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19
- 베트남/필리핀 출장보고서 - 2010. 2. 국토연구원

Upload: others

Post on 08-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 베트남/필리핀 출장보고서 -

2010. 2.

국토연구원

출장 조사 계획서

국토연구원 김 성 일

1. 조사 목적 : 건설 및 자재 시장 투자 환경 및 진출가능성 조사

2. 조사 내용 :

가. 투자사업계획 현황 및 계획 등 향후 시장 전망

나. 국내외 건설업체의 시장진출 현황 및 진출유형, 투자방식 등 조사

다. 건설 및 건설자재 부문 법, 제도 등 투자 환경 분석

- 건설관련 외국인 투자법, 제도 등 각종 규제 분석

라. 건설 분야별 시장 진출 현황 분석

- SOC 기반시설 분야

- 신도시 개발 분야

- 건설 자재 분야

- 기타(부동산 등)

마. 건설 및 자재 등 사업 추진상의 애로사항 등 조사

- 현지국 발주공사의 입찰 정보파악 및 계약상의 애로사항

- 계약이행과정에서의 클레임, 자재, 장비 등 조달, 현지 협력업체과 관련한 애로사항

- 공사 준공, 공사대금의 지급 등과 관련한 애로사항 등

- 투자개발 사업 참여 시 애로사항, 기타 토지취득, 인허가 등 애로사항

바. 현지 투자시 사업 수익 환경조사 및 진출 가능성 분석

3. 조사지역 및 기간 :

가. 조사지역 : 베트남, 필리핀

나. 조사기간 : 2010. 01. 11(일) - 2010. 01. 16(토). 끝

Page 2: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제목 차례>

Ⅰ. 베트남 ··········································································································································································1

1. 국가 개요 ··································································································································································1

2. 경제 ···············································································································································································2

3. 베트남 투자사업계획 현황 및 계획 등 향후 시장 전망 ·······················································4

4. 국내외 건설업체의 시장진출 현황 및 진출유형, 투자방식 ·················································8

5. 건설 및 건설자재 부문 법, 제도 등 투자 환경 ·····································································12

6. 건설 분야별 시장 진출 현황 ···················································································································14

7. 사업 추진상의 애로사항 ·····························································································································15

8. 현지 투자시 사업 수익 환경조사 및 진출 가능성 ·································································20

Ⅱ. 필리핀 ·······································································································································································26

1. 경제 현황 ·······························································································································································26

2. 투자사업계획 현황 및 계획 ·····················································································································27

3. 국내외 건설업체의 시장진출 현황 및 진출유형, 투자방식 ··············································28

4. 건설 및 건설자재 부문 법, 제도 등 투자 환경 분석 ························································30

5. 사업 추진상의 애로사항 ··························································································································33

6. 현지 투자시 사업 수익 환경조사 및 진출 가능성 ·································································34

- 1 -

면적 329,560 ㎢

인구8,650만 명

(세계 13위.로, 2010년에는 9천만명예상)

수도 하노이 (Hanoi)

통화 동 (VN Dong, 1USD=18,000VND 2/2009)

공식언어 베트남어

기후 열대몬순

Ⅰ. 베트남

1. 국가 개요

○ 국가 위치

- 베트남은 인도차이나 반도의 동부 해안을 따

라 1,600 ㎞ 가량 뻗어있음

- 북쪽으로 중국, 북서쪽 으로 라오스, 남서쪽

으로 캄보디아와 접함

- 인도양과 태평양을 이어주는 운송 거점임

○ 행정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의 국가구조는 4개의 수준으로

구분됨: 중앙 (central), 지방 (provincial), 지

구 (district), communal

- 중앙부는 국회, 국가주석, 정부, 인민 대법원

과 인민 대검찰청으로 구성됨

⋅ 국회의원은 국민이 직접 선출하며, 임기는 5

년임. 국가주석과 총리, 인민 대법원장과 인

민 대검찰청장을 선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짐

⋅ 지방정부 차원에서는 국민들이 직접 5년 임기의 인민의회 (People's Council)를 구성. 인민

의회는 지방행정기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인민위원회 (People's Committee)를 임명. 국가행

정체계는 중앙정부와 인민위원회에 의해 형성됨

⋅ 베트남은 63개의 성 (province)과 도시로 구분됨. 도시 중 하노이 (Hanoi), 하이퐁 (Hai

Page 3: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 2 -

Phong), 호치민 시 (Hochiminh City), 다낭 (Da Nang), 칸토 (Can Tho)는 직할시 (centrally

run city)임

○ 민족 구성 및 종교

- 베트남에는 54개의 다른 민족이 정착해 살고 있음. 이 중 킨족 (Kinh)이 베트남 인구의

약 90%를 차지

- 베트남의 주요 철학과 종교로는 불교, 가톨릭, 기독교, 유교, 도교 등이 있으며, 조상숭배,

애니미즘과 결합된 형태로 이러한 철학과 종교가 존재하기도 함

- 그러나 베트남은 종교와 민족 갈등이 거의 없음

○ 천연자원

- 삼림: 국가 전체 면적의 33.2%에 해당하는 1,090만 헥타르 이상의 삼림 보유

- 천연광물: 석유, 가스, 석탄, 철광석, 망간, 크롬, 구리, 알루미늄 광 (보크사이트), 주석, 인

회석, 안티모니, 황철석

2. 경제

○ 베트남 경제 개요

- 베트남은 1986년, 중앙계획경제에서 사회주의 시장경제 (socialist-oriented market

economy)로의 경제개혁을 시작하고 문호를 여러 국가에 개방

- 베트남은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매우 높은 연간 GDP성장률을 기록해왔으며 (아래 표 참

고), 2008년에는 1,024 달러 (USD)에 해당하는 1인당 GDP를 기록

- 3 -

연도 GDP (십억 VND) 증가율 (%)

1995 222,840 9.54

1996 258,609 9.34

1997 295,696 8.20

1998 361,468 5.80

1999 399,942 4.80

2000 444,139 6.70

2001 484,492 6.80

2002 536,000 7.04

2003 605,491 7.24

2004 713,071 7.69

2005 837,858 8.49

2006 973,791 8.17

2007 1,112,200 8.48

2008 1,487,000 6.18

< 베트남의 GDP >

자료: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 높은 GDP 성장과 함께 베트남의 경제구조 또한 고도화되었음: GDP에서 차지하는 1차

산업 (agriculture, forestry, fishing)의 비중은 1990년 39%에서 2008년 22%까지 떨어짐.

대신 동 기간 산업과 건설 부문의 비중은 23%에서 40%로 증가. 서비스 부문은 거의 동

일한 비중을 유지 (39% → 38%)

⋅ 개방경제 정책의 실행 이래 베트남은 169개국과 외교 관계를 유지해오고 있음. 1992년, EU

와 협력적 경제ㆍ무역 협약 (cooperative economic and trade agreements)을 체결

⋅ 1995년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ASEAN) 가입

⋅ 1998년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포럼 (APEC) 가입

⋅ 2001년 ASEAN 자유무역지대 (AFTA)에 가입

⋅ 2001년 US-베트남 무역협정 체결

⋅ 2007년 1월, 국제무역기구 (WTO)의 정식회원국이 됨

Page 4: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 4 -

3. 베트남 투자사업계획 현황 및 계획 등 향후 시장 전망

○ 2020년까지의 베트남 건설 개발 계획

- 2020년까지 베트남의 건설시장을 발전시키기 위한 베트남 정부의 전략은 다음과 같음: 지

역 내 선진국으로 부상, 건설 기업의 경쟁력 강화, 건축 재료 생산 기술 개선, 현대적 도시

수립, 도시 인프라 근대화 사업 완료

- 이러한 전략 하에 베트남 정부는 10가지의 구체적 목표를 갖고 있음

⋅ 건축, 도시 건설, 농촌 계획

⋅ 도시 개발

⋅ 기술 인프라

⋅ 주택 및 부동산 시장 개발

⋅ 건설업 활동 및 경제 건설 관리

⋅ 건축자재 및 건설기계 산업 개발

⋅ 과학기술

⋅ 협력 및 국제경제 통합

⋅ 건설업체의 운영 효율성 개선

① 도시 건설, 농촌 계획, 건축

- 100% 건설 구획을 갖춘 경우 도시 건설 승인

- 전국에서 건설 구획을 갖춘 도시의 비중이 70%가 되도록 노력

- 새로운 농촌 건설 프로그램 진행

- 도시에서 자연 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도시 건축 개발

② 도시 개발

- 2011~2015년: 주요 경제지역 및 연해 경제지역, 섬, 국경 게이트에 대도시 개발을 위한 투

자 유치에 최우선 중점

- 전국에 2015년까지 총 870개, 2020년까지 총 900개 이상의 도시 개발

- 2015년까지 3급 이상 도시들의 80%, 2025년에는 100% 전자도시 실현

- 5 -

③ 기술 인프라 - 2015년까지 목표

- 90% 이상의 3급 도시에 깨끗한 수도서비스 공급

- 빗물 배수 서비스 도달 범위 70~80% 달성

- 각 산업단지에 표준 폐수배출시설 설치

- 도시 고체 폐기물의 85% 수집 및 처리

- 거리 조명 설치율 95% 도달

- 교통 인프라 개발

- 버스 체계 수립, 신속한 대중교통 노선 수립

④ 주택 및 부동산 시장 개발

- 주택의 기본 요구 충족

- 건전한 부동산 시장 개발

- 2015년까지 목표:

