요구 및 정보탐색 행위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용자가 웹과의 상호작용 속

에서 어떻게 정보를 찾아가는지 정보탐색 행위의 특성 및 과정을 분석함

●이용자들이 NDL 포털을 이용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공통적인 정보탐색행위의 패턴

을 검색단계, 열람단계, 참여단계, 이용단계로 구분함

●각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움직임을 파악함으로써 서비스 기능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함

Page 1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작성된 이용자 시나리오를 종합하면,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의 경우는 ‘방문, 예약’에서 ‘이

용’까지로, 포털 이용자의 경우는 ‘(방문)접속’에서 ‘참여’까지로 정보탐색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전제조건 및 가정에 의해 세부적으로 기술된 이용자 시나리오의 유

스케이스 내용을 토대로 이용자들이 NDL 포털을 이용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공통적인 정보탐색

행위의 패턴을 검색단계, 열람단계, 참여단계, 이용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일

련의 움직임을 파악함으로써 서비스 기능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NDL 포털 모형 및 정보서비

스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1) 검색 단계

이용자들이 NDL 포털 검색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행위의 패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정보탐색행위 패턴 |

[그림Ⅱ-3] 포털이용자정보탐색과정 - 검색

포털 이용자들은 여러 경로를 통해 NDL 포털을 인지하게 되며, 각자 상이한 정보욕구를 가지

고 NDL 포털을 (방문)접속한다. 이용자의 정보추구 행위는 검색과정을 통해 결과를 얻어, 콘텐

츠에 대한 간략정보를 열람하게 된다. 콘텐츠에 대한 상세 열람을 위해서는 NDL 포털에 대한 회

원 로그인 절차를 거친다. 이러한 검색과 열람의 단계는 일련의 행위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용

자가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때까지 검색행위와 함께 간략정보 열람 및 상세정보 열람의 행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에서는 포털 검색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의 유

형을 ‘통합검색, 상세검색, 원문검색, 색인검색, 목차검색, 분류별검색, 가나다검색, ISBN/ISSN,

학술지검색, 전자저널검색, WEB DB 검색, CD-ROM검색, 동영상검색, e-BOOK 검색, 이미지

검색, 지식검색, RSS 검색, 게시판검색, 블로그검색, 카페검색, UCC검색, 분산검색, 도서위치검

색, 온톨로지검색, 디렉토리검색, 휴대폰검색, PDA 검색, 검색히스토리, 검색포켓, 검색어자동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3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② 이용자는 정보 및 IT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정보서비스를 경험하거나 인지하고

있다.

③ 이용자는 시대 흐름에 부응하는 디지털도서관으로의 변화를 직접적 또는 잠재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 이용자의 정보탐색과정에 대한 가정 |

NDL의 계획을 고려하여 이용자의 정보탐색과정은 다음과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이 가정은 이

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전제조건으로 이용자의 자료이용 행위에 관한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기본적인 참조모델이다.

① NDL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그림Ⅱ-1] 인포메이션코먼스이용자정보탐색과정

② NDL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그림Ⅱ-2] 포털이용자정보탐색과정

22

정보욕구 조사NDL IC

방문예약가이드 이용 열람

정보욕구NDL 포털

접속검색 간략정보열람 로그인

컨텐츠

상세열람종료

정보욕구 조사NDL 포털

(방문) 접속

검색

열람

참여

이용

Page 1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3) 참여 단계

이용자들이 NDL 포털 참여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행위의 패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정보탐색행위 패턴 |

[그림Ⅱ-5] 포털이용자정보탐색과정 - 참여

포털 이용자들은 여러 경로를 통해 NDL 포털을 인지하게 되며, 각자 상이한 정보욕구를 가지

고 NDL 포털을 (방문)접속하여 다양한 참여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참여서비스의 이용은 NDL

포털에 접속하여 즉시 이루어지기도 하고, 검색을 통해 특정 메뉴나 콘텐츠로 이동하기도 한다.

참여서비스의 열람은 공개된 콘텐츠에 한해 로그인 없이도 열람이 가능하다. 이용자가 직접 참여

하여 글을 등록하고자 할 때는 해당 서비스에 가입하거나 프로그램을 개설 및 설치한 후 참여활

동이 이루어진다. 참여서비스는 이용자 간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므로 정보 획득 및 공유를

위해 이용행위의 순환 및 반복이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에서는 포털 참여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의 유

형을 ‘블로그, 메타블로그 (외부 블로그 포털), 카페, 소셜북마킹, 메신저/화상대화/음성대화, 토

론방, 포럼, 지식 서비스, 위키 공동저작, 온라인 서재, 책 서평, 이용자 평점, 온라인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참고정보 질의, RSS, Podcast, 모바일RSS, 맞춤정보서비스 (메일링서비스), 동영상

공유, 이미지 공유, 문서 공유, 오픈 API, 개인 맞춤포털 서비스(위젯)’ 등으로 구분하고 상세한

정보탐색 과정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4) 이용 단계

이용자들이 NDL 포털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행위의 패턴을 살펴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5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완성, 인기검색어’ 등으로 구분하고 상세한 정보탐색 과정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2) 열람 단계

이용자들이 NDL 포털 열람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행위의 패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정보탐색행위 패턴 |

[그림Ⅱ-4] 포털이용자정보탐색과정 - 열람

포털 이용자들은 여러 경로를 통해 NDL 포털을 인지하게 되며, 각자 상이한 정보욕구를 가지

고 NDL 포털을 (방문)접속하여 검색과정을 수행한다. 검색의 결과로 나타난 정보는 목록정보 열

람, 상세정보 열람과정을 거치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 원본 콘텐츠는 로그인 후 열람하게

된다.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에서는 포털 열람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의 유

형을 ‘내 자료실(열람정보), 서평(책에 대한 의견 열람), 네티즌리뷰(댓글열람), 목록, 목차, 초록,

주제어(태그), 저자소개, 논문, 단행본, 학위논문, 저널/기사/학회지, 연구보고서, 문서(전문자료),

고서, 고전, 신문(뉴스), 관보, 귀중본, 외국어자료, 세미나자료, e-BOOK, e-Journal, 분석/동

향, 특허, 통계, 인력, 원문미리보기, 사전, 웹사이트, 블로그, 카페(커뮤니티, 포럼), 지식, 게시

판, 메일링리스트, 자료실, 지역정보, 영화정보(예매하기, DVD구매), DVD정보, 공연정보, 콘텐

츠정보, 부동산, 외부 DB, 모바일열람, 멀티미디어 열람(이미지), 멀티미디어 열람(동영상), 멀티

미디어 열람(음악), 취업/교육/행사정보, 웹진/매거진, 지도 열람, 읽은 책 저장, 저작권정보, 원

문복사서비스, 상호대차서비스’ 등으로 구분하고 상세한 정보탐색 과정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

하였다.

24

정보욕구

NDL 포털접속

검색 로그인 콘텐츠열람

목록정보열람

상세정보열람 종료

정보욕구 종료NDL 포털

접속 로그인

검색 개설 및설치

참여서비스메뉴로 이동

서비스가입

글 작성및 등록

Page 1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4. 일반 포털과 도서관 포털

포털의 유형은 서비스 내용이나 범위에 따라,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에 따라, 특징적인

서비스 성격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첫째, 내용 및 범위에 따른 구분으로 포털은 제공하는 서비스(정보)의 범위와 깊이에 따라 다양

한 주제의 정보를 망라하는 종합 포털과 학술정보, 지리정보, 의학정보, 통계정보 등 특정 주제의

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전문 포털로 나눌 수 있다. 둘째, 포털 서비스 제공 주체에 따른 구분으로

민간(일반) 포털, 공공포털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대학포털, 도서관포털, 기업포털 등으로 세분

될 수 있다. 셋째, 특징적인 서비스 성격에 따라 검색포털, 커뮤니티포털, 동영상포털, 상거래포

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넷째, 서비스 매체에 따라 TV 포털이나 모바일 포털 등으로 나눌 수 있

다.

한편, 도서관 포털은 맞춤형 e-자원 포털, 통합된 웹서비스 포털, 포털의 특징을 포함하는 메타

검색 시스템 등으로 유형을 나누어볼 수 있다.

NDL 포털 모형 개발 및 서비스 방안 도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포털과 일반포털로 나

누어 대표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주요 서비스 특징 및 기능에 대한 조사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대표적인 도서관포털의 유형으로는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온라인 전자자원 포털 및 디지털

도서관 포털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일반포털 유형으로는 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의 국내

종합포털과 구글, 야후 등 해외포털, 지식정보 및 연구정보를 다루는 공공포털, 대학 및 대학도서

관의 대학포털, 웹 2.0 기반의 서비스 모델로 구분하여 대표적인 서비스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국

립디지털도서관의 포털 모형을 개발하고 정보서비스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7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보면 다음과 같다.

| 정보탐색행위 패턴 |

[그림Ⅱ-6] 포털이용자정보탐색과정이용

포털 이용자들은 여러 경로를 통해 NDL 포털을 인지하게 되며, 각자 상이한 정보욕구를 가지

고 NDL 포털을 (방문)접속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용 단계 정보탐색행위 패턴은

회원가입을 위한 가입안내 및 조회 및 가입절차로 이루어지며, 검색/열람/참여 서비스를 원활히

이용할 수 있게하기 위한 이용안내의 조회, 각종 서비스 예약/신청 과정이 브라우징과 함께 반복

적이고 순환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에서는 포털 참여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의 유

형을 ‘회원가입, 로그인, 홍보 동영상 보기, 도서관 소개, 보도 자료, 저작권 관련 안내, 이용안내,

온라인 이용교육, FAQ, 사이트맵, 관련 사이트, 공지사항, 묻고 답변 받기, 분실물 신고 게시판,

자원봉사 신청, 견학 안내 및 신청, 시설 예약, 이용교육 신청, 약관, 개인정보보호정책, 이용봉사

헌장, DB소개, 법/정책, 건의/제안, 오류신고, 마이 페이지, 툴바/데스크바, 구직 서비스, 다국어

변환, 장애인이용안내, 문자기능 확대 서비스, 음성 서비스’ 등으로 구분하고 상세한 정보탐색 과

정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26

정보욕구 종료NDL 포털

접속 회원가입

가입안내조회

개설 및설치

서비스예약/신청

로그인 브라우징 검색/열람/참여서비스이용

● 내용 및 범위에 따라 종합포털과 전문포털로 구분함

● 포털 서비스 제공 주체에 따라 일반민간포털과 공공포털로 구분함

● 특징적인 서비스 성격에 따라 구분함

● 서비스 매체에 따라 구분함

● NDL 포털 모형 개발 및 서비스 방안 도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포털과 일

반포털로 나누어 조사 분석을 실시함

Page 1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1. 도서관 포털의 개요

2. 도서관 포털 프로젝트 및 구축 사례 분석

3. 도서관 포털의 특징 및 기능 비교 분석

4. 도서관 포털의 일반 모형 비교 분석

Page 1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31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맞춤화와 개인화의 동향은 도서관 포털과 관련된 이슈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다. 맞춤화와 개

인화에 입각한 도서관 포털은 이용자 각각의 정보요구에 반응하는 개인정보시스템을 만들기 위

하여 이용자에게 초점을 맞추고, 이용자들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디지털 정보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의 혼돈을 질서로 변화시키기 위한 요구가 일어나고

있고, 모든 이용자는 웹을 좀 더 단순하고 정돈된 방법으로 이용하기를 원하게 되었다. 검색엔진

의 중요성과 더불어 효과적인 웹 서비스의 제공이 많은 기업 및 조직에서 중요시되고 있고, 삶의

모든 영역에서 전자매체의 중요성을 자각하게 되면서 정보의 질서(order), 신뢰도(reliability),

그리고 투명성(transparency)에 점차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포털은 특정 정보이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맞춤정보의 과잉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변형 환경(transformational environment)이다(Lakos 2004). 웹 환경이 정보의 조직 및 이용

에 선호되면서 그 중요성이 날로 증가되고 있으며, 정보기술의 빠른 발전은 웹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정보, 금융처리, 문서관리 등을 위한 최적의 해법으로 웹에 대한 인식이 빠르게 보편화되고

있는 것이다.

포털은 혼돈에서 질서를 구현하기 위한 긍정적이고도 잠재적인 구조(framework)이다. 포털이

정보 및 상업거래를 위한 일차적인 수단이 됨에 따라, 모든 유형의 도서관은 포털이라 부르는 다

양한 구조 및 서비스를 생각하고, 계획하고, 구축하게 되었다. 도서관 이용자들은 필요로 하는 것

이 웹에 없다면, 그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게도 되었다. 한편, 정보는 대안의 웹 자원으로

도 이용가능하게 되었고, 도서관은 다양한 새로운 정보 서비스와 경쟁하게 되었다. 도서관의 도

구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정보를 찾기 어렵다면, 이용자는 대체 자원을 찾게 될 것이다. 이러한 현

실은 도서관 웹 환경을 효과적이고 유용하게 만들기 위한 요구로 해석된다. 이러한 경향은 빠르

게 디지털화 되어가는 환경에서 수백만의 장서와 저널을 소장하고 있는 도서관들에게 그리고 과

거와 현재 계속해서 자신을 전통적인 지식의 관리자로서 인식하는 도서관들에게 특히 도전이 되

고 있다. 도서관은 업무와 웹서비스의 구조로서 웹 포털을 빠르게 수용해 가고 있는 것이다.

포털을 계획할 때, 특정 원칙을 명심하는 것은 중요하다. 포털은 이용하기 간편하고, 신뢰할 수

있고, 예상할 수 있도록 고객 관점에서 설계되어야만 한다. 포털은 가치(또는 전달 결과)를 증명

할 수 있어야 하고, 고객이 보다 자기를 믿을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포털의 계획 및 실행에 모

든 이해관계자를 포함하고, 모든 구성단위를 허용하는 원칙과 도구를 고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통합의 확인 및 인증시스템이 필요하고, 모든 구성원들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야

한다. 즉, 도서관 포털의 목적은 다양한 이용자 그룹 및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구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30

1. 도서관 포털의 개요

1999년 1월, 미국도서관협회(ALA) 겨울 회의에서 도서관·정보기술협회(LITA: library and

information technology)의 전문가들은 미래의 도서관 기술(technology)에 대한 많은 중요한

동향을 파악한바 있다. 이 회의에서는 7개의 동향이 언급되었는데 그 중 첫 번째 동향이 포털의

핵심요소인 맞춤화와 개인화(customization and personalization)이다. 여기에서의 요점은 다

음과 같다.

'웹을 이용하는 이용자 그룹은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이들은 맞춤화와 고객지원을 기대한다. 이

용자-중심적 접근 대신에 도서관-중심적 접근은 앞으로도 계속하여 부적절할 것이다.

University of Washington의 MyGateway와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의

MyLibrary@NCState는 맞춤화된 포털의 예이다.'

제3장 도서관포털조사분석

●미래의 도서관 기술에 있어 중요한 동향은 '맞춤화'와 '개인화'임

●포털은 이용하기 간편하고, 신뢰할 수 있고, 예상할 수 있도록 고객 관점에서 설계

되어야함

●NDL 포털은 'NDL 장서관리 영역에서 구축한 양질의 장서와 콘텐츠를 대상으로 정

보를 활용하려는 모든 계층의 국민들에게 인터넷 기반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정

보환경을 말함

●NDL 포털은 국가 대표 도서관 포털로, 통합적인 정보공유 체제를 지향함

Page 1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ARL Scholars Portal Working Group(2001)에서의 정의 |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분산된 웹 사이트, 도서관 목록, 정보자원 DB에 대하여 검색을 가능케 하

고 단일표현으로 결과를 통합하기 위한 탐색도구이다.

( '... a discovery tool that enables a user to search across certain limited but diverse

and distributed websites, library catalogs, and databases of information resources to

retrieve and integrate the results in a single presentation.')

| European Library Automation Group(2002)에서의 정의 |

도서관 포털은 단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질의 정보자원에 대하여 원 스톱 접근/검색을 허용

하고, 미리 정의된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 " A LIBRARY portal is an application which allows one-stop-shop access/searching

and discovery via a unified single-point interface to organized heterogeneous

resources and enabling services to a pre-defined community (users)."]

| JISC의 LibPortal Project(2003)에서의 정의 |

도서관 포털은 도서관 목록, 참고자료의 온라인 구독, 전자저널, 학습 및 교육자료 등을 포함하

여 다양한 자원으로부터 콘텐츠를 수집하는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 " Library portal is a network service that brings together content from diverse

resources, including the library catalogue, on-line subscription reference material, e-

journals and learning and teaching material."]

| Lacos(2004)의 정의 |

이용자에게 개인적인 선호에 따라 웹사이트의 콘텐츠와 모습을 '개인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

도록 의도적으로 설계된 맞춤형 학습 및 업무 웹 환경이다.

[ " a customized learning and transactional Web environment, designed purposefully

to enable an individual end-user to 'personalize' the content and look of the website

for his/her own individual preference." ]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33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조를 만드는 것이다. 이용자 중심이 되어야 하고,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해야 하고, 디자인 면에서

이용자들이 오랫동안 흥미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

포털은 웹상에서 이용자에게 정보 및 데이터가 제공되는 방법의 기본적인 변화를 나타내기 때

문에 포털의 초점으로써 이용자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확인 및 인증시스템에 기반한 맞춤화는

이용자에게 웹 자원을 제공하는 조직 및 콘텐츠 소유자를 위한 절차이다. 이용자에 대해 많이 알

수록 더 많은 것을 계획할 수 있고, 포털은 더 유용해질 것이다. 맞춤화는 이용자의 첫 인상을 결

정한다. 개인화는 이용자에게 잘 설계된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구조

로 변화시켜 결국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맞춤화와 개인화에 입각한 도서관

의 포털 환경은 고객과 장기적인 관계를 갖게 하여 보다 성공적이고 효과적인 도서관을 만들게

될 것이다. 도서관 포털의 설계자는 고객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포털의 결과를 짐작하는 기

능 또는 시각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장에서는 도서관포털의 정의, 발전초기의 유형, 주요 요소, 기술 유형, 평가와 성과 등에 대

하여 간단히 살펴보고, 도서관포털의 주요 프로젝트 및 구축사례를 통해 그 시사점을 도출해 보

고자 한다.

가. 포털이란 무엇인가? -NDL의 관점을 중심으로

포털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르다. 여기서는 문헌에서 발견할 수 있는 모든 포털의 정의를

연대순으로 살펴봄으로써 포털정의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NDL의 관점에서 정리해 보고자 한

다.

| Looney와 Lyman(2000)의 정의 |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자원을 하나의 '원 스톱(one stop)' 웹 페이지에 모아, 이용자들이 '정보홍

수'에 압도되거나 웹에서 길을 잃는 것을 피하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 '...systems which gather a variety of useful information resources into a single, 'one

stop' Web page, helping the user to avoid being overwhelmed by 'infoglut' or feeling

lost on the Web.' )

32

Page 1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⑤ 검색결과를 저장하고 (인쇄, 이메일, 다운로드 등의 방식으로) 개인화 한다.

⑥ 검색결과를 원문으로 연결하거나 기타 전달방식을 제공한다.

⑦ 개별 정보자원의 접근과 인증 이용자에 대한 포털의 기능을 관리한다.

나. 발전 초기의 도서관 포털

| IPL |

미시건 대학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IPL(Internet Public Library)은 인터넷 상의 최초의 전자

도서관 포털 중의 하나이다. IPL은 전자도서관 포털뿐만 아니라 야후!와 같은 상업적 포털의 발

전에도 선구자적인 역할을 했다. IPL이 포털로 간주되는 이유는 도서관의 사명인 서비스를 제공

하면서도, 양질의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주제별 디렉토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IPL은 1995년 미시건 대학의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수업에서 시작되었다. Joe Janes 교수는

정보 전문가가 되고자 열망하는 대학원생들이 인터넷 상에 공공 도서관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면

흥미롭고 교육적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들은 학부장, 총장, 청소년 담당 사서 등 도서관을

운영하는 데 연관된 모든 사람들의 직무 내용을 작성했다. 실제 도서관의 시설 관리자 대신 컴퓨

터 프로그래머가 필요했고, 대출대의 직원은 필요하지 않았다. 어떤 자료를 소장할지, 도서관으

로서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지는 학생들이 직접 결정하였고, 심지어 도서관을 감독하기 위한 위원

회도 구성하였다. 1995년 성 패트릭데이에 IPL 사이트를 오픈하였을 당시, 참고도서 섹션과 동

화 구연을 포함한 어린이 섹션, 전문 사서들을 위한 서비스, 교실, 전시장, 독서실 등이 있었다.

1996년 이 도서관에 MOO(Multi-user Object Oriented system: 다중 이용자 객체 지향 시스

템) 환경이 만들어졌는데, 이는 실제 도서관에서 사람들이 우연히 마주쳐 모든 종류의 주제 - 그

들의 직업, 책, 시 - 에 관해 대화를 나누는 환경을 그대로 옮겨놓았다.

프로젝트 초기부터 관련된 학생들 중, 공학부 학생들 2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문헌정보학 대학

원생이었다. IPL 관련 회의는 학생들의 컨디션이 최상이고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오기 쉬운 저녁

에 주로 진행 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매 학기마다 계속되었고 각 그룹의 학생들은 IPL이 소장한

자료와 포털 내의 체험을 더욱 다양하고 풍요롭게 해주었다. 1998년 Jane 교수가 문헌정보학 대

학원을 그만두었지만, 자료 책임자로 있었던 David Carter의 리더십 하에 IPL은 지속적으로 운

영되었다. 이용자를 위한 IPL의 서비스와 프로젝트는 3학점의 실습 과목 형태로 대학원에서 가

르치고 있으며, 이 수업에서 학생들은 자료 전문가, 참고 관리자(reference administrators), 이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35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 Maloney(2004)의 정의 |

포털은 다양한 자원에서 수집된 정보에 맞춤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 기반 도구이다.

[ " A portal is a Web-based tool that provides a customizable interface to information

aggregated from a variety of sources" ]

| Madison과 Hyland-Carver(2005)의 정의 |

OpenURL 해석기를 통한 원문 검색 또는 팩스, 이메일 등을 통한 원문 전달의 가능성을 가지

고, 단일 메타검색으로 다중 정보 자원에 대해 연합검색(federated searching) 능력을 제공하는

도구이다.

[ " a tool that provides broadcast(or federated) searching capabilities via a single

metasearch across multiple information resources, with the potential of full-text

retrieval (using OpenURL resolvers or direct linking) or full-text delivery through

mechanisms such as fax, e-mail, etc." ]

이처럼 웹 포털 또는 포털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양하고, 단일의 보편적인 정의는 찾아보

기 어렵다. NDL에서의 포털은 지식정보자원의 조직을 위한 도구로서의 포털이 바람직하다. 이

수상 교수에 의한 NDL의 포털은 NDL 장서관리 영역에서 구축한 양질의 장서와 콘텐츠를 대상

으로 정보를 활용하려는 모든 계층의 국민들에게 인터넷 기반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환

경을 말한다.

따라서 NDL 포털은 국가대표 도서관 포털이며, 국내외 도서관, 정보센터, 기록관, 박물관 등

과 같은 정보관련 기관에 산재하는 각종 디지털 장서, 정부나 공공기관, 개인이 제작한 각종 공공

접근 또는 개방접근이 가능한 디지털 장서, 그리고 상업적으로 구축하여 라이선스 접근을 허용하

는 디지털 장서 등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공유 제체를 지향하는 것'이다. 이수상 교수에 의한 NDL

의 포털 정의는 적절해 보이며, 여기에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목적이 추가될 것을 제안한다.

① 적절한 개별 정보자원의 식별과 선택을 돕는다.

② 이용 목적에 가장 유용한 개별 정보자원의 결정을 돕는다.

③ 다양한 개별 정보자원에 대한 분산검색(예를 들면, Z39.50)을 제공한다.

④ 검색결과를 통합하고 관리한다.

34

Page 1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BUBL(Bulletin Board for Libraries) Information Service |

BUBL(Bulletin Board for Libraries) 정보서비스는 1993년 이래로 영국 Strathclyde 대학

교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이 포털은 모든 주제에 대한 정선된 인터넷 자료를 무료로, 이용하기

쉽게 접근하도록 하되, 특히 문헌정보학 학문에 초점을 맞춘다. BUBL의 자료는 듀이 십진분류

법에 의해 분류 되며 많은 부분 BUBL에 맞추어 수정된 미국 국회 도서관의 주제명 목록을 이

용한다. BUBL은 고등교육계 일원들에 의해 국가적인 자료원으로 간주되고 있다. BUBL의 사

명 선언문은 아래와 같다.

‘영국의 고등교육계(higher education community)에 인터넷 정보 이용에 대한 부가가치 서

비스를 제공하고, 교육과 연구, 전문적인 의의를 지닌 서비스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공한다.

● 주제에 근거한, 선별된, 다양한 분류 방법을 통합하여 직접 서비스를 제공한다.

● 독창적인 전자 정보 자원을 직접 개발하거나, 개발을 장려한다.

● 적절한 상업 서비스를 갖춘다.

● 잘 분류된 타 서비스들에 대한 이용 경험을 제공한다.

● 문헌정보 전문가들의 노력을 장려하며 조율한다.

● 관련된 참고 서비스와 도움을 제공하며 최신정보주지서비스와 교육을 제공한다.’

초기 도서관 포털 시스템은 인터넷 콘텐츠가 당시의 첨단 기술을 막 활용하기 시작했던 때이

다. 미래를 내다봤던 사람들의 대부분은 도서관과 관련된 배경을 가지고 있었고, 기술적인 전문

성을 갖춘 이들도, 혹은 조직적인 전문성을 갖춘 이들도 있었다. 이들은 이러한 포털이라는 변화

를 이끌었으며, 모험하는 것에 대하여 두려워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공통성은 이들이

정보의 혼란 가운데서 질서를 찾고 싶어 했다는 점이다. 그 수단이 듀이 십진분류법이든지

(BUBL) 미국 국회 도서관의 주제명 목록이든지(LII) 혹은 직접 개발한 분류 체계(IPL)이던 관계

없이 질서를 부여하고자 했다는 것이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37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용성 평가자, 프로그래머 등의 역할을 맡아 실습하게 되었다.

IPL의 목표 세 가지는 ① 교육 환경을 제공한다(provide a teaching environment), ② 교수

에게 연구 환경을 조성한다(provide a research environment for faculty), ③ 대중에게 서비

스를 제공한다(provide services to the public)는 것이다.

| 사서들의 인터넷 색인(The librarian’s index to the internet) |

인터넷의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초창기의 시도 중 하나는 1991년 버틀리 공립 도서관의 Carole

Leita에 의한 것이었다. 그녀는 고퍼 소프트웨어가 출시 된 후, 그녀의 고퍼 즐겨찾기 목록을 분

류해두었다. 이것이 1993년 ‘웹 기반의 버클리 공립 도서관 인터넷 색인’이 되었다. 1997년 이 이

름은 ‘사서들의 인터넷 색인’으로 변경 되었고, 서비스는 UC버클리의 디지털 도서관 선사이트

(SunSITE)로 옮겨진 후 미국 국회 도서관의 주제명 목록을 자료에 부여하기 시작했다. ‘사서들의

인터넷 색인’은 현재 캘리포니아 디지털 도서관에 속해있다. ‘사서들의 인터넷 색인’의 사명은 ‘확

실하고 신뢰할만하며 사서가 정선한 인터넷 자료에 대한 잘 정리된 접근 포인트를 제공하되, 캘

리포니아 주, 미국, 더 나아가 세계에 봉사한다.’라고 되어있다.

| 미시건 e도서관(Michigan eLibrary) |

‘미시건 e도서관’은 미시건 주의 공립 사서들이 고객에게 서비스 할 때 인터넷을 좀 더 쉽고 효

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만들어 졌다. 1992년 고퍼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의 베스트 웹 사이트 리스트를 만들었는데, 이 웹 사이트들은 마치 공공 도서관에서처럼 주제

와 전달 수단에 따라 각기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되었다. 미시건 e도서관은 W. K. Kellogg

Foundation과 미시건 대학의 대학 도서관 프로그램에 의해 지원되었는데, 이 프로그램은 주(州)

전역의 공립 도서관 협회에게 참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1995년 미시건 대학의 도서관

은 미시건 주로부터 후원금을 받아, 고퍼를 ‘미시건 전자 도서관’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계속 유

지하게 되었다. 이 서비스는 2000년 주(州) 전역에 걸친 참고 서비스 프로그램이 종료됐을 때 주

(州) 도서관으로 흡수 되었다. 이후 주(州)에 있는 모든 도서관이 그들의 비용이나 고객의 비용 부

담 없이도 많은 독점적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 최근에는 이러한 데이터베

이스의 몇몇은 이용자의 집이나 회사에서도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이 서비스가 ‘미시건 e도서관’

이라 불리게 되었고, 이제는 미시건 주립 도서관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36

Page 2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Richard W. Boss |

Richard W. Boss(2005)는 일반적인 도서관 포털의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① 직관적이고도 맞춤화할 수 있는 웹 인터페이스(intuitive and customizable web

interface)

② 콘텐츠 표현의 개인화(personalized content presentation)

③ 연합 검색(federated searching): 연속적인 로그인과 검색(consecutive log-ons

and searchers)이 아닌 단일 로그인(single log-on)과 통합 검색(single search)

④ 적합 순위(relevancy ranking): 미리 결정된 기준에 의한 탐색결과의 순위

⑤ 링크 변환(link resolution): 서지적 메타데이터를 URL로 송출하기 위한

OpenURL 해석기(resolver) 등의 활용

⑥ 보안(security)

⑦ 커뮤니케이션과 협업(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채팅, 이메일, 캘린더

(calendars) 공유, 웹 미팅 등의 활용

라. 도서관 포털의 유형

도서관 콘텐츠, 특히 온라인 전자 자원의 포털화에 대한 접근 유형은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McDonald 2004).

| 맞춤형 e-자원 포털(customizable e-resource portals) |

도서관에서 전형적인 포털의 이용은 전자 자원의 맞춤형 시각(customized views of elec-

tronic resources)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들 포털의 유형은 이용자들의 정보 요구를 가장

잘 만족시키는 방법으로 정보자원을 배열하고 전시하는 수집자의 역할을 한다. 또한 도서관이 제

시하는 수많은 자원들로부터 도서관 자원의 목록을 통해 살펴볼 필요 없이 고객들이 선택하는 것

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포털 유형의 예는 많은 도서관에서 발견할 수 있다. 가장 유명한 곳은

Eric Lease Morgan의 MyLibrary 소프트웨어가 개발된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이

다. e-자원 맞춤형 포털 개발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공개소스 소프트웨어 툴의 예로

MyLibrary, the Scout Portal Toolkit, phpWebSite가 있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39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다. 도서관 포털의 주요 요소

Ward and Hiller(2005)는 도서관 포털의 3요소를 웹 인터페이스의 맞춤화(customizable

Web interface), 콘텐츠 표현의 개인화(personalized content presentation), 강력한 교차검색

기능(powerful cross searching)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도서관 포털을 구성하는 요소는

이처럼 단순하지는 않으며 다양하고 복잡하다. 여기서는 Library Technology Reports(2002)와

Boss(2005)의 견해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 Library Technology Reports |

Library Technology Reports(2002)에서는 일반적인 도서관 포털의 구조를 통합 검색 인터페

이스, 이용자 인증, 자원 연결, 콘텐츠 개발 간의 관계로 보고, 이들을 도식화 하고 있다.

ⓛ 통합 검색 인터페이스(single-search interface)

② 이용자 인증(user authentication)

③ 자원 연결(resource linking)

④ 콘텐츠 개발(content enhancement)

[그림Ⅲ-1] 도서관포털의구성요소

38

BibliographicBatabaseWeb OPAC

Local DigitalCollections

CommunityInformationDatabase

Abstractand Full-TextDatabases

Web Sites,Z39_50 Servers,

OtherLibrary Catalogs

User

MetaFind:Universal Search

Web Access Management: Authentication

Cataloged Resources

Selected Resources

WebBridge: REsource Linking

Page 2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p-potal |

p-portal의 잘 알려진 예로는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의 MyLibrary 포털이 있다.

p-portal은 인용색인, 출판사의 웹사이트와 같이 빈번하게 이용되는 정보자원의 컬렉션을 찾을

수 있도록 이용자가 링크를 조직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갱신된 뉴스제공을 위한 RSS 리더 및

Adobe사의 PDF 뷰어와 같이 적합한 툴을 통합함으로써 이용자 인터페이스에 다른 정보 자원을

통합할 수 있다. p-portal은 중요한 정보 자원을 조직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

의 부담을 완화시킨다. 자원은 이용자 또는 이용자를 대신한 사서에 의해 유용한 자원으로써 선

택되지만, 통합은 표면 수준(surface level)에서 행해진다. p-portal은 적절한 정보자원을 기억

하고 선정하는 부담을 줄임으로써, 이용자가 자료를 찾고자 하는 첫 단계를 용이하게 한다. 그러

나 이용자는 여전히 복잡한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파악하고, 정확한 정보자원 또는 도서관에서 제

공되는 서비스를 식별해야 하는 등의 잔여과정을 계속해야 한다.

| m-portal |

m-portal은 프로그래밍 수준에서 정보의 통합과 수집 접근을 제공함으로써 전체적인 다단계

이용자 프로세스를 단순화한다. 프로그래밍 수준의 인터페이스는 이용자 탐색의 여러 단계를 자

동화시켜준다. 다양한 자원에 대한 메타검색(metasearching)과 통합검색(single-search) 접근

은 현재 도서관 m-portal 구조에서 가장 보편적인 이용자 레벨 프로세스이다. 메타검색 환경에

서 복잡한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습득하는 것 대신에, 이용자는 한 번의 검색으로써 다양한 정보

자원을 검색할 수 있다. 이 접근의 유형은 구글과 같이 웹 검색 기술에 익숙한 이용자들에게 친숙

하다. 결과적으로, m-portal은 이용자가 습득해야 할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줄여주고, 추가적인

정보탐색의 부담을 완화시켜준다.

m-portal의 개발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에서, 메타검색은 비용-효과측면에서 그리고 유지측

면에서 유용한 예가 된다. 단일 업무로의 통합을 요구하는 근본적인 기술 기반은 프로그래밍 수

준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정보자원이 검색되고 이용자에 의해 접근되기를 요구한다. 하

나의 도서관이 여러 정보자원 제공자에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것은 사실

불가능하다. 성공을 위해서는, 도서관과 정보자원 제공자들이 기본적인 수준에서 어떻게 시스템

을 통합할 것인가를 명시한 표준에 동의하는 일이다. NISO(National Information Standards

Organization)의 Z39.50 표준은 도서관 포털에서 발견한 많은 메타검색 구조의 중심에 있다.

Z39.50은 서버(여기서는 정보자원 제공자들)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클라이언트(여기서는 포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41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 통합된 웹 서비스 포털(integrated Web service portals) |

도서관에서 또 다른 포털의 예는 고등교육 구조 내 캠퍼스 웹 서비스와의 통합과 관계가 있

다. 이것은 주로 Blackboard, WebCT 또는 Desire2Learn과 같은 학사관리 및 분배시스템을 이

용하는 환경에서 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통합 웹 서비스는 이용자 프로파일에 기반한 이미 존

재하는 자료를 전달할 수 있는 학사관리시스템 내 경로를 통해 도서관 정보자원을 전달한다. 이

러한 도서관 포털 유형의 예로는 Royal Hollowway University(New Books RSS Feed/SCT

Luminis Portal), University of Maryland(Metasearch Service/WebCT), 그리고 University

of Rechester(MyLibrary/Course Reserve Reading List) 등이 있다.

| 포털의 특징을 포함하는 메타검색 시스템(metasearch systems that contain

portal features) |

도서관에서 현재 이용되는 포털의 세 번째 유형은 많은 도서관 데이터베이스와 색인 도구를 동

시에 탐색할 수 있는 메타검색 시스템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그러한 시스템은 새로운 자원의 자

동 통보와 같은 저장 탐색(saved search), 맞춤형 e-저널과 e-자원 목록, 이용자 프로파일에 기

반한 이미 존재하는 자료의 맞춤화, 학사관리시스템과 같은 다른 환경의 포털과의 인증과 같은

포털 특징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포털 유형의 예는 Iowa State University의 도서관(ZPortal),

Kansas State University의 도서관(Encompass), University of Maryland 도서관(Metalib)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라. 도서관 포털 기술의 유형

포털은 다양한 자원에서 수집된 정보에 맞춤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 기반 도구이다. 포

털의 구현은 많은 기술(예를 들면, application framework, middleware, programming lan-

guage)과 기능(level of customization and personalization)에 따라 다양하다. Lorcan

Demsey는 포털에 적용된 통합(integration)과 수집(aggregation)의 기술적 전략으로 도서관

포털 기술의 유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포털 테크놀로지의 두 가지 주된 유형으로 p-por-

tal과 m-portal을 구분하고 있다(Dempsey 2003). p-portal은 이용자 인터페이스 수준에서 내

용에 통합접근을 제공하는 것이고, m-portal은 프로그램 수준에서 정보를 통합하는 것이다.

40

Page 2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④ 개인화(Personalization)

: 이용자는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사이트를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⑤ 체계적인 관리(Systematic management)

: 장기적인 성공은 체계적인 접근을 요구한다.

지속적인 포털의 평가는 고객의 기대를 잘 알기 위하여, 기대된 성과가 잘 전달되었는지를 확

인하기 위하여, 그리고 고도의 포털 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도서관은 고객과 이해관

계자들에게 인터넷 포털 서비스의 성과에 대한 측정을 계속해 나가야 한다.

2. 도서관 포털 프로젝트 및 구축 사례 분석

가. 미국

| ARL Scholars Portal Project |

연구도서관협회(ARL)과 Fretwell-Downing, Inc.(FD)의 7개 기관이 협력하여 공동으로 진행

한 The Scholars Portal Project는 1999년 ARL/OCLC 전략이슈포럼에서 논의되었던 내용을

발전시킨 것이다. 이 포럼에 이어 ARL은 ARL Scholars Portal 워킹그룹을 결성하고,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도서관장인 Jerry Campbell은 2002년 백서에서 ARL

회원의 협력활동에 대한 필요성을 주장하게 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43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털)에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각 정보자원 제공자에 의해 제공된 Z39.50 서버는 프로그램밍 수준

의 서비스가 되고, 이 서비스는 표준적이고도 예상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접근이 이루어진다.

Z39.50의 특정 측면에 대한 효과성이 논의되고는 있지만, 표준적인 프로그래밍 수준의 서버에

기반한 구조가 미래의 도서관을 위해 필요하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정보환경과 학습환경의 통합을 논의하면서, Mclean과 Lynch는 “부가적인 서비스 수준 의 향

상 없이 단순히 자원을 이용가능하게 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다”고 말하고 있다. 콘텐츠의 통합

과 수집에 대한 높은 수준의 지원 없이 정보 자원을 제공하는 것은 이용자가 원하는 것이 아니다.

p-portal의 표면수준(surface-level) 통합에서 m-portal 구조의 프로그래밍수준(program-

ming -level) 통합으로의 이동이 필요할 것이다. 프로그래밍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우리의 근본적인 기술 기반을 재 개념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개념적인 전환에는 이용자의

이해, 이용자들이 추구하는 행위, 프로그래밍 수준의 서비스 및 기능의 식별 등이 필요하다. 첫

번째 과제는 현재 시스템의 구조 및 이용자의 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재개발 및 재조직보다는

이용자 측면에서 이용자의 업무(users’ task)를 이해하는 것이 될 것이다. 그 다음 과제는 과정이

유지되고, 구현이 비용 효과적이 될 수 있도록 Z39.50과 같은 표준에 동의하는 것이다.

바. 포털의 평가와 성과(assessment and outcomes)

포털은 고객에게 적당한 서비스가 제공되었는지에 대한 효과적인 평가 및 피드백이 필요하다.

이는 궁극적으로 포털의 존속을 가능하게 한다. 포털의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평가지표의 개

발이 필요하고, 이는 여러 활동들과 포털의 고객, 이해관계자, 직원에 대한 성과를 추적하게 된

다. 다음은 포털 성과평가의 핵심 원칙들이다(Lacos 2004).

① 간단성(Simplicity)

: 이용자들은 간단하고 분명한 웹 환경을 원한다.

② 의존성(Dependability)

: 사이트의 내용은 항상 이용 가능해야하며,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③ 개량화할 수 있는 가치(Quantifiable Value)

: 이용자는 포털 이용으로부터 자기만족을 느끼고, 부가가치를 실감할 수 있어야 한다.

42

● 미국 ARL Scholars Portal Project

GovSpot

● 영국 JISC(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

Inforoute

● 호주 PADI

● 일본 GeNii

● 유럽연합 TEL

Page 2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ZPortal 화면사이의 이동을 가능케 한다. 이 개발 영역은 OAI 호환(OAI-compliant) 자원과

Zportal 소프트웨어 사이의 교량역할을 제공할 것이다. 세 번째 영역은 결과 세트 관리(result

set management)이다. 참여한 각 기관은 이 영역이 전문(full-text)의 날짜와 이용가능성에 기

반한 배열(sorting), 서지 기록 내 OpenURL 결과와 보유자원의 통일화된 표현, 그리고

OpenURL 해석기와 도서관 상호대차 및 문서전달기능의 통합이 향상될 것을 기대하였다

(Michalak and Jacson 2004).

| GovSpot |

미국의 GovSpot은 민영 기업인 StartSpot Mediaworks, Inc.사가 운영하는 정부정보 통합검

색 포털사이트이다. StartSpot Mediaworks, Inc.사는 이용자가 웹에서 원하는 정보를 빠르고

쉽게 검색하도록 돕는다는 포지셔닝 전략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CinemaSpot(영화),

PeopleSpot(인물), BookSpot(책), LibrarySpot(도서관), ShoppingSpot(쇼핑정보), Headline

Spot(뉴스기사), MuseumSpot(박물관), Home workSpot(학교과제) 등을 운영하고 있다. 이 중

에서 GovSpot은 1999년부터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웹에 존재하는 정부 관련 자원을 수집하여

한 곳에서 정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주 서비스 대상으로는 학생, 교육자, 기

업가, 공무원 등 정부 정보를 찾는 모든 사람을 포괄한다.

GovSpot의 가장 중요한 의의는 정부에 대해 대중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으로서,

국립공원에 관한 정보에서 의회 결의 자료까지 ‘가장 훌륭한 정부기관 웹사이트, 문서, 사실, 뉴

스, 정치적 정보의 검색을 쉽게 만들어주는’ 서비스를 목표하고 있다.

GovSpot은 기본적으로 야후와 같은 방식의 카테고리별 정보 제공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검

색도 가능하다. 메인 페이지의 카테고리 분류는 뉴스, 도서관, 사회 서비스, 군경 관련, 금융, 과

학/여행, 세계에서 발생하고 있는 일, 정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검색 시스템을 살펴보면

GovSpot은 Google과의 연계를 통해 검색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자체적인 검색엔진을 운영하

고 있지 않다. Search를 클릭하면 구글 검색창을 이용해 웹 전체에서 검색하거나 GovSpot사이

트 내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성을 제고하였다(이지연 등, 2007).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45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2002년 5월에 공표된 이 프로젝트는 FD와 University of Arizona(UA), Arizona State

University(ASU), University of California-San Diego (UCSD), Dartmouth College, Iowa

State University(ISU),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USC), University of Utah의 협

력으로 이루어졌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7개 기관은 ZPortal, Z2Web, 그리고 여러 개의 FD

제품을 설치했다. FD는 결과물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원 개발에 기여했다. 프로젝트의 초기 포커

스는 교차도매인 검색(cross-domain searching)이었으나 참가자들은 온라인 학습 환경, 디지

털 참고서비스 등과도 연결될 수 있도록 기대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또한 복잡하고도 기술적인

환경에서 새로운 협력의 모델을 시험하였다.

7개의 각 사이트는 기능적 구현을 가지고 있다. ASU, UA, ISU, Utah는 대학전체에 소프트

웨어를 공개했고, 나머지 세 개 대학은 공개를 제한했다. 프로젝트의 처음 18개월 동안, 참가 도

서관들은 소프트웨어를 설치했고, 웹 타겟을 선정하고 구성하는 방법을 배웠고, 조직 및 커뮤니

케이션 채널을 설정했으며, 부가적인 개발 영역을 식별했다. 각 참가 기관의 대표자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매니저 그룹(PMG)은 매일 매일의 문제점들을 논의했다. PMG의 공동 의장은 UA의

Krisellen Maloney와 ISU의 Fred Gulden이 맡았다. 전반적인 프로젝트 지시는 프로그램 이사

회에서 관리되는데, 여기에는 프로젝트 매니저, 도서관장, 그리고 FD와 ARL의 대표자를 포함했

다.

7개의 각 사이트는 지역 이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소프트웨어를 구성하고 맞춤화

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인증이 구현의 중요한 요소이었기 때문에 다양한 변화가 나타

났다. Dartmouth College는 PKI를 채택했고, USC는 Shibboleth를 채택했다. UCSD와 몇몇

기관은 외부 OpenURL 해석기(Open URL resolver)를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의 면에서 연구가

진행되었고, ISU는 FD의 OpenURL 해석기인 OL2을 구현하였다. 2004년 봄, 각 기관의 사이트

는 Zportal의 3.0 버전을 설치하기 시작했다. 이 버전은 IP 인증의 기능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다.

참가 기관들은 웹 타겟의 식별과 의견일치를 계속 해나가고 있으며, 현재 상당히 많은 주요 웹 자

원을 보유하고 있다.

프로젝트 매니저 그룹(PMG)은 세 가지의 추가적인 FD 개발 영역을 제시했다. 첫 번째 영역

은 ZPortal과 학사 및 학습관리 소프트웨어를 통합하는 것이다. 이 개발은 웹이나 코스웨어 페이

지(courseware page)에 추가될 포틀리트(portlet, 즉 채널)를 가능하게 하고, 코스웨어 페이지로

부터, 기존의 ZPortal 프로파일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두 번째 영역은 표준 타겟(standard

target)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과 관련이 있다. 이는 원래 검색화면(native search screen)과

44

Page 2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다. 기타 국가

| 일본의 GeNii |

일본은 국가차원에서 과학기술정보와 교육학술정보에 초점을 두고 정부산하 공공기관을 통해

지식정보자원을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공공기관은 정보의 수집·가공·축적을 통해 관련 연구

자나 전문가를 포함하여 일반 국민에게 이를 제공한다(강민수 2004). 먼저 과학기술정보의 수집,

가공 및 제공은 JST(Japan Science and Technology Corporation)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국립정보학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cs : 이하 NII, 구 NACSIS)에서는 과학기술

분야를 포함하여 교육학술정보를 중심으로 수집, 정리, 제공을 비롯해 종합적인 유통을 담당하고

있다.

NII는 다양한 과학기술정보DB에 대한 통합검색을 제공하는 ‘NII 학술연구정보 포털(이하

GeNii)’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원래 NII는 목록소재정보, 정보검색, 전자도서관 등의 학술정

보를 개별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검색하는 방식으로 제공해 왔으나, 이들에 대한 종합검색시스템

을 구축하여 2005년부터 GeNii(Global Environment for Networked Intellectual

Information)라는 통합된 포털로 개편하여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GeNii는 이용자에게 다양한 DB에 대한 통합검색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으며 연계 서비스를 확

장해가는 추세이다. 현재 GeNii의 주요 서비스는 ‘CiNii(논문정보 검색)’, ‘Webcat Plus(단행본?

학술잡지 소장자료 검색)’, ‘KAKEN(과학연구비 성과공개 서비스)’, ‘NII-DBR(학술연구 데이터

베이스 검색)’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으

나, 특히 논문검색서비스인 CiNii의 경우는 일부 유료로 운영되고 있다. 논문의 검색과 간략검색

은 무료로 이용 가능하지만 초록과 인용정보, 원문 열람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용자 등록을 해

야 한다.

일본 GeNii 서비스의 특징은 이용자 지향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검색 결과에서 인용정

보를 제공하며, 검색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정확한 키워드를 모르더라도 검색이 가능하게 하는

연상검색기능을 제공하고, 전문화된 DB와의 연계를 통해 콘텐츠를 다양화했다는 점으로 정리할

수 있다(이성숙 2006, 이지연 등, 2007).

| 호주의 PADI |

호주의 경우에는 호주국립도서관(National Library of Australia)을 중심으로 국가적 차원에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47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나. 영국

| JISC(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 |

JISC는 영국의 고등교육, 즉 대학의 강의, 학습, 연구, 행정 등의 영역에서 정보와 통신기술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각종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조직이다. JISC의 최근 활동 중 도서관 포털과

관련된 주요한 성과는 ‘정보환경’으로 설명되는 IE(Information Environment)를 개발하는 일이

다. 이 정보환경은 영국을 배경으로 하는 방대한 규모의 도서관 포털 모형을 연구개발 하는 작업

이다. 학술연구정보 콘텐츠를 대상으로 탐색, 접근, 이용, 배포를 할 수 있는 국가적 수준의 포털

역할을 하는 IE는 각종 서비스, 도구, 표준, 프로토콜과 같은 기술적인 메커니즘을 토대로 구성된

다.

| Inforoute |

영국의 경우는 왕실을 중심으로 중앙집중적인 정보 관리와 유통이 잘 이루어져 왔으며, 공공기

관에서 생산되는 모든 지식과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정보공유 및 전달체계가 일원화된 것이 특

징이다. Inforoute(정부정보자산등록서비스 포털)는 영국 공공정보청(OPSI: Offic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포털 사이트이다. 각 정부기관은 법에 의해 의무적

으로 정부정보자산등록서비스(IAR)에 자관에서 생산한 정보와 자료를 등록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용자는 Inforoute를 통해 이 자료에 직접 접근할 수 있다. 즉, 각 정부기관에서 생산한 정보에

대한 단일 접근점을 제공하는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Inforoute는 특히 미출간 자료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특화하였으며, 정보의 수집기능과 더불어

목록을 제작하고 초록?요약 등의 가공기능을 수행하며 자료원문을 유료로 제공한다.

