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21
이태영(李泰寧) - 1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13-1. 서 사람이 건강 관리를 할 때, 경시적(經時的)으로 행하는 신체검사를 통하여 영양 상태의 진단, 병 력, 내진 등의 임상 검사는 물론, 물리, 화학적 측정이나 검사를 통한 상세한 자료의 작성과 활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경판의 상태 파악과 보존을 위해서는 경판 한면 한면에 대한 성 질, 이변(이변)의 유무와 특기 사항을 기록, 보존하고, 세월의 경과에 따른 변색, 변형, 열화(劣化)등 그 상태와 성질 등의 변화 사항들을 계속적으로 기록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형태, 재질의 악화, 열화 등의 진행 사항들이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기적인 종합 진단과 그에 따른 기록물은 질병 유발을 예 하는 가장 중요한 참고 자료 중의 하나이다. 특히, 적절한 조기 진단으로 질병 초기에 효과적인 치료 대책을 강구할 수 있는 것과 같 이 문화재의 경시적 기록은 예 보존 과학적 (豫防保存科學的) 견지에서나 문화재의 손상 원인 규 명에 있어서는 물론 보존 처리에 있어서도 필수적 참고 자료가 되는 것이다. 현재는 총수 81,258 개의 경판, 162,516 면의 경판이 일괄하여 국보 32 호로 지정되어 있으나 경 판 개개의 고유 등본 또는 지문과 같은 호적의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것은 경판의 보존과 보안 상 필수적인 조치이며, 이것의 실시는 시기적으로 늦은 감이 없지 않다. 과거 일제 시대 1913 (대정 2 년)년 인경(印經) 에 선행한 공식 조사된 기록이 있다. 1) 그 과정에 서 경 1 권마다 1 매씩 총 20,415 매의 카드 목록을 작성한 일이 있었다. 그 당시 경명(經名), 권차 (卷次), 장차(張次) 및 일련번호(一連番號)를 기록하였다고 한다. 또한 근래 서수생(徐首生) 교수에 의해서 1974 년부터 1978 연까지 5 년에 걸쳐 경판 조사가 실 시되었다. 이 조사에서는 판가 번호, 천자문 번호에 관한 기록, 경명(經名), 권차(卷次), 일련번호(一 連番號), 판의 내용 표제(標題), 장수(張數), 판심유무(版心有無), 결판(缺板), 조조(雕造) 연월일, 비고 란으로 된 10 개의 경판에 관한 기록이 한 장에 수록되어 8,200 매 가까운 판별 목록이 작성되었다. 그리고 비고에는 균열(龜裂), 상감(象嵌) 낙자(落字)의 자수, 마손(磨損), 파손(破損), 곰팡이 발생, 충 해, 구멍, 부식, 괘선(罫線)의 유무 등 특기 사항이 기록되었다. 이 목록은 현황 파악을 위한 통계 자 료 추출 목적에서 작성된 기록 카드의 종류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2)

Upload: others

Post on 12-Mar-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1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13-1. 서 론

사람이 건강 관리를 할 때, 경시적(經時的)으로 행하는 신체검사를 통하여 영양 상태의 진단, 병

력, 내진 등의 임상 검사는 물론, 물리, 화학적 측정이나 검사를 통한 상세한 자료의 작성과 활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경판의 상태 파악과 보존을 위해서는 경판 한면 한면에 대한 성

질, 이변(이변)의 유무와 특기 사항을 기록, 보존하고, 세월의 경과에 따른 변색, 변형, 열화(劣化)등

그 상태와 성질 등의 변화 사항들을 계속적으로 기록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형태, 재질의

악화, 열화 등의 진행 사항들이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기적인 종합 진단과 그에 따른 기록물은 질병 유발을 예방하는 가장 중요한 참고 자료 중의

하나이다. 특히, 적절한 조기 진단으로 질병 초기에 효과적인 치료 대책을 강구할 수 있는 것과 같

이 문화재의 경시적 기록은 예방 보존 과학적 (豫防保存科學的) 견지에서나 문화재의 손상 원인 규

명에 있어서는 물론 보존 처리에 있어서도 필수적 참고 자료가 되는 것이다.

