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간흡충증에 의한 혈액담즙증 1 - e ce · 2011. 9. 28. · changes of the liver in...

5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8;36:313-317 313 접수2008119, 승인2008416연락처박창환,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8번지 우편번호: 501-757, 전남대학교병원 내과 Tel: 062-220-6215, Fax: 062-228-1330 E-mail: [email protected] 간흡충증에 의한 혈액담즙증 1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윤경원박창환이승환이완식김현수최성규유종선 A Case of Hemobilia Caused by Clonorchiasis Kyoung Won Yoon, M.D., Chang Hwan Park, M.D., Seok Cho, M.D., Seung Hwan Lee, M.D., Wan Sik Lee, M.D., Hyeun Soo Kim, M.D., Sung Kyu Choi, M.D. and Jong Sun Rew,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Gwangju, Korea 우리나라에서 흔한 소화기계 기생충 질환인 간흡충증은 주로 무증상이거나 경미한 소화기계 증상 또는 간효소 수치의 상승을 유발할 수 있으며 드물게 황달, 담석, 담관석, 담관염, 담관암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총담관과 간내담도 점막에 급성 출혈성 병변을 일으키는 경우는 매우 드물어 아직 보고가 없다. 저자들은 간흡충증에 의한 급성 담관염이 동반된 혈액담즙증을 수술로 확진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색인단어: 간흡충증, 혈액담즙증 간흡충은 감염된 민물고기를 날로 먹을 때 감염되는 기생충 질환으로 감염된 충체의 수, 감염의 빈도, 숙주 의 면역력 등에 따라 임상증상의 정도가 결정된다. 1 반적으로 급성 감염 후 주로 무증상이거나 경미한 소 화기계 증상 또는 간효소 수치의 상승이 동반될 수 있 으며, 다수의 간흡충에 의한 감염이 장기화 될 경우 담 , 담낭염, 담관석, 황달, 담관암 등이 유발될 수 있 . 2 하지만, 간흡충이 총담관과 간내담도 점막에 급성 출혈성 병변을 일으키는 경우는 매우 드물어 아직 보 고가 없다. 저자들은 급성 담관염이 동반된 혈액담즙증 환자에 서 수술 후 성충을 확인하여 진단된 간흡충증을 경험 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70세 남자가 일주일 전부터 발생한 발열, 우상복부 동통 및 하루 전부터 발생한 흑색변을 주소로 내원하 였다. 환자의 직업은 농부였으며, 음주력은 없었고, 소 민물회를 즐겨 먹었던 기왕력이 있었다. 내원시 생 체 활력증후는 혈압 140/90 mmHg, 맥박은 88/, 흡수 16/, 체온 36.4 o C이었다. 신체 검사에서 우상복 부에 경미한 압통이 있었다. 말초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8,300/mm 3 (호산구 7.2%), 혈색소 10.9 g/dL, 혈소판 376,000/mm 3 이었고, 혈청 생화학 검사에서 AST 55 IU/ L, ALT 65 IU/L, ALP 971 IU/L, r-GTP 1707 IU/L, total bilirubin 1.3 mg/dL, amylase 209 IU/L, lipase 327 IU/L, CRP 5.5 mg/dL이었다. 대변검사에서 충란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간흡충에 대한 효소결합 면역흡착 검정은 0.632 (양성판정기준: 0.25)로 양성반응을 보였다. 복부초음파에서 담낭내 담즙 찌꺼기와 총담관 및 간 내 담관의 확장이 있었으며,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에 서 총담관석으로 보이는 다수의 병변들과 담관염을 동 반한 담관의 확장이 있었다(Fig. 1).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에서 식도 및 위에 특이사항 없었으며, 십이지장내

Upload: others

Post on 13-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New 간흡충증에 의한 혈액담즙증 1 - e CE · 2011. 9. 28. · changes of the liver in albino rats infected with Clonorchis sinensis. Korean J Parasitol 1978;16:148-155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8;36:313-317

