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33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김 혜 금 **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안전교육 모듈을 개발하는데 있다 안전 전문가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교육 모듈 요구도 설문지를 제작하고 유아교 명을 대상으로 안전교육 모듈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유아교사 및 원장 명을 대상 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요구도와 면담 분석 및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 교육 모듈을 개발하였다 안전교육 모듈은 사고 예방과 사고 대처 두 가지 학습영역으로 구성되 며 사고 예방 학습영역에는 유아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유아교육기관 시설설비 안전관리 유아교 육기관 안전교육 세 가지 학습내용을 포함하고 사고 대처 학습영역에는 사고 유형별 응급처치 사고보고서 작성 및 부모와의 소통 두 가지 학습내용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안전교육 모 듈 개발의 단초가 되어 향후 연속적인 모듈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유아교사 안전교육 모듈 개발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승인 이 논문은 년 정부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동남보건대학교 보육과 부교수 교신저자

Upload: others

Post on 03-Mar-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생태유아교육연구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2016. 제15권 제4호 , 135 - 167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안전교육 모듈을 개발하는데 있다. 안전 전문가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교육 모듈 요구도 설문지를 제작하고 유아교

사 261명을 대상으로 안전교육 모듈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유아교사 및 원장 9명을 대상

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요구도와 면담 분석 및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

교육 모듈을 개발하였다. 안전교육 모듈은 사고 예방과 사고 대처 두 가지 학습영역으로 구성되

며 사고 예방 학습영역에는 유아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유아교육기관 시설설비 안전관리, 유아교

육기관 안전교육 세 가지 학습내용을 포함하고, 사고 대처 학습영역에는 사고 유형별 응급처치,

사고보고서 작성 및 부모와의 소통 두 가지 학습내용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안전교육 모

듈 개발의 단초가 되어 향후 연속적인 모듈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유아교사(early-childhood teachers)

안전교육 모듈 개발(development of safety training modules)

※ 논문접수 : 2016. 10. 31 / 수정본 접수 : 2016. 12. 05 / 게재승인 : 2016. 12. 17* 이 논문은 2014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4S1A5A2A01017258)

** 동남보건대학교 보육과 부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Page 2: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13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Ⅰ. 서 론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합계출산율이 가장 낮은 반면 급속한 고령화로 인구학적 위

기를 겪고 있다.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국가 경제와 미래 성장잠재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국가의 존립마저 위협한다. 저출산․고령화 사회에서 유아 개개인의 건

강과 안전의 확보는 특별히 더 중요하며 이는 가정은 물론 국가의 생존과 번영까지도 좌우

하는 과제이다. 하지만 유아를 둘러싼 생활환경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잠재되어 있고 산업

화로 인해 이전에는 없었던 새로운 위험요소들이 등장하면서 안전사고의 위험성은 더욱 커

지고 있다. 유아기 안전사고로 인한 사망률은 다른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보다 높고(김혜금,

2011; Morrongiello, Klemencic & Corbett, 2008) 안전사고로 인해 가정 및 사회가 부담해

야 할 시간적, 경제적 비용은 예방 비용에 비해 훨씬 크다(Miller & Galbraith, 1995).

유아 안전사고는 가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최근에는 유아교육기관을 이용하는 유

아가 늘어나면서 안전사고 또한 증가하고 있다. 유아교육기관은 안전사고에 취약한 유아들

이 집단으로 모여서 생활하는 장소이므로 가장 우선적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안전이다

(배지희, 권경숙, 이사임, 이미선, 2015).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린이집 안전사고는 최근 5년

동안 2배 이상 늘어났고(이데일리, 2016. 9. 12) 유치원의 안전사고도 2009년부터 2011년까

지 3년 동안 약 32% 증가하였다(박영선, 신동주, 2014). 어린이집에서 매년 안전사고로 사

망하는 유아는 10명이 넘고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서 사고가 많이 발생하였으며 화상이나

이물질흡입 등 교사의 주의태만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데

일리, 2016. 9. 12). 또한 학교안전공제회의 2014년 사고발생 및 보상통계에 의하면, 2014년

전국 유치원의 안전사고 건수는 7,602건이었고 주로 수업시간과 점심시간에 그리고 교실과

운동장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유아에게 일어나는 대부분의 안전사고는 주로 성인의 관리소홀로 인해 일어난다. 유아교

사는 유아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노력하는 핵심 인력으로 유아안전과 관련한 유아교사의

역할과 책임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이은경, 안효진, 2006; 차경순, 유연옥, 2006) 유아교사

또한 자신의 직무 중 건강 영양 및 안전지도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연숙, 유수경, 2016; 정정란, 2014). 유아교사가 안전사고를 예방가능하다고 여기고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자 노력하는 경우 유아는 손상을 덜 경험하고 안전사고를 입더라도 그 피

해가 경미하다(김혜금, 2010). 유아교사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사고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하고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고를 최소화하는 대처 능

Page 3: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137

력을 필요로 한다(김신정, 김예영, 김성희, 박현정, 강경아, 2013). 즉 유아교사는 유아의 연

령별 사고위험을 인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적절하게 대응하

는 안전 역량을 지녀야 한다.

유아는 생활 주변의 상해유발 요인들에 대한 인식과 안전사고 발생 위험에 대한 예측

능력이 부족한 반면 호기심과 탐험심이 왕성한 발달 특성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개연성이 높으며(Morrongiello & Mark, 2008; Sellstrom & Bremberg, 2000) 안전사고로 인

해 치명적인 상해를 입거나 생명을 잃기도 한다. 유아의 안전은 유아교사의 안전역량에 의

해 좌우되는데, 교사양성교육기관에서의 안전교육은 ‘안전관리’ 한 과목에서 다루어질 뿐으

로 예비유아교사의 안전과 관련한 지식과 기술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은경, 안효진,

2006; 정미라, 배소연, 1999; 차경순, 유연옥, 2006). 그런데 현직 유아교사들의 생명과 직결

되는 상황에 대한 안전지식 또한 낮은 편이며(김미선 외, 2006; 정미라, 배소연, 1999) 유아

교사의 상해 예방 노력도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박미영, 조희숙, 2009). 예비유아교사가

유아교육 현장에 입문하게 되면 바로 유아의 안전을 책임지게 되므로 현직 유아교사의 안

전과 관련한 지식과 기술을 증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직 유아교사들

에게 부족한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 등 안전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보완할 수 있도

록 유아교사의 요구도에 부합한 안전교육 모듈이 개발되어야 한다.

유아교사의 안전에 대한 지식은 사고 예방 실천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김수향, 안은

희, 2015; 김혜금, 김명순, 2007; 이영환, 임옥희, 원은실, 2004; 이은경, 안효진, 2006; 정미

라, 배소연, 1999) 유아교사의 안전에 대한 지식, 태도. 기술은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

교육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Shearn, 2006). 유아에게 안전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대부분

의 유아교사들은 책, DVD와 같은 영상물, 인터넷 홈페이지를 활용하거나 이야기나누기 활

동에 치우치는 등(배지희, 권경숙, 이사림, 이미선, 2015) 지식 위주의 내용으로 실제적인

경험 및 체험 중심의 안전교육은 거의 실시하지 않았다. 이와 유사하게 유아교사 대상 안

전교육 또한 비연속적, 일시적일뿐만 아니라 대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이론중심의 전달식

강의 위주로 진행되어(한민경, 김수향, 2012), 교육의 실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영

환 외, 2004; 채영란, 신수경, 2009).

유아교사들은 시간을 때우는 것이 아닌 질 높은 안전교육을 받기를 원하지만(김소윤, 김

유진, 2015), 유아교사들이 안전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또한 많지 않다. 안전교육 내용

및 수강기회가 지자체별, 어린이집별에 따라 적을 뿐 아니라(임현교, 2014) 육아종합지원센

터 및 안전공제회가 주관하는 교사들의 안전교육 이수율은 매년 20% 수준에도 못 미치는

실정으로 유아교사들의 안전교육 이수율은 낮은 편이다(쿠키뉴스, 2016. 10. 05). 오후 시간

Page 4: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13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대에 실시되는 안전교육에 모든 교사가 참여하기 어렵기 때문에 한두 명의 교사가 대표로

교육을 받고 다수의 교사들은 전달교육을 통해 안전교육을 받는 경우가 많다.