현재는 총수 81,258 개의 경판, 162,516 면의 경판이 일괄하여 국보 32 호로 지정되어 있으나 경

판 개개의 고유 등본 또는 지문과 같은 호적의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것은 경판의 보존과 보안

상 필수적인 조치이며, 이것의 실시는 시기적으로 늦은 감이 없지 않다.

과거 일제 시대 1913 (대정 2년)년 인경(印經) 에 선행한 공식 조사된 기록이 있다.1) 그 과정에

서 경 1 권마다 1 매씩 총 20,415 매의 카드 목록을 작성한 일이 있었다. 그 당시 경명(經名), 권차

(卷次), 장차(張次) 및 일련번호(一連番號)를 기록하였다고 한다.

또한 근래 서수생(徐首生) 교수에 의해서 1974 년부터 1978 연까지 5 년에 걸쳐 경판 조사가 실

시되었다. 이 조사에서는 판가 번호, 천자문 번호에 관한 기록, 경명(經名), 권차(卷次), 일련번호(一

連番號), 판의 내용 표제(標題), 장수(張數), 판심유무(版心有無), 결판(缺板), 조조(雕造) 연월일, 비고

란으로 된 10 개의 경판에 관한 기록이 한 장에 수록되어 8,200 매 가까운 판별 목록이 작성되었다.

그리고 비고에는 균열(龜裂), 상감(象嵌) 낙자(落字)의 자수, 마손(磨損), 파손(破損), 곰팡이 발생, 충

해, 구멍, 부식, 괘선(罫線)의 유무 등 특기 사항이 기록되었다. 이 목록은 현황 파악을 위한 통계 자

료 추출 목적에서 작성된 기록 카드의 종류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2)

Page 2: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2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권 단위로 카드를 작성할 경우에는 2 만 여장, 판 단위로 하면 8 만 사천 여 장, 장 단위로 하면

거의 17 만장에 육박하는 양이 필요하다. 이러한 종류의 목록은 수량의 방대함이 문제가 될 뿐 아니

라 분류나 활용에 있어서도 상당한 제약이 뒤따른다. 이런 점에서 데이터 베이스의 구축과 활용이

요망된다.

컴퓨터를 통한 데이터 베이스는 인사, 물품 등 관리의 합리화, 능률화에 획기적 수단이 되고 있

음은 주지의 사실이며 그 편의성과 필요성은 이제 상식에 속하게 되었다.

당초 5개년 계획의 후반에 실시 예정이던 본격적인 경판의 현황 조사를 토대로 하여 그 내용을

입력할 예정이던 “ 데이터 베이스” 의 구축은 1994 년도로 연구의 중단이 불가피하게 됨에 따라 본

격적인 착수가 불가능하였다. 다만 이 연구의 중요성에 비추어 앞으로 있어야 될 본격적인 경판 조

사에 대비하기 위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필드 항목을 검토 선정하고 구조의 구축을 시도하였다. 그리

하여 본 연구에서 추가한 것은 불완전한 것이긴 하지만 경판의 표본 시료(試料)에 대하여 실시한

현황 조사 내용에 한해서 소규모인 대장경판(大藏經板) 데이터 베이스 의 구축을 하였다.

시일 등 제한 여건으로 인해서 입력해야 될 항목이 충분하게 조사되지 못한 관계로 설정한 34

필드에 관한 약 830 개의 레코드의 내용을 만족스럽게 모다 입력하지는 못하였다.

이것의 효능과 활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데이터 베이스 구조와 필드 내용, 입력 내용, 방법 등 수

차례의 개량을 거듭하여 해인사(海印寺) 고려대장경판(高麗大藏經板)의 성질과 현황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였다.

13-2. 방 법

사용한 기본 프로그램은 윈도우용 폭스 프로(Foxpro) 2 b이며, Excel 6.0 등 스플레드 쉬트 프로

그램 등도 활용하였다. 필드의 설정은 결과와 고찰에서 다루기로 한다.