⋅ 도시 지역의 1인당 평균 주택 면적 18㎡ 달성

⋅ 농촌 지역의 1인당 평균 주택 면적 16㎡ 달성

⋅ 개조 공사 완공 및 기존 아파트 재건축

⋅ 5십만 빈곤가구를 위한 주택 개선 지원

⋅ 학생용 주택 개발

⋅ 공업단지 노동자 및 도시 저소득계층을 위한 주택 개발

⋅ 전국 부동산 거래소 시스템 완료

⑤ 건설업 활동 및 경제 건설 관리

- 컨설팅, 건설ㆍ토목 기업의 주식화 및 역량 강화를 위한 투자

- 건축물 관리에 대한 법적 규정 준수 여부 모니터링 강화

- 도시의 경제발전 촉진을 위한 완벽한 매커니즘 및 정책 완료

Page 5: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 6 -

⑥ 건축자재 및 건설기계 산업 개발

- 건축자재 산업을 개발하되,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첨단 기술의 개발에 우선

초점을 둠

- 2020년까지 건축자재 업계의 산업화 및 근대화 기초 완성

- clanker PC60과 시멘트 PCB50의 안정적인 생산 및 시멘트 PCB40과 PCB30의 생산 지속적

으로 감소

- 고품질의 세라믹 제조를 위해 나노 기술 활용

- 조립식 콘크리트, 프리이 캐스트 콘크리트, 상업용 콘크리트의 제조 기술 개발

- 건설업계의 일부 장비 제조: 모든 기종의 타워크레인, 대형크레인,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

터, 굴삭기, 불도저, 굴착기, 로더 (장전기)

⑦ 과학기술

- 2015년까지 건설업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건축자재 생산업계를 위한 연구 및 응용프로그램 개발 지원

- 환경친화적 연구, 새로운 기술의 응용에 있어서 국제협력 강화

- 2015년까지 지속가능한 건축기술 지침 완성, 녹생 건축모형ㆍ녹색 자재생산 및 에너지 절

약형 건물에 대한 테스트 완료

⑧ 협력 및 국제경제 통합

- 동남아 지역 내 상품에 대한 CEPT/AFTA 세금감면 및 서비스무역 자유화 이행

- WTO 회원국에 대한 높은 수준의 시장 개방

- 건설산업 발전 전략과 관련된 국제협력 계획의 구축

- 공적개발원조 (ODA) 유치 및 효과적인 사용을 위한 적극적인 캠페인 조직

- 건설산업 내 합작투자 활동 촉진

⑨ 건설업체의 운영 효율성 개선

- 국영회사의 조직 개편 및 주식화 완료

- 7 -

- 목표: 총매출액 연평균 성장률 12~15% 달성. 이 중 건설 및 설치는 16~18%, 건축자재 생산

부문은 9~10%, 컨설팅은 10~12% 달성

○ 베트남 건설시장 평가 및 전망

- 국내 산업은 2009년 1분기까지 세계 경제침체의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4월부터 베

트남 정부가 여러 경제 지원정책 (17조 베트남동 규모)을 마련하며 회복 기미를 보임

⋅ 2009년 초에는 진행 중이던 여러 프로젝트 (경제산업 기반)들이 대부분 중지되거나 연기됐

음. 이 중 대부분이 건설 프로젝트임

⋅ 국내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베트남 정부는 3가지 주요 재정 지원책을 마련: 기업에 대

한 감세, 금리지원, 은행대출보증

⋅ 이에 여러 상업은행의 단기 및 중기 기업대출 이자가 인하됐음

⋅ 지원대상업체는 제조회사, 건설회사 (부동산, 인프라 개발) 등임

⋅ 상반기에 철강, 시멘트 등 일부 주요 건설자재의 가격이 인하된 것도 건설경기 회복에 일

조한 것으로 보임

⋅ 2분기 이후 중단됐던 일부 건설 프로젝트들이 시공에 착수했음

- 베트남의 2009년 하반기 및 2010년 건설시장은 베트남의 GDP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만

큼 (2분기 GDP 성장률 4.5%) 회복될 전망임

Page 6: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 8 -

법적 지위 형태 허가서 운영

보유․합작(Joint-Venture)기업,100% 단독기업

․투자승인서

- certificate ofinvestment

- 투자법

- MPI 또는 DPI

․여러건설프로젝트에서건설업 영위

미보유․대표사무소,연락사무소,아무 것도 없음

․건설업허가증

- Contractor’s permit

- 건설법

- MPC 또는 지방건설국

․계약한 공사에 한해건설. 각각의프로젝트마다 승인

․현지파트너와 파트너쉽체결 또는 1개사 이상국내기업에 하청

․대표사무소 설치

4. 국내외 건설업체의 시장진출 현황 및 진출유형, 투자방식

○ 외국건설사 진출 형태

○ 베트남의 외국인투자 정책

- 베트남은 20년 전 개혁을 시작하며 국제협력 확대, 지역 및 국제경제와의 통합을 강조

- 이러한 정책 하에 1987년 베트남 의회는 외국인투자법 (Law on Foreign Investment)을

채택

⋅ 동법은 현재까지 네 차례의 개정 및 보완을 거치며 지속적으로 내국인과 외국인 투자간 차

이를 좁히고 투자환경을 개선해왔음

- 2007년 7월 1일부터 시행된 기업법 (Enterprise Law)은 모든 산업의 전 기업에 적용될 수

있는 단일한 법적 체계를 수립했으며, 절차를 단순화하고 시장진입 비용을 축소시켰음

⋅ 사업자등록 (business registration)과 투자등록 (investment registration)을 통일하여 내국인

및 외국인 투자를 지원

⋅ 비사업적 목적의 기업 설립을 예방하고 규제하기 위해 실태관리 (state management) 관련 규제

추가

○ FDI 현황

- 기업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으로 베트남은 상당히 매력적인 외국인 투자환경을

갖추게 됐음

- 2008년 베트남에 신규등록된 투자 프로젝트는 1,557건, 신규등록된 자본은 660억 달러였음

- 9 -

산업프로젝트

건수

신규등록된

자본

(백만달러,

USD)

자본이 증가된프로젝트의 건수

증가된 등록자본

(백만달러,

USD)

신규등록 및증가된자본

(백만달러,

USD)

가공, 제조업 764 35,042.84 296 3,896.28 38,939.12

부동산업 91 23,067.27 8 330.44 23,397.70

호텔 & 식료품 43 2,606.38 7 19.05 2,625.42

정보 & 통신 94 2,438.16 16 9.29 2,447.45

예술 &엔터테인먼트 4 578.25 4 459.88 1,047.13

기타 서비스 24 565.30 565.30

의료 & 사회보장 8 423.34 2 3.60 426.94

건설 143 451.72 11 52.72 504.44

농림수산업 35 272.12 18 59.87 331.98

운송 & 저장 57 506.53 5 109.23 615.77

광업 5 69.28 3 123.43 192.71

금융, 은행, 보험 2 40.20 4 100.75 140.95

도ㆍ소매, 수선 62 125.60 4 13.00 138.60

전문업, 과학 &기술 181 75.54 14 32.25 107.79

교육 & 훈련 15 86.99 2 11.65 98.64

전기ㆍ가스ㆍ수도및에어컨 5 85.48 85.48

행정 &

지원서비스19 31.59 3 4.55 36.14

상수도, 쓰레기처리 5 24.30 24.30

전체 1,557 66,499.89 397 5,225.99 71,725.88

- 그러나 전 세계적인 금융 위기로 인해 2009년 1월부터 6월 19일까지 신규등록된 자본(89

억 달러)은 동 기간 전년도에 비해 77% 하락

< 산업별 FDI 자본 (2008년) >

자료: 베트남 계획투자부 (Min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of Vietnam)

○ 한국의 대 베트남 직접투자

- 2009년 상반기 기준, 한국의 베트남 직접투자 프로젝트 수는 2,183건, 총 등록자본금은 약

200억 달러

⋅ 한국이 대만에 이어 두 번째로 베트남에 직접투자를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Page 7: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 10 -