313

수:2008년 1월 19일, 승인:2008년 4월 16일

연락처:박창환, 주 역시 동구 학동 8번지

우편번호: 501-757, 남 학교병원 내과

Tel: 062-220-6215, Fax: 062-228-1330

E-mail: [email protected]

간흡충증에 의한 액담즙증 1

남 학교 의과 학 내과학교실

윤경원ㆍ박창환ㆍ조 석ㆍ이승환ㆍ이완식ㆍ김 수ㆍ최성규ㆍ유종선

A Case of Hemobilia Caused by Clonorchiasis

Kyoung Won Yoon, M.D., Chang Hwan Park, M.D., Seok Cho, M.D., Seung Hwan Lee, M.D.,Wan Sik Lee, M.D., Hyeun Soo Kim, M.D., Sung Kyu Choi, M.D. and Jong Sun Rew,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Gwangju, Korea

우리나라에서 흔한 소화기계 기생충 질환인 간흡충증은 주로 무증상이거나 경미한 소화기계 증상 는

간효소 수치의 상승을 유발할 수 있으며 드물게 황달, 담석, 담 석, 담 염, 담 암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총담 과 간내담도 막에 성 출 성 병변을 일으키는 경우는 매우 드물어 아직 보고가 없다. 자들은

간흡충증에 의한 성 담 염이 동반된 액담즙증을 수술로 확진한 증례를 경험하 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색인단어: 간흡충증, 액담즙증

서 론

간흡충은 감염된 민물고기를 날로 먹을 때 감염되는

기생충 질환으로 감염된 충체의 수, 감염의 빈도, 숙주

의 면역력 등에 따라 임상증상의 정도가 결정된다.1 일

반 으로 성 감염 후 주로 무증상이거나 경미한 소

화기계 증상 는 간효소 수치의 상승이 동반될 수 있

으며, 다수의 간흡충에 의한 감염이 장기화 될 경우 담

석, 담낭염, 담 석, 황달, 담 암 등이 유발될 수 있

다.2 하지만, 간흡충이 총담 과 간내담도 막에 성

출 성 병변을 일으키는 경우는 매우 드물어 아직 보

고가 없다.

자들은 성 담 염이 동반된 액담즙증 환자에

서 수술 후 성충을 확인하여 진단된 간흡충증을 경험

하 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증 례

70세 남자가 일주일 부터 발생한 발열, 우상복부

동통 하루 부터 발생한 흑색변을 주소로 내원하

다. 환자의 직업은 농부 으며, 음주력은 없었고, 평

소 민물회를 즐겨 먹었던 기왕력이 있었다. 내원시 생

체 활력증후는 압 140/90 mmHg, 맥박은 88회/분, 호

흡수 16/분, 체온 36.4oC이었다. 신체 검사에서 우상복

부에 경미한 압통이 있었다. 말 액 검사에서 백 구

수 8,300/mm3 (호산구 7.2%), 색소 10.9 g/dL, 소

376,000/mm3이었고, 청 생화학 검사에서 AST 55 IU/

L, ALT 65 IU/L, ALP 971 IU/L, r-GTP 1707 IU/L, total

bilirubin 1.3 mg/dL, amylase 209 IU/L, lipase 327 IU/L,

CRP 5.5 mg/dL이었다. 변검사에서 충란은 찰되지

않았으나, 간흡충에 한 효소결합 면역흡착 검정은

0.632 (양성 정기 : 0.25)로 양성반응을 보 다.