현직 유아교사의 안전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공식력있는 기관에서 안전교육이 제공되

어야 하고 유아교사의 자발적 교육 참여와 능동적 학습을 유도하는 안전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이영환 외, 2004; 허기, 형근혜, 홍혜경, 2015). 이를 위하여 유아교사에게 효과적인 안

전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모듈식 학습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모듈학습은 교수 학습 방법의

한 형태로 “통합적 주제에 따라 학습자들이 일정한 지식과 기능을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전체적인 교육과정의 일부가 되며 스스로 공부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수업

의 하나”(Dick, 1987)이다. 모듈식 안전교육은 학습을 개별화하고 개별 학습자에 따라 모듈

의 선택과 학습 진도에 자율권이 주어지므로(이화국, 김창식, 1990) 학습자인 유아교사의

능동적인 참여와 흥미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한 단위의 모듈은 전체적인 교육과정의 일

부가 되며 이것을 단계적이며 연속적인 하나의 세트로 연결하면 다양한 형태의 학습과정으

로 설계될 수 있다(이준식, 2005). 따라서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안전교육 모듈이 계속적으

로 개발될 수 있으며 교사들은 자신이 필요로 하는 내용을 찾아서 구체적이고 수행 위주로

제공되는 안전교육 내용을 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유아교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고려해야 할 안전과 관련한 제반 요인에 대한 예방적 역

량 뿐 아니라 불가피하게 발생한 사고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김영실, 윤진주,

2010; 박미영, 조희숙, 2009; 이영애, 조인경, 1997; 정미라, 배소연, 1999; 채영란, 신수경,

2009). 즉 유아교사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해야 하지만 불행하게도 사고가 발생했을 때

는 적절하게 대처함으로써 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유아교사들

은 심폐소생술, 중독, 끼임, 협착, 고열, 구토와 관련한 응급상황에서 대처하는데 어려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이선미, 조민순, 2010), 유아교사가 습득해야 할 안전사고 대처방법

은 사회변화를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달라져야 한다. 이는 유아 안전사고의 범위가 넓고 깊

을 뿐만 아니라 환경의 변화에 따라 안전사고 원인과 유형이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기 때문

이다.

대내외적 교육환경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역량 교육 중심의 국가 주도적 국가직무

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이 개발되었고 그 중에 영유아 건강·안전·

영양 지도 학습모듈이 예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교육에 반영하도록 포함되었다.

그러나 NCS 학습모듈은 안전교육 과목을 수강하는 예비 유아교사들에게 안전과 관련한 학

습모듈을 일부 적용하도록 하는 준거를 제시하고 있을 뿐 구체적인 안전교육 모듈은 개발

되지 않았다. 또한 예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안전교육 즁심으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모

Page 5: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139

듈을 구성하고 적용한 권혜진(2008)의 연구가 있으나 안전사고 사례를 중심으로 시나리오

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법을 15주 동안 진행하는 온라인 학습내용에 치우쳐 있다.

따라서 현직교사들이 안전교육과 관련하여 어떠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지 그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학습내용과 적용방법을 구성하고 자기 주도학습이 가능한 안전교육 모듈이 개발

될 필요가 있다(정윤석, 안기옥, 안정환, 윤유상, 조영신, 2009).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필요로 하는 안전교육 모듈을 개발하고자 하며 본 연구결과는 안전교육 모듈 개발의 단초

가 되어 연속적인 모듈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현직교사의 안전역량을 강

화할 것으로 본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안전교육 모듈의 요구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안전교육 모듈의 구성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1) 델파이 조사를 위한 연구대상

유아교사의 안전교육 모듈에 대한 요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기 위해 서울, 경기도, 인천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과, 보육과, 아동학과 교․강사 5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2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총 40부(회수율 80%)가 취합되었다.

2) 요구도 조사를 위한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도, 인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 300명이었다. 설

문지는 264부가 회수(회수율 88%)되었으며 이중 누락된 응답이 있는 설문지를 제외한 261부

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Page 6: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14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표 1>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N=261)

n % n %

성별 남 3 1.1

기관유형어린이집 210 80.5

여 258 98.9 유치원 51 19.5

연령

30세미만 52 19.9

학력

고졸 21 8.0

30세-40세미만 62 23.8 전문대졸 115 44.1

40세-50세미만 96 36.8 대졸 104 39.8

50세 이상 51 19.6 대학원졸 21 8.1

현재

기관경력

5년미만 175 67.1

총교육

(보육)경력

5년미만 116 44.4

5-10년미만 49 18.8 5-10미만 74 28.4

10-15년미만 19 7.3 10-15년미만 44 16.9

15년이상 18 6.9 15년이상 27 10.3

3) 면담 조사를 위한 연구대상

안전교육 모듈에 대한 유아교사의 요구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유아교사 가운데 개인면담과 집단면담이 가능하면서 인터뷰 녹취에 동의한 9명

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특히,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유형에 따라 유아 안전사고에

대한 인식이 상이하다는 예비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최대편차(maximum variation) 방법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함으로써 심층적인 면담을 이끌었다. 조사자 삼각검증(triangulation)을 위

하여 어린이집 교사 A, B, C와 어린이집 원장 D, E 그리고 유치원교사 F, G, H와 유치원장

I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 표 2와 같다. 연구 참여자는 만3세반 담임교사가 2명,

만4세반 담임교사가 3명, 만5세반 담임교사가 1명, 원장이 3명이었고 연령대는 20대가 5명,

30대가 2명, 40대가 2명이었다. 전문대졸 2명, 대졸 3명, 대학원졸 4명으로 나타났고 지난 1년

동안 안전교육을 받은 기관으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온라인 교

육은 주로 금융기관에서 실시하는 안전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치원 교사의 경우에

는 교육청 주관 안전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 교육으로는 모두 AALZZA.com

사이트를 통해 안전교육을 이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7: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141

ID 기관 유형 담당반 연령 학력 경력지난 1년동안 안전교육을 받은

기관과 횟수

A 민간어린이집 만3세반 만30세 대졸 9년오프라인(금융기관) 1회 /온라인(AALZZA.com) 1회

B 국공립어린이집 만5세반 만29세 전문대졸 9년오프라인(금융기관) 1회 /온라인(AALZZA.com) 1회

C 민간어린이집 만4세반 만29세 대학원졸 7년오프라인(금융기관) 1회 /온라인(AALZZA.com) 1회

D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만49세 대학원졸 20년오프라인(금융기관) 2회 /온라인(AALZZA.com) 2회

E 직장어린이집 원장 만39세 대학원졸 17년오프라인(금융기관) 1회 /온라인(AALZZA.com) 2회

F 사립유치원 만4세반 만24세 대졸 3년오프라인(금융기관) 1회 /온라인(AALZZA.com) 1회

G 사립유치원 만3세반 만23세 대졸 3년오프라인(교육청) 1회 /

온라인(AALZZA.com) 2회

H 사립유치원 만4세반 만23세 전문대졸 2년오프라인(교육청 1회, 금융기관 1회) / 온라인(AALZZA.com) 2회

I 사립유치원 원장 만49세 대학원졸 20년오프라인(교육청 1회, 금융기관 2회 / 온라인(AALZZA.com) 1회

<표 2> 면담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2. 연구도구

1) 델파이 조사 도구

유아 안전 관련 선행연구(김소윤, 김유진, 2015; 김혜금, 2011; 김혜금, 2013; 박은혜, 김혜

금, 남궁선혜, 2005; 방경숙, 2005; 오효선, 홍혜경, 2013; 유구종, 한명옥, 2015, 2016)에서 강조

되는 안전 핵심요소는 ‘사고예방’과 ‘사고 시 대처’ 두 가지로 나타나 델파이 조사 설문지는

‘사고예방’과 ‘사고 시 대처’를 핵심요소로 정하고 안전교육 모듈의 학습영역과 학습내용에 대

해 물어보는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1점=전혀 필요하지 않다, 5점

=매우 필요하다)로 되어 있다. 델파이 설문지에는 전문가의 개인적 사항에 대한 문항은 전혀

없으며 유아교사용 안전교육 모듈 개발과 관련한 유아안전사고 예방과 안전사고 시 대처 영

역에서의 의견을 물어보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델파이 설문지 구성은 표 3과 같다.

Page 8: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14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문항 내용 문항수 신뢰도

일반적 배경

연령, 성별, 학력, 경력, 기관유형, 설립유형, 지역, 기관 소재지,담당학급 등

10

학습영역필요 정도

유아의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유형 영역

4 .94유아교육기관의 안전관리 영역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 영역

<표 3> 델파이 설문지 구성

문항

영역

필요성

유아의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영역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영역

유아교육기관 유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영역 유아 안전사고 시 유아교육기관 대처 영역

내용

필요성

유아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영역의 학습내용

유아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유형

유아교육기관 안전사고 장소와 시간대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영역의 학습내용

유아교육기관 실내 안전관리

유아교육기관 실외 안전관리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영역의 학습내용

연간안전교육계획안 작성 연간안전교육계획안 평가

안전교육 활동계획안 작성안전교육 활동계획안 평가

유아 안전사고 시 유아교육기관의 대처 영역의 학습내용

사고 유형별 응급처치 사고 보고서 작성 사고 시 법적 책임

2) 요구도 조사 도구

유아안전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안전교육 모듈에 대한 델파이 설문지 조사를 한 후 델

파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 대상 안전교육 모듈 요구도 설문지 문항을 작성한 후 측

정도구의 타당도를 위하여 유아교육과 교수 2인이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설문의 문항

구성은 3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 특성 10문항, 안전교육 모듈 학습영역과 학습

내용의 필요성을 물어보는 15문항, 학습영역과 학습내용 필요순위를 물어보는 5문항, 총 30문

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요성을 물어보는 문항은 5점 Likert 척도(1점=전혀 필요하지 않다,

5점=매우 필요하다)로 되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더 유아교사가 안전교육 모듈의 학습영역

과 학습내용이 필요하다고 인식함을 의미한다. 유아교사 대상 요구도 설문지의 내용과 문항

수는 표 4와 같다.