No. 국가/령 프로젝트수

총등록자본금

(USD)

정관자본금

(Charter capital, USD)

1 대만 1,996 21,196,157,613 8,558,822,470

2 한국 2,183 20,052,918,508 6,747,757,790

3 말레이시아 324 18,020,284,001 3,856,122,432

4 일본 1,113 17,566,367,418 5,084,064,482

5 싱가폴 722 16,906,560,345 5,372,155,516

6 버진아일랜드 (영국령) 444 12,849,345,931 4,249,632,704

7 미국 464 8,587,009,793 2,158,455,578

8 홍콩 541 7,416,313,070 2,632,352,841

9 태국 202 5,687,035,708 2,412,790,622

10 캐나다 82 4,784,466,125 1,004,782,656

전체 10,409 164,679,955,652 55,399,208,722

< 국가별 FDI (2009년 상반기) >

자료: 베트남 계획투자부 (Min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of Vietnam)

< 총 자본금 Top 10 국가/령 (USD, 2009년 상반기) >

21,196,157,613

20,052,918,508

17,566,367,418

12,849,345,931

8,587,009,793

7,416,313,070

5,687,035,7084,784,466,125

18,020,284,001

16,906,560,345

대만 한국 말레이시아 일본 싱가폴 버진아일랜드

(영국령)

미국 홍콩 태국 캐나다

그림 2

자료: 베트남 계획투자부 (Min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of Vietnam)

- 11 -

- 2009년 9월 기준, 주요 투자 업종은 가공ㆍ제조업, 부동산업, 건설업으로 나타남

⋅ 가공ㆍ제조업: 프로젝트 수는 1,527건, 총 등록자본금은 90억 달러로 베트남 내 한국 투자

등록자본금의 45%, 동 산업 전체 등록자본금에서는 10% 이상을 차지

⋅ 부동산업: 프로젝트 수는 61건, 총 등록자본금은 60억 달러로 베트남 내 한국 투자 등록자

본금의 20.4%, 동 산업 전체 등록자본금에서는 17.6%를 차지

⋅ 건설업: 프로젝트 수는 194건, 총 등록자본금은 20억 달러로 베트남 내 한국 투자 등록자본

금의 10%, 동 산업 전체 등록자본금에서는 22% 이상을 차지함

○ 베트남 내 한국의 대형 프로젝트

- 포스코 베트남의 바리아-붕따우 성 내 철강생산 프로젝트 (총 투자금은 11억2천만 달러)

- GS건설의 호찌민 시 내 고속도로 건설 프로젝트 (총 투자금은 3억4천만 달러)

- 대하는 하노이 시에서 5성 호텔 경영 (투자금은 1억7,740만 달러)

- 대우 베트남 자동차 회사는 하노이 시에서 자동차 생산: 등록자본은 3,220만 달러, 법정자

본은 천만 달러임. 대우가 100% 출자한 회사로 1996년부터 생산을 시작해 2000년부터 흑

자 달성. 베트남 자동차시장에서 15%의 점유율을 차지. 생산물량 중 일부는 수출되고 있음

- 현대그룹의 수리조선 부문 투자: 현대-비나신 조선소는 현대그룹 산하 4개 업체 (법정자본

의 70% 차지)와 베트남 조선공사 (법정자본의 30% 차지)의 합작회사로 1999년부터 운영되

었음. 현재는 베트남 조선업 내 메이저 업체 중 하나로 자리매김.

- 광명 종합병원 프로젝트 (투자금은 1억9,840만 달러) : 1천 병상 규모의 종합병원을 건축하

고 의료서비스를 공급할 예정. 하루 6~7천 명의 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규모

Page 8: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 12 -

5. 건설 및 건설자재 부문 법, 제도 등 투자 환경

○ 직접투자 형태

- 투자법 (Investment Law)은 다음의 형태를 직접투자로 명시:

(ⅰ) 100% 외국인기업 또는 내국인과 외국인 투자자간 합작회사 (joint

venture)를 설립하기 위한 투자

(ⅱ) BCC, BOT, BTO, BT 계약 하의 투자

(ⅲ) 기업 개발 (business development)을 위한 투자

(ⅳ) 자본 불입 (capital contribution), 주식 매입 (share buying), 통합

(integrating)ㆍ매입 (purchasing) 및 간접투자 (indirect investments)

- 외국인 투자자의 경우, 새로운 투자법 하에서의 직접투자가 외국인투자법 (Law on

Foreign Investment)에 제시되어 있는 지침에 비해 개방적임. 투자자들은 기업법

(Enterprise Law) 하에서 유한책임회사 (합작회사, 100% 외국인 기업) 이외합작주식회사

(joint stock company)나 계열사 (associate company)를 설립할 수 있고, 베트남 기업에 자

본금을 불입하거나 베트남 기업의 주식을 매입할 수 있음. 경쟁법 및 기타 관련법 하에서

지사, 지점 (branches of company)의 통합도 가능

- 베트남에 처음으로 투자하는 외국인의 투자 및 사업자 등록은 상법과 투자법에 따라 실행

됨. 투자증서 (investment certificate)는 사업자등록증 (business registration certificate)으로

도 사용될 수 있음

○ 투자 프로젝트 유형은 다음의 세 가지로 구분됨

- 투자 등록 프로젝트 (Investment registration projects): 자본금 150억 동 (VND) 이하의 내

국인 투자는 지방의 투자관리 당국에 등록만 하면 됨. 투자 증명은 필요하지 않음. 단, 조

건부 투자 부문 (conditional investment sector)은 제외

- 투자 증명 프로젝트 (Investment certification projects): 자본금 150억 동 이상 3,000억 동

이하의 내국인 투자 또는 외국인투자를 받는 3,000억 동 이하의 프로젝트가 대상이 됨. 단,

조건부 투자 부문은 제외. 투자자는 투자 등록 시와 마찬가지로 지방의 투자관리 당국에

등록하되 투자 등록 시 필요한 서류 외에 투자자의 재정역량에 관한 보고서, 합작회사 또

는 BCC 계약서 등을 추가로 제출해야 함. 신청 뒤 15일 이내 투자증명서 (investment

certification)가 투자자에게 발금됨. 외국인 투자자에게 발급된 투자증명서는 사업자등록증

명서와 같음

- 투자 조사 프로젝트 (Investment investigation project): 자본금 3,000억 동 이상의 프로젝트

또는 조건부 투자 리스트 상의 프로젝트가 대상임. 투자자가 지방의 투자관리 당국에 사업

자등록증명서 또는 투자증명서 발급 신청을 하면 조사가 30일 이내 실시됨. 신청 시 사업

타당성, 토지 사용 필요성, 투자 지역, 프로젝트 이행 계획, 기술 및 환경 솔루션 등에 관

- 13 -

한 보고서를 함께 제출해야 함

○ 투자 인센티브가 있는 분야 및 지역

- 2005년 공표된 투자법은 다음 분야와 관련된 투자를 권장

⋅ 신소재, 신에너지, 생명공학, 컴퓨터공학

⋅ 농수산물 및 삼림의 재배 및 가공

⋅ 첨단기술을 이용하는 투자 또는 생태학 보존과 관련된 투자

⋅ 인프라 개발: 중요 산업 프로젝트, 보건, 문화ㆍ스포츠 개발, 교육, 전통적 직업, 노동집약적

프로젝트

- 투자 권장 지역

⋅ 사회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 공업지대 (industrial zones)

⋅ 수출가공구 (export processing zones)

⋅ 첨단기술지대 (high technology zones)

- 권장 분야와 지역에 투자하는 프로젝트에는 조세 혜택, 토지 사용 특혜 등이 제공됨

⋅ 토지 사용 특혜로는 토지세, 토지임대비 등의 면제 또는 할인이 있으며, 토지 사용 기간은

70년까지 연장할 수 있음

○ 투자 관련 법규

- 투자법 (Investment Law), 2005년 11월 29일

- 시행령 (Decree) No.108/2066/ND-CP, 2006년 9월 22일

⋅ 투자법의 시행과 관련된 세부사항 명시

- 시행령 (Decree) No.101/2006/ND-CP, 2006년 9월 21일

⋅ 외국인 투자 기업의 투자증명서 등록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음

- 시행령 (Decree) No.23/2007/ND-CP, 2007년 2월 12일

⋅ 베트남 내 외국인 투자 기업의 제품 구입 및 영업 관련 활동에 관한 상법의 내용을 상세히

다루고 있음

- 시행규칙 (Circular) No.09/2007/TT-BTM

⋅ 시행령 23/2007/ND-CP을 설명하는 규칙임. 동 시행령은 외국인 투자 기업의 제품 거래(trading)와 관련된 기업법 (Enterprise Law)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설명