원래는 HMSO(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가 Inforoute를 운영하였으나, 2005년에

공공부문 지식정보 검색을 위한 대표 브랜드의 성격을 띤 기관인 OPSI가 설립되었다. 이어서

2006년에 OPSI는 정부정보 관리에 대한 일관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국가기록원(The

National Archives) 산하로 통합되었다. 즉 영국의 국가지식정보 유통은 각 정부기관에 정보자

산의 등록을 강제하는 법제도를 바탕으로 국가기록원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이지연 등, 2007).

46

Page 2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유럽연합의 TEL |

TEL(The European Library)은 언어, 문화, 제도, 전산시스템 등 여러 면에서 차이점이 많은

유럽 각국의 국가도서관이 유럽연합(EU) 시민들에게 유럽 국가도서관의 정보자원에 대한 통합접

근과 이용이 가능한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2003년에 출범한 사업이다. 2000년 설

립된 유럽국가도서관장회의(CENL)의 대표적인 사업으로, 주관도서관은 영국의 국립도서관(BL)

이며, 이탈리아, 독일 등 총 9개 국립도서관이 참여하고 있다.

TEL 포털서비스의 주요한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OAI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국가도서관의

장서들(BL, BN, BNCF, NUK, KB)의 메타데이터는 통합메타데이터로 수집되며, SRU 프로토

콜을 이용한 검색을 위해 통합색인 DB가 구축된다. 둘째, 일부의 장서들은 Z39.50 프로토콜에

기반한 분산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셋째, URN과 OpenURL을 기반으로 하는 연계서비스를

제공한다. 넷째, 다국어 서비스, 인명전거 서비스, 인증 서비스 등과 같은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

공한다. 다섯째, TEL에서 서비스되는 장서는 RSLP 장서기술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발된 응

용 프로파일에 의해 기술되어 서비스된다.

라. 분석 결과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의하면 해외 각 나라들은 자국의 특수성에 따라 지식정보의 유통 방식과

현황이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집권적인 왕실 주도체제가 확립된 영국의 경우 체

계적인 정보 수집·유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호주는 호주국립도서관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연계

및 프로젝트 진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미국은 민간기업이나 산학협력체에 의해 보

다 자유로운 유통 체제가 구축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우리나라의 국가지식정보 유통 또한 국

내 웹 환경과 인터넷 문화의 특징을 고려하여 그에 따른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49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서 지식정보의 수집 및 유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호주국립도서관은 국가서지기관으로서 국가적

인 정보자원을 개발·유지하고 국가문화유산을 보존하며, 호주 내 도서관 협력망의 중심으로서

자원의 공유 및 협력을 최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이성숙 2006). 이에 호주국립도서관은

호주 도서관들의 중앙기관으로서 정보자원의 이해 및 이용을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디지털서

비스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으로는 ‘PADI (Preserving Access to Digital

Information)’, ‘Image Search’, ‘The Uniform Resource Name(URN) Service’, ‘PANDO-

RA(Preserving and Accessing Networked Documentary Resource of Australia)’ 등이 있

다.

이 중에서 PANDORA(Preserving and Accessing Networked Documentary Resource of

Australia)는 호주에서 생산되는 전자 출판물의 아카이브를 구축하려는 프로젝트로서 1997년에

시작되었다. PADI(Preserving Access to Digital Information)는 바로 PANDORA의 하위 프

로젝트이며, 디지털 형태의 정보들이 잘 보존되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호주국립도서관은 국가 및 국제적 차원에서 디지털화한 지식정보자

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검색 사이트로서 PADI (www.nla.gov.au/padi)를 개발하였다.

PADI는 보존된 전자자료에 대한 게이트웨이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보존기술,

정책, 저작권, 표준, 포맷과 매체 등에 대한 이슈와 그러한 것들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

하고 있다(서은경 2003). PADI는 디지털 보존 문제와 관련된 정보 게이트웨이 서비스로서 디지

털 정보제공과 공유의 새로운 접근 방법을 보여주고 있으며(최원태 2005), 해당 웹사이트를 통해

표방하고 있는 PADI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① 디지털 정보에 대한 접근을 보존하는 전략과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도록 돕는다.

② 정보 전달과 홍보를 위해 웹사이트를 개발하고 유지한다.

③ 적절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실행하고 홍보한다.

④ 디지털 정보에 대한 접근 보존을 홍보하는 활동에 대해서 분야 간 상호 협동할 수 있

도록 포럼을 제공한다.

PADI 검색화면은 ‘PADI Database’, ‘PADI Topics’, ‘Linked Web Sites’의 세 가지 옵션을 제

공하고 있다. 또한 검색 결과로 제공되는 지식자원의 제목을 클릭하면 곧바로 원문 열람이 가능

하도록 하여 이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이지연 등, 2007).

48

Page 2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나. David Dorman, 2003

포털이 가지고 있는 또는 포털이 가져야하는 기능들에 대한 공통된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에 인

식을 하고 Dorman은 지금까지 도서관 벤더들이 제시한 포털의 기능과 서비스들을 요약하여 제

시하고 있다.

●새로운 정보에 대한 알림서비스(Alerting service for new information )

●인증 서비스(Authentication services )

●다중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연동검색(Broadcast searching across multiple databases)

●제3자 정보제공자에 의한 묶음 서비스(Bundled services from third-party informa-

tion providers)

●콘텐츠 제작 및 메타데이터 도구 장비(Content creation and metadata tool kits)

●맞춤화된 이용자 인터페이스(Customizable user interface)

●특정 인터넷 사이트 및 서비스 접근을 막을 수 있는 필터(Filters to prevent access to

specified Internet sites and services)

●호스팅 서비스(Hosting services)

●포털에포함된정보맵서비스(Information map of services included within the portal)

●상호작용의 참고정보 서비스(Interactive reference services)

●인용정보의 원문연계 서비스(Linking from citations to full-text across databases)

●요구 관리/상호대차(Request management/ILL)

●저작권 관리 서비스(Rights-management services)

●보안기능(Security functionality)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

●FTP, 이메일, 채팅, 뉴스그룹과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 지원(Support of Internet proto-

cols such as FTP, e-mail, chat rooms, and newsgroups)

●도서관및정보검색표준지원(Support of library and information retrieval standards)

●이용 통계(Use statistics)

●서지, 인용정보, 링크, 원문 DB에 대한 이용자 관리(User-maintained database of bib-

liographies, citations, links, and free text)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51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3. 도서관 포털의 특징 및 기능 비교 분석

가. Edward Lim, 2000

도서관 포털의 핵심 속성은 다음과 같다.

① 포털은 통합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도서관의 모든 정보자원 및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제공해야 한다.

② 포털은 푸시(push) 기술과 풀(pull) 기술을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정보 접근의 개인화

또는 맞춤화를 가능케 해야 한다. 풀 기술은 이용자의 관심 영역에 적절한 자원만을

제공 하는 능동적인 형태의 기술이고, 푸시 기술은 이용자들이 알림 서비스를 받도록

하는 것으로 새로운 정보자원의 이용가능성에 최신성을 유지시켜주는 기술이다. 푸시

기술은 포털의 이용자가 사서에 의존하지 않고 그들의 관심 프로파일을 직접 만드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서관의 SDI 서비스와 같다.

③ 포털은 이메일 및 채팅 기능을 통하여 이용자와 사서의 의사소통을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④ 포털은 요금을 지불해야 할 부가가치 서비스를 위한 안전한 결제 기능을 제공해야 한

다.

⑤ 포털은 24✽7 서비스가 가능해야 한다.

50

●Edward Lim, 2000

●David Dorman, 2003

●ARL Scholars Portal Working Group, 2001

●LC Portals Application Issues Group(LCPAIG), 2003

● JISC, 2005

●Richard W. Boss, 2005

●Breznay and Haas, 2005

●김성희, 2006

●이순영, 이수상(2007)

Page 2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이 제품은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이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인증하는가?

(Does the product authorize users database by database?)

④ 이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 제품의 디자인은 깔끔한가?

·이용자 인터페이스는 맞춤화가 가능한가?

·이용자는 검색과 검색결과를 개인화(personalized)/정련(refine)/수정(modify)할

수 있는가?

·이 제품은 도움화면(help screens)을 포함하는가?

·이 제품은 온라인 설명서(online tutorial)를 포함하는가?

·참가 기관은 “Scholars Portal” 로고를 참가 기관 웹페이지로 옳길 수 있는가?

⑤ 검색 엔진(Search Engine)

·이 제품에는 시소러스가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어느 것인가?

·이 시소러스는 정적(static)인가? 아니면 동적(dynamic)인가?

·이 제품은 시소러스 어휘를 다른 통제된 어휘로 나타낼(mapping) 수 있는가?

·이 제품은 다른 분류 체계 사이의 크로스워크(crosswork)를 포함하는가?

( * 참고 - 크로스워크: 매핑을 위한 명세)

·검색화면은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개인화가 가능한가?

·이 제품은 멀티미디어와 같은 다른 유형의 정보자원 포맷에 대하여 메타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가?

·벤더는 중앙집중화된 데이터베이스(centralized database)의 콘텐츠를 호스팅할

수 있는가?

·이 제품은 분산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수 있는가?

·이 제품은 특정 콘텐츠 제공자나 특정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

성할 수 있는가?

·이 제품은 고급 이용자(advanced users)들을 위해 고유 검색(native search

mode)의 접근을 제공하는가?

·이 제품은 키워드 검색을 지원하는가?

·이 제품은 디지털 정보자원(digital text resources)의 전문 색인(full-text

indexing)을 지원하는가?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53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양식, 캘린더, 기타 도서관 정보의 제작을 위한 템플릿(Templates for creation of

forms, calendars, and other library information)

다. ARL Scholars Portal Working Group, 2001

포털의 특징과 기능(portal features and functionality)에 대한 이 리스트는 ARL Scholars

Portal Working Group을 도와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 리스트는 포괄적이지는 않지만 워킹

그룹의 구성원들이 프로젝트의 첫 단계에서 높은 우선순위로서 언급한 특징과 기능들을 명시하

고 있다. 2001년 봄, 워킹 그룹은 포털의 특징과 필요한 기능에 대해 바로 이용할 수 있는 리스트

가 없다는 것을 알고, 기존 제품의 이해를 토대로 이 리스트를 개발하게 되었다. 이 목록은 2001

년 6월 ARL Scholars Portal Working Group의 견해를 나타내고 있으며, 2005년 이 프로젝트

의 최종 보고서가 발표될 때까지 갱신되지 않고 있다.

① 일반정보(general information)

·제품의 이름과 버전은 무엇인가?

·이 회사는 다른 포털관련 제품이 있는가?

② 2001년 가을 지침(Fall 2001 Pilot)

·이 회사는 이번 가을에 시험하기 위한 기존 제품이 있는가?

·이 시제품(prototype)은 맞춤화가 가능한가?

③ 이용자 인증(patron authentication)

·이 제품은 3M의 SIP를 지원하는가?

·이 제품은 NCIP를 지원하는가?

·이 제품은 LDAP를 지원하는가?

·이 제품은 Kerberos를 지원하는가?

·이 제품은 PKI를 지원하는가?

·이 제품은 독점의 인증시스템(proprietary authentication system)을 제공하는

가?

·이 제품은 저작 관리추적(rights management tracking)을 지원하는가?

·이 제품은 원격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단일 로그인(one-step login)을 제공하는가?

52

Page 2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제품은 검색결과를 주제별, 대상별 등으로 분류(sorting) 할 수 있는가?

·이 제품은 자원의 다른 관점(예를 들면, 업무, 주제, 이용자 그룹, 데이터, 서비스,

자관 소유, 자관 접근 가능 등)으로 제시할 수 있는가?

·이 제품은 적합한 사본(appropriate copy)을 지시하는가?

·이 제품은 자관이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다면 전문 아티클(full-text article)에 연

결시키는가?

⑦ 다른 시스템과의 연계(linkages with other systems)

·이 제품은 하나 이상의 ISO 상호대차 프로토콜 호환 메시지 시스템(ILL protocol

-compliant messaging system)과 연결되는가?

·이 제품은 하나 이상의 상업적 문헌전달 제공자(commercial document delivery

suppliers)와 연결 되는가?

·제품에는 매일 24시간(24/7) 참고서비스와 연결되는가?

⑧ 기타(Miscellaneous)

·어떤 유형의 이용통계가 제공되는가?

·이 제품은 자관에 설치되는가?

·이 제품은 벤더가 호스팅하는가? 또는 그렇게 될 수 있는가?

⑨ 제휴(partnership)

·(제휴) 회사는 참여 기관의 라이센스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가?

·(제휴) 회사는 도서관의 기존 라이센스를 콘텐츠 제공자와 함께 수행할 수 있는가?

(Can the company execute a library's existing license with a content

provider?)

·기존 설치(existing installation)의 몇 가지 예는 무엇인가?

·(제휴) 회사의 내구력(endurance)은 어떠한가?

·(제휴) 회사의 파트너로써의 신뢰는 어떠한가?

·(제휴) 회사는 현재와 계획된 기능의 수행을 위한 법인 자원(corporate resource)

이 있는가?

·(제휴) 회사는 약속을 지킬 수 있는가?

·ARL의 역할은 무엇인가?

·얼마나많은도서관들이프로젝트의초기단계에서이(제휴) 회사를포함시키고자하는가?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55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이 제품은 OpenURL을 지원하는가?

·이 제품은 OAI-PMH(Open Archives Initiative-Protocol for Metadata

Harvesting)를 지원하는가?

·이 제품은 외국어를 다룰 수 있는가?

·이 제품은 non-Roman scripts를 다룰 수 있는가?

·이 제품은 Z39.50 검색을 지원하는가?

·이 제품은 웹 자원의 HTTP 검색을 지원하는가?

·이 제품은 어떤 유형의 레코드 구조(record structure)을 지원하는가?

- MARC

- EAD

- 더블린 코어

- GILS

- CIMI

- RDF

·이 제품은 모든 “.edu” 사이트를 수집할 수 있는가?

·이 제품은 OCLC의 WorldCat에 접근할 수 있는가?

·이 제품은 RLG의 Union Catalog에 접근할 수 있는가?

·이 제품은 새로운 자원에 대하여 push 기능(push feature)을 포함하는가?

·이 제품은 자원 또는 검색될 자원의 갱신 능력을 제공하는가?

⑥ 검색 결과(search results)

·이 제품은 알림 서비스(alerting service)의 이용을 위한 검색을 저장할 수 있는가?

·검색결과의 기본 디스플레이(default display)는 어떠한가?

·이 제품은 편향되지 않는 방법으로 검색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가?

·이 제품은 검색 결과를 통합하거나 중복을 제거할 수 있는가?

·이 제품은 자료의 유형[예를 들면, 인용(citation), 전문 자료(full-text resource),

웹페이지)을 식별하는가?

·검색결과는 인용처(the source of the citation) 정보를 나타내는가?

·이제품은각검색결과에대한적절한전달옵션(delivery options)을제시하는가?

·이 제품은 검색결과에서 자관이 소유한 자료가 있다면 이를 식별해 주는가?

54

Page 2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이 명세는 JISC IE 포털의 ‘자원 발견’에 초점을 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많은 다른 포털은 ‘비

자원 발견’과 관련된 다른 기능을 제안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SOAP와 같은 웹 서비스 표

준, WSRP와 JSR-168과 같은 ‘포틀릿(portlet)’ 표준을 포함한다.

[그림Ⅲ- 2] JISC 포털명세

① 시작(Enter)

·인증 또는 아이디/암호에 근거한 로그인 선택 기능 제공

·새로운 이용자를 위한 등록 장치 제공

·이용자의 현재 조망(landscape) 제공 (‘조망’은 이용자에게 현재 관심 있는 컬렉션

의 세트)

·인증되지 않은 이용자를 위하여 기본 조망(default landscape) 제공

[그림Ⅲ- 3] JISC 포털명세 - 시작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57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제품이 어떻게 상표화 되는가?

⑩ 재정적인 문제(financial issues)

·제품은 구매되는가?

·제품은 라이센스에 의한 것인가?

·라이센스 비용은 얼마인가?

·연간유지비용은 얼마인가?

·프로젝트 참여 기관의 비용은 얼마인가?

·운영이 되는 상태에서 이 제품을 이용하면 도서관의 비용은 얼마인가?

·파트너는 보상되는가? 그렇다면, 어떻게 보상되는가?

·ARL, 참여 기관은 함께 제품을 소유할 것인가? 아니면 각자 소유할 것인가?

·제휴에 의해 개발된 구성요소와 향상된 기능은 누가 소유할 것인가?

라. LC Portals Application Issues Group(LCPAIG), 2003

미국 의회도서관 포털 기능 명세(List of Portal Application Functionalities for the

Library of Congress. 2003. 7. 15)를 살펴보면, 일반 요건(General Requirements), 클라이언

트 요건(Client Requirement), 검색 및 검색 결과 요건(Searching and Search Result

Requirement), 도움 기능, 에러 메시지, 관리자를 위한 문서화(Help Facilities, Error

Messages, and Documentation for Administration), 대상 서버의 지식 데이터베이스

(Knowledge Database of Target Servers), 고객 인증(Patron Authentication), 포털 관리와

벤더 지원(Portal Administration and Vendor Support)로 세분하여 기능을 M( Mandatory),

혹은 D(Desirable)로 나누어 기능을 구성하고 있다.

마. JISC, 2005

JISC의 포털 명세는 JISC IE(Information Environment) 포털을 위한 기준 기능 명세를 제

공하며, 그 목적은 JISC IE 포털의 핵심 기능 목록을 제공하고 있다. 아래의 목록은 망라적이지

도 않고, 강제적이지도 않지만 대부분의 JISC IE 포털은 여기에 제시된 대부분의 기능을 제공할

것이라 예상된다. 많은 포털이 여기에서 제시되지 않은 부가적인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56

initiate

initiate

initiate

initiate

initiate

initiate

initiate

enter

discover

detail

useRecord

request

access

useResource

user provider

initiate

user provider

enter

authenticate buildLands cape

Page 3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JISC IE 서비스 레지스트리로부터 OAI 저장소에 관한 프로토콜 수준의 정보 획득

·RSS를 이용하여 정보제공자로부터 새로운 컬렉션에 대한 알림정보 수집

[그림Ⅲ- 4] JISC 포털명세 - 조사및발견

③ 상세(Detail)

·필요하다면, 발견된 자원의 위치에 관한 정보 획득(예를 들어 도서, 저널, 저널의 권

호정보, 논문 기사 등)

·옵션으로, 발견된 자원과 관련된 주석 획득

[그림Ⅲ- 5] JISC 포털명세 - 상세

④ 레코드의 이용(UseRecord)

·검색결과와 같은 발견된 자원에 대한 기술(description) 표시. 각 자원에 대한 정보

는 더블린 코어 메타데이터, 자원에 관한 주석, 위치 정보를 포함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59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② 조사(Survey) 및 발견(Discover)

·이용가능한 장서의 기술을 위한 사이트 맵(browsable list) 제공(‘이용가능한 장서’는 국

가적으로 지원을 받은 장서, 기관의 장서, 기타 장서 포함)

·이용가능한 장서의 검색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제공

·이용자의 이용가능한 장서의 검색 요청에 대한 도움 제공

·RSS를 이용하여 정보제공자로부터 새로운 컬렉션에 대한 알림정보를 모으고 이용자

에게 제공

·RSS를 이용하여 정보제공자로부터 (이용자의 현재 조망 내 컬렉션에서는 제한되는)

기타 소식을 수집하고, 이를 이용자에게 제공

·JISC IE 서비스 레지스트리로부터 장서 기술(collection description) 획득(‘장서 기

술’은 콘텐츠의 세부사항, 범위, 시기 및 비용을 포함한다.) 포털은 다른 ‘서비스 레지

스트리’로부터 부가적인 장서 기술을 획득할 수 있고, JISC IE 서비스 레지스트리로

부터이용가능한것을보충하면서로컬장서기술을유지할수있음에주목해야한다.

·현재 이용자 조망에 대한 수정을 허용해야 한다. 여기에는 탐색 목록, 탐색 결과, 알

림서비스 선정에 근거한 수정을 포함한다.

·현재 이용자 조망의 변화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제공

·이용자에 의한 채택을 사전 구성한 조망 제공

·이용자의 현재조망 내에서 Z39.50(Bath Profile) 또는 SRW를 이용한 장서의 교차

검색 허용

·JISC IE 서비스 레지스트리로부터 Z39.50 및 SRW의 프로토콜 기술(description)

획득

·이용자의 검색 요청에 대한 도움 제공

·필요하다면 이용자를 대신하여 Z39.50 및 SRW에 대한 적절한 인증 정보 제공

·Z39.50과 SRW로부터 검색 결과의 수 표시

·Z39.50과 SRW로부터 이용될 수 없는 정보 표시

·이용자의 현재 조망 내 장서에 브라우즈 인터페이스 제공 (장서의 원래 웹 인터페이

스로 링크함으로써)

·OAI-PMH를 활용하여 OAI 저장소로부터 메타데이터를 모으고 검색과 브라우징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58

initiate

initiate

initiate

survey

user provider

useSaveRecord browsesearch

assistQuery

alert

initiatediscover

useSaveRecord browsesearch

assistQuery

alert

user provider

initiatedetail

location getRatingsgetFormats getConditions

Page 3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상세(Detail), 레코드의 이용(UseRecord), 원문의 요청과 접근(Request, Access)은

포털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공되지 않고, 외부의 OpenURL 해석기(resolver)에 의해 제

공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⑥ 자원의 이용(UseResource)

일반적으로, 모든 포털이 ‘자원의 이용' 기능을 제공한다고 할 수 없다. 대부분의 경우,

발견된 자원은 직접적으로 이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다운로드 되고 데스크 탑 환경에서

이용된다.

[그림Ⅲ- 8] JISC 포털명세 - 자원의이용

바. Richard W. Boss, 2005

벤더로부터 포털 제품 구매에 관심이 있는 도서관은 필요조건을 개발하고, 일반 출시제품에는

무엇이 있는지, 무엇이 개발 중에 있는지, 무엇이 계획되고 있는지를 설명하는 제안 요청서를 벤

더에게 제출해야 한다. 참조할 수 있는 포털과 콘텐츠 관리에 대한 명세(specifying portal and

content management)는 다음과 같다.

1) 포털이 다양한 시스템에 저장된 각종 전자 형태의 정보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웹 기반 이용자 인터페이스이어야 한다.

2) 다양한 클라이언트에는 다음이 지원되어야 한다.

· 도서관 네트워크의 이용을 위한 웹 브라우저를 가진 PC기반 워크스테이션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61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표제순, 저자순, 관련성순 등과 같이, 다른 기준에 근거하여 발견된 자원의 목록을 주

문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

·전자우편을 포함하여 다양한 포맷으로 일부 또는 모든 자원 기술을 저장하기 위한 장

치 제공

·도서, 저널, 권호 정보 및 논문 기사에 대하여 가능하다면, 자원 기술을 OpenURL속

에 제시

·저자 검색, 동일 키워드 검색 등과 같이, 발견된 자원과 관련된 부가적인 서비스로의

연결을 제공

·이용자가 자관에서 이용 가능한 것을 포함하여, 전달에 대한 링크를 제공

[그림Ⅲ- 6] JISC 포털명세 - 레코드의이용

⑤ 원문의 요청과 접근(Request, Access)

·발견한 자원의 원본을 요청하는 이용자에게 도움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작성을 위한 도

서관상호대차 폼을 제공하거나 이용자를 대신하여 ILL 요청을 시작하는 것이다.

[그림Ⅲ- 7] JISC 포털명세 - 원문의요청과접근

60

user provider

initiateuseRecord

saveRecord annotate share

user provider

initiate

initiate

initiate initiate

initiate

request

authorise

access

download deliver

user provider

initiate

initiate

initiate initiate

initiate

request

authorise

access

download deliver

Page 3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그림(paintings)

· 조각품(sculptures)

· 직물(textiles)

· 유리(glass)

· 도기(ceramics)

· 부적(amulets)

· 건축 요소(architectural elements)

· 고고학적 공예품(archaeological artifacts)

· 의식용 물건(ceremonial objects)

· 가내 물건(domestic objects)

· 의복과 액세서리(clothing and accessories)

· 도구(tools)

· 화폐(numismatics)

9) 포털은 다음의 포맷으로 정보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 MARC

· EAD

· 더블린 코어

10) 포털은 HTTP, SQL, Z39.50 클라이언트가 지원되어야 한다.

11) 포털은 다양한 시스템에 대하여 연합검색이 가능해야 하고, 통일된 검색결과를 가져올 수

있어야 한다.

12) 이용자가 세션을 시작할 때, 포털은 시스템을 설명하는 간단한 오프닝 메시지를 나타내야

하고, 초기 검색 옵션의 메뉴와 시스템의 자세한 도움정보도 제공해야 한다.

13) 포털은 영어로의 전환 옵션과 함께 영어 이외의 다른 언어에 대한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제

공해야 한다.

14) 직원은 이용자의 이용 가능한 접근점을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

15) 정보원에 대한 모든 구분(diacritics)이 표시되어야 한다.

16) 시스템은 직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다섯 단계의 설정범위를 지원해야 하며, 따라서 초기

화면은 다음의 항목을 보여주게 된다.

· 모든 소장물의 위치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63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 도서관 네트워크의 이용을 위한 모바일 컴퓨터 장치 (예를 들면, PDA, 노트북 등)

· 인터넷 접근을 가능케 하는 웹 브라우저

· Z39.50 클라이언트

3) 포털은 자동화된 도서관 시스템의 고객 접근 목록뿐만 아니라 다른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

시스템의 목록에 대한 접근도 제공해야 한다.

4) 개별 소장 자료와 그 위치에 대한 접근이 제공되어야 한다.

5) 도서관의 옵션으로 고객은 포털을 통해 그들의 기록물을 보류하고, 검토할 수 있어야 한다.

(At the library's option, patrons shall be able to place holds and view their own

records through the portal.)

6) 포털은 온라인 참고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제공해야 한다.

7) 포털은 도서관 직원이 선택한 유용한 웹 사이트에 대한 접근을 제공해야 한다.

8) 포털은 아래의 자원 유형에 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 단행본(monographs)

· 연속간행물(serials)

· 기계가독형 데이터 파일(machine-readable data files)

· 지도(maps)

· 마이크로폼(microforms)

· 버티클 파일(vertical file)

· 시청각 자료(audiovisual formats)

· 음성 녹음(sound recordings)

· 매뉴스크립트(manuscripts)

· 잡지(journals)

· 악보(scores)

· 컴퓨터 소프트웨어(computer software)

· URLs

· 실물교재(realia)

· 사진(photographs)

· 슬라이드(slides)

· 인쇄물(prints)

62

Page 3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21) 시스템은 각 검색마다 탐색 전략과 검색된 적중문헌수를 보여주어야 한다.

22) 시스템은 검색결과를 통합하고 중복은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23) 포털은 검색된 정보의 적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검색결과를 필터링하는 하나 이상의 옵

션을 제공해야 한다.

24) 벤더는 적합성을 결정하기 위한 인용 필터링을 어떻게 하는지 기술하여야 한다.

25) 검색결과는 적합성 순위의 순서대로 나열되어야 한다.

26) 시스템은, 필수는 아니지만, 포털 플랫폼에서 시소러스 유지가 가능해야 한다.

27) 시스템은검색어에추가할동의어를얻기위해서온라인시소러스의이용이가능해야한다.

28) 벤더는 제3자 시소러스 제품을 제시해야 한다.

29) 템플릿과 그래픽 유틸리티가 이용자 인터페이스의 셋업을 위해서 그리고 백 엔드(back-

end: 이용자에게 직접 보여 지는 화면 이외의 기술적인 부분)서비스의 시도를 위하여 제공

되어야 한다.

30) 포털은 링크 해석기(link resolver)를 포함해야 한다.

31) 시스템은 Open URL 표준을 준수해야 한다.

32) 벤더는 도서관 유형에 적합한 미리 연결된 링크의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33) 시스템은 URL을 단순 입력함으로써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추가가 가능해야 한다.

34) 데이터베이스 제공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이용자 인증이 가능해야 한다.

35) 시스템은 미리 결정된 시점에서 잠재적으로 긴 검색을 중지하고, 이용자에게 검색 범위 축

소, 검색 종료, 검색된 부분 검토, 검색 계속 등의 옵션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

어야 한다.

36) 클라이언트가 일정 시간 동안 반응이 없을 때, 시스템은 자동적으로 초기화되어야 한다.

37) 도움 메시지는 항상 이용자가 이용 가능해야 하고, 메뉴와 프롬프트는 계속적으로 이용자

에게 어떻게 메시지를 요청하는지 상기시켜주어야 한다.

38) 시스템은이용자가진행중인검색의자료손실없이도움메시지를검색할수있어야한다.

39) 시스템은 오류가 발생된 검색 단계에 근거하여 선택된 오류 메시지를 나타내 주어야 한다.

40) 오류 메시지는 간략하게 이용자에게 오류의 성격을 상기시켜주거나, 검색 시점에서 시스템

이 받을 것으로 기대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려주어야 한다.

41) 오류 메시지는 추가정보를 받기 위한 지침을 포함해야 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65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 도서관의 모든 소장물

· 도서관의 모든 소장물과 구독되는 온라인 참고 서비스

·도서관의 모든 소장물과 구독되는 온라인 참고 서비스, 이용자의 다른 도서관 온라인

목록접근을 포함하는 도서관이 선택한 URLs

· (인터넷을 포함하여) 모든 정보자원의 위치

17) 모든 관련 기록에 대한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18) 최소한 아래의 식별자로 검색이 가능해야 한다.

· 저자, 제작자

· 표제

· 연속간행물

· 출판사

· 발행처

· 발행일

· 주제

· 범주

· 자료 유형

· 매체

· 청구번호

· 접근번호

· 기증자

· 기타 색인 필드

· 박물관 기록에 대한 500여개의 정보 범주

19) 아래의 항목으로 검색을 제한할 수 있어야 한다.

· 언어

· 원 저작 국가

· 지역

· 저작 년도

· 저작 년도의 범위

20) 시스템은 이전 검색결과에 근거하여 이용자에게 결과 내 재 검색을 가능케 해야 한다.

64

Page 3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안하였다.

① 최근 살펴본 항목(Recently Viewed Items)

② 당신이 작성한 페이지(The Page You Made)

③ 당신에게 새로운 것을 보라(See What's New for You)

④ 나의 것들은 어디에(Where's My Stuff?)

⑤ 이메일 통보(E-mail Notifications)

⑥ 추천 도서(Recommendations)

⑦ 개인 정보(Personal Information)

⑧ 이 도서를 구입한 고객은 또한 이 도서를 구입(Customers Who Bought This Also

Bought)

⑨ 제품의 상세정보(Product Details)

⑩ 고객의 충고(Our Customer's Advice)

⑪ 목록 매니아(Listmania!)

⑫ 주제에 의한 유사 도서도 살펴보아라(Look For Similar Books by Subject)

⑬ 편집자 비평(Editorial Reviews)

⑭ 이용자 비평(Customer Reviews)

⑮ 오늘/이번 주/이번 달의 가장 인기 있는 검색(Most Popular Searches of the

Day/Week/Month)

아. 김성희, 2006

다양한 도서관 포털시스템의 서브셋인 통합 유저인터페이스 시스템을 ① 검색(searching) 기

능, ② 이용자 상호작용, ③ 인터페이스 맞춤화, ④ 이용자 인증(authentication), ⑤ 디자인 ⑥

데이터베이스 통신 프로토콜, ⑦ 벤더의 지원, ⑧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8개 기준으로 비교, 분석

하고 있다.

① 검색기능

- 동일 프로토콜을 사용한 데이터베이스 검색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67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42) 만약 탐색 결과가 하나도 없다면, 시스템은 이용자를 공공서비스 데스크로 안내해야 한다.

43) 이용된 각 자원에 대하여 다음의 포털 이용 통계가 이용 가능해야 한다.

· 세션의 수

· 세션의 길이

· 페이지뷰

· 살펴본 문헌

44) 시스템은 모든 통계상의 범주에 대한 데이터를 모을 수 있어야 한다.

45) 시스템은 자동화된 도서관 시스템에서 유지된 고객 코드에 의한 모든 통계를 분류할 수 있

어야 한다.

46) 통계는 다음의 고객 수를 산출할 수 있어야 한다.

· 성공적으로 인증된 고객

· 성공적으로 인증되지 않은 고객

47) 벤더는 전자자원의 추가, 편집, 삭제 과정을 기술해야 한다.

48) 벤더는 처음의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페이지 레이아웃을 만들어야 한다. 여기에는

관내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식별된 외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49) 벤더는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어떤 다른 벤더가 어떤 조건으로 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를 나타내어야 한다.

50) 벤더는 도서관의 기존 웹 기반 서버에 포털과 관리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는지 아니면

분리된 서버가 필요한지를 나타내야 한다.

51) 벤더는 포털 제품에 대한 모든 하드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 응용소프트웨어, 설치, 교육

비용을 제시해야 한다.

52) 만약 연합 검색, 고객 인증, 링크 해석기들에 대하여 패키지 금액과 독립된 가격이 존재한

다면, 벤더는 두 가지 방법으로 가격을 제시해야 한다.

53) 벤더는 포털을 위한 연간 유지비 및 지원비를 제시해야 한다.

54) 벤더는 링크 해석기 업데이트를 위한 연간 사용료를 제시해야 한다.

사. Breznay and Haas, 2005

Breznay and Haas는 ‘Amazon.com’의 최근 서비스 항목을 제시하고, 여기에서 도서관 포털

66

Page 3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선별정보제공(SDI)

- context sensitive help

③ 인터페이스 맞춤화 기능

- 도서관 웹기반 OPAC과의 연계

- 소장목록 정보표시

- 특정 이용자 그룹별 데이터베이스 그룹 정의

- 기본 표시 필드 세팅

- 검색 결과의 맞춤화 기능

- 인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맞춤화

- 각각의 이용자 그룹별 서로 다른 이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 각각의 이용자 그룹별 접근 수준 차별화

- 선별정보제공(SDI)

- 검색결과 원문과 연계

- 검색결과 상호대차 서비스 연계

- 인쇄 제한 설정

- 트랜잭션 로그 및 이용자 통계 수집

-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결과의 링크 제공

- 검색시간이 길 경우 보류를 미리 결정하는 기능

④ 이용자 인증

- IP 인증

- 싱글 이용자 패스워드 기반 인증

- 도메인 인증

⑤ 디자인 기능

- 인터페이스에 도서관명, 로고, 이미지, 및 링크 정보 삽입

- 인터페이스 색상 스키마 적용

- 찾고 이용하기 쉬운 인쇄 및 다운로드 옵션 디자인

- 모든 페이지에 도움 기능 활성화

⑥ 통신 프로토콜

- Z39.50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69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한 데이터베이스 검색

- 웹 사이트검색 및 인터넷 검색엔진을 통한 광범위한 검색

- 키워드를 통한 데이터베이스의 인용 및 전문의 광범위한 검색

- 필드 검색을 통한 모든 데이터베이스의 광범위한 검색

-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의 단순 필드 검색

- 인용 및 전문의 키워드 검색

- 웹기반 OPAC 검색 지원

- 데이터베이스 및 자원의 목록과 기술사항의 검색

- 불리안 연산 검색 지원

- Wildcard/Truncation 검색 지원

- 근접 연산 검색

- Hot 링크 검색 지원(하이퍼링크를 통한 검색 결과에 대한 크로스 참조 기능)

- 시소러스 지원

- 검색 히스토리 저장 기능

- macron을 포함하는 차별화된 검색 지원

- 통합 검색된 결과 재조합 기능

- 중복된 결과 삭제 기능

- 검색결과 랭킹 기능

- 검색결과 필드 제한 검색

- 검색결과 정렬기능

- 검색결과 저장 및 다운로드

- 검색결과 인쇄

- 검색결과 email 보기 기능

② 이용자 상호작용 기능

- 검색 히스토리 저장

- 검색결과 미리보기 지원

- 인쇄 및 다운로드를 위해 필드별로 검색결과 상세화 기능

- 레코드를 선택하여 인쇄 및 다운로드

- 검색결과의 서지 소프트웨어와의 연계

68

Page 3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자. 이순영, 이수상(2007)

1) 분산환경의 디지털 장서관리

① 장서단위의 메타데이터 관리

- 디지털 장서의 소장 정보를 기술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 편집, 삭제하는 기능

- 디지털 장서의 검색과 접근에 필요한 정보를 기술하는 메타데이터를 주제별, 자료유

형별, 발행기관별로 인덱스 하는 기능

② 콘텐츠단위의 메타데이터 관리

- 디지털 장서를 구성하는 다양한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생성, 편집, 삭제하는 기능

-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주제별, 자료유형별, 발행기관별로 인덱스 하는 기능

③ 통계관리

- 장서 및 콘텐츠의 이용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자동으로 산출하는 기능

- 통계데이터를 보고서화 하는 기능

2) 통합 검색

① 키워드 검색

- 불리언 연산, 인접탐색, 절단 등의 다양한 검색기능을 제공

- 서명, 저자명, 출판사 등 구체적인 필드를 사용한 검색기능 제공

- 간략검색, 상세검색 등 검색에 대한 다양한 수준을 지원하는 기능

- 구두점, 특수문자, 스페이스 등의 포함된 키워드를 인식하는 능력

② 브라우징 기능

- 주제, 자료유형, 발행기관 등의 필드 선택으로 리스트를 정렬하는 기능

- 불리언 연산, 인접탐색, 절단 등의 다양한 브라우징 기능을 제공

③ 이용 안내 및 히스토리 기능

- 키워드 선택, 목표대상 선택, 검색결과 조작 및 반출에 대한 이용자 안내 기능

- 이용자의 검색결과와 이용자가 선택한 레코드를 저장하는 검색 히스토리 기능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71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 ERL

- OpenURL

- HTTP

- MARC

- DOI

- SQL

- EAD

- TEI

- XML

- Dublic Core

- 벤더제품에서만 사용되는 표준

- 기타 표준

⑦ 벤더의 지원

- 벤더가 직접 제품 설치 및 최초지원

- 소프트웨어 제공

- 벤더에 의해서 원격 호스팅(ASP)

- 전체 다큐멘테이션이 가격에 포함됨

- 빠른 기술지원

- 도서관내 교육

- listserv

- 기타 지원사항

⑧ 소프트웨어 플랫폼

- 원격 호스팅

- windows

- macintosh

- Linux

- Other Unix

70

Page 3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5) 정보서비스

① 참여서비스

- 도서반납요청, SDI 서비스 등 이용자들이 도서관 포털에 요청하여 제공받는 공지서

비스 기능

- 희망도서신청, 예약신청, 대출내역조회, 상호대차(원문복사), 참고봉사(질의) 등 이

용자들에게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문답서비스 기능

- 참고봉사나 상담서비스에 의해 축적된 지식 DB, 이용자나 사서들에 의해 게시된 지

식 콘텐츠, 그리고 온라인 레파지토리와 같은 지식저장소 서비스 등 축적된 콘텐츠

를 기반으로 제공하는 공유서비스 기능

② 아웃리치 서비스

- 외국인, 소수민족 등을 위해 다국어 검색, 정보 상담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다문화

서비스 기능

- 장애인, 노령인구를 위해 특화된 검색 및 정보 상담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취약계층

서비스 기능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73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3) 통합 인터페이스

① 일반기능

- 일반이용자, 기관이용자에게 적절한 도움말과 에러 메시지 제공기능

- 어떤 페이지에서든 디지털 참고서비스와 기관연결 정보로 이동할 수 있는 하이퍼링

크 제공

- 웹페이지 관리자 및 콘텐츠 제공자를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② 검색결과 디스플레이

- 중복제거와 정렬로 이용자가 알기 쉽게 검색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 이용자가 검색결과 디스플레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예, 스크린 당 디

스플레이 되는 레코드의 수, 선호하는 장서, 선호하는 키워드 타입 등)

- 각 정서에 해당되는 레코드 수를 보여주는 기능

- 검색결과 페이지에 검색 정황(context) 정보를 제공

- 검색결과 창에서 해당 레코드의 디지털 콘텐츠로 이동할 수 있는 하이퍼링크 제공

③ 검색결과 반출

- 이용자가 선택한 검색결과 레코드를 저장하는 기능

- 이용자가 선택한 검색결과 레코드를 이메일, 프린트, 다운로드 등의 방법으로 출력

하는 기능

4) 접근 관리

① 개인화, 맞춤화

- 이용자 프로파일 수집, 등록 기능

- 특정집단이연구하고있는주제정보를기반으로커뮤니티프로파일수집, 등록기능

② 인증과 권한

- 이용자가 한 번의 인증 과정을 통해 기관 내 모든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 내 통합인증 기능

- 로컬 인증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여 기관 간 통합인증 기능

- 프로파일에등록된접근권한과라이센스를기반으로맞춤검색, 맞춤서비스제공기능

72

Page 3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아날로그 자료를 위한 요청 모듈

●맞춤화 및 개인화 기능. 이것은 포털 기술의 핵심이다. 정보자원에 대한 접근은 이용자

요구에 맞추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획일적 기준을 적용하는(on-size-fits-all) 전통적

인 도서관 정책은 포기되어져야 한다. 맞춤화 및 개인화 기능은 이용자에게 'My.Portal'

또는 'My.Library'페이지를 만들고, 이용자가 로그온할 때마다 보통 도서관 웹 사이트에

서제공되는일반적인페이지보다맞춤화되고개인화된페이지에접속하는것을허용한다.

●채팅, 이메일, 화상회의 시설

3) 프로토콜 계층 (The Protocols Layer)

프로토콜 계층은 클라이언트 측 애플리케이션과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표준 커뮤니케

이션 방법을 설정한다. 많은 프로토콜이 인터넷상에 존재하며, 웹은 그중 한 부분에 지나지 않는

다. 관련 있는 프로토콜은 Z39.50, HTTP, ODBC, ILL 프로토콜이다.

4) 콘텐츠 계층 (The Contents Layer)

콘텐츠 계층은 이용자가 접근하기를 희망하는 모든 '정보자원'을 포함한다. 모든 정보자원은 일

반 책자형식의 도서, 인용 또는 서지정보 데이터베이스, 전자저널 및 전자책과 같은 원문정보, 주

제 게이트웨이, 메타데이터 저장소, 웹 사이트 등을 포함한다.

아래의 [그림 Ⅲ-9]는 Edward Lim의 도서관 포털 모형의 일반 개념을 도식화 한 것이다.

[그림Ⅲ- 9] Edward Lim의포털모형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75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4. 도서관 포털의 일반 모형 비교 분석

가. Edward Lim, 2000

도서관 포털의 아키텍처는 아래의 4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1) 표현 계층 (The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은 이용자들이 직접 눈으로 보는 인터페이스이며, 이용자가 도서관에 의해 제공되는

자원과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가 된다. 많은 도서관과 출판사들은 점점 더 웹의 그래픽 인터페

이스에 의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포털이 표현 계층에서 웹 기반 기술을 주로 이용한다.

2) 응용 계층 (The Applications Layer)

응용계층은서로다른유형의응용소프트웨어들로구성된다. 이들응용소프트웨어들은다음과같다.

●인증시스템

●Z39.50을 준수하는 데이터베이스들을 포함하여 많은 이종의 관내·외 전자자원과 인터넷

웹 사이트의 분산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검색엔진. 이용자들은 정보를 찾을 때, Z39.50을

준수하는데이터베이스를검색하는지, ODBC 데이터베이스를검색하는지, HTTP 프로토콜

을이용하는웹기반데이터베이스를검색하는지관심이없다. 그러므로검색엔진은이종의

프로토콜을이용하는데이터베이스들을검색할수있는능력을가지고있어야한다.

●안전 지불기능

●저작권관리 시스템

74

●Edward Lim, 2000

표현 계층 / 응용 계층 / 프로토콜 계층 / 콘텐츠 계층

● JISC의 모형, 2005

제공계층 / 통합계층 / 표현계층 / 공유 인프라계층

●Maloney and Bracke의 모형, 2005

수평계층(상위계층, 중간계층, 하위계층) / 수직계층(좌측, 우측)

●이수상, 2006

검색서비스 / 참여서비스

PORTAL ARCHITECTURE

USER

internet

Portal(My Portal)

Authentication

Presentation Layer

Applications Layer

Protools Layer

Contents

ILL system Secure Payments

Z39.50, ILL Protocol, HTTP

Analogue resources Digital ersources

Search Engine DBMS

OPAC'sCommercial

DocDelSuppliers

KineticaMetadata

Repositories

Subjectgateways(e.g.Meta ChemAgrigateAVEL)

Localdigital

collections

Remotedigital

collections

Page 3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1) 제공(provision) 계층

최종이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 제공자 영역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JISC 재원으로

구축된 콘텐츠, 기관의 콘텐츠, 외부 콘텐츠 등이 해당된다.

2) 통합(fusion) 계층

내외부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검색(Z39.50 또는 SRW 사용), 수집(OAI-PMH, RSS, HTTP 사

용), 목록작업 등의 역할을 담당하는 영역이다. 제공계공과 통합계층은 SOAP, Z39.50, OAI,

SRU 등과 같은 통합정보기술을 사용한다.

3) 표현(presentation) 계층

개인화된 서비스를 이용하는 최종이용자 영역으로,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이용자는 도서관

포털, 주제포털, 미디어포털을 사용한다. 또한 이러닝 S/W, 참고문헌관리기(EndNote), 구글 툴

바와 같은 응용 S/W를 이용하는 영역이기도 하다.

4) 공유 인프라(shared infrastructure) 계층

IE의 다양한 활동들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식별자 처리기, UDDI를 이용한 서비스 등

록기, 이용자 인증 및 접근권한 관리기능, 용어 서비스 등이 해당된다.(Powell 2003, 이수상

2006)

다. Maloney and Bracke의 모형, 2005

도서관 포털은 많은 분리된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Maloney and Bracke(2005)는

JISC(2002)의 IE 모형과 McLean and Lynch(2003)의 IMS 디지털 저장소 구조(Digital

Repositories Framework)의 많은 특징을 통합하여 일반화된 도서관의 포털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들의 포털 모형은 크게 5개의 구성요소를 가진다. 이 5개의 구성요소는 다시 3개의 수평

계층(상위계층, 중간계층, 하위계층)과 2개의 수직계층(좌측, 우측)으로 구분된다.

상위 계층은 표현(presentation) 계층으로 다양한 정보원의 정보를 이용자에게 단일의 표현방

법으로 제공하게 된다. 중간계층 및 하위계층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77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이용자들은 도서관 포털을 통해 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Z39.50 또는 ODBC를 준수하는 데이터베이스, 웹 사이트의 동시 검색

· 도서관의 OPAC 또는 다른 도서관의 OPAC 검색

· 콘텐츠 페이지 정보에 접근

· OPAC 또는 인용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책, 저널, 논문의 원문 접근

·도서관 직원과의 전자우편, 채팅 또는 화상회의 시설을 통한, 24시간 기반, 세계적인 의

사소통. 포털은 정보자원에 대한 이용자의 맞춤화, 개인화 접근을 허용하는 한편, 가상

환경에서 인간의 얼굴을 제공하기도 함

· 가상적인 정보 활용 능력 습득

· 지불해야할 자원 및 서비스 접근을 위한 결제

나. JISC의 모형, 2005

JISC의 최근 활동 중 도서관 포털과 관련된 주요한 성과는 '정보환경(IE: Information

Environment)'을개발하는일이다. IE는4개의구성요소를갖는다. JISC의포털모형을나타낸그림

은다음과같다.

[그림Ⅲ- 10] JISC의포털모형

76

JISC-fundedcontent provider

outhentication/outhorisation(Athens)

service registries

metadata schema registries

identifier services

terminologyservices

shared infrasturcture

institutional profilingservices

broker

Open URLlink servers

media-specificportals

institutionalportals

end-userdesktop/browser

subjectportals

learning managementsystems

aggregators catalogues indexes

fusion

presentation

ⓒ Andy Powell(UKOLN. University of Bath). 2005

provision

institutionalcontent provider

externalcontent provider

Page 4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라. 이수상, 2006

이수상 교수에 의한 NDL 포털 모형은 방대한 디지털 장서 및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검색서

비스와 이용자의 정보 활용과 관련된 각종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위한 참여서비스로 구성된다. 이

러한 서비스는 다수 일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일반서비스와 특정한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맞

춤서비스로 나눌 수 있다.

검색서비스는 키워드 기반의 검색(간략검색, 고급검색)과 브라우징 기반의 검색(디렉토리 검

색, 토픽맵과 같은 의미검색 등) 등과 같은 검색기능들의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 검색작업이 일

관성을 가지도록 한다. 참여서비스는 공지서비스와 지식서비스, 그리고 개인화 서비스 등이며,

이들 각각은 개념적 프로세스를 정립한다. NDL 포털의 기본은 검색과 참여 서비스이며, 이를 토

대로 하위포털과 아웃리치 서비스가 만들어진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그림Ⅲ- 12] 이수상의포털모형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79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중간 계층은 통합(integration)계층이며, 다시 두 계층으로 나누어진다. 그림의 점선 위는 정황

관리 서비스(context management services)계층이고, 점선 아래는 기능 서비스(functional

services) 계층이다. 통합 정황관리 서비스 계층은 이용자와 세션에 대한 정황을 유지시켜준다.

예를 들면, 검색 히스토리, 선택한 데이터베이스, 프린트 또는 저장하기 위해 표시(mark)한 자

료, 이용자 인증 등이다. 통합 기능 서비스는 Z39.50 검색과 같이 각 업무를 수행하는 소프트웨

어 프로그램들로 구성된다.

하위 계층은 정보자원(information resource) 계층이다. 이 계층에서는 포털 환경 내에서 통

합되어야 할 자료유형들을 나타낸다.