경명(經名), 번역자(飜譯者) 등의 입력을 위하여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영인본(影印本), 각종 목

록 등을 참고로 하였음을 밝혀 둔다.3)

Page 3: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3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13-3. 결과 및 고찰

13-3-1. 경판의 소속과 고유 번호 설정

13-3-1-1. 함분류 (函分類)

대장경판(大藏經板)은 북송판(北宋版), 초조 대장경(初雕大藏經)의 전통을 따라서 천자문(千字文)

순으로 된 함으로 분류되어 첫 번째 천(天)함에서 시작하여 653 번째의 무(務)함에 이르고 있다.4)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과 같이 600 권의 방대한 권수를 가진 경이 적지 않으며 이

러한 큰 경의 경우는 원칙적으로 10 권을 한 함으로 분류하고 있다. 따라서 대반야바라밀다경은 60

개의 함 즉 천(天)함에서 나(奈)함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러나 권수가 작은 경을 여러 개 포함한 함

의 경우에는 이 원칙이 적용되고 있지 않다.

이 함 분류는 함의 순서를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색인 검색 등 조작에 불편하다. 그리하

여 편의상 천자문(千字文)순에 따르는 번호수를 함앞에 부여하여 001 천함, 002 지함,....653 무함과

같은 식으로 병기하도록 하였다.

13-3-1-2. 경순(經順)과 경의 대표 코드

대장경 목록의 순서에 따라서 경의 번호로 경명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0001 은 대반야

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0969 는 배(背)함 사리불 아비담론(舍利佛阿毘曇論), 1075 는 좌(左)

함 속고승전(續高僧傳), 1390 은 551 부(扶)함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根本設一切有部毗奈耶破

僧事)를 지칭한다.

위의 예들은 동국대 발간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영인본(影印本)에서 사용한 경순 표시 즉, K.1,

K.969, K.1075, K.1390 의 숫자와 동일하다. 다만, 검색의 편의상 네 자리 숫자로 표시한 것이다.

13-3-1-3. 마구리 표제 (標題)

대장경 판가상에 배열된 경판은 마구리 각목에 음각된 글자에 의해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경판에는 원칙적으로 함명(函名), 경명(經名), 권차(卷次), 장차(丈次)가 음각(陰刻)되어 있다. 그러

나 경명을 약해서 표기하는 경우가 있고, 경판에 따라서는 아예 경명을 생략해 버리고 함명만 각인

(刻印)한 경우도 적지 않다. 예을 들면, 천함 제 1권 제 13 장 대반야바라밀다경을 “ 천대반야경(天大

般若經)제 1권 13장”으로, 현(玄)함 제 27권 제 23장을 “ 현(玄)제 7권 23장”으로 기재하거나 광(光)

함 제 555 권 제 25, 26 장을 “ 광(光)제 5권 25,26 장” 등으로 표시한 것이다.

위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권차(卷次)도 십 단위, 또는 백 단위를 생략해서 37 권을 7 권, 534

권을 4 권으로 약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럼으로 마구리 표시 장명과 같이 정확한 경명과의 관계를

Page 4: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4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권차, 장차의 기록은 편의상 한자 대신에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했고, 장

(張), 장(丈)은 대부분 생략하였다.

13-3-1-4. 판가 위치 (板架位置)

현재 사용하는 판가 번호는 어느 시기부터 사용해 온 것인지 명확하지는 않으나, 경판 조사시 잠

정적으로 표시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다라장(修多羅藏)이 중앙 통로에 의해 양분됨에 따라, 그 통

로에 접한 X8Y3 판가 (S105 호) 우측에 위치한 무번호(無番號) 판가와 X9Y3 위치 104 호 판가 좌

측에 있는 무번호의 판가는 다 같이 밀봉(密封) 상태가 되어 버렸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보아, 판가

의 번호부여(番號賦與)는 관람객을 위해서 수다라장(修多羅藏)에 있는 중앙 통로를 만든 시기 이후

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백묵 표시의 것 등 수종류(數種類)의 것이 판가에 혼란스럽게 표기

되어 있다. 그리고 번호의 배열 순서가 합리적이지 못한 부분이 있고, 또 1972 년에 증설한 신판가

는 별도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첩되는 동일한 번호 판가가 공존하고 있는 점 등, 혼란의 여지가

많아 합리적인 것으로 새로 제정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신판가(新板架)의 경우, 번호가 중첩되는 판가에는 25*와 같이 표시하였다.

