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6
지역산업연구Ⅰ제42권 제4호Ⅰpp. 111 136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비교연구 * 1) 2)3) 권해숙(Kwon, Hai Sook) ** 오원정(Oh, Won Jung) *** 국문요약 시공능력평가제도는 국토교통부 장관이 매년 7월말 건설업체의 시공실적, 경영상태, 기술능 력 및 신인도를 기초로 시공능력을 평가하고 공시하는 제도로서 시공능력평가액이라는 지표를 산출하여 보고하고 있다. 시공능력평가액은 각종 공사계약시 공사를 담당하는 기업의 정보를 제 공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개정된 평가방법에 의한 시공능력평가액이 기존 평가방법에 따른 시공능력평가액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추가로 시공능력평가액이 기업가치와 관련이 있다는 권해숙오원정(2016)의 연구를 근거해 시공능력평 가액의 기업가치관련성이 증가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결과,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정 전후의 시공능력평가액 간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결과 가 나타났고,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정 이후 시공능력평가액의 기업가치관련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공능력평가액을 구성하는 공사실적평가액, 경영평가액, 기술능력평가액, 신인 도평가액도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정 이후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이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개정된 시공능력평가제도가 기존의 시공능력평가제도보다 기업가치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 주제어 | 시공능력평가제도, 시공능력평가액, 기업가치관련성 .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전망에 따르면 2019년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도 대비 약 7.9%감소한 137조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수주, 기성, 투자, 전문건설업 등 전 부분이 대체적으 로 부진하며 이에 따라 건설수주 감소세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건설 부분에 대 한 수요감소는 경제 전체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파급효과가 다른 산업들에 비해 크게 작용하며, 고용에 있어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정수준의 사회간접자본 (SOC)에 대한 투자가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개별 기업은 구조조정과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 (주저자) 경희사이버대학교 세무회계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경희사이버대학교 세무회계학과 부교수,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17-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지역산업연구Ⅰ제42권 제4호Ⅰpp. 111~136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비교연구*1)

2)3)권해숙(Kwon, Hai Sook)**․오원정(Oh, Won Jung)***

5

국문요약

시공능력평가제도는 국토교통부 장관이 매년 7월말 건설업체의 시공실적, 경영상태, 기술능

력 및 신인도를 기초로 시공능력을 평가하고 공시하는 제도로서 시공능력평가액이라는 지표를

산출하여 보고하고 있다. 시공능력평가액은 각종 공사계약시 공사를 담당하는 기업의 정보를 제

공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개정된 평가방법에 의한 시공능력평가액이

기존 평가방법에 따른 시공능력평가액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추가로

시공능력평가액이 기업가치와 관련이 있다는 권해숙‧오원정(2016)의 연구를 근거해 시공능력평

가액의 기업가치관련성이 증가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결과,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정 전․후의 시공능력평가액 간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결과

가 나타났고,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정 이후 시공능력평가액의 기업가치관련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공능력평가액을 구성하는 공사실적평가액, 경영평가액, 기술능력평가액, 신인

도평가액도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정 이후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이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개정된 시공능력평가제도가 기존의 시공능력평가제도보다 기업가치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 주제어 | 시공능력평가제도, 시공능력평가액, 기업가치관련성5

Ⅰ. 서 론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전망에 따르면 2019년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도 대비 약 7.9%가

감소한 137조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수주, 기성, 투자, 전문건설업 등 전 부분이 대체적으

로 부진하며 이에 따라 건설수주 감소세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건설 부분에 대

한 수요감소는 경제 전체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파급효과가 다른 산업들에 비해 크게

작용하며, 고용에 있어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정수준의 사회간접자본

(SOC)에 대한 투자가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개별 기업은 구조조정과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경희사이버대학교 세무회계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교신저자) 경희사이버대학교 세무회계학과 부교수, [email protected]

Page 2: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112 지역산업연구|제42권 제4호|2019.11

위험관리가 절대적으로 요구되므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생산성 제고 등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선별된 수주를 통해 수익성 중심의 내실경영을 추구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박선구,

2018). 이러한 건설산업에 대한 환경변화는 건설수요의 불안정을 초래하게 되며 건설기업

의 수주물량을 감소시켜 전반적인 건설경기침체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원도급 업

체인 종합건설업체와 하도급 업체인 전문건설업체의 경영상태를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

다(김난식‧이동욱, 2014).

건설업의 경우 다른 산업과는 달리 선(先)주문-후(後)생산이라는 수주산업의 특성을 지

니며, 발주금액이 크고 생산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어 공사 진행 중에 수많은 위험에 직면

할 수 있다. 또한 공사기간에 대한 미 준수, 부실공사 또는 업체 부도 등 생산과정에서 다양

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주자가 건설공사에 따른 위험

과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기술이나 경영측면에서 우수하고 능력 있는

건설업체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발주자는 목표한 공사를 적시에 원하는 성과를 달성

하고 공사위험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건설공사를 수행하는 건설업체에 대한 정보가 필요

하다. 즉 공공기관이 발주하는 공공공사의 수행업체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뿐 만 아니라

채권자, 주주를 비롯한 투자자들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개별건설업체에 대한

수익성을 비롯한 경영분석자료 뿐만 아니라 관련 정보가 필요하다(김성연, 2013).

이와 관련하여 건설산업기본법 제23조1)에 근거한 시공능력평가제도는 국토교통부 장

관이 매년 7월말 건설업체의 시공실적, 경영상태, 기술능력 및 신인도를 기초로 시공능력

을 평가하고 공시하는 제도로서, 시공능력평가액이라는 지표를 산출하여 보고하고 있다.

시공능력평가제도는 발주자가 적정한 건설업자를 선정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함을 목적

으로 한다. 또한 시공능력평가액을 활용하는 수주방식이나 각종 계약을 검토해볼 때, 시

공능력평가액은 대기업보다는 중소건설사를 보호하고 육성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정규모이하의 공공공사에 대해서는 대기업이 수주하지 못하도록 중소기업

의 수주영역을 보호해주는 제도라든지, 시공능력평가액을 근거로 공사입찰 계약에 대한

제한 사항을 명시하는 제한경쟁입찰 등의 기준을 결정하고자 할 때 시공능력평가액이 직

접 적용되므로, 재무제표 정보 등 기업평가자료를 쉽게 이용할 수 없는 중소 규모의 비상

장 기업들에 대한 평가자료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1986년에 현재의 시공능력평가액의 산정방법인 4가지 평가요소 합산 방식을 도입하여

도급한도액을 산정하였으며, 1997년 8월에 ‘시공능력평가’로 명칭을 변경하고 평가점수를

1) 제23조(시공능력의 평가 및 공시) ①국토교통부장관은 발주자가 적정한 건설업자를 선정할 수 있

도록 하기 위하여 건설업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그 건설업자의 건설공사 실적, 자본금, 건설공사

의 안전․환경 및 품질관리 수준 등에 따라 시공능력을 평가하여 공시하여야 한다. <개정 2011. 5. 24., 2013. 3. 23.> ②삭제 <1999. 4. 15.> ③제1항에 따른 시공능력의 평가 및 공시를 받으려는

건설업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전년도 건설공사 실적, 기술자 보유현황, 재무상

태, 그 밖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Page 3: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비교연구 / 권해숙 ․ 오원정 113

공사실적평가액, 경영평가액, 기술능력평가액, 신인도평가액 항목으로 세분하여 산정하

는 현행 방식을 채택하였다. IMF이후 건설업계의 부도 증가와 경영부실에 따라 시공능력

평가액 산정시 경영평가와 기술평가에 대한 비중을 확대하는 등의 보완이 이루어졌으나,

시공능력평가액을 평가할 때 경영평가액 비중이 지나치게 높게 계상되어 실제 시공실적

보다 시공능력이 과다 평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들(도태호, 2004; 이승복·배