좌, 우측의 수직 계층은 도서관 포털구조의 모든 층, 모든 서비스에 의해 접근될 수 있는 서비

스이다. 좌측의 수직 계층(local/institutional services)은 해당 도서관이나 도서관의 소속기관

에 의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포함한다. 우측의 수직 계층(global services)은 모든 이용자들이

이용 가능한 글로벌 서비스를 포함한다.

[그림Ⅲ- 11] Maloney & Bracke의포털모형

78

Local/InstitutionalServices

FLGUTE 1. A Generalized Architecture to Support Library Portals

Presentation

Integraton

Session

Con

text

Services

InformationResources

Discover Access Use

Global Services

Library Portal

AuthenticationServices

Metasearch

StandardHavesters(OAI)

Open URLResolvers

CitationManagement

Services

ResourceManagement

Services

StandardBroadcast(Z39.50,

SRW, SRU)Proxy Servers

User Account/PrefereneceManagement

Services

Save/re-executesearchservices

Local IndexingServices

LocalRepositories

LicensedContent

Vetted FreeResources

Libraries,Museums &Archives

Local LibrarySystem

Non-StandardSearch Adapters

Alerting andNotificationServices

CirculationManagement

Services

Reference/Help Result SetManage

AuthenticationServices

UserPreferencesServices

Local ServiceConfigurations

Services

Learning ManagementSystems Institutional Portals

TerminologyServices

Local ServiceConfigurations

Services

검색서비스 참여서비스

통합검색일반공지 서비스지식 서비스

맞춤검색라이선스 검색

• 소수계층 서비스★정보복지 서비스(장애인, 사회적 약자)★다문화 서비스(소수민족, 소수인종)

• 포털개방 서비스

개인

개인공지 서비스개인지식 서비스정보상담 서비스온라인 레파지토리 Sub-

portal

Outreach서비스

•주제별 포털•지역별 포털•이용대상자별 포털•자료유형별 포털•분관 포털•맞춤 포털

Page 4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1. 일반 포털의 개요

2. 일반 포털의 모형 및 사례 분석

3. 일반 포털 분석 종합 및 시사점

마. 분석 결과

포털의 기능을 명시한 연구 및 보고서는 많이 있으나, 이를 모형으로 도식화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대표적인 것이 Lim(2000)의 연구, McLean and Lynch(2003)의 연구, JISC(2005)의

연구, Maloney와 Bracke의 연구(2005), 이수상(2006)의 연구 등이다.

포털 모형의 구조를 살펴보면, Lime의 연구는 포털의 모형을 4개의 계층으로 구분하고 있고,

JISC의 모형은 3개의 계층 외에 수직 서비스(공유 인프라)를, Maloney와 Bracke의 모형은 3개

의 계층과 2개의 수직 서비스를, 이수상의 모형은 평면상의 메트릭스 구조(검색, 참여, 일반, 개

인)에서 하위포털과 아웃리치 서비스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의 NDL 포털 모형은 해외 사례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계층 및 수직서비스를

적절히 배분하고, 이수상의 하위포털 및 아웃리치 서비스의 개념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80

Page 4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82

1. 일반 포털의 개요

가. 포털산업의 발전과정

인터넷 포털 기업들이 서비스하는 포털(Portal)은 이용자들이 웹에 접속할 때 가장 먼저 나타

나거나 정보의 검색을 위해 주로 머물게 되는 사이트로 웹서핑을 시작하는 주요 시작점을 의미한

다. 최근에는 웹사이트로의 연결을 위한 관문이라는 의미 외에도 이용자들의 참여를 통해 생성되

는 다양한 콘텐츠를 공유하고 재생산하는 플랫폼으로서 인터넷 이용자가 특정 분야의 정보를 찾

기 위해 자주 방문하는 최종 목적지의 의미로 확대되었다.

●한국인터넷진흥원(2007) ‘인터넷 포털 산업의 영향과 활성화 방안’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

터 인터넷 포털은 웹사이트에 대한 디렉토리 검색서비스를 시작으로 콘텐츠 검색기능과

제4장 일반포털조사분석 이메일, 뉴스 매개, 커뮤니티(카페, 미니홈피) 등 종합적인 서비스로 성장하였다고 분석 하

였다. 또한 안정적 수익모델을 발굴한 기업이 업계를 선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개방·공

유·참여의 웹2.0의 확산과 함께 이용자의 참여가 증대 하면서 인터넷 포털 서비스의 중요

성이 더욱 증대하고 있다고 보았다.

●한국인터넷진흥원(2007)은 ‘2007 한국인터넷백서’에서 인터넷 포털의 발전과정을 4단계

의 시기로 정리한 바 있다. 1995년 중반부터의 ‘태동기’에는 웹 사이트 단위의 디렉토리 검

색과 전문가들의 주제 분류를 특징으로 하며, ‘야후, 심마니, 까치네’ 등의 서비스 사례를

분석하였다. 2002년까지의 ‘침체기’에는 웹페이지 단위의 검색과 컴퓨터에 의한 키워드 분

석, 이메일·홈페이지·뉴스 서비스 등으로 제공하며 포털화가 시작되었고 라이코스나 알

타비스타를 주요한 서비스 사례로 분석하였다. 2005년까지의 ‘성장기’에는 검색에 가치를

부여하기 시작하여 블로그 뉴스·지식 서비스 등과 검색을 연계한 서비스가 나타났으며,

광고 중심의 수익모델이 정착한 시기로 보고, 구글, MSN, 네이버, 다음 등을 주요 서비스

사례로 분석하였다. 2006년부터는 ‘전환기’로 공개API나 Tag, RSS 등의 기능이 도입되며

웹2.0형(참여, 개방, 공유) 포털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검색 서비스의 개인화?·전문화

및 UCC나 소셜 미디어 서비스의 폭발적인 증가가 이루어진 시기로 특징을 정리하고 구글,

네이버 등을 주요 사례로 분석하였다.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2006)은 포털서비스 산업의 역사를 1983년 부터 2006년 현재

에 이르기까지 3단계의 시기로 나누어 기술 하였다. 먼저 포털 서비스 산업의 시초는 포털

의 1기(1983-1998)에 해당하는 PC통신이라고 볼 수 있다. 이들 PC통신 사업자들은 네트

워크 접속과 함께 일반 콘텐츠가 결합된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2001년 이후 초

고속인터넷 및 무료 포털 서비스 등의 등장으로 경기 악화 등의 커다란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PC통신은 인터넷 포털의 형태로 급속도로 전환하게 되었다. 포

털의 2기 (1999-2003)에는 1기의 PC통신에서 인터넷 기반 포털로 변화한 기업과 인터넷

을 기반으로 새롭게 검색이나 이메일 등의 특정 솔루션 제공을 기반으로 탄생한 포털 서비

스 기업이 함께 본격적인 시장 형성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기존의 PC통신의 서비스들

은 인터넷 기반 포털 서비스로 이전되었으며, 그 밖에 동창 찾기나 개인 홈페이지와 같이

신규 서비스도 속속 등장하였다. 다음으로 포털의 3기(2003-2006)에는 2000년 4월 미국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83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일반포털은 이용자들이 웹에 접속할 때 가장 먼저 나타나거나 정보의 검색을 위해

주로 머물게 되는 사이트로 웹서핑을 시작하는 주요 시작점을 의미함

●최근에는 웹사이트로의 연결을 위한 관문이라는 의미 외에도 이용자들의 참여를 통

해 생성되는 다양한 콘텐츠를 공유하고 재생산하는 플랫폼으로서 인터넷 이용자가

특정 분야의 정보를 찾기 위해 자주 방문하는 최종 목적지의 의미로도 확대됨

●포털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로, 다양한 정보에 대한 접근 경로 역할을 수행함

Page 4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2006)의 ‘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한 국내 웹2.0 서비스 현황과 전

망’을 살펴보면, 네이버, 다음, 야후 등 국내 주요 포털 기업들은 웹2.0을 자신들의 미래 생

존을 결정하고 진화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결정자로 인식하고 있으며, 인터넷의 관문

(Gate)이라는 기존 개념에서 다양한 콘텐츠가 모이는 장소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중이

라고 보았다. 또한 국내 포털기업들은 이용자를 파트너로 인정하고 이들과 함께 새로운 비

즈니스 환경을 만들기 위해 본격적인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고 하였다. 이를 위해 각종 UCC 서비스를 개발하고, 주요 플랫폼 서비스의 API 개방, 다

양하게 결합된 컴포넌트를 담을 수 있는 컨테이너의 제공 및 작은 트래픽을 모아 수익을

낼 수 있는 수익 모델개발 등을 중요한 전략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포털은 다양한 원천의 정보들과 다양한 지식활동의 장에 접근하는 통합된 접근 점으로서,

단순히 많은 양의 지식을 저장하고 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에서 벗어나, 다양한 원

천의 정보들을 모아서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개별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합한 지식을 선

별하여 제공 해야할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나. 포털의 구성요소

●국내외 대형 인터넷 포털 사이트를 살펴 본 결과, 뉴스, 지식, 생활, 영화, 책, 지도, 이미지

등 다양한 콘텐츠를 비롯하여, 블로그, 미니홈피 등의 개인 공간 및 카페, 클럽 등의 커뮤

니티, 메일 및 메신저 등의 커뮤니케이션, 광고, 개인화 등 다양한 서비스를 구성하여 운영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2006)의 2006년도 데이터베이스 산업 동향 분석 사업 ‘포털서

비스 시장 분석’에서는 포털 서비스의 내용을 4가지 (4C)로 정리하고 있다. 4C의 개념은

1998년 초 포털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처음 제시된 것으로, 야후 등 검색 서비스 업체들이

네티즌에게 인터넷에서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미디어 회사가 되겠다며 표방

한 것으로, “사람들이 인터넷으로 무엇을 하나”에서 출발하여, 그 해답으로서 콘텐츠

(Content), 커뮤니티(Community),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커머(Commerce)

를 제안한 것이라 소개 하고 있다. 이제 4C는 포털 서비스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할 요건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85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나스닥 시장의 붕괴로 확산된 닷컴버블론을 경험 하면서 탄탄한 자본과 수익 구조를 가진

기업들만이 살아남았고, 그러한 기업들은 수익 편중으로 인하여 점차 대형화되었다. SK,

KT 등 대기업이 포털 서비스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면서 포털 서비스 시장의 선도 기

업 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고 현 시장 체제에 이르게 되었다고 분석하였다.

●코리안클릭(2006)의 ‘국내 인터넷 포털 이용형태 분석 포털’보고서를 살펴보면, 포털 산업

은 성장기 경쟁을 통해 중하위권 포털의 방문자 이탈과 최상위권 포털로의 집중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그림 Ⅳ-1] 참조).

[그림Ⅳ- 1] 포털상위권집중화

(출처: 코리안클릭, 2006)

●코리안클릭(2002, 2005, 2006)은 2000년 이래로 인터넷 사용자 측정을 계속해오고 있는

데, 현재까지 인터넷 이용자 1위를 차지한 기업은 여러 차례 바뀌어 왔다. 야후 코리아를

추월한 후 4년 가까이 지속적으로 1위를 차지했던 다음의 경우에도 2005년 2월에 UV 기

준으로 네이버에 선두를 허용한 이래, 다시 1위의 지위를 되찾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

다.

●최근 국내 주요 포털기업들은 개방·공유·참여의 웹2.0 기반 서비스를 포털의 핵심 서비

스로 추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84

Page 4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그림Ⅳ- 2] 포털주요섹션별시장점유율비교(출처: 코리안클릭, 2006)

●김성언(2004)은 ‘포털사이트 서비스 요인의 가중치를 이용한 포털사이트 선호도 결정에 관

한 연구’에서 포털기업들의 사업 핵심 요소를 콘텐츠, 커뮤니티, 커뮤니케이션, 상거래 및

고객화로 정리하였다.

●콘텐츠(Content)는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뉴스, 기업/제품 정보, 지식정보, 오락 내용물

의 충실도, 콘텐츠의 풍부성, 콘텐츠 검색 및 접근 용이성과 같은 항목들로 평가할 수 있다

고 하였다. 콘텐츠 내용의 충실도는 콘텐츠가 잘 분리되어 있는지, 콘텐츠가 다양한지 또

는 특화된 콘텐츠의 유무 등을 나타낸다. 콘텐츠의 풍부성은 다른 사이트로의 이동 없이

방문한 사이트에서 지원하는 콘텐츠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정도를 나

타낸다.

· 커뮤니티(Community)는 제품과 연관된 지식이나, 취미활동 또는 전문지식 교환 등에

관한 관심사가 같은 사람들의 온라인 그룹인 공동체를 지칭하는데 공동체가 활성화되

면 고객, 기업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

·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은 이메일, 채팅, 메신저, 게시판 등을 통한 상호 의사

소통을 뜻한다. 커뮤니케이션은 이메일과 채팅 등 회원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위한 고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87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이 되었으며, 각 포털들은 웹사이트에서 4C를 대표하는 서비스들을 구축하고 있다. 4C의

각 항목에 대한 포털 서비스의 내용을 살펴보면 [표 Ⅳ-1]과 같다.

[표Ⅳ- 1] 포털서비스의구성요소

●현재 포털사이트들은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콘텐츠), 클럽, 커뮤니티,

카페 등 동일한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공간(커뮤니티)을 제공하고 있다. 또

한 전자메일, 메신저, 대화방 등의 서비스(커뮤니케이션)를 통해 의사소통의 매개체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 그리고 포털사이트에 모인 이용자들을 활용하여 광고, 전자상거래 사업

등을 영위하고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커머스). 이러한 4C는 상호 유기적인 관계

로서 콘텐츠와 커뮤니케이션은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커머스로 이어지며, 커뮤니티는 커뮤

니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콘텐츠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또한 콘텐츠는 직접 커머스로 연결

될 수도 있다. 바로 이러한 유기성으로 인해 현재 포털사이트는 다양한 사업의 장(場)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

●코리안클릭(2006)에서는 포털의 서비스 내용을 검색, 커뮤니티, 뉴스, 커뮤니케이션, 엔터

테인먼트, 커머스 등의 주요 섹션으로 나누어 상위 3위 포털 업체에 대해 시장점유율을 분

석한 바 있다. 비교 결과, [그림 Ⅳ-2]와 같이 2006년 국내 인터넷 포털 6대 주요 서비스의

분야별 시장점유율은 A사가 2개, B사가 3개, C사가 1개 집계되었으며, Top 포털 외 F사

가 유일하게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2위를 확보하고 있어, Top 3 포털의 핵심 서비스 지

배력이 심화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86

종류 특징

Content포털에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및 내용으로 뉴스, 금융, 생활, 영화, 도서, 스포츠 등 다양한 종류가 있음

Community이용자들 간의 친목 및 특정 목적을 위해 이루어지는 동호회, 카페, 클럽 등을 말하며 지속적 참여를통해 유지될 수 있음

Communication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이용자들의 의사소통 채널로 E-mail, 메신저, 통합 메세징 서비스, 채팅 등을의미함

Commerce 광고 수익, 상품 판매, 콘텐츠 유료화 등 인터넷을 활용한 수익사업을 의미함

80

72.7

Search Community News Communication Entertainment Commerce

43.3

11.5

25.7

6.2

19.4

36.735.8

8.1

46.3

13.4

6.5

17.216.5

12.2

58.6

22.0

10.9

70

60

50

40

30

20

10

A B C A B C A B C A B C A B C A B C

0

Page 4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김성언(2006)은 ‘포털사이트 고객 만족을 위한 유인 요인에 관한 연구’에서 전자상거래에

서 기업과 고객의 상호 관계를 유지시켜주는 요인으로서 콘텐츠, 커뮤니티, 커뮤니케이션,

상거래 및 고객화가 있는데 이들 요인들은 상호 유기적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포털 기

업들은 이 요인들을 사업의 핵심요소로 간주하여 이들 요인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고 하였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이 포털사이트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이용만족도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와 포털 사이트에서의 원활한 커뮤니티 운용의 지원이 포털사이트 이용자

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다. 포털의 유형

포털의 유형은 서비스 내용이나 범위에 따라,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에 따라, 특징적인

서비스 성격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내용 및 범위에 따른 구분으로 포털은 제공하는 서비스(정보)의 범위와 깊이에 따라 다양

한 주제의 정보를 망라하는 종합 포털과 학술정보, 지리정보, 의학정보, 통계정보 등 특정

주제의 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전문 포털로 나눌 수 있다.

●포털 서비스 제공 주체에 따른 구분으로 일반(민간) 포털, 공공포털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대학포털, 도서관포털, 기업포털 등으로 세분될 수 있다.

●특징적인 서비스 성격에 따라 검색포털, 커뮤니티포털, 동영상포털, 상거래포털 등으로 나

눌 수 있다.

●서비스 매체에 따라 TV 포털이나 모바일 포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일반포털 유형으로 네이버, 다음 등 국내 종합포털과 구글과 같은 해

외포털, 지식정보 및 연구정보를 다루는 공공포털, 대학 및 대학도서관의 대학포털, 웹 2.0 기반

의 전문포털로 구분하여 대표적인 서비스 유형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89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객 간 의사소통 지원과 포털기업이 고객 중심의 마케팅을 위해 고객과의 의사전달을

위해 마련한 Q&A, 게시판 등을 이용한 기업과 고객 간 의사소통 지원으로 나눌 수 있

다.

· 포털과 관련된 상거래(Commerce)는 전자상거래를 의미한다. 인터넷 검색 업체로 시

작하여 포털로 전환한 포털업체들의 초기 주 수익원은 광고였으나 온라인광고 성장률

이 둔화되면서 광고수익의 감소에 따라 서비스 차별화와 수익원 다각화에 신경 쓰게

되었고 이에 따라 일반 쇼핑몰과 같은 전자상거래에도 관여하게 되었다. 전자상거래와

관련하고 고려할 요소로는 전자상거래의 주목적인 제품/서비스의 판매를 들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고객과의 지속적인 거래를 통한 상거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도입된

고객관계 지원을 들 수 있다. 포털 기업들은 제품/서비스의 판매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품의 다양성, 주문절차의 간소성, 제품 가격의 비교가능성 등의 기능을 사이트에 도

입하고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친밀한 고객관계 유지를 위하여 우수고객 제도나 마일

리지 제도를 활용하고 있다.

· 고객화(Customization)는 고객에 대한 서비스 차원의 요소로서 오늘날 포털이 더 많

은 고객을 유치하기 위하여 고객의 편의성에 초점을 맞추어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를 위하여 포털에서는 이용 고객이 개인 홈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는 공간을 제

공하고, 개인화된 정보와 같은 고객의 욕구에 맞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자 노력하

고 있다. 또한 일부 포털에서는 고객의 정보를 저장하여 어느 곳에서도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웹 하드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잠재적으로 고객에

게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차별화를 제공하여 마켓 브랜드를 강화시킬 수 있는 바탕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 이러한 요소들의 세부요인들이 특정 포털 사이트로 이용자들을 유인하는데 영향을 미

치는 요인들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포털 사이트 이용자들을 유인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콘텐츠 검색 및 접근용이성, 커뮤니티 활성화 수준, 제품/서

비스 판매 및 콘텐츠 내용의 충실도 등으로 주요하게 나타났다.

88

Page 4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2006)에서는『SW산업동향』에서 최근 네이버, 다음, 야후, 네이트 등 국

내 포털의 웹2.0 서비스를 [표 Ⅳ- 2]와 같이 정리하였다.

[표 Ⅳ- 2] 국내포털의웹2.0 서비스

웹2.0은 개개인에게 무한한 정보수집과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용자 중

심의 콘텐츠와 상호작용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확장을 구현하는 새로운 서비스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하나의 사회적 현상이 되어 문화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2007)은 ‘인터넷 이슈 리포트’를 통해 웹2.0 관련 기술유형을 이용자 참여

관련 기술, 공유와 개방 관련 기술, 콘텐츠 기술 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이용자 참여와 관련하여 많이 사용되는 웹2.0 기술로 블로그, 위키, 태깅 등을 제시하였다.

· 블로그(Blog)는 ‘Web’과 ‘Log’를 합친 말로, 자신의 생각이나 견해 등을 웹에 기록하여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웹 페이지와 구별되는 블로그의 특

징은 게시물마다 시간의 기록을 가질 수 있다는 것과 시간의 역순으로 정렬되어 최신

게시물이 항상 상단에 위치한다는 것, 링크와 코멘트를 통하여 이용자 상호 간의 커뮤

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것 등을 들었다. 위키(Wiki)는 하와이어의 ‘wikiwiki’가 어원으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91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라. 포털 관련 기술의 동향

2004년과 2005년의 웹2.0 컨퍼런스를 통해 구글과 아마존 등 성공적인 대표기업들의 등장과

함께 웹 기술과 인터넷 산업 전반에 대해 새롭게 고찰하기 위한 시도들이 ‘웹2.0’이란 개념으로 소

개되고 있다. 웹2.0은 특정한 기술이나 플랫폼을 의미하기 보다는 현재 웹을 통해 진행되고 있는

새로운 시도들과 성공적인 서비스의 특징들을 종합하는 개념으로 국내에서도 새로운 비즈니스

패러다임으로 확산되며 새로운 서비스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황현수(2006)는 ‘차세대 인터넷 웹2.0 컨퍼런스 코리아’발표에서 Web1.0에서 이용자는 웹기반

비즈니스 Value Chain 내의 피동적인 정보 수용자가 되며, 이용자가 서비스, 콘텐츠 생산과정에

참여 및 기여하는 일련의 행동들은 간과되었으나 Web2.0에서는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자, 사업

자, 광고주, 파트너 등 행위자(Actor)들이 상호 작용하는 군집체(Cluster)로 간주, 그 속에서 콘텐

츠, 수익 등 일련의 비즈니스 과정을 보이는 인터넷생태계(Internet Ecosystem)로 인식하게 되

었음을 [그림Ⅳ-3]과 같이 언급하였다.

[그림Ⅳ- 3] 웹2.0 인터넷생태계

90

Internet Back-End Internet Front-End

Data Infrastructure Service Network Users/Enterprise

사업자 컨텐츠

CC

Collect사용자

사업자

광고주/파트너

Service

Comm.

Search Create

UCC

사용자 생산 컨텐츠

포털 서비스명 서비스 개요

네이버

블링크(blink.naver.com)

블로그(Blog)와 링크(link)의 합성어로 관심사가 같은 사용자들이 링크를 통해정보를 상호교환

네이버플레이(play.naver.com) UCC 기반의 멀티미디어 커뮤니티 서비스

다음

파이(pie.daum.net) UCC 기반의 이미지 커뮤니티 서비스

다음TV팟(tvpot.daum.net) 다음(Daum) 내 동영상 UCC를 한 곳에 모아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야후

야후! 허브(kr.hub.yahoo.com)

태그 기능이 더해진 사용자 중심 검색서비스 야후!쇼핑/거기/지식/블로그/멀티미디어 등에 올린 이용자 콘텐츠를 태그로 검색

야후! 메일(mail.yahoo.co.kr)

1GB의 용량 제공과 통합 RSS 리더기의 기능이 내장된 웹2.0 기반의 웹메일서비스

야후! 위젯(kr.widgets.yahoo.com) 기존 위젯 기능에 RSS 기능 및 위젯 전용 블로그를 개설하여 커뮤니티 서비스

네이트

마이네이트(my.nate.com) UCC 기반의 퍼스널 포털 서비스

미니채널(miniCH.nate.com) 웹상의 모든 링크가 유통되는 블링크 서비스

Page 4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제공해 주는 것을 공개 API라고 한다.

●참여와 공유를 기반으로 콘텐츠의 생산과 유통이 용이해지면서, 웹 공간은 대향의 콘텐츠

가 저장되는 커다란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웹2.0을 통해 이용자들이 손쉽게

웹상의 정보를 이용하고, 생산할 수 있는 기술들이 지원되면서 웹은 하나의 커다란 플랫폼

으로 진화해가고 있다. 웹2.0에서의 콘텐츠 기술로는 AJAX (Asynchronous JavaScript

ans XML), 시멘틱 웹(Semantic Web), 온톨로지(Ontology), Saas(Software as a

Service), 위젯(Widget) 등이 있다.

[그림Ⅳ- 4] 웹2.0 관련기술

유재택(2006)은 웹 2.0을 구현할 수 있는 대표적 기술 요소로 웹 브라우저 표준을 지원하는 기

술요소(CSS, XHTML)와 세계의 다양한 문자를 지원하는 유니코드(UTF-8)를 비롯하여 RSS,

OpenAPI, Tag, Ajax 등이 언급하면서 이용자들이 서비스에 쉽게 접근하고 사용하며,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표준화된 방안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전종홍, 이승윤(2006)은 ‘웹2.0 기술 현황 및 전망’에서 웹2.0 트렌드를 통해 나타나는 변

화들과 핵심적인 기술요소를 제시하였다. 콘텐츠 생산과 유통 방식의 변화와 이에 따른 기

술을 블로그 및 RSS와 Atom으로 정의하였고, 브라우징 방식의 변화와 이에 따른 기술로

태깅과 소셜 네트워크, 마이크로포맷을 제시하였다. 웹 응용 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기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93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로, ‘빨리빨리’ 라는 뜻을 가지며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직접 편집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일종의 공개 게시판이다.

· 위키는 전자게시판(BBS)와 유사하지만 글을 고치는 자격이 따로 정해져 있지 않기 때

문에 누구나 자유롭게 문서의 내용을 추가 기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태그(Tag)는 웹사이트와 같은 특정 문서나 이미지에 이용자가 직접 붙인 주제어로, 정

보 검색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자료를 미리 정의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가 즉석에서 태그를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태그를

부여할 수 도 있다. 하나의 문서에 다수의 태그가 부여되기 때문에 검색 요청된 주제어

에 따라 여러 형태의 분류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 검색이 불가능한 음악, 사

진,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는 태그를 이용할 경우 데이터 분류 및 검색이 쉬워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태그를 이용하는 것이 태깅이다. 태깅은 이용자가 자신의 언어로

정보를 분류하면서 공급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하였던 다양한 디렉토리가 생성됨에 따

라 전문가가 자료를 수집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다량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환

경을 제공한다고 보았다.

●공유와 개방 관련 기술로 데이터의 공유와 서비스의 공유에 관한 기술로 RSS 및

Open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등을 언급하였다.

· RSS(Really Simple Syndication)는 해당 사이트의 갱신 유무를 확인하고 정보를 얻

을 수 있는 방법으로 기존에는 웹 서핑을 통해 정보를 발견하고 북마크에 저장함으로

써 향후 해당 정보에 다시 접근할 수 있었지만 사이트의 해당 페이지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RSS 리더를 통해 해당 사이트의 갱신 유무를 쉽게 확인하고 정보를 얻을 수 있

다. 또한 RSS를 통해 배포되는 콘텐츠는 텍스트에 국한되지 않고 오디오 및 비디오로

확대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가 팟캐스팅(Podcasting)이다.

·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개발자들이 프로그램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또는 이를 활용하는 규약 등을 의미하

는데, 자신의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웹 서비스 기능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API를

92

콘텐츠

ATOM

공유RSS

Mashup

OpenAPI

개방

Folksonmy

Taxonomy

생산

Wiki Blog

참여

Tag

콘텐츠 기술

FlexSAAS

AJAX Gadget Widget

Semantic Web Ontology

Page 4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2. 일반 포털의 모형 및 사례 분석

일반포털의 모형은 민간 종합포털, 지식정보포털, 대학포털, 웹2.0 서비스 모델 등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야별 사이트 순위, 점유율 및 대표성, 인지도 등의 자료를 토대로 대표적인 사이트 및

서비스 사례를 선정하고 모형 개요 및 서비스 현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서비스 내용은 각 사

이트 접속 및 이용을 기본으로 하여 기술하였고, 민간포털의 사례분석의 경우, 한국데이터베이스

진흥센터(2006)와 위키백과(http://wikipedia.org/)를 참조하여 추가하였다.

가. 민간 종합포털

| 네이버(NAVER) http://www.naver.com |

● 개요

- 국내 대표 종합포털로 분야별 점유율 순위 1위. (분야별 점유율

42.00%. 랭키닷컴 2007.9.26 적용). 1일 3억 페이지뷰

- 네이버는 검색 기술을 바탕으로 현재에도 이를 전략적 요지로 활용

- 한국의 대표적 지식형 UCC ‘지식인’서비스. 키워드 검색 광고

- 검색, 뉴스, 블로그 서비스 고른 성장

- 월 검색 쿼리수는 3,084백만. 검색 쿼리 점유율은 69.8%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95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술로는 RIA와 AJAX, Web Client 확장 기술을 설명하였다. 서비스 제공방식의 변화와 이

에 따른 기술로 Open API와 웹서비스, REST 등을 중요하게 보았다. 마지막으로 디바이

스 변화에 따른 모바일 웹2.0을 차세대 웹 기술로 보았다. 모바일 웹2.0은 고속무선망 환

경, XML 기반의 콘텐츠, 표준기반의 개방형 환경, RFID 등과 연계한 유비쿼터스 브라우

징, 개방형 API와 모바일 웹서비스, AJAX와 같은 표준 기반의 고급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 제공 등을 특징으로 한다고 하였다.

94

● 민간 종합포털 사례

네이버 / 다음 / 네이트 / 구글 / 야후

● 지식정보 포털 사례

RISS / yesKISTI / 국가지식포털

● 대학 포털 사례

서울대학교 포털 / 숙명여자대학교 포털 / 포항공과대학교 포털

● 웹2.0 서비스 사례

위키백과(Wikipedia) / 플리커(flickr) / 유튜브(Youtube) /

딜리셔스(del.icio.us) / 라이브러리씽(LibraryThing)

Page 4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검색광고는 네이버 통합 검색창에 입력되는 쿼리(Query)에 노출되는 광고 형태인데 특정

검색어를 조회하는 이용자에게 노출되므로 적극적인 구매 의사를 지닌 정보이용자에게

효과가 크다. 배너광고는 오프라인 광고에 대비 저렴함과 온라인 매체의 미디어파워가 증

가되는 추세를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 전자상거래는 네이버의 쇼핑 채널에 입점한 업체들로부터 수수료를 수취하는 사업 분야이

다. 국내 전자상거래 사업체수와 거래금액은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인터넷이라는 가상공간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한 편리성, 유통단계의 축소 및 쇼

핑몰 업체 간의 경쟁으로 인한 저렴한 가격, 공동 구매 등 새로운 소비패턴의 확산에 기인

하며 향후 이러한 추세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 NHN은 정부 기관의 전문정보나 다양한 분야의 전문 기업, 협회 등과의 제휴를 통해 포털

사이트에 양질의 정보를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검색 서비스와 연결시키는 작업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2005년 2월 국정홍보처와 제휴하여 정부 보도자료, 정책 자료 검색 개시

를 시작으로 문화재청, 특허청, 외교통상부,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등과 같이 공공

기관의 DB 확보에 주력하고 있으며, 공신력 있는 DB를 확보하고 있는 모든 CP와의 제휴

를 시도하고 있다.

- 지식정보 확대를 위한 민간 협력의 사례로 국립중앙도서관과 네이버가 협력하여 대국민

지식정보서비스 확대 사업을 시작하였다. 이 사업을 통해 국립중앙도서관의 1950년 이전

연속간행물귀중본과 100년 전부터 1945년까지의 신문, 한국고전백선, 고문서, 학술지 등

원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20여 만 건의 다양한 지식정보자료를 국민에게 무료로 실시

간 서비스할 예정이다. 일반인들은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한 570만 장서에 대한 메타데

이터를 네이버 검색창을 통해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2006).

- 이러한 DB 제휴 이외에도 네이버는 2002년 10월 지식검색(지식인)을 도입하여 UCC를

활용한 대표 서비스를 선보였으며, 블로그와 카페에 이용자가 공개로 게시한 자료들을

DB로 구축하여 검색 결과에 보여주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 ‘네이버 지식iN 서비스’

네이버를 현재의 위치에 서게 한 서비스로 지식 교환 서비스이다. 네이버는 이 서비스를

검색과 연결시키면서 급격한 성장을 거두어 왔다. 해외에서도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서비스이지만, 자료의 양이 늘어날수록 오히려 정보의 질이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도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97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 네이버의 서비스 카테고리는 검색, 사전, 책?전문지식, 지식iN, 뉴스, 금융, 지식쇼핑, 이

야기, 취미?오락, 생활?여성, 모바일, 도구, 내PC, 쥬니버로 구성

- 네이버가 현재 서비스하고 있는 주요 서비스로는 검색, 지식iN(지식 묻고 답하기). 메일,

카페, 블로그, 쇼핑, 뉴스, 사전, 책, 전문자료, 게임 등이 있으며, 툴바, 네이버폰, 데스크

톱 등의 PC 및 모바일 기반 서비스와 어린이 대상 포털 서비스 ‘쥬니버’운영

● 서비스 현황

- 네이버는 ‘이웃(neighbor)’와 ‘네비게이터(Navigator)’의 영어단어에서 딴 이름으로 하루

방문자수는 1700만 명에 달하며 1억1천만 개의 키워드를 찾고 있는 국내 대표 종합포털 1

위 서비스이다. 네이버에선 ‘지식iN’을 통해 하루 평균 4만4천개의 질문을 올려지고 11만

개의 답변이 생성된다. 이들 답변은 한 줄짜리로 된 것부터 주석이 달린 대학의 리포트까

지 망라된다. 네이버에는 하루 평균 블로그 65만, 카페 55만, 지식iN 7만, 동영상 2만 건

생성된다.

- NHN은 검색 포털 ‘네이버(www.naver.com)’와 국내 인터넷 게임 포털 ‘한게임

(www.hangame.com)’을 운영하고 있는 인터넷 전문 기업이다. NHN은 검색과 게임을

양 축으로 혁신적이고 편리한 온라인 서비스를 꾸준히 선보이며 각종 인터넷 서비스 지

표 조사에서 확고한 선두 지위를 확보하였다. 또한 NHN은 핵심 서비스인 검색과 게임분

야에서 검색광고, 게임 유료 서비스 등의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발굴하고 이를 성공적으

로 시장에 선보이고 있으며, 이밖에도 일본과 중국에서 탄탄한 비즈니스 기반을 확보하

고 미국에도 법인을 설립함으로써 해외 시장 진출에 있어서도 선구적인 역할을 하고 있

다.

- NHN은 2006년 6월 검색 전문 기업 첫눈을 인수·합병하였다. 첫눈은 전체 직원의 65%

가 검색 분야에 풍부한 경력을 가진 우수 개발 인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수한 검색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이다. NHN의 이러한 인수·합병은 검색 분야의 개발 역량을

보다 향상시킴으로써 해외 검색 시장 진출에 대비한 경쟁력 확보 전략인 것으로 풀이된

다.

- 네이버에서의 사업 분야는 검색 사업, 광고 사업, 전자상거래 분야로 나눌 수 있다. 단, 여

기에서의 검색 사업은 검색광고 사업을 의미하며, 이는 네이버의 중점 분야로 별도로 분

리하고 있다. 따라서 광고 사업은 배너광고 사업을 지칭한다.

96

Page 5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다음커뮤니케이션은 1997년 국내 최초 웹메일 서비스 ‘한메일넷’을 오픈하여 많은 가입자

를 확보하였다. 이 후 1999년에 온라인 포털서비스 ‘다음’(www.daum.net)으로 새 단장

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재는 뉴스서비스를 운영하는 미디어 본부, 카페/플래닛 등

의 서비스를 관장하는 커뮤니티 본부, 보험 관련 사업을 관장하는 파이낸스 본부, 해외 부

문을 담당하는 글로벌 본부로 나뉘어 다양한 분야의 인터넷 비즈니스를 선도하고 있다.

초기 기반 서비스인 메일과 카페는 물론, 인터넷의 맥이 되는 검색 서비스, 미디어 서비스

에서부터 TV포털, 모바일 등의 차세대 플랫폼까지, 다음은 이용자들의 e-라이프 접점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2003년에 검색광고를 시작한 이후 현재 구글과 오버추어

와 전략적 제휴를 맺는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검색광고 분야 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

다.

- 다음커뮤니케이션의 주력 서비스는 이메일과 카페이지만, 최근에는 검색 서비스의 수익

모델을 강화하여 이에 대한 서비스 확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다음커뮤니케이션은 판도

라 TV, 엠군 등 동영상 검색 서비스, 교보문고의 도서 본문 검색 서비스, 금융감독원 및

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원형백과사전 검색 서비스 등과 같이 여러 공공기관, 전문기업들

과 제휴하여 신규 서비스를 개발하고 기존 서비스를 보완하고 있다.

- 다음의 주요 전략은 카페와 게시판에 게시된 수많은 UCC를 활용하는 것이다. 다음커뮤니

케이션은 2005년 5월 네이버의 지식인에 대응되는 카페 연계 질의응답(Q&A) 검색 서비

스인 ‘신지식서비스’를 개시하였고, 같은 해 10월에는 600만개 카페에 있는 25억 개 카페

DB의 검색 DB화를 목표로 카페 글 검색 서비스를 새롭게 시작하였다. 그리고 2006년 들

어서서는 UCC와 전문정보를 결합하여 활용하고 제공되는 모든 정보의 수준을 높이기 위

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2006년 8월에 서비스를 시작한 게시판 검색은 아고라, 텔존, 세계N, 월드컵, 미즈넷과 같

이 다음 서비스 곳곳의 게시판에 산재해 있는 UCC 게시물뿐만 아니라, 디시인사이드,

DVD 프라임, 사커월드, 마이클럽 등 전문기업의 다양한 외부 사이트의 게시물까지 검색

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검색의 활용도와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 2006년 9월에는 온라인 쇼핑검색 서비스인 ‘쇼핑하우’를 시작하여 상품 정보와 이용자들

의 평가까지 결합한 본격적인 쇼핑 검색 플랫폼의 기반을 갖추게 되었다. 이와 같이 다음

커뮤니케이션은 자사 인기 서비스인 카페와 게시판을 수익화의 원천으로 만들려고 노력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99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받는다.

- ‘네이버 블링크 서비스’

블로그의 링크 서비스로 수많은 블로그를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글을 쉽게 찾을 수 있

게 해 준다. 네이버 블로그를 사용하는 경우 클릭 몇 번으로 간단하게 연결시킬 수 있고,

네이버 이외의 블로그의 경우 트랙백을 활용하여 블링크의 주제와 자신의 블로그 포스트

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용자 참여로 이루어지는 블로그 디렉토리 서비스이다.

- 2006년 3월 27일에 네이버의 공개API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네이버의 공개API는 1)

지식검색 결과 서비스: 지식인 검색, 블로그검색, 전문자료검색, 한국웹문서검색, 책검색,

쇼핑검색, 책검색, 쇼핑검색, 국어사전검색, 영어사전검색, 일어사전검색 2) 검색관련기

능: 실시간검색어, 추천검색어, 성인검색어판별, 오타변환, 바로가기 3) 서비스API: 네이

버 지도 API, 지식스폰서API 등이다. 네이버의 공개API를 이용하면 네이버의 주요서비

스를 손쉽게 구현할수있다. 보다자세한정보는네이버의공개API(http://openapi.naver.

com/) 사이트에서 얻을 수 있다.

| 다음(DAUM) http://www.daum.net |

● 개요

- 국내 종합포털 2위(분야별 점유율 21.74%. 랭키닷컴 2007/9/26 적용)

- 카페와 메일 서비스 성장

- 최근 UCC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에 주력

- 방문자의 84.0%인 1천694만 명이 로그인 후 서핑

- 월 검색 쿼리수 736백만 쿼리로, 검색 쿼리 점유율 16.7%

- 다음의 서비스 카테고리는 뉴스, 만남, 쇼핑, 폰세상, 검색, 지역, 금융, 미즈넷, 교육, 생

활, 엔터테인먼트, 게임, My, 베타로 구성

- 다음이 현재 제공하고 있는 주요 서비스로는 메일, 카페, 블로그, TV팟(동영상 UCC), 검

색, 뉴스, 쇼핑, 금융, 게임, 교육, 생활, My 등의 서비스 운영. 멀티킷, 위젯바, 툴바,

OpenAPI 등이 베타서비스로 운영

● 서비스 현황

98

Page 5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션즈는 다른 포털 서비스 기업과 달리 SK텔레콤과 서비스 연계를 통한 무선 연동 사업을

하고 있다. 이것은 SK커뮤니케이션즈 전체 서비스의 이용자수를 늘리는 데 결정적인 역

할을 하고 있다. 이 밖에는 다른 포털 서비스 기업과 마찬가지로 광고 사업과 콘텐츠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 ‘네이트닷컴’이 방문자수 기준으로 포털사이트의 종합 3위를 차지하게 된 데에는 포털사이

트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특징적으로 유무선 연동 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는 점이 크게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즉, ‘네이트닷컴’에는 SK커뮤니케이션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싸이월드’나 ‘네이트온’ 등 다른 서비스 사이트와 연결되는 메뉴가 있다. 이것은 ‘네이트닷

컴’이 급성장하게 한 주요 동인으로 볼 수 있는데 특히 커뮤니티 사이트 ‘싸이월드’와 국내

메신저 시장의 1위를 지키고 있는 ‘네이트온’과의 연계 서비스는‘네이트닷컴’의 가입자 확

보에 큰 보탬이 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네이트닷컴’의 정보서비스 현황은 단순한 DB 제

휴를 통한 측면에서 살펴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네이트닷컴’이 여느 포털사이트와

는 달리 포털사이트로서 정보 검색이나 제공의 기능이 고유하게 정립되어 있지 못하기 때

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네이트닷컴’이 검색 포털에서는 이용률이 낮다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 ‘네이트닷컴’의 정보서비스에 대해서는 향후 서비스 방향으로 살펴보면, 먼저 2006년 9월

에 오픈한 ‘써치플러스’는 웹2.0의 환경을 반영한 검색엔진으로 네이트닷컴의 포털사이트

로서의 기능을 갖추기 위한 첫 단계라고 볼 수 있다. 써치플러스의 가장 큰 특징은 집단

지성을 활용해 보다 정확한 검색 결과를 찾아 준다는 점인데, 이용자가 단순히 검색 결과

를 받아들이는 기존 검색과 달리, 탐색과정을 통해 이용자가 검색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용법은 특정 검색 결과에 대해 이용자가 유용한 정보라고 판단하면 ‘플러스’ 버튼

을 누르면 된다. 이렇게 ‘플러스’가 많이 된 정보는 다른 검색 결과보다 상위에 노출된다.

또한 검색 결과는 ‘큐브’라는 개인 공간에서 언제든지 다시 확인할 수 있고, 개개인의 공개

된 ‘큐브’를 통해 비슷한 키워드를 검색한 사람이 찾은 다른 자료도 함께 찾아볼 수 있어

단답형 검색이 아니라 보다 깊이 있는 정보를 찾고 교류하는데 도움이 된다. 네이트닷컴

의 이러한 시도는 무엇보다도 싸이월드를 통해 누적된 개별 UCC와 연계시켜 정보서비스

를 확충하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최근 ‘엠파스’와 ‘코난테크놀로지’의 지분을 인수

하여 향후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정보서비스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

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01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이트 내에 누적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유용한 검색 정보

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다음의 정보서비스 전략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 네이트(NATE) http://www.nate.com |

● 개요

- 국내 종합포털 3위(분야별 점유율 21.05%. 랭키닷컴 2007/9/26 적용)

- 네이트는 06년 10월에 SK컴즈와 엠파스 인수합병

- 미니홈피 서비스 기반의 ‘싸이월드(http://www.cyworld.com)’는 한국의 대표적인 Social

Networking Service

- 순방문자 지속적 증가

- 싸이월드와 엠파스 검색서비스 통합

- 네이트닷컴의 서비스 카테고리는 검색, 뉴스, 커뮤니티, 쇼핑, 오락, 생활, 여성, 금융, 폰

월드, 개인관리로 구성.

- 네이트닷컴의 주요서비스는 UCC(통, 톡톡, 판, 클럽), 엔터테인먼트(씨즐, 검색, 만화,

VOD), 모바일, 뉴스, 쇼핑 등이며, 네이트온, 싸이월드, T WORLD 등과도 연계

● 서비스 현황

- 상대적으로 후발주자인 ‘네이트’는 ‘싸이월드’의 커뮤니티나 ‘네이트온’ 메신저 연계 전략의

성공으로 이용자를 확보하여 이용자의 사회적 관계망과 관련한 서비스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2006년 엠파스를 인수하면서 검색 서비스를 새롭게 확충하려고 하고 있다.

- SK커뮤니케이션즈는 1인 미디어 서비스인 ‘싸이월드 (www.cyworld.com)’, 포털사이트

‘네이트닷컴(www.nate.com)’, 메신저 서비스 ‘네이트온(nateon.nate.com)’, 정보 유통

블로그 ‘통(www.tong.co.kr)’, 교육전문 서비스 ‘이투스(www.etoos.com)’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중 네이트닷컴은 최근 포털 순위 3위권 내에 진입하며 포털

시장의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높은 검색 경쟁력을 가진 엠파스

와 검색 기술 전문 업체 코난 테크놀로지를 인수하여 검색부문 강화 계획을 발표하였다.

- ‘싸이월드’는 범국민적 커뮤니티 사이트로 SK커뮤니케이션즈의 가장 중요한 수익 창출원

이다. 여기에는 B2C 형태의 아이템 비즈니스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SK커뮤니케이

100

Page 5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구글엔 광고 배너가 없고, 대신 검색어에 따라 상단과 오른쪽에 관련된 광고를 문자 형태

로 보여주는 애드워즈(AdWords)라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구글의 첫 화면을

이용자의 입맛에 맞춰 바꿀 수 있는 iGoogle 서비스도 있다.

- 2004년 8월에 상장된 구글은 상장 1년 만에 미국 내 20대 기업에 든 최초의 기업, 상장 1

년 만에 시가총액 천억 달러(약 100조원)를 달성한 최초의 기업이라는 놀라운 기록으로

이전의 각종 기록을 갱신했다. 2006년 3분기만 하더라도 총수입 약 2조 5천억 원에 달하

는데 이는 전년도 대비 70% 증가한 수치로 수입이 계속 가파른 성장세에 있음을 보여준

다. 3분기 영업이익은 약 9천억 원 선이고 순이익은 7천억 원 정도 된다. 여유자금도 약

5억 달러로 야후의 2배에 달한다. 주가는 한동안 500달러를 넘었으며 시가총액은 150조

원을 넘나든다.

- Hitwise의 2006년 12월 자료에 의하면 구글의 북미 검색 시장 점유율은 12월에 62.79%

로 계속 증가추세다. 구글의 시가총액은 전통적인 기업으로 유명한 제너럴 모터스(GM)

의 9배에 달하는 금액이다. 고용효과도 크다. 구글의 직원 수는 2006년 6월의 7,942명에

서 3개월만인 9월에는 9,378명으로 약 1400명 정도가 늘었다. 빠른 성장의 IT기업만이

보여줄 수 있는 고용효과다. 네이버를 운영하는 한국의 NHN 역시 2007년 1월부터 수

백 명 규모의 직원 채용 공고를 낸 상태다.

- 구글은 대표적인 웹2.0 기업이지만 구글이 인수한 기업의 상당수도 대부분 웹2.0 기업이

다. 세계 최대 블로그 사이트인 블로거닷컴을 운영하는 파이라랩스를 비롯해 지니어스랩

스, 피카사, 닷지볼, Upstartle, Neven Vision, YouTube, JotSpot 등이 구글에 인수되

었다. 대부분 웹2.0 기업으로 분류되는 기업과 사이트들이다. 특히 유튜브는 회사 설립 1

년 반만에 16억 5천만 달러라는 천문학적인 금액으로 인수되었는데, 유튜브가 독자적으

로 상장할 때 들어가는 시간과 투자액을 고려해보면 상장의 길보다 훨씬 빠르게 성장한

셈이다. 이처럼 상당수의 웹2.0 기업이 상장 전에 인수되는 이유는 IT기업의 특성 상 상

장에 들어가는 시간보다 인수가 더 빠른 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 구글은 2003년에 ‘Blogger.com’을 운영하는 'Pyra Labs’를 인수한 이래로 2004년에 이

미지 관리 도구인 Picasa, 2004년에 디지털 위성지도 업체인 Keyhole, 2005년에 모바

일 소셜 네트워킹 업체인 DodgeBall, 2006년에 YouTube 등을 인수하였다.

- 구글이 현재 서비스하고 있는 주요 서비스 모형은 다음과 같다.

① 일반 검색 서비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03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 구글(Google)http://www.google.com |

● 개요

- Web2.0의 표준기업으로 인식

- 美 검색시장 62.79% 점유(2006년 12월 현재)

- 시가총액 1,494달러로 IBM에 필적(2006년 12월 현재)

- ‘YouTube’를 인수

- 각종 ‘Open API’를 선도

- 구글의 서비스 카테고리는 크게 검색, 커뮤니케이션 및 공유, 모바일 서비스로 구성. 검

색은 노트, 대학검색, 데스크톱검색, 디렉토리, 블로그검색, 알리미, 웹검색, 이미지검색,

툴바 등이며, 커뮤니케이션 및 공유 서비스로는 블로그(Blogger), 메일(Gmail), 사진

(Picasa), 그룹스, 리더(RSS), 번역, 오피스, 토크, 캘린더 등으로 구성

- 구글이 현재 제공하고 있는 주요 서비스로는 검색(웹문서, 이미지, 뉴스, 그룹스), 개인화

홈(iGoogle), 위성지도, 사진, 리더 서비스 등

● 서비스 현황

- 구글(Google)은 인터넷 검색 엔진의 하나로, 1998년 래리 페이지(Larry Page)와 세르게

이 브린(Sergey Brin)이 처음 만들었다. ‘구글’이라는 이름은 10의 100제곱을 가리키는

숫자인 구골(Googol)이란 단어를 잘못 표기한 것에서 착안한 것이다. 2000년 넷스케이

프의 오픈 디렉터리 프로젝트를 인수했고, 2002년에는 자동화된 구글 뉴스 서비스와 가

격 비교 프루글 서비스를 시작했다. 그 후 2004년 G메일, 피카사와 데스크톱 검색 서비스

를시작했으며나스닥에상장했다.이 회사의 사훈은 ‘악해지지 말자(Don’t Be Evil)’이다.