13-3-1-5. 경판의 배열 위치 (配列位置)

경판이 놓인 위치의 신속하고 정확한 파악은 경판 보존 관리상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다. 이것을

위하여 경판 배열 위치를 다음과 같이 표시하기로 하였다. 법보전(法寶殿)은 P, 수다라장(修多羅藏)

은 S 의 차두음(次頭音)으로 표시하였고, 그 다음에는 3 자리 수의 판가 번호와 이어서 단의 위치를

표시하였다. 예을 들면, P0015 은 법보전(法寶殿) 판가 제 1의 제 5 단을, S1053 은 수다라장(修多羅

藏) 제 105 번 판가 3 단에 위치함을 나타내도록 한 것이다. 단의 위치는 아래로부터 위로 향해 번호

를 부여하였다. 앞으로 각 경판이 모두 정확한 위치로 재배열이 될 때는 층의 차수, 즉 1 에서 10 층

을 표시하고, 층 표시 숫자 다음에는 2 자리 수의 배열 순서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부여하여 경판이

놓여질 지정된 정확한 위치를 일목 요연하게 표시하도록 한다.

13-3-1-6. 경판의 좌표(座標) 표시

본 연구에서는 모든 공간내의 위치를 좌표계를 사용하여 XYZ좌표로서 표시하였다(제2장 참조).

이 좌표계에서는 법보전(法寶殿) 수다라장(修多羅藏) 중앙 전후열의 판가를 구별하기 위하여 전

열은 각각 Y8,Y2, 후열은 *를 붙여 각각 Y8*,Y2*와 같이 표기하였다.

13-3-1-7. 경판의 고유 번호 (固有番號)

Page 5: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5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경순 다음에 권의 수와 장의 수의 번호를 일렬로 나열함으로써 각 경판에 9 자리수의 고유 번호

를 부여하여 국보 32 호 경판 한장, 한장의 호적 또는 등록표시로 삼았다.

예) 경순(經順) 권(卷) 장張(장丈)의 순서

0001 001 01

한 경판은 전후면 두 장으로 구성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하나의 경판에 두 개의 고유 번호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편의상, 선행하는 장의 번호를 그 경판의 고유 번호로 삼았다. 예를 들면, 경

순 1 번이며 천(天)함 대반야바라밀다경 제 2 권 제 1, 2 장에 해당하는 경판의 고유 번호는

000100201, 경순 396 이며 불설화수경(佛說華手經) 신(信)함 제 5권 제 25, 26 장은 039600525, 경

순 890, 종(從)함에 있는 십송률(十誦律) 제 25 권 제 10, 11 장은 089002510 이 된다.

13-3-1-8. 경판의 일련 번호 (一連番號)

경판(經板) 전부에 대한 정보 입력이 완료 되었을 때, 경순(經順), 권(卷), 장張(장丈)의 순서로 된

고유 번호(固有番號), 함순(函順), 경순(經順), 권(卷), 장순 또는 경판 배열 순서에 따르는 각종의 일

련 번호는 나열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된다.

13-3-2. 경판 및 마구리의 치수

13-3-2-1. 경판의 모양과 치수

경판은 각자한 경판목(經板木) 몸체 양끝에 마련한 돌기 부분을 마구리에 있는 홈에 삽입하고,

나무못 2 개씩으로 고정한 후 제조 공정을 거쳐 완성시킨 제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폭, 길이 의

각 치수는 예상외로 균일하였다. 즉 규격의 정밀성(精密性)이 대단히 높은 편이라 할 수 있다.