- 시행규칙 (Circular) No.05/2008/TT-BCT, 2008년 4월 14일

⋅ 시행규칙 No.09/2007/TT-BTM을 보완

Page 9: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 14 -

6. 건설 분야별 시장 진출 현황

○ 베트남 한국투자 현황

○ 신도시

- 호지민: 푸미흥, 서북(예정), 빈탄(예정), 냐베(예정)

- 하노이: 북안카잉(포스코건설), 뚜리엠(대우, 포스코, 코오롱, 대원, 동일, 경남컨소시엄)

○ 한국 건설사 진출 현황

- 포스코건설: 북앙카이 신도시

- 금호건설: 주상복합 아시아나 플라자

- 대원건설: 칸타빌 아파트

- GS건설

- 대우건설

- 경남건설: 하노이 호텔프로젝트

- 참빛건설

- 기타: 신성건설, 삼환건설, 극동건설, 동아

- 건설, 삼성물산, 현대건설, 코오롱건설

- 15 -

7. 사업 추진상의 애로사항

○ 베트남 사업환경의 지속적 악화

- 현재 베트남에 진출해 있는 우리나라의 건설업체들은 외국인 투자 기업의 최저임금 인상,

원자재값 급등 및 높은 물가상승, 경제위기에 따른 대출비용 상승 등으로 타격을 받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남

⋅ 조사 결과 현지 한국업체들은 2008년 초에 노동임금을 전년 대비 평균 20~30% 인상한

것으로 나타남

⋅ 이와 더불어 파업도 빈발하고 있음

⋅ 최근에는 무역적자 급증에 따른 유동성 부족으로 기존 대출기한 미연장, 여신금리 상승 등

기업자금 사정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음

- 최근 하노이를 중심으로 북부지역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면서 공단 임차료도 지속적인 상

승을 보이고 있음

○ 금리 상승으로 인한 민간 부동산부문의 타격

- 최근 이자율의 급등으로 분양시장이 침체되고, 현지 한국업체들이 추진하고 있는 신도시,

호텔, 아파트 건설 프로젝트들이 악영향을 받고 있음

○ 일반적인 애로사항

- 재원부족에 따른 문제

높은 개발의지에도 불구하고 재정부족으로 대부분을 외자에 의존, 국제차관공사를 제외하

면 투자동반없이는 진출곤란함

 

- 각종 법제도의 미비 및 잦은 개정

베트남은 외국인 진출과 관련한 각종 법 제도가 아직 미비된 상태이며 이 또한 자주 개정

되기 때문에 프로젝트추진중이라도 계속해서 신경을 써야 함. 게다가 법령의 소급효(특히

세금의 경우)를 적용하기 때문에 계약상의 분쟁발생소지가 많으며 인정과세, 개발업자의

투자후 입찰, 일방적인 계약해석, 주재원사무소에 대한 income tax 부과, 건축허가취득의

장기화 등 불합리한 요소들이 많음. 특히 장기 BOT의 경우 이러한 관행에서 리스크대비

책이 각별히 요구됨.

 

- 당조직과 행정조직의 이원적 구조

당조직과 행정조직이 이원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실제로 보수적인 당조직의 입김이 행정

에 강하게 작용하고 있어 상부 행정부서의 지침사항들이 지방 인민위원회의 반대에 부딪

Page 10: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 16 -

혀 제대로 시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이러한 이중적 구조는 공무원들의 부정부패와 맞

물려 진출회사들의 커미션부담을 가중시키며 행정처리의 무일관성과 각종 인허가취득의

지연 원인으로 작용함.

- 최근 많이 나아지고는 있으나 여전히 “사회주의 국가로서 모든 것은 국가에서 통제하고

사업처라가 불투명하다”는 부정적인 잔재가 많이 남아 있음. 각종 제도 및 규정이 미흡해

공무원의 자의적인 해석에 의존하고 권한도 과다한 경우가 많아 투자진출에 걸림돌이 되

고 있다는데 유의해야 함.

- 현지 경찰을 비롯, 공무원들의 월급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다 보니 공공연하게 뒷돈을 요구

하는 경우도 많음. 교통 경찰은 수시로 법규 위반 호루라기를 부는데, 한번 볼 때마다 약

5만 동씩 쥐어줘야 함.

- 세관, 세무, 소방, 노무관리 부서에서도 가끔 공장 “나들이”를 할 때가 있음. 이 경우에도

약간의 비용을 주지 않으면 꼬투리잡기 일쑤임. 다행히 ㅈ우국처럼 불시에 습격하는 식이

아니라 대부분 사전 통보 후에 방문하니 그나마 나은 상황임

- 세관 물품검사 시에도 급행로를 쥐어주면 통관이 훨씬 빨라짐. 베트남에서는 이러한 뒷돈

을 “커피값” 또는 “장미값”이라고 부름. 그동안 외국인 투자가를 환대했던 공단관리위원회

나 지방 정부의 자세도 최근 변화하고 있다는데 주목해야 함.

- 시장경제 도입역사가 일천한 베트남의 경우 관계 공무원 및 프로젝트 담당자의 영향력이

지대하므로 소위 ”관시” 구축에도 유의해야 함. 중국과 마찬가지로 베트남에서도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흔히 말하는 “관시” 구축에 공을 들이게 됨.

- 이때 무조건 최고위급만 찾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위험함. 사업 담당자가 자주

바뀌고, 또 후임자가 전임 공무원과 다른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담당자가 누구

인지 사전에 정확히 파악하고 접근해야 함.

- 물론 100%”관시”에만 의존하는 것은 절대 피해야 함. 실제 중국에서 “관시” 하나만 믿고

편법과 탈루, 탈세를 자행하던 한국기업인이 담당자가 바뀌면서 하루아침에 어마어마한 벌

금형과 함껨 형사 처벌된 사례가 베트남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임.

- 아울러 사업 파트너와의 불화 등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사업지연이 자주 발생하고 사업추

진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점에도 유의해야함.

- 외국인 차별

주택, 사무실임대료, 차량, 항공료 등에서 외국인에 대해 두 배에 가까운 요금차별을 두고

있으며 분쟁발생시에도 무조건 외국인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음. 세수확대를 외국기업에

서 꾀하려는 경향도 있음

○ 공사수행과 관련한 애로사항

- 인프라시설 낙후

- 17 -

공사수행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시설이 낙후되어 비효율을 초래함.

- 중국과 ASEAN 국가. 인도 등 주변국의 투자환경과 비교해 베트남이 가장 뒤떨어지는 분

야가 인프라 부분임. 일본 JETRO 보고서에 의하면 베트남은 정치/사회적 인정도, 노무관

리 및 환율 안정성 등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인프라 정비는 상당히 낙후되었다는

평가를 받음.

- 최근 들어 전력부족문제가 불거지고 있음. 수년전 중국 상하이, 칭다오 등 지역을 중심으

로 전력난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된 적이 있었음. 그후 대대적인 발전용량 증설로 인해 점

차 나아지고는 있으나 여름 피크타임의 경우 여전히 전력제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음. 베트

남 역시 마찬가지 상황임.

- 기업 급증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로 벌써부터 전력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음. 중국으로부

터 긴급히 전력구매에 나서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여전히 수급 불균형 상태에 처

해있음. 베트남의 전력 공급원은 주로 수력발전에 의지함. 시기적으로 건기이거나 반발이

올 경우 발전량이 부족해질 수밖에 없는 상황임.

- 안정적인 경영을 위해서는 평소 재공물량을 넉넉히 확보하거나 자체 발전기 설치가 필수

적임. 전력 부족시 기업용전기는 우선 순위에서 가정용보다 밀리므로 특히 공단지역이 아

닐 경우 곧바로 생산중단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음.

- 전력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인프라 문제에 대해서도 꼼꼼히 살펴봐야 함. 인프라 환경이 점

차 호전되고는 있지만 여전히 도로. 철도. 항만 시설 부족으로 운송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운송료 등 부대비용도 만만치 읂은 실정임.