유진, 2012; 이유진, 2013; 김성연, 2013)이 보고되었다. 이에 따라 2015년에 기존의 시공능

력평가액의 개념이 “건설업자가 시공할 수 있는 1건의 공사 예정금액”에서 “건설업자의

상대적인 공사수행 역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나타내는 지표”로 바뀌었으며, 「건설산

업기본법」시행규칙을 개정하여 시공능력평가액이 과다하게 평가되는 문제점을 개선하

고자 경영평가액 비중을 축소하고 기술능력항목의 비중을 확대하는 등 평가방법이 개정

되었다. 이에 따라 2016년부터 새로운 평가방법에 근거해 시공능력평가액을 산정하고 관

련 기관을 통해 공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시공능력평가제도의 개정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개정된 시공

능력평가방법에 의한 시공능력평가액이 기존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시공능력평가액

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시공능력평가액이 기업가치와 관련이

있다는 권해숙·오원정(2016)에 근거해 개정된 시공능력평가방법에 의한 시공능력평가액

및 시공능력평가액을 구성하는 항목별 금액의 기업가치관련성이 기존의 시공능력평가액

에 비해 증가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시공능력평가제도의 개정효과와 더불

어 시공능력평가액이 기업가치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여부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

지 않는 상황에서 시공능력평가액의 기업가치관련성을 살펴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서론에 이어 제Ⅱ장에서는 시공능력평가제도에 대한 변

천과정 및 활용, 선행연구 등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고 연구가설을 도출한다. 제Ⅲ장에서

는 표본의 선정과 연구모형을 제시하며, 제Ⅳ장에서 실증분석 결과, 제Ⅴ장에서 결론을

기술한다.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시공능력평가제도의 변천과정 및 활용

1) 시공능력평가제도의 변천과정(이승복․이유진, 2012)

우리나라 건설업은 1962년부터 도급한도액제를 도입하여, 매년 “건설업체가 도급받을

수 있는 1건 공사의 최고 한도금액”을 산정하여 발표, 이후 수차례의 개정을 거치면서 현

재 시공능력평가제도로 이어져오고 있다.

Page 4: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114 지역산업연구|제42권 제4호|2019.11

<제도의 변천과정>

ⓐ 1958년 9월 24일: 청부상하한제 도입 및 등급별 면허제 실시함.

ⓑ 1961년 5월 5일: 도급한도액 제도(입찰한도액제) 도입함.

- 각 업체의 공사 실적과 경영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며, 구체적으로

최근 2년간의 건설공사 실적 연평균액과 유동비율·부채비율 등의 경영 상태, 기술,

개발비규모, 상벌 여부 등을 고려해 도급한도액을 결정함.2)

즉, 건설업자는 1건 공사 예정금액이 최근 2년간의 건설공사실적에 의한 영업세 연

평균액의 300배 이상이거나 납입자본금(또는 개인인 경우 재산한도)이상의 공사를

도급받을 수 없도록 함.

ⓒ 1963년 5월 31일: 입찰한도액을 최근 2년간의 건설업 영업세를 납부한 건설공사실적

을 합산한 금액 또는 건설공사실적이 없거나 실적이 납입자본금보다 적을 때에는 납

입자본금을 그 입찰한도액으로 결정함.

ⓓ 1969년 10월 1일: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던 건설공사 실적신고 의무를 모법(母法)

인 건설업법에 규정함.

ⓔ 1972년 12월 31일: 도급한도액 기준금제를 도입하여 공사도급 실적을 도급 한도액

으로 인정하되, 도급한도액 기준금인 자본금 및 적립금의 10배를 초과할 수 없도록

규정함.

ⓕ 1980년 1월 4일: 단종공사업3)에 대한 도급한도액제도에 대한 도입근거를 신설함.

ⓖ 1986년 2월: 도급한도액 평가시 현행 4가지 합산 방식 도입함.

- 도급한도액 계산시 기존의 단순 실적 및 자본금에 의한 기준에서 실적평가액, 경영

평가액, 기술투자액, 상벌액으로 세분화하여 4가지 평가요소별 산정방식 형태로

개정함.

ⓗ 1994년 1월 7일: 공공공사로서 PQ적용공사에 대해 도급한도액 적용을 배제함.

ⓘ 1996년 12월 30일: 시공능력공시제도를 도입함.

- 도급한도액제를 시공능력공시제도로 전환하고, 국토부 장관은 건설업자의 시공능

력을 평가·공시하고 발주자는 이를 참고해 건설업자를 선정함.

ⓙ 1997년 8월: 시공능력평가제 도입함.

- 도급하한제도를 ‘시공능력평가’로 명칭 변경 및 시공능력평가 점수를 공사실적평

가액, 경영평가액, 기술능력평가액, 신인도평가액 항목으로 세분하여 산정하는 형

태를 사용함.

ⓚ 1999년 4월 15일: 시공능력공시 의무제도를 임의제도로 전환함.

ⓛ 2000년 7월: 경영평가 비중 확대함.

2) 매일경제 용어사전3) 1981년 12월 31일: 단종공사업을 전문공사업으로 명칭을 변경함.

Page 5: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비교연구 / 권해숙 ․ 오원정 115

- IMF사태로 인한 건설업계의 부도증가에 따라 경영부실이 시공능력에 중요한 요소

로 대두됨에 따라 실적평가액을 축소하고 경영평가액을 확대함. 이에 따라 실적평

가액은 과거 70%에서 60%로, 경영평가액은 50%에서 100% 반영으로 조정됨.

ⓜ 2010년 2월: 기술평가 비중 확대함.

- 기술평가액 확대 및 경영평가액 비중을 축소해 시공능력평가액을 계산하는 방법으

로 반영비율이 조정됨에 따라 경영평가액을 기존의 100%에서 75%로, 기술능력 생

산액은 30%로 상향 조정하여 평가액을 계산함.

ⓝ 2015년 : 시공능력평가액 개념을 개정하고, 산정방법을 개선함.

- 기존의 시공능력평가액의 개념이 “건설업자가 시공할 수 있는 1건 공사의 예정금

액”에서 “건설업자의 상대적인 공사수행 역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나타낸 지

표”로 개정됨.

- 또한 시공능력평가 항목별 비중에 대한 조정, 공사실적평가액·경영평가액·기술능

력평가액 및 신인도 산정방법을 개선하였으며, 시공능력평가시 부도·법정관리 등

부실화 미반영4), 일부 평가지표의 미흡 등의 문제점 개선을 위해 「건설산업기본

법 시행규칙」을 개정함.

2) 시공능력평가제도의 활용

시공능력평가 결과에 대한 활용은 조달청 등을 비롯한 발주기관들이 등급별 유자격자

의 명부를 작성·운영하며, 제한경쟁입찰기준, 중소건설업체 보호를 위한 대형건설업체의

공사수주에 대한 제한, 건설업체의 시공여유율 평가 등에 활용하고 있다(이승복․배유진,

2012).

<표 1> 시공능력평가액 활용 현황

자료: 김민형(2006) “시공능력평가·공시제도 개선 방안”

4) 부도 업체의 시공능력 재평가 등 (제23조 제6항 내지 제8항 신설)

부도·법정관리·워크아웃이 발생할 경우 시공능력평가를 재평가하되, 경영평가액을 0으로 함 .

구 분 주관 부처

등급별 유자격자 명부 운영(1∼7등급) 조달청

제한 및 지명경쟁 입찰 참가 제한(국가계약법) 기획재정부

공사대금 하한 적용대상 결정(건설산업기본법) 국토해양부

공사수주 자격제한(건설산업기본법) 발주자

건설재해율 산정(산업안전보건법) 고용노동부

하도급업법 적용 업체 규정(하도급거래공정화 법률) 공정거래위원회

공동계약시 공동수급체 운영 기준 기재부, 조달청, 행안부

시공여유율 평가 조달청, 행안부

민간발주자 및 신용평가기관의 업체평가 자료로 활용 -

Page 6: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116 지역산업연구|제42권 제4호|2019.11

①등급별 유자격자 명부 운영

종합건설업체(토건, 토목, 건축)간 균등한 입찰기회를 보장하는 ‘등급별 유자격자명부

등록 및 운영기준에 의하면, 등급별 제한경쟁입찰제도는 종합건설업체를 시공능력평가

액에 따라 7개 등급으로 분류하고 등급별로 공사배정범위를 정한 다음 동일 등급 업체 간

에 경쟁하도록 하는 제도로, 업체규모별로 균등한 입찰기회가 보장되므로 중소업체의 수

주기회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충남일보, 2018).