<표 4> 유아교사의 안전교육 모듈에 대한 요구도 조사 설문지 구성 및 내용

Page 9: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143

유아 안전사고 시 대처 영역

학습내용필요 정도

유아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영역

유아 발달특성과 사고 유형2 .85

유아 안전사고 장소와 시간대

유아교육기관 안전관리 영역

유아교육기관 실내 안전관리 2 .88

유아교육기관 실외 안전관리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 영역

연간안전교육계획안 작성

4 .93연간안전교육계획안 평가

안전교육 활동계획안 작성

안전교육 활동계획안 평가

유아 안전사고 시 대처 영역

사고 유형별 응급처치

3 .70사고 보고서 작성

사고 시 교원의 법적 책임

학습영역과 학습내용 필요 순위 5

총 문항 수 30

3) 면담 조사 도구

유아교사의 안전교육 경험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김소윤과 김유진

(2015)이 사용한 질문내용을 유아교사의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유아교육

기관 안전사고’, ‘유아교사 안전교육’ 등 개방형 질문으로부터 시작하였으며, 연구가 진행될수

록 ‘유아의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유아교육기관 안전관리’,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 ‘유아 안

전사고 시 대처’, ‘유아교사 대상 안전교육에 대한 요구’ 등 연구문제에 따른 반구조화된 질문

을 사용하여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3. 연구절차

1) 델파이 조사

안전교육 모듈의 구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도, 인천 소재 대학의 유아교육 관련

학과 교․강사 40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 15일에서 9월 15일까지 안전교육 모듈의 학습영

역별 구인과 학습영역별 세부구인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하였다. 이메일과 직접 방문, 그리고

우편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Page 10: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14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2) 요구도 조사

델파이 조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용 안전교육 모듈 요구도 설문지를 제작하고 서울, 경

기도, 인천 지역 유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20일에서 25일까지 예비조사를 실시

하여 소요 시간과 설문 문항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는지 확인하였다. 설문지 응답 시간은

10-15분 정도 소요되었고 문항의 이해에 어려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조사는 서울, 경

기도, 인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만3-5세 학급을 담당하는 유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 1일부터 10월 20일 사이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가 유아교육기관을 직접 방문

하거나 연수에 참여한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동의를 구한 후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다.

3) 면담 조사

유아교사 1명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 25일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유아교육기관 교사 6명

과 원장 3명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 26일에서 10월 30일 사이에 반구조화 질문을 통해 본조

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가 유아교육기관에 방문하여 개별면담을 하거나, 연구자의 연구실에

서 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4. 자료분석

1) 델파이 자료 분석

Lawshe(1975)의 CVR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2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Lawshe(1975)에 의해 제안된 델파이 분석 기법에 의하면, 전체 설문 대상자 가운데 모듈의

학습내용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이 50%가 넘는 문항의 내용 타당도 비율

(CVR)을 산출하여 문항의 적합도를 판단한다. 내용 타당도 비율(CVR)이란 중요도에 대한

일치도를 양화한 것으로 타당도 검증의 한 척도로 표 5에 의하면 패널로 선정한 40명의 사례

수에 대하여 .30의 최소값을 제시(Ayre & Scally, 2014)하고 있다.

Page 11: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145

<표 5> 필요 문항 일치도를 위해 요구되는 전문가 수를 포함한 CVR의 단순표

패널 수 필수 문항 일치도를 위해 요구되는 전문가 최소 수

필요한 일치도 비율 CVR 준거

5 5 1 1.00

10 9 .900 .800

15 12 .800 .600

20 15 .750 .500

25 18 .720 .440

30 20 .667 .333

35 23 .657 .314

40 26 .650 .300

2) 요구도 자료 분석

유아교사의 안전교육 모듈 학습영역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18.0을 사용

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순위검증을 실시하였다.

3) 면담 자료 분석

유아교사 대상 심층면담은 개인면담과 집단면담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고 면담 내용은 모

두 녹음을 한 후 전사하여 해석하였다. 면담에서 도출된 전사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은 후, 자

료수집과 분석의 순환적 관계를 고려하여 소주제별로 분류하는 과정에서 ‘유아의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유아교육기관 안전관리’,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 ‘유아 안전사고 시 대처’, ‘유아

교사 대상 안전교육에 대한 요구’의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델파이 조사 결과

Lawshe(1975)의 CVR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2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4가지

학습영역 모두 CVR이 1로 나타나 안전교육 모듈의 4가지 구인으로 학습영역을 정하였다. 안

전교육 모듈의 학습영역은 ‘유아의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유아교육기관 안전관리’, ‘유아교육

기관 안전교육’, ‘유아 안전사고 시 대처’ 4가지로 나타났다. 그리고 Lawshe(1975)의 CVR 분

Page 12: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14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석 기법을 사용한 결과 4가지 학습영역의 11문항 모두 .CVR이 .80이상으로 나타나 안전교육

모듈의 세부구인으로 정하였다.

<표 6> 안전교육 모듈 구인의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N=40)

구인 M SD CVR

학습영역

유아의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4.11 .90 1

유아교육기관 안전관리 4.31 .90 1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 4.25 .85 1

유아 안전사고 시 대처 4.22 .94 1

학습내용

유아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유아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유형 4.11 .63 .8

유아교육기관 안전사고 장소와 시간대 4.22 .68 .8

유아교육기관 안전관리

유아교육기관 실내 안전관리 4.40 .65 1

유아교육기관 실외 안전관리 4.40 .69 1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

연간안전교육계획안 작성 4.34 .63 1

연간안전교육계획안 평가 4.54 .56 1

안전교육 활동계획안 작성 4.54 .56 1

안전교육 활동계획안 평가 4.45 .70 1

유아 안전사고 시 대처

사고 유형별 응급처치 4.68 .58 1

사고 보고서 작성 4.20 .79 .8

사고 시 교(직)원의 법적 책임 4.37 .77 1

2. 요구도 조사 결과

1) 학습영역 요구도

델파이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안전교육 모듈의 구인과 세부 구인을 반영하여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안전교육 모듈의 학습영역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 7과 같다. 유아

교사들의 안전교육 모듈 학습영역에 대한 요구도는 ‘유아 안전사고 시 대처(M=4.40,

SD=0.66)’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아교육기관 안전관리(M=4.36, SD=0.72)’, ‘유아교육

기관 안전교육(M=4.36, SD=0.70)’, ‘유아의 발달특성과 안전사고(M=4.34, SD=0.70)’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교육 모듈 학습영역에 대한 설문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순위검증을 실

시한 결과, ‘유아교육기관 안전관리’ 영역이 17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 안전사고

시 대처’ 영역이 174점,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 영역이 173점 순으로 나타났다.

Page 13: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147

<표 7> 안전교육 모듈 학습영역에 대한 유아교사 대상 요구도 평균 및 순위 (N=261)

학습영역 평균 표준편차순위

1순위 2순위 총점

유아의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4.34 .70 114 55 169

유아교육기관 안전관리 4.36 .72 126 51 177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 4.36 .70 112 61 173

유아 안전사고 시 대처 4.40 .66 96 78 174

주. 1순위(빈도×2), 2순위(빈도×1)에 임의로 가중치를 두어 해석하여 n값과 전체 점수가 상이함.

2) 학습내용 요구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안전교육 모듈의 학습영역의 내용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 8과 같다. 유아교사들은 안전교육 모듈의 ‘유아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영역의 학습내

용에 있어서 ‘유아 발달특성과 사고 유형(M=4.36, SD=0.69)’, ‘유아 안전사고 장소와 시간대

(M=4.35, SD=0.67)’로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 안전관

리’ 영역의 학습내용에 있어서 ‘유아교육기관 실내 안전관리(M=4.37, SD=0.72)’ 내용의 필요

성이 ‘유아교육기관 실외 안전관리(M=4.33, SD=0.68)’의 내용의 필요성보다 조금 더 높게 나

타났다.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 영역의 학습내용에 있어서는 ‘안전교육활동계획안 평가

(M=4.14, SD=0.81)’, ‘안전교육활동계획안 작성(M=4.13, SD=0.76)’, ‘연간안전교육계획안 작성

(M=4.11, SD=0.79)’, ‘연간안전교육계획안 평가(M=4.09, SD=0.78)’ 등으로 필요도가 나타났다.

‘유아 안전사고 시 대처’ 영역의 학습내용에 있어서 ‘사고 유형별 응급처치(M=4.58,

SD=0.57)’, ‘사고보고서 작성(M=4.05, SD=0.71)’, ‘사고 시 교(직)원의 법적 책임(M=3.90,

SD=0.90) 등으로 필요도가 나타났다.

안전교육 모듈 학습내용에 대한 필요도 순위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아의 발달특성과 안전

사고’ 영역에서는 ‘유아의 발달특성과 사고 유형’에 대한 필요도가 409점, ‘유아 안전사고 장

소와 시간대’가 374점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 안전관리’ 영역에서는 ‘유아교육기관 실내

안전관리’가 482점, ‘유아교육기관 실외안전관리’가 300점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 안전

교육’ 영역에서는 ‘연간안전교육계획안 작성’이 283점, ‘연간안전교육계획안 평가’가 180점 순

으로 나타났다. ‘유아 안전사고 시 대처’ 영역에서는 ‘사고 유형별 응급처치’가 506점, ‘사고 보

고서 작성’이 172점 순으로 나타났다.

