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16
지역산업연구Ⅰ제37권 제4호 Ⅰpp. 199 214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6)7) 임화순 (Lim, Hwa Soon) ** 남윤섭 (Nam, Yoon Seob) *** 국문요약 본 연구는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주도 패키지 여행상품에 대한 자료를 취득 및 분석하여, 중 국인 관광객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제주특별자치도내 지역간 연계정도를 분석하고자 한 연구이 다. 전체 관광객 중 패키지 여행상품을 이용하는 관광객의 수가 많은 비율을 차지할 경우 패키지 상 품을 분석하여 관광객의 이동경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패키지 관광객은 다양한 관광지를 방문한 다는 이동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패키지 상품은 공간적 이동성향과 지역간 연계성을 분석하기에 적 합하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GI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 간에 대한 네트워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중국인 관광객 패키지 상품 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관광지는 성산일출봉으로 나 타났으며, 성산일출봉 - 용두암 - 신비의 도로의 사이 중심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 적인 이동경로는 제주시 동지역 - 서귀포시 동지역 - 표선면 - 성산읍을 연결하는 동남방향의 삼 각형 형태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지방도 1139번 도로와 지방도 1136번 도로 의 배치와 공간적으로 유사한 형태이다. 이것은 제주의 경우처럼 다양한 관광지들이 지역 전체에 산재해 있고, 관광지간 이동할 수 있는 도로여건이 좋을 경우, 패키지 여행상품은 주요이동 동선을 따라서 구성이 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주제어여행상품, 제주특별자치도 관광지, 네트워크 분석, GIS . 관광은 일상영역을 떠나면서 발생하는 행위이며, 여러 전문가들의 정의에서도 공통적 으로 관광은 공간적 이동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관광이라는 서비스가 생산비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인간의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박석희, 2007). 특히 관광이 수반된 지역개발은 물리적공간적 실체로서의 지역을 개발하는 것이므로 지 역개발은 물리적 개발(physical development), 자원개발(resource devleop- ment), 공간개발의 특 성을 지니기 때문에(고계성, 2012) 공간에 대한 이해는 더욱 중요하다. * 이 논문은 2014학년도 제주대학교 학술진흥연구비 지원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2014 scientific promotion program funded by Jeju National University) ** 주저자, 제주대학교 관광개발학과 교수([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제주대학교 관광개발학과 강사([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08-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패키지 여행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에 의해 진행되는 대량관광의 일종으로

지역산업연구Ⅰ제37권 제4호 Ⅰpp. 199~214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5 )

6)7)임화순(Lim, Hwa Soon)**․남윤섭(Nam, Yoon Seob)***

국문요약

본 연구는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주도 패키지 여행상품에 대한 자료를 취득 및 분석하여, 중

국인 관광객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제주특별자치도내 지역간 연계정도를 분석하고자 한 연구이

다. 전체 관광객 중 패키지 여행상품을 이용하는 관광객의 수가 많은 비율을 차지할 경우 패키지 상

품을 분석하여 관광객의 이동경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패키지 관광객은 다양한 관광지를 방문한

다는 이동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패키지 상품은 공간적 이동성향과 지역간 연계성을 분석하기에 적

합하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GI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

간에 대한 네트워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중국인 관광객 패키지 상품 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관광지는 성산일출봉으로 나

타났으며, 성산일출봉 - 용두암 - 신비의 도로의 사이 중심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

적인 이동경로는 제주시 동지역 - 서귀포시 동지역 - 표선면 - 성산읍을 연결하는 동남방향의 삼

각형 형태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지방도 1139번 도로와 지방도 1136번 도로

의 배치와 공간적으로 유사한 형태이다.

이것은 제주의 경우처럼 다양한 관광지들이 지역 전체에 산재해 있고, 관광지간 이동할 수 있는

도로여건이 좋을 경우, 패키지 여행상품은 주요이동 동선을 따라서 구성이 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주제어│ 여행상품, 제주특별자치도 관광지, 네트워크 분석, GIS

Ⅰ. 서 론

관광은 일상영역을 떠나면서 발생하는 행위이며, 여러 전문가들의 정의에서도 공통적

으로 ‘관광은 공간적 이동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관광이라는 서비스가 생산․소비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인간의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박석희, 2007).