②제한경쟁입찰의 제한기준5)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계약 목적, 성질 및 규모 등을 고려하여

발주자가 입찰참가자를 제한하는 경우 시공능력평가액 또는 동종 공사실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며, 이때 공사의 추정금액이 종합건설의 경우 30억원, 기타 전문공사의 경우 3억원

이상인 경우 제한경쟁입찰이 가능하다. 관련해 시공능력평가액으로 입찰참가를 제한하

는 경우 추정금액의 2배 이내에서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③공사금액의 도급하한결정6)

중소건설업자를 지원하기 위해 대기업인 건설업자가 도급받을 수 있는 하한금액을 제

시하는 제도이다. 즉 토목공사업, 건축공사업 및 토목건축 공사업을 시공하는 업종에 등

록한 건설업자로서 해당 업종에 대한 최근 년도 1,200억원 이상 건설업자는 당해 연도 시

공능력평가액의 1% 이하인 공사에 대해서는 참여할 수 없도록 대형건설업체의 소규모 공

사 참여를 제한하는 제도이다.

④공사수주 자격제한7)

⑤입찰참가자 자격기준8)

조달청이 발주하는 공공공사의 경우 입찰자의 시공능력평가액이 해당공사의 추정금액

을 초과해야 함을 규정한 제도이다.

⑥건설 재해율 산정대상 업체 선정9)

시공능력평가액을 참고로 고용노동부장관이 공시하는 건설업자는 산업재해 발생률을

산정하도록 규정한 제도이다. 대상업체는 시공능력평가액 순위 1000위까지의 건설업체

5)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 시행령 제21조, 시행규칙 24, 25조6) 건설산업기본법 제47조, 시행령 제39조7) 건설산업기본법 제25조8) 건설산업기본법 제4조9)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3조의 제1항 & 2(협조요청)

Page 7: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비교연구 / 권해숙 ․ 오원정 117

로, 해당 재해율 실적을 PQ신인도에 반영해 건설업체의 재해예방활동을 촉진하고 있다.

⑦원사업자 하도급법 적용대상 기준10)

공동수급체를 구성한 경우 하도급법에 의한 원사업자가 되기 위해서는 다른 중소건설

업자 시공능력평가액의 2배를 초과하는 경우에 가능하도록 규정한 제도이다.

⑧시공능력 상위 10개사 공동수급체 구성금지

조달청 ‘일괄입찰 등의 공사입찰특별유의서’ 제8조 제4항에 따르면 주공사가 토목, 건축

공사, 산업․환경설비 공사인 경우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토목건축 또는 산업․

환경설비 시공능력평가기준 상위 10위 이내 업체 상호간에는 공동수급체를 구성할 수 없

음을 규정하고 있다. 다만, 조달청은 기술형 입찰 유찰사태가 심각했던 지난 2015년 내부

지침을 만들어 부득이한 경우 10대 건설사 공동도급을 허용하고 있다. 조달청은 관련지침

에 따라 입찰공고 후 2회 이상 유찰된 경우, 같은 조건으로 입찰공고에도 경쟁 가능성이 희

박한 경우와 수요기관의 요청과 협의가 있는 경우에 한해 10대 건설사 공동도급을 허용했

다(건설경제신문, 2018).

⑨기타 시공능력평가제도의 활용

그 외 민간발주자 및 소비자는 아파트 선분양시 해당 건설회사의 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 시공능력평가액을 활용하고 있으며, 주식시장 등 금융시장에서는 건설업체의 투

자지표의 하나로 참고하여 활용하고 있다. 그 외 통계청이나 연구기관 등에서도 업체의

규모를 판단하는 경우나 해외공사 입찰시 해당업체에 대한 정보 활용을 비롯해 신용평가,

부도위험 등 건설업체에 대한 정보로 활용하고 있다.

3) 기존 시공능력평가방법과 개정된 평가방법의 비교

①기존의 시공능력평가방법: 2016년도 이전(국토교통부, 2014)

- 시공능력평가액 = 공사실적평가액 +경영평가액 + 기술능력평가액 ± 신인도평가액

(75%) (75%) (30%) (25%)

여기에서, 공사실적평가액 = 최근 3년간 연평균 공사실적 × 75%경영평가액 = 실질자본금11) × 경영평점12) × 75%기술능력평가액

= 기술능력생산액13) + (퇴직공제불입금14)×10)

+ 최근 3년간 기술개발투자액신인도평가액 : 신기술지정, 협력관계평가, 부도, 영업정지, 재해율 등을 감안해

가감

10)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하도급법) 제2조2항11) 실질자본금 = 총자산 - 총부채

Page 8: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118 지역산업연구|제42권 제4호|2019.11

②개정된 시공능력평가방법: 2016년 이후(국토교통부, 2019)

- 시공능력평가액 = 공사실적평가액 + 경영평가액 + 기술능력평가액 ± 신인도평가액

(70%) (80%) (30%) (30%)

여기에서, 공사실적평가액

= 최근 3년 간의 해당 업종의 건설공사실적의 연차별 가중평균액

= [(평가년도 이전 1차년도 공사실적액×120%)

+(평가년도 이전 2차년도 공사실적액×100%)

+(평가년도 이전 3차년도 공사실적액×80%)] ÷ 3경영평가액 = 실질자본금 × 경영평점15) × 80%기술능력평가액

= 기술능력생산액(전년도 동종 업계의 기술인 1인당 평균생산액 ×

건설업자가 보유한 기술자 수×30%) + (퇴직공제납입금×10)

+ 최근 3년 간의 기술개발투자액신인도평가액 : 「건설기술 진흥법」제14조에 따라 신기술의 지정을 받은 자

또는 동법 제51조에 따라 우수건설업자로 지정된 자인 경우

최근 3년간 건설공사실적의 연차별 가중평균액의 2%에 해당하는

금액을 각각 가산

현행 시공능력평가의 정의를 “건설업자가 시공할 수 있는 1건 공사에 대한 예정금액”이

라고 규정하고 있으나, “건설업자의 상대적인 공사수행 역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나타

낸 지표”로 개정하여 시공능력평가의 본질적 개념과 부합하도록 하였다. 그 외 현재 23개

공종의 실적정보를 제공하던 것을 보다 세부적인 시설물별 공종(30개)의 실적정보를 제공

하여 발주자에 대한 정보제공 범위를 확대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정된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건설산업의 경영상태가 악화되는 현실을 감

안해 공사실적보다는 경영상태를 중시하는 등 경영평가액 반영비율을 상향조정하는 등

평가항목별 비중을 조정하였다. 우선 공사실적평가액의 경우 공사실적 연평균액의 75%

반영비율을 70%로 하고, 최근 3년간 공사실적을 단순평균 하던 것을 최근 공사실적을 중

시하여 연차별 가중평균 하도록 하였다. 경영평가액은 (실질자본금×경영평점)의 75%를

반영하던 것을 80%를 반영하고, 경영평점과 관련해 기존에 포함되었던 유동비율을 삭제

하고 대신 안정성과 관련된 지표인 차입금의존도, 이자보상비율을 추가하였다. 기술능력

평가액 산정시 기술개발투자액을 기존에 재무제표 상 회계사가 인정한 금액에서 세무서

에 신고한 금액으로 변경하여 정확성을 높였다. 신인도평가 개선과 관련해서는 변별력이

12) 경영평점 = (유동비율 평점 + 자기자본비율 평점 + 매출액순이익률 평점 + 총자본회전율 평점) ÷ 413) 기술능력생산액 = 전년도 동종업계의 기술자 1인당 평균생산액 × 보유기술자수 × 30%14) 퇴직공제불입금 = 전년도 중 건설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건설근로자퇴직

공제회에 공제부금으로 불입한 금액15) 경영평점 = (차입금의존도 평점 + 이자보상비율 평점 + 자기자본비율 평점 + 매출액순이익률

평점 + 총자본회전율평점) ÷ 5

Page 9: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비교연구 / 권해숙 ․ 오원정 119

미미한 건설공사 국제품질인증(ISO) 가점 항목을 삭제하고, 공사대금·임금 등 체불 사업주

로 공표된 경우 감액, 기술자 교육시 가점 등 2개 항목을 추가하였다.