Page 11: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 18 -

구분 상태 중국대비비고

통신환경

․ 총 전화기업자수 : 3,831만명

․ 전화보급율 : 45.27대 / 100명

․ 총 이동전화가입자수 : 2,760만명

․ 인터넷속도는 매우 낮은 편

- 50%

인터넷이용자수

, 인터넷 가입자수 : 452만명

․ 인터넷 이용자수 : 1,620만명-50%

이용망 ․전용선/ADSL -50%

공항 및 항만

․ 3개 국제공항 (호치민, 하노이, 다낭), 15개 국내공항

․ 총 266개 항구 (이 중 40,000~50,000DWT급 선박 이

용가능한 항구는 9개)

-70%

은행시스템

․ 은행이체소요일

-베트남 내 : 48시간 내

-해외 : 2~3일내

․ 은행이용수수료

-베트남 내 : 0.1%내

-해외 : 0.2%내

․이자율 : SIBO/LIBO + 2%내

-50%

자료: KOTRA 호치민무역관

 

- 폐쇄적 국민성

사회주의하 폐쇄적인 국민성이 남아있어 인간관계에 갈등이 존재하며 이는 실제 공사수행

에 무시못할 정도의 큰 저해요소로 작용함

 

- 잦은 도난사고

특히 건축공사현장의 경우 부품도난이 심하여 장비가동이 불가능할 지경에 이르는 경우도

있음. 더구나 도난행위자를 경찰에 넘겨도 현지인이라는 이유로 대부분 즉시 훈방되기 때

문에 신고자 에게 심리적 위협이 됨.

 

- 현지파트너 계약의 risk 존재

특히 베트남에서의 합작사업인 경우 현지파트너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계약내용에 대한

세밀한 검토가 요구됨. 즉, 합작계약을 체결한 후 파트너의 일방적인 계약파기, 파트너실

체의 변경 등 각종 위험에 대한 안전장치가 필요함.

 

- 자국업체 우대조치

- 19 -

베트남은 오래 전부터 자국기업 보호를 위해 외국업체로 하여금 국제입찰시 국내업체를

포함하도록 권유해오고 있었는 바, 최근에는 해외 자금원과 Loan Agreement 체결시 원천

적으로 자금공여국과 자국 기업의 보호와 지원을 위해 제3국의 입찰참가를 제한하는 형태

의 Bilateral Agreement 또는 Tied Agreement 형식을 취하는 경우가 늘고 있음

- 예 : Can Tho Bridge(JBIC) : Tied Loan, Dai Ninh Hydro Power(JBIC) : Bilateral

Agreement

 

- 자금공여국가의 건설업체에 유리한 조건 제시

베트남의 주요 프로젝트는 ODA(JBIC, WB 및 ADB) 재원에 의해 건설되고 있으며 WB

및 ADB는 의료 및 빈곤해소 사업에 중점을 두고 있고, 우리업체가 관심을 갖는 주요 인

프라 프로젝트는 일본자금인 JBIC 자금이 주로 지원되고 있음. 그러나 JBIC는 우리 업체

에게 불리한 조건을 해당공사 차관제공 조건에 부여하여 베트남 당국이 이행토록 강제함

으로써 우리 업체의 수주참여가 제한받고 있음

 

- 입찰준비에 많은 시간 소요

발주처측은 입찰준비 및 결과 등에 관한 주요내용을 정부(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등)측에 보고하고 이의 승인을 받아야 하므로 이에 대한 행정적인 절차로 인

하여 입찰준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

- 현재까지 베트남에서 실시된 주요 석유화학 프로젝트의 입찰 전례를 보면, 자체 준비

및 입찰조건 승인 등으로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 전체 프로젝트 추진일정이 지연되는 경우

가 많고 이를 만회하기 위하여 상당히 짧은 입찰준비 및 공사기간을 제시하여 이를 따르

도록 하고 있음

- 석유화학의 경우, 경험있는 인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 입찰시 입찰자에게 필요한 사양

을 적절히 통보해 주지 않으므로 이를 follow-up하기 위해서 많은 어려움 발생

○ 기타 애로사항

- 잦은 정책변화(내부상황에 따라 발표한 정책의 변경)

- 현지인 위주의 고용정책

- 프로젝트 중심의 투자허가제도

(기 진출업체라도 다른 프로젝트 수주시 새로운 허가 필요)

Page 12: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 20 -

8. 현지 투자시 사업 수익 환경조사 및 진출 가능성

○ 인프라 건설 사업의 전망이 밝음

- 산업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인프라 건설을 국가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나 내자조

달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외국인 투자유치에 적극적임

- 특히 도로, 발전소, 교량, 항만 등의 건설이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의 주종을 이루고 있어

이러한 대규모 인프라 건설 관련 산업 진출이 유망함

○ 플랜트 수출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됨

- 최근의 건축붐과 함께 건축자재를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베트남 정부는 인프라

등 건설에 필요한 재료의 자체충당을 위해 관련 산업 육성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음

○ 전망

- 베트남 경제발전으로 인프라 개발 수요는 2020년까지 크게 증가 할 것으로 보이며 정부투

자 비중은 정체 및 감소세를 보일 반면, ODA 및 외국인 투자 관련 프로젝트가 늘어 날

것으로 보임.

-  이에 따라 베트남 정부는 국내경제를 국제경제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편입시키는 한

편, WTO 가입시 약속한 사항을 이행하면서 경제성장을 가속화하고 그 효과성과 지속가

능성을 제고하며 국제경쟁력을 향상시킨다는 목표하에 주요 경제계획 및 목표를 아래와

같이 설정함.

* GDP 성장률: 8.2-8.5%

* GDP 총액: 700억불

* 1인당 GDP: 820불

* 산업별 GDP 구성비: 농림수산업 19.5%, 제조.건설업 42%, 서비스업 38.5%

* 수출: 475억불(전년대비 20%증가)

* 수입: 512억불(전년대비 15.5% 증가)

* 총 사회개발투자액: GDP의 40%선 유지

* 소비자물가지수는 경제성장율 이하로 유지

* 고용: 160만개 일자리 창출(이중 130만개가 신규 일자리)

○ 배경

- 베트남 정부는 도이모이(개방정책)실시 이후 교통, 에너지, 지역개발 등 사회간접자본 구축

을 위해 지속적인 투자와 유치활동을 벌여 왔음.

- 베트남에 대한 외국인 투자 및 ODA 자금투입이 계속 증가세

- 하노이, 호치민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업무용빌딩, 주거용 아파트 및 건물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

- 21 -

- '07년 1월 WTO가입이 정식 발효 됨에 따라 대외교역 확대 및 관련 법령의 지속적 정비가

예상되며 이는 베트남 내 인프라 수요를 더욱 가속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임.

- 주거용 아파트 건설촉진을 위한 제도를 마련, 시행(Decree No.71 on Investment

Preferences for the Construction of Dwelling House for sale and lease)

- 신토지법,투자법 개정으로 외국인 진출장벽 완화

·우리업체, 외국자본(화교, 일본, 유럽)과의 치열한 수주전이 예상됨.

 

○ 베트남 진출상 장점

- 풍부한 천연자원 활용가능성이 높음

- 인프라스트럭쳐 등 건설수요 많음

- 미국과의 국교수립 재개 등 외교관계 개선

- 성장잠재력이 가장 크므로 장기전망 밝음

- 높은 경제성장율 지속

- 인구규모, 국민소득증가에 따른 높은 시장성

 

○ 진출방향

- 유망분야 발굴

․기업별 적정한 유망분야 발굴 및 단계별 접근 ;

현지여건의 정밀조사와 더불어 기업자체의 진출여건과 방향이 조화를 이룰수 있는 유망분

야를 발굴하고 단계별 진출전략을 수립하는 자세 필요.

․ 기획제안형 사업창출 ;

시장경제원리에 익숙치 못한 현지여건을 감안, 현지정부의 개발계획·시행에 의존하기보다

는 기업 스스로 당사국 시급과제를 발굴, 해결해주면서 반대급부를 창출하는 공격적 자세

고려.

- 장·단기 전략수립

․ 전략수립시 고려사항 ;

  자원 부존상태 및 개발가능성

  경제상황 및 정책우선순위

  금융, 외환확보 가능성

  당해 프로젝트의 파생효과

  사업실패시 타격정도

  국제사회의 지원노력 등

Page 13: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 22 -

․ 단기·중장기별 유망분야

< 단 기 >

· 전력부문 투자개발

· 임대용 부동산개발 (호텔포함)

· 수입대체용 산업플랜트

· 국제차관 인프라공사

< 중장기 >

· 제반 수송 인프라

· 제반 에너지 인프라 (발전 및 석유자원 개발)

· 제반 부동산 및 산업공단 개발

· 용수개발

○ 국가차원의 개발선점 또는 동참전략 수립

- 국가차원의 전략적 배려 및 지원 ;

  GMS plan 참여촉진차원에서 국가경협(EDCF, EXIM) 효과적 활용 검토

  유망프로젝트 선별하여 F/S 무상지원 또는 pilot project 선정,시행 검토

  공적협력사업 확대 및 운영중인 메콩강민관합동위원회 기능 강화 등

○ 제3국 및 현지제휴

- 진출위험을 분산시키고 보다 안정적인 투자회수를 위해 제 3국 및 현지와의 전략적 제휴를

고려할 필요 있음. 제 3국의 경우 이 지역에서 주도권을 행사하고 있는 화교권을 비롯하여

유럽 각국을 포함한 선진권, 그리고 향후 주요 협력파트너가 될 아세안과의 제휴를 들 수 있

을 것임.