특히 관광이 수반된 지역개발은 물리적‧공간적 실체로서의 지역을 개발하는 것이므로 지

역개발은 물리적 개발(physical development), 자원개발(resource devleop- ment), 공간개발의 특

성을 지니기 때문에(고계성, 2012) 공간에 대한 이해는 더욱 중요하다.

* 이 논문은 2014학년도 제주대학교 학술진흥연구비 지원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2014 scientific promotion program funded by Jeju National University)

** 주저자, 제주대학교 관광개발학과 교수([email protected])*** 교신저자, 제주대학교 관광개발학과 강사([email protected])

Page 2: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패키지 여행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에 의해 진행되는 대량관광의 일종으로

200 지역산업연구|제37권 제4호|2014.11

따라서 관광을 연구함에 있어 공간에 대한 심도깊은 논의가 이루어져야 함은 주지의 사

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광행위와 공간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서

중국인 관광객의 이동경로 네트워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중국 시장이 가지고 있는 성장

잠재력에 대해서는 많은 기업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이인구 외, 2012), 이는 관광산업

도 예외는 아니다.

연구의 대상지인 제주특별자치도는 1960년대부터 국가주도형 관광개발이 진행되어 국

내의 관광목적지 중 가장 선호하는 지역으로 성장하였다. 이러한 성장에는 내국인 단체관

광객의 역할이 매우 컸으나 현재는 외국인 관광객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인 관광객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제주지역을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

객의 관광행태를 살펴보면, 모든 일정 여행사(패키지)가 84.3%, 항공, 숙박 여행사(에어텔)

가 7.0%, 모든 일정 직접(개별여행)이 8.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패키지 여행이 압도

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제주특별자치도, 2011).

패키지 여행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에 의해 진행되는 대량관광의 일종으로 상품에 따라

이동 경로나 관광지 방문에 대한 차이가 있다. 온라인을 통해 목적지와 교통/숙박 정보를

많이 탐색하는 여행객일수록 포털사이트의 여행채널과 여행사 사이트 등의 마케터에 의

한 관광지 선택이 달라지긴 하지만(이웅규·구정대, 2014), 패키지 여행상품을 이용하는 관

광객의 수가 절대적으로 많은 중국인 관광객의 경우 여행상품을 조사할 경우 중국인 관광

객의 대략적인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패키지 여행상품의 공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지역간 연계성과 관광지간 연계성

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적 연계성에 대한 연구는 지역의 발전 및

활성화에 대한 정책을 시행함에 앞서 지역연구의 기초가 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현재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여행상품에 대한 실제

자료를 취득하여 분석을 실시한다. 둘째 여행상품에 포함되어 있는 관광지중 중심성이 높

은 관광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중국인 관광객의 이동 경로상 중심지역을 확인한다. 셋

째, 중국인 관광객의 공간적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제주특별자치도내 지역간 여행상품의

연계 정도를 분석한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인

관광객의 제주특별자치도 여행상품을 분석하여, 상품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여행상품

을 분석할 경우 제주방문 중국인 관광객의 주요동선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관광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중심성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중국인 관광객 지역적 방문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국

Page 3: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패키지 여행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에 의해 진행되는 대량관광의 일종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임화순․남윤섭 201

인 대상 여행상품의 다양성을 높이고, 지역내 관광활성화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

을 것으로 예상된다.

Ⅱ. 이론적 배경

1. 네트워크 이론

네트워크 분석의 목적을 간단히 설명하면, 구조나 연결망 형태의 특징을 도출하고, 관계

성으로 체계의 특성을 설명하거나 체계를 구성하는 단위의 행위를 설명하는 것이다. 연구

질문과 연구 대상에 따라 분석 대상이 되는 연결망이 달라지는 것은 모든 연구의 공통된

특징이지만, 네트워크분석은 연구 설계를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동일한 자료도 다른 분석

수준에서 다룰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닌다(김용학, 2011).

네트워크 분석은 사회학의 전통을 따라 사회관계망에서의 위치를 측정하고 위치의 효

과를 양화하는 기법들을 다양하게 고안하였다. 연결망 분석에서 이러한 접근법을 위치적

접근(positional approach)이라고 한다. 전체 관계망에서의 위치와 그 효과를 측정하는 위치적

접근과 달리, 관계적 접근(relational approach)은 네트워크의 직접적인 관계에 초점을 둔다.