<표 2> 시공능력평가액의 주요변경내용

2. 선행연구

1) 시공능력평가액과 평가항목들간의 관련성

권해숙·오원정(2016)은 매년 공시되는 시공능력평가액이 기업가치와 가치관련성을 갖

고 있는지를 직접적으로 검증하고자 2011-2015년 기간을 대상으로 시공능력평가액과 초

과이익으로 평가한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초과이익평가모형

(RIM)을 이용하여 기업가치를 측정한 후 시공능력평가액이 기업가치를 나타내는 정보로

써 의미가 있는지를 검증하였으며, 추가로 시공능력평가액의 구성요소인 공사실적평가

액, 경영평가액, 기술능력평가액, 신인도평가액 각각이 기업가치와 관련성을 갖는지에 대

해 분석해봄으로써 시공능력평가액의 구성요소의 적절성에 대해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시공능력평가액은 기업가치와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가지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시

공능력평가액이 기업가치를 설명하는 변수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건설업의 경우 다른

업종에 비해 업체의 수는 많으나 비상장된 기업이 많고 상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정보

가 부족한 상황에서 매년 공시되는 시공능력평가액이 기업을 대표할 수 있는 정보라고 제

시하였다.

정근채(2017)는 시공능력평가액이 높게 평가된 기업의 공사수행과 관련된 역량이 뛰어

나다면 건설공사실적이 많을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해 2007년∼2016년 동안의 10년간 시

구분 변경내용

시공능력평가액• 건설업자가 시공할 수 있는 1건 공사에 대한 예정금액

→ 건설업자의 상대적인 공사수행 역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나타낸 지표

- 공사실적평가액• 연평균액의 반영비율 75% → 70%

• 최근3년 간 공사실적 단순평균 → 연차별 가중평균

- 경영평가액

• (실질자본금×경영평점)의 반영비율 75% → 80%

• 경영평점계산시 (유동비율 평점 + 자기자본비율 평점 + 매출액순이익률 평점

+ 총자본회전율 평점) ÷ 4 → (차입금의존도 평점 + 이자보상비율 평점

+ 자기자본비율 평점 + 매출액순이익률 평점 + 총자본회전율평점) ÷ 5

- 기술능력평가액• 기술개발투자액 계산시 기존에 재무제표 상 회계사가 인정한 금액 →

세무서에 신고한 금액

- 신인도평가액

• 건설공사 국제품질인증(ISO) 가점 항목을 삭제

• 공사대금·임금 등 체불 사업주로 공표된 경우 감액, 기술자 교육시 가점 등 2개 항목을

추가

Page 10: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120 지역산업연구|제42권 제4호|2019.11

공능력평가액과 건설공사실적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자료에

대한 상관계수 평균이 0.919로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결과는

시공능력평가액이 건설업자에 대한 상대적인 공사수행과 관련된 역량을 정량적으로 나

타내는 지표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시공능력평가액과 건설공사실적

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조경과 토목사업 분야의 시공능력평가액이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

적으로 과대평가되고 있음을 지적하였으며, 10년간 데이터를 이용한 시계열 분석 결과

100대 대기업이 전체 시공능력평가액에서 차지하는 집중도가 매년 증가되고 있음을 지적

하였다. 추가로 시공능력평가액과 건설공사실적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결과 토목, 건축,

조경분야는 중소규모의 기업군에서 시공능력평가액과 건설공사실적이 서로 비례하지 않

으며, 이는 시공능력평가액이 공사수행 역량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시공능력평가액에 대한 과대평가 방지

책, 시공능력평가액 집중화 현상 완화 대책, 시공능력평가액과 건설공사실적 간에 균형화

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후 정근채(2018년)는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실증적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에 착안

해 10년(2007-2016년) 동안의 시공능력평가 자료와 기타 정량적인 자료인 건설공사실적,

건설업 경영관리지표, 재무제표를 이용한 성장성, 안정성, 수익성, 비용지출지표, 활동성,

생산성지표, 그리고 거시경제 지표자료 등을 이용하여 이들 지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

였다. 즉, 기존연구와 마찬가지로 시공능력평가액이 실제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

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기업들의 상대적인 공사역량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인 시공

능력평가액과 건설공사실적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증명

하였으며, 또한, 시공능력평가액과 시공능력평가액을 구성하는 평가항목 들(공사실적평

가액, 경영평가액, 기술능력평가액 그리고 신인도평가액)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

석결과 구성요소들과 시공능력평가액의 상관계수가 평균 0.9이상(공사실적평가액 0.934,

경영평가액 0.92, 기술능력평가액 0.866, 신인도평가액 0.944) 산출되어, 시공능력평가액을

구성하는 요소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매년 상위 100대 기업의 평가

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100대 대기업의 시공능력평가액에 대한 집중은

수익성과 비용지출지표를 악화시켜 건설업 전반의 이익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건설업

의 GDP 뿐만 아니라 취업자 비중을 낮추고 기업의 수를 감소시켜 외형을 축소시키는 부정

적인 결과를 야기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특히 중소규모 기업중심인 토목, 건축, 조경 업종

이라든지 상위 100대 기업을 제외한 기업들의 경우 시공능력평가액과 건설공사 실적 간에

낮은 상관관계를 가지므로, 건설공사실적을 보다 직접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공사실적

평가액의 인정비율을 높이고 기업의 잠재적 능력을 간접적으로 반영하는 경영평가액과

기술능력평가액의 인정비율을 낮추는 방향 등의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Page 11: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비교연구 / 권해숙 ․ 오원정 121

2)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도태호(2004)는 수주산업인 건설산업의 특성상 발주자가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적격

업체를 선정해야 하므로, 관련 평가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왔음을 지적하면서 시공능력평

가제도의 운영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 및 시공능력평가의 방식과 기준에 대

한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즉, 시공능력제도는 기본적으로 상호의미가 서로 다른 평가요소

들인 실적, 경영, 기술, 신인도와 관련된 내용을 금액으로 환산해서 합산 및 평가한다는 문

제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즉 구성항목 간 어떤 비율이 합리적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

없는 상태에서 단순히 개별항목이 실적이나 경영상태, 기술력 등을 제대로 나타날 수 있

는 지표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적평가액에 비해 경영평가액

이 과거보다 과도하게 평가됨으로써 실험이나 기술력 향상에 대한 유인이 감소하고 있다

고 주장하면서, 시공능력평가제도가 반드시 필요한 제도인지를 검토하고, 평가체계를 차

별화하여 점차 발주자의 평가기능을 강화하며, 시공능력평가는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

고 발주자가 재량권을 가지고 공사특성에 맞추어 중요한 정보를 조합 및 활용하도록 유도

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시공능력평가 자체를 일본식의 평가방법인 금액이 아니라

점수로 평가하여 등급을 부여하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이승복·배유진(2012)은 시공능력평가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과 건설산업의 경

쟁력 강화와 선진화를 위한 평가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들 연구에 의하면 당시

시공능력평가제도와 관련해 ‘건설업자 시공능력’에 대한 법적 정의는 “건설업체가 수행할

수 있는 1건 공사의 예정금액”으로 건설업자의 연간 경영현황을 평가하지만, 그 외에도

“특정 공사의 수행여부”, “연간 수행 공사의 규모”, “공사기간 중 도산에 이르지 않을 가능

성” 등으로도 평가가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면서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시공능력평가