복부 음 에서 담낭내 담즙 꺼기와 총담 간

내 담 의 확장이 있었으며, 복부 컴퓨터 단층 촬 에

서 총담 석으로 보이는 다수의 병변들과 담 염을 동

반한 담 의 확장이 있었다(Fig. 1). 상부 장 내시경

검사에서 식도 에 특이사항 없었으며, 십이지장내

Page 2: New 간흡충증에 의한 혈액담즙증 1 - e CE · 2011. 9. 28. · changes of the liver in albino rats infected with Clonorchis sinensis. Korean J Parasitol 1978;16:148-155

314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8;36:313-317

Figure 2. ERCP findings. (A) It shows some blood oozed out of the ampulla of Vater. (B) There are filling defects in common bile duct. (C) Endoscopic sphincterotmy and nasobiliary drainage were performed.

Figure 1. Abdominal ultrasonography finding. (A) There are some sludge materials in the gallbladder. (B) Abdominal CT finding. High attenuated materials are in common bile duct and peripheral intrahepatic bile ducts are dilated.

에 다량의 갈색의 담즙이 찰되었다. 내원 2일째 시

행한 내시경 역행성 췌담도 조 술에서 유두 개구부에

선홍색의 액응괴가 보 으며 총담 내에 결석에 의

한 것으로 보이는 충만 결손이 찰되어 내시경 유두

부 조임근 개술과 경비 담 배액술을 시행하 다

(Fig. 2). 이후 더 이상의 흑색변은 찰되지 않았고, 추

말 액 검사에서 색소의 하도 찰되지 않았

다. 내원 9일째 내시경 역행성 췌담도 조 술 추 검사

에서 총담 내에 충만결손은 변화가 없었으며, 바스켓

을 이용하여 총담 내의 괴를 제거하 으나, 자기공

명췌담 조 술에서 총담 의 확장과 함께 충만결손이

여 히 남아 있어 담도암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워

수술 치료를 하여 외과로 의뢰하 다(Fig. 3). 이후

환자는 개복하 담낭 제술을 시행받았으며 총담 내

에 다량의 괴와 3∼4 mm 크기의 갈색의 기생충양

물질이 발견되었고, 병리 검사에서 만성담낭염과 함께

간흡충의 성체가 발견되었다(Fig. 4). 이후 praziquantel

1,200 mg을 2일간 복용하 으며 수술 후 1개월 째 T-

tube를 이용한 담 조 술에서 더 이상의 총담 내 이

상소견은 찰되지 않았다(Fig. 5).

고 찰

간흡충은 1915년 Matsumoto가 우리나라에서 첫 인체

감염의 를 보고3한 이후 표본조사에서 국내 감염율

이 1971년 4.6%, 1976년 1.8%, 1981년 2.6%, 1986년

2.7%, 1992년 2.2%, 1997년 1.4%, 2004년 2.0%로 흔한

기생충 감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4

간흡충은 감염된 민물고기를 날로 먹을 때 감염된다.

인체에 감염된 간흡충은 십이지장에서 탈낭하며 총담

을 경유하여 간내담 으로 침입한다. 간흡충 감염에

의한 임상증상의 발 은 감염된 충체의 수, 감염의 빈

Page 3: New 간흡충증에 의한 혈액담즙증 1 - e CE · 2011. 9. 28. · changes of the liver in albino rats infected with Clonorchis sinensis. Korean J Parasitol 1978;16:148-155

윤경원 외: 간흡충증에 의한 액담즙증 1 315

Figure 3. ERCP findings. (A) Removal of filling defects in common bile duct is being tried by using a stone-basket. (B) Blood clots are being removed by a basket. (C) There is a filling defect in mid common bile duct on the MRCP.

도, 숙주의 면역력 등과 련이 있다. 일반 으로 감염

시 무증상인 경우가 많으나 때로 상복부 불편감, 식욕

하, 소화불량, 신무력감, 발열, 설사, 간종 말

액내 호산구 증가 등의 경미한 임상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1 다수의 간흡충에 의한 감염이 장기화 될 경

우 담석, 담낭염, 담 석, 황달이 나타날 수 있으며, 드

물게 담낭천공, 화농성 담 염, 성 췌장염, 간농양,

담 착 등의 증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2 충체에

의한 물리 자극과 사산물에 의한 화학 자극으로

감염된 담 의 막에 샘종 증식과 액분비 세포화생

Figure 4. Pathologic findings. (A) There are multiple small sized parasite-like materials with gross findings in the exposed common bile duct under open cholecystectomy. (B) Parasite-like materials were identified to Clonorchis sinensis microscopically (H&E stain, ×20). (C) Eggs of the parasite takes the shape of a ovoid watchglass with a prominent shoulder (H&E stain, ×400).