관계적 접근은 직접적인 상호 작용을 중시하는 반면 위치적 접근은 행위자가 갖는 관계의

전반적인 유형에 초점을 둔다. 결점 사이의 거리를 2차 평면에 표현하고, 그들 사이의 관계

를 선으로 표현하면 연결망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시각적 구조는 연구자에게 다

양한 이론적 영감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연구 가설을 제공함으로써 심층 연구의

안내 역할을 한다(김용학, 2011).

(1) 연결정도 중심성

연결된 결점수를 의미하는 연결정도(degree)는 국지적인 지역 중심성(local centrality)을 측

정하는 좋은 지표이다. 방향이 있는 그래프에서 그 결점으로 오는 방향의 연결들에 대해서

는 내향중심성(indegree centrality)이라고 부르며, 그 점에서 밖으로 나가는 방향의 연결들에

대해서는 외향중심성(outdegree centrality)이라고 부른다. 밀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의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에서 최대 연결선 수에 대한 퍼센트로 표현되는 지역중심성은

크기가 다른 연결망들 간에는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연결망의 크기가

클수록 그 연결망에 속한 점들의 중심성이 낮아지는 통계적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중심성은 같은 크기를 가진 연결망들 사이에서 비교하는 것이 적절하다.

Page 4: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패키지 여행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에 의해 진행되는 대량관광의 일종으로

202 지역산업연구|제37권 제4호|2014.11

비대칭인 경우, 외향 연결정도

는 행위자 i로부터 다른 모

든 행위자들 j 에게 가는 관계의 수이다(여기에서 는 k 연결망에서 i행위자로 부터 j 행위

자로 향하는 관계의 수를 의미한다). 또 내향 연결정도

는 k 연

망에서 행위자 j 가 다른 모든 행위자들 I 로부터 받는 관계의 수이다. 연결정도 중심성은

전체 연결수에서 각 행위자의 내향 연결정도와 외향연결 정도의 비율로 측정된다.

연결정도 중심성

단 ≤ ≤

(2) 인접 중심성

한 점의 전체 중심성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지표는 ‘인접중심성’으로서 다른 점들과의 인

접성(closeness) 혹은 거리(distances)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두 점들 간의 거리는 두 점들을

연결하는 최단거리, 즉 경로거리를 말한다. 경로 거리의 합이 가장 작은 결점이 전체 중심

성이 가장 높은, 네트워크 전체의 중심을 차지하는 점이다. 지역 중심성과 마찬가지로 전

체 중심성은 방향성이 있는 그래프에서는 방향에 따라 내향 인접성(in-closeness)과 외향 인

접성(out-closeness)으로 구분하여 측정된다.

(3) 사이 중심성

프리만(Freeman, 1979)은 한 결점의 중심성을 측정하는 제3의 방법으로 사이중심성

(betweenness centrality)을 제안한다. 이 개념은 한 결점이 연결망 내의 다른 점들 ‘사이에’위

치하는 정도를 측정한다. 한 결점이 다른 결점들 사이의 최단거리를 연결하는 선, 즉 최단

경로(geodesic)위에 위치하면 할수록 그 결점의 사이 중심성은 높아진다. 즉, 사이 중심성은

다른 결점들 사이에서 브로커 역할을 하는 정도를 측정하다.

표준화된 사이 중심성 ′

단 ≠

연결망 내에서 한 쌍을 연결시키는 가장 짧은 경로인 최단 경로는 대체로 여러개가 존재

한다.

는 결점 I, j를 연결하는 최단 경로의 수이고, 결점 m이 I, j 사이의 최단 경로

경로 위에 위치하는 경우의 수이다. I와 j를 잇는 최단 경로가 여러개이고 무차별하다면 어

Page 5: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패키지 여행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에 의해 진행되는 대량관광의 일종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임화순․남윤섭 203

느 경로가 사용될지의 확률은 동일하므로 m이 등장한 경로가 사용될 확률은 가 된다.

즉 최단 경로에 여러 번 등장할수록 m이 등장한 통로가 사용될 확률은 증가한다. 분모는

지표를 표준화(normalize)하기 위하여 분자가 가질 수 있는 최대값으로 나눈 것으로

UCINET에서는 이 숫자에 100을 곱하여 퍼센트로 표현한다. 분자는 방사선 형태의 스타 연

결망에서 가장 큰 값을 가지며(누구나 중심의 스타를 통해야만 다른 사람과 연결될 수 있

다), 그 값은 즉, 이다.