< 제 3국 및 현지와의 유망제휴분야 >

- 화교권 : 부동산개발, 인프라개발

- 선진권 : 전력 등 제반 인프라개발

- 아세안 : GMS 프로젝트 공동추진

- 현지 유력 국영기업·민간제휴

○ 기업 특성에 맞는 유리한 투자지역 선택

- 베트남 면적은 한반도의 약 1.5배이지만 칠레와 마찬가지로 남북으로 길게 뺃어있기 때문

에 지역적인 특성이 뚜렷하고, 투자여건과 구매력도 상이함. 따라서 투자지역을 어디로 선

택할 것인가의 문제는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음.

- 중국 광서자치주 및 운남성과 연결되어 있는 북부지역은 과거 중- 베트남 전쟁의 접전지로

상대적으로 경제가 낙후되어 있음. 반면 남부지역은 과거 프랑스 통치체제 하에서 일찍부

- 23 -

터 계획경제 발전의 혜택을 누려왔음

- 베트남 패망을 전후하여 바다를 통해 탈출한 이른바 “보트피플” 역시 남부지역 사람들임.

미국, 호주 등 해외에 정착한 이들은 시간이 지나 베트남 경제가 발전하면서 고향에 돌아

와 투자하게 되었는데, 이들의 투자지역 역시 과거 고향이었던 남부지역 위주임. 개방초기

외국기업의 투자 역시 호치민 중심이었기 때문에 오늘날 남북간 뚜렷한 경제발전 격차가

발생하게 되었음

- 북부와 남부지역 기업인들은 비즈니스 스타일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음. 하노이를 중심으로

하는 북부지역 기업인들은 사회주의적 경제체제에 익숙해져 있어 폐쇄적이고 소극적인 스

타일임. 호치민 중심의 남부지역 기업인은 개방적인 사고방식과 호의적인 태도로 초기 비

즈니스 관계형성이 상대적으로 수월함.

- 베트남 투자 진출시 우선적으로 남부지역을 떠올리게 되나 중국시장을 염두에 둔 투자자

라면 광동성, 광서자치주, 운남성으로의 직접 운송과 통관이 가능한 북부지역을 먼저 검토

해야 함.

- 이와 함께 외국기업이 몰리는 남부지역은 기업간 경쟁이 치열하고, 인거비와 토지임차료가

급등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북부지역의 저렴한 생산요소 비용이 강점으로 부각되고

있음.

- 이러한 점을 감안, 최근 북부지역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고 있는데 중국에서 공장 이전을

고려하고 있는 기업이라면 남부보다 북부가 더움 적합할 것임.

- 반면 남부지역의 경우 600만 인구의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구매력이 높고, 외국기업도 집중

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내수시장 진출이 목적이라면 남부가 상태적으로 유리함.

- 한편 중부지역은 정치 중심지인 북부와 경제중심지인 남부지역의 사각지대에 위치하여 베

트남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임. 그러나 베트남 정부가 중부지역에 경제특구를 신설하고 투

자기업들에게는 법인세 우대 등 외국인투자우치강화대책을 내놓고 있어 향후 발전 잠재력

은 높은 편임.

- 또한 베트남 평야지역은 대부분 퇴적층이라 기초공사 등에 의외의 비용이 추가되는 경우

가 많으므로 지질 상태에 대한 사전조사가 필요함. 특히 메콩강 주면의 경우 지반이 연약

해 공장설립이 적당하지 않으며, 특히 예기치 않은 홍수로 인한 피해까지 생각해야 하기

때문에 사전 주의를 요함.

- 공단지대가 아닌 일반 지역은 가급적 피해야 함. 공단은 인프라가 잘 정비되어 있고 여러

가지 우대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 정부 관계자와의 관계구축도 용이하기 때문에 최우선적

인 진출 고려 대상임.

- 실제 일부 외국기업의 경우 국도 주변 비공단 지역에 투자했으나 수년이 지난도 허가가

안나 낭패를 본 케이스도 발생하고 있음.

○ 공단부지 확보

Page 14: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 24 -

- 베트남 투자 시 가장 신경써야할 부분 중 하나가 공단의 선택임. 공단에 입주해야 각종 우

대혜택을 누릴 수 있고 정부와의 관계구축도 용이해지기 때문임.

- 우리 기업의 주요 진출지역은 호치민시에서 1시간~1시간 30분정도 거리에 위치한 동나이

성과 빈증성 공단 위주임. 불과 1~2년 전만 하더라도 이들 지역의 공단 중 선택해서 임주

가 가능했으나, 현재는 입주 가능한 잔여 부지가 거의 없어 오히려 공단에서 업체를 선택

하는 실정임.

- 일례로 동나이성 Long Thanh 공단의 경우 하이테크 업종, 기술집약적 업종만 입주가능하

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음.

- 노동집약적 산업의 경우 호치민시 인근만 고집할 것이 아니라 롱안성, 타이닌성 등으로 투

자지역을 다변화해 나가 야할 것으로 보임. 그러나 이들 지역도 호치민시에서 2시간 내외

거리이기 때문에 그다지 불리한 여건은 아니며 특히 노동집약적 업종의 경우 인력수급면

에서 상대적으로 임점이 있음.

- 중국정부가 다양한 특혜부여를 통해 기존 연안지역에서 내륙지역으로 외자 진출지역을 다

변화하고 있 듯이 베트남도 점차 호치민과 하노이 인근지역 위주에서 내륙으로 투자진출

지역이 점차 확산될 가능성이 있음.

○ 확실한 원부자재 조달망 구축 및 여건 파악

- 베트남의 주요 산업은 아직까지 기초적이고 노동집약적인 가공. 조립산업 위주로 형성돼

있어 대부분의 원부자재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중국과 달리 자체적으로 필요한 원부자

재를 적시적소에서 구입하는 것이 용하지 않다는 뜻임.

- 국제적인 원부자재 및 석유관련 제품 가격이 급등하여 예기치 않은 비용부담이 발생하고

있으며, 최악의 경우 적기에 원부자재 조달이 어려워 공장 가동을 멈추어야 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배제해서는 안될 것임.

- 실제 대한상공회의소가 실시한 “2008년 베트남 경영환경” 조사에서도 베트남 진출 전체

제조업체중 37.6%가 “원자재 구입난”을 가장 큰 경영애로 사항으로 꼽고 있음. 따라서 베

트남 투자진출 시에는 자신이 필요한 원부자재의 조달 여건이 어떠한지 꼼꼼히 따져보고

진출해야 함.

○ 환경규제 강화 대비

-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함.

- 중국에서는 이미 환경오염 유발기업의 경우 강제적인 철기 및 이전 명령을 내리는 사례가

빈발해지고 있음. 베트남도 인기 지역 (호치민. 동나이. 빈증)의 경우 환경오염에 대한 규제

가 갈수록 강화되고 있음.

- 특히 수질오염 발생 (염색. 피혁 등)의 경우 인기지역 입주가 힘든 실정임. 불과 1~2년 전

만해도 오염유발이 크게 문제시되지 않았으나 최근 투자가 물리면서 환경오염 유발 기업

- 25 -

에 대해서는 빗장을 걸어 잠그기 시작하고 있음. 아울러 주민생활 지역 부근이라면 환경문

제가 더욱 불거지므로 이의 회피를 위해서는 절대적으로 공단에 입주해야 함.

- 베트남 투자시 환경오염 관련기업은 베트남 과학기술환경부 (MOSTE: Ministry of Science,

Technology and Environment)가 공표한 Circular No.490/1998/TT-BKHCNMT를 준수해야

하며, 해당 기업은 환경영향 보고서 (Environmental Standards Registration Paper)를 투자

신청 시 첨부하도록 되어 있음.

○ 외국인 투자 제한분야 파악

- 아직 시장개방 초기이기 때문에 투자대상 업종이 제한분야에 속하지 않는지 사전 조사가

필요함.

- 투자금지 및 조건부 투자승인 분야가 법에 의거, 분류돼 있기 때문에 투자검토 시 사업이

가능한 분야인지에 대해 알아봐야 함.