Page 14: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14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표 8> 안전교육 모듈 세부내용에 대한 유아교사 대상 요구도 설문지 결과

학습영역 세부내용 평균표준

편차

순위

1순위 2순위 총점

유아 발달

특성과 안전사고

유아 발달특성과 사고 유형 4.36 .61 296 113 409

유아 안전사고 장소와 시간대 4.35 .67 226 148 374

유아교육기관

안전관리

유아교육기관 실내 안전관리 4.37 .72 441 41 482

유아교육기관 실외 안전관리 4.33 .68 80 220 300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

연간 안전교육계획안 작성 4.11 .79 262 21 283

연간 안전교육계획안 평가 4.09 .78 88 92 180

안전교육 활동계획안 작성 4.13 .76 116 46 162

안전교육 활동계획안 평가 4.14 .81 56 102 158

유아 안전사고 시

대처

사고 유형별 응급처치 4.58 .57 492 14 506

사고 보고서 작성 4.05 .71 6 166 172

사고 시 교(직)원의 법적 책임 3.90 .90 24 81 105

주. 1순위(빈도×2), 2순위(빈도×1)에 임의로 가중치를 두어 해석하여 n값과 전체 점수가 상이함.

3. 면담조사 결과

1) 유아의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신입교사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몰라서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경력교사는 사고가 발생

해도 스스로 처리할 수 있다고 믿는 안전 불감증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견

이 나타났다.

A: 교사가 유아의 연령별 발달특성을 알아야 하는 것은 기본이라고 생각하고요. 발달특성에 대

한 이해가 있어야 유아에게 안전교육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집단면담_1회)

C: 신입교사는 3, 4월 이후 안전 불감증이 생기기 전에 긴 시간이 아니더라도 수시로 안전교육

이 필요해요. 경력교사는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해요. 2, 3년차만 되어도 ‘난 이미 다 알아’ 라고

생각하세요. 사고보고서를 보면 기초적인 거에서 ‘이런 실수를 하셨네’ 라고 생각이 드는데 본

인은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해요. 경력교사인데 아이가 미끄럼틀에서 거꾸로 내려오는데 주의를

주지 않아서 사고가 났어요. ‘설마 사고가 나겠어? 사고가 나도 대처할 수 있어’ 라고 생각해요.

초임교사는 알려주어도 잘 몰라요. 구체적으로 ‘이 영역에서 어떤 사고가 날 수 있어요’. 라고

영역이나 장소 공간으로 알려주면 보시고 경력교사는 유아 개개인별로 내성적이거나 활동적인

아이의 특성을 알려주고 주의하도록 해요. 대개 활동적인 아이 옆에 있다가 내성적인 아이가 다

치더라고요. (개인면담_1회)

Page 15: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149

I: 발달과 관련해서 다친 부위가 다르고 운동신경 발달에 따라 방어하는 능력이 다르니까 먼저

유아의 발달특성을 학습내용으로 다루어주어야 한다고 봐요. (집단면담_1회)

2) 유아교육기관 안전관리

유아교육기관 안전관리에 대해 유아들이 주로 실내에 있는 시간이 많으므로 실내 안전관

리가 중요하지만 실내는 교사가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어서 그나마 안전관리가 용이하다는 의

견을 보였다. 그런데 실외는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외 안전관리가 매우

중요하고 실외 안전관리에 대한 모듈 내용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B: 유아 같은 경우는 놀이하면서 다치는 경우가 많아요. 실외에 나가면 다치더라고요. 저는 실

외가 더 신경이 쓰여요. 어린이집 내에 있는 놀이기구는 안전인증이 되어서 괜찮은데 계속 원내

에서 놀 수 없잖아요. 아파트 단지는 아파트 주민에게 동의를 구하고 들어가야 해서 못 들어가

요. 인근 시에서 관리 운영하는 공원에 가는 경우에는 들어가기 전에 미리 점검해요. 시소가 망

가졌다든가, 그네가 좀 빠졌다거나, 미끄럼틀에 균열이 있다든가 하는 것을 점검하고 아이들에

게 미리 이야기하고 진입을 못하게 해요. (개인면담_1회)

E: 실내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므로 실외에서 활동을 하다가 풀어주고 싶기는 한데 다치면 교사

의 책임이잖아요. 저희는 주변이 모두 주차장이에요. 아이들이 학기 초에 씽씽카를 가져오더라

고요. 주자창에 차가 놓여있는 것을 보고 아이들이 그대로 하는 것 같아요. 그런데 용인시에서

주차로 인한 사고가 있었잖아요. 그레서 통신문에 부모님 차를 현관에 들어와서 주차하지 않도

록 알려드리고 아이들 안전에 유의하고 있어요. (집단면담_1회)

F: 아이들이 계단에서 몇 칸씩 뛰어 내리거나, 아이들끼리 계단에서 밀치는 경우를 보게 되면

가슴이 철렁해요.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이동하는 시간에는 아이들을 한 눈에 파악하기 어려워

서 사고가 날까봐 걱정이 되요. (개인면담_1회)

I: 저는 안전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계단에서 다치기도 하고 오르간에도 부딪혀서

찢어지기도 하고 의자에서 부딪혀서 다치기도 하고 교구에서 다치기도 해요. 유아가 다치지 않

도록 안전한 환경을 구성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봐요. 콘센트 안전덮개를 확인하고 날카로운

모서리가 없는지 확인해야 해요.(개인면담_1회)

3)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

안전교육에 있어서는 연간교육계획안을 작성하는 것이 먼저이고 그 이후에 평가가 이루어

지고 각 안전교육 활동이 잘 진행되었는지 확인 가능하므로 연간안전교육계획안을 작성하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Page 16: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15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G: 저는 연간안전교육계획안을 작성해야 실행에 옮길 수 있으므로 연간안전교육을 작성하는 것

이 중요하다고 봐요. 대부분 활동자료는 참고할 것이 많아요. 키즈키드 멀티자료를 많이 활용하

는 편이에요. (개인면담_1회)

H: 연간안전교육계획안이 제일 필요할 것 할 것 같아요. 연안에 맞추어 안전교육이 이루어지는

거니까 기본적으로 필요하지요. (개인면담_1회)

I: 연간이 중요해요. 연간을 가지고 안전교육을 몇 개해야 하는지 잘 몰라요, 안전교육 횟수가

들어가니까 안전교육을 해야 하거든요. 수업 할 수 있는 교육계획안을 작성해야 해요. 연간 안

전교육계획안은 다 같이 작성해요. (개인면담_1회)

4) 유아 안전사고 시 대처

안전사고 시 대처와 관련하여 상황별 응급처치 교육이 매우 필요하며 교사들이 쉽게 학습

할 수 있도록 상황별 응급처치 내용이 동영상으로 제작되었으면 하는 요구가 나타났다. 그런

데 경력이 높은 교사는 경험이나 교육에 의해 응급처치 대처 능력이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안

전사고 후 부모와 적절하게 소통하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타났다.

C: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유아반에 아가씨 선생님들이 배치가 되다보니까 아이에게

사고가 나면 ‘어떻게 해요? 코피가 나도 어떻게 해요’라고 당황해하고 대처를 잘 못해요. 응급처

치 사례를 들려주거나 동영상을 보여주면 좋을 것 같아요. (개인면담_1회)

D: 응급처치는 교사들이 어려워하지 않아요. 워낙 다양하게 교육을 받거든요, 그런데 선생님들

은 부모님에게 전달하는 것을 어려워해요. 사고보고서는 쓰면 되는데 부모와 지속적으로 통화

를 해야 하는 경우 교사가 대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너무 미안해하면 부모는 하대하고 그렇다고

그럴 수 있지요 할 수 없는 입장이고 그 중간을 처신하기가 어려운 거예요. 사고 후 부모에게

적절하게 대응하는 게 교사들에게 필요하다고 봐요. (집단면담_1회)

F: 제가 신입교사이었을 때 아이가 계단에서 넘어져서 눈 밑을 다쳐서 피가 나는데 어떻게 해

야 할지 몰라서 우왕좌왕 했거든요. 피가 나면 솜으로 닦아주면 안 되는데 저는 피가 나서 막아

야 한다는 생각이 먼저 들었어요. 원장님과 주임선생님께 물어보느라 왔다 갔다 하면서 시간이

걸렸어요. 그리고 눈 밑 상처로 나중에 성형수술을 할 필요도 있다고 들어서 매우 긴장했어요.

(개인면담_1회)

G: 초임 때 종일반 교사를 했는데 아이들이 실내화 덧신으로 장난을 치다가 한 아이가 실내화

덧신에 눈이 긁혔어요. 외관상으로 문제가 없어서 어머니께 상황을 알려드리고 아프다고 하면

말씀을 주시라고 했는데 하원을 하고 저녁 7시에 아이가 눈을 못 뜬다고 연락이 와서 응급실로

데리고 갔어요. 알고 보니 아이가 각막을 다쳐서 눈을 못 뜬 것이었는데 어머니가 많이 놀라셔

서 연락을 하신 거였어요. 그 뒤로 안전사고에 더욱 신경을 쓰게 되었어요.(개인면담_1회)

Page 17: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151

H: 저는 아직까지 안전사고를 경험한 적은 없어요. 그런데 유치원에서 한 아이가 철문으로 나

가다가 손이 끼어서 크게 다친 적이 있다고 들었어요. 그때 적절하게 대처하는 것을 모르면 많

이 당황하게 될 것 같아요. (개인면담_1회)

5) 유아교사 대상 안전교육에 대한 요구

유아교사 대상 안전교육에 대한 요구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들이 받는 안전교육이 그리

많지 않다는 의견이 많았다. 특히 공식력있는 기관에서 하는 안전교육보다 금융회사에서 제공

하는 안전교육이나 온라인 안전교육을 듣는 경우가 많다고 하였다. 또한 유아교사 대상 안전

교육이 실효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경력별, 직급별 안전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타났다.