2. 공간 네트워크 선행연구

공간에 대한 연구는 전통적으로 지리학 분야에서 주로 진행되어 왔으며, 공간에 대한 네

트워크 관련 선행연구도 지리학분야에서 주로 진행되고 있다. 네트워크에 기반한 공간분

석 방법이 1992년 Black에 의해 초기 개념이 등장한 이후로 1990년대 초반에는 교통에 관련

된 공간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Irwin et al(1992)의 연구와 Hughes(1993) 연구에서는 도시간

통근 네트워크와 대도시권내에서의 중심도시와 교외지간의 통근 네트워크를 연결중심성

지수를 활용하여 고찰하였으며, 이희연 외(2006)는 통근통행량을 토대로 도시의 통행패턴

과 연계하여 도시의 공간구조의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고, 김영호(2010)는 공간적

자기상관을 활용한 지역 이동패턴을 연구하였다.

네트워크에서 ‘연결되었다’는 의미는 두 점 혹은 두 행위자가 서로 직접적으로 교류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심용주 외, 2012)하기 때문에 지역과 지역 또는 장소와 장소사이의 이동

에 초점이 맞추어진 공간 네트워크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후 2000년대부터는 지역내 산업,

지역과 지역간 산업의 협력네트워크가 공간적으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분석하는 연구

들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특히 Grabher & Ibert(2006), Giuliani(2007), 최해옥(2011, 2012) 등은

지식네트워크와 공간적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재는 사용자의 이동패턴과

소셜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비교하여 위치와 사람의 관계를 이용한 사용자 사이의 친

밀도를 예측한 연구(Cranshaw et al, 2010), 소셜 네트워크와 공간 네트워크를 그래프 데이터

베이스에 구축하고 이를 융합하는 연구(Doytsher et al., 2012), 분석방법의 공간적용 의의를

인지하고, GIS와 소셜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WebGIS 구현방법에

대한 연구(최효석․염재홍, 2014) 등 공간네트워크 연구는 다양한 방면에서 시도되고 있다.

관광학계에서 관광현상과 공간의 연계성을 파악하려는 노력은 198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초기의 연구는 지역연구에서 지역특화지수에 의거한 자원과 시설의 중심

성과 그 위계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려는 연구였다(재인용; 김영래․구본기, 2012). 네트워

크 측면에서 관광공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사례는 많지 않은데, Shin & Michael(2000),

Page 6: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패키지 여행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에 의해 진행되는 대량관광의 일종으로

204 지역산업연구|제37권 제4호|2014.11

Shin(2006), 김영래․구본기(2012) , 김영래․박창규(2012) 등의 연구가 있다.

Shin & Michael(2000)은 항공기 여객량 데이터를 이용한 아시아 도시 간의 네트워크를 분

석하여 홍콩, 싱가포르, 도쿄, 서울 등의 중심성이 높다고 평가하였다. Shin(2006)은 타이완

의 Nantou의 16개 드라이브 관광목적지를 대상으로 목적지간 중심성을 분석하여 Puli지역

과 Shueili 지역의 중심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하였다.

김영래․구본기(2012)는 일본인 관광객의 이동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우리

나라 외국인 관광객은 명동과 남대문을 중심으로 강북지역에 집중하는 공간적 편중이 나

타난다고 밝혔다. 김영래․박창규(2012)는 1999년과 2008년 사이의 관광객 흐름과 연계된 지

역관광의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여, 1999년보다 2008년 지역관광이동총량이 급속하게 증

가하였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관광공간의 네트워크 분석은 아직까지는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어 다양한 연구의 시도가 필요하다.

Ⅲ.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방법

2014년 3월∼5월 사이의 중국인 관광객 제주방문 여행상품을 조사하여 관광지별 코스

를 정리하였다. 중국인 관광객 제주방문 여행상품을 조사하기 위하여 중국에서 대표적인

포털사이트인 바이두닷컴(百度)(www.baidu.com), 소후닷컴(www.sohu.com), 시나닷컴

(www.sina.com)에서 120개의 여행사를 검색하여 130개의 여행상품을 조사하였다. 이중 여

행상품이 완전히 동일한 11개의 상품을 제외하고, 119개의 여행상품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바이두닷컴은 중국 최대의 검색엔진으로서 알렉사닷컴 트래픽 측정기준으로는

세계 최상위권에 있는 사이트이며, 소후닷컴은 매출액 14억 달러의 IT그룹으로서 인터넷

검색 서비스, 뉴미디어, 온라인 게임 등을 운영하는 사업체이며, 시나닷컴은 2009년부터

중국 최대 마이크로 블로그 사이트인 시나 웨이보를 서비스하는 중국의 대표적인 포털 사

이트(위키백과사전:http://ko.wikipedia.org/wiki/)이기 때문에 세 포털사이트를 통하여 제주여

행상품을 검색한 것은 대표성을 가질 수 있다.