고려 시대 당시에 사용된 척도의 정밀성이나 제조 과정에서의 공법(工法)의 정확성을 기한 정성

과 노력 앞에서는 옷깃을 여미지 않을 수 없다. 이는 또한 고려 시대의 도량형(度量衡) 제도의 발달

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3-3-2-2. 마구리의 치수

마구리의 폭, 길이, 두께의 치수에 있어서도 경판의 치수와 같이 조조(雕造) 당시의 것으로 보이

는 것은 비교적 균일성을 잘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부후(腐朽)나 탈락(脫落) 등에 의해서 수선(修

繕)한 것으로 보이는 마구리에 있어서는 폭, 길이, 두께의 치수의 차가 제법 큰 것이 있었다. 따라서

이들의 치수는 조조(雕造) 당시의 규격에 대한 정보와 수선 여부와 수선 공사의 규모 등에 대한 정

보를 얻을 수 있는 항목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마구리 폭의 균일성은 중요한 자료인데, 이는 한

판가에 꽂힐 수 있는 경판 수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마주 올려놓을 윗단 경판의 규격과 일치할 것

Page 6: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6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구리의 턱은 인접한 전후 경판 마구리의 턱과 더불어 경판과 경판

사이에 놓인 틈새의 넓이를 결정한다. 이 틈새의 크기는 굴뚝의 효과의 능률을 결정하며 대기의 통

풍 유속(流速)과 대기와 경판 표면에서의 수증기(水蒸氣)의 흡수와 증발, 즉, 수분의 탈착 속도(脫着

速度)에 큰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13-3-3. 마구리의 금속 장식과 못

마구리에 장식한 금속과 못도 조조(雕造) 당시의 규격, 수선 사실 여부, 수선 공사의 규모 데이터

베이스의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금속 장식의 재질 순도와 모양(제 8 장 참조), 못의 재질과 모

양, 개수, 탈락 여부 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13-3-4. 중량

경판의 중량은 경판과 마구리의 크기, 금속 장식, 못의 중량과 수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 중에

서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경판의 각자판(刻字板) 부분이며, 마구리에 사용한 목재의 중량이

그 다음으로 영향을 미친다. 목재의 중량은 그 체적과 수종(樹種)에 의해서 결정되며 수분 함량, 즉,

함수량(含水量)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함수량은 환경이 건조하고, 습한 가에 따라서 변하며, 중량의

2~3%의 범위까지도 증감한다. 그리고, 목재를 구성하고 있는 고분자 물질의 생물 번식에 의한 분

해나 결손이 있을 때도 감량 변화는 물론이며, 이런 경우, 함수량의 변화도 발생하고, 건습에 따르는

증감의 폭도 커진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경판 중량의 파악과 그 변화량에 대한 정보는 경판의 보존상 여러 의미에서

중요한 뜻을 가진다.

13-3-5. 마모자(磨耗字)와 상감 자수(象嵌 字數)

마모(磨耗) 또는 마멸(磨滅)된 글자가 경판에 따라서 상당수 존재하며 보존상 이 문제에 대한 대

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마모, 마멸된 부분의 글자의 수 파악이 요구된다.

각인시(刻印時) 잘못된 부분에 대해 목활자(木活字)를 새긴 후, 상감을 한 것, 또는 마멸된 글자

를 대신하여 목활자에 상감을 한 것 등의 유무와 그 수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13-3-6. 전(緣)의 모양과 마구리 표제(標題)의 도색(塗色)

Page 7: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7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경판 폭, 가장자리의 모양에는 둥근 것과 몇 가지 형태의 모가 난 것 등이 있다. 이는 제조 규격

의 일부로 원 목판의 제조 시일과 장소, 주관자 등에 대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다(제 2 장 참조).

마구리 표제를 음각한 곳에 백, 청, 적, 황색 등이 칠해져 있다. 이 색 분류에 대한 내용도 역시

경판의 역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것이다.