A: 수료증을 가지고 있어야 해서 온라인교육을 받는데 차라리 집합교육이 더 좋기는 해요. 가

기가 귀찮아서 그렇지 다같이 ppt 보고 이야기하고 사례 공유하거든요. 저희는 경찰청에서 오셔

서 실종유괴, 교통안전 교육 해주셨어요. (개인면담_1회)

B: 요즘 금융과 연계해서 30분 안전교육 하고 30분 금융상품 소개해요. 강사는 금융회사에서 강

사료를 받고 그 이후 상품을 소개해요. 어디에서 뭐하셨고 이야기는 해 주는데 집함교육에서 받

는 경찰, 간호사랑 다르고 시간은 매우 짧아요. 교사 안전교육이 필요한데...5년 전부터 이런 교

육이 많아졌어요. (개인면담_1회)

C: 온라인보다 오프라인에서 듣는 게 나을 것 같아서 은행 홍보하시는 분들 오시라고는 하는데

별로 의미는 없는 것 같아요. 안전교육이 부실해요. 현장 교사 중에서 안전사고를 별로 생각 안

하시는 분들도 있어요. 안전 불감증이 있어요. 초임교사는 3, 4월만 바짝 긴장하다가 멍들거나

그런 것은 애들에게 흔히 일어나잖아요, 그런데 그렇다가 더 사고가 많이 일어나잖아요. 경력교

사는 안전에 예민하기는 한데 자신이 대처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사고가 일어나는 것 같아요.

신입교사는 안전 불감증이 있고 경력교사는 안전에 대해 느슨하게 생각해서 문제인 것 같아요.

(개인면담_1회)

D: 교사들이 작은 사고에 민감해야 큰 사고가 나지 않아요. 사고가 일어날 때 교사의 잘못으로

전가하게 되면 숨기게 되고 대처를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요. 교육의 차별화가 되어야 해요, 선

입과 경력교사가 달라야 하는데 안전교육이 너무 똑같아서 경력자는 재미없어 하고 신입교사는

어떤 거는 너무 건너뛰고 어는 것은 너무 세밀하고...사고가 일어났을 때 교사가 어떻게 대처하

고 주임은 어떻게 하고 원장은 어떻게 하고 그런 역할들이 분류가 되어야 하는데 너무 일방적

으로 같은 내용이 제공되는 것 같아요. (집단면담_1회)

Page 18: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15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Ⅳ. 안전교육 모듈의 구성

1. 안전교육 모듈의 구성 절차

안전사고 예방 역량 강화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의 구성 절차는 국내외 유아 안전 관련 선

행연구(박미영, 조희숙, 2009; 이영애, 조인경, 1997; 정미라, 배소연, 1999; 채영란, 신수경,

2009)를 분석하고 유아교사에게 적합한 안전교육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1단계와 델파이

조사, 요구도 조사, 면담을 통해 방법론을 도출하는 2단계, 유아교사의 안전사고 예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안전교육 모듈을 개발하는 3단계, 개발된 안전교육 모듈을 적용해서 평가해보

는 4단계로 추진되었다. 안전교육 모듈 구성 절차를 그림 1에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문헌고찰 ⇔- 유아교육기관 안전사고 실태 분석

⇔- 유아교사용 안전교육

모듈 내용의 적절성 - 유아교사 대상 안전교육의 문제점 분석

델파이 조사 ⇔

- 안전교육 모듈 구인 분석

⇔- 유아교육 관련학과

교․강사 40명- 안전교육 학습영역별 구인과 학습영역별 세부

구인의 델파이 조사 ⇓

유아교사

요구도 조사 ⇔

- 안전교육 모듈 학습영역과 학습영역별

세부내용에 대한 요구도 분석

- 예비조사

(설문지: 유아교사

10명/면담: 유아교사

1명)

- 본 조사

(설문지: 유아교사 261명

/면담: 유아교사 6명과

원장 3명)

- 안전교육 모듈 학습영역과 학습영역별

세부내용에 대한 요구도 설문지 분석

- 안전교육 모듈 학습영역과 학습영역별

세부내용에 대한 요구 면담 분석

모듈- 안전교육 모듈의 목표, 학습내용, 적용방법,

안전역량에의 기여도 평가 - 유아교사 20명

[그림 1] 안전사고 예방 역량 강화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구성 절차

Page 19: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153

2. 안전교육 모듈의 정의와 목표

본 안전교육 모듈은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안전사고를 줄이고 안전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

소화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사고예방과 사고대처 안전역량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의 목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자주 일어나는 유아의 연령별 발달특성과 관련한 사

고유형,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위험요인,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에 대해 알고 안전사고

를 예방하는 방법을 익힌다.

둘째, 유아교사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응급상황을 알고 응급상황에 따른 적

절한 대처방법을 익힌다.

3. 안전교육 모듈의 학습내용

안전교육 모듈의 학습내용은 요구도 질문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고 예방’과 ‘사고 대처’

두 가지 학습영역으로 구분하고 총 5가지 모듈로 구성하였다. 사고 예방 학습영역에는 ‘유아

의 발달특성과 사고유형’, ‘유아교육기관 시설설비 안전관리’,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 3가지

모듈로 되어 있으며 사고 대처 학습영역에는 ‘사고 시 응급처치’와 ‘사고보고서 작성 및 부모

와의 소통’ 2가지 모듈로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안전교육 모듈의 구성은 다음 그림

2와 같다.

[그림 2] 안전교육 모듈의 학습내용

Page 20: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15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안전교육 모듈의 학습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아의 발달특성과 사고유형’(모듈1)은

유아교사가 유아의 연령별 발달특성의 취약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 유형을 이해하도

록 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만3-5세 유아의 발달특성과 관련하여 나타나기 쉬운 사고유형, 예

를 들어 호기심이 많고 인과관계를 모르기 때문에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려다 추락사고를 당

하거나, 신체조절 능력이 증가하지만 민첩성이나 대소근육 조절 및 협응력이 미흡하여 놀이

중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아는데 의미를 둔다. ‘유아교육기관 시설설비 안전관

리’(모듈2)는 유아교사가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시설설비의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안전사고

를 사전에 예방하는데 초점을 둔다. 날카로운 모서리, 미끄러운 화장실 바닥 등 실내 시설설

비의 위험요인을 알고 제거하여 부딪히거나 미끄러져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

도록 한다.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모듈3)은 유아교사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해야 하는

안전교육의 종류와 내용을 이해하고 연간안전교육계획안 및 안전교육 활동계획안을 작성하

는데 주안점을 둔다. ‘사고발생 시 응급처치’(모듈4)는 유아교사가 다양한 응급상황에 적절한

응급처치 방법을 익히는데 초점을 둔다. 예를 들어, 화상을 입었을 때, 다리를 삐었을 때, 눈

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등 구체적인 응급상황을 모의하고 적절한 응급처치 방법을 시연해

보게 한다. ‘사고보고서 작성 및 부모와의 소통’(모듈5)은 유아교사가 안전사고 발생 후 사고

보고서를 작성하고 부모와 적절하게 소통하는 방법을 익히는데 주안점을 둔다. 예를 들어, 유

아가 신발장에 이마가 베이는 사고를 가장하고 사고보고서를 작성하고 부모와 소통하는 방

법이 적절한지 평가한다.

4. 안전교육 모듈의 적용방법

안전교육 모듈의 적용방법을 살펴보면, 안전교육 모듈1은 ‘유아의 발달특성과 사고유형’에

대한 내용으로 학습자가 유아의 연령별 발달특성을 기술한 문장카드를 연령별로 구분한 다

음 연령별 발달특성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 사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사례연구

교수방법을 적용한다. 교수자는 유아의 발달특성과 사고유형간 관계를 이해하는지 확인하고

유아의 발달특성과 관련된 사고위험을 파악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한다.

안전교육 모듈2는 ‘유아교육기관 시설설비 안전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학습자가 유아교육

기관 실내외 환경을 담은 사진이나 동영상 자료를 보면서 위험요인을 찾아보고 실내외 시설

설비 안전점표를 작성한다. 교수자는 시설설비 안전점검의 내용이 적절한지 확인하고 시설설

비 위험성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한다. 안전교육 모듈3은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에 대한 내

용으로 학습자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해야 하는 안전교육의 종류와 내용, 방법 등을 숙지

Page 21: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155

모듈 1: 유아의 발달특성과 사고유형

핵심요소 사고 예방

세부목표유아의 연령별 발달 특성을 구분한다.

유아의 연령별로 자주 일어나는 안전사고 유형을 안다.

필요지식3-5세 유아의 발달특성에 대한 지식

유아기에 자주 발생하는 사고 유형에 대한 지식

교수방법 발표, 사례연구

집단형태 개별 혹은 소집단

학습자료재료, 자료 - 유아의 연령별 발달특성을 기술한 문장카드

기기(장비/공구) - 노트북, 빔 프로젝트

학습내용

① 유아의 발달특성을 기술한 문장 카드를 나누어 갖는다.