중국인 관광객의 제주관광 루트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 하나는 북경(北京), 심양

(瀋陽) 등에서 제주국제공항으로 직항노선을 이용해서 방문하는 직항상품이고, 다른 하나

는 인천공항이나 김포공항을 통해 입국한 후 국내선을 이용해 제주를 방문하는 경유상품

이다. 119개의 여행상품 중 직항상품(중국-제주) 63개, 경유상품(중국-서울-제주-서울-중국)

Page 7: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패키지 여행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에 의해 진행되는 대량관광의 일종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임화순․남윤섭 205

56개를 조사하여 상품별 DB를 구축하였다. 직항상품의 경우 2박 3일과 3박 4일 상품이 주

를 이루는 반면, 경유상품의 경우 제주에서의 체류기간은 대부분 1박 2일로 나타났다.

2. 분석 방법

중국인 관광객의 패키지 여행상품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네 단계의 분석 작업

을 실시한다.

첫째, 중국에서 대표적인 포털사이트인 바이두닷컴(百度)(www.baidu.com), 소후닷컴

(www.sohu.com), 시나닷컴(www.sina.com)에서 제주특별자치도 여행상품을 운영하는 여행사

를 선정한다. 둘째, 선정된 여행사의 여행상품을 조사하여 공간적으로 표현 가능한 관광지

를 추출한다. 셋째, 공간적으로 표현 가능한 관광지에 대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연

결망을 조사한다. 넷째, 네트워크 분석을 기반으로 여행상품의 지역간 분포와 중심정도를

분석한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분석 패키지 NET draw 2.043 프로그램과 GIS프로

그램 Arc View 9.3 버전을 사용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주시 동지역, 제주시 읍․면지역,

서귀포시 동지역, 서귀포시 읍․면지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림 1> 분석진행 과정

Ⅳ. 분석결과 및 해석

1. 여행상품 관광지 분석

(1) 여행상품 관광지 빈도분석

분석대상인 119개의 여행상품 중에 포함되어있는 관광지를 추출하여 단어의 빈도를 파

Page 8: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패키지 여행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에 의해 진행되는 대량관광의 일종으로

206 지역산업연구|제37권 제4호|2014.11

악하기 위하여 KrKwic(Korean Key Words In Context)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KrKwic은 분석

대상이 되는 메시지 속에 사용된 모든 단어들을 찾아 확인하고, 각 단어가 몇 번 사용되었

는지를 계산하는 단어빈도분석을 수행한다(박한우․Leydesdorff, 2004).

119개의 여행상품에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난 관광지는 총 65개로 나타났으며, 이 관광

지들을 대상으로 빈도를 분석한 결과 ‘성산일출봉’이 117회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비

의 도로’ 106회, ‘용두암’ 102회, ‘성읍민속마을’ 99회, ‘섭지코지’ 74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산일출봉은 119개의 여행상품에서 117회가 포함됨으로서 중국인 단체관광객이 가장 많

이 방문하는 관광지로 나타났다. 정방폭포, 용연, 만장굴 등 37개 관광지는 5회 이하의 빈

도가 나타났다. 직항상품의 경우 평균 14.9곳의 관광지를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

유상품의 경우 평균 6.1곳의 관광지를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빈도(회) 단어수(개) 관광지명