의 의미가 사전적격심사 목적이나 신용평가 등과 중복된 측면이 있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평가제도의 내용이나 평가 방식 그리고 평가항목의 적

정성 여부가 결정된다고 주장하면서 ‘시공능력’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의에서부터 시공능

력평가제도의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와 더불어 시공능력평가액 산정

과 관련해 평가항목의 가중치에 따라서 평가의 순위가 바뀔 수 있으므로, 금액에 의한 순

위를 등급별로 분류해 제시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으며, 시공실적·경영상태·기술력·신

인도 등 서로 상이한 평가항목을 금액으로 계량화하는 것은 개별 평가항목별 평가를 왜곡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즉, 발주자가 건설업체와 관련한 재무상태나 기술력을 판단하

고자 할 경우 단순히 각 항목이 비중으로 합산된 결과인 시공능력평가액을 가지고는 해당

되는 능력을 파악하기 어려우며, 평가항목의 비중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

하였다. 이와 관련 시공능력평가제도가 국가가 추구하는 정책방향과 일관성을 갖기 위해

서는 평가항목별 가중치와 세부평가요소 등을 조정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면서, 첨단기

술의 개발을 통한 경쟁력 확보, 고급기술 인력 양성, 재무 건전성 확보 등 기술평가나 경영

Page 12: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122 지역산업연구|제42권 제4호|2019.11

지표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추가로 현재 시공능력평가액 외에 평가항목인 공사실

적, 경영상태, 기술능력 등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공시하여 발주자에게 양적 정보 뿐만 아

니라 질적 정보도 제공하는 방안과 유동비율이나 부채비율 등의 경영평가 항목, 기술개발

비나 교육연수 실적 등의 기술평가 항목, 일자리 창출이나 고용보험 가입 등 개별 신인도

평가항목들을 추가로 공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승복‧배유진(2013)은 기존연구(2012년)에 근거해 시공능력평가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즉, 시공능력평가제도의 개념적 적정성, 평가방법의 합리성, 제도

운영의 효율성 측면에서의 문제점과 시공능력평가액과 더불어 공종별 실적, 준공실적 등

을 추가적으로 공시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를 발주자에게 제공하며, 평가제도의 항목별 가

중치와 평가요소를 시대 상황 등에 맞게 조정하고 금액을 점수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2010년 기준으로 시공능력평가 기준 1건당 1조 이상을 수주할 수 있는 업체가 36개나

됨을 제시하여, 시공능력평가금액이 실제 시공실적에 비해 과대하게 산정되어 있음을 주

장하였다.

김성연(2013)은 기존연구에서 제기되고 있는 시공능력평가제도의 문제점을 ① 건설업

체에 대한 정보 제공의 한계 ②중소건설사 보호 및 육성의 한계로 구분해서 정리하고, 이

와 관련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기초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의견조사결과 전문가집단

에서는 시공능력평가제도가 건설업체의 정보를 제때에 충분히 제공되지 않으나, 시공능

력평가액 산정기준의 적정성에 대해서는 보통이상이라는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시공능력평가제도가 의도하는 목적 중에 하나인 중소건설사의 보호와 육성이라는

측면에 대해서는 전문가 집단 모두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

해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선을 위해 시공능력평가액을 구성하는 세부항목을 수시로 공개

해야 하며, 시공능력평가액 산정 기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로 구성된 ‘산정기준위

원회’ 등의 설치를 제안하였으며, 중소건설사 기준 마련을 위해서는 시공능력평가액 산정

을 위해 고려되는 공사실적, 경영상태, 기술능력 및 신인도 등을 활용하는 방안과 전문 분

야로 특화된 중소건설업체를 별도로 구분하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그 외에 이동훈 외(2011)은 건설기업의 재무 분야 성과지표에 수익성(ROIC: Retrun-on-

invested Capital, 매출액 대비 원가 비율: Ratio of Cost of Sales, 정상이익: Ordinary Income, 원가

절감: Cost Reduction)과 국내외 매출성장과 관련된 성장기대, 그리고 안정성과 유동성(총자

산회전율), 생산성(달성된 목표판매비율) 그리고 새로운 주문으로부터 수령된 금액 등을

재무적 성과치에 대한 평가지표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권경수(2015)는 건설

산업의 고유의 특성이 존재함에 따라 건설업체가 가지는 부채의 의존도는 타 산업과 다른

양상을 보이므로 부채를 축소할 수 없는 상황에서 수익성 확보하기 위한 부채를 얼마만큼

사용해야 하는지, 수익성에 대한 부채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Page 13: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비교연구 / 권해숙 ․ 오원정 123

3. 연구가설

시공능력평가제도는 국토교통부 장관이 매년 7월말 건설업체의 시공실적, 경영상태,

기술능력 및 신인도를 기초로 시공능력을 평가하고 공시하는 제도로, 건설산업기본법 제

23조에 근거 시공능력평가제도는 발주자가 적정한 건설업자를 선정하기 위한 자료를 제

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매년 공시되는 시공능력평가액을 기준으로 조달청에서는 등급별

유자격자의 명부를 작성·운영하고 있으며, 기획재정부는 제한경쟁입찰과 관련된 제한기

준을, 국토해양부에서는 중소건설업체 보호를 위한 대형건설업체의 공사수주에 대한 제

한 등에 활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민간 발주자와 소비자는 아파트 선분양시 해당 건설

회사의 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 시공능력평가액을 이용하고 있으며, 그 외 통계청이

나 연구기관 등에서도 업체 규모를 판단하거나 신용평가, 부도위험 등을 평가하기 위한

정보로 1961년 도급한도액제를 도입한 이후 수차례의 개정을 거치면서 적용되었다.

그러나 시공능력평가제도의 항목별 가중치와 평가요소를 시대 상황 등에 맞게 조정하

고 금액을 점수화해야 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김성연, 2013; 이승복․배유진 2012, 2013)

에서 제기된 바와 같이 실제 시공실적보다 시공능력평가액이 과다하게 평가되어 신뢰성

에 문제가 있다는 주장을 반영하여 국토교통부는 2016년 평가분부터 개정규정에 따른 평

가방법과 구성항목의 반영비율을 변경하였다. 즉 공사실적보다는 경영상태를 중시하여

경영평가의 반영비율을 높이고 경영평가의 지표를 개선하는 등 기업의 안정성 진단을 강

화하고자 하였으며, 공사실적의 경우 최근 공사실적에 가산점을 주고 기술능력의 평가방

법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시공능력평가’의 합리성과 신뢰성을 높이

는 방향으로 개선하였다(국토교통부, 2016).

따라서 2016년 개정된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시공능력평가액이 기존 평가방법에

의한 시공능력평가액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비교함으로써 시공능력평가방법의 개정효과

를 검증하고자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고자 한다.

<가설1> 개정된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시공능력평가액과 기존 평가방법에 의한

시공능력평가액은 차이가 있다.

또한 건설업자의 상대적인 공사수행 역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시공능력평가액이 기

업과 관련된 정보로써 의미가 있다는 기존연구들에 근거해서 권해숙·오원정(2016)은 초과

이익평가모형에 근거한 기업가치와 시공능력평가액과의 가치관련성을 직접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시공능력평가액이 통계적으로 1% 수준에서 유의하게 기업가치와 양의 관련성

을 가지므로, 시공능력평가액이 기업가치를 설명하는 변수로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

다. 특히 건설업의 경우에는 다른 업종들에 비해서 등록업체 수는 많지만, 대부분이 비상

장된 기업으로 상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부족한 상황이므로 매년 공시되는 시공

Page 14: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124 지역산업연구|제42권 제4호|2019.11

능력평가액이 기업을 대표할 수 있는 정보로써 의미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제시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시공능력평가액이 기업가치와 관련성이 있으며, 2016년

에 개정된 시공능력평가액이 기존의 시공능력평가액보다 기업가치와 관련된 정보를 제

공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고자 한다.