② 유아의 발달특성에 따라 문장카드를 구분해본다.

③ 유아의 발달특성별로 구분한 문장카드의 내용에 대해 발표한다.

④ 발표한 내용 중에 유아의 발달특성 문장카드를 적절하게 구분하지 못한 경우는 교수

자가 피드백을 해 준다.

⑤ 유아의 발달특성과 관련하여 발생가능한 안전사고 사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모듈 2: 유아교육기관 시설설비 안전관리

핵심요소 사고 예방

세부목표 유아교육기관 실내․외 시설설비 안전관리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한다.

필요지식 유아교육기관 실내․외 시설설비 안전관리

교수방법 동영상 시청, 토론

집단형태 개별 혹은 소집단

학습자료

재료, 자료 - 유아교육기관 실내․외 안전점검 표, 유아교육기관 실내․외 환경을 담 은

사진이나 동영상 CD

기기(장비/공구) - 실물환등기, 빔 프로젝트

하고 연간안전교육계획안을 작성한다. 교수자는 연간안전교육계획안의 미흡한 부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안전교육 모듈4는 ‘안전사고 발생 시 응급처치’에 대한 내용으로 학습자

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일어나기 쉬운 응급상황과 관련한 사진자료나 설명자료를 보고 적절한

응급처치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유아모형을 가지고 응급처치 시연을 한다. 교수자는

학습자의 대처 행동에 대해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안전교육 모듈5는 ‘사고 시 대처’에

대한 내용으로 학습자는 응급상황에서 적절한 대처 행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구급차를

부르고 부모와 소통하는 역할극을 수행하고 사고보고서를 작성한다. 교수자는 사고 시 대처

행동이 적절했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사고보고서 작성이 적절한지 확인해준다. 안전

교육 모듈을 적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표 9에 제시하였다.

<표 9> 안전교육 모듈의 적용방법

Page 22: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15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학습내용

① 안전점검표를 조별로 나누어 갖는다.

② 유아교육기관 실내․외 환경을 담은 사진이나 동영상 CD를 보여주고 조별로 위험요

인에 대해 토론을 하게 한다.

③ 조별로 토론을 한 내용을 토대로 실내․외 시설설비 안전점검표를 기입해보게 한다.

④ 교수자는 작성한 실내․외 시설설비 안전점검표에 대해 피드백을 해 준다.

모듈 3: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

핵심요소 사고 예방

세부목표 유아교육기관에서 연간 실시해야 하는 안전교육의 종류와 내용을 안다.

필요지식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해야 하는 안전교육에 대한 지식

교수방법 발표

집단형태 개별 혹은 소집단

학습자료재료, 자료 - 유아교육기관 연간 안전교육계획안

기기(장비/공구) - 실물환등기, 빔 프로젝트

학습내용

① 유아교육기관 연간 안전교육계획안을 조별로 나누어 갖는다.

② 조별로 연간 안전교육계획안이 연간 실시해야 하는 안전교육의 종류와 내용을 포함

하고 있는지에 대해 평가표를 작성한다.

③ 조별로 평가표에 대한 내용을 발표한다.

④ 교수자는 연간 안전교육계획안을 보고 평가항목에 대한 피드백을 해준다.

모듈 4: 사고 발생 시 응급처치

핵심요소 사고 시 대처

세부목표 유아교육기관에서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 상황 시 적절한 응급처치를 적용한다.

필수지식 상황에 따른 응급처치에 대한 지식

교수방법 시연

집단형태 개별 혹은 소집단

학습자료재료, 자료 - 응급상황 그림자료나 응급상황에 대한 설명카드

기기(장비/공구) - 유아 모형

학습내용

① 응급상황 그림자료나 응급상황에 대한 설명자료를 나누어 갖는다.

② 응급상황 그림자료나 응급상황에 대한 설명자료를 보고 적절한 응급처치 방법을 토

론한다.

③ 응급상황 그림자료나 응급상황에 대한 설명자료에 따라 응급처치 방법을 유아모형

에 시연해본다.

④ 교수자는 응급처치 행동이 적절했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해 준다.

모듈 5: 사고보고서 작성 및 부모와의 소통

핵심요소 사고 시 대처

세부목표 사고 시 적절하게 대처하는 행동절차를 알고 부모와 적절하게 소통한다.

필요지식 안전사고 발생 시 행동절차에 대한 지식

교수방법 역할극

집단형태 개별 혹은 소집단

Page 23: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157

학습자료재료, 자료 - (모형)전화기, 응급상황 시 행동절차와 구급차 부르기 매뉴얼, 사고보고서

기기(장비/공구) - 유아 모형

학습내용

① 응급상황 시 적절한 행동에 대해 이야기나눈다.

② 응급상황을 가정하고 구급차를 부르고 부모와 소통하는 역할극을 수행한다.

③ 사고보고서를 작성한다.

④ 교수자는 역할극에서 드러난 응급상황 시 대처행동에 대한 피드백을 해 준다.

5. 안전교육 모듈의 평가

개발된 안전교육 모듈을 소집단 교사연수에 적용하였고 연수과정에서 교사들의 모듈 활용

모습을 관찰하고 유아교사들의 모듈에 대한 평가를 통해 본 연구자가 개발한 안전교육 모듈

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2015년 11월 1일부터 11월 10일 사이에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교육

기관 1곳에서 총 20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안전교육 모듈에 대한 연수가 진행되었다. 소

모임 교사연수는 교실에서 진행되었으며 모듈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한 후 교사들이

학습내용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소요시간은 모듈 당 50분 정도 소요되었고 연수가 종료된 후

안전교육 모듈에 대한 평가를 설문조사로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문항은 안전교육 모듈의 목

표, 학습내용, 적용방법 등이 적절한지 그리고 교사들의 안전역량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 등의 4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Likert 척도로 내용에 동의하는 정도에 따라

‘매우 그렇다(5점), 전혀 아니다(1점)’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설문결과에 의하면, 유아교사들은

안전교육 모듈의 목표, 학습내용, 적용방법이 매우 적절한 것으로 보고하였고 안전교육 모듈

에서 다루는 지식과 기술이 교사의 안전역량을 기르는데 매우 도움을 된다고 응답하였다.

<표 10> 유아교사들의 안전교육 모듈에 대한 평가 결과 (N=20)

질문 평균 표준편차

1. 안전교육 모듈의 목표는 적절하다. 4.52 0.35

2. 안전교육 모듈의 학습내용은 적절하다. 4.33 0.47

3. 안전교육 모듈의 적용방법이 적절하다. 4.12 0.51

4. 안전교육 모듈에서 다루는 지식, 기술은 교사의 안전역량을 강화 하는데 도움이 된다.

4.66 0.13

Page 24: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15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안전교육 모듈을 개발하여 현직에 근무하는 유아교

사의 안전과 관련한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교육 모듈 학습영역에 대한 요구도는 ‘유아교육기관 안전관리’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 안전사고 시 대처’,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안전사고가 주로 실내․외 환경에서 일어나며 시설설비의 관리

소홀이나 안전점검이 제대로 되지 않아 발생한다고 주장한 선행연구(박미영, 조희숙, 2009;

박용길, 2004; 이순자, 2006) 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 안전사고는 대부분 유아의 발달수준에

부적합한 시설설비, 놀이기구의 결함, 안전점검의 미비 및 관리 감독 소홀 등의 이유로 발생

하므로(신동주, 2001) 실외로 이동 시 다른 유아와의 충돌을 막고 성인의 감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Wellhousen, 2002) 시설설비 안전관리에 대한 안전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면담에서도 유아교육기관 시설설비 안전관리가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기관의 시설설비 관리 소홀이나 정기적인 안전점검 미흡

으로 인해 유아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아교육기관 시설설비 안전관리에 대한 학

습영역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초임교사들은 잘 몰라서 안전관리를 잘 못하는 경향

이 있는 반면 경력교사는 사고 시 충분히 대처할 수 있다는 자만감과 안전불감증으로 인해

안전관리를 소홀히 하는 측면이 있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의 시

설설비 안전관리 정도는 대체적으로 양호하지만 안전관리 정도에 있어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 차이가 있다고 주장한 박미영과 조희숙(2009)의 연구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

으로 안전관리 정도가 낮은 유아교사의 경우에는 경력에 상관없이 안전관리의 중요성을 일

깨우고 안전사고 위험성을 수시로 점검해보게 하는 시설설비 안전관리에 대한 학습이 요구

됨을 시사한다.