- 대부분 제조업은 100%독자투자가 가능하나, 부동산의 경우 토지는 외국인 보유가 불가능

하며 주택 역시 제한적인 취득만이 가능함. 주택의 경우 임대용 주택에 한해 외국인 소유

가 가능함. 즉 임대주택 건설에 투자하는 외국인 투자자는 투자승인서상의 투자기간에 한

해 임대목적으로 주택을 보유할 수 있음

- 요식업은 외국인 100% 단독 투자가 가능해졌지만 유통업. 서비스업. 관광업 등도 합작만

가능함. 과거 베트남에서 외국인이 직접 수출입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직접투자를 하거나

대표사무소 또는 지사를 설치해야 했으나

- 07년 5월 Decree 90/2007/ND-CP가 공표됨에 따라 베트남내 법적실체가 없는 외국 무역

업체들도 직접 수출입 활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음.

- 합작 경영시에는 향후 경영권 마찰 가능성에 대비하는 한편 현지인 명의로 신탁하는 것은

절대 금해야 할 것임

- 과거 중국에서 외국인 단독 투자가 허용되지 않았던 서비스 업종의 경우 조선족이나 현지

중국인 면의를 빌려 투자하였다가 낭패를 본 케이스가 있었음. 베트남 역시 현지인 명의를

빌려 무역업 등 서비스업종에 투자하거나 부동산을 구입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는 불법이

므로 조심해야 함.

○ 기 타- 정부의 경제외교 강화차원에서 현지공관은 현지 유력제휴선을 발굴하여 이들과 우리기업의유대강화를 지원하는 한편, 시장경제 도입초기에 발생하는 현지의 제도, 행정, 관행상 애로사항의 사전예방 또는 최소화를 위해 외교지원할 필요 있음.

- 현지 재원부족과 국가위험도를 동시에 감안, 다양한 금융동원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임.일례로 현지의 취약한 counter guarantee 제공능력에 대처할 수 있는 project financing 기법등도 준비해야 할 것임.

- 기진출 업체와 후발업체간 진출정보 공유는 특히 중요함. 이를 위해 지사, 공사관계자 등현지 종사자들간의 협의회운영 등 정보교류시스템 개발을 검토할 필요 있음.

Page 15: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 26 -

인구 9천만명

인구성장률 2.7%

2008년 GDP US$167 bil.

2008년 1인당 GDP US$1,800

2008년 GDP 성장률 3.8%

경제성장전망2010년: 0~4%

2011년: 0~5%

Ⅱ. 필리핀

1. 경제 현황

○ 2006년, 경제 성과 및 재정 상황이 눈의 띄게 개선됐음

- 2006년 GDP 성장률은 5.4%로 전년도 4.9%에 비해 성장률이 0.5%p 증가

○ 이러한 성과는 2007년에도 계속돼 필리핀은 31년 만에 가장 높은 경제성장률인 7.3%를 기

록하게 됨

< 필리핀 경제 개요 >

- 27 -

2. 투자사업계획 현황 및 계획

○ 종합 인프라 프로그램

- 2006년과 2007년의 높은 경제 성장의 핵심에는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이 2006년 발표한

정부의 종합적인 인프라 프로그램이 위치함

⋅ “5 Super Regions"으로 불리는 동 프로그램은 코르디예라 (Cordillera) 지역, 일로코스

(Illocos), 카가얀 밸리 (Cagayan Valley), 그리고 센트럴 필리핀 (Central Philippines)과 민다

나오 섬 (island of Mindanao)의 관광허브를 아우름

○ 인프라 로드맵의 5가지 구성요소

- 북부 루손, 농업 지대 (Northern Luzon Agribusiness Quadrangle): 농업 생산성과 농산물

생산의 증가가 목적

- 루손, 도시 순환도로 (Luzon Urban Beltway): 국제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도시, 공업 및 서

비스 센터 구축

- 센트럴 필리핀 (Central Philippines): 관광허브

- 민다나오, 농업 (Agribusiness Mindanao): 남부 농업의 허브

- 사이버 코리더 (Cyber Corridor): 정보통신기술 및 지식경제, 전국에 걸쳐 통신, 기술 및

교육을 진작하는 데 초점

Page 16: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 28 -

현황 프로젝트 수총 프로젝트 비용

(US 백만달러)

Ⅰ. 영업권 (Concession) / 계약종료 20 1,182

Ⅱ. 영업권보유 / 운영가능 44 17,938Ⅲ. 수여 (Awarded) / 공사 중 13 1,230

a. 요청 (Solicited Mode) 7 199

b. 자발 (Unsolicited Mode) 6 1,031

Ⅳ. 수여 전 (Pre-Award) 단계 16 3,579

a. 요청 (Solicited Mode) 8 5261. 잠재적 (Potential) 프로젝트 3 97

2. 재정 / 입찰서류준비 4 329

3. 입찰 단계 1 100

b. 자발 (Unsolicited Mode) 8 3,0531. Rirst Pass 승인 (ICC/LS) 5 878

2. Second Pass 승인 (ICC/LS) 3 2,175

총계 93 23,929

3. 국내외 건설업체의 시장진출 현황 및 진출유형, 투자방식

○ 프로그램의 파이낸싱

- 이러한 프로그램과 인프라 프로젝트에 투자하기 위해 정부는 총 소요경비의 18% 가량을

민간 부문의 참여로 충당하고 있음

- BOT (Build-Operate-and-Transfer) 방식은 정부가 Super Region 인프라 프로젝트를 실현하

기 위한 중요한 수단임

- 공공-민간 파트너십 (PPP, public-private partnership)을 담당하고 있는 정부기관은 BOT

센터로, 동 센터는 정부의 인프라 프로젝트 및 기타 관련 프로그램들을 조정, 감시, 촉진하

는 업무를 수행함

○ PSP (Private Sector Participation)/BOT (Build-Operate-and-Transfer) 프로그램 개요

- PSP/BOT 프로그램은 현재 총 93개로 47%가 영업권을 보유 중이거나 운영가능하며, 17%

는 수여 전 단계에 있음

< 프로젝트 현황별 BOT 프로젝트 (2007년 12월 31일) >

- 프로젝트의 부문별 구성을 살펴보면, 전력 관련 프로젝트가 수적으로나 투자비 면에서 가

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전력 관련 프로젝트는 전체 프로젝트 건수의 45.2%, 전체 프로젝트 비용의 39.7%를 차지

- 전체 프로젝트 건수에서 전력 관련 프로젝트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부문은

부동산 개발과 교통 부문 (각각 17.2%)이었음

- 전체 투자비용에서는 환경 부문의 투자비 (33.3%)가 전력 관련 프로젝트 다음으로 큰 비중

을 차지하고 있음

- 29 -

부문 프로젝트수 비중 (%)

전력 42 45.2

부동산개발 16 17.2

교통 16 17.2

ICT 9 9.7

환경 7 7.5

기타 2 2.2

사회인프라 / 보건 1 1.1

총계 93 100.0

부문 투자비용 (US$ M) 비중 (%)

전력 9,508 39.7

환경 7,972 33.3

교통 5,522 23.1

기타 415 1.7

ICT 341 1.4

부동산개발 170 0.7

사회인프라 / 보건 1 0.0

총계 23,929 100.0

< 프로젝트의 부문별 구성 (2007년 12월 31일) - 프로젝트 수 기준 >

< 프로젝트의 부문별 구성 (2007년 12월 31일) - 투자비용 기준 >

○ PPP - BOT (Public-Private Partnership - Build-Operate-and-Transfer)의 정의

- 정부와 민간부문 간의 계약 형태의 하나로 동 계약 하에 민간부문은 자금을 조달 및 건설

하고, 일부의 경우 운영과 유지보수까지 담당하게 됨

- 민간부문의 투자비 회수를 위한 사용요금 부과가 허용됨

- 정부과 민간 부문이 모두 프로젝트 위험을 공유

○ PPP - BOT의 이점

- 재정적 측면

⋅ 자금 조성의 부담을 이전

⋅ 보다 긴급한 사안에 정부자원을 재할당할 수 있음

⋅ 계약 형태에 따라 추가적 정부 수입을 기대할 수 있음

- 비재정적 측면

⋅ 인프라/서비스의 효율성 제고

⋅ 기술 이전 및 교육 효과

⋅ 우수한 기술과 전문적 지식 활용

Page 17: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 30 -

4. 건설 및 건설자재 부문 법, 제도 등 투자 환경 분석

○ PPP/BOT를 위한 정책 및 법적 체계

- RA 7718*

⋅ Republic Act 6957의 일부 조항을 개정한 BOT법으로 BOT 체계 및 정부 승인 절차를 명시

⋅ 이외 개발에 있어서 민간부문의 역할, 민간 자원의 동원을 위한 인센티브, 정부개입의 최소

화 등을 명시하고 있음

* “민간부문에 의한 인프라 프로젝트의 자금조달, 건설, 운영 및 유지보수의 승인에 관한 법

(An Act Authorizing the Financing,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Infrastructure Projects by the Private Sector, and for Other Purposes)”