- 구글 검색의 특징 중 하나는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의 링크를 분석하여 많이 연결된 페이

지를 더 좋은 문서로 판단하는 것인데 이것을 페이지랭크(PageRank)라고 한다.

- 현재 구글은 전 세계적으로 ‘야후!’와 함께 인기 있는 검색 엔진이다. 구글은 PDF, 포스트

스크립트, MS Word문서들에 대한 검색도 가능하다. 웹 문서 검색 외에 구글 이미지 검

색, Google 뉴스 한국, 구글 뉴스그룹, 구글 웹 디렉토리, 구글 비디오 등의 주요 검색 서

비스가 있다. 또, 구글 맵(Google Map)과 구글 어스(Google Earth) 두 가지 방식으로 전

세계의 지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102

Page 5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서비스 현황

- 야후는 1994년 4월, 스탠포드 대학교 전기공학 박사과정에 있던 제리 양(Jerry Yang)과

데이비드 파일로(David Filo)가 박사논문 작성에 필요한 사이트의 목록을 찾아보기 쉽게

디렉토리로 분류해 웹사이트 목록을 만들면서 시작되었다.

- 1996년 Yahoo 출범한 뒤, 1996년 4월 나스닥(NASDAQ)에 상장되었고, 1998년 9월 16

일 야후는 나스닥 지수를 산정하는 100대 기업에 선정되었다.

- 높은 성장세를 구가하던 야후는 2001년 이후 주춤하기 시작했다. 경쟁사인 아메리카온라

인(AOL)이 잡지, 영화 스튜디오, 출판업 인수 등으로 비즈니스 외연을 확대하는 동안 야

후는 이러한 움직임을 거부했다. 동시에 기존 서비스 개선 노력도 등한시하는 실수를 저

질렀다. 이러한 야후의 오류에 더해 치명타를 입힌 것은 구글이었다. 야후보다 8년 늦게

나스닥에 입성한 구글은 독보적인 검색기술을 앞세워 검색시장에서 야후를 압도했다.

2005년 초 3%에 불과하던 야후와 구글의 검색시장 점유율 격차는 현재 20% 이상의 격

차를 보이고 있다.

- 구글과의 경쟁이 본격적으로 불붙기 시작한 2004년부터 야후는 다양한 성격의 인터넷

기업 20여 개를 인수 합병했다. 특히 야후는 사진 공유 사이트인 플리커(Flickr), 사용자

가 속한 지역사회의 행사 일정을 알려주고 자신의 일정을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는 사

이트인 업커밍(Upcoming), 즐겨찾기 공유 사이트인 델리셔스(del.icio.us) 등 웹 2.0 신

생 사이트를 집중적으로 인수했다. 이러한 적극적인 인수 전략은 ‘웹 2.0 시대의 허브 미

디어’를 꿈꾸는 야후의 의지가 있다. 사진·동영상 등 UCC의 생산 및 공유에서부터 웹상에

서의 관계 맺기에 이르는 네티즌들의 모든 활동이 야후라는 거대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야후의 목표이다.

- 현재 야후가 제공하고 있는 제품과 서비스는 크게 ① 검색(Search) ② 온라인 장터

(Marketplace) ③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④ 통신, 커뮤니티 및 프런트 도어 ⑤ 생활관련

(Connected Life) 사업부문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 ① 검색(Search) 부문 : 컴퓨터나 모바일을 통해 인터넷상의 광범위하고 연관성 높은 정

보 검색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 각 쿼리별로 체계적으로 분류 되어 있어 관련 정보를

얻고자 할 경우 상당히 효과적이다. 검색은 웹 검색은 물론 지식, 이미지, 뉴스, 지역정보

검색까지 정보 검색 영역을 점차 확대해 가고 있으며, 또한 더욱 풍부하고 재미있는 멀티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05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② G메일: 기가급의 용량을 제공하는 메일 서비스(2007.현재 2.8G 이상)

③ 구글 어쓰(Google Earth): 지구촌의 인공위성 사진 제공 서비스

④ 피카사(Picasa): 사진 편집 및 관리 툴

⑤ 프루글(Froogle): 전자상거래 검색 서비스

⑥ 구글 블로그(Google Blog): 블로그 서비스

⑦ 오컷(Orkut): 적극적이고 활발한 친목/교류를 위한 커뮤니티 서비스

⑧구글 그룹스(Google Groups): 웹기반 유즈넷 사이트, 네트워킹과 커뮤니티, 그리고

Q&A를 동시에 해결

⑨ 구글북스(Google Books,구print): 스캔된각종도서를검색어를통해찾아e-book 제공

⑩ 구글 스칼라(Google Scholar): 학위논문 전문검색 서비스

- 구글은 2007년 11월 2일 웹상의 소셜 네트워킹을 연결해 줄 수 있는 공동 API인 ‘오픈소

셜(OpenSocial)’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오픈 소셜(OpenSocial)’은 웹사이트 개발자들

이소셜네트워킹서비스(이하SNS) 기능을손쉽게추가할수있도록도와주는공동API다.

| 야후(Yahoo!)http://www.yahoo.com |

● 개요

- 야후!(Yahoo!)는 미국의 인터넷 서비스 업체로, 디렉토리, 전자우편, 개인 홈페이지를 비

롯한 서비스들이 통합된 포털 사이트를 운영

- 야후!의 전신인 디렉토리 사이트는 1994년 1월에 스탠포드 대학교 출신의 제리 양과 데

이비드 파일로가 시작. 회사는 1995년 3월 2일에 설립

- 알렉사 인터넷(www.alexa.com) 등의 업체들에 따르면, 야후!는 오늘날 전 세계에 13억

순방문자 보유하는 등 세계에서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웹사이트로 야후! 전체 네트워

크의 하루 평균 페이지뷰는 3.410억 페이지임(2007년 10월 현재)

- 야후!는 검색서비스를 중심으로 뉴스, 커뮤니티, 엔터테인먼트, 전자상거래, 모바일, 게

임, 영화 등 60여 개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 많은 기업들에게는 효율적인 온라인 마케팅 채널을 서비스 제공

- 야후! 검색 서비스는 이미지 검색과 비디오, 플리커(Flickr)를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 부문

까지 그 영역을 확장

104

Page 5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다. 이 서비스는 각 모바일 서비스 제공업체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하여 다양한 야후의 서

비스를 사용자들의 모바일을 통하여 제공하고 있다. 또한 야후는 광대역 TV와 음악 서비

스를 제공하는 MobiTV와 모바일 웹브라우저 제작업체인 오페라(Opera), 휴대폰 광고

업체인 Go2 등과의 협찬을 통해 이 같은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대표적인 서비스 제품으

로는 야후! 모바일, 야후! 광대역(Broadband), 야후! 디지털홈(Digital Home), 야후! PC

데스크 탑이 있다(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2007 참조).

나. 지식정보 포털

| RISS (KERI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http://www.riss4u.net |

● 개요

- ‘98. 05. 01 국가 연구경쟁력 강화를 위한 학술정보서비스(RISS) 개통

- 교육인적자원부 출연기관인 KERIS(http://www.keris.or.kr/)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

정보서비스로 교육과 학술연구 정보를 조사, 수집, 제작 하고 효과적으로 유통 목적

- RISS의 서비스 카테고리는 통합검색(전국대학 소장자료, 일본대학 소장자료), 학술지논

문, 학위논문, 단행본, 학술지(전국 대학, 해외), 주제별 정보, 연구지원정보, 기관회원 서

비스(사서커뮤니티), 내 정보(내 서재, 논문구매내역) 등의 서비스로 구성

● 서비스 현황

- 통합검색 서비스 운영하고 있으며, ① 국내 학회 및 대학부설연구소 발행 학술지 수록 논

문 103만 건 원문 접근, 해외 학술지 수록 논문 2,723만 건 검색 및 원문 구독기관 정보

확인 ② 국내 160여 개 대학 수여 석·박사 학위논문 57만여 건, 내국인의 해외 취득 박

사학위논문 2만 4천 건 원문 제공 ③ 국내 564개 대학/전문도서관이 소장한 단행본 및

비도서 자료(CD-ROM, 비디오 등) 790여만 건 검색 ④ 국내 3만 7천여 종과 해외 10만

여 종의 학술지 검색 및 권호별 소장정보 확인 ⑤ 일본 823개 도서관의 소장 자료 검색

및 99개 대학도서관 소장자료 문헌복사서비스 신청이 가능하다.

- 원문보기 및 원문 구매: 검색 결과 원문이 제공이 될 경우, “원문보기” 또는 “원문구매” 아

이콘이 생성. “원문보기” 아이콘이 생성된 자료는 원문을 무료로 다운로드 가능. “원문구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07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미디어 검색과 야후 내부의 쇼핑 제품, 블로그 검색 등은 사용자의 검색 라이프를 한 단

계 업그레이드시키고 있다. 일반검색(Search)은 ‘야후! 검색, 야후! 툴바와 야후! 모바일

검색’등이며, 지역검색(Local)은 ‘야후! 지역검색, 야후! 옐로우 페이지와 야후! 맵’을 제공

하도 있다.

- ② 온라인 장터(Marketplace) 부문 : 마켓플레이스는 사용자들이 인터넷상에서 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출발점이며, 무료로 서비스되고 있다. 사용자들이 온라인상에서 제품

을 찾고, 조사하고, 구매하는데 필요한 광범위한 검색 기능과 각 제품들을 비교할 수 있

는 툴을 제공하며, 그 외에도 부동산, 여행, 자동차 등의 제품 구매 및 거래에 필요한 포

괄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야후는 데이터 상대

검색 서비스인 야후! 퍼스널(personals)제공하는데, 자신의 프로파일을 게재할 수 있으

며, 야후! 퍼스널 커뮤니티 안에서 다른 사람들과 그들의 관심 분야에 관한 경험적 정보

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쇼핑(야후! 쇼핑, 야후! 옥션), 부동산(야후! 부동산), 여행(야후!

여행과 야후! 페어체이스), 자동차(야후! 오토스), 퍼스널(야후! 퍼스널, 야후! 퍼스널 프리

미어) 부문의 온라인장터가 제공되고 있다.

- ③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부문 : 야후는 사용자들에

게 무료로 다양한 형태의 이용 가능한 정보와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대

표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는 정보(뉴스, 금융, 음식, 기술, 건강 관련 정보), 엔터테인먼

트(스포츠, 음악, 영화, TV, 게임), 어린이를 위한 야후! 키즈(Kids) 서비스 등이 제공되고

있다.

- ④ 통신, 커뮤니티 및 프론트 도어(Communication, Communities and Front Doors)

부문 : 야후는 일반 사용자들과 소규모 사업장에 폭 넓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관련

커뮤니티와 많은 온라인 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야후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대부분 무료로 제공되고 있으며, 몇몇 서비스는 사용료 또는 가입을 통해서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통신(메일과 음성 메신저 서비스), 커

뮤니티(야후! 커뮤니티와 야후! 포토), 프론트 도어(야후! 프론트 페이지, My Yahoo!) 등

이 있다.

- ⑤ 생활관련(Connected Life) 부문 : 야후의 생활관련 사업부문은 모바일 장치, TV와 데

스크 탑 PC 등과 같은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들이

야후의 통합된 콘텐츠와 커뮤니티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디자인된 서비스 형태이

106

Page 5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eBook전 주제 분야 전공서적 및 단행본 3만 5천여 권의 해외 전자책 원문(PDF/HTML)

을 무료로 제공한다.

- 주제별 정보서비스

8개 주제 분야 (인문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의약학, 예술/체육, 교육학)별로 해

외 전자정보(공개 해외 전자정보, 해외 eBook 서비스, 해외박사학위논문)와 국내 학술지

수록 논문 원문과 학위논문 원문 정보가 제공되며, 의약학 분야의 경우, 국내 최대 규모의

‘의학도서관협의회(MEDLIS: http://medlis.riss4u.net/)’와의 연계로 187개 의학 관련

도서관의 목록 정보 및 기사색인 정보가 제공된다.

- 연구지원 정보서비스

강의계획서및강의록, 국제기구정보자원서비스등다양한연구지원서비스를제공한다.

- ‘내 서재(기본책장)’, 다른 ‘책장’에서 서재 자료 검색 가능하며 책장 자료 리스트에서 장바

구니 담기나 선택, 삭제, 추가할 수 있다. 책장에 등록된 자료는 제목, 저자, 연도, 자료구

분, 다운로드, 초록, 목차, 메모 등 열람이 가능하다. 로그인을 한 후 생성되는 ‘내 서재’ 내

에는 책장보기, 관심 책장 보기, 책장 탐색기(주제 분류별 트리구조로 되어 있으며, 자료

건수 조회 가능), 추천책장, 인기책장 기능이 제공된다.

| yesKISTI (과학기술정보포털서비스) http://www.yeskisti.net |

● 개요

- 2004년 11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서비스를 시작하여 운영하고 있는 과

학기술정보포털서비스

- yesKISTI의 서비스 카테고리는 크게 정보검색, 과학기술레이더, 정보서비스, 지식공유

넷, 서브 사이트로 구성

- 정보검색(DB상세검색, 고급검색, 표준주제검색, 학술지검색), 과학기술레이더(분석리포

트 등) 서비스 제공

- 정보서비스로는 메일링서비스 원문서비스, 정보교육, 정보제공서비스 지원서비스, 이용

내역 조회 서비스 제공

- 지식공유넷으로 RSS, 블로그, 커뮤니티, Question 포인트(협력형 디지털정보서비스) 운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09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매” 아이콘이 생성된 자료는 소정의 이용료를 결재한 후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 문헌복사 및 대출신청 서비스

① 국내 문헌복사신청: 전국 480여 개 도서관 및 자료실이 참여하는 학술자료 공동 이용

서비스

- ② 국내 대출신청: 전국 190여 개 대학이 참여하는 도서(단행본) 대출서비스 ③ 해외 논

문구매대행신청: 국내 미소장인 해외학술자료 입수를 위한 서비스로 전 세계 발행 자료

의 90% 확보 ④ 일본대학 소장 자료 통합검색을 통해, 정보공유 협정에 참여한 99개 대

학도서관의 소장 자료 문헌복사 서비스 신청이 가능하다.

- 학술지 및 학술지 논문 원문 서비스

① 국내 학술지 논문 원문 서비스로 KERIS 및 민간업체가 보유한 국내 주요 학회 및 연

구소발행 학술지 103만 건의 원문 통합서비스를 운영하며, KERIS 자체구축 논문 원문

(무료, 45만 건) - 민간업체 구축 논문 원문 연계를 제공(유료, 58만 건)하고 있다.

② 전국 대학 소장 해외학술지 논문 전국 대학에서 소장한 해외학술지에 수록된 2,723만

건의 논문 검색 및 문헌복사 신청이 가능하다.

③ 해외 학술지 논문 원문서비스 학술연구에 핵심적인 해외 DB의 원문(full-text)을 제

공한다.

④ 해외학술지평가정보(Journal Citation Reports, JCR) 전 세계적으로 인용 빈도가 높

은 약 200여 주제 분야의 7,500여 종에 대한 학술지의 인용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분야 학술지의 상대적 중요성을 비교 평가한 정보를 제공한다.

- 학위논문 원문 서비스

① 국내 소장 학위논문: 원문 제공 국내 160여 개 대학에서 수여한 전 주제 분야 석·박사

학위논문 57만 건 및 내국인의 해외취득박사학위논문 2만 4천여 건을 무료로 제공한다.

② 해외 우수대학 박사학위논문 (DDOD): 전 주제 분야에 걸쳐 북미 상위권 대학의 최신

박사학위 논문 8만여 건의 원문(PDF)이 제공된다.

- 단행본 및 해외 e-book 서비스

① 전국대학 소장 단행본: 국내 560여개 대학/전문 도서관 소장 단행본 및 비도서 자료

(CD-ROM, 비디오 등) 검색하고, 검색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도서관 정보 확인 후 문

헌복사 신청이 가능하다.

② 해외 e-Book 서비스: OCLC(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netLibrary

108

Page 5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식 블로그, 국가지식포털 소개, 회원가입/정보, 마이페이지, 고객센터, 기타로 구성

● 서비스 현황

- 국가지식포털은 1999년부터 지식정보자원관리 사업에 의해 생성·축적된 국가지식정보

DB뿐만 아니라, 교육학술, 과학기술, 문화, 역사, 정보통신 등 9개 분야 1,000여 개 기관

이 생산하는 지식정보를 통합검색하여 제공함으로써 모든 기관과 국민이 국가지식정보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을 통해 구축된 결과물은 약 2억 5천만 건으로, 지식 DB를 보유한

908개 공공·민간기관과 공동으로 국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국가지식포털을

통해 일반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를 또한 주요 포털 사이트인 파란, 엠파스 등과의 연계

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월 평균 1,400만 명이 접속하여 공공지식정보를 이용하고 있다(한

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2006).

- 국가지식정보자원이란 국가지식정보자원은 우리나라 국가기관들이 보유하고 있는 자료

들을 온라인을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한 것을 말한다.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을

통해 국가적으로 보존 및 이용가치가 높은 지식정보자원을 DB로 구축하여 국민들이 언

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확충함으로써 국가경쟁력 향상 및 국민경

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국가지식포털 연계기관 현황을 살펴보면, 과학기술 232개, 교육학술 475개, 문화 205

개, 역사 14개, 정보통신 48개, 기타 76개 등 1,050개 기관 DB를 연계하고 있다.

- 국가지식포털 자료는 총류/지식일반, 철학/심리학/종교, 사회과학, 경영/경제학, 법학,

자연과학, 기술과학, 전자/정보통신공학/컴퓨터학, 의약학, 문화/예술, 어문학, 역사/지

리 등 12개 주제 분야로 나누어져 통합검색 및 디렉토리별 주제(분야)를 지정하여 검색할

수 있고, 매체 유형에 따라 검색도 가능하다.

- 주요지식제공기관은 국사편찬위원회(역사), 정보통신연구진흥원(정보통신), 한국교육학

술정보원(교육학술), 한국문화정보센터(문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학기술), 한국

건설기술연구원(건설기술), 산업연구원(산업경제), 해양수산부(해양수산), 법제처(법률),

국가전자도서관(도서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 국가지식포털에서는 1999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지식정보자원관리 사업에 의해 구축된

지식정보 메타데이터를 웹 2.0의 열린 검색 방식으로 공공기관, 민간기업, 협회, 연구소,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11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 서브 사이트로는 과학기술학회마을, NDSL, 한민족과학기술자네트워크, 나노넷, 부품 소

재 정보망, 고경력과학자, 과학기술동영상 등 운영

● 서비스 현황

- 이용자들은 ‘yesKISTI.net’을 통해 국내외 논문, 연구보고서, 특허 등과 같은 텍스트기반

의 정보와 세미나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 등 약 4,800만 건 이상의 과학기술DB

와 웹 문서, 커뮤니티, 블로그의 정보를 한 번에 통합검색 할 수 있다. 또한 과학기술레이

더에서는 해외과학기술동향, 과학향기, KISTI 발간물 등의 자료를 이용할 수 있고, 정보

서비스 메뉴에서는 KISTI가 제공하는 맞춤정보서비스, 원문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

를 이용할 수 있다.

- 정부출연연구소 중에서 최초로 XML기반의 개인화서비스인 과학기술RSS 서비스와 1인

미디어의 대표적인 매체인 블로그(blog)서비스를 도입하였으며, 커뮤니티 기능을 강화하

여 산학연 연구자들의 지식교류 장을 마련하였다.

- KISTI의 지식정보식별체계인 KOI(Knowledge Object Identifier)를 이용한 전자원문

의 통합, 전자원문 미리보기, 특허청 및 특허정보원과 협력한 국내외 특허정보의 전자원

문서비스 및 웹사이트 실시간 모니터링 체제 등을 개발하였다.

- yesKISTI.net은 최신 웹서비스 기술을 이용하여 국내 및 해외 과학기술 및 관련정보에

대한 검색에서 원문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One-click, Cross-reference Service

를 구현하였다. ( * Cross-reference service : DB간 참조 링킹 서비스(인물 - 논문 - 보고서 - 특허 등의 연계검색)와 논문 및 특허정보의

인용 및 피인용 정보 서비스를 의미한다.)

| 국가지식포털 http://www.knowledge.go.kr |

● 개요

- 국가지식포털은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을 통하여 각 기관별로 디지털화된 국가지식 자료

통합검색 서비스 제공

- 국가지식포털 연계기관 DB 현황은 2006년 12월 기준으로 과학기술(232개), 교육학술

(475개), 문화(205개), 역사(14개), 정보통신(48개), 기타(76개)로 등임

- 국가지식포털의 서비스 카테고리는 크게 통합검색, 국가지식포럼, 국가지식뱅크, 국가지

110

Page 5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서울대학교 포털의 시작은 포털이라는 말이 널리 사용되기 이전인 1998년에 종합행정 정

보화 사업을 통해 문을 연 ‘정보광장시스템’이었다. 정보광장시스템은 학내의 교직원과

학생들이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돕고, 행정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

는 종합정보시스템이며, 주요 서비스로는 전자우편, 게시판, CUG 등의 개인관련 서비스

와 전자결재, 문서관리 등의 업무관련 서비스가 있었다.

- 2003년 11월, 정보광장은 ‘정보화포털(IT4U)’로 개편되었다. 정보화포털은 한 번의 로그

인으로 학내 주요 정보화서비스에 별도의 인증절차 없이 접근이 가능한 ‘단일로그인

(Single Sign On)’방식을 채용하고, 학사행정의 웹 서비스를 확대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 정보화서비스 위주로 구성된 정보화포털은 학내 모든 정보의 관문으로서는 부족한 점이

있었기 때문에 2007년 2월, 포털의 개편 작업에 착수하게 되었다. 2007. 6. 15. ~ 25의

기간 동안, 서울대학교 포털에 친근감을 주고 정체성을 부여하는 서비스명을 공모하여

‘my SNU’를 서울대학교 포털의 새 이름으로 선정했다.

- 서울대학교 포털에는 교수 또는 교직원인 이용자, 재학생, 졸업생, 퇴직자가 로그인한다.

교수와 교직원은 메신저를 사용할 수 있다. 메신저는 최초 로그인시 자동설치하거나 나

중에 수동으로 설치한다.

- 서울대학교 포털의 메뉴는 메인메뉴, 링크메뉴, 서비스메뉴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주 사

용되며 업무 중요도가 높은 서비스로는 웹메일, 학사행정, 게시판, eTL, 스누존, 인터넷

서비스 등이 있다.

- 서울대학교 포털의 이용자는 교사, 직원, 재학생 등의 그룹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로그인

한 이용자는 자신이 속한 그룹에 할당된 메뉴만을 볼 수 있다. 이용자가 직원인지 학생인

지에 따라 로그인 후 보이는 메뉴의 종류와 수가 달라진다.

- 개인 요약정보 포틀릿은 교원, 직원, 재학생, 졸업생, 퇴직자로 구성이 달라진다. 교원 포

틀릿의 구성은 메일(새로운 메일 건수, 메일 읽기와 쓰기 링크), 대출(대출건수), 결재/공

람/수신(전자결재의 결재·공람·수신 건수), 블로그(새 글 건수), 지식(지식카페 링크,

전문지식 등록하기 링크), 커뮤니티(커뮤니티 링크, 커뮤니티 목록보기 링크), 신청/처리

내역(계정관리시스템 내역, 캠퍼스망 이용 신청, 노트북 대여 현황), 메신저 수동설치, 비

밀번호 변경(비밀번호 페이지 링크) 등으로 구성된다.

- 재학생의 경우 메일, 성적조회/이수기준(성적내역조회, 이수내역조회 링크), 수강신청현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13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전문가 등에게 다양한 검색조건으로 제공하며, 검색결과를 XML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웹2.0의 OpenAPI를 국가지식포털에 적용하였다.

- 국가지식정보 OpenAPI를 통해 보다 편리하고 표준적인 지식정보의 검색(통합검색, 분

류검색, 상세검색 등의 다양한 방식) 및 재사용(XML형태의 검색결과 제공)이 될 수 있도

록 하였다. 국가지식정보 OpenAPI는 사용을 원하는 공공기관, 민간기업, 협회, 연구소,

전문가 등이 소정의 이용등록절차를 걸쳐 인증키를 부여 받은 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

다. 2006년 말 국가지식정보 식별활용서비스의 일환으로 개발되었으며, 관련기관 및 전

문가에 의해 지속적인 갱신을 통하여 국가지식정보의 이용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다. 대학 포털

| 서울대학교 포털 http://my.snu.ac.kr |

● 개요

- 서울대학교 포털‘마이스누(mySNU)’ http://my.snu.ac.kr/

- 서울대학교 포털 ‘마이스누’의 서비스 카테고리는 크게 학사서비스, 생활, 식장/매장, 시

설이용신청, 정보화서비스, 강좌, 도서관서비스, 교직원서비스, 유관사이트, 대외교류로

구성

- 서울대학교포털마이페이지는이용자가원하는대로구성할수있는개인화기능을제공

- 이용자 별로 포털에 로그인하여 자신의 마이페이지에 포틀릿을 추가하여 개인 홈을 구

성. 각 콘텐츠의 위치 변경,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며, 마이페이지를 로그인 후 초기화면

으로도 설정 가능

- mySNU의 메인 화면은 로그인을 하지 않고도 공지사항과 행사 안내, 대학신문 기사 등

을 볼 수 있도록 구성

- 학사일정, 행사일정을 개인 일정관리 프로그램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

- 서울대 도서관(http://library.snu.ac.kr/)은 대학의 연구지원기능을 강화하고 필요한

학술정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서비스 제공

● 서비스 현황

112

Page 5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등 바로 연결하며, 대학기구 링크 제공

- 로그인시 쪽지 및 메일 등 마이페이지 정보 제공

● 서비스 현황

- 숙명인(재학생, 교직원, 동문), 예비숙명인, 일반인으로 구분하여 대상별 타깃 서비스 운

영한다.

- 숙명안내, 입학정보(대학, 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의 홈페이지 링크), 대학기구

(대학기구 및 단과대학, 학과/전공 소개), 대학생활(학사, 문화복지, 학생서비스, 상담실,

복지/편의 등), 에듀EVER(숙명여자대학교 학위/비학위과정), Ubi숙명(유무선기반의 모

바일 환경을 구축하여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서비스로 모

바일ID, 학사행정, 범용결제, 맞춤정보, 무료통화(N-Zone) 서비스를 운영한다.

- 온라인 커뮤니티케이션(커뮤니티+커뮤니케이션) 서비스로 플라자, 클럽, e-강의실, 홈페

이지, e-민원센터, 통합검색 및 회원 찾기, 마이페이지 등의 서비스를 운영한다.

- IT서비스를 별도로 구성하여 인터넷&인트라넷, 모바일&정보통신, PC& 네트워크, 보안,

교직원전용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인화면에서는 각종 IT News 및 서비스 이용방

법을 신속 정확하게 제공한다.

- 숙명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http://lib.sookmyung.ac.kr/)은 2004년 통합형 전자도서

관 시스템 개발하였다. 통합검색, 단행본, 연속간행물, 학술지논문, 비도서, 고서, 지정도

서, 신착도서, 외부기관목록검색을 제공하며 전자정보로는 Databases, E-Journals,

E-Books, Multimedia, Websites 등을 제공한다. My Library 개인정보관리, 개인공지

사항, 대출&예약, 희망&추천도서, 지정도서, Alert 서비스, My Collection 서비스를 제

공한다.

● 개요

- 2003년 포항공과대학교 청암학술정보관 개관

- 전통적인 도서관 기능에 정보통신, 전산, 교육개발, 특수연구정보센터 및 멀티미디어 분

야 통합

- 청암학술정보관의 서비스 카테고리는 정보검색, 전자자료, 도서관서비스, 도서관 이용안

내, 게시판으로 구성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15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황(수강신청현황 링크), 대출(대출 건수, 연체료 링크), 블로그(블로그 링크, 블로그 새글

건수), 지식/등록하기(지식카페 링크, 전문지식 등록하기 링크), 커뮤니티(커뮤니티 링크,

커뮤니티 목록보기 링크), 신청/처리내역(계정관리시스템 내역, 캠퍼스망 이용 신청, 노

트북 대여 현황), 비밀번호 변경(비밀번호 페이지 링크)로 구성된다.

- 서울대학교 포털의 ‘마이페이지(My Page)’는 포털 이용자가 원하는 포틀릿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개인화된 페이지이다. 이용자는 마이페이지용 포틀릿들을 마이 페이

지에 추가, 배치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메인페이지가 포털 홈으로 설정되어 있다. 마이

페이지를 포털 홈으로 변경하고 싶은 경우 절차에 따라 기본페이지로 설정하면 마이페이

지가 홈으로 설정되고 포털에 로그인을 하면 메인 페이지 대신 마이페이지가 보이게 된

다.

- 도서관서비스로는 My Library, 도서관 교육 및 강의, 온라인결제 서비스, 컴퓨터 및 모

바일서비스, 타 기관 자료 이용, 연구지원 서비스 실시하고 있으며, 웹기반의 색인·초록

원문 데이터베이스와 전자저널, 마이크로자료 등 각종 형태의 자료 서비스 및 실시간 이

용통계(인기검색어, 대출/반납 현황, 주제별 대출현황, 대출 인기목록) 서비스 운영한다.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은 1995년 2월 21일부터 ‘학술정보시스템(SOLARS)’을 가동하여

도서관 소장목록을 각 학과 및 연구실에서도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고, 1997년 7월 7일

부터 중앙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하여 도서관 이용에 관한 모든 내용을 인터넷으로 제공하

고 있다. 2003년 5월 21일부터는 전자도서관시스템의 본격적 가동으로 인터넷을 통해

원문 자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2006년 5월 21일 유니코드기반 학술정보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 숙명여자대학교 http://www.sookmyung.ac.kr |

● 개요

- 숙명인(재학생, 교직원, 동문), 예비숙명인, 일반인으로 구분하여 대상별로 꼭 필요한 주

요서비스만을 한곳에 모아서 맞춤 서비스를 제공

- 무선기반의 모바일 환경을 구축하여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서비스로 모바일ID, 학사행정, 범용결제, 맞춤정보, 무료통화(N-Zone) 서비스 제공

- 주요서비스로는 웹메일, 인트라넷, 전자출결, U-제증명, UMS, 중앙도서관, 캠퍼스투어

114

Page 5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비스가 제공된다.

- RSS서비스 운영하고 있으며, 도서관블로그, 도서관툴바, 북마크릿(bookmarklet) 등 웹

2.0 기반의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다.

라. 웹2.0 서비스 사례

| 위키백과(Wikipedia) http://www.wikipedia.org |

● 개요

- 한국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

- 웹기반 지식 협업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백과사전

- 2001년 1월 15일에 시작된 위키백과는 비영리 단체인 위키미디어(Wikimedia

Foundation Inc.) 재단에서 운영

- 2007년 8월 현재 영어판 200만여 개, 한국어판 4만 2천여 개. 전 세계 840만여 개 이상

의 글이 수록

● 서비스 현황

- 위키백과(Wiki百科, 영어: Wikipedia 위키피디어)는 모두가 함께 만들어 가며 누구나 자

유롭게 쓸 수 있는 다국어판 인터넷 백과사전이다. 배타적인 저작권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2001년 1월 15일에 시작된 위키백과는 비영리 단체

인 위키미디어 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다. 2007년 8월 현재 영어판 200만여 개, 한국어판

4만 2천여 개를 비롯하여 모든 언어판을 합하면 840만여 개 이상의 글이 수록되어 있으

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 위키백과의 가장 큰 특징은 모두가 편집과 관리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으로, 인터넷을 통

해 누구나 글을 고칠 수 있는 체계인 위키로 만들어져 있다. 위키백과의 내용은 카피레프

트 저작권 가운데 하나인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아래 배포된다.

- 편집하는 이들에게 권장되는 위키백과의 정책 가운데 하나는 중립적 시각을 견지하는 것

이다. 이는 논란이 되는 주제가 있으면 그에 대한 중요한 시각들을 편향되지 않게 기술할

뿐 진리가 무엇인지 결정하려 들지 않는 것을 말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17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 RSS 서비스 운영. 도서관 블로그, 도서관툴바, 북마클릿 등 웹2.0 개념 적용

● 서비스 현황

- 포항공대 도서관은 1986년 12월 3일 도서관 개교와 함께 개관하여, 1994년부터 초대 총

장인 고 김호길 박사의 호를 딴 무은재 기념도서관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2003년까지 연

구 및 학습활동을 지원하여 왔다.

- 현재 운영 중인 21세기 미래형 첨단 도서관인 청암학술정보관은 2003년 4월 24일 연면

적 24,420㎡ (7,400평)의 지하 1층 지상 6층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 장서를 소

장하고 열람하는 전통적인 도서관 기능에 정보통신, 전산, 교육개발, 특수연구정보센터

및 멀티미디어 분야를 통합하는 다가오는 Digital Library 시대에 대비할 수 있는 도서

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 포항공대 도서관은 국내외 전문도서, 학술지, 교양지, 온라인 자료, 마이크로 자료 등을

수집하여 이용자에게 신속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문연구, 기술개발, 학습 및 교양활

동을 지원하고 있다. 2005년 3월 현재, 단행본 32만 여권, 연속간행물 약 3,500종, 전자

저널 7,000여종, 전자책 30,000여종, 학술데이터베이스 25종 및 멀티미디어자료 4,400

여종을 제공하고 있다. 또 온라인 정보검색서비스, 원문제공시스템을 통하여 최신 정보

획득과 연구 활동을 지원하며, 다양한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용자들이 스스

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 배양에 기여하고 있다.

- 포항공대 도서관은 변화하는 정보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Anytime &

Anywhere Access, Globalization, One Stop Research Service, Personalization,

Standardization을 지향하며, 이를 위하여 개교 이래 구축되어 온 PLASMA, LINNET

시대를 거쳐, 2005년 5월 Millennium System을 통합학술정보시스템으로 제공하고 있

다.

- 정보검색은 자관검색, 메타검색, 전자자료, 특별 선정자료, 강의 지정도서, 타기관 검색

을 제공하고 있으며, 전자자료는 전자저널, 데이터베이스, 전자책을 제공한다. 도서관서

비스로는 정보이용교육, 그룹 스터디룸 예약, 타 대학 열람신청, 주제별 리소스가이드, 자

료구입신청, 원문복사서비스, 학위논문 제출 서비스 제공. 도서관 이용안내에는 도서관

소개, 비주얼투어, 시설안내, 장서안내, 서비스 안내, 도서관 이용수칙, 찾아오시는 길이

포함하며, 게시판은 공지사항, 공개자료실, FAQ, 건의함, 분실물 안내, 학술정보 Q&A서

116

Page 6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플리커에서는 사진 제공자는 키워드 ‘태그’를 이용해서 사진들을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

다. 이것은 나중에 검색하려는 사람이 장소 이름이나 주제 같은 것을 가지고 검색하는 일

을 용이하게 해준다. 플리커에서는 이용자는 ‘가장 인기 있는 태그’로 태깅된 사진들을 빠

르게 접근할 수 있다. ‘이용자가 만든’ 태그를 지원하기 때문에, 플리커는 자체 분류법적

인 방식의 주요 사례로 일컬어지고 있다.

- 플리커에서는 이용자는 사진을 ‘집합들’을 가지고 정리할 수 있다. ‘집합들’이란 같은 표제

를 가진 사진들의 그룹을 말한다. 하지만, ‘집합들’은, 전통적인 폴더-방식의 파일 조직화

보다는 더 유연하다. 한 개의 사진은 한 집합에 속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집합에 속할 수

도 있으며, 어느 집합에도 속하지 않을 수도 있다. 플리커의 ‘집합들’은 물리적인 계층보

다는 분류된 메타데이터를 표현하고 있다. ‘집합들’은 ‘컬렉션들’로 모일 수 있다. 컬렉션

은 더 높은 계층의 컬렉션으로 모일 수 있다.

- 플리커는 수준 있고 종합적인 웹-서비스 API를 제공하고 있다. 웹 프로그래머들은, 이용

자가 플리커 웹사이트 상에서 할 수 있는 동작과 거의 마찬가지의 동작을 해 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할 수 있다.

| 유튜브(Youtube)http://www.youtube.com |

● 개요

- 대표적인 동영상 공유 사이트

- 1일 1억 개 이상 비디오 클립 조회

- 2006년 10월 구글이 16억 5천만 달러에 인수

- Web 상에서 제공되는 비디오(영상)의 등록/공유 서비스

- 업로드 편리. 무료

- 사이트의 1일 방문자수는 1000만 명. 1일 페이지뷰는 약 1억 PV. 1일 동안 3만 5000개

업로드

● 서비스 현황

- YouTube는, Web 상에서 제공되는 비디오(영상)의 등록/공유 서비스이다. 누구라도 자

유롭게 참가할 수 있고 이용료는 무료이다. 젊은이를 중심으로 인기가 높아지고 있으며,

사이트의 1일 방문자수는 1000만 명, 1일 페이지뷰는 약 1억 PV이다. YouTube는 현재 1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19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 위키백과의 개방된 성격 때문에 악의적인 편집, 즉 문서훼손이 일어날 수 있고 부정확한

내용이나 위키백과 다른 곳의 내용과 모순된 내용이 수록되거나 전체적으로 내용의 질이

고르지 못하게 되고 근거가 없는 의견이 수록될 수도 있기 때문에 참고 자료로서 위키백

과의 지위는 논란이 되어 왔다. 또 체계적 편파에 대한 비판과 신뢰할 만한 전문적인 시

각보다는 다수 의견이나 총의에 따른 시각을 선호한다는 비판도 있고 기존의 종이 백과

사전과 비교해서 책임성과 권위성이 부족하다는 시각도 있다.

- 미국 플로리다 주 탐파에 있는 위키미디어 서버위키백과는 자체적으로 제작한, 무료이자

오픈 소스로 배포되는 위키 소프트웨어인, PHP로 작성되고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이

용하는 미디어위키를 사용하며, 위키백과의 대부분 서버들은 리눅스를 사용한다. 미디어

위키는 GNU 자유 공중 사용 허가서로 배포되며 위키백과를 포함한 모든 위키미디어 재

단의 프로젝트에서 사용되고 있다. 원래 위키백과는 펄로 쓰여진 UseModWiki를 사용하

고 있었으나 2002년부터 자체적으로 위키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현재까지 그것이 이어져

사용되고 있다.

| 플리커(flickr)http://www.flickr.com |

● 개요

- 대표적인 온라인 사진 공유 커뮤니티 사이트

- 2005년 3월 야후(Yahoo!)가 3000만 달러에 인수

- 디지털 이미지를 갤러리 형태로 제공

- 태그로 검색, 이미지 업로드 및 공유

- 공개 API를 제공하여 Web 2.0 사이트들과 매시업을 구성하면서 다양한 사이트 생성

● 서비스 현황

- 플리커(Flickr)는 이용자들이 사진에 태그를 달아 비슷한 주제별로 쉽게 이미지를 저장,

분류, 검색, 공유할 수 있는 사진공유 서비스로, 웹 2.0 서비스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주

목 받고 있다. 현재 세계 각국 회원들의 참여를 통해 5억 2,500만 장의 사진이 업로드 되

었으며, 매일 평균 150만 장의 사진이 올라오는 등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온라인 커뮤니

티이다.

118

Page 6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YouTube와 같은 동영상 포털에서는 저작권 침해나 유해 동영상 문제 등이 주요한 이슈

가 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은 항의를 받아 YouTube에서 삭제하고 있지만, 업로드 영상

저작권문제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 딜리셔스(del.icio.us) http://del.icio.us |

● 개요

- 소셜 북마킹으로 유명한 웹사이트

- 2005년 야후가 인수

- 즐겨찾기를 저장하고, 다른 이용자들과 함께 공유하고, 다른 이용자들의 즐겨찾기를 볼

수 있음

- 태그를 사용해 즐겨찾기를 관리

● 서비스 현황

- 2003년 후반 조슈아 샤흐터(Joshua Schachter)에 의해 만들어졌다. 2005년 ‘야후!’가

인수하였다. ‘del.icio.us’에서는 카테고리를 만들어 관리하는 대신 자유롭게 태그를 사용

해 즐겨찾기를 관리할 수 있다. 모든 이용자들의 태그가 딸려있는 즐겨찾기를 같이 보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http://del.icio.us/tag/wiki/’에서는 최근에 저장된 ‘wiki’ 태

그가 붙여져 있는 즐겨찾기를 보여준다. 이처럼 서로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이용자들이

추가한 즐겨찾기를 보는 것이 가능하다.

- ‘del.icio.us’는 메인 페이지에 ‘핫리스트(hotlist)’와 ‘인기 있는(popular)’, 그리고 ‘최근에

추가된(recent)’ 페이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것들은 인터넷 문화와 트렌드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웹사이트는 간단한 HTML로 읽을 수 있으며 사람이 쉽게 이해하고 읽을 수 있는 URL로

이루어져 있다. 각 페이지마다 RSS 피드가 제공되며, 다른 개발자들이 비슷한 종류의 서

비스를 제작할 수 있도록 API가 공개되어 있다.

- ‘del.icio.us’를 사용하는 것은 무료이며, 이 사이트의 전체적인 소스 코드는 공개되어 있

지 않지만, 이용자의 데이터를 API를 통해 XML이나 JSON 포맷으로 받을 수 있다. 또

한 넷스케이프의 즐겨찾기 표준 포맷으로도 내보낼 수 있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21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일 동안 3만 5000개의 비디오가 업 로드되며, 1일 재생 회수는 4000만회 이상이다.

- 비디오사이트 방문자수의 랭킹에서는, MSN에 이어 2위, 벌써 Google이나 Yahoo!의 비

디오사이트 방문자수를 웃돌고 있다. Youtube는 일본인 이용자가 많은 것이 특이한데,

일본인 방문객은 1개월에 200만 명 이상이 방문하고 있고, 이용률은 미국인의 이용률보

다 높다고 한다.

- YouTube가 인기를 얻고 있는 요소 중 하나는, 업로드의 간편함이다. 물론 브로드밴드의

보급이라는 배경도 있고, 또 비디오카메라는 물론, 디지털카메라나 휴대 전화로도 간단

하게 비디오 촬영을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용자 환경에도 요인은 있다. 기기로 촬영한 영

상을 PC로 이동하고, Web 브라우저 경유로 파일을 업로드하면 된다. 블로그 서비스 등

을 이용할 때 사진을 업로드하는 것과 같은 요령이다. 각 비디오에는 타이틀이나 설명문,

태그, 카테고리라고 하는 콘텐츠에 관한 상세 정보를 기술할 수 있다.

- 업로드된 비디오에는 지금까지 몇 회 재생되었는지가 표시된다. 댓글 등도 등록할 수 있

어 다른 유저 반응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업로드되면 그 비디오의 URL과 HTML 태그

가 브라우저상의 텍스트·박스에 표시된다. 이것을 복사해 붙이면, 손쉽게 자신의 Web 사

이트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 현재 대응되는 영상 파일의 포맷은 AVI, MOV, MPG, 대부분의 카메라/휴대 전화의 영

상을 그대로 등록할 수 있다. 가장 보기 좋게 보여 지는 추천 포맷은 MPEG4이며 해상도

는 320°ø240이다. 업로드된 파일은 동사의 서버 시스템에 의해서, Flash 영상 포맷으로

자동 인코딩된다.

- 1개의 파일 용량은 100MB까지의 용량 제한은 있지만, 한 사람의 이용자가 등록할 수 있

는 비디오의 수에는 제한이 없어 장편의 비디오 등록이 필요한 경우 분할해서 등록하면

된다. 1편의 비디오 제한 시간은 10분 이내이다.

- 열람 환경은, 각 비디오를 카테고리별로 브라우징 할 수 있는 것 외에 인기 비디오의 페

이지 등도 제공 되며, 타이틀/태그/이용자명 등에 의한 검색 기능, 마음에 드는 비디오의

등록/열람, 좋아하는 투고자를 예약 구독 하는 기능, SNS의 커뮤니티를 닮은 그룹 기능

도 있다.

- YouTube는 누구라도 자유롭게 참가할 수 있는 영상 중심의 SNS로서 일상의 기록도 있

으며, 일로 사용하는 영상 자료도 있다. 정치 재료를 추구하는 개인 저널리스트의 리포트

나, 단편 영화 등 프로급의 비디오도 있다.

120

Page 6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으로 회비를 받는다. 대신 검색 히트를 활용한 ‘Amazon’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초기

운영비용을 조달하였으며, 2006년 처음으로 한명의 직원을 고용하게 될 만큼 성장하였

는데, 그 직원은 바로 도서관 목록 사서였다.

- 개별 이용자들은 자신의 장서 뿐 아니라 일부 비공개 장서를 제외한 모든 데이터베이스

를 주제/저자/서명 등을 통하여 검색이 가능하며, 검색 후엔 ‘Full MARC’데이터를 활용

하여 자신의 소장목록을 계속 유지 확장시킬 수 있다. MARC은 LibraryThing과 연결된

LC, Canadian National Catalogue, Yale University library 등 40여 개 이상의 연구

도서관 및 Amazon 등의 데이터를 내려 받아 활용한다. 더욱이 이 사이트의 장점은 이용

자들의 태깅 기능을 부각시켜, 기존의 분류 정보로 찾기 어려웠던 많은 자료를 쉽게 검색

및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2006년 4월에는 ‘추천’기능과 취향이 같은 서적 애호

가들의 서재를 그룹으로 묶어 그룹이 함께 정보를 별도로 공유할 수 있는 기능(2006년 7

월)도 추가되었다.

- 이 사이트의 장점은 무엇보다 이용자들의 입장에서는 정확하고 상세한 MARC 데이터를

이용한 개인 소장 관리, 비슷한 취향의 이용자들과의 정보 공유를 용이하게 하였다는 점

뿐 아니라, ‘Amazon’과 같은 대형 서적 유통망에는 서적 애호가들의 취향이나 트렌드를

분석한 마케팅 기법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다주었다는 데에 있다. 예를 들어

‘Harry Potter’와 같은 꼬마 마법사에 대한 장서를 가장 많이 보유한 개인은 총 9,000여

권이 넘는 Harry Potter 관련 개인 소장 자료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 경제학계의 거두

‘John Mayard Keynes’의 경우 저자에 대한 등급이 최하위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분

석은 향후 서적 유통망들에게는 수익과 연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가져다 줄 수 있게 되

는 것이다.

- ‘Amazon’은 이미 이러한 분석이 바로 ‘Long Tail’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근간이 된다고

여기고 일찍 투자를 시작하였다. 2006년 5월 ‘LibraryThing’은 ‘AbeBooks.com’과 파트

너십 제휴를 하였는데, 전국의 소형서점과 개인을 연결해주는 유통망을 가진 서적유통업

체인 ‘AbeBooks.com’측은 이 전략적 제휴에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제휴

를 통하여 서적 애호가들이라는 거대한 직접 소비자의 트렌드를 분석하여 보다 소비자들

의 요구에 부응하는 서적을 출판?유통시킬 수 있게 될 것으로 보며, ‘LibraryThing’은 출

판시장 및 도서관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23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 기본적으로 ‘del.icio.us’에 포스팅 되는 것은 모든 이에게 공개되지만, 이용자가 공개를

원하지 않는 경우 private 기능을 이용해 공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

해 추가된 즐겨찾기들은 오직 그 이용자에게만 'not shared'라는 글씨로 해당 즐겨찾기

는 공개되지 않았다는 것을 표시해준다.

- ‘del.icio.us’의 유사 사이트로는 ‘mar.gar.in’이나 ‘de.lirio.us’, ‘sa.bros.us’ 등이 대표적

인 예이다.

| 라이브러리씽(LibraryThing)http://www.librarything.com |

● 개요

- ‘Tim Spalding’에 의하여 개발되어 2005년8월에 서비스 시작

- 자신의 책을 온라인 책장에 등록하고 목록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

- 아마존과 연계하여 도서 정보를 링크

- 자신의 책장에 대한 공개여부 설정. 책에 대한 태그 생성. 댓글을 달 수 있으며 추천 및

평가 기능 포함하는 등 책 목록을 공유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 서비스 현황

- ‘LibraryThing’은 인터넷 상으로 서적애호가 및 수집가들이 개인장서 목록을 만들고 취

향이 같은 이용자들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목록을 통한 사회적 네트워킹을 추구하는

시스템이다.

- ‘Tim Spalding’에 의하여 개발되어 2005년 8월말에 오픈한 이 사이트는 1년 만에

73,000명의 개인 이용자와 그들이 가지고 있는 5.1백만 권의 소장 및 1.2백만 권의 서지

레코드를 보유하고 있는 하나의 거대한 온라인 공유 도서관이 되었다.

- ‘WSJ(The Wall Street Journal)’ 6월 26일자 기사에 의하면 ‘LibraryThing’은 미국에서

58번째로 큰 도서관이 되었다.

- 이용자들은 사이트에 등록한 후, 자신의 개인 장서를 목록화하고 자신의 Reading lists,

Wish lists 등을 등록하여 자신과 취향이 같은 이용자들과 책장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물론 철저히 비공개로 자신의 장서내역을 전혀 공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첫 200권까지

의 등록은 무료이며, 무한의 자료 확장을 원하는 이용자들에게는 연 단위 혹은 종신회원

122

Page 6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나. 일반 포털 성공과 실패 요인

포털 산업은 기술 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이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켜야 하는 산업이다.