‘유아 안전사고 시 대처’ 학습영역에 대한 요구도가 두번째로 높게 나타났는데, 안전사고는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모든 사고를 예방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고 유아는 경미

한 사고에도 영구적 장애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김미선 외, 2006), 사고 시 대처 영역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면담에서 응급상황 시 초임교사

때는 많이 당황하지만 경력이 증가하면서 경험에 의해 응급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력이 많은 교사들도 유아의 생명이 위급한 응급상황에서는 당황

Page 25: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159

스럽고 두렵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들이 흔히 발생하는 응급처치 지식과

상황에 대해서는 자기효능감이 높은 반면, 생명과 직결되는 위급한 상황에 대한 지식과 자기

효능감이 낮게 나타난 김미선 외(2006)의 연구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유아의

생명을 담보하고 상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심각한 응급상황 시 유아교사들의 안전 역량을 강

화하여 안전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 영역에 대한 요구도가 세 번째로 높게 나타났는데,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은 영유아의 연령을 고려하여 안전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상황에 맞게 융통성있는

교육방법을 적용해야 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교사들은 학기 초 연간교육과정을 계획할

때 그 해에 일 년 동안 이루어질 안전교육에 대한 계획을 함께 수립하며 생활주제와 연계하

여 안전교육을 실시한다(배지희 외, 2015). 아동복지법 제31조 ‘아동의 안전에 대한 교육’ 규

정에 의하여 유아교육기관은 의무적으로 유아 안전교육을 실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

고가 유아의 생명과 직결되므로 안전사고 예방과 관련하여 안전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유아교사들이 실시해야 하는 안전교육의 종류별로 계획, 실행,

평가와 같은 구체적인 방법과 내용을 익힐 수 있어야 하고 응급상황 시 대처법이 강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한편, 안전교육 모듈 학습내용에 대한 요구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고유형별 응급처

치’의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아교육기관 실내 안전관리’, ‘유아의 발달특성과 사고

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면담에서도 유아교사가 응급상황 시 적절하게 대

처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응급상황에서 어찌할 바를 모르는 경우도 있으며 사고 시 대처방법

은 알고 있으나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하는 경우는 당황스럽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

는 유아교사들의 안전교육 요구도 중에서 응급처치의 우선수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장영희,

정미라와 배소연(1997)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특히 심폐소생술, 중독, 끼임, 협착 등의 응급

처치를 교사들이 어려워한다는 연구결과(이선미, 조민순, 2010)와 경미한 사고에 대한 응급처

치 지식은 높게 나타났으나 생명과 직결되는 상황에 대한 응급처치 지식이 낮게 나타난 김미

선 외(2006)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응급처치 유형을 세

밀히 파악하여 보다 구체적인 응급처치 교육이 제공되어야 하며 유아교사의 응급처치 능력

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는 일회성 교육이 아니라 응급상황별 시연학습

이 가능해야 하고 응급대처 능력에 따른 수준별 안전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유아교육기관 실내 안전관리’ 학습내용에 대한 요구도가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는데, 유아

가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장소가 실내이고 실내 안전사고 비율이 높게 나타나므로

유아교사들이 실내 안전관리 학습내용을 필요로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데, 본 연구에서

Page 26: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16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실시한 면담 결과, 유아교사들은 실외 학습내용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실외놀이를 나

갈 때 교사가 한 눈에 유아를 살펴보기 어려운 경우도 발생하고 바깥에서 예기치 못한 위험

요소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실외 안전관리 학습내용이 안전교육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견

이 나타났다. 또한 실내에서 발생한 사고보다 실외에서 발생한 사고로 인한 손상의 정도가

더 심하거나 손상의 범위가 심할 수 있으므로 유아교사가 실외 활동 시 주의해야 할 위험요

인에 대해 알고 위험요소를 제거하거나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타났다. 특히 유

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터보다 공원이나 근처 숲으로 산책을 갈 때 더 위험하다고 교사들이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외놀이터 안전관리 수준이 낮은 편이며 유아교

육기관 소재 놀이터가 아파트나 주택단지, 근린공원에 비해 안전관리 수준이 높다고 보고한

정미라와 강수경(2011)의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 하며 실외활동시간이 자유선택활동시간이

나 신체활동 및 게임시간보다 사고경험이 높으며 실외가 실내보다 사고경험이 높다는 차경

순과 유연옥(2006)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또한 유아교사들이 실외놀이 운영 시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여 불안하다고 보고한 유정선과 엄정애(2004)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그

동안 실시된 교사의 안전연구는 대부분 교통안전, 놀이안전, 응급처치 관련 내용을 주로 다루

고 실외놀이 안전은 다루지 않고 있는데 실외놀이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 교사 재교육이 필

요하다고 주장한 이희선과 최미란(2007)의 연구결과는 실외 시설설비 안전관리의 중요성과

실외안전과 관련한 교육의 필요성을 재확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유아의 발달특성과 안전사고 유형’에 대한 학습내용 요구도가 세 번째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안전규칙을 개념화하고 배우는데 연령차가 있고 유아의 발달특성에 따라 사고유형도

다르게 나타나므로(신현정, 신동주, 2007; 이화용, 신동주, 2006) 유아교사들이 유아의 발달특

성과 사고유형에 대한 내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유아기는 발

달특성상 사고 위험성이 높은 시기로 위험상황에 대한 인식과 위험 예측 능력이 부족하고 신

체조절 능력이 미숙해서 사고의 가능성이 높은 시기이다(김경중, 서금택, 2008; 이혜경, 이재

연, 2005; 정미라, 배소연, 1999). 유아교사가 유아의 연령별 발달특성을 이해하고 안전사고

유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유아교육기관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 사례를 공유하고 유아의 연

령별로 자주 발생하는 안전사고 유형에 대해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안전교육 모듈의 구성 절차는 안전사고 예방 역량 강화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의 구

성 절차는 국내외 유아 안전 관련 선행연구(박미영, 조희숙, 2009; 이영애, 조인경, 1997; 정미

라, 배소연, 1999; 채영란, 신수경, 2009)를 분석하고 유아교사에게 적합한 안전교육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1단계와 델파이 조사, 요구도 조사, 면담을 통해 방법론을 도출하는 2단계, 유

아교사의 안전사고 예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안전교육 모듈을 개발하는 3단계, 개발된 안

Page 27: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161

전교육 모듈을 적용해서 평가해보는 4단계로 추진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안전교육 모듈의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안전교육 모듈 핵심요소를 정

하고 핵심요소별로 안전교육 학습영역을 구성하고 학습영역별로 학습내용을 구성하였다. 안

전교육 모듈의 핵심요소는 유아교사 대상 안전교육에 있어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안전사고

예방과 안전사고가 발생 시 적절한 대처법이 중요하다고 주장한 선행연구(박미영, 조희숙,

2009; 이영애, 조인경, 1997; 정미라, 배소연, 1999; 채영란, 신수경, 2009) 결과를 반영하여 사

고 예방과 사고 대처 두 가지로 선정하였다. 사고 예방과 사고 대처와 관련한 두 가지 학습영

역을 구성하였고 안전교육 모듈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유아교사 대상 안전교육의 문제점인

일회성 연수의 제한점(한민경, 김수향, 2012)을 극복하고 특히 대집단 이론 강의 위주의 안전

교육에서 담보하지 못하는 유아교사의 응급처치 능력(이선미, 조민순, 2010)을 강화하기 위하

여 체험학습을 강조하는 5가지 안전교육 모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면담결과에

서도 유아교사들은 대부분 온라인으로 안전교육을 받거나 금융회사에서 찾아오는 방문교육

으로 응급처치 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교육의 교사연수 프로그램이 세부적이고

구체적이지 못하며 자격연수, 일반연수, 직무연수 과정에서 안전에 관해 일부만을 다루거나

응급처치에 대해 한 두 시간만을 할애하고 있는 등(이순자, 2006) 유아교사 대상 안전교육이

피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안전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교사들의 요구에 부응

하는 안전교육 모듈의 학습내용이 구성되어야 하고 학습자인 유아교사가 능동적으로 참여하

고 체험하는 자기 주도적 활동이 주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유아교사 대상 안전교육 모듈

의 학습내용은 첫째, 사고 예방과 관련하여 유아의 발달특성과 사고유형, 유아교육기관의 시

설설비 안전관리,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 등 3가지 모듈로 구성하였다. 둘째, 사고 대처와 관

련한 유아 안전사고 시 대처에서는 사고 시 응급처치와 사고보고서 작성 및 부모와의 소통

등 2가지 모듈로 구성하였다. 또한 학습모듈의 적용방법으로는 ‘유아의 발달특성과 사고유형’

모듈1에서는 발표 및 사례연구를 실시하고, ‘유아교육기관 시설설비 안전관리’ 모듈2에서는

동영상을 시청하고 토론을 통한 인과학습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 모듈3에서

는 발표를 통한 사례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고 시 응급처치’ 모듈4에서는 응급처치 방법을

시연하고, ‘사고보고서 작성 및 부모와의 소통’ 모듈5에서는 응급상황에서 부모와 소통하는

역할극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안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모듈을 개발한 것으로 안전과 관련

한 모듈이 개발되지 않은 시점에서 유아교사의 요구에 근거한 안전교육 학습내용을 제시하

고 유아교사의 능동적, 자발적인 참여를 강조하는 적용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

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유아교사들이 생명과 직결되는 상황에 대한 지식이 적고 응급처치

Page 28: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16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자기효능감도 매우 낮으므로 교사 연수과정에서 실제적인 처치를 중심으로 한 실기교육이

필요하다(김미선 외, 2006)는 점을 고려할 때 시연과 역할극 등의 교수방법을 통해 유아교사

의 사고 시 대처 능력이 함양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안전교

육 모듈의 장․단점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안전교육 모듈을 적용해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연구들이 후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추후연구에서는 개발된 안

전교육 모듈의 효과를 살펴보고 현직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안전교육 모듈이 계속해서

개발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모듈3의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은 모듈3-1 ‘교통안전교육’,

모듈3-2 ‘실종유괴의 예방방지교육’, 모듈3-3 ‘약물오남용예방교육’, 모듈3-4 ‘재난대비 안전

교육’, 모듈 3-5 ‘성폭력예방교육’ 등으로 세부모듈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맞춤

형 안전교육 모듈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유아교사들이 3년 이상이 되면 나름대로 자

기 계발을 위한 새로운 교육방법을 찾으려하고 다양한 연수경험을 통해 실제에 적용하고자

노력한다는 이애심(2006)의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교사의 경력별로 맞춤형 안전교육 모듈의

구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집합교육 위주의 교육이 개별학습

으로 전환되어 자율적,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유아교사 대상 안

전교육은 획일적 안전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맞춤형 안전교육이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이

를 위해 추후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요구에 맞추어 보다 학습영역별 세부 모듈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적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Page 29: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163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2009). 유치원지도서 6: 건강과 안전. 서울: 두산출판사.