<가설2> 개정된 시공능력평가방법에 의한 시공능력평가액이 기존 평가방법에 의한 시

공능력평가액보다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이 높을 것이다.

Ⅲ. 표본 및 연구모형

1. 표본의 선정

2019년 7월 기준 국토교통부가 시공능력을 평가한 업체는 종합건설업 11,044개를 포함

총 61,559개사로 전체 등록업체 68,781개사 중 89%에 해당하며, 이 중 약 3,000여개 기업

들16)이 매년 7월 말(8월 1일 기준) 대한건설협회(www.cak.or.kr)의 홈페이지를 통해 정기적

으로 시공능력평가액 정보를 공시하고 있다.

<표 3> 건설업체 등록현황 및 시공능력평가 업체 수(개사)

구 분 종합건설업 전문건설업 기계설비공사업

시설물유지관리업 계

등록업체 12,651 41,703 8,078 6,349 68,781

시공능력평가업체 11,044 38,070 6,234 6,211 61,559

자료 : 국토교통부 2019년 7월 22일부 보도자료

본 연구에서는 시공능력평가액을 공시한 기업의 경우 가장 최근 연도의 재무제표의 일

부가 공시되므로 이를 근거로 KIS-VALUE상의 재무제표와 직접 비교하여 해당되는 기업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 중에서 재무자료가 상이한 유한회사, 합명회사, 합자회사 및 2013

년부터 2018년 사이에 시공능력평가액을 공시하지 않은 기업을 표본에서 제외하였다. 또

한 KIS-VALUE에 데이터가 등록되지 않은 기업 및 추정기업가치, 총자산 등의 자료를 구할

수 없는 기업들을 표본에서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총 2,276기업/년도를 표본으로 선정하였

다17).

16) 2019년 7월 31일 기준으로 시공능력평가액(토건기준)을 공시한 기업의 수 3,043개임.17) 이는 건설업으로 등록된 기업의 수는 많으나 상장되었거나 외감법상 등록법인인 기업의 수는 일

부에 해당하며,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한 재무제표 및 관련 자료를 구할 수 있는 기

Page 15: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비교연구 / 권해숙 ․ 오원정 125

<표 4> 표본기업

구분 기업/년

2018년 시공능력평가액 공시 기업 18,576

- 유한회사, 합명회사, 합자회사의 형태를 가진 기업 (-) 852

- 2013년부터 2018년 사이 시공능력평가액을 공시하지 않은 기업 (-) 720

- KIS-VALUE에 데이터가 등록되지 않은 기업 (-) 13,176

- 추정기업가치, 총자산 자료 누락 기업 (-) 1,552

2,276

2. 연구모형

본 연구는 <가설1>의 시공능력평가방법 개정 전·후 시공능력평가액의 차이가 유의한

지를 검증하기 위해 시공능력평가방법 개정 전·후 각각 3개년(총 6개년)에 해당하는 기간

을 대상으로 차이분석을 실시한다. 즉, 표본기간(2013년∼2018년도) 중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정 전(2013∼2015년)과 개정 후(2016년∼2018년)로 구분해 단일변량분석(T-test)을 실시

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기업의 가치평가란 예측을 기업가치의 추정치 또는 기업의 어떤 구성요소로 전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기업가치와 주주지분가치를 평가하는데 사용하는 이론모형에는 배당

할인모형(DDM), 현금할인모형(DCF), 초과이익평가모형(RIM), 경제적부가가치모형(EVA)

등이 있다. Lee․Myers(1997)에 의하면 초과이익의 가치추정치가 미래주가형태의 추정에

있어 주가수익률, 주가장부가액비율 및 배당수익률과 같은 정통적인 주가배수모형보다

우수한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기업가치평가 모형 중 가

치평가를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가 적고 평가과정이 단순하며, 회계방법의 영향을 받지

않는 평가모형인 초과이익평가모형(RIM)에 기초한 추정기업가치를 이용하여 시공능력평

가액의 가치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초과이익(Residual Income)은 순이익에서 정상이익을 차감하고 남은 잔여이익으로, 순이

익에서 기초자기자본의 장부가액에 할인율을 곱해서 계산한 자본비용을 차감한 수치이

다. 가치평가과정에서 정상이익이란 자기자본에 대한 필요수익률에 해당하는 이익을 의

미하고, 할인율은 투자자들이 인식하는 위험에 대한 적절한 위험보상률의 개념인 동시에

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자본비용이다(김석용, 2006).

초과이익 = 순이익(포괄이익) - × 기초자기자본

여기서 : 할인율(3년 만기 연평균 국고채이자수익률)

업의 수는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Page 16: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126 지역산업연구|제42권 제4호|2019.11

초과이익평가모형이란 해당기업에 대해 미래에 예상되는 실적을 추정하고 이를 기초

로 산출한 초과이익을 통해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모형으로, 기업의 미래 예상실적을 추정

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출한 초과이익을 통해 기업가치를 평가하며, 주주입장에서 투자원

금인 기초자기자본( )과 자기자본비용을 초과하는 이익의 현재가치를 합한 금액을 기

업가치로 평가하는 모형이다.

추정기업가치 = 자기자본장부가치( ) + 미래초과이익의 현재가치18)

여기서, 자기자본장부가치 = 기말자기자본장부가치(즉 기말순자산가치)

미래초과이익의 현재가치 =

초과이익

할인율 : 업종별 이익지속계수비율로 체감하는 초과이익이 5년간 지속된다고 가정

하여 가장 최초연도의 무위험수익률(국채수익률)을 적용함.

본 연구에서는 초과이익평가모형에 근거한 추정기업가치를 이용하여 시공능력평가액

이 기업가치와 관련성을 가지며, 2016년부터 적용된 개정된 평가방법에 의한 시공능력평

가액이 기존의 평가방법보다 기업가치관련성이 높은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가설2>를 검증하기 위한 구체적인 평가모형은 <식1>과 같다.

= + + + +

+ + <식1>

18) 일반적으로 분석대상연도의 미래초과이익의 현재가치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분석대상연도 이후

의 미래초과이익을 계산해야 한다. 이때 할인율()은 주주의 투자위험 보상을 위해 기업이 최소

한 달성해야 할 필요수익률인 자기자본비용(cost of equity)을 이용하며, 자기자본비용은 무위험이

자율 + (시장위험프리미엄 × 베타 × 100)을 이용하나, 본 연구의 가치평가를 위한 표본대상이 일

부 상장기업을 제외하고는 주가 등의 자료를 구할 수 없는 비상장 외감법인에 해당하므로 신뢰

성 있는 자기자본수익률( )를 구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용평가회사인 NICE

평가정보가 제공하는 KIS-VALUE 초과이익에 근거해 계산된 미래초과이익의 현재가치 및 추정

기업가치를 이용하였다.

<종속변수> = (기말자기자본장부가치 + 미래초과이익의 현재가치)i,t

/ 총자산i,t-1

<독립변수>

= (매년 7월 말 국토부에서 발표하는 기업의 년 시공능력평가액)i,t

/ 총자산i,t-1

= + + + = (공사실적평가액)i,t / 총자산i,t-1 = (경영평가액)i,t / 총자산i,t-1

Page 17: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비교연구 / 권해숙 ․ 오원정 127

시공능력평가액( )이 기업가치와 관련성이 있다면 <식1>에서 의 계

수값인 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값을 가질 것이며, 개정된 평가방법에 의한 시공

능력평가액이 기존 평가액보다 정보효과가 크다면 의 계수값인 도 유

의한 양(+)의 값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능력평가액을 구성하는 각

항목인 공사실적( ), 경영평가( ), 기술능력( ) 그리고 신인도

( )를 측정한 평가금액과 추정기업가치( )와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동일한 평가

모형을 적용하여 개정 이후의 평가액이 기업가치와 관련성이 높아지는지를 실증 분석한

다. 추정기업가치 및 시공능력평가액과 같은 금액변수에는 총자산으로 나누어 규모의 효

과를 통제하였으며, 시공능력평가방법 개정 전·후의 차별적인 정보효과( )를 검증

하기 위해서 시공능력평가방법 개정 전 연도인 2013∼2015년에는 0, 개정 이후인 2016∼

2018년도에는 1의 값을 부여하였다.