따라서 변화를 선도하고, 이용자의 잠재된 요구를 충족시키는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지 못한다

면, 포화 상태의 경쟁시장인 포털 산업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2002년부터 2006년 9월까지 NHN, 다음커뮤니케이션, SK커뮤니케이션즈, 야후코리아,

KTH, 엠파스 등 6개 포털 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기업의 매출액 비중과 추이를 살펴보

면, 다음 [그림Ⅳ- 5]와 같다.

[그림Ⅳ- 5] 포털이용자정보탐색과정

( 출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및 기업별 공개 자료 활용.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포털서비스 시장 분석 보고서. 2006.12에

서 인용 )

코리안클릭(koreanclick.com)에 의해 인터넷 이용자 측정이 시작된 2000년 이래로, 인터넷

이용자 1위를 차지한 기업은 여러 차례 바뀌어 왔으며, 과거 1위 기업이었던 네띠앙의 경우 현재

는 이용자의 기억 속에 존재 유무조차 희미하게 남아있다. 야후 코리아를 추월한 후 4년 가까이

지속적으로 1위를 차지했던 Daum의 경우에도 2005년 2월에 UV기준으로 네이버에 선두를 허

용한 이래, 다시 1위의 지위를 되찾지 못하고 있다. 2007년 10월 현재 코리안클릭

(koreanclick.com)의 도메인별 웹사이트 순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25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3. 일반 포털 분석 종합 및 시사점

가. 일반 포털 사례 분석 종합

지금까지 민간 종합 포털, 지식정보 포털, 대학포털 및 대학도서관 포털, 웹2.0 서비스 모델 등

을 중심으로 대표적인 유형별 포털 모형 사례를 살펴본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포털 서비스의 중심은 이용자 개개인으로, 이용자들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것을 충족시

켜줄 수 있어야 한다. 기관이나 업체가 일방적으로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자 중

심적 서비스에서 탈피하여 이용자(User)를 서비스의 중심으로 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이용자의 잠재 수요 및 내재적 요구를 분석하고 다른 사이트와

는 차별화되는 구조 및 기능을 서비스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도록 해야 한다.

●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보다 쉽고, 편리하고,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검색서비스는 포털의 중심 서비스로서 중추적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내외 디

지털 자원에 대한 통합검색 및 열람서비스 제공이 필수적이며, 간편한 웹 기반 검색 인터

페이스 및 국내외 표준 준수를 고려해야 한다.

● 포털은 이용자들이 정보와 지식을 생산하고, 소통하고, 공유하는 개방형, 참여형 플랫폼

이어야 한다.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이용자들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고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 다양한 자원과 서비스를 중요도에 따라 구분하여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서비스 대상에 따

라 콘텐츠와 기능을 구성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 새로운 정보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새로운 정보기기 및 정보자원에 대한 적극적 도입

및 활용이 필요하며, 새로운 기술 및 서비스 방식에 대한 계속적 연구와 추진전략이 필요

하다.

124

100%

80%

60%

40%

20%

19.0%

57.2%

4.1%6.0%

10.3%

3.4%

38.9%

33.1%

4.6%

8.7%

8.6%

6.1%

27.9%

22.3%

6.6%

6.2%

7.5%

3.8%

23.2%

12.9%

7.1%

3.8%

0%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9월

40.9%

12.1%

17.1%

44.8%

9.4%

3.5%

8.2%

17.1%

2002년 다음커뮤니케이션 SK커뮤니케이션즈 야후코리아 KTH 엠파스

Page 6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화 전략’을 살펴보면, 차별화 전략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정리하고 있다.

●서비스 차별화는 경쟁사가 제공하지 못하는 독특함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

업이 차별화에 실패하는 이유는 독특함에 대한 그릇된 이해에서 출발한다. 흔히 기업은 서

비스의 품질을 개선함으로써 독특한 요소를 획득할 수 있다고 믿는다. 즉, 이메일의 용량

증대, 자료실의 용량 증대, 커뮤니티 서비스의 UI개선과 기능향상 등 경쟁사에 비해 우수한

서비스 품질을 통해 이용자를 유입시키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Quality 개선은 경쟁사의

모방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과도한 경쟁을 야기 시킨다. 이메일의 용량 전쟁은 기업들

의 비용 부담을 증가시켰지만, 전반적인 서비스 시장 확대에는 기여하지 못했다. 특히, 한

번 늘린 용량은 다시 줄이기 힘들다는 점을 고려할 때 비용증가를 초래하여 서비스 ROI를

낮추었다. 독특함은 경쟁사가 제공하지 못하는, 혹은 경쟁사가 단기간에 따라잡기 힘든 요

소를 바탕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이는 기존 경쟁 구도를 벗어나 새로운 니즈를 적극적으로

규정하는 방법을 통해 달성 가능하다.

●차별화에 가치가 부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 제공되는 가치는 철저하게 이용자 관점

에서 정의되어야 한다. 지역 검색 서비스는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시장공간이라

고 볼 수 있다. 즉, 독특한 요소를 포함한 서비스였지만 고객의 입장에서는 지식검색을 통

해 이미 지역 정보에 관한 유사한 답을 얻을 수 있었다. 결국 사업자 관점에서는 독특함이

내재된 비즈니스 모델이었지만 대체재를 통해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던 고객의 입장에서는

별도의 가치를 제공하지 못했다. 이는 서비스에 집중하여 고객을 인식하지 못할 때 흔히 발

생되는 문제로써 고객의 시각에서 가치요소를 부각시키지 못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독특함과 가치를 이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독특함과 가치가 내재

된 많은 서비스가 이용자에게 어필할 기회를 찾지 못하고 넓은 서비스 Coverage 내에서 자

리를 잡지 못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즉, 기획과 개발에 필요한 많은 자원을 투입하고

도 적절한 프로모션을 수행하지 못하여 서비스의 독특함과 가치를 이용자에게 설득할 수

있는 기회를 잃게 된 사례이다. 특히 신개념의 서비스일수록 고객에게 가치를 인식시키는

작업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국내 최초의 지식 검색 서비스였던 디비딕이 가치 인식 작

업에 실패한 반면, 네이버는 꾸준한 프로모션과 명확한 가치명제를 통해 지식 검색의 선두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27제4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2007년 10월 현재)

[표Ⅳ- 3] 도메인별웹사이트순위

출처: http://koreanclick.com/information/freedata_rankings.php

인터넷 사용자 및 사용시간은 꾸준히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사이트 이용개수는 점차적

으로 감소하여, 소수의 사이트로의 트래픽 집중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성공적인 비즈니

스 모델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가고 있는 기업들은 공통적으로 경쟁사와 차별화된 서비스 특성

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2007)은 ‘2007 인터넷백서’ 2007년 인터넷 10대 뉴스로 1) 웹2.0 시대 개막,

2) 인터넷을 휩쓴 UCC 열풍, 3) 통신 방송 융합논의, 4) 초고속 무선인터넷 세계 첫 상용화, 5) 인

터넷, 미디어의 중심에, 6) 오픈마켓 시장 5조원 돌파, 7) 인터넷 본인 확인제 도입, 8) 개인정보

침해 대응 체계 강화, 9) 인기검색어- 사회를 보는 창, 10) 봇물 터진 인수합병을 선정한 바 있다.

인터넷이 미디어의 중심에 자리 잡게 되고, 웹2.0 개념의 확산에 따라 이용자가 단지 소비자에

머물지 않고 콘텐츠 생산자로 변모하고, 개방과 공유에 대한 지속적인 움직임들이 증대되는 지

금, NDL 포털이 글로벌 지식유통 허브로서 기존의 인터넷 포털이나 도서관 포털과 차별되는 서

비스 특성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라 할 것이다.

성공적인 NDL 포털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차별화의 의미와 특성, 그리고 인터넷 포털 산업에

필요한 차별화 요소를 파악해봄으로써 NDL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차별적인 서비스 모형을 개발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다. 포털 서비스 차별화 전략

포털 서비스의 차별화를 위해 필요한 요소 도출을 위해 코리안클릭(2005)의 ‘포털 산업과 차별

126

순위 도메인순 방문자 도달률

순위 도메인순 방문자 도달률

(✽1000) (%) (✽1000) (%)

1 www.naver.com 30,425 96.54 6 www.yahoo.co.kr 18,460 58.57

2 www.daum.net 28,967 91.91 7 www.empas.com 18,310 58.1

3 www.cyworld.com 23,233 73.72 8 www.gmarket.co.kr 17,960 56.99

4 www.nate.com 22,647 71.86 9 www.paran.com 17,091 54.23

5 www.auction.co.kr 18,962 60.16 10 www.kbstar.com 12,292 39

Page 6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제5장

포털 서비스 기능 및 설문 분석

1. 포털 서비스 기능 분석

2. 이용자 설문조사

3. NDL 포털 모형 개발을 위한 시사점

사업자로 부각된 사례는 가치 설득을 위한 과정이 부재할 경우, 힘들게 새로운 시장을 태동

시킨 후 혜택을 경쟁 사업자에게 내어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토대로 정리하면, NDL 포털 서비스의 차별화는 이용자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국립디

지털도서관을 이용하게 될 다양한 이용자의 잠재 요구를 적극적으로 발견·수용하고, 서비

스할 대상에 대한 명확한 식별과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정체성 및 차별화된 포지셔닝의 확

립, 새로운 가치의 발견, 지속적인 홍보 및 활성화방안 강화 등이 요구된다 하겠다.

128

Page 6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공공포털 |

- KERIS ‘RISS(KERI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http://www.riss4u.net/

- KISTI ‘yesKISITI(과학기술정보포털서비스)’ http://www.yeskisti.net/

- 국가지식포털http://www.knowledge.go.kr/

- KOCCA 문화유통포털 http://www.kocca.kr/

- 미국 GovSpot www.govspot.com

- 영국 Inforoute www.inforoute.hmso.gov.uk

- 일본 GeNii ge.nii.ac.jp

- 호주 PADI www.nla.gov.au/padi

| 대학도서관 |

- 서울대학교 도서관 http://library.snu.ac.kr/

- 고려대학교 학술정보관 http://cdl.korea.ac.kr/

- 포항공과대학교 청암학술정보관 http://library.postech.ac.kr/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http://skkcl.skku.ac.kr/

- 숙명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http://lib.sookmyung.ac.kr/

| 국내도서관 |

-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

- 국회도서관 http://www.nanet.go.kr/

- 경기도사이버중앙도서관 http://www.golibrary.go.kr/

| 해외도서관 |

- TEL(The European Library)http://www.theeuropeanlibrary.org/portal/

- OCLC(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http://www.oclc.org/

- 독일국립도서관 http://www.ddb.de/

- 영국국립도서관 http://portico.bl.uk/, http://www.bl.uk/

- 핀란드국립도서관 http://www.nationallibrary.fi/

- 네덜란드국립도서관 http://www.kb.nl/

- 미국의회도서관(The Library of Congress) http://www.loc.gov/

| 웹2.0 서비스 |

- 위키백과 http://www.wikipedia.org/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31제5장 포털 서비스 기능 및 설문 분석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30

1. 포털 서비스 기능 분석

가. 포털 서비스 기능분석 개요

| 민간포털 |

- 네이버 http://www.naver.com/

- 다음 http://www.daum.net/

- 네이트 http://www.nate.com/

- 구글 http://www.google.com/

구글 코리아 http://www.google.co.kr/

- 야후 http://www.yahoo.com/

야후 코리아 http://kr.yahoo.com/

제5장포털서비스기능및설문분석

●포털에서 현재 어떠한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기능별 우선순위는 어떠한지 알아보

고자 함

●포털의 유형을 민간포털(5), 공공포털(8), 대학도서관(5), 국내도서관(3), 해외도서

관(7), 웹2.0 서비스 모델(5) 등으로 나누어 총 33개 사이트에 대해 각 서비스의 기

능 명세를 조사 분석함

●유형별 포털 중 대표적인 사이트의 선정은 분야별 사이트 순위, 점유율 및 대표성,

인지도 등의 자료를 토대로 선정함

Page 6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한국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

- Youtube http://www.youtube.com/

- 판도라 http://www.pandora.tv/

- 앰앤캐스트 http://www.mncast.com/

- flickr http://www.flickr.com/

유형별 포털의 기능 명세 비교분석은 ‘국립디지털도서관(NDL) 이용자 시나리오’의 유스케이스

(Use-case) 내용을기반으로검색기능, 열람기능, 참여기능, 이용기능으로구분하여각사이트가해당

서비스기능을제공하고있는지조사한뒤, 서비스빈도에따라기능의우선순위를비교분석하였다.

나. 검색 기능

포털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검색 기능을 살펴본 결과는 [표 Ⅴ-1]과 같다. 33개 포털 사이트에

서 서비스하고 있는 검색의 기능의 우선순위는 통합검색 > 상세검색 > 분류별 검색 > 디렉토리 검

색 > 원문 검색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Ⅴ- 1] 포털서비스검색기능순위

순위 검색 기능 빈도 순위 검색 기능 빈도

1 32 17 6

2 26 18 6

3 23 19 6

4 14 20 5

5 11 21 5

6 9 22 5

7 9 23 5

8 9 24 4

9 8 25 4

10 8 26 4

11 7 27 3

12 7 28 3

13 7 29 2

14 7 30 1

15 7 31 1

16 7 32 -

통합검색 색인검색

상세검색 CD-ROM검색

분류별검색 e-BOOK검색

디렉토리검색 가나다검색

원문검색 ISBN / ISSN

전자저널검색 지식검색

동영상검색 카페검색

이미지검색 목차검색

WEB DB 검색 분산검색

인기검색어 검색어 자동저장

학술지검색 도서위치검색

게시판검색 검색히스토리

블로그검색 PDA 검색

UCC검색 RSS 검색

휴대폰검색 온톨로지검색

검색어자동완성 -

통합검색은 포털 서비스의 핵심적 기능으로 키워드를 입력하여 원클릭으로 원하는 정보를 찾

고자 하는 이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또

한 통합검색을 지원하는 경우, 보다 상세하고 전문적인 정보검색을 원하는 이용자들을 위해 상세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다. 분류별 검색이나 디렉토리 검색은 이용자들의 관심과 이용도에 따

라 주제 및 형태를 분류하여 콘텐츠를 모아두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한편 여러 가지

유형별 검색 방식 외에도 인기검색어나 검색어 자동완성, 검색 히스토리 등 이용자들의 검색 편

의성 향상을 위해 제공하는 기능들을 찾아볼 수 있었다.

포털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검색 기능을 공공포털(23)과 민간포털(10)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는

[표Ⅴ- 2]와 같다.

[표Ⅴ-2] 공공포털및민간포털의검색기능비교

공공포털과 민간포털의 검색 기능 순위는 통합검색 > 상세검색 > 분류별검색이 동일한 순위를

차지하였다. 다음의 순위로 공공포털의 경우 전자저널검색, 원문검색, WEB DB검색, 디렉토리

검색, 학술지검색, 색인검색 등으로 나타난 반면, 민간포털은 UCC검색, 디렉토리검색, 검색어자

동완성, 동영상검색, 이미지검색, 블로그검색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구나 학술, 전문 지식정보

순위공공포털 민간포털

검색 기능 빈도 검색 기능 빈도

1 23 9

2 18 8

3 16 7

4 9 7

5 8 6

6 8 6

7 8 5

8 7 5

9 6 5

10 6 5

11 6 5

12 5 4

13 5 4

14 4 3

15 4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상세검색 상세검색

분류별검색 분류별검색

전자저널검색 UCC검색

원문검색 디렉토리검색

WEB DB 검색 검색어자동완성

디렉토리검색 동영상검색

학술지검색 이미지검색

색인검색 블로그검색

CD-ROM검색 휴대폰검색

e-BOOK검색 인기검색어

가나다검색 지식검색

ISBN / ISSN 카페검색

동영상검색 원문검색

이미지검색 검색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33제5장 포털 서비스 기능 및 설문 분석132

Page 6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문서(전문자료)와 웹사이트는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기능으로 웹문서를 열람(읽기, 인쇄, 다

운로드 포함)하거나 링크된 웹사이트 탐색은 이용자들에게 주요 정보원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목

차나 이미지, 신문(뉴스) 등도 포털에서 주요하게 서비스하고 있는 열람 기능임을 알 수 있다. 기

존 도서관에서 주로 서비스하는 유형별 전자정보원 외에도 최근에는 동영상이나 오디오, 태그,

블로그, 모바일, 지식 등도 여러 포털 사이트에서 주요 기능으로 제공되고 있었다.

포털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이용자를 위한 열람 기능을 공공포털(23)과 민간포털(10)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는 [표Ⅴ- 4]와 같다.

[표Ⅴ-4] 공공포털및민간포털의열람기능비교

공공포털의 열람 기능 순위는 목차 > 초록 > 단행본 > 문서 등이었으며, 민간포털의 열람 기능

순위는 주제어(태그) > 모바일 열람 > 동영상 열람 > 네티즌리뷰 > 이미지 열람의 순이었다. 공공

포털의 경우, 소장 자료에 대한 디지털 정보 열람에 비중을 두어 서지정보 및 원문정보 등의 열람

을 주요 기능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민간포털의 경우 이용자에 의해 생산된 주제어나 동영상, 이

미지, 텍스트 등의 열람을 주요 기능으로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순위공공포털 민간포털

열람 기능 빈도 열람 기능 빈도

가 주로 유통되는 공공포털과 생활, 엔터테인먼트, UCC 콘텐츠가 주로 유통되는 민간포털의 이

용 패턴 및 주요 서비스 목적을 반영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다. 열람 기능

포털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열람 기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의 [표Ⅴ-3]과 같다. 조사한 33개

포털 사이트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열람 기능의 우선순위는 문서(전문자료) > 웹사이트 > 목차 >

이미지 열람 > 신문(뉴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Ⅴ- 3] 포털서비스열람기능순위

순위 열람 기능 빈도 순위 열람 기능 빈도

1 13 28 5

2 13 29 5

3 12 30 4

4 12 31 4

5 11 32 4

6 10 33 3

7 10 34 3

8 10 35 2

9 10 36 2

10 10 37 2

11 9 38 2

12 9 39 2

13 9 40 2

14 9 41 2

15 9 42 2

16 8 43 1

17 7 44 1

18 7 45 1

19 7 46 1

20 7 47 1

21 7 48 1

22 7 49 1

23 6 50 1

24 6 51 1

25 6 52 1

26 6 53 1

27 5 54 1

문서(전문자료) 지역정보

웹사이트 저작권정보

목차 연구보고서

이미지 열람 e-BOOK

신문(뉴스) 게시판

초록 e-Journal

단행본 영화정보

동영상 열람 외국어자료

지도 열람 메일링리스트

원문복사서비스 자료실

주제어(태그) 콘텐츠정보

학위논문 부동산

저널/기사/학회지 외부 DB

모바일 열람 웹진/매거진

상호대차서비스 읽은 책 저장

블로그 고서

서평(책에 대한 의견) 고전

네티즌리뷰(댓글 열람) 관보

논문 귀중본

사전 세미나자료

카페(커뮤니티, 포럼) 분석/동향

오디오 열람 특허

내 자료실(열람정보) 통계

목록 인력

지식 원문 미리 보기

취업/교육/행사정보 DVD정보

저자소개 공연정보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35제5장 포털 서비스 기능 및 설문 분석134

1 목차 10 주제어(태그) 8

2 초록 10 모바일 열람 7

3 단행본 10 동영상 열람 7

4 문서(전문자료) 10 네티즌리뷰(댓글 열람) 6

5 원문복사서비스 10 이미지 열람 6

6 학위논문 9 신문(뉴스) 5

7 저널/기사/학회지 9 웹사이트 5

8 상호대차서비스 9 블로그 5

9 웹사이트 8 지식 5

10 논문 7 지도 열람 5

11 내 자료실(열람정보) 6 사전 4

12 목록 6 카페(커뮤니티, 포럼) 4

13 신문(뉴스) 6 지역정보 4

14 이미지 열람 6 오디오 열람 4

15 서평(책에 대한 의견) 5 문서(전문자료) 3

Page 6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표Ⅴ-6] 공공포털및민간포털의참여기능비교

공공포털에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참여 기능에는 자유게시판, 맞춤정보서비스, RSS, 온라인

설문조사 등의 빈도가 높았으며, 블로그나 카페, 포럼 등과 같은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포털사이

트도 일부 발견할 수 있었다. 민간포털에서 빈번하게 접할 수 있는 참여기능은 온라인 서재, 이용

자평점, 자유게시판, RSS, 동영상 공유 등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미지 및 문서 공유나 개

인 맞춤포털, 위키 공동저작 등도 찾아볼 수 있었다. 이는 최근 웹2.0의 확산에 따라 민간포털이

이용자의 참여를 바탕으로 한 멀티미디어 형태의 UCC(User Creative Contents; 사용자 제작

콘텐츠; 손수제작물)를 생성·공유하는 서비스플랫폼으로서의 기능을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겠다.

마. 이용 기능

포털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이용 기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의 [표Ⅴ-7]과 같다. 조사한 33개

포털 사이트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이용 기능의 우선순위는 관련사이트 > 사이트맵 > 회원가입 >

로그인 > 사이트 소개 등으로 나타났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37제5장 포털 서비스 기능 및 설문 분석

라. 참여 기능

포털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참여 기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의 [표Ⅴ- 5]와 같다. 조사한 33개

포털 사이트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참여 기능의 우선순위는 자유게시판 > RSS > 맞춤정보서비스

> 온라인 서재 > 블로그 등으로 나타났다.

[표Ⅴ-5] 포털서비스참여기능순위

자유게시판은 다수의 포털사이트 참여서비스 영역에서 운영하고 있는 일반적인 형태로 ‘자유의

견, 건의사항, 질의응답’ 등과 같은 텍스트 형태의 글쓰기가 중심이 되어 이용자들의 참여가 이루

어지는 공간이었다. RSS나 맞춤정보서비스는 정보의 이용방식이 사이트 ‘직접 방문’에서 특정 정

보 ‘구독’으로 열람의 형태가 바뀌고 있음을 보여주며, 온라인 서재나 블로그 등은 이용자들이 생

산하는 콘텐츠를 바탕으로 하는 온라인 개인 공간이 참여활동의 주요 채널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

다. 이 외에도 동영상, 이미지, 지식, 문서, 북마크 등의 생산 및 공유를 통한 참여서비스 기능도

신규 서비스를 중심으로 자주 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포털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이용자를 위한 참여 기능을 공공포털(23)과 민간포털(10)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는 [표Ⅴ-6]과 같다.

136

순위 참여 기능 빈도 순위 참여 기능 빈도

1 자유게시판 17 14 문서 공유 5

2 RSS 14 15 개인 맞춤포털(위젯) 5

3 맞춤정보서비스 11 16 오픈 API 5

4 온라인 서재 10 17 메타블로그 4

5 블로그 9 18 위키 공동저작 4

6 이용자 평점 9 19 참고정보 질의 4

7 온라인 설문조사 9 20 소셜북마킹 3

8 카페 8 21 포럼 3

9 동영상 공유 7 22 책 서평 2

10 메신저(화상/음성대화) 6 23 Podcast 2

11 토론방 6 24 모바일 RSS 2

12 지식 서비스 6 25 UCC 공모전 1

13 이미지 공유 6 26 - -

순위공공포털 민간포털

참여 기능 빈도 참여 기능 빈도

1 자유게시판 10 온라인 서재 7

2 맞춤정보서비스 8 이용자 평점 7

3 RSS 7 자유게시판 7

4 온라인 설문조사 6 RSS 7

5 블로그 4 동영상 공유 7

6 카페 4 이미지 공유 6

7 참고정보 질의 4 블로그 5

8 온라인 서재 3 메신저(화상/음성대화) 5

9 포럼 2 토론방 5

10 지식 서비스 2 문서 공유 5

11 이용자 평점 2 개인 맞춤포털(위젯) 5

12 Podcast 2 메타블로그 4

13 메신저(화상/음성대화) 1 카페 4

14 토론방 1 지식 서비스 4

15 책 서평 1 위키 공동저작 4

Page 7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표Ⅴ-7] 포털서비스이용기능순위

관련사이트는 서비스 사이트와 직·간접적인 관련을 가지고 있는 사이트를 링크시킴으로써 포털

이 관문, 혹은 허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이트에서 서비스하

고 있는 내역을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사이트맵은 사이트에서 빼놓을 수 없는 기능이 된다. 이 외

에도 회원가입, 로그인, 사이트 소개, FAQ, 약관 등은 이용자들이 사이트에서 필수적으로 이용

하게 되는 기능이다. 이 외에도 다국어서비스 및 문자기능 확대 서비스, 음성 서비스 등 외국인이

나 장애인을 위한 기능과 교육 및 시설 예약 관련 기능도 보이나, 빈도는 높지 않은 편이다. 마이

페이지는 회원가입과 로그인이 이루어지는 사이트에서 개인의 기록을 남길 수 있는 공간으로 중

요하다.

포털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이용자를 위한 참여 기능을 공공포털(23)과 민간포털(10)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는 아래 [표Ⅴ-8]과 같다.

순위 이용기능 빈도 순위 이용기능 빈도

1 관련사이트 31 17 보도 자료 9

2 사이트맵 29 18 저작권 관련 안내 9

3 회원가입 27 19 이용교육 신청 9

4 로그인 27 20 구직 서비스 7

5 사이트 소개 27 21 시설 예약 6

6 FAQ 27 22 DB소개 6

7 약관 27 23 툴바/데스크바 5

8 이용안내 24 24 문자기능 확대 서비스 5

9 개인정보보호정책 22 25 분실물 신고 게시판 4

10 다국어변환 22 26 견학 안내 및 신청 4

11 공지사항 21 27 법/정책 4

12 묻고 답변 받기 17 28 홍보 동영상 보기 3

13 건의/제안 15 29 장애인이용안내 2

14 마이 페이지 11 30 자원봉사 신청 1

15 온라인 이용교육 10 31 이용봉사헌장 1

16 오류신고 10 32 음성 서비스 1

[표Ⅴ-8] 공공포털및민간포털의이용기능비교

공공포털에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이용 서비스의 순위는 관련사이트 > 사이트 소개 > 사이트

맵이 가장 높았으며, 회원가입, 로그인, FAQ, 공지사항, 약관 등도 일반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으

로 나타났다. 민간포털의 경우에는 회원가입, 로그인, FAQ, 사이트맵, 관련사이트, 약관, 개인정

보보호정책 등의 기능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포털 사이트의 이용을 원활히 하고 검색 및 참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기능들은 공공포털과 민간포털에서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39제5장 포털 서비스 기능 및 설문 분석138

순위공공포털 민간포털

이용 기능 빈도 이용 기능 빈도

1 관련 사이트 21 회원가입 10

2 사이트 소개 19 로그인 10

3 사이트맵 19 FAQ 10

4 회원가입 17 사이트맵 10

5 로그인 17 관련 사이트 10

6 FAQ 17 약관 10

7 공지사항 17 개인정보보호정책 10

8 약관 17 사이트 소개 8

9 이용안내 16 이용안내 8

10 다국어변환 16 다국어변환 6

11 묻고 답변 받기 12 묻고 답변 받기 5

12 개인정보보호정책 12 오류신고 5

13 건의/제안 12 공지사항 4

14 온라인 이용교육 10 툴바/데스크바 4

15 이용교육 신청 9 저작권 관련 안내 3

Page 7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

[표Ⅴ- 9] 응답자의일반적사항

구분 이용자 구분 빈도(명) 백분율(%)

웹사이트 이용기간

성별

연령

직업

학력

1년 미만 273 34.1

1~3년 331 41.4

4~6년 125 15.6

7~9년 39 4.9

10~12년 22 2.8

13년 이상 10 1.3

합계 800 100.0

남성 488 60.6

여성 317 39.4

합계 805 100.0

10대 13 1.6

20대 192 23.8

30대 245 30.4

40대 206 25.6

50대 921 1.4

60대 이상 58 7.2

합계 806 100.0

초·중·고등학생 13 1.6

청소년 2 0.2

대학(원)생 147 18.3

회사원 250 31.1

자영업 95 11.8

교사/교수 38 4.7

주부 89 11.1

기타 169 21.0

합계 803 100.0

초·중·고교 재학 15 1.9

고졸 85 10.6

대졸 522 64.8

대학원(석사) 재학/졸업 112 13.9

대학원(박사) 재학/졸업 53 6.6

기타 18 2.2

합계 805 100.0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41제5장 포털 서비스 기능 및 설문 분석

2. 이용자 설문조사

가. 이용자 설문조사 개요

향후 구축될 NDL 포털에 대한 이용자들의 요구를 조사, 분석하여 NDL 포털의 모형 및 서비스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도서관을 방문하는 일반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2007년 9월 17일부터 9월 20일까지 4일간 국립중앙도서관,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정독

도서관, 고려대학교디지털도서관 등 4개의 도서관 방문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4개 도서관은

향후 국립디지털도서관이 들어설 국립중앙도서관 외에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을 추가로 선정

하였으며, 설문조사 참여한 총 인원은 총 807명이었다. 설문내용은 도서관포털 및 일반포털 사례

에 대한 현황조사 및 서비스 기능 명세 비교 분석을 토대로 하여 항목을 구성하였다.

140

Page 7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주요 설문 통계 및 분석 |

● NDL 포털에 필요한 서비스

[표Ⅴ- 10] NDL 포털에필요한서비스

NDL 포털에 필요한 서비스로 적당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다중응답 결과를 살

펴보면, 응답자(1880명 : 중복응답)의 26.6%(500명)가 디지털자료 열람서비스, 그 다음으로 정

보 검색서비스 22.4%(422명)의 순으로 많았다. 그 외에도 지식서비스 11.2%(210명), 정보 활용

교육 9.9%(187명), 개인화서비스 8.7%(163명), 해외자료 7.4%(139명), 뉴스서비스 4.9%(93명),

커뮤니티서비스 4.3%(81명), UCC서비스 2.6%(49명), 블로그서비스 1.9%(36명)의 순으로 응답

되었다. 결론적으로 NDL 포털에 필요한 서비스는 디지털자료 열람서비스와 정보 검색서비스임

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도서관 사이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며, 지식서비스나 정보 활용

교육, 개인화서비스에 대한 응답자의 요구사항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43제5장 포털 서비스 기능 및 설문 분석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의 이용기간에 대한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800

명)의 41.4%(331명)가 1~3년 정도라고 가장 많이 응답했고, 그 다음으로 1년 미만 34.1%(273명),

4~6년 15.6%(125명), 7~9년 4.9%(39명), 10~12년 2.8%(22명), 13년 이상 1.3%(10명)순으로 응

답되었다. 응답자의 대부분이 3년 미만의 이용 경험을 가진 응답자로 나타났다.

성별에 대한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805명)의 60.6%(488명)가 남성이고 39.4%(317명)

는 여성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남여 비율은 거의 비슷하나 남성이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대한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806명)의 30.4%(245명)는 30대, 40대는

25.6%(206명), 20대는 23.8%(192명), 50대는 11.4%(92명), 60대 이상은 7.2%(58명), 10대는

1.6%(13명)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연령은 30대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20대와 40대도 비슷

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직업에 대한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803명)의 31.3%(250명)가 회사원이며, 기타

21.0%(169명), 대학(원)생 18.3%(147명), 자영업 11.8%(95명), 주부 11.1%(89명), 교사/교수

4.7%(38명), 초·중·고등학생 1.6%(13명), 청소년 0.2%(2명)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대부분의 직

업이 회사원이거나 대학(원)생임을 알 수 있다.

학력에 대한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대졸이 응답자(805명)의 64.8%(52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대학원(석사)재·졸이 13.9%(112명), 고졸 10.6%(85명), 대학원(박사)재·졸은 6.6%(53

명), 기타 2.2%(18명), 초·중·고 재학 1.9%(15명)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대부분의 학력은 대학

교 재학 및 대졸이거나 대학원 석사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142

순위 구분 빈도(명) 백분율(%)

1 디지털자료 열람서비스 500 26.6

2 정보 검색서비스 422 22.4

3 지식서비스 210 11.2

4 정보 활용교육 187 9.9

5 개인화서비스 163 8.7

6 해외자료 139 7.4

7 뉴스서비스 93 4.9

8 커뮤니티서비스 81 4.3

9 UCC서비스 49 2.6

10 블로그서비스 36 1.9

합계 1880 100.0

Page 7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NDL 포털 검색요청 자료

[표 Ⅴ- 13] NDL 포털검색요청자료

NDL 포털에서 정보검색시 많이 검색할 자료는 무엇인지에 대한 다중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1412명 : 중복응답)의 25.1%(354명)는 단행본으로 응답했다. 그 다음으로 학술지

14.9%(210명), 학위논문 14.0%(197명), 연속간행물 10.7%(151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영상자료 9.1%(128명), e-book 8.8%(124명), Web-DB 6.5%(92명), 전자저널 5.9%(83명), 비도

서 4.1%(58명), 음성자료 1.1%(15명) 순으로 응답되었다. 결론적으로 대부분의 이용자가 NDL 포

털에서 검색할 자료로는 단행본 및 학술지, 학위논문이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 NDL 포털 검색결과

[표 Ⅴ- 14] NDL 포털검색결과

NDL 포털에서 검색완료 후 민간포털의 검색결과도 포함되었으면 하는지에 대한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797명) 중 66.1%(527명)가 포함되기를 바라고 33.9%(270명)가 불포함 되기를

바란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대부분의 응답자가 민간포털의 검색결과가 포함되기를 바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45제5장 포털 서비스 기능 및 설문 분석

● NDL 포털의 서비스 성격 및 방향

[표Ⅴ- 11] NDL 포털의서비스성격및방향

NDL 포털이 추구해야할 서비스의 성격 및 방향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778명)의 50.6%(394명)

이 지식정보 전문포털, 그 다음으로 도서관 포털 19.3%(150명), 종합 포털 18.3%(146명)의 순으

로 많았다. 그 외에도 검색 포털 10.4%(81명), 기타 0.9%(7명) 순으로 응답되었다. 결론적으로 대

부분의 응답자는 NDL 포털 서비스가 지식정보 전문포털의 성격 및 방향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

는 것을 알 수 있다.

● NDL 포털 검색방법

[표Ⅴ- 12] NDL 포털검색방법

NDL 포털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많이 사용할 검색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한 다중응답 결

과를 살펴보면, 응답자(1309명 : 중복응답)의 34.0% (444명)가 통합검색, 그 다음으로 주제별검

색 31.3%(410명)의 순으로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원문검색 16.6%(218명), 색인검색 5.6%(73명),

타기관 연계검색 5.5%(72명), 목차검색 4.2%(55명), 가나다순 검색 2.8%(37명)의 순으로 나타났

다. 결론적으로 대부분 응답자는 통합검색과 주제별검색을 선호함을 알 수 있다.

144

순위 구분 빈도(명) 백분율(%)

1 지식정보 전문포털 394 50.6

2 도서관 포털 150 19.3

3 종합 포털 146 18.8

4 검색 포털 81 10.4

5 기타 7 0.9

합계 778 100.0

순위 구분 빈도(명) 백분율(%)

1 지식정보 전문포털 394 50.6

2 도서관 포털 150 19.3

3 종합 포털 146 18.8

4 검색 포털 81 10.4

5 기타 7 0.9

합계 778 100.0

순위 구분 빈도(명) 백분율(%)

1 단행본 354 25.1

2 학술지 210 14.9

3 학위논문 197 14.0

4 연속간행물 151 10.7

5 영상자료 128 9.1

6 e-book 124 8.8

7 Web-DB 92 6.5

8 전자저널 83 5.9

9 비도서 58 4.1

10 음성자료 15 1.1

합계 1412 100.0

순위 구분 빈도(명) 백분율(%)

1 민간포털 검색결과 포함 527 66.1

2 민간포털 검색결과 불포함 270 33.9

합계 797 100.0

Page 7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인다. 이는 카페/커뮤니티, 블로그/미니홈피가 타 사이트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으므로 NDL 포털

에서 이용자의 활용도는 낮을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NDL 포털 카페/커뮤니티 이용목적

[표 Ⅴ- 17] NDL 포털카페/커뮤니티이용목적

NDL 포털의 카페/커뮤니티 서비스를 어떤 목적으로 이용하고 싶은지에 대한 응답 결과를 살

펴보면, 응답자(801명)의 36.5%(292명)가 학술/연구 정보 공유라고 응답하였다. 그 다음으로 업

무/학업 관련정보 습득 32.0%(256명), 취미/관심분야 정보 공유 28.6%(229명)의 순으로 나타났

다. 그 외에도 2.0% (16명)가 친교/교제, 1.0%(8명)가 기타를 응답하였다. 따라서 NDL 포털을 통

해 대부분의 응답자는 카페/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하여 학술/연구 혹은 업무/학업 관련정보를

공유하거나 습득하고, 취미/관심분야 정보를 공유하고자 함을 알 수 있다.

● NDL 포털 블로그/미니홈피 이용목적

[표 Ⅴ- 18] NDL 포털블로그/미니홈피이용목적

NDL 포털의 블로그/미니홈피 서비스를 어떤 목적으로 이용하고 싶은지에 대한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799명)의 49.3%가 취미/관심분야 정보 공유, 31.4%(251명)가 학술/연구 정보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47제5장 포털 서비스 기능 및 설문 분석

● NDL 포털 검색 부가기능

[표 Ⅴ- 15] NDL 포털검색부가기능

NDL 포털에서 검색시 도움이 될 부가기능으로 적당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응

답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795명)의 40.5%가 연관 검색어라고 응답하였다. 그 다음으로 추천

검색어 26.9%(214명), 이용자의 리뷰 17.2%(137명), UCC 서비스 11.3%(90명)의 순으로 나타났

고, 이 외에도 검색어 자동완성 기능 3.8%(30명), 기타 0.3%(6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부분

의 응답자에게는 연관 검색어와 추천 검색어가 검색을 할 때 도움이 되는 기능임을 알 수 있다.

● NDL 포털 참여서비스

[표 Ⅴ- 16] NDL 포털참여서비스

NDL 포털에서 이용자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참여서비스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796명)

의 60.3%가 지식 서비스라고 응답하였다. 그 다음으로 카페/커뮤니티 22.1%(176명), 블로그/미

니홈피 11.7%(93명)의 순으로 많았으며, 그 외에도 UCC 서비스 5.5%(44명), 기타 0.4%(3명)가

나타났다. 따라서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참여서비스 중 지식 서비스를 유용하게 사용할 것으로 보

146

순위 구분 빈도(명) 백분율(%)

1 연관 검색어 322 40.5

2 추천 검색어 214 26.9

3 이용자의 리뷰 137 17.2

4 UCC 서비스 90 11.3

5 검색어 자동완성 기능 30 3.8

6 기타 6 0.3

합계 795 100.0

순위 구분 빈도(명) 백분율(%)

1 지식 서비스 480 60.3

2 카페/커뮤니티 176 22.1

3 블로그/미니홈피 93 11.7

4 UCC 서비스 44 5.5

5 기타 3 0.4

합계 796 100.0

순위 구분 빈도(명) 백분율(%)

1 학술/연구 정보 공유 292 36.5

2 업무/학업 관련정보 습득 256 32.0

3 취미/관심분야 정보 공유 229 28.6

4 친교/교제 16 2.0

5 기타 8 1.0

합계 801 100.0

순위 구분 빈도(명) 백분율(%)

1 취미/관심분야 정보 공유 394 49.3

2 학술/연구 정보 공유 251 31.4

3 생각/의견 표현 63 7.9

4 친교/교제 48 6.0

5 개인 일상생활 기록 43 5.4

합계 799 100.0

Page 7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NDL 포털 콘텐츠 제작/공유 혜택

[표 Ⅴ- 20] NDL 포털콘텐츠제작/공유혜택

NDL 포털에서 양질의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고 다른 이용자들과 공유하고자 했을 때 받고 싶은

혜택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802명)의 41.5%(333명)가 사이버머니 같은 마

일리지 획득으로 응답하였다. 그 다음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현금이나 상품권 같은 금전적 보상

20.2%(162명), 혜택이 필요 없다 18.6%(149명), 우수 블로거 같은 명예 획득 18.3%(147명), 기타

1.4%(11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용자의 콘텐츠 제작 및 공유를 위해서 대부분의 응답자

는 마일리지 획득을 통한 혜택을 받고자 함을 알 수 있다.

● NDL 포털 연계기관의 자료 열람 시 중요사항

[표 Ⅴ-21] NDL 포털연계기관의자료열람시중요사항

NDL 포털에서 연계기관의 자료를 열람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항에 대한 응답결과를 살

펴보면, 응답자(800명)의 30.9%(247명)가 제한 없는 자유로운 자료이용, 28.4%(227명)가 통합

로그인, 25.9%(207명)가 오류 없는 신속한 자료와의 링크를 응답하였다. 그 외에도 통일된 뷰어

9.4%(75명), 간편한 자료이용요금 지불 5.5%(44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부분의 응

답자가 연계기관의 자료열람 시 제한 없이 자료를 이용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며, 연계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49제5장 포털 서비스 기능 및 설문 분석

공유라고 응답하였다. 그 다음으로 생각/의견 표현 7.9%(63명), 친교/교제 6.0%(48명), 개인 일

상생활 기록 5.4%(43명)가 나타났다. 따라서 NDL 포털의 블로그/미니홈피 서비스는 대부분 취

미/관심분야나 학술/연구 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이용하고자 함을 알 수 있다.

● NDL 포털 제공콘텐츠 유형

[표 Ⅴ- 19] NDL 포털제공콘텐츠유형

NDL 포털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유형으로 적당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다중응

답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1345명 : 복수응답)의 25.0% (336명)가 웹문서, 21.3%가 텍스트라

고 응답하였다. 그 다음으로 멀티미디어 17.0%(229명), 동영상 16.1%(217명), 이미지 13.5%(182

명)의 순으로 많았다. 그 외에도 플래시 4.7%(63명), 오디오 2.0%(27명), 기타 0.4%(5명)의 순으

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NDL 포털에서 제공할 콘텐츠 유형으로 웹문서와 텍스트가 적당하다고

응답한 것을 볼 때, 웹문서 생산량 증가 및 정보기술의 발전 속도와 비례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용자들이 웹문서, 텍스트, 멀티미디어, 동영상, 이미지 정보를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기를

요구함을 알 수 있다.

148

순위 구분 빈도(명) 백분율(%)

1 웹문서 336 25.0

2 텍스트 286 21.3

3 멀티미디어 229 17.0

4 동영상 217 16.1

5 이미지 182 13.5

6 플래시 63 4.7

7 오디오 27 2.0

8 기타 5 0.4

합계 1345 100.0

순위 구분 빈도(명) 백분율(%)

1 마일리지 획득 333 41.5

2 금전적 보상 162 20.2

3 필요 없음 149 18.6

4 명예 획득 147 18.3

5 기타 11 1.4

합계 802 100.0

순위 구분 빈도(명) 백분율(%)

1 제한 없는 자료이용 247 30.9

2 통합 로그인 227 28.4

3 오류 없는 자료링크 207 25.9

4 통일된 뷰어 75 9.4

5 간편한 자료이용요금 지불 44 5.5

합계 800 100.0

Page 7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DL 포털에서 온라인교육을 받을 수 있다면, 수강하고 싶은 교육내용으로 응답자(797명)의

31.2%가 정보 검색/활용 능력, 17.4%(139명)가 정보 문제해결 능력, 17.2%(137명)가 도서관 관련

IT 서비스 이용을 응답하였다. 그 다음으로 영상/이미지 제작기술 교육을 16.6%(132명), 도서관

서비스 이용교육을 10.5%(84명),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교육을 5.3%(46명), 기타에 1.3%(10

명)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적으로 대부분의 응답자는 정보 검색/활용 능력에 대한 교육 프로

그램을 가장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NDL 포털 홍보방안

[표 Ⅴ-24] NDL 포털홍보방안

NDL 포털의 홍보방안으로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응답자(800명)의 34.1%(273명)가 TV

나 신문 등의 광고, 34.0%(272명)가 일반포털에서의 광고라고 응답하였다. 그 다음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에서 팝업으로 홍보 9.0%(72명), 전국 공공/대학/학교도서관

에 안내자료 배포 8.4%(67명), 국립중앙도서관 이용자에게 이메일 발송 5.5%(44명)의 순으로 많

았다. 그 외에 안내책자 배포 3.8%(30명), NDL UCC 경연대회 개최 2.0%(16명), NDL 소개 동

영상 1.8%(14명), 작은 기념품 배포 1.3%(10명), 기타 0.3%(2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TV나 신문, 포털사이트를 통한 광고가 대부분의 응답자에게 효과적인 홍보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국립중앙도서관이나 공공/대학/학교 도서관 등 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홍

보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51제5장 포털 서비스 기능 및 설문 분석

기관의 통합된 로그인 정책과 오류가 없는 자료의 링크 등 쉽고 편리한 접근한 자료열람을 요구

함을 의미한다.

● NDL 포털 연계기관의 자료 열람 시 중요사항

[표 Ⅴ-22] NDL 포털의개인공간기능

NDL 포털에 개인공간이 있다면 자주 사용할 기능으로 응답자(797명)의 32.7%(261명)가 개인

의 검색결과 저장, 32.5%(259명)가 NDL에서의 예약 및 대출 등의 개인 이용정보를 응답하였다.

그 다음으로 15.5%(120명)가 독서노트나 독서통장 같이 독서와 관련된 콘텐츠를, 14.7%(117명)

가 개인의 검색결과 조회를 응답하였다. 그 외에 개인의 스케줄 관리 3.5%(28명), 일기장

1.3%(10명)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적으로 대부분의 응답자는 NDL 포털의 개인공간을 검색

결과의 저장 및 이용정보의 확인으로 이용하고자 함을 알 수 있다.

● NDL 포털 온라인 교육내용

[표 Ⅴ-23] NDL 포털온라인교육내용

150

순위 구분 빈도(명) 백분율(%)

1 검색결과 저장 261 32.7

2 이용정보 259 32.5

3 독서관련 콘텐츠 120 15.1

4 검색결과 조회 117 14.7

5 스케줄 관리 28 3.5

6 일기장 10 1.3

7 기타 2 0.3

합계 797 100.0

순위 구분 빈도(명) 백분율(%)

1 정보 검색/활용 능력 249 31.2

2 정보 문제해결 능력 139 17.4

3 도서관 관련IT서비스 이용 137 17.2

4 영상/이미지 제작기술 132 16.6

5 도서관 서비스 이용 84 10.5

6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 46 5.8

7 기타 10 1.3

합계 797 100.0

순위 구분 빈도(명) 백분율(%)

1 TV/신문에서 광고 273 34.1

2 일반포털에서 광고 272 34.0

3 국립중앙도서관 사이트에서 팝업으로 홍보 72 9.0

4 전국 공공/대학/학교도서관에 안내자료 배포 67 8.4

5 국립중앙도서관 이용자에게 이메일 발송 44 5.5

6 안내책자 배포 30 3.8

7 NDL UCC 경연대회 개최 16 2.0

8 NDL 소개 동영상 14 1.8

9 작은 기념품 배포 10 1.3

10 기타 2 0.3

합계 800 100.0

Page 7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3. NDL 포털 모형 개발을 위한 시사점

NDL 포털 모형 개발을 위해서는 정보환경의 변화 및 이용자의 요구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이용자 시나리오에서 도출된 NDL 이용자의 다양한 정보요구 행태 및 정보탐색 과정을

충분히 반영하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포털 유형별 서비스 기능에 대한 분석을 통해 몇 가지 시사

점을 도출하였다.

● NDL이 소장하고 있는 장서 및 콘텐츠에 대한 통합적이고 이용자 친화적인 검색 플랫폼

을 구현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디지털도서관은 통합과 개방이라는 특징을 발전시켜

정보서비스를 사서 주도형에서 이용자 주도형으로 변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검색포털

의 인터페이스에 익숙한 이용자들의 요구 및 정보이용 패턴을 고려하여 검색의 사용성과

유용성을 높은 이용자 지향적인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국내외

도서관 및 공공기관, 민간포털 등과의 연계를 통한 서비스의 확대와 통합 접근성의 확보

를 통해 이용자들의 정보의 활용 및 이용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다양한 유

형의 검색 기능이 정의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개방과 공유와 참여를 통한 정보의 생산 공유 재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용자

참여 플랫폼을 구현한다. 최근에는 웹2.0의 확산과 함께 이용자의 참여가 증대하면서 인

터넷 포털 서비스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는 바, 이용자들이 제작한 콘텐츠를 바탕으로, 콘

텐츠의 다양성과 개별화를 추구하고, 전문 지식에 대한 광범위한 서비스가 창출될 수 있

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을 기본으로 이용자 공헌(User

Contribution)의 신뢰 및 도입, 사용 용이성을 강조, 상호참조, 공유, 재사용, 혼합, 매쉬

업, 가치창출의 키워드를 적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웹의 콘텐츠는 CSS, XML 등

의 표준 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폭넓게 많은 이용자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H/W 및 S/W나, 문서 포맷, 검색 등에 대한 다양한 표준 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

도록 해야 한다. 콘텐츠 제작은 향후 도입될 다양한 단말기기 환경을 고려하여 이를 수용

할 수 있는 콘텐츠가 설계 및 개발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로벌 지식정보 유통

152

플랫폼을 구현한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은 국민들의 정보 접근권을 향상하고 지식정보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해 인터넷포털 사이트 네이버, 엠파스 등과 상호 업무협력을 위한

협정을 체결하고, 국립중앙도서관의 600만 장서의 메타데이터는 물론, 일반인들이 평소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던 1950년 이전 발간 귀중본, 연속간행물, 100년 전부터 1945년 까

지의 신문, 한국고전백선, 고문서, 학술지 등 원문 DB를 구축한 20여만 책의 다양한 지식

정보자료에 대한 검색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네이버나 엠파스의 검색창에

서 해당 검색어를 치면 국립중앙도서관 장서의 유무가 검색되며, 장서가 있을 경우 국립

중앙도서관 홈페이지에 연결되어 목차정보, 표지, 원문 유무 등 상세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인터넷 교보문고와는 품절, 절판, 미등록 등으로 인해 서점에서 도서를 구입할 수 없

거나 검색이 불가능했던 도서에 대해 전국 도서관의 소장 유무를 알려주는 정보를 제공,

고객이 찾는 도서를 자신의 거주지 인근 도서관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국내 인터넷 포털과의 협력 외에도 국내 공공기관 및 도서

관, 국외 국가디지털도서관 및 민간포털 등과의 다양한 협력과 연계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지식정보, 교육연구, 문화에 대한 통합적 접근점을 마련하는 허브 역할을 충

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인포메이션코먼스 및 NDL 포털을 통한 정보리터러시 및 정보레퍼런스 교육 기반 마련을

통해 정보취약계층의 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키고 정보복지를 실현하는 활용 플랫폼을 구

현한다. 웹은 모든 계층의 사람들, 즉 장애우, 노인, 이주민 등의 정보 소외 계층까지도 쉽

게 접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웹은 이제 누구에게나 필수적인 생활 도구가 되어가고

있으며, 웹을 통해 정보를 접하는 사람과 접하지 못한 사람의 격차는 경제적?문화적으로

커다란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모든 계층이 용이하게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폭넓게 확보하고, 미디어나 정보원의 이용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평생교육차원의

정보리터러시 및 정보레퍼런스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안정적 기반 마련이 중요할 것이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53제5장 포털 서비스 기능 및 설문 분석

Page 7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제6장

NDL 포털 사이트 모형

1. NDL 포털 사이트 모형 개요

2. NDL 포털 모형의 주요 구성요소

3. NDL 포털 모형 아키텍처

Page 7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56

1. NDL 포털 사이트 모형 개요

지금까지 도서관포털 및 일반포털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토대로 유형별 포털 모형의 정보서비스

현황을 살펴보았고, 포털서비스 기능 분석을 통해 최근 이용자들의 관심과 요구를 반영하는 서비

스들의 빈도를 비교해 보았으며,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향후 구축될 NDL 포털에 대한 이용자

들의 정보요구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조사, 분석을 토대로 본 장에서는 NDL 포털 사이트 모형의 구성요소 및 NDL 포털 모

형 아키텍처를 수립하고자 한다. NDL 포털 모형은 다음의 네 가지 방향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첫째, 글로벌 기반의 원스톱 정보접근 및 통합검색 포털을 구현한다. 둘째, 국내외 디지털 지식정

보자원의 연계 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한다. 셋째, 이용자 참여와 공유를 통한 참여형, 개방형 포털

을 구현한다. 넷째, 최신 정보서비스 환경과 정보기술을 적용 및 선도함으로써 이용자 친화적, 이

용자 중심적 포털을 구현한다.