111회 이상 1 성산일출봉

91∼110회 3 신비의 도로, 용두암, 성읍민속마을

71∼90회 1 섭지코지

41∼70회 4 천지연폭포, 테디베어박물관, 롯데호텔카지노, 신라면세점

21∼40회 9외돌개, 월드컵경기장, 난타공연, 약천사, 민속자연사박물관, 주상절리, 한라수목원, 중

심로, 한라산

11∼20회 3 천제연폭포, 생각하는 정원, 오설록박물관

6∼10회 7중문관광단지, 절물자연휴양림, 퍼시픽랜드, 해녀박물관, 러브랜드, 세리월드, 여미지식

물원

1∼5회 37 정방폭포, 용연, 만장굴, 중문해수욕장 등

<표 1> 여행상품에 나타난 관광지 빈도

(2) 여행상품 관광지 네트워크 분석

분석대상인 119개 여행상품의 관광지를 네트워크 분석 한 결과 성산일출봉, 용두암, 신

비의 도로, 한라산 등이 전체 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산일출봉과

용두암, 신비의 도로가 연결정도중심성 47, 인접중심성 95, 사이중심성 43.630으로 가장 높

은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용두암-신비의도로-성산일출봉으로 이어지는 공간상의 네트

워크가 가장 확고한 연결상태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공간상에서의 이동을 판단할 수 있는 사이중심성의 경우 각 관광지별 차이가 크다

는 것은 일정지역의 관광지에 집중적인 관광활동이 벌어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체

여행을 다루는 여행상품의 특성상 몇몇 관광지에 방문패턴이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Page 9: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패키지 여행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에 의해 진행되는 대량관광의 일종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임화순․남윤섭 207

<그림 2> 여행상품 관광지의 네트워크 시각화

관광지명중심성

연결정도중심성 인접중심성 사이중심성

성산일출봉 47 95.00 43.640

용두암 47 95.00 43.640

신비의도로 47 95.00 43.640

한라산 46 96.00 40.960

롯데호텔면세점 45 97.00 35.776

천지연 42 100.00 30.176

성읍민속마을 42 100.00 20.138

테디베어뮤지엄 41 101.00 19.270

신라면세점 41 101.00 16.902

섭지코지 40 102.00 16.880

외돌개 40 102.00 14.944

<표 2> 여행상품 관광지 중심성 분석(상위 10개 지역)

2.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및 해석

공간적 판단을 위해 지역별로 사이중심성을 비교해 보면 성산읍 지역이 30.260으로 가

장 높고, 표선면 17.345, 제주시 동지역 16.117로 나타났다. 이는 성산읍-표선면-제주시 동

Page 10: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패키지 여행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에 의해 진행되는 대량관광의 일종으로

208 지역산업연구|제37권 제4호|2014.11

지역을 중심으로 중국인 관광객의 여행상품 구성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행정구역 구분중심성

연결정도중심성 인접중심성 사이중심성

제주시

동지역 32 110 16.117

애월읍 - - -

한림읍 22 120 0.084

한경면 29 113 4.539

조천읍 22 121 0.771

구좌읍 20 122 1.849

서귀포시

동지역 28 114 8.655

안덕면 23 119 0.840

대정읍 28 114 2.286

남원읍 - - -

표선면 23 119 17.345

성산읍 44 99 30.260

<표 3> 지역별 관광지 중심성 분석

분석대상인 여행상품에 포함되어있는 관광지를 공간적으로 네트워크 시각화 시킨 결과

는 다음 <그림 3>과 같이 나타났다. 제주특별자치도 전체 지역 중 중국인 관광객 패키지

상품은 용두암, 신비의 도로 등의 제주시 동지역과 성산일출봉, 섭지코지의 성산읍지역,

중문관광단지와 서귀포시 동지역으로 연결되는 동남방향의 삼각형 형태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패키지 여행상품의 특성상 도로 폭이 넓은 간선도로를 통하여 이동

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실제 1139번 도로와 1136번 도로의 배치와 네트워크 이동

경로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여행상품을 다루는 여행사에서 기존의 관광지 중 주요도로를 통한 이동환경을

고려하는 성향이 있으며, 전체 루트와 관련성이 높은 관광지를 여행상품에 포함하고 있다

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Page 11: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패키지 여행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에 의해 진행되는 대량관광의 일종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임화순․남윤섭 209

<그림 3>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Ⅴ. 결 론

본 연구는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주도 패키지 여행상품에 대한 실제 자료를 취득 및

분석하여, 관광지에 대한 중국인 관광객의 이동 경로상 중심지역을 확인하고, 제주특별자

치도내 지역간 연계정도를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패키지 여행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에 의해 진행되는 대량관광의 일종으로 상품에 따라

이동 경로나 관광지 방문이 결정된다. 전체 관광객 중 패키지 여행상품을 이용하는 관광객

의 수가 많은 비율을 차지할 경우 패키지 상품을 분석하여 해당 관광객 그룹의 이동경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패키지 여행상품의 경우 단일공간에서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관광지