- RA 7160: 지방정부 규칙 (Local Government Code)

⋅ LGU (Local Government Units) 프로젝트를 위한 BOT 가이드라인을 제공

○ 관련 기관 체계

- PPP-BOT 계약 당사자

⋅ 이행 주체

⋅ 공기업

⋅ 지방정부 단위 - 주 (Province), 시 (City), 군 (Municipality)

- 기타 관련 기관

⋅ 정책입안기관

⋅ 감독기관 (중앙은행, 경제기획, 환경, 증권거래, 금융)

⋅ 이외 요금규제위원회 (toll regulatory board) 등 기타 부문별 규제기관

- 검토 및 승인 기관

⋅ 투자조정위원회 (ICC: Investment Coordination Committee)

⋅ 지방정부의회 (Local Government Councils)

- 조정 및 모니터링 기관

⋅ BOT 센터

○ PPT-BOT 프로젝트 내 민간의 참여

- 31 -

- 프로젝트 제안업체 (Project Proponent): 프로젝트에 대해 계약상의 책임을 짐

- 계약업체 (Contractor): 실질적 건설 또는 장비 공급을 담당

- 시설 운영업체 (Facility Operator): 운영 및 유지보수 담당 (사용요금의 징수 포함)

○ PPT-BOT 옵션

- BOT에서 변형된 다양한 형태의 계약이 허용됨

⋅ 동 계약들은 BOT 프로젝트의 소유권 이전 시기에 따라 다음 그림과 같이 구분될 수 있음

< BOT & 변형된 계약 형태*>

* BOT: Built-Operate-Transfer

* BT: Build and Transfer

* BOO: Build-Own-and-Operate

* BLT: Build-Lease-and-Transfer

* BTO: Build-Transfer-and-Operate

* CAO: Contract-Add-and-Operate

* DOT: Develop-Operate-and-Transfer

* ROT: Rehabilitate-Own-and-Transfer

* ROO: Rehabilitate-Own-and-Operate *

* 이외 다양한 형태의 계약이 필리핀 대통령의 승인을 받을 수 있음

⋅ 이전 시기가 빠를수록 민간 부문의 위험은 작아지나, 위험이 작을수록 수입도 감소됨

- 상환제도 (Repayment Schemes)

⋅ 프로젝트 제안자 (Project proponent)는 (ⅰ) 50년을 초과하지 않는 정해진 기간 동안 시설

의 사용자에게 이용료, 임대료 및 기타 요금을 부과하거나, (ⅱ) 프로젝트 이익 배당에의 참

Page 18: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 32 -

여, 또는 (ⅲ) 기타 비화폐적 수단을 통해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음

⋅ 이용료 및 기타 요금 등은 관련 규제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함

- 합리적 수익률 (Reasonable rate of return)

⋅ 일반적 경우, 국내 및 국제시장의 일반적 자본비용을 반영

⋅ 협상에 의한 계약 (negotiated contracts)의 경우, NEDA-ICC (National Economic and

Development Authority - Investment Coordination Committee)가 수익률을 결정

⋅ 협상 계약이 공익사업체 (public utilities) 및 독점기업과 관련된 경우 기존 법에 따름. 예를

들면 공공서비스법 (Public Services Act)은 어떠한 경우에도 수익률이 12%를 초과할 수 없

도록 명시하고 있음

- 정부 지원

⋅ 재정적 인센티브: 비용이 10억 페소 (peso) 이상인 프로젝트에는 종합투자법 (OIC:

Omnibus Investment Code) 하의 인센티브가 적용됨. 이외 지방정부 차원에서 추가적인 조

세 인센티브 등을 제공할 수 있음

⋅ 비용 분담: 자금조달이 어려운 프로젝트의 경우 정부의 원조 (GAA: government

appropriations)나 공적개발원조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를 통해 일부 자금

을 조달할 수 있음. 단, GAA 또는 ODA를 통한 지원자금이 프로젝트 전체 비용의 50%를

초과할 수는 없음

- 33 -

5. 사업 추진상의 애로사항

○ 진출시 애로점

• 정부발주 건설공사에 대한 입찰참여 제한- 100% 정부예산 발주공사의 경우 외국업체의 입찰참여 불가능- 국내 업체 또는 필리핀인 투자비율이 75%이상인 합작법인을 설립해야 참여 가능

• 차관공사의 경우 지사설치와 특별면허(Special License) 요구- 차관공사 입찰참여시 사전 필리핀 건설산업청(Construction Industry Authorityin the Philippines)으로부터 특별면허를 발급 받아야 함- 특별면허를 받기 위해서 일정규모의 지사를 설치하고, 면허등급에 따라 자본금,기술자, 장비 등 요구

• 민간발주공사의 경우 입찰제한- 필리핀인 지분 60%이상인 합작법인만 참여가능- '98. 10월부터 순수 민간발주공사 수주시 외국인 100% 투자법인을 허용(대표자필리핀인)하도록 개정했으나 경제개발청과 건설산업청의 이견으로 외국인 100%투자기업에 대한 면허빌급을 보류(실질적인 개선효과 없음)

• 설계, 감리 등 컨설팅 용역에 대한 입찰참여 제한- 정부조달용역은 필리핀인 투자비율이 75%이상인 합작법인을 설립해야 입찰참여 가능(컨설턴트는 필리핀인을 원칙)- 외자에 의한 정부조달용역은 외국컨설팅업체의 참여가 가능하나 컨설턴트의 자격을 인정을 받아야 함- 민간발주 컨설팅용역은 필리핀인 지분 60%이상인 합작법인을 설립해야 입찰참여 가능

• 건설관련기관의 행정처리 불투명- 입찰 및 수주과정에서 건설관련 기관의 행정처리가 불투명하고 더디며 차관공사의 경우 비교적 공정하게 처리되고 있으나 발주기관과의 인맥이나 로비에 의해 낙찰여부가 영향을 받는 등 기존 관행이 지속

• 수주활동시 애로사항- JBIC 차관공사의 경우 PQ 및 입찰조건이 너무 엄격하고 일본업체는 세금을 내지 않는 혜택이 있어 약 10%정도의 가격경쟁력이 일본업체에 비해 저하되고 있음- 현지업체와 중국업체들의 덤핑공세가 심하여 과당경쟁 추세

• 보증서 발급 애로- 최근 대부분의 공사수행에 있어 발주처에서는 은행보증서(Bank Guarantee)를요구하는 추세여서 보증발급에 애로를 겪고 있음(또한 현재 필리핀내 한국계 은행이 없음, 진출요망)- 발주처에서는 기존 Surety Bond(보증증권)나 Stand By LC를 과거처럼 인정하지 않고 있음(현지 건설업체들은 Bond 발급 신청시 Cash 담보등을 요구하는 은행들로부터Bank Guarantee를 발급받기 보다는 수수료는 다소 높으나 무담보 조건으로 발급해 주는 보험회사의 Surety Bond를 대부분 이용해 왔음) 

Page 19: 출장보고서1 - KRIHSå|2*$ Z ëstu* 3 ìd¸4 íî 2*$[\}N¤ fBF@rG Z ! \` 01| *F d` +N ./ 0/ C- 3Sï*ðYXéstu| .CZ(´7 ¬+N~ ¸ . . 43 bc 3ñqbW ! " " ( )Æ. .# Fu Ç 54 5+ Q

- 34 -

6. 현지 투자시 사업 수익 환경조사 및 진출 가능성

○ 진출전략

• 발주처 및 유관기관과 유대강화- 인프라공사 발주 지속에 따라 발주처와 유대강화를 통해 사전 공사정보를 입수하여 적극적인 사업참여 방안을 모색하며 낙찰자 선정이 아직도 인맥이나 로비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음으로 영향력 있는 인사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할필요가 있음 

• 수익성과 경쟁력이 있는 전문공종에 집중- 건   축 : 외국인 수요를 대상으로 하는 고급콘도와 관광 산업과 관련된 호텔,리조트 단지 조성사업- 토    목 : 기술력을 필요로 하는 대규모 토목공사- 플랜트 : 일정 기술경쟁력을 확보한 전력, 석유화학 등

• 일본업체와 협력강화를 통한 수주확대 모색- 외자추진 사업중 발주규모가 가장 큰 일본 JBIC 차관사업에 일본업체와 협력강화를 통한 공동 수주방안 모색 필요 

• 경쟁력 있는 현지업체와 전략적 제휴- 인력, 자재 등 현지 생산요소의 안정적 확보, 진입장벽에 대해 대처하기 위해현지 실정을 잘 알고 가격경쟁력이 있는 현지업체와 하청 또는 파트너 성격의전략적 제휴강화