제6장NDL 포털사이트모형

[그림Ⅵ-1] NDL 포털사이트모형개발방향

2. NDL 포털 모형의 주요 구성요소

4장에서 살펴본 포털의 기능 및 명세를 기본으로 NDL 포털 모형의 주요 구성요소를 크게 다섯

분야(인증과 암호, 인터페이스, 검색, 정보서비스, 자원관리)로 나누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Ⅵ-2] NDL 포털모형의주요구성요소

가. 인증과 암호

● 이용자가 한 번의 인증 과정을 통해 기관 내 모든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

내 통합인증 기능

● 이용자의 부류를 인식하고, 부류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57제6장 NDL 포털 사이트 모형

검색 서비스

•NDL통합검색 서비스 구축•간편한 인터페이스•국내외 표준 준수

열람 서비스

•모든 계층 이용자 대상 열람 지원•다양한 유형의 콘텐츠 열람 지원•공공기관/민간 디지털 자원의 연결

참여 서비스

•참여, 공유, 개방 실현•이용자 제작 콘텐츠 서비스•플랫폼으로서의 웹 구현

이용 서비스

•IC 서비스 이용과 효율적 연계•이용자 개인맞춤서비스 제공•차세대 정보환경 및 기술요소 적용

글로벌 기반원스톱 정보접근 및통합검색 포털 구현

국내외 디지털지식정보자원의연계 서비스 제공

이용자 참여와 공유를통한 참여형, 개방형

포털 구축

정보서비스환경 및최신정보기술을 적용한이용자 친화적 포털

NDL 포털모형

인증과 암호 인터페이스 검색 정보서비스 자원관리주요

구성요소

Page 8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서명, 저자명, 출판사 등 구체적인 필드를 사용하는 검색기능 제공

- 간략검색, 상세검색 등 검색에 대한 다양한 수준을 지원하는 기능

- 구두점, 특수문자, 스페이스 등의 포함된 키워드를 인식하는 능력

● 브라우징 기능

- 주제, 자료유형, 발행기관 등의 필드 선택으로 리스트를 정렬하는 기능

- 주제기반 검색 툴(유의어, 상위어, 하위어, 관련 용어 등)을 결합하는 기능

● 통합검색 세션 내 검색결과 조작

- 검색결과를 조직(통합, 저장 등)하는 기능

- 저장된 검색 결과 레코드를 수정하고 삭제하는 기능

- 키워드 선택, 목표대상 선택, 검색결과 조작 및 반출에 대한 이용자 안내 기능

- 검색 히스토리에 검색 질의를 저장하는 기능

● 검색결과 디스플레이

- 중복제거와 정렬로 이용자가 알기 쉽게 검색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 이용자가 검색결과 디스플레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예, 스크린 당 디스

플레이 되는 레코드의 수, 선호하는 장서, 선호하는 키워드 타입 등)

- 디스플레이된 검색 결과 내에서 검색 대상 이름과 검색 결과의 레코드 수를 포함하여,

검색 결과 페이지에 대한 간단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 검색결과 창에서 해당 레코드의 디지털 콘텐츠로 이동할 수 있는 하이퍼링크 제공

● 검색결과 반출

- 이용자가 선택한 검색결과 레코드를 저장하는 기능

- 선택된 검색 결과 레코드를 이용자 전자우편 주소로 발송, 프린터로 출력,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기능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59제6장 NDL 포털 사이트 모형

● 로컬 인증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여 기관 간 통합인증을 할 수 있는 기능

● 프로파일에 등록된 접근 권한과 라이센스를 기반으로 맞춤검색, 맞춤서비스 제공 기능

● 자원의 접근통제에 대한 동의 관리 기능

● 한정된 자원에 대한 '게스트' 로그인 지원

● 이용자의 암호 문제 해결을 위한 시스템 관리자 기능

나. 인터페이스

● 일반이용자, 기관이용자에게 적절한 도움말과 에러 메시지 제공기능

● 각 검색대상에 의해 되돌아오는 레코드의 수를 보여주는 기능

● 어떤페이지에서든디지털참고서비스와기관연결정보로이동할수있는하이퍼링크제공

● 웹페이지 관리자 및 콘텐츠 제공자를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 개인화, 맞춤화할 수 있는 기능

다. 검색

● 일반기능

- 각기 다른 수준의 이용자(전문가, 숙련자, 초보자)를 지원하는 기능

- 초보 이용자가 검색질의를 명확히 하고, 대상을 선정하며, 검색결과를 조정하는 기능

- 이용자가 다양한 대상을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검색하도록 하는 기능

- 이용자가 세션요소(스크린 당 표시되는 레코드의 수, 선호하는 검색대상, 관련성, 이

름, 날짜 등과 같은 선택된 필드)를 지정하도록 하는 기능

- OpenURL 해석기(resolver)의 지원

- 이용자가 검색 질의를 저장, 수정, 삭제하는 기능

- 검색결과에 적용되는 적절성 순위 기준을 결정하는 기능

● 키워드 검색

- 불리언 연산, 인접탐색, 절단, 와일드카드, 어순 연산자 등의 다양한 검색기능을 제공

- 이용자에게 연산의 순서를 지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불리언 연산자의 괄호처리

158

Page 8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주제별, 자료유형별, 발행기관별로 인덱스 하는 기능

● 통계 및 보고

- 장서 및 콘텐츠의 이용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자동으로 산출하는 기능

- 포털 기능의 이용에 대해 즉시 접근 가능한 통계를 제공하는 기능

- 처리과정에 대한 보고서를 제공하는 기능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61제6장 NDL 포털 사이트 모형

라. 정보서비스

● 참여서비스

- 특정 집단이 연구하고 있는 주제 정보를 기반으로 커뮤니티 프로파일 수집, 등록 하는

기능

- 이용자 프로파일 수집, 등록 기능

- 도서반납요청, SDI 서비스 등 이용자들이 도서관 포털에 요청하여 제공받는 공지서비

스 기능

- 희망도서 신청, 예약 신청, 대출내역 조회, 상호대차(원문복사), 참고봉사(질의) 등 이

용자들에게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문답서비스 기능

- 참고봉사나 상담서비스에 의해 축적된 지식 DB, 이용자나 사서들에 의해 게시된 지식

콘텐츠, 그리고 온라인 레파지토리와 같은 지식저장소 서비스 등 축적된 콘텐츠를 기

반으로 제공하는 공유서비스 기능

● 아웃리치 서비스

- 외국인, 소수민족 등을 위해 다국어 검색, 정보 상담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다문화 서

비스 기능

- 장애인, 노령인구를 위해 특화된 검색 및 정보 상담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취약계층 서

비스 기능

마. 자원관리

● 장서단위(target)의 메타데이터 관리

- 디지털 장서의 소장 정보를 기술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 편집, 삭제하는 기능

- 디지털 장서의 검색과 접근에 필요한 정보를 기술하는 메타데이터를 주제별, 자료유형

별, 발행기관별로 인덱스 하는 기능

● 콘텐츠단위(target resources) 메타데이터 관리

- 디지털 장서를 구성하는 다양한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생성, 편집, 삭제하는 기능

160

Page 8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가. NDL의 수평층

| 서비스 환경 |

서비스환경은 이용자가 NDL 포털을 이용 및 활용 할 수 있는 기기(device)의 유형을 나타낸

다. NDL의 서비스 환경에는 인터넷, 무선전화기, 디지털 TV, 유비쿼터스가 포함되며, 어느 기기

를 통해서도 하위 계층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 표현 서비스 |

표현 서비스는 이용자들이 NDL에 의해 제공되는 자원 및 서비스를 직접 눈으로 확인, 활용하

는 층으로, 이용자와 NDL이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이다. NDL에서 제공하는 정보원은 단일

의 방법으로 통합되어 제공 된다.

한편, 표현 서비스에서는 이용자의 요구 및 취향에 따른 맞춤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표현

구성에 있어 색깔, 폰트, 기능 레이아웃 등의 맞춤화가 가능하다. 표현 계층은 다시 4개의 하부구

조, 즉 접근, 이용, 참여, 연계기능을 갖는다.

| 기반 서비스 |

기반 서비스는 이용자의 요구에 의해 정보를 검색, 가공, 관리 하는 영역으로 하위 계층의 표준

서비스 기능들과 연동되어 처리 된다. 기반서비스는‘통합 정황(context) 서비스’의 의미도 담고

있는데 이는 이용자와 세션에 대한 정황을 관리해 주기 때문이다. 이용자의 이름제시, 이용자의

검색결과와 이용자가 선택한 레코드를 저장하는 검색 히스토리, 프린트 또는 저장하기 위해 표시

한 자료 등의 관리기능을 갖는다.

● ‘반입/반출’은 하위 계층의 표준서비스 프로그램들에 의한 정보자원의 반입과 이용자가 선

택한 검색결과 레코드를 이메일, 프린트, 다운로드 등의 방법으로 반출하는 기능이다.

● ‘정산’은 이용자들이 지불해야할 자원 및 서비스접근을 위한 결제 기능을 담당한다.

| 표준 서비스 |

분산되어있는정보의수집등실질적으로정보자원에대해접근할수있는소프트웨어프로그램

들의 영역이다. 표준서비스는 ‘통합 기능(function) 서비스’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이는 Z39.50과 같

이표준적인검색기능등정보수집업무와관련된소프트웨어프로그램들로구성되기때문이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63제6장 NDL 포털 사이트 모형

3. NDL 포털 모형 아키텍처

NDL 포털서비스 모형의 주요 구성요소와 포털 모형의 사례를 참조하여 NDL 포털 모형을 제

안하였다. 제안한 NDL의 포털 모형은 계층구조를 갖는 5개의 수평층과, 모든 수평층에 영향을

미치는 3개의 수직층으로 구분된다. 제안된 NDL 포털 모형은 [그림Ⅵ-3]과 같다.

[그림Ⅵ-3] NDL 포털모형

162

포털서비스 품질관리 / 기반서비스 인터페이스

Internet

검색

메타검색

원격검색

색인검색

디렉토리서비스

분류정보

계층검색

통합뷰잉

포맷변환

콘텐츠서버

지식제공

지식공유

지식재생산

라이센싱

연계모니터링

정산

OAI-PMH

Z39. 50

SRU/SRW

Open URL

Open API

INDEX질의

토픽맵

Dictionary

의미매핑

Meta Data

코드/형식

식별체계

비표준지원

반입/반출

UDDI

통합검색 레퍼런스 정보패키징

접근 이용 참여 연계

열람/신청 커뮤니티 국내연계

리터러시 BLOG/UCC 해외연계

Mobile Digital TV Ubiquitous 통합관리

기반서비스 구성관리 / 표준서비스 인터페이스

형상관리 / 리소스 인터페이스

서비스W

orkflow

관리(

장서시스템~

포털서비스)

인증/

보안/

세션제어(

시스템기능/

정보/

사용자)

이용통계및보고(

로깅/

세션/

통계/

OLA

P/

보고서)

맞춤서비스/RSS

NDL콘텐츠

NDL회원

서비스환경

표현서비스

기반서비스

표준서비스

리소스

연계정보

정산정보

표준정보

국내콘텐츠

해외콘텐츠

● 서비스 환경 : 포털을 이용할 수 있는 기기 및 네트워크 영역

● 표현 서비스 : 포털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및 서비스 영역

● 기반 서비스 : 자원의 검색, 가공, 제공 영역

● 표준 서비스 : 자원의 수집, 관리, 색인 영역

● 리소스 관리 : 자원의 물리적인 관리 영역

● 통 합 관 리 : 서비스 워크플로우 관리, 인증, 보안, 세션 관리, 통계

Page 8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콘텐츠 계층 |

콘텐츠 계층은 이용자가 접근하기를 희망하는 모든 정보자원(리소스)을 포함하며, NDL 포털환

경 내에서 통합되어야 할 자료유형들을 나타낸다. NDL 콘텐츠, NDL 회원정보, 국내외 콘텐츠,

연계정보 등이 포함된다.

나. NDL의 수직층

| 서비스 워크플로우 관리|

전체적인 NDL 포털 서비스의 흐름을 관리 및 통제한다.

| 인증, 보안, 세션제어 |

통합인증, 보안, 사용자별 권한을 통제한다. NDL 시스템은 세션을 시작할 때, 초기 검색 옵션

의 메뉴와 시스템의 자세한 도움정보도 제공해야 한다. 또한, 한 시점에서 긴 검색을 중지하고,

이용자에게 검색 범위 축소, 검색 종료, 검색 계속 등의 옵션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도 가지고 있

어야 한다.

| 이용통계 및 보고 |

NDL은 이용된 각 자원에 대한 이용통계가 가능해야 한다. 고객 코드에 의한 모든 통계를 분류

할 수 있어야하고 성공적으로 인증된 고객과 인증되지 않은 고객, 그리고 세션의 수, 길이, 페이

지 뷰, 살펴본 문헌 등에 의한 통계도 가능해야 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65제6장 NDL 포털 사이트 모형

● ‘OAI-PMH (Open Archive Initiative-Protocol for Metadata Harvesting)’ 에서 OAI

는 디지털 콘텐츠의 효율적인 유통 및 활용을 목적으로 상호운용성을 갖는 표준을 개발하

고 보급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OAI-PMH는 OAI에서 제안한상호운용성 표준이다.

● ‘Z39.50’은 이 기종간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고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 기반한 프로토콜

이다.

● ‘SRW/SRU (Search/Retrieve for the Web/URL)’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고 그 결과

를 보내기 위한 웹서비스 기반 프로토콜이다.

● ‘Open URL’은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모든 콘텐츠를 상호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체계

이자 프로토콜이다.

● ‘Open API (Op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는 응용 서비스 계층과 통신망의 전

달망 계층 사이의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융합형 통신 서비스를 위한 공개 API는 유선 전

화망, 이동 전화망, 데이터통신망, 방송망 등 각종 통신망의 기능을 추상화시킨 인터페이

스로서 이를 이용하여 통신망의 구조 및 기술에 독립적으로 새로운 응용 서비스를 쉽게

개발할 수 있게 된다.

● ‘토픽맵’은 분산 환경 하에서 지식구조를 정의하고 정의된 구조와 지식자원을 연계하는데

쓰이는 기술 표준이다.

● ‘Dictionary’는 국내, 국외의 각종 콘텐츠들에 대한 사전적인 뜻과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

의 번역을 위한 번역기이다.

● ‘비표준지원’은 정보 수집과 유통을 위해 표준적인 Z39.50이나 OAI 등의 방법도 있지만

표준을 지원하지 않는 많은 정보 자원(다양한 민간포털에서 제공되는 각종 프로토콜,

API)에 대해서도 NDL은 지원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표준지원 이라는 기능이 포함되었다.

● UDDI (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는 인터넷에서 전 세계

비즈니스 목록에 자신을 등재하기 위한 확장성 생성 언어(XML) 기반의 레지스트리. 웹에

서 상호 온라인 거래의 원활과 e-커머스의 상호 운용을 위한 것으로, 전화번호부의 업종

별 색상 항목(page)과 유사하며 비즈니스 이름, 제품, 위치 혹은 웹 서비스 등으로 목록을

작성한다. 확장성 생성 언어(XML),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HTTP),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 프로토콜과 같은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과 인터넷 엔지니어링 테스크 포

스(IETF) 표준을 사용하며, 서로 다른 플랫폼 간의 프로그래밍을 위해 메시지 관련 지침

인 단순 객체 접근 통신 규약(SOAP) 초기 버전을 적용한다.

164

Page 8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1. NDL 포털 서비스 개요

2. NDL 포털 검색 서비스

3. NDL 포털 참여 서비스

4. NDL 포털 활용 서비스

5. NDL 포털 연계 서비스

6. NDL 하위포털 서비스

7. NDL 포털 향후 추진과제

Page 8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NDL 포털 일반서비스 방향 |

●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민간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한 글로벌 지식정보

유통서비스를 구현한다.

● 정보 활용교육을 통한 평생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 서비스를 구현한다.

● 정보취약계층의 정보접근 및 이용을 용이하게 하는 다각적이고 실제적인 서비스를 구현

을 통해 정보복지 증진에 기여한다.

| NDL 포털 핵심서비스 방향 |

● NDL 포털 핵심서비스는 NDL 장서 및 국내외 콘텐츠에 대한 통합적이고 이용자친화적인

검색서비스를 구현한다.

● 고품질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유통 플랫폼으로서 학술적, 정보적 가치가 있는 콘텐츠가 생

산-공유-재생산될 수 있는 서비스를 구현한다.

● 이용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통해 유용한 지식정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새로운 정보 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이용자 참여서비스를 구현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69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68

1. NDL 포털 서비스 개요

가. NDL 포털 서비스 방향

NDL 포털의 정보서비스는 국가적 디지털도서관포털로서의 일반적인 서비스와 지식정보 유통 플

랫폼으로의NDL 포털의핵심서비스로방향을수립하여세부적인서비스방안을도출하도록한다.

[그림Ⅶ-1] NDL 포털서비스방향

제7장 NDL 포털서비스방안

NDL포털 핵심서비스 방향

•NDL 장서 및 국내외 콘텐츠에 대한통합적.이용자친화적 검색서비스 구현

•고품질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유통서비스 구현•학술적, 정보적 가치 있는 콘텐츠가 생산 및

공유되는 이용자 참여 서비스 구현

NDL포털 일반서비스 방향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민간 콘텐츠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한 글로벌지식정보 유통서비스 구현

•정보 활용교육을 통한 평생학습 지원 서비스•정보소외계층 서비스를 통한 정보복지 실현

NDL 포털서비스

▷글로벌 통합 포털▷지식정보 유통 플랫폼

검검색색서서비비스스

활활용용서서비비스스

참참여여서서비비스스

연연계계서서비비스스

Page 8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2. NDL 포털 검색 서비스

가. 검색 서비스 개요

| 통합검색 환경 제공 |

●NDL은 국내외 디지털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유통 허브로서 전 세계 이용자들이 누구나, 언

제, 어디서나 원하는 자료를 쉽고, 편리하고,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기능을 제공한다. 검색서비스는 NDL 서비스의 핵심적인 정보서비스이며, NDL에서

통합 관리하는 디지털 장서를 기반으로 각종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검색서비스의 원칙은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단절이 없는

(one-stop) 편안한 정보검색이 가능해야 한다. 즉, 사용성이 높은 이용자 인터페이스와 다

양한 유형의 디지털 장서를 대상으로 하는 통합검색 정보환경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서관 포털 관련 각종 표준화와 요소 기술을 적용하도록 한다.

●검색서비스는 키워드 기반의 검색(간략검색, 고급검색)과 브라우징 기반의 검색(디렉토리검

색, 토픽맵과 같은 의미검색 등) 등과 같은 검색기능들의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 검색작업

이 일관성을 가지도록 한다.

| 검색대상 장서(Collection) |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디지털라이징을 통해 구축한 유형별 디지털자료 및 웹 아카이빙을 통

해 구축된 ‘오아시스(Online Archiving & searching Internet Sources,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71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나. NDL 포털 서비스 구성도

[그림Ⅶ-2] NDL 포털서비스구성도

| NDL 정보서비스는 검색, 참여, 연계, 활용을 핵심 축으로 하여 구성된다. |

● NDL이 소장하고 있는 장서 및 콘텐츠에 대한 통합적이고 이용자 친화적인 검색 플랫폼을

구현한다.

● 개방과 공유와 참여를 통한 정보의 생산 공유 재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용자 참

여 플랫폼을 구현한다.

●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로벌 지식정보 유통 플

랫폼을 구현한다.

● NDL 인포메이션코먼스 및 NDL 포털을 통한 정보리터러시 및 정보레퍼런스 교육 기반 마

련을 통해 정보 취약 계층의 정보 활용능력을 향상시키고 정보복지를 실현하는 활용 플랫

폼을 구현한다.

170

•공공도서관•대학도서관•전문도서관

국내 도서관

•정부부처•공공 포털

공공기관

•민간 종합포털•콘텐츠 사업자

민간 포털

•블로그•커뮤니티

개인/그룹

•TEL

•WDL

•독일 DL

•영국 DL

•미국 DL

•핀란드 DL

•네덜란드 DL

•아시아 DL 등

해외디지털도서관

•google•Yahoo

해외민간포털

NDL포털 플랫폼

국내 도서관

NDL 인포메이션 코먼스

검색 기능 참여 기능

연계 기능 활용 기능

•통합 검색•분산검색•개인맞춤검색

•커뮤니티 / 블로그•지식서비스•이용자 제작 콘텐츠

•콘텐츠 연계•사이트 연계•서비스 연계

•디지털 클러스터 공간 •미디어 스튜디오•디지털 러닝 공간 •전시공간 / 회의공간

•정보 리터러시 프로그램•정보 레퍼런스 프로그램•포털 및 IC 활용 지원

•장서 기획 / 수집 / 관리

정보복지 서비스/다문화 서비스포털 개방 서비스

OutreachService

주제별/지역별/이용대상별/관종별/자료유형별/맞춤 포털

하위 포털서비스

●국내외 디지털 정보자원에 대한 유통 허브로서 통합검색 환경제공 |

●검색대상 장서(Collection)

국중 소장장서(디지털라이징 장서 및 오아시스 장서) / 일반정보 / 공공정보 / UCC

정보 / 상용정보(e-book, e-journal) / 국외정보

●통합 검색, 상세 검색, 주제별 검색, 소장처별 검색, A-Z 검색, 초록 검색, TOC 검

색, 의미검색, 맞춤검색 등으로 구성

●인기검색어, 검색어자동 완성, 검색히스토리, 검색툴바 등 이용자 편의 기능 제공

●태그, 인기콘텐츠, 추천콘텐츠 등 이용자 평판을 통해 선별된 정보 검색 및 제공

Page 8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통합검색을 제공하는 방식, 토픽맵 기반의 의미검색 등이 가능하다.

| 검색 서비스 유형|

●본 연구보고서 5장의 포털 서비스의 기능 분석에서 33개 포털사이트의 참여서비스의 유형

및 빈도를 살펴보면, 통합검색 > 상세검색 > 분류별 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원문검색 > 전

자저널검색 > 동영상검색 > 이미지검색 > WEB DB 검색 > 인기검색어 > 학술지검색 > 게

시판검색 > 블로그검색 > UCC검색 > 휴대폰검색 > 검색어자동완성 등이 있다.

나. 개별 검색서비스

| NDL 포털의 주요 검색 서비스 |

[그림Ⅶ-3] NDL 포털주요검색서비스

| 통합 검색 |

1) 개요

●NDL 통합검색 서비스는, 카테고리, 게시판, 블로그, 학술지, 논문, 문서 등 NDL이 제공하

는 다양한 검색서비스를 통합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73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www.oasis.go.kr)’장서, 납본을 받은 ‘온라인디지털 장서’ 등 국립중앙도서관의 소장 장서

를 검색 대상으로 한다.

● e-book이나 e-journal 등 라이센스 구매를 통해 확보한 상용 장서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

다.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이 구축한 지식·학술·문화 관련 공공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용자들의 참여를 통해 생산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동영상 등 다양한 ‘사용자제작콘텐

츠(UCC)’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국내 정보뿐만 아니라 국외정보, 즉 TEL·WDL 등의 디지털도서관포털 및 미국·독일·영국·

핀란드·네덜란드 등 해외 디지털도서관 콘텐츠 및 민간포털과의 협력을 통해 검색할 수 있

도록 한다. 특히, 아시아권의 주요도서관 자료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 검색 방식 및 유형 |

●기본적으로 통합검색 방식은 메타통합검색과 분산검색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메타통합검

색 방식은 통합검색 대상의 장서(데이터베이스) 로부터 수집된 개별자원의 메타데이터를

로컬 DB로 통합하여 검색하는 경우를 말한다. 통합 DB를 구축하기 위하여 대상 장서로부

터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법에 따라 다른 방식의 유형으로 세분할 수 있지만,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경우는 OAI-PMH라는 메타데이터 수확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분산검색 방식은 이용자가 요청한 질의어를 디지털장서를 소유하고 있는 내외부의 장서 시

스템에 복수의 검색질의어를 전달하여 해당 시스템에서 수행된 검색결과를 반환받아 조합

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방식은 검색질의어를 전달하고 결과를 수집하는 구체적인 방

식에 따라 표준기반 검색과 비표준 방식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표준기반 검

색은 검색 질의어 요청과 결과 회신에 표준적인 프로토콜이나 요소기술을 사용하는 방식이

다. 대표적인 표준이나 요소기술은 Z39.50, SRU, SRW, Web services(SOAP, UDDI,

WSDL), Web/CGI 등이 해당된다. 한편, 비표준 검색은 표준기반 검색 방식과 달리 대상 시

스템의 고유한 검색방식에 따라 질의 요청과 응답 수신 방식이 구현되며, 주로 전용 S/W를

사용한다.

●이외에도 도서관 포털에서 제공 가능한 통합검색과 관련된 방식으로 OpenURL 표준을 참

조연계(reference linking) 기법에 의한 연계검색 방식, 디지털장서 수준의 메타데이터

(collection level metadata)를 이용하여 장서 수준의 브라우징이나 개별 정보자원에 대한

172

•통합접근.검색환경 및 사용성이 높은 이용자검색 인터페이스 제공•NDL소장장서 / 일반정보 / 공공정보 / UCC정보 / 상용정보 / 국외정보 등

다양한 유형의 유용한 디지털 자원을 검색

•바로가기, 콘텐츠형검색, 생활검색, 카테고리검색, 사이트 검색 제공•NDL이 제공하는 다양한 검색서비스를 통합 제공•검색어에 가장 적합한 검색서비스를 통합하여 검색결과 제공

•기 구축된 NDL장서 및 외부 DB를 활용하여 정제되고 정확한 정보의 전달•체계적인 분류에 따라 등록된 사이트 및 콘텐츠를 검색하여 제공•NDL장서(디지털라이징 + 오아시스) 및 외부사이트 제휴 장서의 제공

•원문검색, 전자저널검색, 동영상검색, 이미지검색, 블로그/카페검색, UCC검색, CD-ROM 검색, 게시판 검색 제공

•인기검색어, 검색어자동 완성, 검색히스토리, 검색툴바 등 이용자 편의 기능 제공•테그, 인기콘텐츠, 추천콘텐츠 등 이용자 평판을 통해 선별된 정보 제공

통합검색

디렉토리검색

자료유형별검색

검색 관련서비스

Page 8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카테고리 순으로 나열된다.

3) 서비스 방안 및 효과

● ‘바로가기’를 제외하고는, NDL 포털에서 서비스하고자 할 때, 초기에는 직접 구축의 방법

을 피하고, 제휴를 통해 제휴사 서비스를 차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서비스 오픈 시점 이후, 안정화 작업의 추이를 분석하면서, NDL 포털에서 직접 서비스 구

축 작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 상세 검색 |

1) 개요

●상세 검색은 검색 엔진이 문서 파일 또는 웹페이지 등 검색할 대상을 세밀하게 지정해서

질 높은 검색 결과를 얻도록 하는 것이다.

●검색 범위를 특정한 사이트 또는 개인 홈페이지로 좁힐 수 있다. 또한 문서 제목에서만 또

는 문서 위치를 나타내는 URL만 지정하여 검색한다.

2) 내용

●NDL 포털 서비스에서의 상세 검색의 경우, 검색어와 제외할 단어를 기입할 수 있다.

●검색 영역에서는 ① 문서 전체에서 ② 제목에서 ③ URL에서 ④ 링크 제목에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편의대로 상세 검색을 할 수 있다.

3) 서비스 방안 및 효과

●검색 범위 메뉴를 두고, 호스트, 도메인, URL path를 모두 입력 가능하게 하므로 검색 결

과 만족도를 높이게 한다.

●검색 대상에서는 한글, MS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아크로뱃, 텍스트, 기타 등의 문서 도구

에 따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경우 각 문서 도구 형식에 따라 사용자의 컴퓨터에 해당 문서 편집기가 없어도 열

람이 가능하도록 각 문서 도구의 뷰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75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NDL 통합검색 서비스는, 단순히 NDL이 제공하는 여러 정보를 모아서 보여주는 형태가

아닌, 검색어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검색서비스를 통합하여 보여 준다. 따라서 검

색어에 따라 보여 지는 검색결과 구성에 차이가 나게 된다.

2) 내용

●통합 검색의 구성 요소는, ① 바로가기 ② 콘텐츠형 검색 ③ 생활 검색 ④ 카테고리 검색 ⑤

사이트 검색 등이다.

- ‘바로 가기’의 경우, NDL 포털 서비스에 등록된 사이트에 한하며, 해당 사이트의 제목과

정확히 일치되는 키워드에 대해서만 사이트 제목과 URL을 보여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 경우, NDL 포털 서비스의 기준, 정책에 따라 적용된다. 예를 들어 독립적인 도메인 및

공식 사이트를 기준으로 한다, 혹은 중복된 서비스 명 혹은 사이트 명이 있는 경우 바로가

기 등록이 제한된다든가 하는 기준이 있다.

- ‘콘텐츠형 검색’의 경우, 도서 저자, 감수 등의 인물에 대한 프로필 검색 및 인물 검색 등이

있으며, 이 경우 NDL 포털 서비스가 편집하거나 혹은 자체적으로 서비스하는 각종 콘텐

츠를 보여주게 된다. 인물 검색 외 콘텐츠사업자와 연계해서 진행되는 엔터테인먼트 검

색, 출판사 검색-기업정보- 등이 있다.

- ‘생활 검색’의 경우, 검색의 주된 내용이 되는 정보 검색류를 제외하고, 생활에 관련된 검색

을 제공한다. 일반 상용포털에서는 대부분 서비스하고 있는 내용으로써 이용자들에게 편

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 ‘지도’, ‘환율’, ‘도량형’, ‘주가정보’, ‘계산기’, ‘달력’,

‘우편번호’, ‘지역번호’등의 생활 관련 검색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편의를 제공하고,

사이트의 활성화에 기여한다.

- ‘카테고리 검색’의 경우, 검색어와 관련된 카테고리를 검색해준다. 이 카테고리의 경우,

NDL 포털 서비스의 전문 에디터가 분류해 놓은 것으로, 카테고리 밑에 분류되어 있는 사

이트 검색을 통해 빠르게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광범위한 주제를 검색했을

때는 카테고리 검색 결과가 복수로 존재할 수 있는데, 이럴 때는 NDL 포털 서비스 자체 기

준으로써, 2개를 보여준다든지, 3개를 보여준다든지 정해진 원칙대로 서비스 한다.

- ‘사이트 검색’의 경우, NDL 포털 서비스가 정한 기준으로 정렬을 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NDL 랭킹 > 인기도 순 > 관련도 순 > 등록일 순 등의 기준으로 정렬할 수 있다. 이 경우 검

색 결과는 대부분 사이트 제목 > 사이트 설명 > 인기도 > URL >웹문서 검색 > 상세 정보 >

174

Page 8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디렉토리 검색 |

1) 개요

●디렉토리 검색의 정의는, 사람의 손을 거쳐 찾은 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즉, 전문 서퍼들

이 사이트 등의 내용을 확인한 후 체계적인 분류에 따라(=카테고리) 등록한 사이트를 검색

해주는 것이다.

●데이터의 양적인 면에서는 웹 검색 등에 비해 적지만, 좀 더 정제되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내용

●NDL 디렉토리 검색의 경우, NDL 전문 서퍼의 고용, 진행 부분과 기존 민간 사이트 혹은

국공립 사이트의 정제된 DB를 활용하는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보다 NDL의 성격에 맞는 전문화된 검색 결과를 도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

는 반면, 운영 부분에 대한 리스크 부분 및 비용 문제점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DB의 양에

대한 부담이 존재한다.

●반면후자의경우, 기존구축된DB 활용이라는점에서보다안정적인검색결과를도출할수

있다는점과많은DB를활용할수있는것이장점이될수있다. 하지만, 기존민간사이트와

의 제휴 진행에서 예기치 못한 문제점이 도출될 수 있으며, 제휴 협의 과정에서 정확한 진행

일정산출이어려워전체적인서비스구축및오픈일정에차질이일으킬수있다.

3) 서비스 방안 및 효과

●NDL 정보 DB의 특성 상 정제되고 정확한 정보 전달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디렉토리

검색이 정확한 정보 전달의 핵심 검색 요소이다.

●사이트 오픈 초기에는 외부 사이트와의 제휴를 통해 진행하지만, 궁극적으로는 NDL 자체

전문 서퍼 도입이 중요하며, 서퍼의 양적인 면에서나 교육 등을 통한 질적인 부분 또한 중

요시 된다.

●수많은 정보 DB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전문서퍼의 지속적인

확보와 유지, 교육 등에 힘써야 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77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 분류별 검색 |

1) 개요

●분류별 검색은, 정보를 큰 주제에 따라 분류해 놓은 목록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회, 문

화, 예술, 정치, 교육 등 대 주제에 따라 목록을 제공하는 검색이다.

●분류별 검색은 해당하는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웹 디렉토리, 주제별 카달로그, 주

제별 검색으로 부르기도 한다.

●분류별 검색의 장점은 찾고자하는 정보에 대한 주소나 사전 지식이 없어도 대분류를 통해

점차 범위를 좁혀 나가면서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반면 원하는 정보를 얻기까지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정보와 같이 여러 단계를 거쳐

야하고 잘못 들어서면 시간이 낭비될 우려가 있다.

2) 내용

●분류 부분은 기존 도서 관련 혹은 정보 검색 사이트의 분류를 참조하여 진행한다.

●사회, 문화, 예술, 정치 등과 같은 사회적 대주제에 따라 분류하고, 또한 인문학, 자연과학

등 학문적 분류가 필요하며, 학술지, 논문 등 문서 형태에 따른 분류를 행한다.

●분류 부분은 외부 사이트 분석 및 예상 이용자들의 형태를 분석하여 사용자들의 검색 편이

성을 도모한다.

●NDL의 전체 DB 구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이트 구축 시 정확한 분류

정책을 결정하고 시행한다.

3) 서비스 방안 및 효과

●NDL 포털 서비스에서의 분류별 검색 서비스는, 분류별 검색이 갖는 장점을 적극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찾고자 하는 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분

류의 명확성과 대중성, 그리고 압축 부분이 필요하다.

●분류의 명확성, 대중성, 압축을 위해서, NDL 포털의 DB를 분석하여, 분류에 대한 정확한

정책이 필요하며, 정책은 사용자 편의성을 우선으로 한다.

176

Page 9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원문 검색의 DB를 확대하고, 사용자들의 필요에 맞는 원문 검색 서비스를 시행한다.

●관련 제휴 기관의 DB를 NDL 포털 서비스 내에 존재시키고 서비스를 진행 할 수 있으며,

초기 제휴의 어려움과 개발의 문제가 존재할 시, 기관에 따라 링크 형태로 DB를 보여준다.

| 동영상 검색 |

1) 개요

●동영상 검색은 사용자들이 찾고자 하는 정보를, 다양한 영상 파일 형태로 검색해주는 서비

스를 말한다.

●UCC 문화의 성장에 기인하여 동영상 검색 서비스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2) 내용

●NDL 동영상 검색 서비스의 경우, 동영상 DB를 기본적인 일반 동영상 검색 외, 장면, 기

간, 주제별 등으로 검색 기능을 세분화한다.

●동영상의 주요 화면을 미리 볼 수 있도록 하는 ‘미리보기’ 기능과 각 동영상별 태그 검색 제

공을 통한 검색의 확장성 제공, 다양한 옵션 - 출처별, 검색기간별, 주제별 등을 두어 서비

스 한다.

●태그 검색 제공을 통해 각 동영상에 포함된 태그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검색한 본 동영상

외에 관련 있는 추가 동영상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3) 서비스 방안 및 효과

● ‘미리보기’ 기능 및 각 동영상별 태그 검색 제공 등을 통한 검색의 확장성을 이루어낸다.

●태그 검색 제공을 통해 각 영상에 포함된 태그을 사용자들이 활용하게 하여 검색한 본 동

영상 외에 관련성 있는 추가 동영상을 찾을 수 있게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한다.

| 전자저널 검색 |

1) 개요

●전자저널에 대한 용어를 살펴보면 여러 가지가 사용되고 있으며, 구분도 기준에 따라 다양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79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 원문 검색 |

1) 개요

●원문 검색은 찾고자 하는 정보의 원문을 검색하여, 사용자들이 찾고자 하는 정보를 손쉽

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게 하는 검색 서비스이다.

●오늘날 정보화 시대에서는 출판매체로서의 종이가 서서히 전자 출판물에 의해 보완 대체

되고 있으며, 정보의 양과 접근 가능한 정보가 많아질수록 이용자에게 맞는 적절한 정보를

가려낼 줄 아는 고도의 능력이 요구된다.

●정보 검색의 최종 목적은 원하는 정보의 원문을 입수하는데 있으므로 원문 입수 방법을 정

확히 아는 것은 정보입수의 출발점이 된다. 이용자들이 원문을 제공 받으려면 도서관의 상

호대차를 이용하면 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국내·외의 자료에 따른 상호대차가 원활

히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자기 연구 분야에 관해 출판되는 모든 도서, 학술잡지, 연구보고서 등을 수집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원문 검색 및 제공 서비스는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헌

에 대한 서지사항만을 가지고 검색이 이루어지며 문헌의 원문을 우편, 팩스, 인터넷 등을

통하여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2) 내용

●정보 검색의 최종적 목적은 원문 수집, 획득에 있다. 따라 원문 검색 부분은 사용자들이 찾

고자 하는 정보 획득 과정에 중요한 출발점이다.

●원문 검색의 경우, 그 정보의 정확성과 DB 양 부분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다양한 기관에

서 원문 검색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지만, 그 연계 부분이 활발하지 못하다. NDL이 그 연계

사이트 역할을 하여야 하며, 국내는 물론 해외기관과의 원활한 연계를 통해 국내 및 아시

아, 나아가 세계 정보의 허브 포털 사이트가 되어야 한다.

3) 서비스 방안 및 효과

●NDL 포털 서비스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 교보문고, 산업기술정보원, 연구개발정보센터,

기초 과학 연구소 학술 정보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포항공대 도서관 등 국내 원문 제공

기관과 FirstSearch, Uncover, BLDSC 등 대표적인 해외 원문 제공 기관과 제휴를 통해

178

Page 9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검색 결과 도출 시, 단순 링크 방법과 별도 보기 툴(TOOL)을 가지고 NDL 사이트에서 직

접 저널을 구독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두가지방법을혼용하는것이적절하며, NDL에서직접발간하는저널과일부저널- 타사

이트에차별화될수있는-의경우, 검색후사이트에서직접볼수있는방법을구현한다.

3) 서비스 방안 및 효과

●NDL 포털 서비스의 경우, 직접 전자저널을 만들어 제공하거나, 제공하는 단체나 회사와

제휴해서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전자저널을 제공하는 개개의 단체와 제휴를 맺을 수도 있으며, 혹은 개개의 단체

와 제휴를 맺어 통합적으로 서비스하고 있는 곳과 제휴를 맺을 수도 있다.

●개개의 단체와의 제휴 및 통합 서비스 단체와의 제휴 모두가 필요하며, 직접 전자저널을

발행하는 경우는, 사이트 오픈 초기 단계가 아닌 사이트 안정화 이후의 단계에서 진행 가

능하다.

| 이미지 검색 |

1) 개요

●이미지 검색은 사용자들이 찾고자 하는 정보 중, 그 표현 형태가 이미지인 정보를 검색하

여 주는 것이다.

●이미지 검색의 경우, 이미지 종류에 따라 검색 구성요소가 결정된다. 대개 사용자들이 직

접 촬영하고 글을 첨가하여 업로드한 가칭 포토 갤러리의 이미지를 검색하고 미디어 언론

에서 제공하는 뉴스의 이미지를 검색, 혹은 인터넷에 존재하는 웹이미지를 검색하게 된다.

2) 내용

●NDL 서비스의 경우, 별도의 포토 갤러리 메뉴를 생성한다. 혹은 블로그나 카페의 이미지

를 검색하게 된다.

●블로그나 카페 등 이미지가 생성되는 커뮤니티 등은 NDL 자체 서비스로 진행되며, 자체

서비스를 중심으로 외부 커뮤니티를 검색하게 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81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하다. 랭카스터(Lancaster)는 전자잡지(electronic journal)를 넓은 의미로는 전자적 형태

로 존재하는 잡지라고 정의하면서 여기에는 CD-ROM 형태로 배포되는 정기 간행물과 온

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정기간행물의 전문, 그리고 인쇄본과 아울러 전자적으

로도 이용 가능한 정기 간행물이 포함된다고 하였다. 좁은 의미로는 전자매체로 생산되고

전자 매체로 이용 가능한 잡지라고 정의된다.

●이러한 정의를 밑바탕으로, 찾고자 하는 정보를, 전자저널 형태로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검색 서비스이다.

●에드워드(Judith Edwards)는 전자저널(electronic journal)는 종이로 출판되는 것이 아

니라 최종 이용자의 컴퓨터상에서 글을 읽고 인쇄할 수 있는 것이며, 온라인 잡지(online

journal)는 CD-ROM 같은 매개체를 통한다기보다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직접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잡지로 보았다.

●전자저널(electronic journal)과 같이 쓰이는 용어로 웹진(webzine)은 Web와 magazine

의 합성어로 WWW 홈페이지 형식으로 인터넷상에 공개되어 있는 잡지를 의미하며, 종이

가 아닌 인터넷 망을 통하여 잡지 내용을 검색하거나 기사를 전송 받을 수 있게 만든 잡지

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진과 웹진을 구분하면 이진(e-zine)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상에서 부분적으

로 또는 단독으로 배포되는 것으로, 웹진은 웹을 통한 접근을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이진

(e-zine)의 일종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그리고 내용에 따라 전자저널(electronic journal)

을 인터넷상에서 읽을 수 있도록 전자잡지 형태로 만든 학술잡지로 구분하여 웹진과 구분

하는 경우도 있다.

●전자저널은 논문의 투고에서부터 심사, 편집, 검색, 출판까지 컴퓨터 통신으로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연구논문, 리뷰기사, 뉴스, 회원에 대한 고지사항 등 인쇄된 일반 잡지나 학술

지와 똑같은 기능을 가지면서 컴퓨터를 통해 회원 간에 상호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

●전자저널은 주로 공공 기관을 비롯해서 일반 회사나 단체에서 제공을 한다. 초록만 제공하

는 것도 있고, 본문까지 제공하는 전자저널도 있다.

2) 내용

●전자저널 검색 부분은 개발 측면으로는 다른 검색에 비해 특히 사항은 없다. 개발적인 요

소보다는 전자저널의 범위 부분과 그 DB 확보가 중요하다.

180

Page 9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인기 검색어의 경우, 단순 전체 검색 쿼리 중에서의 순위를 정하는 방법이 있고, 분류에

따라 인기 검색어를 개별로 진행하는 방법이 있다.

- NDL에서는 기본적으로 전체 검색 쿼리 중 인기 검색어를 보여준다.

- 확장 개념에서는, 분류별 검색 중 주요 분류에서 인기 검색어를 보여주어 사용자들의 검

색 편이를 도모한다.

3) 서비스 방안 및 효과

●검색의 정확한 목적을 가지고 방문하는 사용자들 외, 그리고 1차 목적이 달성된 사용자들

을 머물게 하고, 사이트 검색 쿼리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인기 검색어 서비스가 필요하다.

●또한 다른 사람들의 검색 결과를 참고하여 자신이 찾고자 하는 정보 획득에 도움을 준다.

●업데이트 주기가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며, NDL 이용자들의 형태 분석을 통해 그 정책을

변경, 시행한다.

| 게시판 검색 |

1) 개요

●게시판 검색은, 내부 게시판과 외부 게시판 등 사용자들이 찾고자하는 정보를 각종 게시판

내의 내용에서 검색하는 서비스이다.

●NDL 포털 내에서나 연계하게 될 외부 포털 내에서나 많은 DB가 형성되는 것이 게시판이

다. 각 서비스 내의 게시판, 커뮤니티 내의 게시판 등등 사용자들이 만들어 내는 DB로써,

검색 서비스를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풍부하게 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이다.

2) 내용

●게시판 검색의 경우, 포괄하게 될 범위가 일반 게시판 외에도 카페, 블로그 등 커뮤니티 까

지 포함하게 된다.

●커뮤니티 검색 부분과 연계하여서 진행하여야 하며, 기본적으로는 NDL 내부 게시판을 주

로 한다.

●검색 노출 순위 등 게시판 검색 내에서의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83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3) 서비스 방안 및 효과

●NDL 포털 서비스의 경우, 도서 표지 이미지, 본문 중 일부 이미지 등 도서 관련 이미지 검

색이 주를 이루며, NDL 포털 서비스가 보유하는 자체 DB 검색 뿐 아니라, 검색 키워드에

맞는 외부 이미지 DB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외부 이미지는 제휴를 통해 - 민간 포털 및 콘텐츠 사업자 공공기관 등- DB를 확보, 서비

스 한다.

| 인기검색어 |

1) 개요

●인기검색어의 경우, 검색 사이트에서 현재의 검색 트렌드를 가장 잘 나타내는 서비스이다.

●검색에 대한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않은 상태에서의 일반 사용자들의 활용이 가장 높

은 검색 서비스로서, NDL 검색에서도 인기 검색어의 적절한 활용이 NDL 사이트 활성화

및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를 할 것이다.

●정확한 목적을 가지고 - 구체적 검색 키워드를 가지고-NDL 포털에 접속하는 사용자만을

가지고, 사이트의 활성화를 기대하기는 부족하며 사이트 트래픽 확대를 위해 인기 검색어

서비스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

2) 내용

●순위 부분

- 인기검색어의 순위를 지정하여 매긴다.

- 사이트의 UI 측면을 고려, 10개 정도의 인기검색어를 보여준다.

- 클릭 시 해당 검색 결과를 도출하며, 지정 순위는 페이지가 변경되더라도 같은 공간에 계

속 위치한다.

●시기 부분

- 인기 검색어 도출 시, 그 주기는 실시간, 1일, 1주일, 한 달로 나뉜다.

- NDL에서는 실시간 순위 보다는 1일 혹은 1주일 등으로 보여준다.

- 사이트 안정화 및 사용자들이 증가했을 때 실시간 순위를 보여준다.

●분류 부분

182

Page 9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사이트 오픈 초기에는 내부에 생성된 블로그 혹은 카페의 수가 미미해 열린 검색 부분을

강화해야한다. 열린 검색 부분은 NDL 포털 서비스에서 자체 개발, 운영하며, DB의 원활

한 확보를 위해 기존 민간 포털과의 제휴를 통해 진행한다.

| UCC 검색 |

1) 개요

●UCC 검색의 경우, 현재 UCC 동영상 트랜드에 맞추어 새롭게 명칭이 붙여진 것으로, 위에

열거한 동영상 검색의 일부분이다.

●포괄적 의미의 동영상 검색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직접 만든 영상을 검색하는 것이다.

UCC의 경우 영상 외에도 텍스트, 이미지 등등 사용자가 창조한 모든 콘텐츠를 의미하나,

주로 영상을 표현한다.

2) 내용

●다른 특정 검색서비스와 마찬가지로 개발적인 요소는 공통으로 들어간다.