를 방문한다는 이동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패키지 상품은 공간적 이동성향과 지역간 연계

성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중국인 관광객의 여행상품을 조사하여 공간적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동경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중국인 관광객 패키지 상품 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관광지는 ‘성산일출봉’으로 나타났으며, ‘성산일출봉 - 용두암 - 신비의 도

Page 12: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패키지 여행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에 의해 진행되는 대량관광의 일종으로

210 지역산업연구|제37권 제4호|2014.11

로’ 사이 중심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적인 이동경로는 ‘제주시 동지역 - 서귀

포시 동지역 - 표선면 - 성산읍’을 연결하는 동남방향의 삼각형 형태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1139번 도로와 1136번 도로의 배치와 공간적으로 유사한 형태로서 제

주의 경우처럼 다양한 관광지들이 지역 전체에 산재해 있고, 관광지간 이동할 수 있는 도

로여건이 좋을 경우, 패키지 여행상품은 주요이동 동선을 따라서 구성 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여행사 입장에서는 이동 동선을 단축시킬수록 운임비의 소모가 적어지

고, 이동에 대한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서 관광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

된다. 따라서, 성산일출봉과 신비의 도로, 용두암, 성읍민속마을 등 중국 관광객들이 좋아

하고 가장 많이 찾는 관광지와 그 루트에 중국어 이정표 및 각종 편의시설, 중국어 통역가

이드 등을 제대로 갖추어 방문한 관광지에 만족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애월읍, 한림읍, 남원읍, 안덕면 지역의 경우 다양한 관광지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중

국인 관광객의 패키지 상품에서 제외됨으로써 제주특별자치도내 전반적인 공간 연계성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상품의 다양성을 높이고, 지역별 안배를 통한 균형발

전을 위해서는 연계가 낮은 지역에 대한 공간적 연계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체류일정이 짧은 경유형 상품의 경우 제주특별자치도의 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여행상품과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여행상품을 구분하여 판매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중국인 관광객이 매력을 느낄 수 있도록 서부지역의 관광지에 대한 마케팅이

적극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패키지 여행상품에 대한 조사가 계절적으로 한정된 기간에만 이루어 졌다는

점, 판매되고 있는 상품에 대해 실제 진행여부를 확인하지 못하였다는 점 또한 주요관광지

의 선택속성, 만족도 등 관광객의 의사를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점 등에서 연구의 한계가

있다.

그러나 패키지 여행상품의 분석을 통하여 중국인 관광객의 이동경로를 추적하였다는 점

과 공간적 네트워크를 관광행태에 접목시키려 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향후 관

광행태와 공간이 융합된 연구가 지속되어 관광학의 스펙트럼이 확장되길 기대한다.

■ 논문투고일 ■ 논문 최종심사일 ■ 논문게재확정일

2014. 10. 092014. 11. 032014. 11. 26

Page 13: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패키지 여행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에 의해 진행되는 대량관광의 일종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임화순․남윤섭 211

참고문헌

고계성(2012), 섬 관광지 매력평가에 따른 관광자원 개발 유형 연구 -통영시 한산도 섬을 중심으로 -,

지연산업연구, 35(1), 167-188.

김영래․구본기(2012), 외래관광객 이동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 분석 -일본인 최초/재방문 관광객의

특성을 중심으로 -, 관광연구, 27(1), 37-53.

김영래․박창규(2012), 지역관광의 공간네트워크구조와 특성 분석, 관광연구저널, 26(1), 285-300.

김영호(2010), 서울시 자전거 이용의 공간 네트워크 패턴 연구 : 공간적 네트워크 자기상관을 중심으

로, 국토지리학회지, 44(3), 339-352.

김용학(2011), 사회연결망 분석, 서울: 박영사

박석희(2007), 신관광자원론, 서울: 일신사

박한우․Loet Leydesdorff(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

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심용주․조진희․권정주․황희연(2012), 사회네트워크분석기법에 의한 연담화 지역 공간범위 분석 -전라

북도를 중심으로 -, 국토지리학회지, 46(2), 95-105.

이웅규․구정대(2014), 소셜커머스 활용을 통한 여행상품의 마케팅 전략연구, 지역산업연구, 37(3),

81-102.

이인구․이영일․나준희(2012), 사회 지향적 가치가 한·중 소비자의 시장선도 브랜드 소비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 지역산업연구, 35(2), 199-216.