기존연구와 마찬가지로 코스닥 및 거래소 상장 여부( )와 시공능력평가액의

순위와 관련된 더미변수( )를 통제변수로 포함하였다. 의 경우 코스닥이

나 거래소 시장에 상장된 기업이면 ‘0’, 코넥스나 외감기업 등 비상장기업에는 ‘1’을 부여하

였다. 그리고 의 경우 매년 제공되는 시공능력평가순위를 기준으로 1∼100위에

해당하는 기업에는 ‘0’의 값을, 그 외에 순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1’의 값을 부여하였다19).

일반적으로는 공개된 시장을 통해 상장을 하였거나, 시공능력평가액의 순위가 높은 기업

군에 속한 기업들이 그렇지 않은 기업들에 비해 더 많은 정보가 공시되어 있으며, 상대적

으로 시장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이재현·정현재(2013) 의 연구에

따르면 건설업은 특성상 경기변동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건설공사와 관련된 수주금액이

크므로 경기변동이나 공사에 따른 수익변동의 크며 초과이익이 불확실하므로 상장기업

이나 시공능력평가순위가 높은 기업들에게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19) 권해숙·오원정(2016)의 연구에서 100위권 기업들의 경우 7-8개의 기업들을 제외하고는 순위에 큰

변동사항이 없음을 제시하였으며, 시공능력에 따라 등급을 구분[1등급(5,000억원)]하는 유자격자

명부체에 기초해 매년 시공능력평가액을 공시하는 약 3,000여개의 기업 중 3%에 해당하는 100위

안에 해당하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을 구분하였으며, 실무에서도 건설도급 1∼100위까지의

기업을 1군 업체로 분류한다.

= (기술능력평가액)i,t / 총자산i,t-1

= (신인도평가액)i,t / 총자산i,t-1

= 시공능력평가방법 개정 전이면 0, 개정 후이면 1

<통제변수> : 거래소나 코스닥 상장기업인 경우 0, 아니면 1

: 매년 시공능력평가액에 따른 순위를 기준으로 1-100위안에

속하는 경우 0, 아니면 1

Page 18: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128 지역산업연구|제42권 제4호|2019.11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량

본 연구에서는 시공능력평가방법 개정 전·후 평가액의 차이검증을 위해 표본기간인

2013년∼2018년 동안 시공능력평가액 및 기업가치를 공시한 기업을 대상으로 한 기술통

계량은 <표 5>와 같다.

<표 5> 기술통계량

변수 평균 표준편차 중위값 최소값 최대값

612.657 618.028 608.017 -3,590.5 11,321.4

1.764 1.562 1.512 0.00001 20.818

0.706 0.744 0.560 0.0000 9.874

0.534 0.607 0.422 -0.299 11.455

0.474 0.409 0.384 0.0000 4.724

0.050 0.062 0.036 -0.217 0.640

0.860 0.347 1 0 1

0.788 0.409 1 0 1

주1) 여기에서, = (기말자기자본장부가치 + 미래초과이익의 현재가치)i,t / 총자산i,t-1

= (매년 7월 말 국토부에서 발표하는 기업의 년 시공능력평가액)i,t / 총자산i,t-1

= + + +

= (공사실적평가액)i,t / 총자산i,t-1 = (경영평가액)i,t / 총자산i,t-1

= (기술능력평가액)i,t / 총자산i,t-1 ;= (신인도평가액)i,t / 총자산i,t-1

= 시공능력평가방법 개정 전이면 0, 개정 후이면 1

: 거래소나 코스닥 상장기업 0, 아니면 1

: 매년 시공능력평가액에 따른 순위를 기준으로 1-100위안에 속하는 경우 0, 아니면 1

2. <가설1>에 대한 검증: 단일변량분석결과

시공능력평가방법 개정 전·후 시공능력평가액 및 구성항목에 대한 차이검증을 위해 개

정 전·후 표본을 구분하여 단일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결과 <표 6>에 제시된

것처럼 개정 이후의 시공능력평가액( )은 개정 이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공능력평가액을 구성하는 각 구성항목의 경우 기술능력평

가액( )을 제외하고 공사실적평가액( ), 경영평가액( ), 신인도

평가액( ) 모두 개정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본 연

Page 19: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비교연구 / 권해숙 ․ 오원정 129

구의 <가설1>을 지지하는 결과로서 시공능력평가제도의 개정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표 6>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정 전·후 시공능력평가액에 대한 차이분석결과(T-Test)

변수 평균 표준편차 T-값 p-value

0 1.636 1.065

-3.39 0.0011 1.860 1.840

0 0.641 0.497

-3.65 0.0011 0.755 0.880

0 0.464 0.375

-4.78 0.0011 0.586 0.729

0 0.484 0.369

1.03 0.3031 0.466 0.437

0 0.048 0.053

-1.69 0.0911 0.052 0.067

주1) 변수설명은 <표 5> 참조

3. <가설2>에 대한 검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

시공능력평가방법 개정 전·후 시공능력평가액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

한 단일변량분석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공능력평가방법 개

정 전․후의 금액의 차이가 있다면 과연 개정된 평가방법에 의한 시공능력평가액이 더 차

별적인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권해숙·오원정(2016)에서 시공능력평가액이 기업가치와 관련성이 있다

는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초과이익평가모형에 근거한 추정기업가치를 이용하여 시공능력

평가액의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식

1>을 이용하여 시공능력평가액과 추정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표 7>와 같다. <표 7>의 검증결과 종속변

수인 추정기업가치( )과 독립변수인( )은 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0.655)를 보이며, 시공능력평가액을 구성요소인 공사실적평가액(),

경영평가액( ), 기술능력평가액(Tech) 및 신인도평가액(Sin) 변수도 마찬가지로

추정기업가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면에 상장여부인

와 시공능력평가액 순위에 대한 더미변수인 도 추정기업가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0.127, 0.166)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재현‧정현재(2013)

의 연구결과와 마찬가치로 상장기업이나 시공능력평가순위가 높은 기업들에게 더 민감

하게 반응하여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Page 20: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130 지역산업연구|제42권 제4호|2019.11

<표 7> 각 변수에 대한 상관관계: 피어슨상관계수

1

0.655*** 1

0.453*** 0.923*** 1

0.852*** 0.811*** 0.575*** 1

0.387*** 0.848*** 0.761*** 0.520*** 1

0.177*** 0.585*** 0.603*** 0.303*** 0.535*** 1

0.127*** 0.213*** 0.168*** 0.197*** 0.217*** -0.017 1

0.166*** 0.134*** 0.084*** 0.134*** 0.191*** -0.210*** 0.407*** 1

주1) P-vlaue: ***, **, * (1%, 5% 10% 유의수준)주2) 변수설명은 <표 5> 참조

<표 8>은 개정된 평가방법에 의한 시공능력평가액의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을 알아보

기 위한 <가설2>에 대한 회귀분석결과이다. 실증분석결과,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초과

이익모형에 근거한 추정기업가치( )와 시공능력평가액( )과는 통계적으로

1%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관련성(=127.834)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8> 평가방법 개정 전·후 시공능력평가액과 추정기업가치와의 관련성 분석

=+ + ++++

변수 계수값 t-값

Intercept 239.123 7.10***

127.834 9.20***

157.821 10.31***

-146.089 -4.54***

-65.873 -2.15**

152.395 6.02***

0.471

주1) P-vlaue: ***, **, * (1%, 5% 10% 유의수준)

주2) 변수설명은 <표 5> 참조

Page 21: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비교연구 / 권해숙 ․ 오원정 131

또한 시공능력평가방법 개정 전·후로 시공능력평가액의 정보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

기 위해 개정된 평가방법이 적용된 2016년을 기준으로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 더미변수

를 부여하고, 시공능력평가액에 더미변수를 곱해 개정으로 인한 정보가 차별적인지를 검

증하였다. 즉 개정으로 인한 차별적인 정보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변수는 로

의 계수값이 통계적으로 1%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값(157.821)을 가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는 시공능력평가방법 개정 이후의 시공능력평가액이 개정 이전에 비해 기업가

치와 더욱 밀접하게 관련됨을 의미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추가적으로 시공능력평가액을 구성하는 각 항목들과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이 시공능력

평가방법 개정 전·후에 상이해지는지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시공능력평가액을 구

성하는 모든 항목(, , , )

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계수값(362.26, 182.09, 557.20, 314.19)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각 구성항목들도 시공능력평가방법 개정 이후에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이 높아지는 것으

로 나타났다.