13-3-7. 녹의 색

금속 장식에 녹슬어 있는 동, 또는 동합금(銅合金)의 색은 녹의 조성(組成)을 반영하는 것으로,

녹의 성분에 따라 독특한 색을 띠고 있다. 즉, 적색의 아산화동(亞酸化銅), 흑색의 이산화동(二酸化

銅), 청색의 황산동(黃酸銅)과 질산동(窒酸銅), 또는 녹색의 염기성 탄산동(鹽基性炭酸銅) (제 8 장

참조)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나 청색과 녹색을 갖는 동(銅), 또는 동합금(銅合金)의 녹에는 그 이

외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그에 대한 식별은 육안으로는 불가능하다. 녹은 단일 종류의 것만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종류가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며, 각각 다른 종류의 것이 층

구조로 누적(累積)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구조에 대한 해명으로 시대적으로 대기 중의 오염 물질의

변천을 알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경판 장식에 슬은 녹 중에는 염소 이온, 나트륨 이온 등이 포함된

청록색 녹이 검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녹은 인경(印經) 을 한 후, 염수(鹽水)로 세척한 후,

소금분의 제거가 불충분하여 소금 성분인 염화나트륨이 잔존해 있음을 입증하고 있는 것이다.

13-3-8. 생물에 의한 손상

곰팡이 등 미생물의 번식, 또는 곤충에 의한 피해 여부를 기록하고, 이들 피해의 정도는 비고 메

모 항(項)에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화상 자료도 마련할 계획이다. 그리고, 충해 진행 여부의 관찰에

역점을 두어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경우는 경판 조사시 응급 처치를 실시하고, 그 내용도 구체적으로

메모 항에 기술한다.

13-3-9. 경판의 변형 (變形)

경판의 형태 변형은 폭, 길이의 굽음과 뒤틀림의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변형의 정

도는 편의상 심, 중, 경의 3 등급으로 분류하고, 각각 변형의 변위 수치로 대응시켰다. 그리고 변형의

방향에 따라서 U(upon), D(down), R(Rectus : right), S(Sinister : Left)로 명기 하였다.

즉, 경판의 앞장을 위로 향하게 놓았을 때, 경판 중심이 볼록하게 올라올 경우 (凸) U, 경판 중심

이 오목하게 굽었을 경우(凹) D 로 표시하였다. 또, 뒤틀림이 있는 경우, 경판의 앞장을 좌향이 되게

Page 8: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8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수직으로 세워 놓았을 때, 시계 바늘 회전 방향, 즉 우회전 방향으로 뒤틀린 것은 R, 그 반대 방향

으로 뒤틀린 것은 S 로 각각 명기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유리 평반(平盤)위에 엎어 놓았을 때, 제일 심한 완곡 부위와 유리 평반 사이와의 간극을

mm로 비고란에 별도로 기재하였다.

13-3-10. 균열

경판의 균열에서는 그 유무와 개수를 표기하고, 균열의 정도와 깊이 등에 관한 상세한 내용을 비

고란에 별도로 기재하였다.

13-3-11. 금속 장식의 모양

금속 장식의 모양과 규격은 제 2 장에 기술한 바와 같이 9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각 유

형에 따라 사용한 못의 개수가 결정되며, 경판의 제조, 마구리 손질 등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13-3-12.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과 구조

이상의 다양한 항목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34 개의 필드를 설정하고 표 13-1 에서 보는 바와 같

이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를 결정하였다.

13-3-13. 데이터 베이스의 활용과 색인

본 데이터 베이스는 경판의 보존 관리상 경시적(經時的)으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기록 자료이

다. 이는 보존을 위한 수리가 필요할 경우, 손질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자료를 제시하여 줄 수 있

을 뿐만 아니라 보존 과학적 측면에서 필요한 여러 가지 통계는 물론, 서지학적 목적으로도 유용하

게 쓰일 수 있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경판의 여러 성질에 따르는 각종 색인의 작성과 검

색에도 활용할 수 있다. 몇 가지 간단한 활용의 예(例)를 제시하면,

1. 함순서에 따른 경판의 분류와 나열 (SORTING) : 입력된 데이터를 함, 권, 장 순서 등으로 규

칙적으로 나열할 수 있다 ( 표 13-2 참조 ).