●UCC 검색이라는 별도 메뉴명으로 진행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이 필요하며, 트랜드 성 검색

서비스이기 때문에, 사이트 구축 과정에서 추이 및 트랜드 분석으로 통해 별도 카테고리화

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3) 서비스 방안 및 효과

●NDL 포털 서비스의 경우, 동영상 검색이라는 대메뉴 속에 포함되어 서비스를 진행하여도

무방하며, 사이트 내에 UCC 제작물이 증가하는 경우 혹은 관련 서비스가 활성화되는 경

우, 직관성 및 참여도 증대를 위해 UCC 검색이라는 카테고리를 별도로 둔다.

●사이트 오픈 초기에는 내부 UCC 제작물의 양이 부족하므로, 외부 포털 및 UCC 사이트와

의 제휴를 통해 검색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제휴 시, 각 개별 사이트의 DB를 링크 방식으로 연결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85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3) 서비스 방안 및 효과

●기존 포털과는 달리 NDL 포털에서의 게시판 검색은 광범위한 게시판 검색을 지양하여야

한다.

●키워드에 따라 대부분의 DB가 연관 의미를 갖게 되는 외부 포털과는 달리, NDL의 경우

정확도가 떨어지는 검색결과를 도출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 경우 NDL 포털의 신뢰도 하락

과 공공 포털로서의 성격을 훼손할 가능성이 높다.

●게시판의 양적 부분을 중시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의 질적인 부분을 중요시하여 검색되는

게시판 수를 조정, 운영하여야 한다.

| 블로그/카페 검색 |

1) 개요

●블로그/카페 검색은, 사용자들이 찾고자 하는 정보를, NDL 포털 서비스 내의 커뮤니티에

서 검색하거나, 외부 블로그/카페 등에서 검색, 찾아주는 서비스이다.

●블로그/카페 등 커뮤니티 검색 부분은, NDL 포털 서비스에서 주요 검색 수단이다. 사이트

자체 DB 외에 많은 부분을 커뮤니티 검색에서 보완해 준다.

2) 내용

●NDL 포털 사이트 내부에 생성되는 블로그와 카페 등 커뮤니티 내의 내용을 검색할 수 있

게 한다.

●현재 약 900만개 가량이 만들어져 있는 포털 카페를 검색할 수 있게 한다.

●이름 혹은 아이디를 통해 검색할 수 있는 미니 홈피를 검색할 수 있게 한다.

●약 200만개 가량 구축되어있는 블로그 검색 또한 부가적으로 커뮤니티의 배경음악을 검색

할 수 있게 한다.

3) 서비스 방안 및 효과

●블로그, 카페 등 커뮤니티 검색의 경우 NDL 포털 서비스 내부에 생성된 것을 기본으로 검

색하고, 나아가 열린 검색 형태로 외부 포털 -싸이월드, 다음 카페, 네이버 블로그 등등-

의 커뮤니티를 연결해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

184

Page 9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CD-ROM 검색 |

1) 개요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각 단체 및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CD-ROM을 이용하여 자료를 검

색하고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CD-ROM은 반영구적으로 많은 용량의 data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백과사전이나 역

사,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CD-ROM title을 네트

워크를 통해서 검색을 하거나 내용을 볼 수 있게 한다.

2) 내용

●CD-ROM 검색 서비스를 위해 별도의 개발 요소는 필요하지 않는다.

●CD-ROM 검색이라는 별도 메뉴명의 존재 부분이 결정되어야하며, 수집 혹은 제휴를 통

해 얻게 되는 DB의 양에 따라 독립 메뉴 부분이 결정되어야 한다.

3) 서비스 방안 및 효과

●회사 등의 CD-ROM 자료는 무료로 제공하지 않는 곳이 많으며, 단체가 가지고 있는 자료

도 마찬가지인 경우가 많다. 이 경우 NDL 포털 서비스에서 제휴를 통해 서비스를 진행하

거나, 특정 자료에 대해서는 구입하여야 한다.

●제휴를 통해 비용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정보 제공자 혹은 제공업체에게

별도의 수익을 줄 수 있는 방안 모색이 원활한 DB 제공 여부에 중요한 사항을 작용된다.

| 검색 히스토리 |

1) 개요

●검색 히스토리 서비스는 로그인을 하고 검색하는 검색어들을 자동으로 보해주는 서비스

로, 사용자들이 검색했던 검색어와 클릭해서 봤던 검색결과를 날짜와 키워드 별로 쉽게 찾

을 수 있게 하고 중요한 정보는 자신 만의 즐겨찾기 목록으로 활용할 수 있다.

●개인화 맞춤 서비스로써, NDL 포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자신만의 검색 히스토

리 서비스를 통해 보다 쉽고 편하게 필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87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 검색어 자동 완성 |

1) 개요

●검색어 자동 완성 서비스는 현재 검색 엔진 또는 검색 포털에서 대부분 갖추고 있는 서비

스이다.

●국내에서는 네이버가 ‘검색어 자동 추천’이라는 서비스로 시작했으며, 다음과 엠파스가 서

비스를 시작하였다. 현재는 포털은 물론 종합 쇼핑몰, 인터넷 서점 등 그 활용도가 증대되

고 있다.

●검색어자동완성서비스의효용성은사용자개인별에따라그결과가다르지만. 크게보면,

1) 검색어입력의편리성- 자주검색하는또는자수가많은검색어를입력할때시간절약등

2) 검색어 추천 - 검색어가 정확하게 생각나지 않을 때 검색어 자동 완성 서비스를 통해 적

절한 검색어 선택 가능

3) 오타보정- 오타검색어입력시, 자동완성이해제되어오타확인가능등의효과가있다.

2) 내용

●검색어 자동 완성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① 사용자 검색어 로그 데이터베이스, ②

각종 사전 데이터베이스, ③ 인물, 도서, 영화 등 전문 데이터베이스가 사용된다.

3) 서비스 방안 및 효과

●NDL 포털 서비스에서의 검색어 자동 완성 서비스는, 특히 도서 혹은 논문 등 전문 서적 또

는 문서를 찾을 때 매우 유용한 서비스이다.

●정확한 검색어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기에, 검색어 자동완성 서비스는

NDL 포털 서비스 사용자의 검색 편의를 매우 높여준다.

●NDL 포털 서비스에서의 검색어 자동 완성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는 특히 도서, 논문, 학

술지 등 전문 데이터베이스가 사용되므로, 이 부분에 대한 사용도를 높여야 한다.

186

Page 9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이에 따라「온라인 디지털자료 납본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은 사회적으로 활용 및 보존가치

가 있는 디지털자료를 납본 받아 보존함과 동시에 디지털도서관을 통하여 국민들이 공공

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정보격차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자료 납본자의 저작권을 보호

하는 등 귀중한 국가유산을 보존하고 국민들의 정보 활용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목적으

로 입법추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온라인 디지털자료”는 지식정보자원의 전달을 목적으로 디지털형태로 제작, 처리된 모든

온라인 매체를 말한다. “납본”은 디지털자료를 온라인으로 출판하거나 제작한 자가 제12조

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의무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온라인 디지털자료 납본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12조 디지털자료의 납본을 살펴보면, 저

작권자 또는 온라인출판자는 다음의 방법으로 국립디지털도서관에 디지털자료를 납본하

도록 정하고 있다. ① 국립디지털도서관이 정하는 방법에 따른 자동수집에 의한 납본 ②

저작권자 또는 온라인출판자로부터의 의무적 송신 ③ 협의에 의한 자발적 납본이다. 또한

국립디지털도서관은 디지털자료를 납본한 자에게 정당한 보상을 하여야 하며, 보상에 관

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되어있다.

●「온라인 디지털자료 납본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13조 납본대상은 인터넷 주소, 언어, 저

자, 발신자 또는 수취인이 대한민국에 속하는 디지털자료로서 국내로 특정하여 지정된 인

터넷 주소에서 출판된 디지털자료, 국내에서 공표될 목적으로 외국의 인터넷 주소에서 출

판된 디지털자료, 국내 거주자나 주된 영업소의 소재지가 국내인 자가 인터넷에서 공표한

디지털자료,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디지털자료로 정하고 있다.

●NDL에 납본되어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디지털자료로는 전자도서(electronic

book), 전자잡지, 데이터베이스, 웹정보자료(홈페이지, 웹사이트), 음악파일(MP3 등), 동

영상자료, 이미지, 각종 전자문서 등이 있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89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검색 히스토리 서비스는 개인화 서비스가 중요시되고 있는 트랜드를 기초할 때 중요한 서

비스이며, 정보 검색에 유용한 서비스이다

2) 내용

● ‘MY' 기능

- 검색 히스토리에 대한 개인화 공간을 제공한다.

- 즐겨찾기 목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계 기능을 제공한다.

- 날짜별, 키워드별, 기타 등 분류 기능을 제공한다.

●열람 기능

- 타인의 검색 히스토리를 열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자신의 검색히스토리에 대한 공개, 비공개 설정 기능을 제공 한다.

- 검색 히스토리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관리 기능

- 자신의 검색 히스토리를 보관, 비보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일정 기간 이후 삭제 기능을 제공한다.

- 개인별 검색 히스토리 분류 옵션을 제공한다.

3) 서비스 방안 및 효과

●NDL 포털 서비스에서는 현재 다음 혹은 네이버 등 국내 민간 포털의 서비스 형태를 기초

로, 구글이 실시하고 있는 웹 기록 서비스 형태까지 포함, 사용자들에게 검색 편의를 제공

한다.

다. 자료 유형별 열람서비스

| 온라인 디지털자료의 납본 및 이용 |

●디지털자료는 단순히 공공기관, 개인, 법인, 단체가 생산한 개개의 자산일 뿐만 아니라 국

가·사회를 풍요롭게 하는 문화 인프라로서 공공재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으므로 도서관법

상의 납본제도를 기초로 하여 디지털자료를 국가적 차원에서 수집, 보존하고 이용을 촉진

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188

Page 9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신문(뉴스) |

●신문(뉴스) 열람 서비스는 민간 포털 등 많은 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다. 형태상으로 재 가

공된 텍스트 뉴스, 오프라인 신문 원형을 디지털화한 뉴스, 그리고 동영상 뉴스까지 다양

한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NDL에서 신문(뉴스) 열람서비스를 진행할 경우, 언론 매체와 제휴 관계를 맺고, 일부는 콘

텐츠를 유료로 구입하여야 한다.

●공공기관의 뉴스는 제휴 형태로 진행하고, 몇 몇 개의 뉴스 콘텐츠는 소싱한다. 운영 부분

에서 리소스가 투여되어야하고, 이 부분은 직접 운영 혹은 대행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

●정보 포털 서비스를 지향하는 NDL 포털 서비스의 경우, 뉴스 열람 기능은 필요한 부분이

며, 사이트 트래픽 증대에도 기여한다.

| 원문 복사 서비스 |

●원문복사 서비스는 주로 오프라인 도서관 등에서 이루어졌던 서비스이며, 온라인의 경우,

복사가 아닌 ‘다운로드’ 혹은 ‘프린트’ 기능을 부여한다. 또한 신청한 사용자들의 이메일로

제공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즉 학술지 등 원문을 스캔하여 신청자의 이메일로 보내주는 서

비스 형태이다.

●콘텐츠에 따라 유/무료 서비스로 구별 진행되어야 하며, 저작권자와의 계약 부분이 중요시

된다. 이 경우 DRM 기능을 부여하여 무단 배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 초록 |

●논문 등의 요약문을 뜻하는 초록 열람의 경우, 초록 열람 페이지에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

는 것이 중요하다. 즉, 초록 열람 후 사용자가 그 다음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초록의 원문 검색 혹은 관련된 논문, 도서 등으로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

시하는 것이다.

| 네티즌 리뷰(댓글 열람) |

●네티즌 리뷰(댓글)의 경우, 사용자가 가장 손쉽게 자신의 생각 및 정보를 남길 수 있는 참여

서비스이다. 따라 다른 정보에 비해 많은 양이 존재한다.

●관련 댓글은 정보를 찾기 위해 유용한 요소로 작용하며, 찾고자 하는 정보 키워드 등에 달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91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 NDL 콘텐츠 유형별 열람 서비스 |

●NDL에서 열람이 가능한 콘텐츠는 ① 저작권자 또는 온라인출판자로부터 납본 받은 자료

외에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디지털라이징 및 웹 아카이빙을 통해 구축·소장하고 있는 유형별

디지털자료 ② e-book이나 e-journal 등 라이센스 구매를 통해 확보한 상용 장서 ③ 정

부부처 및 공공기관이 구축한 지식·학술·문화 관련 공공정보 ④ 이용자들의 참여를 통해 생

산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동영상 등 다양한 ‘사용자제작콘텐츠(UCC)’정보 ⑤ 해외디지

털도서관 및 민간포털의 디지털콘텐츠정보 등이 있다.

●본 연구보고서 5장의 포털 서비스의 기능 분석에서 33개 포털사이트의 열람서비스의 유형

및 빈도를 살펴보면, 문서(전문자료) > 웹사이트 > 목차 > 이미지 열람 > 신문(뉴스) > 초록

> 단행본 > 동영상 열람 > 지도 열람 > 원문 복사 서비스 > 주제어(태그) > 학위논문 > 저

널/기사/학회지 > 모바일열람 > 상호대차 > 블로그 > 서평 > 네티즌리뷰 > 논문 등이 있다.

| 목차 열람 |

●도서를 소장한 전국 도서관 등과 연계해 책의 목차를 확인한 후, 온라인상으로 열람이 가

능하게 한다. 검색 방법은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등 간단한 키워드 검색으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전자책으로 변환된 것은 온라인상으로 직접 열람하고, 변환되지 않은 것은 사용자 거주지

인근 도서관에서 열람을 할 수 있게 한다.

●국가자료공동목록시스템(KOLIS-NET)을 기반으로 전국의 도서관과 기관, 서점이 활용하

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 결과가 없거나 품절·절판일 경우, 찾고자 하는 책을

소장한 도서관 목록이 검색될 수 있다.

| 멀티미디어 열람(이미지) |

●전자 저널 및 전자잡지 등 각 정보를 이미지로 열람하게 하는 서비스로써, 이미지 전문 뷰

어(Viewer)를 통해 간단하고 쉽게 열람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문 페이지에 검색한 키워드가 하이라이트로 표시 되도록 해 찾고 싶은 검색어에 해당하는

이미지 확인을 쉽게 한다. 또한 검색 주소복사를 통해 개인 블로그, 미니홈페이지, 커뮤니티

사이트등에활용할수있도록하며, 타인에게추천하기등의이용자편의성을극대화한다.

190

Page 9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고 해도- 음악 관련 서비스 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콘텐츠를 소싱하여야 하고, 서비스 운영

은 직접 하기보다는 대행업체를 통해서 진행하는 것이 리스크가 적다.

| 상호 대차 서비스 |

●국립중앙도서관이 KOLIS-NET을 기반으로 전국 어느 곳에서나 원하는 자료의 소장처,

대출 여부 등 알 수 있도록 온라인 접근을 지원하고 공공도서관과 작은 도서관 사이의 자

료를 공유, 대출해주는 ‘국가 표준 상호 대차 시스템’을 가동할 계획이다.

●NDL 포털 서비스는 이러한 국가 표준 상호 대차 시스템의 온라인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하여야 하며, 자료의 공유나 대출 등을, 관련 자료의 디지털화를 통해 온라인으로 전환하

는 역할을 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93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린 댓글을 통합 검색,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댓글의 경우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욕설, 광고, 혹은 관계없는 글

등이 많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모니터링 부분을 강화해 한다.

| 학위 논문/저널/기사/학회지 등 |

●학위 논문 등의 열람 서비스는 현재에도 거의 모든 도서관에서 제공을 하고 있다. 기본적

으로 초록을 제공하고, 기존의 학위 논문 등을 이미지로 바꾸거나 직접 입력을 하여 본문

을 제공하고 나머지는 초록, 목차 정도만 제공한다.

●현재 만들어지는 논문들은 모두 컴퓨터를 이용한 조판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을 통하

지 않고도 본문을 제공할 수가 있다.

●NDL 포털 서비스에서는, 국내에서 만들어지는 학위 논문 등을 통합검색 할 수 있도록 해

야 한다.

●현재 각각의 사이트에서 제공되고 있는 것을 취합해 허브 사이트 역할을 해야 한다.

| 서평(책에 대한 의견 열람) |

●서평은 도서에 대한 의견 부분이며, 정보 검색 및 획득에 편의를 제공한다.

●서평 부분은 NDL 포털 서비스에서 직접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것과 민간포털, 그리고 온라

인 서점 등에서 만들어지는 것들이 있다.

●NDL 포털 서비스에서는 먼저 사이트 내에서 사용자들이 활발하게 서평을 올릴 수 있도록

제반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하고 -초기에는 서평 업로드에 따른 보상 체계 고민- 기존 서

평들을 제휴를 통해 획득, 서비스 하도록 한다.

●서비스 구현 시 서평과 댓글의 조화 속에 사용자들이 찾고자 하는 정보에 도달하기 편리하

도록 만든다.

| 멀티미디어 열람(음악) |

●음악 열람 부분은, 찾고자 하는 정보에 관련된 음악 검색을 통해 재생 상세 내용 등을 열람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사이트의 부가서비스 기능으로 음악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음원의 저작권 부분이 민감한 부분이라 - 다운로드가 아닌 스트리밍 재생에 중점을 둔다

192

Page 9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이를 통해 사람들이 참여하여 만드는 다양한 콘텐츠를 바탕으로 콘텐츠의 다양성과 개별

화를 추구할 수 있다. 또한 사람들이 참여하여 해당 주제 또는 해당 서비스를 새로이 만들

어 나갈 수 있다.

| 참여 서비스 유형|

●본 연구보고서 5장의 포털 서비스의 기능 분석에서 33개 포털사이트의 참여서비스의 유형

및 빈도를 살펴보면, 자유게시판 > RSS > 맞춤정보서비스(메일링 서비스) > 온라인 서재 >

블로그 > 이용자 평점 > 카페 > 동영상 공유 > 메신저/화상대화/음성대화 > 토론방 > 지식

서비스 이미지 공유 > 문서 공유 > 개인 맞춤포털 서비스(위젯) > 오픈API > 메타블로그 >

위키 공동저작 > 참고정보 질의 등이 있다.

나. 개별 서비스

| NDL 포털의 주요 참여 서비스|

[그림Ⅶ-4] NDL 포털주요참여서비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95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3. NDL 포털 참여 서비스

●이용자가 중심이 되어 콘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는 이용자 지향 웹 플랫폼 구현

●개방과 공유를 위해서는 개방적인 표준을 준수

●이용자 지향, 소셜 네트워크 지향 지식·정보·문화 플랫폼

●콘텐츠의 다양성과 개별화를 추구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조

●분야별 지식서비스, RSS, 블로그, 온라인 서재, 커뮤니티, 위키, 사용자제작콘텐츠, 맞춤

정보서비스(메일링 서비스), 개인 맞춤포털 기능 등

가. 개요

| 참여 서비스 개요 |

●NDL은 전통적인 도서관에서 보듯이 소장하고 있는 지식정보자원을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정적인 서비스에서 벗어나 이용자가 중심이 되어 콘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는 ‘이용

자 지향 웹 플랫폼’으로서 다양한 참여 아키텍처를 구성한다. 이용자는 더 이상 콘텐츠의

소비자가 아니라 생산의 주체로 다양한 콘텐츠를 스스로 만들어내고, 이용자들이 제작한

콘텐츠는 유용한 정보 자원이 되어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공유되고 재생산

된다.

●기존에 이용자와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던 커뮤니케이션은 시스템과 시스템, 이용자와 이용

자로 확대된다. 콘텐츠는 읽기만 할 수 있던 폐쇄성에서 벗어나 개방, 공유 및 참여가 강조

되고, 이용자에 의해 생산된다. 개방과 공유를 위해서는 개방적인 표준을 준수하는 어플리

케이션을 기반으로 한다.

●이용자들은 NDL에서 직접 콘텐츠를 만들고(참여), 이용자끼리 콘텐츠를 서로 나누며(공

유), NDL 운영자는 사이트를 모두에게 오픈한다(개방). 즉, NDL은 블로그, 태그, 오픈소

스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이용자는 이를 직접 활용하여 자신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이용자 지향, 소셜 네트워크 지향‘ 정보 문화 플랫

폼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194

•지식정보 소셜 네트워크를 지향하는 이용자 참여 웹 플랫폼 제공•이용자들이 직접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함으로써 다양하고 유용한

지식정보자원의 유통 기반 마련

•고품질 정보가 수집 및 생성되도록 하여 분야별 전문 지식정보 NDL 지식서비스•이용자들이 만드는 학술, 연구, 교육/학습, 지식 위키(Wiki) 서비스 운영•이용자들간에 유용한 북마크를 공유하는 NDL 소셜 북마킹 서비스 운영

•학술적, 정보적 가치가 높은 지식정보 블로그를 기반으로 하는 블로그스피어 실현•NDL 내 블로그 기능 제공 및 외부 블로그의 연계를 통한 블로그 메타서비스 운영•온라인서점과 연계하여 개인의 디지털자원 목록을 공유하는 온라인서재 운영

•멀티미디어 형태의 UCC 제작 및 공유 플랫폼 실현•양질의 전문 UCC의 공유를 통해 평생학습 기반 서비스와 정보소외계층을 위한정보복지 서비스 구현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 및 콘텐츠로 구성하는 NDL 개인 맞춤포털 서비스 제공•RSS/Podcast 및 메일링서비스를 통한 맞춤정보 구독 서비스 제공

분야별지식서비스

블로그 &온라인 서재

멀티미디어UCC

NDL 개인맞춤포털

Page 9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온라인 서재|

1) 개요

●온라인 서재 서비스는 개개인의 독서 이력을 관리하는 서비스로서, 감명 깊게 읽었던 책이

나 책 내용 중 주요 메모 부분, 미처 못 읽은 도서에 대한 관리 등 오프라인에서 관리하기

힘든 부분을 온라인에서 극복하고 있다. 또한 도서에서 나아가 CD, DVD 등의 관리까지도

가능하게 발전하였다.

●NDL에서 온라인 서재 서비스는, 검색 이력을 남기는 'MY 서비스‘ 기능까지 포함하여, 사

용자들의 지속적인 방문 유도를 가능하게 하며, 온라인 서재 공유를 통해 사용자 간 네트

웍을 연결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2) 기능 요건

●온라인 서재 개설

- 로그인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온라인 서재 개설 안내를 제공한다.

- 개설에 관한 환경 설정 기능을 제공한다.

- 개설 후 삭제 기능을 부여한다.

●온라인 서재 목록

- 추천 서재 서비스를 통하여 다른 사람의 온라인 서재를 열람할 수 기능을 제공한다.

- 인기 서재, 신규 서재 등 다른 사람의 온라인 서재 목록을 나열하며, 검색 할 수 있는 기능

을 제공한다.

- 도서 등의 장르별 온라인 서재 나열 및 열람이 가능한 기능을 부여한다.

●구성 요소

- 온라인 서재 개설방법 및 사용 방법을 안내한다.

- 태그 기능을 활용, 제목별 등의 온라인 서재를 노출하는 기능을 제공 한다.

- 메모, 책갈피, 리뷰, 트래팩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구성한다.

- 개개의 온라인 서재 열람시, 관련된 타 도서을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 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97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 RSS |

1) 개요

●RSS는 뉴스나 블로그 사이트에서 주로 사용하는 콘텐츠 표현 방식이다. 웹 사이트 관리

자는 RSS 형식으로 웹 사이트 내용을 보여 준다. 이 정보를 받는 사람은 다른 형식으로 이

용할 수 있다. 예로, 모질라 파이어폭스의 '라이브 북마크'나 'Aggregator' 등의 RSS 리더

프로그램에서 읽을 수 있다.

●RSS가 등장하기 전에는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해당 사이트를 직접 방문하여야 했으나,

RSS 관련 프로그램(혹은 서비스)을 이용하여 자동 수집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사용자는 각

각의 사이트 방문 없이 최신 정보들만 골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다.

●RSS는 포드캐스팅과 같은 미디어 배포의 용도로도 사용된다. RSS 2.0의 <enclosure〉태

그 내에 MP3나 MOV 등의 미디어 파일을 첨부하여 배포하면, 포드캐스팅 클라이언트 등

에서 미디어 파일을 인식하고 사용자에게 들려주거나 자신의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로

옮겨준다.

●NDL 포털 서비스에서 RSS는 사이트 이용 확대 및 활성화에 기여하며, NDL의 많은 정보

를 더 많은 사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준다. 자칫 폐쇄적인 서비스가 되기 쉬

운 단점을 RSS를 통해 극복할 수 있다.

2) 기능 요건

● ‘MY’ 기능

- 구독 중인 채널이나 새로 배달된 포스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 관리 기능을 두어 수정, 삭제, 추가 기능을 부여한다.

●구독 기능

- 채널 카테고리 제공, 채널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 최근 포스트 보여주기, 자주 보는 채널 관리 기능을 부여한다.

●공지, 안내 기능

- 인기 포스트를 일별 혹은 주별로 안내한다.

- RSS에 관한 안내 등 공지 기능을 부여한다.

- 사용 방법 등 FAQ 메뉴를 제공한다.

196

Page 10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개인 블로그별 방문횟수 등 사용 로그를 제공한다.

- 게시물 및 블로그 자체에 대한 공개/비공개 설정 기능을 제공한다.

- 다양하게 편집할 수 있는 편집기 기능을 제공한다.

●블로그 목록

- 블로그 목록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인기 블로그, 신규 블로그 목록 등을 분류해 제공한다.

- 게시글, 동영상, 블로그 이름, 블로거 이름 등으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블로그 참여

- 타인의 블로그에 참여, 댓글을 남기는 기능을 부여한다.

- 게시물을 스크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각 게시물에 태그 기능을 부여해, 태그로 관련 게시물을 검색, 찾아갈 수 있는 기능을 제

공한다.

●카페 개설

- 가입한 회원은 카페를 개설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분류별, 목록별 등으로 카페을 개설할 수 있도록 한단.

- 카페의 공개/비공개 기능을 제공한다.

- 원 아이디 당 복수 카페 개설을 가능하게 한다.

- 사용자 취향에 따라 UI를 변경, 적용할 수 있다.

- 템플릿 및 이미지는 기본적으로는 NDL에서 제공하며, 사용자들의 제작 템플릿을 적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카페 개설자가 생성된 카페를 삭제할 수 있다. 다만 카페 가입자들의 동의 후 삭제 가능하

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카페 사용

- 카페의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199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 블로그/카페 |

1) 개요

●NDL 포털 서비스 중 참여 서비스의 주된 요소인 블로그와 카페는 사이트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티 역할을 하게 된다.

●블로그의 경우, 개인 미디어로서, 각 블로거 간 그리고 블로그 방문자들 간의 쇼셜 네트워

킹을 통하여 사이트 활성화 및 사용자들이 만들어내는 검색 DB 창출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카페의 경우, 다중 미디어로서,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온라인 동호회 역할을 하며, 다중 간

의 접촉을 통해 각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사이트 매니아를 창출시키며, 지속

적인 방문 동기를 부여한다.

●NDL 포털 서비스에서 블로그와 카페의 경우, 포털 내부적으로 존재, 운영되어야 하며, 검

색의 경우, 외부 블로그/카페 검색을 실시하며, NDL 포털의 블로그/카페의 외부 검색을

확대하여야 한다.

2) 기능 요건

●블로그 개설

- 회원 가입과 동시 개인별 블로그 생성을 제공한다.

-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블로그 UI을 변경, 적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 UI(User Interface)의 경우, NDL에서 제공하는 템플릿 및 이미지 등이 있으며, 사용자

가 직접 제작한 템플릿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 블로그 개설 시, 분류을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을제공한다.

●블로그 사용

- 텍스트 위주의 글쓰기 기능을 제공한다.

- HTML 소스사용가능으로, 텍스트외사용자가자유로이구성할수있는 기능을제공한다.

- 블로그 내에서의 분류 기능(날짜별, 내용별 등)을 제공한다.

- 블로그 배경음악을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각 글에 방문자가 댓글을 남길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198

Page 10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자유 게시판 참여

- 글쓰기 기능을 제공한다.

- 텍스트 외에 이미지 등의 첨부 파일 업로드는 제공하지 않는다.

- 작성 글에 대하여 삭제,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경우 게시판 작성 시 사용자

의 비밀 번호 등록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 온라인 설문 조사|

1) 개요

●온라인 설문 조사의 경우, 자유 게시판과 마찬가지로, 참여서비스 중 기본적인 서비스이

다. 사이트 방문자에게 1차적으로 참여의 기회를 부여하는 서비스이다.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하여 사이트에 대한 사용자 불만 사항을 체크할 수 있고 설문 결과

를 통해 언론 홍보 등 마케팅 적 요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사용자들의 관심사를

알게 되어, 서비스 개선에 이용할 수 있다.

●NDL 포털에서의 온라인 설문 조사는, 주로 초기에는 사이트 만족도 체크와 확장, 발전을

하기 위한 사용자들의 의견을 묻게 된다. 중기적으로는 미디어로서 여론을 형성하는 매개

물로 사용할 수 있다.

2) 기능 요건

●회원 혹은 비회원이 설문 조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 만들어진 설문조사 객관식 항목에 체크해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부 설문 조사의 경우, 주관식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설문조사 참여율, 결과 등에 대해 열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맞춤 정보 서비스 (메일링 서비스) |

1) 개요

●맞춤 정보 서비스 -메일링 서비스- 는 사용자의 선호 정보에 대한 선택을 통해서 개개인

의 메일로 정보를 전달받는 서비스이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01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 회원에 대한 정책 및 방법 등은 NDL에서 원칙을 부여하고, 개별 카페 개설자가 적용, 시

행한다.

- 게시판에 글을 남길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텍스트를 기본으로 하며 이미지, 동영상

등의 업로드가 가능하도록 한다.

- 복수 카페 가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카페 탈퇴 기능을 제공한다.

| 자유 게시판|

1) 개요

●자유 게시판은 어떠한 형식이나 내용의 제약 없이 사용자가 자유롭게 글을 적는 게시판이

다.

●자유 게시판의 경우, 이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참여 서비스 형태이다. 명칭

그대로 사용자가 글의 내용 등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자신의 의견, 생각 등을 표현하

는 공간으로서, 1차 참여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자유 게시판은 모든 서비스에 구현할 수 있는 서비스이고, 그 구현에 어려움이 없다. 하지

만 다른 기초적인 참여 서비스인 댓글 등과의 겹침을 방지하여야 하고, 주 참여서비스가

아닌 1차 유입 통로로 사용한다.

2) 기능 요건

●자유 게시판 구성 메뉴

- 자유게시판의 상단은 작성 글 번호, 글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수 등으로 구성 된다.

- 중간 부분은 상단의 메뉴에 맞추어 해당 내용이 표시 된다.

- 하단 부분은 글쓰기 메뉴와 페이지 목록과 제목/글쓴이/조회수 등으로 검색이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자유 게시판 목록

- 자유 게시판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각 작성 글에는 답 글을 쓸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각 작성 글에는 글을 읽은 사람들의 신고/추천 기능을 제공 한다.

200

Page 10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토론방 서비스의 경우, 다음커뮤니케이션의 ‘아고라’서비스가 대표적인 경우이다.

●도서를 기본으로 하는 정보 포털 서비스인 NDL 포털 서비스의 경우, 주요 참여형 서비스

로 자리 잡을 수 있다.

●토론방의 경우, 정보 외 미디어플랫폼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활성화가 가능

하며, 검색을 목적으로 사이트에 들어오는 사용자들에게 검색 이외의 사이트 사용 이유를

줄 수 있다.

●전제 조건으로는 토론방의 활성화를 위해, 기본 미디어 정보를 NDL 포털에서 줄 수 있어

야하며, 온라인 설문 조사 등과 연계해 그 존재를 알려야 한다.

●토론방 서비스가 단지 토론을 하고 끝나는 서비스가 아닌, 사용자들의 토론 결과를 통한

여론이 실제로 반영될 수 있어야 한다.

●토론의 주제가 NDL 포털 서비스와 관련 있을 경우, 그 의사를 적극적으로 사이트 및 서비

스 정책에 반영시켜야 그 존재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들에게 자신이 만드

는, 개개인의 의사가 반영된 진정한 사용자 중심의 NDL 포털 서비스로 나아갈 수 있다.

●그 결과 NDL 포털 서비스에 대한 주인 의식을 심어줄 수 있고, 일부 특정 사용자들의

NDL 포털 서비스가 아닌 대중적인, 대국민적인 서비스가 될 수 있다.

2) 기능 요건

●토론방 목록

- 토론방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작성한 글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분류에 따른 주제별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인기 토론방, 신규 토론방 등의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현재 진행 중인 토론방 및 종료 토론방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토론방 개설

- 토론방 개설 안내, 방법을 제공한다.

- 주제별 개설 기능을 제공한다.

- 토론방 기간, 공개/비공개 설정 기능을 제공한다.

- 토론방 개설 시, 참여자 수 설정 기능을 제공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03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수많은 정보가 존재하는 포털 서비스에는, 사용자 각각의 필요를 반영한 개인 맞춤 서비스

가 필요하다. 많은 정보 DB의 난립 속에서 개개인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선별해주는 서비

스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개인 맞춤 서비스의 경우, 위에 열거한 RSS 서비스 등의 서비스도 존재하나, 기본

적으로 맞춤 정보를 발송하는 메일링 서비스가 일반적 서비스이다.

●NDL 포털 서비스의 성격 상 빈번한 그리고 지속적인 사이트 방문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맞춤 정보 메일링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방문횟수를 늘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장 많은 노출 효과가 있는 메인 페이지의 홍보 영역의 한계를 벗어나 노출에서 소

외되기 쉬운 각 세부 서비스에 대한 홍보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NDL 포털의 메일 주소를 확장하는 것이 효과적이나, 주 메일 주소를 잘 바

꾸지 않는 사용자들의 습성을 고려, 타 메일 주소로 메일링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여야하

며, 추후에는 NDL 포털 서비스 메일 주소가 2차 메일 주소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특화되

고 차별화된 메일링 서비스를 진행하여야한다.

2) 기능 요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공 가능한 목록을 나열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로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며, 선택할 수 있는 정보의 범위는 NDL 내 서비스로

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한다. 제휴 관계 및 활성화에 따라 외부 적용을 고려한다.

●메일링 서비스를 위한 메일 주소는 NDL 메일 주소를 기본으로 하고, 각종 메일 주소 기입

이 가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원하는 정보 선택 후, 수정, 삭제가가능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서비스 해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 토론방 |

1) 개요

●참여성 서비스 중 가장 적극적인 형태의 서비스로서, 여론을 형성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

며, 사용자의 의견 개진 통로 중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

202

Page 10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2) 기능 요건

●공유 서비스 목록

- 공유 대상물의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이미지, 동영상, 문서 등 분류별로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검색 키워드에 따라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인기 공유물 등의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공유 서비스 참여

- 사용자들이 공유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업로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한다.

- 공유 대상물에 대한 업로드 및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업로드 및 다운로드 방법 및 원칙에 대한 안내 기능을 제공한다.

- 업로드 및 다운로드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해결에 대한 FAQ를 제공 한다.

- 원하는 공유 대상물에 대해 연속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한다.

- 업로드 및 다운로드 시행 시, 중단 및 삭제 기능을 제공한다.

- 공유하려고 하는 대상물에 대한 설명 삽입 기능을 제공한다.

- 찾고자 하는 공유 대상물이 존재하지 않을 시, 요청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지식 서비스|

1) 개요

●지식(검색) 서비스는, 사용자들이 찾고자 하는 정보를 기존 완성된 문서 등을 통해 획득하

는 것이 아닌, 다른 사용자들의 지식을 빌려 얻게 되는 서비스이다.

●NDL 지식 검색 서비스에서는 이용자들이 질문을 통해 지식을 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답

변을 하면서 지식의 생산자 역할을 담당하며 지식을 공유하고 활용하는 등 지식의 생산과

소비의 전 과정에 참여하는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지식검색에서의 지식은 개인의 경험이 포함된 정보, 상식, 그리고 조언까지 아우르는 확장

된 개념의 지식으로 일반 이용자들이라는 지식생산자들이 직접 제공하는, 상대적으로 불

안정하고 유동적인 지식이다. 또한 사용자들의 경험과 지식 사용 목적에 따라 새로운 상호

작용이 일어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05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토론방 참여

- 텍스트를 기본으로 하는 글쓰기 기능을 제공한다.

- 이미지, 동영상 등의 업로드는 허용하지 않는 다.

- 각 게시물에 대해, 한줄 답변과 댓글 기능을 제공한다.

- 각 게시물에 대해 답변 기능을 제공한다.

- 자신이 작성한 글에 대해 삭제, 수정 기능을 부여한다.

| 공유 서비스 (동영상, 이미지, 문서) |

1) 개요

●공유 서비스의 경우, 사이트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외 사용자들끼리의 연계를 통해서 부

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사이트에서 제공할 수 있는 DB에는 제한이 있으며, 그것을 극복하고 정보 포털로서의 역

할을 최대한으로 발휘하려면, 개개인 간의 정보 공유를 통하여야 한다. 각각의 사용자들이

창출하는 정보 DB의 양 혹은 질은 사이트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지는 장점 외

에 차별화를 가지며, 궁극적으로는 사이트 DB를 풍성하게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공유 서비스의 경우, 저작권 문제에 자유로울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모니터링 부분에 주의를 요한다.

●공공 포털의 성격을 지닌 NDL 포털 서비스이기에, 저작권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포털 서

비스에 비해 좀더 민감하며, 이에 따른 대책이 요구된다.

●저작권부분에대한리스크가해소된다면, 공유서비스(동영상, 이미지, 문서등)는사용자의정

보획득요구를해소할수있으며, 자율적인정보생산및공유라는장점을가지게된다.

●많은정보를가지게되는NDL 포털서비스이지만, 공유서비스를통해 사용자만족을이끌어

내고, 사용자들의긍정적인참여를발생시키는서비스중에하나로자리매김할수있다.

●활성화를 위해서, NDL 포털이 직접 저작권 부분을 해결하는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민간

포털 및 콘텐츠 사업자, 공공기관 등의 제휴를 통해 저작권 문제를 직접 해결하여, 사용자

들이 보다 편하게 공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04

Page 10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DL 위키는 이용자의 집단지성을 신뢰함으로써 이용자가 직접 지식을 집필하고 편집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각 분야별 지식정보가 축적되고 적극적 참여를 통해 내

용이 검증되고 수정되며 공유된다.

2) 기능 요건

●위키 목록

- 현재 진행되는 위키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분류별에 따른 목록 조회 기능을 제공한다.

- 진행 중인 위키, 종료된 위키 별로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진행 날짜, 시기에 따른 조회 기능을 제공한다.

●위키 개설

- 위키 개설 안내, 방법을 제공한다.

- 주제별 개설 기능을 제공한다.

- 위키 기간, 공개/비공개 설정 기능을 제공한다.

- 위키 개설 시, 참여자 수 설정 기능을 제공한다.

- 개설 날짜, 수정 날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위키 참여

- 텍스트를 기본으로 하는 글쓰기 기능을 제공한다.

- 이미지, 동영상 등의 업로드는 허용하지 않는다.

- 각 게시물에 대해, 한줄 답변과 댓글 기능을 제공한다.

- 각 게시물에 대해 답변 기능을 제공한다.

- 자신이 작성한 글에 대해 삭제, 수정 기능을 부여한다.

- 수정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날짜 기준으로 수정 전 게시물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날짜별로 완성된 위키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개개인별로 자신의 위키 작성물을 별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07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지식서비스의 지식은 끊임없이 집합적으로 공유되고 재구성된 지식들이다. 이를 위해

NDL 포털의 플랫폼은 이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데이터베이스, 검색체

계를 갖추고 사용자의 참여를 활성화하도록 해야 한다.

2) 기능 요건

●지식 서비스 목록

- 지식 서비스 질문, 답변물에 대한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분류별에 따른 목록조회 기능을 제공한다.

- 아이디별, 닉네임별 등의 분류 기준에 따른 목록조회 기능을 제공한다.

- 우수 답변 등의 목록에 대한 조회 기능을 제공한다.

●지식 서비스 참여

- 사용자가 질문을 기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질문 기입 시, 답변 기한 설정 기능을 제공한다.

- 'MY' 기능을 제공하여, 자신이 행한 질문 목록 및 답변 목록을 확인 할 수 있는 기능을 제

공한다.

- 사용자가 답변을 기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특정 아이디에게 답변을 요청할 수 있는 쪽지 기능을 제공한다.

- 질문자가 가장 우수한 답변을 채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우수 답변 채택 시 리워드 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 질문 및 답변의 삭제, 수정 기능을 제공한다.

| 위키(Wiki) |

1) 개요

●분산되어 있는 개인들의 작은 참여로 인해 이용자들에게 유용한 콘텐츠와 서비스가 만들

어질 수 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위키 기능이다.

●웹브라우저 상에서 간단하게 웹페이지의 발행·편집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 기능

으로 일종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또는 협업 소프트웨어라 할 수 있다.

206

Page 10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개인 맞춤 포털 서비스 (위젯) |

1) 개요

●위젯(WIDGET)은 사이트에서 HTML, Script, Flash 등을 통해 제공되는 독립적인 기능

을 가지고 있는 코드이며, 이는 ‘퍼가기 기능’ 등을 통해 사용자가 퍼갔을 경우 사이트와 상

관없이 해당 사이트에서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국내에서는처음으로위젯서비스가시행된것이 ‘야후위젯’과 ‘네이버위젯’인데, 이로인해현

재국내에서의위젯의정의는 ‘데스크탑위젯’으로통용되고있다. 즉위젯이란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전달받아화면에표시하는작은윈도우를뜻하게된다. 웹브라우저를열지않고도시계

나달력, 뉴스등정보를실시간으로제공받을수있는응용프로그램이다.

●NDL 포털 서비스에서의 위젯은 사용자에게 즐거움과 편이성을 줄 수 있으며, NDL 포털

서비스에게는 사이트 브랜드 제고 및 트래픽 증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위젯 서비스가 효과를 창출하려면 많은 배포가 요구된다. 초기에 NDL 포 털 사이트에서의

배포 효과는 미미하므로, 어플리케이션 등을 서비스하는 업체와 제휴해 배포를 하는 방법

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 플레이어 업체 혹은 압축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 업체

를 고려할 수 있다. 곰플레이어(GOMPlayer)나 알집 등에 플러그 인 되어서 배포하였을

때 많은 효과가 기대된다.

2) 기능 요건

●위젯 사용

- 웹사이트에서 위젯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위젯 설치에 대한 안내를 제공한다.

- 위젯 항목 중 선택해 설치,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컴퓨터에 숨기기 기능을 제공한다.

- 위젯의 설치 삭제 기능을 제공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09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 OpenAPI과 Mash-up |

●NDL에서는 만들어진 콘텐츠나 정보들을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발 도구를 제공해 준다. 일명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라고

불리는 이 도구들은 과거와는 달리 XML, RDF, Web Services 등 공개된 표준 스펙을 기

반으로 하고 있다.

●NDL은 OpenAPI를 제공함으로써 분산된 여러 서비스를 합쳐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

는 이른바 혼합(mash-up) 서비스들이 탄생하도록 한다.

| 태깅(tagging) |

1) 개요

●태그(tag)는 콘텐츠의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키워드(폭소노미; folksonomy)를 말한다.

●기존 도서관에서 사서나 전문가에 의해서만 행해지던 정보자원에 대한 분류가 아닌 이용

자들에 의한 분류이다.

●NDL에서태그는블로그나웹페이지상에서이용될수있고, 이용자참여에의해생산된콘텐

츠에요소로적용될수있으며, 비교적자유롭고다양하게창조적으로표현이가능하다.

●이용자들의 참여를 통해 정보를 찾는 이용자들이 다양한 접근을 통해 보다 쉽게 자신이 원

하는 자료의 검색이 가능하고 태그를 통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게 된다.

2) 기능 요건

●태그 기능

-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자료에 태그를 붙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블로그 및 웹페이지에 태그별 분류 기능을 제공한다.

- 태그를 통한 이동 시, 연관 태그를 연속해서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208

Page 10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활용서비스 개요|

●NDL은 이용자(end-user)가 가장 편리하고 만족할 수 있는 이용자중심 서비스를 제공하

는 것을 핵심 목표로 한다. NDL 정보서비스는 이용자 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

스 내용 및 범위를 강화하기 위하여 정보취약 계층의 정보이용을 돕고, 오프라인 공간인

인포메이션 코먼스와 포털의 상호보완을 위한 다양한 활용 방안을 마련한다.

●또한 인터넷, 모바일, DMB, 와이브로 등 매체 간 자유로운 콘텐츠 이동과 활용을 돕는 유

비쿼터스 실현 플랫폼을 지향한다.

●NDL은 일반성인, 청소년, 어린이, 유아, 노년층 등 연령별 특징에 따른 서비스 제공과 장

애인이나 이주민, 외국인과 같은 정보소외계층을 고려한 서비스의 제공, 그리고 외국인을

고려한 다문화 서비스의 제공, 연구자나 특정직업군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를 고

려하여야 한다. 즉, NDL 정보서비스는 지역별/주제별/형태별로 분화되는 하위 포털 서비

스, 아동/노령인/장애 등 소수계층을 위하여 정보복지 차원에서의 각종 정보서비스 프로그

램을 개발 운영하여야 한다.

| 정보 리터러시 프로그램 활용|

●정보 리터러시(information literacy)란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 인식을 하고, 필요한 정보

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평가하며 소장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개인에게 요구되는 능력

을 함양시키는 것을 말한다(ALA-ACRL).

●지식정보 사회가 고도화되면서 다양한 정보자원이 생산되고 이에 따른 다양한 정보추구

및 이용형태가 나타나는 현 단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인포메이션 코먼스에서는 이용자에

게 정보활용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또한 인포메이션 코먼스의 참고

사서가 직접 NDL의 인포메이션 코먼스뿐만 아니라 NDL 포털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정

보 리터러시 서비스를 제공한다.

●NDL은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NDL의 정보 이용자 스스로 정보추구 및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여 언제 어디서나 정보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정보를 활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11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4. NDL 포털 활용서비스

가. 개요

| NDL 포털 주요 활용서비스

[그림Ⅶ-5] NDL 포털주요활용서비스]

210

●인터넷, 모바일, DMB, 와이브로 등 매체 간 자유로운 콘텐츠 이동과 활용을 돕는

유비쿼터스 실현 플랫폼을 지향

●이용자 개개인의 정보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 정보 리

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분야별로 전문정보를 개발·평가·가공·분석·제공하는 정보 상담 및 정보 레퍼

런스 서비스를 운영

● 유럽연합 TEL

•이용자 개개인의 정보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정보 활용교육 서비스 제공•대국민 평생학습 지원서비스 제공•정보취약계층(장애인, 이주민, 노인 등)을 위한 정보 문화 복지 서비스 제공

•국가 차원에서 유비쿼터스시대에 적합한 최신 정보기술을 갖추고 이용자 개개인의정보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 정보 리터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온라인디지털레퍼런스서비스의관문으로서전국도서관사서그룹을통해유형별정보레퍼런스데이터를수집및공유하는등디지털참고서비스네트워크제공•주제별 전문 사서 그룹을 확보 및 육성하여 주제별 전문 침고정보서비스 체계 구축•고품질 전문 정보를 개발.평가.가공.분석.제공하는 정보 상담/레퍼런스 서비스 운영

•모든 이용자들이 인포메이션 코먼스의 최첨단의 학습공간, 정보공유공간, 디지털콘텐츠 제작공간, 유니쿼터스 체험공간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서비스 프로그램 제공•가상도서관 투어, 온라인 튜토리얼, 디지털러닝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정보활용교육서비스

정보 레퍼런스서비스

인포메이션코먼스

활용서비스

Page 10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객맞춤형 정보상담 서비스 제공, 인포메이션 데스크를 통한 정보상담 서비스 예약, 인포메

이션 코먼스와 관련된 FAQ 및 지식 DB 구축, NDL 포털을 통해 이루어지는 모든 형태의

디지털 참고서비스 운영 등 인포메이션 데스크를 통한 참고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NDL 포털에서의 개인공지 및 문답 서비스 제공, NDL 포털에서의 정보상담 서비스

제공, NDL 포털에서의 주제별 상호협력 디지털 참고 서비스 제공, NDL 포털을 통한 인

포메이션 데스크의 정보상담 서비스 예약 시스템 운영, NDL 포털을 통한 이용자 만족도

조사 및 이용자 평가 실시, SDI, 웹진, 신착 자료 목차서비스 등 이메일을 통한 고객맞춤형

정보서비스 강화 등 NDL 포털을 통한 디지털 참고서비스를 제공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13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용하는 도구인 컴퓨터의 활용 교육도 함께 실시하여 유비쿼터스 시대에 맞는 정보활용 능

력을 갖추도록 인포메이션 코먼스가 선도한다.

●이를 위해 NDL의 도서관 투어 운영, 학술DB 이용 및 정보 활용 교육 프로그램 운영, 인터

넷 및 각종 소프트웨어 활용을 위한 컴퓨터 활용 교육 프로그램 운영, 정보 활용 및 컴퓨터

활용 교육 프로그램 참가 예약 서비스 제공, NDL 포털을 통한 정보 리터러시 서비스 등 인

포메이션 코먼스를 통한 정보 리터러시 서비스 제공한다.

●또한, NDL 포털을 통한 가상 도서관 투어(virtual library tour) 제공, 온라인 튜토리얼

(online tutorial)을 이용한 정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제공, 디지털 러닝을 위한 주제

별 eContents 서비스 제공, 인포메이션 코먼스의 정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예약시스

템 운영 등 NDL 포털을 통한 정보 리터러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정보 레퍼런스 프로그램 활용|

●온라인 디지털 레퍼런스 서비스의 관문으로서 전국 도서관 사서그룹을 통해 유형별 정보

레퍼런스 데이터를 수집 및 공유 하는 등 디지털 참고서비스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주제별 전문 사서 그룹을 확보 및 육성하여 주제별 전문 침고정보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고

분야별 전문정보를 개발·평가·가공·분석·제공하는 정보 상담 및 정보 레퍼런스 서비

스를 운영한다.