<표 9> 시공능력평가방법 개정 전·후 시공능력평가액 구성요소와 추정기업가치와의 관련성 분석

=+구성항목+구성항목++++변수 계수값 t-값 계수값 t-값 계수값 t-값 계수값 t-값

Intercept 304.49 7.92*** 184.31 8.39*** 299.55 7.55*** 230.45 5.49*** 66.18 1.90*

710.72 25.54***

194.98 4.00***

-29.40 -0.08

구성항목*

362.26 9.42*** 182.09 6.07*** 557.20 9.39*** 314.19 7.28***

-109.92 -3.22*** -14.73 -0.74 -82.68 -2.25** 2.574 0.08

23.87 0.67 -123.54 -5.77*** 21.34 0.57 93.64 2.40**

186.38 6.23*** 129.76 7.29*** 127.90 4.11*** 263.90 7.83***

0.260 0.739 0.209 0.111

주1) P-vlaue: ***, **, * (1%, 5% 10% 유의수준)

주2) 변수설명은 <표 5> 참조

Ⅴ. 결 론

1997년 8월 시공능력평가제도 도입이후 시공능력평가액 산정시 경영평가와 기술평가

에 대한 비중을 확대하는 등의 보완이 몇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으나, 시공능력평가액을

평가할 때 경영평가액 비중이 지나치게 높게 계상되어 실제 시공실적보다 시공능력이 과

Page 22: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132 지역산업연구|제42권 제4호|2019.11

다 평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여러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이에 따라 2015년 기존

의 시공능력평가액의 개념이 “건설업자가 시공할 수 있는 1건의 공사 예정금액”에서 “건

설업자의 상대적인 공사수행 역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나타내는 지표”로 바뀌었으며,

「건설산업기본법」시행규칙을 개정하여 시공능력평가액이 과다하게 평가되는 문제점

을 개선하고자 경영평가액 비중을 축소하고 기술능력항목의 비중을 확대하는 등 평가방

법이 개정되었으며, 2016년부터 새로운 시공능력평가방법에 근거해 시공능력평가액이 산

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개정된 시공능력평가방법에 의한 시공능력평가액

이 기존 평가방법에 따른 시공능력평가액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

고, 추가로 시공능력평가액이 기업가치와 관련이 있다는 기존 연구에 근거해 개정된 시공

능력평가방법에 의한 시공능력평가액 및 구성항목별 금액의 기업가치 관련성이 높아지

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시공능력평가방법 개정 전‧후 금액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이는 시공능력평가방법의 개정효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설1>을 지지하는 결

과이다. 또한 <가설2>에서 제시된 것처럼, 시공능력평가방법 개정 이후의 시공능력평가

액이 개정 전에 비해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결

과는 개정된 시공능력평가제도가 기존의 평가제도에 비해 기업가치와 관련된 정보를 제

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대한 연

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시공능력평가방법의 개정효과 뿐만 아니라 기업가치와의 관련성

을 분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논문투고일 ■ 논문 최종심사일 ■ 논문게재확정일

2019. 10. 082019. 11. 062019. 11. 11

Page 23: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비교연구 / 권해숙 ․ 오원정 133

참고문헌

김민형(2000), “시공능력평가 및 공시제도의 개선방향과 추진과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박선구(2018), “2019년 건설경기 전망-전문건설업을 중심으로,” 대한건설정책연구원 건설

정책리뷰.

이승복․배유진(2012),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권경수(2015), “건설기업의 부채활용이 수익성에 미치는 한계 영향 분석,” 한양대 석사학

위논문.

김난식, 이동욱(2014), “토목전문건설업체의 건설경기지표와 경영성과지표의 상관성분

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4(5), 1599-1608.

김성연(2013),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한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선방안 연구: 종합건설업체

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77, 261-276.

권해숙․오원정(2016), “시공능력평가액의 가치관련성에 대한 연구,” 지역산업연구, 32(4),

163-187.

도태호(2004), “시공능력공시제도의 합리적 접근방안”, 건설경제, 41, 79-85.

이동훈․김선형․권기덕․김민기․김선국(2011), “국내건설기업 경영성과의 핵심성과

지표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지, 45(11), 354-44.

이승복․배유진(2013), “건설공사 발주 지원을 위한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선방안,” 국토정

책 Brief, 1-8.

이재현․정현재(2013), “소유분산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업혁신연구,

29(1), 71-108.

정근채(2017), “시공능력평가액과 건설공사실적과의 상관관계 분석,” 충북대학교 건설기

술연구소 논문집, 36(2), 1-6 .

정근채(2018),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한 시공능력평가 제도의 실증적 고찰,” 한국건설관리

학회 논문집, 19(2), 3-14.

See C. Lee and J. Myers(1997), “What is the Intrinsic Value of the Dow?,” Cornell University, Working

Paper.

김권중(2009), 재무제표분석와 가치평가, 창민사.

김석용(2006), 기업성과 분석과 가치평가론, 삼영사.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4.11.4.).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6.3.17.).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9.7.29.).

Page 24: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134 지역산업연구|제42권 제4호|2019.11

이훈학(2018.1.2.), “조달청, ‘등급별 유자격자명부 등록 및 운용기준’개정”, 충남일보.

한상준(2018.12.18.), “‘2회 유찰’ 양산선 철도, 10대 건설사 공동도급 허용”, 건설경제신문

Page 25: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비교연구 / 권해숙 ․ 오원정 135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n Value Relevanc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Method

1)2)Kwon, Hai Sook* · Oh, Won Jung**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method is a system in which the Minister of land and transport evaluates and publishes the construction ability of the construction companies at the end of July every year, and reports the indicators,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is used as an important means of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company in charge of construction when contracting various constructions. This study verifies whether the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under the revised evaluation method differ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rom the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under the existing evaluation method. In addition, based on the study by Kwon Hai-sook, Oh Won- jung(2016), that the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has value relevance, it is required to verify that the value relevance to the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has increased.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 estimated values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construction capability evaluation method, and the relevance of the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increased after the revision of the construction capability evaluation metho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performance evaluation, management evaluation, technology ability evaluation, and new technology evaluation that constitute the estimated values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after the revision of the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method also became more relevant to the value of the company. The analysis results are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revised construction ability assessment method, which means that it can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ntity's value rather than the existing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method.

Keywords :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Method,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Value Relevance

* (First Author) Professor, Dept. of Taxation and Accounting, Kyunghee Cyber University, [email protected]** (Corresponding author) Associate Professor, Dept. of Taxation and Accounting, Kyunghee Cyber University,

[email protected]

Page 26: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 - 경남대학교 · *이 논문은 2017학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결과물임. **(주저자)

136 지역산업연구|제42권 제4호|2019.11

1. 주저자

권해숙(Kwon, Hai Sook) : [email protected]

현재 경희사이버대학교 세무회계학과 교수

최종학력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회계학과(박사)

관심분야 : 기업가치평가,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2. 교신저자

오원정(Oh, Won Jung) : [email protected]

현재 경희사이버대학교 세무회계학과 부교수

최종학력 :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박사)

관심분야 : 기업가치평가, 기업공시,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