권혜진(2008). 예비 유아교사를 위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모듈 구성 및 적용: 안전교육을 중심

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2(3), 283-310.

김경중, 서금택(2008). 보육시설 안전관리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가정보육연구, 1(1), 32-47.

김미선, 박미화, 이효숙(2006). 유아교사의 응급처치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1), 91-114.

김소윤, 김유진(2015). 보육교사의 안전교육 실태 및 교사인식과 요구. 아시아아동복지연구,

13(4), 89-103.

김수향, 안은희(2015). 유아교사의 안전지식, 안전통제가 안전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

학회논문지, 16(1), 246-254.

김신정, 김예영, 김성희, 박현정, 강경아(2013). 보육시설 아동에 대한 교사의 안전교육 요구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2), 137-150.

김영실, 윤진주(2010). 영유아 안전교육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30(4), 49-78.

김혜금(2010). 어머니와 보육교사의 상해 신념과 안전사고 예방행동의 비교. 아동학회지, 31(2),

169-182.

(2011). 유아의 상해위험행동 발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6), 39-46.

(2013). 영아 보육교사의 상해예방을 위한 감독과 자기 효능감 및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6), 573-581.

김혜금, 김명순(2007). 영유아 부모를 위한 가정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대한가정학회지,

45(2), 33-50.

박미영, 조희숙(2009). 유아교사의 안전환경 관리 정도 및 안전교육 실천 정도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과의 차이. 유아교육연구, 48(2), 1-19.

박영선, 신동주(2014). 유아교육기관 유아 안전사고의 잠재적 요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4(2), 347-370.

박용길(2004). 유치원 안전관리에 대한 교사의 지각 연구. 인문학논총, 4, 288-308.

박은혜, 김혜금, 남궁선혜(2005). 보육시설 운영매뉴얼 및 보육프로그램: 영·유아의 건강 및 안전

보호 지침. 서울특별시 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방경숙(2005). 보육교사에 대한 보건소 중심의 영유아 안전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부모자녀

건강학회지, 8(1), 23-36.

Page 30: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16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배지희, 권경숙. 이사임, 이미선(2015).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안전교육 실제와 교사의 어

려움 및 요구. 유아교육연구, 35(4), 223-248.

송연숙, 유수경(2016). 직무분석과 IPA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운영 제고 방

안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5(2), 201-228.

신동주(2001).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놀이시설물 안전사고 실태 및 안전사고의 원인에 대한 교사

들의 인식 조사. 한국영유아보육학, 25, 223-241.

신현정, 신동주(2007). 생활안전에 대한 유아의 지식, 행동, 위험요소 예측능력에 관한 연구. 유

아교육연구, 27(6), 273-293.

오효선, 홍혜경(2013). 농촌지역 특성을 반영한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열린유아교육

연구, 18(1), 41-69.

유구종, 한명옥(2015). 유아교사를 위한 상황중심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 시안 개발. 열린유아교

육연구, 20(1), 317-344.

유구종, 한명옥(2016). 상황중심 유아안전교육 수업모형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21(3), 57-85.

유정선, 엄정애(2004). 서울시 사림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 실태와 교사의 인식. 교육과학연구,

35(1), 39-57.

이데일리(2016.9.12.). 어린이집 안전사고 5년 동안 2배 넘게 증가. http://www.edaily.co.kr/news/

NewsRead.edy?SCD=JG11&newsid=03083206612779464&DCD=A00701&OutLnkChk=Y에

서 2016년 9월 15일 인출.

이선미, 조민순(2010). 보육교사의 응급상황에 따른 처치방법에 대한 실태연구. 미래유아교육학

회지, 17(4), 55-80.

이순자(2006). 유아교육기관의 안전 환경에 관한 실태 연구: 대구광역시 중심으로. 영유아교육연

구, 9, 55-70.

이애심(2006). 생태유아교육 교사연수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연구. 생태유아교

육연구, 5(1), 25-55.

이영애, 조인경(1997). 안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한국영유아보육학, 12, 219-241.

이영환, 임옥희, 원은실(2004). 유아교사의 안전인식과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 실태. 한국가정

과학회지, 7(3), 59-71.

이은경, 안효진(2006). 유아교사들의 안전에 대한 지식과 사고예방실천과의 관계 연구. 대한가정

학회지, 44(6), 15-22.

이준식(2005). 사진영상교육의 모듈식 교육과정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학회지, 13, 118-130.

이혜경, 이재연(2005). ‘위험’에 대한 아동의 이해. 한국영유아보육학, 17, 181-201.

이화국, 김창식(1990). 과학교육 모듈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0(2), 25-37.

이화용, 신동주(2006). 실외놀이시설 놀이안전규칙에 대한 유아의 인식 및 행동. 한국영유아보육

Page 31: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165

학, 47, 133-150.

이희선, 최미란(2007).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 시설 설비 실태와 안전평가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5(10), 97-111.

임현교(2014). 어린이집 유치원 안전교육, 이대로 충분한가?. 세월호 참사로 돌아본 보육 교육시설

재난대비 교육의 현실. 국회의원 김현숙 주최 세미나 자료집, pp.16-22. 6월 17일. 서울: 국

회의원회관 제1회의실.

장영희, 정미라, 배소연(1997).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 실태. 아동교육연구, 17(1), 23-44.

정미라, 강수경(2011). 실외놀이터 안전실태: 관리주체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249-268.

정미라, 배소연(1999). 유아교사의 안전지식의 정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9(1), 189-205.

정윤석, 안기옥, 안정환, 윤유상, 조영신(2009). 가정 내 응급처치를 위한 맞춤형 교육모듈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사)선한사마리안인운동본부.

정정란(2014).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조사. 유아교육학논집, 18(1), 199-223.

차경순, 유연옥(2006). 공립유치원 교사의 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실천. 유아교육, 15(2), 163-178.

채영란, 신수경(2009). 유아교사의 안전에 대한 인식과 교실환경 안전실태와의 관계 연구. 유아

교육학논집, 13(3), 397-412.

쿠키뉴스(2016.10.05.). 어린이집에서 매년 어린이 10여명 사망…5년간 안전사고 227% 증가.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html?no=398833에서 2016년 10월 7일 인출.

한민경, 김수향(201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재해 안전교육 실태 및 교사의 인식 분석: 대구

및 경북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6(1), 135-162.

허기, 형근혜, 홍혜경(2015). 아동복지법 안전교육 기준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4), 125-154.

Ayre, C., & Scally, A. J.(2014). Critical values for Lawshe’s content validity ratio: Revisiting

the original methods of calculati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7(1), 79-86.

Dick, W.(1987). Instructional design and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Educational

Leadership, 44(4), 54-56.

Lawshe, C. 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Miller, T. R., & Galbraith, M. (1995). Injury prevention counseling by pediatricians: A

benefit-cost comparison. Pediatrics, 96(1), 1-4.

Morrongiello, B. A., Klemencic, N., & Corbett, M.(2008). Interactions between child behavior

patterns and parent supervision: Implications for children’s risk of unintentional injury.

Page 32: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16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Child Development, 79(3), 627-638.

Morrongiello, B. A., & Mark, L.(2008). Practice what you preach: Induced hypocrisy as an

intervention strategy to reduce children's intentions to risk take on playground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3(10), 1117-1128.

Sellstrom, E., & Bremberg, S.(2000). Education of a staff : A key factor for a safe

environment in day care. Acta Paediatrica, 89(5), 601-607.

Shearn, P.(2006). Teaching practice in safety education: Qualitative evidence. Research

Papers in Education, 21(3), 335-359.

Wellhousen, K.(2002). Outdoor play everyday: Innovative play concepts for early childhood.

Albany, New York: Delmar.

Page 33: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2017. 1. 2. ·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김 혜 금**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필요로

유아교사를 위한 안전교육 모듈 개발 ․ 167

Abstract

The development of a safety training module for

early-childhood teachers

Hye Gum Ki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afety training module for early-childhood teachers.

40 experts conducted the Delphi survey and 261 teachers were respondents in this study.

Additionall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director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needs and interviews, a safety training modul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developed. The safety training modules consisted of two learning areas of “accident prevention” and

“coping with accidents.” Accident prevention consisted of understanding chil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accidents, facilities for safety manage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afet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Coping with accidents

consisted of first aid by accident type, preparing accident reports, and communicating with 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the basis of continuous safety module development in

the future as it is the beginning of the development of safety training mod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