Page 4: New 간흡충증에 의한 혈액담즙증 1 - e CE · 2011. 9. 28. · changes of the liver in albino rats infected with Clonorchis sinensis. Korean J Parasitol 1978;16:148-155

316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8;36:313-317

Figure 5. Cholanigographic finding. One month after the opera-tion, there is no filling defect in common bile duct under T-tube cholangiography.

이 발생한다.5,6 감염이 장기화 되면 선종형 변화 외에

도 조직의 섬유화와 담 의 반 인 비후가 발생하며

담 암이 유발될 수 있다.7

간흡충증의 진단은 민물고기를 생식한 과거력이 있

는 경우, 간흡충 성체 항원을 이용한 피내 검사 는

효소결합 면역흡착 검정 등의 청학 검사가 진단에

도움이 되며, 변 는 십이지장액에서 충란을 확인하

거나 개복 하에 성충을 확인함으로써 확진할 수 있다.8

복부 음 검사에서 담낭에 부유하는 후방 음 이 없

는 반향물질과 함께 간내 담 의 확장이 보일 수 있

다.9 담 의 폐쇄 는 담 염을 동반한 간흡충증에서

내시경 역행성 췌담도 조 술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Okuda 등10에 의하면 담 조 술에서 수 mm

크기의 많은 원형의 충만결손, 말단부 에서 더 선명한

간내 담 의 확장, 간내 담 의 음 이 불투명화 등이

보인다고 한다.

1920년 부터 1970년 후반까지 간흡충증에 해

시도되었던 여러 가지의 약물치료들은 치료율은 낮은

반면 심한 부작용을 동반하 다. 1978년 간흡충증, 폐

흡충증, 요코가와흡충증에서 praziquantel의 효용성이

소개된 이래, praziquantel 25 mg/kg을 하루 3회(5∼6시

간 간격) 이틀간 복용하는 것이 재 우리나라 간흡충

증의 표 치료법으로 인정되고 있다.3

액담즙증은 상복부통증, 황달, 상부 장 출 을

주증상으로 하는 증 담 계 질환으로 경피 간생검,

경피 경간 담즙 배액술, 담 계 수술 등과 같은 의인성

외상에 의해 주로 발생하며, 이외에도 담석, 간동맥

류, 이형성, 동정맥루 등과 같은 질환, 간과 담

계의 종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11

드물게 회충, 포

충 등과 같은 담 계 기생충 감염에 의한 사례 보고12

가 있으나 본 증례와 같이 간흡충증에 의한 액담즙

증의 발생 보고는 없다.

액담즙증에 의한 담 계 출 의 양이 많을 경우

출 은 십이지장을 경유하여 토 는 흑색변을 유발

하지만 출 의 양이 을 경우 담 내에 액 응괴에

의한 담즙정체가 발생한다.13

정체된 담즙은 피 린을

억제시키고 상처 부 의 육아조직 형성을 방해하며 주

들과의 형성을 가속화시켜 출 을 악화시

킨다.14

따라서 정체된 담즙의 배액이 황달이 해소와

함께 지 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증례에서 복부 외상의 기왕력이 없었고, 개복 담

낭 제술 시행시 담석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복부 이미지 검사에서 기형 는 담 계 종양을

발견할 수 없었다. 따라서 감염된 다수의 간흡충 성체

에 의해 담 계의 폐쇄 성 담 염이 발생했으며,

이로 인한 담 의 막 손상에 의해 액담즙증이 발

생한 것으로 추정한다. 복부 산화 단층 촬 자기

공명 췌담 조 술에서 총담 석으로 오인되었던 물

질은 액담즙증에 의한 액 응괴로 생각하며, 내원

후 시행한 내시경 유두부 조임근 개술과 내시경 비

담 배액술을 통한 한 담즙 배액으로 더 이상의

성 담 계 출 은 없었다.