이희연․김홍주(2006),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수도권의 공간구조 변화, 국토계획, 41(1), 133-151.

제주특별자치도(2011), 『중국인 관광객 수용태세 개선 방안 연구』

최해옥(2011), 디자인산업의 지식네트워크 분석 : 지역발전을 위한 창조산업의 형성과정, 문화정책

논총, 25(2), 169-191.

(2012), 창조산업의 공간적 특성과 기관별 네트워크구조 변화 분석: 디자인산업을 중심으로, 한

국경제지리학회지, 15(1), 116-130.

최효석․염재홍(2014), GIS공간분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통합을 위한 WebGIS 구현, 한국측량학회

지, 32(2), 95-107.

위키백과사전: http://ko.wikipedia.org/wiki/

Black, W.R. (1992), Network Autocorrelation in transport network and flow systems, Geographical analysis, 24,

207-222.

Cranshaw, J. & Toch. E., & Hong. J. & Kittur. A. & Sadeh. N.(2010), Bridging the gap between physical location

and online social networks, In Proceedings of Ubicomp 10, ACM, september, 119-128.

Page 14: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패키지 여행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에 의해 진행되는 대량관광의 일종으로

212 지역산업연구|제37권 제4호|2014.11

Doytsher, Y., Galon, B. & Kanza, Y. (2012), Querying sociospatial networks on the world-wide web, In

Proceedings of the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companion on World Wide Web, ACM, April, 329–332.

Giuliani, E.(2007), The Selective nature of knowledge networks in clusters,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7,

139-168.

Grabher, G. & Ibert, O.(2006), Bad company? The anbiguity of personal knowledge networks,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6, 103-123.

Hughes, H. I.(1993), Metropolitan Structure and the Suburban Hierarchy, American Socialogical Review, 58,

417-433.

Irwin, M. & Hughes, H.(1992), Centreality and the Structure of urban Interaction : Measures, Concepts, and

Application, Social Forces, 71(1), 17-51.

Shin, Kyoung-ho & Michael Timbarlake(2000), World Cities in Asia: Cliques, Centrality and Connectedness,

Urban Studies, 37(12), 2257-2285.

Shin, Hsin-yu(2006), Network characteristics of drive tourism destinations: An application of network analysis in

tourism, Tourism Management, 27, 1029-1039.

Page 15: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패키지 여행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에 의해 진행되는 대량관광의 일종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임화순․남윤섭 213

ABSTRACT

The analysis for spatial network structure of chinese tourist packages in Jeju

8)9)Lim, Hwa Soon*․Nam, Yoon Seo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patial network structure of Chinese tourist packages in

Jeju.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s on tourists’moving route and connection between region and

region. To analyze this spatial inclination to move and regional connection, social-network analysis

and GIS program are applied to this process.

Analysis result for favorable tourism product is Seongsan Sunrise Peak(ilchulbong) and

centrality in southeast direction of Seongsan, Yongdumam Rock, Mysteries of the road has the

highest among other products. Spatial moving routes take the form of triangle shapes that suggested

at two eastern areas in cities, Pyoseon-myeon, and Seongsan-eup. These results were shaped very

similar to layout of the 1139 and 1136 local road.

There are lots of tourist areas in Jeju. If road condition is well constructed between tourist

areas, tourism package product will be developed and designed with the flow of moving line.

│key word│Tourism package, Jeju tourist area, Network Analysis, GIS program

* Professor, Department of Tourism Development, Jeju National University([email protected])** (Corresponding Author) Part-time Lecturer, Department of Tourism Development, Jeju National

University([email protected])

Page 16: 제주특별자치도 중국인 관광객 여행상품의 공간적 네트워크 분석 · 패키지 여행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에 의해 진행되는 대량관광의 일종으로

214 지역산업연구|제37권 제4호|2014.11

1. 주저자

임 화 순(Lim, Hwa Soon) : [email protected]

현재 제주대학교 관광개발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동경공업대학교 사회

공학전공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관심 및 연구분야는 레저, 리

조트개발 등이다.

2. 공동저자(교신저자)

남 윤 섭(Nam, Yoon Seob) : [email protected]

현재 제주대학교 관광개발학과 강사로 재직중이며, 제주대학교 관광개발

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관심 및 연구분야는 관광지개발,

관광지리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