2. 경판 조사의 시점별 분류와 나열 (SORTING) : 경판 훼손의 정확한 시기 파악과 진행 여부의

판단에 필수적이다.

Page 9: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9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3. 경판의 여러 가지 성질에 따르는 색인 작성 : 경판 치수의 장, 단순, 중량의 대소순 등으로 나

열, 분류함으로써 제조 시점, 제조 장소, 수종 등 추정에 활용 )

표 13-1. 고려대장경판(高麗大藏經板) 보존 관리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 필드 번호 필 드 명 형 태 바이트수 자 리 수

1 函 ( HAM ) C 8

2 卷 ( VoLUME ) C 6

3 張順 ( BL℃K - No) C 8

4 位置 ( L℃ATIoN ) C 10

5 經順 ( TEXT No ) C 6

6 標記名 ( TITLE ) C 36

7 經名 ( SUTRA ) C 30

8 樹種 ( WooD ) C 8

9 幅 ( WIDTH ) N 4 1

10 長 ( LENGTH ) N 4 1

11 厚 ( THICK ) N 4 2

12 마구리 長 ( FRLENG ) N 4 1

13 마구리 幅 ( FRWID ) N 4 1

14 마구리 厚 ( FRTHIC ) N 4 2

15 重量 ( WEIGHT ) N 6

16 象嵌 ( INLAY ) N 2

17 體積 ( W * L* T ) N 6

18 脫字 ( DAM CH ) N 6

19 龜裂 ( CRACK) C 1

20 變形 (긴쪽) ( DEFL) C 1

21 變形 (폭족) ( DEFW ) C 1

22 뒤틀림 ( TWIST ) C 1

23 生物被害 ( BIoDET ) L 1

24 金屬形態 ( MTYPE ) C 2

25 金屬 ( METAL ) C 4

26 못數 ( NAILS ) N 2

27 못脫落數 ( NAILDEF ) N 1

28 漆 ( LACQ ) C 4

29 녹 ( CoRRo ) C 4

30 譯者 ( TRANS ) C 12

31 製造年 ( PRPDA ) C 8

32 調査時期 ( DATE ) D 6

33 固有 番號( CoRD ) C 10

34 備考 ( REMARKS ) M 10

總 計 220

C : Character, N : Numerical, L: Logical, Memo는 별도 파일에 저장됨. )

Page 10: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10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표 13-2. 함,권, 장 순서에 따른 경판의 색인

Page 11: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11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Page 12: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12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Page 13: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13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Page 14: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14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Page 15: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15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Page 16: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16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Page 17: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17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Page 18: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18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표 13-3. 중량 대소에 따른 경판의 색인

Page 19: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19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표 13-4. 경판 길이 대소순에 따른 검색

Page 20: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20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Page 21: 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제 13 장 경판의 보존 관리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입력 이태영(李泰寧)

이태영(李泰寧) - 21 - 李泰寧편 高麗大藏經板 보존을 위한 기초 학술 연구

□ 참 고 문 헌 □

1) 촌산용길(村山龍佶), 민병석(閔丙奭), 해인사 대장경판 조사보고서,

대한제국 궁내부(융희 4연 4월) 1910 pp.203

소전간치랑(小田幹治郞), 고려대장경 인쇄 전말(顚末)보고서

2) 서수생(徐首生), 가야산 해인사팔만대장경연구 인문사회과학 12 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 1968

3) 고려대장경목록, 고려대장경(영인본)제 38, 동국대학교역경원 1976

양백의,간개연독대장경적공구서 - 법보총목록여대장경색인지공용 - pp. 1 - 6

대정신수대장경색인제 1책-31책

Lancaster, L., The korean Buddhist Canon : A descriptive Catalogue,Univ.

of California Press, 1979

4) 고려대장경목록, 고려대장경(영인본)제 38, 동국대학교역경원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