●NDL은 인포메이션 코먼스에 숙련된 참고사서를 배치하여 이용자들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

키기 위한 고도화된 참고서비스를 제공한다. 주제전문사서를 양성 및 확보하여 주제별 전

문 참고정보서비스 체제를 구축하고, NDL의 인포메이션 코먼스와 포털을 통해 최적의 전

문정보를 개발·평가·가공·분석·제공하는 정보 상담 및 정보 레퍼런스 서비스를 운영

한다.

●이를 위해 인포메이션 데스크의 참고사서를 통한 원스톱 참고서비스 제공, 인포메이션 데

스크를 통한 이용자 만족도 조사 및 이용자 평가 실시, 인포메이션 데스크를 통한 1대1 고

212

Page 10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지역의 공공도서관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별 하위포털 서비스를 제 공하는 것도 중요한데,

콘텐츠들을 조직, 검색, 활용하기 위하여 FRBR 모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국내외 인터

넷 자원목록 주제별 서비스의 기능적 요건을 도출하여 외국의 주제별 사이트와의 연계서

비스를 제공한다. NDL이 독자적으로 생산할 수 없는 서비스와 콘텐츠를 공급하는

CP(Contents Provider)와의 제휴를 통해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NDL 포털 서비스 참여기관(디지털 장서 제공자)의 연계지침을 개발 하고 NDL 포털

서비스 연계지침의 기술항목을 연구하며 검색/참여 서비스 연계지침을 개발한다. 국가지

식정보통합검색시스템 연계지침의 경우에는 표준의 목적과 필요성, 적용범위 및 주요내용

을 제시하였는데, 지식정보자원관리시스템 연계체계구성도, 지식정보자원관리 기관별 역

할, 단계별 연계지침(사업계획 수립, 구축, 운영단계) 등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포털의 표준화와 요소기술에 있어 NDL 포털은 참조연계 소스관리기, 타겟관리기, 연

계처리기로 구성된 OpenURL기반의 참조연계기를 구현하여 개별적으로 생산·서비스 되

고 있는 다양한 전자 정보를 이용자의 상황에 맞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호주의 AARLIN(Australian Academic and Research Library Network)은 포털 기술

을 이용하여 연구자들에게 OpenURL과 같은 문맥기반 참조 S/W를 이용한 다양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며, 유럽연합의 TEL(The European Library)은 유럽 각국의 국

가 도서관이 유럽연합(EU) 시민들에게 유럽 국가도서관의 정보자원에 대한 통합 접근과

이용이 가능한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URN과 OpenURL을 기반으로 하는

연계 서비스 기능을 가지는 포털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15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5. NDL 포털 연계 서비스그거 얼마야

가. 연계 서비스 개요

| 연계 서비스 개요 |

●NDL은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로벌 지식정보

유통 플랫폼을 구현한다. 국내외 분산되어 있는 디지털도서관 콘텐츠를 서비스 형태로 추

상화해 표준 방식으로 연계하거나 공유하여 연계 및 협력형 서비스를 구성하려고 한다.

●국내의 경우 국내도서관, 공공기관, 민간포털과의 연계방안을 추진하며, 세부적으로 공공

도서관, 대학도서관, 전문도서관, 공공기관 및 공공 포털, 민간 종합포털 및 콘텐츠 사업자

와의 연계를 고려한다. 국외의 경우 국외 디지털도서관과 국외 민간포털 및 웹DB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연계 기능으로는 콘텐츠, 사이트, 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

●NDL은 국가대표 도서관 포털이며, 국내외 도서관, 정보센터 등과 같은 정보 관련 기관에

산재하는 각종 디지털 장서, 정부나 공공기관, 개인이 제작한 각종 공공접근이나 개방접근

이 가능한 디지털 장서, 그리고 상업적으로 구축하여 라이선스 접근을 허용하는 디지털 장

서 등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공유 체제를 지향한다. 글로벌 기반의 장서와 정보서비스를 제

공하게 되므로, 관련된 각종 국내외 표준화를 수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214

●국내도서관, 공공기관, 민간포털과의 연계방안을 추진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전문도서관, 공공기관 및 공공 포털, 민간 종합포털 및 콘

텐츠 사업자와의 연계

●국외 디지털도서관과 국외 민간포털 및 웹DB의 연계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연계

기능으로는 콘텐츠, 사이트, 서비스 기능을 제공

●NDL의 콘텐츠 확보는 이들 콘텐츠 제작 및 유통업을 함께 하는 업체와 직접 생산

을 하는 제작자와의 효율적인 연계

Page 10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출하여 이용할 시에는 이용 시간(기한) 등 일정한 제약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상 수급의 형식과 서비스 이용의 영역에 대한 기존 운영 형태에 반하여, ‘디지털 도서관’

형태의 운영을 하게 될 때 접하게 될 이슈로는 아래와 같은 사항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우선, 지식 정보인 콘텐츠 이용 범위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콘텐츠의 노출 범위가 도서관

내 및 도서관으로의 직/간접적인 방문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대출의 형태로 한정되어 있는

기존 일반 도서관의 콘텐츠 이용 형태와 달리, 무형의 디지털 콘텐츠는 어디에서건 이용이

가능하기에, 이용자(도서관 이용자 및 일반 구매를 통해서 콘텐츠를 향유하는 이용자)의

기준에서 본다면, 기존의 업자로부터 유료의 형태로 지불하고 구매하는 콘텐츠 이용과 도

서관을 통해서 무료로 이용하는 콘텐츠에는 질적 차이가 없게 된다. 이것은 콘텐츠를 직접

적으로 생산하는 업자와 유통을 담당하는 업자들의 이익에 직접적으로 반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범위 조정이라는 이슈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기존의 사

업자와의 콘텐츠 노출 시기의 차이를 어떻게 규정하는가가 Key-point가 된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기존 콘텐츠의 생산-유통-소비의 Chain이 어떻게 구성

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유형의 콘텐츠이든 무형의 콘텐츠이든 제작자가

생산을 하고 소비자가 이용 하기까지에는 유통이라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 유통의 각각

의 단계를 ‘관’ 또는 ‘윈도우(Window)’라고 한다.

●예를 들어, 영화의 경우 극장이 1차 윈도우, DVD가 2차 윈도우, 유료 VOD(VOD는

‘Transactional Video On Demand’라고 하며, 이는 유료 케이블 TV 및 인터넷 VOD등

이 있음)가 3차 윈도우, 이용자가 멤버십을 갖고 이용하는 SVOD(Subscription Video On

Demand)가 4차 윈도우, 무료 케이블 또는 공중파가 5차 윈도우가 되는 식이다. 이러한 윈

도우 규정은 시장의 규모와도 관련이 있으며, 상업 콘텐츠 시장에서 볼 때 각각의 시장의

파이를 키우고 각각의 윈도우에서 최대한의 수익 창출을 위해 윈도우의 단계를 조절하고

있는 실정이다.

●각각의 윈도우가 전단계의 윈도우에 비해 가지는 시간의 유예를 ‘홀드백(Holdback)’이라고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17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 NDL 포털의 주요 연계서비스 |

[그림Ⅶ-6] NDL 포털주요연계서비스

나. NDL 연계 방안

| NDL 프로젝트의 콘텐츠 연계 방안 |

●컨텐츠를 생산하는 주체, 영역(또는 지역)으로 구분하여, 콘텐츠 확보의 구체적인 방안과

그를 통한 서비스 방안을 도출 한다.

●기존의 도서관 콘텐츠의 유형을 보면, 도서를 중심으로 한 ‘서적’ 등의 유형(有形)의 지식 정

보와 음반, DVD, CD-ROM 등의 디지털 지식 콘텐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들 콘텐츠의

수급 형태는 도서관의 예산으로 기존의 콘텐츠 제작/유통업자들을 통해 구매를 하는 형태,

기존 콘텐츠 제작/유통 업체를 통해 직접적으로 기증의 방법을 통해 수급하는 형태, 그리

고 제3자(직접적인 콘텐츠 제작 및 유통업체가 아닌 기업, 이익 단체, 사회단체) 등이 기증

하는 형태를 들 수가 있다.

●서비스의 영역 즉, 이용의 장소와 범위를 보면, 도서관 내로 한정이 되며, 도서관 외로 방

216

•국내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특수전문도서관 정보자원 연계 및 협력 서비스•해외 국립도서관과의 정보자원 연계 및 협력 등 글로벌 정보접근 서비스•콘텐츠 제공/유통업체 및 개인/단체의 유용한 디지털 자원의 공유체제 지향

•기 구축된 공공기관(정부기관, 국가지식포털, KERIS, KISTI 등) DB와 연계•NDL의 OpenAPI 제공을 통해 NDL포털의 기능을 개방하여 전국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특수전문도서관 등의 정보자원 연계 서비스 창출

•민간 포털에서 생산, 유통되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중 도서관과 연계 가능한 정보에 대한 연결 서비스 제공

•온라인 서재 운영시 온라인서점의 도서 DB 정보 연계 제공

•외국의 주요 컬렉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해외자료에 통합적 접근환경 제공•TEL(The European Library), LC American Memory 등과 주요정보자원 연계 제공

공공 콘텐츠연계

민간 콘텐츠연계

해외 컬렉션서비스

Page 11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콘텐츠의 생산 주체와의 연계 |

●콘텐츠의 생산 주체는 크게 민간 부분, 공공 부분, 개인/그룹 부분으로 나누어 정리해 볼

수 있다. 민간 부분은 콘텐츠를 직접적으로 생산하고 있는 제작사로서, 일반도서 출판사,

영화사, TV 드라마 제작사, 만화 출판사, 음반사 등 제작과 유통을 동시에 담당하는 부분

과, 작가, 만화가, 감독, 배우, 가수, 연주자 등 주로 콘텐츠의 제작업을 주로 하는 부분으

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현재 온/오프라인 시장에서는 콘텐츠의 제작과 유통을 동시에 담당

하는 업체가 시장의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다.

●NDL의 콘텐츠 확보는 이들 콘텐츠 제작 및 유통업을 함께 하는 업체와 직접 생산을 하는

제작자와의 효율적인 연계를 통해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따라 시

장의 규모, 시장의 형태, 시장의 크기 등이 변모하고 있으며, 기존의 생산자와 유통 업자의

제휴 방식에도 많은 변화가 오고 있다.

●각 생산 및 유통 주체별 콘텐츠 유형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민간 포털

- 민간 포털이 콘텐츠 생산의 주체인 경우도 있으나, 주로 콘텐츠가 생산 되고 유통되는

장으로서의 성격이 더 짙다고 볼 수가 있다.

- 민간 포털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가 생산 및 유통이 되고 있다. 우선 텍스트 형태의

콘텐츠를 들 수가 있다.

- 텍스트는 메일, 블로그, 게시판, 미니 홈피의 글 등 민간 포털의 다양한 서비스에서 그

이용자들이 생산해 내는 콘텐츠 또는 이용자들이 인용/이용한 소설/시 등 저작권이 있는

Text 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 다음으로 사진, 그림 등의 이미지 콘텐츠를 들 수 있다. 이 역시 텍스트처럼 기존 화가의

디지털화된 그림에서부터, 이용자의 사진 등이 있다.

- 영화, 드라마 등 영상 콘텐츠가 있으며, 결합형 콘텐츠로는 텍스트와 영상, 음악 등이 함

께 제공되는 기존 방송사업자/제작자의 디지털화된 프로그램, 뉴스, 뮤직 비디오 등이 있

을 수 있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19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한다. 예를 들어, 극장이 1차 윈도우인 영화 콘텐츠의 VOD 홀드백이 3개월이라면, 이는

일정한 영역 내(대한민국 내 등 한 국가를 콘텐츠 영역 혹은 ‘territory’라고 한다)의 극장

모두에서 콘텐츠가 내려지고 나서 DVD가 발매되고 난 후 3개월의 시점에 유료 VOD 서비

스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서는 제작-서점(온/오프라인 유통의 공간)-소비자로 비교적 단순하게 윈도우가 이루어

져 있다. 이 과정에서 위에서 언급한 도서관 콘텐츠 확보의 3가지 방법 중의 하나로 도서관

에 배치되고 일반 이용자가 접근하여 이용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콘텐츠 복제의 문제를 들 수가 있다. 현재의 도서관에서 이용되고 있는, 유/무

형의 지식 콘텐츠인 서적, CD-ROM, 데이터베이스 등은, 도서관에서 소장할 수 있는 개

수가 한정이 되어 있다. 서적의 경우 일반 매장에 발행이 될 때, 도서관에 기증의 형태 또

는 도서관 예산에서의 구매 형태 등으로 수급을 하게 된다. 일반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

는 도서는 서점 등 일반 매장에서 유통되는 량보다 적으며, 이러한 제약으로 인하여, 무료

의 형태로 도서관 이용자에게 제공이 되고 있음에도, 기존 상업 제작자/유통사의 이익에

크게 반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서관이라면 문제가 달라진

다. 디지털 콘텐츠는 무한대로 복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이슈인 ‘콘텐츠 이용 범위’와 ‘콘텐츠 이용 시기’ 그리고 ‘이용가능 콘

텐츠의 개수’는 디지털 도서관 운영에 커다란 이슈가 될 것이며, 이는 기존 상업 제작자 및

유통사의 ‘이익’과 도서관의 기본적인 존재 이유인 ‘공익’의 공존이라는 차원에서 풀어가야

할 것이다.

●아래에는 상업 제작자 및 유통사에 대한 몇 가지 분류 기준을 제시했고, 위에서 언급한 각

주체들의 ‘이익’과 ‘공익’의 공존이라는 큰 잣대를 가지고 서비스 및 제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218

Page 11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용이 가능하며, 포털의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지적 재산에 NDL에서 공증한 표식 또는

워터마크를 삽입함으로써, 저작권의 공공성과 공익성을 천명하고 일반 이용자들의 편의를

돕는다. 이는 예산을 통한 저작권 구매 혹은 작성자(콘텐츠 제작자, 유통업자)의 저작권 일

부 양도 혹은 제한적 증여의 형태로 한다.

3) 공공 부분 콘텐츠

- 공공 부문의 콘텐츠는 기존의 도서관등에서 일반 이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유/무형의 콘

텐츠를 말한다. 이중 디지털화된 콘텐츠를 각 도서관과의 시스템 연동으로 국가 디지털

도서관 시스템 내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6. NDL 하위포털 서비스

가. 개요

| 하위포털 서비스의 개념 |

●국립중앙도서관의 ‘국립디지털도서관 운영전략 기본계획(2006)’ 및 ‘국립디지털도서관 운

영전략 세부계획(2006)’에서는 NDL 포털 서비스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로 하위포털 서비

스의 개발과 소수계층 서비스의 개발을 세부과제로 제시하였다.

●NDL 포털 서비스 강화는 NDL 포털 서비스를 보다 이용자 친화적인 포털로 확장하는 작

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주제별, 지역별, 이용대상별, 자료유형별, 맞춤별 하위포털(sub-

portal)들을 세분화하여 구축하는 작업과, 소수계층을 위한 서비스, 개방형 포털을 위한 서

비스 등과 같은 포털 서비스의 대상과 서비스를 확장하는 각종 아웃리치(outreach) 서비

스가 해당된다.

●NDL 포털 서비스는 다양한 이용자 계층의 요구에 맞도록 디지털 장서와 서비스를 전문화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즉, 전문포털로 세분화하는 경우로, 주제별, 지역별, 이용대상별,

자료유형별, 맞춤별 하위포털들을 구축하는 작업이 해당된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21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 콘텐츠 서비스 유형으로는 돈을 내고 사용하는 유료 콘텐츠가 있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

는 무료 콘텐츠가 있다.

●이렇게 볼 때 민간 포털에서는 생산 유통되는 콘텐츠는 제작자 성격에 따라, 기성 제작 콘

텐츠, 사용자 제작 콘텐츠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저작권의 성격에 따라 합법적인 저

작이용료 지불 및 권리관계가 명확한 콘텐츠와 그렇지 않거나 규정하기 애매한 성격의 콘

텐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2) 민간부분 콘텐츠 업자와의 연계 방안

- 이전에 살펴보았듯이, 디지털 도서관 운영의 주요 이슈인 ‘콘텐츠 이용 범위’와 ‘콘텐츠 이

용 시기’, 그리고 ‘이용가능 콘텐츠의 개수’라는 주제별로 가능한 서비스 연계 방안을 제시

해 본다. 기존 상업 제작자 및 유통사의 ‘이익’과 도서관의 기본적인 존재이유인 ‘공익’의 공

존이라는 차원에서 풀어가야 할 것이다.

- 콘텐츠 이용 범위에 대한 조정

디지털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공공이익 중에는 ‘원격 접속’에 대한 편의와 어디서든 도서관

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도 있다. 이런 목적을 충족시키는 것이 기존 콘텐츠 제공업자나 서

비스 제공업자의 이익을 심하게 침범하지 않은 범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아래의 콘텐츠 이용 시기를 통한 조율로 이용 범위의 확장에 따른 기존 제작자의 ‘상업적

이익’과 ‘공익’의 충돌을 최소화 한다.

- 콘텐츠 이용 시기

기존의 콘텐츠 제공업자가 서비스하고 있는 콘텐츠 윈도우상에서 효율적인 공개 시점을 협의

하여야한다. 기준은제작자의 ‘상업적이익’과도서관의 ‘공익’이일치하는시점으로한다.

- 이용 가능 콘텐츠 개수

복제가 가능하고 다중 접속이 가능한 디지털 도서관이지만, 이용 가능한 절대적 콘텐츠의

개수 또는 동시에 사용이 가능한 콘텐츠의 개수를 제한한 다면 기존 제작자들의 이익에 크

게 상충되지 않으면서 도서관 이용의 원래 목적인 ‘공익’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 NDL 표식

Common Creative처럼, NDL이라는 공익의 목적을 위해, NDL 표식을 득한 콘텐츠는 인

터넷 상에서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민간 포털, 공공 부분 모두에 적

220

Page 11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DL의 하위포털은 주제별 포털, 맞춤 포털, 지역별 포털, 이용대상별 포털, 자료 유형별

포털로 구분하였다.

나. NDL 하위포털의 구분

| 포털의 유형은 서비스 내용이나 범위에 따라,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에 따라,

특징적인 서비스 성격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여 볼 수 있다. |

●첫째, 내용 및 범위에 따른 구분으로 포털은 제공하는 서비스(정보)의 범위와 깊이에 따라

다양한 주제의 정보를 망라하는 종합 포털과 학술정보, 그리고 지리정보, 의학정보, 통계

정보 등 특정 주제의 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전문 포털로 나눌 수 있다.

●둘째, 포털 서비스 제공 주체에 따른 구분으로 민간(상용) 포털, 공공포털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대학포털, 도서관포털, 기업포털 등으로 세분될 수 있다.

●셋째, 특징적인 서비스 성격에 따라 검색포털, 커뮤니티포털, 동영상포털, 상거래포털 등

으로 나눌 수 있다.

●넷째, 서비스 매체에 따라 TV 포털이나 모바일 포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다. NDL 하위포털의 구성

| NDL 하위 포털은 NDL 장서뿐만 아니라 외부 연계가 가능한 모든 디지털 정보를

서비스 대상으로 한다. |

| 주제별 포털 |

●학문 분류기반 주제별 포털

- 가장 일반적인 주제 포털

- 총류, 철학 등 학문 분류 체계에 기반한 카테고리 서비스 체계

- 의학정보, 문학정보, 과학기술정보 등

●이용자 요구기반 주제별 포털 (클러스터링에 의한 주제 구분)

- 용어 간, 혹은 이용자의 요구 분석 결과에 의한 구분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23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NDL 포털의 아웃리치 서비스는 NDL 포털 서비스가 사회적 계층이나 신분에 구애받지 않

는 열린 서비스를 지향하는 활동을 말한다. 즉, 장애인이나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보복지

서비스를 강화하고, 국내 거주의 소수민족 및 소수인종을 위한 다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이 해당된다. 또한 각급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에서 NDL 포털 서비스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 서비스도 포함된다.

| 하위포털 서비스의 필요성 |

●NDL 포털의 목표는 모든 양질의 장서와 콘텐츠를 대상으로 모든 계층의 이용자들에게 인

터넷 기반의 정보서비스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다.

●가능한 모든 계층의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정보서비스의 제공이 전제되어야 한다.

- NDL의서비스대상은모든양질의장서와콘텐츠를대상으로모든계층의이용자로이용자

에대한제한이없는바, NDL 포털의성격상목표이용자(target user)가불분명하다.

- 이용자별, 이용자집단별정보요구수준이나, 제공된정보에대한만족도차이가존재한다.

- 특히 불분명한 (불특정 다수) 목표 이용자에 대한 적절한 구분을 통하여 이용자별 혹은

이용자 집단별 정보 요구에 부합될 수 있는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며, 이에 따라 이용자

의 요구 수준에 부합되는 하위 포털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하위포털은 특정한 주제나 기관, 지역을 중심으로 콘텐츠를 구분하여 서비스

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은 대규모 도서관 사이트와 연계하여 서비스하거나 별도의 전문포

털로 서비스하고 있다.

●특히 NDL은 일반성인, 청소년, 어린이, 유아, 노년층 등 연령별 특징에 따른 서비스 제공

과 장애인이나 이주민, 외국인과 같은 정보소외계층을 고려한 서비스의 제공, 그리고 외국

인을 고려한 다문화 서비스의 제공, 연구자나 특정직업군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를 고려하여야한다.

- 즉, NDL 정보서비스는 지역별/주제별/형태별로 분화되는 하위 포털 서비스, 아동/노령

인/장애 등 소수계층을 위하여 정보복지 차원에서의 각종 정보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222

Page 11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지역의 개별 공공도서관은 자체적으로 포털 체제를 구축하고 서비스를 수행하고 NDL

은 개별 공공도서관 포털을 통합하여 서비스한다.

- 행정 지역별 포털

· 지역 정보, 지역 특산물, 지역소개, 지역 인물, 지역 생산 정보 등

· 지역정보는 지역별 정보센터나 도서관을 통하여 서비스하되 NDL은 이를 통합, 연계

하여 서비스한다.

●국외 지역별 포털

- NDL 장서 (NDL을 통해 서비스 가능한 모든 정보, 소장 혹은 연계 가능한 정보) 가운데

국외 지역에 대한 정보 혹은 지역에서 생산된 정보

- 아시아 정보, 유럽 정보, 아메리카 정보, 등 지역에 따른 구분

●언어별 포털

- NDL 소장 장서 및 연계를 통한 타 도서관의 정보를 공유하여 서비스

- 영어 자료, 불어 자료, 중국어 자료, 기타 언어 자료

| 이용대상별 포털 |

●NDL 이용자의 연령별, 지식수준 등에 따른 이용 대상별로 수준을 고려하여 필요한 장서를

구성하고 서비스할 수 있는 포털

●아동, 청소년(초, 중, 고, 대), 장년, 노인

| 자료유형별 포털 |

●자료의 유형에 따른 장서의 집단화와 서비스

●NDL 장서 및 출판사와의 직접 연계 등 생산자, 정보 제공자와의 연계를 통한 서비스

- 음악, 영화 등의 다중매체

- 단행본 (전자책 포함)

- 학술지 (전자학술지 포함)

- 학위논문, 연구보고서, 기타 회색문헌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25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 스포츠, 오락, 여행, 취미 등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주제별

- 오락정보, 여행정보, 자동차 정보 등

| 맞춤 포털 |

●일반 이용자를 위한 포털과 특정 개인을 위한 서비스 포털로 구분한다.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

- 특정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참고봉사 서비스 포털

- 일반인 대상 디지털 참고봉사 서비스 포털

●추천도서, 신간도서 등

- 특정 고객 대상

- 일반인 대상

●SDI

- 이용자의 사전 정보요구에 기반한 최신정보주지 서비스

- 특정 고객 대상

●지식 서비스

- 특정 고객 대상

- 일반인 대상

●맞춤 포털에서 생성된 정보는 주제별, 자료유형별, 이용 대상별 포털에서 활용될 수 있도

록 공유한다.

| 지역별 포털 |

●국내 지역별 포털

- 분관 포털

· 지역별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포털

224

Page 11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텍스트 & 멀티미디어 통합 색인/검색 시스템 개발 |

●UCC(사용자제작콘텐츠)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자동색인(인식) 기술을 채용한 시스템

이 필요하다.

●SVM(Support Vector Machines, 지지기반벡터) 혹은 커널기반 인식기법 등 다양한 효율

적인 방법론을 활용한다.

●속도 및 정확도 문제의 해결이 관건이다.

| 분야별 지식인(Domain Critical Knowledge Creating Environment) 개발 |

●현재 네이버 등 각종 포털 사이트에서 경쟁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지식검색(사용자 개방형 지식자원 수집환경)은 콘텐츠 생성 시에 사용자에게 많은 자율성

을 보장하는 관계로, 생성자원의 질적 저하 문제, 그리고 생성된 대용량 자원의 효율적 검

색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수집및생성환경을제약하여, 보다정형화된지식정보를수집하는체제가필요하다.

●위키피디아와 같이 미리 지정된 필드의 내용을 입력하도록 제한한다.

●내용 입력 시 모호한 단어나 어구의 사용제약을 위한 ‘용어사전’등을 도입하는 등 콘텐츠

자체의 수준을 높이는 작업이 필요하다.

| 수집 콘텐츠에 대한 자동 분류 시스템 개발 |

●대부분의 포털 사이트들은 신규수집정보에 대한 가공 및 분류 작업 등을 대부분 수작업으

로 진행한다.

●새롭게 수집된 자원에 대한 자동 혹은 반자동 분류나 선처리 등이 필수적이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27제7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7. NDL 포털 향후 추진과제

| 검색어 선정을 위한 도우미 시스템 개발 |

●이 시스템은 용어사전 및 검색로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자료를 찾아가는 과정

을 안내한다.

●안내 과정에서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인식함으로써 상황(Context)에 맞는 적절한 검색

어를 제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기능요건

- 검색어 자동완성 기능

- 전문용어에 대한 용어해설 기능

-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보정 및 연관 검색어 추천 기능

- 기능 구현 : 검색어 도우미는 AJAX 기술, 용어사전, 검색로그, 색인어 DB 등을 기

반으로 구현

| 이용자의 의견 반영을 위한 피드백 도우미 시스템 개발 |

●이용자의 평가와 의견을 시스템에 반영하여 웹 서비스의 지속적인 개선(Permanent

Beta)을 이루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고객이 직접 콘텐츠에 대한 링크, 만족도, 품질, 기능 등을 평가하고 이러한 평가 정보는

사용자 피드백 DB에 축적한다.

●피드백 정보를 토대로 콘텐츠 품질 강화, 오류 개선에 활용한다.

●새로운 서비스 개발과 이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을 시스템에 반영할 수 있는 종합적인 분석

자료로 활용한다.

226

Page 11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제8장

결론 및 제언

●예를 들어, 뉴스나 웹문서에 대한 분류를 1차적으로 분류기를 이용하여 분류하여, 그 결과

를 바탕으로 2차 선정 작업을 수행한다.

| 감성중심 문맥기반 알림이(Sensitivity Intensive Context Advertisement) 시스

템 개발 |

●사용자가 보는 문서(뉴스, 웹페이지, 지식 등)와 가장 일치하거나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

게 자동으로 제시해 주는 서비스가 필요하다.

| 하위 포털 서비스 항목 및 항목별 서비스를 위한 기능적 요건 개발 |

●불특정 다수를 고객으로 제공되는 정보서비스는 차별화가 어렵다.

●주제별, 이용대상별 등 차별화를 위한 서비스 항목의 개발이 우선되어야 한다.

●각 항목별 서비스를 위한 기능 요건의 개발이 요구된다.

228

Page 11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30

이 연구는 국립디지털도서관에서 구축, 운영할 대규모 장서, 다양한 정보서비스, 각종 첨단정

보기술로 구성되는 정보시스템인 NDL 포털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잠재 이용자의 정보

요구 및 이용형태를 예측함으로써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포털 모형을 개발하고, 이용

자 친화적인 정보서비스 방안들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NDL 포털 모형 개발 및 서비스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행한 조사, 분석 대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에 대한 분석은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의 결과로 도출된 다양한 유형

의 NDL 포털 이용자 정보 요구 및 정보탐색 행위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용자가 웹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어떻게 정보를 찾아가는지, 어떠한 기능을 선호 하는지 등 정보탐색 행위의 특성 및 과정

을 분석하였다.

둘째, 33개의 대표적인 포털 사이트에 대한 서비스 특징 및 기능을 분석하였다. 포털사이트는

도서관포털과 일반포털로 나누어 분야별 사이트 순위, 점유율 및 대표성, 그리고 인지도 등의 자

료를 토대로 대표적인 사이트가 선정되었고 각 사이트별로 주요 서비스의 특징 및 기능이 조사,

분석되었다.

셋째, 대표적인 디지털 도서관 포털 프로젝트의 기술개발 현황을 조사하고, 지금까지 연구자들

로부터 제안된 포털의 모형을 분석하여 NDL에 가장 적합한 포털 모형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도서관포털 및 일반포털에 대한 조사, 분석과 유형별 포털 모형에 따른 정보

서비스 현황에 대한 분석, 포털서비스의 기능 분석을 통한 최근 이용자들의 관심과 요구를 반영

하는 서비스 빈도의 비교 분석, 그리고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한 NDL 포털에 대한 이용자들의 정

보요구에 대한 분석 등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 중심적인 NDL 포털 모형을 개발하고 모형에

제8장결론및제언 기반한 포털 서비스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33개의 대표적인 포털 사이트의 특징 및 기능 분석결과 NDL 포털을 통한 서비스

체제를 구축함에 있어 성공을 위한 전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NDL 포털 서비스의 중심은 이용자 개개인으로, 이용자들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것을 충

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둘째, NDL 포털은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보다 쉽고, 편리하고, 그리고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NDL 포털은 이용자들이 정보와 지식을 생산하고, 소통하고, 공유하는 개방형, 참여형

플랫폼을 추구하여야 한다.

넷째, 다양한 자원과 서비스를 중요도에 따라 구분하여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서비스 대상에 따

라 콘텐츠와 기능을 구성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다섯째, 새로운 정보환경의 변화에 부응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정보기기 및 정보자원에 대한 적

극적 도입 및 활용이 필요하며, 새로운 기술 및 서비스 방식에 대한 계속적 연구와 추진전략이 요

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NDL 포털을 통하여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는 검색, 참여, 연계, 활용 서비스의 4

가지로 제안하고 각각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에 대한 서비스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NDL이 소장하고 있는 장서 및 콘텐츠에 대한 통합적이고 이용자친화적인 검색 플랫폼

을 구현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개방과 공유와 참여를 통한 정보의 생산 공유 재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용자

참여 플랫폼을 구현한다.

셋째,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로벌 지식정보 유통

플랫폼을 구현한다.

넷째, 인포메이션코먼스 및 NDL 포털을 통한 정보리터러시 및 정보레퍼런스 교육 기반을 마

련하여 정보취약계층의 정보 활용능력을 향상시키고 정보복지를 실현하는 활용 플랫폼을 구현한

다.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31제8장 결론 및 제언

Page 11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참고문헌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토대로 향후 개발될 NDL 포털이 이용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이용자 편의성, 기능의 다양성, 포함정보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시스템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NDL 포털은 맞춤화와 개인화에 입각한 도서관 포털이 되어야 한다. 최근의 경향은 이용

자 각각의 정보요구에 반응하는 개인정보시스템을 만들기 위하여 이용자에게 초점을 맞추고, 이

용자들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맞춤화는 이용자의 첫 인상을 결정

한다. 개인화는 이용자에게 잘 설계된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구조로

변화시켜 결국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맞춤화와 개인화에 입각한 도서관의

포털 환경은 고객과 장기적인 관계를 갖게 하여 보다 성공적이고 효과적인 도서관을 만들게 될

것이다.

둘째, NDL 포털은 계획 및 실행에 모든 이해관계자를 포함하고, 모든 구성단위를 허용해야 한

다. 예를 들면, 통합의 확인 및 인증시스템이 필요하고, 모든 구성원들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

야 한다. 즉, 도서관 포털의 목적은 다양한 이용자 그룹 및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NDL 포털은 이용자 중심이 되어야 하고, 원 스톱 서비스가 가능

해야 하고, 디자인 특면에서 이용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어야 한다.

셋째, NDL은 콘텐츠의 안정된 확보를 위하여 국내외 정보기관과의 협력관계를 확대하여야 한

다. 'single sign on'과 'one stop service'를 추구하는 NDL 포털의 성공여부는 얼마나 다양하고

질적 가치가 높은 콘텐츠를 확보 하느냐에 달려 있다. 국내외 도서관, 정보센터, 공공기관, 개인

제작 등 산재하는 각종 디지털 장서, 각종 공공접근이나 개방접근이 가능한 디지털 장서, 그리고

라이선스 접근을 허용하는 디지털 장서 등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공유 체제를 지속적으로 추진하

여야 한다.

넷째, NDL이 주어진 환경 하에서 단 기간에 다량의 품질 좋은 정보를 확보하는 것은 어려움이

예상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정보의 소재 파악을 통한 연계 대상 정보를 우선적으로 확보하

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다섯째, NDL 포털은 10%의 정보기술과 90%의 리더십 및 계획 절차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NDL 포털에 대한 문제는 기술이 아니라 오히려 조직의 장애분석, 목적 정의, 명확한 업무의 계

획, 그리고 얼마만큼 다른 포털 특징을 인지하는가와 관련된다고 할 수 있다.

여섯째, NDL 포털은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최대한 만족시키기 위하여 상용 포털의 장점을 최

대한 반영함과 동시에 차별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도서관 포털로서 기능 수행이 우선되어야 한다.

232

Page 11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최원태. 2005. 디지털유산 보존과 국가대표도서관의 정책방안.

『2005년 국립중앙도서관 열린정책세미나』, 국립중앙도서관.

코리안클릭. 2002. 국내 인터넷 포털 이용형태 분석. 2002. 6.

코리안클릭. 2005. 국내 인터넷 포털 이용형태 분석. 2005. 5.

코리안클릭. 2005. 포털 산업과 차별화 전략. 『Focus Review』, 2005. 6.

코리안클릭. 2006. 국내 인터넷 포털 이용형태 분석. 제5호, 2006. 7.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KERIS 종합목록 주요소식 제 6호. 2006. 11.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2006.『포털서비스 시장 분석 보고서』, 2006. 12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2006. 포털과 지식정보서비스

-포털사이트를 통한 지식정보 유통 현황과 과제.『KDPC 지표이슈』, 2006. 10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2006. 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한 국내 Web2.0

서비스 현황과 전망. 『SW산업동향』, 2006권 2호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2007. Yahoo!의 사업구조와 성과분석,

『SW기업동향』. 2007.6.25

한국인터넷진흥원. 2006. 웹2.0 시대의 네티즌 인터넷 이용 현황

-참여와 공유의 인터넷.

『2006년 인터넷이슈심층조사 요약보고서』, 2006권 6호.

한국인터넷진흥원. 2006. 『인터넷 이슈 리포트』. 2006권 12호.

한국인터넷진흥원. 2007. 『인터넷 이슈 리포트』. 2007권 1호.

한국인터넷진흥원. 2007. '인터넷포털 산업의 영향과 활성화 방안'.

인터넷 이슈 리포트. 2007권 6호

한국인터넷진흥원. 2007. 『정보화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07. 『2007 한국인터넷백서』.

황현수. 2006. All about Web 2.0.

『차세대 인터넷 웹2.0 컨퍼런스 코리아』. 2006.2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35참고문헌

참고문헌

곽병희. 2004.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정보이용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권1호 , 257-281.

김성언. 2006. 포털사이트 고객 만족을 위한 유인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논총』제42집, 49-64.

김성언. 2004. 포털사이트 서비스 요인의 가중치를 이용한 포털사이트 선호도 결정에 관한 연구, 『경

영교육논총』, 제36집, 47-64.

김성진. 2006. 웹 이용자의 정보탐색행위 패턴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제23권 제4호 제62호, 197-

214.

김성희. 2006. 도서관 포털 통합 유저인터페이스 시스템 비교?분석.『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2):

175-194.

김성희, 이정수. 2006. 도서관 포털 통합 유저인터페이스 시스템 비교·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2): 175-194.

서은경. 2003. 디지털 정보자원 보존의 위험관리 분석 : 대학도서관 전자정보실 중심으로. 정보관리학

회지, 20(1): 5-29.

유재택. 2006. 웹2.0과 정보서비스의 진화,『KERIS@』. 겨울호, 8-19.

이성숙. 2006. 해외선진사례 분석을 통한 RISS의 신규서비스 제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이성숙. 2006.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의 발전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제37권 제3호, 103-129.

이수상. 2006. 디지털도서관의 통합포털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3(4): 257-275.

이순영, 이수상. 2007. 지역기반 도서관 포털 구축의 요건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38(3): 1-30.

이지연, 민지연, 주수형. 2007. 국가지식정보의 유통 현황 분석 및 유통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

회지』, 24(3): 299-319.

전종홍, 이승윤. 2006. 웹2.0 기술 현황 및 전망.

『전자통신동향분석』제21권 제5호, 141-153.

234

Page 11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Dewey, Barbara I. 2003. "Portals and the Human Factor: Bringing Virtual Services to the

Life of the Mind or the Scholarly Stargate.”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39(4): 89-101.

Dorman, David. 2001. "Technically Speaking.” American Libraries, December 2001.

European Library Automation Group (ELAG) 26th Library Systems Seminar. “Semantic

Web and Libraries” Rome, Italy, in April 2002.

Hurd, Sandy. 2005. "The Portal World and the ILS: A Commentary.”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43(1/2): 57-70.

Jackson, Mary E. 2003. "Portals, Access, and Research Libraries.”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39(4): 57-63.

Jackson, Mary E. 2005. "Looking Ahead: The Future of Portals.”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43(1/2): 205-220.

Javis, Hugh W. 2004. “Portals In Libraries: My UB's Personalized Intranet Portal.” Bulletin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1(1): 15-16.

Lakos, Amos A. 2004. “Portals In Libraries.” Bulletin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1(1): 7-8.

Lakos, Amos A. 2004. “Portals In Libraries: Portal Vision.” Bulletin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1(1): 8-9.

Lakos, Amos A. 2004. “Portals In Libraries: Assessments and Outcomes.” Bulletin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1(1): 19-21.

LibPortal Project. JISC. 2003. http://www.jisc.ac.uk/whatwedo/programmes/pro-

gramme_portals/project_libportal.aspx

Library Technology Reports. 2002. "Components of Library Portals.” November-December

38(6): 8-13.

Library Technology Reports, "Specifying a Portal.” November-December 38(6): 38-42, 2002

Lim, Edward. 2000. "The Last Book: The Delivery of Future Content.” ALIA 2000

Capitalizing on Knowledge: the Information Profession in the 21st Century, 24-26

October 2000.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37참고문헌

Afifi, Marianne. 2004. “Portals In Libraries: The Scholars Portal Project: The USC

Perspective.” Bulletin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1(1): 18-19.

ARL Scholars Portal Working Group Report. 2001.

http://www.arl.org/resources/pubs/portals/report-may-01.shtml

ARL Scholars Portal Working Group. 2005. "The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ARL

Scholars Portal Working Group Final Report, May 2002.”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43(1/2): 189-204.

Boss, Richard W. 2005. "Library Portals.” PLA(Public Library Association) Tech Note.

http://www.ala.org/ala/pla/plapubs/technotes/librarywebportals.cfm

Breznay, Ann Marie, Leslie M. Haas. 2005. "If You Build It Will They Come? Services Will

Make the Difference in a Portal.”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43(1/2): 71-86.

Brown, Carolyn T. 2005. "Portals to the World: A Library of Congress Guide to Web

Resources on International Topics.”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43(1/2): 37-

56.

Byrum, Jr. John D. 2005. "Online Catalogs and Library Portals in Today's Information

Environment.”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43(1/2): 135-154.

Carden, Mark. 2004. "Library Portals and Enterprise Portals: Why Libraries Need to be at

the Centre of Enterprise Portals Projects.” Information Services & Use, 24: 171-177.

Ciccone, Karen. 2005. "MyLibrary @ NCState: A Library Portal After Five Years.”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43(1/2): 19-35.

Davidsen, Susanna L. 2005. "The Internet Public Library and the History of Library

Portals.”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43(1/2): 5-18.

Detlor, Brian and Vivian Lewis. "Library portals: The impact of the library information

environment on information seeking succes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1(1): 84-92. 2004.

Dempsey, Lorcan. 2003. “The Recombinant Library: Portals and People.”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39(4): 103-136.

236

Page 12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Information Sources.” Online Information Review, 29(1): 5-17.

Olivia M. A. Madison and Maureen Hyland-Carver. 2005. "Issues in Planning for Portal

Implementation: Perfection Not Required.”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43(1/2): 113-134.

Regan, Alison E., Sheldon Walcher. 2005. "Environmentalist Approaches to Portals and

Course Management Systems.”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43(1/2): 173-188.

Strauss, Howard. 2002. "Library Portals: A Minority Report.” Library Journal, 127(17): 34-

36.

Strauss, Howard. 2003. "The Future of Information Access and Distribution.” Serials

Librarian. 44(1/2): 27-35.

Ward, Jennifer L., Steve Hiller. 2005. "Usability Testing, Interface Design, and Portals.”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43(1/2): 155-171.

Wilson, Lizabeth A. 2003. "If We Build It, Will They Come·Library Users in a Digital

World.”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39(4): 19-28.

Zhou, Joe. 2003. "A History of Web Portals and Their Development in Libraries.”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22(3): 119-128.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39참고문헌

http://conferences.alia.org.au/alia2000/proceedings/edward.lim.html

Looney, M., and Lyman, P. 2000. "Portals in Higher Education.” EDUCAUSE Review, 35(4):

28-37.

Madison, Olivia M. A., Maureen Hyland-Carver. 2005. "Issues in Planning for Portal

Implementation: Perfection Not Required.”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43(1/2): 113-134.

Maloney, Krisellen. 2004. “Portals In Libraries: Library Technology and Planning for

Change.” Bulletin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1(1): 12-14.

Maloney, Krisellen, Paul J. Bracke. 2005. "Library Portal Technologies.”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43(1/2): 87-112.

McDonald, Robert H., Catherine M. Jannik. 2004. "From Web Server to Portal: One

Library's Experience with Open Source Software.”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40(1/2): 71-88.

McDonald, Robert H. 2004. “Portals In Libraries: An Environmental Landscape.” Bulletin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1(1): 10-11.

McLean, Neil and Clifford Lynch. June 2003. Interoperability Between I nformation and

Learning Environments-Bridging the Gaps. A Joint White Paper on Behalf of the

IMS Global Learning Consortium and the Coalition for Networked Information.

http://www.imsglobal.org/DLims_white_paper_publicdraft_1.pdf

Michalak, Sarah and Mary E. Jackson. 2004. “Portals In Libraries: The Scholars Portal

Project: A June 2004 Update.” Bulletin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1(1): 17-18.

Michalko, James. 2003. "For Whom Is the Library an Anchor? Observations on Library

Portals.”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39(4): 5-17.

Morgan, Eric Lease. 2004. “Portals In Libraries: Portal Implementation Issues and

Challenges.” Bulletin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1(1): 22-23.

Myhill, Martin. 2005. "A MAP for the Library Portal: through the Labyrinth of Online

238

Page 12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http://www.loc.gov/catdir/lcpaig/portalfunctionalitieslist4publiccomment1st7-22-

03revcomp.pdf

http://www.mncast.com/

http://www.nanet.go.kr/

http://www.nate.com/

http://www.nationallibrary.fi/

http://www.naver.com/

http://www.nl.go.kr/

http://www.nla.gov.au/padi/about.html

http://www.oclc.org/

http://www.pandora.tv/

http://www.riss4u.net/

http://www.theeuropeanlibrary.org

http://www.theeuropeanlibrary.org/portal/

http://www.ukoln.ac.uk/distributed-systems/jisc-ie/arch/

http://www.ukoln.ac.uk/distributed-systems/jisc-ie/arch/functional-model/

http://www.ukoln.ac.uk/distributed-systems/jisc-ie/arch/portal/spec/

http://www.wikipedia.org/

http://www.yahoo.com/

http://www.youtube.com/my.lib.ncsu.edu/

www.alexa.com

www.cyworld.com

www.govspot.com

www.inforoute.hmso.gov.uk

www.keris.or.kr

www.nla.gov.au/padi

www.nla.gov.au/padi

www.rankey.com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241참고문헌

http://cdl.korea.ac.kr/

http://dewey.library.nd.edu/mylibrary/

http://ge.nii.ac.jp/

http://ge.nii.ac.jp/outline-e.html

http://isis.nida.or.kr/ebook/ebook.html

http://ko.wikipedia.org/

http://koreanclick.com/

http://kr.yahoo.com/

http://lib.sookmyung.ac.kr/

http://library.postech.ac.kr/

http://library.snu.ac.kr/

http://phpwebsite.appstate.edu/

http://portico.bl.uk/

http://scout.wisc.edu/Projects/SPT/

http://skkcl.skku.ac.kr/

http://www.ala.org/ala/lita/litaresources/toptechtrends/midwinter1999.cfm

http://www.bl.uk/

http://www.daum.net/

http://www.ddb.de/

http://www.flickr.com/

http://www.golibrary.go.kr/

http://www.google.co.kr/

http://www.google.com/

http://www.govspot.com

http://www.kb.nl/

http://www.knowledge.go.kr/

http://www.kocca.kr/

http://www.lib.washington.edu/

http://www.loc.gov/

240

Page 12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2007 디브러리 총서」를 만든 사람들

총 괄 |최경호 (국립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단장)

실무팀 |조영주 (국립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사서사무관)

박현주 (국립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전문연구관)

박진호 (국립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전문연구관)

류희경 (국립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사서주무관)

박수현 (국립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사서실무관)

지원팀 |여위숙 (국립중앙도서관 정보화담당관실 정보화담당관)

김수미 (국립중앙도서관 정보화담당관실 전산주무관)

박신정 (국립중앙도서관 정보화담당관실 전산주무관)

박일심 (국립중앙도서관 정보화담당관실 사서주무관)

홍영아 (국립중앙도서관 정보화담당관실 사서실무관)

추진팀 |총괄책임 양수형 (삼성전자(주) 솔루션사업그룹장)

총괄PM 복준성 (삼성전자(주) 차장)

부문PL 김미희 (삼성전자(주) 선임) / 김희석 (오티앤씨(주) 이사)

최현정 (유니닥스(주) 차장)

지원총괄 임진환 (삼성전자(주) 솔루션영업그룹장)

| 총서1.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

책임연구원 | 조현양 (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연 구 원 | 최재황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박영호 ((주)오티엔씨 부장) / 이혜영 ((주)오티엔씨 과장)

연구보조원 | 윤세진 장혜정 정의석 최선희 권욱일 서정민

자 문 위 원 | 박소연 (덕성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총서2. 이용자시나리오연구개발 |

책임연구원 | 노동조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연 구 원 | 박영호 ((주)오티엔씨 부장 / 윤세진 ((주)오티엔씨 과장

이혜영 ((주)오티엔씨 과장 / 장혜정 ((주)오티엔씨 대리

연구보조원 | 정의석 권욱일 서정민 박지훈 김경태 변지수

자 문 위 원 | 이지연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총서3. 디지털장서관리및연구개발 |

책임연구원 | 장덕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이수상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오삼균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연 구 원 | 서태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지식전략팀 책임연구원)

노지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조용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사)

보조연구원 | 김정숙 김초롱 변아영 서옥연 최원찬 이순영 위성광 이경화

한현진 원시내 조현석 조명대 장인호 이유진장원홍

자 문 위 원 | 김영기 (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김홍기 (서울대학교 치의학과 교수)

| 총서4. 디브러리이용자공간구축 |

책임연구원 | 남영준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김성희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황옥경 (서울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연 구 원 | 최철영 (삼성전자(주) 차장)

김정아 (삼성전자(주) 책임) / 민경섭 (삼성전자(주) 책임)

김경태 (삼성전자(주) 선임) / 이혜연 (중앙디자인(주) 상무)

박지훈 (중앙디자인(주) 과장) / 정미영 (중앙디자인(주) 주임)

고범창 (엔터엠 이사) / 성시애 (중앙대학교대학원 기록관리학 석사)

길영은 (서울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연구원) / 오세훈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과장)

김규환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사) / 박찬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원)

이미영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사)

보조연구원 | 임정길 김창환 이준우 김정심 정수진

자 문 위 원 | 이공희 (국민대 건축공학과 교수) / 정찬근 고양지식정보산업진흥원 원장)

| 총서5. 정보소외계층서비스 |

책임연구원 | 남영준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연 구 원 | 고범창 (엔터엠 이사) / 성시애 (중앙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석사)

김경태 (삼성전자(주) 선임) / 김창환 (삼성전자(주) 선임) / 이혜연 (중앙디자인(주) 상무)

박지훈 (중앙디자인(주) 과장) / 정미영 (중앙디자인(주) 주임)

정무영 (한국정보문화진흥원 과장) / 김규환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사)

박찬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원) / 이미영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사)

보조연구원 | 김정심 정수진

자 문 위 원 | 최두진 (정보문화진흥원 정보격차해소연구센터장)

이영숙 (국립중앙도서관 장애인지원센터 사무관) / 김정호 (엑스비젼테크놀로지 이사)

홍경순 (한국정보문화진흥원 팀장) / 이완우 (나사렛대학교 교수)

Page 12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디브러리 총서 1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개발

2007년 12월 22일 인쇄2007년 12월 31일 발행

발행처 국립중앙도서관 국립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주소 서울시 서초구 반포로 664전화 02 590 0747

전송 02 590 0571

제작·편집 페덱스킨코스코리아

ISBN 978-89-7383-233-0 94020

978-89-7383-232-3(세트)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