자들은 수술로서 확진된 간흡충증에 의한 성 담

염이 동반된 액담즙증 환자를 경험하 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우리나라는 아직 간흡충 감염의

유행지역으로 원인이 불분명한 액담즙증 발생시 간

흡충에 한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Clonorchiasis is a trematodasis caused by ingestion of a

raw fish that contains the infective cysts. In cases of early

infection, the patients complained non-specific gastroin-

testinal symptoms, including anorexia, epigastric pain or

diarrhea. In cases of long-standing infection, an associa-

tion with gallstones, choledocholithiasis, cholangitis and

cholangiocarcinoma has been reported. However, acute

hemorrhagic complications of clonorchiasis are extremely

rare. Herein, we report on a case of hemobilia that was

caused by Clonorchis sinensis, and this was confirmed by

Page 5: New 간흡충증에 의한 혈액담즙증 1 - e CE · 2011. 9. 28. · changes of the liver in albino rats infected with Clonorchis sinensis. Korean J Parasitol 1978;16:148-155

윤경원 외: 간흡충증에 의한 액담즙증 1 317

operation.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8;36:313-

317)

Key Words: Clonorchiasis, Hemobilia

참 고 문 헌

1. Wang KX, Zhang RB, Cui YB, Tian Y, Cai R, Li CP.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data of patients with clonorchiasis. World

J Gastroenterol 2004;10:446-448.

2. Osman M, Lausten SB, El-Sefi T, Boghdadi I, Rashed MY,

Jensen SL. Biliary parasites. Dig Surg 1998;15:287-296.

3. Rim HJ. The current pathobiology and chemotherapy of

clonorchiasis. Korean J Parasitol 1986;24(suppl):1S-141S.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evalence of intestinal parasitic infections in Korea,

The seventh report. Seoul, Korea, 2005.

5. Lee SH, Shim TS, Lee SM, Chi JG. Studies on pathological

changes of the liver in albino rats infected with Clonorchis

sinensis. Korean J Parasitol 1978;16:148-155.

6. Song GA, Kim JD, Lee DW, et al. Histopathological and

histochemical studies on the intrahepatic duct in rabbit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Clonorchis sinensis. Korean J Int

Med 1989;37:344-355.

7. Schwartz DA. Cholangiocarcinoma associated with liver fluke

infection: a preventable source of morbidity in Asian im-

migrants. Am J Gastroenterol 1986;81:76-79.

8. Rim HJ. Clonorchiasis in Korea. Korean J Parasitol 1990;

28(suppl):63S-78S.

9. Lim JH. Radiologic findings of clonorchiasis. AJR Am J

Roentgenol 1990;155:1001-1008.

10. Okuda K, Emura T, Morokuma K, Kojima S, Yokagawa M.

Clonorchiasis studied by percutaneous cholangiography and a

therapeutic trial of toluene-2, 4-diiso-thiocyanate. A case

report. Gastroenterology 1973;65:457-461.

11. Green MH, Duell RM, Johnson CD, Jamieson NV. Hae-

mobilia. Br J Surg 2001;88:773-786.

12. Corr P, Smit J, Hadley GL. An unusual cause of haemobilia;

biliary ascariasis. Pediatr Radiol 1997;27:348-349.

13. Sandblom P, Mirkovitch V. Minor hemobilia. Clinical sig-

nificance and pathophysiological background. Ann Surg 1979;

190:254-264.

14. Sandblom P, Mirkovitch V, Gardiol D. The healing of liver

wound. Ann Surg 1976;183:679-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